= 화학적 위험 = 화학적 위험(化學的危險)은 생명이나 건강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비생물학적) 물질이다. 화학 물질은 가정 및 기타 여러 장소에서 널리 쓰인다. 화학 물질에 노출되면 급성 또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경독, 면역 작용제, 피부과 작용제, 발암 물질, 생식 독소, 전신 독소, 천식 유발 물질, 진폐 작용제 및 과민제를 비롯한 여러 유형의 위험한 화학 물질이 있다. 작업장에서 화학적 위험에 대한 노출은 직업 위험 유형이다. 개인 보호 장비를 쓰면 위험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산화 규소, 배기 가스, 담배 연기 및 (특히) 납과 같은 화학적 위험에 장기간 노출되면 심장 질환, 뇌졸중 및 고혈압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종류 = = 위험 예 가연성 및 가연성 액체 경유 압축 가스 프로페인 폭발 TNT 유기 과산화물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폴리에스터 제조에 사용 반응물 과산화 벤조일; 표백제로 사용 산화제 과망가니즈산 칼륨; 산업용 소독제 및 살균제로 사용 발화성 백린 발암 물질 벤젠; 많은 석유화학 공정의 원료 생식 독소 납, 다이옥신 자극제 염산; 식품 제조 및 광석 가공에 사용 부식제 황산; 화학 물질을 제조하는 데 사용 과민성 물질 라텍스; 장갑 제조에 사용 간독 트라이클로로에틸렌; 업계에서 널리 사용 신독 나프록센 (NSAID) 방사성 물질 우라늄염, 플루토늄 = 분류:구소련 국가의 인종주의 = = 분류:후난성의 건축물 = = 고성 문암리 유적 = 고성 문암리 유적(高城 文巖里 遺蹟)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에 있는 석기시대의 유적이다.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6호 고성문암리선사유적으로 지정문화재청고시제2001-2호(문화재〈사적〉지정,확대지정및명칭변경), 제14719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01. 2. 5. / 22 페이지 / 146.8KB되었다가,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 개요 =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 1번지에 위치한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은 동해안에서 내륙 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구릉지대의 남쪽사면 사구(沙丘)위에 형성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신석기시대의 유적 중 최남단에 위치한 유적이며, 인근에는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여러 시기에 걸쳐 형성된 유적이다. '98년 12월부터 '99년 3월까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전체 유적 중 약 200여평의 발굴조사를 한 결과 5개의 유물 포함층과 3개의 신석기시대 문화층이 퇴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3기의 주거지와 야외 노지 등 다양한 유구가 발견되었다. 발굴유구와 출토유물로 볼 때 국내 최고의 신석기유적으로 알려져 있는 양양 오산리 유적(B.C.6000∼3000)과 연대가 비슷하고 최하층에서 발견된 유구는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한반도 동북지방과 중국의 동북 3성 지방, 러시아 아무르강 연안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의 신석기 문화와 한반도 선사인의 원류 및 이동경로, 당시의 문화계통과 전파정도 등을 밝히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 = 참고 자료 = = * 문암리 유적 = 디스커버리 채널 = 디스커버리 채널은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가 소유한 케이블, 위성 TV 채널이다. 과학, 역사, 자연 분야에 관련된 다큐멘터리, 논픽션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방영하고 있다. 1985년 6월 17일에 미국에서 개국하였으며, 현재 170개국에서 방영하고 있다. = 메틸기전이효소 = 메틸기전이효소 또는 메틸트랜스퍼레이스는 기질을 메틸화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며, 구조적 특징에 따라 여러 하위 부류로 나눌 수 있는 효소들의 큰 그룹이다. 메틸화효소 또는 메틸레이스라고도 한다. 가장 일반적인 메틸기전이효소의 부류는 클래스 I이며, 클래스 I은 S-아데노실메티오닌(SAM)에 결합하기 위한 로스만 접힘을 포함하고 있다. 클래스 II 메틸기전이효소는 SET 도메인을 포함하며, 예로는 히스톤 메틸기전이효소의 SET 도메인이 있다. 클래스 III 메틸기전이효소는 막에 결합되어 있다. 메틸기전이효소는 또한 메틸기 전이 반응에서 다른 기질들을 사용하는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 풀 몬티 = 풀 몬티(The Full Monty)는 영국에서 제작된 피터 카타네오 감독의 1997년 드라마, 코미디 영화이다. 로버트 칼라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우베르토 파솔리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로버트 칼라일 톰 윌킨슨 마크 애디 레슬리 샤프 에밀리 우프 스티브 휴이슨 휴고 스피어 디어드리 코스텔로 브루스 존스 = = 기타 = = 미술: 맥스 고틀리브 의상: 질 테일러 Ass-PD: 카렌 린제이 스튜어트 배역: 수지 피기스 = = KBS 성우진 (2002년 1월 26일) = = 김환진 - 가즈(로버트 칼라일) 성창수 - 데이브(마크 애디) 김정호 - 룸퍼(스티브 휴이슨) 김병관 - 제럴드(톰 윌킨슨) 한상덕 - 호스(폴 바버) 서문석 - 가이(휴고 스피어) 송연희 - 진(레슬리 샤프) 양정애 - 맨디(에밀리 우프) 성선녀 - 린다(디어드리 코스델로) 이근욱 문영래 정미숙 박상훈 = = 사운드트랙 = = = = = 곡 목록 = = = "The Zodiac" – David Lindup (3:06) "You Sexy Thing" – Hot Chocolate (4:03) "Light My Fire" - 도어스 (7:06) "You Can Leave Your Hat On" – Tom Jones (4:26) "Moving on Up" – M People (5:29) "Make Me Smile (Come Up and See Me)" – Steve Harley & Cockney Rebel (3:59) "The Full Monty" – Anne Dudley (3:04) "The Lunchbox Has Landed" – Anne Dudley (2:14) "Land of a Thousand Dances" – Wilson Pickett (2:24) "Rock & Roll, Pt. 2" – Gary Glitter (3:02) "Bohemian Rhapsody" - Queen (5:51) "Highway Star" - 딥 퍼플 (6:07) "Hot Stuff" – 도나 서머 (3:49) "We Are Family" – Sister Sledge (3:35) "Flashdance... What a Feeling" – 아이린 카라 (3:49) "The Stripper" – Joe Loss & His Orchestra (2:11) = 후쿠모토 나오요시 = 후쿠모토 나오요시 (1987년 5월 10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파지아노 오카야마에서 활동하였다. = 이리자리 GQ b = 이리자리 GQ b는 K형 주계열성 이리자리 GQ를 도는 외계 행성 후보이다. 2005년 4월 발견 사실이 공식 발표되었다. 2M1207b와 함께 이리자리 GQ b는 직접 사진을 찍어 존재를 증명한 외계 행성이다. 2004년 6월 25일 칠레 소재 파라날 천문대 내 VLT 망원경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었다.Is this a Brown Dwarf or an Exoplanet? New Young Sub-stellar Companion Imaged with the VLT , ESO Press Release 09/05, 2005-04-07 작성. 2008-06-13 확인. 이리자리 GQ b의 분광형은 M6에서 L0 사이로 보이며 표면 온도는 약 2,650 켈빈 전후이다.Astrometric and photometric monitoring of GQ Lupi and its sub-stellar companion, Ralph Neuhäuser, Markus Mugrauer, Andreas Seifahrt, Tobias Schmidt, and Nikolaus Vogt,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4, #1 (2008), pp. 281–291. . 항성으로부터 약 100 천문단위 떨어져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여기서 b가 어머니 항성을 1회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1,200년일 것이다. 여기서 b의 질량은 목성의 수 배는 될 것으로 생각된다.GQ Lup b , Extrasolar Visions. 2008-06-13 확인. 이리자리 GQ b처럼 젊은 천체들의 나이를 예측하는 모형들은 헛점이 많기 때문에 b의 질량은 최소 목성의 수 배에서 최대 36배까지 커질 수도 있다. 따라서 극단적일 경우 b는 행성이 아닌, 갈색 왜성이 된다. 2006년 기준으로 국제 천문 연맹은 이리자리 GQ b를 "젊은 별을 돌고 있는, 행성급 질량을 지닐 가능성 있는 천체"로 서술하였다.Lists of Extrasolar Planets , IAU Working Group on Extrasolar Planets, 2006-08-28 입력, 2008-06-13 확인. = 고객자산 = 고객자산(Customer equity)은 어떤 회사가 가진 고객생애가치의 총합을 말한다.Hanssens, Domenique M., Roland T. Rust, and Rajendra K. Srivastava (2009),“Marketing Strategy and Wall Street: Nailing Down Marketing's Impact,”Journal of Marketing, 73, November, 115–8.하지만 실제로 고객생애가치를 측정하여 고객자산을 측정하는 것은 힘들 수 있다.고객자산 구성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Relative Effe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 안광호 , 김성환 , 김모란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제26권 제1호 2011.0323 - 45(23 pages) = 분류:물고기 문장 = = 인구리 댐 = 인구리 댐은 인구리강에 있는 댐으로서 조지아에 위치한다. 1980년대 완공됐으며 소비에트 연방 지배 당시 완공됐고 후에 조지아 정부의 관리로 귀속됐다. 길이는 272 m이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치형 콘크리트댐이다.Inguri Dam 즈바리의 북쪽에 위치한다. 인구리 수력발전소가 전력발전을 담당하며 세 기 정도의 발전기가 함께 발전을 하고 있다. 흑해로 흘러가는 물을 돌려 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Georgia 2008 Daily Chronology, globalsecurity.org. 평균 연간 전력생산량은 38억 kW/h이며 조지아 전력의 46 %를 차지한다.(2007) Ministry of Energy of Georgia = 루네베리 = 루네베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핀란드의 스웨덴계 시인 프레드리카 루네베리: 스웨덴과 핀란드의 작가, 시인 = 틀:이메일 도착 알림/설명문서 = = = 사용법 = = 단순히 을 부착하면 해당 사용자명을 읽어와 자동으로 띄워 줍니다. 서명은 별개입니다. = 김정욱 = 김정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김정욱(金晶旭, 1883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다. 김정욱(1926년 ~ 2022년)은 대한민국의 무용가이다. 김정욱(1946년 ~ )은 대한민국의 환경학자이다. 김정욱(1971년 ~ )은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원이다. 김정욱(1976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정욱(1980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정욱(1993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정욱(1985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정욱 (19??년 ~ )은 대한민국의 판타지장르 소설가이다. = 포털:화학/이 주의 화학자/칼 빌헬름 셸레 = 칼 빌헬름 셸레(, 1742년 12월 19일 ~ 1786년 5월 21일)는 스웨덴의 화학자이다. 산소를 가장 먼저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42년 당시 스웨덴령이었던 포메라니아의 슈트랄준트에서 태어났다. 1742년 당시 스웨덴령이었던 포메라니아의 슈트랄준트에서 태어났다. 14살의 나이로 셸레는 예테보리의 약제상의 실습생이 되었다. 그는 잠자는 시간을 줄여가면서까지 그가 다루는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실험에 임하였고, 화학에 대해서 공부를 하였다. 1770년 셸레는 스톡홀름을 떠나 웁살라에 정착하였다. 1775년 셸레는 스톡홀름 과학 아카데미의회원이 되었으며, 같은 해 코핑으로 이주하였다. 1776년 그는 그의 약국을 설립하여 경영하였다. 1786년 5월 19일 셸레는 약국의 전주인의 미망인과 결혼하였으나 이틀 뒤인 5월 21일 사망하였다. = 틀: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 지휘자 = = 현병찬 = 현병찬 (玄昞璨 1942년 ~ )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다. 아호는 한곬이며, 제주특별자치도 화북 출신이다. 1957년 제주사범학교 재학 시절 소암 현중화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아 서예를 시작하였다. 1960년 학교에 졸업 후 바로 세화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다. 1980년 해정 박태준 선생에게 계속 가르침을 받아 서예 기술을 더욱 더 발전시켰다. 이 후 대한민국 서예 초대작가전(1999),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초대작가전(1996∼1999), 대한민국 현대 서예대전 초대작가전(1995∼1999), 한글서예 큰 잔치 초대, 한중서예 교류전, 제주 오끼나와 미술가 교류전, 제주말(사투리) 동경·대판 서예전 주관 및 출품을 하였다. 2000년 동화초등학교 교장이 되었으며 2003년 정년퇴임하였다. 현재는 제주도서예협회회장으로 지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현판과 제주 저지문화예술인마을에 있는 표지판 글씨체는 한곬 현병찬이 쓴 작품이다. = 분류:몰타의 환경 = = 후추케이바세이몬마에역 = 후추케이바세이몬마에역은 일본 도쿄도 후추시에 위치한 게이오 전철 경마장 선의 철도역이자 기.종점역이다. 역 번호는 KO 46이며, 두단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2 KO 경마장 선 히가시후추 · 신주쿠 · 도영 신주쿠 선 · 게이오하치오지 · 다카오산구치 방면 KO 게이오 선으로 직통) = = 이용 현황 = =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평균 하차 인원 평균 승차 인원 1955년 926 1960년 1,830 1965년 3,275 1970년 7,159 1974년 8,841 1975년 8,405 1980년 6,058 1985년 3,769 1990년 5,756 2,663 1991년 2,932 1992년 3,047 1993년 3,175 1994년 3,523 1995년 7,480 3,555 1996년 3,304 1997년 3,118 1998년 3,167 1999년 3,120 2000년 7,225 3,022 2001년 2,682 2002년 4,562 1,885 2003년 4,705 2,142 2004년 4,417 1,986 2005년 3,877 1,910 2006년 3,396 1,795 2007년 3,619 1,937 2008년 3,479 1,841 2009년 3,379 1,756 2010년 3,163 1,630 2011년 2,944 1,511 2012년 3,088 1,581 2013년 3,115 1,581 2014년 3,160 1,592 2015년 3,190 2016년 3,209 = = 역 주변 = = 도쿄 경마장 일본중앙경마회 경마 박물관 게이오 전철 후추 역 JR 동일본 후추혼마치역 오쿠니타마 신사 = 손지원 = 손지원(1977년 8월 29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연극배우이고 뮤지컬배우이다. 그녀의 어머니 김성녀도 배우이자 대학교수이다. = = 연극&뮤지컬 = = 2009년 눈속을 걸어서 2009년 사카테요지 페스티벌 - 다락방 2009년 맘마미아 - 소피 역 2001년 스텔라 연극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 2001년 뮤지컬미스 사이공 2001년 뮤지컬그리스 2001년 뮤지컬브로드웨이 42번가 2001년 뮤지컬사랑은 비를 타고 = = 가족 관계 = = 아버지: 손진책 (1947년 11월 18일~) 어머니: 김성녀 (1950년 9월 16일~) 외할머니: 박옥진 (1935년 ~ 2004년 9월 30일~) 외삼촌: 김성일 (1962년~) = 기술서지학 = 기술서지학(descriptive bibliography)은 분석서지학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열거서지학을 통해 제시된 책, 가능한 한 그 문헌에서 가장 이상적인 판본, 즉 선본의 서지학적 본질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즉 2절판(folio), 4절판(quarto) 같은 책의 판형, 물리적 구성, 면차 표시 등의 오류나 변형과 같은 특이사항 기타 해당 문헌의 역사를 조명해 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기술한다. = 분류:콜롬비아의 음악인 = = 분류:일본의 경찰서 = = 분류:인카소-데일딘 = = 정신보건법 제24조 = 정신보건법 제24조는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에 의해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규정한 정신보건법 조항이다. = = 관련 항목 = = 정신보건법 제24조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 정신보건법 = 제17회 미국 작가 조합상 = 제17회 미국 작가 조합상은 1964년 뛰어난 활동을 보인 영화 작가를 기리기 위해 1965년 3월에 열린 시상식이다. Beverly Hilton Hotel에서 개최되었다. = = 수상 및 후보 = = = = = 각본상 = = = 메리 포핀스 - 빌 월시 수상 에드워드 앤헐트 수상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 스탠릭 큐브릭 수상 = = = 월계수상 = = = 시드니 버크먼 수상 = = = 발렌타인 데이비스 상 = = = 제임스 R. 웹 수상 = 분류:서울 성북구 소재의 관공서 = = 분류:시즈오카 대학 = = 분류:노바소닉의 음반 = = 우리 가족은 외박 중 = 우리 가족은 외박 중(The Overnight)은 미국에서 제작된 패트릭 브라이스 감독의 2015년 코미디 영화이다. 아담 스콧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나오미 스콧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영화는 2015년 1월 23일 2015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이후 The Orchard에 의해 2015년 6월 19에 제한적으로 개봉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아담 스콧 테일러 쉴링 제이슨 슈왈츠먼 주디스 고드레쉬 사라 드빈센티스 = = = 조연 = = = 수잔 테일러 = 분류:1895년 법 = = 이민우 (기자) = 이민우(1972년~)는 대한민국의 KBS 기자이다. = = 학력 = = 보성고등학교 80회 졸업 = = 경력 = = 1997년: KBS 기자 입사 2018년: KBS 베를린 특파원 2020년~2021년: KBS 통합뉴스룸 뉴스제작1부장 2021년: KBS제주방송총국 보도국장 2023년: KBS 보도본부 기자 2023년 11월~: KBS 보도본부 통합뉴스룸[취재1] 네트워크부장 = = 진행 = = KBS 8 아침뉴스타임 임시 진행(2011년 8월 8일~12일) KBS 뉴스라인(2020년 6월 29일~2021년 4월 22일) KBS 뉴스 6(2023년 5월 29일~11월 13일) = 분류:도롱뇽속 = = 브레이크비트 = 브레이크비트는 샘플러 또는 편집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드럼 연주의 프레이즈를 분해하고 시퀀서에서 다시 조립하는 음악 제작 방법이자 그 방법을 동반한 음악 장르이다. = = 저명한 브레이크비트 아티스트 = = 아먼드 밴 헬든 팻보이 슬림 케미컬 브라더스 프로디지 = 펜주 = 펜주는 2008년에 개설된 캐나다의 인터넷 웹사이트다. = 부여 월함지 = 부여 월함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다. 2004년 12월 22일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67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로는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11번지 외 43필지다. = = 개요 = = 지형상 왕도 동편인 이곳은 삼충사-남령을 있는 구릉 동편에 해당되고 전래명칭으로는 거무내, 뒷개, 사근다리, 즉 금성산 북쪽, 부소산 남쪽 동편의 물이 모이는 곳이다. 월함지 월함지 = 분류:해적당 = = 탈로포포강 = 탈로포포강(Talofofo river)는 괌에 있는 강이다. 괌의 남서부에 있는 람람산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탈로포포강은 북동부로 흘러 탈로포포만으로 흘러간다. 강변에는 괌 최대 호수 페나호와 탈로포포 폭포가 있다. 탈로포포강의 지류 리굼강은 탈로포포강의 거의 하류 끝에서 탈로포포강과 합류한다. = 천빙더 = 천빙더(陈炳德, 1941년 7월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다. 중국인민해방군 상장이며, 중국군의 주요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과 중국인민해방군 총장비부 부장을 지냈으며, 2007년부터 현재까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을 맡고 있다. = 분류:헝가리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 분류:캐나다의 전쟁별 부대 및 편성 = = WWE 사이버 선데이 = 사이버 선데이(Cyber Sunday)는 WWE가 주관하였고, 2004년부터 2005년까지는 타부 튜즈데이(Taboo Tuesday)였다가 2006년부터 사이버 선데이로 페이퍼뷰명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2008년 끝으로 폐지되었다. 다른 PPV와 차별화된 것이 있다면 시합 방식, 복장, 특별 심판, 벌칙 등이 팬들의 투표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 = 타부 튜즈데이 개최한 곳 = =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4년 10월 19일 밀워키 브래들리 센터 3,500 랜디 오턴 vs. 릭 플레어 (스틸 케이지 매치) 2005년 11월 1일 샌디에이고 아이페이원 센터 6,000 존 시나 vs. 커트 앵글 vs. 숀 마이클스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 사이버 선데이 개최한 곳 = =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6년 11월 5일 신시내티 U.S. 뱅크 아레나 7,000 킹 부커 vs. 존 시나 vs. 빅 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7년 11월 28일 워싱턴 D.C. 버라이즌 센터 10,094 바티스타 vs. 디 언더테이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8년 11월 26일 피닉스 US 에어웨이스 센터 7,981 크리스 제리코 vs. 바티스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기원전 67년 = = = 연호 = = 전한(前漢) 지절(地節) 3년 = = 기년 = = 전한(前漢) 선제(宣帝) 7년 = 틀:R47 = = 분류:전간기의 조약 = = 분류: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시즌 = = 넬로 파자피니 = 넬로 파자피니(Nello Pazzafini, 1933년 5월 15일 ~ 1997년 11월 27일)는 이탈리아의 영화배우이다. 로마에서 태어났으며 오스티아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당뇨병이다. = = 영화 = = 바바리안 (1987년) 더블 트라블 (1984년) 살라맨더 (1981년) 스타 오딧세이 (1979년) 미친 개 (1977년) 프랑크와 토니 (1973년) 신디케이트 워 (1973년) 제나벨 (1969년) 애니원 캔 플레이 (1968년) 황야의 대추적 (1968년) La Morte Non Conta I Dollari (1967년) 빅 건다운 (1966년) 맨 콜드 겟 킬드 (1966년) 황야의 은화 1불 (1966년) 미녀 헬렌과 파라온 (1964년) 코난 마시스테 (1962년) 오드의 투기장 (1961년) = 명지학원 (명지대학교) = 학교법인 명지학원(學校法人 明知學園, Myongji Educational Foundation)은 대한민국의 사립 교육 재단이다. 유치원 교육부터 초·중·고등 교육 전반을 지원하고 있다. 설립자는 유상근 박사이며, 초대 이사장은 송창근 박사이다. 재단은 개신교적 성향, 특히 장로교적 성격을 띄며, 이를 기반으로 재단을 설립했다. = = 구성 = = = = = 명지대학교 = = = 명지대학교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종합대학이다. 재단 설립자이자 3대 이사장인 유상근 박사가 1948년 설립한 서울가정고등학교가 모태이다. 198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1개의 단과대학과 9개의 대학원을 설치하고 있다. = = = 명지전문대학 = = = 명지전문대학은 서울특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전문대학이다. 5대 이사장인 유치웅 선생이 설립하였으며, 1974년 설치된 명지대학 부설 명지실업학교가 전신이다. 1976년 전문학교로 독립하고, 지금에 이르렀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인하공업전문대학과 함께 전문대학 명칭을 교명에 포함하고 있다. = = = 명지고등학교 = = = 명지고등학교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반 고등학교이다. 1948년, 재단법인 단국학원이 설립한 6년제 단국중학교를 명지학원에서 인수하였다. 단국중학교는 현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통합 과정으로, 현재는 각 과정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 중, 고등학교 학제의 기관은 명지고등학교로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97년, 명지여자고등학교와 명지고등학교가 통합한 바 있다. = = = 명지중학교 = = = 명지중학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소재한 중학교이다. 명지고등학교와 역사를 공유하며, 단국중학교의 중학교 학제의 기관이 발전하여 지금의 명지중학교에 이르렀다. 1997년 명지중학교와 명지여자중학교가 통합하여 남녀공학 학교가 되었다. = = = 명지초등학교 = = = 명지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이다. 5대 유치웅 선생에 의해 1967년 개교하였다. = = = 명지전문대학부속명지유치원 = = = 명지유치원은 명지전문대학 부속으로 설치된 유치원이다. 5대 유치웅 선생에 의해 1978년 설립되었다. = = 폐지 = = = = = 관동대학교 = = = 관동대학교는 강원도에 캠퍼스를 둔 종합대학이었다. 학교법인 관동대학이 1955년 설립한 관동대의숙을 모태로 한다. 관동대학이 1972년 명지학원과 합병하였고, 이로 인해 학교법인 명지학원은 종합대학 2개교를 보유한 드문 사학재단이 되었다. 그러나 재단 내 재정난이 심화되자 2012년부터 명지대학교와 통합 추진했다. 하지만 2014년 사실상 관동대학교 운영 포기를 선언하였으며, 학교법인 인천가톨릭학원에 관동대학교를 매각했다. 인천가톨릭학원은 당시 관동대학교에 부과되었던 재정지원제한을 해제시키기 위해 법적으로 관동대학교를 폐교시키고, 다음 날 가톨릭관동대학교를 개교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의 종합대학이 폐교된 두번째 사례로 남아있다. = = = 명지외국어고등학교 = = = 명지외국어고등학교는 경기도에 위치한 외국어 고등학교였다. 2003년 8대 유영구 박사가 개교했다. 자매 학교법인인 명지교육학원으로 운영되었으나, 재정난 등을 이유로 2008년경 학교법인 봉암학원에 매각했다. 현재 경기외국어고등학교로 있다. = = 사건과 비판 = = 명지건설과 고려여행사, 명지빌딩이라는 수익사업체를 보유해 재정이 탄탄한 학교법인 중 하나였지만 고려여행사가 망하고 명지건설이 어려워지면서 재단 경영에 큰 어려움이 생겼다. 유영구 전 이사장이 2007년 1월 명지빌딩을 매각하고 매각대금의 일부를 명지건설에 무담보로 지원했으며 그바람에 명지학원은 큰 손해를 봤다. 같은해 10월에 결국 명지건설마저 대한전선 계열사측에 매각해 TEC건설이 되었다. 2008년 명지외고는 대교그룹 산하 봉암학원에 매각되었다. 2014년 관동대학교는 끝내 천주교 인천교구에 매각되어 가톨릭관동대학교가 되었다. 명지전문대학은 2010년 효자그룹에 매각을 진행하다가 대금을 완납하기 전에 효자그룹이 부도가 나서 매각이 취소되었다. 자연캠퍼스에 실버타운인 명지엘펜하임을 조성해 분양하다가 골프장을 짓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아 손해배상 소송을 당했으며, 배상을 요구한 채권자가 파산신청했다. 분양보증을 한 SGI서울보증이 회생신청을 했지만 제대로된 회생계획안이 마련되지 않아 1심에서 회생절차 종료 결정이 나왔다. 법인이 파산할 경우 학교가 폐쇄될 위기에 몰렸다. 그러자 명지학원은 서울회생법원에 다시 채무자회생을 재신청했으며 2022년 4월 28일에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내려졌다. 최근에 발표된 교육부 종합감사 결과에 따르면, 34건이나 되는 문제사항이 발견되어서 시정조치를 내렸다. 2023년 7월 14일 채권자 관계인집회에서 명지학원이 마련한 회생계획안이 압도적인 동의율로 통과됨에 따라 서울회생법원이 최종 인가 결정을 내렸다. 8월 28일 명대신문 기사에 나온 회생계획안 따르면, 명지엘펜하임등 수익용 부동산 매각대금과 명지전문대 임의적립금을 활용하여 채권액 1740여억원(법인+교비회계)을 갚겠다는 것이다. 2024년 1월 5일 서울회생법원에서 명지학원의 회생절차 종결 결정했다. = 백제 금동대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백제에서 만들어진 금동제 박산로다. 1993년 12월 12일 충청남도 부여군 능산리 절터의 목곽 수로 안에서 발견되었으며 국보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이 향로는 백제가 웅진으로 도읍을 옮긴 후 정치적 안정을 되찾은 6세기 초의 백제인들의 정신세계와 예술적 역량이 함축되어 이루어진 공예품이다. 또한 백제 금동대향로에 사용된 도금과 주조 기술은 당시 동아시아 최고의 기술적 성과라는 평가가 있다. 진품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똑같이 생긴 복제품이 있다. = = 발굴 과정 = = 백제금동대향로는 주차장을 건설하던 곳에서 발견되었다. 주차장 공사가 임박한 시점에 발견된 것이다. 발견 당시 백제금동대향로는 진흙 속에 있었고, 바닥에서는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주변에서는 섬유 조각이 발굴되었는데, 발굴단은 이 섬유 조각이 백제금동대향로를 감쌌던 것으로 추정했다. 또, 대향로가 오랜 세월에도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는 진흙에 잠긴 진공 상태에서 보관되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1995년의 발굴 조사로 대향로가 발견된 일대가 백제 시대 왕실 절터였음이 입증되었다. 발굴된 목탑 흔적에서 발견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에서 "창왕(위덕왕) 13년(567년)에 정해공주가 이 절을 지었다"는 기록이 발견된 것이다. 학계는 이 점에 주목하여 백제 금동대향로가 단순한 향로가 아니라 백제왕실 의식이나 제사용으로 사용된 신물로 추정하고 있다. = = 구성 = = 백제금동대향로는 전체 높이가 61.8cm이며 용 모양의 향로 받침, 연꽃이 새겨져 있는 향로의 몸체, 산악도가 솟아있는 향로 뚜껑, 뚜껑 위의 봉황 장식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황과 향로 뚜껑은 하나의 주물로 제작되어 있어, 제작 과정에서 세 개의 주물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로 본체의 가운데 테두리의 구름 문양 아래에는 연꽃이 핀 연못이 있고, 그 위인 뚜껑에는 봉우리가 세 개 있는 산들이 있다. 이 산에는 말을 타고 사냥하는 사람, 신선으로 보이는 사람들, 호랑이, 사자, 원숭이, 멧돼지, 코끼리, 낙타 등 많은 동물들이 장식되어 있다. 또한 곳곳에 폭포, 나무, 불꽃 무늬, 귀면상 등이 있다. 제단 모양으로 꾸며진 정상에는 봉황이 날개를 펴고 춤추고 있고, 그 아래에는 5악사가 있는데 이들은 단소, 피리, 비파, 북, 현금을 연주하고 있다. 그 주위의 다섯 봉우리에는 각각 기러기로 보이는 새가 봉황과 함께 춤추는 형상이 있다. 향로의 몸체에는 연꽃이 있는데 그 위에 갖가지 새와 물고기가 새겨져 있다. 또 한쪽에는 무예를 하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발가락이 다섯 개 있는 용이 위의 연꽃을 물고 하늘로 날아가려는 듯 용틀임을 하고 있다.서정록, 백제금동대향로, 2001년, 도서출판 학고재 = = 처세계 = = 중국에 서역의 향품이 전해져서 전국시대 말기부터 악취를 없애고 부정을 쫓기 위해 향로를 만들었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기원을 중국에서 찾는 사람도 있는데, 이들에 의하면 백제 금동대향로는 한나라의 영향을 받아 백제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제작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길쭉한 하대에 알의 모양을 얹은 박산 향로의 형식에 있어서만 유효한 논증이다. 중국의 박산형 향로에 비하여 백제 금동 대향로는 그 심미성과 정밀함이 월등하기 때문이다. 불교문화연구가들은 백제금동대향로가 불교의 연화화생설과 관련있다고 하는데, 불교의 이상향인 연화장의 세계는 비로자나불이 있는 광대하고 장엄한 이상세계를 말한다. 연화장 세계의 맨 아래에는 풍륜이 있고, 풍륜 위에는 향수해가 있어 그 향수해에 큰 연꽃이 핀 것을 연화장이라 하는 이상세계이다. 즉, 대향로를 받치고 있는 용은 향수해를 의미하고 연꽃잎 위의 세계가 이상세계라는 설명이다. 봉황을 고대 동북아에서 신성시해 온 천계(天界)로 보고, 5악사와 기러기를 백제의 5부로 보아 백제대향로에 고대 동북아의 전통사상이 반영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백제 금동대향로가 '도교와 불교의 습합'을 반영했다는 기존 견해에 반론하기도 한다. 당시 불교계에서 전승되었을 문헌 가운데 '가루라(금시조) 목 아래에 여의주가 있다[如意者, 此鳥頸下有如意珠.]'라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반열반경』 중 '신선이 기악을 연주한다[神仙呪術,作倡伎樂]'는 기록이 있고, 『묘법연화경』에도 '사람이 북, 퉁소, 거문고, 비파 등을 연주한다[若使人作樂, 擊鼓吹角貝, 簫笛琴箜篌, 琵琶鐃銅鈸]'라는 문구가 있다. 즉, 백제 금동대향로의 도상을 불전(佛典) 내에서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특히 수당대에 걸쳐 불교 내에서는 『홍명집』 등을 저술해 도교에 비판적인 입장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격의불교로 당시의 불교상을 정의하기엔 문제가 있다. 향로의 도상에 대해 지나친 추정과 상상은 지양되어야 하고, 향후 구체적인 전거를 들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 Bigger, Better, Faster, More! = Bigger, Better, Faster, More!는 1992년에 발매된 4 논 블론즈의 음반이다. 인터스코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퀘이드 = 퀘이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데니스 퀘이드: 미국의 배우 랜디 퀘이드: 미국의 배우 잭 퀘이드: 미국의 배우 = 동성파 = 동성파(桐城派)는 청대 고문작가(古文作家)의 한 파(派)이다. 안후이성 동성 출신인 방포(方苞, 1668-1748)가 기초를 확립하고 그 계승자인 유대괴, 요내(1731-1815)가 같은 현 출신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명말 청초의 당·송 팔가문(八家文) 유행의 뒤를 이어, 송학의 학통을 지키는 '도(道)'의 문학을 지향하여 문장의 '의법(義法)', 즉 내면적 이법(理法)과 외형적 법칙의 조화를 주장하고, 간결하고 실질적인 문장을 썼다. 유대괴는 방포를 사사하여 그의 의법(義法) 이론을 확대시켜 문장이 '신기(神氣)', 즉 정신을 주로 하고 기분은 신기를 돕는다고 주장, 문자의 음조도 중시했다. <고문사류찬(古文辭類簒)>의 편자인 요내는 유대괴에게서 배우고 온아중정(溫雅中正)한 의견과 작품으로써 동성파의 번영을 구축했다. 그는 한학파(漢學派)와의 절충을 시도했으며, 이러한 경향을 한층 추진시킨 것은 청말 문단·정계의 실력자인 증국번(曾國藩, 1811-1872)이었다. 그 체계에 정치와 경제를 첨가하고 경서(經書)도 문학으로 간주하는 등 종합학(綜合學)의 경향을 깊이하면서 구미사상과 구미 문학의 소개자인 엄복(嚴復), 임서를 배출하여 문학혁명과는 부정적으로 연결되었던 것이다. = 분류:고신대학교 동문 = = 정체 (동음이의) = 정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정체(政體)는 국가의 통치 형태, 즉 정부 형태를 뜻한다. 《정체》(政體)는 플라톤의 저서이다. 정체자()는 한자의 자체이다. 정체(正體)는 또는 정체성(正體性)은 변하지 아니하는 존재의 본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독립적 존재를 가리킨다. = 설동찬전 = 설공찬전은 매주 수요일 YSE가 다음 웹툰에서 연재하는 웹툰이다. = 만나고 싶습니다 = 만나고 싶습니다는 2014년 3월 2일부터 2015년 2월 28일까지 방송했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EBS 1TV 2014년 3월 2일 ~ 2014년 8월 31일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40분 ~ 아침 10시 10분(30분) EBS 1TV 2014년 9월 6일 ~ 2015년 2월 28일 매주 토요일 낮 11시 30분 ~ 낮 12시(30분) EBS 1TV 2015년 3월 5일 ~ 2016년 2월 25일 매주 목요일 새벽 5시 40분 ~ 아침 6시 10분(30분) = 1488년 = = = 연호 = = 명(明) 홍치(弘治) 원년 일본(日本) 조쿄() 2년 후 레 왕조(後黎朝) 홍득(洪德) 19년 = = 기년 = = 류큐(琉球) 쇼신왕() 12년 명(明) 효종 홍치제(孝宗 弘治帝) 원년 조선(朝鮮) 성종(成宗) 19년 후 레 왕조(後黎朝) 성종(聖宗) 29년 = = 사건 = = 바르톨로뮤 디아스, 희망봉 정복 = = 탄생 = = 조선 11대 국왕 중종 조선 전기의 서예가 김구 = = 사망 = = 조선 초기의 문신 서거정 월산대군 - 덕종과 소혜왕후의 장남. 성종의 친형, 연산군과 중종의 큰아버지. * = 분류:영국의 도시별 문화 = = 연무질 = 연무질 또는 에어로졸은 공기나 다른 기체에 미세한 고체 입자나 액체 방울이 섞여 현탁 상태를 이룬 혼합물이다. 기체나 그것에 섞은 물질을 따로 따로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혼합물 자체를 나타낸다.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인위적 원인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연무질의 예로는 안개, 황사, 숲의 나무들이 내는 삼출물, 간헐천에서 솟는 증기와 같은 것들이 있다. 인위적 에어로졸의 예로는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 오염 물질이 섞인 공기, 수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안개, 관개를 위한 스프링클러에서 나오는 물방울이 섞인 공기, 향수통과 같은 분무기에서 뿌려진 액체가 섞인 공기, 연기, 먼지, 주전자의 증기, 살충제 살포 및 호흡기 질환에 쓰이는 약물 분사기 등을 들 수 있다. 담배 연기나 전자담배도 인위적인 연무질에 속한다. 연무질을 이루는 액체 방울이나 고체 입자는 일반적으로 직경 1 μm 미만의 크기를 지닌다. 그 보다 더 큰 입자는 빠르게 가라앉기 때문에 안정적인 현탁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헤어스프레이와 같은 스프레이 형태의 제품들은 물질을 연무질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은 호흡기 비말 형태로 전파되는데, 감염된 사람의 호흡, 말하기, 기침 등에 섞인 침 등의 액체가 연무질을 이루어 전파된다. = = 정의 = = 연무질은 기체 내 고체 또는 액체 입자가 현탁 상태로 섞인 혼합물로 정의된다. 기상학에서는 혼합된 입자를 크기에 따라 PM2.5 또는 PM10 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1μm 이하의 입자가 기체에 혼합되어 있는 상태를 연무질이라 할 수 있다.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동아사이언스, 2015년 8월 20일 구름과 같이 대기 중에 미세한 입자가 섞인 상태를 용액과 같은 형태로 비교하면서 "에어로졸"이라고 표현 한 사람은 프레데릭 G. 도넌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물을 분산 매질로 하는 교질 혼합물인 수교액(hydrosol, 하이드로졸)이라는 용어와 유사하게 발전하였다. 입자가 직접 기체에 유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1차 연무질이라고 하고, 이 연무질이 기체 교환을 통해 확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2차 연무질이라고 한다. 대기 중의 연무질을 이루는 물질에는 수증기 외에도 황산염, 유기 탄소, 흑색 탄소, 질산염, 광물 먼지 및 바다 소금 등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서로 뭉쳐서 복잡한 혼합물을 형성한다. 대기중 연무질은 물리적 형태와 생성 방식에 따라 먼지, 연무, 안개, 스모그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연무질의 농도 측정에는 몇 가지 서로 다른 방식이 쓰인다. 환경 과학이나 환경 보건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1 세제곱미터의 공기에 섞인 물질의 마이크로그램 단위 무게를 계산하는 질량 농도 M (μg/m3)을 사용하며, 다른 방식으로는 부피 당 입자의 갯수를 새는 개수밀도( N )를 사용하기도 한다. 입자의 직경(dp)은 연무질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험실에서 생성하는 단분산 연무질의 경우엔 균일한 크기의 입자가 형성되지만, 실제 대기 환경 속의 입자들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분산 교질 체계를 통해 연무질을 형성한다. 액체 방울의 경우 거의 항상 구형이지만, 고체 입자의 경우는 불규칙한 모양이 많기 때문에 이들의 경우 평균적인 지름을 갖는 등가 직경을 계산하여 사용한다. 등가 부피 직경(de)은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 고체 입자의 부피와 동일한 구를 가정하여 계산한 직경이다. 연무질 안의 입자 움직임을 실제와 유사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공기역학적 직경을 도입하기도 한다. = = 생성 및 응용 = = 연무질을 생성하여 사용하는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시험을 위한 연무질 생성: 기기의 교정, 공기 표집 장비나 필터를 위한 시험 소비제: 탈취제, 페인트, 헤어스프레이, 분무형 살충제 등의 스프레이 제품 농약의 살포 호흡기 질환 치료 용구 내연기관 등의 연료 분사 시스템과 같은 연소 기술 연무질 생성에 쓰이는 장비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스프레이 분무기 전자 담배 진동형 연무 발생기 가열형 가습기 및 초음파형 가습기세균 걱정 땐 ‘가열식’ 가습기, 가성비는 ‘초음파식’, 조선일보, 2023년 11월 23일 = = 대기학 = = 지구대기에 있는 여러 유형의 연무질이 기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 가운데는 화산재, 사막의 먼지, 해양의 소금과 같이 지구 자체의 움직임에서 비롯되는 것들도 있고, 여러 생물이나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도 있다. 화산은 폭발과 함께 성층권에 황산 방울을 뿌리고 이렇게 형성된 연무질은 최대 2년 동안 지속되며 햇빛을 반사하여 대기의 온도를 낮춘다. 사막의 먼지, 즉 높은 고도로 날아간 광물 입자도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폭풍 구름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것 중에 석유나 석탄의 연소에서도 황산염 미세먼지가 발생한다.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는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NH₃), 휘발성 유기화학물(VOCs)과 같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여러 연소 후 화합물이 꼽히지만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에어코리아 타이어와 도로의 마찰 등으로 발생하는 비배기 미세먼지 역시 많이 발생한다.최성우 외, 자동차 비배기관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량 추정 및 추이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제39권 제2호, 2023년 전기자동차의 경우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는 발생하지 않지만 비배기 미세먼지의 발생은 오히려 큰 편이다.전기차도 내연기관차만큼 '非배기 미세먼지' 많이 배출한다, 동아사이언스, 2022년 10월 6일 모든 구름과 강수는 대표적인 대기중 연무질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연무질들이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다. 천연 무기물 : 미세먼지, 천일염, 물방울 천연 유기 물질: 연기, 꽃가루, 포자 또는 박테리아 연기, 재 또는 먼지와 같은 인위적 연소 생성물 다음과 같은 것도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연무질이다. 먼지 담배 연기 스프레이 캔의 분사 자동차 배기가스의 그을음이나 연기 = = 영향 = = 지구대기의 여러 연무질은 기후, 생육 등의 자연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건강과 같은 인간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화산 폭발은 다량의 황산, 황화수소 및 염산을 방출하고, 이러한 가스는 구름 속에서 연무질을 형성하여 산성비가 되어 땅으로 돌아온다. 산성비는 환경과 인간 생활에 여러 악영향을 미친다. 대기중 연무질은 태양 복사를 산란시키고 흡수한다. 이로 인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의 일부가 우주로 다시 산란되어 표면 냉각 효과를 보일 수 있지만, 이미 지표에 도달한 열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표면 온난화를 일으 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온실 효과의 추가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기중 연무질은 지구로 들어오는 우주선과 상호작용하여 구름을 형성하는 입자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이러한 구름 입자 크기 변화는 구름의 반사율에 영향을 주어 지구 에너지 수지를 바꿀 수 있다. 인위적으로 형성된 연무질이 일부 지역에서는 실제로 온실가스 효과를 상쇄한다는 증거가 있다. 인간의 활동에 의한 연무질은 남반구 보다 북반구에서 매우 크게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지구 온난화의 경향은 남반구에서 더 뚜렷하다. 지구는 대기 뿐만 아니라 해류를 통해서도 열교환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남반구의 더워진 해수는 결국 북반구로 유입되고 북반구는 그저 조금 더 늦게 영향을 받을 뿐이다.Anthropogenic Aerosols, Greenhouse Gases, and the Uptake, Transport, and Storage of Excess Heat in the Climate System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기후 변화 자체를 멈추지는 못하지만, 대기중 연무질이 그 경향을 조금이나마 상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GIEC AR6 WG1 - Figure SPM.2 그러나 여러 오염원에 의한 연무질의 발생은 인간의 건강과 생활에 다음과 같은 해를 입힌다. 오염물질이 강하하면서 지구 표면과 수역에 오염 물질이 축적되고 인간과 환경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빠르게 가라앉을 20 μm 크기의 연무질도 에어컨이 가동되는 실내에서는 강한 바람을 타고 계속 떠도는 "제트 라이더" 동작을 하며 공기중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게 된다.Hunziker, Patrick (2020-12-16). "Minimizing exposure to respiratory droplets, 'jet riders' and aerosols in air-conditioned hospital rooms by a 'Shield-and-Sink' strategy". medRxiv 10.1101/2020.12.08.20233056v1 이는 호흡기 질환, 코로나19의 원발성 감염 등과 같은 건강 위험의 원인이 된다. 유효 직경이 2.5 μm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폐까지 직접 도달할 수 있으며 보다 큰 건강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 = 입자의 크기 = = 단분산 연무질의 경우 입자 직경만 안 다면 다른 모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대기 중의 연무질은 복잡한 크기의 입자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더 복잡한 입도분포 곡선으로 분류한 입자의 상대적인 양을 정의한다. 입자 크기 분포를 정의하는 방법으로 표집된 모든 입자의 크기를 목록화 하는 방법이 있지만 너무 시간이 들고 적용에 불편하기 때문에, 입자 크기의 범위를 나누고 각 간격의 비율을 적용한다. 이렇게 분류된 입자들은 빈의 너비를 달리하는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여 정규화 할 수 할 수 있으며 빈의 너비가 0이 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빈도 함수의 극한은 다음과 같다. d_p : 입자의 직경 \,\mathrm{d}f : d_p에서 d_p + \mathrm{d}d_p사이의 직경을 갖는 입자의 비율 f(d_p): 주기함수 따라서 입자의 크기 a와 b 사이 주기 곡선의 아래 영역은 해당 범위에 있는 입자의 전체 비율을 나타낸다. 이는 총수 밀도 N 에 대한 다음의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dN = N(d_p) \,\mathrm{d}d_p 연무질의 입자가 구형이라고 가정하면 단위 부피당 표면적( S )은 2차 모멘트로 주어진다. S= \pi/2 \int_0^\infty N(d_p)d_p^2 \,\mathrm{d}d_p 이는 다시 입자의 총 부피 농도( V )를 알 수 있게 한다. V= \pi/6 \int_0^\infty N(d_p)d_p^3 \,\mathrm{d}d_p 다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정규 분포는 입자 크기의 분포를 근사적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직경이 큰 입자들이 보이는 긴 꼬리로 인한 왜곡으로 실제 분포를 나타내는 데 적합하지 않다. 또한 연무질의 크기와 같이 변화폭이 넓은 대상에 적용되는 정규 분포의 경우 이론적으로 직경이 음인 경우도 발생하지만, 실제 연무질의 입자의 직경이 음인 경우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물리적으로도 현실적이지 않다. 다만 실험실에서 발생시키는 단분산 연무질이나 거의 구형을 보이는 특정한 꽃가루 입자, 균류의 포자 등에는 정규 분포가 유용할 수 있다. 보다 널리 선택되는 로그 정규 분포는 음수 값이 없고, 광범위한 값을 포괄할 수 있기 때문에 연무질에 대한 수리 모형에 보다 적합하다. 로그 정규 분포에 따른 입자의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sigma : 표준 편차 \bar{d_p} : 입자 직경의 산술 평균 이외에도 거칠게 분산되는 먼지나 스프레이 입자의 특성화에는 베이불 분포가 쓰이고, 광범위하게 분산되는 스프레이에 대해서는 누키야마-타나사와 분포가, 대기 중 입자에 대해서는 멱법칙 분포가, 분말 재료에는 지수 분포가, 구름 속 물방울의 경우 크르지안-마진 분포가 쓰인다. = = 입자의 종단 속도 = = 대부분의 연무질은 레이놀즈 수의 낮은 값(<1)을 보이므로 스토크스의 법칙으로 유체 내에 혼입된 고체 구형 입자의 저항력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크스의 법칙은 입자 표면의 기체 속도가 0일 때만 유효하다. 1 μm 미만의 작은 입자의 경우를 연무질로 특성화할 수 있지만, 일반화 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1보다 큰 커닝험 보정 계수를 도입할 수 있다. 이 요소를 포함하면 입자에 대한 저항력과 속도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_D = \frac {3 \pi \eta V d}{C_c} F_D: 구형 입자에 대한 저항력 \eta: 기체의 동적 점도 V: 입자 속도 C_c: 커닝험 보정 계수 이를 통해 정체된 공기에서 중력에 의해 침전되는 입자의 종단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부력 효과를 무시하면; V_{TS} = \frac{\rho_p d^2 g C_c}{18 \eta} V_{TS}: 입자의 종단속도 종단속도는 다른 종류의 힘에 의해서도 파생될 수 있다. 스토크스의 법칙이 성립하면 운동에 대한 저항은 속도에 정비례한다. 이때 입자의 기계적 이동성에 대한 비례 상수( B )는; B = \frac{V}{F_D} = \frac {C_c}{3 \pi \eta d} 초기 속도가 주어진 입자는 지수적 감쇠에 따라 이완시간을 갖고 종단속도에 접근한다. V(t) = V_{f}-(V_{f}-V_{0})e^{-\frac{t}{\tau}} V(t): 시간 t에서 입자의 속도 V_f: 입자의 종단 속도 V_0: 입자의 초기 속도 먼지와 같은 비구형 입자는 동일한 부피와 속도를 갖는 등가 입자로 변환하여 계산한다. = = 측정 = = 연무질은 현장에서 포집하여 직접 측정하거나 원격 감지 기구를 통해 간접 측정할 수 있다. 현장 측정 용 기구로는 질량분석기, 차동 분석기, 분광계, 응축 입자 계수기 등의 다양한 도구가 쓰이고, 원격 간접 측정에는 태양의 광도를 분석하는 방법, 라이다를 이용한 분석,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분광법 등이 쓰인다. = 링컨 내비게이터 = 링컨 내비게이터(Lincoln Navigator)는 포드 산하 고급 브랜드인 링컨의 풀 사이즈급 럭셔리 SUV이다. 풀 사이즈급 픽업트럭인 F-150의 플랫폼을 이용하며, 포드 익스페디션의 링컨 대응 차량이다. 이 브랜드에 의해 판매된 가장 긴 차량은 아니지만, 링컨이 만든 가장 무거운 차량이다. 화물칸 용적이 가장 큰 링컨 차량으로, 6명을 초과하는 좌석을 제공하는, 리무진이 아닌 최초의 링컨 차량이기도 하다. 또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처럼 장축형 모델이 별도로 있다. 생산은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미시간 주 웨인의 미시간 제조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2007년부터는 켄터키 주 켄터키 트럭 공장에서도 생산된다. 초기에는 V8 5.4리터 가솔린 엔진을 이용했으며, 2014년에 출시한 3세대 후기형부터 V6 3.5리터 에코부스트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이용 중이다. 대한민국에는 2021년 3월 25일에 처음으로 출시했다.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와 달리, 장축형 모델은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는다. = = 1세대 (UN173, 1997 ~ 2002) = = = = 2세대 (U228, 2002 ~ 2006) = = = = 3세대 (U326/418, 2006 ~ 2017) = = = = 4세대 (U554, 2017 ~ 현재) = = = = 판매량 = = 연도 미국 중국 1997 26,834 1998 43,859 1999 39,250 2000 37,923 2001 31,759 2002 30,613 2003 38,742 2004 36,398 2005 25,844 2006 23,947 2007 24,050 2008 14,836 2009 8,057 2010 8,245 2011 8,018 2012 8,371 2013 8,613 2014 10,433 2015 11,964 272 2016 10,421 731 2017 10,523 1,401 2018 17,839 2,588 2019 18,656 3,417 2020 15,252 = 마스강 = = 분류:파키스탄의 동물상 = =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바이애슬론 =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바이애슬론은 2011년 2월 15일부터 18일까지 평창의 알펜시아경기장에서 열렸다. 대학부를 제외한 초등부, 중학부, 고등부, 일반부에서 총 24 개의 메달을 걸고 펼쳐졌다. = = 메달 순위 = = 각 시도별 바이애슬론 종목의 메달 순위는 아래와 같다. 순위  지역 총득점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계 1 전라북도 148 12 10 8 30 2 강원도 123 4 12 7 23 3 경기도 110 5 1 6 12 4 서울특별시 45 0 0 1 1 5 전라남도 34 3 0 1 4 6 부산광역시 32 0 1 1 2 7 인천광역시 10 0 0 0 0 8 광주광역시 3 0 0 0 0 9 충청북도 2 0 0 0 0 9 충청남도 2 0 0 0 0 합계 합계 합계 24 24 24 72 = = 메달리스트 = = = = = 남자부 = = = 초등 스프린트 3 km 왕우진 강원도 (태백통리초) 14:51.1 임세현 전라북도 (무풍초) 15:32.4 김동현 강원도 (태백통리초) 16:05.2 초등 개인 5 km 이종민 강원도 (태백통리초) 22:01.2 임세현 전라북도 (무풍초) 22:54.8 김동현 강원도 (태백통리초) 22:56.0 초등 9 km 계주 강원도 (태백통리초)김동현엄동진왕우진 46:30.6 전라북도 (전북선발)임세현 (무풍초)장용 (구천초)조요환 (설천초) 50:49.8 서울특별시 (서울선발)차원빈 (구남초)이강록 (광남초)황인성 (광남초) 57:11.9 중학 스프린트 6 km 김상래 경기도 (일동중) 18:41.8 김태민 전라북도 (무풍중) 19:05.7 오태경 전라북도 (설천중) 20:03.7 중학 개인 12.5 km 김상래 경기도 (일동중) 41:07.3 조용진 강원도 (황지중) 41:23.8 최창환 전라북도 (설천중) 41:24.5 중학 18 km 계주 전라북도 (전북선발)오태경 (설천중)최창환 (설천중)김테민 (무풍중) 56:17.7 강원도 (황지중)강윤재이병혁조용진 56:59.9 경기도 (일동중)김상래 양명식 이경민 57:22.8 고등 스프린트 10 km 김종민 강원도 (진부고) 30:48.6 허선회 강원도 (진부고) 31:17.5 제갈향인 전라북도 (설천고) 31:29.9 고등 개인 15 km 김용규 전라북도 (무풍고) 51:09.1 김주성 강원도 (진부고) 52:52.0 이정찬 경기도 (일동고) 53:06.9 고등 22.5 km 계주 전라북도 (전북선발)이준복 (설천고)제갈향인 (설천고)김용규 (무풍고) 1:03:32.9 강원도 (진부고)김종민김주성허선회 1:04:55.1 경기도 (일동고)이정찬 이현경 최영근 1:08:42.9 일반 스프린트 10 km 이인복 전라남도 (전남바이애슬론연맹) 29:35.5 한경희 강원도 (평창군청) 30:31.5 전제억 경기도 (포천시청) 30:31.7 일반 개인 20 km 전제억 경기도 (포천시청) 1:03:38.5 한경희 강원도 (평창군청) 1:03:41.6 이인복 전라남도 (전남바이애슬론연맹) 1:04:28.4 일반 22.5 km 계주 경기도 (포천시청)신병국 전제억 최춘기 1:05:21.0 전라북도 (전북선발)박효범 (국군체육부대)이수영 (국군체육부대)이창현 (군산대) 1:12:26.8 강원도 (강원선발)김호기 (강릉원주대)이정식 (평창군청)한경희 (평창군청) 1:13:18.4 = = = 여자부 = = = 초등 스프린트 3 km 김고은 전라북도 (안성초) 17:00.9 이의진 강원도 (도암초) 17:31.0 김지원 전라북도 (안성초) 17:31.6 초등 개인 5 km 이슬 전라북도 (무주초) 23:02.3 김고은 전라북도 (안성초) 24:32.4 제상미 강원도 (도암초) 26:49.9 초등 9 km 계주 전라북도 (전북선발)김고은 (안성초)이슬 (무주초)전윤정 (부남초) 52:12.8 강원도 (도암초)여수향이의진제상미 53:12.0 경기도 (경기선발)정다해 (일동운담초)허지원 (일동운담초)임선진 (왕방초) 1:17:33.1 중학 스프린트 6 km 고은정 전라북도 (안성중) 21:48.5 전세희 전라북도 (안성중) 23:22.5 손인경 전라북도 (안성중) 24:06.0 중학 개인 12.5 km 고은정 전라북도 (안성중) 46:47.6 손인경 전라북도 (안성중) 50:17.5 강소영 전라북도 (무주중) 51:29.0 중학 18 km 계주 전라북도 (전북선발)강소영 (무주중)안성중 (설천중)전세희 (안성중) 1:08:22.5 경기도 (이동중)오소현 임시라 황유선 1:14:13.5 부산광역시 (알로이시오중)박세미김진화염원 1:20:48.1 고등 스프린트 7.5 km 김서라 전라북도 (안성고) 23:41.1 김경남 강원도 (대화고) 24:19.3 황혜숙 강원도 (대화고) 25:43.7 고등 개인 12.5 km 김서라 전라북도 (안성고) 47:27.9 김경남 강원도 (대화고) 49:24.6 황혜숙 강원도 (대화고) 50:04.9 고등 18 km 계주 경기도 (일동고)길가연 김예진 장지연 1:12:00.9 부산광역시 (알로이시오고)권에스더강지연함해영 1:14:35.3 강원도 (강원선발)김경남 (대화고)이영애 (대관령고)황혜숙 (대화고) 1:15:46.4 일반 스프린트 7.5 km 문지희 전라남도 (전남바이애슬론연맹) 24:18.8 박지애 전라북도 (전북체육회) 25:28.0 김선수 전라북도 (전북체육회) 25:45.0 일반 개인 15 km 문지희 전라남도 (전남바이애슬론연맹) 56:05.4 박지애 전라북도 (전북체육회) 1:01:12.4 동정림 전라북도 (전북체육회) 1:02:27.1 일반 18 km 계주 전라북도 (전북체육회)김선수동정림박지애 1:12:53.7 강원도 (평창군청)신주희최문희추경미 1:37:19.0 경기도 (경기선발)이하나 (한국체대)유자영 (한국체대)한지은 (경원대) 2:19:19.6 = 분류:발터 벤야민의 작품 =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진도연안해상교통관제센터 = 진도연안해상교통관제센터(珍島沿岸海上交通管制센터)는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의 교통관제센터이다. 센터장은 방송통신사무관이나 해양수산사무관으로 보한다. = 게임 포트 = 게임 포트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IBM PC 호환 및 기타 컴퓨터 시스템에서 볼 수 있던 장치 포트이다. 원래는 게임 컨트롤 어댑터라는 이름으로 선보였다. 조이스틱 입력, 종종은 MIDI 장치를 위한 전통적인 단자였으나 21세기 들어 USB로 대체되었다. 원래 전용 확장 카드 상에 위치해 있던 이 게임 포트는 나중에 PC 사운드 카드로 통합되었다가 나중에 PC의 메인보드에 포함되었다. USB로의 변화 기간 동안 수많은 입력 장치들은 케이블 확장 형태로 게임 포트와 USB 어댑터를 사용하였다. = = 역사 = = 게임 포트는 "게임 컨트롤 어댑터"라는 이름의 선택적인 US$55 확장 카드 형태로 1981년 오리지널 IBM PC의 초기 런칭 시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 디자인은 아날로그 축들과 4개의 버튼들을 하나의 포트에 허용하였고 2개의 조이스틱이나 4개의 패들이 Y 스플리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게 하였다. = = 하드웨어 = = 게임 포트의 DA-15 단자에는 총 4개의 아날로그 채널과 4개의 버튼을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이들은 거의 무조건 2개의 조이스틱(각각 2개의 버튼이 있는)으로 구현되었으나 동일 입력을 사용하여 각각 하나의 버튼이 있는 4개의 패들 컨트롤러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 포트는 4개의 +5 V 공급을 포함한 여분의 핀과 버튼 대부분을 위한 별도의 접지(ground)가 포함된다. 아타리의 것처럼 대부분의 유사 게임 포트에서 단일 +5 V와 접지는 모든 채널에 사용된다. = 분류:우루과이의 팬아메리칸 게임 메달리스트 = = 분류:1942년 폴란드 = = 분류:타인호아성의 지리 = = 스콧 베어스토 = 스콧 해밀턴 베어스토( 1970년 4월 23일 ~ )는 캐나다의 전직 영화배우이다. 우리에게는 미국의 기록영화 제작자 마티 스투퍼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와일드 어드벤처>(마티 스투퍼 배역)과 독재자 산티아고 장군에 맞서 투쟁하는 내용을 담은 과 더불어 에릭 마비우스와 함께 출연한 <블랙 서클 보이즈> 등으로 알려져 있다. 1970년 4월 23일 캐나다 매니토바주 스타인바하에서 베어스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 베어스토는 위니펙 시립 교향악단에서 오보에 주자로 활동하였는데 예술가 집안답게 어릴 적부터 연기자로서 재능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의 천부적인 재능은 10세인 1980년 매니토바주 지역의 연극인 'Let's Go'(가자)에 출연할 정도였으며, 17세인 1987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연속극인 'All My Children'(나의 모든 아이들)에 출연함으로써 일약 연극계에서 스타로 떠올랐다. 그러나 본격적인 영화 데뷔는 1994년 <늑대개>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어 <블랙 서클 보이즈>와 <우편부> 등에 출연하였으나 별로 알려진 편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1997년 전술한 <와일드 어드벤처>에 출연하면서 그는 영화계 전면에 등장했고, TV 드라마 에 출연하면서 그의 재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로 자리잡았다. 그의 화려한 이력과는 달리 1994년에 결혼한 부인과 이혼한 이후 재혼한 부인과의 관계가 문제가 되었는데, 2004년에는 이와 관련하여 감옥에 가는 정도에 이르렀다. 감옥에서 나온 이후에도 (황혼 구역), <안드로이드 묵시록> 등 TV 시리즈물을 중심으로 출연하는 등 활약하였으나 오래가지 못했고 2006년 <안드로이드 묵시록>을 끝으로 영화계를 떠났다. = 수원시장 선거 = 수원시장 선거는 경기도 수원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 = 역대 민선 수원시장 = = 선거 정당 정당 시장 1995년 무소속 심재덕 1998년 무소속 심재덕 2002년 한나라당 김용서 2006년 한나라당 김용서 2010년 민주당 염태영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염태영 2018년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2022년 더불어민주당 이재준 = = 역대 선거 결과 = = =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분류:미국의 홍수 = = 1904년 하계 올림픽 복싱 = 1904년 하계 올림픽 복싱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1904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 종목이다. 1개국에서 1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 경기장 = = 1904년 하계 올림픽 복싱 경기는 개최 도시인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문화체육관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문화체육관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Physical Culture Gymnasium 전 종목 = = 참가국 = = 복싱 종목은 1개국에서 1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 메달 집계 = = = = = 최종 순위 = = = = = = 메달리스트 = = = 플라이급 없음 밴텀급 없음 페더급 라이트급 웰터급 미들급 없음 헤비급 = 왓 이프...? = 왓 이프...?는 디즈니+에서 2021년 8월부터 방영된 미국의 옴니버스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페이즈 4에 포함된다. = = 회차 목록 = = = = = 1회 = = = 부제: 만약... 캡틴 카터가 퍼스트 어벤져라면? 러닝 타임: 33분 방영일: 2021년 8월 11일 = = = 2회 = = = 부제: 만약... 티찰라가 스타로드가 됐다면? 러닝 타임: 32분 방영일: 2021년 8월 18일 = = = 3회 = = = 부제: 만약... 세계가 가장 위대한 영웅들을 잃었다면? 러닝 타임: 32분 방영일: 2021년 8월 25일 = = = 4회 = = = 부제: 만약... 닥터 스트레인지가 손이 아닌 마음을 잃었다면? 러닝 타임: 36분 방영일: 2021년 9월 1일 = = = 5회 = = = 부제: 만약... 좀비라면? 러닝 타임: 35분 방영일: 2021년 9월 8일 = = = 6회 = = = 부제: 만약... 킬몽거가 토니 스타크를 구했다면? 러닝 타임: 31분 방영일: 2021년 9월 15일 = = = 7회 = = = 부제: 만약... 토르가 외동이었다면? 러닝 타임: 33분 방영일: 2021년 9월 22일 = = = 8회 = = = 부제: 만약... 울트론이 이겼다면? 러닝 타임: 28분 방영일: 2021년 9월 29일 = = = 9회 = = = 부제: 만약... 왓쳐가 맹세를 깬다면? 러닝 타임: 33분 방영일: 2021년 10월 6일 = = 줄거리 = = [1화] 와쳐의 나레이션과 함께 1화가 시작된다. 스티브 로저스가 혈청을 맞을 때, 변수가 생겨버리게 되는데 다름 아닌 테러범으로 인해 슈퍼솔져 혈청을 주입받기 전에 스티브 로져스가 부상을 당해버린 것이다. 사건 직후 자리에 있던 고위 관료는 페기가 들어갈 것을 거부하지만 어서 누군가 혈청을 맞지 않으면 안되었기에 페기 본인이 들어가 슈퍼 솔져가 된다. 이후 원작, 퍼스트 어벤져와 같이 레드스컬은 테서렉트 확보에 성공하고 페기 카터는 고위 관료들의 반발로 전쟁에 참가하지도 못한다. 하지만 하워드 스타크의 도움으로 방패와 슈트를 얻어 졸라 박사의 차를 습격해 테서렉트를 확보함으로써 신임을 얻게 되고 이후 하이드라 스톰퍼 로봇을 탄 스티브 로저스와 버키와 그의 부대원들을 구출해내고 수많은 전투를 통해 승승장구하게 된다. 그러나 원작에서 캡틴이 자신의 절친한 친구인 버키를 잃는 기차에서 함정에 걸려 스티브 로저스가 전사한다. 이에 캡틴 카터와 버키,하워드 스타크 그리고 부대원들은 반격을 위해 하이드라 캐슬에 잠입하지만 레드스컬은 이미 하이드라의 트레이드 마크인 것으로 추정되는 정체불명의 문어 괴물을 불러내는데 성공한다. 한편 버키는 지하 구금실에서 뜻 밖의 인물을 발견하는데 그 인물은 다름 아닌 스티브 로저스였다. 그리하여 스티브와 페기가 함심하여 문어 괴물을 물리치는가 싶었지만 상황이 더욱 불리해지자 캡틴 카터는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문어 괴물과 함께 포탈 속으로 들어간다. 그렇게 의문의 장소에 들어온 카터는 닉 퓨리와 호크아이와 조우하며 전쟁이 끝난지 70년이 지났다는 것을 끝으로 에피소드는 막을 내린다. [2화] 제목: 스타로드가 된 티찰라 와처의 나레이션과 함께 에피소드가 시작된다. 티찰라는 모라그에서 파워스톤을 얻으며 자신의 팬인 코라스를 라바져스에 영입시켜준다. 이 세계에서의 스타로드는 전 우주적인 무법자로 드랙스의 행성 등 수많은 행성들을 구해냈으며 타노스를 순화시키기도 했다. 이후 티찰라는 욘두, 테이져페이스, 크래글린, 타노스, 금발 머리 네뷸라(연인)와 함께 우주 최강자가 된 콜렉터로부터 행성 하나를 구해낼 수 있는 씨앗들을 구해내고, 비인간적으로 콜렉터에게 수집 당해온 수집품들과 티찰라가 블랙오더들에게 위협을 당할 때 도와준 콜렉터의 하인(원작에서는 자신의 동생을 구해낼려고 파워 스톤을 만졌다가 처참하게 죽어버린)에 의해 블랙오더들과 콜렉터는 최후를 맞이 한다. 이후 자신의 고향인 와칸다에 돌아온 티찰라는 아버지, 어머니, 동생, 오코예와 마주하고 라바져스 일행들과 즐겁게 대화를 나누면서 끝나는가 싶었으나 어머니를 여의고 식당에서 일하던 피터 퀼에게 아버지인 에고가 찾아오면서 끝이난다. [8화] 울트론이 비전의 몸을 얻는 데에 성공하여 타노스까지 죽여 모든 스톤을 얻어내고 지구의 핵 코드를 해킹해 지구를 쑥대밭으로 만든다. 그리고 인피니티 스톤으로 캡틴마블까지 처리하고 온 우주를 파괴시킨다. 그걸 본 왓쳐는 이제 존재할 필요가 없는 인공지능에 불과하다 라고 나레이션을 했지만 울트론은 그걸 들었고, 왓쳐의 공간인 멀티버스까지 넘보게 된다. 두려움을 느낀 와쳐는 지구의 유일한 생존자인 호크아이와 블랙위도우에게로 간다. 호크아이는 붕괴한 러시아 정보실에서 아르님 졸나 박사의 자료를 찾았고, 곧바로 자신의 화살에 졸라 박사를 저장한 뒤 울트론의 군대의 머리에 꽂아 다운로드 시켰다. 그러나 울트론의 군대가 수없이도 많이왔고 어쩔수없이 호크아이는 자신을 희생한다. 블랙위도우는 졸라박사에게 울트론을 통제해보라고하지만 그럴수 없었다. 이미 울트론은 멀티버스 바깥에서 와쳐와 싸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와쳐는 모든힘을 다해 싸웠지만 울트론은 너무 강력했고 가까스로 벗어난 와쳐는 한 세계관을 붕괴한 악마 닥터스트레인지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에피소드는 끝난다 [9화] 닥터 스트레인지는 각 에피소드의 주인공들을 불러 모으고 왓쳐 앞으로 데려간다. = 롱기스쿠아마 = 롱기스쿠아마란 도마뱀과 유사한 멸종한 파충류의 속이다. 속 하에 1종, 롱기스쿠아마 인시그니스(Longisquama insignis)가 있다. 카자흐스탄의 트라이아스기 중기 ~ 후기 지층에서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뼈와 불완전한 화석 파편이 발견되었다. 몸 길이는 대략 15cm 정도로 매우 작았다. = 2014 스위스 컵 바젤 = 세계 컬링 투어 대회로 치러지는 2014 스위스 컵 바젤은 10월 2일-5일에 스위스 아를레스하임에 있는 Curlingzentrum Region Basel에서 열렸다. 이번 대회부터는 참가팀을 32팀으로 줄이고, Triple-Knockout 방식으로 8팀을 선출한 후, 토너먼트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진행한다. 총 상금 42,200 CHF, 우승 상금은 14,000 CHF이다. 스코틀랜드의 Brewster 팀이 스위스의 Michel 팀을 5:2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 =Triple Knockout = = Gold Route에서 두명, Silver Route에서 두명, Bronze Route에서 네명의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가린다. Gold Route에서 패한 팀은 Silver Route로 떨어지고, Silver Route에서 패한 팀은 Bronze Route에서 패한 팀은 최총 탈락한다. Gold Route 또는 Silver Route에서 패한 순서에 따라 각각 Silver Route, Bronze Route에서 시드를 받게된다. = = =Gold Route = = = Ulsrud와 Edin 두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 =Silver Route = = = de Cruz와 Brewster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 =Bronze Route = = = Michel, Snitil, Pfister, Lovold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분류:송나라의 추존황제 = = 실질객관영화 = 실질객관영화는 무적핑크가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한 웹툰이다. = 홍명원 = 홍명원(洪命元, 1573년~1623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 = 생애 = = 1579년(선조 30년) 문과에 급제하여, 괴원(槐院)·옥당(玉堂)을 거쳐 한원(翰苑)에 들어가 설서·사서에 옮겼으며, 헌납(獻納)으로 권행(權幸)을 비방하다가 몰려나 함경도 도사(都事)로 3년 동안을 지내고 돌아와 춘관랑(春官郞)이 되었다. 이어 죽산(竹山) 부사, 정주(定主)·의주(義州)의 목사를 역임하고, 승지로 돌아왔다가 부모를 모시기 위해 광주(光州) 목사가 되어 치적이 나타났으므로 표창을 받았다. 또, 광해군의 금나라와의 수호 관계가 명나라에 발각되자 사신으로 건너가 이를 무마시키고 돌아왔으며, 금나라에서 누차 조선을 위협하는 데 대하여 조의가 분분하였으나 홍명원이 단연 배금(拜金)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후 역도들이 서울 근방에서 난을 일으키려 하자 홍명원이 기보(畿輔) 관찰사가 되어 이를 진정시켰다. = = 평가 = = 그는 조정에 들어가 27년 동안 마음을 다하여 직책에 충실하였으며 위형(威形)을 쓰지 않고 공정하게 다스렸으므로 사람들이 다 경복하였다. 광해조에 권문세가들이 인척 관계를 맺기를 청하였으나 다 거절하고, 뭇사람의 격노를 받아도 추호도 움직이지 않아 세상에서 장덕군자(長的君子)라 일컬었다. 글은 양한(兩漢)을 주로 하고 시는 성당(盛唐)을 전공하였으며, 당시 문단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모두 그의 학행에 탄복하였다. = 은하 = 은하(銀河, )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이다. 은하를 뜻하는 용어 "갤럭시(galaxy)"는 은하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갈락시아스"(γαλαξίας)에서 유래했다. 은하들은 작은 것들은 1천만(107) 개 이하의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큰 것들은 100조(1014)여 개의 항성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항성들은 모두 은하의 질량중심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태양도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천체들을 거느리고 다른 항성들과 마찬가지로 은하 주위를 공전하고있다. 은하 안에는 수많은 항성계, 성단, 성간운들이 있으며, 이 사이의 공간은 가스, 먼지, 우주선(cosmic-ray)들로 이루어진 성간물질들로 채워져 있다. 우리가 아직 정확히 그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 암흑물질이라고 불리는 물질이 일반적으로 은하 질량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한편 많은 관측 결과들에 따르면, 많은 은하들의 중심에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이 초대질량 블랙홀은 일부 은하들의 핵에서 발견되는 활동은하핵(은하의 중심영역에서 매우 압축된 지역)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우리 은하 역시 그 중심에 이러한 매우 무거운 블랙홀을 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은하는 겉보기 모습, 즉 시각적 형태로 분류되어 왔다. 일반적인 형태로 타원 은하와 나선 은하가 있는데 전자는 대강의 윤곽이 타원형이고 후자는 먼지투성이의 나선팔들이 소용돌이치는 원반형 구조이다. 불규칙하거나 기묘한 모양의 은하들은 불규칙 은하로 분류되며, 보통 이웃 은하들의 중력 때문에 모양이 교란된 것이다. 은하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은하들이 서로 합쳐지면 보통 별생성률이 커지게 되는데, 때로는 아주 급격하게 별들이 만들어지는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가 된다. 타원이나 원반같이 고른 구조를 갖추지 못한 작은 은하들 역시 불규칙 은하로 분류된다.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약 1천 7백억(1.7 × 1011) 개 이상의 은하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대부분의 은하들은 직경이 1천 ~ 10만 파섹에 달하며  수백만 파섹의 간격을 두고 흩어져 있다. 은하간 공간은 평균 밀도가 1 입방미터당 1개의 원자도 되지 않는 희박한 기체들로 채워져 있다. 대다수의 은하들은 은하군과 은하단이라고 하는 상위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은하단들이 모여 초은하단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구조를 형성한다. 초은하단은 가느다란 선이나 넓은 판과 같은 구조(sheets and filaments)를 따라 분포하며 이것들은 광대한 텅 빈 공간(초공동)으로 둘러싸여 있다. = = 어원 = = 은하를 뜻하는 "갤럭시(galaxy)"는 마치 젖이 흐르는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은하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갈락시아스"에서 유래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어린 헤라클레스를 불사신으로 만들기 위해 헤라가 자는 사이 그 젖을 물렸다. 헤라는 잠에서 깨서 자기가 모르는 아기에게 젖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아기를 밀쳐 냈다. 그래서 그녀의 젖이 밤하늘에 흩뿌려졌고 그 흔적이 은하수가 되었다고 한다. 영어에서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Galaxy"로 쓰면 하나 뿐인 우리 은하(영어로는 Milky Way)를 의미하며, 소문자("galaxy")로 쓸 경우에는 무수히 많은 은하들 중 하나를 의미한다. 우리 은하 또는 은하수만을 가리키는 "밀키 웨이(Milky Way)"라는 단어는 제프리 초서의 글에서 처음 등장한다 1786년에 윌리엄 허셜이 자신의 심원천체 목록을 만들면서 메시에 31과 같은 특정 천체들을 "나선 성운"(spiral nebula)이라고 불렀다. 후에 이 천체가 사실은 엄청난 수의 항성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과 이 천체들이 우리 은하 바깥에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나서는 "섬우주(island universes)"라고 불리게 된다. 하지만 "우주(Universe)"라는 단어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소지가 다분했고, 따라서 이 용어는 사장된 뒤 "은하"(galaxies)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한국어의 '은하'는 중국어의 '은하(銀河)'(또는 '천하(天河)')를 유래로 하여, 이는 밤하늘 은하수의 은빛에 의해 명명되었다. = = 은하 관측의 역사 = = = = = 은하수 (우리은하) = = = 은하수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은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그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은하수를 관찰하여 흐릿하게 성운처럼 보이는 은하수가 실제로는 개개의 별들로 분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1750년에는 영국의 토머스 라이트(Thomas Wright)가 은하수는 많은 항성이 중력으로 묶여 회전하는 천체로, 이것을 내부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하늘에서 띠 모양으로 보이는 것이라는 설을 태양계에 대한 관측에서 유추하였다. 은하수의 실제 모습과 태양이 은하수 내에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알아내려는 시도는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1788년 허셜은 밤하늘의 각 방향에 존재하는 별들의 수를 세어, 어두운 별은 먼 거리에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별들의 분포를 구하려고 시도했다. 그 결과, 항성은 은하수에 가까울수록 많이 분포해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태양은 은하의 중심부분에 위치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1920년에는 네덜란드의 야코뷔스 캅테인이 허셜의 방법에 따라 더 정교하게 관찰하였고, 우리 은하의 직경은 약 15kpc이며, 허셜과 마찬가지로 태양은 거의 중심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미국의 할로 섀플리는 구상성단의 분포가 궁수자리 방향이 집중되어있기 때문에, 우리 은하는 지름이 약 70kpc인 편평한 원반이며 태양은 그 외곽에 위치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는 성간물질에 의한 빛의 흡수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은하계의 크기에 대한 의견은 모두 올바른 값이 아니었지만, 태양계가 원반 모양의 우리 은하 외곽에 있다는 섀플리의 주장은 오늘날에도 올바른 것으로 여겨진다. = = = 외부 은하의 발견 = = = 인류가 처음으로 관측한 우리은하 밖의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M31)이다. 10세기에 페르시아 천문학자인 알 수피(Abd al-Rahman al-Sufi)가 처음으로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고, 이를 '작은 구름'같다고 서술한 기록이 남아 있다. 나중에 안드로메다 은하는 1612년에 독일의 시몬 마리우스에 의해 재발견 된다. 또한 알 수피는 대마젤란 은하도 관측하였는데, 이 은하는 남반부에 위치해 있어서 16세기 전까지는 유럽에 알려지지 않았다. 1750년에 토머스 라이트가 은하수는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하늘에 성운처럼 보이는 천체들은 우리 은하 같은 것이라고 추론을 하였다.See text quoted from Wright's An original theory or new hypothesis of the Universe in 1755년에는 독일의 이마누엘 칸트가 이러한 생각을 발전시켜 성운들은 은하수와 같은 천체가 멀리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것을 "섬 우주"(island universe)라고 칭했다. 1774년에는 프랑스의 샤를 메시에는 구름 모양의 천체를 혜성과 구별하기 위해 메시에 천체 목록을 발표하였다. 1840년대에는 영국의 로스 백작(Lord Rosse)이 구경 72인치짜리 대형 망원경을 만들어 이를 이용해 다양한 천체 스케치를 남겼다. 그는 사냥개 자리의 M51이 나선형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알려진 성운 중에 나선 모양의 천체가 많이 존재하고, 반면에 그러한 특징이 없는 단순한 타원형인 것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당시에는 이러한 천체들이 외부 은하인지 몰랐기 때문에 모양에 따라 "성운(nebula)" 또는 "나선성운(spiral nebula)"라고 불렀다. 1912년에는 베스토 슬라이퍼(Vesto Slipher)가 처음으로 "나선성운"들의 스펙트럼을 관측하여, 이 성운들이 큰 적색편이를 보이며, 따라서 우리로부터 매우 빠르게 멀어져 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20년에는 할로 섀플리와 히버 커티스(Heber Doust Curtis) 사이에 나선성운들의 본질을 두고, 소위 대논쟁(Great Debate)이 열리게 된다. 이 유명한 논쟁에서 섀플리는 은하수가 우주 천체이며, 나선성운의 하나인 안드로메다는 단순히 우리 은하의 일부라고 주장했고, 반면에 커티스는 안드로메다와 나선성운들은 우리은하 밖에 존재하는 다른 은하, 소위 섬우주(Island universe)라고 주장했다. 이 논쟁은 1924년에 이르러 서야 에드윈 허블에 의해 해결되게 된다. 허블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였고, 변광성의 절대등급과 변광주기 관계를 이용하여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가 약 90만 광년이라는 것을 계산해냈다. 이 값은 당시 알려져있던 우리 은하의 크기에 비해 충분히 큰 값이었기에,세페이드 변광성에 두 개의 종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현재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230만 광년으로 수정되었다. 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 은하 밖의 천체임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안드로메다 은하를 비롯한 나선성운들은 모두 우리 은하 밖의 천체라는 사실이 확립되었다. 1936년에 허블은 은하들의 형태학적인 분류법을 고안했으며, 이는 허블 분류법이라는 이름으로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 = = 현대의 은하 연구 = = = 1944년에는 네덜란드의 헨드릭 판더휠스트(Hendrik van de Hulst)가 우리 은하의 성간 수소 가스가 21cm선을 방출할 것 이라고 예측했고, 이 전파 선은 마침내 1951년에 관측되었다. 전파는 성간물질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21 cm 수소선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우리 은하 전체의 수소 가스의 분포와 운동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우리 은하에도 나선팔 구조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는 전파 망원경의 발달로 우리 은하 밖의 은하의 수소 분포도 조사되고 있다. 1970년대에는 베라 루빈(Vera Rubin)에 의해 수소선의 관측에서 얻은 은하의 회전속도가 은하의 바깥쪽 부근에서도 늦춰지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 졌다. 이로써 은하의 회전속도 곡선을 은하에 있는 별이나 가스같은 물질 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므로 다른 물질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렇게 "빛을 내지 않지만 질량을 가진 물질"을 암흑 물질이라고 한다. 암흑 물질의 정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현대 물리학 및 천문학이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 남아 있다. 1990년에 들어 대형 망원경과 허블 우주 망원경의 등장으로 인해, 마침내 아주 먼 거리에 있는 은하들을 (따라서 은하들의 수십 억년 전 모습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들을 고적색편이 은하(high-redshift galaxy)라고 한다. 예를 들어 1995년에, 허블 망원경은 허블 딥 필드라고 불리는, 역사상 가장 깊은 우주의 이미지를 얻었는데 여기에는 은하까지의 거리가 약 100억 광년이 넘는 은하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파장의 빛을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예를 들어 전파망원경, 적외선 카메라, X-선 망원경), 현재는 여러 파장에서 오는 정보를 종합하여 은하의 특성들을 이해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 형태와 분류 = = 은하에는 세가지 기본적 분류가 있다. 타원형, 나선형, 불규칙형이 그것들이다. 은하를 그 형태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류한 것을 허블 분류라고 부른다. 그러나 허블 분류는 오직 시각적 모양만 가지고 분류한 것이기 때문에 별의 생성률(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이나 은하핵의 활동성(활동 은하)와 같은 다른 중요한 특성들을 놓칠 수도 있다. = = = = 타원 은하 = = = = 허블의 분류 체계에서 타원 은하는 그 타원율에 따라 거의 원에 가까운 E0에서 찌그러진 모양의 E7까지 세분화된다. 타원 은하들은 타원체의 형태이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 보든지 타원형의 모양을 보인다. 타원 은하의 구조는 단순하고 성간 물질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타원 은하에서는 새로운 별들이 적게 만들어지고, 산개 성단이 적은 대신, 은하중심을 임의의 방향으로 공전하는 늙은 별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점은 타원 은하보다 훨씬 작은 구상 성단의 경우와 비슷하다. 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들은 주로 타원 은하이다. 많은 타원 은하들이 은하간의 상호작용으로 충돌·병합되어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이런 식으로 타원 은하들은 나선 은하와 비교해 엄청난 크기로 자라게 되는데, 거대 타원 은하들은 보통 큰 은하단의 중심 부근에서 발견된다.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이러한 은하들의 충돌로 생겨난 것인데, 이것들이 이후 타원 은하를 형성할 수도 있다. = = = = 나선 은하 = = = = 나선 은하는 오래된 항성들로 이루어진 팽대부를 중심으로 항성들과 성간 물질들이 회전하는 원반 모양을 이루고 있다. 팽대부에서 바깥쪽으로는 나선팔들이 뻗어져 나온다. 허블 분류에서 나선 은하는 S로 나타내며, 나선팔이 꼬인 정도와 팽대부의 크기에 따라 Sa, Sb, Sc로 분류된다. Sa형은 나선팔이 팽팽하게 감겨 있고, 나선팔과 나선팔 사이의 구분이 확실하지 않으며, 팽대부가 상대적으로 크다. Sc형은 나선팔이 느슨하고 뚜렷하며, 팽대부가 상대적으로 작다. Sb는 둘의 중간 정도이다. 나선팔이 뚜렷하지 않은 은하들은 양털나선은하(flocculent spiral galaxy)라고 하고, 반대로 나선팔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은하들은 웅대구조 나선은하(grand design spiral galaxy)라고 부른다. 나선은하의 나선팔은 밀도파 때문에 발생하는 밀도가 높은 영역이라고 여겨진다. 별들과 마찬가지로 나선팔도 일정한 속도로 공전하지만, 별보다는 훨씬 느린 속도로 움직인다. 은하원반에서 별들이 이 나선팔에 가까워지면 이 밀도가 높은 영역의 중력 때문에 별이 빨리 움직여서 나선팔에 모이게 되고, 일단 나선팔을 지나치게 되면 다시 원래대로 공전속도가 느려진다. 이러한 효과는 곧잘 정체가 발생하는 고속도로에 비유된다. 차들의 정체가 발생해서 차들이 많이 몰려있는 구간이 은하의 나선팔에 해당된다. 차들이 정체 구간에 항상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 것처럼, 별과 가스도 나선팔에 모였다가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나선팔은 주변보다 밀도가 높고,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눈에 쉽게 띄는 것이다. 상당수의 나선은하들은 팽대부에서부터 시작되어 바깥쪽의 나선팔과 연결되는 막대 모양의 구조를 갖기도 하는데, 이 같은 은하를 막대나선은하(barred spiral galaxy)라고 부른다. 허블 분류에서는 SB로 표시하며, 일반 나선은하와 마찬가지로 SBa처럼 나선팔의 감긴 정도에 따라 a, b, c를 뒤에 붙인다. 이러한 막대구조는 밀도파나 은하간 상호작용 때문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구조라고 생각된다. 많은 막대 은하들은 흔히 활동은하핵을 가지기도 하는데, 이는 막대 구조가 가스를 은하 중심으로 쉽게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우리 은하는 지름이 약 30kpc, 두께가 약 1kpc인 막대 나선은하에 속한다. 우리은하는 약 2천억(2×1011)개의 별들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 질량보다 약 6천억(6×1011)배 큰 질량을 가지고 있다. = = = = 렌즈형 은하 = = = = 렌즈형 은하(lenticular galaxy)는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중간 성격을 갖는 은하이며, 허블 분류에서는 S0로 분류된다. 막대 구조가 있으면 막대 렌즈형 은하(SB0)으로 분류된다. 뚜렷한 나선 팔이 보이지 않으며, 별의 분포는 타원은하와 비슷하다. = = = = 기타 은하 = = = = 특이 은하는 은하간 상호작용 때문에 은하의 모양이 타원이나 원반과 달리 기묘하게 변형된 은하이다. 대표적인 예로 고리 은하(ring galaxy)가 있는데, 이것은 중심에 은하 팽대부만 있고 이를 별들과 성간 물질들이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고리 은하는 작은 은하가 나선 은하의 중심을 관통해서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유명한 안드로메다 은하도 적외선 파장으로 관측했을 시 여러 개의 고리 모양이 나타나는데, 비슷한 사건으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어떠한 분류에도 속하지 않는 은하는 불규칙은하(Irr, irregular galaxy)로 분류한다. Irr-I형 은하는 타원이나 나선은하와 비슷한 구조가 있긴 하지만 분류하기가 힘든 은하들이며, Irr-II형 은하는 일정한 형태가 전혀 없어서 허블 분류로 나누기가 거의 불가능한 은하이다. 불규칙 은하의 예로는 마젤란 은하(Magellanic Clouds)가 있다. = = = = 왜소 은하 = = = = 타원은하나 나선은하들에 비해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개수로 볼 때 왜소 은하들은 우주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왜소은하들의 크기는 보통 우리은하 약 100분의 1정도에 불과하고, 약 10억개 정도에 불과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 발견된 아주 조밀한 왜소은하들(ultra-compact dwarf galaxy)은 크기가 약 100 pc에 불과한 것들도 있다. 많은 왜소 은하들은 다른 큰 은하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은하이다. 예를 들어 우리 은하 주위에는 이러한 수십 개의 위성 은하들이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계속 발견되고 있다. 왜소 은하들은 또한 형태에 따라 타원 왜소은하, 나선 왜소은하, 불규칙 왜소은하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 특이한 모습들 = = = = = 상호 작용 = = = 별들 사이의 충돌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 은하들 사이의 충돌·상호작용은 꽤 빈번히 일어나며, 이는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상호 작용의 정도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은하들이 정면으로 충돌하지 않고, 약간 비켜 나가는 경우에는 서로의 조석력 때문에 은하가 찢어지거나 늘어나고, 가스나 먼지들이 서로 교환되기도 한다. 은하들이 직접 충돌하지만, 상대적인 운동량이 커서 하나로 합쳐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은하들의 충돌의 경우에도, 별의 크기는 별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너무 작으므로 두 은하의 별들이 직접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은하의 가스와 먼지들은 서로 강한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문에 성간물질이 압축되거나 불안정해져서 폭발적인 별 생성(star-burst)이 일어나기도 한다. 은하들 사이의 충돌은 하나 또는 모든 은하의 모양을 심하게 변형시키고, 막대나, 고리, 연결 다리 또는 꼬리 같은 여러 가지 구조들을 만들어 낸다. 은하들의 운동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호 작용 뒤에 은하들이 하나로 합쳐지기도 하는데, 이를 은하들의 병합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 은하들은 서서히 더 큰 하나의 새로운 은하로 병합되며, 그 과정에서 형태가 완전히 변하게 된다. 만약 두 은하 중 하나가 다른 것 보다 월등히 큰 경우, 작은 은하가 큰 은하에 완전히 흡수되므로(먹히게 되므로), 이를 은하의 흡수 합병(galactic cannibalism)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경우 큰 은하는 거의 모양이 변하지 않는 반면, 작은 은하는 조석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Sagittarius Dwarf Elliptical Galaxy)와 큰개자리 왜소은하(Canis Major Dwarf Galaxy)는 현재 우리 은하에 합병되고 있는 중이다. = = = 폭발적 별생성 은하 = = = 일반적으로 별은 은하의 차가운 가스로부터 생성된 거대한 분자구름(molecular cloud)에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어떤 은하들에서는 별들이 일반적인 은하들에서 보다 훨씬 빠른 속도(10-100배)로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은하들을 폭발적 별생성 은하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렇게 계속 빨리 별을 만들다 보면, 은하는 가지고 있는 별을 만들 수 있는 가스를 금방 소진해버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폭발적 별 생성은 오래 지속될 수는 없고, 은하의 나이보다 훨씬 적은 약 천 만년 정도만 지속된다. 이러한 폭발적 별생성 은하는 우주가 젊었던 과거에 훨씬 빈번했을 것이라고 여겨지며, 현재는 전체 우주의 별 생성율의 약 15%정도를 차지한다. 폭발적 별생성 은하에서는 먼지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주변의 가스 구름들을 이온화해서 H II 영역을 만들 수 있는 무거운 별들을 포함하여, 수많은 별들이 새로 태어난다. 폭발적으로 별을 생성하는 은하는 병합이나 상호 작용 때문에 만들어진다고 여겨진다. 가장 전형적인 예들 들면, 가까이에 있는 상당히 큰 M81 은하와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 M82 은하가 있다. = = = 활동은하핵 = = = 어떤 일부 은하들은 그 중심에 활동은하핵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은하 또는 은하핵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별, 먼지, 성간물질 같은 것이 아닌 다른 에너지 원(블랙홀)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이다. 이러한 활동은하핵(active galactic nucleus)은 응축원반(accretion disc)을 가진 매우 무거운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이라고 여겨진다. 활동은하핵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물질이 이 원반으로부터 블랙홀 안으로 떨어지면서 방출하는 중력 에너지이다. 이러한 활동핵 중 약 10%에서는 거의 빛의 속도로 물질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는 고에너지 제트가 관측되기도 하는데, 어떻게 이러한 제트가 만들어지는 지는 아직도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활동 은하는 주로 관측되는 파장의 특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다시 분류가 된다. 예를 들면 밝기에 따라 나뉘는 시퍼트 은하(Seyfert galaxies)와 퀘이사(준항성 천체)가 있으며, 이들은 주로 가시광선에서 특이한 방출선을 보인다. 블레이저(Blazar)는 은하핵에서 나오는 상대론적 제트(relativistic jet)가 정확히 관측자를 향해 있어서 그 크기가 매우 작아 보이고, 밝기가 빠르게 변하는 활동은하핵이다. 전파은하(radio galaxy)는 이러한 제트 때문에 강한 전파를 내는 활동은하를 일컫는다. 이렇게 다양한 활동 은하핵의 특성들은 단지 블랙홀을 어느 방향에서 보는가에 따라 결정된다는 "통합이론"이 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약하게 이온화된 가스들에서 나오는 방출선을 가지고 있는 "LINER"(low-ionization nuclear emission-line region)가 있으며, 이는 매우 약한 활동은하핵 중의 하나라고 여겨지지만, 아직 그 본질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약 1/3의 가까운 은하들이 이 LINER로 분류된다. = = 은하의 형성과 진화 = = 처음에 어떻게 은하가 생겨났고, 은하가 우주의 긴 역사 동안 어떻게 변해왔는가 하는 것이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연구의 주제이다. 이 분야의 많은 이론들은 천문학자들에게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는 것도 있으나, 은하의 형성과 진화는 현재도 천체물리학의 주요 연구 분야이다. = = = 은하의 형성 = = =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대폭발(빅뱅)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 약 30만년 후의 우주의 재결합시기(recombination)에 수소와 헬륨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 때는 거의 모든 수소들이 이온화되지 않은 중성 상태에 있었고, 별들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우주의 "암흑 시대"(Dark Ages)라고 부른다. 이러한 원시우주에 있었던 암흑물질의 밀도 요동으로부터 서서히 우주의 거대 구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리온 물질들이 이러한 암흑 물질 헤일로로 모이면서 은하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이러한 초기 은하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은하로 진화했다. 이렇게 최초로 생성된 은하들은 최근에 들어서 관측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2006년에 발견된 IOK-1이라고 불리는 은하는 아주 큰 적색편이(z=6.96)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빅뱅 후 불과 7억5천만년에 해당한다. 현재(2012년 5월) 분광학으로 확인된 가장 멀리 있고, 따라서 가장 나이가 젊은 퀘이사(ULAS J1120+0641)는 적색편이가 z=7.085이다. 이러한 원시은하의 존재는 그 것들이 소위 암흑시대 동안 성장해 왔음을 시사한다. 초기 우주에서 은하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하는 것은 천문학의 오래된 연구 주제 중의 하나이다. 과거에는 에겐·린덴벨·샌디지(Eggen·Lynden-Bell·Sandage) 세 사람이 주장한 "위에서 아래로"(top-down)의 은하형성 모형과 설과 찐(Searle·Zinn)이 주장한 "밑에서 위로"(bottom-up)의 형성 모형이 경쟁했었는데, 지금은 작은 암흑물질 헤일로와 은하들이 먼저 만들어지고, 이 같은 작은 은하들이 합쳐지고 자라나서 훨씬 큰 은하들을 만들게 되었다는 "밑에서 위로"(bottom-up)의 은하 형성 모형이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다. 원시은하들이 만들어지면서, 첫 번째 별들이 만들어졌는데, 이를 항성종족III 항성이라고 한다. 이 별들은 다른 중원소들 없이 순수히 수소와 헬륨으로만 이루어져 있었고, 아주 큰 질량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만약 그렇다면, 이 큰 별들은 빛을 내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연료들을 매우 빨리 소진해버리고 초신성 폭발로 일생을 마치면서, 자신이 만들어낸 중원소들을 성간 매질로 돌려 보냈을 것이다. 이 첫 세대의 별들은 강한 자외선으로 주변의 중성 수소를 다시 이온화시켜, 별빛이 은하간 물질에 흡수되지 않고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게 만들었다. 초기 우주의 이러한 시기를 재이온화 시기라고 부른다. = = = 은하의 진화 = = = 은하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후 약 10억년 정도가 흐르면서, 은하의 주요 구성원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구상 성단, 은하 중심의 아주 무거운 블랙홀,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로 이루어진 팽대부가 나타난다. 은하 중심의 블랙홀은 비록 은하 전체에 비해 크기는 작지만, 은하의 별생성률에 영향을 줌으로써 은하가 자라는 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은하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은하는 아주 많은 별들을 폭발적으로 만들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은하에 축척된 물질로부터 보다 젋은 별로 이루어진 은하 원반이 만들어진다. 은하는 이 후에도 계속해서 은하간 매질로부터 계속 새로운 가스를 공급받기도 하고, 또는 다른 은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스나 별을 주고 받기도 한다. 비록 초기에는 금속함량이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다. 우주를 구성하는 원소는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이 두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를 "금속" 또는 "중원소"라고 부른다 거의 없고, 거의 수소와 헬륨으로만 이루어져 있었지만, 은하에서 별이 만들어지고, 이 별들이 죽으면서 중원소들을 다시 성간물질로 되돌려 보내게 되어, 점차 은하의 중원소 함량이 높아진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에서 다시 별이 생성되기를 반복하면서, 마침내 별들 주위에서 행성들이 생길 수 있는 조건에 이르게 된다. 은하들의 진화는 은하간 상호작용과 충돌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비슷한 크기를 가진 은하 사이의 충돌은 우주 초기에는 흔했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초기 젊은 은하들은 이상하고 교란된 모습들 띄었다. 이러한 은하간 충돌에서 별들끼리 충돌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지만, 은하의 가스와 먼지가 조석력 때문에 늘어나거나 잡아 찢어져서 조석꼬리라고 하는 일련의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예로서는 NGC 4676이나 더듬이 은하(Antennae)가 있다. 다른 예로는 현재 약 130 km/s의 속도로 서로 가까워지고 있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있다. 아마 60억년 정도가 지나면, 아마 두 은하는 충돌할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에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 같이 큰 은하와 충돌했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리은하가 다른 작은 왜소은하들과 충돌하거나 잡아먹었다는 연구 결과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우주가 팽창하면서 이렇게 비슷한 질량을 가진 은하의 충돌은 점점 적어지며, 현재 우주에서 실제로 이러한 큰 규모의 상호작용은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따라서 현재 가장 밝고 무거운 은하들은 주로 먼 과거에(약 100억년 전) 많은 별을 생성했으며, 최근 약 20억년 동안은 거의 변하지 않고 남아 있었다. = = 은하들의 거대구조와 환경 = = 은하들의 개수와 분포들을 조사해 보면 은하들은 홀로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은하들과 무리를 이루고 있다. 외톨이로 떨어져 있는 은하들은 전체의 약 5%정도에 불과하다. 보다 큰 규모에서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으며, 따라서 개별 은하 사이의 거리는 허블의 법칙을 따라 계속 늘어난다. 그러나 은하들이 만약 집단을 이루고 있으면 국지적인 규모에서는 서로의 중력이 더 중요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을 극복할 수 있다. 우주의 초기에 생성된 이러한 은하의 무리들은 점점 주변의 은하들이나 다른 무리들과 합쳐지면서 우주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점점 커다란 은하단 구조로 발달하게 된다. 이러한 병합 과정 중에 은하단 안의 희박한 가스는 거의 3천만 - 1억도에 이르는 아주 높은 온도를 갖게 된다. 은하단의 약 70–80%는 암흑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0–30%는 뜨거운 가스에, 그리고 나머지 몇 퍼센트는 개별 은하 자체에 속해 있다. 대부분의 은하들은 다른 은하들과 중력으로 묶여 있다. 몇 개의 은하들로 이루어진 은하들의 모임을 은하군이라고 하며, 이러한 은하군들이 또 모여서 보다 큰 구조를 이루는 식으로 우주는 수직적인 계층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계층구조의 가장 아래쪽을 차지하는 은하군은 가장 흔한 은하들의 모임이며, 대부분은 은하들과 우주의 바리온들은 이러한 은하군에 포함된다. 은하군 보다 더 큰 구조는 수 천개의 은하들이 수 Mpc내에 모인 것인데 이를 은하단이라고 부른다. 은하단의 중심부에는 은하단 전체의 밝기와 맞먹을 정도로 두드러지는 거대한 은하가 종종 존재하는데, 이를 거대확산 은하, cD(cluster Diffuse) 은하, BCG(Brightest cluster galaxy)라고 부른다. 이러한 은하들은 주위의 작은 은하들을 병합하면서 크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초은하단(Supercluster)은 은하단, 은하군, 개개의 은하들이 모여 이루는 거대한 구조이며 수천, 수만 개의 은하를 가진다. 초은하단의 규모에서 은하들은 커다란 공동을 둘러싼 가느다란 실이나 넓은 판과 같은 구조(filaments and sheets)를 이루며 분포한다. 초은하단보다 큰 규모에서 본다면, 우주는 등방적(isotropic)이고 균일(homogeneous)하다. 우리 은하는 지름이 약 1 Mpc인 비교적 작은 크기의 국부 은하군에 속한다.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밝은 은하는 우리은하외에 안드로메다 은하가 있으며, 그 외의 구성원들은 모두 두 은하들의 위성 은하이다. 국부은하군 자체는 처녀자리 은하단(Virgo cluster)을 중심에 두고 있는 처녀자리 초은하단(Virgo Supercluster) 또는 국부 초은하단(Local Supercluster)의 외곽에 위치한다. = = 여러 파장에서의 은하 관측 = = 우리 은하 밖의 은하가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로, 대부분의 관측은 가시광선에서 이루어져 왔다. 별들이 가시광에서 대부분의 빛을 내고, 이온화 된 H II 영역에서 나오는 빛이 여기에 속하므로, 은하들의 광학 관측은 역사적으로 관측 천문학의 주요 분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은하들의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알아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파장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주 공간의 성간 먼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한다. 반면 적외선은 이러한 먼지에 잘 흡수되지 않으므로, 별이 생성되는 거대 분자 구름의 속을 관찰하거나 먼지로 가려진 은하수의 중심 부분을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은 우주 초기에 생성된 아주 먼 고적색편이 은하들을 관측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천체에서 오는 적외선을 대부분 흡수해 버리므로, 적외선 망원경은 아주 높은 지역이나 우주 궤도에 위치한다. 역사적으로 가시광 이외에 처음으로 은하 연구에 사용된 전자기파는 전파였다.5 MHz와 30 GHz사이의 전파는 지구 대기에 흡수 되지 않는다. 전파 망원경으로 21 cm 선을 이용해서 우리은하 또는 외부 은하의 중성 수소를 관측할 수 있으며, 거대한 전파 간섭계(interferometer)를 사용하면 활동은하핵에서 나오는 제트를 아주 높은 분해능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밀리미터의 파장을 이용해서 은하의 분자 구름들을 관측하기도 한다. 자외선과 X-선을 이용하면 아주 높은 에너지가 발생하는 물리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자외선은 은하들에서 막 생성된 아주 젊은 별들의 분포를 연구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먼 은하에서 별이 중심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면서 강한 조석력 때문에 찢어지면서 내는 플레어를 관측하기도 한다. X-선을 이용하면 은하단 내의 뜨거운 가스의 분포를 연구할 수도 있고, 은하 중심의 아주 무거운 블랙홀을 검출할 수 도 있다. = = 추가 참고 도서 = = * * * * * * * * * * * = R (싱글) = R은 대한민국의 블랙핑크 소속 가수 로제의 첫 싱글 음반이다. 타이틀 곡은 On The Ground이다. 전곡에 로제가 작사에 참여했다. = = 발매 과정 = = 2021년 1월 26일, 커밍순 티저가 공개되었다. 이 영상은 수록곡인 ‘곤(GONE)’ 뮤직비디오의 일부로 알려졌다. 이어 1월 31일, 콘서트 ‘더 쇼(THE SHOW)(YG PALM STAGE - 2021 BLACKPINK: THE SHOW)’에서 이 곡의 무대를 최초 공개하였다. = 분류:슬럼 = = 분류:태국의 역사가 = = 바앙 = 바앙은 미얀마 까인주의 수도이다. 인구는 약 5만 명이다. = = 종교 = = 주민의 대다수는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기독교가 그 뒤를 잇는다. = And Your Bird Can Sing = 〈And Your Bird Can Sing〉은 비틀즈가 1966년 영국에서 발표한 음반 Revolver와 미국에서 Yesterday and Today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존 레논에 의해 작곡되었고 레논-매카트니에게 표기되었다. 폴 매카트니는 가사를 도왔으며 이 곡이 레논의 곡이라고 말했다. 원래 제목은 〈You Don't Get Me〉였다. = 분류:1936년 하계 올림픽 조정 = = 이준환 (유도 선수) = 이준환(2002년 6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그는 2022 트빌리시 그랜드 슬램과 2022 울란바토르 그랜드 슬램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틀:책 시리즈 정보 = = 가평종합운동장 희망경기장 = 가평종합운동장 희망경기장(加平綜合運動場希望競技場, )은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인조잔디 필드가 갖춰진 경기장이며, 2011년에 준공되었다. = 진보 시대 = 진보 시대란 미국에서 사회 운동 및 정치 개혁에 대한 열망이 널리 확산되었던 1890년대에서 1920년대를 가리킨다. 도금 시대 말엽, 금주법 시대 초엽과 겹친다. 진보 시대의 주 의제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와, 정치 부패가 초래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었다. 진보 시대의 주요 표적은 부패하고 비민주적인 정치기계와 그 우두머리들이었다. 진보주의자들은 이들 부패한 대표자들을 공직에서 끌어내림으로써 보다 직접적인 민주주의를 성취하고자 했다. 또한 독점금지법을 통해 거대 재벌들의 독점을 규제하고 평등한 경쟁을 촉진하려 했다. 미국 식품의약국 등 시장 규제를 위한 정부 기구들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으며 1913년 연방준비제도의 창설로 은행 시스템이 개혁되었다. 미국의 민주주의를 개혁하려는 움직임 또한 있었다. 경선과 상원에 대한 직접투표, 국민발안권과 여성 참정권 등이 확립되었다. = 분류:부가티 = = 틀:나라자료 해남 = = 페데리코 몸포우 = 페데리코 몸포우 덴코즈(, 1893년 4월 16일 ~ 1987년 6월 30일)은 카탈루냐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피아노 독주곡과 성악곡으로 유명하다. = = 생애 = = 몸포우는 1893년 바르셀로나에서 변호사인 아버지 페데리코 몸포우의 아들로 태어났다. 페드로 세라에게 피아노를 배웠으며, 가브리엘 포레가 원장으로 있는 프랑스의 파리 음악원으로 유학을 준비했다. 몸포우는 포레의 연주를 9세에 바르셀로나에서 들은 적이 있었다. 엔리케 그라나도스에게 추천서를 받았는데, 제출하지는 않았다.PRODigital Records – Program notes 1917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을 피해 바르셀로나로 돌아왔다가, 종전 후 1921년에 다시 파리로 돌아갔다.PRODigital Records – Program notes 거기서 몸포우는 클로드 드뷔시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평을 받았다. 연주도 여러 차례 했는데, 전부 사적인 연주회였다. 1931년에는 나치 독일을 피해 다시 카탈루냐로 돌아갔다. 그러나 결국 스페인 내전이 일어났고, 몸포우는 음악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지 못해 종 만드는 부업을 시작했다.PRODigital Records – Program notes 1957년에 64세의 나이로 30살 연하의 카르멘 브라보와 결혼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1987년에 호흡기 이상으로 사망했다. = = 스타일 = = 몸포우는 짧고 즉흥적인 미니멀 음악을 많이 작곡하였는데, 친근하고 섬세한 음악적 색채를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에릭 사티, 가브리엘 포레 등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종 소리를 오스티나토를 사용해 묘사하는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종 제작가 집안인 외가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분석한다. G–C–E–A–D 의 화성진행을 주로 사용했다. { } = 에드바르드 베스테르마르크 = 에드바르드 알렉산데르 베스테르마르크(, 1862년 11월 20일 ~ 1939년 9월 3일)는 핀란드의 인류학자, 및 사회학자이다. 루이스 모건의 원시난혼설을 부정하고, 심리학적 견지에서 혼인과 도덕의 비교사회학적 연구를 진척시켰다. = 연세대학교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는 188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개신교 계통 사립 대학이다. 약칭으로 연대(延大)라고 불린다. 본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신촌캠퍼스이며, 분교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한 캠퍼스인 미래캠퍼스이다. 서울캠퍼스는 신촌캠퍼스/ 국제캠퍼스/ 삼애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래캠퍼스는 매지캠퍼스/ 일산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24개의 단과대학, 2개 학부, 20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된다. 현재(제20대) 총장은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한 윤동섭이다. 오늘날 연세대학교의 교명은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통합 후에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연희대학교는 191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가 설립한 조선기독교학교에서 출발한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전신으로 하고,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1885년 미국 북장로교의 호러스 뉴턴 앨런 선교사가 고종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광혜원을 전신으로 한다. 두 대학의 통합은 1920년대부터 이루어진 지속적인 협력이 낳은 결과였다. 2023 QS 세계대학평가 73위 및 QS 아시아대학평가 사립대 1위 (종합순위 12위)를 차지했다. 2023 THE 세계대학평가 78위 및 아시아 사립대 1위, 학문분야별 세계대학순위에서는 최다 분야 국내 1위 (4개 분야)를 차지했다. 2022 중앙일보 국내대학평가 사립대 1위 (종합순위 2위)에 차지했다. = = 심볼마크 = = 건학 이념인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한복음 8:31~32)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체득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뜻한다. 상징 동물은 독수리이고,심볼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상징 색은 ‘연세 블루’(Yonsei blue)이다.상징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연세대학교의 심볼마크에는 방패가 그려져 있는데 방패 속의 ‘ㅇ’ 표시는 하늘을 의미하여 ‘ㅡ’는 땅이고, ‘人’은 사람을 뜻한다. ‘ㅇ’표시 왼쪽에 그려진 ‘책’은 진리를, 오른쪽에 그려진 ‘횃불’은 자유를 의미하며, 방패는 이러한 두 이념을 수호한다는 뜻이다.심볼마크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 = 연혁 = =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한 대학이다. 연희대학교는 191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元杜尤), 1859년 ~ 1916년) 선교사가 설립한 경신학교의 대학과정인 조선기독교대학에서 출발하여, 1917년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아 발전하였다.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188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앨런(, (安連), 1858년 ~ 1932년)이 고종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광혜원을 전신으로 한다. = = = 광혜원, 세브란스 의과대학 (1885년 ~ 1957년) = = = 1884년에 조선 왕실부 시의관(侍醫官)이었던 미국 출신 앨런은 선교사는 조선 정부에 서양식 병원 건립을 제의하였다. 이 제안에 따라 1885년 2월 25일에 고종으로부터 병원 설립의 허락을 받고, 4월 10일에 서울 종로구 재동(齋洞)에 광혜원(廣惠院)을 개원하게 되었는데, 조선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다. 4월 26일에 개원 2주만에 ‘은혜를 널리 펼친다’는 뜻의 광혜원에서 ‘대중을 널리 구한다’는 제중원(濟衆院)으로 개칭되었다. 당시 미국 장로교 본부는 광혜원 진료의 책임자를 파견하였고, 조선 정부는 건물과 제반설비 및 경상비 등을 부담하였다. 앨런 선교사는 1886년 제중원에 의학당을 개설하였고, 최초의 서양 의학 교육을 시작하였다. 당시 조선 정부는 전국에서 학생 16명을 선발하였는데, 3개월의 교육 후에 12명이 본과로 진급하여 의사 교육을 받았다. 1887년에 재동에서 현재의 을지로 입구인 구리개(銅峴)로 이전했다. 1893년 제중원에 부임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올리버 에비슨(, (魚丕信) 1860년 ~ 1956년) 박사는 조선 정부와 6개월간 협상을 벌인 끝에 1894년에 제중원을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로 이관받았다. 1899년에 제중원 의학교가 설립되고 에비슨이 초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04년 9월 23일에 미국인 사업가 루이스 세브란스(, 1838년 ~ 1913년)의 후원을 받아서 숭례문 밖 복숭아골(현재 서울역 앞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일대)에 병원을 신축하면서 제중원은 기증자의 이름을 따서 세브란스 기념 병원(Severance Memorial Hospital)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제중원 의학교는 세브란스병원 의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 1908년 6월 4일에 제1회 졸업생 7명에게는 대한제국 내부 위생국으로부터 의료 활동을 할 수 있는 최초의 의사면허증인 의술개업인허장이 발급되었다. 1909년에 교명을 ‘사립 세브란스 의학교’, 1913년 4월에는 ‘사립 세브란스 연합의학교’로 각각 변경하였으며, 1917년 5월 14일에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로 발전하였으나, 1942년 6월에 일본의 강요로 교명을 ‘아사히 의학전문학교’(旭醫學專門學校)로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 11월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로 환원되고, 1947년 7월에 문교부로부터 6년제의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인가를 얻었다.연세발자취 세브란스 의과대학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955년 3월에 연희대학교와 통합을 결정하였고, 5월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에 병원 건물을 착공하면서 1962년에 세브란스 병원을 신촌으로 이전하였다. 한편, 1906년 9월에 쉴즈가 세브란스 병원에 간호원 양성전문기관으로 간호학교를 설치하면서 1910년에 최초의 간호원을 배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68년에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으로 승격하였다. = = = 연희전문학교, 연희대학교 (1915년 ~ 1957년) = = = 1915년 3월에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의 협조와 재한 남·북감리교 선교부,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의 협력을 얻어 조선기독교학교(Chosun Christian College)를 서울 종로의 YMCA에서 개교하였는데연세발자취 연희대학교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초대 교장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와 부교장에 에비슨 박사가 취임하였다.연세대학교 연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1917년 4월 7일에 사립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로 발족하였고 같은 해인 1917년에는 존 언더우드(John T. Underwood) 박사의 기부금으로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창천리(현재 연세대학교 부지)의 대지 19만평을 교지로 구입하였다. 1919년 3월에 연희전문학교 1회 졸업생 배출하였다. 1920년에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의 기부금으로 스팀슨홀을 건립하여 학교를 이전하였고 1923년 3월에 신교육령에 의해 교명이 연희전문학교로 바뀌었다. 1926년에 연희전문학교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의 합동에 대한 의견이 피력되었고 1926년 6월에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일제의 간섭으로 진전되지 못했다.박형우, 〈올리버 알 에비슨의 생애〉 , 연세의사학 제13권, 1호, 2010년 6월, 9쪽. 1935년 9월 1일에 연세춘추의 전신인 월간지연전타임스가 창간되었다. 1944년 4월에 적산(敵産)이라는 명목으로 학교가 몰수되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조선인 간부와 교수진을 추방하였으며, 교명이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京城工業經營專門學校)로 변경되었다. 해방 이후 재산과 운영권을 미군정청으로부터 인수받아 교명을 연희전문학교로 회복하고 1946년 8월 15일에는 연희대학교(延禧大學校, Chosun Christian University)로 승격되어 4학원 11학과(문학원, 상학원, 이학원, 신학원)의 종합대학교로 인가되었다. 연희대학교의 초대 학장으로 백낙준(白樂濬, 1895년 ~ 1985년)이 취임하였고 1946년 9월에는 남녀공학 대학교가 되었다. 1949년 세브란스 의과대학 예과를 연희대학교에 두었으며, 이듬해 1950년에는 연희대학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1950년 4대학 17학과(문과대학, 상경대학, 이공대학, 신과대학)로 증설하고 대학원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한국 전쟁의 발발로 3개월간 임시 휴교를 단행하였으며, 11월 3일 재등록을 받아 개강하였지만 1·4 후퇴로 인하여 1951년 부산으로 학교를 옮겨 개강하였으며, 1953년 8월에 서울 본교로 돌아와 개강하였다. 1953년 대학원에 의학과 석사과정을 설치하였고연세대학교, 위의 책, 8쪽. 1954년 정법대학을 신설하였으며 같은 해 8월에는 동방학연구소에서 학술지인 동방학지를 발간하였다. = = = 연세대학교 (1957년 ~ ) = = = 1955년에 세브란스 의과대학과 연희대학교의 이사회는 재단법인 연세대학교를 구성하는데 합의하였고 1956년에 재단법인이 설립되었다. 1957년 1월 5일,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하면서 연세대학교(延世大學敎, Yonsei University)로 교명을 변경하였는데 초대 총장은 백낙준, 부총장은 최현배(崔鉉培, 1894년 ~ 1970년)가 취임하였다. 1959년에 한국어학당을 설립하였고 1977년에는 강원도 원주시에 제 2캠퍼스인 원주캠퍼스를 설립하였다. 1981년 신촌캠퍼스의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이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85년 5월 11일에 창립 10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제5공화국 말기인 1987년 6월 9일에 연세대학교 학생 1천여 명이 학교 정문 앞에서 경찰과 대치하던 중 경영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이한열이 전경이 쏜 최루탄을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6월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낸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되었다. 1996년에 학부제 및 계열화를 실시하였다. 같은 해 8월에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제6차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를 강행하여 원천봉쇄하려던 경찰과 충돌을 벌였고, 종합관과 과학관에서 8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점거 시위를 벌였다. 2003년에 부속기관인 김대중도서관을 설립하여 개관하였다. 2006년에 인천광역시와 연세대학교 송도 국제화 복합단지 조성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2010년에 국제캠퍼스 약학대학 신설하였고, 같은 해 3월 3일에 국제캠퍼스 봉헌식을 거행하였으며, 2011년 3월 2일에 국제캠퍼스 정규학위과정을 시작하였다. 2011년 5월 31일에 연세대학교 기술지주회사가 설립되었다. = = 캠퍼스 = = = = = 신촌캠퍼스(본교) = = = 신촌캠퍼스(新村-)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희동)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제1캠퍼스이다.신촌캠퍼스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언더우드의 큰형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 달러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만 5천 달러를 연희전문학교에 기부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을 얻은 후 사망하였고, 후임 교장인 에비슨이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립하였다. 연희전문학교는 당시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의 숲이 울창한 토지 190,320평을 매입하였다. 이곳은 조선 정종 때 세워진 연희궁(延禧宮) 터와 영조(英祖)의 후궁 영빈 이씨(映嬪李氏)의 수경원(綬慶園)이 자리 잡고 있었고, 학교명 ‘연희’는 여기서 연유하였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예일 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한 미국인 건축가 헨리 머피(Henry Killian Murphy)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현재의 백양로 등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 최초의 건물은 치원관(致遠館)이며, 목조 2층으로 1918년에 준공되어 1950년까지 있었다. 치원관 이외에도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한경관 등이 준공되었으며, 기숙사인 핀슨관과 노천극장, 돌층계 등이 만들어졌다.연세의 공간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현재 신촌캠퍼스는 송림으로 둘러싸인 약 990,000m2의 규모로 성장하였다. 신촌캠퍼스를 가로지르는 백양로를 중심축으로 오른편에 현대식 건물로 약 165,000m2에 달하는 연세의료원, 백주년기념관, 수경원, 루스채플, 음악대학, 학생회관, 대강당, 경영관, 노천극장, 청송대가 있으며, 왼편에는 연세공학원, 공과대학, 중앙도서관, 체육관, 체육교육관, 장기원기념관, 연세과학원, 과학관, 백양관, 광복관이 서로 대치를 이루며 서 있다. 백양로의 끝에는 대학 본부가 위치한 언더우드관을 중심으로 왼편에 스팀슨관과 오른편에 아펜젤러관이 위치에 있고 세 건물의 중앙에는 학교의 창설자이며 초석을 이룬 언더우드의 동상이 서 있다. 스팀슨관 뒤편 언덕위 왼편에는 한경관과 핀슨관이 나란히 서 있고, 그 뒤로 신학관이 동향을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다. 언더우드관의 뒤편으로 사회과학대학이 자리한 연희관이 서 있으며 오른편에 성암관, 왼편에 유억겸기념관, 그 뒤로 대우관이 있다. 유억겸기념관 뒤편 오른쪽에는 빌링슬리관이 자리 잡고 있으며 뒷산 중턱에는 종합교실단과 외솔관, 위당관이 서 있다. 성암관 뒷길을 따라 동문방향으로 가면 우측에 새천년관, 국제학사, 언어연구교육원, 제중학사가 있고, 대우관 뒤편 고개를 넘어 북문방향으로 가면 무악학사(학생기숙사) 5개동이 자리 잡고 있다. 백양로(白楊路): 백양로는 1930년경 만들어진 연희의 관문으로 본래 백양목(白楊木)이 도로 좌우로 심어져 있었기에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1960년 4월에는 나무의 수명이 다 되었기 때문에 베어 버리고, 대신 도로 양쪽에 은행나무를 심었다. 백양로는 노폭 22m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로 차가 다니던 길이었으나, 2013~2015년의 백양로 재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차 없는 도로로 재단장되었다. 스팀슨관(Stimson Hall): 스팀슨관은 1920년에 지상 2층, 반지하층의 석조 건물로 준공되었다. 스팀슨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으로, 대학 본부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대학원과 대외협력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에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고연세대학교, 위의 책, 36쪽. 일제시대 대학캠퍼스 건물은 대부분 석조 고딕풍의 건축이었다. 이러한 건물들의 최초 건물이 스팀슨관이다. 아펜젤러관(Appenzeller Hall): 아펜젤러관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 시의 제일감리교회(First Methodist Church)의 기부금으로 1924년 지상 2층, 지하 1층의 석조 건물로 준공되었다. 아펜젤러관은 이학관(理學館)으로 연희전문캠퍼스에서 두 번째로 건립된 건물이다. 현재 사회복지대학원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81년 사적 277호로 지정되었다. 건물 명칭은 언더우드와 함께 내한한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를 기념하기 위하여 명명되었다. 아펜젤러는 배재학당(培材學堂)을 설립하는 등 교육과 선교 사업에 업적을 남겼다.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언더우드관은 1925년 지상 3층(중앙탑 5층)의 석조 건물로 준공되었다. 건물의 명칭은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인 언더우드를 기념하기 위하여 명명되었다. 연희캠퍼스에서 스팀슨관, 아펜젤러관에 이어 3번째 석조 건물이다. 건물은 문과대학에서 사용하여 오다가 1982년부터 대학 본부 건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적 276호로 지정되었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35쪽. 언더우드관은 초기 마스터플랜의 중심축인 백양로의 종점에 위치하여 좌우에 스팀슨관과 아펜젤러관이 같이 있어 캠퍼스 내에서 시각적 정점(terminal vista)을 형성하였다. 언더우드관은 20세기 초기의 대표적인 대학 캠퍼스인 연희전문학교 캠퍼스의 중심 건물이면서 보존 상태가 우수하여 역사적 가치가 크다. 언더우드 동상: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인 언더우드의 동상은 1928년에 교직원과 사회 인사들의 기부를 통해 세워졌으나 1942년에 일제에 의해서 전쟁 물자로 공출되어 그 자리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흥아유신기념탑(興亞維新記念塔)이 세워졌다. 1948년에 두 번째 동상을 세웠지만 한국 전쟁으로 다시 파괴되었다가 1955년에 세 번째 동상을 세웠다. 청송대(聽松臺): 연세대학교 정문에서 백양로를 따라 캠퍼스를 오르며 노천극장을 끼고 돌면 마주하는 소나무 숲이 청송대이다. 청송대는 ‘소나무(松) 소리를 듣는다(聽)’는 의미이다. 청송대에서 동문쪽으로 향해 난 뒷길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알려진 유명한 데이트 장소이다. 이양하의 수필 《나무》, 《신록예찬》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 노천극장: 1932년 밀러(Dr. Miller) 교수에 의하여 설계되어 1933년 5월에 준공되었다. 이후 1957년 여름에 보수공사를 거쳤으며 현재의 노천극장은 동문들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준공된 초현대식 건물로 성금을 낸 동문들의 이름을 대리석에 새겨놓고 있다. 100주년기념관(百周年紀念館): 연세대학교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1988년 5월에 준공된 건물로 연세대학교 박물관과 콘서트홀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32쪽. 박물관은 1924년 설립되었으며, 1964년 공주 석장리 유적 발굴은 대한민국의 구석기 문화를 최초로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박물관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신라 삼층석탑과 유물 1803점을 비롯한 여러 유물들을 보관한 박물관은 10개소의 전시실과 소강당, 4개소의 수장고로 이루어져 있다. 콘서트홀은 9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객석과 휴게실을 갖추고 있다. = = = 국제캠퍼스(이원화 캠퍼스) = =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國際-)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85(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하고 있는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다. 615,000m2(약 186,000평)의 부지에 캠퍼스를 조성하였다. 연세대학교 학교본부는 국제캠퍼스의 건립을 서울캠퍼스의 공간적 연장이라고 밝혔다. 즉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연세대학교의 이원화캠퍼스이다. 연세대학교는 2006년 1월 인천광역시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2008년 11월 캠퍼스 조성 공사를 시작하였다. 강의동과 연구시설 등을 건설하는 비용 6,500억원은 인천광역시가 부동산 개발 이익으로 전액 부담한다. 2010년 3월에 일부 개교하였고 2014년 기준으로 2B단계까지의 준공을 마쳤다. 2011년도에 국제캠퍼스에 처음으로 개설된 전공은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글로벌융합기술원, 언더우드국제대학, 자유전공, 의예과, 치의예과, 약학대학·약학대학원, 외국인글로벌학부 등이다. 연세대학교 학부 과정의 대부분의 학생은 1학년을 국제캠퍼스에서 이수하고 약학대학,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언더우드국제대학 HASS, ISED 재학생을 제외한 학생은 나머지 재학 기간을 신촌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국제캠퍼스의 건립으로 2013년 이후 입학하는 연세대학교 신입생은 국제캠퍼스에서 레지덴셜칼리지(Residential College, RC)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신입생 대상 RC 제도 시행 첫 학번이었던 13학번은 국제캠퍼스에서 한 학기를 의무적으로 보냈으며 1학기에는 문과대학, 공과대학, 교육학과, 간호학과가, 2학기에는 상경대학, 경영대학, 이과대학, 생명시스템대학, 신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학생들이 RC교육을 이수했다. 2014년부터는 모든 신촌캠퍼스 신입생(음악대학 제외)이 국제캠퍼스에서 두 학기를 의무 이수하도록 (체육교육학과, 스포츠응용산업학과는 한 학기) RC제도가 전면 시행되었다.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언더우드국제대학 HASS, ISED 소속 학생들은 전 교육 과정을 국제캠퍼스에서 이수하며, 신촌캠퍼스 강의를 자유롭게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 = = 삼애캠퍼스(이원화 캠퍼스) = = = 삼애캠퍼스(三愛-)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160-30 (중산동)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또 다른 캠퍼스이다. 1976년 배민수 목사가 별세한 후 그의 유족들이 약 181,819m2(55,000평)을 기증하면서 캠퍼스가 조성되었다. 현재 삼애캠퍼스는 천문대와 운동장 2개, 삼애교회로 구성되어 있고 천문대는 천문우주학과에서 주로 이용하며 주변 학교의 견학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운동장의 경우 운동부들의 연습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부대시설이 부족해 사용하는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 = = 미래캠퍼스(분교) = = = 미래캠퍼스(未來-)는 연세대학교의 분교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에 위치한 종합대학인 ‘매지캠퍼스’(梅芝-)와 일산로 20에 위치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과 의과대학의 ‘일산캠퍼스’(一山-)로 구성되었다. 2008년에 원주캠퍼스 창립 3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으며 2010년에 원주캠퍼스 비전 2020+ 선포식을 개최하였다. 또한 전국 대학 최초로 RC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정착시켰으며 이후 2013년부터 국제캠퍼스로 확대시행되었다. 매지캠퍼스에는 인문예술대학, 정경대학, 과학기술대학, 보건과학대학, 동아시아국제학부(EIC)가 그리고 일산캠퍼스에 원주의과대학이 존재한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24쪽. = = = = 매지캠퍼스 = = = = 매지캠퍼스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기증한 165만여m2 부지에 캠퍼스를 조성하였다. 매지캠퍼스의 교내로 들어서면 왼편으로 첨단의료기기 테크노타워, 환경친화기술센터, 기숙사인 매지 1, 2, 3학사, 세연1, 2학사, 청연학사가 있고 학생식당, 편의점, 우리은행, 우체국 등의 편의시설이 있는 연세프라자가 있으며 그 앞으로는 언덕 위에 현운재가 보이고 옆으로는 무궁화동산, 연세스포츠센터와 대운동장, 매지호가 있다. 은행나무 가로수의 긴 진입로에는 대학교회와 대학본부건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로수길이 끝나는 곳의 앞에 학생회관과 도서관이 마주보고 있으며 그 사이엔 신촌캠보다 더 큰 독수리상이 세워져 있다. 도서관 뒤로는 미래관, 그 위쪽 좌측에 인문예술대학이 사용하는 청송관과 정경대학이 사용하는 정의관, 우측에 과학기술대학이 있는 창조관, 그 뒤편에 보건과학대학이 사용하는 백운관이 있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30쪽. = = = = 일산캠퍼스 = = = = 일산캠퍼스는 1959년에 선교사 주디 머레이가 세운 원주기독연합병원에서 시작되어, 1978년 연세대학교 의예과, 1982년에 종합대학으로 발전하였다. = = 의료원 = = 연세대학교 의료원(延世大學校 醫療院,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은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연세원주의료원 산하),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의료원 조직 , 연세대학교 의료원 홈페이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에 위치한 세브란스 병원은 개원 101주년이 되는 2005년 4월에 병원 건물을 신축하였으며,세브란스병원 , 연세대학교 의료원 홈페이지. 현재 2,064개의 병상을 갖추고 26개의 과목의 진료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강남세브란스병원은 1983년에 개원하였으며, 2010년에는 804개의 병상을 갖추고 36개의 과목의 진료를 운영하고 있다.병원 소개 , 강남세브란스병원 홈페이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위치한 용인세브란스병원은 한국-독일 수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83년에 개원하였으며,병원 소개 , 용인세브란스병원 홈페이지. 113개의 병상을 갖추고 15개 과목의 진료를 운영하고 있다.건강보험평가원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은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대학 정신과 전문병원이다.병원 소개 ,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홈페이지. 원주연세의료원의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현재 중부권 제일의 대학병원으로 1,000병상을 갖추고 31개 과목의 진료를 운영하고 있다. = = = 원주연세의료원 = = = 연세대학교 원주의료원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원주의과대학, 원주간호대학 등으로 구성된다. = = 기타 시설 = = 김대중 도서관: 대한민국 최초의 대통령 도서관인 김대중 도서관은 구 아태평화재단으로부터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소재 토지와 건물, 관련 자료를 기증 받아 2003년에 설립되어 개관하였다. 김대중 도서관은 1·2층에 도서관, 3~5층에 통일연구원, 현대한국학연구소 등의 연구기관과 연구실이 있으며, 지하 1층에는 컨벤션홀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은 1만 6천여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신촌캠퍼스 건물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우남관(雩南館):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소재 대지 및 임야와 건물을 1996년 8월 최송옥, 최병설 남매가 이승만 및 한국 현대사 연구를 위해 기증하였다. 기증자 최송옥씨를 기념하기 위하여 송암관이라 불렀으나, 2002년 10월 우남 이승만을 기리기 위해 우남관이라 새로이 명명하였다. 현재 이승만연구원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승만 관련 기록물 15만여 쪽을 보관하고 있다.이승만 대통령 연구에 헌신해 온 유영익 국제학대학원 석좌교수, 《연세공감》, 2001-11-16"우남 이승만에 대한 올바른 역사적 평가는?", 《CBS》, 2011-10-03 언더우드가 기념관: 언더우드가 기념관은 연세대학교의 설립자인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와 그 가족들을 기념하기 위해 이들이 거주하였던 연희동 사택을 새롭게 조성하였다. 언더우드 가문은 4대에 걸쳐 한국에 거주하면서 연세대학교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1930년대 당시의 사택 내부의 모습으로 최대한 복원되었으며, 2003년 개관하였다. 덕소수양관: 덕소수양관은 세미나 및 워크샵 등을 개최하는 장소로 사용할 목적에서 교육대학원의 출자로 덕소교육용지(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도곡리 산 164번지, 현재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849번길 126)에 1970년에 준공되었다. = = 학생 활동 = = = = = 총학생회 = = = 총학생회는 학교 당국과 독립적인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학생자치기구이다. 1949년 9월 이승만 정권 당시 대통령령 86호로 결성된 학도호국단을 해체하는 안이 1960년 5월에 국무회의에서 4·19 혁명 이후 학원 민주화의 여론에 따라 통과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학생 자치기관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해 6월에 각 단과대학 대표들의 회합 결과 ‘연세대학교 학생회’라고 일컫는 학생 자치기구가 구성되었고 1961년 1월에 총학생회가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1975년 6월에 군사정권에 의해서 다시 학도호국단으로 재편되지만 1983년 12월에 학원자율화 조치와 1984년 학도호국단의 폐지로 총학생회 체제가 부활하였다. 매년 선거를 통해 총학생회가 선출되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제55대 총학생회 ‘Mate’가 활동하고 있다. 학생복지처가 총학생회 활동의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학생복지처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학생 복지를 관장하는 기구로 학생복지위원회라는 별도의 기구가 존재하여 생활협동조합의 운영, 생협장학금, 신촌판 택리지 발간, 특강 개설 등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자치단체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한편 1988년 3월 총학생회 산하 여학생부가 재편되어 총여학생회가 31년간 매년 선출되었으나, 탄생 이래 위상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2019년 1월 학생총투표로 폐지가 가결됨으로써 사라지게 되었다. = = = 학내 공식 언론단체 = = = 연세춘추: 연세춘추는 1935년 《연전타임스》라는 제호로 최초 간행되었는데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간행된 대학신문의 효시이다. 그 이후 1946년 《연희타임스》와 1953년 《연희춘추》를 거쳐, 1957년 《연세춘추》로 제호를 변경하면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연세춘추는 학기(한 학기에 약 12회, 방학 중 1회) 중 시험 기간과 그 다음 주를 제외한 매주 월요일에 발행하고 있으며 2005년 9월 웹진 《연두》를 창간함으로써 인터넷 신문의 역할을 강화하였다. 신문사의 위치는 미우관 302호에 있다. 연세학보사: 《연세학보》는 제2캠퍼스의 독자적인 신문으로 1987년에 창간되었다. 창간 초기의 제호는 《연원학보》이며, 1994년부터 《연세학보》로 제호를 변경하여 발행하고 있다. 원주캠퍼스만의 독자적인 신문으로 교내에서 일어나는 학내 행사 및 학술 연구 성과, 학생 활동 등의 보도를 기본으로 하며 문화·학술·사회 등 전반적인 사안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현재 격주간 발행 체제로 한 학기에 6번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The Yonsei Annals: 《The Yonsei Annals》는 1962년 《연세춘추》의 부속지로 최초 창간되었다. 1967년 1월에 발간이 중지되었다가 5개월 후 재발간되었으며 1968년에는 《연세춘추》의 자매지로 승격되었다. 1970년부터는 본격적인 대학영자신문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The Yonsei Annals》는 연 8회(3~6월, 9~12월) 매월 초에 발행된다. 2007년부터는 연세춘추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세 교육 방송국: 연세 교육 방송국(Yonsei Educational Broadcasting Station, YBS)은 1959년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인가를 받아 대학방송국으로 개국하였다. 그 후 박정희 정권 당시의 정보통신법에 대학무선방송이 저촉된다는 이유로 호출부호와 주파수를 반납하였다. 현재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낮, 저녁 세 차례(2시간 10분)에 걸쳐 캠퍼스 내에 설치된 스피커와 인터넷을 통하여 다채로운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방송을 하고 있다. 5월 대동제 기간에 청송대에서 열리는 국내 유일의 야외 방송제 ‘숲속의 향연’, 9월 연고제 때 열리는 ‘연고연합방송제’를 개최하고 있다. 연세 매지 방송국: 연세 매지 방송국(Yonsei Maeji Broadcasting Station, YMBS)은 1982년에 대학 방송 최초로 스테레오 방송을 시도하며 개국한 원주캠퍼스의 언론기관이다. 현재 아침, 낮, 저녁 세 차례에 걸쳐 학내 스피커를 통해서 정규 음성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2003년에는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였다. YTV 연세대학교 인터넷 선교 방송국: YTV 선교 방송국(Yonsei TV Gospel Broadcasting, YTV)은 2003년에 개국한 원주캠퍼스의 선교방송국이다. 현재 채플과 연세대학교의 대학교회에서 영상촬영 및 편집을 하고 있다. = = = 기타 = = = 연세대학교 응원단: 연세대학교 응원단은 응원단장 1인 체제로 이어져 오다가 1960년대 말에 단장-부단장-총무 3인 체제로 거듭나면서 응원단이 조직된다. 신촌, 원주캠퍼스가 통합적으로 운영된다. 응원단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정기 및 비정기 연고전,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등에서 응원을 담당한다. 응원단 출신의 유명인으로 조풍연, 이만섭, 임성훈 등이 있다.응원단 역사 , 연세대학교 응원단 홈페이지 응원단이 주관하는 행사와 응원곡은 응원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세대학교(신촌) 학생홍보대사 ‘I.N.延’: 연세대학교 대외협력처 홍보팀에 소속되어 캠퍼스 투어, 홍보물 촬영, 의전 등 학교 홍보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재학생들로 이루어진 교내의 공식 홍보단체이다. 2002년 활동을 시작한 이래 연간 600여개의 팀, 약 4만 5천 명의 국내외 방문자들에게 캠퍼스 투어를 통해 연세대학교를 소개하고 있다. 매달 넷째 주 토요일에는 개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정기견학을 진행 중이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2022년 기준으로 총 35명의 홍보대사가 활동중이다.학생홍보대사 I.N.延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연세대학교(원주) 학생홍보대사 ‘연홍’: 원주캠퍼스는 연홍이라는 별도의 학생홍보대사를 운영하고 있다. 연세극예술연구회: 중앙 연극 동아리인 연세극예술연구회는 1920년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시작되었고, 1953년 공식 발족한 단체이다. 지금까지 100회의 정기 공연과 58회의 소극장 공연을 통해 연세대학교뿐 아니라 대한민국 연극사에 큰 획을 그었다. 연세극예술연구회 출신의 유명인으로 임택근, 오현경, 표재순, 오태석, 명계남, 이대연 등이 있다. 1965년부터 5년마다 노천극장에서 동문합동공연을 올리고 있으며 2번의 정기 공연과 2번의 소극장 공연을 매년 올리고 있다. 락그룹 ‘소나기’: 1986년 '연제전자음악회 소나기'라는 동아리(써클)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1989년 연세대학교의 정식 단체가 된 연세대학교 최초의 락그룹 동아리이다. 매년 연고전과 5월 대공연, 11월 가을 공연 등 정기 공연과 학내 주요 행사의 연주를 담당하고 있다. 소나기는 1990년 MBC 대학가요제에서 《누군가》라는 곡으로 대상을, 1995년 《엇갈림 속에서》라는 곡으로 은상을, 2001년 《청춘가》로 대상을 수상하였다.소나기 소개 , 소나기 홈페이지. 연세대학교 기수단 Blue Knights : 연세대학교 기수단 Blue Knights는 1997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고, 정기 연고전과 하반기 합동응원전에서 기수응원과 특별응원을 담당하고 있는 교내 특별자치단체이다. 기수단원들은 정기 연고전, 하반기 합동응원전 뿐만 아니라 새내기 새로배움터에서의 응원OT, 상반기 합동응원전 등에서 응원을 이끌고 있다. = = 연례 행사 = = = = = 무악대동제와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 = = 무악대동제(毋岳大同祭): 무악대동제는 매년 5월에 3일간 개최되는 학생 축제이다. 1957년부터 61년까지는 창립기념일에 각종 행사가 진행되었고 1962년부터 ‘무악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축제가 치러졌다. 축제에 오락 위주의 백양제와 학술제가 등장한 것은 1964년부터이며 1970년대에 ‘무악축전’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체계적인 행사의 짜임새를 갖추게 되었다. 1987년이 되어서야 ‘무악대동제’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90년대 이후부터 현재의 대동제와 유사한 형태로 축제가 진행되었다. 총 이틀에 거쳐 백양로 장터 및 주점, 동아리 공연, 연세인 장기자랑 콘테스트, 개막제 및 폐막제가 진행되며, 삼일째 저녁에는 ‘아카라카를 온누리에’가 열린다. 개막제를 시작으로 백양로에는 각 자치단위의 장터와 주점이 세워진다. 2011년 동아리 공연에서는 총 119팀이 공연을 신청하였고, 공연은 백양로 삼거리, 백주년기념관 앞, 독수리상 옆에서 이틀 동안 진행되었다. 대동제 마지막 날 저녁에는 청송대에서 연세교육방송국(YBS)에서 주최하는 방송제 ‘숲속의 향연’이 진행된다. 아카라카를 온누리에(Akaraka):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무악대동제 삼일째 저녁에 연세대학교 응원단이 주최하는 응원제로 1986년부터 시작되었다.응원단 활동 , 연세대학교 응원단 홈페이지. ‘아카라카’라는 명칭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사용된 연세대학교의 교호(校號)의 일부이다.교호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아카라카의 정확한 기원은 없지만 옛날 로마 시대에 장군이 개선하기 전 황제 앞에서 외치던 구호를 딴 의성어라고 한다. 이 말은 설립자인 언더우드가 다녔던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쓰이던 것으로 언더우드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외에도 독수리가 날개짓하는 소리, ‘가락’이란 말의 앞뒤에 ‘아’를 붙인 말 등 아카라카의 뜻에 대한 많은 설이 있다.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총 3부로 진행되며, 1부에서는 중앙동아리 공연, 2부에서는 가수와 연예인의 축하 공연, 3부에서는 응원제가 이어진다. 원주캠퍼스는 신촌캠퍼스와는 별도로 아카라카를 진행하고 있다. 응원곡: 첫 응원곡은 1931년에 현제명이 연희전문학교의 응원가로 미국 대학의 응원곡을 개사하여 사용하면서 등장하였다. 응원단에서는 매년 연고전 출정식 및 응원 오리엔테이션에서 응원곡 신곡을 발표하고 있다. 어렵게 만든 7~8개의 신곡 중에서 학생들의 호응을 얻어 그 다음해 응원가로 사용되는 경우는 3~4곡에 불과하다. 1989년에 제작된 〈원시림〉은 가장 대표적인 응원곡이며 2005년에 발표된 〈연세여 사랑한다〉도 많이 불린다. 이 외에도 〈J에게〉, 〈고.밟.꿈〉, 〈러닝맨〉, 〈3초전〉, 〈서시〉, 〈해야〉 등이 있다. 교가와 구호: 현재 사용되는 교가는 〈연세의 노래〉로 백낙준이 작사하고, 박태준이 작곡하였다.노래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교가 이외에도 〈연세 찬가〉가 같이 사용되고 있다. 구호는 ‘아카라카’, ‘쾌지나’, ‘독수리 함성’ 등이라는 제목의 다양한 구호가 있는데 대표적 구호인 ‘아카라카’는 다음과 같다.구호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 = = 연고전 = = = 연고전(延高戰)은 애교심을 고양하고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양교의 친선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포츠 경기를 비롯한 강연, 온라인 게임, 사회공헌활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고려대학교와 승부를 겨루는 행사 일체를 의미한다. 연고전과 유사한 대학교 스포츠 대항전으로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캠브리지 대학교의 조정 경기와 일본의 와세다 대학과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소케이센’(早慶戰) 등이 있다. 연고전은 매년 9월에 고려대학교 5개 종목의 운동부 선수들과 맞붙는 ‘정기 연고전’ 과 정기 연고전 이외의 기간에 열리는 ‘비정기 연고전’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교내에 축구부, 럭비부, 야구부, 농구부, 아이스하키부 등 5개 종목의 스포츠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흔히 일컬어지는 ‘연고전’이라는 명칭은 ‘정기 연고전’을 의미하며, 아래에 이어지는 설명도 ‘정기 연고전’에 관한 것이다. 연고전의 역사: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는 1925년 5월 30일에 열린 조선 체육회 주최 ‘제5회 전조선(全朝鮮) 정구대회’에서 처음으로 맞붙었다. 양교의 실질적인 첫 전면시합이 열린 것은 1927년 경성운동장에서 거행된 제8회 전조선 축구대회 준결승에서의 연희전문학교 축구부와 보성전문학교 축구부의 대결이었다. 1943년에 징병제가 실시되어 시합이 중지되기 전까지 연희전문학교는 보성전문학교를 상대로 한 축구대회에서 31전 14승 17패를, 농구대회에서 62전 32승 30패를 기록하였다. 정기전은 광복 이후 1945년 12월 21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1회 연보 OB 축구대회’를 통해 부활하였다. 이듬해인 1946년에는 양교의 교명이 바뀌었으며 이에 따라 ‘연보전’이라는 명칭 또한 ‘연고전’으로 바뀌었다. 1946년부터는 축구와 농구의 재학생 간 정기전이 매년 열리게 되었고, 1956년에는 야구, 럭비, 빙구의 세 종목이 추가되었다. 오늘날과 같은 규모의 연고전 기틀이 마련된 것은 1959년의 일이다. 1961년부터 1964년까지는 5·16 군사정변 등의 이유로 정기전이 열리지 않았다. 1965년부터는 이틀 동안 다섯 경기가 일제히 치러지는 지금과 같은 경기방식이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한동안 ‘민족해방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정기전의 명칭과 일정: 매년 9월에 열리는 정기전(정기친선경기대회)은 연고 양교가 매년 번갈아 주관한다. 정기전의 공식적인 명칭은 정기전을 주최하는 학교의 이름을 뒤에 붙이는 방식으로 정해지는데, 연세대학교가 주최하는 정기전 행사인 경우 ‘고연전’이 정식 명칭이 되는 식이다. 그러나 정식 명칭은 실질적으로 방송 중계나 신문 보도 등의 공식 석상에만 사용될 뿐이며, 연세대학교에서는 연고전, 고려대학교에서는 고연전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 연고전을 며칠 앞두고 신촌 오리엔테이션과 원주 오리엔테이션, 양교 합동 오리엔테이션이 각각 진행된다. 연고전에 대한 평가: 연고전이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전통적인 스포츠 친선 경기이며 대학 스포츠 발전에 이바지하였다는 평가와 더불어 시대적 맥락을 저버린 채 즐거움만 추구하며 폐쇄적인 엘리트 의식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있다. 한편 선수들 간의 충돌이나 경기 파행 사태 등의 지나친 성적 지상주의도 부정적 측면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촌과 안암의 상가 일대에서 벌어지는 연고전의 뒤풀이 문화와 주변을 고려하지 않은 응원 태도에 대한 비판도 있다. = = 개설 학과·전공 = =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다.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분되어 있다. 2009년 개원한 법학전문대학원은 120명을 배정받았고 의과대학과 병행 운영되고 있는 의학전문대학원은 2015년부터 폐지되어 의과대학 체제로 복귀한다. = = 교육 방침상의 특징 = = = = = 국제 교류 = = = 국제처에서는 국제 교류의 갈래로 교환학생제도(Student Exchange Program)와 방문학생제도(Visiting Student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교환학생제도는 학생교환 협정이 체결된 외국 대학에 파견되어 학업을 계속하며 본교에서 학점을 인정받는 프로그램이다. 파견 기간 동안 학비는 본교의 등록금을 납부한다.교환학생제도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방문학생제도는 본교와 파견 대학에 모두 수업료를 납부하지만 본교 등록금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급한다. 교환학생제도는 학생교환수가 균형을 이룰 때만 가능하지만 방문학생제도는 이와 상관 없이 다수의 학생을 파견할 수 있어 지원 기회가 폭넓다.방문학생제도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방문학생제도의 파견 대학으로는 미국의 아메리칸 대학교,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캐나다의 앨버타 대학교, 영국의 노팅엄 대학교, 킹스 칼리지 런던 등이 있다.파견대학 소개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이 외에도 외국 대학에서 자기 부담으로 수학하고 본교에서 학점을 인정 받는 SAP(Study Abroad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SAP는 휴학생의 신분으로 파견되는 것이므로 학기는 인정받지 못하며 등록금은 파견 대학에 납부한다.SAP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또한 GIP(Global Internship Program)는 한 학기 동안의 해외 인턴십을 수료한 후 본교에서 학기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GIP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21년 8월 현재 전 세계 77개국의 727개교(ISEP + 기타기관)와 학술 교류 및 학생 교환 협정을 체결하였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211쪽. 2010년 5월 연세대학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로스쿨 복수학위제를 도입하였다. = = = 국내 교류 = = = 연세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 및 학점교류 협정이 체결된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며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교환 대학으로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카이스트,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전주대학교, 한남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계명대학교, 중앙대학교가 있다.국내대학교환프로그램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 = = 채플 = = = 채플(Chapel)은 교목실에서 주관하는 예배 행사이며 재학생은 채플을 4학기 이상 이수하여야만 졸업이 가능하다. 성적은 패스(P)와 논패스(NP)로 처리된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186쪽. 학부채플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대강당에서 실시되고 있다. 채플은 교회의 일반적인 예배와 다르게 강사가 말씀을 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교외 강사와 교내 강사가 격주로 초빙된다. 한 학기에 2 ~ 3회 정도 음악, 무용, 뮤지컬, 연극 등의 실험채플을 실시한다. 연세 116주년 창립기념 주간에 연합채플을 개최한 계기로 매년 재학생, 교직원 등이 모두 참여하는 연합채플을 창립기념주간과 감사절에 노천극장에서 개최하고 있다.채플, 연세대학교 교목실 홈페이지. = = = 졸업인증제 = = = 재학생은 졸업을 하기 위해서 최소 126 ~ 140학점 이상의 각 대학별 졸업학점을 취득하는 것 이외에도 소속 대학 또는 학과별로 지정된 졸업인증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신촌캠퍼스 및 국제캠퍼스 학생은 영어인증이 요구되는데 “연세영어인증” 이상의 영어인증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외부 공인영어시험 성적으로도 영어인증의 취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영어인증제는 2010학년도 이후 신입생과 2012학년도 이후 편입생에게 적용된다. 미래캠퍼스 학생은 대학별로 지정된 외국어 및 정보인증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데 원주의과대학은 미래캠퍼스의 졸업인증요건에서 제외된다.연세대학교, 위의 책, 186 ~ 192쪽. = = 운동부 = = 축구,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 럭비 등 여러 종목의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 = 위상 = = 2007년 7월 세브란스 병원이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로부터 인증을 받았고, 2008년 9월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2007년도 SCI 논문 분석 결과 SCI 논문수 세계 96위로 도약하였다. 이듬해 2009년 3월 동서문제연구원 발행 저널이 Global Economic Review에 대한민국 최초로 SSCI에 등재되었다. 2009년 10월 영국 더 타임스의 세계 대학 평가에서 151위를 기록하였으며, 영국 QS 세계 대학 평가에서 2010년 142위, 이듬해인 2011년 129위를 기록하였다. 2010년 12월 학술정보원이 교육과학기술부 주관의 전국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1위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9월에 시행된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2011년 10월 14일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세계 100대 풀타임 MBA’ 순위에서 연세대 GMBA는 국내 최초로 유일하게 순위권인 세계 76위에 랭크되어,국내 MBA 스쿨 중 유일하게 풀타임, 파트타임 MBA 모두 세계 100위권에 진입하였다. 한편 연세대 경영대학은 2012년 유럽경영대학협의회(European foundation for Management Development)로부터 EQUIS 인증을 획득하여, 대표적인 국제 인증인 AACSB, EQUIS와 국내 인증인 KABEA까지 받은 국내 유일한 경영대학이 되었다. 또한, 2012년에 121명이 합격한 것을 포함하여 1992년 이래 약 2,450여명에 달하는 공인회계사를 배출하였는데, 이는 국내 대학의 누적 합격자수로는 가장 높은 수치이다. 그리고 2012년 기업분석 전문업체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1천대 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세대 경영학과 출신이 40명으로 단일 학과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환태평양 대학 협회(APRU)에 가입하게 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명문 대학으로부터 우수한 교육프로그램과 탁월한 연구력을 가진 대학으로 평가받음을 입증했다. 또, 2014년에는 동아시아 연구형 대학 협회(AEARU)에 가입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여러 연구중심대학들과 다차원적 국제협력의 발판을 더욱 공고히 했다. = = 동문회 및 출신 유명인 = = 연세대학교 출신 교우들의 모임인 연세대학교 총동문회는 1960년 4월 연희대학교 동문회와 세브란스 동창회 통합으로 창립한 기관이며 연세대학교의 다양한 사업과 장학재단을 운영을 통해 모교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총동문회의 회장은 제27대 회장인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다. 1993년 5월에는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이 준공되었다.총동문회 소개 , 연세대학교 총동문회 홈페이지. 문학사에서는 김수영 시인, 윤동주 시인(시인인 동시에 수필가이기도 하다.), 소설가인 김유정 작가, 동요(어린 음악대), 동화(꽃과 대포)를 쓴 아동문학가인 김성도 작가, 4.19 학생운동의 리더이며 가야 신라토기 기증자인 김병철 회장, 김우중 회장 등이 연세대학교에서 공부했다. = = 연세우유 = = 연세우유는 연세대학교에서 설립한 학교법인으로 되어 있는 기업체이며, 1962년 3월 미국 헤퍼 프로젝트(Heifer Project 책임자: 트락몰튼 감리교 목사) 지원금으로 캐나다로부터 젖소 10두를 기증 받아, 1971년 3월 연세우유의 시중 판매를 시작하여, 1993년 충청남도 아산시(당시 아산군)에 공장을 신설 및 준공했고, 1998년 6월 HACCP(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우유(축산물)부문 최초 인증 획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우유, 두유, 음료 등이 있다. 계열사로는 연세생활건강이 있다. = 고토지선 = 고토지선은 일본 후쿠오카현 다가와시의 다가와고토지역부터 후쿠오카 현 이즈카시의 신이즈카역에 이르는 규슈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지방 교통선)이다. 지쿠호 서부의 이즈카 시를 경유해서 동부의 다가와 시와 후쿠오카시를 연결하는 단선 경로로 되어 있다. = = 노선 정보 = = 관할(사업 종별) : 규슈 여객철도 (제 1 종 철도사업자) 구간(영업 거리) : 다가와고토지 역 - 신이즈카 역 13.3km (선로 명칭 상은 기·종점이 역전) 궤간 : 1067mm 역 수 : 6 고토지 선 소속역으로 한정된 경우, 기·종점역(다가와고토지 역은 히타히코산 선, 신이즈카 역은 지쿠호 본선의 소속)이 제외되어, 4개 역이 된다. 복선 구간 : 없음 (전 노선 단선 전선화 구간 : 없음 (전 노선 비 전선화) 폐색방식 : 특수 자동 폐색식(궤도 회로 검지식) 전 노선이 본사 직할로 되어 있다. 또한, 전 노선이 여객영업규칙의 정한 대도시 근교 구간의 '후쿠오카 근교 구간'으로 포함된다. 고토지 선에는 SUGOCA의 이용은 하지 않지만, 도중 하차를 하지 않고 통과(신이즈카 역 이원 - 히타히코산 선 경유 닛포 본선 방면)하는 것뿐이라면 이용하다. = = 역 목록 = = 전 노선 모두 후쿠오카현내에 위치한다. 역명 일어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다가와고토지 - 0.0 히타히코산 선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 이토다 선 다가와시 후나오 3.4 3.4 다가와시 지쿠젠쇼나이 3.7 7.1 이즈카시 시모카모 1.2 8.3 가마시 가미미오 1.9 10.2 이즈카 시 신이즈카 3.1 13.3 지쿠호 본선 (후쿠호쿠유타카 선) 이즈카 시 = 장재영 = 장재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장재영(張在英, 1945년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전직 전북 장수군수이다. 장재영(1961년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장재영(張宰榮, 1971년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이다. 장재영(1976년 ~ )은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다. 장재영(張裁榮, 2002년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 분류:1883년 완공된 교통 시설 = = 김기범 (1985년) = 김기범(1985년 3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록 밴드 국카스텐의 베이시스트이다. '기뱅'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멤버들이 국카스텐의 전신이었던 The C.O.M의 멤버였던 것과 다르게, 그는 국카스텐으로 활동할 때부터 팀에 들어와서 활동했다. = 분류: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과테말라의 업종별 기업 = = 알랭 보고시앙 = 알랭 보고시앙(, 1970년 10월 27일, 프로방스-알프-코트 다쥐르 지방 디뉴-레-뱅 ~)은 프랑스의 전직 프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그는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이다. = = 클럽 경력 = = 알프-드-오트-프로방스 군의 디뉴-레-뱅 출신인 알랭 보고시앙은 마르세유 2군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리그 1의 마르세유 1군에서 1년을 보내던 보고시앙은 리그 2의 이스트르에서 경험을 쌓았다. 그는 이스트르에서 1년 만에 마르세유로 복귀했다. 1994년, 보고시앙은 이탈리아로 건너가 세리에 A의 나폴리에 입단했다. 그는 나폴리에서 3년을 활약한 후 삼프도리아에 1년 몸담았다. 보고시앙은 1998년에 파르마에 합류하여 프로 무대 입문 이래 최전성기를 보냈다. 그는 같은 프랑스 국적의 릴리앙 튀람과 함께 파르마에서 맹활약했다. 파르마는 1998-99 시즌에 UEFA컵 결승전에서 마르세유를 3-1로 이기고 우승했다. 보고시앙은 1998-99 시즌 UEFA컵에서 1골을 넣었는데, 이는 페네르바흐체와의 2차전에서 3-1 승리에 쐐기를 박는 골이었다. 보고시앙은 파르마에서 활약하면서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를 1999년에 들어올렸고, 코파 이탈리아도 1998-99 시즌과 2001-02 시즌에 쟁취했다. 그는 2-1로 이긴 밀란과의 1999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경기에서 파르마의 쐐기골로 2-1 승리를 견인했다. 보고시앙은 2002년에 라 리가의 에스파뇰로 이적했다. 몇 차례 부상에 허덕이던 보고시앙은 2003년 6월에 시즌 종료와 함께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보고시앙은 아르메니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할 제의를 거절했었다. 그는 1997년부터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자국에서 열린 1998년 월드컵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그는 브라질과의 결승전에서 후반전에 크리스티앙 카랑뵈와 교체되어 들어갔다. 유로 2000 개막을 하루 앞두고, 보고시앙은 부상으로 낙마했다. 그는 2002년 월드컵에도 참가했고, 총 26번의 프랑스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해 2골을 기록했다. = = 경기 방식 = = 보고시앙은 미드필더로서 지칠 줄 모르는 체력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 = 감독 경력 = = 2008년 7월, 프랑스 축구 연맹은 유로 2008 예선전에서 레몽 도메네크 감독을 보좌할 프랑스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로 보고시앙을 임명했다. 그는 로랑 블랑이 프랑스 국가대표팀 신임 감독으로 취임한 뒤에도 자리를 유지했다. 유로 2012 종료 후 디디에 데샹 감독이 새로이 취임하면서, 보고시앙은 수석 코치로서 계약을 연장하지 않았다. 체력 코치 필리프 랑베르와 의료진의 파브리스 브리앙도 국가대표팀에서 활동을 중단했다. 보고시앙은 프랑스 축구 연맹의 국가 기술진원이다. 그는 DEPF(상위 훈련사 자격)을 대표 자격으로 수료했다. = = 사생활 = = 알랭 보고시앙은 알프-드-오트-프로방스 군의 디뉴-레-뱅 아르메니아계 가정에서 출생했다. 2001년, 보고시앙과 유리 조르카에프는 프랑스 내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을 제고한 제5공화국 대통령 자크 시라크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 =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프랑스의 점수이며, 점수 열은 보고시앙의 득점 당시의 점수 상황을 나타낸다. 알랭 보고시앙의 국가대표팀 득점 목록 #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결과 대회 1 1998년 8월 19일 오스트리아 빈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2–2 2–2 친선경기 2 1998년 10월 10일 러시아 모스크바 루즈니키 3–2 3–2 유로 2000 예선전 = = 수상 = = 코파 이탈리아: 1998–99, 2001–02 UEFA컵: 1998–99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9 월드컵: 1998 명예 군단 기사장: 1998 = 분류:하타씨 = = 울주옹기종기도서관 = 울주옹기종기도서관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소재의 군립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06년 3월 15일 건축물 착공(공사기간: 2006. 3. 15 ~ 2007. 1. 14) 2007년 1월 22일 건축물 준공(지상3층, 부지면적:4,690m2, 연면적:1,490m2) 2007년 2월 8일 울산광역시 울주군립도서관 설치 및 운영 조례 공포 2007년 3월 15일 울산광역시 울주군립도서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공포 2007년 3월 15일 울주군립도서관 개관 2011년 10월 28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군립도서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 제359호) 2013년 5월 23일 ~ 6월 6일 울주군립도서관 명칭변경 공모 2013년 6월 20일『울주옹기종기도서관』선정 2013년 12월 26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군립도서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 제391호) 2014년 1월 2일 울주옹기종기도서관 명칭 변경 = = 시설현황 = = 3층: 열람실, 시청각실, 세미나실 2층: 종합자료실, 멀티미디어실 1층: 사무실, 보존서고, 유아어린이자료실 = = 이용 안내 = = 구분 평일 및 토요일 일요일 자료실 09:00~18:00 09:00~17:00 열람실 09:00~22:00 09:00~22:00 정기휴관일: 매주 월요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한 공휴일 중 일요일을 제외한 공휴일(단 일요일과 공휴일이 겹쳤을 때 휴관함) 도서관의 정리 및 점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기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 집파리 = 집파리는 집파리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길이는 3~8mm 정도이며 대체로 검은색을 띠고 있다. 이마는 짙은 갈색이고 옆얼굴·옆이마·눈언저리는 황금빛 가루로 덮여 있고, 겹눈은 적갈색이다. 머리는 크고 좌우로 돌릴 수 있으며, 겹눈도 크다. 뒷날개는 퇴화했고 배의 털이 짧다. 유충인 구더기는 동물의 고기나 오물을 먹는다. 입은 퇴화했고, 피부를 통해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먹이를 녹인 뒤 피부로 흡수한다. 집파리는 축사나 인가에 출입하며, 번식력이 강하여 생활조건만 좋으면 1년 동안 쉴 사이 없이 발생한다. 성충은 한 번에 100~150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는데 두 달 반가량 살면서 총 600~1000개를 낳는다. 성충으로 월동하고 이른 봄에 월동한 암컷이 산란한다. 더러운 유기물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적어도 55가지 이상의 병원균을 통해 전염병을 옮기는 대표적 해충이다. = 귀화 = 귀화(歸化, , )는 다른 나라의 국적을 얻어 그 나라의 국민이 되는 일을 가리키며, 적국의 국민 또는 적대적인 인물이 귀화하는 일을 귀순(歸順)이라고도 부른다. = = 어원 = = 동양의 왕조 국가에서는 형식상 왕의 어진 정치에 감화되어 그 백성이 된다는 뜻이었고, 향화(向化) 또는 왕화(王化)로도 나타낸다. = = 여러 국가들의 귀화 요건 = = = = = 귀화 전에 영주권 취득이 필요 없음 = = = 나라 제한 조건 이중 국적 허용 여부 1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3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3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단, 북키프로스 국적자 경우에 입국 즉시에 귀화 가능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귀화자에게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단, 사우디 아라비아 신민 경우 귀화 불가능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6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6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7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7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7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본인이 영국 연방 국민 경우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7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은 러시아의 국민에게만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은 러시아의 국민에게만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제한적 허용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2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12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2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1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아랍족이 아닌 경우 내각이 승인 의하여 왕의 칙령으로만 귀화 가능 아랍족 경우 1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2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2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2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2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2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3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 = = 귀화 전에 영주권 취득이 필요함 = = = 나라 제한 조건 이중 국적 허용 여부 영주권을 취득한 후 바로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영주권을 취득한 후 국민의회의 결정에 따라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4년 이상 거주 및 영주권 취득한 후 귀화 가능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및 영주권 취득한 후 귀화 가능 이중 국적 허용 5년 이상 거주 및 영주권 취득한 후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5년 이상 거주 및 영주권 취득한 후 귀화 가능 원칙적으로는 이중 국적 금지. 예외적으로 결혼이민자는 귀화하면서 이전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며, 대한민국의 선천적 복수국적자는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을 해야만 허용. 배우자가 대한민국의 국민 경우 2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 취득이 불필요 8년 이상 거주 및 영주권 취득한 후 귀화 가능 이중 국적 유럽 연합 또한 스위스 국민에게만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4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단, 유대인 경우에 입국 즉시에 귀화 가능 영주권을 취득한 후 3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4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4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영주권을 취득한 후 7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영주권을 취득한 후 9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영주권을 취득한 후 1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허용 = = = 기타 = = = 나라 제한 조건 이중 국적 허용 여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이중 국적 허용 정부 정령으로만 귀화 가능 이중 국적 허용 여성에게 결혼으로 귀화 가능, 남성에게 대통령령으로만 귀화 가능 이중 국적 허용 국회의 추천에 의하여 대통령령으로만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사우디아라비아의 신민의 배우자에게 또는 왕의 칙령에 따라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친족 중에 미얀마 국민이 없는 자들에게 귀화 불가능 이중 국적 금지 정부 특례에 따라, 또는 최소 10년 ~ 12년 거주자가 당국에 귀화를 요청할 경우 검토를 거쳐 통과되면 귀화 가능 이중 국적 금지 이슬람교 신자가 아닌 자에게 귀화 불가능 이슬람교 신자 경우 20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오만, 카타르 그리고 바레인 출신 이슬람교 신자 경우 3년 이상 거주 이중 국적 금지 흑인만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이중 국적 금지 결혼으로만 가능 대통령령으로만 귀화 가능 = 올스타 = 올스타는 연예계 및 스포츠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연예계에는 유명 스타들을 망라한 것을 의미하며, 스포츠계에서는 실력이 뛰어는 선수들을 망라한 것을 의미한다. = = 연예계 = = = = = 영화 = = = 영화계에서의 올스타라는 용어는 유명 스타들을 캐스팅한 것으로, 카메오나 조연마저도 유명 스타들로 캐스팅된 것을 말한다. = = = = 올스타 캐스트 영화 목록 = = = = 《그랜드 호텔》 (1932) 《8시 석찬》 (1933) 《운명의 향연》 (1942) 《80일간의 세계 일주》 (1956) 《12인의 성난 사람들》 (1957) 《오션스 일레븐》 (1960) 《매드 매드 대소동》 (1963) 《서부 개척사》 (1963) 《007 카지노 로얄》 (1967) 《오리엔트 특급 살인》 (1974) 《머나먼 다리》 (1977) 《JFK》 (1991) 《펄프 픽션》 (1994) 《히트》 (1995) 《화성 침공》 (1996) 《노 브레인 레이스》 (2001) 《오션스 일레븐》 (2001) 《미스틱 리버》 (2003) 《도그빌》 (2003) 《러브 액츄얼리》 (2001) 《바비》 (2006) 《발렌타인 데이》 (2010) 《익스펜더블》 (2010) 《뉴욕의 연인들》 (2011) 《무비 43》 (2013) = = = 텔레비전 = = = = 나츠코 = 나츠코(なつこ)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나츠코 (1989년 8월)(奈津子) 나츠코 (7월)(なつこ) = 타니구치 쇼타 = 타니구치 쇼타(, 1986년 5월 12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2019년: 《킹덤》 - 위병 2 역 2023년: 《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 = 분류:투카노어족 = = 준닌 천황 = 준닌 천황(, 733년 ~ 765년 11월 10일, 재위 758년 ~ 764년)은 제47대 일본 천황이다. = = 가계 = = 황위에 오르기 전의 이름은 오이 왕이었다. 덴무 천황의 아들인 도네리 친왕의 제 7황자이다. 아버지는 그가 3살 때 죽었고 어떠한 관직이나 주목도 받지 못했다. 일본의 고문서에는 대개 폐제(廃帝)로 불린다. 준닌 천황의 시호는 메이지 천황에 의해 주어진 것이다. = = 약력 = = 그의 운명은 고켄 천황 때인 757년에 쇼무 천황의 유언에 의해 원래 황태자였던 후나도 왕을 대신해 황태자가 되면서 바뀌게 되었다. 758년 9월 7일, 고켄 천황이 황위에서 물러나면서 천황에 즉위하였다. 6년 후에 고켄 천황은 준닌 천황에게 황위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고 천황에 복위하였다. 천황의 자리에 있었기는 했지만 준닌 천황은 19세기 말까지 정식으로 천황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재위 중에도 힘은 매우 미약했으며 사실상 허수아비에 불과했다. 폐위된 후 유배되어 아와지국에서 사망하였다. = = 가족 관계 = = 조부 : 일본 제40대 덴무 천황(天武天皇, 631?~686) 조모 : 비 니이타베노 황녀(新田部皇女, ?~699) 아버지 : 토네리친왕(舎人親王, 676~735) 어머니 : 대부인 타이마노 야마시로(当麻山背) * 부인 : 아와타노 모로네(粟田諸姉) * 생모미상 * 딸 : 아베내친왕(安倍内親王) = 분류:1257년 군사사 = 군사사 en:Category:1257 in military history = Sugar (TOKIO의 음반) = sugar는 TOKIO의 11번째 정규 앨범. 2008년 2월 20일에 발매하였고, 레이블인 유니버설 뮤직 재팬에서 발매한 마지막 앨범이다. = = 설명 = = 전작 《Harvest》발매 이후 약 1년 4개월만의 정규 앨범. 유니버설 뮤직 재팬에서 발매한 마지막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 2007년에 발매한 싱글 《》, 《本日、未熟者/Over Drive》, 《青春 SEISYuN》을 수록하였다. 앨범 타이틀 명이자, 수록곡인 〈sugar〉은 작사·작곡은 나가세 토모야, 편곡은 TOKIO. 일본 국민 그룹인 사잔올스타즈의 보컬 쿠와타 케이스케가 작곡한 일본 가수 나카무라 마사토시의 1982년도 곡 〈恋人も濡れる街角〉을 리메이크하기도 하였다. 총 7곡 수록. 초회한정반A 타입은 자켓이 금색특수커버, 초회한정반B 타입은 자켓이 은색특수커버, 통상반 - 첫회반은 회색특수커버로 디자인 되어 있다. = = 수록곡 = = = = = 통상반 = = = Sugar - 6:07 Over Drive - 3:48 青春 SEISYuN - 5:00 ひかりのまち - 4:25 恋人も濡れる街角 - 4:21 本日、未熟者 - 4:58 ラン・フリー(スワン・ダンスを君と) - 4:35 = = = DVD = = = = = = = 초회한정반A = = = = 宙船(そらふね), 明日を目指して!, カンパイ!! from Johnnys' Countdown 2007-2008 〈sugar〉 Jacket Shooting = = = = 초회한정반B = = = = 〈何度も夢の中でくり返すラブ・ソング〉 SCHOOL FESTIVAL from TOKIO Special GIGs 2006 〈sugar〉 Recording = = = Disc 2 (Bonus Tracks)(통상반 첫회반) = = = 青春 SEISYuN 〜感動〜 #: 나가세 주연의 드라마 〈우타히메〉의 주제곡 〈青春 SEISYuN〉의 Strings Version. 현악기를 메인으로 한 반주이다. 青春 SEISYuN 〜Action〜 #: 역시 드라마 〈우타히메〉의 Strings Version. 멜로디 라인에서 Electric Guitar를 사용해서, 현악기를 강조한다. 青春 SEISYuN 〜せつない〜 #: 역시 드라마 〈우타히메〉의 Strings Version. Classic Guitar를 메인으로 사용하였다. 宙船(そらふね) 〜jumble version〜 #: 〈宙船(そらふね)〉 편곡하였다. 라이브 공연에서 자주 연주되는 버전으로, 맨 처음 시작에서 본래 싱글 宙船 / do! do! do!의 초회한정반에 수록된 어쿠스틱 버전을 사용하고, 다시 오리지널 버전에 가까운 편곡으로 돌아온다. 오리지널과 비교하면, Trumpet, Horn, Strings 연주로 세련되게 편곡하여 깔끔한 느낌을 주었다. 마지막 후크(브릿지)에서는 원 버전에는 존재 하지 않는 코러스를 추가. 本日、未熟者 〜unplugged〜 #: 나가세가 이전에 뮤직 스테이션에 혼자 출연했을 때에 연주한 어쿠스틱 편곡버전으로, 첫수록이다. = 김지원 (가수) = 김지원(1984년 7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경력 = = 2019년 대한민국교육문화체육공헌대상 홍보대사 2016년 프로축구 부천 FC 홍보대사 2016년 한국 프로복싱 연맹 홍보대사 2013년 창원해양경찰서 명예 홍보대사 2012년 '세계다문화예술단' 단원 = = 수상 = = 2019년 대한민국교육문화체육공헌대상 문화진흥부문 2019년 제5회 대한민국스타예술대상 올해의 10대 가수상 2012년 제2회 대한민국 다문화 예술대상 신인가수상 = = 데뷔 = = 2012년 싱글 앨범 "말문이 막혀버렸네" = = 음반 = = 2021년 날 보러 오세요 2019년 못 잊을 사람아 2013년 땡기네 (Trot Ver.) 2013년 땡기네 2012년 말 문이 막혀버렸네 = 르네 콜리아르 = 르네 콜리아르(, 1933년 12월 24일~2022년 12월 15일)는 스위스의 알파인 스키 선수로 1956년 동계 올림픽 여자 회전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원피스 스탬피드 = 원피스 스탬피드는 2019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모험, 판타지, 액션 영화이다. = = 출연진 = = = = = 일본어판 성우진 = = = 타나카 마유미 - 루피 목소리 역 나카이 카즈야 - 조로 목소리 역 오카무라 아케미 - 나미 목소리 역 야마구치 캇페이 - 우솝 목소리 역 히라타 히로아키 - 상디 목소리 역 오타니 이쿠에 - 쵸파 목소리 역 야마구치 유리코 - 로빈 목소리 역 야오 카즈키 - 프랑키 목소리 역 *쵸 - 브룩 목소리 역 = = = 한국어판 성우진 = = = 강수진 : 몽키 D. 루피 김승준 : 롤로노아 조로 정미숙 : 나미 김소형 : 우솝 / 로브 루치 김영선 : 상디 정옥주 : 토니토니 쵸파 소연 : 니코 로빈 고구인 : 프랑키 / 와포루 이인성 : 브룩 김도영 : 코비 강구한 : 센고쿠 한상덕 : 골 D. 로저 이인석 : 바르톨로메오 송준석 : 크로커다일 이봉준 : 후지토라 이명희 : 보아 행콕 이상범 : 몽키 D. 가프 / 스모커 이재범 : 버기 / 도베르만 / 달마시안 정재헌 : 트라팔가 로 김태훈 : 실버즈 레일리 최한 : 쥬라큘 미호크 김혜성 : 폭시 박성영 : 캐번디시 / 모르건즈 이경태 : Mr.3 채민지 : 페로나 이동훈 : 포트거스 D. 에이스 이원찬 : 검은 수염 이새아 : 쥬얼리 보니 / 히나 안효민 : 아카이누 남도형 : 사보 한상혁 : 불릿 곽규미 : 센토마루 이현 : 모몬가 / 킬러 심규혁 : 헤르메포 / 드레이크 설영범 : 키자루 박요한 : 바질 호킨스 / 바스티유 김현욱 : 우루지 김민주 : 카포네 정주원 : 유스타스 키드 / 도널드 조경이 : 타시기 / 앤 황창영 : 아푸 / 브랑뉴 / 메이너드 김진홍 : 페스타 송하림 : 알비다 김예림 : 킨데렐라 장서화 : 페스타 부하 최현수 : 로메오 부하 = = 수상 정보 = = 2019년 제52회 시체스영화제 초청 애니메이션 스페셜 센서스 2020년 제43회 일본 아카데미상 후보 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 = 애수의 여로 = 애수의 여로(Separate Tables)는 미국에서 제작된 델버트 맨 감독의 1958년 영화이다. 리타 헤이워스, 데버러 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헤럴드 헥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영화 제목은 원작인 테런스 래티건의 단막극 2편을 묶어부르는 이름이다. 데이비드 니븐과 웬디 힐러는 각각 아카데미 남우주연상과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리타 헤이워스 데버러 카 데이비드 니븐 웬디 힐러 버트 랜캐스터 = = = 조연 = = = 글래디스 쿠퍼 캐슬린 네스비트 필릭스 에일머 로드 테일러 오드리 돌턴 메이 핼럿 프리실러 모건 힐더 플로라이트 = = 제작진 = = 미술: 해리 호너 의상: 메리 그랜트 의상: 이디스 헤드 = 서준 = = = 실존 인물 = = 서준(1991~) - 대한민국의 배우. = = 가공의 인물 = = 술의 나라의 등장인물 VIP의 등장인물 피리부는 사나이의 등장인물 이 구역의 미친 X의 등장인물 조아서 구독중의 등장인물 블루버스데이의 등장인물 = 분류:계룡시의 스포츠 대회 = = 틀:전임후임 국회의원2 = :틀:전임후임 국회의원와 달리 자동으로 분류가 되지 않음. = = 사용법 = = {{전임후임 국회의원2 }} : 필수 입력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 분류:케임브리지셔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대구은행 = 대구은행(大邱銀行, Daegu Bank)은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설립한 지방은행으로, DGB금융지주(DGB금융그룹)의 은행부문 자회사인데, 주 영업 구역인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시지역과 대구근처인 칠곡,성주,고령,청도와 도청소재지인 예천만 있다. 지역 이외에는 경상남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에 지점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 = 영업점 = = = = = 국내 지점(2023년 12월 말) = = = 지점 및 출장소: 200개 = = = 국외 지점(2022년 6월 말) = = = 중국 - 상하이지점 베트남 - 호치민지점 캄보디아 - DGB상업은행 = = 연혁 = = 1968년 대구, 경북 지역 상공인들이 주도하여 국내 최초로 지방은행 설립 1969년 중앙네거리에 본점 준공 1972년 증권거래소 상장 1975년 대구시 시금고 선정 1985년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2가에 본점 준공, 이전 2010년 카드넷 인수 2011년 5월 DGB금융그룹 출범 2011년 6월 DGB금융그룹 상장, 법에 따라 대구은행 상장폐지 2012년 1월 DGB캐피탈(구 메트로아시아캐피탈) 출범 2012년 4월 DGB데이터시스템 설립 2013년 12월 카드넷과 유페이먼트 합병. 사명은 유페이먼트로 통일(존속 법인은 카드넷) 2013년 12월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 제2본점 착공 2015년 1월 DGB생명(구 우리아비바생명) 출범 2015년 8월 유페이먼트, DGB유페이로 사명 변경 2015년 8월 21일 대구신용정보, DGB신용정보로 사명 변경 2016년 8월 24일 북구 칠성동2가 제2본점 완공 2016년 10월 DGB자산운용(구 LS자산운용, 현 하이자산운용) 출범 2017년 1월 DGB생명 완전자회사 편입 2018년 10월 30일 하이투자증권 인수 = = =갤러리 = = = = = 카드 = = 비씨카드만 취급한다. 신용카드는 발급 수수료가 없으나, 체크카드는 발급 수수료 2,000원이 부과된다. 대신 체크카드는 발급월을 포함하여 익월(매출전표 접수 기준)까지 3만 원 이상 이용하면 발급한 월의 다음다음 월에 23영업일에 발급 수수료 2,000원을 결제 계좌로 캐시백해 준다.반면 부산은행은 체크카드 발급비 환급이 없다. 단, 신 상품이 나오면 프로모션 차원에서 체크카드 발급비를 면제하기도 하며, 콜센터나 셀프창구에서 신청하면 발급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2020년 10월 27일부터는 모바일/인터넷뱅킹으로 신청했을 때에도 발급비를 면제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대구은행 지점수령 선택도 가능하다. 후불교통카드가 장착된 체크카드는 오직 지점에서만 발급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뱅킹으로는 신청할 수 없다. 체크카드는 국내전용 외에 비씨 글로벌, 중국은련, 마스터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마스터카드는 2014년에 발행을 시작한 마스타 영플러스 체크카드마스터카드가 달린 것은 회색 바탕이고, 흰색 바탕은 국내전용이다.와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후불교통형 한정)이 있다. 그러나 마스타 영플러스 체크카드는 아이튠스 스토어에서 결제용 카드로 등록이 안 되므로 사용할 수 없다.대구BC뿐만 아니라 다른 비씨 마스타 체크카드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 그런데 대구BC 마스타 체크카드는 아이튠스 스토어에 결제용 카드로 등록할 수 없으면서 매번 결제용 카드의 등록을 시도할 때마다 아이튠스 쪽으로 1달러 가승인을 하는 버그가 한동안 있었으며, 현재는 이 버그가 수정됐다. 물론 해당 가승인액 1달러는 추후에 알아서 환급해 준다. 거기에 대구BC 비씨 글로벌은 우리카드 외에는 비씨카드의 전산 문제로 해외신용판매가 안 되기 때문에 국제현금카드의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 은련과 마스터카드만 해외신용판매가 가능하지만, 비씨카드의 시스템 문제로 은련은 오프라인에서만 외국 사용이 가능하다. 비씨카드의 특성상, 카드 해지 등은 비씨카드 홈페이지가 아닌 대구은행 인터넷뱅킹에서 해야 한다. 그 외의 카드사들 중에서는 일부 상품에 한하여 신한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우리카드의 체크카드를 연결할 수 있다. 그 중 현대카드는 체크카드가 국내전용만 나오고, 롯데카드는 비자카드만 해외 사용이 가능하다. 카드의 갱신발급은 유효기간 만료 6개월 전부터 가능하다. 자동갱신 외 수동으로 갱신하려면, 콜센터로 전화해야 한다. 인터넷뱅킹이나 앱에서 카드 재발급을 신청하면 100% 훼손재발급으로 처리되고, 절대로 카드 유효기간이 연장되지 않는다. = = 금융제휴 = = 다른 지방은행들과 달리 제휴 ATM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2019년 7월 24일에 BGF리테일과 협약하여 CU편의점 내 기기 출금 수수료를 대구은행 수수료로 적용받을 수 있게 했다.DGB대구은행, BGF리테일과 금융서비스 MOU 등 - 뉴시스 그리고 포켓CU 앱에서 대구은행 적금상품을 판매했다.CU, 대구은행과 손잡고 금리 '2.7%' 적금상품 판매 - 노컷뉴스 2022년 12월에는 코리아세븐과 제휴했다. 단, 대구 외 지역에서만 대구은행의 수수료 혜택이 적용된다.세븐일레븐, DGB대구은행 ATM 서비스 무료로 받자! - 머니S = = 역대 대구은행장 = = 김준성 (1967~1975) 남옥현 (1975~1981) 정달용 (1981∼1984) 권태학 (1984~1989) 이상경 (1989∼1992) 홍희흠 (1992∼1996) 서덕규 (1996∼2000) 김극년 (2000∼2005) 이화언 (2005~2009) 하춘수 (2009~2014) 박인규 (2014~2018) 김태오 (2019~2020) 임성훈 (2020~2022) 황병우 (2023~ ) = 분류:지바 과학대학 교수 = = 분류:레바논의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 일묵 = 일묵은 다음을 의미한다. 일묵(一默): 서정화의 호 일묵(一默): 조선 중기의 문신 정경세의 호 =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연극 배우 = = 분류:알바니아의 행정 구역 = = 태풍 바비 (2015년) = 2015년 제3호 태풍 바비 (태풍 번호: 1503, JTWC 지정 번호: 03W 국제명:BAVI)는 3월 12일 새벽에 발생한 열대 폭풍이다. 미국 괌 동남동쪽 27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바비는 발생 시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반경 390km, 크기 '중형'이었으나 서북서진하며 조금씩 발달하여 3월 14일 오후 9시 경 괌 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 강풍반경 500km의 세력 '약', 크기 '대형'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최성기 세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 태풍은 괌 부근에 다다랐지만 괌 부근 해상을 통과한 후 약화되어 3월 18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3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이후 잔여물인 열대저압부는 필리핀을 통과하여 많은 비를 뿌렸다. '바비'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바비산맥에서 따온 이름이다. = 라이아 소프트 = 라이아 소프트(ライアーソフト)는 2003년 창립된 일본의 성인 미소녀 게임 메이커 브랜드이다. = = 주요작품 = = 칠흑의 샤르노스 혁염의 인가노스 창천의 세레나리아 ~ What a beautiful World 자영의 소나닐 = = 산하 브랜드 = = 레일 소프트 = = 관련 사이트 = = 공식 사이트 산하 브랜드 '레일 소프트' 공식 사이트 = 분류: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 = 분류:키리바시의 민족 = = 바깥 = 바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 스포츠 용어 아웃을 뜻하는 문화어로서 바깥공의 준말이다. = 포털:만화/오늘의 문서/캘빈과 홉스 = 캘빈과 홉스는 미국의 만화가 빌 와터슨이 지은 연재만화로, cleveland.com에 의하면 1985년 11월 18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2400개가 넘는 일간지에 연재되었다. 여섯 살 소년 캘빈과 그의 호랑이 인형 홉스가 등장한다. 두 등장인물의 이름은 16세기 프랑스 신학자 장 칼뱅과 17세기 영국의 철학자 토머스 홉스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자세히 읽기... = 코파카바나 (리우데자네이루) = 코파카바나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남동부에 위치한 관광 지역으로 대서양과 접한다. 약 4km에 달하는 하얀 모래 해변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 2016년 하계 올림픽 비치발리볼 경기가 열렸다. = 에우리스테우스 = 에우리스테우스(Εὐρυσθεύς)는 아르골리스 내의 미케네계 왕국 3강자 중 하나인 미케네와 티린스 왕국의 왕이었다. 그는 미케네의 왕 스테넬로스와 니키페의 아들이었고 페르세우스의 손자였다.알려지지 않은 전설에는 그도 제우스의 아들이라 한다. 그는 헤라클레스의 경쟁자였다. 헤라클레스보다 늦게 태어나기로 예정되었으나 헤라클레스를 시기한 헤라는 그를 헤라클레스보다 먼저 태어나게 했다.호메로스. 일리아스. 제19권 95행 이하. 그는 안티마체와 결혼하였는데 그녀는 암피다마스의 딸이었다. 그들에게서는 아드메테 등의 딸이 태어났다. 헤라는 에우리스테우스(폭넓은 힘)의 후원자였고 제우스는 헤라클레스(헤라의 명성)의 후원자였다. 헤라클레스 사후 알크메네는 사촌동생이자 헤라클레스를 박해했던 에우리스테우스의 눈을 뽑아 죽였다고도 한다. 다른 신화 전승에서 그는 아테나이로 도피하였고 테세우스의 아들 데모폰이 보호하였다고 한다. 데모폰은 최선을 다해 그를 지켰으나 도리스족의 반발로 마지못해 넘겨주게 되자 그는 유언에서 자신을 지켜준 대가로 자신이 죽은 뒤 아테나이에 묻히게 하면 도리스족이 나중에 침략할 때 아테네를 지켜주겠다고 유언하였다. 그가 죽은 뒤 2백년후, 도리스 족이 남하할 때 그리스의 여러 폴리스들은 파괴되거나 지배세력이 교체되었지만 아테나이는 무사하였다 한다. 아들이 없었으므로 그의 뒤는 외가 친족인 아트레우스가 계승하였다. = 분류:250년대 = = 분류:K리그2의 우루과이인 축구 선수 = = 장수영 (1940년) = 장수영(1940년 의주군 포항공과대학교의 전 총장이다. = = 학력 = = 1961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석사 1971년 메릴랜드 대학교 박사 = = 경력 = = 미국에서 연구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 = 기타 = = 1960년생 산업공학과 교수와는 다른 사람이다. = 송에어 = 송에어는 한 때 존재했던 항공사로 델타 항공의 자회사이자 미국의 저비용 항공사로 2003년에 델타 익스프레스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어 2006년에 델타 항공과 통합했다. = = 역사 = = 2003년 델타 항공은 델타 익스프레스를 없앤 대신 새로운 저비용 항공사 설립을 추진 했는데 송에어의 설립 목적은 미국 북동부의 도시와 플로리다주를 연결하는 노선의 제트블루 항공에 대한 대응책으로 플로리다와 서해안, 북동부와 서해안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다. 허브 공항은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과 올랜도 국제공항이었다. 델타 항공에서 운영했기 때문에 스카이팀 멤버에 해당했다. 객석은 가죽에서 모든 자리에 위성 방송을 볼 수 있는 TV나 게임이 비치되어 있었다. 기내에서는 소프트 드링크가 무료로 제공되었다. 2006년 5월 이후 송에어 운항이 중지되고 델타 항공에 합병을 2005년 10월에 발표되었다. 송에로 운항하고 있던 48대의 보잉 757-200은 델타 항공의 디자인에 다시 재도색 후 26석의 퍼스트 클래스 자리를 마련했다. 위성 방송이나 좌석 사이가 넓다는 이유로 장거리 노선에서 서비스가 계속된다. = = 보유 기종 = = 보잉 757-200: 48대 = KHR-1 (대한민국) = KHR-1(KAIST Humanoid Robot Platform-1)는 KAIST가 2001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2002년에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실생활에서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의 로봇으로서(키 120 cm, 몸무게 48 kg), 2003년 8월, 국내 최초로 이족 보행을 동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총 21개의 자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직진보행, 좌우보행, 곡선 보행이 가능하며, 1 km/h의 보행속도를 기록하였다. 이는 이후 개발된 KHR-2와 Hubo(KHR-3)의 모태가 되었다. = 분류:히라카타시의 교육 = =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抱川 漢灘江 멍우리 峽谷)은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에 위치한 자연명승이다. 2013년 2월 6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94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멍우리 협곡은 한탄강변을 따라 주상절리가 발달되어 있어, 뛰어난 경관을 볼 수 있다. 멍우리 협곡의 높이는 20~30m 내외이며 길이는 약 4km이다. 멍우리 협곡에는 주상절리 침식과 박리로 인한 소형 하식동굴이 30여기 정도 형성되어 있다. = 효자로 (포항시) = 효자로(Yoja-ro)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서 대잠동을 거쳐 승리교차리까지 연결하는 도로이다. 2009년 12월 1일 도로명 주소 사업에 인해 효자로로 지정되었다.새주소 안내 시스템 - 효자로 = = 노선 구간 = = *승리교차로 지곡로 *지곡승리아파트 *사거리 명칭 미상 행복길, 효행길 *효자아울렛 *삼거리 명칭 미상 행복길 *대잠고가교 희망대로 = = 차로수 = = 왕복 4차로 = 분류:네덜란드-유럽 연합 관계 = = 이시다 마사토시 = 이시다 마사토시(いしだ まさとし)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이시다 마사토시 (정치인)(石田真敏) 이시다 마사토시 (축구 선수)(石田雅俊)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일본의 주빌로 이와타 소속이다. = 분류:1970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참가 선수 = = 1985 K리그 자유선발 = 1985년도 K리그는 구단별 자유계약제로 신인선수를 선발하였다. 포항제철 아톰즈 : 이흥실, 조긍연 등 13명 할렐루야 독수리 : 조윤환 등 10명 현대 호랑이 : 이경남, 김종환, 곽성호 등 9명 럭키금성 황소 : 최진한 등 8명 대우 로얄즈 : 박노봉 등 2명 = 분류:스위스의 이전 지방 자치체 = = 글루타티온 = 글루타티온(, GSH)은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리신의 세 가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결정성 펩타이드이자 식물, 동물, 균류 및 일부 세균과 고균에서의 항산화제이다. 글루타티온은 자유 라디칼, 과산화물, 지질 과산화물, 중금속과 같은 활성 산소로 인한 세포의 중요 성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글루타티온은 글루탐산 곁사슬의 카복실기와 시스테인 사이에 γ-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고, 시스테인 잔기의 카복실기는 글리신과 정상적인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트라이펩타이드이다. = = 합성 및 생성 = = 글루타티온 생합성 과정은 아데노신 삼인산(ATP) 의존적인 두 가지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 γ-글루타밀시스테인은 L-글루탐산과 시스테인으로부터 합성된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는 글루탐산-시스테인 연결효소(γ-글루타밀시스테인 합성효소)가 필요하다. 이 반응은 글루타티온 합성 과정에서의 속도 제한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글리신은 γ-글루타밀시스테인의 C-말단에 첨가된다. 이러한 축합 반응은 글루타티온 합성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모든 동물 세포가 글루타티온을 합성할 수 있고, 특히 간에서의 글루타티온 합성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탐산-시스테인 연결효소 촉매 소단위체(GCLC) 유전자제거 생쥐는 간에서 글루타티온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생후 1개월 이내에 사망한다. 글루타티온의 특이한 γ-펩타이드 결합은 펩티데이스에 의한 가수분해로부터 글루타티온을 보호한다. = = = 생성 = = = 글루타티온은 동물 세포에 0.5~10 mM로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싸이올이다. 글루타티온은 세포 기질과 세포 소기관에 모두 존재한다. 사람은 글루타티온을 합성할 수 있지만, 콩과 식물, 엔트아메바, 람블편모충속을 포함한 일부 진핵 생물들은 글루타티온을 합성할 수 없다. 글루타티온을 만드는 유일한 고균은 할로박테리아이다. 남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와 같은 일부 세균들은 글루타티온을 생합성할 수 있다. = = 생화학적 기능 = = 글루타티온은 환원형(GSH) 및 산화형(GSSG)으로 존재 한다. 세포 내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 대 환원된 글루타티온의 비는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의 척도이다. 건강한 세포 및 조직에서 총 글루타티온 풀의 90% 이상이 환원된 형태(GSH)이고, 나머지는 산화된 형태(GSSG)이다. GSSG 대 GSH 비율의 증가는 산화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산화된 상태에서 시스테닐 잔기의 설프하이드릴기는 1가의 환원 당량의 공급원이다. 이에 따라 글루타티온 이황화물(GSSG)이 생성된다. 산화된 상태는 NADPH에 의해 환원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 과정은 글루타티온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 = 역할 = = = = = 항산화제 = = = 환원된 형태의 글루타티온(GSH)은 활성 산소를 환원시켜 세포를 보호한다. 이러한 전환은 과산화물의 환원으로 설명된다. 다음은 자유 라디칼과의 반응이다. = = = 조절 = = = 글루타티온은 불활성 라디칼 및 반응성 산화제 외에, 산화환원 조절된 번역 후 변형 과정에서의 싸이올 변형인 단백질의 S-글루타티오닐화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 하에서 세포성 싸이올 단백질의 싸이올 보호 및 산화환원 조절에 참여한다. 일반적인 반응은 보호가능한 단백질(RSH) 및 환원된 글루타티온(GSH)으로부터 비대칭 이황화물의 형성을 포함한다. 글루타티온은 산화 스트레스 하에서 생성되는 독성 대사산물인 메틸글리옥살 및 폼알데하이드 해독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해독 반응은 글리옥살레이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글리옥살레이스 I 은 메틸글리옥살 및 환원된 글루타티온의 S-D-락토일-글루타티온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글리옥살레이스 II 는 S-D-락토일-글루타티온의 글루타티온 및 D-락트산으로의 가수분해를 촉매한다. 비타민 C 및 비타민 E와 같은 외인성 항산화제는 환원성(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 = = 물질대사 = = = 많은 대사 과정 중에서 류코트라이엔과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 과정에 글루타티온이 필요하다. 글루타티온은 시스테인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타티온은 산화 질소 순한의 일부로 시트룰린의 작용을 증강시킨다. 글루타티온은 보조 인자이며, 글루타티온 퍼옥시데이스에 작용한다. = = = 공액 = = = 글루타티온은 비생체물질의 물질대사를 촉진시킨다.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레이스는 소수성인 비생체물질과의 공액을 촉매하여, 배설 또는 추가적인 대사를 촉진한다. 공액 과정은 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NAPQI)의 대사에 의해 설명된다. 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은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에 대한 사이토크롬 P450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성 대사산물이다. 글루타티온은 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과 공액되어 배설된다. = = = 잠재적 신경전달물질 = = = 글루타티온은 산화된 글루타티온(GSSG) 및 S-나이트로소글루타티온(GSNO)와 함께 NMDA 수용체 및 AMPA 수용체의 글루탐산 인식 부위의 이들 분자의 γ-글루타밀 부분을 통해 결합한다. GSH 및 GSSG는 신경조절물질일 수 있다. 밀리몰 농도에서 GSH 및 GSSG는 또한 NMDA 수용체 복합체의 산화환원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글루타티온은 리간드 개폐 이온 통로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시켜 잠재적인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GSH는 뮐러 신경교세포로부터 퓨린작동성 P2X7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망막 뉴런과 신경교세포에서 일시적인 칼슘 신호 및 γ-아미노뷰티르산(GABA)의 방출을 유도한다. = = = 식물에서 = = = 식물에서 글루타티온은 스트레스 관리에 관여한다. 글루타티온은 독성이 있는 과산화 수소를 감소시키는 시스템인 글루타티온-아스코르브산 회로의 구성 요소이다. 글루타티온은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을 킬레이트하는 피토킬라틴, 글루타티온 올리고머의 전구체이다. 글루타티온은 슈도모나스 시링가에(Pseudomonas syringae) 및 피토프토라 브라시카에(Phytophthora brassicae)와 같은 식물의 병원체에 대한 효율적인 방어 작용을 위해 필요하다. 황 동화 경로의 효소인 아데닐릴-황산 환원효소는 글루타티온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한다. 글루타티온을 기질로 사용하는 다른 효소로는 글루타레독신이 있다. 이 조그마한 산화환원효소는 꽃 발생, 살리실산 및 식물의 방어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 = 생체 이용률 및 보충 = = 경구 섭취된 글루타티온의 전신 생체 이용률은 트라이펩타이드가 소화관의 프로테에이스의 기질이고, 세포막 수준에서 글루타티온에 대한 특정 운반체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낮다. 글루타티온의 직접적인 보충은 성공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테인 및 글리신과 같은 글루타티온 생성에 사용되는 원료 영양물질의 공급이 글루타티온의 수준을 높이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와 같은 다른 항산화제는 글루타티온과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과산화 수소(H2O2)를 해독하기 위해 작용하는 글루타티온-아스코르브산 회로는 이러한 현상의 매우 구체적인 예 중 하나이다. 또한 아세틸시스테인 및 α-리포산(관련이 없는 α-리놀렌산과 혼동하지 않아야 함)과 같은 화합물은 글루타티온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아세틸시스테인은 글루타티온의 심각한 고갈로 인해 부분적으로 유해한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중독의 일종인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다 복용을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아세틸시스테인은 시스테인의 전구체이다. 비타민 D3의 활성 대사산물인 칼시트라이올(1,25-다이하이드록시비타민 D3)은 콩팥에서 칼시페다이올로부터 합성된 후 뇌에서 글루타티온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글루타티온을 생성하기 위한 촉매로 보인다. 신체가 비타민 D3를 칼시트라이올로 처리하는 과정은 약 10일이 걸린다. 메틸기 전이에 관여하는 보조 인자인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또한 질병 관련 글루타티온 결핍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서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수준의 글루타티온은 암, AIDS, 패혈증, 외상, 화상 및 운동과 훈련에서 볼 수 있듯이 낭비성 및 음성 질소 균형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또한 글루타티온은 기아시에도 낮은 수준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효과는 산화적 인산화 수준의 감소로 인한 악액질과 관련된 더 높은 해당과정의 활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된다. = = 글루타티온의 측정 = = = = = 엘만 시약 및 모노브로모바이메인 = = = 환원된 글루타티온은 엘만 시약 또는 모노브로모바이메인과 같은 바이메인 유도체를 사용하여 시각화될 수 있다. 모노브로모바이메인을 사용한 방법이 더 민감하다. 이 과정에서 세포를 용해시키고 HCl 완충 용액을 사용하여 싸이올을 추출한다. 싸이올은 이어서 다이싸이오트레이톨로 환원되고, 모노브로모바이메인으로 표지된다. 모노브로모바이메인은 글루타티온에 결합한 후에 형광을 띤다. 이어서 싸이올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리하고 형광을 형광 검출기로 정량화한다. = = = 모노클로로바이메인 = = = 모노클로로바이메인을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염색한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정량화한다. 이러한 정량화 과정은 형광 변화율 측정에 의존하며, 식물 세포로 제한된다. 5-클로로메틸플루오레세인 다이아세트산(CMFDA)은 또한 글루타티온 탐침으로 잘못 사용되어 왔다. 글루타티온과 반응할 때 형광이 증가하는 모노클로로바이메인과는 달리, CMFDA의 형광 증가는 세포 내 아세틸기의 가수분해로 인한 것이다. CMFDA는 세포에서 글루타티온과 반응할 수 있지만, 형광의 증가는 이러한 반응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CMFDA를 글루타티온 탐침으로 사용하는 연구는 재검토하고 재해석되어야 한다. = = = 싸이올퀀트 그린 = = = 이러한 바이메인 기반 탐침 및 기타 보고된 많은 탐침들의 주요 제한 사항은 이러한 탐침들이 글루타티온과 비가역적인 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글루타티온을 모니터링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근, 글루타티온에 대한 형광 탐침-싸이올퀀트 그린(TQG) 기반의 가역적 반응이 보고되었다. 싸이올퀀트 그린은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단일 세포에서 글루타티온 수치의 고해상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세포를 측정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에 적용할 수도 있다. = = = 리얼싸이올 = = = 리얼싸이올(RT) 탐침은 2세대 가역 반응 기반의 글루타티온 탐침이다. 리얼싸이올의 몇 가지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1) 리얼싸이올은 싸이올퀀트 그린에 비해 순방향 및 역방향 반응 속도가 훨씬 더 빠르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에서 글루타티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2) 세포 기반 실험에서 염색에 마이크로몰 미만의 리얼싸이올이 필요하며 이는 세포에서 글루타티온 수치의 최소한의 변화를 유도한다. 3) 배경 노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고수율의 쿠마린 형광단이 구현되었다. 4) 리얼싸이올과 글루타티온 간의 반응 평형 상수는 생리적으로 관련된 글루타티온의 농도에 반응하도록 미세 조정되었다. 리얼싸이올은 고해상도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단일 세포에서 글루타티온 수치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세포 분석을 적용하여 대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포소기관 표적 리얼싸이올(RT) 탐침도 개발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 표적화된 버전인 MitoRT가 보고되었고, 공초점 현미경 및 FACS 기반 분석 둘 다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글루타티온의 역동성을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 = 단백질 기반 글루타티온 탐침 = = = 생리학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에서는 절차를 주의 깊게 수행하고 불순물의 생성을 적절하게 다루지 않으면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에서 공간적, 시간적으로 높은 해상도에서 글루타티온의 산화환원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접근법은 산화환원 감수성 녹색 형광 단백질(roGFP) 또는 산화환원 감수성 황색 형광 단백질(rxYFP) GSSG를 사용한 산화환원 영상화에 기초한다. GSSG의 농도는 모든 고형 조직에서 10~50 μM, 혈액에서 2~5 μM이다. GSH 대 GSSG의 비율은 100~700 사이이다. 그러나, 이들 비는 상이한 세포 내 구획(예를 들어, 소포체에서 보다는 산화되고,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보다는 환원됨)으로부터 상이한 산화환원 상태의 글루타티온 풀로부터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생체 내 GSH 대 GSSG 비는 세포기질에서 50,000~500,000의 비를 나타내는 형광 단백질 기반의 산화환원 센서를 사용하여 세포 내 정확도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GSSG 농도가 pM 범위로 유지됨을 의미한다. = = 기타 생물학적 영향 = = = = = 납 = = = 글루타티온의 설프하이드릴기는 납(II)과 상대적으로 강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 = = 암 = = = 일단 종양이 형성되면, 높은 수준의 글루타티온이 화학 요법 약물에 대한 내성을 부여함으로써 암세포를 보호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항신생물제 머스터드 약물인 칸포스파미드는 글루타티온의 구조에 관해 모델링되었다. = = = 낭포성 섬유증 = = = 낭포성 섬유증 환자들에게 흡입된 글루타티온을 도입하는 것의 효과에 대한 몇 가지 연구가 완료되었다. = = = 알츠하이머병 = = = 세포 외 아밀로이드 베타(Aβ) 플라크, 신경섬유매듭(NFT), 반응성 별아교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및 뉴런 손실은 모두 알츠하이머병의 일관된 병리학적 특징이지만, 이들 인자들 사이의 기계적인 연관성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과거에 대부분의 연구들은 섬유상 아밀로이드 베타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가용성 올리고머 아밀로이드 베타 종은 현재 알츠하이머병에서 병리학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글루타티온의 상향 조절은 올리고머 아밀로이드 베타 및 신경독성 효과에 대해 보호적일 수 있다. 해마에서 폐쇄형의 글루타티온이 고갈되면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 = = 용도 = = = = = 포도주 양조법 = = = 포도주의 첫 번째 원료 형태인 머스트에서 글루타티온의 함량은 포도 반응 생성물로서 효소적인 산화에 의해 생성된 카페오일타타르산 및 퀴논을 포획함으로써 백포도주를 생성하는 동안 갈변 또는 캐러멜화 효과를 결정한다. 포도주에서 글루타티온의 농도는 UPLC-MRM 질량 분석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 = = 화장품 = = = 글루타티온은 피부톤을 밝게 위해 입으로 복용하는 가장 흔한 물질이다. 글루타티온은 크림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작용하는 지에 대한 여부는 2019년을 기준으로 불분명하다. 정맥 투여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필리핀 정부는 그러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 = 더 읽을거리 = = * * * = 분류:로열 빅토리아 쇄장 수훈자 = = 한매 = = = 가공 인물 = =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의 등장 인물 미씽: 사라진 여자의 등장 인물 = 샤흘로 막스무도바 = 샥슬로 나시모브나 막스무도바(Shaxlo Nasimovna Maxmudova, ~ )는 소련·우즈베키스탄의 여자 외교관 겸 정치가이다. 소련 타슈켄트에서 러시아계와 타타르계의 혼혈로 출생한 그녀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비서실 외무총장 직책을 지냈다. = 분류:위키백과 링크 = = 허성관 = 허성관(許成寬, 1947년 1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제10대 해양수산부 장관과 제6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낸 정무직공무원이다. = = 학력 = = 광주서석초등학교 졸업 광주서중학교 졸업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상학과 학사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대학원 경영학 석사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대학원 경영학 박사 = = 경력 = = 1970 ~ 1976: 한국은행 근무 1978 ~ 1979: 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교수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교수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장 1990 ~ 1998: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연구분과위원회 위원장 1999: 기획예산처 정부투자기관운영위원회 민간위원 2002.12: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제1분과위원회 위원 2003.02 ~ 2003.09: 제10대 해양수산부 장관 2003.09 ~ 2005.01: 제6대 행정자치부 장관 2006.02 ~ 2008.06: 제4대 광주과학기술원장 제1대 광주전남연구원 원장 경기연구원 이사장 2018.09 ~ : 제4대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겸 롯데복지재단 이사장 = = 가족 관계 = = 동생 허성무: 정당인, 경상남도 창원시장(더불어민주당) = 선저우 10호 = 선저우 10호는 선저우 우주선 계열로, 중화인민공화국의 5번째 유인우주선이다. 2013년 6월 11일 내몽골 자치구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2F야오10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 분류:음악을 바탕으로 한 작품 = = 분류:메리다 (스페인) = = GV = GV, Gv, gv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다. gv는 맨어의 ISO 639 언어 부호이다. 잔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 조지 5세(George V) 제툴리우 바르가스(Getúlio Vargas) 고어 비달(Gore Vidal) 그래스밸리 (캘리포니아주)(Grass Valley) 록히드 GV(Lockheed GV) 구글 보이스(Google Voice) GV (기업) = 남동부 행정구 = 남동부 행정구 또는 유고보스토치니 행정구는 모스크바의 남동부에 위치한 구이다. 12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분류:아이슬란드의 사회 운동 = = 밀양시·창녕군 = 밀양시·창녕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남도 밀양시, 창녕군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시 선거구와 창녕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루어진 선거구 개편 과정에서 의령군과 함안군을 편입해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2000년 한나라당 김용갑 2004년 한나라당 김용갑 2008년 한나라당 조해진 2012년 새누리당 조해진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 = = 네버 세이 굿바이 (영화) = 네버 세이 굿바이(Kabhi Alvida Naa Kehna, Never Say Goodbye)는 인도에서 제작된 카란 조하르 감독의 2006년 드라마 영화이다. 샤룩 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샤룩 칸 라니 무케르지 = = = 조연 = = = 아미타브 밧찬 쁘리티 진따 아비쉑 밧찬 키론 커 아르준 람팔 = = 제작진 = = 의상: 매니쉬 말호트라 배역: 숀 파워스 배역: 리타 파워스 = 자우라즈 = (자우라즈)는 열혈최강 고자우라에 등장하는 가공의 단체다. 국내명은 공룡 수비대. = = 멤버 = = 미네자키 켄이치 (태양) / 성우 : 정미숙 아사오카 시노부 (꼭지) / 성우 : 아마노 유리/서혜정 타치바나 히로미 (용이) / 성우 : 하야시바라 메구미 시로가네 타로 (황우람) / 성우 : 시마다 빈/김정미 코즈 에리카 (장미)/성우 : 하야시바라 메구미/김순영 히야마 요우지 (나미남) / 성우 : 유지영 오오야마 이쿠요 (방실이) : 공룡 수비대의 일원으로 뚱뚱한 외모의 소녀이다. 캡틴 사우르스의 어깨 부분에서 전투시 활동한다. 그다지 비중은 없으며 마음이 착하고 여린 성격이다. 오사다 슈조 (에디슨) / 성우 : 아마노 유리/이연희 코지마 타카코 (박사) / 오오타니 이쿠에 = 틀:영성 관련 주제 = = 네오무기차 사건 = 네오무기차 사건 또는 니시테츠 고속버스 탈취 사건은 2000년 일본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한 소년이 2ch에 범행예고를 올리고서 부엌칼로 버스기사를 위협해 고속버스를 납치한 사건이다. 범인인 소년은 네오무기차라고 자칭했다. = = 개요 = = 2000년 5월 3일 12시 56분경, 당시 10대 청소년이었던 타니구치 세이이치가 칼을 들고 니시테츠 고속버스 소속 고속버스 "와카쿠스호"를 탈취하여, 약 16시간 동안 인질극이 벌였다. 사건은 대치 끝에 특수급습부대(SAT)의 진압으로 종결되었으나, 인질극 과정에서 SAT 대원을 포함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1명이 과다출혈로 인해 사망했다. = 경계표지 = 경계표지는 도로에서 행정구역의 경계나, 어떤 지역에 진입하거나 빠져나감을 알리는 교통표지이다. = 분류:1529년 기독교 = = 모듈:Location map/data/Canada Yuko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Canada_Yuko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모듈:Location map/data/New Zealand West Coas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New_Zealand_West_Coas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예수 = = 분류:멕시코에 거주한 코스타리카인 = = 가마쿠라 막부 = 가마쿠라 막부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현재의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 설치한 막부이다. = = 통치 구조 = = 당초 가마쿠라 막부는 이른바 가마쿠라도노(鎌倉殿)를 주재자로 하는 무사를 수반으로 한 지방정권으로, 그 지배는 동국(東国)이라 불리던 일본 간토 지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조큐의 난(承久の乱) 이후 일본 전국적인 정권으로써 비약하게 되어 그 권력을 확대하게 된 것인데, 애초부터 전국 정권을 지향한 것도 아니었고 어디까지나 조정의 권력을 전제로 하는 지방 정권이었다. 그 큰 이유 가운데 하나가 가마쿠라 막부가 장원공령제(荘園公領制)를 전제로 하는 정권이라는 점이었다. 일본 역사에서 지방에서 토지를 사유하는 무사단의 기원은 덴표(天平) 15년(743년) 당시 일본 조정이 효과적으로 세금을 거두기 위해 발포한 이른바 간전영년사재법(墾田永年私財法)의 시행으로 토지 사유가 공인되었던 데에서 유래하며, 예로부터 그 지역에서 살고 있던 호족이나 힘 있는 농민들이 토지를 사유하게 되었는데, 지방관인 국인(国司)에 의한 엄격한 징세를 회피하기 위해 힘 있는 지주들은 중앙 조정의 구교(公卿)에게 자신들의 토지 일부를 기진하고, 그들 자신은 그렇게 해서 구교들에게 기진된 장원(荘園)의 장관(荘官, 개발영주)로써의 지위를 얻게 된 것이 그 계기였다. 기진한 귀족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고는 해도 이번에는 기진한 장원영주로부터의 갈취나 고쿠시와의 마찰, 인근 호족들에 의한 침략도 끊이지 않았고, 결국 농민들은 차츰 무장하게 되었다. 이것이 무사(武士)라는 계층의 탄생 요인으로 이어졌다. 나아가 유력 농민들이 시작의 단초로써 기여한 무사는 동시에 무사단의 기원으로 이어졌고, 수도인 헤이안쿄(平安京)에서 파견되어 온 하급 귀족(관인), 나아가 미나모토노 아손(源朝臣)이나 다이라노아손(平朝臣) 등 당상가(堂上家)나 지하가(地下家)를 상위로 하는 군사 귀족을 도료(棟梁)로 받들고 주종 관계를 맺음으로써 본령안도(本領安堵)나 항구 경영, 그리고 도적(몰락 무사 단속)이나 해적(수군 항목 참조)을 그들의 업으로 삼았다. 도료의 싸움에 종군하여 새로운 영지를 받는 것으로 번영의 실마리를 얻은 것이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그러한 각지의 무사단들을 통솔하는 귀족 명문 중의 명문이었고, 요리토모의 가마쿠라 막부란 고케닌(御家人)이 된 무사에게 지토(地頭)라는 직책을 주는 것으로 본령안도를 행하여 무공에 따라 새로운 영지를 주는 신은급여(新恩給与)를 행하였는데, 실로 장원공령제를 매개로 하는 것이었다. 하급자에 대한 어은(御恩)과 상급자에 대한 봉공(奉公)에 따라 무사의 이해를 대표하는 정권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마쿠라 막부의 정치적 기반 및 군사적 ・ 경제적 기반은 요리토모가 헤이케 추토의 은상 등으로 얻은 간토 지행국(関東知行国), 간토 어령(関東御領)이었다. 그리고 가마쿠라 막부가 조정 권력을 전제로 하는 정권이었다는 두 번째 이유가 가마쿠라 막부가 율령 법제상의 다양한 존립 근거를 채우는 형태를 거침으로써 성립했다는 점이다. 애초에 이즈에서 히루가코지마(蛭ヶ小島)라는 섬의 유형인이었던 요리토모가 헤이케 추토를 위한 병사를 일으키는 전제가 되었던 일이 왕자 모치히토 왕(以仁王)의 이른바 「영지」(令旨, 엄밀하게는 어교서御教書)였다. 오바 가게치카(大庭景親)를 비롯한 간토의 헤이케측 무사단을 쳐부순 요리토모는 지쇼(治承) 4년(1180년) 가마쿠라에 자신의 거점을 두고 통치를 시작하였는데, 이 시점에서는 아직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将門)와 다를 것이 없었던, 지극히 사적인 정권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주에이 (寿永) 2년(1183년에 들어 조정은 요리토모를 헤이케에 패하여 유형인이 되기 전의 위계인 종5위하(従五位下) 관위를 돌려주고 요리토모의 요망에 따라 헤이케가 동국 지역에서 행하던 장원이나 공령의 횡령을 폐지하고 옛 고쿠시나 장원영주에게 귀속시키는 권한을 승인하였다. 이른바 동국재량권(東国沙汰権)을 준 것이다. 그리고 이 권한의 이행을 위해 도고쿠의 지방관인 고쿠가(国衙)를 지휘할 권능도 인정되었던 것이다. 이른바 주에이 2년 10월 선지(寿永二年十月宣旨)이다. 겐랴쿠(元暦) 2년(1185년) 3월 24일에는 단노우라 전투(壇ノ浦の戦い)로 헤이케를 멸망시키는데 성공한 요리토모는 조적(朝敵) 추토의 공로자로써 헤이케가 소유하던 장원, 이른바 헤이케 몰관령(平家没官領)의 지배권을 요구하여 이를 승인받았고, 훗날 가마쿠라도노 직할 장원인 간토 어령이라는 불리는 소유 영지를 획득하였다. 또한 헤이케 멸망 뒤에는 요리토모에게 반기를 든 동생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와 숙부 미나모토노 유키이에(源行家)가 고시라카와 법황(後白河法皇)으로부터 요리토모 추토의 인젠(院宣)을 받자 요리토모는 이에 항의하여 조정을 요리토모가 추천한 구교들을 의주(議奏)로 해서 그러한 의주를 통해 조정의 정치를 담당시키게 할 것, 요시쓰네 ・ 유키이에 추토의 인젠을 발급할 것, 그리고 덧붙여서 이 추토를 위해 도고쿠 및 기나이에 슈고(守護) 및 지토를 설치하는 것을 허가하고 나아가 장원이고 공령이고 상관없이 反別五升의 병량미(兵粮米)를 징수할 권한을 요리토모에게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일본 역사에서 말하는 이른바 분지의 칙허(文治の勅許)이다. 그뒤 요리토모는 도고쿠에 강대한 독립 세력을 쌓은 오슈 후지와라 씨(奥州藤原氏)마저 멸망시키고 겐큐(建久) 원년(1190년) 11월, 곤노다이나곤(権大納言) 겸 우콘노에노타이쇼(右近衛大将)에 임명되었다(위계는 이미 겐랴쿠 2년인 서기 1185년에 종2위를, 분지 5년인 1189년에 정2위로 올라 있었다). 이로써 3위 이상의 구교로 인정받고 요리토모 자신의 가정(家政) 기관인 만도코로(政所) 설치를 공인받아 이제까지 요리토모가 독자적으로 설치해 오던 공문소(公文所)를 만도코로로 고치고 관직 우콘노에노타이쇼의 약칭 우대장(右大将)으로 인정받아 우대장가정소(右大将家政所)라 칭하였다. 이제까지 요리토모 개인로써의 관직 복귀나 도고쿠 처리권을 拠り所으로 하는 가마쿠라의 도고쿠 정권은 조정이 공인한 가정 기관으로써의 지위를 달고 통치 기관으로써의 정당성을 획득한 것이다. 겐큐(建久) 2년(1191년) 1월 15일, 가마쿠라에 돌아온 요리토모는 연두행사나 祝い事 등 画期に行われる 길서시(吉書始)를 행하였고, 우대장가정소를 司る 사등관으로써 만도코로벳토(政所別当)로 오에노 히로모토(大江広元), 령(令)으로 니카이도 유키마사(二階堂行政), 안주(案主)로 후지이 도시나가(藤井俊長), 지가사(知家事)로 나카하라 미쓰이에(中原光家)를 각기 임명하였으며, 問注所執事로 미요시 요시노부(三善善信), 사무라이도코로벳토(侍所別当)로 와다 요시모리(和田義盛), 사무라이도코로쇼시(侍所所司)로 가지와라노 가게토키(梶原景時), 공사봉행인(公事奉行人)으로 후지와라노 지카요시(藤原親能) 외 6인, 교토 슈고(京都守護)로 외척으로 구교이기도 한 이치죠 요시야스(一条能保), 진서봉행인(鎮西奉行人)으로 아마노 도카게(天野遠景)를 임명하여 가마쿠라 막부의 진용을 갖추었다. 겐큐 3년(1192년) 7月12日、요리토모는 조정으로부터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 선하(宣下)를 받았다. 『산괴기』(山槐記) 겐큐 3년(1192년) 7월 9일조 및 12일조에 따르면 요리토모가 바란 것은 「대장군」이었고, 그것을 수용한 조정에서 「총관」(惣官)・「정동대장군」(征東大将軍) ・「정이대장군」・「상장군」(上将軍) 이렇게 네 가지 후보가 제안되어 검토한 결과 다이라노 무네모리(平宗盛)가 임관되었던 「총관」이나 미나모토노 요시나카(源義仲)가 임관되었던 「정동대장군」은 흉례(凶例)라 하여 배척되고, 「상장군」도 일본에서는 그 선례가 없다 하여 과거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坂上田村麻呂)가 임관했던 「정이대장군」이 길례(吉例)로써 선택되었다고 한다. 이 시대에 있어서는 거의 명예직화되어 있던 정이대장군이었지만 좌대신(左大臣)에 해당하는 정2위라는 고위 관위에서 이 직책을 나아간 것은 군권에 기초하는 정권 담당자라는 의미가 더해져서 이것이 막부의 주재자에게 세습됨으로 해서 가마쿠라 막부는 조정을 대신하는 정권으로써 명실상부히 확립되었다. 또한 전시에 있어서 일본 전국의 병마를 동원할 수 있는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된 것은 요리토모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한 것을 의미하였다. 훗날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무가정권의 시조로써 일본의 무사들에게 신성시되게 된다. 이렇게 가마쿠라 막부는 조정의 공적인 제도인 장원 공령제를 전제로 하여 조정으로부터 여러 중한 권한을 승인, 위양받아 성립한 정권이었음을 알 수 있다. = = 역사 = = 일설에 의하면, 가마쿠라 막부는 1192년(겐큐(建久) 3년)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정이대장군으로 임관되어 시작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었지만, 요리토모의 권력·통치 기구는 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어, 현재는 실질적인 성립은 1192년 전인 즉 1185년이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또, 일본에서 첫 번째 무사 정권이라고 여겨진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헤이케 정권에 뒤를 잇는 무사 정권으로 자리 매김되고 있다. 요리토모는 무사 정권의 성립을 명확하게 선언한 것이 아닌 것도 있어, 후세의 연구가의 사이에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시기에 대하고 논의를 하였다. 막부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 이유로서는 가마쿠라 막부가 그 무사 정권으로서의 체제를 정돈하기까지는 몇 단계를 거치고 있는 걸로 있다. 우선 1180년(지쇼(治承) 4년)에 가마쿠라의 대창향(大倉郷)에 요리토모의 저택이 되는 오쿠라 고쇼(大倉御所)가 건설되었고 또 막부의 통치 기구의 원형이라고도 해야 할 사무라이도코로(侍所)가 설치되어 무사 정권의 확립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곤다이나곤(權大納言) 겸 우근위대장(右近衛大将)에 맡고 공경에 참석하여 장원 영주의 정무 기관인 만도코로(政所) 설치의 허가를 얻은 것으로, 말하자면 통치 기구로서의 합법성을 띠게 되어, 정이대장군의 작위가 하사(1192년) 되었다. 특히 단노우라 전투(1185년)로 헤이케 일족을 멸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이렇게 하여 가마쿠라 막부는 가마쿠라 시대를 통해서 명실 공히 무사 정권으로서 성립하게 되었다. 막부의 지배는 수호의 설치로 내부 치안 유지로 담당했지만, 그 지배는 한정적이었지만, 점차 범위를 확대하여, 죠큐의 난이나 원나라의 침입 등에서 전국적인 지배권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가마쿠라 막부는 1333년에 가마쿠라에 웅거하며 집권직을 독점하던 호조씨가 아시카가 다카우지, 구스노키 마사시게, 닛타 요시사다의 연합군에 멸망하고 그 막을 내렸다. 그 이전의 약 150년간을 가마쿠라 시대라고 부른다. 막부라고 하는 무사 정권의 형태는, 후에 무로마치 막부와 에도 막부로 계승되었다. = 타이무라스 티기예프 = 타이무라스 바즈노예비치 티기예프(, 1982년 1월 15일 ~ )는 러시아 태생 카자흐스탄의 레슬링 선수이다. 동생인 소슬란도 레슬링 선수이다.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레슬링 자유형 96kg급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2016년에 실시된 도핑 샘플 재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스테로이드 양성 반응이 나왔고 결국 메달을 박탈당했다. = 상현운수 = 상현운수(上峴運輸)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의 마을버스 회사이고, 본사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에 있다. = = 역사 및 현황 = = 2003년 11월 19일에 설립하였고, 현재 6개의 마을버스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 = 운행 노선 = =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 서수지IC ↔ 죽전역 성복자이1차, 성복동 행정복지센터, 이마트 수지점, 풍덕천2동 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1-1 광교웰빙타운 ↔ 죽전역 서수지IC, 성복힐스테이트3차, 성복동 행정복지센터, 이마트 수지점, 풍덕천2동 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2-1 상현동LG자이 ↔ 죽전역 만현마을, 상현2동 행정복지센터, 지역난방공사, 신정마을, 수지구청 12 5 상현파출소 ↔ 미금역 서원고등학교, 아이파크, 만현마을, 상현2동 행정복지센터, 지역난방공사, 풍덕천2동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현대아파트, 수지고등학교, 한국물류센타, 머내 8 5-1 구미동(머내.IBK기업은행) ↔ 수지구청역 동천역, 수지래미안이스트파크, 수지중학교, 수지고등학교, 삼성4차아파트, 광교산아이파크.토월공원 20~30 16 서수지IC ↔ 미금역 성동마을, 성복동 행정복지센터, 정평, 풍덕천2동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수지고등학교, 동천동 현대홈타운, 머내 12 82 서수지IC ↔ 죽전역 성복힐스테이트, 성복동 행정복지센터, 상현교차로, 아이파크, 정평, 풍덕천2동 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12 82-1 상현파출소 ↔ 죽전역 상현중학교, 아이파크, 정평, 풍덕천2동 행정복지센터, 수지구청, 현대아파트, 수지고등학교, 한국물류센타, 머내 20 88(A) 성복역.데이파크 ↔ 성복역.데이파크 LG빌리지2차.강남아파트 → LG빌리지1차 → LG3차아파트 → LG빌리지6차 → 수지자이아파트 → 힐스테이트2차 → 경남아너스빌 → 성복자이2차아파트 → 성복아이파크 → 성복고등학교 → 신봉동일하이빌3.4단지 → 진성프라자 → 신봉센트레빌1단지 → 현대빌리지.광교산자이 → LG자이2차아파트 → 신일초등학교 → LG자이1차.5차후문 → 신봉사거리 → 신리초등학교 → 서홍마을.효성화운트빌.우남아파트 → 수지이마트 → 태영.대우아파트 40 88(B) 성복동(태영아파트 ↔ 성복동(태영아파트 40 88(C) 성복역.데이파크 ↔ 신봉동일하이빌3.4단지 LG빌리지2차.강남아파트 → LG빌리지1차 → LG3차아파트 → LG빌리지6차 → 수지자이아파트 → 힐스테이트2차 → 경남아너스빌 → 성복자이2차아파트 → 성복아이파크 → 성복고등학교 → 신봉중학교.신봉고등학교.봉동일하이빌4단지 → 신봉센트레빌6차 → 신봉센트리빌5단지 → 진성프라자 → 신봉동일하이빌3.4단지 → 성복고등학교 → 성복아이파크 → 성복자이2차아파트 → 경남아너스빌 → 힐스테이트2차 → 수지자이아파트 → LG빌리지6차 → LG3차아파트 → LG빌리지1차 → LG빌리지2차.강남아파트 40 99 성복역.롯데몰.두산기술원 ↔ 상현역 서원마을현대홈타운.삼성쉐르빌, 현대아이파크10단지, 원희캐슬, 레이크포레아파트, 상현동성당, 서봉숲속공원, 광교지웰홈스(광교마을40단지), 상현고등학교, 새빛초등학교.광교상록자이, 상현중학교 801 상현역 ↔ 상현역 서봉숲속공원, 레이크포레, 원희캐슬프라자, 아이파크10단지, 성복역, LG빌리지, 포레나광교상현 50 = = 주요 차량 = =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 레스타, NEW BS090 현대자동차 - 뉴 카운티 하이거 버스 - 하이거 하이퍼스 비야디 자동차 - BYD eBus-9 = 분류:1958년 작품 = = 아사미 레이나 = 아사미 레이나( 1983년 6월 7일 ~)는 일본의 배우이다. 도쿄도 히가시무라야마시 출신이며 소속사는 레프로 엔터테인먼트이다. 잡지 모델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주로 드라마, 영화 배우로 활동 중이다. = = 출연 = = = = = 드라마 = = = 기묘한 이야기 '98 가을 특별편 반항하지마 스페셜 (1999년) 천체관측 (2002년) 닥터 고토 진료소 (2003년) 내가 걷는 길 (2003년) 워터 보이즈 2 (2004년) M의 비극 (2005년) 비와 꿈의 뒤에 (2005년) 힘내서 갑시다 (2005년) 브라더 비트 (2005년) 경시청 수사 1과 9계 (2006년) 어텐션 플리즈 (2006년) 사프리 (2006년) 호타루의 빛 (2007년) 몹걸 (2007년) 아사쿠사 후쿠마루 여관 (2007년) 1파운드의 복음 (2008년) 도쿄 DOGS (2009년) 전개걸 (2011년) = = = 영화 = = = 비밀 (1999년) 바보 (2010년) = 분류:영국의 힙합 그룹 = = 하야카와 사요 = 하야카와 사요(, 1983년 5월 23일 ~ )는 일본의 패션 모델이며, 여성 아이돌 그룹 SDN48의 전 멤버이다. = = 약력 = = 1월 상순, 이와테현에서의 이벤트로 향하는 신칸센의 차안에서 동잡지로 독자 모델이었던 카미노미야 리사에 현금 3040만엔 들어온 지갑을 도둑 맞았다고 발언했다(지문도 사실 확인도 잡히지 않았다). hair make Cintia의 프로모션 모델로서 참가. 4월, 국제 자원봉사 단체 『H=and Project』에 특별 서포터로서 참가. 동년 5월, 시즈오카현에서 「돌고래 만남 투어」 참가 등 당단체를 통해서 현재도 아직 적극적으로 자원봉사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5월, 「2010 캠퍼스 콜렉션 2010 SPRING」에 스페셜 게스트로서 출연. 고 스미레의 친어머니와의 공동 제작에 의한 팬던트를 발매해, 그 수익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재해지에 기부하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AKB48 관련 그룹이 5월 24일부터 간 리바이벌 공연 『「놓친 자네들에게」 ~AKB48 그룹 전 공연~』의 4일째가 되는 27일에 SDN48가 라이브를 실시했을 때에 3기생으로서 가입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6월, office48에의 소속 사무소 이적이 밝혀졌다. 7월호를 가지고 「소악마 ageha」를 졸업. 같은 잡지의 자매잡지 「언니 ageha」의 전속 모델이 되었다. 7월 28일, SDN48 공식 블로그에서 SDN48를 사퇴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 = = 소속 사무소 편력 = = = OKAZAKI MODELS→office48→프리 = = 인물 = = 소악마 ageha의 독자 모델이며 인기를 얻고 있다. 또, 2009년 6월에 서거 한 스미레와 함께 「DIVAS」의 디자인 등도 다루고 있었다. 특기는 스포츠와 하카타 벤으로 취미는 여행, 테니스, 육상, 이케이케토크. 장점은 밝은 곳에서, 단점은 성격이 급한 곳이라고 말하고 있다. 선배 후배의 관계면서도 사이가 좋았던 동기의 스미레의 죽음을 깊게 슬퍼하고 있었다. 2004년부터 상경해, 레이스 퀸으로서 활약했다. = = 출연 = = = = = 잡지 = = = 언니 ageha 소악마 ageha men's egg Men's SPIDER EDGE STYLE = = = 텔레비전 = = = 있을 수 있어 거치지 않는∞세계 (TV 도쿄, 2010년 6월 29일) 웃어도 좋다고! (후지 TV) 쿠와타 케이스케의 온가쿠토라상 ~MUSIC TIGER~ (후지 TV) 쾌도!! 시노비나 (TV 아사히) 히미쯔의 아라시쨩! (TBS) 더! 세계앙천뉴스 (니혼 TV) = = = DVD = = = 「키라모리」 (2009년 6월 23일, DVD 출연) = = = 패션쇼 = = = 시부야 걸즈 콜렉션 (2009년 3월) Sixh.×Men's SPIDER FASHION LIVE (2010년 5월 3일) = = = 쟈켓 사진 = = = 소악마 헤븐 (Gackt, 2009년 6월 10일) = = = 서적 = = = Gal's Colection = = = 참가 악곡 = = = SDN48 「アバズレ」 (2011년 8월 17일) - 언더걸즈 B 명의 = 분류:트릭스터 = = 프레드 보겔 = 프레드 보겔(Fred Vogel, 1976년 4월 18일 ~ )은 미국의 메이크업 아티스트, 영화 감독, 배우, 각본가, 영상 편집자, 촬영 감독이다. = = 영화 = = 머더 셋 피시즈 (2004년) 위대한 실험 (2003년) = 태풍 예니 = 태풍 예니 (Yanni)는 1998년 9월에 발생한 제9호 태풍이다. 남해안에 상륙했다가 다시 남진하는 특이한 진로를 보여주었고, 이 태풍의 영향으로 대한민국은 포항에 약 500mm의 비가 내리는 등의 피해를 보았다. = = 개요 = = 한반도에서는 한반도에 접근한 이 태풍 때문에 50명이 사망했다. 이 태풍에 의해 전선의 활동이 활발해져, 일본에서도 태풍의 습한 공기의 영향으로 넓은 범위에 폭우에 의한 피해가 발생했다. = 아드리앵 아르캉 = 아드리앵 아르캉는 1929년부터 1967년 사이에 파시스트 정치 운동을 이끌었던 캐나다의 언론인이다. 영어식으로는 에이드리언 아칸드로 불린다. 정치 경력 동안 그는 자신이 캐나다 총통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캐나다 방위 규정(Defence of Canada Regulations)에 따라 연방 정부에 의해 구금되었다. = 블랜포드과일박쥐 = 블랜포드과일박쥐(Sphaerias blanfordi)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산악 박쥐의 일종이다. 블랜포드과일박쥐속(Sphaerias)의 유일종이다. 태국 치앙마이 도이 수텝 푸이 국립공원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1977년 레카굴(Lekagul)과 맥닐리( McNeely)의 연구에 의하면, 태국과 미얀마의 국경,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네팔 북부 지역에서 확인된다. = 역천로 = 역천로(Yeokcheon-ro)는 충청남도 당진시 당진동운산고개에서 당진시 당진동 채운교차로를 잇는 도로이다. = = 주요경유지 = = 당진시 (당진동)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운암로와 직결 운암로와 직결 운암로와 직결 운암로와 직결 운암로와 직결 운산고개 당진시 당진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지방도 제647호선 구간 구룡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면천로) 당진시 당진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지방도 제647호선 구간 구룡교 당진시 당진동 지방도 제647호선 구간 성당초등학교 당진시 당진동 지방도 제647호선 구간 성당삼거리 지방도 제647호선(정미로) 당진시 당진동 지방도 제647호선 구간 사기소리교용연교 당진시 당진동 채운사거리 남부로백암로 당진시 당진동 채운 교차로 국도 제32호선(서해로)운곡로 당진시 당진동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당진시 = = 주요 건물및 시설 = = 성당초등학교 (역천로 222/사기소동 644-5) 한진택배 당진영업소 (역천로 227/사기소동 741) GS칼텍스 서해안주유소 (역천로 360/사기소동 415-1) SK에너지 영일충전소 (역천로 581/용연동 899) 당진소방서 (역천로 838/채운동 118-5) 애니카랜드 채운점 (역천로 843/채운동 123-43) = 액트레이저 = 액트레이저(ActRaiser, )는 슈퍼 패미컴용으로 퀸네트가 개발하고 에닉스가 배급한 1990년 플랫폼 도시 건설 게임이다. 전통적인 횡스크롤 플랫폼과 도시계획 갓 게임 섹션을 합쳤다. 후속작 액트레이저 2는 1993년 슈퍼 패미컴용으로 출시되었다. 2007년, 액트레이저는 Wii의 버추얼 콘솔 다운로드 서비스로 유럽, 북아메리카, 일본에서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게임의 한 버전은 또한 유럽의 휴대 전화용으로 2004년 출시되었다. HD 리마스터인 액트레이저 르네상스(ActRaiser Renaissance)는 2021년 여러 플랫폼용으로 출시되었다. = 틀: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 = 분류:아일랜드의 범죄 피해자 = = 틀:축구단 바야돌리드 = = 분류:오에스치 FC = = 뱀자리 = 뱀자리(Serpens )는 천구의 적도에 걸쳐 있는 긴 별자리로,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천시원의 담장에 해당한다. = = 특징 = = 여러 별자리들 중 유일하게 둘로 나뉘어 있다. 뱀의 머리를 뜻하는 'Serpens Caput'이 서쪽에, 뱀의 꼬리를 의미하는 'Serpens Cauda'가 동쪽(왼쪽)에 위치한다. 둘 사이에는 뱀주인자리(Ophiuchus)가 뱀을 쥐고 있는 형상으로 놓여 있다. = = 별과 천체 = = 뱀자리는 둘로 나뉘어 있음에도 하나의 별자리로 취급된다. 바이어의 별목록에서도 두 부분을 합쳐 순서를 매겼다. 뱀자리에는 1개의 별만이 3등급보다 밝다. 뱀자리 α성(α Serpentis)는 우누칼하이(Unukalhai)라는 이름이 있으며, 머리쪽에 위치한다. 뱀자리 δ성(δ Serpentis)은 머리쪽에 위치하며, 210 광년 떨어져 있는 이중성이다. 뱀자리 θ성(θ Serpentis)은 꼬리쪽에 있는 이중성이다. 뱀자리의 머릿쪽은 α, β, γ, δ, ε, ι, κ, λ, μ, π, ρ, σ, τ, χ, ω 별을 포함하며, 꼬리쪽은 ζ, η, θ, ν, ξ, ο 별이 포함된다. = = = 어두운 천체들 = = = M5(메시에 5번)는 뱀머리의 α별 남서쪽으로 8°에 위치한 구상성단이다. M16(메시에 16번)은 젊은 산개성단으로, '독수리 성운'과 같은 곳에 위치한다. 독수리 성운은 현재 별이 생성되는 확산성운이다. 꼬리 쪽에 위치한다. MWC 922는 윌슨산 천문대에서 발행한 윌슨산 목록(Mount Wilson Catalog)에 수록된 성운으로, 완벽한 대칭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주목받았다. 이는 'IRAS 18184-1302'라고도 불리며, 적경 , 적위 에 위치하며, 뱀꼬리쪽의 M16 부근에서 찾을 수 있다. 은하수의 일부가 꼬리 쪽을 지난다. (성도 참조) 뱀자리 남쪽 성단(Serpens South star cluster)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이 뱀자리의 성운의 남쪽에서 찾아내었다. 이는 적외선 관측이 가능한 우주망원경을 통하여 가능했는데, 가시광선의 영역은 뱀자리의 성운으로부터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이다. = = 신화와 역사 = = 뱀자리는 뱀주인(땅꾼)에게 잡혀 있는 형상이며, 매우 가깝게 관련되어 있다. 두 별자리는 모두 톨레미의 48개 별자리에 속한다. 처음에는, 뱀자리와 뱀주인자리는 하나의 '뱀주인자리'였다. 이들은 의약의 기초에 대한 신화에 관련되어 있다. 아스클로피우스의 뱀이다. = 분류:멤피스 (테네시주)의 마천루 = = 분류:금융 범죄 = = 틀:1999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제1대 비컨즈필드 백작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 1st Earl of Beaconsfield, 1804년 12월 21일 ~ 1881년 4월 19일)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이다. 그는 성공회로 개종한 유대인 출신으로서 보수당의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1874년부터 1880년까지 영국의 총리를 역임하였다. 임기 동안 노동자 계층의 권리가 확장되었고, 외교 면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 견제, 수에즈 운하 매수 등 여러 국제정세에서 영국의 이권을 확보하였다. = = 생애 = = 디즈레일리는 1804년 런던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이탈리아 유대인이던 조부 대에 영국으로 이민하였으며, 디즈레일리는 아버지를 따라 12세부터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 법률과 문학을 공부하고 17세에 변호사 사무소에 제자로 들어갔으나, 문학에 흥미를 가진 뒤 1826년에 첫 작품 비비안 그레이를 발표하여 문인으로의 이름을 얻기도 했다. 1832년 정치에 입문해 몇 차례 낙선을 거듭하다가 1837년에 토리당 소속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41년 토리당 내에 청년 영국단을 조직하였고, 1846년 산업 자본가(상품을 유통하는 상업자본가와 달리, 자기 자본과 생산수단이 있는 자본가)의 자유무역주의를 대표하는 로버트 필의 곡물법 폐지에 반대하고, 국가가 관세 등으로써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보호무역주의의 지도자가 되었다. 1867년 영국의 제2차 선거법 개정을 하여 농민과 노동자들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는 개혁을 주도했다. 1868년 총리가 된 이후 이집트로부터 수에즈 운하 주식을 사들여 동방 항로를 확보하였고, 특히 1876년 내내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대리청정을 수행하고 빅토리아 여왕에게 인도 여황제의 칭호를 갖게 해주었다. 1876년에 백작 작위를 수여받았으며, 1877년 러시아-터키 전쟁에서는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해군을 파병하는 등 국제정치에 있어서 영국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 공헌하였다. 내정에서는 공중위생과 노동조건의 개선 등에 힘썼다. 1880년 선거에 패배하여 사임하였고, 죽기 전까지 보수 야당의 대표로 있었다. 그는 정치 활동 중에도 문학 저작 활동을 멈추지 않았으며, 1880년에도 그의 마지막 소설이 출판되었다. 1876년 백작작위(1st Earl of Beaconsfield) 서임 1878년 가터 훈장 = 1956년 하계 올림픽 아프가니스탄 선수단 = 1956년 하계 올림픽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195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이다. = = 참고 자료 = = * 아프가니스탄 = 작센 왕국 = 작센 왕국은 1806년부터 1918년까지 독일 중부에 있던 왕국이다. 영역은 현재의 작센주와 비슷하다. 다만, 1945년부터 오데르-나이세선 동쪽이 독일-폴란드 간 국경선이 되는 바람에, 강 동쪽에 있던 작센의 영토 일부가 폴란드로 넘어간 대신 강 서쪽에 있던 슐레지엔 땅이 작센에 편입되었다. = = 역사 = = 1806년 작센 선제후국은 나폴레옹과 동맹을 맺은 대가로 작센 왕국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815년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빈 조약에 따라 프로이센 왕국에게 영토의 40%를 할양하지 않으면 안되었는데, 할양한 영토 중에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일어난 비텐베르크 같은 도시도 있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측에 가담하였으나, 프로이센군에 패하고 만다. 작센 왕국은 오스트리아측에 가담한 하노버 왕국, 헤센 선제후국, 나사우 공국, 프랑크푸르트처럼 프로이센에 합병당하지는 않았지만, 프로이센에 종속되어 북독일 연방에 가맹한다. 1871년 작센 왕국은 독일제국의 한 구성국이 되었다. 그러나 47년 뒤인 1918년, 독일제국의 패전으로 11월 13일에 국왕이 퇴위하여 베틴 가의 왕조가 끝났다. = = 역대 군주 = = 작센 왕국의 왕가는 베틴 가의 알베르트계이다. 작센 주민의 대부분은 프로테스탄트였고 국교도 프로테스탄트(루터 복음교, Evangelical Lutheran Church)였지만, 작센 왕가 사람들은 가톨릭 교도였다. 따라서 작센의 공주들은 오스트리아와 같은 가톨릭 왕실로 시집가는 경우가 많았다. 왕위 계승법은 준살리카법으로, 왕가에 남자 후계자가 남아있지 않을 때에만 공주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작센의 역대 국왕 작센의 역대 국왕 작센의 역대 국왕 작센의 역대 국왕 베틴 왕조 베틴 왕조 베틴 왕조 베틴 왕조 그림 및 사진 국왕 이름 재위 비고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1806년~1827년 1807년부터 1813년 사이 바르샤바 공 안톤 1827년~1836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국왕의 동생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1836년~1854년 안톤 국왕의 조카 요한 1854년~1873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국왕의 동생 알베르트 1873년~1902년 요한 국왕의 아들. 게오르크 1902년~1904년 알베르트 국왕의 동생 80px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1904년~1918년 게오르크 국왕의 아들. 1918년 퇴위됨. = = = 베틴가문의 알베르트계 = = = 1547-1553 모리츠 1553-1586 아우구스트 1586-1591 크리스티안 1세(1560-1591) 1591-1611 크리스티안 2세(1583-1611) 1611-1656 요한 게오르크 1세(1585-1656) 1656-1680 요한 게오르크 2세(1613-1680) 1680-1691 요한 게오르크 3세(1647-1691) 1691-1694 요한 게오르크 4세(1668-1694) 1694-1733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1670-1733)-폴란드에서는 국왕 아우구스트 2세 1733-1763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1696-1763)-폴란드에서는 국왕 아우구스트 3세 1763-1763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1722-1763) 선제후가된지 74일만에 죽음. 1763-1827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1750-1827)-1806년 작센왕국이 되며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1827-1836 안톤 (1755-1836) 1836-1854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1797-1854) 1854-1873 요한 (1801-1873) 1873-1902 알베르트 (1828-1902) 1902-1904 게오르크 (1832-1904) 1904-1918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1865-1932) = = 1918년 이후 작센 왕가 수장 =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1918년~1932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1932년~1968년 마리아 에마누엘, 1968년~2012년 알베르트, 2012년 작센-게사프의 알렉산더, 2012년~ = 김호식 (공무원) = 김호식(金昊植, 1949년 5월 16일 ~ , 충남 논산)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이다. 행정고시 11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재정경제부 기획관리실장, 관세청장, 국무조정실장, 해양수산부 장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초빙교수, 국민연금관리공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 = 학력 = =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경제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공학 석사 = = 참고 자료 = = 김호식 네이버 인물검색 = 오토존 파크 = 오토존 파크(AutoZone Park)은 미국의 다목적 경기장이다. 테네시주 멤피스에 위치하고 있으며 USL 멤피스 USL 팀과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트리플 A 퍼시픽 코스트 리그 멤피스 레드버즈의 홈 경기장이다. = 미래의 파편 = 미래의 파편(未来の破片, 미라이노 카케라)은 2003년 8월 6일에 발매된 아시안 쿵후 제너레이션의 노래이다. 큔 뮤직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유럽의 협궤 철도 = =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5번째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대회이다. 1972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대회가 취소되고 한동안 열리지 않다가, 14년 만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복귀하였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서의 첫 대회인 1985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우 로얄즈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 SFC를 누르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 예선 라운드 = = = = = 1조 = = = = = = = 1라운드 = = = = 알슈르타와 알아흘리는 기권하였다. = = = = 2라운드 = = = = = = = 2조 = = = 이 경기는 걸프 클럽 챔피언스컵의 경기이기도 하다. 모든 경기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토너먼트 형식으로 열렸다. 참가 클럽 : 알아흘리 SFC, 알아라비, 판자 FC, 무하라크 클럽, 알라얀, 알아인 = = = = 결승전 = = = = 두 팀 모두 진출하였지만 알아라비는 기권하였다. = = = 3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이스트 벵골 축구단 10 5 5 0 0 20 0 +20 아바하니 KC 8 5 4 0 1 17 4 +13 손더스 SC 5 5 2 1 2 12 8 +4 파키스탄 국제항공 FC 4 5 1 2 2 8 8 0 뉴 로드 팀 3 5 1 1 3 8 11 -3 클럽 발렌시아 0 5 0 0 5 2 36 -34 모든 경기는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다. 과 의 우승팀은 기권하였다. = = = 4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KYTB 팔렘방 7 4 3 1 0 15 1 +14 방콕은행 FC 7 4 3 1 0 10 2 +8 티옹 바흐루 CSC 3 4 1 1 2 2 7 -5 믈라카 FA 3 4 1 1 2 2 7 -5 앙카타 페르센자탓 디라자 0 4 0 0 4 0 12 -12 모든 경기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반둥에서 열렸다. 와 의 우승팀은 기권하였다. 1984년 12월 20일 1984년 12월 21일 1984년 12월 22일 1984년 12월 23일 1984년 12월 24일 1984년 12월 26일 1984년 12월 27일 1 1-0으로 된 기록도 존재한다. = = = = 플레이오프 = = = = 1984년 12월 2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 = 5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세이코 SA 6 4 3 0 1 6 6 0 4.25체육단 5 4 2 1 1 8 4 +4 랴오닝 FC 1 4 0 1 3 2 6 -4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세이코 SA가 진출하였으나 기권하였다. = = = 6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대우 로얄즈 4 2 2 0 0 14 1 +13 와 셍 0 2 0 0 2 1 14 -13 요미우리 FC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모든 경기는 대한민국 부산 구덕운동장에서 열렸다. = = 조별 예선 = = 세이코 SA가 기권하여 예선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KYTB 팔렘방이 진출하였다.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 = = A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알아흘리 SFC 4 2 2 0 0 3 1 +2 KYTB 팔렘방 2 2 1 0 1 3 2 +1 이스트 벵골 클럽 0 2 0 0 2 1 4 -3 = = = B조 = = =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대우 로얄즈 4 2 2 0 0 4 1 +3 알이티하드 알레포 2 2 1 0 1 3 1 +2 방콕 은행 FC 0 2 0 0 2 1 6 -5 1986년 1월 21일 1986년 1월 23일 1986년 1월 25일 = = 준결승전 = = 준결승전은 1986년 1월 26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 = 3·4위전 = = 3, 4위전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 = 결승전 = = 결승전은 1986년 1월 29일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열렸다. = = 우승 = = 1985-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대우 로얄즈1번째 우승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185 = 185(백팔십오)는 184보다 크고 186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5, 37, 185이다. 배수로는 370, 555, 740..이다. = پ = (, 페)는 페르시아 문자의 세 번째 글자로, 음가는 무성 양순 파열음 이다. = = 부호 위치 = = 문자 유니코드 설명 문자참조 JIS X 0213 پ پ = 산악 표준시 = 산악 표준시(山岳標準時)는 그리니치 평균시로부터 7시간을 뺀 시간대로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쓰인다. 멕시코, 미국, 캐나다 일부지역에서 쓰이며, 섬머 타임중에는 UTC-06, 그 이외에는 UTC-07이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일반적으로 산악 시(山岳時,, MT)로 부르며, 가을부터 겨울 동안은 산악 표준시(山岳標準時,, MST), 봄부터 여름 동안은 일광 절약 시간제로 산악 일광시(山岳日光時,, MDT)라고 한다. = 틀:2010년 FIFA 월드컵 멕시코 선수 명단 = = 북트라키아 = 북트라키아 혹은 북부 트라키아는 트라키아 북부를 일컬으며 트라키아의 역사적 지방 중 가장 넓다. 불가리아 트라키는 불가리아 남부에 있고 발칸산맥 남쪽과 메스타강 동쪽에 걸쳐 있다. 남쪽으로 그리스, 터키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흑해와 접한다. 스레드나고라산맥을 아우르며 마리차강이 이 곳을 흐른다. 대륙성 기후를 띠고 있으며 1916년 이곳에 있는 플로브디프주 사도보에서 관측된 45.2도는 불가리아의 역대 최고 기온이다. 플로브디프, 부르가스, 스타라자고라, 슬리벤, 하스코보, 얌볼, 파자르지크, 아세노브그라드, 커르잘리, 디미트로브그라드, 카잔라크, 스몰랸이 있다. 오스만 제국은 1878년 이곳에 동루멜리아 자치주를 세웠고 1885년 불가리아 공국에 할양됐다. = 분류:웨일스의 도시별 스포츠 = = Gone Troppo = Gone Troppo는 영국의 록 음악가 조지 해리슨의 열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82년 다크 호스 레코드가 발매했다. 싱글로 발매된 〈Wake Up My Love〉와 1981년 핸드메이드 필름 제작 4차원의난장이E.T의 주제곡이었던 〈Dream Away〉가 수록되어 있다. 해리슨은 레이 쿠퍼와 전 비틀즈 엔지니어 필 맥도널드와 함께 음반을 프로듀싱했다. 해리슨이 현대 음악계에 관심이 없고 발매를 홍보하기 꺼려하면서 Gone Troppo는 영국 차트 작성에 실패했고, 그것은 미국에서 20위 안에 들지 못한 그의 유일한 비틀즈 이후의 스튜디오 음반이었다.Simon Leng,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Hal Leonard (Milwaukee, WI, 2006; ), p. 321fn. 이후 5년 동안, 그는 음악 활동에서 긴 휴식을 취했고, 사운드트랙 녹음만이 표면화되었다. = = 배경 = = 1980년대 초까지 해리슨은 현재의 음악적 풍토가 소원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81년 음반 Somewhere in England는 존 레논의 헌정 히트곡 〈All That Years Ago〉의 도움으로 꽤 잘 팔렸으나, 미국에서는 비틀즈가 해체된 이후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지 못한 해리슨의 첫 번째 음반이었다.Chip Madinger & Mark Easter, Eight Arms to Hold You: The Solo Beatles Compendium, 44.1 Productions (Chesterfield, MO, 2000; ), p. 463. 해리슨은 현재 녹음 계약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1982년 Gone Troppo를 녹음했지만 홍보나 두 싱글의 비디오 제작을 거부했다. 제목은 "gone mad or crazy due to tropical heat (열대열로 인해 미쳐있거나 미쳐있다)"거나 "gone mad (그냥 미쳐있다)"는 뜻의 호주 속어 표현이다. = = 발매 = = Gone Troppo는 1982년 11월 다크 호스 레코드에서 발행되었다. 해리슨의 다크 호스 레코드를 유통한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는 음반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고, 발매를 홍보하지 못해 아티스트의 무관심에 부응했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108위로 정점을 찍었고 영국에서는 전혀 차트에 오르지 못했다. 〈Wake Up My Love〉와 〈That's the Way It Goes〉는 해리슨의 Best of Dark Horse 1976–1989 음반에 포함되었고 타이틀곡은 1989년 컴필레이션의 콤팩트 디스크 버전에도 수록되었다. 2009년 커리어 스패닝 컬렉션인 Let It Roll: Songs by George Harrison에는 Gone Troppo의 곡이 수록되지 않았다. 〈That's the Way It Goes〉는 2002년 11월 콘서트 포 조지에서 조 브라운과 다른 음악가들에 의해 다뤄졌다. 2004년 Gone Troppo는 디럭스 박스 세트인 The Dark Horse Years 1976–1992과 별개로 리마스터링 및 재발행되었다. 이 재발행은 유일한 보너스 트랙으로 〈Mystical One〉의 데모 버전을 추가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조지 해리슨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 오리지널 발매 = = = = = = 2004년 재발행 = = = = 틀:Ternary = = 분류:풀 포켓몬 = = 분류:한여름 밤의 꿈을 바탕으로 한 영화 = = 이라부 히데키 = 이라부 히데키(, 1969년 5월 5일 ~ 2011년 7월 27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 = 인물 = = = = = 프로 입단 전 = = =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시에서 태어나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 자랐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한 후 가가와현으로 이사갔다. 진세이가쿠엔 고등학교에 진학했고 1986년과 1987년의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2년 연속으로 출전했다. 그 후 1987년의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지바 롯데 마린스로부터 1순위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 = = 지바 롯데 마린스 시절 = = = 입단 1년차부터 1군에서의 마운드를 경험했고 무라타 조지, 마에다 유키나가 등과 함께 투수진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입단 2년차인 1989년에는 세이부 라이온스의 기요하라 가즈히로와 상대하면서 최고 시속 156 km/h의 강속구를 측정하였는데 당시의 구속은 일본 프로 야구계에서도 화제가 되었지만 공의 컨트롤이 나쁘거나 카운트가 나쁘게 나오면 몽둥이를 맞는 등 프로 입단한 직후 수 년동안 시행착오를 겪는 때가 많았다. 기용법도 선발과 구원 등 일정하지 않았다. 1993년, 니혼햄 파이터스의 오사와 게이지 감독은 언론을 통해 “마쿠하리의 해변에서 이라부 해파리에게 찔린, 이테테테 …” 라고 말한 것으로부터 ‘이라부 해파리’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3일 세이부의 기요하라와 상대하면서 158 km/h의 강속구를 던졌고 이후 기요하라와의 대결은 ‘헤이세이의 명승부’라고 칭해질 정도로 투구 감각이 안정되었고 기용법도 선발 로테이션 투수로 고정되었다. 이듬해 1994년, 시즌 15승과 239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면서 다승왕과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동시에 석권했고 바비 밸런타인 감독 시대인 1995년에도 고미야마 사토루, 에릭 힐만과 함께 선발 투수진의 기둥으로서 만년 최하위였던 팀을 2위로 끌어올리는 데에 기여했다. 같은 해 최고 평균자책점과 2년 연속인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했고 4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을 2년 연속으로 기록했다. 다음해인 1996년에는 2년 연속으로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경기 도중 강판하라는 지시에 격노를 하면서 글러브와 모자를 벗어 덕아웃에서 내팽개치는 행동을 하는 등의 말썽을 일으킨 적도 많았다. 1996년 시즌 종료 후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구단 측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구단에 이라부의 보유권을 영구적으로 양도하는 계약을 주고 받았다. 이에 대해 이라부는 “핀스트라이프의 유니폼의 무게라고 하는 것은 야구를 경험한 사람 밖에 모른다”라고 주장해 어디까지나 뉴욕 양키스의 입단에 고집하면서 대리인인 단 노무라를 고용하기도 했다. 대형 트레이드를 내걸어 최종적으로 ‘삼각(三角) 트레이드’라는 형태로 뉴욕 양키스로 방향을 틀었고(이라부 메이저 리그 이적 소동을 참조) 아시아인 최초로 뉴욕 양키스에 입단하였다. = = = 메이저 리그 시절 = = = = = = = 뉴욕 양키스 = = = = 이듬해 1997년 5월 뉴욕 양키스에 입단하면서 메이저 리그의 첫 등판이자 첫 선발 등판이 된 7월 10일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전에서는 최고 속도 98 mph(약 158 km/h)의 속구와 포크볼을 주무기로 6과 2/3이닝의 5안타 2실점, 9개의 탈삼진을 기록하여 메이저 리그에서의 첫 승리를 거뒀다. 이후 기대 이상의 활약을 하면서 구단주인 조지 스타인브레너로부터 ‘일본제 놀런 라이언’이라고 극찬했으며 본인(이라부)에 앞서 니시무라 사다아키가 1953년 말 해당 팀(양키스)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지만 미하라 오사무 당시 니시테츠 감독이 반대해 무산됐다. 메이저 리그 생활 2년째인 1998년에는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오른쪽 팔꿈치를 다친 것에 의해 100개의 투구수 제한을 지시받아 개막전 엔트리에 합류하여 선발 로테이션의 일원으로 활약을 했다. 5월 하순에는 평균자책점이 리그 상위권에 들어서면서 5월에는 4승 1패, 평균자책점 1.44, WHIP 1.05의 성적을 기록하여 월간 MVP를 수상했다. 그러나 6월에는 컨디션이 떨어지면서 올스타전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14경기에 선발 등판해 6승 3패, 평균자책점 2.91, WHIP 1.23의 성적을 남겨 전반기를 마감했다. 그러나 후반기에서는 1경기에만 구원으로 등판한 것을 포함한 15경기에 등판하여 7승 6패, 평균자책점 5.21, WHIP 1.35를 기록하는 등 전반기보다 성적이 떨어졌다. 포스트시즌에서의 등판 기회는 없었지만 팀은 월드 시리즈를 제패하면서 아시아인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우승을 경험하게 되었다. 1999년 스프링 트레이닝 마지막 날에 있은 경기에서 1루 베이스 커버를 소흘히 했다는 이유로 조지 스타인브레너로부터 “그는 살찐 두꺼비다. 1루 베이스 커버를 소흘히 한 것은 있을 수 없다”라고 비판을 받았는데 개막 초에는 중간 계투로서 기용되었다. 5월 2일의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서는 선발에 복귀했고 7일의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는 스즈키 마코토와의 사상 최초로 일본인 선수끼리에 의한 투수전을 펼쳤고 7이닝을 4안타 1실점, 5개의 탈삼진을 기록하여 승리 투수가 된다. 13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는 하세가와 시게토시와의 투수전이 있었고 7월에는 4승 무패, 평균자책점 2.64, WHIP 1.08의 성적을 나타내며 메이저 리그에서의 통산 두 번째로 월간 MVP를 수상했다. 양키 스타디움에서의 경기에서 1루 베이스 커버에 들어간 아웃을 취했을 때에는 관중석에서 기립 박수가 터져나왔다. 그러나 8월 중순부터는 5연패를 당했고 후반기에서는 1경기에만 구원으로 등판한 것을 포함한 15경기에 등판하여 5승 4패, 평균자책점 5.60, WHIP 1.50의 성적을 남겼다. 포스트 시즌에서는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3차전에서는 3회 무사 1루의 상황에서 등판했지만 4와 2/3이닝을 던져 13개의 안타와 1홈런 8실점을 기록하여 부진했다. 팀은 2년 연속이 되는 월드 시리즈 제패를 달성했고 두 번째의 챔피언 링을 손에 넣었다. 1999년 시즌 종료 후 테드 릴리, 크리스티안 파커, 제이크 웨스트브룩과의 맞트레이드로 몬트리올 엑스포스로 이적하였고 양키스와 맺은 나머지의 계약에 더하여 1년 250만 달러+성과급 지급으로의 내후년 계약도 연장했다. = = = = 몬트리올 엑스포스 = = = = 2000년에는 시즌 개막 이후부터 컨디션이 좋지 않았고 4월 26일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 이후 오른쪽 무릎에 부상을 당하면서 수술을 받았다. 7월 27일 뉴욕 메츠전에서는 복귀했지만 경기 종료 후 오른쪽 팔꿈치의 통증을 일으켜 8월 15일에 수술을 받아 그대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듬해 2001년에는 스프링 트레이닝 도중 오른쪽 무릎과 오른쪽 팔꿈치에 통증을 호소하여 부상자 명단에 오른 채 시즌 개막을 맞이했다. 5월 3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는 복귀하였는데 6월 17일에 팔꿈치 통증이 재발되면서 인대 부분이 파열되었다는 진단을 받아 수술은 피한 채 재활 훈련을 계속하고 있었지만 8월 26일에는 원정장소에서 팀 동료와 함께 식사했을 당시 과음한 채 의식 불명인 상태로 병원에 입원했다. 이 일로 인해 8월 29일에는 구단 측으로부터 7일간의 근신 처분을 받았고 9월 6일에 방출되었다. 오프에는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린 윈터 리그에 참가해 5승 3패, 평균자책점 2.34의 성적을 기록했고 12월 27일에는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 = = = 텍사스 레인저스 = = = = 2002년에는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대 선수로서 참가해 중간 계투로서 메이저 리그에 합류하였다. 4월 6일의 LA 에인절스전에서는 박찬호의 부진에 의해 선발로 등판했고 13일의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는 스즈키 이치로와 맞대결을 펼쳤다. 17일의 LA 에인절스전에서는 3점을 리드하고 있는 9회에 등판하여 1993년 이후 9년 만이 되는 메이저 리그에서의 첫세이브를 기록했고 그 후 마무리로서는 5월 중순까지 1승 10세이브, 평균자책점 0.64, WHIP 0.92의 호투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6월부터는 뚜렷한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채 평균자책점이 8.44라는 저조한 성적을 남겼고 7월 15일에 폐혈전이 발견돼 시즌을 마쳤다. = = = 한신 타이거스 시절 = = = 2002년의 오프에는 일본 야구계에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이 상황을 예의 주시한 한신 타이거스가 이라부와의 입단 교섭을 실시하면서 한신에 입단했다. 호시노 센이치 감독은 애초에 이라부를 중간 계투를 맡기고 싶었지만 본인의 희망에 의해 선발을 맡았다. 이듬해 2003년에는 13승을 기록하면서 한신의 18년 만의 리그 우승 달성에 기여했고 동시에 올스타전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후반기에 구위력이 떨어질 정도의 뚜렷한 성적을 남길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 시리즈에서도 2차전과 6차전에서의 총 2경기에 선발로 등판했지만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기동력에 농락당하면서 모두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04년은 개막 이후 일찌감치 전년도 일본 시리즈에서 드러낸 세트 포지션에서의 허점(도루를 막는 견제가 서투른 점)을 드러내 3경기의 등판에만 그쳤고 평균자책점도 13.11을 기록할 정도의 부진을 겪는 등 오프에 방출 통보를 받았다. 이듬해 2005년 3월 상순에는 현역을 은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4월 6일에 이 사실이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에 의해서 밝혀졌다. = = = 은퇴 후 = = = 현역 은퇴 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영주 허가서(외국인 영구 거주권)를 신청하면서 이후에 영주권을 취득해 사업가로 변신했다. 고교 시절 친구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시내에서 우동 전문점인 ‘SUPER UDON’을 개업하면서 제2의 인생을 열었는데 그 후 경영난으로 2008년 경에 폐업했다. = = = 현역 복귀 = = = 현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목표를 두어 트레이닝을 실시했고 한신에서 방출된 지 5년 만인 2009년 4월 27일에는 미국 독립 리그팀인 골든 베이스볼 리그의 롱비치 아마다에 입단(월급 1,500달러)하여 다시 현역 선수로 복귀했다. 2009년 8월에는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에 입단(월급 16 ~ 18만 엔)하였지만 같은 해 9월에는 오른쪽 손목에 부상을 당했다. 시즌 도중의 복귀가 어려워지면서 이라부의 희망에 의해 계약이 해제됨과 동시에 팀을 떠났다. 고치 파이팅 독스에서의 성적은 2경기(12이닝)에 등판해 승패없이 6개의 탈삼진과 11개의 사사구로 5.2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듬해 2010년 1월 19일에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은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현역 선수에서 완전히 은퇴하게 되었다. = = = 사건들 = = = 2008년 8월, 오사카시 기타구에 소재하고 있는 술집에서 술을 마신 뒤 신용 카드가 승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술집 바텐더에게 욕설을 퍼부어 폭력을 휘두르다가 현행범으로 체포되었는데 10월 16일에는 검찰에 송치되었지만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2년 뒤인 2010년 5월 17일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교외에서 음주 운전을 하다가 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Former Yankee Suspected of Drunk Driving in SoCal KLTA.com 2010년 5월 25일 뉴욕 양키스에서 활약할 당시 이라부의 사생활과 관련된 여러 잡음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몬트리올 시절 때에도 음주 운전으로 출장 정지 중징계가 내려진 적도 있어 순탄찮은 세월을 보내기도 했다. = = = 사망 = = = 2011년 7월 27일, 로스앤젤레스 근교의 자택에서 숨진 채로 발견되면서(향년 43세) 현지 경찰은 사인을 자살로 추정했고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자살의 원인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우동 전문점의 경영난으로 인해 폐업한 것과 사망 한 달전에 부인과 헤어지면서 혼자 생활하는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겪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또 이라부 본인은 은퇴 후 고향인 일본에서 지도자의 길을 걷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일본 야구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여지지 않아 끝내 지도자와 야구 평론가의 꿈을 이룰 수 없게 되면서 야구인으로서의 장래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는 얘기도 있었다. = = 출신 학교 = = 진세이가쿠엔 고등학교 = = 선수 경력 = = 지바 롯데 마린스(1988년 ~ 1996년) 한신 타이거스(2003년 ~ 2004년) 뉴욕 양키스(1997년 ~ 1999년) 몬트리올 엑스포스(2000년 ~ 2001년) 텍사스 레인저스(2002년)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타이틀 = = = 다승왕 : 1회(1994년) 최다 탈삼진 : 2회(1994년, 1995년) 최고 평균자책점 : 2회(1995년, 1996년) = = = 수상 = = = 베스트 나인 : 2회(1994년, 1995년) 월간 MVP : 5회(1993년 9월, 1995년 7월, 1995년 9월, 1996년 8월, 2003년 5월) IBM 플레이어오브더이어상 : 1회(1994년) 메이저 리그 이달의 선수 : 2회(1998년 5월, 1999년 7월) = = 개인 기록 = = = = = 첫 기록 = = = 첫 등판·첫 선발 : 1988년 5월 7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5차전(가와사키 구장) 첫 탈삼진 : 상동. 첫 승리 : 1988년 8월 14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13차전(가와사키 구장) 첫 세이브 : 1988년 10월 20일, 대 난카이 호크스 26차전(가와사키 구장) 첫 완투 승리 : 1990년 8월 10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15차전(후지이데라 구장) 첫 완봉 승리 : 1994년 4월 22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3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 = = 기록 달성 경력 = = = 통산 1000투구회 : 1996년 5월 17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7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역대 267번째. 통산 1000탈삼진 : 상동. ※역대 96번째. = = = 기타 = = = 올스타전 출장 : 4회(1994년 ~ 1996년, 2003년) = = 등번호 = = 18(1988년 ~ 1996년) 35(1997년) 14(1998년 ~ 2001년) 45(2002년) 41(2003년 ~ 2004년) 14(2009년 도중) = = 연도별 성적 = =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타자 투구회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死구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균자책점 WHIP 1988년 롯데·지바 롯데 14 6 0 0 0 2 5 1 .286 162 39.1 30 7 18 0 1 21 1 1 19 17 3.89 1.22 1989년 롯데·지바 롯데 33 2 0 0 0 0 2 9 .000 211 51.0 37 1 27 0 2 50 6 0 20 20 3.53 1.25 1990년 롯데·지바 롯데 34 11 4 0 0 8 5 0 .615 544 123.2 110 6 72 1 7 102 12 2 58 52 3.78 1.47 1991년 롯데·지바 롯데 24 16 2 0 0 3 8 0 .273 471 100.2 110 20 70 0 1 78 10 1 78 77 6.88 1.79 1992년 롯데·지바 롯데 28 4 0 0 0 0 5 0 .000 336 77.0 78 2 37 0 1 55 4 1 38 33 3.86 1.49 1993년 롯데·지바 롯데 32 14 6 0 0 8 7 1 .533 592 142.1 125 11 58 0 6 160 6 1 59 49 3.10 1.29 1994년 롯데·지바 롯데 27 26 16 1 0 15 10 0 .600 870 207.1 170 16 94 2 6 239 13 2 77 70 3.04 1.27 1995년 롯데·지바 롯데 28 27 9 2 2 11 11 0 .500 835 203.0 156 9 72 1 9 239 11 1 70 57 2.53 1.12 1996년 롯데·지바 롯데 23 23 3 0 0 12 6 0 .667 639 157.1 108 7 59 0 3 167 7 4 56 42 2.40 1.06 1997년 NYY 13 9 0 0 0 5 4 0 .556 246 53.1 69 15 20 0 1 56 4 3 47 42 7.09 1.67 1998년 NYY 29 28 2 1 0 13 9 0 .591 732 173.0 148 27 76 1 9 126 6 1 78 78 4.06 1.29 1999년 NYY 32 27 2 1 0 11 7 0 0 .611 733 169.1 180 26 46 0 6 133 7 0 98 91 4.84 1.33 2000년 MON 11 11 0 0 0 2 5 0 0 .286 247 54.2 77 9 14 0 1 42 5 2 45 44 7.24 1.66 2001년 MON 3 3 0 0 0 0 2 0 0 .000 74 16.2 22 3 3 0 0 18 0 0 9 9 4.86 1.50 2002년 TEX 38 2 0 0 0 3 8 16 2 .273 204 47.0 51 11 16 2 1 30 3 0 30 30 5.74 1.43 2003년 한신 27 27 3 0 0 13 8 0 .619 730 173.0 186 24 47 0 6 164 4 0 77 74 3.85 1.35 2004년 한신 3 3 0 0 0 0 2 0 .000 62 11.2 26 5 4 0 1 7 0 1 19 17 13.11 2.57 NPB : 11년 NPB : 11년 273 159 43 3 2 72 69 11 .511 5452 1286.1 1136 108 558 4 43 1282 74 14 560 508 3.55 1.32 MLB : 6년 MLB : 6년 126 80 4 2 0 34 35 16 2 .493 2236 514.0 547 91 175 3 18 405 25 6 307 294 5.15 1.40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롯데(롯데 오리온스)는 1992년 연고지 이전, 지바 롯데 마린스로 구단명을 변경. = 분류:서경대학교 대학원 동문 = = 신이슬 = 신이슬은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로 노진구의 반 친구이다. 상냥하고 친절한 성격을 지녔으며, 싸움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자이다. 좋아하는 것은 요리와 음악, 예쁜 것, 잘생긴 사람이며, 취미는 바이올린 연주, 요리이다. 카나리아와 강아지 페로를 키우고 있다. 일본 현지의 이름은 미나모토 시즈카이다. 순이음과 신혼길의 외동딸로, 바이올린 연주가 취미이지만 바이올린을 켜는 실력이 별로 좋지 않다. 특기는 요리, 그림 그리기, 발이며, 장래희망은 빵집 & 꽃집 사장, 화가, 제과제빵사 등이 있다. 좋아하는 것은 요리(빵, 과자, 케이크를 굽는 것)와 음악, 예쁘고 귀여운 것들, 노진구, 남을 잘 섬기는 것, 잘생긴 사람, 깔끔한 것이며, 싫어하는 것은 귀신, 개구리, 병원, 학원, 싸움, 폭력, 눈 오는 날씨, 그리고 퉁퉁이와 비실이가 진구를 괴롭히는 것이다. 평소에는 상냥하고 친절하지만 화가 나면 예민해지는 다혈질적인 소유자이다. 양갈래로 머리를 묶고 다니며, 따뜻하고 상냥하고 친절한 성격을 가졌다. 도라에몽의 주연들(노진구와 친구들) 중에 홍일점이다. 성인이 된 모습이 엄마와 닮았다. 노진구가 가장 많이 찾는 친구 중 하나이나, 영민이와 자주 엮여 진구에게 질투심을 산 적 있다. 미나모토가의 아이로, 미나모토는 일본의 옛 본성이어서 이슬이의 조상이 귀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 성격 = = 매우 친절하고 밝은 성격이다. 평상 시엔 상냥한 소녀지만 화가 났을 때는 매우 무섭다. = = = 좋아하는 것 = = = 신이슬이 좋아하는 것을 나열한다. = = = 싫어하는 것 = = = 신이슬이 싫어하는 것을 나열한다. = = 장래 = = 꿈은 승무원, 간호사, 보육사, 외교관 등이 있다"나의 직업은?",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꿈의 삼총사". 장래는 진구와 대학 시절의 설산에서의 조난사고를 계기로("옆에 있어주지 않으면 위험해서 보고 있을 수 없다"라는 이유로) 결혼"설산의 로맨스"하여, 아들인 장돌이를 낳게된다. 머리 모양은 두 매듭에서 포니테일로 바뀌어 있다. 진지한 성격은 변하지 않았고, 진구에게 주의할 것이 많다. 아들 장돌이에 대해서도 상냥하게 대하고 때로는 나쁜 짓을 한 장돌이를 꾸짖는다. = = 인물 관계도 = = 이슬이의 인물 관계도를 나열한다. = = 도라에몽 극장판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인어대해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우주영웅기~스페이스 히어로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 = 가족 = = = = = 현재 = = = 엄마 : 순이음(일본명: 미나모토 미치코) 아빠 : 신혼길(일본명: 미나모토 요시오) 삼촌 : 신범길 = = = 미래 = = = 작중 시점에서 고인은 취소선 표시되었다. 엄마 : 순이음(일본명: 미나모토 미치코) 아빠 : 신혼길(일본명: 미나모토 요시오) 삼촌 : 신범길 남편 : 노진구(일본명: 노비 노비타) 아들 : 노장돌(일본명: 노비 노비스케) 시아버지 : 노석구(일본명: 노비 노비스케) 시어머니 : 오진숙(일본명: 노비 타마코) 시할아버지 시할머니 = 분류:1493년 책 = = 분류:우스터 (매사추세츠주)의 스포츠 = = 기타코섬 = 기타코섬 또는 베이샤오 섬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쿠플 = = 고구키촌 (사이타마현 미나미사이타마군) = 고구키촌은 사이타마현 미나미사이타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시라오카시 중부에 해당한다. = 분류:1936년 하계 올림픽 수구 참가 선수 = = 빌뇌브생조르주 = 빌뇌브생조르주는 프랑스 일드프랑스 발드마른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8.75km2, 인구는 30,874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3,500명/km2이다. 파리에서 15.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분류:1827년 아프리카 = = 분류:한밭중학교 동문 = = 에른스트 뢰프스트룀 = 에른스트 뢰프스트룀(: 1865년 5월 31일 - 1937년 1월 5일)은 핀란드의 군인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러시아 제국 육군 소장으로 참전했고, 핀란드가 독립한 뒤 핀란드 내전 때 백핀란드 측에 서 참전했다. = 리드 버니 = 리드 버니(Reed Birney, 1954년 9월 11일 ~ )는 미국의 배우,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2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1 킹스 가십걸 시즌2 가십걸 시즌1 = = 영화 = = 로스트 걸스 (2019년) - 피터 핵켓 역 라스트 픽-업 (2018년) 하프 더 퍼펙트 월드 (2016년) - 피터 역 매드 우먼 (2015년) 잭래빗 (2015년)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2 (2014년) - 도날스 블라이스 역 인 유어 아이즈 (2014년) 몰리의 상대성이론 (2013년) - 애셔 역 트웰브 써티 (2010년) 굿모닝 에브리원 (2010년) 킹즈 (2009년) 체인질링 (2008년) 가십걸 시즌1 (2007년) 더 텐 (2007년) 업타운 걸스 (2003년) 법과 질서 - 뉴욕 특수수사대 (2001년) 지구에서 달까지 (1998년) 퍼펙트 머더 (1998년) 법과 질서 (1990년) 크라임웨이브 (1985년) 매혹의 소나타 (1981년) = 분류:1922년 독일 = =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와트 타일러의 난 = = 분류:광동중학교 동문 = = 케플라비크 IF = 크나트츠피르드뉘데일드 케플라비크는 아이슬란드의 축구 클럽이다. 1929년에 창단되었으며 종합 스포츠 클럽인 케플라비크 IF에 소속되어 있다. = = 역대 우승기록 = = * * = = 유럽 대회 성적 = = 시즌 대회 라운드 국가 클럽 점수 1965-66 유러피언컵 예선전 페렌츠바로시 1-4, 1-9 1970-71 유러피언컵 1회전 에버턴 2-6, 0-3 1971-72 UEFA컵 1회전 토트넘 홋스퍼 1-6, 0-9 1972-73 유러피언컵 1회전 레알 마드리드 0-3, 0-1 1973-74 UEFA컵 1회전 하이버니언 0-2, 1-1 1974-75 유러피언컵 1회전 하이두크 스플리트 1-7, 0-2 1975-76 UEFA컵 1회전 던디 유나이티드 0-2, 0-4 1976-77 UEFA 컵위너스컵 1회전 함부르크 SV 0-3, 1-1 1979-80 UEFA컵 1회전 칼마르 FF 1-2, 1-0 2회전 1. FC 브르노 1-3, 1-2 1994-95 UEFA 컵위너스컵 예선전 마카비 텔아비브 FC 1-2, 1-4 1995-96 UEFA 인터토토컵 조별리그 FC 메스 1-2 조별리그 패트릭 티슬 FC 1-3 조별리그 NK 자그레브 0-0 조별리그 LASK 린츠 1-2 1996-97 UEFA 인터토토컵 조별리그 외레브로 SK 1-3 조별리그 NK 마리보르 0-0 조별리그 아우스트리아 빈 0-6 조별리그 FC 쾨벤하운 1-2 1998-99 UEFA 컵위너스컵 예선전 FK 리에파야스 메탈루르크스 2-4, 1-0 2005-06 UEFA컵 예선1회전 FC 에첼라 에텔부르크 4-0, 2-0 예선2회전 1. FSV 마인츠 05 0-2, 0-2 2006-07 UEFA 인터토토컵 1회전 던개넌 스위프츠 FC 4-1, 0-0 2회전 릴레스트룀 SK 1-4, 2-2 2009-10 UEFA 유로파리그 예선1회전 굵은 글씨가 홈경기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로버트 헤헤도시(2023 ~ ) 무하메드 알고울(2023 ~ ) = 자마시 = 자마시는 가나가와현에 중앙에 있는 시이다. 도시는 또한 미군기지 캠프 자마가 있는 곳이다. = = 지리 = = 가나가와 현의 중앙에 위치하고 시는 일부의 구릉 지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평하다. 사가미 강, 메쿠시리 강, 하토 강이 자마를 통과해 흐른다. 북쪽으로 사가미하라시, 동쪽으로 야마토시, 서쪽으로 아쓰기시, 남쪽으로 에비나시와 접한다. = = 역사 = = 메이지 유신 이후 오늘날의 자마 지역은 고자 군의 5개 촌으로 이루어져있었다. 1927년 오다큐 전철의 개통과 1935년 사가미 철도의 개통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1937년에 일본 육군사관학교가 자마로 이전해올 때까지는 여전히 아주 시골이었다. 인구의 증가로 같은 해 자마 촌은 자마 정으로 승격되었고 1941년에 주변의 촌을 병합하여 사가미하라 정을 이루었다. 1944년에 이 지역에 일본제국 해군의 고자 해군공창이 이 지역에 세워졌다. 2차 대전이 끝난 후에 일본 육군사관학교는 미국 육군에게 넘어갔고 캠프 자마가 되었다. 1948년 9월에 자마는 사가미하라로부터 정으로 독립했다. 지역 경제는 1965년에 닛산 자동차의 조립 공장 건설로 현저하게 부양되었다. 자마는 1971년 11월 1일에 시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동일본 여객철도 사가미 선 = = = 도로 = = = 국도 246호선 = 분류:서천초등학교 (충남) 동문 = = 조상현 (축구 선수) = 조현도(1998년 3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는 춘천시민축구단 소속이다. = 시노다 유 = 시노다 유(, 1991년 7월 21일 ~ 2023년 11월 은퇴)는 2010년 12월에 데뷔한 일본의 AV 여배우다. = 제프 "스왐피" 마쉬 = 제프 "스왐피" 마쉬(, 1960년 12월 9일~)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피니와 퍼브의 공동창작자이자 제작책임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미국의 애니메이터다. 캘리포니아의 샌타모니카에서 태어난 마쉬는 혼합 가족에서 자랐다. 여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이끌 원동력이 있었던 마쉬는 심슨 가족의 여섯 시즌에서 일했다. 그리고 영국으로 이사하기 전 다른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우당탕탕 로코와 친구들, 킹 오브 더 힐에서도 일했다. 영국에 있을 때 마쉬는 바운티 햄스터, 포스트맨 팻 등의 여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서 일했다. 또한 BKN New Media Ltd에서 몇몇 장편 영화를 제작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 영국에서 6년을 지낸 후인 2007년 마쉬는 오랜 기간 알고 지낸 동업자 댄 포븐마이어에게 피니와 퍼브의 제작을 도와줄 것인지 물음을 받았다. 마쉬는 이를 수락했고 미국으로 다시 건너갔다. 피니와 퍼브는 두 개의 에미상에 후보로 선정되어 수상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에 "스왐피"가 들어간 것을 마음에 들어 했는데, 15글자는 길고 또한 다른 사람들의 이름보다 길었기 때문이다. 2015년에 그와 포븐마이어는 디즈니 XD의 새로운 시리즈인 마일로 머피의 법칙을 제작했고, 2016년 10월 3일에 초연되었다. = UTC+11:00 = UTC+11 시간대는 협정 세계시보다 11시간 빠른 동경 165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 시간대이다. = = 표준 시간대(1년 내내) = = = = = 북아시아 = = = - 마가단-사하 시간대 마가단주 쿠릴 열도 사하 공화국 사할린섬 = = = 오세아니아 = = = * 코스라에섬, 폰페이섬와 주변의 섬들 * * * * 노퍽섬 = = 과거 사용된 곳 = = - 뉴사우스웨일스주 (2008년부터 2022년까지 일광 절약 시간제로 사용됨) = 분류:암스테르담의 경제 = = 삼성 갤럭시 A21 = 삼성 갤럭시 A21는 삼성전자가 제조한 스마트폰이다. = GSM = GSM(, 이전에는 )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으로 TDMA 기반의 통신 기술이다. GSM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700여 회원사가 가입되어 있는 GSM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이동통신의 약 80%가 GSM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고, 가입자수는 약 34억명 이상이다.GSM 시장 현황 , GSM WORLD, 2009년 8월 7일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CDMA와 WCDMA, PCS를 사용하고 있어, GSM 방식의 휴대전화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많은 이동 통신 제조 업체들이 수출용으로 GSM 방식의 단말기를 개발하고 있다. GSM 기술은 사용자에게는 휴대전화의 교체 없이 로밍을 제공하고 사업자에게는 GSM 기술 표준을 만족하기만 하면 제조사가 다르더라도 통신 장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GSM 로밍 방식 , GSM WORLD GSM은 다른 상용 이동통신과 마찬가지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GSM 기술의 진화에 따라 보다 발전된 형태의 GSM 기술 표준이 발표되었다. 1997년 배포된 무선 데이터 통신 규격 GPRS, 1999년 배포된 EDGE 등이 그것이다. = = 역사 = = 1982년, 유럽 우편통신관리협회는 유럽 전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표준으로 집단 특화 이동통신(, GSM)을 개발하였다. 1987년 유럽의 13개 국가가 공용 휴대전화를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1989년 GSM은 유럽 통신표준기구로 관할이 이전되었고 1990년 1세대 기술규격이 배포되었다. 1991년 에릭슨의 기술을 채용한 핀란드의 라디오린자에 의해 최초 상용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1993년 유럽지역 48개 국가에서 70 곳의 통신사업자가 GSM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다.GSM 약사 , GSM WORLDGSM 20주년 , ZDnet UK, 2007년 10월 7일 기사 = = 기술 규격 = = GSM은 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이다. GSM 서비스에는 4개의 주파수 대역이 있으나 주로 900 MHz 대역과 1800 MHz 대역이 사용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이 대역이 이미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850 MHz 대역과 1900 MHz 대역을 사용하여 GSM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는 1세대 이동통신의 주파수인 400MHz와 450MHz를 사용하기도 한다. GSM의 다중접속 기술은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이다. = 인도양 = 인도양(印度洋, )은 세계에서 3번째로 넓은 바다이며 전체 바다 면적의 20%를 차지한다. 북쪽은 인도 아대륙과 아라비아 반도(또는 일반적으로 서남아시아), 서쪽은 동아프리카, 동쪽은 인도차이나 반도와 순다 열도 또는 태평양이 있고 오스트레일리아, 남쪽은 남극해로 둘러싸여 있다. 이름은 인도로부터 유래되었다. 인도양은 남극해의 북쪽이며, 아굴라스 곶이 있는 동경 20°부터 태평양의 동경 146°55'까지의 지역으로 정확히 기술된다. 최북단지역은 북위 30°쯤에 위치한 페르시아만 지역이다. 폭은 아프리카의 남쪽부터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약 10,000km쯤이며, 면적은 홍해와 페르시아만을 포함하여 73,556,000 km2이다. 부피는 약 292,131,000 km3정도로 추정된다. 인도양의 섬나라들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마다가스카르를 비롯, 레위니옹, 코모로, 세이셸, 몰디브, 모리셔스, 스리랑카가 있다. 인도네시아의 군도는 인도양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 = 해류계 = = 인도양 상공에 부는 몬순 바람이 계절에 따라 역전하기 때문에 인도양의 대부분의 해류도 그 방향을 바꾼다. 위 그림에 표시된 대표적인 해류의 방향은 북반구 겨울철이다. 여름이 되면 북적도 해류가 있는 북위 5도 부근에서는 동쪽으로 흐르고, 소말리 해류는 강한 북쪽 방향 흐름이 되어 시계 방향으로 순환을 한다. 이와 같은 해류의 격렬한 변동은 태평양이나 대서양의 해류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 분류:충청남도의 미술관 = = 환영이문록♯FE = 환영이문록♯FE(, , 도쿄 미라주 세션스 ♯FE)는 아틀러스가 개발하고 닌텐도가 Wii U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용으로 배급한 2015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다. 이 게임은 아틀러스의 여신전생과 닌텐도의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게임플레이, 이야기, 미적 요소들을 합친 크로스오버 작품이다. 2015년 12월 일본에서, 2016년 6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출시되었다. 닌텐도 스위치용 개선 이식판 환영이문록♯FE 앙코르가 2020년 1월 17일 출시되었다. = 분류:유럽을 배경으로 한 작품 = = 분류:한국항공대학교 동문 = = 디미트리 = 디미트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디미트리 파예트: 공격형 미드필더 또는 윙어로 뛰고 있는 프랑스의 축구 선수 디미트리 페트라토스: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디미트리 나자로프: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선수 디미트리 레오니다스: 잉글랜드의 배우 디미트리 베가스 & 라이크 마이크: 벨기에의 전자 음악 DJ 듀오 = 다이아몬드시티 = 다이아몬드시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다이아몬드시티 (아칸소주) 다이아몬드시티 (쇼핑 센터) =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청곡사에 있는 목조 석가여래 삼존불 좌상이다. 2010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88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 제2010-128호,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2010-12-21 청곡사 대웅전에 석가모니불좌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문수보살좌상이 우측에는 보현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 = 제작 시기 = = 현재 이 삼존불은 제작 당시에 기록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제작자 등의 불상에 대한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건륭 15년(乾隆十五年, 1750년)에 기록된 '불사동참결연작복록(佛事同叅結緣作福錄)'에서 "만력사십삼 년을묘불상조성(萬曆四十三年乙卯佛像造成)..."이라는 불상의 제작연대가 적혀있어 1615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 세부 형태 = = 본존의 석가모니불좌상은 신체비례가 알맞고 자세가 안정감 있다. 머리는 둥근 복발형에 높게 솟은 정상계주(頂上髻珠)와 중간계주가 표현되어 있다. 방형의 상호는 이마가 넓고, 반개한 눈과 넓고 편평한 코, 굳게 다문 입술 등이 조화를 이루어 엄정한 인상을 풍긴다. 볼과 턱에는 적당히 살이 올라와 있으며, 두툼한 귀는 턱까지 내려와 있어 전체적인 상호가 원만하다. 넓은 어깨의 네모난 상체를 가졌지만 가슴은 편평하고 아랫배는 부풀어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무릎아래 살짝 내리고 왼손은 오른발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아 손가락을 구부린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다. 하체는 오른발이 왼쪽 무릎위에 올라온 결가부좌로 넓고 낮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착의는 변형의 편단우견(偏袒右肩)편단우견(偏袒右肩)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어 붓다에게 공경과 존경의 마음을 표시하는 착용법이다.이며 가슴까지 올라오는 승각기는 의대(衣帶)로 묶어 꽃잎형 주름이 나타난다. 왼손에서 내려온 소매 자락은 무릎위에 올려진 오른발을 덮고 왼쪽 무릎 위에 꽃봉오리 모양을 이루었다. 다리위에 흘러 내린 대의자락은 양 다리를 감싸고 4단의 부채형 주름으로 표현되었다. 좌·우협시인 문수·보현보살좌상은 좌·우 수인의 위치와 좌·우 어깨를 덮는 이중착의 형식만 다를 뿐 상호와 신체비례 등 전체적인 조형은 본존과 동일하다. 각각의 두 보살좌상의 상투는 높은 편이며 귀를 휘감은 보발은 귀 뒤쪽을 타고 내려와 어깨 위에서 조그만 원을 중심으로 두 개의 타원을 형성하고 세 가닥으로 나뉘어 흘러내렸다. 보관은 높고 섬세하게 표현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보살좌상의 영락장식은 단순하게 작은 귀걸이와 팔찌만 표현되었다. = = 평가 = =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불상의 제작자는 관련 기록이 현전하지 않아 알 수 없지만 상호의 표현과 신체의 비례, 착의의 표현 등이 1629년 조각승 현진이 조성한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과 유사하다. 청곡사 삼존불좌상은 현진작 불상 중에서 앞서 조성된 1612년 월명암 목조아미타불좌상보다는 얼굴이 편평한 방형으로 바뀌며 당당한 신체표현의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후 제작된 관룡사 삼불좌상 보다는 형식화 되지 않았으며, 옷주름의 표현 등이 자연스럽고 상호의 모습도 안정되어 있다. 또한 본존은 170cm의 대형 불상으로 현전하는 현진 작 목조불상 중에서 비교적 큰 규모를 자랑하는 수작으로 현진의 양식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 = 참고 자료 = = *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분류:스웨덴의 자동차 제조 기업 = = 가에탕 라보르드 = 가에탕 라보르드(, 1994년 5월 3일 ~ )는 프랑스의 축구 선수이다. 그의 포지션은 공격수로, 현재 리그 1의 니스에서 활약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라보르드는 2008년 보르도로 이적하기 전에 스타드 몽투아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보르도 소속으로 2013년 스당과의 1-0으로 이긴 쿠프 감바르델라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우승에 기여했다. 2018년 8월 16일, 라보르드는 리그 1의 라이벌 몽펠리에 HSC와 4년 계약을 맺고 이적하였다. 이적료는 €3M과 추가 보너스가 붙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루 후, 보르도의 구스타보 포예트 감독은 라보르드의 판매를 비난하는 발언을 한 후, 구단에 의해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다. 몽펠리에 HSC에서 3시즌을 보내며 118경기에 출전해 39골을 기록한 라보르드는 2021년 8월 31일, 리그 1의 스타드 렌 FC으로 이적했다. 그는 모든 대회에서 47경기에 출전해 19골을 넣으며 렌에서 보낸 유일한 시즌에 다소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2022년 9월 1일, 니스는 렌에 €15M의 이적료를 지불하고 라보르드를 영입했다. 계약 기간은 2026년 6월 30일까지다. 그는 2022년 10월 2일, 2-1로 패한 파리 생제르맹과의 경기에서 니스 데뷔골을 기록했다. = = 수상 내역 = = 보르도 쿠프 감바르델라: 2013 개인 UNFP 리그 1 이달의 선수: 2021년 11월 = 위키백과:전문 용어의 표기 = 전문 용어의 표기는 아래와 같은 용어집이나 용어 사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를 혼란스럽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는 전문 용어가 한글로 표기될 때 일본어 계통, 영어 계통, 독일어 계통 등 그 용어의 유입 경로에 따라 표기가 다르게 정해지는 때가 있고, 그 중 특히 영어 계통의 용어에서 그 표기 기준이 영국계 영어와 미국계 영어로 뒤섞인 것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개별 전문 분야에서 정한 전문 용어 표기는 하단의 표에서 그 일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문 용어의 표준화에 이견이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전문 용어 단체에서 선정한 ‘표기의 선정 이유’ 확인. (문의 후 최소 1주일 간 응답 대기) 첫 토론 시작일로부터 1개월 이상 합의가 나오지 않으면 투표로 결정. = = 전문용어 표준화 단체 목록 = = 분야 제작 및 관리 용어집 및 용어 사전 설명 전문 용어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학술전문용어 정비 및 표준화 사업 전문 용어 21세기 세종 계획 전문 용어 검색 (국립국어원) 전문 용어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남북 기술용어 수학 대한수학회 수학 용어 물리학 한국물리학회 물리학 용어집 화학 대한화학회 화학술어 화학 대한화학회 화합물 명명법 화학 대한화학회 주기율표 화학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화학공학 술어집 생물학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학 용어 생물학 국립수목원 국제재배식물명명규약 172~204쪽 〈용어 해설(Glossary)〉 임학 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 지구과학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과학 한국자원정보서비스 지구과학 광물자원포털 천문학 한국천문학회 ISBN 8952115422 의학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 의학 대한의사협회대한해부학회대한기생충학회 의학검색엔진 해부학 대한해부학회 의학검색엔진 군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군사용어해설-한글 군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군사용어해설-영어약자 정보기술정보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 이카짱 = 이카짱은 일본 개발자 아마야 다이스케가 개발한 2000년 프리웨어 플랫폼 게임이다. 오징어 이카짱을 조종해 동굴을 탐험하고 다른 생물체를 돕는 것이 목표이다. 2013년에 니칼리스가 제작한 닌텐도 3DS 이식판이 e숍을 통해 출시됐으며 2016년에 일본 배급사 피키가 자국에 발매했다. = = 반응 = = 이카짱 닌텐도 3DS판은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71/100점을 기록해 "복합적 및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 = = 참조 = = = = = 주해 = = = = = = 각주 = = = = 위키백과:질문방/2021년 제50주 = = = 일문 기여 = = 자신의 일문 기여는 어디에 들어가야 볼 수 있나요?금속배트 (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13:10 (KST) — 이 의견은 금배만극특돌림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13일 (월) 15:55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영어는 왜 안나오나요? = = 안녕하세요.제가 영어를 배우는데 제가 쳐보니깐 안나오더라고요.왜 그런가요? — 이 의견은 182.231.107.67님이 2021년 12월 13일 (월) 18:58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13일 (월) 19:06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 = = 홈페이지가 없는데 어떻게 조치하죠?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18:59 (KST) = = 보존 = = 겨우 보존상자를 만들었는데 보존된건 어떻게 하죠?? 이미 보존된 뒤에 만들어서 안되는건가요?? 핑 달아주세요Carry'jina'❣❣ 2021년 12월 13일 (월) 22:17 (KST) = = 완전 보호 문서의 편집 요청은 어디에서 할 수 있습니까? = = '틀:IPA'와 '틀:IPA 링크'의 스타일에 '틀:IPA 글꼴'을 추가하고자 하는데 완전 보호 문서라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이런 건 어디에 요청해야 하나요? Konoponpokopon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03:00 (KST) 관리자한테 토론으로 요청하면됩니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08:01 (KST) = = 초안 관련 질문 = = 일반 문서로 넘겨주기된 초안 문서는 삭제 대상이던데 반대로 초안 문서로 넘겨주기된 일반 문서도 삭제가 되나요? Hajoon0102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08:23 (KST) = = 분명 썻는데... = =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목록 문서를 작성하다보니 분명 작성됬는데 안보이는 이상한게 있더라고요. 뭐때문에 그렇게 된건가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18:49 (KST) = = 유튜버 위키백과 등제 = = 실버버튼이 있는 유튜버가 위키백과에 등제될수있나요 125.186.88.90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09:55 (KST) 답장 감사합니다~ 125.186.88.90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3:46 (KST) = = 다관? = = 다관이 무엇인가요? 사관은 아는데 다관은 처음들어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5:39 (KST) = = 으음....... = = 근데관리자가 자기 사문을 보호해도 괜찮나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20:09 (KST) = = 별 관련되진 않았지만 = = 별 관련되진 않았지만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는 어떻게 다른가요? 💫허니버터💫 2021년 12월 19일 (일) 14:08 (KST) = = 유춘흠(柳春欽)의 본관은 문화가 아니라 전주입니다 = = 유춘흠(柳春欽) 독립운동가의 본관이 문화로 되어 있는데 전주류씨 족보를 보면 유춘흠 선조님의 공적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보훈처의 공훈록과 일치하며 묘역의 번호도 같습니다. 확인을 해서 교정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의견은 211.213.6.160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17일 (금) 16:35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버.....그???? = = 근데저 자동인증된 사용자가 안되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14:05 (KST) 감사합니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0:07 (KST) = =사용자 차단 신청 어떻게 하나요? = = 어떤 익명사용자분이 자꾸 문서에 장난을 칩니다.차단 어케하나요? — 이 의견은 고독한 루카리오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17일 (금) 22:01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백:사관과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은 같습니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0:39 (KST) = = 반달 = = 한번 반달했다고 차단 요청이 가능하나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2:48 (KST) = = 하 = = 모바일 젬에서 수필쓰는법 알려주세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0:38 (KST) 없어요.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0:50 (KST) 연필모양이요.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0:54 (KST) 그래도없는데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1:05 (KST) 사무자의대한 수필이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3:56 (KST) 사무장 이라고해주세요 오타났어요. 후자로 할게요.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5:27 (KST) = = 문서에 = = 현아 문서에 생애 문단이 두 개인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Bamdue🌌 2021년 12월 18일 (토) 19:12 (KST) = = 어려워요 = = 봇을 만드는데 라이브러리 적용 과정 전인 라이브러리 빌드 과정부터 망쳤어요. Jwiki 사용중이고 빌드까진 했는데 그 이후를 모르겠어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0:30 (KST) = = 천주교 = = 천주교의 관한 설명은 어딨나요? 설명을 추가 해줘요 = = 어디서 위키피디아 문법을 알수있나요? = = 제목 그대로 요즘 위키피디아 문서편집을 시작 하였는데 그 문법을 잘모르겠어 찾아 보려고 했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아 답답한 마음에 물어봅니다 Cgani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1:23 (KST) Cgani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1:25 (KST) = = 올해의 위키인 = = 백:올해의 위키인/2021년에서 투표를 한 이후 차단된 사용자의 의견은 지우는게 맞나요? The untold truth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1:51 (KST) = = 반달이 뭔가요? = = 제곧내입니다 :-) Bamdue🌌 2021년 12월 18일 (토) 23:22 (KST) = = 보호요청 = = 문서 보호요청은 어떻게 하나요?문서인간 2021년 12월 19일 (일) 10:29 (KST) = 분류:보국훈장 = = 종말 (동음이의) = 종말은 인류의 역사가 끝이 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디 엔드: 인류 최후의 날》()은 2012년 제작된 스페인의 영화이다. 《종말》()은 2019년 제작된 아일랜드의 영화이다. 《종말》()은 2013년 제작된 독일의 영화이다. = 이정권 = 이정권(1989년 8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출생하여 과거 대학 재학 시절, KBS 전국 노래자랑에 참가하여 대상을 탄 이후 '연어장인'이라는 별칭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2019년 디지털 싱글 "사랑하는, 사랑했던", 2021년에 미니 음반 "겨울 그리고 봄" 등을 통해 가수로 데뷔하여 활동하고 있다. = = 생애 = = 이정권의 대학 재학 이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2015년 강릉원주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던 중, 캠퍼스 소재지인 강원도 강릉시에서 전국 노래자랑이 열려 기회가 되어 강산에의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을 가창하여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후 가수의 꿈을 키워가던 이정권은 JTBC의 2020년 프로그램, 팬텀싱어 3에 출연하였으나 본선 1라운드에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포기하지 않고 같은 방송사의 프로그램인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에 참가하여 파이널 무대에 오른 끝에 5위의 성적을 거두며 방송을 마감했다. = = 학력 = = 강릉원주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학사)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음반 정보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판매량 음반 정보 주간 월간 연간 판매량 일기 발매일: 2021년 10월 21일 레이블: 유니버설 뮤직 그룹 포맷: CD, 디지털 음원 — —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 = EP = = = 음반 정보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판매량 음반 정보 주간 월간 연간 판매량 겨울 그리고 봄 발매일: 2021년 3월 9일 레이블: 유니버설 뮤직 그룹 포맷: CD, 디지털 음원 — —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표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함. = = = 디지털 싱글 = =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사랑하는, 사랑했던 발매일: 2019년 3월 21일 레이블: 미러볼뮤직 1. 사랑하는, 사랑했던 2. 사랑하는, 사랑했던 (Inst.) 난 (I'm) 발매일: 2019년 7월 4일 레이블: 미러볼뮤직 1. 난 (I'm) 그 시절, 우리 발매일: 2021년 5월 13일 레이블: 유니버설 뮤직 1. 그 시절, 우리 2. 그 시절, 우리 (Inst.) [요즘뭐듣니] Vol 004. 도착 발매일: 2021년 8월 25일 레이블: 유니버설 뮤직 1. 도착 2. 도착 (Inst.) 그리움은 버릇처럼 발매일: 2021년 10월 4일 레이블: 유니버설 뮤직 1. 그리움은 버릇처럼 2. 그리움은 버릇처럼 (Inst.) = = = 제작 참여 음반 = = =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참여 참여 비고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작사 작곡 비고 2019 사랑하는, 사랑했던 사랑하는, 사랑했던 이정권 2019 난 (I'm) 난 (I'm) 이정권 2021 물음 겨울 그리고 봄 이정권 2021 그 겨울의 끝에 서서 겨울 그리고 봄 이정권 2021 당신은 모르겠지만 내일도 그댈 보는 날 겨울 그리고 봄 이정권 2021 공간 겨울 그리고 봄 이정권 2021 그 시절, 우리 그 시절, 우리 이정권 2021 도착 [요즘뭐듣니] Vol 004. 도착 이정권 2021 그리움은 버릇처럼 그리움은 버릇처럼 이정권 2021 새벽 여행 일기 이정권 2021 실망 일기 이정권 권지수 공동 작곡 2021 복학생의 사랑 일기 이정권 최예근 공동 작사 2021 해피엔딩 일기 이정권 2021 그리움은 버릇처럼 일기 이정권 2021 비포선셋 일기 이정권 임수연 공동 작사, 권지수 공동 작곡 2021 위로 (Grow Up) 일기 이정권 2021 From Vincent 일기 이정권 2021 너의 우주 일기 이정권 = = = = 기타 참여 = = = =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참여 비고 2020 제비꽃 팬텀싱어3 Episode.3 V/A(이정권, 구본수) 가창 2020 바다 끝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 Episode.1 V/A(이정권) 가창 2020 날아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 Episode.7 V/A(이정권) 가창 2020 미아(迷兒)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 Episode.9 싱어게인 30호 가수(이정권) 가창 2020 바람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 Episode.12 정홍일(이정권) 가창 = = 음반 외 활동 목록 = = = = = 방송 = = = 연도 방송사 제목 날짜 역할 비고 2015 KBS 전국노래자랑(강원도 강릉시편) 6월 28일 참가자 대상 2020 JTBC 팬텀싱어 3 4월 10일~5월 8일 참가자 탈락 2020 JTBC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 11월 16일~2021년 2월 8일 참가자 5위 2021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4월 18일~4월 25일 참가자 우승 = = 콘서트 투어 목록 = = 이정권밴드 콘서트 (2019) 이정권 콘서트 "2019년도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2019) 팬타스틱 팬미팅 콘서트 (2020) 이정권 팬미팅 - 일언중천금 (2021) 싱어게인 TOP10 전국투어 콘서트 (2021) = 여수시 갑 = 여수시 갑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전라남도 여수시 일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주철현 (초선, 2020년~)이다. = = 관할 구역 = = = = = 여수시 = = = 돌산읍 남면 화정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2004년 열린우리당 김성곤 2008년 통합민주당 김성곤 2012년 민주통합당 김성곤 2016년 국민의당 이용주 2020년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2024년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 = 분류:고양시의 스포츠팀 = = 분류:2010년 아르메니아 = = 보로클 = 보로클(, , ? ~ 1217년) 또는 볼크는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사준 중 한 명이며 주르킨부 토벌 당시의 전장에서 발견되어 칭기즈칸의 어머니 호엘룬의 밑에서 테무친과 함께 자라 형제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원조비사에 따르면 주르킨부 토벌 당시 테무친의 어머니 호엘룬이 보로클을 발견하여 테무친과 함께 키웠고, 테무친에게는 형제의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1202년 빈사 상태였던 오고타이를 전장에서 구출하는 등의 공을 세웠으나, 1217년 몽골 북동쪽 삼림 지대의 수렵 민족 투마트족과의 전쟁에서 전사하였다. 후에 보로클의 아들 타차르는 칭기즈칸의 신임을 받으며 큰 공을 세웠다. = 구암정 (의성군) = 구암정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 92에 있는 정자 건축물이다. 2013년 5월 28일 의성군의 문화유산 제2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구암정은 구암(龜巖) 신일화(辛日和)가 서식하면서 글을 가르치던 곳에 순조 1년(1801) 구암봉 곁에 작은 정자를 지은 것이라 한다. = 분류:라트비아의 도서관 = = 국민서관 = 국민서관(國民書館, Kookmin Books)은 대한민국의 출판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파주시 광인사길 63에 있다. 만화, 백과사전, 전집, 그림책을 비롯한 서적들을 출간하고 있다. = = 역사 = = 1960년 6월 1일에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에 법통사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1968년 10월에 상호를 국민서관으로 변경했다. 1982년 2월을 기해 주식회사 국민서관 법인으로 전환되었고 1982년 9월부터 유아 교재를 생산했다. 2004년 5월에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로 본사를 이전했고 2011년 4월에는 온라인 쇼핑몰 겸 어플리케이션 개발 전문 자매 회사인 토이앤스토어를 설립했다. 2014년 1월에는 국민서관 부설 디자인연구소를 개설했고 2014년 11월에는 국민서관 부설 평생교육원 라움인스티튜트를 개원했다. = = 그림책 = = 오직그림책 국민서관 그림동화 전집 등 = = 단종된 브랜드 = = 넘버원학습대백과사전 = = 슬로건 = = 국민서관은 거북이모양이나, 책을 만들자는 파란 네모의 책들이 상호를 담고 있다. = 킬러들의 쇼핑몰 = 킬러들의 쇼핑몰은 2024년 1월 17일부터 2024년 2월 7일까지 방송 예정인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다. = = 줄거리 = = 삼촌 ‘진만’이 남긴 위험한 유산으로 인해 수상한 킬러들의 표적이 된 조카 ‘지안’의 생존기를 다룬 스타일리시 뉴웨이브 액션 = = 제작진 = = = = = 제작 = = = 유정훈 = = = 제작사 = = = 메리크리스마스 = = = 연출 = = = 이권 : ( 영화 《도어락》(감독), OCN 수목 미니시리즈 《구해줘 2》(연출) 등 연출 ) 노규엽 = = = 극본 = = = 이권 : ( 영화 《도어락》(감독), OCN 수목 미니시리즈 《구해줘 2》(연출) 등 연출 ) 지효진 = = 등장 인물 = = 이동욱 : 정진만 역 김혜준 : 정지안 역 (아역 : 안세빈, 조시연) 서현우 : 이성조 역 조한선 : 베일 역 박지빈 : 배정민 역 (아역 : 김예겸) 금해나 : 소민혜 역 이태영 : 헤이브라더 역 김민 : 파신 역 김준배 : 김 선생 역 던밀스 : 쿠마 역 박정우 : 혼다 역 정이헌 " 준철 역 미상 : 쌍둥이 역 = 이근삼 = 이근삼(李根三, 1929년 6월 27일 ∼ 2003년 11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다. 1960년 1월 『사상계』에 현대인의 삶을 풍자적으로 그린 단막희곡 『원고지』를 발표하면서 국내 문단에 데뷔하였다.평안남도 평양시 대찰리 145번지에서 출생하였으며 혜화전문학교(현재 동국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다. 육사교관과 서울대에서의 교편생활을 거쳐 1957년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원에 유학하였고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2003년 11월 28일 지병인 폐암으로 별세하였다. = = 생애 = = 1946년 평양사범학교 심상과 5년 졸업 1947년 혜화전문학교 문과 입학 1952년 동국대 영문과 졸업 / 육군사관학교 외국어과 교관 1955년 동국대 영문과 전임강사 1959년 미국 노오스캐롤라이나대 대학원 1962년 서울시 문화위원 / 중앙대 문과대학 부교수 1963년 극단 민중극장 대표 1966년 뉴욕대 수학 1969년 서강대 교수, 학장 1980년 서강대 학생처장 1982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 1991년 방송위원회 연예심의위원장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서강대 사회과학대 학장 1994년 국립중앙극장 운영자문협의회 위원장 2003년 타계 = = 학력 = = 혜화전문학교 영문학 학사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석사 뉴욕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박사 = = 주요 작품 = = 《원고지》1960 《아벨만의 재판》1975 《18 공화국》1965 《30일간의 야유회》1974 《국물있사옵니다》1966 《유랑극단》1971 《동쪽을 갈망하는 족속들》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1961 《일요일의 불청객》1975 <참고> 이근삼의 희극세계는 크게 4가지 경향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권력 혹은 정치 풍자로 대표작은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 「제18공화국」(1965), 「30일간의 야유회」(1974), 「아벨만의 재판」(1975) 등이다. 두 번째는 속물적 현대인 풍자로 「거룩한 직업」(1961), 「국물 있사옵니다」(1966), 「향교의 손님」(1988) 등이 대표작이다. 세 번째는 인생과 연극의 동일성을 그리는 경향으로 「유랑극단」(1971)이 대표작이다. 네 번째는 노년연극으로 「내일, 그리고 또 내일」(1985), 「막차 탄 동기동창」(1991), 「어떤 노배우의 마지막 연기」(1998) 등이 대표작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수상 = = 1992 대한민국예술원상 1994 국민훈장모란장 1994 옥관문화훈장 = 분류:올림가단조 작품 = = 우간다 국기 = = 여의도 (영화) = "여의도"는 201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김태우 : 황우진 역 박성웅 : 강정훈 역 황수정 : 아내 역 고세원 : 조 부장 역 김성태 : 사채업자 역 김도신 : 김 형사 역 김산호 : 박민혁 역 구승현 : 황현준 역 권혁풍 : 사장 역 이재구 : 금감원 직원 역 박인영 : 사채 사무실 여직원 역 오성태 : 브로커 역 강철성 : 감식반 역 박민수 : 동네아이 1 역 임제노 : 동네아이 2 역 하대로 : 웨이터 역 최은 : 호스티스 역 고영욱 : 룸살롱 DJ 역 (우정출연) = 분류:프라이버시 = = The Great Divide = The Great Divide는 2005년 11월 22일에 발매된 스콧 스탭의 음반이다. = 이호연 (동음이의) = 이호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호연(1954년 ~ 2018년)은 대한민국의 음반 제작자,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자이다. 이호연(1956년 ~ )은 대한민국의 국악인, 교육자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민요 전승교육사이다. 이호연(1983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호연(李顥妍, 1995년 ~ )은 KBO 리그 kt 위즈의 내야수이다. = 굴포연대 = 굴포연대는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백동리 신동마을 연대산에 있는 조선시대의 연대지이다. 2012년 2월 29일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유형유산) 제1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굴포연대는 진도군 임회면 백동리 신동마을 연대산에 있는 조선시대의 연대지이다. 진도군 임회면 굴포연대는 신동마을 북동쪽 100m 지점 연대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상굴포와 짝별 사이에 내만 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고 북동쪽으로는 상망거리(相望距離) 내에 여귀산봉수대가 위치한다. 이 여귀산 정상에서는 주로 북쪽 해안이 잘 조망된다. 연대는 정상에 자연석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현재는 도괴된 석재만이 산재해 있다. 현존하는 석축의 흔적으로 보아 본래는 원형의 연대였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 직경 6.8~7m 정도이다. = The Definitive Collection = The Definitive Collection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The Definitive Collection (마이클 잭슨의 음반) The Definitive Collection (ABBA의 음반) = 다목적실용위성 = 다목적실용위성은 대한민국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주도하에 개발된 실용위성이다. 국민 공모를 통해 아리랑이라는 이름을 얻어 사용 중이다. 아리랑 1호: 1999년 발사. 아리랑 2호: 2006년 발사. 아리랑 3호: 2012년 5월 발사. 아리랑 5호: 2013년 8월 발사. 아리랑 3A호: 2015년 3월 발사. 아리랑 6호 아리랑 7호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共産黨, )은 체코의 공산주의 정당이다. 1989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벨벳 혁명을 계기로 해체된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출신 인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동안 쭉 체코의 제 3의 정당 역할을 하였으나, 공산당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연정 파트너로 뽑히지 않았다. 2017년 총선에서 의석의 절반을 잃었으나, 기민당이 ANO 2011과의 연정을 중단하자 ANO 2011은 이 당과 연정하였다. = 분류:남아시아의 역사 = = 퀸즐랜드 레즈 = 퀸즐랜트 레즈(Queensland Reds)는 1882년 창단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럭비 유니온 팀이다. 퀸즐랜드주 브리스번을 연고로 하고 있으며 홈구장은 선코프 스타디움이다. = = 우승기록 = = = = = 수퍼 6 = = = 우승 - 1회(1992) = = = 수퍼 10(1993~1995) = = = 우승 - 2회(1994, 1995) = = = 수퍼12, 수퍼14(1996~현재) = = = 우승 - 2회(1996, 1999) 준우승 - 0회 = 진샤강 = = 금창로 = 금창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금창로 (인천) 금창로 (영천시) = 분류:트라파니 칼초 = = 스키 마스크 더 슬럼프 갓 = 스토클리 클레븐 굴버른(Stokeley Clevon Goulbourne),이 본명인 스키 마스크 더 슬럼프 갓(1996년 4월 18일 출생, "$ki Mask "The Slump God"이라 불림)은 미국의 래퍼이자, 싱어송라이터이다. 그는 처음에 텐타시온과 그들의 집단과 함께 유명해졌다. 2017년, 그는 싱글 "Catch Me Outside"와 "Babywipe"를 발매했는데, 이 두 곡 모두 그의 믹스테이프 "You Will Retrief" (2017)에 수록되었고, "RIAA"는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굴본(Goulbourne)의 믹스테이프인 Beare the Book of Eli는 2018년 5월 발매되었으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 50위를 기록했다.2018년 데뷔 앨범 "Stoolkeley"는 빌보드 200에서 6위로 정점을 찍었다. = =음악 스타일 = = 굴본은 그의 음악적 연출이 부스타 라임스( Busta Rhymes)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미시 엘리엇과 치프 키프. 굴본(Goulbourne)은 또한 그가 어떠한 주요 음악적 영향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저는 모든 장르를 다 듣습니다: 랩, 락, 클래식, 헤비메탈... 저도 가끔 아델의 노래를 들어요."라고 말했다. = 고바야시 고이치 (바둑 기사) = 고바야시 고이치(, 1952년 9월 10일 ~ )는 일본의 바둑 기사이다. 일본기원 도쿄 본원 소속이며 9단이다. 가족으로는 바둑 기사로 활동하고 있는 딸 고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가 있다. 사위는 타이완 출신 일본 바둑 기사인 장쉬(張栩)이다. = = 탄생 및 바둑기사 입문 = =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光一)는 1952년 9월 10일 홋카이도(北海道) 아사히카와시(旭川市)에서 태어나 1965년 기타니 미노루(木谷 實九段)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바둑에 입문해 1967년에 입단했다. 신인왕전 2연패(1976~1977) 1986 ~ 1993년 기성전(棋聖戰) 8연패 1985, 1988 ~ 1994년 명인전(名人戰) 7연패 포함 8차례 우승 천원전(天元戰) 5차례 우승(1976,1985,1986,1998,1999) 작은기성전(碁聖戰) 9차례 우승 (6연패 달성)(1988~1993,1999,2001~2002) 십단전(十段戰) 5차례 우승(1984~1986,1999~2000) 아함동산배(阿含・桐山杯) 우승(1999년) 용성전(龍星戰) 3차례 우승(1997,2002,2003) NHK배 2차례 우승(1986,2004) NEC배 우승(1995,1999,2004) 1997년 제10회 후지쯔배 우승 2011년 제1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준우승 2012년 9월 만 60세 생일을 맞아 명예기성(名誉棋聖)・명예명인(名誉名人)・명예기성(名誉碁聖)의 칭호를 자칭하게 됨. 2016년 제6회 일본 바둑 마스터즈 우승 = = 가족 관계 = = 고바야시 고이치 9단의 딸은 고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 6단으로 1990년대 일본여자 바둑의 에이스로 군림했고 사위는 대만 국적의 일본 바둑기사인 장쉬(張栩) 9단으로 2004년에 고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와 결혼을 했다. = = 국제 기전 성적 = = 기전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잉씨배 8강 - - - × - - - × - - - × - - - × - - - × 후지쯔배 4강 16강 3위 4강 16강 8강 8강 준우승 3위 우승 16강 × × 8강 16강 × × × × × × 동양증권배 × × × - × × × × - 16강 × 중지 - - - - - - - - - - 삼성화재배 - - - - - - - - 8강 × × × × × × × × × × × 32강 LG배 - - - - - - - - 24강 × 24강 × × 24강 24강 × × 16강 × × × 춘란배 - - - - - - - - - - × × × - × - × - × - × 도요타배 - - - - - - - - - - - - - - 32강 - 32강 - × - × TV아시아 - × × × × × × × × 1회전 × × × × × × 1회전 × × × × 농심배 - - - - - - - - - - - × × 0:1 2:1 3:1 × × × × × = 분류:베누에주 출신 = = 단순 함수 = 측도론에서 단순 함수(單純函數, )는 유한 가지 값만을 가지는 가측 함수이다. = = 정의 =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mathbb K\in\{\mathbb R,\mathbb C\} \mathbb K-바나흐 공간 V 가측 공간 (X,\mathcal S) 그렇다면, X에서 V로 가는 단순 함수는 다음과 같은 꼴의 함수이다. 여기서 \chi는 지시 함수이다. = = 성질 = = 모든 단순 함수는 가측 함수이다. 따라서 단순 함수의 열의 점별 극한은 (만약 존재한다면) 가측 함수이다. 페티스 가측성 정리에 따라, 만약 공역 V가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일 경우, 가측 함수는 단순 함수의 열의 점별 극한과 동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바나흐 공간 값 함수의 경우 단순 함수의 열의 점별 극한이 아닌 가측 함수가 존재할 수 있다. = = 예 = = 모든 지시 함수 또는 계단 함수는 단순 함수이다. = 사이클로프로페인 = 사이클로프로페인(cyclopropane) 또는 시클로프로판은 C3H6의 화학식을 가져 분자에 탄소원자가 세개인 사이클로알케인이다. 결합각이 60도여서 불안정하므로 첨가반응을 잘하지만 브로민수 탈색반응은 잘 하지 못한다. 탄소원자 3개가 한 평면상에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 = 역사 = = 사이클로프로페인은 1881년 어거스트 프로인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그는 또한 그의 논문에게 신물질에 대한 올바른 구조식까지 제시했다.프로인트는 1,3-다이브로모프로페인을 나트륨을 반응시켜, 분자내 부르츠 반응을 통해 이를 합성했다.1887년 나트륨 대신 아연을 이용한 구스타프슨에 의해 그 수율이 향상되었다. 사이클로프로페인은 상업적으로 이용되지 않다가 1929년 헨더슨과 루카스에 의해 마취제로서의 성질이 발견되고, 1936년 산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다른 물질로 대체되어 쓰이지 않는다. = = 마취제 = = 사이클로프로페인은 Ralph M. Waters에 의해 의학적인 용도로 도입되었다. 사이클로프로페인은 상대적으로 강한, 자극적이지 않고 달콤한 향을 가졌으며, 최소 폐포 농도(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는 17.5%, 혈액/기체 분배 계수(blood/gas partition coefficient)는 0.55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클로 프로페인과 산소의 혼합물 흡입으로 인한 마취 유도가 빠르고 불쾌하지 않다는 뜻이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급격한 혈압감소로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성이 있었다. 이는 '사이클로프로페인 쇼크'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그리고 높은 가격과 폭발성때문에 이후 마취의 유도에만 사용되다가 1980년대 중반부터 의학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 = = 약리학 = = = 사이클로프로페인은 GABAA와 글리세린 수용체에 대해 비활성을 나타내며, NMDA 수용체 대항체로서 작용한다. 또한 AMPA 수용체와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특정 K2P 통로를 활성화시킨다. = = 구조와 결합 = = 삼각형 형태의 사이클로프로페인의 구조는 60°의 결합각을 나타나게 하는데, 이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109.5°보다 작은 값(sp3 혼성 오비탈을 형성)으로서 고리 변형이 크게 나타난다. 또한 수소 원자들의 가려진 입체 배열로 인해 비틀림 변형 또한 나타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알케인보다 불안정한 결합을 가지게 되고, 높은 반응성을 가지게 된다. 탄소간의 결합은 굽은 결합으로 기술되는데,Eric V. Anslyn and Dennis A. Dougherty. Modern Physical Organic Chemistry. 2006. pages 850-852이 모형에서 탄소 원자간의 결합은 바깥족으로 굽어있고, 내부 오비탈의 각도가 104°로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결합 변형의 수준을 감소시키며, sp3 혼성 오비탈을 변형시켜 sp5 혼성을 나타내게 된다. (만큼의 s 오비탈의 성질을 가짐.) 따라서 탄소간 결합은 일반적인 결합에 피해 π 성질을 가지게 된다.(동시에 탄소-수소 결합의 경우 s 성질을 더 많이 가진다.) 또한 탄소간의 결합은 일반적인 탄소간 결합보다 약하고, 그 결합길이가 151pm로 153pm의 일반적인 알케인 결합 길이보다 짧게 나타난다.(알켄의 경우 146pm를 나타낸다.) 사이클로프로페인의 세 개의 시그마 결합을 형성하는 여섯 개의 전자에 의한 고리형 비편재화에 의한 안정성을 통해 Michael J. S. Dewar는 사이클로프로페인의 변형 에너지(27.6 kcal/mol, 사이클로헥세인을 0 kcal/mol으로 할 때)가 사이클로 뷰테인(26.2 kcal/mol)에 비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설명하였다.S. W. Benson, Thermochemical Kinetics, S. 273, J. Wiley & Sons, New York, London, Sydney, Toronto 1976 이러한 안정화는 벤젠과 같은 분자에서 나타나는 π-방향족성과 달리 σ-방향족성을 나타내게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σ-방향족성의 역할과 ring current의 존재를 지지하지 않으며, 에너지 측면의 안정화와 사이클로 프로페인의 비정상적인 자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 = 합성 = = 사이클로프로페인은 처음에는 부르츠 반응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나트륨을 아연으로 대체함으로서 그 수율이 향상되었다. = = = 사이클로프로페인화 = = = 사이클로프로페인 고리는 피레트린과 같은 다양한 생체 분자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고리를 형성하는 반응을 사이클로프로페인화라고 부른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은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2017년 2월 20일부터 2월 22일까지 삿포로시의 마코마나이 실내 스케이트장에서 진행되었다. = = 메달리스트 = = 남자 500m 남자 1000m 남자 1500m 남자 5000m 계주 우다징한톈위런쯔웨이쑤훙즈스징난 이정수서이라신다운박세영한승수 요코야마 히로키요시나가 가즈키와타나베 게이타사카즈메 료스케무라타케 다카유키 여자 500m 여자 1000m 여자 1500m 여자 3000m 계주 심석희최민정노도희김지유김건희 판커신취춘위짱이쩌궈이한린웨 김영아아나스타시야 크레스토바마디나 잔부시노바아니타 나가이올가 티호노바 = = 참가국 = = 17개국, 94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초청국 자격으로 경기에 참여하기 때문에 입상을 하여도 메달이 주어지지 않는다. 괄호 안은 참가 선수의 숫자이다. * * * * * * * * * * * * * * * * * = 한춘옥 = 한춘옥(韓春玉, 1964년 1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제11대 전라남도의원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도사동 출신이다. = = 학력 = = 순천도사국민학교 졸업 순천여자중학교 졸업 순천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 = 경력 = = 순천농협 남도식품 김치공장 부장 순천농협 본점 문화센터장 순천농협 장천지점장 순천시 배구협회 부회장 청어람 인문학 연구소 연구실장 순천교육공동체 운영위원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21.04 ~ 2022.06 제11대 전라남도의회 의원 2021.04 ~ 2022.06 제11대 전라남도의회 후반기 보건복지환경위원회 위원 2022.07 ~ 제12대 전라남도의회 의원 제12대 전라남도의회 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제12대 전라남도의회 전반기 농수산위원회 위원 = 타르판 = 타르판은 유라시아에 살던 야생마였으나 1879년에 멸종했다. 타르판은 1774년에 J. F. 그멜린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했다. = 분류:서울특별시의 예술 시설 = =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 =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 1816년 7월 21일 ~ 1899년 2월 25일)은 독일 출신 영국의 기업인이며 매체 소유자이자 로이터 통신의 창립자였다. "이스라엘 베어 요자파트"라는 본명으로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영국으로 이주할 때 이름을 바꾸고 기독교로 개종하여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로 세례를 받았다. 자신의 성취들로 그는 자신이 "파울 율리우스 폰 로이터" 혹은 "파울 율리우스 더 로이터"로 알려지게 된 후 남작의 지위를 받았다. 통신과 매체의 분야를 개발하는 데 여겨져 혁신적이고 통찰력이 있던 로이터는 자신의 회사를 개발하는 데 열심히 일하였다. 일찍이 그는 대중에게 가능한 대로 빨리 뉴스를 가져오는 데 필요를 인정하여 전신선에서 격차를 해소하는 데 전서구를 이용하고 그것들이 설치되자 마자 수중 전신선의 사용을 만들었다. 분야에서 혁신가인 로이터는 아직도 다른 유럽의 통신사들과 협동하는 데 필요성을 인정하여 공명정대하게 영토들을 가르는 데 샤를루이 아바스에 의하여 창립되어 프랑스 통신사 (AFP)로 알려진 프랑스의 아바스 SA와 독일에서 베른하르트 볼프의 볼프스 통신사와 합의에 도달하였다. 로이터는 적시와 자신의 사후 한 세기 동안을 위하여 자신의 통신사를 안내한 것을 보고하는 간결한 뉴스를 위한 표준을 설정하였고, 세계를 통하여 보고하는 뉴스에 영향력을 주었다. = = 생애 = = 독일, 당시 헤센 선제후국의 카셀에서 유대인 가족에게 태어났으며, 그의 부친은 랍비를 지냈다. 그들은 그에게 "이스라엘 베어 요자파트"라고 이름을 지었다. 어린 요자파트는 처음에 괴팅겐에 있는 자신의 삼촌의 은행에서 일하였다. 거기서 그는 전기와 자기학에 연구를 개척한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를 만났다. 당시 가우스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 신호의 변속기와 실험하고 있었으며 1833년 첫 전기 전신을 세웠다. 1845년 10월 29일 그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자신을 "요제프 요자파트"로 불렀다. 그는 빠르게 기독교로 개종하였고 11월 16일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로 세례를 받았다. 1주 후에 11월 23일 그는 아이다 마리아 엘리자베스 클레멘타인 망누스에게 결혼하였다. 그들의 자식들은 부친의 퇴직에 그의 통신사를 차지하였으나 1915년 4월 18일 자신의 총으로 쏘아 자살한 아들 허버트를 포함하였다. 그들의 딸 클레멘타인 마리아는 오토 슈텐보크 백작에게 결혼하였고, 그의 사후 영국의 사관이자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의 총독 허버트 컴사이드 경에게 재혼하였다. 로이터는 독일로 돌아와 이번에는 1847년 자신이 서점이자 출판사 "로이터 운트 슈타르가르트"에서 파트너가 된 베를린이었다. 1848년 독일 혁명이 실패할 때 정치적 팜플렛들을 발간한 것으로 알려진 그는 파리를 위하여 독일을 달아났다. 거기서 그는 통신사를 설립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몇달 안에 실패하였다. 그는 그러고나서 후에 프랑스 통신사로 알려진 샤를루이 아바스의 통신사에서 일하였다. 1850년 경에 로이터는 자신의 이름을 지닌 세계적으로 유명한 재정적 통신사가 된 로이터 통신을 창립한 독일에 돌아와 있었다. 1851년 그는 런던으로 돌아가 런던 증권거래소 근처에 사무소를 세웠다. 1857년 3월 17일 로이터는 영국에 귀화하였다. 그가 "파울 율리우스 폰 로이터" 혹은 "파울 율리우스 더 로이터"로 알려진 후, 1871년 9월 7일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은 그에게 남작 지위를 부여하였다. 후에 그는 영국에서 같은 지위를 받았다. 1878년 로이터는 통신사로부터 퇴직하였으며 많은 세월 동안 자식이 지속적으로 연루되었어도 자신의 아들 허버트에게 회사의 통제를 넘겨주었다. 그는 오히려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여 프랑스 니스로 이주하였고, 1899년 2월 25일 82세의 나이로 "빌라 로이터"로 불린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시신은 런던으로 돌아가 웨스트 노우드 묘지에 안장되었다. = = 업무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자신의 면식을 통하여 자신의 전신으로 소개에 이어 로이터는 매체에서 경력에 착수하였다. 어떤 시초적 실패들에 불구하고 그의 기업적 영혼은 그가 세계에서 주요 그런 통신사들 중의 하나가 된 로이터 통신을 창립할 때 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1848년 독일에서 파리로 달아난 후, 로이터는 훗날의 프랑스 통신사 샤를루이 아바스의 통신사에서 일하였다. 1850년 34세의 로이터는 네덜란드와 벨기에 국경에 가까운 독일의 아헨에서 기반을 두었고, 베를린으로 소식을 보내는 데 새롭게 개장한 베를린 - 아헨 통신선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로이터는 전신 뉴스가 먼 거리를 여행하는 데 더 이상 하루들 혹은 주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하지만 거기에는 아헨과 브뤼셀 사이의 선에 76 마일의 공간이 있었다. 로이터는 브뤼셀과 베를린 사이에 뉴스의 송신을 빠르게 하는 데 기회를 발견하여 전서구를 이용한 브뤼셀과 아헨 사이에 전갈을 옮긴 로이터 통신을 창립하였다. 전서구들은 열차보다 매우 더 빨라 그에게 파리 증권거래소로부터 증권 소식으로 더빠른 접근을 주었다. 1851년 전서구들은 직접적인 전신 링크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1851년 로이터는 런던으로 돌아가 10월 자신의 "잠수함 전신"을 세워 이어진 달에 영국 해협 아래 수중 전선 케이블의 개통을 예상하였다. 그 창립으로부터 로이터는 타임스를 포함한 몇몇의 영국의 신문들로부터 구독을 얻었다. 한 세기 동안 로이터 통신은 대영제국의 통신사로 지내왔으며 가장시기 적절한 유행인 "뉴스에서 진실"을 마련하였다. 1861년 영국의 총리 파머스턴 자작은 빅토리아 여왕의 궁정에서 로이터를 수여하였다. 로이터 통신의 사무소들은 전 유럽에 개장하여 로이터의 좌우명 "케이블을 따라가라"를 따랐다. 로이터의 통신사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암살 사건의 뉴스 같은 해외로부터 처음으로 특종을 보고하여 유럽에서 평판을 지었다. 1866년 대서양 횡단의 케이블이 개통되었고, 더욱 빠르게 세계 각국에 뉴스가 빠르게 전달되도록 허용한 수중 케이블의 확장을 지속하였다. 로이터는 유럽을 넘어 사무소들을 개장하여 이집트와 시작하여 극동, 후에 남아메리카에 도달하였다. 세계 통신이 개발되면서 로이터는 3개의 통신사들 중에 세계의 영토들을 가른 라이벌들 - 프랑스의 아바스와 독일의 볼프와 함께 합의를 이루었다. 1865년 로이터의 민간 기업이 재구성되었고, 로이터스 전보 회사로 불린 유한 회사가 되었다. 1878년 로이터는 퇴직하여 자신의 아들 허버트에게 회사의 운영을 넘겼다. 하지만 그는 통신사에서 활동으로 남아있었다. 1883년 그는 로이터 통신이 2008년 톰슨 그룹과 합병될 때까지 한 세기 동안 로이터 통신의 특파원들을 안내한 비망록을 썼다. 적시와 간결한 뉴스 보고를 위하여 표준을 설정한 이 비망록에서 로이터는 다음과 같은 소식을 보고하는 데 그들에게 요청하였다. - "삶의 상실과 함께 참석된 화재, 폭발, 홍수, 범람, 철도 사고, 파괴적인 폭풀, 지진, 난파선들, 함정으로 그리고 우편 기선, 중대한 인물의 거리 폭동들로 사고들, 파업, 사이의 결투와 사회적 혹은 정치적 사람들의 자살들로부터 오르는 방해들, 들로부터 오르는 감각적 혹은 극악한 인물의 살인들. 그것은 최대한 신속과 함께 처음으로 넌지시 알려지는 데 사실들을 드러내는 것이 요청되었고, 그 후 가능한 빨리 사고의 중력에 비례, 설명 계정을 한다. 물론 문제를 추적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 영예 = = 로이터 통신 회사는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에 의하여 설립된 창립에 지속적으로 건설하였다. 그것은 프랑스 통신사, AP와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큰 통신사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 로이터 통신은 신문, 텔레비전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주식회사와 블로거들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다수의 뉴스 아웃렛들에게 이미지, 비디오와 문자를 공급하였다. 그들의 자료들은 로이터 통신이 개척한 광범위한 전자 조직망을 통하여 주요 혹은 2류 둘다의 뉴스 아웃렛들에 의하여 세계 각국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로이터 통신은 로이터의 기술 개발의 혁신적인 이용과 1833년으로 돌아가 그가 설립한 뉴스 보고의 표준에 의하여 개척되면서 물리적 측면의 용어들에 세계 통신의 개발에서 상당한 힘으로 지냈다. = 양상 = 양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양상(梁相, ? ~ ?)은 중국 전한 말기의 관료이다. 양상(梁商, ? ~ 141년)은 중국 후한 중기의 관료이다. = 분류:1932년 조약 = = 신천 강씨 = 신천 강씨(信川 康氏)는 황해남도 신천군이 본관인 고구려출신의 강호경(康虎景)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다. = = 기원 = = 신천강씨대동보(信川康氏大同譜)에 따르면, 주나라(周) 무왕(武王)의 동생 강숙(康叔)의 둘째 아들 강후(康候)가 기원전 198년에 조선 평양에 들어와 왕실을 교화한 공으로 기자로부터 강씨 성을 받았다고 한다. = = 역사 = = 시조 강호경(康虎景)은 김관의의 고려편년통록(高麗編年通載)에 의하면 고구려 출신으로 강후(康侯)의 68대손이며 처음 이름은 강기(康騎), 신라의 성골장군(聖骨將軍)을 지냈다고 한다. 고려 태조 왕건의 외6대조라고 한다. 강호경의 14세손인 강지연(康之淵)이 고려 명종(明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1231년(고려 고종 18) 몽골의 개경(開京) 침략으로 이듬해 강화도(江華島)로 천도할 때 왕을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올라 신성부원군(信城 府院君)에 봉해졌다. 그 밖에 조선 명종 시기 야사집인 삼한습유기(三韓拾遺紀)에는 용 (성씨)씨와 신천 강씨가 본래 고구려 비류수(현재 중국 만주 혼강) 상류에 위치한 비류국 출신이라 기록되어 있는데 비류국은 동명성왕의 정복 후에 오부 중 왕가를 배출한 계루부 다음으로 강대한 세력을 가졌던 연노부(비류나부)가 된다. = = 본관 = = 신천(信川)은 황해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는 승산군(升山郡)이었고 고려 때에는 신주(信州)라고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두 지역 모두 중반군(重盤郡)에 소속되었고, 궁홀은 궐구(闕口)로 개칭되었다. 승산과 궐구는 태봉 때 또는 고려의 후삼국 통일 전에 신주(信州)와 유주(儒州)로 개칭된 것으로 짐작된다. 신주는 995년(성종 14) 방어진으로 바뀌었다가 1012년(현종 3) 폐지되고 황주(黃州)의 속현이 되었다. 유주는 1018년 풍주(豊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문화현(文化縣)으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신천으로 개칭되어 현감을 두었다가 1469년(예종 1)에 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09년에 문화군과 병합되었다. = = 분파 = = 곡산 강씨(谷山 康氏)의 시조 강서(康庶)는 강지연(康之淵)의 6세손이다. 강서의 아들 강윤성(康允成)이 고려 충혜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뒤에 한림학사(翰林學士), 이부시랑(吏部侍郞),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내고, 1343년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임명되었다. 강윤성의 딸이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로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되면서, 강윤성은 태조의 국구(國舅)로서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에 봉해지고 경안백(慶安伯)에 추봉되었다. 재령 강씨(載寧 康氏)의 시조 강득룡(康得龍)은 강지연(康之淵)의 8세손으로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는 그의 친누이동생이다. 강득룡은 고려 공민왕 때 삼사우사(三司右使)를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을 결심, 관악산에 들어가 암자에 살면서 매일같이 산에 올라 개성을 향해 통곡하였는데, 이곳이 연주대(戀主臺)와 연주암으로 전해지고 있다. 태조는 그를 안릉부원군(安陵府院君)에 봉하여 안정공(安靖公)이란 시호를 내렸고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재령으로 하였다. 재령(載寧)이라는 지명은 황해도 재령(黃海道 載寧)을 뜻한다. 충주 강씨(忠州 康氏) 시조 강도(康度)는 강지연(康之淵)의 6세손으로 충원백(忠原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강(康)씨는 신천, 곡산(谷山), 재령(載寧), 충주(忠州), 진주(晉州), 평양(平壤) 등 10여 개 본관이 전해지고 있으나 신천·곡산·재령강씨가 대종을 이루며, 오늘날 신천 강씨 족보를 통합하였다고 한다. = = 왕실과의 인척관계 = = 태봉 궁예 비 강씨(康妃) 고려 태조 제22비 신주원부인 조선 태조 계비 신덕왕후 = = 과거 급제자 = = 신천 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5명을 배출하였다. 강려(康慮) 강경희(康景禧) 강교년(康喬年) 강국룡(康國龍) 강문상(康文祥) 강백진(康伯珍) 강병적(康炳迪) 강석제(康錫濟) 강성로(康聖輅) 강성익(康聖翊) 강수학(康邃學) 강시갑(康始甲) 강시진(康時進) 강신(康愼) 강여중(康汝中) 강열(康說) 강우량(康友諒) 강욱(康昱) 강정하(康正夏) 강중진(康仲珍) 강진(康晉) 강취승(康就昇) 강치성(康致誠) 강현(康現) 강홍거(康鴻擧) 강효문(康孝文) 강봉서(康鳳瑞) 강석구(康錫九) 강세량(康世良) 강세주(康世柱) 강연(康綖) 강용기(康龍基) 강유제(康裕濟) 강유흥(康有興) 강윤석(康允碩) 강윤석(康胤昔) 강이청(康以淸) 강이호(康履昊) 강익화(康益華) 강재오(康在五) 강제량(康濟良) 강제하(康濟夏) 강진남(康震男) 강천세(康千世) 강태우(康台禹) 강홍업(康弘業) 강효업(康孝業) 강후진(康侯晉) 강흥선(康興善) 강흥익(康興翊) 강경희(康景禧) 강계하(康繼夏) 강교년(康喬年) 강규섭(康奎燮) 강기원(康起元) 강대순(康大淳) 강민순(康敏淳) 강사성(康士成) 강사연(康士淵) 강석린(康碩鱗) 강석보(康錫輔) 강석삼(康錫三) 강수학(康邃學) 강식(康栻) 강신(康愼) 강억(康億) 강엄(康儼) 강열(康說) 강용석(康用錫) 강유(康鍒) 강유제(康有齊) 강유함(康維咸) 강윤제(康允濟) 강응(康凝) 강종일(康鍾日) 강주석(康柱石) 강중진(康仲珍) 강지순(康志淳) 강창조(康昌祚) 강치숙(康致肅) 강효문(康孝文) 강계렴(康繼濂) 강교년(康喬年) 강대언(康大彦) 강덕관(康德寬) 강륜(康崙) 강복성(康復誠) 강세헌(康世憲) 강수규(康秀奎) 강유문(康有文) 강은영(康殷英) 강응철(康應哲) 강이태(康履泰) 강제민(康濟民) 강주신(康胄信) 강중진(康仲珍) 강진후(康晉厚) 강현진(康顯晉) 강효창(康孝昌) 강송년(康松年) 강준익(康俊益) 강흡(康洽) = = 항렬자 = =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온(溫)익(益) 口양(良)口수(秀) 공(恭)태(泰) 口검(儉)口상(相) 형(炯)병(炳) 口주(周)口기(基) 현(鉉)종(鐘) 口수(洙)口순(淳) 영(榮)주(柱) 口하(夏)口환(煥) 재(在)교(敎) 口흠(欽)口선(善) 한(漢)낙(洛) 口모(模)口빈(彬) 희(熙)노(魯) 口규(奎)口중(重) 석(錫)진(鎭) 口호(浩)口원(源) = = 인구 = = 1985년 신천 강씨 12,286가구 50,733명 + 곡산 강씨 3,333가구 14,032명 + 재령 강씨 487가구 1,997명 = 66,762명 2000년 신천 강씨 13,909가구 44,259명 + 곡산 강씨 4,877가구 15,626명 + 재령 강씨 969가구 3,053명 = 62,938명 2015년 신천 강씨 52,945명 + 곡산 강씨 29,107명 + 재령 강씨 3,401명 = 85,453명 = 분류:보통 중요도 재난 문서 = = 분류:2005년 스포츠 = = 기원전 502년 = = 분류:스위스의 예술가 = = 분류:369년 출생 = = 넋업샨 = 넋업샨(Nuck, , 1979년 9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또 다른 예명으로는 넋업샨의 줄임말인 Nuck으로 부르기도 한다. 기계치라는 4인조 팀의 형태로 클럽 마스터플랜에서 1999년 데뷔 후, I.F.의 멤버로 2007년 4월에 해체 전까지 활동하였다. 현재는 소울다이브의 멤버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소속 크루는 불한당이며, 2013년까지 스탠다트 소속이었다. = = 학력 = = 한국국제대학교 경영학과 = = 바이오그래픽 = = = = = 데뷔부터 I.F = = = 넋업산 1979년 9월 20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넋업샨는 1999년 기계치의 멤버로 데뷔를 하였다. 처음 데뷔때는 본명인 한준으로 활동하였으며, 1999 대한민국 앨범 수록곡 창에 그의 8마디가 실리기도 하였다. 2001년 기계치가 Infinite Flow로 바뀌면서 그의 이름은 현재와 같은 넋업사니로 바뀌었다. 또 비슷한 시기에 프로듀싱의 스타일을 점차 정립하면서 이밀라국거리라는 그 만의 프로듀서 이름을 만들고, Infinite Flow의 음악을 만들어나가기 시작하였다. 2001년에는 Master Plan이 레이블화하면서 Infinite Flow의 멤버로써 계약을 맺고, 2002년 EP Respect 4 Brotha가 발표되면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메인스트림 적인 성격을 띠는 비즈니즈와 넋업샨는 차분하고 시적인 가사와 랩을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그 활동의 일환으로 크루 Nu Soul Classic의 멤버로써 각나그네와 Napow를 결성한 것 등이 있다. 이로 인해 잠시 비즈니즈와 넋업샨 불화설이 나돌기도 하였으나, 이는 I.F.의 첫 앨범이 2005년에 발표되면서 사그라들었다. = = = 짧은 솔로 활동, 그리고 소울다이브 = = = 2007년 힙합플레이야에서 Chocolate Sounds라는 이름의 라디오 방송을 Minos와 함께 하기도 한 넋업사니는, 2007년 4월 Infinite Flow의 해체와 함께 Master Plan의 계약을 끝냈으며, 이후로 계속 무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음악 활동을 잠시 쉬었던 비즈니즈와 넋업샨는 78 Blocks의 멤버로써의 활동과 더불어 Minos 등과 Speakin' Trumpet이라는 크루를 조직하여 다수의 앨범에 피쳐링 및 프로듀싱으로 참여하였다. 또, 강산여울이라는 래퍼와 함께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앨범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산여울과의 공동 공연은 2008년 9월 27일 UMF 무대까지 이어졌다. 2009년 그는 힙플라디오 방송 Chocolate Sounds를 통해 전 브라운 후드의 지토와 디테오 함께 소울다이브라는 팀을 조직했음을 발표하였으며, 프로젝트팀이 아니라 죽을때까지 할 팀일 것이라고 말하였다.2009년 7월 21일 Chocolate Sounds 1부 더불어 다음날 Souldive의 첫 발표물은 8~9월 중순에 나타날 것이라는 기사가 올라왔다."넋업사니, 새로운 그룹 ‘소울 다이브’ 로 출발선에 서다.", 김대형 작성, Hiphopplaya 뉴스, 2009년 7월 22일 이들의 앨범은 실제로 9월 중순 발매되었다. = = = 소울다이브 = = = 넋업샨이 이끄는 그룹 소울다이브는 J2 Entertainment 소속으로 공연을 중심으로 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0년 7월에는 같은 Speaking Trumpet 소속인 Born Kim과 함께 Ctrl-V 유닛 활동을 하였다.Bornkim & Nuck - Ctrl-V 앨범 보도자료 2010년 말에는 가리온 2집에 피쳐링으로 참여한 곡이 앨범과 함께 공개되면서 이에 따른 공연 활동을 하였다. 한편, 그는 한국 콘서바토리에서 운영하는 음악 교육원 FnC 아카데미에서 랩/보컬 교수진에 합류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Soul Dive는 현재 임재범 콘서트의 객원 래퍼 (게스트)로 전국 투어 중이며, 넋업샨은 대팔과 함께 "eeRM"이라는 영상 팀을 조직, Soul Dive 및 다른 가수들의 뮤직비디오 작업을 하고 있다."소울다이브, 'XXX' 뮤직비디오 발표", 힙합플레이야, 2011년 7월 26일 2011년 가을에는 우리들의 일밤의 새 코너로 임재범이 주축이 된 프로그램 바람에 실려에 출연하여 첫 예능 나들이를 하였다."소울다이브 넋업샨, 임재범과 함께 예능 도전!", 김성한 기자, 한국일보, 2011년 9월 11일 2012년 이후 그는 디지털 싱글을 중심으로 소울다이브의 활동을 계속 이어나갔다. 2013년 1월에는 불한당에 합류하였으며, 곧이어 소울다이브가 Standart에 들어가면서 넋업샨도 Standart 소속이 되었다. 2013년 6월에는 두 번째 시즌으로 방영되는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 SHOW ME THE MONEY에 MC 메타 크루의 일원으로 심사위원 및 참여자의 자격으로 출연했으며,"쇼미더머니2, D.O크루와 메타크루 멤버 공개", 힙합플레이야 뉴스, 2013년 5월 22일 최종 우승을 거머쥐었다. = = 논란 = = = = = 비즈니즈를 향한 디스 = = = 넋업샨는 2010년 7월 발표된 자신의 앨범 수록곡 〈불편한 진실〉을 통해 한때 같은 팀 멤버였던 멋쟁이를 디스하였다. 팬들은 아무런 전후 사정을 듣지 못한 상태에서 나온 이 디스곡에 대해 상당히 당황스럽다는 입장을 주로 보였으며, 곡에서는 어떤 특정 사건이나 음악성보다 그의 인간성을 문제 삼아 디스를 전개하고 있다. 이 곡은 곡 어디에도 넋업샨이란 언급은 없으나 가사 중 " 자연과 영혼을 등에 업고 평생 사기 치고 다녀라" (프로젝트 팀 Napow : nature power의 약자, 그리고 넋업샨이 "넋을 업고 사는 이"라는 뜻을 가진 것을 이용), "재결합을 원하는 이들에게 진실을 밝혀" 등의 가사에서 디스의 대상은 거의 확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 곡에는 Swings도 참여하였으며, 그의 가사도 비난조로 써있으나 특별히 넋업샨을 겨냥한 가사는 아니다. 그러나 故 최진실의 자녀 이름을 가사에 인용한 것으로 이슈가 되었고 결국 이 곡이 서비스 중단되는 계기가 되었다. = = 이름 = = Nuck는 "넋을 업고 사는 이"라는 뜻으로, 시인인 자신의 친구가 지어준 것이라고 한다. '넋업산', '넋업사니', '넋업샤니' 등 다양한 표기가 존재한다. = 분류:튀니지의 수역 = =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마라 =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마라는 다음을 의미한다.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마라 (1992년 영화)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마라 (2014년 영화) = 분류:바른 = = 틀:경기도의 중학교 = = 사주팔자 = 사주명리(四柱命理, Four Pillars of Destiny) 또는 사주팔자(四柱八字) 혹은 팔자명리(八字命理)는 사람이 태어난 시점에 연월일시 간지(干支, Sexagenary cycle)의 대해 탐구하여 타고난 운명(運命)을 살피거나, 또는 이에 근거하여 자연의 이치를 알아보는 학문을 말한다. 무속인들이 초자연적인 힘을 빌려 운과 명을 논하는 것과는 달리 학문적 연구와 분석을 통해 인생의 선천적 운명을 논하는데 사용하는 여러 운명학(運命學) 중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학문인 명리학(命理學)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명식(命式)이다. 학문적으로 볼 때 감명(鑑命)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 = 개요 = = = = = 사주팔자 = = =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뜻을 문자 그대로 직역하여 사전적 의미로 살펴보면, 4개의 기둥과 여덟개의 글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네이버 한문사전 四柱八字 (사주팔자).].....사주의 간지(干支)를 구성하는 여덟 글자. 의역하면, 통상 사람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운(運)과 명(命)을 말하기도 한다. 태어난 시점에 각각 년월일시(年月日時)가 존재하는데 이때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조합을 이루어 하늘과 땅에 하나의 기둥을 이루게 되며 이를 각각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라 하고, 운명을 지탱하는 4개의 기둥이라 하여 사주(四柱)라 부른다.[네이버 지식백과 사주팔자 [四柱八字] - (넉 사, 기둥 주, 여덟 팔, 글자 자) (고사성어랑 일촌 맺기, 2010. 9. 15., 기획집단 MOIM, 신동민)] 또한 사주(四柱)가 구성하고 있는 글자의 수가 모두 8개이기에 팔자(八字)라 부르게 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사주 [四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을 하나의 집으로 비유하고 생년·생월·생일·생시를 그 집의 네 기둥이라고 보아 붙여진 명칭이다. 각각 간지 두 글자씩 모두 여덟 자로 나타내므로 팔자라고도 한다. 이 두개를 조합하여 사주팔자(四柱八字)라 부르고 인간의 타고난 운명(運命)을 살피는 기초로 삼고 있다.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용어는 같은 뜻을 가진 사주(四柱)와 팔자(八字)라는 단어가 의미 중첩되어 구성된 말이다. 사주팔자(四柱八字)의 기본 틀을 기초로 하여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펴서 타고난 선천적 운명과 후천적 운을 알기 위해 탐구하는 학문을 명리학(命理學)[네이버 지식백과 사주명리학 [四柱命理學] (역학사전, 2006. 2. 10., 노영준)] 또는 추명학(推命學)[네이버 국어사전 사주 추명학 四柱推命學..]....점법학의 하나. 사람의 생년월일시의 간지(干支)에 따라 운명을 점치는 법. 중국 당나라 이허중이 창시하고, 송나라의 서자평이 제정했다. 등으로 부르며, 타고난 사주팔자(四柱八字)의 기본 구조는 만세력(萬歲曆)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요즘은 인터넷에 디지털화 되어 있는 무료 만세력이 있으므로 쉽게 알 수 있다. 사주 네기둥의 명식을 뽑을때, 년과 월의 변화는 24절기가 기본적인 기준으로 하는데, 학문마다 그 기준에 차이가 있으며, 일과 시의 경우에는 하루를 24시간이 아니라 12시간으로 나누고 이것에 다시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 등의 개념을 도입하기도 하므로 다소 복잡성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사주 [四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시주를 세우는 데 있어서는, 자시를 야자시(夜子時, 23∼0시)와 정자시(正子時 또는 朝子時, 0∼1시)로 나누어 거기에 따라 일주를 달리 세우기도 하고, 그 사람이 처하여 있는 위치에 따라서 더 세분하여 서울의 경우 0시32분47초를 새날의 분기점으로 잡기도 한다. 쌍둥이의 사주에 경우에 만세력을 기초로 하여 뽑은 사주를 기준으로 하여 동생의 사주는 별도로 산출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사주팔자 원국의 시간만 다르게 하여 첫 번째로 태어난 아이는 태어난 시간을 그대로 쓰고, 그 동생의 경우 태어난 시간의 다음 시간을 쓰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 = = 운명분석 = = = 사주팔자(四柱八字)와 이에 따른 대운(大運)을 살펴서 운명을 논한다. 사주 원국으로는 사람 됨됨이, 직업, 부귀빈천(富貴貧賤)의 고저, 인품과 그릇의 크기 등을 살피고 대운(大運)으로는 길흉성패(吉凶成敗)와 화복(禍福)의 정도를 논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사주 [四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사주로 알 수 있는 것은 성격이나 적성 등 인성(人性)에 관한 사항, 부모·형제·부부·자녀 등 대인(對人)에 관한 사항, 관운·재운·학운 등 운수(運數)에 관한 사항, 그밖에 건강·상벌·재앙 따위가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고정적인 것도 있으나 시간에 따라 유동하기도 한다. 10년 단위로 유동하는 것을 대운(大運)이라 하고, 1년 단위로 유동하는 것을 세운(歲運)이라 하는데, 길게는 몇 10년 동안으로 넓혀 보기도 하고 짧게는 달이나 날이나 시각으로까지 나누어 보기도 한다.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하여 격국(格局)을 찾아 그 구성됨의 훌륭함을 따져 사주의 격(格)의 우수함을 보고 부귀빈천(富貴貧賤)의 고저 등의 기초적인 사항을 파악한다. 또한 사주팔자(四柱八字)를 구성하고 있는 각 오행간 세력의 강약은 월지(月支)를 기초로 상생상극(相生相克)의 법칙에 입각하여 살핀 후, 전체 오행(五行) 대 일간(日干) 사이에 힘의 균형을 보고 사주의 강약(强弱)에 따라 용신(用神)과 기신(忌神) 등을 찾는다. 이것을 대운(大運)과 대조하여 인생사에서 추구하는 일들의 길흉성패(吉凶成敗)의 기초적인 것들을 살피면 된다. 이 밖에도 육친(六親, 십성)과 신살(神殺), 형충회합을 살펴서 종합적으로 감명(鑑命)을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사주명리학 [四柱命理學] (역학사전, 2006. 2. 10., 노영준)].......사주명리학은 인간의 생년월일 및 생시의 간지팔자를 연월일시의 순으로 2조씩 4기둥을 세워서 이 사주팔자를 오행의 생극화합의 원리, 십간의 5합, 7살 및 12지의 형충회합, 공망, 12운의 강약, 오행의 희기구구(喜忌救仇) 등의 이법으로 구사하여 사주 오행이 균등하게 있는 것을 가장 호명 길격으로 하는 방식에 사주 판단법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선천운과 후천운을 감명하게 된다. 방대한 양을 이해하고 암기하여 이를 숙달 시킨 후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판단을 해야 운명감정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 = = 조선시대 = = = 조선시대 경국대전에 나타난 과거시험 분류를 보면 중인계급이 응시하는 잡과(雜科)가 있다. 요즘식으로 말하면 전문 기술직이다. 그 잡과 가운데 음양과가 있다. 천(天) · 지(地) · 인(人), 삼재(三才) 전문가를 선발하는 과거가 음양과다. 세분하면 천문학, 지리학, 명과학(命課學)으로 나누고, 초시와 복시 2차에 걸쳐 시험을 보았다. 3년마다 초시에서 천문학 10명, 지리학과 명과학은 각각 4명을 뽑고, 최종 단계인 복시에서 5명, 2명, 2명으로 뽑았다. 지리학은 풍수지리, 명과학은 사주팔자에 능통한 자였다. 명과학 시험과목을 보면 원천강(袁天綱), 서자평(徐子平), 응천가(應天歌), 범위수(範圍數), 극택통서(剋擇通書), 경국대전 등이다. 가장 대표적인 과목은 〈서자평의 연해자평〉으로 서자평은 900년대 사람인데, 서자평의 명리학은 왕실과 소수 귀족 사이 유통되는 비밀스런 학문이었다.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반출되지 않고 고려 말에 들어온 듯하다. 명과학 교수는 왕자 사주팔자를 모두 알고 있어 대권의 향방에 관한 일급 정보를 갖춘 셈이다. 따라서 어의(御醫)와 더불어서 역모에 관련되는 일이 많았던 매우 위험한 직책이기도 했다. 민간에서 결혼할 때 신랑의 사성(四星-사주팔자)을 한지에 적어서 신부집에 보내는 풍습이 있다. = = 간지 = = 천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의 10가지이고, 지지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의 12가지이다. 사주는 간지로 나타내는데 '간(干)'은 10가지이므로 '십간'이라 하고, 사주의 윗 글자에 쓰이므로 '천간(天干)'이라고도 한다. '지(支)'는 12가지이므로 '십이지'라 하고, 사주의 아랫 글자에 쓰이므로 '지지(地支)'라고도 한다. 간지를 교합하면 '갑자(甲子)'부터 '계해(癸亥)'까지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육십갑자(六十甲子)라 한다. 예를 들어, 1911년 양력 8월 26일 오후 6시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신해(辛亥 : 연주)·병신(丙申 : 월주)·무진(戊辰 : 일주)·신유(辛酉 : 시주)와 같이 된다. 1915년이 을묘년이고 60년후에 1975년 다시 을묘년이 된다. 60년마다 같은 사주팔자가 나올 수 있다. = = = 지장간 = = = 지장간(支藏干)은 2~3가지의 천간이 각 지지의 음양오행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지장간은 앞달로부터 남아있는 기운인 여기(餘氣), 지지 간의 합 등으로 인해 중화되는 기운인 중기(中氣), 지지의 본 오행에 알맞게 넣은 기운인 정기(正氣)가 있다. 지지별 지장간은 아래 표와 같다. 지지 지장간 지장간 지장간 지지 여기 중기 정기 子 壬 없음 癸 丑 癸 辛 己 寅 戊 丙 甲 卯 甲 없음 乙 辰 乙 癸 戊 巳 戊 庚 丙 午 丙 己 丁 未 丁 乙 己 申 戊 壬 庚 酉 庚 없음 辛 戌 辛 丁 戊 亥 戊 甲 壬 = = 십이운성 = = 십이운성(十二運星) 또는 포태법(胞胎法)은 우주 삼라만상의 생성, 쇠퇴, 소멸의 이치와 같이 인간 또한 태어나서 죽음을 맞을 때까지 겪게 되는 생로병사 과정을 12단계로 나누어서 인간의 인생을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십이운성은 마치 출생과 더불어 생로병사가 있듯이 오행에도 계절의 작용에 따라 왕쇠강약이 있는 것으로 본다. 십이운성은 태(胎), 양(養), 장생(長生), 목욕(沐浴), 관대(冠帶), 건록(建祿), 제왕(帝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 절(絶)이다. = = = 일간별 십이운성 = = = 아래 표는 일간별 십이운성이다. 일간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甲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장생 乙 병 쇠 제왕 건록 관대 목욕 장생 양 태 절 묘 사 丙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丁 절 묘 사 병 쇠 제왕 건록 관대 목욕 장생 양 태 戊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己 절 묘 사 병 쇠 제왕 건록 관대 목욕 장생 양 태 庚 사 묘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辛 장생 양 태 절 묘 사 병 쇠 제왕 건록 관대 목욕 壬 제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癸 건록 관대 목욕 장생 양 태 절 묘 사 병 쇠 제왕 = = 십성(육친) = = 십성(十星)이란 명리학의 용어로 열 종류의 별(星), 또는 열 종류의 신(神)을 의미하며, 사주팔자에서 일간(日干) 오행을 기준으로 다른 곳의 간지와의 상생(相生) 상극(相剋)관계를 음양오행에 따라 10가지로 분류한 것이 십성(十星)이다. 십성은 비견(比肩), 겁재(劫財),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정재(正財), 편관(偏官), 정관(正官), 편인(偏印), 정인(正印)이다. 비견과 겁재를 묶어서 비겁(比劫), 식신과 상관을 묶어서 식상(食傷), 편재와 정재를 묶어서 재성(財星), 편관과 정관을 묶어서 관성(官星), 편인과 정인을 묶어서 인성(印星)이라고 한다. 비겁(比劫)은 형제 자매, 식상(食傷)은 여명으로 자식, 재성(財星)은 부친 남명으로 아내, 관성(官星)은 여명으로 남편, 인성(印星)은 모친을 나타낸다. 연주궁은 부모, 월주궁은 형제 선배, 일주궁은 동료 배우자, 시주궁은 자식 후배 부하 사돈(외가, 형제 동료 자식의 장인 장모) 의미하며 시주성이 월주궁에 있으면 명주보다 나이 많은 부하로 볼 수 있다. = = = 십성의 분류 = = = 십성의 분류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십성 오행 관계일간(日干) 기준 음양의 일치 여부 비견 동일 일치 겁재 동일 불일치 식신 가생 일치 상관 가생 불일치 편재 가극 일치 정재 가극 불일치 편관 피극 일치 정관 피극 불일치 편인 피생 일치 정인 피생 불일치 각 천간과의 십성 관계는 아래 표와 같다.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乙 겁재 비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정인 편인 丙 편인 정인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丁 정인 편인 겁재 비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戊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己 정관 편관 정인 편인 겁재 비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庚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비견 겁재 식신 상관 辛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정인 편인 겁재 비견 상관 식신 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비견 겁재 癸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정인 편인 겁재 비견 각 지지와의 십성 관계는 아래 표와 같다. 일간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甲 정인 정재 비견 겁재 편재 식신 상관 정재 편관 정관 편재 편인 乙 편인 편재 겁재 비견 정재 상관 식신 편재 정관 편관 정재 정인 丙 정관 상관 편인 정인 식신 비견 겁재 상관 편재 정재 식신 편관 丁 편관 식신 정인 편인 상관 겁재 비견 식신 정재 편재 상관 정관 戊 정재 겁재 편관 정관 비견 편인 정인 겁재 식신 상관 비견 편재 己 편재 비견 정관 편관 겁재 정인 편인 비견 상관 식신 겁재 정재 庚 상관 정인 편재 정재 편인 편관 정관 정인 비견 겁재 편인 식신 辛 식신 편인 정재 편재 정인 정관 편관 편인 겁재 비견 정인 상관 壬 겁재 정관 식신 상관 편관 편재 정재 정관 편인 정인 편관 비견 癸 비견 편관 상관 식신 정관 정재 편재 편관 정인 편인 정관 겁재 = = 십이신살 = = 십이신살이란 십간과 십이지지를 기준으로 각각의 사주팔자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하는데 이용되는 강력한 명리학 도구이다.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로 구성되며 겁살은 빼앗김, 재살은 재앙, 천살은 기이한 사건, 지살은 평안함, 년살은 도화살과 유사함, 월살은 고초살, 망신살은 망신을 당함, 장성살은 리더십, 반안살은 벼슬에 오름, 역마살은 떠돌이인생, 육해살은 해코지, 화개살은 화려함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갑목은 해수에서부터 지살로 시작되어 인목은 망신살이 되는데 갑목이 사주팔자의 천간에 있는 경우 지지에 있는 인목은 망신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 쉽다고 본다. 아래 표는 삼합의 오행에 따른 십이신살 표이다. 삼합의 오행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木卯, 未, 亥가 이에 해당된다. 연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 겁살 재살 천살 지살 火寅, 午, 戌이 이에 해당된다 재살 천살 지살 연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 겁살 金丑, 巳, 酉가 이에 해당된다. 육해살 화개살 겁살 재살 천살 지살 연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水子, 辰, 申이 이에 해당된다.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 겁살 재살 천살 지살 연살 월살 망신살 = = 용신 = = 개인에게 있어 생명이 가장 중요하고 보호되어야 하듯이 자신의 안위를 위해 일간이 적당히 강한 사주가 좋다. 이런 일반론적 관점으로 보면 용신은 사주팔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감안하여 일간의 안위가 지켜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십간 또는 지지가 된다. 그 다음으로 삶에 있어 재물과 명예 등 다른 가치가 중요하다고 본다면 균형을 해치는 기신이더라도 다른 오행을 쓸 수도 있으며 이 때의 용신은 쓸 용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 대운 세운 = = 사주팔자에 따르면 월주의 가장 역량이 크며, 이로부터 도출되어 10년 단위로 영향을 미치는 대운이 가장 중요한 유운이다. 또한, 육친(특히 년간 부친과 년지 모친)들의 심리상태를 추론하는데 유용한 1년 단위의 유년(세운)이 있다. = = 사주 쟁점 = = 같은 사주이나 상반된 삶을 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시대 배경, 환경, 집안 내력, 부모가 어떠한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보며 부모를 어떤 공간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같은 사주가 똑같은 삶의 살아간다는 것에는 무리가 있으며 내륙, 물가, 더운 지방, 추운 지방, 유복한 가정, 가난한 가정이라는 환경적인 조건의 차이가 삶에 변화를 준다. 부모, 형제 가족환경의 차이와 배우자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다.태생년월일시가 인간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2015-03-29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5가지로 성장하고 생활하는 환경, (풍수)지리적 환경, 사주, 생김새(용모,관상), 자기수양 즉 문택명용수(門宅命容修)라 할 수 있다.역술가에 대한 잘못된 대중들의 판단 기준 2015-04-04 쌍둥이 사주와 자시(子時)의 적용, 썸머타임(summer time), 남반구 태생, 한반도와 정반대편에서 태어난 외국인 등에 대한 감명의 기준 등도 논란이 있다. = = 같은 사주 사례 = = 1976년생 출생 년월일이 같음 1) 완다 마리아 하월(영어: Wanda Maria Howell,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2) 마사 켈리(영어: Martha Kelly,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스탠드업 코미디언, 배우이다 3) 앙드레 트리코퇴(프랑스어: Andre Tricoteux,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전문 스턴트 배우이다. 4) 에메 이쿼커(Eme Ikwuakor,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5) 에번 존스(Evan Jones,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6) 조반 아데포(영어: Jovan Adepo, 1976년 4월 1일 ~ )는 영국의 배우이다 7) 패트릭 휴싱어(영어: Patrick Heusinger,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8) 패티 야스타케(영어: Patti Yasutake, 1976년 4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1978년생 출생 년월일이 같음 1) 이소연(李素姸, 1978년 6월 2일~)은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 비행 참가자(Space Flight Participant)로서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11일간 체류하였다. 2) 강선우(姜仙祐, 1978년 6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이다 3) 니키 콕스(Nikki Cox, 1978년 6월 2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4) 마크 데이비드 듀플래스(Mark David Duplass, 1978년 6월 2일 ~ )는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5) 스콧 크린스키(Scott Krinsky, 1978년 6월 2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6) 이언 하딩(Ian Harding, 1978년 6월 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7) 저스틴 제이컵 롱(영어: Justin Jacob Long, 1978년 6월 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8) 채드 콜먼(Chad Coleman, 1978년 6월 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출생 년월일시를 사주라고 한다. 출생 시까지 같아야 같은 사주라고 할 수 있다. 3주가 같은 인물들이다. 사주가 같으나 팔자가 다른 이유는 부모에게 물려 받은 DNA, 성장환경, 풍수 외 여러 요건으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사주가 좋은 분들의 경우 각 분야에서 활동성이 매우 좋다 자료출처 : 백송사주 = = 명리학 고전 = = 적천수 (滴天髓) - 명나라 개국공신 유백온이 저술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난강망 (爛江網) - 작가 미상 자평진전(子平眞詮) - 자평 심효점의 저술이다. 연해자평(淵海子平) - 중국 남송의 서승이 저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삼명통회(三命通會) 명리정종(命理正宗) = = 관련 문헌 = = * 박정윤·김인호, 《물상론 사주명조 사례집 시리즈》, 북씽크, 육효와 사주 물상편(백송학당) 고해정, 《사주학정해 상중하》, 한빛출판미디어 = 워치 = 워치(watch), 왓치는 다음을 의미한다. 워치(watch): 휴대용 시계 워치(watch): 무언가를 "주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영어 낱말 《왓치》: 2012년 영화 워치 (켄터키주): 미국의 지역 = = 컴퓨터 과학 = = 워치 (컴퓨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램 디버깅 중의 변수 또는 식의 값의 뷰 watch (명령어): 유닉스 명령어 = = 김동근 (1990년) = = 김동근 (1990년)- 김인석 (1982년)- 한승오 (1978년)- 로 결론 내립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03:52 (KST) 남성연대 관련 인물들로, 저명성이 심하게 부족하다고 보이나, 바로 삭제를 신청하지는 않고 토론을 열겠습니다. 다른 관련 인물 1명은 저명성이 있다고 판단해 제외하였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21일 (화) 00:03 (KST) 삭제토론은 비슷한 무리의 문서는 같이 기제해도 무방합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00:16 (KST) 김동근을 제외한 두 문서는 . 해당 단체 관련 문서는 너무 부풀려진 것이 많아서 정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22:39 (KST) 김동근에 대해서는 유지 처리합니다. 나머지 문서에 대해서만 토론을 이어갑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21:46 (KST) = 분류:우크라이나의 군주주의자 = = BTS 카운트다운 = BTS 카운트다운는 Mnet에서 2017년 10월 12일 방송된 음악 프로그램이다. = = BTS 개요 = = Mnet의 K-POP 음악차트쇼 ‘엠카운트다운’ 형식을 빌려 시작부터 끝까지, 오직 방탄소년단만이 출연하는 스페셜 방송 프로그램으로 2017년 10월 12일 90분간 방송됐다. 이 방송에서는 다양한 코너를 준비했는데, 2013년 6월 데뷔해 2017년 기준 데뷔 5년 차에 접어든 방탄소년단만들의 히트 노래만으로 역대 40곡에 대해 팬들의 투표로 결정된 1위부터 40위를 발표한다. 팬들이 선택한 1위곡 발표를 두고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두 팀으로 나누어 대결을 벌이며, 후보곡은 이번에 발표 한 미니 앨범 LOVE YOURSELF 承 ‘Her’의 타이틀곡인 ‘DNA’와 2015년 발매된 '화양연화 pt.1' 앨범의 ‘쩔어’다. 진 팀은 벌칙을 받게 된다. 또한 멤버들이 직접 출연한 콩트 형식의 미니드라마 ‘방탄상사’에서는 회사원으로 분해 자신들의 곡 11위부터 20위까지를 소개하며, 콘서트를 연상케하는 화려한 무대도 선보였다. 방탄소년단은 이 방송을 끝으로 국내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콘서트를 연상시키는 특집 프로그램으로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그리고 2022년도 마지막 콘서트를 개최할 예정이다. = = 코너 = = 방탄극장 (콩트 형식 미니 드라마) BTS 셀카 대결 미니 팬미팅 = = 출연자 = = 방탄소년단 RM 슈가 진 제이홉 지민 뷔 정국 = = 제작진 = = 조연출 : 차예린, 권다영 연출 : 최정남 기획 : 김기웅 편성 : 박민지, 김수아, 조유진, 이지수, 박영선, 이건희 마케팅 : 정은일, 김세영 홍보 : 강유경 NLE편집 : <클론미디어텍> 이광운 종합편집 : 최재식 기술지원 : 이승우, 지화선 Tech&Art 총괄 : 이흥원 기술 총괄 : 김기현 기술감독 : 김태운 음악 : 최광호, 양선모, 이세인 음향 : <사운드플레이> 강경윤 무대감독 : 우세균, 이광훈 무대디자인 : 조서연 조명 : <에이스조명> 세트 : <자인아트> 카메라 총광 : 신성환 그래픽 디자이너 : 최효은 VCR : 김명섭 성우 : 임희택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김태주 아트 디렉터 : 서동철, 구교목, 고재근 구성 : 김준영, 서지영, 김수빈, 김민지 촬영지원 PD : 이형진 편집지원 PD : 김향미, 하은비 협력 :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기획 제작 : Mnet = 신온유 = 신온유는 대한민국의 여자 성우이다. 2017년에 KBS 공채 42기 성우로 입사하였다. 한국방송 성우극회 소속. = = 출연작 = = = = = 애니메이션 = = = 꽉 잡아! (KBS) - 고아라 역 7O3X - 0.01초의 싸움 - 켄모치 후미카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웬디 올렌트 울려라! 유포니엄 - 오바에 쿠미코 포켓몬 에볼루션즈 - 옥희 = = = 외화 = = = 미즈 마블 - 타이사(트라비나 스프링거) / 조이(로렐 마스덴) 가면라이더 제로원 - 이즈, 아즈 = = = 라디오 = = = 소설극장 (KBS 3라디오) 2017.01.19 ~ 2017.03.12 기욤 뮈소 作 <내일> (여직원) KBS 라디오 문학관 (KBS 한민족방송) 2017.03.12 이지명 作 <금덩이 이야기> (아낙2) KBS 무대 (KBS 한민족방송) 2017.03.04 <사약 받는 날> (아이1) 2017.03.11 <카페W> (이메일 낭독) 2017.03.18 <은주가 변했다> (손님1) 라디오 극장 (KBS 한민족방송) 2017.02.01 ~ 2017.02.28 정규웅 作 <붉은 꽃, 나혜석> (숙경) 2017.03.01 ~ 2017.03.31 정길연 作 <달리는 남자 걷는 여자> 2017.04.01 ~ 조두진 作 <결혼면허> 바람따라 구름따라 (KBS 라디오) 방송중 와이파이 초한지 (KBS 라디오) 2017.03.16 <223화> (장군) 2017.03.17 <224화> (장군) = 미하일 컬바르트 = 미하일 컬바르트(, 1977년 11월 24일~)는 2023년부터 중도당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에스토니아의 정치인이다. 2019년 4월부터 에스토니아 탈린 시장으로 재임 중이기도 하다. = 트로브리지 = 트로브리지(Trowbridge)는 영국 윌트셔주의 주도로, 인구는 28,163명이다. = 어둠은 걷히고 = 어둠은 걷히고(Kauas Pilvet Karkaavat, Drifting Clouds)는 핀란드에서 제작된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1996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카티 오우티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아키 카우리스마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카티 오우티넨 카리 바나넌 = = = 조연 = = = 클라스 오브 브룬 사카리 쿠오스마넨 = = 제작진 = = 미술: 마르쿠 파틸라 = 전종 (동음이의) = 전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전종: 오나라의 장군 전종(電鐘): 전기종 전종(轉宗): 개종(믿는 종교를 바꾸는 일) = 분류:1901년 개업한 철도역 = = 분류:710년대 출생 = = 분류:동상 그림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는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 여론 조사를 말한다. 여론 조사이므로 실제 개표 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 = 지역구 여론 조사 = = = = = 정계 개편 이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후보 자유한국당후보 바른미래당후보 새로운보수당후보 대안신당후보 정의당후보 민주평화당후보 우리공화당후보 민중당후보 기타 · 무응답 참고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2월 28일 ~ 1월 1일 1,000명 44.0% 44.0% 34.0% 34.0% 5.0% 5.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0% 5.0% 1.0% 1.0% 0.0% 0.0% 미조사 미조사 10.0% 10.0% 천지일보 리서치뷰 1월 2일 ~ 1월 3일 1,000명 42.2% 42.2% 31.4% 31.4% 3.2% 3.2% 4.2% 4.2% 1.2% 1.2% 5.4% 5.4% 1.7% 1.7%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0.6% 10.6% MBN매일경제 메트릭스코퍼레이션 1월 2일 ~ 1월 3일 892명 40.8% 40.8% 24.4% 24.4% 1.6% 1.6% 1.0% 1.0% 0.3% 0.3% 4.4% 4.4% 0.2% 0.2% 0.8% 0.8% 미조사 미조사 26.6% 26.6% 뉴스핌 코리아정보리서치 1월 4일 ~ 1월 5일 1,000명 41.5% 41.5% 31.5% 31.5% 4.4% 4.4% 3.6% 3.6% 미조사 미조사 5.8% 5.8% 2.9% 2.9% 1.6% 1.6% 미조사 미조사 8.8% 8.8% KBS 한국리서치 1월 17일 ~ 1월 20일 1,314명 38.3% 38.3% 20.4% 20.4% 2.4% 2.4% 3.0% 3.0% 0.2% 0.2% 4.2% 4.2% 0.4% 0.4% 0.2% 0.2% 0.2% 0.2% 30.6% 30.6% KBS 한국리서치 1월 18일 ~ 1월 21일 2,000명 28.1% 28.1% 19.0% 19.0% 1.4% 1.4% 1.5% 1.5% 0.1% 0.1% 2.5% 2.5% 0.0% 0.0% 0.3% 0.3% 0.1% 0.1% 46.9% 46.9%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월 26일 ~ 1월 30일 1,000명 38.0% 38.0% 35.0% 35.0% 3.0% 3.0% 3.0% 3.0% 미조사 미조사 4.0% 4.0%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5.0% 15.0% = = = 2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후보 미래통합당후보 민생당후보 정의당후보 국민의당후보 민중당후보 우리공화당후보 기타 · 무응답 참고 중앙일보 한국리서치 2월 26일 ~ 2월 27일 1,000명 31.0% 31.0% 21.1% 21.1% 0.8% 0.8% 2.2% 2.2% 1.4% 1.4% 0.2% 0.2% 0.5% 0.5% 42.7% 42.7%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2월 26일 ~ 2월 29일 1,000명 40.0% 40.0% 33.0% 33.0% 1.0% 1.0% 5.0% 5.0% 4.0% 4.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7.0% 17.0% 한국일보 한국리서치 3월 1일 ~ 3월 2일 1,000명 31.0% 31.0% 18.4% 18.4% 0.7% 0.7% 2.1% 2.1% 미조사 미조사 0.2% 0.2% 0.2% 0.2% 47.4% 47.4% = = = 3차 및 4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후보 미래통합당후보 민생당후보 정의당후보 자유공화당후보 민중당후보 친박신당후보 기타 · 무응답 참고 서울경제 엠브레인퍼블릭 3월 5일 ~ 3월 6일 1,009명 38.8% 38.8% 22.9% 22.9% 0.1% 0.1% 3.8% 3.8% 1.6% 1.6% 0.2% 0.2% 미조사 미조사 32.6% 32.6% 서울신문 리서치앤리서치 3월 10일 ~ 3월 11일 1,011명 42.9% 42.9% 26.6% 26.6% 0.5% 0.5% 5.0% 5.0% 1.0% 1.0% 0.3% 0.3% 미조사 미조사 23.8% 23.8% 한국경제 입소스 3월 13일 ~ 3월 14일 1,000명 43.8% 43.8% 31.2% 31.2% 1.2% 1.2% 7.4% 7.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6.4% 16.4% 헤럴드경제 조원씨앤아이 3월 14일 ~ 3월 15일 1,002명 37.8% 37.8% 44.3% 44.3% 1.7% 1.7% 4.3% 4.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1.8% 11.8% 문화일보 엠브레인퍼블릭 3월 20일 ~ 3월 21일 1,011명 38.5% 38.5% 23.1% 23.1% 0.2% 0.2% 4.4% 4.4% 0.9% 0.9% 0.9% 0.9% 0.3% 0.3% 32.4% 32.4%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0일 ~ 3월 21일 1,000명 40.7% 40.7% 35.4% 35.4% 2.7% 2.7% 3.7% 3.7% 2.4% 2.4% 1.3% 1.3% 1.7% 1.7% 12.0% 12.0% KBS 한국리서치 3월 20일 ~ 3월 23일 1,199명 44.0% 44.0% 25.0% 25.0% 0.1% 0.1% 3.0% 3.0% 0.5% 0.5% 0.4% 0.4% 0.4% 0.4% 26.8% 26.8% KBS 한국리서치 3월 21일 ~ 3월 23일 2,000명 31.8% 31.8% 19.3% 19.3% 0.3% 0.3% 1.8% 1.8% 0.6% 0.6% 0.2% 0.2% 0.2% 0.2% 45.7% 45.7%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1일 ~ 3월 23일 1,000명 41.8% 41.8% 34.6% 34.6% 1.8% 1.8% 3.8% 3.8% 2.8% 2.8% 1.3% 1.3% 2.5% 2.5% 11.5% 11.5% = = = 5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후보 미래통합당후보 민생당후보 정의당후보 우리공화당후보 민중당후보 친박신당후보 기타 · 무응답 참고 데일리안 알앤써치 3월 22일 ~ 3월 24일 1,008명 43.3% 43.3% 32.8% 32.8% 1.8% 1.8% 3.1% 3.1%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9.2% 19.2%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7일 ~ 3월 28일 1,013명 44.1% 44.1% 35.4% 35.4% 1.3% 1.3% 3.0% 3.0% 1.1% 1.1% 1.6% 1.6% 2.7% 2.7% 14.6% 14.6% SBS 입소스 3월 28일 ~ 3월 29일 1,001명 49.5% 49.5% 26.8% 26.8% 0.6% 0.6% 4.8% 4.8% 0.7% 0.7% 0.7% 0.7% 0.7% 0.7% 14.8% 14.8% 동아일보 리서치앤리서치 3월 28일 ~ 3월 29일 1,001명 38.0% 38.0% 25.3% 25.3% 0.9% 0.9% 3.4% 3.4%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1.4% 31.4% KBS 한국리서치 3월 27일 ~ 3월 30일 1,195명 46.3% 46.3% 26.4% 26.4% 0.3% 0.3% 3.4% 3.4% 0.3% 0.3% 0.2% 0.2% 0.2% 0.2% 23.1% 23.1% KBS 한국리서치 3월 28일 ~ 3월 30일 2,000명 33.6% 33.6% 23.5% 23.5% 0.5% 0.5% 2.1% 2.1% 0.3% 0.3% 0.2% 0.2% 0.0% 0.0% 39.8% 39.8%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8일 ~ 3월 30일 1,000명 44.7% 44.7% 33.3% 33.3% 1.3% 1.3% 4.5% 4.5% 1.6% 1.6% 2.0% 2.0% 1.9% 1.9% 10.6% 10.6% 한길리서치 한길리서치 3월 29일 ~ 3월 30일 1,010명 40.1% 40.1% 29.1% 29.1% 0.9% 0.9% 2.1% 2.1% 0.4% 0.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7.3% 27.3% 아시아투데이 알앤써치 3월 28일 ~ 3월 29일, 3월 31일 2,119명 42.5% 42.5% 32.8% 32.8% 1.5% 1.5% 3.6% 3.6%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9.6% 19.6%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3월 29일 ~ 3월 31일 1,000명 44.0% 44.0% 36.0% 36.0% 3.0% 3.0% 4.0% 4.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3.0% 13.0%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4월 3일 ~ 4월 4일 1,011명 41.8% 41.8% 33.3% 33.3% 2.3% 2.3% 4.0% 4.0% 2.0% 2.0% 1.0% 1.0% 3.0% 3.0% 12.6% 12.6% 중앙일보 엠브레인퍼블릭 4월 3일 ~ 4월 4일 1,000명 41.9% 41.9% 24.8% 24.8% 0.7% 0.7% 3.3% 3.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9.4% 29.4% 총선 총선 4월 15일 29,128,040명 64.4% 64.4% 33.2% 33.2% 0.0% 0.0% 0.4% 0.4% 0.0% 0.0% 0.0% 0.0% 0.0% 0.0% 2.0% 2.0% = = 비례대표 여론 조사 = = = = = 정계 개편 이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 대안신당 정의당 민주평화당 우리공화당 민중당 기타 · 무응답 참고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12월 31일 ~ 1월 1일 1,000명 32.8% 32.8% 28.6% 28.6% 3.0% 3.0% 7.6% 7.6% 1.5% 1.5% 12.3% 12.3% 2.4% 2.4% 2.7% 2.7% 1.2% 1.2% 7.9% 7.9%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2월 28일 ~ 1월 1일 1,000명 36.0% 36.0% 34.0% 34.0% 5.0% 5.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3.0% 13.0% 1.0% 1.0% 1.0% 1.0% 미조사 미조사 9.0% 9.0% MBN매일경제 메트릭스코퍼레이션 1월 2일 ~ 1월 3일 892명 32.5% 32.5% 25.5% 25.5% 2.5% 2.5% 1.5% 1.5% 0.6% 0.6% 12.6% 12.6% 0.7% 0.7% 0.5% 0.5% 미조사 미조사 23.8% 23.8% 뉴스핌 코리아정보리서치 1월 4일 ~ 1월 5일 1,000명 34.9% 34.9% 31.8% 31.8% 4.4% 4.4% 3.7% 3.7% 미조사 미조사 13.6% 13.6% 2.0% 2.0% 1.4% 1.4% 미조사 미조사 8.1% 8.1% 한국갤럽 한국갤럽 1월 14일 ~ 1월 16일 1,000명 34.0% 34.0% 24.0% 24.0% 4.0% 4.0% 4.0% 4.0% 1.0% 1.0% 12.0% 12.0% 0.6% 0.6% 0.7% 0.7% 0.2% 0.2% 21.0% 21.0% KBS 한국리서치 1월 17일 ~ 1월 20일 1,314명 28.0% 28.0% 20.4% 20.4% 2.7% 2.7% 4.0% 4.0% 0.2% 0.2% 15.2% 15.2% 0.2% 0.2% 0.8% 0.8% 0.6% 0.6% 27.9% 27.9% KBS 한국리서치 1월 18일 ~ 1월 21일 2,000명 23.8% 23.8% 18.8% 18.8% 1.6% 1.6% 2.3% 2.3% 0.5% 0.5% 9.7% 9.7% 0.3% 0.3% 0.6% 0.6% 0.3% 0.3% 42.1% 42.1% 데일리안 알앤써치 1월 27일 ~ 1월 28일 1,099명 38.8% 38.8% 29.7% 29.7% 3.4% 3.4% 5.8% 5.8% 0.7% 0.7% 5.6% 5.6% 2.0% 2.0% 1.0% 1.0% 미조사 미조사 13.1% 13.1%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월 26일 ~ 1월 30일 1,000명 32.0% 32.0% 35.0% 35.0% 3.0% 3.0% 5.0% 5.0% 미조사 미조사 11.0% 11.0%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3.0% 13.0% = = = 1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정의당 미래한국당 민주평화당 민중당 우리공화당 기타 · 무응답 참고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18일 ~ 2월 20일 1,002명 33.0% 33.0% 3.0% 3.0% 미조사 미조사 12.0% 12.0% 25.0% 25.0%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6.0% 26.0% = = = 2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정의당 미래한국당 국민의당 민중당 우리공화당 기타 · 무응답 참고 중앙일보 한국리서치 2월 26일 ~ 2월 27일 1,000명 23.0% 23.0% 1.3% 1.3% 8.5% 8.5% 20.1% 20.1% 1.3% 1.3% 0.1% 0.1% 0.5% 0.5% 45.0% 45.0% 오마이뉴스 리얼미터 2월 27일 ~ 2월 28일 1,015명 35.3% 35.3% 3.9% 3.9% 9.8% 9.8% 30.0% 30.0% 4.0% 4.0% 1.5% 1.5% 1.6% 1.6% 13.9% 13.9%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2월 29일 ~ 3월 2일 1,002명 33.3% 33.3% 1.6% 1.6% 10.4% 10.4% 29.0% 29.0% 3.1% 3.1%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2.7% 22.7% 한국일보 한국리서치 3월 1일 ~ 3월 2일 1,000명 21.0% 21.0% 1.7% 1.7% 8.2% 8.2% 17.8% 17.8% 1.0% 1.0% 0.4% 0.4% 0.6% 0.6% 49.3% 49.3% tbs 리얼미터 3월 2일 ~ 3월 4일 1,516명 36.7% 36.7% 4.0% 4.0% 9.1% 9.1% 27.7% 27.7% 6.5% 6.5% 1.4% 1.4% 1.8% 1.8% 12.8% 12.8% YTN 리얼미터 3월 2일 ~ 3월 6일 2,527명 36.6% 36.6% 3.8% 3.8% 8.9% 8.9% 28.7% 28.7% 7.0% 7.0% 1.3% 1.3% 1.8% 1.8% 11.9% 11.9% tbs 리얼미터 3월 9일 ~ 3월 11일 1,507명 36.4% 36.4% 2.0% 2.0% 7.8% 7.8% 28.9% 28.9% 6.1% 6.1% 1.4% 1.4% 2.5% 2.5% 14.9% 14.9% YTN 리얼미터 3월 9일 ~ 3월 13일 2,514명 37.7% 37.7% 1.8% 1.8% 7.2% 7.2% 29.2% 29.2% 5.4% 5.4% 1.4% 1.4% 2.3% 2.3% 15.0% 15.0% = = = 3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정의당 미래한국당 자유공화당 국민의당 민중당 기타 · 무응답 참고 서울경제 엠브레인퍼블릭 3월 5일 ~ 3월 6일 1,009명 31.9% 31.9% 0.3% 0.3% 9.1% 9.1% 20.6% 20.6% 1.4% 1.4% 2.8% 2.8% 0.8% 0.8% 33.1% 33.1% 오마이뉴스 리얼미터 3월 11일 1,000명 36.0% 36.0% 1.5% 1.5% 7.8% 7.8% 32.8% 32.8% 미조사 미조사 5.1% 5.1% 미조사 미조사 16.9% 16.9% 한국경제 입소스 3월 13일 ~ 3월 14일 1,000명 37.8% 37.8% 1.2% 1.2% 12.3% 12.3% 26.8% 26.8% 미조사 미조사 6.3% 6.3% 미조사 미조사 15.7% 15.7% = = = 4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생당 미래한국당 정의당 자유공화당 국민의당 민중당 열린민주당 친박신당 더불어시민당 기타 · 무응답 참고 news1 엠브레인퍼블릭 3월 13일 1,005명 0.4% 0.4% 22.6% 22.6% 7.5% 7.5% 0.2% 0.2% 3.0% 3.0% 0.2% 0.2% 6.5% 6.5% 0.6% 0.6% 19.9% 19.9% 39.1% 39.1% 한국경제 입소스 3월 13일 ~ 3월 14일 1,000명 1.8% 1.8% 28.0% 28.0% 18.3% 18.3% 미조사 미조사 7.0% 7.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2.7% 22.7% 22.2% 22.2% 헤럴드경제 조원씨앤아이 3월 14일 ~ 3월 15일 1,002명 1.5% 1.5% 41.8% 41.8% 7.4% 7.4% 미조사 미조사 4.8% 4.8%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3.2% 33.2% 11.3% 11.3% tbs 리얼미터 3월 16일 ~ 3월 18일 1,501명 1.8% 1.8% 30.7% 30.7% 5.3% 5.3% 1.3% 1.3% 5.7% 5.7% 1.3% 1.3% 미조사 미조사 2.2% 2.2% 37.8% 37.8% 14.0% 14.0%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17일 ~ 3월 19일 1,000명 미조사 미조사 23.0% 23.0% 7.0% 7.0% 1.0% 1.0% 5.0% 5.0% 미조사 미조사 4.0% 4.0% 미조사 미조사 33.0% 33.0% 28.0% 28.0% YTN 리얼미터 3월 16일 ~ 3월 20일 2,507명 2.0% 2.0% 29.4% 29.4% 6.0% 6.0% 1.8% 1.8% 6.1% 6.1% 1.4% 1.4% 미조사 미조사 2.2% 2.2% 38.0% 38.0% 14.0% 14.0% 문화일보 엠브레인퍼블릭 3월 20일 ~ 3월 21일 1,011명 0.3% 0.3% 20.4% 20.4% 9.1% 9.1% 0.7% 0.7% 5.3% 5.3% 0.6% 0.6% 6.9% 6.9% 0.4% 0.4% 16.5% 16.5% 39.8% 39.8%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0일 ~ 3월 21일 1,000명 2.0% 2.0% 34.9% 34.9% 5.0% 5.0% 2.4% 2.4% 4.6% 4.6% 2.2% 2.2% 10.1% 10.1% 2.7% 2.7% 27.9% 27.9% 8.2% 8.2% 민초커뮤니케이션 여론조사공정 3월 21일 1,060명 1.9% 1.9% 28.4% 28.4% 9.0% 9.0% 2.4% 2.4% 6.7% 6.7% 2.0% 2.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9.7% 29.7% 19.9% 19.9% MBC 코리아리서치 3월 21일 ~ 3월 22일 1,003명 0.3% 0.3% 22.7% 22.7% 9.8% 9.8% 1.1% 1.1% 4.8% 4.8% 0.5% 0.5% 3.8% 3.8% 0.2% 0.2% 26.1% 26.1% 30.7% 30.7% 쿠키뉴스 한길리서치 3월 20일 ~ 3월 21일, 3월 23일 1,005명 1.3% 1.3% 24.6% 24.6% 8.0% 8.0% 0.8% 0.8% 5.7% 5.7% 미조사 미조사 6.9% 6.9% 0.5% 0.5% 29.9% 29.9% 22.3% 22.3% KBS 한국리서치 3월 20일 ~ 3월 23일 1,199명 0.2% 0.2% 23.2% 23.2% 10.7% 10.7% 0.6% 0.6% 5.7% 5.7% 0.3% 0.3% 5.3% 5.3% 0.6% 0.6% 28.0% 28.0% 25.4% 25.4% KBS 한국리서치 3월 21일 ~ 3월 23일 2,000명 0.2% 0.2% 19.0% 19.0% 5.7% 5.7% 0.6% 0.6% 2.6% 2.6% 0.2% 0.2% 4.0% 4.0% 0.5% 0.5% 21.2% 21.2% 46.1% 46.1%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1일 ~ 3월 23일 1,000명 1.2% 1.2% 33.5% 33.5% 6.2% 6.2% 1.2% 1.2% 6.2% 6.2% 1.5% 1.5% 13.6% 13.6% 2.7% 2.7% 26.3% 26.3% 7.5% 7.5% tbs 리얼미터 3월 23일 ~ 3월 25일 1,518명 2.4% 2.4% 28.0% 28.0% 5.4% 5.4% 2.0% 2.0% 4.9% 4.9% 1.3% 1.3% 11.6% 11.6% 2.7% 2.7% 28.9% 28.9% 12.9% 12.9% 펜앤드마이크 여론조사공정 3월 25일 1,042명 2.7% 2.7% 27.7% 27.7% 6.7% 6.7% 2.6% 2.6% 6.4% 6.4% 1.6% 1.6% 16.2% 16.2% 미조사 미조사 16.2% 16.2% 20.2% 20.2%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24일 ~ 3월 26일 1,001명 미조사 미조사 24.0% 24.0% 9.0% 9.0% 1.0% 1.0% 6.0% 6.0% 미조사 미조사 9.0% 9.0% 미조사 미조사 25.0% 25.0% 27.0% 27.0% YTN 리얼미터 3월 23일 ~ 3월 27일 2,531명 2.2% 2.2% 27.4% 27.4% 5.9% 5.9% 2.0% 2.0% 4.3% 4.3% 1.2% 1.2% 11.7% 11.7% 2.3% 2.3% 29.8% 29.8% 13.4% 13.4% 경향신문 메트릭스리서치 3월 27일 ~ 3월 28일 1,000명 1.3% 1.3% 19.8% 19.8% 14.9% 14.9% 1.6% 1.6% 6.3% 6.3% 1.0% 1.0% 11.8% 11.8% 0.3% 0.3% 18.6% 18.6% 24.5% 24.5% = = = 5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생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우리공화당 민중당 한국경제당 국민의당 친박신당 열린민주당 기타 · 무응답 참고 데일리안 알앤써치 3월 22일 ~ 3월 24일 1,008명 1.7% 1.7% 32.3% 32.3% 26.9% 26.9% 7.4% 7.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6.0% 6.0% 미조사 미조사 12.6% 12.6% 8.2% 8.2%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7일 ~ 3월 28일 1,013명 1.8% 1.8% 32.7% 32.7% 18.6% 18.6% 7.2% 7.2% 1.0% 1.0% 2.3% 2.3% 미조사 미조사 5.4% 5.4% 3.3% 3.3% 15.3% 15.3% 12.4% 12.4% SBS 입소스 3월 28일 ~ 3월 29일 1,001명 0.6% 0.6% 24.4% 24.4% 20.4% 20.4% 13.5% 13.5% 0.8% 0.8% 0.7% 0.7% 0.4% 0.4% 5.3% 5.3% 1.0% 1.0% 11.9% 11.9% 20.9% 20.9% 동아일보 리서치앤리서치 3월 28일 ~ 3월 29일 1,001명 0.9% 0.9% 21.8% 21.8% 16.5% 16.5% 8.5% 8.5% 1.3% 1.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4% 3.4% 미조사 미조사 9.0% 9.0% 38.5% 38.5% KBS 한국리서치 3월 27일 ~ 3월 30일 1,195명 0.2% 0.2% 23.2% 23.2% 29.8% 29.8% 10.4% 10.4% 0.5% 0.5% 0.3% 0.3% 0.4% 0.4% 6.3% 6.3% 0.1% 0.1% 7.8% 7.8% 20.9% 20.9% KBS 한국리서치 3월 28일 ~ 3월 30일 2,000명 0.6% 0.6% 20.0% 20.0% 17.3% 17.3% 4.9% 4.9% 0.5% 0.5% 0.4% 0.4% 0.2% 0.2% 2.6% 2.6% 0.3% 0.3% 6.6% 6.6% 46.5% 46.5%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8일 ~ 3월 30일 1,000명 2.4% 2.4% 31.9% 31.9% 22.5% 22.5% 7.7% 7.7% 2.2% 2.2% 1.6% 1.6% 1.1% 1.1% 5.3% 5.3% 1.8% 1.8% 15.5% 15.5% 7.9% 7.9% 한길리서치 한길리서치 3월 29일 ~ 3월 30일 1,010명 4.0% 4.0% 26.1% 26.1% 19.9% 19.9% 9.2% 9.2% 1.0% 1.0% 0.7% 0.7% 0.1% 0.1% 4.1% 4.1% 0.5% 0.5% 6.8% 6.8% 27.6% 27.6% 아시아투데이 알앤써치 3월 28일 ~ 3월 29일, 3월 31일 2,119명 1.6% 1.6% 30.7% 30.7% 19.7% 19.7% 6.9% 6.9%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0% 5.0% 미조사 미조사 13.7% 13.7% 22.4% 22.4%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3월 29일 ~ 3월 31일 1,000명 3.0% 3.0% 31.0% 31.0% 23.0% 23.0% 9.0% 9.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6.0% 6.0% 미조사 미조사 11.0% 11.0% 17.0% 17.0% tbs 리얼미터 3월 30일 ~ 4월 1일 1,514명 2.9% 2.9% 25.1% 25.1% 20.8% 20.8% 8.2% 8.2% 2.0% 2.0% 1.2% 1.2% 1.7% 1.7% 5.1% 5.1% 1.8% 1.8% 14.3% 14.3% 16.8% 16.8% 리버티코리아포스트 여론조사공정 4월 1일 1,003명 1.4% 1.4% 28.2% 28.2% 21.2% 21.2% 6.9% 6.9%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9% 5.9% 1.4% 1.4% 16.3% 16.3% 18.7% 18.7%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31일 ~ 4월 2일 1,002명 2.0% 2.0% 23.0% 23.0% 21.0% 21.0% 11.0% 11.0%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0% 5.0% 미조사 미조사 10.0% 10.0% 27.0% 27.0% 뉴비시 조원씨앤아이 4월 1일 ~ 4월 2일 1,000명 2.7% 2.7% 24.7% 24.7% 21.5% 21.5% 8.7% 8.7% 2.3% 2.3% 2.0% 2.0% 1.6% 1.6% 5.2% 5.2% 2.4% 2.4% 12.6% 12.6% 16.2% 16.2% YTN 리얼미터 3월 30일 ~ 4월 3일 2,521명 2.8% 2.8% 25.0% 25.0% 21.7% 21.7% 8.5% 8.5% 1.9% 1.9% 1.6% 1.6% 1.6% 1.6% 4.7% 4.7% 2.1% 2.1% 14.4% 14.4% 15.6% 15.6%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4월 3일 ~ 4월 4일 1,011명 2.5% 2.5% 27.1% 27.1% 21.0% 21.0% 7.3% 7.3% 2.0% 2.0% 2.6% 2.6% 1.3% 1.3% 6.6% 6.6% 2.1% 2.1% 14.0% 14.0% 13.7% 13.7% 중앙일보 엠브레인퍼블릭 4월 3일 ~ 4월 4일 1,000명 0.4% 0.4% 20.7% 20.7% 21.0% 21.0% 8.5% 8.5% 0.7% 0.7% 0.4% 0.4% 0.2% 0.2% 4.6% 4.6% 0.4% 0.4% 9.9% 9.9% 33.3% 33.3% 총선 총선 4월 15일 29,128,040명 2.7% 2.7% 33.8% 33.8% 33.4% 33.4% 9.7% 9.7% 0.7% 0.7% 1.1% 1.1% 0.2% 0.2% 6.8% 6.8% 0.5% 0.5% 5.4% 5.4% 5.7% 5.7% = = 정당 지지율 = = = = = 정계 개편 이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 대안신당 정의당 민주평화당 우리공화당 민중당 기타 · 무응답 참고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12월 31일 ~ 1월 1일 1,000명 38.6% 38.6% 27.3% 27.3% 4.0% 4.0% 5.0% 5.0% 1.7% 1.7% 7.0% 7.0% 2.3% 2.3% 1.8% 1.8% 1.1% 1.1% 10.1% 10.1%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2월 28일 ~ 1월 1일 1,000명 42.0% 42.0% 29.0% 29.0% 6.0% 6.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6.0% 6.0% 1.0% 1.0% 1.0% 1.0% 미조사 미조사 15.0% 15.0% YTN 리얼미터 12월 30일 ~ 1월 3일 2,508명 41.8% 41.8% 32.1% 32.1% 4.6% 4.6%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5% 5.5% 1.1% 1.1% 1.0% 1.0% 미조사 미조사 13.9% 13.9% 천지일보 리서치뷰 1월 2일 ~ 1월 3일 1,000명 41.7% 41.7% 26.6% 26.6% 3.8% 3.8% 3.9% 3.9% 0.7% 0.7% 6.5% 6.5% 1.8% 1.8%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5.1% 15.1% tbs 리얼미터 1월 6일 ~ 1월 8일 1,506명 42.0% 42.0% 31.2% 31.2% 4.3% 4.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4% 5.4% 2.2% 2.2% 1.3% 1.3% 미조사 미조사 13.6% 13.6% 한국갤럽 한국갤럽 1월 7일 ~ 1월 9일 1,000명 40.0% 40.0% 20.0% 20.0% 3.0% 3.0% 3.0% 3.0% 0.3% 0.3% 6.0% 6.0% 0.1% 0.1% 0.6% 0.6% 0.5% 0.5% 26.0% 26.0% YTN 리얼미터 1월 6일 ~ 1월 10일 2,509명 41.1% 41.1% 31.3% 31.3% 4.7% 4.7%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5.5% 5.5% 1.9% 1.9% 1.5% 1.5% 미조사 미조사 14.0% 14.0% tbs 리얼미터 1월 13일 ~ 1월 15일 1,506명 37.0% 37.0% 32.4% 32.4% 3.7% 3.7% 5.3% 5.3% 1.1% 1.1% 4.8% 4.8% 2.2% 2.2% 1.5% 1.5% 1.5% 1.5% 10.5% 10.5% 한국갤럽 한국갤럽 1월 14일 ~ 1월 16일 1,000명 39.0% 39.0% 22.0% 22.0% 3.0% 3.0% 3.0% 3.0% 0.3% 0.3% 5.0% 5.0% 0.4% 0.4% 0.9% 0.9% 0.4% 0.4% 28.0% 28.0% YTN 리얼미터 1월 13일 ~ 1월 17일 2,510명 38.4% 38.4% 32.7% 32.7% 3.9% 3.9% 4.7% 4.7% 1.2% 1.2% 4.3% 4.3% 1.8% 1.8% 1.5% 1.5% 1.1% 1.1% 10.4% 10.4% 한길리서치 한길리서치 1월 18일 ~ 1월 20일 1,000명 32.5% 32.5% 13.4% 13.4% 2.3% 2.3% 3.5% 3.5% 0.3% 0.3% 6.7% 6.7% 1.1% 1.1%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8.7% 38.7% tbsYTN 리얼미터 1월 20일 ~ 1월 22일 1,503명 40.4% 40.4% 32.1% 32.1% 4.1% 4.1% 3.8% 3.8% 1.7% 1.7% 4.4% 4.4% 1.0% 1.0% 1.1% 1.1% 0.7% 0.7% 10.7% 10.7% 데일리안 알앤써치 1월 27일 ~ 1월 28일 1,099명 38.5% 38.5% 28.2% 28.2% 3.6% 3.6% 6.3% 6.3% 0.8% 0.8% 5.1% 5.1% 0.9% 0.9% 1.0% 1.0% 미조사 미조사 15.5% 15.5% 세계일보 리서치앤리서치 1월 26일 ~ 1월 28일 1,007명 35.8% 35.8% 20.7% 20.7% 4.1% 4.1% 3.5% 3.5% 0.2% 0.2% 6.0% 6.0% 0.4% 0.4% 1.0% 1.0% 0.5% 0.5% 27.8% 27.8% tbs 리얼미터 1월 28일 ~ 1월 29일 1,508명 38.2% 38.2% 29.8% 29.8% 3.9% 3.9% 3.8% 3.8% 1.4% 1.4% 4.4% 4.4% 1.4% 1.4% 1.8% 1.8% 1.3% 1.3% 14.0% 14.0%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1월 26일 ~ 1월 30일 1,000명 39.0% 39.0% 30.0% 30.0% 3.0% 3.0% 4.0% 4.0% 미조사 미조사 5.0% 5.0% 1.0% 1.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8.0% 18.0% 한국갤럽 한국갤럽 1월 28일 ~ 1월 30일 1,000명 34.0% 34.0% 21.0% 21.0% 2.0% 2.0% 2.0% 2.0% 미조사 미조사 6.0% 6.0% 0.5% 0.5% 0.3% 0.3% 미조사 미조사 34.0% 34.0% YTN 리얼미터 1월 28일 ~ 1월 31일 2,511명 38.5% 38.5% 29.3% 29.3% 3.5% 3.5% 3.8% 3.8% 1.2% 1.2% 5.6% 5.6% 1.6% 1.6% 1.4% 1.4% 1.2% 1.2% 13.9% 13.9% 펜앤드마이크 여론조사공정 2월 1일 1,034명 40.9% 40.9% 30.5% 30.5% 2.3% 2.3% 2.5% 2.5% 0.6% 0.6% 3.9% 3.9% 0.5% 0.5% 1.3% 1.3% 미조사 미조사 17.6% 17.6%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2월 1일 ~ 2월 3일 1,002명 42.6% 42.6% 30.5% 30.5% 2.5% 2.5% 4.4% 4.4% 0.3% 0.3% 4.6% 4.6% 0.4% 0.4% 0.8% 0.8% 미조사 미조사 14.0% 14.0% 아시아투데이 알앤써치 2월 4일 1,036명 39.5% 39.5% 25.0% 25.0% 3.3% 3.3% 5.3% 5.3% 0.4% 0.4% 3.6% 3.6% 1.5% 1.5% 0.8% 0.8% 미조사 미조사 20.6% 20.6% tbs 리얼미터 2월 3일 ~ 2월 5일 1,503명 41.9% 41.9% 29.5% 29.5% 3.2% 3.2% 3.8% 3.8% 1.2% 1.2% 5.0% 5.0% 2.1% 2.1% 1.2% 1.2% 1.0% 1.0% 11.1% 11.1%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4일 ~ 2월 6일 1,000명 36.0% 36.0% 20.0% 20.0% 2.0% 2.0% 2.0% 2.0% 미조사 미조사 5.0% 5.0% 0.4% 0.4% 0.5% 0.5% 미조사 미조사 35.0% 35.0% YTN 리얼미터 2월 3일 ~ 2월 7일 2,505명 40.2% 40.2% 30.2% 30.2% 3.3% 3.3% 4.1% 4.1% 1.2% 1.2% 5.3% 5.3% 2.1% 2.1% 1.2% 1.2% 0.7% 0.7% 11.7% 11.7% 쿠키뉴스 한길리서치 2월 7일 ~ 2월 8일, 2월 10일 1,002명 39.9% 39.9% 17.2% 17.2% 2.4% 2.4% 3.9% 3.9% 0.8% 0.8% 6.5% 6.5% 1.3% 1.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8.1% 28.1% tbs 리얼미터 2월 10일 ~ 2월 12일 1,509명 40.3% 40.3% 31.1% 31.1% 2.2% 2.2% 3.8% 3.8% 0.9% 0.9% 4.8% 4.8% 1.4% 1.4% 1.5% 1.5% 1.2% 1.2% 12.8% 12.8%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11일 ~ 2월 13일 1,001명 37.0% 37.0% 21.0% 21.0% 3.0% 3.0% 3.0% 3.0% 미조사 미조사 5.0% 5.0% 0.2% 0.2%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1.0% 31.0% YTN 리얼미터 2월 10일 ~ 2월 14일 2,516명 39.9% 39.9% 32.0% 32.0% 2.6% 2.6% 3.9% 3.9% 0.9% 0.9% 4.8% 4.8% 1.5% 1.5% 1.2% 1.2% 1.3% 1.3% 11.9% 11.9% = = = 1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정의당 민주평화당 민중당 우리공화당 기타 · 무응답 참고 tbs 리얼미터 2월 17일 ~ 2월 19일 1,508명 41.1% 41.1% 32.7% 32.7% 3.2% 3.2% 1.0% 1.0% 4.2% 4.2% 2.1% 2.1% 1.2% 1.2% 1.5% 1.5% 10.7% 10.7%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18일 ~ 2월 20일 1,002명 36.0% 36.0% 23.0% 23.0% 4.0% 4.0% 미조사 미조사 7.0% 7.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0.0% 30.0% YTN 리얼미터 2월 17일 ~ 2월 21일 2,512명 40.5% 40.5% 33.7% 33.7% 3.0% 3.0% 1.3% 1.3% 4.1% 4.1% 2.2% 2.2% 1.0% 1.0% 1.5% 1.5% 10.4% 10.4% = = = 2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당 정의당 국민의당 민중당 우리공화당 기타 · 무응답 참고 tbs 리얼미터 2월 25일 ~ 2월 26일 1,514명 41.5% 41.5% 31.6% 31.6% 3.8% 3.8% 4.4% 4.4% 1.2% 1.2% 1.0% 1.0% 1.6% 1.6% 14.9% 14.9%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25일 ~ 2월 27일 1,001명 37.0% 37.0% 21.0% 21.0% 1.0% 1.0% 6.0% 6.0% 2.0% 2.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4.0% 34.0% 중앙일보 한국리서치 2월 26일 ~ 2월 27일 1,000명 39.0% 39.0% 26.1% 26.1% 1.5% 1.5% 5.2% 5.2% 3.2% 3.2% 0.4% 0.4% 0.7% 0.7% 23.9% 23.9% 오마이뉴스 리얼미터 2월 27일 ~ 2월 28일 1,015명 40.5% 40.5% 30.3% 30.3% 4.4% 4.4% 4.3% 4.3% 2.1% 2.1% 1.1% 1.1% 1.5% 1.5% 15.7% 15.7% YTN 리얼미터 2월 25일 ~ 2월 28일 2,520명 41.0% 41.0% 31.0% 31.0% 4.1% 4.1% 4.3% 4.3% 1.7% 1.7% 1.0% 1.0% 1.6% 1.6% 15.3% 15.3%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2월 26일 ~ 2월 29일 1,000명 39.0% 39.0% 28.0% 28.0% 1.0% 1.0% 7.0% 7.0% 3.0% 3.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3.0% 23.0%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2월 29일 ~ 3월 2일 1,002명 37.4% 37.4% 30.0% 30.0% 1.5% 1.5% 7.0% 7.0% 3.4% 3.4% 1.7% 1.7% 2.5% 2.5% 16.6% 16.6% 한국일보 한국리서치 3월 1일 ~ 3월 2일 1,000명 39.1% 39.1% 24.5% 24.5% 2.0% 2.0% 6.2% 6.2% 2.1% 2.1% 0.3% 0.3% 0.4% 0.4% 25.4% 25.4% tbs 리얼미터 3월 2일 ~ 3월 4일 1,516명 42.9% 42.9% 29.8% 29.8% 4.0% 4.0% 4.3% 4.3% 4.6% 4.6% 0.8% 0.8% 1.7% 1.7% 11.9% 11.9%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3일 ~ 3월 5일 1,000명 36.0% 36.0% 22.0% 22.0% 1.0% 1.0% 6.0% 6.0% 2.0% 2.0% 1.0% 1.0% 1.0% 1.0% 32.0% 32.0% YTN 리얼미터 3월 2일 ~ 3월 6일 2,527명 41.7% 41.7% 31.2% 31.2% 4.1% 4.1% 4.9% 4.9% 4.7% 4.7% 0.8% 0.8% 1.6% 1.6% 11.0% 11.0% tbs 리얼미터 3월 9일 ~ 3월 11일 1,507명 40.2% 40.2% 32.5% 32.5% 1.9% 1.9% 4.1% 4.1% 4.6% 4.6% 1.3% 1.3% 2.6% 2.6% 12.8% 12.8% YTN 리얼미터 3월 9일 ~ 3월 13일 2,514명 41.5% 41.5% 32.1% 32.1% 2.1% 2.1% 4.3% 4.3% 3.9% 3.9% 1.2% 1.2% 2.4% 2.4% 12.5% 12.5% = = = 3차 및 4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당 정의당 자유공화당 국민의당 민중당 열린민주당 친박신당 기타 · 무응답 참고 오마이뉴스 리얼미터 3월 11일 1,000명 43.6% 43.6% 28.5% 28.5% 2.8% 2.8% 3.8% 3.8% 미조사 미조사 4.9% 4.9%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6.3% 16.3%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10일 ~ 3월 12일 1,001명 39.0% 39.0% 22.0% 22.0% 0.1% 0.1% 6.0% 6.0% 1.0% 1.0% 3.0% 3.0% 0.4% 0.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29.0% 29.0% news1 엠브레인퍼블릭 3월 13일 1,005명 34.2% 34.2% 19.7% 19.7% 0.5% 0.5% 4.7% 4.7% 0.5% 0.5% 1.8% 1.8% 미조사 미조사 1.6% 1.6% 0.4% 0.4% 36.6% 36.6% 시사저널 모노커뮤니케이션즈 3월 15일 ~ 3월 17일 2,049명 43.1% 43.1% 36.3% 36.3% 0.7% 0.7% 4.1% 4.1% 미조사 미조사 3.7% 3.7%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2.1% 12.1% tbs 리얼미터 3월 16일 ~ 3월 18일 1,501명 40.9% 40.9% 35.1% 35.1% 1.6% 1.6% 3.2% 3.2% 1.0% 1.0% 3.9% 3.9% 1.5% 1.5% 미조사 미조사 2.5% 2.5% 10.4% 10.4%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17일 ~ 3월 19일 1,000명 38.0% 38.0% 23.0% 23.0% 1.0% 1.0% 4.0% 4.0% 1.0% 1.0% 3.0% 3.0% 0.2% 0.2% 1.0% 1.0% 0.2% 0.2% 29.0% 29.0% YTN 리얼미터 3월 16일 ~ 3월 20일 2,507명 42.1% 42.1% 33.6% 33.6% 1.4% 1.4% 3.7% 3.7% 1.4% 1.4% 4.0% 4.0% 1.3% 1.3% 미조사 미조사 2.1% 2.1% 10.4% 10.4%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0일 ~ 3월 21일 1,000명 35.1% 35.1% 31.3% 31.3% 1.8% 1.8% 5.3% 5.3% 2.3% 2.3% 6.0% 6.0% 1.9% 1.9% 4.5% 4.5% 2.9% 2.9% 8.8% 8.8% 민초커뮤니케이션 여론조사공정 3월 21일 1,060명 42.2% 42.2% 26.8% 26.8% 3.4% 3.4% 4.1% 4.1% 1.5% 1.5% 3.6% 3.6% 1.1% 1.1%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7.3% 17.3% MBC 코리아리서치 3월 21일 ~ 3월 22일 1,003명 42.2% 42.2% 24.1% 24.1% 0.1% 0.1% 7.6% 7.6% 1.1% 1.1% 3.7% 3.7% 0.4% 0.4% 미조사 미조사 0.3% 0.3% 20.4% 20.4% 쿠키뉴스 한길리서치 3월 20일 ~ 3월 21일, 3월 23일 1,005명 40.5% 40.5% 22.1% 22.1% 1.1% 1.1% 4.8% 4.8% 0.9% 0.9% 3.2% 3.2%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0.4% 0.4% 24.4% 24.4% KBS 한국리서치 3월 20일 ~ 3월 23일 1,199명 48.5% 48.5% 26.1% 26.1% 미조사 미조사 6.2% 6.2% 0.6% 0.6% 4.8% 4.8% 0.3% 0.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3.4% 13.4% KBS 한국리서치 3월 21일 ~ 3월 23일 2,000명 42.3% 42.3% 23.5% 23.5% 0.4% 0.4% 4.6% 4.6% 0.7% 0.7% 2.6% 2.6% 0.3% 0.3% 1.0% 1.0% 0.6% 0.6% 23.9% 23.9%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1일 ~ 3월 23일 1,000명 35.0% 35.0% 30.7% 30.7% 1.7% 1.7% 6.1% 6.1% 2.3% 2.3% 6.8% 6.8% 1.0% 1.0% 5.9% 5.9% 3.1% 3.1% 7.5% 7.5% tbs 리얼미터 3월 23일 ~ 3월 25일 1,518명 45.0% 45.0% 29.8% 29.8% 2.1% 2.1% 4.7% 4.7% 2.0% 2.0% 3.6% 3.6% 0.8% 0.8% 미조사 미조사 1.6% 1.6% 10.4% 10.4% 펜앤드마이크 여론조사공정 3월 25일 1,042명 40.3% 40.3% 28.6% 28.6% 1.8% 1.8% 4.2% 4.2% 1.4% 1.4% 5.0% 5.0% 1.3% 1.3%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7.4% 17.4%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24일 ~ 3월 26일 1,001명 37.0% 37.0% 22.0% 22.0% 0.2% 0.2% 5.0% 5.0% 1.0% 1.0% 4.0% 4.0% 0.3% 0.3% 2.0% 2.0% 0.4% 0.4% 29.0% 29.0% YTN 리얼미터 3월 23일 ~ 3월 27일 2,531명 44.6% 44.6% 30.0% 30.0% 1.8% 1.8% 4.6% 4.6% 1.8% 1.8% 3.3% 3.3% 1.0% 1.0% 미조사 미조사 1.6% 1.6% 11.2% 11.2% 경향신문 메트릭스리서치 3월 27일 ~ 3월 28일 1,000명 46.4% 46.4% 22.0% 22.0% 0.4% 0.4% 7.2% 7.2% 0.9% 0.9% 미조사 미조사 0.3% 0.3% 미조사 미조사 0.3% 0.3% 22.7% 22.7% = = = 5차 정계 개편 이후 =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민생당 정의당 우리공화당 민중당 한국경제당 국민의당 친박신당 열린민주당 기타 · 무응답 참고 데일리안 알앤써치 3월 22일 ~ 3월 24일 1,008명 42.1% 42.1% 31.1% 31.1% 1.8% 1.8% 4.4% 4.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4.7% 4.7%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6.1% 16.1%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3월 27일 ~ 3월 28일 1,013명 34.5% 34.5% 31.4% 31.4% 1.1% 1.1% 5.9% 5.9% 1.4% 1.4% 1.2% 1.2% 미조사 미조사 5.4% 5.4% 2.0% 2.0% 6.8% 6.8% 10.5% 10.5% SBS 입소스 3월 28일 ~ 3월 29일 1,001명 44.1% 44.1% 19.9% 19.9% 0.2% 0.2% 5.9% 5.9% 0.6% 0.6% 0.5% 0.5% 0.1% 0.1% 2.7% 2.7% 0.4% 0.4% 2.3% 2.3% 23.2% 23.2% KBS 한국리서치 3월 27일 ~ 3월 30일 1,195명 49.3% 49.3% 26.1% 26.1% 0.2% 0.2% 5.9% 5.9% 0.5% 0.5% 0.2% 0.2% 0.3% 0.3% 4.6% 4.6% 0.2% 0.2% 1.3% 1.3% 11.6% 11.6% KBS 한국리서치 3월 28일 ~ 3월 30일 2,000명 42.1% 42.1% 26.4% 26.4% 0.4% 0.4% 5.0% 5.0% 0.6% 0.6% 0.5% 0.5% 0.0% 0.0% 3.0% 3.0% 0.2% 0.2% 2.0% 2.0% 19.8% 19.8%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3월 28일 ~ 3월 30일 1,000명 35.0% 35.0% 28.7% 28.7% 0.9% 0.9% 6.6% 6.6% 2.4% 2.4% 2.0% 2.0% 0.1% 0.1% 4.8% 4.8% 3.2% 3.2% 8.0% 8.0% 8.0% 8.0% 아시아투데이 알앤써치 3월 28일 ~ 3월 29일, 3월 31일 2,119명 43.5% 43.5% 31.4% 31.4% 1.4% 1.4% 4.0% 4.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3.4% 3.4%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6.2% 16.2%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3월 29일 ~ 3월 31일 1,000명 43.0% 43.0% 34.0% 34.0% 2.0% 2.0% 5.0% 5.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4.0% 4.0%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미조사 13.0% 13.0% tbs 리얼미터 3월 30일 ~ 4월 1일 1,514명 43.0% 43.0% 28.2% 28.2% 2.5% 2.5% 4.9% 4.9% 1.5% 1.5% 1.3% 1.3% 1.3% 1.3% 4.3% 4.3% 1.7% 1.7% 미조사 미조사 11.4% 11.4%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31일 ~ 4월 2일 1,002명 41.0% 41.0% 23.0% 23.0% 0.1% 0.1% 4.0% 4.0% 0.5% 0.5% 0.3% 0.3% 미조사 미조사 4.0% 4.0% 0.3% 0.3% 2.0% 2.0% 23.0% 23.0% 뉴비시 조원씨앤아이 4월 1일 ~ 4월 2일 1,000명 35.3% 35.3% 27.9% 27.9% 2.5% 2.5% 5.6% 5.6% 1.6% 1.6% 1.5% 1.5% 1.7% 1.7% 4.1% 4.1% 1.7% 1.7% 8.5% 8.5% 9.6% 9.6% YTN 리얼미터 3월 30일 ~ 4월 3일 2,521명 43.2% 43.2% 28.8% 28.8% 2.2% 2.2% 5.4% 5.4% 1.4% 1.4% 1.4% 1.4% 1.3% 1.3% 3.8% 3.8% 1.7% 1.7% 미조사 미조사 10.7% 10.7% 시민일보 조원씨앤아이 4월 3일 ~ 4월 4일 1,011명 33.0% 33.0% 28.4% 28.4% 1.7% 1.7% 4.3% 4.3% 2.4% 2.4% 2.2% 2.2% 1.6% 1.6% 5.6% 5.6% 1.8% 1.8% 9.3% 9.3% 9.9% 9.9% 총선 총선 4월 15일 29,128,040명 33.4% 33.4% 33.8% 33.8% 2.7% 2.7% 9.7% 9.7% 0.7% 0.7% 1.1% 1.1% 0.2% 0.2% 6.8% 6.8% 0.5% 0.5% 5.4% 5.4% 5.7% 5.7% = = 심판론 = =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의뢰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정부 및 여당 지지(야당 심판) 야당 지지(정부 및 여당 심판) 양당 심판 · 무응답 참고 쿠키뉴스 조원씨앤아이 12월 31일 ~ 1월 1일 1,000명 42.0% 42.0% 43.5% 43.5% 14.5% 14.5% MBN매일경제 메트릭스코퍼레이션 1월 2일 ~ 1월 3일 1,000명 19.2% 19.2% 27.9% 27.9% 52.9% 52.9% 한국갤럽 한국갤럽 1월 7일 ~ 1월 9일 1,000명 49.0% 49.0% 37.0% 37.0% 14.0% 14.0% KBS 한국리서치 1월 17일 ~ 1월 20일 1,314명 50.5% 50.5% 47.7% 47.7% 1.8% 1.8% KBS 한국리서치 1월 18일 ~ 1월 21일 2,000명 48.8% 48.8% 42.6% 42.6% 8.6% 8.6% 한국갤럽 한국갤럽 2월 11일 ~ 2월 13일 1,001명 43.0% 43.0% 45.0% 45.0% 13.0% 13.0% 중앙일보 한국리서치 2월 26일 ~ 2월 27일 1,000명 45.5% 45.5% 41.8% 41.8% 12.7% 12.7%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2월 26일 ~ 2월 29일 1,000명 42.0% 42.0% 49.0% 49.0% 9.0% 9.0% 한국일보 한국리서치 3월 1일 ~ 3월 2일 1,000명 52.8% 52.8% 37.5% 37.5% 9.7% 9.7% 서울경제 엠브레인퍼블릭 3월 5일 ~ 3월 6일 1,009명 41.6% 41.6% 37.1% 37.1% 21.3% 21.3% 오마이뉴스 리얼미터 3월 11일 1,000명 45.2% 45.2% 42.8% 42.8% 11.9% 11.9%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10일 ~ 3월 12일 1,001명 43.0% 43.0% 43.0% 43.0% 14.0% 14.0% news1 엠브레인퍼블릭 3월 13일 1,005명 38.5% 38.5% 38.1% 38.1% 23.4% 23.4% 헤럴드경제 조원씨앤아이 3월 14일 ~ 3월 15일 1,002명 44.9% 44.9% 44.9% 44.9% 10.2% 10.2% 문화일보 엠브레인퍼블릭 3월 20일 ~ 3월 21일 1,011명 47.2% 47.2% 43.4% 43.4% 9.4% 9.4% MBC 코리아리서치 3월 21일 ~ 3월 22일 1,003명 48.0% 48.0% 34.2% 34.2% 17.8% 17.8% 쿠키뉴스 한길리서치 3월 20일 ~ 3월 21일, 3월 23일 1,005명 39.7% 39.7% 41.8% 41.8% 18.5% 18.5% KBS 한국리서치 3월 20일 ~ 3월 23일 1,199명 57.3% 57.3% 41.5% 41.5% 1.2% 1.2% KBS 한국리서치 3월 21일 ~ 3월 23일 2,000명 49.9% 49.9% 39.7% 39.7% 10.4% 10.4%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24일 ~ 3월 26일 1,001명 46.0% 46.0% 40.0% 40.0% 14.0% 14.0% 경향신문 메트릭스리서치 3월 27일 ~ 3월 28일 1,000명 59.2% 59.2% 40.8% 40.8% 0.0% 0.0% KBS 한국리서치 3월 27일 ~ 3월 30일 1,195명 58.4% 58.4% 40.7% 40.7% 0.9% 0.9% KBS 한국리서치 3월 28일 ~ 3월 30일 2,000명 50.8% 50.8% 38.4% 38.4% 10.8% 10.8% 한길리서치 한길리서치 3월 29일 ~ 3월 30일 1,010명 41.1% 41.1% 42.1% 42.1% 16.8% 16.8% 미디어오늘 리서치뷰 3월 29일 ~ 3월 31일 1,000명 53.0% 53.0% 38.0% 38.0% 10.0% 10.0% 한국갤럽 한국갤럽 3월 31일 ~ 4월 2일 1,002명 47.0% 47.0% 37.0% 37.0% 16.0% 16.0% 중앙일보 엠브레인퍼블릭 4월 3일 ~ 4월 4일 1,000명 50.0% 50.0% 38.1% 38.1% 11.9% 11.9% 총선 총선 4월 15일 29,128,040명 60.0% 60.0% 38.3% 38.3% 1.7% 1.7% = 분류:가게거미과 = = 틀:올림픽 육상 여자 80m 허들 금메달리스트 = = 분류:진 (남조)의 황족 = = 분류:해오름초등학교 동문 = = 청원군 을 = 청원군 을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충청북도 청원군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원군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이면, 북일면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원군 갑, 을 선거구가 청원군 단독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이만근 1950년 무소속 곽의영 1954년 자유당 곽의영 1958년 자유당 곽의영 1960년 민주당 김창수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 = = 슈퍼플랫 = 슈퍼플랫(Superflat)은 미술가 무라카미 다카시가 주도한, 일본 만화와 아니메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사조이다.Natalie Avella, Graphic Japan: From Woodblock and Zen to Manga and Kawaii, Rotovision, 2004, p111. 웨스트할리우드, 미니애폴리스, 시애틀을 순회한, 무라카미의 2001년 전시의 이름이기도 하다.Kitty Hauser, Superflat: Kitty Hauser on fan fare, ArtForum, Oct, 2004. = 설죽화 = 설죽화(雪竹花, 1001년 ~ 1019년)는 고려의 병사인 이관의 딸이다. 1011년 아버지 이관이 죽자 남장을 하고 절에서 무술을 익히고 다녔다. 1019년 거란의 제3차 침입이 일어나자 강감찬 장군 밑에 들어가 소년군의 선봉장으로 임명되었다. 흰 말을 타고 청룡도를 휘두르며 싸우다 1019년 전사하였다. = = 사후 관직 = = 그녀가 죽자 강감찬 장군이 고려의 꽃이라 일컬었고 공신의 칭호를 내리게 했다. 그리고 그녀가 무예를 연마하던 곳에 사당을 지어 넋을 기리게 했다. = 포타스트 = 포타스트(Potthast)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헤트비히 포타스트(Hedwig Potthast): 나치 독일 시절 친위대 SS국가지도자 하인리히 힘러의 여비서 에드워드 헨리 포타스트(Edward Henry Potthast): 미국의 인상주의 작가 = 분류:아제르바이잔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는 2023년 개봉한 미국의 액션 모험 영화이다. 제임스 맨골드가 감독과 공동각본을 맡았다. 영화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이후 15년 만의 속편이다. = = 출연 = = 해리슨 포드 - 헨리 "인디아나" 존스 주니어 역 피비 월러브리지 - 헬레나 쇼 역 존 리스데이비스 - 살라 역 마스 미켈센 - 위르겐 폴러 역 이선 이지도어 - 테디 쿠마르 역 쇼넷 러네이 윌슨 - 메이슨 역 토비 존스 - 배질 쇼 역 보이드 홀브룩 - 클라버 역 안토니오 반데라스 - 레날도 역 토마스 크레치만 - 베버 대령 역 캐런 앨런 - 매리언 레이븐우드 역 올리비에 리히테르스 - 하우케 역 마크 킬린 - 폰티무스 역 크리스티안 올리버 - 성우로 출연 = 분류:한국 수학 = =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2022 =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2022(, 약칭 Icons 2022)는 Icons의 1번째 대회이다. = = 개요 = =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라이엇 게임즈 후원: 코카콜라, 버라이즌, 프라임 게이밍, 삼성 갤럭시 = = = 일정 = = = 플레이-인 : 6월 14일 ~ 6월 18일 그룹 스테이지 : 6월 21일 ~ 6월 25일 결선 토너먼트 8강 : 7월 1일, 7월 2일 준결승 : 7월 5일, 7월 6일 결승 : 7월 9일 = = = 경기장 = = = 전 경기: 선텍 컨벤션 센터 = = = 상금 = = = 총 상금 : $ 200만 (기본 상금) + α (크라우드 펀딩 전체 판매 수익의 25%) = = 참가 팀 = =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 팀 팀명 약칭 소속 리그 참가 자격 시드 풀 펀플러스 피닉스 FPX WRL 2022 와일드 리프트 리그 시즌 1 우승 1 팀 플래시 FL WCS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SEA 시즌 1 우승 1 롤스터 Y RY WCK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우승 1 센고쿠 게이밍 SG WJC 2022 와일드 리프트 재팬 컵 시즌 1 우승 1 오메가 e스포츠 OMH WBR 2022 와일드 투어 시즌 1 우승 2 레비아탄 LEV WOL 2022 와일드 리프트 오픈 라틴아메리카 시즌 1 우승 2 임모탈스 IMT WNS 2022 와일드 리프트 노스아메리카 시리즈 시즌 1 우승 2 팀 퀘소 TQ WREC 2022 와일드 리프트 EMEA 챔피언십 시즌 1 우승 2 플레이-인 참가 팀 플레이-인 참가 팀 플레이-인 참가 팀 플레이-인 참가 팀 플레이-인 참가 팀 팀명 약칭 소속 리그 참가 자격 시드 풀 JD 게이밍 JDG WRL 2022 와일드 리프트 리그 시즌 1 준우승 1 노바 e스포츠 NV WRL WRL 최종 선발전 1위 3 J팀 JT WRL WRL 최종 선발전 3위최종 선발전 2위(오 마이 갓)의 불참으로 시드가 3위에 승계되었다. 4 플래시 울브즈 FW WCS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SEA 시즌 1 준우승 1 렉스 리검 퀀 RRQ WCS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SEA 시즌 1 3위 3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BRU WCS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SEA 시즌 1 4위 4 광동 프릭스 KDF WCK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준우승 1 T1 T1 WCK 2022 와일드 리프트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3위 3 언솔드 스터프 게이밍 USG WJC 2022 와일드 리프트 재팬 컵 시즌 1 준우승 2 비보 키드 VK WBR 2022 와일드 투어 시즌 1 준우승 1 리버티 LBR WBR 2022 와일드 투어 시즌 1 3위 3 퓨리어스 게이밍 FG WOL 2022 와일드 리프트 오픈 라틴아메리카 시즌 1 준우승 2 STMN e스포츠 STMN WOL 2022 와일드 리프트 오픈 라틴아메리카 시즌 1 3위 4 센티널즈 SEN WNS 2022 와일드 리프트 노스아메리카 시리즈 시즌 1 준우승 2 릭스GG RIX WREC 2022 와일드 리프트 EMEA 챔피언십 시즌 1 준우승 2 게임로드 GLD WREC 2022 와일드 리프트 EMEA 챔피언십 시즌 1 3위 4 = = 플레이-인 = = = = = A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노바 e스포츠 2 2 0 그룹 스테이지 #3 플래시 울브즈 3 2 1 그룹 스테이지 #4 게임로드 3 1 2 탈락 퓨리어스 게이밍 2 0 2 탈락 = = = B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JD 게이밍 2 2 0 그룹 스테이지 #3 렉스 리검 퀀 3 2 1 그룹 스테이지 #4 언솔드 스터프 게이밍 3 1 2 탈락 STMN e스포츠 2 0 2 탈락 = = = C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J팀 2 2 0 그룹 스테이지 #3 T1 3 2 1 그룹 스테이지 #4 릭스GG 3 1 2 탈락 비보 키드 2 0 2 탈락 = = = D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2 2 0 그룹 스테이지 #3 리버티 3 2 1 그룹 스테이지 #4 광동 프릭스 3 1 2 탈락 센티널즈 2 0 2 탈락 = = 그룹 스테이지 = = = = = A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노바 e스포츠 2 2 0 결선 토너먼트 팀 플래시 3 2 1 결선 토너먼트 T1 3 1 2 탈락 레비아탄 2 0 2 탈락 = = = B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J팀 2 2 0 결선 토너먼트 렉스 리검 퀀 3 2 1 결선 토너먼트 센고쿠 게이밍 3 1 2 탈락 팀 퀘소 2 0 2 탈락 = = = C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펀플러스 피닉스 2 2 0 결선 토너먼트 플래시 울브즈 3 2 1 결선 토너먼트 오메가 e스포츠 3 1 2 탈락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2 0 2 탈락 = = = D조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징동 게이밍 2 2 0 결선 토너먼트 롤스터 Y 3 2 1 결선 토너먼트 임모탈스 3 1 2 탈락 리버티 2 0 2 탈락 = = 결선 토너먼트 = = = = = 8강 = = = = = = 준결승 = = = = = = 결승 = = = = = 기록 = = = = = 펜타킬 = = = 소환사명 포지션 경기 챔피언 날짜 2022년 = 분류:루마니아의 회고록 작가 = = 분류:영국인별 작품 =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주로 ISA라 불리며, 2016년 3월 14일부터 2018년 말까지 판매되는 금융상품이다. 가입시 3∼5년간 의무적으로 유지해야 하고,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투자상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하여야 한다. 하나의 계좌에 예금·펀드·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을 수 있으며, 계좌별 합산 손익을 따져 200만∼250만원의 수익은 비과세이다. 해외 사례로는 영국과 일본의 사례가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금융위원회에서 도입이 논의되었다. = = 가입 및 한도 = = 13개 은행, 19개 증권사 그리고 1곳의 생보사에서 가입이 가능하다. 근로자와 자영업자 중 직전연도 금융소득이 2천만원 이하면 가입대상이 된다. 연간 한도는 2000만원이며, 매년 2000만원을 투자할 경우 5년간 총 1억원가입가능하다. 보험사, 증권사 그리고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모든 금융사를 통틀어 개인당 1계좌만 가입이 가능하다. = 분류:세인트헬레나의 지리 = = 나라꽃 = 나라꽃은 한 나라를 상징하는 꽃이다. 국화(國花)라고도 한다. = = 각 나라의 국화 = = 과테말라 - 리카스테난스 그리스 - 향제비꽃 남아프리카 공화국 - 프로테아 네덜란드 - 튤립 네팔 - 만병초 뉴질랜드 - 회화나무 대한민국 - 무궁화 도미니카 공화국 - 마호가니 독일 - 수레국화 덴마크 - 토끼풀 라오스 - 플루메리아 러시아 - 캐모마일 레바논 - 레바논시다(백향목) 루마니아 - 백장미 마다가스카르 - 부채잎 파초 말레이시아 - 부상화 멕시코 - 다알리아 모나코 - 카네이션 미국 - 장미National Flower of United States - Fresh from the Grower 미얀마 - 사라수 바티칸 - 나팔나리 베네수엘라 - 타베비아 베트남 - 연꽃 벨기에 - 아잘레아 볼리비아 - 꽃고비 불가리아 - 장미 브라질 - 카틀레야 사우디아라비아 - 대추야자 스리랑카 - 연꽃 스위스 - 에델바이스 스페인 - 오렌지꽃 시리아 - 아네모네 싱가포르 - 난 아르메니아 - 아네모네 아르헨티나 - 피토라카 아일랜드 - 흰 클로버 아프가니스탄 - 튤립 영국 - 장미 예멘 - 커피나무 오스트레일리아 - 아카시아 오스트리아 - 에델바이스 우루과이 - 에리스리나 에스토니아- 수레국화 에티오피아 - 칼라디움 이란 - 튤립 이스라엘 - 올리브 이집트 - 수련 이탈리아 - 데이지 인도 - 양귀비 인도네시아 - 보르네오 재스민, 난초, 라플레시아 일본 - 일본은 공식적인 나라꽃이 없으며 국화가 황실을 상징한다.일본 국화를 벚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일본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꽃이 벚꽃일 뿐 국화는 아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함박꽃나무 중화민국 - 매화 체코 - 타리아 칠레 - 동백꽃 카메룬 - 수련 캄보디아 - 수련 캐나다 - 사탕단풍 콜롬비아 - 카틀레야 쿠바 - 진저 태국 - 라차프륵 터키 - 튤립 튀니지 - 재스민 파나마 - 파나마초 파키스탄 - 수선화 페루 - 깐뚜따(cantuta) 포르투갈 - 라벤듈라 폴란드 - 팬지 프랑스 - 아이리스 핀란드 - 은방울꽃 필리핀 - 재스민 중화인민공화국 -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 스마트키 = 스마트 키(smart key)는 표준 장비 또는 여러 자동차 디자인의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렉트로닉스 액세스 및 인증 시스템이다. 1995년 지멘스가 처음 개발했으며, 1997년 5월 17일 다임러-벤츠가 디자인 특허를 출원한 후 1998년 W220 S-클래스에 "Keyless-Go"라는 이름으로 메르세데스-벤츠가 도입했다. = = 동작 방식 = = 스마트 키를 사용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잠금을 해제하고, 잠그고, 시동을 걸 때 전자열쇠를 주머니에 넣어둘 수 있다. 키는 자동차 차체에 있는 여러 안테나 중 하나와 키 하우징에 있는 무선 펄스 발생기를 통해 식별된다. 시스템에 따라 도어 핸들이나 트렁크 릴리즈에 있는 버튼이나 센서를 누르면 차량이 자동으로 잠금 해제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차량과 함께 제공되는 예비 키 블레이드 형태의 기계적 백업이 있다. 일부 제조업체는 스타일링을 위해 커버 뒤에 백업 잠금 장치를 숨긴다. 스마트 키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은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키를 가지고 있는 경우 시동 장치에 키를 삽입하지 않고도 이모빌라이저를 해제하고 시동을 활성화할 수 있다.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시동 버튼을 누르거나 점화 스위치를 비틀면 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하차할 때 도어 핸들의 버튼을 누르거나 도어 핸들의 정전식 영역을 터치하거나 차량에서 멀어지는 방식으로 차량이 잠긴다. 잠금 방법은 모델에 따라 다르다. 일부 차량은 차량 잠금 해제에 사용되는 스마트 키를 기반으로 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좌석 위치, 스티어링 휠 위치, 외부 미러 설정, 실내 온도 조절(예: 온도) 설정, 스테레오 사전 설정과 같은 사용자 기본 설정은 널리 사용되는 조정이다. 포드 이스케이프와 같은 일부 모델에는 특정 키로 시동을 걸면 차량이 최대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도 있다. = = 보험 기준 = = 2005년 영국의 자동차 보험 연구 전문가 댓챔(Thatcham)은 차량으로부터 10c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키리스 출입 표준을 도입했다. 독립적인 테스트에서 닛산 마치의 시스템이 가장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특정 BMW 및 메르세데스 키는 그렇지 못했는데, 이론적으로 소유자가 연료를 공급하는 동안 자동차를 탈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보안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절도율은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7% 감소했으며 국가보험범죄국(National Insurance Crime Bureau)은 스마트 키가 이러한 감소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 = 역사 = = 이 시스템은 지멘스 VDO가 개발한 PASE(Passive Start and Entry System)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무선 주파수의 ISM 대역에서 작동한다. Keyless Entry/Go는 1998년 메르세데스-벤츠가 S클래스 자동차 시리즈에 처음 선보였다. = = 효과 = = ADAC의 테스트에서는 Keyless Go가 탑재된 20개 자동차 모델에 키 없이 탑승하고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eyless-Diebstahl - vom ADAC untersuchte Autos ADAC, 15 March 2016Autos mit Keyless leichter zu klauen ADAC 2014년에는 런던에서 자동차 6,000대(하루 약 17대)가 열쇠 없이 출입하는 방식으로 도난당했다. = 분류:1568년 출생 = = 분류:베트남의 호텔 = = 영 (영화) = 영은 1968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독고성 윤정희 허장강 강문 이예춘 최성호 김동원 추석양 성소민 안일력 황백 최장호 강계식 정철 임해림 윤일주 임동훈 박광진 = 이기령 (과학자) = 이기령(李基寧(이기녕), 1914년 7월 16일 ~ 2002년 1월 29일)은 대한민국의 분자생물학자·생화학자이다. = = 이력 = = = = = 본관(관향)과 별칭, 그리고 출생 = = =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일천(一泉)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유학 시절 사용한 중국어 이름은 리치룽(李岐榮, 이기영)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다. = = = 학력 = = =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의학전문학교 의학사 (임상병리과 전공) 일본 나가사키 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 석사 프랑스 파리 대학교 대학원 생화학과 이학박사 = = = = 비학위 수료 = = = = 프랑스 파리 대학교 파스텔 연구소 이공과학연구과정 수료 자유중화민국 국립 타이완 대학교 이공과학연구과정 수료 = = = 저술 및 저서 = = = 《생화학》(문운당, 1967) 《유기화학》(향문당, 1967) = = = 주요 경력 = = = 1936년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부수. 1941년 일본 나가사키 의학전문학교 조수. 1943년 경성제국대학교 부속 강원도 평강고지요양연구소 조수. 1945년 경성제국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1946년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1979년 명예교수). 1950년 육군 대위로 임관하여 육군 수도사단 군의무장교를 지내며 군 신분으로 서울대학교 교수를 겸직 복무(1950년 8월 21일). 1951년 육군 수도사단 정훈장교 직위 보임. 1952년 육군 소령 진급. 1953년 육군 소령 예편(1953년 8월 21일). 1955년 대한생화학회 회장(1966년 퇴임). 1959년 원자력전문학회 자문위원(1962년 퇴임). 1962년 대한민국 국방부 급식제도 연구위원회 대표상임연구위원 직위 보임(1962년 7월 2일). 1962년 대한민국 국방부 급식제도 연구위원회 대표상임연구위원 직위 퇴임(1962년 12월 3일). 1968년 한국생화학회 회장(1969년 퇴임). 1979년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명예교수. 1981년 영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빙교수. 1982년 인제대학교 생물학과 석좌교수. 1989년 인제대학교 유전자공학연구소 소장(1991년 퇴임). 1989년 대한민국 학술원 종신회원. 1992년 인하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 = = = 가족 관계 = = = 증조부: 이태용(李泰用, 1824년 10월 22일 ~ 1899년 12월 25일) 조부: 이봉구(李鳳九, 1847년 10월 15일 ~ 1907년 10월 22일), 수군절도사 조모 : 나주 김씨(1864년 4월 23일 ~ 1926년 12월 30일) * 백부: 이병묵(李丙默, 1876년 6월 19일 ~ 1950년 2월 12일) * 중부: 이병훈(李丙薰, 1880년 8월 17일 ~ 1953년 7월 29일) * 고모: 이병영(李丙暎, 1900년 ~ 사망) * 고숙: 윤치영(尹致暎)(1898년 2월 10일~ 1996년 2월 9일), 한국의 정치인·독립운동가. * 아버지: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 ~ 1989년 8월 14일), 한국의 교육인 * 어머니: 조남숙(1895년 음력 11월 16일 ~ 1967년 5월 4일) ** 동생: 이춘녕(1917년 3월 27일 ~ 2016년 7월 31일,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장) *** 조카: 이장무(1945년 5월 14일 ~ , 전직 서울대학교 총장) *** 조카: 이건무(1947년 9월 19일 ~ , 전직 문화재청 청장) ** 동생: 이태녕(1924년 2월 8일 ~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명예교수) ** 동생: 이동녕(1927년 7월 22일 ~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 ** 동생: 이본녕(1936년 1월 14일 ~ ,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동생: 이순경(1920년 9월 3일 ~ ) ** 매제: 장욱진(1917년 11월 26일 ~ 1990년 12월 27일, 화가) ** 동생: 이운경(1931년 9월 9일 ~ , 이운경내과의원 원장) ** 매제: 민헌기(閔獻基)(1928년 12월 7일 ~ 2021년 3월 6일), 휘문의숙 설립자 민영휘(閔泳徽)(1852년 5월 15일 ~ 1935년 12월 30일)의 증손자이며, 풍문여학교 설립자 민덕기(閔德基)(1915년 ~ 1980년 3월 8일)의 동생이다. ** 부인: 모수미(牟壽美) - 재혼 *** 아들: 이웅무(李雄茂) - 1번째 前 부인 소생 외조부: 조성근(趙性根, 1876년 음력 3월 12일 ~ 1938년 5월 15일) * 외숙부: 조백현(趙伯顯, 1900년 12월 15일 한성부 출생 ∼ 1994년 7월 13일), 농학자, 토양학자, 농화학자. 아호는 화농(華農).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출신 = 분류:1388년 분쟁 = = 매클렐런드 = 매클렐런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데이비드 매클렐런드: 욕구이론으로 유명한 미국의 심리학자 얼리사 매클렐런드: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조지 매클렐런: 미합중국의 군인, 정치가 조이 매클렐런: 미국의 배우 = 분류:개최국별 국제 수영 대회 = = 헝가리 민요 = 다음은 헝가리 민요에 대한 설명이다. 헝가리는 지난 날에는 위대한 영광을 자랑했던 나라이지만, 300년 전경 터키인에게 점령되었고, 이어서 오스트리아에 병합된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정치적인 불안과 문화적인 혼란으로 이 나라는 진통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의 민족음악은 많은 음악가의 주목을 끈다. <헝가리 광시곡>을 작곡한 리스트, <헝가리 춤곡>을 작곡한 브람스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리스트나 브람스가 인용한 것은 헝가리 집시의 음악이며 본래의 헝가리 민요는 아니었다. 헝가리 민요가 큰 각광을 받게 한 사람은 바르토크와 코다이였다. 베라 바르토크(1881-1945)가 순수한 헝가리 민요에 흥미를 갖기 시작한 것은 1905년의 일이다. 그는 부다페스트의 음악학교에서 피아노 교수를 하는 한편 틈만 나면 지방 농민과 접촉하여 민요와 민악의 채보(採譜)를 계속했다. 이 작업은 1914년까지 계속되었는데, 조르단 코다이(1882-1967)의 협력으로 두 사람이 채보한 헝가리 민요는 6000곡에 달하였다. 그러나 바르토크의 민요 탐구의 손은 더욱 뻗어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루마니아에까지 이르렀다. 본래 순수한 헝가리 민요란 집시의 것이 아니고 토착화된 마자르인의 것이었다. 그것은 루마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알바니아 음악과 함께 헝가리 음악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독일음악과도 다르며 슬라브 음악과도 다른 것이었다. 바르토크가 수집한 헝가리나 루마니아 민요는 그것이 소재가 되어 실내악곡 같은 작곡이 됐다. 그러나 헝가리 민요가 옛날 모습대로 우리에게 노래된 일은 아직 없다. = FC 파스 조누비 잠 = FC 파스 조누비 잠는 잠을 연고로 하는 이란의 축구단이다. 현재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마그누(2019 ~ ) = = = 역대 = = = 바박 하타미(2019 ~ 2020) = 분류:나라별 비자 = = Chinatown (음반) = Chinatown는 아일랜드의 하드 록 밴드 씬 리지의 열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씬 리지와 함께 투어뿐만 아니라 다음 음반에서도 공연할 기타리스트 스노이 화이트를 소개하였으며, 그는 게리 무어를 대신하여 영구 기타리스트로 활동하였다. 화이트는 이전에 클리프 리처드, 피터 그린, 핑크 플로이드와 함께 일했었다. Chinatown은 또한 키보드에 18세의 대런 와튼을 참여시켰고, 그는 그해 말 씬 리지에 멤버로 합류했다. = = 반응 = = 올뮤직의 그레그 프라토는 Chinatown을 전 음반 Black Rose: A Rock Legend에 비해 "감소"라고 표현하며 게리 무어와 프로듀서 토니 비스콘티의 부재와 필 라이넛과 스콧 고럼이 겪은 약물 문제를 탓했다. 프라토는 1면에는 〈We Will Be Strong〉의 "힘찬"과 〈Sweetheart〉의 "팝 퍼펙트" 등 최고의 소재가 담겨 있다고 극찬했다. 그러나, 그는 Chinatown이 "최악의 음반이 아니다"라고 믿었지만, 2면에는 "거의 거의 전적으로 싱거운 필러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했다. 캐나다 언론인 마틴 포포프는 "일부 기발한 곡들을 구성하긴 했지만, 서정적이고 주제적인 곡들은 모두 강제적이고 주제적인 것 같다"며 "씬 리지의 영혼의 기준 이하의 전반적인 품질 수준"이라고 썼으며, 스노이 화이트는 새로운 밴드 멤버보다 "공부된 세션맨"이라고 말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필 라이넛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분류:1927년 범죄 = = 애니 파리스 = 애니 퍼리스(Annie Parisse, 1975년 7월 3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패터노 (2018)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2016) 와일드 카나리아들 (2014) 산타모니카 인 러브 (2014) 프라이스 체크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012) 루비콘 (2010) 퍼시픽 (2010) 마이 러브 송 (2010) 퍼스트 펄슨 싱귤러 (2009) 할리우드 폭로전 (2008) 블랙버드 (2007)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 (2007) 프라임 러브 (2005) 퍼펙트 웨딩 (2005) 내셔널 트레져 (2004) 10일 안에 남자 친구에게 차이는 법 (2003) 도시의 선율 (1999) 프렌즈 (1994) 법과 질서 (1990) = 분류:1971년 첫 비행한 항공기 = = 천안북중학교 = 천안북중학교(天安北中學校)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황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9년 9월 1일 : 천안공업중학교 인가 1949년 10월 22일 : 개교 (제1회 입학식) 1951년 8월 31일 : 영성중학교 9학급 설립인가 1959년 12월 19일 : 천안북중학교로 교명 변경인가 2018년 9월 1일 : 제26대 조국행 교장 부임 2019년 9월 1일 : 제27대 안미숙 교장 부임 2021년 9월 1일 : 제28대 이광규 교장 부임 2022년 1월 8일 : 2021학년도 제71회 졸업식(210명, 누계 27,633명) 2022년 3월 2일 : 입학식(7학급 213명) = 다이아무이드 노에스 = 디어미어드 노이즈(Diarmuid Noyes, 1988년 1월 14일 ~ )는 아일랜드의 배우이다.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천국에서의 5분간 (2009년) - 앤디 역 주차중 (2010, Parked) 킬링 보노 (2011, Killing Bono) - 플러거 역 = = = 텔레비전 = = = 튜더스 (2009) - 찰리 로 역 보르지아 (2011) = 데이브 마르티네스 = 데이비드 마르티네스(David Martinez, 1964년 9월 26일 ~ )은 미국의 전직 메이저 리그의 외야수이자, 현직 메이저 리그 워싱턴 내셔널스의 감독이다. 그는 이전적으로 탬파베이 레이스와 시카고 컵스를 위하여 벤치 코치를 지냈다. 그는 1986년부터 2001년까지 컵스, 몬트리올 엑스포스, 신시내티 레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시카고 화이트삭스,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 텍사스 레인저스,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위하여 선수로서 활약하였다. 마르티네스는 .276 점의 경력 타구 평균, 1,599개의 안타, 91개의 홈런, 795개의 매긴 득점과 580개의 타점을 가졌다. 마르티네스는 2008년 레이스를 위하여 조 매든 감독 아래 벤치 코치가 되었다. 2014년 시즌 후에 매든이 컵스의 감독이 될 때 마르티네스는 벤치 코치로서 거기에 그에게 가입하였다. 내셔널스는 2017년 시즌 후에 감독으로서 그를 기용하였고, 자신의 2번째 시즌에서 팀을 2019년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 = 초기 생애 = = 뉴욕 브루클린에서 푸에르토리코인 부모에게 태어난 마르티네스는 맨해튼에서 93번지 거리와 렉싱턴가에 살았다. 그러고나서 그는 브렌트우드에 살았으며 BYA (브렌트우드 청소년 활동)을 위하여 리틀 리그를 활약하였다. 13세의 나이에 삼촌들 중 한명의 추천에서 그의 가족은 플로리다주 올랜도로 이주하였다. 마르티네스는 윈터파크에 있는 레이크 호얼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는 1981년 파이브 스타 컨퍼런스 챔피언십을 우승한 학교 야구 팀에 활약하였다. 그러고나서 자신이 대학 야구를 활약한 발렌시아 커뮤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였다. = = 프로 경력 = = 시카고 컵스는 198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의 1월 단계에서 마르티네스를 선발하였다. 자신이 계약을 맺은 후, 그는 클래스 A 쇼트 시즌 뉴욕 펜 리그의 제네바 컵스와 클래스 A 미드웨스트 리그의 쿼드 시티즈 컵스를 위하여 활약하였다. 그는 1984년 시즌을 쿼드 시티즈와 시작하였고, 1985년 그는 클래스 A 상급 캐롤라이나 리그의 윈스턴-세일럼 스피리츠로 승진을 받았다. 마르티네스는 .342 점의 타구 평균과 함께 캐롤라이나 리그를 이끌었고, 2위로 들어온 키스 밀러와 존 윌슨은 .302 점을 타구하였다. 마르티네스는 AAA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의 아이오와 컵스와 함께 1986년 시즌을 시작하였다. 그해 6월 15일 컵스는 처음으로 마리티네스를 메이저 리그로 승진시켰고, 그는 밥 더니어를 위하여 부상 대체 선수로 지냈다. 그는 8월 마이너 리그로 도로 선택되기 전에 .119 점의 타구 평균 (8 루 67 타)을 가졌다. 마르티네스는 1987년 컵스의 메이저 리그 명부를 이루어 더니어와 중견수에서 시간을 갈랐다. 그는 142개의 경기에서 .292 점을 타구하였다. 1988년 시즌에서 마르티네스는 분투하여 6월 중순에 .230 점을 타구하였다. 7월 14일 마르티네스는 미치 웹스터를 위한 교환에서 몬트리올 엑스포스로 이적되었다. 그는 .255 점의 타구 평균과 23개의 도루와 함께 1988년을 끝냈다. 마르티네스는 자신의 오른손 잡이 투수들에 타구하고, 왼손 잡이 투수들에 억누르면서 엑스포스에서 복수의 선수로서 공이 던져졌다. 엑스포스는 또한 자신들의 명단에 외야수들 오티스 닉슨, 마키스 그리섬과 래리 워커가 있었다. 1989년 그는 126개의 경기를 활약하여 .274 점을 안타하였다. 1990년 마르티네스는 중견수를 위한 경연을 그리섬에게 잃었다. 하지만 그리섬은 부상을 당하고, 마르티네스는 중견수에서 닉슨과 교대로 맡았다. 그해 마르티네스는 118개의 경기에서 11개의 홈런과 함께 .279 점을 타구하였다. 1991년 그는 .295 점을 타구하였다. 1991년 시즌 후에 엑스포스는 빌 리즐리와 존 웨틀랜드를 위하여 마르티네스를 윌리 그린과 스콧 러스킨과 함께 신시내티 레즈로 이적시켰다. 그는 레즈를 위하여 에릭 데이비스를 위한 대체 선수로 찾아졌다. 그는 봄 훈련이 있는 동안 출발 포지션을 위하여 레지 샌더스와 경쟁하였다. 1992년 마르티네스는 레즈를 위하여 활약하였으나 샌더스가 레즈의 출발 중견수로서 자신을 설립하면서 마르티네스는 시즌 후에 자유 계약을 위하여 선언하였다. 그는 1993년과 1994년 시즌을 위하여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2년 계약을 맺었다. 1993년 그는 찢어진 햄스트링을 앓아 91개의 경기로 제한되었다. 그는 몇몇의 시즌들에 자신의 최저 평균인 .241 점을 타구하였다. 그가 .247 점의 평균, 4개의 홈런과 27개의 타점으로 보유된 후, 1994년 10월 자이언츠는 마르티네스를 포기하였다. 마르티네스는 1995년 시즌을 위하여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1년, 5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그는 진 래먼트 감독 아래 제한된 활약 시간을 받았다. 래먼트가 테리 베빙턴에 의하여 대체되었을 때 마르티네스는 활약 시간에서 증가를 보았다. 그는 1996년과 1997년 시즌을 위하여 2년, 1.425 백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그는 동료 백업 선수 라일 머튼과 더불어 대런 루이스, 토니 필립스와 대니 타타불의 뒤에 백업 선수로서 1996년 시즌을 보냈다. 1997년 마르티네스는 .286 점을 타구하고, 12개의 홈런과 55개의 타점과 함께 경력 최고 기록을 세웠다. 그러고나서 그는 1.75 백만 달러에 3번째 시즌을 위한 선택권과 함께 3.5 백만 달러 가치에 확장의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와 2년 계약을 맺었다. 플로리다주에서 활약하는 데 그의 욕망에 추가에서 그는 프레드 맥그리프, 윌슨 알바레스와 로베르토 에르난데스의 팀이 추가들에 의하여 유혹되었다. 1998년 그는 탬파 역사상 첫 안타를 기록하였다. 그가 1999년 시즌의 자신의 500번째 타석을 기록했을 때 2000년 시즌을 위한 그의 계약 선택권이 부여되었다. 2000년 시즌의 자신의 첫 29개 경기들에서 .260 점을 타구한 후, 자신들의 투수들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했던 데빌 레이스는 마크 거스리와 돈을 위하여 마르티네스를 컵스로 이적시켰다. 6월 9일 컵스는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텍사스 레인저스로 척 스미스를, 말린스에서 컵스로 브랜트 브라운을 보낸 3개의 팀 이적에서 마르티네스를 레인저스로 이적시켰다. 8월 4일 레인저스는 나중에 지명될 선수를 위하여 마르티네스를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시켰다. 1901년 이래 한 시즌에 4개의 팀을 위하여 활약하는 데 이전의 선수들은 프랭크 휼스먼 (1904년), 윌리스 허들린 (1940년), 폴 레너 (1951년), 웨스 코빙턴 (1961년), 마이크 킬케니 (1972년)와 데이브 킹먼 (1977년)이다. 댄 미셀리 (2003년)와 호세 바우티스타 (2004년)가 후에 업적을 이루었다. 블루제이스와 함께 팀이 아메리칸 리그의 와일드카드를 위하여 싸우면서 그는 부상을 당한 라울 몬데시를 위하여 채웠다. 4개의 팀들 사이에 그는 132개의 경기에서 .274 점의 타구 평균, 5개의 홈런과 47개의 타점을 가졌다. 마르티네스는 2001년과 2002년 시즌을 커버하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대략 3백만 갈러의 가치에 2년 계약을 맺었다. 2001년 시즌의 전반에 그는 .328 점을 타구하였으나 후반에는 .233 점 밖에 안되었다. 그해 후순에 그는 무릎뼈에 만성의 건염과 진단되었다. 브레이브스가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꺾은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와 브레이브스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게 패한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그가 활약하면서 그는 자신 경력에 단 한번을 위하여 포스트 시즌에 나왔다. 마르티네스는 2002년 브레이브스로 복귀하였으나 봄 훈련 동안 자신의 오른쪽 무릎에 부상을 당한 후 전체 시즌을 놓쳤다. 그는 은퇴를 선언하였다. 자신이 활약한 1,919개의 경기에서 그는 .276 점의 경력 타구 평균, 1,599개의 안타, 91개의 홈런, 795개의 매긴 득점과 580개의 타점을 가졌다. = = 코치 경력 = = 2006년과 2007년 마르티네스는 봄 훈련 강사로서 탬파베이 레이스를 위하여 일하였다. 2007년 10월 11일 그는 레이스에 의하여 벤치 코치로서 기용되었다. 레이스의 벤치 코치로서 마르티네스는 방어적 위치의 책임에 있었으며 번트와 주루에 레이스의 선수들과 일하였다. 마르티네스는 2010년 오프 시즌에 블루제이스와 리블랜드 인디언스와 감독 직위들을 위하여 인터뷰를 가졌다. 2011년 오프 시즌 동안 마르티네스는 화이트삭스의 감독 직위를 위하여 인터뷰를 가졌다. 화이트삭스는 로빈 벤투라를 기용하였다. 2012년 시즌 후에 마르티네스는 보 포터에게 간 애스트로스의 감독 지위를 위하여 숙고되었다. 2013년 오프 시즌 동안 그는 릭 렌테리아에게 간 컵스와 맷 윌리엄스에게 간 워싱턴 내셔널스의 감독 직위들을 위하여 인터뷰를 가졌다. 레이스의 조 매든 감독은 2014년 시즌 후에 팀과 함께 그의 계약에 손을 때었다. 레이스는 누가 팀을 감독해야 하느에 자신들의 선수들로부터 의견을 추구하였다. 에번 롱고리아, 알렉스 콥와 벤 조브리스트는 마르티네스를 추천하였다. 마르티네스는 직위를 위하여 인터뷰를 가졌으나 레이스의 3명의 결승 출장 후보가 아니었다. 마르티네스는 레이스를 떠나는 데 자신의 의지를 공고하였다. 12월 4일 그는 매든 아래 컵스를 위하여 벤치 코치로서 기용되었다. 2016년 마르티네스는 그해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여 108년간 장기적인 부족을 깬 팀을 이끈 컵스의 코치들의 일부였다. = = 감독 경력 = = 워싱턴 내셔널스는 팀이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 도달하여 5개의 경기에서 패한 2연속 시즌 후에 더스티 베이커 감독의 계약을 연기하지 않도록 선출하였다. 마르티네스는 감독을 위하여 언급된 후보들의 겨우 소수의 하나였다. 2017년 10월 30일 내셔널스는 2021년 시즌을 위한 팀의 선택권과 함께 2018년 시즌과 시작된 3년 감독 계약에 마르티네스와 함께 자신들의 조건들이 왔다고 공고하였다. 팀이 엑스포스였던 1988년부터 1991년까지 팀과 활약한 후, 마르티네스는 내셔널스의 프랜차이즈로 돌아왔다. 시즌을 시작하는 데 3월 30일 내셔널스가 레즈를 2 대 0으로 완봉하면서 자신이 감독한 첫 경력 경기에서 메이저 리그 감독으로서 자신의 첫 우승을 얻었다. 자신의 첫 시즌을 통하여 마르티네스는 주요 구성 운동들을 이루었다. 이 일들은 5월 1일 4년의 세월에 처음으로 1번 타자 브라이스 하퍼를 놓고, 5월 19일 최우수 선수 맥스 슈어저를 121개의 피치를 던지는 데 허용한 일을 포함한다. 내셔널스는 82 승 80 패의 기록과 함께 2018년 시즌을 끝냈다. 내셔널스는 2019년 시즌을 19 승 31 패로 시작하였고, 대중의 요구들은 마르티네스가 해고되는 데 청하였다. 내셔널스는 다시 일어나 2019년 월드 시리즈에 도달하였다. 최고의 7개 시리즈의 6번째 경기에서 마르티네스는 논쟁적 충동에 심판과 싸운 후 퇴장을 당하였다. 다음날 밤 7번째 경기에서 마르티네스와 내셔널스는 애스트로스를 꺾으면서 월드 시리즈의 우승을 획득하였다. 월드 시리즈에서 일어난 처음으로 방문 팀으로서 4개의 경기들을 전부 우승하였다. = 분류:인도의 홍수 = = 분류:1952년 펜싱 = = 분류:이스라엘 소설 = = 절영로 = 절영로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1가 부산대교 하부와 동삼동 동삼국민은행앞 교차로를 잇는 부산광역시의 도로이다. 절영로의 "절영"(絶影)은 영도의 다른 이름인데, 국마장 말이 빠르게 달려서 말 그림자가 땅에 비치지 않았다고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영도구 지역의 서남부 지역을 잇는 주요 도로다. 동삼동 부산남고등학교에서 조양아파트까지 구간은 동삼동 방면으로만 통행이 가능한 일방통행 구간이다. 동삼동에서 봉래동 방면으로 가려면 중리북로 구간을 이용해야 하며, 이 두 도로는 별개의 도로이지만 교통방송 등에서는 도로 연결 등의 문제로 인하여 중리북로 구간도 절영로로 취급하고 있다. = = 주요 경유지 = = 영도구 동삼동 - 영선동 - 남항동 - 대교동 = = 노선 = = 연한 파란색(■): 부산광역시도 제6101호선 구간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부산대교 하부) 부산광역시도 제63호선(대교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시점 대교사거리 부산광역시도 제6101호선(태종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사거리 남항로남항로16번길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아래사거리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남항대교)영선대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윗로터리 꿈나무길영상길남항새싹길 부산광역시 영도구 2송도삼거리 하나길 부산광역시 영도구 함지골청소년수련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75광장 함지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부산남고등학교 중리북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일방통행 구간 (조양아파트) 중리북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일방통행 구간 (KT동삼빌딩) 와치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국민은행앞 교차로 동삼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대평초등학교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82) 남항치안센터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91) 영선동우체국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96-1)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163) 함지골청소년수련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319) = 뉴 에이코 = 뉴 에이코(, 1999년 5월 12일 ~ 일본 지바현)은 일본기원 중부총본부 소속의 여류 바둑 기사이다. 미국 출신 일본 바둑 기사인 마이클 레드먼드 9단의 문하생이다. = = 생애 = = 1999년 5월 12일 일본 지바현 출생 2015년 마이클 레드먼드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 초단 = = 입상 및 승단 = = 2017년 제20기 일본 여류기성전 준우승 (1-2, 상대 셰이민 6단) 2018년 제3회 일본 여류최강전 준우승 (상대 만나미 나오 4단) 2022년 제7회 일본 여류최강전 우승 (상대 나카무라 스미레 2단) = 틀:나라자료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 분류:뉘른베르크의 건축물 = = 분류:3세대 게임기 게임 = = 하크로비아 = 하크로비아(Hacrobia)는 SAR 상군에 포함되지 않는 크로말베올라타의 단계통군의 하나이다. 다음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다. 착편모조류 (Haptophyta) 은편모조류 또는 갈색편모조류 (Cryptophyta) - 카타블레파리스류 포함 과거에는, 부등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 그리고 은편모조류는 유색조식물(chromista)로 알려진 그룹으로 함께 분류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부등편모조류는 이제 분리되었으며, 은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그래서 "은편모-착편모조류 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2009년의 한 논문은 텔로네미아(Telonemia)와 육질태양충류(centrohelids)도 은편모조류 및 착편모조류와 함께 같은 생물군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피코빌리조류(picobiliphytes) 또한 이 분류군으로 제안되고 있다. "하크로비아"(Hacrobia)라는 명칭은 이 그룹 이름으로 제안되었다. "하"(Ha-)는 착편모조류(haptophyta)를, "크로"(-cr-)는 은편모조류(cryptomonads)를 "비아"(-bia)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접미사를 가리킨다. = 분류:볼리비아의 복음주의 = = 팀 블레이크 넬슨 = 팀 블레이크 넬슨(, 1964년 5월 11일 ~ )은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이다. 오 형제여 어디에 있는가, 마이너리티 리포트, 인크레더블 헐크, 링컨 등의 영화에서 조·단역으로 출연했다. = = 출연작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1992 행복 찾기 This Is My Life 데니스 1994 아마추어 Amateur 젊은 탐정 1995 디즈니 캠프 Heavyweights 로저 존슨 1996 조의 아파트 Joe's Apartment 바퀴벌레 1997 도니 브래스코 Donnie Brasco FBI 기술자 1997 프릭스 픽스 Prix Fixe 버스보이 단편 1998 씬 레드 라인 The Thin Red Line 라이샌더 틸리스 2000 햄릿 2000 Hamlet 비행대장 2000 오 형제여 어디에 있는가 O Brother, Where Art Thou? 델마 오도널 2002 굿 걸 The Good Girl 버바 2002 체리쉬 Cherish 데일리 2002 마이너리티 리포트 Minority Report 기디언 2003 포린 어페어 A Foreign Affair 제이크 애덤스 2003 홀즈 Holes 카이오와 펜댄스키 2003 원더랜드 Wonderland 빌리 데버렐 2004 스쿠비 두 2: 몬스터 대소동 Scooby-Doo 2: Monsters Unleashed 조너선 저코보 2004 라스트 샷 The Last Shot 마셜 패리스 2004 비레프트 Bereft 데니스 2004 미트 페어런츠 2 Meet the Fockers 번 러플로어 2005 아마츄어들 The Amateurs 바니 매클해튼 2005 빅 화이트 The Big White 게리 2005 시리아나 Syriana 대니 돌턴 2006 컴 얼리 모닝 Come Early Morning 팀 삼촌 2006 못 말리는 다윈 X파일 The Darwin Awards 퍼프 2006 훗 Hoot 컬리 2006 피도 Fido 시오폴리스 2007 애스트로넛 파머 The Astronaut Farmer 케빈 먼책 2008 인크레더블 헐크 The Incredible Hulk 새뮤얼 스턴스 2008 아메리칸 바이올렛 American Violet 데이비드 코언 2009 세인트 존 오브 라스 베가스 Saint John of Las Vegas 밀리턴트 네드 2009 리브스 오브 그래스 Leaves of Grass 볼저 2011 플라이페이퍼 Flypaper 땅콩버터 2011 옐링 투 더 스카이 Yelling to the Sky 콜먼 2011 디태치먼트 Detachment 와이엇 2011 더 빅 이어 The Big Year 푹스 2012 빅 미라클 Big Miracle 팻 라피엣 2012 링컨 Lincoln 리처드 셸 2013 블루 카프리스 Blue Caprice 레이 2013 위험한 유혹 As I Lay Dying 앤스 2013 차일드 오브 갓 Child of God 페이트 보안관 2013 스네이크 앤 몽구스 Snake and Mongoose 마이크 매캘리스터 2014 더 홈즈맨 The Homesmanr 프라이터 2014 음향과 분노 The Sound and the Fury 신부 2014 킬 더 메신저 Kill the Messenger 앨런 펜스터 2015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Anesthesia 애덤 재로 본인 감독 작품 2015 판타스틱 4 Fantastic Four 하비 앨런 2016 더 컨퍼메이션 The Confirmation 본 2016 콜로설 Colossal 가스 2016 빌리 린의 롱 하프타임 워크 Billy Lynn's Long Halftime Walk 웨인 피스터 2017 디드라와 레이니, 열차를 타다 Deidra & Laney Rob a Train 트루먼 2017 시드니 홀의 실종 The Vanishing of Sidney Hall 요한 티드망 2017 은밀한 교육의 비밀 The Institute 레멜 박사 2018 몬스터 Monster 리로이 새위키 2018 카우보이의 노래 The Ballad of Buster Scruggs 버스터 스크럭스 2019 더 리포트 The Report 레이먼드 네이선 2019 아라라 Arara 토머스 2019 더 허슬 The Hustle 포트노이 2019 엔젤 해즈 폴른 Angel Has Fallen 마틴 커비 2019 저스트 머시 Just Mercy 랠프 마이어스 2019 제로빌 Zeroville 콘 교수 2019 지저스 롤스 The Jesus Rolls 의사 2021 퍼펙트 스틸 Naked Singularity 앵거스 2021 올드 헨리 Old Henry 헨리 매카티 2021 오자크의 유령 Ghosts of the Ozarks 토브 2021 내셔널 챔피언스 National Champions 로저 커밍스 2021 나이트메어 앨리 Nightmare Alley 카니 보스 2022 피노키오 Pinocchio 검은 토끼 2023 고스팅 Ghosted 보리슬로프 2024 듄: 파트 2 Dune: Part Two 미정 2024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Captain America: Brave New World 새뮤얼 스턴스 / 리더 제작중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09 CSI 과학수사대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 폴리 크릴 "Working Stiffs" 에피소드 2011 카오스 CHAOS 케이시 맬릭 주연 2011 모던 패밀리 Modern Family 행크 "Dude Ranch" 에피소드 2012-15 블랙 다이너마이트 Black Dynamite 맥길리혼 서장 애니메이션; 4회분 출연 2014 클론다이크 Klondike 미커 미니시리즈 2015 언브레이커블 키미 슈미트 Unbreakable Kimmy Schmidt 랜디 4회분 출연 2017 웜우드 Wormwood 시드니 고틀리브 4회분 출연 2018 댈러스 앤 로보 Dallas & Robo 우즈맨 애니메이션 2019 왓치맨 Watchmen 웨이드 틸먼 / 루킹 글래스 6회분 출연 2020 빅 시티 그린 Big City Greens 어니스트 그린 애니메이션; "Garage Tales" 에피소드 2023 로스트 올리 Lost Ollie 조조 애니메이션; 주연 2023 기예르모 델토로의 호기심의 방 Guillermo del Toro's Cabinet of Curiosities 닉 애플턴 "Lot 36" 에피소드 2023 조지와 태미 George & Tammy 로이 에이커프 "The Race Is On" 에피소드 2023 포커 페이스 Poker Face 키스 오언스 "The Future of the Sport" 에피소드 = = = 비디오 게임 = = = 인크레더블 헐크(2008) - 새뮤얼 스턴스 역 = 분류:미국의 작사가 = = 커밍아웃의 날 = 커밍아웃의 날(, NCOD)은 자신의 성적지향이나 성정체성을 커밍아웃한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LGBT) 사람들을 경축하고 사람들의 인식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기념일이다. 매년 10월 11일이며, 전 세계의 LGBT 커뮤니티에서 행사가 진행된다. = 소니 비주얼 프로덕트 = 소니 비주얼 프로덕트 주식회사, 는 2014년 설립된 소니의 자회사로 TV 수상기의 개발과 제조를 담당하고 있다. 과거 소니의 TV 사업부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구조조정으로 소니에서 분사되었다. = = 배경 = = 소니 TV 사업부는 1968년 독자적으로 트리니트론을 개발한다. 당시 주류였던 RCA의 그림자 마스크보다 고화질 영상 표현이 가능한 트리니트론으로 경쟁자들을 굴복시킨 소니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세계 TV 시장의 선두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트리니트론과 같은 음극선관 방식의 텔레비전이 PDP나 LCD텔레비전에 점차 밀려나게 된다. 하지만 소니는 음극선관 TV를 한동한 집중하면서 FED디스플레이와 OLED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세우고 투자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소니의 목표와는 다르게 FED와 OLED는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했으며, 1994년 단행했던 음극선관 TV설비 대규모 투자로 인하여 LCD와 PDP의 개발에 투자할 여럭이 부족해지게 되었다. FED 디스플레이는 2006년 필드에미션테크놀러지(FET)를 설립하여 개발을 이어나갔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개발이 완전히 중단되게 되며 2009년 FET도 해산되게 된다, OLED TV도 2007년 세계 최초 OLED TV인 11인치 'XEL-1'을 공개하였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후 후속 OLED TV를 출시하지 않고 있다. 악화되는 상황속에서도 소니의 경영진은 비용절감을 위하여 A³ 기술연구소를 폐쇄하고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였다. 2005년 새로운 액정 텔레비전 브랜드 브라비아의 출시에도 불구하고 소니의 TV점유율은 계속 하락하여 2005년 1분기 점유율 11.6%로 마지막으로 세계 TV시장 1위자리를 차지한 후 2006년부터 삼성전자에게 1위자리를 내주게 된다. 소니는 삼성과 합작회사인 S-LCD에서 TV패널을 공급받았으나 2011년 지분을 모두 삼성전자에게 매각하였다. 소니는 현재까지 자체적으로 패널을 생산하지 못하고 삼성전자와 샤프에서 LCD패널을 받아서 TV를 생산하고있다. 소니 TV사업부는 2003년 이후로 계속 적자를 내면서 2014년 소니에서 분사되어 소니 비주얼 프로덕트로 출범하는 것을 발표하였다. 분사 이후의 계속적인 구조조정과 비용절감, 그리고 UHD TV의 판매 호조 결과 11년만에 흑자에 돌아서게 되었다. = 모듈:Cat mai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Cat_mai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1549년 사망 = = 북신동 = 북신동(北新洞)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의 행정동이다. 시의 관문에 위치한 도농, 어업복합형 지역으로 통영시의 동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은행, 보험사, 농협·수협·축협 등 금융기관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곳이다.북신동의 특성 및 일반현황 2023년 12월 5일 확인 = 분류:와리오 랜드 = = 분류:고대 로마의 종류별 부대 및 편성 = = 나스 스케타네 = 나스 스케타네(, 생년 미상 ~ 1583년 4월 3일)는 시모쓰케국의 센고쿠 다이묘이다. 나스씨 제20대 당주이다. 나스씨 제18대 당주 나스 마사스케(那須政資)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스케타네는 모리타씨(森田氏)의 양자로 입적하였으나 19대 당주이자 이복형 다카스케(高資)와의 대립으로 자취를 감추었고 그사이 형 다카스케는 하가 다카사다(芳賀高定)의 모략으로 센본 스케토시(千本資俊)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로 인해 스케타네는 나스씨의 가독을 이어받게 되었다. = = 참고 자료 = = 사료총람(史料綜覧) 대일본 사료기록학 용어 사전 ISBN 978-89-7696-718-3(大日本史料) = 개암 = 개암은 개암나무속 나무의 견과류이며, 헤이즐넛, 헤즐넛이라고도 불리며, 종에 따라 콥넛(cobnut), 필버트 넛(filbert nut)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사투리로 깨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체적인 외관은 타원형의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15 ~ 25mm, 직경은 10 ~ 15mm 정도로 길이가 직경에 비해 약 1.5배 정도 길다. 열매는 짙은 갈색을 띄는 단단한 씨방벽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특징이며, 수분 작용이 일어난 이후 7 ~ 8개월 뒤에 나무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익은 열매는 날로 먹거나 익혀 먹거나 갈아서 섭취하는 등 식용으로 사용되며, 밤, 도토리 등과 함께 가축의 먹이로 제공되기도 한다. 터키, 아제르바이잔, 이탈리아, 그리스, 키프로스, 조지아 및 스페인의 카탈루냐 지방, 영국의 켄트주, 미국의 오리건주와 워싱턴주 등지에서 개암을 상품작물용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터키에서는 연간 전 세계 개암 생산량의 75%를 담당해 세계 최대의 개암 생산지로 자리잡았다. 개암은 단백질, 불포화 지방, 비타민 E, 철분 및 필수 영양소 등이 풍부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 환자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한 다이어트 음식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개암은 주로 프랄린, 파베 초콜릿 등의 과자류 또는 누텔라, 프란젤리코 등의 리큐어 등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며, 개암으로부터 짜낸 기름은 음식의 풍미를 더하는 역할을 해 조리용 기름으로 사용된다. 또한 개암으로부터 나오는 향의 주성분은 필버톤으로 구성된다. = 분류: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세리이 A2 = = 히가시나라와역 = 히가시나라와역은 일본 아이치현 한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 기누우라 임해 철도의 철도역이다. 다케토요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화물 전용 노선인 기누우라 임해 철도 한다 선 등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다케토요 선 상행 오부 · 나고야 방면 3 ■ 다케토요 선 하행 다케토요 방면 = = 이용 현황 = = = = = 여객 = = =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1950년도 259 1963년도 365 1976년도 176 1989년도 170 2002년도 400 1951년도 270 1964년도 351 1977년도 177 1990년도 217 2003년도 404 1952년도 240 1965년도 359 1978년도 156 1991년도 250 2004년도 418 1953년도 228 1966년도 370 1979년도 146 1992년도 246 2005년도 451 1954년도 246 1967년도 344 1980년도 127 1993년도 276 2006년도 478 1955년도 237 1968년도 337 1981년도 141 1994년도 271 2007년도 516 1956년도 252 1969년도 309 1982년도 177 1995년도 280 2008년도 533 1957년도 253 1970년도 288 1983년도 138 1996년도 270 2009년도 502 1958년도 227 1971년도 257 1984년도 134 1997년도 288 2010년도 483 1959년도 261 1972년도 250 1985년도 121 1998년도 307 2011년도 482 1960년도 329 1973년도 232 1986년도 132 1999년도 299 2012년도 482 1961년도 393 1974년도 265 1987년도 141 2000년도 322 1962년도 357 1975년도 179 1988년도 152 2001년도 373 = = = 화물 = = = 연도 발송 도착 연도 발송 도착 연도 발송 도착 1950년도 35,523 93,886 1959년도 9,668 24,565 1968년도 12,370 28,718 1951년도 41,228 101,128 1960년도 11,348 26,102 1969년도 14,590 35,428 1952년도 46,204 69,358 1961년도 18,416 33,457 1970년도 15,671 33,071 1953년도 51,629 86,197 1962년도 11,237 23,014 1971년도 25,323 19,757 1954년도 30,306 43,306 1963년도 12,212 23,944 1972년도 29,874 11,973 1955년도 12,056 32,739 1964년도 23,100 30,006 1973년도 23,361 8,441 1956년도 13,163 42,630 1965년도 26,856 28,453 1974년도 14,899 6,597 1957년도 10,992 35,115 1966년도 27,880 30,136 1975년도 7,429 3,482 1958년도 9,334 22,316 1967년도 27,584 32,115 = = 역 주변 = = 나고야 철도 미카와 선 (아오야마 역) JFE 스틸 지타 제조소 = 자크 파일스 = 자크 파일스(Jacque Pyles, 1994년 4월 6일 ~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이다. 자크는 2008년 영화 Macy's Passport Celebrity Catwalk Challenge에 댄서 역으로 출연하여 같은 해에 스쿨걸즈에 영입되어 2010년말까지 활동하다 탈퇴 이후부터 솔로 활동을 추구한다. = = 앨범 = = = = = 솔로 = = = 년도 노래 차트 차트 앨범 년도 노래 U.S. USDance 앨범 2011 "Eternity" — — Eternity(싱글)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新進科學技術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8년 8월 21일 : 문교부로부터 학교법인 신진학원 설립인가, 이사장에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 김창원 사장 취임 1970년 1월 30일 : 문교부로부터 신진공업고등학교 설립인가, 자동차과(주간 2학급, 야간 1학급), 운수관리과(주간 1학급, 야간 1학급) 1970년 3월 16일 : 신진공업고등학교 개교(5학급 300명 입학), 초대 강재량 교장 취임 1971년 11월 1일 : 체육관(1666m2) 준공 1973년 1월 26일 : 제1회 졸업(267명) 1985년 12월 30일 : 실습실 및 도서관 특별교실 준공(2264m2) 1996년 5월 9일 : 제2대 김용식 이사장 취임 1998년 8월 1일 : 학교 운동장 잔디구장 신설 2000년 3월 1일 : 신관 신축(1학년 교실) 2001년 9월 1일 : 신진 역사관 개관(우평 기념관) 2004년 3월 1일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8년 10월 31일 : "자동차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지정, 신진자동차고등학교 교명변경 승인 2010년 3월 1일 : 신진자동차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7년 3월 1일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9년 2월 8일 : 제47회 졸업 (200명, 누계 25,123명) 2019년 3월 1일 : 제10대 김광우 교장 취임 = = 설치 학과 = = 호텔조리과 기계과 자동차과 건설정보과 시스템제어과 인공지능자동화과 = 구키 모리타카 = 구키 모리타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친 무장, 다이묘이다. 시마 도바 번 초대 번주. 구키 씨 종가의 시조(초대). = = 생애 = = 덴쇼 원년(1573년)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의 차남으로 태어난다. 게이초 2년(1597년) 아버지 요시타카로부터 가독을 잇는다. 게이초 5년(1600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종군하고 이시다 미쓰나리의 거병에 의한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나자 급히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그의 아버지는 도바 성에서 서군 편에 가세하고 있었다. 전후 모리타카는 이에야스에게 아버지를 구명하려 탄원하고 그에 따라 인정되었다고 요시타카에 사자를 파견했는데, 이전에 구키 가의 장래를 염려했던 도요타 고로에몬(豊田五郎右衛門)이 독단으로 요시타카에 할복하도록 조언하며 이에 요시타카는 자해(할복)하였다. 이에 모리타카는 격노하여 고로에몬을 톱켜기(鋸挽き)로 참수 후에 효수하였다. 도바 번 초대 번주로서 5만 6000석을 소유하게 된다. 구키 수군(九鬼水軍)을 이끌고 오사카 전투를 치르고 에도 성의 축성 때는 목재와 석재를 해상 수송하고 에도 막부에 협력한다. 그 뒤 도바 번의 상속자 요시타카(良隆)를 폐적시키고 불문에 귀의한 모리타카의 다섯째 아들 히사타카(久隆)을 환속시키고 후계자로 정하였다. 이에 모리타카의 셋째 아들 다카스에(隆季)는 이에 반대하였고 간에이 9년(1632년)에 모리타카가 사망하자 가독 다툼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지한 막부는 히사타카가 모리타카의 뒤를 이으라 명했고 그 후 구키 가문은 셋쓰 산다 번에 이봉되었다. = 분류:체코의 사이클 선수 = = 분류:1609년 설립된 단체 = = 시마시 = 시마시는 미에현 시마반도의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시마 군의 5정(하마지마 정, 다이오 정, 시마 정, 아고 정, 이소베 정)이 2004년 10월 1일에 합병해 탄생했다. = = 지리 = = 시역 전체가 시마반도에 속하고 북쪽에서 서쪽으로는 도바시, 이세시, 미나미이세정에 접하는 육지이고 동쪽에서 남쪽으로는 태평양에 접한다. 해안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고 중앙에 아고 만, 북동쪽은 도바 시와 함께 둘러싸는 마토야 만이 있다. 물결이 온화한 내해와 쿠로시오 해류에 침식당한 외해의 해식애의 광경은 대조적이다. 시마 시는 전역이 이세시마 국립공원에 포함되지만 다른 국립공원과 달리 대부분이 민간 소유지이다. 아고 만내에 가시코지마 섬과 마사키 섬, 마토야 만내에 와타카노 섬의 3개의 유인도가 있다. = = 역사 = = 옛 국명에서 도바 시역과 함께 시마국으로 불린 지역이고 메이지 시대 이후에도 오랫동안 시마 군으로서 계속되어 왔다. 2004년 10월 1일에 하마지마 정·다이오 정·시마 정·아고 정·이소베 정의 시마 군을 구성한 5개의 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 = 관광 = = = 긴키 지방 유수한 관광지로 유명하다. 긴키 닛폰 철도의 특급열차가 오사카시나 교토시, 나고야시와 연결하고 있다. 아고 만이나 마토야 만 주변, 오촌이 있는 하마지마 지구에서는 대형 호텔이 충실하고 있다. 또한 골프장이나 테마파크, 해수욕장도 있다. = = 교통 = = = = = 철도 = = =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 * (← 도바시 시라키 역) - 고치 역 - 구쓰카케 역 - 가미노고 역 - 시마이소베 역 - 아나가와 역 - 시마요코야마 역 - 우가타 역 - 시마신메이 역 - 가시코지마 역 = = = 버스 = = = 이 이세시나 도바시, 미나미이세정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시내 각지도 연결하고 있다. = = = 도로 = = = 국도 제167호선 * = 카리살시 = 카리살시는 베네수엘라 미란다 주의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카리살이며 면적은 32km2, 인구는 52,224명(2007년 기준)이다. = FTTH = FTTH(Fiber To The Home)는 광섬유를 집안까지 연결한다는 뜻으로, 초고속 기가 인터넷 설비 방식의 한 종류이다. FTTP(Fiber to the premises)라고도 한다. KT의 통신상품에 대한 대한민국 등록상표대한민국 상표등록번호 41-0070169-0000, 2004년 3월 23일 KT에 양도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는 두루넷(현 SK브로드밴드)의 등록상표였으나 등록료 미납으로 등록 '포기' 처분되었다. 유리 섬유 재질이라, 집안까지 광 케이블이 연결되어 레이저 빔으로 통신을 하므로 품질과 속도에서 우수하며 구리 재질로 된 동축 케이블에 비해 밖의 날씨와 낙뢰 및 전기, 전파 등에 의한 품질 저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대한민국의 FTTH = = 현재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되는 FTTH 방식의 선두 업체인 KT가 제일 처음 집안까지 광섬유를 끌고 오는 방식으로 시작했고, 후발 업체인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의 기가 인터넷 서비스는 집안까지 광섬유 케이블이 들어온 후 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 모뎀을 통해 빛의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꾼후 PC로 연결된다. 100Mbps급에서 광섬유 케이블 교체 없이 그대로 모뎀 교체만으로 최고 1Gbps의 속도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FTTH서비스 지역은 정보통신 특등급 인증을 받은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과 공장지대, 산간(시골)등 FTTH 광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인터넷 속도와 보급률이 높은 대한민국에서는 기존 xDSL과 동축 케이블인 HFC 방식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인터넷 보급이 어렵거나 낙후된 산간,오지,시골 지역도 네트워크 품질 향상 차원에서, FTTH로 전부 교체 및 보급되고 있다. = = 관련 기술 = = 현재는 구부림 특성을 대폭 강화해 볼펜 굵기(반경 5mm)의 막대에 여러 차례 감아도 데이터 손실이 거의 없는 굴곡특성 광섬유(E-BIF)가 상용화되었다. = 두지역 = 두지역(杜芝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김형직군 두지리에 위치한 북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 = 연혁 = = 1988년 8월 3일 : 자성 - 후주청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북부철길 1단계공사완료, 경향신문, 1988.8.10 작성북한지리정보: 운수지리 - 북부 철길 건설, 1988, CNC 북한학술정보 = 분류:사세씨 = = 분류:키프로스의 여자 축구 =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항의행동 = = 엘베의 맹세 = 엘베의 맹세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4월 25일에 나치 독일을 괴멸시키기 위해 동진을 계속 하던 연합국 측의 미군의 제69보병사단과 서진을 하던 소련 붉은 군대의 제58전위사단이 독일 동부를 흐르고 있는 엘베강의 연안, 작센 주 토르가우에서 처음으로 조우한 사건을 일컫는다. 이 사건은 베를린 함락의 일주일 전이며 토르가우는 드레스덴과 마그데부르크의 거의 중간지점으로 종전 후엔 동독에 소속되었다. 이 사건은 소련에서는 「엘베 강의 만남」(노어:Встреча на Эльбе)라 불렀고 또한 동명의 영화가 만들어졌다. (감독:그레고리 알렉산드로프, 음악: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미합중국에선 「엘베의 날」(Elbe day)로 기억하고 있다. = = 참고 자료 = = 《엄마와 아이가 보는 엘베의 맹세》사오토메 카츠모토, 쿠사노네 출판협회 (2001년) = 정모 (가수) = 정모, , , (2000년 2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크래비티의 멤버이자 보컬을 맡고 있다. = = 학력 = = 연도 학교 학과 비고 서울서이초등학교 졸업 서울서운중학교 (졸업) 상문고등학교 2016년 3월 ~ 2019년 2월 (졸업)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 = 방송 = = = 연도 기간 방송사 제목 역할 장르 비고 2019년 5월 3일 ~ 7월 19일 엠넷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예능 출연 탈락 = 분류:1827년 분쟁 = = 분류:태국-홍콩 관계 = = 카팅카땃쥐 = 카팅카땃쥐(Crocidura katinka)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이스라엘과 시리아 그리고 팔레스타인에서 기록된 바 있지만, 현재 이스라엘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란 남서부 지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러버사이즈 = 러버사이즈는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2021년 정규 앨범 LVRSZ.COM으로 정식 데뷔했다. = = 음반 = = LVRSZ.COM (2021) = 여시재 = 여시재(與時齋, )는 재단법인으로 2015년 12월 한샘 명예회장 조창걸이 설립하였다. 이사회에는 김도연, 김성환, 이광형, 윤정로, 김우승, 차상균, 황철주, 임창훈, 김서준, 이진성(감사), 이경태(감사)가 있다. 이광재는 원장직을 사직(2020년 3월3일)하고 제21대 총선(강원도 원주갑)에 출마하였다. 이들은 싱크탱크기관이며 국가미래전략을 구상하고 동북아의 미래 변화에 대비한 정책 개발과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4월 태재미래전략연구원으로 법인명을 변경했다. = 2002년 발리 폭탄 테러 = 2002년 발리 폭탄 테러는 2002년 10월 12일 인도네시아 발리의 쿠타 관광구역에서 일어난 테러로, 202명이 죽고 (호주인 88명, 인도네시아인 38명, 영국인 23명, 그 외 20여개국 국적의 외국인들) 209명이 부상당했다. = 분류:1204년 동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 유중원 = 유중원(柳重遠, Yoo Jung Won)은 전라남도 고흥에서 태어났다. 그는 원래 변호사였다. 그러므로 전관예우를 받는 전관 경력은 없다. 국제거래와 금융 분야에서 자타가 인정하는 최고의 전문 변호사였고 유명한 법학자로 대학에서 강의를 하면서 이들 분야에서 120여 편의 학술 논문과 판례평석을 발표했고 벽돌처럼 두꺼운 법학 전문 저서 12권을 발간했다. 이들 저서는 법조계에서 교과서로 인정받고 있다. 신용장 법학을 도입하고 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는 인생역정에서 아주 뒤늦게 14권의 소설집을 냈다. 하지만 여전히 무명작가이다.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사건은 필연적으로 법적인 쟁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는 (비판적 리얼리즘과 정확한 언어에 기초한) 다양한 법률적 쟁점과 우리가 법조계라고 부르는 특수한 세계의 이면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사회소설을 쓴다. 그러므로 법률소설 (이건 그가 붙인 이름이다)을 개척한 진정한 원조라고 할 수 있다. = = 약력 = = *법학박사 *변호사 *국민대 법대 교수 (전) *법률신문 논설위원 (전) *대한변협 발행 학술지 ‘인권과 정의’의 편집위원장 (2011~현재. 10여 년 동안 1,00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의 심사에 참여했다.) *기업은행 국제거래 전문 고문변호사 (현) *기업은행 행복나눔복지재단 감사 (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 열매) 감사 (전) *한국무역학회 부회장 (전) *한국국제상학회 부회장 (전) *한국작가회의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원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한국문학회 회원 *한국현대소설학회 회원 *한국문예창작학회 회원 = = 발표한 소설들 = = (1) 장편소설 ‘사하라’ (2011년 초판 발행. 2016년 588면, 재재 수정판. 글누림) (2) 장편소설 ‘광화문 광장’ (2018년. 263면, 글누림) (3) 중편소설 ‘차라리 피고인이 되고 싶다’ (2019년. 404면, 글누림. 2019년 세종도서 선정) (4) 중편소설집 ‘달빛 죽이기’ (2016년. 296면, 글누림) (5) 중편소설집 ‘무진기행, 그 후’ (2018년. 375면, 글누림) (6) 단편소설집 ‘아버지와 아들’ (2016년. 295면, 글누림) (7) 단편소설집 ‘인간 해방’ (2016년. 365면, 글누림) (8) 단편소설집 ‘우리들의 시간’ (2016년. 360면, 글누림) (9) 단편소설집 ‘티베트 기행’ (2018년. 359면, 글누림) (10) 단편소설집 ‘귀휴’ (2018년. 387면, 글누림) (11) 에세이집 ‘변호사가 웬 소설을……’ (2018년. 346면, 글누림) (12) 문학비평서 ‘최인훈의「광장」다시 읽기’ (2020년. 390면, 시선) (13) 장편소설 ‘인간의 초상’ (근간) (14) 단편소설집 ‘그날 밤의 비밀’ (근간) (15) 장편소설 (가제) ‘2010’ 또는 ‘증언’ (이 소설은 초고가 완성된 상태에서 여러 출판사로부터 거절당했다.) = = 법학 전문 저서 = = (1) 신용장의 법리 (1993년, 육법사, 602쪽) (2) 축조해설 제5차 개정 신용장통일규칙 (1993년, 육법사, 317쪽) (3) 개정증보 축조해설 신용장통일규칙 (1997년, 육법사, 383쪽) (4) 신용장론 (1997년, 육법사, 898쪽) (5) 실무․서식 계약총람 (1999년, 육법사, 상․하, 총 2,375쪽) (6) 국제무역의 법리 연구 (2005년, 법률문화원, 1,026쪽) (7) 국제무역과 판례 (2005년, 청림출판, 총 831쪽) (8) 신용장-법과 관습 (2007년, 청림출판, 상․하, 총 1,600쪽) (9) 어음 수표법 (2008년, 법률문화원 1,000쪽) (10) 운송증권 (2009년, 법률문화원, 806면) = Coverkill = Coverkill는 1999년 10월 26일에 발매된 오버킬의 음반이다. SPV에 의해 발매되었다. = 크리스 에인절 = 크리스토퍼 니컬러스 새런태커스(, 1967년 12월 19일 ~ )는 크리스 에인절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마술사이다. = 조병교 = 조병교(趙秉敎, 일본식 이름: 福川永一후쿠가와 에이이치, 1862년 음력 1월 29일 ~ 1941년 양력 12월 1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운니동이다. 다른 이름으로 조창교(趙昌敎)가 있다. = = 생애 = = 1883년부터 1년 동안 일본 유학을 다녀온 뒤 우정국에서 근무한 것을 시작으로 대한제국의 관리로 일했다. 농상공부와 표훈원 등을 거쳐 지방관으로 발령받았으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에는 조선총독부 소속의 함경남도 참여관에 임명되었다. 1905년부터 함경남도 함흥군 군수로 근무할 때 러일 전쟁을 벌이고 있던 일본군을 적극 후원한 일이 있다. 군수품과 금품을 지원하고, 수하의 순검을 정찰 업무에 파견하거나 일본군 이동로 수선과 숙소 공급에 한국인을 동원하는 등 군수의 직책을 이용해 전쟁 수행을 도움으로써 공로를 세웠다. 이때 세운 공을 인정해 1908년 일본 정부는 조병교에게 훈4등 욱일소수장을 수여했다. 함경남도 참여관을 맡고 있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났다. 조병교는 직접 도내를 순시하면서 일본의 통치를 찬양하고 독립운동을 비난하여 3·1 운동 확산을 막았다. 시국강연에서는 주로 조선의 악정과 조선총독부의 선정을 대비시키면서, 천도교와 기독교 무리들이 양민을 미혹케 했다고 주장했다. = = 약력 = = = = = 조선 및 대한제국 시기 = = = 1884년 : 우정국 사사(司事) 1894년 : 탁지아문 주사 1895년 : 공무아문 참의 1895년 : 농상공부 통신국장 1898년 : 대한제국 중추원 의관 1899년 : 표훈원 참서관 1900년 : 시종 (주임관 2등) 1905년 : 함남 함흥군수 1906년 : 함남 덕원부 부윤 1907년 : 함남 원산항재판소 판사 (겸임) = = = 일제 강점기 = = = 1910년 : 함경남도 참여관 1914년 : 함경남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위원 (겸임) 1920년 : 고등관 2등 1924년 : 종4위 서위 = = = 훈포장 서훈 내역 = = = 1908년 : 훈4등 욱일소수장 1912년 :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 다이쇼대례기념장 1918년 : 훈3등 서보장 = = 사후 = = 2002년 : 친일파 708인 명단 도 참여관 부문 수록 2007년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관료 부문 수록 2008년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부문 수록 = 슬픔은 그대 가슴에 = 슬픔은 그대 가슴에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Imitation of Life, 1933) - 허스트의 소설 《슬픔은 그대 가슴에》(, 1934) - 미국의 영화 《슬픔은 그대 가슴에》(, 1959) - 미국의 영화 = 모범가족 = 모범가족은 넷플릭스에서 2022년 8월부터 방영된 대한민국의 범죄, 스릴러 드라마이다. = = 등장인물 = = = = = 주요인물 = = = = 분류:캠벨씨 = = 분류:스위스의 기념일 = = 조민 = 조민은 다음을 의미한다. 조민(3세기)은 위의 왕이다. 조민(趙珉)은 조선의 문신이다. 나카에 조민은 일본의 사상가, 정치인이다. 조민(1986~)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조민 (의천도룡기) 조민(1975 ~ )은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조민(1991년 ~)은 조국 사태와 관련된 인물이다. = 데니스 가보르 = 데니스 가보르(, , 1900년 6월 5일 ~ 1979년 2월 8일)는 홀로그래피의 발명으로 1971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헝가리계 영국인 전기 공학자이자 발명가이다. = = 생애 = = 그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본명은 귄스베르그 데네시이다. 그는 제 1차 세계 대전 중에 입영 영장을 받고 헝가리 포병대에 입대하여 남부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되었다. 그는 1918년에 부다페스트 기술 경제 대학교에 입학했고, 이후에는 베를린 기술 대학교 (당시에는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기술 대학)에서 공부했다. 그 곳에서 음극선 오실로그래프를 이용해 고압 송전관의 성질을 조사한 경험으로 그는 전자 광학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오실로그래프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공부하면서 그는 전자 현미경이나 텔레비전 수상관과 같은 전자 빔 관련 기기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그는 음극선관에 대한 논문으로 192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플라즈마 램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유대인이었던 그는 나치를 피해 영국의 워릭셔주에 위치한 BTH의 개발부에서 일하게 되었다. 그 곳에서 그는 1936년에 결혼을 했고, 1946년에 영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또 1947년에는 홀로그래피를 발명했다. 그가 발명한 홀로그래피는 수은등을 이용했는데, 이후 레이저의 발명으로 홀로그램은 상용화되었다. 1948년, 그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으로 이직했고 1958년에는 응용 과학과 교수가 되어 1967년에 은퇴할 때까지 일했다. 은퇴 이후 이탈리아에서 머물면서도 그는 수석 연구원으로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접촉을 유지했고 CBS 연구소의 임원으로 있었는데, 그 곳에서 그는 평생을 함께한 친구인 연구소장 피터 골드마크와 함께 일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신관 중 하나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 대한 그의 업적을 기려 가보르 홀이라고 불린다. 이후 레이저의 발명과 홀로그램에 대한 응용이 이루어지면서 그는 세계적인 명성을 누리게 되었다. 그는 노벨 물리학상 이외에도 많은 상을 수여받았다. = = 수상 = = 1956년 - 영국 왕립 학회 연구원 1964년 -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 1967년 - 영 메달 : 광학 분야에 대한 두드러진 업적 1968년 - 알버트 마이클슨 메달 1970년 - 사우스햄프턴 대학교 명예 박사 1971년 - 노벨 물리학상 1972년 - 홀웩 상 = 분류:루마니아의 여자 어린이 배우 = = 광주시 서구 = 광주시 서구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전라남도 광주시 서구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동구·서구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1986년 11월 1일을 기해 전라남도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여기에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구 제도가 중선거구제에서 소선거구제로 회귀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 서구 선거구는 서구 갑, 서구 을 선거구로 분할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1위 의원 정당 정당 2위 의원 1981년 민주한국당 지정도 민주정의당 박윤종 1985년 신한민주당 김녹영 민주정의당 이영일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 = = 진 양공 (1대) = 양공(襄公, ? ~ 기원전 766년)은 서주와 춘추시대 사람이다. 진나라의 군주로 정식 제후국으로 봉해진 진(秦)나라 제1대 군주이다. 장공(莊公)의 차남이다. = = 생애 = = 기원전 778년, 장공(莊公)이 죽은 후, 그의 장남인 세보는 서융을 토벌하기 위해 태자의 자리를 동생인 양공에게 양위하였고, 양공이 계승하였다. 양공이 계승한 이후, 기세등등한 태세를 보이는 서융과 대치하였는데, 한편으로는 기원전 777년 여동생 무영(繆瀛)을 서융 풍왕(豊王)에게 시집을 보내어 서융인을 분화시켰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원전 776년 견(汧)으로 도읍을 옮겨 진나라의 세력을 동쪽으로 넓혔다. 그 해, 서융은 서견구를 포위하였고, 양공의 형인 공자 세보(世父)가 군사를 이끌고 대응을 하였지만 오히려 서융에게 잡혀 포로가 되었다. 1년이 다 되어서야 서융이 공자 세보를 풀어 주었다. = = 제후 책봉 = = 주 유왕(周幽王) 시기 정치는 부패의 끝을 향하고 있었다. 유왕은 총애하는 후궁의 웃음을 보기 위해 거짓으로 봉화를 빈번히 올렸고 제후와 그 군대가 빈번한 거짓 출동이 많아지면서 제후 세력이 유왕을 떠나게 되었다. 유왕은 정궁인 신후(申后)와 태자 의구(宜臼)를 폐하고, 후궁인 포사(褒姒)와 그녀의 소생인 백복(伯服)을 왕후와 태자로 책봉하였다. 기원전 771년, 신후의 아버지 신후(申侯)는 증국(繒國)과 견융(犬戎)과 연합하여 서주의 수도인 호경을 공격하였다. 주유왕은 사병에게 봉화를 올리라는 명을 내려 제후들에게 구원을 청하였으나 어느 제후들도 병력을 보내지 않았다. 주유왕은 여산 아래에서 견융에게 죽임을 당하였는데, 이때, 양공은 병력을 보내어 원조하였다. 유왕 사후, 주 평왕(周平王)은 견융을 피하여 동쪽 낙읍(雒邑)으로 도성을 천도하였는데, 이때 양공은 군사를 보내 평양을 호송하였다. 주 평왕은 양공의 공이 큼으로 제후로 봉하고 말하기를 “서융은 무도하여 우리의 기산과 풍읍을 침탈하였는데, 진국이 서융을 물리쳐 준다면 그 땅을 진국의 소유로 인정하겠노라” 하였다. 이로써 양공은 정식으로 제후국 진나라로써의 초대 군주가 되었고, 그후 양공은 다른 여러 제후국들과 외교적으로 수교를 하였으며, 서로 대표단을 자주 파견하고 예물을 교환하며 관계를 다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양공은 제후가 된 이후, 서수궁(西垂宫)에서 살았다. 그리고 영진(嬴秦)가의 일족은 백제(白帝) 소호씨(少昊氏)의 후손이라 생각하였다. 기원전 770년 서치를 만들고 흑갈기와 적색의 몸인 작은 말과 황소, 공양을 각 1필씩 제물로 바쳐 백제를 향하여 제사를 지냈다. = = 전쟁준비 = = 양공이 제후로 봉해진 후, 진국 내에서 서융을 토벌할 전쟁준비에 집중하였다. = = 죽음 = = 기원전 766년, 양공은 서융을 기산까지 물리치는데 성공하였으나 전쟁 중에 졸하여 양공을 서수릉원에 묻었다. 그리고 그의 아들인 문공(文公)이 계승하였다. = 정희선 (성우) = 정희선(鄭熙善, 1948년 1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68년 MBC에 입사했으며, 현재는 MBC 3기이다. 문화방송 성우극회 소속. = = 주요 출연작품 = = = = = 애니메이션 = = = 원탁의 기사(KBS) 은하철도 999(MBC) - 메텔 / 프로메슘 / 에메랄더스 / 철이 엄마 / 피터 엄마 / 묘묘 모험왕 걸리버(MBC) 세계명작동화(MBC) 핑크팬더(MBC) 시골소녀 폴리아나(MBC) 목장의 소녀 캐트리(MBC) 요정 핑크(MBC) - 연수 어머니 메칸더V(MBC) - 메두사 키다리 아저씨(MBC) 마법사 토토(MBC) 그림명작동화(MBC) 밀림의 왕자 레오(MBC) 금발의 제니(MBC) 천년여왕(MBC) 소공녀 세라(MBC) - 민친학원 원장 / 모리 / 일라이자 고모 세느강의 별(MBC) 뽀빠이(MBC) - 올리브 알프스 소녀 안네트(MBC) - 루센 들장미 소녀 캔디(MBC) - 수잔나 마이티 마우스(MBC) 그로이저X(MBC) 은하탐정 케인(SBS) - 케인 할머니 = = = 애니메이션 영화 = = = 똘이 장군 제3땅굴(1978)(극장판) - 숙이 오로라공주와 손오공(MBC) - 오로라공주 소닉 더 헤지호그 OVA - 마일즈 프라우어 파이널 판타지(MBC) - 의원(진 시몬스) = = = 영화 = = = 사랑의 만화경(SBS) - 힐라리(재클린 스미스) 프렌지(MBC) - 브렌다(바바라 라이 - 헌트) 메이드 인 아메리카(MBC) 집으로 가는 길(MBC) - 노인초제 비욘드 사일런스(MBC) - 라라 할머니 잃어버린 세계(MBC) 28일 동안(MBC) - 바비진 보거스(MBC) 부시맨(MBC) - 케이트(산드라 프린슬루) 블레이드 러너(MBC) - 레이첼(숀 영) 스타 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MBC) - 루크의 큰 어머니 스타 워즈 에피소드 5: 제국의 역습(MBC) - 레아 공주(캐리 피셔) 대부(90년 더빙판/MBC) - 코니 콜레오네(탈리아 샤이어) 대부 2(90년 더빙판/MBC) - 코니 콜레오네(탈리아 샤이어) 헨리 이야기(MBC) 사랑의 기쁨(MBC)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SBS) - 캐롤린(테리 가) 빅 히트(MBC) - 팸 엄마 가위손(MBC) - 헬렌(콘차타 페렐) 보통 사람들(MBC) 플래시댄스(MBC) 더블 크라임(MBC) - 할머니(조이 코힐) 디 아더스(MBC) - 밀스(피오눌라 플래너건) 옹박(MBC) - 할머니 환생(MBC) 와호장룡(MBC) - 파란 여우(정패패) 아름다운 비행(MBC) 정복자 펠레(MBC) - 올슨(카렌 위그너) 고스포드 파크(MBC) 에너미 앳 더 게이트(MBC) - 샤샤 엄마 시카고(MBC) - 마마(퀸 라티파) 당신이 잠든 사이에(MBC) - 엘시(글리나스 존스) 크미치스(MBC) - 올렝카 디 아워스(MBC) - 클라리스 본(메릴 스트립) 더티 댄싱(SBS) - 어머니(켈리 비숍) 마더 테레사(MBC) - 테레사 수녀(올리비아 핫세) 개같은 내 인생(MBC) - 할머니 레이디 킬러(MBC) - 마번 먼슨(일마 P. 홀) 암흑가의 두 사람(MBC) - 주느비에브(크리스틴 파브레가) 붉은 가마(MBC) 어머니 나를 다시 사랑해 주세요(MBC) 킴 베신저의 쿨 월드(SBS) 스내치(MBC) 가스등(MBC) - 폴라(잉그리드 버그만) 모정(MBC) 사랑할 때와 죽을 때(MBC) 사운드 오브 뮤직(MBC) - 남작 부인(엘리노어 파커) 삼손과 데릴라(MBC) - 데릴라(헤디 라마르) 솔저 블루(MBC) 십계(MBC) 엘 시드(MBC) 잔다크(MBC) 클레오파트라(MBC) - 클레오파트라(엘리자베스 테일러) 새(MBC) 투 다이 포(MBC) - 수잔 어머니(홀랜드 테일러) 록시(MBC) - 루이스(미콜 메르쿠리오)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MBC) - 돌로레스(조애나 캐시디) 나는 결백하다(MBC) - 프랜시스(그레이스 켈리) 더 맨(MBC) - 엘렌의 엄마(도로시 트리) 허리케인(MBC) - 저메인(메리 애스터) 소돔과 고모라(MBC) - 여왕(아누크 에메) 사랑이 머무는 곳에(MBC) - 데보라(제니퍼 워렌) 하늘과 땅(MBC) - 리리 어머니(진충) 용쟁호투(MBC) - 타니아(아나 카프리) E.T.(MBC) - 메리(디 월리스) 플래시드(MBC) - 빅커만 부인(베티 화이트) = = = 외화 = = = 아들과 딸들(MBC) - 조니 애증의 세월 - 신즈(MBC) - 메리 베렌드스 CSI 과학수사대(MBC) - 엘리자벳 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MBC) - 수잔(린지 와그너) 출동 에어울프(MBC) - 케이틀린 오섀네시(진 브루스 스콧) 외계인 알프(MBC) - 케이트(앤 쉐딘) 타임 트랙스(SBS) - 셀마(엘리자베스 알렉산더) = = = 기타 = = = 수사반장(MBC) 전원일기(MBC) 조선왕조 오백년(MBC) MBC 뉴스센터 - 이방자 여사 육성 한국어 해석(1981년 11월 1일 방영분) = 아이카와 지카 = 아이카와 지카(, 1990년 3월 8일 ~ )는 일본의 모델이다. = 맷 플린 = 맷 플린(Matt Flynn)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다. 맷 플린 (미식축구 선수) 맷 플린 (음악가) - 마룬 5의 드러머 = 분류:이지영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이지영이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분류:서울로봇고등학교 동문 = = 분류:핀란드의 제18대 의회의원 = = 분류:영국의 가수 = = 자남진데 = 자남진데(ཟ་ནལ་ཟིན་ལྡེ།)는 토번의 제16대 짼뽀이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22년 1월 15일 =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687,984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4,423명(국내 4,077, 해외유입 346)이 늘었다. 누계가 일부 정정(-5)되었다. = 디렉트 = 디렉트(direct) 또는 다이렉트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닌텐도 다이렉트: 닌텐도의 온라인 프레젠테이션 방송 프로그램 시리즈 〈Direct〉는 반젤리스의 음반이다. DirectX: 사유의 동적 미디어 플랫폼 = 소야초등학교 = 소야초등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99.10.20 신설학교 설립 확정 2002.04.30 학교 명칭 확정(소야초등학교) 2002.09.01 소야초등학교 개교(14학급 편성) 2002.10.04 개교 기념식 2003.03.03 2003학년도 시업식 및 입학식(18학급) 2003.03.12 병설유치원 개원 2007.10.25 강원도교육청 급식연구 학교공개보고회 2010.02.10 제7회 졸업식 (졸업생 총수 805명) 2011.02.15 제8회 졸업식 (졸업생 총수 944명) 2011.03.01 22학급 편성(특수 1) 2011.09.01 제4대 이상집 교장 부임 2012.02.09 제9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1078명) 2012.09.01 제5대 최종하 교장 부임 2013.02.14 제10회 졸업식 (졸업생 총수: 1,221명) 2013.03.01 20학급 편성 (특수 1) 2013.03.01 유치원 2학급 편성 2014.02.17 제11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1,346명) 2014.03.01 제6대 장영수 교장 부임 = 무상 = 무상(無常) 또는 비상(非常)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한다. 즉 영원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무상: 無常 무상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한다. 즉 이 현실세계의 모든 것은 매순간마다 생멸, 변화하고 있다. 거기에는 항상불변(恒常不變)이란 것은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현실의 실상(實相)이 제행무상으로써 표시되었다. 그러나 일체는 무상한데 사람은 상(常)을 바란다. 거기에 모순이 있고 고(苦)가 있다. 경전에도 "무상한 까닭에 고인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며 무상은 고의 전제라고 했다. 또 현실을 그와 같이 인식하는 것을 무상관(無常觀)이라고 하며 무상의 덧없음은 몽환포영로전(夢幻泡影露電)에 비유되어 불교적 인생관의 특색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무상관은 단순히 비관적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무상하기 때문에 인간은 지위나 명예에 집착하는 탐욕을 버리고 오늘 하루의 소중한 생명을 방일(放逸)함이 없이 정진노력(精進努力)하려 하는 정신적인 결의가 생겨나게 되며 그것이야말로 불교의 진의(眞意)라고 하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한다. 제행무상은 불교의 근본교의를 나타내는 3법인(三法印)의 하나로, 모든 것은 생멸변화(生滅變化)하여 변천해 가며 잠시도 같은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마치 꿈이나 환영이나 허깨비처럼 실체가 없는 것을 말한다.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무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즉, 이 현실세계의 모든 것은 매순간마다 생멸변화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항상불변(恒常不變)한 것은 단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의 실상(實相)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일체는 무상한데 사람은 상(常)을 바란다. 거기에 모순이 있고 고(苦)가 있다. 불교 경전에 "무상한 까닭에 고인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무상은 고의 전제이다. 또 현실을 그와 같이 인식하는 것을 무상관(無常觀)이라고 하며 무상의 덧없음은 몽환포영로전(夢幻泡影露電: 꿈환상물거품그림자이슬번개)에 비유되어 불교적 인생관의 특색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무상관은 단순히 비관적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에 대하여 비관하거나 기뻐하는 것 자체가 상이며, 그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무상하기 때문에 인간은 지위나 명예에 집착하는 탐욕을 버리고 오늘 하루의 소중한 생명을 방일(放逸)함이 없이 정진노력(精進努力)하려는 정신적인 결의가 생겨나게 되며, 이러한 것이 무상관의 참된 뜻이다. = 마쓰다이라 요시마사 = 마쓰다이라 요시마사(まつだいら よしまさ)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마쓰다이라 요시마사 (1651년)(松平義昌): 무쓰 야나가와 번의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마사 (1738년)(松平義当) 마쓰다이라 요시마사 (1858년)(松平義端) = 정해왜변 = 정해왜변(丁亥倭變)은 1587년 음력 2월 왜구들이 전라도 남해안을 범한 사건이다. 1587년 4월 3일(음력 2월 26일) 한양에 보고가 접수되었다. 왜구와 싸우던 녹도권관(鹿島權管) 이대원(李大源, 1566~1587)이 전사했다. 조정에서는 신립(申砬, 1546~1592)과 변협(邊協, 1528~1590)을 방어사(防禦使)로, 김명원(金命元, 1534~1602)을 전라도순찰사로 삼아 방어하게 했다. 녹도(鹿島)와 손죽도(損竹島, 오늘날 巽竹島)에 왜적 18척이 들어와 행패를 부린다는 급보가 들어오자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99페이지 당시 전주 부윤으로 있던 남언경(南彦經, ?~?)은 전주에 낙향하여 있던 정여립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정여립은 옛 정을 생각하여 남언경을 도와 대동계원들을 데리고 출병하였다.선조수정실록 23권, 선조 22년 10월 1일 乙亥 5번째기사.....丁亥倭變, 列邑調兵, 全州府尹南彦經, 踈迂不知所爲。 請汝立分軍, 汝立當之不辭, 一號令間, 軍兵皆會, 部分調遣, 不日而辦。 其將領則汝立皆用大同禊中親密武士。 賊退散軍, 당시 왜구는 별로 수가 많지 않아 대동계원이 녹도에 도착하였을 때 이들은 이미 퇴각한 뒤였다.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100페이지 그러나 손죽도에 정박하고 있던 왜구를 발견하여 기습 공격, 미처 떠나지 못한 왜구들을 전멸시켰다.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도서출판 삼인, 1999) 101페이지 사태가 종료된 뒤 4월 17일(음력 3월 10일) 비변사에서는 전라좌수사 심암과 전라우수사 원호에게 책임을 물어 두 사람을 국문하였다. 이때 일본군의 앞잡이를 선 자가 조선인 사을화동(沙乙火同)이다. 3년 뒤인 1590년 4월 2일(음력 2월 28일) 조선 통신사를 파견하는 조건으로 사을화동과 함께 왜구 두목들인 신삼보라(信三甫羅, 신사부로)·긴요시라(緊要時羅, 긴지로?)·망고시라(望古時羅, 마고시로) 를 조선으로 송환, 모두 처형하였다. '손죽도'(損竹島)에는 정해왜변에서 전사한 이대원 장군의 사당이 있으며, 주민들은 해마다 3월 3일에 제를 지낸다.[네이버 지식백과] 손죽도 [巽竹島]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류:야기에우워 대학교 = = 틀:위아이 = = 분류:덴마크의 전기 영화 = = 분류:프랑스의 핵기술 = = 가지안테프 성 = 가지안테프 성은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 중앙 둔덕에 위치한 성이다. 처음에는 히타이트 제국이 정찰을 위해 사용했으나, 후에 로마 제국이 성으로 확장했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인해 성이 심하게 훼손되었다. = = 역사 = = 언덕의 최상부는 히타이트 제국이 정찰을 위해 처음 사용했다. 2~3세기 로마 제국이 성으로 확장했다. 기원후 527년~ 565년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대대적으로 성을 확장하고 보수했다.Defence Sites II: Heritage and Future 원 형태를 띈 성의 둘레는 다. 성벽은 돌로 지어졌으며 성에는 12개의 보루가 있다. 성은 오랜시간 보수 작업을 거쳤다. 12세기~ 13세기에 아이유브술탄국과 오스만 제국통치 시대 변화를 거치며, 20세기에 튀르키예 독립 전쟁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가지안테프 영웅 수비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주기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붕괴와 튀르키예 독립 전쟁의 발발 이후 벌어진 프랑스군의 침공을 방어한 내용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되고 있다. 2023년 2월 6일,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인해 성이 심하게 훼손되었다. 동쪽과 남쪽에 위치한 보루가 무너졌으며, 성을 둘러싸고 있던 일부 철책과 벽이 심하게 손상되었다. = 에린 오툴 = thumb 에린 마이클 오툴(, 1973년 1월 22일 ~ )은 캐나다의 정치인으로 2020년 8월 24일 이래 캐나다 보수당(이하 보수당) 대표 및 야권대표이다. 몬트리올에서 태어났으며, 포트페리 및 바우맨빌에서 자랐다. 1991년 군에 입대했으며 1995년까지 캐나다 왕립군사관학교에서 수학했다. 항공 군단에서 조종사를 맡았으며, 이후 기장이 되었다. 이후 법학 학위를 받고 법조인으로 활동하다가, 2012년 더햄 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5년 스티븐 하퍼 내각에서 잠시 국가보훈처장을 지냈으며, 2017년 보수당 전당대회에 도전하지만 3위로 낙선했다. 2019년 말 앤드루 시어 대표가 사임하자, 오툴은 2020년 전당대회에 출마해 피터 맥케이 전 장관을 꺾고 당선되었다. 대표 취임 이후 캐나다의 노동 계층을 공략했으며, 당 내에서도 온건파로 분류된다. 국내 문제에 대해서도 점진적 적자 해소, 캐나다 방송 협회 (CBC) TV 및 기타 영어 방송 지원 중단, 조세정책의 단순화, 각 주가 탄소세 도입 및 송유관을 설치하지 않을 권리를 지지한다. 외교 정책에 대해서는 CANZUK 협약 및 대중강경책을 지지하며, 중국 정부를 국제 무대의 "악역"으로 간주하고 있다. 각 사회 정책 분야에서 그가 행사한 표결을 보면 진보적인 입장을 드러내는 것으로 분류되나, 안락사 합법화에는 반대표를 행사했다. = 분류:클로이 자오 감독 영화 = = 1900년 하계 올림픽 럭비 = 1900년 하계 올림픽 럭비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1900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 종목이다. 1900년 10월 14일과 28일에 벨로드롬 드 뱅센에서 진행되었다. 3개국에서 4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1900년 하계 올림픽 럭비는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다. = = 경기장 = = 도시 경기장 원어명 파리 벨로드롬 드 뱅센 = = 참가국 = = 3개국에서 4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 = = 경기 결과 = = 순위 국가 경기 승 무 패 2 2 0 0 1 0 0 1 1 0 0 1 = = 메달 집계 = = = = = 최종 순위 = = = = = = 메달리스트 = = = 종목 금 은 은 동 남자 럭비 블라디미르 아이토프 A. 알베르트 레온 비노쉬 장 콜라스 장 가이 고티에 오귀스트 지루 샤를 공뒹 콘스탄틴 앙리크즈 데 주 주비라 J. 헤르레 빅토르 라르샹데트 후베르트 라페브르 요셉 올리피에 알렉산드레 파라몽 프랑츠 레셸 앙드레 리쉬만 알버트 루즈벨트 에밀유 사라데 알베르트 암르헤인후고 베팅야코프 헤르만빌리 호프메이스터헤르만 크로이저아르놀트 란트보이크트한스 라트샤에리히 루트비크리차르트 루드비크프리츠 뮐러 에두아르트 포페헤인리히 레이츠아우구스트 슈미에레르아돌프 스토크호이센게오르크 벤데로트 F. C. 배일리스J. 헨리 버틀즈제임스 캔션아서 다비클레멘트 데이킨L. 후드M. L. 로건H. A. 로비트허버트 니콜V. 스미스M. W. 탈보트요셉 윌리스클로드 위틴데일레이몬드 위틴데일프란시스 윌슨 없음 알베르트 암르헤인후고 베팅야코프 헤르만빌리 호프메이스터헤르만 크로이저아르놀트 란트보이크트한스 라트샤에리히 루트비크리차르트 루드비크프리츠 뮐러 에두아르트 포페헤인리히 레이츠아우구스트 슈미에레르아돌프 스토크호이센게오르크 벤데로트 = 분류:시애틀의 영화 = = 분류:필로바이러스과 = = 신영록 (1981년) = 신영록(1981년 9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며 과거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 = 축구인 경력 = = = = = 선수 경력 = = = 2000년 10월 호남대에서 로열 앤트워프에 입단하여 2001년부터 2년간 벨기에 프로리그에서 뛰며 활약하였다. 이후 2003년에서 2005년간 부산 아이파크에서 활약하였다. 챌린저스리그 양주시민축구단에서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 2013년 화성 FC에서도 창단과 함께 플레잉 코치로 활동했으며 2014년부터 화성 FC의 코치로 활동중이다. = 분류:속초시의 행정 구역 = = 로스엔젤레스 고등학교 = 로스앤젤레스 고등학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이다. 로스앤젤레스 통합 교육구에 속한다. 로스앤젤레스 고등학교는 9학년부터 12학년까지이며, 2,000여명의 학생이 재학중이다. = = 학생 = = 2001년 기준으로 모든 학생의 75%는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이다. 14%는 아프리카계이며, 7%는 아시아계이다.Kang, Connie K. "Greeting Another Languag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01년 4월 7일. = 틀:피자 = = 마르세우 아우구스투 오르톨랑 = 마르세우 아우구스투 오르톨랑(, 1981년 11월 12일 ~ ) 또는 마르세우는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이다. 2004년과 2011년에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뛴 적이 있다. K리그 등록명은 마르셀이었다. = = 클럽 경력 = = 마르세우은 코리치바 FC에서 축구를 시작했고, 2000년에 1군에 합류하여 네 시즌 동안 49경기에서 20골을 넣었다. 이 시기에 브라질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뽑히기도 하였다. 2004년 1월 14일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여 한 시즌 동안 뛰었다. 이후 포르투갈 리가의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로 이적하여 두 시즌을 보냈고, 이 가간 동안 13골을 넣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쳐 SL 벤피카와 FC 포르투 같은 포르투갈 내 빅 클럽들의 관심을 받았다. 그리고 마침내 2006년 1월 SL 벤피카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그는 12월에 SC 브라가로 임대가게 되었고, 돌아오자마자 브라질의 상파울루 FC로 다시 임대를 가게 되었다. 마르세우는 그곳에서도 자리를 잡기 힘들었고, 계약을 종료했다. 마르세우는 한 번더 임대를 가게 되었는데 그레미우였다. 2008년에는 크루제이루 EC로 임대를 갔다. 그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5월 13일에 임대가 종료되었다. 이후 그레미우로 다시 한번 임대를 떠났다. 2008 시즌 세리에 A에서 29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넣었다. 12월 19일, 마르세우는 J리그의 비셀 고베로 임대 갔다. 2010년에는 산투스 FC로 떠났고, 이듬해에는 CR 바스쿠 다 가마로 임대를 떠났다. 2011년 3월 16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여 7년 만에 복귀하였다. 4일 후인 3월 20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복귀전을 치렀으나, 그 이후로 눈에 띄는 활약을 펼치진 못하였다. 그러던 리그 중반, 대구와의 경기에서 데뷔골을 터뜨리고, 7월 20일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두 골을 넣는 등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더 이상 눈에 띄는 활약을 하지 못하고 여름 이적 시장에서 계약을 해지하였다. = = 수상 = = = = = 클럽 = = = = = = = 코리치바 = = =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2003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K리그: 2004 = = = = 상파울루 = = =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2007 = = = = 산투스 = = =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2010 코파 두 브라질: 2010 = = = 개인 = =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득점왕: 2003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베스트 일레븐: 2003 = 사장 딸은 올드 미스 = "사장 딸은 올드 미스"는 한국에서 제작된 김응천 감독의 1963년 영화이다. 구봉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정영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구봉서 방성자 곽규석 = = 기타 = = 조명: 변중식 미술: 홍성칠 = 틀:User sah-2 = = 분류:베트남의 요새 = = 분류:1879년 사망 = = 하야시 아키히로 = 하야시 아키히로(1987년 5월 7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현재 베갈타 센다이에서 골키퍼로 뛰고 있다. = = 수상 = = = = = 클럽 = = = J리그컵 : 준우승 (2012) J1리그 : 준우승 (2019) J리그컵 : 우승 (2020), 4강 (2021) = = = 국가대표팀 = = = AFC U-19 아시안컵 : 준우승 (2006) = = = 개인 = = = J1리그 베스트 11 : 2019 = 볼프강 오베라트 = 볼프강 오베라트(Wolfgang Overath, 1943년 9월 29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지크부르크 ~)는 은퇴한 독일의 축구 선수로, 전 서독 국가대표 축구 선수였다. 진정한 원 클럽 맨으로, 오베라트는 현역 시절에 쾰른에서만 활약하였다. 그는 자국을 대표로 FIFA 월드컵 본선에 3번 출전하였고, 홈그라운드에서 열린 1974년 대회에서는 우승을 거두었다. 주로 창의적인 플레이메이커로 활약하였으며, 오베라트는 패스 능력, 기술, 그리고 왼발로 알려져 있다. = = 경력 = = 플레이메이킹 미드필더로, 오베라트는 지크부어크 04에서 축구를 시작하였으나, 현역 시절의 대부분을 쾰른에서 보냈는데, 그는 1962년과 1977년 사이 765번 출전하여 287골을 기록하였다. 그는 쾰른 소속으로 초대 분데스리가 우승을 거두었으며, 쾰른 소속으로 새로 출범한 1부 리그에 14시즌 활약하였고, DFB-포칼을 1968년에 우승하기도 하였다. 유럽대항전에서, 그는 쾰른 소속으로 71경기에 출전 (11골 득점) 하였다. 국가대표팀에서는 1963년부터 1974년 사이에 81번을 출전하여 17골을 득점하였다. 1974년에 월드컵 우승을 거둔 것을 포함하여, 그는 1966년 월드컵에서의 결승전 진출, 1970년 월드컵의 3위 달성에 있어서 중원의 대들보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오베라트는 후자의 대회에서 딱 한번의 월드컵 득점을 기록하였고, 다수의 해외 기자들은 멕시코 대회에서 가장 우수한 활약을 펼친 서독 선수로 오베라트를 꼽았다. 오베라트는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해본 4명의 선수들 (나머지 3명은 팀동료 프란츠 베켄바워와 제프 마이어, 그리고 후배인 미로슬라프 클로제) 중 한명이다. 그는 서독 대표로 이후에도 간간히 활약하였으나, 귄터 네처의 특출한 활약으로 인해 UEFA 유로 1972를 우승할 때를 포함하여 단기간동안 백업 전력으로 밀렸었다. 그러나, 오베라트는 네처의 지위를 탈환하였고, 스스로를 "독일 대표로 활약하기 위해 났다"라고 자신하였다. 2004년, 그는 쾰른 회장으로 취임하였으나, 2011년 11월 13일에 사임하였다. = = 경력 통계 = = = = = 클럽 = = = 클럽 클럽 클럽 리그 리그 시즌 클럽 리그 출장 골 독일 독일 독일 리그 리그 1963–64 쾰른 분데스리가 30 8 1964–65 쾰른 분데스리가 27 9 1965–66 쾰른 분데스리가 30 3 1966–67 쾰른 분데스리가 33 6 1967–68 쾰른 분데스리가 29 9 1968–69 쾰른 분데스리가 34 6 1969–70 쾰른 분데스리가 29 12 1970–71 쾰른 분데스리가 26 4 1971–72 쾰른 분데스리가 25 6 1972–73 쾰른 분데스리가 30 3 1973–74 쾰른 분데스리가 31 5 1974–75 쾰른 분데스리가 34 4 1975–76 쾰른 분데스리가 27 2 1976–77 쾰른 분데스리가 24 6 국가 독일 독일 409 83 합계 합계 합계 409 83 = = = 국가대표팀 = = = 독일 국가대표팀 독일 국가대표팀 독일 국가대표팀 연도 출장 골 1963 3 0 1964 4 1 1965 4 2 1966 13 3 1967 8 1 1968 8 2 1969 6 3 1970 12 2 1971 6 1 1972 0 0 1973 8 0 1974 9 2 합계 81 17 = = 수상 = = = = = = 1. 쾰른 = = = = 분데스리가: 1963–64 DFB-포칼: 1967-68, 1976-77 = = = = 서독 = = = = FIFA 월드컵 : 우승 (1974), 준우승 (1966), 3위 (1970) = = = 개인 = = = 발롱도르 5위 : 1970 DFB 포칼 득점왕 : 1971-72 키커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주간 베스트 합산으로 선정 : 1965–66, 1967–68, 1969–70, 1973–74 FIFA 월드컵 올스타팀 : 1974 FIFA XI : 1968 은월계잎 훈장 : 1974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장 : 1977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장 1등급 : 2008 지그부르크 시 명예 시민 : 2003 1. 쾰른 명예의 전당 : 2018 독일 축구 명예의 전당 : 2019 독일 축구 박물관 헌액도르트문트 위치 : 2019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리아 주립 훈장 : 2019 DFL 명예상 : 2019 분데스리가 60주년 레전드슈포르트빌트 선정 키커 랑리스테 - WK 8회, IK 14회, NK 4회 = = 사생활 = = 그와 아내 사이에 3명의 자식을 두고 있다: 2명의 아들과 1명의 입양된 딸. 또한, 그는 2003년에 지크부어크의 명예 시민으로 명명되었다. 오베라트는 기부 활동으로 에기디우스-브라운-프라이스를 수상받았다. = 안도 준조 = 안도 준조(, 1935년 6월 28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기후현 다지미시 출신 프로 야구 인명 사전 2003(니치가이 어소시에이츠, 2003년), p.26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포수였다. = = 인물 = = 다지미 공업고등학교 시절에는 동기이자 에이스인 가지모토 다카오와 배터리를 구성하면서 3학년 때인 1953년에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기후 대회에 승리하여 미에현·기후현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하지만 쓰 고등학교(미에현)에게 완봉패를 당한 바람에 고시엔 대회 출전을 놓쳤다.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70년사, 아사히 신문사 편, 1989년 1954년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 1959년에는 야마모토 하치로의 3루수 전향에 의해서 주전 포수로 발탁돼 처음으로 규정 타석에 도달했다(25위, 타율 0.184). 야마모토는 1960년에 포수로 복귀했다가 1961년에는 1루수로 되돌아갔다. 그 후계자로서 다시 주전 포수로 발탁되는 등 1962년에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한신 타이거스와 맞붙은 일본 시리즈에서는 2차전에 선발 출전하여 포수 마스크를 착용했지만 일본 시리즈 MVP로 선정된 다네모 마사유키에게 주전 포수 자리를 양보하면서 별다른 활약은 없었다. 1961년부터 1963년까지 3년 연속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그러나 1965년에 백인천, 다네모 등의 성장이 있어서 출전 기회는 극히 적었고 1966년부터 코치 겸임으로 활약하다가 1970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 후 도에이·닛폰햄에서 2군 배터리 코치(1971년, 1976년), 1군 배터리 코치(1975년), 2군 감독(1989년 ~ 1990년), 전력분석원 등을 역임했다. = = 에피소드 = = 현역 시절 라이벌이었던 노무라 가쓰야와는 동기이며, 생일도 하루 차이다(노무라는 1935년 6월 29일생). 훗날 한큐 브레이브스의 좌완 에이스로 성장한 가지모토 다카오와는 중학교·고등학교 시절에 배터리를 구성했었다. 가지모토와는 어릴 적 친구였으며 초등학생 무렵의 가지모토는 제 실력에 자신이 없었는데 안도는 이 무렵부터 프로를 의식하고 있었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기후 현립 다지미 공업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도에이 플라이어스(1954년 ~ 1970년) = = = 개인 기록 = = = = = = = 기록 달성 경력 = = = = 통산 1000경기 출장: 1968년 7월 17일 ※역대 133번째 = = = = 기타 = = = = 올스타전 출장 : 3회(1961년 ~ 1963년) = = = 등번호 = = = 31(1954년 ~ 1970년) 71(1971년) 60(1975년) 72(1976년) 88(1989년 ~ 1990년) = = = 연도별 타격 성적 = = = 1954년 도에이 25 26 25 0 7 0 1 0 9 0 0 0 0 0 1 0 4 1 .280 .308 .360 .668 1955년 도에이 24 30 28 2 2 1 0 0 3 1 0 1 1 0 1 0 0 9 2 .071 .103 .107 .211 1956년 도에이 95 225 210 12 31 2 0 1 36 11 1 2 5 2 3 0 5 41 4 .148 .177 .171 .349 1957년 도에이 70 141 135 6 26 3 0 1 32 10 0 1 0 0 6 0 0 20 1 .193 .227 .237 .464 1958년 도에이 67 161 151 11 34 9 1 3 54 10 1 0 2 1 6 0 1 33 3 .225 .258 .358 .615 1959년 도에이 130 438 408 26 75 11 1 4 100 33 1 0 9 3 17 6 1 55 9 .184 .217 .245 .462 1960년 도에이 26 52 46 2 10 1 0 0 11 4 0 0 2 0 4 0 0 9 1 .217 .280 .239 .519 1961년 도에이 135 436 403 25 90 8 2 4 114 32 2 1 10 0 21 2 2 57 9 .223 .265 .283 .548 1962년 도에이 106 278 260 14 54 15 1 0 71 22 3 0 11 1 6 2 0 25 10 .208 .225 .273 .498 1963년 도에이 123 386 360 26 91 9 1 4 114 29 1 2 5 1 18 1 2 43 11 .253 .291 .317 .608 1964년 도에이 91 210 192 10 43 4 0 1 50 25 1 1 3 1 14 2 0 21 14 .224 .275 .260 .536 1965년 도에이 43 63 60 1 13 2 0 0 15 4 0 1 1 0 2 0 0 3 3 .217 .242 .250 .492 1966년 도에이 21 11 11 1 2 1 1 0 5 2 0 0 0 0 0 0 0 4 1 .182 .182 .455 .636 1967년 도에이 15 9 9 1 3 1 0 0 4 2 0 0 0 0 0 0 0 1 0 .333 .333 .444 .778 1968년 도에이 62 76 69 4 17 3 0 0 20 7 0 2 3 1 3 0 0 11 1 .246 .274 .290 .564 1969년 도에이 41 22 22 2 4 2 0 0 6 4 1 0 0 0 0 0 0 6 0 .182 .182 .273 .455 1970년 도에이 4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통산 : 17년 통산 : 17년 1078 2564 2389 143 502 72 8 18 644 196 11 11 52 10 102 13 11 342 70 .210 .245 .270 .514 = 분류:다리구 = = 분류:1793년 설립 = = 연합군 최고사령부 = 연합군 최고사령부(聯合軍 最高司令部, , )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 패한 이후, 1945년 10월 2일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 4월 28일까지 6년 반 동안 일본에 있었던 연합군의 최고위 사령부이다. 당시 일본에서 SCAP은 GHQ라고도 불렸다. 초기에는 미국이 단독으로 일본을 점령, 통치하였으나 1946년 2월 26일에 11개국으로 구성된 극동위원회가 발족한 이후로는 이 위원회에서 일본 관리에 대한 기본정책을 결정하였다. 최고 사령관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으로 미국이 실질적인 일본점령의 실권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 중 몇몇이 일본의 새 헌법 초안을 기안하였고, 새 헌법은 나중에 몇 군데 수정을 거쳐 일본국 헌법으로 채택되었다. 통치방식은 일본의 통치기구를 이용한 간접통치방식을 취하였다. = = 개요 = = 제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이 포츠담 선언 및 항복문서에 입각한 대일점령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1945년 8월 일본 요코하마(橫浜)에 처음으로 연합국 최고사령부 기관을 설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어 1945년 9월 15일 GHQ는 본부를 도쿄(東京) 히비야(日比谷)로 옮겼다. 조직은 인사·정보·작전·후방 4개부로 이루어진 참모부(G-1, 2, 3, 4)와 민정국·천연자원국·경제과학국·민간정보국 등으로 이루어진 특별부문을 근간으로 하며 극동국제군사재판소도 그 관할하에 있었다. 연합국의 대일정책결정기관으로서 워싱턴에 극동위원회, 도쿄에 GHQ 자문기관으로서 대일이사회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연합군 선발 부대가 아쓰기 해군 비행장에 도착하기에 앞서서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대일단독통치를 언명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GHQ는 미국의 기관이며 미국이 최고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연합국인 미국이 GHQ 지령을 일본정부에 하달하고 일본정부가 이를 실천에 옮기는 간접통치방식이 채택되었다. 이 기관은 1952년 4월 28일 대일강화조약의 발효와 함께 폐지되었다. = = 구조 = = = = = 사령관 = = = = = = 부서 = = = 일본에 대한 연합국 위원회 () 부관() 참모총장 () 공공정보국 () 극동사령부 총참모부 * 제1부 (G-1, 인사) * 제2부 (G-2, 정보) * 제3부 (G-3, 작전) * 제4부 (G-4, 지원) 외무국 () 국제검찰국 법무국 () 참모부장 부관부 () 민사국 () 민간통신국 () 민간역과국 () 민간정보교육국 () 민간첩보국 () 민간자산관리국 () 민간운수국 () 경제과학국 () 민정국 () 천연자원국 () 회계검사국 () 공중위생복지국 () 국제검찰국 () 극동군 법무부 () 외교임무대, 기관 노르웨이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중국 포르투갈 프랑스 캐나다 = = 참고 자료 = = * * * * * * * * * * = 5회 정관장배 세계여자바둑최강전 = 5회 정관장배 세계여자바둑최강전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 중 한국이 우승했다. = =참가 기사 명단 = = 한국 : 일본 : 중국 : = = 대국 결과 = = 대국 연도 날짜 장소 승자 패자 결과 기보 1 2006년 12월 11일 중국 베이징 신원빌딩 호텔(Beijing News Plaza Hotel) 루지아 初단 이하진 二단 255수 백 반집승 2 2006년 12월 12일 중국 베이징 신원빌딩 호텔(Beijing News Plaza Hotel) 루지아 初단 아오키 기쿠요 八단 284수 백 14집반승 3 2006년 12월 13일 중국 베이징 신원빌딩 호텔(Beijing News Plaza Hotel) 김혜민 四단 루지아 初단 303수 흑 5집반승 4 2006년 12월 14일 중국 베이징 신원빌딩 호텔(Beijing News Plaza Hotel) 만나미 카나 三단 김혜민 四단 184수 백 불계승 5 2007년 1월 13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만나미 카나 三단 왕샹윈 初단 233수 백 불계승 6 2007년 1월 14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만나미 카나 三단 현미진 四단 278수 백 7집반승 7 2007년 1월 15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정옌 二단 만나미 카나 三단 253수 백 10집반승 8 2007년 1월 16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정옌 二단 박지은 六단 253수 흑 2집반승 9 2007년 1월 17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가토 게이코 五단 정옌 二단 200수 백 불계승 10 2007년 1월 18일 서울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 이민진 五단 가토 게이코 五단 275수 흑 불계승 11 2007년 3월 12일 중국 광저우(廣州) Asia International 호텔 이민진 五단 리춘화 四단 325수 흑 1집반승 12 2007년 3월 13일 중국 광저우(廣州) Asia International 호텔 이민진 五단 고니시 가즈코 八단 153수 흑 불계승 13 2007년 3월 14일 중국 광저우(廣州) Asia International 호텔 이민진 五단 예꾸이 五단 321수 백 9집반승 14 2007년 3월 15일 중국 광저우(廣州) Asia International 호텔 이민진 五단 야시로 구미코 五단 298수 백 6집반승 결과: 대한민국 우승 (6승 4패), 일본 준우승 (4승 5패), 중국 3위 (4승 5패) 05 = 하마키타구 = 하마키타구는 2023년 12월 1일까지 존재했던 하마마쓰시의 행정구의 하나이다. 2005년 7월 1일에 하마마쓰 시에 편입 합병한 구 하마키타시 전역이 구역을 이루고 있었으나, 2024년 1월 1일에 구의 통합·재편이 시행해, 본구와 미카타하라 지역을 제외한 기타구의 구역으로 하마나구가 신설됨에 따라 소멸되었다. = = 지리 = = 서쪽으로 미카타하라 대지, 동쪽으로 덴류강, 북쪽은 아카이시산맥에서 이어지는 산지의 남단, 그리고 하마마쓰 평야(엔슈 평야)의 북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구 북부·서부의 일부를 제외한 구역의 대부분은 평지이다. 구의 중앙부를 엔슈 철도가 남북으로 지나고 있고 연선의 거의 모든 지구에 주택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국도 152호선이 구를 이분하는 형태로 구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통과하고 있어 구내 도로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 역사 = = 하마키타 구내에는 인골이 발견되어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는 흔적이 확인되었다.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의 석기, 토기, 고분 등이 출토되고 있다. 난보쿠초 시대에 오히라 성은 이나사의 이이씨의 근거지였다. 1956년 4월 1일 - 하마나 군 하마나 촌, 기타하마 촌, 나카세 촌, 아카사 촌 및 이나사 군 아라타마 촌의 1정 4촌의 합병으로 하마키타 정이 되었다. 1963년 7월 1일 - 시로 승격해 하마키타시가 되었다. 2005년 7월 1일 - 하마마쓰 시에 편입 합병되었다. 2007년 4월 1일 - 하마마쓰 시가 정령지정도시가 되어 하마키타 구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엔슈 철도선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선 = = = 도로 = = = 국도 152호선 국도 362호선 = 세미하 양크 = 세미하 양크(Semiha Yankı; 1958년 1월 15일 ~ )는 튀르키예의 가수이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5에서 터키 대표로 참가했다. = 구산면 = 구산면(龜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유산리(柳山里) 마전리(麻田里) 석곡리(石谷里) 수정리(水晶里) 내포리(內浦里) 옥계리(玉溪里) 반동리(盤洞里) 구복리(龜伏里) 심리(深里) 난포리(藍浦里) = = 주요 시설 = = 마산 로봇랜드 해양드라마세트장: 석곡리에는 ‘김수로’, ‘무신’, ‘육룡이 나르샤’ 등의 드라마 촬영장이었던, 해양드라마세트장이 위치해 있다. = = 학교 = = 학교명 소재지 비고 구산초등학교 구산면 수정3길 8 (수정리)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구산면 해양관광로 739 (마전리) 반동초등학교 구산면 해양관광로 1460-14 (반동리) 반동초등학교 구복분교 구산면 해양관광로 1817 (구복리) 1997년 폐교 반동초등학교 옥계분교 구산면 옥계로 328 (옥계리) 1999년 폐교 반동초등학교 욱곡분교 구산면 내포리 964-1 1999년 폐교 반동초등학교 원전분교 구산면 원전1길 29-21 (심리) 1999년 폐교 구산중학교 구남분교 구산면 이순신로 7 (반동리) 2019년 본교에서 격하 (구) 구산중학교 구산면 구산로 548 (수정리) 2019년 현동지구로 교사 이전 및 본교 승격 창원동백학교 구산면 반동길 370 (반동리) = 분류:C등급 도시 문서 = = 뉴욕의 건축 = 뉴욕의 건축의 두드러진 특징은 초고층 빌딩이 많다는 것이다. 초고층 빌딩의 출현과 확산에 의해 뉴욕은 유럽적인 저층 건축에서 건물들이 들어선 비즈니스 도시로 변모했다. 2008년 8월 기준으로 뉴욕에는 고층 빌딩이 5538채가 있다. 200m 이상의 고층 빌딩은 50채가 있다. 이 수는 미국 내에서 1위이며, 세계에서 홍콩에 이어 2위이다. 뉴욕에는 다양한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 많다. 1913년에 지어진 울워스 빌딩은 초기 고딕 리바이벌 건축의 고층 빌딩이며, 큼직하게 디자인된 고딕 양식의 장식은 200m 가까이 아래 거리에서도 볼 수 있다. 1930년 지어진 크라이슬러 빌딩은 아르데코풍의 디자인으로 상단면이 위로 향해 가늘어지고 있으며, 스틸 첨탑이 서 있다. 61층 모서리에 있는 독수리 머리 모형과, 첨탑 아래의 V자형 조명 등의 화려한 장식은 크라이슬러 빌딩은 많은 역사가와 건축가들은 뉴욕에서 가장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하고 있다. 미국의 인터내셔널 스타일 건축의 예로서 큰 영향을 준 것이 1957년 완공된 시그램 빌딩이며, 전면에는 건물의 구조를 나타내는 청동 재료의 I 빔이 외부에서 보이게 되어있다. 2000년 완공된 콘데 내스트 빌딩은 녹색 디자인으로 지어진 건물의 중요한 예이다. 뉴욕의 대규모 주거 지역은 갈색 사암으로된 테라스 하우스, 타운하우스, 그리고 1870년부터 1930년까지의 급속한 개발기에 지어진 허름한 주택 단지로 경계가 나누어지는 경우가 많다. 1835년 뉴욕 대화재 후, 목조 건축의 건설이 제한되었으며, 돌과 벽돌을 주로 건축 자재로하여 집을 지었다.Lankevich (1998), pp. 82–83; 몇 세기에 걸쳐 마을의 석회암 지반에서 건축 자재를 얻었던 파리와 달리, 뉴욕은 넓은 채석장에서 건축 자재를 얻어 석조 건물을 지었으며, 그 석조 건물을 구성하는 돌의 종류는 다양하다. 1800년대의 뉴욕은 6층보다 높은 건물은 급수탑을 설치하지 않으면, 낮은 층에서 지나치게 높은 수압을 걸어야하고, 그렇게 되면 수도관 파열의 위험이 있었다. 1920년대에는 중심부에서 떨어진 지역에서 전원 도시가 성행했으며, 퀸스 지역의 잭슨 하이츠는 전원 도시 중 하나이다. = = 초고층 건물 목록 = = 다음은 뉴욕에서 가장 높은 순서대로 나열한 초고층 건물이다. 제 1 세계 무역 센터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뱅크 오브 아메리카 타워 크라이슬러 빌딩 뉴욕 타임스 빌딩 원 57 제 4 세계 무역 센터 70 파인 스트리트 40 월 스트리트 시티그룹 센터 트럼프 월드 타워 GE 빌딩 시티스파이어 센터 원 체이스 맨해튼 플라자 4 타임스 스퀘어 메트라이프 빌딩 블룸버그 타워 = = 추가 자료 = = Federal Writers' Project (1939). The WPA Guide to New York City, The New Press (1995 reissue). = 분류:부성급시 = = 분류:이집트 제20왕조 사람 =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은 배구 종목을 총괄하는 국제기구인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주관하는 국제 배구 대회이다. 대회는 1965년에 창설되었으며, FIVB 가맹국의 성인 남자 국가대표팀이 참여한다. 대회 초창기에는 올림픽 배구 이듬해에 열렸지만, 1991년 이래 올림픽 배구 이전 해에 4년을 주기로 열리고 있다. 현재 우승국은 2015년 월드컵에서 우승한 미국이다. 현행 대회 방식 하에서 일본에서 고정적으로 대회가 개최된다. 따라서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권을 얻는 일본을 포함하여 총 12개국이 월드컵에 참가한다. 12개국은 2주가량 대회를 치르며, 월드컵 우승국과 준우승국은 올림픽 배구 출전권을 획득한다. 현재까지 총 13번의 월드컵이 열리는 동안 6개국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최다 우승국으로는 소련 국가대표팀의 기록을 승계하는 러시아가 6번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러시아의 뒤를 이어 브라질과 미국이 각각 2번씩 대권을 들어올렸다. 쿠바, 이탈리아 그리고 동독 대표팀의 기록을 승계하는 독일은 각자 총 1번 월드컵에서 우승하였다. 차기 월드컵은 2019년에 열리며, 일본에서 개최된다.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는 FIVB 여자 배구 월드컵이 있다. = = 역대 대회 결과 = = 연도 개최국 결승전 결승전 결승전 3・4위 결정전 3・4위 결정전 3・4위 결정전 참가국 연도 개최국 우승 점수 준우승 3위 점수 4위 참가국 1965년 폴란드 소련 라운드 로빈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라운드 로빈 일본 11 1969년 동독 동독 라운드 로빈 일본 소련 라운드 로빈 불가리아 12 1977년 일본 소련 라운드 로빈 일본 쿠바 라운드 로빈 폴란드 12 1981년 일본 소련 라운드 로빈 쿠바 브라질 라운드 로빈 폴란드 8 1985년 일본 미국 라운드 로빈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라운드 로빈 브라질 8 1989년 일본 쿠바 라운드 로빈 이탈리아 소련 라운드 로빈 미국 8 1991년 일본 소련 라운드 로빈 쿠바 미국 라운드 로빈 일본 12 1995년 일본 이탈리아 라운드 로빈 네덜란드 브라질 라운드 로빈 미국 12 1999년 일본 러시아 라운드 로빈 쿠바 이탈리아 라운드 로빈 미국 12 2003년 일본 브라질 라운드 로빈 이탈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라운드 로빈 미국 12 2007년 일본 브라질 라운드 로빈 러시아 불가리아 라운드 로빈 미국 12 2011년 일본 러시아 라운드 로빈 폴란드 브라질 라운드 로빈 이탈리아 12 2015년 일본 미국 라운드 로빈 이탈리아 폴란드 라운드 로빈 러시아 12 2019년 일본 라운드 로빈 라운드 로빈 12 = = 기록과 통계 = = ※ 전임국의 기록을 승계하는 것과 관련하여 국제 배구 연맹(FIVB)은 다음의 기록승계를 인정하고 있다. = = = 국가별 우승 횟수 = = = 우승국 우승 횟수 6회 2회 2회 1회 1회 1회 = = = 국가별 메달 집계 = = = 1 align=left 6 2 2 10 2 align=left 2 0 3 5 3 align=left 2 0 1 3 4 align=left 1 3 1 5 4 align=left 1 3 1 5 6 align=left 1 0 0 1 7 align=left 0 2 1 3 8 align=left 0 2 0 2 9 align=left 0 1 0 1 10 align=left 0 0 2 2 11 align=left 0 0 1 1 11 align=left 0 0 1 1 합계 합계 13 13 13 39 = 서인영의 카이스트 = 서인영의 카이스트는 대한민국의 가수 서인영이 카이스트에서 대학생활을 체험한다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2008년 3월 20일부터 6월 5일까지 총 12회로 Mnet에서 방영되었다. = 리처드 스티븐 호비츠 = 리처드 스티븐 호비츠(, 1966년 7월 29일 ~ )는 미국의 배우이자 성우이다. = 요코야마 다쿠야 = 요코야마 다쿠야 (1985년 6월 29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우라와 레즈, 몬테디오 야마가타, 에히메 FC, 후지에다 MYFC에서 활동하였다. = 여과 (수학) = 수학에서 여과(濾過, )는 전순서 집합으로 지표화된 일련의 부분 대상들로 구성된 구조이다. = = 정의 = = 범주 \mathcal C의 대상 X\in\mathcal C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 위의, 부분 대상의 부분 순서 집합 \operatorname{Sub}(X)을 정의할 수 있다. 전순서 집합 I에 대하여, X 위의 I-오름 여과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전순서 집합 (I,\le) 순서 보존 함수 I\to\operatorname{Sub}(X), i\mapsto X_i.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X 위의 I-내림 여과는 I^{\operatorname{op}}-올림 여과와 같은 개념이다. 흔히 I의 경우 보통 자연수의 전순서 집합 (\mathbb N,\le)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부분 대상의 집합 \operatorname{Sub}(X) 대신 몫 대상의 집합 \operatorname{Quot}(X)을 사용하면 쌍대 여과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반대 범주 \mathcal C^{\operatorname{op}}에서의 여과와 같다. = = 예 = = = = = 가군 = = = 환 R 위의 왼쪽 가군 _RM 위의 \mathbb N-감소 여과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M에 다음과 같은 기저로 정의되는 자연스러운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 m+M_i\colon i\in\mathbb N,\;m\in M\right\} 이러한 위상이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될 필요 충분 조건은 인 것이다. 특히, 만약 R의 양쪽 아이디얼 \mathfrak i가 주어졌을 때, 여과 에 대응되는 위상은 \mathfrak i진 위상이라고 한다. 이는 대수기하학에서 등장한다. = = = 결합 대수 = = = 가환환 R 위의 결합 대수 A가 주어졌으며, 그 위에 R-가군으로서의 \mathbb N-올림 여과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나 이는 R-결합 대수로서의 여과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이 여과가 결합 대수 구조와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고 하자. (특히, 1_A\in A_0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R-등급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 그 위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이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결합 대수 사상 을 기호 사상(記號寫像, )이라고 한다. = = = 벡터 공간 = = = 선형대수학에서, 체 K 위의 벡터 공간 V의 오름 여과 에서, 만약 모든 포함 관계가 자명하지 않다면, 즉 이라면, 이를 기(旗, )라고 한다. = = = 시그마 대수 = = = (T,\lesssim)가 원순서 집합이라고 하자. 시그마 대수 \Sigma 위의 (오름) 여과는 순서 보존 함수 를 뜻한다. 즉, 다음 조건이 성립하여야 한다. 여기서 \operatorname{Sub}(\Sigma)는 \Sigma의 부분 시그마 대수들의 (부분 집합 관계에 대한) 부분 순서 집합이다. 여기서, T의 원소는 보통 "시간"이라고 불린다. 여과를 갖춘 시그마 대수를 여과 시그마 대수(濾過σ代數, )라고 하며, 마찬가지로 여과 확률 공간(濾過確率空間, ) 따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금융공학에서 가격의 움직임을 모형화하는 데 중요하게 쓰인다. 이 경우 \Sigma_t는 시점 t에 시장에 공개된 정보의 양을 나타내며, 따라서 여과를 통해 가격을 \Sigma_t-마팅게일로 만듦으로써 완전 시장을 모형화할 수 있다. = 보로네시 전투 (1942년) = 보로네시 전투는 1942년 동부 전선의 청색 작전 당시 돈강 유역의 전략적 요충지인 보로네시(모스크바 남쪽 450km)를 둘러싸고 나치 독일과 소련이 벌인 전투로 니콜라이 바투틴의 남서부 전선군 휘하 제40군이 담당하던 벨리키예-로스소시 방어전의 일부였다. 헤르만 호트 휘하의 남부 전선군, 4 기갑 사단은 7월 6일 서쪽 강둑을 점령했으나 소련군의 역습을 방어해야 했고 6 군을 따라 스탈린그라드로 진군했다. 이후 스탈린그라드를 향하는 B집단군의 초기 진격은 매우 순조로워 히틀러는 이에 소속된 제4기갑군이 코카서스로 동진하는 A 집단군에 합류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6군과 4기갑군이 같은 도로를 사용하게 되어 지역의 부족한 도로 사정과 맞물려 대규모의 교통 정체를 야기했으며 결국 이 지연은 매우 길어서 적어도 1주간의 진격이 지체되었다. 이렇게 되자 히틀러는 다시 마음을 바꿔 다시 4기갑군에게 스탈린그라드 공략에 합류하도록 명령했다. = = 참고 = = Glantz, David M. & House, Jonathan (1995), When Titans Clashed: How the Red Army Stopped Hitler, Lawrence, Kansas: University Press of Kansas, . = 분류:미국령 버진아일랜드에서 활동한 남자 축구 선수 = = 8월 28일 = 8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0번째(윤년일 경우 241번째) 날에 해당한다. = = 사건 = = 1945년 - 호찌민, 베트남 공화국 임시정부 수립. 1946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 공산당, 북조선 신민당과 통합해 북조선노동당 창립. 1952년 -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독도 분쟁 첫 발생. 1963년 - 워싱턴 대행진에서, 마틴 루터 킹이 연설을 하였다. 1973년 - 김영주 남북조절위원회 북측위원장, 남북대화 일방중단 성명 발표. 1980년 - 대한민국, 계엄사, 5월 17일 내렸던 전국 대학 휴교령을 107일만에 해제. 1982년 - 대한민국, 독립기념관건립준비위원회 발족해 범국민성금운동 벌이기로 결정. 1987년 - 필리핀에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가 발생, 55명이 사망하였다. 1989년 - 대한민국 재무부, 재벌의 비업무용 부동산 소유 강력히 억제하는 정책 발표. 1996년 - 영국 왕세자 찰스와 왕세자빈 다이애나 이혼. 2003년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6차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합의문 발표 2012년 아레나넷의 길드워 2가 정식 서비스에 돌입했다. 제15호 태풍 볼라벤이 한반도의 서해안을 관통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큰 피해를 주었다. 2013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신야촌 상공에서 비행훈련 중이던 공군 제1전투비행단 소속 T-50 골든이글 훈련기가 추락해 2명이 사망하였다. 2020년 - 아베 신조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건강 악화로 사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 = 문화 = = 1950년 - 대한민국 한국은행, 1차 화폐개혁(조선은행권 원: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1970년 - 대한민국의 김민기가 〈아침 이슬〉을 발표하다. 1990년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제1회 서울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1991년 -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 건설공사 1단계 준공식. 1999년 - 러시아 유인 우주정거장 미르 호, 13년 만에 공식 활동 종료. 2001년 - JTV MAGIC FM 개국(90.1MHz). 2004년 - 한나라당 의원 24명으로 구성된 극단 '여의도'가 연극 《환생경제》를 상연하다. 2008년 - 골드코스트 유나이티드와 노스퀸즐랜드 퓨어리가 2009-10 A리그 참가를 확정되었다. 2009년 - 노엘 갤러거가 오아시스를 탈퇴. = = 탄생 = = 1555년 - 조선의 장군 이복남. (~1597년) 1582년 - 중국 명나라의 제14대 황제 태창제. (~1620년) 1725년 - 영국의 정치가 찰스 타운젠드. (~1767년) 1749년 - 독일의 작가, 철학자, 정치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832년) 1861년 - 한국의 화가 안중식. (~1919년) 1880년 - 대한제국의 관료 이원흥. (~1950년) 1894년 - 오스트리아의 지휘자 카를 뵘. (~1981년) 1899년 - 대한민국의 2·7대 국무총리 장면. (~1966년) 1925년 - 미국의 배우, 가수 도널드 오코너. (~2003년) 1929년 - 북한의 정치인 김기남. 1937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천용택. 1943년 - 미국의 영화배우 데이비드 솔. (~2024년) 1947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이상벽. 1954년 - 미국의 체스 선수 제러미 실먼. (~2023년) 196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오광록. 1962년 - 미국의 영화 감독 데이비드 핀처. 1965년 - 일본의 게임 개발자 다지리 사토시. 1966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전노민. 1969년 - 미국의 기업인 셰릴 샌드버그 1974년 - 일본의 성우 미즈하시 카오리. 1975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주아. 1977년 - 미국의 야구 선수 톰 션. 1979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강근. 1981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구은영. 1982년 - 미국의 가수 리앤 라임스. 1983년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멜라니아 가비아디니. 1984년 - 대한민국의 배우 소이현. 1985년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장주희. 1986년 미국의 배우 아미 해머. 영국의 가수 플로렌스 웰츠. 1987년 - 대한민국의 배우 박주희. 198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조권. 1990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보얀 크르키치. 1991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진희. 1992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의조. 인도의 육상 선수 안누 라니. 1993년 - 대한민국의 가수 후이 (펜타곤). 1994년 - 튀니지의 테니스 선수 온스 자베르. 1996년 - 대한민국의 가수 김세정. 1998년 - 일본의 농구 선수 아카호 히마와리. 2000년 - 대한민국의 가수 레이첼 (에이프릴). = = 사망 = = 388년 - 서로마 제국의 찬탈자 마그누스 막시무스. (335년~) 840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동프랑크의 왕 프랑크의 루트비히 1세. (778년~) 876년 - 동프랑크 왕국의 왕 프랑크의 루트비히 2세. (802년~) 1793년 - 프랑스의 장군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1472년~) 1939년 - 프랑스의 펜싱 선수 외젠 앙리 그라벨로트. (1876년~) 1943년 - 불가리아 국왕 불가리아의 보리스 3세. (1894년~) 1959년 - 체코의 작곡가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1890년~) 1987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석현. (1900년~) 1993년 - 대한민국의 배우 변영훈. (1962년~) 1995년 - 독일의 작가 미하엘 엔데. (1929년~) 2007년 - 스페인의 축구선수 안토니오 푸에르타. (1984년~) 2016년 -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 미스터 후지. (1935년~) 2017년 - 대한민국의 가수 조동진. (1947년~) 2017년 - 일본의 정치인 하타 쓰토무. (1935년~) 2017년 - 프랑스의 배우 미레유 다르크. (1938년~)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채드윅 보즈먼. (1976년~) 2021년 - 대한민국의 법조인 윤재식. (1942년~) 2021년 - 아프가니스탄의 시인 아사둘라 왈왈지. (1914년~) 2023년 - 대한민국의 가수 임종임. (1949년~) = 분류:모나코의 자연사 = = 위키백과:삭제 토론/틀: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사람 = = = 틀: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사람 = = 전원 유지 의견이므로 유지로 종결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4월 7일 (화) 15:42 (KST) 범죄인의 죄가 없는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잘못된 목적에서 작성된 틀로, 이미 범행 시인을 했고 증거가 충분한 사람까지 범인이 아닐 가능성이 있는것처럼 보이게 하는 등, 백:중립적 시각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FreeHKWP (토론) 2020년 3월 30일 (월) 11:32 (KST) = 분류:플란데런의 역사 = = 분류:그리스계 잉글랜드인 = = 분류:스웨덴의 남자 알파인 스키 선수 = = 분류:에오세 남아메리카의 생물 = 에오세의 남아메리카 생물 분류 생물 남아메리카 *2 = 분류:서울고은초등학교 동문 = = 조선일보 = 조선일보(朝鮮日報)는 1920년 3월 5일 창간한 대한민국의 조간 일간지이다. 한국어 신문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조선미디어그룹의 조선일보사에서 발행한다. 2020년 기준, 대한민국 내에서 유료 부수 100만부가 넘는 유일한 신문이자,2020년도 종편-케이블 방송사업 겸영매체 발행·유료부수 한국ABC협회 2020년 6월 12일 대한민국에서 영향력 있는 미디어로 손꼽힌다.가장 영향력 있는 미디어 JTBC·중앙일보>조선일보·TV조선>KBS 순 이데일리 2019년 12월 11일 = = 역사 = = 그리고 1924년 9월 13일에 신석우가 조선일보를 인수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을 지원하는 항일 독립 신문으로서의 정체성을 뚜렷히 했고, 4대 사장인 이상재가 취임한 후에는 신간회 결성을 주도하고 문자보급운동의 일환으로 한글 교재를 무상 배포하는 등 우리나라의 문화보전에 힘썼다. 이후 5대 사장은 조선 독립민족주의 성향의 신석우가 맡았다. 이후 1931년에 재만동포 자금 횡령 사건에 6대 사장 안재홍이 연루되어 구속되고, 7대 사장 유진태 8대 사장 조만식을 거쳐 9대 사장 방응모가 취임한 후 한일 학생의 교육차별을 비판하는 논설 '교육필화'로 인해 총독부에게 기사가 압수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부사장이던 이광수의 영향으로 민족개량주의까지 합세하여 더욱 항일적인 신문이 되었다. 그러나 1936년부터 총독부의 개입으로 인해 항일 성향이 줄어들었으나, 이후 중일전쟁에서 일본을 평론하는 사설과 신문내용을 여러차례 보내면서 간접적으로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그 후 1940년 조선총독부의 민족 말살정책의 표적이 되어 발간을 중단하였고, 이에 당시 사장이었던 방응모는 월간 조광을 창간하면서까지 신문을 이어나갔다. 해방 이후, 1945년 11월 23일 조선일보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다시 속간되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어가던 백범 김구는 조선일보의 복간에 대해 '有志者事竟成' 뜻을 지닌 자 성취할 수 있다'는 친필 휘호를 보내며 크게 축하해주었다.'조선일보 역사 읽기' 책은… 조선일보2004.06.03 그리고 9대 사장인 방응모의 한국독립당 입당과 반탁운동 가담을 계기로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의 김구와 한국독립당을 지지하였으며, 1947년 이후 민족 지도자 중에 한 명이었던 이승만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노선을 지지하게 된다. 마침내 1948년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이 취임하자 이승만 정부의 출범을 지지하였고, 동시에 6.25 전쟁이 발발한 1950년까지 반민족 행위자 강력처벌과 처단을 주장했다. 한편, 국가보안법이 제정되었을 때 남용소지에 대해 비판을 함으로써 국가보안법의 사용 규범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1950년 6.25 전쟁 당시에는 북한에게 조선일보가 넘어가면서 한때 조선일보는 인민군 기관지로 전락했지만, 1950년 10월 1일 동부전선에서 육군 제3사단이 38선을 돌파하며 전세가 역전되면서 다시 대한민국의 기관지로 회복됨과 동시에 북한의 남침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여 한국전쟁 이슈들을 많이 다뤘고, 1951년 이후에는 이승만 정부와 대한민국 국군을 완전히 지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방위군 사건과 보도연맹 사건, 거창 양민 학살사건 등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과 국군에 불리한 내용은 다루지 않았으며, 한국전쟁이 끝난 1954년부터는 보수주의 색이 강해져서 대한민국과 한국전쟁 당시 국군을 도와줬던 UN 등 국제적인 자유 진영을 지지하게 되었다. 이후 조선일보는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이승만 정부의 부산 정치파동을 다루지 않았고, 이승만 정부와 집권 여당이었던 자유당이 추진했던 반공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또한 진보당 사건, 진공관 구입 밀수출 사건, 이승만 암살 음모 사건, 뉴델리 밀회 조작 사건, 금정산 공비 사건, 대구 매일신문 테러 사건, 박정호 간첩 사건, 김정제 간첩 사건 등 이승만 정권의 공안정국에는 반공주의 기준과 이승만 정부를 옹호하는 기사를 보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금성사 설립 기사와 삼성 관련 기사를 많이 보도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대기업 육성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외에도 능의선 기공식과 한글학회의 <<우리말 큰사전>> 완간을 보도했고, 가짜 이강석 사건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당시 반공주의를 기반으로 한 국민 통합에 앞장섰다. 하지만 1960년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이 일어나면서, 조선일보는 국민의 편에서 이승만 정권을 비판하여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하야를 이뤄내었다. 그리고 제2공화국 장면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는 교원노조 운동을 지지하기도 했으나, 1960년 당시 장면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원노조 운동 탄압과 노동운동 탄압에 조선일보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그러다 1961년에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고 나서 조선일보는 박정희의 국가재건최고회의 출범을 지지함과 동시에 1961년부터 1962년까지 5.16 군사정변을 지지하는 신문을 여러차례 내보냈다. 그리고 그 당시 공안사건들이던 민족일보 사건, 사대당 사건, 교원노조 사건, 유족회 사건 등에 대해 반공주의적 기준과 박정희 군정을 옹호하는 쪽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또 이 당시 삼성물산 설립 기사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또 문화방송, 한국방송 설립 기사도 여러차례 내보냈다. 그리고 군사원호청 발족 기사와 전국경제인연합회 설립 기사, 한국신문윤리위원회 발족 기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발족 기사 등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하지만 박정희가 대통령에 출마하면서 다시 반정부적인 성향으로 돌아섰는데 이후 최석채 주필이 재직하던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조선일보는 상당히 박정희 정부, 즉 제3공화국에 비판적이었다. 그리고 이 당시 조선일보는 사회적 약자와 노동운동 세력들에게 상당히 우호적인 입장이었다. 당시 한일기본조약의 강행과 1차 인민혁명당 사건, 미법도 주민 간첩단 사건, 제1차 민족주의비교연구회 사건, 서울대 문리대 불꽃회 사건, 분지 필화사건, 언론계 침투 무전 간첩단 사건, 경향신문 간첩사건, 한국독립당 내란음모사건의 사법처리 과정에 상당히 비판적이었다. 다만 이 시기에도 삼척군 해안가 간첩 사건, 군내 반정부 음모사건, 진장언 하사 간첩사건, 송추 간첩사건 같은 공안사건에 대해서는 반공주의적 기준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그리고 삼성 사카린 밀수사건에 대해서도 삼성을 상당히 비판하는 논조로 보도를 했다. 그리고 한국전력, 중소기업은행 설립을 호의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1967년부터는 조금씩 다시 박정희 정부에 우호적인 기준으로 기사를 내보내기 시작했는데 박정희가 대통령 재선에 성공하고 이 시기 제2차 민족주의비교연구회 사건, 영호남·서해안 무전 고정간첩단 사건, 동백림 사건, 서울사범대학 독서회 사건이 발생하면서 조선일보는 다시 보수언론으로 다시 조금씩 돌아가게 되고 1968년에는 통일혁명당 사건과 남조선해방전략당 사건 같은 공안정국이 일어나면서 조선일보는 또다시 보수언론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1969년, 박정희 정부의 3선 개헌 이후로 조선일보는 다시 보수성향으로 완전히 돌아서는데 당시 유럽 간첩단 사건과 이수근 위장간첩 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3선 개헌을 지지하는 보도 또한 여러 차례 내보냈다. 또 그 당시 대한항공 민영화 기사, 삼성전자 설립 기사, 현대자동차 설립 기사, MBC 개국, 일간스포츠 창간, 진주 남강댐 준공도 여러차례 보도했다. 1970년 당시에도 박정희 대통령을 찬양하거나 지지하는 기사, 사설들을 여러차례 내보냈으며 경부고속도로와 경인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의 준공 기사와 정부중앙청사 준공 기사, 병무청 발족 기사, 남산1호터널 개통, MBC 뉴스데스크 첫 방송, 100원 주화 사용 기사 또한 여러차례 내보냈다.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박정희 대통령의 3선을 지지하는 사설과 기사를 여러차례 내보냈다. 또한 당시 서울대생 내란예비음모 사건, 유학생 형제 간첩단 사건, 일본 거점 간첩단 사건, KAL기 납북미수 사건, 남파간첩 백귀남 사건 등 공안정국을 대대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또 실미도 사건과 대연각호텔 화재 사건을 보도하기도 했다. 그리고 광주 대단지 사건이 발생하자 조선일보는 이를 정부의 입장에서 보도했다. 또 1972년에는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1972년에 10월 유신으로 제4공화국이 들어서자 조선일보는 박정희 대통령을 적극 찬양하고 지지하는 기사를 여러차례 내보냈다. 유신 체제 당시 조선일보는 경제 면에서는 포항제철 설립,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남해고속도로 개통, 호남고속도로 개통, 삼성중공업 설립, 강남-여의도 개발, 각종 고층건물 건설, 대우중공업 설립 등을 상당히 보도했고 정치 면에서는 민주공화당을 찬양하는 기사를 여러 번 썼고 10월 유신을 찬양하는 기사를 여러 번 썼다. 또한 1973년 당시 발생한 최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 때도 중앙정보부를 옹호하는 쪽으로 기사를 썼으며 당시 북제주도 우도 무장 침투 간첩단 사건, 일본 거점 귀화 간첩 사건 등을 상세히 보도했다. 이후 전남대 불온 삐라 살포사건, 남산 부활절 예배사건, 고려대 NH회 사건, 서울대 공대 조교수 간첩사건, 나쓰야 간첩사건, 김장현 간첩사건, 김철우 조총련계 간첩사건 등을 대대적으로 보도했고 서울 어린이대공원 개장과 현대중공업 설립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그리고 조선일보는 유신체제 당시 1974년부터 1975년까지 연이어 발생한 여간첩 채수정 사건, 대전·전주 고정간첩단 사건, 문인간첩단 사건, 울릉도 거점 간첩단 사건, 민청학련 사건, 긴급조치 1,2호 위반 사건, 김영작 간첩사건, 김승효 간첩사건, 부산·경남 거점 고정간첩단 사건, 재일동포 진두현 간첩단 사건,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 재일동포 김달남 간첩사건, 재일동포 유정식 간첩사건, 학원침투 유학생 간첩단 사건, 귀화 일본인 간첩단 사건, 박복순 남파 간첩단 사건, 겨울공화국 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여 유신체제 당시의 공안정국 확성기 노릇을 했다. 그리고 1975년 당시에는 여의도의 국회의사당 준공 기사와 학도 호국단 창설 기사를 여러차례 내보냈다. 또 민방위대 창설과 부처님 오신 날, 어린이날 공휴일 제정, 영동고속도로 준공 등을 기사로 내보냈다. 그 뒤 1976년에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을 집중적으로 보도했고 한민통 간첩사건 또한 집중적으로 보도해서 공안정국의 확성기 노릇을 계속했다. 그리고 연이어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체제를 찬양하는 기사를 여러차례 보냈다. 그리고 이 당시 조선일보는 경제 면과 문화 면에서 신용보증기금 설립 기사와 용인자연농원 개장, 반월 신도시 건설, KBS 여의도 사옥 설립, 태권V 개봉, 아이미 개발 등에 대한 기사도 여러차례 보냈다. 그리고 1978년에는 최은희 납북 사건을 보도하기도 했으며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자연보호헌장 선포 등의 기사도 내보냈다. 또한 1979년에는 삼척 고정간첩단 사건, 통일혁명당 재건 음모 사건, 부산·삼천포 고정 간첩단 사건 등을 여러차례 기사로 내보냈다. 그리고 10.26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에도 특종 보도를 많이 했다. 10.26 사건 이후에는 12.12 쿠데타를 많이 보도했다. 1972년 3월 5일 52주년 기념호를 통해 독자가 50만 명을 넘어섰다고 공식 선언하고, 1974년에는 미국 ASI의 조사 결과 정기구독자 비율에서 1위를 차지했다.방우영, 편집혁신 통해 '정상 조선일보' 탈환 조선일보2010.03.04 1979년 2월에 발행부수 100만부를 돌파하여, 1991년에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 200만부를 돌파하였다. 조선일보사는 1968년에 주간조선을, 1980년에 월간조선을 각각 발간하였고 1991년 소년조선일보를 창간하였다. 1999년 3월 2일에는 전면 가로쓰기 체제를 도입했다. 1995년 (주)디지틀조선일보를 설립해 인터넷 서비스를 강화하여 2008년 3월 5일부터는 조선일보 지면을 PC상에서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아이리더’ 서비스를 시작하였다.신개념 디지털 페이퍼 '아이리더' 조선일보2008.03.05 = = = 창립 역사 = = = 한국어는, 한글로 표기되고 있다. 조선일보는 3.1운동 이듬해인 1920년에 창립하였으며 일본의 소위 문화정치가 실시되면서 동아일보와 함께 조선총독부로부터 허가되었다. 창간 당시에는 대정친목회를 모체로 조진태사장으로 시작하였으나, 자금력부족으로 송병준에게 넘어갔다. 송병준은 자신이 신문경영 전면에 나서지 않고 원로 언론인 남궁훈을 사장으로 영입한다. 1924년 남궁훈은 민족주의자였던 신석우가 인수해 민족의 사표(師表)로 추앙 받던 이상재를 추대할 때까지 사장으로 재임한다 1924년 이 때는 일제와 타협적이던 동아일보와는 달리 비타협적인 민족주의 성향을 띠었다. 좌파와 우파가 연합한 최대 독립운동조직 신간회 결성을 주도하기도 했으며, 홍명희와 박헌영, 김단야 등 사회주의자들이 대거 조선일보에 입사하면서 사회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후 계속적인 경영 악화로 조만식을 거쳐 방응모에게 소유권이 넘어갔다.조선일보 측에 따르면, 1932년 2월에 조선일보 사장 안재홍이 일제 경찰에 의해 구속당했고 조선일보는 당시 재정악화로 고리대금업자 임경래가 조선일보 발행권을 인수했다 한다. 그리고 임경래는 6월부터 부사장을 맡아 발행인과 편집인을 겸했는데, 여기서 조선일보 사원들의 반발이 극심해졌고 조선일보 사원들은 협의를 통해 1932년 7월에 출소한 여운형을 조선일보 사장직으로 추대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중외일보(당시 중앙일보) 기자로 활동했던 홍증식이 먼저 여운형을 찾아가 중앙일보 사장으로 추대했다고 한다. 이때문에 조선일보는 1933년 3월, 방응모를 사장으로 추대하기까지 재정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그 시기에 조만식이 자신의 평양재산을 털어 조선일보를 인수하였고 방응모가 인수하기까지 혼란을 잠재우는데 최선을 다할 수 있었다. <조선일보 사람들 일제시대 편> 참고. 그 후 보수적인 언론인들이 조선일보사를 주도하면서, 보수주의 관점에서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 = = 인물 = = = 일제시대 초기 조선일보에는 다양한 경력과 능력의 소유자들이 집결했다. 독립운동가, 민족주의자, 보수주의자를 비롯해 각 분야의 최고 엘리트들과 활동가들이 어울려 민족의 '정신적 정부'를 자임했다. 조선일보 사장을 지낸 남궁훈, 이상재, 신석우, 안재홍, 조만식 등은 민족 지도자들이었다. 조선일보 창간 사회부 기자로서 일제를 규탄하고 총독 암살을 계획했던 독립운동가 방한민(方漢旻), 일제의 조선인 학살 현장에 달려가 목숨걸고 취재한 이석, 한홍정 등은 펜으로 일제의 총칼에 직접 맞선 행동파였다. 독일 유학 후 혁명의 모스크바로 파견된 김준연, 영국·프랑스·독일·스위스에서 화려한 학력을 쌓은 이관용, 미국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은 이훈구, 그리고 중국 내전 현장을 누빈 이상철, 홍양명, 홍종인 등은 세계 정세와 선진 문물을 알리는 전령사들이었다.조선일보 사람들 일제시대 편, 조선일보 사료연구실, 2004년 12월 22일 방정오 전 TV조선 대표, '고 장자연 보도' 한겨레·미디어오늘 상대 정정보도 소송 승소에서 방정오 전 TV조선 대표가 자신과 고 장자연씨가 자주 통화하고 만났다는 내용의 보도를 한 언론사들을 상대로 하는 정정보도 청구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2022년 12월 16일 대법원 민사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방 전 대표가 한겨레신문과 미디어오늘에게 "정정 보도문을 게재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2심을 그대로 확정했다. 지면 주6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매주 일요일 신문은 발행하지 않고설날·추석에 한정, 온라인 서비스를 계속한다. A: 종합뉴스 섹션은 평일과 토요일에 싣는다. B: 경제 섹션은 조선경제에서 평일에 싣는다. C 이상: 별도에 기타 · 생활 정보 또는 부동산, 의료 섹션을 싣는다. = = 자매 언론기관 = = 조선일보사는 일간지 외에도 주간지 '주간조선', 스포츠지인 '스포츠조선', 관광 숙박시설에 대한 잡지 '월간 산', 취미 문화에 관한 잡지 '월간 낚시' 등의 시사지와 잡지를 발행한다. 자회사로는 '디지틀조선', '월간조선', '조선에듀케이션', '헬스조선' 등이 있으며 이 중 '디지틀조선'은 코스닥에 상장하였고, 2004년부터 연간 80억 정도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들을 위해 1936년부터 조선일보 일요일판에 한 면 씩 실었으며, 1937년부터는 별도로 '어린이조선일보'를 발행하고 있으며, 일반단행본과 백과사전들을 편집하는 출판사업도 하고 있다. 조선일보에서 출판한 단행본으로는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따뜻한 이야기(1998년)나 영화 말아톤으로 유명해진 장애인 배형진씨의 이야기를 담은 달려라 형진아등이 있다. 또한 온라인버전 조선닷컴이외에 영어판, 일본어판, 중국어판 온라인신문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 조선일보 일본어판은 자회사 '조선일보 일본어판'(구 조선일보JNS)에서 운영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2007년에 비즈니스앤을 개국하고, 2008년 11월에는 방송기자와 피디를 모집, 2008년 2월에는 대구방송, KNN과 함께 "아워 아시아"를 제작, 배급하였다. 이외에도 조선일보는 종합편성방송 심사에서 2위로 통과한 'TV조선'을 소유하고 있으며, TV조선과 조선일보는 보수적 논조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010년 조선일보는 창간 90주년을 맞아 조선일보와 그 관계사를 아우르는 미디어그룹인 조선미디어를 출범시켰다. 이외에도 '주간조선' '월간조선' 등을 제작하는 조선뉴스프레스라는 자회사가 있다. = = 발행 부수 = = 대한민국 신문 구독률 36.8% 가운데 조선일보는 11.9%를 차지하였으며, 구독점유율은 24% ~ 30% 로 나타나고 있다. 특정 신문 구독 여부에 관계없이 지난 일주일간 어떤 신문의 기사를 봤는지를 알아보는 주간열독률 조사에서 조선일보의 열독률은 16.2%였다. 2009년 한국ABC협회가 실시한 집계에서 발행부수 1,844,783부로 집계되었다. 2011년 기준으로 유료 발행 부수는 1,353,159부였다.종이 신문, 발등에 불 떨어졌다-시사저널 2011년 7월부터 가판 가격이 인상되어 현재 부당 1000원이나 월 구독료는 15,000원으로 변함없다. 한국ABC협회가 2020년 발행·유료 부수 현황을 공개한 자료에서 조선일보는 121만부의 공식 발행 부수를 가진 국내 최대 신문이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유료부수 100만부가 넘는 신문으로 확인되었다. '조선일보'는 발행 부수 121만2208부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동아일보(92만5919부)·중앙일보(86만1984부)·매일경제(70만6760부)·한국경제신문(52만6908부) 등의 순이었다. 실제 판매량을 집계하는 유료 부수에서도 '조선일보'가 1위(116만2953부)였다. 2·3위인 '동아일보', '중앙일보'와는 각각 29만, 35만부 격차였다. = = 평가 = = = = = 긍정적 지표 = = = 2014년 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전문가 설문조사의 언론 매체 영향력 및 신뢰도·열독률 조사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 매체’ 순위 조사에서 KBS와 조선일보의 양강 체제가 굳건하였다. KBS 59.6%와 조선일보 51.2%로 네이버 32.1%, MBC 22.0%, 중앙일보 15.9% 등 다른 매체들을 압도했다. ‘가장 열독하는 언론 매체’ 조사에서는 조선일보(21.8%)가 2위를 차지했고, KBS(20.0%)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갤럽이 2013년 9월 30일부터 2주간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집에서 유료로 정기구독하는 신문'을 기준으로 조사한 가구 구독률에서 조선일보는 11.9%로 압도적 1위였다. = = = 부정적 지표 = = = 2009년 "시사IN"이 전화 여론조사를 한 결과, 어느 매체를 가장 불신하느냐는 질문에는 중복응답을 기준으로 할 때 조선일보의 응답률이 20%에서 크게 늘어 34.2%를 차지하여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제치고 1위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기자협회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한 현직 기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로는 한겨레가 15.4%, MBC 14.3%, KBS 11.2%, 경향신문 8.7%, 한국일보 4.0%에 이어서 조선일보는 2.4%를 차지하였다. '시사IN'이 행한 '가장 불신하는 매체' 조사에서 2017년 2위, 2018, 2019년에는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2017년 조사에서 조선일보는 '가장 불신하는 매체' 순위 2위, TV조선은 4위에 위치하였다. 2018년 조사에서는 조선일보(25%)와 TV조선(12%)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조선일보 계열이 '가장 불신하는 매체' 부문에서 약 40% 가량을 독식하였다. 2019년 조사에서도 조선일보가 1위(24%), TV조선이 3위(7%)를 차지하여 조선일보 계열은 2019년에도 '가장 불신하는 매체' 부문에서 30% 가량을 독식하였다. 이는 해당 부문 2위인 KBS (10.7%)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공개한 2018년 매체신뢰도 순위에서 조선일보와 TV조선이 15개 매체 중 각각 14위, 15위에 올라 조선일보 계열이 최하위권에 머무른 가운데 2019년 매체신뢰도 순위에서 조선일보와 TV조선이 14개 매체 중 각각 14위, 13위를 차지하여 사실상 2년 연속으로 조선일보 계열의 매체는 가장 신뢰도가 낮은 매체로 꼽혔다.조선일보를 비롯한 중앙일보, 동아일보 지국의 98%가 신문고시를 위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2년과 2003년 ABC협회의 조사에서 발행부수중 5만 6,000여부가 부풀려져 175만 6,193부로 수치를 조작했음이 드러나기도 했다. = = 기타 = = = = = 내일은 늦으리 = = =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환경보전 슈퍼 콘서트의 부제이다. 말 그대로 환경보호를 위해 톱스타군단이 총출동한 대형 콘서트이다. = = = 한국신문상 수상 = = = 한국신문협회는 조선일보의 '채동욱 검찰총장 혼외 아들' 보도를 2014년 한국신문상 뉴스취재보도부문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심사위원들은 "언론이 권력자의 탈선된 사생활을 보도하려 할 때 필요한 덕목인 용기를 잘 보여주었다"고 하며 언론의 역할에 충실한 조선일보를 높이 평가했다. = = 외부 기고자 = = 유근일: 1993년 2월 13일~ 윤평중: 2013년 4월 9일~ 조용헌: 2004년 9월 1일~ 김대식: 2012년 12월 8일~ 최재천: 1999년 1월 27일~ 김정운: 2017년 6월 24일~ 정민: 2009년 4월 30일~ 서지문: 2016년 6월 21일 김명환: 1993년 5월 12일~ 이한상 2007년 6월 18일~ 백영옥: 2006년 11월 8일~ 팀 알퍼: 2016년 1월 26일~ = = 갤러리 = = Political contrast (5521514833).jpg = = 조선뉴스라이브러리 = = 조선일보 창간 100주년 기념으로 뉴스라이브러리 서비스의 1920년 창간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무료 열람 할 수 있으며, 별도 무료와 유료 서비스이다. 그리고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 과거 신문을 제공한다. = 구석기 시대 = 구석기 시대(舊石器時代)는 선사 시대의 시대 구분으로 석기 시대 초기를 말한다.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타제석기)를 도구로 사용했다. 시대적으로는 12,000년 전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해당한다.Nicholas Toth and Kathy Schick (2007). Handbook of Paleoanthropology.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1963. (Print) 978-3-540-33761-4 (Online),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와 같은 유사 인류가 석기를 사용한 것까지 구석기로 분류한다면, 250만년"Stone Age,"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7 Contributed by Kathy Schick, B.A., M.A., Ph.D. and Nicholas Toth, B.A., M.A., Ph.D.~260만 년 전까지로 거슬러 올라간다. 구석기(Paleolithic)라는 용어는 1865년 고고학자인 존 러벅에 의해 만들어진 말이다. 이것은 와 (palaios, old를 뜻한다.)+ (lithos, 돌)을 뜻하는 합성어이다. 구석기 시대는 전기 구석기, 중기 구석기, 후기 구석기로 구분되며,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 = 시대 구분 = = 세 시대 체계는 인류의 선사 시대를 주요 도구의 기술적 수준에 따라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한다. 현대의 시대 구분에서 석기 시대는 다음의 지질학적 시간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플라이스토세 기 (두텁게 빙하가 덮인 날씨) 구석기 시대 홀로세 기 (현대적인 날씨) 중석기 시대 또는 아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역사 시대 (문자 기록이 시작) 전통적으로 구석기는 전기 구석기, 중기 구석기, 후기 구석기 등 세 시기로 분류되어 왔으며, 서로 다른 인류 사회에서 기술적, 문화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 = = 구석기 시대의 문화 = = = 구석기 시대 전기 구석기 (약 80 만년전) * 올도완 문화 * 아슐 문화 * 클락톤 문화 중기 구석기 (약 70 만년전) * 무스티에 문화 * 아테리아 문화 후기 구석기 (기원전 2000~1000년전) * 샤텔페롱 문화 * 오리냐크 문화 * 그라베트 문화 * 솔류트레 문화 * 막달렌 문화 = = 환경 = = 구석기 시대의 날씨는 플리오세, 플라이스토세 두 지질학적 시기로 구분된다. 이 두 시대 모두 인류 사회에 중요한 지리적, 날씨 변화를 겪게 했다. 플리오세 기에는 현재 위치에서 70km에서 250km에 이르는 대륙의 이동이 있었다. 남아메리카는 파나마 지협을 통해 북아메리카와 연결되어 있었다. 플라이스토세 기의 날씨도 차고, 건조했으며, 현대의 날씨와 같이 계절을 가지고 있었다. 빙상이 남극까지 뻗어있었다. 빙기의 영향은 전 지구적이었다. 남극 대륙은 플라이스토세와 앞선 플리오세에 걸쳐 얼음으로 덮여있다. 안데스는 파타고니아 빙상에 의해 남쪽이 덮여있었다. 뉴질랜드와 타스마니아도 빙하가 많이 있었다. 지금은 녹고 있는 케냐와 킬리만자로와 동쪽 로웬조리산맥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의 빙하는 더 커졌다. 에티오피아의 산맥 그리고 서쪽으로 아틀라스산맥에도 빙하가 있었다. 북반구에는 많은 빙하가 하나로 뭉쳐 있었다. 코딜레란 빙상은 북아메리카를 북서쪽으로 덮고 있었고, 로렌타이드는 동쪽을 덮고 있었다. 페노-스칸디안 빙상은 영국을 포함한 북유럽을 덮고 있었고, 알프스 빙상은 알프스를 덮고 있었다. 흩어진 반구가 시베리아와 북반구를 관통하여 뻗어 있었고, 북극해는 얼어 있었다. 18,000년 전 전기 구석기 시대(플라이스토세 후기) 동안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를 잇는 베링 섬 다리는 클로비스 문화와 같은 초기 고대 인디언들을 베링가를 건너 아메리카 바로 건너가지 못하도록 얼음으로 막혀 있었다. 마크 리나스(Mark Lynas)의 자료에 의하면, 플라이스토세 전체의 날씨는 남태평양의 무역풍을 동반한 지속적인 엘니뇨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고 있다. 이러한 엘니뇨는 약해지거나, 동쪽으로 향하는 남태평양의 무역풍과 페루 근처에서 발생하는 따듯한 기류 상승과 서태평양에서 확산된 따듯한 수온 그리고 인도양에서 동태평양으로 그리고 다른 엘니뇨와 섞이는 등의 무역풍을 동반했다. 이러한 빙하 시대는 플라이스토세 기 말기에 구석기 시대와 함께 끝났고, 지구의 날씨는 따뜻해졌다. 비록 플라이스토세 말기의 멸종이 질병이나 인류에 의한 과도한 사냥과 같은 부분적으로 다른 요인에 의해 일어나기는 했지만, 기후 변화는 플라이스토세의 거대 식생에 멸종을 가져왔다. 털이 많은 매머드의 멸종은 기후의 변화와 인류에 의한 사냥 때문이었음을 새로운 연구 조사가 암시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플라이스토세 말기의 기후 변화가 매머드의 거주지를 줄였고, 개체수의 급락이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적은 개체수가 되자 구석기 시대의 인류들에 의해 사냥을 당하게 되었다.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일어난 전반적인 온난화와 홀로세의 시작은 이전에는 얼어붙어 접근을 하지 못했던 매머드의 주거지에 쉽게 인류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 = 생활상 = =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소수가 모여 군락 생활을 하였으며, 식물이나 과일의 채집, 수렵 등을 통해 생활을 하고 있었다. 구석기 시대에도 나무나 골각기 등의 도구가 사용되었지만, 뗀석기를 특징으로 한다. 신석기 시대와의 차이점은 토기를 사용하지 않고, 간석기(마제석기)가 아닌 뗀석기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중간 단계인 중석기 시대에는 세석기를 사용하였다. 신석기 시대에는 창, 활, 예리한 칼 등을 무기로 사용했다. = = 인류 = = 구석기 시대의 인간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남방의 원숭이) - 호모 하빌리스(손쓴 사람) - 호모 에렉투스(곧선사람: 대표적으로 베이징 원인이 있음) - 호모 사피엔스(슬기로운 사람: 대표적으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슬기롭고 슬기로운 사람: 대표적으로 크로마뇽인이 있음 현생인류임))로 진화한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인류는 어느 순간에 갑자기 진화하여 지금에 이른 것이 아니라, 한 종에서 다양한 종으로 나뉘고, 서로 경쟁 끝에 남은 종만이 살아남아 지금에 이르게 된 것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비교적 최근에 밝혀진 것이며, 기존의 배턴 넘기기 식으로 진화해 왔다는 설이 뒤집히는 결과를 낳았다. = = 석기 제작 수법 = = = = = 전기 = = = 만능석기(주먹도끼) = = = 중기 = = = 뗀석기(용도별 제작)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는 뗀석기로, 떼어낸 격지들을 잔손질 하여 짐승의 가죽을 벗기거나, 사냥을 하거나, 공구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쓰였으며 그 용도에 따라 밀개, 찍개, 주먹도끼, 뚜르개, 새기개, 긁개 등으로 나뉜다. 석기를 제작하는 방법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발전하게 되는데 모루떼기 - 직접떼기 - 간접떼기 - 눌러떼기 순으로 발전한다. = = = 후기 = = = 슴베찌르개 쐐기 돌날격지 쐐기를 이용해 만든 것이 같은 형태의 돌날격지이다. 잔석기 = = 유적지 = = = = = 한국 = = = 한국에서는 많은 구석기 시대 유적과 유물이 발굴되었다. = = = = 전기 = = = = 단양 금굴: 현재 한반도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곳으로 약 70만 년 전의 것임.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 약 60만년전 내지 40만년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구석기 유적. 연천 전곡리: 동북아시아 최초로 주먹도끼가 발견된 유적으로, 이전에 유럽과 아프리카와 인도 부근까지 묶는 아슐리안계 양날 주먹 도끼 문화권, 중국,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은 동아시아식(외날) 찍개 문화권으로 분류하던 모비우스 학설(:en:Movius Line, 주장자::en:Hallam L. Movius, 통설)이 뒤집힘. 공주 석장리: 남한 최초1964년로 제대로 발굴된 구석기 시대 유적(전기, 중기, 후기 전반적인 유적)으로서 공주시 석장리현재 공주시 월송동에서 발견되었다. 예술품 발견. *제천 점말 동굴 : 점말 동굴에선 구석기 전중후기 모두 나타난다. = = = = 중기 = = = = 웅기현재 선봉군 굴포리: 광복 이후 북한에서 최초로 발굴된 구석기 시대 유적. 청원 두루봉 동굴: 완벽한 모양의 인골인 흥수굴인(흥수아이) 발견, 망자에 대한 추모의식 추정. 제천 점말 동굴: 1973년 중기 구석기인의 얼굴이 새겨진 털코뿔소의 앞발 뼈 화석 출토(인골은 발견되지 않음) 덕천 승리산 동굴: 아래층에선 덕천인(10만년전, 아이의 인골), 위층에선 승리산 사람(어른)의 뼈(인골)가 발견된 곳. 평양 만달리 동굴: 만달사람의 뼈가 발견된 곳으로서 북한 학계의 단일민족기원설의 근거 유적.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남한 최고(가장 오래된)의 인골 발견. *공주 석장리 : 구석기 전중후기 모두 출토된다. = = = = 후기 = = = = 함경북도 종성 동관진: 일제강점기 시기(1933년, 남북한 통틀어)에 최초, 소규모로 발견. 충청북도 단양 수양개: 석기 제작소 및 주거 유적(대규모) 발견. 예술품 발견. 제주 빌레못 동굴: 제주도의 구석기 유적. *제천 점말 동굴 *공주 석장리 = 창씨개명 =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 11일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반강제적으로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한다.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다.조선민사령 (조선총독부제령 제19호, 1939.11.10 일부개정) 제11조제1항 단서·제3항 및 제11조의2 일부 친일파들은 자발적으로 창씨개명에 응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인의 희망에 따라 실시하게 되었다는 창씨개명은 1940년 5월까지 창씨신고 가구수가 7.6%에 불과하자, 조선총독부가 권력기구에 의한 강제, 법의 수정, 유명인의 동원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그 비율을 79.3%로 끌어올렸다. 조선총독부 총독 미나미 지로의 개인적인 정책에서 출발한 것으로 일본 제국 조정과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한 정책이라 일본인 내부에서도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942년 미나미가 조선총독에서 해임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나미 지로에 의해 발표된 이래 창씨개명령은 조선인의 집단 반발 외에도, 일본 내부의 반대와 비난, 조선총독부 내부에서도 총독부 직원들의 집단 반발에 부딛쳤다. 조선총독부 경무국만 해도 창씨개명에 반대하였다.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은 '창씨개명' 연합뉴스 또한 일본 내지에서도 반대론이 거셌다. 식민지 조선과 일본 내지에서 반대가 얼마나 거세게 일었던지 윤치호는 1940년 7월 5일자 일기에서 미나미 지로 총독이 경질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나미 지로는 창씨개명 계획을 밀어붙여 논란을 일으켰다.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함으로써 조선인들은 일본식 씨(氏)로부터 해방되었다. 1946년, 미군정과 소련군정의 '조선 성명 복구' 조치로 창씨(創氏)한 성씨는 폐지되었고, 창씨개명했던 조선인들은 본래의 성명을 회복하였다. = = 창씨개명의 의미 = = 창씨(創氏)란 일본식으로 '씨(氏)'를 만드는 것을 말하고, 개명은 '이름'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다만, 일본 제국은 씨명제(氏名制)를 실시해 강요하면서도 일본식 씨(氏)와 별도로 종래의 성(姓)과 본(本)을 호적에 그대로 남겨두었다. 특히, 창씨(創氏)는 "내선일체(內鮮一體)"의 모토 아래 지원병 제도, 신사참배(神社參拜),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암송, 조선어 사용 금지와 함께 조선인들에게 강요되었다. 창씨개명은 조선 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郎)가 주도한 조선인의 '황민화(皇民化)' 정책의 하나였다. 미나미의 조선총독부는 부계 혈통에 기초한 조선의 종족집단(종중)과 여자가 결혼을 해도 남편의 성을 따르지 않고 본래의 성(姓)을 유지하는 조선의 가족 제도가 황민화에 장애가 된다고 보았다. 창씨개명은 조선인들에게 모든 가족이 호주(戶主)의 씨(氏)를 쓰는 일본식 이에(家)제도를 따르게 함으로써 일본 천황을 정점으로 한 국가체계에 적합하도록 조선의 가족제도를 개조한다는 목적 아래 강요된 조선총독부의 내선일체 동화정책의 일환이었다.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은 '창씨개명' 연합뉴스 창씨개명은 개명 강요 이전에 자발적인 참여도도 개명률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개명 신청 접수는 창씨와 동시에 이루어졌지만 의무가 아니었기에 창씨와 달리 수수료를 내야 했고,창씨가 6개월의 기한이 있었던 데 반해 개명에는 기한이 없었다. 1940년 1월 미나미 총독은 창씨개명을 강요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결국 창씨를 강요하여 문제가 되었다. 윤치호에 의하면 '미나미 총독이 경찰, 학교, 관공서 등을 통해 조선인들에게 창씨개명과 관련한 압박을 가해서 원성을 산 것만큼은 엄연한 사실이다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463페이지'라고 진술하였고, 창씨개명령에 대한 조선인 반발의 후유증으로 미나미 총독의 해임과 하야시 센주로의 총독직 임명을 예견하기도 했다. = = 창씨개명 당시의 상황 = = 1911년부터 1939년까지 일본 제국은 조선인이 일본식 성씨를 쓰는 것을 금지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 직후 일부 조선인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성명을 일본식으로 고치자, 한·일 민족의 차별화에 바탕을 둔 지배질서 유지를 통치목표로 하고 있던 조선총독부는 이를 막기 위해 '조선인의 성명 개칭에 관한 건'(1911년 11월 1일 총독부령 제124호)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르면 조선인은 일본인으로 혼동될 수 있는 성명을 호적에 올릴 수 없었고, 조선인의 개명을 어렵게 하며 이미 개명한 사람도 본래 성명으로 되돌리도록 하였다. 일본 제국의 이러한 정책 기조는 중일전쟁으로 인한 전시동원체제에 조선인들의 자발적 동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내선일체가 강조되면서 급변하였다.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제령 제19호)을 개정하여 1940년 2월 11일부터 창씨개명을 시행하기로 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제도의 핵심은 일본식 성씨를 만드는 '창씨(創氏)'에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창씨개명이 조선인들의 희망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일본식 성씨의 설정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쓸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1940년 5월까지 창씨계출(創氏屆出) 호수(戶數)가 7.6%에 불과하자 권력기구에 의한 강제, 법의 수정, 유명인의 동원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마감까지 창씨율을 그 10배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성씨와 이름을 모두 개명하는 등은 자율에 해당되었다. 이 점을 이용, 천황폐하의 일본식 발음인 덴노 헤이까(天皇陛下)와 발음이 비슷한 덴노 헤이까(田農炳下, 田農昞夏)로 개명하여 천황을 조롱하였고, 이름이 병하(昞夏, 炳夏, 炳河)인 사람들 역시 천황과 발음이 비슷한 덴노로 창씨개명을 하여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 = 조선과 일본 내부의 반발 = = = 창씨개명 계획이 발표되면서 조선인 사회는 큰 논란이 들불처럼 번져갔고, 춘원 이광수 등은 창씨개명을 공식 지지, 자발적으로 동참할 것일제때 산 사람은 다 친일파이고 '척결' 주장에 정치적 고려 있다고? - 오마이뉴스 2002년 5월 30일자을 선언한다. 1939년 12월 12일 이광수는 경성일보에 창씨개명에 적극 동참하자는 취지의 칼럼을 기고하는 동시에 창씨개명에 앞장섰다. 그에게 무수한 협박과 투서, 비난이 쏟아졌으나 오히려 그는 창씨개명이 불가피하며 일본과 조선총독부는 어차피 강제로 창씨개명하도록 조처할 것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451페이지이라고 답했다. 창씨개명 시행은 조선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었기 때문에 조선인들의 반발은 거셌고, 친일파들조차 혼란에 빠졌다. 창씨(創氏)의 강압 속에서도 이를 거부하고 자결한 사람도 있었으며, 부당함을 비방하다가 구속된 사람도 나타났다. 조선 사회 뿐만 아니라 일본 사회 내부의 반대여론도 컸다. 조선총독부관리 출신들로 조직된 총독부 후원단체인 '중앙조선협회'가 이를 반대했으며, 조선총독부 내부에서조차 치안을 담당하는 경무국을 중심으로 반대가 있었다. 일본인들의 경우 창씨개명을 시행함으로써 한국인과 일본인의 구별·분리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창씨개명을 반대했는데, 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의 약화를 두려워 했던 이유가 컸다. 조선총독부는 창씨개명이 내선일체의 완성이라고 선전했으나, 일본의회의 대정부질문에서는 '조선에 본적을 둔 조선인은 일본으로 본적을 옮기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일본인도 조선으로 본적을 옮길 수 없다'며 한국인과 일본인의 분리·차별은 계속될 것임을 드러냈다. 미나미 총독의 조선인 창씨개명 정책은 조선총독부 산하 경무국 등 내부의 반발에도 직면했다. 일본의 극우파들은 신성한 일본의 성씨를 왜 조선인에게 부여하는가 항의하며 총독 퇴진 운동을 벌였다. 조선총독부 관리 출신들이 총독부 후원 기관으로 조직한 '중앙조선협회'도 창씨개명 반대 운동에 동참했다. 당시 국내에 있던 조선인 주요 인사들 가운데에서는 여운형, 안재홍, 김병로, 여운홍, 김성수, 송진우, 윤보선, 백관수, 장덕수, 박헌영, 방응모 등이 창씨를 하지 않았다. 일본 육군 중장을 지냈던 홍사익 역시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백유선, 한국사 콘서트 (두리미디어, 2008) 314페이지 홍사익은 조선식 성명을 지키고, 조선인임을 인정하더라도 국민, 시민이 될 수 있으며, 다민족 일국가를 이루는 것이 강국으로 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선총독부 역시 그들에 대해 창씨개명을 권고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일제가 이들에게 창씨개명을 강요하지 않은 것은 창씨개명이 강제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는 도구로 삼기 위해서였다는 시각도 있다. = = = = 시행 직전의 여론수렴 과정 = = = = 1939년 12월 20일 오후 4시부터 서울 반도호텔에서 매일신보의 후원으로 공개 원탁회의가 열렸다. 일본인 측에서는 유가미, 매일신보의 이노우에, 그리고 몇몇 인사들이 참석했다. 조선인 측에서는 한상룡, 장덕수, 이광수와 윤치호가 참석했고, 최린이 사회를 보았다. 매일신보 주최 원탁회의의 내용은 "어떻게 하면 요즈음 젊은이들을 건전한 사고와 행동으로 이끌 수 있을까" 하는게 토론 주제였다. 이때 이광수는 창씨개명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견해를 피력했다. 설상가상으로 회의 발언 중 현재 조선인 성씨 보유자 대다수가 임진왜란 후 양반의 족보를 사서 혈통을 위조한 것이라 성씨를 일본식을 바꿔도 큰 흠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한 사람도 있었다. 해당 발언 등이 신문지면을 장식하면서 회의의 주체였던 이광수는 다시 한 번 성토의 대상이 됐다. 1940년 6월 3일 이광수의 집을 방문한 윤치호는 그의 부인에게서 "자기 남편이 창씨개명 후 1천 통 이상 편지를 받았는데, 하나같이 욕설과 협박이었다"는 말까지 들었다고 한다. 당시 그는 하루 평균 5통 이상의 편지를 받았다고 한다.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465페이지 = = = 일본인들의 반발 원인 = = = 일본인들은 창씨개명을 시행함으로써 한국인과 일본인의 구별, 분리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창씨개명을 완강하게 반대했다. 조선인들의 창씨개명 반대 만큼 일본인들의 반발도 거셌다. 일본인의 반대 여론이 의외로 높았던 것을 두고 후일 교토대 인문과학연구소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 교수는 다른 무엇보다 조선인에 대한 차별의 약화를 두려워 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총독부 내부에서도 창씨개명에 반발했는데, 특히 조선총독부 경찰은 조선인이 똑같이 일본 씨와 성을 쓰게 되면, 그가 조선인인지 일본인인지 구별이 쉽지 않다는 반론을 제기했으며, 내지측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이런 우려가 높았다는 것이다. = = 경과 = = = = = 총독부의 창씨 개명 유예조치 = = = 1940년 1월 초 총독부는 창씨개명이 조선인들의 희망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일본식 성씨의 설정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일본식 성씨를 정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발표했다. 1940년 1월부터 조선총독부 미나미 지로 총독은 창씨개명을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주제의 담화문을 발표했고 이는 조선 사회에 논란이 되었다. 1월 4일 미나미 지로 총독은 조선인들에게 창씨개명을 강요할 생각이 없다고 천명했다.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452페이지 그런데 그가 뒤이어 조선인들이 창씨개명하면 흐뭇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시사하는 바람에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다. 총독에게 아부하는 조선인 지식인들은 당연한 것이라며 총독을 추켜세웠고, 결국 1940년 2월부터 창씨개명이 대대적으로 단행된다. 한편 한국의 정치 지도자 중 윤치호는 창씨개명에 부정적이었다는 이유로 1940년 5월 1일 조선총독부 경무국으로 소환되었다가 풀려났다. 5월 1일 오전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소환조사를 받고 풀려났다. 오전 11시 그는 총독부에서 미나미 지로 총독을 면담했다. 미나미 총독과의 면담에서 그는 창씨개명 기일을 연기해 달라고 부탁했다. 윤치호는 거듭 창씨개명 기일을 연기해달라고 청했고, 그 뒤 윤치호의 청을 받아들인 미나미 지로 총독은 창씨개명령 시한을 늦춰 1941년 1월부터 창씨개명이 대대적으로 단행된다. = = = 조선인의 협력과 창씨에 대한 입장 = = = 1940년 1월부터 조선총독부 미나미 지로 총독은 창씨개명을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권고 형식으로 창씨개명론을 발표했다. 그리고 1월 4일 미나미 지로 총독은 조선인들에게 창씨개명을 강요할 생각이 없다고 천명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총독이 조선인을 배려한다며 총독의 뜻을 찬양하였다. 그러나 1939년 12월부터 창씨개명에 자발적으로 동참하자고 권고한 이광수 조차 총독의 희망하는 사람에 한해서 창씨개명을 해도 좋다는 주장에 의혹을 제기한다. 이광수는 '당국은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일은 (절대) 없을 거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갖가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우리가-우리들 대부분이-창씨개명하도록 조처할 것이 틀림없을 것'이라는 점과 '우리 어른들이야 창씨개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입학과 취직시에 (각종) 차별대우를 받을 것'이라며 창씨개명 거부 이후의 불이익을 예상, 우려하였다. 창씨개명에 시종 부정적이었던 윤치호 역시 창씨개명을 거부할 경우에 가해질 불이익을 염려하였다. '당국이 이미 창씨개명하기로 결정한 이상, 그들은 조선인들이 창씨개명하도록 반드시 조치를 취할 것이다. 그들은 창씨개명을 거부하는 저명한 조선인들을 반일분자로 블랙리스트에 올릴 것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 (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463페이지'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 조선인들은 자발적으로 창씨에 참여하였고 경성부청과 구청, 각 부청과 군청사 등에는 창씨개명을 하러 자발적으로 몰려든 주민들로 인해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 = = 조선민사령 개정 직후의 상황 = = = 1940년 1월 4일, 조선총독부 미나미 총독은 창씨개명을 권고하는 형식의 창씨개명 담화를 발표하면서, 이는 단지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쓸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일 뿐 창씨개명을 강요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윤치호, 윤치호 일기:1916~1943(김상태 역, 역사비평사, 2001) 그러나, 창씨개명을 강요하지 않겠다는 미나미의 담화에 대해서는 친일파들조차 믿지 않았다. 1939년 12월 12일, 경성일보를 통해 창씨개명에 적극 동참하자는 취지의 칼럼을 기고하고 앞장서서 창씨개명을 한 춘원 이광수일제때 산 사람은 다 친일파이고 '척결' 주장에 정치적 고려 있다고? - 오마이뉴스 2002년 5월 30일자는 "당국은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일이 절대 없을 거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갖가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우리가 창씨개명하도록 조처할 것이 틀림없습니다. 우리 어른들이야 창씨개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입학과 취직시에 각종 차별대우를 받을 것입니다."라며 창씨개명 거부 이후의 불이익을 예상하고 있었다. 윤치호 역시 "당국이 이미 창씨개명하기로 결정한 이상, 조선인들이 창씨개명하도록 반드시 조치를 취할 것이다. 그들은 창씨개명을 거부하는 저명한 조선인들을 반일분자로 블랙리스트에 올릴 것이다."라고 창씨개명을 거부할 경우에 가해질 불이익을 염려하였다. = = 창씨개명의 시행 = = 창씨 신고(창씨 계출, 創氏屆出) 초기에는 일부 친일파들이 자발적으로 창씨개명을 하려고 몰려들어 경성부청과 구청, 그 밖의 부청과 군청사 등이 혼잡을 빚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인의 희망에 따라 실시하게 되었다는 창씨개명은 1940년 5월까지 창씨신고 가구수(戶數)가 7.6%에 불과하자, 조선 총독부는 행정력과 경찰력을 총동원해 창씨개명을 하도록 협박·강요하여 신고 마감 시기까지 322만 가구, 79.3%로 창씨율을 끌어올렸다. 일제가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았다.창씨개명 참고 = = = 창씨개명의 사례 = = = 한국인들의 창씨(創氏) 경향은 아주 왜식(倭式)으로 하는 사람은 소수였고, 대개는 자기의 관향(안동 권씨는 안동이나 안동의 별칭인 영가(永嘉), 김해 김씨는 김해)을 땄으며, 일부는 원래의 성씨를 파자(예. 朴 = 木+卜)하기도 하였다. 전주 이씨의 경우는 조선 왕실의 일가라 하여 대개 국본(國本), 궁본(宮本), 조본(朝本) 등으로 창씨하거나, 일부는 본관의 지명을 따서 '전주'로 창씨하기도 하였다.대통령과 창씨개명 - 오마이뉴스 창씨에 반대하던 이들 중에는 천황폐하(天皇陛下)의 일본식 발음인 '텐노 헤이카'와 발음이 비슷한 '덴노 헤이카'(田農炳下, 田農昞夏)로 개명하여 천황을 조롱하거나, 산천초목(山川草木), 청산백수(靑山白水), 강원야원(江原野原) 등으로 장난삼아 짓거나, 성(姓)을 가는 놈은 개자식이라 해서 '이누코'라고 창씨하는 사람도 있었다. 또한, 당시의 조선 총독의 이름이 미나미 지로("미나미 가의 둘째 아들"라는 뜻)인 것에 착안해서 '미나미 다로'(南太郞)로 이름을 바꾸어 창씨개명을 강행한 미나미 지로 총독을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다.한눈에 보는 교과서 한국사 만화 근현대사 상143쪽 = = = = 창씨(創氏)의 예시 = = = = 연도 신분 본관(本貫)과 성(姓) 씨(氏) 명(名) 전체 이름 1909년 전: 족보 기록16세기 무성층(有姓層)의 비율은 조선 전체 인구의 약 40%를 차지했다. 왜란과 호란 이후 천민층의 양민화가 이루어지는 등 사회변화로 1909년에는 그 비율이 20% 미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없음 준개(俊介) 이준개(李俊介) 1909년 전: 족보 기록16세기 무성층(有姓層)의 비율은 조선 전체 인구의 약 40%를 차지했다. 왜란과 호란 이후 천민층의 양민화가 이루어지는 등 사회변화로 1909년에는 그 비율이 20% 미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내 김해 김씨(金海 金氏) 없음 없음 기록 없음(여자 이름은 족보에 기록하지 않음) 1909년부터 1939년까지: 민적법1909년 시행. 이에 따라 누구나 성(姓)과 본(本)을 갖도록 법제화되었다.과 호적 제도1923년 7월 1일 민적법 폐지로 시행 시행 남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없음 준개(俊介) 성+명: 이준개(李俊介) 1909년부터 1939년까지: 민적법1909년 시행. 이에 따라 누구나 성(姓)과 본(本)을 갖도록 법제화되었다.과 호적 제도1923년 7월 1일 민적법 폐지로 시행 시행 아내 김해 김씨(金海 金氏) 없음 무자(撫子) 성+명: 김무자(金撫子)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설정창씨(設定創氏) : 창씨계출(創氏屆出)을 한 경우 설정창씨(設定創氏) : 창씨계출(創氏屆出)을 한 경우 설정창씨(設定創氏) : 창씨계출(創氏屆出)을 한 경우 설정창씨(設定創氏) : 창씨계출(創氏屆出)을 한 경우 설정창씨(設定創氏) : 창씨계출(創氏屆出)을 한 경우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남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쓰키야마(月山) 슌스케(俊介) 씨+명: 쓰키야마 슌스케(月山俊介)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아내 김해 김씨(金海 金氏) 쓰키야마(月山) 나데시코(撫子) 씨+명: 쓰키야마 나데시코(月山撫子)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법정창씨(法定創氏) : 창씨계출을 하지 않은 경우 법정창씨(法定創氏) : 창씨계출을 하지 않은 경우 법정창씨(法定創氏) : 창씨계출을 하지 않은 경우 법정창씨(法定創氏) : 창씨계출을 하지 않은 경우 법정창씨(法定創氏) : 창씨계출을 하지 않은 경우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남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리(李) 준개(俊介) 성+명: 리 슌스케(李俊介)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창씨개명 아내 김해 김씨(金海 金氏) 리(李) 무자(撫子) 씨+명: 리 나데시코(李撫子) 1946년 : 조선 성명 복구령 남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없음 준개(俊介) 성명: 이준개(李俊介) 1946년 : 조선 성명 복구령 아내 김해 김씨(金海 金氏) 없음 무자(撫子) 성+명: 김무자(金撫子) = = = 창씨개명을 한 친일 행적자 = = = 이동인 : 개화기에 활동한 인물 가운데 창씨개명한 사람 제1호(1880년 10월) - 아사노 도진(淺野東仁). 송병준 : 정미칠적 일제강점기에 창씨개명한 사람 제1호. - 노다 헤이지로(野田平次郞).광복회, 반민족행위처벌법에 근거한 친일반민족 행위자 명단 (2002년 2월 28일). 김석원 : 일본군 대대장 출신으로, 중일전쟁 참전. - 가네야마 샤쿠겐(金山錫源) 정일권 : 전 국무총리, 만주군 헌병 대위 출신. - 나카지마 잇켄(中島一權) 김석범 : 2대 해병대 사령관, 만주군 장교 출신. - 카네야마 쇼우(金山照) 노덕술 : 경찰, 독립지사를 검거하고 고문 등으로 악명을 떨쳤다. - 마쓰우라 히로(松浦 鴻) 심영 : 배우, 조선연극문화협회 간부를 맡고 다수의 친일영화에 출연. - 아오키 진에이(靑木 沈影) 신상묵 : 일본군 헌병 출신 - 시게미쓰 구니오(重光國雄, 重光國夫, 重光邦雄) 홍종철 :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출신 - 코우카이 쇼와다치(洪海鍾轍) 이광수: 3.1운동 2.8독립선언서 주도 후에 친일파로 변절 대의당위원 -가야마 미쓰로(香山光郞) 최린:- 3.1운동 기미독립선언서 주도 친일파로 변절 총독부 중추원 참의 - 가야마 린(佳山麟) 정춘수-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친일파로 변절 총진회 회장 -禾谷春洙(가타니 슌주) = = 광복 이후 = = = = = 폐지 = = =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함으로써 조선인들은 일본식 씨(氏)로부터 해방되었다. 해방 이후 조선인들의 집밖 일본명 문패를 뜯어내고 원래 이름대로의 문패를 다는 풍경도 있는가 하면,”창씨개명도 이미 조선인 일반이 일본으로부터 이반(離反)하고 있었던 이상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 종전 다음날 그들이 다투어 문전의 일본명 문패를 뜯어내고 원래의 조선명 문패를 단 것에 비추어보아도 분명할 것이다.”, (<요미우리신문> 조간, 1945년 11월 19일). 미즈키 나오키, <창씨개명 - 일본의 조선지배와 이름의 정치학> (2010), 300p.에서 발췌 학교에서는 명부에 기재된 일본식 이름을 원래대로 정정하는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다.미즈키 나오키, <창씨개명 - 일본의 조선지배와 이름의 정치학> (2010), 16~20·23·25·301~303·305 페이지. 2017년 9월 6일 확인. 이처럼 일상 생활에서는 원래의 이름으로 빠르게 복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호적상에는 창씨개명한 이름이 본명으로 등록되는 일이 여전히 지속되었기에 해방 직후부터 이를 바로잡자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1946년 1월 22일 <서울신문>의 보도에 의하면 미군정 법무국장 대리 김영의는 “옛 성명으로 돌아갈 수 있는 법령을 제정 중”이라 밝힌 바 있으며, 5월 29일 서울재판소 직속 호적사무협의회는 창씨개명한 이름을 완전히 말살할 것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미군정 측에 제출하기도 했다. 1946년 10월 23일, 미군정의 조선 성명 복구령(朝鮮姓名復舊令: 군정법령 제122호)이 공포 시행되면서, “일본 통치 시대의 창씨 제도에 의해 일본식 씨명으로 변경된 조선 성명”을 본인 신고 없이 직권으로 복구하도록 했다. 동시에 일본식 씨명으로 변경된 호적부 기재는 무효로 선언되었다. 이때 일본식 이름을 유지하고자 하는 자는 법령 시행 후 60일 이내 신고로 보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였으나, 일본식 씨의 유지는 인정되지 않았다. 공포 60일 후에는 호적 정정작업이 시작되었는데, 일본식 씨명 위에 붉은 선을 긋고, 신분변동 사항에 “조선성명복구령에 의하여 성명 복구”라고 기재하여 1940년 이후 붉은 선 처리가 된 한국식 성명을 회복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 1940년 이후 출생자가 일본식 이름만 가지고 있을 경우 6개월 이내에 신고하면 개명이 가능토록 하였으나, 절차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일본인풍 이름’을 가진 사람이 상당수 남게 되었다. 1946년부터 1947년 말까지 성명복구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어, 12월 26일 시점에는 옹진군을 제외한 38선 이남 전국 281만 호의 1,647만 명이 갖고 있던 창씨성명이 완전히 복구되었다.”今月末로 創氏姓名完全復舊” <경향신문>, 1947년 12월 26일자. 2017년 9월 6일 확인. 한편 소련군이 점령한 이북에서는 1945년 11월 19일 중앙행정기구 격인 북조선5도행정국(이후 북조선임시인민위) 산하 사법국이 ‘일제강점기 시기의 법령은 신법령 발표까지 효력을 지속한다’고 규정한 포고 제2호를 공포하면서, 이남과 마찬가지로 창씨개명이 반영된 호적 제도가 당분간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1946년 4월 중앙행정기관 격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산하 사법국이 <호적 및 기류사무에 관한 건>을 발포, “잔인무도한 씨제도 실시로 더럽혀진 호적은 긴급히 정리하여 호적에서 왜색을 일소할 것”을 각 인민재판소 호적계에 지시하면서, 기존의 조선호적령은 포고 제2호에 예외로 규정된 “조선 고유의 민정과 조리에 부합하지 않는 법령 및 조항”에 해당되어 효력을 잃게 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공민증 제도가 실시되면서 기존의 호적 제도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창씨개명이 반영된 호적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 = = 일본의 인식 = = = 1945년 패전 이후 일본 정부는 한동안 창씨개명에 대해 "법령상으로는 강제가 아니었다"거나 "강제된 것은 말단 기관이 행한 것"이라는 자세로 일관하였다. 1948년 일본 대장성 관리국이 배상 문제에 대비해 조사 정리한 보고서 <일본인의 해외활동에 관한 역사적 조사> 중에서, 스즈키 다케오 전 경성제대 교수는 '조선통치의 최고 방침'에서 창씨개명에 대해 "반도 통치상 일시대를 획(画)하는 중대한 제도이며, 조선인의 요망에 부응함과 함께 내선일체의 구현에 이바지"한 것이었으나 "지방관청에 의해 자기 성적의 척도로 간주되고 형식적 황민화운동에 이용되어 강제적인 것으로 바뀌었으며, 창씨호수 70% 이상이라는 성적에도 불구하고 많은 반감을 샀다"고 기술하였다. 1964년 제7차 한일회담의 일본측 수석대표를 맡은 다카스기 신이치는 이듬해 1965년 1월 외무성 기자클럽에서 "일본은 조선을 지배했다고 말하지만 우리나라는 좋은 일을 하려고 했다"며 "창씨개명도 좋았다, 조선인을 동화하여 일본인과 동일하게 대접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였던 까닭에 착취나 압박이라 할 것이 아니다"라고 발언하였다. 다카스기의 발언은 일본 정부에 의해 공개되지 않았고, 한국 정부 역시 한일 조약 조인을 우선해 일본 정부의 조치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하였기에 외교적 문제로 비화되지는 않았다. 1982년 일본 역사교과서 검정 논란 당시에는 "창씨개명을 강제하였다"는 교과서 기술도 일본 문부성으로부터 수정 요구를 받았다. 당시 문부성은 창씨개명에 대해 "법령상 강제가 아니라 임의의 신고에 따른다는 방침"이었으며 "상당히 무리가 있었던 것은 확실하나" 20%가 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법령상의 강제는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견해를 발표하기도 했다. 1993년 11월 6일, 대한민국 경주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는 김영삼 대통령과 회담하여 '종군위안부', '징용' 등을 사용해 "가해자로서 마음으로부터 반성"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고, 다음 날 11월 7일 공동기자회견에서는 창씨개명의 사례를 들며 식민 지배에 관해 사죄하였다. 일본 총리가 구체적인 예시를 지적하며 사죄한 것으로는 처음이었다. 이에 대해 호소카와 총리는 훗날 정상회담을 위해 탄 비행기 안에서 일본 외무성 담당자와 회담을 준비하면서, 전임 총리의 발언 자료들이 준비되어 있었으나 "한걸음 더 나아가 구체적인 것"을 말하고 싶다는 입장을 표하자 고토 도시오 한국대사가 "창씨개명 등의 일은 어떻겠냐"고 말했고, 그렇게 하기로 결정되었다고 회고하였다. 이후 1996년 6월 한일정상회담에서 하시모토 류타로 일본 총리가 "양국 역사의 불행한 부분" 중 하나로 창씨개명을 언급하면서 일본 정부의 인식이 다시 한번 확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993년 호소카와 총리의 공식 발언 이후에도 일본 내에서는 창씨개명을 합리화하고자 하는 사고방식이 뿌리깊게 남아 있다. 2003년 5월 아소 다로 당시 자민당 정조회장은 "창씨개명은 조선 사람들이 씨를 달라고 말한 것이 발단이다"라고 발언했다가 물의를 빚자, 한일관계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한국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사죄드린다"고 하였지만 발언을 취소하지는 않았다. 이 과정에서 같은당 소속의 오쿠노 의원은 "일본인과 똑같이 대우하려던 조치"였다고 강변하여 논란을 증폭시키기도 했다.일 자민당 오쿠노 의원 창씨개명 관련 망언 계속 mbc, 2003.6.7. 2005년 발매된 야마노 샤린의 만화 <혐한류>에서는 창씨개명의 강제성을 부인하며 그 증거로 육군 중장 홍사익과 중의원 의원 박춘금을 들고, 조선 이름으로 공직에 나아간 사람은 얼마든지 있다고 주장하였다. = 분류:2013년 겨울 스포츠 = = 트로포야 = 트로포야는 유럽 알바니아의 북부에 위치한 옛 코소보 지역과 국경을 맞닿고 있는 도시이다. 현지어로는 Tropojë라고 쓰며, 영어로는 Tropoja로 표현한다. 프랑스 영화 테이큰2에서 유럽내 인신매매범 마피아들의 출신도시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 미호생활 = 미호생활(美好生活)은 2018년 방송되었던 중국의 드라마이다. = = 소개 = = 불의의 사고로 남편을 잃은 여자와 죽은 남편의 심장을 이식받은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 등장 인물 = = 장자이 - 서천 역 리샤오란 - 양효혜 역 쑹단단 - 도미란 역 우리 (牛莉) - 소백 역 이내문 (李乃文) - 황호달 역 신바이칭 - 변자군 역 장옌 - 서두두 역 악여은 (岳以恩) - 가소타 역 진미기 (Maggie Chan) - 류란지 역 =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군함 = = 체흐 = 체흐(Čech, Čeh)는 체코인을 뜻하는 성으로 보헤미아의 주민을 슬로바키아인, 모라비안인과 같은 민족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에두아르트 체흐(Eduard Čech, 1893 ~ 1960)는 체코의 수학자이다. *알레시 체흐(Aleš Čeh, 1968 ~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이다. *페트르 체흐(Petr Čech, 1982 ~ )는 체코의 축구 선수이다. *마레크 체흐(Marek Čech,1983 ~ )는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이다. 체흐 라슬로: 헝가리의 수영 선수 체흐 언도르: 헝가리의 가톨릭 사제이자 에스페란토 교사 = = 기타 = = 체흐 신경: (충분한 올곱을 갖는) 범주에서, 어떤 사상을 통해 정의되는 단체 대상 = 분류:나라별 공휴일 = = 윌리엄 웰드 = 윌리엄 플로이드 웰드(, 1945년 7월 31일 ~ )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법률가이다. 소속 정당은 공화당이었지만, 2016년부터는 자유주의당에 소속한다. 연방 검사 (매사추세츠 담당, 1981년 - 1986년), 연방 사법 차관보 (1986년 - 1988년), 제68대 매사추세츠 주지사 (1991년 - 1997년) 등을 역임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0년 선거 매사추세츠 주지사 68대 공화당 50.19% 1,175,817표 1위 1994년 선거 매사추세츠 주지사 68대 공화당 70.85% 1,533,390표 1위 1996년 선거 상원의원 (매사추세츠 제2부) 105대 공화당 45.17% 1,142,837표 2위 낙선 2016년 선거 미국의 부통령 48대 자유당 3.29% 4,440,871표 (0명) 3위 낙선 = 분류:일본의 성 목록 = = 아와미 연맹 = 아와이 연맹(, Banlgadesh Awami League)은 방글라데시의 주요 정당이다. 중도좌파 성향의 정당이다. 현재는 이슬람 협회,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과 함께 방글라데시의 세 주요 정당 중 하나이며, 친 인도적인 경향으로 알려져 있다. = = 개요 = = 전 파키스탄 아와미 무슬림 연맹으로 후세인 샤히드 수라와르디(Huseyn Shaheed Suhrawardy)에 의해 1949년에 결성되었다. 1955년, 당명에서 ‘무슬림’이라는 단어를 없앴다. 설립 초기는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에 동명의 정당이, 각각 설립되어 명칭을 둘러싼 혼란이 있었다. 하나는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을 따르던 〈마울라나 압둘 하미드 칸〉이고, 또 하나는 〈피어 만키 샤리프로〉 북동 파키스탄 지역의 정당이었다. 1950년 양당은 수라와르디를 당수로 하는 〈전파키스탄 아와미 연맹〉(All Pakistan Awami Muslim League)으로 합병했다. 1954년, 아와미 연맹은 협력 관계에 있던 정당과 함께 파키스탄 총선에서 승리하였고, 그 결과 수라와르디가 파키스탄의 제5대 총리로 취임하였고,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은 장관이되었다. 1957년, 마울라나 압둘 하미드 칸이 전국 아와미당(National Awami Party)이라는 이름으로 분리하여 새로운 정당을 만들었다. 1970년 볼라 사이클론이 막대한 피해를 준 직후 실시된 1970년 파키스탄 총선에서는 아와미 연맹은 동파키스탄에서 162석 중 160석을 획득했지만, 서파키스탄에서는 1석도 얻지 못했다. 그리고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과 제3차 인도 파키스탄 전쟁을 거쳐 1971년에 방글라데시가 독립하면서 연립 정당이 없는 제1당으로 정권을 잡았다. 아와미 연맹은 파키스탄 독립 후 8년 반 기간을 제외하면 항상 정부 여당이었다. 1975년 8월 15일, 수구 군부에 의한 쿠데타가 일어나 현직 대통령이었던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이 가족과 함께 다카에서 잔혹하게 살해되었다. 현재 당수는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딸로 그 때 살아 남은 셰이크 하시나, 셰이크 레헤나이다. 셰이크 하시나는 1990년대 이후 사회주의, 대인도 우호, 세속주의, 정교분리, 소수의 힌두교인 보호 등의 정책 노선을 일관되게 이어오고 있다. 2008년 12월 29일에 실시된 총선거에서 299석 중 230석(득표율 48.06 %)을 얻어 압승을 거두었다. = 황쭝쉰 = 황쭝쉰(, , 1920년 5월 27일 ~ 1976년 10월 28일)는 중국의 홍콩 영화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1967년 《대자객》 1967년 《의리의 사나이 외팔이》 1969년 《돌아온외팔이》 1969년 《독룡담》 1969년 《용문금검》 1970년 《트웰브 골드 메달리온》 1971년 《당산대형》 1972년 《맹룡과강》 왕 주방장 역 1972년 《14인의 여걸》 1972년 《정무문》 1973년 《마로소영웅》 = 한가람로 = 한가람로는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간선도로로, 올림픽대로의 남쪽을 달리는 도로이다. 잠실엘스아파트, 잠실리센츠 아파트, 잠실주공5단지의 뒤편을 지나며 길이 끊긴 뒤 서울아산병원에서 다시 시작 후 천호대교 남단까지 이어진다 = = 논란 = = 제2롯데월드와 관련하여 송파구에서는 신천동 장미아파트 뒷쪽도 연결하려고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해당 부지는 체육시설로 되어있으며 신천동 장미아파트 주민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 The Ultra-Violence = The Ultra-Violence는 1986년에 발매된 데스 에인절의 음반이다. = 스펀지 = 스펀지는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든 다공성 물질이다. 탄성이 있으며, 특히 물과 수분 기반 용액을 잘 흡수한다. 널리 쓰이는 합성 스펀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테르(비흡수 스펀지), PVA(매우 용해가 잘 되는 물질로, 약제에 쓰임),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수세미로도 부른다. 욕조용 스펀지는 때와 오물을 제거하고 피부를 깨끗이 하는데 도움을 준다. = = 세균의 번식 = = 주로 나무 섬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섬유소 스펀지는 해로운 세균이나 곰팡이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데, 특히 사용 중 젖은 채로 그대로 놓아둘 때 그러하다. = = 스펀지 청소 = = 스펀지를 청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사용된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완전히 젖은 가정용 비금속 스펀지를 청소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6년 연구에서 젖은 스펀지를 2분 간 전자레인지를 통해 돌리면(1,000 와트 전력) 대장균류와 대장균, 그리고 박테리오파지 MS2의 99%가 제거되었으나, 바킬루스 세레우스의 경우 4분을 돌려야 제거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집에서 결과를 재현하려다가 일부 화재가 난 사람들이 있은 뒤에, 연구를 한 저자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스펀지가 젖은 상태에서 진행하도록 강요하였다. 2009년 연구에서 전자레인지와 식기세척기는 가정용 스펀지를 깨끗이 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 = 역사와 어원 = = 한국에서는 수세미오이의 열매를 말린 것을 청소에 썼기 때문에 지금도 스펀지를 ‘수세미’라 부른다. 서양에서는 해면동물, 특히 Spongia와 Hippospongia에 속하는 종을 말려서 청소에 썼었고 이를 ‘스펀지’로 불렀다. 나중에 합성 스펀지를 청소용으로 쓰게 되었다. 위생을 위해 사용된 스펀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 = 경제 = = 주요 스폰지 수출국 (단위: 메가톤) 수출국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튀니지 74 71 84 81 91 88 쿠바 36 33 38 33 41 41 프랑스 25 26 33 31 35 30 그리스 32 42 36 27 32 22 바하마 - 8 21 8 3 14 터키 11 8 7 8 1 1 이집트 5 4 4 2 4 8 일본 - 6 4 1 1 6 필리핀 9 4 5 6 6 4 리비아 - - - 6 3 - 전체 192 202 232 213 245 225 = 틀:Appletons' = { "params": { "title": {} } } = 최진수 = 최진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최진수(1989년 ~ )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최진수(1990년 6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튀르키예의 정치 관계자 = = 분류: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남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 국제 아마추어 육상 경기 연맹(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남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을 공인하기 시작한 것은 1912년부터이다. 이 종목 첫 세계 기록은 연맹이 창립되기 한 해 전인 1911년에 세워진 것이다. = = 기록 목록 = = # 기록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3분 18초 2 (y) Irish-American AC 1911. 09. 04 뉴욕 시 3분 16초 6 United States 1912. 06. 15 스톡홀름 3분 16초 0 United States 1924. 07. 13 파리 3분 14초 2 미국 1928. 8. 5 암스테르담 3분 13초 4 y United States 1928. 08. 11 런던 3분 12초 6 (y) 스탠퍼드 대학교 1931. 5. 8 프레스노 3분 08초 2 (3:08.14) United States 1932. 08. 07 로스앤젤레스 3분 03초 9 (3:04.04) Les Laing허브 매켄리조지 로든아서 윈트 1952. 07. 27 제15회 하계 올림픽 헬싱키 3분 02초 2 (3:02.37) - 0.7초 잭 여먼얼 영글렌 데이비스오티스 데이비스 1960. 09. 08 제17회 하계 올림픽 로마 올림픽 경기장 3분 00초 7 - 1.5초 Ollan Cassell마이크 래러비Ulis Williams헨리 카 1964. 10. 21 제18회 하계 올림픽 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분 59초 6 - 1.1초 로버트 프레이리 에번스토미 스미ㅡTheron Lewis 1966. 07. 2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국제 육상 대회 로스앤젤레스 NewspaperARCHIVE.com - Oelwein Daily Register - 1966-07-25 2분 56초 2 (2:56.16) - 0.4초 빈센트 매슈스론 프리먼래리 제임스리 에번스 1968. 10. 20 제19회 하계 올림픽 멕시코 시 From 1981, the IAAF accepted auto times for events up to and including 10,000 m. Accordingly, the 2:56.2 world record time from 1968 was rendered as 2:56.16. = 2분 56초 16 대니 에버렛스티브 루이스Kevin Robinzine부치 레이놀즈 1988. 10. 1 제24회 하계 올림픽 서울 2분 55초 74 - 0.42초 앤드루 밸먼퀸시 와츠마이클 존슨스티브 루이스 1992. 08. 08 제25회 하계 올림픽 바르셀로나 2분 54초 29 - 1.45초 Andrew Valmon Quincy Watts Butch Reynolds마이클 존슨 1993. 08. 22 제4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슈투트가르트 고틀리프 다임러 경기장 = = 더 읽어보기 = = 남자 1600m 이어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1600m 이어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 키시노 리카 = 키시노 리카(, 1994년 6월 4일 ~ )는 일본 밴드 Over The Top의 어레인지. = = 개요 = = Showtitle 소속. 2016년 10월 15일, NMB48 팀N 졸업. 2017년 2월 20일, 록 밴드 「Over The Top」를 결성. 동년 여름에 메이저 데뷔. 2018년 1월 5일, 일본 농구 B리그 나고야 다이아몬드 돌핀스의 나카히가시 타이토와 결혼 & 임신을 발표하고 소속 밴드는 해산을 발표했다. = SBS 오 뉴스 = SBS 오 뉴스는 SBS TV에서 매주 평일 오후 5시에 방송 중인 저녁 종합 뉴스 프로그램이다. = = 프로그램 소개 = = SBS를 대표하는 저녁 뉴스 = = 방송 시간 = = 현재 방송 시간은 2020년 9월 21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명절·공휴일에는 10분 동안 SBS 뉴스로 방송·편성된다. 긴급·특집 뉴스가 방송되면 SBS 뉴스특보·특집 SBS 오 뉴스로 방송·편성된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SBS TV 1991년 12월 9일 ~ 1994년 1월 28일 평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5시 40분개국 당시에는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10분 SBS TV 1994년 4월 18일 ~ 1995년 9월 1일 평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5시 40분개국 당시에는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10분 SBS TV 1994년 1월 31일 ~ 1994년 4월 15일 평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5시 45분 15분 SBS TV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2월 28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15분 15분 SBS TV 1998년 10월 19일 ~ 1999년 9월 3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15분 15분 SBS TV 1999년 9월 6일 ~ 1999년 10월 15일 평일 오후 4시 55분 ~ 오후 5시 15분 20분 SBS TV 1996년 4월 1일 ~ 1996년 10월 11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20분 20분 SBS TV 1997년 5월 19일 ~ 1998년 10월 16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20분 20분 SBS TV 1999년 10월 18일 ~ 2003년 5월 9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20분 20분 SBS TV 2003년 5월 12일 ~ 2005년 7월 1일 평일 오후 6시 ~ 오후 6시 20분 20분 SBS TV 1996년 3월 4일 ~ 1996년 3월 29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25분 25분 SBS TV 1995년 9월 4일 ~ 1996년 2월 29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30분 30분 SBS TV 1997년 3월 3일 ~ 1997년 5월 16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30분 30분 SBS TV 2007년 1월 15일 ~ 2015년 11월 20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30분 30분 SBS TV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평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6시 30분 SBS TV 2015년 11월 23일 ~ 2016년 12월 30일 평일 오후 5시 30분 ~ 오후 6시 5분 35분 SBS TV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7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50분 50분 SBS TV 2020년 9월 21일 ~ 현재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50분 50분 SBS TV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10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5시 55분 55분 SBS TV 2017년 9월 18일 ~ 2019년 4월 12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6시 1시간 SBS TV 2019년 5월 13일 ~ 2020년 3월 27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6시 1시간 SBS TV 2020년 4월 20일 ~ 2020년 9월 18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6시 1시간 SBS TV 2017년 1월 2일 ~ 2017년 6월 2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6시 5분 1시간 5분 SBS TV 2017년 6월 5일 ~ 2017년 9월 15일 평일 오후 5시 ~ 오후 6시 10분 1시간 10분 = = 앵커 = = 현재 메인 앵커는 2023년 4월 3일부터를 기준으로 하고 서브 앵커는 2023년 9월 1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 = = 메인 = = = 고희경 SBS 보도본부 부국장 (여성) = = = 서브 = = = 김현진 SBS 아나운서 (남성) = = 역대 앵커 = = = = = 메인 = = = = = = = 남성 = = = =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손석기 前 아나운서팀 부국장 1994년 1월 31일 ~ 1997년 2월 28일 2대 김성호 前 기자 1997년 3월 3일 ~ 1997년 6월 27일 3대 손석기 前 아나운서팀 부국장 1997년 6월 30일 ~ 1998년 10월 16일 손석기 前 아나운서팀 부국장은 4개월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4대 한종희 前 스포츠부 기자 1998년 10월 19일 ~ 2001년 3월 2일 5대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 2001년 3월 5일 ~ 2002년 11월 1일 6대 故 김태욱 前 아나운서팀 국장 2002년 11월 4일 ~ 2003년 5월 9일 7대 이창섭 前 기자 2003년 5월 12일 ~ 2003년 5월 23일 8대 박상도 아나운서팀장 2003년 5월 26일 ~ 2003년 6월 6일 9대 김범주 기자현재 뉴욕 특파원 2003년 6월 9일 ~ 2005년 7월 1일 10대 이정은 기자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11대 김석재 보도본부 차장현재 SBS 나이트라인 앵커 2007년 1월 15일 ~ 2008년 1월 18일 12대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 2008년 1월 21일 ~ 2008년 5월 2일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은 6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13대 배재학 국제부 부국장급 기자 2008년 5월 5일 ~ 2013년 12월 6일 14대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 2013년 12월 9일 ~ 2016년 7월 29일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은 SBS 뉴스퍼레이드 2차 진행 5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15대 박상도 아나운서팀장 2016년 8월 1일 ~ 2016년 12월 30일 박상도 아나운서팀장은 오늘의 뉴스 진행 13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박상도 아나운서팀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6년 10월 18일부터 2016년 10월 20일에는 박광범 아나운서팀 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16대 편상욱 국제부장현재 SBS 뉴스브리핑 앵커 2021년 1월 4일 ~ 2023년 3월 31일 편상욱 국제부장의 휴가·대통령 선거 토론 진행으로 인해 2022년 2월 25일에는 배재학 국제부 부국장급 기자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7월 27일부터 2022년 7월 29일에는 김석재 보도본부 차장이 대신 진행했고 2022년 8월 1일에는 정석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 = 여성 = = = =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최영주 아나운서 1994년 1월 31일 ~ 1994년 4월 15일 2대 남은영 前 아나운서 1995년 9월 4일 ~ 1997년 2월 28일 3대 최영임 前 아나운서 1997년 3월 3일 ~ 1998년 10월 16일 4대 윤지영 前 아나운서 1998년 10월 19일 ~ 2000년 4월 14일 5대 김성경 前 아나운서 2000년 4월 17일 ~ 2001년 3월 2일 6대 이혜승 아나운서현재 모닝와이드 3부 여성 MC 2001년 3월 5일 ~ 2001년 4월 27일 7대 윤지영 前 아나운서 2001년 4월 30일 ~ 2002년 5월 31일 윤지영 前 아나운서는 1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8대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현재 SBS 12 뉴스 여성 앵커, SBS 뉴스토리 MC 2002년 6월 3일 ~ 2003년 5월 9일 9대 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 2003년 6월 9일 ~ 2003년 7월 18일 10대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현재 SBS 12 뉴스 여성 앵커, SBS 뉴스토리 MC 2003년 7월 21일 ~ 2004년 2월 27일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은 2개월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11대 이현경 아나운서팀 부장현재 열린TV 시청자 세상 여성 MC 2004년 3월 2일 ~ 2005년 4월 22일 12대 김지연 前 아나운서 2005년 4월 25일 ~ 2008년 5월 2일 김지연 前 아나운서의 결혼 휴가로 인해 2008년 1월 21일부터 2008년 1월 25일에는 이현경 아나운서팀 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13대 윤소영 前 아나운서 2008년 5월 5일 ~ 2009년 10월 30일 윤소영 前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09년 1월 6일에는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이 대신 진행했다. 14대 김지연 前 아나운서 2009년 11월 2일 ~ 2011년 12월 30일 김지연 前 아나운서는 1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15대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현재 SBS 12 뉴스 여성 앵커, SBS 뉴스토리 MC 2012년 1월 2일 ~ 2013년 5월 31일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은 SBS 뉴스퍼레이드 2차 진행 8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3년 5월 2일에는 이혜승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6대 이혜승 아나운서현재 모닝와이드 3부 여성 MC 2013년 6월 3일 ~ 2013년 9월 27일 이혜승 아나운서는 12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 17대 최영아 아나운서현재 생방송 투데이 여성 MC, 최영아의 아침편지 DJ 2013년 9월 30일 ~ 2013년 11월 8일 18대 김지연 아나운서 2013년 11월 11일 ~ 2014년 10월 10일 김지연 前 아나운서는 SBS 뉴스퍼레이드 2차 진행 2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김지연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3년 12월 26일에는 김정일 아나운서팀 부장이 단독 진행했다. 19대 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 2014년 10월 13일 ~ 2016년 12월 30일 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은 오늘의 뉴스 진행 11년 만에 SBS 뉴스퍼레이드 재진행.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6년 7월 29일, 2016년 10월 21일에는 최혜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6년 9월 30일에는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이 대신 진행했다.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은 2016년 12월 30일까지 박상도 아나운서팀장과 함께 SBS 뉴스퍼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2016년 12월 27일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인해 SBS 뉴스퍼레이드에서 하차하게 되어 2016년 12월 28일부터 2016년 12월 29일에는 이윤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6년 12월 30일에는 박은경 아나운서팀 차장이 대신 진행했다. 20대 한수진 前 부국장급 선임기자 2017년 1월 2일 ~ 2020년 12월 31일 한수진 前 부국장급 선임기자의 휴가·개인 사정으로 인해 2017년 4월 20일부터 2017년 4월 26일에는 박현석 사회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고 2018년 2월 21일부터 2018년 2월 28일에는 고희경 뉴스토리팀장이 대신 진행했고 2019년 2월 8일에는 김석재 보도본부 차장이 대신 진행했고 2020년 9월 22일에는 당시 편상욱 국제부장이 대신 진행했고 2020년 12월 14일부터 2020년 12월 24일에는 배재학 국제부 부국장급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21대 고희경 보도국 부국장 2023년 4월 3일 ~ 현재 고희경 보도국 부국장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2023년 12월 29일에는 정석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 = 서브 = = = =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김윤상 아나운서 2017년 1월 2일 ~ 2018년 4월 6일 2대 이인권 아나운서현재 좋은 아침 남성 MC, 이인권의 펀펀투데이 DJ 2018년 4월 9일 ~ 2019년 1월 18일 3대 주시은 아나운서현재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여성 앵커 2019년 1월 21일 ~ 2019년 8월 28일 2019년 3월 4일부터 2019년 8월 28일까지 월요일부터 수요일에 진행. 4대 박은경 아나운서팀 차장현재 SBS 10 뉴스 여성 앵커, 박은경의 스위트 뮤직박스 DJ 2019년 3월 7일 ~ 2019년 8월 30일 목요일부터 금요일에 진행. 5대 김선재 아나운서현재 생방송 투데이 여성 MC 2019년 9월 3일 ~ 2021년 2월 10일 김선재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20년 12월 10일에는 이윤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6대 이인권 아나운서현재 좋은 아침 남성 MC, 이인권의 펀펀투데이 DJ 2021년 2월 15일 ~ 2021년 10월 26일 이인권 아나운서는 2년 만에 SBS 오 뉴스 서브 재진행.월요일부터 화요일에 진행. 6대 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현재 SBS 12 뉴스 여성 앵커, SBS 뉴스토리 MC 2021년 2월 17일 ~ 2021년 10월 29일 수요일부터 금요일에 진행. 7대 김가현 아나운서현재 평일 SBS 8 뉴스 여성 앵커 2021년 11월 1일 ~ 2023년 3월 24일 8대 김다영 아나운서현재 평일 SBS 스포츠뉴스 앵커, 스포츠 투나잇 MC 2023년 3월 28일 ~ 2023년 8월 31일 김다영 아나운서의 휴가로 인해 2023년 8월 8일부터 2023년 8월 11일에는 박가영 리포터가 대신 진행했고 2023년 8월 14일에는 김선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9대 김현진 아나운서현재 생방송 투데이 남성 MC, 열린 TV 시청자 세상 남성 패널 2023년 9월 1일 ~ 현재 = = 한국 수어 통역 = = 장진석 (남성) 안규순 (여성) = = 코너 = = = = = 방영 코너 = = = 코너명 진행자 이슈 토크 고희경 보도국 부국장 오 클릭 김현진 아나운서 네트워크 현장 월요일 : 강원 (김수민 G1 아나운서), 부산 (임혜림 KNN 아나운서) 화요일 : 전주 (민세정 JTV 아나운서), 울산 (최지은 ubc 아나운서) 수요일 : 대전 (양세원 TJB 아나운서), 제주 (이담교 JIBS 아나운서) 목요일 : 대구 (김명미 TBC 아나운서), 광주 (최창은 kbc 아나운서) 금요일 : 청주 (변수민 CJB 아나운서) 수도권 소식 월요일 : 서울시청 (무작위) 화요일 : 수원지국 (한주한 기자) 수요일 : 성남지국 (유영수 기자) 목요일 : 의정부지국 (서쌍교 기자) 금요일 : 인천지국 (송인호 기자) 간추린 뉴스 김현진 아나운서 스브스뉴스 비디오머그 오늘의 금융 시장 최민지 NH투자증권 연구원, 신경민 NH투자증권 연구원, 김다현 NH투자증권 연구원 (격주 진행) 고속도로 교통상황 한국도로공사 교통방송 고속도로 교통 캐스터 날씨 남유진 기상 캐스터 클로징 고희경 보도국 부국장 = = = 이슈 토크 = = = 이슈 토크 코너. 2017년 1월 2일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당시 명칭은 오 키워드였으나 2017년 1월 9일부터 오 뉴스 토크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 8월 6일부터 오 이슈로 변경되었으나 2021년 2월 28일 현재의 이슈 토크로 변경되었다. = = = 오 클릭 = = = SNS, 인터넷 검색어로 시민들의 하루 관심사, 반응 등을 정리하는 코너. 서브 앵커 김현진 아나운서가 진행한다. 2019년 10월 12일까지 다음 날 모닝와이드 1, 2부에서 모닝 클릭으로 재방송 편성되었으며 화요일부터 금요일에는 박가영 리포터가 진행하고 토요일에는 이세영 기자가 진행하였다. = = = 네트워크 현장 = = = 네트워크 뉴스 코너.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은 지역민영방송을 연결하여 지역 소식을 전달한다. 월요일 : 강원 (김수민 G1 아나운서), 부산 (임혜림 KNN 아나운서) 화요일 : 전주 (민세정 JTV 아나운서), 울산 (최지은 ubc 아나운서) 수요일 : 대전 (양세원 TJB 아나운서), 제주 (이담교 JIBS 아나운서) 목요일 : 대구 (김명미 TBC 아나운서), 광주 (최창은 kbc 아나운서) 금요일 : 청주 (변수민 CJB 아나운서) = = = 수도권 소식 = = = 수도권 뉴스 코너. 월요일 : 서울시청 (무작위) 화요일 : 수원지국 (한주한 기자) 수요일 : 성남지국 (유영수 기자) 목요일 : 의정부지국 (서쌍교 기자) 금요일 : 인천지국 (송인호 기자) = = = 간추린 뉴스 = = = 단신 뉴스 코너. 서브 앵커 김현진 아나운서가 진행한다. = = = 스브스 뉴스 = = = 스브스 뉴스 코너. = = = 비디오 머그 = = = 비디오 머그 코너. = = = 오늘의 금융 시장 = = = 증권 시황 코너. 최민지 NH투자증권 연구원, 신경민 NH투자증권 연구원, 김다현 NH투자증권 연구원 등이 격주로 진행하며 SBS 10 뉴스, SBS 12 뉴스에서도 공통으로 방송된다. = = = 고속도로 교통 상황 = = = 고속도로 교통 상황을 중계하는 코너. 한국도로공사 교통방송 고속도로 교통 캐스터가 진행하며 SBS 12 뉴스에서도 공통으로 방송된다. = = = 날씨 = = = 기상 정보 코너. = = = 종영 코너 = = = 코너명 진행자 머니 클릭 한지연 경제부 기자 문화 현장 오 BIZ 월드 리포트 = = = 머니 클릭 = = = 금요일 경제 뉴스 코너. 한 주의 경제 뉴스를 짚어본다. = = = 문화 현장 = = = = = = 오 BIZ = = = 금요일 생활 뉴스 코너. 한 주의 주요 관심사를 짚어본다. = = = 월드 리포트 = = = 국제 뉴스 코너. =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 오후 5시 30분부터 지역 뉴스를 방송·편성된다. kbc TV는 지역 뉴스 방송·편성 없이 본사 수중계 방송한다. 방송국 방송 권역 프로그램 타이틀 진행자 G1 TV 강원특별자치도 뉴스퍼레이드 강원 김수민 CJB TV 충청북도 CJB 뉴스 (1730) 변수민 TJB TV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TJB 뉴스 (1735) 강병주 JTV TV 전북특별자치도 JTV 저녁뉴스 민세정 TBC TV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TBC 대경뉴스광장 김명미 (월요일 ~ 목요일) 김예은 (금요일) ubc TV 울산광역시 ubc 뉴스라인 최지은 KNN TV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KNN 뉴스투데이 박경익 JIBS TV 제주특별자치도 JIBS 저녁뉴스 이담교 = = 타이틀 변천사 = = 현재 타이틀은 2017년 1월 2일을 기준으로 한다.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SBS 뉴스 1991년 12월 9일 ~ 1994년 1월 28일 2기 SBS 530 뉴스 1994년 1월 31일 ~ 1995년 9월 1일 3기 SBS 뉴스퍼레이드 1995년 9월 4일 ~ 2003년 5월 9일 4기 오늘의 뉴스 2003년 5월 12일 ~ 2003년 7월 18일 5기 수도권 뉴스현장 2005년 4월 25일 ~ 2005년 7월 1일 6기 생방송 투데이 1부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7기 SBS 뉴스퍼레이드 2007년 1월 15일 ~ 2016년 12월 30일 8기 SBS 오 뉴스 2017년 1월 2일 ~ 현재 = = 편성 변경 = = 2023년 11월 17일 : 2023년 11월 17일 : 《창사 특집 SBS 희망 TV AGAIN 기아 체험 24시간 (5부)》 편성으로 인해 20분 단축 편성 = = 결방 사유 = = 2018년 8월 29일 : 《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준결승 - 대한민국 vs 베트남》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20년 4월 15일 : 《4·15 국회의원 선거 개표 방송 2020 국민의 선택》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22년 3월 9일 : 《3·9 대통령 선거 개표 방송 2022 국민의 선택》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22년 6월 1일 : 《6·1 지방 선거 개표 방송 2022 국민의 선택》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23년 9월 25일 ~ 2023년 10월 5일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 방송으로 인해 결방 2023년 12월 25일 : 《2023 SBS 가요대전》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24년 2월 12일 : 《미운 우리 새끼 (재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 = 한산초등학교 (경기) = 한산초등학교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11년 3월 1일 한산초등학교 개교(5학급, 93명) 2011년 3월 1일 초대 한치영 교장 취임 2011년 9월 6일 12학급 편성 2012년 2월 10일 제1회 졸업식(남 18, 여 22, 계 40명) 2013년 2월 15일 제2회 졸업식 2014년 3월 3일 초등 24학급(618명), 특수1학급(4명), 유치원 3학급(64명) 편성 = 위키백과:삭제 토론/황상윤 = = = 황상윤 = = 삭제하기 전 문서에는 어떤 개인이 두 개의 TV 방송에 출연하였다는 것이 전부이며, 이것만으로는 위키백과의 등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합니다. 위키백과:생존 인물의 전기 원칙에 따라 저명성이 현재 확인되지 않은 인물이라 빠르게 삭제합니다. (물론, 저명성 조건이 만족된다면 언제든지 다시 생성될 수 있습니다.) klutzy (토론) 2013년 2월 28일 (목) 02:36 (KST) 저명성이 없어 보입니다. 단순 퀴즈 프로에서 우승자라고 등재되어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3년 2월 25일 (월) 08:32 (KST) = 킴 잭슨 = 킴 잭슨(Kim Jackson, 1965년 8월 22일 ~ )은 아일랜드의 가수이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91에서 아일랜드 대표로 참가했다. = 블랭크 (영화) = 블랭크(Blank)는 인도에서 제작된 베자드 캄바타 감독의 2019년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써니 데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블랭크는 캄바타 감독의 데뷔 영화 작품이며 캐런 카파디아 최초의 영화 데뷔 작품이다. 이 영화의 주 촬영은 2018년 9월 시작되었다. 2019년 5월 3일 인도에서 극장 개봉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써니 데올 카란비르 샤마르마 캐런 카파디아 = 분류:무함마드 알리 = = 츠가와 마사히코 = 츠가와 마사히코(, 1940년 1월 2일 ~ 2018년 8월 4일)은 일본의 배우, 영화감독, 프로듀서로 본명은 카토 마사히코이다. 교토부 교토시 나카교구 출신으로 5살 때에 아역배우로 처음 연예계에 입문, 16살에 정식 데뷔하였다. 이후 이시하라 유지로가 출연한 영화에서 그의 동생 역을 맡으며 유명해졌고 필살 시리즈의 악역을 맡으면서 이름을 알렸다. 또한 사극에서도 이름난 배우로도 유명하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5번이나 맡았으며 또한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요시노부 등 도쿠가와 쇼군을 여러 차례 맡으며 도쿠가와 전문 배우로도 알려져 있다. 2018년 8월 4일 심부전으로 향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 영화 = = 산쇼다유 마루사의 여자 더 우쵸우텐 호텔 데스노트 (영화) 데스노트: 라스트 네임 한 장의 엽서 스트로베리 나이트 (영화) 괴물의 아이 = = TV 출연 = = 황금의 나날 도쿠가와 이에야스 (드라마) 독안룡 마사무네 후루하타 닌자부로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화려한 일족 = = 더빙 = = 어린 왕자 (2015년 영화)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자 테니스 선수 = = 몬테카시노 전투 = 몬테카시노 전투, 로마 전투 또는 카시노 전투는 추축국이 이탈리아 전역에서 겨울 선을 형성하여 연합군의 공격을 방어하자 연합군이 4차례에 걸쳐 이를 돌파하기 위해 벌인 일련의 격전이다. 이 전투의 목적은 로마로 향하는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1944년 초, 라피도가리, 리리, 가리지리아노 계곡과 근처 능선 및 고지에 위치한 독일군은 겨울 선의 서쪽 절반을 방어하고 있었다. 몬테 카시노는 AD 529년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에 의해 세워진 수도원이 위치한 고지였다. 이 고지는 인근 마을인 카시노와 리리 및 라피도 계곡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었다. 보호된 역사지구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독일군은 이곳을 점령하지 않고 있었다. 수도원 인근의 경사면에서 독일군은 몇몇 거점을 마련했다. 연합군 공격 부대에 정확한 포격이 이어지자 연합군 수뇌부는 수도원이 독일군의 관측소로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사상자와 함께 연합군 병사 사이에서는 공포심이 증가했고, 명백한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은 이곳을 파괴하기로 결심했다. 미군 폭격기가 1944년 2월 15일 1,400톤의 고폭탄을 투하했고,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 공습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는데, 독일 강하부대가 파괴 지역을 점령해 폐허에 훌륭한 방어 시설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1월 17일부터 1월 18일 사이에 몬테카시노와 구스타브 방어선에서 연합군은 4차례의 공격을 개시했고, 20개 사단이 20마일의 전선에 투입되었다. 독일군은 마침내 그들의 방어 진지에서 물러났지만 연합군의 피해도 상당했다.Jordan, D, (2004), Atlas of World War II. Barnes & Noble Books, p. 92. 몬테카시노 점령 당시 연합군은 55,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독일군은 이에 비해 훨씬 적은 피해를 입었는데 사상자는 약 20,000명이었다. = = 제1차 전투 = = = = = 계획 및 준비 = = = 제5군 사령관인 마크 클라크의 계획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뉘었다. 먼저 제56런던 보병사단과 제5보병사단은이위치한 해안에서 30km 떨어진 지점에서 중장 리처드 맥크리리가 이끄는 제10군단은 가르질라노 강을 도하해 1944년 1월 17일 공격하기로 계획했다. 영국 제46보병사단은 1944년 1월 17일 리리강과 가릴리아노강이 합류하는 지점을 도하하여 독일군을 공격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소장 지오프리 키예스가 이끄는 미국 제2군단이 영국 제46보병사단의 우측방을 엄호하기로 되어 있었다. 주요 공세 축선은 미국 제2군단이 이끌며, 미국 제36보병사단이 카시노 하류로부터 8km 떨어진 지점에서 수위가 높아진 가리 강을 도하해 강습을 감행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프랑스 해외파병군단은 알퐁소 쥐앵의 지도 하에 구스타브 선과 히틀러 선의 경첩 지역인 몬테 카이로 방향으로 라이트 훅과 같은 기동을 이어나가기로 되어 있었다. 실제로, 클라크는 초기 돌파의 기회가 많을 것이라고 믿지 않았지만,E.D. Smith, p. 26. 존 P. 루카스가 이끄는 제6군단이 1월 22일 상륙을 개시할 안치오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자신의 공격들이 독일 예비군 부대들의 이목을 로마 지역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것이라고 느꼈다. 당시 미국 제6군단은 영국 제1보병사단, 미국 제3보병사단 등 2개 사단과 미국 제1기갑사단의 전투사령부, 영국 코만도, 미국 육군 레인저, 제504보병여단과 이들의 지원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습 공격의 이익과 6번 및 7번 도로가 지나가는 알반 고지군으로의 신속한 내륙 기동을 통해, 안치오 상륙은 구스타브 선의 독일군 측면과 보급선을 위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독일군 사령부가 구스타브 선에서 로마 북쪽으로 철수하기를 희망했다. 독일군의 지난 3달 간 전략이 일관됨에도 불구하고, 연합군 정보 담당자들은 적군의 후퇴 전략이 적이 완강히 방어하고 있는 구스타브 선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어주기 위한 하나의 목표만을 추구하고 있음을 이해하지 못했다. 연합군 관측자들의 정보 평가는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E.D. Smith, p. 27. 제5군은 1월 15일이 되어서야 구스타브 선에 도달했다. 베른하르트 선의 시작점에서 11km를 진격하는 데 7주나 걸렸으며 16,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새로운 공세를 준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었으며, 나폴리 북방에서 3달 간 소모전을 치렀기에 부대 재편성과 휴식이 필요했다. 그러나 연합군 합동 참모본부가 오버로드 작전에 필요한 상륙주정을 가져갔기 때문에 2월이 되기 전까지 이용가능한 상륙 주정을 구할 수 없었고, 싱글 작전은 3일 빨리 구스타브 선에서의 협조된 공격과 함께 1월 말 실행되었다. = 분류:멕시코의 남자 태권도 선수 = = 동계면 = 동계면(東界面)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관전리 구미리 내령리 동심리 서호리 수장리 수정리 신흥리 어치리 유산리 이동리 주월리 현포리 = = 주요 부락 = = 창주마을 (서호리) - 남쪽으로는 적성면과 경계를 이루며, 동쪽은 산지. 서쪽은 오수천변의 충적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을은 약 300년 전 천변에 창주정이라 하는 정자가 있어 정자이름으로 인하여 창주마을이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 대한민국의 지역주의 = 대한민국의 지역 감정은 대한민국에서 발생하는 지역적인 감정 대립을 의미한다. 보통 그 형태가 영남 지방 사람들과 호남 지방 사람들의 갈등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며, 선거를 목적으로 정치가들이 이를 상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이 지역주의에 이끌려서 투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지역주의를 '망국적인 고질병'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박상훈, 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후마니타스, 2009년, p.9-10 = = 사례 = = 지역주의와 관련해서 여러 정치인들은 각각의 의견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역주의 발언의 대다수는 선거 또는 정치적 사건과 연관이 있었다. = = = 1969년 3선개헌 반대 신민당 광주 유세 = = = 1969년 10월 12일, 3선개헌안 국민투표를 며칠 앞둔 시점에, 당시 야당인 신민당은 광주공원에서 4만여 청중이 모인 가운데 3선개헌 반대 유세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신민당과 3선개헌반대 범투위의 이재형, 정성태, 김대중, 윤길중, 양일동, 양회수 등은 "영남지방은 고속도로까지 개설하는 정부가 호남선은 복선마저 제대로 않고 푸대접하고 있다."고 호남 푸대접론을 주장하면서, "경상도 정권을 타도하자."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푸대접을막자 신민, 광주유세경향신문1969-10-13 = = = 1971년 7대 대선 = = = 1971년 4월 대선 당시 이효상 국회의장은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는 언급을 하였다박정희-김대중 후보 격돌 7대 대선 때 첫 '양극화'동아일보2000-03-04(DJ 삶의 5가지 꼬리표) 시련·멍에는 역사의 거목을 키웠다 스포츠서울2009/08/22 19:46 이효상은 박정희 지지 찬조연설에서 "쌀밥에서 뉘가 섞이듯이 경상도에서 반대표가 나오면 안된다. 경상도 사람 중에서 박대통령 안찍는 자는 미친놈이다."라는 언급을 한 적이 있다.조선일보 1971 4.18 한편, 1971년 대선을 앞두고 중앙정보부의 공작으로 영남 지역에서 '호남에서 영남인의 물건을 사지 않기로 했다'는 전단지가 나돌았다.(분수대) 흑색선전중앙일보2010-06-02 00:38 = = = 1992년 14대 대선 = = = 초원복집 사건은 1992년 정부 기관장들이 부산의 ‘초원복집’이라는 음식점에 모여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지역 감정을 부추기자고 모의한 것이 도청에 의해 드러나 문제가 된 사건이다. 1992년 대선을 앞둔 12월 11일 오전 7시 부산 초원복집에서 김기춘 법무부 장관과 김영환 부산직할시장, 박일용 부산지방경찰청장, 이규삼 안기부 부산지부장, 우명수 부산시 교육감, 정경식 부산지방검찰청장, 박남수 부산상공회의소장 등이 모여서 민주자유당 후보였던 김영삼을 당선시키기 위해 지역감정을 부추기고, 정주영, 김대중 등 야당 후보들을 비방하는 흑색선전을 유포시키자는 등 관권 선거와 관련된 대화를 나눴는데 이 내용이 정주영 후보측의 통일국민당에 의해 도청되어 언론에 폭로되었다. 아파트 값을 반으로 내리겠다는 공약등으로 보수층을 잠식하던 정주영 후보측이 민자당의 치부를 폭로하기 위해 전직 안기부 직원등과 공모하여 도청 장치를 몰래 숨겨서 녹음을 한 것이었다.초원복집 "안 좋은 일로 회자돼 유감"오마이뉴스 2005년 7월 30일자 하지만 김영삼 후보측은 이 사건을 음모라고 규정했으며, 주류 언론은 관권선거의 부도덕성보다 주거침입에 의한 도청의 비열함을 더 부각시켰다. 이 때문에 통일국민당이 오히려 여론의 역풍을 맞았고, 김영삼 후보에 대한 영남 지지층이 오히려 집결하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낳았다. 이 여세를 몰아 김영삼이 14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시샹현 = 시샹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한중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320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410,000명이다. = = 지리 = = 산지와 구릉이 93.2%를 차지하고 평지와 하천이 6.8%를 차지한다. 연평균 기온은 14.4 °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923.5mm이다. = = = 기후 = = = = = 행정 구역 = = 15개 진, 8개 향을 관할한다. 진: 城关镇, 杨河镇, 柳树镇, 沙河镇, 私渡镇, 桑园镇, 白龙塘镇, 古城镇, 峡口镇, 堰口镇, 茶镇, 高川镇, 两河口镇, 五里坝镇, 大河镇. 향: 钟家沟乡, 左溪乡, 罗镇乡, 司上乡, 马家湾乡, 三花石乡, 子午乡, 白勉峡乡. = 분류:1986년 영화상 = = 분류:나라별 절 = = 원숭이올빼미 = 원숭이올빼미(, Tyto alba) 가면올빼미 또는 외양간올빼미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퍼져있는 새들 가운데 하나이자 가장 널리 분포된 올빼미 종이다. 가면올빼미과(barn-owl, Tytonidae), 올빼미과와는 구별된다. 극지, 사막 지역,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아시아 북부, 인도네시아 대부분과 일부 태평양 제도를 제외하고 전 세계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볼 수 있다.Bruce (1999) pp. 34–75 = 아녜스 자우이 = 아녜스 자우이(Agnès Jaoui, 1964년 10월 19일 ~ )는 프랑스의 배우, 영화 각본가, 영화 감독, 가수이다. = = 작품 목록 = = = = = 감독 = = = 타인의 취향 (2000) 룩 앳 미 (2004) 레인 (2008) 해피엔딩 네버엔딩 (2013) = 세로자트 = = 이향희 (작가) = 이향희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1996년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로 데뷔하였으며, 1998년 드라마 방영중에 응모한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에 알레르기, 알레고리로 당선되었으며, 또한 당선된 희곡으로 한국연극연출가협회 주최로 문예극장 소극장에서 열린 ‘98 신춘 단막극제’에서 공연되었다. = = 집필 작품 = =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방송사 유형 연출 공동 집필 2020 영혼수선공 KBS2 수목 유현기 2016 동네변호사 조들호 KBS2 월화 이정섭, 이은진 2014-2015 왕의 얼굴 KBS2 수목 윤성식 2007 쩐의 전쟁 SBS 수목 장태유 2006 드라마시티 - 너무도 착한 그녀 KBS2 단막 이건준 2005 러브홀릭 KBS2 월화 이건준, 문준하 2004 드라마시티 - 사랑해요 수헬리 KBS2 단막 이건준 2003 술의 나라 SBS 수목 이진석 정성주 하차 이후 2002 드라마시티 - 지독한 사랑 KBS2 단막 이건준 2002 드라마시티 - 너의 목소리가 들려 KBS2 단막 정해룡 2001-2002 학교 4 KBS2 일요 정해룡, 황의경 진수완 2001 드라마시티 - 라몬으로 가는 지도 KBS2 단막 정해룡 2000 소설 목민심서 KBS2 일일→수목 신재국, 이재혁, 이제헌 윤영수 1999-2000 학교 2 KBS2→KBS1 토요→일요 박찬홍 한준서고영탁 이강현 진수완 김지우구선경 김윤영 1995-1998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KBS2→KBS1→KBS2 주간단막 신재국 이제헌박찬홍 심광흠 김지우 홍진아 = = = 영화 = = =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2006) - 각본 = = = 연극 = = = 《알레르기, 알레고리》(1998) -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작 = = 수상 경력 = = 199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 하티 흐로드비트니손 = 하티 흐로드비트니손Byock, Jesse. (Trans.) The Prose Edda, page 164. (2006) Penguin Classics 는 북유럽 신화에서 달을 쫓아 하늘을 달리는 괴물 늑대이다. 〈길피의 속임수〉에 등장한다. 형제인 스콜은 해를 쫓아 하늘을 달린다. 북유럽 신화의 말세 신화인 라그나로크에서는 이 두 늑대가 결국 해와 달을 집어삼키고, 동시에 펜리르가 포박에서 풀려난다. 하티의 성씨인 ‘흐로드비트니손’은 〈그림니르의 비가〉 및 〈길피의 속임수〉에 언급된다. 이 성씨를 통해 하티가 흐로드비트니르의 아들임을 알 수 있고, 흐로드비트니르는 펜리르의 다른 이름이다. 하티의 어머니의 이름은 알려져있지 않지만, 미드가르드 동쪽에 있는 야든비드르에 살고 있는 여자 거인이라는 것이 〈무녀의 예언〉과 〈길피의 속임수〉에 언급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이 마녀 거인이 많은 괴물을 낳았는데, 그 중 말세 때 달을 집어삼킬 마나가름(Mánagarm)이라는 괴물 늑대도 있다고 했다. 고로 하티의 별명이 ‘마나가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구절에서 스콜이 하티의 형제임을 알 수 있다. 하티는 월식의 신이기도 하다. = Stages: Three Days in Mexico = Stages: Three Days in Mexico는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DVD이다. 멕시코에서의 3일 동안 활동 한것을 담고 있다. 총 시간은 60분이다. = 분류:미국의 핸드볼 경기장 = = 낸시 카트라이트 = 낸시 카트라이트(Nancy Cartwright, 1957년 10월 25일 ~ )는 미국의 배우, 성우이다. = 포털:곤충/이 주의 그림 = = 틀: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G조 = 팀 경기 승점 6 9 6 9 6 9 6 5 예선 G조 = 걸즈 룰 = 〈걸즈 룰〉은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의 6번째 싱글이다. = = 개요 = = 전작 〈너의 이름은 희망〉으로부터 약 4개월 만의 싱글이다. 전작까지 센터는 이코마 리나가 맡아왔지만, 이번 싱글의 표제곡 〈걸즈 룰〉의 센터는 시라이시 마이가 맡는다. 커플링 곡인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는 멤버가 출연하고 있는 드라마 BAD BOYS J의 삽입곡이다. = = 수록곡 = = = = = Type-A = = = 자켓 사진 (표지):시라이시 마이 자켓 사진 (뒷면):〈걸즈 룰〉 선발 멤버 16명 / 걸즈 룰 [4:48]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편곡:고토 코지)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3:42]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카와하라 미네아키 / 편곡: 햣코쿠 하지메) #* 닛폰 TV 계열 드라마 BAD BOYS J 삽입곡 / 박쥐여 [4:15]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미나미다 켄고 / 편곡: 타카하시 야스하루) # # # = = = Type-B = = = 자켓 사진 (표지):이코마 리나·하시모토 나나미 자켓 사진 (뒷면):〈걸즈 룰〉 선발 멤버 16명 / 걸즈 룰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 선풍기 [3:55]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카쿠노 토시카즈 / 편곡: 노무라 요이치로) # # # = = = Type-C = = = 자켓 사진 (표지):이쿠타 에리카·타카야마 카즈미·사쿠라이 레이카 자켓 사진 (뒷면):〈걸즈 룰〉 선발 멤버 16명 / 걸즈 룰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 다른 별에서 [4:07]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편곡: Sugaya Bros.) # # # = = = 통상반 = = = 자켓 사진 (표지):마츠무라 사유리·니시노 나나세 자켓 사진 (뒷면):〈걸즈 룰〉 선발 멤버 16명 / 걸즈 룰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 인간이라고 하는 악기 [5:05] #: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카네츠키 유키타카 / 편곡: TATOO) # # # = = 선발 멤버 = = = = = 걸즈 룰 = = = (센터:시라이시 마이) 1열: 마츠무라 사유리, 시라이시 마이, 하시모토 나나미 2열: 사쿠라이 레이카, 이쿠타 에리카, 이코마 리나, 니시노 나나세, 타카야마 카즈미 3열: 이토 마리카, 이노우에 사유리, 나카다 카나, 와카츠키 유미, 호시노 미나미, 아키모토 마나츠, 후카가와 마이, 사이토 유리 = = =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 Lover = = = (센터:시라이시 마이) 아키모토 마나츠, 이쿠타 에리카, 이코마 리나, 이토 마리카, 이노우에 사유리, 사이토 유리, 사쿠라이 레이카, 시라이시 마이, 타카야마 카즈미, 나카다 카나, 니시노 나나세, 하시모토 나나미, 후카가와 마이, 호시노 미나미, 마츠무라 사유리, 와카츠키 유미 = = = 박쥐여 = = = 시라이시 마이, 나카모토 히메카, 노죠 아미, 와카츠키 유미 = = = 선풍기 = = = (센터:사이토 아스카) 이치키 레나, 이토 네네, 에토 미사, 카시와 유키나, 카와고 히나, 카와무라 마히로, 사이토 아스카, 사이토 치하루, 나가시마 세이라, 나카모토 히메카, 노죠 아미, 하타나카 세이라, 히구치 히나, 미야자와 세이라, 야마토 리나, 와다 마야 = = = 다른 별에서 = = = (센터:니시노 나나세) 이토 마리카, 이노우에 사유리, 사이토 유리, 사쿠라이 레이카, 나카다 카나, 니시노 나나세, 와카츠키 유미 = = = 인간이라고 하는 악기 = = = 아키모토 마나츠, 이쿠타 에리카, 이코마 리나, 이치키 레나, 이토 네네, 이토 마리카, 이노우에 사유리, 에토 미사, 카시와 유키나, 카와고 히나, 카와무라 마히로, 사이토 아스카, 사이토 치하루, 사이토 유리, 사쿠라이 레이카, 시라이시 마이, 타카야마 카즈미, 나카다 카나, 나카모토 히메카, 나가시마 세이라, 니시노 나나세, 노죠 아미, 하시모토 나나미, 하타나카 세이라, 히구치 히나, 후카가와 마이, 호시노 미나미, 마츠무라 사유리, 미야자와 세이라, 야마토 리나, 와카츠키 유미, 와다 마야 =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선수 명단 =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선수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회는 2018년 1월 중국에서 열린다. 이대회는 AFC에서 주최하는 23세이하 대회이다. 그에 따라 FIFA A매치 데이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클럽들에게 선수를 차출해야만 하는 권리는 없다. 또한 각 팀은 국가대표로 23명을 명단에 올려야 한다. = = A조 = = = = = 중국 = = =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4일에 발표했다. 감독: 마시밀리아노 마달로니 = = = 카타르 = = = 감독: 펠릭스 산체스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1일에 발표했다. = = = 우즈베키스탄 = = = 감독: 라브샨 하이다로프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4일에 발표했다. = = = 오만 = = = 감독: 하마드 알아자니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31일에 발표했다. = = B조 = = = = = 일본 = = = 감독: 모리야스 하지메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26일에 발표했다.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감독: 주성일 = = = 태국 = = = 감독: 조란 얀코비치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1일에 발표했다. = = = 팔레스타인 = = = 감독: 아이만 산두카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31일에 발표했다. = = C조 = = = = = 이라크 = = = 감독: 압둘가니 샤하드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3일에 발표했다. = = = 요르단 = = = 감독: Iain Brunskill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27일에 발표했다. = = = 사우디아라비아 = = = 감독: Daniel Teglia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30일에 발표했다. = = = 말레이시아 = = = 감독: Ong Kim Swee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29일에 발표했다. = = D조 = = = = = 대한민국 = = = 감독: 김봉길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5일에 발표했다. = = = Australia = = = 감독: Ante Milicic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19일에 발표했다. = = = 시리아 = = = 감독: 모한드 파르 최종 명단은 2018년 1월 1일에 발표했다. = = = 베트남 = = = 감독: 박항서 최종 명단은 2017년 12월 30일에 발표했다. = 리드케이훼어스 = 리드케이훼어스는 유한회사로서 2014년 9월에 설립된 전시전문주최사이다. Reed Exhibitions(영)과 한국의 케이훼어스(주)가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2014년 Reed Exhibitions의 이사회에서는 한국내 전시주최사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결정하고, 케이훼어스와 협의하여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결정하고 케이훼어스내의 KORMARINE(국제조선 및 해양산업전)팀이 리드케이훼어스 전시팀의 모태가 된다. 대표이사는 Reed Exhibitions의 당시 아시아태평양사장이자 현재 아시아태평양 회장을 엮임하고 있는 Paul Beh와 케이훼어스의 홍성권 대표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2015년 케이훼어스의 홈테이블데코페어와 EMK(국제전자제조산업전)를 인수합병한다. 2017년 서울메쎄의 뷰티엑스포전시회를 공동주최하기로 결정하고, 2018년부터 인터챰뷰티엑스포로 전시명을 변경하였다. 2018년 WORKBOAT KOREA(국제중소조선 및 워크보트전)을 신규 런칭하였다. 창립 4년만인 2018년 매출 130억원을 달성하는 등 짧은 기간안에 동종업계 최고수준으로 성장하였다. 대표 전시회로 KORMARINE(국제조선 및 해양산업전), HOME TABLE DECO FAIR(홈테이블데코페어), EMK(전자제조산업전), WORKBOAT KOREA(워크보트코리아)를 포함한 KOREA OCEAN EXPO(국제해양안전대전),인터참뷰티엑스포가 있다. = 불이성 법륜사 = 법륜사(法輪寺) 또는 불이성 법륜사는 서울 종로구 사간동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이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박대륜이 개설한 금강산 유점사의 경성포교당으로 시작된 사찰이다. 불이성 법륜사라는 이름은 유점사와 법륜사는 둘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나왔다. 법륜사는 불교의 근대식 포교가 시작된 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국불교 최초의 근대화된 포교당이자 대승교화의 효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50년대에 대처승과 비구승의 격렬한 대립이 있은 후 조계사에서 밀려난 대처승 측의 거점이 되었고, 이들이 1970년 한국불교태고종을 창립할 때도 박대륜이 태고종 초대 종정에 오르며 종단의 본거지로 삼았다. 태고종 측은 종단 창종의 산실이었던 불이성 법륜사를 "한국불교의 역사성과 법맥 계승의 의미가 있"다며 특별하게 여기고 있다. 태고종은 2006년에 법륜사 자리에 지하 3층, 지상 4층 규모의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건물을 지었다. 한국불교전통문화전승관 건립은 태고종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다. 이 건물에는 태고종 총무원을 비롯해 불교문화 상설 전시장, 불교문화재 전시관, 대륜불교사상연구소 등이 설치되고 법륜사는 지상 3층에 자리잡았다. = 분류:백제의 화가 = = 인천시 남구 = 인천시 남구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기도 인천시 남구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1968년 1월, 인천시에 구제가 실시되었다. 이에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구를 관할하는 인천시 남구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동구·중구, 인천시 북구 선거구와 통합되어 인천시 전 지역을 관할하는 인천시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71년 신민당 김은하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 = = 분류:폴란드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인권운동가 = 분류:아랍의 종교인 = = 준이치로 = 준이치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의 정치인 다니자키 준이치로: 일본 메이지에서 쇼와 기(期)에 걸친 소설가 = 1961년 팬아랍 게임 = 1961년 팬아랍 게임은 1961년 8월 24일부터 9월 9일까지 모로코 왕국의 카사블랑카에서 열린 대회이다. 9개 국가에서 온 총 112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경기종목은 11개 종목이었다. = = 메달 집계 = = 1 52 37 19 108 2 33 21 29 83 3 7 19 17 43 4 2 4 6 12 5 1 0 7 8 6 0 1 3 4 6 0 1 3 4 8 0 0 0 0 8 0 0 0 0 = 광역지방자치단체장 = 광역지방자치단체장(廣域地方自治團體長)은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의 행정을 대표하는 선출직 공무원이다.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특별자치도지사가 있다. 만 18세 이상이면 출마할 수 있으며, 지방선거에 의하여 해당 지역의 유권자들이 직접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 서울특별시장만 장관급 예우를 받고,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특별자치도지사는 차관급의 예우를 받는다. 시가 광역시로 승격될 때는 공직선거법에 의해 시장을 새로 선출해야 한다. = = 현직 광역자치단체장 = = ※재선 이상의 단체장만 비고란에 표시하고, 초선은 별도 표시하지 않음 광역단체장 정당 정당 이름 비고 서울특별시장 국민의힘 오세훈 4선 부산광역시장 국민의힘 박형준 재선 대구광역시장 국민의힘 홍준표 인천광역시장 국민의힘 유정복 재선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대전광역시장 국민의힘 이장우 울산광역시장 국민의힘 김두겸 세종특별자치시장 국민의힘 최민호 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국민의힘 김진태 충청북도지사 국민의힘 김영환 충청남도지사 국민의힘 김태흠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관영 전라남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재선 경상북도지사 국민의힘 이철우 재선 경상남도지사 국민의힘 박완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 = 역대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 = 기수 선거 서울 서울 서울 부산 부산 부산 대구 대구 대구 인천 인천 인천 광주 광주 광주 대전 대전 대전 울산 울산 울산 세종 세종 세종 경기 경기 경기 강원 강원 강원 충북 충북 충북 충남 충남 충남 전북 전북 전북 전남 전남 전남 경북 경북 경북 경남 경남 경남 제주 제주 제주 1960 민주당 김상돈 민주당 신광균 민주당 박영록 민주당 조대연 신민당 이기세 민주당 김상술 신민당 민영남 민주당 이호근 신민당 이기주 무소속 강성익 1기 1995 민주당 조순 민주자유당 문정수 무소속 문희갑 민주자유당 최기선 민주당 송언종 자유민주연합 홍선기 민주자유당 이인제 자유민주연합 최각규 자유민주연합 주병덕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민주당 유종근 민주당 허경만 민주자유당 이의근 민주자유당 김혁규 무소속 신구범 2기 1998 새정치국민회의 고건 한나라당 안상영 한나라당 문희갑 자유민주연합 최기선 새정치국민회의 고재유 자유민주연합 홍선기 한나라당 심완구 새정치국민회의 임창열 한나라당 김진선 자유민주연합 이원종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새정치국민회의 유종근 새정치국민회의 허경만 한나라당 이의근 한나라당 김혁규 새정치국민회의 우근민 3기 2002 한나라당 이명박 한나라당 안상영 한나라당 조해녕 한나라당 안상수 새천년민주당 박광태 한나라당 염홍철 한나라당 박맹우 한나라당 손학규 한나라당 김진선 한나라당 이원종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새천년민주당 강현욱 새천년민주당 박태영 한나라당 이의근 한나라당 김혁규 새천년민주당 우근민 3기 2004 한나라당 이명박 한나라당 허남식 한나라당 조해녕 한나라당 안상수 새천년민주당 박광태 한나라당 염홍철 한나라당 박맹우 한나라당 손학규 한나라당 김진선 한나라당 이원종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새천년민주당 강현욱 새천년민주당 박준영 한나라당 이의근 한나라당 김태호 한나라당 김태환 4기 2006 한나라당 오세훈 한나라당 허남식 한나라당 김범일 한나라당 안상수 민주당 박광태 한나라당 박성효 한나라당 박맹우 한나라당 김문수 한나라당 김진선 한나라당 정우택 한나라당 이완구 열린우리당 김완주 민주당 박준영 한나라당 김관용 한나라당 김태호 무소속 김태환 5기 2010 한나라당 오세훈 한나라당 허남식 한나라당 김범일 민주당 송영길 민주당 강운태 자유선진당 염홍철 한나라당 박맹우 한나라당 김문수 민주당 이광재 민주당 이시종 민주당 안희정 민주당 김완주 민주당 박준영 한나라당 김관용 무소속 김두관 무소속 우근민 5기 2011 무소속 박원순 한나라당 허남식 한나라당 김범일 민주당 송영길 민주당 강운태 자유선진당 염홍철 한나라당 박맹우 한나라당 김문수 민주당 최문순 민주당 이시종 민주당 안희정 민주당 김완주 민주당 박준영 한나라당 김관용 무소속 김두관 무소속 우근민 5기 2012 무소속 박원순 한나라당 허남식 한나라당 김범일 민주당 송영길 민주당 강운태 자유선진당 염홍철 한나라당 박맹우 자유선진당 유한식 한나라당 김문수 민주당 최문순 민주당 이시종 민주당 안희정 민주당 김완주 민주당 박준영 한나라당 김관용 새누리당 홍준표 무소속 우근민 6기 2014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새누리당 서병수 새누리당 권영진 새누리당 유정복 새정치민주연합 윤장현 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새누리당 김기현 새정치민주연합 이춘희 새누리당 남경필 새정치민주연합 최문순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새정치민주연합 송하진 새정치민주연합 이낙연 새누리당 김관용 새누리당 홍준표 새누리당 원희룡 7기 2018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자유한국당 권영진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이용섭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더불어민주당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최문순 더불어민주당 이시종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더불어민주당 송하진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자유한국당 이철우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무소속 원희룡 7기 2021 국민의힘 오세훈 국민의힘 박형준 자유한국당 권영진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이용섭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더불어민주당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최문순 더불어민주당 이시종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더불어민주당 송하진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자유한국당 이철우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무소속 원희룡 8기 2022 국민의힘 오세훈 국민의힘 박형준 국민의힘 홍준표 국민의힘 유정복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국민의힘 이장우 국민의힘 김두겸 국민의힘 최민호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국민의힘 김진태 국민의힘 김영환 국민의힘 김태흠 더불어민주당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국민의힘 이철우 국민의힘 박완수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 이스탄불의 역사 = 이스탄불의 역사는 터키의 도시 이스탄불의 건설과 변천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이스탄불 최초의 부락은 기원전 13세기에서 기원전 11세기 사이에 트라키아인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당시 이름은 리고스였다. 기원전 7세기 경에는 그리스인들이 이 곳을 식민지로 만들었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thumb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 연방 또는 줄여서 세인트키츠 네비스는 1983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섬나라이며 수도는 바스테르이다.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카리브해의 리워드 제도 최북단에 위치한 세인트키츠 섬과 네비스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1967년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 앵귈라"라는 이름으로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3년 9월에 이르러 완전 독립을 달성한다. 영국연방의 48번째 가맹국이며 국제 연합(UN)의 158번째 승인국이기도 하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관광이며, 특히 국가 수출의 60% 이상을 사탕수수가 차지하고 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나라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나라이기도 하다. = = 역사 = =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에 5천 년 간, 섬은 인디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유럽인이 오기 전에 가장 최근 정착한 민족은 약 3세기 전에 섬에 왔던 칼리나고 족이었다. 1493년 콜럼버스가 2차항해중에 발견한 후 17세기초까지 스페인령이었다. 1623년에 영국인 처음으로 식민지를 서인도 제도에 개척하기 시작한 곳이다. 1627년에 프랑스인들이 세인트키츠섬에 유입된 이후 100년이 넘게 영국과 프랑스의 갈등이 계속되다가, 1782년에 브림스톤힐에서 영국이 프랑스를 물리친 후 세인트키츠섬에 대한 영국 통치가 확립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세인트키츠네비스의 역사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783년 베르사유조약에 의해 세인트키츠섬과 네비스섬은 영국령으로 확정된다. 앵귈라(Anguilla)를 비롯한 작은 섬들은 1882년에 통합되었다. 1958년에 서인도연방에 가입하여 1967년 해체될 때까지 남아 있었다. 1967년 2월에 세인트키츠섬·네비스섬·앵귈라섬이 영국의 연방주가 되어, 내정자치권을 가지되 국방 및 외교 문제는 영국이 관할하게 되었다. 앵귈라는 1967년 7월에 독립을 선언했으나, 영국의 개입으로 1971년 7월에 앵귈라조약이 체결되고 영국의 직할통치를 받게 되었다. 앵귈라와 세인트키츠 및 네비스의 연합관계는 1980년에 공식적으로 단절되었다. 1982년에 영국 런던에서 제헌회의가 개최되었고, 1983년 9월 19일 세인트크리스토퍼네비스 연방으로 독립하였다. 이후 1988년에 다시 국명이 세인트키츠네비스 연방으로 바뀌었다. = = 지리 = = 세인트키츠 네비스는 두 개의 주도(洲島), 즉 세인트키츠 섬(Saint Kitts)과 네비스 섬(Nevis)으로 구성되어 있다(네비스 섬은 현재 분리 독립을 원하고 있으며, 일부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다). 타원형을 이루는 세인트키츠 섬엔 나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가 위치하는데, 이 봉우리를 '리아무이가 산(Mt. Liamuiga, 1156m)라 한다. 또, 세인트키츠 섬의 북쪽 절반은 산악지대이며 리아무이가 산의 숲이 우거진 분화구에 호수가 형성되어 있다. 세인트키츠 섬 남쪽에 위치한 내로스 해협을 지나면 네비스섬을 볼 수 있다. 네비스 섬은 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멀리서 보면 하나의 산 모양을 띄고 있다. = = =행정구역 = = = = = 기후 = = 열대 해양성의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6 °C이며, 습도는 70% 정도이다. 지속적으로 부는 북동 무역풍의 영향으로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는 작다. 연평균 강수량은 1,397mm로, 5월부터 11월까지가 우기에 해당하지만 다른 카리브 해 국가와 달리 계절에 따른 편차는 크지 않다. 허리케인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고 있어 7월부터 10월까지 허리케인의 피해를 자주 입는다. = = 주민과 언어 = = 주민은 처음에 백인의 첫 이주지였지만, 현재는 아프리카계 흑인이 대부분으로 백인 계통은 소수를 차지한다. 언어는 영어가 공용어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교는 성공회, 로마 가톨릭교회 등의 기독교가 중심이다. = = 문화 = = 경마와 축구를 즐기며 특히 크리켓을 가장 많이 즐긴다. 이 나라의 유명한 크리켓 선수들은 서인도 제도 크리켓 대표팀 소속으로 크리켓 월드컵에 출전한다. = = 군사 = = 이 나라는 모병제를 실시하는 국가이다. = = 외교 = = = = = 대한 관계 = = =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1983년에 대한민국과 일찍 수교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91년에 늦게 수교하였다. 남북한의 동시수교국으로 보인다. = = = 대중 관계 = = = 중화민국과 수교하고 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와 수교하지 않았다. = 틀:인접정차역/설명문서 = 노선을 운행하는 운행 계통의 전역 및 후역을 표시하는 틀입니다. = = 사용법 = =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 {{인접정차역/닫기 }} 노선: 운행 계통이 지나는 노선의 명칭을 적습니다. 운행 계통명은 적지 않습니다. 종류: 노선의 종류를 표시하세요. (수도권 전철, 고속여객열차, 특급여객열차, 급행여객열차, 관광열차) 종별: 운행 계통의 명칭 및 완/급행을 표시하세요. 전역: 현재 역에서 운행 계통의 기점을 기준으로 상행 방면의 역을 적어 넣습니다. 전방면: 운행 계통이 어느 방면으로 가는지 표시하세요. 전색: 운행 계통의 색을 표시합니다. 후역: 현재 역에서 운행 계통의 기점을 기준으로 하행 방면의 역을 적어 넣습니다. 후방면: 운행 계통이 어느 방면으로 가는지 표시하세요. 후색: 운행 계통의 색을 표시합니다. 사용례 = 분류:1950년 도입된 탈것 = = 차경희 = 차경희(1970년 11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93년 EBS 13기 성우로 데뷔하였다. = = 주요 출연작품 = = = = = 애니메이션 = = = 신밧드의 모험 (EBS) = 암드 = 암드는 다음을 의미한다. 암드 (영화)(Armed)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Inc.)의 별명 AMD (동음이의) = 은대구과 = 은대구과(Anoplopomatidae)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쏨뱅이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일본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는 북태평양의 해안에서 발견되며, 심해의 해저 근처에서 산다. 은대구(Anoplopoma fimbria, sablefish)는 1,830m 해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길이가 180cm에 이르는 큰은대구(Erilepis zonifer)도 포함된다. 이들은 식용으로 중요한 물고기이며, 회 또는 구이, 조림을 해서 먹는다. = = 하위 종 = = 2개의 속에 2개의 종이 있다. 은대구속 (Anoplopoma) 은대구 (Anoplopoma fimbria) (Pallas, 1814). 큰은대구속 (Erilepis) 큰은대구 (Erilepis zonifer) (Lockington, 1880). = 분류:소인증에 걸린 사람 = = 큰이빨부리고래 = 큰이빨부리고래(Mesoplodon stejnegeri)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부리고래의 일종이다. 베링해부리고래 또는 사부르이빨고래로도 불린다. 북태평양 북부 지역에 서식한다. 1883년 레온하르트 스테츠네거(Leonhard Hess Stejneger)가 베링 섬 해안에서 훼손된 두개골 모식 표본 일부를 수집했고, 1885년 트루(Frederick W. True)가 이를 기록했다. 1904년 완전한 두개골 표본(오리건주 뉴포트 근처에 좌초한 성체 수컷)이 수집되었고, 이는 공식 확인되었다.True, F.W. 1910. An account of the beaked whales of the family Ziphiidae in the collection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with remarks on some specimens in other American museums.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이 수컷의 가장 주목할만한 특징은 아주 크고, 사부르 모양의 이빨이다. = 대평초등학교 (충남) = 대평초등학교(大坪初等學校)는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홍남동로 161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3년 4월 1일 대평사설강습소로 설립 1946년 9월 18일 홍동국민학교 대평분교장으로 개편 1949년 9월 30일 대평국민학교로 승격 개교 1981년 6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대평초등학교로 개칭 2014년 3월 1일 폐교 = 엣지 (프로게이머) = 엣지(, 1997년 12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현재 프로게임단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아이디는 Edge이고 포지션은 미드라이너였다. 현재 DWG KIA 아카데미팀의 코치를 맡고 있다. = = 선수 시절 = = 2014년 12월 4일 KT 롤스터에 입단하면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5 서머 시즌부터 조금씩 출전기회를 얻었다. 2016시즌을 앞두고 나진 e-mFire에 입단했다. 엣지는 팀의 2016 서머 시즌 챌린저스 우승에 공헌하며 팀의 챔피언스 승격을 이끌었다. 2017시즌 스프링 시즌에는 무너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팀은 챌린저스로 강등되었다. 서머 시즌에서는 팀의 챌린저스 준우승과 챔피언스 승격에 공헌했다. 2018 스프링 시즌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서머 시즌에서는 좋지 못한 팀의 상황과 함께 부진에 빠졌다. 팀은 시즌 후 챌린저스로 강등되었다. 2019시즌을 앞두고 MVP에 입단했다.'엣지' 이호성, 콩두 떠나 MVP로 이적 2019시즌 MVP에서 팀의 에이스로 활동했다. 2020시즌을 앞두고 러너웨이에 입단했다. 러너웨이는 챌코 승강전에서 패배 승격에 실패했지만 러너웨이가 아수라를 인수하여 챌린저스에 참가하자 다시 러너웨이에 합류했다. 러너웨이에서는 마스크와 번갈아가면서 출전했다. 2020시즌 종료 이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 = 지도자 생활 = = 2020년 12월 17일, DWG KIA의 아카데미팀 코치로 부임했다.'엣지' 이호성, 담원서 유망주 육성한다 = = 수상 내역 = = = = = 선수 = = =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6 우승 2016 LoL KeSPA컵 준우승 IEM 시즌 11 경기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7 준우승 = 론칠리오네 = 론칠리오네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비테르보도에 위치한 코무네다. 비테르보로부터 20km 거리에 있다. 도시 경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 분류:일본의 내무대신 = = 크랜필드 대학교 = 크랜필드 대학교(Cranfield University)는 과학, 공학, 디자인, 기술, 경영을 전문으로 하는 영국의 공립 연구형 대학이다. 1946년에 'College of Aeronautics'(CoA)라는 교명으로 설립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들어 항공기 개발 연구가 성장하면서 1967년 제조 및 경영 등의 다른 분야로 다원화되었으며 크랜필드 경영대학원이 설립되었다. 1969년, 교명이 크랜필드 공과대학(Cranfield Institute of Technology)으로 변경되었다. 1993년에 현재의 교명 '크랜필드 대학교'가 채택되었다. 2개의 캠퍼스가 있다. 메인 캠퍼스는 베드퍼드셔주 크랜필드에 있으며 다른 하나는 옥스퍼드셔주 남서부 셔벤엄의 영국 디펜스 아카데미에 있다.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3년 제4주 = = = 양념파닭 = = 이말년 2001:2D8:E143:49C9:0:0:65:90AC(토론)의 편집을 Sumin91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갈등에 되돌리기 기능을 썼습니다 2001:2D8:215:D69:0:0:1DFE:50A5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11:19 (KST) = = 사용자:유진팬하트, 가은팬하트, 담희팬하트 = = 뒤에 하트를 붙였을 뿐 사:뉴진스팬의 차단회피 계정의 ~~팬 네이밍과 비슷하고, 여러 계정이 동시에 생성되는 것이 비슷해 보입니다. * * * * * Seon.L 2023년 1월 23일 (월) 13:59 (KST) = = 사용자:2002:7989:F11F:0:0:0:7989:F11F 관리 요청 = = * 예전에 에피소드 목록 관련해서 차단된 아이피의 회피입니다. 작성 시간 기준으로 오늘까지도 계속 편집을 강행하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16:37 (KST) = = 122.44.2.55 사용자에 대한 정지 요청의 건 = = 올 1일부터 최근까지 122.44.2.55 IP의 훼손성 편집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제주국제공항 내 문서를 훼손하는 등의 고의적인 편집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이에 추가적인 문서훼손 방지를 위해 해당 IP 사용자에 대한 제재조치를 요청하는 바입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2023년 1월 24일 (화) 11:49 (KST) = = 사용자:유정팬하트 = = 계정명의 유사성을 토대로 사용자:뉴진스팬의 차단회피로 판단됩니다. 처리 부탁드립니다. Seon.L 2023년 1월 24일 (화) 14:55 (KST) = = 117.53.231.185 차단 요청 = = * 문서 훼손에 가까울 정도의 장난성 편집과 불필요한 문장부호를 남발할 정도로 지속적인 문서 훼손을 저지르고 있사오니 장기간의 차단이 필요해보입니다. 해당 IP 계정에게 몇 번이고 지적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똑같은 행동을 되풀이하고 있는 악질 IP 계정이오니 기여 목록을 보시면서 편집 제한 조치를 취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미 같은 행동을 저지르다가 차단된 이력이 있습니다. 2002:D2DC:A5C1:0:0:0:D2DC:A5C1 (토론) 2023년 1월 24일 (화) 15:24 (KST) = = 58.140.211.222 = = * 관리자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기업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1월 24일 (화) 21:35 (KST) = = 223.62.178.116 = = * TBC 관련 문서에 문제를 일으키는 차단 회피 IP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00:21 (KST) = = 사용자 이름 긴 사용자 이름 계정명 강제 변경 요청 = = * 지난번에도 이 사용자에 대해 한번 요청을 한적이 있었는데, 다른 분이 계정명 변경 권고 토론글을 남겼다는 글 외에는 별다른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그 후에도, 이 사용자는 권고에도 불구하고 변경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문서 훼손을 하지는 않았으나, 편집 지침을 준수하고 있지 않고, 지나치게 계정명이 길어서 굉장히 최근 바뀜을 볼때도 있어서도 굉장히 눈에 띄게 가독성에 문제가 생겨버리고, 소통을 할때 불편함이 있습니다. 비록 백:사용자 이름에 이러한 케이스를 금지하는 조항은 없다지만, 영어판 지침에서는 라고 나와있습니다. 나쁜 의도까지는 판단하기 어려워서 차단까지는 힘들수 있으나, 적어도 계정명의 변경은 권고가 아닌 필수로 생각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00:24 (KST) = = 14.50.179.189 = = IP 14.50.179.189를 신고합니다. 2023년 태풍 문서를 훼손하였습니다. 1.238.151.202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12:45 (KST) = = 14.33.117.23 = = 지속적인 유해 사이트 링크 삽입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13:18 (KST) = = 상아팬하트, 시은팬하트, 허윤진팬하트, 카즈하팬하트, 홍은채팬하트 = = OO팬하트로 계정을 생성하는 점과 유사함.땅파기 (토론) 2023년 1월 25일 (수) 18:10 (KST) = = 사:뉴진스팬 차단회피 = = Seon.L 2023년 1월 25일 (수) 18:35 (KST) = = 부적절한 토론 태도 = = 편집 요약에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을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부적절한 기여를 많이 시행하고 있기에 조치가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Luminosity (talk) 2023년 1월 25일 (수) 21:26 (KST) = = 정치인, 연예인 반달 = = * * * * * * * * * * 모두 정치인, 연예인 관련해서 독자 연구를 삽입하는 사:NEUE8709의 차단 회피입니다. 위키백과:다중_계정_검사_요청#LG_LOUIS,_NEUE8709에서 다중계정임이 확실시되었으니 다시 슬그머니 편집하기 전에 차단 바랍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5일 (수) 21:48 (KST) = = 211.55.207.51 = = 연예인, 정치인 반달의 차단회피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6일 (목) 09:19 (KST) = = 180.66.63.148 = = * 천문학 문서 훼손. Y.S. (S, L) 2023년 1월 26일 (목) 10:09 (KST) = = -1 +1 = = -1 +1 계열의 편집을 하고 있습니다. - 曹操孟德조조맹덕(寧敎我負天下人영교아부천하인休敎天下人負我휴교천하인부아) 2023년 1월 26일 (목) 20:45 (KST) 추가합니다. - 曹操孟德조조맹덕(寧敎我負天下人영교아부천하인休敎天下人負我휴교천하인부아) 2023년 1월 27일 (금) 20:45 (KST) = = 사:방귀넴새 = = 땅파기 (토론) 2023년 1월 26일 (목) 21:04 (KST) = = ‎119.202.123.129(자매결연) = = 특:기여/119.202.123.0/24 대역 내 자매결연의 차단회피.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7일 (금) 08:23 (KST) = = 밍기덕 = = 출생지 반달하는 상습 차단회피의 계정 LR 토론 / 기여 2023년 1월 27일 (금) 11:13 (KST) = = 사용자:현중이 = = * 설명 간단화, 단순화라고 하면서 실제로는 문서 훼손중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15:52 (KST) = = 사용자:175.195.20.193 = = * 예전에 에피소드 목록 관련 빌런으로 차단된 아이피와 동일한 편집패턴, 즉 차단 회피입니다. 빨리 처리해주십시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16:12 (KST) = = 사토에 장난질 = = 땅파기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21:13 (KST) 101.106.0.0 사토에 전부 장난을 쳐 놨습니다. = = 110.8.46.113 = = 이런 짓을 계정으로 하면 3번은 무기한 차단됐을 겁니다. 다시 차단 바랍니다. LR 토론 / 기여 2023년 1월 27일 (금) 22:09 (KST) = = 119.64.142.155, 라필루스하은하트 = = 차단 요청 이 사람 2년 전에 아이피랑 수윤 하트 차단당한것 같은데 아이피 차단 풀리고 다시 계정 만들어서 문서 훼손하는것 같네요. 계정 만들때마다 끝에 하트나 팬을 붙이는 것 같아요. 관리 부탁합니닼 + 이 계정도 같이 차단해주세요. Jwk0407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0:50 (KST) = = 전광훈 = = 전광푼 반달 Luminosity (talk) 2023년 1월 28일 (토) 13:45 (KST) = = Jwk0407 = = 이분 차단 부탁드립니다. 라필루스하은하트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4:51 (KST) = = 119.64.142.155 = = 위에서 차단 신청했는데 아이피도 차단해주시면 안될까요? 2년전에도 저 아이피로 계정 만들어서 지속적으로 문서 훼손했습니다. —Jwk0407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5:18 (KST) = = 남성팀 승리 20080614 = = * 차단회피 아이디, 문서훼손 반복중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5:28 (KST) = = 차단 회피 및 부적절 계정명 = = 부적절 계정명 차단회피 땅파기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7:31 (KST) = = LISIANTHUS MANAGER = = * 여러번 경고를 주었음에도 불구, 편집지침에 맞지 않게 자꾸 문서를 편집하고 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2:32 (KST) = = Luminosity00 = = * * * * 사용자 관리 요청의 주 이유는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Trusovafan, Luminosity00에서의 제 발언 참고 바랍니다. 다검으로 판단이 불가하여 불가피 관리자의 판단이 필요해졌습니다. 이 계정들 모두 사:Trusovafan의 차단 회피로 의심됩니다. 편집 패턴과 행동 모두가 유사합니다. 신규 사용자가 트윙클, 핫캣 등의 소도구를 능숙하게 사용하며, 발언 수정 패턴, 링크 제안이나 핫캣을 이용한 대량 편집을 통한 기여수 늘리기 행위가 유사합니다. 이모티콘 쓰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중계정검사요청에서 Alinism에 대해 라고 발언하였으며, Lua gato 계정에 대해 이 애매한 말이 걸려 확인해보니 사:Lua gato에 A로 시작하는 계정, 즉 Alinism과 같은 사용자임을 밝혔다고 볼 수 있습니다. DongDongE는 다검에서 추가로 확인된 다중계정이며, Luminosity01는 사:Luminosity00에서 부계정임을 밝혔습니다. ▶여기부터는 오늘 있던 일입니다. 사용자토론:Luminosity00#안녕하세요:)에서 메일 등록 확인 후 위키백과 메일 보내기 기능으로 메일을 한 통 보냈습니다. 다른 말들과 함께 혹시 밝혀지지 않은 또다른 계정이 있는지 물었으며, 메일로 회신 바란다고 했습니다. 그다음 제 사용자 토론(사토:기나ㅏㄴ#메일 답변)에 글을 남깁니다 그다음 전 Trusovafan의 메일 주소를 알고 있어 그 메일 주소로 글을 남겼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며, Alinism계정이 첫계정이냐고 물었더니 바로 메일을 읽었습니다. 이때 위키백과 메일이 아닌 개인 메일로 보냈는데, 위키백과 메일 형식을 맞추어 보냈는데도 위키백과를 거치지 않고 제 네이버 게정으로 보낸 것이기에 눈치를 챈 것 같습니다. 그다음 제 사용자 토론에 라며 전에 했던 말을 바꿉니다. 첫번째 보낸 메일은 Luminosity00에게 직접 보낸 것으로, 이에 대한 답변까지 했음에도 번복한 것이죠. 결국 첫번째 메일도 개인 계정으로 보냈다고 착각한 것입니다. 사용자토론에 제게 이런 말을 남긴 후 항상 보던 패턴과 같이 휴식 틀을 붙이고 떠났네요.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9일 (일) 16:26 (KST) = = 라필루스하은하트 다중 계정 차단 요청 = = 계정 이름 만드는 방식이 비슷합니다.—Jwk0407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9:07 (KST) = 틀:올림픽나라이름 VIR = = 줄리아나 란치치 = 줄리아나 란치치(Giuliana Rancic, 1974년 8월 17일 ~ )는 미국의 연예 리포터, 방송인이다. = 분류:미국 배우 조합상 앙상블 캐스트상 틀 = = 페어 본드 = 페어 본드는 생물학적으로 여성과 남성 혹은 동선간에 잠재적으로 자손생산 과/또는 평생결합으로 같은 종에서 일어나는 강한 친화성을 말한다. 페어 본드를 가지는 한쌍은 같은 영역을 공유하고 양육의 의무를 함께하는 안전한 관계를 유지한다. 페어 본드라는 1940년대에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에서 나와서 주로 사용된 단어이다. 페어 본딩은 평생을 함께하는 사회적 일부일처를 뜻하기도하고, 일부일처 종의 배우자간 짝짓기의 한 단계를 의미한다. 페어 본딩이라는 단어는 때때로 인간 관계에서도 사용된다. 일부일처를 하는 짐승인, 프레리들쥐(Prairie vole)의 경우, 일부다처를 하는 들쥐에 대해서 자신의 뇌에 바소프레신 수용체가 훨씬 더 큰 밀도와 분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배쪽의 전뇌부분과 도파민에 의한 보상경로(reward pathway)에 있다. 이 지역에 있는 바소프레신과 도파민의 활동이 짝짓기와 선택적 합방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명확한 차이는 사회적 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프레리들쥐의 일처일부관계는 페어 본딩이라는 단어를 용이하게 쓰이게 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다양한 종의 들쥐들은 그들만의 다양한 성적행동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뇌의 보상영역에서의 바소프레신 수용체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과학자들은 수컷초원들쥐의 뇌에 바소프레신 수용체를 넣는 실험을 통해서 초들쥐의 행동을 일부일처인 프레리들쥐와 동일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진화 심리학자 David Barash 와 Judith Lipton이 2001년에 쓴 책 The Myth of Monogamy에 따르면, 패어 본드에는 여러종류가 있다. 단기 패어 본드: 임시적으로 배우자로 여김 장기 패어 본드: 종의 수명비율중 상당 부분을 배우자로 여김 평생 패어 본드: 일생동안을 배우자로 여김 = 페루의 경제 = 페루의 경제는 세계은행이 분류한 높은 수준의 대외 무역과 상위 중간 소득 경제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적 시장경제이다.The World Bank, Data by country: Peru. Retrieved on October 1, 2011. 페루는 총 GDP에서 세계 47위의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높은 인간 개발 지수를 경험하고 있다. 2012년 GDP 성장률은 6.3%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2021년에는 페루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경제가 9.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페루는 주요 무역 파트너들과 다수의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중국은 2009년 4월 28일 체결된 중국-페루 자유 무역 협정에 따라 국가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El Comercio, Peru's main daily newspaper China and Peru Sign Trade Promotion Agreement, April 28, 2009. Retrieved on April 19, 2014. 2006년 미국Office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United States and Peru Sign Trade Promotion Agreement , April 4, 2006. Retrieved on May 15, 2007., 2011년 일본, 2012년 유럽 연합과 자유 무역 협정이 추가로 체결되었다. 리마는 무역과 산업이 중심화되어 있고 농업 수출은 지역 발전을 이끌고 있다. 페루의 경제는 상품 수출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시장의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경제가 위험에 처해 있다. 최근 수십 년간 경제는 다각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품의 추출은 환경적, 사회적 영향 때문에 국가 내 갈등을 불러왔다. 1980년대에 시작된 페루는 1980년대 초반 경기후퇴와 페루의 내부 갈등의 결과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알란 가르시아 정부는 초인플레이션을 초래한 가격 통제를 시행했다. 이에 대응하여 페루군은 빈곤한 페루인들을 "완전한 몰살"하여 신자유주의 시장 경제를 창출하기 위한 작전인 플랜 베르데를 초안했다. 이는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권위주의 정부가 경제학자 에르난도 데 소토의 처방과 별도로 "후지쇼크(Fujishock)"라고 알려진 시기에 시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충격으로 가격 통제가 중단되고, 공공기관 민영화가 이루어졌으며, 규제 철폐를 통한 외국인 투자 촉진도 이루어졌다. 후지모리 정부의 경제 조치와 페루 내 정치적 폭력에 대한 잔인한 탄압은 페루를 경제적으로 안정시켰다. 한편, 이러한 정책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을 증가시켰으며 빈곤율을 바꾸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들은 양극화된 유산을 남겼다. 페루는 2000년대 원자재 붐 이후 정부 재정 개선, 빈곤 감소, 사회 부문의 진보와 함께 더 최근에 발전의 증가를 경험했다.The World Bank, Countries: Peru. Retrieved on October 1, 2011 빈곤은 특히 2004년 거의 60%에서 2018년 20.5%로 크게 감소했다. 2012년 인플레이션은 1.8%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낮았고, 가장 최근의 연간 비율은 2020년 1.9%였다. 페루의 경제 실적은 수입과 외채 상환에 필요한 경화를 제공하는 수출에 묶여 있다. 페루의 주요 수출품은 구리, 금, 아연, 직물, 화학, 의약품, 제조업, 기계류, 서비스, 생선류이다. 주요 교역국은 미국, 중국, 브라질, 유럽 연합, 칠레이다.2006 figures. Banco Central de Reserva, Memoria 2006 , pp. 60–61. Retrieved on July 3, 2007. 비록 수출이 상당한 수익을 제공했지만, 자급자족 성장과 보다 평등한 소득 분배는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Rosemary Thorp and Geoffrey Bertram, Peru 1890–1977, p. 321. 페루 국내총생산의 59.9%를 서비스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 (32.7%), 농업 (7.6%)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최근의 경제 성장은 투자와 소비 증가뿐만 아니라 거시 경제 안정, 교역 조건 개선으로 인해 가속화되었다. Banco Central de Reserva, Memoria 2006 , pp. 15, 203. Retrieved on June 25, 2007. = = 부문 = = = = = 농업 = = = 페루는 많은 기후와 지리적 지대를 가진 나라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농업 국가이다. 페루 농산물 수출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티초크, 포도, 아보카도, 망고, 고추, 사탕수수, 유기농 커피, 프리미엄급 면화 등이 포함된다. 페루는 아보카도, 블루베리, 아티초크, 아스파라거스의 5대 생산지 중 하나이며, 커피와 코코아의 10대 생산지 중 하나이며, 감자와 파인애플의 15대 생산지 중 하나이며, 또한 포도, 사탕수수, 쌀, 바나나, 옥수수, 카사바의 상당한 생산지이다.Peru en 2018, by FAO 2018년 페루는 사탕수수 1030만 톤, 감자 510만 톤, 쌀 350만 톤, 바나나 220만 톤, 옥수수 150만 톤, 카사바 120만 톤, 팜유 92만1000 톤, 포도 64만5000 톤, 파인애플 54만8000 톤, 아보카도 5만4000 톤, 귤 48만2000 톤, 오렌지 천 톤, 커피 36만 9천 톤, 망고 38만 3천 톤, 아스파라거스 36만 톤, 레몬 27만 톤, 토마토 25만 2천 톤, 보리 20만 7천 톤, 밀 19만 5천 톤, 올리브 18만 8천 톤, 당근 187만 톤, 파파야 17만 5천 톤, 후추 17만 5천 톤, 후추 154천 톤, 154 아르티초크 1000톤, 사과 14만톤, 코코아 13만4천톤, 기타 농산물의 소규모 생산품을 생산했다.Peru production in 2018, by FAO = = = 산업 및 서비스 = = = = = = = 추출 = = = = 어업은 전 세계 물고기 어획량의 거의 10%를 생산하는 국제적인 낚시 지도자이다. 광업은 페루 경제의 주요 기둥이다. 2019년 세계 구리USGS Copper Production Statistics 및 은 생산량 2위USGS Silver Production Statistics, 금 생산량 8위USGS Gold Production Statistics, 납 생산량 3위USGS Lead Production Statistics, 아연 생산량 2위USGS Zinc Production Statistics, 주석 생산량 4위USGS Tin Production Statistics, 붕소 생산량 5위USGS Boron Production Statistics, 몰리브덴 생산량 4위였다.USGS Molybdenum Production Statistics 이 나라는 한때 세계 최대의 은 생산국이었으나 멕시코에 자리를 내주었다. 그곳은 또한 세계 5대 금 생산국 중 하나였다. = = = = 제조업 = = = = 페루는 중공업 분야를 발전시켰다. 이 부문은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업, 어업, 농업, 건설, 섬유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조업은 부가가치 이점을 얻기 위해 주로 가공업에 전념하고 있다. 가장 유망한 분야는 섬유, 금속역학, 식품산업, 농업, 제조업, 화학, 제약, 기계, 서비스업이다. = = = = 서비스 = = = = 관광업은 1990년대 초부터 페루의 새로운 성장 산업을 대표해 왔으며 정부와 민간 부문은 페루의 관광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를 쏟고 있다. = = = 천연 자원 = = = 페루의 천연 자원은 구리, 은, 금, 목재, 물고기, 철광석, 석탄, 인산염, 포타시, 천연 가스이다. = = 대외무역 및 투자 = = = = = 외국인 투자 및 국제수지 = = = = = = = 대외무역 및 국제수지 = = = = 2001년 경상수지 적자는 GDP의 약 2.2%로 2000년 3.1%에서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소폭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71억 1천만 달러로 약간 줄었고 수입은 72억 2천만 달러로 2.1% 감소했다. 1998년 엘니뇨로 큰 타격을 받은 이후 어업 수출이 회복됐고 2001년과 2002년에는 안타미나 동광산 개방으로 광물과 금속 수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2002년 중반까지 대부분의 경제 부문이 상승세를 보였다. 몇 년간의 상당한 성장 후에, 민영화와 관련되지 않은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00년과 2001년 그리고 2002년 상반기에 극적으로 감소했다. 2002년 5월 말 현재 해외 순보유액은 91억6000만 달러로 2001년 86억 달러, 2006년 말 170억 달러, 2007년 200억 달러, 2008년 5월 350억 달러보다 증가했다. 페루는 2007년 미국-페루 무역 촉진 협정, 칠레, 캐나다, 싱가포르, 태국, 중국과의 협정을 포함하여 많은 자유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페루는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시절인 2010년부터 미국과 상호 무역협정을 맺고 자국 수출을 개선해 2011년 8월 4700MM 이상 수출에 성공했다. = = = = 외국인 투자 = = = = 페루 정부는 적극적으로 모든 경제 부문에서 외국인과 국내 투자를 유치하려고 한다. 국제 투자는 1990년대 페루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안정을 위해 이룬 중요한 진보에 의해 촉진되었지만, 정부가 민영화를 지연시키고 2000년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시 둔화되었다. 알레한드로 톨레도 대통령은 투자 촉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페루는 테러리즘, 초인플레이션, 정부의 경제 개입이 두드러졌지만, 알베르토 후지모리 전 대통령이 이끄는 페루 정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통제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민주주의 제도, 특히 사법부는 여전히 약하다. = = 소득 및 소비 = = 페루는 인구를 5개의 사회경제적 계층으로 나누는데, A는 부자를, B는 중산층, C는 중산층, D는 노동자 계층, E는 빈곤층이다. 2018년 페루의 복잡한 사회 구조 때문에 재정부의 미겔 플라나스는 GDP에 포함되지 않는 불법 무역으로 돈을 버는 계층이 있어 저소득 또는 소외된 빈곤 가정으로 잘못 분류했다. = = 고용 = = 그레이터 리마의 실업률은 5.6%, 페루의 나머지 지역은 7%이다. = = 무역협정 = = 외교통상관광부에 따르면 페루는 페루 수출품의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의 접근을 강화하기 위해 무역협정을 협상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은 페루 수출업자들이 장기적인 수출 관련 투자에 착수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Peru - Ministry of Foreign Trade and Tourism: Trade Agreements of Peru, Trade Agreements of Peru (in Spanish) . Retrieved on September 29, 2011. = 호라가고개 = 호라가고개는 교토부 야와타시 야와타남산과 오사카부 히라카타시 코야미치 나가오토게초의 경계에 있는 고개다. 옛날에는 히가시코야 가도의 중계지였다. 현재는 이 고개 조금 동쪽을 국도 1호선이 지나가고, 고개 바로 북쪽에는 야마테 간선의 교점인 하치만 호라가고개 교차점이 있다. 고개이기는 하지만 구불구불한 비탈길은 없고, 지금은 선형이 좋은 완만한 4차선 도로가 되어 있다. = = 내력 = = 천정 10년(1582년), 혼노지의 변 직후에 아케치 미츠히데의 군과 하시바 히데요시의 군이 야마시로국 야마자키에서 격돌했다(야마자키 전투). 이 때 야마토국의 다이묘 츠츠이 쥰케이가 아케치・하시바 쌍방으로부터 구애를 받았는데, 츠츠이가 야마자키 남쪽에 있는 호라가고개까지 군사를 몰고 왔다가 어느 쪽에 붙을지 기다렸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형세를 살펴 우세한 쪽에 붙으려고 대기하는 기회주의적 태도를 일컫는 호라가고개를 결정하다라는 일본어 관용어가 있다. 그러나 츠츠이가 호라가고개에 포진했다는 이야기는 전설일 뿐, 양질의 사료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 = 현황 = = 1966년에 히라카타 바이패스(게이한 국도)가 개통했으나, 1990년대 초기까지만 해도 호라가고개 주변은 잡목림이 우거지고 조명도 적어서 밤낮으로 을씨년스러웠다. 고개 주변의 모습이 일변한 것은 1990년대 들어서였다. 주택지와 학교가 건설되면서 교통량이 많아지고, 오락시설과 패밀리레스토랑 등도 속속 입점했다. 고개 북쪽의 교차점은 하치만시 동부나 교타나베시 서부에 조성된 뉴타운 “게이한 동(東) 로즈타운”의 현관문 역할을 하게 되어 도로조명도 정비되었다. 그 결과 약간의 녹림만 남기고 호라가고개 주위는 거의 모두 개발되었다. 옛 히가시코야 가도도 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다. = = 참고 자료 = = 高柳光寿『明智光秀』吉川弘文館、1958年 = 분류:일본의 광장 = = 정빈 김씨 = 정빈 김씨(定嬪 金氏, ? ~ 1404년 음력 1월 9일)는 조선의 추존왕인 환조의 후궁이다. 정안옹주(定安翁主)라고도 한다. = = 생애 = = 자세한 가계나 본관은 전하지 않는다. 원래 이자춘(환조)의 여종이었으며, 성은 김, 이름은 고음가(古音加)이다조선왕조실록태조 4권, 2년(1393 계유 / 명 홍무 26년) 9월 18일(경신) 3번째기사.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다. 김씨는 환조와의 사이에서 아들 이화(李和, 훗날의 의안대군)를 낳았는데, 태조는 자신의 서제인 이화를 항상 각별히 여겼다고 전해진다. 또한 태조는 환조가 죽자 김씨를 개경으로 데려왔으며, 김씨를 대할 때에 항상 무릎을 꿇고 대했다고 한다. 더불어 김씨의 노비 문서를 불태워 없애버리기까지 하였다조선왕조실록태조 1권 총서 51번째기사. 한편 태조가 젊었을 때, 김씨가 우연히 까마귀 5마리를 보고는 태조에게 활로 쏘아달라고 부탁하였다. 태조가 한 번의 활을 쏘아 5마리를 동시에 맞추자, 김씨는 태조에게 절대로 이러한 일을 아무데에도 발설해서는 안된다고 했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조선왕조실록태조 1권 총서 29번째기사. 김씨는 조선이 개국된 후 정안옹주(定安翁主)에 봉해졌다. 1404년(태종 4년) 음력 1월 9일 사망하였으며, 태종은 조회를 3일간 정지하고 애도하였다조선왕조실록태종 7권, 4년(1404 갑신 / 명 영락 2년) 1월 9일(신해) 3번째기사. 고종 때인 1872년(고종 9년) 음력 12월 1일 정1품 정빈(定嬪)에 추증되었다승정원일기 130책 (탈초본 2783책) 고종 9년 12월 1일 신해 23/32 기사. = = 가족 관계 = = 남편 : 추존왕 환조(桓祖, 1315~1360) 아들 : 의안대군 이화(義安大君 李和, 1340~1408) = 기계어오제국 마트린티스 = 기계어오제국 마트린티스는 일본 토에이의 34번째 슈퍼 전대 시리즈인 천장전대 고세이저에 등장하는 악역 집단으로, 사람들을 로봇의 노예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500여년 전에 세워진 고도의 "마트린티스 대륙 문명"이 침몰한 이후, 황제 로보고그가 그 후 생존하여 제국을 재건하였다. 제국의 이름은 영화 매트릭스와 아틀란티스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의 기지는 기계 요새 터미널로, 터미널의 이름은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유래하였다. = = 로보고그 = = 텐사이의 로보고그는 4,500년 전에 무너졌던 마트린티스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는 황제이다. 이름은 로봇 영화 로보캅에서 유래하였으며, "텐사이"는 '천재'(天才, 天災)에서 유래하였다. 클리오네(Sea angel)의 모습이 일부 섞여있다. 로보고그의 목소리는 코스기 쥬로타가 연기하였다. = = 메탈 A = = 에이전트의 메탈 A는 로보고그의 개인 비서이다. 바다에 잠겼던 비비충의 둥지를 획득한 이후, 비비충과 마충병 비비를 소환하여 로보고그의 침략 작전을 돕는다. 이름은 영화 메트로폴리스에서 유래하였다. 삼천발이(Basket Star)의 모습이 일부 섞여있다. 메탈 A의 목소리는 이노우에 마리나가 연기하였다. = = 브레드RUN = = 사이보그의 브레드RUN 또는 사이보그의 부레도RUN은 워스타, 유마수의 간부였으나, 로보고그에 의해 부활하여 마트린티스 제국의 신하가 되었다. 44화에서 기억을 되찾은 것이 밝혀져, 로보고그와 메탈 A를 죽이고 45화에서 본래의 모습인 구성주의 브라지라로 변한다. 암모나이트의 모습이 섞여있다. 브레드RUN의 목소리는 토비타 노부오가 연기하였다. = = 마트로이드 = = 마트로이드는 마트린티스 제국의 기계 군단의 일원들을 일컫는다. 이름은 영화 제목에서 유래하였으며, 해양 무척추동물류의 모습이 일부 섞여있다. 실드의 잔 KT () - 33화 : 두꺼운 갑옷을 장착하고 있는 잔 KT는 마트린티스의 첫 지구 공략에 앞장선 첫 번째 마트로이드이다. 고세이 얼티메이트에 의해 쓰러졌다 잔 KT의 이름은 조니 5 파괴 작전(, )에서 유래하였다. 조개의 모습이 일부 섞여있다. 잔 KT의 목소리는 타케 토라()가 연기하였다. 슈트의 잔 KT2() - 34화 : 잔 KT의 잔해를 수거하여 로보고그가 강화한 모습이다. 동굴에 전선 기지를 건설하려 하나, 각성한 고세이 나이트와 고세이저에 의해 다시 쓰러진다. 개량 비비충을 통해 거대화하나, 결국 얼티메이트 고세이 그레이트에 의해 죽음을 당한다 잔 KT2의 이름은 조니 5 파괴 작전 2(, )에서 유래하였다.잔 KT2의 목소리는 타케 토라()가 연기하였다. 마하의 즈테르 S () - 35화 스캔의 바자르소 LJ () - 36화 바이탈의 아도보르테 G () - 37화 타이머의 바크트후지 ER () -39화, 40화 뉴트럴의 아인 I () -41화 이미테이숀의 사로게 DT () - 42화 쇼트의 잔 KT3 () - 43화 : 잔 KT, 잔 KT2의 장점을 혼합하여 빠른 양산을 목표로 로보고그가 새로 개발한 마트로이드로 마트린티스의 총공격과 함께 등장하였다.그러나 고세이저에 의해 죽음을 당했다.잔 KT3의 목소리는 이부키()가 연기하였다. = 민경삼 = 민경삼 (閔庚三, 1963년 3월 24일 - )은 전 KBO 리그 MBC 청룡, LG 트윈스의 내야수이다. 현 SSG 랜더스 야구단의 대표이사. 전 KBO 육성위원회 부위원장이다. = =선수 시절 = = = = =MBC 청룡 시절 = = = 1986년에 입단하였다. = = =LG 트윈스 시절 = = = 1993년까지 활동 후 은퇴하였다. = =야구선수 은퇴 후 = = LG 트윈스에서 코치와 매니저 등을 역임하다가 SK 와이번스에서 단장으로 오랜 기간 활동하였다. 2017년부터 KBO 리그 육성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한다. 후임으로는 전 넥센 히어로즈 감독이었던 염경엽이 SK 와이번스의 새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 =출신 학교 = = 신일고등학교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 HUMAN COMPLEX Part. 2 = HUMAN COMPLEX Part. 2는 대한민국의 음악인 김사랑의 네 번째 정규앨범 중 두 번째 파트인 EP앨범이다. = = 앨범 = = 2013년 HUMAN COMPLEX Part. 1이후 1년만인 2014년 8월에 발매된 앨범이다. 김사랑은 앨범 발매 후 가진 여러 인터뷰에서 앨범 작업 중 아이디어 고갈 등 슬럼프가 있었다고 이야기했다. HUMAN COMPLEX 앨범들에 대해서는 '파트1의 가사내용이 내적인 고민이 많다면 후작은 생각을 표출하는 부분이 많으며, 사운드는 파트2의 경우는 이펙팅, 그러니까 동굴에서 부르는 것처럼 공간감을 많이 주었고, 보컬도 코러스를 많이 넣어서 아련한 느낌, 멀리서 바라보는 느낌을 주려 했다'라고 밝혔다. 수록곡 〈LOVE UP〉에 대해서는 '통일에 대한 노래이기도 하지만, 남녀의 관계로도 풀어내 중의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해놨다. 다만 듣는 사람의 해석의 범위를 한정짓고 싶지 않아 곡 내용은 최대한 직접 설명하지 않으려고 하며, 통일에 대한 노래라고 단정 짓지 말고 상황에 따라 해석해 주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You again〉은 그가 밑바닥까지 내려갔을 때 심정을 다뤘으며 그의 노래 중에 힘들고 우울한 분위기의 곡 들 〈취중괴담〉, 〈하루살이〉, 〈Reborn〉에서 쓴 기타가 섞여있다고 전했다. 그리고 전체적인 앨범과 곡에 대해서는 '일부러 메시지를 주려고 하지는 않는다. 듣는 사람들 나름대로 해석을 했으면 좋겠다'라는 의견을 전했다. 2010년 발매된 싱글 〈Goodbye〉는 앨범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 참여 = =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 〈Credit〉목록에서 발췌하였다.HUMAN COMPLEX Part. 2 라이너 노츠 김사랑 - 프로듀서, 보컬, 코러스, 악기, 녹음, 믹싱 신태권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전[BigBoom]훈(소닉 코리아) - 마스터링 천시우, 송유경 - A&R, 온라인 마케팅 안소정(YDCT) - 온라인 마케팅 YDCT - 오프라인 마케팅 황세환, 김민구, 이정민 - 매니지먼트 전희정, 손미림 - 스타일리스트 이은주 - 헤어, 메이크업 김용민(Astply) - 뮤직비디오 디렉터, 아트워크, 앨범 디자인 송지훈 - SNS 컨설턴트 = 베벌리 클리어리 = 비버리 클리어리(, 본명: Beverly Atlee Bunn, 1916년 4월 12일 ~ 2021년 3월 25일)는 미국인 작가이다. = = 작품 = = Henry Huggins (novel)|Henry Huggins - (1950) Ellen Tebbits - (1951) Henry and Beezus - (1952) Otis Spofford - (1953) Henry and Ribsy - (1954) Beezus and Ramona - (1955) Fifteen (Beverly Cleary)|Fifteen]] - (1956) Henry and the Paper Route - (1957) The Luckiest Girl - (1958) Jean and Johnny - (1959) The Hullabaloo ABC - (1960) The Real Hole - (1960) Beaver and Wally - (1960) Here's Beaver! - (1961) Two Dog Biscuits - (1961) Emily's Runaway Imagination - (1961) Henry and the Clubhouse - (1962) Sister of the Bride - (1963) Ribsy - (1964) The Mouse and the Motorcycle - (1965) The Growing-Up Feet - (1967) Mitch and Amy - (1967) Ramona the Pest - (1968) Runaway Ralph - (1970) Socks (Beverly Cleary)|Socks - (1973) Ramona the Brave - (1975) Ramona and Her Father - (1977) Ramona and Her Mother - (1979) Ramona Quimby, Age 8 - (1981) Ralph S. Mouse - (1982) Dear Mr. Henshaw - (1983) Ramona Forever - (1984) The Ramona Quimby Diary - (1984) Lucky Chuck - (1984) Janet's Thingamajigs - (1987) A Girl from Yamhill - (1988) Muggie Maggie - (1990) Strider (novel)|Strider - (1991) Petey's Bedtime Story - (1993) My Own Two Feet - (1995) Ramona's World - (1999). = 상주 상무 2015 시즌 = 상주 상무 2015 시즌은 상주 상무가 K리그 챌린지에서 치른 2015년 시즌이다. = 명태 = 명태(明太, )는 대구과에 딸린 물고기이다. 동해, 일본 북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의 북태평양 해역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함경북도 명천(明川)의 태(太)씨성을 가진 사람이 물고기를 잡아 관찰사에게 반찬으로 내놓았는데, 그 물고기의 이름을 몰라 명태라고 지어주었다고 한다. 어린 개체는 노가리라 부른다. 반건조한 명태는 코다리, 하얗게 말린 명태는 백태(白太)라고 한다. 또한 건조 과정에 따라 이름이 바뀌는데 얼어붙었으면 동태라고 불린다. 명태는 동해에서 27만 톤 이상 잡힐만큼 1940년에 한국에서 가장 흔한 물고기였다. 그러나, 명태의 새끼인 노가리 남획과 지구 온난화로 대한민국은 현재 명태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 어원 = = 조선시대 함경북도 명천(明川)에서 사는 태(太)씨성을 가진 사람이 물고기를 잡아 관찰사에게 반찬으로 내놓았는데, 관찰사가 태씨성을 가진 사람에게 물고기의 이름을 물어보았으나 그도 모른다고 하자 관찰사는 명천의 첫글자인 명자와 태씨성을 가진 사람의 성인 태자를 따서 그 물고기의 이름을 명태(明太)라고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명태를 명태라 부르지 않고, 무태, 무태어로도 불렸다. 명태가 명나라 태조와 음이 비슷해서 금기시되기도 했다. 1530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무태어(無泰魚)로 수록되었으며, 명태는 ‘명천 사는 태씨 어부’ 이야기 전에도 무태어로 나타난다.[주간한국 [이야기가 있는 맛집(359)] 명태 이야기] 한국일보 2019.01.28.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홍양호(1724∼1802년)가 쓴 <이계집>에도 명태를 무태어(無泰魚)로 표기한다. <이계집>에 "청어 등은 그물로 잡고, 무태어는 낚시로 잡으며(無泰魚以釣)"라 하였다. 민간에서는 명태라는 말을 계속 사용했지만, 명나라의 눈치를 본 조선 왕조의 관리들은 명태라 하지 않고 무태어라 불렀다. = = 형태 = = 등지느러미는 3개, 뒷지느러미는 2개로 체고는 다소 낮고 몸은 측편되어 있다. 눈은 크며 머리의 등쪽 가장자리와 접한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아랫턱의 앞끝에는 1개의 흔적적인 수염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비교적 길어서 제1등지느러미 기저의 뒤끝을 지나며, 꼬리지느러미는 수직형이다. = = 체색 = = 몸 등쪽은 연한 갈색 혹은 청색 바탕에 폭이 좁은 파상 무늬의 암갈색 세로띠가 3줄가량 머리 뒤쪽에서 꼬리까지 길게 뻗어 있으며 배쪽은 희다. 가슴지느러미는 검다. = = 생태 = = 주로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서식한다. 산란은 1~5℃에서 이루어지며, 산란기는 12~4월이다. 먹이는 주로 작은 갑각류(요각류, 젓새우류, 단각류 등)와 작은 어류(때로는 명태 치어와 알도 먹음) 등을 먹는다. 주낙이나 그물을 이용해 잡고 연중 대부분의 시기에 포획이 이루어진다. = = 대구와의 구별 = = 대구는 위턱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에 명태는 아랫턱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잘 구별된다. = = 고문헌 = = 임하일기에는 명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무태어(無泰魚)라고 기록되어 있다. 난호어목지에는 명태어라 하며, 생것을 명태, 말린 것을 북어라 한다고 적혀있다. = = 음식 = = 명태는 모든 부위가 요리에 사용되는 생선이다. 생태찌개, 생태매운탕, 황태구이, 황태찜, 북엇국, 북어무침, 술안주로 좋은 노가리 등으로 다양하게 조리된다. 단백질이 풍부하며, 알과 창자는 각각 명란젓, 창란젓으로 이용된다. 생태(날 명태) - 생태찌개, 생태매운탕 코다리(반건조 명태) - 코다리 조림 코다리(반건조 명태) - 코다리 강정 황태(말린 명태) 북어(바짝 말린 명태) - 북엇국, 북어찜 동태(얼린 명태) - 동태찌개, 동태전 노가리(말린 명태치어) 명란(명태 알) - 명란젓 창란(명태 창자) - 창란젓 명태순대 명엽채 - 명태살을 얇게 저미고 양념을 해서 말린 다음 잘게 찢은 것 한국 사람들은 조선시대부터 명태를 즐겨먹고 있다. = = 멸종 위기 = = 한국 동해에서 27만톤 이상이 잡히던 흔한 물고기 명태의 어획량이 대폭 감소했다. 해양수산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81년에는 14만톤의 어획량을 기록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연평균 2톤가량의 어획량을 기록했다.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2008 원양산업 통계연보 176쪽 (한국원양산업협회) = 분류:룩셈부르크의 문화 = = 모듈:Location map/data/Papua New Guinea West New Britai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Papua_New_Guinea_West_New_Britai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텔레비전 프로그램화된 책 = = 분류:논산시의 스포츠팀 = = 울산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蔚山廣域市 上水道事業本部)는 울산광역시 관내의 수돗물 공급과 급수서비스 향상, 상수도사업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울산광역시청 산하에 설치된 사업소이다. 본부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연혁 = = 1995년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설치 = = 조직 = = 경영부 급수부 = = = 산하 기관 = = = 시설관리사업소장은 지방서기관으로, 수질연구소장은 지방환경연구관이나 지방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시설관리사업소 중구 종가로 559-30 울산광역시 수질연구소 울주군 청량읍 양동1길 18 울산광역시 = = = 정수사업소 = = = 정수사업소장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회야정수사업소 울주군 청량읍 양동1길 18 울산광역시 천상정수사업소 울주군 범서읍 당앞로 14-50 울산광역시 = = = 지역사업소 = = = 지역사업소장은 지방행정사무관이나 지방시설사무관으로 보한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중부사업소 중구 강북로 15 울산 중구 남부사업소 남구 돋질로 69 울산 남구 동부사업소 동구 방어진순환로 541-1 울산 동구 북부사업소 북구 오치골3길 16 울산 북구 울주사업소 남구 돋질로 36 울산 울주군 = 남자 해머던지기 세계 기록 추이 = 다음은 남자 해머던지기 세계 기록 추이에 관한 내용이다. # 기록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57.77m Pat Ryan 1913. 08. 17 뉴욕 59.00m Erwin Blask 1938. 08. 27 스톡홀름 59.02m 네메트 임레 1948. 07. 14 터터 59.57m 네메트 임레 1949. 09. 04 카토비체 59.88m 네메트 임레 1950. 05. 19 부다페스트 60.34m 체르마크 요체프 1952. 07. 24 제15회 하계 올림픽 헬싱키 61.25m Sverre Strandli 1952. 09. 14 오슬로 62.36m Sverre Strandli 1953. 09. 05 오슬로 63.34m Mikhail Krivonosov 1954. 08. 29 베른 64.05m Stanislav Nyenashev 1954. 12. 12 바쿠 64.33m Mikhail Krivonosov 1955. 08. 04 바르샤바 64.52m Mikhail Krivonosov 1955. 09. 19 베오그라드 65.85m Mikhail Krivonosov 1956. 04. 25 날치크 66.38m Mikhail Krivonosov 1956. 07. 08 민스크 67.32m Mikhail Krivonosov 1956. 10. 22 타슈켄트 68.54m 해럴드 코널리 1956. 11. 02 로스앤젤레스 68.68m 해럴드 코널리 1958. 06. 20 베이커즈필드 70.33m 해럴드 코널리 1960. 08. 12 월넛 70.67m 해럴드 코널리 1962. 07. 21 팰로앨토 71.06m 해럴드 코널리 1965. 05. 29 세레스 71.26m 해럴드 코널리 1965. 06. 20 월넛 73.74m 치보츠키 귤라 1965. 09. 04 데브레첸 73.76m 치보츠키 귤라 1968. 09. 14 부다페스트 74.52m 로무알드 클림 1969. 06. 15 부다페스트 74.68m 아나톨리 본다르추크 1969. 09. 20 피레아스 75.48m 아나톨리 본다르추크 1969. 10. 12 리우네 76.40 m Walter Schmidt 1971. 09. 04 라 76.60m Reinhard Theimer 1974. 07. 04 에르푸르트 76.66m 알렉세이 스피리도노프 1974. 09. 11 뮌헨 76.70m Karl-Hans Riehm 1975. 05. 19 레링엔 77.76m Karl-Hans Riehm 1975. 05. 19 레링엔 78.50m Karl-Hans Riehm 1975. 05. 19 레링엔 79.30m Walter Schmidt 1975. 08. 14 프랑크푸르트 80.14m Boris Zaichuk 1978. 07. 09 모스크바 80.32m Karl-Hans Riehm 1978. 08. 06 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 80.38m 유리 세디흐 1980. 05. 16 레즈리즈 80.46m 위리 탐 1980. 05. 16 레즈리즈 80.64m 유리 세디흐 1980. 05. 16 레즈리즈 81.66m 세르게이 리트비노프 1980. 05. 24 소치 81.80m 유리 세디흐 1980. 07. 31 모스크바 83.98m 세르게이 리트비노프 1982. 06. 04 모스크바 84.14m 세르게이 리트비노프 1983. 06. 21 모스크바 86.34m 유리 세디흐 1984. 07. 03 코크 86.66m 유리 세디흐 1986. 06. 22 탈린 86.74 m 유리 세디흐 1986. 08. 30 슈투트가르트 = 넥쉬즈 = 넥쉬즈(Nexuiz, 넥수이즈)는 에일리언트랩이 개발하고 배급한 1인치요 슈팅 비디오 게임이다. 이 게임과 게임 미디어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로 배포되며 퀘이크 엔진의 수정판인 다크플레이시스 엔진을 사용한다. 리메이크 작품 넥쉬즈가 스팀, 엑스박스 360용으로 출시되었으며 크라이엔진 3를 사용한다. 오리지널 게임은 2005년 5월 31일 출시되었다. = = 게임플레이 = = 넥쉬즈는 주로 다인용 게임이며 게임을 위한 호스팅과 참가를 허용한다. 새로운 게임 유형이나 이에 빠르게 적용되는 컨벤션을 지원한다. = 암흑을 뚫고 = "암흑을 뚫고"는 1960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최무룡 도금봉 장동휘 = 개리티 = 개리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프레디 개리티 트로이 개리티: 미국의 배우 = 야마가타 쿄헤이 = 야마가타 쿄헤이 (1981년 9월 7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산프레체 히로시마, 아비스파 후쿠오카, V-파렌 나가사키에서 활동하였다. = 분류:2017년 핸드볼 = = 도키와촌 = 도키와촌(常盤村/常磐村)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도키와촌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도키와촌. 현 오마치시. 도키와촌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도키와촌. 현 이야마시. 도키와촌 (도치기현) - 도치기현 아소군 도키와촌. 현 사노시. 도키와촌 (돗토리현) - 돗토리현 도하쿠군 도키와촌. 현 호쿠에이정. 도키와촌 (시가현) - 시가현 구리타군 도키와촌. 현 구사쓰시. 도키와촌 (아오모리현) -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도키와촌. 현 후지사키정. 도키와촌 (아키타현) -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도키와촌. 현 노시로시. 도키와촌 (야마가타현) - 야마가타현 기타무라야마군 도키와촌. 현 오바나자와시. 도키와촌 (오카야마현) - 오카야마현 쓰쿠보군 도키와촌. 현 소자시. 도키와촌 (홋카이도) -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청 나카가와군 도키와촌. 오토이넷푸촌으로 개칭함. 도키와촌 (가가와현) - 가가와현 도요타군・미토요군 도키와촌. 현 간온지시. 도키와촌 (기후현) - 기후현 이니바군 도키와촌. 현 기후시. 도키와촌 (미에현) - 미에현 미에군 도키와촌. 현 욧카이치시. 도키와촌 (아이치현 아이치군) - 아이치현 아이치군 도키와촌. 현 나고야시(나카가와구, 나카무라구). 도키와촌 (아이티현 누카타군) - 아이치현 누카타군 도키와촌. 현 오카자키시. 도키와촌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현 히가시이바라키군 도키와촌. 현 미토시. 도키와촌 (지바현) - 지바현 가토리군 도키와촌. 현 다코정. 도키와촌 (후쿠이현) - 후쿠이현 뉴군 도키와촌. 현 에치젠정. = Black Friday (릴 킴의 믹스테이프) = Black Friday는 2011년 2월 14일에 발매된 릴 킴의 음반이다. =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은 장난감 등의 완구를 리뷰하는 키즈 유튜브 채널이다. 주로 완구 제품 개봉에서부터 상황극, 그리고 완구를 활용한 놀이를 주요 콘텐츠로 한다. 가끔 해외 완구도 다루며, 테마파크, 완구 매장 방문기 등의 영상을 다루기도 한다. 2014년 8월 채널 개설 이래 빠른 구독자 수를 늘려왔다. 채널 개설 2년 여만인 2016년 7월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고, 이후 다시 2년여 만인 2019년 4월 2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2020년 11월 15일 기준으로 202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유튜브 채널 중 81위에 올라있다. 요즘은 숨바꼭질 cc왜 다양한 콘텐츠를 방영중이다. 가장 인기있는 컨텐츠 중 하나인 숨바꼭질은 다양한 테마파크나 전시회, 키즈카페 등을 방문하여 보물찾기 미션을 수행을 하며 놀이를 즐기는 내용이다. 이색적인 곳들이나 신상 키즈카페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캐리 숨바꼭질 촬영장소를 물색해서 아이들을 데리고 가는 부모님들도 많다. = = 연도별 캐릭터 소개 = = 2014년 8월~2017년 2월 강혜진 2017년 ?월 이성인 2017년 2월 18일~2019년(추정) 김정현 2020년 5월 1일 ~ 현재 김신비 = = 캐장친 방송문구 변천사 = = 캐리가 더 재미있는 장난감으로 돌아올게요 안녕(2016년 ~ 2017년 1월) 정은비가 더 재밌는 기차장난감으로 들고올게요(2018년 ~ 2020년) 캐리가 여러분이 좋아할만한 장난감 들고올게요 안녕 여러분 (2011년 ~ 2014) = 대연림 = 대연림(大延琳, ?~1030년)은 발해의 시조인 대조영의 후손으로 발해의 계승국인 흥료국의 건국자다. 대연림은1029년에 연호를 천경이라 하고 스스로 황제를 칭한 후 흥료국을 세웠다. = = 생애 = = = = = 건국과 성장 = = = 대연림은 발해 왕족의 후예로 발해의 시조인 고왕 대조영의 후손이라고 한다.대조영의 7세손이라는 설과 대조영의 17세손이라는 설이 있다. 대조영과의 340년 정도 연대차를 감안하면 12~13대 후손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다. 그는 요의 부도(副都) 요양(遼陽) 유수(留守)의 비장(裨將)으로 있던 중 1029년 8월 3일, 혼란을 틈타 요양성을 장악하고 흥료국을 건국했다. 연호는 천경(天慶)고려사에는 천흥(天興)이라고 전한다.이라 하였다. 이후 여진, 고려와 힘을 합쳐 요나라에 대항하려 했으며, 아우인 태사 대연정(大延定)을 시켜 여진 군사를 이끌고 요나라를 공격하기도 했다. 다음 달인 1029년 9월, 흥료국은 대연정을 고려에 보내 건국 사실을 알리고 지원병을 요청하자 고려는 군사를 보내 요나라를 공격했지만 실패하였다. 송사에 의하면, 그해 9월에 거란 동경의 장군 대연림(大延琳)이 대부승(大府丞) 고길덕(高吉德)을 송나라로 파견하였다 한다. = = = 패배와 멸망 = = = 1029년 10월, 마침내 요나라는 본격적으로 흥료국을 공격했다. 12월에 대연정을 다시 고려에 보내 지원병을 요청했지만, 고려는 원군 파병을 거절했다. 1030년 정월에는 고길덕(高吉德)을 보내 또 고려에 원군 파병을 요청했지만, 고려는 다시 거절했다. 3월 요나라가 대연림과의 장기전에 대비하였다. 그러나 8월에 비장 양상세(楊詳世)가 몰래 요나라에 항복하면서 무너지고 만다. 양상세가 밤에 몰래 남문을 열어줘 요나라 군이 성을 점령함으로써 흥료국은 건국 1년 만에 멸망했다.일설에는 그의 아들 대탁(大鐸)이 고려로 귀화하여 밀양 대씨의 시조가 되었다고한다. = = 참조 = = 흥료국 발해 대조영 = 마이라 무하멧키지 = 마이라 무하멧키지(, 1969년 9월 5일 ~ )는 카자흐스탄의 오페라 가수이다. 1930년대 소련에서 일어난 대기근, 소련 당국의 박해를 피해 중국으로 망명한 카자흐인 가문 출신이다. 1987년에는 중국의 연극 학교에 입학했고 1996년에는 카자흐스탄 시민권을 취득했다. 1998년 카자흐스탄 정부로부터 카자흐스탄 공화국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을 정도로 국제 오페라 경연 대회에서 여러 가지의 상을 수상했다. = 분류:아르헨티나계 칠레인 = = 돈 카를로스 = 인물 돈 카를로스 데 아우스트리아(1545~1568)는 스페인의 왕자이다. 돈 카를로스 데 보르본(Don Carlos de Borbón, 1788~1855)는 스페인의 왕자이다. 작품 돈 카를로스 (희곡)(Don Carlos 또는 Don Karlos)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희곡이다. 돈 카를로 (오페라)(Don Carlos 또는 Don Carlo)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이다. = 분류: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 딕 파월 = 딕 파월(Dick Powell, 1904년 11월 14일 ~ 1963년 1월 2일)은 미국의 배우, 가수, 영화 감독이다. = 주게무 = 주게무는 일본의 민담 가운데 하나로서, 일본에서 만담 공연의 한 갈래인 라쿠고에서 가장 유명한 이야기 중 하나이다. 이 이야기는 어이없이 긴 이름이 반복되는 매우 단순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민담은 라쿠고 배우들의 연습 시간에 자주 사용된다. = = 줄거리 = = 옛날에 어느 부부가 아이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갓 태어난 아이의 이름을 생각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아버지는 절에 가서 승려에게 길한 이름을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승려는 주게무로 시작하는 여러 이름을 제안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아버지는 자신의 아이에게 지어줄 이름을 결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승려가 그 아이의 이름으로 제안한 모든 이름을 아이에게 붙여주었다. 주게무의 이름 전체는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이 이야기의 어떤 판에서는, 주게무가 어느날 친구와 싸움을 벌였고, 그 친구는 머리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에 대해서 주게무의 부모님에게 가서 울며 말하였다. 하지만 주게무의 모든 이름을 말하는 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렸기 때문에, 머리를 맞았던 친구가 말을 끝낼 무렵에는 머리에 부딪친 혹이 이미 아물게 되었다. 또 다른 판에서는 주게무가 우물에 빠져 익사했다고 한다. 이 소식을 전해야 하는 모든 사람들은 주게무의 이름 전체를 외우는 데에만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했기 때문이었다. 또 다른 판에서 주게무는 호수에 빠졌고, 그의 부모는 주게무를 구하기 위해 겨우겨우 도착했다. = = 작품에서의 '주게무' = = 이 이름을 암송하는 것은 NHK의 어린이 TV 프로그램 〈니혼고데 아소보〉 (일본어와 놀자)의 특징이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서 구름을 타고 거북 몬스터를 떨어뜨리며 공격하는 적 캐릭터 인 "김수한무"(영어 이름: Lakitu)는 게임의 일본어 버전에서 주게무라고 불린다. 비슷한 예시로, 가시거북으로 변하는 거북이를 떨어뜨리는 김수한무는 영어로 "Spiny's Eggs"또는 "Spiny Eggs"로만 언급 됨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파이포라고 한다.Legends Of Localization: Super Mario Bros. "가봉"이라는 캐릭터가 던지고 뻐끔플라워가 공중에 날린 스파이크 공은 다른 시리즈에서 '슈린간' 이라고 한다. 또한 Lakilester라는 이름의 김수한무는 〈페이퍼 마리오〉의 일본어 버전에서 포코피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주게무의 전체 이름은 일본 록 밴드 KANA-BOON의 〈성자필쇠의 진리, 거절합니다〉 (盛者必衰の理、お断り)"에서도 인용되고 있다. 주게무 (#40)은 비디오 게임 〈스타 오션: 블루 스피어〉에서 표면에 잎 하나가 있는 작은 나뭇가지로 보이는 거대한 지하 괴물이기도 하다. "주게무-주게무 고코노스리키레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브로일러치킨"은 사사미가 일본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프리티사미〉에서 프리티 사미로 변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문이다. 〈강철의 연금술사: 브라더후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추가 DVD로 포함된 단편에서, 일명 "스카"로 알려진 캐릭터는 그가 주게무와 자신의 이름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캐릭터 킹 브래들리 (원래 "로스 (Wrath)"라는 별명만 붙인 브래들리 (Bradley)라는 이름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짐)는 그것이 그의 실명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브래들리의 성우가 세 번째 "파이포"에서 반복적으로 실수한다). 이들은 전투를 준비하는 동안 스카가 이름을 외우면서 우연히 그의 혀를 깨물기 전까지 계속해서 그렇게 말한다. 〈은혼〉에서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주게무 주게무"로 시작하는 원숭이가 있는데, 그 원숭이의 저속한 습관으로 유명하다. 등장인물들은 이 원숭이의 이름에 대해서 타협점을 찾기 위해 주인공은 대변, 특정 종의 물고기 및 오징어에 대한 모욕과 〈파이널 판타지 IV〉 및 일본 록 듀오인 B'z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매우 긴 이름을 채택했다. 풀네임은 수한무(은혼)이다. 주게무의 전체 이름은 라쿠고 여성 극단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인 〈조시라쿠〉의 엔딩 테마 〈일본소안백경〉(ニッポン笑顔百景)의 가사에 낭송되기도 한다. 서번트 x 서비스의 루시는 주게무 (이와 유사한 기원의 긴 이름을 가짐)와 비슷한 운명을 같이하고 그녀의 이름을 처음 공개했을 때 동료들은 그녀가 "현대의 주게무 주게무"라고 언급한다. 캡콤의 역전재판 6 (2016)에서 사례 4, "역전 연예장"에는 주게무를 비롯한 다양한 라쿠고에 대한 여러 모티브가 포함되어 있다. 재판이 시작될 때 검사 '나유타 사드마디'는 라쿠고에 대한 지식에 대해 질문을 받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주게무를 읽겠다고 제안하였다. '키즈키 코코네'에 의해 중단되기 전에 진행중인 재판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이야기를 시작한다. 해당 사례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토네이도 게이루(Geiru Toneido)에게도 이야기의 이름을 딴 "주게무"라는 개가 있다. 게임 후반부에서 게임의 악역 중 하나인 인가 카쿨 쿠라인(Inga Karkhuul Khura'in)이 실제로 주게무-에스케 (Jugemu-esque)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의 전체 이름은 "인가 카쿨 호콜드 디스나흠 비아니 라우가 오르모 폼푸스 다닛 아레디 이즈 쿠라인 3세"(Inga Karkhuul Haw'kohd Dis'nahm Bi'ahni Lawga Ormo Pohmpus Da'nit Ar'edi Iz Khura'in III)이다. 그의 중간 이름은 "어떻게 이 이름이 이미 있는 것보다 더 길거나 더 화려할 수 있는가?"("How could this name be any longer or more pompous than it already is?")로 발음된다.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신주의 한 에피소드에서 눈에 띄게 다루어진다. 두 명의 주인공이 아들이 다니는 유치원에서 공연을 한다.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DIVA 아케이드, 미쿠 플릭/02,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DIVA 퓨처 톤, "보칼리오드-P (Vocaliod-P)"라는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는 주게무에서 영감을 받은 "주게무 시퀀서" 노래를 만들었다. 이 노래는 명예의 전당에 당도하였다. 가면 라이더 포제 21회에서는 JK와 류세이가 멤버 중 한 명과 이야기를 나눌 때 라쿠고 동아리가 연습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 비슷한 이야기와 공연 = = 미국에서 출판된 유사한 이야기인 티키 티키 템보(Tikki Tikki Tembo) (1924년 이후의 변형)는 주게무 설화와 같은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Yang, Jeff. "Born to Rebel", San Francisco Chronicle, March 25, 2009. "Long-Name-No-Can-Say"(이 이야기에서 아이의 이름은 니키 니키 템보(Nicki Nicki Tembo...)로 시작한다) 1960년에 브라더스 포가 첫 앨범에 녹음 한 노래 〈사마 카마 와키 브라운〉(Edward C. Warren, George Goehring) (Sama Kama Wacky Brown)은 "Eddie Kucha Kacha Kama Tosa Nara Tosa Noma Sama Kama Wacky Brown"이라는 인물의 비극을 이야기한다.The Brothers Four. The Brothers Four (LP recording). New York: Columbia, 1960 (CL 1402). LC 93705344. OCLC 15100364. 영국의 코미디 시리즈 몬티 파이튼의 날아다니는 서커스에서 지나치게 긴 이름이 여러 번 반복되는 유사한 스케치를 방영하였다. 그 에피소드는 ""이라는 이름의 독일 바로크 작곡가의 전기를 발표하는 것으로 알려진 뮤지컬 프로그램에 집중하였다. "de von Ausfern-schplenden-schiltter-crasscrenbon-fried-digger-dingle-dangle-dongle-dungle-burstein-von-knacker-thrasher-apple-banger-horowitz-ticolensic-grander-knotty-spelltinkle-grandlich-grumblemeyer -spelterwasser-kurstlich-himbleeisen-bahnwagen-gutenabend-bitte-ein-nürnburger-bratwustle-gerspurten-mitz-weimache-luber-hundsfut-gumeraber-shönendanker-kalbsfleisch-mittler-aucher von Hautkopft of Ulm."라는 이름이며, 이름을 말할 때마다 화자는 주게무처럼 그 이름이 끝날 때까지 말해야한다. 스케치는 호스트 아서 피기스(Arthur Figgis)로, 그레이엄 채프먼으로 시작한다. 아서 피기스는 프로그램을 소개한 뒤 그의 유일한 생존한 친척 칼(Karl)을 소개하기 전에 요한(Johann)의 전체 이름을 두 번 말한다. 아서가 칼의 이름을 계속 말하면서 카메라가 칼 자신과의 인터뷰를 자르고 중단된다 (테리 존스). 그의 나이 때문에 칼은 면접관 인 존 클리즈가 방해를 받고 그가 요한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억이 있다면 그에게 "그냥 빨리" 물어보기 전에 그의 아내 사라(Sarah)와 마찬가지로 요한의 모든 이름을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요한의 이름을 두 번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 때문에 칼은 면접관이 끝내기 전에 사망하게 된다. 면접관은 마이크를 내려놓고 채프먼과 수많은 다른 캐릭터들이 요한의 이름을 다시 한 번 말하면서 칼의 무덤을 파기 시작하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 분류:SBS 플러스의 텔레비전 드라마 = 대한민국의 SBS 플러스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분류입니다. = 가쿠타니 사상 = 수학과 경제학에서 가쿠타니 사상([角谷]寫像, )은 고정점을 가지게 되는 특별한 성질을 갖는, 정의역의 멱집합을 공역으로 갖는 함수이다. = = 정의 =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 V V의 부분 집합 S\ne\varnothing 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가쿠타니 사상이라고 한다. (여기서 \operatorname{Pow}(-)는 멱집합을 뜻한다.) 각 s\in S에 대하여, f(s)는 공집합이 아니며, 콤팩트 집합이며, 볼록 집합이다. 각 열린집합 U\subseteq V에 대하여, \{s\in S\colon f(s)\subseteq U\}는 S의 열린집합이다. 가쿠타니 사상 f\colon S\to\operatorname{Pow}(S)의 고정점은 (만약 존재한다면) s\in f(s)가 성립하는 점 s\in S이다. = = 성질 = =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角谷]-Glicksberg-[樊]固定點定理, )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샤우데르 고정점 정리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경우, 정의역이 콤팩트 집합일 필요가 없다.) = = 예 = = 임의의 실수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 V의 부분 집합 S 위의 연속 자기 함수 f\colon S\to S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phi가 가쿠타니 사상이다. f가 연속 함수이다. 특히, 만약 V가 추가로 실수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공간이며 S가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볼록 집합일 때,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에 의하여, 만약 f가 연속 함수라면 f(s)=s인 s\in S가 존재한다. 이 특수한 경우를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Brouwer-Schauder-Тихонов固定點定理, )라고 한다. = = = 반례 = = =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에서, 모든 원소의 상이 볼록 집합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생략한다면 이 정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하자. 이는 x=1/2에서 f(1/2)=\{1/4,3/4\}는 닫힌집합이지만 볼록 집합이 아니며, 고정점을 갖지 않는다. = = 응용 = =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는 수리 경제학과 게임 이론에 응용된다. 특히, 내시 평형의 존재를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 = 역사 = = 1904년에 피에르스 볼(, 1865~1921)이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대한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를 증명하였다. 1910년에 라위트전 브라우어르와 자크 아다마르는 독자적으로 임의의 유한 차원에 대한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정리를 증명하였다. 1930년에 율리우시 샤우데르가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를 임의의 실수 바나흐 공간의 경우에 대하여 일반화하였으며, 1935년에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가 이를 임의의 국소 볼록 공간에 대하여 추가로 일반화하였다. 가쿠타니 시즈오가 1941년에 유한 차원의 경우에 대한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를 증명하였다. 이후 어빙 레너드 글릭스버그와 판지(, , 1914~2010)가 이를 임의의 국소 볼록 공간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 켄 빈모어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저서에 수록하였다. = 애사당 홍도 = "애사당 홍도"는 199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임미애 : 홍도 역 강인덕 : 어 서방 역 강신성일 : 배진사 역 방희 : 민씨 역 박봉희 : 산홍 역 강성욱 : 허생원 역 양택조 : 애꾸 역 이재은 : 어린홍도 역 이도경 : 박쇠 역 추석양 : 박 노인 역 김운하 : 팔봉 역 박용팔 : 쇠돌 역 안진수 : 덕보 역 서원철 : 억쇠 역 나재균 : 두칠 역 강선숙 : 여사당 역 심지미 : 여사당 역 임해림 : 걸승 역 이기영 : 군관 역 김윤형 : 청국색상 역 박부양 : 청국색상 역 양일민 : 최가 역 주상호 : 변가 역 박예숙 : 주모 역 변은영 : 안성댁 역 나갑성 : 하인 역 김기종 : 김 부자 역 하동 : 술청영감 역 김성원 : 점백이 역 최준 : 포졸 역 = 분류:1088년 출생 = = 델타 변조 = 델타 변조(delta modulation, DM)는 Analog-to-digital 신호 변환 방법 중의 하나로서, (a) analog signal을 일련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근사치를 택한 뒤, (b) 원본 신호값과의 차이를 구하여 (c) 오차의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하고. (d) 증가/감소 상태의 변화를 전송한다. = 모듈:Location map/data/Canada Nunavut = return { name = '누나부트 준주', x = '(0.43865313653137 + (1 - ($1- 63.31) * (0.034717103369757 + 0.000003525145 * ($1- 63.31) * ($1- 63.31))) * ($2+ 94.94) * ( 0.0089116793548638 - 0.000000361163 * ($2 + 94.94) * ($2 + 94.94))) * 203.4587996 - 47.6093591', y = '(-0.14714022140221 + (1 - ($1- 63.31) * (0.034717103369757 + 0.000003525145 * ($1 - 63.31) * ($1 - 63.31))) * ( 0.57149446494465 - 0.000069482763 * ($2 + 94.94) * ($2 + 94.94))) * 180.6240918 - 0.1806684734', image = 'Location map Nunavut 2.png' } = 신안군 (동음이의) = = = 대한민국 = = 신안군(新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해상 다도해의 군이다. = = = 선거구 = = = 신안군은 과거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신안군 (1971년 선거구) - 전라남도 신안군 (1971년 신설, 1973년 폐지) 신안군 (1988년 선거구) - 전라남도 신안군 (1988년 신설, 1996년 폐지) = = 중국 = = 신안군(新安郡)은 서진이 오나라를 정복한 이후 오나라 신도군의 군명을 개명하여 둔 중국의 옛 군이다. = 크리스마스의 정신 = 크리스마스의 정신은 두 개의 각자 다른 단편 영화로 구성된 시리즈이다.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이 공동 제작했다. 이 작품은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사우스 파크의 전신이며, 시리즈 안에는 1992년 작 영화 예수 VS 프로스티(Jesus vs. Frosty), 1995년 작 예수 VS 산타(Jesus vs. Santa)가 있다. = = 예수 VS 프로스티 = = 예수 VS 프로스티는 네 명의 어린 남자아이들이 '프로스티'라는 이름을 가진 눈사람을 만들다가 노란 모자를 쓴 남자아이가 프로스티에게 모자를 씌우고, 예수의 등장을 그린 단편 영화이다. 네 명의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며 눈사람을 만들고 있는데 노란 모자를 쓴 아이가 모자를 씌우려 하자 빨간 모자를 쓴 아이가 눈사람이 살아난다며 이를 막으려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눈사람에 모자를 씌우게 된다. 그리고 눈사람은 모자를 씌우자마자 바로 살아났고, 눈사람은 케니(에릭 카트먼)을 던져 살해하며 다른 아이들까지 살해하려 한다. 세 아이들은 산타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는데 그 산타는 사실 변장한 눈사람이였다. 결국 후드를 쓴 아이도 눈사람에게 살해당한다. 남은 아이들은 예수에게 구원을 요청하는데 그 때 구유에서 일어난 예수가 아기의 몸으로 눈사람을 물리치고 다시 구유에 들어간다. 이 일로 크리스마스가 예수의 날인 것을 안 두 아이들은 결론을 내지만 크리스마스가 선물의 날이었다는 결론을 내고 빨간 모자를 쓴 아이의 집으로 가게 되면서 끝이 난다. 네 명의 남자 아이들은 각각 스탠 마시(빨간 모자를 쓴 아이), 카일 브로플로브스키(노란 모자를 쓴 아이), 에릭 카트먼(당시 명칭은 케니), 케니 매코믹(후드를 쓴 아이)의 이전 외형이며, 이 때는 스탠과 카일의 사이가 매우 거칠었기에 후에 공개된 예수 vs 산타에서도 이 특징이 드러나게 된다. = = 예수 VS 산타 = = 예수 VS 산타는 1995년 12월 1일에 공개된 단편 영화로 예수 VS 프로스티에 등장했던 모습에서 다듬어진 모습으로 등장했던 남자아이들이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를 부르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런데 스탠 마시와 카일의 사이는 매우 거칠어서 스탠은 카일에게 유대인에 관한 멸시적인 말을 한 뒤 카일은 그저 순진하게 다른 노래를 부르다가 또다시 스탠과 에릭에게 무시받는다. 예수가 서로 싸우던 남자아이들에게 오면서 산타가 있는 쇼핑몰로 데려다줄 수 있겠냐고 물어본다. 예수는 산타가 자신의 생일에 관해 크게 해를 주고 있었다며 서로 싸웠는데 주인공 남자아이들 3명을 제외한 산타의 주변에 있었던 케니와 여러 어린이들이 다치거나 죽어나간다. 그런데 스탠이 등장하면서 산타와 예수에게 질문을 던졌는데 질문의 내용은 브라이언 보이타노에 대한 질문이었다. 잠시 후 브라이언 보이타노가 온 뒤 산타와 예수의 갈등은 해결되고, 3명의 주인공들은 케니가 죽은 자리를 지나가면서 어디론가 가게 된다. = = = 기타 = = = 1995년 방송국 폭스의 경영진은 맷 스톤과 트레이 파커가 크리스마스 애니메이션 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후 1995년 12월 폭스의 경영진이 친구들에게 배포했다. 크게 성공했으며 폭스의 경영 측에서도 평가가 좋아 맷 스톤과 트레이 파커는 해당 프로그램의 정규 시리즈의 방송사를 폭스에 방영시키려고 했으나, 미스터 행키 등의 각종 문제로 폭스에서의 방송 계획은 취소되었고 코미디 센트럴 측에서 방영되기로 결정되었다. = = = 출시 = = = 정규 방송 시리즈인 사우스 파크에서 가끔씩 간접적으로 등장하며, 이 편에서부터 네 명의 주인공과 웬디 테스타버거의 외형이 확립되었다. 다만 웬디는 이 편에선 이름은 존재하지 않았던 상태였다. 해당 영화에서 나오던 장면인 케니가 죽으면 케니의 시체에 쥐가 몰려든다는 장면, 카일이 유대인 출신이라는 설정은 본편에도 그대로 이어받았다. 또한 사우스 파크 본편 제4기 에피소드 아주 지저분한 크리스마스에서 등장인물들이 만들고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로 재구성되었다.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에서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으며, 게임 Tiger Woods 99 PGA Tour Golf에서도 수록되었으나 해당 수록분은 무단 사용으로 밝혀져 1999년에 일렉트로닉 아츠로 인해 회수되었다. = 틀: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 = = 나나미 히로시 = 나나미 히로시(, 1972년 11월 28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주빌로 이와타와 SSC 베네치아, 세레소 오사카와 도쿄 베르디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1996년 AFC 아시안컵, 1998년 FIFA 월드컵, 1999년 코파 아메리카와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였다. = 분류:1933년 2월 = = 골드버그 = 골드버그(Goldberg)는 영어 이름이다. 독일어 골트베르크에서 왔다. = = 인명 = = 루브 골드버그(1883-1970)는 미국의 만화가이다. 아서 골드버그(1908-1990)는 미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버나드 골드버그(1946-)는 미국의 언론인이다. 우피 골드버그(1955-)는 미국의 배우이다. 빌 골드버그(1966-)는 미국의 프로레슬러이다. 조나 골드버그(1969-)는 미국의 언론인이다. 애덤 골드버그는 미국의 배우이다. 에번 골드버그는 캐나다의 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각본가이다. 이도 골드버그는 이스라엘과 영국의 배우이다. 아델 골드버그는 스몰토크-80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책을 쓴 컴퓨터 과학자이다. 데이비드 골드버그는 유전 알고리즘 분야의 권위자이다. 세라 골드버그는 캐나다의 배우이다. = = 기타 = = 《골드버그》(The Goldbergs): 미국의 시트콤 루브 골드버그 장치: 연쇄 반응 기계 = 틀:소개 탭막대/설명문서 = = = 사용법 = = {{소개 탭막대 }} = 분류:스웨덴의 역사 박물관 = = 서울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 =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華溪寺 冥府殿 十大王圖)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 명부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6년 8월 4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91호로 지정되었다.서울특별시고시 제2016-227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3363호, 11면, 2016-08-04 = = 개요 = = 한 폭의 화면에 구름을 배경삼아 입상의 십대왕만을 그려 놓은 시왕도로, 그 예가 드문 작품이다. 화기를 통해 1876년 수화승인 화산당 재근(華山堂 在根)을 비롯하여 당시를 대표하는 화승들에 의해 조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명호를 지닌 십대왕을 한 폭에 그린 예는 어느 사찰에서도 볼 수 없는 희귀한 예이다. = = 조사보고서 = = 한 폭의 화면에 구름을 배경삼아 입상의 십대왕만을 그려 놓은 시왕도로. 그 예가 드물다. 어떠한 원칙 아래 구성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으나, 명부세계(冥府世界)의 총사령관 격으로 면류관을 쓴 염라대왕을 위시하여 중앙 쪽에는 홀수 왕을 배치하고 좌우 바깥쪽으로는 빙둘러 짝수 왕을 배열하였다. 십대왕은 명호가 적힌 홀(忽)을 들거나 명패가 있어 각기의 존명을 알 수 있는데, 1․2․3․5․6․7대왕은 홀을 들고 4․8․9․10대왕은 합장한 모습으로 명패를 지니고 있다. 상들은 또한 3․4․5․7․8대왕과 1․2․6․9․10대왕이 서로 마주 보도록 서 있으며, 복장은 1․3왕만 이 녹색과 청색일 뿐 나머지는 적색의 문관 복장을 하였다. 전반적으로 살펴보아 하늘과 구름 부분에 일부 퇴색이 엿보이기는 하지만, 존상의 적당한 신체 비례에 얼굴 표현이 섬세하고 복장과 관의 장식이 치밀함을 볼 수 있다. 화면 하단의 화기 중 󰡒水月道場空花佛事齋者…金魚比丘華山在根 慧杲奉侃 德淳(順) 尙悟…光緖二年丙子閏二十七日十王幀一幅奉安于華溪寺󰡓 라는 내용을 통해 보아, 이 십대왕도는 1876년 금어 화산당 재근과 혜고당 봉간, 덕순, 상오 등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십대왕도는 대웅전 후불화 조성시 수화사였던 화산당 재근과 응파당 덕순을 비롯하여 성암당 승의, 혜고당 봉간, 기경, 석운 등 당시를 대표하는 화승들에 의해 조성된 불화로서, 이렇듯 명호를 지닌 십대왕을 한 폭에 그린 예는 어느 사찰에서도 볼 수 없는 희귀한 예이다. 이에 본 불화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함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 참고 자료 = = *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 = 분류:빅히트 뮤직 음반 = = = : 삭제 제안 제거 알림 = = 틀을 귀하가 삭제를 제안한 :에서 제거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분류:왕실 후원을 받는 웨일스의 단체 = = 루프트한자 = 루프트한자는 독일의 국책항공사다. 운송 수의 경우 세계 6위이고, 전 세계 100개국 200개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사로 또한 파트너 그룹과 함께 410개 도시를 운항한다. 독일어로 ‘루프트'는 영어의 air와 같은 의미인 '공기', '항공'을 뜻하고, '한자'는 옛 독일 북부지역의 도시연합을 지칭하는 명칭이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쾰른에 본사가 있으며, 허브 공항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공항, 뮌헨 국제공항에 2번째 허브 공항이 있다. 는 19개의 멤버사가 있고 3개의 지역 멤버사가 있다. 루프트한자 그룹은 700대 이상의 항공기와 전 세계에 걸쳐 100,000명에 가까운 고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프랑크푸르트와 뮌헨을 기점으로 유럽을 비롯하여 아메리카,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 6개 대륙에 취항하고 있다. 심볼의 모티브가 되고 있는 새는 두루미로, 조류 중에서 가장 크며 동화 이야기 중 천국의 사용, 행운을 부르는 새와 장수의 상징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루프트한자, '학 모이 주기 행사' 진행 - 아크로판 세계 최초로 보잉 747-8I를 도입한 항공사인 동시에, 가장 많은 보잉 747-8I를 운용하는 항공사이기도 하다. 또한 에어버스 A340의 큰 고객사 중 하나였다. = = 역사 = = = = = 전후 개혁 = = = 1917년 12월 하퍼그, 제플린, AEG가 함께 공동으로 DLR를 설립했다. 1919년 2월 베를린에서 바이마르 간 노선을 취항했다. 1923년에 독일 DLR을 비롯한 도이치 에어로 로이드와 함께 새로운 회사를 설립했다. 1926년 베를린에서 도이치 루프트한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운항했다. 이후에 유럽, 아시아에 노선을 취항을 시도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전하면서 1945년에 영업이 중지되었다. 1951년에 회사가 청산했으나 이후에 1953년 연방 정부, 독일국립철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정부에서 합작하여 재건했지만 독일이 동독과 서독으로 분단되면서 서독의 국영 항공사가 되었다. 1954년 현재의 이름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55년 4월에 서독 내에서 최초로 항공편 예약을 실시했으며 같은 해 5월부터 뉴욕에 취항했다. 같은 해 동독도 같은 사명으로 항공사를 설립했으나 서독이 동일한 브랜드로 사용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하게 되자 1963년에 이 회사를 청산하고 동독의 항공사인 인터 플러그란 회사로 별도로 설립하게 되었다. = = = 제트기의 도입 = = = 1958년에 루프트한자는 4대의 보잉 707을 주문해 제트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최초로 프랑크푸르트에 취항했다. 1960년 3월 뉴욕에 취항했으며 보잉 720 기종의 경우 나중에 보잉 707 기종을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주문했다. 특히 이 시기는 진보와 무한한 성장의 신념에 의해 주도 되었고 당시 제트기 도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61년 2월에 극동 노선에 진출한 데 이어 1962년에 방콕, 홍콩, 도쿄, 라고스, 나이지리아, 요하네스버그에 추가로 취항했다. 1963년에 장거리 프로펠러형 항공기를 도입했으며 1964년에 보잉 727을 기종을 도입한데 이어 같은 해 5월에 프랑크푸르트에서 도쿄 간 폴라 루트를 개설했다. 1965년 2월 회사는 21대의 보잉 737-100을 주문했으며 같은 해 오스트레일리아에 취항했다. 1966년에 튀니스에 취항했으며 같은 해 12월에 보잉 737 기종을 도입한 회사가 되었다. 1967년에 최초로 콜롬비아에 취항했으며 1968년에 경영난으로 인해 수드 플러그 항공사를 인수해 합병했다. = = = 와이드 바디 시대 = = = 1970년에 최초로 보잉 747-100 기종을 도입했으며, 1971년에 최초로 남아메리카에 취항했다. 1976년에 에어버스 A300 기종을 도입한데 이어 1979년에 에어버스 A310 기종의 주문과 당시 스위스의 최대 항공사인 스위스 항공(현 스위스 국제항공)과 함께 신규 고객을 위해 고급 서비스를 시작했다. 1985년에 에어버스 A300-600R, 에어버스 A320, 보잉 737-300 기종을 주문했으며 이 기종은 1987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했다. 추가로 에어버스 A321, 에어버스 A340-300, 보잉 747-400 기종을 주문해 도입했다. 1982년 3월에 루프트한자는 독일 연방 철도와 협력을 시작했다. 1988년에 새로운 기업 이미지를 채택했으며 캐빈을 비롯한 도시 사무실과 공항 라운지가 다시 디자인했으며 그와 동시에 기종도 신도색 작업을 하게 되었다. 1984년 8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펜타 호텔 NV를 인수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대한민국 진출을 선언하여, 프랑크푸르트를 출발해 앵커리지를 거처 서울에 첫 취항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국제 항공 운송 협회 연례 회의에서 루프트한자 이사회 국장 겸 CEO가 IATA의 회장으로 선출했다. 루프트한자는 베를린에 위치한 켐핀스키 호텔을 운영했다. 1988년 항공사의 규제 완화로 인해 자유로운 항공 교통과 새로운 경쟁을 위해 독일의 항공사인 저먼윙스 항공을 설립했다. 하지만 외국 항공사를 유치하려는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했으며 이후 경영난으로 인해 설립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1990년에 청산했다. = = = 독일의 통일과 스타얼라이언스의 탄생 = = = 1990년 10월 28일에 서독과 동독이 통일되면서 독일 최대 규모 항공사로 성장하게 되었다. 1994년 독일 정부가 민영화를 주도함에 따라 민영화되었고 같은 해 독일의 화물 항공사인 루프트한자 카고를 설립했다. 1996년에 독일과 미국과 항공 노선 협정으로 대서양 횡단 항공 시장의 자유화 경쟁이 심화되었다. 또한 루프트한자는 경쟁의 증가로 유럽 연합과 유럽의 모든 항공사는 수송의 규제 완화의 결과로 직면했다. 대규모의 구조 조정 과정에서 루프트한자는 유럽의 항공사 중 가장 먼저 위기를 극복했다. 1997년 5월 14일 최대의 항공사 동맹 스타얼라이언스의 창립 멤버로 타이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에어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항공과 함께 창립했다. 항공 동맹 창립 계기로 최초의 다자간 비즈니스 제휴를 통해 글로벌 항공 업계에서 항공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되었고 그와 동시에 규제 완화와 세계화를 성장하는 데 결정적으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2000년에 이탈리아의 항공사인 에어원과 코드셰어 협정을 체결하면서 모든 항공편과 제휴를 했으나 이후 에어원은 알리탈리아 항공에 인수됐다. 2001년 9월 11일에 9·11 테러로 인해 손실을 입었지만 이러한 어려움에 불구하고 흑자를 기록했다. 2001년 12월에 15대의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을 주문했으며 10옵션으로 주로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장거리 국제선에 도입하기 위해 주문했다. 2003년 6월에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공항의 포화를 해결하기 위해 뮌헨 국제공항에 제 2터미널을 개설해 포화 해결에 기여했다. 같은 해 26대의 에어버스 A340-600 기종을 도입했다. = = = 현대 역사 = = = 2004년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인 플라이넷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같은 해 중국의 항공사인 선전 항공과 출자해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 2005년 3월에 스위스의 항공사인 스위스 국제항공을 인수했다. 2006년에 20대의 747-8i를 주문했으며 같은 해 기내 인터넷 서비스인 플라이넷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그와 동시에 영국의 항공사인 BMI를 인수해 자회사가 되었지만, BMI는 손실만 기록한 채 2012년 영국항공에 매각했다. 2007년에 5,640만명의 승객을 운송했다. 2009년 10월 기내 모든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을 연결이 가능한 플라이넷 서비스 재개를 발표한 데 이어, 같은 해 오스트리아의 항공사인 오스트리아 항공을 인수했다. 2008년 9월 벨기에 최대 항공사인 브뤼셀 항공의 지분 45%를 인수하기로 계약했는데 이 계기로 브뤼셀 항공은 스타 얼라이언스에 2009년 12월 가입하게 되었다. 루프트한자 보도 자료 브뤼셀 항공 보도 자료2009년 1월에 독일의 저가 항공사인 저먼윙스와 독일의 지역 항공사인 유로윙스를 인수해 자회사가 되었다. 2010년 5월에 같은 해 최초로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을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8대가 도입했으며 앞으로 7대가 추가로 더 들어올 계획이다. ]=3796&tx_ttnewsbackPid]=1918&cHash=84a4fe8a15 같은 해 6월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이 프랑크푸르트에서 도쿄 간 국제선 노선에 최초로 취항했다. 또한 장거리 노선에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으로 독일 주요 도시와 미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발표했다. 2012년에 최초로 1대의 747-8i 기종을 도입했으며 2015년까지 순차별로 도입될 예정이다. 같은 해 4월에는 BMI를 영국항공이 소속된 국제항공 그룹에 매각했다. 최근 들어 루프트한자는 수익성을 올리기 위해 3,500명의 직원을 감원하는 항공사의 계획을 발표했다. = = 운항 노선 = = 2017년 12월 기준으로 루프트한자는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 = = 코드셰어 협정 = = = 루프트한자는 다음과 같은 항공사들과 코드셰어 협정을 하고 있다.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뿐만 아니라 몇몇 비회원사와 코드셰어 협정을 하고 있다. BMI 리저널 LATAM 브라질 LOT 폴란드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TAAG 앙골라 항공 TAP 포르투갈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남아프리카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룩스에어 브뤼셀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스위스 국제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싱가포르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아비앙카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아제르바이잔 항공 에게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에어 뉴질랜드 (스타얼라이언스) 에어 돌로미티 에어 몰타 에어 인디아 (스타얼라이언스) 에어 캐나다 (스타얼라이언스) 에티오피아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오스트리아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유나이티드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유로윙스 이란 항공 이집트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일본항공 (원월드) 전일본공수 (스타얼라이언스) 중국국제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코파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크로아티아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타이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 = 보유 기종 = = 2021년 3월 기준으로 루프트한자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어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 = 현재 사용하는 기종 = = = 루프트한자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옵션 승객 승객 승객 승객 승객 승객 비고 기종 대수 주문 옵션 F C E+ E 합계 각주 비고 에어버스 A319-100 23 0 0 0 24 0 114 138 에어버스 A320-200 53 0 20 0 28 0 140 168 에어버스 A320neo 34 81 20 0 28 0 152 180 2016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에어버스 A321-100 20 0 0 0 26 0 174 200 에어버스 A321-200 37 0 0 0 26 0 174 200 에어버스 A321neo 17 23 0 0 28 0 187 215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에어버스 A330-300 11 0 0 0 42 28 185 255 에어버스 A340-300 17 0 0 0 30 28 221 279 2대는 스타 얼라이언스 도장 적용순차적으로 퇴역 예정대체 비행기: 에어버스 A350-900, 보잉 787-9 에어버스 A340-600 10 0 0 8 56 28 189 281 대체 비행기: 에어버스 A350-900 에어버스 A340-600 10 0 0 8 44 32 213 297 대체 비행기: 에어버스 A350-900 에어버스 A350-900 21 32 15 0 48 21 224 293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4대는 필리핀 항공 항공기를 인수 에어버스 A350-900 21 32 15 0 30 24 241 295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4대는 필리핀 항공 항공기를 인수 에어버스 A350-1000 0 10 0 TBA TBA TBA TBA TBA TBA 에어버스 A380-800 8 0 0 8 78 52 371 509 2023년부터 단계적 운항 재개 보잉 747-400 8 0 0 0 67 32 272 371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 예정대체 비행기 : 보잉 777-9 보잉 747-8I 19 0 0 8 80 32 244 364 보잉 747-8I의 최대 운용사 보잉 777-9 0 20 7 TBA TBA TBA TBA TBA TBA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보잉 747-400 대체 비행기 보잉 787-9 5 34 0 0 26 21 247 294 TBA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에어버스 A340-300 대체 비행기 합계 274 211 42 = = = 퇴역 기종 = = = 루프트한자의 퇴역 기종 기종 댓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대체 기종 비고 에어버스 A300B2 6 1976년 1984년 에어버스 A300-600R 에어버스 A300B4 5 1976년 1984년 에어버스 A300-600R 에어버스 A300-600R 15 1987년 2009년 에어버스 A330-200 에어버스 A310-200 13 1984년 2005년 에어버스 A321-100 스위스 항공과 함께 최초 주문 에어버스 A310-300 8 1986년 2008년 에어버스 A321-200 에어버스 A310-300 4 1986년 2008년 에어버스 A321-200 독일 공군에 매각 에어버스 A319-100 1 1997년 2020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에어버스 A319-100 6 1997년 2020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루프트한자 시티라인으로 이전 에어버스 A319-100 5 1997년 2020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저먼윙스로 이전 에어버스 A320-200 25 1990년 2022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에어버스 A320-200 2 1990년 2022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오스트리아 항공으로 이전 에어버스 A320-200 10 1990년 2022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유로윙스 디스커버로 이전 에어버스 A320-200 12 1990년 2022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저먼윙스로 이전 에어버스 A321-200 6 2012년 2023년 에어버스 A320neo 패밀리 자회사인 유로윙스로 이전 에어버스 A321-200 1 2012년 2023년 독일 공군에 매각 에어버스 A330-200 5 2002년 2006년 에어버스 A330-300 에어버스 A330-300 3 2004년 2022년 에어버스 A350-900 자회사인 브뤼셀 항공으로 이전 에어버스 A330-300 5 2004년 2022년 에어버스 A350-900 자회사인 유로윙스 디스커버로 이전 에어버스 A340-200 8 1993년 2006년 에어버스 A340-300에어버스 A340-600 에어버스 A340-300 13 1993년 2019년 에어버스 A350-900 에어버스 A340-600 14 2004년 2020년 에어버스 A350-900 17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에어버스 A380-800 7 2010년 2020년 에어버스 A350-900 전 댓수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07-300B 불명 1960년 1984년 보잉 707-400B 보잉 707-400B 불명 1962년 1987년 보잉 747-100B 1대는 퇴역 후 소방 훈련기로 사용 보잉 720 불명 1961년 1965년 보잉 767-300ER 보잉 727-100 불명 1964년 1979년 보잉 727-200 보잉 727-200 불명 1971년 1993년 에어버스 A319-100 보잉 737-100 22 1967년 1982년 보잉 737-200 세계 최초 주문 항공사 보잉 737-200 41 1969년 1997년 보잉 737-300보잉 737-400 보잉 737-200C 6 1969년 1985년 보잉 737-300/QC 보잉 737-300 39 1992년 1998년 에어버스 A320 패밀리 보잉 737-300/QC 7 1993년 2001년 대체 기종 없음 보잉 737-400 7 1992년 1998년 에어버스 A320 패밀리 보잉 737-500 33 1990년 2016년 에어버스 A320neo 보잉 747-100 3 1970년 1979년 보잉 747-200 보잉 747-100/SF 1 1975년 1975년 임차 기종 보잉 747-200 7 1971년 2004년 보잉 747-400 보잉 747-200C 1 1983년 1984년 임차 기종 보잉 747-200M 12 1976년 2003년 보잉 747-400M 보잉 747-200M 2 1976년 2003년 보잉 747-400M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 루프트한자 카고로 편입 보잉 747-400 15 1989년 2020년 보잉 747-8 4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47-400M 7 1989년 2014년 보잉 747-8 3대는 현재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67-300ER 1 1994년 1995년 임차 기종 콘도르 임차 운항 보잉 767-300ER 2 2003년 2004년 임차 기종 라우다 항공 임차 운항 더글러스 DC-3 불명 1955년 1960년 콘베어 CV-340/440 화물기 더글러스 DC-4 불명 1958년 1959년 콘베어 CV-340 1대는 화물기로 운항 더글러스 DC-8-50 불명 1965년 1966년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임차 운항 록히드 슈퍼 콘스틸레이션 불명 1955년 1967년 불명 3대는 화물기로 운항 맥도넬더글러스 DC-10-30 12 1974년 1994년 보잉 747-200B 빅커스 바이킹 불명 1956년 1961년 불명 2대는 화물기로 임차 운항 빅커스 빅스카운트 불명 1958년 1971년 불명 콘베어 CV-340 불명 1955년 1968년 더글러스 DC-8-50 포커 27 불명 1965년 1966년 임차 기종 콘도르 임차 운항 = = 좌석 = = = = = 퍼스트 클래스 = = = 루프트한자 퍼스트 클래스는 대부분의 장거리 항공기에 제공된다. 각 좌석은 2 미터 침대로 변환 노트북 전원 콘센트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포함한다. 루프트한자 전용 퍼스트 클래스 체크인 대부분 공항 카운터를 제공하며 관련 전용 퍼스트 클래스 라운지를 제공하고 프랑크푸르트와 뮌헨에 서비스를 제공하나 별도로 프랑크푸르트 전용 퍼스트 클래스 터미널이 있다. 도착 승객은 루프트한자의 퍼스트 클래스 도착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옵션뿐만 아니라 새로 오신 것을 환영하는 라운지가 있다. 루프트한자는 에어버스 A380에 탑승한 승객을 위해 새로운 일등석 제품을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장거리 항공기의 모든에 소개할 계획하고 있다. 새로운 프로그램 평가 점수는 다음 년도까지 이익을 얻기 위해 도입할 계획으로 LH는 노선 신설을 중지하고 광범위하게 대부분의 노선에 자사의 일등석 제공 줄어든다. = = = 비즈니스 클래스 = = = 루프트한자의 장거리 비즈니스 클래스는 모든 장거리 항공기에 제공된다. 각 좌석은 2미터 직각 평면 침대로 변환하면 노트북 전원 콘센트와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포함한다. 루프트한자 전용 비즈니스 클래스를 제공된다. 체크와 모든 공항만 아니라 대부분의 공항이나 계약 라운지등 공항만 아니라 프랑크푸르트 도착 후 루프트한자 환영 라운지에서 전용 비즈니스 클래스 라운지에서 카운터에서 제공한다. 그리고 2020년 이후에 항공기에는 1-2-1과 1-1-1 배열로 구성된 비즈니스 클래스를 런치할 예정이다. = = = 이코노미 클래스 = = = 루프트한자의 장거리 이코노미 클래스는 모든 장거리 항공기에 제공된다. 모든 좌석 피치는 31인치에서 32인치까지 있다. 승객은 식사 뿐만 아니라 무료로 음료수를 제공한다. 2007년 루프트한자는 개인 오디오 비디오 주문형인 AVOD 이코노미 클래스 화면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한편 신기종인 에어버스 A380의 AVOD 시스템이 이미 설치되었다. = = 기타 = = 아시아나항공과는 같은 동맹 내에서도 루프트한자와 관계가 좋지 못해, 양사 간에는 코드셰어 항공편을 운항하지 않는다. 이 여파로 아시아나항공은 유럽방면 코드셰어 노선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스타얼라이언스 내 유럽 항공사들 중에서는 터키항공과 오스트리아 항공만 아시아나항공과 코드셰어 중이다. 현재 아시아나항공이 루프트한자와 협력하는 분야는 기체 정비 부문이며, 아시아나항공 자체에 중정비 기지가 없어서 루프트한자 테크닉 등에 중정비를 위탁하기 때문이다. = = = 스타얼라이언스 회원과 코드셰어 = = = 루프트한자는 스타얼라이언스의 창립 회원사로,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한 모든 스타얼라이언스 가맹 항공사들과 코드셰어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 = 특별 도장 = = 「EXPO2000 HANNOVER」20세기 마지막으로 독일에서 처음으로 세계 박람회가 개최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도장을 적용했다. 「STAR ALLIANACE」기체에 큰 로고의 도장을 적용하고 있다. 「50 YEARS Innovation Partnership Boeing and Lufthansa」 (*)현재는 일반 도장에 의한 운항하고 있다. = = 루프트한자 에어 익스프레스 = = 루프트한자는 한 때 에어포트 익스프레스를 운영한 적이 있다. 이는 주요 도시에서 공항간 항공편 대체 열차로 운행하는 것은 거의 드문 편이다. 1982년부터 1993년까지 프랑크푸르트에서 뒤셀도르프 구간에 채산성이 낮은 국내선 대신 당시 독일 철도(DB)에 전세 열차 루프트한자 에어 익스프레스를 운행했다. 에어 포트 익스프레스는 열차 운전은 DB의 직원이 수행하나 운임이 적용되며 객석의 승무원이나 차내 식사 서비스는 루프트한자가 실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운행 초반 DB내에서 처리는 영업용 LH와 함께 전차 일등 자동차는 점에서 TEE열차 번호가 맞춰져 있었다. 또한 DB 시간표에 나와 있지 않았다. 처음에는 DB 정기 운용에서 벗어나 보류했다가 슈투트가르트 구간에 정기 노선을 재개했다. 현재 DB의 정기 열차로 ICE의 일부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루프트한자 여객 전용으로 하는 AI 레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프랑크푸르트 ~ 쾰른 ~ 슈투트가르트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 루프트한자 그룹 = = 루프트한자 그룹 산하 항공사 상호 명 항공기 댓수 소속 항공사 소속 국가 비고 루프트한자 그룹 291 루프트한자 루프트한자 그룹 54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루프트한자 그룹 19 루프트한자 카고 루프트한자 그룹 13 에어 돌로미티 루프트한자 항공편으로 운항 유로윙스 109 유로윙스 유로윙스 10 디스커버 항공 유로윙스 12 유로윙스 유럽 유로윙스 항공편으로 운항 유로윙스 33 저먼윙스 브뤼셀 항공 54 브뤼셀 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89 스위스 국제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16 에델바이스 에어 오스트리아 항공 83 오스트리아 항공 선익스프레스 항공 45 선익스프레스 항공 터키항공과 각각 50 % 보유 선익스프레스 항공 10 선익스프레스 독일 = = = 기타 부문 = = = 글로벌 로드 컨트롤 LSG 스카이 셰프 루프트한자 커뮤터 홀딩스 루프트한자 컨설팅 루프트한자 플라이트 트레이닝 루프트한자 시스템 루프트한자 테크닉 = = 사건 및 사고 = = 루프트한자 005편 루프트한자 181편 루프트한자 540편 루프트한자 592편 루프트한자 2904편 루프트한자 9958편 루프트한자 4499편 루프트한자 45편 = 나만의 당신 = 나만의 당신은 2014년 1월 20일부터 2014년 7월 18일까지 방영한 SBS 아침연속극이다. = = 기획 의도 = = 구두닦이로 정직하게 살아온 어머니 슬하에서 자란 딸이 야망에 눈이 먼 모자가 일으킨 끔찍한 사고에 휘말린 후 역경을 극복하고 재기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 = 등장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이민영 : 고은정 역 정성환 : 이준하 역 송재희 : 강성재 역 한다민 : 이유라 역 = = = 고은정 가족 = = = 선우은숙 : 나순심 역 이연수 : 나한심 역 오초희 : 고은별 역 이명훈 : 고은산 역 = = = 이준하 가족 = = = 이휘향 : 장영숙 역 이동준 : 이병준 역 박형준 : 이준혁 역(특별출연) 정시연 : 주희진 역 = = = 강성재 가족 = = = 유혜리 : 오광자 역 문천식 : 오광달 역 유소영 : 강성아 역 곽지혜 : 오하니 역 = = = 그 외 인물 = = = 최대훈 : 김태수 역 박찬환 : 백인섭 역 조성희 : 이종수 역 김홍수 : 윤경철 이사 역 인성호 : 형사 1 역 나주호 : 형사 2 역 신준영 : 왕손 역 김태영 : 판사 역 김윤태 : 김검사 역 최광제 : 대포폰 사장 역 서지연 : 이기숙 기자 역 사미자 : 봉사받는 할머니 역 (특별출연) 함진성 : 남 비서 역 = = 결방 사유 및 연장 = = 2014년 4월 17일 ~ 4월 22일 : '세월호 침몰 사고' 뉴스특보로 인해 결방 2014년 6월 17일 ~ 6월 23일 : '브라질 월드컵' 경기중계로 인해 결방 나만의 당신 방영 분량이 120부작에서 1회 연장되어 121부작으로 변경 및 확정되었다. = = 참고 사항 = = 정성환은 녹색마차 이후 4년 3개월 만에 SBS 아침연속극의 남주인공 역을 맡았다. SBS드라마플러스가 2009년 7월 SBS프로덕션의 제작사업부문을 합병하여 SBS 플러스로 새롭게 출범한 뒤 처음 외주제작한 아침연속극이다.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부산직할시 지역 개표 결과이다. = = 선거구 = = 선거구 선거구역 중구 중구 일원 서구 서구 일원 동구 동구 일원 영도구 영도구 일원 부산진구 갑 부산진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 부암1동, 부암2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부산진구 을 부산진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전포3동, 전포4동, 가야1동, 가야2동, 가야3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범천1동, 범천2동, 범천4동 동래구 갑 동래구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동래구 을 동래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3동, 거제4동, 연산1동, 연산2동, 연산3동, 연산4동, 연산5동, 연산6동, 연산7동, 연산8동, 연산9동 남구 갑 남구 대연1동, 대연2동, 대연4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남천1동, 남천2동, 문현4동, 광안2동 남구 을 남구 대연3동, 대연5동, 대연6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5동,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광안1동, 광안3동, 광안4동, 민락동 북구 갑 북구 구포1동, 구포2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1동, 덕천2동, 만덕1동, 만덕2동, 모라1동, 모라2동 북구 을 북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1동, 감전2동, 주례1동, 주례2동, 학장동, 엄궁동 해운대구 해운대구 일원 사하구 사하구 일원 금정구 금정구 일원 강서구 강서구 일원 = = 개표 결과 = = = = = 중구 = = = = = = 서구 = = = = = = 동구 = = = = = = 영도구 = = = = = = 부산진구 갑 = = = = = = 부산진구 을 = = = = = = 동래구 갑 = = = = = = 동래구 을 = = = = = = 남구 갑 = = = = = = 남구 을 = = = = = = 북구 갑 = = = = = = 북구 을 = = = = = = 해운대구 = = = = = = 사하구 = = = = = = 금정구 = = = = = = 강서구 = = = = = 당선자 = = 선거구 정당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중구 민주자유당 정상천 25,131 서구 민주자유당 곽정출 61,692 동구 민주자유당 허삼수 59,894 영도구 민주자유당 김형오 41,922 부산진구 갑 민주자유당 정재문 59,544 부산진구 을 민주자유당 김정수 67,254 동래구 갑 민주자유당 박관용 92,353 동래구 을 민주자유당 최형우 65,708 남구 갑 민주자유당 허재홍 57,117 남구 을 민주자유당 유흥수 86,355 북구 갑 민주자유당 문정수 56,333 북구 을 민주자유당 신상우 53,728 해운대구 민주자유당 김운환 61,013 사하구 무소속 서석재 68,300 금정구 민주자유당 김진재 86,284 강서구 민주자유당 송두호 21,119 = 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태권도 올림픽 en:Category:Taekwondo at the 1988 Summer Olympics = AGM-88 함 = AGM-88 함은 공대지 대레이다 미사일이다. 발사시 조종사들은 항공교신에서 매그넘이라고 외친다. = = 파생형 = = = = = AGM-88E AARGM = = = 최신 업그레이드인 AGM-88E AARGM (Advanced Antiradiation Guided Missile)은 최신 소프트웨어, 적 레이더가 전원을 끌 경우에도 명중하는 기능, 적 레이더 신호를 추적해 들어가는 기존 수동 레이더에 밀리미터파 능동 레이더를 추가했다. 2010년 11월에 출시되었다. 미국 국방부와 이탈리아 국방부가 합작 투자했다. 오비탈 ATK가 생산한다. 2005년 11월 이탈리아 국방부와 미국 국방부는 AGM-88E AARGM 미사일의 공동 개발에 관한 각서에 서명했다. 이탈리아는 2천만 달러의 개발 자금과 수백만 달러 상당의 재료, 장비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탈리아 공군은 토네이도 ECR 전투기를 위해 최대 250발의 미사일을 구매할 계획이었다. AARGM을 토네이도 ECR의 무기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한 비행 테스트가 계획되었다. 미국 해군은 2012년 봄 12발의 미사일을 실시간으로 발사하여 초기 작전 테스트 및 평가 (IOT & E)에서 AARGM의 능력을 검증했다. 6월에 실제 미사일을 이용한 승무원 및 정비 훈련이 완료되었다. 해군은 2012년 8월에 AARGM의 FRP (Full-Rate Production)를 승인했다. 이번 대량생산에서는, 미국 해군용 미사일 72발과 2013년에 인도될 이탈리아 공군용 미사일 9발을 생산했다. 미 해병대의 F/A-18 호넷 비행대대는 AGM-88E를 탑재 한 최초의 전방 배치 부대가 되었다. 2013년 9월 오비탈 ATK는 100번 째 AARGM을 미 해군에 인도했다. AGM-88E 프로그램은 2014년 9월에 계획된 FOC (Full Operational Capability)와 함께 예정대로 예산에 맞춰 진행되고 있다. AGM-88E는 고정 및 재배치 가능한 레이더 및 통신 사이트, 특히 기존 Mach 2 지원 로켓에 새로운 시커를 부착하여 대 방사능 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폐쇄되는 기존 HARM 변형의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설계했다. 모터 및 탄두 섹션, 수동 안티-방사선 유도 수신기, 위성 및 관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터미널 안내를위한 밀리미터 파 레이더, 충돌 직전에 위성 링크를 통해 표적 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HARM 모델은 F/A-18C/D, F/A-18E/F, EA-18G 및 토네이도 ECR 전투기에 통합되고 나중에 F-35(외부)에 통합될 계획이다. 2015년 9월, AGM-88E는 실사격 테스트에서 이동성 함선 표적을 성공적으로 명중 시켰으며, 미사일이 움직이는 표적을 탐지, 식별, 위치 파악 및 교전하는 데 방사능 유도 및 밀리미터 파 레이더를 사용하는 능력을 입증했다. 2019년 12월 독일 공군은 AARGM을 주문했다. 2020년 8월 4일, 캘리포니아 노스 리지에 있는 노스롭 그루만의 Alliant Techsystems Operations 부서는 AARGM 디포 유지 지원, 안내 섹션 및 제어 섹션 수리, 장비 상자 테스트 및 검사를위한 12,190,753 달러의 IDIQ 계약을 수주했다. 2020년 8월 31일에 동일한 노스롭 그루만 사업부에 AARGM을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약 8090만 달러를 배정했다. 두 계약 모두 공개 입찰 경쟁 방식의 계약은 아니었다. = = = AGM-88G AARGM-ER = = = AGM-88E AARGM의 사거리를 늘린 버전이다. 램제트 엔진을 사용했다. 사거리가 222 km로 늘어났다. AGM-45A 슈라이크, 무게 177 kg, 사거리 16 km AGM-45B 슈라이크, 무게 177 kg, 사거리 40 km AGM-78 스탠더드 ARM, 무게 620 kg, 사거리 90 km, 슈라이크 대체 AGM-88A 함, 무게 355 kg, 사거리 48 km, 스탠더드 대체 AGM-88G AARGM-ER, 무게 355 kg, 사거리 222 km = = 제원 = = 원래는 AGM-78 스탠더드 ARM 시스템을 교체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기능: 공대지 대레이다 미사일 (적의 레이다를 찾아내고 공격하는 미사일) 계약자: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개발. 레이시온에서 회사 인수 후 생산. 엔진: Thiokol dual-thrust, solid-propellant rocket engine 길이: 4.1m (13 ft 8 in) 발사중량: 360 kg (800 lb) 직경: 254 mm (10 in) 날개폭: 1.1 m (3 ft 8 in) 사거리: 90 km 이상 (80 마일 이상, 57 해리 이상) 속도: 340 m/s (760+ mph) 유도방식: 레이다 유도방식 탄두: Blast fragmentation; warhead weight 68 kg (150 lb) 단가: US$284,000 실전배치일: 1985년 = = 더 보기 = = 대레이다 미사일 AGM-154 미사일 목록 = 분류:1965년 해산된 정당 = = 분류:나이지리아의 역도 선수 = = 순빈 = 순빈은 다음을 의미한다. 순빈(孫臏):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병법가. 순빈 봉씨: 문종의 세자 시절 세자빈 순빈 김씨: 조선 선조의 후궁 = 소피스티 팝 = 소피스티 팝(sophisti pop)은 80년대 중반의 영국에서 유행한 팝 음악을 부르는 장르명이다. 재즈, 솔 음악과 팝 음악등이 뒤섞인 사운드를 지칭했다. 키보드와 신시사이저, 브라스 섹션을 많이 이용했으며 매끈한 편곡을 지향했다. 록시 뮤직 특히 브라이언 페리의 80년대 중반 앨범들이 이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 = 뮤지션 목록 = = ABC 아즈텍 카메라 바시아 블로 몽키스 블루 나일 크리스천스 큐리어시티 킬드 더 캣 대니 윌슨 디컨 블루 에브리씽 벗 더 걸 휴 앤드 크라이 조 잭슨 조니 헤이츠 재즈 레벨 42 리빙 인 어 박스 맷 비안코 프리팹 스프라우트 샤데이 스크리티 폴리티 심플리 레드 스타일 카운실 스윙 아웃 시스터 = = 내용주 = = = = = 참고 문헌 = = = * = 우아테르말부아포르 = 우아테르말부아포르는 벨기에 브뤼셀 수도 지역을 구성하는 19개 지방 자치체 가운데 하나로 면적은 12.93km2, 인구는 24,303명(2013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1,900명/km2이다. = 내손동 = 내손동(內蓀洞)은 경기도 의왕시의 법정동으로, 행정동으로는 내손1동과 내손2동이 있다. = = 법정동 = = = = =내손1동 = = = 내손동 = = =내손2동 = = = 내손동 포일동 = = 기타 시설 = = 모락산 갈미한글공원 = = 교통 = = = = = 도로 =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평촌 나들목 국도 제47호선 = 분류:2018년 매체 = = 분류:1987년 해체된 음악 그룹 = = 페드루 멘드스 = 페드루 미겔 다 실바 멘드스(, 1979년 2월 26일, 노르트 지방 기마랑이스 ~)는 포르투갈의 전직 프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현재 축구 대행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향 비토리아 기마랑이스에서 현역 신고식을 치른 멘드스는 포르투 소속으로 2003-04 시즌에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거두었다. 그는 이후 프리미어리그 무대로 둥지를 옮겼는데, 2004년에는 토트넘 홋스퍼로 이적했고, 이 곳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41미터 거리에서 찬 공을 로이 캐롤이 흘려 득점선을 최소 1미터는 넘겨 들어갔고, 이를 캐롤이 쳐냈는데, 오심으로 골이 취소되었다. Mendes goal disallowed. 그는 또다른 잉글랜드 구단 포츠머스로 이적한 후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의 레인저스에서도 활약했다. 멘드스는 포르투갈 국가대표팀 경기에 12번 출전했고, 2010년 월드컵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 클럽 경력 = = = = = 초기 경력 = = = 멘드스는 비토리아 기마랑이스에서 펠게이라스로 1년 임대되어 프로 무대 신고식을 치렀다. 그는 이후 기마랑이스로 복귀해 4년을 보내다가 포르투로 이적했다. 그는 포르투 소속으로 조세 모리뉴 감독의 지도 하에 챔피언스리그와 프리메이라리가, 그리고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를 석권했다. = = = 토트넘 홋스퍼 = = = 2004년 7월 8일, 멘드스는 프리미어리그의 토트넘 홋스퍼로 이적했는데, 이 과정에서 엘데르 포스티가가 반대로 토트넘 홋스퍼에서 포르투로 이적했다. 토트넘은 포스티가의 이적으로 €7.5M의 수익을 들였고, 멘드스를 영입하기 위해 €3M을 소요했다."Spurs sign Davis and Mendes" The Daily Telegraph (2004년 7월 9일) 그의 첫 경기는 8월 14일에 열린 리버풀과의 안방 경기였다. 멘드스는 2005년 1월 1일, 5-2로 이긴 에버턴과의 리그 경기에서 1호골을 신고했다."Tottenham 5–2 Everton" BBC Sport website (2005년 1월 1일) 멘드스의 토트넘 2호골은 사실상 사흘 후에 터졌다. 그러나, 그는 올드 트래퍼드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오심으로 골을 도둑맞았다. 그가 49.5미터 거리에서 쏜 공이 페널티 구역을 벗어난 로이 캐롤이 어이없이 놓쳐 골문으로 빨려들어갔다. 이 골은 본래 결승골이 되어야 했지만, 마크 클라텐버그 주심은 텔레비전 재생을 통해 공이 명백히 득점선을 넘은 것으로 보이는데도 득점선을 넘지 않았다고 취소해버렸다."Manchester United 0–0 Tottenham" BBC Sport website (2005년 1월 4일)"The Pedro Mendes goal that wasn't given" BBC Sport website (2005년 1월 5일) 멘드스는 토트넘에서의 2년차에 맡는 역할이 줄어들었다. 그는 시즌 전반기에 6경기 출전하는데 그쳤고, 2006년 1월에 당시 토트넘 감독이었던 마르턴 욜이 그를 방출 명단에 올리면서 이변 없이 이적 시장에 나오게 되었다. = = = 포츠머스 = = = 멘드스는 2006년 1월 12일에 포츠머스로 이적했는데, 그를 영입하기 위해 포츠머스는 £7.5&M과 신 데이비스와 노에 파마로를 들였다."Portsmouth swoop for Spurs trio" BBC Sport website (2006년 1월 12일) 그는 주축 선수이자 골잡이로 활약하며 소속 구단의 강등권 탈출에 힘을 보탰다. 멘드스는 1월 14일에 에버턴과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서 포츠머스 신고식을 치렀다. 그는 맨체스터 시티와의 3월 11일 결전에서 포츠머스 지지자들에게 두고두고 회자될 1·2호골을 기록했다. 두 골은 모두 22미터 거리에서 넣었는데, 멘드스는 이 경기 60분경에 1골, 93분에 추가골을 넣어 2-1 승리를 견인했다."Portsmouth 2–1 Manchester City" BBC Sport website (2006년 3월 11일) 2006년 8월 23일, 그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또다른 결전에서"Man City 0–0 Portsmouth" BBC Sport website (2006년 8월 23일) 벤 새처의 팔꿈치에 가격되었는데, 멘드스는 머리에 정통으로 맞아 광고판에 부딪쳤다. 멘드스는 이 일로 중상을 당해 경기장에서 산소를 주입해야 하는 응급상황에 놓였다. 그는 발작 증세를 보이며 입원했고, 하루를 보냈다. 이튿날, 그는 퇴원했지만, 의료진의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다."Thatcher foul incenses Redknapp" BBC Sport website (2006년 8월 23일) 새처는 반칙에 경고만 받았다. 상황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멘드스는 2주 만에 포츠머스 현장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그는 경합 당시 받은 충격에 반응을 보였고,"Mendes shocked by Thatcher foul" BBC Sport website (2006년 8월 25일) 부상을 당한 후 은퇴를 고려했다고도 밝혔다."Mendes considered quitting game" BBC Sport website (2006년 9월 7일) 새처는 맨체스터 시티 구단 내에서 벌금이 부과되었고, 징계를 받았으며,"Man City hand Thatcher ban & fine" BBC Sport website (2006년 8월 30일) 잉글랜드 축구 협회도 징계를 결의했지만,"Thatcher banned for eight matches" BBC Sport website (2006년 9월 12일) 멘드스는 소송을 걸지 않았다."I will not sue Thatcher – Mendes" BBC Sport website (2006년 8월 27일) 2007년 1월에 둘이 조우했을 때, 멘드스는 경기 전에 새처와 악수를 나누었는데, 그가 앞서 악수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2007-08 시즌, 멘드스는 잉글랜드 무대에 머물면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회 우승을 거두었는데, 2008년 5월 17일에 열린 카디프 시티와의 FA컵 결승전 경기에 선발로 출전해 소속 구단의 1-0 승리에 일조했다. 멘드스는 3개월 후인 8월 10일에 포츠머스 선수단과 웸블리에 복귀해 2008년 커뮤니티 실드 경기를 치렀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0-0으로 끝났는데, 승부차기에서 1-3으로 패했다."Man Utd 0–0 Portsmouth" BBC Sport (2008년 8월 10일) 2012년 2월 21일, 멘드스는 포츠머스 지지자 조합에 5,000명의 "폼페이"(Pompey) 지지자들과 함께 가맹하여 포츠모스 축구단의 새 구단주가 되기 위해 힘을 모았다. = = = 레인저스 = = = 2008년 8월 15일, 멘드스는 £3M에 레인저스와 3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이튿날에 하츠와의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경기에 출전해 2-0 승리를 견인하고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08년 8월 31일, 그는 올드 펌 경기에서 레인저스 1호골을 기록했다. 멘드스가 득점한 경기 4번째 골(레인저스의 3번째 골)은 스티븐 데이비스가 차올린 코너킥을 22미터 밖에서 셀틱 문전을 폭격하여 기록한 골이었다. 그는 꾸준히 훌륭한 활약을 펼치며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8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었다."Celtic 2–4 Rangers" BBC Sport website (2008년 8월 31일) 2009년 5월, 그는 던디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경기 2번째 골을 성공시켰지만, 부상으로 2009년 스코티시컵 결승전을 결장했다. 그는 2008-09 시즌에 최다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어 BBC 스포츠사운드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 다음 시즌, 멘드스는 8번의 경기에 출전했지만, 11월에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와의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부상당하며 레인저스 경기에 더이상 출전하지 못했다. = = = 이후 행보 = = = 2010년 1월 30일, 멘드스는 €1.28M에 스포르팅 리스본과 계약하고 이적했다. 그는 카를루스 카르발랼 감독 체제에서 처음으로 입단한 선수가 되었지만, 구단은 리그 4위의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었지만, 개인 활약상으로 찬사를 받았다. 그는 에버턴과의 유로파리그 경기에서 이적 후로는 첫 골을 기록했고, 32강전에서는 전 소속 구단인 레인저스를 상대로 득점에 성공했다. 그 다음 해 멘드스는 파울루 벤투 감독 체제에서 입지를 잃었고, 시즌 내내 16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1년 7월 15일, 스포르팅 리스본은 멘드스가 구단에서 방출되어 비토리아 기마랑이스와 자유 계약한다고 발표되었다. 그는 그 다음 시즌에 포르투와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를 1-2로 패하는 것으로 비토리아에서의 행보를 시작했다. 8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그는 프리메이라리가, 타사 드 포르투갈, 타사 다 리가, 그리고 유로파리그를 포함해 비토리아의 전 경기에 선발로 출전했다. 2012년 1월, 그는 부상으로 시즌 말까지 결장하게 되었다. 2011-12 시즌 끝에, 멘드스는 축구화를 벗기로 결정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2002년 11월 20일, 멘드스는 2-0으로 이긴 스코틀랜드와의 친선경기에서 57분에 후이 코스타와 교체되어 첫 포르투갈 국가대표팀 경기를 치렀다. 그는 이어 2003년 2월 12일에 0-1로 패한 이탈리아전에서 두 번째 경기를 치렀다."Italy 1–0 Portugal" Soccerbase (2003년 2월 12일) 국가대표팀 경기에서 6년을 빠졌던 멘드스는 2008년 8월 27일에 포르투갈 국가대표팀으로 깜짝 차출되었다."On the Mendes" Rangers Official website (2008년 8월 27일) 그는 2009년 10월에도 깜짝 차출되어 헝가리와의 월드컵 예선전을 치렀고, 90분을 소화하며 2번째 골을 도와 3-0 승리에 일조했다. 그는 이후 카를루스 케이로스의 포르투갈 23인 최종 명단 에 이름을 올려 전 경기에 출전했는데, 코트디부아르전과 북한전은 90분을 소화했고, 브라질전과 스페인전은 교체로 출전했다. = = 경력 통계 = = = = = 클럽 = = = 구단, 시즌, 및 대회별 출장 및 득점 기록 구단 시즌 리그 리그 리그 컵 컵 리그컵 리그컵 기타 기타 합계 합계 구단 시즌 리그명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펠게이라스 (임대) 1998–99 세군다 디비상 드 온라 31 2 2 0 – – 0 0 33 2 비토리아 1999–2000 프리메이라리가 12 1 3 0 – – 0 0 15 1 비토리아 2000–01 프리메이라리가 12 0 0 0 – – 0 0 12 0 비토리아 2001–02 프리메이라리가 26 0 2 0 – – 0 0 28 0 비토리아 2002–03 프리메이라리가 32 6 3 0 – – 0 0 35 6 비토리아 합계 합계 82 7 8 0 0 0 0 0 90 7 포르투 2003–04 프리메이라리가 26 0 4 0 – – 11 0 41 0 토트넘 홋스퍼 2004–05 프리미어리그 24 1 2 0 4 0 0 0 30 1 토트넘 홋스퍼 2005–06 프리미어리그 6 0 0 0 0 0 0 0 6 0 토트넘 홋스퍼 합계 합계 30 1 2 0 4 0 0 0 36 1 포츠머스 2005–06 프리미어리그 14 3 1 0 0 0 0 0 15 3 포츠머스 2006–07 프리미어리그 26 2 2 0 0 0 0 0 28 2 포츠머스 2007–08 프리미어리그 18 0 3 0 3 0 0 0 24 0 포츠머스 2008–09 프리미어리그 0 0 0 0 0 0 1 0 1 0 포츠머스 합계 합계 58 5 6 0 3 0 1 0 68 5 레인저스 2008–09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35 3 3 0 4 1 0 0 42 4 레인저스 2009–10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4 0 0 0 1 0 3 0 8 0 레인저스 합계 합계 39 3 3 0 5 1 3 0 50 4 스포르팅 리스본 2009–10 프리메이라리가 11 0 0 0 1 0 4 1 16 1 스포르팅 리스본 2010–11 프리메이라리가 7 0 2 0 3 0 4 1 16 1 스포르팅 리스본 합계 합계 18 0 2 0 4 0 8 2 32 2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2011–12 프리메이라리가 14 0 1 0 2 0 5 0 22 0 경력 합계 경력 합계 경력 합계 298 18 28 0 18 1 28 2 372 21 = = = 국가대표팀 = = = 국가대표팀 및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기록 국가대표팀 연도 출장 골 포르투갈 2002 1 0 포르투갈 2003 1 0 포르투갈 2004 0 0 포르투갈 2005 0 0 포르투갈 2006 0 0 포르투갈 2007 0 0 포르투갈 2008 0 0 포르투갈 2009 2 0 포르투갈 2010 7 0 합계 합계 11 0 = = 수상 = = 프리메이라리가: 2003–04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 2003 챔피언스리그: 2003–04 타사 드 포르투갈 준우승: 2003–04 FA컵: 2007–08 FA 커뮤니티 실드: 2008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2008–09 = 창조 101 참가자 목록 = 다음은 텐센트 비디오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창조 101의 참가자 목록이다. = = 목록 (최종 순위 순) = = 이름 소속사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이름 소속사 E02 E03 E04 E05 E06 E07 E08 E09 E10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최종 걸 그룹 화전소녀 101 데뷔조 맹미기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16 6 4 1 1 1 1 1 1 오선의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5 1 1 2 3 3 3 3 2 양차오위에 원란 문화 4 3 3 4 2 2 9 7 3 돤아오쥐안 룽우톈 컬처 3 4 6 6 8 5 4 5 4 Yamy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1 2 2 3 4 4 6 4 5 라이메이윈 치구 컬처 18 17 16 12 14 14 7 9 6 장쯔닝 메버릭 엔터테인먼트 47 23 18 5 5 7 10 8 7 Sunnee K-L 엔터테인먼트 6 7 7 8 7 8 11 11 8 리쯔팅 화잉이싱 11 11 11 11 6 6 5 6 9 푸징 바나나 엔터테인먼트 8 8 10 9 9 9 12 12 10 쉬멍제 쯔메이타오 컬처 13 15 15 16 16 16 15 16 11 리쯔쉬안 OACA 12 10 9 10 13 13 23 17 12 류런위 ETM Academy 24 22 22 14 15 15 14 13 13 천이한 조이 엔터테인먼트 20 26 31 35 37 35 25 21 14 왕쥐 94 90 55 36 23 2 2 15 가오추쯔 쯔메이타오 컬처 21 18 20 13 11 11 8 10 16 가오인시 SDT 엔터테인먼트 31 29 15 12 12 13 14 17 치옌디 화이 브라더스 55 45 27 19 17 17 18 15 18 안젤라 후이 영황 엔터테인먼트 32 36 54 23 28 31 20 22 19 뤼샤오위 망고 엔터테인먼트 35 20 19 20 22 20 16 18 20 창둥웨 바나나 엔터테인먼트 2 5 5 7 10 10 17 20 21 우잉샹 T-Trainee Culture 14 16 17 29 25 26 26 19 22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3차 방출된 참가자 장선 치구 컬처 56 46 59 38 26 25 22 23 탈락 자오야커 K-L 엔터테인먼트 17 12 12 18 18 18 19 24 탈락 쑤루이치 ETM 아카데미 78 29 28 39 29 29 21 25 탈락 Kimberley Chen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음반사) 7 13 8 17 21 19 24 26 탈락 우첸잉 SDT 엔터테인먼트 33 33 22 24 24 27 27 탈락 판웨이 YY 미디어 22 24 26 24 30 33 28 28 탈락 왕모한 둥룬 미디어 33 35 49 25 19 21 29 29 탈락 웨이진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39 30 32 32 32 27 31 30 탈락 왕팅 Poodoo 엔터테인먼트 50 52 45 31 43 34 32 31 탈락 뤼샤오샤오 아이비 컬처 27 32 36 21 23 28 30 32 탈락 류단멍 러두 뮤직 38 34 38 43 34 36 34 33 탈락 뤄이톈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60 38 37 33 27 30 35 34 탈락 차오만팅 산메이 엔터테인먼트 19 19 24 28 20 22 33 35 탈락 뤄이자 ETM 아카데미 44 27 23 36 31 32 36 36 탈락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2차 방출된 참가자 두진위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59 37 44 46 38 37 탈락 탈락 탈락 주톈톈 수퍼제트 엔터테인먼트 90 88 35 45 40 38 탈락 탈락 탈락 왕칭 K-L 엔터테인먼트 9 9 13 27 33 39 탈락 탈락 탈락 러이나 Esee 모델 매니지먼트 21 21 26 35 40 탈락 탈락 탈락 위메이훙 K-L 엔터테인먼트 25 28 30 30 39 41 탈락 탈락 탈락 류녠 AKB48 CHINA 61 48 63 47 41 42 탈락 탈락 탈락 거자후이 10 14 14 34 42 43 탈락 탈락 탈락 처우처우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58 42 43 37 44 44 탈락 탈락 탈락 쥐린 드림 엔터테인먼트 71 81 50 42 45 45 탈락 탈락 탈락 류더시 수퍼제트 엔터테인먼트 37 74 53 57 53 46 탈락 탈락 탈락 장징얼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40 40 52 41 46 47 탈락 탈락 탈락 거우쉐잉 Poodoo 엔터테인먼트 69 66 47 40 47 48 탈락 탈락 탈락 양빙 Z-Cherry Culture 26 54 55 49 48 49 탈락 탈락 탈락 뤄즈이 JC 유니버스 엔터테인먼트 70 39 41 44 49 50 탈락 탈락 탈락 장시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42 43 42 48 50 51 탈락 탈락 탈락 사오시멍나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52 69 40 51 51 52 탈락 탈락 탈락 마싱위 ETM 아카데미 28 25 25 58 55 53 탈락 탈락 탈락 류쓰셴 YY 미디어 76 41 34 50 52 54 탈락 탈락 탈락 장추한 화카이반샤 컬처 31 57 48 52 56 55 탈락 탈락 탈락 샹위싱 YY 미디어 30 64 46 56 58 56 탈락 탈락 탈락 우첸 YY 미디어 74 78 51 54 57 57 탈락 탈락 탈락 인루이 JXJY 컬처 45 50 39 53 54 58 탈락 탈락 탈락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1차 방출된 참가자 장신레이 MOMO Limited 57 65 56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루시아 천 K-L 엔터테인먼트 34 44 57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옌시 화카이반샤 컬처 80 87 5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저우쉬에 룽이 컬처 53 49 60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우샤오쉬안 화카이반샤 컬처 88 51 61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징쉬안 ETM 아카데미 95 53 62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신웨 라진 미디어 36 47 64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신제 화카이반샤 컬처 79 82 65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런전 즈이 미디어 73 63 66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니추윈 OACA 65 58 67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양루이한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83 79 6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양메이치 원란 문화 54 55 69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마오웨이자 AKB48 CHINA 64 59 70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린쥔이 OACA 46 56 71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린차안 C.Y 미디어 62 62 72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사오샤 드림 엔터테인먼트 92 80 73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블레어 왕 메버릭 엔터테인먼트 51 60 74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쉬스인 치구 컬처 72 76 75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판쥔야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63 72 76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왕야린 ETM 아카데미 85 73 77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후웨얼 즈이 미디어 67 68 7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루이멍 메버릭 엔터테인먼트 29 61 79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리톈윈 체크메이트 엔터테인먼트 43 67 80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천이판 YY 미디어 66 70 81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천위옌 Z-Cherry Culture 41 71 82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왕이란 바나나 엔터테인먼트 81 83 83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샤스제 Z-Cherry Culture 48 75 84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류위산 HIM 인터네셔널 뮤직 (타이완) 84 86 85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주자시 / (JC) 환리스지 컬처 49 77 86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양메이링 원란 문화 75 84 87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류니이 바나나 엔터테인먼트 77 85 8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한단 쯔메이타오 컬처 91 89 89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인러우이 환리스지 컬처 86 90 91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뤄톈수 82 91 92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양한 체크메이트 엔터테인먼트 89 93 93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류자잉 Rhonin 스튜디오 87 92 94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우윈팅 HIM 인터네셔널 뮤직 (타이완) 94 95 95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왕만쥔 바나나 엔터테인먼트 96 96 96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장위원 Rhonin 스튜디오 99 98 97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옌커신 ETM 아카데미 97 97 9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왕줴멍 라진 미디어 100 99 99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추뤼칭 환리스지 컬처 101 100 100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초기 방출된 참가자 신디(范麗娜) RealShow 엔터테인먼트 15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도라(王小蝶) RealShow 엔터테인먼트 6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자오링 원란 문화 (闻澜文化) 98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자진 하차한 참가자 Abby RealShow 엔터테인먼트 23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정청청 K-L 엔터테인먼트 93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하차 * * * * * * * * * * * * * * * * * * = 로밍 = 로밍(roaming)은 해외에서 기존에 국내에서 쓰던 번호로 이동통신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로밍 서비스는 국내 이동통신사가 해외에 직접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는 없고, 해외 이동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지에서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도록 하는 협약을 맺은 ISP 회사들의 상호계약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협력관계의 ISP들이 사용량을 추적하고, 사용량 차이에 따라 요금을 계산한다.하지만 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국내에서의 요금와는 다르게 국제 전화 요금등이 적용될수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러한 요금을 아끼기 위해 현지에서 직접 SIM 카드(유심 USIM)를 구입해서 쓰기도 한다. = 로저 스크러턴 = 로저 스크러턴 경(, 1944년 2월 27일 ~ 2020년 1월 12일)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링컨셔주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1년부터 1992년까지 런던 대학교 버크벡 칼리지 교수를 역임했다. 보수주의 잡지 솔즈베리 리뷰(The Salisbury Review)의 초대 편집장을 지냈으며 철학, 예술, 정치, 문학, 문화 및 사회 현상 등 다양한 주제의 저서들을 남겼다. = = 한국에 출간된 저서 = = * * * * * * * *로저 스크러턴 (2019), 우리를 속인 세기의 철학가들, 번역 박연수. 도움북스. ISBN 9791195773817 = = 서훈 = = 2016년 기사작위(Knight Bachelor) 서임 = 위키백과:삭제 토론/틀:직업 정보 = = = :틀:직업 정보 = = 더 볼 것도 없이 유지합니다. — by 레비ReviDiscussSUL Info at 2014년 3월 29일 (토) 22:23 (KST) 다른 언어판에서는 가리키는 문서가 많은데 한국판은 가리키는 문서가 4개 밖에 없습니다. Thswnstjr123 (토론) 2014년 3월 29일 (토) 17:19 (KST) = 변혁의 사랑 = 변혁의 사랑은 2017년 10월 14일부터 2017년 12월 3일까지 방영된 tvN 토일 드라마이다. = = 줄거리 = = 백수로 신분 하락한 생활력 제로의 재벌 3세 변혁과 고학력 고스펙의 생계형 프리터족 백준, 그리고 금수저를 꿈꾸는 엘리트 제훈 등 세 청춘들이 세상을 바꿔나가는 코믹 반란극.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최시원 : 변혁(28세) 역 (아역 한창민, 지민혁) - 금수저, 백수 강소라 : 백준(28세) 역 (아역 유은미) - 흙수저, 아르바이트생 공명 : 권제훈(28세) 역 (아역 주승혁, 손상연) - 동수저, 강수그룹 경영지원실 비서팀 과장 = = = 변혁의 가족 = = = 이재윤 : 변우성(30세) 역 (아역 김민상) - 변혁의 형, 강수그룹 경영지원실 실장 최재성 : 변강수(50대) 역 - 변혁의 아버지, 강수그룹 회장 견미리 : 정여진(50대) 역 - 변혁의 어머니, 강수그룹 회장의 아내 정찬비 : 변세나(17세) 역 - 변혁의 여동생 = = = 백준의 가족 = = = 황영희 : 이영은(50대) 역 - 백준의 어머니 전배수 : 백승기(40대) 역 - 백준의 아버지 = = = 제훈의 가족 = = = 이한위 : 권춘섭(50대) 역 - 제훈의 아버지, 변강수 회장의 운전기사 = = = 주변 인물 = = = 김예원 : 하연희(28세) 역 - 백준의 친구, 항공사 승무원 서현철 : 김기섭(46세) 역 - M전자 홍보팀 출신, 전직 홍보의 달인 최대철 : 이태경(44세) 역 - L증권 출신, 전직 여의도 금융맨 황정민 : 안미연(48세) 역 - 전직 부잣집 마나님, 인력사무소의 네임드 서이안 : 홍채리(26세) 역 - 변혁의 전여친, 홍회장의 막내딸 강영석 : 장철민 역 - 2년차 순경 최규환 : 황명수 역 - 제훈의 대학 선배, 서울중앙지검 검사 송영규 : 민상호 역 - 한강시공사 및 한강용역 대표 = = = 그 외 인물 = = = 김승욱 : 설기환 역 - 변금희의 남편, 강수푸드 전무이사 김응석 : 변강호 역 - 변혁의 삼촌, 강수유통 사장 김예령 : 변금희 역 - 변혁의 고모, 강수그룹 외식프랜차이즈 사장 박명훈 : 공철민 역 윤정혁 : 한실장 역 - 시공사 직원 강보라 유창숙 유지혁 임지민 이하나 최장원 강성철 최두엽 강문경 성낙경 이규섭 이하나 김우진 이동용 배현경 정명준 : 변혁 측 변호사 역 김기두 : 양진욱 과장 역 김기천 : 청소용역 반장 역 박수연 박상훈 민대식 최교식 유병선 이대연 : 장세만 역 김용석 백준 : 박비서 역 명재환 김문학 권반석 김대국 김상일 김민기 : 김대리 역 홍승범 : 조쉐프 역 조성혁 윤종원 권해성 : 윤이석 역 김현주 박은영 박상언 오유미 김가애 김인희 김미혜 한서울 : 김현주 역 = = = 특별 출연 = = = 박철민 : 갑질 사장 역 이윤지 : 호텔 매니저 역 김원효 : 청운 도사 역 이명훈 : 변혁의 친구 역 = = 촬영지 = = *르스타일바 *서울 드래곤 시티 *정부대전청사 *울프강 스테이크 하우스 청담 *롯데월드 어드벤처 *대전대학교 산학협력관 = = 시청률 = =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제1회 10월 14일 2.501% 2.2% 제2회 10월 15일 3.533% 4.0% 제3회 10월 21일 2.762% 3.2% 제4회 10월 22일 3.796% 3.4% 제5회 10월 28일 3.032% 2.3% 제6회 10월 29일 3.676% 2.8% 제7회 11월 4일 2.792% 2.8% 제8회 11월 5일 2.494% 2.8% 제9회 11월 11일 2.792% 2.3% 제10회 11월 12일 2.637% 2.0% 제11회 11월 18일 2.690% 1.8% 제12회 11월 19일 2.854% 2.4% 제13회 11월 25일 2.729% 2.0% 제14회 11월 26일 2.568% 1.8% 제15회 12월 2일 2.418% 1.6% 제16회 12월 3일 3.306% 2.1% = 분류:건지섬 출신 = = 당대표 = 당대표(黨代表, party leader) 또는 당수(黨首)는 정당의 공식적 대표자인데, 일반적으로 당대표는 대중에 대해 정당을 대표하며 대중과 정당의 관계를 관리한다. 이에 비해 원내대표는 의회 내에서 정당을 대표한다. 경우와 제도에 따라 의원내각제에서는 원내정당의 당대표가 곧 원내대표가 되기도 한다. = 속수 = 속수는 타성에 젖어 두는 통속적인 수로, 얼핏 보면 합리적이지만 전반적으로는 손실을 보는 수를 뜻한다. = 통정 = 통정은 다음을 가리킨다. 통정(通正)은 전촉 고조 왕건 치세에 개원한 연호이다. 《통정》은 2006년 2월 4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이다. = 분류:알제리의 사회주의자 = = 모듈:Location map/data/Merseyside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Merseyside') = 분류:나라별 연극 배우 = = 분류:2008년 남아메리카 = = 이타가키 = 이타가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타가키 다이스케: 막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 이타가키 세이시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제국 육군의 장군 이타가키 노부카타: 센고쿠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 분류:미시간주의 지형 = = 아임 프리 = 아임 프리(I'm Free)는 다음 뜻이 있다. I'm Free: 돈나 서머의 음반 Cats Without Claws의 노래 I'm Free: 스캣맨 존의 음반 Everybody Jam!의 노래 = 기원전 418년 = = = 사건 = = *만티네아의 싸움 – 스파르타, 아테네를 격파 = 분류:평론가 협회 = = 세크메트 = 세크메트(Sekhmet, Sachmet, Sakhet, Sekmet, Sakhmet, Sekhet, Sacmis)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등장하는 암사자 머리를 한 파괴의 여신이다. 이야기에 따라서는 사랑과 미의 여신 하토르와 동일인물로 그려지기도 한다. 반면에 남편인 프타는 창조의 신이다. = = 개요 = = 세크메트는 여성적인 힘의 화신이자 전쟁과 복수의 여신으로 암사자의 머리를 하고 있다. 이집트 신화에서는 라가 세상을 파괴하기 위해 세크메트를 만들었으나 마음을 바꾸어 세크메트를 제지하였다고 한다.존 라이트, 김우열 역,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교양 6 - 철학·종교, 이지북, 2005, , 224-225쪽 세크메트는 인류에게 질병과 재앙을 가져다주는 공포의 여신이었으나, 반면에 추종자들에게는 질병의 치료법을 알려주는 의사의 신이기도 하였다.크리스티앙 자크, 김병욱 역, 크리스티앙 자크와 함께하는 이집트 여행, 문학세계사, 2006, , 303쪽 세크메트는 라의 눈에서 뿜어져나온 불길에서 탄생하였다고 하며, 남편은 창조의 신 프타였다.로라 포맨, 이기문 역, 클레오파트라 2000년만의 출현, 효성출판, 1999, , 87쪽 세크메트와 프타의 아들은 향료의 신 네페르템이다.NEFERTEM, ANCIENT LORD OF PERFUME, Tour Egypt 전투 중에 파라오는 세크메트의 가호를 받는다고 여겨졌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세크메트가 파라오가 땅에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불화살로 적을 파괴한다고 믿었다. 세크메트는 한 낮의 태양이 내뿜는 불꽃과 같은 빛의 상징이었다. 이때문에 세크메트는 "화염 부인"이라고도 불렸다. 사막의 바람과 함께 작열하는 태양은 당연히 죽음과 파괴의 상징으로 여겨졌을 것이다.SEKHMET, POWERFUL ONE, SUN GODDESS, DESTRUCTOR... BY CAROLINE SEAWRIGHT = 은해성 = 은해성(1993년 7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은해성-다음인물정보 = = 출연 = = = = = 영화 = = =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 (2021년) - 박민규 역 《마이보이》 (2017년) - 은구 역 = = = 드라마 = = = 《7인의 탈출 시즌2》(2024년, SBS) - 한경수 역 《7인의 탈출》(2023년, SBS) - 한경수 역 《치얼업》 (2022년, SBS) - 이재혁 역 《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 (2020년, tvN) - 과거 동진 역 《보이스 2》 (2018년, OCN) - 강솔 역 《끝까지 사랑》 (2018년, KBS2) - 케이 역 《차이니즈봉봉》 (2018년, 웹드라마) - 영탁 역 《복수노트》 (2017년, 웹드라마) - 진범기 역 《아이돌 권한대행》 (2017년, 웹드라마) - 해성 역 = = = 연극 = = = 《플레이 위드 햄릿》 《햄릿 읽기 좋은 날》 《킬롤로지》 《형제의 밤》 = = 음반 = = 《I DO》 (2017년) 《트레니즈 OST》 (2017년) = 광도초등학교 = 광도초등학교는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노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8년 4월 19일 광도제2공립심상소학교 개교 1941년 4월 1일 광도제2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45년 8월 15일 광도국민학교로 교명 개칭 1981년 3월 5일 병설유치원 1학급 인가 1985년 8월 29일 광도 수영장 신축 1987년 9월 17일 급식소 신축 1994년 2월 28일 임도분교장 폐교 1996년 3월 1일 광도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1998년 3월 1일 신애분교장 폐교 1999년 9월 1일 광호초등학교 통합 1999년 12월 8일 학교 방송실 설치 2004년 12월 27일 종합 학습관 신축 2008년 12월 10일 구름다리, 그네, 정글짐 설치 2009년 3월 11일 특수교육지원센터 개관 2010년 10월 14일 수영장 철거 2011년 7월 25일 녹지 공원 조성 2011년 8월 25일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2012년 2월 16일 제69회 졸업식(총 졸업생수 6012명) 2012년 4월 9일 방과후학교 골프실 설치 2012년 4월 17일 장애인 시설 핸드레일 2013년 2월 19일 제70회 졸업식(총 졸업생수 6041명) 2013년 4월 24일 돌봄교실 1학급 증설 운영 2014년 1월 29일 방송실 현대화 사업 2015년 2월 13일 제72회 졸업식(총 졸업생수 6,073명) 2016년 2월 13일 제73회 졸업식 (총 졸업생 수 6,097명) 2017년 2월 15일 제74회 졸업식(총 졸업생수 6,132명) 2017년 3월 1일 제30대 엄태철 교장 취임 = 매머드 케이브 국립공원 = 매머드 케이브 국립공원(Mammoth Cave National Park)는 미국 켄터키주 중부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석순, 종유석, 줄마노 배열의 석회암 동굴로서 유명하다. 면적은 205km2이다. = 분류: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 = 진자부로 = 진자부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사키 진자부로: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 타카기 진자부로: 일본의 물리학자 = 다나카 고타로 = 다나카 고타로(田中 耕太郎, たなか こうたろう, 1890년 10월 25일 ~ 1974년 3월 1일)는 일본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이다. 도쿄 제국대학 대학 법학부장, 제1차 요시다 내각 문부대신, 일본 최고재판소 장관, 국제사법재판소 판사를 지냈다. = = 생애 = = 가고시마현의 가고시마시에서 재판관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 법과 대학 법률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내무성에서 일했지만 1년 반 만에 그만두고, 1917년 도쿄 제국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기독교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의 문하생으로도 있었으며, 유럽·미국 유학 후 1923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가 되어 상법 강좌를 담당하였다. 〈상적색채론〉(商的色彩論), 〈세계법의 이론〉(世界法の理論) 등을 저술했으며, 1929년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37년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장이 되었다. 1945년 문부성 학교교육국장을 지내고, 1946년 제1차 요시다 내각에 문부대신으로 입각하였다. 문부대신으로서 일본국 헌법에 서명했으며, 같은 해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 1947년 참의원 선거에 입후보 해 당선되었고, 일본의 교육기본법 제정에 관여하였다. 1950년 참의원 의원을 사직하고, 일본 최고재판소 장관이 되었고, 이는 일본에서 각료 경험자가 최고 재판소 재판관이 된 유일한 예이다. 일본 최고재판소 장관으로 3889일 동안 재임하며 가장 오랫동안 재임한 일본 최고재판소 장관으로 기록되었으며, 1961년부터 1970년까지는 국제사법재판소 판사로 활동하였다. 1974년, 도쿄 도의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 박장원 영정 = 박장원 영정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에 있다. 1995년 5월 10일 천안시의 향토문화유산 제3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박문수 증조부로서 사대부 영정이다. 박장원 영정 = 회현역 = 회현(남대문시장)역(Hoehyeon (Namdaemun Market) station, 會賢(南大門市場)驛)은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남대문시장은 서울특별시 고시로 정한 병기역명이다.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 회현역으로 역명 결정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2003년 6월 27일 : 노숙자가 승강장에서 열차 탑승 대기 중이던 현직 경찰관의 아내를 열차 진입할 시간에 맞춰 뒤에서 밀어 선로로 추락시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우리나라 지하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문제를 공론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 역 구조 = = 승강장은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다. 이 역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져 있으므로 승강장과 열차사이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주의한다. = = = 승강장 = = = 명동 ↑ 하 상 ↓ 서울역 상행 명동동대문역사문화공원동대문창동진접 방면 하행 삼각지이촌금정안산오이도 방면 = = 역 주변 = = 출구는 1번부터 7번까지 있으며, 7번 출구는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연결되어 있다. 숭례문 남대문시장 남대문파출소 남산공원 남산도서관 주한 스웨덴 대사관 주한 니카라과 대사관 남산3호터널 리라아트고등학교 명동 방면 서울교육과학연구원 서울중앙우체국 서울특별시 중구시설관리공단 회현체육센터 서울로 7017 신세계백화점 본점 시코르 신세계 본점 신세계 면세점 명동점 용산도서관 한국스카우트 서울북부연맹 한국은행 회현동행정복지센터 회현파출소 = = 이용객 변동 = = 노선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노선 노선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각주 4호선 승차 29,529 31,189 30,612 29,138 30,228 30,726 31,513 31,038 30,843 31,19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호선 하차 31,836 33,906 33,115 31,466 32,092 32,686 33,431 32,952 32,625 32,861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호선 승하차 61,365 65,095 63,727 60,604 62,320 63,411 64,944 63,990 63,468 64,059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노선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호선 승차 31,943 32,534 31,794 31,256 30,422 29,047 30,021 30,409 30,212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호선 하차 33,906 34,823 33,927 33,365 32,523 31,007 31,792 31,966 31,920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호선 승하차 65,849 67,357 65,721 64,621 62,945 60,055 61,813 62,375 62,132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올렉산드르 진첸코 = 올렉산드르 볼로디미로비치 진첸코(, Oleksandr Volodymyrovych Zinchenko, 1996년 12월 15일 ~ )는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로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아스널 FC에서 미드필더 겸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다. = = 선수 경력 = = = = = 클럽 = = = 샤흐타르 도네츠크 유소년팀 출신으로 2015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우파 입단을 통해 프로에 입문하여 3월 20일 FC 크라스노다르를 상대로 프로 데뷔전을 치른 이후 2015-16 시즌까지 33경기 2골을 기록하며 2015-16년 러시아 컵 8강 진출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2015-16 시즌을 마친 뒤 2016년 7월 4일 한화 약 26억원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시티로 이적 후 리그 4회 우승, 2018-19년 잉글랜드 FA컵 우승, EFL컵 4연패, 2019년 FA 커뮤니티 실드 우승, 프리미어리그 2019-20 준우승, 2020-2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21-22년 잉글랜드 FA컵 4강, 2021-22년 UEFA 챔피언스리그 4강에 공헌하는 등 2021-22 시즌까지 맨시티의 주축 선수로 맹활약했고 2016-17 시즌에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PSV 에인트호번의 임대 선수로 공식전 17경기를 소화하며 팀의 리그 3위의 성적에 일조했다. = = = 국가대표팀 = = = 2015년 10월 12일 UEFA 유로 2012 챔피언 스페인과의 UEFA 유로 2016 예선 C조 최종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듬해인 2016년 5월 29일 루마니아와의 평가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신고한 뒤 UEFA 유로 2016을 통해 생애 첫 메이저 대회 본선에 참가했으나 팀은 3전 전패·C조 최하위로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이후 체코와의 2018-19년 UEFA 네이션스리그 B 1조 1차전에서 결승골을 터뜨리며 팀 승리를 이끌었고 그 뒤 UEFA 유로 2020 본선 엔트리에 합류하여 16강전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선제골을 터뜨렸고 연장 후반 15분경 아르템 도브니크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우크라이나가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15년만의 메이저 대회 8강 진출이자 유로 대회 사상 첫 8강 진출의 대업을 달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2022년 6월에야 열린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도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스코틀랜드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개러스 베일이 버틴 웨일스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16년만의 월드컵 본선 문턱에서 아쉽게 고배를 마셨다. = = 수상 = = = = = 클럽 = =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 우승 (2017-18, 2018-19, 2020-21, 2021-22), 준우승 (2019-20) FA컵 : 우승 (2018-19), 4강 (2021-22) EFL컵 : 우승 (2017-18, 2018-19, 2019-20, 2020-21) FA 커뮤니티 실드 : 우승 (2019) UEFA 챔피언스리그 : 준우승 (2020-21), 4강 (2021-22)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 3위 (2016-17) = = = 개인 = = = 우크라이나 올해의 선수 : 2019 = 쓰즈라사와촌 = 쓰즈라사와촌은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이치카와미사토정에 해당한다. = 분류:조종초등학교 = = 틀: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 분류:한다시 = = 컴퓨터 제어 = 컴퓨터 제어는 아날로그 제어 시스템(analog control system)에 대한 블록선로가 주어져 있다. 제어대상에 적합한 액추에이터를 선정하고, 앞에서 공후한 PID 제어기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양을 만족시키는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고, 제어기에 필요한 신호를 검출하고, 센서를 선택하면 아날로그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제어 시스템(digital control system)은 디지털 제어기는 제어에 필요한 모든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정보 처리기는 디지털 로직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주체인 경우를 좁은 의미로 말한다. = 논딘댕군 = 논딘댕군은 부리람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5년 기준으로 26073명이다. 인구 밀도는 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Non Din Daeng โนนดินแดง 25 11,991 2. Som Poi ส้มป่อย 7 4,393 3. Lam Nang Rong ลำนางรอง 13 9,689 = 사법연수원장 = 사법연수원장(司法硏修院長)은 사법연수원을 대표하는 직위로, 판사로 보한다. = = 임명 = = 판사 중에서 대법원장이 보한다. = = 역할 = = (법원조직법 제73조의3제2항) 원장은 대법원장의 지휘를 받아 사법연수원의 사무를 관장하며,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한다. = = 역대 기관장 = = = = = 사법연수원장 = = = 대법원장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민복기 초대 기세훈(奇世勳) 1971년 1월 1일 ~ 1973년 3월 31일 민복기 2대 임기호(林機鎬) 1973년 4월 1일 ~ 1977년 1월 3일 이영섭 3대 방례원(房禮源) 1977년 1월 4일 ~ 1981년 1월 18일 유태흥 4대 조언(趙彥) 1981년 4월 21일 ~ 1986년 4월 14일 김용철 5대 배석(裴錫) 1986년 4월 17일 ~ 1987년 3월 18일 김용철 6대 배만운(裴滿雲) 1987년 3월 20일 ~ 1988년 7월 19일 이일규 7대 허정훈(許正勳) 1988년 7월 20일 ~ 1991년 1월 31일 김덕주 8대 황도연(黃道淵) 1991년 2월 1일 ~ 1991년 8월 20일 김덕주 9대 김재철(金在澈) 1991년 9월 16일 ~ 1993년 3월 26일 김덕주 10대 김승진(金承鎭) 1993년 4월 26일 ~ 1993년 10월 13일 윤관 11대 김영진(金永振) 1993년 10월 15일 ~ 1994년 7월 20일 윤관 12대 가재환(賈在桓) 1994년 7월 21일 ~ 1999년 10월 6일 최종영 13대 권광중(權光重) 1999년 10월 7일 ~ 2000년 7월 10일 최종영 14대 신명균(申明均) 2000년 7월 21일 ~ 2002년 2월 6일 최종영 15대 박영무(朴英武) 2002년 2월 8일 ~ 2003년 2월 11일 최종영 16대 홍일표(洪日杓) 2003년 2월 12일 ~ 2004년 2월 7일 최종영 17대 이근웅(李根雄) 2004년 2월 11일 ~ 2005년 2월 5일 최종영 18대 김연태(金然泰) 2005년 2월 14일 ~ 2005년 11월 3일 이용훈 19대 손기식(孫基植) 2005년 11월 4일 ~ 2009년 2월 7일 이용훈 20대 박국수(朴國洙) 2009년 2월 9일 ~ 2010년 2월 8일 이용훈 21대 손용근(孫容根) 2010년 2월 17일 ~ 2011년 2월 15일 이용훈 22대 김이수(金二洙) 2011년 2월 17일 ~ 2012년 9월 7일 양승태 22대 김이수(金二洙) 2011년 2월 17일 ~ 2012년 9월 7일 양승태 23대 최병덕(崔炳德) 2012년 9월 7일 ~ 2014년 2월 13일 양승태 24대 박삼봉(朴三奉) 2014년 2월 13일 ~ 2015년 1월 22일 재임 중 교통사고로 사망 양승태 25대 조용구(趙鏞龜) 2015년 2월 12일 ~ 2017년 2월 9일 양승태 26대 최재형(崔在亨) 2017년 2월 9일 ~ 2018년 1월 1일 김명수 26대 최재형(崔在亨) 2017년 2월 9일 ~ 2018년 1월 1일 김명수 27대 성낙송(成樂松) 2018년 2월 13일 ~ 2019년 2월 13일 김명수 28대 김문석(金紋奭) 2019년 2월 14일 ~ 2022년 2월 20일 법원장에서 고등법원 복귀했다가 다시 법원장 김명수 29대 김용빈(金龍彬) 2022년 2월 21일 ~ 2023년 7월 24일 김명수 30대 권기훈 2023년 8월 1일 ~ = 에두아르트 프랭켈 = 에두아르트 다비트 모르티에 프랭켈 FBA (Eduard David Mortier Fraenkel; 1888년 3월 17일-1970년 2월 5일)은 독일 고전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1935년부터 1953년까지 코르푸스 크리스티 라틴어 교수를 역임하였다. 독일 제국에서 독일인으로 동화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프랭켈은 베를린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공부했다. 1934년, 나치당이 제정한 반유대주의 법으로 인해 프랭켈은 영국으로 망명할 수 밖에 없었고, 결국 그곳에서 옥스퍼드 대학교의 코르푸스 크리스티 칼리지에 자리를 잡았다. 프랭켈은 <플라우투스 속 플라우투스주의Plautinisches im Plautus, 1922>라는 로마 희극작가 플라우투스에 관한 단행본 논문을 출판하며 학계에서 명성을 떨쳤다. 이 저서는 프랭켈의 박사논문에서 발전한 것으로, 플라우투스가 이전까지 평가 받아온 것보다 더 혁신적인 극작가였다고 주장하며 로마 희극 연구를 바꿔 놓았다. 1950년, 프랭켈은 그리스 극작가 아이스퀼로스의 <아가멤논>에 관한 3권 분량의 주석서를 출판했는데, 이 주석서에 관해서 고전학자 H. J. 로즈는 "아마도 이제껏 그 어느 그리스 연극이 지닌 것보다 더 박식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프랭켈은 대학원 강의에서 은퇴하고 나서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에 관한 <호라티우스(1957)>이라는 제목의 단행본 논문을 썼다. 전기 작가들은 프랭켈이 옥스퍼드에서 강의한 것이 끼친 충격에 관해 특별히 주목하는데, 프랭켈은 그곳에서 고전 텍스트들에 관한 세미나를 매주 진행했다. 당시 대학교에서 보기 어려웠던 유럽 학계의 면모를 보여주며, 이 수업들은 많은 옥스퍼드 학부생들의 지적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아가멤논>에 관한 프랭켈의 세미나는 소설가이자 시인인 아이리스 머독의 시의 주제가 되었다. = 분류:다이고 천황 = = 나는 좀비와 함께 걸었다 = 나는 좀비와 함께 걸었다(I Walked With A Zombie)는 미국에서 제작된 자크 투르뇌 감독의 1943년 드라마, 공포, 멜로/로맨스, 스릴러 영화이다. 샬럿 브론테의 소설 제인 에어를 재구성하였다. 제임스 엘리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발 루튼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제임스 엘리슨 프란세스 디 = = = 조연 = = = 톰 콘웨이 에디스 바렛 제임스 벨 크리스틴 고든 테레사 해리스 랜셀롯 다비 존스 제니 르 곤 리처드 에이브람스 리타 크리스티아니 비비안 댄드리지 앨런 에드미스턴 노먼 마이에스 클린턴 로즈몬드 마틴 윌킨스 = = 제작진 = = 원작자: 샬롯 브론테 세트: A. 롤랜드 필스 세트: 다렐 실베라 = 가나아시촌 = 가나아시촌(金足村)은 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분류:벨기에의 육상 대회 = = 분류:푸에르토플라타주 출신 = = 틀:1993년 ABC 선수권 대회 중국 선수 명단 = = 보건교사 안은영 = 보건교사 안은영은 정세랑이 펴낸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이다. 정유미가 주인공 안은영으로, 남주혁이 홍인표로 캐스팅된 본 작품은 2020년 9월 25일에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 = 기획 의도 = = 평범한 이름과 달리 남들 눈에 보이지 않는 ‘젤리'를 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보건교사 안은영이 새로 부임한 고등학교에서 심상치 않은 미스터리를 발견하고, 한문교사 홍인표와 함께 이를 해결해가는 명랑 판타지 시리즈.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정유미 : 안은영 역 - 보건교사 (아역 이효비, 문하연) 남주혁 : 홍인표 역 - 한문교사 = = = 주변 인물 = = = 유태오 : 매켄지 역 - 영어교사 최준영 : 김강선 역 - 안은영의 하나뿐인 소중한 중학교 동창 (아역 김기민) 이주영 : 한아름 역 - 생명과학교사 김미수 : 황가영 역 - 홍인표의 초등학교 동창 현우석 : 오승권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박혜은 : 성아라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권영찬 : 이지형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박세진 : 장래디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송희준 : 백혜민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심달기 : 허완수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이석형 : 강민우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오경화 : 오경화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고윤정 : 최유진 역 - 기성여자고등학교 학생 주연우 : 농구문어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김범준 : 축구남학생 역 - 목련고등학교 학생 = = = 특별 출연 = = = 문소리 : 화수 역 - 침술원 원장 전국환 : 홍진범 역 - 홍인표의 할아버지이자 목련고의 설립자 = = 일본판 성우진 = = 사카모토 마아야: 안은영(정유미) 무로 겐키: 홍인표(남주혁) ?: 한아름(이주영) ?: 황가영(김미수) 니시 켄스케: 매켄지(유태오) 노지마 켄지: 김강선(최준영) 사카모토 요시후미: 오승권(현우석) 와카야마 시온: 성아라(박혜은) ?: 이지형(권지우) ?: 장래디(박세진) ?: 백혜민(송희준) ?: 허완수(심달기) ?: 강민우(이석형) ?: 오경화(오경화) ?: 최유진(고윤정) ?: 농구문어(주연우) 야마구치 쿄카: 화수(문소리) ?: 홍진범(전국환) = 오시마군 = 오시마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시마군 (야마구치현) 오시마군 (가고시마현) = 분류:1390년대 설립 = = 시니 (동음이의) = 시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시니: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시니 (하키)(shinny): 아이들이 주로 하는 하키의 일종 시니(sheeny): 유대인 = 부타디엔 = 부타디엔 또는 1,3부타디엔(1,3-Butadiene)은 화학식 (CH2=CH)2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쉽게 고체화되는 무색 기체이다. 합성고무의 전신으로서 산업적으로 중요하다. 분자는 2개의 바이닐기의 결합으로 관찰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복합다이엔이다. = 분류:1437년 아시아 = = 서울 국제 마라톤 = 서울 국제 마라톤(Seoul International Marathon)은 동아일보사가 주최한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열리는 국제 마라톤 대회이다. = = 연혁 = = 1931년 제001회 마라손 경주회 대회 시작 1939년 동아일보사 인수해 주최 1940년 일제 탄압으로 인해 중단. 1953년 제23회 경영간 단축마라톤으로 부활 1964년 제34회 동아마라톤대회 명칭 변경 1982년 KBS가 중계를 시작하여, 서울국제마라톤대회 겸 개최 1992년 ~ 1993년 춘천에서 코스로 이동 1994년 ~ 1999년 경주에서 코스로 이동 1994년 동아마라톤대회로 명칭 변경 2000년 ~ 현재 서울에서 코스로 복귀 2000년 03년 만에 국제대회 부활 2000년 동아일보 경주오픈마라톤 신설 2002년 동아일보 백제큰길마라톤 신설 2007년: MBC로 중계권이 이양됨 2011년 동아일보 경주국제마라톤 명칭 변경 2011년 동아일보 공주마라톤 명칭 변경 2016년: 채널A로 중계권이 이양됨 = = 역대 우승자 = = = = =준 마라톤 = = = 이때까지의 모든 경기 코스는 25km 거리였다. 횟수 연도 남자 기록 주석 및 기타 001 1931년 김은배 1:25:05 (23.2km) 002 1932년 변용환 1:21:25 003 1933년 손기정 1:24:03"00 (24.0km) 광화문∼망우리 004 1934년 유장춘 1:20:34"0 (23.2km) 광화문∼영등포 005 1935년 이태우 1:22:45"0 006 1936년 오동우 1:20:11"0 007 1937년 이종록 1:31:45 동아일보 정간기간중 개최 008 대회 열리지 못함 대회 열리지 못함 대회 열리지 못함 대회 열리지 못함 009 1938년 유관흥 1:29:09"00 2위까지 대회신기록 010 1939년 지영룡 1:28:12"00 011 1940년 현정효 1:29:18"20 01:29:18"20 동아일보정간 및 06·25 전쟁 등으로 제 12회에서 24회 대회까지 중단 동아일보정간 및 06·25 전쟁 등으로 제 12회에서 24회 대회까지 중단 동아일보정간 및 06·25 전쟁 등으로 제 12회에서 24회 대회까지 중단 동아일보정간 및 06·25 전쟁 등으로 제 12회에서 24회 대회까지 중단 동아일보정간 및 06·25 전쟁 등으로 제 12회에서 24회 대회까지 중단 025 1954년 임종우 1:23:43"0 10위까지 대회신기록 026 1955년 임종우 01:23:16"0 임종우 대회 첫 2연패 027 1956년 한승철 01:21'42"00 028 1957년 이창훈 01:20:28 대회신기록 029 1958년 오천택 1:21:15" 030 1959년 이상철 1:20'12"00 대회신기록 = = =마라톤 = = = 범례: 횟수 연도 남자 기록 여자 기록 주석 및 기타 20 1964년 이창훈 2:27:13.8 — — 대회를 풀코스로 변경 21 1965년 이명정 2:21:21.6 NR — — 22 1966년 김복래 2:19:07 — — 23 1967년 2:19:44 — — 광화문∼오류동 코스 24 1968년 2:19:42.9 — — 25 1969년 2:20:28 — — 26 1970년 김차환 2:17:34.4 — — 대한민국 최고 기록 27 1971년 조재형 2:19:15.8 — — 28 1972년 김차환 2:19:34.4 — — 29 1973년 김차환 2:17:01 — — 한국 최고 기록 30 1974년 문흥주 2:16:15 — — 31 1975년 문흥주 2:21:09.6 — — 32 1976년 박원근 2:18:20 — — 33 1977년 2:18:40 34 1978년 박원근 2:17:01 — — 35 1979년 마쓰자키 마코토 2:17:18 — (10 km) 36 1980년 사토 쓰쓰무 2:16:46 미상 — 37 1981년 이홍렬 2:21:23.4 임은주 2:02:08 (30 km) 38 1982년 김종윤 2:16:58 안춘자 3:01:50 한강변 순환코스 39 1983년 채홍락 2:16:33 임은주 2:48:13 여자부 풀코스 첫 실시 40 1984년 이홍렬 2:14:59 NR 임은주 2:39:48 남자부 2위까지 대한민국 신기록 41 1985년 유재성 2:15:48 임은주 2:45:06 42 1986년 유재성 2:14:06 김미경 2:40:41 43 1987년 이종희 2:12:21 안영옥 2:41:50 44 1988년 김원탁 2:12:41 이미옥 2:33:14 한강변 코스에서 개최 45 1989년 임정태 2:15:18 이미옥 2:39:27 46 1990년 김완기 2:11:38 N 이미옥 2:37:15 47 1991년 김재룡 2:12:35 이미옥 2:41:43 48 1992년 김재룡 2:09:30 이미옥 2:36:44 49 1993년 김완기 2:09:25 정영임 2:45:52 50 1994년 마누엘 마티아스 2:08:33 이미경 2:35:44 51 1995년 이봉주 2:10:58 이미경 2:38:08 52 1996년 마르틴 피스 2:08:25 오미자 2:30:09 NR 53 1997년 아벨 안톤 2:12:37 방선희 2:43:40 54 1998년 김이용 2:12:24 오미자 2:37:16 55 1999년 형재영 2:11:34 오정희 2:35:11 56 2000년 정남균 2:11:29 박고은 2:33:06 서울~잠실 도심 코스 57 2001년 조시아 벰베 2:11:49 윤선숙 2:32:09 58 2002년 후지타 아쓰시 2:11:22 웨이야난 2:25:06 59 2003년 거트 타이스 2:08:42 저우춘슈 2:23:18 60 2004년 거트 타이스 2:07:06 이은정 2:26:17 61 2005년 윌리엄 킵상 2:08:53 저우춘슈 2:23:24 62 2006년 거트 타이스 2:10:40 저우춘슈 2:19:51 63 2007년 이봉주 2:08:04 웨이야난 2:23:12 64 2008년 새미 코리르 2:07:32 장슈징 2:26:11 65 2009년 모세스 키멜리 아루세이 2:07:54 로베 톨라 구타 2:25:37 66 2010년 실베스터 테이메트 2:06:49 아메인 고베나 2:24:13 67 2011년 아브데라힘 굼리 2:09:11 로베 톨라 구타 2:26:51 68 2012년 윌슨 로야나에 에루페 2:05:37 2:23:26 69 2013년 2:06:59 2:25:43 70 2014년 2:06:17 2:27:29 = 분류:후지오카시의 건축물 = = 보츠와나 풀라 = 보츠와나 풀라는 보츠와나의 통화이다. ISO 4217 코드는 BWP이며 100 테베(thebe)로 나뉜다. 풀라(Pula)는 문자 그대로 "비"라는 의미가 있다. 이는 보츠와나가 칼라하리 사막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탓에 비가 굉장히 드물게 내리기 때문에, 국가 표어 역시 '풀라'라는 한 단어로 등록되어 있을 정도로 비를 신성시하는 문화가 생겼고, 이는 결국 보츠와나에서 가끔씩 내리는 비처럼 화폐가 높은 가치를 지닌다는 뜻을 내포한다. 보조단위는 "방패"라는 뜻의 테베(thebe)이다. = = 역사 = = 풀라화는 1976년 도입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를 대체하게 되었다. 2005년 5월 12%나 되는 가치절하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전역을 통틀어 화폐 가치가 가장 높은 부류에 속한다. = = 동전 = = 1976년, 동전은 1, 5, 10, 25, 50 테베 그리고 1 풀라의 종류로 도입되었다. 1 테베는 알루미늄, 5 풀라는 청동, 그리고 다른 동전은 모두 백동으로 주조되었다. 주화는 1 풀라가 가리비 모양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이다. 2 테베는 1981년부터 청동을 사용하는 것으로 새로이 도입되었고 1991년 니켈로 겉을 도금한 철제 주화가 5, 10, 25, 50 테베의 재료로 대체됐다. 이때 1풀라는 크기가 더 작아지고 그 형태는 6각형 황동으로 바뀌었다. 2 풀라도 이와 비슷한 형태로 1994년 새로 추가되었다. 새로운 시리즈의 동전들이 2013년에 도입되었다. = = 지폐 = = 1976년 8월 23일, 보츠와나 은행은 1, 2, 5, 10, 20 풀라의 종류로 지폐를 도입하였다. 1, 2 풀라 지폐는 각각 1991년과 1994년에 동전으로 대체되었다. 5 풀라 지폐도 동전으로 2000년에 새로 바뀌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06년 7월 1일에 기해 1, 2, 5 풀라 지폐는 지폐의 자격을 박탈당했지만 아직까지는 국영은행에서 5년동안 교환이 가능하다고 한다.제목= 보츠와나의 1,2,5 풀라 지폐자격 박탈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보츠와나 풀라의 지폐 (2009년 발행) 그림 가치 메인 컬러 앞면 뒷면 워터마크 10 풀라 녹색 세레체 카마 이언 카마 대통령 국회 건물, 가보로네 만연한 얼룩말과 전자판 10 20 풀라 빨간색 Kgalemang Tumediso Motsete 채굴 장비 만연한 얼룩말과 전자판 20 50 풀라 갈색 President Sir Seretse Khama Okavango Delta swamps, boat, fish eagle 만연한 얼룩말과 전자판 50 100 풀라 파란색 Three chiefs (Sebele I, Bathoen I, Khama III) Diamond sorting, open-pit diamond mine 만연한 얼룩말과 전자판 100 200 풀라 보라색 여교사 및 아동 얼룩말 만연한 얼룩말과 전자판 200 = 큐라티스 = 큐라티스(Quratis Inc.)는 대한민국의 백신 및 면역질환 치료제 기업이다.큐라티스, 공모가 4000원 확정…이달 중순 코스닥 상장 예정, 조선비즈, 2023.06.03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27, 대륭서초타워 9층이다. 대표이사는 조관구이다.옥세린, 결핵백신 개발의 선두주자,큐라티스 조관구 대표, 데일리벳, 2020.10.09 = = 사업 = = 주 개발 파이프라인은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 'QTP101'과 MRNA 코로나19 백신 'QTP104'이다.서윤석, 큐라티스, 증권신고서 제출..”5월 중 상장”, 바이오스펙테이터, 2023-04-03 = = 상장 = =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으로 대표주관회사로 공모가 4,000원에 상장하였다.큐라티스, 공모가 4,000원 확정...6월 중순 코스닥 상장, 팜뉴스, 2023.06.02 = 모리스 드 삭스 = 삭스 백작 모리스(, , 1696년 10월 28일 ~ 1750년 11월 20일)은 신성 로마 제국 출신의 프랑스의 육군 원수로 뒤에 육군 대원수가 되었다. 그는 프랑스 문인인 조르주 상드의 증조부이기도 하다. = = 유년 시절 = = 삭스는 뒤에 폴란드의 왕 아우구스트 2세가 되는 작센의 선제후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와 그의 애첩이자 스웨덴의 코니히스마르크 백작가의 영양인 오로라 사이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1698년 그의 어머니는 이제 3살이 된 모리스를 그의 아버지가 있는 폴란드의 바르샤바로 보냈다. 아우구스투스 2세는 몇 년 전 폴란드의 왕으로 선출되었으나, 불안정한 국가 정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모리스를 그의 유년 시절 대부분을 폴란드의 경계 지대에서 지내도록 하였다. 아버지와의 이 별거는 그를 자립적으로 만들었고, 미래의 경력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 = 군대 경력 = = 12세 때, 삭스는 말플라크 전투(Battle of Malplaquet)에서 투르네(Tournai)와 몽스의 요새에 주둔한 사보이 공 외젠의 군대에 보내졌다. 그 전쟁의 막바지에 삭스를 브뤼셀의 예수회 대학에 보내자는 제안은 그의 어머니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그 다음에 삭스는 스웨덴과 전쟁 중인 표트르 대제 아래서 군역을 하였다. 1711년 그의 아버지는 공식적으로 그를 인정하였고, 백작 작위를 내렸다. 삭스는 아버지와 포메라니아로 동행하였고, 1712년 슈트랄준트의 요새에 가담하였다. 성인이 되어 삭스는 개인적으로나 성격적으로, 그의 아버지를 상당히 많이 닮게 되었다. 그의 악력은 너무나 강력하여, 그의 생애 말기에도 한 손으로 말편자를 구부러뜨릴 수가 있었고, 그의 에너지와 끈기력은 그가 많은 과용을 일으킨 병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1714년 삭스는 그의 아버지의 신하들 가운데서 부자인 로레벤 백작가의 영양, 요하나 빅토리아과의 정략 결혼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아내의 재산을 빠른 속도로 탕진하여, 곧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되었다. 삭스는 요하나 빅토리아가 그에 대해 심각할 정도로 불만을 가지게 만들고, 그는 1721년 혼인 무효에 동의하였다. 1717년 투르크와의 전쟁에 종사한 후, 그는 파리에서 수학을 공부하였고, 1720년에는 maréchal de camp의 직책에 위임되었다. 1725년 삭스는 그에게 구혼한 안나 이바노브나 공작 부인(훗날의 러시아의 여제)의 후원으로, 쿨란스키 공작 선출을 위해 협상에 들어갔다. 그는 1726년 공작으로 선출되었으나, 러시아인들은 그와 공작 부인과의 결혼을 거부하였다. 그는 곧 그 계획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그의 연인인 프랑스의 배우, 아드리엔 르쿠브뢰르의 지원으로 그녀에게 3만 리브르를 빌려, 군대를 양성하였다. 삭스는 이를 1727년까지 유지하였으나, 철퇴하고 파리에 돌아왔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나자, 삭스는 베릭 공작 원수 휘하에 들어가, 필립스부르크 공방전에서 눈부신 공훈으로 중장 자리에 올랐다. = 분류:SBS V-Radio의 라디오 프로그램 = = 분류:시리아 내전 참전 군인 = = 분류:1920년 자연재해 = = 알레산드로 마르티넬리 = 알레산드로 마르티네리(Alessandro Martinelli, 1993년 5월 30일, 스위스 멘드리시오 ~ )는 스위스 태생의 이탈리아 선수이다. = 분류:사천시 = = AI 마크 IV 레이더 = AI 마크 IV 레이더(Airborne Interception Mark IV)는 공대공 레이더의 첫 번째 운용 모델이다. =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 = 아시안 하이웨이 11호선( → )은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이다. 총 연장 1,567km이다. = = 경유 도시 = = = = = 라오스 = = = 국도 제13호선 : 비엔티안 ~ 비엥 캄(이곳부터 와 구간이 동일함) ~ 타케크(이곳부터 와 구간이 동일하지 않음) ~ 세노(과 3km를 병행함) = = = 캄보디아 = = = 국도 제7호선 : 동깔로어 - 국도 제6호선 : - 프놈펜 () 국도 제4호선 : 프놈펜 () - 시아누크빌 = = 분기점 = = 아시안 하이웨이 12호선 : 비엔티안 아시안 하이웨이 131호선 : 반라오 아시안 하이웨이 15호선 : 타케크 아시안 하이웨이 16호선 : 세노 11 = 분류:12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틀:2006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독일 선수 명단 = = 서울경마장조교사협회 = 서울경마장조교사협회(Seoul Racecourse Trainer's Association)는 경주마 조교 및 기승기술의 향상, 마사업무 수행개선 목적으로 1993년 7월 7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경기도 과천시 경마공원대로 107 (주암동)에 있다. = = 주요 사업 = = 경주마의 조교 및 사양관리 건전경마발전을 위한 사업 경주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마사업무 개선 회원의 국내외 연수에 관한 사업 회원의 복리후생 및 친목도모에 관한 사항 기타 협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 위키프로젝트:언어 = 위키프로젝트 언어는 언어와 언어학 관련 문서들을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으면서도 알차게 채워 나가기 위해 프로젝트를 출발합니다. = = 프로젝트 반스타 = = 언어학 반스타 언어학 반스타는 언어, 언어학 분야에 훌륭한 기여를 한 사용자에게 수여됩니다. = 바람이 흘러 지나가는 거리 = 〈바람이 흘러 지나가는 거리〉는 일본의 밴드 ZARD의 21번째 싱글 앨범으로, 1997년 7월 2일 발매되었다. (8cm CD: JBDJ-1029) 사카이 이즈미가 작사했으며, 오다 테츠로가 작곡을, 토쿠나가 아키히토가 편곡을 맡았다. 이 곡은 일본중앙경마회(JRA)의 광고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B사이드 곡인 〈머나먼 별을 세면서〉은 사카이 이즈미가 작사했고, 쿠리바야시 세이이치로가 작곡을, 토쿠나가 아키히토가 편곡을 맡았다. 당시 ZARD의 세컨드 엔지니어였던 요시다 유지는 이 곡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데, 그는 토쿠나가 아키히토가 데모 버전으로 먼저 편곡해둔 곡에 사카이 이즈미가 가사를 붙여본 것이 바로 이 곡이며, 결국 이 데모 버전의 편곡이 최종적으로 발매까지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싱글은 오리콘 차트 주간 싱글차트 3위에 올랐고, 8주간 차트에서 머물렀다. = 스티비 리처즈 = 스티비 리차드(Stevie Richards)는 본명은 마이클 스티븐 매나(Michael Stephen Manna)로 1971년 10월 9일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다. 미국의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라고 한다. 1990년 프로레슬링 입문했으며 피니쉬는 모랠리티 체크/스티븐 킥/스티비 킥(사이드 킥), 스티비 스트레치/더 알 탭 유(코지 클러치), 스티비 T(리프팅 더블 언더훅 디디티), 스티비 밤(쉬어 드롭 릴리즈 파워밤), 제네럴 애니스씨지어(코브라 클러치 위드 바디시저스)를 사용을 한다. 전에는 ECW, WWF/WWE에서 활동을 했으니 지금은 현재 ROH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키는 189cm(6 ft 2 in)에다가 몸무게는 100kg(220 lb)이다. = = Professional wrestling highlights = = Finishing moves General Anesthesia (Cobra clutch with bodyscissors) - 2009-present Stevie Bomb (Sheer drop release powerbomb) - 1996-1998; parodied by Kevin Nash Stevie Kick (Side kick) - 1990-present Stevie Stretch / I'll Tap You (Koji clutch) Stevie-T (Lifting double underhook DDT) - 1990-present Signature moves Body avalanche Diving headbutt Diving senton bomb Double knee facebreaker Float-over DDT Full nelson Jumping armbreaker Jumping somersault leg drop Leapfrog body guillotine to an opponent on the second rope Multiples Knee lift Multiples kick variations * Enzuigiri * Front drop * High * Spinning back Multiples slam variations * Lifting neckbreaker * Reverse neckbreaker * Scoop body * Sidewalk Multiples suplex variations * Belly to back * Full nelson * snap * Vertocal Rat Trap (Modified sugar hold) Roll-up Sitout facebuster Sitout reverse STO Sitout spinebuster Snake eyes - 1996-1998; parodied of Kevin Nash Standing powerbomb Managers Alexis Laree Angel Cassidy Riley Chastity Francine Super Nova The Blue Meanie Wrestlers managed Abyss Daffney Jazz KroniK Raven Right to Censor The Pitbulls Victoria Nicknames "Dancin" "The King of Swing" "Stevie Night Heat" "Studly" "White Socks" Entrance themes "Dead And Bloated" by Stone Temple Pilots (ECW) "Jesus Christ Superstar" by Andrew Lloyd Webber (ECW) "Nitro" by The Offspring (ECW) "Censorship" by Jim Johnston (WWF; used as a member of the Right to Censor) "Big Style" by Freebie & The Bean from the Extreme Music library (WWF) "Tuff Stuff" by Beamish from the Extreme Music library (WWF/WWE) "You'll See" by Jim Johnston (WWE) "Paging Dr. Stevie" by Dale Oliver (TNA) "Rebirthing" by Skillet (WildKat Sports) "Crash" by Scott Reinward (ROH) = = 수상 = = AP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ACP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CWF 월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E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2회) - 레이븐 익스트림 라이징 월드 챔피언 (1회) 익스트림 라이징 월드 타이틀 토너먼트 (2012) F-1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FPW 월드 네셔널웨이트 챔피언 (1회) FP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더 블루 미니 H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LA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M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어르 펄 조쉬 모스트 인스퍼레이셔널 레슬러 어워드 (1999) ME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모스트 파펼러 레슬러 어치브먼트 어워드 (1999) NWA 월드 네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월드 F1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월드 2000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월드 2000 헤비웨이트 타이틀 토너먼트 (1999) NWA 월드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랭크드 #66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1997 랭크드 #390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오브 더 "PWI 이열즈" 인 2003 PWX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더 블루 미니 쇼케이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S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2회) - 더 블루 미니 (1회), 프랭크 스탈레토 (1회) TR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TRP 킬러 코왈시 컵 (2009) U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와일드캣 레볼루션 월드 챔피언 (1회) 와일드캣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WWF 월드 유러피언웨이트 챔피언 (1회) WWF/WWE 월드 하드코어웨이트 챔피언 (21회) = 분류:1939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틀:오빠밴드 = = 분류:영등포여자고등학교 동문 = = 일신문화재단 = 일신문화재단은 학술문화의 보급향상과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에 기여하는 영재를 장학 후원함으로써 사회복지향상과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89년 2월 23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5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장학금과 연구비 지급에 관한 사업 학술문화의 보급향상과 과학기술의 연구 개발에 공헌한자에 대한 지원 = 처치 곤란 병렬 = 병렬 컴퓨팅에서 처치 곤란 병렬(embarrassingly parallel) 부하 (또는 '처치 곤란 문제')란 문제를 몇 개의 병렬 임무로 나누는데 노력이 거의 들지 않거나 하나도 들지 않는 문제를 말한다. 다소 반어법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프랑스어 표현 "처치 곤란할 만큼 많은 부" embarras de richesse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대체로 저러한 병렬 임무 사이의 의존성 (또는 통신)이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없는 경우이다.Designing and Building Parallel Programs, by Ian Foster. Addison-Wesley (ISBN 978-0-201-57594-1), 1995. Section 1.4.4 처치곤란 병렬 문제는 두가지의 작업 결과 사이의 소통이 없거나 적을 때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건 두 작업에 대한 소통이 필수인 분산 컴퓨팅 문제와는 조금 다르다 (특히 즉석 결과들에 대한 의사소통은). 이건 슈퍼컴퓨터 클러스터 안의 특별한 인프라스트럭쳐가 없는 데이터 센터 등에서 쉽게 실행된다. 그리고 보익같은 (BOINC)인터넷 기반의 분산 처리 환경에 잘 맞는다. 처치곤란 병렬 문제의 일반적인 예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들이 화면에서 독립적으로 각 픽셀의 3D 투영작업을 할 때 많이 일어난다. = 분류:화학에 관한 틀 = = 농쿵시군 = 농쿵시군은 깔라신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5년 기준으로 65명이다. 인구 밀도는 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Nong Kung Si หนองกุงศรี 13 7,698 < 2. Nong Bua หนองบัว 13 7,048 3. Khok Khruea โคกเครือ 15 10,485 4. Nong Suang หนองสรวง 11 5,501 5. Sao Lao เสาเล้า 14 5,795 6. Nong Yai หนองใหญ่ 15 8,169 7. Dong Mun ดงมูล 13 9,153 8. Lam Nong Saen ลำหนองแสน 8 5,794 9. Nong Hin หนองหิน 9 5,878 = 고스티닌군 = 고스티닌군은 폴란드 마조프셰주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고스티닌이며 면적은 615.56km2, 인구는 43,099명(2019년 기준), 인구 밀도는 70명/km2이다. 북동쪽으로는 프워츠크군, 동쪽으로는 소하체프군, 남동쪽으로는 우치주 워비치군, 남쪽으로는 우치주 쿠트노군, 북서쪽으로는 쿠야비포모제주 브워츠와베크군과 접한다. 5개 지방 자치체(1개 도시, 4개 농촌)를 관할한다. = 라호이아 = 라호야(La Jolla)는 캘리포니아주의 샌디에이고 시의 일부 지역이다. 북쪽에서부터 토리 파인즈 주립 보호지역(Torrey Pines State Reserve),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 라호야 수중공원(La Jolla Underwater Park), 라호야 해변(La Jolla Beach) 등이 있다. 2010년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46,781명이다. = 대한민국 민법 제296조 = 대한민국 민법 제291조는 소멸시효의 중단, 정지와 불가분성에 대한 민법 물권법 조문이다. = UNLAME = UNLAME(언 라임)은 2023년에 결성한 7인조 여자 아이돌 그룹이다. 니혼테레비의 OUT OF 48을 통해 AKB48 멤버 5명과 일반인 멤버 2명으로 결성되었다. = = 구성원 = = 멤버명 이름 한자 생년월일 비고 NARUMI 쿠라노오 나루미 倉野尾成美 AKB48 SAE 아라이 사에 新井彩永 AKB48 18기 연구생 HINANO 쿠보 히나노 久保姫菜乃 AKB48 18기 연구생 HIYUKA 사카가와 히유카 坂川陽香 AKB48 YUI 야마구치 유이 山口結愛 AKB48 18기 연구생 SUZUKA 사토 스즈카 佐藤鈴香 일반인 YUKA 나카무라 유카 中村佑香 일반인 = = 음반 = = = = = 착신 싱글 = = = # 발매 타이틀 1 2023년 9월 2일 I am I 2 2023년 11월 15일 真夜中の微熱한밤중의 미열 3 2024년 1월 19일 UNLAME = 분류:후쿠시마현의 상징 = = 니러도니구 = 니러도니구는 헝가리 허이두비허르주에 위치한 구로 구청 소재지는 니러도니이며 면적은 510.28km2, 인구는 29,534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58명/km2이다. 남쪽으로는 데레치케구, 서쪽으로는 데브레첸구, 북쪽으로는 서볼치서트마르베레그주 너지칼로구, 니르바토르구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루마니아와 국경을 접한다. 9개 지방 자치체(2개 시, 7개 마을)를 관할한다. = 분류:모로코-카타르 관계 = = 분류:농구 최우수 선수상 = = 루이스 봉파 = 루이스 봉파(Luiz Bonfa, 1922년 ~ 2001년)는 브라질의 기타리스트 및 작곡가이다. 보사노바 장르의 선구자이며 브라질 팝음악을 소개하는데 기여했다.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도 기타리스트였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여 라디오 방송을 통해 많은 인기를 얻었다. 1957년에 미국으로 건너간 뒤 1959년에 브라질로 돌아왔으며, 1962년에는 유럽을 여행하다 뉴욕에 거주하였다. 그가 유명해진 것은 영화 검은 오르페의 음악을 조빈과 분담하여 작곡하였기 때문이며, 그 직후 보사노바가 미국에서도 유행하였기 때문에 연주가로의 명성도 떨쳤다. 원래 그는 클래식 기타리스트였으므로 정확하고 아름다운 연주에 정평이 있으며, 작곡가나 연주가로도 로맨티시즘의 색조가 짙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부인인 마리아 트레이드는 가수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읍면동 = = Sunshine Superman = Sunshine Superman은 스코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도노반으로부터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이 음반은 1966년 9월에 미국에서 발매되었지만, 계약상의 분쟁 때문에 영국에서 발매되지 않았다. 1967년 6월, Sunshine Superman과 Mellow Yellow 음반의 편집이 영국에서 Sunshine Superman으로 발매되었다. Sunshine Superman은 1966년 7월에 미국에서 발매된 도노반의 히트곡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Sunshine Superman과 Mellow Yellow의 트랙은 〈Season of the Witch〉를 제외하고 영국 EMI가 발행한 2011년 2CD 디럭스 에디션까지 스테레오에 혼합되지 않았다. 2017년에 Sunshine Superman은 피치포크가 선정한 1960년대의 가장 위대한 음반 199위에 올랐다. = = 배경 = = 여전히 포크 음악을 통합하고 있는 동안, 이 녹음들은 도노반의 음악에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며, 최초로 발매된 사이키델리아 중 일부를 나타낸다. 많은 록 밴드가 도노반을 많은 곡에 백업하고, 악기는 확장되어 시타르와 다른 독특한 악기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팝 음반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부분적으로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와 작업한 결과인데, 그의 팝 감성은 당시 많은 다른 아티스트들의 차트 히트곡으로 이어졌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도노반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켐프탈역 = 켐프탈역은 스위스 취리히주와 린다우 지자체에 있는 기차역이다. 이 역은 취리히에서 빈터투어로 가는 간선 노선에 있으며, 취리히 S-반 서비스 S7 및 S24의 중간 정류장이다. = 문다족 = 문다족은 인도 아대륙의 동부 및 중부 지역에 거주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열의 문다어파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이전에는 콜라리아어로도 알려져 있었으며 약 900만 명이 사용한다. = = 역사 = = 언어학자 파울 시드웰에 따르면 문다족은 약 4000-3500년 전에 동남아시아에서 오디샤 해안에 도착했다.Sidwell, Paul. 2018. Austroasiatic Studies: state of the art in 2018 . Presentation at the Graduate Institute of Linguistics,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Taiwan, 22 May 2018. 동남아시아에서 온 문다족은 퍼져 현지 인도인 인구와 광범위하게 혼혈되었다. 로버트 파킨(Robert Parkin)은 "문다(Munda)"라는 용어가 오스트로아시아어 계열에 속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고 지적한다. = = 민족 집단 = = 아수르인 부미즈인 비르호르인 본다인 디다이인 가다바인 고룸인 호인 주앙인 카리아인 코코다쿠인 코르쿠인 코르와인 문다인 사바르인 산탈인 소라인 = = 문다족의 친척 = = 일부 민족 집단은 문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지만 유전적 증거는 일부 문다어 유전 혈통의 유전자 흐름을 암시한다. "By considering the case of language shift we modelled the scenario considering Gond originally as an Austroasiatic population, which has recently changed its language to Dravidian. In this case, we should expect a largely similar amount of chunks donated by an outlier distant Austroasiatic population (Bonda) to Gonds and their present Austroasiatic (both North and South Munda) neighbours.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in our analysis, and we observed significantly higher Bonda chunks among North and South Munda neighbours than any Gond group." 콘드인 곤디인 바이가족 니할리 사하리아 = 분류:니쇼가쿠샤 대학 = = 스타비오 = 스타비오는 스위스 티치노주의 멘드리시오구에 있는 시정촌이다. = 구글 디벨로퍼스 엑스퍼트 = 구글 디벨로퍼스 엑스퍼트(Google Developers Expert, GDE)는 구글에서 웹 기술 또는 구글 디벨로퍼스 제품에 대한 모범적인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인정하는 사람이다. GDE는 구글에서 설정하고 관리하는 구글 디벨로퍼스 엑스퍼트 프로그램의 회원 자격으로 수여된다. GDE의 임기는 1년이며 해당 제품의 개발자 및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지속적으로 적극적으로 기여할 경우 연장될 수 있다. 구글 디벨로퍼스 엑스퍼트는 프로그램 회원인 동안 구글 직원이 될 수 없다. GDE는 "구글 또는 구글 회사를 대신하여 진술"할 수 없으며 어떠한 의견도 구글의 의견이 아님을 분명히 밝힐 수 없다. GDE 프로그램 웹사이트에 따르면 2023년 6월 기준으로 이 지정을 받은 사람이 1,000명이 넘는다. = = 지원 제품 =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앵귤러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다트 (프로그래밍 언어) 플러터 파이어베이스 HTML5 디자인 스프린트 구글 애즈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앱 API 구글 앱 스크립트 구글 크롬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구글 드라이브 SDK 구글 글래스 구글 지도 API 구글 페이 구글+ 기계 학습 제품 디자인 유튜브 API = 분류:멘델레븀 = = 유럽 VLBI 네트워크 = 유럽 VLBI 네트워크(European VLBI Network, EVN)는 유럽의 우주전파관측망이다. = 분류:조선의 쓰개 = = 분류:도치기현의 교육 = = 도봉로 = 도봉로(道峰路)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미아사거리에서 도봉구 도봉동 의정부시 시계를 잇는 왕복 8차선, 폭 40m, 총 연장 9.84km의 도로이다. 총연장 9.84 km 중 시점으로부터 4km는 성북구 및 강북구, 나머지 6km는 도봉구 관할을 관통한다. 전구간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에 속하며, 도봉역부터 시계 종점까지 구간은 국도 제3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미아사거리역에서 쌍문역까지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지하로, 방학사거리에서 의정부시 시계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옆으로 지나간다. = = 역사 = = 조선 중기~일제강점기 : 경흥대로 - 경성~함흥을 잇는 도로로 이름 붙임.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공고 제268호로 도봉로 명칭 고시. 명칭 부여의 이유는 '도봉산, 도봉동이 있음'이었다. 2010년 3월 15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행정안전부고시 제2010-19호, 67쪽, 2010년 3월 15일.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과 시설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종암로와 직결 종암로와 직결 종암로와 직결 종암로와 직결 종암로와 직결 미아사거리 동소문로월계로 서울특별시 서:성북구동:강북구 미아사거리역롯데백화점 미아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입구사거리 솔샘로도봉로10길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역 교차로 솔매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사거리 덕릉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이름 없음) 노해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역 교차로 오패산로도봉로87길 서울특별시 강북구 강북구청 교차로 한천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교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교 교차로 우이천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시장입구사거리 도봉로109길도봉로110길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의여중입구 교차로 노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보건소 교차로 해등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교 도봉로141길도봉로143길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사거리 방학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역 교차로 도당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신도봉사거리 시루봉로도봉로154길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역사거리 도봉로170길도봉로169길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 교차로 도봉산길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도봉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평화로와 직결 평화로와 직결 평화로와 직결 평화로와 직결 평화로와 직결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빅토리아호텔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6) 이마트 미아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봉로 17)(길음동) 숭인시장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45) 미아사거리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지하50) 롯데백화점 미아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62) 송천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71) 도봉세무서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17) 미아119안전센터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25) 미아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지하198) 한국전력공사 강북지사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42) 수유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지하338) 수유3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83) 메가박스 수유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399) 쌍문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86-1) 도봉구민회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552) 호석교통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11) 도봉소방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66) 홈플러스 방학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78) 방학동우체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6) 한영택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712) 도봉119안전센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721)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55) 도봉산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4-33) 도봉공영차고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1) = 인케르만 = 인케르만은 크림반도에 위치한 도시이다. 세바스토폴에서 동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크림반도를 주장 중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인케르만을 세바스토폴 관할 하에 두고 있다. 2014년 인구조사 기준 인구는 10,348명. 8세기에 비잔틴에서 탄압을 피해 도망쳐 나온 성상 숭배자들이 이곳에 성 클레멘스 동굴 수도원을 세웠다. 8-9세기에는 특유의 절벽 지형이 전략적 요충지가 되어 중세 요새가 세워졌고 칼라미타라는 도시가 세워졌다. 14세기 테오도로 공국과 함께 튀르크인들에게 도시가 넘어갔고, 튀르크어로 "동굴 요새"를 의미하는 인케르만으로 개칭되었다. 소련 시대이던 1976년에서 1991년까지는 "하얀 돌의 도시"라는 뜻의 빌로카미얀스크 또는 벨로카멘스크로 불리기도 했다. = 뉴 이어스 데이 (2001년 영화) = 뉴 이어스 데이은 2001년 영국에서 제작된 영화이다. = = 출연 = = 바비 베리 - 스티븐 앤드루 리 포츠 - 제이크 = = SBS 성우진 (2005년 1월 7일) = = 안지환 - 스티븐(바비 베리) 최원형 - 제이크(앤드루 리 포츠) 이종혁 - 스티븐의 아버지(마이클 키친) 이향숙 - 제이크의 엄마(아나스타샤 힐) / 제이크의 동생(로이 루이스) 강희선 - 스티븐의 엄마(재클린 비셋) 최문자 - 교장 선생님(수 존스턴) 홍승섭 - 선생님(랠프 브라운) / 경찰(마이클 앳웰) 이진화 - 베노니카(마리애나 장바티스트) 박선영 - 루완다(니콜 찰스) 김지혜 - 제이크의 동생(헤일리 노트) 안용욱 - 제이크의 친구(리암 바) / 경찰(란지트 크리쉬나마) = 칼 스토크스 = 칼 버튼 스토크스(Carl Burton Stokes, 1927년 6월 21일 ~ 1996년 4월 3일)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처음으로 클리블랜드의 시장(1968~1971)을 지냈다. = = 생애 = = 클리블랜드에서 세탁공 아버지와 청소부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으며, 2세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품에서 자라왔다. 좋은 학생이었으면에도 불구하고, 1944년 학교를 중퇴하여 톰슨 상사(Thompson Products)에서 근무하였다. 18세때 육군에 입대하였고, 1946년 제대하여 클리블랜드로 돌아와 이듬해 고등학교 졸업 자격증을 얻었다. 여러 단과대학들에 출석하였다가, 1954년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56년 클리블랜드 마셜 법대를 졸업하고, 1957년 오하이오 법정에 수용되었다. 4년동안 보조 검사로 근무하였고, 스토크스 법률 사무소의 협력자가 되어 정계에 들어간다. = = 경력 = = 1962년 오하이오주 하원 의원에 선출되어 3년간 근무하였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 하원 의원 44번째 지역구에 있다가, 1967년 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세스 태프트(윌리엄 태프트의 손자)를 꺾고, 클리블랜드의 첫 흑인 시장이 되었다. 시장으로서, 흑인과 여성들에게 시청의 사무직들을 열었다. 자신이 그렇게 강한 행정관으로 알려지지 않았어도, 그의 상상력과 자극에 대하여 기억되고 있다. 그는 자신의 보유권의 대부분을 위해 시의회와 경찰과 함께 반목하였다. 또한 공공적, 개인적 자금 프로그램 '클리블랜드:이제!'를 인정하여 클리블랜드 이웃들의 경제적 활성화에 목적을 두었다. 시장직을 떠난 후, 전국의 단과대학에서 강의하였다. 1972년 WNBC - TV 방송국에 들어가 뉴욕에서 최초의 흑인 사회자가 되었다. 1980년 클리블랜드로 돌아와, 전국 자동차 노동조합의 법률 상담자로 지냈고, 1983년부터 1994년까지 자치적 판사로 근무하였다. 1994년 9월 7일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의하여 세이셸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 대사로 근무할 동안, 식도 암을 앓아 1995년 5월 12일 사임하였다. = = 사망 = = 1996년 4월 3일 클리블랜드 진료소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다운타운 클리블랜드에 있는 미국 연방 재판소(2002년 완공)는 그의 명예를 기념하여 칼 B. 스토크스 연방 재판소라 이름을 지었다. = 분류:영문중학교 동문 = = 틀:청룡영화상 여우주연 = = 분류:1612년 예술 =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8월 17일 = 필리핀 마닐라의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에서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공항 착륙 직후, 활주로를 이탈하면서 동체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분류:짐바브웨의 파충류 = = 미카엘라 = 미카엘라(Michaela)는 그리스도교의 3대 천사(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중 하나인 미카엘이 여성화된 이름이다. 영어권에서 여자 이름이나 세례명으로 쓰인다. = 분류:현대 예술 = = 분류:긴목장어과 = = 분류:우크라이나의 대학교 이름을 딴 분류 = = RIDE ON TIME = RIDE ON TIME은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야마시타 타츠로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80년 9월에 발매되었다. 〈RIDE ON TIME〉은 타이틀곡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곡은 1980년 5월 싱글로 발매된 야마시타 주연의 맥셀 오디오 카세트의 텔레비전 광고에 사용되었다. 이 곡은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 417,000장의 판매량으로 3위를 차지하며 그의 첫 번째 차트 싱글이 되었다. 2003년, 이 노래는 텔레비전 드라마 굿 럭!!에 등장했다. 기무라 타쿠야가 주연을 맡았고, 다시 차트 20위 안에 진입했다. 음반이 나온 후, 〈MY SUGAR BABE〉라는 곡이 싱글로 발매되었다. 카츠 신타로 감독의 텔레비전 드라마 게이시-K의 주제곡으로 1980년 가을에 NTV에서 방영되었다. 야마시타는 성공하지 못한 TV 시리즈에서 사용된 전체 배경 음악을 작곡했다. 2002년 재발행 당시, 그들의 발췌본(〈MY SUGAR BABE〉의 기악 버전)이 보너스 트랙 중 하나로 추가되었다. = = 배경 = = 음반 MOONGLOW의 작업 중인『MOONGLOW』 発売 AIR ⁄ RVC LP:AIR-8001 1979년 여름, 야마시타는 오르간 연주자인 돈 루이스의 일본 방문 공연에 참가한 요시다 미나코로부터, 같은 참가 멤버였던 당시 아직 22세의 드러머 아오야마 준을 소개받았다. 아오야마는 사토 히로시의 그룹 "하이 타임스"에서 함께 멤버였던 베이시스트 이토 히로노리와 야마시타의 밴드 멤버, 오디션을 겸한 세션에 참가하게 되었다.Roland Music Navi Vol. 88 아오야마에 의하면 "어쨌든 그럼 우선 이 곡을 해보자"고HIROSHI SATO OFFICIAL SITE内“BIOGRAPHY” 야마시타로부터 건네진 악보에는 〈따라와〉라고 제목이 쓰여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곡명은 잊었다고 하지만 6/8박자의 대략 록 밖에 하지 않은 드러머라고 때릴 수 없는 발라드 곡의 악보를 내왔다.후에 아오야마는 "분명 애송이였던 우리에게는 아마 없었을 떫은 맛을 시험해 보려고 타츠로씨도 기대는 그렇게 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하지만 당시부터 그런 음악을 좋아했기 때문에 연주 경험이 부족함은 부인할 수 없지만 둘 다 아무런 저항 없이 아오야마는 "기분 좋구나"라고 생각하며 연주를 끝냈다.그 직후 야마시타에서 상당히 무서운 얼굴로 "너, 아오야마라고 그랬나? 나이가 어떻게 되지?"라는 물음에 "22살인데, 왜요? 맘에 안 드세요?"라고 대답하자, "어째 이런 노래 처음 치는 것 치곤 잘 치는데?! 그 나이에 대단한데?!"라고 말했다고 한다.“PERFORMANCE 2002 RCA ⁄ AIR YEARS SPECIAL”コンサート・プログラム収載「MESSAGE from band members (Since RCA/AIR Years)」 잡다한 패턴이 담긴 곡을 연주하고 싶은 작가주의 성향이 강한 야마시타에게 이때까지는 수많은 뮤지션과 연주해오면서 곡조에 맞춰서 세션을 적당히 써먹었다. 스튜디오에서는 그렇게 해도 충분했어도 라이브 스테이지에서는 멤버 선정에 따라 연주할 수 없는 곡도 나왔지만, 그런 점에서 어떤 스타일이든 자신을 만족시킬만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준 첫 콤비가 아오야마와 이토 콤비였다. 그들과의 만남으로 인해 라이브에서 연주할 수 있는 레퍼토리가 대폭 늘어나, 슈가베이브 이후 자신이 그려온 라이브의 청사진이 처음으로 현실화될 거란 예상을 하게 되고, 결국 그 오디션같은 세션이 한번 진행된 후 그 다음부터는 스테이지에서 연주하기 위한 리허설에 들어갔다. 79년 후반에 들어서면서 그들은 라이브의 정식 멤버가 되었고, 이듬해 초에 레코딩 멤버가 되었다. 이렇게 해서 아오야마와 이토 콤비가 GO AHEAD! 시절부터 멤버였던 난바와 시이나에게 합류하면서『GO AHEAD!』 発売 RCA ⁄ RVC LP:RVL-8037, 어떻게든 라이브와 레코딩이 둘 다 가능한 정예멤버들이 꾸려졌고, 이 시기부터 연습 스튜디오에서 연습을 해서 맞춰보고, 그 멤버 그대로 레코딩 스튜디오로 그걸 가져가 레코딩을 하는 식으로 고정되다 보니 여러 가지 리듬 패턴을 실험해 작곡에 써먹게 되었고, 이런 방법은 집에서 혼자 생각한 그동안의 방식에서 이제껏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더 많이 만들어냈다. 그 시기 MOONGLOW의 롱 셀러에 입가에 미소가 번졌던 디렉터 코스기는 이제 승부를 봐야할 때라며, 야마시타 자신이 TV CM에 나오는 기획에 타이업이 되었고, CM 작곡가로서 어느 정도 커리어를 쌓아왔던 그에게 있어 코스기가 가져온 프로젝트의 카피라이터, 감독, 광고 대행사의 프로듀서 모두 오래 전부터 면식이 있어서, 그 점을 잘 파고들어 오퍼를 컨펌시켰다. 그렇게 해서 나온 싱글 〈RIDE ON TIME〉은 야마시타에게 있어「RIDE ON TIME」 発売 AIR ⁄ RVC 7":AIR-503 첫 히트곡이었다. 싱글이 히트치면서 그 분위기에 힘입어 제작을 시작한 이 음반은, 음악적인 노선은 전작 MOONGLOW의 연장선이면서도 가장 큰 변화는 제작예산이었는데, 히트곡이 나와 매출이 오른 관계로 평소에 야마시타는 스튜디오 비용을 마음껏 쓰면서 다른 테이크와 편곡을 할 수 있는 게 꿈이었는데, 이 때 그것이 현실화되었고, 그래서 그 시기에 몇년 전과는 다른 곡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 반면 RIDE ON TIME의 히트 후에 여러 방송의 잔혹함을 엿보게 되어, 그 반감으로 주변 분위기에 흔들리지 않고 평론가나 매니아에게 제대로 평가받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했다고 한다. 그 결과 발매된 작품에 대해 당시 가까운 관계자조차도 "별로다"라는 등 혹평일색이었지만, 지금 와서보면 그런 제작방침이 결국엔 정확했다고 절실히 느낀다고 한다. 야마시타의 뮤지션 커리어에 있어 행운은 더 큰 음악적, 상업적 전환기에 한창 상한가를 치고 있는 뮤지션과의 만남과 그들과의 좋은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레코딩과 라이브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초회반 LP는 CM 촬영 시 스틸 사진에 맥셀 로고 마크와 〈좋은 소리밖에 남지 않는다〉 카피가 인쇄된 덧씌우기 사양으로 출시됐다. = = 곡 목록 = = 작사는 모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요시다 미나코가 맡았고, 작곡은 모두 야마시타 타츠로가 맡았다. = 분류:이스탄불을 배경으로 한 영화 = = 분류: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소장품 = = 니시진역 = 니시진역은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니시진 2초메에 소재하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K04. 역의 심벌 마크는 후쿠오카 시 출신의 그래픽 디자이너, 니시지마 이사오가 디자인한 것이어서 니시진의 머리 글자"N"의 글씨에 연필과 펜 끝을 절충한 것으로 니시진이 후쿠오카 현립 슈유칸 고등학교와 세이난 가쿠엔 중학교·고등학교, 세이난 가쿠인 대학이 있는 대학가인 것에서 유래되었다. = = 역 구조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승강장을 갖는 지하역이다. 메이노하마역 쪽으로 인상선이 있고 주간 시간대에 설정된 당역 발착의 하코자키 선 직통 열차의 반환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 = = 승강장 = = = 1 공항선·하코자키 선 덴진・하카타・후쿠오카 공항・가이즈카 방면 2 공항선·지쿠히 선 메이노하마・지쿠젠마에바루・가라쓰 방면 = = 이용 상황 = = 2015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22,387명이다.경영 상황 운수 실적 1일 평균 역별 승차 인원 - 후쿠오카 시 교통국 최근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의 추이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 1일 평균 승차 인원 2001년 22,097 2002년 21,671 2003년 20,885 2004년 20,387 2005년 19,421 2006년 20,167 2007년 20,292 2008년 20,468 2009년 19,999 2010년 20,691 2011년 21,374 2012년 21,799 2013년 22,222 2014년 22,526 2015년 22,387 = = 역 주변 = = 니시진 교차점 부근 메이지도리 직하에 위치한다. 5번 출구는 니시진 엘모ー루프라리바와 지하 2층에서 연결된다. 국도 제263호선 니시진 팰리스 후쿠오카 시 박물관 후쿠오카 시 종합도서관 후쿠오카 타워 RKB 마이니치 방송 TV 니시닛폰 이온 니시진 니시진 상점가 후쿠오카 현립 슈유칸 고등학교 세이난 가쿠인 대학 세이난 가쿠엔 중학교·고등학교 후쿠오카 기념 병원 = 삼국지 IV = 삼국지 IV는 코에이가 개발하고 삼국지연의에 기반을 둔 턴 기반 전략 게임 삼국지 시리즈 중 네 번째 게임이다. 1994년 12월 9일에 첫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삼국지 XI가 나올 때까지 미국에서 시리즈 중 PC용으로 출시된 마지막 게임이었다. = = 개요 = = 전작이 키보드/마우스 입력을 함께 지원한 반면, 이 시리즈부터 마우스로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노, 충차, 발석차 병기가 추가되었고, 전쟁에서 승리할 경우 등용, 석방, 참수 이외에도 투옥을 포함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포로 신분을 추가하였다. 포로는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적장수를 투옥시키면 해당장수의 신분이 포로가 된다. 포로는 오직 자신의 세력에서만 등용할 수 있으며 해당국가와의 교섭을 통해 석방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이나 명령이 불가능한 재야장수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등용하기는 일반 재야장수에 비해 훨씬 어렵다. 육군·수군 지휘력이 통솔력으로 통합되어 이후 삼국지 7~9를 제외한 시리즈의 능력치는 삼국지IV의 5 능력치 체계(통솔/무력/지력/정치/매력)를 따른다. 최초로 한 화면 크기를 넘는 지도가 사용되었다. 장수별 특기 24가지가 처음 생겨났고, 판타지적 요소인 천변, 풍변, 낙뢰 등이 처음으로 등장하여 이후의 시리즈에 영향을 주었다. 장수 하나당 부대 하나라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한 부대에 장수를 최대 셋 (대장 하나, 부장 둘)까지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내정화면을 별도로 분리하여, 장수가 매달 내정도 동시에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민족에게 특정 도시를 침략하게 하는 시스템도 있으며, 이전 시리즈부터 제공된 방랑이란 옵션이 이번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사라진다 (다만 삼국지 8과 10에서 부활한다). 전투 화면은 단순히 성벽을 오르는 장면에 지나지 않아 다른 시리즈에 비해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이 시리즈부터 확장팩 개념인 '파워업키트' 가 발매되기 시작하여, 이후 시리즈부터는 원판 발매 이후 파워업키트를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삼국지 시리즈의 파워업키트는 게임 중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은 공통되며, 그 외에 추가되는 부가적인 기능의 내용은 시리즈마다 각기 다르다. 삼국지Ⅳ 파워업키트에서는 난이도조절 기능 및 일기토모드가 도입되었고, 장수정보에 열전을 추가하였고 3개의 신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또한 수호전의 무장을 신무장으로서 게임에 등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삼국지Ⅳ의 파워업키트는 도스판도 있고 윈도 판인 with 파위업키트가 있는데, 도스판과 다른 점은 별로 없지만 사운드 모드가 추가되었으며, 전투 화면 등 여러면에서 세련된 면이 보강되었다. = = 시나리오 = = 189년 12월 동탁이 소제를 퇴폐시켜 낙양 불타오르다 194년 11월 군웅 중원에서 싸우고 조조 세력을 신장시키다 201년 10월 하북에는 폭풍이 일어나고 형주에는 봄이 오다 208년 9월 와룡공명 적벽에서 동풍을 부르다 221년 4월 후한이 멸망하고 삼국시대 시작되다 235년 2월 강유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거성 떨어지다 (간웅 한나라를 훔쳐 천하를 통일하다에서는 신장수로만 플레이가 가능하며, 조조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또 이 시나리오는 0인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 KT 위즈의 역대 외국인 선수 목록 = 이 문서는 KBO 리그 KT 위즈의 역대 외국인 선수에 대한 페이지이다. = =연도별 외국인 선수 = = 연도 투수 투수 투수 타자 타자 타자 타자 연도 선수 시즌 성적 참고 선수 포지션 시즌 성적 참고 2014년 마이크 로리 퓨처스 리그 2014년 앤드루 시스코 퓨처스 리그 2015년 크리스 옥스프링 31경기 12승 10패, 평균 자책 4.48 은퇴 앤디 마르테 1루수 115경기 20홈런 89타점, 타율 0.348 2015년 앤드루 시스코 17경기 6패, 평균 자책 6.23 퇴출 댄 블랙 3루수 54경기 12홈런 32타점, 타율 0.333 2015년 필 어윈 12경기 1승 7패, 평균 자책 8.68 퇴출 2015년 저스틴 저마노 15경기 3승 6패, 평균 자책 4.93 2016년 슈가 마리몬 12경기 6승 2패, 평균 자책 5.23 퇴출 앤디 마르테 1루수 91경기 22홈런 74타점, 타율 0.265 2016년 요한 피노 12경기 2승 3패, 평균 자책 7.15 퇴출 2016년 트래비스 밴와트 28경기 6승 13패, 평균 자책 5.95 2016년 조쉬 로위 14경기 3승 6패, 평균 자책 6.30 2016년 라이언 피어밴드 13경기 2승 6패, 평균 자책 4.90 2017년 라이언 피어밴드 26경기 8승 10패, 평균 자책 3.04 조니 모넬 1루수 28경기 2홈런 9타점, 타율 0.165 퇴출 2017년 돈 로치 28경기 4승 15패, 평균 자책 4.69 멜 로하스 주니어 외야수 83경기 18홈런 56타점, 타율 0.301 2018년 더스틴 니퍼트 2018년 라이언 피어밴드 멜 로하스 주니어 외야수 144경기 43홈런 114타점, 타율 0.305 2019년 윌리엄 쿠에바스 2019년 라울 알칸타라 멜 로하스 주니어 외야수 144경기 24홈런 104타점, 타율 0.322 2020년 윌리엄 쿠에바스 멜 로하스 주니어 외야수 183경기 47호 홈런1위 2020년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2021년 윌리엄 쿠에바스 조일로 알몬테 외야수 60경기 7홈런 타점 36타점, 타율 4.06 퇴출 2021년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제러드 호잉 외야수 68경기 11홈런 52타점, 타율 0.239 2022년 윌리엄 쿠에바스 2경기 1승 0패, 평균 자책 2.45 퇴출 헨리 라모스 외야수 18경기 3홈런 11타점, 타율 0.250 퇴출 2022년 웨스 벤자민 17경기 5승 4패, 평균 자책 2.70 앤서니 알포드 외야수 80경기 14홈런 50타점, 타율 0.286 2022년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30경기 8승 12패, 평균 자책 4.53 2023년 보 슐서 10경기 1승 7패, 평균 자책 5.62 퇴출 2023년 웨스 벤자민 29경기 15승 6패, 평균 자책 3.54 2023년 윌리엄 쿠에바스 18경기 12승 0패 평균 자책 2.60 앤서니 알포드 외야수 133경기 15홈런, 70타점, 타율 0.289 = 종합정비창 (대한민국 육군) = 종합정비창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본부를 둔 대한민국 육군의 군용 헬리콥터를 제외한 모든 장비에 대한 정비를 총괄하는 창급 조직이다. = = 구조 = = 부서 품질검사처 의무안전도검사과 부대 궤도장비정비단 기계공작단 차량일반정비단 총포장비정비단 통신전자정비단 특수무기정비단 = = = 특수무기정비단 = = = 특수무기정비단는 1979년 12월 20일, 인천시 부평에서 제3군수지원사령부의 제1특수무기지원대로 시작하였다. 1988년 10월, 육군군수사령부로 전속함에 따라 용인시로 이사하였고, 1991년 6월 제5정비창, 2008년 7월 종합정비창 특수무기정비단이 되었다. 현재 위치인 이천시에는 2011년에 이사를 마쳤다. 2개 과급 부서와 2개 병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 모듈:Location map/data/Slovakia = return { name = '슬로바키아', top = 49.8, bottom = 47.6, left = 16.6, right = 23.0, image = 'Slovakia location map.svg', image1 = 'Relief Map of Slovakia 2.png' } = 분류:이탈리아의 축구장 틀 = = ISO 3103 = ISO 3103은 차를 우려내는 표준으로,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 지정하였다. 1980년에 만들어진 BS 6008:1980 (영국) 표준을 따른다. 영국 표준이기 때문에 홍차에는 알맞지만 녹차에는 너무 진하게 나온다. 표준에 따르는 차를 우려내는 방법: 뚜껑이 느슨하게 닫히는 백자기나 유약을 바른 토기로 된 주전자를 사용한다. 큰 주전자는 최대 310 ml (±8 ml)까지이고 200g (±10g)이 되어야 한다. 작은 주전자는 최대 150 ml (±4 ml)까지이고 118g (±10g)이 되어야 한다. 2g (±2%) 차를 100ml 끓인 물에 넣는다. 바로 끓인 물을 4-6mm 남기고 채운다. 경수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6분간 우려낸다. 우려낸 차는 백자기나 유약 토기로 된 그릇에 담는다. 큰 그릇을 사용하면, 380ml 용량과 200g (±20g) 무게가 되어야 한다. 작은 그릇을 사용하면, 200ml 용량과 105g (±20g) 무게가 되어야 한다. 만약 우유가 들어간다면, 우려낸 차를 넣기 전이든 후이든 상관 없다. 만약 우유를 나중에 넣어 마시면, 차가 65 - 80°C 될 때 마시는 게 좋다. 큰 그릇에는 5ml, 작은 그릇에는 2.5ml의 우유를 넣는다. = 적경 = 적경(赤經)은 천문학 용어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다. 그 다른 좌표는 적위이다. 천구의 춘분점에서 천구의 적도를 따라 천체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시각이다. = = 24절기에서의 적경 = = 24절기에 따른 태양의 대략적인 적경은 다음과 같다. 절기 황경 적경 (각도) 적경 (시간) 적경 (시·분) 비고 입춘 315° 317.5° 21.16h 21h10m 우수 330° 332.1° 22.14h 22h08m 경칩 345° 346.2° 23.08h 23h05m 춘분 0° 0.0° 0.00h 0h00m 적경과 황경 일치 청명 15° 13.8° 0.92h 0h55m 곡우 30° 27.9° 1.86h 1h52m 입하 45° 42.5° 2.84h 2h50m 소만 60° 57.8° 3.85h 3h51m 망종 75° 73.7° 4.91h 4h55m 하지 90° 90.0° 6.00h 6h00m 적경과 황경 일치 소서 105° 106.3° 7.09h 7h05m 대서 120° 122.2° 8.15h 8h09m 입추 135° 137.5° 9.16h 9h10m 처서 150° 152.1° 10.14h 10h08m 백로 165° 166.2° 11.08h 11h05m 추분 180° 180.0° 12.00h 12h00m 적경과 황경 일치 한로 195° 193.8° 12.92h 12h55m 상강 210° 207.9° 13.86h 13h52m 입동 225° 222.5° 14.84h 14h50m 소설 240° 237.8° 15.85h 15h51m 대설 255° 253.7° 16.91h 16h55m 동지 270° 270.0° 18.00h 18h00m 적경과 황경 일치 소한 285° 286.3° 19.09h 19h05m 대한 300° 302.2° 20.15h 20h09m = = 참고 문헌 및 링크 = = 적경과 적위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적경과 적위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 분류:1936년 수구 = = 분류:이시카와현의 정치인 = = 서울의 달빛 = "서울의 달빛"은 199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정소녀 윤철형 이영욱 김정하 이숙녀 남수정 이인옥 오희찬 연현철 박용팔 박종명 이예민 추봉 신동욱 홍성웅 문미봉 박예숙 홍윤정 유경애 서평석 최근제 조학자 남정희 김성원 (특별출연) 김운하 (특별출연) 한명구 (특별출연) = 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 = 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는 2008년 9월 27일 상암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던 서태지와 로열 필하모닉의 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 협연 실황 음반이다. = = 공연 = = 2008년 7월에 2008 ETPFEST 공연과 서태지와 로열 필하모닉과의 협연 형식의 단독 공연 개최에 관한 소식이 알려졌고, 8월 29일에 서태지는 서울 덕수궁 즉조전에서 〈더 그레이트 2008 서태지 심포니 위드 톨가 카쉬프 & 로얄 필하모닉(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 with Tolga Kashif & Royal Philharmonic)〉이라는 정식 타이틀로서 지휘자와 함께 제작발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공연은 2009년 12월 24일에 라이브음반으로 발매되었고, 2010년 1월에는 공연 영상이 극장에서 개봉되어 2주간 한정으로 상영됐다. = = 참여 = =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에서 발췌하였다.The Great 2008 Seotaiji Symphony 라이너 노츠 서태지: 보컬 TOP: 기타 강준형: 베이스 기타 김석중: 키보드 최현진: 드럼 마스타 우: 래퍼 서태지(서태지컴퍼니): 프로듀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작사, 작곡, 편곡, 믹싱/마스터링(Techno T 스튜디오) 톨가 카쉬프(Tolga Kashif): 음악 감독, 편곡, 지휘자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Natalia Lomeiko: 지휘자 파주 메트로폴리탄 코러스: 오케스트라 송성철: 지휘자 곽호재·주병조(Rui Sound), Simon Honywill, Simon Hanhart, Chris Ekers, Steven Carr: 무대 사운드, 녹음 오형석: 믹싱, 마스터링 Day-z: 아트 디렉터, 디자인 = 분류:슬로바키아의 여자 = = 모듈:Location map/data/Dominican Republic = return { name = '도미니카 공화국', top = 20.3, bottom = 17.2, left = -72.2, right = -68.2, image = 'Dominican Republic location map.svg', image1 = 'Dominican Republic relief location map.jpg' } = 다운타운 스페셜: 쿠니오군의 시대극이다 전원집합! = 다운타운 스페셜: 쿠니오군의 시대극이다 전원집합!은 테크노스 저팬이 제작한 패밀리 컴퓨터용 진행형 격투 게임이다. 1989년에 출시됐던 다운타운 열혈 이야기의 후속작으로, 1991년 7월 26일 일본에서만 발매됐다. 열혈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요시다 미츠히로가 기획한 작품이다. 게임 무대를 현대 도시에서 중세 일본으로 옮겼는데, 쿠니오군 시리즈의 등장인물들이 시대극을 연기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플레이 면에서는 전작과 같이 기본적으로 진행형 격투 액션이지만, 적들을 쓰러뜨리면서 점차 능력치를 강화하는 액션 RPG 요소가 있다. 1993년 12월 22일에 게임보이로 이식판이 발매됐다. 이후 버추얼 콘솔같은 디지털 플랫폼에 재발매됐다. = TGS = TGS의 뜻은 다음과 같다. 도쿄 게임 쇼 타이베이 게임 쇼 TGS (음악 그룹) : 대한민국의 3인조 음악 그룹. TG삼보컴퓨터 = 한채경 = 한채경(, 1994년 2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2013년~2017년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졸업)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15년 TvN 《영자의 전성시대》 2016년 딩고스튜디오 《나는 주인공이다》 - 교통 사고녀 역 2016년 KBS 조이 《연애를 부탁해》 - 은비 역 2017년 KBS 2TV 《KBS 드라마 스페셜 - 만나게 해, 주오》 2017년 SBS 《이판사판》 2018년 SBS 《키스 먼저 할까요》- 고윤정 역 2018년 TvN 《아는 와이프》 2018년 온스타일 《통통한 연애》 - 윤공주 역 2019년 MBC 《어쩌다 발견한 하루》 - 김애일 역 2019년 플레이리스트 《나의 이름에게》 - 양새롬 역 2020년 TvN 《소녀의 세계》 - 서미래 역 2021년 JTBC 《선배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 - 한서연 역 2021년 iHQ DRAMA 《사사건건 세포분열》# - 한다야 역 2021년 KBS 2TV 《빨강구두》 - 고은초 역 2021년~ TvND 《소녀의 세계 시즌 2》 - 서미래 역 2023년 넷플릭스 퀸메이커 한이슬 역 = = = 영화 = = = 2014년 《첫사랑》 (단편 영화) 2014년 《수상한 그녀》 2018년 《궁합》 - 연회 추파 궁녀 역 2021년 《피어썸》 - 귀신 역 = = = 뮤지컬 = = = 2016년 《테슬라 : 천재들의 게임》 = 피에르 브뤼네 = 피에르 브뤼네(, 1902년 6월 28일 ~ 1991년 7월 27일)는 프랑스의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 생애 및 선수 경력 = = 피에르 브뤼네는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싱글과 페어 부문에서 동시에 활동했다. 페어 부문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어, 파트너 앙드레 졸리와 함께 초창기 페어 스케이팅의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새로운 점프, 리프트, 스핀 동작을 개발하여 경기에 선보였다. 페어 부문에서 1924년 동계 올림픽 동메달, 192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싱글 부문에서도 두 올림픽 대회에 참가, 각각 7위와 8위를 하였다. 1929년 파트너 피에르 브뤼네와 결혼하였고, 부인과 함께 1932년 동계 올림픽에서 다시 금메달을 땄다. 이후로도 부부는 계속 프랑스에서 1위를 하였으나, 1936년 동계 올림픽에는 나치에 항의하는 뜻으로 참가하지 않았다. 부부는 1940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프로 무대에 서고 선수들을 지도하였다. = 분류:도에이 플라이어스 선수 = = 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23 = = 분류:백악기 후기의 파충류 = 백악기 후기의 파충류 분류 파충류 *2 = 분류:동로마 제국의 군사 = = 월성박씨 종중 묘역 = 월성박씨 종중 묘역(月城朴氏 宗中 墓域)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묘역이다. 2010년 5월 3일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월성박씨(月城朴氏)는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제8왕자인 월성대군(月城大君)의 자손으로 고려 후기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조선 전기와 중기에 크게 융성하였다. 중시조인 박구(朴龜,1337∼1404)는 고려 중군사정부령(中軍司正副令)을 역임하였는데, 고려가 망하자 이 곳에 칩거하면서 자신을 감춘다하여 호를 ‘장아(藏我)’라 하고 뒷산을 장아산이라 하였다. 장아산(해발 73.6m)서쪽 구릉에 위치한 월성박씨 종중 묘역에는 현재 박구와 그의 후손인 박간(朴幹), 박휘(朴徽), 박신겸(朴信謙),박호겸(朴好謙), 박홍중(朴弘中) 등 11기의 묘가 남아 있다. 그 중 통훈대부 추산(秋山) 박홍중은 조선중기의 문인으로 문장과 서예에 능하였고 관직을 물러난 후 장아산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이 묘역에 있는 봉분과 묘표, 문인석, 망주석, 등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교적인 묘제로서 특히 박휘와 박신겸, 박호겸의 묘표는 제작년대가 분명하여 조선 중기의 묘제와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금석문 자료이다. = 데드 맨스 레터스 = 데드 맨스 레터스(, Dead Man’s Letters)는 러시아(구 소련)에서 제작된 콘스탄틴 로푸샨스키 감독의 1986년 SF, 드라마 영화이다. 롤랜 비코브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롤랜 비코브 = 분류:모나코의 식물상 = = 코요태X린다G = 코요태X린다G는 대한민국의 3인조 혼성그룹 코요태의 디지털 싱글이다.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氣候 變化에 關한 政府間 協議體,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약칭 IPCC)은 국제 연합의 전문 기관인 세계 기상 기구(WMO)와 국제 연합 환경 계획(UNEP)에 의해 1988년 설립된 조직으로, 인간 활동에 대한 기후 변화의 위험을 평가하는 것이 임무이다. IPCC는 연구를 수행하거나 기상 관측을 하는 조직은 아니다.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UNFCCC)의 실행에 관한 보고서를 발행하는 것이 주 임무이다. 이 패널은 미국의 앨 고어 전 부통령과 함께 2007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IPCC는 독자적인 연구를 추진하지 않으며 기후변화를 감시하거나 관련 현상으로 야기되는 문제 자체에 대해서는 발표하지 않는다. IPCC의 주된 활동은 UNFCCC에 관련된 의제의 실행 여부에 대한 주제 보고서를 작성하고 출판하는 데 있다. UNFCCC는 중대한 기후 변화가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국제협약이며 그 구체화가 교토의정서이다. IPCC는 저작물에 대한 검증을 관련 분야종사자에게 맡기고 있으며 과학적인 근거를 확인한다.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bout IPCC – Mandate and Membership of the IPCC/ [ 가입국은 WMO와 UNEP 회원국에 한정한다. 실제로 IPCC가 발표하는 보고서는 기후변화 논쟁 및 공식 토론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A guide to facts and fiction about climate change 각국 및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국제연합의 기후협력패널에 대해서는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도 하다.Scientists offered cash to dispute climate study 부의장이었던 이회성이 2015년 10월에 의장으로 당선됨으로써 첫 한국인 의장이 되었다. = = 목표 = = IPCC 운영에 대한 원칙은 관련 WMO 위원회와 UNEP 위원회의 규약과 결정에 따르며 유엔기후변화협약사무국의 지지를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 = IPCC 평가보고서 = = 1990년 처음으로 발간된 IPCC 평가보고서는 2년 뒤에 보완됐으며 두 번째 보고서(SAR)는 1995년에, 이어 2001, 2007년까지 4번의 보완을 거쳤다. 각 평가보고서는 세권으로 구성돼 있으며 실무대책반(Working Group) I, II, II로 구성돼 있다. 특정한 견해를 담지 않은 Ⅰ 부분에는 기후변화에 대한 기초적인 상식을 다루었다. = = = IPCC 초대 평가보고서: 1990 = = = 1990년에 선보인 초대 평가보고서는 UNFCCC의 초석으로 여겨진다. 정책자를 대상으로한 실무자그룹 Ⅰ의 주요 요약본은 인간의 활동이 야기하는 대기가스를 비롯한 오염물 배출이 점차적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대기 분포를 증가시켜 지구 표면의 온도가 더 올라가는 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데 이의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산화탄소가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요인과 비교할 경우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에 대해서도 확신을 내비쳤으며 현재의 경제 활동이 지금의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21세기 동안 온도는 10년 단위로 섭씨 0.3도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예측 가능한 기후 변화 모델과도 부합하며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기후변화의 다양성에 대해서도 일관적으로 적용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온실효과가 급속도로 증강해 예측할 수 없을 수준의 불균등한 변화가 일어날 경우는 10년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내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 = = IPCC Supplementary Report: 1992 = = = 1992년 보완돼 출간된 보고서는 1992년 리오데자네이로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 대한 기후변화협약 협의에 대해 추가적인 내용을 보태는 한편 이에 대해 요구하는 사안에 대해 밝혔다. 보고서는 주요 결론으로 1990년 이후 진행한 연구가 세계인이 지각하는 온실효과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증진하지 못했으며 확인하기 어려웠고 IPCC의 과학적 평가에 대한 주요 의제 변화를 정당화하지도 못했다고 적었다.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고 첫 번째 평가보고서에서 예비의 과정을 시험해보았다고 가정한다면 꽤 진전됐지만 실질적으로 오존층이나 스프레이 사용에 대한 인식 극복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시인했다. = = = IPCC 제2차 평가보고서: 1995 = = = 기후변화 1995(Climate Change 1995) 또는 IPCC 제2차 평가보고서(the IPCC Second Assessment Report;SAR)는 1996년에 완성됐으며 네 부분으로 분류된다. UNFCCC 2항에 대한 해석과 종합적 이해 돕기 기후변화에 관련된 과학 (WG I)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과 적응 그리고 완화를 위한 대책 (WG II) 경제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기후변화 (WG III) 처음 부분을 제외한 세 부분은 각기 다른 실무자가 참여하였으며 각기 정책참고요약(SPM)을 담고 있어 각국 대표단의 이해와 합의점을대변하고 있다. WGⅠ의 SPM은 다음을 포함한다. 온실가스 집적 정도의 증가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인위적 에어로졸이 방사성 물질을 방출해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존재한다. 지난 세기 동안의 기후 변화(대기 온도는 0.3~0.6 °C 상승; 측정치는 1990년 이후 극명한 변화 없음). 여러 증거의 정황은 지구 기후에 인류가 끼치는 결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1990년 보고서 이후로 자연적인 영향과 인위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서 에어로졸 사용과 유형별 분석에 따른 것이다. 기후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시뮬레이션에 대한 실제적 영향에 대한 확신을 높이는 역할;불확실한 이유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일련의 모형 검사를 통해 설명 기후변화에 대한 설명 가능) 미래 방출량과 지리생물학적인 순환 모형, 측정 지수, 평가 척도의 다양성, 관련 학문에 대한 예측 불확실성에 대한 사안이 여전히 존재한다. = = = 통계 수치에 대한 논쟁 = = = 제2차 평가보고서(SAR)은 인간의 삶에 대해 경제적인 가치를 측정함에 있어 논쟁의 대상에 올랐다.Global Row over Value of Human Life New Scientist F. PearceDeveloping Countries Dispute Use of Figures on Climate Change Impact E. MasoodUN Climate Change Report Turns up the Heat Nature Masood and A. OchertEconomics of Climate Change Nature A. MeyerImpact of Climate Change Nature N. SundaramanReview of Climate Change 1995 –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 T. O'Riordan Environment39-9 p39~49 1997 환경경제학의 관점에서 볼 때 위험 관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는 가정 하에 기후 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 평가하는 것은 관행이다. 이런 측정법의 이점은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해성이 다른 종류의 위험과도 동등하게 다뤄질 수 있다는 데 있다. 일부에서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수명과 같은 극도로 추상적인 개념에 대해 산정하는 행위 자체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MIT Joint Program on the Science and Policy of Global Change Report No. 107. Informing Climate Policy Given Incommensurable Benefits Estimates 일례로 위험 감소에 대한 측면에서 산정한다면 삶의 질 자체가 선진국에서 훨씬 높아야 한다. 통계자료는 제2차 보고서(SAR)에서 공개됐으나 SPM에 대한 논쟁이 붉어졌다. SPM은 정부 대표단과 IPCC 전문가에게 제공된다. 각국 정부는 비용효율에 기초한 산정 방식에 불만족스러운 반응을 표출했으며 IPCC 소집위원인 데이빗 피어스는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예측했다. 보고서에서 관련된 사안을 다룬 장은 각기 다른 나라에서 실제적인 학문에 기초해 생명가치를 매긴 것이다. 그런데 6장에 제시된 실제적인 값을 사용한 것과 공통된 전지구적 평균을 사용했는가는 결과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다. 6장의 편집자들은 적용하지 못한 것은 그리고 여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바는 신흥참가국들이 원하는 값, 즉 최대 한도치로 지불할 수 있는 수치이다. 여러 보고서 작성에 참가한 주요 저자인 마이클 그럽은 많은 사람들이 정부가 옳다고 생각하는데 미터법을 사용한 계산법은 특정 정부가 무역수지 균형(Trade Off)을 여러 내부적 계획 가운데 이뤄갔을 상황에서는 옳다. 그러나 같은 논지가 국제 무역 사회에서는 이뤄질 수 없으며 특정 국가가 다른 나라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거대한 오염물질 방출에 의해 사망한 사람들이 개인의 국적에 따라 왜 가치가 달리 평가되어야 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 = = IPCC 제3차 평가보고서: 기후보고서 2001 = = = 제3차 평가보고서(통상 약칭은 TAR)은 4개로 구성된다. 제1실무그룹 보고서 (WGI) - 기후변화과학Working Group 1 제2실무그룹 보고서 (WGII) - 영향, 적응 및 취약성 제3실무그룹 보고서 (WGIII) - 기후변화 완화 종합적 견해 정책참고요약(SPM)에서 발췌한 주요 문장은 다음과 같다. 관찰되고 있는 현상을 종합하면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구의 그림이 나오는데 기후 체계에 다른 변화도 관찰된다.(전 지구의 평균 표면 온도는 20세기 0.6도 상승했으며 가장 낮은 대기 공간 8km 이내에서 지난 40년간 상승해 눈과 빙하로 이뤄진 지형의 비율은 줄어들었다.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의 배출은 기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추측되는 방향으로 이끌었다. 인위적인 에어로졸은 오래 효과가 있지도 않으며 악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배출한다;반대로 자연적인 요소는 지난 1세기 동안 방사성 물질을 분사하는 데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려는 모형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졌다. 각기의 모형에 물리적으로 가해질 기후변화의 복잡성은 세부적인 측정치에 대한 피드백을 하도록 했으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도록 했다. 특정 모형의 경우 모든 기후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1979년 이후 지표면 근처의 대기권에 나타는 온도차를 완벽히 설명하지 못했다. 특히 구름과 방사물질, 에어로졸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그 과정이 불확실했다. 그럼에도 각 기후 변화예측 모델에 대한 예측은 우주 과학과 시간적 측면에서 예증한 덕분에 우려를 불식했다. 과거 50년간 일어난 온난화 관측기록 중 대부분이 인간 활동에 대한 것이라고 증명할 수 있는 더 강하고 새로운 증거가 나타났다. 21세기에 걸쳐 인간의 영향은 지속적으로 대기 구성 성분을 바꿀 가능성이 높다. 지구 평균 기온과 해수면은 IPCC 배출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보고서에 따라 판단한 결과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TAR이 예측한 기후민감도는 1.5~4.5 °C이다. 평균 표면 온도는 1.4~5.8℃ 오를 것으로 예측돼 1990~2100년 동안 큰 폭의 상승이 예측된다. 해수면은 같은 기간 0.1~0.9m 상승할 것으로 보았다. 폭이 넓은 예측치는 특별보고서의 자료에 기초한 것으로 미래의 이산화탄소 비율을 수준별로 달리 가정해 산출한 것이다. 각 시나리오는 조건에 관련해서 나타날 상황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가장 긍정적인 결과는 이산화탄소 감축에 공격적인 전지구적 캠페인을 했을 때의 것이나 가장 부정적인 것은 현재 상황이 유지됐을 경우이다. 다른 경우는 양자 사이의 결과에 머물렀다. IPCC는 가장 신뢰도가 높으며 이용가능성이 있는 예측치를 사용하며 보고서는 과학적 검증을 거치며 더 나은 예측 모형과 일부 기후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불확실성을 보태어 해석해야 될 필요성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의 실제적인 중대함을 결정하기에는 자료 자체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온실가스에 대해 기후가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이 과도하게 혹은 저평가돼있다는 지적은 예측 모델에 나타낸 결함이나 외부 요인이 잘못 산정됐다는 이유로 지적된다. = = = = 경제성장 예측치에 대한 논쟁 = = = = 캐슬과 헨더슨은 IPCC가 특별보고서에서 GDP 측정치를 시장환율을 사용해 단일 통화로 규정하고 변형해 예측했는데 이는 적절치 않다고 보았다. 구매력 평가를 변형해서 평가하면 고수입 추정치 중 포기되는 부분이 나타날 수 있고 만약 환율이 올라가면 소득 격차를 평준화한 상태에서 산정했을 경우 성장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성장률 증대라는 가정을 깔게 되면 더 많은 오염물질 방출을 일으킬 것이라는 일종의 편견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네보이샤 나키세노비치(Nebojsa Nakicenovic) 교수는 비판에 대해 내부적으로 산정법을 일관적으로 적용하면 방출량 예상치는 특정 지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 = = = 물리적 모형에 관련한 논쟁 = = = = MIT 공대의 교수인 리처드 린젠은 SPM 문서자료에 대해 미상원 산업과학기술위원회 앞에서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7장을 예로 들면서 물리적인 과정상의 오류가 상당히 많이 발견됐는데 구름과 수분 증발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7장은 단 한 문장으로 요약됐다. "수분 증발, 해빙 역학, 대양의 열역학을 포함해 기후변화에 수반되는 과정과 통합적 이해도가 높아졌다."Testimony of Richard S. Lindzen before the U.S. Senate Commerce Committee WG Ⅰ 보고서의 전 의장이었던 존 휴튼 경은 린젠의 비판에 대해 이전에 보고서에 만족감을 말했던 린젠이 SPM이 충실하게 장 전체의 내용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해서 그의 견해를 너무 과대하게 피력한 것 같다면서 그러한 발언을 할 만한 내색을 전혀 보인 적이 없었다 The Great Global Warming Swindle(다큐멘터리)고 말했다. 존 경은 이어서 정책교범은 정부간 회의에서 100 여 개국 출신의 200명 이상 대표단이 사전에 협의를 거쳐 나오며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며칠간의 토론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 때 정치적인 발언은 허용되지 않으며 토론의 역할은 기안자 스스로 정확성과 명확성, 요약본과 실제의 연관성, 앞뒤의 장과 서로 일관적인 주장을 보이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독려하기 위함이다. = = = IPCC 제4차 평가보고서 : 기후변화 2007 = = = 제4차 평가보고서(AR4)는 2007년 초기 완성됐으며 다른 초기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4장으로 분류돼 있으며 3장은 실무대책자가 작성한 것이다. WG I은 “물리학으로 본 기후변화에 대한 기초적 이해”이며 SPM은 2월 2일 초안이 나온 뒤 2월 5일에 개정했다. 2일에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으며 최종안은 3월에 확정됐다. SPM에 명시된 주요 결론은 기후 온난화는 분명하다.. 전지구적으로 온도가 오르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20세기 중반 이후의 이와 같은 현상은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 집적에 따른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심화도가 안정적으로 변화된다고 해도 해수면 상승과 온난화는 계속될 것이다. 다만 온도와 해수면 상승 정도는 화석연료 사용 강도에 따라 편차가 달리 나타날 수 있다. 기후변화 자체로 온난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5% 미만이다. 전 세계의 온도는 1.1~6.4℃가량 상승할 수 있으며 해수면은 18~59m 범위 내에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온난한 날씨가 더 오래 지속될 것이며 열풍, 태풍이 더 자주 일어날 것으로 보이며 신뢰도 90%이상이다. 열대성 사이클론과 사리 때의 높은 파도, 가뭄이 증가할 가능성은 66% 이상이다. 과거와 미래 배출된 인위적인 이산화탄소는 1천년 이상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줄 것이다. 65만 년간 배출한 해당 기체의 양보다 1750년 이후 이산화탄소와 메탄,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많다. 1장 보고서의 개괄적인 내용과 집필자의 목록(2005년 3월 10일 기재)은 SPM의 출판 이전에 완료됐다. 2장의 정책참고요약본은 2007년 4월 6일 공개됐으며 3장과 4장(SYR:Synthesis Report)의 SPM은 각각 5월 4일과 11월 17일 발표됐다. = =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 기후변화 2014 = = = IPCC는 제5차 평가보고서(AR5) 작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과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PCC 보고서의 모든 사용자와 관련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기후변화를 아우르는 과정에 대해서 살필 것이다. 첫걸음으로 전문가와 정부, 단체가 평가에 대해 서면으로 제출해주도록 했다. 이사회에서 검토한 뒤 전문가들이 2009년 7월 13-17일 윤곽에 대해 검토했으며 2009년 10월 26-29일 발리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31차 총회에 제출됐다.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0-01-22 = =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 = = IPCC는 2021~22년에 제6차 평가보고서 발간을 진행하고 있다. 제6차 평가보고서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제1실무그룹 보고서 (WGI) - 기후변화과학 제2실무그룹 보고서 (WGII) - 영향, 적응 및 취약성 제3실무그룹 보고서 (WGIII) - 기후변화 완화 2022년 2월, IPCC 제55차 총회 및 제12차 제2실무그룹 회의에서 승인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변화와 강수량 변동에 따른 식량·물 안보 위기가 우려되고, 해안도시 주변의 홍수 위험, 기후위기로 영향 받는 지역의 정신건강에 대한 악영향을 우려했으며,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기후탄력적 개발에 나설 것을 권고했다. = = = IPCC 방법론 보고서 = = =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Program (IPCC-NGGIP)는 온실가스 방출량에 대한 산정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 연구한다. IPCC-NGGIP는 1991년 이후로 WG Ⅰ에 참여하면서 OECD와 IEA의 긴밀합 협력 관계를 이루며 조사에 나서고 있다. IPCC-NGGIP의 목적은 국제적으로 동조를 구할 수 있는 방법론과 계산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정리하여국가별 방출량과 수정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IPCC 회원국에게 해당 방법론을 널리 사용하도록 격려하여 UNFCCC 회원국에게도 해당 사안을 통지한다. = = 저작물 = = = = = 보고서 범위와 준비 = = = IPCC 보고서는 동료평가에 대한 개요서와 출판된 과학이다. 각각의 IPCC 보고서는 과거 보고서보다 과학적으로 개선된 부분과 개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메모f적도록 하고 있다. 비평 과정에는 대개 세 단계가 있다. 전문가 비평 (6–8주 소요) 정부/전문가 견해 정부 견해 SPM(정책참고요약) 개요 종합보고서 비평 내용은 최소 5년간 파일 기록소에 보관돼 공개된다. 승인: 내용물이 세부적으로 설명돼 있으며 각 줄마다 토론을 거쳐 동의에 이르렀다고 판단될 경우 정책참고요약(SPM)은 각 실무자 그룹에서 “승인”한다. 정책자를 위한 종합보고서 요약은 패널이 “승인”한다. 채택: 단락의 내용에 지지(각각의 줄까지는 아님) 패널은 방법론 보고서에 대한 개괄 보고서를 “채택”한다. 패널은 종합평가보고서를 “채택”한다. 수용: 토론과 동의를 모든 글귀에 얻은 것은 아니나 포괄적이고 객관적이며 균형에 잡힌 주제 서술을 할 시 실무자(Working Groups)는 스스로의 보고서를 수용한다. 대책 보고서는 패널이 수용여부를 결정한다. 정책참고요약(SPM)은 각 실무자 승인 후 패널이 승인한다. 패널은 IPCC의 역할에 책임을 지는 것이며 보고서에 대한 지지는 IPCC의 기준에 부합함을 인정해주는 절차이다. 패널의 승인 절차는 보고서를 직접 작성한 전문가들의 산물을 단지 바꿔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승인 절차에 요구된 부분을 수정된 이후에 다시 지지를 요구하는 절차상에 있어서도 논란의 소지가 있다. = = = 집필자 = = = 각 장은 주제에 따라 편집과 집필을 담당하는 여러 작업자의 손길을 거친다. 보통 1장에 수석보좌관 2명이 있고 10~15명의 주요 저자와 기여작가의 숫자는 대개 그 이상이다. 수석보좌관은 다른 작가의 기여를 종합하고 요구 사항에 맞게 포맷을 구성하고 보고서를 꾸리며 실무자대표 의장에게 보고한다. 주요 저자는 한 장의 각 부분을 서술하는 역할을 하며 기여 작가는 주요 저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와 그래프, 텍스트를 준비한다. IPCC 보고서 저자는 각 정부, 참여단체와 실무자/대책회의 이사회, 타 전문가 등을 포괄하는 선에서 발탁하며 이전의 저작물과 연구 성과를 참조한다. 보좌관과 주요 저자의 구성은 맡은 주제의 목적과 견해와 전문석, 지리적 특수성을 고려해 분배되며 선진국과 개도국 출신의 과학자가 서로 교류해 대화하면서 좀 더 적법한 연구보고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 노벨평화상 = = 2007년 12월 IPCC는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이유는 인간이 야기한 기후변화에 대한 상당한 지적 연구를 증진했으며 상호협력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사안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이었다. 전 미국 부통령인 앨 고어가 공동으로 수상했다.2007 Nobel Peace Prize Laureates 노벨위원회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며 앞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1980년대 지구 온난화는 단순히 흥미 있는 가설이었으나 90년대에는 IPCC의 활동 등에 힘입어 더 확실한 증거를 얻었고, 최근 수년 동안 온난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더욱 확실해졌다”고 밝혔다.앨 고어·IPCC 노벨평화상 공동수상…노벨위원회, 환경에 주목하다 한국일보 2007-10-12 수상선정에 대해 당시 노벨위원회 선정위원장이던 올레 단볼트 비에스는 "앨 고어 전 부통령은 기후 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전 세계에 확산시키고 대책을 마련하는 초석을 다졌습니다."라 평했다.[ 2007-10-12 YTN "노벨평화상 고어-IPCC 공동수상 "] = = 비판 = = 여러 비판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도에 대한 특수성과 로비 활동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IPCC told to stop lobbying and restrict role to explaining climate science = = = = 히말라야 빙하융해 속도 예측 = = = = 2007년 발표한 WGII 보고서("영향, 적용, 취약성;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10장에는 히말라야 빙하가 2035년에 이르면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치를 내놓았다. 해당 문구는 "히말라야 빙하가 세계 어느 지역보다 그 소실 속도가 빠르며 현재 속도가 지속될 경우 2035년께 사라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데 현재와 같은 기온상승이 계속될 경우에 한한다. 전체 면적의 50만~100만 평방킬로미터가 사라질 것이다."라 적고 있다. 그러나 SPM에는 이 문장이 명시되지 않았다. IPCC는 예측에 있어 숫자가 잘못 적힌 것임을 시인했으나 요약본에 적은 최종결론에는 이상이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해당 분야에 있어 잘 고안된 IPCC 검증 체계의 잘못된 적용"이 후회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 = = 왓슨 케이스 = = = = = = IPCC 보고서의 보수성 = = = 2007년 2월 1일 IPCC의 기후 관련 주요보고서 출간 하루 전 공개된 연구결과는 온도와 해수면이 2001년 이전에 발표한 IPCC 보고서 예측율보다 더 높이 상승했다고 암시했다.Humans blamed for climate change 연구는 2001년 IPCC 보고서의 해수면과 온도 상승 관련 내용과 관찰 내용을 비교했다. 6년 동안 연구한 결과 실제적인 온도상승은 2001년 예측치 범위에서 최상층에 해당할 만큼 높이 올랐으며 실제로 오른 해수면 높이 또한 IPCC가 발표한 최고 예측치를 웃돌았다. IPCC가 발표한 과거 자료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돌아본 바로는 실상 과장했기 보다는 환경 문제의 진행 상황에 대해 과소 평가한 경우가 많다. 이는 아마도 부분적으로는 기후에 대한 인간의 인지력이 넓어졌다고 맹신한 탓이기도 하다. IPCC가 발표한 시나리오에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적용했을 때 2100년 해수면 높이가 1990년 기준보다 50-140m 높아질 것으로 보았다. 이 측정치는 IPCC가 3차 보고서에서 발표한 9-88m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Sea level rise 'under-estimated' IPCC가 2007년 1월 발표한 자료가 해수면 높이를 비롯한 특정 위험요소에 대해 간과한 측면이 있다는 과학자들의 비판에 대해 AP는 포츠담 대학교 물리해양학 교수 스테판 람스토프의 말을 인용했다. "어떤 면에서 IPCC가 상당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 기후 변화 위협에 대해 과하게 서술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강점이기도 합니다" Hell and High Water: Global Warming(2006)의 저자이자 에너지 전문가인 조셉 롬은 폭스 방송 인터뷰에 IPCC 4번째 보고서가 이미 낡은 내용이며 최근의 관측 요소를 간과한 측면이 있는데 일례로 녹고 있는 툰드라 빙하지대의 상황이 포함된다고 지적했다. IPCC가 정치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엑손모빌이 부시 행정부에 건넨 메모가 공개되면서도 문서로 확인됐다. 엑손모빌은 정치적 행보가 IPCC의 리더십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썼으며 미 행정부의 강력한 로비 활동을 촉발시켰다. 이 결과로 의장을 맡고 있던 미국 과학자 로버트 왓슨이 직에서 물러났다. 미국의 입장에서 차기 주자로 임명된 인도 출신의 과학자 파추아리는 훨씬 온건했으며 환경주의자의 측면에서도 한 발 물러나 있는 것으로 보였다.Top climate scientist oustedUS and Oil Lobby Oust Climate Change Scientist = 틀:R65 = = 분류:카자흐스탄의 에너지 = = 포털:요즘 화제/스포츠/2016년 4월 = __NOTOC__ = = 2016년 4월 14일 =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조 편성이 실시되었다. 대한민국은 피지, 독일, 멕시코와 C조에 편성되었다. = = 2016년 4월 12일 =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조 추첨이 실시되었다. = = 2016년 4월 6일 = = 박태환의 2016년 하계 올림픽 출전이 불발됐다. = = 2016년 4월 4일 = = 메이저리그 2016시즌이 개막했다. = = 2016년 4월 1일 = = 2016년 KBO 리그가 개막하였다. = 틀:FIBA 유로바스켓 2001 독일 선수 명단 = = 2016년 10월 이탈리아 중부 지진 = 2016년 10월 이탈리아 중부 지진은 2016년 10월 30일 07시 40분 (CET) 이탈리아 중부 마르케주와 움브리아주 부근을 진원으로 발생한 리히터 규모 6.6의 지진이다. 또한 본진으로부터 4일 전인 10월 26일에도 이 지역을 진원으로하는 M5.5과 M6.1의 지진이 발생했다. = 김주완 (가수) = 김주완(1984년 ~ )은 대한민국의 가수다. 2010년 싱글 그대가 아프다로 데뷔했다. 개명 전 이름은 '김순년'이었다. = = 방송 = = 슈퍼스타K2 (2010)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2 (2011) - Top70 히든싱어 2 (2013) - 김범수 편 5위 = = 음반 = = 그대가 아프다 (2010) 사랑이 이별에게 (2011) Parting Gift (2016) = 얼라이언트 인터내셔널 대학교 = 얼라이언트 인터내셔널 대학교(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얼라이언트 국제 대학교)는 미국 샌디에고에 메인 캠퍼스를, 캘리포니아주에 다른 캠퍼스들을 두고 있는 비영리 사립 대학교이다. 6개의 캘리포이나 캠퍼스들에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샌프란시스코, 샌디에고, 로스앤젤레스, 어바인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프레즈노. 등록 학생 수는 약 4,000명이며, 그 중 95%가 석박사 학생들이다. = 분류:태국의 교량 = = 분류:위 엔터테인먼트 = = 아시아 태평양 라크로스 연맹 = 아시아 태평양 라크로스 연맹(, APLU)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라크로스, 인도어라크로스 종목을 총괄하는 국제 스포츠 행정 기구이다. = = 회원국 = = 국가 협회 코드 대륙 설립 가맹 비고 뉴질랜드 라크로스 연맹 NZL 오세아니아 2005년 한국라크로스협회 KOR 아시아 1997년 2004년 말레이시아 라크로스 협회 MAS 아시아 2014년 2015년 임시회원국 몽골 라크로스 연맹 MGL 아시아 2017년 준회원국 베트남 라크로스 협회 VIE 아시아 2021년 준회원국 사우디 라크로스 연맹 KSA 아시아 2020년 2021년 준회원국 싱가포르 라크로스 협회 SGP 아시아 2013년 준회원국 오스트레일리아 라크로스 연맹 AUS 오세아니아 2004년 인도 라크로스 협회 IND 아시아 2009년 준회원국 인도네시아 라크로스 연맹 INA 아시아 2021년 2021년 준회원국 일본 라크로스 협회 JPN 아시아 1987년 2004년 중화민국 라크로스 협회 TPE 아시아 2015년 중국 라크로스 협회 CHN 아시아 2009년2012년에 준회원국으로 승격되었고, 2013년에 정회원국으로 승격되었다. 카타르 라크로스 협회 QAT 아시아 2018년 준회원국 캄보디아 라크로스 연맹 CAM 아시아 2022년 준회원국 태국 라크로스 협회 THA 아시아 2013년2013년에 준회원국으로 승인되었고, 2015년에 정회원국으로 승격되었다. 필리핀 라크로스 협회 PHI 아시아 2019년2019년에 준회원국으로 승인되었고, 2022년에 정회원국으로 승격되었다. 홍콩 라크로스 협회 HKG 아시아 2004년 = = 마재윤 (1964년) = = *저명성 부족과 해당 토론에서의 의견 등을 종합하여, 삭제 조치합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12월 4일 (목) 15:21 (KST) 마재윤 (1964년) 최광모 사용자 분의 편집을 교차 검증하던 중, 수많은 소방공무원들의 사진이 초상권자 및 소방관계 부처의 확실한 동의 없이 올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중 상당수가 소방준감급 이하는 백:저명성 (인물) 및 위키프로젝트:대한민국의 행정기관/편집 지침에 의거, 저명성이 입증되지 않아 작성되지 않아야 하는데, 작성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어디서 찾았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가족(부인) 사항은 물론, 관계 사진도 같이 올라왔는 바, 신상 털기의 의혹도 있습니다. 특히 프로게이머가 아닌 소방공무원 마재윤님의 경우 광주광산소방서장으로 지역소방서장 및 지방소방정에 불과하나, 위키페디아에 올라온 사례입니다. 최광모 사용자 및 그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았다고 언급했으나 사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아이피를 통해 편집한 각종 소방 문서를 검증, 이 사례 이외에도 몇건 발견했습니다만, 추가 교차검증을 거친 후 추가 삭제토론을 신청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Mailzzang+aus (토론) 2014년 11월 29일 (토) 23:29 (KST) = 브루나이의 코로나19 범유행 = 다음은 브루나이의 코로나19 범유행 현황에 대한 설명이다. 많은 초기 사례들이 2020년 2월 말 대규모 타블라이기 자마트 이즈테마 행사를 개최한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자메크 모스크 스리 페탈링과 연계되었다. 브루나이의 첫 50건 중 45건은 자멕 모스크와 관련이 있었다. = = 배경 = = 세계보건기구(WHO)는 12일 2019년 12월 31일 처음 WHO의 주목을 받았던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의 한 집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호흡기 질환의 원인임을 확인했다. 이 군단은 처음에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험실 확정 결과가 나온 그 첫 사례들 중 일부는 시장과 연관성이 없었고, 전염병의 근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03년 사스와 달리 COVID-19의 경우 치명률은 훨씬 낮았지만, 총 사망자 수가 상당할 정도로 감염 경로는 훨씬 더 컸다. COVID-19는 전형적으로 약 7일 정도의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그 후 일부 사람들은 병원에 입원해야 하는 바이러스성 폐렴의 증상으로 발전한다. 3월 19일부터 COVID-19는 더 이상 "높은 결과 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 제2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제2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1973년의 최고의 영화를 기리기 위해 1974년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 = = = = 작품상 = = = 사랑의 묵시록 수상 = = = 데이빗 린 상 = = = 사랑의 묵시록 - 프랑수아 트뤼포 수상 = = = 칼 포먼 상 = = = 하수인 - 피터 에건 수상 = = = 남우주연상 = = = 부부 - 월터 매튜 수상 돌파구 - 월터 매튜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부르조아의 은밀한 매력 - 스테판 오드랑 수상 스테판 오드랑 수상 = = = 남우조연상 = = = 아서 로우 수상 = = = 여우조연상 = = = 사랑의 묵시록 - 발렌티나 코르테스 수상 = = = 각본상 = = = 부르조아의 은밀한 매력 - 루이스 부뉴엘 수상 = = = 편집상 = = = 자칼의 날 - 랠프 켐플레 수상 = = = 촬영상 = = = 안소니 B. 리치몬드 수상 = = = 음향상 = = =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Les Wiggins 수상 = = = 의상상 = = = 하수인 - 필리스 달톤 수상 = = = 미술상 = = = 하수인 - Natasha Kroll 수상 = = = 안소니 아스퀴스상 = = = Alan Price 수상 = = = UN상 = = = 계엄령 수상 = 분류:나라별 1087년 = = 판이천 = 판이천(, 린갓, 1978년 11월 3일 ~ )은 타이완의 배우, 영화배우, 작곡가 겸 작사가, 텔레비전 배우이다. 둥허향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K가 · 정인 · 몽 무해가격지 고수여림 = = 영화 = = 흑백조상관 (2017년) 국주 (2016년) 이커머스 타임스 (2015년) 아문적십년 (2015년) 파이팅 유스 (2015년) K가 · 정인 · 몽 (2013년) 분홍여랑 (2012년) 삼월정유감 (2012년) 폭주파, 여인 (2012년) 흉간설산 (2012년) 초안물조 (2012년) 야점궤담 (2012년) 무해가격지 고수여림 (2011년) 분수달인 (2011년) 갱스터 록 (2010년) 애도저 (2009년) 하이자오 7번지 (2008년) = 야나기가우라 고등학교 = 야나기우라고등학교 (柳ヶ浦高等学校, Yanagigaura High School)는 오이타현 우사시에 있는 일본 사립 고등학교이다. 2020년에 창립 110주년을 맞이한 유서 깊은 고등학교이다. 현지에서는 "야나코우" "야나기" 애칭으로 불리는 전국적인 스포츠 명문 고등학교이다. = = 개요 = = 학교법인 요시모치 학원에 의해 설치된 고등학교 축구 야구 등의 스포츠 활동에서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포츠 명문 고등학교이다. 그리고, 가까운 이웃인 후쿠오카현등 주변에서 통학하는 학생도 많다. 현 외의 학생은 학교내의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학업스포츠에 힘쓴다. 간호학과, 보통과 2학과 설치 간호학과는 큐슈에서 최고의 역사를 가진 학교 중 하나다. 5년제 일관 교육제도를 받게 되고, 의료에 종사하기 위한 사람으로 교육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보통과 내에 신설된 인터내셔널코스는 유학생 대상의 일본어수업도 있고, 국제성을 중시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의 유학생도 재학하고 있으며, 유학생으로써의 교류행사도 행해지고 있다. 관광자원이 풍부하고 국제교류가 넘치는 오이타 현에 위치한다. 넓은 우사히라노중심부에 있으며, 역사와 문화재, 아름다운 자연의 환경에서 학교생활을 보낼 수 있다. = = 연혁 = = 1910년 - 야나기가우라 재봉 여학교로 설립 1924년 - 야나기가우라고등 기예 학교로 개칭 1941년 - 야나기가우라고등 여학교로 개칭 1945년 - 우사 공습에 의해 소실 폐교 1948년 - 학제 개혁 에 의해, 현재 위치에 야나기가우라 여자 고등학교로 재건 (구 우사 해군 항공대 부지의 일부) 1951년 - 학교법인 요시모치 학원으로 조직 변경 1966년 - 남녀 공학 화하고 야나기가우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위생 간호과 설치 1983년 - 위생 간호 전공과를 설치 2002년 - 간호학과를 설치 2020년 - 인터내셔널 코스를 설치 = = 학과 = = 보통학과 체육 진학 코스 보통일반 코스 (내국인) 인터내셔널 코스 (유학생 및 귀국 자녀) 간호학과 (5년제) = = 교육 목표 = = 교육 이념 각 과 각각 특색있는 교육의 진로 추진에 힘쓴다. 각 학생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적극적으로 끌어내고, 개화시킨다. 교사와 학생의 인간적 접점을 소중히 하고, 풍부한 인간성의 성장을 도모한다. 기초, 기본의 학력을 충실히 시키고 지적 탐구심의 불러일으키도록 도모한다. 생생한 집단활동을 조직하면서, 폭 넓은 사교성, 자립성을 몸에 익힌다. 교육 특색 종합적인 자습시간의 선도적인 대처 고교생의 유치원생의 다른 연대 교류 실제 사회에서의 봉사활동 교육 추진 개개인을 소중히 하는 이해하는 수업을 추진 학습형태의 연구와 섬세한 지도를 철저히 함 부활동의 활성화 섬세한 진로지도로 희망진로 달성 = = 유니폼 = = 남자 동복 : 브라운자켓, 회색 팬츠, 긴팔셔츠, 넥타이, 그레이 베스트 하복 : 반팔와이셔츠, 회색 팬츠 여자 동복 : 브라운자켓, 체크스커트, 긴팔셔츠, 리본, 그레이 베스트 하복 : 반팔블라우스, 체크스커트 = = 부활동 = = 운동부 남자야구, 남자축구, 여자축구, 유도, 검도, 육상, 농구, 카라테, 골프 문화부 브라스밴드, 인터액트 동호회 배구, 치어걸, 요리, 영어 회화, 변론, 일러스트, 꽃꽂이, 서예, 사진 = = 입시 = = 운동이 특기인 학생들이 입시하기 유리하다. 일본외 거주자는 야나기가우라 고등학교 한국사무소 지정장소에서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시험을 치를 수 있다. = = 졸업생 저명 인사 = = 야마시타 카즈히코 (전 프로 야구 선수) 기요하라 유이치 (전 프로 야구 선수) 야마모토 다이키 (전 프로 야구 선수) 오카모토 카츠노리 (전 프로 야구 선수) 와키야 료타 (전 프로 야구 선수) 키라 도시노리 (전 프로 야구 선수) 야마구치 슌 (프로 야구 선수) 다나카 에이토 (프로 야구 선수) 이쿠타 츠토무 (대학 야구 일본 대표 감독, 아시아대학 경식 야구부 감독) 김상우 (프로 축구 선수) 후지모토 요헤이 (사회인 축구 선수) 야노 미노루 (사회인 축구 선수) 니부야 카즈히로 (풋살 선수) 김현범 (프로 축구 선수) 마츠다 하루나 (프로 축구 선수) 오노다 마사히토 (프로 축구 선수) 후지사와 타쿠토 (전 프로 야구 선수) = = 통학 수단 등 = = 가장 가까운 기차역 등 JR 닛포 본선 야나기가우라역 (도보15분) 오이타 교통 버스 야나기가우라 고교 앞 정류장 자가용 오이타공항, 기타규슈 공항 (차로 60분) 후쿠오카 공항 (차로 110분) = = 인근 시설 = = 우사 신궁, 큐슈 자연 동물 공원 아프리칸 사파리 벳푸, 유후인, 나카츠 야바계곡, 분고 타카다 쇼와 마을 오이타현 고등학교 목록 일본 간호에 관한 학과 설치 고등학교 목록 = 마쓰다이라 요시토 = 마쓰다이라 요시토(松平吉透)는 이즈모 마쓰에 신덴 번주, 동국 마쓰에번 제4대 번주를 지냈다. 나오마사계 에치젠 마쓰다이라 종가(直政系越前松平家宗家) 제4대 당주. 아명은 고마쓰(幸松). 마쓰에 번주 마쓰다이라 쓰나타카의 오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히라가씨(平賀氏)이다. 마쓰에 번 선대 번주이자 이복 형인 마쓰다이라 쓰나치카의 편휘인 지카(近)를 받아 지카노리(近憲)로 개명하였다. 쓰나치카 말년에 동생 지카노리에게 1만 석을 분지하여 지카노리는 마쓰에 신덴 번주가 되었고 번주가 된지 얼마 되지않아 마쓰에 번주 쓰나치카는 동생 지카노리를 양자로 들였고쓰나치카의 자식들이 요절함으로 인해 건강상의 이유로 은거하였다. 쓰나치카의 양자로서 마쓰에 번 가독을 물려받았고 신덴 번은 마쓰에 번으로 편입되어 폐번되었다. 마쓰에 번주가 된지 얼마 되지않아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편휘인 요시(吉)를 받아 요시히데(吉秀)로 개명이후 불분명한 이유로 히데(秀)에 책받침변(之)을 첨가하여 도(透)로 바꾸었다.하였다. = 모듈:Location map/data/China Chongqing/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China_Chongqing/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1999 축구 리그 = = 안화리 = 안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安花里)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화리(安和里) = = 기타 = = 안허리() 온워리() = 분류:대한민국에 거주한 불가리아인 = = 나무클라우드 = 나무클라우드(NamuCloud)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로, 2013년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언어는 한국어, 영어를 지원한다. 현재 서비스는 namucloud myPC(개인서버용) 서비스중에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PC, 웹 및 모바일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 = 역사 = = 2013년 국내 클라우드 사이트인 나무클라우드를 개설하였다. 2017년 2월 말 무료 서비스가 종료되고 같은 해 3월 말 유료 서비스가 종료되고 LG U+와 함께 그룹 클라우드 서비스 팀박스로 이전하게 된다. private personal pc cloud service인 namucloud mypc 서비스로 다시 시작했다. = = 특징 = = namucloud myPC 내 PC에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윈도우OS 가 설치된 모든 기기에 설치가능. USB 와 동일하게 문서 직접수정. 문서 수정을 위해 업 다운로드가 필요없다. 정보 유출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공유 문제로 외부에 파일 업로드가 필요없다. 자신의 PC에 장착되어 있는 고용량 하드를 사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 가능. (현재 iOS, 안드로이드 사용 가능) 복잡한 서버 셋팅과 전문 서버지식 없이 윈도우가 설치된 기기에 사용자가 쉽게 클라우드 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 *저렴함 만이 장점 같다. 단점 namucloud myPC 유료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고용량 폴더 업로드가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하다. 쉽게 설치 할 수 있는 반면 앱과 클라이언트 및 서버프로그램의 안정화가 매우 미흡하다. 윈10에서 지원하는 긴파일 이름이나 경로 지원이 되지 않는다. *WOL등의 기능이 전혀 없다. *요즘같은 고용량 파일시장에 1테라 넘는 파일을 못올리는 문제에 대한 자각이 부족하다. = 혼쓰바타역 = 혼쓰바타역은 일본 이시카와현 가호쿠군 쓰바타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나나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역사 측 ■ 나나오 선 하행 하쿠이 · 나나오 방면 반대 측 ■ 나나오 선 상행 쓰바타 · 가나자와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4 575 2005 520 2006 504 2007 503 2008 507 2009 504 2010 488 2011 464 2012 475 2013 487 2014 445 = = 역 주변 = = 쓰바타 정청 = 주가나 대한민국 대사관 = 주 가나 대한민국 대사관은 1978년 가나 아크라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대사관이다. = = 역대 공관장 = = 대수 성명 임명 제1대 대사 박창남 1978년 6월 제2대 대사 황광한 1981년 1월 제3대 대사 안영철 1983년 1월 제4대 대사 남홍우 1986년 10월 제5대 대사 오정일 1989년 10월 제6대 대사 신효헌 1992년 2월 제7대 대사 황부홍 1993년 4월 제8대 대사 백기문 1996년 2월 제9대 대사 박승무 1997년 12월 제10대 대사 정의민 2000년 7월 제11대 대사 이상팔 2003년 6월 제12대 대사 위계출 2006년 12월 제13대 대사 이상학 2008년 9월 제14대 대사 견제민 2011년 9월 제15대 대사 여운기 2014년 11월 제16대 대사 김성수 2017년 4월 제17대 대사 임정택 2020년 12월 제18대 대사 박경식 2024년 1월 = 분류:콜롬비아의 산업 = =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혹은 트루 인디고로 불리는 이 식물 종은 인디고 염료에 사용되는 콩과 종류이다. 이것은 주로 열대 지방, 온대기후의 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등에 서식했지만, 전세계 많은 나라들이 경작을 시작하면서 본서식지가 어디인지 불분명해졌다. 오늘날 많은 염료들이 합성 염료이지만, 자연 염료 (즉 틴토리아)는 아직도 시장에서 자연 색깔로 팔린다. = 긴지름 = 긴지름은 타원에서 타원의 두 초점을 이은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두 점을 이은 선분을 말하며, 긴반지름의 두 배이다. = 니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대학교 = 니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대학교는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알프마리팀주의 니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빌프랑슈쉬르메르에 있는 국립 대학이다. = 오야마쓰미노카미 = 오야마쓰미노카미(는 일본 신화의 신이다. = = 신화에서의 기술 = = 신 출산에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사기에서는 그 후, 풀과 들의 신인 카노야 마노 히메 신 와의 사이에 이하의 4대 야바시라의 신을 낳고 있다. 그 후, 이자나기가 가우 돌지를 참살하다 때 가우 돌지의 몸에서 이하의 산 진견야 하시라가 태어나고 있다. 정카야마 츠 견신 어등 야마즈 견신 오쿠야마 츠 견신 어둠 야마즈 견신 지예 야마즈 견신 하야마 츠견신 하라야마 츠 견신 도야마 츠 견신 오오 야마츠미 자신에 대한 기술은 별로 없고 오오 야마츠미의 자식이라고 밝힌 신이 몇번 등장한다. 팔기 큰 뱀 퇴치에서 소잔오 존 의 아내가 되진기 이나다 히메 의 부모, 족명 추명 손 명추 생명(발병·그런병)는 오오 야마츠미의 자식이라고 일컬어진다. 그 뒤 스사노오 의 계보에서 오호야마츠미 신의 딸인 신대시 히메 신 사이에 대년신과 운가의 미타마을 벌고 있다고 적고 있다. 또 크시나다히메과의 혼혈아, 야시마사 놈 미는 오오 야마츠미의 딸의 고노하나노사쿠야 와 결혼하며 천 파능 어머니 을 낳고 있다. 후하노모직느스느의 자손이 너무 크니 시이다. 천손 강림 이후 니니기는 오오 야마츠미의 딸인 고노하나노사쿠야와 만나 오오 야마츠미은 고노하나노사쿠야 과 그 언니 이와나가 히메를 내밀었다. 니니기이 모양이 더러워져 이와나가 히메만 돌아온 오오 야마츠미는 그것을 분노,이와나가 히메를 곁들인 것은 천손이 바위처럼 영원할 꺼라고 서약을 세운 때문, 이와나가 히메를 돌려보낸 것에서 천손의 수명은 짧아질 것 이라고 말했다. = = 해설 = = 카미나의 트럭은 의, 미인은 신령의 뜻이므로오오 야마츠미는 위대한 여편네라는 의미이다. 별명의 합 다지 오가의 제는 바다의 고어로, 바다의 신을 나타낸다. 즉, 산, 바다를 모두 관장하는 신이라는 것이다. 또, 목화지개야 공주가 언화화출견 미코토(히코 볼에서 보)을 낳은 것을 기뻐했다 오 야마츠미이 천첨 술(엿읜 노무 자케)을 만드는 신과 함께 왜 나막신과 기술도 있어 주조의 신 술 해신과되었다. 이 외, 군신, 무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오오야마 아부리 신사(가나가와 현 이세하라 시), 우메 미야 타이샤(교토시 우쿄 구)외, 전국의 미시마 신사·야마즈미 신사에 모신다. 전국의 미시마 신사·야마즈미 신사의 총 본사가 대산기 신사(에히메현 이마바리시 오오미 시마 마치)및 미시마 타이샤(시즈오카 현 미시마 시)이다. = 분류:청송군의 건축물 = = 분류:제8차 십자군 관련자 = = 영국 (동음이의) = = = 국가 = = 영국(英國)은 본래 잉글랜드를 한자로 번역한 것이지만, 잉글랜드를 포함하는 국가를 모두 포함한다. 현존하는 국가인 ‘영국’은 다음과 같다.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1927년~현재)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영국’이다. 문맥에 따라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을 구성하는 네 나라 중 하나인 잉글랜드만 ‘영국’으로 불리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역사적으로 ‘영국’이라고 부르는 옛 국가들로 다음이 있다. 잉글랜드 왕국(927년~1649년, 1660년~1707년) 잉글랜드 공화국(1649년~1660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1707년~1800년)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1801년~1927년) 또한 다음을 가리키기도 한다. 대영 제국은 제국주의 시대에 ‘영국’(본국만 가리킴)과 그 속령(식민지·자치령·왕실령)들을 모두 아울러 불렀던 명칭이다. 영연방은 대영 제국의 후신으로, 현재 국가 간의 대등한 연합체로 되어 있다. 다음은 엄밀히 말해 지리 용어이나 때때로 ‘영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레이트브리튼섬 브리튼 제도 = 틀:정당색/루마니아/설명문서 = = 앱 스토어 (tvOS) = 앱 스토어(App Store)는 애플 TV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의 TVOS 앱을 위해 애플이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는 디지털 배포 플랫폼이다. 2015년 9월 9일 애플 2015 행사에서 4세대 애플 TV와 함께 발표되었다. = = 개발 = = tvOS는 개발자들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개발 도구들을 갖추고 있으며, tvOS는 개발자들이 메탈과 같은 iOS 9에 포함된 모든 API들을 포함하여 TV용 앱을 만들 수 있도록 완전히 새로운 SDK를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탐색,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는 앱 스토어를 추가한다. 게다가, 개발자들은 이제 애플의 인터페이스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애플리케이션 안에서 그들 자신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tvOS는 iOS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Xcode로 기존 iOS 앱을 애플 TV에 이식하는 것이 쉬우면서도 큰 화면에 더 잘 맞게 앱을 몇 가지 개선만 할 수 있다. 애플은 등록된 모든 애플 개발자에게 Xcode를 무료로 제공한다. 새로운 Apple TV용으로 개발하려면 프로그램 아이콘의 시차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애플은 애플 TV용 개발 도구에서 패럴런스 엑스포터와 프리뷰러를 제공한다. = 첵키생 나가족 = 첵키생(Chakhesangs) 부족은 인도 나가랜드주에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가족이다. 첵키생인들은 지금은 분리된 부족이지만 과거 동쪽지역의 안가미스(Angamis) 나가부족들이다. 이부족은 Chokri 와 Khezha로 알려진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Chakhesang이라는 이름은 Chokri 족 그리고 Khezha 또 Sangtam 족이 합하여 세 종족의 두문자어로 만들어졌다. 이 부족의 대부분의 마을은 나갈랜드주의 Phek 지역 에 속한다. Chakhesang 가운데 두마을은 Manipur의 Ukhrul 지역에 있다. 종교는 대부분 기독교인들이다. = 흐르는 음악처럼 = 흐르는 음악처럼은 KBS 강릉FM에서 평일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방송되는 가요음악, 팝 음악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 진행자 = = 김단우 아나운서 (여) = = 기획의도 = = 클래식의 즐거움을 알고 싶지만 어렵고 딱딱한 클래식! 왠지 접하기 어려우시죠? ‘흐르는 음악처럼’과 함께 하세요.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접목한 ‘세미클래식’으로 클래식과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어디선가 접했던 친숙한 멜로디를 다양한 악기로 재해석하여 전해드립니다. = = 제작진 = = 제작 : 김한수 작가 : 박소영 = 더 나인스 써클 = 더 나인스 써클(DEVETI KRUG, THE NINTH CIRCLE)은 크로아티아에서 제작된 프랑스 스티그릭 감독의 1960년 드라마, 전쟁 영화이다. 두시카 제가라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두시카 제가라크 = 리부셰 샤프란코바 = 리부셰 샤프란코바(Libuše Šafránková, 1953년 6월 7일 ~ 2021년 6월 9일)는 체코의 배우이다. 1996 체코 사자상 여우주연상 수상자이다. = = 출연 작품 = = 호스티지 (2014) 더 돈 후안 (2013) 더 매직 오브 킹스 (2008) 콜리야 (1996) 거지의 오페라 (1991) 나의 고향 (1985) 솔트 & 골드 (1983) 신데렐라를 위한 세 개의 너츠 (1973) = 에스페란자 돌 = 에스페란자 돌 (Esperanza Stone)은 멕시코 야키 강의 계곡에서 발견된 큰 (2미터) 새겨진 돌이다. 이는 1909년에 F. R. 번햄 소령과 찰스 프레드릭 홀더에 의해 발견과 함께 발굴되었다. = 분류:백양중학교 (경기) 동문 = = 분류:파랑새목 = = 분류:카탈루냐에서 촬영한 영화 = = 분류:1903년 경제 = = 틀:큰국기나라/구현 = = 2의 보수 = 2의 보수( 補數, )란 어떤 수를 커다란 2의 제곱수에서 빼서 얻은 이진수이다. 2의 보수는 대부분의 산술연산에서 원래 숫자의 음수처럼 취급된다. 주어진 이진수보다 한 자리 높고 가장 높은 자리가 1이며 나머지가 0인 수에서 주어진 수를 빼서 얻은 수가 2의 보수이다. 혹은 주어진 이진수의 모든 자리의 숫자를 반전(0을 1로, 1을 0으로)시킨 뒤 여기에 1을 더하면 2의 보수를 얻을 수 있다. = = 예시 = = 8자리의 이진수 01001011(십진수로 75)의 2의 보수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100000000 (8+1=9자리) > 256 -) 01001011 (8자리) -> 75 - 10110101 (8자리) -> 181 1의 보수를 이용하여 2의 보수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01001011 의 모든 자리의 수를 반전시킨다. 10110100 (이것을 1의 보수라고 부른다) 여기에 1을 더한다. 10110100 -> 180 +) 00000001 -> 1 - 10110101 -> 181 보수를 구하며 한 자리가 더 길어진 경우에는 가장 높은 자리의 숫자를 버린다. = = 2의 보수를 이용한 뺄셈 = = 100-75는 100+(-75)와 같으므로 01100100 +) 10110101 - 100011001 새로 생긴 가장 높은 자리의 숫자를 빼고 남은 00011001은 십진수로 25와 같으며 이는 계산하려던 식의 결과이다. 2의 보수에서는 가장 높은 자리에서 자리 올림이 발생시 무시하므로 1의 보수보다 계산이 간단하다. = = 컴퓨터에서의 2의 보수 = = 컴퓨터(CPU)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레지스터와 ALU인데, 정수형 처리는 ALU에서 이루어진다. 레지스터도 그렇고 ALU도 그렇고 설계 상 비트수를 결정하고 만들어야 한다. CPU의 비트수 제한으로 인해 이진법 계산의 적용에서 비트를 벗어나면 버리게 된다. CPU는 4비트부터 시작했지만, 사용은 주로 8비트와 32비트 이상을 많이 사용한다. 16비트도 있지만 시장점유율이 그리 높지 않다. 2의 보수를 적용할 때, 프로그램에서 부호를 지정하는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 = =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2의 보수 = = = char chr; chr = -3; chr += 4; int inum = -7; 여기서 char는 8비트 정수형 변수이다. 정수형인데 unsigned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부호를 갖는 정수형 변수이다. -3은 컴파일러가 다음과 같이 이진수로 바꾸어 기계어 코드와 결합 한다. . 00000011 (+3 - 8자리) . 11111100 (3의 1의 보수) +) 00000001 (1 더하기) - 11111101 (-3) C언어에서 -3까지의 이진수 변환은 컴파일러가 한다. CPU내부에서 3을 -3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다. 'chr += 4;' 연산은 ALU에서 하는데, 다음과 같이 이진수로 나타낼 수 있다. . 11111101 (-3) +) 00000100 (4 더하기) - 1 00000001 (1) 여기서 MSB의 1은 버리고 8비트만 레지스터 저장한다. 이렇게 ALU을 계산할 때, 8자리에서 9자리로 넘어가는 이진수를 Carry라고 하고 CPU 레지스터 중에 Flag 레지스터에 저장 하여 올림이 되었는가를 저장한다. 결국 최종 계산 값은 00000001이 된다. int 변수는 16/32비트를 사용하도록 하는 변수 인데, 32비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11 (+7 : 32자리)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 (7의 1의 보수)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7의 '1의 보수' + 1 : 더하기)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1 (-7) = = = 자바에서 2의 보수 = = = 자바는 특정 CPU와 관계 없기 때문에 변수에 따라 비트수가 결정되어 있다. byte : 8비트 정수형 short : 16비트 정수형 int : 32비트 정수형 long : 64비트 정수형 자바에서의 byte는 C언어의 char와 같다. 이 비트 한계에서 이진수가 취급되고 만약 숫자 연산에서 자릿수가 벗어나면 C언어처럼 버린다. = 분류:헝가리의 정치사 = = 분류:21세기 군주 = = 오베라는 남자 = 오베라는 남자는 2012년 발행된 스웨덴의 소설로, 프레드리크 바크만이 집필했다. 2015년 영화화되어 동명 영화로 공개되었다. = 앨리스 (텍사스주) = 앨리스(Alice)는 미국 텍사스주 짐웰스군의 도시이자 군청 소재지이다. 인구 수는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19,104명이다. 앨리스는 1888년 세워졌다. 처음에는 반다나(Bandana), 클레버그(Kleberg), 이후에 킹 랜치를 세운 리처드 킹의 딸 Alice Gertrudis King Kleberg의 이름을 따서 앨리스(Alice)로 명명되었다. = 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방송인 = = 베아테 빌레 = 베아테 카롤리네 빌레(, 1976년 11월 17일 ~ )는 덴마크의 배우이다. 할머니는 소설가 이레네 입센 빌레이며, 노르웨이의 작가 헨리크 입센의 손녀이다. = = 출연 작품 = = 디텍티브스 (2013) 드라벳 (2005) = 틀:비자유 홍보 자료/설명문서 = 이 틀은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시 파일의 설명 하단에 붙이는 저작권 태그입니다. 홍보 자료을 인용할 경우 사용합니다. 이 틀은 을 대신하지 않으며, 해당 파일을 이용해야 하는 근거가 부족한 파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틀을 사용한 파일은 자동으로 :분류:비자유 홍보 자료에 들어갑니다. = = 같이보기 = = 틀:비자유 로고 틀:비자유 포스터 = 이장우 = 이장우는 다음 동명이인이 있다. 이장우(李章雨, 1871년~1944년)는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본 제국 조선의 관료다. 이장우(李莊雨, 1965년~)는 대한민국의 제19대, 20대 국회의원이자 민선 8기 대전광역시장이다. 이장우(李章雨, 1967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장우(1970년~)는 대한민국의 성우다. 이장우(1973년~)는 대한민국의 가수다. 이장우(1986년~)는 대한민국의 배우다. = 카딤 하디슨 = 카딤 하디슨(Kadeem Hardison, 1965년 7월 24일 ~ )은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성우이다. 베드퍼드스타이베선트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러브 이즈 K.C. 언더커버 시즌3 K.C. 언더커버 시즌2 K.C. 언더커버 컬트 = = 영화 = = K.C. 언더커버 (2015년) 안드로이드 캅 (2014년) - 존스 역 더 다크 파티 (2013년) - 제프 역 이스케이피 (2011년) 더 스윕 (2008년) 남주기 아까운 그녀 (2008년) - 펠릭스 역 브랏츠 (2007년) 러브 헐리우드 스타일 (2006년) 인생은 동화가 아니다: 판타지아 바리노 이야기 (2006년) - 조셉 바리노 역 에브리바디 헤이츠 크리스 (2005년) 하우스 M.D. (2004년) 던스모어 (2003년) 너의 아버지가 누구냐? (2003년) 페이스 오브 테러 (2003년) - 제퍼슨 역 바이커 보이즈 (2003년) 레드 스카이 (2002년) 쇼타임 (2002년) - 카일 역 보디가드 (2001년) - 랜스 디포드 역 땡크 헤븐 (2001년) - 빌리 페렐 역 블라인드 페이스 (1998년) 식스맨 (1997년) 드라이브 (1997년) - 맬릭 브로디 역 표범 (1995년) 브룩클린의 뱀파이어 (1995년) 르네상스 맨 (1994년) - Pvt. 자말 몽고메리 역 그레이 건맨 (1993년) 덩크슛 (1992년) 드림 데이트 (1989년) 아임 고너 깃 유 서카 (1988년) 스쿨 데이즈 (1988년) 래핑 (1985년) = 백철 = 백철(白鐵, 일본식 이름: 白矢世哲시라야 세테쓰, 1908년백씨 태인파보(1926, 白文定 )에는 1906년이라 한다. 3월 18일 ~ 1985년 10월 13일)은 한국의 문학평론가로, 본명은 백세철(白世哲)이다. 본관은 태인이다. = = 생애 = = 그는 대한제국 평안북도 의주 지방의 소지주 집안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대한제국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군 수원면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27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1930년 1월 초에 시인으로 첫 등단하였으며 그 후 1931년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 취득하였다. 그는 처음에 시인으로 첫 등단하였지만 1932년에 문학평론가로 전향하였으며 그 후 일제 강점기 후반 시절 천황(일본 군주)을 찬양하는 글들을 발표하며 친일파로 활동하였다. 도쿄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전일본무산자예술연맹에 가담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을 시작하였고, 당시 프로 시단의 최일선 동인지 전위시인에 시 〈9월 1일〉·〈우리들은 알았다 비라의 의미를〉, 평론 〈프롤레타리아 시이노가 실천문제〉를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약했다. 1931년 귀국한 뒤 잡지 개벽의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중앙위원으로서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셀 프루스트 류의 신심리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주의를 옹호하는 평론을 쓰며 카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이 발생하여 백철도 체포되었다. 전주형무소에서 약 1년 반 동안 수감 생활을 겪고 난 뒤, 객관적 정세가 불리하게 변함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것을 주장하면서 지식인 계층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하는 평론을 발표하여 문학적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 중일 전쟁 이후로 매일신보 학예부장과 베이징 지부장 등을 지내며 조선문인협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유치진의 현대극장에 부설된 국민연극연구소에서 강사를 맡기도 했고, 조선문인보국회에는 평의원으로 가담했다. 쇼와 천황이 해군 함정을 돌아보는 광경을 묘사한 〈천황폐하 어친열 특별관함식 배관근기〉(1940) 등 총 14편의 친일 저작물도 발표 하였다.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여러 차례 지냈다. 일제 강점기의 신경향파 평론은 문학을 사회적 영향 관계에 종속되는 것으로 파악했으나, 1950년대의 평론에서는 문학의 역할에 대한 견해가 우파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미국의 신비평이론 등 외국의 문학이론을 소개하는 계몽적인 글을 발표하거나 이무영으로 대표되는 농민 소설의 재발견에 관심을 보였다. 1966년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문학계의 현대문학사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술원상, 국민훈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 = 사후 = =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들어 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 가족관계 = = 조부 : 원호(源浩, 1849년 ~ ? )백관묵의 족질이다 백부 : 연근(連根) * 종형 : 세보(世輔) 부 : 무근(茂根, 1878년 ~ ? ) 백모 : 강릉 최씨(江陵崔氏) 최중희(崔重禧)의 女 모 : 조근화(趙根嬅) 성건당(誠建堂) 충주 조씨(忠州趙氏), 조영록(趙永祿)의 女 * 형 : 백세명(白世明, 1899년 ~ 1970년) 천도교 고위간부 * 형수 : 남원 양씨 (南原梁氏) 양봉하(梁奉河)의 女 * 형수 : 밀양 박씨(密陽朴氏) * 동생 : 세옥(世沃, 1912년 ~ ? ) = = 참고자료 = = * * * =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 미니 디스플레이포트(Mini DisplayPort, MiniDP, mDP)는 디스플레이포트 오디오-비주얼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미니어처 버전이다. 2008년 10월에 애플이 발표하였다. 2013년에 모든 신형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들은 이 포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2016년에 애플은 이 포트를 새로운 USB-C 단자로 대체하기 시작하였다. 미니 디스플레이포트는 또한 일부 PC 메인보드에도 호환되며, 에이수스, 마이크로소프트, MSI, 레노버, 도시바, HP, 델 등의 제조업체의 일부 PC 노트북과도 호환된다. 이전의 미니-DVI와 마이크로-DVI와 달리, 미니 디스플레이포트는 디스플레이포트 1.1a 구현에서 최대 2560×1600(WQXGA), 디스플레이포트 1.2 구현에서 4096×2160 (4K)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다. 미니 디스플레이포트는 어댑터를 사용하면 VGA, DVI, HDMI 인터페이스의 장치들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애플은 미니 디스플레이포트에 대해 자유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라이선스를 받은 사람이 애플에 대한 특허 침해를 행할 경우 라이선스를 취소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 디어 보이즈 = 디어 보이즈는 야가미 히로키가 원작한 만화 작품. 2007년 제31회 코단샤 만화상 소년부문 수상. 슬램 덩크 이후 드물었던 농구 만화계와 애니메이션계에 다시 등장했다. 특히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제작비 절감이 가등해졌고, 미소년 캐릭터들의 등장으로 여성 팬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 = 줄거리 = = 가나가와 현립 미즈호고교 농구부의 이야기를 다룬다. = = 등장인물 = = = = = 미즈호 고교 농구부 = = = 텐도우지 고교에서 전학을 온 남학생. 점프력과 스피드가 뛰어나며 농구부 활동이 끝나면 비디오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성격의 인물 미즈호 고교 농구부의 주장이며, 여성 농구부의 주장인 무츠미와 연인이다. 코치와의 폭력 사건으로 인해 농구부가 1년간 활동 중지라는 징게를 받게 만든다. 미즈호 고교 농구부 소속으로 곱상한 외모의 미소년. 늘 냉정하고 침착해서 팀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며 후지와라와 중학교 시절부터 친구사이이다. 미즈호 고교 농구부 소속으로 쉽게 흥분하는 다혈질 성격의 인물이지만 승부근성이 강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ㅣ. 미즈호 고교 농구부 소속으로 내성적인 성격의 소유자. 큰 덩치와 먹을 것을 들고 다니는 것때문에 아저씨라고 놀림을 당한다. 미즈호 고교 농구부의 자문겸 감독. 아이카와의 담인 선생님으로 영어 담당이다. 미즈호 고교 여성 농구부의 부주장으로 아키요시의 친구이자 여성 농구부 부주장이다. 아이카와 , 후지와라의 같은 반 친구. 미즈호 고교 여성 농구부의 주장으로 후지와라 타쿠미의 연인이다. 미즈호 고교 남자 농구부의 매니저. 타쿠미의 중학교 후배로 중학교 재학시절 여성 농구부의 일원이었으나 심한 부상으로 은퇴했다. 팀원들에게 싫은 소리도 거침없이 하는 성격으로 또 다른 농구만화 슬램 덩크의 아야코 (이한나)와 같은 역할이다. = = 성우 = = 이상헌 - 정관우 역 이상범 - 강태석 역 윤소라 - 나원선 , 한혜리 역 김희선 - 류세희 역 배주영 - 이미나 역 유동균 - 서지훈 역 김기철 - 마상열 역 이장우 - 박동식 역 정현경 - 신연선 역 소연 - 이승연 역 정윤정 - 김주영 역 = = = 부제 = = = 일부 화수에 있는 괄호는 애니원 방영 당시의 부제 명칭. 제1화 : 신경 쓰이는 전학생 제2화 : 남자 농구부 부활시키다? 제3화 : 연습시합의 상대는? 제4화 : 질 수 없는 의지 제5화 : 상처투성이의 반격 제6화 : 각각의 추억 제7화 : 불안한 공기 제8화 : 차가운 비 제9화 : 네가 있으니까 제10화 : 닫혀버린 정열 제11화 : 꿈을 이은 사람들 제12화 : 만남은 갑자기... 제13화 : 맞지 않는 톱니바퀴 제14화 : 불안과 부담 제15화 : 라이벌들 제16화 : Dead Heat 제17화 : Never Give Up! 제18화 : Game Set 제19화 : 결승의 상대는? 제20화 : 흔들리는 결심 제21화 : 서로 의지하는 동료들 제22화 : 6번째 멤버 제23화 : 결승 제24화 : 일보전진 일보후퇴 제25화 : 결과... 그리고 제26화 : 내일을 향해... = = = 주제가 = = = 〈Sound of Bounce〉 / 노래 : DA PUMP 〈Sound of Bounce〉 / 노래 : 이선일 , TULA 〈Baller의 신호〉/ 노래 : CHRIS = 분류:영국의 제19대 하원 의원 = = 박영준 = = = 실존 인물 = = 박영준(朴永俊, 1510년 ~ 157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박영준(朴永俊,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다. 박영준(朴榮濬, 1911년 ~ 1976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박영준(朴永俊, 1960년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박영준(1985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박영준(로봇공학자)은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이다. = = 가공 인물 = = 박영준: 싸인 (드라마)의 등장인물 박영준: 신라의 달밤 (영화)의 등장인물 박영준: 미씽: 그들이 있었다 2의 등장인물 박영준: 파도 (1999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박영준: 베스트셀러 (2010년 영화)의 등장인물 박영준: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의 등장인물 = 토르소스시 = 토르소스시는 스웨덴 칼마르주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토르소스이며 면적은 605.23km2, 인구는 7,063명(2016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12명/km2이다. = 분류:2013년 우크라이나 = = 분류:기장군의 무덤 = = 클루이드주 = 클루이드주(Clwyd)는 웨일스의 주로, 주도는 몰드이다. = = 지역 = = 덴비셔 렉섬 자치시 플린트셔 포이스의 일부 = 유석우 = 유석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유석우(庾錫祐)는 일제 강점기에 대동일진회와 입헌혁정당에서 활동했다. 유석우은 대한민국의 시인 겸 미술인이다. = 분류:나라별 음악 경연회 = = 분류:그리스의 도시별 출신 = = 분류:2017년 K7리그 보령에 관한 틀 = = 구영탄 = 구영탄은 대한민국 만화가 고행석의 만화에 항상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 =전설의 야구왕 = = 구영탄은 전설의 야구왕 주인공으로 시속 200km가 넘는 공을 던지는 뛰어난 투수이다. (현실에서는 시속 160km대가 한계이고, 더 빠르게 공을 던지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 슬립웨이 = 슬립웨이(slipway)는 보트 램프(slipway) 또는 진수로(launch deployer) 또는 보트 전개로(boat deployer)라고도 하며, 선박이나 보트를 물에서 또는 물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해안의 램프이다. 이것은 선박과 보트를 만들고 수리하는 데 사용되며, 자동차로 견인되는 트레일러에 소형 보트를 싣고 회수하는 데도 사용된다. ‘슬립’(slip)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선박이나 보트는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통해 경사로 위로 이동한다. 이동하기 전에 선박의 선체는 그리스로 덮어씌여져 있어 선박이나 보트가 경사로에서 "미끄러져" 안전하게 물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슬립웨이는 (새로 건조된) 대형 선박을 진수하는 데 사용되지만, 소형 선박만 건조 도킹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기름칠된 경사로에 대해 큰 배를 당기는 것은 너무 엄청난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형 선박의 경우, 바퀴나 롤러 팔레트로 지지되는 운반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드라이독 설비를 “해상철도”(marine railway)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립’ 및 ‘슬립웨이’라는 단어는 경사로를 사용하는 모든 드라이 도킹 설비에도 사용된다. = = 단순 슬립웨이 = = 가장 단순한 형태의 슬립웨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철, 석재 또는 목재로 만들어진 일반 경사로이다. 조수의 높이가 슬립의 유용성을 제한할 수 있다. 경사로가 썰물 수위 아래로 계속 이어지지 않으면 썰물 때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육지 쪽 끝에는 평평한 포장 지역이 있다. 보트 또는 소형 선박(즉, 약 300톤 이하의 선박)을 건조 및 수리하는 데 사용할 때 선박은 바퀴가 달린 객차로 이동하며, 선박이 객차에 뜨거나 내릴 수 있을 때까지 경사로를 따라 내려간다. 이러한 슬립웨이는 수리와 새로 건조된 선박을 물에 넣는 데 사용된다. 소형 보트를 진수하고 회수하는 데 사용할 때 트레일러는 물속에 놓인다. 보트는 트레일러 위/아래로 떠다니거나 끌 수 있다. 물에서 보트를 회수할 때 보트는 트레일러 위로 다시 감겨 진다. 포경선은 보통 작살에 맞은 고래를 주 갑판으로 운반하는 것을 돕기 위해 뒤에 슬립웨이를 갖추고 있다. 악천후와 어려운 해상 조건에서 일부 유형의 육상 구명정을 안전하게 진수시키기 위해 구명정과 슬립웨이는 구명정이 중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파른 강철 미끄러짐을 미끄러지도록 설계되었다. = = 선박 건조의 슬립웨이 = = 대형 선박의 경우 슬립웨이는 선박 건조에만 사용된다. 그것들은 해안선에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또는 물과 선박의 최대 길이가 허용하는 한 거의). 진수할 때 선박은 스스로 떠오를 때까지 길을 따라 미끄러지듯 미끄러진다.How Biggest Ship Was Safely Launched, February 1933, Popular Science slipway and launching of French passenger liner Normandie in 1933 – excellent drawing and illustrations showing basics of process 선박을 물로 옮기는 과정을 ‘진수’라고하며, 일반적으로 의례와 축하 행사이다. 보통 선박이 정식으로 이름이 붙여지는 때이다. 이 시점에서 선체는 완성되고 프로펠러와 관련 샤프트가 제자리에 있지만 수심, 안정성 및 무게에 따라 엔진이 장착되지 않거나 상부 구조가 완성되지 않을 수 있다. 수직 활주로에서 선박은 일반적으로 선미가 물을 향하도록 건조된다. 현대식 슬립웨이는 조수 변화를 고려하여 수위 아래로 확장되는 두 개의 ‘바리케이드’가 있는 선박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철근 콘크리트 매트 형태를 취한다. 바리케이드는 두 가지 발사 방식을 지원한다. 선박은 선체의 외부 바닥에 접근할 수 있고 완전한 선체 아래에 진수로를 세울 수 있도록 배치된 임시 크리빙 위에 제작되었다. 발사를 준비할 시간이 되면 선체 아래에 한 쌍의 서 있는 방법이 세워지고 바리케이드 위로 나온다. 이 방법의 표면은 기름을 바르고 있다. (수지와 고래기름은 범선 시대에 기름으로 사용되었다). 한 쌍의 슬라이딩 웨이가 선체의 상단과 아래에 배치되고 활과 선미 포핏이 있는 발사 크래들이 이 슬라이딩 웨이에 세워진다. 그런 다음 선체의 무게가 빌드 크리빙에서 발사 크래들로 옮겨진다. 선박을 제자리에 고정한 다음 진수식의 적절한 순간에 놓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이는 신호에서 절단되도록 설계된 약한 고리이거나 의식 플랫폼의 스위치로 제어되는 기계적 방아쇠이다. 일부 슬립웨이는 선박이 물 옆에 있고 옆으로 진수되도록 만들어졌다. 이것은 수로의 한계로 인해 길이 방향 진수가 허용되지 않지만, 훨씬 더 긴 해안을 차지할 때 수행된다.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이 건설한 그레이트 이스턴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상륙정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선박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더 많은 방법이 필요하다. 두 경우 모두 무거운 사슬이 배에 부착되어 있고, 드래그 효과는 예인선이 선체를 밖으로 꺼내기 위해 부두로 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 선박이 일단 떠오른 후 속도를 늦추는 데 사용된다. 1970년대부터 선박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슬립웨이에 건설하는 관행이 사라지고 있다. 그 이유 중 일부는 선박이 슬립웨이를 떠난 직후 선박을 감속하고 조종하기 위한 공간 요구사항이지만, 선박의 순전한 크기는 설계 문제를 야기한다. 정상 작동 중에 충족되지 않는 응력을 부과한다. = 분류:브루나이의 예술 = = 쿠로카와 메이 = 구로카와 메이(, 1987년 5월 13일~)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도쿄도 니시토쿄시 출신이며, 소속사는 브레스이다. 호리코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메이라는 이름은 5월(영어로 May)에 태어난 것이 유래이다. = = 출연 = = = = = 영화 = = = 2004 《문제 없는 우리들》 2010 《보이즈 온 더 런》 2011 《한큐전차: 편도 15분의 기적》 2011 《우리들은 세상을 바꿀 수 없어》 2015 《너는 착한 아이》 = = = 드라마 = = = 2004년 《휴대폰 형사 제니가타 루이》 2009년 《파트너 시즌 7》 2009년 《양왕 버진》 2011년 《수수께끼 풀이는 저녁식사 후에》 마유즈미 카나에 역(3화) = 플레이보이 플레이메이트 = 플레이보이 플레이메이트는 미국의 잡지 플레이보이 각 호에 특집으로 게재되는 여성 누드 모델이다. = = 개요 = = 미스 ○○월로 게재되는 모델은 "이달의 플레이메이트"(Playmate of the Month, PMOM)로 불린다. 플레이메이트 오브 더 몬스로 게재된 인물은 그 인물의 누드 사진, 양면 포스터 약력과 함께 생년월일, 신체 사이즈 등을 기술한 "플레이메이트 데이터 시트"(Playmate Data Sheet)로 구성되어 있다. 일 년에 게재된 총 12명의 이달의 플레이메이트 중 1명이, 이듬해 "올해의 플레이메이트" (Playmate of the Year, PMOY)에 선출된다. = = 목록 = = 초록색으로 칠해진 사람은 '올해의 플레이메이트'로 선정된 인물이다. = = 195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953 메릴린 먼로 1954 마지 해리슨 Margaret Scott (a.k.a. Marilyn Waltz) Dolores Del Monte Marilyn Waltz 조앤 아널드 마지 해리슨 Neva Gilbert Arline Hunter 재키 레인보우 매들린 캐슬 다이앤 헌터 테리 라이언 1955 베티 페이지 제인 맨스필드 magazine was not published Marilyn Waltz Marguerite Empey 이브 마이어 재닛 필그림 팻 롤러 앤 플레밍 진 무어헤드 바버라 캐머런 재닛 필그림 1956 Lynn Turner Marguerite Empey 매리언 스태퍼드 러스티 피셔 매리언 스콧 글로리아 워커Gloria Walker Alice Denham 조니 나이슬리 Elsa Sorensen 재닛 필그림 베티 블루 리사 윈터스Lisa Winters 1957 준 블레어 샐리 토드 샌드라 에드워즈 글로리아 윈저Gloria Windsor 돈 리처드Dawn Richard 캐리 래디슨Carrie Radison Jean Jani Dolores Donlon 재클린 프레스콧Jacquelyn Prescott 콜린 패링턴Colleen Farrington 말린 캘러핸Marlene Callahan 린다 바르가스Linda Vargas 1958 엘리자베스 앤 로버츠 Cheryl Kubert Zahra Norbo 펄리샤 앳킨스 Lari Laine Judy Lee Tomerlin Linné Ahlstrand Myrna Weber 테리 호프 Mara Corday and Pat Sheehan 조앤 스테일리 Joyce Nizzari 1959 버지니아 고든 엘리너 브래들리Eleanor Bradley 오드리 대스턴Audrey Daston 낸시 크로퍼드Nancy Crawford 신디 풀러Cindy Fuller 메릴린 해널드 이벤 비커스 클레어 피터스Clayre Peters Marianne Gaba 일레인 레이놀즈Elaine Reynolds 도나 린 엘런 스트래튼 Note: Ellen Stratton was the first official Playmate of the Year. = = 196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960 스텔라 스티븐스 수지 스콧 Sally Sarell 린다 갬블 진저 영 Delores Wells 테디 스미스 일레인 폴 앤 데이비스 캐시 더글러스 조니 매티스 캐럴 이든 1961 코니 쿠퍼 바버라 앤 로퍼드 토니아 크루스 낸시 닐슨 수전 켈리 하이디 베커 Sheralee Conners 캐런 톰슨 크리스타 스펙 진 캐넌 다이앤 댄퍼드 린 캐럴 1962 멀 퍼틸 Kari Knudsen 패멀라 고든 로버타 레인 마리아 카터 Merissa Mathes Unne Terjesen 잰 로버츠 미키 윈터스 로라 영 Avis Kimble 준 코크런 1963 Judi Monterey 토니 앤 토머스 에이드리엔 모로 Sandra Settani Sharon Cintron 코니 메이슨 캐리 엔라이트 필리스 셔우드 Victoria Valentino 크리스틴 윌리엄스 Terre Tucker 도나 미셸 1964 샤론 로저스 낸시 조 후퍼 낸시 스콧Nancy Scott 애슐린 마틴 테리 킴벌 로리 윈스턴 멜바 오글 차이나 리 Astrid Schulz 로즈마리 힐크레스트 Kai Brendlinger 조 콜린스 1965 Sally Duberson 제시카 세인트조지 제니퍼 잭슨 수 해밀턴 마리아 맥베인 헤디 스콧 게이 콜리어 Lannie Balcom 패티 레이놀즈 앨리슨 파크스 팻 루소 다이나 윌리스 1966 주디 타일러 멀린다 윈저 프리실라 라이트 칼라 콘웨이 돌리 리드 켈리 버크 티시 하워드 수제 덴버그 다이앤 챈들러 린다 문 리사 베이커 수전 버나드 1967 Surrey Marshe 킴 파버 프랜 제라드 그웬 웡 앤 랜들 조이 깁슨 헤더 라이언 DeDe Lind Angela Dorian (a.k.a. Victoria Vetri) Reagan Wilson Kaya Christian 린 윈첼 1968 코니 크레스키 낸시 하우드 미셸 해밀턴 게이 레니 엘리자베스 조던 브릿 프레드릭슨 멜로디 프렌티스 게일 올슨 드루 하트 Majken Haugedal 페이지 영Paige Young 신시아 마이어스 1969 Leslie Bianchini Lorrie Menconi 캐시 맥도널드 로나 호퍼 샐리 셰필드 Helena Antonaccio 낸시 맥닐 데비 후퍼 Shay Knuth 진 벨 클로디아 제닝스 글로리아 루트 = = 197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970 질 테일러 린다 포사이드 Chris Koren 바버리 힐러리 Jennifer Liano 일레인 모턴 캐럴 윌리스 샤론 클라크 데비 엘리슨 매들린 콜린슨 & 메리 콜린슨 Avis Miller 캐럴 임호프 1971 Liv Lindeland Willy Rey 신시아 홀ㅂ 크리스 크랜스턴 재니스 페닝턴 Lieko English 헤더 밴에브리 캐시 롤런드 크리스털 스미스 클레어 램보 Danielle de Vabre 캐런 크리스티 1972 메릴린 콜 P. J. Lansing 엘런 마이클스 비키 피터스 Deanna Baker 데비 데이비스 캐럴 오닐 린다 서머스 수제 밀러 Sharon Johansen Lenna Sjooblom 머시 루니 1973 미키 가르시아 신디 우드 보니 라지 줄리 우드슨 Anulka Dziubinska Ruthy Ross 마사 스미스 필리스 콜먼 제리 글래스 밸러리 레인 모니카 티드웰 크리스틴 매덕스 1974 낸시 캐머런 프랜신 파크스 Pamela Zinszer 말린 모로 Marilyn Lange 샌디 존슨 Carol Vitale 진 맨슨 크리스틴 핸슨 Ester Cordet Bebe Buell 재니스 레이먼드 1975 린다 킴벌 Laura Misch Ingeborg Sorensen 빅토리아 커닝햄 브리짓 롤린스 Azizi Johari 린 실러 Lillian Müller Mesina Miller Jill De Vries 재닛 루포 낸시 리 브랜디 1976 Daina House 로라 라이언스 앤 페닝턴 드니즈 미셸 퍼트리샤 마고 매클레인 데브라 피터슨 데버라 보크먼 린다 비티 휘트니 케인 호프 올슨 패티 맥과이어 캐런 해프터 1977 Susan Lynn Kiger 스타 스토 니키 토머스 Lisa Sohm Sheila Mullen Virve Reid 손드라 시어도어 줄리아 린던 Debra Jo Fondren 크리스틴 윈더 리타 리 애슐리 콕스 1978 데브라 젠슨 재니스 슈밋 크리스티나 스미스 패멀라 진 브라이언트 캐스린 모리슨 게일 스탠턴 캐런 모턴 비키 윗 Rosanne Katon 마시 핸슨 모니크 생피에르 재닛 퀴스트 1979 캔디 러빙 리 앤 미셸 드니즈 매코널 미시 클리블랜드 미셸 드레이크 Louann Fernald 도러시 메이스 도러시 스트래튼 비키 매카시 Ursula Buchfellner Sylvie Garant 캔디스 콜린스 = = 198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980 Gig Gangel 샌디 케이글 Henriette Allais Liz Glazowski 마사 톰슨 올라 레이 테리 피터슨 빅토리아 쿡 리사 웰치 Mardi Jacquet Jeana Tomasino 테리 웰스 1981 캐런 프라이스 비키 린 래시터 Kymberly Herrin 러레인 마이클스 지나 골드버그 Cathy Larmouth Heidi Sorenson Debbie Boostrom 수전 스미스 Kelly Tough 섀넌 트위드 Patricia Farinelli 1982 킴벌리 맥아더 앤마리 폭스 캐런 위터 린다 리스 본 킴 맬린 Lourdes Estores Lynda Wiesmeier 캐시 세인트조지 코니 브라이턴 Marianne Gravatte Marlene Janssen 샬럿 켐프 1983 Lonny Chin 멀린다 메이스 Alana Soares 크리스티나 퍼거슨 Susie Scott Krabacher Jolanda Egger Ruth Guerri Carina Persson 바버라 에드워즈 Tracy Vaccaro Veronica Gamba Terry Nihen 1984 페니 베이커 Justine Greiner Dona Speir Lesa Ann Pedriana Patty Duffek Tricia Lange 리즈 스튜어트 수지 숏 킴벌리 이븐슨 데비 존슨 Roberta Vasquez Karen Velez 1985 조앤 베넷 셰리 위터 도나 스미스 신디 브룩스 캐시 샤워 Devin DeVasquez 호프 마리 칼턴 Cher Butler Venice Kong Cynthia Brimhall 패멀라 손더스 Carol Ficatier 1986 셰리 아넷 Julie McCullough 킴 모리스 Teri Weigel 크리스틴 릭터스 Rebecca Ferratti 린 오스틴 Ava Fabian 리베카 암스트롱 Katherine Hushaw 도나 에드먼드슨 로리 카 1987 Luann Lee 줄리 피터슨 Marina Baker 애나 클라크 킴벌리 페이지 샌디 그린버그 카먼 버그 Sharry Konopski Gwen Hajek 브랜디 브랜트 패멀라 스타인 인디아 앨런 1988 킴벌리 콘래드 카리 케널 수지 오언스 Eloise Broady 다이애나 리 에밀리 아스 테리 린 도스 Helle Michaelsen 로라 리치먼드 섀넌 롱 Pia Reyes Kata Kärkkäinen 1989 포나 매클래런 시몬 이든 로리 우드 제니퍼 잭슨 Monique Noel 토니 케이블 Erika Eleniak Gianna Amore Karin van Breeschooten & Mirjam van Breeschooten 캐런 포스터 러네이 테니슨 Petra Verkaik = = 199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990 페기 매킨태거트 패멀라 앤더슨 데버라 드리그스 리사 매슈스 Tina Bockrath Bonnie Marino 재클린 신 Melissa Evridge 케리 켄들 브리트니 요크 러레인 올리비아 모건 폭스 1991 스테이시 리 아서 크리스티 톰 줄리 클라크 Christina Leardini Carrie Jean Yazel 사스키아 린선 웬디 케이 커리나 하니 서맨사 도먼 셰릴 바크먼 Tonja Christensen 웬디 해밀턴 1992 수지 심슨 태니아 바이어 틸린 존 Cady Cantrell 애나 니콜 스미스 Angela Melini 어맨다 호프 애슐리 앨런 모레나 코윈 티퍼니 슬론 스테퍼니 애덤스 바버라 무어 1993 에코 존슨 제니퍼 리로이 킴벌리 돈리 니콜 우드 엘케 예인센 Alesha Oreskovich Leisa Sheridan Jennifer Lavoie Carrie Westcott 제니 매카시 줄리애나 영 알린 백스터 1994 앤마리 고더드 Julie Lynn Cialini Neriah Davis Becky DelosSantos 셰이 마크스 Elan Carter Traci Adell 마리아 체카 Kelly Gallagher 빅토리야 즈드로크 도나 페리 엘리사 브리지스 1995 멀리사 홀리데이 리사 마리 스콧 스테이시 샌체스 Danelle Folta 신시아 브라운 론다 애덤스 하이디 마크 레이철 진 마틴 Donna D'Errico 얼리샤 릭터 홀리 윗 서맨사 토러스 1996 빅토리아 풀러 코나 카맥 프리실라 테일러 질리언 보너 쇼나 샌드 카린 테일러 에인절 보리스 제시카 리 제니퍼 앨런 나딘 한츠 울리카 에릭손 빅토리아 실브스테트 1997 Jami Ferrell 킴버 웨스트 제니퍼 미리엄 켈리 모너코 린 토머스 캐리 스티븐스 Daphnée Lynn Duplaix 캘린 올슨 니키 실러 레일라 로버츠 잉가 드로즈도바 캐런 맥두걸 1998 Heather Kozar 줄리아 슐츠 Marliece Andrada 홀리 조앤 하트 Deanna Brooks Maria Luisa Gil Lisa Dergan 앤절라 리틀 버네사 글리슨 로라 커버 티퍼니 테일러 Dahm triplets 1999 제이미 버그먼 Stacy Marie Fuson 알렉산드라 칼슨 나탈리야 소콜로바 Tishara Cousino 킴벌리 스파이서 제니퍼 로베로 리베카 스콧 크리스티 클라인 조디 앤 패터슨 Cara Wakelin 브룩 리처즈 = = 200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0 Carol Bernaola & Darlene Bernaola 수잰 스토크스 Nicole Marie Lenz Brande Roderick 브룩 베리 섀넌 스튜어트 Neferteri Shepherd Summer Altice Kerissa Fare 니콜 밴크로프트 버피 타일러 카라 미셸 2001 Irina Voronina 로런 미셸 힐 Miriam Gonzalez Katie Lohmann 크리스타 니콜 Heather Spytek 킴벌리 스탠필드 제니퍼 월컷 Dalene Kurtis 스테퍼니 하인릭 Lindsey Vuolo Shanna Moakler 2002 Nicole Narain Anka Romensky 티나 조던 헤더 캐럴린 크리스티 셰이크 미셸 로저스 로런 앤더슨 크리스티나 산티아고 Shallan Meiers 테리 해리슨 Serria Tawan Lani Todd 2003 리베카 라모스 Charis Boyle 퍼넬러피 히메네스 Carmella DeCesare 로리 페터 테일러 제임스 마르케타 얀스카 콜린 마리 루시 빅토리아 오드라 린 디비니 레이 Deisy Teles & Sarah Teles 2004 콜린 섀넌 Aliya Wolf 샌드라 허비 크리스타 켈리 니콜 화이트헤드 오시마 히로미 스테퍼니 글래슨 Pilar Lastra 스칼릿 키건 킴벌리 홀랜드 Cara Zavaleta 티퍼니 팰런 2005 데스티니 데이비스 Amber Campisi 질리언 그레이스 코트니 레이철 컬킨 Jamie Westenhiser Kara Monaco Qiana Chase Tamara Witmer 버네사 홀셔 어맨다 페이지 라켈 깁슨 크리스틴 스미스 2006 Athena Lundberg 커샌드라 린 모니카 리 Holley Ann Dorrough 앨리슨 웨이트 Stephanie Larimore 세라 진 언더우드 니콜 보스 Janine Habeck 조던 먼로 세라 엘리자베스 키아 드레이턴 2007 제이드 니콜 헤더 러네이 스미스 Tyran Richard 줄리아나 마리노 섀넌 제임스 브리트니 빙어 티퍼니 셀비 Tamara Sky Patrice Hollis 스펜서 스콧 린지 와그너 사스키아 포르투 2008 산드라 닐손 미셸 매클로플린 이다 융크비스트 레기나 도이팅거 AJ 알렉산더 줄리엣 프러테이 로라 크로프트 케일라 콜린스 밸러리 메이슨 켈리 캐링턴 그레이스 김 제니퍼와 내털리 조 캠벨 2009 Dasha Astafieva Jessica Burciaga 제니퍼 퍼싱 호프 드보라칙 크리스털 매케이힐 캔디스 캐시디 카리사 섀넌 크리스티나 섀넌 킴벌리 필립스 린지 에번스 켈리 톰슨 크리스털 해리스 = = 2010년대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제이미 페이스 에드먼드슨 헤더 레이 영 Kyra Milan 에이미 리 앤드루스 Kassie Lyn Logsdon Katie Vernola 샤나 매클로플린 프란세스카 프리고 올리비아 페이지 클레어 싱클레어 Shera Bechard 애슐리 홉스 2011 Anna Sophia Berglund 카일리 존슨 애슐리 매팅리 Jaclyn Swedberg Sasha Bonilova Mei-Ling Lam 제사 린 힌턴 이리나 이바노바 Tiffany Toth Amanda Cerny Ciara Price 레이니 데이 조던 2012 헤더 녹스 Leola Bell Lisa Seiffert Raquel Pomplun 니키 리 Amelia Talon Shelby Chesnes 베스 윌리엄스 Alana Campos 패멀라 호턴 브리트니 놀라 Amanda Streich 2013 Karina Marie 숀 딜런 애슐리 도리스 Jaslyn Ome 크리스틴 니콜 Audrey Aleen Allen Alyssa Arcè Val Keil Bryiana Noelle 칼리 로런 Gemma Lee Farrell 케네디 서머스 2014 Roos van Montfort 어맨다 부스 브릿 린 Shanice Jordyn Dani Mathers 제시카 애슐리 에밀리 애그니스 매기 메이 스테퍼니 브랜턴 Roxanna 지아 마리 엘리자베스 오스트랜더 2015 브리트니 워드 케이즐리 콜린스 Chelsie Aryn 알렉산드라 타일러 Brittany Brousseau 케일리아 커샌드라 케일라 레이 리드 도미니크 제인 모니카 심스 Ana Cheri 레이철 해리스 Eugena Washington 2016 앰벌리 웨스트 크리스티 개릿 드리 헤밍웨이 Camille Rowe 브룩 파워 Josie Canseco 앨리 마이클 Valerie van der Graaf 켈리 게일 Allie Silva 애슐리 스미스 미헐리크 에니쾨 2017 브리짓 맬컴 조이 코리건 Elizabeth Elam Nina Daniele Lada Kravchenko 엘시 휴잇 Dana Taylor = 분류:핀란드의 지리 =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22년 3월 = = = 현대 쏘나타 준보호 요청 = = 지속적인 훼손으로 준보호 요청합니다. Magika (토론) 2022년 3월 1일 (화) 13:58 (KST) = = 신비아파트의 캐릭터 문서인 구하리, 신비, 사라 등의 문서 관리 = = 신비아파트의 관련 문서인 캐릭터 문서에 성격 칸에 있는 독자연구가 각 캐릭터마다 자주 나옵니다. 이미 등장인물 목록에서 소개한 캐릭터들을 왜 여기까지 끌고 오고 거기에서 독자 연구를 합니까? 특히나 최강림 문서나 리온 레드몬드 문서에는 성격 독자연구가 없는데 왜 자기들이 원하는 문서에만 독자연구를 하고 올바르다고 주장합니까? 이런 쓸모없고 문서량만 비대한 이미 소개된 캐릭터 문서들은 모두 독자연구가 사라지고 가능하면 문서 자체를 없애버려야 합니다. 왜 굳이 신비아파트의 등장인물 목록과 신비아파트에서 소개된 문서를 왜 더 만들어야하는지 이핼 못하겠네요. 문서의 독자연구와 쓸모없는 캐릭터 문서 삭제를 요청합니다. 그리고 그걸 어기고 독자연구를 지속하는 분들에게도 경고가 필요합니다. JJcross 2022년 3월 2일 (수) 11:27 (KST) = = 유의어 준보호 = = 이 문서에 보민개 계열 2001:2d8::/32 사용자가 계속 예시를 특정 사용자를 비방하는 글로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22년 3월 2일 (수) 22:53 (KST) = = 브롤스타즈 보호 요청 = = 최근 여러 사용자들이 나무위키 복붙과 백:아님#가이드북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반달도 있었네요. 저를 포함한 여러 사용자분들이 되돌리고 있습니다만, 어느정도의 보호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최고의 편집자 (토론) 2022년 3월 3일 (목) 08:33 (KST) = = 박부성 (수학자), 장대익 (과학철학자) 복구 요청 = = 박부성은 장관 표창장으로 등재 기준을 충족하고, 장대익은 더 말할것도 없습니다. 황동기시대 (토론) 2022년 3월 3일 (목) 11:29 (KST) = = 윤진아 생성 보호 요청 = = 지난번에도 허위사실로 삭제된 문서를 동일 아이피가 계속해서 생성하고 있습니다. 생성 보호 요청합니다. 최고의 편집자 (토론) 2022년 3월 5일 (토) 17:14 (KST) = = 후지테크코리아 삭제 요청 = = 애초에 제가 만든 문서이고 검색도 대부분 후지테크로 들어가기 때문에 빈도도 낮습니다. '후지테크코리아'라는 사명은 존재하지만 뒤에 여기선 후지테크 문서에 이에 관한 내용이 있으므로 굳이 '코리아'를 붙힐 필요가 없고 생성 당시 제가 나무위키 내용을 복사해와서 저작권 문제도 있기 때문에 삭제 요청합니다. Goondae (토론) 2022년 3월 6일 (일) 20:02 (KST) = = 성교 보호 요청 = = 보호가 풀린 이후로 또다시 반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G_Y_B_E (Tal_k) 2022년 3월 6일 (일) 22:20 (KST) = = 프란세스크 피 아이 마르갈, 프란시스코 피 삭제 요청 = = 프란세스크 피 이 마르갈은 카탈루냐인 출신이나 본명이 프란세스크 피 아이 마르갈이 아니라 피 이 마르갈 입니다. 카탈루냐어가 본명이녀 명칭에 y는 아이가 아니라 i와 같이 이라고 부릅니다. 스페인어는 프란시스코 피 이 마르갈인데요. 피 아이라고 발음하지 않습니다. 인물의 이름은 거짓말이 포함되면 안됩니다. 프란시스코 피는 발음이 틀렸는데요. 인물을 칭하거나 인물을 부를때 마르갈, 피 이 마르갈이라고 부릅니다. 등재 기준이 맞지 않는 명칭으로 문서 삭제를 요청합니다. 115.37.185.89 (토론) 2022년 3월 8일 (화) 02:16 (KST) = = 우크라이나 문서 준보호 요청 = = 다름이 아니라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우크라이나 관련 문서에 나무위키발 문서 훼손 따위가 계속 포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 문서는 문제가 되는 계정들에 대해 주의를 환기해야 할 수준에 이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준보호가 가장 시급하다고 여겨집니다. 이미 나무위키, 위키데이터, 영어 위키백과 등 타 언어판 위키백과의 관련 문서도 준보호에 다 걸려 있지만 이 문서는 최소한 1년 정도의 준보호가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 175.210.11.48 (토론) 2022년 3월 8일 (화) 09:32 (KST) = = 킴 픽 준보호 요청 = = 한 사용자가 계정을 바꿔가면서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계속 훼손할 것으로 보여 준보호 요청합니다. ginaan(˵⚈ε⚈˵)★ 2022년 3월 8일 (화) 13:56 (KST) = = :분류:친일파로 변절한 한국의 독립운동가 = = 필요성이 있는 체계적인 분류로 보입니다. 2001:2D8:E99C:2EC9:0:0:6E6:40A0 (토론) 2022년 3월 9일 (수) 11:04 (KST) = = 바지 문서 준보호 = = 바지 유의어: 보호가 해제되자 마자 보민개 차단회피자가 사용자를 비방하기 시작함. 계속해서 똥 관련하여 사용자를 비방하는 행위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준보호 요청합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22년 3월 10일 (목) 19:54 (KST) = = 윤석열 문서 보호 요청 = = 지속적인 문서훼손으로 보호 요청합니다 Striker9498 (토론) 2022년 3월 10일 (목) 22:56 (KST) = = 틀:득표율 문서 보호 요청 = = 현재 5500개 이상의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틀로 훼손시 영향이 큰 틀이기 때문에 보호를 요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3월 11일 (금) 14:20 (KST) = = 누군가가 문재인 정부 문서에 삭제 신청 해놓은거 같더군요. = = 멀쩡한 문서를 왜 삭제신청을 했는지 알수 없네요. 삭제 신청 틀을 함부로 지울수도 없고 해서 요청하는 바입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아무리 싫어도 그렇지 문서를 삭제해선 안됩니다. Fgg13 (토론) 2022년 3월 12일 (토) 19:26 (KST) = = 토론토대학교 문서 재보호 요청 = = 토론과 대화 의지 없이 문서훼손행위를 반복하고 타 사용자들에게 비난과 욕설을 일삼아 차단처분을 받았던 사용자가 다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여 이전과 같은 행위를 재반복하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3/12일 19:51분경 재수정된 문서를 기준으로 장기간 보호를 요청합니다 사용자 관리 요청 문서, 토론토대학교 문서, 제 사용자 문서-토론 항목에서 현 Creativeenfore 사용자로 추정되는 사용자가 저지를 행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 편집 필터/오동작 = = 편집 필터/오동작 지속적인 훼손. 키페 2022년 3월 14일 (월) 21:56 (KST) *: 추가적 훼손이 예상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Takipoint123 (💬) 2022년 3월 15일 (화) 16:15 (KST) = = 지평설 = = 지평설 아이피 사용자들의 반달 키페 2022년 3월 15일 (화) 15:44 (KST) *: 추가적 훼손이 예상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Takipoint123 (💬) 2022년 3월 15일 (화) 16:16 (KST) = = 문서 편집 보호 해제 바람 = = 드라마 국가대표 와이프 문서 편집 보호 해제 바람 = = 환글딴 보호 요청 = = 광고가 아닌데 불구하고, 광고라는 이유로 삭제 요청함. 광고한 적 없음. 봉사시간부여가 가능한 봉사단체. 강동구 소관 대필소장 (토론) 2022년 3월 16일 (수) 03:59 (KST) 중립성 서술에 맞지 않은 문서이며, 검색결과 제도권 언론에 나온적도 없으므로 저명성도 충분하지 않으므로 삭제합니다. 추가적으로 본인이 만든 문서에 있는 삭제 신청 틀을 지우는것은 정책 위반이므로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별개로, 님의 "Sangjinhwa님은 공동체에서 신뢰하는 사용자분이십니다. 그 분이 삭제 신청을 하신 거라면 삭제가 합당하다는 뜻입니다." 발언은 상당히 위험한 발언입니다. 물론 Sangjinwha님이 많은 기여를 하셨지만 단순히 사용자 이름을 보고 삭제 신청의 적법성을 판단하지 말아주세요. Takipoint123 (💬) 2022년 3월 16일 (수) 14:46 (KST) = = 어좌 준보호 요청 = = 몇시간 전에도 장난친게 발견됬습니다. 지금도 계속 보민개 다중계정의 반달 표적이 되고 있으니 장기간 또는 영구 준보호 바랍니다. Goondae (토론) 2022년 3월 17일 (목) 19:24 (KST) = = 거짓말 문서 보호 요청 = = IP 사용자들에 의한 지속적인 반달이 관측되어 보호를 요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3월 18일 (금) 23:13 (KST) = = 킴 픽 준보호 2 그리고 사토:*Youngjin = = 지난번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새로 요청합니다. 계속해서 Peek을 Pick으로 아이피 사용자가 바꾸려고 합니다. 픽, 피아이씨케이, 말을 아끼다, 땅꼬집TV, 평화나무뉴스 관련 아이피입니다. 추가적으로 남의 사용자 토론란에 계속 장난치고 있어 불필요한 알림을 일으키는 방해 편집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그 행위를 중단을 요구해도 백:되차무 준수해도 이를 멈추지 않네요. —Jerrykim306 토론기여 2022년 3월 19일 (토) 09:05 (KST) = = 백:편집 필터/오동작 장기간 준보호 요청 = = 몇시간 전에도 편집필터 반달이 일어난 것을 보아 언제든지 반달 대상이 되므로 장기간 준보호가 필요합니다. Goondae (토론) 2022년 3월 19일 (토) 13:37 (KST) = = 초안:아이폰 SE (3세대) 문서 삭제 요청 = = 삭제 신청 틀을 사용해서 했지만 10일이 지났는데도 삭제가 안돼고 있어서 문서 관리 요청에 남깁니다. 넘겨주기된 초안 문서 이어서 삭제 신청되었는데 아직 까지 삭제가 안돼고 있습니다. 삭제 부탁드립니다. Hajoon0102 💬 📧 2022년 3월 19일 (토) 15:18 (KST) = =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2010년 영국 정부의 내각 구성 준보호 요청 = = Sungwiki 사용자가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2010년 영국 정부의 내각 구성 요약판을 생성했습니다. 해당 문서의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2년 3월 20일 (일) 21:42 (KST) = = 최배영 문서 보호를 풀고 생년월일을 문서에서 제거 요청합니다. = = 저는 이 차단된 분은 아니지만 사용자토론:Sdmkn71님의 편집은 선의로 보이는데다가 출처없는 생년월일을 지우는게 맞지 잘못된 생년월일이 유지되도록 보호하는 것은 정책에 어긋나기 때문에 생일을 제거하는 대신 보호를 풀 것을 요청합니다. 마치 누가보면 1995년에 태어났다는 내용에 출처가 있는데 이분이 지운 것처럼 차단과 보호가 되었습니다. 1995년이라는 생일에도 출처나 기사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로서 백:생존에 따라 지워야하고 1980년대 중반에 태어난 사람을 또래라고 최배영씨가 언급한 기사가 있는것으로 보아 1995년설은 허위로 보입니다. 나이를 포털 프로필등에 속였다가 지운 것이 퍼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잘못된 나이를 바로잡기 위해 백:좋은뜻으로 편집했다는 점이 인정됩니다. 최배영 문서는 생년월일을 지워버리는 것이 맞고 출처 없이 기재하지 않도록 숨은 주석으로 경고문을 달면 될일이지 차단까지 하거나 보호할 일이 아닙니다. 2001:2D8:E14F:8CC3:0:0:34B0:80B1 (토론) 2022년 3월 20일 (일) 22:57 (KST) 1995년생이면 과연 이들과 또래일 수 있을까요? 2001:2D8:E141:149:0:0:1F43:10B1 (토론) 2022년 3월 20일 (일) 23:10 (KST) 반론: 잘못된 나이를 바로잡기 위해 사용자토론:Sdmkn71이 백:좋은뜻으로 편집했다고 하셨는데 기여목록을 보시면 본명, 배우자, 소속사 같은 확인되지도 않은 출처 불분명한 내용까지 멋대로 적는 등 의도적인 문서 훼손에 가까운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서 보호 제거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이 의견은 Guitarfree님이 2022년 3월 22일 (화) 21:27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2년 3월 23일 (수) 21:14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문화재명이 개편된 문서를 모두 이동을 해주실수 있나요 = = 관리와 더불어 요청드린 명칭의 이관입니다. 금산 칠백의총 → 칠백의총 감지은니범망경보살계품 → 감지은니 범망경보살계품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간송미술관) → 석 비로자나불좌상 기영각시첩 → 기영각 시첩 금산 태고사 대웅전 → 태고사 대웅전 부산 범어사 원효암 동편 삼층석탑 → 원효암 동편 삼층석탑 부산 범어사 원효암 서편 삼층석탑 → 원효암 서편 삼층석탑 경주 오릉 → 오릉 경주 배동 삼릉 → 배동 삼릉 추가적으로 문화재명이 들어간 모든 문서를 아래와 같이 요청합니다. 기장 장안사 → 장안사 등 모든 문서 부산 운수사 → 운수사 등 모든 문서 입니다. 210.100.190.115 (토론) 2022년 3월 21일 (월) 01:46 (KST) = = 부산 선동 삼층석탑과 간송미술관 소장 삼층석탑의 명칭을 이관 또는 개편하여 이동할 필요가 있지 않나요? = = 구글 Map에서 착오없이 삼층석탑의 명칭은 위에서 용이했던 거와 같습니다. 구글 Map에 검색할때 나온 이름이 문화재 이름을 대표할수 있고 문화재 제목으로 대체할수 있는가라는 거죠. 저 2가지 명칭을 그대로 보류하는것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입장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발전 가능성이 없는 명칭이기도 하죠. 문서가 발전해야 하는데 정해진 이름이 없으면 내용을 넣기도 모호합니다. 위에 제시되었던 2가지 명칭에 대해서 명칭을 이관하고 개편해서 이동을 해야되는건지 그대로 보류해서 내용만 추가할지 이에 대한 관리를 요청합니다. 210.100.190.115 (토론) 2022년 3월 21일 (월) 01:53 (KST) = = 관리자 선거 알림 = = 위키백과:관리자 선거/Sungwiki‎ 선거 문서를 생성했습니다. 소도구에 관리자 선거 알림 추가를 부탁드립니다. Magika (토론) 2022년 3월 25일 (금) 18:30 (KST) = = 홍어문서 보호요청 = = 자꾸 태러되네요... 처음에는 전라도는 분리독립이 그러더니, 다음에는 홍어제국, 다음에는 선량한 남원시민(?)이 태러하고..JaykateChang (토론) 2022년 3월 26일 (토) 18:50 (KST)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보호 요청 = = IP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IP를 바꿔가면서 자신의 서술을 존치하려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해당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토론을 무시하고(1, 2, 3) 있으며 편집 방식이나 행동을 볼 때 다중계정을 악의적으로 생성하고 활동한 사:Euro2024와 편집 방식이 비슷하게 보입니다. 거기에 해당 문서가 같은 이유로 이전에 3회 보호된 전적을 보았을 때 해당 문서에 대한 IP 사용자에 대한 장기적 혹은 무기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3월 26일 (토) 21:08 (KST) = = 피크 진격의 거인 문서 보호 요청 = = 피크, 픽 빌런이 지속적으로 다른 문서로 넘겨주기를 고치는 반달을 하고 있어 보호를 요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3월 26일 (토) 22:08 (KST) = = 유의어 준보호 = = 이 문서가 장기적으로 특정 사용자에 의해 계속 훼손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보호가 해제되자마자 문서 훼손한 사례도 보이네요. —Jerrykim306 토론기여 2022년 3월 27일 (일) 20:21 (KST) = = 박상동 복구 = = 1991년에 선출된 서울특별시의원으로 한의사 활동으로도 알려진 인물이라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인물)에 따라 삭제할 수 없습니다. 본문에도 시의원을 지냈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사용자:책읽는달팽이 1995년 지방선거 포항시의원으로 등재 기준이 만족되는 허대만 문서를 본문에 지방의원 이력이 담겨있었는데도 잘못 삭제한것이 생각납니다. = = 사용자토론:기나ㅏㄴ 보호 요청 = = 지속적으로 훼손되는 토론 문서이므로 보호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 Hajoon0102 💬 📧 2022년 3월 28일 (월) 15:06 (KST) = = 김혜진 (1977년) 문서 삭제 요청 = = 명백한 백:RP, 백:등재 위반 문서입니다. 본인으로 보여지는 계정에 의해 지속적으로 삭제 신청 틀이 제거되고 있어 문서 관리 요청을 통해 삭제를 신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3월 28일 (월) 16:29 (KST) = = 조선족 준보호 요청 = = 특정 사용자에 의한 훼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미 이전에도 3개월정도 준보호된 기록이 있습니다. na (토론) 2022년 3월 29일 (화) 14:02 (KST) = = LE SSERAFIM, 르세라핌 보호 요청 = = 반복되고 있는 복사·붙여넣기 방식의 잘못된 문서 이동. ※위키백과:문서 이동 39.7.51.170 (토론) 2022년 3월 30일 (수) 16:01 (KST) = =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준보호 요청 = = 지속적인 비로그인 사용자의 문서 훼손으로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오름 (토론) 2022년 3월 31일 (목) 22:12 (KST) = = KBS 월드뉴스, KBS 월드뉴스 (KBS 2TV) 준보호 요청 = = 지속적인 훼손으로 준보호 요청합니다. Magika (토론) 2022년 4월 1일 (금) 00:01 (KST) = 도라에몽 노비타와 몽환삼검사 = 도라에몽 노비타와 몽환삼검사는 후지코 F. 후지오에 의해 집필 된 『월간 코로코로 코믹』 1993년 9월호부터 1994년 3월호까지에 게재된 「대장편 도라에몽 시리즈」의 작품이자 이 작품을 바탕으로 일본에서 1994년 3월 12일에 공개된 도라에몽의 영화 작품. 대장편 도라에몽 시리즈 제14작. 도라에몽 영화화 15주년 기념 작품. 제12회 골든 글로스상 은상 수상 작품. 동시상영작은 『도라미짱 푸른 밀짚 모자』, 『우메보시 덴카 우주의 끝에서 판파로판!』. = = 목소리 출연 = = = = = 일본어 원어판 = = = 도라에몽 - 오오야마 노부요 노진구 - 오오하라 노리코 신이슬 - 노무라 미치코 만퉁퉁 - 타테카베 카즈야 왕비실 - 기모쓰기 가네타 오진숙(진구 엄마) - 지지마쓰 사치코 순이음(이슬이 엄마) - 마쓰하라 마사코 신태수(선생님) - 다나카 료이치 = = = 한국어 더빙판 = = = 도라에몽 - 윤아영 노진구 - 김정아 신이슬 - 조현정 만퉁퉁 - 최낙윤 왕비실, 순이음(이슬이 엄마) - 이현주 오진숙(진구 엄마) - 임은정 신태수(선생님) - 이장우 = 송용고 = 송용고(宋龍高, ~ )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인이며 예비역 육군 소령 출신인데 그는 생전에 미혼 독신이었다. = = 일생 = = = = = 주요 이력 = = = 1926년 12월 23일 경상남도 울산에서 송평(宋平)이라는 이름으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기도 개성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경성부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친조부(親祖父)의 권유를 따라 네 살 시절이던 1929년 12월 26일을 기하여 송용고(宋龍高)라는 이름으로 개명(改名)하였고 훗날 울산고등농림학교를 나온 그는 1945년 11월 1일에서부터 1948년 3월 16일까지 경기도 양주 장흥국민학교 급사 등을 잠시 지냈는데 그 와중이던 1947년 당시 경기 양주 장흥국교라는 그곳에서 잠시 교사였던 허태영(許泰榮)이라는 훗날의 동지를 처음으로 만났으며 아울러 3년 남짓 경기도 양주 장흥국민학교 급사 등을 지내다가 결국 그만두고 이듬해 1949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임관하였으며 그 후 보·포병학교를 나왔고 한국 전쟁에도 참전한 그는 1954년 10월 16일을 기하여 육군 소령 예편하였다. = = = 1956년 1월 30일 김창룡 장군 암살 사건과 그 후 = = = 육군 제2군사령관 강문봉(姜文奉) 장군의 배후와 허태영(許泰榮) 육군 대령 등의 중요 임무 종사로써 1956년 1월 30일을 기하여 결국엔 육군 특무부대장 김창룡(金昌龍) 장군을 사살하는 데에 신초식(申初湜) 예비역 육군 중령과 함께 동참하는 등 이른바 "김창룡 장군 암살 사건"을 중요 임무 종사 방조하여 군사재판(군법회의)에 기소되었고 결국 민간 형사재판 끝에 사형이 선고되었으며 김홍섭(金洪燮) 판사의 권유를 받아 옥중에서 개신교를 이탈하고 천주교로 개종을 하였고 1957년 9월 24일을 기하여 10년지기 동지 허태영(許泰榮) 예비역 육군 대령의 총살형 집행 소식을 접한지 4일이 지난 1957년 9월 28일, 옥중에서 자살 기도하였으나 미수에 그쳤으며 김홍섭(金洪燮) 판사의 통렬한 설득을 받은 후 옥중 신앙 생활에만 전념하던 중 결국 1958년 5월 20일을 기하여 옛 동지 신초식(申初湜) 예비역 육군 중령과 함께 사형(교수형)이 집행되었다. = = = 학력 = = = 경상남도 울산고등농림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정훈1기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 분류:일본의 조경사 = = 강경 갑문 = 강경 갑문(江景 閘門)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설치된 갑문이다. 2014년 9월 1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01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 제2014-85호, 문화재 등록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339호, 67면, 2014-09-01 = = 개요 = = 갑문은 3중문 구조로, 제1문과 제2문은 동일한 기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었고 제3문은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었으며, 수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보도교가 설치된 시설로, 현재 문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문의 개폐장치유구 등이 잘 남아 있다. 조석(潮汐)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화물의 하역과 선적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강물의 수위(水位)를 조절하고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로 근대기 산업시설로써 가치가 있다. = Tomorrow Is a Long Time = 〈Tomorrow Is a Long Time〉은 밥 딜런의 노래다. 딜런의 노래임에도, 딜런의 버전이 맨 처음 수록된 앨범은 1971년 컴필레이션인 Bob Dylan's Greatest Hits Vol. II이다. 이후 세 장짜리 LP 컴필레이션 Masterpieces에도 수록했다. 딜런이 공식적인 버전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1963년 4월 12일 뉴욕 시의 타운 홀에서 행한 실황 버전이다. 딜런은 먼저 1962년 12월 M. 윗마크 & 선즈에 출품할 양으로 데모를 선취입했다. 이 버전은 오래도록 부틀렉으로만 나돌다가, 2010년 컬럼비아에서 The Bootleg Series Vol. 9: The Witmark Demos: 1962-1964에 수록함으로써 공식 발매되었다. 스튜디오 녹음은, 1970년 6월 앨범 New Morning의 아웃테이크로서 녹음해 놓은 게 있고, 이것도 역시 부틀렉화되었다. 워킹 데드 시즌 1 최종화에서 등장한다. 2017년 영화 더 베니싱 오브 시드니 홀에서 로건 러맨의 구음으로 한 번, 또 밥 딜런의 구음으로 한 번 등장한다.The Walking Dead Soundtrack Retrieved March 7, 2012The Walking Dead Season 1 Finale Retrieved March 7, 2012What's That Song From The Walking Dead Season Finale? Retrieved March 7, 2012 1966년 5월 26일, 엘비스 프레슬리가 앨범 How Great Thou Art 취입 중 불렀다. 이것은 사운드트랙 앨범 Spinout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딜런은 프레슬리의 녹음을 두고 언제인가, "내가 가장 아끼는 유일무이한 녹음(the one recording I treasure the most)"이라고 한 바 있다. 또한 자기 노래의 커버 곡 중 가장 사랑하는 커버라고 했다. 에른스트 조겐슨의 저서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악인생 - 레코딩 세션 총망라(Elvis Presley: A Life In Music - The Complete Recording Sessions)를 보면, 엘비스는 찰리 맥코이를 통해 처음 이 곡을 들었다고 나온다(맥코이는 일찍이 Highway 61 Revisited, Blonde on Blonde의 녹음에 참사한 경력이 있다. 또 1965년 오데타의 앨범 Odetta Sings Dylan에서도 참사한 바 있다). 그렇게 이 곡을 접하게 된 프레슬리는, "이윽고 'Tomorrow Is A Long Time'에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다."고 한다. = 한나스 워 = 한나스 워(Hanna's War)는 헝가리에서 제작된 메나헴 골란 감독의 1988년 전쟁 영화이다. 엘렌 버스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엘렌 버스틴 마루츠카 데트메르스 안소니 앤드류스 도널드 플레젠스 데이비드 워너 = = = 조연 = = = 빈센조 리코타 = = 기타 = = 공동제작: 요람 글로버스 공동제작: 메나헴 골란 의상: 존 몰로 배역: 노엘 데이비스 배역: 제레미 지머먼 = 이케바역 = 이케바역(, いけばえき)은 일본 아이치현 신시로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국도 제151호선 = = 역사 = = 1936년 11월 2일 : 산신 철도의 '이케바 정류장'으로서 개업. 1943년 8월 1일 : 산신 철도가 이다 선으로서 국유화되었던 때에 폐지. 1946년 12월 1일 : 일본국유철도에 의해 '이케바 역'으로서 재개업. 당시는, 도카이도 본선 하마마쓰 · 나고야 간의 각 역, 주오 본선 가미스와 · 시오지리 간의 각 역과, 시노노이 선 마쓰모토역을 발착하는 여객만 취급되었다. 1952년 12월 2일 : 여객 취급의 제한을 철폐.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 여객철도가 승계. = 분류:룡천군 = = 분류:우크라이나에 거주한 이스라엘인 = = 망향휴게소 = 망향휴게소(望鄕休偈所, Manghyang Service Area)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요방리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휴게소이다. 부산 방향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 = 시설 = = 화장실 식당 매점 내고장특산물 주차장 종합안내소 브랜드매장: 탐앤탐스, 베스킨라빈스 정유소: EX-OIL,SK LPG충전소 현금 자동 입출금기 = = 전후 = = 다음 지점 ← 현재 지점 ← 이전 지점 천안 나들목 ← 망향휴게소 ← 북천안 나들목 천안호두휴게소 ← 망향휴게소 ← 안성휴게소 = 분류:1482년 완공된 건축물 = = 분류:신라의 왕 이름을 딴 분류 = = 스즈키 미노리 = 스즈키 미노리(, 1997년 10월 1일 ~ )는 일본의 가수이자 성우. 아이치현 나고야시 출신. 아오니 프로덕션 소속. = = 약력 = = 어렸을 때부터 노래하는 것을 매우 좋아하여, 「목소리」에 관한 일(가수·나레이션·연극)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초등학교 고학년 때 심야 애니메이션을 보게 되고, 「성우가 되면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다 할 수 있다」라고 동경을 품게 되었고 .고등학교 1학년 때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 고등학교 2학년의 1년간은 일주일에 한 번 도쿄의 성우 양성학교에 다니며 레슨을 받았다. 2014년 말에 발표된 마크로스 시리즈의 신작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의 신가희·성우 오디션에 참가하였고, 응모자 약 8,000명 중에서 합격했다. 2015년 10월 29일, 「마크로스 Δ(델타) 초시공 제작 발표회」에서 첫 선을 보였다. 2016년 4월 TV 애니메이션 '마크로스 Δ'의 프레이어 비온 역으로 연예 활동을 시작했으며, 작품 중 여성 음악 유닛 '왈큐레' 명의의 음악 활동도 펼치고 있다. 2018년 1월 24일 싱글 'FEELING AROUND'를 발매하고 솔로 데뷔 동년 5월 21일에 오피셜 팬클럽 「미노리다이」를 오픈하였고. 같은 해 12월일에 첫 앨범 「보기 전에 날아라!」를 발매하였다. 게임 작품으로는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스의 후지와라 하지메[13], [도키메키 아이돌]의 쓰키시마 미나도], [말 처녀 프리티 더비]의 아그네스 디지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 하츠네 미쿠의 동운화명 등을 연기하고 있다. 2021년 제15회 성우 어워드에서 '왈큐레'로 가창상을 수상. 동년 12월 연극 「MOTHERLAND」로, 여배우로서 첫 무대에 세웠다. 2023년, 자신이 태어난 1997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시리즈의 신작에서, 사토시를 대신하는 더블 주인공의 한 사람인, 리코를 연기중이다. 동년 9월 30일자로 데뷔 때부터 소속되어 있던 e-stone music을 퇴소하였고. 10월 1일부터 아오니 프로덕션으로 이적하였다. = = 출연작품 = = = = = TV 애니메이션 = = = 마크로스Δ (프레이아 비온) 디지몬 유니버스 어플리 몬스터즈 (여고생, 유카와라 마호, 관객) 달이 아름답다 (여학생) 생방송 아니메 『직감×알고리즘♪』 (기린)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누아르가 환생한 남자아이) 왕 게임 - (히라노 나미)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2017년 - 2019년 후지와라 하지메)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시노모토 아키호) 그랑크레스트 전기 (에마) 아만츄! ~어드밴스~ (여성,여자아이,손님,여자,학생) 카쿠리요의 여관밥 (가이・메이) 치오의 통학로 - (시노즈카 모모)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Ⅲ (플로리스) 호접기: 젊은 노부나가 (이코마 키츠노) SHOW BY ROCK!! 마슈마이렛슈!! (우이우이) 책벌레의 하극상 2기 (로지나)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2nd SEASON -각성 전야- (벚꽃의 소문) 포켓몬스터 (2019) (레시나) 녹을 먹는 비스코 (오타) 푸치세카 (시노노메 에나) 데아이몬: 화과자 이야기 (리카와 미츠루) 용사, 그만둡니다 (디아넷) 흑의 소환사 (세라) 아스트롤로지 ~이상한 12성좌 별자리 운세~ - 메땅 (염소자리) 좋아하는 애가 안경을 깜박했다 (토오야마 마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일반 여성) 포켓몬스터(2023) (리코) 슈거 애플 페어리 테일 (벤저민) 의매생활 (요미우리 시오리) = = = 극장 애니메이션 = = =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2018년 ,프레이아 비온) 사이다처럼 말이 톡톡 솟아올라 (2021년, 아키코) 극장판 마크로스 Δ 절대LIVE!!!!!! (2021년, 프레이아 비온) 쾌걸 조로리: 라라라♪ 스타 탄생 (2022년, 로라) = = = OVA = = = 마지모지 루루모 -방과후 마법중학생- (2019년, 쿠지라이 타나코) = = = WEB 애니메이션 = = = 신데렐라 걸즈 극장 (2017년 - 2021년, 후지와라 하지메) CINDERELLA GIRLS 10th Anniversary Celebration Animation ETERNITY MEMORIES (2022년, 후지와라 하지메) 우마유루 (2022년 - 2023년, 아그네스 디지털) PLUTO (2022년, 우란 ) = = = 게임 = = = 퀴즈 RPG 마법사와 검은고양이 위즈 (프레이아 비온, 시노모토 아키호) 마크로스 Δ 스크램블 - 프레이아 비온)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 (요나가 안지)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후지와라 하지메) 노래 마크로스 스마트폰De컬쳐 (프레이아 비온)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아키타입 브레이커 (오닐 코멧) 함대 컬렉션 (아마기리, 사기리) 벽람항로 (크레센트, 코멧) 블레이징 오디세이 (타흐리르) 우리 공주님이 제일 귀여워 (귀신 리세, 시노모토 아키호) 프레카투스의 천칭 (히마리) 메이플스토리 (아리카 링크) 밀리히메 (프리무라 크라이네흐) 컴퍼니☆걸즈 (허미니아 블레어) 드래곤 제네시스 - 성전의 유대 - (나타쿠) 도키메키 아이돌 (츠키시마 미나토) 이세계 용사의 살인유희 (카논) 어비스 호라이즌 (우시오) 다크 리베리온 - 케르베로스) 그림에코즈 - 앨리스) 명일방주 - 소라)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만년 벚꽃의 소문) Guns of Soul2 - 안, 발키리) MONSTER BASKET - 클레오파트라 (카구야 공주) 이상한 환상향 - 로터스 라비린스 - 키진 세이자) SEVEN's CODE (우루카, 코니)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환상수속 (플로리스) 카드캡터 사쿠라 해피니스 메모리즈 (시노모토 아키호) 그랑블루 판타지 (야치마) SHOW BY ROCK!! Fes A Live (우이우이) 걸 프렌드(베타) (츠키구마 린코) 군림지경 (호우린) 푸른 맹세 (오오이, 히에이) 에시가미의 유대 (메루모) 컴퍼니☆걸즈 (오데트 브란제)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만년 벚꽃의 소문 수영복 Ver.)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시노노메 에나) 카드캡터 사쿠라 리페인트 레코드 (시노모토 아키호) 환상감옥의 컬라이더스코프 (타마루 카린 ) 사쿠라 혁명 ~꽃 피는 소녀들~ (비에이 나나코) 스나이파이71 (라무네) 메다로트S (히사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아그네스 디지털) FFBE WAR OF THE VISIONS (아림) MONSTER HUNTER RISE (주인공 목소리 타입 13) 동방 탄막 카구라 (코마노 아운) 코토다만 (비너스, 엔타이코, 엔디아, 얀데로즈) 오버나이트 티 (윤나 피치티 ) = = = 라디오 / 인터넷 TV = = = 와타하나. 라디오! ~sprout~ (온센, 2023년 1월 2일 ~ 현재, 매주 월요일, 비정기 출연) 성우 인연 카운트(声優 縁かうんと) (니코니코 채널, 2021년 5월 19일 ~ 현재, 매월 첫번째 수요일, 21:00~22:00) 마크로스가 멈추지 않아(マクロスがとまらない) (SHOWROOM, 2017년 1월 6일 ~ 현재, 격주 목요일, 22:00~22:45) 스즈키 미노리와 미소 가득하게!(鈴木みのりと笑顔満タンで!) (초!A&G+/니코니코 채널, 2018년 7월 7일 ~ 2023년 9월 30일, 매주 토요일, 15:00~15:30) 25시, 나이트 라디오에서. (25時、ナイトラジオで。) (유튜브 채널 2020년 11월 1일 ~ 2023년 9월 17일, 격주 토요일 25:00~25:30) 미노리호노카레이나의 파나사이(みのりほのかれいなの立派な役者にしてください) (니코니코 채널, 2018년 4월 9일 ~ 2021년 3월 9일, 월 1회, 21:00~22:00) 마크로스Δ 힘차게 라디오 할 거랑께!(マクロスΔ ゴリゴリラジオしちゃるかんねっ!) (분카 방송, 2016년 4월 2일 ~ 2016년 10월 22일, 매주 토요일, 27:30 ~ 28:00) = = = CM = = = d애니메이션 스토어 - (2016년 4월 - 6월) 월간 ComicREX - (2016년 4월 - 8월, 잇신샤) 월간 소년 시리우스 - (2016년 4월 - , 고단샤) 마크로스Δ스크램블 - (2016년 7월 -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발표! 모든 마크로스 대투표 - 프레이어 비온 (2019년 4월 6일, NHK 종합) = = = 파칭코 = = = 마크로스Δ(2019년, 프레이어 비온) 스나이파이 71 (2020년, 라무네) 파치슬로 마크로스 델타 (2021년, 프레이어 비온) = = = 그 외 콘텐츠 = = = 싸우는 빵집 주인과 기계장치 종업원 (2018년, 레베카 샤를라하트) 온라인의 양들 (2018년, 에리카 링크) 의붓여동생 생활 (2021년, 요미우리 시오리 2권 특전 ASMR)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 시노모토 아키호 )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 시노모토 아키호 ) 굿바이 선언 (2022년, 나나세 레나 ) 프로젝트 세카이 보이스 드라마 (2021년 - 2022년, 시노노메 에나) Chinozo 악곡 노벨라이즈 제4탄 『TAMAYA』 PV (2023년, 나레이션) 이세계에서 언니에게 이름을 빼앗겼습니다 (2023년, 코믹스 2권 특전 보이스 코믹) 이치카 = 평산 소씨 = 평산 소씨(平山邵氏)는 황해북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소태보(邵台輔)가 고려 숙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 = 역사 = = 평산 소씨(平山邵氏)의 원시조(始祖) 소옹(邵雍)은 중국에서 영천 단련추관(潁川團鍊推官)을 지내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신안백(新安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시조 소태보(邵台輔)가 고려 문종(文宗) 때 호부시랑(戶部侍郞)을 거쳐 선종(宣宗) 때 형부상서(刑部尙書)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이부상서(吏部尙書) 좌복야(左僕射)가 되었고, 1094년에 헌종(獻宗)이 즉위하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상주국(上柱國)이 되었으며, 숙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치사하였다. 숙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高麗史』 卷 九十五, 列傳 八 = = 항렬자 = = 24世 25世 26世 27世 28世 29世 30世 31世 32世 흥(興) 한(漢) 신(新) 철(哲) 계(啓) 영(榮) 순(舜) 민(敏) 류(柳) = = 인구 = = *1985년 1,203명 *2000년 725명 *2015년 평산 소씨 670명 + 평주 소씨 20명 = 690명 = 더 바이블 = 더 바이블은 2013년 방영된 미국의 미니시리즈로, 성경을 토대로 하였다. = 고고촌 (가가와현) = 고고촌(五郷村)은 가가와현 미토요군에 설치된 촌이다. = 눈부신 날 = 눈 부신 날은 럼블피쉬의 최진이가 발매한 미니앨범이다. 최진이는 이전에도 더네임이나 ISU와 공동으로 음반을 만든 적은 있다. = 틀:논리학 틀/설명문서 = = FC 콩코르디아 바젤 = FC 콩코르디아 바젤은 바젤을 연고로 하는 스위스의 축구 클럽이다. 현재는 스위스의 4부 축구 리그인 스위스 1. 리가에 참가하고 있다. = 분류:구영초등학교 동문 = = Every Open Eye = Every Open Eye는 2015년에 발매된 처치스의 음반이다. 버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춘양초등학교 (경북) = 춘양초등학교는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10.11.18 사립 광성학교로 개교 1912.04.01 봉화공립보통학교로 개칭 1918.04.01 춘양공립보통학교로 개칭 1938.04.01 춘양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04.01 춘양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96.03.01 춘양초등학교로 개칭 1997.07.06 교육부 농어촌 현대화 학교 시공 1998.08.25 교육부 농어촌현대화학교 본관 건물 준공 1999.03.02 법전초등학교·애당초등학교 통폐합, 눌산분교장 편입 1999.09.01 삼동분교장 통폐합 2004.06.29 교육인적자원부 학교모형 연구학교 보고회 2006.11.10 경상북도교육지원청 외국인 어머니 자녀교육 시범 공개 2008.12.31 우리 교육청 자율수업장학 우수교로 선정 2009.03.01 눌산분교장 통폐합 2010.03.01 경상북도교육지원청 다문화교육 시범학교 2010.12.16 2010 명품 경북교육홍보 최우수학교 표창 2010.12.31 2010 명품 봉화교육 자율수업장학 최우수교 선정 2012.09.01 제35대 류시언 교장 부임 2013.03.01 경상북도교육청지정 저작권 교육 정책 연구학교 2014.11.28 체육관 '솔빛채' 개관 2015.02.13 제 103회 졸업식(졸업생 10473명) 2015.03.01 초등 7학급(일반 6, 특수 1), 유치원 2학급 편성 2015.08.24 병설유치원 이전 신축 2015.12.30 학교홍보 우수교, 청렴마일리지 우수교 지정 2016.09.01 제36대 김숙희 교장 부임 2017.02.10 제105회 졸업식(졸업생 10522명) 2017.03.01 초등 7학급(일반 6, 특수 1), 유치원 1학급 편성 2018.01.18 제 9회 방과후학교대상 장려상 수상 및 100대 방과후학교 선정 2021.02.10 제 109회 졸업식(졸업생 10799명) 2021.03.01 초등 7학급(일반학교6, 특수학교1), 병설유치원1학급 편성 2021.09.01 제38대 이영관 교장 부임 = 분류:네덜란드의 지리학자 = = 분류:연도별 EP = = 분류:홍성 고씨 = = 로열 에든버러 밀리터리 타투 = 로열 에든버러 밀리터리 타투(Royal Edinburgh Military Tattoo)는 스코틀랜드의 수도 에든버러에서 매년 8월쯤 3주에 걸쳐 진행되는 축제 중 하나로, 군악대가 공연을 한다. = 바바사키초역 = 바바사키초역은 일본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사카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사카이미나토 시청 사카이미나토 우편국 산인 합동은행 요나고 신용금고 = = 역사 = = 1987년 11월 1일 : 서일본 여객철도에 의해, 사카이 선의 나카하마 역 - 아마리코 역 간에 신설 개업. 사카이 선의 후지미초 역, 산본마쓰구치 역, 센자키구치 역, 다카마쓰초 역과 함께 같은 해 4월 서일본 여객철도 발족 이래 첫 신설역임. = 틀:작가 정보/설명문서 = {{작가 정보 }} {{작가 정보 }} = = 사용 방법 = = 각 항목에 다음의 내용을 입력합니다. 항목 설명 이름 작가의 이름을 입력 원어이름 작가의 출신 국가의 언어로 쓴 작가의 이름(문서 제목)을 입력 그림 작가의 이미지를 입력 (파일명 + 확장자) 그림 크기 크기가 200px 이하일 경우 가로축 크기를 입력 설명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 본명 작가의 출신 국가의 언어로 쓴 작가의 이름을 입력 로마자 표기 작가가 비로마자권 국가 출신 인물인 경우 로마자로 변환된 인물의 이름을 입력 출생명 출생 당시의 이름 입력 출생지 출생한 장소 입력 사망지 사망한 장소 입력 필명 별칭 인물을 달리 부르는 잘 알려진 이름이나 이름이 출생명과 다를 때 사용 직업 활동했던 분야에 따른 직업을 입력. 예) 소설가, 시인 등 소속 현직 전직 언어 국적 국적 입력 민족 시민권 학력 모교 활동 기간 활동 기간 입력 등단시기 등단한 때 입력 등단작 등단한 작품 입력 장르 장르 입력 주제 주제 입력 문학 경향 활동했던 문학 경향 등을 입력 주요 작품 주요 작품 입력 수상 수상 내역 입력 신장 신장 입력 배우자 배우자 입력 부모 부모 입력 동거인 동거인(미혼) 입력 자녀 자녀 입력 친척 친척(유명한) 입력 종교 종교 입력 영향 받은 인물 작가에게 영향을 준 인물 입력 영향 준 인물 작가의 영향을 받은 인물 입력 서명 작가의 서명 그림 파일 입력 (파일명 + 확장자) 웹사이트 작가의 웹사이트 입력 = = 빈 예시 = = {{작가 정보 }} { "description": "", "format": "block", "params": {} } = 총각 파티 (1984년 영화) = 총각 파티(Bachelor Party)는 미국에서 제작된 닐 이스라엘 감독의 1984년 코미디 영화이다. 톰 행크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론 몰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톰 행크스 애드리언 즈메드 조지 그리자드 배리 다이아몬드 윌리엄 테퍼 로버트 프레스콧 = = = 조연 = = = 토니 키탠 마이클 듀디코프 게리 그로스먼 브래드포드 밴크로프트 마르티나 핀치 웬디 조 스페버 데보라 하몬 바바라 스튜어트 = = 제작진 = = 프로듀서: 앤 카인드버그 특수효과: 리처드 톰 소여 = = 파일의 설명 = =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앞에 위치한 심산 김창숙선생 동상 = 분류:스페인의 범죄 = = 이즈메촌 = 이즈메촌(飯詰村)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이즈메촌 (아오모리현) -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이즈메촌. 현 고쇼가와라시. 이즈메촌 (아키타현) - 아키타현 센보쿠군 이즈메촌. 현 미사토정. = 대한민국 형법 제269조 = 대한민국 형법 제269조는 낙태에 대한 형법각칙의 조문이다. 낙태죄는 폐지되었다. = = 해설 = = 형법에 현재의 낙태죄가 규정된 건 1953년이지만, 거의 50년 동안 이 조항은 사문화되었고 1960년대 이후 정부는 경제발전을 위해 강력한 출산억제 정책을 실시했고, 인구억제책의 일환으로 ‘낙태버스’가 운영될 만큼 낙태가 ‘피임’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던 시절도 있었다들키면 안 돼, 자 이제 ‘토크타임’ : 문화 : 뉴스 : 레드 기획 : 한겨레21 [2014.07.07 = = 판례 = = = = =조산사의 태아 낙태의 위헌성 = = = 형법 제270조 1항은 “의사, 한의사, 조산사, 약제사 또는 약종상이 부녀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낙태하게 한 때에는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형법 제269조 1항의 자기낙태죄 조항이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여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임부의 부탁을 받아 이를 도와주는 조산사 등을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한 조항도 위헌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낙태죄의 위헌여부가 먼저 검토되어야 한다. 살피건대 인간의 생명은 고귀하고, 태아가 비록 그 생명의 유지를 위하여 모에 의존해야 하지만 그 자체로 모와는 별개의 생명이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인간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므로 태아에게도 생명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익인 임부의 자기결정권이 태아의 생명권 보호라는 공익에 비하여 결코 중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자기낙태죄 조항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2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 국교 = 국교(國敎, )는 국가에 의해 공인된 종교를 뜻한다. 주로 종교국가를 지향하는 나라들의 경우 종교의 통일을 통한 국론의 일치와 이념의 통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 개요 = = 현대에는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민주주의적 원칙이 확산됨에 따라, 국교가 헌법으로 규정된 나라는 많지 않다. 국교를 정하는 국가와는 반대로 국교를 정하지 않는 나라를 세속국가(世俗國家)라고 한다. 한국의 경우, 역사적으로 신라 및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고 종교의식을 국가적으로 행하였으나 다른 신앙이 박해되지는 않았다. 조선은 유교 사상 부흥의 일환으로 불교를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로마 가톨릭교회를 사교로 몰아 박해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은 헌법 제20조에 따라 국교를 부인하고 종교의 자유를 최대한으로 보장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사회주의헌법 제68조에서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고 있으나, "외세를 끌어들이거나 국가사회질서를 해치는데 이용할 수 없다."는 단서로 인하여 현실적인 종교의 자유는 제한된다. = = 국교가 있는 나라 = = = = = 불교 (상좌부 불교) = = = * * * = = = 불교 (티베트 불교) = = = (카규파) = = = 이슬람 (종파의 구분이 없거나 혼합) = = = * * * * = = = 이슬람 (수니파)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슬람 (시아파) = = = (사실상) * = = = 이슬람 (이바디파) = = = * = = = 가톨릭 = = = * * * * = = = 정교회 = = = * * = = = 개신교 = = = (루터교회) (성공회) : 가톨릭과 개신교를 포함한 기독교는 잠비아의 국교이며 잠비아 인구 절반이 개신교, 가톨릭을 믿는다. 다만 개신교 신자가 많아서 이 곳에 작성했다. : 투발루와 통가는 개신교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개신교 국가화했다. 투발루에서는 장로교 개혁교회, 통가에서는 감리교가 국교 (투발루 개혁교회) * = 대전광역시 부시장 = 대전광역시 부시장(大田廣域市 副市長)은 대전광역시장을 보좌하여 대전광역시청의 사무를 관장하는 고위공무원이다.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 등 총 2명을 두며, 행정부시장은 국가직 가급 상당의 고위공무원으로, 정무부시장은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대전광역시장의 사고시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 = 현임 부시장 = = 행정부시장: 유득원 경제과학부시장: 장호종 = = 역대 부시장 = = = = = 충청남도 대전부 부부윤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박완식(朴完植) 1945년 8월 16일 ~ 1945년 9월 2일 2대 셔먼 아놀드(Sherman C. Arnold) 1945년 9월 2일 ~ 1946년 2월 현역 미육군 대위 3대 정상렬(鄭相烈) 1948년 전후 4대 박완식(朴完植) 1948년 9월 1일 ~ 1949년 8월 14일 = = = 충청남도 대전시 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5대 박완식(朴完植) 1949년 8월 15일 ~ 1950년 3월 2일 6대 송인덕(宋寅悳) 1950년 3월 3일 ~ ? 7대 한상현(韓相賢) 1952년 10월 30일 ~ 1956년 10월 13일 8대 김영배(金英培) 1956년 10월 14일 ~ 1958년 9월 27일 현역 육군대령 9대 김수영(金壽泳) 1958년 9월 27일 ~ 1959년 5월 19일 10대 김창곤(金昌坤) 1959년 7월 31일 ~ 1960년 5월 20일 11대 김재곤(金載坤) 1960년 5월 21일 ~ 1961년 6월 5일 12대 유웅렬(柳雄烈) 1961년 9월 6일 ~ 1966년 6월 1일 13대 신인균(申璘均) 1966년 7월 1일 ~ 1970년 3월 6일 14대 심춘택(沈春澤) 1970년 3월 6일 ~ 1971년 8월 10일 15대 이승규(李承圭) 1971년 8월 11일 ~ 1974년 11월 4일 16대 송문헌(宋文憲) 1974년 11월 5일 ~ 1977년 9월 14일 17대 송우빈(宋佑彬) 1977년 9월 14일 ~ 1981년 4월 9일 18대 이진봉(李鎭鳳) 1981년 4월 13일 ~ 1986년 3월 7일 19대 조종완(趙鍾完) 1986년 3월 8일 ~ 1988년 12월 31일 = = = 대전직할시 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1대 홍순기 (洪舜基) 1989년 1월 1일 ~ 1989년 12월 26일 2대 박중배 (朴重培) 1989년 12월 27일 ~ 1991년 1월 9일 3대 장의진 (張義鎭) 1991년 1월 10일 ~ 1993년 3월 15일 4대 이근영 (李根永) 1993년 3월 16일 ~ 1994년 1월 2일 직무대리 정하용 (鄭夏容) 1994년 1월 2일 ~ 1994년 2월 1일 5대 정하용 (鄭夏容) 1994년 2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 = = 대전광역시 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1대 정하용 (鄭夏容) 1995년 1월 1일 ~ 1995년 7월 10일 = = =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2대 정하용 (鄭夏容) 1995년 7월 11일 ~ 1999년 3월 23일 3대 권선택 (權善宅) 1999년 3월 24일 ~ 2002년 2월 24일 4대 구기찬 (丘冀贊) 2002년 2월 25일 ~ 2006년 2월 20일 직무대리2월 21일 인사 정진철 (鄭鎭澈) 2006년 2월 20일 ~ 2006년 6월 29일 5대 정진철 (鄭鎭澈) 2006년 6월 30일정진철 대전시 행정부시장, 관리관으로 승진 머니투데이 2006년 6월 29일 ~ 2007년 10월 1일 6대 박찬우 2007년 10월 1일 ~ 2008년 12월 29일 7대 김홍갑 2008년 12월 30일 ~ 2010년 9월 12일 8대 박상덕 2010년 9월 13일 ~ 2012년 12월 10일 9대 노병찬 2012년 12월 10일 ~ 2014년 3월 5일 10대 류순현 2014년 4월 22일 ~ 2016년 2월 1일 11대 송석두 2016년 2월 2일 ~ 2017년 3월 3일 12대 이재관 2017년 3월 6일 ~ 2019년 2월 14일 13대 정윤기 2019년 2월 15일 ~ 2020년 6월 25일 14대 서철모 (徐轍模) 2020년 6월 26일 ~ 2021년 12월 31일 15대 이택구 (李宅九) 2021년 12월 31일 ~ 2023년 9월 27일 16대 유득원 2023년 12월 1일 ~ = = = 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2대 조준호(趙俊鎬) 1995년 7월 26일 ~ 1999년 2월 19일 3대 권선택 (權善宅) 1999년 2월 20일 ~ 1999년 3월 23일 4대 김현규 (金賢圭) 1999년 3월 24일 ~ 2000년 5월 10일 직무대리 김용관 2000년 5월 11일 ~ 2000년 6월 28일 5대 가기산 (賈基山) 2000년 6월 30일 ~ 2000년 10월 9일 직무대리 박성효 (朴城孝) 2000년 10월 10일 ~ 2000년 11월 19일 6대 김의제 (金義濟) 2000년 11월 21일 ~ 2002년 6월 26일 7대 김광희 2002년 7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8대 박성효 2005년 1월 1일 ~ 2006년 3월 6일 직무대리 박상덕 2006년 3월 7일 ~ 2006년 4월 26일 9대 이영규 (李暎珪) 2006년 4월 27일 ~ 2007년 4월 2일 10대 양홍규 2007년 4월 23일 ~ 2008년 4월 3일 11대 김영관 2008년 4월 8일 ~ 2009년 8월 20일 12대 송인동 2009년 10월 8일 ~ 2010년 6월 15일 13대 박현하 2010년 7월 21일 ~ 2011년 3월 31일 14대 이종기 2011년 4월 7일 ~ 2012년 7월 11일 15대 김인홍 2012년 7월 25일 ~ 2014년 6월 29일 16대 백춘희 (白春喜) 2014년 7월 14일 ~ 2016년 6월 30일 17대 이현주 2016년 7월 29일 ~2017년 9월 11일 18대 김택수 2017년 9월 12일 ~ 2018년 7월 10일 19대 박영순 2018년 7월 11일 ~ 2019년 7월 18일 20대 김재혁 2019년 8월 20일 ~ 2020년 9월 24일 21대 김명수 2020년 9월 25일 ~ 2020년 12월 31일 = = = 대전광역시 과학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1대 김명수(金明壽) 2021년 1월 1일 ~ 2022년 6월 30일 2대 이석봉(李石鳳) 2022년 7월 15일 ~ 2022년 7월 = = = 대전광역시 경제과학부시장 = = = 대수 이름 임기 1대 이석봉(李石鳳) 2022년 7월 ~ 2023년 12월 8일 2대 장호종 2024년 1월 1일 ~ = 미스터 션샤인 = 미스터 션샤인은 tvN에서 2018년 7월 7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방영된 주말 드라마이다. 1900년부터 1907년까지 대한제국 시대 의병(義兵)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또한, 미스터 션샤인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의 션샤인 스튜디오에서 촬영됐으며, 제목 ‘Mr. Sunshine’은 1900년 당시 표기법에 따라 '선샤인'이 아닌 '션샤인'으로 표기된다. 김은숙 작가와 연출을 맡은 이응복 감독이 태양의 후예(2016년), 도깨비(2016년)에 이어 세 번째로 합작한 작품이다. 하지만 당초 SBS에서 방송될 예정이었으나 막대한 제작비 문제와 주연배우인 이병헌과 SBS 드라마본부 측의 적대적인 관계 때문에 불발됐다. 아울러, 친일 미화-역사 왜곡 등의 다소 논란의 소지가 많기도 했다. 한편, 2018년 9월 22일에는 1회부터 22회까지를 감독판으로 재구성한 영상과 함께 하이라이트와 미공개분, 23~24화 미리 보기 내용을 담은 스페셜 Gun, Glory, Sad ending이 방영되었다. = = 줄거리 = = 신미양요 때 조선의 노비 출신 소년 유진이 미국 군함에 승선해 미국으로 건너간 후 미 해병대 장교가 되어 조선으로 돌아와 양반 가문의 애신과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이병헌 : 최유진 / 유진 초이 역 (아역 김강훈, 전진서) - 노비의 아들, 미 해병대 장교(계급 : 미 해병 대위) 김태리 : 고애신 역 (아역 허정은) - 사대부 딸 유연석 : 구동매 / 이시다 쇼 역 (아역 최민영) - 백정 아들, 무신회 한성지부장 김민정 : 쿠도 히나 / 이양화 역 - 호텔 글로리 사장 (이가 완익의 딸) 변요한 : 김희성 역 - 애신의 정혼자 = = = 최유진의 주변 인물 = = = 조우진 : 임관수 역 - 미 공사관 역관 데이비드 맥기니스 : 카일 무어 역 - 미 해병대 장교, 유진의 직속상관(계급 : 미 해병 소령) 제이슨 넬슨 : 요셉 스텐슨 역 - 미국인 선교사 = = = 고애신의 주변 인물 = = = 최무성 : 장승구 역 (아역 성유빈) - 포수, 애신의 사격 스승 김갑수 : 황은산 역 - 도공 신정근 : 행랑아범 역 이정은 : 함안댁 역 이호재 : 고사홍 역 - 애신의 할아버지 김나운 : 조씨 부인 역 - 애신의 큰어머니 박아인 : 고애순 역 - 애신의 사촌언니 지승현 : 송영 역 - 애신의 외당숙, 애신의 아버지의 친우이며 어머니의 외가 오라버니 중 한명 = = = 김희성의 주변 인물 = = = 김동균 : 김안평 역 - 희성의 아버지, 대지주 김혜은 : 윤호선 역 - 희성의 어머니 = = = 전당포 해드리오 = = = 김병철 : 일식 역 - 전직 추노꾼 배정남 : 춘식 역 - 전직 추노꾼 = = = 왕실 & 관료 = = = 이승준 : 고종 역 (아역 강이석) 최종원 : 흥선대원군 역 강신일 : 이정문 역 - 궁내부 대신 최진호 : 이세훈 역 - 외부대신(친일파) = = = 의병단 = = = 장동윤 : 준영 역 - 무관학교 학도 정민아 : 연주 역 - 준영 누나 서유정 : 홍파 역 - 주모 오아연 : 소아 역 신수연 : 손수미 역 고우림 : 손도미 역 (청년 김민재) - 수미 동생 임철수 : 전승재 역 남창희 : 양복점원 신종민 역 이동용 : 이상목 의병 역 이순원 : 박무걸 의병 역 탁우석 : 진국 역 윤슬 : 박간호사 역 박봉진 : 대장장이 역 이동희 : 불란서 제빵소 주인 역 = = = 친일파 = = = 최진호 : 이세훈 대감 역, 나라를 팔기 위해 도공 황은산에게 금을 주고 도자기도 삼. 김의성 : 이완익 / 리노이에 히로아키 역 - 이양화의 아버지, 부왜인 정승길 : 이완용 역 정희태 : 정 경무사 역 김중희 : 이덕문 역 - 고애순의 남편. 이완익의 비서 신문성 : 윤총판 역 이정현 = = = 서양인 = = = 파비앙 윤 : 프랑스 공사관 서기관 레오 역, 이가 양화의 펜싱 선생임. ? : 로건 테일러 역 에이미 알리야 : 로건 테일러의 미망인 역 ? :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언론인이자 데일리 메일(Daily Mail)의 기자) 아히안 데가녜 르클레흐 : 애신의 영어 스승 스텔라 역 = = = 일본인 = = = 김용지 : 점성술사 호타루 역 - 구동매의 동거녀 김남희 : 모리 타카시 역 김인우 : 이토 히로부미 역 정인겸 :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역 윤주만 : 유죠 역 - 무신회 낭인 이정현 : 일본군 하사 츠다 역 최광제 : 일본군 하사 야마다 역 공대유 : 사사키 소유 역 정태야 : 일본 공사관 스즈키 역 윤대열 : 하세가와 요시미치 역 김강일 : 의사 마츠야마 역 이시훈 : 요시노 고(은산 제자) 역 하쿠류 : 무신회 수장 역 박수영 : 구로다 남작 역 김리우 : 무신회 낭인 역 = = = 그 외 인물 = = = 박보미 : 윤남종 역 김시은 : 귀단 역 - 호텔 종업원 이학주 : 김안평 젊은 시절 역 이민섭 : 돌쇠 이주빈 : 이세훈의 후첩 계향 역 김현 : 분이네 역 김선화 : 강씨 부인 역 연민지 : 일본 기생 역 이상희 : 기차 승객 역 권혁 : 통역관 역 남상지 : 이덕문 둘째 부인 역 류성현 : 늙은 노비 역 우상전 : 애신의 친척 어른 역 송진우 : 일본 공사관 역관 형기 역 윤병희 : 김용주 역 최다인 : 순심이 역 설우형 : 남자아이 역 브렛 린드퀴스트 윤지온 : 학도병 역 김진성 : 학도병 역 박시진 : 학도병 역 박지연 : 윤호선(김희성 母) 젊은 시절 역 문학진 : 인력거꾼 우미화 김주황 차순형 황인준 김고은 윤종구 강이석 민경옥 문병희 김동현 조지영 김경민 황배진 박광복 박원희 이동희 손승훈 조경숙 김로사 김서현 남동하 여운목 손경원 : 학부대신 역 강학수 민대식 지성 이원진 윤혜준 오상윤 송창규 남동하 오세열 신문성 손동화 : 웨이터 역 장해송 신석민 정동근 권진우 김대국 정종우 송요셉 박용 변주현 추승욱 최영우 = = = 우정출연 = = = 진구 : 고상완 역 - 애신의 아버지 김지원 : 김희진 역 - 애신의 어머니 = = = 특별출연 = = = 김응수 : 김현석 판서 역 - 희성의 할아버지 이시아 : 최유진의 어머니 역 조완기 : 최유진의 아버지 역 심완준 임세미 : 구동매의 어머니 역 진선규 : 구동매의 아버지 역 윤경호 : 장승구의 아버지 역 김주령 : 순헌황귀비 엄씨 역 박정민 : 안창호 역 박승환 : 대한제국군 시위대 제1연대 1대대장으로 계급은 참령(소령) 김민재 : 손도미 역 (아역 고우림) - 수미 동생 = = 시청률 = =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회차 방송일 AGB 전국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유료플랫폼 가입가구 기준. AGB 수도권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제1화 7월 7일 8.852% 10.636% 8.5% 제2화 7월 8일 9.691% 11.511% 10.8% 제3화 7월 14일 10.082% 12.386% 10.1% 제4화 7월 15일 10.567% 11.865% 11.4% 제5화 7월 21일 10.835% 12.717% 10.6% 제6화 7월 22일 11.713% 13.481% 11.1% 제7화 7월 28일 11.114% 12.563% 10.8% 제8화 7월 29일 12.330% 13.912% 11.9% 제9화 8월 4일 11.695% 12.763% 12.2% 제10화 8월 5일 13.534% 15.400% 12.9% 제11화 8월 11일 12.792% 14.227% 12.5% 제12화 8월 12일 13.399% 15.378% 13.2% 제13화 8월 18일 13.327% 15.576% 12.8% 제14화 8월 19일 15.626% 18.126% 15.4% 제15화 8월 25일 12.893% 14.686% 12.6% 제16화 8월 26일 15.023% 17.370% 14.8% 제17화 9월 1일 7.694% 8.140% % 제18화 9월 2일 14.722% 16.387% % 제19화 9월 8일 14.114% 14.775% % 제20화 9월 9일 16.500% 18.178% % 제21화 9월 15일 14.280% 16.013% % 제22화 9월 16일 16.588% 18.749% % 제23화 9월 29일9월 22일 및 9월 23일 방송분은, 추석 연휴 스페셜 방송으로 결방됨. 15.419% 17.272% % 제24화 9월 30일 18.129% 21.828% % 평균 시청률 평균 시청률 12.955% 14.747% = = 사운드트랙 = = Part. 1 박효신 - 그날 Part. 2 일레인 - 슬픈 행진 Part. 3 김윤아 - 눈물 아닌 날들 Part. 4 이수현 - 소리 Part. 5 멜로망스 - 좋은 날 Part. 6 사비나 앤 드론즈 - My Home Part. 7 하현상 - 바람이 되어 Part. 8 박원 - 이방인 Part. 9 오존 - Shine Your Star Part. 10 뉴이스트 W - And I Part. 11 백지영 - See You Again (feat. 리처드 용재 오닐) Part. 12 신승훈 - 불꽃처럼 아름답게 Part. 13 김세정 - 정인 Part. 14 벤 - If You Were Me Part. 15 황치열 - 어찌 잊으오 = = 촬영지 = = *최참판댁 *배동 삼릉숲 *부안영상테마파크 *황매산 *만휴정 *초간정 *일두고택 *화왕산성 *외병대와 고산정 *운보의 집 *션샤인 랜드 *스튜디오 큐브 *해미읍성 *서도역영상촬영장 *계명대학교(계명한학촌) *고창읍성(모양성) *대장금파크 *천은사 *탑동 양관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주최 기관) 부문 수상작(자) 결과 2018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연기대상 이병헌 2018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신인상 김태리 2018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OST상 김윤아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올해의 드라마상 미스터 션샤인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대상 이병헌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남자 케이스타인기상 이병헌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유연석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여자 연기상 김민정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여자 케이스타인기상 김민정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여자 신인상 김태리 2018 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여자 케이스타인기상 김태리 2018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이병헌 2018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남우조연상 유연석 2018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여우신인상 김태리 2018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부문 여자인기상 김태리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대상 이병헌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올해의 아티스트상 이병헌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페뷸러스상 이병헌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남자 인기상 이병헌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남자 인기상 유연석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올해의 아티스트상 유연석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베스트 액터상 유연석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여자 인기상 김태리 2018 제12회 미디어어워즈 유료방송 콘텐츠 우수상 드라마 부문 미스터 션샤인 2018 2018 방송비평상 드라마 부분 미스터 션샤인 2018 제23회 소비자의 날 KCA 문화연예 시상식 2018 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2018 제2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이정은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이병헌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김태리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조연상 유연석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조연상 김민정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올해의 드라마상 미스터 션샤인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최고의 드라마 OST부문 미스터 션샤인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올해의 배우상 남자부문 이병헌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올해의 배우상 여자부문 김태리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최우수조연상 남자부문 유연석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최우수조연상 남자부문 변요한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최우수조연상 여자부문 김민정 2019 제1회 아시아 콘텐츠 어워즈 베스트 크리에이티브 상 미스터 션샤인 = = 참고 사항 = = 당초 쿠도 히나 역으로 김사랑이 낙점됐으나 건강 상의 이유로 하차 하였다. 이 화면은 레터박스로 구성되었다. = 초안:VFA-2 = "바운티 헌터"로도 알려진 Strike Fighter Squadron 2 (VFA-2)는 캘리포니아 르무어 해군 비행장 에 본부를 둔 미해군 F/A-18F 슈퍼 호넷 타격 전투기 비행대이다. 꼬리 코드는 NE이고 호출 부호는 "Bullet"이다. 그들은 Carl Vinson 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투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다양한 항공기로 구성된 복합 유닛인 Carrier Air Wing 2 (CVW-2)에 부착된다. =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또는 일명 원샷법은 기업이 자발적인 사업재편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 및 규제 등을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활력과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특별법이다. 2016년 2월 4일에 대한민국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 제정 과정 = = 2016년 2월 4일 : 국회 본회의장에서 찬성 174명, 반대 24명, 기권 25명으로 통과됐다. 2016년 2월 12일 :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이 정식으로 공포되었다. 시행은 6개월 뒤인 8월 13일이다. = = 내용 = = 공급 과잉에 따른 어려움으로 사업을 재편하려는 기업에 세제 및 금융 혜택과 인수합병 절차 간소화 지주회사 주식 보유 규제의 유예 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변경 회사 합병 반대 주주의 주식매수 기간이 1개월에서 3개월로 연장 주식매수청구권 요청 기간이 주총 후 20일에서 10일로 단축 소규모 합병시 신주가 발행주식의 20% 미만일 때 주주총회 대신 이사회 승인으로 대체 대상 기업에 대한 법 적용기간 3년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심사 및 승인 때 근로자의 이익침해 여부 고려 사업재편의 목적이 ‘경영권의 승계나 특수관계인의 지배구조 강화, 계열사에 대한 부당한 이익의 제공’ 등에 있다고 판단되면 지원액의 세 배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 집단 내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계열사는 원샷법의 채무보증 특례에서 제외 = 칼런 제프리 = 칼런 제프리(Carlon Jeffery, 1993년 7월 10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서열 위치 효과 = 서열 위치 효과(序列位置效果, )는 서열 안의 처음과 마지막 항목을 가장 잘 기억하고, 중간의 항목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기질을 말한다. 이 용어는 헤르만 에빙하우스가 직접 연구를 수행하면서 만들어낸 용어이며 연구 목록 내의 항목 위치에 따라 재현 정확도가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임의의 순서의 항목 목록을 회상하라고 요청받을 때(자유 회상) 사람들은 목록의 마지막 것과 함께 회상을 시작하고 해당 항목들을 가장 잘 회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최신 효과(recency effect)라고 한다. 더 이전의 목록 항목 중 최초의 일부 항목은 중간의 항목들보다 더 자주 회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초두 효과(primacy effect)라고 한다.Deese and Kaufman (1957) Serial effects in recall of unorganized and sequentially organized verbal material, J Exp Psychol. 1957 Sep;54(3):180-7 초두효과를 제안한 한 가지 이유는 제시되는 초기 항목들이 장기 기억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저장된다는 점으로, 이는 이것들을 처리하는 양이 더 큰 데 기인한다. (최초의 목록 항목은 스스로 반복이 가능하며, 2번째 것은 처음 것과 함께 반복되어야 하며 3번째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항목과 함께 반복되어야 하는 식이다.) 초두 효과는 항목이 빠르게 제시될 때 감소되며 천천히 제시될 때 강화된다. (각 항목의 처리를 감소시키고 강화시키는 요인, 즉 영구적인 기억) 더 긴 표현 목록은 초두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영구적인 장기 기억을 형성하는 능력이 부족한 기억상실의 경우 초두 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회상이 학습 직후 발생하는 경우 최신 효과를 보인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초두 효과 감소를 보이지만 회상 시 최신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 = 추가 문헌 = = Liebermann, David A. Learning and memory: An integrative approach. Belmont, CA: Thomson/Wadsworth, 2004, . = 분류:오카자키번 사람 = = 아사히 나오 = 아사히 나오(, 1994년 4월 21일 ~ )는 일본의 가수이다. 그룹 전 아이돌링의 멤버이다.일본 사이타마현 출신이다. 친구:스즈키 아이리. = 분류:몬태나주의 강 = = 아네르스 토마스 옌센 = 아네르스 토마스 옌센(, 1972년 4월 6일 ~ )은 덴마크의 영화 각본가, 영화 감독이다. 스티븐 킹 원작의 영화 다크타워: 희망의 탑(2017)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 = 출연 작품 = = 라이더스 오브 저스티스 (2020) 애프터 웨딩 인 뉴욕 (2019) 다크타워: 희망의 탑 (2017) 더 킹 오브 엠파이어 (2015) 맨 앤 치킨 (2015) 세컨 찬스 (2014) 웨스턴 리벤지 (2014) 다시, 뜨겁게 사랑하라! (2012) 인 어 베러 월드 (2010) 새집증후군 (2009) 브라더스 (2009) 피어 미 낫 (2008) 공작부인: 세기의 스캔들 (2008) 백야 (2007) 당신을 허락을 얻어 (2007) 붉은 거리 (2006) 애프터 웨딩 (2006) 터질거야 (2006) 머크 (2005) 벳 하드 (2005) 아담스 애플 (2005) 브라더스 (2004) 렘브란트 (2003) 정육점의 비밀 (2003) 올드 맨 인 뉴 카 (2002) 오픈 하트 (2002) 윌버 (2002) 카운트 악셀 (2001) 왕은 살아있다 (2000) 비욘드 (2000) 어 레어 버드 (1999) 미후네 (1999) = 티엔투언 = 티엔투언( / 1128년 ~ 1133년 1월)은 베트남 리 왕조(李朝) 신종(神宗) 리즈엉호안(李陽煥)의 첫번째 연호이다.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서는 티엔투언이라 적혀 있지만, 월사략(越史略)에서는 다이투언으로 적혀있다. = = 개원 = = 티엔푸카인토(天符慶壽) 2년 1월 1일무신년(戊申年) 1월 병술일(丙戌日)(1128년 2월 3일)에 연호를 티엔투언(天順)으로 개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전서〉(本紀全書) 권3 - 이기(李紀) 2《월사략》(越史略) 권下 - 완기(阮紀) 2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티엔투언(天順) 6년(1133년) 1월에 연호를 티엔쯔엉바오뜨(天彰寶嗣)로 개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서는 개원 기록이 없으며, 《월사략》(越史略)에서 정월에 개원 하였다고 적혀있다. = = 연대 대조표 = = 티엔투언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서기(西紀) 1128년 1129년 1130년 1131년 1132년 1133년 간지(干支)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 = 동시대 연호 = = = = = 중국 = = = 건염(建炎) (1127년 ~ 1130년) 소흥(紹興) (1131년 ~ 1162년) 천회(天會) (1123년 ~ 1137년) 정덕(正德) (1127년 ~ 1134년) 가영(嘉永) (1122년 ~ 1128년) 보천(保天) (1129년 ~ 1137년) 연경(延慶) (1124년 ~ 1133년) = = = 일본 = = = 다이지(大治) (1126년 ~ 1131년) 덴쇼(天承) (1131년 ~ 1132년) 조쇼(長承) (1132년 ~ 1135년) = 임지봉 = 임지봉(1966년 ~ ,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헌법학자이다.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였다.김성곤. 헌법학자 임지봉 교수 “朴대통령 하야시 지자체장 대선출마 가능”. 이데일리. 기사 2016년 11월 6일.신종철. 헌법학자 임지봉 “새누리당 ‘대통령 4월’ 퇴진 권한 누가 줬느냐”. 로이슈. 2016년 12월 2일.헌재 60일의 기록-박근혜 ‘심판의 날’ 다가오다. 뉴스타파. 2017년 2월 24일. (21:48) = = 학력 = = ~ 1990년 : 서울대학교 사법학 학사 ~ 1993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1996년 :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교법과대학원 법학 석사 ~ 1999년 :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교법과대학원 법학 박사 = = 경력 = = 1996 ~ 1998 :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교 동아시어학과 강사 1999 ~ 2002 :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교 로스쿨 객원연구원 1999 ~ 2003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1999 ~ 2000 :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전임강사 2000 :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실행위원 2000 ~ : 한국입법학회 이사 2000.09 ~ 2006.02 : 건국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2003 ~ 2004 : 사법개혁위원회 전문위원 2004 ~ 2005 :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추진기획단 위원 2005 ~ : 법과사회이론학회 이사 2005 ~ 2006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관계자협의회 위원 2005 ~ 2006 : 법무부 국적제도 태스크포스팀 위원 2006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법학적성시험 기초연구위원회 위원 2006.03 ~ 2011.02 : 서강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2007 ~ 2010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소장 2007 ~ 2008 :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자율화위원회 위원 2007 ~ : 한국공법학회 상임이사 2007 ~ : 한국헌법학회 상임이사 2009 ~ : 국회 입법지원 위원 2011.03 ~ :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1.09 ~ 2014.08 :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위원 2017.01 ~ 2017.12 : 한국공법학회 연구이사 2017.02 ~ 2021.02: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 2018.01 : 한국헌법학회 부회장 2018.01 ~ 2020.01: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2018.02 ~ 2019.01: 정책기획위원회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위원 2018.03 : 한국입법학회 회장 2019.01 :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2019.02 ~ 2020.02: 대검찰청 검찰미래위원회 위원 2020.12 ~ 2021.12: 제27대 한국헌법학회 회장 2021 ~ 2021 :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정치분과위원 2023.01 ~ 헌법개정 및 정치제도 개선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 = 상훈 = = 2008년 : 한국공법학회 신진학술상 2009년 : 제29회 장애인의 날 근정포장, 한국장애인 인권상 2022년 : 식당서 소란, 출동 경찰 뺨때린 '공수처 위원' 임지봉 벌금형 = = 저서 = = 《헌법 판례 정선》. 박영사. 2011년. 임지봉 글. 신동민 그림. 《법과 인권 이야기》. 책세상. 2014년. = 분류:1940년대 작품 = = 분류:1712년 신성 로마 제국 = = 분류:수디스과 = = 메시에 72 = M72는 물병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이다. 아직 지구로부터의 정확한 거리를 알 수 없으며, 다만 53,000 ~ 62,000 광년으로 추측된다. 072 6981 = 부안고등학교 = 부안고등학교(扶安高等學校)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7년 2월 14일 : 부안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6학급) 1973년 8월 13일 : 부안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7년 10월 5일 : 현 신축교사로 이전 1995년 11월 15일 : 수지관(체육관) 준공 2001년 8월 23일 : 일반계 5학급, 정보처리과 1학급 인가(계 18학급) 2004년 3월 1일 : 청운당(기숙사) 개관 2008년 8월 26일 : 기숙형 공립고등학교 선정 2009년 8월 5일 : 일반계 6학급 인가(계 18학급) 2010년 3월 23일 : 청운당(기숙사) 2호관 개관 2021년 2월 5일 : 제52회 졸업식(총 12,229명) 2021년 3월 2일 : 신입생 입학(5학급 98명) 2021년 9월 1일 : 제19대 김병석 교장 취임 = 개미 혁명 = 개미 혁명은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이다. 이 책은 개미와 개미의 날의 속편에 해당한다. = = 줄거리 = = 개미의 주연배우 개미 103683호(이하 103호)는 인간 세계를 탈출해 벨로캉으로 돌아오는 길에 벨로캉 개미들을 만나 자신이 인간 세계에서 본 것들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말벌에게 로열젤리를 얻어 여왕개미가 된 103호는 불과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가르친다. 또한 103호는 진보를 원하지 않는 벨로캉으로 쳐들어가 새 주인이 되고 '손가락 혁명'을 주도하게 된다. 한편 인간 세계에서는 퐁텐블로 고등학교에서 사람들이 ‘개미 혁명’이라고 농성을 하고, 막시밀리앵 경감은 농성자들을 해산시키기위해 경찰대를 투입한다. 탈출한 쥘리와 다윗은 퐁텐블로 숲의 비밀동굴로 들어가 가 다른 동료들과 조나탕 웰즈, 아더라미레 등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경찰의 침입에 맞서 개미 로봇을 내보낸다. 마침내 새로운 혁명이념으로 무장한 개미들은 인간과 상호 협력 협정을 맺기 위해 퐁텐블로 숲의 피라미드로 찾아들지만, 경찰이 개미 로봇들을 공격하기 위해 뿌린 살충제에 죽음을 당한다. 피라미드 안의 사람들은 무고한 개미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 경찰에 항복한다. 1년 후 쥘리는 다시 백과사전을 가져다 놓는다. = 레드레이크군 = 레드 레이크군 또는 레드 레이크 카운티(Red Lake County)는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4,089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999명이다. = 분류:1596년 작품 = = 역차별 = 역차별(逆差別, )은 역사적으로 불이익을 받았던 소수 그룹의 이익을 위해, 우세하거나 다수의 그룹에 행해지는 차별이다. 이 그룹에는 장애, 민족, 가족의 지위, 성정체성, 국적, 인종, 종교, 성별, 성적 지향 등의 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 스톤군 (미주리주) = 스톤군 또는 스톤 카운티(Stone County)는 미국 미주리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2,202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1,749명이다. = 진주소방서 = 진주소방서(晉州消防署, )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관할하는 경상남도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이다. 소방서장은 지방소방정으로 보한다. = = 연혁 = = 1946년 11월 1일: 진주소방서 개서 1969년 1월 1일: 삼천포소방서(現 사천소방서) 분리 1995년 3월 21일: 거창소방서 분리 2008년 7월 4일: 하동소방서 분리 2010년 6월 1일: 산청소방서 분리 = = 조직 = = 소방행정과 소방행정팀 예산장비팀 valign="top" 예방안전과 안전지도팀 예방교육팀 민원팀 valign="top" 현장대응과 구조구급팀 대응조사팀 = =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 = = 진주소방서는 6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지역대 상대119안전센터 동진로 249 상대동, 상평동, 초전동, 하대동 중앙119안전센터 북장대로64길 14 장대동, 봉곡동, 중안동, 인사동, 본성동, 평안동, 남성동, 옥봉동, 봉래동, 상봉동, 수정동, 동성동, 계동, 대안동 천전119안전센터 강남로167길 16 강남동, 칠암동, 망경동, 주약동, 가좌동, 호탄동, 정촌동, 내동면 평거119안전센터 순환로 565 이현동, 신안동, 평거동, 판문동, 대평면, 명석면, 수곡면 수곡119구급지원센터 문산119안전센터 문산읍 월아산로 979 금곡면, 금산면, 문산읍, 사봉면, 진성면, 지수면, 이반성면, 일반성면 반성119지역대 금산119안전센터 금산면 송백로 477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대곡면, 초장동 진주소방서 119구조대 동진로 249 경상남도 진주시 일원 = 분류:오스트리아의 대회별 축구 감독 = = 남당항 (홍성군) = 남당항(南塘港)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1년 1월 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는 홍성군수이다. = = 연혁 = = 홍성군은 백제시대 '고막부리현', 통일신라시대 때에는 '지심주', 고려 현종 9년에는 '홍주'로 불리다가 조선 태종 13년에 결성현이 설치되었으며 고종 32년에는 홍주부를 두어 인근 22개 군을 관할하게 했다. 1914년 홍주군과 결성군을 합쳐 홍성군으로 개칭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남당항은 2000년 기본설계 용역을 한후 2001년 실시설계 용역을 했다.서해어업지도사무소 남당항 자료 = = 어항구역 = = 본 항의 어항구역은 다음과 같다. 수역: 남당리 방파제 기점에서 W방향으로 700m 이동한 점, 이점에서 S방향으로 1,100m 이동한 점, 이점에서 E방향으로 1,550m 이동한 점, 이점에서 N방향으로 육지부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2008년 11월 6일,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08-103호,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육역: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859 (1필지)2008년 11월 6일,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08-99호, 국가어항구역(육역) = = 관광 = = 매년 9~10월에 개최되는 남당리 대하축제 기간 동안은 천수만에서 잡히는 대하를 맛보기 위해 전국의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이른 봄에는 새조개축제가 열린다. = 모낭충 = 모낭충(毛囊蟲, Demodex)은 털진드기목에 속하는 모낭진드기속(Demodex) 기생충의 총칭이다. 가축이나 사람의 머리나 얼굴에 기생하면서, 모낭과 피지선을 뚫고 들어가 피지와 노폐물로 영양분을 섭취한다. 모낭충이 과다하게 번식하면 모공이 커지면서 여드름과 탈모 및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 하위 종 = = D. brevis D. bovis D. canis D. caprae D. cati D. equi D. folliculorum D. ovis D. phyloides = 분류:북아일랜드의 정치 = = 블리에 = 블리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베르트랑 블리에: 프랑스의 영화 감독, 작가 베르나르 블리에: 프랑스의 배우 = 분류:1905년 건축 = = 청도 소싸움 축제 = 청도 소싸움 축제는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매년 3월 경에 열리는 축제이다.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소싸움 축제들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99년,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한 대한민국의 10대 지역문화관광축제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내 황소 끼리의 경기 외에도 외국 소와의 친선 경기, 로데오 경기, 초대 가수 콘서트, 디카 사진 콘테스트, 루미나리에 등 다양한 볼거리와 재미로 매년 4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청도군 이서면 서원천변에 개최되었으나, 2009년부터 청도 소싸움 경기장에 개최되고 있다. = = 타이틀 변천사 = = 1990 ~ 1994년 : 영남민속 투우대회 1995 ~ 1998년 : 전국민속 투우대회 1999 ~ 2002년 : 청도 소싸움 축제 2003 ~ 2005년 : 청도 국제 소싸움 축제 2006년 ~ : 청도 소싸움 축제 1999년에 서기 2자리 수로 표기(예:`99 청도 소싸움 축제) 2000년대부터 서기 4자리 수로 표기된다.(예:20XX 청도 소싸움 축제) = = 연혁 = = 1990 ~ 1994년 : 영남 민속투우대회 (1회 ~ 5회) - 투우협회 회원중심 운영 1995 ~ 1998년 : 전국민속 투우대회(6회 ~ 9회) - 본격적인 전국규모대회 육성 1999년 3월 10일 ~ 3월 14일 : 청도소싸움축제 - 본격적인 전국규모대회 육성 2000년 3월 15일 ~ 3월 19일 : 청도소싸움축제 - 일본투우 3두 추가초청. 전국사진촬영대회 등 프로그램다양화 2001년 5월 2일 ~ 5월 6일 : 청도소싸움축제 - 국내지역축제 사상 최초 입장료 징수. 소싸움 라이벌전,한일전 등 2002년 3월 9일 ~ 3월 17일 : 청도소싸움축제 - 축제기간 5일에서 9일로 연장. 소그림전시회,농경문화체험장 운영 2003년 3월 15일 ~ 3월 23일 : 청도국제소싸움대회 - 국제소싸움대회로 명칭 변경. 일본,미국,호주 투우 대결 2004년 5월 21일 ~ 5월 25일 : 청도국제소싸움축제 - 상설소싸움경기장 개장 무산으로 축제연기. 축제연기에 따라 무료입장 실시 2005년 3월 12일 ~ 3월 16일 : 청도국제소싸움 축제 (16회) 2006년 3월 11일 ~ 3월 15일 : 청도소싸움 축제 개최 (17회) 2007년 3월 24일 ~ 3월 28일 : 청도소싸움 축제 개최 (18회) 2008년 4월 12일 ~ 4월 16일 : 청도소싸움 축제 개최 (19회) 2009년 3월 27일 ~ 3월 31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0회) 2010년 3월 17일 ~ 3월 21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1회) 2011년 4월 15일 ~ 4월 19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2회) 2012년 4월 18일 ~ 4월 22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3회) 2013년 4월 17일 ~ 4월 21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4회) 2015년 4월 15일 ~ 4월 19일 :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 (2년만의 개최.) 2016년 4월 14일 ~ 4월 17일 : 청도소싸움경기장 = HMS 후드 (51) = HMS 후드은 영국에서 제1차 세계 대전 후 건조된 순양전함이다. 건조 당시에는 세계 최대의 군함이었으며, 영국 국민에게 폭넓은 사랑을 받은 상징적인 군함이다. 함명은 새뮤얼 후드 제독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 = 계획과 건조 = = 후드의 건조 계획은 1915년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독일 해군에 대항하기 위해 계획되어 배수량이 36,000톤, 속력은 32노트에 다다르는 가히 세계 최고의 군함이었다. 그러나 1916년에 발생한 유틀란트 해전의 결과 순양 전함의 방어력을 속력 증가로 커버할 수 없다고 여겨져 방어 장갑을 증가한 끝에 배수량이 기준 배수량이 5000톤 증가한 41,200톤(만재 배수량 48,650톤)에 다다르게 되었다. 후드는 이 개량작업으로 인해 순양전함으로서 엄청난 방어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멀티 레이어 설계로 상부장갑이 취약했으며 2차 대전이 시작되어 이를 미처 보완하지 못해 결국 비스마르크의 명중탄 1발에 의해 격침되어 승조원 대부분이 전사하는 비극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측면장갑은 13인치 경사장갑으로 방호력이 15인치 주포를 막을 수 있는 정도였다. 이 경사장갑이라는 아이디어는 향후 미국 전함 사우스다코다급 과 아이오와급 전함에 반영되었다. = = 취역과 그 후의 전력 = = HMS 후드는 1920년 3월 5일에 진수되었다.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체결과 발효에 의해 배수량으로 후드를 넘는 전함은 1936년 비스마르크급 전함이 나타나기 전까지 출현하지 않았다. 후드는 취역에서부터 격침되기 전까지 대규모 근대화 개장을 거의 받지 않았다. 1931년까지 후드가 받은 개장이라곤 비행기 사출기, 장갑 증강, 약간의 함포의 추가였으며 그 외의 보완은 이뤄지지 않아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할 때 속력은 29.5노트로 저하되었다. 1940년 후드는 항구에 입항해 부포를 대공포로 대체해 대공 능력을 강화시켰다. 그 후 'H부대(Task Force H)' 기함으로 1940년 7월 3일의 '비행기 사출기 작전'에 참가해 북부 아프리카의 프랑스 식민지에 정박한 프랑스 해군 전함인 브르타뉴 등 4척을 격침시키고, 됭케르크와 프로방스를 중파시켰다. 후드는 이 작전 이후 영국으로 귀환해 기관의 오버히트와 대공 레이다, 사격 레이다의 증설을 받았다. 1941년 5월 21일 후드는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Prince of Wales)전함과 함께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의 추격을 명령받는다. 5월 24일 후드는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 사이의 해협(Denmark Straight)에서 독일 해군의 전함 비스마르크와 중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을 발견해 전투를 개시한다. 전투 개시 6분 후, 비스마르크의 5번째 포탄이 후드의 가장 취약한 갑판을 뚫고 내려가 탄약고에 명중, 폭파하며 선체를 두 동강 내 3분 만에 침몰하였다. 승무원 1419명 중 단 3명만 생존하였다. = 신전항 = 신전항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신전항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창호리에 있는 어촌정주어항이다. 신전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소규모어항이다. 신전항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신육리(섬)에 있는 소규모 어항이다. = 해미면 = 해미면(海美面)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면이다. = = 개요 = = 해미면은 조선의 500년 역사가 살아 숨쉬는 해미읍성과 천주교 선열들의 순교 성지를 중심으로 서해안에서 제일 높은 가야산이 위치해 있다. 또한 황락․산수 계곡의 자연 경관이 어우러진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관광 도시이다. 조선 태종은 해미에 충청병영을 설치하여 충청도 육군의 최고지휘자인 병마절도사가 머물며 당시 출몰하였던 왜구를 경계하였다. 이 역할은 1651년 청주로 충청병영이 옮겨갈 때까지 계속되었다. = = 역사 = = 해미면 휴암리에는 BC 8세기경에 조성된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백제 때 마시산군(馬尸山郡)의 영현으로 우견현(牛見縣)이라 했다. *정해현(貞海縣) 고려 태조 때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정해현(貞海縣)으로 했다. 1018년(현종 9)에 운주(運州) 임내에 있다가, 감무(監務)를 두었다. *여미현(餘美縣) 본래 백제의 여촌현(餘村縣)인데, 신라에서 여읍현(餘邑縣)으로 고쳐 혜성군(槥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여미현으로 고쳐, 1018년(현종 9)에 운주 임내에 있다가, 1106년(예종 원년)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다. 1407년(태종 7) 정해현과 여미현을 합해 해미현(海美縣)이라 했다. 1413년(태종 13)에 현감을 두었다. 딸린 부곡(部曲)이 유솔(有率)이다. 1418년(태종 18) 병마절도사영(덕산병영) 이전 1491년(성종 22) 해미읍성("탱자성") 축성 1579년(선조 12) 충무공 이순신 10개월간 군관으로 근무. 1621년(효종 2) 호서좌영 설치. 1895년(고종 32) 해미군으로 승격. 1914년 서산.해미.태안 3군을 통합하여 서산군 지성면으로 개명. 1917년 서산군 해미면으로 고침. 1995년 서산시 해미면이 됨. = = 행정 구역 = = 관유리 귀밀리 기지리 대곡리 동암리 반양리 산수리 삼송리 석포리 양림리 억대리 언암리 오학리 웅소성리 읍내리 응평리 저성리 전천리 조산리 홍천리 황락리 휴암리 = = 면사무소 = = 해미면사무소 인근에 해미읍성이 위치해있으며 면사무소가 성 모양이다. = = 교육 = = 공군 제20전투비행단 한서대학교 서산고등학교 해미중학교 해미초등학교 반양초등학교 언암초등학교 = = 본관 성씨 = = 세종실록지리지에 해미의 토성은 정해현(貞海縣)에 (白·韓·仇·尹), 여미현(餘美縣)에 (郭·朴·明·余)이 있다고 했다.세종실록 지리지 149권, 충청도 홍주목 해미현 조 " " *정해현(貞海縣) 해미 백씨(海美白氏) 시조 백광성(白光城)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1561년(명종 16) 진사시에 급제했다. 문신이자 시인인 백광홍(白光弘), 백광훈(白光勳), 백광안(白光顔) 형제와는 종형제간이다. 2000년 인구는 24가구 87명이다. 해미 한씨(海美韓氏) 고려 태조 때 몽웅역(夢熊驛)의 아전 한(韓)씨가 큰 공이 있어서, 대광(大匡)의 작호(爵號)를 내리고, 고구현(高丘縣) 땅을 떼어 정해현으로 하고, 그 관향으로 삼았다고 했다. 해미 구씨(海美仇氏) 구씨(仇氏)는 정조 때 구씨(具氏)가 되었다고 한다. 해미 윤씨(海美尹氏) *여미현(餘美縣) 해미 곽씨(海美郭氏) 시조는 곽승(郭繩)이라 하는데, 해미로 귀양을 와서 정착하여 해미 곽씨의 세계(世系)를 열었다고 한다.《만성시조약사(萬姓始祖略史)》 현풍 곽씨(玄風郭氏)의 시조 곽경(郭鏡)의 후손이다. 2000년 인구는 453가구 1,492명이다. 해미 박씨(海美朴氏) 해미 명씨(海美明氏) 해미 여씨(海美余氏) = 히가시초역 = 히가시초역은 일본 홋카이도 우라카와 군 우라카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히다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1992년도 : 318명 = = 역 주변 = = 국도 제236호선 우라카와 적십자 병원 = = 역사 = = 1977년 9월 1일 : 국유철도 히다카 본선의 히가시초 가승강장으로서 개업. 여객 취급만.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승계. 동시에 정식 역으로 승격. 1990년 3월 10일 : 영업 거리 설정. 2021년 4월 1일 : 폐역. = 베스파 = 베스파는 피아조가 생산하는 이탈리아의 스쿠터 브랜드이다. 베스파는 이탈리아어로 말벌이라는 뜻이다. 베스파는 1946년에 피아조 & Co. SpA의 단일 모터 스쿠터 모델로 개발됐으며, 오늘날에는 피아조가 소유한 7개의 자회사중 하나이다. = 구다카 도모오 = 구다카 도모오(1963년 3월 14일 ~ 1999년 9월 22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감바 오사카, 세레소 오사카에서 활동하였다. 1999년 여름, 그는 위암 진단을 받았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9월 22일에 세상을 떠났다.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36세였다. = 유아 낫 유 = 유아 낫 유는 2014년 공개된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힐러리 스웽크 에미 로섬 조쉬 더하멜 = = = 조연 = = = 알리 라터 줄리안 맥마혼 마샤 게이 하든 제이슨 리터 프란시스 피셔 스테파니 비트리즈 어니 허드슨 로레타 드바인 앤드리아 세비지 마이크 도일 뷰 크냅 제랄드 도니 에린 체노웨스 가레스 윌리엄스 에드 비글리 주니어 다니엘 케네디 제프 피어슨 린 말러 오시 마이어 데이빗 그랜트 라이트 킴벌리 니콜 캐서린 리 맥이완 멜린다 리 = = 기타 = = 원작자: 마이클 윌드겐 프로듀서: 데니스 디 노비 프로듀서: 알리슨 그린스팬 프로듀서: 몰리 스미스 프로듀서: 힐러리 스웽크 조감독: 리사 C. 사트리아노 사운드슈퍼바이저: 폴 서 미술: 애론 오스본 세트: 린다 리 슈튼 시각효과: 류크 디토마소 시각효과: 로코 파시오니노 분장: 비비안 베이커 분장팀: 요이치 아트 사카모토 헤어: 바바라 로렌즈 의상: 마리-실비 데보 배역: 리츠 델리아 프로덕션매니저: 엘렌 H. 슈워츠 = 청웅중학교 = 청웅중학교(靑雄中學校)는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4년 6월 30일 : 청웅중학교 설립 인가 1954년 10월 4일 : 초대 진충현 교장 부임 1954년 11월 11일 : 청웅중학교 개교 1957년 3월 5일 : 제1회 졸업(23명 졸업) 1978년 12월 7일 : 학급 증설 인가(12학급) 1985년 10월 25일 : 본관 동편 2교실 신축 2020년 9월 1일 : 제29대 김창수 교장 부임 2021년 2월 9일 : 제65회 졸업식 7명(졸업생 총수 4,877명) = = 학교 동문 = = , 010 3808 7365 김종광 20회 연락좀 이현석 이강준 박병규 연락좀 강영현 다른친구들도 연락좀 = 분류:기원전 981년 = = 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 = 2006년 12월 13일 RTBF 속보 사건은 벨기에의 RTBF 방송 채널 1(La Une)에서 거짓 소식을 보도한 사건이다. = = 요약 = = 문제의 보도는 RTBF 채널 1에서 시청자들로 하여금 벨기에의 미래에 대한 논란을 가중시켰고 1830년 벨기에 독립 이후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나, 벨기에 (Moi, Belgique)를 계속 이어나가려는 목적이었다. 12월 13일 오후 8시 21분 RTBF 채널 1에 묻는다 (Questions à la Une de la RTBF)가 방영되던 중에 "플랑드르가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알베르 2세 벨기에 국왕 부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킨샤사로 탈출하였으며 각 지역의 경계선마다 바리케이트가 세워졌다"고 보도했다. 또 벨기에 의회 의장 헤르만 드 크로, 가수 악셀르 레드 및 시민들의 반응을 인터뷰하여 내보내기도 했다. 이 보도는 수정 방송이 나온 다음날 1시 30분경까지 벨기에의 각 지역에서 문제의 프로그램에서 진위 여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보도가 나오기 시작한 지 약 30분 정도 지난 후 RTBF는 "지금 방송되는 내용은 픽션입니다."("Ceci est une fiction")라는 프랑스어 자막을 계속 내보냈다. = = 반응 = = = = = 벨기에 국민 = = = 벨기에 국민 대부분은 이 보도가 거짓이라는 것을 눈치채지 못했으며 "이것은 픽션입니다"라는 자막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약 6% 정도의 시청자들이 방송 마지막까지 이것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었다. RTBF에는 곧 문의 전화가 쇄도했으며 웹사이트 게시판은 평소보다 훨씬 많은 이용자가 찾았다. 처음 보도를 접했을 당시 시청자들이 느낀 경악은 이 보도가 거짓이었다는 걸 알게 된 후 분노로 바뀌었으며 다음날까지 항의가 쇄도했다. 다음날 조간 신문에는 RTBF의 행동에 대한 비난 혹은 옹호 기사들이 실렸다. = = = 벨기에 왕실 = = = 벨기에 왕실은 기자회견을 통해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TV 프로그램이나 언론의 행동에 대해 논하는 것은 왕실의 역할이 아니나, 단지 많은 시청자들이 이 프로그램이 질 나쁜 거짓 보도의 특징을 갖고 있음을 눈치챘다는 걸 언급해 두겠다." = = 기타 = = RTBF에 따르면 문제의 방송 프로그램은 514,800명이 시청했으며 시청률은 28.1%였다. 그 뒤에 이어진 특별 대담은 약 30만 명이 시청하였다. 프로그램 방영 당시 RTBF에 31,368회의 문의 전화가 걸려왔으며 문자 메시지는 21,338건이 접수되었다. = 분류:1921년 완공된 건축물 = = 분류:영국의 축구 시즌 = = 비센테 과이타 = 비센테 과이타 파나데로(Vicente Guaita Panadero, 1987년 1월 10일 발렌시아 지방 토렌테 ~)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로, 현재 셀타 비고 소속의 골키퍼이다. = = 경력 = = 발렌시아 CF 유소년팀 출신으로, 2008-09 시즌에 산티아고 카니사레스의 은퇴에 따라 1군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독일의 티모 힐데브란트 골키퍼가 우나이 에메리 감독의 명단에서 제외됨에 따라, 그는 백업 골키퍼가 되었다. 2008년 10월 2일, 그는 1군 데뷔전을 CS 마리티무와의 UEFA 컵 경기에서 치렀고 2-1로 승리하였다. 하지만, 베테랑 세자르 산체스가 토트넘 홋스퍼 FC로부터 영입과 레난 골키퍼의 복귀로 인하여, 그는 써드 골키퍼로 잔여 시즌을 보냈다. 2009-10 시즌에는 산체스가 연장 계약을 하고, RCD 마요르카의 미겔 앙헬 모야를 영입함에 따라, 과이타는 잉여 자원이 되었고, 세군다 디비시온의 레크레아티보 우엘바로 임대되었다. 이 안달루시아의 클럽이 중위권으로 시즌을 마무리하였고, 그는 30경기 출장 24실점을 기록하여 사모라 트로피를 수여받았다. 2010년 11월, 12월에 세자르와 모야가 모두 부상을 당함에 따라, 과이타는 발렌시아의 몇 경기에 출장하였고, UD 알메리아와의 홈 경기에서 2-1 승리를 이끌고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1-1 무승부를 이끌어냈다. 2011년 4월 2일, 그는 주전 자리를 꿰찼지만, 부친상을 당하였고 (당시 46세, 심장마비),Mata: We scored quickly, and that gave us confidence , 2011년 4월 4일. 우나이 에메리는 세자르를 다음 2경기동안 기용하였다. 2011년 5월 말, 과이타는 발렌시아와 2015년까지 연장계약을 하였다."Guaita: ´Tenía claro que quería quedarme en el VCF´", 2011년 5월 31일. = = 수상 = = 사모라 트로피 세군다 디비시온: 2009-10 = 장용용 = 장롱롱(, , 1987년 4월 10일 ~ )은 중화민국의 배우이다. 타이베이 영화상 여우주연상 2회(2009, 12) 수상자이다. = = 출연 작품 = = ATM : 현금강탈 대소동 (2019) 루키스 (2019) 요묘전: 레전드 오브 더 데몬 캣 (2017) 곤석애정고사 (2016) 파도인 (2016) 연애중의도시 (2015) 더 시크릿 (2015) 몰유명자적첨점점 (2013) 여용 (2013) 터치 오브 라이트 (2012) 양 양 (2009) 캔디 레인 (2008) 먀오 먀오 (2008) = 분류:인도구관조속 = = 미국 심리학회 = 미국 심리학회(, APA)는 미국에서 심리학 분야의 가장 큰 과학 및 전문 조직으로 과학자, 교육자, 임상의, 컨설턴트 및 학생을 포함하여 118,000 명이 넘는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APA의 연간 예산은 약 115백만 달러이다. 심리학이나 국소 영역의 다른 하위분과(subspecialties)에서 다루는 APA 관심 그룹으로 54개 분과(divisions) 위원회가 있다. = = 설립 = = APA는 1892년 7월 매사추세츠주의 클라크 대학교(Clark University)에서 약 30 명의 소그룹으로 설립되었다. 1916년까지 300 명 이상의 회원이 가입하였다. 초대 회장은 스탠리 홀(G. Stanley Hall)이었다. 2차 세계 대전 중 APA는 다른 심리적 조직과 합병하여 새로운 부서 구조를 형성했다. 19개 부서인 분과 위원회가 1944년에 승인되었다. 가장 많은 구성원을 가진 분과는 임상 및 상담 부문이다. 1960년에서 2007년까지, 분과 수는 54 개로 확대되었다. 오늘날 APA는 60 개의 주, 준주 및 캐나다 주정부 협회와 제휴하고 있다. = = 초기 = = 한편 1892년 매사추세츠주에서 결성된 미국심리학회를 창설한 주요 멤버로는 그랜빌 홀(Granville Stanley Hall,1844-1924), 조지 레드(George T. Ladd,1842-1921), 제임스 카텔과 함께 윌리엄 제임스 등이 있다. = 분류:다자이후시의 건축물 = = 분류:신생대 유럽의 생물 = 신생대의 유럽 생물 분류 생물 유럽 = 유타 가는 길 = "유타 가는 길"(Road to Utah)은 한국, 미국에서 제작된 김정중 감독의 2016년 드라마 영화이다. 이진욱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진욱 류혜영 = = 기타 = = 프로듀서: 이승복 프로듀서: 송지연 프로듀서: 신인기 조명: 차상균 = 카롤리나 클뤼프트 = 카롤리나 에벨륀 클뤼프트(, 1983년 2월 2일 ~ )는 스웨덴의 육상 선수이자, 7종 경기를 전문적으로 활약하면서 1회의 하계 올림픽 금메달과 3회의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우승하였다. 산드훌트에서 4녀 중의 둘째로 태어난 클뤼프트의 부친은 축구 선수이고 모친은 멀리뛰기 선수였다. 그녀의 팬들에 의하여 "카로(Carro)"로 알려진 그녀는 가족의 스포츠 선을 따랐다. 1995년 12세의 나이로 청소년 육상 철인3종경기에 나가 2위를 하였으며, 1999년 5월까지 다른 경기에서 패하지 않았다. 클뤼프트는 2000년과 2002년 세계 주니어 7종 경기를 우승하고, 두 번째 승리는 그녀가 태어난 해 이래 서있던 세계 주니어 기록을 깼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을 때, 2위를 한 리투아니아의 아우스트라 스쿠이테를 517점 차이로 꺾고 우승함은 스쿠이테의 25위 선수를 앞선 차이보다 더 위대하였다. 이듬해 22세의 나이로 국제 아마추어 육상 연맹의 실외와 실내 선수권과 유럽 선수권을 우승하여, 유럽의 선수들에게 유효한 5개의 육상 타이틀의 "그랜드 슬램"을 우승한 연소자 선수가 되었다. 2006년에는 햄스트링 부상을 겪었으나, 아직도 예테보리에서 열린 유럽 실외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되풀이할 수 있었다. 2007년 말기에 클뤼프트는 총 45개의 이벤트(실외와 실내)에서 경연하고 6번 밖에 패한 적이 없는 선수로 남아있었다. 이 45명의 경쟁자들이 나간 293개의 구성요소 종목들에서 1번 밖에 완료 실패한 적이 없다. 그녀는 또한 성취된 멀리뛰기 선수이기도 하며, 2004년 개인 전력 6.97m(22 피트, 10.5 인치)를 세워 같은 해에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오사카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역사상 2번째의 최고 득점 7,032점과 함께 7종 경기 3연승을 하였다. 자신의 이전 개인 전력에 31전 향상한 득점은 18년의 세월 안에 최고 득점이었고, 스포츠 사상 처음보는 데서 클뤼프트는 전 소비에트 연방의 라리사 니키티나를 능가하였다. 세계 기록 보유자 미국의 재키 조이너 - 커시 만이 더 높이 득점하였다. = 카네기 멜런 대학교 = 카네기 멜런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줄여서 CMU)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있는 사립대학이다. = = 개요 = = 미국 주요 연구 대학교로, 1900년 개교한 이래 졸업생과 교수 포함 총 2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이다.학교별 노벨상 수상기록 창업 교육으로도 유명해 학교로부터 독립해 나간 회사가 170개가 넘는다. 미국 최초로 설립된 컴퓨터 과학과는 MIT, 스탠퍼드, UC버클리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며,"Computer Science" , US News Rankings. 경영학, 건축학, 음악, 미술, 드라마 분야도 유명하다. 특히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드라마스쿨은 수많은 배우들 및 24명의 Tony Award 수상자를 배출했다. 학습량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카네기 멜런 대학은 타인보다는 자기 자신과 경쟁하도록 유도하는 학풍을 갖고 있다. 학부생이 약 6000여명, 대학원생이 약 5000 여명이다. 총 7개 단과 대학: 공대, 예술대 (디자인, 음악, 드라마, 건축) 사회 과학대, 순수과학대, 경영대, 컴퓨터 과학 대학(School of Computer Science), 행정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1900년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가 기증한 100만 달러와 피츠버그시가 내놓은 토지를 기금으로 설립된 Carnegie Technical Schools가 시초이다. Carnegie Technical Schools는 1912년 카네기공과대학(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4년제 학위 과정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1967년 재무장관을 역임한 앤드류 멜런이 설립한 멜런연구소(Mellon Institute of Industrial Research)와 통합되면서 카네기 멜런 대학이 되었다. 전체 면적 0.57 km2의 메인 캠퍼스는 피츠버그 다운타운으로부터 4.8 km 떨어져 있으며, 피츠버그 대학교와 인접해 있다. = = 역사 = = 1900년,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는 피츠버그에 Carnegie Technical Schools를 설립한다. 카네기는 피츠버그 노동자 계층 자녀들을 위한 직업 훈련 학교로서 이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1912년 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로 이름이 바뀌었고, 4년제 학위 과정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1913년, 재무장관을 역임했고 금융 재벌인 멜런가문의 (현 뉴욕 멜런 은행) 앤드루 멜런은 기업들과의 연구 협력 위주의 Mellon Institute of Industrial Research를 설립한다. 1967년, 피츠버그를 대표하는 카네기와 멜런이 설립한 두 대학이 통합되면서 카네기 멜런 대학이 탄생하였다. 1972년 취임한 리처드 M 사이어트(1972∼90년 재임) 총장이 제시한 비교우위 전략은 CMU를 30여 년 만에 미국 대학 3000여 개 중에서 ‘가장 눈부신 성장’을 하게 했다. 미국에서도 법대나 의대가 없으면 명문대 반열에 오르기가 어렵다. 그러나 사이어트 총장의 생각은 달랐다. ‘의대, 법대는 이미 초일류가 즐비하다. 후발 대학으로 이런 분야에 뛰어들어 봐야 2등밖에 안 된다’고 판단한 사이어트 총장이 집중투자 대상으로 선정한 학과는 컴퓨터 분야, 인지과학이 싹트기 시작할 무렵인 80년대 중반부터는 심리학 분야였다. 미국 대학 순위에서 CMU는 컴퓨터 분야에선 최상위권, 공대, 심리학도 상위권에 든다. 해킹 등에 관한 세계적 인터넷 보안 관련 민간기구인 CERT는 이런 환경에서 탄생했으며, 인터넷 검색엔진 라이코스도 CMU 작품이다. = = 현재 = =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CMU는 미국 명문대학으로 입지를 굳혔다. CMU의 독특한 점은 연구와 교육에 있어 학제간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학과의 장벽을 뛰어넘는 학위 과정이나 센터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학제간 접근 방법 덕분에 금융공학,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arts management, product design, 행동경제학, human-computer interaction, entertainment technology, decision science와 같은 분야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기업들과의 협력 또한 활발하며 애플, 구글, 디즈니, 인텔 등 다수의 기업들이 CMU 캠퍼스 내에 연구소를 운영중이다. = = 교육 및 연구 = = = = = 학풍 = = = 미국 대학생 사이에 CMU 학생들은 결코 잠을 자지 않는다는 농담이 널리 퍼져 있다. 혹독한 도전을 요하는 교과 과목을 보면 이것이 농담이 아닌 진담으로 느껴진다. CMU는 학생들에게 최선을 넘어서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도록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누구나, 그리고 언제든지 학교와 교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 있다. 과목 조교(CA)와 수업 조교(TA)는 전에 동일한 과목을 수강했던 사람이 맡아 학생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개인지도를 해준다. 미국의 다른 유수 대학들은 학생 간 치열한 경쟁을 시키지만 CMU는 자기 자신과 경쟁하도록 유도한다. 그래서 CMU 학생들은 이곳에서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스스로 증명해 보여야 한다. CMU는 또한 사회봉사를 강조한다. 학생들은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속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에 봉사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한다. 초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복구를 위해 학생들이 개인 또는 단체로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CMU는 뉴올리언스에서 더 이상 대학에 다닐 수 없게 된 학생들을 받아들였다. CMU에서는 학문 연마뿐 아니라 사회봉사, 우정, 과외활동 등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을 배우고 있다. CMU의 특징은 봄철 축제 기간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대학 정신이 꽃을 피운다. 갖가지 동아리들이 캠퍼스 내에 테마 공원처럼 멋지게 장식된 미니 동아리방을 설치한다. = = = 학부 입학 현황 = = = 2022년 가을에 입학한 학부 신입생들의 경우 34,261명이 지원했고 11%인 3,800명이 합격했다. 이중 1,736명이 입학했다. = = = 각종 평가 = = = 2016년 QS 세계 대학 순위와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순위에서 컴퓨터 과학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4년 포브스 미국 대학 졸업생 연봉 순위에서 1위 (컴퓨터 과학) 및 총 6개의 전공이 탑 50위에 랭크 되었다. 2015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미국 종합대학 학부 순위에서는 23위, 공학부 순위에서는 코넬, 미시간대와 공동 7위, 경영학부 순위에서는 텍사스대와 공동 7위를 차지했다. 전문대학원 순위에서는 공과대학원이 종합순위 5위, 컴퓨터 과학 4위, 기계공학 10위, 토목공학 10위에 올랐으며 경영대학원이 20위를 기록했다.US News Business MBA 2013년 중국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는 세계 51위, 2014년 영국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세계 24위THES Rankings,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학계 평판도 순위에서는 세계 29위THES Reputation Rankings, 2013년 영국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57위QS Rankings, 2013년 사우디아라비아 세계대학랭킹센터(Center for World University Rankings)가 발표한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51위를 차지하였다. 카네기 멜런은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세계 최상위 26개 대학 중 하나이다.GULF Member Universities 카네기 멜런의 School of Drama는 세계에서 최상위를 다투는 대학중 하나이다. 특히나 뮤지컬학과는 (Musical Theatre) 수 많은 브로드웨이 배우들과 Tony 수상자들을 창출해 미시간 주립대와 랭킹 1위 자리를 다투고, 매년간 수천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1%미만으로 기록한다. 2015년 기준 0.94%. = = 저명한 동문 = = 동문에는 7명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포함된다.학교별 노벨상 수상기록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주인공인 존 포브스 내쉬가 전액장학금으로 카네기 멜런을 졸업했다. 그 외에도 전 제너럴 모터스 CEO와 국방장관을 역임한 찰스 어윈 윌슨, 억만장자 헤지 펀드 투자가 데이비드 테퍼, 자바를 최초 개발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제임스 고슬링,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 공동설립자 앤디 벡톨샤임, 팝 아트 미술가 앤디 워홀, 등산가 겸 대중연설가 애런 랠스턴, 세계 최초로 튜링상을 수상한 컴퓨터 과학자 앨런 펄리스, 우주비행사 주디스 레스닉과 에드가 미첼, 에미상을 10번이나 수상한 TV 프로듀서 스티븐 보치코, 배우 테드 덴슨, 마지막 강의의 저자인 랜디 포시 교수 등이 대표적이다. = 분류:대체 에너지 = 대체 에너지는 에너지원이 화석 연료나 핵분열에 기반하지 않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여기의 목록은 "깨끗한" 에너지원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대체 에너지원을 나열한 것이다. = 향남역 = 향남역(鄕南驛)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 = 연혁 = = 2024년 12월 중 : 개통 예정 = = 주변 시설 = = 맥도날드 DT, 버거킹 DT = 사탕수수당 = 사탕수수당(沙糖 糖, ) 또는 사탕수수 설탕(沙糖 雪糖)은 사탕수수에서 얻은 당 또는 설탕이다. 야자당이나 사탕무당, 단풍당 등과 구분된다. 보통 "설탕"이라 하면 사탕수수 설탕을 일컫는다. 정제당과 비정제당으로 구분되며, 색에 따라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때에 따라, 정제를 거치지 않거나 덜 거쳐 사탕수수 즙의 맛을 지닌 데메라라, 머스코바도, 터비나도 등의 설탕을 "사탕수수당", "사탕수수 설탕"이라 일컫기도 한다. = = 종류 = = = = = 분밀당 = = = 당밀을 분리했기 때문에 분밀당(分蜜糖)이라고 한다. 결정화와 사탕수수즙의 일부 증발 과정, 그리고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당밀을 거의 제거한 설탕을 터비나도(Turbinado), 데메라라(Demerara), 원당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설탕 결정은 크고 금빛을 띤다. 이렇게 생산한 설탕은 그대로 팔기도, 정제소를 거쳐서 흰 설탕이 되기도 한다."Press release describes manufacturing process for organic turbinado sugar". Retrieved 20 September 2008. 분밀당의 제조과정은 크게 분쇄, 청징, 결정화, 분리 단계로 나눌 수 있다.대한제당협회 원당의 제조과정 분쇄: 밭에서 벤 사탕수수의 줄기를 잘게 썰어 즙을 짜낸다. 이때, 이 사탕수수즙(자즙, 蔗汁)에는 대략 10~20%의 자당이 들어있다. 청징: 전 단계에서 짜낸 사탕수수즙에서 불순물을 가라앉히는 작업이다. 사탕수수즙에 석회를 부어 불순물을 걸러내고 동시에 pH를 높인다. 석회는 단백질, 지방 등 부유물질을 침전시켜준다. 결정화: 전 단계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즙을 끓이는 과정이다. 이 즙은 여러 개의 증발통을 거치면서 점점 농축 및 결정화한다. 분리: 원심분리기로 결정과 당밀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결정을 원당 또는 원료당이라고 한다. = = = 함밀당 = = = 당밀을 포함해 함밀당(含蜜糖)이라 부른다. 파넬라(Panela), 라파두라(Rapadura), 자그리(Jaggery), 마스코바도(Muscovado), 필론칠로(Piloncillo) 혹은 그 외 함밀당은  최소한의 원심 분리 과정을 거치거나, 전혀 거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당류는 산업화된 진공 증발기 또는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생산하는 개발 도상국의 소규모 공장 또는 '가내 수공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대개 사탕수수즙을 오픈 팬 위에 올려, 처음 부피의 약 30%까지 줄어들면서 자당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할 때까지 화목난로 위에서 끓인다. 이후 생산물을 몰드에 부어 응고시키거나, 결정을 부수고 다지는 역할을 하는 냉각 팬에 넣어 그래뉼러 당을 만든다. 모리셔스나 필리핀 같은 몇몇의 국가에서는 이러한 함밀당을 마스코바도라고 부른다. 마스코바도는 증발시켜 결정화한 사탕수수즙을 부분적으로 원심 분리하여 설탕 결정이 풍부한 매쉬(죽 같은 상태)를 만든다. 이는 중력의 힘으로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최종 추출물의 당밀 함량을 다양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19세기에 도입된 방식보다 조금 더 현대적인 방식으로 더 나은 품질의 함밀당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G. B. Wood; F. Bache (1849). The dispensa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th ed.). Philadelphia: Grigg, Eliot, and Co. pp. 616–619. Retrieved 7 November 2011.Larkin, W. (1993) Sugar and the Origins of Modern Philippine Society,pp 55–58.  W. (1844) The Magazine of Domestic Economy, Volume 5. pp 107Jaffe, W. (2014) Non centrifugal cane sugar (NCS) (panela, jaggery, gur, muscovado) process technology and the need of its innovation,  일본에서 이와 비슷한 과정을 통해 원심 분리를 하지 않고 만드는 함밀당을 코쿠토(黒糖 kokutō)라고 한다. 이것은 오키나와의 특산품이며 큰 덩어리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 Km/hr = = 아바노테르메 = 아바노테르메(Abano Terme, IPA: , 1924년까지 아바노바그니(Abano Bagni)로 알려짐)는 이탈리아 베네토주 파도바도의 코무네이다. = =자매 도시 = = 일본 시부카와 독일 바트퓌싱 크로아티아 리픽 그리스 Kamena Vourla = 나홀로 이식당 = 나홀로 이식당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및 유튜브 예능 프로그램으로 2020년 7월 31일부터 2020년 10월 9일까지 tvN과 유튜브 채널 십오야에서 방영되었다. = 분류:코스타리카의 노래 = = 원자가 전자 = 화학과 물리학에서 원자가 전자(原子價電子, Valence electron)는 원자의 바깥 껍질 전자 중 바깥 껍질이 닫혀 있지 않으면 화학 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전자이다. 단일 공유 결합에서는 결합에 참여하는 두 원자 모두 공유 쌍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원자가 전자를 기여한다. 원자가 전자의 존재는 원자가처럼 원소의 화학적 특성(다른 원소와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 있다면 얼마나 쉽게, 얼마나 많이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주어진 원소의 반응성은 그 원소의 전자 배치에 크게 의존한다. 전형 원소의 경우, 원자가 전자는 최외각 전자 껍질에만 존재할 수 있다. 전이 금속의 경우, 원자가 전자는 안쪽 껍질에도 존재할 수 있다. 원자가 전자의 닫힌 껍질을 가진 원자(전자 배치 s2p6)는 화학적으로 비반응성이다. 닫힌 껍질보다 원자가 전자를 1개 또는 2개 더 가진 원자는 반응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양이온을 형성하기 위해 원자가 전자를 잃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닫힌 껍질보다 원자가 전자를 1개 또는 2개 덜 가진 원자는 반응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원자가 전자를 얻고 음이온을 형성하거나 원자가 전자를 공유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중심 전자와 유사하게, 원자가 전자는 광자의 형태로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능력이 있다. 에너지를 얻으면 전자가 바깥 껍질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원자의 들뜸이라고 한다. 또는 전자가 원자의 껍질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 이것은 양이온 형성을 위한 이온화이다. 전자가 에너지를 잃으면 (광자가 방출된다) 가득 차지 않은 안쪽 껍질로 이동할 수 있다. = = 원자가 전자의 개수 = = 원소의 원자가 전자의 개수는 원소가 분류되는 주기율표 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3–12족(전이 금속)을 제외하고, 족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는 그 족의 원소의 중성 원자에 몇 개의 원자가 전자가 결합하는지를 나타낸다. 헬륨의 최외각전자 수는 2이며, 헬륨을 제외한 18족 원소(비활성 기체)의 최외각전자 수는 8이다.For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 of 30 or less, all of the outer-shell electrons are valence electrons. The number of valence electrons in a neutral atom of a main-group element (those in Groups I-VIII) of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is equal to the group number of the element in the periodic table. 18족 원소는 화학 결합을 이루지 않는다고 보아 원자가 전자의 개수를 0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로 반응을 하여 결합을 하는 예들이 있으므로 (HArF, XeF2, XeF4, XeF6, XeO3 등) 18족 원소의 원자가 전자의 수를 8개로 보는 경향이 더 우세하다(단, 헬륨의 원자가 전자수는 2개로 본다). 주기율표 족 최외각전자 1족 (I) (알칼리 금속) 1 2족 (II) (알칼리 토금속) 2 란타넘족과 악티늄족 3–16ns, (n-2)f, (n-1)d 전자로 구성된다. 3–12족 (전이금속) 3–12ns, (n-1)d 전자로 구성된다. 13족 (III) (붕소족) 3 14족 (IV) (탄소족) 4 15족 (V) (닉토젠 또는 질소족) 5 16족 (VI) (칼코젠 또는 산소족) 6 17족 (VII) (할로젠) 7 18족 (VIII 또는 0) (비활성 기체) 8 (단, 헬륨은 2개) = 지노 프란체스카티 = 지노 프란체스카티(Zino Francescatti, 1902년 8월 9일 – 1991년 9월 17일)는 프랑스의 거장 바이올리니스트이다. 지노 프란체스카티는 마르세유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모두 바이올리니스트였다. 첼로도 연주한 그의 아버지는 카밀로 시보리를 사사했다. 지노는 3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웠고 금세 신동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5세에 연주를 시작하여 10세에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여 데뷔했다. 그는 1931년 첫 월드 투어를 했고 1939년 존 바비롤리 경과 뉴욕 필하모닉과 함께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연주하며 미국 데뷔를 했다. 그의 협주곡 녹음은 여전히 최고 중 하나로 간주된다. 1945년 이후 30년 동안 그는 매우 인상적인 국제 경력을 쌓았다. 뛰어난 기교를 지닌 바이올리니스트인 프란체스카티는 많은 협주곡을 연주했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브뤼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 등 그의 연주는 계속해서 사랑스럽게 기억되고 높이 평가된다. 프란체스카티는 그의 음악적 공동 작업자인 로베르 카자드쥐와 함께 베토벤 바이올린-피아노 소나타 전체 세트를 포함하여 많은 유명한 LP를 만들었다. 콘서트와 디스크 모두에서 그는 1727년 의 유명한 "Hart" Stradivarius를 연주했다. 1976년 은퇴한 그는 악기를 팔고 라 시오타에서 젊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을 돕기 위해 지노 프란체스카티 재단을 설립했다. 1987년에는 엑상프로방스에서 그를 기리는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가 조직되었다. 부슈뒤론주 라시오타에서 8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동괵 = 동괵(東虢)은 서주 초기의 제후국이다. = = 역사 = =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서주 문왕의 두 동생은 모두 괵(虢)나라에 봉해졌다. 그중 괵숙(虢叔)은 옹(雍) 땅에 봉해져 서괵으로 칭했으며, 괵중(虢仲)은 제(制, 지금의 허난 성 싱양 시) 땅에 봉해져 동괵으로 칭했다. 이 두 국가는 주 왕실에 대해 동서 양면의 울타리 격의 역할을 했다. 기원전 767년에 동괵은 정나라의 공격으로 멸망했다.죽서기년 = = 역대 군주 = = 대수 시호 휘 1 중(仲) 2 혜숙(惠叔) 대림(大林) 3 려(旅) = 김주영 = 김주영은 다음과 같은 사람을 가리킨다. = = 실존 인물 = = = = = 배우 = = = 김주영(金周映, 1952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전직 성우 출신이다. 본명(本名)은 김주명(金周明)이다. 김주영(1983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주영(金株英, 1987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 모델 = = = 김주영(1987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김주영(1995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 = 소설가 = = = 김주영(金周榮, 1939년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주요 작품으로 《객주》 등이 있다. 김주영(1977년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SF 작가 등으로 유명하기도 한 그의 주요 작품으로 《그의 이름은 나호라 한다》, 《시간 망명자》 등이 있다. = = = 정치인 = = = 김주영(金宙榮, 1948년 ~ )은 대한민국의 전직 공무원 출신 전직 정치인으로, 전직 경상북도 재선 영주시장 등을 지낸 이였으며 전직 사회체육기관단체인 등을 지낸 이였다. 김주영(1961년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 = 스포츠인 = = = 김주영(金周寧, 1977년 ~ )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안양 LG 치타스(2000, 현 FC 서울) 등에서 활동했다. 김주영(金周榮, 1988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FC 서울(2012~2014)과 상하이 SIPG(2015~2016) 등에서 활동했다. 김주영(金珠榮, 1997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FC 서울(2016~)에서 활동하였다. = = = 기타 실존 인물 = = = 김주영(? ~ 2012년)은 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이다. 김주영(1986년 ~ 2021년)은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출신 기업인이다. 김주영(金珠映, 1948년 ~ )은 대한민국의 설치 미술가로 본명(本名)은 현선영(玄善映)이다. 일찍이 프랑스 파리 8대학 조형예술학과에 유학하고 이후부터 재불 작가로 활동했다. 2005년 귀국하여 예술가, 교수로 활동했다. 그녀는 2012년 홍익대학교 정년 퇴임한 이래 노마딕 아티스트nomadic artist로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 = 가공 인물 = = 김주영: 넌 내게 반했어의 등장인물 김주영: 당신이 잠든 사이에 (드라마)의 등장인물 김주영: 포세이돈 (드라마)의 등장인물 김주영: SKY 캐슬의 등장인물 김주영: 디어 보이즈의 등장인물 김주영: 논스톱 (시트콤)의 등장인물 김주영: 누가 나를 미치게 하는가의 등장인물 김주영: 홀리랜드 (2012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김주영: 어게인 (영화)의 등장인물 = 분류:950년 출생 = = 사량체 = 사량체는 4개의 단량체 또는 소단위체로 구성된 올리고머이다. 여기서 "tetra-"는 "four (4)"를 "-mer"는 "parts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속성을 "tetramery"라고 한다. 무기화학에서의 예로는 실험식 Ti(OCH3)4인 티타늄 메톡사이드가 있는데, 이것은 고체 상태에서 사량체이고 분자식이 Ti4(OCH3)16이다. 유기화학에서의 예로는 4개의 레스베라트롤 분자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물질인 코보페놀 A가 있다. 생화학에서 사량체는 유사하게 4개의 단위로 구성된 생체분자를 지칭하는데, 여기에는 콘카나발린 A처럼 4개의 단위가 모두 동일한 경우(호모테트라머)와 헤모글로빈처럼 4개의 단위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헤테로테트라머)가 있다. 헤모글로빈은 4개의 비슷한 소단위체들을 가지고 있는 반면, 면역글로불린은 2가지의 매우 상이한 소단위체들은 가지고 있다. 상이한 소단위체들은 아비딘 사량체에서 비오틴이 결합하는 것처럼 각각이 자체 활성을 가지고 있거나 헤모글로빈에서 산소의 알로스테릭 결합처럼 공통적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니시카와다역 = 니시카와다역은 일본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 있는 도부 철도 우쓰노미야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N 37이다. = = 역 구조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역사는 승강장의 도부 우쓰노미야 방향에 있고, 동서 양쪽 출입구는 지하 자유 통로에서 연결된다. 1990년대 중기까지 동쪽 출입구 지하 자유 통로 입구 부근에서 구역사가 있어 역사 이전 후에도 임시 매표 창구와 개인 경영의 매점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PASMO 대응 간이 IC카드 개찰기 설치역이다. 2005년에 폐지된 우쓰노미야 경마장과 근접했고, 경마 개최일에는 이용객이 늘어났다. 또한, 도치기 현 종합 운동 공원의 근처역인 관계로 승강장 폭은 넓다. = = = 승강장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1 우쓰노미야 선 하행 도부 우쓰노미야 방면 2 우쓰노미야 선 상행 도치기 방면 = = 역 주변 = = 도치기 현 종합 운동공원 도치기 현 종합 운동공원 육상 경기장 도치기 현 종합 운동공원 야구장 도치노키 패밀리랜드 도치기 현 적십자 혈액 센터 도치기 현 동물 애호 지도 센터 우쓰노미야 미나미 경찰서 육상자위대 기타우쓰노미야 주둔지 도치기 현 어린이 종합 과학관 우쓰노미야 경마장(폐지) 우쓰노미야 시립 스타가와 제일 초등학교 우쓰노미야 니시카와타 우체국 도치기 현도 2호 우쓰노미야토치기 선 - 옛 길이 역 서쪽에서 병행. 우쓰노미야 환상 도로(국도 제121호선) - 역 남쪽에서 교차. 도치기 현도 299호 니시카와타 정거장 오노소키 우쓰노미야 테크니컬 & 프로덕트 센터 = = 역사 = = 1931년 8월 11일: 영업 개시. 12월 27일: 오타니 선 니시카와다 ~ 신쓰루타 간 개통. 1964년 6월 16일: 오타니 선 니시카와다 ~ 다테이와 간 폐지에 따라 오타니 선 전 구간이 폐지됨. = 메갈로폴리스 (영화) = "메갈로폴리스"는 개봉 예정인 미국의 서사, SF 드라마 영화이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 김민정 (유도 선수) = 김민정(金珉程, 1988년 8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2015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그랑프리 국제유도대회 78kg이상급 결승에서 중국의 마시시에게 지도승을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현재 한국마사회 소속이다.
2016~현재 한국마사회 렛츠런 유도단 소속 선수(+78kg급)
성적 - '17 IJF 월드 마스터스 +78kg급 우승
- '17 도쿄 그랜드슬램 +78kg급 3위
- '17 유러피안컵 말라가 국제유도대회 +78kg급 우승 - '17 세계유도선수권대회 +78kg급 3위 - '17 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 +78kg급 2위 - '17 유러피안 오픈 오베르바트 +78kg급 우승 - '17 파리 그랜드슬램 +78kg급 3위 = 해나 시몬 = 해나 시몬(Hannah Simone, 1980년 8월 3일 ~ )은 캐나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밴드 에이드 (2017) 킬링 군터 (2017) 포크 히어로 & 퍼니 가이 (2016) 뉴 걸 5 (2016) 미스 인디아 아메리카 (2015) 뉴 걸 4 (2014) 뉴 걸 3 (2013) 올드보이 (2013) 뉴 걸 2 (2012) 뉴 걸 1 (2011) = 살라 전투 = 살라 전투는 겨울전쟁 당시 랩란드 살라 근교에서 핀란드군과 소련군이 맞붙은 전투이다. 소련군은 살라를 거쳐 케미얘르비와 소단퀼래로 진격하려 했다. 소단퀼래에 닿으면 로바니에미까지는 불과 2주 거리였다. 그리고 로바니에미에서 토르니오로 진격하면 핀란드 병력을 둘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핀란드군은 케미얘르비 동쪽에서 소련군의 진격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1940년 2월 마지막 주에는 핀란드군 병력은 거의 빠지고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계 의용군들로 이루어진 스웨덴 의용전투단이 소련군을 상대했다. = 다발성 골수종 = 다발성 골수종(多發性骨髓腫, ), 또는 형질세포골수종(形質細胞骨髓腫, )은 일반적으로 항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 세포의 암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발전하면 골통, 출혈, 잦은 감염,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합병증에는 아밀로이드증이 포함될 수 있다. 병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위험 요인에는 비만, 방사선 노출, 가족력, 연령, 특정 화학 물질 등이 있다. 또한 특정 직업에서도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는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에 직업 특성상 노출되기 때문이다. 의미미결정 단클론 감마글로불린혈증(MGUS)은 무증상 골수종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MGUS에서 다발성 골수종까지 발생할 수 있다. 비정상 항체를 생산하는 비정상 형질 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이 다발성 골수종의 발병기전으로, 이 때문에 신부전과 과점조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형질 세포들은 골수나 연조직에 종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종양만 존재할 경우 형질세포종이라 하며 하나보다 많을 경우 다발성 골수종이라고 한다. 다발성 세포종은 혈액이나 소변 검사를 통해 비정상 항체를 찾거나 골수 생검을 통해 악성 형질 세포를 찾거나, 의학 영상을 통해 골병변을 찾음으로써 진단된다. 그 외에 고칼슘혈증이 발견되기도 한다. 다발성 골수종은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치유는 불가능하다. 스테로이드, 화학요법, 표적 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등으로 완화할 수 있다. 골병변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방사선 치료가 가끔 이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2013년 기준으로 약 427,000명이며, 이로 인해 79,000명이 사망하였다. 미국에서 한 해에 100,000명의 사람 중 6.5명에서 발병하며 사람들 가운데 0.7%가 생애의 어느 시점에서 영향을 받는다. 한편 202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받은 환자는 175,000명 정도이며, 117,000명이 같은 해 다발성 골수종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미국에서는 2023년 기준 35,000명이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받고, 12,000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2020년 기준 미국의 골수종 환자는 170,405명 생존해 있다고 추정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매년 1700~1800명의 다발성 골수종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총 환자 수는 8000~9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치료법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사망률의 통계를 내기는 어렵다. 2013년에서 2019년 사이에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은 환자 데이터로 추정하였을 때, 환자 중 60%가 진단 이후 5년 동안 생존하였고, 약 34%가 10년 이상 생존하였다. 치료가 개선되면서 새로 진단을 받은 환자의 예후가 더 좋다. 보통 60세 즈음에 발생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 치료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생존 기간은 7개월이다. 치료를 할 경우 생존 기간은 보통 4~5년이다. 5년 생존률은 약 49%이다. 골수종의 영어 낱말 myeloma은 골수를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myelo-와 종양을 뜻하는 -oma에서 왔다. = = 증상 및 징후 = = 다발성 골수종은 많은 장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증상과 징후 역시 매우 다양하다. 임상 양상에서 피로감과 뼈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발현한다. CRAB 기준은 (초기의 무증상 다발성 골수종과 대조되는) 활동성 다발성 골수종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예전에 사용되었던 기준이다. CRAB 기준은 다음과 같다. Calcium, 칼슘: 혈청 내 칼슘 농도가 정상 범위의 최댓값보다 0.25 mmol/L (>1 mg/dL) 이상 높거나, 칼슘 농도가 2.75 mmol/L (>11 mg/dL)보다 높다. Renal insufficiency, 신부전: 분당 크레아티닌 청소율 <40 mL/min 또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1.77 mol/L (>2 mg/dL) Anemia, 빈혈: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 범위의 2g/dL 이상 낮거나, 헤모글로빈 수치가 10g/dL보다 낮다. Bone lesions, 뼈의 병변: X레이, CT, PET/CT 등에서 발견된 골용해성 병변 현재는 보다 확장된 새로운 기준이 사용되고 있다. IMWG (International Myeloma Working Group) 기준에서는 활동성 다발성 골수종을 시사하는 세 가지 이상의 소견이 관찰될 것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각 소견은 CRAB 기준에서 제시된 소견보다 먼저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발성 골수종을 일찍이 발견하여 보다 빠르게 더 많은 사람에게 약물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 = = 골통 = = = 뼈의 통증, 즉 골통은 전체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약 70%에서 발생하며,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다발성 골수종의 골통은 대개 척추와 갈비뼈에서 발생하며, 움직이면 악화된다. 지속적이며 국소적인 통증은 병적 골절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다. 척추에 발생한 골통은 이후 척수 압박이나 척주후만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골수종으로 인한 골질환은 NF-κB 리간드 (RANKL)의 수용체 활성 인자가 골수에서 과발현되기 때문이다. RANKL은 뼈를 흡수하는 세포인 파골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발생하는 뼈의 병변은 골용해성이며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가장 잘 관찰된다. 이때 마치 뚫린 듯한 ("punched out") 모양의 병변이나 두개골의 빗방울 ("raindrop") 모양 병변이 관찰되기도 한다. 한편 뼈가 파괴되면서 칼슘 이온이 혈액 내로 풀려나고, 고칼슘혈증과 고칼슘혈증으로 인한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 = = 빈혈 = = = 다발성 골수종의 빈혈은 대개 적혈구 모양이 정상인 정상적혈구, 그리고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인 정상색소빈혈이다. 골수에 종양 세포가 침범하며 사이토카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적혈구를 만들기 위한 조혈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빈혈이 발생한다. = = = 콩팥 기능 손상 = = = 급성으로든 만성으로든, 콩팥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에서 콩팥 기능이 손상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세포에서 분비하는 단백질이다. 다발성 골수종 세포는 여러 종류의 단클론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이때 가장 흔한 것은 항체(면역글로불린)와 유리 경쇄(free ligh chain)로, 따라서 혈액 내 이 단백질들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다. 이때 만들어진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이 만들어진 단백질이 콩팥으로 배설될 수 있고, 단백질이나 경쇄의 효과에 따라 콩팥이 손상을 입기도 한다. 뼈의 흡수가 증가하면서 고칼슘혈증이 발생하여 콩팥석회증을 일으키고, 결국 신부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아밀로이드증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침착되는 상태로, 아밀로이드 역시 콩팥으로 배설되므로 콩팥과 다른 장기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한편 유리 경쇄는 판코니 증후군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 = = 감염 = = =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원래 병원체에 맞서 싸워야 하는 혈액 내 성분들이 손상당하므로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감염은 폐렴, 요로감염증, 패혈증 등이다. 감염의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기간은 새로운 약물 치료를 시작한 직후의 초기 몇 달간으로, 이는 많은 약물 치료가 정상 면역 반응을 더욱 억제하기 때문이다. 감염을 포함한 모든 질병의 합병증은 표준 척도를 이용해 등급을 매긴다. 일부 다발성 골수종 약물 치료제는 치료를 받은 환자의 30% 정도에서 3등급 이상의 감염이 발생하는데, 이는 곧 최소한 항생제를 이용한 처치가 필요한 수준을 뜻한다.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고 6개월 이내에 사망한 환자 중 약 20~50%가 동반된 감염으로 인해 사망한다. 환자의 면역 반응을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통 혈중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측정한다. 면역글로불린에는 면역글로불린 A, D, E, G, M의 서로 다른 다섯 가지가 있다. 면역글로불린 농도는 다발성 골수종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지만, 이렇게 증가한 항체의 대부분은 클론성 형질세포로 인해 단클론 다양성을 보여 효과가 없는 항체이다. 이런 효과가 없는 항체는 대개 IgA와 IgG이다. 효과가 있는 항체가 특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즉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이 있다면 동반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보충용 면역글로불린을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 = = 신경학적 증상 = = = 쇠약, 혼란, 피로감 등의 일부 증상은 빈혈이나 고칼슘혈증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두통, 시각 이상, 망막병증은 파라단백질의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혈액의 과다점도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척수신경근통, 창자나 방광의 조절 소실 (척수 문제로 인한 것), 손목 터널 증후군, 그 외 신경병증 (아밀로이드의 말초신경 침윤으로 인한 것)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늦게 발현하는 경우에는 하반신마비가 생길 수도 있다. = = = 입 = = = 초기 증상에는 통증, 무감각, 종창, 약해져서 움직이는 이빨, 방사선투과성 등이 있다. 구강의 다발성 골수종은 치근단농양, 치주농양, 치은염, 치주염, 그 외 다른 치주의 비대나 종괴 같은 흔한 치아 문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 원인 = = 다발성 골수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 = = 위험 인자 = = = 의미미결정 단클론 감마글로불린혈증(MGUS)은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을 높인다. MGUS는 연간 1~2%가 악성전환하여 다발성 골수종이 되며, 거의 모든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는 MGUS가 다발성 골수종에 선행한다. 무증상 다발성 골수종 역시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을 높인다. 이 전암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는 첫 5년 동안은 연간 10%의 환자에서, 다음 5년 동안은 연간 3%의 환자에서, 그 후로는 연간 1%의 환자에서 다발성 골수종이 발생한다. 비만은 다발성 골수종 발생과 연관되어 있으며, 체질량지수(BMI)가 5 증가할 때마다 상대위험도는 11%씩 올라간다. 한편 다발성 골수종은 가족적 소인도 있음이 알려져 있다. 여러 단백질의 과인산화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경향으로, 같은 가족에서 흔히 발견되는 기전으로 보인다. 이 경향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서 더욱 흔히 나타나며, 따라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에서 다발성 골수종이 많은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 = = = 직업 = = = 벤젠과 그 유도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다발성 골수종과 연관되어 있는지 조사한 연구에서는, 근거를 통해 이러한 용매가 다발성 골수종 발생 원인으로서 작용한다고 밝혔다. 다발성 골수종은 특정 직업에서 더욱 잘 발생할 수 있다. 소방관, 미용사, 농업이나 각종 공업에 종사하는 사람에서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더 높다. 이렇게 특정 직업에서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은 각종 화학 물질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반복적으로 화학 물질에 노출될 때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소방이나 농업에서, 살충제나 각종 위험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다발성 골수종의 발생 위험이 올라간다. 앞서 서술하였듯 공업 등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에 노출되면서 다발성 골수종 위험이 높아진다.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에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이 있다. 노출 기간이 길수록, 노출 강도가 강할수록, 노출이 반복적일수록 다발성 골수종 발생 위험이 63%만큼 증가할 수 있다. 노출에서 진단까지 걸리는 시간이 연구되었으며, 이 기간은 최소 20년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한 화학 물질에 노출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대부분은 다른 탄화수소 용매에도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은 남성, 나이가 많은 성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더 잘 발생한다. 이러한 인구집단은 여성 집단에 비해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빈도가 더 높다. = = =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 = = 드물게 엡스테인-바 바이러스(EBV)가 다발성 골수종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HIV/AIDS, 장기 이식, 혹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에서 더욱 그러한 경우가 많다. EBV 양성 다발성 골수종은 2016년 WHO 기준에서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연관 림프구증식질환의 한 형태로 분류되며,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연관 형질세포골수종(Epstein–Barr virus-associated plasma cell myeloma)으로 명명되어 있다. 다만 EBV 양성 질환은 다발성 골수종보다는 형질세포종 형태일 때 더 흔하다. EBV 양성 질환이 발병한 조직은 보통 EBV 양성 세포들이 모인 병소가 존재하는데, 미성숙 형질세포나 분화도가 나쁜 형질세포가 빠르게 증식하는 소견이 관찰된다. EBV 양성 세포는 EBER1이나 EBER2 같은 EBV 유전자의 생산물을 발현한다. EBV가 대부분의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연관 림프증식질환의 발생이나 진행에 기여하는 것은 밝혀져 있지만, 다발성 골수종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EBV 양성이며 국소적인 형질세포종이 있는 환자는 EBV 음성 형질세포종이 있는 환자보다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는 형질세포종이 전신의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행하는 데에 EBV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 = 치료 = = 대부분의 약물 요법은 다약제 치료를 실시하며, 삼제(triplet) 내지는 사제(quadriplet) 요법 등을 시행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단클론 항체(다라투무맙 등), 면역조절제(레날리도마이드, 포말리도마이드), 프로테아솜 억제제(보르테조밉, 카필조밉, 익사조밉), 스테로이드(덱사메타손 등)를 병용하는 경우가 많다. 오랜 기간 동안 삼제 요법이 표준 치료법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사제 요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병용 치료는 명명할 때 이니셜을 따는데, 상품명의 경우는 대문자로, 성분명의 경우는 소문자로 표시한다. 가령 VRd는 보르테조밉의 상품명인 벨케이드(Velcade), 레날리도마이드의 상품명인 레브리미드(Revlimid),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비슷하게 DKRd는 다라투무맙의 상품명인 다잘렉스(Darzalex)와 카필조밉의 상품명인 키프롤리스(Kyprolis)에서 따온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약제를 화학요법 약제라고 부르지 않기도 하는데, 이들은 유사분열을 억제하거나 DNA 손상을 유발하는 고전적인 항암제, 즉 비특이적인 세포내 독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 신천지 (동음이의) = 신천지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사전적 의미로는 '새 하늘 새 땅'이다. 《신천지》(新天地): 대한민국의 옛 잡지(1946년 1월 ~ 1954년 10월 통권 69호)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新天地예수敎 證據帳幕聖殿): 대한민국의 사이비 종교이다. 신티엔디(新天地): 상하이에 있는 지역 이름이다. 신천지함: 대한민국 해군의 군함으로, 2013년 퇴역하였다. 신천지: Mnet의 프로듀서이다. 이름이 신천지이다. 신천지:Why?책의 등장인물이다. = 분류:1981년 라이브 음반 = = 분류:이드 소프트웨어 게임 = = 분류:콜롬비아의 소매업 =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2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2(Life Is Strange 2)는 돈노드 엔터테인먼트 개발, 스퀘어 에닉스 배급의 그래픽 어드벤처 게임이다.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시리즈의 두 번째 본편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 맥 OS, 리눅스로 출시되었다. 2018년 9월부터 시작해 2019년 12월까지 다섯 개 에피소드가 출시, 완결되었다. 본작은 삼인칭시점의 그래픽 어드벤처 게임이다.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것은 멕시코계 아메리카인 청소년 션 디아즈. 이 션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사물을 습득하고, 대화수를 통해 논플레이어 등장인물과 소통한다. 본작에서 플레이어가 내린 결정은 곧 줄거리를 바꾸게 되며 다니엘 이하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역시 바꿔 놓게 된다. 데모 더 어섬 어드벤처 오브 캡틴 스피릿에서 내린 결정조차도 일부 본작에 반영되는 부분이 있다. = 홍시 (감) = 홍시(紅枾, ))는 생감의 떫은 맛이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방법으로 제거되어 단 맛이 강해지고 말랑말랑해진 감을 의미한다. 연시(軟枾) 또는 연감이라고도 하며, 연시는 물렁물렁하다고 연시라 부르고 홍시는 붉다고 하여 홍시라고 부른다. = = 원리 = = 감이 홍시가 되는 원리는 이러하다. 감 속에는 디오스프린이라는 타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입 안에서 침과 섞여 녹아 떫은맛을 내게 한다. 이 떫은맛을 제거하는 것을 탈삽(脫澁)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수용성 타닌 성분을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자연적으로는 떫은맛이 사라지고 말랑말랑해져서 단맛이 들 때까지 저장해 두는 방법이 있고, 인위적으로는 온탕탈삽법, 알코올탈삽법, 가스탈삽법, 동결탈삽법 등이 있다. 또는 소금물이나 술에 담그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침감 또는 침시라고 한다. = = 효능 = = 홍시의 효능은 다양하다. 숙취해소를 돕는 것을 비롯해 심장과 폐의 기능을 강화한다. 소화기능과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홍시의 효능은 홍시 속에 있는 디오스프린이라는 탄닌 성분에서 비롯된다. 세포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흡착해 몸 밖으로 배출시키며,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위궤양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홍시는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기도 하며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빈혈에도 효과가 있다. 다만, 지나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탄닌 성분을 과하게 섭취할 경우, 지방질과 작용해 변을 굳게 만들기 때문에 변비가 생길 수 있다.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꼭지의 하얀 부분을 제거한 후 먹는 것이 좋다. 엑스포츠뉴스 = 분류:공주시의 축구 경기장 = 축구 경기장 축구 경기장 공주시 공주시 = 분류: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공기업 = = 주현준 = 주현준(1989년 1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Memory[gm]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테란이다.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GO(현 CJ 엔투스)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2009년 6월 2일 CJ 엔투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주현준의 공식 은퇴 소식을 알렸다.CJ 엔투스 홈페이지 (2009.06.02) 주현준 선수 프로게이머 은퇴 공시 = = 프로리그 = = 개인전 vs T 4승 7패(36.4%) vs P 1승 4패(20%) vs Z 0승 2패 통합 5승 13패 = = 수상 경력 = = 2005년 2005년도 부산시장배 우승 2005년 서울호서대학 스타크래프트 게임대회 준우승 2006년 MBC게임 구단평가전 신인왕전 우승 2007년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256강전 4강 2007년 곰TV MSL 시즌3 8강 2008년 곰TV MSL 시즌4 32강 2008년 아레나 MSL 2008 32강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8강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16강 = F-3 심신 = F-3 심신(일본어: 心神, 영어: Mitsubishi F-3 Shinshin)은 일본이 2030년대에 실전 배치하는 차세대 전투기이다. 2024년에 프로토 타입이 제작되며, 설계 및 시험 계획이 확정된 후, 2028년에 처녀 비행에 돌입한다. 본격적인 양산 및 실전배치는 2031년부터 시작되며, 미쓰비시 F-2는 2035년부터 본격적으로 퇴역되며 그 자리를 F-3로 대체된다. F-X 사업으로도 불린다. = = 개요 = = 일본은 2000년대 이후 늘어난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신신(心神)'이라는 비공식 명칭이 붙은 본 프로젝트를 2008년 4월 공식 출범하기로 예정되었다. 2016년 실제 크기의 70% 미만의 실증기인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는데 성공해서 기술을 입증했다. = = 설계 = = 후술할 내용들은 전부 예상이므로, 실제 F-3과는 크게 차이가 날 가능성도 있다. = = = 개념 = = = F-22보다 대형화된 크기를 가질 것이다. 일본이 넓은 작전범위와 큰 무장량을 원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실제로 고노 다로 국방 장관은 F-X가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F-35보다 더 많은 미사일을 운반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전자전 = = = 스텔스 항공기에 대한 감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F-X는 통합 센서를 사용하는데 AESA 레이더, 수동 무선 주파수 (RF)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가 포함한다. AESA 레이더 및 RF 센서는 모두 질화 갈륨을 사용하는데, F-X는 항공기, 공대공 미사일 및 지대공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RF '자체 방어'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위협에 대해 경고를 받고 전 방위적으로 전파를 방해함으로써 ESM과 ECM을 모두 수행한다. 통합 ESM 차체 안테나는 전투기의 날개와 꼬리 덮개를 따라 배치된다. = = = 조종석 = = =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에는 넓은 시야, 쌍안, 다색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및 3D 사운드가 있다. = = = 스텔스 = = = 레이더 단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F-X의 물리적 설계에는 구불구불한 공기 덕트와 내부 무기 베이가 있다. 전자파 흡수제 레이더 반사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덕트 및 엔진에 적용된다. 흡수체는 탄소계 물질이라고 한다. 수행된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흡수체에서 수행되는 RCS 감소는 레이더 위협의 탐지 범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과 동등한 영향을 미친다. 메타 물질은 또한 전파를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메타 물질은 작은 금속 조각과 유전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다. 메타 물질은 적용되는 펄스 도플러 시스템 F-X에 탑재된 전파 반사 제어 기술의 일부로 레이더 방출을 피하기 위해 F-X는 수동 감지 사용을 극대화한다. 또한 센서 프로그램은 레이더 방출 중 카운터 감지 가능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방출을 작동한다. F-X는 플라즈마 스텔스 안테나 기술을 사용 하여 전파를 편향시킨다. 안테나는 전기적 제어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플라즈마 특성을 사용하여 임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작동한다. 활성화 된 동안 안테나는 또한 통신을 송수신 할 수 있다. = = = 엔진 = = = FX는 두 개의 XF9-1 엔진으로 구동된다. 엔진의 군사력은 11 톤이며 최대 추진력은 15 톤이다. XF9는 1800 ° C에서 높은 연소 온도를가집니다. XF9의 주목할만한 점은 그 힘에 비해 얇은 크기다. 예를 들어, XF9의 엔진 흡입구는 F-2에 사용된 제너럴 일렉트릭 F110보다 30 % 작다. 슬림한 디자인은 항공기의 스텔스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무기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XF9의 큰 에너지 출력은 180kW이며 FX는 두 엔진 모두에서 360KW의 에너지를 받는다. 전투기의 강력한 항공 전자 장치 및 장비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큰 에너지 생성이 필요하다. 스텔스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즐 엔진의 추력 벡터 노즐은 모든 원주 방향으로 추력을 최대 20도까지 편향시킬 수 있다. XF9 - F-3에 탑재될 전투기 엔진 = = = 드론 제어 = = = 일본은 F-X와 함께 작동 할 수 있는 무인 전투 항공기를 도입 할 계획이다. 드론 프로그램의 이름은 전투 지원 무인 항공기라고 한다. 드론 프로그램은 크라토스 XQ-58 발키리 또는 보잉 공군 팀 시스템 프로젝트와 유사하며, 이 드론은 조종 항공기에 대한 "충성스러운 윙맨"역할을한다. 드론에는 두가지 버전이 있다. 하나는 센서 운반 대와 표적을 위한 스카우트이며, 다른 하나는 탄약을 발사하고 들어오는 미사일을 모체 항공기에서 멀어지게 한다. 두 버전 모두 서로 동일한 디자인을 공유한다. 드론은 2030년대에 완전히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수출 = = = 일본 정부는 F-3를 내수용 전투기로 생각하고 있고, 최소 0000억원 단가로 예상되기 때문에 GDP 10위에 들지 못하는 국가는 사실상 경제적 도입할 여유가 없다. 공군은 F-3와 동일한 세대의 6세대 차세대 전투기 F-X를 도입할 것이며, , 은 자체 전투기가 있으며 일본 입장에선 안보 위협 대상으로 간주되는 국가들이다. G20 개발도상국 중, 구매력 GDP가 높은 편인 는 이미 의 KFX에 참여중이라 일본으로선 수출의 폭이 낙타가 바늘 구멍을 통과하는 것처럼 좁다. 일본 정부는 F-X에 5조엔(한화 대략 50조원)을 투자할 예정인데, 100대 이상을 생산할 예정이다. 170대로 가정하면 단순 계산시 1대당 2,900억원의 투자비를 소모한다. 230대가 수출된다면 사업비가 20조원 추가된다해도 대당 1,700억원으로 단가가 낮아져 규모의 논리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다. F-3 보유량 보유국 F-3A 170대 예정 = 덩굴식물 = 덩굴식물은 땅바닥으로 벋거나 다른 것에 감겨 오르는 식물의 줄기를 지닌 식물을 가리킨다. 더 좁은 의미는 포도속이다. 줄기 자체는 간단히 덩굴 또는 넝쿨이라고 부르며, 덩쿨은 덩굴의 잘못된 표현이다. = = 예 = =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포도 장미 오이 호박 핑크 재스민 콩 = 분류:에티오피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분류:파이널 판타지 XIV = = 조건문 = 컴퓨터 과학에서 조건문(條件文, conditional)이란 어떤 조건이 주어질 때 어떤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즉 주어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문장이다. 프로그래머가 명시한 불린 자료형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계산이나 상황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이다. = = C 언어에서의 조건문 = = C에서는 if를 사용하여 조건문을 만든다. if의 조건이 참이 아닐 때 수행할 동작은 else 문에서 지정 가능하며, if와 else 사이에 else if를 통해 새로운 조건을 넣을 수 있다. C의 영향을 받은 C++, 자바 등도 같은 형식을 따른다. #include int main(void){ int a = 2, c = 5; if(a == c){ printf("a는 c와 같다."); } else { printf("a는 c와 다르다."); } return 0; } 이 소스는 a라는 변수에 2를 저장하고 c라는 변수에 5를 저장한 뒤, a와 c가 같은지 확인하고 출력한다. 이 소스는 밑의 소스처럼 좀 더 줄일 수 있다. #include int main(void){ int a = 2, c = 5; a == c ? printf("a는 c와 같다.") : printf("a는 c와 다르다."); return 0; } 위의 소스는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 if를 사용한 소스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소스는 else if처럼 다른 조건에서 동작하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 #include int main(void){ int a = 2, c = 5; if(a > c){ printf("a는 c보다 크다."); } else if(a < c) { printf("a는 c보다 작다."); } else { printf("a는 c와 같다."); } return 0; } 이 소스는 else if까지 추가시켜서 만든 조건문이다. = = case와 switch 문 = = switch 문 (일부 언어의 경우 case 문이나 다방향 브랜치라고도 함)은 지정된 상수의 값을 비교한 다음, 일치하는 첫 상수에 따라 동작을 취한다. 파스칼: C: 셸 스크립트: case someChar of 'a': actionOnA; 'x': actionOnX; 'y','z':actionOnYandZ; else actionOnNoMatch; end; switch (someChar) { case 'a': actionOnA; break; case 'x': actionOnX; break; case 'y': case 'z': actionOnYandZ; break; default: actionOnNoMatch; } case $someChar in a) actionOnA; ;; x) actionOnX; ;; [yz]) actionOnYandZ; ;; *) actionOnNoMatch ;; esac = = 언어별 비교 참조 = = 프로그래밍 언어 구조화된 if 구조화된 if 구조화된 if switch 선택 산술 if 패턴 일치 프로그래밍 언어 then else else–if switch 선택 산술 if 패턴 일치 에이다 C, C++ C 샤프 코볼 에펠 F# 포트란 90 고 하스켈 자바 Java.sun.com, Java Language Specification, 3rd Edition. ECMAScript (자바스크립트) Ecma-international.org ECMAScript Language Specification, 5th Edition. 메스메티카 오베론 펄 PHP 파스칼, 오브젝트 파스칼 (델파이) 파이썬 퀵베이직 루비 스칼라 SQL 비주얼 베이직, 클래식 비주얼 베이직 닷넷 윈도우 파워셸 = 수송 단백질 = 수송 단백질(輸送蛋白質, )은 생물체 내에서 다른 물질들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다. 수송 단백질은 모든 생명체의 생장과 생명활동 유지에 필수적이다. 여러 종류의 수송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수송 단백질은 생체막을 가로질러 이온, 저분자, 다른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Sadava, David, et al. Life, the Science of Biology, 9th Edition. Macmillan Publishers, 2009. . pg 119. 수송 단백질은 내재성 막 단백질이며 막 내부에 걸쳐 존재하고 물질을 운반한다. 수송 단백질은 촉진 확산 및 능동 수송을 통해 물질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메커니즘을 운반체 매개 수송이라고 한다.Thompson, Liz A. Passing the North Carolina End of Course Test for Biology. American Book Company, Inc. 2007. . pg. 97. 각각의 수송 단백질은 하나의 물질 또는 매우 유사한 물질들의 한 가지 작용기만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특정 수송 단백질의 결함은 특정 질병과 상관 관계가 있다.Sadava, David, Et al. Life, the Science of Biology, 9th Edition. Macmillan Publishers, 2009. . pg 119. 막 수송 단백질(또는 간단히 수송체)는 그러한 운반체 역할을 하는 막 단백질이다. 소포 수송 단백질은 막관통 단백질 또는 막에 결합된 단백질이다. 소포 수송 단백질은 세포 내용물의 소포에 의한 움직임을 조절하거나 촉진한다. = 후나키 가즈오 = 후나키 가즈오(, 1944년 12월 12일 ~ )는 일본의 엔카 가수이다. 본명은 우에다 시게유키. = = 약력 = = 데뷔 당시 첫 소속사는 호리 프로덕션, 현재의 호리 프로였다. 당시의 예명은 후나키 가즈오 (舟木和夫, 한자가 다르다)로 예정되었지만, 자신의 희망으로 후나키 가즈오 (舟木一夫)로 바뀌었다. 느긋하고 차분한 목소리의 미성으로 1960년대를 중심으로 히트를 하였다. 같은 시기에 데뷔한 하시 유키오, 사이고 데루히코와 함께 "세 대가"로 인기를 모은다. = 편차 = 통계학에서 편차(deviation)는 관측값과 평균의 차이를 말한다. 편차점수라고도 한다. 어떤 변인 y에서 특정 사례의 편차 d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편차는 양수일수도 있고 음수일 수 있으며, 이는 평균보다 크거나 작음을 나타낸다. 값의 크기는 관측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낸다. 편차는 오류 또는 잔차라고 할 수 있다. 모집단 평균에서의 편차는 오류이며, 표집 평균에서의 편차는 잔차이다. 편차(deviation)는 관측값에서 평균 또는 중앙값을 뺀 것이다. 분산(variance)은 관측값에서 평균을 뺀 값을 제곱하고, 그것을 모두 더한 후 전체 개수로 나눠서 구한다. 즉, 차이값의 제곱의 평균이다. 관측값에서 평균을 뺀 값인 편차를 모두 더하면 0이 나오므로 제곱해서 더한다.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는 분산을 제곱근한 것이다. 제곱을 통해 다소 왜곡된 값인 분산을 제곱근하여 그 왜곡을 크게 줄여준다. 절대 편차(absolute deviation)는 관측값에서 평균 또는 중앙값을 빼고, 그 차이에 절대값을 취하고 그 값들의 대푯값을 구한 것이다. = = 특징 = = 주어진 표본에서 편차를 모두 더하면 항상 0이 된다. #: \Sigma(y-\overline{y})=0 편차 D의 표준편차는 변인 Y의 표준편차와 같다. #: s_d=s_y #: \because s_d=\sqrt{\frac{\Sigma(d-\overline{d})^2}{n-1}}=\sqrt{\frac{\Sigma(y-\overline{y})^2}{n-1}}=s_y = 분류:대구광역시장기 전국초등학교축구대회 참가팀 = 구단 대구광역시장기 전국초등학교축구대회 = 분류:저작권 상태별 위키백과 파일 = = 분류:재외 이란인 = = HIP 107649 = = 분류:캐나다의 화학 기업 = = 치난텍사슴쥐 = 치난텍사슴쥐(Habromys chinanteco)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멕시코에서만 발견된다. = 분류:1814년 과학 = = 제24호 과학위성 아카츠키 = 아카츠키 또는 플래닛 C (PLANET-C)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2010년 5월 18일 오전 6시 58분 일본 규슈 최남단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한 금성 탐사선이다. H-2A 로켓 17호에 실려 발사되었다. H-2A로켓 17호에는 아카츠키 뿐만 아니라 우주 범선 이카로스도 탑재되었다. 오전 7시 25분 고도 360km 지점에서 분리되었다. 본래는 동년 12월 7일까지 금성 궤도 내에 도달해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과학적인 연구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주 임무였으나, 정해진 기간까지 궤도 내에 진입하는 데 실패하여 태양 주회 궤도에 계속 남아있게 되었다. 발사부터 5년 후인 2015년 12월 7일, 보조 엔진 4기를 20분간 분사하여 금성의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진입 성공의 5시간 후 아카츠키는 근적외선 카메라, 중간적외선 카메라, 자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첫 번째 금성의 사진을 촬영했다. 또한 아카츠키는 노조미 이후 두 번째로 개발된 일본의 행성 탐사선이다. 달 탐사는 일본은 1990년과 2007년에 달 궤도에 우주선을 진입시키는 데 성공하고있다. 소행성 탐사는 2005년에 성공하여 2010년에 지구에 흙을 찾아 오는 데 성공하고있다. = = 의의 = = 일본이 세계 4번째로 금성 주변의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는것에 의미가 있다. 금성 탐사선 성공국가는 소련, 미국, 유럽에 이어 일본이 4번째다. 단일국가로는 3번째인것이다. = 위키백과:사랑방/2008년 제49주 = = = 책 소개 'The public domain' = = 위키백과의 자유문서운동가들에게 자유문화운동의 대부인 보일 교수의 새 책 공용(The public domain)을 소개합니다.(물론 공용(CC)입니다.) 5장과 6장에 위키백과에서도 고민이 많은 공정사용과 2차저작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필독 추천합니다. 케골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4:55 (KST) = = 몇몇 틀의 모양이 이상해지고 있네요. = = 틀:1991년-이 달의 문화 인물 틀: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국왕 Knight2000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6:41 (KST) = = 'U-Nursing' 관련 문서에 대한 대책 = = 최근 바뀜란을 보시면 아실 수 있겠지만, 현재 'U-Nursing'이라는 것과 관련한 글들이 폭발적으로 등록/수정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통해 유추해보면, 아마도 관련 학과에서 'U-Nursing'이라는 것에 대한 글을 위키백과에 등록하도록 과제를 내준 것이라 추정되는데, 이건 뭔가 아닌 것 같군요. 신규사용자들이 U-Nursing이라는 것을 위키백과에 등재하려는 것이라면 저 역시 지원을 하겠지만, 내용이 비슷비슷한 레포트성 문서를 다수의 사용자(대강 세어본 결과 최소 8명)가 생성해대는 것에는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저번에도 이야기가 나왔듯이 다짜고짜 문서들을 삭제하고 내쫓기보다는 위키백과가 어떤 곳인지 설명하고, 또한 무엇이 잘못되고 있는지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자세가 필요하겠습니다만, 지금 벌어지는 사태에 대해서 도대체 어디부터 접근해야할지 막막하군요-_-;;; 201KEI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7:30 (KST) 현재, 제가 전화를 직접해서 담당 교수님이 전화로 연락주시기로 했습니다.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무과에 알린 상태입니다. 해피해피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7:46 (KST) 어떻게 보면 기쁘기도 하네요. 대학에서 조직적 반달 과제로 위백에 끄적끄적하라고 했다니, 위백의 인지도가 그많큼 높다는 소리 아니겠습니까. 어어 돌던지지 마세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12월 1일 (월) 17:54 (KST) 지나치게 흥분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일로 사람들이 위키백과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면 오히려 잘 된 일이지요. 몰라서 저지른 일에 대해서 잡아먹을 듯이 일일이 대응하지 마세요. 어짜피 시간이 지나면 다 삭제될 문서라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지 않나요? :) 정안영민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7:58 (KST) 혹시 위키백과 방식으로 레포트를 작성할 수 있게만 한다면 이런 현상이 좋지 않다고 볼 수는 없잖습니까? 뭐 사용자 문서 쪽에 문서를 하나 만들어서 단체로 글을 작성한 후 완성된 형식으로 만들게 할 수만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문서의 내용은 위키백과에 해를 끼친다고 보기 어려워요. 다만 단체로 하나의 주제로 문서를 만들다보니 유사 문서가 너무 많이 늘어났다는게 흠이지만요. 기존 사용자가 사용자 문서 쪽에 이동시켜주면 어떨까요? RedMosQ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18:27 (KST) 이런 일이 처음은 아닙니다. 예전에 이런 일이 있어서 쓰다가 만 '위키백과를 교육에 활용하기' 문서를 급하게 내놓았습니다. 적당히들 채워주세요~ :) Klutzy (토론) 2008년 12월 1일 (월) 21:39 (KST)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분들이 위백 문법을 처음부터 알리는 없지만, 점점 익혀나가다보면 위백 문법에도 맞는 괜찮은 글들을 업로드 하시겠지요 adidas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01:13 (KST) 완전한 목적외 사용입니다. 리포트를 만드는 곳이 아닙니다. WP를 리포트 작성터와 착각하는 교수도 교수입니다.hyolee2♪/H.L.LEE 2008년 12월 2일 (화) 09:05 (KST) 삭제 신청 틀을 달았더니 모두 삭제된 것 같네요... 일단 사용자문서로 옮기고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것 같습니다. 의도는 문제였지만 그렇다고 각각이 모두 무의미하지는 않았던것 같아요. Enigma7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13:22 (KST) 영문 위키백과에도 진출했네요. :en:Ubiquitous nursing가 올라와 있습니다. -_-;;; Cedar101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14:50 (KST) 음 공동 작성 리포트라면 의미가 있을텐데요. :-) 생각해보면 문서참여 횟수와 양과 그리고 참여자들간의 내부평가를 통해 학점을 주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거북이 (토론) 2008년 12월 3일 (수) 12:50 (KST) = = 위키백과에 적절한 웹브라우저 좀 추천해 주세요. = =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해서 위키백과를 배워가고 있는 중인데요. 제가 쓰는 웹브라우저는 IE6인데 위키백과 접속이 다른 것들보다 좀 느리더군요. 그리고 로딩이 끝났는데도 클릭이 몇초간 안되는 현상이 종종 일어납니다. 다른 것들 중에선 구글 크롬이 제일 빠른 듯 한데, 화면이 깨질 때가 있어요... 메뉴와 도구모음이 전부 하단으로 내려가버린다든지... 다른 분들은 위키백과 접속시 문제가 없으신가요? 위키백과 할 때 어떤 브라우저를 즐겨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Bioid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18:19 (KST) 파이어폭스를 추천합니다. IE7은 다소 불안정하죠.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12월 2일 (화) 20:30 (KST) 답변해 주신 Kwj2772님과 샐러맨더님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신 걸 포함해 시행착오를 거쳐 제게 맞는 웹브라우저를 찾아보도록 하죠. bioid (토론) 2008년 12월 3일 (수) 01:08 (KST) = = 크리스마스 특집(?) 로고 = = 김칫국 마시는 건지 모르겠지만, 한번 제안해 봅니다. 해골구글도 기념일때 로고 바꾸더군요. 저도 대문 반스타 받고...(흑심이 있어!)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12월 2일 (화) 21:10 (KST) 합니다. 그러고보니 설 특집 로고도 준비해보시는건 어떠신가요? BongGon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21:23 (KST) 근데 각종 기념(특히 숫자별 로고)으로 인하여 위키백과 로고가 하두 많이 바뀌니깐,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숫자별 로고도 10만, 20만 등 10만단위로 문서수가 늘어갈 때만 가끔씩 바꿔주는게 좋다고 생각하고요, 크리스마스 로고는 그렇다 쳐도, 설 특집 로고는 일부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좀 그렇구요.(정책적으로 따지면 NPOV 위반이겠군요.) 알밤한대(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21:41 (KST) 석가탄신일, 개천절(대종교랑 관련이 있죠)이나 라마단 끝을 기념하는 로고... 등등이 달리지 않는 이상 특정 종교와 연관된 성탄절 기념 로고에 찬성하고 싶지 않네요. iTurtle (토론) 2008년 12월 2일 (화) 22:08 (KST) 워워.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마시구요. 샐러맨더님의 의견은 아마 크리스마스를 '기념일' 정도로 생각하시고 바꿔보자, 이런 의도였을겁니다. 크리스마스가 꼭 기독교, 가톨릭 신자분들만 축하하는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축하하는 '기념일' 이니까, 한번 바꿔보자 이런 의도가 아니었을까요. 하지만 이런 사안을 좀 종교쪽으로 파고들면 약간 민감하기 때문에 석가탄신일이나 기타 등등의 종교 기념일도 같이 기념하는 로고가 없다면 약간 곤란하겠네요. 해피해피 (토론) 2008년 12월 3일 (수) 01:14 (KST) iTurtle님이나 IRTC1015님 말에 동감하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로고 보다 새해 특집 로고가 더 의미있을 것 같습니다. WhiteNight7(Talk) 2008년 12월 3일 (수) 15:49 (KST) (+ 게다가 로고의 크기가 맞지 않네요. 줄인다고 해도 가로세로비가 맞질 않아서 WhiteNight7(Talk) 2008년 12월 3일 (수) 15:51 (KST)) 저도 크리스마스 등의 종교기념일에 로고를 바꾼다는 것은 혼란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새해 기념이나 한국어 위키백과가 만들어진 날(정확히 며칠인지는 모릅니다) 등에 로고를 바꾸는 게 어떨까요? 제로스톤 (토론) 2008년 12월 3일 (수) 16:04 (KST) 크리스마스는 그저 노는날입니다. 특히 솔로부대 장가복무자라면 정말 나가기 싫어지는 범지구적 극악 연말 휴일일뿐, 흐흐흐흐... 원래 예수의 생일이 아니였고, 지금도 그저 노는날로 인식되고 있죠. -┏ 첫 문서 생성일을 한국어 위키백과의 시작일로 정하는거 초심을 생각하게 하는데, 그거 좋은 생각이로군요. 크렌베리 (토론) 2008년 12월 4일 (목) 23:25 (KST) 최근 바뀜에서 문서 변경 바이트 수가 녹색/붉은색으로 표시되는 게, 2년 전인가 크리스마스 때 추가된 거예요. 로고는 어려울 수 있지만 사소한 부분이라면 별 문제는 없지 않을까요? Klutzy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00:44 (KST) = = 위키백과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아이디어(떡밥이요) = = 어쩌다가 보니 위키백과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을 종종하곤 하는데요. 순간적으로 생각난 위키백과에 대한 제 허접한 아이디어를 약간 공개 해봅니다.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대문에 검색 창을 대문 짝만 하게 이미 다른 분들도 생각해보긴 하셨겠지만, 대문은 현재 내용이 너무 많아 상대적으로 검색창의 크기가 너무너무 작습니다. 검색창을 가운대로 두고, 각종 내용을 그 밑으로 두는 일종의 포털 사이트 형식으로 바꾼다면 위키백과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IRC에 초보자 도움 요청 코너 신설 내용 전환이 느린 위키백과에서 초보자의 즉각적인 도움 구하기는 쉽지 않은게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도움말이 장황한 글로 된 문서이라서 성질 급하신 몇몇 초보자들은 위키백과 편집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혹시 타 사이트의 1:1 도움 요청 서비스 처럼 언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연말 온라인 반스타 시상식 반스타의 목적은 원래 감사패이지만, 현재 반스타는 많고 주고 받는 사람은 적으니, 반스타의 존재를 알리고 특별한 사람들의 공로를 인정하는 기회의 장으로 만들면 어떨까 해서 생각해본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연말에 1년동안 모인 총의 총결산 연초부터 위키백과 안에서의 불꽃튀는 토론 등으로 생성된 총의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것이 명문화 되지 않고 관습법 처럼 남아 있으면 나중에는 잊혀지기 쉬울 것입니다. 1년동안 각종 토론 등에서 만들어진 총의를 모아서 새 지침을 만들거나 기존 지침을 보강하는 일을 했으면 합니다. 관습법 같은 경우는 아예 따로 문서를 만들어서 정리하고요. 여러분께서 한번 검토 해봤으면 감사하겠습니다. ^^ 뭐 허접하면 어쩔수 없구요... ;; RedMosQ (토론) 2008년 12월 4일 (목) 23:12 (KST) = = 글로벌 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들 = = 정리되지 않은 문서들이 상당히 됩니다. 특히 불필요한 한자병기, 모호한 표현, KPOV가 자주 보입니다. 틈틈히 정리하는 것을 도와주세요. :) 아들해 (토론) 2008년 12월 5일 (금) 13:56 (KST) = = 위키백과 인구조사 계획 = = 말 그대로입니다. 올해가 가기 전에 ;; 준비하려고 합니다. 개인정보를 공개적으로 모으는 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위키백과 페이지로 하기는 어렵고, 별도의 페이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어떤 항목을 수집할지 항목을 고민해봐야 할 것 같아요. 대충 이런 거면 될까요? 성별 나이 참여방식: 계정/IP 위키백과를 평소에 얼마나 자주 이용하는지 위키백과를 평소에 얼마나 자주 편집하는지 위키백과에 참여한 기간 주로 편집하는 분야 등등. 추가하거나 뺐으면 좋겠다는 항목이 있으면 자유롭게 말해주세요 :) Klutzy (토론) 2008년 12월 5일 (금) 14:48 (KST) 위키백과를 접하게 된 계기 위키백과에서 가장 시급한 점 주위에서 위키백과를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도 필수요소로 넣어야겠죠? 그리고 기술적인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위키백과 문서 내에서 식으로 수집할 수는 없습니다. 개인정보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걸 꺼리는 분들도 많으니까요. 대신 외부에 웹 페이지를 둘 것이고요. 얼마 전에 했던 영어 위키백과 설문조사(:en:WP:Survey 2008)도 마찬가지로 외부 서버를 통해 실시했습니다. 또한, 이 설문조사는 특정 개인의 정보에는 관심이 없고 :P 전체적인 동향에 관심이 있습니다. 나이 분포라든지, 위키백과에서 무엇이 시급한지 답변을 전체적으로 둘러보는 식으로요. Klutzy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00:41 (KST) = = =표 = = = 이런 식으로 하지 않고, 별도의 페이지에서 한다고 맨 처음에 밝혔었습니다. Klutzy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00:41 (KST) = = 초보자 존중은 환영합니다 틀 달기 부터 = = 계속 생각해오는 일이지만, 하루에도 많은 사용자가 새로 가입하고, 위키백과에 처음 발을 들여 놓는데요. 그들에게 유일하게 나침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환영합니다 틀입니다. 가끔 최근 바뀜 문서 위의 새 식구 기여를 살펴봐주세요. 수많은 사용자가 환영 틀도 없이 위키백과와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기존 사용자 분들께서 환영 틀 달기에 소홀히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초보자 존중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초보자 시절이 없었다면 우리 기존 사용자도 없으며 위키백과도 없었을 것입니다. 어려워 하는 초보자를 소홀히 대하지 맙시다. RedMosQ (토론) 2008년 12월 5일 (금) 20:20 (KST) = = 군주 명칭 = = 군주 명칭에 일관성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먼저 국호를 쓰고서 군주명을 쓰는 방식은 한자문화권의 군주는 큰 문제가 없지만, 그 외는 매우 불편합니다. 더욱이 한국어로 표기할 때 단 하나 밖에 없는 명칭임에도(다른 명칭과 혼동될 이유가 없음), 영어식으로 '~of(~의)'로 표기하는 경우, 매우 어색합니다. 굳이 긴 제목을 만들어서, 짧은 제목으로부터 문서 넘겨주기를 할 바에야, 동일 명칭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호를 뺀 간단한 명칭으로 사용하는게 낫다고 생각됩니다. 백두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13:36 (KST)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않은 현 상태에서 투표는 이릅니다. 아들해 (토론) 2008년 12월 8일 (월) 04:28 (KST) *현재 군주 명칭 현황입니다. (몇몇 대표적 사례) 삼국시대 왕: 국호('~의'는 생략)+군주명 (예: 고구려 동명성왕, 백제 무령왕, 신라 진흥왕 등) 고려, 조선의 왕: 국호('~의'는 생략)+군주명 (예: 고려 태조, 조선 태종 등) 중국 한, 수, 당, 송, 요, 금, 원 황제: 국호('~의'는 생략)+군주명 (예: 전한 무제, 당 태종 등) 중국 명, 청 황제: 국호 생략, 연호명만 (영락제, 강희제 등) 일본 군주: 국호 생략, 시호 또는 연호명만 (진무 천황, 메이지 천황 등) 페르시아 군주: 국호 생략, 군주명만 (다리우스 1세 등) 오스만 군주: 국호 생략, 군주명만 (오스만 1세 등) 로마 군주: 국호 생략, 군주명만 (콘스탄티누스 1세 등) 독일의 군주: 국호를 넣은 것도 있고 생략한 것도 있음 (하인리히 1세,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2세 등) 프랑스의 군주: 국호를 넣은 것도 있고 생략한 것도 있음 (루이 3세, 프랑스의 루이 14세 등) 영국의 군주: 국호+'~의'+군주명 (잉글랜드의 헨리 1세,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등) 러시아의 군주: 국호+'~의'+군주명 (러시아의 표트르 1세 등) 이처럼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제 생각으로는 동양 한자문화권의 군주 가운데 ~제(帝), ~조(祖), ~종(宗)을 사용하는 군주들 이외에는 전부 국호를 생략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동일 명칭 중복이 없는 이상 무리가 없고,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이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백두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16:25 (KST) 이것은 영어 위키백과를 옮겨오는 경우가 많아 생긴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군주명] ([국호] [칭호]) 식으로 고칠 것을 제안합니다. 한국어와 어순이 같은 일본어의 위키백과에서도 그렇게 하고 있으며, 그 외에 많은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영어의 경우는 전치사를 활용하여 국호를 뒤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괄호를 쓰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그렇게 할 수 없죠. 한국어 위키백과처럼 국호를 먼저 쓴 경우는 없습니다. 국호를 뒤에 넣고 괄호를 활용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Grandforks (토론) 2008년 12월 11일 (목) 01:23 (KST) *예 백두 (토론) 2008년 12월 11일 (목) 12:29 (KST)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군주/보존 1과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군주에도 같은 주제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는 것을 참고로 알려드립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08년 12월 12일 (금) 10:39 (KST)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으로 “나라 = 군주”였습니다. 그러므로 역사 서술에서 나라 이름이 군주 앞에 붙게 됩니다. 다시 말해 군주의 이름보다는 나라 이름이 더 중시되었습니다. 이것은 또한 같은 묘호나 시호를 사용하는 군주가 많은 데에도 이유가 있고요. 반대로 백성들이 군주를 부를 때 군주이름을 부르기보다 “어느 나라 군주”라고 불렀습니다. 피휘 참조.그래서 저는 “나라이름 + (~의) + 군주이름” 형태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12월 15일 (월) 09:38 (KST) = = 저, 저작권 침해당한 듯 합니다 = = 뭐... 어찌보면 사소한건데요. '대한민국 상식사전 아고라'라는 책이 학교 도서관에 들어와서 빌렸는데, 아고라를 중심으로 두고 한미 쇠고기 협상 내용에 대한 반대 시위에 대해 서술한 책입니다. 몇몇 부분에서 위키백과를 언급하거나 참고한 부분이 있더군요. 'GFDL 이야기는 안하고 그냥 인용했네...'하면서도 '위키피디아라고 안한게 어디냐' 싶어서 계속 읽어 나갔는데, 새창으로 열어서 확인해주세요. 인용상 마지막에서 두번째 문장은 나중에 사용자:장현민님께서 넣으신 것입니다. 즉, GFDL로 배포한 제 기여가 저작권을 침해당한 셈인데요. (단순 사실이라 안된다면 어쩔수 없지만...)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 당연하겠죠? 저작권료야 못받지만 적어도 재판 인쇄부터는 '위키백과에서 인용함'이라고 하던가 GFDL을 따로 설명해주던가 해달라구요. 위키백과 들어갔습니다. 이상없군요. 저작권 침해 아닙니다. 공정한 인용이네요. 제가 보기엔 그렇습니다. 출처표기는 반드시 엄격하게 할 필요가 없으며, 대강 출처가 여기라는 것만 표시되면 됩니다. 위키백과 언급했으니, 출처표기는 되었고, 나머지는 인용의 조건을 다 만족하며, 무슨 문제가 없어 보이네요. WonRyong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11:27 (KST) 굳이 서로 얼굴 붉힐 일을 만들 필요가 있을런지요. 비록 위키백과가 GFDL로 배포된다고는 하나 일반에게는 GNU 라이선스는 아직도 생소한 분야라서 몰랐을 수도 있고, 또 GFDL 자체가 까다롭기 때문에 조항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챙겨야 할 그런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GFDL로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것도 많지 않고요. iTurtle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11:30 (KST) 저작권법을 떠나서, 원저작자를 밝히는 것은 기본적인 도리라고 생각됩니다. 어느 정도까지 대응해 줄 것인지는 출판사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에 달려있는 듯하네요. jtm71 (토론) 2008년 12월 9일 (화) 20:35 (KST) 대법원 2006. 9. 14. 선고 2004도5350 저작권법위반 (마) 파기환송 원래, 출처표기는 법률에 명시된 것입니다만, 즉 반드시 해야 하지만, 위의 판례를 보면, 신문명 생략하고 올렸는데도, 대법원에서 무죄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너무 까다롭게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보이네요. 제가 보기에도 그게 상식적이구요. 따져보기는 하세요. 그러나, 많이 기대하지는 않는게 좋겠다. 이상 제 의견 마칩니다. :) WonRyong (토론) 2008년 12월 9일 (화) 20:53 (KST)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그림 10만개 기증 = = 독일 연방 Archive에서 위키미디어 공용에 그림 10만개를 기증하기로 했습니다. 모두 CC-by-sa-3.0 de로 배포됩니다. 해상도가 약간 아쉽기는 한데, 모두 800px로 협의를 봤다고 합니다. 독일 역사에 쓸만한 그림이 많다고 하니 관심있는 분들은 확인해보세요. 업로드된 그림 기록은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lutzy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21:02 (KST) 저도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국가기록원(=한국 정부 Archive) 사진 글 동영상 등 몽창 다 위키피디아에 기부하라고. :) WonRyong (토론) 2008년 12월 9일 (화) 22:13 (KST) 12월 16일 오전에 서울시청에 제가 가서 이야기를 나누고 오기로 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지만, 행정용어와 같은 것을 위키백과에 올리고 싶어하는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이 백과사전에 적합할지는 그날 이야기를 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동행하고 싶으신 분이 있으면 알려주시고, 당부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면 일러주세요. :) 정안영민 (토론) 2008년 12월 11일 (목) 18:10 (KST) = = 연초에 각종 위키백과 오프모임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 = 오프라인 모임 페이지를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연초에 각종 위키백과 오프모임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현재 계획중이거나 확실시 되는 모임은 1월달의 서울모임과, 2월달의 부산모임이 있습니다. 아직 모임이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진행될지는 잡히지 않았지만 일단 이들 지역에서 가까운 분들이면 많이 참가하셔서 위키백과에 관해 이런저런 이야기도 나누면서 서로 친목도 쌓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고 봅니다. 그 밖에 지역에서도 인근 사용자가 많으시면 별도의 모임을 계획하셔도 좋을 것입니다. BongGon (토론) 2008년 12월 6일 (토) 21:48 (KST) = = 틀:백괴사전틀 관련 = = 삭제를 당했는데.. 빵상 등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런 글을 보시러 오시는 분이 심도깊은 글을 보러오는 사람 몇이나 되겠습니까? 일부 필요한 글을 위하여 유지시켰으면 좋겠는데.. 118.32.96.144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02:13 (KST) = = 틀:들머리/만화·애니메이션을 만화애니 정보틀에 합병 = = 한국어 위키백과에선 최근에야 틀:들머리/만화·애니메이션이 생겨서, 모든 만화/애니 문서에 (봇의 힘을 빌리지 않는한) 붙히기는 힘들듯합니다. 차라리 영어 위키백과처럼 틀:만화애니 정보/footer에 합병하는게 나을지도 모르겠군요. 뭐 이전에 만화애니 들머리 관리가 제대로 되야 할텐데 말이죠. (관련 토론) 레스키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19:07 (KST) = = 위키미디어 2007-2008년 보고서 = = 2007년 7월 ~ 2008년 6월 위키미디어 결산 보고서입니다. 뭐 딱히 대단한 내용은 없지만, 1년간의 소득/지출 내역, 위키미디어에 관련된 소식, 위키미디어 지부 활동 등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씩 읽어보세요: foundation:Annual Report(영어 문서), 추가 설명(영어 문서). Klutzy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21:25 (KST) =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 = 11일날 보호가 풀리게 되므로 그 이후 작성에 있어서 편집전쟁을 막고, 중립적인 내용 작성을 위하여 토론에 저의 5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관심있는 여러분들의 기준 제시와 토론을 부탁드립니다. - Ellif (토론) 2008년 12월 7일 (일) 22:46 (KST) = =독일어 위키백과 출판물 공동구매 = = 얼마 전에 Bertelsmann에서 독일어판 위키백과를 책으로 펴냈습니다. 독일어판 위키백과를 이용했습니다만, 엄밀히 말해 백과사전이라기보다는 용어사전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나름 기념비적인 작품이라 소장용으로 구입할 생각입니다. -_- 그런데 인터넷으로 주문하려고 봤더니, 아마존에서 배송료로 14유로를 달라고 하네요. 20유로도 안되는 책에 배송료가 14유로가 붙으니 조금 아깝네요. 서울에 사시는 분 중에 공동구매를 원하시는 분은 저에게 알려주시면, 배송료를 서로 아낄 수 있을 듯 합니다. 정안영민 (토론) 2008년 12월 8일 (월) 01:47 (KST) 권수가 늘어나도 운송료는 총 14유로로 고정됩니다. 한국어로 위키백과 출판물을 만들 때, 이 사전의 선례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사실 내년 초에 책이나 DVD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추진해볼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아, 그리고 Tiens님이 여러 권을 사신다고해도 배송료는 한 사람 몫으로 계산하겠습니다. :D 정안영민 (토론) 2008년 12월 9일 (화) 10:04 (KST) = = Kys951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 결과 공고 = = 어제 종결된 사용자:Kys951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에서 kys951님께서 찬성 36표, 반대 5표, 중립 3표를 얻어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 선거 절차에 따라 관리자 당선 조건을(찬성률 75% 이상·찬반표 차이 20표 이상) 만족하였음을 알립니다. 아들해 (토론) 2008년 12월 8일 (월) 04:41 (KST) = 프로피온산 = 프로피온산은 화학식이 CH3CH2CO2H인 천연 카복실산이다. "프로피온산"이라는 용어는 "첫 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rotos"와 "지방"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ion"으로부터 유래하였다. 프로판산이라고도 한다. 프로피온산은 약간 체취와 비슷한 냄새 및 자극적이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액체이다. 음이온인 CH3CH2CO2− 뿐만 아니라 프로피온산의 염 및 에스터는 프로피온산염 또는 프로판산염으로 알려져 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3월 31일 = 레드벨벳, 조용필을 비롯한 윤상 예술단장이 이끄는 대한민국 예술단이 전격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를 방북하였다. = 사포닌 = 사포닌은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알카로이드 혹은 트리텔펜(triterpene)의 배당체로, 물에 녹아 비누식의 발포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의 총칭이다. 여러 식물에 존재하며, 일부의 극피동물(불가사리, 해삼)의 몸 안에도 포함되어 있다. 사포닌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는 성분으로 알려져있으며, 특히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 종류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와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가 유명하다. = = 어원 = = 사포닌은 식물에서 추출해서 그 이름이 붙었다. 사포나리아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비누’라는 뜻의 에서 비롯했으며, 실제로 이 식물로 비누를 만들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 = 사포닌을 함유한 음식 = = 사포닌을 함유한 음식은 콩, 파, 더덕, 도라지, 미나리, 마늘, 양파, 영지버섯, 은행, 칡, 우슬(쇠무릎) 등이다. 이중에서도 인삼과 홍삼은 단연 유명하다. = = = 인삼과 사포닌 = = = 32종류의 사포닌을 비롯하여 가장 많은 양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삼이다. = = = 인삼사포닌의 특징 = = = 사포닌에 항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안전성과 효과의 확실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백내장과 관련된 실험(서울대학교 부속병원 안과 이진학 교수팀의 실험, 미국 백내장굴절학회와 대한안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2005년 9월에 발표)에서도 인삼 사포닌은 우수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 사포닌의 배당체를 진세노사이드라고 명명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 아랍 문학 = thumb 아랍 문학은 아랍어 사용자들이 쓴 산문과 운문을 총칭한다. 아랍 문학은 '식사에 어떤 사람을 초대 함'라는 뜻의 단어에서 유래한 '아다브(Adab)'라고도 불린다. 이 단어는 공손, 교양, 부유함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랍 문학은 6세기에 나타난 일부 작품과 그 이후의 작품만을 말한다. 왜냐하면 7세기에 나타난 코란(Qur'an)이 아랍 문화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그 이후의 문학적 흐름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 = 이슬람 이전의 문학 = = 이슬람 이전의 시기는 무슬림들에게 자힐리야(Jahiliyyah) 혹은 무지의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지'의 개념은 주로 종교적 분야에 대한 몰상식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이러한 무지의 시기에도 몇몇 문학 작품들이 쓰였다. 그러나 그 시기의 문학은 '쓰는 문학'보다는, '구술 문학'이 주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6세기 말부터 '쓰는 문학'이 꽃피기 시작했다. 이렇게 시작된 '쓰는 문학'의 전통은 자힐리야 시기의 무알라까트(Mu'allaqat)와 무파달리야트(Mufaddalyat)와 함께 두 세기 동안 화려하게 꽃피었다. 흔히 무알라까트와 무파달리야트와 같은 시집들의 시는 우리에게 '그것이 최고'인 듯한 인상을 주기 쉽지만, 그것 중 일부는 긴 시의 일부일 뿐이다. = = 이슬람과 꾸란 = = 꾸란은 아랍어에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꾸란에 사용된 언어를 고대 아랍어 혹은 근대 아랍어 분리의 분기점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꾸란 속 고대 아랍어는 아직도 찬탄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형식이다. 초기 꾸란 작업은 아랍어의 초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완성된 형태인 6,236개의 아야트(ayat)와 114개의 수라(sura)의 구성보다 먼저 틀이 짜여졌다. 초기 꾸란에는 신의 명령, 이야기, 설교, 우화, 신으로부터 전해진 말씀, 교훈 그리고 심지어는 꾸란이 어떻게 이해되고, 어떻게 받아들여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적혀 있다. 그것은 또한 역설적으로 직설적인 비유에서 오는 감동을 준다. 이에 대한 언급이 수라(sura) 16장 103절에 있다. 이렇게 꾸란 속에는 운문과 산문이 담겨 있음에도-따라서 사즈아(saj'a; 각운)와 운율이 있다-, 꾸란은 운문이나 산문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는 꾸란이 신성한 천기누설로 숭앙되고 있기 때문이며, 일부 무슬림은 이것을 궁극적 혹은 '창조되지 않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이자즈의 독트린(the doctrine of i'jaz)과 꾸란의 무한광대함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며, 이는 어느 누구도 이를 따라하거나 재장출하려는 시도를 허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이자즈의 독트린(doctrine of i'jaz)은 어떤 의미에서라도 아랍 문학을 약간이나마 제한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쓰는 것' 자체를 제한하고 있다. 꾸라는 스물여섯 번째 수라에서 시인을 비판하고 있다. 스물여섯 번째 수라는 아쉬 슈아라(Ash-Shu'ara)이다. 꾸란은 6세기 이슬람 이전 시가(詩歌)에 우월한 힘을 발휘했다. 그 당시 사람들은 꾸란과 기존 시가 사이에 우열을 논하곤 했다. 한마디로, 꾸란보다 우월한 자힐리아 시기의 시가는 없다는 것이다. 예외가 있었다면 무하메드의 격려 속에 하산 이븐 타비트가 쓴 시 정도가 될 것이며, 이것은 '예언자의 시'라고 불린다. 성경이 문학과 여타 언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꾸란도 아랍 문학과 언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꾸란은 모든 아이디어의 원천이며, 인유이고, 인용이다. 그리고 만사의 도덕적 메시지를 전한다. 꾸란을 제외하면, 하디스 혹은 무하메드의 언행과 행적에 대한 성전(聖傳)은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이렇게 무하메드의 행적과 언행을 적은 기록을 수나(sunnah)라고 한다. 이는 이슬람의 전통과 함께 무하메드의 언행을 적은 하디스와 상당 부분 중복된다. 하디스의 주요 부분에는 무슬림 알하자즈(Muslim ibn al-Hajjaj)와 무하메드 이븐 이즈마일 알부카리(Muhammad ibn Isma'il al-Bukhari)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 = 아랍의 소설 = = 아랍 문학에 소소한 이야기로 구성되고 윤색된 짧은 논픽션들이 주류를 이룬다 하더라도, 비교적 많은 소설 작품들이 있다. 소설이 시가에 비해 적은 이유는, 알푸샤(al-fusha ; 고등 언어)와 알암미이야(al-ammiyyah : 열등 언어, 대중들의 말)의 구분에서 비롯되는 것일 것이다. 일부 작가들은 알암미이야를 사용하기 꺼려했다. 그들은 문학이 오락적이기보다는 계몽적이고 교훈적 목적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한 이러한 작가들의 생각과는 달리, 아랍 우화나 교훈적 이야기를 오락적으로 바꾸어 이야기해주는 이야기꾼(Hakawati)의 역할을 없애지는 못했다. = = 아랍의 시가 = = 20세기 이전의 아랍 문학에서 시가는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때의 시가는 단순히 시적 단상들의 모임으로서의 에테르가 아니라, 사즈아(saj') 혹은 운율을 갖춘 산문이었다. = 분류:시애틀 매리너스 선수 = = 헤디 버레스 = 헤디 버레스(Hedy Burress, 1973년 10월 3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성우이다. = = 영화 = = 사우스랜드 1 (2009년) 그는 당신에게 반하지 않았다 (2009년) 제인 도: 아이 오브 더 비홀더 (2008년) 오프 하우스 (2004년) - 글로리아 홉스 역 애니매트릭스 (2003년) 버그 (2002년) 발렌타인 (2001년) - 루디 월커 역 살인 정원 (2000년) 틱 톡 (2000년) 최종 판결 (1999년) 폭스파이어 (1996년) - 마들린 매디 위츠 역 더 월 (1996년) = = 드라마 = = 사우스랜드 1 (2009년) = 그대 곁에서 = 그대 곁에서(あなたのそばで)는 2007년 5월 16일에 발매된 크리스탈 케이의 노래이다. 에픽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박태산 = 박태산(1992년 7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영화 = = (2014년) 《미션: 톱스타를 훔쳐라》 ... 독사 역 (2015년) 《그랜드파더》 ... 특공대 5 역 (2015년) 《동주》 ... 기록원 역 (2015년) 《울보》 ... 양아치들 역 (2017년) 《콜리션》 ... 기철 역 (2017년) 《검은비: 악의연대기》 ... 이태준 역 (2018년) 《마트료시카》 ... 건달 역 (2018년) 《대가리 쎈놈들의 반란》 (2018년) 《안시성》 ... 성벽넘은 당군사 역 (2019년) 《기방도령》 ... 끝석 역 (2019년) 《백두산》 ... 중국 요원 1 역 (2019년) 《나쁜 녀석들: 더 무비》 ... 요시하라 부하 2 역 (2019년) 《소리꾼》 ... 어사또 부관 (2019년) 《오케이 마담》 ... 북한조원 4 역 (2020년) 《경호원》 ... 독고 역 (2021년) 《불어라 검풍아》 ... 필립 / 양치남 역 (2021년) 《강릉》 ... 린하이핑 역 (2023년) 《범죄도시 3》 ... 문신남 4 역 (서초구 흉기난동범 일당) = 런던 클럽 = 런던 클럽(London Club)은 국제 무대의 비공식 민간 채권자 그룹이며 공공 대출 기관의 파리 클럽과 유사하다. 런던 클럽은 개인 지불금에 대한 유일한 비공식 그룹이 아니다. 런던 클럽의 첫 번째 회의는 자이르의 부채 상환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1976년에 열렸다. 상업은행 런던클럽(London Club of Commercial Bank)은 국가의 상업은행에 대한 부채 상환 일정을 조정하는 일을 담당해 왔다. 자이르의 부채 상환 문제에 대응하여 1976년 런던 클럽 회의가 열렸다. = 틀: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르키나파소 선수 명단 = = 난도스 = 난도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음식점 체인 기업이다. 난도스의 주력 메뉴는 페리페리 치킨이다. = Rhythm Paradise = Rhythm Paradise는 1996년 11월 25일에 발매된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훈의 1집 데뷔 음반이다. = 오블리비언 (2013년 영화) = 오블리비언(Oblivion)은 2013년 공개된 미국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액션 어드벤처 영화이다. 래디컬 코믹스에서 발행된 그래픽 소설 Oblivion을 원작으로 한다. = = 출연 = = 톰 크루즈 - 잭 하퍼 역 모건 프리먼 - 맬컴 비치 역 올가 쿠릴렌코 - 율리야 루사코바 역 앤드리아 라이즈버러 - 빅토리아 올슨 역 니콜라이 코스테르 발다우 - 사이크스 역 멀리사 리오 - 샐리 역 조이 벨 - 카라 역 = = 스태프 = = 감독 - 조셉 코신스키 각본 - 칼 가이듀섹, 마이클 더브린 원작 - 조셉 코신스키 동명 그래픽 노블 촬영 - 클라우디오 미란다 편집 - 리처드 프랜시스브루스 음악 - 안토니 곤잘레스, 조셉 트래패니스 = = = EBS판 스태프 (2023년 1월 15일) = = = 프로듀서 - 권혁미 번역 - 김유민 감수 - 김동수 CG - 조운경 편집 - 정미현 기술감독 - 김정수 우리말 연출 - 강민화 기획 - EBS 우리말 제작 - 벼리기획 = 대한민국의 항공 교통 =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항공 교통에 대해 설명한다. 대한민국에는 8개의 국제공항과 7개의 국내공항이 국내외 항공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많은 저가항공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국내 저가항공시장 ‘2기’돌입 = = 역사 = = 한국에서 비행기가 첫 선을 보인 것은 1913년 일본 해군 기술장교 나라하라 산지가 용산의 조선군 연병장에서 자신이 만든 "나라하라 4호" 비행기로 공개 비행행사를 가진 것이다. 비록 겨우 떴다 내리는 정도였지만 한국 최초의 비행으로 기록됐다. 이후 1914년에는 다카소가 그 뒤를 따랐다. 1916년 일본인 오자키는 용산 육군비행장에서 유료 비행대회를 개최하였고, 1917년 미국인 아트 스미스가 여의도 착륙장 상공에서 적색 커티스기로 2회의 곡예비행을 단행하였다. 한국인 조종사가 최초의 비행을 한 것은 안창남이 1922년 12월 10일 뉴포트 15형 단발쌍엽 1인승 비행기인 "금강호"로 여의도에서 5만여 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여의도 간이비행장을 이륙하여 남산을 돌아 창덕궁 상공을 거쳐 서울에 착륙하는 역사적인 모국 방문 비행행사를 가진 것이 처음이다. 1925년 권기옥이 중국 운남여학교 제1기생으로 졸업, 비행사 자격을 취득하여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가 탄생하였고, 1926년 이기욱가 서울에 경성항공사업사를 설립하여 최초의 민간항공이 등장하였다. 비행기로 상업적 운송을 목적으로 한 항공사는 일본항공으로, 1926년 한국영토를 경유하는 오사카 -다롄 간 일본 최초의 국제 항공노선을 운항하였고, 1929년 4월 1일에는 한국 최초로 한국을 기착하는 민간항공노선을 개설하여 우편물과 화물을 수송하였다. (도쿄-후쿠오카-대구-서울-평양-신의주-다롄 간 매일 1회 왕복 운항, 약 2064km) 그리고, 서울-울산 간 단독노선이 1929년 6월 21일에 처음 개설되었다. 1932년에는 만주항공이 봉천-신의주 노선에 취항했고, 그 후 일본항공수송과 대일본항공이 한국내 여러 도시를 운항하였다. 광복 후, 한국에서는 1948년 10월에 민간항공회사인 주식회사 대한국민항공사대한항공공사법(시행 1964. 1. 3. 법률 제1493호(1963.12.13. 일부개정)) 부칙에는 "주식회사 한국국민항공사"라고 표기되어 있으나,에 인용된 광고에는 "쥬식회사 대한국민항공사"라고 표기되어 있다.(Korea National Airlines, 약칭 KNA)가 창설되어 에 서울-강릉, 서울-광주-제주, 서울-옹진 간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였다.다른 문헌에 의하면 KNA는 1951년 6월부터 운항을 시작하였다. 1953년 이후 국제선을 개설하여 운행하였다. 1949년에는 미국의 노스웨스트 항공사가 시애틀-도쿄-서울 노선에 주 2회 취항하게 되었다. KNA의 창랑호(DC3)가 1958년에 납북되었고, 이후 KNA는 경영 악화로 사장 신용욱이 1962년 여의도비행장이 보이는 곳에서 자살하고 만다. 1960년 한진상사는 한국항공(Air Korea)를 설립하고, 국제선 정기노선 취항을 목표로 콘베어 240 1대를 도입하였다. 한편, KNA는 그후에도 적자운영을 탈피하지 못하다가, 1962년 3월 26일에 제정 및 같은 날 시행된 대한항공공사법(법률 제1040호)에 의하여 KNA는 1962년 12월 30일부로 항공법에 의하여 문을 닫았다. 그리고, 교통부는 1962년 12월 1일부터 대한항공공사로 하여금 국내 항공 노선을 담당케 하였다. 대한항공공사법에 의한 대한항공공사는 정부출자의 국영항공사로서 1967년 7월에 설립되어 DC-9 항공기를 김포국제공항에 취항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제트 여객기시대를 개막하게 되었다. 대한항공공사는 누적적자와 재정난으로 1969년 한진그룹에 인수되었고 동시에 명칭이 대한항공으로 변경되었다. 대한항공공사는 1969년 한진상사가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개명하고 민영으로 운항되면서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세기항공을 비롯한 부정기 국내선 업체가 난립하였으나, 1969년 경기도 안성에서 이 회사 소속 비행기가 추락하는 사고를 계기로 부정기 국내선 업체는 다소 수그러들었다. 1988년 제2민간항공사업이 허가됨으로써, 금호그룹의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경쟁체제로 바뀌었다. 1996년 12월 말부터 아시아나항공은 모든 국내 노선에서 경쟁사인 대한항공보다 9% 정도 높은 요금을 책정하여 발표했다. 네트워크가 중요한 항공 여객 산업에서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보다 왜소한 항공 네트워크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 열세에 있었는데, 그나마 요금마저도 비싸져 탑승률은 더욱 하락했다. 이러한 상태는 그 후 2년 가까지 지속되다가 1997년 9월 1일을 기해 대한항공의 국내선 요금 인상으로 마무리되었다. 대한항공은 2007년 기준으로 약 100억 톤의 화물을 처리하였다. = 분류:이매패류 = = 애스턴 마틴 밴티지 = 애스턴 마틴 밴티지는 다음을 의미한다. 애스턴 마틴 밴티지 (2005) 애스턴 마틴 밴티지 (2018) = 로즈버드군 = 로즈버드군 또는 로즈버드 카운티(Rosebud County)는 미국 몬태나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9,233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9,063명이다. = 엔티티 = 엔티티는 다음을 의미한다. 엔티티(entity): 개체, 실체 존재자 NTT = 분류:음악가를 소재로 한 작품 = =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소스세이프 =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소스세이프(Microsoft Visual SourceSafe, VSS)는 현재는 개발이 중단된 소스 관리 프로그램으로 조그마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대부분의 소스 제어 시스템들처럼 소스세이프는 컴퓨터 파일의 가상 라이브러리를 만든다. 소스 코드에 가장 흔히 쓰이는 소스세이프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어떠한 종류의 파일도 처리할 수 있지만 구 버전의 경우 이미지와 같은 텍스트가 아닌 많은 양의 데이터나 컴파일된 실행 파일을 저장할 때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개요 = = = = = 버전 = = = 버전 날짜 3.1 1995-02-14 4.0 1995-09-12 5.0 1996-10-07 6.0 1998-06-03 2005 2006-01-27 = Rxvt = rxvt는 X 윈도 시스템(윈도우용의 경우 시그윈 포팅의 형태로 배포됨)용 단말 에뮬레이터이다. 롭 네이션(Rob Nation)이 처음 작성한 뒤, 나중에 마크(Mark Olesen)가 수년에 걸쳐 유지 보수를 통해 대폭 수정하였다. xterm에서 테크트로닉스 4014 에뮬레이션과 툴킷 스타일의 구성과 같은, 잘 쓰이지 않는 기능을 제거하여 가볍게 만들기 위해 고안되었다. 후자의 경우 바인딩 키와 같은 Xt 리소스 구조를 가리킨다. rxvt는 켄트 대학교의 존 보비의 구 xvt 단말 에뮬레이터의 확장 버전이다. 이 이름은 원래 Robert's xvt를 대표하는 말이었으나 나중에 "our xvt"를 대표하는 말로 바뀌었다. (문자 r-x-v-t와 같은 발음) 리소스 파일의 제어를 받는 것들과 같은 기능들을 제쳐두고, rxvt의 단말 에뮬레이션은 두 가지 측면에서 xterm와 중요한 차이가 있다. VT220이 아닌 VT102를 가상으로 구현한다. 이는 8비트 데이터를 다르게 관리하며 xterm이 처리할 수 있는 C1 컨트롤이 추가되어 있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xterm은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k8" 스위치가 없다. rxvt는 VT220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명령 키를 위해 보내는 문자열이 다르다. xterm은 ANSI/ISO 이스케이프 시퀀스와 동일한 규칙을 이용하여 인코딩되는 문자열을 내보낸다. rxvt는 이와 맞먹는 호환성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이를 직접 내보내지는 않는다. 새로운 버전의 rxvt는 모조 투명성(pseudo-transparency)을 순수하게 지원한다. 또, rxvt 배포판에는 rclock이라는 아날로그 시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매우 오래된 배포판에는 vttest의 사본을 포함하였으나 1996년 2.18 버전부터 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 = 파생 프로그램 = = aterm (rxvt 2.4.8부터) Eterm (rxvt 2.21부터) mrxvt (rxvt 2.7.11부터) rxvt-unicode (rxvt 2.7.11부터) = 아산 용화사 미륵불 = 아산 용화사 미륵불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다. 2006년 3월 7일 아산시의 향토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되었다.아산시 공고 제 2006-338호,아산시 향토유적 지정공고, 아산시장, 2006-03-07 = = 개요 = = 통견의 불의를 입고 삼도와 육계가 표현된 불상형식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얼굴표정에 위엄이 있고, 옷주름이 패턴화된 가운데도 손가락이나 팔뚝 등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두부와 신부의 석재가 상이한 것으로 보아 각자 따로 조각하여 제작한 후 연결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송악면 외암리 용화사에 위치한 석가여래입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하다. = 김경욱 (양궁 선수) = 김경욱(金京郁, 1970년 4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전직 양궁 선수이자, 현재 스포츠 해설가이다. 경기도 여주출신로 여주 여흥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0년에 양궁에 입문하여, 1987년 여주여종고 2학년때 양궁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되었다. 1989년 세계 선수권대회에서 개인전에서 은메달,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다음해인 1990년에는 아시안컵 대회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94년 일본 히로시마시에서 열린 국제양궁대회에서도 모두 금메달을 석권하였다. 1996년 프레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석권하였다. 올림픽 금메달 획득 다음 해인 1997년에는 전 빙상 국가대표 선수인 이인훈과 결혼하였다. 결혼 이후에도 2001년 세계 선수권대회에 출전하여 개인전 은메달,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04년부터는 현대모비스에서의 선수생활과 함께 KBS의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중계방송 해설도 병행하였다. 2007년에는 수원시청으로 소속팀을 옮겼으나 같은해 말에 팀이 해체되면서 2008년 1월 14일에 현역 선수로서의 은퇴를 공식 선언하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만삭의 몸으로 SBS의 양궁경기 중계방송의 해설을 담당하였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SBS의 양궁 해설위원으로 활동하였다.김경욱 SBS 해설위원 "한국 양궁 더 부드러워져야 정상 지킨다" - 티브이데일리 = = 올림픽 출전과 퍼펙트 골드 = = 김경욱은 1987년에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이 되었으나, 올림픽 출전은 9년이 더 지난 1996년에야 본 대회에 출전한다. 국가대표 발탁 다음 해인 1988년에는 서울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하여 치른 국내 예선전에서 10점 만점을 기록한 화살 3발을 심판이 확인하기도 전에 뽑아버리는 바람에 3발 모두 0점 처리되는 등의 어이없는 실수를 한 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 나중에 김경욱 자신은 긴장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연습 때처럼 하려던 게 정말 연습처럼 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였다고 회고하였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표선수 선발전에서도 초반에 탈락하였다. 이후 국가대표 발탁 9년 만인 1996년 만 26세의 나이로 애틀란타 올림픽의 올림픽 국가대표 3인 중 1명으로 최종 발탁되었다. 대회에서 김경욱은 개인전에서의 금메달과 단체전에서의 금메달 모두를 석권하게 된다. 특히 개인전 결승에서 과녁 정중앙에 위치한 초소형카메라를 2번이나 박살낸 일화가 유명하다. 이 일화를 계기로 김경욱은 '퍼펙트 골드'라는 별칭을 얻게 된다. 이후 체육훈장 청룡장을 수훈했다. = = 출신 학교 = = 여흥초등학교 여주여자중학교 여주여자종합고등학교 한성디지털대학교 = 구리모토 구리코 = 구리모토 구리코(, 1973년 6월 18일 ~ )는 일본의 아나운서이다. = = 학력 = = 교토 여자대학 = = 경력 = = NHK 아나운서 = = 진행 프로그램 = = NHK BS 뉴스 = 분류:아일랜드의 종교 회의주의자 = = 송석초등학교 = 송석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6년 10월 2일: 서남국민학교 송석분교장 설립인가 1946년 11월 23일: 분교장 입교식 (개교기념일) 1948년 1월 1일: 송석국민학교 승격 개교 1996년 3월 1일: 송석초등학교로 개칭 = 신우와고로모역 = 신우와고로모역은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있는 아이치 환상 철도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11이다. = = 역 구조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에서 승강장은 4량까지 대응하고 있다. 2008년 3월 15일부터 평일 아침에만 한 역무원이 배치되는 형식이다. 개찰구는 고가시타에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한 출발 안내 표시가 설치되어 역무원 배치 시간대에 한하여 자동 매표기를 이용할 수 있다.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에서 승강장으로 올라가는 구조이다. 과거에는 다이몬 역과 같이 복선용 고가 노반의 한쪽을 이용하고 승강장이 설치되었으나 미카와도요타 역 ~ 신토요타역 구간을 복선화하면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되었기 때문에 우선 구역사 반대편에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신역사를 건설하고 2007년 3월 24일에 사용을 시작했다. 그 뒤, 구역사를 철거한 후 반대편 선로를 부설하고 오카자키 방향으로 더 이전시켜 플랫폼이 설치되었다. 또한, 승차역 증명증기는 구역사 시대는 플랫폼 상에 있었지만 새로운 승강장에 역할을 물려주고부터는 지상(개찰구)으로 이설되었다. = = = 승강장 = = = 1 아이치 환상 철도선 나카오카자키・오카자키 방면 2 아이치 환상 철도선 신토요타・고조지・주오 본선 경유 나고야 방면 = = 역 주변 = = 역 주변에는 주택이 많다. 메이테쓰 미카와 선 우와고로모 역 스미토모 고무 공업 나고야 공장 국도 제155호선 도요타 시립 아사히오카 중학교 도요타 시립 도지야마 초등학교 도요다 쓰카사 우체국 도요타 고로모 온천 = = 역사 = = 1988년 1월 31일: 영업 개시. 2007년 3월 24일: 새로운 승강장 완성. 2008년 1월 27일: 복선화 가동 개시. 상대식 2면 2선의 승강장이 된다. 3월 15일: 지금까지는 종일 무인이었다만, 평일 아침만 역원 배치가 됨과 동시에 자동 매표기 등도 설치됨. = 틀:EXO-CX = = 루이 (드라마) = 루이(Louie)는 2010년 6월 29일부터 2015년 5월 28일까지 FX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다. = 분류:폴란드의 비디오 게임 = = 세르지 (프랑스) = 세르지는 프랑스 일드프랑스 발두아즈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1.68km2, 인구는 58,265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5,000명/km2이다. 파리에서 27.8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권운 = 권운(卷雲)은 상층운으로 털구름 또는 새털구름이라고도 한다. 매우 작은 얼음의 결정인 빙정으로 되어 있으며, 희고 작은 선이 덩어리로 되어 있다. 대략 5 ~ 13km의 높이에서 희고 가는 선, 흰 조각, 좁은 띠 모양으로 여기저기 떨어져서 나타난다. 구름을 이루고 있는 빙정 가운데 작은은 매우 빠른 속력으로 떨어지므로, 권운의 각 부분은 간혹 아래로 처진 꼬리를 갖는다. 이 섬유 조직의 꼬리는 높이에 따른 풍속의 변화와 빙정 크기의 변화에 따라, 때때로 기울어지거나 규칙하게 구부러져서 나타난다. = 캄퐁참주 = 캄퐁참주는 캄보디아 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캄퐁참이며 인구는 1,680,694명(2008년 기준), 면적은 9,799km2, 인구밀도는 171.5명/km2이다. 캄보디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주이다. = 분류:135 필름 카메라 = = 내 마음의 풍차 = 내 마음의 풍차는 1976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민철 전영록 허림 김진규 사미자 주증녀 조학자 임종매 = 분류:체코의 출판 = = 주성혜 = 주성혜(朱成惠)는 대한민국 KBS의 제작진이다. = = 주요 연출작 = = 꼬비꼬비 (애니메이션: KBS 아트비전) 쁘띠쁘띠 뮤즈 (그래픽 디자인 : KBS 아트비전) 메타제트 (애니메이션 : KBS 아트비전) 도전! 골든벨 (그래픽 디자인) 아침마당 (그래픽 디자인 : KBS 아트비전) = 석세스TV = 석세스TV는 한국일보에 소속 되어 있던 TV 채널이었다. 이 TV 채널의 전신은 2002년 개국한 휴먼TV이며, 2008년 한국일보가 서울경제TV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한 뒤 석세스TV를 서울신문이 인수하여 서울신문STV로 재개국하였다(현재 채널명은 하이라이트TV). = 아이폰 = 아이폰은 미국의 기업 애플이 디자인하고 마케팅한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 전화 계열이다. 애플의 iOS 모바일 운영 체제를 사용한다. 1세대 아이폰은 애플의 공동 창립자 스티브 잡스가 2007년 1월 9일 발표하였고 2007년 6월 29일 처음으로 출시되었다. 그 뒤로 애플은 해마다 새로운 아이폰 모델과 iOS 업데이트를 출시해왔다. 2018년 11월 1일 기준으로, 22억대 이상의 아이폰이 판매되었다. 아이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상 키보드를 갖춘 멀티 터치 화면으로 구성된다. 아이폰은 셀룰러 망이나 와이파이에 연결되며, 통화, 웹 브라우징, 사진 촬영, 음악 재생,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아이폰 런칭 이후 더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 여기에는 더 큰 화면 크기, 동영상 촬영, 방수 기능, 앱 스토어를 경유한 서드파티 모바일 앱의 설치 기능, 접근성 지원이 포함된다. 2017년까지 아이폰은 전면 패널에 사용자를 홈 스크린으로 복귀시키는 하나의 버튼을 갖춘 레이아웃을 사용하였다. 2017년 이후 출시된 아이폰 X 이상 모델들은 제스처 인식에 의해 앱 전환 활성화가 가능한, 베젤리스에 가까운 전면 화면 디자인으로 전환하였다. 1세대 아이폰은 모바일 전화 산업 면에서 "혁명적인"(revolutionary),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라는 용어로 기술되었으며 차기 모델들 또한 찬사를 받았다. 아이폰은 휴대전화와 슬레이트 폼 팩터를 보급하는데 주된 기여를 하였으며 모바일 앱과 앱 경제를 위한 커다란 시장을 창출하였다. 2017년 1월 기준으로, 애플의 앱 스토어에는 아이폰을 대상으로 2,200,0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었다. 아이폰의 자사 운영체제인 iO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함께 세계 최대의 모바일 운영 체제(OS) 플랫폼이다. = = 역사 = = 운영 체제 지원 모델 출시 출시 중단 지원 지원 지원 지원 최초 출시가 모델 포함 OS 날짜 중단 종료 마지막 OS 수명 수명 최초 출시가 모델 포함 OS 날짜 중단 종료 마지막 OS 최대 최소 최초 출시가 아이폰 아이폰 OS 1.0 아이폰 OS 3.1.3 $499/$599* 아이폰 3G 아이폰 OS 2.0 iOS 4.2.1 $199/$299*$499 아이폰 3GS 아이폰 OS 3.0 iOS 6.1.6 $199/$299*$599/$699 아이폰 4 iOS 4.0 iOS 7.1.2 $199/$299*$649/$749 아이폰 4S iOS 5.0 (단일 업데이트: ) iOS 9.3.5(9.3.6) $199/$299/$399*$649/$749/$849 아이폰 5 iOS 6.0 (단일 업데이트: ) iOS 10.3.3(10.3.4) $199/$299/$399*$649/$749/$849 아이폰 5C iOS 7.0 iOS 10.3.3 $99/$199*$549/$649 아이폰 5S iOS 7.0 (최신, 독점 업데이트: ) iOS 12.4.1(12.4.8) $199/$299/$399*$649/$749/$849 아이폰 6 / 6+ iOS 8.0 (최신, 독점 업데이트: ) iOS 12.4.1(12.4.8) $199/$299/$399*$649/$749/$849플러스:$299/$399/$499*플러스:$749/$849/$949 아이폰 6S / 6S+ iOS 9.0.1 2023년 11월 1일 iOS 15.7 > > $199/$299/$399*$649/$749/$849플러스:$299/$399/$499*플러스:$749/$849/$949 아이폰 SE (1세대) iOS 9.3 2023년 11월 1일 iOS 15.7 > > $399/$499* 아이폰 7 / 7+ iOS 10.0.1 2023년 11월 1일 iOS 15.7 > > $199/$299/$399*$649/$749/$849플러스:$319/$419/$519*플러스:$769/$869/$969 아이폰 8 / 8+ iOS 11.0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 $699/$849플러스:$799/$949 아이폰 X iOS 11.0.1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 $549/$699*$999/$1149 아이폰 XS / XS 맥스 iOS 12.0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 $999/$1149/$1349맥스:$1099/$1249/$1449 아이폰 XR iOS 12.0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1년 $749/$799/$899 아이폰 11 iOS 13.0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1년 $699/$749/$849 아이폰 11 프로 / 11 프로 맥스 iOS 13.0 2020년 10월 13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1년 $999/$1149/$1349맥스:$1099/$1249/$1449 아이폰 SE (2세대) iOS 13.4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1년 $399/$449/$549 아이폰 12 / 아이폰 12 미니 iOS 14.0 2020년 10월 16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9개월 >1년 $799/$849/949 미니:$699/$749/$849 아이폰 12 프로 / 12 프로 맥스 iOS 14.0 2020년 10월 16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 9개월 >1년 $999/$1099/$1299맥스:$1099/$1199/$1399 아이폰 13 / 13 미니 iOS 15.0 2021년 9월 15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9개월 >1년 $829/$929/$1129 미니:$729/$829/$1029 아이폰 13 프로 / 13 프로 맥스 iOS 15.0 2021년 9월 15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9개월 >1년 $999/$1099/$1299/$1499 맥스:$1099/$1199/$1399/$1599 아이폰 SE (3세대) iOS 15.4 2022년 3월 18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1년 >1년 $429/$479/$579 아이폰 14 / 14+ iOS 16.0 2022년 9월 16일 2022년 10월 8일(14+)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1년 >1년 $799/$899/$1099 플러스:$899/$999/$1199 아이폰 14 프로 / 14 프로 맥스 iOS 16.0 2022년 9월 16일 2023년 10월 9일 2023년 11월 1일 최신 iOS >1년 >1년 $999/$1099/$1299/$1499 맥스:$1099/$1199/$1399/$1599 아이폰의 개발은 2004년 시작되었으며 당시 애플은 아이맥과 아이팟의 디자이너Gladwell, Malcolm (November 14, 2011). "The Tweaker: The real genius of Steve Jobs." The New Yorker. p. 2 조너선 아이브를 포함하여 신뢰성 높은 "프로젝트 퍼플" 작업을 위해 1,000명의 직원의 팀을 모으기 시작했다. 애플 CEO 스티브 잡스는 원래의 초점을 태블릿 형태(궁극적으로는 아이패드 형태가 된)에서 전화기로 방향을 틀었다. 애플은 당시 싱귤러 와이어리스(Cingular Wireless→AT&T 모빌리티가 됨)와의 비밀스러운 협업 중에 이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개발 비용은 30개월에 150,000,000 달러로 추산된다. 스티브 잡스에 따르면 아이맥(iMac)의 i라는 글자(즉, iPod, iPhone, iPad)가 인터넷(internet), 개인(individual), 지시(instruct), 알림(inform), 고무(inspire)를 의미한다. 애플은 모토로라와의 대단히 성공적이지 못한 협업의 결과물인 모토로라 ROKR E1을 양산했던 위원회에 의한 디자인(design by committee) 접근 방식을 거부했다. 다른 결점들 가운데 ROKR E1의 펌웨어는 애플의 아이팟 나노와 경쟁을 피하기 위해 아이튠즈 노래를 100개까지만 저장하도록 제한을 두었다. 싱귤러는 애플에게 아이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회사 조직 내부에서 개발할 자유롤 제공하였다. 잡스는 2007년 1월 9일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의 맥월드 2007 컨벤션에서 아이폰 1세대를 대중에 공개하였다. US$499의 4 GB 모델과 US$599의 8 GB 모델, 이렇게 2개의 초기 모델(모두 2년 계약 필수)이 2007년 6월 29일 미국에서 현지 시각 오후 6:00에 판매에 들어갔고 수백 명의 고객들이 국내 스토어 밖에서 줄을 섰다. 아이폰 런칭의 열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미디어는 아이폰을 지저스 폰(Jesus phone)으로 불렀다. 미국 내 성공적인 출시에 입힘어 1세대 아이폰은 2007년 11월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판매되었으며 2008년 봄에 아일랜드와 오스트리아에서 판매되었다. 2008년 7월 11일, 애플은 원래의 6개국에서 더 나아가 22개국에 아이폰 3G를 출시하였다. 애플은 80개국에 아이폰 3G를 출시하였다. 애플은 2009년 6월 8일 아이폰 3GS를 발표하였고 6월 19일 미국, 캐나다, 주요 유럽 국가들을 기점으로 6월, 7월, 8월에 출시를 예정하였다. 아이폰 4는 화이트 버전이 발표되었으나 10개월이 지난 2011년 4월 들어서야 출시되었다. 2012년 9월 12일, 애플은 아이폰 5를 발표하였다. 전작 3.5인치 화면에서 더 커진 4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였다. 2013년 7월 6일, 애플은 LTE 어드밴스트 기술을 갖춘 차세대 아이폰 출시를 위해 한국 통신사 SK텔레콤과 논의 중이라고 보고되었다. 2013년 9월 10일, 쿠퍼티노의 언론 행사 중 새로운 아이폰 모델을 2개 공개하였다. 하나는 그린, 블루, 옐로, 핑크, 화이트 색상의 아이폰 5C,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블랙, 화이트, 골드 색상의 아이폰 5S이다. 두 전화기 모두 2013년 9월 20일 선적되었다. 2014년 9월 9일, 애플은 아이폰 6와 아이폰 6 플러스를 쿠퍼티노의 행사에서 공개하였다. 두 장치 모두 전작에 비해 더 큰 화면을 제공하며 각각 4.7인치, 5.5인치이다. 2016년, 애플은 아이폰 7과 7 플러스를 공개하였으며 방수/방진 기능을 추가하고 시스템과 그래픽스 성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듀얼 카메라를 플러스 모델에 탑재하고, 새로운 컬러 옵션을 제공하고 3.5mm 헤드폰 잭을 아이폰에서 제거했다. 2017년 9월 12일, 애플은 공식적으로 아이폰 8과 8 플러스를 공개하였다. 새로운 글래스 디자인, 카메라 개선, 트루 톤 디스플레이, 무선 충전, 개선된 시스템 성능을 제공한다. 베젤리스에 가까운 디자인을 제공하는 아이폰 X도 공개하였으며 페이스 ID라는 이름의 안면 인식 기능, 최고의 화소 밀도를 갖춘 OLED 화면, 저조도에서 더 잘 동작하는 새로운 망원 렌즈, AR을 위한 개선된 카메라를 제공한다. 2018년 9월 12일, 애플은 아이폰 XS, XS 맥스, 그리고 XR을 애플 파크의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공식 공개하였다. 2019년 9월 10일, 애플은 아이폰 11을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공식 공개하였으며, 그 외에 아이폰 11 프로와 아이폰 11 프로 맥스도 공개되었다. 2020년 10월 15일, 애플은 아이폰 12와 아이폰 12 미니를 공식 유튜브 계정을 통해 온라인상에 공개하였으며, 그 외에 아이폰 12 프로와 아이폰 12 프로 맥스도 공개되었다. = = = 판매량 = = = ImageSize=width:270 height:650 PlotArea=left:60 bottom:51 top:10 right:16 AlignBars=justify Period=from:0 till:80 TimeAxis=orientation:horizontal Colors= id:gray value:gray(0.5) id:line1 value:gray(0.9) id:line2 value:gray(0.7) ScaleMajor=unit:year increment:25 start:0 gridcolor:line2 ScaleMinor=unit:year increment:25 start:0 gridcolor:line1 BarData= bar:Q3_2007 text:Q3_2007 bar:Q4_2007 text:Q4_2007 bar:Q1_2008 text:Q1_2008 bar:Q2_2008 text:Q2_2008 bar:Q3_2008 text:Q3_2008 bar:Q4_2008 text:Q4_2008 bar:Q1_2009 text:Q1_2009 bar:Q2_2009 text:Q2_2009 bar:Q3_2009 text:Q3_2009 bar:Q4_2009 text:Q4_2009 bar:Q1_2010 text:Q1_2010 bar:Q2_2010 text:Q2_2010 bar:Q3_2010 text:Q3_2010 bar:Q4_2010 text:Q4_2010 bar:Q1_2011 text:Q1_2011 bar:Q2_2011 text:Q2_2011 bar:Q3_2011 text:Q3_2011 bar:Q4_2011 text:Q4_2011 bar:Q1_2012 text:Q1_2012 bar:Q2_2012 text:Q2_2012 bar:Q3_2012 text:Q3_2012 bar:Q4_2012 text:Q4_2012 bar:Q1_2013 text:Q1_2013 bar:Q2_2013 text:Q2_2013 bar:Q3_2013 text:Q3_2013 bar:Q4_2013 text:Q4_2013 bar:Q1_2014 text:Q1_2014 bar:Q2_2014 text:Q2_2014 bar:Q3_2014 text:Q3_2014 bar:Q4_2014 text:Q4_2014 bar:Q1_2015 text:Q1_2015 bar:Q2_2015 text:Q2_2015 bar:Q3_2015 text:Q3_2015 bar:Q4_2015 text:Q4_2015 bar:Q1_2016 text:Q1_2016 bar:Q2_2016 text:Q2_2016 bar:Q3_2016 text:Q3_2016 bar:Q4_2016 text:Q4_2016 bar:Q1_2017 text:Q1_2017 bar:Q2_2017 text:Q2_2017 bar:Q3_2017 text:Q3_2017 bar:Q4_2017 text:Q4_2017 bar:Q1_2018 text:Q1_2018 bar:Q2_2018 text:Q2_2018 bar:Q3_2018 text:Q3_2018 bar:Q4_2018 text:Q4_2018 PlotData= color:tan1 width:10 bar:Q3_2007 from:start till:0.270000 text:0.27 million bar:Q4_2007 from:start till:1.120000 text:1.12 million bar:Q1_2008 from:start till:2.320000 text:2.32 million bar:Q2_2008 from:start till:1.700000 text:1.70 million bar:Q3_2008 from:start till:0.720000 text:0.72 million bar:Q4_2008 from:start till:6.890000 text:6.89 million bar:Q1_2009 from:start till:4.360000 text:4.36 million bar:Q2_2009 from:start till:3.790000 text:3.79 million bar:Q3_2009 from:start till:5.210000 text:5.21 million bar:Q4_2009 from:start till:7.370000 text:7.37 million bar:Q1_2010 from:start till:8.740000 text:8.74 million bar:Q2_2010 from:start till:8.750000 text:8.75 million bar:Q3_2010 from:start till:8.400000 text:8.40 million bar:Q4_2010 from:start till:14.100000 text:14.10 million bar:Q1_2011 from:start till:16.240000 text:16.24 million bar:Q2_2011 from:start till:18.650000 text:18.65 million bar:Q3_2011 from:start till:20.340000 text:20.34 million bar:Q4_2011 from:start till:17.070000 text:17.07 million bar:Q1_2012 from:start till:37.040000 text:37.04 million bar:Q2_2012 from:start till:35.060000 text:35.06 million bar:Q3_2012 from:start till:26.030000 text:26.03 million bar:Q4_2012 from:start till:26.910000 text:26.91 million bar:Q1_2013 from:start till:47.790000 text:47.79 million bar:Q2_2013 from:start till:37.430000 text:37.43 million bar:Q3_2013 from:start till:31.240000 text:31.24 million bar:Q4_2013 from:start till:33.800000 text:33.80 million bar:Q1_2014 from:start till:51.030000 text:51.03 million bar:Q2_2014 from:start till:43.720000 text:43.72 million bar:Q3_2014 from:start till:35.200000 text:35.20 million bar:Q4_2014 from:start till:39.270000 text:39.27 million bar:Q1_2015 from:start till:74.470000 text:74.47 million bar:Q2_2015 from:start till:61.170000 text:61.17 million bar:Q3_2015 from:start till:47.530000 text:47.53 million bar:Q4_2015 from:start till:48.050000 text:48.05 million bar:Q1_2016 from:start till:74.780000 text:74.78 million bar:Q2_2016 from:start till:51.190000 text:51.19 million bar:Q3_2016 from:start till:40.400000 text:40.40 million bar:Q4_2016 from:start till:45.510000 text:45.51 million bar:Q1_2017 from:start till:78.290000 text:78.29 million bar:Q2_2017 from:start till:50.760000 text:50.76 million bar:Q3_2017 from:start till:41.030000 text:41.03 million bar:Q4_2017 from:start till:46.680000 text:46.68 million bar:Q1_2018 from:start till:77.30000 text:77.3 million bar:Q2_2018 from:start till:52.20000 text:52.2 million bar:Q3_2018 from:start till:41.30000 text:41.3 million bar:Q4_2018 from:start till:46.90000 text:46.9 million TextData= pos:(70,20) textcolor:gray fontsize:S text:Worldwide iPhone sales by Apple's fiscal TextData= pos:(70,5) textcolor:gray fontsize:S text:quarters (Q3 2007 – Q4 2018). 2019년 기준 유일한 보급형 기종인 아이폰 SE를 제외하고는 세계적으로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 (같이 판매중인 아이폰6/6s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된 아이폰 SE와 달리 아이폰5c,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아이폰XR, 아이폰11은 자신보다 더 저렴한 기종이 같이 판매되었기 때문에 보급형이 아닌 중급형으로 분류한다.) 아이폰 SE는 성능 대비 매우 비싼 가격(출시 당시 16GB 기준 399달러)으로 미국 온라인 판매 첫 주 기준 판매량이 아이폰 6의 도 되지 않는다. = = 모델 = = 25개의 각기 다른 아이폰 모델이 제작되었다. 굵게 표시된 모델은 현재의 플래그십 기기를 의미한다: = = = 현재 기기 = = = 아이폰 13 (2021-현재) 아이폰 SE (3세대) (2022-현재) 아이폰 14 (2022-현재) 아이폰 14 플러스 (2022-현재) 아이폰 14 프로 (2022-현재) 아이폰 14 프로 맥스 (2022-현재) 아이폰 15 (2023-현재) 아이폰 15 프로 (2023-현재) 아이폰 15 프로 맥스 (2023-현재) = = 요금제 = = = = = 미국 = = = 2007년 6월 27일, 미국 AT&T가 아이폰에 관한 서비스 및 요금제를 발표했다.Apple - iPhone - Rate Plans for iPhone - 2007년 6월 27일 읽음 요금제 종류는 총 6가지다. 모든 요금제에는 무제한 데이터, 동영상 메일, Mobile-to-Mobile(AT&T 고객끼리의 무료통화), 200자 SMS, Rollover Minutes(통화시간을 다 못 쓸 경우 이월되는 것)가 동일하게 제공된다. 하지만 한국의 과금체계와는 달라 분당 차감되며 다이얼을 거는 순간부터 과금된다. 아래 요금제에 따른 무료 통화시간에는 받는 시간도 포함되어 있다.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에서는 아이폰 전용 요금제가 따로 없고, 다른 휴대전화와 동일한 요금제를 적용한다. = = 출시 = = = = = 대한민국 = = = 아이폰은 대한민국에 출시되기까지 여러 가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각종 의혹과 음모론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출시 이후에는 대한민국의 스마트폰과 IT 부분에서 큰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아이폰, ‘무늬만 IT강국’ 새 기준이 되다 한겨레 2010년 5월 26일아이폰이 가져온 긍정적인 변화 버즈 2010년 9월 30일 = = = 일본 = = = 2008년 일본에서 아이폰 3G가 시판되어 처음 출시하였다. = = 논란 = = = = = 탈옥 문제 = = = 아이폰의 고질적인 문제로 탈옥 문제가 꼽힌다. 탈옥이란 운영 체제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탈옥을 하면 실행하지 못하던 기능을 쓸 수 있게 되거나, 불법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업그레이드 된 아이폰이 출시될 때마다 미국의 해커들이 실력을 뽐내기 위해 경쟁적으로 탈옥을 시도하기도 한다. 탈옥은 그 자체로는 불법이 아니기 때문에 단속이 불가능하다.(그러나 앱스토어 외에서 유료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다운로드를 받는 것은 불법이다.) 애플측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옥을 시도한 제품에 대해서는 고객 서비스 거부 등 불이익을 주며 노력을 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막을 방법이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애플 측은 탈옥을 실시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져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보안상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원상태로 다시 복구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지면서 이마저도 단속이 어려운 상황이다.아이폰 담 넘어 ‘자유’ 찾는 ‘탈옥’ 행렬이 늘어난다 시서저널 2010년 4월 14일 = = = 상표권 분쟁 = = = "아이폰"이란 상표는 본래 미국의 기업인 인포기어사에 의해 1993년 9월 3일 "I Phone"이란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었다. 이는 1996년 3월 20일, "iPhone"으로 갱신되었고 두 상표는 1999년까지 미국에 등록된 상표로 남아 있었다. 시스코는 2000년 인포기어를 인수함과 동시에 획득하였다.슬릿스타인, 라이언. Ryan. "Cisco Sues Apple Over Apple iPhone Name", 세너제이 머큐리 뉴스(San Jose Mercury News), 2007년 1월 10일자 기사 이 상표는 1997년부터 인포기어 아이폰으로 사용되었으며, 링크시스 아이폰은 2006년 출시되었다. 시스코의 등록 상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커뮤니케이션 단말기(terminal)로, 전화, 데이터 통신 및 PC 기능을 결합한 제품"(1993년 등록상표) 및 "컴퓨터 통신 및 전화를 통합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미국 특허청 등록번호 74431935 - 인포기어의 1993년 등록 상표미국 특허청 등록번호 75076573 - 인포기어의 1996년 등록 상표 다만 시스코의 아이폰 제품은 휴대전화가 아니라 VoIP 제품이다. 그리고 시스코는 비밀리에 애플과 상표권에 관한 협상을 했다는 사실을 시인했지만 합의 전에 애플이 제품 발표를 해버렸기 때문에 발표 다음날부터 미국에서의 해당 명칭의 사용 중지를 요구했다. 도메인에서는 시스코가 ( 도메인을 1998년 1월부터, ( 도메인은 1999년 12월부터 애플이 가지고 있다. ( 도메인은 애플과 시스코와 무관한 Internet Phone Company LLC이란 VoIP 업체가 1995년부터 소유하고 있었고 2010년 기준으로 애플이 소유하고 있다. 2007년 2월 21일, 애플과 시스코는 '아이폰'이라는 상표명을 같이 쓰기로 합의했다.Apple, Cisco settle iPhone dispute - InfoWorld, 2007년 2월 21일 기사 = = = 어도비, 구글과의 갈등 = = = 애플은 아이폰 SDK 발표 초기부터 플래시, 자바 등을 비롯한 타 사업자의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쓸 수 없도록 하는 약관을 도입하여Apple Gives Adobe The Finger With Its New iPhone SDK Agreement 플래시 등을 이용하는 사이트들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다. 애플측은 플래시가 "브라우저의 속도와 안정성을 떨어뜨리고, 시스템에 무리를 주며, 폐쇄적이고,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와는 맞지 않고, 배터리를 빨리 닳게 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반대해왔으며, 플래시 류의 외부 프레임워크를 허용할 경우 자사의 앱스토어를 통한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애플이 아이폰서 플래시를 거부하는 이유 전자신문 2010년 4월 30일 또한 논란이 가중되자 스티브 잡스는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는 이유와 이에 대한 대안으로 HTML5를 전략적으로 채용하는 내용 등을 논하는 공개편지를 작성하기도 했다.애플 스티브 잡스 "이래서 플래시 안 쓴다" 이데일리 2010년 4월 30일 이는 곧 어도비 시스템즈와의 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어도비는 일간지들에 게재한 '우리는 애플을 사랑한다'는 광고에서 애플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면서도 화해의 손길을 내밀기도 했다.애플-어도비 플래시 전쟁 제2라운드 이데일리 2010년 5월 14일 하지만 애플은 이러한 어도비의 접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2010년 6월 애플은 아이폰 SDK의 약관을 개정하면서 구글이 인수한 모바일 광고업체 애드몹의 모바일 광고 솔루션을 비롯한 외부 광고 솔루션의 사용을 금하는 조항을 삽입하였다. 이로 인해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등 iOS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약관 개정과 함께 발표된 애플의 독자 광고 솔루션인 iAD외에는 다른 어떠한 솔루션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애드몹의 CEO인 오마르 하모이는 "애플이 아이폰에 애드몹과 구글의 광고 솔루션을 금지하는 조건을 광고 개발자에게 강요한다면 크고 작은 개발자들이 돈을 벌기 위한 최상의 선택을 심각히 제한함으로써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애플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AdMob CEO responds to Apple's new advertising rules: 'not in the best interests of users or developers' 애플이 이전 구글 보이스 차단 사례(하단 "인터넷 전화" 참고)와 더불어 어도비, 구글의 추가 서비스를 제한하는 정책들이 논란을 빚자 미국 연방거래위원회는 애플에 대한 불공정 거래에 대한 추가 조사를 착수하기도 하였다.美 FTC, 애플 S/W 불공정거래 조사 아시아경제 2010년 6월 14일 = = = 인터넷 전화 = = = 아이폰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3G나 와이파이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휴대전화 요금보다 훨씬 저렴하며, 같은 인터넷 전화(스카이프 등)끼리는 데이터통신료를 제외하면 사실상 무료로 통화가 가능하다. 이는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500만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아이폰을 통한 이러한 인터넷 전화는 통신사의 통화료 수입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의 이동통신사들은 물론 대한민국에서도 아이폰을 발매한 통신사인 KT가 반발하며 기술적 보완을 통해 인터넷 전화를 차단하는 방안까지 고려되었으나“아이폰에서 스카이프 쓰지 마라” 전자신문 2010년 4월 6일KT가 ‘차단하려는’ 3G 스카이프, 4일간 500만 다운로드 쿠키뉴스 2010년 6월 7일 사용자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한 발 물러서 차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하기도 했다. 이렇게 통신사에 타격을 주는 애플리케이션도 유통시키는 것은 애플이 통신사와 독립된 관계에 있기 때문이며, 이는 친(親) 통신사 정책을 펴는 대한민국 휴대폰 제조사들이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탑재한 휴대전화에서는 보기 힘든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자사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구글의 제품인 구글 보이스의 경우 "아이폰의 기본 기능과 중복되기 때문에 앱스토어 등록을 거부"한 이후 등록되지 않는 등Apple Is Growing Rotten To The Core: Official Google Voice App Blocked From App Store (TechCrunch) 자사의 이익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차단하는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Fight to keep Google Voice app off iPhone catches FCC's eye - USATODAY.com = = = 보안 문제 = = = 2010년 8월 4일, 독일 연방정보보안청은 애플의 운영체제를 쓰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아이팟에 심각한 보안상 결함이 발견되었다면서 애플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전까지 PDF 문서나 수상한 웹사이트에 접근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연방정보보안청은 해커가 악성코드를 심은 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빼낼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커들이 조만간 취약점을 이용해 공격을 시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8월 11일자 iOS 4.0.2 업데이트를 통하여 해당 결함이 수정되었다. = = = 위치 추적 = = = 애플은 2010년 6월부터 아이폰에 탑재된 GPS 시스템을 이용해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저장시켜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통보하거나 동의절차를 거친적이 없었기 때문에 비판이 제기됐다. 또한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킹 등에 의한 사생활 침해 등 악용 우려도 제기됐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의 어느 아이폰 사용자가 데이터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드러났다.아이폰·아이패드, 나도 모르게 위치 저장돼" sbs 2011년 4월 22일 미국의 수사 당국은 이를 수사에 활용해왔다. 또한 안드로이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의 GPS 정보를 구글 본사로 전송해온 것으로 드러났다.아이폰 위치 추적해왔다"…작년부터 이미 활용 sbs 2011년 4월 23일 = = = 밴드 게이트 = = = 애플이 2014년 9월 19일에 출시한 아이폰6와 플러스 모델의 후면에 들어간 산화 알루미늄으로 인해 힘을 주면 아이폰이 구부러지는 일이 일어났다. 그 후의 기종에서는 산화 알루미늄의 종류를 바꾸어 해결했다. = = = 성능 저하 논란 (배터리 게이트) = = = 아이폰의 배터리가 노후화 되자 꺼짐 현상을 막기 위해 소비자의 허락없이 iOS 업그레이드를 통해 AP의 속도를 줄였다. 그 후 이 사실이 알려지자 애플은 저렴한 가격으로 5s부터 7, 7플러스 모델을 저렴한 가격으로 배터리를 교환해 주기로 하였다. = 고지용 = 고지용(高志鎔, 1980년 7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가수이자 사업가다. 젝스키스의 해체 후 몇차례 드라마와 영화 등의 복귀설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또한 잡지 에스콰이어의 화보모델 촬영도 했으나 그 이후 연예계에서 완전히 은퇴했고, 미국 유학 이후 광고대행사로 활동했다. 2017년 1월 1일부터 ~ 2019년 6월 2일까지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다. = = 학력 = = 서울신용산초등학교 (졸업) 용강중학교 (졸업)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 (전문학사) = = 활동 = = 고지용은 1980년 7월 1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절친한 사이였던 강성훈이 젝스키스 멤버로 발탁되어 한국으로 귀국하던 당시 강성훈을 마중나갔다가 소속사 사장에게 픽업되어 함께 데뷔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고지용은 1997년 4월 15일 6인조 댄스 음악 그룹인 젝스키스로 데뷔했는데 2000년 젝스키스가 해체하던 당시까지 잘생긴 외모와 노래로 큰 사랑을 받았다. 해체 이후 타 멤버들과 달리 솔로가수로 활동을 이어가지 않고 연기자로 변신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캐스팅 됐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취소되었다. 이후 군입대와 유학 등의 이유로 연예계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008년 젝스키스의 멤버이자 리더였던 은지원이 예능 프로그램 놀러와에 출연하여 해체 이후로 본적이 없다는 발언이 화제가 되면서 많은 이들이 그의 근황을 알고 싶어했다. 이듬해 2009년 케이블 프로그램에서 그를 수소문하여 찾아갔으나 이미 연예계를 은퇴해서 방송에 노출 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6월 2일까지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아들 고승재와 함께 출연했다. 2020년 11월 9일 7주년때 잠시 나왔다. = = 결혼 = = 고지용은 2013년 12월 인제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이자 의사인 허양임씨와 비공개로 결혼식을 올렸으며 2014년 10월 득남했다. = = 음반 = = 1997년 5월 14일 1집 《연정 (戀情)》 1997년 11월 1일 2집 《Welcome to the Sechskies Land》 1998년 7월 15일 3집 《Road Fighter》 1998년 10월 30일 3.5집 《Special Album》 1999년 3월 1일 《Sechskies Live Concert》 1999년 9월 9일 4집 《Com'Back》 2000년 5월 31일 고별앨범 《BLUE NOTE》 = = 출연 = = = = = 영화 = = = 1998년 《세븐틴》 - 대곤 역 = = = 뮤지컬 = = = 1998년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 = = TV 프로그램 = = = 1998년 SBS 일일시트콤 《LA아리랑》 - 특별출연 1998년 KBS 2TV 《TV는 사랑을 싣고》 - 게스트 2016년 MBC 《무한도전》 2017년 1월 1일 ~ 2019년 6월 2일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 고정 출연 2017년 JTBC 《비정상회담》 - 게스트 = = = CF 광고 = = = 2017년 4월 18일 윤선생 영어교실 스마트 랜드 - 모델 및 TV CF = = 수상 경력 = = 2018년 K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 우수상 《슈퍼맨이 돌아왔다》 = 분류:기쓰키시의 지리 = = 함흥부 = 함흥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함흥부(咸興府, 1895 - 1896)는 조선시대 23부제 아래 최고 지방 행정구역이다. *함흥부(咸興府, 1930 - 1946)는 일제강점기 13도제 아래 함경남도의 부로, 1930년 함흥군 함흥면을 함흥부로 승격하였다. 1946년 함흥시로 개칭하였다. = 나카노조역 = 나카노조역은 일본 군마현 아가쓰마군 나카노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아가쓰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아가쓰마 선 상행 시부카와 · 신마에바시 · 다카사키 · 우에노 방면 2 ■ 아가쓰마 선 하행 나가노하라쿠사쓰구치 · 만자 · 카자와구치 방면 3 ■ 아가쓰마 선 (대피선) * 11:46분발의 나가노하라쿠사쓰구치 행은, 정기열차로는 유일한 3번선에 발착함. (2014년 1월 1일 현재) (대피선) * 11:46분발의 나가노하라쿠사쓰구치 행은, 정기열차로는 유일한 3번선에 발착함. (2014년 1월 1일 현재)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1,418 2001 1,387 2002 1,311 2003 1,316 2004 1,224 2005 1,223 2006 1,230 2007 1,184 2008 1,124 2009 1,054 2010 1,042 2011 1,002 2012 1,024 2013 987 2014 937 = = 역 주변 = = 나카노조 정청 군마 현 아가쓰마 현민국 나카노조 합동 청사 나카노조 간이 재판소 · 마에바시 가정 재판소 나카노조 출장소 마에바시 지방 법무국 나카노조 지국 = QAnon = QAnon(큐어넌)은 인터넷 커뮤니티 4chan의 /pol/ 게시판에서 유래한 미국의 극우 음모론의 일종이다. 딥 스테이트(deep state)라고 칭하는 비밀 조직이 미국과 세계의 경제, 정치, 통치권을 장악하고 국가 전복을 노리고 있다는 음모론, 이들이 사탄을 숭배하고 식인을 하며 국제 규모의 아동 성매매 조직을 운영한다는 소위 피자게이트(Pizzagate) 음모론, 도널드 트럼프가 이들 국가 전복 음모를 막으려 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혼합하고 있다. 2020년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가 재선에서 실패를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는 배경을 제공하며 극우파 내에서 인기를 얻고 빠르게 퍼져나가 주목받았다. * * * * * *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 사건에 영향을 주었으며 FBI에서 테러 위협으로 지정해 있다. = 팜 토미타 = 팜 토미타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군 나카후라노정에 있는 농장이다. 주로 라벤더를 중심으로 한 꽃을 특징으로, 봄부터 가을까지 개장한다. 원내에는 드라이 플라워를 사용한 가게과 자료관이 위치해 있으며 입장은 무료이다. 또한, 시설에 근처에 있는 도미타 멜론 하우스는 팜 도미타와는 전혀 관계 없다. = 분류:잉글랜드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 틀:미국 항공 우주국 프로그램 = = Romance (루이스 미겔의 음반) = Romance는 1991년 11월 19일에 발매된 루이스 미겔의 음반이다. = 분류:이스라엘계 스코틀랜드인 = = 틀:코로나19 범유행/세계 = 국가 및 지역 국가 및 지역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출처 전세계 191,502,683 4,117,526 125,817,013 출처 미국 34,199,597 614,815 인도 31,174,322 414,482 30,353,710 브라질 19,419,437 544,180 18,124,621 러시아 6,006,536 149,922 5,382,213 프랑스 5,890,062 111,554 튀르키예 5,537,386 50,604 5,390,739 영국 5,519,602 128,823 아르헨티나 4,749,443 101,434 4,379,169 콜롬비아 4,655,921 116,753 4,408,026 이탈리아 4,293,083 127,884 4,115,889 스페인 4,189,136 81,148 독일 3,768,486 91,938 3,640,908 이란 3,576,148 87,624 3,168,834 인도네시아 2,950,058 76,200 2,323,666 폴란드 2,881,594 75,219 2,652,994 멕시코 2,664,444 236,469 2,095,953 남아프리카 공화국 2,311,232 67,676 2,085,119 우크라이나 2,245,275 52,756 2,181,925 페루 2,094,445 195,243 2,060,255 네덜란드 1,814,143 17,783 체코 1,671,372 30,341 1,638,061 칠레 1,601,858 34,569 1,555,294 필리핀 1,513,396 26,786 1,439,049 이라크 1,510,517 17,951 1,372,158 캐나다 1,424,200 26,508 1,393,096 방글라데시 1,128,889 18,325 951,340 벨기에 1,107,208 25,213 스웨덴 1,095,279 14,650 루마니아 1,081,773 34,258 1,046,881 파키스탄 993,872 22,848 921,095 말레이시아 939,899 7,241 798,955 포르투갈 935,246 17,219 867,540 이스라엘 854,163 6,452 839,337 일본 844,014 15,060 801,337 헝가리 808,889 30,019 743,449 요르단 762,420 9,916 744,265 세르비아 719,006 7,088 스위스 709,536 10,379 317,600 네팔 668,751 9,582 633,332 아랍에미리트 664,027 1,904 641,750 오스트리아 654,314 10,729 639,831 모로코 562,416 9,486 534,814 튀니지 554,911 17,821 443,979 레바논 551,789 7,887 535,485 사우디아라비아 512,142 8,103 493,240 카자흐스탄 499,111 5,062 433,994 에콰도르 476,312 21,958 443,883 그리스 463,473 12,843 볼리비아 463,125 17,475 392,548 파라과이 445,565 14,340 404,947 태국 439,477 3,610 304,456 벨라루스 435,620 3,344 429,257 파나마 423,366 6,710 403,208 불가리아 423,223 18,184 397,648 코스타리카 394,135 4,915 318,436 슬로바키아 392,139 12,531 조지아 390,945 5,592 367,130 쿠웨이트 387,912 2,247 369,737 우루과이 379,376 5,896 369,652 크로아티아 361,759 8,243 352,777 아제르바이잔 338,837 4,994 331,429 도미니카 공화국 337,975 3,928 280,645 과테말라 334,375 9,927 293,208 팔레스타인 315,761 3,589 310,601 덴마크 307,764 2,542 293,906 쿠바 294,449 2,019 256,757 베네수엘라 293,866 3,392 276,952 오만 289,042 3,498 263,752 스리랑카 287,973 3,870 262,828 아일랜드 286,691 5,018 이집트 283,762 16,452 224,299 온두라스 281,604 7,482 96,098 리투아니아 279,914 4,404 268,382 에티오피아 277,780 4,357 262,457 바레인 267,949 1,380 265,759 슬로베니아 258,190 4,425 몰도바 258,096 6,229 251,033 미얀마 240,570 5,567 167,171 아르메니아 227,716 4,572 218,529 리비아 226,701 3,309 184,476 카타르 224,510 599 222,36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5,340 9,669 188,019 케냐 193,807 3,800 183,211 잠비아 187,602 3,138 174,728 대한민국 180,481 2,059 160,347 나이지리아 169,884 2,128 164,743 북마케도니아 155,951 5,488 150,237 알제리 154,486 3,956 106,337 키르기스스탄 151,607 2,196 127,692 몽골 149,733 745 137,602 아프가니스탄 142,762 6,293 90,107 라트비아 138,238 2,548 135,168 노르웨이 134,780 796 88,952 알바니아 132,740 2,456 130,086 에스토니아 131,963 1,271 128,177 푸에르토리코 124,318 2,562 우즈베키스탄 119,973 801 114,865 나미비아 113,438 2,557 89,010 코소보 107,749 2,258 105,325 모잠비크 102,009 1,158 78,337 핀란드 100,773 978 31,000 몬테네그로 100,755 1,623 98,686 가나 99,160 815 95,221 중국 92,342 4,636 87,098 키프로스 92,166 391 우간다 90,910 2,412 69,377 짐바브웨 85,732 2,697 55,714 엘살바도르 82,852 2,508 75,136 카메룬 81,467 1,330 57,008 몰디브 76,188 217 73,340 보츠와나 73,997 1,188 68,069 룩셈부르크 73,074 821 70,675 캄보디아 68,796 1,149 61,039 싱가포르 63,440 36 62,543 르완다 59,141 677 41,951 베트남 57,566 245 11,047 세네갈 53,573 1,236 43,802 자메이카 51,282 1,158 46,724 트란스니스트리아 50,395 1,241 48,872 코트디부아르 49,219 322 48,493 콩고 민주 공화국 46,724 1,018 29,205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45,599 3,455 39,279 말라위 44,684 1,363 35,203 마다가스카르 42,608 941 40,450 앙골라 41,061 970 34,857 수단 37,138 2,776 30,867 트리니다드 토바고 36,354 1,000 29,663 카보베르데 33,356 295 32,525 몰타 32,833 420 30,236 오스트레일리아 32,129 915 시리아 25,814 1,902 21,901 가봉 25,283 163 25,005 기니 24,711 190 23,610 수리남 24,435 620 20,581 모리타니 22,753 511 20,802 가이아나 21,668 514 19,993 에스와티니 21,496 727 19,086 압하지야 20,159 282 16,367 아이티 19,563 510 13,082 피지 19,352 125 4,233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19,163 144 18,658 세이셸 17,541 86 16,814 파푸아뉴기니 17,467 187 17,146 대만 15,453 773 소말리아 15,085 781 7,268 토고 14,769 140 13,895 말리 14,522 530 12,376 안도라 14,379 127 13,930 타지키스탄 14,228 114 13,801 벨리즈 13,816 332 13,117 바하마 13,604 274 12,112 부르키나파소 13,536 169 13,350 콩고 공화국 13,050 176 8,208 퀴라소 12,883 126 12,261 레소토 12,398 339 6,601 홍콩 11,966 212 11,720 지부티 11,627 155 11,461 아루바 11,257 109 11,051 남수단 10,759 115 10,514 북키프로스 9,980 36 8,675 동티모르 9,906 25 8,980 니카라과 8,948 193 적도 기니 8,848 123 8,591 괌 8,486 143 8,288 베냉 8,244 107 8,08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7,147 98 5,112 예멘 6,992 1,371 4,162 저지섬 6,862 69 3,798 아이슬란드 6,832 30 6,639 감비아 6,620 190 6,015 에리트레아 6,450 32 6,158 시에라리온 6,198 116 4,144 부룬디 5,942 8 773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5,855 523 4,794 니제르 5,594 194 5,287 세인트루시아 5,484 87 5,295 라이베리아 5,396 148 2,715 산마리노 5,099 90 5,002 차드 4,964 174 4,778 지브롤터 4,671 94 4,302 소말릴란드 4,608 311 3,899 바베이도스 4,292 48 4,070 버진 아일랜드 4,215 32 4,027 기니비사우 4,052 73 3,606 코모로 4,011 147 3,844 남오세티야 3,882 60 3,511 라오스 3,710 5 2,483 리히텐슈타인 3,069 59 2,994 아르차흐 공화국 2,925 31 337 맨섬 2,756 29 1,623 모나코 2,717 33 2,587 신트마르턴 2,677 34 2,607 모리셔스 2,569 19 1,854 버뮤다 2,530 33 2,482 뉴질랜드 2,466 26 2,389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2,455 18 2,400 부탄 2,455 2 2,125 상투메 프린시페 2,410 37 2,339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2,263 12 2,197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2,024 17 420 보네르섬 1,659 17 1,623 앤티가 바부다 1,275 42 1,225 1,102 1 751 샤를 드 골 1,081 0 0 페로 제도 941 1 841 건지섬 904 15 842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732 42 649 712 14 698 케이맨 제도 627 2 618 세인트키츠 네비스 554 3 500 왈리스 푸투나 445 7 438 브루나이 305 3 261 도미니카 연방 206 0 195 북마리아나 제도 188 2 32 그레나다 161 1 160 148 0 148 누벨칼레도니 129 0 30 128 1 앵귈라 113 0 111 그린란드 83 0 53 포클랜드 제도 63 0 63 남극 58 0 0 마카오 55 0 53 바티칸 시국 29 0 27 생피에르 미클롱 26 0 26 몬트세랫 21 1 18 솔로몬 제도 20 0 18 신트외스타티위스섬 20 0 20 13 4 코럴 프린세스 12 3 9 0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8 0 7 8 0 8 사바섬 7 0 7 영국령 인도양 지역 5 0 2 아메리칸사모아 4 0 3 마셜 제도 4 0 4 사모아 3 0 1 바누아투 3 0 3 키리바시 2 0 0 팔라우 2 0 2 쿡 제도 1 0 0 미크로네시아 연방 1 0 1 탄자니아 0 2021년 7월 21일 기준 2021년 7월 21일 기준 2021년 7월 21일 기준 2021년 7월 21일 기준 2021년 7월 21일 기준 2021년 7월 21일 기준 편집 도움 받기 = = 각주 = = = 로슈포르의 연인들 = 로슈포르의 연인들은 1967년 개봉한 프랑스의 뮤지컬 영화이다. 자크 드미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작품 내 노래들의 작사 역시 맡았다. "Chanson des Jumelles"와 "Chanson de Maxence"이 영화 내 곡들 중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영화는 아카데미 음악상에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카트린 드뇌브 - 델핀 가르니에 역 프랑수아즈 도를레아크 - 솔랑쥬 가르니에 역 다니엘 다리유 - 이본 가르니에 역 조지 샤키리스 - 에티엔 역 진 켈리 - 앤디 밀러 역 = = = 조연 = = = 미첼 피콜리 - 시몬 담 역 자크 페렝 - 막센티우스 역 헨리 크레미스 파멜라 하트 - 유디트 역 = = 기타 = = 미술: 베르나르 에베인 의상: 장 바르데 의상: 자클린 모로 = 개섬 = 개섬[犬島]은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에 있던 섬으로, 시화방조제 공사 때 채토장으로 쓰이며 사라졌다. 잠루섬 남쪽에 있었다. = = 지명 유래 = = 섬 모양이 개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분류:2001년 정치 = = 분류:토고 = = 부정관 = 부정관(不淨觀), 부정상(不淨想) 또는 악로관(惡露觀)은 음욕(婬欲) 등의 탐욕이 많은 사람이 그것을 대치하기 위하여 자신과 타인의 육신의 더러움[不淨]을 관찰하는 수행이다."不定觀(부정관)", 운허. 불교사전. 2022년 9월 23일에 확인: 不定觀(부정관) 5정심관(停心觀)의 하나. 탐욕을 다스리기 위하여 육신의 부정한 모양을 관찰함. 구상(久想)."부정관[不淨觀]",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9월 23일에 확인: 부정관[不淨觀] 오정심관(五停心觀)의 하나. 탐욕을 버리기 위해 육신의 더러움을 주시하는 수행법. 동의어: 악로관(惡露觀) 참조어 오정심관 시체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혐오스러운 모습을 관찰하는 관시법(觀屍法: 죽은 시체에 대한 관찰) 또는 (九想觀), 시방이 백골로 가득 찬 모습을 영상하는 골쇄관(骨瑣觀) 또는 백골관(白骨觀), 자신과 타인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혐오스러운 신체 구성요소를 관찰하는 또는 (三十六物觀) 등이 있다. = = 관시법 = = = = = 대념처경의 관시법 = = =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에 나오는 신념처의 구체적 수행법은 총 14가지인데, 이들 중 6번째 수행법부터 마지막 14번째 수행법까지의 총 9가지가 관시법, 즉, 시체를 관찰하는 수행법이다. = 분류:나라별 오페라 작곡가 = = 슈티펠회헤산 = 슈티펠회헤산(Stiefelhöhe)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산이다. 오덴발트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584m의 봉우리를 정상으로 하는 산이다. 산에는 주민들을 위한 산책로와 운동 시설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산은 독일에서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산에는 독일의 토종 생물들이 주로 살아간다. = 라이크 (텔레노벨라) = 라이크는 2018년 방영된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 존 레논 = 존 윈스턴 오노 레논(출생명은 존 윈스턴 레논, , 1940년 10월 9일 ~ 1980년 12월 8일)은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평화 운동가이다. 비틀즈의 결성・창립자, 공동작곡작사가, 공동가수, 리듬기타리스트, 사회 운동가로서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쳤다. 레논은 그 음악, 저술, 그림, 영화, 인터뷰 따위에서 자신의 반항적 본성과 신랄한 위트를 표출하였다. 레논이 폴 매카트니와 가진 작곡 파트너십은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서 역사에 아로새겨져 있다. 리버풀 출신으로 청소년기 스키플 열풍에 편승하여 1956년 쿼리멘을 결성, 이 밴드는 1960년 비틀즈로 발전한다. "똑똑한 비틀(the smart Beatle)"로서 별칭된 레논은 원래 비틀즈의 사실상의 리더였으나 리더 자리는 시간이 흐름과 함께 매카트니에게로 이양되었다. 1960년대 중반 레논은 넌센스 저술과 라인 드로잉을 그러모은 인 히즈 온 라이트(In His Own Write)와 어 스페니어드 인 더 워크스(A Spaniard in the Works)를 출판하였다. 〈All You Need Is Love〉를 비롯하여 레논이 쓴 곡은 반전운동과 1960년대 반문화의 앤섬으로 채용되었다. 1969년 더 플라스틱 오노 밴드를 후처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오노 요코와 출범시키고 2주간 반전시위 베드 인 포 피스를 벌였다. 또한 솔로 커리어를 추구하고자 비틀즈를 나갔다. 1968년과 72년 사이 레논과 오노는 여러 음반에서 공동작업하였으며 여기에는 아방가르드 앨범 트릴로지와 솔로 데뷔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와 전세계적으로 히트한 톱 10 싱글 〈Give Peace a Chance〉, 〈Instant Karma!〉, 〈Imagine〉, 〈Happy Xmas (War Is Over)〉가 포함된다. 1971년 뉴욕시로 이주하여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였으며 이는 3년간의 리처드 닉슨 행정부의 레논에 대한 강제추방 시도를 낳는다. 1973년에서 75년까지 레논과 오노는 별거하였으며 이 시간 동안 레논은 엘튼 존(〈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과 데이비드 보위(〈Fame〉)와 협업하여 차트 1위를 2회 달성하였다. 5년간의 휴지기를 거쳐 레논은 1980년 음악에 복귀하여 오노와 공동작업한 Double Fantasy를 내놓았다. 그러나 앨범의 발표 3주 뒤 비틀즈의 팬 마크 데이비드 채프먼이 쏜 총탄에 맞아 비명횡사하였다. 퍼포머, 작곡작사가, 공동작곡작사가로서 레논은 25개 싱글을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에 올려놓았다. 레논의 베스트셀링 앨범 Double Fantasy는 1981년 그래미상 올해의 앨범을 수상했다. 1982년 레논은 브릿 어워드 우수기여상을 수상했다. 2002년 BBC 히스토리가 투표를 진행한 100인의 가장 위대한 영국인에서 8위에 선정되었다. 롤링 스톤은 레논을 5번째로 위대한 가수이자 38번째로 위대한 아티스트로 선정하였다. 1997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비틀즈의 멤버로서, 솔로 아티스트로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2회 헌액되었다. = = 생애 = = = = = 1940–1957: 어린 시절 = = = 존 윈스턴 레논은 영국의 전쟁 시기이던 1940년 10월 9일 리버풀 산부인과 병원에서 줄리아 스탠리 레넌과 상선 해병이었던 앨프리드 레논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앨프리드는 레논의 출생 당시 그 자리에 없었다. 그의 부모는 레논의 이름을 그의 친할아버지 이름 존 "잭" 레논(John "Jack" Lennon)에서 따왔고, 중간 이름 윈스턴은 당시 수상이던 윈스턴 처칠에서 따왔다. 레논의 아버지는 집을 비우는 일이 많았지만, 레논과 아내가 살던 리버풀의 뉴캐슬 로드로 꾸준히 일정한 생계비를 보냈다. 하지만 그는 1944년 2월 실종되어 생계비 지원이 끊겼다가, 6개월 후 가족을 돌보고자 집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당시 다른 남자의 아이를 밴 상태였던 레논의 어머니 줄리아는 그를 거절했다. 줄리아의 언니인 미미 스미스가 리버풀 사회복지부에 두 번을 요청한 끝에 줄리아는 레논의 양육권을 미미에게 넘겼다. 1946년 7월 레논의 아버지는 미미 스미스를 찾아가 레논을 블랙풀에 데려왔고, 뉴질랜드로 가서 살 계획을 몰래 세운다. 줄리아는 당시 남자친구 바비 디킨즈와 함께 그들을 찾아갔다. 그리고 레논의 양육권을 두고 격한 언쟁을 벌였고, 아버지는 5세의 레논에게 아버지와 어머니 중 누구를 따라갈 것인지 선택하게 했다. 레논은 아버지를 두 번 선택했으나, 어머니가 떠나려고 하자 울면서 그녀를 쫓아갔다. 이후 아버지와는 20년간 연락이 끊겼다. 레논은 이후부터 자식이 없던 이모 미미 스미스와 이모부 조지 스미스와 함께 멘러브 애비뉴 251번지에서 지내게 되었다. 레논의 이모는 레논에게 다양한 짧은 이야기책을 사주었고, 낙농장 농부인 이모부는 레논에게 하모니카를 사줬고 같이 십자말 퍼즐을 풀기도 했다. 줄리아는 주기적으로 레논을 방문했으며, 레논은 11살 때부터 블롬필드 로드 1번지에 살던 어머니를 자주 방문했다. 줄리아는 자신을 방문한 레논에게 엘비스 프레슬리 노래들을 틀어주고, 밴조를 가르쳐 주었으며, 패츠 도미노의 노래 〈Ain't That a Shame〉의 연주법을 알려주었다. 1980년 9월, 레논은 자신의 가족과 자신의 반항적 본능에 대해 털어놓았다. 레논은 플리트우드에 살고 있던 7살 더 많은 사촌 스탠리 파크스를 정기적으로 방문했고, 파크스는 레논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동네 영화관에 갔다. 방학 동안 파크스는 다른 사촌 레일라 하비와 함께 레논을 방문하여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 블랙풀 타워 서커스를 보러 가거나 디키 발렌타인, 아서 에스키, 맥스 바이그레이브스, 그리고 조 로스의 공연을 관람했다. 파크스는 레논이 특히 조지 폼비를 좋아했다고 말했다. 파크스의 가족이 스코틀랜드로 이사를 간 후, 이 세 명은 방학 때 함께 스코틀랜드에서 시간을 보냈다. 파크스는 "존, 사촌 레일라와 전 아주 친했습니다. 존이 9살이었을 때부터 16살이었을 때까지, 저흰 에딘버러에서 차를 타고 더네스에 있는 가족 농장으로 갔어요."라고 회고했다. 레논이 14세가 되던 해인 1955년 6월 5일에 이모부 조지는 간 출혈로 52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레논은 성공회 신자로 자랐고, 도브데일 초등학교에 다니게 된다. 초등학교 졸업 후 1952년 9월에서 1957년까지 레논은 리버풀에 있는 쿼리 뱅크 고등학교에 다녔다. 그 당시 하비는 레논을 "태평스럽고, 유쾌하고, 마음 편하고, 활기차다"고 묘사했다. 레논은 가끔씩 직접 만든 학교 잡지 데일리 홀에 만화를 그리기도 했으나, 그의 뛰어난 미술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그에 대한 보고서에 "실패의 길의 걷고 있음이 틀림없다 ... 희망이 없다 ... 교실의 광대와 다름없다 ... 다른 학생들의 시간을 낭비한다"고 적으며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2005년, 미국의 국립우편박물관이 그가 소년 시절 모은 우표 수집품을 입수했다.John Lennon's First Album. Owen Edwards, Smithsonian.com, September 2005. Retrieved 17 September 2016. 1956년, 레논의 어머니는 5파운드 10실링을 주고 값싼 개로톤 챔피언 어쿠스틱 기타를 사서 레논에게 "빌려"주었다. 대신 주문할 때에는 누나인 미미가 레논의 음악적 포부에 반대하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미미 스미스의 집이 아닌 자기의 집으로 배송을 요청했다. 미미는 자신이 언젠가는 유명해질 거라 떵떵거리는 레논의 주장을 회의적으로 받아들이며 언젠가 음악을 지루하게 받아들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종종 "기타 치는 건 아주 좋아, 존, 하지만 그걸로 먹고 살 수는 없어"라고 말했다. 1958년 7월 15일, 레논이 17세가 되던 해 그의 어머니 줄리아는 미미 스미스의 집에 방문 후 귀가하는 길에 차에 치여 사망했다. 레논은 교육 자격 검정 시험 GCE O 레벨을 통과하지 못했고, 이모와 교장이 나서서야 겨우 리버풀 예술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대학에 들어간 레논은 테디 보이 의류를 입기 시작했으며, 선생님들을 괴롭히고 수업을 방해하는 걸로 유명해졌다. 결국 레논은 회화 강의와 그래픽 아트 강좌에서 연달아 쫓겨났고, 라이프 드로잉 수업에서 누드 모델의 허벅지 위에 앉는 등의 나쁜 태도로 인해 퇴학될 수도 있다고 경고를 받았다. 학년말 시험에서 떨어진 그는 친구들과 훗날 아내가 되는 신시아 파월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학년을 앞두고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 = = 1957–1970: 쿼리맨과 비틀즈 = = = = = = = 1957–1966: 결성, 상업적 성공과 투어 기간 = = = = 1956년 9월, 15세의 레논은 쿼리뱅크 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따와 명명된 스키플 그룹인 쿼리맨을 결성했다. 1957년 여름, 쿼리맨은 스키플 반 로큰롤 반으로 이루어진 "영혼이 담겨진 세트 리스트"를 공연했다. 레논은 폴 매카트니를 7월 6일 울튼의 성 베드로 교회 원유회에서 열린 쿼리맨의 두 번째 공연에서 처음으로 만났고, 레논은 매카트니에게 밴드에 들어올 것을 권했다. 매카트니는 미미가 "존의 친구들이 하류층인 것을 굉장히 의식했"으며, 레논을 방문하러 온 자신을 종종 아랫사람 대하듯 했다고 증언했다. 폴의 형제 마이크는, 자신의 아버지도 매카트니를 "곤경에 빠뜨릴"까봐 레논과 어울리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나중에 폴의 아버지는 포틀린 20번가에 위치한 매카트니의 집 거실에서 밴드의 리허설을 하게 도와주었다. 이 시기에 18세 레논은 자신의 첫 노래 〈Hello Little Girl〉을 작곡했고, 이 곡은 5년 후 더 포모스트가 불러 영국 차트 10위 안에 진입했다. 매카트니는 친구였던 조지 해리슨을 리드 기타 연주자로 제안했으나, 레논은 14살이었던 해리슨이 너무 어리다고 생각했다. 매카트니는 후에 조지를 위해 리버풀 버스의 위층에서 오디션을 잡아주었고, 해리슨은 레논 앞에서 〈Raunchy〉를 연주했다. 레논의 예술학교 친구인 스튜어트 섯클리프는 후에 베이스 연주자로 밴드에 들어왔다. 레논, 매카트니, 해리슨과 섯클리프는 1960년대 초 "비틀즈"가 되었다. 그해 8월에 비틀즈는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48일간 거주하게 되었는데, 당시 공연을 위해 드럼 연주자가 급하게 필요했기 때문에 피트 베스트를 영입했다. 레논의 이모는 당시 19세였던 레논이 함부르크에 여행을 간다고 했을 때 상당히 충격을 받았고, 여행 대신 미술 공부를 계속하라고 설득했다. 함부르크에서의 첫 체류 이후 비틀즈는 1961년 4월에 두 번째로, 1962년 4월에 세 번째로 체류했다. 다른 밴드 멤버들처럼 레논은 함부르크에서 지낼 때 프레루딘을 접했고, 긴 밤 공연을 위한 각성제로 암페타민 따위의 마약을 복용했다. 1962년부터 비틀즈의 매니저를 맡은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이전에 밴드 매니저 일을 해본 경험이 없었지만, 비틀즈의 초창기 복장 양식과 무대 태도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레논은 처음에 엡스타인이 제안한 양복 차림의 전문적인 용모를 강하게 거부했으나, 결국에는 "돈만 준다면 바보 같은 풍선이라도 입어야지."라며 받아들였다. 매카트니는 섯클리프가 함부르크에 남기로 하자 대신해서 베이스 연주자를 맡기로 했고, 드럼 연주자는 베스트에서 링고 스타로 교체되었다. 비틀즈는 1970년 해산까지 4인조 체제를 형성하게 된다. 밴드의 첫 싱글 〈Love Me Do〉는 1962년 10월에 발매되었고, 영국 차트에서 17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데뷔 음반 Please Please Me를 1963년 2월 11일 10시간에 걸쳐 녹음했다. 그 날 레논은 감기에 걸려있었고, 이는 그 날 마지막으로 녹음된 곡 〈Twist and Shout〉의 보컬에 명백히 드러난다. 레논-매카트니는 14곡 중에서 8곡을 작곡했다. 레논은 이 때만 해도 앨범 제목 등 몇 가지를 빼곤 가사에 말장난을 넣지 않았다. 그는 "우린 그냥 노래를 썼어요 ...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 단순히 노래를 쓴다는 생각만 했습니다. 가사들은 대부분 상관없었죠."라고 말했다. 매카트니는 1987년 인터뷰에서 다른 비틀즈 멤버들이 레논을 우상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작은 엘비스였습니다 ... 우리는 모두 존을 우러러보았죠. 그는 우리보다 나이가 많았으며 또한 리더였고, 가장 재치있고 똑똑했어요. 비틀즈는 1963년 초부터 영국의 주류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시작했다. 레논은 4월에 태어난 첫째 아들 줄리언과 함께 투어를 돌았다. 여왕과 다른 왕실 가족들이 관람한 로열 버라이어티 쇼 공연 때, 레논은 관객을 향해 다음과 같은 재담을 쏟아냈다. "다음 곡을 위해서는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싼 좌석에 있는 사람들은 손뼉를 쳐주시고, 나머지 분들은 보석을 흔들어주세요." 1년 후인 1964년 2월에 비틀즈는 에드 설리번 쇼를 통해 미국에서 역사적인 데뷔 공연을 펼쳤고, 머지않아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다. 비틀즈는 2년 동안 지속해서 투어를 돌면서 영화 제작과 작곡을 했다. 레논은 이 무렵 책 그 자신의 이야기, 일하는 스페인 사람을 썼다. 비틀즈는 1965년 여왕 서작식에서 대영 제국 훈장(MBE)을 받았다. 레논은 공연을 보는 팬들이 지르는 함성 때문에 노래가 묻히는 것과 밴드의 음악성이 악화될 것을 걱정하게 되었다. 레논은 〈Help!〉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건 제 진심이었어요 ... 전 'help'를 부르고 있었죠." 그는 살이 불어났고(후에 이때를 '살진 엘비스' 시기에 비유했다), 무의식중에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걸 느꼈다. 그해 3월 레논, 해리슨과 그들의 부인을 저녁 파티에 초대한 치과 의사는 몰래 커피 속에 LSD를 담아 그들에게 권했다. 그들이 떠나고자 할 때 LSD를 복용했다는 것을 밝히면서 부작용 때문에 외출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밖으로 나간 그들은 한 나이트클럽의 엘리베이터에서, 마치 불 속에 있는 것처럼 느껴져 고함을 질렀다. 1966년 3월, 이브닝 스탠더드의 리포터 마린 클리브와의 인터뷰 중에 레논은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했다. "기독교 신앙은 없어질 거예요. 오그라들고 사라질 거란 말입니다 ... 우리는 지금 예수보다 인기가 많아요. 로큰롤과 기독교 중에 어떤 게 먼저 없어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발언은 영국에서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다섯 달 후인 8월에 미국의 한 잡지가 인터뷰를 공개하면서 큰 파급을 초래했다. 미국의 기독교 신자들은 비틀즈 음반을 불태웠고, KKK는 레논을 위협하거나 공연 중 난동을 부렸다. 이같은 활동은 비틀즈가 투어를 중지하겠다는 결정에 도화선을 당겼다. = = = = 1967–1970: 스튜디오 기간, 해체, 솔로 작업 = = = = 1966년 8월 29일, 마지막 상업적 콘서트가 끝나고 일상적이던 라이브 공연을 뒤로한 레논은 상실감과 밴드를 떠나야 한다는 생각을 느꼈다. 지난 1월 의도치 않은 LSD 복용 이후 약물 사용이 늘어났으며, 특히 1967년에는 지속해서 영향을 받았다. 전기작가 이안 맥도널드에 의하면, 레논은 지속적인 복용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이 지워질 뻔"했다. 1967년 레논이 쓴 〈Strawberry Fields Forever〉가 발표되었고, 타임지는 이를 "놀라운 창의력"이라고 격찬했다. 비틀즈의 대표 음반인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가사는 레논-매카트니가 초기에 쓴 간단한 사랑 노래와는 큰 대조를 이루었다. 8월에 마하리시 마헤쉬 요기를 소개받은 비틀즈는 그의 초월 명상 세미나가 진행되는 웨일스의 뱅고어에 가서 주말 개인 강습회에 참여했다. 그들은 세미나 도중에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었다. 레논은 후에 "저희가 위험에 직면했다는 걸 깨달았어요", "전 우리가 곡을 연주하는 것 외엔 다른 것을 할 수 없단 걸 알았고, 그 때문에 겁을 먹었습니다."라고 말했다. 해리슨과 레논은 동양 종교에 대한 흥미가 컸고, 이에 힘입어 비틀즈는 나중에 인도에서 마하리시의 아시람을 방문하여 더 많은 지도를 받았다. 거기에 있는 동안 The Beatles와 Abbey Road의 대부분 곡을 작곡했다. 레논은 혼자서 장편 반전 영화 존 레논의 전쟁 대작전에 출연했다. 영화는 1967년 10월에 상영되었다. 비틀즈가 처음으로 엡스타인 없이 진행한 텔레비전 영화 프로젝트 매지컬 미스터리 투어는 폴 매카트니가 진행하고 비틀즈가 직접 각본 및 감독을 맡았다. 그해 12월에 공개된 영화는 평론가로부터 비틀즈 작품 중에서는 처음으로 악평을 받았으나, 레논이 루이스 캐럴로부터 영감을 얻은 〈I Am the Walrus〉를 수록한 사운드트랙은 성공을 거뒀다. 엡스타인의 사망 이후, 비틀즈 멤버들은 사업 활동에 점차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1968년에 2월 애플 레코드와 몇 개의 자회사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기업인 애플 코어를 세웠다. 레논은 기업을 "사업 구조 내에서의 예술적 자유"를 추구하기 위한 시도라고 설명했으나, 그의 늘어만 가는 마약 실험과 오노 요코에 대한 집착, 그리고 매카트니 자신의 결혼 계획으로 인해 애플은 전문적인 매니지먼트가 필요했다. 레논은 비칭 경에게 그 역할을 맡아줄 것을 부탁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했고 돌아가 음반을 만들라고 충고했다. 레논은 롤링 스톤스와 여러 밴드의 매니저를 맡아온 앨런 클라인에게 부탁했다. 클라인은 레논, 해리슨, 스타에 의해 애플 최고 경영자로 임명되었지만, 매카트니는 매니지먼트 계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1968년 말 레논은 더티 맥의 멤버로서 더 롤링 스톤스 록 앤 롤 서커스에 출연했다(1996년까지 발표되지 않았다). 이 슈퍼그룹 더티 맥은 레논, 에릭 클랩턴, 키스 리처즈, 그리고 미치 미첼로 구성되었고, 오노는 영화 내에서 백 보컬을 담당했다. 레논과 오노는 1969년 3월 20일에 결혼했으며 자신들의 신혼여행 장면을 그린 14개짜리 석판화 시리즈를 선보였다. 이 중 여덟은 불건전하다고 판단되었고, 대부분 금지되거나 몰수되었다. 레논의 관심은 비틀즈에게서 멀어져, 1968년과 1969년 사이 오노와 작업한 세 개의 실험 음악 음반, Unfinished Music No.1: Two Virgins, Unfinished Music No.2: Life with the Lions 그리고 Wedding Album에 창의성을 집중시켰다. 1969년에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를 결성하여 Live Peace in Toronto 1969를 발표했다. 1969년과 1970년 사이에 레논은 1969년 베트남 전쟁 반대 노래로 널리 채택된 〈Give Peace a Chance〉, 헤로인 복용 후 그의 후회하는 심정을 표현한 〈Cold Turkey〉, 그리고 영국이 비아프라 전쟁에 개입한 데 항의하는 〈Instant Karma!〉를 발표했다. 영국이 베트남전에 참전한 미국을 지원한 것과, 〈Cold Turkey〉의 차트 순위가 내려간 것에 항의하는 의미에서 레논은 훈장을 여왕에게 반납하나, 포기할 수가 없는 MBE 상태에는 아무 영향이 없었다. 레논은 1969년 9월에 비틀즈를 떠났고, 그룹이 녹음 계약을 재협상하는 동안에는 이를 매체에 발표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하지만 1970년 4월 매카트니가 데뷔 솔로 음반 발표와 동시에 밴드 탈퇴를 선언하자 레논은 분개했다. 레논은 "하느님 맙소사! 그가 전부 자기 걸로 만들어버렸어!"라고 반응했다. 그는 후에 "내가 밴드를 시작했고, 내가 해체했다. 그렇게 단순한 거다"라고 썼다.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폴이 한 것을 안 한 난 바보였다. 음반 파는데 그걸 이용한 거 말이다."라며 매카트니를 비꼬았다. 다른 구성원들이 오노를 향해 느끼는 적개심을 눈치챘다는 얘기도 했으며, 자신과 해리슨과 스타가 폴을 위한 "사이드맨 취급을 당했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그는 "엡스타인의 사망 후 비틀즈는 무너졌다. 폴이 그 역할을 이어받아 우리를 이끌고자 했다. 하지만 우리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었을 뿐인데 뭘 이끌었겠는가?"라고 말했다. = = = 1970–1980: 솔로 경력 = = = = = = = 1970–1972: 초기 솔로 성공과 행동주의 = = = = 1970년, 레논과 오노는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아서 야노브 의사를 통해 원초 치료를 받았다. 유년기의 감정적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치료법으로 일주일에 두 번, 4개월간 진행되었다. 의사는 더 장기적으로 치료하기를 원했으나, 커플은 더 이상 계속 치료받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고 런던으로 돌아왔다. 레논의 감정이 잘 표현된 데뷔 솔로 음반 John Lennon/Plastic Ono Band(1970)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평가 그레일 마커스는 "존이 부른 〈God〉의 마지막 소절은 로큰롤 역사상 가장 뛰어난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음반은 레논이 어릴 적 직면해야 한 감정이 들어간 노래 〈Mother〉, 부르주아 사회구조를 비판하는 노래 〈Working Class Hero〉("넌 아직도 망할 하류층이야"라는 가사로 인해 방송사들로부터 비판을 샀다)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같은 해, 레논은 타릭 알리와의 인터뷰 때 그의 혁명적 정치 견해에 영감을 받아 〈Power To The People〉를 썼다. 레논은 나중에 알리의 근거없는 외설 혐의로 인해 Oz지가 기소되자, 이 기소를 "역겨운 파시즘"이라고 맹렬히 비판했다. 그와 오노(엘라스틱 오즈 밴드)는 싱글 〈God Save Us / Oz〉를 발매하고는 잡지사 지원을 위한 운동에 참여했다. 레논의 다음 음반 Imagine(1971)은 평론가들로부터 신중한 반응을 받았다. 롤링 스톤은 "수록곡의 대부분이 좋은 음악"이라고 평했으나, "그의 가식은 곧 단순히 따분해질 뿐만 아니라, 시시하게 되어버릴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앨범의 타이틀 곡 〈Imagine〉은 반전 운동을 위한 노래가 되었고, 〈How Do You Sleep?〉은 Ram에서 나타난 자신을 비꼬는 가사에 대한 반격으로, 매카트니는 후에 가사가 레논과 오노를 향한 공격이었다고 인정했다. 레논은 1970년대 중반에 적의를 조금 누그러뜨렸고, 〈How Do You Sleep?〉을 자신을 위해 썼다고 말했다. 존은 1980년에 "나는 폴을 향한 내 적개심을 이용하여 노래를 만들었다 ... 잔인하고 끔직하고 악한 앙갚음이다 ... 나는 〈How Do You Sleep?〉을 폴의 탈퇴에 대한 분노와 그에 대한 관계를 사용해 작곡했다. 이런 생각을 머릿 속에서 떨쳐낼 수가 없다"고 말했다. 1971년 8월에 뉴욕으로 이사를 간 레논과 오노는 12월에 〈Happy Xmas (War Is Over)〉를 발매했다. 새해, 닉슨 정부는 레논이 주도한 반전 운동과 반닉슨 선전에 맞서 "전략적 대응책"을 취했고, 그를 추방하려는 4년의 시도에 착수했다. 1972년, 레논은 뉴욕에서 맥거번이 닉슨에게 선거에서 패한 후, 제리 루빈에 의해 열린 선거 후 행사에 오노와 참여했다. 이민 당국과의 계속되는 법적 전투에 집중한 레논은 결국 미국 영주권을 거부당했다(1976년 이후 풀렸다). 우울했던 레논은 술에 취해 여자 손님과 섹스를 하며 오노를 당혹스럽게 했다. 그녀의 노래 〈Death of Samantha〉은 이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LennoNYC, PBS Television 2010 뉴욕 밴드 엘리펀트스 메모리가 백 보컬을 맡고, 오노와 공동으로 제작한 음반 Some Time in New York City은 1972년에 발매되었다. 여성권리, 인종관계, 북아일랜드를 탄압하는 영국, 그리고 레논의 영주권 획득 문제에 관한 노래가 수록된 이 음반은 큰 혹평을 받았다. 수록곡 〈Woman Is the Nigger of the World〉은 같은 해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되었고, 5월 11일 딕 커뱃 쇼를 통해 전파를 탔다. 많은 라디오 방송국들이 "깜둥이"라는 단어 때문에 방송하는 것을 거부했다. 레논과 오노는 엘리펀트스 메모리, 그 외 게스트들과 함께 윌로우브룩 주 학교 정신 시설의 환자들을 위해서 두 번의 자선공연을 열었다. 1972년 8월 3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진행된 이 공연은 레논의 마지막 장시간 공연이었다. = = = = 1973–1975: "잃어버린 주말" = = = = 레논이 Mind Games(1973)을 녹음하고 있었을 때, 그와 오노는 떨어져 지내기로 했다. 그들은 18개월간 떨어져 지냈고, 레논은 이후 이 기간을 "잃어버린 주말"이라고 불렀다. 레논은 그동안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에서 개인 비서 메이 팡과 함께 지냈다. 플라스틱 U.F.오노로 표기된 Mind Games는 1973년 11월에 발매되었다. 레논은 같은 달에 발매된 링고의 음반 Ringo에 가이드 보컬을 제공해 주었고, 이는 John Lennon Anthology에 수록되어 있다. 1974년 초에 레논은 술을 심하게 마셨으며, 해리 닐슨과의 만취 사건으로 머리기사를 장식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두 사건은 트루바두르 클럽에서 3월에 일어난 일이다. 첫 번째는 레논이 이마에 생리대를 놓고 웨이트리스와 실랑이를 벌인 것이고, 두 번째는 2주 후 레논과 닐슨이 같은 클럽에서 스모더스 브라더스를 괴롭히다 퇴장한 것이다. 레논은 닐슨의 음반 Pussy Cats의 프로듀서를 맡기로 하고, 메이 팡은 그들을 위해 로스앤젤레스 해안가에 위치한 집을 빌렸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나자 녹음 세션은 엉망이 되었고, 레논은 팡과 함께 음반 작업을 마무리 짓기 위해 뉴욕으로 이사를 갔다. 4월, 레논은 믹 재거의 노래 〈Too Many Cooks(Spoil the Soup)〉를 프로듀싱했으나, 계약상의 이유로 30년이 넘게 미발매되었다. 최종적으로 팡이 노래를 제공했고, 믹 재거의 The Very Best of Mick Jagger(2007)에 수록되었다.The Very Best of Mick Jagger liner notes 뉴욕에 다시 돌아온 레논은 Walls and Bridges를 녹음했고, 이는 1974년 10월에 발매됐다. 엘튼 존이 백 보컬과 피아노를 담당한 수록곡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의 싱글은, 레논이 솔로 경력 때 발표한 것 중 유일하게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다. 음반에서 나온 두 번째 싱글 〈#9 Dream〉은 연말 전에 발매됐다. 링고의 Goodnight Vienna(1974)에서 레논은 타이틀 곡을 쓰고 피아노를 연주했다. 11월 28일, 레논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엘튼 존의 추수감사절 콘서트에 특별 게스트로 참여했다. 엘튼과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가 1위에 오르면 공연에 참가할 것이라고 서로 내기했고, 레논은 이 약속을 지켰다. 레논은 공연에서 "폴이라고 불리는 나의 떨어져 있는 오랜 약혼자의 노래."라고 소개하면서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과 〈I Saw Her Standing There〉를 연주했다. 레논은 데이비드 보위의 미국 첫 1위 곡 〈Fame〉을 함께 작곡했으며, 1975년 1월에 이루어졌던 녹음에서 기타 연주와 백 보컬을 맡아줬다. 같은 달, 엘튼 존은 자신이 커버한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로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여기서 "닥터 윈스턴 오'부기"라는 가명으로 참여한 레논은 기타 연주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 오노와 다시 만난 레논은 커버 음반 Rock 'n' Roll(1975)을 발매했으며, 2월에 나온 싱글 〈Stand by Me〉는 미국과 영국에서 히트했고, 이후 5년 동안은 싱글을 발매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마지막 무대 출연을 ATV 스페셜 방송 A Salute to Lew Grade에서 했으며, 이는 4월 18에 녹음되어 6월에 방송되었다. 어쿠스틱 기타와 반주를 담당한 8인조 밴드와 함께 레논은 Rock 'n' Roll의 〈Stand by Me〉, 〈Slippin' and Slidin'〉(두 곡 모두 방송되지 않음)와 〈Imagine〉을 공연했다. 여기서 함께한 'Etc.'라는 밴드는 머리 뒤에 가면을 썼는데, 이는 그레이드가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 레논의 아이디어에서 착상한 것이다.Madinger, Eight Arms to Hold You, 44.1 Publishing, 2000, = = = = 1975–1980: 은퇴와 복귀 = = = = 둘째 아들 숀이 1975년 10월 9일에 출생했고, 레논은 육아에 전념하기 위해 5년간 경력에 공백을 냈다. 그달에 EMI/캐피틀과 한 계약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이전에 녹음된 노래를 담은 컴필레이션 음반 Shaved Fish을 발매했다. 레논은 매일 6시에 일어나 숀의 밥을 준비하고 그와 시간을 보냈다. 그는 링고의 음반 Ringo's Rotogravure(1976)의 수록곡 〈Cookin' (In the Kitchen of Love)〉를 쓰고 6월에 녹음했다. 이는 1980년까지 그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된다. 1977년 6월, 레논은 도쿄에서 "우리는 이보다 좋을 수 없을 결정을 내렸다. 우리는 아기에게 최대한 전념할 것이고, 충분한 시간을 보냈다고 느끼면 그 때 무언가 만들 시간을 할애하겠다."며 음악을 그만두겠다 선언했다. 이 공백기에 그는 일련의 그림을 그렸고, 자서전 요소와 그가 "미친 것"이라고 부르는 것을 혼합하여 책을 저술했다. 이 책들은 모두 사후에 출판되었다. 레논은 1980년 10월에 싱글 〈(Just Like) Starting Over〉을 발표하며 복귀했고, 그 다음 달에 오노와 함께 공동으로 정규 음반 Double Fantasy를 발표했다. 이 음반에는 6월에 43피트 크기의 항해선을 타고서 버뮤다를 여행하는 동안 쓴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곡은 레논이 새롭게 안정된 가족을 가짐으로서 느끼는 만족감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충분한 곡들이 다음 음반 Milk and Honey를 위해 녹음됐다(사후인 1984년에 발표됨). Double Fantasy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멜로디 메이커는 "관대하기 짝이 없이 무미건조하다 ... 지독하게도 따분하다"고 평했다. = = = 1980년 12월 8일: 죽음 = = = 1980년 12월 8일, 오후 10시 50분경(EST) 레논과 오노는 뉴욕에 위치한 다코타 아파트에 돌아왔다. 마크 데이비드 채프먼은 아파트의 아치에서 레논의 등을 향해 총으로 네 발을 쐈다. 레논은 근처에 있는 루즈벨트 병원 응급실로 급히 이송되었으나, 도착 시간인 11시경에 40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 날 저녁, 레논은 채프먼을 위해 Double Fantasy에 싸인을 해 주었다. 오노는 그 날 "존을 위한 장례식은 없다"고 말했고, "존은 사람들을 사랑했고, 그들을 위해서 기도했습니다. 부디 그를 위해 똑같이 기도해주세요."라고 끝맺었다. 레논의 시신은 뉴욕 시 하츠데일 펀클리프 묘지에서 화장되었다. 오노는 레논의 재를 뉴욕 센트럴 파크에 흩뿌렸으며, 그곳에는 후에 스트로베리 필즈 기념비가 만들어졌다. 채프먼은 2급 살인죄로 유죄가 인정되어 최소 20년의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2016년, 채프먼의 가석방이 9번째 거부됐다. = = 주변 관계 = = = = = 신시아 레논 = = = 레논과 신시아 파월(Cynthia Powell, 1939–2015)은 1957년 리버풀 예술대학에서 학교 친구로 처음 만났다. 신시아는 레논의 태도와 모습에 겁먹기도 했으나, 그가 프랑스 배우 브리지트 바르도에 빠져있다는 얘기를 듣고 머리를 금색으로 염색하기도 했다. 레논은 신시아에게 데이트를 제안했으나, 그녀는 자신이 약혼한 상태라고 대답했고, 레논은 "누가 언제 결혼하자고 했어, 앙?"이라며 언성을 높였다. 그녀는 쿼리맨 공연에 존과 곧잘 같이 다녔으며, 매카트니의 여자친구와 함께 존과 폴을 방문하기 위해 함부르크까지 찾아가기도 했다. 레논은 신시아에게 집착했고, 그로 인한 분노와 육체적 폭력을 표출하여 그녀를 겁주었다. 레논은 오노와 만나기 이전까지 자신이 여성에 대해 광신적인 집착이 있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레논은 비틀즈의 〈Getting Better〉이 자신의 이야기라고 말했으며, "전 여성에게 못되게 굴었고, 폭력을 쓰기도 했습니다. 아무 여자에게나 말이에요. 전 폭력배였어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질 못했고, 때리기만 했습니다. 남자하곤 싸우고, 여자에겐 주먹질을 했죠. 이것이 제가 항상 평화를 생각하는 이유입니다."라고 말했다. 레논은 1962년 7월 그녀의 임신 사실을 알고 "방법은 오직 하나뿐이야, 신. 우리 둘은 결혼해야 해"라고 말했다. 커플은 8월 23일 리버풀에 있는 마운트 플레즌트 등기소에서 결혼했다. 레논의 결혼과 동시에 비틀마니아가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자신의 결혼식 오후에 공연을 했고, 그 이후에도 거의 매일 공연을 하러 다녔다. 그가 결혼한 사실을 팬들이 알면 인기가 식을 것이라고 생각한 엡스타인은 레논에게 결혼을 비밀로 유지하도록 요청했다. 그의 첫 자식인 줄리언은 1963년 4월 8일에 출생했다. 당시 투어 중이었던 레논은 3일이 지난 후에야 그를 보았다. 신시아는 파경에 이르른 부부 생활의 원인을 LSD 때문이라고 여겼다. 비틀즈가 1967년 마하라시 요기의 초월 명상 세미나를 위해 웨일스의 뱅고어로 떠날 때, 경찰이 신시아를 알아보지 못하고 기차에 탑승하는 걸 막았다. 그녀는 이 일이 파혼하게 될 것임을 예고한 일이었다고 회상했다. 어느 날, 신시아는 켄우드에 있는 집으로 돌아오자 레논과 오노와 함께 있는 것을 목격했다. 그녀는 곧바로 집을 떠나 친구와 함께 지냈다. 후에 알렉시스 마다스와 밤을 함께 했으며, 몇 주 뒤에 레논이 그녀의 간통을 이유로 이혼과 줄리언의 양육권을 원하고 있다고 통보했다. 협상 이후, 레논은 항복하면서 같은 이유로 이혼했다. 이 사건은 1968년 11월 법정에서 해결되었으며, 레논은 그녀에게 연금 지급을 약속했고, 줄리언에 대한 양육비로 10만 파운드를 지급했다. = = = 브라이언 엡스타인 = = = 1962년 11월, 리버풀의 캐번 클럽에서 공연하던 비틀즈는 정오 콘서트 이후 엡스타인을 만나게 되었다. 그는 동성애자였다. 전기 저자 필립 노먼은 엡스타인이 그룹의 매니저를 하고 싶었던 이유 중 하나로 레논의 외모를 지적했다. 줄리언이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레논은 엡스타인과 함께 스페인으로 여행을 떠났고, 곧이어 그들의 관계에 대한 추측이 난무했다. 후에 이에 대해 질문받은 레논은, "뭐, 거의 연애와도 같았는데, 완전 그렇지는 않았어요. 첫날밤 따윈 없었죠. 하지만 꽤 강렬한 관계였습니다. 동성애자라고 인식한 사람과 함께 보낸 건 처음이었어요. 우리는 토레몰리노스에 있는 카페에 앉아 소년들을 보았고, 전 그에게 '얘가 좋니? 아니면 쟤가 좋니?'라고 물었죠. 전 오히려 항상 작가처럼 생각하면서 경험을 즐기고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스페인에서 돌아온 뒤, 레논은 1963년 6월에 열린 매카트니의 21번째 생일 파티에 참석했다. 캐번 클럽의 MC 밥 울러는 말장난과 애정 어리지만 가슴을 찌르는 말을 하는 것으로 유명했고, 그 날 레논에게 "그래서 신혼여행은 어땠어, 존?"이라고 농담삼아 물었다. 존은 결혼한 지 10개월이나 지났고, 부인과의 신혼여행은 연기된 상태였다. 당시 술에 취했던 레논에게 이 문제는 간단했다. "밥은 날 퀴어라고 불렀고, 그래서 나는 그의 갈비뼈를 피나도록 때렸다". 레논은 엡스타인이 동성애자인 점과 유대인이라는 점을 놀리는 것을 즐거워했다. 엡스타인이 레논에게 자신의 자서전 제목을 제안해보라고 묻자, 그는 퀴어 유대인이란 제목을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음악이 가득 찬 저장고라는 제목이 되자, 레논은 이를 "그보다 소년들로 가득찬 저장고에 가깝다"며 제목을 패러디하여 조롱했다. 또, 엡스타인의 방문객에게는 "그를 협박하러 왔나? 아니라면, 런던에서 그러지 않은 건 네가 유일하겠군"이라고 말했다. 그는 〈Baby, You're a Rich Man〉를 녹음하던 중 코러스를 "Baby, you're a rich fag Jew"로 바꾸기도 했다. = = = 줄리언 레논 = = = 레논의 첫째 아들 줄리언은 그와 신시아의 결혼 생활 중에 출생했고, 당시는 비틀마니아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다. 레논은 줄리언이 출생한 1963년 4월 8일에 투어 중이었다. 엡스타인은 그가 비틀즈의 상업적 성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대중에게 줄리언의 출생을 포함하여, 신시아와의 결혼에 대해 비밀로 지켜달라고 요청했다. 줄리언은 그로부터 4년 뒤의 꼬마일 적 일을 회상했다, "전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고, 제가 그린 수채화 그림 중 하나로 다가갔어요. 거기엔 그냥 무수한 별과 학교에서 알고 있던 금발 여자애가 그려져 있었죠. 그리고 아버지가 와선, '이게 뭐니'라고 물었고, 전 'It's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라고 대답했어요." 레논은 이를 비틀즈 노래의 제목으로 사용했고, 후에 LSD의 머리 글자에서 따온 이름이라는 얘기가 퍼지자, 레논은 "마약에 관련된 곡이 아닙니다"라고 주장했다. 매카트니는 줄리언이 이름을 아무 의도없이 정한 거라며 레논의 주장을 지지했다. 레논은 줄리언과 거리를 두었고, 줄리언은 아버지보다 폴과 더 가깝게 지냈다. 레논이 이혼 절차를 밟던 중, 매카트니는 신시아와 줄리언을 방문하기 위해 차를 타고 가던 중에 줄리언을 위하여 〈Hey Jules〉라는 곡을 작곡하였는데, 후에 제목을 〈Hey Jude〉로 바꾸었다. 레논은 이렇게 회고하고 있다. "그건 폴의 곡 중 가장 좋은 곡입니다. 처음에는 제 아들 줄리언에 관한 곡이었죠 ... 그는 후에 'Hey Jude'로 바꾸었어요. 전 항상 그게 저와 오노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는 그건 아니었다고 하더군요." 레논과 줄리언의 관계는 이미 소원해진 상태였고, 1971년 레논이 오노와 함께 뉴욕으로 이사를 가면서 그는 1973년까지 아버지를 만나지 못했다. 팡의 격려에 힘입어, 줄리언은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보러 로스앤젤레스의 디즈니랜드로 갔다. 줄리언은 이 때부터 아버지를 정기적으로 방문했고, 레논은 그에게 Walls and Bridges의 드럼 파트를 맡겼다. 그는 줄리언에게 깁슨 레스폴 기타와 여러 악기를 사줬고, 기타 코드 몇 개를 연주하여 그가 음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했다. 줄리언은 뉴욕에서 아버지와 시간을 보내면서 서로가 "훨씬 나아졌다"고 회고했다. "저희는 즐겁게 지냈죠, 웃으면서 좋은 시간을 보냈어요" 플레이보이의 데이비드 셰프와 한 인터뷰에서 레논은 "숀은 계획된 아이었고, 거기에 차이가 있습니다. 저는 줄리언이라고 해서 조금이라도 덜한 사랑을 준 건 아닙니다. 그가 위스키 한 병에서 나왔든, 그 날 피임약을 안 먹어서였든, 여전히 제 아들이에요. 그는 여기에, 제 안에 존재해요. 그리고 언제나 함께할 겁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17살 자식과 다시 관계를 맺으려 하고 있으며, "줄리언과 전 미래의 관계를 맺을 거예요"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레논의 사후 아주 적은 유산이 줄리언에게 남겨졌음이 확인되었다. = = = 오노 요코 = = = 존이 어떻게 오노를 만났는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로 레논의 설은 다음과 같다. 1966년 11월 9일 런던에 있는 인디카 갤러리에 간 레논은 거기서 개념 예술 전시회를 준비하던 오노를 갤러리 주인이던 존 던바에게 소개받았다. 레논은 오노의 작품인 〈못을 박기 위한 페인팅〉에 큰 흥미를 느꼈다. 전시회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으나, 요코를 찾아온 존 레논이 '못을 박고 싶으니 망치를 빌려달라'고 했으나 청을 거절했다. 던바는 그녀에게 "이 분이 누군지 몰라요? 그는 백만장자예요! 이걸 살지도 모른다고요."라고 말했다. 오노는 비틀즈에 대해서 들어보지 못했고 이후 그가 다시 찾아오자 5실링(약 50센트)에 망치를 주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레논은 "제가 상상의 5실링을 드릴 테니, 상상의 못을 망치질하게 해줘요"라고 말했고 이에 마음이 풀렸다. 매카트니가 증언한 두 번째 설은 다음과 같다. 1965년 말 오노는 런던에서 존 케이지가 작업하고 있던 책 Notations를 위해 원본 악보를 모으고 있었고 매카트니는 그녀가 악보 원고의 기증을 부탁하자 거절했다. 오노가 레논에게 부탁하자 그는 직접 손으로 쓴 〈The Word〉의 가사를 줬다. 오노는 이후 레논의 집에 계속 전화를 걸었고, 신시아가 레논에게 이에 대해 따졌다. 레논은 그녀에게 오노는 그저 "멍청한 아방가르드 예술"로 돈을 벌려고 하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1968년 5월, 부인이 그리스에서 휴가를 보내는 동안 레논은 오노를 자기 집으로 초대했다. 둘은 밤에 음반 Two Virgins의 수록곡을 녹음했고, 레논의 말을 빌리자면 그들은 "새벽에 사랑을 나누었다.".Two Virgins liner notes 집으로 돌아온 신시아는 오노가 자신의 목욕 가운을 입은 상태에서 레논과 차를 마시는 장면을 목격했고, 그녀를 본 레논은 간단하게 "오, 안녕."이라고 인사했다. 오노는 1968년에 임신했으나, 그들이 존 오노 레논 2세라고 이름 지은 아이를 1968년 11월 21일에 유산했다. 몇 주 뒤 레논과 신시아는 이혼했다. 레논이 비틀즈에서 활동했던 마지막 2년 동안, 그와 오노는 베트남 전쟁를 반대하는 공개 시위를 시작했다. 둘은 1969년 3월 20일 지브롤터에서 결혼했고, 신혼여행을 암스테르담 힐튼 호텔에서 1주일간 베드 인 시위를 하며 보냈다. 둘은 미국에서도 이 시위를 할 계획이었으나 입국을 거부당해서, 대신 몬트리올의 퀸 엘리자베스 호텔에서 시위했고 여기서 〈Give Peace a Chance〉를 녹음했다. 둘은 종종 함께 행위 예술을 하기도 했다. 한 예로 빈에서 처음 선보여진 배기즘 운동이 있다. 레논은 이 시기를 비틀즈의 노래 〈The Ballad of John and Yoko〉에 상세히 담았다. 레논은 1969년 4월 22일 중간 이름에 오노를 추가했다. 이를 축하하는 의미로 세 달 전에 루프탑 콘서트가 열렸던 애플 코어 건물에서 소소한 파티를 열었다. 그가 비록 존 오노 레논이란 이름을 사용하긴 했지만, 출생시 주어진 이름은 취소할 수 없기 때문에 공식 문서에는 존 윈스턴 오노 레논이라고 표기되었다. 부부는 버크셔의 수닝힐에 있는 티텐 허스트 파크에 정착했다. 오노가 자동차 사고로 부상당하자 레논은 비틀즈의 마지막 음반인 Abbey Road를 녹음하던 중 킹 사이즈 침대를 마련하여 스튜디오에 가져다 놓았다. 밴드의 해체로 인해 쏟아질 비난을 피하기 위해 레논은 오노의 제안으로 1971년 8월 31일 뉴욕으로 이주했다. 둘은 처음에 5번가에 있는 세인트 레지스 호텔에서 지내다가 1971년 10월 16일 그리니치빌리지의 뱅크로 105번지로 이사갔다. 강도 사건 이후 보다 안전한 웨스트 72번가의 더 다코타로 이사갔다. = = = 메이 팡 = = = 앨런 클라인은 1968년에 ABKCO 레코드로부터 파생된 회사인 ABKCO 산업을 세웠다. 메이 팡은 1969년부터 여기서 접수원으로 일했다. 다음 해 레논과 오노는 ABKCO의 프로젝트 일로 그녀를 만났고, 팡은 둘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 그들을 위해 3년간 일한 팡은 오노에게 자신과 레논의 사이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오노는 그녀에게 레논과 육체적 관계를 맺을 것을 제안하면서 "그는 널 굉장히 좋아해"라고 말했다. 당시 22살이던 팡은 오노의 말에 굉장히 놀랐고, 최종적으로 오노의 제안에 수락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레논과 팡은 캘리포니아로 이사갔고 레논이 "잃어버린 주말"이라고 부른 18개월 동안 동거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던 팡은 레논에게 2년 동안 보지 못한 줄리언과 정기적으로 만날 것을 제안했다. 레논은 그녀 덕에 스타, 매카트니, 말 에반스, 해리 닐슨과도 다시 친해졌다. 레논은 닐슨과 술을 마시던 중, 팡이 한 말을 잘못 알아들어 그녀의 목을 조르려고 했고, 닐슨이 저지해서야 그만두었다. 뉴욕으로 돌아온 둘은 줄리언의 방문을 위해 새롭게 객실을 빌렸다. 레논은 오노 때문에 억제한 감정을 풀었고, 친척들과 친구들과 관계를 다시 갖기 시작했다. 12월, 오노의 전화를 거부한 레논은 팡과 함께 집을 매입할 계획을 세웠다. 1975년 1월, 레논은 금연이 가능한 방법을 찾았다고 말한 오노의 말을 계기로 그녀와 다시 만났다. 그녀와 해후한 레논은 귀가하거나 팡과 연락을 취하지 못하게 됐다. 다음 날 팡이 전화를 걸자, 오노는 레논이 최면 요법으로 인해 피곤해서 지금 전화를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틀 뒤 레논을 함께 예약한 치과에서 만난 그녀는 그가 세뇌를 당했다고 의심될 정도로 몽롱하며 혼란스러워하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레논은 팡에게 오노와의 분가는 이제 끝났지만, 오노가 그녀를 정부로서 계속 만날 수 있게 해줬다고 말했다. = = = 숀 레논 = = = 레논과 오노의 재결합과 동시에 그녀는 임신을 했다. 하지만 이전에 아이를 가지려는 시도로 세 번을 임신했으나, 모두 유산되는 고통을 겪었기에 그녀는 낙태를 원했다. 오노는 레논에게 전업 남편으로 지낼 것이라는 약속을 받고, 계속 임신하기로 했다. 숀은 레논의 35번째 생일이었던 1975년 10월 9일 제왕 절개를 통해 출생했다. 이로써 레논의 음악 활동은 5년동안 멈추게 됐다. 그는 사진작가를 고용해 1살인 숀의 매일을 찍게 했고, 그를 위해 수많은 그림들을 그렸다. 사후에 이 그림들은 진정한 사랑: 숀을 위한 그림(Real Love: The Drawings for Sean)으로 출간되었다. 레논은 후에 이렇게 말했다. "내 뱃속에서 나오진 않았지만, 하늘에 맹세코, 난 그의 뼈를 창조했다. 왜냐면 그의 매 식사를 챙겨줬고 잠을 재우기도 해왔으니까, 물고기처럼 수영한다는 것도 안다." = = = 비틀즈 멤버 = = = 레논과 링고 스타는 1970년 비틀즈 해체 이후로도 쭉 우호적으로 지냈지만 매카트니와 해리슨과의 관계는 다양했다. 그는 처음에 해리슨과 가까웠지만 레논이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는 관계가 벌어졌다. 해리슨이 1974년 12월 다크호스 투어를 위해 뉴욕에 왔을 때, 레논도 그와 함께 무대에 서기로 했으나, 레논이 비틀즈의 법적 해체 서류에 서명하지 않은 일로 다투다 결국 무산되었다. (레논은 결국 팡, 줄리언과 함께 플로리다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서명했다.) 해리슨은 1980년에 레논을 아주 조금만 언급한 자서전을 발표하면서 그의 기분을 상하게 했다. 레논은 플레이보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그것 때문에 상처받았습니다 ... 그의 인생에서 내게 받은 영향은 아예 없나보군요 ... 그는 수년간 만나온 별 볼 일 없는 색소폰 연주자나 기타 연주자라도 전부 기억하던데, 전 책에 없었어요." 레논의 가장 격렬한 감정은 매카트니에게 향했다. 레논은 〈How Do You Sleep?〉의 가사를 통해 그를 공격하는 것 외에도 그룹의 해체 후 3년 동안 언론을 통해 그와 다투었다. 이 두 사람은 예전에 그랬듯 친밀한 관계를 다시 시작했으며, 1974년에는 함께 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매카트니가 레논을 마지막으로 방문한 1976년 4월에 둘은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에피소드를 시청했는데, 진행자인 론 마이클스가 이 쇼에서 비틀즈가 재결성하면 3,000 달러를 제공하겠다고 선언했다. 둘은 스튜디오를 방문해서 돈을 받아 나누는 것도 고려하였으나 너무 피곤해서 그만두었다. 레논은 죽기 3일 전에 한 인터뷰에서 매카트니에 대한 자기 생각을 축약했다. "내 경력 전반에 걸쳐 폴 매카트니와 오노 요코 두 명과만 작업하기로 했다 ... 나쁜 선택은 아니지 않나." 매카트니와 소원해짐과 동시에 레논은 그와 음악적인 경쟁심을 느꼈고, 그의 음악에 귀를 기울였다. 5년간 경력에 공백을 낸 레논은 그가 범상한 음악을 제작하는 동안에는 편히 지켜만 보았다. 매카트니가 1980년에 〈Coming Up〉을 발표하자 레논은 스튜디오로 돌아왔으며, 그 노래가 머리에서 계속 맴돌자 "그건 날 미친놈으로 몰고 가!"라며 농담삼아 불평했다. 같은 해에 비틀즈가 두려운 적인가 아니면 가장 좋은 친구인가를 물었을 때, 레논은 둘 다 해당하지 않으며 오랫동안 그들 중 누구도 보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여전히 그치들을 좋아한다. 비틀즈는 끝났지만 존, 폴, 조지와 링고는 계속된다."고 말했다. = = 정치적 활동 = = 레논과 오노는 자신들의 신혼여행을 암스테르담 힐튼 호텔에서 베드 인 포 피스라는 활동을 하는데 사용했다. 1969년 3월에 전개된 이 활동은 전 세계 미디어의 조롱을 받았다. 두 번째 베드 인은 3개월 후 몬트리올의 퀸 엘리자베스 호텔에서 열렸고, 이때 레논은 〈Give Peace a Chance〉를 쓰고 녹음했다. 싱글로도 발매된 이 노래는 빠른 속도로 반전 앤섬이 되었다. 11월 15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베트남 반전 시위에서 50만 명의 사람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12월, 둘은 "War Is Over! If You Want It"이라는 문구를 세계 각 언어로 번역하여 10개 도시에 걸기 위해 빌보드에 돈을 지급했다."John Lennons Convey Greetings via Billboards" The New York Times 16 December 1969: 54 그해 말, 레논과 오노는 1962년 살인 혐의로 교수형에 처해진 제임스 핸래티의 결백을 증명하려는 피해자의 가족들을 지지했다. 레논은 핸래티를 사형한 사람들은 "남아프리카의 거리에서 총기로 흑인들을 살해하는 사람들과 같은 종류의 인간"이며 "같은 놈들이 사회를 지배하고, 같은 사람들이 모든 걸 운영하는 이 모든 게 엿 같은 부르주아 현상이다."라고 덧붙였다. 레논과 오노는 런던에서 "Britain Murdered Hanratty"와 "Silent Protest For James Hanratty"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행진했고, 사건에 관한 40분짜리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몇 년 후 열린 항소심에서 DNA 증거가 일치하여 핸래티의 유죄는 확정되었다. 그의 가족은 2010년까지 계속 항소했다. 1971년 12월, 레논과 오노는 어퍼 클라이드 조선소 노동자가 시작한 자주 관리를 지지하는 뜻으로 빨강 장미 부케와 5,000파운드 수표를 보냈다. 그해 8월 뉴욕으로 이사간 레논은 시카고 세븐과 청년국제당 회원인 평화운동가 제리 루빈, 애비 호프먼과 친분을 쌓았다. 정치운동가, 흑표당의 공동설립자이자 시인인 존 싱클레어는 마약 소지로 붙잡혔고, 이후 마리화나 두 롤을 판 죄로 10년형을 선고받았다. 1971년 12월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존 레논, 스티비 원더, 밥 시거, 흑표당의 바비 실 등이 항소 공연이자 자선 공연인 〈John Sinclair Freedom Rally〉를 열었고, 이에 15,000명이 참여했다. 레논과 오노는 데이비드 필과 루빈의 도움을 받아 Some Time in New York City(이때에는 발매되지 않음)에 수록된 어쿠스틱 세트 4곡을 연주했다. 여기에는 존 싱클레어의 석방을 호소하는 〈John Sinclair〉도 포함되어 있다. 공연 전날에 미시간 상원은 마리화나 소지에 대한 처벌을 크게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4일 뒤 싱클레어는 항소심에서 석방됐다. 이 공연은 녹음되었고, 트랙 중 두 곡은 나중에 John Lennon Anthology(1998)에 수록된다. 1972년 북아일랜드에서 비무장한 14명의 시민권 운동가들이 영국 육군에 의해 총으로 사살된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레논은 육군과 IRA(당시 사건과는 연관이 없었다)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IRA를 고를 것이라고 말했다. 레논과 오노는 아일랜드를 탄압하는 영국의 행위를 비판하는 〈Luck of the Irish〉와 〈Sunday Bloody Sunday〉를 써서 음반 Some Time in New York City에 수록했다. 2000년 영국 보안 당국인 MI5의 전 요원 데이빗 셰일러는 레논이 IRA에게 몰래 돈을 줬다고 주장했으나, 이에 대해 오노는 즉각적으로 부인했다. 전기작가 빌 해리는 피의 일요일 이후, 레논과 오노가 정치 다큐멘터리 영화이자 공화당에 대한 견해를 나타낸 The Irish Tapes의 제작을 위해 재정적인 지원을 했다고 기록했다. 2006년 타리크 알리에 의해 확인된 FBI 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레논은 1968년 영국에서 결성된 트로츠키주의 그룹인 '국제 마르크스주의 그룹'에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FBI는 레논이 "마약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았"기 때문에 혁명가로서의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판단했다. 1973년에 레논은 오행시 〈Why Make It Sad To Be Gay?〉를 지어 렌 리치몬드의 책 The Gay Liberation Book에 기고했다. 레논이 마지막으로 정치 활동을 벌인 것은 1980년 12월 5일 샌프란시스코의 환경미화원 파업을 지원하는 성명서였다. 그와 오노는 12월 14일 노동자 시위에 동참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때의 레논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그가 도왔던 반문화에 등을 돌리고, 보수주의로 기울어진 상태였다. 그가 실제로 보다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었는가는 의견이 분분하다. = = = 추방 시도 = = =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 미친 〈Give Peace a Chance〉와 〈Happy Xmas (War Is Over)〉의 큰 영향 후, 닉슨 행정부는 공화당 전당 대회와 동시에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레논이 개입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닉슨은 레논의 반전 활동으로 인해 재선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 그를 추방하려고 했다. 공화당 상원의원 스트롬 서먼드는 1972년 2월 "추방은 전략적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메모했다. 다음 달 미국 이민귀화국(INS)은 1968년 런던에서 일어난 대마초 소지 경범죄를 근거로 미국에 입국할 자격이 없어졌다 주장하면서 추방 절차를 시작했다. 레논은 1975년 10월 8일까지, 3년 6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추방 청문회에 들락날락했다. 항소 법원은 "법원은 비밀 정치적 이유 때문에 일어난 선택적 강제 송환은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추방을 막았다. 법적 전투가 계속되는 동안 레논은 집회에 참석하고 TV에 출연했다. 레논과 오노는 1972년 2월의 한 주 동안 The Mike Douglas Show를 공동으로 진행했고, 제리 루빈과 바비 실 등의 게스트를 초대했다. 1972년, 밥 딜런은 레논을 지키기 위해 INS에 편지를 썼다. 1973년 3월 23일, 레논은 60일 이내에 미국을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오노는 영주권을 얻었다). 이에 대해 레논과 오노는 1973년 4월 1일 뉴욕시 변호사 협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땅이 없고, 경계도 없고, 여권도 없고, 오직 사람"만 있는 국가 '누토피아'의 설립을 발표했다. 누토피아의 국기인 흰 깃발(두 개의 손수건)을 든 그들은 미국에서 정치 망명을 요청했다. 기자 회견은 촬영되어 나중에 2006년 다큐멘터리 존 레논 컨피덴셜에 등장했다. 레논의 Mind Games(1973)에는 3초의 침묵을 담은 트랙 〈Nutopian International Anthem〉이 포함되어 있다. 기자회견 직후 닉슨의 정치 스캔들 개입이 밝혀졌고, 6월 워싱튼 DC에서 워터게이트 청문회가 시작되었다. 14개월 후 닉슨 대통령은 사임되었다. 닉슨의 후임자인 제럴드 포드는 레논과의 전쟁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추방 명령은 1975년 취소되었다. 다음 해에는 레논의 미국 이주 상태가 해결되었다. 레논은 자신의 영주권을 증명하는 "그린 카트"를 받았다. 미국의 제39대 대통령 지미 카터는 1977년 1월 대통령으로 취임했고, 레논과 오노는 취임 축하 무도회에 참석했다. = = = FBI의 감시와 기밀 해제 문서 = = = 레논의 사후, 역사 학자 존 위너는 정보 공개법(Freedom of Information Act) 요청서를 제출하여 FBI 파일 문서에 기록된 국방부의 추방 시도를 알아내려고 했다. FBI는 레논을 조사한 281쪽 분량의 문서가 있음을 시인했지만, 국가 보안 정보가 담긴 이유로 대부분 공개하지 않았다. 1983년, 위너는 남부 캘리포니아 자유권 연합(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of Southern California)의 도움을 받아 FBI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FBI가 문서를 공개하도록 강제하는 데에는 14년이 걸렸다. 위너를 대표하는 ACLU는 1991년 제9순회 항소 법원에서 열린 FBI에 대한 소송에서 유리한 판결을 받았다. 법무부는 이 판결을 1992년 4월 대법원에 항소했지만, 법원은 이를 검토하지 않았다. 1997년 빌 클린턴 행정부는 문서가 "예측 가능한 피해"를 포함할 경우에만 공개하지 않아야 한다는 새로운 법에 따라, 법무부는 분쟁 중인 문서 10개를 제외한 모든 문서를 공개했다. 2000년 1월, 위너는 진실을 밝혀라: 존 레논 FBI 파일(Gimme Some Truth: The John Lennon FBI Files)에 14년에 걸친 활동의 결과를 담아 출간했다. 책에는 복사된 서류도 포함되어 있으며, "비밀 정보원이 자세히 서술한 반전 운동가들의 일상생활 보고서, 백악관으로 보내진 메모들, 레논이 출연한 TV 프로그램의 대본, 레논이 마약 혐의로 지역 경찰에 체포되었다는 내용" 등이 수록되었다. 이 이야기는 다큐멘터리 존 레논 컨피덴셜에서 언급된다. "분명한 기밀 보장하에 외국 정부가 제공하는 국가 보안 정보"가 포함된 마지막 10개 문서는 2006년 12월에 공개되었다. 영국 정부가 레논을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했다는 내용은 없었다. 공개된 내용 중 하나의 예로는, 저명한 영국 좌익이 좌파 서점과 열람실을 위한 레논의 재정적 지원에 대한 바람에 관한 내용이다. = = 예술성 = = 비틀즈 전기작가 빌 해리는 레논이 삼촌의 격려와 힘입어 어린 시절 창조적인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자신의 소설, 시, 만화, 캐리커쳐들을 모아서 데일리 하울이라는 쿼리 뱅크 고등학교 잡지에 담았다. 그림에는 종종 장애인이 등장했고, 글은 풍자적이었으며, 책 전체에 걸쳐 말장난으로 가득 차 있었다. 급우 빌 터너는 레논이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후에 쿼리맨에서도 활동하는 피트 쇼튼을 즐겁게 하려고 이를 제작했으며, 피트가 보기 전까지는 아무에게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터너는 또한 레논이 "위건 부두에 사로잡혔다. 그것은 계속해서 언급되었다."고 말했다. 레논의 소설인 감자 광산의 당근(A Carrot in a Potato Mine)에서는 "광산은 위건 부두 끝에 위치했다"는 문장이 존재한다. 그는 레논의 그림 중 하나를 설명했는데, 그림에는 버스 정류장 표지판이 있고 거기에 "Why?"가 새겨져 있다. 위에는 날아다니는 팬케이크가 있고, 밑에는 "안경을 쓴 맹인이 눈먼 개를 따라다니는 모습이 있다. 개 또한 안경을 썼다". 레논이 24세일 때, 그의 말장난이 담긴 글은 더 많은 독자를 끌었다. 해리는 레논의 저서 그 자신의 이야기이 출판된 경위를 이렇게 설명했다. "비틀즈를 다루는 기자들이 와서 어쩔 수 없이 그가 글을 보여주자, 그들이 '책을 써라'고 말했다. 그렇게 첫 번째 책은 탄생했다." 이 책은 데일리 홀과 마찬가지로 단편 소설, 시, 연극, 그리고 그림 등 다양한 형식이 혼합되어 있다. 수록된 단편 중 하나인 〈Good Dog Nigel〉은 "3시에 살해당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들었을 때까지 램프 포스트에 소변을 보고, 꼬리를 흔드는 행복한 강아지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더 타임스 리터러리 서플리먼트는 "놀랍다 ... 또한 웃기기도 하다 ... 난센스는 자연스럽고, 글과 이미지는 순수한 판타지의 사슬이 되어 서로를 자극한다."고 평했다. 북 위크는 "말도 안 되는 글이지만, 레논은 난센스 문학의 시각으로 보자면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다. 몇몇 동음이의어는 따분한 말장이지만, 대다수가 이중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적인 통렬함을 지니고 있다."고 평했다. 레논은 긍정적인 반응과, 책이 검열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는 "(독자들이 책을) 저보다 더 진지하게 받아드리는 것 같습니다. 그건 제가 웃고자 만든 것인데도 말이에요."라고 말했다. 빅터 스피네티와 아드리엔 케네디는 일하는 스페인 사람(A Spaniard in the Works, 1965)과 그 자신의 이야기을 기반으로 무대극 The John Lennon Play: In His Own Write을 제작했다. 레논, 스피네티, 그리고 로열 내셔널 시어터의 예술 감독인 로런스 올리비에는 협상을 거친 후 1968년 올드빅에서 연극을 공연했다. 레논과 오노는 오프닝 나이트 공연과 두 번째 공개 공연에 참석했다. 1969년에 레논은 아방가르드 연극 오! 캘커타!를 위해, 자신이 10대 때 한 집단 자위를 바탕으로 〈Four in Hand〉라는 글을 썼다. 레논의 사후, 추가로 그의 작업물이 출간되었다. 입소문이 그린 공중 문자(Skywriting by Word of Mouth, 1968), Ai: 존 레논의 눈으로 본 일본: 개인적인 스케치북(Ai: Japan Through John Lennon's Eyes: A Personal Sketchbook, 1992), 진정한 사랑: 숀을 위한 그림(Real Love: The Drawings for Sean, 1999), 비틀즈 앤솔로지(The Beatles Anthology, 2000) 등에서 그의 글과 그림을 볼 수 있다. = = 음악성 = = = = = 악기 연주 = = = 레논은 버스를 타고 스코틀랜드에 있는 사촌을 방문하러 가는 도중에 마우스 오르간을 연주했다. 그 소리에 인상을 받은 운전자는 레논에게 내일 에든버러로 오면 버스 창고에 있는, 승객이 두고 간 하모니카를 주겠다고 말했다. 전문적인 악기는 레논의 장난감을 빠르게 대체했다. 그는 함부르크에서도 종종 하모니카를 연주했고, 그룹의 초기 음반에서는 대표적인 사운드가 되었다. 어머니 줄리아는 그에게 밴조를 연주하는 방법을 가르쳤고, 후에는 통기타를 사줬다. 16세의 레논은 쿼리맨과 함께 리듬 기타를 연주했다. 레논은 비틀즈에서 리켄배커 325, 에피폰 카지노, 깁슨 J-160E 등의 다양한 일렉트릭 기타를 사용했고, 솔로 활동 때에는 깁슨 레스폴 주니어로 시작했다. Double Fantasy의 프로듀서인 잭 더글라스는 레논이 비틀즈 시절부터 자신의 디 선은 약간 평평하게 튜닝했기 때문에, 미미 숙모는 음반에서 그의 기타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레논은 6현 베이스 기타인 펜더 베이스 VI를 연주하여 폴 매카트니의 악기 소리로 가득 찬 〈Back in the U.S.S.R.〉, 〈The Long and Winding Road〉, 〈Helter Skelter〉에 저음을 제공했다. 레논은 그의 가장 유명한 솔로 곡으로 일컬어지는 〈Imagine〉을 포함한 많은 노래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그는 1963년 매카트니와 함께 피아노를 연주하다 비틀즈의 첫 번째 미국 히트곡인 〈I Want to Hold Your Hand〉를 작곡했다. 1964년에는 멜로트론 키보드를 소유한 최초의 영국 음악가 중 한 명이 되었으나, 1967년 〈Strawberry Fields Forever〉까지는 사용하지 않았다. = = = 보컬 스타일 = = = 비틀즈가 자신들의 첫 정규 음반인 Please Please Me를 위해 〈Twist and Shout〉을 녹음하고 있을 때, 레논은 감기에 걸려 목소리가 나간 상태였다. 레논은 "나는 노래를 부를 수 없어, 그냥 비명을 질렀다."고 말했다. 전기작가 배리 마일즈는, "레논은 단순히 로큰롤에 가지고 있던 사랑을 위해 성대를 갈가리 찢었다."고 적었다. 비틀즈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이렇게 회고했다. "레논은 자신의 목소리를 싫어하는 선천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난 이를 이해할 수 없었는데, 그는 언제나 내게 "내 목소리로 무언가 하세요! "다르게" 만들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마틴은 의무적으로 더블 트래킹이나 여타 기술을 활용해야 했다. 비틀즈에서 솔로로 넘어가는 동안 레논의 목소리는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전기작가 크리스 그레고리는 "그는 불안을 드러내기 위해 어쿠스틱이 이끄는 다양한 고해 발라드를 실험적으로 구성했다. 그렇게 시작된 '공개 치료'는 결국 〈Cold Turkey〉의 프라이멀 스크림과 John Lennon/Plastic Ono Band의 카타르시스로 막을 내린다"고 썼다.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시기를 레논의 "최고 보컬"이라고 평했으며, 또한 "비명에서 우는 소리에 이르기까지 전자적으로 변조된다 ... 에코, 필터링, 더블 트래킹이 적용되었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스튜어트 라이언은 레논의 보컬이 "극단적인 취약성, 민감성, 심지어 순진성"에서부터 "거칠기"에 이르기까지 했다"고 적었다. 위너도 그의 목소리가 "처음에는 가라앉았으나, 곧 절망적인 비명을 토한다"고 말했다. 음악 역사학자 벤 우리쉬는 레논의 피살 수일 후에 라디오에서 비틀즈가 에드 설리번 쇼에서 공연한 〈This Boy〉를 들었다며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레논의 보컬이 절정에 달했을 때 ... 그와 같은 고뇌와 감정을 담아 지르는 비명을 듣는 것은 너무 가슴 아프나, 그것이 내가 항상 느껴온 감정이었다." = = 유산 = = 음악 역사학자 쉰들러와 슈왈츠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사이에 일어난 대중음악 스타일의 변화에 대해, 비틀즈가 "소리와 스타일, 그리고 대중음악의 태도를 진보시켰고, 로큰롤의 문을 열어 영국 록의 해일을 일으켰다"며 그들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밴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한 사람 중 하나인 그룹 오아시스의 리엄 갤러거는 그를 자신의 영웅이라고 칭했다. 그는 1999년 태어난 첫 아이의 이름을 레논 갤러거라고 지어 레논을 기렸다. 1999년 '국립 시의 날'(National Poetry Day)에서 BBC가 영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노래 가사를 확인하기 위해 여론 조사를 한 결과 〈Imagine〉이 선정되었다. 존 가너는 2006년 가디언지에 기고한 기사에 다음과 같이 썼다. "1972년의 젊은이들에게, 레논이 닉슨에게 당당히 맞서는 모습은 굉장히 흥분되는 것이었다. 레논이 자신의 경력과 삶을 걸고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의지는, 그가 지금까지 존경을 받는 한 가지 이유다." 음악 역사학자인 우리쉬와 비엘렌은 레논의 가장 지대한 공이 "그의 노래에서 불린 인간의 자화상"이었다고 말했다. 레논의 죽음은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이 계속해서 애도하고 있으며, 수많은 기념탑과 헌정의 대상이 되었다. 2002년에는 레논의 고향에 위치한 공항의 이름이 리버풀 존 레논 공항(Liverpool John Lennon Airport)로 바뀌었다. 2010년에는 레논 탄생 70주년을 맞이하여 신시아와 줄리언 레넌에 의해 리버풀 차바스 공원에 존 레논 평화비가 세워졌다. 'Peace & Harmony'라는 제목의 이 기념비는 평화를 상징하고, "Peace on Earth for the Conservation of Life · In Honour of John Lennon 1940–1980"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2013년 12월, 국제 천문학 연합회는 수성의 분화구 중 하나를 그의 이름 '레논'을 따서 명명했다. = = = 수상과 판매량 = = = 레논-매카트니 작곡가 관계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고 성공적인 업적 중 하나로 여겨진다. 레논은 공연자, 작곡가, 그리고 공동 작곡가로서 쓴 25개의 싱글을 미국 핫 100 차트의 정상에 올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미국에서만 1,400만 장의 음반을 팔았다. Double Fantasy는 미국에서 3백만 장의 출하량을 기록한 레논의 최고 판매 솔로 앨범이다. 그의 죽음 직전에 발표된 이 음반은 1981년 그래미상 올해의 음반을 수상했다. 그 다음 해, 음반 분야의 탁월한 업적에 대해 수여하는 브릿 어워드의 상은 레논에게 돌아갔다. 2002년 BBC가 여론 조사한 영국의 가장 위대한 100인에서 레논은 8위에 올랐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롤링 스톤은 레논의 예술과 음악에 대해 여러 리뷰를 게재했고, 100명의 가장 훌륭한 가수에서 5위에, 100명의 가장 위대한 예술가에서 38위에 선정했으며, 그의 음반인 John Lennon/Plastic Ono Band와 Imagine은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서 각각 22위와 76위를 차지했다. 그는 1965년에 다른 비틀즈 멤버와 대영제국 훈장 구성원(MBE)으로 임명되었으나, 1969년에 반환했다. 레논은 사후인 1987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199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 음반 목록 = =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68) 《Unfinished Music No. 2: Life with the Lions》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69) 《Wedding Album》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69) 《John Lennon/Plastic Ono Band》 (1970) 《Imagine》 (1971) 《Some Time in New York City》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72) 《Mind Games》 (1973) 《Walls and Bridges》 (1974) 《Rock 'n' Roll》 (1975) 《Double Fantasy》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80) 《Milk and Honey》 (오노 요코와 함께함) (1984) = = 영화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64 하드 데이즈 나이트 본인 역 1965 헬프! 본인 역 1967 존 레논의 전쟁 대작전 그립위드 1967 매지컬 미스테리 투어 본인 역 / 티켓 판매원 / 마술사 나레이터, 각본, 감독, 프로듀서 1968 옐로우 섬머린 본인 역 끝에서 카메오로 등장 1968 〈투 버진스〉 단편 1970 〈신격화〉 단편 1970 렛 잇 비 본인 역 비틀즈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 = = 텔레비전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65-1966 낫 온리... 벗 올소 화장실 청소부 / 게스트 〈Episode #1.1〉 (1965), 〈Christmas Special〉 (1966) = = 책 목록 = = 《그 자신의 이야기》(In His Own Write, 1964) 《일하는 스페인 사람》(A Spaniard in the Works, 1965) 《입소문이 그린 공중 문자》(Skywriting by Word of Mouth, 1968) = = 추가 참고 문헌 = = Kane, Larry (2007). Lennon Revealed. Running Press. Pang, May; Edwards, Henry (1983). Loving John: The Untold Story. Warner Books. . Riley, Tim (2011). Lennon: Man, Myth, Music. Hyperion. Wiener, Jon. The John Lennon FBI Files Yorke, Richard (1969). "John Lennon: Ringo's Right, We Can't Tour Again", New Musical Express, 7 June 1969, reproduced by 《Crawdaddy!》, 2007. = 분류:1928년 근대5종 = = 갈매초등학교 = 갈매초등학교는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불암산과 검암산이 둘러있는데 그 사이에 우뚝 솟은 우리 갈매교 자문중의 총준자제 양성하여서 국가에 동량이됄 인제 기르세 칧과 같이 한 없이 뻣어 나가고 매화같이 향기롭고 아름답도다. = = 학교 연혁 = = 1944.04.01. 인창초등학교 갈매분교장인가 1945.09.30. 갈매초등학교 인가 1970.03.01. 갈매초등학교 사로분교장 인가 1972.03.01. 사로분교장이 내양초등학교로 승격분리 1980.03.07. 병설유치원 1학급 개원 1989.12.30. 본관 2층 7개 교실 증축 1996.11.29. 급식실 준공 1997.06.02. 전교생 급식 실시 2007.09.01. 제18대 김태순 교장 취임 2012.03.01. 6학급 편성 2013.02.12. 제68회 졸업(졸업생 총 3,558명) 2013.03.01. 택지지구 개발로 인해 임시 휴교 2017.09.01. 재개교 = Star Wars: Episode I – The Phantom Menace = Star Wars: Episode I – The Phantom Menace는 1999년 5월 4일에 발매된 존 윌리엄스의 음반이다.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쥐라기의 곤충 = = 윤경숙 (시인) = 윤경숙(尹慶淑)은 대한민국의 시인, 작가이다. 충청남도 천안군 성환읍에서 태어났으며 대원불교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수학했다. 시인, 작가 활동 외에 1991년 서울구치소 불교 종교위원으로 사회봉사활동을 시작, 군 부대 상임법사 등을 지냈다. 2003년 12월 30일 KBS-1TV '이것이 인생이다'에 출연하여 '사노라면 잊을 날 있으리오'에 출연하였다. 그밖에 한국뇌성마비 복지관에서 작문 수업 봉사와, 노원구와 도봉구에서 봉사를 하는 등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하였다. 작품으로는 시집 차라리 침묵하고(1995년) , 실화 소설 스쳐간 바람(2003년) 등이 있다. = = 저작 = = = = = 시집 = = = 《꽃처럼 살고 싶다》 (도서출판 청어, 2006) 《가슴에 있는 사람:열매시선 2》 (열매출판사, 2004) 《차라리 침묵하고》 (준 출판사, 1995) = = = 소설 = = = 《스쳐간 바람》 (열매출판사, 2003) = 분류:올림픽 아티스틱스위밍 참가 선수 = = 인생 (동음이의) = 인생(人生)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인생: 사람의 생애 = = 영화 = = 인생 (1980년 영화) 인생 (1994년 영화) 인생 (1997년 영화) = = 기타 = = 인생 (소설): 일본의 라이트 노벨 = 안화 (대장화) = 안화(安和, 917년 ~ 920년)는 대장화(大長和) 숙문제(肅文帝) 정인민(鄭仁旻)의 네번째 연호이다. = = 연대 대조표 = = 안화 원년 2년 3년 4년 서기(西紀) 917년 918년 919년 920년 간지(干支)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 사암디블러 = 사암디블러(Pseudantechinus bilarni)는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 "사암가짜안테키누스"와 "사암안테키누스", "하니안테키누스", "북부디블러" 등으로도 불린다. 작은 식충성 유대류이며,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에 군데군데 서식한다. = = 분류 = = 사암디블러는 1948년 발견되었고, 아넴 랜드에 대한 미국-오스트레일리아 탐사대가 표본을 수집했다. 학명은 1954년 처음 기술했고, 탐사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겸 박물학자 빌 하니(Bill Harney)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발음을 따서 "빌라르니"(bilarni)라고 명명했다. 한때는 안테키누스속(Antechinus)으로 분류했고, 오랫동안 디블러속(Parantechinus)에 속하는 종으로 간주했다. 디블러속은 현재 단일종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종은 전통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서남부 지역에서 디블러(Parantechinus apicalis)라고 알려져 있다. 사암디불러는 최근에 가짜안테키누스속(Pseudantechinus)로 옮겨졌고, 가짜안테키누스속에 속하는 6종 중의 한 종이다. = = 특징 = = 식충성 동물이며, 대부분의 다른 주머니고양이과 동물들처럼 대부분의 수컷들이 번식기가 지난 후에 탈진하여 죽지만, 일부 다른 종들과 달리 암수컷 모두 약 25%는 이듬해까지 살아남는다. 부분적인 주행성 동물이며, 가짜엔테키누스속의 다른 종들과 달리 주둥이 아주 길고 좁으며 털은 좀더 회색빛을 띤다. 번식기는 5월부터 7월까지이다. = = 서식지 = = 사암가짜엔테키누스는 노던 준주의 톱 랜드와 카펜타리아 만 주변의 바위 지역에서 발견된다. 마친바 섬의 해안가 암반 지대에서도 서식한다. = 분류:2022년 카리브 제도 = = 양의숙 = 양의숙(梁義淑, 1946년 ~ )은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다. = = 학력 = = 제주여자고등학교 세종대학교 의상학과 학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고미술 전공 = = 경력 = = 1995~ KBS TV쇼 진품명품 (민속품 분야) 감정위원 고미술협회 감정위원 예나르 대표 = = 출연작 = = 1995~ KBS 1TV 《TV쇼 진품명품》 1995, 1998 KBS 2TV 《가족오락관》 = 청년이천선 = 청년이천선(靑年伊川線)은 황해북도 평산과 강원도 세포를 연결하는 철도이다. 청년돌격대가 부설한 철도로 1971년 공사를 시작해 1년 만인 1972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평양과 라선시를 잇는 평라선에 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번째 동서횡단철도로 구 평원선과 연결되어 원형의 순환철도망을 구성하고 있다. 전철화는 1980년에 이루어졌다. = = 노선 정보 = = 구간과 거리 : 평산역―세포청년역(140.9km) 역 수 : 18(양단역 포함) 궤도 간격 : 1435mm(표준궤) 전철화 구간 : 전 구간(직류 3000V) 복선 구간 : 없음 = = 역 목록 = =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구역명(舊驛名) 영업거리(km)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평산 P'yŏngsan 平山 남천(南川) 0.0 평부선 황해북도 평산군 기탄 Kit'an 岐灘 13.2 황해북도 평산군 침교 Ch'imgyo 砧橋 19.7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 Sin'gye 新溪 27.8 황해북도 신계군 정봉 Chŏngbong 丁峰 41.0 황해북도 신계군 지하리 Chiha-ri 支下里 51.4 강원도 판교군 지상 Chisang 支上 57.3 강원도 판교군 송정 Songjŏng 松亭 69.1 강원도 이천군 이천청년 Ich'ŏn Ch'ŏngnyŏn 伊川靑年 이천(伊川) 74.0 강원도 이천군 문동청년 Mundŏng Ch'ŏngnyŏn 文童靑年 문동(文童) 86.2 강원도 이천군 판교 P'an'gyo 板橋 96.0 강원도 판교군 기산청년 Kisan Ch'ŏngnyŏn 箕山靑年 기산(箕山) 105.0 강원도 세포군 후평청년 Hup'yŏng Ch'ŏngnyŏn 後坪靑年 후평(後坪) 111.0 강원도 세포군 서하 Sŏha 西下 118.9 강원도 세포군 약수 Yaksu 藥水 125.9 강원도 세포군 백산청년 Paeksan Ch'ŏngnyŏn 白山靑年 백산(白山) 131.1 강원도 세포군 신생 Sinsaeng 新生 135.4 강원도 세포군 세포청년 Sep'o Ch'ŏngnyŏn 洗浦靑年 세포(洗浦) 141.3 강원선 강원도 세포군 = = 참고 = =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 계남초등학교 축구부 = 계남초등학교 축구부는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에 있었던 축구 전문 운동부이다. 계남초등학교가 운영했으며 2015년에 해단되었다. = = 시즌별 성적 = = 시즌 대회 승점 순위 2000 금석배 전국초등학생축구대회 58 2 1 0 1 5 4 +1 32강 = 2023년 AFC 아시안컵 A조 = 2023년 AFC 아시안컵 A조 경기는 2024년 1월 12일부터 22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이 조는 개최국 카타르, 중국, 타지키스탄, 그리고 레바논으로 구성되어 있다. = = 팀 = = 시드 배정 팀 연맹 출전방식 참가 확정날짜 출전횟수 마지막출전 최고순위 FIFA 랭킹 FIFA 랭킹 시드 배정 팀 연맹 출전방식 참가 확정날짜 출전횟수 마지막출전 최고순위 2023년 4월 2023년 12월 A1 WAFF 개최국 및 2차 예선 E조 1위 2021년 6월 7일 11회 2019년 우승 (1996년) 61위 58위 A2 EAFF 2차 예선 A조 2위 2021년 6월 7일 13회 2019년 준우승 (1984년, 2004년) 81위 79위 A3 CAFA 3차 예선 F조 1위 2022년 6월 14일 1회 — 첫 출전 109위 106위 A4 WAFF 2차 예선 H조 2위 2021년 6월 15일 3회 2019년 조별 리그 (2000년, 2019년) 99위 107위 = = 경기 = = 모든 시간은 AST (UTC+3)를 따른다. = = = 카타르 vs 레바논 = = = GK 22 메샬 바르샴 CB 2 호호 CB 3 알마흐디 알리 무흐타르 CB 12 루카스 멘데스 RM 9 유수프 압둘라자크 CM 10 하산 알하이도스 (주장) CM 20 아흐메드 파티 CM 6 압둘아지즈 하팀 LM 4 모함메드 와드 CF 11 아크람 아피프 CF 19 알무이즈 알리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MF 23 모스타파 메샬 FW 17 이스마엘 모하마드 DF 14 호맘 아흐메드 FW 7 아흐메드 알라엘딘 MF 24 자셈 가베르 감독: 감독: 감독: 틴틴 마르케스 틴틴 마르케스 틴틴 마르케스 최우수 선수: 아크람 아피프 (카타르) 부심: 안톤 슈체티닌 (오스트레일리아) 애쉴리 비참 (오스트레일리아) 대기심: 고형진 (대한민국) 후보 대기심: 윤재열 (대한민국) 비디오 판독심: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보조 비디오 판독심: 케이트 야체위치 (오스트레일리아) = = = 중국 vs 타지키스탄 = = = GK 1 옌쥔링 RB 5 장린펑 (주장) CB 3 주천제 LB 2 타이어스 브라우닝 RM 21 류빈빈 CM 18 다이위쭌 CM 6 왕상위안 LM 19 류양 RF 7 우레이 CF 11 탄룽 LF 26 왕추밍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FW 9 장위닝 MF 8 쉬신 MF 23 린량밍 MF 10 셰펑페이 감독: 감독: 감독: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최우수 선수: 류양 (중국) 부심: 자이드 샴마리 (사우디아라비아) 야시르 알술탄 (사우디아라비아) 대기심: 나즈미 나사루딘 (말레이시아) 후보 대기심: 모하마드 자이룰 빈 칼릴 탄 (말레이시아) 비디오 판독심: 칼리드 알투라이스 (사우디아라비아) 보조 비디오 판독심: 압둘라 자말리 (쿠웨이트) = = = 레바논 vs 중국 = = = GK 21 모스타파 마타르 CB 18 카셈 엘제인 CB 4 누르 만수르 CB 13 칼릴 카미스 RM 3 마헤르 사브라 CM 25 하산 스루르 CM 20 알리 트네이시 LM 6 후세인 제인 AM 22 바셀 즈라디 CF 7 하산 마투크 (주장) CF 11 오마르 부기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DF 12 알렉산데르 미셸 멜키 MF 10 모하마드 하이다르 FW 9 힐랄 엘헬웨 MF 16 왈리드 슈르 감독: 감독: 감독: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최우수 선수: 모스타파 마타르 (레바논) 부심: 박상준 (대한민국) 김경민 (대한민국) 대기심: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후보 대기심: 안드레이 차펜코 (우즈베키스탄) 비디오 판독심: 김종혁 (대한민국) 보조 비디오 판독심: 김희곤 (대한민국) = = = 타지키스탄 vs 카타르 = = = GK 1 루스탐 야티모프 RB 5 마누체흐르 사파로프 CB 6 바흐다트 하노노프 CB 2 조이르 주라보예프 LB 19 아흐탐 나자로프 (주장) RM 13 아마도니 카몰로프 CM 7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CM 14 알리셰르 슈쿠로프 LM 17 에손 판지샨베 CF 9 루스탐 소이로프 CF 10 알리셰르 잘릴로프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FW 22 샤흐롬 사미예프 FW 15 셰르보니 마밧쇼예프 DF 3 타브레지 다블라트미르 MF 20 알리조니 아이니 FW 25 누리딘 함로쿠로프 감독: 감독: 감독: 페타르 셰그르트 페타르 셰그르트 페타르 셰그르트 최우수 선수: 아크람 아피프 (카타르) 부심: 미하라 준 (일본) 다카기 다쿠미 (일본) 대기심: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후보 대기심: 데시로기 나오미 (일본) 비디오 판독심: 이다 준페이 (일본) 보조 비디오 판독심: 아라키 유스케 (일본) = = = 카타르 vs 중국 = = = GK 1 사드 알시브 (주장) RB 15 바삼 알라위 CB 16 부알렘 쿠키 CB 3 [알마흐디 알리 무흐타르]] LB 18 술탄 알브레이크 RM 9 유수프 압둘라자크 CM 8 알리 아사달라 CM 6 압둘아지즈 하팀 CM 23 모스타파 메샬 LM 13 칼리드 무니르 CF 7 아흐메드 알라엘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21 살라 자카리아 FW 25 아흐메드 알가네히 MF 24 자셈 가베르 GK 22 메샬 바르샴 MF 10 하산 알하이도스 FW 11 아크람 아피프 감독: 감독: 감독: 틴틴 마르케스 틴틴 마르케스 틴틴 마르케스 최우수 선수 바삼 알라위 (카타르) 부심: 압둘하디 알아네지 (쿠웨이트) 아흐마드 압바스 (쿠웨이트) 대기심: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후보 대기심: 안톤 슈체티닌 (오스트레일리아) 비디오 판독심: 아흐마드 알알리 (쿠웨이트) 보조 비디오 판독심: 압델 알나크비 (아랍에미리트) = = = 타지키스탄 vs 레바논 = = = GK 1 루스탐 야티모프 RB 5 마누체흐르 사파로프 CB 6 바흐다트 하노노프 CB 2 조이르 주라보예프 LB 19 아흐탐 나자로프 (주장) RM 15 셰르보니 마밧쇼예프 CM 7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CM 14 알리셰르 슈쿠로프 LM 17 에손 파니샨베 CF 9 루스탐 소이로프 CF 10 알리셰르 잘릴로프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MF 11 무함마드존 라히모프 FW 22 샤흐롬 사미예프 FW 25 누리딘 함로쿨로프 MF 18 루슬란 하이로예프 DF 3 타브레지 다블라트미르 감독: 감독: 감독: 페타르 셰그르트 페타르 셰그르트 페타르 셰그르트 최우수 선수: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타지키스탄) 부심: 와테크 알스와이에디 (이라크) 아흐메드 알바그다디 (이라크) 대기심: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후보 대기심: 라시드 알가이티 (오만) 비디오 판독심: 칼리드 알투라이스 (사우디아라비아) 보조 비디오 판독심: 모함메드 알호이쉬 (사우디아라비아) = = 경고 기록 = = 페어플레이 점수는 팀의 전체 기록과 대결 기록이 같으면 타이브레이커가 적용된다. 다음과 같이 조별리그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첫번째 경고: −1점;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즉각 퇴장: −3점; *경고 후 즉각 퇴장 −4점; 단일 경기에서 한 선수에게 위의 감점 중 하나만 적용된다. 팀 1번 경기 1번 경기 1번 경기 1번 경기 2번 경기 2번 경기 2번 경기 2번 경기 3번 경기 3번 경기 3번 경기 3번 경기 점수 팀 점수 1 1 –2 2 2 1 –7 2 3 3 –8 2 3 1 3 –11 = 나용환 = 나용환(羅龍煥, 1864년 8월 7일 ~ 1936년 8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금성. 천도교 도호는 택암(澤菴)이다. 평안남도 성천(成川) 출생으로, 20대에 동학에 입교하여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는 평안도 지역 동학군으로 참가했다. 1919년 3·1 운동에 민족대표 33인 중 천도교 대표로 참여했다. 이 사건으로 체포되어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했다. 1926년 천도교 교육을 위한 경성시일학교를 세우고 교장으로 취임하는 등 천도교계의 원로로서 일하다가 1936년 사망했다. = = 사후 =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H. C. 블로제트 = H. C. 블로제트(Hugh Carlton Blodgett)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잠재학습이론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는 연구설계로 잘 알려져있다. = 분류:잉글랜드계 잠비아인 = = 분류: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 = 대한민국 체육훈장 5등급 수훈자 기린장 = 분류:이탈리아의 도로 교통 = = 허니문 인 베가스 = 허니문 인 베이거스(Honeymoon in Vegas)는 1992년 공개된 미국의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제임스 칸 니콜라스 케이지 사라 제시카 파커 팻 모리타 = = = 조연 = = = 조니 윌리엄스 존 카포디스 로버트 코스탄조 앤 밴크로프트 피터 보일 버튼 길리암 브렌트 힌클리 딘 핼로 세이무어 카셀 키온 용 대니 케임코너 존 맥마혼 벤 스타인 티이우 릭 안젤라 피트로핀토 조안나 리파리 조슈아 넬슨 캡틴 해거티 코니 키싱거 제이 리처드슨 토니 샬호브 브래드 파커 에스몬드 청 사샤 시메노프 슬라이 스미스 존 패트릭 조지 청 존 D. 사비스 = = 기타 = = 미술: 윌리암 A. 엘리엇 의상: 줄리 웨이스 = 분류:튀르키예의 텔레비전 방송국 = = 분류: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 = 분류:이사벨고등학교 동문 = = 서스피션 (1995년 영화) = 서스피션(Above Suspicion)은 미국에서 제작된 스티븐 샤크터 감독의 1995년 드라마, 스릴러 영화이다. 1995년 5월 21일 HBO를 통해 초연되었다. 크리스토퍼 리브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윌리엄 하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크리스토퍼 리브 ... 뎀시 케인 역 조 맨테그나 ... 앨런 라인하트 역 킴 캐트럴 ... 게일 케인 역 에드워드 커 ... 닉 역 = = = 조연 = = = 제프리 리바스 피놀라 휴즈 윌리암 H. 머시 론 캐나다 나탈리아 노구리치 = = 기타 = = 공동제작: 제리 라자러스 라인프로듀서: 토니 아마툴로 미술: 리처드 쉐먼 의상: 베티 페카 매든 = 틀:대한민국의 박물관 = = 분류:상태별 베트남 사람 = 베트남 en:Category:Vietnamese people by status = 씨성제도 = 씨성제도 또는 씨성제는 고대 일본 야마토 왕권이 중앙 귀족, 나아가 지방 호족의 정치상 기여도 및 지위에 따라 씨와 성을 부여한 것을 이른다. 씨성을 하사받음으로서 특권적 지위를 세습하는 것이 보장되었다. 다이카 개신(大化改新) 이후 율령국가(律令國家)가 형성되고, 호적제가 실시되면서 씨와 성은 과거의 부민 즉 일반 민중에게까지 확대되면서 사회 모든 계층의 국가 신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씨나 성을 가지지 않은 자는 천황을 비롯한 황족, 그리고 노비 뿐이었다. = = 정치제도로서의 씨성제도 = = 원시 공동체에서 사회의 단위를 이룬 것은 씨족(氏族) 또는 부족(部族)이었으며, 씨성 제도의 기반은 동족이란 혈연성에 있었지만 그것이 국가의 정치제도로서 구성된 것은 5~6세기의 일이었다. 동족 가운데 특정 인물에게 오미(臣), 무라지(連), 도모노 미야쓰코(伴造), 구니노 미야쓰코(國造), 모모아마리야소노토모(百八十部), 아가타누시(県主) 등의 지위가 주어지고, 그에 상응하는 씨성이 주어졌다는 점에 특색이 있다. 각 성은 다음과 같았다. 이같이 씨성 제도는 무라지-도모노 미야쓰코―도모(모모아마리야소노토모)라는, 야마토 왕권의 오키미(大王) 아래서 야마토 왕권을 구성하고 직무를 분담하여 그것을 세습하는, 이른바 「부명씨」를 주체로 태어난 것이었다. 그 뒤에는 오미처럼 원래는 오키미와 같은 지위에 있었던 호족에게까지 확장되었다. = = = 부민 등의 사유민(私有民) = = = 씨성은 본래 야마토 왕권을 구성한 오미・무라지・도모노 미야쓰코・구니노 미야쓰코 등의 지배계급이 칭하던 것이었다(오키미 및 그 일족을 제외). 그러나 6세기에는 일반 백성에게까지 보급되었는데, 이들 백성은 조정 즉 천황(天皇)과 후비(后妃), 황자 등의 미야(宮), 나아가 오미, 무라지 등의 호족에게 영유되고 지배되고 있었다. 때문에 일반 백성으로서 조정에 출사해 맡은 직무의 이름을 시나베(品部), 왕의 이름이나 황족의 칭호를 지는 묘다이(名代)・지다이(子代), 둔창(屯倉)의 경작민인 다베(田部) 등이 필연적으로 태어났다. 그들은 선진적인 부민 공공체 속에서 호(戶)를 단위로 편성되었고 6세기에는 적장(籍帳) 즉 호적에 기재되어 정식으로 씨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비해 지방 호족의 지배하에 있던 민부는 재지 족장을 통해 공동체로서 베(部)에 편입되어, 족장을 거쳐 공납하는 형태가 많았다. 때문에 지방호족의 지배하에 있던 일반 백성들까지 6세기 단계에서 씨성이 보급되었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 당시 존재했던 「노비」란 소위「사유민」이라고는 해도 그 실체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호족 등의 영유권에 속한 직제 집단인 「가키베(部民)」를 「사유민」으로 본 것은 소유와 영유의 구별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착오였다. 소유에 기초한 것이 「사유지」, 영유에 근거한 것이 「사령(私領)」이며, 당시 호족은 양쪽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일본에서 토지 사유는 반전수수(班田収授) 제도에 따라서 신청 수수의 길이 열린 것에서 비롯되고 간전(墾田) 사유가 이루어지면서 확대되었다. 「농(農)」이라는 직제는 반전수수에 따라 직능 계급으로서 통치 체제에 포함되었다(농민 이외의 민중이 모두 '백성'이라는 개념 아래 있었던 것은 기키의 기록을 따른다면 분명해 보인다). = = 율령국가 아래에서의 씨의 재편 과정 = = 다이카 개신으로 씨성 제도의 오미・무라지・도모노 미야쓰코・구니노 미야쓰코를 율령국가의 관료로 재편하고 부민을 공민(公民)으로 삼아, 일률적으로 국가에 귀속시켰다. 덴지 천황(天智天皇) 3년(664년)에 「가쓰시(甲子)의 선(宣)」이 내려졌다. 그것은 다이카(大化) 이래의 관위를 고쳐 대씨, 소씨, 반조씨를 정하고, 각각의 씨상과 그에 속한 씨인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즉 관위의 개정에 따라 대금위(大錦位, 오오우지), 소금위(小錦位, 고우지), 즉 율령에서의 4, 5위 이상으로 규정된 우지노가미로 정한 것이며, 이에 따라 조정 내의 관위 제도와 전국의 씨성 제도를 연동시키고자 했다. 나아가 이러한 우지노가미에 속하는 그들을 부계에 의한 직계 친족으로 한정시켜, 종래의 부계나 모계 원리에 따른 막연한 그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모노노베유게(物部弓削), 아베노후세(阿倍布勢), 소가노이시카와(蘇我石川) 등의 복성(複姓)은 이후 원칙적으로 소멸하였다. 덴무 천황(天武天皇) 13년(684년),「팔색의 성」이 제정되었다. 그 목적은 상위의 네 개의 성(姓), 즉 마히토(眞人), 아손(朝臣), 스쿠네(宿禰), 이미키(忌寸)를 정하는 것이었다. 마히토는 게이타이 천황(継体天皇)으로부터 5세(世) 이내의 세대의 씨에게 수여되었다고 하며, 황자와 여러 왕에 이어 황친 씨족을 특정한 것으로 아스카기요미하라령(飛鳥浄御原令)에서 관위를 황자나 여러 왕과 귀족(모든 신하)으로 구별한 것과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귀족의 성은 아손, 스쿠네, 이미키의 세 개였다. 이상이 「가쓰시의 선」의 대씨, 소씨, 반조씨의 발전형이었고, 그러한 가운데 귀족의 재편이 진행되어 52개의 아손과 50개의 스쿠네, 11개의 이미키가 수여되었다. 다이호 원년(701년)에 제정된 다이호 율령(大寶律令)에서는 귀족 3위 이상과 4, 5위 관위에 따른 특권을 명확히 규정하였다. 이에 대응하는 씨성도 일단 완성되었다. 지방 호족에 대해서도 이듬해인 다이호 2년(702년), 여러 구니(国)의 구니노 미야쓰코의 씨성을 정부에 등록함으로써 중앙의 호족과 같은 대응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다. 일반 공민에 대해서는 이미 덴지 천황 9년(670년)에 작성된 호적, 이른바 경오년적(庚午年籍)과, 지토 천황(持統天皇) 4년(690년)에 작성된 호적인 경인년적(庚寅年籍)에 따라, 모든 호적에 등재되어 베의 성을 위주로 한 씨성 제도가 완성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현존하는 다이호 2년에 제작된 호적에는 씨성이 기입되어 있지 않거나, 구니노 미야쓰코족(族), 아가타누시족 등으로 기재된 경우가 많아서 이때까지도 아직 씨성이 없거나 족성(族姓)을 쓰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덴표호지(天平宝字) 원년(757년)에 호적에 성이 없는 것으로 기재된 자와 족성을 쓰고 있던 자도 그대로 기록하던 것이 중지되었다. 이들은 지방 호족의 지배하에 있던 백성으로 #. 소속이 정해지지 않은 성이 없는 자 #. 구니노 미야쓰코, 아가타누시의 공동체에 속한 것으로 보이는 족성을 가칭한 자 #. 성을 수여받지 못한 새로운 귀화인(도래인) 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후 이러한 사람들에게도 정식으로 씨성이 주어졌다. 8~9세기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개성(改姓) 혹은 사성(賜姓)은 야쿠사노 성에서 상급 성씨에서 제외된 하급 신분의 사람이나 이러한 농민들을 주요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그 순위는 #. 성이 없는 자 #. →미야쓰코(造), 기미(公), 후비토(史), 스쿠리(勝), 스구리(村主), 히토(拘登) #. →무라지 순이었다. 이것은 덴무조(朝)에서 우지노가미에 상당하는 씨가 야쿠사노 카바네로 개성하는 전단계로서 먼저 무라지로의 개성이 이루어졌다가 이 무라지=소금위 이상을 기점으로 이미키 이상의 네 개의 성으로 고쳐진 것과 같았다. 우지노가미였던 이미키 이상에 대해서도 보충적으로 씨성 변경이 이루어졌는데, 씨의 이름을 가스가에서 오오가쓰가(大春日), 나카토미(中臣)에서 오오나카토미(大中臣), 스쿠네(宿禰)에서 오오스쿠네(大宿禰)로의 변경 등으로 씨성 제도는 전반적으로 보다 치밀하게 침투해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우선 수위(首位)의 승서, 다음으로 그에 이어진 직계 친족에 한정된 씨성 변경이라는 순서를 거치면서 동족 가운데서 유력자가 배출되었다는 점인데, 이러한 개성, 사성을 허락할 권한은 천황에게 있었다. = = 씨성 제도의 변질 = = 9세기에 섭관정치에 의해 후지와라노 아손(藤原朝臣)이 가장 큰 힘을 얻었다. 또한 간무 천황(桓武天皇)으로부터 다이라노 아손(平朝臣), 세이와 천황(清和天皇) 등으로부터 미나모토노 아손(源朝臣) 등의 씨・성이 생겨나는 등, 여러 황자에게 씨성을 내리는 신적강하(臣籍降下)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들의 존재로 인해 율령적인 씨성 제도는 인재 등용의 제도로서는 거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율령제적인 호적제도도 점차 시행되지 않게 되어, 10세기에는 지방 호족으로 실력을 지른 자가 유력한 귀족의 게닌(家人)이 되어, 그 씨성을 침범하는 이른바 모명가음(冒名仮蔭) 현상이 일반화되었다. 결국 일본에서 씨성은 겐페이도시쓰(源平藤橘)나, 기(紀), 스가와라(菅原), 오에(大江), 나카하라(中原), 사카노우에(坂上), 가모(賀茂), 오노(小野), 고레무네(惟宗), 기요하라(清原) 등으로 집중되기에 이른다('가업'의 성립으로 특정 가문이 특정 지위를 세습하는 것이 고정된 것도 한몫했다). 에치젠(越前)의 쓰루가 씨(敦賀氏), 아쓰타 오오구지(熱田大宮司) 집안 등이 후지와라 집안에서 양자를 맞아들여 그들 가문이 후지와라노 아손을 자칭하거나, 이러한 씨의 여자를 맞아들여 모계로서 후지와라노 아손 및 다른 씨성을 칭하기도 했다. 무사(武士) 또한 지토(地頭)로서 본가나 영가(領家)의 씨성을 모칭하는 자들이 늘어났고, 같은 성이 난무하는 가운데 더욱 족명을 구분할 필요성이 생겨나면서 귀족은 가명(家名), 무사는 묘지(名字)가 생겨났다. 씨성 외에도 발달한 것이 아자나(字)인데, 게미요(仮名)나 요비나(呼名)라고도 하는 일종의 사칭이었다. 이미 일본영이기(日本霊異記)에 기이국(紀伊国) 이도 군(伊刀郡) 사람인 후미노 이미키(文忌寸)를 우에다 사부로(上田三郎)라 칭한 경우가 있는데, 우에다란 이도 군 우에다 읍(上田邑)의 지명이고 사부로(三郎)란 셋째 아들이라는 뜻이다. 씨성을 대신하게 된 묘지(苗字, 名字)는 이처럼 아자나의 한 부분에서 갈라져나온 것인데, 초기의 묘지는 자신의 거주지와 영지의 이름이었기에 같은 아버지를 둔 형제지간은 물론 부자지간도 서로 묘지가 다른 경우가 많았으나, 이윽고 묘지가 가명・일족의 이름을 의미하게 되면서 다른 구니로 옮겨가도 일족의 묘지는 바뀌지 않게 된다. 이렇게 묘지는 12세기 이후 씨성과 동일하게 쓰였다. 오늘날 일본에서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세이(姓)의 특징이란 기본적으로 이 묘지에서 발생한 것이다. = 그레보어 = 그레보어는 라이베리아에 거주하는 그레보족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크루어군에 속해있으며 가까운 언어로는 크루멘어, 자보어, 글리오우비어가 있다.다른 크루어군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성조가 있으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고음 né는 1인칭 대명사인 '나'를 나타내고, 저음 né는 대명사 '너'의 복수형을 나타낸다. = E-girls = E-girls는 LDH에 소속된 여성 그룹 Happiness, Flower를 중심으로 결성된 걸즈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이다. 크리에이티브 매니저:다카모토 아야 캐치프레이즈는, 〈EXILE의 D.N.A를 이어 받는 걸즈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등. = = 내력 = = 2011년 4월부터, 이벤트 〈E-Girls SHOW〉를 개최. 12월 28일, 싱글 〈Celebration!〉으로 데뷔. 2012년 12월, LDH 프로젝트 개시와 함께, 〈E-Girls〉에서 〈E-girls〉로 표기가 변경되었다. 2013년 4월 17일, 1st 앨범 《Lesson 1》을 발매. 11월 25일, 《제64회 NHK 홍백가합전》에 첫 출장하는 것이 결정된다. 12월 31일, 《제64회 NHK 홍백가합전》에 첫 출장한다. 2014년 1월, HIRO (EXILE)에 의해 E-girls의 리더로 Aya (Dream)가 임명된다. 3월 19일, 2nd 앨범 《COLORFUL POP》을 발매. 7월, 첫 단독 투어 《COLORFUL LAND》를 개최. 11월 26일, 《제65회 NHK 홍백가합전》에 출장하는 것이 결정된다. 2015년 1월 1일, 3rd 앨범 《E.G. TIME》을 발매. 1월 27일, 26명에서 20명으로 인원을 축소하고 새로운 체제로 이행. 새롭게 하부 조직이 되는 그룹, Rabbits, Bunnies가 만들어졌다. 2월 ~ 3월, 아레나 투어 《E-girls LIVE TOUR 2015 COLORFUL WORLD》를 개최. 2016년 2월 10일, 첫 베스트 앨범 《E.G. SMILE -E-girls BEST-》를 발매. 3월 ~ 8월, 아레나 투어 《E-girls LIVE TOUR 2016 ~E.G. SMILE~》을 개최. 2019년 12월 22일, 2020년말을 기해 그룹은 해산하는 것을 발표. = = 구성원 = = ImageSize = width:800 height:500 PlotArea = width:600 height:420 left:75 bottom:80 Alignbars = justify DateFormat = mm/dd/yyyy Period = from:12/28/2011 till:202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format:yyyy Colors = id:Dre value:rgb(1,0,0) legend:Dream id:Hap value:rgb(1,0.5,0) legend:Happiness id:Flo value:rgb(1,1,0) legend:Flower id:EGD value:rgb(0.5,1,0) legend:EGD/E-girls id:Rab value:rgb(0.66,0.66,0.66) legend:Rabbits id:Bun value:rgb(0.33,0.33,0.33) legend:Bunnies id:Hia value:rgb(0,0,0.9) legend:Hiatus Legend = orientation:vertical position:right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1 start:2012 gridcolor:black PlotData = color:blue width:7 textcolor:black align:left anchor:from bar:Yamamoto-S from:start till:03/31/2012 Color:Dre bar:Erie from:start till:12/31/2016 Color:Dre bar:Shizuka from:start till:07/16/2017 Color:Dre bar:Aya from:start till:07/16/2017 Color:Dre bar:Ami from:start till:07/16/2017 Color:Dre bar:Mimu from:start till:01/26/2012 Color:Hap bar:Mimu from:01/27/2012 till:10/25/2012 Color:Hia bar:Sugieda from:start till:07/31/2012 Color:Hap bar:Sugieda from:08/01/2012 till:08/01/2013 Color:Hia bar:Sugieda from:08/02/2013 till:04/07/2014 Color:Hap bar:Miyuu from:start till:07/16/2017 Color:Hap bar:Yurino from:start till:end Color:Hap bar:Sayaka from:start till:end Color:Hap bar:Kaede from:start till:end Color:Hap bar:Fujii-K from:start till:end Color:Hap bar:Suda from:04/18/2012 till:05/30/2013 Color:EGD bar:Suda from:05/31/2013 till:end Color:Hap bar:Kawamoto from:01/12/2013 till:05/30/2013 Color:EGD bar:Kawamoto from:05/31/2013 till:07/16/2017 Color:Hap bar:Mizuno from:start till:10/18/2013 Color:Flo bar:Muto from:start till:10/12/2014 Color:Flo bar:Ichiki from:start till:10/07/2015 Color:Flo bar:Fujii-S from:start till:07/16/2017 Color:Flo bar:Shigetome from:start till:07/16/2017 Color:Flo bar:Nakajima-Mi from:start till:07/16/2017 Color:Flo bar:Washio from:start till:09/20/2019 Color:Flo bar:Washio from:09/20/2019 till:end Color:EGD bar:Bando from:start till:09/20/2019 Color:Flo bar:Bando from:09/20/2019 till:end Color:EGD bar:Sato from:start till:09/20/2019 Color:Flo bar:Sato from:09/20/2019 till:end Color:EGD bar:Kizu from:04/18/2012 till:07/02/2013 Color:EGD bar:Ikuta from:08/01/2012 till:01/26/2015 Color:EGD bar:Ikuta from:01/27/2015 till:06/01/2016 Color:Rab width:3 bar:Hanayama from:08/01/2012 till:01/12/2013 Color:Bun bar:Yamamoto-R from:08/01/2012 till:01/12/2013 Color:Bun bar:Oishi from:08/01/2012 till:01/12/2013 Color:Bun bar:Vats from:08/01/2012 till:01/12/2013 Color:Bun bar:Takeda from:08/01/2012 till:04/20/2014 Color:Bun bar:Ishii from:08/01/2012 till:11/21/2014 Color:Bun bar:Inagaki from:08/01/2012 till:11/21/2014 Color:Bun bar:Inagaki from:11/22/2014 till:01/26/2015 Color:EGD bar:Inagaki from:01/27/2015 till:01/02/2016 Color:Rab width:3 bar:Hagio from:08/01/2012 till:11/21/2014 Color:Bun bar:Hagio from:11/22/2014 till:01/26/2015 Color:EGD bar:Hagio from:01/27/2015 till:01/31/2016 Color:Rab width:3 bar:Takebe from:08/01/2012 till:11/21/2014 Color:Bun bar:Takebe from:11/22/2014 till:01/26/2015 Color:EGD bar:Takebe from:01/27/2015 till:12/28/2015 Color:Rab width:3 bar:Takebe from:12/29/2015 till:end Color:EGD bar:Yamaguchi from:08/01/2012 till:11/21/2014 Color:Bun bar:Yamaguchi from:11/22/2014 till:end Color:EGD bar:Ishii from:11/22/2014 till:end Color:EGD bar:Nakajima-Mo from:09/02/2013 till:01/26/2015 Color:EGD bar:Nakajima-Mo from:01/27/2015 till:01/07/2016 Color:Bun width:3 bar:Watanabe from:10/11/2013 till:01/26/2015 Color:EGD bar:Watanabe from:01/27/2015 till:04/01/2016 Color:Rab width:2 Happiness MIYUU (1996년 8월 16일 ~ )-Happiness리더 SAYAKA (1995년 9월 20일 ~ ) 카에데 (1996년 1월 11일 ~ ) 후지이 카렌 (1996년 7월 16일 ~ )-E-girls서브리더 YURINO (1996년 2월 6일 ~ )-스단나유즈유리멤버 스다 안나 (1997년 10월 12일 ~ )-E-girls서브리더, 스단나유즈유리멤버 카와모토 루리 (1996년 4월 12일 ~ ) Flower 시게토메 마나미 (1994년 12월 11일 ~ )-Flower리더 나카지마 미오 (1993년 11월 23일 ~ ) 와시오 레이나 (1994년 1월 20일 ~ ) 반도 노조미 (1997년 9월 4일 ~ ) 사토 하루미 (1995년 6월 8일 ~ )-E-girls리더 스단나유즈유리 YURINO (1996년 2월 6일 ~ )-Happiness멤버 스다 안나 (1997년 10월 12일 ~ )-서브리더, Happiness멤버 타케베 유즈나 (1998년 6월 17일 ~ )-그외멤버 그 외 이시이 안나 (1998년 7월 11일 ~ ) 야마구치 노노카 (1998년 3월 8일 ~ ) 타케베 유즈나 (1998년 6월 17일 ~ )-스단나유즈유리멤버 = = 음반 목록 = = = = = 싱글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 순위 1 2011년 12월 28일 Celebration! 7위 2 2012년 4월 18일 One Two Three 12위 3 2012년 10월 3일 Follow Me 2위 4 2013년 2월 20일 THE NEVER ENDING STORY 2위 5 2013년 3월 13일 CANDY SMILE 6위 6 2013년 10월 2일 Kissing You미안해요의 Kissing You 2위 7 2013년 11월 20일 뱅글뱅글 2위 8 2014년 2월 26일 Diamond Only 2위 9 2014년 7월 9일 E.G. Anthem -WE ARE VENUS- 2위 10 2014년 8월 13일 춤추는 퐁포코링 5위 11 2014년 9월 10일 Highschool ♡ love 2위 12 2014년 11월 26일 Mr.Snowman 2위 13 2015년 5월 20일 Anniversary!! 3위 14 2015년 9월 30일 Dance Dance Dance 4위 15 2015년 12월 23일 Merry × Merry Xmas★ 4위 16 2016년 7월 20일 E.G. summer RIDER 2위 17 2016년 8월 10일 Pink Champagne 2위 18 2016년 11월 30일 Go! Go! Let's Go! 19 2017년 7월 26일 Love☆Queen 20 2017년 12월 6일 北風と太陽 = = = 앨범 = = = = = = = 오리지널 앨범 =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 순위 1 2013년 4월 17일 Lesson 1 1위 2 2014년 3월 19일 COLORFUL POP 1위 3 2015년 1월 1일 E.G. TIME 1위 4 2017년 1월 18일 E.G. CRAZY 1위 = = = = 베스트 앨범 =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 순위 1 2016년 2월 10일 E.G. SMILE -E-girls BEST- 2위 = = 수상 = = MTV Video Music Awards Japan 2014 최우수 안무상 (〈미안해요의 Kissing You〉) = 근대 일본의 관제 = 근대 일본의 관제 (近代日本の官制, きんだいにほんのかんせい)는 왕정복고의 대호령에 의해 메이지 유신이 성립된 1868년 1월 3일 이후의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국가기관의 변천을 개관한다. 근대 이전의 율령 관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관제를, 현재의 관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국가기관을 참조. = = 삼직제 = = 1868년 1월 3일 신설) 총재 : 부총재 신설) 정의 (議定) : 황족, 공경, 제후 신설) 참여 (参与) : 공경, 제후, 징사(徵士) 폐지) 섭정 · 관백 · 막부, 내람 · 勅問御人数・国事御用掛・議奏・武家伝奏, 수호 직 · 所司代 1868년 2월 10일 : 분과 신설) 신기神祇事務科 / 국내内国事務科 / 외국外国事務科 / 해륙군海陸軍事務科 / 회계会計事務科 / 형법刑法事務科 / 제도료制度寮 1868년 2월 25일 : 분국으로 변경) 총재국 総裁局 / 신기神祇事務局 / 内国事務局 / 外国事務局 / 軍防事務局 / 会計事務局 / 刑法事務局 / 制度事務局 징사徴士・공사貢士의 신설 1868년 4월 6일 : 五箇条の御誓文 발표 = = 태정관제 = = = = = 정체서 = = = 정체서政体書로 정의 태정관 아래 의정관 : 상국(의정/참여), 하국(공의소/집의원) 행정관 : 신기관 / 会計官 / 軍務官 / 外国官 / (民部官) 형법관 신기관 : 선교사宣教使 태정관 아래 대소원待詔院 / 집의원集議院 민부성民部省 / 대장성 / 병부성 / 궁내성宮内省 / 외무성 / 공부성 / 사법성司法省(형부성/탄정대) 대학교大学校(문부성) / 개척사開拓使 = = = 삼원제 = = = 1871년 9월 13일 - 1875년 4월 14일 태정관 정원 : 태정대신 / 좌대신 / 우대신 / 참의 좌원 : 향후 원로원으로 우원 = = = 메이지 8년의 관제 = = = 1875년 4월 14일 - 1885년 12월 22일 대심원 : 상등재판소上等裁判所 / 지방地方裁判所 정원 : 태정대신 / 좌대신 / 우대신 / 참의 대장성 / 육군성 / 해군성 / 사법성 / 궁내성 / 외무성 / 내무부 / 교육부 / 교부성教部省(신기성) / 공부성 / 농상무성 / 개척사 = = 내각제 = = 행정 내각 : 총리대신 외무대신 / 내무대신 / 대장대신 / 육군대신 / 해군대신 / 사법대신 / 문부대신 / 농상무대신 / 체신대신 사법 : 대심원 / 상등재판소上等裁判所 / 지방地方裁判所 입법 : 원로원元老院 궁중 : 내대신 (내대신부内大臣府) / 궁내대신 행정 : 내각, 국무각대신 (9성 동일) 사법 : 재판소 / 대심원 / 항소원控訴院 / 지방재판소 / 구재판소区裁判所 입법 : 제국의회 / 귀족원 / 중의원 궁중 : 내대신 / 궁내대신 자문諮詢 : 추밀원 / 추밀고문관枢密顧問官 회계검사 : 회계검사원 입법 : 국회 (중의원, 참의원) / 사무국, 법제국 사법 : 법원 / 최고재판소 / 고등법원 / 지방법원 / 간이재판소 행정 : 내각 총리 / 국무대신 일본 내각관방 인사원 궁내부宮内府 총리 청 외무성 내무성 대장성 사법성 문부성 후생성 농림성 상공성 운수성 체신성 경제안정본부 물가청 복원청復員庁 행정조사부 회계검사 : 회계검사원 입법 : (동일) 사법 : (추가) 가정재판소 행정 : 내각 총리 / 국무대신 일본 내각관방 내각법제국 안전보장회의 인사원 내각부 (궁내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공안위원회 / 경찰청 금융청 소비자청) 부흥청 총무성 법무성 외무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환경성 방위성 = = 참고 = = 내각 기록 국 "단행본 · 메이지 직 관 연혁 표 ·職官부 한"국립 공문서 관 (ref.A07090183000).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체제 - 지방관회의.태정관.천황 | 박삼헌 | 소명출판 | 2012년 2월 = 분류:안도라의 유도 선수 = = 분류:1991년 발효된 조약 = = 캐피털 시티 Go-Go = 캐피털 시티 Go-Go(Capital City Go-Go)는 미국 워싱턴 D.C.를 연고지로 하는 NBA G 리그 동부 콘퍼런스 소속 프로 농구 팀이다. = = 역대 NBA 제휴팀 = = NBA 팀 제휴기간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워싱턴 위저즈 2018년~현재 = = 역대 홈경기장 = = 경기장 사용기간 장소 수용인원 비고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캐피털 시티 Go-Go 엔터테인먼트 앤 스포츠 아레나 2018년~현재 워싱턴 D.C. 4,200명 개발리그 = 분류:러시아계 폴란드인 = = 베오르 가문 = 베오르 가문은 청색산맥을 넘어 벨레리안드에 정착한 인간 가문이다. 이들은 에다인 세 가문 중 하나로 알려졌다. 유명한 이로 초대 족장 베오르, 바라히르, 베렌 등이 있다. 모르고스가 파멸한 2시대부터는 누메노르, 청색산맥 동쪽의 가운데땅에서 번성했다. = 비디오 게임 에뮬레이터 목록 = 다음은 아케이드 게임, 가정용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의 비디오 게임 시스템 에뮬레이터 목록이다. = = 아타리 = = PC 아타리 에뮬레이터 스텔라 = = 마이크로소프트 = = 제니아 = = 닌텐도 = = = = = 가정용 콘솔 = = = FCEUX NESticle Nestopia RockNES X Snes9x ZSNES BSNES 1964 Mupen64Plus 프로젝트64(Project64) 프로젝트 언리얼리티(Project Unreality) UltraHLE MN64(MegaN64) 돌핀(Dolphin) Cemu = = = 핸드헬드 = = = BoycottAdvance 비주얼보이어드밴스 (게임보이와 게임보이 컬러도 지원) DeSmuME NO$GBA (게임보이 어드밴스도 지원) Citra = = 소니 = = Bleem! bleemcast! 커넥틱스 버추얼 게임 스테이션(Connectix Virtual Game Station) EPSXe PCSX PCSX2 RPCS3 PPSSPP = = 멀티 시스템 에뮬레이터 = = 멀티 시스템 에뮬레이터는 여러 시스템의 기능을 에뮬레이트할 수 있다. higan MAME, MESS Mednafen OpenEmu RetroArch UAE matstu player BizHawk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 = = 분류:수박도 = = 헬레나 칼리아니오츠 = 헬레나 칼리아니오츠(Helena Kallianiotes, 1938년 3월 24일 ~ )는 미국의 배우, 댄서, 영화배우이다.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뒤로 가는 남과 여 (1989년) - 그레이스 카렐리 역 용의자 (1982년) 유월절 음모 (1976년) 스테이 헝그리 (1976년) 명탐정 하퍼 2 (1975년) 생크스 (1974년) 진정한 승리 (1972년) 더 베이비 메이커 (1970년) - 완다 역 잃어버린 전주곡 (1970년) = 분류:나라별 태권도 대회 = = 산악흙파는쥐 = 산악흙파는쥐 또는 산악주머니고퍼(Thomomys monticola)는 흙파는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캘리포니아주와 네바다주에서 발견되며, 미국 서부의 토착종이다. 시에라네바다산맥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 PC 엔진 코어그래픽스(PC Engine CoreGrafx, )는 NEC 홈 일렉트로닉스에서 발매된 PC 엔진의 후기 모델이다. 1989년 12월 8일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하드웨어 사양은 초기의 PC 엔진과 동일하며, AV 출력과 본체 색상 등이 변경되었다. 1991년 6월 21일에는 염가판인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II도 발매되었으며, 확장 슬롯을 갖추어 CD-ROM2 등의 각종 주변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다. = 분류:1998년 루마니아 = = 분류:독일의 남자 무술가 = = 금현성 = 금현성(金峴城)은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한수면 덕곡리, 한수면 탄지리 접경지역에 걸쳐 있는 성곽이다. = = 위치 = = 금현성(金峴城)은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한수면 덕곡리, 한수면 탄지리 접경지역에 걸친 북형산(北兄山) 또는 와룡산(臥龍山)에 소재하며, 좌표는 N36 55.707 E128 06.704이다. 이 성안에 고산사(高山寺)가 있다. 금현성은 백제의 성곽으로 신라 진흥왕이 공취하여 남한강 하류지역과 상류지역에 고구려의 10군을 점령할 수 있는 전초기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 = = 소재지와 전적사료 = =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삼국사기》三國有名未詳地分 金峴城은 미상으로 분류되어 지리적인 위치의 학설은 충북 진천군 진천읍으로 비정,민덕식《高句麗 道西縣城考》(1983) 충남 연기군 전의 로 비정이병도《국역 삼국사기》(1977)하고 있지만, 삼국항쟁의 전적과 지리적으로 불합리하며 성곽의 명칭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백제의 금현성(金峴城)과 관련 전적사료는 이사부(異斯夫) 열전에, 진흥왕 11년(550)에, 백제가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을 쳐서 빼앗자 고구려는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을 함락시켰다. 진흥왕은 두 나라 병사가 피로에 지친 틈을 타서 이사부에게 병사를 내어 그것을 공격하도록 명령하였다. 두 성을 빼앗아 증축하고 갑사(甲士)가 머무르게 주둔하여 지켰다. 이때 고구려에서 병사를 보내 와서 금현성(金峴城)을 공격하였지만,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이사부가 그것을 추격하여 대승하였다.《三國史記 卷第四十四 列傳 第四 異斯夫 》眞興王 在位十一年大寳元年百濟拔髙句麗道薩城 髙句麗䧟百濟金峴城主 乘兩國兵疲命 異斯夫出兵擊之取二城増築留申士 戍之時髙句麗遣兵來攻金峴城不克而還 異斯夫追擊之大勝.라는 사료에서 백제의 금현성(金峴城)과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을 신라가 공취하여 죽령(竹嶺) 이북 지역의 고구려의 강역 10군신채호《조상상고사》에 10군의 비정은 지금의 죽령에서 북쪽으로 제천(堤川), 원주(原州), 횡성(橫城), 지평(砥平), 홍천(洪川), 가평(加平), 춘천(春川), 낭천(狼川) 순위로 점령한 것으로 보았다.과 청풍강 하류 한성(漢城) 지역을 점령할 수 있었다. 진흥왕 12년(551) 봄 3월에, 왕이 순수(循守)하다가 낭성(娘城)에 이르러서 우륵(于勒)과 그의 제자 니문(尼文)이 음악을 안다는 것을 듣고 특별히 그들을 불렀다. 왕이 하림궁(河臨宮)에 머무르며 그 음악을 연주하게 하였는데, 두 사람이 각각 새로 지은 노래를 연주하였다.《三國史記 卷第四 新羅本紀 第四》라는 사료에서 진흥왕이 백제의 금현성과 고구려의 도살성을 공취한 청풍강 유역의 점령지역에 낭성(娘城)을 순수하여 하림궁(河臨宮)에서 우륵(于勒)을 만나 새로 지은 청풍체(淸風體) 하림조(河臨調)를 경청하였다.《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2013) = = 명칭 유래 = = 이 성은 월악산의 북쪽에 위치하여 월형산(月兄山)에서 비롯한 북형산성(北兄山城)《제천군지》(1969)과 용이 누운 형상의 와룡산(臥龍山)의 형국에서 따온 와룡산성(臥龍山城)《제천의 옛성터2》(2000)으로 보고되었지만, 월악산의 북쪽에 북형산과 용이 누운 와룡산은 역사성이 없다.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은 쇠(金)와 관련한 성곽의 명칭으로 금곡산(金谷山)은 청풍군 서쪽 26리에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청풍군 산천라는 사료에 실린 금곡산(金谷山)《대동여지도》을 도식하여 지금의 와룡산과 월형산이 금현성의 소재지로 고증된다. 금곡산(金谷山)에 쇠가 났다는 쇠시리재는 한수면 덕곡리 골안 남쪽에서 탄지리로 가는 고개《제천시지》(2004)는 성곽의 진입로의 고갯길에 금현(金峴)과 일체성을 보여주므로 금현성(金峴城)으로 고증된다. 신라 진흥왕이 550년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과 백제의 금현성(金峴城)을 공취하면서 남한강 유역에서 영토를 확고히 수비하기 위해서는 단양 적성(赤城)에서 고구려의 세력을 봉쇄하기 위하여 지금의 중앙고속도로와 단양 상류지역에 고구려의 10군(郡)을 공취한 것이다.《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2013) = = 백제의 금현성 = = 금현성(金峴城)은 고로봉형산성(栲栳峰形山城)으로 산능선을 에워싼 석축과 토축으로 자연성벽을 포함하여 온 둘레는 약 2.75km에 이른다. 성안에 식수가 풍족하며, 1950년 한국동란 때 최후의 격전지였다. 금현성(金峴城)은 지리적으로 단양 도살성(道薩城)에서 서쪽으로 모녀현(毛女峴)을 넘어 성천(城川)과 광천(廣川)이 합수머리 금곡산(金谷山)에 웅거하면서 배후에 청풍강(淸風江)과 연접하여 성안에서 농성(籠城)하면서 한강하류의 진격로를 공수(攻守)하였다. 금현성(金峴城)은 동쪽으로 다랑산(591m), 북쪽으로 골안(谷內) 마령(馬嶺)과 경심령성(驚心嶺城), 서쪽으로 등곡산(嶝谷山), 남쪽으로 월악산(月嶽山) 덕주산성(德周山城), 북북서쪽으로 쇠시리재(金峴), 동북동쪽으로 꼬부랑재(曲峴) 등 8방의 관망권과 연계하면서 배후에 남한강을 수비할 수 있는 지형이다. 금현성(金峴城)은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추격전에서 고구려 군사를 대패한 광천에 금곡마을에 살패(殺敗)의 지명이 전승한다. 금현성(金峴城)은 지리적으로 청풍강(淸風江)에 인접하면서 지류인 성천(城川), 광천(廣川), 송계 계립천(鷄立川)을 아우르며, 단양, 충주, 제천, 청풍 방면으로 통하는 요충지를 신라가 공취하면서 신라가 한강하류 지역과 죽령(竹嶺) 이북 고현(高峴) 이내 고구려의 10군을 점령할 수 있었다.《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2013) = = 550년 신라 공취후 전적삼국사기 = = 신라 진흥왕이 550년에 한강유역에서 고구려의 도살성과 백제의 금현성을 공취한 이후 554년에 관산성(管山城)의 전적에 의거 금현성을 충북 진천의 내륙지방과 충남 연기의 비정은 지리적으로 위치가 격리되어 부적합하므로 개입할 수 없다. 연 도 주 요 전 적 진흥왕 11년(550)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과 백제의 금현성(金峴城) 이찬 이사부(異斯夫) 공격 두 성을 공취 진흥왕 12년(551) 3월 낭성 하림궁 우륵(于勒) 가야금 탄주 진흥왕 12년(551) 거칠부(居柒夫) 고구려의 10군 공취 진흥왕 15년(554) 관산성(管山城) 각우 우덕(于德)과 이찬 탐지(耽知) 방어 불리 신주(神州) 군주 무력(武力) 주병(州兵)과 고전, 비장 3년산군(三年山郡) 고간(高干) 도도(都刀) 급히 적공격 백제왕(百濟王) 죽임 진흥왕 16년(555) 정월 완산주(完山州) 비사벌(比斯伐) 설치 진흥왕 16년(555) 10월 북한산(北漢山) 순행 진흥왕 18년(557) 국원(國原)에 소경(小京) 설치 진흥왕 19년(558) 신라 귀척 자제 6부의 호민(豪民) 국원소경(國原小京)에 옮김 진흥왕 23년(562) 9월 가야 반란 異斯夫 토평 진흥왕 26년(565) 아손 춘부(春賦) 국원(國原)에 가서 지키게 함 = = 참고 자료 = = 「한중일 국가기원과 그 역사」, 진흥왕의 전략, 김성호, 김상한 저, 맑은소리(2008년, 188~201p) = 라이허 = 라이허(賴和, 1894년 5월 28일 ~ 1943년 1월 31일)는 타이완의 시인이다. 20세기 초 타이완에서 시대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와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지식인 중 한 명이자 타이완에 대한 일본의 식민 지배 역사와 일생을 거의 함께했던 인물이다. = = 생애 = = 라이허는 청나라 광서(光緖) 20년 5월 28일 장화(彰化)에서 태어났으며, 1895년 청일전쟁에서 중국의 패배로 인해 태어나자마자 일본제국의 식민지 신민이 되었고, 일제 당국에 의해 두 차례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타이완이 해방되기 직전인 1943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본명은 라이허(賴河)이고, 한의사 집안에서 자라면서 한문을 포함해서 전통교육을 받는 한편 신식 학교를 다닌 끝에 타이베이에 있던 타이완 총독부 의학교를 졸업했다. 그 후 약간의 수습 기간을 거쳐 1917년 고향 장화에서 병원을 개업했으며, 이듬해부터 1년여 동안 샤먼(厦門)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기도 했으나 곧 타이완으로 돌아와 평생 고향 사람들에게 헌신했다. 당시 장화 사람들은 그를 삼국지에 나오는 화타처럼 추앙했고, 그가 사망한 뒤에는 그의 묘에 난 풀을 뜯어 약으로 쓰면 효험이 있다고 해 그의 묘는 항상 반지르르했다고 한다. 그는 의사 일을 하면서 창작 활동을 겸했는데, 대개 낮에는 병원 일에 쫓겨 시간이 없었고 주로 밤에 잠을 설쳐 가며 작품을 썼다. 하지만 그런 중에도 1925년부터 1935년 사이 약 10년간 소설과 시를 포함해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다. 라이허는 1925년 8월 처음으로 산문 <무제(無題)>와 시 <깨달은 희생(覺悟的犧牲)>을 발표했다. 당시 라이허는 구시(舊詩)에서부터 신시(新詩), 산문, 소설 할 것 없이 모두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고, 그를 거치면서 타이완의 문학이 큰 변화를 보였기 때문에 그는 많은 작가들로부터 한결같은 존경을 받았다. 그의 작품 중 소설로는 <흥 겨루기(鬪鬧熱)>(1926), <저울(一杆稱子)>(1926), <마음 같지 않은 신년(不如意的過年)>(1928), <뱀 선생(蛇先生)>(1930), <모욕?!(辱?!)>(1931), <낭만외기(浪漫外紀)>(1931), <귀향(歸家)>(1932), <풍작(豊作)>(1932), <말썽(惹事)>(1932) 등 약 30편의 단편이 있으며, 주로 ≪타이완민보(臺灣民報)≫에 게재되었다. 라이허는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서 자신이 직접 경험한 암울한 시대 상황을 작품을 통해 절실하게 증언했다. 그의 작품은 타이완의 현실 상황과 타이완 사람들의 심리 상태를 핍진하게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20세기 전반 타이완의 역사를 생동감 있게 기록해 놓고 있다. 그의 산문 역시 탁월한 풍자 기법을 사용해 식민 지배자의 추악한 면모와 잔인한 본성을 폭로, 비판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그의 초기 작품에는 강렬한 민족의식과 더불어 초지일관 약자의 편에 서서 강자를 비판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1921년 라이허는 타이완문학협회에 가입하면서 신문학의 편집과 출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타이완에서 전개된 신구(新舊) 문학의 격렬한 논쟁 중에는 구문학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신문학을 제창했고, 또한 청년 작가들의 양성에도 특별한 관심을 쏟았다. 1945년 타이완이 해방되기 전까지 타이완 사람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유린과 수탈을 겪어야만 했는데, 이러한 모습을 직접 목격하고 경험한 라이허는 문학으로 반일 사상을 고취하면서 사실상 식민지 상황에서 타이완의 민족주의 문학을 이끌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그는 타이완 신문학에서 5․4신문학운동의 영향을 비교적 분명하게 받은 작가 중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그의 작품 속에 담겨 있는 민족주의, 저항 의식, 계몽 정신, 하층민에 대한 애정, 리얼리즘, 풍자 수법이라든가 그의 작품이 동시대와 다음 시대 많은 다른 작가들에게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 등 모든 면에서 볼 때, 그를 두고 ‘타이완 신문학의 아버지’, ‘타이완의 루쉰’이라고 칭하는 것은 전혀 과찬이 아니다.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나아가서 (적어도 타이완에서는) 루쉰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작가였다고 할 수 있다. = 엔더버리섬 = 엔더버리섬(Birnie Island)은 태평양 중서부에 위치한 키리바시의 섬으로, 피닉스 제도에 속한다. = 월곡항 = 월곡항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월곡항은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덕신리에 있는 어촌정주어항이다. 월곡항은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576-7에 있는 소규모 어항이다. = UEFA 유로 2008 예선 G조 = 본 문서는 UEFA 유로 2008 예선의 G조 순위와 경기 결과를 구술한다. 루마니아는 2007년 10월 17일에 룩셈부르크전을 2-0으로 이기며, 알바니아와 불가리아 간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나면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는데, 그에 따라 본선 진출권을 확보한 4번째 국가가 되었다. 네덜란드도 2007년 11월 17일에 룩셈부르크전을 1-0으로 이기면서, 루마니아의 뒤를 따라갔고, 본선 진출권을 확보한 9번째 국가가 되었다. = = 경기 결과 = = G조 일정은 조추첨 후 2006년 2월 16일에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서 참가국 간 협의를 통해 확정되었다. = = 득점 집계 = = 42번의 경기에서 99골을 기록했으며, 경기당 평균 2.36골을 생산했다. 아드리안 무투 디미터르 베르바토프 마르틴 페트로프 치프리안 마리카 에드몬드 카플라니 로빈 판 페르시 니콜라에 디커 막심 로마셴코 클레멘 라브리치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비탈리 쿠투조프 베슬리 스네이더르 뤼트 판 니스텔로이 도린 고이안 다니엘 니쿨라에 코스민 콘트라 가브리엘 타마슈 울라드지미르 카리츠카 티모페이 칼라체프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에르빈 스켈라 요리스 마테이선 디르크 카위트 다니 쿠버르만스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 지오바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클라스-얀 휜텔라르 버넬 니콜리처 라우렌치우 로슈 플로렌틴 페트레 알퐁스 르웨크 크리스 사그라몰라 비탈 불리가 자니스 코브바 라만 바실류크 블라고이 게오르기에프 벨리자르 디미트로프 발레리 보지노프 차브다르 얀코프 디미타르 텔키스키 알렉산다르 툰체프 다레 브르시치 보슈탼 체사르 로베르트 코렌 에르욘 보그다니 데바티크 쿠리 베스니크 하시 알틴 학시 라도스틴 키시셰프 (알바니아전) 아랸 베차이 (네덜란드전) = 틀:폴란드 프로젝트 = 위키프로젝트 폴란드가 다루는 범위 안에 있는 문서의 토론 문서 상단에 붙입니다. 폴란드 = 분류:1672년 법 = = 41 Original Hits from the Soundtrack of American Graffiti = 41 Original Hits from the Soundtrack of American Graffiti는 1973년 8월에 발매된 Various artists의 음반이다. MCA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브레즈노구 = 브레즈노구는 슬로바키아 반스카비스트리차주를 구성하는 13개 구 가운데 하나로 행정 중심지는 브레즈노이며 면적은 1,265.21km2, 인구는 62,971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49.77명/km2이다. 반스카비스트리차주 북부에 위치하며 30개 지방 자치체(1개 시, 29개 마을)를 관할한다. 북서쪽으로는 질리나주 루좀베로크구, 북쪽으로는 질리나주 립토우스키미쿨라시구, 북동쪽으로는 프레쇼우주 포프라트구, 동쪽으로는 코시체주 로주냐바구, 남쪽으로는 레부차구, 리마우스카소보타구, 폴타르구, 데트바구, 남서쪽으로는 즈볼렌구, 서쪽으로는 반스카비스트리차구와 접한다. = 통일 전 동독의 실업률과 원인 = 통일 전 동독의 실업률과 원인은 독일 통일(1990년)이전의 독일의 실업률을 나타낸다. = =통일 전 동독과 서독의 실업률과 원인 = = = = =통일 전 서독의 실업률 = = = 통계에 나타난 독일통일 20년, nis 국가정보원, 2009, p. 426 서독의 실업률은 1950년 11%를 시작으로 1962년~1970까지 0.7%로 하락했다. 하지만 1974년부터 약간의 상승세를 보이다 다시 하락, 다시 상승을 반복하여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5.5~8.9%까지 상승하게 된다. 통일 직전인 1989년도에는 7.9%, 1990년에는 7.2%를 기록하는 등, 통일 전 서독의 실업률은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었지만, 동독은 1958년까지 연평균 1만5천~2만 명의 실업자가 존재한다고 발표했으나 1958년 이후에는 공식적으로 실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발표해왔다. 다만 중앙정부의 계획에 의한 노동자들의 직종 간 직장 이동시 일시적으로 일자리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노동자 직장교체비율은 매년 전체 취업인구의 7~8%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즉 동독은 1958년 이후부터 통일 이전인 1989까지 실질적 실업률이 0%였다는 것이다. = = = 통일 전 동독의 0% 실업률 원인 = = = 통일 전 동독은 사회주의 국가들 가운데 공업화가 가장 잘된 나라였다.잘못 알려진 독일통일, 그리고 한반도 통일의 비전, CFE Report, 2011. 08. 11 또한 동독은 통일 전 주력시장이던 공산권(COMECON) 시장에서 산업 생산과 기술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제품을 제공하는 전진기지 역할을 했었다. 그로인해 기술혁신보다는 단순 투입량의 극대화를 통한 산출량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러한 경제체제 문제는 동독 노동시장의 조건을 규정하는 결정적 요인이었다. 즉 실업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주의경제체제의 동독 기업에서는 생산의 효율성 문제보다는 과잉노동력이 유지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 전 동독은 실업이라는 개념조차 낯선 사회 속에서 0%라는 실업률을 나타날 수 있었다. = 궁수자리 크시1 = 궁수자리 크시1(ξ1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단독성으로 청백색 빛을 낸다. 겉보기등급은 +5.06으로 맨눈으로 관측시 희미하게 보인다. 지구에서 봤을 때의 연주 시차는 1.58 밀리초각으로 이로부터 계산한 이 계와 우리 사이의 거리는 약 2100 광년이다. 크시1은 무거운 초거성으로 분광형은 B9/A0 Ib이다. 질량은 태양의 약 7.8 배에 나이는 약 4천만 년이다. 이 별은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소진했으며 현재 태양 반지름의 15배 크기로 확장되어 있다. 광구에서의 유효 온도는 약 9400 켈빈으로 태양 광도의 2753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 = 분류:레바논의 경제학자 = = 캐서린 바크 = 캐서린 바크(Catherine Bachman, 1954년 3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워런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Book of Fire (2015) 채프먼 (2013년) 유 어게인 (2010년) 해저드 마을의 듀크 가족 - 헐리웃 소동 (2000년) 해저드 마을의 듀크 가족 - 재결합 (1997년) 분노의 집행자 (1992년) 반칙 게임 (1992년) 집시 반란 (1990년) 지옥의 테러 (1989년) 지하 터널의 전설 (1989년) 론리 하트 (1987년) 캐논볼 2 (1984년) 분노의 강 (1983년) 니콜 (1978년) 허슬 (1975년) 클린트이스트우드의 대도적 (1974년) = = = 텔레비전 = = = 해저드 마을의 듀크 가족 (1979년) 사랑의 유람선 (1977년) 여형사 페페 (1974년) = 라일라 트레티코프 = 라일라 트레티코프(, , 1978년 1월 25일Wikimedia Monthly Metrics and Analytics Meeting, May 2014 ~ )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사무국장이었다. 소련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러시아, 스웨덴 혈통을 갖고 있다. 15대 시절에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갔으며 1999년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기술 마케팅 기업을 설립하거나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 몇 개를 공동 제작하는 등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다. 전사적 소프트웨어의 전문가로서 2014년 슈 가드너가 위키미디어 재단 사무총장 자리를 내려놓을 때까지 SugerCRM의 기술 부사장 및 최고 정보 책임자로 일했다. 2016년 2월 26일, 위키미디어 재단 사무국장으로서의 사퇴를 밝혔다. = 크레용팝의 음반 목록 = 다음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크레용팝의 음반 목록이다. 데뷔 이후 현재까지 정규 앨범 1장, EP 앨범 3장을 발매하였고 3개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하였다. = = 음반 = = = = = 정규 음반 = = = 제목 앨범 정보 최고 차트 순위 최고 차트 순위 판매량 제목 앨범 정보 대한민국가온 미국월드 판매량 Evolution Pop Vol. 1 *발매일: 2016년 9월 26일 *레이블: 크롬 엔터테인먼트, 소니 뮤직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10 – = = = EP = = = 제목 앨범 정보 최고 차트 순위 최고 차트 순위 판매량 제목 앨범 정보 대한민국가온 미국월드 판매량 Crayon Pop 1st Mini Album *발매일: 2012년 7월 18일 *레이블: 크롬 엔터테인먼트, CJ E&M 뮤직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 – The Streets Go Disco *발매일: 2013년 9월 26일 *레이블: 크롬 엔터테인먼트, 소니 뮤직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5 – FM *발매일: 2015년 3월 27일 *레이블: 크롬 엔터테인먼트, 소니 뮤직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6 – = = = 싱글 및 노래 = = =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Dancing Queen〉 발매일 : 2012년 10월 24일 Dancing Queen Bing Bing (Remix Mastering Ver.) Dancing Queen (Inst.) Bing Bing (Inst.) 2 〈빠빠빠〉 발매일 : 2013년 6월 20일 빠빠빠 빠빠빠 (Inst.) 3 〈꾸리스마스〉 발매일 : 2013년 11월 26일 꾸리스마스 꾸리스마스 (Inst.) 4 〈어이〉 발매일 : 2014년 4월 1일 어이 (Uh-ee) 어이 (Inst.) 5 〈부릉부릉〉 발매일 : 2016년 9월 9일 부릉부릉 (Vroom Vroom) = = 참여 음반 = =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레이시오스 Lusty Initialization! 발매일 : 2013년 9월 17일 Long Journey / Island Yeah Yeah Yeah (Chorus. 크레용팝) (Title) Love Is All (Title) Love Song #9 031807 Punk Not! Sister X Passion Is Love Crush 다른 하늘 (Follow) Into The Rainbow Dog Star Emotional Computer 2 〈Hero〉 (대한민국 소방관 주제곡) 발매일 : 2014년 2월 5일 Hero (With. 김장훈) Hero (Inst.) 3 〈2014 Chrome Family - A Very Special Christmas〉 발매일 : 2014년 12월 3일 러브 크리스마스 (Love Christmas) 러브 크리스마스 (Love Christmas) (Inst.) 4 〈Y-Shirt〉 발매일 : 2015년 1월 12일 Y-Shirt Y-Shirt (Inst.) 5 〈The Artist Diary Project Part. 11〉 발매일 : 2015년 5월 4일 뭐해 (Feat. 로빈) 뭐해 (Inst.) 6 CD9 〈Get Dumb (K - Mex Ver.)〉 발매일 : 2016년 8월 24일 Get Dumb (K - Mex Ver.) 7 CD9 〈Get Dumb (English Ver.)〉 발매일 : 2016년 8월 24일 Get Dumb (English Ver.) = = = 사운드 트랙 = = =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트로트의 연인 OST Part. I 발매일 : 2014년 6월 20일 헤이 미스터 헤이 미스터 (Inst.) 2 하이스쿨 : 러브온 OST VoI. 5 발매일 : 2014년 9월 26일 뜬뜬뜬뜬 뜨든뜬 뜬뜬뜬뜬 뜨든뜬 (Inst.) 3 6인실 OST 발매일 : 2015년 1월 6일 Sunlight Sunlight (Inst.) Sunlight (Piano Ver.) Sunlight (Harp Ver.) = = 뮤직 비디오 = = 년도 뮤직 비디오 감독 참고 2012 "Saturday Night" 권재연 2012 "Bing Bing" ? 2013 "빠빠빠" 권재연 2013 "Dancing Queen 2.0" 권재연 2013 "꾸리스마스" ? 2014 "Hero" ? 2014 "어이" ? 2014 "헤이 미스터" ? 2014 "뜬뜬뜬뜬 뜨든뜬" ? 2014 "Love Christmas" ? 2015 "FM" ? 2015 "ラリルレ" ? 2016 "두둠칫" ? = 분류:히로시마현의 관광지 = = 라피주 = 라피주는 1938년부터 2010년까지 핀란드에 존재했던 주로 주도는 로바니에미이며 면적은 98,946km2, 인구는 187,777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2명/km2이었다. 1938년 오울루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2010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 = 지역 = = 라피주는 다음과 같이 1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라피 지역 (Lapin maakunta) = 코파 데 라 코로나시온 결승전 = 코파 데 라 코로나시온 결승전은 스페인의 축구 컵대회인 코파 데 라 코로나시온의 결승전이다. 경기는 마드리드의 이포드로모에서 1902년 5월 15일에 열렸다. 경기는 비스카야 빌바오와 바르셀로나 간의 경기로, 카를로스 파드로스 주심이 이 경기를 중재했다. 키스바야 빌바오가 바르셀로나를 2-1로 이기면서 이 대회의 우승을 차지했다. = = 상세 경기 정보 = = 루이스 아라나 엔리케 카레아가 페드로 라라냐가 루이스 실바 아마도 아라나 엔리케 고이리 아르망 카제오 후안 아스토르키아 (주장) 윌리엄 다이어 라몬 실바 월터 에번스 = WCW 솔드 아웃 = 솔드 아웃(Souled Out)는 WCW가 주관하였고, 2000년 끝으로 폐지된 페이 퍼 뷰이다. = = 솔드 아웃 개최된 곳 = =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이벤트 1997년 1월 25일 시더래피즈 파이브 시즌 센터 5,120 헐리우드 호건 vs. 더 자이언트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98년 1월 24일 데이턴 하라 아레나 5,486 렉스 루거 vs. 랜디 새비지 1999년 1월 17일 찰스턴 찰스턴 씨빅 센터 10,833 골드버그 vs. 스캇 홀 (래더 스턴건 매치) 2000년 1월 16일 신시내티 퍼스타 센터 14,132 크리스 벤와 vs. 시드 비셔스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빌라두마이우 = 빌라두마이우는 카보베르데 마이우섬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높이는 10m, 인구는 2,971명(2010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마이우시에 속한다. 19세기까지 잉글랜드 선박이 소금을 수출하면서 도시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포르투잉글레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였던 1814년 1월 23일에 일어난 영국과 프랑스 프리깃 함대 간의 마이우 해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빌라두마이우항은 산티아구섬에 위치한 프라이아를 오가는 페리 노선이 운항되는 곳이다. 도시에서 북쪽으로 1km 정도 떨어진 곳에는 국내선 전용 공항인 마이우 공항이 위치한다. = 분류:미터궤 철도 = = 분류:대한제국 황제 = = 한송재 = 한송재는 다음을 가리킨다. 한송재(寒松齋)는 조선 후기의 문인 김기도(金箕燾)의 아호이다. 한송재(寒松齋)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 이광윤(李光胤)의 아호이다. = 분류:남포시의 교통 = = 모듈:TreeChart/설명문서 = 틀:차트에 쓰이는 모듈입니다. 하위 문서로 모듈:TreeChart/data가 있습니다. = Confident (데미 로바토의 노래) = 〈Confident〉(컨피던트)는 데미 로바토의 노래이다. 다섯 번째 정규 앨범 Confident의 싱글이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인증 플래티넘 등급을 받은 곡이다. = = 곡 목록 = = *Digital download #"Confident" – 3:25 #"Confident" (The Alias Remix) – 5:08 *Digital remixes – EP #"Confident" (The Alias Remix) – 5:08 #"Confident" (VARA Remix) – 3:38 #"Confident" (Gianni Kosta Remix) – 3:48 #"Confident" (Volkoder Remix) – 5:17 #"Confident" (DJ Lynnwood Remix) – 4:30 = 분류:대한민국의 대학원대학 동문 = = 247년 = = = 연호 = = 위(魏) 정시(正始) 8년 촉(蜀) 연희(延熙) 10년 오(吳) 적오(赤烏) 10년 = = 기년 = = 위(魏) 소제(少帝) 8년 촉(蜀) 후주(後主) 25년 오(吳) 대제(大帝) 26년 신라(新羅)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 18년 / 첨해 이사금(沾解泥師今) 원년 고구려(高句麗) 동천왕(東川王) 21년 백제(百濟) 고이왕(古爾王) 14년 = = 사건 = = 음력 7월, 신라, 첨해이사금, 시조묘를 뵙고 아버지 골정을 세신 갈문왕(世神葛文王)에 봉하였다. = = 사망 = = 신라(新羅)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 = 라우 제도 = 라우 제도(Lau Islands)는 태평양 남쪽과 코로해 동쪽에 위치한 피지의 군도로 행정 중심지는 투보우이며 육지 면적은 487km2, 인구는 10,683명(2007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라우주에 속한다. 100여 개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30여 개 섬에는 사람이 산다. = = 역사 = = 1774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바토아섬에 처음으로 도착했다. 1820년 유럽 탐험가들이 오노 일대에 처음 발을 딛었을 때쯤 라우 제도는 피지에서 가장 많이 측량이 이뤄진 곳이었다. 라우 제도의 정치적 통합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라우 제도는 라우 제도 북부, 라우 제도 남부, 모알라 제도 등의 세 개의 세력으로 나뉘었다. 1855년경 통가의 왕자였던 에넬레 마푸가 라우 제도를 정복하여 병합 통치하기 시작했다. 스스로를 투이 라우 (라우의 왕)이라 칭했던 그는 헌법을 공포하고 기독교 선교단 파견을 독려했다. 1830년 라케바섬에 최초로 선교사들이 상륙했지만 쫓겨난 바 있었다. 마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라우 제도의 명망있는 통치자였던 투이 나야우를 복종시키기도 했다. 투이 나야우와 투이 라우라는 칭호는 1969년 동군연합으로 합쳐지게 되었다. 지난 1963년에 야부사 통가로부터 투이 라우의 지위를 수여받은 카미세세 마라가 1966년 자신의 아버지 우일라케바 3세가 사망하면서 투이 나야우라는 직위도 물려받게 되면서 생겨난 일이었다. 애초에 투이 라우라는 칭호가 1958년 마라의 삼촌인 랄라 수쿠나 사망 이후 공석으로 남아있기도 했다. 남쪽으로 투부카섬까지 해당되는 라우 제도 북부는 타베우니섬의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투이 카카우' (다카운드로베의 최고 통치자)에게 조공을 바쳤다. 하지만 1855년 마푸 왕자가 라우 북부의 주권도 손에 넣게 되면서 바누아바발루섬에 로마로마를 건설, 자기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라우 제도 남부는 북쪽으로 시시아섬까지, 남쪽 먼 곳으로 오노이라우까지 해당된다. 투이 나야우란 이름의 통치자도 있었지만 1850년대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통가 왕국에 종속되었다. 모알라 제도는 라우 제도보다는 바우섬과 로마이비치 제도에 더 가까운 관계로 속해 있었지만, 마푸 왕자의 정복으로 라우 제도와 한데 묶였다. 이때 이후로 행정구역상으로도 라우주의 일부로 남아있게 되었다. = 태국 사회발전인간안전부 = 사회발전인간안전부는 태국 정부 기관으로 사회 발전과 인간 안전의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 = 제작 = = 사회발전인간안전부는 탁신 친나왓 총리 시절인 2003년 정부기관 구조조정법에 의해 만들어진 태국 정부 부처다. = = 조직 = = = = = 국 = = = 장관실 차관실 사회발전복지국() 여성가족제도국() 아동청소년국() 노인국() 장애인삶의질발전진흥국() = = = 공공 기관 = = = 공동체조직개발원() = 경상남도지사 = 경상남도지사(慶尙南道知事)는 경상남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다. = = 역대 도지사 = = = = = 경상남도지사(미군정) = = =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정당 도정구호 도정방침 관선 초대 이의근(李義根) 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27일 관선 2대 찰스 해리스(Charles S. Harris) 1945년 9월 28일~1946년 1월 22일 = = = 경상남도지사 = = = 구분: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정당 도정구호 관선 초대 김병규(金秉圭) 1946년 1월 23일~1946년 12월 20일 관선 2대 김철수(金喆壽) 1947년 1월 7일~1948년 10월 17일 관선 3대 문시환(文時煥) 1948년 10월 18일~1949년 11월 14일 관선 4대 양성봉(梁聖奉) 1949년 11월 15일~1953년 10월 7일 관선 5대 이상룡(李相龍) 1953년 10월 21일~1957년 2월 14일 관선 6대 김규진(金奎鎭) 1957년 3월 1일~1959년 11월 23일 관선 7대 신도성(愼道晟) 1959년 11월 24일~1960년 4월 30일 관선 8대 이기주(李基周) 1960년 5월 2일~1960년 10월 6일 관선 9대 정종철(鄭鍾哲) 1960년 10월 7일~1960년 12월 28일 민선 10대 이기주(李基周) 1960년 12월 29일~1961년 5월 23일 신민당 관선 11대 최갑중(崔甲中) 1961년 5월 24일~1961년 8월 24일 관선 12대 양찬우(楊燦宇) 1961년 8월 25일~1963년 12월 16일 관선 13대 이계순(李啓純) 1963년 12월 19일~1968년 5월 20일 관선 14대 이기수(李基洙) 1968년 5월 21일~1969년 5월 12일 관선 15대 김효영(金孝榮) 1969년 5월 13일~1971년 6월 11일 관선 16대 정해식(丁海植) 1971년 6월 12일~1974년 2월 4일 관선 17대 강영수(姜泳琇) 1974년 2월 5일~1976년 10월 11일 관선 18대 조병규(趙炳奎) 1976년 10월 12일~1978년 12월 23일 관선 19대 김성주(金聖柱) 1978년 12월 26일~1980년 7월 9일 관선 직무대리 이남두(李南斗) 1980년 7월 10일~1980년 7월 17일 관선 20대 최종호(崔鍾鎬) 1980년 7월 18일~1982년 5월 24일 관선 21대 이규효(李圭孝) 1982년 5월 25일~1985년 2월 20일 관선 22대 김주호(金周浩) 1985년 2월 21일~1986년 8월 28일 관선 23대 조익래(趙益來) 1986년 8월 29일~1988년 12월 12일 관선 24대 최일홍(崔一洪) 1988년 12월 13일~1990년 12월 27일 관선 25대 김원석(金原奭) 1990년 12월 28일~1993년 3월 3일 관선 26대 윤한도(尹漢道) 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 관선 27대 김혁규(金爀珪) 1993년 12월 28일~1995년 3월 29일 관선 28대 안명필(安明弼) 1995년 3월 30일~1995년 6월 30일 민선 29대 김혁규(金爀珪)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1995)신한국당(1995~1997)한나라당(1997~2003) 도민제일주의 실현 세계일류 경남건설 민선 30대 김혁규(金爀珪)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1995)신한국당(1995~1997)한나라당(1997~2003) 도민제일주의 실현 세계일류 경남건설 민선 31대 김혁규(金爀珪) 2002년 7월 1일~2003년 12월 14일총선거로 인해 당적 변경으로 인해 사퇴 민주자유당(1995)신한국당(1995~1997)한나라당(1997~2003) 2만불시대! 도민과 함께 열겠습니다 민선 권한대행 장인태(張仁太) 2003년 12월 15일~2004년 5월 3일 행정부지사 2만불시대! 도민과 함께 열겠습니다 민선 권한대행 김채용(金采溶) 2004년 5월 4일~2004년 6월 5일 행정부지사 2만불시대! 도민과 함께 열겠습니다 민선 32대 김태호(金台鎬) 2004년 6월 6일~2006년 6월 30일 한나라당 세계로 미래로 뉴경남 민선 33대 김태호(金台鎬)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한나라당 세계로 미래로 뉴경남 민선 34대 김두관(金斗官) 2010년 7월 1일~2012년 7월 6일대선 출마로 사퇴 무소속(2010~2011)민주통합당(2011~2012) 대한민국 번영 1번지 경남 민선 권한대행 임채호(林采虎) 2012년 7월 7일~2012년 12월 19일 행정부지사 대한민국 번영 1번지 경남 민선 35대 홍준표(洪準杓) 2012년 12월 20일~2014년 6월 30일 새누리당(2012~2017)자유한국당(2017) 당당한 경남시대 민선 36대 홍준표(洪準杓) 2014년 7월 1일~2017년 4월 9일 새누리당(2012~2017)자유한국당(2017) 당당한 경남시대 민선 권한대행 류순현(柳淳鉉) 2017년 4월 10일~2017년 8월 16일 행정부지사 당당한 경남시대 민선 권한대행 한경호(韓徑浩) 2017년 8월 17일~2018년 6월 30일 행정부지사 당당한 경남시대 민선 37대 김경수(金慶洙) 2018년 7월 1일~2019년 1월 30일2019년 1월 30일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으로 인해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어 직무 정지 더불어민주당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 민선 권한대행 박성호(朴性鎬) 2019년 1월 30일~2019년 4월 17일 행정부지사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 민선 37대 김경수(金慶洙) 2019년 4월 18일~2021년 7월 21일4월 17일 보석 결정, 직무 재개 더불어민주당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 민선 권한대행 하병필(河炳弼) 2021년 7월 21일~2022년 6월 30일 행정부지사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 민선 38대 박완수(朴完洙) 2022년 7월 1일~ 국민의힘 활기찬 경남, 행복한 도민 = 분류:용정초등학교 (경기) 동문 = = 분류:항원 = = 시모지 쇼 = 시모지 쇼 (1985년 8월 2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과거 사간 도스에서 활동하였다. = 분류:김사랑의 음반 = = 조조: 황제의 반란 = 조조: 황제의 반란은 2012년 개봉한 중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주윤발 - 조조 유역비 - 영저 다마키 히로시 - 목순 소유붕 - 후한 헌제 이능정 - 복황후 구심지 - 조비 요로 - 길본 예대홍 - 복완 지정 - 허저 = =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 = = 신성호 - 조조(주윤발) 윤세웅 - 황제(소유붕) 박지윤 - 영저(유역비) 박상훈 - 목순(다마키 히로시) 이미연 - 복황후(이능정) 최정호 - 조비(구심지) 홍진욱 - 길본(요로) 이근욱 - 복완(예대홍) 임정길 - 허저(지정) 사성웅 - 길막(국경) 이제인 - 시녀(염니) = 분류:스코틀랜드의 작가별 소설 = = 좌지왕 = 좌지왕(坐知王, ? ~ 421년 5월 12일) 혹은 김질왕(金叱王), 김토왕(金吐王)은 금관가야의 제6대 국왕(재위: 407년 4월 10일 ~ 421년 5월 12일)이다. 시호는 신왕(神王)이다. = = 생애 = = 삼국유사의〈가락국기〉에 따르면 용녀(傭女)의 미색에 빠져 그녀를 왕비로 맞이하고 그녀의 친족들이 주요 관직을 차지해 국정이 어려워지자 이런 혼란을 이용하여 신라가 가야를 공격하려고 하였는데, 이에 종정경(宗正卿) 박원도(朴元道)가 왕에게 간언하자 그제야 깨달은 좌지왕은 용녀를 하산도(荷山島)에 추방하고 국정을 바로 잡았다. 이후 대아간 도령(道寧)의 딸 복수(福壽)를 왕비로 맞았다. 복수와 사이에서 취희왕을 낳았다. = = 가계 = = 부왕 : 이시품왕(伊尸品王, ? ~407 재위:346~407) 모후 : 정신부인(貞信夫人) 국왕 : 좌지왕(坐知王, ? ~421, 재위:407~421) 폐비 : 용녀(傭女) 왕비 : 복수부인(福壽夫人) 대아간 도령(道寧)의 딸 * 장남 : 취희왕(吹希王, ? ~451, 재위:421~451 * 며느리 : 인덕부인(仁德夫人) 각간 진사(進思)의 딸 = 소련 방공군 = = = 개요 = = 소련의 방공군이다. 소련은 거의 세 대륙에 걸친 광활한 영토 탓에 제공권 장악과 지상타격 임무 등을 맡는 공군, 영공방위만을 맡는 방공군으로 분리하여 군을 운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정확히는 대한항공과 악연이 깊다. = = 장비 = = Su-15 MiG-25 MiG-23ML Yak-28 Su-9 Su-27 Su-27PU Tu-128 MiG-31 Su-7 - 이쪽은 요격기로 운용할려 했는데 잦은 사고로 지상공격기가 되었다. Tu-161 = 분류:4월 5일 = = 소나갈질지 = 소나갈질지(蘇那曷叱智)는 기원전 1세기경 왜국에 사신으로 간 가야의 관리이다. 일본서기에 그는 천황에게 받은 비단 100필을 가지고 가야로 돌아오던 중에 신라인에게 탈취당해, 가야와 신라 두 나라 사이에 원한 관계가 생기게 되었다는 글이 남겨져 있다. = 분류:200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경기 종목 = = 에릭 레이먼드 = 에릭 레이먼드(Eric Steven Raymond, 1957년 12월 4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이자 해커이며 자신을 인터넷과 해커 문화의 "참여 관찰 인류학자 (observer-participant anthropologist)"라고 부르고 있다. 그는 오픈 소스의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된 패치 메일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오픈 소스 철학을 대변하는 문서인성당과 시장을 저술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오픈 소스 개발 과정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반복되는지 설명하고 있다. 이 외에도 그는 해커들이 쓰는 용어를 설명한 자곤 파일("신 해커사전")을 편집했으며, 넷스케이프의 소스 코드 공개, 모질라의 설립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는 현재 태권도 검은 띠의 소유자이다. = = 저서 = = 《성당과 시장》 《The New Hacker's Dictionary》 《The Art of Unix Programming》 = 틀:2010년 한국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 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9월 29일(수) 1차전 롯데 자이언츠 10 - 5 두산 베어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00분 27,000명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9월 30일(목) 2차전 롯데 자이언츠 4 - 1 두산 베어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00분 27,000명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10월 2일(토) 3차전 두산 베어스 6 - 5 롯데 자이언츠 사직야구장 14시 00분 28,500명 왈론드 (두산 베어스) 10월 3일(일) 4차전 두산 베어스 11 - 4 롯데 자이언츠 사직야구장 14시 00분 28,500명 용덕한 (두산 베어스) 10월 5일(화) 5차전 롯데 자이언츠 4 - 11 두산 베어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00분 27,000명 김선우 (롯데 자이언츠)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승리팀 : 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MVP : 용덕한 (두산 베어스) * 2010 = 의성 내산리 석불좌상 = 의성 내산리 석불좌상(義城 內山里 石佛坐像)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석불이다. 1995년 6월 19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0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의 미륵당 안에 모셔져 있는 석불이다. 민머리 위에 솟아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은 큼직하고, 얼굴은 눈·코·입에 훼손이 심하여 윤곽이 뚜렷하지 않다. 옷은 양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V자 모양으로 등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여 아래로 내려져 있고 왼손은 약그릇 같은 것을 받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머리·손·발 등이 크게 표현되어 균형감이 없고 둔탁한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 =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미술관이다. = 한중일 한자 획 = 한중일 한자 획은 한자의 필획을 포함하고 있는 유니코드 블록이다. 유니코드 버전 15.1에서 한자 모양 설명 문자 블록에 들어가지 못한 설명 문자 하나가 이 블록에 추가되었다.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한중일 한자 획 Unicode.org chart (PDF)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31Cx ㇀ ㇁ ㇂ ㇃ ㇄ ㇅ ㇆ ㇇ ㇈ ㇉ ㇊ ㇋ ㇌ ㇍ ㇎ ㇏ U+31Dx ㇐ ㇑ ㇒ ㇓ ㇔ ㇕ ㇖ ㇗ ㇘ ㇙ ㇚ ㇛ ㇜ ㇝ ㇞ ㇟ U+31Ex ㇠ ㇡ ㇢ ㇣ ㇯ 비고 = 오토두스 추부텐시스 = 오토두스 추부텐시스(학명:Otodus chubutensis)는 악상어목 오토두스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지금은 멸종된 고대의 상어로 몸길이가 최대 13.5m인 거대 상어이다. = = 특징 = = 오토두스 추부텐시스는 고대의 그리스어로 귀 모양의 이빨이라는 이름을 가진 어종으로 친적인 메갈로돈과 함께 당대의 바다를 호령하는 대형 상어였다. 이름에 걸맞게 귀 모양과 매우 흡사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빨에는 톱니 모양의 흠이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알려진 거대한 상어와 마찬가지로 오토두스 추부텐시스는 분쟁이 남아있으며 메갈로돈과 거의 동일한 시대에 살았던 어종이기 때문에 모포 종으로 간주가 되는 종이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지만 매우 크게 잘 발달된 제1등지느러미와는 달리 제2등지느러미는 매우 작은 편이였다. 먹이로는 당대에 살았던 고래, 돌고래 및 해양 포유류와 두족류, 갑각류, 어류를 주로 섭이하는 육식성물고기일 것으로 추정한다. = = 생존시기와 서식지와 화석의 발견 = = 오토두스 추부텐시스가 살았던 시기는 신생대의 올리고세, 마이오세, 플리오세에 살았던 어종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2800만년전에서 500만년까지 생존했던 종이다. 생존시기에 서식지로는 동부 태평양과 대서양에 주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어종이다. 화석의 발견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1843년에 스위스의 고생물학자이자 자연학자인 루이 아가시즈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이 되어 명명이 된 종이다. = 분류:카를 마르크스를 소재로 한 작품 = = 스트로급 = 스트로급(Strawweight)은 스포츠의 체급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가리킨다. 해당 단체에 따라 미니멈급(Minimumweight) 또는 미니플라이급(Mini flyweight)이라고도 한다. 스트로급은 권투의 체급이다. 스트로급은 종합격투기의 체급이다. = 분류:나가노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 분류:일본 제국의 대장관료 = = 구드 = 구드(Goode, Good)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매슈 구드: 잉글랜드의 배우 윌슨 구드: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로 필라델피아의 시장(1984~1992)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 = 야스타케 = = = 지명 = = 야스타케역: 일본 후쿠오카 현 구루메 시에 위치한 서일본 철도 덴진오무타 선의 역 = = 인명 = = 야스타케 도루: 일본의 축구 선수 패티 야스타케: 미국의 배우 요코야마 야스타케: 막말의 사쓰마 번사 = 민담자리꽃나무 = 민담자리꽃나무(Dryas integrifolia)는 장미과에 포함된 속씨식물의 하나이다. 둥근잎담자리꽃나무 또는 흰담자리꽃나무, 북부담자리꽃나무Dryas integrifolia. NatureServe., 담자리꽃나무라고도 부른다.Aiken, S.G., et al. 2007. Flora of the Canadian Arctic Archipelago: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NRC Research Press,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Ottawa. = 비스트워즈 네오의 등장인물 목록 = 다음은 비스트워즈 네오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 = 맥시멀(더빙판 - 사이버트론) = = 한 사람의 군대로 알려진 병사. 혼자서 전장으로 향하는 것을 선호한다. 비스트 모드는 기린. 빅 콘보이에 의해서 부사령관이 된다. 비스트 모드는 코브라. 혼자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독불장군에 쿨하면서도 성질이 다소 급하다. 펭귄으로 변신하는 열혈에 야무진 성격으로 말투도 다소 건방지다. 비스트 모드는 말. 전투형태로 변신해도 말총 머리가 남는다. 중반부부터 추가된 사이버트론의 신전사. 비스트 모드는 토끼이며, 또한 '시저스 모드'라는 가위형태로 변신가능하다. 비스트 모드는 배에 자명종이 달린 너구리이다. 성격은 다른 멤버에 비해 느긋하고 차분하다. 사이버트론의 인공지능 인간형 홀로그램 컴퓨터. = = 프레데콘(더빙판 - 데스트론) = = = 올해의 과학기자상 = 올해의 과학기자상은 한국과학기자협회가 해마다 탁월한 보도 실적을 보인 과학·의학 기자에게 시상하며, 과학기자는 송곡(松谷)과학기자상, 의학기자는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학기자상이라고 부른다. = = 부문별 역대 수상자 = = 과학기술 부문 정보통신 부문 의학의료 부문 기상과학 부문 2002년 김길원(연합뉴스) 김정기(SBS) 이성주(동아일보) 2003년 박방주(중앙일보 차장)공항진(SBS 차장) 김재섭(한겨레신문) 이준규(경향신문 차장) 2004년 김진두(YTN)이은정(경향신문) 백용대(디지털타임스) 권대익(한국일보) 2005년 조문기(MBC) 안영진(한겨레신문) 2006년 김희원(GSK·한국일보)안영인(GSK·SBS) 박태균(GSK·중앙일보 전문위원) 2007년'올해의 과학인상' KAIST 이지오 교수ㆍ'GSK의ㆍ과학 기자상' 한경 오춘호 기자 오춘호(한국경제신문 차장): 이공계 살리기 캠페인의 일환인 '스트롱 코리아'기획 취재와 한국의 과학자시리즈 등을 통해 과학기술 대중화와 과학교육 경쟁력 강화에 기여 민태원(국민일보): 희귀병 환자들의 고통을 집중 조명한 심층 기사를 보도해 환자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올해의 과학인상’ 이지오 교수 ‘과학기자상’ 국민일보 민태원 기자 등 2007년'올해의 과학인상' KAIST 이지오 교수ㆍ'GSK의ㆍ과학 기자상' 한경 오춘호 기자 심재우(중앙일보) 민태원(국민일보): 희귀병 환자들의 고통을 집중 조명한 심층 기사를 보도해 환자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올해의 과학인상’ 이지오 교수 ‘과학기자상’ 국민일보 민태원 기자 등 2008년`GSK 의.과학기자상'에 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이영완(조선일보): 신기술의 원리와 개발 현황 및 전망을 흥미롭게 분석, 전달 이충헌(KBS): 방송계 최초의 의학전문기자로서 의학기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방송언론계에 의학전문기자의 기반을 마련'올해의 GSK 의·과학기자상' 발표 2008년`GSK 의.과학기자상'에 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이주영(연합뉴스): 과학기술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해 과학문화 확산에 이바지하고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자단 대표로 과학보도 환경 개선에 헌신 이충헌(KBS): 방송계 최초의 의학전문기자로서 의학기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방송언론계에 의학전문기자의 기반을 마련'올해의 GSK 의·과학기자상' 발표 2009년올해의 GSK과학기자상 수상자 김상연·이진한 기자 선정. 김상연(동아사이언스 팀장):‘첨단기술 따라잡기’ ‘지구의 해, 극한의 과학자들(2008)’ ‘세계 과학관을 가다(2008)’ ‘미래를 여는 풀뿌리 과학(2009)’ 등 주요 과학 시리즈를 기획, 게재해 첨단 과학과 신기술의 개발 현황 및 전망을 흥미롭게 분석, 전달 이진한(동아일보): ‘이중 게재 논문 자진 철회, 의료계 양심 바이러스 확산’을 제목으로 내과에서 시작된 논문 자진 철회를 단독으로 보도 2010년GSK 과학기자상에 임승환 YTN 기자 · 안경애 디지털타임스 기자 안경애(디지털타임스 차장): 나로호1, 2차발사, 국가핵융합연구장치(KSTAR), 원자력연구원 등 과학을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고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알리는 역할에 주력 임승환(YTN 팀장): 의학적 이슈에 대해 각 분야별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심층 취재를 통해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줌 이기문(KBS 팀장) 2011년 지윤태(MBC 부장) 심재억(서울신문 부장):‘명사들의 건강보감’, ‘Doctor & Disease’, ‘한국인의 희귀난치병’ 등 다양한 기획기사와 심층 보도로 국민건강 증진과 건전한 의료문화 창달에 기여본지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올해의 GSK과학기자상에 이상엽(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자상·SBS)심재억·지윤태·이상엽씨 2011년의 GSK의과학기자상 2012년 김규태(동아사이언스 팀장): 동아일보 과학팀장과 인터넷과학뉴스 편집장으로, 과학 대중화에 기여 김명룡(머니투데이 바이오헬스팀): 건강의학 기사를 발굴해 왔으며, 연구개발에 매진하는 제약바이오기업들을 소개해 이들 기업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공항진(GSK·SBS 사회1부 기상과학팀장): SBS 기상과학담당 기자로, 지구온난화와 관련 대응 및 기후변화 분야를 심층 보도해 왔다. 또 기상재해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재해방송 기법도 개발 2013년조선비즈 박근태 기자 올해의 과학기자로 선정 박근태(조선비즈): 아리랑 5호가 북한 핵실험 지역을 촬영하지 못했다는 것을 단독 보도하는 등 꾸준히 과학기술 분야를 사회 문제와 연결시킨 보도를 한 공로 임소형(한국일보) 2013년조선비즈 박근태 기자 올해의 과학기자로 선정 박근태(조선비즈): 아리랑 5호가 북한 핵실험 지역을 촬영하지 못했다는 것을 단독 보도하는 등 꾸준히 과학기술 분야를 사회 문제와 연결시킨 보도를 한 공로 김잔디(YTN): 일반인들에게 꼭 필요한 의학 기사를 발굴해 알기 쉽고 재미있게 보도해 의학기사의 신뢰도를 높인YTN 김잔디 기자 '올해의 GSK 의학기자상' 2014년한국과학기자협회 창립 30주년 ‘2014 과학언론인의 밤’ 행사 이현경(동아사이언스): ‘인터넷 과학뉴스’ 담당 팀장으로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서도 참신한 과학기술 뉴스와 깊이 있는 과학기술 분석 기사를 수시로 보도해 과학 선진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송곡과학기자상 수상 박광식(KBS기자): 얼굴 필러 시술의 ‘실명’ 위험성을 단독 보도하는 등 검증된 의학 뉴스로 국민건강 및 보건의료 향상에 이바지 2014년한국과학기자협회 창립 30주년 ‘2014 과학언론인의 밤’ 행사 이현경(동아사이언스): ‘인터넷 과학뉴스’ 담당 팀장으로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서도 참신한 과학기술 뉴스와 깊이 있는 과학기술 분석 기사를 수시로 보도해 과학 선진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송곡과학기자상 수상 박효순(경향신문): 진료·연구·교육 삼박자를 갖춘 뛰어난 여의사들을 발굴해 소개한 ‘여의열전(女醫列傳)’ 기획 시리즈 2015년 정연욱(KBS): 신빙성 있는 취재를 바탕으로 정부 중요 정책에 대한 우려를 단독 보도한 것을 높이 평가해 수상자로 선정 서한기(연합뉴스): ‘건강검진 비용으로 한해 최대 18조5천억원 사용’(11월 15일자) 기사가 “의료산업으로까지 성장한 한국 건강검진의 실태와 비용규모 등을 엿볼 수 있는 연구결과를 분석해 국내 의료실태를 되돌아보며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선정했다” 며 “특히 같은 주제로 복수의 기사가 심사 대상에 올랐으나, 서한기 기자의 기사가 보도 시점에서 가장 빨랐던 것으로 확인돼 최종 수상 기사로 선정됐다”고 선정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12월 과학기자상 수상 2015년 정연욱(KBS): 신빙성 있는 취재를 바탕으로 정부 중요 정책에 대한 우려를 단독 보도한 것을 높이 평가해 수상자로 선정 = 틀:군포시의 교통 = = 보이 이레이즈드 = 보이 이레이즈드는 2018년 개봉한 미국의 성장 드라마 영화이다. 조엘 에저턴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개러드 콘리의 동명 회고록이 영화의 원작이다. 성적 지향 전환 치료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2018 텔류라이드 영화제에서 전세계 최초로 상영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루커스 헤지스 니콜 키드먼 러셀 크로 = = = 조연 = = = 조엘 에저턴 조 앨윈 그자비에 돌란 트로이 시반 체리 존스 플리 = = 기타 = = 총괄제작: 앤 루아크 총괄제작: 리베카 옐덤 공동제작: 데이비드 조지프 크레이그 미술: 채드 키스 = 분류:비젠국의 군 = = 실념 = 실념(失念, 염오념, 그릇된 염, 오염된 염, , ) 또는 망념(忘念)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고타마 붓다가 설한 37도품(三十七道品) 중 8정도(八正道) 가운데 정념(正念)의 반대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는 그대로 일치하는 항목이 없는데, 이는 설일체유부에서는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인 염(念)의 그릇된 상태인 염오념(染污念)이 곧 실념(失念) 즉 그릇된 염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실념(失念)은 망념(忘念)이라도 하며,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생각에서 없어져 사라지거나 잊음"실념(失念)",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1월 3일에 확인. 깜박 잊음"失念", 《네이버 일본어사전》. 2012년 11월 3일에 확인. 망각(忘却)"失念", 《네이버 중국어사전》. 2012년 11월 3일에 확인. <불교> 정념(正念)을 잃음 실념(失念) 또는 망념(忘念)은 염오념(染污念)을 말한다. 즉 오염된 염(念), 다시 말해, 번뇌에 물들어 흐려진 상태의 염(念)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실념(失念)은 염오념(染污念), 즉 번뇌에 오염된 염(念), 즉 번뇌에 물들어 흐려진 상태의 염(念)을 말한다. 염은 대지법에 속하며 대지법은 선불선무기의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비롯한 모든 마음에서 항상 존재하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 따라서 실념은 모든 오염된 마음에서 항상 존재하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인 대번뇌지법에 소속될 수 있으며, 실제로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는 대번뇌지법에 속한 법들로 불신(不信)해태(懈怠)실념(失念)심란(心亂)무명(無明)부정지(不正知)비리작의(非理作意)사승해(邪勝解)도거(掉擧)방일(放逸)의 10가지 마음작용을 들고 있다. 하지만, 실념의 본질은 대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인 염이므로, 엄격히 말하면 실념을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는 것은 중복이며 그렇기 때문에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말하고 있다. 품류족론 제2권에 따르면, 실념(失念)은 허념(虛念: 허망한 념)공념(空念: 헛된 념)망념(忘念: 기억하지 못함의 념)실념(失念: 정신을 잃음의 념)심외념성(心外念性: 마음의 외적인 념의 성질)을 말한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실념(失念) 또는 망념(忘念)은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인식대상에 대해 분명하게 기억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性]로 하는 마음작용이다. 그리고, 실념(失念) 또는 망념(忘念)의 마음작용은 이러한 본질적 성질을 바탕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정념(正念: 바른 기억)의 마음작용과 상응하지 못하도록 장애하여 마음으로 하여금 산란(散亂)의 마음작용과 상응하게 하는 발동근거[所依]가 되는 것을 그 본질적 작용[業]으로 한다. = 분류:면세점 = = 오장수 = 오장수(1954년 11월 30일 ~ )는 LG하우시스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2012년부터 5년간 LG하우시스 대표를 맡으면서 국내 건축자재시장 둔화에 대비해 미국 등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자동차신소재사업에 뛰어들어 성과를 내는 데 힘을 쏟았다. = = 학력 = = 경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캐나다 맥길 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미국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AMP) = = 참고 자료 = = 오장수 비즈니스포스트 인물검색 = 외즈잔 = 외즈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라마잔 외즈잔: 전 오스트리아의 터키계 축구 선수 살리흐 외즈잔: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 덩샤오핑 이론 = thumb 덩샤오핑 이론(, Deng Xiaoping Theory)은 현 중국공산당의 주요 이념이다.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인 덩샤오핑이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中全會)' 이후 '사상해방'과 '실사구시'라는 두 가지 틀 속에서 20년간 개혁 개방정책을 추진해 오면서 탄생된 이론이며, '양합국력이론은강', '생산력의 발전', '인민생활의 향상' 등 3가지 중 어느 하나에 유리하다면 자본주의적 요소도 과감히 도입할 수 있다는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의 정신적 토대이자 실천강령이다. = = 마오쩌둥 사상과의 관계 = = 덩샤오핑 이론은 "마오쩌둥 사상에도 모순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여 무조건적으로 마오 주석을 추종하기만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 일부 자유주의 성향의 학자들은 중국의 노동 인권이나, 경제적인 상황을 봤을 때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 = = = 흑묘백묘론 = = = 덩샤오핑은 흰 고양이건 검은 고양이건 쥐만 잘 잡으면 된다고 주장하였고, 시장 경제냐 아니냐가 아니라 인민들이 잘먹고 잘사느냐가 사회주의이냐 아니냐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 살게 하면 그것이 제일이라는 뜻.) 덩샤오핑 이론은 중국 보수주의의 주요 동기가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시장 경제를 도입하더라도,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덩샤오핑 이론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3가지 원칙을 부정하지 않는다. 공산주의의 기본 정신을 부정하지 않는다. 민중민주주의 독재 정치 체제를 지킨다. 공산당의 지도력을 유지한다. = = = 사회주의 시장경제 = = = 덩샤오핑은 자본주의 국가에도 계획 경제가 존재하듯이, 사회주의 국가에도 시장 경제가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중국의 개혁. 개방 - 중국 경제개혁의 총설계사 덩샤오핑 = = = 선부론 = = =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노선은 흑묘백묘론으로 대표되는 실용주의 노선에 따라 일방적인 공산주의식 평준화보다는 "부유할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부유해져라"라는 선부론을 주장한다.[불멸의 이노베이터 덩샤오핑 / 최재선 교수 지음]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등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1978년, 덩샤오핑의 '선부론'을 기본 원칙으로 한 개혁개방이 시작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선부론을 앞세워 자본주의를 받아들였지만, 오히려 국민에게 분배되지 못하고 빈부격차의 확대로 이어졌다. = 분류:이스라엘의 텔레비전 배우 = = 2012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다음은 2012년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드라마 프로그램을 나열한 목록이다. = = 1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시청등급 비고 아모레미오 2012.01.012012.01.29 KBS2 샐러리맨 초한지 2012.01.022012.03.13 SBS 부탁해요 캡틴 2012.01.042012.03.08 SBS 해를 품은 달 2012.01.042012.03.15 MBC 난폭한 로맨스 2012.01.042012.02.23 KBS2 널 기억해 2012.01.20 SBS 닥치고 꽃미남 밴드 2012.01.302012.03.20 tvN 신들의 만찬 2012.02.042012.05.20 MBC 한반도 2012.02.062012.04.03 tV조선 무신 2012.02.112012.09.15 MBC 소녀탐정 박해솔 2012.02.122012.03.04 KBS2 신드롬 2012.02.132012.04.17 JTBC 일년에 열두 남자 2012.02.152012.04.05 tvN 넝쿨째 굴러온 당신 2012.02.252012.09.09 KBS2 보통의 연애 2012.02.292012.03.08 KBS2 아내의 자격 2012.02.292012.04.19 JTBC 사랑도 돈이 되나요 2012.03.032012.05.06 MBN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간 2012.03.112012.03.18 KBS2 강산무진 2012.03.12 KBS1 불후의 명작 2012.03.172012.05.20 채널A 바보엄마 2012.03.172012.05.20 SBS K팝 최강 서바이벌 2012.03.192012.05.01 채널A 패션왕 2012.03.192012.05.22 SBS 옥탑방 왕세자 2012.03.212012.05.24 SBS 더킹 투하츠 2012.03.212012.05.24 MBC 적도의 남자 2012.03.212012.05.24 KBS2 강철본색 2012.03.252012.04.15 KBS2 사랑비 2012.03.262012.05.29 KBS2 = = 2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시청등급 비고 결혼의 꼼수 2012.04.022012.05.22 tvN 내 인생의 단비 2012.04.022012.08.31 SBS 막돼먹은 영애씨 10 2012.04.132012.08.31 tvN 인현왕후의 남자 2012.04.182012.06.07 tvN 지운수대통 2012.04.212012.06.24 tV조선 국회의원 정치성 실종사건 2012.04.222012.05.13 KBS2 해피엔딩 2012.04.232012.07.16 JTBC 맛있는 인생 2012.04.282012.09.23 SBS 굿바이 마눌 2012.05.072012.07.10 채널A 사랑아 사랑아 2012.05.072013.01.04 KBS2 별도 달도 따줄게 2012.05.072012.11.02 KBS1 수상한 가족 2012.05.092012.06.28 MBN SOS - 우리 학교를 구해줘 2012.05.202012.05.27 KBS2 그래도 당신 2012.05.212012.12.03 SBS 신사의 품격 2012.05.262012.08.12 SBS 닥터진 2012.05.262012.08.12 MBC 그대 없인 못살아 2012.05.282012.11.16 MBC 추적자 THE CHASER 2012.05.282012.07.17 SBS 아이 러브 이태리 2012.05.282012.07.17 tvN 각시탈 2012.05.302012.09.06 KBS2 아이두 아이두 2012.05.302012.07.19 MBC 유령 2012.05.302012.08.09 SBS 2012 KBS 드라마 스페셜 2012.06.032012.12.23 KBS2 습지상태 보고서 2012.06.03 KBS2 빅 2012.06.042012.07.24 KBS2 노숙자씨의 행방 2012.06.17 KBS2 로맨스가 필요해 2012 2012.06.202012.08.09 tvN 리메모리 2012.06.24 KBS2 친애하는 당신에게 2012.06.272012.08.16 JTBC = = 3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시청등급 비고 내가 우스워보여? 2012.07.01 KBS2 불이문 2012.07.08 KBS2 골든 타임 2012.07.092012.09.25 MBC 걱정마세요, 귀신입니다 2012.07.15 KBS2 칼잡이 이발사 2012.07.22 KBS2 응답하라 1997 2012.07.242012.09.18 tvN 해운대 연인들 2012.08.062012.09.25 KBS2 신의 2012.08.132012.10.30 SBS 아랑사또전 2012.08.152012.10.18 MBC 아름다운 그대에게 2012.08.152012.10.04 SBS 메이퀸 2012.08.182012.12.23 MBC 다섯 손가락 2012.08.182012.11.25 SBS 판다양과 고슴도치 2012.08.182012.10.07 채널A 스틸사진 2012.08.19 KBS2 내가 가장 예뻤을 때 2012.08.26 KBS2 유리감옥 2012.09.02 KBS2 너라서 좋아 2012.09.052012.11.08 SBS 제3병원 2012.09.052012.11.08 tvN 대왕의 꿈 2012.09.082013.06.08 KBS1 칠성호 2012.09.09 KBS2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2012.09.122012.11.15 KBS2 아트 2012.09.16 KBS2 아들 녀석들 2012.09.222013.03.24 MBC 내 아내 네이트리의 첫사랑 2012.09.23 KBS2 가족사진 2012.09.29 SBS = = 4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시청등급 비고 울랄라부부 2012.10.012012.11.27 KBS2 마의 2012.10.012013.03.25 MBC 태권, 도를 아십니까 2012.10.07 KBS2 모퉁이 2012.10.14 KBS2 친구 중에 범인이 있다 2012.10.21 KBS2 못난이송편 2012.10.242012.10.25 MBC 무자식 상팔자 2012.10.272013.03.17 JTBC 아빠가 간다 2012.10.28 KBS2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2012.10.292013.01.01 JTBC 저어새, 날아가다 2012.11.04 KBS2 힘내요 미스터 김 2012.11.052013.04.26 KBS1 드라마의 제왕 2012.11.052013.01.07 SBS 보고싶다 2012.11.072013.01.17 MBC 환향-쥐불놀이 2012.11.11 KBS2 복마전 2012.11.18 KBS2 오자룡이 간다 2012.11.192013.05.17 MBC 전우치 2012.11.212013.02.07 KBS2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의 후속작인 '아이리스2'가 당초 2012년 11월 21일에 방영할 예정이었지만, 제작이 늦어지는 관계로, 편성 공백을 메우기 위해. 본 작품이 그 자리에 우선 편성되었다. 청담동 앨리스 2012.12.012013.02.07 SBS 기적 같은 기적 2012.12.02 KBS2 학교2013 2012.12.032013.01.28 KBS2 가족의 탄생 2012.12.052013.05.17 MBC 오월의 멜로 2012.12.09 KBS2 상권이 2012.12.16 KBS2 또 한번의 웨딩 2012.12.23 KBS2 = 분류:체스 올림피아드 = = 오아시스 (영화) = 오아시스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로 2002년 8월 15일 개봉한 다양성 예술 영화다. 2002년 제59회 베니스 영화제에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되어 감독상, 신인연기상, 국제비평가협회상, 가톨릭언론협회상, 청년비평가상을 받았다. = = 줄거리 = = 29살 청년 종두는 자동차 뺑소니로 인한 과실치사로 2년 6개월 형을 마치고 막 출소했다. 어머니께 드릴 옷도 사서 집으로 찾아가지만 가족들은 어디론가 이사를 가버렸다. 음식점에서 돈 없이 음식을 먹고는 가족들에게 연락을 하려하지만 연락은 닿지 않고 결국 종두는 경찰에게 끌려온다. 동생(종세)이 파출소로 찾아와 가족에게 돌아오지만, 가족은 사회부적응자인 그를 별로 반가워 하지 않는다. 출소 다다음날 종두는 뺑소니 사고의 피해자 집을 인사차 찾아가지만, 피해자 가족들은 화를 내며 그를 돌려보낸다. 마침 이사 중이던 그들은 뇌성마비 환자인 한공주를 버려두고 떠나며, 종두는 쓸쓸하게 남겨진 한공주에게 다시 돌아가 과일바구니를 몰래 놓고 온다. 다녀온 뒤에도 공주 생각이 난 종두는 한 밤에 자신이 일하는 중식집 배달 오토바이를 끌고 한공주 집에 간다. 집 앞에까지 갔다가 그냥 돌아오던 종두는 교통사고를 당하고 형수의 구박을 듣는다. 아침에 종두는 꽃을 들고 다시 한공주집에 찾아간다. 마침 나타난 옆집 아주머니에게 꽃을 전해주고 오다가 발걸음을 재차 돌려 혼자 있는 공주의 방에 들어간다. 자신의 호감을 표시하던 종두는 신체가 자유롭지 않은 공주를 강간하려 한다. 그러던 중 공주는 기절하고 놀란 종두는 자책하며 급히 찬물로 공주가 정신차리게 한 뒤 도망치듯 집을 떠난다. 홀로 남은 공주에게 세상은 너무나 비정하다. 돈 받고 밥 챙겨 주는 옆집 아주머니는 공주네 집에서 남편과 정사를 나누고, 공주 명의로 장애인 주택을 분양받아 이사간 가족도 정부에서 검사관이 올 때나 잠깐 공주를 데려온다. 그리고 공주는 결국 종두가 남겨둔 연락처로 전화를 걸고, 둘은 서로를 알아가며 사랑의 감정을 키워나간다. 공주에게 형을 도와 자동차 정비일을 한다고 속인 종두는 형에게 일을 가르쳐 달라고 한다. 종두는 형의 카센터에서 공주와 자장면을 먹고, 손님 차를 몰고 드라이브도 하면서 데이트를 즐긴다. 환상 속에서 공주는 두 발로 걷고 노래하고 장난도 치지만, 현실에서는 음식점에서도 쫓겨나고, 종두의 가족 모임에서는 뺑소니 사고 피해자 가족이라는 이유까지 더해져 외면받는다. 그러던 어느 날 종두와 공주는 정사를 나누는데, 마침 들른 공주의 가족들이 이 모습을 보게 된다. 경찰서에 끌려가 성폭행 혐의를 받게 된 종두는 경찰서에서 도망친다. 그리고 공주가 평소 무서워하던 나무 그림자를 없애기 위해, 공주네 집 앞 나무에 톱을 들고 올라가 가지를 잘라낸다. 종두는 경찰에 다시 잡혀가지만, 공주는 라디오를 크게 트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시간은 흐르고, 공주는 방에서 청소를 하면서 수감 중인 종두가 돌아올 날만을 기다린다. = = 캐스팅 = = 설경구 : 홍종두 역 문소리 : 한공주 역 안내상 : 홍종일 역 류승완 : 홍종세 역 추귀정 : 종일 아내 역 김진구 : 종두엄마 역 손병호 : 한상식 역 윤가현 : 상식 아내 역 한진섭 : 형사 1 역 한대관 : 형사 2 역 박명신 : 옆집여자 역 박경근 : 옆집남자 역 이병철 : 목사 역 이종우 : 김군 역 강준석 : 홍정민 역 라재훈 : 홍정민 역 홍종두 : 설경구 역 한공주 : 문소리 역 홍종일 : 안내상 역 권혁풍 : 무전취식 음식점주인남 역 김보영 : 무전취식 음식점주인여 역 이양희 : 형사 가 역 이후연 : 형사 나 역 허형사 : 형사 다 역 이경훈 : 파출소순경 1 역 유영환 : 미니수퍼주인 역 유인석 : 중국집사장 역 박근호 : 중국집종업원 역 황현규 : 심방집사 역 최연식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권영국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박팔영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박길수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유일한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이준동 : 부동산사장과 친구들 역 임민희 : 여중생 1 역 한지현 : 여중생 2 역 곽수정 : 아파트 여주인 역 압둘 마지드 : 동남아 외국인 역 이재진 : 문전박대 식당손님 역 김인준 : 문전박대 식당손님 역 윤세나 : 동직원 1 역 변승욱 : 동직원 2 역 채학수 : 차주인 역 김영태 : 카센터손님 역 류정호 : 사진사 역 박통일 : 종두외삼촌 역 신종순 : 종두친척들 역 방혜원 : 종두친척들 역 방두환 : 종두친척들 역 박채린 : 종두친척들 역 이대세 : 종두친척들 역 이인용 : 종두친척들 역 이유빈 : 종두친척들 역 김영주 : 종두친척들 역 황봉자 : 종두친척들 역 소재련 : 연희식당 종업원 역 황경 : 핸드폰여자 역 이모개 : 생수병남자 역 고서희 : 생수병여자 역 고재석 : 레카파남자 역 박성희 : 레카파여자 역 홍선영 : 옆집시어머니 역 최일석 : 의경 역 샤미니 마니캄 : Indian Femade Dancer 역 숨폰 운와드 : Indian child 역 = = 수상 = = 2002년 제59회 베니스 영화제 장편 경쟁부문 초청 2002년 제59회 베니스 영화제 감독상 이창동 국제비평가협회상 가톨릭언론협회상 청년비평가상 수상 신인연기상 문소리 2003년 제12회 브리즈번 아시아 퍼시픽 영화제 넷팩상 이창동 2003년 제3회 세빌리아영화제 관객상 이창동 2003년 제3회 팜스프링즈 국제영화제 오스카상 이창동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이창동 영화부문 감독상 이창동 2003년 제29회 시애틀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설경구 여우주연상 문소리 2002년 제10회 춘사대상영화제 대상 이창동 감독상 이창동 각본상 이창동 남우주연상 설경구 여우주연상 문소리 2002년 제3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각본상 이창동 남우주연상 설경구 2002년 제23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문소리 2002년 제1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최우수작품상 이창동 감독상 이창동 각본상 이창동 남우주연상 설경구 여우주연상 문소리 신인여우상 문소리 = 분류:외륜선 = = 킹스턴 루디스카 = 킹스턴 루디스카(Kingston Rudieska)는 2004년 서울에서 결성된 대한민국의 9인조 스카밴드이다. 밴드명은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Kingston)과 자메이카어로 악동을 의미하는 루디(Rudie), 그리고 음악의 장르 중 하나인 스카(ska)라는 단어를 결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 = 구성원 = = 최철욱(트롬본, 보컬, 리더) 오정석(트럼펫, 플루겔혼) 김정근(트럼펫) 성낙원(색소폰) 이석율(보컬, 퍼커션) 서재하(기타) 피인혁(베이스) 故김대민(드럼) 임채선(키보드) = = = 전 구성원 = = = 유선화 [드럼] 최문주 [베이스] 박헌상 [테너섹소폰] 황요나[드럼] 박상흠[베이스] 석지완[드럼] 정재현 [테너섹소폰] 김광현 [키보드] 이종민 [키보드] 김정근 [트럼펫] 김억대(키보드) 배선용[트럼펫] *손형식[베이스] = = 음반 = = = = = 싱글 = = = Kingston Rudieska - 2006년 10월 11일 너 때문이야 - 2011년 8월 1일 니 말이 화나 - 2012년 3월 21일 봄날의 합창(Feat.이한철) - 2014년 4월 2일 Everday - 2015년 5월 13일 리우데자네이루 (Rio De Janeiro) (Feat. 나희경) - 2016년 7월 13일 브라질 (Brazil) - 2016년 7월 29일 레게밤밤 - 2018년 6월 9일 = = = EP = = = 스카 피델리티 (Ska Fidelity) - 2009년 3월 2일 Dr. Ring Ding & Kingston Rudieska- 스카 앤 서울 (Ska 'N Seoul) -2014년 3월 12일 = = = 정규 음반 = = = Skafiction - 2008년 5월 20일 Ska Bless You - 2010년 6월 29일 3rd Kind - 2012년 7월 30일 Everyday People 2014년 12월 1일 = 분류: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 예멘 국기 = = 분류:핏케언 제도의 역사 = = 헤이스팅스 = 헤이스팅스(Hastings)는 다음을 의미한다. = = 지명 = = 헤이스팅스는 잉글랜드의 도시이다. 헤이스팅스는 뉴질랜드의 도시이다. 헤이스팅스 (네브래스카주) = = 인명 = = = = = 실존 인물 = = = 워런 헤이스팅스는 영국의 정치가이다. 프랜시스 로던 헤이스팅스는 영국의 군인ㆍ정치가이다. 리드 헤이스팅스: 미국의 기업인 헤이스팅스 반다: 1961년부터 1994년까지 말라위의 지도자 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 미국의 수학자 앨시 헤이스팅스: 미국의 정치인, 법조인 = = = 가공의 인물 = = = 아서 헤이스팅스는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에 나오는 인물이다. = 노베메스토 (프라하) = 노베메스토는 체코 프라하의 신시가지 지역을 의미한다. = 윤승선 = 윤승선(尹昇善,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해군,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다. 교육자 윤치오의 넷째 아들이며 윤영렬의 손자이다. 4대 대통령 윤보선의 사촌 동생이며, 군의관 윤치왕의 5촌 조카이다. 본관은 해평(海平)이다. 일제강점기에 황해도청 내무부 서기로 임용되었다가 1939년 입대하여 일본 관동군에서 복무했다. 해방 후 귀국하여 손원일의 해사대에 참여했고, 1947년 민간 기업에 근무했다. 1948년 4월 군 입대 이후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병대의 창군주역으로 참여, 활동했고 6.25 전쟁에는 해병대 제1전투단 소속으로 참전하였다. = = 생애 = = 1904년 경성부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대한제국의 관료 윤치오이고, 어머니는 그의 첫 부인 이숙경(李淑卿)이다. 한국의 초기 해부학, 병리학자이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며 부총장과 총장을 지낸 윤일선은 그의 형이다. 상공부장관과 서울특별시장, 대한민국의 4대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은 그의 사촌 형이다. 조선의 계몽사상가이자 사회운동가 좌옹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 된다. 그는 키가 컸다 한다.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황해도 내무부 토목과 토목기수로 부임하였다. 1929년 황해도 내무부 토목과 건축기수가 되었다. 1928년 12월 28일 이만구의 딸 이을남과 혼인하였다."新郞新婦", 매일신보 1928년 12월 29일자, 2면 6단 그런데 다음 달인 1929년 1월 13일에 다시 결혼식이 보도된다. 1929년 1월 13일 이만구의 딸 이을남과 혼인하였다."新郞新婦", 매일신보 1929년 1월 13일자, 2면 9단 이을남은 용인군 출신으로, 당시 용인군 동남면 천이리(泉二里) 신부 집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한다. 1931년 7월 14일 황해도청 토목기수, 회계과 계원으로 발령"地方辭令", 매일신보사 1931년 7월 14일자, 3면 12단, 1939년까지 재직했다. 그 뒤 일본군에 입대, 관동군사령부 대위한국사회과학연구소, 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1992) 157페이지, 일본군 관동군사령부 시설장교를 역임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귀국, 8월 21일 손원일의 해사협회(海事協會, Marine Affairs Association) 조직에 참여하였고, 11월 21일 역시 손원일, 정긍모(鄭兢謨) 등이 서울 안동교회에서 창설한 해방병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군정이 주둔하면서 9월 15일 미군정청 건축서 공사과장이 되었다. 미군정 공사과장직을 사임한 시점은 알려져 있지 않다. 1947년 4월 28일 서울 종로구 관훈동 112번지에 토목, 건축, 수로 공사를 감독하는 회사 응용공업주식회사(應用工營株式會社) 창립에 참여하고, 취체역 부사장이 되었다."會社登記公吿", 공업신문 1947년 5월 8일자, 2면 9단 이후 1948년 4월 다시 군에 입대 국군 해군 창설에 참여하였으며, 백두산함 인수에 관여하였고, 1948년 9월 해군이 창설되어 해군 장교가 됐다. 6.25 전쟁 발발때에는 해군 소위로, 해병대 제1전투단의 11중대 1소대장으로 39고지에 참전, 중국 인민군과 교전했다. 1950년 11월 23일에는 정찰을 마치고 돌아온 함재기가 진해와 거제도 사이의 해상에서 추락하자, 윤승선은 당시 와병중이었으나 직접 바닷물에 입수, 함재기를 찾아내 화제가 되었다."씩씩한 바다의 健兒들 墜落된 艦載機를 引揚", 부산일보 1950년 11월 23일자 그뒤 해군 소령으로 승진, 51년 8월 3대 해군 시설감으로 임명되었다. 휴전 후 중령으로 진급, 해병대 제1상륙사단 공병참모를 거쳐, 대령으로 진급하였고 해군본부 시설감, 해병대본부 공병감 등을 지냈다. 해병대 공병감으로 재직 중, 인천 서구 금곡동에 해병대 교육단 부지를 마련하고 해병교육단의 설계와 시공을 감독하였다. 제2공화국 당시 해병대 대령으로 재직 중이었다. 1963년 민주당 고문 겸 당무위원을 역임했다. =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윤영렬(尹英烈, 1854년 음력 4월 15일 - 1939년 양력 11월 4일) 아버지 : 윤치오(尹致旿, 1869년 음력 8월 5일 - 1949년 양력 12월 2일) 어머니 : 이숙경(李淑卿, 1869년 - 1909년) 형: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 형수 : 조마구례(趙瑪玖禮, 다른 이름은 조영숙(趙榮淑) 또는 Margaret Young Sook Cho, 1901년 12월 14일 ~ 2003년 8월 9일) * 조카 : 윤탁구(尹鐸求, 의사·원자력 병원장 역임 형: 윤명선(尹明善, 1900년 9월 1일 - 1946년 2월 11일) 형: 윤왕선(尹旺善, 1902년 1월 - 1926년 8월 20일) 누나: 윤시선(尹時善, 1898년 5월 30일 ~ ?), 화가, 1950년 8월 30일 납북됨 * 자형: 민원식(閔瑗植, 1898년 - ?) - 독립운동가, 민영환의 6촌인 민영철의 셋째 아들,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보좌진, 1950년 8월 30일 납북됨 여동생: 윤정선(尹晶善, 1908년 7월 8일 - ?) 계모: 윤고려(尹高麗,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 - 김윤정(金潤晶)의 딸 윤고려는 본래 김씨이나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었다.다른 이름으로 윤고라 라는 이름도 있다.《뉴스플러스》 (1999.4.1)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 여동생 : 윤융희국민보 제41호, 1914년 1월 7일자 기사 동생 : 윤욱선 동생 : 윤창선 계모: 현송자(玄松子, 1899년 5월 16일 ~ 1978년) 동생: 윤영선(尹暎善, 1922년 11월 11일 - ) 동생: 윤대선(1929년 2월 23일 - 1939년 11월 30일) 여동생: 윤효선(尹曉善, 1925년 4월 7일 - ) 부인 : 이을남(李乙南, 우봉이씨, 1911년 8월 3일 - ?) 이병도의 6촌 여동생, 이만구(李萬九)의 딸 아들: 윤광구(尹光求, 1932년 - 1996년 8월 24일) 해군 대령으로 예편, 영풍산업 감사 며느리 : 이강옥(李崗玉, 전주이씨, 1938년 ~ ), 이두철(李斗喆)의 딸 * 손녀: 윤선영 * 손자: 윤보영 * 손자: 윤호영 아들: 윤원구(尹元求, 1934년 - ), 기업인, 금호석유 상무, 화승 전무 며느리 : 박원준(朴元濬"結婚", 조선일보 1964년 10월 9일자 3면, 사회면), 상공부 차관 박상운(朴商雲)의 3녀 * 손자 : 윤원영 딸: 윤순구 사위: 이정춘 딸: 윤환구 사위: 이흥종 * 외손녀 : 이윤진 * 외손 : 이상우 * 외손 : 이상엽 * 외손녀 : 이수진 숙부 : 윤치소(尹致昭, 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 = = 관련 서적 = = 김성은, 《국방의 멍에》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1992) 157페이지, 관동군사령부 시설장교를 역임하였다. 임종국, 《실록 친일파》 (반민족문제연구소, 1991) = 낙동강 벨트 = 낙동강 벨트란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와 경상남도 김해시 , 양산시 등전운 감도는 '낙동강 벨트'…여야 후보군 윤곽2015-12-02JTBC 5시 정치부 회의 낙동강 하구 지역에 위치한 지역으로 영남 지역이지만 다른 곳에 비해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말한다. 낙동강을 끼고 있다는 공통점 때문에 '낙동강 벨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낙동강 벨트에 속하는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갑, 북구·강서구 을, 사상구, 사하구 갑, 사하구 을과 경상남도 김해시 갑, 김해시 을, 양산시 갑, 양산시 을까지 총 9석이 있다. = = 성향 = = 민주 정당 지지세가 다른 영남권에 비해 강한 지역인데 세부적으로 따지면 그 중에서도 친노, 친문 계파를 지지하는 성향이 강한 편이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 텃밭인 호남 지역과 비교되는 차이점으로, 낙동강 벨트에서 동교동계의 지지세는 일관적으로 꽤 낮은 편이었다. 실제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정동영, 그리고 동교동계와 연합했던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의 안철수 후보 모두 낙동강 벨트에선 고작 15% 정도 득표에 그쳐 기타 전국 주요 지역들보다 오히려 낮은 편이었다. 반면에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는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 총 34.3% 득표율을 올려 부산, 경남 지역 평균 득표율인 28.6%보다 약 6% 더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부산 사상구 : 34.3%, 북구 : 33.8%, 사하구 : 30.7%, 강서구 : 34.3%, 경상남도 김해시 : 39.7%, 양산시 : 32% 문재인 대통령 역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 총 43.5% 득표율을 기록하여 부산광역시 전역에서 기록한 득표율인 39.9%보다 4%가량 더 높았고 경상남도 전역에서 기록한 득표율인 36.3%보다 약 7% 정도 더 높았다.부산 사상구 : 43.9%, 북구 : 42.7%, 사하구 : 41.4%, 강서구 : 40.1%, 경상남도 김해시 : 47.5%, 양산시 : 40.8%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엔 문재인 대통령이 낙동강 벨트 전역에서 42.7%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부산 사상구 : 41.4%, 북구 : 41.2%, 사하구 : 39.1%, 강서구 : 45%, 경상남도 김해시 : 46.7%, 양산시 : 41.9% 이렇게 된 이유는 바로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 이곳이 고향이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출신이었고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다가 낙선하면서 전국적으로 알려져 대권 주자로 발돋움했고 끝내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다. 문재인 대통령은 경상남도 거제시 출신이지만 부산에서 성장했고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를 시작했다. 즉, 두 사람 모두 이 낙동강 벨트 지역과 인연이 있었던 인물인 것이다. 그 덕분에 호남 지역과 달리 이곳은 친노-친문 계파 지지세가 더 강한 지역이 되었다. = = 상세 = = 이 낙동강 벨트 지역의 공통점은 대체로 공단이 많고 (녹산, 사상, 김해, 양산) 양산신도시, 장유, 화명동, 다대동, 엄궁동, 명지오션시티 등 신도시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젊은층과 외지인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또 상대적으로 부촌이 드물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대개 부산의 부촌들은 해운대구의 센텀시티, 마린시티 등과 같이 동부산권에 많이 위치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서부산권 사람들은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보수 정당 출신 허남식 전 부산시장의 경우 임기 중에 해운대구 등 동부산권에 더욱더 편향적인 발전 정책을 편 탓에 서부산권에서 더욱 민주당 지지세가 강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 모두 대권을 잡기 이전에 이곳에서 정치를 시작했기에 그 인연으로 친노-친문 성향 민주당 지지세가 더욱 높아졌다. = = 역사 = = 본래 부산광역시와 동부 경남 지역은 부울경 지역 정치의 대부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향으로 인해 상도동계 민주당 즉, 통일민주당의 텃밭이었던 곳이었다. 그러나 1990년에 있었던 3당 합당으로 인해 민주자유당이 출범하면서 그에 따라 이 지역도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었다. 거기다 영호남 간 지역갈등도 한몫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중심이 된 동교동계 민주당은 '호남당'으로 인식되었다. 그 덕분에 3당 합당 이후 2000년에 있었던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부산과 경남에선 민주당이 단 1석도 획득하지 못했다. 그런데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 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로 당 내 비주류 영남 인사였던 노무현이 출마하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물론 그 당시 영남 지역은 한나라당의 텃밭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영남 전 지역은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그런데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부산에서 15.28%, 경남에서 11.04% 득표에 그쳤지만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부산에서 29.85%, 경남에서 27.08%를 득표해 김대중 대통령보다 2배나 더 많은 득표를 했다. 또 그 중에서도 낙동강을 낀 지역에서 득표율이 특히 높게 나온 것이 발견되었다. 부산의 경우는 사상구(34.31%)>강서구(34.28%)>북구(33.78%)>영도구(32.91%)>사하구(30.66%)=기장군(30.66%)>해운대구(30.42%) 순으로 득표율이 나타났고 이 지역에서 모두 3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렸다. 이 중 영도구, 기장군, 해운대구 3곳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모두 낙동강을 끼고 있는 지역이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경남의 경우 김해시(39.7%)>양산시(31.95%)>거제시(30.37%) 순으로 득표율이 나타났는데 이 3곳에서만 3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렸다. 이 중 거제시를 제외한 나머지 2곳은 역시 모두 낙동강을 끼고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이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영남권을 통틀어 비교적 지지율이 높게 나온 지역이 모두 낙동강을 끼고 있는 지역이란 공통점에 착안해 '낙동강 벨트'라는 용어가 만들어졌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영남 진출을 모색하게 된다.사실 이 당시에 노무현 대통령이 영남 전역을 통틀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은 울산광역시 동구인데 그 당시에 노무현 후보가 47.9% : 36.47%로 이회창 후보를 이겼다. 이것은 유일하게 노무현 후보가 영남에서 이회창 후보를 이긴 곳이었고 현재까지도 3당 합당 이후 민주 정당 역대 대선 후보들 중 영남 지역에서 기록한 최고 득표율이었다. 3당 합당 이후에 민주 정당 대선 후보로서 최초로 부울경에서 1위를 차지한 문재인 대통령도 못 기록해 본 득표율이었다. 문 대통령이 영남에서 기록한 최고 득표율은 18대 대선 때 경남 김해시에서 기록한 47.49%였다. 다만 울산 동구는 낙동강을 끼고 있지도 않고 본래 이곳은 민주노동당 등의 진보 정당 계열 지지세가 강한 곳이라 낙동강 벨트와는 거리가 있는 곳이다. 그리고 2년 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사태 역풍의 수혜를 받아 열린우리당이 152석 단독 과반을 확보하는 압승을 거두었지만 영남에서는 성적이 좋지 못해 단 4석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사하구 을에서 조경태가 당선되었고, 경상남도의 경우 김해시 갑에서 김맹곤이 또 김해시 을에서 최철국이 당선되었다. 마지막으로 울산광역시도 울주군에서 강길부가 당선되었다. 이 중 울산 울주군을 뺀 나머지 3곳은 역시 낙동강을 끼고 있는 낙동강 벨트 지역이었다. 민주 정당이 3당 합당 이후 영남 지역에서 의석을 확보한 것은 무려 14년 만의 일이었는데 그 결실이 처음 맺어진 것이 바로 이 낙동강 벨트였다. 그러나 이후 2007년의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선 참여정부의 갖가지 실정도 있었던 데다 전라북도 순창군 출신의 정동영이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로 출마하자 지역 감정도 한몫 거들어서 그 때는 낙동강 벨트 지역도 다른 영남 지역과 마찬가지로 15% 내외의 득표율을 거두는데 그쳤다. 하지만 2008년에 치른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때엔 당시 통합민주당이 전국을 통틀어 불과 81석밖에 얻지 못하는 대참사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광역시 사하구 을의 조경태와 경상남도 김해시 을의 최철국이 각각 재선에 성공하면서 한나라당의 영남 싹쓸이를 막아내는데 성공했다.김해시 갑의 김맹곤 의원은 2005년에 의원직을 상실했고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김정권 후보가 당선되면서 빼앗겼다. 그리고 김정권 의원은 18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이 2곳이 당시 통합민주당이 영남에서 건진 유이한 의석인데 모두 낙동강 벨트에 속한 지역이다. 이후 2년이 지나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부산광역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김정길 후보가 현직 시장인 한나라당 허남식 후보를 상대로 선전한 끝에 44.57% : 55.42%로 득표율 10.85%, 득표 수 15만 942표 차로 석패했는데 이 선거에서도 김정길 후보는 낙동강을 낀 서부산 지역에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김정길 후보는 사상구(48.54%)>북구(48.04%)>강서구(47.12%)>영도구(47.05%)>해운대구(45.24%) 순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는데 역시 상위 3개 구에 낙동강 벨트 지역인 사상구, 북구, 강서구가 포진해 있었다. 같은 날 무소속으로 경상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김두관 후보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이자 노무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시에서 무려 61.88%나 되는 득표율을 기록하여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다만 이 때 양산시의 득표율은 52.8%로 김두관 후보가 승리하긴 했지만 하동군, 창원시, 진주시 등보다도 낮았다. 이후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친구 문재인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정계에 입문해 첫 선거를 치렀다. 이 때 민주통합당은 영남권 전역을 통틀어 단 3석을 획득하는데 그쳤는데 그 때 당선된 인물은 부산 사상구의 문재인, 사하구 을의 조경태, 경남 김해시 갑의 민홍철이었다.김해시 을의 최철국 의원은 2011년에 의원직을 상실했고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가 당선되면서 빼앗겼다. 그리고 김태호 의원은 19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이 3곳 또한 모두 낙동강 벨트에 속한 지역이었다. 이외에도 비록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북구·강서구 갑에 출마한 전재수 후보가 47.6%를 득표해 새누리당 박민식 후보에게 4.79% 차로 석패했고 북구·강서구 을에 출마한 문성근 후보가 45.15% 득표율을 기록하며 새누리당 김도읍 후보에게 7.9% 차 석패를 기록했다. 또 사하구 갑에서도 최인호 후보가 41.61% 득표율로 새누리당 문대성 후보와 3.53% 차 접전을 벌이며 선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참고로 이 세 사람이 기록한 득표율은 그 당시까지 민주당 출신 후보가 기록한 최고 득표율이었고 북구·강서구 을의 경우는 2020년까지도 문성근의 기록이 최고 기록이다. 김해시 을에서도 김경수 후보가 비록 낙선했으나 47.88%를 득표해 새누리당 김태호 후보와 4.23% 차 접전을 벌였고 양산시에서도 송인배 후보가 비록 낙선했으나 47.69%를 득표해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와 4.61% 차 접전을 벌이며 선전했다. 같은 해 치러진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선 비록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영남 전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문재인 대통령도 부울경 지역에서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부산에선 39.87% 득표율을 기록하며 노무현 대통령보다 10% 이상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경남에서도 36.33% 득표율을 기록하며 노무현 대통령보다 9%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런데 이번에도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 특히 득표율이 더 높게 나왔다. 부산의 경우 사상구(43.89%)>북구(42.72%)>사하구(41.39%)>영도구(40.84%)>부산진구(40.38%)>강서구(40.05%) 순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이 6곳에서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이 중 영도구와 부산진구를 빼면 나머지 4곳 모두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이었다. 경남의 경우 김해시(47.49%)>창원시 성산구(44.77%)>거제시(44.06%)>양산시(40.76%) 순으로 득표율을 높게 기록했는데 이 4곳에서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 중 창원시 성산구와 거제시를 빼면 나머지 2곳 모두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이었다. 특히 이 중 김해시에서는 비록 박근혜가 이기긴 했지만 52.17% : 47.49%로 불과 4.68% 차 접전을 펼쳤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 22년 동안 치러진 대선을 통틀어 경남 그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민주 정당 후보가 보수 정당 후보를 상대로 한 자리 수% 차로 추격한 것 자체도 그 때가 처음이었다. 김해시 이외에 울산광역시 북구에서도 비록 박근혜가 이기긴 했지만 53.76% : 45.75%로 불과 8.01% 차밖에 안 났다. 이 두 곳이 그 당시 영남 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박근혜를 상대로 한 자리 수% 차까지 추격한 유이한 곳이었다. 다만 울산 북구 지역은 낙동강 벨트에 속하지는 않는 곳이고 본래 이곳은 민주 정당보다는 민주노동당 같은 진보 정당이 더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엔 부산광역시장 선거에서 야권 단일 후보로 출마한 무소속 오거돈 후보가 새누리당 서병수 후보를 상대로 49.34% : 50.65%로 불과 1.31% 차 석패를 했는데 이 때도 오거돈 후보는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 승리했다. 경상남도지사 선거 역시 새정치민주연합 김경수 후보가 김해시와 창원시 성산구 두 곳에서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를 상대로 승리를 기록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이 낙동강 벨트를 바탕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영남권 대약진에 성공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낙동강 벨트 지역인 북구·강서구 갑에서 전재수 후보가 당선되었고 사하구 갑에서 최인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뒤이어 중부산권으로 약진하는데 성공해 부산진구 갑에서 김영춘 후보가 당선되었고, 연제구에서 김해영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남구 을에서 박재호 후보가 당선되어 총 5석을 획득하는 성과를 올렸다. 경상남도의 경우 김해시 갑에서 민홍철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고 김해시 을에서도 김경수 후보가 당선되었다.참고로 김경수 후보가 기록한 득표율인 62.38%가 당시 전국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중 최고 득표율이었다. 또 종전까진 김해시에만 의석이 국한되어 있었으나 최초로 양산시로 진출하는 데 성공해 양산시 을에서 서형수 후보가 당선되어 의석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다만 양산시 갑에선 송인배 후보가 국민의당 후보와의 표 분산으로 인해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에게 4.8% 차로 석패하며 획득에 실패했다. 낙동강 벨트 지역 9석 중 부산 북구·강서구 갑, 사하구 갑과 경남 김해시 갑, 김해시 을, 양산시 을까지 총 5석을 획득하고 그를 바탕으로 중부산권까지 진출에 성공하였으며 보수의 심장이라는 대구에도 진출에 성공해 수성구 갑에서 김부겸 의원이 소선거구제 전환 이후 처음으로 대구광역시에서 당선된 민주당 국회의원이 되었다. 사하구 을 현역 국회의원이었던 조경태가 새누리당으로 이적해 위기감이 감지되었으나 오히려 7석을 더 획득한 것이다.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치러진 선거였는데 이 때 문재인 대통령이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부산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했고 또 민주당 대선 후보로선 최초로 울산광역시에서도 1위를 차지했으며부울경 지역 정치 대부 김영삼 대통령조차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울산에선 울주군에서만 몇백 표 차이로 노태우에게 이겼을 뿐 울산에선 졌다. 그나마 그 당시 울주군과 울산은 별개 행정구역이었다. 경상남도에선 홍준표 후보와 접전 끝에 0.5% 차로 석패했다. 부산광역시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16개 구, 군 중 서구, 동구, 중구 단 3곳을 제외한 나머지 13개 구, 군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문재인 대통령은 강서구(45%)>기장군(41.9%)>사상구(41.38%)>북구(41.22%)>사하구(39.09%) 순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 기록했는데 기장군을 뺀 나머지 4곳은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이었다. 경상남도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비록 0.5% 차로 석패했지만 김해시, 양산시, 거제시, 창원시 의창구, 창원시 성산구, 창원시 진해구에선 모두 1위를 차지했다. 3당 합당 이후 민주당 대선 후보가 영남에서 1위를 차지한 것 자체가 27년 만의 일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문재인 대통령은 김해시(46.7%)>거제시(45.71%)>양산시(41.94%)>창원시 성산구(41.74%)>창원시 의창구(37.22%)>창원시 진해구(36.11%) 순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역시 1위와 3위에 낙동강 벨트 지역인 김해시와 양산시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 해인 2018년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당시 하늘을 찔렀던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에 힘입어 부산광역시장에 더불어민주당 오거돈 후보가 울산광역시장에도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후보, 경상남도지사에도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중 오거돈 후보는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인 강서구에서 59.23%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고 김경수 후보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인 김해시에서 65.02%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아울러 기초자치단체장에서도 부산의 경우 서구, 수영구, 기장군을 제외한 13곳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되었고 경남에서도 동부 경남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었다. 같은 날 치러진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선 기존에 차지했던 지역구인 경남 김해시 을에서전임자 김경수 의원의 지방선거 출마로 인한 사직 김정호 후보가 무려 63.01%의 득표율을 기록해 김경수 의원이 기록한 영남 지역 최고 득표율을 갱신하고 당선되며 지역구를 수성하고 아울러 부산 해운대구 을에서전임자 배덕광 의원의 구속, 수감으로 인한 사직 윤준호 후보가 당선되며 동부산권 진출에도 성공했다. 그리고 울산 북구에서도전임자 윤종오 의원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이상헌 후보가 당선되어 울산광역시로의 진출에도 성공했다. 그러나 2019년 이후 부울경 지역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동반으로 하락세를 타면서 다시 전망이 어두워지기 시작했다. 특히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직무수행평가에서 3명 모두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할 정도로 고전했다. 결국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부산에서 부산진구 갑, 연제구, 해운대구 을까지 3석을 상실했고 대구에서도 수성구 갑과 북구 을무소속으로 당선된 홍의락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했다. 2석을 모두 상실했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낙동강 벨트 방어선은 건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획득한 부산 북구·강서구 갑, 사하구 갑과 경남 김해시 갑, 김해시 을, 양산시 을까지 낙동강 벨트 지역 5석을 모두 수성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사상구의 배재정 후보와 북구·강서구 을의 최지은 후보는 모두 낙선했지만 한 자리 수% 차 접전을 벌였다. 낙동강 벨트 이외 지역에선 다소 부진했지만 부산 남구 을에서 박재호 의원과 울산 북구에서 이상헌 의원이 재선에 성공해 중부산 진출 교두보와 울산 진출 교두보는 지켰고 경남에서도 창원시 진해구에 출마한 황기철 후보가 1.36% 차로 석패하였다.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의 부산광역시장을 뽑는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부산광역시 전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낙동강 벨트로 여겨지던 강서구, 사하구, 사상구, 북구 등지에서 모두 과반이 넘는 득표율을 올리는데 성공하면서 보수쪽으로 기울게 되었다.박형준 ‘낙동강벨트’ 승리…국민의힘, 3년만의 부산 탈환 2022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낙동강 벨트에 해당하는 부산 북구, 사상구, 사하구, 부산 강서구, 양산시, 김해시 등지에서 보수정당 후보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모두 승리를 거두긴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40% 이상의 득표를 올리며 크게 선전했다. 이재명 후보는 부산광역시에서 강서구(42.92%)>영도구(41.61%)>기장군(40.79%)>사하구(40.23%)>사상구(40.09%) 순으로 높은 득표를 했는데 역시 영도구와 기장군을 뺀 나머지 3곳은 모두 낙동강 벨트 지역이었다. 경상남도에서도 김해시(46.23%)>거제시(44.69%)>양산시(42.18%)를 득표해 역시 낙동강 벨트 지역에서 높은 득표를 했다. 하지만 민주당계 정당 우세지역인 김해시 지역은 3.1%의 접전을 펼치긴 했으나 윤석열 후보의 손을 들어주었다. = = 낙동강 벨트로 보는 지역 = = 부산광역시 북구 : 16대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18, 19대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 지역의 지역구인 북구·강서구 갑에서이 선거구엔 강서구가 포함되지 않는다.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의원이 20대 총선에서 처음 당선된 후 21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7회 지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정명희 후보가 구청장에 당선되었다. 강서구 : 16대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18, 19대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19대 대선 때엔 문재인 대통령이 45% 득표율을 기록해 부산 전역을 통틀어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것은 1990년 3당 합당 이후 민주 정당 소속 후보가 대선에서 기록한 부산 지역 최고 득표율이었다. 7회 지선 때에도 더불어민주당 노기태 후보가 구청장에 당선되었으며 오거돈 부산시장 후보가 여기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다만 총선의 경우 이 지역의 지역구인 북구·강서구 을강서구에 북구 화명동과 금곡동이 포함되었다.은 일찍이 노무현 대통령이 도전했던 곳이었건만 아직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예는 없다. 사상구 : 16대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18, 19대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16대 대선 때엔 노무현 대통령이 34.3% 득표율을 기록했고 18대 대선 때엔 문재인 후보가 43.9% 득표율을 기록해 각각 부산 전역을 통틀어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19대 총선 때엔 이 곳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후에도 배재정 후보가 2연속으로 한 자리 수% 차로 석패하며 선전했다. 7회 지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김대근 후보가 구청장으로 당선되었다. 사하구 : 16대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18대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3당 합당 이후 민주 정당이 부산에서 가장 먼저 뿌리내린 곳으로 사하구 을에서 조경태 의원이 3선에 성공했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조경태 의원이 보수 정당으로 이적하면서 상실했지만 대신 사하구 갑에서 최인호 후보가 당선되었고 이후 21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7회 지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김태석 후보가 구청장에 당선되었다. 경상남도 김해시 : 노무현 대통령의 고향답게 영남 전역을 통틀어 민주 정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곳이다. 노무현, 문재인 두 대통령 모두 영남 전역을 통틀어 김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18대 대선 때 문 대통령이 김해에서 기록한 47.5%란 득표율은 현재까지도 3당 합당 이후 민주 정당 소속 후보가 대선에서 기록한 경남 지역 최고 득표율로 남아 있다. 17대 총선 때 김해시 갑에서 열린우리당 김맹곤 후보, 김해시 을에서 열린우리당 최철국 후보가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보수 정당과 격전을 벌였다가 2010년대에 들어 완전히 텃밭이 되었다. 김해시 갑에선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이 경남 최초로 3선에 성공했고 김해시 을에서도 같은 당 김정호 의원이 재선에 성공했다. 지방선거에서도 김맹곤-허성곤 시장이 각각 연임에 성공했다. 양산시 : 16대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이곳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18, 19대 대선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단일 선거구 시절부터 송인배 후보가 이곳에 4번을 출마했으나 그 중 3번을 모두 접전 끝에 4% 내외의 격차로 석패한 바 있다. 20대 총선 때 양산시 갑과 양산시 을로 분구되었는데 후자에선 보수 후보들 간 표 분산에 힘입어 서형수 후보가 당선되며 양산시 최초의 민주당 국회의원이 되었다. 반면 전자에선 국민의당 후보와의 표 분산 탓에 송인배 후보가 또 4.8% 차로 석패했다. 21대 총선에서도 양산시 을에서 김두관 후보가 지역구 수성에 성공했다.대신 양산시 갑에선 송인배 대신 나온 이재영 후보가 15% 차로 패배했다. = 지윤석 = 지윤석(1974년 4월 3일 ~)은 해태 타이거즈의 전 야구 선수다. 광주동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분류: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도로 = = 왓치맨 (드라마) = 왓치맨은 HBO에서 2019년 10월부터 방영된 미국의 슈퍼히어로 드라마로, 동명 DC 코믹스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 상어급 잠수함 = 상어급 잠수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의 300톤급 잠수함이다.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으로 유명하다. = = 천안함 격침 사태 = = 천안함은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22분 백령도 남서 해안에서 경계임무 수행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잠수정의 어뢰 공격으로 격침되었으며, 사태의 조사 과정에서 370톤 상어급 잠수함에 의한 중어뢰 공격이 의심되었으나 최종 조사결과에서는 115톤 연어급 잠수정에 의한 공격으로 발표되었다. 일반적으로 서해는 수심이 얕아 큰 잠수함은 작전하기가 곤란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천톤이 넘는 잠수함을 동해에만 배치하고 있으며, 서해에는 370톤 상어급 잠수함, 115톤 연어급 잠수정만 수십척 배치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서해를 담당하는 중국 북해함대는 핵잠수함 6척 등 중대형 잠수함 20여척이 소속되어 있어, 수심이 얕아 대형 잠수함의 작전이 힘들다는 주장이 정확한 것인지는 의심된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해에 천톤급 잠수함은 배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21인치 어뢰 = = 53-65KE는 러시아의 21인치(533mm) 중어뢰이다. 천안함 침몰당시 행방이 묘연했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어급 잠수함 2척에 장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어뢰이다. 1990년대 중국이 러시아에서 킬로급 잠수함 4척과 이 어뢰를 수입했다. 러시아의 53식 어뢰의 하나이다. 53이란 533mm 직경을 의미한다. 천안함의 지진파에는 TNT 180 kg의 폭발력이 감지되었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반잠수정의 경어뢰의 TNT 중량은 50 kg이다. 53-65KE 어뢰의 TNT 중량은 300 kg이다. 미국 레이시온의 마크 48 어뢰와 같이 1960년대에 실전배치되었다. = 분류:인교 천황의 자녀 = = 분류:수원시의원 = = 분류:일본의 곤충학자 = = 자카르타 (동음이의) = 자카르타(Jakarta)는 다음을 가리킨다. 자카르타(Jakarta)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다. 자카르타 프로젝트(Jakarta Project)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정비하는 프로젝트이다. 《자카르타》(Jakarta)는 200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분류:미얀마의 정치 = = 틀:2001년 월드 게임 경기 종목 = = 고성군 = = = 지명 = = 고성군(固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의 행정구역이다. 고성군(高城郡)은 강원도의 행정구역으로, 남북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 쪽 모두의 행정 구역으로 되어 있다. 고성군(高城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이다. 고성군(高城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 = = 선거구 = = 고성군은 과거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고성군 (강원 선거구) - 강원도 고성군 (1958년 신설, 1963년 폐지) 고성군 (1948년 경남 선거구) - 경상남도 고성군 (1948년 신설, 1963년 폐지) 고성군 (1971년 경남 선거구) - 경상남도 고성군 (1971년 신설, 1973년 폐지) * = = 200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2008년에 이루어진 대한민국 재보궐 선거에서 고성 당시 고성 군수 후보로 나왔던 황종국 (무소속) 후보와 윤승균(무소속) 후보의 득표차이가 단 1표 밖에 되지 않아 화제가 된적이 있다 이는 투표의 중요성을 알리는 사례로 선거철이 되면 화두가 되고는 한다. = 장위제2동 = = 틀:요즘 화제 처음/2024년 12월 13일 = = 분류:1840년 뉴질랜드 = = Kite (노래) = ‘Kite’는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케이트 부시의 노래로, 1978년 EMI 레코드를 통하여 발매한 첫 번째 정규 음반 “The Kick Inside”에 네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한 1978년 1월 20일에 나온 부시의 첫 번째 싱글 ‘Wuthering Heights’의 B사이드로 발매되었다. 레게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 = 작곡 = = ‘Kite’는 ♭VII를 사용해 두 조바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끎음을 공통 화음으로 사용하였다.Moore, Allan. "The So-Called 'Flattened Seventh' in Rock", p.196, Popular Music, Vol. 14, No. 2. (May, 1995), pp. 185-201. = 라테 = 라테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카페 라테 란트크로이처 P-1000 라테 라테 (그래픽스 칩): 테라스케일 기반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코드명 = 분류:재규어 자동차 = = 데살로니카의 아리스다르코 = 아리스다르코(공동번역), 아리스타르코스(가톨릭), 아리스다고(개신교)( Aristarkhos)는 "데살로니카 출신인 마케도니아 사람"(사도행전 27장 2절)으로, 신약성경의 등장인물이다. 그는 사도 바울로의 로마 여정에 함께였으며, 또다른 마케도니아 사람 가이오와 함께 에페소스의 성난 군중들에게 붙잡혀 극장으로 끌려간(사도행전 19장 29절) 사람이다. 이후 아리스다르코는 바울로와 함께 그리스에서 아시아 속주로 돌아왔으며(사도행전 20장 4절), 가이사리아에서는 바울로와 함께 아드라미티움에서 승선하여 리키아의 미라 항구에 도착한다(사도행전 27장 2절). 그러나 그가 거기서 로마까지 바울로와 함께 했는지는 등장하지 않는다. 아리스다르코는 바울로에 의해 골로새서 4장 10절에서는 "나와 함께 갇혀"있다고 언급되고, 빌레몬서 1장 24절에서는 "동료"로 언급된다.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의 전승에서 아리스다르코는 70인의 제자로 인정되며, 아파메아의 주교라고 전해져온다. 그는 기독교 순교자로서 1월 4일, 4월 14일, 9월 27일에 기념되며, 로마 가톨릭교회의 순교록에서는 8월 4일로 언급된다. 아리스다르코의 아버지 아리스다르코는 데살로니카의 폴리타르크로 기원전 39/38년경에 근무한 것으로 전해지는데,Greek inscription-IG X,2 1 30 본문의 인물 아리스다르코와 동일인물일 가능성도 존재한다.Church and Community Conflicts: The Relationships of the Thessalonian, Corinthian, and Philippian Churches with their Wider Civic Communities Page 148 By Craig Steven De Vos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1 and 2 Thessalonians By Jeffrey A. D. Weima, Stanley E. Porter Page 26 = 캄필로노투스상과 = 캄필로노투스상과(Campylonotoidea)는 생이하목에 속하는 갑각류 상과의 하나이다. 2개 과를 포함하고 있다. = = 분류 = = Campylonotidae Sollaud, 1913 Campylonotus Bate, 1888 Bathypalaemonellidae de Saint Laurent, 1985 Bathypalaemonella Balss, 1914 Bathypalaemonetes Cleva, 2001 = 분류:크로아티아의 여자 성우 = = FC 드니프로 = FC 드니프로는 드니프로를 연고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축구팀이다. = = 현재 선수 명단 = = 2015-16 시즌 기준 = = 트로피 = = = = = 우크라이나 = = = 우승: 1983, 1988 준우승: 1987, 1989 준우승: 1993, 2014 = = = 유럽 대항전 = = = 준우승: 2014-15 = 해태 (불교) = 해태(懈怠, , , , slothfulness, spiritual sloth)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해태(懈怠)는 게으름을 말하는데, 노력하지 않으려 하는 마음작용, 즉 선법(善法)을 닦음에 있어 용맹정진(勇猛精進, 勇悍)하지 않으려 하는 마음작용이다. = 이중굴절버스 = 이중굴절버스(二重屈折-, )는 다인승 굴절버스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굴절버스에 비해 굴절부를 1개 더 추가한 모습을 한 교통수단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하여 유럽·남아메리카·중국·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용 중이다. = 세계화의 비판 = 세계화의 비판은 세계화에 요구되는 이익의 회의주의이다. 이러한 많은 관점들은 반세계화 운동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러나 다른 집단들은 또한 세계화에 대해 비판적이다. 정치 과학자이자 저자인 Claus Leggewie는 비평가들을 여섯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좌파, 급진좌파, 학문좌파, 산업세계로부터의 개혁자, 종교적 기반을 가진 비평가, 그리고 우파 반대파이다. = = 성장에의 제한사항 = = 지역 선물(先物)(이전 생태학과 문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설립자 Helena Norberg-Hodge는 세계화가 그것이 영향을 미치는 경제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다고, 그것이 항상 그것으로 기대되는 경제적 성장을 만들진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세계화는 아프리카에서 사회로부터의 소외나 타인의 배제와 나란히 일어나는 특정 집단의 세계적 통합 때문에 ‘불균등한 과정’으로 서술되어 왔다. 이것으로 인해 일어나는 긴장감은 나이저 델타 갈등(conflict in the Niger Delta)의 원인이 된다. = = 초국가 기업의 힘 = = 세계화는 초국가적인 기업들의 발생에 연료를 공급해 왔고, 그 힘은 기업들이 많은 국가를 필적할 수 있는 정도까지 도약했다. 그들의 운명이 기업들이 위치한 국가와 뒤얽혀있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큰 100개의 경제에서, 그들의 42개가 기업들이었다. 이러한 초국가적 기업들의 대다수는 현재 많은 국가를 지배한다. 핀란드에 기반을 두자면, 노키아(Nokia상표이름)는 증권 시장 가치의 거의 2/3를 대표하며, 국가 세금 수익의 큰 몫을 제공한다. 이러한 힘이 있다면, 회사의 운영진들은 핀란드의 정책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국가적인 기업이 제 3세계에 관한 막대한 영향을 주었고, 근로자 봉급과 노동자 착취현장의 근무환경의 증가에 더 큰 압박을 야기했지만, 이는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기업들이 운영하는 크기에 대해 말하자면 매우 크고, 기업들이 만드는 문제는 선출된 정치인들이 다루기 어렵다. = = 초국가 기업들로부터 생긴 손해 = = 나이지리아에서 공기오염, 수질오염, 소음공해, 토지황폐화, 침식을 포함한 환경문제의 악화가 세계화의 결과로서 초국가적인 석유 산업의 존재에 기여된다. = = 전염병들 = = 주요 기사: 세계화와 질병 사스와 에볼라, 지카바이러스(SARS, Ebola and Zika virus)와 같은 전염병은 증가한 세계무역과 관광 때문에 세계를 가로질러 다닌다. = = 침습성의 생물체 = = 침습성의 생물체의 확산이 세계화에 의해 가속화해진다. = = = = 사회적효과 = = = = = = 점점 커지는 불평등 = = 영국 은행의 장 Mark Carney는 사회의 결과의 불평등의 증가의 요소로서 세계화를 뽑았다. = = 언어 손실 = = 언어 소멸의 가속화는 세계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것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 편견 = = 런던 대학교 경제학 교수 Conor Gearty는 세계화로 인해 발발된 운동의 세계적 자유는 사회적으로 편견에 대한 시야를 더 넓히고 있다고 제안해왔다. = 하프 (영화) = "하프"는 201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안용준 : 이민수 / 이민아 역 정유석 : 김기주 역 송영규 : 왕언니 역 문세윤 : 핑크 역 진혜경 : 유리 역 김해림 : 세희 역 최민 : 차 변호사 역 김영선 : 민아 모 역 서민균 : 장재진 검사 역 한성용 : 사무장 역 문호진 : 서 변호사 역 조덕제 : 판사 역 (우정출연) 문경민 : 강필성 역 (특별출연) 성민수 : 구치소장 역 (특별출연) 최범호 : 교도소장 역 (특별출연) = 로맨스 마마 = "로맨스 마마"는 1968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조미령 : 이금련 역 신영균 : 김창기 역 남정임 : 은주 역 허장강 : 박 사장 역 도금봉 : 경순 역 이순재 : 현 역 김희준 장훈 김웅 안인숙 임왕 = 분류:벨러 버르토크의 작품 = = 분류:다위안구 =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통영지원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통영지원(國立水産物品質管理院 通營支院)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업무를 분장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소속기관이다.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2로 17에 위치하고 있다. = = 관할구역 = = = = = 1도 = = = 경상남도 중 김해시·밀양시·양산시를 제외한 전 지역 = 피와 뼈 = 피와 뼈는 양석일의 소설이자 이를 원작으로 2004년에 개봉된 최양일 감독의 일본 영화이다. 영화는 2004년에 개봉됐으며, 기타노 다케시가 주연을 맡아 화제가 됐다.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제2위, 각본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오다기리 조),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작품상,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제78회 아카데미상 일본 대표작으로 뽑혀 출품됐으나, 본선 후보 5작품에는 들지 못했다. = = 출연진 = = 김준평(슌페이) - 기타노 다케시, 어린 시절: 이토 아쓰시 이영희 - 스즈키 교카 김정웅(마사오) - 아라이 히로후미 김화자(하나코) - 타바타 토모코 박 다케시 - 오다기리 조 고신의(노부요시) - 마쓰시게 유타카 구니무라 준 시오미 산세이 박희범 - 데라지마 스스무 야마나시 기요코 - 나카무라 유코 하마다 마리 요시오 - 기타무라 가즈키 장찬명 - 가시와바라 슈지 = 알렉세이 호반스키 (펜싱 선수) = 알렉세이 이고레비치 호반스키(, 1987년 6월 9일 ~)는 러시아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플뢰레이다. 그는 2012년 하계 올림픽의 남자 플뢰레 단체전에서 교체요원으로 출전하였다. 러시아는 이 토너먼트에서 5위를 기록하였다. = 분류:고든가 = = 서울 미타사 백의관음도 = 서울 미타사 백의관음도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미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4년 7월 3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62호로 지정되었다.서울특별시고시 제2014–246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 시보 제3240호, 4면, 2014-07-04 = = 지정 사유 = = 이 관음보살도는 바다 위 파도 위에 서있는 관음보살과 용왕 및 동자, 공양천녀 등을 그린 백의관음도(白衣觀音圖)로서, 분출하는 물줄기, 선재동자의 모습 등에서 전통적인 관음보살도의 도상과 다른 근대기 불화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 줌. 특히 관음을 향해 예배하는 용왕의 모습은 중국 청대의 판화에 등장하는 도상을 응용한 것으로, 중국 판화 및 서양화법을 수용했던 20세기초 서울 경기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 조사보고서 = = 광무10년(1906)에 삼각산 미타사 향로전 불화로 조성된 백의관음도로서, 石翁 喆侑가 단독으로 조성하였다. 현재 액자상태로 장황되었으며, 화면 아래부분에 보채 및 수리의 흔적이 보인다. 가로로 긴 화면의 중앙에는 넘실거리는 푸른 바다 위에 백의를 입은 관음보살이 파도 위 연잎에 서서 오른손에 버들가지, 왼손에 끈에 묶인 정병을 들고 오른쪽을 향해 서 있으며, 그 주위로 용왕과 천녀, 동자가 배치. 화면 좌우에는 대나무와 파초 등이 무성하게 배치되었고, 상단에는 구름과 두 마리의 새가 그려져 있다. 관음보살은 머리는 높이 올려 묶은 후 머리에서부터 무릎 부근까지 흰 天衣를 뒤집어 쓰고 있으며, 몸에도 白衣를 걸쳤음. 백색의 천의 자락은 좌우로 넓게 휘날리고 있는데, 옷자락의 움직임이 다소 경직되어 부자연스러워 보인다. 관음보살은 넘실거리는 푸른 바다의 파도 위 붉은 연잎에 맨발로 서 있는데, 파도의 흰 포말은 매우 도식화되었음. 관음의 건너편 뭍에는 녹색의 두광을 지닌 龍王이 갑옷 위에 붉은 옷을 입고 어깨와 머리에 비늘모양의 견갑과 투구 같은 것을 걸치고 상체를 구부린 채 관음을 향해 합장한 모습으로 서 있음. 이러한 모습의 용왕은 중국 청대의 판화도상에서 차용한 것으로, 근대불화적인 요소를 잘 보여주고 있다. 채색은 청색과 백색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흰색 위에 갈색으로 윤곽선을 칠하여 음영을 표현하는 등 새로운 기법이 돋보인다. 이 불화는 조선말기의 화승으로 금강산에서 활동한 석옹 철유가 단독으로 제작하였음, 철유(1851~1917)는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출생하였으며, 18세 때(1868년) 함경남도 연변 釋王寺에서 출가하였고, 건봉사의 화승 中峰 慧皓를 스승으로 불화수업을 받았음. 그는 주로 금강산을 중심으로 활동하여 축연과 함께 金剛山畵門으로 알려져 있음. 철유는 불화 뿐 아니라 산수화에서도 이름이 있었으며 眞彩佛畵 뿐 아니라 水墨淡彩畵 및 水墨 達磨圖를 잘 그렸다고 한다. 이 관음보살도는 바다 위 파도 위에 서있는 관음보살과 용왕 및 동자, 공양천녀 등을 그린 白衣觀音圖로서, 분출하는 물줄기, 선재동자의 모습 등에서 전통적인 관음보살도의 도상과 다른 근대기 불화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 줌. 특히 관음을 향해 예배하는 용왕의 모습은 중국 청대의 판화에 등장하는 도상을 응용한 것으로, 중국 판화 및 서양화법을 수용했던 20세기초 서울 경기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이에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 참고 자료 = = * 미타사 백의관음도 미타사 백의관음도 = 보도국 = 보도국(報道局; , 영어 뉴스데스크와 뉴스룸의 뜻은?)은 언론인들—기자, 편집자, 아나운서, 프로듀서 등이 뉴스를 모으고 그것을 신문이나 잡지, 방송 등의 형태로 발행하기 위한 작업을 하는 중심지이다. = 분류:캐나다의 여자 다이빙 선수 = = 분류:남아메리카계 영국인 = = 틀:경인선 = = 분류:노르웨이의 역도 선수 = = 분류:금나라 사람 = = 분류:주파수대 = = 토마스 빌트 버스 = 토마스 빌트 버스는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이다. = = 생산 차종 = = = = = 현재 생산차종 = = = 미노투어/마이버스 사프-T-라이너 C2 토마스 사프-T-라이너 (EFX, HDX) HC 시리즈 트랜식 라이너 MVP EF/ER TL960 체어투어 CL960 SLF200 = = = 과거 생산차종 = = = 마이티 마이트 사프-T-라이너 컨벤셔널 사프-T-라이너 FS-65 비스타 토마스 사프-T-라이너 (EF, ER, 웨스트코스트ER) 사프-T-라이너 MVP EF/ER, 올스타 = 2016년 사우디아라비아 폭탄 테러 = 2016년 7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세 장소에서 네 차례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였다. 테러 중 하나는 예언자의 모스크 주차장에서 발생하였으며, 거기서 네명이 사망하였다. = 모듈:Location map/data/Russia Astrakhan Oblas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Russia_Astrakhan_Oblas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미디어위키:Gadget-CategoryTop.js = /* CategoryTop @author ykhwong */ $(function { $(".mw-parser-output").prepend($("#catlinks")); $("#catlinks").css("margin-bottom", "15px"); $("#catlinks ul").css("margin-left", "0px"); }); = 우메야시키역 (도쿄도) = 우메야시키역은 도쿄도 오타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타는 곳 = = 1 ■ 게이큐 본선 게이큐 가마타·요코하마·가미오오카·우라가 방면공항선 하네다 공항 방면즈시 선 신즈시 방면구리하마 선 게이큐 구리하마·미사키구치 방면 2 ■ 게이큐 본선 시나가와·센가쿠지 방면○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 선 니혼바시·아사쿠사·오시아게 방면게이세이 선 다카사고·후나바시·나리타 공항 방면후쿠소 선 신카마가야·인바 니혼 의대 방면 = = 역세권 정보 = = 도호 대학 오모리니시로쿠 우체국 오타 구 체육관 우메야시키 상점가 국도 제15호선 = = 역사 = = 1901년 2월 1일: 영업 개시. 2010년 5월 16일: 상행선 고가화. = 시사콘군 = 시사콘군은 나라티왓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5년 기준으로 31576명이다. 인구 밀도는 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Sako ซากอ 6 6,992 2. Tamayung ตะมะยูง 6 4,734 3. Si Sakhon ศรีสาคร 10 8,473 4. Choeng Khiri เชิงคีรี 4 4,750 5. Kalong กาหลง 4 2,730 6. Si Banphot ศรีบรรพต 9 3,897 = 신안백 = 신안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신안백은 고려 중기의 왕족으로 왕성(王珹)의 작위이다. 현종 4남 고려 정간왕의 5대손이다. 신안백은 고려 후기의 왕족으로 고려 정간왕의 7대손 영녕공 왕준(王雍)의 아들이다. = 카울스도르프노르트역 = 카울스도르프노르트역은 베를린 마르찬헬러스도르프구 헬러스도르프에 있는 U5의 역이다. 1989년 7월 1일에 개통했다. 계획된 역명은 헬러스도르퍼 슈트라세(Hellersdorfer Straße)역이었으며, 1989년 7월 1일에 알베르트노르덴슈트라세(Albert-Norden-Straße)역으로 개통했다. 알베르트 노르덴(Albert Norden)은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었기 때문에 독일의 재통일 과정에서 1991년 10월 2일 현재의 역명으로 개칭되었다. 섬식 승강장의 너비는 12 m이며 헬러스도르퍼 슈트라세 노면 아래에 위치해 있다. 티어파르크역-회노역 구간에서 노면과의 고도 차이가 가장 큰 역으로, 역 천장부와 노면의 높이가 거의 일치한다.Jürgen Meyer-Kronthaler: Berlins U-Bahnhöfe – Die ersten hundert Jahre. be.bra Verlag, Berlin 1996, ISBN 3-930863-16-2, S. 15, 60, 116, 140. 역 진입을 위하여 육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북쪽 육교에는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 쇼핑 센터 슈프레첸터(Spree-Center)와 인접해 있다. 역 북쪽으로 인상선 2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종착 열차가 사용한다. 개명 이후 역 주변에는 알베르트 노르덴의 흔적이 전부 사라졌기 때문에 2015년 이 역 북쪽에 이나 부트케(Ina Wudtke)가 알베르트 노르덴은 누구였는가?(Wer war Albert Norden?)라는 전시를 설치했다.Wer war Albert Norden? Bei: inawudtke.com = = 인접 철도역 = = 베를린 버스 191, 197, 269, 291, N5, N91번과 환승할 수 있다. = 대소초등학교 = 현재 4학년 전학생이 많아 6반이 생기게 되었다 대소초등학교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29년 5월 1일 대소공립보통학교 개교(설립인가 3월 20일) 1938년 4월 1일 대소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 개칭 1941년 4월 1일 대소공립국민학교로 교명 개칭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설립인가 1996년 3월 1일 대소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2002년 11월 5일 다목적 강당 준공 2003년 6월 9일 씨름장 준공 2005년 6월 16일 운동장 현대화 사업 준공 2019년 3월 1일 제29대 이상국 교장 부임 2020년 1월 7일 제88회 133명 졸업(총 졸업생 11,013명) 2020년 3월 2일 2020학년도 1학년 109명 입학 = 지바현 제13구 = 지바현 13구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2002년 일본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신설되었다. = = 지역 = = 가마가야시 인자이시 시로이시 도미사토시 가시와시 (옛 쇼난 정 일대) 후나바시시 (후타와, 도요토미 촌 출장소 관할구역, 후나바시역앞 종합창구센터 관할구역 중 마루야마 1-5초메) 인바군 선거구 신설 전, 가마가야시는 지바현 제6구에, 가시와시의 일부는 지바현 제8구에, 인자이시·시로이시·도미사토시·인바군은 지바현 제9구에 속해 있었다. 2013년과 2017년에는 선거구 개편으로 후나바시시의 일부가 지바현 제4구에서 넘어왔다. = 키친 (2009년 영화) = "키친"은 민규동 감독과 수필름의 민진수 형제가 제작을 맡고, 홍지영 감독의 입봉작으로, 2009년 2월 5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이다. = = 캐스팅 = = = = = 주요 인물 = = = 신민아 - 안모래 역 주지훈 - 박두레 역 김태우 - 한상인 역 = = = 주변 인물 = = = 전혜진 - 김선우 역 박상훈 - 권주혁 역 정소연 - 권예림 역 권혁풍 - 요리 품평회 투자자 김원주 - 요리 품평회 투자자 권영국 - 요리 품평회 투자자 김보영 - 갤러리 큐레이터 민성욱 - 증권사 직장후배 김주영 - 양산가게 학생커플 백진희 - 양산가게 학생커플 이영윤 - 양산가게 수강생 최윤서 - 양산가게 수강생 김호원 - 선우의 사진 스튜디오 조수 양재봉 - 노약자석 할아버지 박순호 - 요리품평회 서빙 김연아 - 요리품평회 서빙 한민 - 두레 닮은 사진 찍는 여행객 김정현 - 비행기 승무원 케빈 T. 워어 - 외국인 승객 조승민 - 사진 스튜디오 손님 김나연 - 엘리베이터 여 = = = 특별 출연 = = = 방은진 - 요리 평론가 안혜경 - 라디오 기상캐스터 채윤서 - 웨딩촬영 신부 이환 - 웨딩촬영 신랑 = = 사운드트랙 = = 시장에서 저급한 드라마 샌드위치 키친 오프닝 누구 마누라? 김치 담그기 = 분류:2014년 10월 = = 헤일 (벨기에) = 헤일은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 안트베르펜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09.85km2, 인구는 37,848명(2013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340명/km2이다. = 어둠의 힘 = 어둠의 힘은 레프 톨스토이가 쓴 5부작 드라마 희곡 작품이다. 1806년 쓰였으나 주로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의 영향으로 인해 이 희곡 제작이 1902년 러시아에서 금지되었다. 이러한 금지에도 불구하고 이 희곡은 비공식적으로 제작되어 여러 번 읽혔다. 중심 인물은 농민 니키타이다. = 다리우스 대왕 = = 유로파 유로파 = 유로파 유로파(Europa Europa)는 폴란드에서 제작된 아그네츠카 홀란드 감독의 1990년 드라마, 전쟁 영화이다. 1989년 솔로몬 페렐(Solomon Perel)의 자서전에 기반을 둔다. 마르코 호프슈나이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아르투르 브라우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르코 호프슈나이더 = = = 조연 = = = 안드레 윌름스 애쉬리 워닝거 클라우스 아브라모스키 미셀 그레이제르 델피네 포레스트 레네 호프슈나이더 줄리 델피 한스 지쉴러 = = 기타 = = 프로듀서: 류 리윈 프로듀서: 야누시 모르겐스테른 미술: 알란 스타스키 의상: 위슬라와 스타스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MBC, 2001년 3월 11일) = = 김영선 - 솔리(솔로몬) (마르코 호프슈나이더) 손원일 - 이삭 (레네 호프슈나이더) 김서영 - 레니 (줄리 델피) 전국근 전임복 이종혁 황윤걸 윤복성 이철용 장성호 김아영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고성일 김지영 노계현 표영재 = 분류:스코틀랜드의 정치인 = = 분류:대륙별 갱 = = 분류:1971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분류:세레소 오사카 = = 분류:1896년 축구 = = 모듈:Location map/data/USA Georgia = return { name = '조지아주', top = 35.2, bottom = 30.2, left = -85.8, right = -80.6, image = 'USA Georgia location map.svg' } = 분류:오티스 블랙웰이 작곡한 노래 = 오티스 블랙웰이 단독·공동 작곡한 노래 목록 = 분류: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 = 독일의 나우루 공격 =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난 독일군의 나우루 공격은 1940년 12월 독일군이 나우루를 폭격한 사건이었다. 12월 6일부터 8일, 27일 두 차례에 걸쳐 보조순양함 2척이 나우루를 공격하였다. 급습으로 인해 연합국 소속 상선 5척이 격침되었고 나우루의 경제에 중요한 인산염 캔틸리버 하중 장치가 손상을 입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경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나우루는 방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으며 독일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나우루의 두 차례 공격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의 독일군 작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작전이다. 이 피해로 인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으로 운송되는 인산염 보급이 중단되면서 농업에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연합군 해군은 나우루와 바나바섬을 보호하기 위해 남태평양 근처로 일부 배치되었다. 또한 두 섬을 지키기 위한 주둔군이 배치되었다. = = 배경 = = 나우루와 근처의 섬들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비료 생산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양국의 농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멜버른을 기지로 한 영국 인산염위원회(BPC)는 나우루의 인산염 수출 및 생산을 통제하고 있었다.Pretes (2003), pp. 24–25 1940년 6월 30일까지 한 해 동안, 인산염위원회는 나우루에서 백만 톤 이상의 인산염을 생산했으며 이중 거의 절반 이상이 나우루에서 근처 섬의 4척의 수송선(트리아딕, 트리아스터, 트리오나, 트리엔자)과 공인 상선으로 운반되고 있었다.Gill (1957), pp. 276–277 이 섬에는 항구나 닻을 댈 만한 곳이 없었으므로, 인산염 수송선은 수심이 깊은 곳에서 계류한 이후 외팔보 방파제를 통해 화물을 수하했다. 남서풍이 부는 전년도 11월부터 3월까지 수송선은 운반을 그만두고 풍향이 나아질 때까지 섬에서 멀리 떨어졌다. 보통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 표류를 허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나우루에서 떨어져 표류하는 배들은 꽤 많았다.Gill (1957), p. 277 호주와 뉴질랜드 경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나우루는 제한된 군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 주둔지에서 섬 보호에서 낮은 우선순위를 받았으며 두 섬은 1940년 12월까지 방비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호주 본토의 전략적 인산염 비축으로 섬 공격의 영향을 줄이고자 했다.Gill (1957), p. 283 1940년 10월 말, 선장 쿠르트 베이허가 지휘하는 와 선장 로버트 예센이 지휘하는 독일 기습군 과 보급선 쿨메르랜드가 캐롤라인 제도의 라모트레크섬에서 만났다. 예센은 다른 두 선장보다 더 연공이 있었으며 이 선단의 총지휘를 맡게 되었다.Gill (1957), p. 280 3척의 함선은 11월에 18일 동안 뉴질랜드 동부 해안에서 작전을 펼쳤고, 소형 연안 연락선 "홈우드"와 대형 원양 정기선 MS 렝기타네를 각각 11월 25일과 27일에 미약한 뉴질랜드 방어군에 감지되지 않고 격침시켰다.Jackson (1998), p. 94 이러한 공격에 이어, 11월 29일에는 케르메덱 제도를 급습하여 "쿨메르랜드"로 여성과 어린이, 포로를 보냈다. 이후 3척의 선단은 나우루의 인산염 산업체를 공격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독일 선장은 이 섬의 선단의 집중도를 잘 알고 있었다. = = 나우루 공격 = = 독일군은 나우루로 가는 동안 첫 번째로 BPC 함선을 만났다. 12월 6일, 트리오나(4,413 롱톤, 4,484t)는 솔로몬 제도 북동부에서 공격받았고, 승무원 3명이 독일군의 포에 사망한 이후 어뢰에 맞아 침몰했다. 생존자 68명 모두 살아남았지만 포로가 되었다. 기습군 선장은 12월 8일 나우루 해안에 폭탄을 설치하고자 했으나, 날씨가 나빠져서 외곽에서 선박을 격침하고자 했다. 12월 7일 밤, 일본 상선 "만요 마루"로 위장한 코매트가 정찰하던 도중 나우루 남쪽 약 14km에서 노르웨이 상선 "비니"(5,181 롱톤, 5,264t)를 격침시켰다. 기습군이 해안에서 발견된 반면, 배들은 일본 소속 상선으로 위장에 성공했다.Gill (1957), p. 281 "오리온"은 12월 8일 새벽 코매트와 합류하여 공격을 시작해 트리아딕(6,378 롱톤, 6,480t)을 손상시켰고 트리아스터(6,032 롱톤, 6,129t)를 격침시켰다. 그리고, 코매트는 트리아딕을 고의적으로 구멍을 내어 침몰시킬려고 했지만 실패했고 나중에 오리온이 포를 발사하여 상선을 침몰시켰다. 나중에 코매트는 영국 기선 "코마타"(3,900 롱톤, 4,000t)을 격침시켰다. 이러한 공격들에 이어, 두 기습군과 쿨메르랜드가 철수했고 나우루 동쪽 약 32km에서 규합했다. 날씨가 계속 좋지 않았기 때문에, 코매트와 쿨메르랜드는 마셜 제도의 아일링글라플라프 환초에 간 이후 나우루 북동쪽에서 재보급할 계획을 세웠다. 이후 함선들은 섬에서 공격대와 함께 섬을 공격할 시도를 하였다. 독일군이 12월 15일 나우루에서 떠나 재규합한 이후, 날씨가 나우루를 공격하고 상륙하기에는 계속 좋지 않았다. 함선에 대한 추가 공격은 비실현적이라고 판단하고 기습군은 분산하여 나우루와 태평양 섬 사이를 오가는 라디오 메시지를 차단했다. 대신, 선박 3척은 호주 관할 섬인 에미라우섬에 침공하여 포로 675명을 얻었다. 베이허는 보드에 오리온이 유럽 민족 포로를 해방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그는 "숙련된 장교와 승무원은 영국에 선박 그 자체로 문제가 있다"라고 믿고 34명의 유럽인과 171명의 중국인, 남태평양 원주민을 풀어주었다.Waters (1956), p. 145 독일에는 다행스럽게도, 에미라우섬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 선박이 제공하는 라디오를 가지고 있지 않은 소수의 몇몇 섬들 중 하나였다.Jackson (1998), p. 95 섬에는 유럽인 가족 2가구가 풀린 포로에게 보급품을 주었으며 뉴아일랜드섬의 캐비앵으로 카누를 보내 호주 정부에게 이를 알렸다. 에미라우섬에 추가 보급을 하기 위해 스쿠너가 출발하여 12월 24일 도착했다. 뉴브리튼섬의 식민지총독과 몇몇 보급품 또한 보급품 보트를 이용하여 에미라우섬에 도착했다. 해방한 포로에 대한 운송 작업은 기선 "넬슨"을 이용하여 12월 29일 시작하여 1941년 1월 1일 퀸즐랜드주 타운즈빌에 도착했다. 이들은 독일의 급습 작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독일 해군 장교가 1941년 2월 19일 기습 작전에 대한 포로 해방의 금지하는 명령을 내보냈다.Waters (1956), pp. 145–146 독일 선박 3척은 1940년 12월 21일 에미라우섬을 떠난 후 갈라졌다. 오리온은 라모트레크로 향한 이후 캐롤라인 제도의 메르그섬에서 엔진을 정밀 검사하였고, 쿨메르랜드는 일본으로, 코매트만 남태평양에서 작전을 계속했다. 이 선박은 12월 24일 라바울에서 모터보트를 이용하여 기뢰를 심으려고 했지만, 보트의 엔진이 고장나 이 작전은 취소되었다. 코매트는 라바울의 작전이 실패한 이후 나우루로 돌아가서 12월 27일 05:45에 섬에 도착했다. 라디오를 이용하지 않고 경고를 보낸 이후, 인산염 공장을 파괴하려는 함선의 시도가 보이고 06:40에 포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한 시간 가량의 이 포격으로, 기습군은 공장 설비, 석유 탱크, 보트, 건물들 및 계류 부포를 파괴했다. 이 공격에 이어 코매트는 남동쪽으로 항해했고, 나우루에서는 방송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에게 나우루가 공격당했다는 소식을 전달했다. 이것은 전쟁 기간 동안 마지막으로 나우루에 활동한 독일 선박이며, 이후 코매트는 인도양으로 활동지를 옮겼다.Gill (1957), p. 282 = = 여파 = = 독일군의 나우루 기습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경제에 타격을 미치는 데 성공했다.Waters (1956), pp. 147–148 나우루에서 인산염 출하를 재개하기까지 10주가 걸렸고, 선박 및 인프라 손실로 인해 출하량이 급감하였다. 이 결과, 1941년 7월 뉴질랜드에서는 인산염 비료의 배급제가 시작되었다. 코매트의 섬 포격은 일본의 인산염 위탁 생산도 방해하여 일본 정부가 독일에게 제공하는 원조를 줄이는 위협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나우루 공격 성공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기습군이 섬의 배반 세력의 지지를 받았다는 소문이 퍼지게 하였다. 몇몇 소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이후, 이 소문들은 근거가 없다고 밝혀졌다. 이 기습에 이어 태평양 지역의 영연방군 군대는 추가 기습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과 뉴질랜드 왕립 공군은 주요 항구 근처에서 침입군을 찾기 위한 순찰 작전 횟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Forczyk (2010), p. 62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위원회는 영국 해군에게 기습군 위협을 줄이기 위한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병력의 배치 권한을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동의하여, 경순양함 HMAS 시드니와 무장 상선 HMAS 카님블라가 해외 기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본토로 돌아왔다. 나우루와 태평양 섬들에 대한 해군 보호가 허락되어 무장 상선 순양함 HMAS 마누라가 트리엔자를 호위하기 위해 1941년 1월 4일 섬에 도착했다. 몇몇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군함이 이후 1달동안 섬에 떨어져 지속적으로 배치되었으며, 각 섬에는 2개의 야전포가 배치되었다. 또한 이 공격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사이 호송대 도입을 주도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Gill (1957), p. 284 해군부는 에미라우섬에서 해방된 포로의 정보를 이용하여 독일 침입군이 작전을 하는데 이용한 지역을 순찰했다. 이는 기습의 효과를 낮추었으며, 코매트와 오리온은 나우루에서 공격한 이후 1941년 말 유럽으로 돌아올 때까지 단 3척만 격침시켰다. = = 더 보기 = = 일본의 나우루 점령 프레드릭 로덴 샬메르 (나우루의 총독) = 보나오 = 보나오는 도미니카 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몬세뇨르노우엘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664.37km2, 인구는 158,034명(2012년 기준), 높이는 173m, 인구 밀도는 240명/km2이다. = 분류:임지은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임지은이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별자리에 따라 분류한 항성 목록 = 본 문서는 특정 별자리의 구역 내에 존재하는 항성들을 정리한 것이다. 항성들은 단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IAU 별자리에 속해 있다. IAU 별자리는 밤하늘을 88개 구역으로 세분하고 있다. IAU 별자리에 속해 있지 않은 유일한 항성은 바로 태양이다. 태양은 황도를 따라 13개의 별자리를 거쳐 지나간다. 이 중 12개는 황도 12궁이며 나머지 하나는 뱀주인자리이다. = = 목록 = = 거문고자리 게자리 고래자리 고물자리 공기펌프자리 공작자리 궁수자리 그물자리 극락조자리 기린자리 까마귀자리 나침반자리 날치자리 남십자자리 남쪽물고기자리 남쪽삼각형자리 남쪽왕관자리 도마뱀자리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 돛자리 두루미자리 마차부자리 망원경자리 머리털자리 목동자리 물고기자리 물뱀자리 물병자리 바다뱀자리 방패자리 백조자리 뱀자리 뱀주인자리 봉황자리 북쪽왕관자리 비둘기자리 사냥개자리 사자자리 살쾡이자리 삼각형자리 세페우스자리 센타우루스자리 시계자리 쌍둥이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양자리 에리다누스자리 여우자리 염소자리 오리온자리 외뿔소자리 용골자리 용자리 육분의자리 이리자리 인디언자리 작은개자리 작은곰자리 작은사자자리 전갈자리 제단자리 조각가자리 조각칼자리 조랑말자리 직각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카멜레온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컴퍼스자리 컵자리 큰개자리 큰곰자리 큰부리새자리 테이블산자리 토끼자리 파리자리 팔분의자리 페가수스자리 페르세우스자리 허큘리스자리 현미경자리 화가자리 화로자리 화살자리 황새치자리 황소자리 = =목록 등재 기준 = = 겉보기 등급이 6.50보다 작은 별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들) 바이어 명명법 혹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의해 정의된 항성, 고유 명칭이 있는 항성들 중요한 변광성들 (변광성의 원형 별들, 흔치 않거나 중요한 별들) 태양에서 가까운 항성들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항성들 중요한 중성자별, 블랙홀 또는 다른 독특한 천체들 = 시그마 (기업) = 시그마는 일본의 사진 기기 제조 회사이다. 캐논, 니콘, 펜탁스 등 다른 카메라 회사의 제품과 동작하는 렌즈 및 액세서리로 유명하다. 시그마는 1970년대 후반부터 필름 SLR카메라를 생산하다 2002년에 미국의 벤처기업인 포비온사의 센서를 이용하여 시그마 최초의 디지털 SLR인 시그마 SD9를 출시한다. 시그마에서 개발한 디지털 SLR로는 시그마 SD9, 시그마 SD10, 시그마 SD14, 시그마 SD15, 시그마 SD1 Merrill이 있다. SD9, SD10, SD14, SD15, SD1 Merrill은 포비온 X3 이미지 센서, 시그마 전용 SA 마운트를 사용한다. 그 외에 APS-C 사이즈의 포비온 X3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하이엔드 카메라인 시그마 DP1 시리즈(DP1, DP1S, DP1X, DP1 Merrill), 시그마 DP2 시리즈 (DP2, DP2S, DP2X, DP2 Merrill), 시그마 DP3 Merrill이 있다. = 만주 건국 신화 = 만주족의 건국 신화는 중국 청나라의 지배층인 만주족의 건국에 대한 설화이다. 청나라 건륭제 때 편찬한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에 나온다. 만주족의 시조의 성은 아이신기오로(Aisin-Gioro, 愛新覺羅)이고, 이름은 부쿠리용숀(Bukūri Yongšon, 布庫哩雍順)으로서, 하늘의 선녀가 불후리(Bulhūri)라는 연못에서 목욕을 하다가 까치가 준 붉은 과일을 먹고 임신을 하였다고 한다. 백두산 동쪽의 오돌리 성(Odoli, 鄂多理城, 斡朶里, 吾都里, 斡朶怜)에 도읍을 정하고 만주(滿洲)라는 나라를 세웠다고 한다. = = 신화의 내용 = = 만주원류고 제1권 부족편에는 발상세기(發祥世紀)라는 책을 인용하여 만주족이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라는 성을 얻게 된 내력과 첫 나라인 만주(滿洲)를 건국한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장진근 역주, 만주원류고, 파워북, 2008년, 60~62쪽. = = 신화의 해석 = = 만주족의 건국 신화는 대표적인 난생설화(卵生說話) 중 하나이다. 즉, 자신들의 건국 시조가 하늘에서 내려온 까치나 제비가 물어준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설화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레일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농구 대표팀이다. 올림픽 농구 본선에는 15번 출전하여 그 중 4번의 대회에서 4위의 성적을 기록했고 FIBA 농구 월드컵 본선에는 12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FIBA 오세아니아 챔피언십에는 21번의 대회 중 20번 출전하여 불참한 1999년 대회와 준우승에 머문 2001년과 2009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201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6전 전승으로 우승을 거머쥐었고 FIBA 스탄코비치컵에는 5번 출전하여 200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는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코먼웰스 게임에는 2번 참가하여 2번 모두 대회 정상에 올랐다. = = 주요 선수 = = 앤드류 보거트 (시드니 킹스)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 2010년 동계 올림픽의 쇼트트랙 남자 500m는 퍼시픽 콜리세움에서 2010년 2월 24일에 예선이, 2월 26일에 결선이 열렸다. = = 기록 = =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결과 = = = = = 예선 = = = 순위 조 이름 국가 시간 비고 1 1 성시백 41.889 Q 2 1 니엘스 케스올트 42.180 Q 3 1 니콜라스 빈 42.344 4 1 후지모토 다카히로 42.366 1 2 이호석 41.632 Q 2 2 사이먼 조 41.726 Q 3 2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42.982 4 2 싱키 크네트 44.448 1 3 곽윤기 42.147 Q 2 3 피터 기젤 42.443 Q 3 3 페테르 다라스 42.800 4 3 조단 말론 1:03.884 1 4 샤를 아믈랭 41.463 Q 2 4 존 엘리 42.081 Q 3 4 니콜라 로디가리 42.190 4 4 루슬란 자카로프 43.207 1 5 티보 포코네 41.730 Q 2 5 타이슨 흥 41.835 Q 3 5 블레이크 스켈레럽 42.510 5 량원하오 DSQ 1 6 프랑수아 루이 트렘블레이 41.397 Q, OR 2 6 하랄즈 실롭스 41.673 Q 3 6 마윤펑 41.954 4 6 유리 콘포르톨라 1:17.401 1 7 아폴로 안톤 오노 41.665 Q 2 7 올리비에 장 41.737 Q 3 7 폴 워스 42.936 7 아이다르 벡차노프 DSQ 1 8 한 자아량 41.869 Q 2 8 요시자와 줌페이 42.158 Q 3 8 로버트 사이페르트 42.181 4 8 빅토르 노크 42.197 = = = 준준결선 = = = 순위 조 이름 국가 시간 비고 1 1 샤를 아믈랭 40.770 Q, OR 2 1 성시백 40.821 Q 3 1 사이먼 조 41.211 4 1 니엘스 케스올트 42.128 1 2 존 엘리 41.875 Q 2 2 아폴로 안톤 오노 42.004 Q 3 2 타이슨 흥 48.554 ADV 4 2 티보 포코네 51.339 1 3 이호석 41.269 Q 2 3 올리비에 장 41.275 Q 3 3 한 자아량 41.443 4 3 요시자와 줌페이 41.906 1 4 프랑수아 루이 트렘블레이 41.326 Q 2 4 곽윤기 41.761 Q 3 4 하랄즈 실롭스 41.837 4 4 피터 기젤 41.980 = = = 준결선 = = = 순위 조 이름 국가 시간 비고 1 1 샤를 아믈랭 40.964 QA 2 1 성시백 41.126 QA 3 1 타이슨 흥 41.455 QB 4 1 존 엘리 41.504 QB 1 올리비에 장 DSQ 1 2 아폴로 안톤 오노 41.460 QA 2 2 프랑수아 루이 트렘블레이 41.515 QA 3 2 곽윤기 41.620 QB 4 2 이호석 1:24.514 QB = = = 결선 = = = = = = = 결선 B = = = = 순위 이름 국가 시간 비고 1 곽윤기 42.123 2 타이슨 흥 42.307 3 존 엘리 42.681 4 이호석 49.149 = = = = 결선 A = = = = 순위 이름 국가 시간 비고 샤를 아믈랭 40.981 성시백 41.340 프랑수아 루이 트렘블레이 46.366 아폴로 안톤 오노 DSQ = 분류:1925년 11월 = = 분류:인도의 계획도시 = = 소하고등학교 = 소하고등학교(所下高等學校)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7년 1월 14일 : 소하고등학교 설립인가 <12학급> 1997년 3월 1일 : 초대 김용비 교장 취임 1997년 3월 3일 : 소하고등학교 개교 <10학급 500명 입학> 2000년 2월 11일 : 제1회 졸업식 <졸업생 433명> 2018년 2월 7일 : 제19회 졸업식 <졸업생 464명, 총 9,988명> 2018년 3월 2일 : 제22회 입학식 <입학생 321명> 2018년 9월 1일 : 제8대 현계명 교장 취임 = 분류:체코의 중세사 = = 분류:일제강점기의 교통 = = 분류:2036년 = = 리드 칼리지 = 리드 칼리지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있는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이다. 학문적인 엄격함과 신입생들의 의무 인문학 수업 및 4학년 학생들의 졸업 논문 제도, 높은 대학원 진학률로 알려져 있다. 수백 명의 풀브라이드 장학생과 32명의 로즈 장학생을 배출했는데 이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 가운데 2위에 해당하며,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학생들을 가장 많이 배출한 미국의 대학 가운데 4위를 기록했다. = = 역사 = = 리드 칼리지는 1908년에 세워졌으며 1911년부터 수업을 시작했다. 학교의 이름은 컬럼비아강의 무역업자였던 시메온 가넷 리드로부터 따왔다. 시메온 가넷 리드가 자신의 유산을 포틀랜드 시민들의 교육과 문화발전, 나아가 시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쓸 것을 그의 아내인 아만다 리드에게 유언으로 남겼고, 리드 부부를 교회 성가대에서부터 알고 있던 유니테리언주의 목사 토머스 램 엘리어트가 학교를 세웠다. 1910년부터 1919년까지 초대 총장을 지낸 윌리엄 트루펀트 포스터는 메인주의 베이츠 칼리지와 보든 칼리지에서 교수직을 지냈었다. = = 교육 = = 리드 칼리지의 신입생들은 반드시 서양고전학 입문인 인문학 수업을 들어야 한다. 또한 모든 학생들은 3학년 때 논문 자격시험에 붙고 4학년 때 졸업을 위해 2학기동안 교수들의 지도 아래에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학생들은 졸업논문을 완성한 뒤에 논문 주제뿐만 아니라 이전에 들었던 수업 내용들도 포함하는 구술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학생 대 교수 비율은 9:1이며 토론식 수업을 강조한다. 애플사의 CEO 스티브 잡스는 리드 칼리지에서 철학을 수학하다 중퇴하기도 했다. 1995년에 리드 칼리지는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U.S. 뉴스 & 월드 리포트에서 발표하는 대학 순위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리드 칼리지의 입학처에 따르면 U.S. 뉴스 & 월드 리포트의 대학 순위에 참가하지 않는 것은 1994년에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대학들이 높은 순위를 얻고자 자료들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난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에 U.S. 뉴스 & 월드 리포트의 리버럴 아츠 칼리지 순위에서 공동 93위를 기록했으나 리드 칼리지는 이에 관해 비판적인 의견을 냈다. 2016년 미국 경제주간지 포브스가 내놓는 미국 대학 순위에서는 52위를 기록했고 2006년 뉴스위크 선정한 뉴 아이비 목록에 들었다. 2020년 졸업예정으로 입학하는 신입생(Class of 2020)의 경우 5,705명이 지원했고 31%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 우문유 = 우문유(宇文裕)는 우문락의 아들로, 개국공(介國公)을 세습하였다. 아들 우문연이 뒤를 이었다. 원화성찬(元和姓纂)·권6(卷六) 및 신당서·재상세계표일(宰相世系表一)에는 "락(洛)이 유(裕)를 낳았고, 유는 연(延)을 낳았고, 연은 리혹(離惑)을 낳았고, 리혹은 정립(庭立)을 낳았는데, 모두 개공(介公)을 세습하였다."라고 하였다. = 분류:앨라배마주의 경제학자 = = 분류:이스라엘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마권수 = 마권수(馬權秀, 1946년 10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KBS의 전직 기자 및 언론인이다. = = 학력 = = 서라벌 예대 연극영화과 = = 경력 = = 전남 장흥 CBS 보도국 기자 KBS 기자 KBS 노동조합 본부장 KBS 여수방송국 국장 한국방송협회 사무총장 = = 진행 = = KBS 뉴스 24시 = 틀:보십시오 = = 분류:바르가스주의 건축물 = = 인프라블록체인 = 인프라블록체인은 블록체인랩스가 개발한 자체 가상화폐 없는 퍼블릭 블록체인 서비스이다. EOSIO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사용자 및 서비스 토큰으로 트랜잭션 수수료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 이는 곧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자체 발행한 가상화폐(Native Cryptocurrency)가 없다는 의미이다. 정부기관이나 기업은 Native Cryptocurrency가 있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을 수용하기 어렵다. 왜냐면 서비스 대상인 국민들이나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Native Cryptocurrency 보유를 강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니면 서비스 제공 기업/기관이 사용자에게 Native Cryptocurrency 트랜잭션 수수료를 대납할 수도 있는데, 이것도 높은 가격 변동성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인프라블록체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ive Cryptocurrency를 가지고 있지 않고, 별도의 ICO도 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합의 알고리즘(Proof of Transaction), 대규모 서비스를 위한 트랜잭션 처리 기술들을 개발해왔다. 인프라블록체인은 이러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코로나19 당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 백신패스 쿠브(COOV)를 보건복지부, 질병청에 제공하였다. 점심 시간에 식당에서 쿠브(COOV) 백신패스 인증이 실시간으로 대규모 트래픽이 일어났음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큰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같이 처리 속도가 느린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절대 구현할 수 없는 시나리오이다. 사실상 블록체인을 전 국민 대상으로 실제 대규모 서비스를 한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인프라블록체인은 기업, 정부기관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형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플랫폼도 제공한다. = = 기능 및 특징 = = EOSIO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은 EOSIO와 유사하지만 인프라블록체인 에만 있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 Proof-of-Transaction (PoT) 인프라블록체인의 블록생성자들은 Transaction-as-a-Vote(TaaV) 매커니즘을 이용한 Proof-of-Transaction(PoT) 합의방식을 통해서 선출된다. 자체 암호화폐가 없는 블록체인 이더리움의 경우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된 사용자 토큰과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토큰이 완전히 구분되어 있다. 인프라블록체인에서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사용자 토큰이라면 어떠한 토큰이라도 블록생성자들의 합의에 의해 트랜잭션 수수료 토큰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익명 트랜잭션 인프라블록체인은 One-Time Stealth Address, 영지식 증명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에 따라 선택적으로 익명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소액 토큰 전송 및 전자투표 기능에 활용할 수 있다. = = 제품 및 서비스 = = 인프라블록체인 서비스(InfraBlockchain Web3 Services)는 기업, 정부기관이 블록체인 개발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클라우드를 통해 쉽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모든 개발 도구,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 = InfraBlockchain Nodes = = = 인프라블록체인 블록생성자를 위한 Block Producer Node, 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한 API 및 Full History Node를 콘솔을 통해 간편하게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제품이다. = = = Infra Digital Certificate = = = 모든 유형의 증명서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한 블록체인 ID (W3C 웹 표준 Decentralized Identity)에 신뢰기관이 자격증명 (Verifiable Credentials)을 발급하고 QR 한번으로 손쉽게 증명서 제출 및 검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 = = Infra Secure Records = = = 유무현 자산에 대한 모든 데이터 변경 사항에 대해 추적, 감시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Infra Personal Web Nodes = = = 중앙 서버 중심 웹 구조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ID, 데이터 소유권을 가지며 특정 서비스 플랫폼에 종속 되지 않는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Personal Web Nodes를 생성 및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Infra Secure Votes = = = 익명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통해 전체 투표수와 투표 과정 무결성을 보장하고 투표 주관기관, 신원인증 기관도 개개인의 투표 내역을 알 수 없는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을 제공한다. = = = Infra Secure Storage = = = Content-based Addressing을 통해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고 탈중앙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분산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Infra Tokenization = = = FT (Fungible Token)와 NFT(Non-Fungible Token)를 인프라블록체인에 발행 및 운영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텍스톰 = 텍스톰(Textom)은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으로 웹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집, 정제하며 매트릭스 데이터 생성까지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한국어, 중국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데이터 수집, 정제 및 분석을 지원하며, 네이버, 다음, 구글, 바이두, 트위터, 페이스북 외 특정 사이트를 포함한 다양한 수집 채널을 지원한다. 수집데이터뿐만 아니라 보유데이터까지 처리 가능한 1-way 및 2-way 정제/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분석결과를 SPSS, UCINet, NodeXL, NetMiner, Pajek, Gephi 등 다양한 통계 분석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설문 조사의 데이터 수집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포털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채널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컴퓨터화된 정제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를 분석하므로 데이터마이닝에 대한 강점이 있다. = = 개발 배경 = = 소셜미디어와 빅데이터 환경에서 급변하는 트렌드와 이슈에 대응하는 Social BI 전략의 실행을 지원할 수단이 필요하였다. 또한, 광고 및 PR 등의 마케팅에 비해 웹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투자대비 수익률(ROI)에 대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와의 소통에 많은 역량을 투입하는 많은 기업과 기관들은 ROI 측정 수단을 간절히 원하고 있었다. = = 역사 = = = = = The SCRM 서비스 시작(텍스톰의 전신) = = = 2013년 - 한국어 기반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기능 개발 - 크롤러를 이용한 특정 사이트 데이터 수집 가능 - 수집 데이터 및 보유 데이터 정제 기능 개발 - 가정제 데이터 편집 및 저장 기능 개발 - 사전 학습을 통한 불용어 처리 기능 개발 - 1-mode, 2-mode 매트릭스 생성 기능 개발 = = = 텍스톰 1.0버전 = = = 2014년 6월 - 다국어 수집 기능 추가(영어, 중국어) - TF-IDF 기능 추가 - N-gram 기능 추가 = = = 텍스톰 1.5버전 = = = 2015년 1월 - 사용자 정의 사전 기능 추가 - 전체 정제 및 타이틀 정제 기능 추가 - 가정제 데이터 편집 기능 개선 = = = 텍스톰 2.0버전 = = = 2015년 8월 - 에고(Ego) 네트워크 시각화 기능 추가 - 워드트리 시각화 기능 추가 - 서베이 기능 추가 - 정제모듈 추가(MeCab-ko) - 개체명 인식 기능 추가 = = = 텍스톰 2.5버전 = = = 2018년 1월 - Customized Data 페이지 추가 - News Data 채널 추가 - Sentiment Analysis 기능 추가 - Visualization_Upload Data 기능 추가 - User Data 업로드 시 키워드 지정 기능 추가 - 수집, 분석 처리 속도 향상 = = = 텍스톰 3.0버전 = = = 2018년 12월 - 수집 무료화 - 분리정제 기능 추가 - 키워드필터링 기능 추가 - 중복제거 기능 추가 - Window-Size 기능 추가 - 분석품사 외국어, 숫자 추가 - 감성분석의 추가분석 기능 추가 = = = 텍스톰 3.5버전 = = = 2019년 9월 - 수집데이터 관리 기능 개선 - 수집량 시각화 제공 - 정제 단어 추천 - 상세품사 형태소 분석 - 형태소 분석 결과 미리보기 - 감성분석 기본 학습데이터 제공 - 키워드 기반 감성분석 추가 - 엣지리스트 제공 = = = 텍스톰 4.0버전 = = = 2020년 3월 - 토픽분석 기능 개선 - 감성분석 고도화 - 시각화 개선 - 수집 처리 속도 향상 - 자동정제 기능 추가 - 요금제 개편 - 바로편집하기 기능 개선 - 교육용 계정 제공 = = = 텍스톰 4.5버전 = = = 2020년 9월 - 키워드 미리보기 기능 제공 - TEXTOM Edu (교육용) 오픈 - 데이터 분석 속도 향상 - 빅데이터 아카데미/ 데이터 수집 요청/ 텍스톰 구축 소개 메뉴 추가 - 자동정제 기능 업그레이드 - 감성/ 토픽분석 설명 버튼 - 감성단어 빈도 분석 개선 - 감성단어 워드클라우드 추가 - LDA 토픽분석 정제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 = = 텍스톰 5.0버전 = = = 2021년 3월 - 담론분석(Convergence analysis of iteration correlation) 기능 추가 - 시계열 분석 기능 추가 - 토픽단어 : 클러스터 유사단어 확인 제공 - 감성분석 차트 고도화 - TEXTOM Edu 사용자 편의성 향상 - 형태소 분석기 성능 고도화 = = 특징 = = = = = 다국어 데이터 처리 = = = 텍스톰은 한글, 중국어, 영어 형태소 분석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이 반영된 다국어 기반 솔루션이다. 현재 한국어, 중국어, 영어를 지원한다. = = = 호환성 높은 데이터 결과 생성 = = = 텍스톰은 다양한 분석 프로그램(UCINet, NodeXL 등)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한다. 1-mode, 2-mode 매트릭스와 유클리디언, 자카드, 코사인 값 등 다양한 형태의 값을 생성한다. = = = 다채널 수집 = = = 텍스톰은 각종 웹 사이트, SNS 등 세분화된 채널에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므로 맞춤형 분석을 할 수 있다. = = = 보유 데이터 처리 = = = 텍스톰은 수집 데이터를 처리하는 1-way와 업로드한 보유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는 2-way 정제 및 분석을 제공한다. = =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 = = 텍스톰은 웹 기반의 빅데이터 솔루션으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분석할 수 있다. = = = 직관적인 시각화 = = = 텍스톰은 분석 값(Value)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보고서 작성에 바로 사용 가능한 수준 높은 그래프와 차트를 제공한다. = = 주요 기능 = = = = = 수집 = = = 다양한 언어, 기간, 수집 채널 설정 가능 한국어, 중국어, 영어 네이버, 다음, 구글, 바이두,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 = = 저장 = = = 수집된 데이터의 정보 확인 및 저장 가능 = = = 정제 = = = 보유데이터 업로드를 통한 보유정제 적합한 형태소 분석기를 통한 정확한 정제 한국어(Espresso K, MeCab), 영어(NLTK), 중국어(CPC) 텍스트마이닝의 다양한 결과 추출 Frequency, N-gram, TF-IDF, Degree Centrality, 개체명인식 = = = 매트릭스 = = = 매트릭스 데이터와 다양한 유사도 지수 제공 1-mode, 2-mode 매트릭스 Frequency, Cosine coefficient, Correlation coefficient, Euclidean coefficient, Jaccard coefficient = = = 시각화 = = = TF 워드 클라우드, 바차트, 에고네트워크 N-gram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워드트리, 1-way 워드트리 Topic modeling(토픽 모델) *클러스터링 개체명인식 *매트릭스 차트 *감성분석 단어별/문서별 감성 파이 차트, 감성분석 워드 클라우드 = = 텍스톰 활용 연구목록 = = *장호찬, 박민경 (2020), Social media, media and urban transformation in the context of over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Cities *최지은 (20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지중심교과교육학회 *김샛별, 채정현 (2020),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생활문화’ 핵심개념 단원 분석, 학습지중심교과교육학회 *서원석, 이강훈, 김석우 (2020),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지중심교과교육학회 *유효인, 문가영 (2020),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성과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연구, 학습지중심교과교육학회 *안효선, 박민정 (2019), 패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 비교- 구찌 컬렉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이우승, 전상환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산업 연구개발(R&D) 사업의 트렌드 분석 , 한국스포츠학회 *주소희, 이경은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조현병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강지연, 김수경, 노승국 (2019),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온라인 뉴스기사 댓글에 대한 토픽 모델링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이강훈 (2019),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기 놀이성 증진 방향 탐색, 교육혁신연구 *김미숙, 전상완 (2019), 문재인 정부의 남북체육정책에 대한 국내 언론 보도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이건우, 유구종 (2019), 유아코딩로봇활동을 통한 협동적 문제해결학습 절차모형 구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박성희, 이자원 (2019),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문 평화레토릭 비교분석 -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 연설을 중심으로 -, 한국수사학회 *백승헌, 김기탁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이슈와 소비행동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과논문지 *이후희, 황순영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장애대학생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유지영, 김미경 (2019), 한국 전통춤과 K-pop 댄스의 융합 : 2018 MMA 방탄소년단 ‘IDOL’ 유튜브 댓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과논문지 *서호준 (2019), 우리나라 국방정책의 핵심이슈 도출 -『2018 국방백서』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강은미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SPA브랜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강현철, 이창근, 손민수 (2019),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접경지역 이슈와 동향 탐색, 한국지적정보학회지 *김지연, 이규혜 (2019),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세탁전문점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복식문화학회 *정권혁, 전익기 (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프로야구 인식변화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이나영, 최정환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밀키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이미나, 유숙경 (2019), 행복 및 안녕감 의미에 대한 빅 데이터 활용 기초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강주연, 이이든 (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상담1388’ 빅데이터 분석: 2011~2018 네이버 지식iN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기향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하이서울패션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김정민, 구아름 (2019),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 및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오형근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태권도 인식변화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황욱선 (2019), 빅데이터에 의한 철도관광 소비자 관심트랜드 분석, 한국호텔리조트학회 *손용훈, 김용진 (2019), 인터넷 뉴스 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우리나라 농촌다움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한기향 (2019), 빅데이터를 이용한 패션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 견해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유구종, 김세헌 (2019), 영유아교육기관의 가정연계 디지털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모형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짐 *박재상 (2019), 쌍용자동차 사태와 한국 언론의 정권별 보도태도 분석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김두환, 박호정 (2019), 빅데이터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군사보안정책 탐구, 한국융합보안학회 *김은이 (2019), 문재인 정부의 청년 일자리 대책 관련 신문 기사의 키워드 분석 : 〈조선일보〉와 〈한겨례〉 기사의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유구종, 김은아 (2019), 아동 놀권리에 대한 신문기사 형태소 및 감성 분석, 한국열린육아교육학회 *김미성, 서유빈, 김현정, 이혜련 (2019),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지역특화컨벤션 육성 사업 비교 - 대구와 부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지윤호, 한장헌 (2019),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오현주, 김형란 (2019),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반영한 중국어 자기소개 교육 방향 고찰, 동아인문학회 *문주영 (2019), SN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비서’인식 연구, 한국비서학회 *허준석, 이은정 (2019), 빅데이터를 이용한 패션 브랜드 평가 변화 추이 분석 - 구찌 브랜드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문화학회 *지윤호, 한장헌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다크투어리즘 인식 규명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박경원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성수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김정현, 이진우 (2019),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현대자동차의 기업 문화마케팅 변화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박리나, 황해익, 이강훈 (2019), 유아기 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열린육아교육학회 *신진영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 언론에서 형성된 인도 이미지 연구(2009년-2019년)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뉴스 이슈를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김용회, 한창근 (2019), ‘수저계급’ 관련 웹 뉴스 기사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소미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팜파티 방향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이근명 (2019),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복지 네트워크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허준석, 이은정 (2019), 패션 브랜드 연관 키워드 변화 추이에 관한 빅데이터 기반 탐색적 연구 - 브랜드별 주요 마케팅 전략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문화학회 *이미나, 김동일 (2019),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에 대한 의미 : 빅 데이터 활용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김우경, 유지영 (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무용 연구주제 동향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과논문지 *한장헌, 서헌 (2019),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여수관광 인식 및 관광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이혜미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수원화성 관광 현황 연구 :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정권혁, 전익기 (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고척스카이돔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김병만 (2019),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보통합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교육혁신연구 *유지영, 김지영, 백현순 (2019),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서울지역 종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과논문지 *변대호 (2019), 한미간 스마트 물류를 대표하는 키워드 트렌드 비교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신혜영, 정소영, 함유희, 장수연, 이금숙 (2019), 성신여대 주변 경제경관 변이과정과 한옥 상가 입점요인 분석,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최재일 (2019), 골프장 캐디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골프학회 *최기재 (2019),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교육’에 대한 사회 인식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김태현, 김석우 (2019),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빅 데이터 활용 특징적 요소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노승림 (2019), 팔길이 원칙의 이론과 현실 – 한국 문화정책 사례연구,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김도훈, 차경진 (2019), AI 키즈폰의 소비자리뷰 분석을 통한 제품개선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윤영일, 오익근 (2019), 중국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관광 : 중국 대표 포털사이트 ‘바이두’의 빅데이터 분석, 관광경영학회 *김정현 (2019),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문화마케팅 변화 연구 : 현대자동차 기업문화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김예지, 김학선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저트 카페 개념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박흥식, 김주일 (2019), 공유숙박 서비스 기업의 감성분석을 통한 이미지 변화, 한국조리학회 *임정우, 김종균, 고아랑, 이수광 (2019),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보은대추 언론보도 동향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김수정, 이수진 (2019), 빅데이터 어휘 분석을 통한 브랜드 특징 연구 : 국내 생리대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정은진, 장은재, 조경애 (2019), 빅데이터를 통한 2016년의 다이어트 실태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장몽현, 김한수 (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주택가격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박성욱 (2019),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Data Technology의 키워드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기술혁신학회지 *장보윤, 왕용덕 (2019),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골프장서비스와 골프장만족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박인준, 조성균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인기 스포츠 종목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 2018 평창올림픽 컬링 종목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이건우, 유구종 (2019), 3D프린터의 유치원 현장적용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델파이 조사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홍충선, 위주연 (2019), 관광지재생과 관광지이미지 변화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이정학, 이제문, 김후년 (2019),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승부조작 키워드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 *이효림 (2019), 유아교육 연구에서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활용 실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박경열, 한혜림, 최승담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드 배치 전후 중국관광객의 한국관광 인식 변화 비교, 한국관광레저학회 *최연실 (2019), 비혼성인자녀-부모 동거에 관한 웹 문서의 의미구조 분석과 가족치료적 함의, 한국가족치료학회 *김민선, 구철회, 손병덕 (2019),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통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2호 *이지영, 김성원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한장헌 (2019),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테마파크 인식 및 마케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반현정, 김학선 (2019), 트립어드바이저 리뷰 분석을 통한 부산지역 레스토랑 인식에 관한 연구 1 : 영문 리뷰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심영숙 (2019), 온라인 기사 댓글을 통해 살펴본 유아 영어교육 인식, 사회언어학 *강소영, 왕학 (2019),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농촌체험관광 실태와 인식변화, 여가관광연구 *김기탁 (2019), 소셜네트워크 분석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2019세계수영선수권 대회의 국내 인식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김경섭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크린골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골프연구 *임승재, 이재문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골프관광 현황 및 인식 연구, 골프연구 *반현정, 전재균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부산의 특급호텔과 비즈니스호텔의 의미연결망 분석에 관한 연구,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황영진, 김지수, 배건환, 황상현, 박민호, 노형규 (2019), 평창 동계올림픽 및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대한 기간별 소셜 미디어의 관심도 차이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전상완 (2019),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스포츠윤리’ 연구동향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이재문, 김재환 (201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포테인먼트 현황 및 전략 분석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김미숙, 전상완 (2019),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스포츠정책 변화 추이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취임사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지 *전혜영 (2019),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장애인고용 동향분석: SNS와 온라인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문미경, 박상희 (2019), 중년여성 생애설계에 대한 의미 :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윤은경, 박상희 (2019), 빅데이터에 나타난 청소년 생애설계에 대한 의미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조윤설, 조택연 (2019),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박상훈, 이희정 (2019), 도시 공간 변화에 따른 전통시장 소비자 인식변화 연구, 부동산학보 *허준석 (20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패션 브랜드 웹기반 소비자 평가 트렌드 추이 분석, 국민대학교 *배희분, 최연실 (2019), 한국 가족치료연구에서의 단일사례 연구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와 『가족과가족치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김새록, 김주연 (2019),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국내 전시회의 관람 동기 분석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조윤설, 조택연 (2019), 서울형 도시 재생 활성화 대상지의 장소성 빅 데이터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김은주 (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내안전’ 네트워크 분석,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김용진, 손용훈 (2018), 뉴스데이터의 LDA 토픽 분석을 통한 장수군 농촌지역 활성화 사업의 특징 - 관광 · 생활 키워드를 중심으로 -, 농촌계획 *우경숙, 서주환 (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의 시계열분석 -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이성희, 손용훈 (2018),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박상훈, 이희정 (2018),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도출 연구 - 서울시 망원시장과 수유시장을 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전남희, 조원일 (2018), 유투브(You Tube)에 나타난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영역별 대상과 기능적 요소 분석 : 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이아름, 이진화 (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골프웨어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조윤희, 한장헌 (2018),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외식 소비자들의 호텔 레스토랑 인식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조성환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블록체인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안지현 (2018),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이슈에 대한 의미연결망분석 :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내 웹 뉴스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류재율 (2018), 한국어 국외보급 전략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최수정 (2018), 빅데이터 감성분석을 통한 프로농구 발전 방안 모색, 숙명여자대학교 *이경민 (2018),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치매 대응 전략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정순여, 김대훈, 양인하 (2018), 제주도 들불축제에 대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접근, 탐라문화 *백승헌, 김기탁 (2018), 소셜 네트워크의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골프연습장 인식변화, 한국골프학회 *이수희, 박득희, 김맹선 (2018),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주도 관광 인식에 관한 연구 - 한한령 이전과 이후 비교, 한국관광레저학회 *이정학, 임승재, 김성용 (2018),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배구 키워드분석, 한국체육과학회 *이소현, 서현진 (2018), 중고 의류상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 네트워크 분석적 접근,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한장헌, 조윤희 (2018),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아쿠아리움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김민형, 황영현 (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분야 사회적기업 인식에 관한 연구 - 관광분야 사회적기업과 일반 사회적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안효선, 박민정 (2018),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한 패션디자인 평가 연구 -디자인 속성과 감성 어휘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백승헌, 김기탁 (2018), 소셜 네트워크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프로야구 인식변화 - 기아타이거즈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안명숙 (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문화 핵심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융복합지식학회 *김재환, 이재문 (2018),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스포츠용품 브랜드 비교 ·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차민경 (2018),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문화에 대한 담론 변화 연구 - 1960-2010년대 신문 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황상원 (2018),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이운해, 박효찬, 박한우 (2018),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반응과 관계 분석 : - 취미레저를 중심으로 - *김동영, 김진병 (2018), 빅데이터로 본 민선7기 지방선거의 의미, 전북연구원 이슈브리핑 *김찬우, 정병기 (2018), 촛불 집회와 태극기 집회를 둘러싼 정국 인식: 온라인 뉴스 댓글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ISSN 2383-5281 *박상훈 (2018), 빅데이터 감성정보 추출을 통한 도심부 활성화 요인 분석 연구 : - 서울의 도심부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김동석 (2018),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김봉제 (2018), Big Data 분석을 통한 한국사회의 도덕·윤리 용어 사용 특성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정은진, 장은재 (2018), 빅데이터를 통한 2010년과 2015년의 다이어트 실태 비교 및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ISSN 2287-1624 권소영, 박지수, 이재림 (2018),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강욱건, 고의석, 이학래, 김재능 (2018),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 주요 인식 조사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ISSN 2233-4890 김종선 (2018),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앤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ISSN 1598-3749 이재문 (2018),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올림픽 태권도 감성분석, 국기원태권도연구, ISSN 2093-6753 *김용희, 주지예 (2017), 정책모호성과 제한적 합리성하의 규제수용성 연구 : 전기안전규제를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황희선 (2017), 國語 連結語尾의 텍스트적 意味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정학, 이재문, 장용석 (2017), 소셜 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2018 평창올림픽 키워드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ISSN 1229-8514 오창우 (2017),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 : 주요 포탈에서의 핵심어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ISSN 1738-5407 이정학, 이재문, 김재환, 김형근 (2017),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인식변화,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ISSN 1229-8514 이동환, 강내원, 전종우 (2017), SNS를 통한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최도식 (2017), 빅데이터 분석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학생 과제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ISSN 2233-4890 이정학, 이재문, 김욱기, 김형근 (2017),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수영복 인식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연구, ISSN 1598-2920 양지윤, 김주연 (2017),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 건축의 대중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ISSN 1976-4405 윤영일, 하동현 (2017),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비즈니스호텔의 인식 연구, 경영교육연구 황욱선 (2017), 빅데이터에 의한 해상관광의 관심 트랜드 분석, 한국호텔리조트학회지, ISSN 1598-7760 황욱선, 민정기 (2017), 빅데이터 활용에 의한 리조트 관광객의 소비성향 분석, 한국호텔리조트학회지, ISSN 1598-7760 윤영일, 오익근 (2017),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민의 관광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관광경영연구, ISSN 1229-0610 김학선 (2017), 전시컨벤션센터 식품박람회와 관련된 빅데이터의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조리학회지 ISSN 1229-5582 박한솔 (2017), 이민과 범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서울시 5대 강력범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한혜림 (2017),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중국 관광시장의 한국 관광 인식 분석,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ISSN 2508-7029 유흔 (2017), 흥행 영화의 온라인 구전에 대한 내용분석 : 2015년~2016년 중국에서 개봉된 영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은덕 (2017), 2000년 이후 패션 전문 사이트에 나타난 인간공학적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신지영, 박수지, 채은경 (2017), 관광 젠트리피케이션과 장소 이미지 변화 비교 연구 : 이화벽화마을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한국관광학회 이재문, 이정학, 김민준 (2017),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키리조트 인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ISSN 2508-7029 박상훈, 이희정 (2017), 사회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박상훈, 이희정 (2017),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영향력 분석 연구, 주택도시연구 윤을요 (2017), 국내 패션업계의 빅 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논문집 장수희, 전희주, 조인호, 김동환 (2017), 비정형 농업기상자료를 활용한 배추 도매가격 예측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김봉제 (2017),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학부모 기사 분석,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조과하 (2016), 전문가와 일반인의 영화 리뷰에 나타난 영화 속성 용어 및 감정 어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시나 웨이보(Sina Weibo)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장미화, 윤영일 (2016),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캠핑에 대한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 변화 연구, 觀光硏究, ISSN 1226-2501 안명숙, 민용기 (2016), 5성급 호텔 이용에 대한 동기 빅데이터 분석: 동기이론 Push-Pull factor를 중심으로, 觀光硏究, ISSN 1226-2501 김보경, 한상일 (2016), SNS를 활용한 레저스포츠 트렌드 분석, 여가학연구, ISSN 2233-8179 김호경, 권기석, 서상호 (2016),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특성과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JTBC 텍스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안효선, 이인성 (2016), 디자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평가방법 모색 : 한복 연관 디자인 요소, 감성적 반응, 평가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ISSN 2234-0793 방창석, 백광호 (2016), 소셜미디어에서 관찰되는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정보의 특성 및 전달방식 분석, 대한헬리코박터및상부위장관연구학회, ISSN 1738-3331 김동식, 김영택, 박수범, 우영지, 동제연, 정지원 (2016),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ISBN|979-11-87948-02-5}} 한국방송학회 (2016), 청소년 유해정보 필터링 S/W 이용 실태 조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연구보고서, {{ISBN|979-11-87948-02-5}} 김보경, 김미경 (2015), 크루즈 관광 관련 이슈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Tourism Research, ISSN 1229-571X 안명숙, 오익근 (2015),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기법을 적용한 특급호텔 패키지 이용에 대한 태도 분석 : 포털사이트 활용, 觀光硏究, ISSN 1226-2501 차민경 (2015),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예술경영' 관련 이슈의 의미연결망 분석 : 199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ISSN 1738-1258 손기준, 조인호, 김찬우, 전채남 (2015), 하둡 기반 빅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위한 플랫폼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 정우락, 백두현, 김하수, 천정환, 김용규, 배준영 외 7명 (2015), 문화어문학이란 무엇인가 p.262, 커뮤니케이션북스, {{ISBN|9791130440460}} 임서현, 채찬들, 홍성진 (2015), 민간 정보이용 수요에 대응한 대중교통 공공데이터셋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연구보고서, 93530 김해원, 전채남 (2014),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TV홈쇼핑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ISSN 1598-5733 서일원, 전채남, 이덕희 (2013),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원천기술 분야의 잠재적 기술수요 발굴기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ISSN 1598-1347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4년 10월 = = = 해병대 특정판 삭제 = = IP사용자의 기여인 2014년 3월 3일 (월) 00:12판이 복붙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개요 문단은 과 를 짜집기하고, 상세 문단은 엔하위키의 내용을 가져와 말꼬리를 흐리는 끝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전파맛라떼 (토론) 2014년 10월 1일 (수) 19:14 (KST) = = 인포스탁 문서 생성 보호 요청 = = 계속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명의 동일인물에 의해 또다시 생성되다 삭제된 문서인데, 생성을 제한할 것을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일 (목) 10:40 (KST) = = 삭제 요청 = = 박재흥 (아나운서), 박재홍 아나운서 등 실수로 생성된 문서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일 (목) 12:59 (KST) = = 윌라이크 문서 생성 보호 요청 = = 3차례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명의 동일인물에 의해 또다시 계속 생성되고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삭제를 부탁드리며, 생성을 제한할 것을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일 (목) 17:46 (KST) = = 이현유문서 생성 제한 요청 = = 개인정보를 담은 부적절한 글이 계속해서 생성되고 있으므로 생성 제한을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3일 (금) 03:43 (KST) = = 211.222.81.165가 생성한 모든 문서 삭제 요청 = = * 모든 기여가 저작권 침해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4일 (토) 00:22 (KST) = = 좋은글 요약판 추가 보호 요청 = =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가니메데 (위성) 다음 글에 관해 보호를 요청합니다. twotwo2019 (토론) 2014년 10월 4일 (토) 19:36 (KST) = = 비더블유티 생성 보호 요청 = = 저명성이 없는 기업 문서가 지속적으로 재생성되고 있으므로 생성 보호를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5일 (일) 23:37 (KST) = = 비더블유티 (BWT) 문서 생성 보호 요청 = = 사유는 비더블유티문서와 동일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6일 (월) 12:39 (KST) = = 아바 (동음이의) 보호 재요청 = = 사용자:야생의 저리더프의 무한 반복 되돌림 S0ch1 (토론) 2014년 10월 6일 (월) 14:07 (KST) = = 비더블유티 (BWT) 문서 생성 요청합니다. = = 정말 관리자님(콩가루)께서 부당하시네요. 한번의 절차로 문서 작성 제한을 하나요? 홍보성 글도 모두 수정하고, 열심히 배우면서 썼고, 9차례나 되는 삭제에도 불구하고 올리고 싶어 계속 등록을 하였더니 정말 근거없는 홍보성 글이라는 이유로 제한을 거시니 어이가 없을 따름입니다. 관리 그렇게 하지마세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ms9603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박주영 문서 보호 요청 = = 이전에도 문서 훼손 반복으로 보호 받은적있던 문서이며, 보호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문서 훼손을 당하고 있습니다. 비로그인 사용자가 편집할수 없게 보호 부탁드립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6일 (월) 21:17 (KST) = = 이소연 (우주 비행 참가자) 문서 준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도 모두 아시겠지만 계속되는 훼손 및 분쟁이 있는 문서중에 하나이며, 완전보호를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8일 (수) 16:31 (KST) = = 아라가키 유이 보호 요청 = = = = 이소연 (연구인) 및 이소연 (우주 비행 참가자) 문서 이동 잠금 요청 = = 현재 이뿐만 아니라 다른 명칭으로도 문서 이동이 되는 등 문서 이동 분쟁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문서 이동 및 편집을 잠그고 토론을 통해 이 방안을 해결하도록 유도하는게 좋을 것 같아 잠금을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9일 (목) 14:47 (KST) 찬성합니다. Sharer (토론) 2014년 10월 9일 (목) 14:54 (KST) = = 자니스WEST 문서 보호 요청 = = 특정 IP에 의해 계속 문서가 훼손되고 있으며, 비로그인 사용자가 문서 편집을 할 수 없게 조치해주시기 바랍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9일 (목) 19:47 (KST) = = 박유천 문서 보호 3일 연장 요청 = = 토론이 점점 침체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총의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동원 계정 의심도 있는 상태고, 이에 따라 3일 보호 후 토론 상황을 본 후 준보호할 것을 요청합니다. MiNaTak 탁민아 (minaTalk / 行跡) 2014년 10월 9일 (목) 19:55 (KST) = = 너도밤나무 특정판 삭제 긴급 요청 = = 해당 문서의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IP 계정(211.210.73.244, 147.47.248.101)이 해당 문서에다가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는 편집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니 해당 문서에 대한 특정판 삭제를 빠른 시일안에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210.220.165.81 (토론) 2014년 10월 9일 (목) 19:58 (KST) = = 닭도리탕 보호 요청 = = 지속적으로 독자연구성 내용이 삽입되고 있습니다. 닭볶음탕으로 넘겨주기 된 상태로 보호를 요청합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10일 (금) 03:52 (KST) = = 용마터널 보호 요청 = = 특정 집단의 불만사항 및 민원이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10일 (금) 12:02 (KST) = =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보호 요청 = = 학교를 홍보하는 내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10일 (금) 21:06 (KST) = = 삭제기록 삭제 = = 제가 최근에 삭제 당한 문서에 대한 삭제기록을 완전히 삭제해주시기 바랍니다. 검색창에 위키백과 내용이 아예 뜨지않기를 바랍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Inshining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조동민 준보호 요청 = = 최근 들어 해당 문서에 대한 지속적인 문서훼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문서 훼손이 지속적으로 이뤄진 적이 있었던 만큼 장기간의 준보호가 필요해보입니다. 아울러 일부 사용자들이 저질러 놓았던 심각한 수준의 문서가 훼손됐던 특정한 판들을 정리해주실 것을 빠른 시일안에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223.62.203.90 (토론) 2014년 10월 11일 (토) 12:02 (KST) = = 몽키 D. 루피 문서 보호 요청 = = 편집 내역을 확인해보시면 아시겠지만 1달전부터 계속해서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다중 IP에 의해 실시간으로 문서가 훼손 당하고 있습니다. 롤로노아 조로 문서를 보호했던것처럼 몽키 D. 루피문서도 비로그인 사용자가 편집 할수없게 보호 부탁드립니다. 39.115.9.221 (토론) 2014년 10월 12일 (일) 00:55 (KST) = = 사:후라이 똥튀김 삭제 요청 = = = = 대한민국 문서 복구 요청 = = 훼손 이전의 상태로 복구해주시기 바랍니다. 제0자 (토론) 2014년 10월 12일 (일) 13:18 (KST) = = 틀: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보호 요청 = = IP사용자 간에 분쟁이 벌어졌습니다.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12일 (일) 16:11 (KST) = = 6조 직계제 문서 삭제 후 생성 보호 요청 = = = = 길 (1995년 드라마) 문서 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편집 내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문서는 수십차례 여러 IP로 나타나서 허위작성하는 인물에 의해 훼손을 당하고 있으며, 해당 인물의 허위작성때문에 출처까지 작성했지만 여전히 훼손 당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서를 비로그인 사용자가 편집 할수없게 보호 부탁드립니다. 39.115.9.221 (토론) 2014년 10월 12일 (일) 19:35 (KST) = = 이승헌 (1950년) 문서 준보호 요청 = = 해당 문서에서 서술하는 인물과 밀접하게 관련된 이해당사자로 보이는 IP사용자들이 계속해서 비판 및 논란 문단을 토론도 없이 임의 삭제하고 있습니다. 인증된 사용자들만 편집할 수 있도록 해당 문서의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10월 12일 (일) 22:37 (KST) = = 위클리피플넷 문서 생성 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도 모두 아시겠지만 계속해서 다중 계정으로 활동하는 동일인물에 의해 반복 또반복 생성되다 삭제된 문서인데, 생성을 제한할 것을 요청합니다.. 39.115.9.221 (토론) 2014년 10월 12일 (일) 23:14 (KST) = = 위키백과:양형지침 삭제요청 = = *백:양형 지침 이미 공동체에서 거부된 문서이므로 삭제요청합니다. cube52 (토론) 2014년 10월 13일 (월) 18:31 (KST) = = 미셸 오바마 & 펑리위안 문서 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두 문서는 한두번이 아니고 실시간으로 장기간에 걸쳐 계속 동일인물에 의해 문서 훼손을 당하고 있습니다. 2개의 문서를 인증된 사용자만 편집할수 있게 준보호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15일 (수) 14:18 (KST) = = 주말 미니시리즈 삭제 요청합니다. = = 222.251.139.106 (토론) 2014년 10월 17일 (금) 10:12 (KST) 이강철님, 주말극장이라는 용어를 버릴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 게 아니었어요 진짜진짜 죄송해요 이 사이트를 한 번 들어가 보시고 고쳐주세요 주말 미니시리즈 삭제 요청합니다.''' 그리고 주말극장으로 고쳐주세요 = = 손승민 (1980년), 이지훈 (운동가), 박시현 (운동가) 삭제 요청 = = 원래 토론에 회부해서 결정하려고 했으나, 딱봐도 토론의 가치가 없다는 판단이 주를 이루는 것 같네요. 삭제 신청합니다. 적마법 (토론) 2014년 10월 17일 (금) 19:28 (KST) = = 박유천 문서 차단된 다중계정 사용자에 의한 훼손 전으로 되돌려 주시기 바랍니다. = = 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단된 Redflag가 쓴 루머성 글들로 인해 삭제,편집 분쟁이 생겨 계속 보호문서였으며 그 동안에도 토론중이었습니다. 오늘 보니 Redflag가 협업 위반에 의해 차단된 후 다중계정으로 토론에 참여한듯 하고, 보호문서가 풀리자마자 다른 다중계정(남희정)으로 문서를 훼손하였습니다. 아예 처음 Redflag가 만든 문서를 삭제하는게 맞다 생각되지만 (다중계정까지 사용한 안티의 문서 훼손으로 보이므로) 위키 다른 관리자분들의 말씀이 토론을 통해 수정을 해야 한다 하셨으니 따라야겠지요. 그러니 최소한 다중계정 (남희정)이 훼손하기 전, 보호가 풀리기 전인 10월 9일 문서로 되돌려 주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안티1명이 악의적으로 쓴 글은 왜 이리 삭제가 어렵나요 ㅠㅠ 이런 점을 안티가 이용하는거 같네요..) 아래 보니 탁민아님께서 토론이 소강상태라고 하셨는데 소강이라기 보다 Redflag 한명이 반대를 하다가 갑자기 사라져서 반대글이 없으니 토론을 이어나가지 못한거라 생각됩니다. 또한 보호문서가 풀리자마자 섣불리 팬/안티(안티라 생각하는건 정말 미련스럽게 삭제해서 계속 보호문서 만들어 아예 수정을 못하게 하니까요)가 Redflag가 만든 문서에 대해 삭제를 하는바 보호조치가 끝나면 준보호 조치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dbike (토론) 2014년 10월 17일 (금) 23:29 (KST) = = 이혜원 문서 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편집 내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문서는 동일 인물로 추정되는 다중 계정 및 IP에 의해 집요하게 훼손을 당하고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장기간에 걸친 훼손을 당하고 있는 문서인만큼 해당 문서를 인증된 사용자만 편집할수 있게 준보호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18일 (토) 14:45 (KST) = = 김수현 (1988년) 문서 보호 요청 = = = = 박유천 문서 되돌리기/보호신청 합니다. = = 아무래도 Redflag나 유노폴리(박유천 문서에는 Ssarangbang닉 사용)이 되돌아온것 같습니다. KT폰피 사용하는것 같은데요. 분당선M님이 되돌리기 하셨던 부분으로 다시 부탁드립니다. Redflag의 악의적 게시와 총의를 뜻대로 하려한 다중계정과의 토론이 무의미 하다 생각하셔서 되돌리기 된것이었다고 생각됩니다. 탁민아님이 본인이 수정했던 판으로 되돌리기도 있으셨지만 그것은 악의적 게시를 변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꼭 넣어야 할 것이라면 되돌리기의 방법보다 토론을 진행하며 새로 넣는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보호신청 다시한번 부탁드립니다. Redbike (토론) 2014년 10월 19일 (일) 00:14 (KST) = = 좋은글 요약판 보호 요청 = =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히바 칸국 보호 요청합니다 twotwo2019 (토론) 2014년 10월 19일 (일) 13:54 (KST) = = 홍제동 행복(연합) 기숙사 문서 삭제 후 준보호 조치 요망 = = 해당 문서는 이전에도 저명성이 없다는 이유로 삭제된 적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재생성되고 있습니다. 재생성을 막기 위해서는 문서 삭제 후 준보호로 설정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58.123.52.224 (토론) 2014년 10월 19일 (일) 20:13 (KST) = = 박정희 문서 보호 요청 = =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편집 내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문서는 동일 인물로 추정되는 다중 계정 및 IP에 의해 집요하게 훼손을 당하고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훼손을 당하고 있는 문서인만큼 해당 문서를 인증된 사용자만 편집할수 있게 준보호 요청합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0일 (월) 17:13 (KST) = = 김성근 (야구인) 보호 요청 = = 확인되지 않은 내용(특정 구단의 감독이 되었다는 둥)이 지속적으로 삽입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20일 (월) 23:25 (KST) = = 르노삼성 SM 시리즈 복구 요청 = = 저명성을 이유로 삭제되었는데, 이 문서가 다루는 대상이 저명성이 부족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이 문서와 유사한 기아 K 시리즈는 문제 없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참조 부탁 드립니다. Bluemersen (+) 2014년 10월 21일 (화) 11:15 (KST) = = 이서영 보호 요청 = = 아이피 사용자에 의해 계속 문서가 훼손되고 있고 편집 내역으로 보아 문서 당사자 또는 밀접한 인물이 수정하는 것으로 보여 보호 요청합니다. Initial Z (토론) 2014년 10월 21일 (화) 22:42 (KST) = = 이서영 = = 이서영의 본명이 이미선이 아니라 이미선에서 이서영으로 법적 개명한 것임,고로 본명이 이미선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됨. 이서영의 석사는 연세대 언론대학원이며 정보대학원 아님 이서영은 정보대학원 박사 과정임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65.132.196.41(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김나르쿠스 문서 보호 요청 = = = = 대우건설 항목 = = 대우건설 항목에서 사건/사고 문단이 지속적으로 삭제되는 식으로 훼손되고 있어서 보호를 요청합니다. Vntrkd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13:09 (KST) = = 문서 삭제 요청 = = 경기후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경기후행지수 순환변동치 등 문서 2개를 삭제해주세요. 없는 용어입니다. 제가 잘못 만들었습니다. Tkrhk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20:02 (KST) = = 이계덕 문서 생성 제한 해제 및 복구 요청 = = *이계덕 문서 보존판 이미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43주#어떤 기자 이야기에 넣었지만, 이 문서 복구를 요청합니다. 거기서 이미 적었지만,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서를 보시다시피 출처 34개에, 백:저명성에 따라 그 분을 '중요하게 다룬'기사도 수두룩합니다. 저명성이 절대 모자라지 않습니다. #'일부 악성 사용자'들의 분탕질을 이유로 1년 생성 제한했다고 하는데, 이제까지 그런 사람은 유니폴리 내지 일베 분들 정도였습니다. 그럼 이 문서에 공들인 저는 유니폴리인가요, 아니면 그 쉬어빠진 '만물일베설'에 경도된 일베충인가요. 아니라면 생성제한을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 토론을 보면 유지 표는 달지 않았지만 찬성자는 '관인생략, Reiro, 안우석, 팝저씨(제 사용자 문서를 이동함으로써 생성하자 주장), Tsunami'씨로, 삭제자 '3명'(위의 팝저씨님이 삭제 틀 들고 저 의견을 냄)을 넘어섭니다. 더구나 삭제자 3명중 2명은 단순히 '저명성 없음'이라는 거수기 역할만 한 정도인데 비해, 찬성자는 꽤 긴 논고를 펼쳤습니다. 그런데 해당 관리자분은 어째서인지 '해당 토론에서 삭제 의견이 우세'했다고 오판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계덕 문서 복구를 요청하는 바입니다. Reiro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22:07 (KST) 공동체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결정을 보류합니다. — revimsg 2014년 10월 23일 (목) 23:51 (KST) = = 남양유업 항목 = = 사건/사고 문단을 통째로 삭제하는 훼손 행위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관리자의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Vntrkd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10:23 (KST) = = BWred.R 삭제 요청 = = = = 윤현준 문서 삭제 및 생성보호 요청 = = 동일 사용자가 장난식으로 문서를 생성시켜 장난으로 계속 편집을 감행하여 요청합니다. Hohaen1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5일 (토) 13:02 (KST) = = 교회복지사 = = 교회복지사 문서에 IP 사용자가 비중립적 서술을 하고 있는데, 정도에 따라 준보호 등을 요청합니다. 콩가루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22:28 (KST) = = 김대한 영구 준보호 요청 = = 지난번에 10월 20일까지 보호되었는데, 3일만에 다시 훼손되었습니다. 더이상 신규 사용자에게 선의의 기여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영구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02:03 (KST) = = 신신애 = = (역사) 본인이 신신애라고 주장하는 IP 사용자가 계속해서 태어난 해를 지웁니다. 자신이 59년생이 아니라는데, 제가 찾아본 결과 여러 사이트에서 59년생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생년이 불분명한 경우 나이를 역계산하는 경우가 있어 정확치 않은 경우가 왕왕 있기는 하지만, 여러 주석들을 볼 때 59년생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15:44 (KST) = = 박효석문서 삭제요청 = = 장난성 문서이며,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습니다. cube52 (토론) 2014년 10월 27일 (월) 17:33 (KST) = = 삭제 요청드려요. = = 사용자:Jasontwo/common.js, 사용자:Jasontwo/monobook.css, 사용자:Jasontwo/monobook.js 삭제 부탁드려요. Jasontwo (토론) 2014년 10월 27일 (월) 18:38 (KST) = = 문서 삭제 요청 = = 홍진수, ‎양예진, 강다영 등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의 문서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7일 (월) 20:31 (KST) = = 이서연 (배우) 문서 삭제요청 = = 해당 문서는 사실 확인되지 않은 문서이며, 다음하고 네이버 어디에도 1982년도 생의 이서연이라는 인물은 없으며, JYP 엔터테인먼트 홈페이지에도 해당 인물에 대한 프로필도 없고, 심지어 영화관련 사이트에도 그런 인물이 없습니다. 증거 1 & 증거 2 & 증거 3 & 증거 4 해당 문서는 장난으로 생성된 허위 문서인만큼 삭제 요청합니다. 39.115.9.221 (토론) 2014년 10월 27일 (월) 23:50 (KST) = = 법률정보 주의 틀 복구 요청 = = 틀의 복구를 요청합니다. 위키백과:삭제 토론/면책 조항 틀들 (2) 삭제 토론에서 부분적 삭제 의견 한 건을 제외하면 모든 사용자가 유지 의견을 냈음에도 관인생략 사용자의 판단으로 삭제가 된 틀입니다.(해당 행위에 대해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관인생략 사용자의 관리자 권한 회수 토론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의견을 모은 바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복구를 요청합니다. Tsunami 2014년 10월 28일 (화) 00:27 (KST) = = 마거릿 대처 특정판 삭제(저작권 위반) = = 2013년 5월 31일 (금) 10:08 2013년 5월 31일 (금) 10:07 문단 '대처리즘' 사용자:Lee so young은 두산 대백과 사전의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최신판인 "2014년 9월 23일 (화) 09:38‎"까지 내용이 있으므로 최신판까지 삭제해야 합니다. 전파맛라떼 (토론) 2014년 10월 28일 (화) 15:46 (KST) = = 김승일 문서 보호 요청 = = '김승일' 문서의 편집 역사 김승일 (성악가) 문서를 훼손한 자와 동일인물로 보이는 IP사용자가 김승일 문서에서 김승일 (성악가) 관련 내용을 계속 훼손하고 있습니다. 동명이인 문서도 함께 보호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210.223.5.115 (토론) 2014년 10월 29일 (수) 06:26 (KST) = = 문서 삭제 요청 = = 여승환, ‎고건웅 등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의 문서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3.128 (토론) 2014년 10월 29일 (수) 17:31 (KST) = = 아베 신조 준보호 긴급 요청 = = 최근 들어 일부 IP 사용자나 일반 사용자들이 해당 문서에다가 문서 훼손을 지속적으로 일삼고 있습니다. 장기간의 준보호가 필요해보이니까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211.214.215.4 (토론) 2014년 10월 29일 (수) 23:48 (KST) = =대우건설 문서 보호 요청 = = 대우건설 문서 보호를 요청합니다. 계속 새 계정을 만들어 들어와 사건/사고 문단을 통째로 삭제하는 행위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Vntrkd (토론) 2014년 10월 30일 (목) 09:39 (KST) = = 채정윤 문서 삭제요청 = = 해당 문서는 장난으로 생성된 허위문서이며, 이전에 허위로 작성된 이서연 (배우)문서를 생성한 인물이 생성한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의 내용보면 S.E.S. 소속이라고 되있지만 이건 누가봐도 허위라는걸 알수있으며, S.E.S구성원은 바다, 유진, 슈라는건 누구나다 알고 있은 사실이고, 게다가 해당 문서의 내용보면 배우 채정안이 어머니라고 되있지만 이것도 사실이 아닙니다. 그리고 네이버하고 다음 어디에도 채정윤이라는 이름의 가수는 없으며 SM엔터테인먼트 홈페이지에도 그런인물은 없습니다. 해당 문서 역시 이서연 (배우)문서처럼 장난으로 생성된 허위 문서인만큼 삭제 요청합니다. 39.115.9.221 (토론) 2014년 10월 30일 (목) 22:49(KST) = 잠수정지도자 = 잠수정지도자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제국해군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전쟁해군의 유보트 지휘관 보직이다. 이 보직 역임자로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1936년 1월부터 1939년 10월 17일 사이에 재임한 카를 되니츠이다. 되니츠는 잠수정지도자를 잠수정지휘관으로 개칭하고 "잠수정지도자"라는 명칭은 서부잠수정지도자(FdU West), 동부잠수정지도자(FdU Ost) 등 지역별 책임자로 나누어 잠수정지휘관에게 딸린 직책으로 만들었다.Lexikoneintrag FdU = = 제1차 세계대전 = = 관할 지휘 부대 또는 직함 계급 성명 임기 북해 대양병력잠수정 초계함장(소령급)/호위함장(중령급)준제독(대령급; 독일군은 준장 없음) 헤르만 바우어 1914년 8월 21일 – 1917년 6월 4일 동해 OdO 대위 한스 아담 1914년 8월 – 1915년 3월 대위 쇠트(Schött) 1915년 7월 - 1917년 12월 10일 영불해협 플랑드르 잠수정전단(en) 대위/초계함장 카를 바르텐바흐 1915년 3월 29일 – 1917년 9월 30일 플랑드르 잠수정전단 초계함장 카를 바르텐바흐 1917년 9월 30일 – 1917년 12월 10일 지중해 풀라 잠수소전단 대위 한스 아담 1915년 7월 1일 - 1915년 11월 17일 풀라 잠수정전단 초계함장 발데마르 콥하멜 1915년 11월 18일 – 1917년 6월 8일 지중해 잠수정(de)지도자 주력함장(대령급)/준제독 테오도어 퓔렌 1917년 6월 9일 - 1917년 12월 29일 주력함장/준제독 쿠르트 그라스호프 1917년 12월 29일 - 1918년 10월 준제독 테오도어 퓔렌 1918년 10월 = = 제2차 세계대전 = = 관할 직함 계급 성명 임기 전군 잠수정지도자 → 잠수정지휘관 주력함장/준제독 카를 되니츠 1936년 1월 - 1939년 10월 17일 훈련부대 잠수훈련전단지도자 주력함장 픽토어 쉬체 1942년 2월 7일 - 1945년 5월 이탈리아 잠수정지도자 이탈리아 잠수정지도자 주력함장 한스루돌프 뢰징 1942년 7월 - 중부잠수정지도자 중부잠수정지도자 지중해 잠수정지도자 지중해 잠수정지도자 주력함장 베르너 하르트만 1944년 1월 - 1944년 8월 북해 잠수정지도자 북해 잠수정지도자 호위함장 라인하르트 주흐렌 1943년 1월 - 1944년 5월 노르웨이 잠수정지도자 노르웨이 잠수정지도자 동해 잠수정지도자 동해 잠수정지도자 프랑스 해안 서방잠수정지도자 = 분류:라트비아의 연극 배우 = = 폼페이오 = 폼페이오 또는 폼페오(Pompeo)는 미국의 성씨이다. = = 인물 =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의 국무장관 엘런 폼페오: 미국의 배우 폼페오 콜론나: 이탈리아의 추기경, 정치가, 콘도티에로 어네스토 폼페이오 몰멘티: 미국의 의사, 저자 = 마르틴 아이클러 = 마르틴 막시밀리안 에밀 아이클러 (Martin Maximilian Emil Eichler, 1912년 5월 29일 ~ 1992년 10월 7일)은 독일의 수학자였다. 주로 정수론을 연구했다. 1936년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시무라 고로와 함께 특정한 모듈러 형식에서 생성되는 타원곡선에 대한 연구Eichler M., The basis problem for modular forms and the traces of the Hecke operators, Modular functions of one variable, I (Proc. Internat. Summer School, Univ. Antwerp, Antwerp, 1972), Springer, Berlin, 1973, pp. 75–151. Lecture Notes in Math., Vol. 320.를 진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연구 결과의 역, 즉 모든 타원곡선에는 대응되는 모듈러 형식이 존재한다는 추측은 나중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핵심 개념이 되었다. = 통합신당 = = = Revibot I = = 봇의 이름 : Revibot I 봇 운영자 : Hym411 프로그래밍 언어 : mw:Manual:Pywikibot/archivebot.py 자동/수동 : 자동 자세한 기능 설명 : 토론 문서의 보존 자동화 봇 플래그가 있는 다른 언어판의 봇 : 없음 추가 정보 (임의) : 여타 제 봇들과 마찬가지로, 위키미디어 툴 랩스에서 동작하므로 자동차단을 해제해야 합니다. 이 봇은 명백히 보존을 자동화할 것을 요청한 토론 문서(틀을 이용함) 에 한하여 타임스탬프를 읽은 다음, 틀에서 지정한 시간 이상 코멘트가 없는 주제에 한하여 자동으로 틀에서 지정한 보존 문서로 이동합니다. — by revi^ at 2014년 9월 24일 (수) 22:24 (KST) = = = 토론 = = = 첫 기여 몇몇개에 오류가 있었지만, 보존문서 2~7 문제는 제 설정 오류였고, 콩가루님 토론 문서의 오류는 pywikibot의 오류였으나, 고쳐졌습니다. — by revi^ at 2014년 9월 24일 (수) 22:24 (KST) 흠, 사무관이 되었으니 처리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기여상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지금 이시간 이후의 기여를 지켜보고 봇 권한 부여 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16일 (목) 10:37 (KST) ‘신청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토론 문서 보존’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봇으로서 승인합니다. 작동 오류가 나지 않게 다시 한 번 설정을 점검해주시고, 사용자 문서에서 이 봇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조금 더 자세하게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14년 10월 17일 (금) 10:18 (KST) = 분류:1775년 4월 = = 검증조서 = 검증조서(檢證調書)는 대한민국 형사절차의 문서로 법원 또는 수사기관이 검증의 결과를 기재한 조서를 말한다(형사소송법 제311조). 법원의 검증조서와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검증조서로 나뉜다. = 이윤아 (1990년) = 이윤아(1990년 7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국악인이다. 2016년 싱글 하루만으로 정식 데뷔했다. = = 방송 = = 너의 목소리가 보여 2 (2015) 왕과 여자 (2017) 로또싱어 (2020) - Top45(23위) 풍류대장 - 힙한 소리꾼들의 전쟁 (2021) - Top12(8위) = = 공연 = = 월매가 들려주는 춘향 (2014) - 춘향 역 판 유나리-국악인 이윤아 단독 공연 (2017) = 분류:오락 소프트웨어 = = 분류:1305년 책 = = 삼성 갤럭시 J3 (2016) = 삼성 갤럭시 J3 (2016)(Samsung Galaxy J3 (2016))은 삼성 갤럭시 J 시리즈 2016년 모델이다. 2016년 5월 6일 출시되었다.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Berea國濟大學院大學校, Berea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침례교 계열의 대학원대학교이다. 1973년 설립된 베뢰아아카데미가 모태이며, 1996년 10월 26일 학교법인 베뢰아아카데미학원, 1997년 12월 5일 베뢰아대학원대학교 인가를 받아, 1998년 3월 개교하였다. 이후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로 변경하였다. 학교 법인 베뢰아아카데미학원은 베뢰아운동의 창시자인 김기동 박사가 설립하였다.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아일랜드 = 영어 위키백과의 아일랜드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 = Top-importance Ireland articles (38/63) = = :en:Arthur Griffith (30+) → 아서 그리피스 :en:Book of Kells (40+) → 켈스의 서 :en:Charles Haughey (30+) → 카헐 오 호하 :en:Christianity in Ireland (6) :en:Culture of Ireland (12) :en:Dáil Éireann (40+) → 달 에런 :en:Dublin (190+) → 더블린 :en:Éire (8) :en:ESB Group (5) :en:Fauna of Ireland (6) :en:Fianna Fáil (40+) → 피어너 팔 :en:FitzGerald dynasty (10) :en:Gaelic Athletic Association (26) :en:Geography of Ireland (30+) → 아일랜드의 지리 :en:Government of Ireland (20) :en:Government of Ireland Act 1920 (18) → 1920년 아일랜드 정부법 :en:History of Northern Ireland (14) :en:Ireland (140+) → 아일랜드섬 :en:Irish diaspora (12) :en:Irish nationalism (26) → 아일랜드 국민주의 :en:Irish people (80+) → 아일랜드인 :en:Irish Rebellion of 1798 (30+)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en:Irish republicanism (23) → 아일랜드 공화주의 :en:Law of the Republic of Ireland (3) :en:Music of Ireland (18) :en:Oireachtas (40+) → 에러크터스 :en:O'Neill dynasty (7) :en:Politics of the Republic of Ireland (18) :en:River Shannon (60+) → 섀넌강 :en:Robert Emmet (22) :en:RTÉ (30+) → 아일랜드 라디오-텔레비전 :en:Rugby union in Ireland (4) :en:Saint Patrick (60+) → 파트리치오 :en:Sport in Ireland (7) :en:Taoiseach (60+) → 아일랜드의 총리 :en:Transport in Ireland (12) :en:United Ireland (20) :en:Wolfe Tone (27) = = High-importance Ireland articles (461/585) = = :en:1802 United Kingdom general election (4) → 1802년 영국 총선 :en:1922 Irish general election (5) :en:1932 Irish general election (4) :en:1969 Northern Ireland riots (9) :en:1973 enlargement of the European Communities (5) :en:1987 Irish general election (7) :en:1988–1994 British broadcasting voice restrictions (4) :en:1990 Irish presidential election (4) :en:2003 Special Olympics World Summer Games (3) → 2003년 하계 스페셜 올림픽 :en:23rd Seanad (2) :en:Abbey Theatre (40+) → 애비 극장 :en:Achill Island (30+) → 아킬섬 :en:Agriculture in Ireland (2) :en:Albert Reynolds (27) :en:Allied Irish Banks (17) → 얼라이드 아이리시 은행 :en:All-Ireland Senior Football Championship (12) :en: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Ireland (5) :en:A Nation Once Again (6) :en:Ancient Order of Hibernians (4) :en:Anglo-Irish Agreement (9) :en:Anglo Irish Bank (9) :en:Anglo-Irish trade war (5) :en:Anglo-Norman invasion of Ireland (20) :en:An Post (16) :en:Aran Islands (40+) → 애런 제도 :en:Áras an Uachtaráin (17) :en:Archbishop of Armagh (Church of Ireland) (5) :en:Architecture of Ireland (3) :en:Ardagh Hoard (10) :en:Armagh (60+) → 아마 (아마주) :en:Arthur Guinness (26) :en:Athletics Ireland (3) :en:Athlone (40+) → 애슬론 (아일랜드) :en:Bank of Ireland (23) → 아일랜드 은행 :en:Basil Brooke, 1st Viscount Brookeborough (7) :en:Battle of Clontarf (22) :en:Battle of Dublin (22) → 더블린 전투 :en:Battle of the Boyne (30+) :en:Battle of Vinegar Hill (7) :en:Birmingham Six (11) :en:Blasket Islands (25) :en:Bloody Sunday (1920) (22) → 피의 일요일 (1920년) :en:Bloody Sunday (1972) (40+) → 피의 일요일 (1972년) :en:Blueshirts (16) → 육군전우협회 :en:Bob Geldof (40+) → 밥 겔도프 :en:Bob Tisdall (21) :en:Book of Durrow (21) :en:Bord na Móna (5) :en:Brendan Grace (6) :en:Brendan the Navigator (40+) :en:Brexit and the Irish border (5) :en:Brian Faulkner (9) :en:Bunratty Castle (19) :en:Carrauntoohil (40+) → 캐런투얼산 :en:Carrickfergus Castle (16) :en:Catholic Association (2) :en:Catholic Church in Ireland (18) → 아일랜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en:Catholic emancipation (19) → 가톨릭교도 해방령 :en:Ceann Comhairle (12) :en:Cearbhall Ó Dálaigh (30+) :en:Celtic harp (22) :en:Celts (modern) (3) :en:Children of Lir (12) :en:Christ Church Cathedral, Dublin (26)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 (더블린) :en:Christy Moore (20) :en:Christy Ring (4) :en:Chronology of the Great Famine (2) :en:CIÉ (6) :en:Civil Service of the Republic of Ireland (2) :en:Clann Cholmáin (7) :en:Climate change in the Republic of Ireland (2) :en:Climate of Ireland (5) :en:Clonmacnoise (14) :en:Clonmel (30+) → 클론멜 :en:Coat of arms of Ulster (3) :en:Colm Tóibín (30+) → 콜름 토이빈 :en:Columba (50+) → 콜룸바 히엔시스 :en:Confederate Ireland (25) → 아일랜드 맹방 :en:Connacht (60+) → 코노트 :en:Constance Markievicz (30+) → 콘스턴스 마키비츠 :en:Constitution of Ireland (24) :en:Constitution of the Irish Free State (3) :en:Cork (city) (90+) → 코크 (도시) :en:Cork Harbour (8) :en:Cork Institute of Technology (4) :en:Cormac mac Airt (13) → 코르막 막 아르트 :en:Council of State (Ireland) (5) :en:County Antrim (50+) → 앤트림주 :en:County Armagh (50+) → 아마주 :en:County Carlow (60+) → 칼로주 :en:County Cavan (50+) → 캐번주 :en:County Cork (60+) → 코크주 :en:County Down (50+) → 다운주 :en:County Dublin (50+) → 더블린주 :en:County Fermanagh (50+) → 퍼매나주 :en:County Galway (60+) → 골웨이주 :en:County Kerry (50+) → 케리주 :en:County Kildare (60+) → 킬데어주 :en:County Laois (50+) → 레이시주 :en:County Leitrim (50+) → 리트림주 :en:County Limerick (50+) → 리머릭주 :en:County Londonderry (50+) → 런던데리주 :en:County Longford (50+) → 롱퍼드주 :en:County Louth (50+) → 라우스주 :en:County Mayo (60+) → 메이요주 :en:County Meath (50+) → 미스주 :en:County Monaghan (50+) → 모너핸주 :en:County Offaly (50+) → 오펄리주 :en:County Roscommon (50+) → 로스커먼주 :en:County Sligo (50+) → 슬라이고주 :en:County Tipperary (50+) → 티퍼레리주 :en:County Tyrone (40+) → 티론주 :en:County Waterford (50+) → 워터퍼드주 :en:County Wexford (50+) → 웩스퍼드주 :en:County Wicklow (50+) → 위클로주 :en:Courts of Northern Ireland (3) :en:Crannog (26) → 크라노그 :en:Crimthann mac Fidaig (8) :en:Croagh Patrick (24) :en:Croke Park (30+) → 크로크 파크 :en:Cromwellian conquest of Ireland (19) :en:Cumann na nGaedheal (13) :en:Dáil Éireann (Irish Free State) (3) :en:Dáil Éireann (Irish Republic) (5) → 달 에런 (1919년) :en:Dan Breen (6) :en:Daniel O'Connell (30+) → 대니얼 오코넬 :en:David Norris (politician) (13) :en:De Dannan (9) :en:Denis O'Brien (5) :en:Department of Health (Ireland) (4) :en:Diarmait Mac Murchada (19) :en:Donegal (town) (28) :en:Douglas Hyde (40+) → 더글러스 하이드 :en:Dublin Airport (40+) → 더블린 공항 :en:Dublin Castle (30+) → 더블린성 :en:Dublin City University (21) → 더블린시티 대학교 :en:Dublin Corporation (4) :en: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11) :en:Dublin Port (16) :en:Dublin Suburban Rail (3) :en:Dundalk (50+) → 던도크 :en:Éamonn Ceannt (19) → 에이먼 칸트 :en:Early Irish law (9) :en:Economic history of Ireland (2) :en:Eddie Keher (3) :en:Edna O'Brien (27) :en:Edward Bruce (24) :en:Edward Carson (20) :en:Ennis (40+) → 에니스 :en:Eóganachta (12) :en:Eoin O'Duffy (17) → 이오인 오더피 :en:Erin go bragh (12) → 에린 거 브라흐 :en:Ernest Walton (70+) → 어니스트 월턴 :en:Erskine Hamilton Childers (30+) :en:Étaín (9) :en:Euronext Dublin (17) → 유로넥스트 더블린 :en:Executive Authority (External Relations) Act 1936 (3) :en:Fenian (18) → 페니언 :en:Fenian Brotherhood (13) :en:Fenian Rising (6) :en:Fingal (40+) → 핑걸주 :en:First Dáil (9) :en:Flann O'Brien (29) :en:Flora of Ireland (4) :en:Florence MacCarthy (4) :en:Foreign relations of Ireland (10) → 대한민국-아일랜드 관계 :en:Francis Stuart (8) :en:Frank Aiken (11) → 프랭크 에이킨 :en:Frank McCourt (30+) → 프랭크 매코트 :en:Gaelic games (16) :en:Gaelic Ireland (18) :en:Gaelic revival (11) :en:Gaels (40+) → 게일인 :en:Gallarus Oratory (14) :en:Garret FitzGerald (30+) → 개릿 피츠제럴드 :en:Gay Byrne (8) :en:George Gavan Duffy (6) :en:George William Russell (20) :en:Gerry Adams (40+) → 게리 애덤스 :en:Good Friday Agreement (40+) → 벨파스트 협정 :en:Government of Ireland Act 1914 (6) → 1914년 아일랜드 정부법 :en:Government of Ireland Bill 1886 (3) :en:Government of the 1st Dáil (2) :en:Gustav Wilhelm Wolff (8) :en:Hall of Fame (song) (16) :en:Health in the Republic of Ireland (2) :en:Health Service Executive (5) :en:Henry Grattan (15) :en:Hibernia (18) :en:Hiberno-English (26) → 아일랜드 영어 :en:High Court (Ireland) (8) :en:Hill of Tara (30+) → 타라 언덕 :en:Historical Enquiries Team (2) :en:History of Christianity in Ireland (2) :en:History of Ireland (1169–1536) (6) :en:History of Ireland (1536–1691) (4) :en:History of Ireland (1691–1800) (4) :en:History of Ireland (1801–1923) (4) :en:History of Ireland (400–795) (4) :en:History of Ireland (795–1169) (9) :en:History of the Irish language (4) :en:History of the Republic of Ireland (21) :en:Horace Plunkett (5) :en:Hugh O'Neill, Earl of Tyrone (15) :en:Hugh Roe O'Donnell (9) :en:IDA Ireland (3) :en:Ireland Act 1949 (3) :en:Ireland national football team (1882–1950) (22)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1882년) :en:Ireland national rugby union team (30+) :en:Ireland–United Kingdom relations (9) :en:Ireland–United States relations (9) :en:Irish backstop (4) :en:Irish Boundary Commission (4) :en:Irish coffee (30+) → 아이리시 커피 :en:Irish Continental Group (2) :en:Irish Convention (3) :en: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 (6) :en:Irish euro coins (30+) → 아일랜드의 유로 주화 :en:Irish Farmers' Association (2) :en:Irish Grand National (2) :en:Irish House of Commons (4) :en:Irish Independent (22) → 아이리시 인디펜던트 :en:Irish Literary Revival (4) :en:Irish mythology (30+) → 아일랜드 신화 :en:Irish National Land League (7) :en:Irish Naval Service (13) :en:Irish Parliamentary Party (19) → 아일랜드 의회당 :en:Irish people in Great Britain (5) :en:Irish pound (40+) → 아일랜드 파운드 :en:Irish Rebellion of 1641 (17) :en:Irish Republican Army (1922–1969) (8) :en:Irish Sea (100+) → 아일랜드해 :en:Irish short story (2) :en:Iris Murdoch (60+) → 아이리스 머독 :en:Islam in the Republic of Ireland (12) :en:It's a Long Way to Tipperary (23) :en:Ivar of Limerick (5) :en:Jack Charlton (40+) → 잭 찰턴 :en:James Chichester-Clark (7) :en:James Craig, 1st Viscount Craigavon (10) :en:James Fitzmaurice (4) :en:James Gandon (11) :en:James Larkin (19) → 제임스 라킨 :en:Jameson Irish Whiskey (24) → 제임슨 :en:Jeremiah O'Donovan Rossa (10) :en:Jimmy Magee (3) :en:Joey Dunlop (15) :en:John A. Costello (27) :en:John B. Keane (12) :en:John Charles McQuaid (3) :en:John Hume (50+) → 존 흄 :en:John McGahern (9) :en:Johnny Logan (singer) (40+) → 조니 로건 :en:John Scotus Eriugena (40+) →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en:Kathleen Ni Houlihan (4) :en:Katie Taylor (28) → 케이티 테일러 :en:Kevin Barry (7) :en:Kevin Barry (song) (2) :en:Kevin Heffernan (Gaelic footballer) (3) :en:Kevin of Glendalough (18) :en:Kilkenny (50+) → 킬케니 :en:Killarney (40+) → 킬라니 :en:Killarney National Park (27) :en:Kingship of Tara (7) :en:Knock, County Mayo (17) :en:Knowth (21) :en:Land War (6) :en:Laudabiliter (13) :en:Law of Northern Ireland (5) :en:Leinster (70+) → 렌스터 :en:Leprechaun (40+) → 레프러콘 :en:Letterkenny (30+) :en:LGBT culture in Ireland (2) :en:Liam Cosgrave (30+) → 리엄 코즈그레이브 :en:Liam Lynch (Irish republican) (13) → 리엄 오 레시 :en:Liam O'Flaherty (25) :en:Limerick (80+) → 리머릭 :en:Longford (30+) → 롱퍼드 :en:Lord Edward FitzGerald (13) :en:Lord Frederick Campbell (2) :en:Lough Erne (30+) :en:Lough Neagh (50+) → 네이호 :en:Louis le Brocquy (10) :en:Lugnaquilla (24) :en:MacCarthy Reagh (2) :en:MacGillycuddy's Reeks (27) → 맥길리커디스릭스 :en:Mary, Lady Heath (11) :en:Mass media in the Republic of Ireland (4) :en:Maynooth (28) :en:Maynooth University (13) :en:Medb (26) → 메브 :en:Michael Carruth (18) :en:Michael Davitt (16) :en:Michael D. Higgins (70+) → 마이클 D. 히긴스 :en:Michael J. Ryan (doctor) (11) :en:Michael O'Leary (businessman) (16) :en:Michelle Smith (26) :en:Mick O'Dwyer (2) :en:Minister for Finance (Ireland) (10) :en:Molly Malone (23) :en:Mongfind (4) :en:Motorways in the Republic of Ireland (10) :en:Munster (70+) → 먼스터 :en:Murphy Report (5) :en:N11 road (Ireland) (6) :en:N20 road (Ireland) (5) :en:N8 road (Ireland) (4) :en:N9 road (Ireland) (3) :en:Names of the Irish state (4) :en:National Library of Ireland (30+) → 아일랜드 국립도서관 :en:National Museum of Ireland (22) → 아일랜드 국립박물관 :en:National Ploughing Championships (3) :en:National primary road (2) :en: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21) :en:Neil Jordan (30+) → 닐 조던 :en:Newry (50+) → 뉴리 (북아일랜드) :en:Northern Ireland Assembly (30+) → 북아일랜드 의회 :en:Northern Ireland Civil Rights Association (9) :en:Northern Ireland Protocol (9) :en:O'Brien dynasty (10) :en:O'Connell Street (18) → 오코넬 거리 :en:Office of Public Works (5) :en:Operation Banner (11) :en:Opinion polling on a United Ireland (2) :en:Padraic Colum (15) :en:Parliament of Ireland (18) :en:Partition of Ireland (18) :en:Pat O'Callaghan (24) :en:Patrick Hillery (30+) :en:Patrick Pearse (40+) → 패트릭 피어스 :en:Patrick Sarsfield, 1st Earl of Lucan (11) :en:Paul Cullen (cardinal) (14) :en:Paul McGrath (footballer) (29) :en:Penal laws (Ireland) (7) :en:Percy French (10) :en:Phillip McCallen (3) :en:Phoenix Park (28) → 피닉스 파크 :en:Plantations of Ireland (20) :en:Police Service of Northern Ireland (20) :en:Post-2008 Irish economic downturn (6) :en:Poynings' Law (on certification of acts) (5) :en:Prehistoric Ireland (12) :en:Prime Minister of Northern Ireland (7) :en: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 (20) → 공화국 선포 :en:Progressive Democrats (15) :en:Protestant Ascendancy (8) :en:Provinces of Ireland (50+) → 아일랜드의 지방 :en: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 (2) :en:Provisional Irish Republican Army campaign (2) :en:Ray Burke (Irish politician) (5) :en:Religi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14) :en:Repeal Association (6) :en:Republic of Ireland–United Kingdom border (12) :en:Richard de Clare, 2nd Earl of Pembroke (22) :en:Ringfort (13) :en:Ring of Kerry (16) :en:River Barrow (30+) :en:River Boyne (30+) :en:Riverdance (27) → 리버댄스 :en:River Liffey (50+) → 리피강 :en:Robert the Bruce (60+) → 로버트 1세 (스코틀랜드) :en:Rock of Cashel (26) → 카러그 파드러그 :en:Roddy Doyle (30+) :en:Roman Catholic Relief Act 1829 (11) :en:Ron Delany (19) :en:Ronnie Drew (23) → 로니 드루 :en:Ronnie Flanagan (2) :en:Royal College of Surgeons in Ireland (13) :en:Royal Cork Yacht Club (4) :en:Royal Irish Academy (16) :en:RTÉ One (16) :en:RTÉ Radio 1 (6) :en:RTÉ Radio (3) :en:RTÉ Television (5) :en:Sam Henry (musicologist) (4) :en:Sam Maguire (5) :en:Seamus Heaney (80+) → 셰이머스 히니 :en:Seamus Twomey (5) :en:Sean (3) :en:Seanad Éireann (30+) → 사너드 에런 :en:Seán Heuston (10) :en:Sean Kelly (cyclist) (29) → 숀 켈리 (사이클 선수) :en:Seán Lemass (25) :en:Seán MacBride (50+) → 숀 맥브라이드 :en:Seán MacEntee (7) :en:Seán T. O'Kelly (30+) :en:Secretary of State for Northern Ireland (14) → 북아일랜드부 장관 :en:Semple Stadium (8) :en:Shamrock (29) → 섐록 :en:Shane O'Neill (Irish chieftain) (7) :en:SIPTU (3) :en:Sixpence (Irish coin) (2) :en:Skellig Michael (40+) → 스켈리그 마이클 :en:Sligo (50+) → 슬라이고 :en:Social Democratic and Labour Party (30+) → 사회민주노동당 (북아일랜드) :en:Society of United Irishmen (23) → 연합 아일랜드인회 :en:South Dublin (30+) → 사우스더블린주 :en:Southern Ireland (1921–1922) (30+) → 남아일랜드 :en:Spike Milligan (27) → 스파이크 밀리건 :en:Stardust fire (2) :en:St Patrick's Cathedral, Dublin (30+) →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더블린) :en:Strangford Lough (19) → 스트랭퍼드호 :en:Sunningdale Agreement (10) :en:Supreme Court of Ireland (10) :en:Tairrdelbach Ua Conchobair (10) :en:Tallaght (28) → 탈라 (사우스더블린주) :en:Tánaiste (23) :en:Tara Brooch (16) :en:Taxati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2) :en:Technological University Dublin (8) :en:Televisi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7) :en:Terence O'Neill (15) :en:TG4 (24) :en:The Burren (27) → 버런 :en:The Chieftains (24) :en:The Emergency (Ireland) (11) :en:The Irish Times (28) → 아이리시 타임스 :en:The Late Late Show (Irish talk show) (12) →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아일랜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en:The Pale (24) :en:The Republic of Ireland Act 1948 (10) :en:The Resurrection of Hungary (2) :en:The Troubles in Ulster (1920–1922) (2) :en:Thomas Davis (Young Irelander) (7) :en:Thomas Kent (11) :en:T. K. Whitaker (3) :en:Tom Barry (Irish republican) (8) :en:Tony O'Reilly (6) :en:Topographia Hibernica (3) → 히베르니아 지리지 :en:Townland (16) :en:Tralee (30+) → 트랠리 :en:Transport Infrastructure Ireland (2) :en:Treaty Ports (Ireland) (4) :en:Tudor conquest of Ireland (12) :en:Turlough O'Carolan (24) :en:Uí Ímair (10) :en:Ulster Covenant (6) :en:Ulster Museum (9) :en:Ulster Protestants (8) :en:Ulster Scots people (21) → 얼스터스코트인 :en:Ulster Unionist Party (30+) → 얼스터 연합당 :en:Ulster Volunteers (12) :en:University College Cork (21) :en:University of Dublin (30+) → 더블린 대학교 :en:University of Galway (25) :en:University of Limerick (22) :en:Vincent Browne (4) :en:Virgin Media One (8) :en:Visa policy of Ireland (4) :en:Visa requirements for Irish citizens (2) :en:Visit by Pope John Paul II to Ireland (2) :en:Wars of the Three Kingdoms (29) → 삼왕국 전쟁 :en:Waterford (60+) → 워터퍼드 :en:Waterford Crystal (8) :en:Wicklow (40+) → 위클로 :en:Williamite (7) :en:Williamite War in Ireland (24) :en:William Martin Murphy (6) :en:William Ponsonby, 1st Baron Ponsonby (2) :en:William Thompson (philosopher) (15) :en:Willie Redmond (6) :en:Windsor Framework (4) 아일랜드 = 선택 = 선택(選擇)은 특정 존재가 고를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의 범위이다. 선택에 도달하면 동기 부여 요인과 모델이 포함될 수 있다. 간단한 선택에는 저녁 식사로 무엇을 먹을지, 토요일 아침에 무엇을 입을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선택자의 전반적인 삶에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미친다. 더 복잡한 선택에는 (예를 들어) 선거에서 어떤 후보에게 투표할지, 어떤 직업을 추구할지, 인생의 동반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영향력과 더 큰 파급 효과를 기반으로 한 선택이다. 선택의 자유는 일반적으로 소중히 여겨지지만, 선택이 심각하게 제한되거나 인위적으로 제한되면 선택이 불편해지고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선택지가 지나치게 많은 선택은 혼란, 만족 감소,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후회, 구조화되지 않은 존재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어떤 대상이나 과정을 선택하면 필연적으로 통제로 이어진다는 환상을 낳을 수 있다. 그 물건이나 코스는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어느 시점에서든 내려진 모든 결정과 선택에는 적어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에 따르는 결과가 있다. 인간은 자신의 관계와 연관성을 선택하고 자신의 선택을 통해 삶을 극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올루비시 아칸비는 "올바른 선택을 하면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 분류:유럽의 조선소 = = Beatmania IIDX 5th Style = beatmania IIDX 5th Style는 리듬게임 beatmania IIDX 시리즈의 5번째 작품으로 2001년 코나미를 통해 발매되었다. 신곡으로 35곡이 들어갔으며 이 중 5곡은 은폐곡이다. 이번 작의 새로운 변경점으로 오토 스크래치 옵션이 추가되었다는 것과 배속 조정을 두단계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있다. = 분류:여강 주씨 = = 닛신식품 = 닛신식품(, 일청식품, )은 1948년 대만계 일본인 안도 모모후쿠가 설립한 일본 굴지의 식품 기업이다. 세계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 (1958년)과 세계 최초의 컵라면 (1971년)을 개발한 선두 업체로 알려져 있다. 본사는 오사카시 요도가와구에 위치해 있으며,"Nissin Food group net profit up 6.6% in 1st half. " Japan Weekly Monitor. November 12, 2001. Retrieved on March 5, 2010. "On an unconsolidated basis, the Osaka-based firm recorded a 194.4% jump to 5.46.""Company Profile ." Nissin Foods. Retrieved on March 5, 2010. 지금의 본사는 1977년에 자리잡았다. 창립 당시 회사명은 산시쇼쿠산 (中交総社)이었고 1958년 닛신식품 주식회사로 바꾸면서 이어져 왔으나, 2008년 10월 1일에 닛신식품 홀딩스로 전환후 별도로 자회사인 닛신식품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회사명의 의미는 "매일 맑고 풍부한 맛을 만든다"는 창립자 안도 모모후쿠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 = 연혁 = = 1948년 9월 4일: 오사카부 이즈미오쓰시에 中交総社(산시쇼쿠산) 설립. 1958년 8월 25일: 세계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치킨 라멘" 개발. 1958년 12월: 닛신 식품(日清食品)으로 개명, 본사를 오사카시 히가시 구 (현 주오구)로 이전. 1968년 2월: 인스터트 라면 "데마에잇초(出前一丁)" 개발. 1971년 9월: 세계 최초의 컵라면인 "컵누들" 개발. 1988년 3월: 도쿄지사를 "도쿄본사"(東京本社)로 개칭. 1998년 4월 21일: 공식 웹사이트 개설. 2005년 7월: 세계 최초의 우주식 라면인 "SPACE RAM"이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 제공. 2006년 11월: 묘조 식품과의 경영 통합. 2006년 12월 21일: 묘조 식품이 닛신 식품의 완전한 자회사로 전환. 2008년 10월 1일: 사명을 "닛신식품홀딩스주식회사(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로 전환하고 별도의 자회사인 닛신식품 주식회사(日清食品株式会社)를 설립. = = 주요 제품 = = = = = 봉지면류 = = = 치킨 라면(チキンラーメン) 데마에잇초(出前一丁) 닛신 야키소바(日清焼そば) 닛신 라오(日清ラ王) = = = 용기면류 = = = 컵누들(カップヌードル) 치킨 라면 돈부리(チキンラーメンどんぶり) 닛신 면의 달인(日清 麺の達人) 닛신 면직인(日清麺職人) 닛신 돈베에(日清のどん兵衛) 닛신 코돈(日清のこうどん) 닛신 라오(日清ラ王) 닛신 야키소바 U.F.O. (日清焼そばU.F.O.) 닛신 줄서는 가게의 라면 (日清 行列のできる店のラーメン) = 틀:고원탄광선 = = 산호해 = 산호해(珊瑚海) 또는 코럴해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 인접한 바다이다. 산호해라는 이름은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유래되었다. = = 같이 읽기 = = 산호해 해전 산호해 제도 = 분류:북아일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 = = CA 에스투디안테스 = 클루브 아틀레티코 에스투디안테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카세로스를 연고로 하는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은 아르헨티나의 2부 리그인 프리메라 나시오날에 속해 있다. 축구팀 이외에도 핸드볼, 롤러스케이팅, 공수도, 태권도 팀이 있다. = = 수상 = = *코파 데 콤페텐시아 호케이 클루브 (1): 1910 *세군다 디비시온 (3): 1906당시 많은 팀들이 그랬듯이, 에스투디안테스도 에스투디안테스 II라는 이름의 2군팀으로 해당 토너먼트를 치뤘고, 1군팀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중이었다.Historia del Fútbol Amateur en la Argentina, by Jorge Iwanczuk. Published by Autores Editores (1992) – , 1977, 1999–00 *프리메라 C (4): 1903, 1904, 1942, 1966 = = 선수 명단 = = = = = 역대 = = = 디에고 비엘키에비츠(2016) = 어떤 나라 = 어떤 나라(A State of Mind)는 2004년 영국의 영화 감독인 대니얼 고든과 프로듀서인 니콜라스 보너에 의해 제작된 다큐멘터리 필름으로, 2003년 평양 매스게임에 참가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어린이 체조 선수와 그들의 가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떤 나라는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화제인 평양영화축전에서 두 가지의 상을 받았으며, 2005년 극장에서 상영되기 전까지 총 11번의 세계의 다른 영화제에 출품되었다. 영국의 댄스 밴드인 Faithless가 영화의 주제곡인 "I Want More"를 불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박현순 김송연 = 틀:종교의 인류학 = = Sakura (아라시의 노래) = 〈Sakura〉(사쿠라)는 아라시의 45번째 싱글이다. = = 개요 = = 전작 〈아무도 모른다〉로부터 약 9개월 만의 싱글이다. 타이틀곡 〈Sakura〉는 같은 사무소 배우 이쿠타 토마 주연의 TBS 드라마 우로보로스~이 사랑이야말로, 정의.의 주제가이다. 타이틀곡 〈Sakura〉에서는 니노미야 카즈나리와 오노 사토시와 마츠모토 준의 댄스가 예술이다. = = 수록곡 = = = = = 초회 한정반 = = = Sakura Rise and Shine Rise and Shine Sakura (비디오 클립) = = = 통상반 = = = Sakura / 같은 하늘 아래서 more and more Sakura # more and more = 북소림 남태권 = "북소림 남태권"(Nam Tae-kwon Of North So-rim Temple)은 한국에서 제작된 왕호 감독의 1984년 영화이다. 왕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박종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왕호 김영일 김동호 유창국 = = 기타 = = 조명: 손한수 녹음: 손인호 = 가자하야역 = 가자하야역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반대 측) ■ 구레 선 상행 미하라 후쿠야마 방면 2 (역사 측) ■ 구레 선 하행 구레 히로시마 방면 = = 이용 현황 = = 연도 1일 평균 연도 1일 평균 2002년도 339 2008년도 274 2003년도 307 2009년도 282 2004년도 259 2010년도 271 2005년도 254 2011년도 269 2006년도 250 2012년도 269 2007년도 270 = = 역 주변 = = 국도 제185호선 = 마이크 도일 = 마이크 도일(Mike Doyle, 1972년 9월 16일 ~ )은 미국의 영화 감독, 배우, 각본가, 영화 제작자이다. 미국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Almost Love (2019) XX (2017년) 에이미 메이크 쓰리 (2016년) 맥스 스틸 (2016년) - 짐 맥그래스 역 조니 프랭크 가렛츠 라스트 워드 (2016년) 비밀스러운 초대 (2015년) - 토미 역 저지 보이즈 (2014년) - 밥 크루 역 유아 낫 유 (2014년) - 탐 역 모닝 글래스 (2013년) - 본인 역 게이바이 (2012년) - 스콧 역 유니온 스퀘어 (2012년) - 빌 역 라이츠 아웃 (2011년) - 닥터 브레넌 역 그린 랜턴: 반지의 선택 (2011년) - 잭 조던 역 래빗 홀 (2010년) - 크레이그 역 챈스 일병의 귀환 (2009년) 헤비 페팅 (2007년) P.S 아이 러브 유 (2007년) 29 그리고 게이 (2005년) - 앤드 그리피스 역 타이드 오브 워 (2005년) 달콤한 악마의 유혹 (2004년) 사랑에 빠지는 아주 특별한 법칙 (2004년) 벨라 마피아 (1997년) 어 로스 오브 이노센스 (1996년) 타이타닉 (1996년) = = = 텔레비전 = = = Law & Order : 성범죄전담반 1 (1999년) 기프티드 맨 (2011년) - 빅터 란츠 역 섹스 앤 시티 (1998년) = 무지개 (동음이의) = 무지개는 다음을 가리킨다. 무지개는 하늘에 보이는 호(弧)를 이루는 색 띠를 말한다. = = 노래 = = 〈무지개〉는 Aqua Timez의 노래이다. 〈무지개〉는 L'Arc~en~Ciel의 노래이다. 〈무지개〉는 아라가키 유이의 노래이다. = = 드라마 = = 《무지개》는 1972년 5월 11일부터 1972년 8월 24일까지 방영된 MBC 목요연속극이다. 《무지개》는 1981년 9월 14일부터 1981년 12월 29일까지 방영된 KBS 2TV 일일 드라마이다. = 분류:아르메니아의 연극 = = 분류:이슬람교와 여성 = = 분류:노르웨이의 방송 = = 진웨린 = 진웨린(김악림, 金岳霖, 1895년 7월 ~ 1984년 10월)은 중국의 철학자, 논리학자이다. 1911년~1914년 베이징 칭화 학교에서 수학 후 미국에 유학하여 펜실베이니아 대학을 거쳐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24년에 중국에 돌아가 상하이 연구계 중국 공학 철학 교수를 거쳐 1926년 베이징의 칭화 대학에서 철학 교육 과정과 국학연구원 기반에서 자오위안런과 함께 철학과를 설립하고 논리학 교수를 담당하였다. 1926년~1934년 칭화 대학 철학과 주임 교수, 1938년~1946년 윈난성 쿤밍시의 국립 서남연합대학(國立西南聯合大學) 철학과 교수, 동 대학원 철학과 주임 교수 등을 지냈으며, 인하이광, 왕하오(王浩) 등이 당시 그의 제자이었다. 주로 신실재론 사상과 수리논리학 등 철학 분야에 관심을 가졌고, 서양철학 바탕의 철학 연구자로서 중국의 토착 사상과의 접목을 시도하여 신도가(新道家)적 저술을 내놓기도 하였다. 1946년 윈난성 쿤밍에서 복귀한 이후로, 동 대학 철학과 교수직을 계속 맡았고, 1950년에는 칭화 대학 문학원장 직에 있었으며, 중국 민주 동맹에 가입한 후에, 1950년대 중반 반우파 운동 이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중국 민주 동맹 중앙위원 직을 유지하였으며, 뒷날에 중국 민주 동맹 중앙 상위 등을 지냈다. 저술로, <논리>(1936), <도(道)를 논함>(1940) 등 다수가 있다. 1952년 10월 이후로 1956년까지 4년 간 베이징 대학 철학과 학과장을 역임하였고, 1955년 이후로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 위원, 1979년 중국논리학회 회장을 지냈다. = 말구 = 말구(末仇, ?~?)는 신라 초기의 왕족, 문신이다. 구도 갈문왕의 아들이고 미추 이사금의 동생이다. 그밖에 그의 형으로 지목되는 미추 이사금과 그의 아들 내물 마립간, 김대서지의 활동연대의 차이가 90년이 되어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 = = 생애 = = 정확한 행적은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삼국사기 3권 내물왕본기와 삼국유사의 왕력편에는 그가 내물 마립간의 아버지이며, 각간을 지냈다는 것만 간략하게 등장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왕력편에는 내물 이사금도 구도 갈문왕의 아들이라는 설도 같이 수록되었다. 그와 그의 형 미추 이사금의 활동 연대와 구도 갈문왕의 활동 년대의 차이가 심해, 미추나 말구가 구도 갈문왕의 아들인지 후손인지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다. 291년 정월 이벌찬(伊伐湌)에 임명되었다.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구도 갈문왕(仇道 葛文王) 어머니 : 술례부인 박씨(述禮夫人 朴氏) - 이비 갈문왕(伊非葛文王)의 딸 형 : 미추 이사금(味鄒泥師今) 형 : 대서지(大西知) 부인 : 휴례부인 김씨(休禮夫人 金氏) 아들 : 내물 마립간(奈勿麻立干) = 분류:아비장의 건축물 = = 전남체육고등학교 = 전남체육고등학교(全南體育高等學校)는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7년 12월 31일 : 전남체육중학교 설립인가 1999년 11월 8일 : 전남체육중학교 초대 최재근 교장 부임 2000년 3월 3일 : 전남체육중학교 개교 2000년 6월 15일 : 전남체육중학교 개교식 2002년 12월 31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설립인가 2003년 3월 1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초대 정보연 교장 부임(전남체육중학교 겸임) 2003년 5월 7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개교식 2006년 2월 24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제1회 졸업식(59명 졸업) 2021년 3월 1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제9대 최종술 교장 부임 2022년 1월 11일 : 전남체육중학교 제20회 졸업(37명, 총 졸업생 838명) 2022년 1월 11일 : 전남체육고등학교 제17회 졸업(42명, 총 졸업생 878명) = 인도의 대량살상무기 = 인도는 화학무기 보유국이면서 동시에 핵무기 보유국이다. 비록 인도는 핵무기 보유량에 대해 어떤 공식적인 발표가 없지만, 80에서 100발 정도의 핵탄두를 보유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99년 인도는 4200 kg의 플루토늄을 분리했다. 이는 핵탄두 1000발 분량이다. 인도는 핵확산방지조약(NPT) 미가입국US wants India to sign NPT Business Standard, 7 May 2009.이지만, 화학무기금지조약과 생물무기금지협약의 가입국이다. = 영동도 = 영동도(嶺東道)는 고려 시대에 존재했던 한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다. = 요아힘 쿤츠 = 요아힘 쿤츠(, 1959년 2월 9일 ~ )는 전 동독의 역도 선수이다. 작센주 슈톨베르크에서 태어난 쿤츠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라이트급 부문의 은메달을 땄으며, 1981년과 1983년 세계 챔피언이기도 하였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동독의 불참으로 인하여 8년 만에 서울 올림픽에 돌아와 같은 무게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캐나다의 판타지 모험 영화 = = 광주향교 (광주광역시) = 광주향교(光州鄕校)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985년 2월 25일 광주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조선태조(朝鮮太祖)가 왕이 되던 해 서기 1392년에 각도의 안찰사(按察使)에게 교육을 개혁(改革)하라는 명을 내린 것을 계기로 광주향교는 옛날 서석산(瑞石山) 현 무등산 서쪽 장원봉(壯元峰)아래에 세워졌으나,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서 성(城)의 동문(東門)안으로 옮겨 지었다. 그러나 성종(成宗)19년 서기 1488년 현감(縣監) 권수평(權守平)이 이 곳 또한 지대가 낮고 수해가 자주 일어나서 지금의 이 자리에 옮겨지었다. 그 후 선조(宣祖) 30년 서기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왜적(倭賊)들에 의하여 불에 타 선조(宣祖) 33년 서기 1600년에 관(官)과 백성이 협력하여 다시 세우고 그 뒤 수차례의 보수(補修)를 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의 교궁(校宮)은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서무(西廡)와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와 내ㆍ외삼문(內ㆍ外三門)을 기본구조(基本構造)로 하고 그 밖의 문회재(文會齋), 양사재(養士齋), 유림회관(儒林會館), 충효교육관(忠孝敎育館) 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자(孔子)를 비롯한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자(子思子), 맹자(孟子)등 5성(聖)과 송나라 2현(賢)과 조선 18현(賢)등 25성현(聖賢)을 모시고 봄, 가을에 제사(釋奠)를 올리고 있다. = = 갤러리 = = Gwangju Hyanggyo 3.JPG Gwangju Hyanggyo 5.JPG Gwangju Hyanggyo 6.JPG = 분류:1385년 폴란드 = = 사코촌 (후쿠이현) = 사코촌은 후쿠이현 아스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후쿠이시에 해당한다. = 파트 타임 쿡스 = 파트 타임 쿡스 (Part Time Cooks)는 대한민국에서 결성된 다국적 힙합 듀오이다. 멤버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의 솔 구드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출신의 블랙 모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VMC (Vismajor Company)에 소속되어 있다. = = 구성원 = = 솔 구드 (2015년 ~ 현재) 블랙 모스 (2015년 ~ 현재)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앨범 = = = Baker`s Dozen (2016) = = = EP = = = Midnight Snack EP (2016) 7:30 (2016) (Soul Chef와의 합작 앨범) Sacrifices (2018) = = = 싱글 = = = Dutch Pay (2015) Dutch Pay (Scotty Soul Remix) (2015) Obey (2017) sTRUEsGOD (2017) Old Friends (2017) 안녕 2018 (2018) California Butterfly (2018) 50 LIKES (2018)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白磁 靑畵鯉魚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1984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8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청화백자는 14세기 전반에 중국의 원나라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백자의 표면에 그려진 푸른색의 그림이 마치 수묵화 같은 정취를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5세기 중엽에는 이 자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사실적 화풍을 특징으로 한다.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白磁 靑畵鯉魚文 立壺)는 높이 24.7cm, 아가리 지름 8.1cm, 밑지름 12.4으로 아가리가 안으로 휘어 그리 넓지 않다. 어깨는 풍만하게 시작되어 몸통 아래에 이르러 좁아졌다가, 굽다리 부분에 이르면 다시 벌어지는 조선 초기의 특징을 하고 있다. 몸통에는 꽃으로 마름모꼴 둘레를 만들었고, 그 안에 물고기를 실감나게 그려 넣었다. 잉어와 송사리가 물풀 사이를 헤엄치는 물 속의 광경과 꽃 둘레 바깥으로 연꽃 덩굴무늬를 꽉 차게 그려 넣은 것이, 중국 명나라의 청화백자가 보여주는 구성과 같다. 유색은 푸른빛이 서린 회백색이며 항아리의 벽은 다소 두꺼운 편이다. 코발트색을 내는 청화안료의 농담을 적절히 구사하여 한층 회화적인 맛을 더한 이 백자는, 경기도 광주 일대의 국가가 관리하는 가마에서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조선 초기의 회화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 라파엘 카예하스 = 라파엘 카예하스(, 1943년 11월 14일 ~ 2020년 4월 4일)는 온두라스의 전대통령이며, 온두라스 축구 연맹의 대표이다. 테구시갈파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미시시피 주립 대학에서 농업 경제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온두라스 국민당(Partido Nacional de Honduras)에 합류하였고, 오스왈도 로페스대통령 하에서 경제계획장으로 임명되었다. 1985년 대선에서 호세 아스코나에게 패하였으나, 1989년 대선에서 카를로스 로베르토 플로레스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현재는 온두라스 축구 연맹의 대표이다. = 블루투스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 = 블루투스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은 블루투스 표준의 발전과 블루투스 기술과 상표의 제조사들에 사용권을 감독하는 한 블루투스 SIG(블루투스 SIG)은 표준 기구이다.그 SIG는 비영리, 비주식 회사 9월 1998년에 창립된 회사이다. 그 SIG커클 런드, 워싱턴에 본사가 있다. = 분류:파라과이의 극좌 정치 = = HKG = HKG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홍콩의 ISO 3166-1 alpha-3 국가부호 홍콩 국제공항을 가리키는 IATA 공항 코드 폐쇄되기 이전 카이탁 공항을 가리켰던 IATA 공항 코드 = 콜카타 나이트 라이더스 = 콜카타 나이트 라이더스(Kolkata Knight Riders, KKR)은 2008년 창단된 인도 IPL의 프로 크리켓팀이다. 인도 콜카타를 연고로 하고 있으며 홈구장은 에덴 가든이다. = 성남 봉국사 아미타불회도 = 성남 봉국사 아미타불회도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봉국사에 있는 불화이다. 2016년 7월 22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310호로 지정경기도 고시 제2016-131호, 경기도 지정문화재 지정 고시, 경기도지사, 경기도보 제5522호, 2면, 2016-07-22되었다. = = 개요 = = 1873년에 덕운긍윤이 주도로 제작한 불화로 화면 구성이 안정되고 존상 묘사가 뛰어나며 세부 묘사가 정치하여 1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경기도 불화 가운데 수준 높은 화격을 보여준다. 또한 독특한 인물묘사와 색채 사용 등에서 19세기 후반 경기지역의 지역색이 나타난다. = = 참고 자료 = = * 봉국사 아미타불회도 = 시몬 미뇰레 = 시몬 뤼크 힐데베르트 미뇰레(, 1988년 3월 6일 ~ )는 벨기에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클뤼프 브뤼허에서 뛰고 있다. = 리오 러쉬 = 리오 러쉬(Lio Rush, 1994년 11월 11일 ~ )는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다. 2014년 프로레슬링 입문으로 본명은 라이오넬 제라드 그린(Lionel Gerard Green)이다. 예전 인디단체 링네임은 2014년 ~ 2017년까지 리 그린(LI Green)/레넌 더피(Lennon Duffy)활동을 한적도 있었다. 키는 167cm(5 ft 6 in)에다가 몸무게는 76kg(167 lb)이다. 그가 키는 작아도 가벼운 체격이다. 현재 WWE NXT에서 활동을 했다가 예전에는 WWE NXT 월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이 됐다가 AEW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데 2023년도에서는 임팩트 레슬링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피니쉬는 드래곤즈 콜/파이널 아어(다이빙 프로그 스플래쉬), 러쉬 아워(스탠딩 문설트 사이드 슬램), 트위스팅 더블 언더훅 페이스버스터로 사용을 한다. = = Professional wrestling highlights = = Finishing moves Dragon's Call/Final Hour (Diving frog splash) Rush Hour (Standing moonsault side slam) Twisting double underhook facebuster - 2017-2020 Signature moves Body slam Diving headbutt Multiple kick variations * Back * Jumping bycicle * Running enzuigiri * Shoot * Somersault front drop Somersault plancha Tilt-a-whirl DDT Wrestler manager Bobby Lashley Nicknames "Blackheart" "Champ of the Hour"(champion) "Man of the Hour" "MOTH" (Man of the Hour) Entrance themes "Paint It Black" by Hidden Citizens (ROH; 2015-2016) "Feel the Rush" by Lio Rush (ROH; 2016-2017) "I Came to Collect" by CFO$ (WWE NXT/WWE; 2017-2018; 2019-2020) "Dominance (Remix)" by CFO$ (WWE; 2018-2019; used as manager of Bobby Lashley) "Best Thing Out" by Lio Rush Feat Nick Brodeur (Major League Wrestling/AEW / NJPW; 2020-2022) "Entrance" by Lio Rush (AEW; 2020-2022) "I'll Be Me" by Lio Rush (NJPW/Impact Wrestling; 2023-present) = = 수상 = = CZ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CZW 월드 와이어드웨이트 챔피언 (2회) 아이언맨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HOG 월드 크라운 주얼웨이트 챔피언 (1회) M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패트릭 클라아크 셰인 섐락 머모어리얼 컵 (2015, 2016) 랭크드 넘버 120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17 톱 포스펙트 토너먼트 (2016) WWE NXT 월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 인버테이셔널 (2016) = 픽처하우스 = 픽처하우스(Picturehouse)는 2005년 타임 워너의 자회사인 뉴 라인 시네마와 HBO가 합병하여 만들어진 영화 제작사이다. 2008년 워너 브라더스에 뉴 라인 시네마가 편입된 후 할리우드의 언론은 이 회사와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가 합병한다고 추측하고 있었지만, 결국 같이 폐쇄 되었으나 2013년에 다시 재부활하였다. = = 작품 = = = = = 2000년대 = = = 라스트 데이즈 (2005년 영화) 악명높은 베티 페이지 프레리 홈 컴패니언 퍼 (영화) 판의 미로 스타트 포 텐 그레이시 스토리 라 비 앙 로즈 (영화) 실크 (2007년 영화) 오퍼나지 - 비밀의 계단 여우와 아이 런, 팻보이, 런 몽골 (영화) 내 친구의 사생활 = = = 2010년대 = = = 메탈리카 스루 더 네버 더 게스트 글로리아 (2014년 영화) = = = 2020년대 = = = 파티마의 기적 (2020년 영화) = 분류:1598년 설립 = = 분류:기원전 7세기 통치자 = = 변현우 (성우) = 변현우(1973년 6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97년~1999년까지 대교방송 3기 공채 성우로 입사하여 활동하였다가, 2000년 KBS 28기 공채 성우로 재데뷔했다. = = 작품 = = = = = 애니메이션 = = = 뱀파이어 기사(애니맥스) - 시키 센리 / 야가리 토오가 원피스(KBS) - 뿌찌 / 사키스 페어리 테일(챔프) - 쇼 서몬마스터즈 블루드래곤(챔프) - 슈나이더 유유백서(챔프), (애니원) - 비영 D.N.ANGEL(애니원) - 다니엘 / 아도니스 S.A 스폐셜 에이(애니맥스) - 카리노 타다시 SD건담 포스(재능방송) - 캡틴건담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투니버스) - 치쿠 간츠(애니박스) - 무로토 하지메 그린나이츠(KBS) - 쿰버 캐릭캐릭 체인지 (애니원) - 소마,조연 다수 데스노트(애니원), (챔프) - 미도 신고 / 매트 피치피치핏치(챔프), (애니원) - 해인 / 해신 피치피치핏치퓨어(애니원), (챔프) - 강해인 메이저 3기(투니버스) - 오창걸 뿅뿅요정 하니(재능방송) - 스켈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애니맥스) - 쿠니키다 / 컴퓨터부 부장 / 타마루 케이이치 스쿨럼블(챔프), (애니원) - 카라스마 오오지 스쿨럼블 OVA 1학기 보충수업(애니원) - 카라스마 오오지 스쿨럼블 2기(애니원), (챔프) - 카라스마 오오지 스쿨럼블 OVA(챔프) - 카라스마 오오지 뫼비우스의 띠(애니원), (챔프)문순호 / 차경민 / 카논 힐벨르트 슬레이어즈 프리미엄(애니박스) - 제르가디스 십이국기(애니원) - 쿄우키 / 라크슌 / 엔호 엘레멘탈 제라드(퀴니) - 로웬 여신 후보생(애니맥스) - 히이드 워킹맨(애니박스) - 코바야시 아키히사 유리함대(애니맥스) - 콘래드 / 하이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대원방송) - 마리크 이슈타르 전설의 총사 아스타(재능방송) - 헨젤 전투요정 유키카제(애니박스) - 후카이 레이 접지전사(SBS) - 블루투스 / 스핑크스 제비뽑기 언벨런스 OVA(애니맥스) - 로쿠하라 무기오 쫑아는 사춘기(대교방송) - 황멀대(1기) / 담임 선생님(1기) 채운국 이야기(애니맥스) - 벽방명 크게 휘두르며(애니맥스) - 카노 슈고 라라의 스타일기(KBS) - 홍주노(처음) / 황비서 / 마해일 / 강승원 프린세스 츄츄(애니원) - 뮤토 파워레인저 와일드스피릿(챔프), (애니원) - 부카미 고우(와일드 바이올렛) (미우라 리키) 허니와 클로버(애니맥스) - 모리타 시노부 / 남자1 아기공룡 둘리(SBS) - 부기장 / 섬주민 / 노인 / 구급요원1 부탁해 마이 멜로디(SBS) - 담임 선생님(나중) / 백우섭 / 조병식 트랜스포머 갤럭시포스(챔프) - 퍼스트에이드 / 와일드울프 플레이볼(애니맥스) - 서윤환 / 경진 우리반 짱돌이(애니원) - 준 헌터X헌터(애니원) - 남자 로봇카니발(애니원) 두리둥실 뭉게공항(KBS) - 구구 / 오코 미래전사 오공(애니맥스) 머나먼 시공 속에서 OVA 자양화의 꿈(애니박스) - 야스아키 머나먼 시공 속에서 OVA 백룡의 무녀(애니박스) - 야스쓰구 / 토키토모 히트가이-J(애니원) - 크레아 격부술사 요역문(챔프) - 마사토 크러시기어 니트로(재능TV) - 류 노다메 칸타빌레(애니맥스) - 오코치 디그레이맨(애니맥스) 택틱스(애니맥스) - 다카하시 건담 이볼브(애니박스) - 아무로 명탐정 코난(투니버스) - 이수혁 테니스의 왕자(투니버스) - 이즈미 상상친구 꾸메푸메(KBS) - 푸메 / 멜루 고스트 바둑왕(KBS) - 황현빈 꼬마기차 추추(KBS) - 당나귀 아저씨 틴 타이탄(SBS) - 스피디 = = = 특수촬영 드라마 = = = 가면라이더 위저드(챔프) - 권하늘/그렘린 가면라이더 가부토(챔프) - 야구루마 소우/가면라이더 자비/가면라이더 킥호퍼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챔프) - 야구루마 소우/가면라이더 킥호퍼 파워레인저 와일드스피릿(챔프) - 고우/와일드 바이올렛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챔프) - 마하/엔진 레드, 스피돌 파워레인저 캡틴포스(챔프) - 마하/엔진 레드, 스피돌 = = = 영화 = = = 블러프(KBS) - 리카르도 페레즈(펠리페 보테로) 룩 앳 미(SBS) - 마티유(줄리앙 바움가트너) 폰 부스(KBS) - 빅큐(벤 포스터) 화이트 마사이(KBS) 내셔널 시큐리티(SBS) - 경찰(제프리 로스) / 차량 절도범(그렉 세라노) 내 생애 최고의 데이트(SBS) - 모텔 매니저(샘 팬케이크) 오션스 일레븐(SBS) - 버질 말로이(케이시 애플렉) / 러스티의 친구(토퍼 그레이스) / 옌(진소파) 에주케이터(SBS) 소림축구(SBS) - 기자(곡덕소) 디 아이2(SBS) 더 헌팅(SBS) - 루크 (오웰 윌슨) 콘 에어(SBS) - 빌리(닉 친런드) / 조종사(마티 맥솔리) 매드맥스3(SBS) 더 야드(SBS) 빅 마마 하우스(SBS) - 권총 브로커 컷 런스 딥(KBS) - 에디 (웰리 양) 머시니스트(KBS) - 애반젤리스티(제레미 시도) 천국의 책방 - 연화(KBS) - 야마다 / 마루(오오쿠라 코지) 굿바이 만델라(KBS) - 도슬러(마크 엘더킨) / 경찰 / 1982년 간수 배드 컴퍼니(SBS) 블룸 형제 사기단(KBS) - 파티 손님(램 버그만) 쿵푸 프리즌(KBS) - 패터슨 (살바토르 수에렙) 플루토에서 아침을(KBS) - 어윈(로렌스 킨런) / 월리스 형사(이언 하트) / 불량배(리엄 커닝엄) / 발리의 친구(시아란 놀란) 셔터(KBS) - 의사(마놉 분이파스) 노 맨스 랜드(KBS) 천국의 책방(KBS) 뷰티풀 마인드(KBS) - 에슬리(제이슨 그레이 스탠퍼드) 워터 보이즈(KBS) - 오타 (미우라 아키부미) K-19: 위도우메이커(KBS) - 예프게니 (마이클 글래디스) 와호장룡(KBS) - 송명(송동) 도니다코(KBS) - 세스 (알렉스 그린왈드) 브랜단 & 트루디(KBS) 아버지의 그늘(KBS) 사이더 하우스(KBS) - 피치스 (헤비 D) 리멤버 타이탄(KBS) 집으로 가는 길(KBS) - 젊은 하씨 마지막 보이스카웃(SBS) - 마일로의 부하(킴 코티스) 유브 갓 메일(KBS) - 남자 직원(스티브 잔) 사랑해, 파리(KBS) - 프랑수아의 친구(토마스 듀머체즈) / 학생 터미네이터 2(KBS) - 연구원(엔놀스 벌) / 불량배(존 팔머) 본 아이덴티티(KBS) - 트레드스톤 정보원(월턴 고긴스) 제로 톨러런스(KBS) = = = 외화 = = = 스타는 괴로워(KBS) - 홀 블라인드 저스티스(KBS) 아이칼리 (니켈로디언) 어스시의 마법사(KBS) - 스키오치(알레산드로 줄리아니) = = = 애니메이션 영화 = = = 슈렉2(KBS) 엑스 극장판(애니박스) - 시로우 카무이 머나먼 시공 속에서 - 무일야(애니박스) - 야스야키 스피드 레이서 넥스트 제너레이션(카툰네트워크) - X 레이서 드래곤볼Z 극장판 - 베지터 = = = 라디오 = = = 환타지 특급 - 드래곤 라자(KBS) - 오크 / 하슬러 = = = 내레이션 = = = 크게 더크게 - 초호화여객선 편(NGC) = = = 광고 = = = SM3 (르노삼성자동차) 씨티은행 = 에드워드 그레이 = 에드워드 그레이(Edward Grey, 1862년 4월 25일 ~ 1933년 9월 7일)는 영국 자유당의 연설가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 영국의 대외 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사회자유주의를 고수하였다. = 분류:우주 여행 = = 틀:중국 군주/남송 = 남송 황제와 연호 어진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능호 제1대 송 고종(宋高宗) 수명중흥전공지덕성신무문소인헌효황제(受命中興全功至德聖神武文昭仁憲孝皇帝) 조구(趙構) 건염(建炎) 1127년 ~ 1130년소흥(紹興) 1131년 ~ 1162년 1127년 ~ 1162년 영사릉(永思陵) 제2대 송 효종(宋孝宗) 소통동도관덕소공철문신무명성성효황제(紹統同道冠德昭功哲文神武明聖成孝皇帝) 조선 융흥(隆興) 1163년 ~ 1164년건도(乾道) 1165년 ~ 1173년순희(淳熙) 1174년 ~ 1189년 1162년 ~ 1189년 영부릉(永阜陵) 제3대 송 광종(宋光宗) 순도헌인명공무덕온문순무성철자효황제(循道憲仁明功茂德溫文順武聖哲慈孝皇帝) 조돈(趙惇) 소희(紹熙) 1190년 ~ 1194년 1189년 ~ 1194년 영숭릉(永崇陵) 제4대 송 영종(宋寧宗) 법천비도순덕무공인문철무성예공효황제(法天備道純德茂功仁文哲武聖睿恭孝皇帝) 조확(趙擴) 경원(慶元) 1195년 ~ 1201년가태(嘉泰) 1201년 ~ 1205년개희(開禧) 1205년 ~ 1208년가정(嘉定) 1208년 ~ 1225년 1194년 ~ 1224년 영무릉(永茂陵) 제5대 송 이종(宋理宗) 건도비덕대공부흥열문인무성명안효황제(建道備德大功復興烈文仁武聖明安孝皇帝) 조윤(趙昀) 보경(寶慶) 1225년 ~ 1227년소정(紹定) 1228년 ~ 1233년단평(端平) 1234년 ~ 1236년가희(嘉熙) 1237년 ~ 1240년순우(淳祐) 1241년 ~ 1252년보우(寶祐) 1253년 ~ 1258년개경(開慶) 1259년경정(景定) 1260년 ~ 1264년 1224년 ~ 1264년 영목릉(永穆陵) 제6대 송 도종(宋度宗) 단문명무경효황제(端文明武景孝皇帝) 조기 함순(咸淳) 1265년 ~ 1274년 1264년 ~ 1274년 영소릉(永紹陵) 제7대 ― 효공의성황제(孝恭懿聖皇帝)(공황제(恭皇帝))(영국공(瀛國公)) 조현(趙顯) 덕우(德祐) 1275년 ~ 1276년 1274년 ~ 1276년 영국공묘(瀛國公墓) 제8대 송 단종(宋端宗) 유문소무민효황제(裕文昭武愍孝皇帝)(상황제(殤皇帝)) 조시(趙昰) 경염(景炎) 1276년 ~ 1278년 1276년 ~ 1278년 영복릉(永福陵) 제9대 ― 소황제(少皇帝)(유주(幼主), 위왕(衛王)) 조병(趙昺) 상흥(祥興) 1278년 ~ 1279년 1278년 ~ 1279년 소제릉(少帝陵) 남송 = 특급 비밀 = 특급 비밀(Top Secret!)은 미국에서 제작된 제리 주커 감독의 1984년 코미디 영화이다. 발 킬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존 데이비슨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발 킬머 루시 게터리즈 = = = 조연 = = = 피터 커싱 제레미 켐프 크리스토퍼 빌리어즈 워렌 클라크 마이클 고 해리 딧슨 짐 카터 에디 테이고 오마 샤리프 = = 제작진 = = 프로듀서: 에릭 레트레이 협력프로듀서: 톰 제이콥슨 미술: 피터 라몬트 미술: 마이클 라몬트 의상: 엠마 포테스 배역: 수잔 아놀드 배역: 루시 보울팅 배역: 메리 셀웨이 = 분류:경상남도의 교량 = = 분류:영국의 테러리즘 = = 분류:이라크의 브랜드 = = 분류:리투아니아의 수영 = = 알타이우는토끼 = 알타이우는토끼 또는 알타이피카(Ochotona alpina)는 우는토끼과에 속하는 토끼목 종의 하나이다. 카자흐스탄과 몽골, 러시아에서 발견된다. 고산우는토끼 또는 고산피카로도 불린다. = = 아종 = =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O. a. alpina Pallas, 1773 O. a. changaica Ognev, 1940 O. a. cinereofusca Schrenk, 1858 O. a. sushkini Thomas, 1924 = 분류:만토바 = = 에이스토리 = 에이스토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사이다. 2016년 시그널,2018년 백일의 낭군님, 우리가 만난 기적, 2019년 드라마 킹덤을 제작하기도 했다. = = 에이스토리 드라마 제작 작품 = = = = = KBS = = = KBS 수목드라마 《신데렐라 언니》,《바람피면 죽는다》 KBS 주말연속극 《최고다 이순신》 KBS 월화드라마 《우리가 만난 기적》 = = = MBC = = = MBC 수목드라마 《종합병원 2》, 《메디컬 탑팀》, 《하자있는 인간들》 MBC 월화드라마 《마의》 금토드라마《빅 마우스》 = = = 타방송사 = = = SBS 드라마 《하이에나》 tvN 월화드라마 《후아유》, 《백일의 낭군님》 tvN 금토드라마 《시그널》 tvN 토일드라마 《지리산》 넷플릭스 넷플릭스 오리지날 드라마 《첫사랑은 처음이라서 시즌1, 2》 *킹덤 시즌1 *킹덤 시즌2,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 제작진 = = = = = PD = = = 유인식 이길복 신경수 박준우 김진우 박유영 이광영 박수진 = = = 작가 = = = 장영철 정경순 박재범 문지원 김지완 원유정 이은미 오수진 김제영 이성민 = 바른샘어린이도서관 = 바른샘어린이도서관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소재의 어린이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05년 11월 22일 개관. 2014년 2월 3일 수원문화재단 위탁운영. = = 시설현황 = = 3층: 중학생자료실, 강의실 2층: 초등자료실, 멀티미디어세상, 강당, 독서토론실 1층: 유아자료실 = = 이용 안내 = = 매일 09:00∼18:00 매주 월요일 국가지정 공휴일(일요일은 개관, 단 타 국가지정 공휴일과 중복시 휴관) = 분류:폴란드의 종목별 스포츠 선수 = = 삼각동 (광주) = 삼각동(三角洞)은 광주광역시 북구의 동이다. = 이보림 = 이지안(본명: 이지안, 1995년 2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이보림-다음인물정보 = = 학력 = =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7 네이버TV 여화이 (여자의 화장에는 이유가 있다) 이보림 2019 MBC 하자있는 인간들 이강우 맞선녀 단역 2021 seezn 미드나잇 스릴러 - 수퍼모델 주희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20 스웨그 제이 = = 방송 =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2017년, KBS2) 《모델하우스》 (Room of Ten)》 (2015년, SBS funE) = = 수상 = = 2014년 제23회 슈퍼모델 선발대회 MTP MALL상 = 가산 (경북) = 가산(架山)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와 동명면 남원리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 분류:희망의 당 (2017년) = = 랑팡시 = 랑팡(廊坊, Langfang, 낭방)은 중국 허베이성에 있는 지급시이다. 베이징과 톈진의 중간에 있으며, 인구는 391만 명, 면적은 6,330km2이다. 두 대도시 사이에 위치한 점을 고려하면 랑팡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도시이다. 도시의 주 도로를 따라 300미터에서 500미터마다 지방 주민들의 산책과 운동을 위한 공원이 있다. 랑팡의 5km의 보행자 도로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긴 것이다. 랑팡의 경제는 컴퓨터와 과학을 중점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의 실리콘밸리’라 불린다. 베이징과의 접경 지역에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이 있으며, 자동차로 1시간 거리에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과 톈진 신항이 있다. = = 지리 = = 허베이성의 중부에 위치하고 베이징시, 톈진시, 창저우시, 바오딩시와 접한다. 북3현(싼허시, 다창 후이족 자치현, 샹허현) 지역은 랑팡시의 월경지이자 허베이성의 월경지로 베이징과 톈진에 끼어 있다. = = 역사 = = 1988년에 지급시가 되었다. = = 행정구역 = = 시할구 안치구(安次区) 광양구(广阳区) 현급시 바저우시(霸州市) 싼허시(三河市) 현 구안현(固安县) 융칭현(永清县) 샹허현(香河县) 다청현(大城县) 원안현(文安县) 다창 후이족 자치현(大厂回族自治县) = = 자매우호도시 = = 대구광역시 달성군(결연일:2002년 10월25일) = 위키백과:질문방/2016년 7월 = = = 국가대표팀 선수명단 (골 포함) 관련 질문 = = '포지션' 인수에 사용할 수 있는 변수값의 설정인 것 같습니다. 착오에 대하여 양해 바랍니다. 메이 `토론 2016년 7월 1일 (금) 02:55 (KST) = = 위키백과 사진 올리는법 = = 위키백과 사진올리는법 좀............~_~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6.127.138.238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Jason6494라고 합니다. 사진은 크게 자유 저작물과 비자유 저작물 두 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유 저작물이란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 복사, 수정, 재배포할 수 있도록 특별한 제한이 없는 저작물을 말합니다. 그래서 자유 저작물을 올리실 것이라면 저작권 문제는 크게 신경 안 쓰셔도 될 듯합니다. 비자유 저작물이란 자유 저작물과 완전히 반대되는 말입니다. 즉, 사람들은 비자유 저작물을 저작권자의 허가를 받지 않거나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 복사, 수정, 재배포 등을 할 수 없으며 위반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비자유 저작물을 올릴 때에는 굳이 저작권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습니다(왜 그런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앞서 말했듯이 비자유 저작물은 자유 저작물과 완전히 반대되는 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주의를 요합니다. 비자유 저작물을 올리는 것은 뒤에 설명하고 먼저 자유 저작물을 올리는 방법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 여기]를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하셔서 "새 탭에서 열기"를 클릭하셔서 들어가세요. '파일 올리기 마법사'라는 곳입니다. 들어가셨나요? 들어가셨다면 먼저 안내드리겠습니다. 제가 링크한 곳은 위키백과가 아니고 위키미디어 공용입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이란 이런 곳입니다. 자, 계속합시다. "공유할 미디어 파일을 선택하세요" 버튼을 클릭하세요. 귀하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사진들이 있죠? 그 중 하나를(아, 다시 말하는데 자유 저작물을 올리는 방법입니다. 저도 여기서 실수로 비자유 저작물을 올렸다가 차단 경고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클릭하세요. 무엇을 클릭하냐고요? 귀하가 올려야 하는 사진을 클릭하셔야겠죠. 그 다음 업로드 버튼을 누르시고 저작권 정보를 둘 중 하나 클릭하십시오. 본인이 창작하셨다면(자유 저작물은 그래야 합니다) "다음"을 클릭하세요. 그 다음 파일의 제목, 설명, 창작날짜, 분류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계속"을 클릭하십시오. 한 번 경고가 뜰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계속을 클릭하세요. 업로드가 완료되었을 것입니다. 비자유 저작물을 업로드하시는 법은 좀 더 복잡합니다. 본론부터 말하자면, 귀하는 업로드하실 수 없습니다. 일단 여기에 들어가세요. 여기에서 그곳에 나와 있는 설명에 따라 파일 업로드를 요청하세요. 근거가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관리자나 비자유 저작물 업로더가 비자유 저작물을 올릴 것입니다. = = 이회영 = = 이회영의 업적에대해 간략하게 소게해주세요...서하나 (토론) 2016년 7월 9일 (토) 23:27 (KST) = = '알고 계십니까'의 역사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문의 = = 방금 틀:알고 계십니까를 편집하여 새 단문을 위에 등재하고 가장 오래된 단문을 삭제했습니다. 삭제한 단문을 위키백과:알고 계십니까/역사에 기록하려고 하는데, '올려진 날짜'를 확인하는 법을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틀:알고 계십니까의 역사 페이지를 뒤져서 알아내야 하는 건가요? DolphinL (토론) 2016년 7월 10일 (일) 21:41 (KST) = = 비자유 건축물 = = 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 규정의 내용 중에는 1. 건축물이 완공이 된 후에는 이 파일은 삭제되어야 한다. 2. 해당 국가에서 파노라마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 위키백과에만 별도로 파일을 올려야 한다. 가 있습니다. 어느걸 따라야 하는걸까요? 1.삭제해야 하나요? 아니면 2.한국어 위키백과에만 별도로 올려도 되는걸까요? = = 특정 표제어 관련사진 올리는 방법 = = 안녕하세요 위키초보인데, 너무 어렵네요. 특정 표제어 관련사진을 올리고 싶은데요. 그냥 사진만 업로드 하는 게 아니라, 표제어를 치면 나오는 페이지에 보이게 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코끼리'면 '코끼리' 관련 페이지에 코끼리 사진을 올리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글은 어떻게 편집하는 지 알겠는데 그림을 올리는 방법은 당췌 모르겠네요;; 혹시 '파일넣기' 기능인가 해서 시도해보았는데 '외부 파일 저장소의 파일 업로드 구성을 불러오는데 실패했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계속 뜹니다. 고수님 도와주세요 ㅜㅜ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ichu ki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문서의 다른 언어 목록 = = = = 나라별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설명문서 = = 표를 넣어서 :틀:나라별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설명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적용되니 :틀: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이렇게 표가 일그러집니다. 도와주세요. Exj  토론  2016년 7월 17일 (일) 13:44 (KST) = = 특정판 링크 = = 특정 기여를 비교할 때는 special:diff/(판 번호)를 이용해서 링크를 걸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두 기여를 비교하는게 아닌 특정 판을 링크를 걸고자 할 경우 해당 판 번호를 이용해 어떻게 링크를 걸어야 하는지 아시는분 없나요? 커뷰 (토론) 2016년 7월 19일 (화) 18:55 (KST) = = 파일 이름 변경 = = 실수로 파일 이름을 잘못적어서 wikimedia commons에 올렸습니다. 파일 설명은 고칠 수 있지만, 이름은 수정이 불가능하던데, 어떻게 고칠 수 있나요? 태그를 사용하라고 하기는 하는데..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요.. 파일 이름이란, file: Cosmos.jpg 이런식으로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 의견을 2016년 7월 21일 (목) 09:42에 작성한 사용자는 AstrobluePeter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파일' '토론'     ………     '보기' '편집' '역사 보기' '☆' '더 보기' 이 중 더 보기에 커서를 갖다 대면, '이동' 탭이 나옵니다. 클릭후 요청 양식을 작성하면, 마법사가 자동으로 이동 내용을 작성해 줍니다. 이를 공용의 관리자가 확인하고, 적절한 요청으로 판단하면 파일이 이동됩니다. 메이 `토론 2016년 7월 26일 (화) 16:43 (KST) = = 토론방에 본인이 쓴글 위키백과에 올리는 법 = = 토론방에 본인이 쓴글 위키백과에 올리는 법을 알려주십시오PARK CHEULMIN (토론) 2016년 7월 22일 (금) 13:14 (KST) = = 의 "배급사" 매개 변수 관련 = = = = 외국어 문서 추가 번역에 관하여 = = 제가 어제 새벽에 에탄올 발효에 대한 영문 위키문서를 번역하다가 잠이와서 그만뒀습니다. 오늘 다시 하려고 하니깐 그냥 제가 쓴 문서가 편집만 가능하고 추가번역?? 이라고 해야되나 무튼 번역 기능이 없어졌길래 질문드립니다. 한번 저장하면 그 문서를 새로 만들때 뜨는 번역창은 사용 못하는건가요? 그냥 편집기만 쓸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이 의견을 2016년 7월 26일 (화) 12:08에 작성한 사용자는 Umaxz07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neopen입니다. 번역 기능은 '게시' 한번 하시면, 그 다음부턴 문서를 직접 편집하셔야 될겁니다. Neopen (토론) 2016년 7월 27일 (수) 12:04 (KST) = = 위키 대문에 있는 '오늘의 알찬 글' 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 = 미디어위키를 설치하고 꾸미는 중인데 입력된 내용 중에 자동으로 내용이 들어가는 형태를 띄는 부분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대문에 있는 '오늘의 알찬 글' 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필요한 틀 과 특정문서..설정 부분을 설명해 주시거나 알려주실 분 있나요? Rioperm (토론) 2016년 7월 26일 (화) 16:06 (KST)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Rioperm (토론) 2016년 7월 27일 (수) 13:24 (KST) = = 편집자의 동의없이 내용 추가 및 수정 해도 괜찮나요?? = = 글에서 내부링크걸기가 좀 안맞아서 수정이 필요해보이는데.. 제가 쓴글도 아닌데 편집자에게 말없이 수정 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Tlrmak44 (토론) 2016년 7월 26일 (화) 16:26 (KST) 메이님 커뷰님 두분 다 감사합니다 !!!!!!!!!!!Tlrmak44 (토론) 2016년 7월 26일 (화) 17:02 (KST) = = 위키에 있는 이미지를 다른 위키 사용하고자 할때 문의 입니다. = = 위키에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고자 할때 저작권 및 출처 표시를 하고 싶은데요. 미디어위키이 가진 특별한 기능이 따로 있나요? (확장기능) 아니면 파일 올릴때 '출처:위키백과' 이런식의 출처 표시를 하면 괜찮은가요? Rioperm (토론) 2016년 7월 28일 (목) 14:33 (KST) = = 목차 만드는 방법 = = 목차 만드는 방법을 모르겠네요. 특정 목차를 누르면 해당되는 내용에 바로 넘어가는 것 처럼요. Umaxz07 (토론) 2016년 7월 29일 (금) 00:41 (KST) = = 외부 이미지 파일 업로드에 대하여 = = 출처를 써놓으면 작성하려는 문서에 업로드해도 되나요? Umaxz07 (토론) 2016년 7월 29일 (금) 00:51 (KST) = = 위키백과에 있었던 버스 노선 문서들에 대한 자료와 저작권을 버스위키에 넘겨주길 원합니다. = = 원래는 로그인 해야하지만 자꾸 비번이 틀려서;; 저는 버스위키의 운영자입니다.. 아 물론 여기서 버스노선 편집을 했던 사람들중에 한명인데.. 예전에 이 사이트에서 구 위키백과에 쓰여진 버스 노선 문서들을 발견했는데. 저기가 워낙 서버가 불안정해서 그런지 열렸다가 닫혔다가 그러니까.. 위키백과에서 쓰여진 버스 노선 문서들에 대한 자료와 저작권을 버스위키에 이관하는것이 옳지않은지.. 우리 버스위키는 현재 CCL 4.0을 적용하고 있다는것을 알려드립니다. 58.141.32.189 (토론) 2016년 7월 29일 (금) 13:12 (KST) = = 외계 행성 틀 사용법 질문 = = HD 131399 Ab 문서에 외계 행성 틀을 적용하려 하면 빨간 링크가 뜹니다.그런데 항성 정보 틀을 쓰면 올바르게 표가 뜹니다. 다른 외계 행성 문서들은 전부 괜찮은데 이것만 왜 그런 걸까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enlee7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Tablemaker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Kenlee77 (토론) 2016년 7월 30일 (토) 22:04 (KST) = = 반스타 수여법에 대한 질문 = = 위키백과에 정말 훌륭하신 분들이 많아 반스타를 수여하고 싶은데 어떻게 수여하는 건가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징어짱==징어짱= (토론) 2016년 7월 30일 (토) 23:12 (KST) = = 공용이 아닌 한국어 위키백과에 올라온 파일은 이동이 불가능한가요? = = 부천시 관련 편집하다가 발견한, 원종동 인구통계를 보여주는 파일명이 "위키백과.png"이던데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올라와 있었습니다. 파일명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한가요? 오모군 (사·토) 2016년 7월 31일 (일) 18:50 (KST) = 김제서중학교 = 김제서중학교는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이다. = = 변천 = = *1950년 4월 28일 재단법인 죽산학원 설립, 죽산중학교 인가 *1975년 12월 24일 학교법인 기정학원으로 정관 변경 *1976년 3월 1일 김제서중학교로 교명 변경 *2004년 3월 1일 폐교 = 분류:삼국 시대 (중국)의 반란 = = 분류:전주시 출신 = = 한탁주 = 한탁주(韓侂胄, 1152년 ~ 1207년)는 남송의 관리이며, 하남 안양의 사람. 자는 절부(節夫). 할아버지는 한기(韓琦), 어머니는 고종의 황후인 오황후의 여동생이다. = = 생애 = = 효종이 1189년 퇴위하여 상황이 되고, 조돈(趙惇)이 즉위하여 광종(光宗)이 되었다. 광종은 아버지와는 다르게 우둔하였기에 황후 이씨의 말밖에는 듣지 않았다. 황제에 불만을 품은 재상 조여우(趙汝愚), 한탁주(韓侂胄) 등에 의해 광종은 퇴위당했다. 한탁주는 이 공적으로 권력의 자리에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한탁주의 인격을 좋아하지 않은 조여우 등은 한탁주를 멀리했다. 이것에 원한을 품은 한탁주는 조여우를 몰아내기 위한 운동을 시작해 1195년(경원 원년) 조여우는 재상직에서 물러났고, 경원 3년에는 조여우편에 섰던 주필대(周必大), 유정(留正), 왕난(王藺), 주희(朱熹), 팽귀년(彭龜年)등 59명이 금고(禁錮)에 처해졌다. 그 다음 해에는 주희의 주자학(朱子學;당시 도학(道學)이라고 불렸다)도 거짓 학문이라고 탄압받았다(경원위학의 금(慶元僞學之禁). 이 일련의 사건을 경원의 당금(慶元之黨禁)이라 불렀다. 한탁주는 그 후 10년 동안 권력을 유지했으나, 뒤를 보호해 주던 황후와 황태후가 차례로 붕어하자, 권력이 서서히 줄어들게 되었다. 이때 금나라가 북쪽의 타타르 등의 침입에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금나라는 약체화되었다고 본 한탁주는 남송의 비원인 금나라 타도를 성공시킨다면 권력을 확고부동하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개희북벌을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실제 금나라는 곤란한 상황이었으나, 그 이상으로 남송군의 약체화가 현저하였던 것이다. 1207년 금나라는 조기 화평을 희망하고, 한탁주의 머리를 요구하자, 이것을 들은 예부시랑(문부대신) 사미원에 의해 한탁주는 살해되고, 그의 머리는 소금에 절여져 금나라로 보내지는 것으로 금나라와 화의를 맺었다. 한탁주를 살해한 사미원이 이번에 권력을 장악하고 그 후 26년 동안 재상의 지위를 차지했다. = 아일랜드 파운드 = 아일랜드 파운드, 복수형: 파운즈)는 2002년까지 통용된 아일랜드의 통화로, 1 파운드는 100 펜스(, , 단수형: 페니)에 해당된다. 아일랜드어로는 푼트(복수형은 푸인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일랜드는 1928년 자유국 파운드를 도입하는 한편 영국 파운드와의 고정 환율을 시행했다. 1938년에 개정된 아일랜드 헌법에 따라 아일랜드의 국명이 변경되면서 화폐 명칭도 아일랜드 파운드로 변경되었다. 1979년 아일랜드가 ERM에 가입하면서 영국 파운드와의 고정 환율이 같은 해 3월 30일을 기해 폐지되었다. 2002년 2월 9일까지 유로와 함께 통용되었으며 1, 2, 5, 10, 20, 50 펜스, 1 파운드 동전과 5, 10, 20, 50, 100 파운드짜리 지폐가 통용되었다. 유로와의 교환 비율은 1 유로 = 0.787564 파운드이다. = 문영민 = 문영민(1973년 6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iTV 경인방송 아나운서이다. = = 학력 = = 여의도중학교 (졸업) 여의도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졸업) = = 방송 진행 = = = = = TV = = = 1999년 iTV 《찬스타임 행운을 누르세요》 2001년 iTV 《성공예감 카운트다운》 2002년 iTV 《도전 성공 만들기》 2002년 iTV 《네트워크 광장》 2003년 iTV 《iTV 뉴스8》 2004년 iTV 《iTV 뉴스10》 주말 진행 = = = 라디오 = = = 2004년 iTV iFM 《오종철, 문영민의 팡팡907》 2005년 iTV iFM 《아우라, 문영민의 팡팡907》 2005년 iTV iFM 《아우라, 문영민의 2시폭탄》 2005년 iFM 《손성용, 문영민의 주부만세》 2006년 Sunny FM 《안녕하세요 문영민입니다》 2006년 Sunny FM 《태양의 아침 문영민입니다》 = 모듈:Br separated entries = local p = {} local function _main( args ) local sep = '' local lastsep local t = {} for i, v in ipairs( args ) do table.insert( t, v ) if mw.ustring.match( v, '%S' ) then table.insert( t, sep ) lastsep = #t end end if lastsep then table.remove( t, lastsep ) end return table.concat( t ) end function p.main( frame ) local origArgs if frame == mw.getCurrentFrame then We're being called via #invoke. If the invoking template passed any arguments, use them. Otherwise, use the arguments that were passed into the template. origArgs = frame:getParent.args for k, v in pairs( frame.args ) do origArgs = frame.args break end else We're being called from another module or from the debug console, so assume the arguments are passed in directly. origArgs = frame end Use integer args only, and allow for explicit positional arguments that are specified out of order, e.g. . After processing, the args can be accessed accurately from ipairs. local args = {} for k, v in pairs( origArgs ) do if type( k ) == 'number' and k >= 1 and math.floor( k ) == k then table.insert( args, k ) end end table.sort( args ) for i,v in ipairs( args ) do args[ i ] = origArgs[ v ] end return _main( args ) end return p = 홍성 나들목 = 홍성 나들목(Hongseong IC)은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쌍천리에 걸쳐 있는 서해안고속도로의 21번 교차로이다. 나들목 진출입로는 갈산면 내갈리와 접하고 있으며, 갈산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홍성읍과는 직선거리로 약 7 ~ 10km가량 떨어져 있으며 국도 제29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 연혁 = = 2001년 9월 27일 : 서해안고속도로 당진 ~ 서천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71호, 2001년 9월 24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쌍천리 영업소: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서해안고속도로 226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29호선 (내포로) 국도 제40호선 (수덕사로)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각주 홍성 (폐쇄식) 3,331 4,543 5,066 5,438 5,466 5,406 5,350 4,696 5,168 4,380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홍성 (폐쇄식) 4,328 4,366 4,519 4,497 4,482 4,705 4,791 4,474 4,614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명제세 = 명제세(明濟世 1885 - 1964)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본관은 서촉. 1948년 8월 15일부터 1949년 11월 24일까지 초대 심계원 원장을 지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광복단에서 활동하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외국어학교를 졸업, 만주와 시베리아 각지를 전전하며 항일운동을 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체포되어 5년간 복역하고 출옥후 불변단을 조직하여 활동했다.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 위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간부, 초대 심계원장 등을 지냈으며, 50년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가 병사하였다. 평안북도 영변군(寧邊郡) 출생. = = 생애 = = = = = 생애 초기 활동 = = = 1906년 대한매일신보 평안북도지사장을 지냈다.명제세 - Daum 백과사전 1910년 8월 국권이 피탈되자 광복단에 가입, 활약하다가 러시아로 건너갔다.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각지와 시베리아 각지를 전전하며 항일 독립운동을 하였다. 그 뒤 귀국하여 1919년 3․1 만세 운동 때 총독부 일경에 체포되어 5년간 복역하고 출소했다. 출옥하자 1919년 3·1운동 때 귀국하여 손병희·권동진 등과 활동한 후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했다. 이후 조선홍(趙宣弘) 등 30여 명과 함께 톈진에서 불변단(不變團) 등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 = = 정치 활동 = = = 1945년 8월 광복 직후 여운형의 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여 건준 위원이 되었으나 안재홍 등이 건준을 탈퇴할 때 그도 건준을 탈퇴하고, 임정지지 입장을 보였다. 이승만이 귀국하자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 참여하여 독촉 간부가 되었다. 1945년 11월 임시정부요인 환국 환영회에 참여하였고 1945년 12월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신탁통치 반대 입장에 섰다.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담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55 이후 미소공동위원회 참여를 놓고 미소공위에 대한 지지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김구와 경교장 측과 한때 갈등하기도 했다. 미소공위에 참석한 그는 공위를 지지하지는 않았으나 대화 내용을 듣고 이승만, 김구 등에게 전달하였다.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지도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 = = = 최후 = = = 1948년 4월 김구,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여하자 김구 등과 거리를 두고 5.10 단독 총선거를 지지하였다. = 미녀와 야수 (2012년 드라마) = 미녀와 야수는 2012년 10월 11일부터 2016년 9월 15일까지 The CW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 배역 = = 크리스틴 크루크 - 캐러신 챈들러 켈러 제이 라이언 - 빈센트 켈러 오스틴 베이시스 - J.T. 포브스 니나 리산드렐로 - 테스 바르가스 니콜 게일 앤더슨 - 헤더 챈들러 센딜 라마머시 - 데이브리얼 로언 브라이언 J. 화이트 - 조 비숍 맥스 브라운 - 에번 마크스 = 분류:아이슬란드의 남자 = = 니콜라이 발보신 = 니콜라이 표도로비치 발보신(, 1949년 6월 8일~)은 소련의 레슬링 선수이다.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레코로만형 헤비급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 5회, 유럽 선수권 대회 6회 우승을 차지했다. = 엘리자베스 케리 = 엘리자베스 탠필드 케리(Elizabeth Tanfield Cary, 1585년 ~ 1639년)는 생애가 기록된 영국 최초의 여성 작가이다. 1585년 잉글랜드 옥스포드셔의 부유한 법률가인 로런스 탠필드와 엘리자베스 시몬드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 지적으로 조숙했던 케리는 독서에 몰두했다. 그녀는 라틴어, 히브리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홀로 익혔고 어린 나이에 세네카의 ≪서간집(Epistles)≫을 번역하기도 했다. 17세가 되던 해인 1602년 귀족 가문의 헨리 케리 경과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탠필드가는 젠트리 계급에서 귀족 계급으로 신분이 상승했고, 처가의 재력을 바탕으로 케리 경은 1620년 포클랜드 자작이 됐다. 케리는 결혼 초기에는 영국국교를 옹호하는 후커 (Hooker)나 칼뱅(Calvin)의 글을 읽으면서 부친과 남편의 뜻에 따라 영국국교회에 대한 의무를 다했지만, 점차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로마가톨릭 교리에 심취하게 되었다. 헨리 케리는 버킹엄 공작의 주선으로 아일랜드 부총독이 되었으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했다. 가톨릭교에 심취한 아내는 아일랜드 주민들을 영국국교도로 개종시키는 일을 하기보다는, 결국은 실패했지만 어린이들을 위한 직업 교육을 비롯해 여러 가지 사업을 펼쳤다. 아내가 출세에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한 헨리 케리는 큰딸 출산을 이유로 아내를 영국으로 보냈다. 그러나 1626년 케리가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실이 궁정인들 사이에 공개되면서 파문이 일어나게 되고, 제임스 1세는 케리를 자택에 감금하고 개종을 취소하도록 압력을 가하기도 했다. 케리가 승복하지 않자 부부는 별거에 들어갔고, 딸이 개종한 사실보다 결혼 지참금을 담보로 남편을 위한 자금을 마련한 사실에 더욱 격노한 부친은 딸의 상속권을 박탈하고 큰 외손자 루시어스를 상속자로 삼았다. 케리는 별거하는 동안 아들의 재정적 지원을 가능한 한 적게 받으면서 궁핍하지만 독립적인 생활을 했고, 1633년 남편이 사망할 때까지 다리가 부러져 병상에 누운 그를 보살피기도 했다. 케리는 말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자식들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선 행위를 지속했고, 세상을 뜨기 직전까지 어느 사제의 요청에 따라 플랑드르의 신비주의자인 루이 드 블루아(Louis de Blois)의 글을 번역했다. 그녀는 1639년 54세의 나이로 고통 없이 삶을 마감했다. = 제2차 체첸 전쟁 = 제2차 체첸 전쟁은 체첸 독립파와 러시아 연방 및 친러시아계 체첸 세력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전쟁이며 1999년 8월 26일 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소련 붕괴 직후부터 1996년까지 계속 된 전쟁을 제1차 체첸 전쟁이라 하고, 1999년에 발발한 전쟁을 제2차 체첸 전쟁으로 분류하고 있다. 2008년 기준으로, 과격파 지도자가 살해 되는 등 반군 세력이 약화되고 있지만 아직도 소규모의 테러 사건은 발생하고 있어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선 거의 끝났다고 볼 수 있다. 말그대로 반은 끝나고, 반은 끝나지 않은 상태이다. = = 경과 = = = = = 제2차 체첸 전쟁의 시작 = = = 러시아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한 1차 체첸 전쟁은 1996년에 끝이 났다. 1997년 5월에는 새 평화 협정을 체결해 러시아와 체첸 공화국은 5년간의 정전을 합의했다. 이 조약으로 체첸은 러시아 정부로부터 사실상 독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평화 조약 이후 새롭게 구성된 체첸 정부는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분열되어 있었다. 이 와중에 1999년 8월 7일,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와하비즘 이슬람교 원리주의 무장세력 1,000명을 이끌고 다게스탄 공화국 국경을 침범해 일부 마을을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또 동시에 모스크바 아파트가 폭파되는 테러사건이 발생해 백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되었다. 9월 23일 러시아 정부는 체첸에 대한 전면 공습을 개시해 1차 체첸 전쟁의 종식 이후 최초로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의 TV 송신센터, 공항, 병원, 정유시설을 파괴하였다. 러시아군은 다게스탄 내 반군 소멸에 주력하던 중 모스크바 아파트 연쇄 폭탄 테러로 300여 명이 사망하면서 테러 배후로 체첸 반군을 지목하여 전면적인 공습 결정을 내리면서 평화조약은 무효로 돌아가게 되었다. = = = 그 이후 = = = 러시아군과 체첸 반군간의 치열한 전투는 이듬해 2월초까지 지속되었다. 2월 4일 러시아군이 그로즈니를 장악하면서 체첸 2차 전쟁은 한시적인 중지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러시아군은 이전 기갑부대를 시가지에 밀어 넣었다가 RPG와 저격수에 의해 뼈아픈 손실을 입었던 것을 교훈삼아 기화폭탄으로 도시 전체를 불바다로 만들어 버린 후 그로즈니를 장악하였다. 그로즈니에서 물러나 남부산악지대에 거점을 마련한 수천명의 체첸반군은 러시아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으며, 러시아군은 특수부대와 내무부 소속 부대를 동원, 이들과 전투를 벌였다. 체첸 반군은 게릴라전 이외에도 도시테러/자살테러 등으로 대치하여 상당수의 사상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체첸사태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 2차 체첸 전쟁 관련 사건 = = 1차 체첸 전쟁에서 큰 피해를 입은 러시아는 2차 전쟁 때 전술을 수정했다. 러시아는 체첸 반군이 민족주의적인 세력과 이슬람 원리주의적인 세력으로 나뉘었음을 알고, 민족주의 세력을 앞세워 친러시아계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체첸 반군 조직 또한 두 파로 분할되었다. 러시아군은 친러 성향의 체첸군의 도움을 받아 산악 지대를 점령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2차 체첸 전쟁은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다. 체첸 반군은 러시아에 테러 전술로 대응하였다. 사밀 바사예프를 비롯한 원리주의파는 중동이나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온 무자헤딘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러시아를 상대로 테러를 벌였다. 2004년 베슬란 인질 사태로 체첸 반군의 이미지를 악화시켰다. 당시 체첸 대통령인 아슬란 마스하도프는 이 사건에 반대하였으나, 결국 러시아군의 강경 진압을 막지 못하였다. 현재 체첸 반군의 거점 조직인 캅카스 에미레이트는 러시아 정부를 비롯해 국제 연합, 미국, 유럽 연합 등으로부터 이슬람 원리주의 테러 단체로 지목되고 있다. = = = 2002년 = = =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사건 - 169명 사망 체첸공화국 수도 그로즈니 정부 청사 폭파 사건- 72명 사망 = = = 2003년 = = = 체첸 공화국 북서부 행정 청사 폭파 사건- 60명 이상 사망 모스크바 야외 콘서트장 폭파 사건 - 15명 사망 = = = 2004년 = = = 모스크바 지하철 폭파 사건 - 41명 사망 그로즈니 전승기념식장을 폭파 사건- 아흐마트 카디로프 체첸 공화국 대통령 등 30명 살해 인구시 공화국 내무부 등을 습격 사건- 약90명 사망 모스크바발 여객기 동시 폭파 사건 - 80명 이상 사망 모스크바 지하철역 부근 폭파 사건 - 약10명 사망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 - 322명 사망 = = = 2005년 = =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수도 날치크 동시 습격 사건 = 분류:서귀포시의 어항 = = 고병희 (가수) = 고병희(1968년 1월 6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학력 = = 상명여대 성악학과 학사 = = 경력 = = 1989년 그룹 '햇빛촌' 멤버 = = 데뷔 = = 1989년 혼성 듀엣 햇빛촌 멤버 = = 음반 = = = = = 햇빛촌 = = = 1997년 연인같던 친구 / 사람들은 집으로 오는데 = = = 솔로 앨범 = = = 1991년 1집 그때는 잘 알지 못했죠 / 어디로 가야만 하는가 1993년 2집 흐린날의 오후 / 이맘때면 2009년 3집 여자(女子) = 앨릭스 셸리 = 앨릭스 셸리(Alex Shelley)는 본명은 패트릭 마틴(Patrick Martin, 1983년 5월 23일 ~ )이다.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다. 키는 177cm 몸무게는 99kg이다. 피니쉬는 쉘쇼크(스윙 리버스 STO), 슬라이스드 브레드 넘버 투(시라누이), 쉘리 클러치(모디파이드 암 렌치 인사이드 크레들), 프로그 스플래쉬, 보더 시티 스트렛치(치킨윙 오버 더 숄더 크로스페이스), 오토매틱 미드나잇(오버 더 숄더 백 투 백 파일드라이버)로 사용을 한다. 2002년 프로레슬링 입문을 했다. = = 경력 = = = = = 임팩트 레슬링 = = = 임팩트 월드 챔피언 1회 TNA X-디비전 챔피언 1회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3회 10대 임팩트 레슬링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 = = = NJPW = = = 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 3회 = 틀:나라자료 신라 = = 샹황 기 = 샹황 기는 내몽골 자치구 시린궈러 맹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4960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2개 진, 1개 소목을 관할한다. 진: 新宝拉格镇, 巴彦塔拉镇. 소목: 翁贡乌拉苏木. = 보은정보고등학교 = 보은정보고등학교(報恩情報高等學校)는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성주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9년 11월 21일 : 보은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 인가(18학급) 1980년 3월 1일 : 초대 박재현 교장 부임 1980년 3월 6일 : 제1회 신입생 입학식(개교) 1985년 10월 16일 : 학칙변경(보은상업고등학교로 개명, 남녀공학) 2001년 9월 15일 : 학칙변경(보은정보고등학교 변경, 전자상거래과, 인터넷정보과 학과개편) 2008년 11월 20일 : 솔향관 신축 준공식 2022년 1월 10일 : 제40회 졸업식 15명(누계 6,402명) 2022년 3월 2일 : 2022학년도 신입생 입학(7명) 2022년 9월 1일 : 제22대 오성환 교장 부임 2023년 3월 1일 : 학과변경(유통경영과 2, 3학년) = = 설치 학과 = = 유통경영과 = 분류:벨기에의 코미디 영화 = = 폴 그로스 = 폴 그로스(, 1959년 4월 30일 ~ )는 캐나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페인티드 랜드: 인 서치 오브 더 그룹 오브 세븐 (2015) 하이에나 로드 (2015) 웨잇 포 레인 (2011) 호보 위드 어 숏건 (2011) 브레이크어웨이 (2011) 건리스 (2010) 후키드 온 스피드맨 (2008) 파스샹달 (2008) H2O (2004) 원더풀 윌비 (2004) 해저 2만리 (1997) 페인트 캔스 (1994) 캐나다 젠틀캅 (1994) 웨일 뮤직 (1994) 위기의 결합 (1993) 질주 (1993) 베리드 온 썬데이 (1992) 버팔로 점프 (1990) 설원의 사랑 (1989) = 분류:오세아니아의 스포츠 리그 = = 울펜슈타인: 에너미 테리토리 = 울펜슈타인: 에너미 테리토리는 리턴 투 캐슬 울펜슈타인(이하 RTCW)의 확장팩으로 계획되었던 멀티 플레이 전용 1인칭 슈팅 게임이다. 제작 도중에 문제로 생겨 멀티 플레이 부문만을 떼어내어 2003년 5월 29일에 출시되었다. 이드 테크 3 엔진을 개조한 RTCW 엔진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2004년에 엔진 부문을 제외한 게임 로직의 소스 코드가 공개되었다. = = 게임진행 = = 게임진행의 중점은 싱글 플레이 부문이 삭제되고 랜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멀티 플레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원작인 리턴 투 울펜슈타인과 마찬가지로 연합군과 추축군의 두 팀이 치거나 막는 것이 기본적인 게임의 방식이다. 공정한 게임진행을 위한 안티치트 솔루션 프로그램 펑크버스터를 지원한다. 게임내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7개의 공식적인 맵은 모두 연합군이 공격하고 추축군이 막는 입장은 디자인되어 있고, 구성에 따라 북아프리카 전역, 유럽 전역으로 나뉜다. 게임 방식은 캠페인 모드, 오브젝트 모드, 스탑와치 모드, 라스트 맨 스텐딩 모드를 지원한다. 게임이 시작되면, 게이머는 독일 국방군과 미국 육군의 각 최하 계급에서 시작하여 게임을 진행하면서 누적된 경험치에 따라 해당 계급에서 다음 계급으로 오른다. 그리고 배틀 센스, 라이트 웨폰과 각 클래스별 스킬의 수준이 오르게 되는데, 서버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전역을 마치거나 접속을 끊으면 경험치나 게임 state가 초기화된다. 아예 계급 체계 자체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 유럽 고속도로 46호선 = 유럽 고속도로 46호선(European route E46)은 프랑스의 과 벨기에의 리에주를 잇는 유럽 고속도로 노선으로, 총 연장은 753 km이다.EUROPEAN AGREEMENT ON MAIN INTERNATIONAL TRAFFIC ARTERIES (AGR) - Consolidated version = = 경로 = = ※ 리에주를 제외한 대다수의 경유지들은 전부 프랑스를 관통한다. 셰르부르옥트빌 - 캉 - 루앙 - 보베 - 콩피에뉴 - 수아송 - 랭스 - 샤를빌메지에르 - 리에주 = 분류:브라질의 주별 박물관 = 주별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 선형대수학 = 선형대수학(線型代數學, )은 벡터 공간, 벡터, 선형 변환, 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등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이다. 현대 선형대수학은 그중에서도 벡터 공간이 주 연구 대상이다. 추상대수학, 함수해석학에 널리 쓰이고 있다. 선형대수학은 자연과학과 공학에도 널리 활용된다. 선형 연립방정식을 푸는 좋은 방법으로는 소거법과 행렬식이 있다. = = 기초 = = 선형대수학은 2차원 혹은 3차원의 데카르트 좌표계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선형대수학에서 기본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벡터: 벡터 공간의 원소를 벡터라 한다. 벡터 연산: 두 벡터끼리의 합, 혹은 벡터와 스칼라(크기만 있고 방향성은 없는 성분)사이의 곱이 벡터의 기본 연산이다. 벡터 공간: 벡터의 기본 연산을 만족하는 모든 벡터의 모음을 뜻한다. 차원: 흔히 평면을 2차원, 공간을 3차원이라고 부른다. 이때 차원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3차원의 경우 x,y,z)는 서로 독립적인데 이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 것이 바로 선형대수학의 차원이다. 행렬: 여러개의 숫자들을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한데 묶어 나타낸 성분. 벡터를 하나의 행 혹은 하나의 열로 구성된 행렬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이 행렬의 수학적으로 엄밀한 정의는 아니다. 보통 3차원까지의 벡터는 그림 등으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벡터는 벡터의 각 구성요소를 괄호 안에 나열함으로써 표기한다.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하는 데 있어 선형대수학의 개념은 매우 중요한데, 선형화 혹은 선형 근사를 통해, 복잡한 비선형 방정식 문제를 간단한 선형 방정식 문제로 변환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선형성 = = 선형대수학의 선형성이라는 성질은 직관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y = a_1 \cdot x_1 + a_2 \cdot x_2 + \cdots + a_n \cdot x_n(a_k는 상수를, x_k는 변수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선형성은 변수의 지수승(x^n)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차함수(x^1)와 같은 형태를 가리킨다. 선형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비선형이 있는데, x^n, \sin x, \cos x 등 일차함수와 같은 형태의 성질을 만족시키지 않는 함수들을 가리킨다. 선형의 직관적인 이해는 일차함수와 동일시해서 생각해도 좋다. 하지만 선형의 엄밀한 의미는 일차함수보다 더 확장된다. 수학적으로 정확한 선형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정의) 정의역 X에서 임의의 원소 u, v를 치역 Y에 대응시키는 연산 T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킬 때 "선형"이라고 한다. 여기서 c는 임의의 상수이다. 예를 들어 일차함수 y(x)=x를 생각해보자. y(cu)=(cu)=c(u)=c y(u)로 (1)번 조건을 만족시키고 y(u+v)=(u+v)=u+v=y(u)+y(v)로 (2)번조건을 만족시킨다. 그러므로 이 함수는 선형이다. 이차함수 y(x)=x^2의 경우에는 y(cu)=(cu)^2=c^2u^2=c^2y(u)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다른 선형연산의 예로는 회전변환, 원점을 지나는 직선에 대한 대칭변환, 어떤 벡터 공간에 대한 수직입사 등이 있다. "선형"이라는 성질은 행렬과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어떤 연산이 선형이라면 그것은 행렬로 표현이 가능하며, 어떤 행렬은 반대로 어떤 선형연산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선형대수학의 행렬이론은 수학의 이론뿐만 아니라 물리학, 전자공학, 컴퓨터 그래픽, 기계공학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 = 학부과정 = = 학부과정에서 가르치는 선형대수학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내용은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가르치는 내용이며 각 학교마다 비중있게 다루는 부분이 다를 수 있고 내용을 추가하거나 뛰어넘을 수 있다. 벡터와 행렬 : 벡터의 개념과 행렬의 개념에 대해 강의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앞의 '기초'와 행렬문서를 참고하라. 가우스-요르단 소거법: 가우스-요르단 소거법은 행렬의 행 간의 연산이다. 이 연산은 행렬로 구성된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 계산과정을 뒷받침하는 이론에 대해서도 공부하며, 소거법의 결과로 구해진 해를 해석하는 방법도 공부한다. 가우스-요르단 소거법은 방정식의 해를 보존할 수 있는 연산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가지가 존재한다. 1. 행렬의 행을 그 행의 상수배만큼으로 대체하여도 그 행렬 방정식의 해는 보존된다. 2. 행렬의 한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하더라도 그 행렬 방정식의 해는 보존된다. 3. 행렬의 한 행과 다른 행을 교환하더라도 그 행렬 방정식의 해는 보존된다. 행렬 연산자와 특정 형태의 행렬: 행렬에 관계된 연산자들과 특정한 형태의 행렬에 대해 배운다. 전치, 트레이스, 역행렬등이 중요한 행렬연산자이다. 특정한 형태의 행렬로는 단위행렬, 상부삼각행렬, 하부삼각행렬, 대칭행렬 등에 대해 배운다. 상부삼각행렬과 하부삼각행렬을 이용해 행렬을 표현하는 LU분해법도 배운다. 선형독립: 벡터들의 일차독립에 대해 가르친다. 행렬을 통한 일차독립 판별에 대해 공부한다. 행렬식(판별식): 행렬식의 정의와 행렬식을 구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또한 대수적으로 행렬식을 표현하고 행렬식에 관계된 정리들을 배운다. 고윳값과 고유벡터: 행렬의 고윳값과 고유벡터에 대해 공부한다. 행렬식을 통해 고윳값을 찾고, 고윳값과 가우스 소거법을 통해 고유벡터를 찾는 과정을 익힌다. 그 외에도 고윳값과 고유벡터에 관계된 정리들에 대해 공부한다. 선형연산자: 이 문서의 '선형'을 참조하라. 특히, 이 부분에서는 선형연산과 행렬 간의 상호성에 대해 주의 깊게 다룬다. 직교행렬: 직교화된 연산과 행렬에 대해 공부한다. 직교행렬이란 그것의 전치행렬과 그것의 역행렬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직교화된 연산이란 연산대상 벡터의 크기가 보존되고 벡터들의 내적이 보존되는 경우를 말한다.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을 행렬을 통해 해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선형연산과 행렬 간의 상호성과 마찬가지로 벡터 공간과 행렬 사이에는 깊은 상호성이 있다. 중요한 개념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저, 차원: 기저란, 어떤 벡터 공간을 이루는 벡터들을 말한다. 이 벡터들은 일차독립이여야 하며, 이 벡터들의 선형조합으로 그 벡터 공간의 모든 벡터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직관적인 예를 들면 x축, y축, z축은 3차원공간의 기저이다. 차원이란 기저를 구성하는 벡터들의 숫자를 말한다. 기본공간, 차원 정리, 계수정리, 피봇정리: 기본공간은 행렬과 벡터 공간 사이의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 기본공간에는 영공간, 행공간, 열공간 등이 있다. 차원정리, 계수정리, 피봇정리는 이 기본공간들의 차원과 기저에 대해 유용한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벡터의 직교화: 직교화된 벡터들에 대해 공부한다. 직교화된 벡터들이란 다른 벡터와의 내적값이 0인 벡터들을 의미한다. 그람-슈미트 직교정규화: 그람-슈미트 직교정규화를 통해 주어진 벡터의 집합을 직교화된 벡터의 집합으로 변환하는 법을 다룬다. 벡터의 직교화에서 배운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해 나간다. 상사성과 대각화: 상사성이란 두 행렬이 동일한 연산을 의미한다는 뜻이다. 즉, 두 행렬이 서로 다른 두 벡터 공간에서 동일한 연산을 처리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상사성을 가진 두 행렬은 적당한 기저를 선택해서 서로를 표현할 수 있다. 대각화란 이 상사성을 계산 측면에서 응용한 것으로 특정 행렬을 대각행렬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이 외에도 복소수 고윳값, 벡터 공간의 공리 등에 대해 다루기도 한다. = = 유용한 정리들 = = ZFC 공리계 하에서 모든 벡터 공간은 기저가 존재한다. 그러나 ZF 공리계에서는 무한 차원 벡터 공간의 기저의 존재성을 보장할 수 없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의 기저는 선택 공리와 무관하게 항상 존재한다. 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행렬식의 값이 0이 아니어야 한다. 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행렬로 표현할 수 있는 선형 변환이 동형 사상이어야 한다. 행렬의 고윳값들의 곱은 행렬식의 값과 같으며, 합은 행렬의 대각합과 같다. = = 역사 = = 선형대수학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이 기원전 4세기 경에 선형연립방정식으로 이어지는 문제들을 연구한 기록이다. 현존하는 문헌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한(漢)왕조 때인 BC 200년에서 BC 100년 사이에 쓰여진 <구장산술(九章算術)> 제8장「방정(方程)」장으로, 여기에 행렬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해법인 방정술(方程術)이 소개되어 있다. 이외에도 중국에서 다양한 기록이 있으며, 최소한 동양에서는 2세기 이전부터 선형대수학 연구가 시작되었다. 「방정」장 원본을 현대 선형대수학의 용어로 라이프니츠(G. W. Leibniz, 1646-1716),세키 고와(Seki Kowa, 関孝和, 1642-1708), 가우스(J. C. F. Gauss, 1777-1855)와 연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 논문에 따르면,이 책에서 방정장의 영부족(贏不足, excess and deficit)을 이용하는 두 개의 미지수를 갖는 두 개의 방정식의 해법과 방정장의 대부분을 정확하게 복원하였으며, n+1개의 미지수를 갖는 n개의 방정식을 복원하여 행렬식 계산(determinantal calculation)의 가장 오래된 기록임을 확인하였다. 선형대수학의 기초가 되는 행렬과 행렬식에 대한 연구는 모두 선형연립방정식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행렬의 개념이 행렬식의 개념보다 훨씬 나중에 소개되었다는 것이다. 행렬식의 개념은 일본인 세키 고와가 1683년에 처음 소개했으며, 2×2, 3×3, 4×4, 5×5행렬의행렬식을 구하는 방법을 찾아서 방정식의 해법을 구했다. 유럽에서는 행렬식의 개념이 1683년 라이프니츠에 의하여 소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그 이전에 가우스에 의하여 알려졌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서양에서는 1693년 라이프니츠가 로피탈(L'Hôpital)에게 보낸 편지에 비로소 처음 소개되었다. 라이프니츠는 1700년과 171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소개한 계수행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크래머(Cramer)공식에 이르는 기본 원리와 현대에서 라플라스(Laplace) 여인자 전개식이라 불리는 것의 기초를 닦았다. 근대 선형대수학의 이론적 발전은 뫼비우스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뫼비우스는 1827년 자신의 책 ‘Barycentric Calculus’에서 기하학적 대상(점)들을 가지고 직접 연산을 하는 최초의 대수적 체계를 소개하였고 동일 직선상의 선분을 어떻게 더하는지 보였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 답을 처음으로 준 수학자가 바로 그라스만이다. 그라스만은 베를린에서 수학이 아니라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귀향하여 교사가 되었다. 그라스만은 1830년대 초부터 수학기초론을 공부하며 선형대수학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라스만은 1844년 자신의 첫 번째 책 ‘lineale Ausdehnungslehre (Extension)’에서12쪽의 서문과 16쪽의 서론에 걸쳐 자신의 저술 의도에 대하여 철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했다. 여기서 보인 완전히 추상적인 접근은 ‘n차원 공간’과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곱셈’이라는 새로운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1844년 그라스만은 또한‘벡터들 사이의 내적(inner product)’을 정의하여 ‘벡터대수(vector algebra)’를 연구하였다. 행렬 대수는 행렬곱셈을 곱셈 연산으로 하는 벡터대수의 일반화로 볼 수 있는데, 벡터의 내적은 행렬 중 특별한 경우인 1×n 행렬과 n×1 행렬의 곱셈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벡터대수는 행렬대수의 특별한 경우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라스만이 제시한 새로운 대수적 체계를 서술하는 혁명적인 아이디어와 난해한 기술방법은 큰 장애가 된다. 가우스는 1844년 12월에 그라스만에게 쓴 편지에서 “독자에게 익숙한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뫼비우스가 1846년 1월에 아펠트(E. F. Appelt, 1812-1859)에게 쓴 편지에서는 “그라스만의 책은 이해하기 어려워서 한 페이지를 넘길 수가 없었다.”고 썼다. 또 엥겔(F. Engel, 1861-1941)은 18권의 ‘Gesammelte(전집) Werke, Band 3’에서 그라스만의 업적을 실으면서 그의 업적과 출판이 어디서도 주목받지 못했음을 서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라스만은 자신의 방법에 확신을 가지고 책을 다시 쓰기 시작하여 1861년 10월에 수정을 마치고, 1862년 ‘The second Ausdehnungslehre’ 300 권을 모두 자신의 비용으로 인쇄했다. 이 책은 철학적 설명 없이 모두 정의-정리-증명(definition-theorem-proof)형식으로 썼는데(Fearnley-Sander, 1979), 여기서 제시한 내용 전체를 모두 그라스만이 처음으로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당시에 벌써 선형대수학의 거의 모든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한 그 완성도는 정말 놀랄 만하다. 그가 다룬 선형대수학의 내용을 현대적 용어로 쓰면 다음과 같다. ‘일차독립, 차원, 부분공간, 정사영, 좌표변환, 내적과 외적, 선형연립방정식의 해법, 직교, 선형변환, 선형변환의 행렬표현, rank-nullity 정리, 고유값, 고유공간, 특성방정식, 행렬의 대각화, 행렬분해, law of inertia, 미분방정식에의 응용, … ’ 이후 1888년 페아노가 그라스만의 업적을 소개하고, 1918년 와일이 이를 한번 더 인용하면서 선형대수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다음은 실베스터, 케일리 등 저명한 여러 수학자들의 연구를 거치면서 현대 선형대수학의 형태에 이르게 되었다. = 태양욱 = 태양욱(太陽郁, 음력 1870년 2월 4일 ~ 음력 1908년 2월 15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의병장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다. = = 생애 = = 함경남도 풍산군 출신이다. 대한제국 군대 해산 직후인 1907년 8월에 풍산을 중심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차도선이 의병장을 맡고 태양욱은 중대장이 되었다. 차도선과 태양욱은 풍산을 중심으로 한일 병합을 주장하는 일진회 회원들을 살해하는 활동을 벌였다. 북청군에서 일진회 회원인 북청군 안산면장을 살해하였고, 포수들을 규합하여 구성한 의병부대를 이끌고 홍범도의 부대에 합류하여 일본군과 직접 전투를 벌였다. 일본군의 반격에 홍범도 부대는 중국으로 이동하여 피신하였으나, 태양욱은 1908년에 일본군에게 체포되었다. 체포 후 저항하다가 살해된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분류:오하이오주의 축구 = = 분류:올림픽 사이클 메달리스트 = = 분류:범선 = = 대한민국 민법 제354조 = 대한민국 민법 제354조는 동전에 대한 민법총칙 조문이다. 본 조문은 2001년 12월 29일에 개정되었다.개정 전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제354조 (동전) 질권자는 전조의 규정에 의하는 외에 민사소송법에 정한 집행방법에 의하여 질권을 실행할 수 있다. = 분류:사카씨 = = 분류:대륙별 1514년 = = Let's Dance = Let's Dance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 = 음악 = = = = = 음반 = = = 《Let's Dance》는 영국의 음악가 데이비드 보위의 열다섯 번째의 음반이다. = = = 노래 = = = 〈Let's Dance〉는 영국의 음악가 데이비드 보위의 곡이다. 〈Let's Dance〉는 서인영의 곡이다. = 바실리 3세 = 바실리 3세 이바노비치(러시아어: Василий III Иванович, 1479년 3월 25일 ~ 1533년 12월 3일)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재위: 1505년 11월 6일 ~ 1533년 12월 3일)이다. = = 생애 = = = = = 출생과 보위 등극 = = = 이반 3세 모스크바 대공의 3남 5녀 가운데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1505년 이반 3세의 뒤를 이어 모스크바 대공으로 즉위했다. = = = 대외적 성향 치적 = = = 대외적으로는 자신의 아버지인 이반 3세의 뒤를 이어 모스크바 대공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1510년에는 프스코프 공화국, 1513년에는 볼로콜람스크, 1521년에는 랴잔 대공국, 1522년에는 노우호로드시베르스키를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시켰다. 1512년부터 1514년까지는 리투아니아가 차지하고 있던 동부의 요새인 스몰렌스크를 장악했다. = = = 대내적 성향 치적 = = = 대내적으로는 봉건제를 지지하던 반대파들과의 권력 투쟁을 벌이고 있던 동방 정교회를 지지했다. 재위 기간 동안에는 보야르들과 제후들이 받고 있던 일반 특권과 면책특권이 일부 제한되었고 젠트리의 부농 제도가 향상되었다. = 마호라바의 등장인물 목록 = 애니메이션에서는 중요한 설정의 일부가 제작사에 의해 변경되어 있다. 또한 설정은 ‘마호라바 蒼(まほらば蒼)’와 원작 최종화에 의거한다. 서브 캐릭터 설정은 애니메이션 제작 결정 당시의 원작자가 발표한 것을 따르며, 등장인물의 연령은 ‘마호라바 蒼’의 시점에 따른다. 주요 등장인물은 전부 성(姓)에 색채를 뜻하는 글자가 들어가 있다. 또한 미나즈키(水無月) 가와 쿠로사키(黒崎) 가의 인물은 이름에 시간을 뜻하는 글자가 들어가 있다. 또한 조역인 시라토리의 친구 3명과 아칸도(阿甘堂) 점장 누나의 이름은 은행 이름이다. 이것은 원래 단행본 속 커버에 있는 만화 ‘조역천국(脇役天国)’에서 ‘돈이 굴러 들어올 거 같은’ 이름으로서 붙여진 별명이고 나중에 정식으로 캐릭터의 이름이 되었다. = = 나루타키 장(鳴滝荘) = = 시라토리(白鳥) 이외의 여러 주민은 마음속에 조그만 상처를 갖고 있다. = = 스메라기 디자인 전문학교(皇デザイン専門学校) = = = = 세이카 단기대학 부속고교(青華短大付属高校) = = = = 후타바다이 제 2 중학교(双葉台第二中学校) = = = = 와시다 대학(鷲田大学) = = = = 후타바긴자 역 앞 상점가(双葉銀座駅前商店街) = = = = 미나즈키 가(水無月家)의 인물 = = = 론 트로티에 = 론 트로티에 (, 1948년 6월15일 ~)는 캐나다의 기업인으로, 매트록스의 창업자이자 소유자이다. 1970년, 맥길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를 받았고, 1973년에는 같은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석사를 받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등 많은 대학교에 기부를 해왔다. = 분류:도미니카 연방의 남성 = = 틀:단축/시험장 = = = 작업 중인 연습장 틀 = = /연습장 = 에반드루 괴벨 = 에반드루 괴벨(, 1986년 8월 23일 ~ )는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 틀:위치 지도 덴마크 코펜하겐 = = = 차별적 유저박스 = = 우선 세 개 분류로 나누었습니다. 1. 신념 및 이념에 대한 찬성/반대와 차별 조장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신념"의 #사회, #역사, #애국심 목록(10월 14일 기준) 사용자:멍한오리/틀/일베유저 사용자:멍한오리/틀/오유유저 사용자:멍한오리/틀/일본징병제찬성 사용자:멍한오리/틀/징병제부분찬성 사용자:멍한오리/틀/헬조선 사용자:멍한오리/틀/헤븐조선 사용자:멍한오리/틀/메갈리아 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사상의 자유 (3번에 따라 다듬을 수 있으나 찬성/반대에 따라 1번에 포함. 이하 생략.)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사상의 자유 반대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반파시즘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반민주주의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반자유주의 사용자:윤성현/노 뉴라이트 사용자:100범/틀/NO 주사파 사용자:Carrodskune/노 미국 사용자:Badbread/안티 신자유주의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보법 혐오 사용자:alvis/틀/군주제 찬성 사용자:버터플라이/틀/군주제 중립‎ 사용자:alvis/틀/군주제 반대 사용자:버터플라이/틀/입헌군주제 사용자:시스플라티나/틀/입헌군주제 반대 사용자:멍한오리/틀/지역주의 찬성 사용자:멍한오리/틀/지역주의 반대 사용자:멍한오리/틀/정치적 지역주의 반대 사용자:멍한오리/틀/넷지역주의 반대 사용자:멍한오리/틀/영호남 사용자:멍한오리/틀/일베지역주의 반대 사용자:멍한오리/틀/오유지역주의 반대 사용자:휘뚜루마뚜루/유저박스/미친소 사용자:멍한오리/틀/선동아웃 사용자:Salamander03/유저박스/숭례문복구찬성 사용자:Salamander03/유저박스/숭례문복구반대 사용자:님/유저박스/찬신방겸영 사용자:님/유저박스/반신방겸영 사용자:Democrat/건국절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정원 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정원 해체 사용자:Supykun/유저박스/재벌제국찬성 사용자:Supykun/유저박스/재벌제국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보법 찬성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보법 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국보법 폐지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평통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무력통일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통일반대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남통일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북통일 사용자:그림자/유저박스/북중립 사용자:그림자/유저박스/반북 사용자:Lee6597/유저박스/공산주의반대 사용자:Lee6597/유저박스/반공주의 사용자:Lee6597/유저박스/북한노동당반대 사용자:Lee6597/유저박스/반일 사용자:Supykun/유저박스/험한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미국 혐오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미국 반대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미 중립 사용자:버터플라이/유저박스/국회반대 사용자:Hansel_Mar/유저박스/반공 사용자:Hansel_Mar/유저박스/창조설반대 사용자:Hansel_Mar/유저박스/반원리주의 사용자:Hansel_Mar/유저박스/반시오니즘 사용자:시스플라티나/부당징집사죄 사용자:Cranezyer/뻘/유저박스:반종교 2. 인물이나 정당에 대한 존경과 같은 개인적 견해에서 비롯된 지지/반대와 편견 조장; 3번과 연관이 있으므로 3번 설명 및 숨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할 것.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정당"의 모든 목록.(1월 17일 기준)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국제"의 #독립 및 자치 문제, #민주화, #영토 분쟁, #국제 분쟁 목록.(1월 17일 기준) 사용자:멍한오리/틀/트럼프 존경 사용자:멍한오리/틀/트럼프 혐오 사용자:멍한오리/틀/자유민주당 사용자:멍한오리/틀/공명당 사용자:멍한오리/틀/민진당 사용자:멍한오리/틀/일본공산당 사용자:멍한오리/틀/일본사민당 사용자:멍한오리/틀/생활당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김구 사용자:Carrodskune/존경 인물/김일성 사용자:Carrodskune/존경 인물/김정일 사용자:Jrquas/존경 인물/육우당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김좌진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안중근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윤봉길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이봉창 사용자:Nopektro/존경 인물/성재기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카이사르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베르너 폰 브라운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세르게이 코롤료프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로버트 고다드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콘스탄틴 치올콥스키 사용자:Lee6597/존경 인물/헤르만 오베르트 사용자:Supykun/유저박스/이명박을 혐오 사용자:Supykun/유저박스/박근혜를 혐오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박정희 혐오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전두환 혐오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김구 혐오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김대중 혐오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김영삼 혐오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우고 차베스 존경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우고 차베스 혐오 사용자:100범/틀/성혈과성배 사용자:100범/틀/예수결혼설 3. 어떤 학문이나 이념에 대한 관심이 아닌, 그것과 관련있는 인물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나 평가(일부는 존칭 사용; ‘마오주의자입니다’ ≠ ‘마오를 좋아합니다’ 혹은 ‘마오를 존경합니다’ 식의 표현으로,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마르크스와 같은 식의 학문에 대한 견해가 아니기 때문에 또한 배우 등과 관련한 팬덤과는 다소 맥락이 다르기에 문제가 된다고 판단.)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공자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맹자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순자 사용자:Carrodskune/유저박스/남북 협상 사용자:100범/틀/이승만 사용자:Pandira/윤보선 사용자:100범/틀/박정희 사용자:Sjun9725/최규하 사용자:100범/틀/전두환 사용자:Sjun9725/노태우 사용자:100범/김영삼 사용자:LambdaCorp/유저박스/김대중 사용자:BongGon/노무현 사용자:Sjun9725/이명박 사용자:멍한오리/틀/박근혜 사용자:Pandira/윤치호 사용자:Pandira/박헌영 사용자:100범/틀/김구 사용자:100범/틀/김규식 사용자:Pandira/김성수 사용자:Pandira/장면 사용자:Pandira/김두봉 사용자:100범/틀/김일성 사용자:Carrodskune/김정일 사용자:Nopektro/틀/성재기 사용자:Jrquas/틀/육우당 사용자:Pandira/맥아더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애덤 스미스 사용자:Eggmoon/유저박스/스피노자 사용자:Eggmoon/유저박스/푸코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이마누엘 칸트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에드먼드 버크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제러미 벤담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로버트 오언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카를 마르크스 사용자:Pandira/유저박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사용자:Pandira/유저박스/게오르크 헤겔 사용자:Pandira/유저박스/프리드리히 니체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블라디미르 레닌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아돌프 히틀러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이오시프 스탈린 사용자:Pandira/유저박스/폴 포트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마오쩌둥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윈스턴 처칠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마거릿 대처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데이비드 캐머런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클레멘트 애틀리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토니 블레어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프랭클린 D. 루스벨트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조지프 매카시 사용자:Pandira/유저박스/해리 트루먼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존 F. 케네디 사용자:Pandira/유저박스/빌 클린턴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버락 오바마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에이브러햄 링컨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시어도어 루스벨트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로널드 레이건 사용자:Imperatork/유저박스/조지 W. 부시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장제스 사용자:Pandira/유저박스/무아마르 카다피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사담 후세인 사용자:그림자/유저박스/하워드진 사용자:Pandira/유저박스/오사마 빈 라덴 사용자:자용사/전태일 사용자:자용사/유저박스/장태완 사용자:푸른달빛/리영희 사용자:Kchwoo9/빅토리아 여왕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법정 사용자:Dllsgh1130/유저박스/김수환 사용자:자용사/마더테레사 4. 기타 사용자:그림자/유저박스/위안부사죄 사용자:100범/틀/유엔학살사죄 사용자:100범/틀/미국학살사죄 사용자:Buzzbuzzwili/유저박스/각선미덕후 (이런 유저박스는 성 패티시가 아니라 성 차별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사용자:멍한오리/틀/루저 사용자:멍한오리/틀/위너 이 외에 발견하지 못한 일부 차별 및 편견을 조장하는 유저박스도 포함함. 얼마 전에 엄청 불쾌한 유저박스를 보게 되었고 그것과 관련하여 유저박스 목록을 훑어보고는 이렇게 삭제 토론을 만들었습니다. 크게 임의로 1, 2, 3, 4번으로 구분했으나, 사실 3번의 대부분은 크게 문제가 없다고 보는 입장이지만 그렇다라고 해버리면 1번이나 2번을 3번처럼 바꿔서 논란이 없다고 주장해버리는 경우가 생길 것으로 생각되어(물론 ‘관심이 있습니다’로 수정해도 무관하지만 그렇게 했을 경우에는 명료하지 못하며 때에 따라서는 현재의 일부의 ‘기억하고자 합니다’와 마찬가지로 왜곡되어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다같이 묶되 따로 분류하여 올리게 되었습니다. 3번에 대한 여타 의견은 3번 상단에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딱히 제가 보고 불쾌했던 유저박스가 무엇이고, 그게 어떻게 문제라고 언급하고 싶지는 않고, 그저 과거에 논란이 되었던 간첩들이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해서 한국어 위키백과를 빨갛게 물들인다는 식의 한국어 위키백과의 좌편향 논란(웃음)이나 며칠 전에 언급한 숙성된 가짜 로고 등재 건(...) 등과 같이, 일부 유저박스 역시도 위키백과 공동체 뿐만 아니라 위키백과 자체의 신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합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유저박스는 공식 지침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은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은채, 한국어 위키백과의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사용자 개인의 유저박스가 양산되어 그 양만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렇다보니 외부의 편견을 가중시켜 위키백과의 신뢰성을 저하하는 것은 물론이요, 위키백과 공동체에 해가 될 수 있는 일부의 유저박스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와 밀접한 내용을 영어 위키백과의 공식 지침인 동일 문서의 한 문단에서 참고로 인용 및 번역(아래 인용문)해봤습니다. 앞서 목록에 쓴 1번과 같이, 자신의 신념이나 이념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통한 차별적인 용어들, 2번과 같이, 개인적 견해에서 비롯된 지지와 반대를 통한 편견적 용어들, 3번과 같이, 그 외의 유사한 평가는 공동체의 분열을 가능케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충분합니다. 이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유저박스를 정리할 목적으로 삭제 토론을 열고자 합니다. 다만, 수많은 사용자 개인의 유저박스들이 있다보니 이것을 목록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누락된 차별 또는 편견을 조장하는 유저박스들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삭제를 해도 새로이 만들면 사실상 그만이니만큼, 이에 대한 논의도 따로 동반되어야합니다.(개인적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유저박스를 모두 삭제하고 유저박스를 정식 지침화하여 논란의 여부가 없는 유저박스를 사용자 개인의 유저박스를 참고하여 공동체의 합의 절차를 거쳐 새로이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 외에도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병역와 같이 위키백과:아님#국가를 위배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되어야합니다.) 추신 1, 각 유저박스 제작자들에게 삭제 토론을 알려야 하는데 솔직히 감당이 안 되어 삭제 토론을 만든 기준으로는 통보가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봇으로 가능한지 한 번 검토해봐야겠는데 좋은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추신 2, 합당한 이유 없는 무조건적 반대는 의견을 적지 않는 것보다 못합니다. 가람 (논의) 2017년 1월 21일 (토) 22:12 (KST) 특정 지역인 비하나 00포비아 논란이 있을 만한 유저박스라면 모를까 그냥 어느어느 사이트를 한다 누구누구를 존경한다 정도는 별로 문제될꺼라고 보이진 않는데요? Leedors (토론) 2017년 1월 21일 (토) 22:36 (KST) 삭제 토론보다는 위키백과토론:유저박스 등으로 옮겨 의견을 모아보는게 어떨까요? ChongDae (토론) 2017년 1월 23일 (월) 17:54 (KST) 의견 없이 시간만 흐르고 있는데, 더이상 적절한 반론 의견이 없다면 삭제에 동의하는 총의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이런 식으로라도 말을 안 하면 위키백과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총의를 형성하는 게 참 힘들기에 하는 말이니,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가람 (논의) 2017년 4월 28일 (금) 18:33 (KST) 단순히 정치적 이념이 어떻다 이러는건 지울 필요 없어보이고요. 일밍아웃 유저박스같이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을만한 유저박스나 누구누구 싫어한다 이런 유저박스는 없앴으면 합니다. 청순한민트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23:10 (KST) 지금까지 유저박스 틀이 사용자 문서의 일부이며, 위키백과:사용자 문서#공격적이거나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에 따라 위키백과와 지나치게 관련 없는 내용과 공격적이거나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 유저박스 틀에 기재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에는 의견이 모아진 것 같습니다. 현재 위의 목록은 위키백과:사용자 문서#공격적이거나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에 해당할 법한 틀들을 목록화한 것으로, 이에 대한 다른 의견이 있으시거나 하시면 의견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앞서 언급하였다시피 토론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만큼, 더이상의 다른 의견이 없으면 위의 토론에 따라 총의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합니다. 가람 (논의) 2017년 5월 11일 (목) 00:27 (KST) 장기간 의견 개진이 없었기에 '총의 없음'으로 토론 종결합니다. Oil0518 (토론) 2017년 7월 29일 (토) 01:04 (KST) = Chthonic = Chthonic은 1995년 대만 타이베이에서 결성된 헤비메탈 밴드이다. 그들의 노래는 궈위가 아닌 대만어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범록연맹의 관점에서 본 대만의 역사와 대만 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 분류:지쿠조정 = = 분류:벨라루스의 선거 = = 마쓰다이라정 = 마쓰다이라정은 아이치현 히가시카모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유신 후에는 도쿠가와 씨에게서는 12가가 화족에 올랐다. 1975년 4월 1일에 광역합병으로 도요타시에 편입 합병돼 헤세의 대합병 이전 도요타시 남동부 지역에 해당되었다. 마쓰다이라씨와 도쿠가와씨의 발상지인 마쓰다이라향을 중심으로 한 정이었다. = = 지리 = = 아이치현의 거의 중앙부에 있다. 미노미카와 고원의 남서단에 위치하고 서쪽은 오카자키 평야의 일부이다. 면적은 43.84㎞2로 히가시카모군 지자체 중에서는 가장 작았다. 야하기강과 그 지류인 도모에강 변의 마을이다. 현재 마을 서부는 주택 개발이 진행되어 동해 환상 자동차도 도요타 마쓰헤이 IC가 설치되어 있다.송평향 등의 마을 동부는 산간부의 농촌 지대이다. = = 역사 = = 1889년 10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마쓰다이라촌이 성립하였다. 1906년 5월 1일 - 마쓰다이라촌, 오가와촌, 시가촌과, 도요사카촌의 대부분과 호즈미촌 일부를 합병해 마쓰다이라촌이 되었다. 1961년 11월 1일 - 마쓰다이라촌이 정으로 승격해 마쓰다이라정이 성립하였다. 1970년 4월 1일 - 도요타시에 편입되었다. 마쓰다이라정은 폐지되었다. = = 교육 = = 아이치 현립 아시스케 고등학교 분교(현·아이치 현립 마쓰다이라 고등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마쓰다이라 중학교(현·도요타 시립 마쓰다이라 중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고카이초등학교(현·도요타시립 고카이초등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이와쿠라 초등학교(현·도요타 시립 이와쿠라 초등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구쿠다이라 초등학교(현 ·도요타 시립 구쿠다이라 초등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다키와키 초등학교(현·도요타시립 다키와키 초등학교) 마쓰다이라 정립 도요마쓰 초등학교(현·[[도요타 시립 도요마쓰 초등학교]) = 이정미 (아나운서) = 이정미(1982년 9월 30일~)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 경력 = = 2007년 MBN아나운서 MBN 앵커 = = 방송 = = 2008년 MBN 《경제나침판 180도》 2011년 MBN 《출발 모닝뉴스》 2011년~2012년 MBN 《이제는 전원시대》 2012년~2013년 MBN 《뉴스투데이》 2013년 MBN 《시사스페셜》 2013년 MBN 《뉴스공감》 = 분류:이란의 자연보전 = = 데인저 = 데인저(danger)는 다음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위험"을 뜻하는 영어 낱말이다. Danger (방탄소년단의 노래) 데인저 아일랜드(Danger Island): 쿡 제도 푸카푸카섬의 다른 이름 = 분류:샬럿 호니츠 = = 영봉 = 영봉(永鳳)은 중국 전조(前趙) 광문제(光文帝)의 첫 번째 연호이다. 308년 10월에서 309년 4월까지 7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308년 10월, 유연은 황제로 즉위하고 개원하였다. 같은 시기에 사용된 다른 연호로는 서진(西晉)에서 사용한 영가(永嘉 : 307년 ~ 313년), 성한(成漢)에서 사용한 안평(晏平 : 306년 ~ 310년)이 있다. = = 개원 = = 원희(元熙) 5년 10월 3일무진년(戊辰年) 10월 갑술일(甲戌日)(308년 11월 2일)에 연호를 영봉(永鳳)으로 개원함.자치통감(資治通鑑) = = 연대대조표 = = 영봉 원년 2년 서력 308년 309년 육십간지(六十干支) 무진(戊辰) 기사(己巳) 서진(西晉) 영가(永嘉)2년 3년 성한(成漢) 안평(晏平)3년 4년 = = 관련항목 = = 중국의 연호 = 분류:북아일랜드에서 활동한 축구 감독 = = 분류:케이블카 = = 분류:광주 동구의 행정동 = = 고토덴코토히라역 = 고토덴코토히라역은 일본 가가와현 나카타도군 고토히라정에 위치한 다카마쓰코토히라 전기철도 고토히라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자, IruCa 취급 · 정기 발권 창구가 역 구내에 있다. = = 타는 곳 = = 1 · 2 ■ 고토히라 선 상행 가와라마치 · 다카마쓰칫코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11 1,251 2012 1,266 2013 1,354 2014 1,441 2015 1,447 = = 역 주변 = = 가가와 현도 207호 고토히라테이류조코토히라코엔 선 가가와 현도 208호 오사코토히라카이타 선 시코쿠 여객철도 도산 선 고토히라역 = 틀:필드하키단 정보/설명문서 = = = 사용법 = = {{필드하키단 정보 }} = 윤희정 (아나운서) = 윤희정(1979년 ~ )은 대한민국의 전직 방송인이다. = = 학력 = =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언론매체학과 수료 = 풍양초등학교 (경북) = 풍양초등학교는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낙상리에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33년 11월 29일 : 설립인가 1933년 12월 15일 : 초대 이장택 교장 부임 1934년 1월 10일 : 풍양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 풍양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년 4월 1일 : 풍양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80년 4월 26일 :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 풍양초등학교로 개칭 1996년 3월 1일 : 우망초등학교, 풍천초등학교 본교에 통폐합 2012년 9월 1일 : 제34대 장영호 교장 부임 2014년 2월 13일 : 제79회 24명 졸업(총 졸업생 8,958명) 2014년 3월 1일 : 8학급 편성(특수1, 시설학급1 포함) = 스페이스 록 = 스페이스 록(Space rock)은 느슨하고 긴 노래 구조로 특징 지어지는 록 음악 장르로, 일반적으로 최면적이고, 색다른 소리를 내는 악기 질감을 중심으로 한다. 그것은 아마도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기타, 최소의 드럼 소리, 나른한 목소리 그리고 마약 사용에 대한 언급을 특징으로 할 것이다. 이 용어는 처음에 "우주적" 소리를 탐험한 호크윈드와 핑크 플로이드와 같은 1970년대 초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의 스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분류:1530년대 책 = = 윌리엄 베넷 (주교) = 윌리엄 베넷(William Bennet, 1746년 3월 4일 ~ 1820년 7월 16일)은 아일랜드 클로인의 주교이자 골동품 연구가이다. 런던 탑에서 태어났고, 해로우 학교와 케임브리지의 엠마누엘 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 틀:197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시사주간 = 시사주간(時事週刊)은 2010년 9월 17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창간된 대표적 시사매체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정보와 칼럼, 분석 기사를 담고 있는 인터넷 매체이자 타블로이드판 종이신문이다. 장애인의 현실과 삶을 전하는 '웰페어 투게더', 미국의 소식을 전하는 '워싱턴 에디터 리포트' 등 코너가 있으며 시사 이슈를 분석하는 칼럼과 기사를 위주로 하고 있다. 자매지로 이코노믹포스트, 소비자고발뉴스가 있다. = ITunes Live from SoHo = ITunes Live from SoHo는 2009년 2월 3일에 발매된 아델의 음반이다. XL 레코딩스에 의해 발매되었다. = 유즈노쿠릴스키군 = 유즈노쿠릴스키군은 러시아 사할린주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쿠릴 열도 최남단인 쿠나시르 섬, 시코탄 섬 및 하보마이 군도를 관할하고 있다. 중심 도시는 쿠나시르 섬에 있는 유즈노쿠릴스크이다. 일본은 이 지역이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루요베쓰 촌, 도마리 촌, 시코탄 촌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이 지역 표준시는 한국보다 1시간이 빠르다. = = 역사 = = 1945년 9월 1일 - 소비에트 연방의 영토가 되었으며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산하의 하바롭스크 지방에 편입되었다. 1967년 7월 8일 - 사할린주에 편입. = 제15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 제15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2013년 11월 7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본상-PISAF대상 = = = 토끼와 사슴 - 피터 바츠 수상 = = = 본상-심사위원 특별상 = = = 플러그 앤 플레이 - 마이클 프레이 수상 = = = 본상-우수상 = = = 천 개의 등대 - 주용관 수상 바람이 분다 - 로버트 로벨 수상 = = = 본상-온라인 우수상 = = = 돌멩이 차기 - 쿠보 유타로 수상 = = = 본상-네티즌 초이스 = = = 그놈의 피 - 조용익 수상 = = = 특별상- 한국애니메이션학회장상 = = = 데이지 아파트 주민들의 일상 - 와카이 마나미 수상 = = = 특별상- KAPA(사)한국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Prize = = = 육체남녀 - 가부키 사와코 수상 = = = 특별상- 유광선 상 = = = 라이언 보이 - 아나 카로 수상 파노라마 - 김동철 수상 = = = 특별상- 유한대학장 상 = = = 홈 스윗 홈 - 장나리 수상 슬리핑 피시 - 유시프 알 할리파 수상 = = = 특별상- 한국영상대학교 총장상 = = = 할아버지 - 팀 할아버지 수상 건너 편에서 - 이치노리 수상 = = = 특별상-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 상 = = = 골든 보이 - Ludovic VERSACE 수상 = = = 특별상- 농협부천시지부장 상 = = = 나무의 시간 - 정다희 수상 = = = 특별상-곰TV상(온라인) = = = 그놈의 피 - 조용익 수상 = = = 학생경쟁부문 = = = 너와 나 - 사유노 마리엘 모노사이클 플라워 - 에이라쿠 타케시샤 노인을 위한 택시는 없다 - 파르자드 아자르시나 쿵푸러브 - 양 리우위 심연 속으로 - 쥴 닐센 몬스터 박스 - 고예 뤼드왁 해피 타임 Happy Fluffy Time - 토마 카즈시카 안녕, 루키 - 이동욱 원령 여우 - 히로미 나카무라 낡고 새로운 땅 - 사리엘 켈라시 지붕 위의 소녀 Hearth - 벨린트 겔리 외 1명 나뭇가지 - 크리스 드비토 외 1명 망할 저녁 - 스티브 미첼 나의 액자 - 김예원 푸줏간의 댄서 - 테오 길리테 외 3명 흥미진진한 오후 - 이네스 게이져 외 1명 미스 토드 - 크리스티나 이 재즈문어 - 반자 안드리저빅 색채의 정원 - 슌고 스즈키 새벽기차 - 델리아 헤스 혼자 - 로빈 베르소 외 3명 목욕탕 - 김지수 레이지 버그 - 정윤희 D-Day 디-데이 - 박가희 외 5명 Pig Box 피그박스 - 차오 타웨이 Azul 아쥘 - 레미 부슨 외 5명 오리가미 - 데이비드 파본 사이클로이드 - 토모키 쿠로기 스틸 아이 브래스 - 이상호 베르사이유 파티의 종말 - 모리게인 보이어 외 4명 안개 속을 거닐다 - 소피 라신느 남자의 자리 - 조종덕 사냥 - 사자드 알리 에어리 미 - 쿠노 요코 카타르시스 - 마린 브룬 외 5명 아름다운 소녀가 성에 갇혔다 - 스테파니 크레멘트 외 4명 오이스터 - 구 팡유 바느질하는 여자 - 우진 너무 소중했던, 당신 - 백미영 유 노 아이 러브 유 - 이예린 반쪽여자친구 - Nicolas de Leval JEZIERSKI = = = 온라인경쟁부문 = = = 팻보이 - 박호택 모범병사 - 보리스 켈리 외 4명 갓 이스 키딩 - 디마 트레야코브 아이언 핸즈 - 레이체 아갈 페스트 - 박오롬, 유영현 Still - 김승희 아! - 김소연 칠리폭탄 - 필립 롤랑드 = = = 마스터클래스 = = = 피부색 꿀 - 융 메카닉 애니메이션의 설계 - 카와모리 쇼지 = = = 트렌드 = = = 엄마는 미국에서 버팔로 빌을 만났다 - 마크 보렐 외 1명 요푸공의 아야 - 마르그리트 아부에 까마귀의 날 - 장 크리스토프 드상 극장판 쥬로링 동물탐정 - 박우현 달팽이 - 진성민 리틀위치 - 박성미 소파 - 박 민 딸꾹질 - 김시진 = = = 와이드 = = = 다락방의 토이 스토리 - 이지 바르타 외 1명 극장판 요술공주 밍키: 꿈 속의 윤무 - 와타나베 히로시 = = = 스페셜 = = = 극장판 천원돌파 그렌라간 : 홍련 편 - 이마이시 히로유키 천원돌파 그렌라간 극장판 - 나암편 - 이마이시 히로유키 왕립우주군 - 오네아미스의 날개 - 야마가 히로유키 = 틀:티베트 자치구 = = 일신로 (인천) = 일신로(日新路)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에 있는 도로이다. 도로명은 행정구역명인 일신동을 이용하여 도로명이 명명되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299 km 기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109-12 (황굴삼거리 = 경인로와 접촉) 종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90 = = 지리 = = = = = 통과하는 지자체 = =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 = = 접촉하는 도로 = = = 경인로 (국도 제46호선) 항동로 간접 접촉 도로 : 무네미로 = = = 주변에 있는 시설 = = = 대림각 인일의료재단 인천제일의원 일신해장국 페리카나 일신점 일신풍림우편취급국 부평동성교회 송암 노인요양원 부개파출소 그린우렁쌈밥 킹콩샤워 송내직영점 겐코비하우스 CU 부평일신로터리점 동서푸른빌 더헤리티지 강남프라임 두산전동지게차 르노코리아자동차 서비스코너 인천일신점 금아금속공업 명신안료 국제프린텍 린나이 부평구대리점 나우 하늘마을 기쁨의교회 치킨마루 일신동점 보은건설 인천금마초등학교 GS부평자이아파트 에어컨설치 신신ENG = 최산정 = 최산정[崔山靜, 1535~1593]. 조선 선조때 무신. 본관은 통천(通川)이고, 자는 국원(國垣), 호는 옥포(玉圃)다.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 = 생애 = = 1535년(중종 30년)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에서 출생하였다. 기골이 웅건하고 장력과 재주가 비범하며 효성이 특별하였다. 모부인이 이질로 약이 듣지 않아 병세가 위급할 때, 목욕 분향하고 몸으로 대신할 것을 3일 동안 기도하니, 애마가 발굽을 치며 울기에 기이하여 가보니 입에 지우초를 물고 있었는데 이에 즉시 다려 복용하니 환우가 호전되었다고 한다.해남군청 현감 김인수(선산김씨)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나 곧 졸하여, 윤수평(해남윤씨)의 딸에게 재취하였다. 문경공 일재 이항 선생에게 학문과 무예를 사사하였다. 일재선생 아래에서 김천일, 송공필, 김제민 등과 도의로 사귀었다. 1570년(선조 3년)에 무과에 급제하여동년도에 같은 마을에서 함께 자라 친교가 깊은 충장공 정운 장군도 무과에 급제하였다. 충장공 정운장군은 동생인 최산수와 비슷한 연배(정운장군 1543년생, 동생 최산수는 1545년생.)로 서로 친교가 두터웠다. 정운 장군이 부산해전에서 순절하자 동생 최산수는 양예용, 최정한과 같이 지역의 유림의 대표로 뽑혀 재문을 지어 장례를 치렀다. 여러 직을 거친 후에 임진왜란 전 궁궐의 수문장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할 때 어가를 수행하였다. 이어 왕자와 왕비가 피난 중 길이 막혀 통신이 두절되자 강원도 이천에 출전하여 수 십급의 적을 베고 병기와 군량 등을 탈취하여 의주의 행재소에 헌납하는 공을 세웠다. 이에 선조가 기뻐하며 군자감주부에 제수하였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왼쪽 옆구리에 총상을 입어 치료를 받던 중 선조의 어가가 한양으로 환도하는 때에 이르렀을 때, 해남의 노모의 생사를 걱정하여 선조에게 주청하여 귀향을 허락받았다. 해남으로 귀향하던 중 1593년(선조 26년) 10월 9일 이천전투에서 입은 총상의 탄독이 재발하여 전북 금강에서 사망하였다. 해남군 옥천면 봉황리 천지곡에 장례하였다. 사후에 선조는 벼슬을 통정대부 북도병마절도사에 추증하였고, 1604년 선무원종 2등공신에 책록하였다. 이후 호남절의록에 수록되었고, 1862년(철종 13년)에 향내 유림의 발의로 해남 옥천면 대산리에 대산사(삼충사)를 세워 5대조 양장공 최운해장군과 종고조 정렬공 최윤덕해남신문, 고조 근재공 최윤온과 함께 배향하였고, 노사 기정진 선생이 축문을 지어 향사하였다. = = = 운명시 = = = 해남으로 하향하다 전북 금강에서 부상부위에 탄독이 재발하였을 때 죽음을 예감하고 운명시를 남겼다. = = 가계 = = 5대조 : 최운해 종고조 : 최윤덕 고조 : 최윤온 조부 : 최세진 부 : 최환성 본인 : 최산정 배위 : 선산 김씨 계배 : 해남 윤씨 아들 : 최홍철 아들 : 최홍진 = = 연관인물 = = 선조 충장공 정운 김천일 일재 이항선생 = PeR = = 틀:베트남의 민족 = = 분류:가가와현의 도시별 출신 = = 분류:덴마크의 모험 코미디 영화 = = 야마시타 이쿠토 = 야마시타 이쿠토(: 1965년 - )는 일본의 만화가, 디자이너다. 기후현 출신. 나고야예술대학 미술학부 출신. 남성. 만화가로서 대표작은 『다크 위스퍼』가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톱을 노려라!,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신세기 에반게리온 및 전투요정 유키카제의 메카닉 디자인을 담당했다. 메카닉 묘사의 참신함과 디자인 센스에 대해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제76회 아카데미상 = 제76회 아카데미상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AMPAS)가 주최하는 상이며, 2003년 영화를 대상으로 2004년 2월 29일에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의 코닥 극장에서 시상식이 행해졌다. 사회자는 배우 빌리 크리스털이다. = = 수상 및 후보 = = 2004년 1월 27일에 캘리포니아주 비벌리힐스의 새뮤얼 골드윈 극장에서 아카데미 회장 프랭크 피어슨과 배우 시고니 위버에 의해 후보가 발표되었다.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이 11개 부문으로 최다 수상 후보작이 되었고;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가 10개 부문으로 두 번째로 많은 후보작이였다. 수상은 2004년 2월 29일 시상식에서 발표되었다. 11개 부문을 수상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은 벤허와 타이타닉과 함께 오스카 역사상 최다 수상작 타이를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11개 부분 후보에 오른 이 작품은 9개 부문을 수상하면서 오스카 역사상 단일 영화에서 상을 가장 많이 휩쓴 지지와 마지막 황제를 뛰어넘는 것이였다. 또한 이 영화는 연기 부문에서 상을 수상하지 못한체 작품상을 수상한 10번째 작품이 되었다. 감독상 후보 소피아 코폴라는 이 부분의 후보에 오른 첫 미국 여성이자 여성으로서는 세 번째 인물이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와 할아버지 카민의 이전의 수상덕으로 그녀의 각본상 수상으로 오스카 역사상 3대가 오스카상을 수상한 2번째 경우가 되었다. 13세의 나이에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키샤 캐슬휴스는 2013년에 9세의 나이에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쿼벤저네이 월리스가 뛰어넘을때까지 역대 가장 어린 여우주연상 후보였다. 숀 펜과 팀 로빈스의 각 남우주연상과 남우조연상 수상으로 미스틱 리버는 남자 부분 연기상을 모두 수상한 네 번째 영화가 되었다. = = = 수상 = = = 수상자는 굵은 글씨 표시를 해놓았다. 작품상 감독상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제작자 배리 M. 오스본, 피터 잭슨, 프랜 월시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제작자 로스 카츠, 소피아 코폴라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제작자 새뮤얼 골드윈 주니어, 던컨 헨더슨, 피터 위어 《미스틱 리버》 – 제작자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디 C. 호이트, 로버트 로렌츠 《씨비스킷》 – 제작자 케이틀린 케네디, 프랭크 마셜, 게리 로스 피터 잭슨 –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페르난두 메이렐리스 – 《시티 오브 갓》 소피아 코폴라 –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피터 위어 –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클린트 이스트우드 – 《미스틱 리버》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숀 펜 – 《미스틱 리버》 - 지미 마컴 조니 뎁 –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잭 스패로 선장 벤 킹슬리 – 《모래와 안개의 집》 - 마수드 아미르 베라니 주드 로 – 《콜드 마운틴》 - W. P. 잉먼 빌 머리 –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밥 해리스 샤를리즈 테론 – 《몬스터》 - 마거릿 "매기" 피츠제럴드 키샤 캐슬휴스 – 《웨일 라이더》 - 파이케아 아피라나 다이앤 키튼 –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 - 에리카 베리 사만다 모튼 – 《천사의 아이들》 - 세라 설리번 나오미 와츠 – 《21 그램》 - 크리스티나 "크리스" 윌리엄스펙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팀 로빈스 – 《미스틱 리버》 - 데이브 보일 앨릭 볼드윈 – 《러브 인 카지노》 - 쉘리 캐플로 베니치오 델 토로 – 《21 그램》 - 잭 조던 자이먼 혼수 – 《천사의 아이들》 - 머테이오 쿠에메이 와타나베 켄 – 《라스트 사무라이》 - 가츠모토 모리츠구 르네 젤위거 – 《콜드 마운틴》 - 루비 츄스 쇼레 아그다슐루 – 《모래와 안개의 집》 - 나데레 베라니 패트리샤 클락슨 – 《에이프릴의 특별한 만찬》 - 조이 번스 마샤 게이 하든 – 《미스틱 리버》 - 셀레스트 보일 홀리 헌터 – 《13살의 반란》 - 멜라니 프리랜드 각본상 각색상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소피아 코폴라 《더티 프리티 씽》 – 스티븐 나이트 《니모를 찾아서》 – 앤드루 스탠튼, 밥 피터슨, 데이비드 레이놀즈 《천사의 아이들》 – 짐 쉐리던, 나오미 쉐리던, 커스틴 쉐리던 《야만적 침략》 – 드니 아르캉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피터 잭슨, 프랜 월시, 필리파 보옌스 - J. R. R. 톨킨의 저서 《아메리칸 스플렌더》 – 샤리 스프링어 버먼, 로버트 풀치니 - 하비 피카의 만화 잡지 《아메리칸 스플렌더》와 하비 피카, 조이스 브래브너의 그래픽 노블 《Our Cancer Year》 《시티 오브 갓》 – 브라울리우 만토바니 - 파울루 린스의 동명의 소설 《미스틱 리버》 – 브라이언 헬걸런드 - 데니스 러헤인의 동명의 소설 《씨비스킷》 – 게리 로스 - 로라 힐렌브랜드의 소설 《시비스킷》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외국어 영화상 《니모를 찾아서》 – 앤드루 스탠튼 《브라더 베어》 – 애런 블레이즈, 로버트 워커 《벨빌의 세 쌍둥이》 – 실뱅 쇼메 《야만적 침략》 (캐나다) - 드니 아르캉 (프랑스어) 《와일드 영》 (스웨덴) - 미카엘 호프스트룀 (스웨덴어) 《황혼의 사무라이》 (일본) - 야마다 요지 (일본어) 《쌍둥이 자매》 (네덜란드) - 벤 솜보하르트 (네덜란드어) 《Želary》 (체코) - 온드르제이 트로얀 (체코어)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전쟁의 안개》 – 에럴 모리스, 마이클 윌리엄스 《발세로스》 - 카를로스 보쉬, 조지프 마리아 도메네크 《프리드먼가 사람들 포착하기》 — 앤드루 재러키, 마크 스멀링 《나의 설계자 - 아들의 여행》 — 너대니얼 칸, 수잔 로즈 베어 《웨더 언더그라운드》 — 샘 그린, 빌 시걸 《체르노빌하트》 – 메리앤 드리오 《어사일럼》 – 샌디 맥러드, 지니 리티커 《페리 테일즈》 – 카티야 에슨 단편 영화상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두 병사》 – 애런 슈나이더, 앤드루 J. 색스 《Die Rote Jacke (The Red Jacket) 》 – 플로리안 박스마이어 《모스트》 – 바비 개러비디언, 윌리엄 재브카 《스쿼쉬》 – 리오넬 발리우 《(A) Torzija [(A) Torsion] 》 – 스테판 아르세니예비치 《하비 크럼펫》 – 애덤 엘리엇 《점프》 – 버드 러키 《데스티노》 – 도메니크 몽페리, 로이 에드워드 디즈니 《스크랫 미싱 어드벤쳐》 – 카를루스 사우다냐, 존 C. 던킨 《Nibbles》 – 크리스토퍼 힌튼 음악상 주제가상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하워드 쇼어 《빅 피쉬》 – 대니 앨프먼 《콜드 마운틴》 – 가브리엘 야레드 《모래와 안개의 집》 – 제임스 호너 《니모를 찾아서》 – 토머스 뉴먼 "Into the West"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프랜 월시, 하워드 쇼어, 애니 레녹스 "A Kiss at the End of the Rainbow" (《마이티 윈드》) – 마이클 매킨, 아네트 오툴 "You Will Be My Ain True Love" (《콜드 마운틴]》) – 스팅 "Scarlet Tide" (《콜드 마운틴]》) – T 본 버넷, 엘비스 코스텔로 "Belleville Rendez-vous" (《벨빌의 세 쌍둥이》) – 브누아 샤레스트, 실뱅 쇼메 음향편집상 음향효과상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리처드 킹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크리스토퍼 보이어스, 조지 워터스 2세 《니모를 찾아서》 – 게리 리드스트롬, 마이클 실버스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크리스토퍼 보이어스, 마이클 세마닉, 마이클 헤지스, 헤먼드 픽 《라스트 사무라이》 – 앤디 넬슨, 애나 벨머, 제프 웩슬러 《씨비스킷》 – 앤디 넬슨, 애나 벨머, 토드 A. 메이틀런드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크리스토퍼 보이어스, 데이비드 파커, 데이비드 E. 캠벨, 리 오를로프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폴 메이지, 더그 헴필, 아트 로체스터 미술상 촬영상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아트 디렉션:그랜트 메이저; 세트 데코레이션:댄 헤나, 앨런 리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 아트 디렉션:벤 판 오스; 세트 데코레이션:세실 하이드먼 《씨비스킷》 – 아트 디렉션:제닌 오프월; 세트 데코레이션:레슬리 포프 《라스트 사무라이》 – 아트 디렉션:릴리 킬버트; 세트 데코레이션:그레첸 라우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아트 디렉션:윌리엄 샌델; 세트 데코레이션:로버트 굴드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러셀 보이드 《시티 오브 갓》 – 세사르 차를로네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 에두아르두 세하 《씨비스킷》 – 존 슈워츠먼 《콜드 마운틴》 – 존 실 분장상 의상상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리처드 테일러, 피터 킹'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비 닐, 마틴 새뮤얼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에두아드 헨리케스 3세, 욜란다 투싱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엔길라 딕슨, 리처드 테일러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 딘 판 스트랄런 《씨비스킷》 – 주디애나 마코브스키 《라스트 사무라이》 – 엔길라 딕슨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웬디 스티테스 편집상 시각효과상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제이미 셀커크 《시티 오브 갓》 – 다니에우 헤젠지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리 스미스 《콜드 마운틴》 – 월터 머치 《씨비스킷》 – 윌리엄 골든버그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짐 리지엘, 랜돌 윌리엄 쿡, 앨릭스 펑크, 조 레터리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 댄 서딕, 스테펜 팽마이어, 네이선 맥기네스, 로버트 스트롬버그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존 크놀, 할 히켈, 찰스 깁슨, 테리 프레이지 = = = 아카데미 공로상 = = = 블레이크 에드워즈 - 각본, 연출, 제작 관련 영화 산업 분야에 기여를 인정하여 시상됨. = 프리츠 발터 = 프리드리히 "프리츠" 발터(, 1920년 10월 31일 ~ 2002년 6월 17일)는 독일의 전직 축구 선수이다. 동생은 비슷한 시기에 서독 대표로 활약한 오트마어 발터이다.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공수 부대에 징집되었다가 소련군 포로로 잡힌 뒤 간신히 풀려났다.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서독 대표팀의 주장으로 활약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고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도 서독 대표로 출전하였지만 이 대회에서 심각한 부상을 당해 대표팀에서 은퇴하였다. 1937년부터 1959년까지 줄곧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만 선수 생활을 하였고 2002년 그가 사망한 이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은 그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홈구장 명칭을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Fritz Walter Stadion)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 박철진 (축구 선수) = 박철진(朴哲鎭, 1985년 9월 5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이다. 압록강체육단 소속이며, 포지션은 중앙 수비수이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조별 예선 3경기에 출전하였다. = 카일 앨런 (배우) = 카일 해밀턴 앨런(, 1994년 10월 10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아주 작고 완벽한 것들의 지도 (2021)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2021) 로잘린 (2022) 지상 최대 맥주배달 작전 (2022)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2023) - 맥심 제러드 역 = = = 텔레비전 = = =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종말 (2018) = 분류:교육철학 = = 태풍 네파탁 (2016년) = 태풍 네파탁(태풍 번호: 1601, JTWC 지정 번호: 02W최대풍속이 13 m/s (25 kt)를 넘는 열대저기압에 붙여지는 번호로, 일본 기상청과는 해석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번호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국제명: NEPARTAK,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Butchoy)은 2016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첫 번째 태풍으로, 대만과 중국 남동해안에 큰 피해를 준 태풍이다. 네파탁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의미는 유명한 전사의 이름이다. = = 태풍의 진행 = = 7월 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330 km(남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쪽 약 53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해서 7월 6일 오후 4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76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 최대풍속 59 m/s, 강풍 반경 440 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최성기 세력을 2일 가까이 유지했고, 7월 8일 오전 6시 50분경에 최성기 세력에서 조금 약화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대만 타이둥 현 타이마리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뒤 급약화되었고, 7월 9일 오후 3시에 중국 푸저우 남남서쪽 약 160 km 부근 육상에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1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재상륙한 뒤에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9일 오후 9시에 중국 푸저우 서남서쪽 약 160 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0일 오전 3시에 중국 푸저우 서쪽 약 250 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7월 8일 오전에 태풍 네파탁이 대만에 상륙할 때 대만 타이둥 현에서 순간최대풍속 71.3m/s를 기록하였다. = = 피해 = = 이 태풍은 중화민국에 엄청난 피해를 주었다. = 분류: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령군의회 = 다음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고령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고령군의회는 지역구의원 6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고령군 가선거구 고령읍, 덕곡면, 운수면, 쌍림면 3 고령군 나선거구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3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고령군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무투표 당선이 결정되었다.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새누리당 1 김경애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새누리당 5 1 6 무소속 1 - 1 = 시르쿠 = 아사드 앗 딘 시르쿠 빈 사디 (1169년 죽음)은 장기 왕조의 중요한 이슬람 장군으로 유명한 살라흐 앗 딘의 삼촌이다. 시르쿠라는 이름은 페르시아어 شیرکوه 로 그 뜻은 "산 위의 사자"라는 뜻이다. = = 생애 = = 시르쿠의 가문은 원래 아르메니아의 쿠르드 일족이다. 그는 쿠르드족 족장인 샤디 이빈 마르완의 아들로 아이유브 왕조의 시조가 되는 살라흐 앗 딘의 아버지 나짐 앗 딘 아이유브의 동생이다. 시르쿠의 집안은 쿠르드 왕조인 사다디드 왕조와 깊은 관계에 있었는데 1130년 사다디드 왕조가 폐위되고 바그다드를 거쳐 티그리트로 옮겨갈 때 시르쿠의 집안도 함께 옮겨갔고 얼마후 아이유브는 티그리트 지방의 태수가 되었다. 시르쿠는 다혈질에 괄괄한 성격으로 1138년 티그리트에서 한 기독교인을 죽였는데 이때 아이유브와 시르쿠는 망명길에 올라 장기의 군대에 합류했고 줄곧 장기의 부하로 있었다. (이 무렵 나중에 유명한 살라딘이 되는 조카 유수프가 태어났다.) 장기가 죽자 시르쿠는 장기의 아들 누르 앗 딘을 주군으로 모시면서 누르 앗 딘이 모술에서 장기의 뒤를 잇는 것을 도왔다. 시르쿠는 홈스를 하사받았고 아이유브는 바알벡과 나중에 다마스쿠스의 영주가 되었다. 두 형제는 1154년 누르 앗 딘이 다마스쿠스를 접수할 때 다마스쿠스의 항복자들과의 협상에 참여하였다. 1163년 시르쿠는 누르 앗 딘의 명을 받고 당시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와지르 샤와르와 디르감의 내분에 개입하기 위해 이집트로 출병하였다. 이때 조카 살라흐 앗 딘도 참모로 삼촌을 수행했다. 샤와르는 시르쿠의 시리아 군대를 등에 업고 이집트의 권력을 되찾았으나 점차 시르쿠에게 적대적으로 나왔고 결국 예루살렘 왕국의 프랑크족 왕 아모리 1세와 동맹을 맺고 빌베이스에서 시르쿠를 공격했다. 이에 대한 반격으로 누르 앗 딘은 십자군 국가를 공격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의 대부분을 장악했고 시르쿠는 다시 시리아로 철군할 수 있었다. 시르쿠는 이집트에 대한 군사행동을 계속 주장하였고 마침내 1167년 다시 이집트로 원정을 떠났다. 시르쿠가 이끄는 시리아군은 순식간에 이집트로 진군하여 알렉산드리아를 장악했다. 샤와르는 다시한번 예루살렘의 아모리와 동맹을 맺고 함께 알렉산드리아의 시르쿠를 포위하고 결국 시르쿠는 철군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아모리가 비잔티움 제국과 연합하여 이집트 전체를 자신의 수중으로 두려는 계획을 꾸미고 카이로를 포위하자 샤와르는 다시한번 시리아의 술탄 누르 앗 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누르 앗 딘은 시르쿠에게 다시한번 이집트에 출병을 명령했고 이때 한사코 이집트로 가길 거부하는 살라흐 앗 딘도 함께 가도록 했다. 1169년 1월 시르쿠는 아모리가 퇴각한 이후 카이로에 입성하여 이미 신망을 잃은 와지르 샤와르를 처형하고 파티마의 칼리파로부터 와지르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와지르가 되어 이집트의 전권을 장악한 지 불과 두 달 후인 3월 23일 시르쿠는 갑자기 호흡곤란으로 죽고 말았다. 이집트의 와지르 자리는 조카 살라흐 앗 딘에게 돌아갔다. = WHERE (SQL) = SQL에서 WHERE 구문은 SQL 데이터 조작 언어(DML)가 특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행(row)에만 영향을 미치도록 지정한다. 기준은 구문의 형태로 표현된다. WHERE 구문은 SQL DML에서 의무 사항이 아니라, SQL DML 구문 또는 쿼리에 의해 반환된 결과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열의 수를 제한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 = 개요 = = WHERE는 SQL 예약어이다. WHERE 구문은 SQL DML 구문의 한정에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를 가진다. SQL-DML-Statement FROM table_name WHERE predicate WHERE 구문이 참인 한정어에 모든 열이 SQL DML 구문이나 질의어에 영향을 받는다. (또는 결과값을 반환하거나) 한정어가 거짓 또는 미지(NULL)이라고 판단한 열은 DML 구문이나 질의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아래 질의어는 mycol이라는 컬럼 속에 자료가 100 이상일 때 mytable에서 단지 그러한 열만 반환을 한다. SELECT * FROM mytable WHERE mycol > 100 아래의 DELETE 구문은 mycol이라는 컬럼이 NULL이거나 100 값만 가질 때 mytable에서 단지 그러한 열만 제거한다. DELETE FROM mytable WHERE mycol IS NULL OR mycol = 100 SQL Where 구문을 쓰는 적절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operatorvalue = 틀:단위 변환/µm = = 분류:펜서콜라의 스포츠 = = 분류:1810년 유럽 = = 분류:아웃사이더 예술가 = = 바츨라프 탈리히 = thumb 바츨라프 탈리히(Václav Talich, 1883년 5월 28일, 크로메르지시 – 1961년 3월 16일, 베로운)는 체코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나중에는 음악 교육자였다. 그는 오늘날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지휘자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그의 많은 음반이 무수히 재발행되었다. 크로메르지에서 태어난 그는 학생 오케스트라 에서 음악 경력을 시작 했다 . 1897년부터 1903년까지 그는 프라하 음악원에서 바이올린을 공부했고, 후에 1903-04 시즌 동안 베를린 필하모닉의 악장이 되었다. 그는 상임지휘자 아르투르 니키슈에게 매료되어 지휘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라이프치히에서 니키슈에게 지휘를 공부했다. 그는 1906년 트빌리시에서 처음으로 지휘를 했으며 그의 첫 지휘직은 류블랴나에서 슬로베니아 필하모닉 과 함께였다. 그런 다음 플젠으로 가서 1912년부터 1915년까지 오페라를 지휘했다. 1915년부터 1918년까지 그는 보헤미안 사중주단 (이후 체코 사중주단으로 불림)의 비올리스트였다. 탈리히의 체코 필하모닉에서의 경력은 1918년 10월 30일 수크의 교향시 Zrání 의 초연을 지휘하면서 시작되었다. 1919년부터 1941년까지 그는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 오케스트라의 명성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오케스트라와 함께 광범위하게 여행했으며 EMI를 위해 체코 음악을 녹음했다. 동시에 그는 1926-27 시즌에 스코틀랜드 국립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였으며 1926-1936년에는 스톡홀름의 Konsertföreningen Orchestra의 수석 지휘자였다. 1935년에 그는 프라하 국립 극장의 수석 오페라 관리자로 임명되어 그곳에서 야나체크의 작품을 홍보했으며 그의 작품 중 일부는 초연했다.Holländer, Hans, "Musical Notes from Abroad: Czechoslovakia" (January 1936). The Musical Times, 77 (1115): pp. 76–78. 1944년에 그는 그 자리에서 해고되었고 국립 극장은 나치 정권에 의해 폐쇄되었다. 전쟁 후 탈리히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체포되었고 독일인과 협력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비난은 반박되었고 그는 1946년에 그의 경력을 다시 시작하여 프라하 음악원의 학생들과 함께 체코 챔버 오케스트라를 설립했다. 1948년 정권은 오케스트라를 다른 지휘자를 선택하거나 해산하라는 명령을 내렸을 때 오케스트라는 해산을 선택했다. 그 후 탈리히는 브라티슬라바에서 슬로바키아 필하모닉을 창단하여 1952년까지 지휘했다. 그는 또한 1954년 11월에 체코 필하모닉과의 마지막 공개 공연을 통해 체코 필하모닉과의 관계를 재개할 수 있었지만 1956년까지 녹음과 방송을 했다. 1957년에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최고의 영예인 국민 예술가가 되었다. 특히 드보르자크, 스메타나 및 수크와 같은 체코 작곡가에 대한 해석으로 유명한 탈리히는 또한 야나체크의 오페라를 표준 레퍼토리로 가져오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간덴 사원 = 간덴 사원( dga' ldan chos 'khor, )은 세라 사원, 드레펑 사원과 함께 티베트 3대 거루파(황교) 사원의 하나이다.「간덴」은 도솔천(兜率天, Tusita, 미륵보살이 수행하는 정토)을 의미한다. 감단사(甘丹寺) 또는 청나라 옹정제에게 영수사(永壽寺)라는 이름을 받은 적도 있다. = = 개요 = = 라싸로부터 47 km 떨어진 타크트현의 키츄강(라싸강) 남쪽의 원불산 능선 해발 4200m 남짓한 위치에 가람과 승채가 위치한다. 3대사원 중 라싸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참배자나 관광객은 가장 적다. 그렇지만 거루파의 창시자 총카파(Je Tsongkhapa)가 1409년에 스스로 건립한 사원이며 거루파의 총본산으로 정치적 권력을 가졌다. 그리고 총카파의 법좌를 계승하는 역대의 거루파 교주, 즉 간덴 트리파(Ganden Tripa)는 이 사원의 주지이다. 간덴 트리파는 티베트 불교에서 달라이 라마, 판첸 라마 다음의 권위를 가진다. 또 능선 상을 따라 자리잡은 순례로에서는 키츄강(라싸강)의 전망을 즐길 수 있다. 1959년 이후의 티베트 동란 때 달라이 라마 측의 거점이 된 적도 있고, 문화대혁명 때 철저하게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 1981년부터 복구 공사를 시작하였지만, 2008년 현재 총카파의 영탑을 납입하는 얀파첸, 간덴 사원 주지의 황금좌가 있는 세르티칸, 역대 주지의 주방 티크트칸 등이 수복되어 한 때의 위용을 어느 정도 찾았지만, 아직도 완전한 복구는 요원하다. 총카파의 영탑에 보존되고 있던 존체는 문화대혁명 때 파괴되어 흩어졌으며 재건된 영탑에 현재는 회수된 일부 유골만 납입되었다. 한편 망명한 티베트 사람들에 의해 인도의 카르나타카주에 간덴 사원이 재건되고 있다. 간덴 트리파의 임기는 전통적으로 4년이지만 달라이 라마 망명 후 14대 달라이 라마의 전 스승인 린 린포체가 종신 주지를 맡았다. 현재는 잘페르시펜이 98대째의 주지를 맡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공인한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중의 하나이다. = M6 (텔레비전 채널) = M6는 "Métropole Télévision"로 알려진 프랑스의 방송 채널이다. 이 채널이 속한 기업인 "M6 그룹"은 현재 룩셈부르크의 RTL 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2013년 8월 기준으로 11.0%의 시청률을 보유하고 있다. M6는 1986년에 개국하였다가 1987년에 폐국(프랑스 정부의 방송국 주인 변경에 의한 일)한 TV6을 대신하여 1987년 3월 1일 11시 15분에 개국하였다. 본래 개국 당시 RTL6가 될 예정이었으나 곧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 = 주요 프로그램 = = Le 12:45, Le 19:45 - 뉴스 프로그램으로 2009년 9월 6분짜리 단신 뉴스인 'le Six minutes'를 20분으로 확대 개편하면서 시작하였다. 66분(66 minutes) - 매거진 프로그램 거의 완벽한 저녁식사(Un dîner presque parfait) - 요리 프로그램 더 엑스 팩터(The X Factor) - 영국 ITV에서 방송된 동명의 음악 프로그램 포맷을 빌려 방송하고 있다. 르 블루, 경찰의 첫 걸음(Les Bleus, premiers pas dans la police) - 경찰 TV 시리즈 탑 셰프(Top Chef) : 미국 브라보에서 방송된 동명의 요리 프로그램 포맷을 빌려 방송하고 있다. 사숴 다파르(Chasseurs d'appart') - 부동산 정보 프로그램 페킨 익스프레스(Pékin Express) - 해외 여행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2012년 4월 25일~2012년 7월 11일 시즌 8에 사흘간 대한민국에 머물렀다.프랑스어 위키백과 Pékin Express : Le Passager mystère = = 자매 채널 = = 디지털 텔레비전 (지상파) : W9, 6ter, Paris Première, Gulli 디지털 텔레비전 (케이블) : Série Club(TF1과 공동소유), Téva, M6 Music, MCM, Canal J, TiJi, RFM TV, Girondins TV, M6 Boutique & Co. = 호커스 포커스 = 호커스 포커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호커스 포커스 (영화): 1993년 영화 Hocus Pocus (노래): 네덜란드의 록 그룹 포커스의 노래 HOCUS POCUS (키무라 카에라의 음반) Hocus Pocus: UFO의 음악 Hocus Pocus: 하트의 음악 = 수원화교중정소학교 = 수원화교중정소학교(水原華僑中正小學, Suwon Chinese International School)는 1946년에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화교 자녀들의 모국어 및 모국 문화 교육을 위해 설립된 외국인학교이다. 이후 국제학교로 발전되어 현재는 화교 학생 외에 대만어 및 중국어를 배우려고하는한국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하며 대지 4,000평방미터에 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완 교육부의 커리큘럼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가을 학년제로 운영된다. 초등부는 6년제로 7세에서 13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부속 유치원은 2년제로 5세에서 7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수업은 중국어 위주로 진행되며 부가적으로 영어와 한국어 과목이 편성되어 있다. = 틀:아원자입자/링크 = = 오만의 관광 = 오만의 관광업은 2000년대에 크게 성장해, 2013년의 보고서에서는 국내 최대급의 산업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18년 오만은 전 세계에서 약 420만 명의 관광객을 모았고, 이 중 89만 8000명이 아랍 국가에서 온 관광객으로 2017년 210만 명에서 대폭 증가했다. 오만에는 특히 문화관광 분야에서 다양한 관광명소가 있다. 무스카트는 2012년 미국 여행가이드 출판사 론리 플래냇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해야 할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2012년 아랍 관광의 수도로 선정되었다. = = 비자 = = 오만에 방문객은 전임자를 정하지 않으면 비자 면제국에서 온 여행에 비자를 받아야 한다. 걸프협력회의 회원국의 시민은 오만 비자를 면제 케케케케수 있다. 69개 다른 나라의 국민들은 30일 동안 비자 기간 동안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 = 통계 = = GCC 회원국을 제외하고 2013년에 오만을 방문한 여권 소지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Number of Tourists to Oman 계급 국가 번호 1 244,786 2 133,529 3 67,893 4 55,126 5 53,165 6 40,253 7 28,541 8 26,063 9 24,897 10 20,191 = = 자연 기반 활동 = = = = = 해변 활동 = = = 오만 해안에는 많은 해변이 늘어서 있고, 무스카트 서쪽과 동쪽 해안에는 리조트 호텔이 있다. 일광욕 수영 연서핑 다이빙 스노클링 보트와 워터스쿠터 서핑 비치컴 조개껍질 채취와 낚시 소풍을 포함한 활동을 할 수 있다. = = = = 카이트 서핑 = = = = 매일의 해풍 효과로 신뢰할 수 있는 문어 서핑 환경이 만들어진다. 센터는 무스카트, 알사와 디비치, 알자이바 비치, 마시라 섬에 있다. = = = 사막 사파리 = = = 와히바 백사장 및 기타 사막지대로의 낙타백과 사륜구동 여행은 인기가 높으며 때로는 버스티하우스에서의 숙박, 바비큐, 낙타 승마, 샌드보드, 베두윈 커뮤니티 방문도 포함된다. = = = 동굴 탐험 = = = 오만 산들의 석회암이 풍부한 퇴적물이 많은 곳에서 동굴을 형성하고 있다. 2008년 관광부는 최초의 동굴인 알 후타 동굴이 가동 첫 해에 7만5000명의 관광객을 모은 뒤 세계 2위의 동굴인 마주리스 알 진을 동굴로 개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와디 바니의 무칼동굴이나 애쉬 샤르키야 지방의 할리드처럼 아마추어가 접근할 수 있는 동굴도 있지만 그 외의 다른 동굴에는 상당한 노력, 훈련, 경험, 전문 시설이 필요하다. = = 역사 및 문화적 위치 = = = = = 시장 = = = 오만수크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은, 금 등 공예품과 직물을 파는 포장마차도 있다. 모든 오만의 마을에는 수크가 있고, 무스카트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루위와 무트라수크이다. = = = 박물관 = = = = = = 요새 = = = 대부분의 오만 시와 마을에는 요새가 있으며, 대부분 1624년부터 1744년 사이에 알-야르비 왕조 사이에 건설되거나 대폭 확장됐다. 그들의 목적은 사람들의 피난처이자 마을의 마지막 방어선이었다. 요새는 우물과 식료 저장 능력, 요새의 벽에서 몇 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에 있는 비밀 터널에 의하여 긴 포위를 견딜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었다. 평시에는 통치의 중심지, 교육시설 또는 커뮤니티 시설로 기능하였다. = = = 세계 유산 = = = 유네스코의 국제 유산 보존 프로그램 관리국은 오만의 문화적 중요성의 네 가지 요소를 나열한다. = = = = 바할라 요새 = = = = 중세 후기에 오만을 지배하고 아라비아 반도에서 번영 한 나바니 왕조의 요새이다. = = = = 고고학 유적지 = = = = 기원전 3천년의 정착지와 묘지의 잔해이다. 박쥐의 묘지는 초기 청동기 시대의 장례식 관습을 반영한다. = = = = 유향의 땅 = = = = 고대의 사치품이었던 프랑킨 향의 생산과 유통에는 고대 코르 로리 항과 알 발리드 항, 시술 항과 와디 도커 항구의 캐러밴 오아시스 등이 중요했다. 2006년 5개의 파라지가 새겨져 있으며, 적어도 기원전 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관개법이며, 지금도 대부분의 오만 마을이나 마을에서 중력에 의해 물을 분배하고 있다. = = 문화 행사 = = = = = 무스카트 축제 = = = 무스카트 축제는 매년 1월과 2월에 개최된다. 전통적으로 오만의 라이프 스타일, 예술, 문화의 국제 전시와 전시가 이루어지고, 서커스와 거리 시어터의 작품도 이벤트의 일부이다. = = = 살 랄라 축제 = = = 사라 축제는 걸프 만국의 다른 지역보다 시원하고 문화적, 전통적, 그리고 현대적인 예술 쇼가 있는 가족지향적인 행사인 7, 8월에 개최된다. = = = 문화 연극 프로그램 = = = 관광부는 12월부터 3월 말까지 전 세계 그룹을 주최하는 고대 알 프레이지 성과 알 모로지 극장에서 문화적 밤을 대거 열고 있다. = = 스포츠 행사 = = = = = 말과 낙타 경주 = = = 9월부터 6월에 걸쳐 오만 마술 연맹이 주최하는 마술 레이스가 다양한 도시에서 개최된다. 공공 이벤트는 세이브의 로열 축사에서 개최되어 브리더나 트레이너의 대부분은 알·카미르 알·와피 지역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장거리 낙타 경주는 특별히 만들어진 경마장으로, 보통 공휴일이나 국경절 축하용으로 치러진다. 경마와 마찬가지로 낙타경주는 OEF에 의해 수배되고 있지만, 지방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레이스를 개최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 = = 두바이-무스카트 연안 항해 경주 = = = 두바이 무스카트 레가타는 매년 1월에 개최된다. 출전한 배는 두바이를 출항해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 뒤 무스카트로 향해 반다르 알 로다 마리나에서 끝난다. = = = 신바드 클래식 = = = 심해어업 국제대회인 심배드 클래식은 IGFA 세계 선수권 예선 중 하나로 매년 4월에 개최된다. = = = 오만 어드벤처 = = = 매년 11월에 개최되는 5일간의 내구 레이스에서 각 팀은 주자와 사이클리스트로 구성되어 식량, 물, 기타 물자의 준비와 조정을 관리해야 한다. = = = 오만 국제 집회 = = = 오만 국제 랠리는 매년 3월에 개최되는 중동 랠리 선수권 대회 중 하나다. = = = 비디야 도전 = = = 샤르 키야 지역의 비디 야에서 매년 2월에 열리는 모래 언덕 규모 경주이다. = = = 오만 투어 = = = UCI 아시아 투어의 일환으로서 2010년부터 오만에서 개최되고 있는 매년 항례의 프로 로드 레이스. 오만에서 사이클링을 스포츠로서 촉진해, 오만을 매력적인 관광지로 세계의 무대에 세워 국내의 무역이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조항 = = 오만은 가장 인기있는 새로운 목적지로 빛난다 오만의 깨끗한 아름다움에 대한 영국 언론 샤워 칭찬 오만 발견 : 하나의 땅, 하나의 숨막히는 여행 정통 아라비아 오만 초보자 가이드 무스카트, 12 월 세계 불꽃 놀이 대회 개최 = 분류:NMB48의 음반 = = 플래그스태프 = 플래그스태프(Flagstaff)는 애리조나주의 도시로, 인구는 60,611명이다. = 김경구 = 김경구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김경구(金景球)는 조선 후기의 의관이자 화가이다. 김경구(金烱久, 1907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다. = 분류:사우스티퍼레리주 = = 제58회 아카데미상 = 제58회 아카데미상은 1986년 3월 24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LA 도로시 챈들러 파빌리온에서 개최되었으며 사회자는 앨런 알다, 제인 폰다, 로빈 윌리엄스이다. = = 후보 및 수상 = = = = = 작품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시드니 폴락 수상 컬러 퍼플 - 스티븐 스필버그 거미 여인의 키스 - David Weisman 프리찌스 오너 - 존 포먼 위트니스 - Edward S. Feldman = = = 남우주연상 = = = 거미 여인의 키스 - 윌리암 허트 수상 머피의 로맨스 - 제임스 가너 프리찌스 오너 - 잭 니콜슨 폭주 기관차 - 존 보이트 위트니스 - 해리슨 포드 = = = 여우주연상 = = = 바운티풀 가는 길 - 제라르딘 페이지 수상 신의 아그네스 - 앤 밴크로프트 컬러 퍼플 - 우피 골드버그 아웃 오브 아프리카 - 메릴 스트립 스위트 드림 - 제시카 랭 = = = 남우조연상 = = = 코쿤 - 돈 아메체 수상 톱니 바퀴의 칼날 - 로버트 로지아 아웃 오브 아프리카 - 클라우스 마리아 브랜도어 프리찌스 오너 - 윌리엄 힉키 폭주 기관차 - 에릭 로버츠 = = = 여우조연상 = = = 프리찌스 오너 - 안젤리카 휴스턴 수상 신의 아그네스 - 멕 틸리 컬러 퍼플 - 마가렛 에이버리 컬러 퍼플 - 오프라 윈프리 인생이여 다시 한번 - 에이미 메디건 = = = 감독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시드니 폴락 수상 거미 여인의 키스 - 헥터 바벤코 프리찌스 오너 - 존 휴스턴 란 - 구로사와 아키라 위트니스 - 피터 위어 = = = 각본상 = = = 위트니스 - 얼 W. 월리스 수상 = = = 각색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커트 루드키 수상 = = = 촬영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데이비드 웟킨 수상 = = = 편집상 = = = 위트니스 - 톰 노블 수상 = = = 미술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스티븐 B. 그림스 수상 = = = 의상상 = = = 란 - 와다 에미 수상 = = = 분장상 = = = 마스크 - 월리 웨스트모어 수상 = = = 음악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존 배리 수상 = = = 주제가상 = = = 백야 - Lionel Richie 수상 = = = 음향편집상 = = = 백 투 더 퓨쳐 - Campbell 수상 = = = 음향믹싱상 = =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Chris Jenkins 수상 = = = 시각효과상 = = = 코쿤 - 켄 랄스톤 수상 = = = 외국어영화상 = = = 오피셜 스토리 - 루이스 푸엔조 수상 = = = 단편영화상 = = = Anna & Bella - Cilia Van Dijk 수상 Molly's Pilgrim - Jeff Brown 수상 = = = 장편다큐멘터리상 = = = Broken Rainbow - Maria Florio 수상 = = = 단편다큐멘터리상 = = = Witness to War: Dr. Charlie Clements - David Goodman 수상 = = = 공로상 = = = 폴 뉴먼 수상 알렉스 노스 수상 = = = 진 허숄트 박애상 = = = Charles 'Buddy' Rogers 수상 표창메달John H. Whitney Sr. 수상 = 분류:안도라의 바이애슬론 선수 =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선수 = 아마소나스주 (페루) = 아마소나스주는 페루 북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차차포야스이며 면적은 39,249.13km2, 인구는 443,025명(2004년 기준)이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에콰도르와 국경을 접하며 서쪽으로는 카하마르카 주, 남쪽으로는 라리베르타드 주, 동쪽으로는 로레토 주, 산마르틴 주와 접한다. 7개 군과 83개 구를 관할한다. = 분류:캐나다의 유도 = = 그란디스 = 그란디스(Grandis)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세계로, 메이플 월드와는 다른 스토리의 중심이 되는 세계이다. 메이플 월드와 달리, 그란디스는 여러 천체들이 군체로 묶인 형태로, 하나의 거대한 행성 주위를 여러 위성이 도는 형태다. = = 위성 = = = = = 노바족의 위성 = = = = = = = 판테온 = = = = 노바족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으로, 카이저와 엔젤릭버스터의 육성이 시작되는 곳이다. 과거에는 노바의 대신전이 있었으나, 매그너스의 배신으로 헬리시움이 함락당하여, 생존한 노바족 대부분이 피난해 정착했다. = = = = 헬리시움 = = = = 노바족의 옛 수도이다. 매그너스의 배신으로 성물의 보호막이 사라지고 선대 카이저가 사망한 이후 매그너스와의 전투 끝에 탈환에 성공하였으나, 현재는 제른 다르모어 군단이 자리잡고 있다. = = = 미우미우 = = = = = = 새비지 터미널 = = = = = = = 아쉴롬 = = = = = = = = 툴렌시티 = = = = = = = 청운골 = = = 동양풍의 분위기를 지닌 서쪽 위성으로, 호영의 육성이 시작되는 곳이다. = = = 리스토니아 = = = = = = 나린 = = = = = 대륙 = = 에리모스를 제외한 그란디스 대륙의 모든 지역에서는 어센틱포스가 필요하다. = = = 세르니움 = = = = = = = 하이마운틴 = = = = = = = 호텔 아르크스 = = = = = = = 카로테 = = = = = = = 오디움 = = = = = = 도원경 = = = = = = 아르테리아 = = = = = = 카르시온 = = = = = = 에리모스 = = = 인도와 중동 지역을 모티브로 한 지역으로, 칼리의 홈타운이다. 그란디스 대륙의 다른 지역과 달리, 어센틱포스를 요구하지 않는다. = 블라디미르 로마노프 = 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 1947년 6월 15일 ~ )는 러시아와 리투아니아의 기업인이자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의 구단주이다. = = 생애 = = 소련 트베리주 출생으로 리투아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1980년대부터 돈을 모으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리투아니아 최초의 민간 은행을 설립하였고, 민간 투자 그룹 UBIG를 통해 알류미늄, 직물 및 TV 등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벨라루스, 러시아 등에 수출하며 260만 파운드의 재산을 모았다. 2004년 ~ 2005년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를 인수해 구단주가 돠었고, 2009년 3월 12일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분류:대구 중구 = = 어롤디스 채프먼 = 알베르틴 아롤디스 채프먼 데라크루스(, 1988년 2월 28일 ~ )는 쿠바 태생의 미국 야구 선수이다. 좌투좌타로 포지션은 투수이다. 현재 메이저 리그 텍사스 레인저스의 선수이다.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지 않는 세계 3대 투수 중 한 명이라고 불리었으며, WBC 2009 쿠바 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2009년 7월에 망명 신청을 하여 쿠바를 탈출, 이듬해인 2010년 1월 11일에 신시내티 레즈와 6년 계약을 맺고 마이너 리그에서 기량을 다졌다. 2010년 9월 1일 첫 MLB 데뷔를 하였으며 103마일의 광속구를 뿌리며 타자들을 돌려세워 홈팬들을 열광시켰다. 다음날인 9월 2일 MLB 첫승을 신고하였다. 2011년 4월 19일(한국 시각)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와의 경기에 9회 구원등판, 상대 타자 앤드루 매커친에게 106마일의 속구를 기록(최고구속 106마일(약 170km))했다. = = 통산 투수 기록 = = 연도 소속 나이 승리 패전 승률 평자책 출장 선발 완투 완봉 세이브 홀드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4 탈삼진 몸맞 보크 폭투 실점 자책 타자수 WHIP 2010 CIN 22 2 2 .500 2.03 15 0 0 0 0 4 13.1 9 0 5 0 19 0 0 2 4 3 51 1.050 2011 CIN 23 4 1 .800 3.60 54 0 0 0 1 13 50.0 24 2 41 0 71 2 0 4 21 20 207 1.300 2012 CIN 24 5 5 .500 1.51 68 0 0 0 38 6 71.2 35 4 23 0 122 4 0 4 13 12 276 0.809 2013 CIN 25 4 5 .444 2.54 68 0 0 0 38 0 63.2 37 7 29 0 112 3 0 6 18 18 258 1.037 2014 CIN 26 0 3 .000 2.00 54 0 0 0 36 0 54.0 21 1 24 0 106 2 0 4 12 12 202 0.833 2015 CIN 27 4 4 .500 1.63 65 0 0 0 33 0 66.1 43 3 33 1 116 5 0 7 13 12 278 1.146 2016 NYY 28 3 0 1.000 2.01 31 0 0 0 20 0 31.1 20 2 8 0 44 0 1 2 8 7 120 0.894 2016 CHC 28 1 1 .500 1.01 28 0 0 0 16 0 26.2 12 0 10 0 46 0 0 6 4 3 102 0.825 16합 CHC 28 4 1 .800 1.55 59 0 0 0 36 0 58.0 32 2 18 0 90 0 1 8 12 10 222 0.862 2017 NYY 29 4 3 .571 3.22 52 0 0 0 22 1 50.1 37 3 20 2 69 3 0 5 20 18 210 1.132 2018 NYY 30 3 0 1.000 2.45 55 0 0 0 32 1 51.1 24 2 30 0 93 5 0 9 15 14 212 1.052 2019 NYY 31 3 2 .600 2.21 60 0 0 0 37 0 57.0 38 3 25 0 85 1 0 6 18 14 235 1.105 MLB 통산 : 10년 MLB 통산 : 10년 MLB 통산 : 10년 33 26 .559 2.23 550 0 0 0 273 25 535.2 300 27 248 3 883 25 1 55 146 133 2151 1.023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 안영준 (농구 선수) = 안영준(安永俊, 1995년 6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농구선수이며 포지션은 스윙맨이다. 2017-2018 시즌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 = 서울 SK 나이츠 시절 = = 2017-2018 시즌 신인드래프트에서 전체 4순위로 서울 SK 나이츠에 지명되었다. 11월 5일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와의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데뷔 첫 경기에서 7분 12초를 뛰면서, 6득점 4리바운드로 좋은 인상을 남겼다. 두번째 경기인 부산 kt 소닉붐과의 경기에서 대학동기였던 허훈과의 맞대결에서 10분 4초 7득점 2리바운드 1스틸을 기록하였다. 이후 경기들에서 팀에서 궃은일을 하면서 점차 출장시간을 늘려가고 있으며, 감독 문경은도 신인왕 지원사격에 나섰다. 2017-2018시즌 인생에 한번뿐인 신인선수상을 수상하였다. = = 에피소드 = = 허훈과 함께 팀의 주축 선수였으며, 팀에서 슈터 역할을 맡았다. 중앙대학교의 김국찬(KCC, 전체 5순위) 등과 고민을 하였지만, 부상이 있는 김국찬보다는 안영준이 좀 더 SK의 농구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여 지명하였다. = = 출신 학교 = = 서울삼광초등학교 용산중학교 경복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학사 = 앤 클라인 = 앤 클라인(Anne Klein, 1923년 8월 3일 ~ 1974년 3월 19일)은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사업가이다. 앤 클라인 앤드 컴퍼니(Anne Klein & Company)의 설립자이다. 1968년 앤 클라인 앤드 컴퍼니를 Gunther Oppenheim과 함께 공동 설립하고 10년 내에 그녀의 디자인은 미국 내 750곳 이상의 백화점과 양품점에서 판매되었다. 1974년 3월 19일 뉴욕주 뉴욕시 마운트시나이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분류:동부주 (잠비아) = = 시모 해위해 = 시모 해위해( , 1905년 12월 17일 ~ 2002년 4월 1일)는 핀란드의 군인이다. 겨울전쟁에 종군했다. 역사상 가장 많은 전과를 올린 저격수로, 3개월간 소련군 병사 최대 542명을 사살했다.Marjomaa 2004. 은밀한 저격을 위하여 망원조준경을 사용하지 않고 아이언사이트만을 사용하여 저격을 감행했으며, 이러한 특징들에 기반하여 소련군 병사들은 해위해를 '백사병(白死病, )', '하얀사신'이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 = = 가계 및 초기 생애 = = 시모 해위해는 카리알라 라우턔르비에서 여덟 명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라우턔르비의 작은 마을인 미에틸래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뒤 고향 집에서 큰형과 함께 농사를 지었다.Helsingin Reservin Sanomat 2006. 그러면서 수렵과 어로 생활을 하며 여가를 보냈다.Heiskanen 2002. 이런 사냥 경험은 시모 해위해가 독자적인 사격술을 가지고 입대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자산이 된다. 17세가 된 직후 라우턔르비 백위대에 들어갔고 여기서 사격을 배워 곧 비푸리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다. 1925년 라이볼라(, 현 로시노)에서 징병되어 이후 15개월간 복무 후 상병으로서 전역하였다. 이후 발컈르비(, 현 민추린스코예)의 제2자전거대대를 거쳐 부사관 과정을 밟고 테리요키(, 현 젤레노고르스크)의 제1자전거대대에서 근무했다. 이후 세계제일의 저격수로 유명해지는 것과 달리 저격수 훈련은 1939년에 예비역으로 소집된 중대의 직속상관인 아르네 유틸라이넨 중위가 시모 해위해를 특수 저격병에 배정하면서 처음 받았다. = = 콜라 전투 = = 시모 해위해는 겨울전쟁(1939년 11월 30일-1940년 3월 13일)이 발발하자 재입대하여 전쟁 말기 중상을 입을 때까지 종군했다. 주로 콜라 전선에서 싸웠으며, 제34보병연대 제6중대 소속으로 중대장은 아르네 유틸라이넨이었다. 콜라 전선에서 시모 해위해는 약 100일간 542명에게 사상을 입히는 전과를 올린다. 542명을 사살한 것은 단일 저격수로서는 역대 최다 사살 기록이지만, 이는 1939년 11월 30일자 핀란드 육군 문서에 기록되어있는 수치로서 공식적인 기록은 200여명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으로 알려져있기도 하다. 그는 콜라 전선에서 100일간 5일에 1번 꼴의 전투를 벌였으며, 주요 전과는 다음과 같다. 1939년 12월 22일: 22일간 138명 사살 1940년 1월 26일: 35일간 61명 사살 1940년 2월 17일: 22일간 20명 사살 1940년 3월 7일: 18일간 40명 사살 시모 해위해의 이러한 전과와 더불어 핀란드 군의 선전은 소비에트 연방이 더 이상 핀란드로 진격할 수 없도록 막았고, 전선이 고착화되던 와중 평화협정이 맺어지면서 콜라 전투는 종료되었다. = = 특징 = = 시모 해위해가 콜라 전선에서 거둔 이와 같은 성과들은 일반적인 저격수와 차별화되는 해위해만의 전술적인 특징에서 기인한다. 시모 해위해가 사용한 총은 'Pystykorva'로 알려진 모신-나강 소총 계열의 총이다. 이 총은 저격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유사시 Suomi KP/31 기관단총을 사용하였다. 시모 해위해가 일반적인 저격수와 차별화됐던 점은 별도의 스코프를 사용하지 않고 총에 달린 아이언사이트를 사용해 저격을 감행했다는 점이다. 시모 해위해가 이런 선택을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코프의 경우 겨울에 성에가 낄 수 있는데, 아이언사이트는 그럴 염려가 없음 스코프를 사용할 경우 아이언사이트를 사용할 때보다 머리를 더 들어야해서 발각될 가능성이 높음 스코프의 렌즈가 햇빛에 반사될 수 있어 들킬 수 있음 시모 해위해는 아이언사이트와 맨눈을 이용한 저격수였기에 평균적인 저격 거리가 200m를 넘지 않는 초근접 저격을 선호한 저격수였다. 이는 시모 해위해는 약 100일간 평균 저격거리 200m 정도의 초근접 저격 임무를 수행했음에도 부상을 입기 전까지 적에게 공격받지 않았다는 의미를 내포하기도 하는데, 이 같은 전과가 가능했던 것은 시모 해위해만의 은엄폐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시모 해위해가 사용한 은엄폐술은 다음과 같다. 총구 주변에 눈을 단단히 누르고 압축시켜 사격 시 눈이 흩날리지 않도록 함 저격 중 호흡 시, 입에 눈뭉치를 물어 입김이 새나가지 않도록 함 밤에만 이동하고, 해가 뜨면 발각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부동자세를 유지함 또한 160cm 정도였던 그의 신장 역시 그가 발각되지 않았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위해는 저격뿐만 아니라 발각되었을 때 기관단총을 사용하여 근접전투를 치르기도 하는 등, 단독으로 활동하는 지정사수의 임무를 수행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 = 부상 = = 임무를 수행하던 시모 해위해는 1940년 3월 6일, 소련군이 그를 잡기 위해 발사한 유탄의 파편이 턱에 명중하여 큰 부상을 입게 된다. 당시 동료들이 "얼굴의 절반이 사라졌다" 라고 말할 만큼 위턱, 아래턱, 왼쪽 뺨의 대부분이 손상된 큰 부상이었다. 당시 그가 발견된 것도 그가 유탄 파편에 맞은 이후 의식을 잃고 쓰러져 여러 시체 더미 사이에서 다리가 떨리고 있던 것을 동료 병사가 간신히 발견한 것이었다. 시모 해위해는 이 부상으로 죽음을 맞이할 뻔 했지만, 기적적으로 핀란드의 전쟁이 끝난 1940년 3월 13일에 의식을 되찾았고, 14개월간 26차례의 수술을 걸쳐 조금이나마 얼굴을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세계 2차대전 내 여러 전투에 계속 참여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복무하기를 원했지만, 당시 그가 입었던 부상이 워낙 컸던 탓에 그의 소원은 기각되었고 차후 임무에서 면제받게 된다. = = 전후 = = 시모 해위해는 전쟁이 끝난 후 많은 훈장들을 받았다. 우선 그는 자유훈장 1,2,3,4급을 수여받았는데 이 중 3,4급은 일반적으로 장교들에게만 수여되었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었다. 또한, 콜라 전투 훈장 4번을 수여받았고, 만네르헤임 십자훈장 수상대상자로 뽑히기도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검토단계에 남아있다. 그러나 이런 명예와는 반대로 그의 전후의 삶은 순탄하지는 못했다. 그는 세계 2차 대전이 끝난 후 핀란드 남동부의 작은 마을인 발키예르비에서 무스 사냥꾼이자 개 사육자로서 살아갔는데, 가끔 사냥 파티에 대통령 등의 유명인사가 오기도 했었지만 그의 콜라 전투간의 행보를 못마땅하게 여긴 일부 사람들에 의해 비난에 시달리기도 했고 때때로는 위협적인 순간을 맞이하기도 했다. 또한,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긴 했어도 그가 입은 부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흉측한 것이었고, 이로 인해 시모 해위해는 남은 여생 동안 많은 사람들 앞에 그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매우 꺼렸으며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살았다. 그의 개 사육농장은 점점 운영하기 어려운 형편이 되었고 이에 그는 농장을 팔고 고향인 루오콜라티의 아파트로 이주하였다. 그는 이곳에서 남은 여생의 대부분을 보내게 되는데, 참전 경험을 밝히지 않는 등 매우 조용하게 여생을 보냈다. 이후 잠깐동안 하미나에 위치한 참전용사 요양원에서 짧은 말년을 보낸 후 2002년 4월 1일에 9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고향인 루오콜라티에 묻혔다. = = 관련 작품 = = 시모 해위해의 경우 직접적으로 모티브가 된 경우를 제외하고도, 스코프를 쓰지 않은 저격수라는 독특한 특징으로 인해 그의 스코프를 쓰지 않는 저격특성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역시 상당히 많은 편이다. A.V.A - NPC로 등장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 - 시모 해위해 라스트 오리진 - T-8W 발키리 로드 오브 히어로즈 - 올가 파블리첸코 로베스의 완전감각 리인카네이션의 꽃잎 마탄의 사수 - 하이하 소녀전선 - 모신나강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 - 시모 종말의 발키리 - 시모 해위해 유희왕 - 백은의 스나이퍼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 하얀 사신: M44 = 미나미보소시 = 미나미보소시는 일본 지바현 남부에 있는 시이다. = = 개요 = = 2006년 3월 20일, 아와 군(安房郡)의 도미우라 정(富浦町), 도미야마 정(富山町), 미요시 촌(三芳村), 시라하마 정(白浜町), 지쿠라 정(千倉町), 마루야마 정(丸山町), 와다 정(和田町)이 통합하여 인구 약 4만 5000명의 시로서 발족했다. 행정 구역은 다테야마시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테야마 시와 같은 생활권,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원래 다테야마 시를 포함한 통합 협의를 하였으나 시 이름이나 공공 사업을 둘러싸고 협의가 결렬되면서 다테야마 시를 제외한 통합을 하게 되었다. 지바 현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태평양, 도쿄 만에 접하고 있으므로 날씨는 온난하다. 인접하는 다테야마 시, 가모가와시와 마찬가지로 여름에는 많은 해수욕장이 개설되고, 겨울에는 유채꽃, 수선화 등을 일찍이 구경할 수 있으므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온다. = = = 인접한 자치체 = = = 가모가와시 다테야마시 아와군 교난정 = = 역사 = = 2006년 3월 20일 - 아와군 도미우라 정, 도미야마 정, 미요시 촌, 시라하마 정, 지쿠라 정, 마루야마 정, 와다 정이 합병해 미나미보소 시가 성립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국도 제127호선 국도 제128호선 국도 제410호선 훗쓰 다테야마 도로 도미우라 나들목 = = = 철도 = = = 동일본 여객철도 우치보 선 = 미야노시타역 = 미야노시타역은 일본 가나가와현 아시가라시모군 하코네정에 위치한 하코네 등산 철도 철도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OH 54이다. = = 역사 = = 1919년 6월 1일: 영업 개시. = = 역 구조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역사는 2번 승강장에 있고 화장실은 1번 승강장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코네 등산 철도의 표시 간판이나 팜플렛에서는 각 역의 표고가 제시되어 있고 예전에 448m로 표기되었으나 2013년 재고 조사에서 436m로 정정되었다. = = = 타는 곳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비고 1 하코네 등산 전차 하행 고라・소운잔 방면 소운잔 방면은 고라에서 환승 2 하코네 등산 전차 상행 하코네유모토・오다와라 방면 오다와라 방면은 하코네유모토에서 환승 = = 역 주변 = = 미야노시타 온천 후지야 호텔 도가시마 온천 하코네 정 사무소 온센 출장소 미야노시타 온천 간이 우체국 미야노시타하코네 신사(하코네 신사 분사) 조우센지 = 분홍바늘꽃 = 분홍바늘꽃은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반구 전역 원산이고, 주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한국의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 = 생태 = = 줄기는 1.7미터 안팎이다. 온몸에 잔털이 있으며, 잎은 피침 모양으로 어긋난다. 꽃은 홍자색으로, 6~8월쯤 되면 줄기나 가지 끝에 큰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피는데, 각각의 꽃은 4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한편, 씨방에는 흰털이 많이 나 있다. 열매는 9~10월경에 맺고 길이는 8~10cm, 삭과로 가느다란 긴 타원형인데 익으면 4갈래로 벌어지게 된다. = = 관리 및 번식법 = = 관리법 : 직사광을 받지 않는 반그늘의 화단에 심는다. 번식법 : 10~11월에 결실하는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리고, 이듬해 봄에 새싹이 올라올 때 포기나누기를 한다. = = 사진 = = Chamerion angustifolium 7214.jpg Epilobium spp Sturm42.jpg = 테츠코코 = 테츠코코는 고전후 시대 말기 멕시코 계곡 중부에 자리잡은 아콜루아인의 민족적 도시국가(알테페틀)이다. 테츠코코는 멕시코 계곡의 텍스코코 호 동안, 아스텍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북동쪽에 위치했다. 오늘날의 멕시코 텍스코코 시와 거의 비슷한 위치이며, 그 이름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테츠코코는 아스텍 삼각동맹의 삼각축 중 한 축을 담당했다. 스페인의 멕시코 정복 당시 테츠코코는 수도 테노치티틀란에 이은 제2의 도시였다. 연구 결과 정복 이전 테츠코코의 인구는 2만 4천 명, 면적은 450 헥타르 정도로 추산되었다.Smith (2005), p. 411. 테츠코코에 거주한 민족을 테츠코카틀, 복수형으로 테츠코카으라고 불렀다. = 시적화자 = 시적화자는 대한민국의 2인조 혼성 그룹이다. 2020년 미니 앨범 [시적 허용(詩的許容)]으로 데뷔했다. = = 방송 = = THE KOLOR - 더 컬러 (2020) = = 음반 = = 시적 허용(詩的許容) (2020) 반의반 OST Part 4 (2020) 반의반 OST (2020) 수필(隨筆) (2020) 7일만 로맨스2 OST Part.2 (2021) = = 공연 = = the 청춘 콘서트 (2020) = 분류:명나라의 대동순무 = =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역 =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 역은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미야마에구에 있는 일본화물철도 무사시노 선의 역이다. = = 개요 = = 무사시노 선의 화물 전용 구간, 통칭 무사시노 남선의 유일한 중간역(신호장인 신쓰루미 신호장을 제외할 경우)으로, 터널과 터널 사이의 짧은 지상 구간에 설치된 일부 고가역이다. 섬식의 화물 승강장이 있는 외에 도합 15개선이 있다. 구내 선로 구조는 입석리역과 비슷하게 통과 본선이 남쪽 끝에 위치해 있고, 이어 시종착 열차의 착발선, 측선, 적하선과 승강장, 측선의 순으로 늘어서 있다. 주된 취급 품목은 컨테이너이며, 그 외 폐기물 취급도 가능하여, 가와사키 시의 생활 쓰레기를 운송하는 열차인 크린 가와사키 호가 1일 1왕복 운행되고 있다. = 말리의 로마 가톨릭 교구 목록 = 말리의 로마 가톨릭 교구는 1개 관구에 1개 관구장좌 대교구 와 5개 일반교구로 구성된다 = = 교구 = = = = = 바마코 관구(Province of Bamako) = = = 바마코 관구장좌 대교구( Archdiocese of Bamako ) 케스 교구(Diocese of Kayes) 몹티 교구( Diocese of Mopti) 샌 교구( Diocese of San) 세구 교구 Diocese of Ségou 시카소 교구( Diocese of Sikasso) = 박시원 (1967년) = 박시원(영문명: Park Siwon, 1967년 출생 ~ )은 대한민국의 남성 트로트 가수이다. = = 개요 = = 1987년박시원이 불후의명곡 454회에서 언급 KBS 신인 가요제에서 조용필의 <상처>를 불러 '가창상'을 수상하며 가수로 데뷔했다.KBS1 '아침마당' 요요미가 직접 언급 가수 요요미의 아버지이다. 대표곡으로 <흔들리지마>,<폐활량>,<민둥산>,<사랑을 몰랐다>가 있다. 직접 작사, 작곡도 하고,요요미가 직접 언급 주요 장르는 트로트이다. = = 생애 = = 박시원(본명 박해관)은 1967년 출생했으며, 4남 중에 둘째이다. 형제들이 가수 뺨치게 노래를 잘한다고 한다.2021년 1월 요요미의 삼촌 친구에게 들은 이야기. 박시원의 형과 동생들은 청주에 거주 중이다 학창시절부터 노래를 좋아해 고교시절 가요제에도 참가하였다. 20세 때인 1987년 KBS '신인가요제'에서 입상한 뒤, 26세에 가수로 데뷔하였다. 생계를 위해 라이브 카페를 개업하고 2002년 음반 제작사 녹음실에 투자했다가 집까지 날렸다. 앨범을 몇 개 냈으나 사기를 당하고, 일용직 및 알바 등을 하고 지인들 도움으로 다시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라이브카페를 운영했다. 이때 요요미가 중학생 시절 라이브 카페 일을 도왔다.2020.05.06 8623회 아침마당에서 언급 2019년 7월 '라이브카페 열린음악회'라는 상호로 개업을 했으나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접었다가 2020년 11월 청주 용암동에 '박시원라이브'라는 라이프 카페를 다시 열었다. 2층에 위치하고 있는데 박시원의 사진과 '요요미'라는 이름이 창문에 써있다. 청주에서 가수 및 노래교실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청주시에서 거주하다가 2020년 딸 요요미가 사는 인천광역시로 이사했다.요요미가 실시간 방송에서 언급 라이브 카페는 지금도 용암동에 있다. 2021년 3월 5일부터 유튜브 채널 '박시원 TV'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 = 데뷔 = = 26세 때인 1992년 <사모곡>을 작곡한 서승일의 곡 <꽃씨>로 데뷔하였다. = = 앨범 = = 1992년 1집 《꽃씨》(작곡:서승일) 2007.10.01. EP(미니) 《흔들리지마》발매 - <흔들리지마>, <누가 누구를>, <아직 그대를 사랑합니다>, <간이역>, <폐활량>, <체온> 2016.10.17. 싱글 《민둥산/우리 아버지/사랑을 몰랐다》발매 - <민둥산>, <우리 아버지>, <사랑을 몰랐다> 2018.04.25. 싱글 《사랑의 택배기사》발매 2020.04.08. 싱글 《부산역광장》발매 - <명자꽃>, <부산역광장> 2020.05.09 컴필레이션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2020 가족 특집) - <나는 너 좋아>(요요미와 함께) = = 수상 = = 1986년 KBS 《신인가요제》 충북대상 1987년 KBS《신인 가요제》 본상 가창상불후의명곡 454회에서 본인이 직접 언급. 요요미는 1989년이라고 말하는데 누구의 말이 맞는지 모르겠다 《선데이 뉴스》 신인가수상 《한국 나눔 봉사상》 《충북예술인총연합회》 가수부분 = = TV = = KBS 《전국노래자랑》 출연 SBS 《전국가요톱10》 출연 MBC 《우정의 무대》 출연 아이넷 TV 다수 출연 2017.01.09. 복지TV 《TOP 가요쇼》 초대가수 <민둥산>(박시원) 2017.05.19. 복지TV 《TOP 가요쇼》 초대가수 <민둥산>(박시원) 2018.08.08. KBS 1TV 《아침마당》전국 이야기 대회 <도전 꿈의 무대> - 요요미와 함께 출연 2019.08.14. 채널A 교양프로그램 《행복한 아침》게스트 - 요요미와 함께 출연 2020.11.25. KBS 1TV KBS광주 특별기회 3부작 《나랑 갈래?》 2부 요요미편 '아빠랑 엄마랑 차박 여행' = = 라디오 = = 전국 라디오 프로그램 다수 출연('강석 김혜영의 싱글벙글 쇼' 등) 2021.07.30. MBC충북 《일상을 바꾸는 라디오》 게스트, <부산역 광장> = = 인터넷 방송 = = 2021.08.23. 소셜미디어태희 《태희라이브》 '요요미아빠 가수 박시원의 인생', 게스트 = = 행사 = = 세계 태권도 축제 초대가수 강원도 주부 가요제 초대가수 추풍령 가요제 초대가수 청소년 가요제 초대가수 치악산 가요제 초대가수 청주 무심천 가요제 초대가수 2013.09.12. 《제19회 강원도 주부가요제》 1부 축하공연, 초대가수 <흔들리지마>(박시원) 2016.08.12. 초대가수 <아직도 그대를 사랑합니다>,<흔들리지마> 2017.04.09. '충청페스티벌 - 듀엣가요제' (무심천 체육공원 야외 특설무대) 초대가수 <사랑아 몰랐다>,<흔들리지마> 2017.07.21. '제11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 《개막축하 음악회》 초대가수 <사랑을 몰랐다>(박시원) 2017.08.02. 《제1회 정선 강변가요제》 초대가수 <민둥산>(박시원),<바보>(박시원) 2019.08.28. <제24회 음성청결고추축제> (음성설성공원) 초대가수 <흔들리지마>,<삼각관계>,<너 나 좋아해 나 너 좋아해>(요요미와 함께) = = 가족관계 = = 본인: 박시원 부인: 조금해 첫째: 박무동 둘째: 박연아(요요미) 셋째: 박인동 = 모범변호사업무규칙 = 미국변호사협회의 모범변호사업무규칙(ABA Model Rules of Professional Conduct)은 1983년 8월 2일에 제정되어 모범변호사책임전범을 대체하는 윤리규정이다. 약칭으로 보통 ‘the Model Rules' 즉 모범규칙이라고 한다. 규칙 자체로 구속력을 갖는 규범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나 현재 거의 모든 주에서 모범변호사업무규칙이 채택되었다. 단 캘리포니아주와 메인주는 그들 자신의 독특한 규칙을 발전시켜왔고, 뉴욕 주와 오하이오 주는 여전히 모범변호사책임전범에 의거하고 있다. = = 내용 = = 이 규칙은 변호사가 의뢰인에게 적절하게 대리하기 위해서는 법률지식과 숙련, 치밀함, 정보의 비밀보장이 필요하고 고문변호사로서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판단을 행사해야하며 공익변호활동을 통해서 무료공적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는 내용 등을 기술하고 있다. = = 구조 = = = = = 전문 = = = 변호사의 책임(A Lawyer's Responsibilities) = = = 제1조 의뢰인과 변호사와의 관계 = = = 1.0 개념정의(Terminology) 1.1 변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Competence) 1.2 대리의 범위와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행동기준(Scope of Representation and Allocation of Authority Between Client and Lawyer)) 1.3 성실의무(Diligence) 1.4 의사소통(Communication) 1.5 수임료(Fees) 1.6 정보의 비밀유지(Confidentiality of Information) 1.7 의뢰인과의 이익충돌(Conflict of Interest: Current Clients) 1.8 의뢰인과의 이익충돌에 관한 특수한 규칙(Conflict of Interest: Current Clients; specific Rules) 1.9 과거 의뢰인에 대한 의무(Duties to Former Clients) 1.10 이익충돌 전가(轉嫁)에 관한 일반원칙(Imputa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General Rule) 1.11 변호사가 전직 혹은 현직의 공무원이나 정부피용인일 때에 관한 특수 이익충돌(Special Conflicts of Interest for Former and Current Government Officers and Employees) 1.12 변호사가 전직 판사, 중재인, 조정인과 같은 지위에 있었을 경우(Former Judge, Arbitrator, Mediator or other Third-Party Neutral) 1.13 의뢰인이 조직체인 경우(Organization as Client) 1.14 능력의 흠결이 있는 의뢰인(Client with Diminished Capacity) 1.15 의뢰인 혹은 제3자 소유 재산의 보전(Safekeeping Property) 1.16 대리의 거절 혹은 종료시킴(Declining or Terminating Representation) 1.17 수임사건의 양도(Sale of Law Practice) 1.18 의뢰인으로 예견되는 자에 대한 의무(Duties to Prospective Client) = = = 제2조 변호사의 상담 = = = 2.1 조언자(Advisor) 2.2 중개인(Intermediary): 2002년 삭제 2.3 제3자 사용시의 평가(Evaluation for Use by Thied Person) 2.4 중립적 위치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변호사(Lawyer Serving as Third-Party Neutral) = = = 제3조 변호사의 대리 = = = 3.1 가치 있는 청구와 주장(Meritorious Claims and Contentions) 3.2 신속한 소송진행(Expediting Litigation) 3.3 법정에 대한 정직의무(Candor Toward the Tribunal) 3.4 반대당사자, 변호사에 대한 공정의무(Fairness to Opposing Party and Counsel) 3.5 법정에서의 불편부당성유지 및 예의준수(Impartiality and Decorum of the Tribunal) 3.6 재판의 공개(Trial Publicity) 3.7 증인으로서의 변호사(Trial Publicity) 3.8 검사의 특별의무(Special Responsibilities of a Prosecutor) 3.9 소송 외 절차에서의 대리(Advocate in Nonadjudicative Proceedings)) = = = 제4조 의뢰인 이외의 자와의 거래 = = = 4.1 제3자에 대한 진술 시의 진실의무(Truthfulness in Statements to Others) 4.2 변호사에 의해 대리된 자와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with Person Represented by Counsel) 4.3 변호사에 의해 대리되지 않는 자에 대한 행동기준(Dealing with Unrepresented Person) 4.4 제3자 권리의 존중(Respect for Rights of Third Persons) = = = 제5조 로펌과 합동법률사무소 = = = 5.1 파트너, 매니저, 감독변호사의 책임(Responsibilities of Partners, Managers, and Supervisory Lawyers) 5.2 하급변호사의 책임(Responsibilities of a Subordinate Lawyer) 5.3 사무직원에 관한 책임(Responsibilities Regarding Nonlawyer Assistants) 5.4 변호사의 직업적 독립성(Professional Independence of a Lawyer) 5.5 무자격 업무수행; 다중관할시의 업무수행(Unauthorized Practice of Law; Multijurisdictional Practice of Law) 5.6 업무수행권에 대한 제한(Restrictions on Right to Practice) 5.7 부수적 업무에 관한 책임(Responsibilities Regarding Law-Related Services) = = = 제6조 공익활동 = = = 6.1 자발적 공익변호활동업무(Voluntary Pro Bono Publico Service) 6.2 지정의 수락의무(Accepting Appointments) 6.3 법적 서비스 제공체에서의 구성원자격(Membership in Legal Services Organization) 6.4 의뢰인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법개폐운동(Law Reform Activities Affecting Client Interests) 6.5 비영리적이고 법원부속의 제한된 법적 서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의 의무(Nonprofit and Court-Annexed Limited Legal Services Programs) = = = 제7조 법적 서비스에 대한 정보 = = = 7.1 변호사 업무에 관한 공표(Communications Concerning a Lawyer's Services) 7.2 광고(Advertising) 7.3 의뢰인으로 예견되는 자와의 직접 접촉(Direct Contact with Prospective Clients) 7.4 업무분야와 전문화에 관한 공표(Communication of Fields of Practice and Specialization) 7.5 로 펌 명칭과 사용서식 상단의 인쇄문(Firm Names and Letterheads) 7.6 정부의 법적 용역이나 판사지명을 위한 정치적 기여의 금지(Political Contributions to Obtain Government Legal Engagements or Appointments by Judges) = = = 제8조 법조계의 통합성 유지 = = = 8.1 변호사협회의 입회와 징계절차에서의 의무(Bar Admissions and Disciplinary Matters) 8.2 판사와 사법공무원에 대한 접근(Judicial and Legal Officials) 8.3 직무수행 중 알게 된 금지된 행위의 보고의무(Reporting Professional Misconduct) 8.4 금지된 행위(Misconduct) 8.5 징계권을 가지는 관할; 법의 선택(Disciplinary Authority; Choice of Law) = 티무르 디비로프 = 티무르 마고메도비치 디비로프(, 1983년 7월 30일~)는 러시아의 핸드볼 선수로 포지션은 레프트윙이다. 현재 크로아티아 리그의 RK 자그레브 소속으로 뛰고 있으며, 러시아 핸드볼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분류:UE 산타콜로마 = = 그라타케카 = 그라타케카(이탈리아어:Grattachecca)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유래한 가장 유명한 디저트로 키오스크나 바에서 먹는 찬 후식이다. 달게 얼음 과자로 만들어 먹는다. 그라타케카는 고대 로마의 독재자 막시무스 때부터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당시 그는 로마에 눈을 가져오기 위해 아펜니노산맥의 테르미닐로 산에서 눈을 가져와 그 눈에 단 시럽을 얹어 빙수로 만들어 먹었다. = ECG = ECG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심전도(electrocardiogram)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Content Guide) = 펠리시티 (드라마) = 펠리시티(Felicity)는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1998년 9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방송되었다. 1999년에 케리 러셀이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 (TV 시리즈 부문)을 수상했다. = 분류:팝 음악 영화 = = 헨리 처니 = 헨리 처니(Henry Czerny, 1959년 2월 8일 ~ )는 캐나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미션 임파서블 바비를 위한 기도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 유진 키트리지 역 = = = 드라마 = = = 리벤지 폴링 스카이 = 이시바시한다이마에역 = 이시바시한다이마에역은 일본 오사카부 이케다시에 있는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의 역이다. 다카라즈카 본선과 미노오 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이 중에서 미노오 선은 당역을 시발역으로 한다(단, 미노오 선의 일부 열차는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방면으로 직통 운행한다). 역 번호는 HK-48이다. 본 역은 전 영업 열차가 정차한다. 특급 "닛세이 익스프레스"는 당역에서 이케다 방향에 대해서 한큐 선내의 통과역은 설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당역 ~ 다카라즈카역간에는 중간역을 통과하는 영업 열차의 설정이 없다. = = 역사 = = 1910년 3월 10일: 미노오아리마 전기궤도(현,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과 미노오 선의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 한큐에서 오래된 역 중 하나이다. 2013년 12월 21일: 역 번호(HK-48) 도입. = = 역 구조 = = 역 구내는 3면 5선이지만, 우메다 방향에서 미노오 선과 다카라즈카 본선이 복선 분기하여 중앙 1개의 삼각형 모양의 외짝 섬식 승강장이 있으며, 섬식 승강장 내 미노오 선의 선로도 끼어들어 가는 복잡한 구조의 지상역이다. 서쪽의 단선 승강장과 중앙의 섬식 승강장이 다카라즈카 본선을 끼고, 중앙의 섬식 승강장과 동쪽의 단선 승강장이 미노오 선을 사이에 두고 있다. 다카라즈카 본선 쪽 승강장이 1,2번 선에서 미노오 선 쪽이 3,4번 선(미노오 방면 ↔ 우메다 방면 간 직통 열차 전용 승강장)이다. 또, 중앙의 섬식 승강장의 일각을 관철하게 하는 미노오 선의 선로가 늘어져 있으며, 두단식 5번 선(미노오 선 회차 열차 전용 승강장)이다. 또한, 출퇴근 혼잡 시간에 운행되는 우메다 발착의 미노오 선 직통 열차 및 미노오 선의 열차 교환 시를 제외하고 통상은 1,2,5번 선만 사용된다. 열차 교환을 위해서 회송되는 열차는 과거에 4번 선에서 입선을 했지만, 2017년 현재 5번 선에서 하차 취급을 하고, 교환한 후에 회송으로 히라이 차고까지 운전되도록 개선되었다. 개찰구는 1번 선 우메다 방향의 서쪽 개찰구와 2,5번 선의 경계 부분에 동쪽 개찰구로 2곳이 있다. 각 승강장 사이는 지하도에서 연결된다. = = = 승강장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비고 1 다카라즈카 본선 하행 다카라즈카・기요시코진・가와니시노세구치・니가와 방면 니가와 방면은 다카라즈카 역에서 환승이 된다. 2 다카라즈카 본선 상행 오사카 (우메다)・고베・ 교토・기타센리 방면 다카라즈카 방면에서의 열차. 다만, 고베, 교토, 기타센리 방면은 모두 주소 역에서 환승이 된다. 3 미노오 선 하행 사쿠라이・마키오치・미노오 방면 우메다 방면에서의 열차 4 다카라즈카 본선 상행 오사카 (우메다)・고베・교토・기타센리 방면 미노오 방면에서의 열차 5 미노오 선 하행 사쿠라이・마키오치・미노오 방면 선 내 회차 전용 승강장 = = 역 주변 = = 본 역 주변에는 오사카 대학을 비롯한 여러 학교들과 사립 학교 스쿨 버스도 발착하어 학생들의 이용객도 많다. 또한, 이시바시 역 주변 도로 폭이 좁은데 특히 동쪽 개찰구 쪽에서는 택시 환승의 경우 교통상 매우 위험하다. 히가시구치 한큐 메밀 국수 이시바시 역 구내점 한큐 택시 이시바시 영업소 국도 제176호선 마치 카네야마 오사카 대학 도요나카 캠퍼스(문, 법, 경제, 이론, 기초 공학부 등) * 오사카 대학 종합 학술 박물관 이케다 시 이시바시 플라자(이케다 시립 도서관 분관) 니시구치 이시바시아카이바시 상가 기타오사카 신용 금고 이시바시 지점 한큐 오아시스 이시바시점 라이프 스포츠 KTV 이시바시점 긴키오사카 은행 이시바시 지점 미쓰비시도쿄UFJ은행 이케다 지점 이시바시 출장소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이케다 지점 이시바시 출장소 한큐 이시바시 버스 정류장 이케다 택시 이시바시 영업소 국도 제171호선 이케다이시바시 우체국 도요시마노 공원 이케다 시민 문화 회관(아제리아 홀) 센신 고등학교 이케다 시립 종합 스포츠 센터 오사카 부립 원예 고등학교 오사카 부립 이케다 고등학교 = 호리 나오시게 = 호리 나오시게(堀直重)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서 미노 스자카 번 초대 번주이다. 호리 가 나오시게 계 초대 당주. 산조번주 호리 나오마사의 4남. 정실은 호리 히데시게의 딸이다. 자식은 나오마스 등이 있다. 관위는 종5위하, 아와지노카미. = 서경 172도 = 서경 172도(西經172度)는 본초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172도 떨어진 경선이다.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북극해, 러시아, 태평양, 남극해, 남극을 거쳐 남극점에 이른다. 서경 172도는 동경 8도와 이어져 지구의 둘레를 이룬다. = = 지나가는 지역 = =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북극해 축치해 축치 자치구 — 축치반도 베링해 축치 자치구 아라캄체첸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축치 자치구 차플리노곶 바로 동쪽을 지나감 알래스카주 세인트로렌스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알래스카주 세인트매슈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알래스카주 시검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태평양 하와이주 레이산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캔턴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오로나 환초 바로 동쪽을 지나감 누쿠노누 환초 바로 서쪽을 지나감 사바이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우폴루섬 태평양 남극해 남극 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로스 속령 = 분류:토벌 = = 임은수 (축구 선수) = 임은수(, 1996년 4월 1일 ~ )는 현 K리그1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 분류:1756년 살인 사건 = = 분류:1918년 러시아 = = 리보솜 RNA = 리보솜 RNA(ribosomal RNA), 줄여서 rRNA는 리보솜을 구성하는 RNA이며, 세포 내 RNA의 약 80%를 차지한다. rRNA는 세포핵 속의 핵소체에서 전사된 후 단백질과 결합하여 리보솜으로 합성된다. rRNA은 세포핵의 핵공을 통해 세포질로 빠져나오며, 이후 단백질과 결합하여 리보솜으로 합성된 뒤, 단백질 합성에 참여한다. = 연환계 = 연환계(連環計)는 중국의 병법서에 언급된 병법 중 하나로, 쇠고리가 연이어 붙어 있는 연환과 같이 복수의 병법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 = 삼십육계의 기술 = = 삼십육계에서는 제35계로 등장하며, 패전계(敗戰計)에 속한다. 그 언급은 다음과 같다. = = 사용 예 = = 실제 역사는 아니지만, 삼국지연의에서 두 번 등장한다. 첫째는 왕윤(王允)이 초선(貂蟬)을 이용한 미인계(美人計)를 진행시켜, 동탁(董卓)과 그의 양자 여포(呂布)가 초선을 두고 다투는 이간계를 쓰고, 여포를 설득하여 동탁을 주살한 것이다. 둘째는 적벽대전에서, 유비(劉備)와 손권(孫権) 연합군이 쓴 것으로, 방통(龐統)이 조조(曹操)를 찾아가 배멀미에 대한 대책으로 배들을 서로 쇠사슬로 엮도록 진언하여 조조의 군선이 쉽게 움직일 수 없게 만들어 놓고, 조조가 위장투항시킨 채중(蔡中)과 채화(蔡和)를 역이용하는 반간계와 황개(黃蓋)를 위장 투항시키기 위한 고육계(苦肉計)를 사용하여, 마침내 조조의 군선에 불을 놓아 크게 무찌른 것이다. = 유트 (아이오와주) = 유트(Ute)는 솔저리버에 따라 걸쳐있는 미국 아이오와주 모노나군의 도시이다. 이 지역의 인구 수는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374명이다. = = 역사 = = 유트라는 이름의 우체국이 1876년부터 운영 중이다. 이 도시의 이름은 유트족에서 비롯되었다. = 윤집 = 윤집(尹集, 1606년 5월 16일(음력 4월 10일) 출생 ~ 1637년 5월 13일(음력 4월 19일)송시열, 송자대전 권173, 교리 증 부제학 윤 공 묘갈명; 윤선거, 노서유고 권20, 통훈대부홍문관교리지제교증통정대부홍문관부제학윤공행장 순국)은 조선 인조 시대의 문신(文臣) 겸 관료 출신이며 시조 시인 겸 수묵 서화가 등으로도 활약했던 서예가 겸 정치인 출신으로 1636년 당시의 병자호란(丙子胡亂) 시절의 3대 항쟁 열사였던 삼학사(三學士)의 일원이었다. 자(字)는 성백(成伯), 호(號)는 임계(林溪)·고산(高山)이며,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으로, 본관(本貫)은 남원(南原)이다. = = 이력 = = 병자호란 때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인조 때였던 1627년 생원이 되었고, 1631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교리로 있으면서 청과의 굴욕적인 화의를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인조가 청에 항복하자 청의 선양에 잡혀가 심한 고문을 받고, 오달제·홍익한과 함께 사형당하였다. 이들을 삼학사라고 하였다. 죽은 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 가족 관계 = = 조부 : 윤섬(尹暹, 1561 ~ 1592) 조모 : 원경심(元景諶)의 딸 원주 원씨 부친 : 윤형갑(尹衡甲, 1585 ~ 1618) 전모 : 창원 황씨(1566 ~ 1590) - 황치경(黃致敬)의 적녀 * 이복 형 : 윤계(尹棨, 1583 ~ 1636) 친모 : 창원 황씨(1578 ~ 1634) - 황치경(黃致敬)의 서녀 * 남동생 : 윤유(尹柔, 1616 ~ 1644) 장인 : 김상복(金尙宓, 1573 ~ 1652) 장모 : 이인기(李麟奇)의 딸 청해 이씨 * 부인 : 김을순(金乙順, 1605 ~ ?) ** 딸 : 윤오일(尹午一, 1627 ~ ?) ** 사위 : 파평 윤씨 윤절(尹晢, 1625 ~ 1662) *** 외손녀 : 윤순항(尹順恒, 1649 ~ ?) *** 외손자 : 윤도교(尹道敎, 1651 ~ ?) *** 외손자 : 윤덕교(尹德敎, 1654 ~ ?) *** 외손자 : 윤지교(尹智敎, 1658 ~ 1716) *** 외손자 : 윤인교(尹仁敎, 1662 ~ ?) ** 장남 : 윤이선(尹以宣, 1629 ~ ?) ** 며느리 : 조이량(曺以樑)의 딸 창녕 조씨 *** 손자 : 윤렴(尹濂) *** 손자 : 윤홍(尹泓, 1655 ~ 1731) - 윤이명(尹以明)이복 형 윤계(尹棨)의 아들의 양자로 출계 *** 손자 : 윤복(尹澓) - 3남 윤이정(尹以靖)의 양자로 출계 *** 손녀 : 홍우석(洪禹錫)의 처 *** 손녀 : 전주 이씨 이세기(李世祺)의 처 ** 차남 : 윤이징(尹以徵, 1631 ~ ?)이명 윤이담(尹以聃) ** 며느리 : 이영석(李永錫)의 딸 전주 이씨 *** 손자 : 윤수(尹洙) *** 손자 : 윤준(尹浚) - 윤이건(尹以健)남동생 윤유(尹柔)의 아들의 양자로 출계 *** 손녀 : 청주 한씨 한재화(韓載華)의 처 *** 손녀 : 벽진 이씨 이정익(李廷益)의 처 *** 손녀 : 윤구령(尹龜齡)의 처 *** 손녀 : 이구령(李九齡)의 처 ** 3남 : 윤이정(尹以靖, 1635 ~ ?) ** 며느리 : 윤명득(尹命得)의 딸 파평 윤씨 = = 관련 문화재 = = 윤집 택지 - 강화군 향토유적 제1호 = = 관련 작품 = = = = = 드라마 = = = 《대명》 (KBS, 1981년~1981년, 배우:장용) = 서경 82도 = 서경 82도(西經82度)는 본초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82도 떨어진 경선이다.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북극해, 북아메리카, 대서양, 남아메리카, 태평양, 남극해, 남극을 거쳐 남극점에 이른다. 서경 82도는 동경 98도와 이어져 지구의 둘레를 이룬다. = = 지나가는 지역 = =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서경 82도선은 다음 지역을 지나간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북극해 누나부트 준주 — 엘즈미어섬 존스 해협 누나부트 준주 — 데번섬 랭커스터 해협 누나부트 준주 — 배핀섬 폭스만 누나부트 준주 — 멜빌반도(본토) 폭스만 누나부트 준주 — 사우샘프턴섬 이번스 해협 누나부트 준주 — 코츠섬 허드슨만 제임스만 누나부트 준주 — 아키미스키섬 제임스만 온타리오주 — 본토와 매니톨린섬 휴런호 온타리오주 이리호 오하이오주 웨스트버지니아주 — 부터 켄터키주 — 부터 약 2 km 버지니아주 — 부터 테네시주 — 부터 노스캐롤라이나주 — 부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부터 조지아주 — 플로리다주 — 부터 멕시코만 플로리다주 보카그랜드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카리브해 카나레오스 군도 카리브해 치리퀴만 태평양 코이바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남극해 남극 가 영유권을 주장함. = 홋카이도 지진 = = = 일본 기상청이 명명한 지진 = = 네무로반도 해역 지진 쿠시로 해역 지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홋카이도 동쪽 해역 지진 도카치 해역 지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 기타 지진 = = 데시카가 지진 이투루프섬 해역 지진 시코탄섬 해역 지진 도카치 지방 남부 지진 = 가마타정 = 가마타정은 도쿄부 에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현재의 도쿄도 오타구 중부에 해당한다. = 분류:평화주의자 = = 분류:세종특별자치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뉴질랜드 피부병학회 = 뉴질랜드 피부병학회(뉴질랜드 皮膚病學會, New Zealand Dermatological Society)는 "DermNet"이라는 홈페이지 때문에 뉴질랜드 외부에 가장 많이 알려진 의학 기관으로, DermNet은 많은 피부 상태에 대한 사진과 설명을 제공한다. 이 웹사이트는 1996년에 시작되었다.PMID 12855043 이는 왕립 오스트랄라시안 내과 대학(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Physicians)의 회원이다. = 남고사지 = 남고사지(南固寺址)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에 있는 절 터이다. 1985년 8월 16일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7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터는 신라 문무왕 8년(668)에 명덕(明德) 스님이 세웠다고 하는 남고연국사(南固燕國寺)가 있던 자리이다. 「연국(燕國)」은 나라를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산성 지역에 자리잡은 절에 많이 사용되던 명칭이다. 조선 후기부터는 남고사로 불리었는데, 이 절의 승려들이 「남고산성」을 지키는데 한 몫을 담당했다. 옛 남고사 터는 현재의 남고사 대웅전 서쪽 전방의 건물이 있는 곳이다. 현재 남고사 건물은 약 100여 년 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1979년에 대웅전 등을 다시 지어 지금의 절 모습을 갖추었다. = 분류:로리 갤러거의 음반 = = 데이비드 코레시 = 데이비드 코레시(, , 1959년 8월 17일 – 1993년 4월 19일)는 미국의 종교인이자, 범죄자로, 다윗교라는 광신적 종교집단의 교주였다. 본명은 버넌 웨인 하월(Vernon Wayne Howell)이었으나 1990년 5월 15일 이스라엘의 왕 다윗과 유대인을 바빌로니아로부터 해방시킨 페르시아의 왕 키루스 2세의 이름을 조합하여 데이비드 코레시로 개명했다. 종말론에 심취하여 재림 예수를 자칭하며 아마게돈에 대비한다며 텍사스주의 웨이코의 다윗파 본부에 수많은 총기와 탄약을 비축하였다. 1993년 2월 28일, ATF의 압수 수색이 총격전으로 이어지면서 51일 동안 대치하다가 건물에 발생한 화재로 데이비드 코레시를 비롯한 성인 55명과 28명의 아이가 사망하는 참사를 일으켰다. (웨이코 사태) 이 사건으로 미국 기독교 원리주의자 및 백인 극우 집단이 연방 정부에 대한 깊은 반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대표적으로 티머시 맥베이는 이 사건에 대한 개인적 보복의 일환으로 웨이코 사태 2주년인 1995년 4월 19일에 오클라호마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 제17지역지원단 = 제17지역지원단은 가나가와현 자마시의 캠프 자마에 본부를 두고 주일 미군을 지원하던 미국 육군의 단급 지원부대였다. 표어는 "" = = 역사 = = USAG 혼슈(=USAG-H)가 1986년 1월 16일에 임시 제9지역지원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74년 6월 30일에 임시 상태에서 벗어나고 풀리고 서수가 바뀌어 주일 미국 육군의 3개 예하사령부 중의 하나인 제17지역지원단이 되었다. 1994년 12월 9일에 제9전구지원사령부가 재소집되자, 제10지역지원단과 같이 재배속되었다. 시설 관리 기능이 시설관리국으로 통합되고, 2002년 10얼 16일에 제17지역지원단은 해산하고, 제35지원근무, 83병기대대는 제10지역지원단에 전속하였다. 혼슈지역의 시설을 관리할 부대로서 USAG-H가 재창설되었다. USAG-H는 시설관리국에서 시설관리사령부으로 바뀌었을 때, 태평양 지역대에 배치되었다. = = 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제35지원근무대대 제78항공대대 (임시) 제83병기대대 제25총무중대 (우정) = = 관리 = = = = = 기관 = = = 운송국() 산업운영국() = = = 시설 = = = 캠프 자마 사가미 종합 보급창 - 사가미하라시 아키즈키 탄약창 - 히로시마현 구레시 요코스카 북부 도크 - 요코스카시 = = 계보 = = 1986년 1월 16일, *: 1974년 6월 30일, *: = 정동 (심리학) = 정동(Affect)은 심리학(psychology)에서 감정(feeling), 정서(emotion), 기분(mood)에 대한 잠재된 경험을 말한다.Hogg, M.A., Abrams, D., & Martin, G.N. (2010). Social cognition and attitudes. In Martin, G.N., Carlson, N.R., Buskist, W., (Ed.), Psychology (pp 646-677). Harlow: Pearson Education Limited. = = 정동의 측면 = = 정동상태(Affective state)는 정신-생리학적 구성체이다. 이는 정신과 신체 과정을 연결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최근의 관점에서 정동은 감정가(valence), 각성(arousal), 동기적 강도(motivational intensity) 세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정가(Valence)는 한 개인이 겪었던 일에 대한 그 자신의 정적 평가(positive evaluation) 혹은 부적 평가(negative evaluation)의 주관적 스펙트럼을 말한다. 정서적 감정가(Emotional valence)는 정서의 영향, 정서가 유발하는 환경, 주관적 감정이나 태도를 말한다. 각성(Arousal)은 교감신경계통(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활성화로서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하지만, 자기보고서(self-report)를 통해서 주관적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동기적 강도(Motivational intensity)는 행동하려는 충동 즉 자극을 추구하거나 자극으로부터 멀어지려는 추동(urge)의 강도와 자극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말한다. 단순히 움직임은 접근 동기(approach motivation)나 회피 동기(avoidance motivation)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다. 각성은 동기적 강도와 다르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각성이 동기적 강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구성체인 반면, 동기가 반드시 행동을 수반하는 반면 각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 = 정동 표현 = = 정동은 정동 표현(affect display, 목소리, 표정, 몸짓 등으로 정서나 정동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APA 2006). = = 효과 = = 심리학에서 정동은 유기체(organism)의 자극(stimuli)과의 상호작용을 초래한다. 정동은 인지 범위(cognitive scope, 인지과정의 폭)에 영향을 준다. 우선 정적 정동(positive affect)은 확장되지만 부적 정동(negative affect)은 인지 범위를 좁힌다. 그러나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좁히지만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그것을 넓힌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 인지 범위 구성체는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에서 가치가 있다. = = 정동 내성 = = 정동 내성(affect tolerance)에 관한 정신과의사 제롬 사신(Jerome Sashin)의 한 연구논문에 의하면, 정동 내성은 주관적인 감정 경험에 의하여 정동을 환기시켜준다고 보는 자극에 반응하는 능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정서와 감정에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동 내성이 낮은 사람은 어떠한 정서나 감정에 대한 반응이 거의 없을 것이다.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과도 연관되어 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정서 인지 부족, 감정의 정의와 묘사의 어려움, 정서적 각성의 신체 감각과 감정을 구분하는 것의 어려움을 포함하는 준임상적 현상을 말한다. 즉 감정표현불능증이란 개인이 자신의 정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아 사무르(Dalya Samur)와 동료들에 의하면 감정표현불능증 환자는 높은 자살률, 상당한 정신적 고통, 높은 사망률을 보여주었다. 정동 내성 요소는 불안 민감도(anxiety sensitivity),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intolerance of uncertainty), 정서적 고통에 대한 내성(emotional distress tolerance)이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마음챙김(mindfulness)을 통해 보강될 수 있다. 마음챙김은 부드럽고 유쾌한 방식으로 감정, 사고, 감각, 주변 환경 자극을 인식하는 훈련을 말한다. 마음챙김은 주관적 행복을 늘리고 정신적 증상과 정서적 반응성을 낮추며 행동의 자제력을 높인다. = = 행동과 인지와의 관계 = = 정동 영역(affective domain)은 현대 심리학에서 말하는 세 구역(division) 중 하나를 말한다. 다른 두 영역은 행동(behavior)과 인지(cognition)에 관한 것이다. 고전적으로 이 구역들은 '심리학의 ABC'라고 한다. 그러나 어떤 관점의 경우 인지 영역은 정동 영역의 일부이거나, 정동 영역은 인지 영역의 일부라고 본다. 정동 상태와 인지 상태는 단순한 분석적 범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 = 정동의 원인에 관한 본능적 인지적 요인 = = 정동은 전형적인 인지 과정이 한층 복잡한 정서 형성에 필요하다고 생각되기 전에 발생하는 자극에 대하여 발현하는 본능적 반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 로버트 자욘스(Robert B. Zajonc)는 이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인간에게 필수적으로 중요하며 인간이 아닌 다른 유기체에게 있어서도 지배적인 반응이라고 본다. 자욘스는 정동적 반응이 확장된 지각적 부호화(perceptual encoding)와 인지적 부호화(cognitive encoding)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인지적 판단(cognitive judgment)보다 앞서 발생하고 인지적 판단보다 더 확신이 있다고 본다.(Zajonc, 1980). 라자러스(Lazarus)의 1982년 연구논문 등에서는, 정동이 후인지적(post-cognitive)이라고 본다. 즉 정동은 정보에 대한 인지적 처리 과정이 어느 정도 달성된 이후에야 유도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희노애락과같은 정동적 반응은 다양한 식별을 만들어내는 각각의 다른 사전적 인지 과정에서 유래하며, 특성들을 규명하고 그런 특성들이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지 시험하며, 공헌도에 따라 가치평가를 한다(Brewin, 1989). 러너 •켈트너(Lerner and Keltner)의 2000년 연구 등에서는 정동이 전인지적(pre-cognitive)이거나 후인지적(post-cognitive)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초의 정서적 반응은 사고를 낳고, 사고는 정동을 낳는다. 일부 학자들은 더 나아가 정동은 인지의 합리적 모형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하다고 본다.(Damasio 1994). 정서의 협의적 강화 모델로부터의 분기는 정동이 정서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과 관련한 관점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기질(temperament),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사회화 유형(socialization pattern), 가족이나 하위문화의 관습(idiosyncrasy)은 비선형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반응성이 높은데 비하여 자기 위안(self-soothing) 능력이 낮은 영아는 생후 몇 개월 동안 불균형적으로(disproportionately) 정서 조절 과정에 영향을 준다.(Griffiths, 1997) 지리학이나 인류학에서는 최근 정동 개념을 도입하였다. 프랑스 정신분석학에서, 정동 분야에 기여하는 요소는 정신분석학자 안드레 그린(André Green)이다.Green, Andre (1973), The Fabric of Affect in the Psychoanalytic Discourse, The New Library of Psychoanalysis, London and NY, 1999 정동에 주목하는 것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 연구에서 유래하였으며, 지정학적, 도시 삶, 물질 문화와 같은 기존 담론에 정서적 감정적 관심을 가져다 주었다. 또한 객관적 실재성(objectivity) 소멸이라는 개념을 지배하는 신체적 힘(somatic power)를 강조함으로써 사회과학의 방법론에도 도전하고 있으며, 따라서 현대 비표상이론(non-representational theory)과도 연관되어 있다. = = 역사 = =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지 등의 사회적 심리적 정동 선호(affective preference) 연구에서 많은 실험들이 수행되어 왔다. 특정 연구는 선호(preference), 태도(attitude), 인상 형성(impression formation), 의사결정(decision-making)과 같은 것에 수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인지 기억(recognition memory), (옛 판단, 새로운 판단)의 발견을 대비시켜, 연구자가 이 둘의 구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정동 기반 판단(affect-based judgment)과 인지 과정은 두드러진 차이로 조사되었으며, 일부는 정동과 인지가 다양한 방향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분리되어 있거나 일부분 독립되어 있는 체계의 통제 하에 있다고 주장한다(Zajonc, 1980). 정동과 인지 모두 정보 처리 체계 내에서의 효과의 독립적 자원을 구성한다. 정서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적응 처리과정(adaptational transaction)이 예견되거나 실제로 경험되었거나 상상된 결과물이라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인지적 평가 절차(cognitive appraisal process)는 정서 발달과 표현의 핵심이다(Lazarus, 1982). = = 심리 측정 = = 정동은 모든 문화에 걸쳐 정적 부적 양 차원을 구성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왔다. 가장 흔한 학술연구 측정방식은 정적부적정동척도(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이다. PANAS는 북미를 배경으로 개발된 어휘 측정 방식으로, 정적 정동으로 excited, alert, determined이나 부적 정동으로 upset, guilty, jittery 등의 20개 단어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러나 PANAS 항목 일부는 불필요하거나 북미 이외 문화권 영어시용자에게 모호하였다. 그 결과 짧은 형태의 I-PANAS-SF가 개발되었는데, 두 개의 5항목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적 신뢰성, 교차견본적 교차문화적 계승 불변성, 일시적 안정성, 수렴적 유효성, 기준 관련 유효성을 보인다. 므로첵(Mroczek)과 콜라르츠(Kolarz)도 정적 부적 정동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각 척도는 6힝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는 모든 문화에 걸쳐 수용 가능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였다. = = 무의식 정동과 지각 = = 지각(perception)과 관련하여, 무의식 정동 유형은 환경적 자극의 인지 처리와 분리될 수 있다. 지각의 단일계층(monohierarchy of perception), 정동, 인지는, 선호와 차별의 감각 및 처리 과정 중에 각성(arousal), 주의력(attention) 경향, 정동적 수위(affective primacy) (Zajonc, 1980), 진화적 제약(evolutionary constraint) (Shepard, 1984; 1994), 은닉 지각(covert perception) (Weiskrantz, 1997)의 역할을 담당한다. 정서(emotion)는 특정 자극으로 촉발되는 사건의 복잡한 연쇄과정이다. 일부분만 아는 것으로 정서를 완벽하게 묘사할 수는 없다. 무엇을 정확히 느끼는지를 모르거나 동시에 다른 정서를 느끼기 때문에 감정(feeling)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부정확하다. 자기 감정을 숨기려는 상황도 있으며, 공적 시적 사건이 정확히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는 없다거나, 감정을 의미하는 말이 사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말보다 모호하다고 믿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무의식 정서는 Implici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est (IPANAT; Quirin, Kazén, & Kuhl, 2009)와 같이, 자기보고를 꺼리는 측정방식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정동반응(affective response)은 평가항목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문제가 덜하다. 브루윈(Brewin)은 다양한 정동 경험(affective experience) 사이의 비인지적 관계(non-cognitive relation)의 틀을 구성하는 경험적 과정 두 개를 제안하였다. 무의식 과정(non-conscious process)과 같은 선천적 기질(prewired disposition)은 전체 자극 집합체 중에 인과적 관계가 있는 자극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억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이러한 기준을 지각 돌출(perceptual salience), 시공간적 단서(spatiotemporal cue), 예측적 가치(predictive value)로 사용한다.(Brewin, 1989, p. 381) 다른 하나는 잠재의힉 처리과정(subconscious process)과 같은 자동적(automatic)인 것으로, 신속하고 비교적 덜 유연하며 수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최소의 주의력이 필요하며, 의도(intention)나 인식(awareness) 없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다(1989 p. 381). 그러나 정동과 정서 간의 차이에 대해서 주목해야 한다. = = 각성 = = 각성(arousal)은 자극 발생에 대한 기본적인 생리학적 반응이다. 각성이 발생하면 무의식적 정동 과정은 작동(mobilizing)과 비작동(immobilizing) 두 통제 기제(control mechanism)를 취한다. 인간의 두뇌에서 편도체(amygdala)는 각성 과정을 발동하는 본능적 반응을 조절, 각성 중지(freezing)나 동작 가속화(accelerating mobilization)한다. 각성 반응(arousal response)은 음식 탐색 행동을 조절하는 보상체계(reward system)에 주목한 연구에서 묘사되어 있다(Balleine, 2005). 연구자들은 목표치(goal value) 부호화와 후퇴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과 조절 과정(modulatory process)에 주목하였다. 한 유기체가 음식을 찾을 때, 환경적 사건에 기반한 보상의 예측은 음식 자체가 주는 보상과는 다른 음식 탐색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된다. 따라서 보상을 얻거나 예측하는 것은 분리된 처리과정이고 둘 다 보상 관련 단서의 흥분성 영향력을 만든다. 두 처리과정 모두 편도체 수준에서 해리되며 더 큰 신경체계(neural system) 내에서 기능적으로 통합된다. = = 동기적 강도와 인지 범위 = = = = = 인지 범위 측정 = = = 인지 범위는 주의력, 지각, 범주화(categorization), 기억력 등의 과업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인지 범위가 확장되거나 축소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랭커 주의력 과업(flanker attention task, 플랭커는 미식축구의 좌우 측면 공격수를 의미, 가운데 글자와 양 옆에 서 있는 두 글자를 맞추는 시험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H"와 "N"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은 "HHHHH"처럼 5개의 문자가 모두 같을 때 혹은 "HHNHH"처럼 양쪽 플랭킹 문자(flanking letter)들이 가운데 글자와 다른 경우 가운데 글자가 무엇인지 가급적 빨리 맞춰야 한다. 가운데 글자가 나머지 4개보다 다를 때에 비하여 5개 모두 같을 때반응시간이 크게 다를 경우, 인지 범위가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서는 네이본 주의력 과업(Navon attention task)을 사용한다. 큰 글씨는 작은 글씨들로 이뤄지는데, 작은 L이나 F가 모여 T나 H 모양을 이루거나 반대로 작은 T나 H가 모여 L과 F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작은 문자보다 큰 문자에 먼저 반응하면 인지범위 확장이라고 하는 반면, 큰 문자를 이루고 있는 작은 문자에 먼저 반응하면 인지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본다. 자원 감시 패러다임(source-monitoring paradigm)도 얼마나 많은 맥락 정보를 감지하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참가자들은 스크린을 보고 3초마다 한 단어씩 연속적으로 단어를 보여주고 이를 암기하고, 단어가 스크린 좌측에서 나왔는지 우측에서 나타났는지 기억해야 한다. 단어들은 색칠한 상자에 들어가 있지만, 참가자들은 어떤 색의 상자에 어떤 단어가 들어가 있는지를 질문 받는 것을 미리 알지 못한다. = = = 주요 연구 성과 = = = 동기 강도(Motivation intensity)는 특정 자극에 다가가거나 멀어지려는 충동(urge)의 강도를 밀한다. 분노 정동 상태(anger affective state)와 공포 정동 상태(fear affective state)는 방송용 영화 필름(film clip)을 통해 유도되고, 많이 다르지 않은 반응시간의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플랭커 과업(flanker task)에 더 많은 선택적 주의력(selective attention)을 부여하고, 플랭킹 문자가 중간 글자와 다를 때에도 그렇다. 분노와 공포 모두 높은 동기적 강도가 있는데, 고함지르는 사람이나 똬리를 튼 뱀과 같은 분노 혹은 공포 자극을 직면할 때 행동에 필요한 추진력(propulsion)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범위를 축소시켜서 표적정보(target information)에 더 집중하도록 만든다. 슬픈 그림을 본 후에 참가자들은 네이본 주의력 과업에서 큰 문자를 더 빨리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인지범위가 전체적(global)이고 확장된 것을 의미한다. 슬픔의 정서는 동기적 강도가 낮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역겨운 사진을 본 후에 참가자들은 큰 문자를 이루고 있는 작은 문자들을 먼저 알아차리게 되는데 이는 인지범위가 지엽적(localized)이고 축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겨움(disgust)은 동기적 강도가 높다. 따라서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축소시켜 중심정보(central information)에 더 집중하게 만든다. 반면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인지범위를 넓혀서 전체적 해석(global interpretation)을 하게 한다. 동작과 행동이 필요한 자극이 유도하는 높은 동기적 강도의 정동에 초점을 맞추는 '목표지향적 행동(goal-directed behavior)'으로 인하여, 각각의 정동 상태에 따라 인지범위가 변화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적응적 행동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인류 초기에, 두려운 자극에 해당하는 사자를 발견하는 것은 부적이고도 높은 동기의 정동 상태인 공포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인류는 도망치게 되었다. 이 경우 목표는 죽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부적 정동 상태를 넘어서서, 연구자들은 부적 혹은 정적 정동 상태가 동기적 강도의 고저 사이에서 다양한지 여부를 실험하고자 하였다. 이 이론을 평가하고자, 하몬-존스(Harmon-Jones), 게이블(Gable), 프라이스(Price)는 실험을 만들어 내었다. 식욕을 돋구는 그림물감과 네이본 과업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네이본 문자 탐지 실험과 함께 주의력 범위(attentional scope)를 측정하게 하였다. 네이본 과업은 중립 정동 비교 조건(neutral affect comparison condition)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중립 상태(neutral state)는 중립적 자극과 함께 주의력을 확장시키게 한다. 이들은 넓은 주의력 범위는 큰 문자를 먼저 탐지하게 하는 반면 주의력 범위가 축소되면 작은 문자를 먼저 탐지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실험 결과 식욕을 돋구는 자극은 주의력 범위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실험주도자들은 참가자들에게 그림에 보이는 디저트를 먹어도 된다고 이야기함으로써 식욕을 돋구는 자극에 대한 주의력 범위를 더 좁혔다. 결과는 주의력 범위가 넓어지면 큰 문자를 빨리 탐지하고 좁아지면 작은 문자들늘 빨리 탐지한다고 나옴으로써, 이들의 가설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나아가 브래들리(Bradley), 코디스포티(Codispoti), 커스버트(Cuthbert), 랑(Lang)은 물감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식욕 자극 대신 국제 정동 그림 시스템(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에 있는 자극들을 사용하였다. 이미지 세트는 뱀, 벌레, 공격장면, 사고, 질병, 상실에 관한 불유쾌한 그림들이었다. 이들은 불쾌한 그림이 방어적 동기 강도 반응(defensive motivational intensity response)을 자극하고, 이것이 땀샘 반응(skin gland response)이나 심장박동 저하(cardiac deceleration) 등의 강한 정서적 각성을 불러온다고 보았다. 참가자들은 정서적 역가(emotional valence), 각성, 자기평가 마네킹 평가척도(Self-Assessment Manikin (SAM) rating scale)에 근거한 그림들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가설과 일치하였으며, 정서는 식욕이나 방어체계 활성화의 강도를 통하여 동기적으로 조직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2013년 연구에 앞서, 하몬-존스와 게이블은 접근동기강도(approach-motivation intensity) 혹은 좌측전두골 중간 활성화(left frontal-central activity)와 관련된 신경 활성화(neural activation)가 주의력 축소에 메치는 식욕 자극 효과를 촉발하는지를 검사하는 실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접근동기의 개인별 차이가 주의력 축소와 연관되어 있는지도 시험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연구자들은 식욕을 돋구는 중립적인 사진을 사용한 네이본 과업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이 마지막으로 밥 먹은 이후로 몇 분이 되었는지를 말하게 하였다. 신경 활성화 측정을 위해 연구자들은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와 인구운동 기록(recorded eye movement)을 이용하여 접근동기에서 어느 뇌영역을 사용하는지 알아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좌측 측두엽 중반구(left frontal-central hemisphere)가 접근동기 과정과 주의력 축소와 관련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가설을 증명하였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공복인 사람은 좌절감(frustration)으로 인하여 좌측 전두골-중두골(left frontal-central)이 증가된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그러나 연구가 디저트 그림은 공복인 참가자들에게서도 정적 정동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이런 언급이 틀렸음이 증명되었다. 연구결과는 인지범위 축소가 목표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 = = 임상 적용 = = = 이후 언구자들은 동기적 강도를 임상 적용과 연결지었고, 알코올 관련 그림이 알코올 섭취 동기가 강한 사람들에게 주의력을 축소시켰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들은 알코올과 관련된 중립적 그림들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참가자들을 실험하였다. 그림이 스크린에 나온 후 참가자들은 주의력 초점(attentional focus)을 평가할 테스트를 마쳤다. 연구결과는 알코올 그림에 노출되면 알코올 섭취에 동기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에게 주의력 초점 축소를 야기시켰다. 그러나 중립적 그림은 주의력 초점을 조종할 알코올 동기와 연관이 없었다. 알코올 근시 이론(Alcohol Myopia Theory, AMT)에 의하면, 알코올 섭취가 기억 내 저장 가능 정보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주의력을 축소시켜서 몸에 가까운 물체나 눈에 띄는 자원들만이 주의력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고 말한다. 주의력 축소는 술에 취하지 않았을 때보다 술에 취했을 때 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게 한다. 연구자들은 약물 관련 자극이 약물 복용 동기가 강렬하고 높을 때 주의력을 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동기적 강도와 단서 유도 주의력 축소(cue-induced narrowing of attention)는 알코올 섭취에 대한 최초 결정을 형성하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한다. 2013년, 미주리대학(University of Missouri) 심리학자들은 스포츠 성취 지향과 알코올 결과물 간에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이들은 대학팀 선수들에게 스포츠 지향 설문(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을 작성할 것을 요청하였다. 설문은 경쟁성(competitiveness), 승리지향(win orientation), 목표지향(goal orientation)이라는 세가지 척도로 스포츠 성취 지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참가자들은 알코올 사용과 알코올 관련 문제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목표지향은 알코올 사용과 관련있으나 알코올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신병리학적 차원에서, 우울증상을 보이는 대학생들은 자원 감시 패러다임 과업에서 무관한(nonrelevant) 것으로 보이는 맥락 정보들을 더 잘 찾아냈다. 즉 우울증상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라여 단어가 들어간 상자 색깔을 더 잘 맞췄다. 낮은 동기적 강도인 슬픔은 보통 우울과 관련되어 있어, 슬픔이 더 큰 학생들이 맥락 정보에 더 폭넓은 주목을 보인다는 것은, 동기적 강도가 높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축소시키는 반면, 동기적 강도가 낮은 정동은 인지 범위를 확장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동기적 강도 이론에서는 성공의 중요성과 얽힌 과업의 어려움은 에너지 투입 정도를 좌우한다고 말한다. 이론은 세 개의 주층이 있다. 최내부층(innermost layer)은 인간의 행동이 가능한 많은 에너지를 보존하려는 욕구로 유도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에너지 낭비를 피하여서 과업 완수에 필요한 정도의 에너지만을 사용한다. 중간층(middle layer)은 성공의 중요성과 연관된 과업의 어려움과 이것이 에너지 보존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주목한다. 명료하거나 명료한 않은 과업 난도의 상황에 에너지를 투입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최후층(last layer)은 각각 다른 과업 난도에서 가능한 옵션이 있을 때 투입되는 에너지를 예측하는데 중점을 둔다. 가능한 과업 난도 옵션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한다. 동기적 강도 이론은 연구에 있어 논리적이고 일관된 틀을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노력이란 에너지 투입이라는 것을 상정하는 방식으로 한 개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동기적 강도 이론은 목표 주목성(goal attractiveness) 변화와 에너지 투입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주는데 이용된다. = = 기분 = = 기분(Mood)은 정서(emotion)처럼 정동 상태(affective state)에 해당한다. 그러나 정서가 명료한 초점이 있어 원인이 자명한 반면, 기분은 초점이 없고 산만한 편이다. 베이트슨(Batson), 쇼(Shaw), 올레슨(Oleson)의 1992연 연구에 의하면, 기분은 톤과 강도, 장래에 겪게 될 희노애락의 경험이나 부적 정적 정동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에 관한 신념 구조가 있다. 정동이나 정서를 만들고 미래의 희노애락에 대한 기대에 따라 변하는 즉각 반응(instant reaction)과 달리, 기분은 모호하고 초점이 흐릿하여 다루기 힘들며 며칠, 몇달, 몇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Schucman, 1975). 기분은 개인의 정서 상태를 설명하는 가설적 구성요소이다. 연구자들은 보통 다양한 행동 지시대상(behavioral referent)으로부터 기분의 존재를 추론한다(Blechman, 1990). 상습적인 부적 정동(negative affect)과 부적 기분(negative mood)은 신경증(neuroticism) 정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적 정동과 부적 정동(PANAS)은 각각 독립적인 영역을 형성하며, 정적 정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적 혹은 부적 일상 사건은 주관적 행복과는 거리가 먼 관계를 보이며, 정적 정동은 사회활동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능적 지지(functional support)가 높으면 정적 정동이 높다고 밝혀졌다. 부적 정동 각성과 백색소음(white noise)에 관한 연구에서, 세이드너(Seidner)는 타인종의 말을 폄하하는 부적 정동 각성 기제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였다.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정적 정동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과정은 분명하지 않다. 이러한 과정은 예측가능하고 조절되는 사회적 상호작용, 긴장완화나 정적 기분을 위한 레저 활동, 공동 활동 참여로부터 얻는 기쁨에서 유래한다. 부적 기분을 정적 기분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을 기분 회복 전략(mood repair strategy)이라 한다. = = 사회적 상호작용 = = 정동 표현(affect display)은 대인관계 의사소통(interpersonal communication)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진화심리학자(Evolutionary psychologist)들은 인류의 조상인 원인(原人, hominid)들은 정동 표현을 읽는 능력을 발달시켜 왔다는 가설을 발전시켜왔다. 정서는 끊임없이 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한 개인의 관계를 매개해주는 동적인 과정들로 설명한다. 즉 정서란 인간에게 유의미한 문제 위에 유기체와 환경의 관계를 구축, 유지, 단절하는 과정이다. 사회적 심리적 현상 대다수는 장시간 여러 개체 간의 반복되는 상호작용들의 결과물로 발생한다.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다양한 동인(agent)들 간에 혹은 동인과 환경 간에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체계인 다동인체계(multi-agent system)로 보아야 한다. 각 동인의 행동의 결과물은 서로 의존해 있다. 각 동인들의 목표 성취 능력은 자신이 하는 것은 물론 다른 동인이 하는 것에 따라 좌우된다. 정서는 상호작용의 주 자원이다. 한 개인의 정서는 타인의 정서, 사고, 행동에 영향을 준다. 그리하여 타인의 반응은 원래 정서를 표현한 개인과의 장래 상호작용은 물론 그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호혜적 영향(reciprocal influence) 과정에 들어오게 하는 순환 속에서 작동한다.Rafaeli A. & Hareli S. (2007) Emotion cycles: On the social influence of emo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정동, 정서, 감정은 표정, 손짓, 자세, 목소리, 기타 신체적 표현에 따라 타인에게 보여진다. 이러한 정동 표현은 문화에 따라 다양하며, 표정의 추상성에서 극적이고 다양한 몸짓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다. 관찰자(observer)는 행위자(agent)의 정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 정서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들은 행위자의 정서에 반응하고 이를 추론한다. 행위자가 보이는 정서는 실제 행위자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 대표적이다. 행위자의 정서는 네 요소에 효과를 줄 수 있다. 타인에 대한 정서(Emotions of other persons) 타인에 대한 추론(Inferences of other persons) 타인에 대한 행동(Behaviors of other persons) 행위자와 타인의 상호작용과 관계(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gent and other persons) 정서는 그것이 목표로 하는 사람뿐 아니라 행위자의 정서를 바라보는 제3자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게다가 정서는 어느 한 집단이나 팀과 같은 사회적 독립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서는 메시지 같은 것이기에 정서, 속성, 이에 수반될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원 행위자에게 피드백을 가져다 준다. 행위자의 감정은 두 가지 기제에 의하여 타인의 감정을 환기시킨다. 정서 전염(Emotion contagion) : 사람들은 자동적 무의식적으로 비언어적 표현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다.Hatfield, E., Cacioppo, J. T., & Rapson, R. L. 1994. Emotional contag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정서 모방은 텍스트 교환으로만 이뤄진 상호작용에서도 가능하다. 정서 해석(Emotion interpretation) : 한 개인은 다른 한 행위자가 어떤 특정한 정서를 느낀다고 감지하면, 상호보완적이거나 상황상 적절한 정서를 가지고 반응한다. 타인의 감정은 원 행위자의 감정으로부터 벗어나 있지만, 몇몇 방식에서는 원 행위자의 감정을 보완하기도 한다. 사람은 정서적으로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를 자극하는 행위자(emotive agent)의 사회적 지위나 힘, 유능, 신뢰성 등에 관하여서 추론하기도 한다.Frijda, N.H. (1986). The emo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예를 들어 분노한 것으로 간주되는 행위자는 높은 권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분류:아르사케스 왕조 = = 중앙시장 = 중앙시장은 다음을 의미한다. 성남중앙시장: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의 재래시장 안양중앙시장: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냉천로 일대의 재래시장 원주중앙시장: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중앙시장길 일대의 재래시장 제천중앙시장: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시 풍양로 일대의 재래시장 춘천중앙시장: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앙로 일대의 재래시장 중앙시장 (프놈펜): 캄보디아 프놈펜의 재래시장 = 분류:러시아의 프로듀서 = = 틀:1896년 하계 올림픽 수영 = = 할로클로로코쿰속 = 할로클로로코쿰속(Halochlorococcum)은 갈파래강 올트만시엘롭시스목에 속하는 녹조류 속의 하나이다. 7종을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종 = = H. dilatatum H. marinum H. moorei H. operculatum H. porphyrae H. saccatum H. tenue = 분류:차드의 축구 선수 = = 분류:핀란드의 환경단체 = = 분류:재외 카메룬인 = = BMD = BMD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Boyevaya Mashina Desanta BMD-1 BMD-2 BMD-3 BMD-4 유도탄방어(Ballistic Missile Defense) 버뮤다 달러(Bermudian dollar)의 ISO 4217 코드 BMD 버니즈 마운틴 도그(Bernese Mountain Dog)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 분류:연도별 프로 야구 일본 시리즈 틀 = = 분류:독일의 군주 = = 분류: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 = = 분류:나라별 1396년 = = 신촌교통 = 신촌교통(新村交通)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에 연고를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 면허의 시내버스 업체이다. 사업자 등록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으로 되어 있다. 계열사로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설문동에 위치한 마을버스 업체인 신일산교통과 신일산운수가 있으며, 7727번 노선의 영업소로 이용되고 있다. 운행 노선들은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종점과 일산동구 설문동 영업소를 기점으로 운행한다. = = 신촌교통 연혁 = = 1961년 2월 10일:회사 설립 1970년 6월 12일:신림동 영업소를 성진상운(현 관악교통)으로 분리 독립시켰다. 1976년:본사 및 차고지를 모래내에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88년 10월:안남운수(현 군포교통)로부터 도시형버스 99번(현 지선버스 5624번) 종점이 종로2가에서 구로공단역으로 단축으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 2004년 7월 1일: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과 함께 간선버스 2개/지선버스 3개의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 8월 1일:유성운수와 공동배차 운행하던 간선버스 750번이 운행회사간 노선관리문제로 A,B로 분리운행하면서 본 회사 소속은 기점이 은평공영차고지에서 덕은동 본사로 연장되면서 간선버스 750A번으로, 유성운수 소속은 노선변동없이 간선버스 750B번으로 각각 변경되었다. 동시에 은평공영차고지내에 수색영업소를 철수하였다. 2011년 8월 25일:간선버스 730번 종점이 잠실역에서 삼성역으로 단축되었고, 동시에 노선번호도 740번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2일:맞춤버스 8777번 난지한강공원~월드컵경기장 구간 신설운행 = = 운행 노선 = =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년 4월 27일 작성. 운행노선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배차간격(분) 인가대수 비고 740번 덕은동종점 ↔ 삼성역 6~12 31 구 772번 좌석 변경, 구 730번 단축 750A번 덕은동종점 ↔ 서울대학교 5~14 17 구 142번. 유성운수의 750B번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7711번 덕은동종점 ↔ 홍대입구역 8~10 10 구 824번 7726번 덕은동종점 ↔ 모래내삼거리 22~25 6 구 141-2번. 구 7725번, 7726번 통합. 7727번 설문동 ↔ 신촌 9~13 22 구 903-1번 8762번 DMC역 ↔ 가양역 14~17 2 출퇴근시간대만 운행. 유성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이전 보유 노선 = = = = = 지선버스 = = = ● 7725번: 덕은동 ↔ 모래내시장 (구 141번)《2007년 11월 지선버스 7726번에 통폐합. 2009년 12월 폐선된 제일여객 7725번(송추 ↔ 구파발)과는 무관.》 = = = 간선버스 = = = ● 730번: 덕은동 ↔ 국방대학교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동교동삼거리 ↔ 지하 신촌역 ↔ 서강대역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공덕역 ↔ 효창공원앞역 ↔ 삼각지역 ↔ 녹사평역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역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 ↔ 신천역 ↔ 잠실역 (구 772번 좌석 변경)《2011년 8월 25일 종점을 잠실역에서 삼성역으로 단축과 함께 노선 번호를 740번으로 변경.》 = = = 맞춤버스 = = = ● 8663번: 가양역 → 여의도역 (평일 출근 편도 노선, 2015년 2월 26일 ~ 2016년 10월 28일) ● 8761번: 신촌 로터리 ↔ 국회의사당역 (평일 출퇴근 운행 노선, 2017년 6월 26일 ~ 2023년 1월 27일) ● 8777번: 난지캠핑장 ↔ 월드컵경기장남측 (2016년 7월 2일 신설, 주말 운행 노선, 2023년 10월 28일 운행 철수) = = 보유 차량 = = 현대 그린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 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 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시니어(Francis Preston Blair, Sr. 1791년 4월 12일 ~ 1876년 10월 18일)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이다. 블레어는 버지니아주 워싱턴 군 애빙던 시에서 태어나 켄터키주로 이사갔다. 트란실바니아 대학교에서 언론학을 전공하여 1811년에 졸업하고 아모스 켄달의 Argus 지에 참여하였다. 1830년에는 프랭크퍼트에서 앤드루 잭슨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어 잭슨파벌 기관지로 알려진 Globe 지의 편집장이 되었다. 이 업무를 맡고 또 잭슨의 밀실정치 내각의 일원으로서 블레어는 상당 기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워싱턴에서 잭슨을 거들던 시절 블레어는 현재 블레어 하우스로 알려진 집을 획득하였다. Globe 지는 1841년까지 정부 기관지였으며, 1945년까지는 민주당 기관지였다. 블레어는 1849년에 그 편집장직을 사임했다. 블레어는 노예를 거느리고 있었지만 멕시코 전쟁 이후 "현 상태" 이상으로 노예제가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Goodwin, 2005, Chapter 1. 1848년에는 자유토지당의 대통령 후보 마틴 밴 뷰런을 지지하였고, 1852년에는 프랭클린 피어스를 지지하였으나 곧 공화당 조직에 참여하게 되어 1859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의 사전 협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후 공화당 내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을 지지하였다. 섬터 요새가 함락되기 불과 3일 전이었던 1861년 4월 17일, 로버트 리 대령을 불러 연방군 사령관이 되어달라고 설득해 줄 것을 링컨에게 요청받았다. 다음 날 리와 블레어는 백악관 맞은 편 라파예트 광장에서 회동하였다. 리는 “미스터 블레어, 저 역시 연방의 분리는 무정부 상태와 같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만약 제가 남부에 4백만 명의 노예를 가지고 있다면, 연방을 위해서라면 모조리 희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찌 제 고향인 버지니아를 향해 제 칼끝을 돌릴 수 있겠습니까?”라는 말로 블레어의 요청을 일언지하 거절하였다. 미국 남북전쟁이 종전한 이후, 블레어는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재건 정책의 비난론자가 되어 민주당에 재합류하였다. 그러다 1876년에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에서 사망하였다. 아들로 몽고메리 블레어(1813년 ~ 1883년), 제임스 블레어(1819년 ~ 1852년), 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주니어(1821년 ~ 1875년)가 있으며, 몽고메리는 링컨 내각의 각료가 되었고 프랜시스 주니어는 미국 내전 당시 장군으로 활동했다. 딸 엘리자베스 블레어(1818년 ~ 1906년)는 해군 소장 새뮤얼 필립스 리와 결혼했으며, 조카 벤저민 그라츠 브라운(1826년 ~ 1885년) 역시 정치인이 되었다. 고손자 몽고메리 클리프(1920년 ~ 1966년)는 배우이다. = = 참고 자료 = = * Goodwin, D. K. Team of Rivals: The Political Genius of Abraham Lincoln. New York: Simon & Schuster, 2005. (electronic edition). = 틀:축구단 구장 세비야 = = 미카미 마사시 = 미카미 마사시(三上真史, 1983년 6월 20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2006년~2007년 《굉굉전대 보우켄저》 모가미 소우타/보우켄 블루 역 = = = 영화 = = = 2004년 《스윙 걸즈》 유스케 역 2010년 《오오쿠》 2010년 《X게임》 2011년 《쉐어 하우스》 = 윤승영 = 윤승영(尹昇榮 1935년 ~)은 서울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본관은 해평이며, 충청남도 홍성군 출신이다. = = 생애 = = 1935년에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재학 중이던 1957년 제9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 1961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에 임용되어 검사로 시작했으나 1967년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1981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장 1983년 춘천지방법원장 1984년 7월 청주지방법원장 1986년 서울고등법원장을 역임했다. 서울고등법원의 6개 특별재판부 가운데 제2특별부를 1986년 9월 1일부터 노동관계 사건 전담 재판부로 지정했던 서울고등법원장 재직할 때 대법관 임명에서 제외되자 1988년 7월 12일 사표를 제출했다. 1992년 3월 11일에 제2이동통신 사업자 허가 기준 등을 심의할 통신위원회에 임명되어 신규 사업자 산정에 공정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매일경제 1992년 3월 28일자 1994년 안병화 한국전력 사장, 1995년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에 대한 뇌물공여 사건에 연루된 최원석 동아그룹 회장에 대해 변호인을 맡았다. = = 주요 판결 = =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6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77년 8월 4일에 남양만 매립공사 시공자가 전 공화당 소속 국회의원 권모씨를 상대로 낸 채권양도 계약 무효확인 청구소송에서 "남양만 공유수면 매립허가 신청을 했을 때 권씨가 국회의원의 신분으로 농림부 장관 등에게 청탁해 매립허가를 받도록 도와주고 그 조건으로 이익을 반분한다는 동업계약을 맺은 것은 권씨가 단순한 사례조로 받는 것 보다는 좋은 인상을 받기 위해 동업계약이라는 형식을 취한 것에 불과하고 사실은 권력을 배경으로 강제성을 띤 것이기에 사회질서에 반하는 무효한 계약"이라며 "남양만 일대 매립지 107.3헥타르의 45%를 권씨에게 주기로 하고 공증을 했지만 이 채권 양도계약은 무효"라고 판결했다.동아일보 1977년 8월 4일자 = 분류:질산 에스터 = = 분류:두주의 지형 = = 분류:대한민국의 댐 = = 샤이 고먼 = 샤이 고먼(Shay Gorman, 1923년 4월 18일 ~ 1999년 4월 19일)은 아일랜드의 배우이다. 더블린에서 태어났으며 런던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더 빌 (1984년) 건스 인 더 헤더 (1969년) 아일랜드 오브 테러 (1966년) Z 카스 (1962년) 코로네이션 스트리트 (1960년) 악마의 저주 (1957년) 디즈니랜드 (1954년) = 제6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제6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2012년의 영화를 대상으로한 영화상으로, 2013년 2월 10일에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시상식이 열렸다. 사회자는 스티븐 프라이이다. = = 후보 = = 후보는 2013년 1월 9일에 발표되었다. 작품상 감독상 아르고 레 미제라블 라이프 오브 파이 링컨 제로 다크 서티 벤 애플렉 - 아르고 캐스린 비글로 - 제로 다크 서티 미하엘 하네케 - 아무르 이안 - 라이프 오브 파이 퀜틴 타란티노 - 장고: 분노의 추적자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대니얼 데이 루이스 - 링컨 벤 애플렉 - 아르고 브래들리 쿠퍼 -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휴 잭맨 - 레 미제라블 호아킨 피닉스 - 마스터 에마뉘엘 리바 - 아무르 제시카 채스테인 - 제로 다크 서티 마리옹 꼬띠아르 - 러스트 앤 본 제니퍼 로런스 -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헬렌 미렌 - 히치콕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크리스토프 발츠 - 장고: 분노의 추적자 앨런 아킨 - 아르고 하비에르 바르뎀 - 007 스카이폴 필립 시모어 호프먼 - 마스터 토미 리 존스 - 링컨 앤 해서웨이 - 레 미제라블 에이미 애덤스 - 마스터 주디 덴치 - 007 스카이폴 샐리 필드 - 링컨 헬렌 헌트 - 세션: 이 남자가 사랑하는 법 각본상 각색상 장고: 분노의 추적자 - 쿠엔틴 타란티노 아무르 - 미하엘 하네케 마스터 - 폴 토머스 앤더슨 문라이즈 킹덤 - 웨스 앤더슨, 로먼 코폴라 제로 다크 서티 - 마크 볼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 데이비드 O. 러셀 아르고 - 크리스 테리오 비스트 - 루시 앨리버, 벤 제이틀린 라이프 오브 파이 - 데이비드 매기 링컨 - 토니 쿠시너 촬영상 신인 작가 · 감독 · 제작자상 라이프 오브 파이 안나 카레니나 레 미제라블 링컨 007 스카이폴 바트 레이턴 (감독), 드미트리 도거니스 (제작자) - 디 임포스터 제임스 보빈 (감독) - 머펫 대소동 덱스터 플레처 (감독/작가), 대니 킹 (작가) - 와일드빌 티나 가라비 (감독/작가) - 아이 엠 나스린 데이비드 모리스 (감독), 재퀴 모리스 (감독/제작자) - McCullin 영국 작품상 다큐멘터리상 007 스카이폴 안나 카레니나 베스트 엑조틱 메리골드 호텔 레 미제라블 세븐 사이코패스 서칭 포 슈가맨 디 임포스터 말리'' McCullin 웨스트 오브 멤피스 음악상 음향상 007 스카이폴 안나 카레니나 아르고 라이프 오브 파이 링컨 레 미제라블 장고: 분노의 추적자 호빗: 뜻밖의 여정 라이프 오브 파이 007 스카이폴 미술상 시각효과상 레 미제라블 안나 카레니나 라이프 오브 파이 링컨 007 스카이폴 라이프 오브 파이 어벤져스 다크 나이트 라이즈 호빗: 뜻밖의 여정 프로메테우스 의상상 분장상 안나 카레니나 위대한 유산 레 미제라블 링컨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레 미제라블 안나 카레니나 히치콕 호빗: 뜻밖의 여정 링컨 편집상 외국어 영화상 아르고 장고: 분노의 추적자 라이프 오브 파이 007 스카이폴 제로 다크 서티 아무르 헤드헌터 더 헌트 러스트 앤 본 언터처블: 1%의 우정 애니메이션 영화상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메리다와 마법의 숲 프랑켄위니 파라노만 The Making of Longbird Here to Fall I'm Fine Thanks 단편 영화상 떠오르는 스타상 Swimmer The Curse Good Night Tumult The Voorman Problem 주노 템플 엘리자베스 올슨 앤드리아 라이즈버러 수라즈 샤르마 알리시아 비칸데르 = = 여러 후보 = = 10 - 링컨 9 - 레 미제라블, 라이프 오브 파이 8 - 007 스카이폴 7 - 아르고 6 - 안나 카레니나 5 - 제로 다크 서티, 장고: 분노의 추적자 4 - 마스터, 아무르 3 - 호빗: 뜻밖의 여정,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2 - 히치콕, 디 임포스터 = 외질 (동음이의) = = = 인명 = = 메수트 외질(): 독일의 축구 선수. = = 한자어 = = 외질(外姪): 외조카를 일컫는 말. 외질(外質): 세포질의 주변부. = 류드밀라 구르첸코 = 류드밀라 마르코브나 구르첸코(, 1935년 7월 2일 ~ 2011년 3월 30일)는 소련과 러시아의 배우, 가수이다. = 안세희 (1995년) = 안세희(1995년 11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 = 학력 = = 수원한일전산여고 (現 한봄고등학교) 졸업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계열 = = 방송 = = 코미디TV 스마일킹 아프리카TV에서 세봉♥이라는 닉네임으로 개인 방송을 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아프리카TV - 2020 빠삐콘테스트 시즌2 2위 = 요한 보타 = 요한 보타(Johan Botha, 1965년 8월 19일 ~ 2016년 9월 8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테너 가수였다. = = 레코딩 = = 안토닌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드보르자크) (2001) 샤를 케클랭: 정글북 (1994) 자코모 푸치니 익스피리언스 (1995) 구스타프 말러 교향곡 8번 (말러) (피에르 불레즈) = 장철문 = 장철문(張喆文, 1966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이다. = = 생애 = = 1966년 전라북도 장수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94년 창작과비평 겨울호에 〈마른 풀잎의 노래〉 외 6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현재 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6년에 시집비유의 바깥으로 제18회 백석문학상을 받았다. = = 저서 = = = = = 시집 = = = 《바람의 서쪽》(창작과비평사, 1998) 《산벚나무의 저녁》(창작과비평사, 2003) 《무릎 위의 자작나무》(창비, 2008) 《비유의 바깥》(문학동네, 2016) = = = 동화 = = = 《노루 삼촌》(창작과비평사, 2002) 《나쁜녀석》(어린이중앙, 2003) 《흰 쥐 이야기》(비룡소, 2006) 《진리의 꽃다발 법구경》(아이세움, 2006) 《최고운전》(창비, 2006) 《최척전》(창비, 2008) = 분류:1984년 10월 = = 궐련 = 궐련(卷煙, ; )은 담배 잎을 썰어서 종이로 말아 만든 작은 담배이다. 궐련 한쪽 끝에 불을 붙이면 연기가 원통 모양을 타고 올라가 다른 쪽 끝으로 나와 입으로 흡입된다. 궐련 물부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파이프 담배 등과 달리 별도의 도구는 필요로 하지 않으며, 라이터나 성냥 등의 점화 도구만 있으면 피울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담배라 함은 궐련 담배를 지칭한다. = = 구조와 재질 = = 형태는 잘게 썬 담뱃잎을 종이에 싸 원통 모양으로 만 것으로 굵기는 7밀리미터 정도에 길이는 85밀리미터에서 100밀리미터가 일반적이나, 굵기가 5.4밀리미터 정도인 담배나 9밀리미터에 가까운 담배도 있고 길이도 짧은 것은 65밀리미터 정도인 담배도 있다. 궐련을 마는데 쓰는 궐련 용지는 시가렛 페이퍼 혹은 라이스 페이퍼라고 불리는데, 라이스 페이퍼라고 해도 원료는 벼가 아니며, 주 재료는 일반적으로 삼과 펄프이다. 담배가 탈때 나는 악취를 막고 담뱃잎이 타는 속도와 맞추기 위해 시가렛 페이퍼에는 탄산 칼슘이 첨가되어 있고, 또한 국가에 따라서는 암모늄, 인산, 염화 마그네슘, 타르타르산 칼륨, 타르타르산 나트륨 등이 첨가되는 경우도 있다. 담뱃잎에는 향을 좋게 하기 위해 향료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사용되는 향료로는 당류(糖類), 코코아, 감초, 멘톨, 럼, 바닐라 등이 있다. = 이고리 레댜호프 = 이고르 레자호프(1968년 5월 22일 ~ )는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다. = = 통계 = = 연도 출전 골 1992 7 1 합계 7 1 연도 출전 골 1992 2 0 1993 5 0 1994 1 0 합계 8 0 = 나바론의 요새 = 나바론 요새(The Guns Of Navarone)는 영국에서 제작된 J. 리 톰슨 감독의 1961년 서사모험전쟁 영화이다. 그레고리 펙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칼 포먼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그레고리 펙 앤서니 퀸 데이비드 니븐 이렌느 파파스 = = = 조연 = = = 스탠리 베이커 안소니 퀘일 제임스 대런 지아 스칼라 = = 기타 = = 원작자: 알리스테어 맥클린 협력프로듀서: 레온 베커 협력프로듀서: 세실 F. 포드 미술: 제프리 드레이크 의상: 올가 레흐만 = = 한국판 성우진 = = = = = MBC (1988년 1월 2일) = = = 박일 - 멀로리 대령 (그레고리 펙) 황일청 - 밀러 상병 (데이비드 니븐) 김기현 - 스타브로스 대령 (앤서니 퀸) 김용식 박기량 신성호 김은영 윤소라 나성균 이규연 이도련 이인성 최상기 김관철 이종혁 곽대홍 황윤걸 = = = KBS (1992년 6월 6일) = = = 유강진 - 멀로리 대령 (그레고리 펙) 이완호 - 밀러 상병 (데이비드 니븐) 이치우 - 스타브로스 대령 (앤서니 퀸) 김성희 - 마리아 (이렌느 파파스) 탁원제 오세홍 장세준 = 분류:브라질의 핸드볼 선수 = = 동방초등학교 (충남) = 동방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7. 04. 01 배방국민학교 휴대분교장으로 설립 1959. 10. 02 동방국민학교 개교 1984. 03. 10 동방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1996. 03. 01 동방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2009. 03. 01 시지정 방과후영어 시범학교 운영 2010. 03. 01 도지정 학력증진 시범학교 운영 2011. 12. 27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4. 05. 30 2014 청렴도 인증평가 1등급 교육감 표창 2014. 10. 17 충남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6. 12. 23 감사 습관 형성 프로젝트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7. 12. 28 2017 학교자치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9. 12. 31 제60회 졸업식(26명), 총 졸업생 3,834명 2020. 03. 01 초등 6학급, 병설유치원 2학급 편성 2023. 03. 01 휴대지구 개발로 인한 일시 휴교 2027. 03. 01 재개교 (예정)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9년 제44주 = = = 1.235.144.217 차단 요청 = = * 지속적인 반달로 차단요청합니다. HIPANE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00:41 (KST) = = 14.47.218.154 = = Hoto Cocoa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15:39 (KST) = = 사용자:May2030 차단 재요청 = = 편집 분쟁과 관련하여 법적 위협을 하였습니다. 이에 징계를 요청드립니다. Xakyntos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17:56 (KST) = = 당나라 영토에 자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영토를 추가하는 프록시 = = 오픈프록시이며 당나라영토에 한반도를 자꾸 포함시키는 것은 중국 민족파시즘 사학계의 중국인이 자주 하는 주장입니다. 115.23.23.39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18:49 (KST) = = 차단 요청 = = 레인 보우 (Talk and Contributions)😊😁😃😄 2019년 10월 28일 (월) 20:28 (KST) 추가 레인 보우 (Talk and Contributions)😊😁😃😄 2019년 10월 28일 (월) 20:30 (KST) = = 틀:한국사 반달 신고 요청 = = 틀:한국사에 문서훼손을 해서, 한사군을 식민기로 표시하거나 가야 문서를 틀 안에 넣어 문서 글자를 축소시키고 문서내용을 틀 안에서 표시되도록 반달하였습니다. 223.39.145.5 (토론) 2019년 10월 29일 (화) 01:35 (KST) = = 사:총댸 차단 요청 = = 사:ChongDae의 사칭 계정입니다. RhapsoDJ (토론) 2019년 10월 29일 (화) 19:40 (KST) = = 프록시 및 Zxcvasdfqwerr 차단 요청 = = * * 위에껀 프록시이고, 아래껀 부적절한 계정명으로 다른 사람을 위협 또는 협박할 목적으로 1회성으로 생성된 계정입니다. 2001:2D8:E128:A27D:0:0:23BC:40A4 (토론) 2019년 10월 29일 (화) 20:46 (KST) = = Qkrtjdals916 무기한 차단 요청 = = * 한상균 문서에서 범죄사실을 전부 지운 자로 AII7676의 행위와 똑같아 차단회피 다중계정에 해당합니다. 223.39.150.216 (토론) 2019년 10월 30일 (수) 05:28 (KST) * 추가합니다. 223.39.150.216 (토론) 2019년 10월 30일 (수) 05:30 (KST) = = 문서 반달 신고 = = 문서를 수천바이트 삭제하면서 반달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사택에서 시간 날때마다 복구하고 있지만 이런 행동은 문제가 많네요. 115.23.23.39 (토론) 2019년 10월 30일 (수) 05:59 (KST) = = 112.162.238.75 = = * 지속적으로 야구선수 관련 문서를 반달하고 있습니다. 차단 경력이 있는데 또 이러는 것으로 보아 따로 통보 없이도 차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rainholic (T, C) 2019년 10월 30일 (수) 19:21 (KST) = = 223.39.146.59 = = * 아무런 이유없이 역사적이나 현재 진행중인 사실에 대한 정확한 기여를 되돌립니다 = = 223.62.173.143 = = 특정 개인의 정보를 공개하려는 행동을 지속하고 있어 사용자 관리를 요청하는 바입니다. - Ellif (토론) 2019년 10월 31일 (목) 15:33 (KST) = = 124.153.242.86 차단 요청 = = * 경고를 받고도 문서 훼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Ellpicre (토론) 2019년 10월 31일 (목) 17:41 (KST) = = 농협 홀푸드 무기한 차단 요청 = = * 일주일 차단 징계를 받고도 계속해서 K리그 구단 문서에 가짜 정보를 기입하면서 문서 훼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Footwiks (토론) = = 네온킹 차단요청 = = 도티, 잠뜰 문서에 지속적인 훼손 심각한 장난편집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1일 (금) 23:35 (KST) = = 사용자:Jo ju hyeong 영구 차단 요청 = = * 모든 기여가 나무위키 표절으로, 위키사용자로 활동할 가치가 없습니다. 이 의견을 2019년 11월 2일 (토) 01:02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2001:2d8:e308:f7c2::ba48:9c02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Mc progw12 차단요청 = = 지속적인 장난 반복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0:36 (KST) = = 사용자:소티알 차단 요청 = = 사용자:Sotiale의 사칭 계정입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8:10 (KST) = = 사용자:삼진화 차단 요청 = = 사용자:Sangjinhwa의 사칭 계정입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8:10 (KST) = = 사용자:슬기사랑 차단 요청 = = 사용자:웬디러비의 사칭 계정입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8:12 (KST) 웬디러비 님의 확인에 따라 미완료로 처리합니다. Sotiale (토론) 2019년 11월 3일 (일) 20:13 (KST) = = 사용자:병쉰 차단 요청 = = 부적절한 계정 이름입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8:15 (KST) ted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59 (KST) = = 사용자:소불알 차단 요청 = = 사용자:Sotiale의 사칭 계정입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18:31 (KST) = = ‎스위스 육군 = = * 피요청자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분류를 일반 문서에 무작정 추가하는 편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사용자를 토론 협업 정신 위반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9년 11월 2일 (토) 19:53 (KST) 죄송합니다. 다시는 이런일 없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복구해놓겠습니다.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0:07 (KST) 사용자의 답변이 있었기 때문에 우선 미완료 처리합니다. ted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59 (KST) = = 종코의 장난감 가게 차단요청 = = 사:종코 사칭 계정.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37 (KST) ted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59 (KST) = = 병쉰 차단요청 = = 부적절한 계정 이름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45 (KST) 이미 처리된 요청입니다. ted (토론) 2019년 11월 2일 (토) 21:59 (KST) = = 스위스 육군 차단요청 = = 제가 수정하거나 추가한 내용이 있다면 어느문서든지간에 달려가서 원상복귀 시켜놓았습니다. 제가 1시간동안 3000자를 추가한 문서를 되돌려놓는가 하면, 맞춤법이나 오타를 고친것도 다시 틀리게 했습니다. 따라서 차단 요청 드립니다. Mc progw12 (토론) 2019년 11월 3일 (일) 08:52 (KST) 3000자 이상 편집하고 편집 요약에 내용 대량 추가로 적혀 있는 것을 보고 다른 백과 사전에서 가져온 정보 인줄 알고 되돌렸습니다. 또 장난편집이 너무 많아서 한꺼번에 되돌리다 보니 미쳐 보지 못한 부분도 편집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내용을 전부 복구 시켜 놓았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되돌릴때 잘 보고 되돌리도록 하겠습니다. 스위스 육군 (토론) 2019년 11월 3일 (일) 13:08 (KST) 이런 건 먼저 사용자 토론이나 문서 토론에서 오해를 푸는 게 순서 아닐까요? Motoko C. K. (토론) 2019년 11월 5일 (화) 12:46 (KST) = = 116.37.19.51 차단 요청 = = * 위에 신고했던 농협 홀푸드와 동일 인물로 보이며 K리그 구단 문서에 지속적으로 가짜 정보를 기입하면서 문서 훼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차단 부탁드립니다. = 분류:아랍에미리트의 미술관 = = 히에쓰 지진 = 히에쓰 지진은 1858년 4월 9일(안세이 5년) 오전 1시 경 엣추국-히다국 국경(현 도야마현-기후현 현경)의 아토쓰가와 단층에서 일어난 규모 M7.0-7.1 가량의 지진이다. 안세이 히에쓰 지진(安政飛越地震)이라고도 불린다. 히에쓰(飛越)라는 단어는 엣추와 히다를 합쳐 줄인 말이다. 호쿠리쿠 지방(후쿠이현, 이시카와현, 도야마현)을 중심으로 주부 지방 북부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사망자 246명, 부상자 646명이며 주택 붕괴, 유실 대략 2,190채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棚田俊收(神奈川県温泉地学研究所)・丹保俊哉(立山カルデラ砂防博物館)、「安政飛越地震と跡津川断層」 神奈川県温泉地学研究所観測だより,第59号,2009 p.13-19 도야마번 무사의 체험기에는 지면이 계단처럼 융기하여 물이나 모래가 뿜어나왔다는 등과 같은 피해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北日本放送株式会社「復刻版越中安政大地震見聞録 立山大鳶崩れの記」地震見聞録 P81、2007年 = = 지진 = = 이 지진은 기후현 북부, 도야마현 경계와 가까운 지역에 있는 아토쓰가와 단층의 활동으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단층 주변에서는 진도7에 달하는, 가옥붕괴율이 50%가 넘었으며 나카자와 및 모리야스 지역에서는 100%를 기록한 곳도 있었다.宇佐美龍夫 『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 東京大学出版会、2003年 지진의 규모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는데 우사미 교수나 일본 지진조사위원회에서는 규모 M7.0-7.1로 추정하며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書 平成20年3月 1858 飛越地震 内閣府 마쓰우라 교수는 M7.3-7.5 규모로 추정하였다.松浦律子、中村操、唐鎌郁夫:講演要旨: 江戸時代の歴史地震の震源域・規模の再検討作業 -飛越地震など8地震について- 歴史地震・第22号(2007) 또한 고문서 기록에 따르면 히에쓰 지진은 한번 크게 일어난 지진이 아닌 이중지진으로 추정되는데 현대의 교토부에서 나가노현 오마치 사이 넓은 범위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5에 달하는 지진을 느낀 것으로 추정된다. 고마쓰 바라 교수는 2015년 연구에서 피해 상황을 볼 때 아토쓰가와 단층 위에서 첫 번째 지진이 일어났으며 미보로 단층에 두 번째 지진이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한다.小松原琢:集落別死者率から推定した安政飛越地震(1858)の震央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15年 SSS28-20 3년 전인 1855년 3월 18일(안세이 2년 2월 1일)에는 같은 히다국 지역에서 규모 M6.8급의 히다 지진이 일어났었다. 또한 히에쓰 지진은 1854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의 영향을 받은 지진으로 진원지 및 여진 영향권 밖에 일어난 유발지진으로 추정된다.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広報アウトリーチ室 = = 피해 = = 도야마현의 다테산 연봉에서는 일본 3대산악 붕괴 중 하나로 불리는 돈비산 붕괴(鳶山崩) 또는 오톤비 붕괴(大鳶崩れ) 라는 대형 산사태가 일어나 돈비산의 일부였던 오톤비 산과 고톤비 산이 소멸했고 다테산 칼데라에 대량의 토사가 흘러왔다고 한다. 이렇게 흘러나온 토사로 조간지 강이 막혀, 4월 23일, 6월 8일 두 번에 걸쳐 각각 여진과 규모 M5.7급의 유발지진이 일어나 자연 댐이 무너져 하류의 평야지대에 큰 피해를 가져왔다. 이 홍수로 3만석 이상에 해당하는 논이 흙더미에 묻히고 다수의 사망자와 가옥 유실 피해가 일어났다.飛越地震と大町地震 The Hietsu Earthquake of April 9,1858 and the Omachi Earthquake of April 23,. 1858.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宇佐美龍夫. Tatsuo Usami. Earthquake Research 첫 번째의 홍수에서 농지들이 묻혀 복구 공사중에 2번째의 홍수로 인해 인부들이 익사하여 피해가 더 커졌다. 그 외에도 진즈강이나 구로베강 등 일본 각지에서 강이 폐색호로 막히는 일이 일어났다. = 틀:한국의 떡 = = 분류:기원전 7세기 아시아의 통치자 = = 주상방 = 주상방(朱常淓, 1608년 ~ 1646년 5월 23일), 자는 경일(敬一), 노간왕 주익류(朱翊鏐)의 3남이며 양차비(楊次妃)의 소생이다. 1618년 4월 노왕(潞王)에 봉해졌고, 홍광제가 청나라군에 압송당하자 감국으로 옹립되었다. = = 생애 = = 부왕 주익류가 사망할 당시 주상방은 6세였고, 주익류의 정비인 이씨(李氏)가 번사(藩事)를 처리하였다. 1644년 2월 2일, 유방량(劉芳亮)이 회경부(懷慶府)現 심양(沈陽)을 침략하여 바로 동쪽인 하남성 위휘(衛輝)로 쳐들어가 노왕국이 위기에 처했다. 2월 19일 주상방은 성을 버리기로 결정하였고, 먼저 무석(無錫), 난징 순으로 이동했다가 항저우에 도착했다. 1645년 5월, 홍광제가 포로로 잡혔다는 소식이 항저우에 전해졌고, 마사영(馬士英), 완대성(阮大鋮), 주대전(朱大典), 장병정(張秉貞), 하륜(何綸)이 의논하여 주상방을 감국으로 옹립하기로 하였다. 동년 6월 30일 추태후가 주상방을 감국(監國)으로 책봉하여 감국으로써 재위를 시작하였다. 동년 7월 1일, 황도주(黄道周)가 칭제(稱帝)할 것을 건의했으나 마사영의 의견에 따라 진홍범(陳洪範)을 감국의 사신으로 파견하여 청군과 화담하게 하였다. 3일 후, 청군이 항저우에 도달하자 마사영, 완대성, 주대전 등이 모두 도주했고 진홍범만이 항저우로 돌아와 장병정 등과 감국에게 항복할 것을 건의하여 청군을 개성(開城)으로 맞아들인 후 항복하였다. 동년 9월, 주상방은 포로가 된 홍광제와 일부 남명 관료들과 함께 베이징에 압송되었고, 이듬해인 1646년 5월 23일, 주유숭과 진왕(秦王), 진왕(晉王), 형왕(衡王), 덕왕(德王), 형왕(荆王)은 모반의 죄목으로 처형당했다. 이후 주상방의 처형 소식을 확인한 융무제가 시호를 민왕(閔王)이라 하였다. = = 가족 = = 조부: 융경제 조모: 효정황태후 이씨 부왕: 노간왕(潞簡王) 주익류 모후: 양차비 본인: 노민왕 주상방 = 두우항 = 두우항(杜宇航, 1981년 1월 1일 ~ )은 홍콩의 배우이다. = = 주요 이력 = = 홍콩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포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훗날 2007년에 본격 영화배우 데뷔하였다. = = 출연 = = 일대종사 곽원갑 엽문 리부트 2020 - 엽문 역 채리불 엽문 3 - 엽문 역 엽문 2 - 정위기 역 엽문 - 금산조의 불량배 패거리 역 = Absent Lovers: Live in Montreal = Absent Lovers: Live in Montreal는 1998년 6월 23일에 발매된 킹 크림슨의 음반이다.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연제구의회 = 다음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연제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연제구의회는 지역구의원 20명을 선출했다. = 우네베촌 = 우네베촌은 아이치현 헤키카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요타시 남부에 해당한다. = 분류:1999년 건축 = = 분류:에비아섬 =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말레이시아의 지리적 위치는 동남아시아 저위도지역으로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한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반도의 일부로 이루어진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섬의 일부로 이루어진 동말레이시아로 이루어져 있다.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는 북쪽으로 태국, 남쪽으로 싱가포르, 서쪽으로는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과 인접해 있으며, 동말레이시아는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 브루나이와 국경이 맞닿아 있다.하이디 무난, 정미훈 역, 말레이시아, 휘슬러, 2005년, , 106-107쪽 = = 기후 = = 말레이시아는 적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서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오고 덥고 습한 열대 우림 기후를 나타낸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2500 mm에 달한다.Saw, Swee-Hock (2007). The population of Peninsular Malaysia.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p. 1–2. 연평균 기온은 32 °C이다.말레이시아 개황, 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는 대륙의 영향을 받아 계절간 강수량에 차이가 있고, 동말레이시아는 엘리뇨의 영향을 받을 때 강수량이 줄어든다.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같은 문제를 겪고 있기도 하다.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8). World and Its Peoples: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and Brunei. New York: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pp. 1156, 1158–1161, 1164, 1166–1171. . 말레이시아에는 두 종류의 계절풍이 불어온다. 5월에서 9월까지는 남서계절풍이 불어오고 10월에서 4월까지는 북동계절풍이 부는데, 북동계절풍이 불 때 더 많은 비가 내린다. 두 계절풍 기간 사이에 약간이 차이가 있다고 해도 일년 내내 비가 많이 내린다. 1992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200일 동안 비가 내렸고, 사바주의 코타키나발루에서는 153일, 사라왁주의 쿠칭에서는 253일 동안 비가 내렸다.하이디 무난, 정미훈 역, 말레이시아, 휘슬러, 2005년, , 107쪽 = = 지형 = = 말레이시아는 순다판에 놓여 있다.Whitten, T; Soeriaatmadja, R. E., Suraya A. A. (1996). The Ecology of Java and Bali. Hong Kong: Periplus Editions Ltd. 87쪽. . 기반암은 일반적으로 고생대 시기에 형성된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퇴적암이다. 가장 오래된 암석의 형성시기는 약 5억 4천만 년 정도이다. 석회암은 물에 녹기 때문에 동굴이 만들어지는데, 보르네오 섬의 구능물루 국립공원에 위치한 물루산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동굴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사이먼 윈체스터, 지구의 생명을 보다, 휘슬러, 2005년, , 78쪽 말레이시아의 총 면적은 약 329,750 km2로 한반도의 1.5 배 가량이다. 영토 크기의 순위는 세계에서 67번째가 된다.World Fact , CIA 해안선은 총 4,675km로 말레이 반도 쪽이 2,068km,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 쪽은 2,607km이며World Fact:Malaysia , CIA, 세계에서 29번째로 해안선이 긴 나라이다.World Fact:Coast Line , CIA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를 이루는 말레이시아 반도는 말레이반도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북의 길이는 약 740km, 동서의 최대 폭은 약 322km이다. 말레이시아의 공식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와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는 모두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에 있다. 보르네오 섬 북부에 있는 동말레이시아에 있는 대도시로는 쿠칭과 코타키나발루가 있다. = = = 산맥 = = = 말레이시아의 가장 높은 산맥은 보르네오 섬 북동부 사바주에 있는 크로커 산맥으로 가장 높은 산인 키나발루산의 높이는 4,096 m이다.Phillipps, A. & F. Liew 2000. Globetrotter Visitor's Guide – Kinabalu Park. New Holland Publishers (UK) Ltd. 키나발루 산을 포함하는 키나발루 국립공원은 2000년 UNESCO의 세계 유산으로 선정되었다.Chilling out in a tropical destination , Jacarta Post, 2011-6-12 말레이시아 반도에는 수 개의 산맥이 남북을 가로지르며 솟아있다. 가장 큰 산맥은 티티왕사산맥으로 태국 남단에서 시작하여 반도 전체를 가로질러 서남 해안까지 이어진다.Stevens, Alan M (2004). Kamus Lengkap Indonesia Inggris. Athens: Ohio University Press. p. 89. . 티티왕사 산맥의 가장 높은 산은 코르부산으로 높이는 2,183 m이다.Gunung Korbu, mountain-forecast.com = = = 숲 = = = 말레이시아의 숲은 대부분 열대 우림으로 말레이시아 반도의 58.2%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다.The population of Peninsular Malaysia.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p. 1–2. . 보르네오 섬 역시 대표적인 열대 우림 지역으로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에는 1 ha 당 서로 다른 240 종 이상의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Southeastern Asia: Indonesia and Malaysia, World Wild Life.org 열대 우림의 주요 수종은 딥테로카르푸스과에 속하는 나무로 보르네오 섬에 자생하는 것으로는 155종의 딥테로카르푸스과 나무가 보고되어 있다.C.Michael Hogan. 2011. Sulu Sea. Encyclopedia of Earth. Eds. P.Saundry & C.J.Cleveland. Washington DC 한편, 해안가에는 홍수림이 발달하여 있으며, 저지대 곳곳에 늪이 형성되어 있다.The Malaysian Rainforest, World Wild Life.org 보르네오 섬 사라왁주에 있는 구능물루 국립공원은 열대 우림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되었으며, 2000년 UNESCO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Gunung Mulu National Park, UNESCO = = = 동굴 = = = 말레이시아 반도에도 여러 개의 동굴이 있지만, 카르스트 지형인 동말레이시아 지역엔 수 많은 동굴이 밀집되어 있다. 특히 물루 동굴, 사라왁 동굴 등이 유명하다. = = = 수계 = = = 동말레이시아와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 사이에 남중국해가 있다.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는 믈라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과 마주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긴 강은 760km에 이르는 라장강으로 인도네시아와 경계를 이루는 이란 산맥에서 발원하여 사라왁 주를 지나 남중국해로 흐른다.Tuen, A.A (2004). "A Faunal Study of Rajang River Basin" (PDF). Institute of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Universiti Malaysia Sarawak). Retrieved 5 June 2014.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가장 긴 강은 파항강으로 길이는 435km이다. = = 생태계 = = 말레이시아는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Biodiversity Hotspots, biodiversitya-z.org 열대 우림과 홍수림에는 수 많은 동식물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라플레시아는 말레이반도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이다. 고양이과 맹수인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표범, 구름표범 등이 말레이시아 반도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서식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동남아시아의 호랑이 아종들은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데이비드 쾀멘, 이충호 역, 신의 괴물, 인간을 먹고 산 식인동물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 푸른숲, 2004년, , 468-470 쪽 1990년에서 2010년 사이 약 192만 헥타르에 달하는 말레이시아의 숲이 여러 가지 이유로 벌채되었다. 이는 말레이시아 숲의 8.2%에 달하는 면적이다.Malaysia Forest Information and Data, mongabay.com = = 인문 지리 = = 2010년 7월 기준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28,334,000 명이다."Population (Updated 2 July 2010)" .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 July 2010. Retrieved 22 September 2009. 이 가운데 약 22,500,000 명은 말레이시아반도에 산다.Population, Household and Living Quarters (2010),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2008년 UN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9%가 도시권에서 생활한다."FACT Sheet Malaysia: Rural Women in the Malaysian Econom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r the United Nations. Retrieved 30 July 2008. 최대 도시는 수도인 쿠알라룸푸르로 2010년 기준 인구는 1,627,172 명이다."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Jabatan Perangkaan Malaysia. p. i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December 2010. Retrieved 24 January 2011. = 나데즈다 올리자렌코 = 나데즈다 표도로브나 올리자렌코(, 1953년 11월 28일 ~ 2017년 2월 18일)는 전 소비에트 연방의 육상 선수로, 주로 800m에 출전하였다. 브랸스크 출신으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800m 결승전에서 동료 선수들 올가 미네예바와 타티야나 프로비도히나를 앞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소비에트 연방 선수들이 메달을 휩쓴 것을 보여주었다. 1500m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80년 800m에서 1분 53.43초를 세웠으며, 이 기록은 1983년 야르밀라 크라토츠빌로바에 의하여 경신될 때까지 세계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그녀는 또한 1986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800m 우승을 하기도 하였다. = 사피 = 사피는 모로코 서부와 대서양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두칼라압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며 인구는 284,750명(2004년 기준)이다. 모로코의 대표적인 어항이 들어서 있으며 주로 정어리가 많이 잡힌다. 인산염과 방직물, 도자기가 수출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횃불 작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 분류:1928년 정구 = = 삼사 = 삼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다. 삼사(三司)는 고려 시대의 전곡의 입출과 회계를 맡은 중앙 행정관청이다. 삼사(三司)는 조선 시대에 법을 맡은 세 관아, 곧 형조, 한성부, 사헌부를 통틀어 가리킨다. 삼사(三司)는 조선 시대에 왕권과 유력 신권을 견제하는 세 관아, 곧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이른다. 삼사(三司)는 중국 송나라 때 이재(理財)를 맡아보던 세 관아, 곧 염철(鹽鐵), 호부(戶部), 탁지(度支)를 이른다. 삼사(三司)는 가톨릭에서 이르는 영혼의 세 가지 관능(官能), 곧 명오(明悟), 기함(記含), 애욕(愛慾)을 이른다. 삼사(三事)는 조선 시대의 삼정승, 곧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삼사(三思)는 불교 용어로, 선사(善思)불선사(不善思)무기사(無記思)를 이른다. 삼사는 중앙아시아의 음식이다. 3사(三士)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 양성 기관이다. = 분류:잉글랜드의 남자 가수 = = 분류:보문중학교 동문 = = 전북특별자치도 부지사 = 전북특별자치도 부지사(全北特別自治道 副知事)는 전북특별자치도지사를 보좌하여 전북특별자치도청의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고위공무원이다.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등 총 2명을 두며, 행정부지사는 국가직 가급 상당의 고위공무원으로, 정무부지사는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전북특별자치도지사의 사고시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 = 현임 부지사 = = 행정부지사: 임상규 경제부지사: 김종훈 = = 역대 부지사 = = = = = 전라북도 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윤상희(尹相曦) 1945년 8월 16일 ~ 1945년 10월 4일 조선총독부 전라북도 참여관 2대 로빈슨 1945년 10월 5일 ~ 1945년 10월 20일 현역 미군 육군 대위 대리 윤상희(尹相曦) 1945년 10월 5일 ~ 1945년 12월 31일 1945년 12월 말까지 직무 유지 3대 베이커 1945년 10월 21일 ~ 1946년 2월 14일 현역 미군 육군 대위 = = = 전라북도 기획조정관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임석우 1962년 2월 ~ 1964년 1월 10일 = = = 전라북도 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임석우 1964년 1월 11일 ~ 1965년 1월 15일 2대 장수영 1965년 1월 16일 ~ 1966년 7월 8일 3대 이인철 1966년 7월 9일 ~ 1968년 3월 17일 4대 손수익 1968년 3월 18일 ~ 1969년 10월 24일 5대 조병규 1969년 10월 25일 ~ 1970년 3월 11일 6대 이해권(李海權) 1970년 3월 12일 ~ 1971년 8월 10일 7대 김해두 1971년 8월 11일 ~ 1972년 7월 15일 8대 안갑준 1972년 7월 16일 ~ 1973년 7월 8일 9대 한정수 (韓程洙) 1973년 7월 9일 ~ 1975년 3월 27일 10대 최종호 1975년 3월 28일 ~ 1976년 10월 21일 11대 이상희 1976년 10월 22일 ~ 1977년 7월 19일 12대 정규남 1977년 7월 20일 ~ 1979년 1월 14일 13대 강우혁 1979년 1월 15일 ~ 1979년 7월 15일 14대 전병우 1979년 7월 16일 ~ 1981년 3월 9일 15대 이길연 1981년 4월 22일 ~ 1981년 6월 30일 = = = 전라북도 제1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이길연 1981년 7월 1일 ~ 1981년 11월 8일 = = = 전라북도 제2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최인기 1981년 7월 1일 ~ 1981년 11월 8일 = = = 전라북도 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이길연 1981년 11월 9일 ~ 1981년 12월 3일 2대 한양수(韓陽洙) 1981년 12월 4일 ~ 1983년 12월 27일 3대 구용상(具龍相) 1983년 12월 28일 ~ 1984년 7월 18일 4대 최용복(崔容福) 1985년 3월 11일 ~ 1985년 12월 13일 5대 이해권(李海權) 1985년 12월 14일 ~ 1987년 2월 13일 6대 강상원(姜相遠) 1987년 2월 14일 ~ 1989년 2월 1일 7대 육종진(陸鍾振) 1989년 2월 28일 ~ 1992년 7월 4일2011년 도정백서에는 재임시기가 잘못 기재되어 있으며, 관보 등을 통해 올바르게 바로잡았다. 8대 이상칠(李相七) 1992년 7월 5일 ~ 1993년 9월 13일 9대 이봉섭(李鳳燮) 1993년 9월 14일 ~ 1994년 3월 22일 10대 김인식(金仁植) 1994년 3월 23일 ~ 1995년 6월 30일 = = = 전라북도 행정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김인식(金仁植) 1995년 7월 1일 ~ 1995년 8월 6일 2대 송하철(宋河澈) 1995년 8월 7일 ~ 1998년 1월 15일 3대 서형락(徐亨樂) 1998년 1월 16일 ~ 1998년 9월 1일 직무대리 주우철(朱尤哲) 1998년 9월 2일 ~ 1998년 10월 14일 4대 주우철(朱尤哲) 1998년 10월 15일 ~ 1999년 12월 26일 직무대리 이성열(李星烈) 1999년 12월 27일 ~ 2000년 1월 1일 5대 이성열(李星烈) 2000년 1월 1일 ~ 2001년 2월 11일 서리 채규정(蔡奎晶) 2001년 2월 12일 ~ 2002년 3월 4일 직무대리 채규정(蔡奎晶) 2001년 3월 5일 ~ 2001년 3월 6일 6대 채규정(蔡奎晶) 2001년 3월 7일 ~ 2002년 4월 7일 7대 한계수(韓桂洙) 2002년 4월 8일 ~ 2003년 8월 21일 8대 이형규(李亨奎) 2003년 8월 22일 ~ 2006년 7월 23일 9대 전희재(全熙宰) 2006년 7월 31일 ~ 2007년 12월 17일 10대 이경옥(李京玉) 2007년 12월 20일 ~ 2010년 9월 12일 11대 정헌율 2010년 9월 13일 ~ 2012년 9월 3일 12대 박성일(朴成一) 2012년 9월 4일 ~ 2013년 12월 2일 13대 심덕섭 2013년 12월 3일 ~ 2014년 12월 17일 14대 심보균 2014년 12월 18일 ~ 2015년 12월 15일 15대 김일재 2015년 12월 16일 ~ 2017년 9월 12일 16대 김송일 2017년 9월 13일 ~ 2019년 3월 17대 최용범 2019년 3월 22일 ~ 2020년 8월 23일 18대 최훈(崔薰) 2020년 8월 24일 ~ 2021년 8월 17일 직무대리 강승구 (姜承求) 2021년 8월 18일 ~ 2021년 8월 29일 19대 조봉업(曺捧業) 2021년 8월 30일 ~ 2023년 4월 21일 20대 임상규(林相圭) 2023년 4월 22일 ~ = = =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김철규(金喆奎) 1995년 7월 8일全北도 정무부지사 金喆奎씨全北도 정무부지사 金喆奎씨 ~ 1996년 6월 24일 직무대리 노장탁(盧張鐸) 1996년 7월 12일 ~ 1996년 8월 5일 2대 태기표(太基杓) 1996년 8월 6일전북도 정무부지사 太基杓씨 ~ 1997년 4월 19일 3대 채수일(蔡秀一) 1997년 4월 29일 ~ 2000년 6월 30일 4대 장세환(張世煥) 2000년 7월 1일 ~ 2001년 7월 2일 5대 강재수(姜宰秀) 2001년 7월 3일 ~ 2002년 6월 30일 6대 김대곤(金大坤) 2002년 7월 1일 ~ 2003년 8월 21일 7대 한계수(韓桂洙) 2003년 8월 22일 ~ 2005년 12월 8일 8대 이승우(李升雨) 2005년 12월 9일 ~ 2006년 6월 29일 직무대리 안경세(安世景) 2006년 6월 30일 ~ 2006년 8월 13일 9대 김재명(金載明) 2006년 8월 21일 ~ 2007년 5월 30일 직무대리 박성일(朴成一) 2007년 6월 1일 ~ 2007년 7월 25일 10대 한명규(韓明奎) 2007년 7월 26일 ~ 2009년 1월 15일 직무대리 심보균 2009년 1월 16일 ~ 2009년 2월 5일 11대 송완용(宋完庸) 2009년 2월 6일 ~ 2010년 2월 8일 직무대리 김일재 2010년 2월 9일 ~ 2010년 6월 30일 12대 박종문 2010년 7월 7일 ~ 2011년 7월 31일 13대 김승수 2011년 8월 16일 ~ 2013년 9월 4일 14대 김영 2013년 9월 11일 ~ 2014년 6월 27일 15대 이형규(李亨奎) 2014년 7월 9일 ~ 2016년 10월 4일 16대 진홍 2016년 10월 5일 ~ 2017년 10월 15일 17대 최정호 2017년 10월 16일 ~ 2018년 12월 18대 이원택 2019년 2월 15일 ~ 2019년 9월 10일 19대 우범기(禹范基) 2019년 9월 19일 ~ 2021년 9월 3일 20대 신원식(申元植) 2021년 9월 7일 ~ 2022년 6월 30일 21대 김종훈(金鍾熏) 2022년 7월 1일 ~ 2022년 9월 29일 = = = 전라북도 경제부지사 =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대 김종훈(金鍾熏) 2022년 9월 30일 ~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스릴러 드라마 영화 = = 핼리팩스 스탠필드 국제공항 = 핼리팩스 스탠필드 국제공항은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 다음으로 큰 캐나다 동부의 대표적 공항이며 에어 캐나다,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가 공항을 제2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 = 역사 = = = = = 1960년대 이전 = = = 핼리팩스 반도 웨스트 필드에 위치한 퀘부코 비행장은 1931년 핼리팩스 시에 의해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고 1942년 국제공항으로 사용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육군 항공대 기지로 사용이 되었다. 그 이후 1960년 6월까지 캐나다 공군의 동부전선의 주기지로 사용하였고 그 후 다시 국제공항으로 재개방되었다. 1954년 켈리 호 근처가 적절한 공항 부지로 선정되었다. 연방 교통국이 공항을 짓는 동안 핼리팩스 시는 부지를 구매하였다. 건설하기 전 주 정부는 날씨를 주로 고려하여 건설을 하였는데, 대서양과 인접한 핼리팩스의 지리적 특성상 안개가 공항 운영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부지 근처의 숲 일부분을 베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2008년까지 분석을 해본 결과 102번 고속국도에만 적용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 = = 노란 리본 작전 = = = 2001년 9월 11일 9.11테러가 발생하자 북미방공사령부는 '작전명-노란 리본'을 실행하여 캐나다 상공을 지나가는 40편 이상의 항공기들이 근처 공항으로 강제 착륙되었다. 대부분 캐나다 국적항공기들은 캐나다 중부 공항에 착륙하였고 외국 국적 항공사들은 서부와 동부 지역에 착륙하였는데 유럽에서 오는 대부분의 항공편들은 중부의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과 오타와 맥도날드 카르티에 국제공항 같은 곳에 착륙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동부의 갠더와 핼리팩스 시의 시민들의 협조와 지원으로 2005년 5월 16일 독일의 루프트한자 소속의 에어버스 A340-300 항공기 중 한대를 "Gander-Halifax"라고 명명한 영광을 얻기도 했다. 이 항공기는 D-ALFC로 등록되어있다. 또한 그 항공기는 루프트한자 항공기들 중 최초로 비 독일내 도시로 명명되었다. = = = 재명명 = = = 2005년 9월 9일, 메인 터미널의 이름을 전직 노바스코샤 주지사이자 연방 기관의 평판있던 인물인 로버트 L. 스탠필드로 재명명되었다. 2007년 2월 9일, 캐나다의 총리인 스티븐 하퍼 수상이 핼리팩스 공항을 방문, 기존의 핼리팩스 국제공항에서 핼리팩스 로버트 L. 스탠필드 국제공항으로 재명명되었다는 것을 공표하였다. = = 수상 경력 = = 국제 항공 운송 협회와 국제공항협의회가 주최하는 AETRA 설문조사서 핼리팩스 공항은 2005년 승객 만족 부분서 수상한 경력이 있다. 핼리팩스 공항은 2년 연속 북아메리카 공항 중 최고의 공항과 캐나다 국내선 공항 중 최고의 공항으로 등극 되었다. 그리고 3년 연속 5백만명 규모 공항 중 Top 5에 선정되었다. 2007년 3월에는 2006년 국제공항협의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서 두바이의 두바이 국제공항과 함께 공동 1위를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4년 연속 5백만명 규모 공항들 중 승객 만족 부분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2011년 국제공항협의회가 설문조사서 북아메리카에 있는 2백~5백만명 규모의 중형 공항중 3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 = 여객터미널 = = 여객터미널은 애초에 1960년 9월에 준공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애초에 1년에 3백 5천만명을 수용할 수 있게 걸선된 터미널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지속적인 확장 공사를 감행하였다. 1998년부터 공항에 대한 현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최근 2004년 9월에 작업이 마무리 되어갔는데 그 과정은 활주로와 유도로에 대한 추가 증설과 연장이었다. 그리고 새로운 호텔과 터미널 장식 그리고 감시탑 건설이었다. 그 과정을 수행하는데 250 달러가 소비되었다.2004년 12월 캐나다 정부와 미 세관청은 핼리팩스 공항에대한 미국의 무비자 입국을 승인하였다. 그리고 2006년 상용화되었다. 2007년 12월, 공항 당국은 2,300평의 부지를 사용해 5개의 주기장을 추가 건설하겠다는 발표를 하였고 2009년 완공하겠다고 했다. 기르고 재정적 문제로 건설이 연기되었던 쉐라톤 호텔에 대한 건설또한 시작하겠다고 했다. 2006년 10월 26일, 독일의 기업에 의해 14개의 격납고와 169개의 방, ALT호텔을 공항과 연결시키기로 하였다. 2010년, 공항의 유도로를 추가 건설하였고 각가 줄리엣(J)와 킬로(K)로 명명하였다. 최근에는 05번과 23번의 활주로 확장에 대한 작업이 끝이 났다. = = 운항 노선 = = = = = 화물 노선 = = = = = 지상 연계 교통 = = 메트로X와 버스가 공항에서 시내까지 운행하고 있다. 320번 버스는 터미널에서부터 시내 중심에 있는 엘버멜 가까지 운행한다. = = 비 항공시설 = = 공항 근처에는 애틀랜틱 캐나다 항공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 사건 및 사고 = = 1998년 9월 2일, 스위스 항공 111편 (기종: MD-11)이 뉴욕의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을 이륙하고 나서 30분이 지나 캐나다 노바스코샤 패기스 만에 추락하였다. 수사 과정에서 스위스 항공 측이 1998년 기내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1등석을 불법 개조하면서 과열이 발생하였고 화재로 이어져 추락하게 되었다. 2004년 10월 14일, MK 항공 1062편이 (기종: 보잉 747-200F) 핼리팩스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던 중 추락해 전원이 사망하였다.. 2013년 6월 14일, 카고제트 항공 소속 보잉 757기에 화물을 적재하던 58세 남성이 고장난 적재기에 깔려 즉사하였다. = 다이헤이요 산악 낙엽수림 = 다이헤이요 산악 낙엽수림은 일본 남부의 온대 활엽수혼합림이다. 대부분이 혼슈의 등뼈를 가로지르는 산맥에서 태평양 쪽 사면에 분포하고, 시코쿠와 규슈 가장 내륙지역에도 일부 분포한다. 해안 가까이에서부터 해발 3,000 미터까지 펼쳐져 있으며, 평균 고도는 해발 680 미터다. 대부분의 지역이 혼슈 해안보다 살짝 내륙에 가는 띠처럼 형성되어 있지만, 아카이시사맥과 후쿠시마현에 커다란 덩어리 두 개가 분포한다. 혼슈에서는 남쪽의 저지대의 다이헤이요 상록수림과, 북서쪽의 보다 고지대의 니혼카이 산악 낙엽수림과 접한다. 시코쿠와 규슈의 다이헤이요 산악 낙엽수림은 두 섬의 다이헤이요 상록수림에 에워쌓여 있다. 기후는 여름이 온난한 습윤 대륙성 기후(Dfb)다. 연교차가 매우 크고, 여름이 온난하지만(여름 4개월의 평균 기온 섭씨 10도 이상), 연중 평균 기온이 섭씨 22도 이상 올라가는 달은 없다. 식물은 북동쪽에서는 일본너도밤나무가 우세하다. 그 밖에 눈잣나무, 가문비나무가 자란다. 하목층에는 섬조릿대가 자란다. 대형 포유동물로는 일본산양, 꽃사슴, 멧돼지가 서식한다. 이 생태지역에 지정된 보존구역은 남알프스 국립공원 등이 있으며, 후지 하코네 이즈 국립공원은 대부분의 지역이 혼슈 고산 구과수림에 속하지만, 일부 작은 면적이 다이헤이요 산악 낙엽수림에 속한다. = 빌모시 지그몬드 = 빌모시 지그몬드(, 1930년 6월 16일 ~ 2016년 1월 1일)는 헝가리 태생의 미국 영화 촬영 기사이다. = = 연출 작품 목록 = = 연도 제목 감독 비고 1970 호러 오브 블러드 몬스터스 앨 애덤슨 1971 Red Sky at Morning 제임스 골드스톤 1971 맥케이브와 밀러 부인 로버트 올트먼 1971 하이어드 핸드 피터 폰다 1971 스키 범 브루스 D. 클라크 1972 로버트 올트먼 1972 서바이벌 게임 존 부어먼 1972 컨트리 뮤직 로버트 힝클 1973 긴 이별 로버트 올트먼 1973 허수아비 제리 샤츠버그 1973 신데렐라 리버티 마크 리델 1974 슈가랜드 특급 스티븐 스필버그 1974 페트로브카의 소녀(The Girl from Petrovka) 로버트 엘리스 밀러 1976 불타는 질주 제리 샤츠버그 1976 강박관념 브라이언 드 팔마 1977 미지와의 조우 스티븐 스필버그 1978 디어 헌터 마이클 치미노 1979 윈터 킬 윌리엄 리커트 1979 로즈 마크 리델 1980 천국의 문 마이클 치미노 1981 필사의 추적 브라이언 드 팔마 1982 징크스 돈 시걸 1983 테이블 포 파이브 로버트 리버먼 1984 내 사랑 로라 제리 샤츠버그 1984 살아가는 나날들 마크 리델 1985 21세기 두뇌 게임 마사 쿨리지 1987 이스트윅의 마녀들 조지 밀러 1989 멸망의 창조 롤랑 조페 1990 불륜의 방랑아 잭 니컬슨 1990 허영의 불꽃 브라이언 드 팔마 1993 슬리버 필립 노이스 1994 마지막 연인 마크 리델 1994 매버릭 리처드 도너 1995 크로싱 가드 숀 펜 1995 어쌔신 리처드 도너 1996 고스트 앤 다크니스 스티븐 홉킨스 1998 플래닝 하트 윌러드 캐럴 1998 불법 음악(Illegal Music) 제인 지델 2001 라이프 애즈 어 하우스 어윈 윙클러 2001 더 바디 조너스 매코드 2004 저지 걸 케빈 스미스 2004 멜린다 앤 멜린다 우디 앨런 2006 블랙 달리아 브라이언 드 팔마 2007 카산드라 드림 우디 앨런 2010 환상의 그대 우디 앨런 2010 루이스 댄 프리츠커 2013 섹슈얼컴펄전 에지디오 코치밀리오 = 고지나키 = 고지나키(, Gozinaki)는 볶은 호두(Gozi)를 녹인 설탕과 꿀에 버무려 납작하게 굳힌 조지아의 전통 과자이다. = 분류:이스라엘의 기업인 = = 분류:과거 신분 = = 모노크롬 디스플레이 어댑터 = IBM 모노크롬 디스플레이 어댑터(Monochrome Display Adapter, 간단히 MDA)는 1981년에 IBM사가 도입한 표준 비디오 디스플레이 카드이자 PC용 디스플레이 표준이다. MDA는 어떠한 종류의 그래픽 모드도 제공하지 않았다. 단지 모노크롬 텍스트 모드 (PC 비디오 모드 7)만을 제공하였으며 80 열 x 25 줄의 문자열을 보여주었다. 표준 IBM DMA 카드는 4 킬로바이트의 비디오 메모리를 장착하였다. MDA의 높은 문자열 해상도가 주 특징이어서 비즈니스와 워드프로세스에 적합하였다. 경쟁 디스플레이 어댑터로는 CGA, HGC가 있었다. = = 규격 = = = = = 단자 = = = 핀 수 (소켓 참고): 핀 배열IBM Personal Computer Hardware Library: Technical Reference (1983년 개정판) 핀 기능 1 그라운드 2 그라운드 3 쓰이지 않음 4 쓰이지 않음 5 쓰이지 않음 6 세기 (강도) 7 비디오 8 수평 동기화 9 수직 동기화 = = = 신호 = = = 종류 디지털, TTL 해상도 720h × 350v 수평 주파수 18.432 kHz 수직 주파수 50 Hz 색 2~4가지세기와 비디오 핀에 대한 4가지 가능한 합성이 있으나 모든 모니터가 뚜렷한 4가지 세기 수준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20년 2월 19일 = 독일 하나우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 최소 8명이 숨지고, 5명이 부상을 입었다. = 분류:필리핀의 도시별 문화 = = 분류:아바시리시의 건축물 = = 통조림 = 통조림(桶—, , )은 양철등으로 만든 용기에 식품을 채우고 밀봉한 후 가열살균을 하여 식품의 변패를 막도록 한 저장식품의 하나이다. 즉 밀봉으로 용기 내외의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미생물 침입을 방지하고 가열살균으로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식품의 변패를 막아 장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한 제품이다. 특히, 통조림은 그 보존성, 편의성, 위생, 제품의 풍미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른 식품 보존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장점이 있다. = = 역사 = = = = = 제조법 발명 = = = 1809년 니콜라스 아페르가 병조림을 고안했으며, 1810년에 영국의 피터 듀란드(Peter Durand)는 유리병 대신에 철판의 안팎에 주석으로 코팅한 얇은 양철판을 사용하여 만든 양철용기, 일명 깡통[네이버 국어사전] 깡통....양철을 써서 둥근기둥 꼴로 만든 통조림통 따위의 통을 발명했다.피에르 제르마 <세상을 바꾼 최초들> 하늘연못 2006.8.24 p282지바현역사교육자협의회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1.30 p39[네이버 지식백과 전투식량 - 군대문화 이야기(7) 배가 든든해야 싸움도 이긴다 (무기백과사전,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유용원의 군사세계, 디지틀조선일보).]....양철 캔 안에 담아 밀봉 처리하는 휴대식으로 발전시킨 것은 영국의 피터 듀란드(Peter Durand, 생몰년대 미상)로, 그는 1810년 8월 25일에 발명을 신청하여 영국 국왕 조지 3세(George III, 1738~1820)로부터 특허(3372호)를 받았다. 그는 특허를 브라이언 돈킨(Bryan Donkin, 1768~1855)이라는 사업가에게 1천 파운드로 팔았으며, 돈킨은 존 홀(John Hall)이라는 동업자와 함께 실제로 통조림 공장을 세운 후 1813년부터 영국군에게 납품했다. 피터 듀란드는 1818년에 자신이 앞서 땄던 동일한 특허를 미국에도 신청했다. 하지만 휴대성이 좋은 통조림이 나왔음에도 이를 따는 것은 별개의 문제였다 영국군은 대검이나 칼로 통조림을 열다 칼날이 상하기 일쑤였고, 심지어는 총으로 쏴 버려 내용물이 새어 나가기도 했다. 이 문제는 1858년경 통조림 따개가 등장하고 나서야 해결이 되었다. 또한 한동안은 금속제 용기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납으로 된 캔에 음식을 보관하다가 병사들이 납에 중독되는 사태도 벌어졌다. 그는 이 양철용기를 틴 캐니스터(Tin Canister)라고 불렀다. 오늘날 양철이나 알루미늄등으로 만든 통조림용 용기를 캔(can)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캐니스터(canister)라는 말에서 유래한 약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처음 아페르, 듀란드 등이 창안한 통조림 제조기술은 미국으로 건너가 크게 발전하였다. 통조림 제조업자가 직접 수공업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통조림 용기 제조가 점차 기계화되고 그 기술이 혁신됨에 따라 제관업이 통조림 제조업으로부터 분리·독립됨으로써 통조림 산업 발전의 기초가 확립되었다고 한다. 그 결과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 식량의 2/3 정도가 통조림으로 공급되었다고 한다. = = 참고 자료 = = 통조림가공수협 50년사, 《2012 CAN에 담은 열정과 희망》,통조림가공수산업협동조합, 70-71쪽, 2012-11-23 = 금계산로 = 금계산로(Geumgyesan-ro)는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수촌교삼거리와 공주시 유구읍 각흘고개를 잇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공주시 (유구읍) = = 노선 경로 = = 이름 접속 노선 경유지 경유지 비고 중앙1길와 직결 중앙1길와 직결 중앙1길와 직결 중앙1길와 직결 중앙1길와 직결 수촌교삼거리 신설동1길 공주시 유구읍 수촌사거리 중앙2길수촌중앙길 공주시 유구읍 유구교 공주시 유구읍 유구교 교차로 창말길 공주시 유구읍 유구IC 교차로유구 나들목 제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공주시 유구읍 신달교 공주시 유구읍 추계교 공주시 유구읍 탑곡삼거리 지방도 제618호선(문금길) 공주시 유구읍 각흘고개 공주시 유구읍 외암로와 직결 외암로와 직결 외암로와 직결 외암로와 직결 외암로와 직결 = = 주요건물및 시설 = = HD현대오일뱅크 신영주유소 (금계산로 424/신달리 236-1) HD현대오일뱅크 유구농협 LPG충전소 신달지점 (금계산로 477/신달리 291-1) 농협 유구농협 신달지소 (금계산로 477/신달리 321) HD현대오일뱅크 유구농협 주유소 (금계산로 477/신달리 291-5) SK에너지 신달주유소 (금계산로 687/신달리 504-3) 추계1구 마을회관 (금계산로 774/추계리 274-6) 덕암초등학교 (금계산로 943/덕곡리 3-11) = 김설현 = 김설현 1월 3일~)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걸 그룹 AOA의 리드댄서, 서브 보컬를 맡았다. 2012년 AOA 1집 싱글 앨범 〈Angels` Story〉로 데뷔 하였다. 주요 출연작으로는 드라마 못난이 주의보(2013) 오렌지 마말레이드(2015)와 영화 강남 1970(2015) 살인자의 기억법(2017) 안시성(2018)등이 있다. = = 성장 과정 = = 설현은 경기도 부천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김녕이다. 형제자매로는 언니가 한 명 있으며, 언니 김주현은 패션 매거진 코스모폴리탄 에디터이다. 설현은 부천 소재의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 3학년 당시 교복 브랜드 ‘스마트 학생복’ 모델 선발대회에 나가 남다른 포스로 무대를 압도하며 당당히 1위(대상)를 수상하였다. 이를 계기로 현 소속사인 FNC엔터테인먼트에 캐스팅돼 연습생이 되었다. 데뷔 이전에 FT 아일랜드의 '지독하게' 뮤직비디오의 여주인공으로 출연하였다. 2013년 2월 경기예술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 경력 = = = = = 2012-2014: AOA 가수 활동 및 배우 데뷔 = = = 설현은 2년의 연습 기간을 거쳐 AOA의 멤버로 합류하게 되었고, 2012년 7월 AOA 1집 싱글 앨범 〈Angels` Story〉를 발매하며 정식 데뷔하였다. 유닛 그룹 AOA 화이트에 속해 있지만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 2012년 11월, 설현은 드라마 내 딸 서영이에서 강성재(이정신)의 연기 선생님 서은수 역을 맡아 15회부터 등장했다. 당시 설현은 극 중 서은수의 뚱뚱했던 과거를 재현하기 위해 교정기, 파마머리, 뿔테 안경, 두툼한 패딩을 총동원해 파격적인 비주얼을 선보이는 등 좋은 평을 받았다. 이듬 해 2013년 5월부터 방영된 드라마 못난이 주의보에서는 연기자 지망생 공나리 역을 맡아 비중있는 역으로 출연하며 연기자로 활동을 이어 나갔다. 이후 AOA 그룹 활동에 전념하며 싱글 앨범 〈WANNA BE〉, 〈MOYA〉, 〈RED MOTION〉을 발매했지만 연거푸 아쉬운 성적을 거두며 큰 관심은 받지 못했다. 그러던 중, AOA는 2014년 1월 용감한형제가 프로듀싱한 싱글 앨범 〈짧은 치마〉로 컴백하였고, 좋은 반응을 얻으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EP 앨범 〈단발머리〉와 〈사뿐사뿐〉을 연달아 히트시키며 수 많은 걸그룹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하지만 설현은 2014년 1월 13일, 촬영에 나선 프로그램 아이돌 스타 육상 양궁 풋살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 컬링 연습 중 빙판에서 넘어져 무릎을 다쳐 전치 6주 진단으로 인하여, 〈짧은 치마〉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회복 후 5월 28일 MBC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월드컵 응원쇼 뜨거운 함성 가자 브라질로로 팬들 앞에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복귀했다. = = = 2015: 대세 아이돌로서 주목, 계속 된 연기 = = = 설현은 2015년 1월 개봉한 유하 감독의 누아르 액션 영화 강남 1970에서 종대(이민호)의 호적상 여동생 김선혜 역을 맡아 스크린 데뷔를 했다. 극중 첫사랑을 닮은 수수하고 청순한 여인을 연기하며 호평을 받아 제36회 청룡영화상, 제52회 대종상 영화제,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제10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신인여우상 후보에 올랐으며, 제5회 마리끌레르 영화제 루키상과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라이징 스타상을 수상했다. 설현은 2015년 5월부터 SK텔레콤의 '이상하자 캠페인' 메인 모델로 발탁되었다. 방송과 지면광고, 입간판, 포스터 등 설현의 몸매를 전면에 내세운 SK텔레콤 광고 속에서 자신만의 사랑스러운 외모와 글래머러스한 몸매의 ‘차세대 대표 베이글녀’로 떠오르며 광고 입간판 포즈가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고, 당시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무명(無名)이던 설현은 단번에 스타덤에 올랐다. 2015년 5월 첫 방영된 하이틴 드라마 오렌지 마말레이드에서 뱀파이어 소녀 백마리 역을 맡아 첫 주연을 맡았다. 하지만 어색한 표정 연기와 부정확한 발음에 대한 지적이 받으며, 연기력에 대한 혹평을 받기도 했다. 2015년 6월, 데뷔 3주년에 접어든 AOA는 세 번째 EP 앨범 〈Heart Attack〉을 발매하며 6개월여만에 컴백하였다. 타이틀곡 〈심쿵해 (Heart Attack)〉로 신흥 음원차트 강자로 떠오르며 대중적 지지를 받았고 국내 음악프로그램에서 정상을 차지하며 정상급 걸그룹으로 도약했다. 그룹으로도 승승장구한 설현은 이후 네일브랜드, 렌즈, 아웃도어, 라면, 오픈마켓, 주류 등 10개가 넘는 다양한 브랜드의 광고를 계약해 2016년 광고주가 가장 사랑하는 스타 중 한 명이자 대세 아이돌로 떠올랐다. 2015년 11월,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열린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 선포식에서 참석한 설현은 이민호와 함께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 = = 2016-현재 = = = 2016년에는 연기 활동은 하지 않고, AOA 그룹 활동에 주력하였다. 2016년 3월, 설현은 4·13 국회의원 총선거 홍보대사에 위촉되었다. 웹드라마 네오즈고의 여신에 특별 출연하였다. 2016년 5월, AOA로서 1년여만에 네 번째 EP 앨범 〈Good Luck〉으로 컴백한 설현은 활발한 가수 활동을 이어나갔다. 지난 2015년 KBS 연예대상 진행을 맡은데 이어 2016년 KBS 가요대축제 진행자로 나섰다. 2017년 1월 설현은 AOA로서 첫 국내 정규 앨범인 〈AOA 1st Album ANGEL`S KNOCK〉을 발매하며 컴백했다. 설현은 2017년 9월 개봉된 원신연 감독의 스릴러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으로 연기자로 복귀했다. 이 영화에서 그녀는 알츠하이머에 걸린 은퇴한 연쇄살인범 병수의 딸 은희 역을 맡아 설경구, 김남길, 오달수와 공연하였고, 이전과는 한층 성장한 자연스러운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 2017년 7월에는 김광식 감독의 사극 영화 안시성에 캐스팅 되었으며, 영화는 2018년 9월에 개봉되었다. = = 개인 생활 = = 2016년 8월 10일, 디스패치에서 파파라치성 사진과 함께 래퍼 지코와의 열애설 기사를 냈다.설현♡지코, 몰래한 사랑…”비밀 데이트도, 핫해”, 디스패치 ,2016년 8월 10일자. 이후 설현과 지코 측은 두 사람의 열애 사실을 공식 인정했다."지코·설현 "열애 인정"...아이돌 커플 탄생", YTN, 2016년 8월 15일자. 하지만, 설현과 지코가 열애 6개월 만에 결별했다고 9월 27일 한 매체가 보도한 가운데 양측 소속사에서 결별설을 인정했다. 설현 소속사 FNC 엔터테인먼트 측 관계자는 "주위의 지나친 관심이 부담스러웠고, 자연스럽게 관계도 소홀해져 헤어지게 됐다"고 밝혔다. = = 작품 목록 = =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2 KBS2 내 딸 서영이 서은수 15회부터 출연 2013 SBS 못난이 주의보 공나리 133부작 2015 KBS2 오렌지 마말레이드 백마리 12부작 2016 MBC every1네이버TV 클릭유어하트 네오즈고의 여신 웹드라마, 특별 출연 2019 JTBC 나의 나라 한희재 16부작 2020 tvN 낮과 밤 공혜원 16부작 2022 tvN 살인자의 쇼핑목록 도아희 8부작 2022 ENA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 이여름 12부작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5 강남 1970 강선혜 2017 살인자의 기억법 김은희 2018 안시성 백하 2020 피원에이치: 새로운 세계의 시작 누나 특별출연 = = = 방송 = = = = = = = 진행(MC) =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기간 비고 2015 KBS2 KBS 연예대상 MC 12월 26일 신동엽, 성시경과 공동 진행 2016 KBS2 KBS 가요대축제 MC 12월 29일 박보검과 공동 진행 2018 KBS2 KBS 연예대상 MC 12월 22일 신현준, 윤시윤과 공동 진행 =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 고정 출연과 게스트 출연에 대한 목록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날짜 비고 2013 tvN 청담동 111 본인 2013년 11월 21일 ~ 2014년 1월 9일 13부작(with AOA) 2014 MBC every1 주간 아이돌 게스트 출연 1월 22일 131회(with AOA) 2014 MBC every1 주간 아이돌 게스트 출연 7월 9일 154회(with AOA) 2014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게스트 출연 8월 24일 210회, 흑백, 그 한판의 人生 편 2014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게스트 출연 11월 17일 199회(with 초아) 2014 MBC every1 주간 아이돌 게스트 출연 11월 19일 173회(with AOA) 2015 KBS2 용감한 가족 고정 출연 (딸 역) 1월 23일 ~ 4월 3일 10부작 2015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게스트 출연 2월 12일 385회, 화성인 특집 편 2015 MBC MUSIC AOA의 어느 멋진 날 본인 2015년 6월 13일 ~ 8월 1일 8부작, 리얼리티 프로그램(with AOA) 2015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게스트 출연 7월 12일 255회, 여름특집! 초복의 여왕 레이스 편 2015 SBS 아빠를 부탁해 내레이션 9월 27일 추석특집 편 2015 KBS1 안녕 우리말 본인 10월 9일 ~ 11월 24일 4부작(설춘향 편, 패션쇼 편, 헬스클럽 편, 휴대폰 편) 2015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게스트 출연 12월 20일 ~ 12월 27일 278회~279회, 런닝맨 X 2015 특집 편 2016 SBS 정글의 법칙 in TONGA 게스트 출연 3월 4일 ~ 4월 29일 9부작 2016 MBC 라디오스타 게스트 출연 3월 30일 472회, "넌 is 뭔들" 특집 2016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특별 게스트 출연 4월 3일 293회, 수상한 봄나들이 편 2016 온스타일 CHANNEL AOA 본인 2016년 4월 12일 ~ 5월 31일 7부작, 리얼리티 프로그램(with AOA) 2016 MBC every1 주간 아이돌 게스트 출연 5월 18일 251회(with AOA) 2016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게스트 출연 5월 26일 450회, '1+1' 특집 편 2016 MBC 은밀하게 위대하게 게스트 출연 12월 4일 1회, 설현 & 이적 편 2017 JTBC 냉장고를 부탁해 게스트 출연 1월 2일 ~ 1월 9일 112회~113회, 설현 & 유병재 편 2017 KBS2 트릭 앤 트루 게스트 출연 1월 4일 11회 2017 JTBC 아는 형님 게스트 출연 1월 7일 57회, 형님학교 - AOA 편(with AOA) 2017 JTBC 한끼줍쇼 게스트 출연 1월 15일 15회, 방배동/반포동 편 2017 SBS 꽃놀이패 게스트 출연 1월 22일 21회 2017 KBS2 해피투게더 3 게스트 출연 4월 20일 495회, 스.개.소 특집 편 2017 tvN 삼시세끼 바다목장 편 게스트 출연 9월 8일 ~ 9월 15일 7회~8회 2018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게스트 출연 5월 27일 402회, 좀비 커플 레이스 편 2018 JTBC 아이돌룸 게스트 출연 6월 2일 4회, AOA 편(with AOA) 2018 tvN 놀라운 토요일 게스트 출연 6월 2일 9회 (with 혜정) 2018 JTBC 아는 형님 게스트 출연 6월 2일 130회, 형님학교 - AOA 편(with AOA) 2018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게스트 출연 6월 4일 368회(with 민아) 2018 XtvN 슈퍼TV 시즌2 게스트 출연 6월 7일 AOA 편 (with AOA) 2018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게스트 출연 6월 7일 542회, '내 노래를 불러줘' 특집 편 (with 유나, 찬미) 2018 JTBC 패키지로 세계일주 - 뭉쳐야 뜬다 게스트 출연 6월 17일 ~ 6월 24일 76~77회, 파리, 스위스 패키지 여행 편 2018 MBC 뜻밖의 Q 게스트 출연 6월 30일 9회, (with 지민) 2018 KBS2 해피선데이 - 슈퍼맨이 돌아왔다 게스트 출연 7월 1일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편 (with 민아) 2018 SBS 폼나게 먹자 게스트 출연 10월 26일 7회 2018 SBS 가로채널 게스트 출연 11월 15일 ~ 11월 29일 1~3회, (with 찬미) 2018 Mnet 니가 알던 내가 아냐 게스트 출연 12월 10일 1회 2020 MBC 시리즈 M 내레이션 5월 21일 14회 PANDEMIC(세계적 유행) 1편 - 죽음 앞의 인간 2021 KBS1 다큐On 내레이션 10월 29일 104회 : 숲, 사람을 품다 2022 tvN 어쩌다 사장 2 게스트 2024 MBC 나혼자산다 게스트 = = = 뮤직 비디오 = = = 연도 제목 가수 비고 2012 〈지독하게〉 FT 아일랜드 2015 〈기가 막혀〉 엔플라잉 = = = 광고 = = = 연도 기업명 제품명 종류 국가 공동 출연 2010 (주)스마트에프앤디 스마트 교복 대한민국 데뷔전 출연 2013 한국존슨앤존슨 클린앤클리어 화장품 대한민국 이세영 2014 미즈노 코리아 미즈노 스포츠웨어 대한민국 2014 이펀컴퍼니 티격태격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AOA 2014 푸디노에프앤디 강정이기가막혀 치킨 프랜차이즈 대한민국 AOA 2014 ~ 2015 (주)스베누 스베누 운동화 대한민국 AOA 2014 ~ 2015 (주)엠케이트렌드 버커루 의류(청바지) 대한민국 강하늘 2014 ~ 2015 에이투엑스게임즈 환타지히어로 판타지 액션RPG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AOA 2015 케이알시(주) N.O.Q 네일 브랜드 대한민국 AOA 2015 에이블씨엔씨 어퓨 화장품 대한민국 AOA 2015 블랙캣 코리아 블랙캣 자전거 대한민국 AOA 2015 (주)컴투스 컴투스프로야구for매니저3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AOA 2015 SK텔레콤 SK텔레콤 '이상하자 퓨전사극' 통신사 대한민국 박해일, 차승원, 고수, 윤소희 외 2015 SK텔레콤 루나(LUNA) 휴대폰 대한민국 2015 SK텔레콤 SK텔레콤 T전화 통신사 대한민국 연우진, 우현, 박철민, 이기영 외 2015 비씨카드(주) 비씨카드 'RED 산타 페스티벌' 신용카드 대한민국 AOA 2015 ~ 2016 넥슨 영웅의군단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AOA 2015 ~ 2016 (주)코리아델로스KD 치킨매니아 치킨 프랜차이즈 대한민국 AOA 2015 ~ 2016 (주)엔터식스 엔터식스 패션쇼핑몰 대한민국 2016 넥슨 서든어택 게임 대한민국 2016 SK텔레콤 솔(SoL) 휴대폰 대한민국 2016 SK텔레콤 루나워치 스마트워치 대한민국 2016 SK텔레콤 SK텔레콤 생활플랫폼 통신사 대한민국 조진웅, 태용 외 201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선거 공익광고 대한민국 2016 젯아이씨(주) 엘레쎄(ellesse) 스포츠웨어 대한민국 AOA 2016 한돈자조금 한돈 국산 돼지고기 홍보 대한민국 AOA 2016 LG생활건강 비욘드 화장품 대한민국 AOA 2016 (주)콜핑 콜핑 아웃도어 대한민국 2016 이랜드그룹 스파오 의류(캐쥬얼)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AOA, with EXO 2016~2017 한국코라콜라(유) 스프라이트 음료 대한민국 최현석, 샘킴 2016~2017 미동앤씨네마 유라이브(Urive) 블랙박스 대한민국 2016~2017 한국존슨앤존슨 뉴 원데이 아큐브 디파인 콘택트렌즈 대한민국 2016~2017 (주)LF 헤지스 액세서리(HAZZYS ACCESSORIES) 패션잡화 대한민국 고경표 2016~2017 (주)이베이코리아 G마켓 온라인쇼핑몰 대한민국 김희철 (2017년) 2016~2017 롯데주류 클라우드 맥주 주류 대한민국 2016~2019 (주)더베이직하우스 마인드브릿지 의류(비즈니스 캐쥬얼)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주원(2016~2017년)박해진(2018년) 2016~2019 애경 케라시스 샴푸 헤어케어 대한민국 AOA 2016~2018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보험사 대한민국 우지원, 김지민, 샘 해밍턴 (2017년) 2016~2018 D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보험사 대한민국 지진희 2017 카카오게임즈 여명 for Kakao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2017 (주)직방 직방 부동산 앱 대한민국 서강준 2017 (주)LF 라푸마(Lafuma) 의류(아웃도어) 대한민국 차은우 2017~2018 한국로레알 비오템 화장품 대한민국 2017~2018 농심 짜파게티 라면 대한민국 2017~2018 제이씨코리아주식회사 데싱디바 1초 젤 네일 매직프레스 글로벌 네일 브랜드 대한민국 2018 (주)조이시티 캐리비안의 해적: 전쟁의 물결 모바일게임 대한민국 AOA 2018 (주)GLAM.D 글램디 뷰티헬스케어 브랜드 대한민국 2019~2020 동아제약 파티온 화장품 대한민국 2020 농심켈로그 켈로그 프로틴 그래놀라 스낵 대한민국 2020 대한숙박중앙회 원픽(ONE Pick) 국내 숙박예약 플랫폼 대한민국 = = = 기타 경력 = = = 연도 홍보대사명 2015 동아시안컵 홍보모델(AOA) 2015 서울경찰청 선선선 캠페인 홍보대사(AOA) 2016 ~ 2018 한국방문의해 홍보대사(개인) 2016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 홍보대사(개인) 2016 SBS 함께 만드는 기쁨 이미지 캐릭터&로고송(AOA) 2021 대한간암학회 홍보대사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5 KBS 연예대상 쇼오락부문 여자 신인상 용감한 가족 2015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연기상 오렌지 마말레이드 2015 KBS 연기대상 여자 인기상 오렌지 마말레이드 2015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신인상 오렌지 마말레이드 2015 제4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여자 신인상 오렌지 마말레이드 2015 제36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강남 1970 2015 제36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 강남 1970 2015 제52회 대종상 영화제 신인여우상 강남 1970 2015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강남 1970 2016 제10회 아시아 필름 어워드 신인상 강남 1970 2016 제5회 마리끌레르 영화제 루키상 강남 1970 2016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라이징 스타상 강남 1970 2016 제13회 서울영상광고제 TV CF 어워드 올해의 모델상 2016 2016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2016 제8회 스타일 아이콘 아시아 어썸 신드롬 상 2016 SBS 연예대상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정글의 법칙 2017 제6회 코파 & 니콘 프레스 포토 어워즈 포토제닉상 2017 제1회 더 서울어워즈 영화 부문 여자 신인상 살인자의 기억법 2018 제55회 대종상 우리은행 스타상 안시성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뉴웨이브상 안시성 2019 제28회 부일영화상 여자 인기상 안시성 2021 제7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아이돌챔프 여자 인기상 나의 나라 = = 여담 = =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울버햄프턴 원더러스의 공격수이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는 황희찬과는 까치울초등학교 1년 선후배 지간으로 알려져 있다. = 옆집 천사님 때문에 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한 사연 = 옆집 천사님 때문에 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한 사연는 사에키상이 쓴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품이다. 소설가가 되자에서 2018년 12월부터 연재 중이다. 서적판은 GA 문고(SB 크리에이티브)에서 2019년 6월부터 간행되고 있으며, 일러스트는 1권 판매시는 카즈타케 하자노가 담당하고 있었지만 후에 본인으로부터 강판의 신청이 있었기 때문에, 2권부터는 하네고토가 담당하게 되고, 그 이후에 판매되는 1권의 커버 일러스트도 하네고토와 제작한 물건으로 변경되었다. 약칭은 옆집 천사님(お隣の天使様).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 문고 부문에서 2020년판부터 2년 연속 10위. 2022년에 문고 부문 6위, 2023년에 4위를 획득했다. 2022년 12월 시점에서 시리즈 누계 발행 부수는 100만 부를 돌파했다. = = 줄거리 = = 고등학교 1학년 가을, 공원에서 비에 젖은 채 움직이지 않는 학교 최고의 미소녀 '천사님' 시이나 마히루를 보다 못해 본인이 쓰고 있던 우산을 떠맡듯이 빌려준 후지미야 아마네는 감기에 걸리고 만다. 우산을 돌려주러 온 마히루는 그 일에 죄책감을 품고 간병을 해주겠다고 하였으나 이웃인 아마네의 엉망진창인 생활을 보고 어이가 없어 청소를 도와주거나 반찬을 해주거나 해주게 되고, 방에서 저녁을 만들어 식사를 함께 하게 되었다. 만들어진 이미지인 '천사님'에 관심이 없지만 신사적인 아마네와 '천사님'으로서가 아니라 솔직하고 신랄한 태도를 보여주는 마히루. 같은 시간을 공유하면서 두 사람은 서서히 마음을 터놓고 서로에 대해 알게 되고 조금씩 끌리게 된다. = = TV 애니메이션 = = 2022년 1월에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어,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TOKYO MX 등에서 방송되었다. 또, 제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 = = 스태프 = = = 원작 - 사에키상(佐伯さん) 감독 - 왕리화(王麗花) 감수 - 이마이즈미 켄이치(今泉賢一) 시리즈 구성 - 오오치 케이이치로(大知慶一郎) 캐릭터 디자인 - 노구치 타카유키(野口孝行) 프롭 디자인 - 신야 마히루(新谷真昼) 미술 감독 -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색채 설계 - 아리오 유키코(有尾由紀子) CG 라인 디렉터 - 사이토 타케시(齋藤威志) 촬영 감독 - 카미죠 토모야(上條智也) 편집 - 탄 아야코(丹 彩子)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明田川仁) 음악 - 휴우가 모에(日向萌) 음악 프로듀서 - 아리마 유이(有馬由衣) 음악 제작 - 도호 뮤직, 미라클 버스 치프 프로듀서 - 타카하시 아츠시(高橋敦司), 타케이 카츠히로(武井克弘), 나가세 미츠코(長瀬奈津子), 이토 히로시(伊藤裕史),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나카지 료스케(中路亮輔), 야마시타 료헤이(山下良平) 프로듀서 - 타구치 쇼이치로(田口翔一朗), 마츠모토 카즈키(松本一貴), 미와 야스시(三輪靖史), 미우라 후미(三浦 史), 사토 준(佐藤潤), 토미하라 히로키(富原大稀), 카네코 히로타카(金子広孝)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코타니 사토시(糀谷智司) 애니메이션 제작 - project No.9 제작 - 애니 '옆집 천사님' 제작위원회 = = = 주제가 = = = = = = 방영 목록 = = = 제목 그림 콘티 연출 작화 감독 총작화 감독 방송일 #01 키노시타 유키츠카모토 아유무 2023년1월 7일 #02 天使様と夕食천사님과 저녁 식사 야마우치 토미오 미즈노 타카히로사쿠라이 타쿠로와타나베 케이타모리데 츠요시츠카모토 아유무 오가와 에리사토 카츠유키 1월 14일 #03 天使様へのご褒美천사님에게 주는 상 시라이시 미치타 카와하라 쿠미코오오노 츠토무Studio EverGreen24FPS 노구치 타카유키 1월 21일 #04 クリスマスの天使様크리스마스의 천사님 오쿠노 히로유키 우치노 아키오시미즈 카츠유키邸錦세븐시즈 노구치 타카유키 1월 28일 #05 天使様と初詣천사님과 새해 참배 야마우치 토미오 와타나베 케이타오오노 츠토무SASStudio EverGreen원오더胡慶丹陳如水STUDIO MASSKET 노구치 타카유키千支羽久遠 2월 4일 #06 天使様の贈り物천사님의 선물 이마이즈미 켄이치나카야마 타케히로 시라이시 미치타 시게쿠니 히로코와타나베 케이타이상민사쿠라이 타쿠로타카세 유리코Revival글렌세븐시즈 노구치 타카유키 2월 11일 #07 이마이즈미 켄이치타카하시 마사유키 카토 아키라 오오노 츠토무STUDIO EverGreen4FPSRevival글렌SAS 노구치 타카유키 2월 18일 #08 新学期の天使様신학기의 천사님 이마이즈미 켄이치 야마우치 토미오 오오노 츠토무와타나베 케이타Studio EverGreenTriple ARevivalRad Plus스튜디오 CL4tune 노구치 타카유키 2월 25일 #09 天使様とお出かけ천사님과 외출 이마이즈미 켄이치 오쿠노 히로유키 와타나베 케이타글렌板絵動画 노구치 타카유키 3월 4일 #10 夢の中の天使様꿈속의 천사님 이마이즈미 켄이치 마타노 히로미치 Studio EverGreen24FPS원오더Revival와타나베 케이타 - 3월 11일 #11 お隣の天使様にいつの間にか駄目人間にされていた옆집 천사님 때문에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해있었다 이마이즈미 켄이치 赤坂安兵衛 4tuneStudio EverGreen원오더STUDIO MASSKETTriple A시게쿠니 히로코오오노 츠토무와타나베 케이타 - 3월 18일 #12 臆病だった自分にさようならを겁쟁이였던 스스로에게 작별을 이마이즈미 켄이치 나카노 타케조 글렌와타나베 케이타 노구치 타카유키 = 틀: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2010년대) = 제목 방영일(시작/종영) 총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주인공 시청률 시청률 비고 제목 방영일(시작/종영) 총 횟수 원작자 극본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비고 27 근초고왕 2010년 11월 6일 60회 - 정성희유숭열 근초고왕 감우성 12.9%(제30회)(제34회) 11.0% 27 근초고왕 2011년 5월 29일 60회 - 정성희유숭열 근초고왕 감우성 12.9%(제30회)(제34회) 11.0% 28 광개토태왕 2011년 6월 4일 92회 - 조명주장기창최진영김주 담덕 이태곤 20.9%(제45회) 16.8% 28 광개토태왕 2012년 4월 29일 92회 - 조명주장기창최진영김주 담덕 이태곤 20.9%(제45회) 16.8% 29 대왕의 꿈 2012년 9월 8일 70회 - 유동윤김선덕 김춘추김유신 최수종김유석 13.9%(제13회)(제25회) 11.2% 29 대왕의 꿈 2013년 6월 9일 70회 - 유동윤김선덕 김춘추김유신 최수종김유석 13.9%(제13회)(제25회) 11.2% 30 정도전 2014년 1월 4일 50회 - 정현민 정도전 조재현 19.8%(제36회) 15.8% 30 정도전 2014년 6월 29일 50회 - 정현민 정도전 조재현 19.8%(제36회) 15.8% 31 징비록 2015년 2월 14일 50회 류성룡 정형수정지연 류성룡 김상중 13.8%(제22회) -제48회 시청률의 오류로 인하여 평균 시청률의 미산출. 오류 된 48회의 시청률은 전국 기준 7.7%이며, 오류된 시청률을 포함한 평균시청률은 11.2%가 된다. 31 징비록 2015년 8월 2일 50회 류성룡 정형수정지연 류성룡 김상중 13.8%(제22회) -제48회 시청률의 오류로 인하여 평균 시청률의 미산출. 오류 된 48회의 시청률은 전국 기준 7.7%이며, 오류된 시청률을 포함한 평균시청률은 11.2%가 된다. 32 장영실 2016년 1월 2일 24회 - 이명희마창준 장영실 송일국 14.1%(제7회)(제8회) 11.6% 32 장영실 2016년 3월 26일 24회 - 이명희마창준 장영실 송일국 14.1%(제7회)(제8회) 11.6% * = 다카쓰카사 후사코 = 타카츠카사 후사코 (, 조오 2년 8월 21일 (1653년 10월 12일) - 쇼토쿠 2년 4월 14일 (1712년 5월 19일))는 일본의 112대 천황 레이겐 천황의 황후 (중궁)이자 뇨인이다. 원호는 신죠사이몬인(新上西門院)이다. 아버지는 좌대신 종1위 타카츠카사 노리히라, 어머니는 곤다이나곤 레이제이 타메미츠의 딸이다. 형제로는 관백 타카츠카사 후사스케, 좌대신 쿠죠 카네하루,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미다이도코로 타카츠카사 노부코이다. 일설에는 후사코는 노리히라의 동생이자 유자(양자와 비슷)가 되었다고 한다. = = 생애 = = 간분 9년 (1669년) 11월 21일, 1살 연하의 레이겐 천황에게 입내해 뇨고가 된다. 천황의 정배 (정식후궁) 입내는 고미즈노오 천황에 도쿠가와 마사코 (도후쿠몬인)가 입내한 이후 처음이다. 같은 해 4월 28일, 고미즈노오인과 도후쿠몬인이 천황의 비로 후사코를 맞이 할 것을 교토 쇼시다이 이타쿠라 시게노리에게 내밀히 제안하라고 나카노인 미치시게에게 명하는 뇨보 봉서가 남아있다. 레이겐 천황은 이미 여러 후궁 여관에게 차례로 승은을 내려 아이를 낳게 했고, 그것이 여관과 그 관계자 들 간의 싸움으로 발전했다 (간분 8년의 금궐 소동). 정식 비를 맞이해, 그 여성이 낳은 황자를 다음 천황으로 세우는 것이 황위 계승의 관점에서도 후궁의 질서 유지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5월에는,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가 이 혼인에 찬동하고 있다는 로쥬 봉서가 이타쿠라에게 전달되었고, 6월에는 막부로부터 정식 요청이 타카츠카사가에 전달되었다. 그러나, 사정을 감안한 천황은 당초 이를 거부하고 8월에는 이타쿠라에 대해 산죠니시 사네노리의 배제에 동의하지 않으면 양위를 해, 입내 계획을 사실상 백지화하겠다고 밝힌 바있다. 어쩔 수 없이, 이타쿠라는 산죠니시의 칩거 처분에 동의해 입내를 실현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입내 후에도 천황과 후사코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 그래서 천황의 총애를 받던 츄나곤텐지 (오구라 사네오키의 딸)가 후사코를 질투하기 때문이라는 풍설이 나돌고 때마침 츄나곤텐지가 황자를 낳고 만다. 고미즈노오인이나 에도 막부는 후사코가 낳은 황자에게 황휘를 물려줄 방침이었기 때문에 질투 문제와 회임을 빌미로 츄나곤텐지를 궁중에서 퇴출시키고, 태어난 이치노미야 (후의 세이신 법친왕)를 황휘 계승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츄나곤텐지의 퇴출 이후에는 천황과 후사코의 관계는 개선되게 되었다. 간분 13년 (1673년) 5월 9일에 내전이 불타, 우대신 코노에 모토히로 저택을 임시 어소로 한다. 사실 선대인 고사이 천황도 만지 4년 (1661년) 정월의 화재로 인해 코노에 모토히로 저택을 임시 거처로 삼았었다. 그때, 후사코가 임신하고 있었으며, 그 해 8월 23일에 마사코 내친왕을 낳았다. 앞의 내전도 연소된 교토 대화재에 의해서 원호는 엔호로 고쳐지게 되었지만, 엔호 3년 (1675년) 11월 25일, 새로운 내전이 완성된 순간에, 이번에는 임시 어소였던 코노에 모토히로 저택이 화재 피해를 입었다. 천황과 후사코는 한때 요시다 카네츠나 저택에 몸을 의탁한 뒤, 27일에 새로운 내전에 들어간다. 후사코는 덴나 2년 (1682년) 12월 7일, 준삼후 선하 되었고, 이듬해 2월 14일, 중궁에 책립되었다. 적처로 입후 된 셈인데, 에도 시대에 적처가 입후되는 예는 후사코를 포함 4건 밖에 없다. 레이겐 천황은 조쿄 4년 (1687년) 3월 21일, 아사히토 친왕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양위한다. 후사코는 천황의 양위에 따라 같은 해 3월 25일에 신죠사이몬인의 여원선하를 받았다. 겐로쿠 8년 (1695년) 7월에 막부에서 소령 천석을 받았다. 쇼토쿠 2년 (1712년) 4월 14일에 붕어하였다. 묘소는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이즈미야마쵸 쓰키노와 능이다. = 분류:뉴어크 이글스 선수 = = 경계성 종양 = 경계성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암에 해당되지 않는 상대이다. 양성과 악성의 경계에 있는 종양, 또는 악성인지 양성인지 정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종양을 의미한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상 D37 ~ D48 "행동양식불명 미상의 신생물" 로 분류되어있다. 즉, 발견된 종양이 암이 되기 이전의 종양이거나 혹은 종양의 성격이 악성종양인지, 양성종양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종양을 말한다. = 20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 20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는 2015년 8월 1일 ~ 8월 5일 통합예선을 시작으로 12월 8일 ~ 12월 10일 결승전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는 바둑 국제 기전이다. 이번 기전의 16강부터 4강까지의 대국은 기존 대전 삼성화재 유성 연수원이 아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새로 건립된 삼성화재 글로벌 캠퍼스에서 진행한다. = = 대회 일정 = = 구분 일정 장소 통합 예선 8월 1일 13:00 일반 1회전(앞조), 시니어, 여자 1회전 8월 2일 13:00 일반 1회전(뒷조), 월드 1회전, 시니어, 여자 2회전 8월 3일 13:00 2회전, 시니어, 여자 3회전 8월 4일 13:00 일반조 3회전, 시니어,여자 4회전 8월 5일 13:00 시니어,여자,월드 예선 결승 한국기원 개막식 9월 7일 중국 베이징 (北京) JW 메리어트호텔 본선 32강전 1라운드 : 9월 8일
2라운드 : 9월 9일
3라운드 : 9월 10일 중국 베이징 (北京) JW 메리어트호텔 본선 16강전 10월 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 본선 8강전 10월 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 본선 4강전 1국 : 11월 3일
2국 : 11월 4일
3국 : 11월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 결승전 1국 : 12월 8일
2국 : 12월 9일
3국 : 12월 10일 중국 상하이 그랜드 센트럴 호텔 = =참가 기사 명단 = = 대한민국: 김지석 9단, 박정환 9단(이상 전기시드) 이세돌 9단, 박영훈 9단, 목진석 9단, 나현 6단(이상 국가시드), 최철한 9단, 허영호 9단, 김동호 4단, 변상일 4단, 신민준 3단(이상 일반조), 최정 5단(여자조), 이창호 9단(와일드카드) 중국: 탕웨이싱 9단, 스웨 9단(이상 전기시드), 커제 9단, 구리 9단(이상 국가시드), 장웨이제 9단, 저우허시 5단, 펑리야오 5단, 장타오 4단, 간스양 4단, 마이차오 3단(이상 일반조), 위즈잉 4단(여자조) 일본: 요다 노리모토 9단, 이다 아쓰시 8단(이상 국가시드), 시다 다쓰야 7단(일반조) 타이완: 샤오정하오 9단, 린쥔옌 6단(일반조) 미국: 벤자민 록하트 아마 7단(월드조) = = 32강전 조편성 및 대진표 = = 2015년 9월 7일 32강전 조 추첨이 완료됐다. 32강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시스템으로 진행된다. 토너먼트와 리그의 장점을 살린 시스템으로 한 번 질 경우에도 나머지 두 판을 이기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다. 첫 판을 이길 경우에도 다음 판을 질 경우엔 16강 진출이 불명확해진다. 26일에는 각조의 1~2번, 3~4번이 맞붙는다. 27일에는 각조의 승자는 승자끼리, 패자는 패자끼리 대국을 하는데 총 2승을 거둘 경우 16강 진출이 확정되고 2패를 할 경우에는 자동 탈락한다. 첫날 패했더라도 다음 날 승리하면 28일 3차전에서 다시 한 번 승부를 겨룬다. 여기서 승리해도 16강 진출이 가능하다. 16강부터는 재추첨 후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16강 진출 확정자는 굵은 글씨로 표시) A 조 B 조 C 조 D 조 1 최철한 나현 박영훈 이창호 2 탕웨이싱 펑리야오 스웨 린쥔옌 3 목진석 유창혁 허영호 김동호 4 위즈잉 커제 구리 샤오정하오 E 조 F 조 G 조 H 조 1 최정 신민준 김지석 벤자민 록하트 2 장타오 장웨이제 저우허시 간스양 3 이세돌 변상일 서봉수 박정환 4 이다아쓰시 마이차오 시다 다쓰야 요다 노리모토 = = = A조 = = = = = = B조 = = = = = = C조 = = = = = = D조 = = = = = = E조 = = = = = = F조 = = = = = = G조 = = = = = = H조 = = = = =16강~8강전~준결승전~결승전 = = = 새틀라이트 = 새틀라이트(Satellite)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위성, 인공위성 새틀라이트상 = = 음악 = = Satellite (P.O.D.의 음반) Satellite (P.O.D.의 노래) Satellite (레나 마이어란드루트의 노래): 독일의 가수 레나 마이어란드루트의 노래 = 임천 이씨 = 임천 이씨(林川李氏)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이현(李玄)은 본래 위구르 사람인데,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 ICC 프로파일 = 색 관리에서 ICC 프로파일(ICC profile)은 색 입력 장치나 색 출력 장치의 특성을 구현하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국제 컬러 협회(ICC)가 공표한 표준을 따른다. 프로파일들은 특정한 장치의 색 특성을 정의하거나 색 공간, PCS(프로파일 연결 공간)의 매핑 정의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보여 준다. 이 PCS는 CIELAB(L*a*b*) 또는 CIEXYZ로 되어 있다. 매핑은 보간이 적용된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변환을 위한 일련의 변수를 통해 지정할 수 있다. 색을 사용하거나 보여 주는 모든 장치는 저마다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일부 제조업체들은 자사 제품에 맞는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최종 사용자가 저만의 색 프로파일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제품들도 몇몇 존재한다. (컬러리미터 사용) ICC는 이 포맷을 정확하게 정의하지만 알고리즘이나 처리에 대한 자세한 부분까지 정의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ICC 프로파일과 호환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버전에 따른 호환성 문제가 크게 대두 되는데, 높은 버전의 프로파일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 이미지가 깨져서 출력될 수 있다. 현재의 규격은 4.2이다. = = 색교정에 대한 이해 = = 색교정은 디자이너가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색을 조정하는 색보정과는 다른의미이다. 정확한 색보정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색의 기준을 잡아주는 색교정 과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이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면, 특정한 RGB와 CMYK 색 공간이 있고 RGB에서 CMYK로 변환하려고 한다고 하자. 첫 단계는 두 개의 색상 체계가 독립적인 색상 체계를 기준으로 각각의 ICC 프로파일들을 얻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로 RGB값이 독립된 색상 체계로 변환을 하게 되는데, 먼저 RGB 각각의 값(빨강, 녹색, 파랑)이 RGB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PCS로 변환한다. PCS는 L*a*b*와 CIE XYZ 등이 사용된다. 세 번째 단계는 변환된 PCS를 CMYK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C, M, Y, K 네 개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렇듯 프로파일은 특정한 색상을 물리적인 색상으로 변환할 때에 한 번, 그것을 또다시 특정한 색상으로 변환할 때에 두 번이 필요하다. 즉 파이프라인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색상체계 사이를 오고갈 수 있는 교량역할의 프로파일이 두 개가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파이프라인을 여러번 반복할 수 있다. 색상 프로파일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전혀 다른 색상 체계, 또는 같은 색상 체계라도 전혀 다른 장비에 의해서 표현될 때에 어떻게 하면 정확한 물리적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가이다. 예를 들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값의 RGB 정보를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그 디스플레이가 속한 방의 밝기와 조명의 색상 등 환경적인 변수에 따라서 실제 눈으로 들어오는 물리적인 색상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같은 RGB 색상 체계의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라도, 그 기종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 입력되는 RGB 색상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와 프린터 같은 전혀 다른 방식의 색 체계, 표현방식에서는 더더욱 물리적인 색상이 달라지는데, 이것들은 물리적인 변수에 따른 실제 물리색상이 달라지는 연유와 전혀 다른 색 체계 상의 변환 문제 등이 함께 거론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등으로 각각의 색상 체계나 장비에 따른 색상에 차이를 기술하고 교정해주는 역할이 필요한데, 그것이 프로파일의 존재 이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L*a*b*나 CIE XYZ 같은 프로파일이 필요 없는 실제의 물리적인 색상을 기술하기 위한 색 체계가 필요하다. 프로파일을 만들고 변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물리적 색 체계를 기준으로 작동하는데, 디스플레이에 경우 암실에서 L*a*b*나 CIE XYZ 같은 물리색상 체계를 기술할 수 있는 센서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현되고 있는 값과 실제 물리 색상을 비교해서, 그 교정값을 프로파일로 작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RGB 프로파일은 운영 체제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본래의 RGB 값을 다시 L*a*b*나 CIE XYZ 같은 물리 색상 체계에서의 값으로 변환하고, 그 값을 다시 RGB 값으로 가지고 와서 디스플레이에 표현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어도비 같은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도 내부적으로 사용되는데, 일례로 포토샵에서 불러오는 문서는 각기 할당(assign)된 프로파일이 있으며, 그것을 적용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작업(working)프로파일 설정과 비교를 한 뒤에 사용한다. 그래픽 소스의 경우 프로파일이 없을 경우 매우 치명적인데, 도큐멘트가 RGB 값만을 가지고 있을 때에 그것을 디스플레이에 표현하거나 편집할 경우, 그래픽카드에서 렌더링 하지 못 할 수도 있다. 실제로 운영체제에서는 프로파일이 없을 경우 강제로 프로파일을 할당하기도 하며, 맥 오에스 텐의 경우 시스템에 필요한 sRGB 같은 기본 프로파일을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강제로 삭제하면은 로그인에 필요한 그래픽 소스가 아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듯이 단순히 RGB 값이나, CMYK 값만을 가지고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색상 값과 함께 그에 맞는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비로소 정확한 색을 재현해낼 수 있다. 프로파일은 렌더링 인텐트에 따라 몇 가지 매핑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매핑들은 가장 잘 맞는 색의 매핑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며 다른 색역을 허용하는 전반적인 색 범위를 다시 매핑한다. = = 표준 참조 = = 현재 국제 표준 ISO 15076-1:2005로 진행 중인 ICC 프로파일 규격ISO 15076-1:2005. Image technology colour management–Architecture, profile format and data structure–Part 1: Based on ICC.1:2004-10은 다른 표준들에 널리 참조되고 있다. 아래의 국제 표준들과 de facto 표준들은 ICC 프로파일에 대해 참조하고 있다. = = = 국제 표준 = = = ISO/IEC 10918-1: 정적 사진의 부호화 - JPEG ISO 12234-4: 사진 - 전자적 정적 사진 이미징 – Part 4: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 2.2) (ISO TC42) ISO 12639:2004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 Tag image file format for image technology (TIFF/IT) (ISO TC130) ISO/DIS 12647-1: 그래픽 기술 - 반색조(하프톤) 색 분리, 시험 인화, 생산용 인쇄물의 생산 처리 제어 – part 1: Parameters and measurement methods (Revision under way in ISO TC130) ISO/DIS 12647-2: 그래픽 기술 – 반색조(하프톤) 색 분리, 시험 인화, 생산용 인쇄물의 생산 처리 제어 – part 2: Offset processes (Revision under way in ISO TC130) ISO/CD 12647-3: 그래픽 기술 - 반색조(하프톤) 색 분리, 시험 인화, 생산용 인쇄물의 생산 처리 제어 - Part 3: Coldset offset lithography on newsprint ISO/CD 12647-3: 그래픽 기술 — 반색조(하프톤) 색 분리, 시험 인화, 생산용 인쇄물의 생산 처리 제어 — Part 4: Publication gravure printing ISO/CD 12647-6: 그래픽 기술 – 반색조(하프톤) 색 분리, 시험 인화, 생산용 인쇄물의 생산 처리 제어 – Part 6: Flexographic printing ISO/IEC 15948: PNG 파일 포맷 (W3C와 함께 정의됨 – 이 곳 참고) ISO/IEC15444: 정적 사진의 부호화 - JPEG2000 (ISO JTC 1/SC 2) ISO 15930-1:2001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PDF 사용 - Part 1: Complete exchange using CMYK data (PDF/X-1 and PDF/X-1a) (ISO TC130) ISO 15930-3:2002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PDF 사용 - Part 3: Complete exchange suitable for color managed workflows (PDF/X-3) (ISO TC130) ISO 15930-4:2003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PDF 사용 - Part 4: Complete exchange of CMYK and spot color printing data using PDF 1.4 (PDF/X-1a) ISO 15930-5:2003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PDF 사용 - Part 5: Partial exchange of printing data using PDF 1.4 (PDF/X-2) ISO 15930-6:2003 그래픽 기술 - 디지털 데이터 교환 추진: PDF 사용 - Part 6: PDF 1.4 (PDF/X-3)를 사용한 색 관리 워크플로에 맞는 인쇄 데이터 교환 완성 ISO 22028-1:2004 사진 및 그래픽 기술 – 디지털 이미지 저장, 조작, 교환의 확장된 색 인코딩 – Part 1: Architecture and requirements (ISO TC42) ISO 12052 / NEMA PS3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DICOM) = = = 사실 상의 표준 = = = PICT 표준 규격 (애플이 출시한 파일 포맷) 포스트스크립트 언어 (애플이 출시한 EPS 파일 포맷) PDF 포터블 도큐먼트 포맷 (애플이 출시한 EPS 파일 포맷) JDF v1.1 개정 A (CIP4 컨소시엄이 출판한 JDF 참고 ) SVG 버전 1.1 (W3C가 정의한 파일 포맷 참고) CSS3 (W3C가 정의한 파일 포맷 참고) = 분류:목록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서 = = 분류:쥐라기 전기 아프리카 = = 분류:포르투갈령 모잠비크 = = 분류:강 목록 = = 산청군·함양군·거창군 (2004년 선거구) = 산청군·함양군·거창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선거구 개편 과정에서 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산청군이 편입되면서 신설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선거구 개편 과정에서 합천군을 편입해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2004년 한나라당 이강두 2008년 한나라당 신성범 2012년 새누리당 신성범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 = = 번차 = 번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번차(翻車)는 용골차를 부르는 다른 이름이다. 번차()는 일본에서 소비되는 녹차의 일종이다. =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190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1900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 종목이다. 2개국에서 10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2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 경기장 = =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경기는 개최 도시인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포레스트 파크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세인트루이스 포레스트 파크 Forest Park 전 경기 = = 참가국 = = 다이빙 종목은 2개국에서 10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 = 메달 집계 = = = = = 최종 순위 = = = = = = 메달리스트 = = = 플랫폼 플랫폼 멀리뛰기 = = 참고 자료 =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190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경기 결과 George Seymour Lyon - Olympic Individual gold medal winner 1904 * 다이빙 = 1986wish = 1986wish는 누구나 소원을 등록할 수 있는 웹사이트이며, 엠에스알콘텐츠(MSR Contents)가 프리웨어로 서비스하고 있다. 소원을 접한 타인의 도움으로 실제 소원이 이루어지도 하며, 2013년에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원 등록 서비스를 알리기 위한 홍보 수단 목적으로 "만수르처럼 통크게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재미있는 콘셉트의 수르수르만수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KBS 뉴스9에 소개되는 등 이슈가 된 바 있다.“마지막 소원을…” 말기암 아빠에게 쓴 눈물 편지. KBS 뉴스9 2015년 1월 15일. = = 기능 및 서비스 = = 1986wish는 누구나 소원을 등록할 수 있는 웹사이트로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1986wish의 주 기능으로는 소원 등록, 소원 공유, 캠페인 참여 등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설치나 가입할 필요없이 누구나 웹사이트에 소원을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소원은 익명, 공개 작성이 가능하다. 공개가 허용된 소원은 타 애플리케이션 및 SNS 등에 공유가 가능하다. 실제 소원들이 온라인 SNS로 퍼지면서 소원들을 접한 유명인들이 실제 소원을 이루어주기도 했다. 소원을 이루어준 유명인들 중에는 아이유, 손호준, 김태우(그룹 god), 송준근 등이 있다.1억 기부 아이유, 사인 들어간 기타 선물...중학생 소원성취 사연. 동아일보 2015년 5월 6일.한 소녀의 소원에 응답 '손호준'의 깜짝 선물 화제. 매일경제 2015년 12월 19일.송준근, 지난해 11월 선행 이제야 밝혀져 … 췌장암 말기 아버지를 위하여. 매일신문 2015년 1월 14일.오나미 “만수르에 소원 빌었더니” 립스틱 100개가?…무슨 일?. 한국경제 2014년 8월 18일.수르수르만수르, 장미빛 연인들 촬영장 140인분 윤아정 ‘호텔 뷔페', 이모를 위한 조카의 소원. 국민일보 2015년 3월 3일. = 바람꽃속 = 아네모네속(Anemone)은 미나리아재비과 속씨식물속이다. 이 속의 식물들은 보통 바람꽃(windflower, 윈드플라워)으로 부른다. 이것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온대,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한다. = = 종 = = 2020년 4월 기준으로 큐의 플랜츠 오브 더 월드 온라인은 63개 종을 아네모네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는 에티오피아가 공산주의 체제였을 때 사용하던 국가였다. 아세파 게브레-마리암 테사마가 작사, 다니엘 요하네스 하고스가 작곡하였다. 1992년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되고, 그 이후로는 전진하라, 나의 어머니 에티오피아가 사용되고 있다. = 틀:서명/설명문서 = 은 다른 사용자가 서명을 하지 않고 의견을 남겼을 때, 원래 서명이 있어야 할 자리에 사용자의 이름과 의견이 남겨진 시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틀입니다. = = 사용법 = = 서명 없이 남겨진 의견을 발견했다면 먼저 문서 역사로 들어가셔서 의견이 남겨진 시각이 언제인지, 그리고 그 의견을 남긴 사용자가 누군지 확인해 주세요. 그런 다음 편집기를 열어 그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아래 코드를 추가해 주세요. {{풀기:서명|의견을 남긴 사용자 이름|의견이 남겨진 시각}} {{풀기:서명|의견을 남긴 사용자 이름}} = = = 예시 = = =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견이 남겨진 시각" 변수에서 (KST)는 생략해도 됩니다. 결과 위 결과와 동일하지만 "의견을 남긴 사용자"와 "의견이 남겨진 시각" 변수를 서로 도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결과 토론 문서 역사에서 기여자가 의견을 남긴 이력을 그대로 복사해서 다음과 같이 변수에 붙여넣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결과 간단히 의견을 남긴 사용자 이름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과 = = 틀데이터 = = { "params": { "1": { "label": "의견을 남긴 사용자의 이름", "description": "의견을 남긴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example": "홍길동", "type": "string", "required": true }, "2": { "label": "의견이 남겨진 시각", "description": "의견이 남겨진 시각을 XXXX년 X월 X일 (X) XX:XX의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시간대는 KST)", "example": "2020년 1월 1일 (수) 09:00", "type": "date", "required": false } }, "description": "다른 사용자가 서명을 하지 않고 의견을 남겼을 때, 원래 서명이 있어야 할 자리에 사용자의 이름과 의견이 남겨진 시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틀입니다." } = 에펨코리아 = 에펨코리아 (FMKorea), 줄여서 펨코는 200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이다. 축구 게임인 풋볼 매니저를 다루는 곳이었으나 규모가 커지며 종합 커뮤니티로 발전하였다. 2022년 10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사이트 접속자수 6위, 커뮤니티로는 2위 규모의 사이트이다. 주간조선에 따르면 에펨코리아는 주로 해외축구, 게임을 즐기는 남성 유저들로 이루어져 있다. 에펨코리아의 게시글은 '포텐 올리기 (추천)' 또는 '방출 (비추천)' 버튼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추천을 많이 받은 게시글은 '포텐 터진' 게시판에 게시된다. 이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게시판은 '해외축구' , '유머' 게시판 등이 있다. 게시글 작성 및 추천은 회원만 가능하다. 그 밖에 정치 관련, 반사회적, 성적인 내용, 욕설 등이 포함된 닉네임은 금지되고, 메일과 휴대폰 인증 과정을 거쳐야 가입되게끔 하는 등 다른 커뮤니티에 비해 엄격한 회원 관리 정책을 펴고 있다. 2021년 이래 '수용소 게시판'의 선정성 문제로 게시판을 폐쇄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 = 역사와 성향 = = 축구 게임인 풋볼 매니저를 다루는 곳이었으나 규모가 커지며 종합 커뮤니티로 발전하였다. 2022년 10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사이트 접속자수 6위, 커뮤니티로는 2위 규모의 사이트로 성장했다. 주간조선에 따르면 에펨코리아는 주로 해외축구, 게임 (풋볼 매니저, 리그 오브 레전드)을 즐기는 남성 유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성주의에 적대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또한 정치색을 띠지 않던 과거와는 달리 조국 사태 이후 정부, 민주당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비치고 있다. 2021년 기준 에펨코리아는 친야당 (국민의힘) 성향으로 꼽히며, 여성징병제 청원에도 적극 참여했다.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20대 남성 대부분이 오세훈 후보를 지지하자, 더불어민주당의 김남국 의원은 민심 청취를 위해 에펨코리아에 방문하겠다는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과 친문 커뮤니티인 딴지일보에 올렸다. 그 중 친문 지지자들의 에펨코리아 가입을 독려하는 글귀가 발견되자 에펨코리아 운영진은 "펨코에 좌표 찍기 하지 마시길 바란다"며 사이트 내 회원 간 분쟁으로 회원 가입을 제한했다는 공지글을 올렸다. 이 행보를 두고 국민의힘의 이준석과 하태경 의원은 비판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 = 사건 및 사고 = = 2020년 중순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문제의 경찰 수사 중, 에펨코리아는 디시인사이드, 클리앙, 이토랜드와 함께 압수수색을 받았다. 2021년 1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에펨코리아의 비밀 게시판에서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의 신체가 드러난 사진을 동의 없이 유포하고 성희롱을 일삼았다며 경찰 수사를 촉구하는 청원이 올라와 23만명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사이트 운영 위험 최소화를 이유로 수용소 게시판을 폐쇄하였음을 밝혔다. 2021년 5월에는 에펨코리아의 익명 게시판에 올라온, 집단강간과 가학적 성행위를 고백한 게시글의 가해자를 처벌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 서명이 이틀만에 8만명을 넘어서자 경찰이 내사에 착수했다. 에펨코리아의 운영진은 5월 3일 공지를 통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해당 글을 올린 사람은 익명 게시판 외 딱 1건의 글만 쓴 사람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N번방 사건의 주범인 조주빈이 사이트 회원이었다는 루머에 대해 "해당 주장의 근거가 되는 계정은 회원가입 절차가 완료되지 않고, 인증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법적 대응하겠다고 알렸다. 이후 경찰은 해당 성범죄 게시글은 허위 사실이라고 밝혔으며, 게시글 작성자는 음란물 유포 혐의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 Brian Wilson (음반) = Brian Wilson은 1988년 7월 사이어 레코드에서 발매된 미국의 음악가 브라이언 윌슨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이다. 이 음반은 NME에 의해 1988년 최고의 음반 중 하나로 뽑혔으며, 일부 비평가들 사이에서 "Pet Sounds 88년"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이 음반은 보너스 트랙과 함께 여러 형식으로 재발매되었고, 일부 사람들에 의해 윌슨의 솔로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언급되었다. 제작비가 1백만 달러가 든 이 음반은 The Beach Boys Love You (1977년) 이후 윌슨이 처음으로 쓰고 제작한 음반이다. 윌슨은 그의 치료사 유진 랜디를 포함한 다수의 협력자들과 함께 리드 싱글 〈Love and Mercy〉로 대표되는 사랑과 영성을 주제로 Brian Wilson을 테마로 삼았다. 비록 음반의 세션은 논쟁적이었고, 일부 참가자들은 기존의 팝송에 비해 진보적인 예술적 표현을 요구했지만, 음반의 거의 4분의 1은 윌슨의 1960년대 중반과 1970년대 초반의 실험적인 추진력을 다시 불러일으키기 위한 곡인 〈Rio Grande〉에 할애되었다. 두 개의 후속편이 계획되었지만 결국 랜디와 공동 제작한 Sweet Infanty (1991년)와 앤디 페일리와 공동 제작한 미완성 1990년대 음반으로 폐기되었다. 윌슨은 Imagination (1998년)까지 새로운 오리지널 소재를 담은 두 번째 솔로 음반을 발매하지 않았다. = = 홍보 = = 음반의 두 싱글인 〈Love and Mercy〉와 〈Melt Away〉는 잘 팔리지 않았다. 이 음반에는 수록되지 않은 〈He Couldn't Get His Poor Old Body to Move〉와 〈Being With the One Love〉가 수록되었다. 세 번째 곡인 〈Night Time〉은 홍보용으로만 발매되었다. 비록 비치 보이스의 1위 히트곡 〈Kokomo〉가 음반의 관심을 끌었을지 모르지만, 윌슨이 그의 논란이 되고 있는 심리학자 유진 랜디가 감독하고 통제한 제한된 홍보가 판매량 제한의 이유였을 가능성이 높다. 처음에 랜디와 그의 여자친구 알렉산드라 모건은 브라이언 윌슨의 곡들 중 일부에 그들의 이름을 포함시켰지만, 그가 1991년에 윌슨의 삶에서 성공적으로 퇴출되자, 후에 그들의 윌슨 노래에 대한 관여 부족을 반영하기 위해 크레딧이 수정되었다. 브라이언과 엔지니어 겸 프로듀서 마크 리넷이 스튜디오에서 참여한 리드 싱글 〈Love and Mercy〉의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었다. 이 동영상은 상위 40개 차트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자주 방송되지 않았다. 하지만 사이어 레코드는 음반의 다양한 곡들이 얽힌 브라이언 윌슨의 인터뷰가 담긴 홍보 디스크를 발매했다. 또한 사이어는 가죽 자켓이 들어간 한정판 CD를 발매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브라이언 윌슨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분류:체코의 샘 = = 분류:스웨덴-시리아 관계 = = 분류:프레젠테이션 = = 마셜 벨 = 마셜 벨(Marshall Bell, 1942년 9월 28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사랑을 위하여 (2020) 디렉터스 컷 (2016) 더 콩그레스맨 (2015) 와플 스트리트 (2015) 90 미니츠 인 헤븐 (2015) 홈, 제임스 (2014) 어 비트 오브 배드 럭 (2014) 썸바디 업 데어 라이크 미 (2012) 투 더 원더 (2012) 불량 변호사 (2011) 럼 다이어리 (2011) 락 앤 롤 드림스 오브 던칸 크리스토퍼 (2010) 브리티페이스 (2010) 햄릿 2 (2008) 더 파이널 시즌 (2007) 애스트로넛 파머 (2007) 낸시 드류 (2007) 섹스 앤 데스 (2007) 룸 6 (2006) 레스큐 던 (2006) 리틀 체니어 (2006) 카포티 (2005) 댄더라이언 (2004) 노스포크 (2003) 아이덴티티 (2003) 엘리자베스 헐리의 못말리는 이혼녀 (2002) Sand (2000) 머시 (2000) G Vs E (1999) 슬리핑-다운 라이프 (1999, A Slipping-Down Life) 바이러스 (1999) 폭력의 종말 (1997) 브레이브 (1997) 스타쉽 트루퍼스 (1997) 위험한 진실 (1997) 런웨이 원 (1995) 폭풍 질주 (1995) 페이백 (1995) 덴버 (1995) 덤보 낙하 작전 (1995) 시한폭탄 같은 남자 (1994) 러브 화이어 (1994) 에어헤드 (1994) 햄들의 침묵 (1994) 에이리언 마스터 (1994) 올리버 스톤의 킬러 (1994) 첩보원 가족 (1993) 미드나잇 스팅 (1992) 도시의 난폭자 (1992) 미녀 드라큐라 (1992) 레더 자켓 (1992) 오스카 (1991) 에어 아메리카 (1990) 딕 트레이시 (1990) 토탈 리콜 (1990) 와일드파이어 (1988) 죠니 비 굿 (1988) 터커 (1988) 트윈스 (1988) 체리 2000 (1987) 노 웨이 아웃 (1987) 와이즈가이 (1987) 맨헌터 (1986) 스탠 바이 미 (1986) 천국에서의 6분 (1985) 나이트메어 2 - 프레디의 복수 (1985) 버디 (1984) = = = 텔레비전 = = = 데드우드 (2004) 쉴드: XX 강력반 (2005) 하우스 (2005) 스타게이트 아틀란티스 (2008) 하와이 파이브-0 (2016) = 분류:상하이 롄청의 축구 선수 = = 분류:대일고등학교 동문 = = 김남종 = 김남종(1990년 ~)은 대한민국의 가수다. 2022년 싱글 Red Brick House로 데뷔했다. = = 방송 = = 히든싱어 2 (2013) - 박진영 편 3위 = = 음반 = = Red Brick House (2022) 안나라수마나라 OST (2022) I'm in love (2022) = 암루타 칸빌카르 = 암루타 칸빌카르(, 1984년 11월 23일 ~ )는 인도의 배우이다. = 김시득 = 시득(施得)은 신라의 군인이며, 기벌포 전투를 승리를 거둔 수군 지휘관이다. 관등은 사찬(沙飡)이다. = = 생애 = = 676년(문무왕 16년) 11월에 기벌포(伎伐浦)에서 당나라의 장군 설인귀(薛仁貴)와 대적하여 당나라 수군과의 22차례의 해전 모두 승리해 4,000여 명을 살상해 당군을 격퇴하는 데 공헌하였다. = = 김군승과의 관계 = = 김해김씨 선원대동보에 의하면 삼국사기에 나오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소정방(蘇定方)에게 군량을 공급한 김유신의 서자 김군승(金軍勝)과 시득을 같은 인물로 주장하며 김유신과 천관녀(天官女)의 소생으로 기록했다. 하지만 삼국사기에서 김군승은 어머니는 알 수 없다고 나온다. 그리고 시득 또한 김씨 성이 아닌 시득으로만 되어 있어 같은 인물로 보기에 착오가 있다. 둘은 같은 시대 사람이나하나 관등만 봐도 김군승은 아찬(阿飡)으로 6두품에 속하며 시득은 사찬(沙飡)으로 더 낮은 관직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골볼 단체 = = 틀:나라자료 마흐노우슈치나 = = 분류: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 삼성 갤럭시 A72 = 삼성 갤럭시 A72는 삼성전자에서 제조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2021년 3월 17일 삼성전자의 어썸 언팩 행사에서 삼성 갤럭시 A52와 함께 발표되었다. 갤럭시 A72는 이전 모델들과 달리 5000mAh 배터리 업그레이드, IP67 방수 및 방진 기능, 8MP 망원 카메라 포함 등 많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 = 사양 = = = = = 디자인 = = = 갤럭시 A72는 전작과 디자인이 비슷하다. 그것은 갤럭시 A71과 같이 전면 카메라를 위한 컷아웃이 있는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갤럭시 A71의 광택 그라데이션 대신 무광택 색상 옵션을 갖추고 있다. 어썸블랙, 어썸화이트, 어썸바이올렛, 어썸블루 색상 옵션이 있다. 화면은 코닝 고릴라 글래스 3로 보호되며 프레임과 후면 패널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IP67 방수 및 먼지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 = = 하드웨어 = = = 갤럭시 A72는 8nm 공정의 퀄컴 스냅드래곤 720G SoC에 의해 구동되며, 2배 2.3GHz 크리오 465 골드코어가 장착된 고성능 클러스터와 6배 1.8GHz 크리오 465 실버코어와 128GB 램과 쌍을 이룬다. 갤럭시 A72를 구동하는 SoC는 싱글 코어 CPU 벤치마크에서 전작인 퀄컴 스냅드래곤 730G의 SoC보다 약간 더 나쁘다. 갤럭시 A72는 6.7인치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최대 800니트의 밝기, 20:9 화면비, 1080x2400 해상도, 최대 393ppi 픽셀 밀도, 90Hz 재생률을 자랑한다. 디스플레이에는 전면 카메라를 위한 펀치 홀도 있다. 갤럭시A72는 쿼드 후면 카메라 세팅에 광학영상안정화(OIS) 64MP 메인 카메라, 12MP 광각 카메라, 광학영상안정화와 3배 광학(무손실) 줌의 8MP 망원 카메라, 5MP 깊이 센서를 탑재했다. 이 전화기는 최대 30배 줌이 가능하고 32 MP 전면 카메라를 갖추고 있다. 후면 카메라 설정에는 LED 플래시도 포함되어 있다. 갤럭시 A72는 블루투스 5.1, 와이파이 802.11 a/b/g/n/ac, 3.5mm 헤드폰 잭, NFC를 갖추고 있다. 그것은 25W의 빠른 충전을 지원하는 5000mAh의 비이동식 배터리를 가지고 있다. 박스 안에 15W 충전기가 있는 갤럭시 A52와 달리 25W 충전기가 있다. 갤럭시A72는 스테레오 스피커, 디스플레이 밑 지문센서, 하이브리드 듀얼 SIM(나노-SIM/마이크로SD 카드 콤보) 슬롯을 탑재했다. = = = 소프트웨어 = = = 안드로이드 11 기반 One UI 3.1이 기본탑재되었다. 안드로이드 12 기반 One UI 4.1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안드로이드 13 기반 One UI 5.0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안드로이드 13 기반 One UI 5.1으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보안 업데이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안 업데이트는 A71이나 A52와 같은 월간 업데이트가 아니다. 현재 삼성 시큐리티 웹사이트의 분기별 업데이트 일정에 포함되어 있다. = 분류: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 틀 = = 갈비 (돼지고기) = 갈비는 돼지의 가슴통을 이루는 좌우 열 두개의 굽은 뼈와 살로 구성된 부위이다. 돼지도체의 제1늑골에서 제5늑골까지의 부위로서 제1늑골 5cm 선단부에서 늑골이 포함되게 앞다리에서 분리한 후 피하지방을 제거하여 정형한다. 돼지갈비라고도 한다. = = 돼지갈비 = = 돼지갈비는 돼지 갈비뼈에 고기가 붙어 나온 채 조리한 고기요리이다. 한국에서는 갈비뼈 중 앞쪽(1~4번 또는 5번)을 '(돼지)갈비' 또는 '쪽갈비', 갈비뼈 중 앞쪽(갈비)을 제외한 나머지를 '등갈비'로 구분하여 부른다. = 로버르트 더호흐 = 로버르트 더호흐(, 1988년 11월 18일 ~ )는 네덜란드의 배우이다. 레이데르도르프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달타냥의 검 (2015년) 호미스 (2015년) 영원한 사랑 (2013년) 앱 (2013년) 도미노 이펙트 (2012년) 트릭 (2012년) - 토비아스 역 170 헤르츠 (2011년) - 세이프 역 = 틀:201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미국 선수 명단 = = 경리청 = 경리청(經理廳)은 조선시대에 북한산성의 방어를 담당한 군영(軍營)이다. = = 역사 = = 1711년(숙종 37년)에 북한산성이 완성되고 그곳에 군량미를 대량 비축한 후, 이듬해인 1712년(숙종 38년)에 산성을 방어하는 별도의 부대를 경리청이라는 이름으로 설치하였다. 1747년(영조 23년)에 군영 체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폐지되어 총융청에 편입되었으며, 약 150년이 지난 1891년(고종 28년)에 수도 서울의 북부 지역에 대한 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재설치하였으나 3년 후인 1894년에 다시 폐지하였다. = = 관제 = = 정1품 도제조 1명 : 의정부의 영의정이 겸임 종2품 제조 : 비변사의 당상관이 겸임 정3품 관성장(管城將) 1명고종 때 경리청이 재설치 되었을 때에는 경리사(經理使)가 최고 지휘자였다. 종4품 파총(把摠) 1명 종6품 낭청(郎廳) 1명 : 비변사의 낭청이 겸임 종9품 초관(哨官) 5명 기타 군관(軍官) 4명, 성문부장(城門部將) 3명 등이상 관직 명단은 1746년(영조 22년) 간행된 법전인 《속대전(續大典)》 내용에 따름 = 분류:국제어 = = 분류:아프가니스탄계 유럽인 = = 무구루마 다쿠야 = 무구루마 다쿠야 (1984년 6월 13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교토 퍼플 상가, 알비렉스 니가타, 도쿠시마 보르티스에서 활동하였다. = SLT = SL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언어 치료(Speech and Language Therapy) 세컨드 라이프 타임(Second Life Time) 슬로베니아 톨라르(Slovenian tolar) = HIP 50335 = = 분류:리히텐슈타인의 스키 = 리히텐슈타인 스키 리히텐슈타인 en:Category:Skiing in Liechtenstein = 현원회 = 현원회(2001년 7월 8일 ~ )는 KBO 리그 SSG 랜더스의 포수이다. =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시절 = = 2020년에 입단하였다. 2020년 7월 9일 NC 다이노스전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 후반에 교체 출전해 타석에는 들어서지 못했다. = = 출신 학교 = = 서울가동초등학교 경상중학교 대구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20 SK -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통산 1시즌 -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분류:1963년 도입 = = 분류:구미시의원 = = 연습곡 Op. 10, 12번 (쇼팽) = 쇼팽의 연습곡 Op. 10, 12번(Étude Op. 10, No. 12)은 프레데리크 쇼팽이 1831년에 작곡한 곡으로 프란츠 리스트에게 헌정되었다. 이 곡은 '혁명 에튀드(Revolutionary Étude)'이라는 별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작곡한 해인 1831년에 쇼팽이 파리에 가던 도중, 폴란드의 수도인 바르샤바에 러시아 군이 침입해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쓴 곡으로 극히 놀란 감정이 깃들여 있다. 12번은 곡의 전개에서 오른손보다 왼손의 비중이 크고 악센트가 차지하는 양도 많다. 12번의 구조는 A-A'로 되어 있고 곡의 마지막 부분(77마디 ~ 81마디)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인 피아노 소나타 제32번 1악장의 마지막 150마디에서 152마디까지의 부분과 매우 비슷한데, 이는 쇼팽이 평소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제32번을 많이 아꼈음을 암시하는 부분이다. = 리우빌 수 = 수론에서 리우빌 수는 충분히 빠르게 수렴하는 유리수 수열로 근사할 수 있는 초월수이다. = = 정의 = = = = = 무리성 측도 = = = 무리수 x\in\mathbb R\setminus\mathbb Q의 무리성 측도는 다음과 같다. = = = 리우빌 수 = = = 무리수 x\in\mathbb R\setminus\mathbb Q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x를 리우빌 수라고 한다. \mu(x)=\infty. 즉, 임의의 양의 실수 n\in\mathbb R^+에 대하여, |x-p/q|<1/q^n인 두 정수 p,q\in\mathbb Z가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 임의의 양의 정수 n\in\mathbb Z^+에 대하여, |x-p/q|<1/q^n이며 q\ge 2인 두 정수 p,q\in\mathbb Z가 존재한다. = = 성질 = = = = = 초월성 = = = 임의의 무리수 x\in\mathbb R\setminus\mathbb Q에 대하여, \mu(x)\ge 2가 성립한다. 만약 x가 대수적 무리수(즉, 2차 이상의 대수적 실수)일 경우, \mu(x)=2이다. 특히, 모든 리우빌 수는 초월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초월수는 리우빌 수가 아닐 수 있으며, 무리성 측도가 2일 수도 있다. 모든 리우빌 수가 초월수임은 리우빌 정리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리우빌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n\ge 2차 대수적 무리수 x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 M\in\mathbb Z^+가 존재한다. 임의의 정수 p\in\mathbb Z 및 양의 정수 q\in\mathbb Z^+에 대하여, \left|x-p/q\right|>1/(Mq^n) 정리의 조건에 따라 f(x)=0인 n차 유리수 계수 기약 다항식 f\in\mathbb Q[t]이 존재한다. 이다. 이제, 귀류법을 사용하여, 리우빌 수 x가 n\ge 2차 대수적 무리수라고 하자. 인 양의 정수 k\in\mathbb Z^+를 취하자. 리우빌 수의 정의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p,q\in\mathbb Z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며, 이는 모순이다. = = = 집합론적 성질 = = = 리우빌 수의 집합의 크기는 실수와 같은 2^{\aleph_0}이다. = = = 위상수학적 성질 = = = 리우빌 수의 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이며, (실수선 \mathbb R는 베르 공간이므로) 특히 이는 조밀 집합이다. = = = 측도론적 성질 = = = 리우빌 수의 집합의 르베그 측도는 0이며,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차원의 하우스도르프 측도는 0이다. = = 예 = = 다음은 일부 무리수의 무리성 측도 또는 그 상계들이다. 여기서 e는 자연 로그의 밑, \pi는 원주율, \zeta는 리만 제타 함수, \arctan는 아크탄젠트, \ln은 자연 로그이다. = = = 리우빌 상수 = = = 리우빌 상수 는 리우빌 수이다.CRC Concis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Second Edition (공)저: Eric W. Weisstein (P1782L30)What Is Mathematics? An Elementary Approach to Ideas and Methods, Second Edition the late Richard Courant and Herbert Robbins Revised by Ian Stewart (Liouville number)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b\ge 2 및 a_1,a_2,\dots\in\{0,1,\dots,b-1\}에 대하여, 만약 0=a_n=a_{n+1}=\cdots인 n\in\mathbb Z^+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은 리우빌 수이다. 순환 소수가 아니므로 c는 무리수이다. 임의의 n\in\mathbb Z^+에 대하여, 를 취하면 이다. 즉, c는 리우빌 수이다. = = 역사 = = 조제프 리우빌의 이름을 땄다. = 녹색당 (체코) = 녹색당은 체코의 녹색정치 정당으로, 1990년 설립되었다. = 틀:양자리 = = 아서 블랭크 = 아서 블랭크(Arthur Blank, 1942년 9월 27일 ~ )는 미국의 기업인으로 홈디포를 창업하였다. 현재 미국 프로축구 메이저 리그 사커 소속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의 구단주이다. = 아룰 = = = 만들기 = = 발효유를 끓여 응유시킨 것을 면보로 싼 다음, 나무판 사이에 끼우고 나무판 위에 무거운 돌 등을 올려 하루 정도 눌러 물기를 뺀다. 물기가 빠지면 실로 썰어 햇볕에 말린다. = = 종류 = = 치헤르구이 아룰(): 무가당 치헤르테이 아룰(): 단맛, 가당 도르볼징 아룰(): 네모난 모양 두구이 아룰() : 둥근 모양 바즈말 아룰(): 손으로 쥐어 만든 모양 조송 아룰(): 동전 모양 호르호이 아룰(): 애벌레 모양 후루드 아룰(): 커다란, 막대 모양 사를라깅 아룰(): 야크젖; 색이 옅어 "차강 아룰()"로도 부른다. 야마니 아룰(): 염소젖; 색이 짙어 "보르 아룰()"로도 부른다. 테메니 후루드(): 낙타젖 졸롱 아룰(): 부드러운 질감 하투 아룰(): 단단한 질감 = 분류:나이지리아-포르투갈 관계 = = 랭커스터 (캘리포니아주) = 랭커스터(Lancaster)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모하비 사막 서쪽의 안텔로프 밸리의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북부에 위치한 차터 시티이다. 랭커스터는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으로부터 북쪽으로 114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2015년 Greater Antelope Valley Economic Alliance 보고서에 따르면 랭커스터의 인구수는 168,049명이다. = 틀:2008년 하계 올림픽 조정 = 2008년 하계 올림픽조정 2008년 하계 올림픽조정 2008년 하계 올림픽조정 2008년 하계 올림픽조정 2008년 하계 올림픽조정 싱글스컬   남자   여자 무타페어 남자 여자 더블스컬 남자 여자 라이트급 더블스컬 남자 여자 쿼드러플스컬 남자 여자 무타포어 남자 라이트급 무타포어 남자 에이트 남자 여자 = 분류:1851년 완공된 건축물 = = 분류:시노프주의 역사 = = 언어동조대 = 언어동조대(言語同調帶, )란 본디 계통상 다른 언어가 지리적 인접성이나 오랜 기간의 접촉 및 상호영향의 결과로 비슷한 언어적 특징 등을 띠게 되는 현상, 또는 그런 관계에 있는 언어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언어연합, 언어연대라고도 번역된다. 대표적인 사례는 발칸반도 언어동조대이다. = = 발칸 반도 = = 언어동조대의 대표적인 지역인 발칸반도의 언어들인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루마니아어, 이탈리아어 및 남슬라브어 계통에 속하는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등은 크게는 다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세부적으로 나눈 어군단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는 언어들이다. 그러나 부정관사의 생략, 미래 시제 형성법, 후치사 등 문법 특징을 조금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이들 같은 어군에 속하는 다른 가까운 언어에는 볼 수 없다. = = 유럽 = = 서유럽의 게르만어나 로망스어는 라틴어 및 그리스어계 어휘의 차용과 상호접촉에 의하여 차용어의 어휘에서 비슷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유럽대륙의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는 같은 인도유럽어족이면서도 지리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인도나 이란의 동계언어보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 않으면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헝가리어, 핀란드어와 여러 가지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 헝가리어와 핀란드어는 서유럽어에서 많은 차용 단어를 사용하여 헝가리와 핀란드 고유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 = 아시아 = = 한국어와 일본어는 중국어로부터 한자 어휘를 차용하여 사용했으며 특히 한자 차용어로 인해 한국어에선 많은 고유어가 사라졌다. 또한 한국어와 일본어는 중국어와 기본 어휘, 문법에서 전혀 일치하지 않으며 다른 어족이다. 하지만 한자 차용어로 인해 한자어에서는 비슷한 발음이 존재한다. 이것은 언어동조대가 아닌 한국어와 일본어가 한자 차용어 사용하기 때문이다. = = 중국과 동남아시아 = = 중국어와 베트남어 및 태국어는 단음절 고립어이자 성조어라는 특징이 서로 같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태국어와 중국어를 같은 어족으로 보기도 한다. = 핀란드의 선거 = 핀란드의 선거는 네 가지 선거로 이루어져 있다. 대통령선거, 의회선거, 지방선거, 유럽의회선거가 그것이다. 18세 이상의 모든 핀란드 시민은 공민으로서 이 네 가지 선거에 대한 선거권을 가진다. 대통령선거는 6년마다 한 번씩 열리며, 공민직접선거제·결선투표제로 핀란드 공화국대통령을 선출한다. 의회선거는 4년마다 한 번 열리며, 입법부인 의회(에두스쿤타)의 의원을 선출한다. 돈트 방식을 사용하는 완전 비례대표제다. 핀란드는 다당제 국가로, 단일 정당이 의회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핀란드 내각은 연정으로써 구성된다. 유럽의회선거는 5년마다 한 번 열린다. 핀란드는 유럽의회에 13개 의석을 가지고 있다. 지방선거는 4년마다 한 번 열린다. 자치령인 올란드 제도에서는 올란드 지역의회를 두고 의회선거와 지방선거가 따로 열린다. = = 선거제도 = = = = = 산출법 = = = 의회선거, 지방선거, 유럽의회선거는 완전 비례대표제이며, 돈트 방식으로 득표를 산출한다. 돈트 방식은 사람과 정당에게 모두 표를 던지는 방식으로, 구체적인 산출 방식은 다음과 같다. Vaalien keskeiset periaatteet Vaalit.fi. Oikeusministeriö. Viitattu 17.12.2015. 우선 정당의 득표를 센다. 각 정당 내부적으로 득표가 많은 순서대로 후보자를 추린다. 득표 1위 후보자는 정당 득표 전체를, 2위는 절반을, 3위는 3분의 1을, 4위는 4분의 1을, …… , 식으로 표가 주어진다. 이렇게 표가 주어졌으면 모든 정당의 후보자들을 단계 3에서 획득한 득표수 순으로 정렬한다. 그 순서대로 선거구에 할당된 의원 수만큼 당선된다. 투표용지의 크기는 148 × 210 밀리미터다. 한 번에 복수의 선거에 투표할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의 투표용지를 주어서 구분한다.Vaalilaki 51§ 2006년부터 핀란드 선거법은 전자투표를 허용하고 있으며,Laki vaalilain muuttamisesta Valtion säädöstietopankki. 13.10.2006. Viitattu 11.12.2015. 2008년 지방선거에서 몇몇 선거구에서 처음 전자투표가 실시되었다.Sähköisen äänestyksen kokeilu vuoden 2008 kunnallisvaaleissa Oikeusministeriö tiedottaa. 2006. Viitattu 11.12.2015. 피선거권은 미성년자와 피후견자를 제외한 모든 선거권자에게 주어진다. 단 지방선거 피선거권은 해당 지역구에 거주하는 주민에게만 주어지며, 대통령 선거는 핀란드 토착 시민만 출마 가능하다.Vaalikelpoisuus vaalit.fi. Viitattu 11.12.2015. = = = 사전투표 = = = 각 유권자는 사전투표를 할 것인지 당일투효를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Vaalilaki, 46 § 사전투표를 하기로 한 사람은 국내 또는 국외에 설치된 모든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또한 몇몇 국내시설(병원, 24시간 사회복지시설, 교정기관 등)에서는 국내 소재 유권자나 국외 소재 핀란드인이 특정 상황 하에서 사전투표를 할 수 있다.Vaalilaki, 9 § 각 지방정부에서 임명한 선거위원회가 선거를 조직하며, 이 위원회가 사전투표도 관리한다. 위원회는 위원장, 부위원장 외 최소 3인으로 구성된다.Vaalilaki, 15 § 사전투표율은 남부 대도시보다 북부 및 동부 황야지대, 즉 핀란드 중앙당 우세지역에서 더 높다. 때문에 개표 시작 시점에는 중앙당이 사전투표 득표에서 앞서가는 경향이 있다.Yle julkaisee ennusteen ensimmäistä kertaa myös ennakkoäänistä Yle. 19.4.2015. Viitattu 6.12.2015. = = = 당일투표 = = = 당일투표는 전국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각 지방정부는 투표소를 마련해야 하며, 선거위원회가 투표소를 관리한다.Vaalilaki 67§, 69§ 상술한 것과 같이 선거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한 최소 3인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투표가 끝나면 선거위원회는 표를 후보별로 정리하여 예비결과를 계산한다. 계산된 표는 지방선거의 경우 지방중앙선거위원회, 다른 선거의 경우 선거구위원회로 전달된다.Vaalilaki 78§, 81§ 선거 이전, 그리고 선거 결과분석 완료 이후에 각각 통계가 발표된다. = = 각 선거의 상세 = = = = = 의회선거 = = = 핀란드 의회의 의원을 선출하는 의회선거는 공민 직접보통비밀선거로 투표되어 비례제로 선출된다. 커다란 선거구에서 10명-20명의 의원을 완전 비례로 뽑는 초대선거구제이며, 현재 전국에 13개 선거구가 있다. 의회 정수는 200석인데, 선거가 열리기 전에 각 선거구의 인구를 고려하여 중앙정부가 의석을 배분한다. 단 아베난마 선거구에서는 의회의원이 한 명밖에 선출되지 않기에 여기만 소선거구제라고 할 수 있다.Vaalilaki 6 § = = = 지역선거 = = = 핀란드 국토는 18개 지역이라는 광역지방자치체들로 나뉜다. 이 광역지자체들의 재정, 행정을 담당하는 기구인 지방참사회를 선출하는 선거가 지역선거다. 지역선거는 아직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으며, 지역사회개혁 기획에 따라 입법이 준비 중이다.Ensimmäiset maakuntavaalit järjestetään presidentinvaalien yhteydessä Valtiovarainministeriö. 14.4.2016. Viitattu 16.2.2017. 2004년과 2008년에 카이누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지역선거가 실시되었다. = = 투표율 = = 2010년대 들어 핀란드의 의회선거 투표율은 70%였고,Vaaliosallistuminen edellisten eduskuntavaalien tasolla Tilastokeskus. Viitattu 9.12.2015. 지방선거는 60%였다.Äänestysaktiivisuus kunnallisvaaleissa 1972 – 2012, % Tilastokeskus. Viitattu 9.12.2015. 투표율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YLE는 1996년 유럽의회 선거 때부터 발리코네(Vaalikone)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발리코네는 일종의 투표조언 어플리케이션으로, 유권자가 자신의 의견, 성향과 후보자의 그것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2003년에 이미 유권자의 4분의 1이 이 프로그램을 사용했다.Uutuusteos: Vaalikoneet valtaavat Internetin Jyväskylän yliopisto. 2007. Viitattu 11.12.2015. = = 참조 사항 = = 핀란드의 선거권사 = = 참고 자료 = = https://web.archive.org/web/20180403050333/http://vaalit.fi/ - Oikeusministeriö Vaalien tulokset vuodesta 2003 lähtien Vaalilaki Finlex. 2. lokakuuta 1998. Viitattu 6.12.2015. Kuntalaki Finlex. 10. huhtikuuta 2015. Viitattu 6.12.2015. = 쓰팡타이역 = 쓰팡타이역(四方台站)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쑤이화시 베이린구 쓰팡타이진에 위치한 빈베이 철로의 철도역니다. 1928년에 지어졌으며 하얼빈 철로국의 관할하에 있다.四方台火车站介绍 하얼빈역에서 157 km, 베이안역에서 176 km, 쑤이화역에서 32 km, 헤이허역에서 479 km 떨어져 있다. 우편번호는 152022이다. = =인근 역세권 = = 중국우정저축은행 쑤이화시 쓰팡타이진지점 쑤이화시 쓰팡타이 제2중학교 베이린구 쓰팡타이 농촌신용협동조합 쑤이화시 쓰팡타이 제1중학교 = 데니스 그레베시코프 = 데니스 세르게예비치 그레베시코프(, 1983년 10월 11일 ~ )는 러시아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로스앤젤레스 킹스, 뉴욕 아일런더스, 에드먼턴 오일러스, 내슈빌 프레더터스에서 뛰었다. = 콰인 (전산학) = 콰인은 입력 없이 자기자신의 소스 코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메타프로그램의 일종이며, 간접 자기 참조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한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어떤 계산가능한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프로그래밍 언어이 있다면, 클레이니의 재귀 정리에 따라 이 언어로부터 콰인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입력(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나, 파일 시스템 접근 등)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은 콰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를 인정할 경우 사용자에게 소스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구하거나,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코드를 읽어서 자기 자신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소스 코드를 인정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자명하기 때문에 콰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빈 프로그램은 IOCCC에서 한 번 ‘최악의 규칙 위반’이라는 이름으로 수상하기도 했으며, 그 뒤로는 빈 프로그램을 인정하지 않도록 규칙이 바뀌었다. = = 배경 = = 이러한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오토마타"의 존재에 관해서는, 본래 1940년대 즈음에 존 폰 노이만이 universal constructor와 같은 형태를 이론화한 바 있다. 콰인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는 폴 브래틀리(Paul Bratley)와 쟝 밀로(Jean Millo)의 Computer Recreations; Self-Reproducing Automata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브래틀리는 1960년대에 아틀라스 오토코드로 쓰여진 다음 프로그램을 보고 자기 자신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BEGIN %ROUTINESPEC R R PRINT SYMBOL(39) R PRINT SYMBOL(39) NEWLINE %CAPTION %END~ %CAPTION %ENDOFPROGRAM~ %ROUTINE R %PRINTTEXT ' %BEGIN %ROUTINESPEC R R PRINT SYMBOL(39) R PRINT SYMBOL(39) NEWLINE %CAPTION %END~ %CAPTION %ENDOFPROGRAM~ %ROUTINE R %PRINTTEXT ' %END %ENDOFPROGRAM = = 예제 = = 다음은 C로 짠 전통적인 콰인의 예이다. 이 프로그램은 ASCII 문자 집합을 사용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include char S[] = "#include %cchar S[] = %c%s%c;%cint main { printf(S, 10, 34, S, 34, 10); return 0; }"; int main { printf(S, 10, 34, S, 34, 10); return 0; } 여기서는 printf 함수의 포맷 문자열과 포맷 인자에 같은 문자열을 넣어서 S의 내용물을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경우 C에서 탈출 문자로 사용하는 역슬래시(\)가 들어 갈 때 간단히 출력하기 힘들기 때문에, 10, 34와 같이 ASCII 문자 번호를 그대로 써서 역슬래시를 피하고 있다. 다음은 자바로 짠 콰인 프로그램의 한 예시이다. public class Quin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q = 34; String[] l = { "public class Quin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char q = 34;", " String[] l = {", " ", " };", " for(int i = 0; i < 6; i++)", " System.out.println(l[i]);", " for(int i = 0; i < l.length; i++)", " System.out.println(l[6] + q + l[i] + q + ',');", " for(int i = 7; i < l.length; i++)", " System.out.println(l[i]);", " }", "}", }; for(int i = 0; i < 6; i++) System.out.println(l[i]); for(int i = 0; i < l.length; i++) System.out.println(l[6] + q + l[i] + q + ','); for(int i = 7; i < l.length; i++) System.out.println(l[i]); } } = 분류:1205년 작품 = = 아침뉴스 = 아침뉴스는 다음을 가리킨다. 김덕기의 아침뉴스 KBS 아침뉴스타임 채널A 아침뉴스 iTV 아침뉴스 TBC 아침뉴스 TJB 아침뉴스 JIBS 아침뉴스 ubc 아침뉴스 대한민국 아침뉴스 JTV 아침뉴스 MBC 아침뉴스 JTBC 아침뉴스 MBC 아침뉴스 2000 MBC 아침뉴스 (1984년) = 하향조절 = 하향조절(top-down control)은 생태계 먹이망에서 하위 영양단계 생물의 개체수, 종다양성 및 생체량이 이들을 섭식하는 상위포식자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개념. 즉, 포식자가 먹이생물의 종류와 양을 결정짓는다는 개념이다. Trophic cascade는 포식자의 영향이 차례로 하위 단계의 생물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하향조절의 대표적인 예이다. 최상위 육식동물이 포식을 통해 하위단계인 초식동물을 제어하고, 그 결과 초식동물의 제어를 받고 있는 식물은 초식동물의 제어에서 자유로워 지나, 이는 최상위 육식동물의 간접적 포식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포식자를 이용한 해충조절 및 수질관리 (biomanipulation)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반대되는 개념으로 하위영양단계와 자원에 의해 상위 포식자가 조절된다는 상향조절 (bottom-up) 개념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이 풍부해 먹이의 제한이 일어나지 않는 부영양화된 생태계에서는 하향조절이 주요 조절인자로 나타나며, 자원의 부족이 발생하는 빈영양 (oligotrophic) 생태계에서는 상향조절이 주요 생태계 먹이망의 주요 조절인자로 나타난다. = 제12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 제12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은 2012년 7월 25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최고구애상 = = = 아무도 꾸지 않은 꿈 - 홍효은 수상 = = = 대안영화상 = = = 단편적인 기억의 역사 - 출라얀논 시리폰 수상 = = = 젊은작가상 = = = 일시적기업 - 차지량 수상 = = = 뉴미디어아트상 = = = 원더뷰어 체험존 - 임도원 수상 = = = 신진작가상 = = = 다 내 잘못이죠 뭐 - 조민지 수상 = = = 친구열전 = = = 앨범에 관하여 - 세바스티안 버크너 허공, 그늘 - 황선숙 날카로운 빛(트레일러) - 세쟈드 다우드 온 어 스트링 - 브렌트 워커 결혼에 관한 에피소드 - 유지숙 국제 연대 - 줄리앤 로즈 외 1명 22h13 22h13 - 르 잰드 신성한 봄 - 안정윤 더 핫티스트 데이 오브 더 이어 - 케렌 시터 디지털쟈키 - 윤정필 자연미 - Lernert & Sander 일렉트로테크닉 - Lernert & Sander 립써비스 - 서영주 외 1명 금붕어의 낮잠 - 정지숙 혁명 - 자코 올리비에르 숫호구 - 백승기 숭시 - 임흥순 희망버스, 러브 스토리 - 박성미 디지털무비 - 양경모 저수지의 개들 take2 낙동강 with 바드, 정민아 - 최진성 트래벨링 필즈 - 잉게르 리즈 핸슨 네부스 레룸 - 오톨리스 그룹 544/544 (업/다운) - 토마스 모어 트리 오알 우드 - 이은주 플래그 마운틴 - 존 스미스 라스트 찬스 - 제프 만제티 외 1명 멜리어 스트리트 - 샤롯 진스보그 죽음이 어머니를 삼키다 - 모건 M. 페이지 우리의 문화 - 엘리샤 림 황무지 - 제이미 로스 휴매니멀 - 코럴 쇼트 쓰레기 섬 커버스 아침 - 올리버 올리버 매사냥꾼 - 코코 리엇 외 1명 복어 - 코코 리엇 외 1명 전이 - 자코 올리비에르 = = = 시네마 랑가주 = = = 불안의 확장 - 허재훈 컨퍼런스 - 노르베르트 파펜비흘러 버스트 찬스 - 스테파니 바버 마야 데렌의 싱크 - 바바라 해머 저항하는 파라다이스 - 바바라 해머 무빙스토리 - 니콜라스 프로보스트 = = = 글로컬 구애전 X = = = 차이 - 툴라프 샌자로앤 내추럴 어반 네이쳐 - 강민지 짝사랑 - 윤진아 애드벌룬 - 이우정 정면돌파 - 마조은 결 - 차미혜 간섭 - 전준혁 리모트 - 제시 맥클린 [[쉬 [∫]]] - 김선좌 11月 - 김수지 호시탐탐,탐&제인 - 김소성 에피소즈_익명의 기념비 - 조민호 밤을 지새우며... - 와타나푸메 라이수완차이 마을, 침묵 - 데보라 스트라트맨 돌아가는 관람차 - 이정우 옥상곰 - 조익정 우리는 거리를 재기 시작했다 - 바스마 알샤리프 우유와 꿀의 이야기 - 바스마 알샤리프 찰나에서 온 묘로 - 양선우 삶은, 베개 - 윤현호 김치 - 김경래 날개개미 - 서보형 성 - 박은선 더 노트 - 황보금별 포스트피스 - 프레데릭 모펫 CB - 더그 이스차르 도쿄 트리오롤로 - 오롤로 담벼락 - 백진영 20Hz - 죠 게하르트 외 1명 한국어 수업 - 김주미 3개의 태양 - 김다움 픽토그램 인사이드 - 조주상 단편적인 기억의 역사 - 출라얀논 시리폰 우리같은 공산주의자들 - 르 르베크 할망바다 - 강희진 그림자 괴물 - 박혜미 마법을 쓰지 않는 마법사 - 김일현 요세미티와 나 - 김지현 관점 - 황보새별 오목어 - 김진만 더 카메라 - 이정우 어 리프 볼케이노 - 다아키 사크피시트 나비는 지금 여기에 있었다 - 황규일 보편적인 이야기 - 신정균 삶의 사람들 - 유최늘샘 일시적기업 - 차지량 아무도 꾸지 않은 꿈 - 홍효은 관찰자들 - 재클린 고스 월 스트리트를 점령하라 - 젬 코엔 열두풍경 - 하준수 = = = 20주년 특별전: 2000-2020 한국 대안영상예술 어디까지 왔나 = = = 나의 어린 시절 - 존 토레스 토도 토도 테로스 - 존 토레스 섬데이 - 믹스라이스 인생은 투쟁이고 투쟁은 인생이다 - 믹스라이스 섞인 말들 - 믹스라이스 버마행동 - 믹스라이스 손들 - 믹스라이스 대화 - 믹스라이스 밤(트레일러) - 믹스라이스 타마우 - 페크 갈라가 사랑에 관한 어떤 독백 - 존 토레스 살라트 - 존 토레스 널 잡지 않고 어떻게 너를 잡을 수 있을까 - 존 토레스 이복형제 - 존 토레스 막간 - 존 토레스 구출 - 존 토레스 한밤중의 구체적인 것들 - 존 토레스 사랑과 기대 그 이면에 - 존 토레스 무성 영화 - 존 토레스 뮤즈 - 존 토레스 후렴은 노래속의 혁명처럼 일어난다 - 존 토레스 매팡-아키트 - 존 토레스 약속 - 이제이 발레스테로스 할라드 - 파올로 린다야 플라시보 - 덱스터 D. 델라 페나 열망 - 얌 팔마 커피 한잔에 든 핏방울 - 엑스포져 적군 - 엑스포져 권리2 - 엑스포져 = MTV Unplugged in New York = MTV Unplugged in New York은 미국의 그런지 밴드 너바나의 라이브 음반이다. 뉴욕 시 소니 뮤직 스튜디오에서 행해진 그들의 어쿠스틱 공연을 녹화하여 1993년 11월 18일 텔레비전 시리즈 MTV 언플러그드에 방송하려고 했었다. 이 쇼는 베스 맥캐시가 감독했고, 1993년 12월 16일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MTV를 통해 처음 선을 보인다. 텔레비전 시리즈의 전형적인 관습에 반대했던 밴드는 세트리스트를 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곡과 베이스라인스, 데이비드 보위, 리드 벨리, 미트 퍼펫츠의 곡으로 구성했다. 퍼펫츠의 일원인 크리스와 커트 커크우드가 무대에 함께 올라 공연했다. MTV Unplugged in New York는 커트 코베인의 죽음 뒤에 발표된 첫 음반으로 빌보드 200의 정상에 올랐다. 1997년 미국에서 5x 플레티넘 인증을 받은 이 음반은 코베인의 사후 발표된 너바나의 음반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6년 그래미상 최우수 얼터너티브 음악 앨범 상을 거머쥐었고, 2007년 공연 영상이 수록된 DVD가 출시되었다. = = 공연 = = 너바나는 어쿠스틱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그램 MTV 언플러그드에 출연함을 MTV와 합의 중에 있었다. 미트 퍼펫츠와 투어 도중이던 당시 너바나의 프론트맨 커트 코베인은 결국 승낙한다.Cross, p. 302 밴드는 MTV 언플러그드 에피소드의 전형에서 벗어나고 싶어했다. 드럼 주자 데이브 그롤의 말에 의하면 "우리는 언플러그드를 시청해 보았고, 그들 중 마음에 드는 것이 없었다. 왜냐면 거의 모든 밴드가 쇼를 록 쇼처럼 취급했기 때문이다—어쿠스틱 기타만 빼면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과 다른 게 없었다." 밴드는 마크 레니건의 1990년도 음반 The Winding Sheet을 영감의 근원으로 받아들였다. 이들은 데이비드 보위의 〈The Man Who Sold the World〉를 커버하거나 미트 퍼펫츠의 일원을 초대하여 무대에서 협연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구상했다.Scaggs, Austin. "On an Honor Roll ". Rolling Stone. July 14, 2005. Retrieved on June 26, 2008. 한편, 코베인은 자신이 전체를 주관하는 이 쇼에 불안감을 가졌다. 밴드는 이틀에 걸쳐 리허설에 매진했다. 리허설 세션은 긴장과 어려움이 동반되었다. 밴드는 가지각색 곡들을 공연하는 것에 문제가 있었다. 세션 도중 코베인은 MTV가 제안한 공연 방식을 거절했다. 프로듀서 알렉스 콜레티는, 방송국 측이 미트 퍼펫츠가 게스트로 출연하고 너바나의 세트 리스트에 히트곡이 부족하다는 것에 언짢아 했다고 회상했다.di Perna, Alan. "Season Finale". Guitar World. March 1995. 촬영 전날에 코베인은 화가 나 있어 공연을 거부했지만, 다음날 오후 마약 금단증상과 신경과민을 겪는 상태로 스튜디오에 나타났다. 한 목격자는 이렇게 말한다. "농담도, 웃음도, 즐거움도 그가 올 당시 없었습니다... 그래서 모두가 그의 공연에 대해 조금 불안감이 생겼죠." 너바나는 1993년 11월 18일 뉴욕 시 소니 스튜디오에서 MTV 언플러그드 공연 촬영에 들어갔다. 프로그램의 본바탕을 무시하고 코베인은 어쿠스틱 기타를 자신의 앰프와 이펙트 페달에 연결했다. 콜레티는 앰프 앞에 가짜 상자를 세워 웨지 모니터로 위장시켰다. "이것은 커트의 안심 담요입니다. 그는 자신의 펜더를 이용해 기타를 연주하곤 했고, 이런 효과를 내기 원했습니다. 'The Man Who Sold The World'에서 그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이건 어쿠스틱 기타이지만, 분명히 앰프를 통해 전달됨을 느낄 수 있어요."라고 콜레티는 말한다. 너바나는 자신들과 투어에서 함께 활동하던 기타리스트 팻 스메어와 첼리스트 로리 골드스톤을 불러들였다. 코베인은 무대를 스타게이저 백합, 흑색 양초, 크리스탈 샹들리에로 꾸밀 것을 제안했다. 코베인은 프로듀서에게 이를 부탁했고, 이 말을 들은 그는 "장례식처럼요?"라고 반문했다. 코베인은 "맞아요, 장례식처럼요."라고 답했다.Cross, p. 304 이 프로그램의 수많은 출연자들과는 달리 너바나는 전 공연을 단 원 테이크만에 촬영했다."Bare Witness: Nirvana Unplugged". Nirvana: MTV Unplugged in New York [DVD]. Geffen Records/MTV Networks, 2007. 밴드는 자신들의 데뷔 음반 Bleach에서 네 곡, 1991년 음반 Nevermind에서 세 곡, 가장 최근 발표한 In Utero에서 6곡 가져와 세트리스트를 짰다. 너바나는 잘 알려진 곡들을 공연하는 건 기피하였으며, 세트에 수록된 히트곡은 1992년 싱글곡 〈Come as You Are〉이 유일하다. 미트 퍼펫츠의 크리스와 커트 커크우드가 무대에 올라 밴드와 함께 세 곡을 협연했다. 세트에는 블루스 뮤지션 리드 벨리가 편곡한 전통가요 〈Where Did You Sleep Last Night〉가 포함되었다. 이 곡의 공연은 역대 가장 위대한 단일곡 라이브 공연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Chamings, Andrew Wallace. "". The Atlantic. December 12, 2013. 더 아틀란틱의 평론가 앤드류 월랜스 채밍스가 묘사한 바로는 "마지막 구절, 'I would shiver the whole night through'에서 코베인은 강제로 자신을 압박함과 동시에 한 옥타브 뛰어올라 절규하고 갈라진다. 그는 마치 시트콤 결혼식에서 싸움이 일어난 것처럼 'shiver'를 외쳐 밴드의 연주를 멈추었다. 이후 그는 'whole'을 울부짖고 다음으로 아주 묘사하기 어려운, 굉장히 이상하고 짧은 정적이 흐른다. 그는 살을에는 듯한 푸른 눈을 순간적으로 열어, 사람들이 그 표백된 장발 아래에서 묘한 명료함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는 곡을 마무리한다." 너바나는 공연을 끝낸 뒤 앙코르를 원했던 프로듀서와 말다툼한다. 코베인은 그 곡의 공연을 능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 거절했다.Cross, p. 305 = = 발표와 반응 = = 1994년 4월 코베인이 죽은 채 발견된 뒤 너바나가 출연한 MTV 언플러그드 에피소드가 여러차례 방영되었다. 새로운 너바나 음반 제작 조건에 부합함과 동시에 부틀렉이 횡행하자 DGC는 1994년 8월 Verse Chorus Verse라는 제목의 더블 앨범의 출시를 공표했다. 여기에는 MTV 언플러그드 공연을 비롯한 1989년부터 1994년의 라이브 공연 음원이 수록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음반을 편집하는 과정은 남은 밴드 멤버들에게 큰 고통이 되었고, 그래서 프로젝트는 공표 1주일 뒤 취소되었다. 그 대신에 노보셀릭과 그롤은 MTV 언플러그드 공연 음원만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공연의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스콧 릭이 음반의 프로듀싱을 위해 초청되었다. MTV Unplugged in New York는 1994년 11월 1일 발표되었고, 다음주 빌보드 200 정상에 올라 310,500장 팔려갔다. 이 판매량은 너바나 활동을 통틀어 가장 높은 첫 주 판매고다. 음반은 평론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Q지는 밴드의 어쿠스틱 합주 사운드에 대해서 "아주 역동적이고, 남루한 영광에 홀려있다"고 말한다. 롤링 스톤은 음반이 "감동적이고 가끔씩 천재성"을 보인다면서 "남아돌고 훌륭한 지점이 군데군데 있다"고 쓴다. 이어 밴드의 캐미스트리가 최고조에 이른 때는 〈All Apologies〉와 코베인의 독주로만 공연된 〈Pennyroyal Tea〉이라고 했다. 모조의 벤 톰슨은 "특색이 없는 측면"에서 "언플러그드" 작품의 대다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며 너바나 음반의 상업적 성적에 미치는 코베인의 강렬한 죽음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엔터테이먼트 위클리의 데이비드 브라운은 음반을 들었을 때 심란함을 느꼈다면서 "코베인 본인의 상실감을 도출하는 것 외에도 Unplugged는 음악적 상실의 느낌 또한 이끌어낸다. 이 어쿠스틱 재편곡들의 연약함과 친밀함은 너바나(혹은 코베인이라도, 그는 밴드의 한계에 대해 심한 좌절감을 표한 바 있다)가 어디로 향할 것인지에 대한 힌트가 된다."고 썼다. 1994년 말 MTV Unplugged in New York은 미국의 평론지 빌리지 보이스에서 주최하는 연례 여론조사 패즈 앤 좁에서 투표로 선정된 올해 최고의 음반에서 4위에 올랐다. 여론조사의 슈퍼바이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음반을 자신의 올해 리스트에 4위로 올렸다. 그는 음반을 코베인의 감정 골에 대한 증거이며, 보컬리스트로서 "표리가 없"고, 또한 이디 베더와 로우 배로우 등 여타 얼터너티브 록과는 거리가 있다면서 "그의 보컬은 존 레논이 John Lennon/Plastic Ono Band에서 보여준 모습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그는 이를 원 테이크만에 해냈다"고 저술했다. 1995년 3월, 음반은 68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In Utero의 판매량을 앞질렀다. 올뮤직의 회고적인 평론에서 수석 편집자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음반이 너바나의 다른 음반과는 달리 대담하게 고백 성사하며 코베인은 "새로운 사운드와 스타일을 찾기 직전"에 있다고 썼다. 팝매터스의 제이슨 멘델슨은 여기서 나타나는 친밀한 포크 록은 자신들의 방식인 혁신적인 록 음악의 급진적임과, 음악적으로 외향적으로 되어가는 코베인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말했다.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2004)에서 저널리스트 찰스 M. 영은 Nevermind에 견줄만한 "두 번째 걸작"이며 코베인의 강렬한 음성과 곡을 커버함에 있어서 특출한 테이스트가 있는 이유로 "그가 록에서 한 것만큰 포크 음악에 일대 혁신"을 이루었고 했다. 이어 그 자신의 곡의 품질은 "시끌벅적한 밴드가 뒤의 당신에게 열연하는 것" 혹은 "그저 어쿠스틱 기타"로부터 훌륭함이 입증된다고 한다. 어클레임드 뮤직에 따르면, MTV Unplugged in New York는 평론가의 역대 목록에서 가장 많이 오른 음반에서 316위에 올랐다. 2012년 롤링 스톤의 역대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 목록에서 313위에 자리잡았다. 같은 잡지에서 선정한 1990년대 최고의 음반에서는 95위에 올랐다. NME은 MTV Unplugged in New York을 "가장 위대한 라이브 음반 50장"에서 1위에 선정했다. 2014년 7월 기타 월드는 "슈퍼언논: 1994년을 정의하는 상징적인 음반 50장" 목록에서 30위에 선정되었다. 음반은 책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이름이 올랐다. = = 곡 목록 = =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전곡은 커트 코베인 작사·작곡이다. 〈About a Girl〉  – 3:37 〈Come as You Are〉  – 4:13 〈Jesus Doesn't Want Me for a Sunbeam〉 (유진 켈리, 프렌시스 맥키) – 4:37 〈The Man Who Sold the World〉 (데이비드 보위) – 4:20 〈Pennyroyal Tea〉  – 3:40 〈Dumb〉  – 2:52 〈Polly〉  – 3:16 〈On a Plain〉  – 3:44 〈Something in the Way〉  – 4:01 〈Plateau〉 (Curt Kirkwood) – 3:37 〈Oh, Me〉 (커크우드) – 3:26 〈Lake of Fire〉 (커크우드) – 2:56 〈All Apologies〉  – 4:23 〈Where Did You Sleep Last Night〉 (리드 벨리 편곡) – 5:08 = = 참여 인원 = = 커트 코베인 – 리드 보컬, 통기타 크리스 노보셀릭 – 어쿠스틱 베이스, 테이크 3의 아코디언, 테이크 10, 11, 12의 어쿠스틱 리듬 기타 데이브 그롤 – 드럼, 백 보컬, 테이크 3의 어쿠스틱 베이스 팻 스미어 – 통기타, 단 테이크 5, 10, 11, 12 제외 로리 골드스톤 – 첼로, 단 테이크 1, 2, 5, 10, 11, 12 제외 미트 퍼펫츠 크리스 커크우드 – 테이크 10, 11, 12의 어쿠스틱 베이스, 백 보컬 커트 커크우드 – 테이크 10, 11, 12의 어쿠스틱 리듬 기타 알렉스 콜레티 – 프로덕션 로버트 피셔 – 아트 디렉션, 디자인 스콧 릿 – 프로덕션 스티븐 마커슨 – 마스터링 프랭크 마이스로타 – 사진 너바나 – 프로덕션 = = 차트 = = = = = 주간 차트 = = = 차트 (1994) 최고순위 캐나다 음반 (RPM) 1 핀란드 음반 (오피셜 피니시 차트)Pennanen, Timo (2003). Sisältää hitin: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Otava Publishing Company Ltd. . 3 프랑스 음반 (SNEP) 1 일본 음반 (오리콘) 20 스페인 음반 (푸로무시카에) 1 차트 (2015) 최고순위 = = = 연말 차트 = = = 차트 (1994)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ARIA) 7 차트 (1995)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ARIA) 13 차트 (1996)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ARIA) 48 차트 (2015) 순위 영국 비닐 음반 (오피셜 차트 컴퍼니)Official Biggest Vinyl Singles and Albums of 2015 revealed officialcharts.com. January 13, 2016. 10 차트 (2016) 순위 영국 비닐 음반 (오피셜 차트 컴퍼니)The Official Top 40 biggest selling vinyl albums and singles of 2016 officialcharts.com. January 1, 2017. 21 = = DVD 출시 = = 2007년 11월 20일 MTV Unplugged in New York의 공연 영상 전체가 DVD로 출시되었다. 따라서 방송에서 제외된 〈Something in the Way〉, 〈Oh Me〉도 포함되었다. 보너스 피처는 Bare Witness: Nirvana Unplugged라는 제목의 1999년 MTV 스페셜과 다섯 곡이 포함된 리허설 영상이 있다. = = = 차트 = = = 차트 (2007) 최고순위 오스트레일리아 DVD 차트 3 노르웨이 DVD 차트 Nirvana Charts @ lista.vg.no 1 미국 빌보드 100 탑 DVD 차트 6 = = = 판매량 = = = = 모듈:Location map/data/Marshall islands/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Marshall_islands/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목록급 해부학 문서 = = 대광여자고등학교 = 대광여자고등학교(大光女子高等學校)는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7년 6월 20일 : 학교법인 홍복학원 설립인가 1985년 12월 28일 : 대광여자고등학교 15학급 설립 인가 1986년 3월 5일 :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1986년 9월 22일 : 보통과 10학급 총 30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19년 3월 4일 : 2019학년도 입학식 2020년 3월 2일 : 제7대 교장 윤흥현 선생 취임 2022년 1월 4일 : 제34회 졸업식(졸업생 총 15.340명 배출) = Remagine = Remagine는 2005년에 발매된 애프터 포에버의 음반이다. = 분류:이탈리아에 거주한 웨일스인 = = 초안:국제 연합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국 = 국제 연합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는 팔레스타인 난민을 구출하기 위해 성립된 단체이다. = 틀: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튀니지 선수 명단 = = 틀:부탄의 총리 = = 분류:차드의 정치 관계자 = = 예카테리나 힐코 = 예카테리나 빅토로브나 힐코(, , 1982년 3월 25일~)는 우즈베키스탄의 은퇴한 체조 선수로 주 종목은 트램펄린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여자 트램펄린 종목 동메달을 획득했다. = 밀레 예디나크 = 마이클 존 "마일" 제디낙(, 1984년 8월 3일 ~ )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 = 국가대표 득점 기록 = = 날짜 장소 상대 득점 결과 대회 1 2011년 1월 14일 카타르, 도하 1-1 무 2011년 AFC 아시안컵 2 2011년 1월 18일 카타르, 도하 1-0 승 2011년 AFC 아시안컵 3 2011년 10월 11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1-1 승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4 2014년 3월 5일 잉글랜드, 런던 2-0 패 친선 경기 5 2014년 6월 18일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 3-2 패 2014년 FIFA 월드컵 6 2014년 9월 8일 잉글랜드, 런던 2-0 승 친선 경기 7 2015년 1월 9일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3–1 4–1 2015년 AFC 아시안컵 8. 2015년 3월 25일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카이저슬라우테른, 독일 2–1 2–2 친선 경기 9. 2015년 6월 17일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1–0 2–1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0. 2015년 11월 12일 캔버라 스타디움, 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1–0 3–0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1. 2015년 11월 17일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방글라데시 4–0 4–0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2. 2016년 3월 24일 애들레이드 오벌,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2–0 7–0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3. 2016년 10월 11일 도클랜즈 스타디움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1–1 1-1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4. 2016년 11월 15일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태국 1–0 2-2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5. 2016년 11월 15일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방콕, 태국 2–2 2-2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6. 2017년 11월 15일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1–0 3-1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17. 2017년 11월 15일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0 3-1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18. 2017년 11월 15일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3–0 3-1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19. 2018년 6월 16일 카잔 아레나, 카잔, 러시아 1–1 1-2 2018년 FIFA 월드컵 20. 2018년 6월 21일 사마라 아레나, 사마라, 러시아 1–1 1-1 2018년 FIFA 월드컵 = = 수상 = = = = = 클럽 = = = 시드니 유나이티드 NSW 프리미어리그: 2006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A리그: 2007-08 크리스털 팰리스 풋볼 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2013 = = = 개인 = = = 매리너스 메달: 2007-08 PFA A리그 시즌 팀: 2008-09 크리스털 팰리스 올해의 선수: 2012-13 FFA 올해의 남자 축구 선수: 2013 AFC 올해의 해외파선수상 : 2014 = 올돌골 = 올돌골(兀突骨)은 나관중의 통속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남만 오과국의 수장으로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이다. = = 삼국지연의에서의 올돌골 = = 남만에 있는 오과국(烏戈國)의 국왕이다. 신장이 12척(尺, 후한 시대의 척은 276cm, 위진시대의 척은 289.2cm)인 거구의 남자로 몸이 비늘로 덮여 있다고 묘사되어 있다. 또, 모든 곡식을 일절 먹지 않고, 산짐승이나 뱀을 주로 먹었다고 한다. 기름을 등나무에 스며들게 하고 말린 등갑을 입고 칼이나 화살도 관통되지 않고 물에 뜨고 이동하는 최강의 군사 등갑병을 인솔하고, 올돌골 자신은 코끼리를 타고 있었다. 맹획을 도와 촉나라군을 상대하여 등갑병을 이용하여 촉나라군에 크게 이겼다. 그러나, 등갑의 제조법과 불에 약한 것을 안 제갈량은 위연에게 자신의 책략을 알려주고, 위연이 몇번이나 도망치며 올돌골을 반사곡으로 유인하여, 화공에 의해 부하와 함께 전사했다. 올돌골군이 전멸한 후에 제갈량은 올돌골의 군사로 위장하여 맹획이 나타나자 제갈량을 죽였다고 속여 맹획을 잡았다고 한다. = 지상렬의 출연 목록 = = =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 = TV조선 《팡팡터지는 정보쇼 알맹이》 (2020년 ~ ) JTBC 《사연 있는 쌀롱하우스》 (2021년 ~ ) SBS 러브FM 《뜨거우면 지상렬》 (2022년 ~) = = 방송 프로그램 = = KBS1《가족오락관》초대 손님 KBS2《TV는 사랑을 싣고》 tbsTV《팩트인스타》 TV조선 《부부젤라》 2012년 TV조선 《토크쇼 노코멘트》- MC 2012년 MBC every1 《무작정 패밀리 시즌 2》- 삼촌 역 CMC TV 《Job star 일단맡겨!》 2010년 SBS 《패밀리가 떴다 시즌 2》- 고정멤버 2009년 SBS 《강심장》- 게스트 2009년 MBC 《하땅사》- 진행 2007년 KBS2 《1박2일》 - 중도하차 2003년 KBS2 《스펀지 2.0》- 패널 2007년 KBS2 《해피투게더 시즌 3》 - 중도하차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브레인 서바이벌》 - 중도하차 SBS 《남희석, 이휘재의 멋진만남》 SBS 《좋은친구들》 SBS 《호기심천국》 2007년 SBS 《작렬! 정신통일》 2009년 SBS 《있다! 없다?》 VIKI 《노모쇼 시즌 2》 MBN 《끝장대결! 창과 방패》 MBC MUSIC 《강남 Feel 댄스 교습소》 2013년 tvN 《백만장자 게임 마이턴》 2011년 tvN 《리얼키즈 스토리 레인보우》- MC 2014년 JTBC 《님과 함께》 VIKI 《노모쇼 시즌 3》 2014년 JTBC 《에브리바디》 VIKI 《노모쇼 시즌 4》 K-STAR 《부부감별쇼 리얼리?》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판정단 2015년 TV조선 《만나면 흥하리! 모란봉클럽》- MC 채널A 《구원의 밥상》 KBS2 《언금술사》 채널A 《아내가 뿔났다》 (특별출연) 2015년 채널A 《개밥 주는 남자》(특별출연) 2016년 MBC 《나 혼자 산다》- 출연 SBS 《셀프 디스 코믹 클럽》 2016년 JTBC 《냉장고를 부탁해》- 게스트 2016년 KBS2 《어서옵SHOW》 2017년 MBC 《은밀하게 위대하게》- 출연(10회) 2017년 MBC 《하하랜드》- 출연 TV조선 《자연愛산다》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빈방있음》 tvN 《나의 영어사춘기》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이렇게 더울 거면 망고라도 열려야지 <참가자> SBS 플러스 렌트채널 님은 부재중-감스트와 출연 SBS 《정글의 법칙》 SBS 《가로채널》 SBS 《전설의 빅피쉬》 채널A 《도시어부》 SBS 《신발벗고 돌싱포맨》 KBS2 《배틀트립2》 유튜브 《구독안하면 지상렬》 유튜브 《와인시대》 티몬 《오늘의 술상》 MBC 《마을애 가게》 SBS《이상한 나라의 지옥법정》 = = 라디오 = = 2004년 4월 26일 ~ 2010년 4월 25일 - MBC 표준FM 《지상렬, 노사연의 2시만세》 TBS FM 《지상렬의 브라보, 브라보》 SBS 러브FM 《뜨거우면 지상렬》 = = TV 드라마 = = 2002년 MBC 《막상막하》 ... 박상철 역 2003년 MBC 《죽도록 사랑해》 2003년 MBC 《내 인생의 콩깍지》 ... 이영진 역 2003년 MBC 《애인보다 좋은》 2003년 MBC 《비행접시》 2003년 MBC 《대장금》 ... 조치복 역 2004년 MBC 《불새》 ... 주유소 진상 손님 역 (우정출연) 2004년 MBC 《단팥빵》 ... 가란과 남준의 초등학교 선배 역 (특별출연) 2004년 MBC 《아일랜드》 ... 에로배우 역 (특별출연) 2004년 MBC 《형님이 돌아왔다》 ... 용철 역 2004년 MBC 《쨍하고 해뜰 날》 2005년 SBS 《불량 주부》 ... 김석준 역 2005년 KBS2 《이 죽일 놈의 사랑》 ... 태춘 역 2006년 MBC 《놈들의 수다》 2006년 SBS 《독신천하》 ... 서동희 역 2006년 KBS1 《나쁜소설》 ... 인영 역 (류종원 성인) 2007년 MBC 《이산》 ... 이천 역 2007년 MBC 《히트》 ... 강용필 역 2009년 KBS2 《공주가 돌아왔다》 ... 세뇨르 역 2009년 tvN 《세남자 2009》 ... 지호태 역 2011년 MBC 《최고의 사랑》 ... 세바퀴 게스트 역 2014년 KBS2 《뻐꾸기 둥지》 ... 사기꾼 역 (특별출연) 2018년 MBC 《내사랑 치유기》 ... 주유소 사장 역 (특별출연) = = 영화 = = 《작업의 정석》 ... 엔딩 작업남 역 (특별출연) 《가필드 2》 ... 미친 개 롬멜 더빙 목소리 역 = = 광고 = = 2000년 hy 포포야 (with 염경환) 2001년 농심 쫄병스낵 (with 염경환) 2002년 농심 쫄병스낵 2004년 에이스침대 (with 이효리, 김성민) 2004년 하나포스닷컴 센게임 지상렬의 막포커 2006년 계동치킨 2006년 루노소프트 지상렬맞고 2009년 오엔 부라보 유 2016년 도그코리아 DNA실명제 2017년 한국인삼공사 정관장 지니펫 2019년 K2 피싱라인 (with 이태곤) 2021년 한국어촌어항공단 낚시안전캠페인 (with KCM) 2021년 카브루 맥주 2022년 라쿠아비바 2022년 용현 서희스타힐스 = = 홍보대사 = = 2004년 인천지방경찰청 청소년범죄예방 홍보대사 2009년 인천 방문의 해 민간홍보대사 2009년 인천세계도시축전 명예홍보대사 2009년 인천시 문화관광홍보대사 2016년 도그코리아 DNA실명제 홍보대사 2016년 국제반려동물영화제 홍보대사 = = 뮤직비디오 = = 신나고 ‘이쁘니까’ 오로라 ’따따블’ = 분류:위키프로젝트 공룡 = = 아랍 스트리트 = 아랍 스트리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랍 스트리트 (태국) 아랍 스트리트 (싱가포르) = 도요아키촌 (아이치현 호이군) = 도요아키촌은 아이치현 호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요카와시에 해당한다. = 스태튼아일랜드 (동음이의) = 스태튼아일랜드(Staten Island) 또는 스테이튼아일랜드는 일반적으로 뉴욕의 자치구 스태튼아일랜드를 뜻하며,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다. USCGC 스태튼아일랜드 스테이튼 아일랜드 (영화) 로스에스타도스섬 = 모케과주 = 모케과주는 페루 남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모케과이며 면적은 15,733.97km2, 인구는 163,757명(2004년 기준)이다. 북쪽으로는 아레키파 주, 동쪽으로는 푸노 주, 남쪽으로는 타크나 주, 서쪽으로는 태평양과 접한다. 3개 군과 20개 구를 관할한다. = 살정제 = 살정제(Spermicide)는 정자를 죽이는 약이다. 성교 전에 질속에 넣어 사용한다. 노녹시놀-9 등이 있다. 살정제는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성교 전에 질에 삽입되는 정자를 파괴하는 피임 물질이다. 피임약으로 살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살정제만을 사용하는 부부의 임신율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부부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살정제는 다이어프램, 콘돔, 자궁 경부 캡 및 스폰지와 같은 피임 장벽 방법과 결합된다. 결합된 방법은 단독 방법보다 낮은 임신율을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살정제는 일반적으로 무향, 투명, 무향, 무착색, 윤활성이다. = = 콘돔과 함께 사용 = = 살정제는 콘돔의 피임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에서 살정제로 윤활 처리한 콘돔은 유통 기한이 짧고 여성에게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살정제 윤활 콘돔을 더 이상 홍보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노녹시놀-9 윤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살정제는 약 91%만 효과적이다. 살정제를 콘돔 및 기타 차단 방법과 함께 사용하면 97%의 임신 예방 효과가 있다. = 프레디 스트로마 = 프레디 스트로마(, 1987년 1월 8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1부와 2부에서 코맥 맥클라건 역을 맡았다. 스웨덴계로, 스웨덴어 이름은 프레데리크 빌헬름 셰스트룀(Frederic Wilhelm C.J. Sjöström)이다. = = 출연작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08 레이디 고디바 Lady Godiva 맷 2009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 Prince 코맥 매클라건 2010 4.3.2.1. 4.3.2.1. 쿨 브렛 2010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부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 Part 1 코맥 매클라건 2011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 Part 2 코맥 매클라건 2011 신데렐라 스토리: 원스 어폰 어 송 A Cinderella Story: Once Upon a Song 루크 모건 2014 유에프오 Extraterrestrial 카일 2014 인비트위너스 2 The Inbetweeners 2 벤 손턴와일드 2016 13시간 13 Hours: The Secret Soldiers of Benghazi 브릿 베이너 2018 세컨드 액트 Second Act 롭 엡슨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06 마요 Mayo 루커스 하퍼 2006 캐주얼티 Casualty 제임스 허퍼트 "Happy Hour" 에피소드 2015-16 언리얼 Unreal 애덤 크롬웰 시즌1 주연 2016 왕좌의 게임 Game of Thrones 디컨 탈리 "Blood of My Blood" 에피소드 2017 미래의 추적자 Time After Time H. G. 웰스 주연 2019 그랜드 호텔 Grand Hotel 올리버 2회분 출연 2020 브리저튼 Bridgerton 프리드리히 왕자 3회분 출연 2021 더 크루 The Crew 제이크 마틴 2022 피스메이커 Peacemaker 에이드리언 체이스 / 비질란테 주연 = 고양 (점성술) = 점성술에서 고양(高揚) 또는 엑절테이션(exaltation)은 행성의 다섯 가지의 본질적 위계 가운데 하나이다. 일곱 개의 전통적 행성은 하나의 황도대 별자리에서 고양되는. 그 위치는 다음과 같다.: 태양: 양자리 19도 (예: 18°00' - 18°59') 달: 황소자리 3도 수성: 처녀자리 15도 금성: 물고기자리 27도 화성: 염소자리 28도 목성: 게자리 15도 토성: 천칭자리 21도 승교점은 쌍둥이자리의 3도에서 강교점은 사수자리의 3도에서 고양지위를 갖는다. 그 위치들은 11세기 알비루니의 저서 점성예술의 요소에 대한 소개서(Book of Instruction in the elements of the art of astrology)와 같은 중세 초기 아랍 시대의 점성술 문헌들에 수록되어 있다.Albiruni, The Book of Instruction in the Elements of the Art of Astrology, (written in Ghaznah, 1029) ch.443 'Exaltation and fall of the planets'. Translated into English by R. Ramsay Wright. London: Luzac & Co. 1934. 현대 베다 점성가들은 교점의 고양 지위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반면, 중세 유럽을 통해 전해진 서양 점성술의 전통은 그 실천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그리고 현재에 그것들을 약간만 사용한다.Deborah Houlding, 'Ptolemy's table of planetary dignity explained ' Skyscript: "Mars is dignified at any position in Capricorn, the sign of its exaltation, but the dignity will be especially apparent in the 28th degree. The traditional exaltations of the nodes are included although I have never really seen these put to good use in judgements". 2013년 3월 17일 갱신. 그리스인들과 페르시아인들과는 반대로 알비루니는 그 점들의 고양에 대해 알리며, 그 원리를 "아주 적절한" 것으로 묘사했는데 반해, 그의 시대의 힌두 점성가들은 태양과 목성 그리고 토성의 고양 위치에 일치가 없었으며, 교점의 고양은 인정하지 않았다.Albiruni, The Book of Instruction in the Elements of the Art of Astrology, ch.444 'Hindu's differ as to degrees': "There is no difference of opinion as to the signs of exaltation, but the Hindu's differ as to the degrees in certain cases. They are agreed that the exaltation of the Sun lies in 10° of Aries, of Jupiter in 5° of Cancer, of Saturn in 20° of Libra, the others as above, except with regard to the Dragon's head [Moon's north node] and Tail [Moon's south node] which are not mentioned by them in this connection as is quite proper". The altered positions of the Sun, Jupiter and Saturn suggests an attempt to update the traditional zodiac positions in response to the effect of precession. 고양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가장 고대의 점성학적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것은 황도대가 알려지기 이전의 시대부터 고대의 메소포타미아 점성술에서 사용되었다. (그들은 그것에 대해 후일의 황도대의 도수와 일치하는 별자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했다.) 프란세스카 록버그는 이 체계는 에누마 아누 엔릴의 전통에서 발견되므로, 그것의 기원은 기원전 제2천년기로 확장될 수도 있음을 알린다.Rochberg, Francesa, Babylonian Horoscopes pp.46-47. Philadelphia: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98. 왜 바빌로니아인들은 서양 점성가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그러한 위계의 위치를 고려했는가? 여러 세기 동안 그것을 고집하게 해왔던 숨은 이유에 관한 많은 고찰에도 불구하고, 로버트 핸드Robert Hand, Horoscope Symbols. Schiffer Publishing (Easton, PA., 1987), .는 추운 염소자리에서 활발한 화성이 고양하는 것처럼 일관성을 가지고 설명하기는 불가능하므로 그것은 여전히 변칙으로 남아있다고 한다. 서양 항성황도대 점성가 시릴 페이건은 기원전 786년에 바빌로니아의 신 나부를 위한 중요한 신전의 설립 해에 모든 행성이 그러한 도수들에서 태양과 함께 떠올랐다that is,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the night sky after a period of being obscured by the Sun. The planet will be seen close to the horizon, becoming visible as sunlight fades or before the Sun rises. In the ancient Near East, this was an important sky event.고 추측하지만, 그러함도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Hand, Horoscope Symbols, p.204, referencibg Cyril Fagan, Zodiacs, Old and New, (Anscombe, 1951.)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일반적으로 별자리에서 별자리까지의 각을 인정하므로, 고양의 정확한 도수에서부터 한 행성과의 거리가 큰 중요성을 지녔었는지도 모를 일이다.Albiruni, The Book of Instruction in the Elements of the Art of Astrology, ch.443, demonstrates that differences of opinion existed in his era: "In such signs the exaltations is regarded as especially related to a certain degree;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opinion in this matter, some saying that it extends to some degrees in front or behind the degree in question, while others hold that it extends from the first point of the sign to that degree, and again others that it is present in the whole sign without any special degree". The altered positions of the Sun, Jupiter and Saturn suggests an attempt to update the traditional zodiac positions in response to the effect of precession. 하지만, 고대의 점성가들에게 그 도수가 사용되었음은 분명하다. 예를 들면, 발광체들(태양과 달)이 각각 고양하는 정확한 도수는 헬레니즘 고양점의 공식으로 사용되었다. 아랍과 비잔티움에 의해 영향을 받은 후일의 중세 점성술에서는 가장 중요한 위계는 거주지의 주인지위이며 그 다음으로 고양인 등의 다섯 가지의 모든 본질적 위계에 대한 서열적 사용이 선호되었다.See for instance, William Lilly, Christian Astrology (London, 1647) in one of its several modern reprints, p. 104. 중세의 점성가들은 각각의 위계를 등급으써 점수를 매겼고, 그것들은 개략적인 통계적 방식으로 된 비교 가능한 표로 만들어졌다.(본질적 위계 참조.)Lilly, p.104 그러한 점수값들은 오늘날 점성가들에게도 여전히 사용된다. 천왕성과 해왕성 그리고 명왕성 이렇게 세 개의 외부 행성의 발견 이후에 현대 점성가들은 그 행성들을 위해 가능한 거주지와 고양의 지위에 대해 숙고했다. 그러함은 예를 들어, 해왕성이 (목성의 두 거주지 가운데서 하나의 주인지위를 빼았고) 물고기자리의 "진짜" 집주인이 되는 등을 암시했다. 그러나, 고대의 체계는 가시외적 행성은 허용하지 않는 복잡한 대칭구조이므로, 그것들을 전통적 기법에 포함시키기란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 점성가들은 그러한 새로운 행성들에 고양 지위를 할당하려는 시도를 그만두었다. 전통적인 힌두 점성술은 기본적으로 나크샤트라라고 불리는 항성군에 있는 행성의 고양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다. 항성 황도대에는 27개의 나크샤트라가 있다. 360°/27로 하여 1°가 60′임을 감안하면 한 개의 나크샤트라 당 정확히 13° 20′이다. 예를 들어, 목성은 게자리에서 고양하지만, 게자리의 30° 내에는 (쌍둥이자리 20°00′부터 게자리 3°20까지의) 푸나바수와 (게자리 3°20부터 16°40′까지의) 푸시야 그리고 (게자리 16°40′부터 29°59′까지의) 아슐레샤 이렇게 세 개의 나크샤트라가 있다.Freedom Tobias Cole, Science of Light: An Introduction to Vedic Astrology, p.251, 목성은 게자리 5°에서 고양하므로, 그 위치는 푸시야 나크샤트라에서의 진짜 고양을 의미한다.Cole, p.81 푸시야 나크샤트라 데비타는 신들의 스승인 브라스파티이다. 목성은 일반적으로 게자리에서 고양하지만, 푸시야 바로 옆의 나크샤트라에 있을 때는 그것의 완전한 고양이 부여되지 않는다. 게다가, 각각의 나크샤트라는 파다라고 불리는 네 구간으로 나뉘는데, 13°20′/4로 하면 한 파다 당 정확히 3°20′이다. 베다의 전통에 따르면, 네 개의 파다는 각각 다르마와 아르타, 카마 그리고 모크사 이렇게 네 개의 삶의 목표를 나타낸다.Cole, p.289 만일, 목성이 푸시야에서 강하게 고양하고 있다면, (게자리 3°20′~6°40′의) 다르마 파다, (게자리 6°40′~10°00′의) 아르타 파다, (게자리 10°00′~13°20′의) 카마 파다 그리고 (게자리 13°20′-16°40′의) 모그사 파다 가운데 하나에 속한 것이기도 하다. 여기서의 도수는 천문적인 것으로 추론되는데, 목성은 게자리의 5°에서 고양하므로, 그러함은 푸시야 나크샤트라의 다르마 파다의 마음에서의 "깊은" 고양을 의미한다. 힌두 점성술 비전에서, 목성이 (마음을 뜻하는) 게자리에 있고 (신들의 스승인) 브라스파티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르마 파다의) 정당한 위치에 있다면, 목성은 그것이 표현하는 모든 것에 관하여 100% 고양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행성의 고양의 별자리와 정반대편에 위치한 별자리는 그것의 쇠퇴 자리로 여겨진다. 고양의 자리가 행성의 자기인식 장소라면, 쇠퇴의 자리는 행성이 표현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기능에 있어서 쇠약의 위치이다. = 틀:그리스의 주 = = 이고리 코롤료프 = 이고리 보리소비치 코롤료프(, 1970년 9월 6일 ~ 2011년 9월 7일)는 러시아의 전 아이스하키 선수 및 아이스하키 코치였다. 1988년 러시아 슈퍼리그의 H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데뷔했으며, 1992년 NHL 드래프트에서 세인트루이스 블루스의 선택을 받았다. 이후 1994년 위니펙 제츠로 팀을 옮겼으며, 시즌 도중 HC 디나모 모스크바로 복귀했다가 시즌 종료 후 다시 위니펙 제츠로 돌아왔다. 그 뒤 1996년 피닉스 카이오티스에 입단했으며, 시즌 도중 인터내셔널 하키 리그의 미시건 K-윙즈로 이적했다가 시즌 도중 다시 피닉스 로드러너스로 팀을 옮겼다. 이후 시즌 종료 후 토론토 메이플리프스와 계약했으며, 2001년 시카고 블랙호크스에 입단하였다. 그 뒤 2002년 아메리칸 하키 리그의 노퍽 애드미럴즈로 이적했으며, 2003년 시카고 블랙호크스로 복귀하였다. 이후 2004년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에 입단했으며, 시즌 종료 후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와 계약하였다. 그 뒤 2008년 아틀란트 뮈티시치로 팀을 옮겼으며, 시즌 종료 후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로 복귀했다가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였다. 소련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과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했으며 소련 대표팀 소속으로 1991년 캐나다컵, 러시아 대표팀 소속으로 1992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였다. 그는 소련 대표로서 11경기, 러시아 대표로서 16경기에 출전했다. 은퇴 이후 2011년 친정팀인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에서 수석 코치로 활동하였다. 2011년 9월 7일 HC 디나모 민스크와의 콘티넨탈 하키 리그 개막전을 치르기 위해 Yak-42를 타고 이동하던 도중 벨라루스 민스크-1 공항에서 2km 떨어진 지점에서 항공 사고가 발생했으며, 코롤료프를 포함한 탑승객 44명이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다. = 분류:매일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가브리엘 포레 = 가브리엘 위르뱅 포레(, 1845년 5월 12일 - 1924년 11월 4일)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교사였다. 파리의 니데르마이어 음악학교에서 공부하고, 카미유 생상스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으며, 교회의 오르간 연주도 하였다. 파리 음악원의 원장을 역임하였고, 제자로는 모리스 라벨 등 뛰어난 음악가가 많이 있다. 클로드 드뷔시보다 앞서서 현대 프랑스 음악의 기초를 닦았다고 할 수 있다. 실내악이나 가곡에 뛰어난 작품이 많다. 작품에 현악 4중주곡, 피아노 5중주곡, 바이올린 소나타가 있으며, 그중 종교 음악의 걸작인 〈진혼곡〉, 가곡 〈꿈을 꾼 후에〉, 〈달빛〉 등이 유명하다. = = 주요 작품 = = = = = 피아노 = = = = = = = 독주곡 = = = = 소나타 바장조(1863) 마주르카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32(1875년 추정) 발라드 올림 바장조 작품번호 19(1877~79) 주제와 변주곡 올림 다단조 작품번호 73(1895) 9개의 전주곡 작품번호 103(1909~10) 13개의 야상곡 1번 내림 마단조 작품번호 33의 1(1875년경) 2번 나장조 작품번호 33의 2(1881년경) 3번 내림 가장조 작품번호 33의 3(1883) 4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36(1884) 5번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37(〃) 6번 내림 라장조 작품번호 63(1894) 7번 올림 다단조 작품번호 74(1898) 8번 내림 라장조 작품번호 84의 8(1902) 9번 나단조 작품번호 97(1908년 추정) 10번 나단조 작품번호 99(1908) 11번 올림 바단조 작품번호 104의 1(1913) 12번 마단조 작품번호 107(1915) 13번 나단조 작품번호 119(1921) 13개의 뱃노래 1번 가단조 작품번호 26(1881년 추정) 2번 사장조 작품번호 41(1885) 3번 내림 사장조 작품번호 42(1885) 4번 내림 가장조 작품번호 44(1886) 5번 올림 바단조 작품번호 66(1894) 6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70(1895년 추정) 7번 라단조 작품번호 90(1905) 8번 내림 라장조 작품번호 96(1906) 9번 가단조 작품번호 101(1908~9) 10번 가단조 작품번호 104의 2(1913) 11번 사단조 작품번호 105(1913) 12번 내림 마단조 작품번호 106bis(1915) 13번 다장조 작품번호 116(1921) 4개의 왈츠 기상곡 1번 가장조 작품번호 30(1882) 2번 내림 라장조 작품번호 38(1884) 3번 내림 사장조 작품번호 59(1887~93) 4번 내림 가장조 작품번호 62(1893~4) 5개의 즉흥곡 1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25(1881) 2번 바단조 작품번호 31(1883) 3번 내림 가장조 작품번호 34(〃) 4번 내림 라장조 작품번호 91(1905~6) 5번 올림 바단조 작품번호 102(1908~9) = = = = 연탄곡 = = = = 교향 알레그로 작품번호 68(1895) = = = 실내악 = = = = = = = 바이올린과 피아노 = = = = 소나타 1번 가장조 작품번호 13(1875~76) 자장가 작품번호 16(1879) 로망스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28(1883) 소나타 2번 마단조 작품번호 108(1916~17) = = = = 첼로와 피아노 = = = = 슬픈 노래 작품번호 24(1880) 시실리엔 작품번호 78(1898) 소나타 1번 라단조 작품번호 109(1917) 소나타 2번 사단조 작품번호 117(1921) = = = = 플루트와 피아노 = = = = 환상곡 작품번호 79(1898) = = = = 피아노와 현악 앙상블 = = = = 피아노 4중주 1번 다단조 작품번호 15(1876~79) 피아노 4중주 2번 사단조 작품번호 45(1887) 피아노 5중주 1번 라단조 작품번호 89(1887~95) 피아노 5중주 2번 다단조 작품번호 115(1919~21) 피아노 3중주 라단조 작품번호 120(1922~3) = = = = 그 밖 = = = = 즉흥곡 작품번호 86(하프)(1904) 현악 4중주 마단조 작품번호 121(1924) = = = 가곡 = = = 달빛 작품번호 46의 2(1887) 5개의 멜로디 작품번호 58(1891) 다정한 노래 작품번호 61(1892~94) 더 부드러운 길(마드리갈) 작품번호 87의 1(1904) 이브의 노래 작품번호 95(1906~10) 둘러싸인 정원 작품번호 106(1914) 환상들 작품번호 113(1919) 가공의 지평선 작품번호 118(1921) = = = 합창 = = = 장 라신 찬송가 작품번호 11(1865) 마드리갈 작품번호 35(1883) 진혼곡 작품번호 48(1877, 87~93) 성체 안의 예수 작품번호 65의 1(1894) 성모송 내림 가장조 작품번호 67의 2(1895) = = = 관현악 및 협주곡 = = = 교향적 조곡 바장조 작품번호 20(1865~74) 파반느 올림바단조 작품번호 50(1887) 칼리굴라 작품번호 52(1888) 돌리 조곡 작품번호 56(1894~96) 샤일록 작품번호 57(1890)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작품번호 80(1900)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사장조 작품번호 111(1918)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 Op.14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 작품번호 112(1919) = = = 오페라 = = = 프로메테우스 작품번호 82 (1900년에 초연) 페넬로페 WoO.29 (1913년에 초연) = 이산수학 =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離散數學, )은 이산적인 수학 구조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연속되지 않는 공간을 다룬다. 유한수학(finite mathematics)이라고도 하며, 전산학적인 측면을 강조할 때는 전산수학이라고도 한다. 이산수학에서는 실수 같이 연속적인 성질이 있는 대상이 아니라 주로 정수, 그래프, 논리 연산 같이 서로 구분되는 값을 가지는 대상을 연구한다. 따라서 이산수학에서는 미분적분학이나 수치 해석같이 '연속적'인 분야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루지 않는다. 이산적인 대상은 정수로 개수가 열거되는 경우가 많다. 공식적으로, 이산수학은 가산집합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부류로 특징지을 수 있다. 하지만 이산수학이라는 용어에 대해 정확한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 사실, 이산수학은 포함된 주제에 의해서 정의되기 보다는, 이산수학이 다루는 주제가 아닌 것들에 의해서 정의된다. 이산수학에서 연구하는 집합의 종류는 무한 혹은 유한집합이다. 이산 수학중에서도 유한 집합을 다루는 한 분야에 대해서 가끔씩 유한 수학이라는 용어가 쓰이기도 한다. 이산적인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하는 디지털 컴퓨터의 개발으로 인해 20세기 후반에 이산수학에 대한 연구가 점점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이산수학에 포함된 개념과 기호들은 컴퓨터과학자들이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암호학, 계산이론 등의 문제를 연구하는 데 유용하였다. 이산수학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논문에게는 풀커슨상이 수여된다. = = 이산수학의 과거와 현재 = = 현재 많은 대학교 컴퓨터과학 관련 학과에서 해당 학문을 전공 과목으로서 채택하고 있다. 유명한 저자는 Kenneth H. Rosen 이 있다. = = 이산수학의 주제 = = 수리논리학 집합론 수론 조합론 그래프 이론 알고리즘 정보이론 오토마타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확률론 선형대수학 함수 순서 집합 증명 이론 계수와 관계 = 분류:창원초등학교 = = 분류:오만계 사람 = = 분류:1990년 아시안 게임 다이빙 참가 선수 = = 시마타니 = 시마타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시마타니 히토미: 일본의 여자 가수이자 배우 시마타니 세이시로: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이란의 이슬람주의자 = 이란 이슬람주의자 이슬람주의자 이슬람주의자 이란 = 목포부영초등학교 = 목포부영초등학교는 전라남도 목포시 옥암동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93. 05. 27 목포부영국민학교 설립 인가 1994. 11. 07 목포부영국민학교 개교(6학급) 1995. 03. 10 목포부영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1996. 03. 01 목포부영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2013. 09. 01 제8대 오종령 교장 부임 2009. 09. 01 제7대 민광 교장 부임 2010. 02. 01 다목적강당 준공(부영관) 2012. 04. 20 운동장 잔디구장 준공 2013. 02. 20 제19회 졸업식(누계 3,451명) 2013. 03. 01 2013학년도 27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4. 02. 18 제20회 졸업식(누계 3,568명) 2014. 03. 01 2014학년도 24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5. 02. 13 제21회 졸업식(누계 3,676명) 2015. 03. 01 2015학년도 22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6. 02. 05 제22회 졸업식(누계:3,774) 2016. 03. 01 2016학년도 20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7. 02. 08 제23회 졸업식(누계:3,859) 2017. 03. 01 2017학년도 21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7. 09. 01 제9대 강홍제 교장 부임 2018. 02. 09 제24회 졸업식(누계 3,927명) 2018. 03. 01 2018학년도 20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8. 03. 21 2018학년도 19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19. 02. 21 제25회 졸업식(누계 3,998명) 2019. 03. 01 2019학년도 19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2023. . 01. 05 제 30회 졸업식 = 모듈:Location map/data/Japan Greater Tokyo area = return { name = '일본', x = '100*((1 - ($1 < 37.2559)*($1 > 34.3878)*($2 < 141.047)*($2 > 137.619))*(($1>30.90)*($2-128.24)/(149.27-128.24)+($1<=30.90)*($2-110.43)/(131.44-110.43)) + ($1 < 37.2559)*($1 > 34.3878)*($2 < 141.047)*($2 > 137.619)*(-17.268750081722320+0.125574269647386*$2))', y = '100*((1 - ($1 < 37.2559)*($1 > 34.3878)*($2 < 141.047)*($2 > 137.619))*(($1>30.90)*($1-45.86)/(30.02-45.86)+($1<=30.90)*($1-39.54)/(23.71-39.54)) + ($1 < 37.2559)*($1 > 34.3878)*($2 < 141.047)*($2 > 137.619)*(6.236163807016558-0.167329713040236*$1))', image = 'Japan location map with Tokyo Greater Area Inset.svg' } = 분류:스모 선수 = = 분류:북아일랜드의 도시별 기업 = = 분류:44년 폐지 = = 만화 혐중국류 = 만화 혐중국류는 야마노 샤린(山野 車輪)의 우익 만화로, 제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중국이 비난의 대상이다. 전작인 만화 혐한류와 같은 전개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혐한류를 출판했던 신유샤(晋遊舎)에서 출판하였다. = = 소개 = = 만화 혐중국류는 반일 교육과 난징 대학살, 일본의 대(對) 중국 ODA, 중국의 대외 정책, 환경 문제 등에 대해 일본 극우주의를 중심으로 한 왜곡된 주장을 중심으로 그려졌고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을 비난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다. 만화책의 겉표지에는 "일본 해체가 목적인 세계 제일의 반일 국가, 이것이 중국이다!"라는 주장이 적혀 있다. = = 등장인물 = = 등장인물은 전작인 만화 혐한류와 대동소이하다. = =중국측 반응 = = 혐중국류가 일본에서 정식 출판되었을 때 이 사실을 안 중국 네티즌들이 블로그를 통해 알렸지만 당시 베이징 올림픽과 관련된 일련의 큰 사건들 때문에 혐중국류의 존재는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못했다. 그러나 중국의 언론이 올림픽과 관련하여 반일 감정을 크게 다루자 이와 마찬가지로 반일 감정이 크게 형성되었다. = = 목차 = = 제 1화 〈반일 국가 중국〉 반일 폭동과 애국 제 2화 〈대(對) 중국 ODA의 실태〉 끝없이 〈배상금〉을 요구하는 중국 제 3화 〈아시아를 침략하는 중국〉 티베트 학살과 일본의 안보를 위협하는 중국 제 4화 〈중국인이 지구를 병들게 한다〉 중국산 식품과 중국의 환경오염이 주는 전체적 피해 제 5화 〈중국인 유학생의 정체〉 중국인 유학생은 일본의 "범죄 집단"이며 "공작원"이다 제 6화 〈세계가 비난하는 베이징 올림픽〉 피로 물든 평화의 상징 제 7화 〈반일 매체와 반일 교육〉 반일 교육과 애국 교육을 동시에 펼치는 중국 공산당 제 8화 〈난징 대학살의 진실〉 난징 대학살의 진짜 피해자는 따로 있다 에필로그 〈일중 우호의 길〉 = = 단행본 = = 《만화 혐중국류》 (야마노 샤린 작, 신유샤 출판 ) = 국도 제380호선 (일본) = 국도 제380호선은 에히메현 야와타하마시에서 출발, 같은 현에 속하고 있는 가미우케나군 구마코겐정까지 이어주는 일반국도 노선이다. 그러나 이 국도는 실제 연장과 현도가 21.0 km에 이르고 있어, 총 연장 대비 1/3밖에 되지 않는 실제 연장을 가진 짧은 국도 노선이기도 하다. = = 노선 정보 = = 일반 국도의 노선을 지정하고 있는 정령에 따른 기종점 및 경유지는 아래와 같다. 기점 : 에히메현 야와타하마시 에도오카 교차로 (이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197호선과 국도 제378호선의 교차점이지만, 에히메현도 제27호선의 종점이기도 함) 종점 : 에히메현 가미우케나군 구마코겐정 오치아이 교차로 (이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3호선과 국도 제440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임) 주요 경유지전 구간이 에히메현을 관통한다. : 오즈시, 기타군 우치코정, 가미우케나군 오다정이 정은 옛 기타군 우치코정, 이카자키정과 함께 합쳐지면서 새로운 기타군 우치코정으로 통폐합한 상태이다. 총 연장 : 65.3 km 중복 연장 구간 : 44.3 km 미공용 연장 : 없음 실제 연장 : 21.0 km 현도 : 21.0 km 그 외의 없는 것들 : 구도, 신도 지정된 구간 : 56번 국도와 겹쳐지는 해당 구간 = = 연혁 = = 1975년 4월 1일 : 일반 국도 제380호선 (야와타하마시 ~ 가미우케나군 구마정)으로 정식 지정. = = 지리 = = = = = 통과하는 지자체 = = = 전 구간이 에히메현으로 관통되어 있다. 그러나 이 도로는 다음과 같은 구간을 경유함. 야와타하마시 - 오즈시 - 기타군 우치코정 - 가미우케나군 구마코겐정 = = = 접촉하는 도로 = = = 국도 제197호선 국도 제378호선 국도 제379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33호선 = 문고고자 = 문고고자(文賈古子, ?~?)는 백제의 기술자이다. = = 생애 = = 588년, 백제 위덕왕 백제는 왜(倭)의 아스카데라(法興寺) 건축을 위하여 여러 기술자를 왜에 파견하였으며, 사공(寺工)인 그 역시 이 때 왜에 파견되어 아스카데라 창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다. = 분류:이집트계 그리스인 = = 분류:ASD 라퀼라 1927 = = 알베르트 하이즐러 = 알베르트 하이즐러(, 1916년 11월 20일 ~ 1993년 10월 26일) 몰타의 정치인으로, 1981년부터 1982년까지 몰타의 대통령 대행을 하였다. = 분류:충암중학교 동문 = = 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타이빈 (연호) = 타이빈(, 970년 1월 ~ 980년 7월)은 베트남 딘 왕조(丁朝) 선제(先帝) 딘보린(丁部領)의 연호이다. 뒤를 이은 딘또안(丁璿)이 이어서 타이빈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레호안(黎桓)이 전 레 왕조(前黎朝)를 개창 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 = 개원 = = 경오년(庚午年) 정월(970년)에 연호를 타이빈(太平)으로 건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전서〉(本紀全書) 권1 - 정기(丁紀) 타이빈(太平) 11년 7월 6일경진년(庚辰年) 7월 정미일(丁未日)(980년 8월 19일)에 전 레 왕조 개창 후, 연호를 티엔푹(天福)으로 건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전서〉(本紀全書) 권1 - 여기(黎紀)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 = 연대 대조표 = = 타이빈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기(西紀) 970년 971년 972년 973년 974년 975년 976년 977년 978년 979년 간지(干支)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타이빈 11년 서기(西紀) 980년 간지(干支) 경진(庚辰) = = 동시대 연호 = = = = = 중국 = = = 개보(開寶) (968년 ~ 976년) 태평흥국(太平興國) (976년 ~ 984년) 보녕(保寧) (969년 ~ 979년) 건형(乾亨) (979년 ~ 983년) 대보(大寶) (958년 ~ 971년) 천회(天會) (957년 ~ 973년) 광운(廣運) (974년 ~ 979년) 명정(明政) (969년 ~ 985년) 천존(天尊) (967년 ~ 977년) 중흥(中興) (978년 ~ 985년) = = = 일본 = = = 안나(安和) (968년 ~ 970년) 덴로쿠(天祿) (970년 ~ 973년) 덴엔(天延) (973년 ~ 976년) 죠겐(貞元) (976년 ~ 978년) 덴겐(天元) (978년 ~ 983년) = 유메노시마 공원 = 유메노시마 공원(夢の島公園)은 일본 도쿄도 고토구의 에 있는 체육공원이다. 1957년부터 1967년까지 쓰레기의 최종 처분 장소였던 유메노시마라는 도쿄항 쓰레기 매립지을 개선함으로써 만들어졌다. = = 위치정보 = = { "type": "FeatureCollection", "features": [ { "type": "Feature", "properties": { "marker-symbol": "marker", "marker-color": "f00", "marker-size": "small", "title":"Maps Team" }, "geometry": { "type": "Point", "coordinates": [ 139.82728,35.65019 ] } } ] } = = 교통편 = = 지하철로는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선 신키바역이 인접해있다. = 모듈:Location map/data/Norway Oppland = return { name = 'Oppland', top = 62.45, bottom = 60.05, left = 6.66, right = 11.35, image = 'Norway Oppland adm location map.svg' } = 유리화 (드라마) = 유리화(琉璃畵)는 SBS에서 2004년 12월 1일 ~ 2005년 2월 3일에 방송되었던 SBS 드라마 스페셜이다. 일본에서는 ガラスの華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어렸을 때 일본으로 입양간 한동주 역을 맡은 이동건의 일본어 발음이 좋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고 유민(장수연 역)의 배역은 당초 일본인으로 설정됐으나 계약 후 한국의 톱여배우로 바뀌었으며 대본까지 늦게 나와 연습할 시간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채 부족한 연기를 선보여 시청자들의 거센 비난을 사야 했고 이 때문에 유민은 제작진과의 협의 끝에 자진하여 해당 작품에서 도중하차했다. = = 등장 인물 = = 김하늘 : 신지수 역 이동건 : 한동주 / 야마모토 유이치 역 김성수 : 박기태 역 조이진 : 박태희 역 심지호 : 신지석 역 김세아 안혜란 유민 : 장수연 역 노주현 : 기태 부, 박 회장 역 이응경 : 차진주 역 한인수 : 신재만 / 야마모토 유키오 역 구로다 후쿠미 가네코 노보루 : 다니 마사토 역 박은빈 : 신지수 어린시절 역 김형범 황보라 = = 결방 = = 2004년 12월 29일 - <가요대전> 편성 2004년 12월 30일 - 송년특집 <빅스타 명장면 NG열전> 편성 = 틀:정당색/홍콩 = = 김무성 = 김무성(金武星, 1951년 9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제15·16·17·18·19·20대 국회의원, 제47대 내무부 차관이다. 정치인 2세이며, 새누리당 제2대 당수로서, 비박계 좌장으로 있었으나 박근혜 당시 대통령을 탄핵하여 권좌를 차지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문재인 제19대 대통령으로 등극함에 따라 퇴위하였고, 보수정당의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김해이다. = = 생애 = = 1951년 김용주(金龍周)와 남양 방씨 방연숙 여사 사이에서 태어났다. 장인은 이승만 시대의 최치환(崔致煥) 공보처 장관이다.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YS를 도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상도동계가 되었으며, 민주화추진협의회에도 참여하였다. 1986년에는 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되었고, 1985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이사직을 역임했다. 1987년에는 통일민주당 제13대 대선 대책본부 재정국장이 되었는데, 후보단일화 실패로 인해 당시 통일민주당의 대선 후보였던 김영삼은 선거에서 2위로 낙선하였다. 같은 해에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당 기획조정실 차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에는 국회 행정실장을 역임하였다. 1990년 3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김영삼, 김덕룡 등과 함께 민주자유당 당원이 되었다. 이후 민주자유당의 의사국장과 의원국장 등을 지냈다.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대선 후보 추대대책위원회의 총괄국장을 맡았다. 1993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1994년에는 대한민국의 제47대 내무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에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에 출마하여 부산 남구 을에서 당선되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이회창 캠프에서 후보 비서실장을 역임하며 선거 운동을 총지휘했으나, 이회창은 김대중에게 밀려 대선에서 낙선했고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 이 후 이회창이 한나라당의 총재가 되자 총재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11월 서울지법 형사합의21부는 3일 TRS(주파수 공용통신)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1996년 5월에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징역 2년이 구형된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부산 남을)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죄를 적용, 징역 8월에 집행유예 1년및 추징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다시 이회창 캠프에서 일하며 후보비서실장을 역임했고, 선대위에서 미디어대책본부장을 맡아 선거운동을 지휘하였다. 그러나 이회창은 노무현에게 밀려 또 한번 낙선하였고, 이회창은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이회창이 정계를 떠난 뒤 김무성은 당내에서 소장파로 분류됐고, 2003년 말 최병렬 대표의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하며 대치하기도 하였다.<참고자료>한나라당 소장파 최병렬 대표 면담 결과, 불교신문, 2004년 2월 18일 2004년 박근혜가 신임 당대표로 선임되자 이번에는 박근혜의 신임을 받아 이듬 해인 2005년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소위 전여옥, 유승민 등과 함께 '원조 친박' 이라 불릴만큼 박근혜의 최측근으로 통했다. 2007년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어 이명박 선거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07년 11월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제18대 총선에서 친박으로 분류되어 공천에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해 7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지냈고, 그 해 6월 대한민국 국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 국회의원 야구단 이구동성 단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한나라당의 당명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이 바뀌어,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국회의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정보위원회 위원을 맡으면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한중 의원외교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 총선에는 또다시 공천에 탈락하여 출마하지 못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치러진 제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이 되어 새누리당의 대선 승리에 기여하였다. 이듬해 4·24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부산 영도구에서 당선되며 국회로 복귀하였다. 2014년 7월 14일에 제3차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김무성, 새누리당 신임 당 대표 선출. TV조선2014년 7월14일 작성. 2014년7월14일 확인 20대 총선을 앞두고서는 일명 '옥새런'이라 불리는 공천 파동이 일어났다. 친박계와 비박계 간에 공천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친박 성향의 이한구를 중심으로 한 공천관리위원회는 서울 은평구 을, 서울 송파구 을, 대구 동구 갑, 대구 동구 을, 대구 달성군에 친박 후보들을 단수 추천하였다. 그러나 비박으로 전향한 김무성 대표는 "당헌ㆍ당규를 위반한 공천장에는 도장(대표직인)을 찍어주지 않겠다"며 이 5곳의 도장 날인을 거부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서울 은평을, 서울 송파을, 대구 동을 3곳은 무공천 지역구가 되어 비박 후보들이 출마하게 되었고, 나머지 2곳은 친박 후보들이 출마하였다. 2016년 4월 14일, 4.13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한 결과를 두고 20대 총선 결과는 새누리당이 초래한 것이라고 하며 새누리당 선거 참패에 모든 책임을 지고 당대표에서 사퇴하였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나게 되자, 2016년 11월 박근혜에 대한 탄핵 추진을 시사했다. 이후 바른정당에 합류하였으나,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의 사퇴 이후 바른정당의 진로를 놓고 유승민 의원과의 갈등이 있었다. 2017년 11월 김 의원은 "사회 각계각층, 보수우파 국민들, 보수 시민사회 단체들과 함께 보수대통합을 이뤄서 좌파정권의 폭주에 대항하도록 하겠다"며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2018년 8월에는 "공화주의 정신에 입각해, 이데올로기가 아닌 보수라는 틀에서 벗어나 진정한 우파 정치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자신의 정치 철학을 설파했다. 그러면서 "공화주의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 독주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공화주의는 유승민 의원도 내세우는 정치철학인이나, 두 사람이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다. 정치공학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도서에는 공화주의를 "군주 독재에 반하는 인민 주권에 의한 공동의 정치 형태"와 "사적 이익보다 평등을 목표로 한 공적 이익을 중요시하는 도덕 철학" 2가지로 정의했는데, 김 의원은 전자에, 유 의원은 후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 = 경력 = = 1976 ~ 1982 동해제강 상무 1976 ~ 1982 동해제강 전무 1982 삼동산업 대표이사 1985 민주화추진협의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 1989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1989 통일민주당 기획조정실 차장 1992 민주자유당 의사국장 1992 민주자유당 의원국장 1993 제14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행정실장 1993 대통령비서실 민정제2비서관 1993 대통령비서실 사정제1비서관 1994.12 ~ 1995.09 제47대 내무부 차관 1996.05 ~ 2000.05 제15대 국회의원(부산 남구 을, 신한국당 → 한나라당) 1997 제15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비서실장 2000.05 ~ 2004.05 제16대 국회의원(부산 남구, 한나라당) 2002 제16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 2002.11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선대위원회 미디어대책본부장 2004.05 ~ 2008.05 제17대 국회의원(부산 남구 을, 한나라당 → 무소속) 2005 민주화추진협의회 회장 2005 한나라당 사무총장 2007.11 ~ 2008 한나라당 최고위원 2008.05 ~ 2012.05 제18대 국회의원(부산 남구 을, 무소속 → 한나라당 → 새누리당) 2010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2010.05 ~ 2011.05 한나라당 원내대표 2013.04 ~ 2016.05 제19대 국회의원(부산 영도구, 새누리당) 2014.07 ~ 2016.04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2016.03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6.05 ~ 2020.05 제20대 국회의원(부산 중구·영도구,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2016.05 ~ 2016.12 새누리당 상임고문 2017.01 ~ 2017.11 바른정당 상임고문 2017.11 ~ 2020.02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2018.05 ~ 2018.06 자유한국당 6·13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고문 2019.02 자유한국당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 고문 2020.02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2020.02 ~ 2020.04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2020 통합 선거책위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2021.03 ~ 국민의힘 상임고문 2021.03 ~ 2021.04 : 국민의힘 4·7재보궐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2021.03 ~ 2021.04 : 국민의힘 부산시당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2022.05 ~ 2022.06 : 국민의힘 제8회 지방선거 부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김영삼민주센터 이사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회장 재단법인 가락중앙종친회 제25대 회장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김용주(1905년 ~ 1985년) 어머니 : 방연숙 (1926년 9월 25일 ~ 2013년 10월 29일) 누나 : 김문희(1928년 ~ ) * 조카 : 현정은 형 : 김창성(1932 ~ ) 형 : 김한성(1948 ~ ) 배우자 : 최양옥(1956 ~ ) * 장녀 : 김현진(1981 ~ ) * 차녀 : 김현경(1984 ~ ) * 장남 : 김종민(1988 ~ ) 남동생 : 김남곤(1959 ~ ) 장인 : 최치환(崔致煥) = 보라초등학교 = '보라초등학교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2년 7월 21일 보라국민학교 설치 1984년 3월 2일 신갈국민학교에서 10학급 분리 개교 2002년 2월 21일 상갈초등학교, 나곡초등학교 분교 2002년 9월 12일 보라매관 준공 2007년 4월 20일 학교 숲 가꾸기 사업 2008년 11월 13일 도서실 리모델링 공사 2012년 1월 10일 컴퓨터실, 음악실 리모델링 공사 2014년 8월 4일 교사 내부 도색작업 실시 2015년 2월 11일 제30회 유치원 졸업식(18명) 2015년 2월 13일 제30회 졸업식(30명), 누계 2,228명 2015년 3월 1일 제12대 김애경 교장 취임 2015년 3월 1일 12학급(특수 1학급 포함) 편성, 유치원 2학급 편성 2015년 3월 1일 경기도지정 초등 돌봄교실, 초등 교과특성화 운영, 혁신 공감학교 운영 = 분류:유도 미사일 = = 분류:13세기 한국 = = 쿡스타운구 = 쿡스타운구는 2015년까지 존재했던 북아일랜드의 옛 구였다. 행정 중심지는 쿡스타운이며 면적은 622km2, 인구는 36,700명(2010년 기준), 인구 밀도는 59명/km2이다. = = 구 정보 = = 행정 중심지: 쿡스타운 면적: 622km2 인구: 36,700명 (2010년 기준) 인구 밀도: 59명/km2 ISO 3166-2 코드: GB-CKT ONS 코드: 95I 종교 분포: 천주교 57.6%, 개신교 41.1% = 분류:나라별 마피아 = = 다치 = 다치는 부탄의 전통 치즈이다. 소젖이나 야크젖으로 만들며, 티베트의 추르피와 비슷하다. 발효유에서 버터를 얻고 남은 우락유를 응고시켜 만든 산유 치즈이다. 에마 다치, 게와 다치 등의 음식을 만드는 데 쓰며, 치즈가 들어간 이러한 요리를 "다치"라 부르기도 한다. = 틀:농구 국가대표팀 명단/설명문서 = = = 사용법 = = {{농구 국가대표팀 명단 . . . . . . }} = = = 접기 = = = = AFI 선정 100대 스타 = AFI 선정 100대 스타(AFI's 100 Years...100 Stars)는 미국 영화 연구소의 목록으로, 미국 영화 사상 가장 위대한 스크린 레저드인 상위 25명의 여성과 25명의 남성의 순위를 매긴다. AFI 100년 시리즈의 2번째 목록이다. = = 목록 = = 캐서린 헵번 베티 데이비스 오드리 헵번 잉그리드 버그먼 그레타 가르보 마릴린 먼로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디 갈런드 마를레네 디트리히 조앤 크로퍼드 바버라 스탠윅 클로데트 콜베르 그레이스 켈리 진저 로저스 메이 웨스트 비비언 리 릴리언 기시 셜리 템플 리타 헤이워스 로런 버콜 소피아 로렌 진 할로 캐럴 롬바드 메리 픽퍼드 에바 가드너 = = 후보 = = = = = 250명 여성 후보 = = = 그레이시 앨런 준 앨리슨 주디스 앤더슨 아나벨라 (배우) 이브 아덴 진 아서 메리 애스터 루실 볼 털룰라 뱅크헤드 테다 바라 에설 배리모어 앤 백스터 루이스 베버스 바버라 벨 게디스 콘스턴스 베넷 조앤 베넷 조앤 블론델 클레어 블룸 앤 블라이스 벨루아 본디 셜리 부스 클래라 보 앨리스 브레이디 베티 브론슨 루이즈 브룩스 버지니아 브루스 빌리 버크 (여자 배우) 스프링 바잉톤 키티 카리슬 매들린 캐럴 (1906년) 시드 챠리시 루스 채터턴 메이 클라크 돌로레스 코스텔로 진 크레인 비올라 다나 도러시 댄드리지 베베 대니얼스 린다 다넬 다니엘 다리외 제인 다웰 매리언 데이비스 조안 데이비스 도리스 데이 라레인 데이 이본 디 카를로 루비 디 글로리아 드헤븐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돌로레스 델리오 루이즈 드레서 마리 드레슬러 마가렛 듀몬트 아이린 던 디애나 더빈 데일 에반스 프랜시스 파머 글렌다 패럴 알리스 페이 베티 필드 그레이시 필즈 제럴딘 피츠제럴드 론다 플레밍 니나 포크 조앤 폰테인 케이 프란시스 페기 앤 가너 베티 개릿 그리어 가슨 재닛 게이너 미치 게이너 허마이어니 깅골드 도로시 기시 폴렛 고더드 루스 고든 베티 그레이블 글로리아 그레이엄 보니타 그랜빌 캐스린 그레이슨 제인 그리어 코린 그리피스 진 헤이건 바바라 헤일 마거릿 해밀턴 (배우) 앤 하딩 준 헤이버 헬렌 헤이스 수전 헤이워드 소냐 헤니 주디 홀리데이 설레스트 홈 미리엄 홉킨스 리나 혼 마샤 헌트 킴 헌터 러스 허시 베티 허튼 제니퍼 존스 루비 킬러 마지 케네디 데버러 카 베로니카 레이크 헤디 라마르 도로시 라무어 엘자 랜체스터 프리실라 레인 앤절라 랜즈베리 파이퍼 로리 재닛 리 조안 레슬리 비베카 린드포르스 지나 롤로브리지다 베시 러브 머나 로이 이다 루피노 지네트 맥도널드 안나 마냐니 마조리 메인 도러시 멀론 제인 맨스필드 매 마쉬 메리 마틴 버지니아 메이오 메이 매커보이 머세이디스 매케임브리지 해티 맥대니얼 도러시 맥과이어 니나 메이 매키니 버터플라이 맥퀸 우나 머켈 에설 머먼 앤 밀러 카르멩 미란다 마리아 몬테스 콜린 무어 애그니스 무어헤드 리타 모레노 메이 머리 밀드레드 네트윅 알라 나지모바 퍼트리샤 닐 폴라 네그리 안나 Q. 닐슨 메이블 노먼드 마가렛 오브라이언 모린 오하라 모린 오설리번 멀 오베론 제럴딘 페이지 릴리 팔머 엘리너 파커 게일 패트릭 자수 피츠 엘리너 파월 (배우) 제인 파웰 마리 프레보스트 에드나 퍼바이언스 루이제 라이너 베라 랠스턴 마사 레이 도나 리드 리 레믹 앤 리비어 데비 레이놀즈 셀마 리터 플로라 롭슨 제인 러셀 로절린드 러셀 앤 루더포드 마샤 스코트 진 시버그 노마 시어러 앤 쉐리던 디나 쇼어 실비아 시드니 진 시몬스 (배우) 시몬 시몽 알렉시스 스미스 게일 손더가드 앤 소던 글로리아 스튜어트 머거릿 설래번 글로리아 스완슨 콘스탄스 탈매지 노마 탈매지 제시카 탠디 진 티어니 앤 토드 셀마 토드 클레어 트레버 라나 터너 루페 벨레스 베라엘런 에델 워터스 에스터 윌리엄스 로이스 윌슨 마리 윌슨 마리 윈저 셸리 윈터스 제인 위더스 애나 메이 웡 내털리 우드 아이린 워스 페이 레이 테리사 라이트 제인 와이어트 제인 와이먼 클라라 킴벌 영 로레타 영 = = = 250명 남성 후보 = = = 애벗과 코스텔로 버드 애벗 루 코스텔로 돈 어미치 브론코 빌리 앤더슨 다나 앤드류스 로스코 아버클 조지 알리스 루이 암스트롱 에드워드 아놀드 진 오트리 루 에어스 킹 바고 존 배리모어 라이어널 배리모어 리처드 바델메스 프레디 바소로미우 워너 백스터 노아 비리 월리스 비어리 랠프 벨러미 존 벨루시 윌리엄 벤딕스 잭 베니 에드가 버겐 밀턴 베를 레이 볼거 워드 본드 샤를 부아예 에디 브랙큰 월터 브레넌 로이드 브리지스 조 E. 브라운 율 브리너 조지 번스 리처드 버턴 프란시스 X. 부시맨 에디 캔터 존 캐러딘 잭 칼슨 존 카사베티스 론 채니 론 채니 주니어 모리스 슈발리에 몽고메리 클리프트 리 J. 코브 찰스 코번 로널드 콜먼 잭키 쿠건 재키 쿠퍼 조지프 코튼 버스터 크래브 브로더릭 크로퍼드 흄 크로닌 빙 크로스비 로버트 커밍스 토니 커티스 댄 데일리 오시 데이비스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디바인 (배우) 리처드 딕스 로버트 도냇 브라이언 돈레비 멜빈 더글러스 지미 듀란트 버디 엡슨 넬슨 에디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니어 호세 페레르 W. C. 필즈 피터 핀치 배리 피츠제럴드 에롤 플린 글렌 포드 존 가필드 존 길구드 존 길버트 (배우) 재키 글리슨 팔리 그레인저 스튜어트 그레인저 앨릭 기니스 잭 헤일리 렉스 해리슨 윌리엄 S. 하트 하야카와 셋슈 스테링 하이든 밴 헤플린 폴 헌레이드 찰턴 헤스턴 밥 호프 에드워드 에버렛 홀튼 존 하우스먼 레슬리 하워드 록 허드슨 텁 헌터 존 휴스턴 월터 휴스턴 렉스 잉그럼 벌 아이브스 에밀 야닝스 벤 존슨 (배우) 밴 존슨 알 졸슨 루이 주르당 라울 훌리아 보리스 칼로프 대니 케이 하워드 킬 아서 케네디 앨런 래드 버트 라르 매리오 랜저 찰스 로턴 로럴과 하디 스탠 로럴 올리버 하디 피터 로퍼드 제리 루이스 해럴드 로이드 피터 로리 벨라 루고시 케이 루크 프레드 맥머리 고든 맥레이 칼 말덴 프레드릭 마치 딘 마틴 리 마빈 제임스 메이슨 레이먼드 매시 빅터 머추어 조엘 맥크리어 로디 맥도웰 빅터 매클래글렌 스티브 매퀸 (배우) 아돌프 멘주 버지스 메러디스 레이 밀랜드 살 미네오 토머스 미첼 (배우) 톰 믹스 리카르도 몬탈반 로버트 몽고메리 프랭크 모건 제로 모스텔 폴 무니 조지 머피 파야드 니콜라스 데이비드 니븐 라몬 노바로 잭 오키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팻 오브라이언 도널드 오코너 잭 팰런스 래리 팍스 조지 페퍼드 앤서니 퍼킨스 슬림 픽컨스 월터 피전 딕 파월 윌리엄 파월 타이론 파워 엘비스 프레슬리 로버트 프레스턴 빈센트 프라이스 앤서니 퀸 조지 래프트 클로드 레인스 배질 래스본 로널드 레이건 월리스 레이드 랠프 리처드슨 폴 로브슨 빌 로빈슨 로이 로저스 윌 로저스 길버트 롤랜드 시저 로메로 미키 루니 찰스 러글스 해롤드 러셀 로버트 라이언 조지 샌더스 랜돌프 스콧 피터 셀러스 로버트 쇼 (배우) 프랭크 시나트라 레드 스켈튼 딘 스톡웰 우디 스트로드 로버트 테일러 (배우) 스리 스투지스 모 하워드 프랜쇼 톤 벤 터핀 피터 유스티노프 루돌프 발렌티노 루디 발레 콘라트 파이트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 막스 폰 쉬도브 클리프톤 웹 조니 와이즈뮬러 리차드 위드마크 코넬 와일드 칠 윌스 기그 영 로버트 영 (배우) = 분류:펜실베이니아주에서 촬영한 영화 = = HIV 감염인 차별 = HIV/AIDS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차별 또는 시어로포비아(serophobia)는 HIV/AIDS로 고통받는 사람들(PLHIV; people living with HIV/AIDS)에 대한 편견, 두려움, 거부, 그리고 낙인찍기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LGBTQ+ 커뮤니티 구성원, 정맥 내 약물 사용자 및 성 노동자와 같은 소외된 위험 그룹은 HIV/AIDS 차별에 가장 취약하다. PLHIV에 대한 사회적 오명의 결과는 매우 심각하다. HIV/AIDS에 대한 차별은 전 세계의 HIV/AIDS 검진과 관리에 적극적으로 방해가 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부정적인 낙인은 의사들에게 고정관념의 형태로 자리잡아 LGBTQ+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에게 사용되기 시작한다. HIV/에이즈 차별은 위험 인구에 대한 헌혈 제한, 사전 동의 없이 강제적인 HIV 검사, 의료 환경 내의 기밀 유지 위반, HIV에 감염된 사람에 대한 표적 폭력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비록 많은 국가의 장애 법이 주거, 고용, 보건/사회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HIV/AIDS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전 세계의 HIV 양성 환자들은 여전히 오명과 학대의 사례를 경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만연하는 HIV/AIDS의 차별은 HIV 상담과 검사, 정체성 위기, 고립, 외로움, 낮은 자존감, 그리고 질병을 억제하는 데 대한 관심 부족으로 이어진다. 게다가 HIV에 감염된 사람들 또는 HIV에 감염된 것으로 인식되는 사람들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는 HIV의 진행에 대응하기 위한 치료의 발전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 = HIV와 관련된 사회 낙인 = = 낙인(stigma)는 종종 차별, 타인의 냉담한 태도나 편협한 시각에 의해 발생한다. HIV/AIDS 낙인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항목으로 나뉜다. 제도적 AIDS 낙인: 치명적인 감염성 질병과 관련된 두려움과 우려를 반영한다. 상징적 AIDS 낙인: 질병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이나 생활양식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기 위해 HIV/AIDS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명예 AIDS 낙인: HIV/AIDS 환자뿐만 아니라 그 환자와 관련된 주변 사람들에게도 낙인을 부여한다.[4] HIV/AIDS 환자는 낙인을 내면화한다. 내면화된 낙인은 HIV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나 고정관념을 자신에게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수치감이나 고립감을 경험할 수 있다. 내면화된 낙인은 HIV 진단이 폭로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키며, 그 후에 HIV 감염자라는 사실로 인해 받게 될 차별이나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킨다. HIV와 관련된 낙인과 그로 인한 차별은 HIV 환자의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HIV 환자에 대한 낙인은 만연해있다.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국가들 중 35%에서, UNAIDS 보고에 따르면, 50%의 사람들이 HIV 환자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가져도 된다고 생각했다. HIV 환자에 대한 낙인 평가 지표(PLHIV Stigma Index)는 낙인이 만연해 있는 정도 및 영향, HIV 환자에 대한 차별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 평가 지표는 2008년, GNP+, ICW, UNAIDS, IPPF에 의해 개발되었고, 100개가 넘는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각 국가의 평가지표는 2016년 이후로 이용할 수 있다. HIV 환자는 보건, 교육, 고용, 법률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차별을 경험한다. 차별은 서비스의 거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제한, 불충분한 서비스의 규모와 투자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내면화된 낙인과 함께, HIV/AIDS 낙인과 차별은 HIV 환자가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편하게 받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 = 미국인의 HIV에 대한 오해 = = 오늘날, 미국에서는 HIV에 관련하여 상당한 오해가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HIV 전파에 대한 잘못돤 생각이 많은 사회 구성원들의 두려움을 증폭시키고, 이는 HIV 환자에 대한 편협되고 차별적인 태도로 이어지고 있다. 카이저 패밀리 재단에 의해 진행된 2009년 연구는 미국인들이 아직까지도 HIV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3분의 1은 음료를 나누어 마시거나 HIV 환자가 사용한 변기를 만지는 것만으로도 HIV가 전파될 수 있다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42%의 미국인은 HIV 환자가 룸메이트인 것에 대해, 23%는 HIV 환자가 직장 동료인 것에 대해, 50%는 HIV 환자가 그들의 음식을 준비하는 것에 대해, 35%는 HIV 환자가 그들 자녀의 선생님인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낀다고 한 연구를 통해 보고했다. 심지어 HIV 전파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한 응답자들도 HIV 환자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이 응답자들 중 85%는 HIV 환자인 직장 동료와 일하는 것에 대해 언짢아 했다. = = = HIV 전파에 대한 오해 = = = 바이러스가 수여자의 혈액으로 들어갈 수 있는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는 정액, 혈액, 질 분비물과 같은 체액을 통해서만 HIV는 전파될 수 있다. 그러나, HIV는 침, 땀, 눈물, 소변을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는데, 이것들은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충분한 농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액, 혈액, 질 분비물이 체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주사, 비보호 성관계 또는 임신과 같은 상황이 있어야 한다. HIV 환자의 체액과 직접적인 접촉이 있어야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피부의 상처난 부위를 통해 혈액이 노출될 때 감염된다. HIV 환자가 성관계를 하거나, 체액을 나눌 때 항상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는 것은 아니다. 혈액에 존재하는 HIV 농도를 낮춰주는 약을 복용해서 바이러스 수치가 상당히 낮아지면 감염의 위험이 없어진다. 한편, 노출 전 예방 요법을 통해 HIV 환자를 치료하지 않고, HIV에 감염되지 않은 고위험군에 대해 예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HIV에 감염되지 않기 위해 예방 약은 일회적이 않고,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사람들은 AIDS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검사 받지 않고 놔두면 AIDS로 진행되는 HIV에 감염되는 것이다. 따라서, HIV에 감염되었다고 반드시, AIDS로 발전되는 것은 아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RT)과 같은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함으로써, 혈액의 HIV 수치를 감소시키고 AIDS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 = HIV 위험군에 대한 오해 = = = 많은 사람들은 성관계를 가지는 게이만 HIV에 감염될 수 있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다. 게이, 양성애자 남성이 HIV 감염 확률이 높긴 하지만, 성적 지향, 인종, 나이 등과 상관없이 HIV는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 어릴 적 트라우마, 강간, 성적 학대와 같은 폭력은 HIV 감염 위험이 높고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를 가지게 한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어린 소녀들과 여성들은 성 노동자가 되는데, 이로 인해 HIV 감염 위험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 없이 AIDS로 발전된다. 의료 분야 내에서 HIV 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아직까지 존재한다. 로스엔젤레스의 의료 전문가들에 의해 행해진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요양시설의 56%, 산부인과 의사의 47%, 성형외과 의사의 26%는 HIV 전파에 대한 우려로 인해 HIV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전반적으로, 사회적 낙인과 차별이 HIV 환자의 의료 종사자에 대한 불신을 더욱 악화시킨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들은 HIV에 대한 고정관념과 잘못된 생각을 깰 윤리적 책임이 있다. = = 대한민국에서의 차별 = = 국가인권위원회가 2017년에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답변자의 에이즈 감염인 93%는 '사회 전반적으로 차별이 많거나 있는 편"이라고 대답하였다. = = 위험군에 대한 헌혈 제한 = = 1970년~1980년도 사이, 오염이 있었던 수혈 중 20,000 건이 HIV 감염으로 인한 것이었다.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밀한 혈액 스크리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남성과 성관계를 한 남성(MSM), 유흥업소에 종사자, 정맥 약물 이용자 등은 HIV에 취약한 집단으로 여겨졌기에 헌혈을 인생동안 금지하는 법을 실행하였다. 당시에는 이러한 정책이 보건 전문가들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혈액 수급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긴급한 조치로 여겨졌다. World Health Organization과 같은 다자간(multilateral) 기관은 수혈 관련 HIV 감염을 몰아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생간의 헌혈 금지 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러한 금지법은 미국에서도 받아들여졌고, 1980년데에는 여러 유럽 국가들도 받아들였다. MSM과 성전환 여성에 대한 헌혈 금지는, 특히, 굉장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LGBTQ+ 커뮤니티 회원들은 이러한 법률들이 차별적이며 동성애 혐오라고 주작한다. 헌혈 제한에 대한 중요한 점은 보건당국이 LGBTQ+ 커뮤니티가 동일한 성행위를 하는 동질적인(homologous) 집단으로 본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른 인구집단과 마찬가지로 MSM은 성 파트너의 수와 그들이 성행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뉘어 있다. 결국, MSM과 성전환 여성들의 헌혈 금지는 LGBTQ+ 커뮤니티 내의 의료시스템에서 증가하는 불신을 악화시켰다. 이는 특히 LGBTQ 커뮤니티 간의 동성 혐오적인 이슈가 있었던 역사가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인해, LGBTQ+ 개개인은 그들의 성적 기호를 의료 제공자와 보건 기관에 숨겨야 하는 막대한 압박감을 지게 되었다. 혈액 은행은 오늘날 혈청을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100%에 달하는 발달된 혈액 검사를 이용한다. 현재로서, HIV에 감염된 핼액 감염의 위험은 800~1,200만 개 중 1개 정도로 현대 HIV 스크리닝 기법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중요한 실험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MSM에 대한 일생 간 헌혈 금지법은 여러 서부 국가들에 남아있다. 오늘날, American Red Cross와 World Health Organiation과 같은 의료 기관들은 특히 남성과 성관계를 하는 남성의 일생 동안의 헌혈 금지에 엄격하다. 이는 지난 40년간 HIV에 대한 역학이 급격하게 변화했기 대문이다. 2015년, HIV 감염의 27%만이 MSM 집단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역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중보건 전문가들, 의료인, 그리고 혈액은행 기관들은 시대착오적인 MSM 헌혈 금지 정책을 수정하라고 요구해오고 있다. 대중의 압박이 증가하자 미국과 영국과 같은 나라들은 그들의 MSM 헌혈 금지법을 수정했다. 2015년, 미국은 일생 동안의 금지에서 마지막 MSM 성적 접촉 이후 12 개월 집행 연기로 대체했는데, 무기한 일생동안 금지법은 유흥업소 종사자와 정맥 주사 이용자에 한에서는 남겼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한 작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 적십자는 식약처(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게 MSM에 대해 3 개월의 집행 연기로 해당 정책을 수정하도록 요구했다. 이는 3개월 집행 연기가 캐나다와 영국과 같은 나라들에서 현재 기준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결국, 미국내에서 MSM 헌혈 금지를 완전하게 푸는 것은 혈액 공급은 2~4%가량 증가시켰고 이는 수백만 명의 목숨을 살리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COVID-19 기간 동안 혈액 공급이 부족했던 점을 볼 때에 헌혈 제한은 최근 더욱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20년 4월 2일, 미국 식약처(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자 헌혈과 관련한 개정안을 내놓았다. 이러한 변화는 민주당 상원위원과 인권 캠페인(Human Rights Campaign) 혹은 GLAAD와 같은 LGBTQ+ 인권 협회의 압박으로 인해 일어난 것이다. 이들은 MSM뿐만 아니라 남성과 성관계를 한 남성과 성관계를 한 여성에 대해 12개월 집행 연기 기간을 줄이도록 했다. 이와 같은 개정안이 FDA에서 발표되었고 집행 연기 기간이 3개월로 줄었다. 하지만 당시 활동가들은 헌혈을 할 수 있는 지의 적합성을 부정확한 편견이 아닌 개인적인 상황을 바탕으로 판단하게 해달라는 요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20년 6월 8일, 미국 적십자는 FDA가 만든 변화들을 실행했고 성적 기호가 헌혈의 적합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며 그들의 신념의 변화를 재확인했다. 이러한 변화는 MSM과 성전환 여성에 대한 헌혈 금지법 철회에 대한 옹호자들 내의 촉매제가 되었다. 국내 LGBT 금지 협회(National LGBT Bar Association)는 “동성애 혈액 금지를 철폐하라”는 캠페인에 착수했고, FDA가 MSM과 성전환 여성을 개인화하여 개개인의 위험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현재의 정책으로 대체하도록 요구했다. 이러한 정책은 현재 이탈리아와 아르헨티나와 같은 나라들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정책은 잠재적인 기부자의 성적 기호가 아닌 개인별 위험 요소를 평가한다. 2020년 4월 16일, GLAAD는 500개가 넘는 감염성 질병과 HIV에 대한 전문가, 공중 보건 전문가, 의료인, 보건정책 집행자, 트레이너와 연구원들이 FDA에게 헌혈 금지 제거와 관련한 개정안을 재검토를 요구하는 공개항의서를 보낸 것을 발급했다. = = 보건 의료 시설에 대한 차별적 관행 = = 의료분야의 차별적 관행은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에 대해 대단한 영향을 미쳐왔다. 저소득과 고소득 국가들에서, HIV 환자들에게 질이 낮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치료를 거부하는 사례가 다수 있어왔다. 2013년 태국에서 실행된 연구에서, 건강 관련 종사자들의 40.9%는 HIV가 옷이나 개인 소지품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님을 알고 있음에도 HIV 환자들의 옷과 개인 소지품을 만지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보고했다. 90개국을 대상을 한 2008년도 연구에 따르면, HIV 보인자들 4명 중 한 명은 보건 의료 시설에서 차별을 당한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더 나아가 HIV 보인자 5명 중 한 명은 의료 서비스를 거부당한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더욱더 우려스러운 점은 HIV 관련 차별이 에이즈 양성 반응 여성에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HIV 보인자 여성의 3명 중 1명은 생식기 관련 건강(reproductive health)과 관련한 의료 기관에서 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보고했다. 보건의료 시설 내에서의 또 다른 형태의 차별은 환자의 명확한 허락 없이 환자의 HIV 상태에 대해 공개하는 것이다. 많은 국가들 내에서 HIV 양성으로 밝혀지면 사회적으로 도태되거나 사회적 보장을 잃거나 결혼을 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의료계 종사자의 잠재적인 기밀 유지 위반에 대한 우려는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들이 케어를 받기에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 31개국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에서, HIV 보인자 5명 중 1명은 그들의 동의 없이 그들의 HIV 양성 상태에 대해 공개한 사례가 있었다고 보고했다. 이와 같은 의료계 내의 차별 관행들로 인해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들이 HIV 치료를 받는 것이 지연되었다. 뉴욕시에서는, 남성과 성관계를 한 남성, 성전환 여성, HIV 보유한 유색인종 모두 의료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낙인이 그들로 하여금 HIV 치료센터에 가기까지의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보고했다. A 2011 community-based study found that the most widely reported barrier to care amongst HIV-positive individuals is fear of stigma within healthcare settings. HIV 관련 심각한 낙인을 경험한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들은 2.4배가량 HIV 케어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 미국 내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의 20-40 퍼센트가량이 진단 후 첫 6개월이 지나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HIV 낙인의 영구화는 에이즈 양성 반응 개체들에 대한 건강 결과에 치명적으로 작용해왔다. 이는 HIV가 진행됨에 따라 환자가 치료를 늦게 시작하면 진단을 받자마다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에 비해 사망률이 1.94배 정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HIV 치료 지연은 치명적인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 = HIV 보인자에 대한 폭력 = = 폭력적인 차별 혹은 위협적인 폭력은 HIV 검사를 받으려는 많은 사람들을 억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 폭력은 AIDS를 직면한 사람들이 치료를 받는 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PLHIV가 가까운 관계에서 발생 시, 특히 여성의 경우, 그들은 폭력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들이 HIV 상태에 대해 자신의 파트너에게 알릴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두려움은 그들이 의료계 전문가들과 가족들로부터 검사, 치료 등의 전반적인 도움을 받는 것을 막는다. 남아프리카에서 PLHIV에 대해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500명 중 16.1%가 신체적으로 학대당했고, 그중 57.7%가 그들의 남편 혹은 아내와 같은 가까운 파트너로부터 당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가능한(available) 수치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의 높은 비율이 자신들을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스스로를 격리시키는 것으로 보였고, 내재된 두려움으로 인해 병원이나 클리닉에서의 치료를 받는 것을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HIV 차별이 미치는 심리적 영향 = = HIV 환자는 자기 비하 사고 방식과 HIV 양성 진단에 대한 사회적 반응에 대처할 능력을 발달시킨다. HIV 환자의 공통된 우려는 AIDS로 발전해서 다른 사람들처럼 길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없다는 것이다. HIV에 대한 치료제는 없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RT)과 다른 약물이 바이러스가 악화되고 퍼지는 것을 막아주어 HIV 환자가 가족을 만들어 더 길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약물 치료로 인해 그들의 건강 상태로 인해 이른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는 우울한 마음 상태를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을 모든 HIV 환자가 인지하지는 못한다. 어떤 경우, ART는 HIV 환자의 걱정을 덜어주기는 하지만 환자의 정신적 건강을 악화하는 다른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른 처방약과 ART를 병용할 때, 정신적 건강이 악화될 수 있다. 낙인 찍기와 차별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들은 PLHIV에게 극심한 정신적 영향을 준다. 한 사람이 자신의 상태를 공개하면, 이건은 결혼과 심지어 고용에도 선택권에 제한을 주게 된다. 이것은 개개인의 정신건강을 악화시키고 자신의 상태에 대한 공개를 두려워하게 만들 수 있다. 남아프리카에서 실행된 연구는 HIV 양성 반응 개체가 경험한 고도의 낙인 경험은 극심한 정신적 영향력을 갖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아프리카 내 다수의 PLHIV는 자신의 현재 상황에 대해 스스로를 비난하기 때문에 스스로 내재된 낙인과 차별은 PLHIV 사회에서 만연하다. 특정 국가들 내 PLHIV에 대한 정신적인 지지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PLHIV에 낙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HIV로 인한 강도 높은 차별을 경험하는 것은 우울한 상태와 정신과 치료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우울증은 자살 생각, 불안과 질병 진행의 속도를 증가시켜왔다. 또 다른 최근 연구는 HIV 양성 반응 아프리카계 아메리칸 남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 낙인은 개개인의 삶의 질을 낮추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들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대도시가 아닌 지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경우 많은 양의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Beck Depression Inventory에 따르면 랜덤화된 임상시험에 등록된 참여자들의 60%는 중간의 혹은 극심한 정도의 우울증 징후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은 참가들이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HIV와 관련하여 낙인찍히고 가족들 내에서 거부당했기 때문이었다. 더 나아가, 대도시 내에서 거주하는 PLHIV에 비해 그렇지 않은 PLHIV의 경우에는 더 잘 외로움을 느끼며, 건강보호 시설과 사회적인 서비스가 부족되고, 더 많은 차별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은 정서적인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어진다. = = = 소외집단(Marginalized groups) (HIV)노출 전 예방 요법의 접근성 = = = 소외그룹은 또한 Pre-exposure prophylaxis(PrEP)와 같은 HIV/AIDS 예방 관리에 접근하는 데에 있어서 장벽을 마주하게 된다. 여러 연구들에 따르면, PrEP을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것과 성행위에 대해 의료 제공자와 의사소통하는 데에 대한 우려가 어린 연령층의 남성 성소수자들로 하여금 PrEP 사용을 피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였다. PrEP를 사용하는 데에 대한 다른 구조적 장애물은 그것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 부족, HIV를 둘러싼 낙인, 소수자 집단내의 의료시설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의료시설에 대한 불신은 수년에 거쳐 소외 집단에 대한 의료분야 내 차별 때문이다. Grindr라는 동성애 데이팅 앱에서 실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에 따르면 건강보험에 대한 빈약한 접근성과 PrEP에 대한 교육의 부족함이 만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용에 대한 부담, 정신 건강, 물질 사용에 대한 이슈, 호르몬 상호작용에 대한 우려, 부작용에 대한 불안, 알약 섭취의 어려움, 낙인, 홍보에서의 성전환 여성의 배제, 성전환 여성과 PrEP에 대한 연구 부족은 모두 성전환 여성의 PrEP 이용에 대한 장애물이다. 성전환 여성의 PrEP 사용에 대한 구조적인 장애물들은 고용, 교통, 그리고 주거 불안정성 및 노숙 등을 포함한다. 런던에서 흑인 MSM에 대해 진행한 연구에 의하면 동성애 남성을 위한 공간 내에서의 인종차별 사례들은 그들로 하여금 그러한 공간을 피하도록 하며 결국 동성애 집단의 채널을 통해 전파된 PrEP 인식을 흑인 MSM는 접하지 못하도록 하게 한다. = = = 감옥에 투옥된 집단 내에서의 HIV/AIDS 격차 = = = 2018년 말, 흑인의 투옥 비율이 히스패닉 계열의 두 배 정도였고 백인의 투옥비율의 5배를 넘었다. 더 나아가, 히스패닉 계열 남성 100,000명 당 1,018명의 재소자가 있고 백인의 경우 100,000명당 2,272명의 재소자가 있는 데에 비해, 흑인의 경우 100,000명의 흑인 남성 당 2,272명의 재소자가 있다. 감옥에 수감된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HIV에 걸릴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재소자들 중에서 HIV 감염자는 3%정도로 측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HIV 감염자는 0.7% 정도로 추정된다. 또한, 감옥에 있는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HIV 분포가 더 높다. 재소자들의 경우 전파될 위험이 더욱 높은데 이는 위험도가 높은 활동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안전하지 않고 청결하지 않은 타투, 주사바늘 공유, 그리고 피임을 하지 않은 성행위 등이 위험도가 높은 활동에 포함된다. 주사를 공유하는 것은 감옥 내에서 더욱 만연한데 이는 바늘을 공유하는 것이 때로 범죄사범이 되기 때문에 청결한 바늘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전세계에서 오직 30%의 국가들이 재소자들에게 콘돔을 제공하지만 콘돔을 제고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보호와 접근성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개개인들은 ART와 같은 중대한 HIV 자원에 접근하는 데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ART가 제공되더라도, HIV를 보유한 사람들은 전문화된 케어와 구체적인 ART 섭식법을 받을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 = = HIV/AIDS와 그 외의 다른 공중 보건 위험요소 = = = PLHIV에 대한 차별과 낙인으로 인한 불평등은 다른 공중 보건 위험 요소의 민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PLHIV를 향한 거주, 의료, 그리고 취업 분야에서의 차별은 COVID-19 상황 속 소외 집단에 대한 공중 보건에 대한 위협 요소로 작용해왔다. HIV 보인자에 대한 COVID-19의 영향은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 연령대가 높거나 심각한 기저 질환이 있는 개체의 경우 COVID-19로 인해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연구된다. 이러한 경향은 동반질환이 있는 HIV 보인자, CD4 세포 수가 적은 사람, 혹은 현재 HIV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CURE(Coronavirus Under Research Exclusion) HIV-COVID 데이터베이스는 HIV 보인자들의 COVID-19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COVID-19 백신 접종 우선순위 집단은 질병관리예방센터(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의해 정해지지만 각각의 주는 그들만의 배분 계획을 결정했다. HIV 보인자에 대한 명확한 우선순위 혹은 HIV/AIDS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요 집단들에 대한 우선순위는 현재까지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 지-투 컴부카 = 지-투 컴부카(Ji-Tu Cumbuka, 1940년 3월 4일 ~ 2017년 7월 4일)는 미국의 배우,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몽고메리에서 태어났으며 애틀랜타에서 사망하였다. = = 방송 = = 스파이 작전 뿌리 = = 영화 = = 미드나잇 에디션 (1993년) 포춘 (1987년) 런어웨이 (1986년) 유쾌한 감방 (1985년) 정글의 플레이보이 (1985년) 백만장자 브루스터 (1985년) - 멜빈 역 A 특공대 - TV시리즈 (1983년) 낫츠 랜딩 (1979년) 스파이 작전 (1979년) 최후의 9일 (1978년) 뿌리 (1977년) 폭소 대소동 (1977년) 안젤라 (1977년) 바운드 포 글로리 (1976년) 만딩고 (1975년) 로스트 인 더 스타스 (1974년) 모리 (1973년) 코작 (1973년) 뜨거운 우정 (1971년) 체인지 오브 해빗 (1969년) 아이언 사이드 (1967년) = 종교가 한국 미술에 미친 영향 = 한국 미술은 항상 불교, 샤머니즘, 도교, 이후 기독교와 같은 동시대 미술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이러한 영향은 산수화, 조각 등과 같은 일부 주요 한국 예술 형식을 분석할 때 매우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국 문화와 예술은 항상 사람들의 행동과 사고 과정을 형성하는 풍부한 종교적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다. 한국 역사 초기에는 종교적, 정치적 기능이 동일했으나 점차 분리되었다. = = 한국 미술에서 산수화의 중요성 = = 산수화는 점차 한국 예술과 문화의 가장 두드러지고 필수적인 측면 중 하나가 되었다. 인간의 활동보다 자연에 우월한 가치를 부여하는 유교, 성리학 철학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믿음에 따르면 자연이나 산수화는 인간의 영역을 넘어서는 지성과 겸손의 배양으로 작용한다. 한국의 고려 시대(918-1392)에 산수화는 중요한 예술 형식으로 등장했다. 고려와 중국 송나라(960~1279)의 문화교류의 결과, 고요한 자연을 배경으로 거대한 산수화를 그린 산수화는 점차 한국에서 인기를 끌게 되었다. = = 불교가 한국 미술에 미친 영향 = = 불교는 7세기부터 14세기까지 한국 엘리트층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한국의 국교로 남아 있었다. 삼국 시대 (중국) 4세기(기원전 57년~서기 668년)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전해졌다. 5세기 또는 6세기의 초기 불상과 기타 신상은 길쭉한 얼굴, 강한 얼굴 특징, 옷의 주름, 뻣뻣한 중앙 자세, 연꽃을 주요 장식으로 사용하는 등 중국 문체적 특징의 영향을 분명히 반영한다. 이 예복은 한국 미술에 불교 상징이 전반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불교, 도교, 무속, 유교 모티프가 공존하는 것을 반영한다. 7~8세기에 한국 불상은 양식적으로나 개념적으로나 변화를 겪었다. 나중에 존 카터 코벨(Jon Carter Covell)이 지적했듯이, "관음"으로 널리 알려진 13세기와 14세기 한국 미술의 보살상은 동양과 서양, 즉 기독교와 불교의 조화로 볼 수 있으며, 그녀의 작품에 반영되어 있다. 꽃병에 버드나무 가지를 치유하고 있고, 반대편에는 무릎을 굽힌 아이가 있다. 이는 한국미술에 있어서 종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불교 예술은 당시 지배계급의 종교적 강렬함과 정치적 동기를 모두 대표했다. = 분류:청두 룽청 = = 틀:UEFA 여자 유로 2001 프랑스 선수 명단 = = 월터 C. 모니간 주니어 = 월터 C. 모니간 주니(Walter C. Monegan Jr.. 1930년 12월 25일 ~ 1950년 9월 20일)는 미국의 군인이다. = = 생애 = = = = = 한국 전쟁 = = = 제1해병사단 소속으로 인천 상륙 작전이후 북한군 탱크 3대를 격파하였으나 소사리(현 역곡동)와 개봉리(현 개봉동)의 경계인 덕고개(현 오류 IC)에서 북한군의 공격을 받고 1950년 9월 22일 전사하였다.바주카포로 北전차 3대 박살…부평 전투 영웅 美 20살 청년 = = 상훈 = = 명예훈장: 금성 화랑무공훈장: 1954년 4월 12일 서울시 외국인 명예시민: 1965년 9월 27일, 서울특별시로부터 서울시 외국인 명예시민으로 선정되었다.탕크擊破王(격파왕) 모니간1兵(병) 서울市(시)서「名譽市民牌(명예시민패)」수여 = = 참고 자료 =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Military Hall of Honour = 윌리엄 포사이스 = 윌리엄 포사이스(William Forsythe, William Forsyth)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다. 윌리엄 포사이스 (배우) 윌리엄 포사이스 (무용가) = 블라이스 (인형) = 블라이스(Blythe)는 약 28센티미터(11인치) 키의 패션돌이다. 커다란 머리와 눈을 가지고 있으며 줄을 잡아당길 때마다 이것들의 색이 바뀐다. 1972년 개발되었으며 처음에는 미국에서 장난감 기업 케너에 의해 1년 동안만 판매되었다.(나중에 해즈브로에 인수됨) 2001년, 일본의 장난감 기업 타카라가 새로운 블라이스 인형 에디션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재판매를 위해 이 인형을 커스터마이즈하는 호비스트들의 망이 존재한다. = 분류:나라별 법과학자 = = 분류:조선의 조각 = = 퍼스트 패밀리 = 퍼스트 패밀리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대통령 가족 《》(, 1980) - 미국의 코미디 영화. = 제1차 사토 내각 (제3차 개조) =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의 개조내각이다. = = 개요 = = 1966년 후반부터 다나카 쇼지 의원의 불미스런 사건(국제흥업 회장 협박 사건)을 시작으로 교와제당 부정융자사건까지 확대된 정치권의 검은 안개 사건이 일어나던 와중에 12월 1일 자유민주당은 히비야 공회당에서 제8회 임시당대회를 열어 자유민주당 총재 투표를 실시했다.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총재(수상)는 289표를 얻어 재선에 성공했지만 대립 후보들로부터 받은 비판표가 170표내역을 보면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89표, 마에오 시게사부로 47표, 나다오 히로키치 11표, 노다 우이치 9표, 고사카 젠타로 2표, 기시 노부스케 1표, 마쓰무라 겐조 1표, 무라카미 이사무 1표, 무효표는 9표이다.를 넘는 결과를 낳았다. 자유민주당 총재 결과를 받아들인 사토 에이사쿠는 당3역을 쇄신하는 작업을 단행하여 이틀 후인 12월 3일에 내각 개조를 했다. 그러나 사토 정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감이 확산되고 있음을 느낀 사토는 새해를 얼마 앞둔 12월 27일에 제54회 통상 국회를 소집해 그날 중의원 해산(검은 안개 해산)을 단행해 제3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게 됐다. = = 각료 = = 내각총리대신 - 사토 에이사쿠(사토파) 법무대신 - 다나카 이사지(이시이파) 외무대신 - 미키 다케오(미키파) 대장대신 - 미즈타 미키오(무라카미파) 문부대신 - 겐노키 도시히로(참의원 의원) 후생대신 - 보 히데오(후쿠다파) 농림대신 - 구라이시 다다오(후쿠다파) 통상산업대신 - 간노 와타로(미키파) 운수대신 - 오하시 다케오(마에노파) 우정대신 - 고바야시 다케지(참의원 의원) 노동대신 - 하야카와 다카시(미키파) 건설대신, 긴키권 정비 장관, 중부권 개발 정비 장관, 수도권 정비위원회 위원장 - 니시무라 에이이치(사토파)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후지에다 센스케(가와시마파) 내각관방장관 - 후쿠나가 겐지(마에오파) 총리부 총무장관 - 쓰카하라 도시오(사토파) 행정관리청 장관 - 마쓰다이라 이사오(참의원 의원)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과학기술청 장관 - 니카이도 스스무(사토파) 방위청 장관 - 마스다 가네시치(사토파) 경제기획청 장관 - 미야자와 기이치(마에오파) 내각법제국 장관 - 다카쓰지 마사미 내각관방부장관(정무) - 기무라 도시오 내각관방부장관(사무) - 이시오카 미노루 총리부 총무부장관(정무) - 우에무라 센이치로 총리부 총무부장관(사무) - 호리 히데오 = = 정무 차관 = = 모두 전임 내각으로부터 유임됐다. 법무 정무 차관 - 이하라 기시타카 외무 정무 차관 - 다나카 에이이치 대장 정무 차관 - 오자와 다쓰오, 마루모 시게사다 문부 정무 차관 - 다니카와 가즈오 후생 정무 차관 - 마쓰야마 지에코 농림 정무 차관 - 구사노 이치로베이, 누쿠미 사부로 통상 산업 정무 차관 - 우노 소스케, 가네마루 도미오 운수 정무 차관 - 가네마루 신 우정 정무 차관 - 다자와 기치로 노동 정무 차관 - 가이후 도시키 건설 정무 차관 - 시부야 나오조 자치 정무 차관 - 이토 다카하루 행정 관리 정무 차관 - 우라노 사치오 홋카이도 개발 정무 차관 - 기지마 요시오 방위 정무 차관 - 하세가와 진 경제 기획 정무 차관 - 가네코 잇페이 과학 기술 정무 차관 - 시세키 이헤이 = = 자유민주당 = = 내각 개조에 의한 자유민주당 임원 개선을 단행했다. 다나카 가쿠에이 간사장은 정치권에 불거진 검은 안개 사건에 대한 집행부의 책임을 명확화 하기 위해 후쿠다 다케오와 교체했다. 하지만 후쿠다 간사장 기용의 본질적인 이유는 ‘사토의 후계자는 후쿠다’라는 사토와 그의 친형인 기시 노부스케의 뜻이기도 했다. 다나카는 자민당 도시정책조사회장이라는 직책을 맡았지만 이전에 도시 정책, 국토 정책을 연구하여 훗날 일본 열도 개조론에 결실을 맺게 됐다. 또한 가와시마 쇼지로 부총재도 검은 안개 사건의 책임을 지기 위해 사직을 신청하여 사임했다. 간사장 - 후쿠다 다케오(후쿠다파) 총무회장 - 시이나 에쓰사부로(가와시마파) 정무조사회장 - 니시무라 나오미(사토파) = 선형 예측 부호화 = 선형 예측 부호화(Linear predictive coding, LPC)은 선형 예측 모델의 정보를 사용하여 음성의 디지털 신호의 스펙트럼 포락선을 압축된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 처리 및 음성 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LPC는 음성 부호화 및 음성 합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는 강력한 음성 분석 기술이며 낮은 비트 전송률에서 좋은 품질의 음성을 인코딩하는 데 유용한 방식이다. = = 개요 = = LPC는 음성 신호가 튜브 끝에 있는 부저(유성음의 경우)에 의해 생성되고 때때로 쉭쉭거리는 소리와 터지는 소리(치찰음 및 파열음과 같은 무성음의 경우)가 추가된다는 가정에서 시작된다. 비록 조잡해 보이지만 이 소스-필터 모델은 실제로 음성 생성의 현실에 매우 가까운 근사치이다. 성대(성대 사이의 공간)는 윙윙거리는 소리를 생성하며, 윙윙거리는 소리의 강도(크기)와 빈도(음조)가 특징이다. 성도(목과 입)는 공명을 특징으로 하는 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명은 생성된 사운드의 포먼트 또는 강화된 주파수 대역을 발생시킨다. 쉭쉭 소리와 펑 소리는 치찰음과 파열음이 나는 동안 혀, 입술, 목의 작용으로 생성된다. LPC는 포먼트(formant)를 추정하고, 음성 신호에서 해당 효과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버즈의 강도와 빈도를 추정하여 음성 신호를 분석한다. 포먼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역필터링(Inverse Filtering)이라 하고, 필터링된 모델링 신호를 빼고 남은 신호를 레지듀(Residue)라고 한다. 윙윙거리는 소리의 강도와 빈도, 포먼트, 잔여 신호를 나타내는 숫자는 다른 곳에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LPC는 프로세스를 반대로 하여 음성 신호를 합성한다. 즉, 버즈 매개변수와 잔여분을 사용하여 소스 신호를 생성하고, 포먼트를 사용하여 필터(튜브를 나타냄)를 생성하고, 필터를 통해 소스를 실행하여 음성을 생성한다. 음성 신호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프로세스는 프레임이라고 하는 음성 신호의 짧은 부분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초당 30~50프레임은 압축률이 좋은 명료한 음성을 제공한다. =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 =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는 미국 프로그레시브 메탈밴드 드림 시어터의 첫 번째 비디오 앨범이다. 대부분은 1993년 8월 26일 일본 도쿄 나가노 선 플라자에서 열린 공연을 담고 있다. 그 외에 'Pull Me Under', 'Take The Time', Another Day'의 뮤직비디오와 인터뷰, 메이킹필름 영상 등이 담겨있다. = = 곡 목록 = = "Intro" "Under A Glass Moon" "The Making of Images and Words" "Pull Me Under" (뮤직비디오) "Take The Time" (뮤직비디오) "Kimonos & Condoms" "Wait For Sleep" "Surrounded" "Ytse Jam/Drum Solo" "Another Day" (뮤직비디오) "To Live Forever" "A Fortune In Lies" "Abbey Road" "Puppies on Acid/Take the Time" "On the Road '93" "Pull Me Under" = = 기타 = = 2004년, Live in Tokyo 앨범이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 / 5 Years In A LIVEtime 합본 앨범의 Disc 1에 포함되어 DVD로 재발매되었다. 멤버들의 맨트가 추가되었다. 마이크 포트노이의 드럼 솔로 중간 부분에는 판테라의 'By Demons Be Drive'이 포함되어 있다. = 반콕군 = 반콕군은 우따라딧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8년 기준으로 14395명이다. 인구 밀도는 13.5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Muang Chet Ton ม่วงเจ็ดต้น 7 3,623 2. Ban Khok บ้านโคก 7 3,960 3. Na Khum นาขุม 7 3,330 4. Bo Bia บ่อเบี้ย 7 3,482 = 우돈타니 FC = 우돈타니 FC ( 태국어 : สโมสรฟุตบอл จัง หวัดอุดรธานี)은 태국의 우돈타니주를 연고지로 하는 태국의 프로 축구단이다. 1999년에 창단된 우돈타니 FC는 현재 태국 3부리그인 태국 리그 3에 소속되어 있다. = 완전 미분 방정식 = 완전 미분 방정식은 물리학이나 공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상미분 방정식의 한 형태이다. = = 정의 = = u(x,y)가 연속인 편도함수(continuous partial derivative)를 가질 때 u의 미분(differential)은 이다. u\left( x,y \right)=const.일 때, du=0이므로,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위의 식이 완전미분방정식(exact differential equation)이 된다. = SLV = SLV는 다음을 가리킨다. 엘살바도르(El Salvador) 슬로베니아어(Slovenian language)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State Library of Victoria) 소형 리프트 발사체(Small-lift launch vehicle) = 가리와노역 = 가리와노역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오우 본선 (하행) 아키타 방면 1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방면 통과 선) 2 ■ 오우 본선 (상행) 오마가리 · 요코테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695 2001 619 2002 615 2003 614 2004 587 2005 555 2006 547 2007 535 2008 525 2009 525 2010 536 2011 525 2012 494 2013 490 = = 역 주변 = = 다이센 시립 니시센보쿠 도서관 다이센 시청 니시센보쿠 종합지소 국도 제13호선 = 리쓰린코엔역 = 리쓰린코엔역은 일본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 위치한 다카마쓰코토히라 전기철도 고토히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역 구내에 IruCa 취급 및 발권 창구가 역 구내에 있다. = = 타는 곳 = = 1 ■ 고토히라 선 상행 가와라마치 · 다카마쓰칫코 방면 2 ■ 고토히라 선 하행 붓쇼잔 · 다키노미야 · 고토덴코토히라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11 2,753 2012 2,791 2013 2,803 2014 2,740 2015 2,885 = = 역 주변 = = 가가와 현도 160호 다카마쓰코리쓰린코엔 선 가가와 현도 163호 리쓰린테이샤죠이마자토 선 가가와 현도 280호 다카마쓰카가와 선 다카마쓰코토히라 전기 철도 본사 = 분류:코통 스포르 FC 드 가루아 =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문관철의 음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대한민국의 가수 문관철의 첫 번째 정규 음반이다. = 오가사와라 다다토모 = 오가사와라 다다토모(小笠原忠知)는 오가사와라 가 다다토모 계 초대 당주이다. 분고 기쓰키번주, 미카와 요시다 번 초대 번주를 지냈다. 1599년 시나노 마쓰모토 번주 오가사와라 히데마사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남구의회 = 다음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부산 남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남구의회는 지역구의원 13명과 비례대표의원 2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남구 가선거구 대연1동, 대연4동 2 남구 나선거구 대연3동, 대연5동, 대연6동 2 남구 다선거구 용호1동 2 남구 라선거구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2 남구 마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3 남구 바선거구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새누리당 79,322 1 2 새정치민주연합 53,948 1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새누리당 1 윤명희 새정치민주연합 1 김성경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새누리당 7 1 8 새정치민주연합 6 1 7 = 리안 브루스터 = 리안 조엘 브루스터 (Rhian Joel Brewster, 2000년 4월 1일, ~ )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로 [EFL챔피언십]]의 셰필드 유나이티드에서 스트라이커로 뛰고 있다. = 노드 (컴퓨터 과학) = 노드(node)는 컴퓨터 과학에 쓰이는 기초적인 단위이다. 노드는 대형 네트워크에서는 장치나 데이터 지점(data point)을 의미한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프린터와 같은 정보처리 장치들이 노드이다. 인터넷에서 노드를 정의할 때 노드는 IP 주소를 보유한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노드는 더 커다란 자료 구조의 일부분 하나 하나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연결 리스트라든지 트리 자료 구조를 들 수 있다. 노드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다른 노드와 연결될 수도 있다. 노드 간 링크는 포인터에 의해 구현되기도 한다. = = 노드와 트리 = = 노드는 트리 구조로 정렬되기도 한다. 노드는 하나의 자료 구조에 포함된 정보를 표현한다. 이 노드들은 값이나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독립된 자료 구조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에 의해 표현된다. 트리 구조의 가장 높은 지점은 루트 노드(root node)로 부르며 이 노드에는 부모 노드가 없으나 해당 트리 아래에 속한 모든 노드의 부모노드나 조부모 노드의 역할을 맡는다. 노드의 높이는 해당 노드에서 가장 거리가 먼 리프 노드(leaf node)까지의 경로 상의 간선의 전체 수에 의해 결정되며 트리의 높이는 루트 노드의 높이와 동등하다. 노드의 깊이(depth)는 특정 노드와 루트 노드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루트 노드는 0의 깊이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는 이러한 네트워크 경로를 따라 탐지할 수 있다. 모든 IP 주소는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의 노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위치를 정의한다. = 욤욤 공주와 도둑 = 욤욤 공주와 도둑(The Thief And The Cobbler)은 리처드 윌리엄스 감독의 미국의 애니메이션, 액션, 모험, 코미디, 가족, 판타지, 뮤지컬 영화이다. 빈센트 프라이스 등이 성우로 출연하였고 자코버스 로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1960년대에 착안되었으나 이 영화는 미완성 영화로 남아있다. 1964년부터 1993년까지 제작되어 총 29년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이전의 Tiefland라는 작품(1954)을 넘어서면서 20년 기네스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cited by Trimborn . = = 출연 = = = = = 주연 = = = 빈센트 프라이스 매튜 브로데릭 제니퍼 빌즈 에릭 보고시안 토니 콜렛 조나단 윈터스 클리브 레빌 = 분류:후백제의 왕자 = = 분류:1766년 폐지 = = 분류:크라마토르스크 = = 분류:알안사르 클럽의 축구 선수 = = 정종현 (프로게이머) = 정종현(鄭鐘賢, 1991년 2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MVP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테란이다. = = 역사 = = = = = 스타크래프트 : 브루드 워 = = = 초등학교 때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접한 그는 아버지의 권유로 프로게이머가 된다. 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데뷔 이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않았으나, 2010년에 들어서서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과 스타리그 예선을 동시에 통과하는 등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고, 스타리그에서는 김구현에게 1:2로 아쉽게 졌지만,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CJ 엔투스의 에이스 김정우와 STX 소울의 신예 테란 이신형(현 SK텔레콤 T1)을 꺾고 생애 첫 MSL 32강에 진출하였다. 하나대투증권 MSL 32강에서 육룡의 일원인 송병구와 도재욱을 압도적인 물량으로 완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16강에 진출하고, 16강에서는 당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던 전태양(현 KT 롤스터)을 2:0으로 완벽하게 제압하며, 2004년 나도현 이후 약 6년 만에 웅진 스타즈 소속의 테란이 개인리그 8강에 진출하고 차기 MSL 시드를 받는 파란을 보여 주었다. = = = = 테란전 배틀크루저 운용 = = = = 정종현은 하나대투증권 MSL 16강 1경기, 그리고 8강 1경기에서 테란의 고급유닛인 배틀크루저를 활용하여 경기양상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 16강 1경기에서 전태양을 상대로 멀티싸움과 지상군 병력에서 급격한 차이를 보이며 패배의 위기까지 갔으나, 배틀크루저를 모으면서 멀티를 사수하는 등 1시간이 넘는 장기전을 끝으로 하여 승리를 거두어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리고 8강 이영호와의 경기에서도 12시 센터부터 7시 멀티까지 영역을 펼치며 압박하면서 자원과 유닛면에서 승기를 장악한 이영호를 상대로, 배틀크루저를 통한 방어와 소수의 지상군을 활용한 압박을 통해 역전승을 하여 장기전에서의 강력함을 보여주었다. = = = = 별명 = = = = 배틀마스터 = 배틀크루저를 잘 운용한다는 뜻에서 이 별명이 붙여졌다. 패배의 위기에 빠진 정종현에게 역전의 기회를 준 배틀크루저였기에 본인도 이 별명을 좋아한다고 한다. 웅진테란의 희망 = 웅진 팀의 테란 중 에이스이기 때문에 이 별명이 붙여졌다. 스타크래프트 은퇴 이후 거의 쓰이지 않는 별명이다. = = 스타크래프트 II 전향 이후 = = 2010년 9월 스타크래프트 1에서 이렇다할 활약을 못한 정종현은 한동안 침체기에 빠졌으나, 아버지가 다시 스타크래프트 2로 새롭게 시작해 보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했고, 결국 정종현은 새롭게 스타크래프트 2 전향을 위해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하고, IM 팀에 입단하였다. 전향 2주 후 정종현은 놀라운 성적으로 베틀넷에서의 래더 랭킹 1위를 차지하고, 마스터 리그가 생기기 전 한국 서버 최초 래더 3000점을 돌파하였다. 전향 3개월 후, GSL 결승에서 신예 테란 이정훈과의 대결에서 4:0으로 승리하고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이후 월드 챔피언쉽, GSL AUG, GSL OCT 등에서 맹활약하며, 현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중 가장 화려한 커리어와 압도적인 상금 액수를 자랑하고 있다. 우승 후 정종현은 이 상금으로 아버지께 집을 사드렸다고 한다. 정종현에게 아버지는 뗄래야 뗄 수없는 평생의 은인이기 때문이다. 2011년 12월 11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WCG 2011에서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최초 우승자가 되었다. 2012년 5월 19일 2012 HOT6 GSL 시즌2 Code S 결승전에서 박현우를 4:3으로 꺾고 역대 개인리그 사상 최초로 한 리그에서 4회 우승을 차지하며 GSL 최초의 4회 우승자가 되었다. 2012년 12월 2번째로 Code S 10연속 진출에 성공하여 임재덕상을 받게 된다. 2014년 7월 IM과 결별,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 2014년 8월 WCS 유럽 챌린지 탈락 이후 더 이상의 공식전 기록은 없다. 2014년 11월 "채정원의 알긋냐" 19회에 임재덕과 동반 출연, 한국 복귀 및 향후 리그 출전 계획은 딱히 없다고 언급하였으며 2015년 2월 2015년 WCS 전 지역 예선에도 불참했다. = = 우승 = = 정종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중에서 가장 많은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무려 5번 우승을 했으며, 아쉽게 준우승도 2번을 했다. 그래도 정종현은 우승을 많이 한 선수로 많이 인식되며, 사람들로부터는 임요환의 별명과 합쳐 임종현이라는 별명을 받았다. = = = =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들과의 전적 = = = = 장민철 = 공식전과 비공식전을 합쳐 두 선수의 전적은 4:4로 동점이며, 공식전에서는 정종현이 거의 압도적인 우세를 보여주며 승리하였다. 정종현과 장민철은 서로 치열한 경기를 많이 보여주면서 임재덕과의 대결 못지 않은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박성준 = 정종현이 임요환의 뒤를 이어 테란의 황좌를 독점할 것 같던 그 시절, 코드A를 뚫고 돌아온 투신은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완벽히 뒤집어버리며 GSL 시즌 2 32강에서 정종현을 맞아 2번이나 승리하였다. 이후 박성준은 결승전에 올라 준우승을 하게 된다. 이후에 월드챔피언쉽 8강에서 만나 이번엔 정종현이 승리함으로써, 상대 전적은 6:4로 정종현이 앞서있다. 임요환 = GSL 공식전에서 맞붙은 적은 없으며, 미국 대회인 MLG 애너하임 대회에서 만났다. 기존의 대천황인 임요환과 새로운 대천황의 자리에 오르려는 정종현의 대결은 사람들의 기대를 상승시켰다. 정종현 본인은 롤 모델이 임요환이라고 말할 정도로 임요환을 가장 존경한다고 한다. 상대 전적은 2:0으로 정종현이 우위. 윤영서 = WCG 2011 16강 단판제에서 정종현이 승리하였으나, 이후의 2012 GSL 시즌2 16강 에서는 1:2로 패배, 2012 GSL 시즌3 32강에서는 0:2 로 패하여, 상대 전적은 2:4로 정종현이 열세에 있다. 임재덕 = 같은 팀이면서 최강의 저그이자 항상 라이벌 관계였던 임재덕이지만 후배인 정종현에게는 유독 약한 모습을 많이 보였다. GSL 시즌1에서는 첫 세트를 임재덕이 따냈음에도 운영에서 연거푸 3번 패배해 정종현이 역전하였고, 시즌 5에서는 밀고 당기는 싸움 후 벙커링 조이기로 허무하게 패배한 적이 있다. 이후 GSL OCT.에서는 밀고 당기는 접전 끝에 3:2로 정종현이 승리. 하지만, 2012 GSL 시즌 1 승자전에서 처음으로 다전제에서 패배한다. 그래도 상대 전적은 공식전으로는 9:5, 비공식전 포함16:7로 정종현의 상당한 우세를 보인다. 사람들은 정종현과 임재덕의 경기를 가장 좋아한다고 하며, 과거 임진록 못지않은 훌륭한 경기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이정훈 = 테란 대 테란에서 이정훈의 패배를 가장 많이 만든 사람이 정종현이다. 이정훈 역시 리그에서 승승장구했지만 유독 정종현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며 결승에서 패배하는 일이 많았다. 상대 전적은 공식전으로는 9:2, 비공식전 포함 20:4로 정종현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정종현이 잠시 부진하던 시기에도 이정훈을 상대로는 거의 다 승리하였다. 최지성 = 현존 스타크래프트 II의 최강의 테란 1, 2위를 달리는 두 선수의 대결은 시작하기 전부터 많은 화젯거리였다. 특히 코드A 결승전에서는 코드A 답지 않은 수준 높은 테테전으로 명경기를 만들어 냈다. 최지성 데뷔 당시,정종현은 최지성에게 상당히 취약한 모습을 보였으나 현재는 비등비등하거나 혹은 정종현이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상대 전적은 4:6으로 정종현이 약간 열세에 놓여 있다. 문성원 = 이 둘의 첫 만남은 GSTL Mar. 결승전 9세트에서 맞붙었는데 많은 이들이 정종현의 승리를 예상하고 있을 때 문성원이 승리하였다. 이후 GSL Oct. 결승전에서 다시 만나 문성원의 완벽한 판짜기에 말려 1:4로 패배했다. 또한 2011 블리자드컵 4강전 2경기에서 예상을 빗나가는 3:0 완패를 당하면서 문성원은 정종현의 천적이 되었다. 상대 전적은 1:8로 정종현이 상당한 열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2년 GSL Season4 Code S 32강에서 만나 2경기와 최종전에서 모두 문성원을 제압하면서 5:9로 이전보다는 전적을 좁혀냈다. 이동녕 = MLG 프로비던스에서 처음 만난 두 선수의 대결에서 이동녕이 2:0으로 완파하는 파란을 보여줘 그 기세로 이동녕이 우승한 바 있다. 며칠 후 GSL Nov. 4강에서 또 다시 맞붙었는데 굉장한 접전 끝에 이동녕이 3:2로 승리하며 생애 첫 결승에 진출했다. 상대 전적은 4:6로 정종현이 열세에 놓였다. (비공식 포함 4:8) 박현우 = 이 두 선수의 첫 만남은 2011년 2월 10일 2011 GSTL Feb 결승전 8세트에서 맞붙었는데 이 당시 GSL에서 별다른 활약이 없었던 박현우에 비해 우승자 타이틀을 가지고 있던 정종현이 이길 것이라는 평이 많았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마더쉽까지 나오는 경기 끝에 박현우가 승리하여 단숨에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그 이후 2012년 5월 19일 2012 HOT6 GSL 시즌2 Code S 결승전에서 두 선수가 만나게 됐는데, 결승 전의 분위기는, 박현우가 우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베인링 3화를 보더라도, 박대만 해설을 제외한 나머지 해설들은 모두 박현우의 우승을 예상했을 정도이다. (이때의 박상현 캐스터는 아무도 정종현을 고르지 않아서 정종현의 우승을 점쳤다). 정종현이 3:0으로 앞서가면서 4:0으로 끝날거라고 생각했던 예상을 깨고 3:3까지 스코어를 만들게 된다 특히 5세트 대도시에서 배틀크루저과 마더쉽의 대접전 끝에 박현우가 승리하게 되면서 명경기를 만들게 된다. 7세트에서 정종현이 2배럭 치즈러쉬를 시도했으나 박현우가 침착하게 잘 막아내면서 박현우의 우승이 점쳐졌던 순간 전진해 있던 배럭을 공격하러 나갔던 스토커를 귀신같은 판단력으로 숨겨놓았던 마린 4기로 스토커를 잡아버리고, 본진에 있던 SCV가 합류되자 벙커링을 다시 시도하여, MULE 1기로 미네랄을 채취하면서 상대 본진에 벙커를 완성시키면서 기적같은 역전승을 하며 명승부 끝에 정종현이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상대전적은 4:4로 동률이다. 원이삭 = GSL 시즌2 4강에서 처음 만난뒤로 GSL에서만 보면 3:3 동률이지만 국내리그 모두 포함하면 3:4로 약간 열세에 놓여있다.(경기 기준으로는 1:2,세트기준으로는 3:4) 이승현 = GSL 시즌 4 결승에서 맞붙어서 7전까지 갔으나 아쉽게 지면서 3:4로 약간 열세에 있다. = = = = 별명 = = = = 정종왕 = '정종현은 왕이다'라는 뜻의 별명이다. 우승 이후 스타크래프트 II의 최강 테란 대열에 합류했다. 그러나 본인은 이 별명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정종황'이라는 별명을 더 좋아하는데, '테란의 황제'를 꿈꾸는 정종현이기 때문이다. 정졸렬 = 유리한 입장에서도 과감한 공격을 삼가는 졸렬한 모습으로 경기를 지루하게 만들며 확실한 승리를 챙기는데서 얻어진 별명이다. 이로 인해 악독한 이미지로 굳어지면서 한 때 수 많은 안티 팬들이 생기기도 했으나 최근 이러한 이미지를 상쇄시킬만큼 강력한 포스를 뿜어내며 안티 팬들은 대부분 사라졌다. = = = 승률 = = = 저그전 = 70%가 넘는 승률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핫식스 GSL 시즌 1 Code S 32강에서 이인수에게 2:0으로 승리하였으나 승자전에서 임재덕에게 1:2로 패하고, 이인수와 다시 맞붙은 최종전에서 이겼지만 2:1로 이기면서 69.6%의 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테란전 = 정종현은 최근 테란전에서 완성한 이후로 블리자드 4강전에서 문성원을 제외한 그 누구도 무너뜨리지 못한 궁극의 테란전 빌드를 가지고 있으며 75%의 극강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프로토스전 = 저그전과 테란전에 비해서는 조금 떨어지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정종현의 테란전과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으로 70%의 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 브루드 워에서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등 리그 전체를 좌지우지하는 '전설'이라 불리는 선수들의 전성기에 기록했던 72%의 승률을 가지고 있다. = = 수상 경력 = = 스타크래프트 ll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9회, 준우승 2회GSL 코드 S 3회 우승, 2회 준우승. GSL 월드 챔피언십 1회 우승. WCS 1회 우승. BlizzCon 1회 우승. MLG 1회 우승. WCG 1회 우승. IEM 1회 우승. = = = 스타크래프트 = = =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16강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36강 2010년 하나대투증권 MSL 2010 8강 2010년 빅파일 MSL 2010 32강 = = = 스타크래프트 ll = = = 2010년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32강 2010년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16강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 Code S 우승 (4:0 이정훈) 2011년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Code S 32강 2011년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월드 챔피언십 서울 우승 (4:2 이정훈) 2011년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A 준우승 (2:4 최지성) 2011년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32강 2011년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 32강 2011년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ust Code S 우승 (4:1 김정훈)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ober Code S 준우승 (1:4 문성원) 2011년 MLG Anaheim 우승 (2:1 문성원) 2011년 WCG 2011 한국대표선발전 스타크래프트 ll 부문 우승 (vs 이정훈 2:1) 2011년 블리즈컨 2011 스타크래프트 ll 배틀넷 인비테이셔널 우승 (vs 임재덕 2:1) 2011년 지스타 스타크래프트 ll 팀 에이스 인비테이셔널 우승 (vs 김동주 3:2) 2011년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ember Code S 4강 2011년 WCG 2011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ll 부문 우승 (vs XiGua 2:0) 2011년 블리자드 컵 4강 2011년 MLG Providence 4위 2012년 Hot6 GSL Season 1 시즌1 Code S 16강 2012년 Hot6 GSL Season 2 Code S 우승(vs 박현우 4:3) 2012년 Monsieur J GSL Season 3 Code S 16강 2012년 IEM Season VII - Cologne 우승 2012년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16강 2012년 Hot6 GSL Season 4 Code S 준우승 (vs 이승현 3:4) 2012년 Hot6 GSL Season 5 Code S 32강 2012년 2012 블리자드 컵 10강 2013년 GSL Code S 10회 연속 진출 기념상('임재덕 상')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32강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48강 2013년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스타크래프트2 테란 최우수 선수상 2013년 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4강 2013년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16강 2013년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16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 우승 (vs 일리예스 사토우리 4:1) (2013 WCS 시즌 1 파이널 진출) 2013년 2013 WCS Season1 TG삼보-Intel Finals 4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16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2 챌린저리그 8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 32강 2013년 2013 WCS 유럽 시즌 3 챌린저리그 40강 (기권) 2013년 2013 WCS 글로벌 파이널 16강 2013년 IEM Season VIII - Singapore 8강 2014년 2014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 16강 2014년 2014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32강 = 베이먼 = 청언먼(承恩門) 또는 베이먼(北門)은 타이완 타이베이시 중정 구에 있는 성이다. 청나라 때만 해도 타이베이 옛 시가지를 성벽으로 둘러싼 5개의 문이 있었지만, 일본의 식민 통치 시대에 성벽과 시먼이라는 문이 파손됐고, 또 다른 문 3개는 중국 궁전식으로 개축되었다. = 엄재용 = 엄재용(1965년~)는 대한민국의 MBC 스포츠PD 였고 SBS의 전직 보도본부 기자이다. SBS에서 정치부, 사회부, 편집부, 전국부 기자로 근무하였으며 편성PD를 거쳐 정책팀장을 지낸 뒤 SBS컨텐츠허브 국내사업실장와 dmc 미디어 부사장을 거쳐 현재 티캐스트 경영지원실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 = 학력 = = 1972년 강원도 영월 봉래국민학교 입학 1978년 혜화국민학교 졸업 1981년 보성중학교 졸업 1984년 홍대부고 졸업 199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졸업 = = 경력 = = 1991년 MBC 스포츠국 입사 1995년 SBS에 입사 보도국 정치부, 사회부, 편집부, 전국부 2001 SBS 편성PD 2005 SBS 정책팀 차장 2012 SBS 정책팀장 2014 SBS콘텐츠허브 국내사업실장 2018 DMC미디어 부사장 2020 SBS 정책위원 2023 티캐스트 경영지원실장 = 분류:레바논의 대회별 남자 축구 선수 = = 오카자키 쿄코 = 오카자키 쿄코(, 1963년 12월 13일 ~ )은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의 만화가로 특이한 화풍과 섹스, 새도마조히즘, 마약, 동성애, 강간, 살인 및 매춘 등 논란을 일으킬 만한 주제를 다루는 인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도쿄의 80~90년대를 초점으로 한 만화를 그리고 있다. 오카자키는 우치다 신게코와 함께 오늘날 새롭게 떠오르는 만화 장르인 갸루 장르를 이끌어 가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갸루라는 장르는 소녀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 뿐만이 아니라 섹스나 마약과 같은 주제도 함께 다루고 있다. = 분류:여자 요트 선수 =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방패자리 델타 변광성(Delta Scuti variable, 왜소세페이드)은 항성 표면의 방사형맥동 및 비방사형맥동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항성이다. 이들의 밝기는 겉보기 등급 기준 0.003 ~ 0.9의 진폭을 보이며, 밝기가 변하는 주기는 수 시간 정도이다. 그러나 밝기가 요동치는 진폭 및 주기는 매우 다양하다.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상에서 방패자리 델타 변광성이 위치하는 장소는 분광형 A0에서 F5에 이르는 주계열성 및 거성들이다. 표면에 헬륨이 풍부하다. 헬륨이 뜨거워지며 이온화를 하면 불투명해진다. 이로 인해 어두워지게 된다. 이온화가 더 이루어지면 빛의 탈출을 막게 되고, 막혀진 빛들로부터 나온 에너지가 헬륨을 더욱 뜨겁게 만든다. 이로 인해 항성이 팽창하고 더욱 이온화 되면서 완전히 이온화가 된다. 완전히 이온화가 됨으로써 투명해지게 되고 다시 헬륨의 온도는 낮아지고 수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시 헬륨이 뜨거워지고 이것이 계속 순환하게 된다. 방패자리 델타 변광성은 맥동하고 있을 때에는 세페이드 불안정 띠에 속해있다가 주계열로 이동한다. 이 특징을 보이는 변광성 중 대표격인 존재는 방패자리 델타별로, 밝기가 4.65일 주기로 4.60에서 4.79등급까지 변한다. 현재 알려져 있는 같은 종류의 변광성으로는 데네볼라, 카시오페이아자리 베타가 있다. 베가는 방패자리 델타 변광성일 가능성이 있으나, 검증되지는 않았다. = 분류:자장가 = = 분류:불교와 어린이 = = 분류:멕시코의 남자 수영 선수 = = 한명진 (1984년) = 한명진(1984년 5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며, 크리에이터 ( 유튜버 )이다. 2020년 최근 활동 피플 메이크 회사 설립 김포 운양동에 스튜디오를 운영을 시작으로 미디어 사업을 시작 미디어 커머스 1세대 ( 영상 촬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유통 ) 홈쇼핑 / 미디어 커머스 / 라이브 커머스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유튜브 ' 산지왕 ' 채널 개설 운영 중 '산지왕' 은 대한민국 산지를 응원한다는 컨셉으로 전국 방방곳곳을 돌아다니며, 우리 농수산물에 대해 직접 체험하고 먹어보는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 = 과거 방송 이력 = = SBS 웃찾사 2009년 데뷔 < 야옹아 > 오시흥 역할 〈죽여주시옵소서〉 영의정 역 Tvn 롤러코스터 지나가는 1인 / 코믹역 엑스트라 SBS 개그투나잇 〈 한사장〉 출연 <영상물 심사위원회 > 출연 Tvn 코미디 빅리그 시즌4 코벤져스 〈내사랑 은규〉출연 졸탄극장 - 〈이름대소동〉 출연 로케트 펀치 - 〈 동네 놀이 전파단 〉 출연 〈희극지왕〉 도끼파 두목 역 = = 뮤직비디오 출연 = = 배드키즈 - 바밤바 = 노이하우젠역 = 노이하우젠역은 스위스 샤프하우젠주의 노이하우젠 암 라인폴(Neuhausen am Rheinfall)에 있는 기차역이다. = =열차 충돌 = = 2013년 1월 10일 목요일 CET 8:47에 역에서 약 250m 떨어진 빈터투어-샤프하우젠선에서 열차 충돌이 발생했다. S33과 S11 두 대의 열차가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탈선했다. 26명의 부상이 있었다. 9명은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큰 부상은 없었다. 입원한 사람 중에는 운전기사 2명도 포함됐다. = 위키프로젝트:소련 = 위키프로젝트 소련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소련에 관한 모든 문서를 다루며 그 문서를 다루는 모든 사용자분들을 위한 의사소통의 장이며 안내소입니다. 어떤 분이든 참가자 문단에 서명만 해주시면 됩니다. 많은 참가 부탁드리겠습니다! 덧붙여서 위키프로젝트 소련에서는 관련 포털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 = 참가자 = =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목록입니다. 참가자 및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틀을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 달면 됩니다. Buzzbuzzwili (토론) 2015년 7월 28일 (화) 17:33 (KST) 소오련 소오련 L. Lycaon (토론 / 기여) 2015년 7월 28일 (화) 23:19 (KST) Apzp79 (토론) 2019년 4월 28일 (일) 23:35 (KST) #Superaction (토론) 2020년 11월 20일 (금) 07:16 (KST) Junwoojoo 2021년 5월 21일 (금) 13:25 (KST) Xoghks ( 사문) 2021년 8월 24일 (화) 22:46 (KST) Evraziskykr (토론) 2021년 10월 22일 (금) 14:00 (KST) Yellow Cookie 2021년 9월 5일 (일) 17:48 (KST) #Shdhdi 2021년 9월 19일 오후 7:21(KST) —— Melon. T. 2022년 3월 22일 (화) 17:07 (KST) SCP-682 (토론) 2022년 5월 6일 (금) 11:01 (KST) Anuidam (토론) 2024 1월 24일 (목) 08:00 (KST) = = 프로젝트 배너 = = 틀을 소련 관련 문서 토론란에 달아주시기 바라며, 없는 토론 문서를 생성하는 건 가급적 권장하지 않습니다. = = 프로젝트 반스타 = = 반스타 설명 사용 방법 = 분류:국제교류 기구 = = 홍미주 = = = 가공 인물 = = 부탁해요 캡틴의 등장 인물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의 등장 인물 첼로: 홍미주 일가 살인사건의 등장 인물 = 프랭키 페이슨 = 프랭키 페이슨(Frankie Faison, 1949년 6월 10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쇼타임 써머스비 = 홍봉한 = 홍봉한(洪鳳漢, 1713년 ~ 1778년)은 조선 말기의 대신으로,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며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장인이다. 딸이 세자빈으로 뽑힌 이듬해인 1744년 문과에 급제한 뒤 사관이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광주 부윤·어영대장 등을 지내고 좌의정, 영의정에 이르렀다. 1761년(영조 37년) 세자의 평양 원유사건으로 이천보, 민백상 등이 갑자기 의문의 최후를 맞이하자 일약 승진,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그 뒤 영의정에 재직 중 사위인 사도세자를 영조의 명을 받아 뒤주에 가두어 처형한 인물이다. 영조의 탕평책에 부응하여 당쟁의 폐해, 인재의 발탁 등의 내용을 담은 시무 6조를 제시하는 등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다. 영조의 탕평을 따르는 탕평파의 우두머리였고 노론측에서는 노론의 당론을 외면하고 임금의 뜻을 쫓아 아부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조선 고종 때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면서 홍봉한도 부원군의 증직이 내려져 영풍부원군에 추봉되었다. 고구마를 처음 도입한 조엄은 그의 매제(妹弟)였으며, 그의 누이는 익종비 조대비의 증조할머니가 된다. 자는 익여(翼汝), 호는 익익재(翼翼齋), 시호는 익정(翼靖)이며,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 = 생애 = = = = = 생애 초반 = = = 선조의 6대손이자, 정명공주와 영안위(永安尉) 홍주원(洪柱元)의 5세손이며, 수재(守齋) 홍현보(洪鉉輔)와 풍천임씨(豊川任氏)의 아들로, 좌의정 홍인한의 형이자, 정조의 외조부이다. 홍국영 일가 역시 그의 친족으로 8촌 형인 홍창한의 손자였다. 사도세자의 장인이자 혜경궁 홍씨의 친정아버지이다. 그는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 성주 이씨에게서 이복동생 홍인한, 홍용한 등이 태어났다. 홍주원의 장남이 그의 고조부 홍만형이고, 홍주원의 차남인 홍만용은 후일 홍국영의 6대조가 된다. 그의 친할아버지 홍중기(洪重箕)는 우암 송시열의 문하생으로 음서로 주부와 정랑을 역임하였다. 아버지 홍현보는 대사헌과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거쳐 예조판서에 이르렀으나 병을 앓다가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했다고 한다. 홍현보는 사후 의정부 영의정에 증직되었다. 1735년(영조 11) 그는 증광과 생원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같은 해 다시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사마방목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그는 중시하로 부모와 조부모가 그 무렵까지도 생존하였다 한다. 그 뒤 음보로 참봉이 되었다. 그 뒤 1743년(영조 19년) 둘째 딸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되었다. 그의 아버지 홍현보가 예조판서를 지냈고, 5대조 영안위 홍주원은 선조의 정실 사위이자 인목왕후의 딸 정명공주의 부군이었다. 그러나 정명공주의 재산은 대부분 홍현보의 형이자 장남인 홍석보에게 물려졌고 차남인 홍현보는 분가 때 저택과 노비 일부를 받은 걸로 보인다. 아버지 홍현보의 관직생활로 생활에 큰 무리는 없었으나 예조판서까지 지낸 아버지 홍현보가 사망하고 3년상을 치르는동안 생활이 곤란해졌다. 한중록에서 가난하다는 건 청빈함을 강조하면도 있지만 이때 3년간의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이다. 3년상을 마친 지 얼마 안 되어 딸이 세자빈에 간택된다. = = = 정치 활동 = = = = = = =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 = = = 1735년 소과에 급제했으나 그해 성균관의 식점이 적다하여 5년간 과거응시 금지를 당한다. 5년후 1740년 다시 예조판서이던 아버지 홍현보가 사망함으로써 거의 8년간 과거를 볼 수 없었다. 부친의 삼년상이 끝나고 얼마안있어 과거를 보았지만 다섯명 뽑는데 5등안에 들었으나 시골사람이 합격자 명단에 없다하여 뒷순위가 합격하여 밀린다. 이때 영조는 아쉬워하며 홍봉한이 글을 잘하느냐고 물었고 신하들은 그가 자못 명성이 있다 답한다(19년 윤 4월 9일 승정원일기). 이때 영조가 홍봉한을 잘 봤는지 인상이 좋다며 사촌형이던 승지 홍상한에게 말을 했기에 집안에서 합격에 기대하는바가 컸다고 한다. 이후 음보(蔭補)로 참봉에 등용되어 세자익위사 세마로 있을 때인 1743년 딸이 세자빈(惠慶宮洪氏)으로 뽑혔다. 1744년(영조 20) 왕실의 경사를 기념하여 시행하는 정시문과에 특별히 을과로 급제, 사관(史官)이 되었다.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45년 종이품으로 특진, 광주(廣州) 부윤이 되었다. 그가 갑자기 과거급제 직후 2년만에 종이품으로 승진하여 양사의 비판이 있었으나 왕이 특별히 무마시켰다. 이후 대사헌을 지냈다. 광주 부윤을 비롯하여 어영대장으로 오랫동안 활동하였으며, 예조참판으로 연접도감제조(延接都監提調)를 지낸 후 1752년에는 동지경연사, 53년에는 비변사당상으로 임진절목(臨津節目)을 편찬하는데 참여하였다. 1754년(영조 30) 비국당상(備局堂上)이 되어 청인(淸人)들이 애양책문(靉陽柵門) 밖에서 거주하며 개간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이어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지냈다. 1755년 구관당상(句管堂上)·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이어 좌참찬에 승진하였으며, 1759년 세손사(世孫師)가 되었다. = = = = 영의정 재임 = = = = 1761년(영조 37년) 세자의 평양 원유사건으로 노론계 정승 이천보, 이후, 민백상 등이 자살한 뒤 일약 승진,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1761년 우의정이 되고, 이어 좌의정을 거쳐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로 전임되었다가 1761년(영조 37) 영의정에 이르렀다. 세자에 대한 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좌의정이 되어 경외민(京外民)의 이동법(移動法)을 만들어 함부로 행동함을 금하였으며, 여러 가지 폐습과 관리의 협잡 등을 시정하는 한편 당습(黨習)의 제거·군사의 보충·독봉(督捧)의 폐해를 개혁하였다. 사도세자는 자신에게 정신질환과 우울증, 화증이 있음을 그에게 편지로 보내 호소하였다. 사도세자문제에 있어서 반대파(반탕평파)들에게 사도세자의 비행을 은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 = = = 사도세자 사망 이후 = = = = 그해 윤 5월은 사위인 장헌세자가 뒤주 안에 갇혀 굶어 죽게 되었다. 그는 형식상 영의정 겸 세자사부로서 세자의 스승이라는 직책을 겸직하고 있었기에, 사직서를 내고 보름 동안 나가 있다가 다시 영의정으로 복직했다. 사도세자가 죽자 홍봉한은 정조의 외조부로서 영조의 총애를 받았다. 당시 그는 노론 벽파(僻派)의 공격에서 당시 세손이던 정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때 그는 영조의 탕평책 정책에 적극 호응하는 탕평파에 가담했고, 곧 탕평파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었다. 1766년(영조42년) 계모의 3년상으로 물러났다가 1768년(영조 44) 다시 영의정이 되어 울릉도의 사적을 널리 조사하여 책을 만들어 일본인들의 점유를 미리 막게 하였으며, 1771년 영중추부사가 되어 청주의 한유(韓鍮)의 탄핵 상소를 받고 사직, 한편 사도세자의 서자인 은언군과 은신군을 물질적으로 후원하다가, 김귀주와 정후겸의 고변으로 영조에게 세손 대신 다른 왕손을 택군하려는 것으로 의심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 홍봉한과 같이 처벌받은 사람은 세손의 장인인 김시묵과 정조대에 영의정까지 지낸 홍봉한의 5촌조카 홍낙성도 있었다. 이는 은언군과 은신군의 유배로 종결되었다. 1769년 세손 산은 흥은부위 정재화 등과 함께 기방에 출입했다가 화완옹주, 홍국영 등이 각각 목격했다. 이는 화완옹주, 홍국영 등이 각각 혜경궁 홍씨에게 알렸고, 혜경궁은 친정아버지 홍봉한을 찾아가 어린 세손이 사도세자와 같이 될까봐 염려된다며 사건 수습을 요청했다. 홍봉한은 개입하기를 거절했고, 혜경궁은 단식농성을 했다. 홍봉한이 나서서 기생들을 유배보내고 세손에게 후보고를 한 후 사건을 수습했다. 이는 왕조실록에는 기록되지 않았으나,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언급되었다. = = = 생애 후반 = = = 1772년(영조 48) 또다시 봉조하의 직을 받았다. 정조가 즉위한 뒤, 정조의 생부인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책임으로 공격을 받았다. 1776년 3월 동부승지 정이환(鄭履煥)으로부터 사도세자가 갇혀 죽게 된 뒤주를 영조에게 바친 일과, 이복동생 홍인한과 함께 권력을 남용했다며 탄핵을 당했으나 정조가 뒤주는 영조의 말을 빌어 반박하고 이복동생 홍인한과는 평소 사이가 안좋아 문정까지 따로 세울 정도였다고 변호해준다. 이어 부교리 송환억(宋煥億), 현감 민창렬(閔昌烈)로부터 그가 권력을 남용했다며 왕망 등에 비유한 탄핵 상소를 올렸다. 부수찬 윤동만(尹東晩)으로부터 홍인한, 정후겸과 함께 탄핵당하였지만 정조가 무마시켜서 돌려보냈다. 4월 공조 참판이 된 정이환이 다시 홍봉한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조로부터 정이환이 김귀주의 사인이라며 어디다 쓰겠냐는 모욕까지 당한다. 1776년 8월에는 영남 유생 이응원(李應元)의 탄핵을 받고, 성균관과 사부학당 유생들은 홍봉한을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후에도 여러 번 홍봉한 탄핵 상소가 올라왔지만 정조는 애초에 외조부를 처벌할 마음이 없었고 즉위직후부터 계속 동생의 일로 걱정하지 말고 빨리 궁에 들어오라며 돈유하는 글을 내린다(일성록 즉위4월부터 6월까지). 이후 홍낙임을 공식적으로 무죄처분한것을 지켜본후 궁에 들어와 혜경궁과 정조를 만나 회포를 푼다 1778년 12월 4일 한성부에서 6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정조는 친히 그의 장례식에 쓸 동원 비기(東園秘器)를 내리고, 직접 장례식을 보러 가려 했으나 승정원의 반대로 취소하였다. = = = 사후 = = = 그때 정조가 부원군(府院君)의 장례에 준하여 장사케 하고, 3년 동안 녹봉을 지급하게 하였으며, 1784년(정조 8) 익정공의 시호를 내리고 제사하였으며, 홍낙임과 함께 홍봉한의 상소를 모아 문집까지 편집하고 서문까지 쓴다. 1843년(헌종 9) 체천(遞遷) 않는 은전봉사손의 대수(代數)가 다한 신주를, 최장방 곧 사대손 가운데 가장 항렬이 높은 사람이 제사를 받들기 위하여 자기 집으로 옮겨 가는 일을 가리킨다. 최장방이 죽었을 때에는 그 다음 최장방의 집으로 옮기는데, 최장방이 없을 때에는 무덤 앞에 묻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체천을 않는다는 말은 왕실에서 계속 제사를 드리게 하려고 최장방의 집으로 옮기지 못하게 했다는 뜻이고, 유교 사회에서는 큰 영광이 되는 일이었다.을 베풀었다. 시신은 경기도 고양군 신혈면 문봉리(현, 고양시 일산동구 문봉동)에 매장되었다. 고종 때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고, 혜경궁홍씨도 왕비로 추상되면서 영풍부원군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익정이다. 후일 1974년 4월에 오석으로 묘비문이 세워졌다. 그의 누이는 중 한명은 조엄에게 시집갔는데, 그를 통해 홍봉한은 익종비 조대비의 증외종조부가 된다. = = 저서 = = 《어정홍익정공주고 御定洪翼靖公奏藁》- 홍봉한의 저서가 아니라 정조가 외조부의 상소들을 모아 편집한 책이다 《정사휘감 正史彙鑑》 《익익재만록》 《동국문헌비고》등 = = 사상 = = 노론이면서도 탕평파에 속한 그는 특히 당파 싸움을 없앨 것과 인재를 뽑아 등용시킬 것을 왕에게 적극 건의하였다. 시무 6조를 올려 그는 당쟁의 해소와 인재 채용을 적극 건의했다. 그밖에도 여러 가지 좋지 않은 미신, 풍습과 관리들의 부패를 막는 등 여러 가지로 백성들의 어려움을 덜어 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영조를 도움으로써 조선 후기 문화 부흥에 기여하였다. 정조는 외조부의 상소들을 모아 주고를 편찬하고 직접 서문을 썼는데 그 서문에서 "공은 주상의 남다른 예우에 감격하여 평탄한 일이건 험한 일이건 가리지 않고 예악(禮樂), 병농(兵農), 헌도(憲度), 강기(綱紀) 등에 있어 주상과 허다한 의견을 교환하는 사이에 모든 것을 자기 책임하에 처리하려고 하였고, 언제나 공무를 마치고 물러 나와서는 은퇴한 장신(將臣)이나 노리(老吏)들을 상대로 나라 운영에 있어 잘 되어 가는 점과 잘못되어 가는 점을 물어 폐단이 있으면 다 바로잡고, 바로잡았다하면 다 좋게 바로잡았기 때문에 조야(朝野) 모두가 거의 40년 동안이나 그를 의지하고 존중하였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 = 가족 관계 = = 증조부 : 홍만용(洪萬容), 홍주원(洪柱元)의 아들 조부 : 홍중기(洪重箕) 백부 : 홍석보(洪錫輔, 1672~1729) * 사촌 : 홍상한(洪象漢) - 선의왕후의 사촌제부, 홍낙성의 아버지 생부 : 홍현보(洪鉉輔, 1680 ∼ 1740년 음력 윤 6월 10일) 생모 : 풍천 임씨(任氏, 공조판서 임방(任埅)의 딸) * 동복 누이 * 동복 누이 * 동복 누이: 신정왕후 조대비의 증조모 . 조엄의 아내 계모 : 성주 이씨 * 이복 동생 : 홍인한(洪麟漢) * 이복 동생 : 홍준한(洪俊漢) * 이복 동생 : 홍용한(洪龍漢) - 홍용한의 처는 홍봉한의 처조카이다. 즉, 홍봉한의 동서 송재희의 딸 부인 : 한산부부인 한산이씨(1713 ~ 1755) - 이집의 딸로 여동생중 하나가 김조순의 조모 * 아들 : 홍낙인(洪樂仁)-홍낙인의 처는 인현왕후의 부친인 민유중의 증손녀이다. ** 손자 : 홍수영(洪守榮) * 차녀 : 혜경궁 홍씨(1735 ~ 1816) * 사위 : 사도세자 * 아들 : 홍낙신(洪樂信) * 아들 : 홍낙임(洪樂任, 1741 ~ 1801) 첫번째 부인이 임천조씨인데 연암박지원이 그녀에 죽음을 추모하는 시를 홍낙임에게 부탁받아 썼다 "만조숙인" * 아들 : 홍낙륜(洪樂倫)- 정조의 한글편지에나오는 돌아재가 홍낙륜으로 정조와 2살차이 친구처럼 지낸 삼촌, 홍낙륜의 처(妻)가 효의왕후와 4촌 * 삼녀 : 풍산 홍씨 (1747?~?) * 사위 : 이복일 (1745~?) 소실 : 김해 김씨 * 서자 : 홍낙좌 * 서자 : 홍낙우 * 서자 : 홍낙동 * 서자 : 홍낙이 종증조부 : 홍만형(洪萬衡) - 증조부 홍만용의 동생, 홍국영과 원빈 홍씨의 5대조 = = 홍봉한을 연기한 배우 = = 1989년 KBS2 하늘아 하늘아 김흥기 *1989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정욱 1991년 KBS1 《왕도》 신구 1998년 MBC 《대왕의 길》 한인수 2008년 MBC 《이산》 신충식 2008년 뮤지컬 《화성에서 꿈꾸다》 박일규 2011년 SBS 《무사 백동수》 박일규 2014년 SBS 《비밀의 문》 김명국 = = = 영화 = = = 2015년 《사도》 - 배우 : 박원상 = 분류:위구르계 미국인 = =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 =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는 서울특별시의회의 무상 급식 정책에 대해 이 정책을 반대하는 서울시민 81만(유효 51만)의 청구와 서울특별시장 오세훈의 주민투표 발의로 시행되는 주민투표로, 2011년 8월 24일에 실시되었다. 최종 투표율 25.7%를 기록하여 투표함은 개봉하지 않고 파기되었고, 개표 득표율 33.3%에 미치지 못하여 1안과 2안 모두 부결 처리되었다. 2011년 8월 24일 오세훈은 무상급식 투표율이 개표선에 미달할 경우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따라 26일 사퇴했다.오세훈 "주민투표 책임, 시장직 사퇴" 이에 따라 서울시는 10월 재보선까지 부시장이 시장직을 대행하게 됐으며, 서울시의회와 서울시교육청은 투표 개표 무산을 오세훈 패배로 규정하고 그동안 추진해오던 전면 무상급식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 = 선거 정보 = = 투표기간: 2011년 8월 24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주민투표 발의일: 2011년 8월 1일 투표운동기간: 2011년 8월 1일부터 8월 23일까지 투표문안 총유권자수: 8,387,278명(재외국민 31,820명, 외국인 20,640명 포함) 최종 투표율 : 25.7% = = 쟁점 = = 무상급식에 대한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자 오세훈은 무상급식과 관련한 시민들의 의사를 직접 묻기 위해 주민투표를 서울시의회에 제안하였다. 민주당은 전체 무상급식에 들어가는 비용이 1년에 695억원인데, 주민투표를 위해 182억을 낭비하는 건 무리수라고 주장하였다.695억 막으려고 182억 써버린다?... 오세훈의 ‘무리수’ 헤럴드경제 2011년 1월 11일 그러나 오세훈과 서울시는 유권자의 판단비용일 뿐이며 오히려 전면무상급식에는 최소 4000억이 들고 복지정책은 한번 시행하면 중단할 수 없는 불가역성 등을 고려하면 비용이 더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대중영합주의 정치를 넘어서야 진정한 민주주의가 성장할 수 있다며 주민투표의 추진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반박했다. 헤럴드경제 2011년 7월 13일 전면 무상급식 찬반에 대해서 오세훈의 주도로 인해 주민투표 서명이 이루어졌는데, 2011년 4월 중순까지 서울 시민 20만명이 서울시의회의 단독이 아닌 시민의 찬반 여부를 물어 이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는 '무상급식 찬반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고 서명했다. 2011년 4월에는 서울시의회 민주당측이 선관위에 위임하는 형식으로 세금을 내야할 전체 시민 투표가 아닌 무상급식의 수혜를 받는 학부모만을 대상으로 하는 주민투표를 하자는 제안을 하였으나, 서울시 측은 학부모 찬반투표 대상이 제도의 수혜자인 학부모들인데다 현재 법에 따라 진행 중인 주민투표 청구 운동과 배치된다는 점 등을 들어 거부 입장을 밝혔다.서울시의회 “무상급식, 학부모 투표하자” vs 市는 반대… 갈등 다시 가열 국민일보 2011년 4월 15일 투표문항 작성 과정에서 오세훈이 위원 대부분을 임명하는 주민투표 청구심의회가 투표문항을 일방적으로 정함에 따라 민주당 측이 크게 반발했으나 선관위는 오세훈 측 손을 들어주었다.무상급식 투표 문구..오세훈의 꼼수? 주민투표 서명부 조작 논란이 터지면서 야당과 시민사회측은 나쁜투표거부운동으로 전환했다. 이에 오세훈측은 투표거부 운동은 헌법 가치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반발했다. = = = 투표 용지 문항 선정 논란 = = = 투표용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안 소득 하위 50%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무상급식 실시 2안 소득 구분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부터, 중학교는 2012년부터 전면적으로 무상급식 실시 곽노현 교육감과 야당은 이 문항 선정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당 무상급식 주민투표 대책위원장 강희용은 무상급식 반대를 위한 주민투표로 서명운동을 신청하고, 중간에 투표문구가 임의변경된 절차상 하자를 지적했다. 주민투표법은 지자체장이 주민투표 청구대상을 공표하도록 되어 있다. 주민투표청구심의회에 청구대상 변경절차를 밟지 않고 임의변경 할 경우 서명인의 의사와 무관한 주민투표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선관위가 주민투표청구심의회에 관련 사항을 일임한 상태에서 심의회는 적격판정을 내린다. 이에 민주당은 주민투표청구심의회 위원중 단 한명이 서울시 의원이고 서울시 부시장을 포함한 위원 10인을 오세훈측이 위촉한 점을 지적하며 불공정을 비판했다. 곽노현은 중학교는 2012년부터가 아닌 2014년부터 실시라며 투표 용지의 내용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서울시측은 시 의회 조례 원문에 초등학교에 대해서는 2011년부터, 중학교는 2012년부터 시행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서울특별시 친환경 무상급식 등 지원에 관한 조례 교육청은 2012년 초등학교와 중학교 1학년, 2013년 초등학교와 중학교 1, 2학년, 2014년 초등학교와 중학교 1~3학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교육청의 주장에 대해 지금까지 아무런 반론을 내지 않다가 갑자기 단계적 무상급식을 주장한다며 2012년까지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겠다는 안을 폐기하라고 주장했다.오세훈 "곽노현, '전면 무상급식 결별' 인정하라" 머니투데이 이에 대해 교육청은 단계적 전면 무상급식 계획이 확정된 시기가 2010년 8월 17일로 투표용지 문항 선정보다 더 먼저 결정되었다고 반론한다. 또한 학교급식법에 의해 급식 주체인 교육청에 서울시가 아무런 협의를 하지 않고 일방통행한 점도 비판했다. 야권인사들은 투표안이 찬반형식에서 무상급식 범위로 변경된 것에 대해 주민투표를 중단해야 한다며 집행정지 신청을 냈지만 법원은 "주민투표를 청구한 취지에 변화가 없고 투표안 변경도 주민투표 심의회의 의결에 따른 것"이라며 "투표 대상을 명확히 한 것"이라며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무상급식 주민투표 중단할 사유 없다 = = = 투표율 미달시 조례 유효성 논란 = = = 오세훈 측은 유효투표율 미달시 무상급식 반대운동측과 서울시조례를 모두 서울시민이 택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했다. 이 경우 서울시 조례가 자동 폐기된다고 유권해석하고 법제처에 해석을 요청한다. 그러나 법제처는 투표율이 미달한 경우 투표 자체를 없던 일로 보고 이 경우 서울시의회 친환경 무상급식 지원에 대한 조례가 유효하다고 인정한다. 서울시는 이에 불응해 행정소송을 진행하나 기각되자 대법원에 항소한다. "오세훈, '욕심' 때문에 막다른 길인 줄 알면서도 질주" = = = 투표에 대한 각계 반응 = = = 2011년 6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주민투표를 실시하기 위한 주민서명 수가 충족되어 주민투표가 진행되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정체불명의 괴단체가 주민투표를 청구하자마자 오 시장이 무슨 출사표 던지듯 기자회견을 자청했다"면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서울시민의 민생을 볼모로 삼는 모습이 안쓰럽고 안타깝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16개 시도 중 15개, 기초자치단체는 80%인 183곳이 초등학교 무상급식을 이미 실시하고 있다. 무상급식은 몸으로 막을 수 없는 대세이고 현실이 됐다”며 “지금이라도 주민투표 방치를 철회해 선거비용으로 쓰일 182억원의 세금을 아껴주시길 당부한다"라고 호소했다.이인영 ”오세훈 시장, 아이들 먹는 것 갖고 불장난” 경향신문 2011년 6월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도 오세훈에게 "정치적으로 타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전면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는 갈등의 끝이 아닌 더 큰 갈등의 시작"이라며 "최근 네덜란드, 스웨덴, 핀란드 등 복지국가를 방문해 얻은 교훈은 정치적 대타협”이라며 “한나라당은 갈등을 양산하는 게 아니라 해결하는 정치를 하는 것이 맞다"고 지적했다.남경필 "무상급식, 정치적 타협이 최선 연합뉴스 2011년 6월 17일유승민 “오세훈에 이끌려 한나라 깊은 수렁 한겨레 2011년 8월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은 "한 교실 안에서 소득 50% 이상 계층은 돈 내고 밥을 먹고, 소득 50% 이하 계층은 무료로 먹는 것은 초등학교 의무교육 정신에 반한다”면서 “한나라당이 세금으로 대학 등록금을 일률적으로 인하하려고도 했고, 정부가 만 5세의 무상보육도 하기로 한 상황에서 무상급식 반대는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라고 말했다.무상급식 당론 반대” 유승민·남경필의 소신 경향신문 2011년 8월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조·중·동 프레임에 갇혀 당이 잘못된 길로 가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라며 "실제로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바닥여론이 좋지 않은데 의원들은 조·중·동만 보니 잘 모르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정두언, 무상급식 투표 비판 “당이 조·중·동에 갇혀 여론 모른다” 경향신문 2011년 8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무상급식은 의무교육의 틀 속에서 봐야 할 문제로 주민투표로 판가름하겠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라고 말했다.좋든 싫든 모두가 뛰어든 오세훈 전쟁 중앙일보 2011년 8월 일각에서는 2011년 7월 서울에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피해가 났음에도 예산을 들여 주민투표를 강행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민주당은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중단하고 피해 복구에 전념해야 한다"라고 말했다.이 난리에 주민투표 발의? 오세훈 곤혹 한국일보 2011년 8월 야당의 조직적인 투표 불참 운동으로 사실상 공개선거로 치뤄진 점도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투표소에 민주당측 참관인들이 배석하게 돼 있어 사실상 누가 주민투표에 찬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구조가 됐기 때문이다. 결국 단계적 무상급식안을 찬성하는 사람들도 야당의 눈치를 봐야하는 선거로 변질됐다는 주장이다.빗장 풀리는 복지 포퓰리즘 선관위는 비밀투표가 훼손되었다는 오세훈측의 주장을 기각하고 투표거부 운동도 합법적인 운동으로 인정한다. 이에 오세훈측 단체인 복지추방본부는 선관위를 고발한다. 나쁜투표거부시민운동측은 선거와 주민투표간 차이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선거는 투표를 포기할 경우 유효 투표율을 따지지 않기에 최악의 후보가 당선될 수 있지만 유효투표가 허들로 있는 주민투표는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이란 주장이다. 예를 들어 의회 역시 정족수가 존재하기에 오세훈측 주장대로라면 의원들이 투표에 불참하는 것이 비밀투표를 해친다는 주장이 된다. 한나라당 역시 전략적으로 투표 불참을 해온 역사가 자주 있기에 비판을 모면하기 어렵다. = = = 주민투표 발의자 서명에 대한 논란 = = = 오세훈이 추진하는 무상급식 주민투표안에서 대리서명과 조작근거가 드러나면서 파문이 일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에 따르면 동작구, 성동구, 구로구, 영등포구 등지에서는 대리서명이 무더기로 적발되었는데 48명의 서명지가 같은 글씨로 작성된 사실이 밝혀졌다. 대리서명은 서대문구 240건, 양천구 200건, 중랑구 400건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이민자의 서명까지 나왔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청구 자체도 정체불명의 괴단체가 하더니 이제는 서명부가 가짜라는 것이 드러나 점입가경"이라고 비판했다. 김진표는 이어 "가짜서명, 엉터리 서명으로 하는 것이 무슨 주민투표인가. 서울시는 엉터리 서명부를 철저히 조사해서 이름을 도용당한 시민에게 사과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주민투표 중단을 촉구했다.무상급식·총수 청문회 입장 밝혀라” 경향신문 2011년 7월민주당 "주민투표 서명부도 가짜라니 점입가경" 뷰스앤뉴스 2011년 7월 2011년 3월에는 무상급식 서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청구인 대표자로부터 서명요청권을 위임받지 않은 사람이 아파트관리소장 등에게 청구인서명을 받도록 지시·권유해 입주자 30여명에게 청구인 서명을 받아 주민투표법을 위반하는 등 불법이 드러나 선관위 측에 경고를 2회 받는 등 적법성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무상급식 서명’ 곳곳서 불법 드러나 내일신문 2011년 4월 1일 이에 대해 서울시는 “무자격자는 이미 다 골라냈고 대리 서명은 국과수에서 확인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법원 또한 7월 25일 민주당의 주민투표 중단 주장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서울시에 제출된 주민투표 청구 서명부 등은 이후 소송에서 제출받더라도 그때까지 해당 문서에 대한 증거조사가 다소 지연될 뿐 위·변조돼 증거조사가 곤란해질 위험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시 자체 조사와 민주당의 검증 및 열람 기간을 거쳐 필체가 다르거나 주민등록번호를 표기하지 않은 서명을 걸러냈고 주민투표 청구 요건인 41만 8천 명을 넘긴 51만 명이 최종 확정됐다. 강희용 서울시의원은 주민투표 논란을 빚는 과정에서 한나라당이 주민투표 청구 서명에 불법적으로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서울시의원을 제외한 모든 공무원은 주민들에게 직접 서명을 요청하거나 서명운동을 기획·주도할 수 없다고 되어있다. 중앙선관위는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강동을)과 나경원 의원(중구)이 주민투표 서명청구 위임자 모집에 나서고 있다는 보도가 있어 (서울시 선관위가) 확인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불법 얼룩진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 서명작업 즉각중단 노컷뉴스 2011년 3월 14일 또한 강희용 서울시의원은 "박진 의원이 지난 2일 종로에 있는 자신의 후원회 사무실에서 자신의 명의로 전·현직 시·구의원 및 운영위원에게 “무상급식 주민투표청구 서명요청권 위임신고서를 보내드리오니 각각 50명씩 위임받아 3일 오후 5시까지 후원회로 제출해주기 바란다"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현행 주민투표법은 현역 국회의원도 주민투표 서명에 개입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이에 대해 박진의원 관계자는 "자원봉사자가 단순한 연락 문건에 실수로 박 의원의 이름을 넣은 것일 뿐, 박 의원은 그런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라고 반박했다. 한편, 서울시의회 민주당은 서울시가 주민투표 추진 단체에 최근 3년간 5억2000만원을 지원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을 제기했다.무상급식 주민투표 불법 서명” 경향신문 2011년 3월 31일 = = = 투표 방해 논란 = = = 주민투표를 하루 앞두고 인터넷 트위터 등을 통해 주민투표 실시일이 8월 25일이라는 잘못된 정보를 유포하기도 했다. 시 선관위는 이 허위정보가 투표 불참을 독려하는 단체 또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유포한 것인지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서초구 서초2동 신동아아파트에 배달된 주민투표 공보물 중 일부를 임의로 수거해 간 신원 미상의 남성 2명에 대해서도 서초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 시 선관위 관계자는 “해당 아파트 폐쇄회로(CC)TV에 30대로 추정되는 남성 2명이 주민투표 공보물을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남성들이 의도적으로 주민투표를 방해하기 위해 공보물을 가져갔다면 주민투표법 위반에 해당돼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25일 투표” 허위유포… 투표거부 현수막 철거… 주민투표법 28조에 따르면 주민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한 자는 5년 이하 징역,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돼 있다. 자치구와 주민센터에서 투표를 방해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금호초등학교 투표소에서는 오전 9시에 투표안내문이 없다고 유권자를 돌려보냈다거나, 오전 9시 45분에는 광진구투표소에서는 투표자차량을 주차위반 단속하여 투표를 방해하는 등의 사례가 접수됐다는 것. 동대문구 이문2동 투표소에서는 투표 관계자들이 아침식사를 한다는 이유로 자리를 지키지 않아 줄 서서 투표하려는 주민들이 출근 시간에 쫓겨 돌아가는 사례도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아침밥 먹는다고 자리 비워 직장인들 투표못해한나라 "투표방해 행위 있다" 주장...대변인 논평 언론배포 곽노현 교육감은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실시되는 24일 서울시내 초·중·고 교장 259명을 강원도 평창으로 데려가 워크숍을 실시하기로 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 워크숍에 참석한 교장들은 주민투표를 하기 힘들게 돼 서울시교육청이 '투표 방해' 행위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사립중고교법인협의회 관계자는 "무상급식 문제는 해당 학교장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인데, 교장들 워크숍 일정을 이렇게 잡은 것은 누가 봐도 투표를 못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무상급식 투표날… 교장들에 연수 가자는 곽노현 이와 관련 교육청 관계자는 19일 "주민투표 발의 전에 참석자들의 일정과 교육청 일정을 고려해 23, 24일로 일정을 잡은 것”이라며 “이미 7월 22일에 워크숍 일정을 결정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당시 교육청 쪽으로는 항의 전화 등이 오지 않았다”면서 “직접적인 의사표시는 없었지만 불만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고려했고 투표를 방해한다는 지적도 있어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 개표 기준에 대한 논란 = = = 투표율이 33.3%가 넘지 못하면 개표조차 할 수 없는 현 주민투표법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참여정부시절인 2004년 1월 33.3%의 개함요건이 포함된 주민투표법 제정을 주도했던 김병준 국민대교수는 "33.3% 개함 요건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제정 당시부터 고심했던 부분이라며 투표율이 낮은 우리 정치 현실에서 33.3%는 유권자들의 뜻이 아니라 투표율 자체로 승부가 결정 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투표율 싸움으로 가면 투표의 비밀성이 훼손돼 일종의 기립투표 또는 거수투표가 되는 셈이라며 "투표에 참여하는 유권자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반대하는 안을 지지하게 되는 모순도 생긴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법 제정 당시 개함 요건을 25%로 할지, 33.3%로 할지를 놓고 논란이 있었으나 초기 단계인 만큼 남용 방지를 위해 허들(hurdle·장애물)을 높이는 게 좋다는 쪽으로 결론 났다"며 "총선이나 대선 등 투표율을 확보하기 쉬운 선거와 함께 주민투표를 하는 등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앙대 장훈 교수는 "허들을 갑자기 낮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주민투표를 너무 자주 하면 주민투표가 갈등을 조정할 능력 자체를 잃어버린다"고 했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대의기관이 정한 것을 뒤집으려면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고 33.3% 정도는 돼야 한다"고 말했다.주민투표법 만들 때부터 거수투표 우려 = = = 오세훈의 사퇴 및 2012년 대선 불출마 선언 = = = 2011년 8월 12일 주민투표와 관련해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무상 급식 주민투표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며 투표 후 거취를 표명하라는 일부 주장이 나오던 가운데 오세훈은 차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복지 포퓰리즘을 막기위한 진심이 왜곡된 것 같다'며 '차기 대선에 불출마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방선거때 시장직을 연임하면서도 차기 대선에 나가지 않겠다는 부분을 강조한적이 있었기 때문에 새롭지 않은 발표라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또한 오세훈은 차기 대선 주자들 가운데 지지율이 4.4%에 불과했기 때문에 대선 불출마 선언이 뜬금없다는 점을 강조하여 일부 누리꾼들이 "나도 내년 대선 불출마하겠다"라고 비꼬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민주당 김유정 의원은 "오시장 대선불출마선언? 시장임기 채우겠다 공언했는데 그럼 그동안 딴 맘 품었다는 자백!"이라고 비판했다.네티즌 “나도 대선 출마, 이효리와 결혼도 않겠다” 미디어오늘 2011년 8월 8월 21일 오세훈은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사흘 앞두고 "개표 가능 투표율이 달성되지 않거나 개표한 후 찬성률이 낮아 패할 경우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투표가 향후 대한민국내 복지정책의 흐름을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생각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오세훈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무리 험난해도 이번 주민투표를 통해 대한민국 복지 방향을 정립하지 않으면 우리 서울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가 이대로 주저앉아 버릴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오세훈은 그러나 2010년 지방선거 전후에 "임기를 꽉 채우겠다"고 반복해서 강조한 바가 있기 때문에 거짓말 논란이 제기됐다.오세훈 서울시장측 "시장 임기 충실하겠다는 방침 변함 없어 아시아경제 2011년 8월 민주당은 "우롱하는 수준을 넘어선 위협과 협박을 통한 정치 사기극이고, 서울 시민에 대한 테러"라고 비판했고 자유선진당은 "대한민국의 중심인 수도 서울의 시장이 갖는 중요성과 책무를 간과했다.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시장직까지 건 것은 지나쳤다"고 말했으며선진당 "오세훈, 서울시장 책무 간과해" 뉴시스 2011년 8월 민주노동당은 "아이들 밥그릇을 정략도구로 이용한 시장은 이미 시장 자격이 없다. 주민투표 결과에 상관없이 오 시장은 이미 자격상실"이라며 비판을 제기했다.투표율에 시장직 건 오세훈…10월 재보선 '빅매치' 성사? 프레시안 2011년 8월 당과 협의없이 시장직을 걸은것에 대해 한나라당은 당혹감을 드러내며 "시장직 신임 투표가 아닌 정책 투표에 시장의 거취를 연계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한나라당 일부에서 "오세훈을 제명시켜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시장직 건 오세훈‥여 "당혹" 야 "정치놀음 mbc 2011년 8월 박근혜는 "과도하게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고 시장직까지 걸 문제는 아니었다"라고 비판했다.박근혜 "무상급식 시장직 걸 사안 아니었다" 연합뉴스 2011년 8월 정책투표가 재신임투표로 변질된 것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곽노현 교육감은 "주민투표를 시장 신임 투표로 변질시켰다. 오세훈이 시장직을 걸 정도로 복지 철학이 뚜렷한데 그 철학이 저소득층한테만 (무상급식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 논리를 지키기 위해 시장직을 걸었다면 무상 의무교육 해체하는 데도 시장직을 걸어야 한다"고 비판했다.곽노현 "자꾸 뭘 거냐… 투표가 도박판도 아니고" 국민일보 2011년 8월 미디어오늘은 "오 시장은 자신의 정치적 승부를 위해 우리 사회의 극한 분열을 조장했다. 시민들에게는 정책 선택을 강권했으며, 국민들에게는 이념 대결을 강요했다"라고 비판했다.쇼는 계속돼야 할까 미디어오늘 2011년 8월 학계의 지적도 이어졌다. 이종수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정책에 대한 주민투표를 단체장의 진퇴와 연결시키면 정책과 정치가 뒤섞여 행정이 체계적으로 집행되기 어렵다"고 말했고,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오 시장의 발표는 법에 근거가 없는 변질된 주민투표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지더라도 ‘보수 잔다르크’ 이미지… 死則生 효과 길게 봤나 동아일보 2011년 8월 세계일보는 "유효투표율 33.3%를 넘기기 위한 마지막 승부수를 던진 셈이지만 주민투표 취지는 그만큼 희석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종교별로 입장도 엇갈렸다. 불교·가톨릭·원불교 등 범종교인연합은 8월 22일 서울시청 앞에서 "차별급식에 반대하고 정치적 목적의 투표를 거부한다"고 선언했다. 반면 보수성향의 대형교회 9곳은 주민투표를 독려했다.주민투표 무상급식 이슈 뒷전…오세훈 '재신임 투표'로 변질 세계일보 2011년 8월 는 8월 24일 인터넷판 기사에서 무상급식 논쟁에서 보여준 오세훈의 행보를 "영악한 정치공작이거나 정치 경력에 흠집을 낼 수 있는 실수", "서툰 연기나 벼랑 끝 전술은 감정에 호소하는 정치로 잘 알려진 한국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라고 보도했다.오세훈 시장 행보, 영악한 정치 공작 프레시안 2011년 9월 = = = 오세훈과 투표 참여 운동에 대한 논란 = = = 투표를 독려하는 과정에서 대형교회 목사들의 편향적인 발언들도 물의를 빚었다. 서울시선관위는 각 구 선관위에 보낸 공문에서 소망교회, 금란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 등 대형 교회 9곳을 꼽으며 "일부 종교지도자들이 주민투표에 관한 편향된 발언으로 부당한 영향을 미치는 행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지적했다. 종교인의 경우 주민투표법 28조에 따라 투표운동에 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400만통 문자 뭐냐" 무상급식 투표 홍보 잡음 한국일보 2011년 8월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는 소망교회 김모 담임목사가 주민투표법을 위반한 정황을 잡고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시선관위에 따르면 김 목사는 지난 21일 열린 예배에서 "이번 수요일이 주민투표다. 주민이면 당연히 참여해야할 투표다. 우리 교회와 성도들이 이 시대의 사회, 정치적 책임에 더 민감해야 한다.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대형교회 목사 등 주민투표법 위반 조사 연합뉴스 2011년 8월 대형교회가 대량의 스팸문자로 "투표를 하지 않으면 예배수업을 못하게 된다'거나 '학교에 동성애자가 급증한다'라는 식의 투표독려 운동을 하는 것도 드러났다.대형교회들 ‘불법·왜곡’ 앞장 한겨레 2011년 8월 8월 22일에는 금융위원회가 22개 산하기관장들에게 소속 직원들의 투표를 독려하는 공문을 보낸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문이 일기도 했다.금융위, 전 금융권에 '투표 독려' 파문 뷰스앤뉴스 2011년 8월 한나라당 당원협의회가 자원봉사자 2명에게 식사비로 4만원을 건네 선관위가 고발하기도 했다. 투표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복지포퓰리즘추방국민운동본부가 시민들에게 보낸 문자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한국미래포럼은 8월 20일 오후 시민들에게 "비겁한 투표방해 세금폭탄 불러옵니다"라며 "8월 24일 (수) 꼬~옥 토표합시다"는 내용이 담긴 문자메시지를 전송했다.비겁한 투표방해" 휴대폰 문자 살포...네티즌 논란 머니투데이 2011년 8월 문자메시지를 받은 시민들은 "내 개인 정보를 어떻게 알았냐"며 항의하기 위해 복지포퓰리즘추방국민운동본부의 홈페이지를 항의 방문, 접속자 폭주로 홈페이지가 마비되기도 했다.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주민투표법에 따르면 해당 지방의회의원을 제외한 공무원, 언론사 관계자, 주민투표권이 없는 자 등을 제외하고 누구나 투표 관련 찬반 운동을 할 수 있다"고 말했으나, 나쁜투표거부운동본부 대변인은 "조사 결과 전체 유권자 838만명 중 절반인 400만명이 이 문자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투표참가운동본부의 개인정보 입수 경위, 정보통신법 위반 혐의에 대한 법적 고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주민투표가 다가오면서 오세훈이 혼자서 팻말을 들고 길거리를 다니며 주민투표를 홍보하자 서울선관위는 공무원 신분인 오세훈이 1인 팻말 홍보를 반복적으로 할 경우 공무원의 선거 중립의무를 위반할 소지가 있다고 보았으며 "1회성 팻말 홍보는 주민투표법상 지자체장의 단순정보 제공 의무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면서도 "반복적인 팻말 홍보는 투표운동에 해당하기 때문에 어제 현장에서 중지명령을 내렸다"며 구두로 중지할 것을 요청했다.선관위, 오세훈 시장 1인 팻말 홍보 중지 요청 노컷뉴스 2011년 8월市선관위, 오세훈 주민투표 팻말 홍보 '중지명령' 뉴시스 2011년 8월 이에 대해 이종현 서울시 대변인은“중립적으로 선거를 관리해야 할 시선관위가 지나치게 경직되게 선거관리를 하고 있다”며 “오히려 투표 불참운동의 불법성을 적발하고 지적하는 것이 선관위의 도리고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오세훈도 야권이 벌이는 투표 불참운동에 대해 “스스로 패배를 자인하는 것”이라며 "주민투표를 외면하면서 어떻게 참여민주주의를 얘기할 수 있느냐"며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는 정책 투표인데 민주당이 이를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주민투표 불참은 패배 자인한 것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도 “주민투표가 일상화된 나라 중에 투표 자체를 거부하는 나라가 있다는 소식을 들어본 적이 없다”며 “헌법 정신을 훼손하고 직접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野, 주민투표 불참운동, 민주주의 근간 흔든다 법률가들 사이에선 “주민투표법에 자치단체장이 투표에 대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데도 이를 위법하다고 해석한 것은 오류”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후 선거관리위원회는“투표일만 적힘 피켓은 위법이지만 투표일시와 장소, 투표용지 샘플까지 들어있는 피켓 홍보는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투표일만 적으면 안되고 장소 적으면 되고 데일리안 민주당은 "다수의 제보에 의하면 군이 서울시 무상급식과 관련한 주민투표에 현역 군인들을 동원한다고 한다.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거나 부재자 투표를 하지 못한 장병들에게 휴가 및 외출을 허가하고 복귀 시에 투표확인증을 제출하라는 군의 지시가 있었다"고 말했다.민주 "주민투표에 軍 동원 제보 받아 확인 중" 아시아경제 2011년 8월 2011년 8월 22일 신학용 민주당 의원(국방위원회)도 “투표를 못한 서울 거주 장병들에게 외출을 보내 투표하고 확인증을 내도록 했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하루 뒤인 2011년 8월 23일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이 “다수의 제보”에 의하면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으나 부재자 투표를 하지 못한 장병들에게 휴가나 외출, 외박을 허가하고 복귀 시에 투표확인증을 제출하라는 군의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고 말했다.민주당 “무상급식 투표 위해 군까지 동원”한겨레2011년 8월 23일 국방부는 이에대해 부재자 투표를 하도록 장병들에게 휴가나 외출, 외박을 따로 허가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또 복귀시 투표확인증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그런 명령을 내리거나 지시한 적이 없다며 군은 투표권 행사에 대해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투표에 군인 동원 의혹" vs. "관여한 바 없다"YTN2011년 8월 23일 신윤정 기자 = = = 곽노현과 투표 불참 운동에 대한 논란 = = = 투표불참운동을 벌인 민주당 등 야권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서울시교육청과 야권 등에서 밀어붙인 `나쁜 투표거부` 운동이 향후 `나쁜` 정치적 선례로 남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정희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주민투표를 무산시킨 것은 주민투표제 본래 취재에 어긋나는 것이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투표 거부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정치권도 투표 행위를 통해 정책을 결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희경 정책실장은 "주민투표가 서울시민들에겐 처음 치르는 선거고 주민들이 의사를 투표로 개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이지만 투표거부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자유선진당 이회창 전 대표는 “개인은 자기 의사로 투표 불참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할 수 있지만, 제3자가 투표하지 말자고 말하는 것은 다수결의 원리가 제대로 시행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하며 투표율 미달로 인해 결론도 못내는 정치권에 대한 정치혐오가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회창 “투표거부 운동은 다수결 원리 방해” 전원책은 지금까지 무슨 사안 있을 때마다 거리로 나가 민주주의 주장한 사람들이 그쪽 아닌가. 투표에 참여해서 반대표 던지자고 주장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오세훈vs곽노현 주민투표 TV토론회 이렇게 여러 문제가 제기되면서 주민투표가 무산된 이후 조선일보가 서울 시민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야당이 벌인 투표 거부 운동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4.0%로 '공감한다' 21.2% 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민주당 지지자들도 '공감하지 않는다' 43.8%가 '공감한다' 42.9%보다 많았다. 이번 주민투표에 불참했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공감하지 않는다' 45.9%, '공감한다' 34.6%였다. 전 연령 지역 계층에서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서울 시민 64% "투표 거부 문제 있어" 주민투표거부운동을 허용한 선관위에게도 비판이 가해졌다. 부자아이 가난한 아이 편가르는 나쁜투표 거부 시민운동본부를 선관위는 전면 무상급식 “찬성” 대표단체로 지정했는데“투표거부운동본부”라는 이름에서 바로 드러나듯이 이 단체는 처음부터 투표 거부를 표방한 단체다. 복주포퓰리즘추방국민운동본부는 선거관리위원회는 민주주의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투표를 독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선관위의 결정에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불법 투표불참운동 조장한 중앙선관위 해체하라 투표 거부 운동으로 인해, 투표장에 가는 유권자가 무상급식 반대론자로 사회적으로 인식되어 비밀선거의 원칙이 깨졌다는 지적도 있다.서울시 “투표불참운동은 비밀선거 깨뜨리는 발상데일리안2011-08-08 김민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주민투표 거부운동은 주민투표권자의 ‘투표의 자유’를 심리적으로 방해하는 것으로 주민투표법을 위반하는 행위이며, 이미 선관위와 법원의 판결을 통해서 주민투표가 형식적ㆍ절차적 요건을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한 상황에서 이를 나쁜 투표로 규정짓고 투표거부 운동을 전개하는 것은 헌법정신을 파괴하는 반민주적 행위이다."라고 주장했다. 반민주적인 투표거부운동의 중지를 촉구하는 지식인들 100여 명은 프레스센터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주민투표를 정략적으로 악용하고 시민의 선택권을 부정하는 세력들은 반민주적 행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주민투표는 서울시민 80만명이 법에 의해 청구한 민주적이고 합법적이라며 이를 서울시장의 사주에 의한 것이라는 근거없는 주장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어느 안을 선택하든 서울시민이 판단할 일인데 실제로 제2안(전면무상급식 찬성)에 찬성하면서 정략적으로 투표거부운동을 벌이는 것은 반민주적인 작태라고 밝혔다지식인100명 시국선언 "주민투표 방해 중단하라 '복지포퓰리즘추방 국민운동본부'는 '<2안>의 대표단체로 선정된 나쁜투표거부 운동본부가 <2안>의 홍보 대신 투표를 거부하고 있다'며 '이는 주민투표 관리규칙에서 정한 대표단체 제도의 취지에 배치된다'며 '나쁜투표거부 운동본부'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고발하였으며, 대표단체 효력을 정지를 신청하였다.‘나쁜투표거부 시민운동본부’ 고발당한 이유 코나스넷 2011년 8월 12일 하지만 2007년 9월 한나라당도 광역 화장장을 유치하려는 김황식 하남시 시장의 정책에 반대해 김 시장의 거취를 둘러싼 주민투표가 진행됐을 때 한나라당은 그의 낙마를 막기 위해 대대적인 '투표 불참 운동'을 펼친것이 드러나면서 투표거부운동을 비판하는 한나라당과 보수세력들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목사님, 주민투표 거부 '원조'는 한나라당인데요 오마이뉴스 2011년 8월 서울시교육청은 무상급식 주민투표 불참을 유도하는 이메일을 교사와 학부모 등에게 보냈고 선거관리위원회는 서울시교육청 공보담당관 A씨를 고발하고 곽노현 교육감에 대해서는 수사를 의뢰했다.市선관위, 교육청 공보담당관 고발·교육감 수사의뢰 뉴시스 주민투표 홍보요원에 대한 폭행 사건도 일어났다. 경찰에 따르면 2011년 8월 22일 송파구 잠실역 앞에서 주민투표 홍보 전단을 나눠 주던 시민단체 회원을 넘어뜨려 폭행한 문모(44)씨 등 3명이 선거관련 폭행 혐의로 입건됐다. 지난 12일에는 유모(53)씨가 만취(滿醉) 상태에서 주민투표 현수막이 시야를 가린다며 가위로 찢어 입건되는 등 11건의 선거 현수막 훼손이 적발됐다. 주민투표법 제2조 제1항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주민투표권자가 주민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제28조는 “투표인에 대하여 폭행·협박 또는 불법으로 체포·감금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투표의 자유를 방해한 자”에 대하여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주민투표 거부운동은 헌법정신 파괴행위 = = 투표 결과 = = 최종 투표율 25.7%를 기록하여 주민투표 성립조건인 33.3%를 넘기지 못하여 주민투표가 무효가 되면서 개표가 무산되었다. 서초구가 36.2%로 투표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강남구, 송파구 등은 투표율 30%를 넘어 서울시에서 투표율 1위~3위를 기록했다. 금천구, 관악구 등은 20% 초반대의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오전에 노년층이 대거 투표장으로 몰리면서 6.2 지방선거때 같은 시각의 투표보다 높게 나오면서 33.3%를 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왔으나 점심시간을 지나면서 증가세가 눈에 띄게 줄었고 퇴근시간 이후 젊은층과 직장인의 투표참여가 저조해 소폭상승에 그쳤다.주민투표 최종 투표율 25.7%‥개표 무산 mbc 2011년 8월무상급식 주민투표 시간대별 투표율(최종)연합뉴스2011-08-24 21:56 = = = 반응 = = = 주민투표 결과에 대해 민주당 손학규는 "복지는 민생이고 시대 흐름이다. 오늘은 대한민국이 복지사회로 가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추진해온 무상 복지 시리즈도 탄력을 받을거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곽노현은 "서울시교육청은 계획대로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할 것이다. 서울시민들이 옳은 선택 해주셨다"라고 말했다.내 아이 급식은? 초등생 전원 2학기 무상급식 mbc 2011년 8월 그러나 투표를 하지 않은 모든 시민들이 전면 무상급식에 찬성한 것이라는 해석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반민주적 작태로 개함하지 못했으나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 시장을 찍은 수보다 더 많은 유권자가 투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투표 거부로 투표함을 열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해 진짜 민심을 확인하지 못했을 뿐이란 오세훈 시장의 사실상 승리"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민주당 측 투표 거부운동에도 불구하고 보수층 결집을 이뤘다는 것.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오 시장이 주장한 단계적 무상급식을 찬성하는 여론이 높았다는 점도 들었다.투표거부 민주사회서 있을 수 없는일 '사실상 승리'라는 발언에 대해 박경철은 "25% 투표율이 ‘사실상’ 승리라면 파리도 ‘사실상’ 새라고 봐야한다"라고 비꼬았으며, 진중권은 "나도 싱크로율로 보면 사실상 장동건"이라고 말했다.홍준표 “사실상 승리” 풍자…‘사실상’ 패러디 급속 확산 경향신문 2011년 8월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오세훈의 독단적인 주민투표 추진과 패배에 대해 성토가 나오기도 했으며 주민투표 역풍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청와대도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해 아무런 지원도 하지 않은 박근혜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되기도 했다.“서울시장 초대형 보선 … 대재앙 온다” 한나라 공포 중앙일보 2011년 8월 자유선진당은 "투표 불참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이전투구에 대한 무관심의 표출"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민주노동당은 " 무상급식의 정당성을 재삼 확인한 계기였다"고 평가했다.투표무산 반응‥與 "야당 책임" 野 "시민의 심판" mbc 2011년 8월 그러나 서울시민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 주민투표 결과가 민의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견해가 많았다. 주민투표 결과는 민의를 반영하지 못한 것'(48.4%)이란 불만이 '투표율이 유효 기준인 33.3%에 못 미친 것은 전면적 무상급식 실시를 서울 시민이 동의해준 것'(32.0%)이라고 만족하는 비율에 비해 높았다. 무상급식 주민 투표가 끝난 25일 조선일보와 미디어리서치 공동 여론 조사에 따르면 단계적 무상급식지지가 55% 전면 무상급식 지지가 38%로 나왔다. 이 결과에 대해 이계성은 코나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투표를 하면 자기들이 질 것이 뻔하자 주민투표 불참운동을 벌여 서울시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주민투표법·교육감선거법 위반 곽노현을 구속 수사하라 오세훈은 최종 투표율 결과가 나오자 기자회견을 갖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주민투표 패배 이후로 오세훈의 사퇴 시기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와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10월 재보선 이후에 사퇴하여 2012년 총선에서 재보선을 하도록 사퇴연기를 제안했다.오세훈 "결과 겸허히 수용"‥사퇴 시기 미정 mbc 2011년 8월 한나라당도 일각에서는 "서울시장 재보선을 최대한 빨리해 총선과 대선에 미칠 영향력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오세훈 사퇴시점 논란..정국 '뇌관' 급부상 연합뉴스ㅜ 2011년 8월 민주당도 오세훈의 즉각 사퇴를 요구했다. 청와대도 오세훈의 즉각 사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으나 이명박은 별다른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靑, 부글부글 끓는 속내...“오세훈 조기 사퇴 불가” 헤럴드경제 2011년 8월 8월 26일 오세훈은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제안을 거부하고 시장직을 사퇴하였다. 한나라당과 홍준표는 "국익이나 당보다도 개인의 명예가 더 중요하다는 것은 당인의 자세가 아니고 조직인의 자세가 아니다. 오 시장이 당이나 국가를 도외시하고 자기 모양만 중요시한다. 어젯밤 10시쯤 오 시장이 집으로 찾아왔기에 쫓아내면서 `앞으로 다시는 볼 일 없을 것'이라고 했다"라며 매우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 홍준표는 오세훈이 '당과 사전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주민투표를 강행한 것', '주민투표율과 시장직을 연계한 것', '10월 초 사퇴 약속을 번복하고 즉각사퇴를 결행한 것' 등 3가지를 '3번 농락'으로 표현했다.홍준표, 자택 찾은 오세훈에 "다시 볼 일 없어 연합뉴스 2011년 8월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남 생각 안하고 자신만 생각하는 냉혈한"이라고 비판했다.정두언 "오세훈, 자신만 생각하는 냉혈한" 머니투데이 2011년 8월 주민투표 이후 무상급식에 찬성하며 투표거부를 하던 민주당과 야권인사들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했고 투표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한나라당 박근혜도 지지율이 5.4%하락한 28.4%를 기록하며 책임론에 휩싸였다. 그러나 주민투표를 추진했던 오세훈, 나경원 등은 차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에서 1위와 2위에 올랐다. 민주당은 정당지지율이 1.1%하락하여 27.5%로 나타났으며 한나라당과 지지율 격차는 8.5%로 벌어졌다. 손학규 민주당대표는 6.8%에서 5.4%로 대폭 떨어져 순위에서도 3위에서 6위로 크게 밀려났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일반 유권자들은 민주당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보는 것 같다"며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한나라당 뿐 아니고 민주당 입장에서도 '완전한 승리'를 거둔 쪽은 없다"고 분석했다.박근혜 지지율 20%대 추락, 민주당 덩달아 하락은 왜? 일부 보수주의자들은 미국발 재정위기로 논란이 되고 있는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이 많아질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한다.포퓰리즘 기승 속 `16개월 선거戰` 스타트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끝나고 오세훈이 사퇴한 뒤인 2011년 8월 이후로 안철수 열풍이 정치권을 강타했다. 한때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설이 나오면서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며, 차기대선 후보 여론조사에서 박근혜를 제치기도 했다. 한나라당은 '오세훈이 주민투표를 강행하고 사퇴하면서 안철수 열풍의 원인을 제공하다'라면서 오세훈에 대한 성토가 나오기도 했다.오세훈 탓에 의정보고 금지… "한나라 '부글부글' 노컷뉴스 2011년 9월 = = = 영향력 = = = 2011년 8월 현재 서울의 무상급식은 초등학교 1~3학년까지만 실시되고 있으나 서울시교육청은 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2011년 2학기에는 모든 초등학생에게, 2012년에는 중1, 2013년엔 중2, 2014년엔 중3 학생에게까지 무상급식을 할 계획이다. 오세훈의 시장 사퇴로 인해 오세훈이 추진하는 주요 정책인 한강 르네상스 등이 차질을 빚게 될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오세훈이 조기에 사퇴하면 그동안 오세훈과 함께 일해왔던 부시장이 대행하지만 정국의 흐름이 야당으로 넘어간 상황이기 때문이다.서해뱃길 백지화, 한강르네상스 불투명 아시아경제 2011년 8월 시장직을 사퇴한 오세훈은 보수진영 쪽에서 입지가 높아졌다는 평가도 있다. 차차기 대선이 열리는 2017년을 기준으로 보면 ‘정치인 오세훈은 잃은 것보다 얻은 게 많다’는 해석도 있다. 누구도 야당의 무상복지 시리즈를 견제하지 못한 상황에서 보수의 대안 이미지를 각인시켰다는 분석이다.오세훈, 잃은 것보다 얻은 게 많다? 조갑제는 ‘오세훈 세력’이 “주민투표를 성사시키는 과정에서 새로 조직된 시민단체, 무엇보다도 투표장에 나간 215만 7772명, 그리고 투표장엔 나가지 않았지만 오세훈안을 지지하는 시민들”이라며 “분노와 아쉬움과 배신감이란 감정을 공유한 집단이므로 막강한 것”이라고 말했다.오세훈 시장, 즉각 사퇴로 책임 다하겠다. = 분류:인도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 오준영 (1889년) = 오준영(吳駿泳, 1889년 11월 1일 ~ ?)은 일제강점기 초기의 경찰이다. = = 생애 = = 한성부에 설치된 국립 초등학교인 관립소학교 고등과를 1898년에 졸업하여 일찍 신교육을 받았다. 1907년에는 사립학교인 경찰습문학교를 졸업하여 경찰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1908년에는 애국계몽 운동 계열에서 설립한 사립학교인 보광학교 일어과에서 일본어를 수학했다. 그해 통감부 경무국에 통역생으로 채용되어 전라남도 순천경찰서에 발령받았다. 1910년에는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총독부 소속으로 이동했고, 전남 여수경찰서와 제주경찰서에서 차례로 근무했다. 1912년에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으며, 최종 계급은 경부였다.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경찰 부문에 포함되었다. = 가린토 = 가린토(일본어 : かりん糖)는 일본의 전통과자이다. 막대 모양을 가진 과자로 소맥분에 물과 이스트를 반죽하여 식용유로 튀겨낸 후 흑설탕과 벌꿀을 바른 단맛이 나는 과자이며 주로 일본 현지에서 맛볼 수 있다. 한국의 해태제과식품 맛동산이 바로 이 과자를 본떠 만들었다. = 분류:기원전 301년 사망 = = 분류:아편을 소재로 한 작품 = = 조 엥겔 = 조지프 윌리엄 엥겔(, 1893년 3월 12일~1969년 6월 12일)은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스카우트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좌완 투수로 뛰었다. 선수 시절 커리어의 대부분을 워싱턴 세너터스에서 뛰었으며, 신시내티 레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도 몸담았다. 은퇴 이후에는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팀인 채터누가 룩아우츠의 구단주로 이름을 알렸다. 1969년에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아리따글꼴 = 아리따 글꼴은 고딕계열의 트루타입(True Type) 글꼴이다. 홍익대학교 안상수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한재준 교수, 글꼴 디자이너 이용제 등이 제작하였고, 한글 1만1172자, 영어와 숫자 94자, KS코드 기준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아리따돋움, 아리따부리(2014년 추가), Arita Sans(2012년 추가, 영문글꼴)로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thin-light-medium-semibold-bold의 5가지의 굵기를 제공한다. 2006년 한글날을 기념하여 아모레퍼시픽이 개인 및 기업 사용자에게 무료로 공개했으며 2012년에는 네덜란드의 대표적 디자인 그룹인 스튜디오 둠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역임한 미셸 드 보어(Michel de Boer)에게 영문글꼴 디자인을 의뢰하여 개정한 3.0버전을 발표하였다. 지적재산권은 아모레퍼시픽에 있다. = 프로당구협회 = 프로당구협회(프로撞球協會, , PBA)는 대한민국의 프로 당구를 관할하는 스포츠 행정 기구이다. PBA 투어, PBA 팀리그를 주관한다. = 분류:나라별 당구 단체 = = 분류:1915년 오스만 제국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 김옥경 (성우) = 김옥경(1963년 1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86년 KBS 20기 공채 성우로 데뷔했다. = =주요 활동작 = = = = = 애니메이션 = = = 20 면상의 아가씨(애니맥스) - 노조미 강철의 연금술사(애니원) - 러스트, 윈리 엄마 / 레오, 릭의 엄마(24화) 겁쟁이 다람쥐 토토리(애니맥스) - 마마 격부술사 요역문(챔프) - 믹 / 하루에 꾸러기 수비대(KBS) - 미미 / 사천왕 4호 / 대마왕 마라 / 타조(4화) / 재크(7화) / 피노키오(8화) 꾸루꾸루와 친구들(KBS) - 토토 날아라! 특공대(EBS) 달의 요정 세일러문(애니원, 챔프) - 퀸 베릴 덕수학교&장흥회덕중학교 - 한지혜 동쪽의 에덴(투니버스) - 누님 디지몬 고스트 게임(재능TV) - 코에몬, 아라크네몬 또롱이는 멋져!(EBS) - 해설 / 꼼꼼이 아줌마 루팡 3세 TV스페셜#1(애니박스) - 후지코 마법기사 레이어스 OVA(애니박스) - 에메로드 공주 / 알시오네 마이씬 자메이카(투니버스) - 딜런시 막내둥이 또또(EBS) - 시쿰 말괄량이 삼총사(KBS) - 알렉스 매콤한 가족(EBS) - 엄마 명탐정 코난(투니버스) - 남보영 무지개 요정 큐티하니(SBS) 반드레드(챔프) - 마그노 비반 별나라 요정 코미(KBS) - 트랄라 공주 별난 깜찍 수호천사(EBS) - 깜찍 브리스톨 탐험대(KBS)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카툰네트워크) - 빌리 뾰로롱 꼬마마녀(KBS) - 폐폐 / 데이지 사자왕 가오가이거(KBS) - 한별 소년 음양사(애니맥스) - 타카오 노카미 스페이스 힙합덕(KBS) - 힙합덕 신밧드의 모험(KBS) - 시에라 썬더 일레븐 GO(재능TV) - 서믿음 아프리카 마법여행(KBS) - 갈라 / 화분 야호 응가네(EBS) - 엄마 얼렁뚱땅 몬스터 사냥꾼(카툰네트워크) - 소크라테스 엘하자드 OVA(애니박스) - 미즈 / 룬 비너스 / 나하트 엘하자드 OVA2(애니박스) - 미즈 여기는 공원 앞 파출소(투니버스) - 모모 외계인 붐(MBC) 원피스(투니버스) - Dr. 쿠레하 윈디 테일즈(애니맥스) - 나오 엄마 유틸리티 파이터(SBS) 이웃집 아이들의 무시무시한 모험(카툰네트워크) - 빌리 전투요정소녀 메이브(애니박스) - 실피드 절대가련 칠드런(챔프, 애니박스) - 후지코 정말 웃기는 마을(니켈로디언) - 재닛 창작 애니메이션 스페셜(SBS) - 숟가락 출발! 모나리자호 미술탐험대(KBS) - 콘포미아 여왕 코라의 전설 - 카야(아앙의 딸) 타잔(KBS) - 제인 탑 블레이드(SBS) - 엔리코 / 마리오 / 파뮬라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니켈로디언) - 완다 / 안티완다 파워마스크(KBS) 파이 브레인 - 신의 퍼즐(재능TV) - 큐빅 판타스틱4(챔프) - 수 리처드 프리파라(MBC) - 글로리아 하야테처럼!(애니맥스) - 키지마 사키 / 카츠라 유키지 환상의 풍선여행(EBS) - 루시아 초속변형 자이로제타 (투니버스) - 홍루비 라푼젤:끝나지 않은 이야기(디즈니채널) - 카산드라 몬스터 근무일지 (디즈니+) - 실리아 / 라즈 / 로즈 = = = 애니메이션 영화 = = = 슈렉 - 피오나 공주 슈렉 2 - 피오나 공주 슈렉 3 - 피오나 공주 슈렉 포에버 - 피오나 공주 헷지 (KBS) - 스텔라 (완다 사이크스)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챔프) - 아미고레이(여)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챔프) - 금파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L 사이즈의 행복 (애니원) - 하나코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P의 비극 (애니원) - 미츠에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낭만 상인 (애니원) - 여자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쓰레기를 부르는 집 (애니원) - 켄타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아빠는 열세살 (애니원) - 에미리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전무의 개 (애니원) - 아줌마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 - 한낮의 꿈 (애니원) - 여 아나운서 뽀빠이의 모험 (챔프) 스타체이서 (KBS) - 실리카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OVA (애니맥스) - 들개 블랙잭 극장판 - 두 명의 검은 의사 (애니박스) - 쿠미코 바비의 백조의 호수(투니버스) - 오딜 토르: 마법망치의 전설 - 헬 엘라의 모험 2: 백설공주 길들이기 - 여왕 몬스터 주식회사 - 셀리아 몬스터 대학교 - 여자 아나운서 쿠스코 쿠스코 - 파차 부인 폭풍우 치는 밤에 - 가부 엄마 하울의 움직이는 성 - 패니(소피의 새엄마) 새미의 어드벤처 2 - 리타 / 콘수엘로 크루즈 패밀리 - 우가 (캐서린 키너) 극장판 썬더일레븐 GO VS 골판지 전사 W - 서믿음 부그와 엘리엇 2 - 바비 로덴시아: 마법왕국의 전설 - 왕비 화이트 고릴라 - 폴라 엄마 이집트 왕자 - 여왕 어네스트와 셀레스틴 - 라그리즈 (앤-마리에 루프) 엘라의 모험 2: 백설공주 길들이기 (KBS) - 베인 아더와 미니모이 (KBS) - 아더 엄마 (페니 밸포어) 굿 다이노 - 램지 노틀담의 꼽추 2 - 에스메랄다 마이펫의 이중생활, 마이펫의 이중생활 2 - 클로이(러시안 블루) 발레리나 - 까미유의 엄마 아이스 에이지 4: 대륙 이동설 - 시드의 엄마 프린스 코기 - 여왕 스파이 지니어스 - 조일러스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시수 DC 리그 오브 슈퍼-펫 - 머튼 = = = 영화 = = = 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 (KBS) - 마리 (뤼스 무셸)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2 (KBS) - 베티 (제인 크라코스키) 고백 (KBS) - 신부(수잔 마이어스) 귀여운 여인 (SBS) - 키트 (로라 샌 자코모)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KBS) - 앤 (캐서린 보로위츠) 그림 형제 - 마르바덴 숲의 전설 (KBS) - 안젤리카 (리나 헤디) 기사 윌리엄 (KBS) 나의 그리스식 웨딩 (KBS) - 불라 (앤드리아 마틴) 나의 그리스식 웨딩 2 (KBS) - 불라 (앤드리아 마틴) 남편이 어려졌어요 (KBS) - 슈테피 (헤이케 코슬로스키) 내일을 향해 쏴라 (KBS) - 마을 사람(린 맥시) 너티 프로페서 (KBS) - 칼라 (제이다 핑킷 스미스) 대부 2 (SBS) - 코니 (탈리아 샤이어) 대부 3 (SBS) - 코니 (탈리아 샤이어) 데블스 에드버킷 (KBS) - 크리스타 (코니 닐슨) 데이라잇 (KBS) - 그레이스 캘러웨이 (바네사 벨 캘러웨이) 데이비드 게일 (KBS) - 니코 (멀리사 매카시) / A.J.(콘스탄스 존스) 델리카트슨 사람들(KBS) - 줄리(마리로어 더그나크) 디디에 (SBS) 디오스 (SBS) - 경찰(크리스티나 마르코스) 라간 (KBS) - 엘리자베스 (레이철 셸리) 라이어 라이어 (KBS) - 미란다 (어맨다 도노호) 라카와나 블루스 (KBS) - 폴린 (메이시 그레이) 러브 체인지 (KBS) - 안드레이 마리나 (크리스티나 오르바케이트) 런어웨이 브라이드 (KBS) - 페기 (조앤 큐잭) 레옹 (KBS) - 마틸다의 엄마(엘런 그린)/이웃집 할머니(제시 코시안) 레인 피플 (KBS) - 고든의 딸(마리아 짐멧) 마법사, 롬바르도 (EBS) - 엄마 (시세 바벳 크누센) 마이 러브 (KBS) 마이클 클레이튼 (KBS) - 카렌 크라우더 (틸다 스윈턴) 마이티 조 영 (KBS) - 세실리 뱅크스 (리자이나 킹) 맘보 킹 (KBS) 맨 인 블랙 (KBS) - 이르마 에들슨 (노마 진 그로) 무서운 영화 2 (KBS) - 브렌다 (레지나 홀) 뮬란 - 마녀(공리) 미스터리 알래스카 (KBS) - 읍장 아내(롤리타 다비도비치) 백 투 더 퓨처 2 (KBS) - 로레인의 친구(리자 프리맨) / 여자(주디 오디츠) 사랑과 영혼 (KBS) - 오다의 동생(게일 보그스) / 경찰(로라 드레이크) / 은행 직원(샤롯 주커)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 (KBS) - 마리 드샐 (리사 보넷) 사랑의 이중주 (KBS) - 베키(돈 밀런)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 (KBS) - 조이 (프랜시스 맥도먼드) 사이코 4 (KBS) - 프랜 엠브로스 (CCH 파운더) 석양의 무법자 (KBS) - 마리아 (라다 라시모프) 성룡의 나이스 가이 (KBS) 소울 메이트 (KBS) - 애나(크리스틴 카바나) 솔저 (SBS) 수퍼 소닉 - 안보부 직원(엘피나 룩) 스타쉽 트루퍼스 (KBS) - 카트리나(블레이크 린드슬리) / 카알의 엄마 / 안내 방송 아메리칸 코만도 (SBS) 애니 기븐 선데이 (SBS) - 바네사 스크러더스 (레라 로천) 어글리 멜라니 (KBS) - 멜라니 엄마 (샹탈 로비) 어썰트 13 (SBS) - 아이리스 페리 (드레이 더 머테이오) 언터처블: 1%의 우정 (KBS) - 드리스의 엄마(실리마타 가마테) 에반 올마이티 (KBS) - 리타 (완다 사이크스) 에이리언 4 (KBS) - 힐리스 (킴 플라워스) 유령작가 (KBS) - 아멜리아 블라이 (킴 캐트럴) 이클립스 (KBS) - 빅토리아 (브라이스 댈러스 하워드) 이터널스 - 에이잭(셀마 헤이엑) 인공지능 하우스 (KBS) - 팻 (케이티 사갈) 자유로운 세계 (KBS) - 로즈 (줄리엣 엘리스) 정고전가 (KBS) - 회사 직원(안려여) 제로 톨러런스 (KBS) - 안나 (자클린 라멜) 주어러 (KBS) - 줄리엣 (앤 헤이시) 챠이라이 미녀특공대 (KBS) - 재스민 첫 키스만 50번째 (KBS) - 알렉사(루시아 스트러스) 최가박당 3 (KBS) 카라멜 (KBS) - 자말 (지젤 아우에드) 칼리의 열 번째 여름 (KBS) - 힐퍼스 부인 딸 쿼바디스 (SBS) 클루트 (KBS) - 알린 (도러시 트리스턴) 톰과 제리 - 롤라(크리스티나 청) 튜니티라 불러다오 (KBS) - 튜니티와 밤비노의 어머니(제시카 더블린) 파이터 (KBS) - 필리스 비버 에클런드 (케이트 B. 오브라이언) 패딩턴 (KBS) - 메리 브라운 (샐리 호킨스) 펄프 픽션 (KBS) - 파비안(마리아 드 메데이로스) 포인트 블랭크 (KBS) - 파브르 (미레이유 페리에) 포트리스 (KBS) 폭풍의 질주 (KBS) - 제니(캐럴라인 윌리엄스) 프린세스 다이어리 (KBS) - 쿱타 교감 (샌드라 오) 플루토에서 아침을 (KBS) - 브래이든 부인(루스 맥케이브) / 나이트클럽 여인(앤토니아 캠벨휴즈) / 가정부(메리 코클란) 헐리우드 엔딩 (KBS) - 알렉산드라(매리언 셀데스) / 영화 배우(에리카 리어슨) 호커스 포커스 (KBS) - 사라 (사라 제시카 파커) 화성의 유령들 (KBS) - 경감 (팸 그리어) OK 목장의 결투 (KBS) - 버질의 아내(조안 캄덴) / 클랜튼와 빌리의 어머니(올리브 캐리) 13일의 금요일 6 (KBS) 21그램 (KBS) - 마리앤 (멀리사 리오) 7월 4일생 (KBS) - 마리아 (코델리아 곤살레스) = = = 외화 = =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챔프) - 야요이 / 레이 닥터 후 (KBS) - 선장(시즌 3) / 빌리스(2011 크리스마스 스폐셜) / 대위(시즌 7) 더 컬렉션(KBS) - 마조리(사라 패리쉬) 사랑의 마을 에버우드 (EBS) - 니나 피니 (스테퍼니 니즈닉) 셜록 (KBS) - 웬서슬러스(헤이든 그윈) 신드바드 (KBS) - 타린 (올라 브래디) 업보 (KBS) - 킴 위기의 주부들 (KBS) - 이디 브릿 (니콜레트 쉐리든) 죽어도 예쁜 걸 (투니버스) - 아가사 (줄리 애커슬리) 찰리야 부탁해 (디즈니채널) - 에이미 던컨 (리앨린 베이커) 측천무후 (SBS) - 소숙비 한여름 밤의 꿈 (KBS) - 티타니아(맥신 피크) = = = 게임 = = = 이리너 = = = 방송 = = = 1 대 100 (KBS) - 2012년 1월 17일 출연 속풀이쇼 동치미 (MBN) - 2020년 3월 14일 출연 = = = 라디오 = = = 환타지 특급 - 드래곤 라자 (KBS) - 네리아 KBS 라디오 극장 10년(이회영과 젊은 그들) (KBS) - 이은숙 KBS 무대 벌레가족 - 오미숙 = 켈리 슬레이터 = 켈리 슬레이터(Kelly Slater, 1972년 2월 11일 ~ )은 미국의 서퍼이다. ASP에서 11번 월드 챔피언을 하였다. = 벨라트릭스 레스트랭 = 벨라트릭스 레스트랭(Bellatrix Lestrange)은 J.K. 롤링의해리 포터시리즈의 등장인물이다. = = 소개 = = 죽음을 먹는 자이다. 볼드모트를 사랑하고 마지막까지 그에게 충성을 다했으며, 책 저주받은 아이에서는 볼드모트의 아이가 등장하기도 했다. 벨라트릭스의 동생으로는 나시사 말포이와 안드로메다 통스가 있고, 시리우스 블랙과는 사촌누나 사이이다.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에서 몰리 위즐리에게 분해 마법을 맞고 먼지가 되어 죽었다. 델피니 리들이라는 볼드모트와의 딸이 있다. = 분류:세기별 시작 = = 틀:나라자료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 에센셜 폰 = 에센셜 폰(Essential Phone, 공식 명칭: Phone 또는 PH-1)은 안드로이드의 공동 창업자 앤디 루빈에 의해 설계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제조, 개발, 마케팅은 에센셜 프로덕츠가 맡았다. 이 전화는 2017년 5월 30일 공개되었다. 에센셜 폰은 티타늄, 세라믹 바디, 고릴라 글래스로 보호되는 디스플레이, 듀얼 렌즈 카메라(그 중 한 렌즈는 흑백 사진 전용 센서)를 갖추고 있다. 360도 카메라를 장치 위에 부착할 수 있다. = = 역사 = = = = = 출시 이전 = = = 블룸버그는 2017년 1월, 2005년에 구글에 인수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공동 설립자 앤디 루빈이 최초의 하드웨어 제품이 "에센셜" 폰이 될, 에센셜(Essential)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하드웨어 기업의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 전화는 2017년 3월 27일 루빈에 의해 게시, 트윗되며 모습을 처음 드러냈다. 트위트의 인용에 따르면 알파벳의 회장 에릭 슈밋은 이 전화가 안드로이드를 실행할 것임을 확인했다. 공식 발표 며칠 전, 에센셜은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360도 카메라의 사진을 트윗했다. 더 버지는 루빈의 기술 콘퍼런스에서 관객 앞 발표 수시간 전 2017년 5월 30일 이 장치에 대해 단독 보고하였다. = = 사양 = = = = = 하드웨어 = = = 에센셜 폰은 티타늄, 세라믹 몸체가 있으며, 고릴라 글래스 5로 보호되는 19:10 화면비의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으며, 스냅드래곤 835 프로세서, 4 GB의 RAM, 128 GB의 스토리지를 탑재하고 있다. 이 전화에는 2개의 13 MP 카메라(f/1.85 렌즈)가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흑백 사진의 전용 모노크롬 센서 역할을 한다. 전면 카메라는 8 MP 센서(f/2.2 렌즈)가 포함된다. 블랙, 그레이, 화이트, 오션 뎁스(Ocean Depths) 색으로 판매된다. 360도 카메라를 기기 최상단에 장착할 수 있으며 충전 독 액세서리 또한 이용할 수 있다. USB-C 단자가 있으나 3.5 mm 폰 커넥터는 없다. 두 번째 클릭 커넥터 장치는 충저너 독이 된다. 2018년 1월 기준으로 헤드폰 잭이 있는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으며, 더 많은 액세서리들이 출시될 예정이었지만 에센셜 프로덕츠의 폐업으로 불가능해 졌다, = = = 네트워크 호환성 = = = 에센셜 폰은 미국의 4대 무선 통신사업자들과 호환되지만, 독점 파트너사는 스프린트이다. 캐나다에서는 텔러스가 독점 파트너사이다. 2017년 7월, 에센셜은 다른 시장에 에센셜 폰을 판매할 계획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여기에는 EE와의 파트너십 가능성이 있는 영국, 그리고 일본, 유럽이 포함된다. 대역 대역 대역 대역 대역 대역 CDMA EV-DO Rev. A GSM UMTS 롱 텀 에볼루션 롱 텀 에볼루션 TD-SCDMA 0, 1, 10 850/900/1800/1900 1, 2, 4–6, 8 1–8, 11–13, 17, 20, 21, 25, 26, 28–39, 66 38–43 34, 39 = = = 소프트웨어 = = = 에센셜 폰은 수정이 없는 안드로이드를 구동한다. 언락된 부팅 기능이 있으므로 중요 개발자 커뮤니티가 잠재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더 수정할 수 있게 허용한다. 루빈은 2017년 8월 16일 블로그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2년의 안드로이드 업데이트와 3년의 월별 보안 패치를 약속하였다. = = 스페셜 에디션 = = 2018년 2월, 에센셜 웹사이트에 이 전화에 대해 새로운 3가지 색이 판매될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그 색으로는 Ocean Depths, Stellar Gray, Copper Black이 포함된다. 아마존 에센셜 폰 한정판 또한 "헤일로 그레이"(halo grey)색으로, 알렉사가 내장되면서 그 달 런칭되었다. = = 문제점 = = = = = 멜트다운과 스펙터 = = = 2018년 1월, 이 전화에는 멜트다운과 스펙터 취약점을 수정하는 패치를 이 문제가 드러난 직후 긴급하게 제공되었다. 이 일이 있기 전까지 구글의 전화만이 이 취약점들이 패치되었다. = = = 판매 지연 = = = 루비는 2017년 5월 30일 에센셜 폰이 약 30일 내에 배송될 것이라 발표하였다 (예: 2017년 6월). 예정된 일정에 충족되지 않았고 에센셜은 매체들에 응답하지 않았다. 7월 중순, 루빈은 잠재적인 고객들에게 이메일을 보내어 통신사 인증과 테스팅이 진행 중임을 언급했으며 수주 안에 이 장치가 배송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수차례의 지연과 정확한 출시일의 미비 이후 베스트 바이는 에센셜 폰을 목록에 올려놓았으며, 8월 17일 본격화되었다. 2017년 8월 9일, 루빈은 이 전화가 대량 생산되고 있으며 출시일이 다음 주에 발표될 것이라 발표하였다. 그 이후 루빈이 고객들에게 보낸 이메일에 따르면 에센셜 폰은 8월 넷째 주에 배송이 시작됨이 확인되었다. 8월 25일 일괄 배송이 시작되었다. = = = 고객 데이터 유출 = = = 2017년 8월 29일, 에센셜 폰을 주문한 수백 명의 고객들이 @essential 주소로부터 이메일을 받기 시작했다는 보고가 등장하였다. 이 이메일에는 "최근의 주문의 처리를 완료하기 위한 정보 확인을 위해" 공식적으로 보이는 고객의 포토 ID의 요청이 포함되었다. 나중에 에센셜의 트윗에 따르면 일부 고객들이 받은 최근 이메일에 대해 인지하였으며 조사 중이며 문제를 해소할 단계를 밟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루빈은 개인적인 사과의 의미로 이번 영향을 받은 고객들에게 1년 간의 라이프록(LifeLock)을 제공했다. 약 70명의 사람들이 영향을 받았다. 일부 고객들의 운전면허증이 이메일을 통해 유출되기도 했다. 데이터 유출로 영향을 받은 고객들은 전화를 무료로 받았다. = = 후속 제품 = = 에센셜의 디자이너에 따르면 PH-2가 현재 개발 중이다. = = 추가 문헌 = = Android Central — Essential offers a sneak peek at its camera capabilities = 박지원 (쇼트트랙 선수) = 박지원(1996년 9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15년부터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 학력 = = 경포초등학교 → 서울한산초등학교 동북중학교 → 화수중학교 행신고등학교 단국대학교 = 분류:미니애폴리스 출신 = = 분류:도마뱀상과 = = 카롤 = 카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카롤 리네티: 세리에 A 소속 팀인 삼프도리아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는 폴란드의 축구 선수 카롤 부케: 프랑스의 배우 카롤 2세: 루마니아 왕국의 국왕 카롤 1세: 루마니아의 공작이자 루마니아 왕국의 초대 국왕(재위: 1881년 3월 26일 ~ 1914년 10월 10일) 카롤 시마노프스키: 폴란드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카롤 보르수크: 폴란드의 수학자 카롤 디빈: 슬로바키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롤 로셰: 프랑스의 배우 카롤 세비야: 멕시코의 배우, 가수 카롤 G: 콜롬비아의 가수 카롤 사마하: 레바논의 가수, 배우 카롤 프랑크: 프랑스의 배우 = 분류:2017년 여자 축구 = = 분류:뉴기니섬 = = 분류:영남대학교 축구부의 축구 감독 = = 분류:동독의 외국인 = = 스페이스샤워TV = 스페이스 샤워 TV는 일본의 최대 음악채널이자, 일본 최초의 음악채널이다. = = 연혁 = = 1989년 1월- 스페이스 샤워(주)설립. 1989년 12월- 채널 개국. 1992년 6월- CS BAAN으로부터 아날로그 방송을 개시. 1993년 12월- 회사 분리.(이때 회사 셉(SeP)이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스카이퍼펙 방송 개시. 1997년 3월- 주 공간을 청산함. (이때 새로운 장소로 이전한다.) 2002년 4월- 뮤직비디오 전문 채널 개국. 2004년 9월- 회사 명칭을 스페이스 샤워 TV·프로듀싱으로 변경. 2005년 4월- 명칭을 스페이스 샤워 TV로 변경. 2008년 3월- 스페이스 샤워 TV 해산. (이 때 사업을 스페이스 샤워 네트워크로 넘기게 된다.) 2009년 10월- 스카이퍼펙 HD, 히카리TV, eo광티비 HD 방송 개시. 2010년 1월-16:9 SD로 변경함. = = 채널 번호 = = 스카이퍼펙, 스카이퍼펙HD- 332,632번 eo광티비- 838번 히카리TV-650번 JCN-501번 J:COM-350번 = 운용로 (청도 경산) = 운용로(Unyong-ro)는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운문댐삼거리에서 경산시 용성면을 잇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청도군 (운문면 - 금천면) - 경산시 (용성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운문댐삼거리 국도 제26호선(청려로) 청도군 운문면 한내고개 청도군 금천면 소천교 청도군 금천면 미산교 경산시 용성면 원효로와 직결 원효로와 직결 원효로와 직결 원효로와 직결 원효로와 직결 =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 =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聞慶 觀音里 石造半跏思惟像)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계립령 아래 밭 언저리에 있는 반가사유상이다.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5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10월 21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48호로 승격 지정되었다.경상북도 고시 제2019-313호,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376호, 146~156쪽, 2019-10-21 = = 개요 =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계립령 아래 밭 언저리에 있는 반가사유상이다. 계립령 아래 관음원이 있었다는 기록과 불상 주변에서 발견된 기와조각들, 동쪽 200m쯤 떨어진 곳에 있는 5층석탑 등으로 보아 이 주변을 관음사 옛 절터로 추정하지만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 작은 바위면에 양각되어 있는 사유상은 머리에 삼면화관을 썼으며, 얼굴은 원만하며 미소가 보인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구부러져 턱을 받치고 있으며 왼손으로는 왼쪽 무릎 위에 올린 오른발을 잡고 있다. 몸에 비해 오른팔이 너무 짧고 무릎 이하는 불분명하며, 왼쪽다리는 생략되어 있다. 사유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는 선으로 구분되어 있을 뿐이다. 광배(光背)는 일부 떨어져 나간 것 같으며, 5개의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지만 세부묘사는 잘 보이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풍화가 심해 세부 표현을 제대로 알 수 없고 조각수법도 뒤떨어진다. = = 유형문화재 지정사유 = = 이 불상은 약 188㎝ 높이의 자연석 서쪽면에 浮彫된 반가사유상이다. 반가사유상의 왼쪽 다리 일부와 대좌 하부는 지표 아래에 묻혀 있고 전체적으로 표면 마모가 심한 편이다. 정면 향을 취하고 있으며 오른손은 턱에, 왼손은 반가좌한 오른쪽 발목에 두고 있다. 조성 시기는 불상의 표현기법 등으로 보아 7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형식의 희소성, 불상의 입지, 제작시기 등을 고려할 때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판단되므로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 아울러, 불상의 보호조치가 시급한 상태이며, 향후 불상 주변의 발굴조사 등을 통해 불상의 정확한 현상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 틀:보존 상자/보존문서2 = = 분류:기념주화 = = 도란 = 도란(, 2000년 7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아이디는 Doran이다. 포지션은 탑 라이너이다. 현재 한화생명 e스포츠 소속이다. = = 선수 생활 = = 2018년 엘림, 구마유시 등과 함께 KeG 서울의 멤버로 2018 LoL KeSPA컵에 참가했다. 본 대회에서 KeG 서울은 프로팀인 한화생명 e스포츠를 잡아내면서 대회 8강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2018년 12월, LCK의 그리핀의 연습생으로 입단하며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LCK 2019 서머 시즌을 앞두고 그리핀의 1군 로스터에 합류했다. 도란은 소드의 서브 탑 라이너 선수로 활동했다. 시즌이 진행되면서 점차 주전으로 출전하는 빈도를 늘려나갔다. 결승전에서도 소드를 제치고 선발 출전했지만 우승을 하는데에는 실패하면서 준우승을 거두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9에서는 로스터에 포함되면서 참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롤드컵 기간 동안에서는 소드가 주전으로 출전하면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2020 시즌을 앞둔 스토브 리그 기간 동안 원 소속팀인 그리핀에서 그리핀 사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쵸비는 FA 신분이 되었다.그리핀 소속 리헨즈·도란·쵸비, FA 획득 이후 그리핀의 감독이었던 씨맥을 따라 드래곤X에 합류했다. 하지만 드래곤X 입단 이후 그리핀 사건의 여파에 따른 석연찮은 징계조치로 1경기 출장이 정지되었다.'도란' 트롤 사건 징계 논란, 라이엇 해명에도 의혹 계속 드래곤X에서는 주전 탑 솔러로 출전하면서 스프링 시즌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스프링 시즌 종료 이후 미드 시즌 컵에 참가했다. 미드 시즌 컵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머 시즌에서는 미드 시즌 컵에서 보여주었던 폼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서머 시즌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에 참여하였으며 작년과는 다르게 주전으로 나서게 되었다. 조별 스테이지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 하지만 8강전에서는 담원 게이밍에 밀려서 탈락하였다. 2021 시즌을 앞둔 스토브 리그 기간 동안 KT 롤스터로 이적했다.FA 도란, kt 롤스터 이적 확정…DRX 4인방 행선지 모두 정해져 2021 스프링 시즌에서는 시즌 초반 팀의 에이스로 활약을 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즌 후반 연패를 쌓으면서 무너지는 팀을 막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스프링 시즌 포스트시즌 진출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서머 시즌에서도 팀의 에이스로 활동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서머 시즌에서도 팀은 밴픽 등의 문제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21시즌 종료 후 FA를 선언했다. 2022시즌을 앞두고 Gen.G에 입단했다. 2024시즌을 앞두고 한화생명 e스포츠에 입단했다. = = 소속팀 = = # 팀명 소속 기간 소속 리그 비고 1 그리핀 2018.12 ~ 2019.11.25 LCK 2 드래곤X→ DRX 2019.12.04 ~ 2020.11.17 LCK 3 KT 롤스터 2020.11.25 ~ 2021.11.17 LCK 4 Gen.G 2021.11.23 ~ 2023.11.21 LCK 5 한화생명 e스포츠 2023.11.24 ~ LCK = = 논란 = = = = = 그리핀 사건 = = = 도란은 그리핀 사건 기간 동안 소드와 씨맥의 갈등의 원인 중 하나임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리핀 사건이 마무리 되는 과정에서는 석연치 않은 징계를 받으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 = = 수상 내역 = = 우리은행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9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9 8강 우리은행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20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 8강 2021 LCK 어워드 KLEVV 올해의 기억에 남는 리신 플레이어 상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준우승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2 4강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우승 2023 Mid-Season Invitational 4등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우승 = 마르셀 드사이 = 마르셀 드사이(, 1968년 9월 7일, 가나 아크라 ~ )는 프랑스의 옛 축구 선수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스타였다. 그는 프랑스 국가대표팀이 우승한 1998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2000에 출전하였으며, 여러 유럽 클럽에서 우수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 = 개요 = = 드사이는 가나 태생으로, 태어날 당시의 이름은 오덴케 아베이 (Odenke Abbey)였다. 마르셀이라는 이름은 그의 어머니가 프랑스 외교관과 결혼해, 모든 아이들의 이름을 프랑스식으로 개명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 = 클럽 경력 = = 드사이는 그의 나이 4살 때 가족과 함께 프랑스로 이주하였고, 1986년 FC 낭트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하였다. 1992년 그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이적하였고, 1992-93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1993년 AC 밀란으로 이적하였고, 결승전에서 득점하며 다시 1993-94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려 다른 클럽에서 시즌 연속으로 우승 컵을 들어올린 첫 선수가 되었다. 그는 AC 밀란에서 1994년과 1996년 2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는 센터백으로 주로 뛰었지만, 때때로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활약하였다. 드사이는 1998년 460만 유로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첼시 FC로 이적하였고,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프랑크 르뵈프와 함께 강력한 중앙 수비 라인을 구축하였다. 그는 2004년 카타르 리그의 알가라파 SC로 이적하였고, 브뤼노 메추 감독 하에서 팀의 주장을 맡아 2005년 리그 우승에 공헌하였다. 2005년 카타르 SC로 이적하였고, 2006년 팀을 리그 2위로 이끈 뒤 은퇴를 선언하였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드사이는 1993년에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였으나, 1996년까지 대표팀의 주전 수비수로 자리잡지 못하였다. 그는 1998년 FIFA 월드컵에서 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지만, 정작 자신은 결승전에서 퇴장당하는 불상사를 겪었다. 이러한 활약으로 1998년 드사이는 대표팀의 다른 선수들과 함께 프랑스 최고의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상하였다. 2년 후에 열린 UEFA 유로 2000에서도 계속 좋은 활약을 펼치면서 또 다시 팀의 우승을 맛보았다. 이후에 그는 은퇴한 디디에 데샹의 뒤를 이어 대표팀의 주장이 되었으며,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도 팀에 우승컵을 안겨주었다. 2003년 4월 드사이는 프랑스 국가대표팀 사상 최다 출장 기록을 넘어선 116경기에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UEFA 유로 2004에서 자신의 국제 무대 은퇴를 발표하였다. 이 기록은 2006년 FIFA 월드컵이 진행되는 동안 릴리앙 튀랑에 의해서 깨졌다. = = 은퇴 이후 경력 = = 은퇴 후 드사이는 BBC의 축구 관련 프로그램에서 분석 전문가가 되었으며, 그의 거침 없이 이야기하는 분석 스타일은 잉글랜드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앨런 핸슨, 앨런 시어러, 마틴 오닐과 더불어 하프 타임과 경기 종료 이후에 좋은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 = = 수상 내역 = = = = = 클럽 = =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92-94) 프리미어 디비전 챔피언십 1992/93 (팀의 승부 조작 사건으로 인해 챔피언의 자격이 상실됨.) 챔피언스리그 1993 AC 밀란 (1994-98) 세리에 A 챔피언십 1993/94, 1995/96 챔피언스리그 1994 UEFA 슈퍼컵 1994 첼시 FC (1998-2004) UEFA 슈퍼컵 1998 FA컵 1999/2000 채러티 실드 2000 알가라파 SC (2004-2005) 카타르 리그 2004/2005 = = = 국가대표팀 = = = FIFA 월드컵 : 1998 UEFA 유로 : 2000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1, 2003 = = = 개인 = = = 발롱도르 드림팀 후보 : 2020 프리미어리그 10주년 베스트 : 2002 UEFA 유로 대회 베스트 : 1996, 2000 FIFA 월드컵 올스타팀 : 1998 레지옹 도뇌르 : 1998 UNFP 명예상 : 2005 AC밀란 명예의 전당 FIFA 100 : 2004 FIFA XI : 1996 골든풋 : 2017 = 신수로 = 신수로(新水路)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수원신갈TG사거리에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이르는 도로이다. 도로명은 신갈동과 수지구의 앞글자에서 유래하였다.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덕영대로와 직결 덕영대로와 직결 덕영대로와 직결 덕영대로와 직결 덕영대로와 직결 고려종합물류사거리 덕영대로 용인시 기흥구 (수원신갈TG사거리) 경부고속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중부대로) 용인시 기흥구 신갈터널 용인시 기흥구 연장 약 60m 상미교 용인시 기흥구 흥덕 교차로 흥덕4로 용인시 기흥구 신갈교 용인시 기흥구 삼막곡 교차로삼막곡고가차도 석성로 용인시 기흥구 삼막곡터널 용인시 기흥구 연장 약 60m 소실마을입구사거리 용구대로2325번길신수로365번길 용인시 기흥구 소실마을입구(북)사거리 신정로 용인시 기흥구 보정교차로 이현로 용인시 기흥구 이현마을입구사거리 용구대로2469번길이현로30번길 용인시 기흥구 목암연구소앞삼거리 이현로30번길 용인시 기흥구 보쉬앞사거리 신정로 용인시 기흥구 풍덕천사거리 국도 제43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포은대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풍덕천보도육교삼거리 풍덕천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훼미주유소삼거리 신수로683번길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KT수지지사삼거리 문인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조달청품절관리단앞삼거리 손곡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한당주유소삼거리 수지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동천고가차도 교차로 고기로 용인시 수지구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와 직결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와 직결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와 직결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와 직결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대왕판교로와 직결 = = 주요시설 = = HD현대오일뱅크에스에이치에너지 신갈현대셀프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신수로 69) GS칼텍스서일석유 용인서일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0) GS칼텍스서일석유 기흥서일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179) SK에너지지리산석유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547) SK에너지대흥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570) 맥도날드용인수지DT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677) IBK기업은행수지동천역지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세븐일레븐동천유타워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GS25동천유타워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CU동천유타워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파리바게트동천유타워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투썸플레이스동천유타워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67) GS칼텍스만당대경주유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81) IBK기업은행수지IT센터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수로 799) = 시라소니 (1992년 영화) = "시라소니"는 199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고 100편이 넘는 한국 영화 각본을 맡았던 이일목 감독의 첫 영화 연출작이었는데 영화가 저예산이라 자동차도 90년대 차를 썼을 정도이며 티날까봐 밤장면에만 나오는데 어차피 헤드라이트가 사각형이면 일제강점기 차량으로 보일 리가 없어 서울 관객 10만명으로 흥행 참패했고 장군의 아들흥행 성공에 편승하여 만들어졌다는 혹평을 받았으며 1990년 9월 신인배우 공모를 통해 전격 기용됐던 주연배우들을 교체한 뒤 무려 3만피트의 필름을 폐기처분한 후 재촬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한편, 이일목 감독은 해당 영화로 감독 데뷔 후 카루나 등의 영화 연출을 했으나 흥행하지 못했고 결국 영화계에서 은퇴했다. 아울러, 김정균 (깃대 역)이 KBS 공채 6기 개그맨 시험에 응시했다가 탈락한 뒤 1990년 11월 해당 영화 제작 당시 신인배우 공모에 도전하여 400대 1 경쟁을 뚫고 합격했으며 김정균은 이를 계기로 1991년 4월 KBS 공채 14기 탤런트에 응시하여 합격했다. = = 캐스팅 = = 김종민 : 시라소니 역 김정균 : 깃대 역 김재엽 : 땅꼬마 역 윤희철 : 하라다 역 이성훈 : 상하이박 역 남포동 : 윤철 역 윤수정 : 연희 역 이지현 : 송미령 역 박진경 : 리리 역 송금식 : 압록강 역 길달호 : 다이사꾸 역 최성 : 고히나타 역 김기주 : 돌풍 역 정규영 : 산자에몬 역 이석구 : 임춘호 역 김태종 : 빠꾸탄 역 조석현 : 요시무라 역 서명석 : 야시로 역 박상배 : 주월생 역 권오창 : 장소림 역 장매산 : 마동철 역 김승규 : 소백룡 역 고재현 : 쪼비 역 최명호 : 고래 역 김운하 : 꽈리 역 권성환 : 꽈리부하 역 정민영 : 꽈리부하 역 함광호 : 꽈리부하 역 임준환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채수억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채수암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김길영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이형길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김영규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표성대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박상현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황재석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신재명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김경곤 : 일본조직의 부하들 역 김상민 : 박색 역 양혜진 : 봉선화 역 고히나타 : 부하 역 다이사꾸 : 부하 역 유창국 = 상주시·상주군 = 상주시·상주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북도 상주시와 상주군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1995년 1월, 상주시와 상주군이 통합되면서 통합 상주시가 출범했다. 이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상주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88년 민주정의당 김근수 1992년 무소속 김상구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 = = 이범찬 (관료) = 이범찬(李範贊, ?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국민동지찬성회 회장을 지냈다. 본관은 전주이다. = = 생애 = = 1891년 서장관(書狀官)을 지냈고, 이후 홍문관과 대한제국 중추원, 봉상사에서 근무했다. 1898년 정3품 비서원승에 올랐다가 이듬해 퇴관했다. 1910년 1월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촉구하는 건백서를 유생 대표라 칭하며 대한제국 내각에 제출했으며, 곧이어 합방찬성론자들이 조직적인 활동을 위해 결성한 국민동지찬성회의 회장을 맡았다. 국민동지찬성회는 내각과 통감부에 합방찬성장서를 제출하는 등 일진회의 합방청원운동을 지원했다. 이 무렵 이용구와 만나 합방이 성사될 경우 내각을 구성할 때 자신을 포함한 국민동지찬성회의 회원들이 입각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이 황성신문에 보도되기도 했다. 1911년 이용구의 일진회 세력이 천도교에서 출교당한 끝에 창설한 시천교의 봉교(奉敎)를 맡았다. 1934년 흑룡회는 일한합방기념탑을 세우면서 탑 속의 석실에 합방찬성에 세운 공로를 들어 이범찬의 이름을 기록했다.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도 선정되었다. = 천안봉서초등학교 = 천안봉서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3년 3월 26일: 개교 2018년 2월 10일: 제25회 졸업 2018년 3월 1일: 25학급(특수 1학급) 편성, 병설유치원 1학급 = 남양주 내원암 괘불도 = 남양주 내원암 괘불도(南楊 州內院 庵掛佛圖)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내원암에 있는 불화이다.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내원암은 별내면 청학리 수락산의 미륵봉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별내면 청학리에 있는 봉선사의 말사이다. 이 곳 전각에 봉안한 불화들은 대개 해방 이후에 제작, 봉안된 것이나 괘불만은 19세기 경기·경상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화사들의 작품으로 19세기 경기지방, 특히 남양주권 불화의 지역성과 19세기 불화의 양식적인 면을 살필 수 있는 새로운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내원암의 괘불은 1885년에 조성된 것으로, 구도는 대담하고 간략하며 크게 마름모꼴을 이루는 특이한 인물 배치를 보이고 있다. 즉, 전법륜인을 한 석가모니불이 상단에 원형 두광과 키형 신광을 지고, 가슴 아래 부분에는 백의관음이 묘사되어 있다. 관음은 원형 두신광을 지고 있는데, 머리에는 보관 중앙에 화불을 모시고 양손은 모아 수병을 감싼 채 가부좌를 하고있다. 이처럼 상하를 가르는 석가모니불과 백의관음 양 옆에는 아난·가섭 두 불제자가 합장을 하고 서 있다. 화사는 만파정탁(萬波定濯), 동호진철(東昊震徹), 학허석운(鶴虛石雲), 석암두열(石庵斗列) 비구 봉안(奉安), 작품(作品), 인형(仁亨), 현조(玄照), 종현(宗現), 묘흡(竗洽), 혜조(慧照), 운제(運齊) 등이다. = 분류:공부상서 = = 스탠드 바이 미 = 스탠드 바이 미(Stand by Me)는 다음을 가리킨다. Stand by Me (벤 E. 킹의 노래) Stand by Me (오아시스의 노래)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스탠 바이 미 (영화) 《Stand by Me》: 골든 이어링의 1972년 노래 《Stand by Me》: The brilliant green의 2007년 노래 《Stand by Me》: 샤이니가 부른 꽃보다 남자 OST의 노래 = 틀:만화가 정보/설명문서 = = = 기본적인 사용법 = = {{만화가 정보 }} = = 인자 설명 = = 원어이름가 일본어일 경우 틀:Ruby-ja를 사용해주세요. 생년에는 {{출생일과 만나이}}를 써 생년월일을 입력해주세요 대표작에는 그 만화가를 상징할 만한 대표작을 써주세요. { "description": "", "format": "block", "params": {} } *만화가 안내 *만화가 안내 = 분류:가봉에서 활동한 축구 감독 = = 분류:기이 야마모토씨 = = 벨레그 = thumb 벨레그(Beleg Cúthalion)는 실마릴리온의 등장인물이다. 그는 도리아스의 장군으로 왕국 북쪽에서 근무했고 싱골의 측근으로서 마블룽과 함께 언급되는 신다르 중에 하나다. 태양의 1시대 489년 친구 투린 투람바르에게 죽임을 당했다. = = 생애 = = 그는 태양의 1시대에 일어난 전쟁에 주로 활약했으나 도리아스와 관련된 전투 외에 전쟁에 가담한 경우는 적다. 예외적으로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에 마블룽과 함께 핑곤의 군대에 소속되어 싸웠다. = = 최후 = =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가 모르고스의 승리로 끝난 이후 싱골과 멜리안으로부터 무기와 식량을 받고 후린의 아들 투린의 행방을 찾아 돌아다니던 중 투린의 실수로 공격당하고 살해된다. = = 기타 = = 투린을 찾기 위한 여정에서 오크를 상대할 무기로 싱골에게 에올이 만든 앙글라켈을 얻었다. 불길한 검으로 언급되며 실제로 소유자 벨레그, 투린 둘은 불운한 최후를 맞이했다. = 트리샤 이어우드 = 트리샤 이어우드(Trisha Yearwood, 1964년 9월 19일 ~ )는 미국의 컨트리 가수이다. = = 음반 목록 = = Trisha Yearwood (1991) Hearts in Armor (1992) The Song Remembers When (1993) The Sweetest Gift (1994) Thinkin' About You (1995) Everybody Knows (1996) Where Your Road Leads (1998) Real Live Woman (2000) Inside Out (2001) Jasper County (2005) Heaven, Heartache and the Power of Love (2007) Christmas Together (2016; 가스 브룩스와 함께) Let's Be Frank (2018) Every Girl (2019) = 분류:미야코 제도의 역사 = = 분류:인슐린 치료 = = 분류:장크트갈렌주 출신 = = 분류:악구동물 = = 분류:에틸 에스터 = = 분류:미국의 정치학자 = = 모험왕 블링키 = 모험왕 블링키는 2015년 8월 21일 폴란드에서 최초 개봉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니메이션, 모험, 가족 영화로, 도로시 월의 동화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디안 테일러가 감독을 맡았다. = = 줄거리 = = 아빠처럼 용감한 탐험가가 되고 싶은 꼬마 코알라 ‘블링키’는 그린패치 동물마을을 도마뱀 왕국으로 만들겠다는 ‘크랭키’를 막기 위해 전설 속 ‘하얀 용의 바다’로 간 아빠를 찾아 모험을 떠난다. ‘블링키’는 혼자 떠난 여행길에서 바깥 세상보다 동물원이 더 좋은 코알라 ‘넛찌’, 소심한 겁쟁이 목도리 도마뱀 ‘잭코’와 만나 친구가 되는데… 친구가 된 셋은 과연 ‘하얀 용의 바다’를 건너 아빠를 무사히 찾아갈 수 있을까? = = 출연진 = = = = = 한국어 더빙 = = = 이선: 블링키 사문영: 넛찌 장민혁: 잭코 홍진욱: 고양이 이장원: 웜보 윤세웅: 크랭키 한복현: 스플라지 남도형: 우체부 석승훈: 호르헤 오인실: 베릴, 셰릴 박영재: 아빠 은정: 엄마 = = = 영어 더빙 = = = 라이언 콴튼 - 블링키 역 토니 콜렛 - 베릴 / 셰릴 역 데이비드 웬햄 - 잭코 역 로빈 맥레비 - 넛찌 역 데보라 메일맨 - 베티-블링키 엄마 역 리차드 록스버그 - 윌리엄-블링키 아빠 역 배리 험프리즈 - 웜보 역 루퍼스 스웰 배리 오토 = 분류:후너스엔터테인먼트 소속 = = 분류:버지니아주의 건축물 = 미국 버지니아 주의 건축물 분류. 건축물 = 루돌프 황태자의 마지막 사랑 = 루돌프 황태자의 마지막 사랑는 2006년에 개봉한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합작의 영어 텔레비전 영화로 로베르트 도른헬름 감독의 작품이다. 등급은 독일판 기준으로 12세 이상 관람가이다. 총 상영 시간은 180분(축소판은 105분)이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가 마리 폰 베체라와 연인 관계를 맺었지만 부왕인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대립한 이후에 마이얼링 별장에서 마리 폰 베체라와 동반 자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 영화에서 루돌프 황태자의 장모였던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 역할을 맡은 프란체스카 티센보르네미차는 실제로 루돌프 황태자의 5촌 조카였던 카를 1세 황제의 손자인 카를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아내이기도 하다. = = 출연진 = = 막스 폰 툰 -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 비토리아 푸치니 - 마리 폰 베체라 클라우스 마리아 브란다워 - 프란츠 요제프 1세 산드라 체카렐리 - 엘리자베트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후 프리츠 카를 - 요한 잘바토어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대공 오마 샤리프 - 한스 카논 비르기트 미니히마이어 - 미치 카스파르 요아힘 크롤 - 모리츠 슈체프스 율리아 옌치 - 사라 다니엘라 골파신 - 스테파니 드 벨지크 왕녀 알렉산드라 판더르누트 - 헬레네 베체라 크리스티앙 클라비에 - 에두아르트 타페 로베르트 슈타들로버 - 빌헬름 2세 볼프강 뵈크 - 요제프 브라트피시 니콜라우스 파릴라 - 요한 로스체크 카를 마르코비츠 - 그라프 봄벨레스 볼프강 휘브슈 - 프리드리히 추 슈바르첸베르크 프란체스카 티센보르네미차 -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 = 분류:페르세폴리스 FC의 축구 선수 = = 분류:런던 출신 음악 그룹 = = 분류:서울무학초등학교 동문 = = ATC 코드 M01 = ATC 코드 M01은 ATC 코드의 소염제 및 류마티스 치료제로 사용하는 약물을 정리한 코드이다. ATC 코드 M 근골격계의 하위그룹을 이룬다. 동물용 의약품을 위한 코드(ATCvet 코드)의 경우 인체의약품 코드 앞에 Q가 들어가게 된다. 예 : QM01. = = M01A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 류마티스 치료제 = = = = = M01AA 뷰틸피라졸리딘 계열 = = = = = = M01AB 아세트산 계열 및 관련 약물 = = = = = = M01AC 옥시캄 계열 = = = = = = M01AE 프로피온산 계열 = = = = = = M01AG 펜남산 계 = = = = = = M01AH COX-2 선택적 저해제 = = = = = = M01AX 기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항류마티스제 = = = = = M01B 소염/항류마티스제의 조합 = = = = = M01BA 소염/항류마티스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 = = = = = = M01BX 기타 소염/항류마티스제와 타약물의 조합 = = = = = M01C 특정한 류마티스 치료제 = = = = = M01CA 퀴놀론 계열 = = = = = = M01CB 금 제제 = = = = = = M01CC 페니실라민 및 유사 약물 = = = = = = M01CX 기타 특정한 류마티스 치료제 = = = = 분류:VfB 뤼베크의 축구 선수 = = David Archuleta = David Archuleta는 2008년 11월 11일에 발매된 데이비드 아출레타의 음반이다. 자이브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유기량 = 유기량(柳冀亮, 1871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다. 본관은 진주이다. = = 생애 = = 한문을 수학한 뒤 1900년에 경무청 순검이 되면서 대한제국 말기에 경찰계에서 근무했다. 1905년에는 경무청 경무관에 올랐다. 1908년부터 탁지부 재무서의 재무관으로 근무하면서 관계로 이동했다. 품계는 정3품이었고, 임지는 전주재무감독국 소속인 전라남도 나주군의 나주재무서였다.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11년에 조선총독부 군수로 발탁되었다. 전라남도 창평군과 무안군, 해남군 군수를 차례로 역임했다. 무안군수 재직 시에는 전라남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임시위원을 겸임하기도 했다. 창평군수이던 1912년에 한국병합기념장을 수여받았고, 무안군수로 재직 중이던 1916년을 기준으로 종7위에 서위되어 있었다. 1916년에 무안군수에서 해남군수로 전임했다가, 이듬해 퇴관하였다.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에 공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에 포함되었다. = 분류:스웨덴의 금융 기업 = = 노르트강 = 노르트강은 네덜란드 자위트홀란트주에 위치한 강으로 라인강의 지류이며 길이는 9km이다. 강 이름은 네덜란드어로 "북쪽"을 뜻한다.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받는 하천으로서 방파제를 통해 물의 양을 조절한다. 도르트레흐트에 위치한 베네던메르베더 강(Beneden Merwede)이 아우더마스 강(Oude Maas), 노르트 강(Noord)으로 갈라지면서 발원한다. 리데르커르크, 킨데르데이크에서 렉 강과 합류한 다음에 니우어마스 강(Nieuwe Maas)과 합류한다. = 자갈치역 = 자갈치역(Jagalchi station, 자갈치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과 서구 충무동에 걸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남포지하도상가를 통해 남포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 = = 역사 = = 1988년 5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역명 유래 = = 역명은 인근에 자갈치시장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자갈치시장은 전동차 내 안내방송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 = 역 구조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철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찰구를 통과하지 않고서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 갈 수 없다. 출구는 9개가 있는데, 1·2번 출구는 충무동에 있고 3~8·10번 출구는 남포동에 있다.9번 출구는 없다. = = = 승강장 = = = 토성 ↑ 하 상 ↓ 남포 상행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하행 부산역·서면·노포 방면 = = 역 주변 = = 자갈치시장 한국전력공사 중부산지점 토성동5가 충무대로 국제시장 부평깡통시장 중부견인차보관소 충무동 부평동 신동아수산물시장 BIFF광장 부산극장 부산공동어시장 동광성결교회 CPBC 부산가톨릭평화방송 = = 승차량 변동 = = 역 노선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주석 역 노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주석 1호선 23123 20838 19773 18494 17050 16490 17485 18388 18969 20461 20485 20924 21898 21585 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 = 동시통역 = = 로이스 켈소 헌트 = 로이스 켈소 헌트(Lois Kelso Hunt, 1926년 7월 16일 ~ 2018년 5월 20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오크파크에서 태어났으며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폐렴이다. = = 영화 = = 여대생 기숙사 (1983년) = 정다한 = 정다한(1992년 1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개요 = = 2020년 12월 19일 KBS 2TV 트롯 전국체전 = = 경력 = = 2020년 계룡군문화엑스포 홍보대사 = = 데뷔 = = 2014년 싱글 앨범 "꽃이 되신 어머니" = = 음반 = = 2014년 꽃이 되신 어머니 2014년 가지도 못하면서 2017년 보고 싶어서 2019년 고향친구 2020년 어허야 2021년 Awesome 2021년 순천만아 = 헝가리의 역사 = 헝가리의 역사에서는 헝가리의 역사에 대하여 다룬다. 헝가리의 국토는 헝가리 평원이라 불리는 광대한 평원을 중심으로 하여, 예부터 다양한 민족이 침입하여 정착하여 왔다. 고대에는 판노니아라 불리고, 판노니아족 등이 거주하였다.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에 점령되어, 속주 일리리쿰에 편입되었다가, 1세기 중엽 속주 판노니아로 분리되었다. 헝가리인이 10세기 말 헝가리 왕국을 수립하여, 14세기부터 15세기경에는 주변의 여러 왕국과 동군 연합을 맺고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을 때까지는 중앙 유럽의 강국으로 군림하였다. 헝가리는 15세기 후반까지 오스만 제국의 강력한 압력을 받게 되었다. 1526년에 헝가리는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 패배하여, 국왕 러요시 2세가 전사하였다. 1541년에 부다가 함락되어, 그 결과 동남부와 중부의 3분의 2를 오스만 제국(오스만 제국령 헝가리), 북서부의 3분의 1을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에 의하여 분할 지배되어(왕령 헝가리), 양 제국이 충돌하여 만나는 최전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군사적으로 후퇴하자, 1699년의 카를로비츠 조약에서 헝가리 및 헝가리 국왕령의 크로아티아와 트란실바니아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었다. 헝가리의 입장에서는 지배자가 합스부르크 왕가로 변한 것 뿐, 꾸준히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반복되었다. 1848년 3월 혁명에서는 코슈트 러요시가 지도한 독립운동이야말로 러시아제국군의 개입에 의해 실패하였으나, 오스트리아에 민족독립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타협을 결단케하여, 1867년에 아우스글라이히(화협)이 맺어졌다. 이렇게 하여,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왕국에서 이중군주로서 군림하였으나, 양국은 외교 등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정부를 가지고 연합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에 헝가리는 제국으로부터 분리독립(1918년)하면서 공화국이 되었다. 1918년에 헝가리 최초의 공화제국가인 헝가리 민주 공화국이 성립하여, 사회민주당계의 카로이 미하이(Károlyi Mihály)가 초대 대통령 및 수상을 맡았다. 1920년에 체결된 트리아농 조약에 의해, 헝가리는 트란실바니아 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의 왕국령 가운데, 면적의 72%, 인구의 64%를 잃고, 헝가리인의 전 인구 중 반수 가량이 헝가리 국외로 남겨지게 되었다. 합스부르크가를 대신하는 왕이 선출되지 않음에 따라, 1920년 3월 1일 호르티 미클로시가 섭정으로서 통치하는 헝가리 왕국의 성립을 선언하였으나, 영토를 상실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츰 우경화되었다. 헝가리는 나치 독일의 후원하에 1930년대 말, 뮌헨 협정과 빈 중재,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등으로 일부 영토를 회복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잃은 땅을 회복하기 위해, 또한 나치 독일의 압박을 받아, 추축국에 가담하였으나, 전쟁의 국면은 서서히 열세가 되어, 1944년에는 호르티는 추축국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였으나, 나치 독일군과 화살십자당에 의한 쿠데타(판자르파우스트 작전)으로 저지되어, 1945년 5월 8일의 패전까지 추축국으로서 전쟁을 치렀다. 1945년 5월 8일의 패전에 의해 소비에트연방에 점령된 헝가리에서는 공산화가 추진되었다. 1946년 2월 1일에 왕제가 폐지되고, 헝가리왕국은 명실공히 붕괴하였다. 소비에트 연방 점령하의 헝가리에서는, 1949년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한 헝가리 공화국(제2공화국)이 성립하였다. 1989년 10월 공산당 일당 지배 체제를 청산하고 서구식 자유 민주주의로 선회했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헝가리의 역사·주민〉 = = 로마 제국 시기부터 헝가리 왕국 탄생 시까지 = = 로마 제국은 기원전 35년부터 기원전 9년 사이에 도나우강 서안 지역을 정복하였다. 이로써 기원전 9년부터 4세기 말엽까지, 로마 제국의 속주 판노니아가 훗날 헝가리의 영토가 되는 지역을 포함하는 곳에 자리 잡고 있었다. 4세기 후반에는 훈족이 침입, 서기 433년에 서로마 제국으로부터 판노니아의 지배를 인정받고, 훈족에 의하여 판노니아를 주요 영토(일부는 현재의 불가리아, 루마니아를 포함)로 하는 독립국가가 처음으로 탄생하였다. 훈족의 지배가 끝나자, 게르만족의 일파들인 동고트족, 랑고바르드족, 게피드족, 그리고 여러 다민족 부족인 유라시아 아바르족이 판노니아 평원에 출현하였다. 9세기 말, 이 지역에는 알란족과 아바르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헝가리인들이 중앙 아시아로부터 이 곳에 오기 직전(→헝가리인의 역사)에는, 동프랑크 왕국, 불가리아 제1제국, 대모라바 왕국이 헝가리 분지를 통치하고 있었다. 이에 더하여 아바르족은 9세기 말에 헝가리 분지에 상당히 많은 인구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기존의 여러 자료들예를 들어, the Abbot Regino of Prüm mentions the plains of the Pannons and the Avars; Kristó, Gyula op. cit. (1993) pp. 96.과 새로 추가되고 있는 고고학적 증거들로 알 수 있다. 이 자료와 증거들은 아바르족이 그들의 제국이 붕괴된 이후에도 살아 남았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 막 부족을 하나로 통일한, 아르파드(Árpád)가 지휘하는 마자르인 은 895년에 헝가리 분지에 정착하였다.895년의 헝가리 왕국 성립은 베르됭 조약(843년)으로 카롤링거 왕조가 분할된지 약 50년 후의 일이며, 잉글랜드 왕국이 하나의 왕국으로서 통일되기 전의 일이다. 헝가리인들의 집단의식 속에서 아틸라는 실제로 민족영웅이 되었고, 곧바로 9세기에 나타난 헝가리 최초의 군주 아르파드 대공과 연결되었다.주전너 어르도 저, 이현철 역, 헝가리: 큐리어스 시리즈 47휘슬러(2005), 14쪽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헝가리인들은 고대의 우랄어를 사용하는 민족에서 기원한다. 그 때, 그들은 볼가강과 우랄산맥 사이의 숲지대에서 살고 있었다. (→그 이전의 자세한 역사는 헝가리인 참조).Origins and Language. Source: U.S. Library of Congress. 이 나라의 군사력은 헝가리인들이 콘스탄티노플에서 이베리아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공포로 몰아넣은 약탈을 성공적으로 자행하기에 충분하였다. 896년, 헝가리인은 현재의 체코 및 슬로바키아를 중심으로 한 영토를 가지고 있던 대모라바 왕국(Great Moravia)을 멸망시키고 판노니아 평원(헝가리 분지)을 차지하여 새로운 나라를 일으켰다. 그 후로는 지금의 오스트리아나 이탈리아 반도, 발칸 반도 등을 원정하면서 약탈을 계속했지만 955년 8월 아우크스부르크 부근에서 일어난 레히펠트 전투에서 독일 군주 오토 1세(재위: 936년 - 973년)의 군대에 패해 장군들이 처형당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헝가리는 최소한 서부 유럽에 있어서는 일시적으로 약탈을 중단하고, 보다 평화적인 방향으로 노선을 바꿔 아르파드 왕조의 대공(大公, ) 게저의 통치가 시작됐다. 게저는 헝가리를 서유럽과 같은 가톨릭 국가로 통합할 작정이었다. = = 헝가리 왕국의 건국과 전성기(1000 ~ 1526) = = 게저의 아들이었던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인 내부의 이교도인 부족장과의 싸움에서 이겨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이고 행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 오토 3세(재위: 991년 - 1002년)는 헝가리의 그란(현재의 에스테르곰)에 주교 통치 지역을 건설하여 이슈트반 1세를 헝가리의 왕으로 추대(1000년) 하고, 헝가리 왕국을 건국하게 하였다. 이렇게 해서 헝가리는 서유럽 동쪽 끝에 위치한 가톨릭 국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102년에는 크로아티아와의 동군연합(同君聯合, 크로아티아-헝가리 동군연합)을 이루는 등 세력을 확장하였다. 12세기 후반 농업, 공업(수공업), 상업의 발전으로 세속 영주층의 권력이 커졌다. 토커이, 에게르 등의 와인 산지는 이 무렵 개척지에 들어온 프랑스인들에게 의해 확립된 것이다. 벨러 4세의 치하(1235년~70년)이던 1241~42년, 우구데이 칸(재위:1229~41년)이 지휘하는 몽골 제국의 군대는 독일 동부와 보헤미아에서 독일과 보헤미아의 저항에 부딪히자,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헝가리에서 작전 중인 부대에 합류했고, 1241년 4월 헝가리군을 격파한 몽골군은 헝가리에서의 몽골 점령의 기초를 구축했다. 이로써 헝가리는 국토가 황폐화되고, 절대다수의 주민들이 죽임을 당했다. 몽골군이 갑작스럽게 물러간 후 벨러 4세는 방위를 위해 봉건영주에게 석조 성을 쌓는 것을 허용했다. 벨러 4세 자신이 왕궁지 에스테르곰을 대주교에게 양도하고, 부더 남쪽에 있는 야트막한 언덕에 성벽을 쌓아 왕궁(부다 성)을 짓고 이 곳을 부더라고 명명했다. 그때까지 부더는 오부더(구(舊) 부더)였다. 1301년 언드라시 3세가 사망하자 아르파드 왕가는 단절되었고, 여러 가문들이 헝가리의 왕위를 소유하려고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야노시 왕가의 마차시 1세의 절대주의 통치 하(1458년~90년)에서 헝가리는 영토를 확장하고 르네상스 문화를 도입해 영화를 누리는 헝가리의 황금 시대가 열렸다. 그렇지만 그 영화는 길게 이어지지 못했고 도자 죄르지의 농민 전쟁(1514년), 중견 귀족과 대 귀족의 항쟁 등이 이어지며 나라는 쇠퇴의 길로 들어섰다. = = 헝가리의 분할 통치(1526 ~ 1702) = = 서방으로의 팽창정책을 추진하던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왕국의 충돌은 불가피하였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러요시 2세(재위: 1516년–1526년)가 지휘하던 헝가리 왕국군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인 쉴레이만 대제(재위: 1520년-1566년)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에게 완패하고, 국왕 자신도 전사하였다. 이 전쟁의 패배로 인하여 헝가리는 오스만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를 오스만 제국에게 할양하였다. 오스만 제국군은 이에 그치지 않고 진격하여 빈을 공격했고, 1541년에는 부더를 점령했다. 이로써, 헝가리는 약 150년간 합스부르크 왕가가 직접 통치하는 도나우 강 서쪽의 로열 헝가리(합스부르크 헝가리)와 오스만 왕가가 직접 통치하는 부다를 포함한 구 헝가리 왕국의 중앙부인 오스만 헝가리, 오스만 아래서 큰 자치를 누리는 트란실바니아를 통치한 터키 보호령의 헝가리 왕국(1570년부터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3분된다. 헝가리의 황금기는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고 16세기 오스트리아가 헝가리의 나머지 땅마저 지배하게 되어 끝이 났다. 17세기 말에는 오스트리아가 헝가리 땅을 전부 차지하게 되었다. 국토의 3분할로 헝가리의 모든 도시는 각기 다른 발전의 길을 걷게 되면서 다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일례로, 도나우 강 서쪽의 쇼프론이나 케세그는 경제, 상업 면에서 오스트리아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다.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터키 보호령 하에 있었지만 헝가리인의 통치국가로 발전해 갔다. 콜로주바르(현 루마니아 령, 클루즈 또는 나포카)는 당시 가장 번성했던 도시였다. 3분할 시 베트렌, 라코츠, 그 후 테케리의 "클루츠" 군과 대 터키, 대 합스부르크 전쟁에 나서 조국통일을 이루는 중심지였다. 오스만 제국의 점령 하 접경지에서는 늘 공방이 있었다. 그러나 에겔처럼 도시의 성곽이 요새화되었거나 헝가리 왕국이나 대귀족의 수비병들이 보수를 제대로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그 지역 헝가리인 거주지 약탈에 나섰던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데브레첸, 케치케메트, 소르노크, 쥬라 등의 도시로 난을 피해 달아났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이런 면을 제외하면 종교개종을 강제하지도 않았고, 터키인과 거의 접촉할 일도 없어 그때까지 번영을 누려온 헝가리인들도 있었다. 오히려 훗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의 주민들이 빈, 나중에 프라하 중앙집권하에 놓이게 된다. 야노시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의 왕위를 두고 서로 다투었지만, 합스부르크의 혼인 정책으로 야노시 가문은 합스부르크 가문에 흡수당하면서, 오스트리아의 대공이 헝가리의 왕을 겸하기 시작하였다.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대 터키 합스부르크 전쟁은 모두 전과를 거두지 못하고, 1600년 이후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공위계승전에서 약체화되었다. 그러나 폴란드-오스만 전쟁 (1683년-1699년)의 결과인 카를로비츠 조약(1699년)으로 최전성기 때의 영토를 모두 회복한다. 헝가리는 1683년부터 1791년까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시르미아를 재장악하며 합스부르크 제국 내 슬라브족을 영접하기 위한 항구를 경계지역에 건립하였다. = = 헝가리의 독립 운동과 이중 제국의 성립 (1703 ~ 1919) = = 1703년 합스부르크의 통치에 반대하여 트란실바니아 대공 라코치 페렌츠 2세가 주동한 민족 반란이 일어나지만 결국 실패한다. 1848년에 코슈트의 주도로 1848년 헝가리 혁명이 일어났으나, 러시아 제국의 개입으로 실패한다. 그러나, 오스트리아가 보오전쟁에서 패배하고 헝가리에 호의적인 시씨 황후로 인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선 대타협이 이루어져,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아래에 있던 헝가리는 1867년 오스트리아와의 타협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자치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헝가리는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부분에서 엄청난 자치를 보장받으면서, 헝가리의 경제와 문화는 비약적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1914년 7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종전 직전인 1918년 10월 31일 헝가리는 독립을 선언하고, 헝가리 최초의 공화제국가인 헝가리민주공화국이 성립하여, 사회민주당계의 미하이 카로이(Mihály Károlyi)가 초대 대통령 및 수상을 맡았다. 1919년에는 공산 혁명이 일어나 헝가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세워졌지만 루마니아가 침공해 소비에트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전(前)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군 제독이었던 미클로시 호르티를 집권시키는 등, 1919년 8월~11월 중순까지 루마니아가 부다페스트를 점령하였다. 헝가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이었고, 전쟁의 책임을 마무리하는 교섭이 진행되어, 연합국과 헝가리간의 트리아농 조약(1920년 6월 4일)에 따라 전쟁 전의 영토(슬로바키아, 보이보디나, 트란실바니아, 슬라보니아)와 인구의 상당부분을 중부 유럽의 신생 독립국들(루마니아 왕국, 제1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에게 할양할 수 밖에 없는 손실을 입었다. 이 조약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전의 영토 중 72%를 상실하여 국토 면적이 325,111 km2에서 93,073 km2로 줄어들었고, 인구의 64%를 상실하여 2090만명에서 760만명이 되었다.(→트리아농 조약) 이 조약은 나중에 헝가리가 추축국에 가담하게 되는 배경이 된다. 국민투표를 거쳐 쇼프론을 제외한 부르겐란트가 헝가리에서 분리되어 오스트리아에 속하게 되었다. = = 정치 체제 논쟁과 2차 세계 대전(1919 ~ 1949) = = 헝가리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합스부르크가를 대신하는 왕이 선출되지 않음에 따라, 왕정을 유지할지 공화정을 선포할 지 엄청난 논쟁에 있었다. 결국 헝가리 귀족들은 왕정을 우선 유지하고 서서히 공화정으로 나아가자고 합의했으며, 호르티 미클로시를 섭정왕으로 선출(1920년 3월 1일)하고, 그가 통치하는 헝가리왕국의 성립을 선언하였다. 섭정왕 미클로시 호르티는 영토를 상실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츰 우경화되었다. 호르티는 수정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이탈리아 파시스트와 독일 나치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리하여 헝가리는 1930년대에 나치 독일의 강요로 동맹 관계를 맺었다. 히틀러는 헝가리에 있는 유대인들을 학살하기 위해 헝가리를 침공하여 호르티를 나치 합작자로 대체해야 했다. 그 때문에 나치 독일은 호르티는 물론 아들까지도 감금했고, 소련군이 풀어주게 된다. 헝가리는 나치 독일 주도의 추축국에 가담하면서, 뮌헨 협정(1938년), 빈 중재(1938년 및 1940년)를 통해 루마니아로부터 트란실바니아 북서부를 할양받았고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1939년) 등으로 슬로바키아와의 국경 지역 일부를 합병하였다. 헝가리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잃은 땅을 회복하기 위해 또한 나치 독일의 압박을 받아, 추축국에 가담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공격해 현재의 슬로베니아 일부 지역과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을 합병, 대국이 되었다. 그러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1944년, 호르티는 추축국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였으나, 하지만 아돌프 히틀러의 도움을 받은 살러시 페렌츠가 이끄는 화살십자당이 헝가리를 장악{나치 독일군과 화살십자당에 의한 쿠데타(판자르파우스트 작전)}함으로써, 이탈은 저지되었다. 결국 헝가리는 1945년 5월 8일의 패전까지 추축국으로서 전쟁을 치렀다. 부다페스트 포위전으로 연합국으로 돌아서게 된다. 종전 후, 1946년 2월 1일에 왕제가 폐지되고, 헝가리왕국은 명실공히 붕괴하였다. 헝가리는 파리 조약(1947년)에 따라, 전쟁으로 얻은 영토를 모두 잃고 1938년 1월 1일 당시의 국경으로 돌아갔다. 소련에 의해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소비에트연방 점령하의 헝가리에서는, 1949년 사회주의공화국을 표방한 헝가리 공화국(제2공화국)이 성립하였다. = = 헝가리 인민 공화국(1949~1989) = = 헝가리에서는 제2차대전 후 1946년 2월에 공화제가 실시되고 소지주당(小地主黨)을 제1당으로 하는 4개정당 연립정권이 발족하였다. 그 후 1947년 8월의 총선거에서 공산당은 제1당으로 진출하고 이의 지도를 받는 민족독립전선은 60.8%를 차지하였다. 이듬해 6월에는 공산당이 사회당과 합병해서 근로자당(勤勞者黨)으로 개칭하고, 1949년 5월의 총선거에서는 99.8%를 얻었으며, 그 해 8월 20일에는 신헌법을 공포하여 인민공화국이 발족하였다. 헝가리에서는 처음으로 소비에트 블록 공산주의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반대 운동으로, 헝가리 사람들이 자유, 민주주의, 정치 탄압 종식을 요구한 헝가리 혁명(1956년 10월 23일)이 일어났다. 혁명에 의해 10월 24일 수상으로 임명된 임레 너지는 소련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바르샤바 조약 기구 탈퇴를 선언했다. 그러자, 소련의 붉은 군대가 헝가리를 침공하여 반공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여 강제로 혁명을 무너뜨리고 독자 노선 추구를 이끈 임레 너지를 사형시키는 등, 혁명 지도자들을 죽이면서 혁명은 실패하였다. 1956년 10월의 '헝가리 의거'가 있은 뒤에 라코시(1952∼1953년 수상)는 당의 명칭을 사회주의노동자당으로 개칭하고 당의 숙청을 단행했다. 또한 작가연맹(作家聯盟)을 해산시켰으며, 노동자평의회(勞動者評議會)를 금지시켰으며, 1959년부터 61년에 걸쳐서 농업집단화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이후 헝가리는 중앙유럽의 민주화를 주도한다. 카다르 제1서기는 소련의 제22차 당대회 후에 새로운 노선을 채용하고, 1962년 8월에는 라코시·케레 등 스탈린주의자를 일소하였으며, 이듬해 3월에는 의거로 체포되어 있던 정치범들을 모두 석방시켰다. 1980년대 후반이 되자,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공산당(헝가리사회주의노동자당) 독재의 한계가 드러났다. 1980년대 후반의 헝가리민주화운동의 결과, 1989년 5월, 헝가리는 서방측의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 설치되어 있던 철조망 "철의 커튼"을 철거하고 국경을 개방하였다. 1989년 8월에는 헝가리사회주의노동자당이 하야하고, 1989년 10월 23일에는 신헌법(헝가리공화국헌법)의 시행으로, 다당제와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국호를 헝가리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헝가리 인민 공화국은 명실 공히 붕괴하였다. 헝가리는 1980년대 말 바르샤바 조약 폐지와 코메콘 폐지도 주도하였다. = = 헝가리 공화국(1989~ ) = = 1991년 소련이 해체되자 헝가리는 서유럽 국가들과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하며 1996년에는 OECD에,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2004년 5월 1일에는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헝가리 제3공화국의 국기와 국장에는, 파시즘과 나치즘 체제를 펼쳤던 화살십자당의 화실십자가 문장과 공산당시대의 붉은 별의 문장이 제거되었다. 또한, 나치 독일, 화살십자당, 소비에트연방, 공산당 일당독재에 의한 압제의 반발로서, 하켄크로이츠, 화살십자, 낫과 망치, 붉은 별의 사용이, 1993년의 개정형법에 의해 금지되고 있다. 헝가리는 지금까지도 정치가 안정되지 못하여 2007년에 반정부 폭동이 일어난 바 있다. 헝가리는 2009년 1월 1일부터 동성결혼이 합법화될 예정이었으나, 위헌 판결을 받으면서 도입이 불가능해 버렸다.( 헝가리 '동성결혼 합법화' 위헌 판결) 하지만 2009년 5월 9일에 동성커플을 인정함에 따라 7월부터 동성커플을 인정하는 법률이 통과됐다.헝가리도 동성커플 법적관계 인정 2009년 3월 15일에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선 혁명기념일에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헝가리 혁명기념일에 반정부 시위) = = 참고 = = 헝가리의 군주 = 다크타워: 희망의 탑 = 다크타워: 희망의 탑은 2017년 8월 개봉한 미국의 영화이다. 니콜라이 아르셀 감독 작품으로, 스티븐 킹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 출연 = = 이드리스 엘바 - 롤런드 디셰인 / 총잡이 매슈 매코너헤이 - 월터 오딤 / 월터 패딕 / 검은 옷의 사나이 톰 테일러 - 제이크 체임버스 수현 - 아라 캠피그넌 프랜 크랜즈 - 핌리 애비 리 커쇼 - 티라나 재키 얼 헤일리 - 세이어 캐서린 위닉 - 로리 체임버스 데니스 헤이스버트 - 스티븐 디셰인 마이클 바르비에리 - 티미 호세 수니가 - 호치키스 박사 앨릭스 맥그레거 - 수전 델가도 니컬러스 해밀턴 - 루커스 핸슨 디웻 네이글 - 타힌 텍 = 블랙웨이 = 블랙웨이(Blackway)는 미국에서 제작된 다니엘 알프레드손 감독의 2015년 스릴러 영화이다. 안소니 홉킨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2015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고 위드 미(Go with Me)라는 제목으로 초연되었으며 2016년 6월 10일 극장 개봉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소니 홉킨스 줄리아 스타일스 알렉산더 루드윅 레이 리오타 = = = 조연 = = = 할 홀브룩 테일러 힉슨 로슬린 먼로 알렉스 파우노빅 스티브 베이식 크리스 고디어 아론 펄 글렌 벡 린다 달로우 윌리엄 벨류 데일 윌슨 스티븐 크리 몰리슨 = 빈스 코라자 = 빈스 코라자(Vince Corazza, 1972년 12월 6일 ~ )는 캐나다의 배우, 영화배우, 성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뉴마켓 (온타리오 주)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락 앤 롤: 더 무비 (2014년) - 빌 역 CSI 라스베가스 시즌12 (2011년) - 스탠리 역 아이 다운로디드 어 고스트 (2004년) 솔저스 걸 (2003년) 치타 걸스 (2003년)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말라 2 (2001년) 데인저 씨 (2001년) 보스 (1999년) 체이싱 시크릿 (1999년) 유니버셜 솔저 3 (1998년) 사탄의 인형 4 - 처키의 신부 (1998년) 페타 윌슨의 니키타 (1997년) =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 분류:다이하쓰 = = 불교와 힌두교 = 불교와 힌두교는 고대 인도 문화에서 공통된 기원을 가지고 있다. 불교는 기원전 500년경에 "두 번째 도시화" 동안 인도 북부 의 동부 갠지스 문화에서 발생했다. 힌두교는 고대 베다 종교에서 발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인도 전통 의 수많은 관습과 아이디어를 채택했다( 힌두 통합 이라고 함). 두 종교는 많은 공통된 신념과 관행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뚜렷한 차이점도 있다.Y. Masih in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2000),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Delhi, Page 18.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that Jainism and Buddhism ever subscribed to vedic sacrifices, vedic deities or caste. They are parallel or native religions of India and have contributed much to the growth of even classical Hinduism of the present times." 두 종교 모두 카르마 와 환생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며, 둘 다 환생의 주기로부터 영적 해방 (해탈, 열반)에 대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둘 다 유사한 종교적 관행(예: 삼매, 만트라 및 바크티)을 장려한다. . 두 종교는 또한 사라스와티, 비슈누 ( 우풀반 ), 마하칼라, 인드라, 가네쉬, 브라흐마를 포함한 많은 신을 공유한다(본성은 다르게 이해되지만). 그러나 불교는 아트만(실질적인 자아 또는 영혼 ), 브라흐만(모든 것의 보편적인 영원한 근원) 및 창조신의 존재와 같은 근본적인 힌두교 교리를 특히 거부한다. 대신 불교는 무아와 연기를 근본 이론으로 가르친다. 불교는 또한 베다 (및 기타 힌두교 경전)의 성경적 권위를 거부하고 의식, 카스트 및 희생에 관한 베다의 가르침을 거부하며, 아뢰야식이 나와 세계에 관한 모든 것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즉, 창조주로서의 브라흐만이 아니라, 마음이 모든 것의 주인이요, 마음이 세계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또한, 불교는 카스트제를 인정하지 않는데, 카스트는 그것이 고귀한 신분에 속하는 자이든, 천한 신분에 속하는 자이든 간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구속이 되고 속박이 되기 때문이다. 즉, 카스트제는 풀려남과 자유로워짐의 참된 해탈이 아닌 것이다. 다시 말해 붓다는 카스트의 하층부에 속하는 비참한 민중들 뿐만 아니라 다른 계층의 사람들에게도 평등한 대비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은 동체대비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살도라는 것이 (대승)불교에는 존재하여, 마하연의 수행자라면 누구나 이 길을 갈 것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 보살이라는 원형, 유형은 일체 중생에 대한 자비심과 반야지혜를 향한 장대한 여정이고, 이는 곧 불교의 이상적 인격, 방향을 나타내는 상징이라고 할 것이다. = 루치 = 루치 또는 루시는 남아시아 벵골 및 아삼 지역의 튀긴 납작빵이다. =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 췌장 신경내분비종양(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 PanNET, PET 또는 PNET, islet cell tumours,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Islet Cell Tumors) Treatment (PDQ) Health Professional Vers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March 7, 2014. pancreatic endocrine tumours)The PanNET denomination is in line with current WHO guidelines. Historically, PanNETs have also been referred to by a variety of terms, and are still often called "islet cell tumors" or "pancreatic endocrine tumors". See: 은 췌장 내 내분비(호르몬) 및 신경계 세포에서 발생하는 신경내분비 종양이다.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은 신경내분비 종양의 일종으로, 위장췌장 신경내분비 종양(GEP-NET)의 약 1/3을 차지한다. 많은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은 양성이지만 일부는 악성이다. 공격적인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은 전통적으로 "섬 세포 암종"(islet cell carcinoma)으로 불려왔다.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은 대부분이 외분비 췌장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인 일반적인 형태의 췌장암과는 매우 다르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췌장 신생물 중 단지 1~2%만이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이다. = 브리트니 커런 = 브리트니 커런(, 1990년 6월 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웨이머스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맨 프럼 어스2: 홀로신 (2017년) - 타라 역 더블 대디 (2015년) 엑소시즘: 죽음의 소리 (2015년) - 레인 역 캠퍼스 오바마 전쟁 (2014년) - 소피 플레처 역 캡쳐드 (2013년) - 줄리 역 멘 오브 어 서튼 에이지 (2009년) 리걸리 브론디스 (2009년) 어드벤처 오브 푸드 보이 (2008, The Adventures of Food Boy) 더 혼팅 아워: 돈 씽크 어바웃 잇 (2007년) - 프리실라 역 아키라 앤 더 비 (2006년) 고 피겨 (2005년) 잭과 코디, 우리집은 호텔 스위트 룸 (2005년) 드레이크와 조시 (2004년) 완벽한 그녀에게 딱 한가지 없는 것 (2004년) 더 매지션스 시즌2 트위스티드 = 칠포해수욕장 = 칠포 해수욕장(七浦海水浴場)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칠포리에 위치한 백사장의 너비 4km, 길이 200~300m에 달하는 해수욕장이다. 시설 관리자는 포항시장, 포항북구청장이다. = = 참고 자료 = = 칠포해수욕장 - 기상청 일기예보 = 이따미조선초급학교 = 이따미조선초급학교는 일본 이타미시에 위치한 조선학교이다. = = 연혁 = = 1945년 9월 18일 - 국어 강습소 개설 1946 ~ 48년 - 통합 등을 거쳐 아사리카와베 초등학교로 변경 1949년 - 조선학교 폐쇄령으로 일시 폐쇄 1950년 - 이타미 시립 간즈 초등학교 구와즈 분교 1966년 - 현교명으로 변경 1969년 - 강변조선초급학교 통합 2002년 - 다카라즈카 조선 초급학교 통합 = = 학과 = = 초급부 유치반 = 주유소 = 주유소(注油所, , )는 휘발유나 경유 등의 각종 자동차 엔진용 연료를 판매하는 장소이다. LPG(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위해서 LPG를 충전하는 곳은 LPG 충전소라고 하며, 보통 주유소와는 별도로 둔다.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곳도 역시 별도로 둔다. 보통 주유소하면 차량용 주유소를 가리키지만, 모든 주유소가 자동차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보트 등을 위한 해상 주유소도 있으며, 항공기와 디젤 기관차, 디젤동차를 위한 주유소도 각 공항과 주요 역에 마련되어 있다. 상공에서 항공기의 연료를 공급하는 공중급유기도 있다. = = 역사 = = = = = 세계 = = = 1886년 카를 벤츠가 최초의 가솔린 엔진을 이용한 모토바겐이 생겨나고 1888년부터 제품화에 들어서면서 연료로 쓰이는 휘발유의 공급을 위해 생겨났다. 초기에는 연료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적인 주유소가 아닌 기존의 다른 업종에서 부가적으로 연료를 판매하는 방식이었다. 독일 남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비스로흐에서 최초의 주유소가 생겼으나, 원래는 약국이었던 곳에서 휘발유 등의 연료를 판매하는 형태였다. 미국의 헨리 포드가 내놓은 포드 모델 T가 등장하면서 자동차의 대중화와 함께 연료 공급 수요가 늘어나게 된 이후, 연료만을 전문으로 하는 최초의 주유소가 1905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412 S. Theresa Avenue에 세워졌다.St. Louis, MO - St. Louis Timeline Fact Sheet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의 주유소는 1969년 서울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근처에 생긴 "청기와주유소"라고 한다.'김영철의 차 그리고 사람' 박통께서 차 안이 춥다는데 한번 고쳐보시오, 중앙일보, 2010년 10월 30일. 이보다 앞선 1910년 서울역 앞에서 미국 스탠다드 오일에서 설립한 "역전주유소"가 있다. 전국의 주유소 현황에 보면 1970~80년대 1천여 개소해왔으나, 1985년 2천여 개, 1989년 3천여 개, 1992년 5천여 개, 1995년 8천여 개, 1998년 1만여 개, 2000년대 초반 1만 1천여 개, 2000년대 중후반 1만 2천여 개 빠르게 증가하였다가, 2010년대 초반에 정점 찍고, 감소하게 시작했으나, 셀프 주유소의 개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주유소 개수는 11,606개이며, 그 중 3,057개(26.3%)가 셀프 주유소이다. = = 국가별 주유소 명칭 = = 대한민국 : 주유소(注油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연유공급소(燃油供給所) 일본 : 급유소(), 급유취급소(), 가솔린스탠드() 급유취급소는 일본의 위험물에 관한 정령에서 표현하는 용어이며, 일본에서는 주유소보다 가솔린스탠드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중국(중화인민공화국) : 가유참() 대만(중화민국) : 가유참(중국어: 加油站 ㄐㄧㄚ ㄧㄡˊ ㄓㄢˋ짜아요우잔) *몽골 : БЕНЗИН(벤징) 중국(홍콩), 싱가포르 : 유참() 베트남 : trạm xăng(짬쌍), cây xăng(꺼이 쌍) 태국 : ปั้มน้ำมัน 캄보디아 : ស្ថានីយ៍ប្រេង 미얀마 : ဆီဆိုင် 아랍권 : سطاسيون 터키 : benzin istasyonu 미국 : 가스 스테이션(Gas Station)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 : 페트롤 스테이션(Petrol Station) 거의 모든 영어권을 포괄하는 용어로 필링 스테이션(Filling station)을 사용하기도 한다. 프랑스 : 스타시옹 세르비스(Station-service) 이탈리아 : 스따찌오네 디 세르비지오(stazióne di sevizio) 독일 : 탕크슈텔레(Tankstelle) 러시아 : 벤자칼론카(бензоколо́нка) 포르투갈 : Posto de gasolina(뽀스도 디 까솔리나) 스페인 : 까솔리네라(gasolinera) = = 서비스 = = 주유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주유소가 포화되면서 많은 주유소들이 단순한 주유 시설 외에 여러 가지 편의시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꾀하고 있다. 주유소에서는 연료 주입 이외에도 난방용 등유를 판매·배달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타이어나 와이퍼 같은 자동차 용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또한, 현대의 수많은 주유소는 자동 세차기를 두고 있어 추가 요금을 받고 자동차의 세차를 해주기도 하며, 엔진 오일이나 타이어 등의 부품 교환, 간단한 점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다. 급유 중 서비스로서 자동차의 유리창을 가볍게 닦아주거나 재떨이통을 비워주는 곳도 있다. 일부 주유소는 편의점을 입점시키는 곳도 있다. 미국 등에서는 한국식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역할을 주유소가 맡는 것이 보통으로 이런 곳에 위치한 주유소는 각종 식료품 및 주요 물품을 파는 매장을 겸하는 곳이 흔하다. 주간고속도로 등에서 편의시설간의 거리가 수십 마일에 달아는 곳에 위치한 주유소는 대형 마트를 겸하는 곳도 있다. 인근에 거주 구역이 거의 없는 곳의 도로에 자리잡은 주유소에는 여관을 겸하는 곳도 있다. = = = 셀프 주유소 = = = 미국과 같은 몇몇 국가에서는 관리에 꼭 필요한 담당자 이외에 종업원과 서비스가 없는, 운전자가 직접 주유하는 셀프 주유소(Self-Service Station)가 있다. 초창기에는 주유소에서 셀프로 할 것인지 직원이 넣어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일반 주유소와 셀프 주유소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단, 오리건주는 2018년부터 허용하게 되었고 뉴저지주는 셀프 주유소가 법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2003년 도입 이후 한 동안 그 수가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인건비와 관리비를 크게 줄이면서 저렴한 기름값으로 주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2009년까지만 해도 300개에 그쳤던 셀프 주유소가 급격히 늘어나서 2013년에는 1300여개로 늘어나서 전체 주유소의 비중의 10%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2018년에는 그 개수가 3057개로 조사되었으며, 그 비중은 26.3%이다. 일반 주유기 4개를 셀프 주유기로 바꾸는 데 인허가 비용을 포함해서 1억~1억5,000만원 정도가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수익성 악화로 인해 셀프 주유소의 비중이 늘어났다. = = 법률로서의 금지 사항 = = 거의 모든 국가에서 주유소는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기름과 가스가 많은 주유소에서 화재사고시 엄청난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주유 중 자동차의 엔진 정지를 법률로 규정해두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위험물안전관리법 제5조 제3항, 시행규칙 제49조에 따라 운전자는 주유 중에는 자동차의 엔진을 꺼야 하며, 위반시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외에도 화기의 사용, 더 나아가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도 있다. = = 세계의 주유소 기업 = = 어떤 나라는 한 개의 주유소 브랜드가 독점을 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멕시코 정부가 출자하여 설립한 페멕스(Pemex)라는 주유소가 기름을 공급하고 가격을 책정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로얄 더치 셸(Royal Dutch Shell)이라는 기업이 정부가 설립하여 운영하는 주유소인 페트로나스(Petronas)라는 주유소에 기름을 공급한다. 그러나, 곧 해외기업들이 진입하여 다른 브랜드의 주유소가 생길 예정이다. 로열 더치 셸은 자신의 브랜드를 전 세계로 수출한다. 그런 반면, 셰브론(Chevron) 같은 기업은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에서는 칼텍스(Caltex)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유럽과 라틴아메리카에서는 텍사코(Texaco)를 사용한다. 엑슨모빌은 미국에서 엑슨(Exxon)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한다. 하지만 미국 외 지역에서는 에소(Esso)라는 브랜드가 더 잘 알려져 있다. 브라질에서는 페트로브라스(Petrobras)가 주요 주유소 사업자이지만, 엣소, 이피랑아(Ipiranga), 텍사코(Texaco), 로열 더치 셸 역시 큰 회사이다. 영국에서는 많은 브랜드가 경쟁을 하고 있다. 가장 큰 회사로는 비피와 로열 더치 쉘이 있다. 세계적인 슈퍼마켓 체인점들이 주유소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아스다(Asda)와 테스코(Tesco)가 가장 대표적이다. 인도에는 약 15,000 명의 사람들이 주유소에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주유소 사업자는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이 있다. = = 쇠퇴 = = 2010년대에 들어서 전기차가 보급되었고, 주유소 영업을 크게 감소하여, 폐업 절차를 밟는 것으로 알려졌고, 오는 2050년대 이후, 전기차 보급률이 크게 늘어나면, 일반형 주유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된다. = 스플릿 (영화) = 스플릿은 201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유지태 : 윤철종 역 이정현 : 주희진 역 이다윗 : 박영훈 역 정성화 : '두꺼비' 두중오 역 권해효 : 백 사장 역 문영수 : 은발노인 역 장희웅 : 무경 역 양동탁 : 헌팅캡 역 금서 : 민수 역 정의갑 : 탱고남 역 조상기 : 금목걸이 역 김혜나 : 윤 여사 역 정찬우 : 은발노인 경호원 역 한국진 : 금목걸이 일행 1 역 엄지만 : 금목걸이 일행 2 역 조수정 : 철종 아내 역 장혁진 : 골프웨어남 역 신성원 : 올림픽볼링장 사장 역 김유리 : 올림픽볼링장 여직원 역 황대준 : 명품남 1 역 김호준 : 명품남 2 역 백현주 : 영훈 어머니 역 박상필 : 중국선수 1 역 정승주 : 중국선수 2 역 정성완 : 헌팅캡 일행 1 역 김주경 : 헌팅캡 일행 2 역 오치운 : 성심원 원장 역 장서경 : 성심원 여대생 역 조완기 : 선글라스 남 역 이동용 : 슈퍼 아저씨 역 이혜리 : 수요볼링/대통령배 아나운서 역 정종열 : 수요볼링/대통령배 해설자 역 한철우 : 대통령배 깍두기 역 전현숙 : 장부중국집 여주인 역 이정주 : 토우볼링장 경비원 역 한연수 : 빅볼링장 여직원 역 이예림 : 원피스녀 역 유준서 : 어린 영훈 역 원영숙 : 영훈 할머니 역 정현수 : 영훈 이복동생 역 김채연 : 어린 희진 역 조선묵 : 희진 아버지 역 이원서 : 대통령배 철종 동료 1 역 김영환 : 대통령배 철종 동료 2 역 손원락 : 대통령배 두꺼비 동료 1 역 조영선 : 대통령배 두꺼비 동료 2 역 신민수 : 올림픽볼링장 젊은남 역 김혜인 : 올림픽볼링장 젊은여 1 역 반하늬 : 올림픽볼링장 젊은여 2 역 박서현 : 올림픽볼링장 회원 1 역 윤수현 : 올림픽볼링장 회원 2 역 김지은 : 룸사롱 여자 1 역 박하연 : 룸사롱 여자 2 역 최승 : 성심원 사감 역 이영은 : 다코스볼링장 아줌마 역 이지수 : 그랜드볼링장 상대선수 역 강충훈 : 스톰암배 아나운서 목소리 역 김하라 : 빅볼링장 구경꾼 목소리 역 김태훈 : 토우볼링장 구경꾼 1 목소리 역 정한빈 : 토우볼링장 구경꾼 2 목소리 역 박철민 : 박윤배 역 (특별출연) = 스티브 스미스 (농구 선수) = 스티븐 델러노 "스티브" 스미스(, 1969년 3월 31일 ~ )는 미국의 은퇴한 농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슈팅 가드이다. 그는 14세에 미국 농구 협회를 통하여 마이애미 히트,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비롯한 여러 팀을 두루 다니며 경기에 임하였다. 1991년에 마이애미 히트에 이단한 그는 2003년에 스퍼스에서 챔피언십을 입상하였다. =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 선형대수학에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不等式, ) 또는 코시-부냐콥스키-슈바르츠 부등식(Cauchy-Буняковский-Schwarz不等式, )은 내적 공간 위에 성립하는 부등식이다. 이 부등식은 무한 급수 · 함수 공간 · 확률론의 분산과 공분산 등에 널리 응용된다. = = 정의 =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mathbb K-벡터 공간 V V 위의 양의 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 \langle,\rangle (\mathbb K=\mathbb R일 때, 이는 양의 준정부호 쌍선형 형식과 같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첫째 벡터에 대하여 반선형, 둘째 벡터에 대하여 선형이라고 하자.) *: \langle w,\alpha u+v\rangle=\alpha\langle w,u\rangle+\langle w,v\rangle=\overline{\langle \alpha u+v,w\rangle}\qquad\forall \alpha\in\mathbb K,\;u,v\in V 그렇다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만약 \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0이며 \mathbb K=\mathbb R일 경우,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따라 이므로 자명하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0이며 \mathbb K=\mathbb C일 경우,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따라 = \operatorname{Re}\langle u,v\rangle = -\frac 12\langle u-v,u-v\rangle = \operatorname{Im}\langle u,v\rangle = -\frac 12\langle u+iv,u+iv\rangle 이므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한다. (양의 정부호 에르미트 형식의 경우 \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0은 u=v=0을 함의하며 이는 자명하게 \langle u,v\rangle=0을 함의하므로 위와 같은 과정이 필요 없다.) 따라서, \langle u,u\rangle 또는 \langle v,v\rangle 가운데 하나가 양의 실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편의상 \langle v,v\rangle>0라고 하자. 양의 준정부호 조건에 의하여, 임의의 \lambda\in\mathbb K에 대하여 이다. 이제,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얻는다. 또한, 만약 \langle,\rangle가 양의 정부호라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서 등호가 성립할 필요 충분 조건은 u와 v 일차 종속인 경우이다. = = = 부정부호의 경우 = = = 일반적으로, 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의 경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민코프스키 공간의 시간꼴 벡터의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 벡터 공간 V V 위의 쌍선형 형식 \langle,\rangle. 또한, \{v\in V\colon\langle v,v\rangle<0\}\cup\{0\}은 1차원 부분 벡터 공간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정부호의 경우에 대하여 부호가 반대인 것에 주의.) 증명: 만약 \max\{\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ge0이라면 (좌변은 음이 아닌 실수, 우변은 양이 아닌 실수이므로) 부등식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따라서 \langle u,u\rangle와 \langle v,v 둘 다 양이 아닌 실수라고 가정하자. 또한, 만약 u와 v가 선형 종속이라면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등식으로) 성립한다. 따라서 이 둘이 선형 독립이라고 가정하자. 이에 따라, 가정에 따라 \operatorname{Span}\{u,v\}는 \langle w,w\rangle\ge0인 원소 w\in\operatorname{Span}\{u,v\}\setminus\{0\}를 포함한다. 편의상 이것이 w=u+\lambda_0v라고 가정하자. 실수 \lambda\in\mathbb R에 대하여, 2차 다항식 =\lambda^2\langle v,v\rangle+2\lambda\langle u,v\rangle+\langle u,u\rangle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는 \lambda=0에서 양이 아닌 실수이지만, \lambda=\lambda_0에서는 p(\lambda)가 음이 아닌 실수이게 된다. 즉, p(\lambda)=0는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갖는다. 이것이 성립할 필요 충분 조건은 판별식 이 음이 아닌 실수인 것이며, 따라서 이다. 또한, 2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의 경우는 위와 같은 조건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 벡터 공간 V V 위의 쌍선형 형식 \langle,\rangle. 또한, \{v\in V\colon\langle v,v\rangle<0\}\cup\{0\}은 1차원 이하 부분 벡터 공간이며, \{v\in V\colon\langle v,v\rangle>0\}\cup\{0\} 역시 1차원 이하 부분 벡터 공간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임의의 두 벡터 u,v\in V에 대하여, 항상 다음 두 경우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만약 \min\{\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le0일 때: 위의 정리를 사용한다. 만약 \max\{\langle u,u\rangle,\langle v,v\rangle\}\ge0일 때: 위의 정리를 (V,-\langle,\rangle)에 사용한다. = = 예 = = = = = 낮은 차원 = = = V=\mathbb K^n일 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은 꼴이 된다. 특히, n=2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을 얻는다. 특히, 2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 = 르베그 공간 = = = 가측 공간 X 위의 p=2 르베그 공간 V=\operatorname L^2(X;\mathbb K)은 \mathbb K-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이 경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이는 횔더 부등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 = = C* 대수 = = = C* 대수 A 위의 상태 가 주어졌을 때, 는 A 위의 양의 준정부호 에르미트 형식을 이룬다. 이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 역사 = = 1821년에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 대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하였다. 1859년에 빅토르 야코블레비치 부냐콥스키(, , 1804~1889)가 무한 차원의 경우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부냐콥스키의 논문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1888년에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가 무한 차원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재발견하였다. 1896년에 앙리 푸앵카레가 “슈바르츠 부등식”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후 이 부등식은 서유럽 및 미국에서 통상적으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반면, 동유럽에서는 부냐콥스키의 업적을 기려 이를 “부냐콥스키 부등식” 또는 “코시-부냐콥스키-슈바르츠 부등식” 등으로 일컫는다. = 남딘 = 남딘시는 베트남 북부 삼각주 지대에 위치한 남딘 성의 성도로, 하노이(베트남의 수도)에서 남동쪽으로 9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매년 이 곳에서는 베트남을 침입한 몽골군을 격퇴한 영웅 쩐흥다오를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남딘 인구는 380,069명이다. 면적은 46.4km2 이고 인구밀도는 8,191km2이다. 2017년 12월 16일 처음으로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오픈했다. = 동허이 공항 = 동허이 공항은 베트남의 비행장으로 꽝빈성 동허이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동허이 시내 중부에 있으며, 시내 중심부로부터 6km 밖에 소재해 있다. 시내에서 버스나 택시로 약 10분~15분이 걸린다. 항공여객 및 화물을 수송해왔으며, 동허이 공항은 현재 연간 500,000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도록 항공기 에어버스 A320 등 항공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공항장 주변에는 택시 정류장도 있다. = = 연혁 = = 1930년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로 있을 때, 프랑스 주둔군은 당시 프랑스 령 인도차이나 동쪽에 비포장 활주로를 건설하였고, 이는 동허이 공항의 기초가 되었다. 공항 북쪽 건물과 시설은 베트남 전쟁 당시 건설되었으며 베트콩에 의해 사용되었다. 2003년, 퐁냐케방 국립공원은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자연유산으로 인정받았다. 퐁나케방 국립공원이 유네스코로부터 세계자연유산으로 인정받은 뒤 관광객이 급증했다. 퐁냐 동굴은 영국동굴협회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길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긴 지하강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꽝빈성은 녓레 해변, 다냐이, 리호아, 방 생수(레투이현)와 같은 자연스럽고 깨끗한 해변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꽝빈성에 있는 휴식 관광과 자연 탐사의 필요을 충족하기 위해 동허이 공항을 건설하여 관광 개발에 기여하고자 했다.Report Feasibility Study Dong Hoi airport project by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 approved in 2004 2004년 8월 30일에 신축공사가 시작되었고, 2007년 마지막 분기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 공항 건설 예상 비용은 1500만 달러로 베트남 민간항공청 산하 기관인 베트남 북부항공공사가 투자한 금액이다. 정부의 자금 부족으로 공항 건설 일정이 지연되었다. 2008년 2월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일부 미결 항목(전체 작업의 10%)이 있어 마감 시한이 연장되었다. 개정된 계획 일정에 따르면, 이 공항은 2008년 3분기에 완공되고 개장될 예정이었다. 이 시설의 건설은 2008년 5월에 완료되었다. 베트남 총리는 2008년 5월 15일자로 이 공항을 2008년 5월 18일에 운영하기로 한 결정에 서명했다. 첫 상업 비행은 하노이의 노이바이 국제공항으로 진행되었으며 2008년 5월 18일 이 공항에 착륙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2018년 4월 베트남 민간기업인 FLC그룹(뱀부 항공의 소유주)이 이 공항을 확장하자는 제안을 베트남 당국에 제출했다. 베트남 교통부는 2018년 4분기에 이 공항을 확장하고 더 많은 국제선 노선을 취항시키자는 이 제안을 승인했다. 증축은 활주로가 3600m까지 확장되고, 연간 10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터미널 건설 및 기타 보조 시설의 건설과 함께 2012년 4/4분기에 시작될 예정이었다. 이 공항은 2020년 확장사업이 끝난 뒤 A350 B787과 같은 대형 항공기를 서비스할 수 있는 평행 유도로와 함께 4E급 활주로 1개(3600m x 45m)를 보유하게 되며, 별도의 국제선 및 국내선 터미널 2개, 연간 10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 = 운항 노선 = = = = = 국내선 = = = = 강바현 = 강바현은 티베트 자치구 르카쩌 지구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4100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0,000명이다. = = 지리 = = 해발고도는 4700m이다. 연평균 기온은 -2°C, 연평균 강수량은 280~320mm, 무상일수는 60일이다. = = 행정 구역 = = 1개 진, 4개 향을 관할한다. 진: 岗巴镇. 향: 昌龙乡, 直克乡, 孔玛乡, 龙中乡. = 캠프 호비 = 캠프 호비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던 주한 미군 육군의 제1지역 군영이다. 2019년 12월에 다른 제1지역 시설과 마찬가지로 각 지역의 시청에 토지가 반환될 예정이였으나 무기한 연기되었다. 현재는 순환여단의 본부로 기능하는 중이다. = = 명칭의 유래 = = 캠프 케이시/USAG 케이시 엔클레이브의 일부분인 캠프 호비는 제7보병 사단, 17보병연대, A 중대원으로서 1953년 7월 6일 폭찹 힐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하워드 C. 호비 상사를 기려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 = 주둔 = = 제7기병연대 4대대 제15야전포병연대 1대대 여단 특수병력대대 (BSTB) 2021년 현재 제1야전포병연대 1대대 제2여단공병대대 = 와한 회랑 = 와한 회랑 또는 와칸 회랑(Wakhan Corridor, )은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에 위치한 동서로 가늘고 길게 뻗은 회랑 지대이다. 와한 회랑은 타지키스탄, 중국, 파키스탄 세 나라의 국경과 맞닿아있다. 와칸 회랑의 동쪽 끝은 가는 손가락 모양으로 중국 국경까지 좁고 길게 뻗어 있는데, 그 생김새 때문에 이른바 '와한Wakhan 회랑'이라고 한다."[책]아프가니스탄, 왜?". 34페이지 오래 전부터 유라시아 대륙에서 동-서 이동을 위한 중요한 길목 이었고 따라서 역사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이 곳을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왔다. 최근에도 중국과 관련하여 이슈가 되고 있다. = = 지리 = = 와한 회랑은 파미르고원의 남쪽 끝자락을 동서로 흐르는 피얀지 강(Pyanji) 바로 남쪽에 있는 바다흐샨주에 위치한다. 이 회랑 지대에는 파미르인과 와키인, 키르기스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인구는 약 12,000명 정도 된다. 회랑의 길이는 약 350km이다. 회랑의 서쪽 1/3은 너비가 13~30km(8~19마일)이며 Wakhan 중심부에서 65km(40마일)로 넓어진다. 동쪽 끝에서 회랑은 중국 영토의 돌출부를 감싸는 두 갈래로 갈라져 두 나라 사이의 92km(57마일) 경계를 형성한다."[논문]아프가니스탄-소련 경계에 대한 국제 경계 연구". 미국정보 연구국. 2011년 6월 7일.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아래의 지도는 와칸회랑의 모양을 잘 보여준다. = = 역사 = = = = = 고대 = = = 아주 오래 전부터 타클라마칸 사막을 통해서 동서를 잇는 실크로드 이른바 '비단길'의 일부를 이루는 중요한 통로였다. = = = 8세기 경 = = =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수 고선지 장군이 지휘하는 당나라군과 동맹군 카를루크가 아바스 왕조, 티베트 연합군의 동쪽 진출을 막기 위해 탈라스 전투(Battle of Talas)당시 지나간 길목이었다. = = = 19세기 경 = = = 영국과 러시아 제국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주요 무대가 된다. 영국이 당시 남쪽으로 팽창하려는 러시아 제국을 막기 위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국경인 듀랜드 라인을 임의로 설정하였는데 와한 회랑은 이 듀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한다."[책]아프가니스탄, 왜?". 35페이지 비록 이 듀랜드 라인이 당시 영국과 러시아 사이 분쟁의 완충제 역할을 했을지 모르지만 민족과 지역에 대한 고려 없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분쟁의 원인이 되고있다. = = = 21세기(현재) = = = 앞에서도 언급했듯 와한 회랑은 중국과 맡닿아있어 최근 중국과의 관계에서 몇 가지 쟁점들이 있다.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 주도의 현대판 실크로드 전략이다. 35년 간(2014~2049) 고대 동서양의 교통로인 현대판 실크로드를 다시 구축해, 중국과 주변국가의 경제․무역 합작 및 확대의 길을 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와한 회랑이 이 '일대일로' 중 일부로 포함되어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 정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분리 독립을 막기 위해 탄압하고 있다. 이 지역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슬람 신자인데, 중국의 탄압에 맞서 1990년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신장 독립운동(ETIM) 세력이 설립되었고 중국은 이 세력이 와한 회랑을 통해 침투하거나, 와한을 거점으로 신장 분리 독립을 전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경계하고 있다. = 분류:숭실학당 동문 = = 1952년 올림픽 = 1952년 올림픽은 다음과 같다. 1952년 하계 올림픽 1952년 동계 올림픽 = 석패율제 = 석패율제(惜敗率制)는 선거 제도 중 하나로, 소선거구제 선거의 지역구에서 아깝게 당선되지 못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당선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 = 방식 =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서 석패율제에 의해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출마하는 후보들이 있을 경우 당에서 정한 순번에 그 후보들을 등재한다.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출마하는 후보는 한 비례대표 순번에 둘 이상 등재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그 순번이 당선권에 속한다면 지역구 득표율이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들(지역구 당선자 제외) 중 석패율이 가장 높은 후보가 비례대표에 당선될 수 있다. 석패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낙선자 득표수 ÷ 당선자 득표수)로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구에 후보 A와 B가 출마하였는데 후보 A는 1만 표를 얻어 당선되고 후보 B는 9천 표를 얻어 낙선했다면 B의 석패율은 (9000 ÷ 10000)이므로 90%가 된다. 지역구 당선, 비례대표 불출마: 그대로 지역구 당선자로 인정된다. 지역구 당선, 비례대표 낙선: 위의 경우와 같다. 비례대표 의석 수 부족으로 낙선했더라도 지역구 당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역구 당선, 비례대표 당선권: 지역구 당선자로 인정되고 비례대표에 중복 당선될 필요가 없다. 당연히 그 순번에 등재된 후보들의 석패율을 비교할 때도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 순번에 다른 비례대표 당선자가 없을 경우 당선권이 승계된다. 지역구 낙선, 비례대표 당선권: 지역구 득표율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석패율을 비교하여 석패율이 가장 높은 후보가 비례대표 당선자로 인정된다. 그 순번에 지역구 당선자를 제외한 후보들이 모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모두 낙선처리되고 당선권이 승계된다. = = 예시 = = 선겨 결과 비례대표로 5석을 얻게 된 당의 비례대표 명부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고(*표는 지역구 동시출마 후보를 위한 순번) 당선자를 결정한다면, (석패율 당선을 위한 최저 득표율 기준은 10%라고 가정) 순번 후보자 후보자 후보자 1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2 후보 B1(지역구 당선) 후보 B2(지역구 당선) 후보 B3(지역구 당선) 3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4 후보 D1(지역구 낙선, 득표율 40%,당선자 득표율 48%) 후보 D2(지역구 당선) 후보 D3(지역구 낙선, 득표율 34%,당선자 득표율 36%) 5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6 후보 F1(지역구 당선) 후보 F2(지역구 낙선, 득표율 15%,당선자 득표율 40%) 후보 F3(지역구 낙선, 득표율 8%,당선자 득표율 20%) 7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 ... ... ... 당선권인 1번의 후보 A와 3번의 후보 C, 5번의 후보 E는 그대로 당선된다. 2번의 세 후보들은 당선권이지만 모두 지역구에서 당선됐으므로 비례대표에 중복 당선되지 않는다. 즉, 2번에는 비례대표에 당선될 대상이 없기 때문에 비례대표 의석이 6번까지 승계된다. 4번은 2번과 마찬가지로 석패율 순번이므로 석패율을 비교하게 된다. 우선, 지역구에 당선된 후보 D2를 제외하면 남은 후보는 D1과 D3인데, 득표율은 D1 40%, D3 34%로 D1이 더 높지만 석패율을 비교해 보면 D1은 40÷48 해서 약 83.3%, D3은 34÷36 해서 약 94.4%로 D3의 석패율이 앞서므로 비례대표 4번으로 당선될 후보는 D3이다. 6번은 2번에 등록된 세 후보들이 모두 지역구에 당선되어 의석을 승계받게 되는데, 6번도 역시 석패율 순번이므로 석패율을 비교하게 된다. 우선, 지역구에 당선된 후보 F1을 제외하면 남은 후보는 F2와 F3인데, 석패율을 비교해 보면 F2는 15÷40 해서 37.5%, F3은 8÷20 해서 40%로 F3의 석패율이 앞서지만 F3의 득표율은 최저 득표율 기준인 10%에 못 미치므로 낙선, 비례대표 6번으로 당선될 후보는 F2이다. 이 결과를 표로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녹색은 비례대표 당선 의석, 청색은 지역구 당선으로 인한 승계 의석, 홍색은 낙선자를 의미한다. 순번 후보자 후보자 후보자 비고 1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후보 A (지역구 불출마) 1/5석 *2 후보 B1(지역구 당선) 후보 B2(지역구 당선) 후보 B3(지역구 당선) 승계 3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후보 C (지역구 불출마) 2/5석 *4 후보 D1(지역구 낙선,석패율 83.3%) 후보 D2(지역구 당선) 후보 D3(지역구 낙선,석패율 94.4%) 3/5석 5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후보 E (지역구 불출마) 4/5석 *6 후보 F1(지역구 당선) 후보 F2(지역구 낙선,석패율 37.5%) 후보 F3(지역구 낙선,득표율 미달) 5/5석 7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후보 G (지역구 불출마) 낙선 ... ... ... ... ... = = 장단점 = = 정당 내 공천 갈등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고 정당의 열세 지역에서도 후보자 당선이 가능해 지역주의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단점으로는 거대 정당의 유력 정치인들이 이 제도를 이용해 너무 쉽게 당선될 수 있고, 사회 각계의 전문가를 대표로 불러들여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비례대표제의 본래 취지가 옅어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 = 시행 국가 = = 현재는 일본이 유일하게 석패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중선거구제였던 중의원 총선거를 1996년부터 소선거구제로 바꾸면서 새로 도입되었다.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석패율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도 지역주의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석패율제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석패율제의 부작용을 들어 석패율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다.석패율제 도입..찬반 양론 팽팽 = 크리스토발 위에 = 크리스토발 위에(, 1975년 9월 3일~)는 프랑스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로 포지션은 골텐더이다.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로스앤젤레스 킹스, 카나디앵 드 몽레알, 워싱턴 캐피털스, 시카고 블랙호크스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필리프 보종의 뒤를 이어 프랑스 국적 선수로는 두 번째로 NHL에서 활약한 선수이다. 또한 프랑스 최초의 NHL 골텐더이며, 2009–10 시즌에 시카고 블랙호크스 소속으로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하며 프랑스 최초로 NHL 우승 선수가 되었다. 국제 대회에 프랑스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하여 1998년과 200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는 프랑스 국가대표 골텐더로서 국제 경기 146경기에 출전했다. = 오스틴 파워 = 오스틴 파워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공개된 3편의 미국 영화 시리즈 작품이자 그 주인공이다. 모든 영화 작품의 감독은 제이 로치가 맡고 있으며, 프로듀서로 데미 무어가 참여하고있다. 주연 마이크 마이어스는 프로듀서와 각본도 겸하고있다. 007 시리즈의 패러디로, 영국의 인기 만점 유능한 스파이 오스틴 파워의 활약을 그리고 있다. 영화 제목은 자동차 제조회사 오스틴 모터 컴퍼니에서 유래하였다. = = 영화 = = 오스틴 파워: 제로 오스틴 파워 2 오스틴 파워: 골드멤버 = 샘고을중학교 = 샘고을중학교는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3년 3월 31일 : 정읍공립고등여학교 설립 인가(4년제) 1943년 5월 26일 : 假校舍 정읍공립국민학교에서 개교식 거행 1947년 9월 30일 : 정읍공립여자중학교로 교명 개칭(6년제) 1951년 5월 30일 : 정읍여자중학교로 분리 인가(3년제) 2021년 2월 5일 : 제70회 110명 졸업(졸업생 총 수 20,327명) 2021년 3월 1일 : 제27대 최금희 교장 부임 2022년 3월 1일 : 남녀공학 전환 및 샘고을중학교로 교명 변경 2021년 3월 2일 : 입학식(111명 입학) = 드라이브 클럽 (교양 프로그램) = 드라이브 클럽은 SBS TV에서 방영되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이며 2016년 10월 21일부터 2016년 12월 30일까지 방송되었다. = = 출연자 = = 탁재훈 (MC) 이상민 (MC) 리지 (MC) 알베르토 몬디 강병휘 김형준 나윤석 신동헌 = 시베리에이드 = 시베리에이드(Sibiriada)는 소련에서 제작된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감독의 1979년 드라마 영화이다. 나타샤 안드레이첸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나타샤 안드레이첸코 콘스탄틴 그리고리에브 = = = 조연 = = = 리우드밀라 구르켄코 = 롯데리아 = 롯데리아(Lotteria, )는 주로 일본과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햄버거 중심의 패스트푸드 체인 음식점이다. = = 역사 = = = = = 일본 롯데리아 = = = 롯데그룹의 패스트푸드 사업의 일환으로 창업된 롯데리아는 일본에서 1972년 일본 법인 '주식회사 롯데리아'로 사업을 시작했으며, 최초 매장은 1972년 9월 일본 도쿄 니혼바시에 있는 다카시마야 백화점 니혼바시 점에서 1호점이 개설되었다. 일본 법인 '주식회사 롯데리아'는 일본 외에도 대만 지역 롯데리아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2023년 4월 롯데홀딩스는 스키야, 하마즈지 등을 운영하는 외식산업 일본 내 최대 기업인 젠쇼홀딩스에 롯데리아 주식 전량을 매각해 인수됐다. 지금은 일본 롯데그룹을 이탈하여 젠쇼홀딩스의 완전 자회사이다. 햄버거 체인의 점포수로는 맥도날드(2966개), 모스버거(1289개), KFC(1197개)에 크게 뒤져 일본내 4위(310개). = = = 대한민국 롯데리아 = = = 대한민국에서는 1979년 일본 롯데리아와 합작하여 대한민국 법인 '주식회사 롯데리아'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2004년 한국 법인 측에서 일본 롯데리아가 소유한 한국 법인 지분을 모두 매입해 현재는 지분 관계가 없는 관계가 되었고, 2017년 7월 한국법인 '주식회사 롯데리아'는 '롯데 GRS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한국 법인 롯데GRS는 대한민국, 베트남, 중국, 미얀마, 캄보디아, 카자흐스탄, 몽골 등 지역 롯데리아의 소유권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의 첫 롯데리아는 1979년 12월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에서 개업하였다. 그러나 이 점포는 2003년경 폐점하였으며 지금은 1980년 4월 개점한 2호점이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롯데리아 점포로 존재한다. = = 매장 수 = = - 2000개 - 310개 - 300개 - 10개 - 10개 = = = 일본 = = = 햄버거를 중심으로 패스트푸드를 판매한다. 새우버거와 절품 치즈 버거는 롯데리아의 오리지널 버거이다.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에서는 라이스 김치버거를 포함하여 한국 사람들의 입맛에 맞춘 패스트 푸드를 판매한 적이 있다. 식단은 일반적인 패스트푸드 항목들이다. 이를테면 햄버거를 포함하여 다른 메뉴로는 후라이드 치킨, 치킨 윙(화이어 윙), 치킨휠레, 포테이토, 양념감자, 콘 샐러드, 치즈 스틱, 오징어 링, 팥빙수 등의 먹을거리를 들 수 있다. 이외에 롯데리아 특유의 개발 메뉴 중 어니언(양파맛), 칠리(매운맛), 치즈가루 등을 포테이토에 뿌려먹는 양념감자, 아이스크림을 컵에 담아 5가지 음식가루, 혹은 음식덩어리 및 잼을 담아 모터가 달린 회전 기계에 돌려먹는 토네이도가 있다. 2010년 2월 27일 키자니아 서울 내에 '햄버거 카페테리아' 체험관을 오픈하였다. 서울특별시 : 200개 부산광역시 : 100개 대구광역시 : 100개 (군위군 제외) 인천광역시 : 100개 광주광역시 : 100개 대전광역시 : 50개 울산광역시 : 50개 세종특별자치시 : 20개 경기도 : 500개 강원특별자치도 : 100개 충청북도 : 57개 충청남도 : 65개 전북특별자치도 : 51개 전라남도 : 48개 (신안군 제외) 경상북도 : 67개 (청송군, 영양군 제외) 경상남도 : 87개 제주특별자치도 : 14개 = = 메뉴 = = = = = 일본 = = = = = = = 버거 = = = = 절품 치즈 버거 새우 버거 = = = = 판매 중단 = = = = 김치 태균 버거지바 롯데 마린스에 소속되었던 김태균 선수를 위한 한정 기간 프로듀스 메뉴였으며 지바 마린 스타디움점에서만 판매하였다. 탄두리 버거 빅쿠리맨 쉐이크 BOSS 쉐이크산토리와의 콜라보 품목 = = = 대한민국 = = = = = = = 버거 = = = = 데리 버거 불고기 버거 새우 버거 더블 새우 버거 클래식 치즈 버거 치킨 버거 모짜렐라 인 더버거 베이컨 원조 빅불 버거 한우 불고기 버거 더블 한우 불고기 버거 핫 크리스피 버거 더블 크리스피 버거 T-REX 버거 리아 미라클 버거 더블 리아 미라클 버거 = = = = 사이드 메뉴 = = = = 지파이(하바네로/고소한 맛) 치킨 너겟 롱 치즈 스틱 콘샐러드 쉑쉑 치킨(칠리/치즈/어니언) 양념감자 오징어링 치즈스틱 포테이토(m/L) 토네이도(허쉬 초코쿠키/녹차/스트로베리) 선데 아이스크림(스트로베리) 소프트 콘 = = = 드링크 = = = 아이스 티(m/L) *아메리카노(s/m) 아이스 아메리카노(레귤러/라지) 핫 초코 오렌지 100 우유 칠성 사이다(s/m/L) 펩시콜라(s/m/L) *제로콜라(s/m/L) * 밀크 쉐이크(딸기/초코/바닐라) 카페 라떼 아이스 카페 라떼 레몬 에이드(m/L) = = = 판매 중단 = = = 빅립 버거 구운 통마늘 버거 델리 파우치 돈까스 버거 라면 버거 레드 앤 화이트 버거 메가 빅 파프리카 버거 미트 포테이토 버거 베이컨 치즈 버거 베이컨 치킨 머핀 불갈비 버거 김치 버거 버거 크닭 트위스터 감자 비프 바베큐 버거 블루 소다 에이드 닌자 핫 크리스피 버거 닌자 에이드 더블 데리 버거 맥앤치즈 불새 버거 불타는 오징어 버거 BB 버거 빅 비프 버거 새우 라이스 버거 소시지 머핀 辛 리브 샌드 아보카도 통새우 버거 IMF버거 야채 라이스 다도 버거 야채 라이스 불고기 버거 에그 라이스 옛날커피 영 버거 오징어 버거 우엉 버거 자이언트 더블 버거 청양 고추 버거 춘천 치킨 립 버거 치즈 버거 치즈 오징어 머핀 크랩 버거 크레페 랏츠 버거 유러피언 치즈버거 텐더 그릴 치킨 버거 포크 커틀릿 버거 한우 레이디 버거 한우 스테이크 버거 한우 주니어 버거 허브 돈까스 버거 호밀빵 새우 버거 호밀빵 웰빙 버거 피쉬 버거 핫도그 마짬 버거 모짜 새우 버거 강정 버거 밀리터리 버거이근을 단독 홍보 모델로 내세웠으나 김용호의 지나친 비판담에 밀리며 도중에 판매 중단하였다. 닌자 토네이도 토네이도(돼지바) 토네이도(흑당) AZ버거 폴더 버거(핫치킨) 핫크레이지버거 = = = 기타 = = = 세트메뉴에는 버거세트, 치킨세트가 있다. 버거세트는 버거, 튀긴 음식, 음료 등을 합쳐 놓은 것을 말하며, 명품버거들의 경우 조금 더 비싸게 판매한다. 모든 매장의 콜라는 펩시만 취급하며 사이다는 칠성사이다만 취급한다. 세트의 구성은 대개 버거에 음료+감자튀김이다. 또, 500원 추가시 라지사이즈(음료+감자튀김)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일부 매장 제외) 대한민국의 경우 롯데리아의 런치타임(점심을 겨냥하여 저렴하게 판매하는 시간대)이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이지만, 매장마다 시간과 가격에 차이가 있으며 일부 매장은 주말에 런치타임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롯데리아 용산전자상가점, 롯데월드점(전부), 월드컵몰점 등은 런치매장이 아니다. 롯데리아 서울랜드, 서울랜드2호점, 서울대공원점, 인천공항점 등은 특수점포로 세트메뉴가 없다. 게다가 런치매장도 아니다. = 비토 (치즈) = 비토 또는 비토 스토리코는 원산지 명칭 보호를 받는 이탈리아산 치즈이다. 롬바르디아주에서 많이 생산되며 이 지역의 비토강에서 이름을 땄다. 목초지가 짐승의 활동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소들이 노니는 여름 몇 개월 동안만 고지에서 생산된다. 발테리나 계곡에서 우유로 만들며 10~20%의 염소 우유를 추가하는 것은 의무이다. 염소 우유를 많이 첨가하면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여러 복합적 요소가 있기 때문에 낙농업자가 염소 우유 첨가 비율을 결정한다. = 분류:세기별 모리타니 사람 = 모리타니 en:Category:Mauritanian people by century = 우리 함께 뛰어들자 = 우리 함께 뛰어들자는 중국의 동영상 사이트 플랫폼 텐센트 비디오에서 주최한 보이 그룹 결성 프로젝트 서바이벌 프로그램 창조영 2021의 프로그램 주제 곡이다. 창조영 2021은 국제 보이 그룹을 목적으로 시작한 시즌이기 때문에 Chuang To-gather go!라는 我们一起闯영문 가사의 노래도 발매하였다. 3월 13일, 중국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튜브 등에서 공식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였다. 7월 16일, 프로젝트 보이 그룹 INTO1의 1st EP INTO1's WONDERLAND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 은척면 = 은척면(銀尺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의 면이다. 인구소멸 위험지수가 전국 읍·면·동 최저치인 0.03을 기록하여 사실상 소멸단계에 접어들기 시작하였다. = = 행정 구역 = = 봉중리 (면소재지) 봉상리 우기리 남곡리 문암리 두곡리 장암리 무릉리 황령리 하흘리 = 분류:우루과이의 스포츠팀 둘러보기 틀 = = Eyes Wide Open (트와이스의 음반) = Eyes wide open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트와이스의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2020년 10월 26일에 발매되었다. = 분류:1220년대 출생 =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21년 11월 = = = 틀토론:위키백과 계정 준보호 = = 문서 내 계속되는 장난성 편집으로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21년 11월 1일 (월) 06:42 (KST) = = 문서 생성 제한 요청 = = 최근 들어 특정 IP 사용자들이 "교안이"로 시작하는 제목이 들어간 장난성 문서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미디어위키:Titleblacklist 또는 특수:편집필터를 통해 "교안이"로 시작되는 제목이 들어간 문서들의 생성을 제한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11월 1일 (월) 20:37 (KST) = =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문서가 악의적으로 훼손되어 보호 조치 및 조사요청합니다. = = 이순신과 관련된 문서에 악의적인 훼손이 발견되었습니다 소개하는 공간에 있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은 CapTain님이 2021년 11월 4일 (목) 11:55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1월 4일 (목) 15:18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정상수 문서 보호 요청 = = 정상수 계정 사용자와 ip 사용자에 의해 문서가 훼손되고 있습니다. — best regards, Blue-auth 2021년 11월 4일 (목) 14:51 (KST) = = 사이트노티스 변경 요청 = = 2021년 K-POP 에디터톤이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사이트노티스 상단의 '케이판 에디터톤 시즌2' 부분을 해당 내용으로 교체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trainholic (T, C) 2021년 11월 4일 (목) 19:14 (KST) = = 사용자 토론 준보호 요청 = = 사토:양념파닭 사토:양념파닭/머리말/관리자 아님 또 그 통피가 출몰해서 제 사토를 비롯하여 특정 관리자의 사토를 훼손 중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1월 4일 (목) 21:01 (KST) = = 행복나래 삭제 및 생성보호 요청 = = 삭제되어도 지속적으로 재생성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1월 5일 (금) 14:17 (KST) = = 해치지 않아 문서 복구 요청 합니다 = = Tvn예능 인데요. 삭제 되었네요.. 무슨 일이 있건거죠 복구 부탁 드립니다 이웃집 또털어 (토론) 2021년 11월 5일 (금) 21:02 (KST) 이 문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삭제 및 이동, 보호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명의 영화가 있어 동음이의어 문서로 재생성하였습니다. White.t. 2021년 11월 16일 (화) 20:31 (KST) = =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43주 보호 해제 요청 = = 특정 이해당사자인 관리자에 의해 준보호된 것을 해제 요청합니다. 2001:2D8:E141:C7DD:0:0:10E1:80B1 (토론) 2021년 11월 6일 (토) 09:36 (KST) = = 한푸, 단군, 단군조선, 심의 문서 보호요청 = = Ip 사용자들의 문서 반달 jyoo1011 (토론) 2021년 11월 7일 (일) 09:58 (KST)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보호요청 = = 닭먹고싶다란 분이 사칭계정으로 활동하시는 것 같고 다른 분의 권고를 받았는데도 장난식으로 답변하고, 12세미만은 개인정보를 쓰면 안된다는 규정 설명에도 욕설로써 대응했습니다. [] Senegalget과 동일인물로 보이는 이 분은 223.38로 시작하는 IP로 계속 변경하면서 최근 1년 이내에 소집된 선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최근 1년 이내에 차출된 선수 명단) 문서는 최근 콜업, 경기수,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는게 원칙 [] 인데 자신의 마음대로 계속 변경하고 있습니다. [] [] 제가 몇 차례나 대화 시도를 했는데도 계속 무시하였습니다 한국어 버전에 따로 명시된 규정이 없어서 제 요청이 얼마나 들어질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부상선수를 표시할 것이면 모든 부상선수를 표시하는 확실함이라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 분은 자신이 아는 부상선수만(김영권,황의조) 표시하는 것이 맞는건가 싶습니다. 그래서 영어버전에서 쓰이고 있는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이치에 맞다고 생각되는데 일단 대화를 안 하고 계속해서 무시 그리고 반말하는 태도로 일관하는 이 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Issue0501 (토론) 2021년 11월 8일 (월) 21:46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보호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취소선 처리를 위한 틀을 추가하고, 문단을 닫습니다. ※특수:차이/30718715 메이 (토론) 2021년 11월 26일 (금) 14:43 (KST) = =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10일 전쟁 준보호 요청 = = 10일 전쟁 문서를 좋은 글로 선정하면서 생성했습니다.(그리고 가능하시면 위키데이터에서 좋은 글로도 수정해주시면 좋겠습니다.) Magika (토론) 2021년 11월 8일 (월) 21:49 (KST) = = 윤홍식 문서 보호 요청 = = IP 사용자들에 의한 지속적인 반달이 관측되어 보호를 요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1년 11월 9일 (화) 00:56 (KST)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외 코로나19 관련 문서 보호 연장 요청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외 코로나19 관련 문서들이 오늘부로 보호가 만료될 예정인데요. 해당 문서들의 경우 보호 해제 시 추가 편집 분쟁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전환되었더라도 코로나 범유행은 아직 현재진형형인 만큼 최소 2022년 11월까지 1년간 추가 보호를 요청합니다. 175.211.17.4 (토론) 2021년 11월 9일 (화) 11:01 (KST) = = 펠라티오 보호 요청 = = 잊을만하면 문서 상단에 여러 부적절한 사진이 게시되네요. Magika (토론) 2021년 11월 14일 (일) 20:06 (KST) = = 글로벌동심유치원 사건사고 문서 보호 요청 = = 문서 보호요청 (수정 및 삭제 금지) 드립니다. 외부 세력에 의한 내용 삭제 — 이 의견은 Ehdtla님이 2021년 11월 15일 (월) 13:45 (KST), 2021년 11월 15일 (월) 13:46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1월 26일 (금) 14:28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특수:차이/30694642, 특수:차이/30694655 = = striker9498, Striker9498, 개태훈9498 지속적인 문서 생성 금지 보호 요청 = = striker9498, 개태훈9498 지속적인 문서생성으로 잠금, 보호요청 Striker9498 (토론) 2021년 11월 15일 (월) 16:37 (KST) 다른 관리자 등에 의한 보호 등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합니다. 취소선 처리를 위한 틀을 추가하고, 문단을 닫습니다. 메이 (토론) 2021년 11월 26일 (금) 14:26 (KST) = = 사용자에 대한 수정 요청 = = 차단기간이 재조정된지 한참 지났는데 수정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차단 틀이 없는건 상관이 없지만, 잘못된 내용은 지우거나 수정을 해주셔야 할 듯 합니다. White.t. 2021년 11월 16일 (화) 20:22 (KST) = = 김득신 (시인) 준보호 요청 = = 거의 두 달 동안 여러 아이피에 의한 훼손으로 문서 역사가 엉망이 되었습니다.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Ellpicre (토론) 2021년 11월 17일 (수) 05:04 (KST) = = 삼천포제일중학교 = = IP 사용자들에 의한 반달이 지속적으로 관측되어 보호를 요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1년 11월 17일 (수) 14:32 (KST) = = 사용자토론:ShineyMoon 보호 요청 = = ip사용자의 차단회피 또는 잦은 문서훼손으로 인한 보호 요청 Striker9498 (토론) 2021년 11월 17일 (수) 16:06 (KST) = = 문서 역사 일괄 병합 요청 = = 박진오 (가수), 초안:박진오 (가수) 윤새, 초안:윤새 특정 사용자의 편집으로 인하여 문서 역사가 끊겨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역사를 병합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11월 17일 (수) 18:38 (KST) = = 방송사 관련 문서 삭제 및 생성 보호 요청 = = 주간! 돌발영상‎ CCTV-中视购物频道 CCTV-8K‎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아이피가 차단을 회피해가며 지속적으로 재생성 하고 있으니 생성 보호 요청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1월 18일 (목) 00:30 (KST) = = 사용자토론:Striker9498/보존문서8 보호 요청 = = 지속적인 문서훼손으로 보호 요청 Striker9498 (토론) 2021년 11월 18일 (목) 21:59 (KST) = = KM-SAM 천궁 삭제 요청 = = 제가 이동했던 천궁 (유도탄) 문서가 다시 천궁 (미사일)로 이동되면서 위 문서와 연결되는 링크도 제거했습니다. 특히 뉴스기사를 보면 '천궁'과 'KM-SAM'이라는 명칭은 따로 표기되며 위처럼 동시에 같이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Goondae (토론) 2021년 11월 21일 (일) 02:45 (KST) 다른 사용자(관리자)가 삭제 신청을 반려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논의 후 필요시 다시 삭제 신청을 바랍니다. 취소선 처리를 위한 틀을 추가하고, 문단을 닫습니다. ※특수:차이/30697906 메이 (토론) 2021년 11월 26일 (금) 14:03 (KST) = = 시즌 준보호 요청 = = 계속해서 훼손 행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1월 21일 (일) 17:29 (KST) = = 티브이어워즈 생성 보호 요청 = = 계속해서 재생성되는 광고성 문서로 보여집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1월 21일 (일) 21:20 (KST) = = 문서 역사 일괄 병합 요청 = = 오래 전부터 초안:싸움독학 문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정 IP 사용자가 싸움독학 문서를 생성하는 바람에 역사가 끊겨 버렸습니다. 해당 문서들의 역사를 병합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11월 24일 (수) 04:55 (KST) = = 사용자토론:Kirschtaria 보호 요청 = = ip사용자의 잦은 인신공격적 발언으로 문서훼손이 일어나고 있으니 보호 요청 부탁드립니다. Kirschtaria (토론) 2021년 11월 24일 (수) 12:27 (KST) = = 내일은 국민가수 준보호 요청 = = 내일은 국민가수를 준보호 요청합니다. 비등록 사용자가 여러 컴퓨터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바꿔서 문서를 훼손합니다. slfsp3645 · talk 2021년 11월 24일 (수) 12:59 (KST) = = 초안:금속 결정 삭제 후 11월 24일 이후 버전만 복구 요청 = = 사용자:기나ㅏㄴ님이 생성한 문서입니다. 일단 같은 제목 두산백과를 표절하였던 0문단은 다르게 수정되었으나, 정리가 전혀 되지 않은 문서이고, 비결정성 금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이 곧 금속 결정이라 영어 위키백과나 위키데이터에서도 별개의 금속 결정에 대한 페이지가 없습니다. 특정판 삭제와 별개로 내용 정리가 필요해 초안으로 옮겼습니다. 현재 본 문서는 단순한 3가지 격자 구조에 대해서만 단순한 내용을 다루고 있을 뿐 금속 문서와 다르게 독립시킬만큼 충분한 내용이 없고 '금속 결정을 기반으로 이온 결정의 형태 또한 결정된다.' 등 과학적 사실과 무관한 오류 내용도 있어 초안에서 다듬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은 모두 체심입방격자이지만, 염화 세슘은 전체적으로 체심입방격자와 유사한 8배위이지만, 반대로 염화 나트륨은 면심입방격자인 6배위 구조를 띄는 등, 일부 서술이 백과사전에 부적절해 초안에서 다듬어져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1월 23일 이전 버전이 모두 저작권 침해이며 생성자 외의 기여자가 없어, 숨기는 방식 보다는 삭제 후 복구 방식으로 특정판 삭제를 하여 깨끗한 역사를 만든것이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황동기시대 (토론) 2021년 11월 24일 (수) 13:59 (KST) = = 위키백과토론:편집 필터/오동작/보존문서3 생성 보호 = = 삭제 기록 이 문서는 무려 20번이나 삭제된 적이 있음에도 특정 사용자(통신사 IP & 피아이씨케이 관련 차단회피자) 장난성 문서 생성이 현재 진행형이므로 기한을 정해두지 않은 생성 보호 (준보호) 를 요청합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21년 11월 24일 (수) 20:58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해당 문서가 보호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취소선 처리를 위한 틀을 추가하고, 문단을 닫습니다. 메이 (토론) 2021년 11월 26일 (금) 13:30 (KST) = = 사토:메이 준보호 요청 = = ⬅️ 통피 반달러의 계속 반달 표적이 되고 있으며 지금도 실시간으로 서명에 장난하고 있습니다. 빠른 처리 바랍니다. Goondae (토론) 2021년 11월 25일 (목) 12:14 (KST) = = 준보호 해제 요청 = =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47주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43주 사용자:Reiro의 권한남용에 의해 준보호가 되었습니다. 준보호 해제를 요청합니다 42.22.2.86 (토론) 2021년 11월 27일 (토) 15:17 (KST) = = 틀:제주특별자치도의 온천 삭제 요청 = = 장기간 문서가 비워진 상태로 발전이 없는 문서이며 작년에 한번 생성이 되었으나 몇년이 지나도 문서 기여가 없어 사실상 제주특별자치도의 온천 틀을 만들 필요가 있나는 이의도 있습니다. 삭제로 판단하는게 옳은것으로 보여 요청을 생성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온천은 보통이 온천 호텔입니다. 틀 존치가 의미가 없으므로 삭제를 하는게 어떨지요.. 삭제 요청합니다.49.228.227.36 (토론) 2021년 11월 27일 (토) 16:54 (KST) = = 모든 문서에 준보호를 해제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 = 계정을 만든 사용자를 위한 문서를 편집하는것도 좋지만 IP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편집권이 있기 때문에 문서나 틀은 IP 사용자도 편집을 허용해 주는게 맞습니다. 반달이나 문서 훼손은 토론을 통해 고쳐나가거나 문서 편집 요약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서 수정하고 새로운 방법을 개정하는게 중요할거 같네요.49.228.227.36 (토론) 2021년 11월 27일 (토) 16:59 (KST) = = KT 위즈 장기인증 보호 요청 = = 최근에 KT위즈에서의 편집 분쟁이 있습니다. 따라서 KT 위즈 문서에 장기인증 보호를 걸어주십시오.Shdhdi 2021년 12월 19일 (일) 19:49 (KST) = =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문서 보호 요청 = = 동일 인물로 추정되는 특정 아이피 사용자들이 번가라 가며 문서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의 문서 훼본을 막기 위해 보호 요청합니다. 존중합시다 리스펙! (토론) 2021년 11월 29일 (월) 16:02 (KST) = = 오늘의 좋은 글 = = 위키백과:오늘의 좋은 글/래리 크레이머가 생성되었습니다. 다른 오늘의 좋은 글과 같이 준보호 요청합니다. —— Melon. T 2021년 11월 30일 (화) 16:53 (KST) = = 문서 역사 일괄 병합 요청 = = 상하이 지하철 15호선, 초안:상하이 지하철 15호선 특정 사용자의 편집으로 인하여 문서 역사가 끊겨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역사를 병합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11월 30일 (화) 20:45 (KST) = 분류:모리타니의 무슬림 = = 분류:필리핀의 인권 침해 = =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 =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는 도쿄도 미나토구에 본사를 둔 일본의 출판사다. 컬처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다. = = 역사 = = = = = (구)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 = = = 2006년 6월 5일에 주식회사 톱 파트너스 산하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설립되었다. 영화 제작 사업에서 시작하여 2008년 9월에 비디오 메이커 사업「くじら スター☆伝説」 2008년 9월 19일(품번: EARD-001, JAN 4562262280003)과 출판 사업을 개시했다.国立国会図書館サーチ - 書誌詳細 - 猫バカとバカ猫 : スケキヨですよっ! 2008 2009년 5월에 탤런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개시해, 같은 해 10월에 방송 개시한 성검의 블랙스미스에서 애니메이션 제작 사업에 참가했다. 2010년 12월에 코믹 레이블 '어스 스타 코믹스'를 창간해, 코믹스 사업에 입문했다.国立国会図書館サーチ - 書誌詳細 - クドわふたー 2010 2011년 3월에 미디어 믹스 코믹지 월간 코믹 어스 스타를 창간했다. 2013년 2월에 TV 애니메이션 만걸!의 주제가 CD 〈girl meet DEADLINE〉를 발매해, 음악 사업에 입문했다. 2014년 12월에 '어스 스타 노벨'을 창간해, 라이트 노벨 분야에 입문했다. 2016년 3월에 사무소를 이전했다. 2016년 7월부터 애니메이션 사업을, 톱 파트너즈의 자회사 톱 마샬이 신설 한 새로운 레이블 '스마이럴 애니메이션'에 이관했다. 다만 이관 후에도 일부 작품에 있어서 기획 협력 등 부차적인 애니메이션에의 관여는 계속되고 있다.(무책임 갤럭시☆타일러 등) 2018년 3월 31일로 성우·탤런트 사업에서 철수. 이에 따라 소속 탤런트는 퇴소를 하게 되었다. 2018년 4월 3일에 주식회사 타이문도(泰文堂, 태문당)의 전주식을 취득. 같은 해 5월 15일 타이문도가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를 흡수합병해 해산했다.官報 平成30年4月12日(号外第82号)62頁 株式会社アース・スター エンターテイメント合併公告 = = = (신)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 = = = 산세이도(三省堂, 삼성당) 전 사원인 篠崎信次가 1916년에 타이문도을 창업해, 영어 참고서의 출판을 시작한다.出版タイムス社 編『日本出版大観』出版タイムス社1931年、人と事業58頁 1939년 6월에 주식회사 타이문도에 법인화해, 篠崎萬蔵가 사장으로 취임. 2014년 6월 주식회사 이드의 자회사가 된다. 2018년 4월 (구)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가 되어 같은 해 5월에 모회사 (구)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하여 상호를 주식회사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로 변경. 2018년 7월에 사무소를 시나가와구 메구로 센트럴 스퀘어로 이전했다. 2023년 3월에 모회사 톱 파트너즈의 흡수 합병에 수반하는 해산에 의해, 조부회사 컬처 엔터테인먼트의 직접 자회사가 된다. = = 웹 코믹 = = 코믹 어스 스타 = 노다 미쓰구 = 노다 미쓰구(野田貢)는 일본의 킥복싱 선수다. 1980년 10월 15일 일본 아이와현에서 태어났다. = = 내력 = = 2003년 9월 7일 제5회 웨이트 제 오픈 토너먼트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중량급에 출전해 3위 입상 2004년 9월 5일 제6회 웨이트 제 오픈 토너먼트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중량급에 출전해 3위 입상 2005년 11월 20일 제20회 오픈 토너먼트 2005 동일본 신인전 공수도 선수권 대회 스피릿 가라데 A 클래스 중량급에 출전해 우승을 완수와 함께 기술 상을 수상했다. 2010년 9월 5일 제10회 웨이트 제 오픈 토너먼트 전 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중량급에 출전해 우승 = = = 정보 = = = 키 191cm에 체중은 약 100kg다. 스모 선수로 활약을 하다가 엄청난 감량을 하면서 2006년 K-1선수로 전향을 했다. 그가 소속한 팀은 정도회관이다. 그의 사범인 김태영 (격투가)이 있다. = = = 입식 격투 전적 = = = 12전 9승 3패(7 KO) 경기일자 상대 결과 내용 대회 2010년 4월 3일 프린스 알리 패 3R 판정 K-1 World GP 2010 in Yokohama 2009년 11월 3일 사쿠라기 유이치 승 1R KO 한일 친선 국제 격투기대회 GLADIATOR 오카야마 대회(K-1룰) 2009년 3월 28일 유양래 승 3R 판정 K-1 월드 GP 2009 in yokohama 2008년 12월 6일 타카하기 츠토무 승 2R 2분 49초 TKO K-1 월드 GP 2008 final 2008년 6월 29일 사토 타쿠미 패 3R 판정 K-1 월드 GP 2008 in fukuoka 2008년 4월 13일 피터 본드라첵 승 2R 2분 43초 KO K-1 월드 GP 2008 in yokohama 2007년 12월 8일 노엘 카뎃 승 2R 1분 12초 KO K-1 월드 GP 2007 final 2007년 3월 4일 시릴 아비디 승 3R 판정 K-1 월드 GP 2007 in yokohama 2006년 12월 2일 사와야시키 준이치 패 3R 판정 K-1 월드 GP 2006 final 2006년 12월 2일 하세가와 야스나리 승 1R 1분 52초 KO K-1 월드 GP 2006 final 16 2006년 7월 30일 타카하기 츠토무 승 2R 30초 KO K-1 월드 GP 2006 in sapporo 2006년 6월 30일 니시와키 케이치 승 1R KO K-1 월드 맥스 2006 = = 타이틀 = = 신 가라테 중량급 3위(2006) = 마르가레타 = 마르가레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르가레타 크로크: 스웨덴의 배우 루이제 마르가레타 폰 프로이센 왕녀 마르가레타 데 로므니아: 루마니아의 미하이와 그의 아내 안 드 부르봉파르므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 마르가레타 아브 스베리예: 스웨덴의 왕족으로 덴마크 왕자 악셀의 아내 = 사회복지의 날 = 사회복지의 날은 국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사회복지사업종사자의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날이다. 사회복지의 날로부터 1주일간을 사회복지주간이라고 한다. = 분류:1963년 피지 = = 미차엘 = 미차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미차엘 우마냐: 코스타리카의 축구 선수 미차엘 아로요 미차엘 하비에르 오르테가: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 분류:붕소 = = 분류:1522년 북아메리카 = = 교회 가는 길 = 교회 가는 길은 대한민국의 방송국 기독교방송의 라디오 채널 CBS 표준FM에서 일 오전 9시 5분 ~ 오전 11시에 방송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여러 찬송가와 복음성가, CCM 그리고 목사의 설교가 방송된다. 2009년 3월 CBS 봄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2010년 봄개편 때 방송시간이 오전 7시 40분으로 앞당겨 졌으나 같은 해 가을개편 때 다시 오전 9시로 이동되었다. = = 역대 진행자 = = 장주희 아나운서 이명희 아나운서 송정훈 아나운서 백원경 아나운서(현재, 2009년에도 진행한 적이 있었다) = = 코너 = = 1부 - 주님, 우리 기도를, 마음 밭을 갈며 2부 - 뜻으로 읽는 성경 3부 - 은혜의 책갈피 4부 - 생명의 말씀, 행복한 예배자 = 틀: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올스타팀 = =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慶州 王龍寺院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09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1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불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환성사미타삼존조성결원문(還城寺彌陁三尊造成結願文)」을 통해 1466년에 조성역사를 시작하여 1474년에 비로소 완성되었으며, 불상의 조성발원에는 왕실종친부 및 지방관료·양반·양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였고, 불상의 제작은 양수(良手) 대선사(大禪師) 성료(性了)와 부양수(副良手) 선사(禪師) 혜정(惠正)에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무릎이 넓고 둔중한 것에 반해, 어깨는 상대적으로 좁고 허리는 길어져 전반적으로 늘씬한 비례를 보여준다. 특히 머리 폭이 좁고 끝이 뾰족한 팽이형의 머리와 고려후기 불상에 비해 양감이 줄어든 수척한 얼굴, 좁게 연 가슴, 왼쪽 어깨 부근의 칼날형태로 접은 주름, 왼쪽으로 치우쳐 표현된 Ω형 주름 등은 1458년에 조성된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28호)의 양식계를 잇고 있고, 양쪽 무릎 앞에서 표현된 예리한 각을 이루며 활처럼 휘어진 주름과 무릎 위쪽에 형성된 돌출주름 등은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상(국보 제221호) 등 조선전기에 제작된 불상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주름 표현이다. 이 불상은 「조성결원문」을 통해 불상의 제작연대는 물론 조성·봉안장소, 그리고 조각승을 비롯한 조성주체를 분명히 알 수 있는 조선 초기 불상의 기준자료이며, 특히 이 불상은 전통불상의 토대 하에 조선 초 새롭게 유입된 외래양식을 적절하게 수용하여 만든 불상계통으로 모든 면에서 국보 제228호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비교되는 수준 높은 작품으로 평가되며, 확실한 제작연대를 가진 조선초기의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로 조선초기 조각양식의 성립과 흐름을 이해하는 데 더없이 좋은 자료이다. = 분류: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메달리스트 *메달리스트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 팔라우의 재외공관 목록 = 팔라우의 재외공관 목록은 팔라우 주재 대사관을 각국에 상주시켜 놓는 것을 의미하며, 팔라우의 재외공관을 나열한 목록이다. = = 대사관 및 대표부 = = 대사관은 미국, 일본, 중화민국, 필리핀에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뉴욕에는 UN 대표부가 상주하고 있다. : 워싱턴 D.C. (대사관), 뉴욕 (UN 대표부) : 도쿄 (대사관) : 마닐라 (대사관) : 타이베이 (대사관) = = 영사관 = = 영사관은 괌의 하갓냐, 북마리아나 제도의 사이판섬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영국 런던과 벨기에 브라슈하트의 경우 명예 영사관이 마련되어 있다. = 수원 (하천) = 수원(水源, )이란 하천이 시작되는 지점을 말한다. 또는 용수(농업용수, 공업용수)나 수도(상수도, 간이수도)로서 이용하는 물의 공급원을 의미하기도 한다. = = 종류 = = 수원의 종류로는 천수(天水), 지표수, 지하수가 있다. 천수(天水) : 빗물이 주를 이룬다. 지표수 : 하천수, 호소수, 저수지 수를 말한다. 지하수 : 천층수, 심층수, 복류수, 용천수를 말한다. 부유물질, 유기물 등에 의해 오염된 정도가 지표수에 비해 작다. 단 광물질은 많이 포함. 하천수는 계절에 따른 수질 변화가 가장 큰 수원이다. = = 위치 = = (수원) - 상류 - 중류 - 하류 - (하구) = = 수원 선정 시 고려 사항 = = 수량이 풍부해야 한다. 최대 갈수기에도 계획 취수량만큼의 취수가 가능해야 한다. 수질이 양호하고 잠재적인 오염원이 없거나 적어야 한다. 수도 소비자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야 한다. 수도 소비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자연 유하식의 취수, 배수가 가능한 곳이 좋다. = = 대한민국 상수원의 수질 기준 = = 수질 기준을 따지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BOD는 1급의 경우 1mg/L 이하, 2급의 경우 3mg/L 이하, 3급의 경우 5mg/L 이하이어야 각각의 수질 기준을 만족한다. 그 외에 pH, SS, DO, 대장균 군수를 지표로 사용한다. = 이정철 (1967년) = 이정철(李貞澈, 1967년 8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북한학자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생애 = = 대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이건희 장학재단 자문위원을 역임하고, 숭실대학교를 거쳐 현재는 서울대학교 교수로 강의를 하고 있다. = = 교수 생활 = = 북한정치를 전공했으며, 중국정치와 정치수사학, 정치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많다. 숭실대학교에서는 '북한의 정치와 경제', '정치수사와 리더십', '분단체제와 안보', '중국정치의 이해', '정치와 법' 등의 교과목을 담당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에서는 '북한의 정치와 사회' 등을 담당하고 있다. = = 약력 = = 2002년 6월 ~ 2006년 9월 -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2004년 8월 ~ 2005년 8월 - 이건희 장학재단 자문위원 2006년 9월 ~ 2021년 2월 -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08년 3월 ~ 2008년 6월 - 통일부 회담본부 정책자문위원 2008년 3월 ~ 2009년 6월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2008년 8월 - 법학전문대학원 출제위원 2008년 8월 ~ 2010년 2월 -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정책자문위원 2009년 7월 ~ 2010년 2월 - 국회 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2012년 3월 ~ 2021년 2월 -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과장 / 사회과학대학 부학장 *2021년 3월 ~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 = 저서 = = 《북한의 이해》, (파주 : 법문사, 2002), 《북한경제개혁연구》, (서울 : 후마니타스, 2002), 《미국의 신보수주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평화문제》, (오산 : 한신사회과학연구소, 2004), 《최근 북한의 가격 유통 체제 변화 및 향후 개혁 과제 - 중국과의 비교연구》, (서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북한 연구의 성찰》,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5), 《북한의 사회문화》,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6), 《북미대립》,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 = = 역서 = = = 《정치란 무엇인가》, 케네스 미그노, (서울 : 동문선, 1999), = 틀:정치인 정보/설명문서 = = = 사용법 = = {{정치인 정보 }} 선출직·기타 직책 변수는 5개, 일반 공직 직책 변수 1개까지 존재. { "description": "", "format": "block", "params": {} } = 분류:TFF 1. 리그 구단 = = 틀:축구 이탈리아11/8 = = 에도가와구 = 에도가와구는 일본 도쿄도에 있는 특별구 중 하나이다. 구의 이름은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남북으로 흐르는 에도강에서 유래하였다. = = 지리 = = 도쿄도의 동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지바현 우라야스시, 이치카와시, 마쓰도시와 접하고 북쪽으로 가쓰시카구, 서쪽으로 스미다구, 고토구와 접한다. 남쪽은 도쿄 만에 면해있다. 에도강, 아라카와강, 나카가와강이 구를 흐른다. = = 역사 = = 에도가와구는 1932년에 미나미카쓰시카군의 7개의 정과 촌이 합쳐서 성립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슈토 고속도로 국도 14호선 국도 357호선 = = = 철도 = = = 동일본 여객철도 소부 쾌속선(소부 본선): 철도역 없음 주오·소부 완행선(소부 본선): 히라이역 - (가쓰시카구) - 고이와역 게이요선: 가사이린카이코엔역 도쿄 지하철 도쿄 지하철 5호선(도자이선): (고토구) - 니시카사이 - 가사이 - (지바현 우라야스시) 도쿄도 교통국 신주쿠선: 후나보리역 - 이치노에역 - 미즈에역 - 시노자키역 게이세이 전철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코이와역 - 에도가와역 = = 시설 = = 가사이 임해공원 = = 자매 도시 = = 에도가와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센트럴코스트시, 미국 하와이주의 호놀룰루시, 두 곳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이외에도 3곳의 우호도시(나가노현 아즈미노시, 야가가타현 쓰루오카시, 니가타현 미나미우오누마시)와 3곳의 교류도시(이바라키현 시로사토마치, 홋카이도 기코나이초, 미야기현 게센누마시)가 있다. = 제인 애셔 = 제인 애셔(Jane Asher, 1946년 4월 5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1960년대 당시 비틀즈의 뮤즈, 폴 매카트니의 여자친구로 이름을 알렸다. = = 출연 작품 = = 굿바이 마이 프렌드 (2015) 스타팅 아웃: 더 메이킹 오브 조지 스콜리모브스키 딥 엔드 (2011) Mr. 후 아 유 (2007) 은밀한 교육 2 (2006) 목사관 살인사건 (2004) 홀비시티 시즌1 (1999) 클로징 넘버스 (1993) 파리의 충격 (1988) 어 보이지 라운드 마이 파더 (1984) 레이첼의 외출 (1983) 다시 찾은 브라이즈헤드 (1981) 헨리 8세 (1973) 딥 엔드 (1970) 겨울 이야기 (1968) 손들어! (1967) 알피 (1966) 죽음의 가면 (1964) (1962) 왕자와 거지 (1962) 그린게이지의 여름 (1961) 찰리 문 (1956) 디즈니랜드 (1954) =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위원회/투표/처음 = 투표는 종료되었습니다. 결과는 전원 당선입니다. 이 곳은 추천 글 선정위원회의 최초 구성원을 선정하기 위한 투표소입니다. 선거 기간은 10월 15일부터 24일까지 열흘간입니다. 투표수 중 2/3이 찬성을 해야지 선정 위원으로 뽑힐 수 있습니다. 선정 위원이 하게 될 업무나 기타 사항에 관해서는 상위 글인 선정위원회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각각의 해당 입후보자에 대해 찬/반 및 기타 의견을 표명하시면 됩니다. 입후보자는 자신에 대해서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아래 순서는 입후보한 차례를 따랐습니다. 여러 명에게 동시에 찬성표/반대표를 던질 수 있습니다. 각각의 투표는 전부 독립되어 진행됩니다. = = BongGon = = 에 대한 투표입니다. = = =찬성 = = = 추천 글(가칭) 제도를 한국어 위키백과에 도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주셨습니다. 앞으로도 정열적으로 일해주시리라 믿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0월 15일 (월) 00:41 (KST) 추천 글 초기부터 열성적인 참가를 보여주셨습니다. 피첼 2007년 10월 15일 (월) 15:13 (KST) 축구프로젝트에서 부터 열성적인 활동을 보여주신 분입니다. 믿습니다.(이건 무한 BongGon교??) 해피해피 2007년 10월 15일 (월) 21:44 (KST) 늘 열심이신 분 Hun99 2007년 10월 15일 (월) 22:50 (KST) 풀빵 2007년 10월 15일 (월) 22:54 (KST) 첫 시작이니 만큼 좋은 선정위원회 문화를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정치적이거나 편향적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0월 16일 (화) 01:11 (KST) 추천글 제도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 가장 열성적으로 즐겁게 일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록 2007년 10월 16일 (화) 01:34 (KST) 어제 BongGon님께 표를 드렸다고 생각했는데, 피첼님께만 투표했었네요. ( ;) iTurtle 2007년 10월 16일 (화) 07:49 (KST) 열정적이시고 선정 기준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갖고 계신다고 생각됩니다. ― 2007년 10월 16일 (화) 23:08 (KST) 활동도 많이 하셨고 위키백과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봅니다. Nt (토론) 2007년 10월 17일 (수) 17:41 (KST) 위키백과에 굉장히 많은 기여를 하셨으며, 위키 백과 축구 프로젝트에서도 리더 역할을 하셨습니다. 실버 불렛 ♪ 2007년 10월 19일 (금) 00:02 (KST) 항상 열심히 활동하시는 분. 가포임상옥 2007년 10월 23일 (화) 02:31 (KST)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dgiim 2007년 10월 23일 (화) 07:59 (KST) dgiim님과 마찬가지입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기여) 2007년 10월 24일 (수) 17:03 (KST) = = =반대 = = = = = =중립, 기권 = = = = = =의견 = = = = = iTurtle = = 에 대한 투표입니다. = = =찬성 = = = 반대 할 이유가 없습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5일 (월) 00:00 (KST) 퍼틴 2007년 10월 15일 (월) 19:40 (KST) 사소한 것에도 친절히 설명 달아주시는 모습을 보니 믿음이 갑니다. adidas 2007년 10월 15일 (월) 20:28 (KST) 반대 할 이유가 없습니다. 해피해피 2007년 10월 15일 (월) 21:44 (KST) 반대 할 이유가 없습니다. 기권 투표를 철회합니다.  천/ 어 2007년 10월 15일 (월) 22:49 (KST) 좋은 선정위원이 되실거라 믿습니다. Hun99 2007년 10월 15일 (월) 22:50 (KST) 풀빵 2007년 10월 15일 (월) 22:54 (KST) 첫 시작이니 만큼 좋은 선정위원회 문화를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정치적이거나 편향적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0월 16일 (화) 01:11 (KST) 평소 신뢰도 높은 편집을 하시는 분이라 믿음이 갑니다. 록 2007년 10월 16일 (화) 01:34 (KST) 충분히 일을 잘 하시리라 믿습니다. ― 2007년 10월 16일 (화) 23:09 (KST) 활동도 많이 하셨습니다. 이제 한 자리 하셔야죠~ Nt (토론) 2007년 10월 17일 (수) 17:42 (KST) 좋은 활동 하실거라 믿습니다. 실버 불렛 ♪ 2007년 10월 19일 (금) 00:01 (KST) 가포임상옥 2007년 10월 23일 (화) 02:31 (KST)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dgiim 2007년 10월 23일 (화) 07:59 (KST) dgiim님과 마찬가지입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기여) 2007년 10월 24일 (수) 17:04 (KST) = = =반대 = = = = = =중립, 기권 = = = 찬성이나 반대를 판단할만큼 아는 분이 아닙니다.  천/ 어 2007년 10월 15일 (월) 01:44 (KST) = = =의견 = = = = = 피첼 = = 에 대한 투표입니다. = = =찬성 = = = 윗분과 마찬가지로 반대 할 이유가 없습니다. BongGon 2007년 10월 15일 (월) 00:01 (KST) 피첼님의 능력을 믿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0월 15일 (월) 00:41 (KST) 상동.  천/ 어 2007년 10월 15일 (월) 01:44 (KST) 저도 열심히 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 iTurtle 2007년 10월 15일 (월) 07:54 (KST) 열심히 하실꺼라 믿습니다. 책읽는달팽 2007년 10월 15일 (월) 14:36 (KST) 앞으로도 더욱 좋은 편집을 하실거라 믿습니다. 실버 불렛 ♪ 2007년 10월 15일 (월) 17:24 (KST) 반대 할 이유가 없습니다. 해피해피 2007년 10월 15일 (월) 21:44 (KST) 정책 틀 등 여러 요긴한 틀을 훌륭히 만드신 분 Hun99 2007년 10월 15일 (월) 22:52 (KST) 풀빵 2007년 10월 15일 (월) 22:54 (KST) 첫 시작이니 만큼 좋은 선정위원회 문화를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정치적이거나 편향적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0월 16일 (화) 01:11 (KST) 피첼님 인기가 많으시네요. ^^ 적합하신 분이고 잘하실 걸로 생각합니다. 록 2007년 10월 16일 (화) 01:34 (KST) 잘 하시리라 믿습니다. ― 2007년 10월 16일 (화) 23:09 (KST) 다 될사람만 됬네요~ 다 되셨음 좋겠네요~~ Nt (토론) 2007년 10월 17일 (수) 17:43 (KST) 가포임상옥 2007년 10월 23일 (화) 02:32 (KST)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dgiim 2007년 10월 23일 (화) 07:59 (KST) dgiim님과 마찬가지입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기여) 2007년 10월 24일 (수) 17:04 (KST) = = =반대 = = = = = =중립, 기권 = = = = = =의견 = = = =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관 = = 선진시내버스 = 선진시내버스(先進市內버스)는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계열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본사는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이다. 같은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계열의 포천교통과 함께 포천시 관내 버스노선을 분담하여 운행하고있다. 선진시내버스는 2004년 영종여객을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서 인수하여 사명을 선진고속으로 변경, 시내버스 노선을 '선진고속 시내사업부'로 표기하여 운행하다가 선진시내버스로 분사 (分社)하였다. 버스 외부에는 '선진시내버스' 또는 '선진시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 = 연혁 = = 2004년 9월 17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신북운수 주식회사로 설립. 2004년 9월 21일: 회사명을 산정운수 주식회사로 변경. 2005년 5월 30일: 선진고속 시내사업부가 분사하여 현 명칭인 선진시내버스 주식회사로 변경. 2006년: 선진상운의 7번 (도평리->광릉내) 노선을 인수. 2008년 2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35-4에 서울지점 설치. 2009년 12월 1일: 11번 노선을 KD운송그룹에 매각. 2010년 3월 2일: 좌석버스 138-3번 (대진대~창동역) 노선을 신설. 2011년 11월 27일: 좌석버스 138-3번이 경동시장으로 연장. 2012년 4월 23일: 광역버스 3800번을 신설하고 좌석버스 138-3번이 광역버스 3200번으로 형간전환. 2012년 6월 19일: 시내버스 70번 (아프리카문화원~노원역) 노선이 개통. 2012년 11월: 시내버스 70번 (아프리카문화원~이동교5리) 구간단축 2013년 3월: 시내버스 70번 (직동리~이동교5리) 구간 다시 연장 2013년 2월 18일: 3100번 노선을 분할해 포천시내까지 진입하는 3100-1번 노선 신설. 2013년 12월 28일: 시내버스 70번과 3200번 노선을 개편해 3200번을 직동리↔왕십리, 3201번을 대진대↔청량리 노선으로 개편. 2013년 3월 10일: 광역버스 3800번이 폐선되고 좌석버스 138-7번으로 대체. 2014년 1월 23일: 3200번 노선과 3201번 노선의 번호를 서로 맞바꿈. 2014년 8월 20일: 광역버스 3201번에서 3500번으로 노선변경 양주시, 녹양역, 경민대학을 경유. 2014년 2월 17일: 좌석버스 138-9번 노선이 폐선되어 138-6번 노선에 통합. 2014년 9월 22일: 광역버스 3600번 노선이 신설. 2014년 12월 8일: 광역버스 3600번 노선이 민락2지구까지 연장 및 드림벨리아파트 미경유로 변경. 2014년 12월 30일: 광역버스 3500번 노선의 경민대학 경유 구간이 의정부터미널 경유로 변경. 2015년 2월 10일: 광역버스 3500번 노선이 양주시를 경유하던 것에서 송우리 경유로 변경. 2015년 3월 2일: 시내버스 88번 노선을 포천교통으로 이관. 2015년 8월 1일: 시내버스 72-3번 노선을 포천교통에서 양도받고 좌석버스 138-6번 노선을 포천교통으로 이관. 2015년 9월 1일: 광역버스 3200번 노선의 태릉.공릉~석계역 구간이 하계역~동부간선도로 경유로 변경. 2015년 10월 1일: 광역버스 3500번 노선의 장한평역~왕십리역 구간이 군자교~건대입구역 경유로 변경. 2015년 10월 29일: 광역버스 3600번 노선의 의정부 홈플러스 경유 구간이 의정부성모병원~금오초교 경유로 변경. 2015년 11월 13일: 좌석버스 138-8번 노선이 폐선되어 138-5번 노선에 통합. 2016년 3월 14일: 광역버스 3100-1번 신설 노선 운행. 2016년 12월 20일: 시내버스 11번 반월아트홀~일동터미널 구간 신설 운행 2017년 8월 1일: 광역버스 3600번이 민락2지구에서 축석령휴게소 종점 연장운행 2017년 11월 1일: 시내버스 5번, 5-1번, 5-2번이 노선폐지되었음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으로 인하여 홈플러스 ~ 천보중학교 방향으로 우회 운행(3100번, 72-3번) 2019년 1월 28일: 광역버스 3600번 호국로 무정차, 의정부성모병원~꽃동네(금오로) 구간은 미경유 2019년 2월 1일 : 광역버스 3500번과 3600번 장암주공2단지 추가정차 2019년 7월 15일 : 광역버스 3600번 산들마을2단지와 시외버스정류장 사이 의정부경전철 '효자역' 정류장이 신설되어 여기에도 추가정차 2019년 9월 2일 : 좌석버스 138-7번 폐선후 포천~도평리구간을 시내버스 12번 대체 및 신설운행 2020년 4월 1일 : 광역버스 3600번 이동교3리 포천공구단지에서 설운3통.여단앞으로 기점 연장 2020년 8월 1일 : 광역버스 3600번이 강남역 막차 시각이 01:35로 변경됨 2023년 3월 30일 : 시내버스 200번 신설(전세버스운영) 2024년 1월 1일 : 138-5번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 = = 현황 = = 2021년 1월 기준이다.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21년 3월 29일 작성.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운행업체 노선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대수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선진시내버스 (선진) 22 - 4 1 17 107 - 58 10 39 = = 노선 = = = = = 도시형버스 = = = ● 7번: 일동 ↔ 유동리 ↔ 화현리 ↔ 명덕리 ↔ 소학리 ↔ 내촌 ↔ 광릉내 (이 노선은 선진상운에서 받은 노선이다.) ● 7-1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화현리 ↔ 봉수리 ↔ 소학리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마명리 ● 7-2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화현리 ↔ 봉수리 ↔ 소학리 ↔ 베어스타운 ↔ 내촌 ↔ 마명리 ↔ 광릉내 ● 8번 : 선단동 ↔ 대진대 ↔ 포천시보건소 ↔ 가채리 ↔ 수영장(만세교) ● 9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시장 ↔ 정교리 ↔ 금현리 ↔ 너베기 ↔ 가산면행정복지센터 ● 9-1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송우리 ↔ 정교리 ↔ 금현리 ● 9-2번 : 청소년교육문화센터 ↔ 대경중학교 ↔ 정교리 ↔ 금현리 ↔ 너베기 ● 10번 : 산정호수 ↔ 운천 ↔ 한탄강하늘다리주차장 ● 10-1번 : 산정호수 ↔ 평강식물원 ↔ 운천 ↔ 영북면사무소(10번 차량으로 운행) ● 10-2번 : 선단동 ↔ 포천시청 ↔ 가채2리 ↔ 금주5리 ↔ 양문 ↔ 성동5리 ↔ 영북면 행정복지센터 ↔ 운천 ↔ 산정호수(10번 차량으로 운행) ● 11번: 용정산단 ↔ 포천시청 ↔ 가채2리 ↔ 만세교 ↔ 금주리 ↔ 일동터미널 ↔ 운담리 (일동용암천) (2016년 12월 20일 신설. 저상버스 운행) ● 11-1번 : 용정산단 ↔ 포천시청 ↔ 가채2리 ↔ 만세교 ↔ 금주리 ↔ 명덕리 ↔ 화현리 ↔ 일동터미널 ↔ 운담리(일동용암천)(11번 차량으로 운행) ● 12번: 도평리차고지 - 이동 - 연곡리 - 화대리 - 일동 - 길명리 - 민세교 - 포천시청 - 포천아이파크 (2019년 9월 2일 신설) ● 33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진목리 ↔ 가산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3리 무봉리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 66번: 의정부약국 ↔ 직두삼거리 ↔ 유교2리 ↔ 송우리 ↔ 초가팔2리 마을회관 ● 66-1번 : 일동터미널 ↔ 화현리 ↔ 명덕리 ↔ 만세교 ↔ 포천고등학교 ● 72-3번: 포천시 포천종합사회복지관 ↔ 포천시보건소 ↔ 포천시청 ↔ 포천중학교 ↔ 자작2통 군단앞 ↔ 대진대학교 ↔ 주공3단지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홈플러스 금오점 ↔ 드림밸리아파트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방학동 (이 노선은 포천교통에서 받은 노선이다.) (저상버스 운행) ● 200번: 선단3통 ↔ 대진대학교 ↔ 선단4통.장승거리 ↔ 선단초등학교 ↔ 설운1통 ↔ 동교3통마을회관 ↔ 해룡마을 ↔ 선단동체육센터 (2023년 3월 30일 신설, 전세버스 운행) ● 201번: 덕둔2리.목장 ↔ 농협하나로마트 ↔ 갈월2리.새마을 ↔ 하심곡.우신아파트 ↔ 신북면행정복지센터.포천아트밸리 (전세버스 운행) = = = 일반좌석버스 = = = ● 138-5번: 도평리차고지 ↔ 노곡리 ↔ 일동 ↔ 길명리 ↔ 만세교 ↔ 포천시청 ↔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3리 무란마을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의정부시 자금동육교 미정차,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 = = = 직행좌석버스 = = = ● 3100번: 대진대학교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효자역 ↔ 경기도청북부청사 ↔ 드림밸리아파트, 새말역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양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올림픽대로 (양재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대진대 방향) ↔ 신사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강남역 ↔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2008년 4월 개통 초기에 의정부-강남 간 시외버스로 운행, 2008년 9월 1일 현재의 대진대학교 연장 및 직행좌석으로 변경, 노원역 미경유, 2층 버스 운행중) ● 3200번: 반월아트홀,여성회관 ↔ 유한아파트 ↔ 대진대학교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마들역 ↔ 하계역 ↔ 동부간선도로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현대코아 (구 138-3번 / 2012년 12월 10일 왕십리역까지 연장, 노원역 미경유2013년 12월 29일 3201번이 개통할 때 3200번이 직동리-왕십리역 노선을, 3201번이 대진대-청량리 노선을 담당했으나 2014년 1월 23일 노선번호를 맞바꾸었다.) ● 3500번: 대진대학교 ↔ 차의과대학교 ↔ 주공3단지 ↔ 홈플러스 포천송우점(상) / 원일아파트, 송우5리(하)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주공2단지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건대입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능동사거리 ↔ 어린이대공원역 ↔ 건대입구역 (2014년 8월 20일 신설, 구 70번 -> 3201번, 노원역 미경유) ● 3600번: 설운3통.여단앞 - 송우6리 시장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2리, 포천공구단지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상) / 축석고개(하) ↔ 민락2지구 ↔ 효자역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장암주공2단지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강남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강남역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의정부 방향) → 신구중학교 → 차병원,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출구 →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논현역 → 신사역 (2014년 9월 22일 신설, 노원역 미경유, 2019년 1월 28일부터 의정부성모병원~꽃동네(금오로) 구간 미경유) = = 이전 운행 노선 = = ● 5번 : 냉정리 ↔ 초과2리 ↔ 자일2리 ↔ 운천 ↔ 산정리 ↔ 산정호수 ● 5-1번 : 관인터미널 ↔ 야미리 ↔ 만세교 ↔ 가채2리 ↔ 포천시청 ● 5-2번 : 냉정리 ↔ 초과리 ↔ 자일2리 ↔ 양문 ↔ 포천시청 ↔ 선단동 ● 11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 1001번) (2009-12-01 선진상운(경기버스)과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된 후 2010-07-10 직행좌석버스으로 전환후 운행) ● 11-2번 : 반월아트홀 ↔ 포천시청 ↔ 가채2리 ↔ 경복대학(11번으로 통합) ● 15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진목리 ↔ 가산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33번에 통합) ● 20번: 대경중학교 ↔ 너배기 (2014년 12월경 폐선, 9-1번이 대체) ● 20-1번: 대경중학교 ↔ 가산면 행정복지센터 (20번에서 분리후 2014년 12월경 최종폐선) ● 33-1번: 일동 ↔ 서파 ↔ 내촌 ↔ 방축리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33번에서 분리 후 최종폐선) ● 66-2번: 일동터미널 ↔ 화현리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포천시청 ↔ 선단동 ↔ 송우리홈플러스 ● 70번: 봉선사입구 ↔ 국립수목원 ↔ 직동리 ↔ 무림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상계주공7단지, 광림교회 ↔ 노원역 9번출구 (도시형버스, 2012-06-19 ~ 2013-12-28, 광역버스 3201번이 형간전환 후, 왕십리역으로 연장) ● 71번 :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어룡2통 ↔ 대진대 ↔ 선단동 ↔ 너베기 ↔ 감암리 ● 71-1번: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어룡2통 ↔ 대진대 ↔ 하송우리 ↔ 너베기 ↔ 감암리 ↔ 방축리 ↔ 하송우리 ↔ 송우리시장 ↔ 송우리홈플러스 ● 88번: 포미재아파트 ↔ 포천고등학교 ↔ 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2015년 3월 2일부터 포천교통으로 양도) ● 88-1번: 차의과학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88번 분리후 최종폐선) ● 138-3번: 대진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대림아파트, 상계주공7단지 ↔ 노원구청 ↔ 창동역 1번출구 (노원역 미경유, 2011.12.17 경동시장으로 노선연장후, 2012-04-23 광역버스 3200번으로 형간전환) ● 138-6번: 산정호수 ↔ 운천 ↔ 양문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138-9번과 통합. 2015년 8월 1일부로 포천교통으로 양도후 2019년 7월 11일부터 직행좌석버스 1386번으로 전환후 운행) ● 138-7번: 도평리차고지 ↔ 수입리 ↔ 일동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구 660-1번. 2019년 9월 2일부터 폐선후 포천 ~ 도평리구간은 12번 대체운행) ● 138-8번: 도평리차고지 ↔ 노곡리 ↔ 일동 ↔ 만세교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포천시보건소 경유) (138-5번 분리후 다시 138-5번에 통합) ● 138-9번: 산정호수 ↔ 양문공단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2014년 2월 17일부터 폐선후 138-6번 통합) ● 660번: 포천고등학교 ↔ 만세교 ↔ 일동 ↔ 사이판 ↔ 도평리 (138-7번에 통합) ● 660-1번: 포천고등학교 ↔ 만세교 ↔ 일동 ↔ 이동 ↔ 도평리 (660번 분리후 최종으로 138-7번에 통합) ● 1001번: 소학리차고지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도시형버스 11번으로 전환. 이후 경기버스에 양도) ● 3100-1번: 차의과학대학교 ↔ 대진대학교 ↔ 송우리 ↔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도청 북부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양재역 방향만 경유) ↔ 동부간선도로 ↔ 성수대교, 올림픽대로 (양재 방향) / 한남대교, 강변북로 (대진대 방향) ↔ 신사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강남역 ↔ 우성아파트 ↔ 뱅뱅사거리 ↔ 양재역 (2016-03-14일 신설노선, 출퇴근 시간대만 운행, 노원역 미경유) ● 3201번: 직동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동부간선도로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경동시장 ↔ 용두역 (동대문구청) ↔ 성동구청 ↔ 왕십리역 (시내버스 70번 형간전환, 2013-12-29 ~ 2014-08-19. 현 3500번, 노원역 미경유) ● 3800번: 도평리차고지 ↔ 일동 ↔ 만세교 ↔ 신북면 사무소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 ↔ 대진대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 (2012-04-23 ~ 2013-03-10, 138-7번이 대체) = = 보유 차량 = = 제조사 차명 비고 자일대우버스 NEW BS090 여산교통, 명진교통 출신차량 현대자동차 E-카운티 현대자동차 뉴 카운티 현대자동차 카운티 뉴 브리즈 현대자동차 그린시티 현대자동차 뉴 슈퍼에어로시티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에어로시티 현대자동차 블루시티 현대자동차 유니시티 현대자동차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스카이웰 리오네 MAN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3100번 노선에 운행 중 = 위키백과:사무장 = 사무장(Steward)은 위키미디어 재단의 다국어 커뮤니티에서 선출되어 모든 위키미디어 위키에서 사용자 권한을 조정하며 요청을 수행합니다. 이들은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사용자 권한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기술적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무장은 1년에 1회의 선거를 통해 선출되고 있습니다. 3주간의 선거를 통해, 찬성률이 80% 이상이어야 하고, 최소한 30명 이상의 편집자들로부터 찬성표를 받아야 선출됩니다. 사무장 활동의 대부분은 위키미디어 위키의 사용자가 관련된 정책과 공동체의 합의에 따라 권한의 조정을 요청하는 권한 요청 문서를 통해 체계적으로 행해집니다. 사무장은 기본적으로 사무관이 있는 위키에서는 권한 부여 업무를 수행하지 않습니다. (단, 검사관 및 기록보호자는 예외적으로 사무장만이 권한을 부여합니다.) 위급한 상황일 경우 IRC 채널 를 통해 사무장에게 직접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채널에서 !steward 요청 내용 을 치시면 됩니다. 그 외에 급하지 않은 일은 아래 있는 요청 문서를 사용해주세요. 사무장에게 직접 요청하기 위해서는 사무장의 토론 문서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사무장은 통합계정을 분리하거나, 삭제하거나, 잠글 수 있습니다. 관련 요청은 아래 사무장 요청 문서를 확인해 주세요. 또한 사무장은 특정한 IP를 모든 위키미디어 위키에서 편집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습니다. 사무장은 봇, 관리자, 사무관, 기록보호자, 검사관, 사무장 등의 권한을 수여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 직책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권한 관리를 분리시켜 놓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도움이 될 다른 문서는 메타사무장 안내서에서 볼 수 있습니다. = DVD-R = DVD-R은 DVD를 기록할 수 있는 포맷이다. 파이오니어가 개발한 표준 용량은 3.95 GB (3.68 GiB)였지만, DVD-R은의 용량은 보통 4.71 GB (4.39 GiB)이다. 앞서 언급한 두 개의 값은 이전 광학 매체인 700 MB CD-R보다 용량이 크다. 파이오니어는 8.54 GB 듀얼 레이어 버전인 DVD-R DL를 개발하여 2005년에 시장에 내놓았다. DVD-R의 데이터는 변경하지 못하는 반면에, DVD-RW 매체는 여러 번(1000번 이상) 다시 기록할 수 있다. DVD-R(W)는 경쟁 산업 표준인 DVD 포맷 가운데 하나이며, 이와 다른 종류로는 DVD+R(W)와 DVD-RAM이 있다. = = 기록가능한 DVD 용량 비교 = = 디스크 종류 데이터 섹터 수 (각각 2,048 B) 용량 (바이트) GB 용량 GiB 용량 DVD-R (SL) 2,298,496 4,707,319,808 4.7 4.384 DVD+R (SL) 2,295,104 4,700,372,992 4.7 4.378 DVD-R DL 4,171,712 8,543,666,176 8.5 7.957 DVD+R DL 4,173,824 8,547,991,552 8.5 7.961 = = 속도 = = 드라이브 속도 데이터 속도 (MB/초) 데이터 속도 (Mbit/초) 싱글 레이어 DVD-R 기준 쓰기 속도 1X 1.32 MB/초 10.56 Mbit/초 60 분 2X 2.64 MB/초 21.12 Mbit/초 30 분 (CLV) 4X 5.28 MB/초 42.24 Mbit/초 15 분 (CLV) 8X 10.56 MB/초 84.48 Mbit/초 8 분 (Z-CLV) 16X 21.12 MB/초 168.96 Mbit/초 5.75 분 (CAV) 18X 23.76 MB/초 190.08 Mbit/초 5.5 분 (CAV) 20X 26.40 MB/초 211.20 Mbit/초 5 분 (CAV) 22X 29.04 MB/초 232.32 Mbit/초 4.5 분 (CAV) 24x 31.68 MB/초 253.44 Mbit/초 ~4.0 분 (CAV) = = 규격 = =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두께 1.2 mm와 120mm 지름을 가진 원형 디스크가 표준이며, 국제표준인 ISO 9660가 널리쓰인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계열과 매킨토시계열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호환된다. 영상의 경우 120분, 컴퓨터 데이터의 경우, 4.7 GB까지 저장되며 변형 DVD-R DL은 240분의 비디오와 8.5 GB의 데이터를 기록 가능하다. 특정 DVD라이터의 경우 데이터를 높은 밀도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1.2 GB를 저장하기도 한다. = = 용도 = = 보통 컴퓨터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비디오 DVD를 작성하는 데 쓴다. 많은 이들이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 쓴다. = 삼어초등학교 = 삼어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6년 5월 1일: 개교 ai 연구 학교이다. 전자칠판과 태블릿 크롬북을 학생에게 1년동안 쓸것을 나눠준다두동윤 = 미니바 = 미니바는 술, 칵테일 등의 음료수나 간단한 주전부리를 보관하는 소형 냉장고이다. 때로는 냉장고 속 음식 뿐만 아니라 추가 부담금을 내야 하는 안주, 세면용품 등을 통틀어 가리키기도 한다. 주로 고급 서양식 호텔 방 안에 비치되어 있다. = 사랑하는 그대가 날 위해 눈물을 보일때 = 〈사랑하는 그대가 날 위해 눈물을 보일때〉는 대한민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장덕에 의해 작사 · 작곡된 곡이다. 장덕의 솔로 4번째 정규 음반 이런게 아니었는데의 B면 4번 트랙으로 발표되었다. = 분류:이탈리아의 소프라노 가수 = = 본촌동 = 본촌동(本村洞)은 대한민국의 다음 지역에 있는 법정동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본촌동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 = 분류:1839년 아프가니스탄 = = 분류:사회주의적 여성주의자 = = 이용상 = 이용상(, 1174년 ~ ?)은 화산 이씨(花山李氏)의 시조로, 베트남 리 왕조 황제 리 영종(李英宗)의 일곱 번째 아들이며, 리 고종의 동생이자, 혜종의 숙부이다. 베트남에서는 받은 작위는 건평왕이고, 고려에서 받은 작위는 화산군이다. = = 생애 = = = = = 고려 망명까지의 생애 = = = 이용상은 1174년 베트남 리 왕조의 수도 탕롱성(昇龍)에서 영종(李英宗)의 일곱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황후 여씨(여미아, 皇后 黎美娥)이다. 1213년에 조카 혜종이 즉위 후에 평해공 이군필, 진일조(陳日照)과 함께 삼공(三公)으로 되어 국정을 위임을 받았다. 정선이씨 홈페이지 -정선 이씨의 유래- 혜종의 외척 전전지휘사 쩐투도(陳守度, 진수도)가 정계에 진출해서 혜종을 협박하여 혜종의 딸인 소성공주를 양위시킨 다음에 조카인 태종과 결혼시켜 여제가 남편에게 선양하는 방식으로 태종이 황제에 자리에 올라 쩐 왕조를 건국되고 리 왕조가 멸망되었다. 진수도는 통국태사(統國太師)가 되어 전권을 장악하여 정적들을 죽이고 리 왕조의 모든 왕족들을 죽이는데, 몇 가지 다른 이야기가 전해온다. 하나는 혜종의 장례식에 종친들과 왕족들이 다 모였을 때, 진수도가 왕족들을 모두 도륙했다. 이 위기를 예견한 이용상은 병을 핑계 삼아 나오지 않다가 배를 타고 최측근과 함께 도피했다. 또 다른 이야기는 진씨 일족 측에서 이용상을 회유하려 했으나 그가 마음을 돌리지 않자 그를 제거하려 했고, 이를 눈치챈 이용상이 난을 피해 왔다는 이야기가 있다.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34쪽~35쪽 1226년경에 이용상과 적은 그의 가족들을 챙기고 리 혜종의 황관(皇冠), 용포(龍袍), 상방보검(尚方寶劍)을 챙겨 배에 몸을 내맡겼다. 이 여정에서 고려 해안에서 도적떼를 만나는데, 그 도적들이 옹진에 사는 사람들을 공격하는 장면을 보고 구해주었다. 옹진 현령에게 호감을 얻어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옹진 현령은 안남국의 왕손이라는 사람이 멀리서 배를 타고 도적을 퇴치했다는 상소문을 써서 고종에게 상주하고 그의 일행을 받아주기를 청원했다. 고종은 그의 처지를 가련히 여겨 식읍을 하사하고 화산군(花山君)으로 봉했다. 그리고 화산 이씨 족보에는 이용상이 고려에 들어올 쯤에 고종이 어느날 내전에서 잠이 들어 꿈을 꾸었는데 그 꿈에 큰 새 한마리가 남쪽에서 날아와 사해 바닷가로 날개를 치고 앉기에 꿈에서 깨어 사람을 시켜 찾아보다가 안남국 왕자 이용상이 온 것을 알았다는 이야기가 적혀있다.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37쪽~38쪽 = = = 몽골군과의 전투 = = = 1253년 12월 이용상은 옹진성 동쪽 화산에 살고 있었는데, 고을 수령이 그에게 달려와서 몽골군이 쳐들어왔다고 위급을 호소하며 이를 물리칠 계책과 도움을 요청하자 이에 이용상은 수락하여 위효관이라는 사람과 함께 부대를 나누어 성을 지키는 수성 전략을 세웠다. 삼면에 토성으로 성벽을 쌓고 전면에 목책을 높이 세웠다. 동굴을 파서 땔감과 나무를 비축하고 몽골군이 대포를 쏘면 함께 쏘고, 성벽을 넘으면 돌과 뜨거운 물을 부어서 철저히 방비하였다. 몽고군이 다섯달 이상 공격했지만 함락되지 않았다. 전투가 오래 계속되자 몽골 장수는 꾀를 내서 항복하는 체하고 화친을 요구한다며 황금을 가득 담은 상자 다섯 개를 선물로 보내왔다. 이용상과 마을 수령은 망대를 높이 쌓아 위엄을 보인 가운데 항복받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몽골군이 상자를 보내오자 이용상은 이에 의심을 하여 몽고군이 보낸 상자를 묶고 구멍을 뚫게 명령을 내린다. 구멍을 뚫어보니 자객 한 명이 있었다. 이용상은 그 구멍에 펄펄 끓는 물을 붓도록 명하였다. 자객이 죽고 그 상자를 금종이로 바르고 적진에 도로 던져주라고 하였다. 몽골 장수는 상자를 도로 받은 후에 깜짝 놀라고 군사를 급히 돌렸다. 그러나 이용상의 지시로 매복한 고려 병사들이 기습하여 몽골군을 격파하고 수백명의 포로를 사로잡았다. 그와 활약한 병사들과 주민들이 함께 싸우며 그를 백마장군(白馬將軍)이라 부르며,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고종은 보고를 받고 이용상을 포상하여 관직을 높이고 웅진 화산 지방 30리 인근과 식읍 2천호를 하사받았다. 조상의 제사를 지내도록 제수를 많이 내리고 화산관의 문미에 수항문(受降門)이란 글자를 써서 내렸다.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39쪽~40쪽 = = = 말년 = = = 옹진 화산에 정착한 이용상은 화산성에 올라가 망국단(望國壇)을 만들고 고국을 그리다가 일생을 마쳤다.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삼고 본관은 화산으로 삼았다. 그의 맏아들 이간(李幹)은 삼중대광, 도첨의 좌정승과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했고, 둘째 아들 이일청(李一淸)은 안동부사를 지내고 안동시 내성면 토곡리에 정착했다.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40쪽~41쪽 = 무라카미 히로아키 = 무라카미 히로아키(, 1956년 12월 22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 출신으로 호세이 대학을 중퇴했다. 1979년에 방영된 특촬물 가면라이더 (스카이라이더) 오디션에 합격하면서 배우로 데뷔했고 해당 작품에서 쓰쿠바 히로시 역할을 맡았다. 1980년 10월부터 1981년 3월까지 일본방송협회(NHK)에서 방송된 시대극 온야도 가와세미에서 도쿠마쓰 역할을 맡았고 아사히 방송의 필살 시리즈에서 하나야노마사 역할을 맡으면서 이름을 널리 알렸다. 그 외에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다케다 신겐의 가스가 도라쓰나 역할, 불타오르다의 후지와라노 기요히라 역할, 히데요시의 아케치 미쓰히데, 겐로쿠 요란의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역할을 맡았다. = = TV 출연 = = 가면라이더 (스카이라이더) 다케다 신겐 (1988년 드라마) 히데요시 (드라마) 야에의 벚꽃 괴인 개발부의 쿠로이츠 씨 = 메테인 세균 = 메테인 세균은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물질대사 과정으로 메테인을 생성하는 미세 생물이다. = 틀:원소 정보/레늄 = = 야스히토 친왕비 세쓰코 = 야스히토 친왕비 세쓰코(, 1909년 9월 9일 ~ 1995년 8월 25일)는 일본의 황족으로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의 비이다. 혼인 전의 이름은 마쓰다이라 세쓰코. 조부는 옛 아이즈번주 마쓰다이라 가타모리, 친부는 외교관 마쓰다이라 쓰네오, 친모는 나베시마 나오히로 후작의 딸 노부코(信子)이다. 양부는 마쓰다이라 모리오이며 친부 쓰네오의 동생이다. 신위는 친왕비. 어인휘장 또는 심벌 마크(御印)은 국화이다. = 서고트 왕국 = 서고트 왕국은 서고트족이 415년 로마에서 아키텐을 정식으로 양도받아 건설한 게르만 부족 국가이다. 카탈라우눔 싸움을 거친 후 왕 때에는 대부분의 에스파냐를 정복하여 전성기를 이루었다. 로마인 지주로부터는 농지의 3분의 2를 몰수하였으며, 한편 법전의 편찬에도 주력하였다. 507년 알라리크 2세가 클로비스와 싸워 패사하고 아키텐의 땅을 프랑크족에게 빼앗기자 그의 장인인 동고트 왕 테오도리쿠스는 프로방스를 병합하여 왕국 전체를 그의 후견하에 두었다. 테오도리쿠스의 사후 동로마군의 침입과 내란으로 시달렸으나, 알라리크의 후계자들은 에스파냐를 통일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로마계 국민과의 융화를 도모, 654년경에는 서고트 법전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711년 이슬람교도의 침입을 받아 멸망하였다. 툴루즈를 본거로 하였던 507년 이전을 톨로사 왕국, 에스파냐의 톨레도로 본거를 옮긴 507년 이후를 톨레도 왕국이라고 한다. = = 서고트인의 왕 = = = = = 족장 시대 = = = 아타나리크 (369년–381년) 프르티게른 (376년-380년) 알라리크 (395년–410년) 아타울푸스 (410년–415년) 시게리크 (415년) 왈리아 (415년–419년) 테오도리크 1세 (419년–451년) 토리스문트 (451년–453년) 테오도리크 2세 (453년–466년) 유리크 (466년–484년) 알라리크 2세 (484년–507년) 게사레크 (507년–511년) 동고트 왕국 테오도릭 대왕의 섭정시대 (511년–526년) 알마라리크 (526년–531년) 테우디스 (531년–548년) 테우디기젤 (548년–549년) 아길라 (549년–554년) = = = 톨레도의 아리우스파 왕조 = = = 아타나길트 (554년–567년) 리우바 1세 (568년–573년) 리우비길트 (568년–586년) = = = 톨레도의 가톨릭 왕조 = = = 렉카레드 1세 (586년–601년) 리우바 2세 (601년–603년) 위테리크 (603년–610년) 군데마르 (610년–612년) 시세부트 (612년–621년) 렉카레드 2세 (621년) 수인틸라 (621년–631년) 시세난트 (631년–636년) 킨틸라 (636년–640년) 툴가 (640년–641년) 킨다수인트 (641년–649년) 레케수인트 (649년–672년) 왐바 (672년–680년) 에르위그 (680년–687년) 에르기카 (687년–701년) 위트차 (701년–710년) 로데리크 (710년–711년) 아길라 2세 (711년–713년) 아르도 (713년–721년) = 분류:유명한 은행나무 = = 분류:K7리그 영암에 관한 틀 = = 운문종 = 운문종은 중국 선종 오가칠종의 한 종파이다. 10세기 당나라 운문문언 선사가 만들었다. = 한국 무용 = 한국무(韓國舞)는 우리나라 고유의 대한민국의 춤이다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한다. 한국무는 크게 궁중무·민속무·가면무·의식무·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한국무용이라는 말 보다는 한국무 또는 한국춤으로 하는 것이 옳다. 무용이라는 단어는 20세기 이후에 쓰여졌다. = = 특징 = = 한국무용의 원초적 형태는 국가적 의식 끝에 있는 축제(祝祭)의 흥이 어깨에서 구체화되어, 장단가락과 박자에 맞추어 온몸으로 퍼지는 춤사위를 한국적인 멋으로 승화한 것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조선시대로 내려오면서 이러한 한국무용의 특성은 변형되었다. 고려·조선시대의 윤리와 사상의 근저를 이루었던 불교와 유교의 가르침은 자연스럽게 발로되는 감각적 육체의 미를 부정하였고 그 때문에 육체의 노출은 금기(禁忌)로 되어 왔다. 이러한 영향 아래 한국무용의 특성이 변형·정형화(定型化)된 것이 궁정무용(宮廷舞踊)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궁정무용과 함께 한국무용의 양대산맥(兩大山脈)이라 할 민속무용은 한국무용의 고유의 원형(原型)을 살리고, 중국의 무용을 흡수·소화한 것으로 경쾌하고 장중하며, 우아하면서도 변화가 거침없는 무용으로 발전하였다. = = = 궁중무 = = = 춤의 테마를 동작이 아니라 노래로써 설명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성이 된다. 여기 사용되는 노래를 창사(唱詞)·치어(致語)·치사(致詞)·구어라고 하는데, 춤이 시작되자마자 제일 먼저 부르는 것을 선구호(先口號)라 하며, 춤이 끝날 무렵 퇴장하기 직전에 부르는 것을 후구호(後口號)라 부른다. 노래는 이 밖에 춤추는 중간에도 부르고 춤추면서도 부른다. 동작면으로 보면 춤의 가락이 우아하고, 선(線)이 고우며 몸가짐이 바르고, 동작의 변화가 적어 다양하지 못하다. 사용되는 장단(長短) 및 박자(拍子)은 매우 유장(悠長)하며, 급하고 촉박한 것은 금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의상(衣裳)이 현란하고 구성이 장대하며 의상의 색조(色調)에 있어서는 오행설(五行說)에 의하여 방위(方位)에 부합되는 것을 입었다. 반주에 사용되는 장단은 20박(拍)을 1장단으로 한 것, 16박을 1장단으로 한 것, 12박을 1장단으로 한 것, 10박을 1장단으로 한 것, 6박을 1장단으로 한 것, 4박을 1장단으로 한 것 등 6종이 있다. = = = 민속무 = = = 제약을 많이 받아 단조로운 가락으로 고정된 궁정무용과는 달리 원초의 자연스런 가락이 잘 보전된 것이 민속무용이다. 한국의 민속무용은 원시 민간신앙의 잔재인 각종 제사와 서민대중이 즐겨하는 세시풍속(歲時風俗) 중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싹트고 움터서 그때부터 민중과 결부·밀착되어 민중과 호흡을 같이 하고, 서민대중의 생활환경 속에서 뿌리를 박고 오랫동안을 성장·발육되어 왔다. 민속무용은 어떠한 격식이나 일정한 법도(法度)가 필요치 않고 서민들의 정서와 소박한 감정을 적나라하게 표출한다는 데에 생명이 있다 하겠다. = = = = 한국 민속무용의 특색 = = = = 대체적인 형성시기와 발생 장소는 짐작되지만 작자와 창작된 연대가 분명치 않은 점이다. 다른 민속예술분야도 대개 그러하지만 민속무용도 어느 한 사람이 창작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조금씩 틀이 잡히면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므로 당연한 일이다. 내용이 평민계급의 소박한 생활감정을 묘사했다는 점인데, 민속무용을 창작하고 이어온 것이 서민들이므로 수긍이 간다. 춤을 전개하는 데 있어 기본되는 가락은 있으나 세부적으로는 개인의 창의성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이 점은 틀에 박혔다 할 수 있는 궁정무용과 가장 대조적인 점이다. 찬란한 의상이나 복잡한 무대장치가 없어도 적당한 넓이를 가진 장소면 어디에서고 출 수 있는 점이다. 장단(長短) 및 박자(拍子)는 염불(6박이 1장단), 타령(12박이 1장단) 등이 쓰이며, 그 밖에 남도지방의 산조곡(散調曲) 장단과 무악(舞樂)인 살풀이장단 등도 사용한다. = = = = 한국 민속무의 종류 = = = = 현재 남아있는 민속무용 중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농악무(農樂舞) 승무(僧舞) 강강수월래 한량무(閑良舞) 남무(男舞) 살풀이춤 무당춤 무동춤 장고춤 소고춤 = = = 가면무 = = = 가면무용은 원시적인 신앙행사나 세시풍속의 행위에서 발생되었다고 할지라도 특정된 지역에 기반을 두고 그 지방에 뿌리를 박고 토착화되어서, 오랫동안 그 지역의 범위 안에서만 성행하고 성장되어 현재까지 전해진 춤을 말하는 것이다. 현재 각 지방에 남아 있는 탈춤(가면무용)들은 전체적으로 내용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지만, 노는 형태에 있어서나 춤가락면에 있어서는 각각 그 지방대로의 특징이 있다. 멀리 삼국시대에서 근세에 이르는 동안 궁정무인 정재(呈才)에서 서민들의 놀이인 산대춤에 이르기까지 민속예술의 뼈대를 이루어 온 것이 바로 가면무용이다. = = = = 지역 분포에 따른 분류 = = = = = = = = 한국 가면무용의 특징 = = = = 얼굴 위에 가면을 쓰고 추는 점, 연희자 전원이 남자로 구성된다는 점, 춤에 노래와 대사가 곁들여진 종합예술이란 점, 벽사진경의 의식무,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계급에 대한 모욕, 남녀간의 갈등1부(夫) 대 처첩(妻妾)의 삼각 관계, 서민생활의 빈곤상의 폭로 등 어떤 가면극이든 공통되는 주제를 가졌다는 점, 과장(科場)마다 독립성을 가졌다는 점, 사회성을 띠고 있다는 점 = = = 의식무 = = = 의식무용은 불교의 재의식(齋儀式)과 문묘·종묘의 제사에서 추는 춤이다. 이외에도 과거에는 원구단, 사직단(社稷壇-地神) 제사에서도 노래와 춤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제사마저 폐지되었기 때문에 춤은 소멸되었다. 먼저 불교계통의 무용은 5종이 있는데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목어 타주(打柱) 등 5가지가 그것이다. 불교 재의식 절차 중에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이라고 하는 순서가 있어서, 반드시 상기 5종의 춤을 추는 대목이 있다. 5종의 춤은 불경의 범음(梵音)과 북·징·장고·호적 등이 반주로 사용된다. 이외에 문묘와 종묘에서 추는 일무(佾舞)가 있다. = = = = 한국 의식무의 특색 = = = = 의식 절차에 따라 춤이 진행된다는 점, 춤으로서의 독자성·독립성이 희박한 점, 의식의 주체가 되는 사람의 신분직위(身分職位)에 따라 무원수(舞員數)가 결정된다는 점, 무용종류에 따라 무용도구가 달라진다는 점 = = = 창작무용 = = = 창작무용은 전통무의 형식이나 현대무용의 형식을 토대삼아 창작되는 새로운 무용을 말한다. 현재에 연희되는 한량무나 태평무는 모두 종래에 있던 춤이 아니고, 창작무로 보아야 할 부분들이다. 특히 한량무는 종래의 '무용극'적인 성격 대신 독무로 발전해 왔으며, 그 춤의 모티브 또한 '한량과 승려가 기생을 유혹하는 이야기'로서 풍자적인 요소를 띄고 있는 종래의 한량무와는 달리, 풍류를 즐기는 선비를 모티브로 하거나 나이 먹은 선비가 화려한 젊은날을 회상하는 것을 모티브로 하는 쪽으로 발전했다. 후자의 경우에는 신무용가 조택원에 의해 안무된 신무용 신노심불로(身老心不老, 몸은 늙었으나 마음은 늙지 않았다.)라는 작품으로 신무용화 된 일이 있으며, 이것이 다시 전통무용에 접목되면서 현대의 한량무로 넘어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태평무의 경우에도 김숙자(金淑子)가 보유하고 있는 경기도당굿의 한 과장으로서 추어지는 태평무가 있는데 이것을 모티브로 해서 한성준이 창작한 것이 현대에 흔히 추어지는 태평무의 원형이다. 이때의 태평무는 '왕의 춤', '왕비의 춤'으로 형상화 된 것으로 현재 김숙자 류의 그것과는 무구부터 차림이 모두 다르다. 이들 춤은 현재 모두 전통 무용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전통을 기반에 둔 창작춤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태평무의 경우에는 한성준의 것 이외에도 그 제자 강선영이 왕십리도당굿의 장단을 중심으로 다시 짠 강선영류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만큼, '전통있는 창작무용'으로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 = 한국무용의 역사 = = = = = 상고시대의 무 = = = 한국무용도 다른 부족국가의 무용과 마찬가지로 상고시대의 종교의식에서 기원되어 발달해 왔다. 시가(詩歌)와 음악과 무용은 우리의 선조들이 하늘을 받들던 정치 및 종교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었다. 그리고 고대에 있어서는 음악과 시가와 무용이 구별되지 않고 종합예술(綜合藝術)로서 성립하였다. 즉 음악과 시가와 무용은 이른바 삼위일체(三位一體)가 되어, 음악이 있으면 시가가 있고, 시가가 있으면 반드시 무용이 수반되어 이것을 악(樂)이라 규정했던 것이다. = = = = 우륵과 가무악 = = = = 가야(伽倻)가 쇠망하자 신라에 귀화한 우륵(于勒)은 진흥왕(眞興王)의 수우(殊遇)를 받고, 진흥왕이 맡긴 계고(階古), 법지(法知), 만덕(萬德) 등 세 제자에게 그 자질을 좇아 계고에게는 가야금, 법지에게는 노래, 만덕에게는 춤을 각각 가르쳤다고 한다. 이로 보아 우륵이 가야금뿐만 아니라 노래와 춤에도 유능하였고, 우륵이 작곡한 12곡도 악장(樂章)과 무용이 결부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악곡(樂曲)은 예외 없이 무용이 따랐으나, 점차 가사(歌詞)를 잃고 무용도 제외된 것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 = = = 북방 부족국가의 무용 = = = = 한반도 북방의 부족국가였던 부여(扶餘)의 영고(迎鼓)와 예(濊)의 무천(舞天)은 고대사회의 종교적 의식의 한 예로서 보통은 음력 10월에 거행되었다. 이것은 물론 모든 부족국가에 있어 공통되듯이 천신(天神)을 위하는 숭고한 의식인 바, 이때 민중들은 천신에게 제물(祭物)을 드리고서 여러 날을 두고 가무(歌舞)를 끊이지 아니했다. 이런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행하는 무용이란 말할 나위도 없이 가장 원시적 형태의 기원과 감사, 아울러 자기승화(自己昇華)의 군무(群舞)였다. = = = = 남방 부족국가의 무용 = = = = 남방(南方)의 또 다른 부족국가인 마한(馬韓)에서는 백성들은 연 2회, 즉 음력으로 5월과 10월의 농사를 다 끝냈을 때 모두 모여서 노래하고 춤추며, 특히 10월에 추수를 끝마치고는 신에게 추수감사(秋收感謝)의 제전을 행하였다. 즉, 마한에서는 5월에 모심기가 끝나면 귀신에게 제사를 하는 바, 이때는 무리를 지어 노래하고 춤추고 술마시며 밤낮을 쉬지 않는다. 또 이때 추는 춤의 절주(節奏)는 탁무(鐸舞)에서와 같고, 10월에 농사를 마치어도 또한 이와 같이 한다. 수십명이 일단을 이루어 지휘자를 선두로 발랄한 타악(打樂)반주에 맞추어 손을 올렸다 내렸다 하며 땅을 울리고, 솟았다 내렸다 하면서 춤을 추는 아주 즐겁고도 건강한 모습이 상상되고도 남는 것이다. 이것은 마한에만 국한되지 않고, 진한(辰韓)·변한(弁韓)같은 인접 부족국가에서도 거의 비슷한 형식의 풍년에의 기원과 추수감사의 의식 및 거기 따르는 무용이 존재하였으리라는 것을 우리는 쉽게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사제(司祭)하는 자는 일종의 무격(巫覡)이던 것도 동일했을 것이다. 이는 동시에 신가(神歌)를 짓는 시인(詩人)이요, 작곡과 연주를 겸한 음악가요, 뛰어난 무용가이기도 하였다. = = = 삼국시대의 무 = = = 삼국시대에는 무용예술이 상고시대보다 더욱 진보·발달하였으며, 무용의 모든 영감(靈感)은 신화(神話)에서 유래하였다. = = = = 고구려의 무 = = = = 고구려에 있어서의 무용은 지서무(芝栖舞), 호선무(胡旋舞) 및 고구려무(高句麗舞)와 같이 당조(唐朝)에 궁정에서 널리 갈채를 받았다는 것이 역사적인 사실로 되어있다. 특히 고구려무(고려무)는 이백(李白)에 의해서, 호선무는 당나라 시인 백낙천(白樂天)에 의해서 불후의 작품이라고 평가받았다. 고구려무는 무인들이 병창(竝唱)하며 가악(家樂)을 부르는 가운데 무동(舞童) 6인이 3대(三隊)로 나누어서 상대하는데, 넓은 소매를 시원스럽게 올려 뿌리는 양상은 가히 짐작이 가는 것이다. 호선무는 한 무녀가 구상(球上)에 올라서서 종횡으로 춤을 추는데 몸을 풍운(風雲)과 같이 비상하여 그 율동이 비할 데 없이 날쌤을 알 수 있다. 또 호선무에 대해서는 통전(通典)을 보면, 네명의 무자(舞者)가 머리 뒤에 퇴곡을 짓고 강포(絳布)로써 이마를 동이고 금당으로써 꾸미는 바, 2인은 황색치마와 속저고리에 적황(赤黃)색 바지요, 2인은 적황색의 군유 같은 빛깔의 바지와 긴 소매에다 조피(鳥皮)의 신발을 신고 쌍쌍이 짝지어 추는 것이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 = = = 백제의 무 = = = = 백제의 무용은 대단히 진보를 보았으며 미마지(味摩之)라는 이 나라의 무용가가 중국 오(吳)나라에 건너가서 기악(伎樂)을 배워와, 한국에 가면무용극 산대도감(山臺都監)놀이를 창시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일본에 소개하여 불교극(佛敎劇) 기악무(伎樂舞)를 전파케 하였다 한다. = = = = 신라의 무 = = = = 신라의 무용 가운데서 오늘날보다 세련된 형식으로 추어졌던 것은 가면무인 처용무라고 이를 것이다. 신라의 무용제도는 무재(無才), 무척(舞尺)·가척(歌尺)·금척(琴尺)·가척 등으로 분립되어 있어, 무자(舞者)가 독특한 지위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전설상의 인물인 처용의 설화의 사실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이 처용무는 고려와 조선조를 통하여 섣달 그믐날의 구나(驅儺)에 행해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무용의 가치를 어느 정도 짐작할 만하다. 이 밖에도 신라에는 많은 가면무용이 행해졌는데, 그 중에도 특출한 것은 최치원의 <향악잡영> 5수에 보이는 서역(西域) 전래의 5기가 될 것이다. 황금빛깔의 가면을 쓰고 추는 '대면(大面)' 남(藍)빛 가면을 쓰고 추는 '속독(束毒)', 사자가면을 쓰고서 추는 '산예', 금칠한 공을 놀리는 '금환(金丸)', 어깨는 움츠리며 우스꽝스럽게 추는 '월전(月顚)' 등이 이때에 성행하였던 가면희였다. 이 중에 대면무(大面舞)를 살펴보면 황금칠을 한 가면을 쓰고, 손에는 구슬채찍을 들고 귀신을 몰아내며, 빠른 걸음인듯 달려나가는 우아한 춤으로, 장쾌하고 우아한 건무(健舞)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주 감산사(甘山寺) 사지(寺址)에서 발견된 석탑 기단에 보이는 12지신상(十二支神像)들의 조각된 모습에서 당시의 춤의 모습을 보면, 현재 전승되고 있는 경상도 5광대(五廣大) 가면극의 덧보기 춤사위와 유사함을 곧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우아한 정재(呈才)로 변하였지만, 단검(短劒)을 번뜩이는 무무(武舞)·검무 또는 황창랑무(黃昌郎舞)도 원래는 가면무였던 것이나, 어느때부터 가면을 버렸는지 알 수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 = = 고려시대의 무 = = = 고려조의 무용은 초기 삼국시대의 무용이 그대로 전승되었고, 뒤에 송대의 무악(舞樂), 즉 왕모대가무(王母隊歌舞)·포구락(抛毬樂) 등 화려한 송조(宋朝)의 궁정무용, 그리고 일무라고 하는 종교무용의 수입으로 더욱 번성하게 되었다. 문종(文宗) 27년(1078) 2월 연등회(燃燈會)에 교방(敎坊)의 여제자인 진경(眞卿) 등이 답사행가무(踏沙行歌舞)를 전한 것이라든지, 이 해 11월 팔관회(八關會)에서 역시 교방의 여제자 7초영(楚英) 등이 포구락 등이며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를 아뢴 사실과 동왕 30년(1081) 2월 연등회에서 다시 초영 등이 왕모대가무를 보였는데, 일대(一隊)는 55인으로 혹은 '군왕만세', 혹은 '천하태평' 등의 글자를 춤으로 만들어 장관을 이루었다 한다. 앞서 말한 일무의 '일(佾)'은 춤의 행렬을 뜻하는 것으로, 행수(行數)와 인수(人數)의 종횡이 서로 같아야만 비로소 '일'이라 일컬었다. 일무의 전거(典據)는 <논어(論語)>의 '팔일편(八佾篇)'이 그 시초가 되는 것으로, 중국 고대 아악(雅樂)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무악을 이렇게 이름한 것이다. 일무는 주제(主祭)에 따라 엄격한 무제(舞制)로 되어 있되, 또한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로 나누며, 이것은 오늘날 문묘(文廟)의 석전(釋奠)에 고식(古式)대로 엄수되고 있다. = = = 조선시대의 무 = = = 고려를 계승한 조선시대는 무용이 한층 융성함을 보였다. 조선왕조는 건국 당초부터 예악(禮樂)으로써 국정(國政)의 요체(要諦)를 삼았다. 세종대왕은 무악의 정리와 신작(新作)에도 힘을 기울였고, 세조 또한 전대의 소작(所作)인 종묘의 무악 정대업(定大業)·보태평(保太平)의 개산(改刪)에 성공하였다. 더욱이 성종 24년(1492)에 만들어진 <악학궤범>에는 당악정재(唐樂呈才)·향악정재(鄕樂呈才)의 홀기(笏記)를 전재(全載)했을 뿐 아니라 무복(舞服)과 의물(儀物)까지를 소상하게 도설(圖說)하여, 조선조 초기의 궁중무용의 모습을 요연(瞭然)하게 하였다. 태조의 공덕을 찬미한 몽금척무·수보록무, 태종의 공덕을 칭송한 근천정무·수명명무 등 일련의 작품은 개국창업의 좋은 조짐과 새로운 왕조의 위용을 자랑하기 위한 기념비적 의의 이외에 예술적인 가치는 의심되는 것들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조선조 후기에는 그 양상을 크게 달리하였다. 조선 순조 때 효명세자는 부왕 및 왕후를 위하여 많은 정재를 예제(睿製)하였는데, 그 중에도 특출한 것은 춘앵전이다. 익종은 춘앵전 이외에도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보상무(寶相舞)·망선문(望仙門) 등 20여 편의 가작을 남기고 있다. 실로 한국이 낳은 희귀한 안무가(按舞家)이며, 현존하는 약 50종의 궁중무용 중에서 거의 반수에 달하는 작품이 그의 예제가 아니면 개작한 작품인 것이다. = = = 개화기 이후의 한국무 = = = 상고시대부터 부족단위의 부락제(部落祭)나 그 밖의 행사에 연행되었던 자생적(自生的)인 놀이가 종교를 앞세운 외세(外勢)가 상층사회로 침식되면서부터 하층계급의 전유물로 낙착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러한 놀이 자체도 외래적(外來的)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수용되어 갔던 과정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적인 성격과 오락적인 성격이 복합된 민중희나 무용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1929년 이래 서구에서 수입된 현대적 무용을 제외하고 한국 무용은 이를 편의상 #궁중무용(宮中舞踊)과 #민속무용(民俗舞踊)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넓은 뜻에서 궁중무용 또는 고전무용이란 아악에서 유래한 일무와, 중국에서 전래한 이른바 당악정재, 그리고 한국에서 제정한 향악정재를 포함한 것이다. 이에 비해 민속무용은 궁중무용이 아닌 것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사실 궁중무용까지도 민속 무용에 포함시킬 수 있다.). = = = 한국무의 현황과 전망 = = = 상고시대부터 유구히 전해오던 우리 무용은 개화 이후의 외세 유입과 일정 36년을 거치는 동안 수난과 고초를 겪는 가운데 위축·쇠잔을 면치 못하였으나 8·15광복과 함께 빈사상태에서 벗어나 회생의 기쁨을 맞게 되었고, 현재에는 많은 무용인이 양성되고, 전통무용의 보전·전승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신작 무용 발표회가 활발히 열리는 등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다. 물론 한국무용계의 오늘의 상황이 반드시 만족할 만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앞으로의 발전 도약을 점치게 하는 다음 몇 가지 일들은 한국무용계의 앞날을 더욱 밝게 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첫째, 정부에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주요 전통무용의 보전·전수사업을 활발히 지원하고 있는 일이다. 둘째, 전통무용에 대한 일반사회의 인식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무용이 대중과 호흡을 같이하고, 대중생활에 깊이 뿌리박을 수 있는 무용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우리 전통무용에서 소재를 찾는 창작무용 활동이 활발하며, 신작무용의 방향 설정에 있어 전통무용에 기반을 두려는 기풍이 싹트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각 대학 무용과의 학도를 비롯한 젊은 학생들이 한국무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 = =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한국무 = = = 궁중무용으로는 신라시대에 발생한 처용무무형문화재 39호, 고려시대에 연원을 둔 학무무형문화재 40호, 궁중계통의 무용으로서 지방에 흩어져 있는 경남 진주의 검무무형문화재 12호, 통영(예전의 충무시)의 승전무무형문화재 21호, 의식무(儀式舞)로서 종묘제례악무형문화재 1호 속에 들어 있는 종묘일무(宗廟佾舞), 사찰음악인 범패(梵唄)무형문화재 50호 속에 들어 있는 나비춤·바라춤·법고(法鼓)·타주(打柱) 등이다. 또한 우리민족 대표적인 민속춤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가 있으며 춤의 정수는 백미라고 한다. = 하워드 케인 = 하워드 케인(Howard Caine, 1926년 1월 2일 ~ 1993년 12월 28일)은 미국의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내슈빌에서 태어났으며 노스할리우드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심근 경색이다. = = 영화 = = 전쟁과 추억 (1988년) 암흑가의 분노 (1982년) 마릴린: 언톨드 스토리 (1980년) 1776 (1972년) 더 둠스데이 플라이트 (1966년) 알바레즈 켈리 (1966년) 호간의 영웅들 (1965년) 겟 스마트 (1965년) 뉘른베르크의 재판 (1961년) 폴 뉴먼의 고독한 관계 (1960년) 추격 (1959년) = 조제프 기예모 = 조제프 기예모(, 1899년 10월 1일 ~ 1975년 3월 9일)는 프랑스의 육상 선수로 1920년 하계 올림픽 5000m 금메달리스트이다. 오트비엔주 르도라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기예모의 폐가 유황 가스에 의하여 손상되었다. 또한 그의 심장이 가슴의 오른손 부분에 위치해 있었다. 이럼에 불구하고, 신장 160cm, 몸무게 54kg의 기예모는 자신의 부대 크로스컨트리 선수권을 우승하였다. 이듬해 프랑스 군사 선수권 대회를 우승하고, 1920년 자신의 첫 5000m 국내 타이틀을 우승하여 올림픽에 출전하는 자격을 얻었다. 올림픽에서 우승 후보는 파보 누르미였다. 5000m 결승전에서 코스의 첫 부분에서 위험성 있는 스웨덴의 에리크 바크만과 루나르 팔크가 지치면서 누르미는 대답한 전략을 안출하였다. 3 바퀴 후에 누르미가 선두로 달려 더 속력을 내고, 기예모 만이 그를 따랐다. 절반의 길에서 기예모는 아직도 양보를 거부하고, 누르미는 마음을 잃기 시작하였다. 마지막 커브에서 기예모는 외부에서 누르미를 지나면서 마지막 극도의 속력에 예사롭지 않게 누르미는 완료적으로 포기하여 우승자가 테이프를 끊은 4초 후에 결승선에서 조깅하였다. 10,000m 결승전은 거의 3시간 동안 알베르 1세의 요구에 의하여 나왔다. 기예모는 거대한 점심을 먹고 그걸 들었으며, 배부르고 사이즈가 너무 큰 운동화를 신고 달리면서 만족하게 은메달을 땄다. 올림픽이 끝나고 1922년 국제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를 개인적으로 우승하고, 그해와 1926년 프랑스 팀을 1위로 이끌었다. 그는 5000m의 국내 타이틀을 3개의 제전에서 우승하였으나, 프랑스 육상 연합과 자신 사이의 불일치로 다음 올림픽을 놓치고 말았다. 그는 2개의 세계 기록 - 5분 34.8초(2000m)와 8분 42.4초(3000m). 지나친 흡연을 해온 그는 75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 우리 노래 전시회 = 우리노래전시회는 최성원의 주도로 완성된 옴니버스식 음반이다. = = 수록곡 설명 = = Side A 1번 〈오 그대는 아름다운 여인〉은 들국화 2집《들국화 II》(1986) Side B 4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A 2번 〈그것만이 내세상〉은 들국화 1집《들국화》(1985) Side A 2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A 3번 〈비둘기에게〉는 시인과 촌장 2집《푸른 돛》(1986) Side A 2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A 4번 〈너무 아쉬워 하지마〉는 어떤날 1집《1960. 1965》(1986) Side B 1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B 1번 〈매일 그대와〉는 들국화 1집《들국화》(1985) Side B 2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B 2번 〈제발〉은 들국화 2집《들국화 II》(1986) Side A 1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B 3번 〈그댄 왠지 달라요〉는 박주연 1집《박주연》(1987) Side A 4번에 재수록 되었다. Side B 4번 〈이세상 사랑이〉는 양병집 3집《넋두리 (II)》(1985) Side B 2번에 재수록 되었다. = 케이스 웨인 = 케이스 웨인(Keith Wayne, 1945년 1월 16일 ~ 1995년 9월 9일)은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이다. 캐리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 30주년 기념작 (1998년) - 톰 역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1968년) - 톰 역 = 분류:일본이백명산 = = Precious Love = Precious Love는 2000년 9월 20일 발매한 20th Century의 2번째 싱글 음반이다. = 크로메르지시구 = 크로메르지시구는 체코 즐린주를 구성하는 4개 구 가운데 하나로 행정 중심지는 크로메르지시이며 면적은 795.67km2, 인구는 105,572명(2019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130명/km2이다. 즐린주 서부에 위치하며 79개 지방 자치체(8개 시, 71개 마을)를 관할한다. 즐린주 브세틴구, 즐린구, 우헤르스케흐라디슈테구, 남모라바주 호도닌구, 비슈코프구, 올로모우츠주 프로스테요프구, 프르제로프구와 접한다. = 사진가 = 사진가(寫眞家, ) 또는 사진사(寫眞師)는 사진에 관하여 지식이 있어, 전문적으로 촬영하는 사람이나, 사진 찍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신문 등의 보도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 풍경을 전문적으로 찍는 사람, 인물만을 전문으로 찍는 사람, 상품을 찍는 사람, 사진관 같은 곳에서 고객이 원하는 대로 찍어주는 사람 등으로 나뉘며, 장르는 전쟁 사진 작가, 동물 사진 작가 등도 있다. 사용하는 카메라도 다양하여, 사진가마다 색상을 달리 하여 다양성을 추구하거나, 즉석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컴퓨터 그래픽(CG)을 사용하기도 한다. 1988년 경 유행했던 넌센스 퀴즈로, '추억 속에서 삶을 구하고 추억을 만들어서 돈을 버는 사람은?'이라는 질문에 '사진사'라는 유머도 있었다. = 스테레오 (동음이의) = 스테레오(Stereo)는 음향 재생 방식을 의미하며,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다. 스테레오 (1969년 영화) 스테레오 (2014년 영화) STEREO = 분류:캔자스주의 환경 = = 헤구멘 = 헤구멘은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계 수도원의 원장을 일컫는 명칭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도원장과 비슷하다. = 조슈아 오펜하이머 = 조슈아 링컨 오펜하이머(, 1974년 9월 23일 ~ )는 미국의 영화 감독이다. = = 출연 작품 = = 침묵의 시선 (2014) 액트 오브 킬링 (2013) = 데죄 = 데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퍼턴추시아브러함 데죄: 헝가리의 보수주의 정치인 데죄 코스톨라니: 헝가리의 작가, 언론인, 번역가 데죄 랑키: 헝가리의 거장 콘서트 피아니스트 = 분류:아오모리현의 건축물 = = 오세이지뽕나무 = 오세이지뽕나무( -, 학명: )는 뽕나무과의 과일 나무이다.Schneider, Camillo Karl. Illustriertes Handbuch der Laubholzkunde 1(5): 806. 1906. 원산지는 미국이다. 미국의 탐험가 메리웨더 루이스의 1804년 기록에 따르면 원주민인 오세이지족 사람들에게서 묘목을 건네받았기 때문에 "오세이지"라는 이름이 붙었다.Osage Oranges Take a Bough. Smithsonian Magazine, March 2004, p. 35. 오디와 비슷한 열매는 영어권에서 오렌지를 닮았다고 "오세이지오렌지(Osage orange)"라 불리거나, 그 외에도 "헤지애플(hedge apple)", "멍키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철원 철새 도래지 = 철원 철새 도래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 고체 = 고체(固體)는 물질의 상으로 일정한 결정을 가지고 있어 힘이나 압력의 변화에도 모양이나 부피가 변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고체를 다루는 물리학 분야를 고체물리학이라고 한다. 고체에는 소금(염화나트륨)이나 눈의 결정처럼 매우 규칙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과 유리나 고무처럼 형태가 불규칙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알려진 것 중 가장 가벼운 고체는 무게가 공기의 3배 밖에 되지 않는 에어로젤이다. = = 결정계 = = 액체를 냉각시키면 분자들의 운동이 느려지다가, 마침내 어떤 온도 이하에서는 분자들이 일정한 배열을 이루게 되고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없게 된다. 이런 분자(또는 원자)들의 규칙적인 배열의 결과로 평면들로 둘러싸인 모양을 가지게 된 균일한 물질을 결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소금물을 증발시키면 소금이 작은 정육면체들로 석출되는데, 정사각형 평면들로 둘러싸인 이 정육면체들이 소금의 결정인 것이다. 또, 붕산의 결정은 육각형의 얇은 판자 모양이고. 명반의 결정은 팔면체이다. 이와 같이, 결정의 형태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다. 그리고 이들 결정은 그 모양의 특징에 따라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지금 염화나트륨 결정(정육면체)의 중심을 지나 각각의 면에 수직인 축을 생각해 보자. 이것들을 a축, b축, c축이라 하고, b축과 c축이 이루는 각을 α, a축과 c축이 이루는 각을 β, a축과 b축이 이루는 각을 γ라고 하면, 염화나트륨 결정의 경우는 α=β=γ이고, 이 각은 모두 90°이다. 또 중심으로부터 각 면에 이르는 a축의 길이를 a, b축의 길이를 b, c축의 길이를 c라고 하면 a=b=c, 즉, 길이가 같은 3축이 직교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성질은 정육면체가 아니라 정팔면체인 명반의 결정에서도 성립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성질을 가진 결정을 일컬어 정방정계(또는 등축 정계)라고 한다. 육각형 결정에서는 전체의 모양이 육각형이라고 하면 축(결정축)은 4개가 된다. 위·아래에 있는 정육각형의 중심을 지나는 축(c축)에 대하여 다른 3개의 축이 이루는 각은 직각이지만, 3개의 축은 서로 60˚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즉, 길이가 같은 3축이 60˚로 교차하고, 이들 축이 만드는 면에 길이가 다른 네 번째 축이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결정을 정방정계라고 한다. 이와 같이, 축의 길이나 그것이 교차하는 각도의 유형에 따라 결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다음의 7가지 결정계로 나뉜다. ① 등방 정계 ② 정방 정계 ③ 사방 정계 ④ 단사 정계 ⑤ 삼사 정계 ⑥ 육방 정계 ⑦ 마름모 정계 = = 결정의 구조 = = 결정이 규칙적인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은 그것을 이루고 있는 입자(원자-분자-이온)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입자가 각각 크기가 같은 구체라 가정하고, 그 배열 방법을 생각해 보자. 공간에 빈틈없이 배열하는 데에는 위그림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림의 A와 B를 비교하면 B쪽이 더 빽빽이 배열되어 있다. 그래서 B와 같이 배열하여 첫 번째 층을 a, 두 번째 층을 b라고 하자. 그 위에 세 번째 층을 만드는데, 이때도 배열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즉, 세 번째 층의 구체가 첫 번째 층의 구체의 바로 위에 겹치도록 배열하는 경우와 겹치지 않도록 배열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겹치게 배열한 경우를 육방 밀집 구조라고 하는데, 이것은 육방 정계의 구조가 된다. 또, 겹치지 않도록 배열한 경우를 입방 밀집 구조라고 하는데, 이것은 등방 정계의 구조가 된다. 금속의 결정 중에서 금·은·구리·알루미늄 등은 입방 밀집 구조를 취하고, 마그네슘·아연 등은 육방 밀집 구조를 취하고 있다. 나트륨이나 칼륨은 정육면체의 8개의 모서리와 중심에 구체가 있는 체심 입방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입방 밀집 구조에 비해서 틈이 좀 더 벌어져 있다. 입방 밀집 구조를 비스듬히 옆으로 누이면 정육면체의 각면의 중심에 구체가 하나씩 들어간 면심 입방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구체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입체적으로 배열된 것을 공간 구조라고 한다. 공간 구조의 종류는 14종인데, 등축 정계에는 단순 입방 구조, 면심 입방 구조, 체심 입방 구조의 3종류, 육방 정계에는 육방 밀집 구조가 있다. 이 밖에 정방 정계에는 체심 정방 구조 외에 1종, 사방 정계에는 면심 사방 구조 외에 3종, 단사 정계에는 2종, 삼사 정계·마름모 정계에 각각 1종의 구조가 존재한다. = = 비결정성 고체 = = 황가루를 시험관에 넣고 가열하여 녹인 것을 깔때기에 얹은 거름종이 위에 붓고 냉각시킨다. 거의 굳었을 때 거름종이를 펴면 황이 바늘 모양으로 결정(단사 정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황 가루를 이황화탄소에 녹여서 서서히 증발시키면 거의 팔면체인 결정(사방 정계)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황 가루를 가열하여 녹인 다음 물속에 넣어서 갑자기 냉각시키면 거무스름한 덩어리가 되며 잡아당기면 고무처럼 늘어난다. 그리고 얼마 후에는 굳기 시작한다.이 상태에서 황은 결정을 이루지 않았으므로 비결정성이라고 한다. 그 까닭은, 황을 천천히 냉각시키거나 용액에서 용매를 증발시킬 경우에는 황의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할 시간적 여유가 있으므로 결정을 이루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해 가지만, 갑자기 냉각시키면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액체 때의 불규칙한 배열 그대로 고체가 되기 때문이다. 비결정성 황은 오랫동안 방치해 두면 사방 정계의 결정이 된다. 비결정성 고체의 대표적인 것은 유리이다. 보통의 유리는 700-800°C로 가열하면 녹지만, 냉각시키면 그 성분인 규소 1원자와 산소 4원자가 만들고 있는 정사면체가 공간적으로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그물처럼 이어지기 때문에 비결정성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비결정성 고체는 내부에서 입자가 결합하는 힘도 고르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녹는점을 보이지 않는다. 비결정형 상태를 '유리상태'라고도 한다. = 분류:상염색체 열성 질환 = = 분류:인도네시아의 재즈 = = 분류:1851년 법 = = 키루이 = 키루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벨 키루이: 케냐의 육상 선수 이스마엘 키루이: 케냐의 육상 선수 = 분류:충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 시모와치촌 = 시모와치촌(下和知村)은 교토부 후나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산청 청송사 소나무 = 산청 청송사 소나무(山淸 靑松寺 소나무)는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에 있는 소나무이다. 2010년 6월 17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7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소나무는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학명은 Pinus densiflora S. et Z.이다. 소나무 꽃은 4~5월에 개화하고 열매는 구과로서 다음 해 9~10월에 열린다. 청송사 소나무는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대한불교 조계종 청송사 경내에 있는데 높이가 14~17m, 둘레가 3.9m이다. 연륜 측정 상 약 400~500년 생으로 추정되는 노거수로서 수관이 한 곳으로 뻗어 수형이 좋아, 지난 1987년 보호수로 지정되어 오다가 2007년 1월에 산청군이 문화재 지정 신청을 하여 시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신라 말기 학자인 최치원이 전국을 유람하다가 지리산 밑에 있는 청송사에 이르러 소나무를 심었으나, 초기에 죽고 그 뒤 한 그루의 소나무가 살아난 것이 지금의 청송사 소나무라고 전하고 있다. = 스모키 제이 = 스모키 제이 (Smokie J, , 는 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이다. 1996년 Butthead의 멤버로 데뷔, 2002년 컴필레이션 The Konexion을 프로듀싱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현재 Yucka Squad의 메인 작곡가이며, 양동근의 프로듀서로 더욱 잘 알려져있다. = = 바이오그래피 = = 10대 때까지는 락을 좋아했던 Smokie J는 우연히 친구를 통해 Wu-Tang Clan을 접하면서 힙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90년대 초, 친분 있는 형의 소개로 지구 레코드에 엔지니어로 들어간 그는, 그가 만든 데모테입이 회사 관계자의 눈에 띄면서 본격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것을 제안 받았다. 그러나 음악적으로 홀로서기를 원했던 그는 지구 레코드에서 나오게 되고, 이후 어떤 기회로 힙합 락 그룹 Butthead의 멤버로 영입되게 되었다. 여기서 그는 "이제이"라는 이름으로 Butthead의 전곡을 작곡하였으며, 랩과 베이스 기타도 맡았다. Butthead는 야야아야이 등의 곡으로 좋은 인기를 얻으며 활동하였으나"스모키 제이 "모든 장르와 어울릴 수 있는 게 힙합"", 김용습, 스포츠서울, 2009년 10월 12일 그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그는 그룹 활동을 오래 하지 못하고 부모님이 계신 미국으로 돌아가게 되고 한동안 그곳에 머무르게 되었다."프로듀서, 스모키제이 (Smokie J) 인터뷰", 힙합플레이야 인터뷰, 2009년 10월 6일 2000년 다시 귀국한 그는 음악 쪽으로 활동을 재개하였으며, 특히 당시 래퍼로써의 본격 데뷔를 준비 중이던 양동근의 1집을 프로듀싱하게 되었다. 1집 발매 직후 그는 여러 래퍼들을 모아 참여시킨 자신의 1집 The Konexion을 발표했고, 이를 통해 힙합씬에서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그의 명성에도 보탬이 되어, 품행제로 OST 및 수많은 가수들의 앨범에 곡을 써주게 되었다."DJ.DOC의 이하늘,「품행제로」OST 제작", 조재영, 연합뉴스, 2002년 4월 17일 또, 양동근과 Konexion 활동으로 친분을 맺은 뮤지션들끼리 Yucka Squad 크루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그의 다음 앨범 The Konexion 2는 2년 간의 준비 끝에 2009년에 나왔으며, 이렇게 오랜 공백 끝에 앨범을 낸 데에 대해 그는 간단하게 "특별한 이유는 없고 그냥 이제서야 제 앨범을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겨서"라고 얘기하였다. 이 앨범에는 Movement, Buda Sound 외에도 언더에서 메인스트림까지 수많은 래퍼들이 참여하여 The Konexion보다 더 화려한 피쳐링진을 자랑하였으며, 타이틀곡은 Juvie Train, Bizzy, Double K, Dok2가 참여한 Players였다. 이 앨범은 호평을 받았으며, 당시 Smokie J는 앞으로 2년에 한 번 쯤은 이러한 앨범을 낼 계획이라 밝혔으나, 현재까지는 이 앨범이 그의 마지막 프로젝트 앨범이다."스모키J와 무브먼트 멤버들이 뭉쳤다! "언더와 오버의 소통"(인터뷰①)", 배선영, 뉴스엔, 2009년 9월 30일 이후로도 그는 양동근과 Bizzy의 앨범에 계속 참여하였으며, 2012년 봄에는 결혼식을 올렸다. 당시 양동근이 축가로 Just the Two of Us를 번안하여 부른 것이 디지털 싱글로 발표되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양동근, 로맨틱 힙합 웨딩송 디지털 싱글 발매", 김하진, 내일뉴스, 2012년 3월 5일 대표곡: I Got Dat!, Players = = 디스코그래피 = = *2002년 Smokie J Presents: The Konexion *2009년 Smokie J Presents: The Konexion 2 = = 이름 = = *Smokie J는 그가 좋아하는 락 그룹 Smokie와 그의 이름 이니셜을 합친 것이다. *이제이는 그가 처음 Butthead에서 활동할 시 사용한 이름으로, 본명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 마일스 데이비스 = 마일스 듀이 데이비스 3세(, 1926년 5월 26일 ~ 1991년 9월 28일)는 미국의 재즈 음악가이다. 트럼펫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유명하다. 처음엔 밥 재즈를 연주하며 경력을 쌓았으나, 뒤에 쿨 재즈, 퓨전 재즈 등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선보여 재즈의 장르를 확장시킨 음악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 = 생애 = = = = = 출생~1950년대 = = = 1926년 5월 26일, 미국 일리노이주 알톤에서 태어났고 이듬해에 이스트 세인트루이스로 이사했다. 아버지가 치과의사였기 때문에, 다른 재즈 플레이어보다 매우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다. 어머니는 음악 교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10대 무렵부터 트럼펫에 흥미를 가져 연주 연습을 하기 시작했다. 고교시절에는 지역의 재즈 밴드를 결성하고, 세인트루이스에서 어른들과 밴드로 활약하였다. 당시 세인트루이스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노동자의 거주구역이 많았기 때문에, 클럽에서의 재즈 라이브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마일스는 많은 재즈 플레이어를 보고 배울 수 있었다. 18세에, 찰리 파커가 세인트루이스에 연주하러 왔을 때 우연히 찰리와 연주를 하게 되었다. 이후 줄리어드 음악원에 진학하였으나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업을 그만두고, 찰리 파커, 맥스 로치 등과 함께 연주하기 시작한다. 1947년에는, 찰리 파커와 맥스 로치의 지원을 받아, 첫 리더 세션을 실시한다. 찰리의 수하로서, 비밥으로부터 캐리어가 시작되었지만, 마일스는 새로운 가능성을 필요로 하여 1948년 편곡가인 길 에반스와 만난다. 길 력을 얻고, 웨스트 코스트 재즈의 영향을 받은 Birth of Cool (쿨의 탄생)을 제작하였다. 첫 레코딩이었던 데뷔 앨범은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이후 길 에반스께 음반을 발표하였다. 1950년대부터, 아트 블래키등과 공동 출연하지만, 마약 문제로 연주 활동에서 멀어진다. 회복한 마일스는, 1953년 프레스티지 레코드에서 발표한 워킹 (Workin')이후, 하드 밥의 기수로서 활약하였다. 1954년 12월 24일에는 델로니어스 몽크와 공동 출연하지만, 양자는 음악에 대한 생각이 달랐기 때문에, 이 공동 출연은 일반적으로 싸움 세션이라고 불린다. 1955년에는 존 콜트레인, 레드 갈란드, 폴 챔버스, 필리 조 존스의 멤버로, 제1기 퀸텟을 결성한다. 같은해, 뉴 포트 재즈 페스티벌의 찰리 파커의 추모를 위한 올스타 밴드에 참가하였다. 이 때의 연주가 계기가 되어 컬럼비아 레코드와 계약하였다. 1956년에 이적 후 첫 작품인 라운드 어바웃 미드나잇(Round About Midnight)을 발표한다. 한편, 프레스티지와 남겨진 계약을 끝마치기 위해서, 2일간 앨범 4매분의 녹음을 하였다. 24곡 모두 원 테이크로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마라톤 세션이라고 불린다(실제로는 연속 2일간이 아니고, 2회의 세션의 사이에는 약 5개월의 공백이 있었다). 연주는 워킹(Workin') 스티밍(Steamin') 릴랙싱(Relaxin') 쿠킹(Cookin') 4개의 앨범에 수록되었고 프레스티지는 이 4매를 매년 1매씩 4년에 걸쳐 발매했다. 또, 1957년에는 파리에 건너가, 현지의 재즈맨과 함께, 영화 <<사형대의 엘리베이터>>의 음악을 러쉬에 맞추어 즉흥연주로 제작하였다. 1958년에 캐논볼 애덜리를 더하여, 밴드는 섹스텟(6인 편성)이 되었다. 같은 해 캐논볼의 섬씽 엘스에 참가하였다. 또, 레드 갈란드가 탈퇴했기 때문에, 피아노에 빌 에번스를 맞이한다. 빌은 밴드에 클래식 음악(특히 라벨, 라흐마니노프) 이론을 접목해 마일스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흑인 피아니스트를 고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흑인 팬으로부터 인종차별 문제가 제기되어 빌은(당시 빌은 유일한 백인 멤버였다)가입한 지 7개월 만에 탈퇴하였다. 그 후 빌을 특별히 복귀시켜, 마일스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Kind of Blue를 제작. 모드적인 재즈방법론을 나타내었다. = = = 1960년대 = = = 1960년에는 존 콜트레인이 그룹을 탈퇴하고, 다른 멤버도 수시로 교체된다. 이때부터 한동안 멤버는 고정되지 않고(이 시기 소니 롤린스나, J.J.존슨 등과 다시 공동 출연하였다), 눈에 띄는 작품도 적고, 라이브 레코딩이 중심이 되어 간다. 1963년에 허비 행콕, 론 카터, 토니 윌리암스가 그룹에 참가하였다. 1964년 7월에 첫 일본 방문을 하게 되고 같은 해 가을에 웨인 쇼터를 맞이해 제2기 퀸텟이 확립되어 1968년 전반까지 이 멤버로 활동하였다. 도중 마일스의 건강 상태의 악화로 휴식이 불가피한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녹음된 작품은 그다지 많게는 없었지만 Sorcerer, Nefertiti 등 뛰어난 앨범을 발표해, 연주면에서도 작곡면에서도 4비트 스타일의 재즈로서는 최고 수준까지 올라가 이 퀸텟은, '황금 퀸텟'이라고 불린다. 마일스 자신도 이 퀸텟을 '위대한 밴드'라고 평가하며 네 사람으로부터 배운 것도 많았다고 말하였다. 1968년, 8비트의 리듬과 일렉트릭 악기를 도입한, Miles in the Sky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조 자비눌이 밴드에 가입하고, 1969년 In a Silent Way Bitches Brew라는 작품으로 결실을 맺는다. 이러한 작품이 70년대 이후의 재즈-락 퓨전 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 = 1970년대 = = = 재즈-락 퓨전(이하 퓨전) 붐으로 밴드의 멤버였던 허비 행콕이나 칙 코리아등이 리더로서 히트작을 연발하였다. 한편, 마일스 자신은 펑크색이 강한, 보다 리듬을 강조한 스타일로 진전하여, 퓨전과는 차별을 두는 하드한 음악을 전개한다. 1972년에 발표된 On the Corner는 현재에도 그 진보성이 화제가 되는 문제작이다. 그러나, 이러한 마일스의 음악은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하고, 더 건강 상태도 한층 더 악화되어, 일본에서의 라이브 녹음 Agharta, Pangaea를 마지막으로, 1975년 이후 은퇴선언을 하게 된다. = = = 1980년대 이후 = = = 1980년에 마커스 밀러 등의 서포트를 받아 활동을 재개한다. 이듬해에 복귀작 The Man with the Horn을 발표한다. 1980년대는 팝의 색채를 강하게 하여 마이클 잭슨이나 신디 로퍼 등의 작품을 채택하거나 밴드를 따르게 하지 않고 미리 완성된 트랙 위에 트럼펫을 씌우는 팝스 뮤지션의 제작 스타일을 도입했다. 1991년에는 유작인 Doo-Bop에서 힙합 뮤지션인 이지 모 비를 게스트로 맞이해 랩과 재즈를 접목한 힙합 재즈를 선보였으나, 본격적인 인기를 일으키기도 전인 1991년 9월 28일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에 있는 St. John's Hospital and Health Center에서 사망하였다. = = 음악 = = 마일스의 트럼펫 플레이의 대범한 특징은, 뮤트를 사용하되, 비브라토를 쓰지않고, 빠르게 연주하는 등의 테크닉에는 별로 의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디지 길레스피 스타일의 하이톤을 피해 중음역이 트럼펫에 대해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나온다는 생각을 갖고 자주 사용했다. 후에는, 쓸데 없는 소리를 일절 내지 않는다고 한 방향성과 연결되어 멤버에게도 그러한 방향성을 암묵적으로 요구했다. 악곡상의 주된 특징은, 초기에는, 테마의 뒤와 각각의 순서에 솔로 연주를 하여, 그 사이 백업으로서 호응하거나 부추기는 일은 있어도, 애드립 연주를 동시에 둘 이상 부딪치지 않고, 그 후, 다시 테마로 돌아와 끝나는 전형적인 재즈 형식을 보인다. 1960년대 이후는, 테마로 돌아오지 않고 끝나는 작품도 볼 수 있다. 또, 1980년대의 무대에서는, 트럼펫 외에 신시사이저를 연주하기도 하였다. 스튜디오 앨범은 수록 시간 관계 상 편집으로 컷 되거나 이어 맞추는 것이 많았지만, 소리를 갈아넣지는 않았다. 무대에서는, 스튜디오 수록의 신작곡이나 최첨단의 소리를 내는 것보다, 그 때의 악기 편성으로 유명한 곡을 연주하는 일이 많았다. 클래식 등의 편곡도 연구해, 쿨 재즈나 그 이후의 완전하게 편곡된 재즈에 대하여 그 성과가 발휘되었다. 특히 그는 찰리 파커 등이 자랑으로 여긴 비밥에 한계를 느껴 교회 선법(mode)을 도입했는데, 이러한 스타일은 앨범 카인드 오브 블루을 통해 모달 재즈(modal jazz)의 발단이 되었다. 그 밖에도 블루스, 락, 힙합 등도 도입해 재즈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장르의 음악에 주목하고 있었다. 지미 헨드릭스나 프린스를 높게 평가하고 있던 이야기는 유명하지만, 지미와의 공동 출연은 비공식인 세션만으로 끝났고, 프린스 작곡의 제일바이트 음원은, 지금도 미발표인 상태이다. 또, 유어 언더 어레스트(You're under arrest)에서는 스팅이 나레이션으로서 게스트 참가하였고, 마이클 잭슨과 신디 로퍼의 커버도 수록되어 있다. 음악적으로 유연하고 진보적이지만, 프리 재즈 분야에는 손을 대지 않고, 오넷 콜먼을 비판한 적도 있다. 무대에서의 공연에 대하여 관객에게 등을 돌리는 것이 일부에서 비판되었지만, 케니 가렛은 '그는 지휘자이다'고 옹호하였다. = = 인물 = = 마일스는 미국의 인종차별 문제에 항상 비판적이었다. '백인에 의한 미국'에 대한 혐오가 있어 카스트로는 미국을 비판하는 데 3일 걸린다고 했지만, 나라면 일주일 걸린다'는 발언을 하였다. 이것은 인종차별에 대한 그 나름의 분노일 것이다. 따라서 음악성 추구를 위해서 인종을 초월하는 자세를 견지했다. 편곡자로서 마일스가 가장 가까운 친구라 칭하는 길 에번스로부터는 생애에 걸쳐 강한 영향을 받았다. 초기의 명작 쿨의 탄생에는 리 코니츠, 게리 멀리건이라는 백인 뮤지션을 기용했다. 제 1기 퀸텟 시대에, 일시적으로 빌 에반스를 밴드 멤버로 맞아들였을 때, 당시 주된 마일스 음악의 청취자였던 아프리카계 미국인 층에서는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마일스는 '좋은 플레이를 하는 놈이라면, 피부색이 녹색인 놈이라도 고용한다'고 호언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60년대 말의 일렉트릭 음악 도입기는 조 자비눌과 존 맥러플린을 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그들의 재능을 평가하고 있었고, 그 후도 칙 코리아와 키스 자렛, 데이브 리브먼 등 많은 백인 멤버가 마일스의 밴드를 거쳐갔다. 피아니스트 케이 아카기는 유일한 동양인으로서 1989년부터 2년간 정식 멤버로서 활약했다. 그는 빠른 물건을 좋아했다. 항상 페라리등의 스포츠카를 타고 돌아다녔다. 그는 (그 자신의 표현을 빌리자면)최고 속도의 스포츠인 복싱을 즐겼다. 이러한 속도에 대한 집착은 차로 이동하면 1시간 만에 가는 곳을, 비행기 타는 것을 고집해 3시간 걸린 것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80년에 복귀한 후에는 그림을 그리는 것에 몰두해, 스타 피플의 쟈켓은 스스로 디자인했다. = = 음반 목록 = = 1950년 Birth of the Cool 1952년 Miles Davis Vol. 1 1953년 Miles Davis Vol. 2 1954년 Miles Davis And The Modern Jazz Giants 1955년 Blue Moods 1956년 Workin' with the miles davis quintet 1957년 Ascenseur Pour L'echafaud 1958년 Porgy And Bess 1958년 Milestones 1958년 58 Sessions Featuring Stella By Starlight 1959년 Kind of Blue 1961년 Someday My Prince Will Come 1961년 In Person Friday Night At The Blackhawk 1963년 Miles Davis In Europe 1964년 Four & More 1964년 My Funny Valentine 1965년 E.S.P 1966년 Miles Smiles 1967년 Sorcerer 1968년 Nefertiti 1968년 Filles de Kilimanjaro 1969년 In A Silent Way 1969년 Bitches Brew 1970년 Miles Davis At Fillmore: Live At The Fillmore 1971년 A Tribute To Jack Johnson 1972년 On the Corner 1972년 Big Fun 1974년 Dark Magus 1974년 Get Up With It 1977년 Sketches of Spain 1981년 Man With The Horn 1984년 Decoy 1985년 Aura 1987년 Walkin' 1989년 Ballads 1991년 Blue Haze 1992년 Doo-Bop 1996년 Ballads & Blues 1996년 Live Around The World 1997년 Quiet Nights 1997년 Miles Ahead 1997년 The Best of Miles Davis & Gil Evans 1998년 Miles In The Sky 1998년 Jazz Profile 1998년 Complete Birth Of The Cool 1999년 Love Songs 2000년 Kern Burns Jazz 2001년 Time After Time 2001년 Super Hits 2001년 The Essential 2001년 Bag's Groove 2002년 Bye Bye Blackbird 2003년 The Blue Note & Capitol Recordings 2003년 Essential 2003년 Best Of Miles Davis 2003년 Plays For Lovers 2003년 Complete Jack Johnson Sessions 2003년 Love Songs 2 2004년 Birdland 1951 2004년 Jazz Moods: Cool 2004년 The Complete Bitches Brew Sessions 2004년 The Very Best Of Miles Davis 2005년 The Best Of Seven Steps 2005년 Miles In Tokyo 2005년 Seven Steps To Heaven 2005년 The Very Best 2005년 Miles In Berlin 2005년 The Cellar Door Sessions 1970 2005년 Prestige Profiles 2006년 Cool & Collected 2007년 Plus 3 2007년 Original Album Classics 2007년 Collector’s Items [2-fer] 2008년 Beautiful Ballads & Love Songs 2008년 The World Of Miles Davis = = 출연 작품 = = 1988년 스크루지 - 거리 음악가 역 1991년 딩고 - 빌리 크로스 역 2005년 캠프학살 - 루벤 역 = 분류:중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 점프 컷 = 점프 컷은 영화 편집 기법이다. 배경은 고정돼 있지만, 공간 속 연기자의 동작은 시간을 뛰어넘는다. 예컨데 지루하게 시간을 보내는 느낌을 표현하게 해준다. 장뤼크 고다르 감독의 영화 네 멋대로 해라에서 혁신적으로 사용되었다. = 대전 하나 시티즌 FC U-12 = 대전 하나 시티즌 FC U-12는 대전 하나 시티즌 FC의 12세 이하 유스팀이다. 2007년 '보급반'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창단 되었으며, 현재 김용수 감독이 팀을 이끄는 중이다. = 국제 의회 연맹 = 국제 의회 연맹(國際議會聯盟, Inter-Parliamentary Union, IPU, 아이피유)은 1889년 설립된 국제적인 의회 기구이다. 설립 목적은 국제 평화 및 협력 도모, 의회 제도 정착이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활동을 정지했지만 1945년부터 재개하였다. 국제 의회 연맹의 원래 목적은 국제 재판 사상의 보급이었는데, 2차 대전 이후에는 평화와 전후 재건이 주안점이 되었다. 해당 연맹은 유엔의 자문기구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총 회원국은 152개국(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러시아,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며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하고 있다.시사상식편집부, SPA 종합교양, 박문각, 2009년, p.88 = = 한국과의 관계 = = 대한민국은 1964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 53회 총회에서 정식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83년 제70차 총회, 1997년 제97차 총회·제160차 이사회를 서울에 유치하였다. 한편 평양에서는 1991년 제85차 총회가 열렸다. = 분류:대한민국의 다이빙 = = 분류:1865년 7월 = = 송도 (거제시) = 송도(松島)는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에 있는 섬이다.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 = 특정도서 = = 송도는 해식애가 발달하였고, 조간대와 조하대의 자연성이 우수하며, 곰솔, 동백나무군락이 우수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 제116호 면적 : 8,331m2 지번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산41 = 이효성 = 이효성(李孝成, 1951년 5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교수, 문재인 정부의 제6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 생애 = = MBC와 경향신문, 한국일보에서 기자로 일했다. 1990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로 내정되었다. 위장 전입과 거짓해명, 부동산 투기, 취득세 탈루, 증여세 탈루, 논문 표절, 병역 비리, 자녀 미국 국적 문제 등이 거론되며 부적격 인사라는 야당의 반대로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못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7월 31일 휴가 중 전자 결재로 이효성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 임명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19년 2월 11일 인터넷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SNI(Server Name Indication) 차단방식을 추진하였으나, SNI 차단방식이 인터넷 검열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이효성은 "차단 방식과 범위를 조정하도록 하겠다"며 사과하였다. = = 학력 = = 남성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지질학 학사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 언론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박사과정 수료 노스웨스턴 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박사 = = 경력 = = ~ 1981년 : 한국일보 시카고지사 기자 1987년 3월 ~ 1990년 2월 :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1990년 3월 ~ 1994년 3월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1991년 3월 ~ 1993년 12월 : 한국사회언론연구회 회장 1994년 4월 ~ 1999년 2월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1998년 3월 ~ 2000년 4월 : 한국언론정보학회 초대 회장 1998년 3월 ~ 2003년 5월 :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정책실장 및 이사 1998년 8월 ~ 2000년 7월 :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1998년 10월 ~ 2000년 3월 : 제3기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위원 1999년 3월 ~ 2003년 5월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1999년 12월 ~ 2000년 5월 :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위원 2001년 9월 ~ 2003년 5월 :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2002년 3월 ~ 2003년 5월 : 방송위원회 보도교양 제2심의위원회 위원장 2002년 7월 ~ 2003년 5월 : 문화방송 미디어비평 평가위원 2002년 11월 ~ 2003년 5월 : 한국방송학회 제15대 회장 2003년 5월 : 방송위원회 방송발전기금관리위원회 위원장 2003년 5월 ~ 2006년 7월 : 제2기 방송위원회 부위원장 2006년 12월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2007년 8월 ~ 2008년 12월 : 시민방송 RTV 이사장 2009년 2월 :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원장 2017년 7월 ~ 2019년 7월 : 제4기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2020년 5월 ~ : 아시아투데이 자문위원장 2020년 5월 ~ : 아시아투데이 주필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 = 논란 = = = = = 병역법 위반 = = = 이효성이 박사 재학 중인 1975년 8월 입대해 사가사정의 이유로 6개월 만인 이듬해 2월 이병으로 전역했다. 입대 당시엔 전북 익산에 위치한 106연대 3대대 본부중대에 자대배치를 받았지만 같은 해 10월 서울 영등포로 주소를 전입해 506지단 화곡1-동원3중대로 전속받았다. 이효성은 입대 당시 박사 과정 이수 중이었음에도 휴학을 신청하지 않았고 복무기간 중 서울로 주소전입을 해 서울에 있는 부대로 배치를 받아 학업을 계속했다. 당시 서울대학교는 이효성을 휴학 처리하지 않았는데 이는 명백한 병역법 위반 사유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 = = 논문 표절 = = = 1974년·1977년·1988년에 발표한 논문 등을 조사한 결과 인용표기도 하지 않고 타인의 의견을 자신의 의견인 것처럼 작성하는 등 4건의 논문표절 의혹도 제기되었다. 이효성이 논문을 쓰면서 영어 원서를 일본어로 번역한 책을 참조하고도 마치 영어 원서를 인용한 것처럼 각주를 달아 재인용 표절을 했다. 이효성이 1974년 발표한 석사학위 논문 ‘유언에 관한 일고찰’은 영어 원서를 오역한 일본어 책을 참조했음에도 영어 원서를 인용한 것처럼 각주를 달아 재인용 표절을 했다. 1988년 12월 서울대 학술지 언론정보연구에 기고한 ‘유언비어와 정치’라는 논문 각주 19번을 보면 ‘The Psychology of Rumor’라는 책의 223페이지를 참조했다고 표기했는데, 실제로는 일역서인 ‘데마의 심리학’ 223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찾을 수 있다. 강효상 의원은 이효성의 1988년 논문은 원문에서 잘못 인용한 페이지의 내용과 각주까지 그대로 베꼈다고 지적했다. = = = 세금 탈루 = = = 이효성이 2000년 서울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 매입과정에서 시세보다 거래가격을 절반가량 낮춘 다운계약서를 작성해 세금을 탈루한 것으로 밝혀졌다. 2000년 6월 개포동의 주공아파트를 2억9000만원에 매입했으나, 실제로는 1억2000만원만 강남구청에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부동산 취득세·등록세와 지방교육세 등 세율을 감안했을 때 실거래금액인 2억9000만원을 신고했다면 1624만원의 세금을 납부했어야 했다. 그러나 아파트 가격을 1억2000만원으로 신고하면서 최소 1000만원 정도의 세금을 덜 낼 수 있었다. = = = 부동산 투기 = = = 아파트의 시세가 매입한 가격에 비해 5배가량 올라 부동산 투기 의혹도 제기되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되자, 이효성은 주민등록등본상 2008년 9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실제 거주했다는 점을 들어 해당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이은권 의원이 한국전력과 상수도사업본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간의 전기료와 수도요금이 모두 기본료만 부과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은권 의원은 "이 후보자가 부동산 투기를 위한 위장전입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사람이 살고 있었다는 곳(개포동 아파트)은 전기 사용료가 발생치 않았고, 오히려 사람이 안 살았다는 곳(강서구 아파트)에서 사용료가 발생했다"라고 꼬집었다. = = = 위장 전입 = = = 청와대는 이효성의 위장전입이 1994년 한 건이라고 밝혔지만, 자유한국당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이효성이 총 3차례 위장전입을 했다고 밝혔다. 이효성은 자녀를 원하는 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친척 집에 위장전입을 했는데, 이 주소가 원하는 학군에 포함되지 않자 친척의 지인의 집으로 재차 위장전입을 했고, 자녀가 중학교로 진학한 뒤에는 다시 친척 집으로 주소를 이전했다. 이효성은 2017년 7월 19일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 사실을 인정하면서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 = = 자녀 미국 국적 = = = 이효성의 36세 딸이 미국 유학 시절인 1981년 태어나 미국 국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 미국 복수국적에서 최종 미국 국적을 택한 것이다. 미국 국적을 택했지만 정작 대학은 대한민국의 서울여자대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 국적 취득의 당위성에 대한 설득력이 떨어져 국민정서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비난 여론이 일자 인사청문회를 앞둔 이효성은 "미국 국적 포기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가족 관계 = = 어머니: 천봉순 ( ~ 2022년 6월 14일) 배우자: 권성옥 딸 (1981년 ~ ) 누님동생: 이정임, 이정란, 이정실 = 위키백과:편집 공유 = = = 위키백과:별난 문서 = = 날짜 기여자 문서명 2020-01-08 밥풀떼기, Sangjinhwa 외 여러명 위키백과:별난 문서 칭찬: 이런 목록도 있었네요 ㅎㅎㅎ 일산화 이수소 보다가 발견했습니다. Gcd822 (토론) 2020년 1월 8일 (수) 19:19 (KST) = = 김삿갓 (노래) = = 날짜 기여자 문서명 2020-03-18 Motoko C. K. (토론) 김삿갓 (노래) 자랑: 오랜만에 다른 언어판에는 없는 문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Motoko C. K. (토론) 2020년 3월 18일 (수) 23:53 (KST) = = 땡벌 = = 날짜 기여자 문서명 2020-03-27 사용자:Motoko C. K. 땡벌 자랑: 꽤 유명한 노래인데 대한 문서가 없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Motoko C. K. (토론) 2020년 3월 27일 (금) 12:31 (KST) = 힐러리 린지 = 힐러리 린지(Hillary Lindsey)는 미국의 가수, 작곡가이다. = 분류:언어별 최초 문헌 = = 분류:종교 스캔들 = = 틀:반올림/설명문서 = = Soul Station = Soul Station는 1960년에 발매된 행크 모블리의 음반이다. 블루 노트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상투메 프린시페의 재외공관 목록 = 상투메 프린시페의 재외공관 목록은 상투메 프린시페 주재 대사관을 각국에 상주시켜 놓는 것을 의미하며 상투메 프린시페의 재외공관을 나열한 목록이다. = = 아프리카 = = : 루안다 (대사관) : 리브르빌 (대사관) : 아부자 (대사관) = = 아시아 = = : 베이징시 (대사관) = = 유럽 = = : 브뤼셀 (대사관) : 리스본 (대사관) = = 대표부 = = EU 상투메 프린시페 정부 대표부 : 브뤼셀 UN 상투메 프린시페 정부 대표부 : 뉴욕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상투메 프린시페 정부 대표부 : 리스본 = Team SCV Life = TSL(Team SCV Life)은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이었다. = = 역사 = = TSL은 MBC게임 히어로 코치직을 사임한 이운재가 2010년 9월 26일 창단한 스타크래프트 2 게임단이다. 2010년 10월 14일에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정식 창단식을 가졌다. 스타크래프트 II 게임단으로는 이례적으로 메인스폰서로 '지.스킬', 실버 스폰서로 '이엠텍아이엔씨', '아수스 에스티컴', '스카이지털', '오리온정보통신', '에너맥스 씨엠코포레이션'등 수많은 컴퓨터 하드웨어 업체들의 후원을 받았다. 2013년 1월 3일 스폰서들과의 재계약에 실패하여 해체되었다.스타2 프로게임단 TSL 해체, 역사 속으로… 디스이즈게임, 2013년 1월 3일 = = 게임단 연혁 = = 2010년 9월 26일 TSL 비공식 창단 2010년 10월 14일 TSL 공식 창단 2013년 1월 3일 TSL 공식 해체 = = 역대 성적 = = 2010년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1 우승 (김원기)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16강 (신상호)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준우승 (박서용) = = 역대 팀 감독 = = 1대 감독 : 이운재 ( 재임 기간:2010년-2013년) = = 주요 종목 = =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 분류:진화 과정 = = 분류:아시아의 기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29주 = = = 사용자:트레불스 긴급 차단 요청 = = * * * 상기 계정 중 트레불스라는 계정은 야구 선수 정보 틀과 같은 인물 정보란에 사진을 임의로 제거하는 상습범입니다. 다중 계정으로 추정되며 아래 안필드와 포데수 계정과는 기여 패턴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차단을 회피할 목적으로 생성되는 계정입니다. 해당 계정에 대해서 빠른 시일안에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58.123.52.221 (토론) 2014년 7월 14일 (월) 23:14 (KST) 트레불스 계정은 명백한 다중 계정으로 보고 무기한 차단하였으며, 원 계정인 포데수의 경우 6개월로 차단 기한을 조정합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7월 15일 (화) 01:15 (KST) = = 220.81.42.201 차단 요청 = = * 몇주전에 문서 훼손반복으로 차단된 & & & 와 동일인물이며, 또다시 다른 IP로 나타나 비슷한 패턴으로 같은문서만 상습적으로 반복훼손을 하고있습니다. 해당 IP사용자를 허위 내용 삽입 반복 및 차단 회피 & 문서 훼손 등으로 차단 요청하며, 해당 IP를 차단해도 다른 IP로 들어올 가능성이 커서 해당 IP의 대역 차단을 추가 요청합니다. 더불어 전혀 개선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므로, 기존의 IP 계정을 포함 차단 기간의 연장도 함께 요청합니다. 39.115.160.75 (토론) 2014년 7월 15일 (화) 01:23 (KST) = = 58.121.212.187 긴급 차단 요청 = = * 롤로노아 조로, 원피스 (만화) 문서에다가 내용자체를 삭제하는 지속적인 장난성 편집을 일삼고 있으니 긴급 차단 부탁드립니다. 61.32.196.32 (토론) 2014년 7월 15일 (화) 13:11 (KST) = = 211.176.154.36 긴급 차단 요청 = = * 롤로노아 조로, 원피스 (만화) 등 문서 훼손을 지속적으로 일삼고 있습니다. 기여패턴으로 봐선 58.121.212.187과는 동일 계정입니다. 211.61.23.66 (토론) 2014년 7월 15일 (화) 17:12 (KST) = = 61.111.121.106 차단 요청 = = * 카지노 관련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7월 15일 (화) 23:38 (KST) = = 119.30.161.95 차단 요청 = = * 해당 IP사용자는 여러문서마다 카지노 관련 스팸을 삽입해서 문서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해당 IP사용자를 문서 훼손 반복 및 스팸 삽입으로 차단요청합니다. 39.115.160.75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12:54 (KST) = = 72.226.42.43 차단 요청 = = * 해당 IP사용자는 토론란마다 장난으로 글을 도배하는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175.197.33.119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12:35 (KST) = = 39.119.81.41 제제 요청 = = * 12·12 군사 반란 문서를 교묘하게 "군사 혁명"으로 왜곡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18:52 (KST) = = 발화지존우리머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명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18:59 (KST) = = 개한민국 사용자 차단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명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19:53 (KST) = = 182.212.6.95, Aubelumiere 제제 요청 = = * * 두 사용자는 한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 근거는 제 사용자 토론에 남기는 발언을 기반으로 합니다. 백:다중 계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사용자는 이를 밝힌 바 없습니다. 또한, 낙랑군 문서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분쟁 당사자와 토론이 끝난 바 없다고 제가 말하였으나 토론이 종결되었다며 편집을 강행하였습니다. 이는 지난주 차단된 사용자:Posttranslational의 행태와 유사합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20:20 (KST) 토론 종결 여부와 관련된 사항은 제가 사용자토론:Neoalpha에 수차례 설명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Neoalpha 사용자는 이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저는 여러 IP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실수로 로그아웃을 한 상태로 편집을 한 것이며 원 계정과 ip주소가 같다는 것은 이미 토론에서 예측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자의적으로 위키백과의 지침을 해석하고 타 사용자와의 토론에서 논파되었는데도 이를 협업 정신 위반이라 멋대로 간주하여 제재 운운하고 무엇보다 타 사용자들의 토론의 전후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이에 대해 지적을 해주었는데도 이러한 차단 요청을 한 것에 극히 유감입니다. 182.212.6.95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20:25 (KST) 피요청자는 IP를 이용한 편집 사실이 있으나, 이는 계정을 만들기 전의 편집으로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상호 간 발생한 비방에 대해서는 주의를 당부드립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7월 17일 (목) 18:48 (KST) = = 사용자:Neoalpha 제재 요청 = = 해당 사용자는 애초부터 토론 내용의 전후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수 차례 저의 편집을 방해하였고 해당 사용자가 틀렸는데도 이를 부정하며 제재 및 협업 정신 위반을 운운한 바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수차례 거듭하여 설명하였는데도 이를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협업 정신을 위반하였습니다. 내용 파악을 하시려면 사용자토론:Neoalpha와 "낙랑군"의 편집 역사 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설명드리자면 Neoalpha 사용자: 북한에서 주장하는 한사군의 위치 사진을 추가 먼저 본인의 편집을 취소시킴. *저는 이와 관련하여 북한의 학설이 소수설이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조선단대사'에 해당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토론은 사용자토론:Neoalpha에서 이어지게 됩니다. 위키백과 : 낙랑군에서 그대로 인용. 이를 문제 삼으시려면 편집하신 Lhrdrth님께 직접 하십시오. 무엇이 더 필요합니까? 사실 조선단대사라는 책만으로도 증거가 되어 표기해 놓았습니다만 조사를 하지 않고 증거를 가져오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이 명백하므로 애써 부정하셔도 소용없습니다. Aubelumiere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00:49 (KST) 라는 메시지를 보내었습니다. 이렇게 Neoalpha 사용자의 주장이 반박되자 논외의 토론이 시작됩니다. 저는 메시지를 작성할 시점에 위 글에서 의미하는 토론이 저와 Neoalpha 사용자와의 토론인 줄 알았습니다만, 여기서 말하는 토론은 후에 물어보니 Xakyntos 사용자와의 토론이더군요. 하지만 Xakyntos 사용자와의 토론은 논외였습니다. 왜냐하면 Xakyntos 사용자와 지도 추가 부분에 관해서 토론을 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는 착각을 하였습니다. 사용자토론:Xakyntos에서 행해졌던 낙랑군, 만리장성과 관련된(지도 추가와는 관련이 없는) 토론이 아직까지도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착각한 것입니다. 라는 글에서 해당 사용자가 오해를 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Lhrdrth님께서 낙랑군 내용 편집에서 공신력 있는 출처와 함께 수정하셨습니다. 이는 현재 토론되고 있는 내용과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저는 아까부터 지도 추가는 관련이 없다는 말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거듭 정중하게 부탁드립니다만 낙랑군 편집에 대한 전후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시기를 바랍니다. Aubelumiere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01:44 (KST)라고 세번 설명을 하였습니다만 여기서 토론은 해당 사용자가 Xakyntos 사용자의 토론에 글을 작성하기 전을 말합니다. 편집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7월 7일 이후로 토론이 진행되지 않았으며, 오늘도 Xakyntos 사용자와 Lhrdrth 사용자가 접속하였는데도 더 이상의 토론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에 대하여 저는 이렇게 작성하였고 Neoalpha 사용자는 아직도 이해를 하지 못했는지 사용자 관리 요청에 글을 올리게 된 것입니다. 위키백과 공동체는 사용자가 언제나 토론에 성실하게 임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이의를 제기합니다. 합리적인 의심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번에 걸쳐 문서의 전후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라고 요청하였고 해당 사용자도 "다시 읽어봤지만 토론이 끝난 것 같지 않지만 백번 양보하겠습니다." "오늘 해당 사용자 토론 문서가 갱신되는 것을 제 눈으로 봤는데" 라는 표현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여 토론의 내용을 재차 확인하였다는 문구를 표시하였는데도 왜 여태껏 합리적인 의심을 하여 허위 사실 유포, 협업 정신 위반 등을 하였는지 이해할 수 없으며, 처음에 합리적인 의심으로 시작하였지만 이것이 허위 사실 유포, 협업 정신 위반 등을 행하여 비합리적으로 되었다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의심을 문제 삼은 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언행에 대한 문제점과 그에 대한 조치를 이상과 같이 요청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번 판단은 매우 납득하기 어려운 처사입니다. 이번에 해당 사용자의 과오에 제재를 가하지 않으시면 후에 협업 정신 위반, 허위 사실 유포, 명예 훼손 등 이와 유사한 일이 재발될 수 있습니다. 재고하여 주십시오. Aubelumiere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22:08 (KST) 지도 추가는 새로운 사안이며 북한의 주류 학설 및 공식 견해라고 언제까지 설명해야 합니까? 대한민국에서는 우리가 배우는 것이 주류 학설이고 고조선의 영토를 포함하는 북한에서는 이것이 주류 학설인데 한국만의 주류 학설이 절대적인 주류 학설이고 북한의 주류 학설은 소수설이란 말입니까? 중립성을 표방하여야 할 위키백과에서 이것은 무슨 논리죠? 안 그래도 이러한 지적을 고려하여 논란 부분으로 옮겼는데, 그것도 소수설이니 포함되면 안된다는 소리를 하시는 겁니까? 그리고 앞서 제시하신 토론: 낙랑군 부분에서 북한의 학설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토론된 부분을 찾지 못했습니다. 혹시 있다면 알려 주십시오. 저는 북한이라는 특수한 존재가 들어간 토론이 충분히 논의가 되는 것을 보지 못해서 북한의 학설 내용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말입니다. 북한의 정설이니까요. 이러한 토론이 있지도 않았다는 가정 하에 토론이 완결되지도 않았으며 이견조차 없는 겁니다. 그리고 귀하는 전에 Aubelumiere님에게 "흔한 환빠의 정신승리"라고 명백한 비하 발언을 하신 바있는데 오늘 또 토론:낙랑군#.EB.B6.84.EC.9F.81.EC.9D.84_.EC.9D.B4.EC.9A.A9.ED.95.9C_.ED.8E.B8.EC.A7.91에서 Aubelumiere님을 보고 "IP사용자인지 Aubelumiere사용자인지를"이라고 표현하여 다시한번 의도적인 비하 발언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 외에 자신만의 생각으로 협업 위반 등등 이런 저런 이유를 붙여서 차단, 제재, 심지어 여기서 "권리 구제를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습니다"라고 필요 이상의 강경 발언을 하시는데 이는 상대방에게 충분히 엄청난 위압감을 줄 수 있는 행위입니다. 듣는 입장에 따라서는 법적인 조치까지도 강구하겠다는 말로 들릴 수가 있으며 이야말로 명백한 협업정신 위반입니다. Lhrdrth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23:48 (KST) "주류학설인것 처럼 편집 요약에 써가며 편집해도 되는 모양이군요"이라니요? 낙랑군 문서의 낙랑군 위치에 대한 논란 부분은 낙랑군 위치에 대한 논란을 다루라고 편성된 섹션입니다. Lhrdrth (토론) 2014년 7월 16일 (수) 23:49 (KST)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Lhrdrth (토론) 2014년 7월 17일 (목) 00:44 (KST) 또한 정책과 지침을 인용하고 있는데 제멋대로라는 표현은 매우 불쾌합니다. 해당 발언을 제가 했다는 말입니까? 저는 찾지 못하였습니다. 근거를 제시하십시오. Aubelumiere (토론) 2014년 7월 17일 (목) 00:50 (KST) = = 118.220.74.175 차단 요청 = = * 경고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커뷰 (토론) 2014년 7월 17일 (목) 01:53 (KST) = = 223.62.190.117 차단 요청 = = * 인물 및 방송문서마다 허위 내용 삽입 및 훼손반복으로 차단된적 있던 그 인물이 또 나타났네요. 해당 IP 사용자는 몇주전에 문서 훼손반복으로 차단된 & & & & & * 와 동일인물이며, 또다시 다른 IP로 나타나 비슷한 패턴으로 같은문서만 상습적으로 반복훼손을 하고있습니다. 해당 IP사용자를 허위 내용 삽입 반복 및 차단 회피 & 문서 훼손 등으로 차단 요청하며, 해당 IP를 차단해도 다른 IP로 들어올 가능성이 커서 해당 IP의 대역 차단을 추가 요청합니다. 과거에도 대역 차단된 적이 있을 정도로 상습적입니다. 행위가 상습적이면서도 토론을 무시하고 있기때문에 3~6개월 정도의 비교적 긴 장기 대역 차단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175.197.33.119 (토론) 2014년 7월 17일 (목) 13:39 (KST) = = Thswnstjr123 = = 차단 기간인 5월 30일~6월 말(차단 기록) 중 기여가 있음 (6월 15일 ~ 6월 22일). 차단 해제 후 해당 IP가 자신의 IP라고 시인하는 편집 Special:Diff/12656064을 했음. 해당 사용자에게 해명을 요구 (PS. 처음엔 차단 기간 중임을 인지하지 못함, 사토:Thswnstjr123#백:다중)했으나 할 말이 없다는 말만 하였음. 7월 16일 1개월 차단 이후, 7월 17일 기여가 있음. 이는 자동차단이 해제된 후의 기여로 추정됨 따라서 차단 회피가 명백하니 처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by 레비ReviDiscussSUL Info at 2014년 7월 17일 (목) 21:20 (KST) = = 사:Qku4x1 차단 요청 = = * 스팸 문서를 생성하고 있는 사용자입니다. 커뷰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13:52 (KST) = = 사:유재성은 뇌출혈 환자놈 차단 요청 = = * 사:유재성을 비방하는 계정이 또 나타났네요. 커뷰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14:07 (KST) = = 사:Wikipmangers 차단 요청 = = 보호 조치 해제 후 또 사용자 Wikipmangers에 의해 특정 문서훼손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 * * 독자연구 문서훼손으로 정지당한 아이피와 동일 인물 인정했습니다 115.139.87.14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14:39 (KST) 콩가루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17:59 (KST) 요청자가 차단 요청을 악용한 것으로 간주하고 1개월 간 차단하였습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23:20 (KST) = = 반한 주의자 차단 요청 = = * 닉네임이 부적절하므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19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21:01 (KST) 악의적인 목적으로 생성한 계정임이 다분하므로 무기한 차단합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21:04 (KST) = = 문서 훼손 토론 불참 사용자 조치 요청 = = * * * 위 3개 사용자는 서로 동일한 편집 패턴을 반복하는 같은 사용자로 보입니다. 해당 사용자는 SK커뮤니케이션즈 (1999~2007년 기업) 문서를 사용자 토의 없이 문서 대량 편집 후 형태 변경하여 삭제 신청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서는 별도 기업 서술을 위해 본인이 분류하였던 문서로 본인 외에도 타 사용자들의 기여가 있으므로 문서 토론 후 진행 요청을 사용자토론:천상혁에 남겼습니다. 그러나 해당 사용자는 이에 대한 답변을 거부하고, IP 주소로 계속하여 토론 없는 문서 삭제 행위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충분한 경고 조치를 주었음에도 문서 훼손을 반복하며 토론을 회피하고 있으니 조치 바랍니다. 삭제된 SK커뮤니케이션즈 (1999~2007년 기업) 문서도 복구해 주십시오. KAWAI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21:08 (KST) = = 58.125.162.58 차단 요청 = = * 토론에 응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크리스 (가수) 및 EXO와 관련된 문서를 계속해서 훼손하고 있습니다. 그 훼손이 5월 부터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장기간 차단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03:03 (KST) = = 203.226.208.105 & 223.33.186.66 차단 요청 = = * * 인물 및 방송문서마다 허위 내용 삽입 및 훼손반복으로 차단된적 있던 그 인물( & & & & & & )이 또 나타났습니다. 해당 IP들은 동일인물이며, 이전부터 계속해서 여러 IP로 같은문서만 반복적으로 수차례 훼손하던 인물입니다. 토론란에 몇차례 말을 했지만 토론을 무시한채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2개의 IP를 허위 내용 삽입 반복 및 차단 회피 & 문서 훼손 등으로 차단 요청하며, 더불어 개선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므로, 기존의 IP 계정을 포함 차단 기간의 연장도 함께 요청합니다. 175.197.33.119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14:42 (KST) = = 사:고대전통노령현무 차단 요청 = = * 계정명이 부적절하고 첫 편집부터 문서 훼손이네요. 커뷰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19:01 (KST) = = 사용자:이전통대박명령 차단 요청 = = * 문서 훼손용 계정입니다. 또한 계정명 및 계정이 등록된 시간대로 보아 사용자:고대전통노령현무의 차단 회피용 계정으로 판단됩니다. Bluemersen (+) 2014년 7월 19일 (토) 19:49 (KST) 이명박전대통령 의 아나그램. 무기한 차단하였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19:53 (KST) = = 사용자 탁현지 차단 요청 = = * * 위 2개의 계정은 동일인으로 추정되며 미샤 및 미샤 (화장품)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미 사용자 Neoalpha께서 사용자토론에서 경고를 주었으나 이를 무시하고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으니 조치 요청합니다. KAWAI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19:56 (KST) = = 사:현무2중대신병 차단 요청 = = * 또 왔네요. 부적절 계정. 커뷰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20:41 (KST) 고의적으로 사관을 계속되돌리지 마십시오. 계속되돌린다면 병신대중2무현이라는 아나그램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 즉각 차단하겠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7월 19일 (토) 21:01 (KST) = = 사용자:엠비씨 병신 차단 요청 = = * 사용자 계정명 자체도 부적절하고(욕설, 비속어 포함), 기여 역시 부적절한 문서 훼손이 대부분이어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차단을 요청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7월 20일 (일) 07:50 (KST) = = 사:양쪽성토끼 차단 요청 = = 유니폴리네요. 커뷰 (토론) 2014년 7월 20일 (일) 17:52 (KST) = = 사:Bas401 차단 요청 = = * 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를 주의에도 불구하고 계속 훼손하고 있습니다. 커뷰 (토론) 2014년 7월 20일 (일) 21:35 (KST) = 커피프렌즈 = 커피프렌즈는 2019년 1월 4일부터 2019년 3월 8일까지 tvN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연석, 손호준 두 배우가 제주도의 한 감귤농장에서 카페를 운영하며 수익금을 전액 기부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 출연자 = = = = = 사장&직원 = = = 유연석: 사장 겸 메인 셰프 손호준: 사장 겸 바리스타 최지우: 홀 매니저 양세종: 주방 보조, 홀 보조 조재윤: 아르바이트생 = = = 일일 아르바이트 생 = = = 유노윤호: 아르바이트생 바로: 아르바이트생 백종원: 아르바이트생 세훈: 아르바이트생 강다니엘: 아르바이트생 남주혁: 아르바이트생 = = 시청률 = =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수도권) 1 1월 4일 4.9% 6.1% 2 1월 11일 5.0% 6.7% 3 1월 18일 5.4% 6.5% 4 1월 25일 4.3% 5.4% 5 2월 1일 5.1% 5.9% 6 2월 8일 5.9% 7 2월 15일 6.9% 8 2월 22일 5.1% 5.5% 9 3월 1일 4.3% 4.9% 10 3월 8일 평균 = = 주요 메뉴 = = 커피프렌즈의 주메뉴는 커피와 브런치로 핸드드립 커피, 감귤주스, 꿀귤차, 카페라떼, 핫초코, 귤 카야 잼 프렌치토스트, 흑돼지 토마토 스튜 등의 메뉴가 있으며 앞으로 더 추가될 예정이다. 촬영에 앞서 유연석은 백종원을 만나 메뉴를 전수받았고 손호준은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하고 베이커리를 하는 지인에게 토스트와 스튜에 쓰일 식빵을 배웠다. = = 촬영 장소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1791에서 촬영했다. = 전략산업 = 전략산업(戰略産業)은 경제 성장을 추진하는 중핵체의 역할을 하는 산업 부문이다. 생산의 파급 효과가 크고 고용 흡수력이 큰 점이 특징이다. 수출 확대에 공헌하는 것이 그 요건이다. 중앙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지역의 특색을 살려서 자율적으로 특정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지정 및 육성하기도 한다. = 국가테러대책센터 = 국가테러대책센터(, 약칭: NCTC)는 미국 버지니아주 메클레인에 위치한 미국 정부기관이다. 2003년에 대통령 행정명령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국가 정보국(DNI) 산하에 있다. CIA, FBI, 펜타곤 등 연방 정부의 관련 전문가들을 한곳에 모았다. 2012년 에릭 홀더 법무장관은 테러와 관련된 미국 시민권자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할 권한을 부여했다. = = 역사 = = 2003년 5월 1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행정명령 13354호로 설립된 Terrorist Threat Integration Center (TTIC)가 NCTC의 전신이다. 2001년 9월 11일 911 테러를 조사한 911 위원회의 권고로 설립되었다. 2004년 정보기관 개혁 및 테러방지법 제정으로 TTIC에서 NCTC로 개명하였으며, 미국 국가 정보국(DNI) 산하로 재배치되었다. = = 브레넌 = = 미국 공화당 정부 시절인 2004년 NTCT의 초대 임시 국장은 존 브레넌이었다. 2016년 현재 미국 민주당 오바마 정부의 CIA 국장이다. 존 브레넌은 수천명의 외국 테러리스트를 재판없이 살해한 드론 암살로 매우 유명하다. 킬 리스트 참조. = = 대한민국 = = 2016년 미국의 NCTC를 벤치마킹한 대테러 컨트롤타워를 설치하는 테러방지법 제정문제로 여야가 대치하였다. = = 더 보기 = = 살인면허 킬 리스트 테러방지법 CIA 대테러 센터 = 분류:1133년 출생 = = 식스 네이션스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Six Nations Championship, RBS 6 Nations)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프랑스의 정기 럭비 유니온 국가 대항전이다. 1883년 홈 네이션스로 시작한 후 1910년 파이브 네이션스를 거쳐서 2000년부터 식스 네이션스가 승계하고 있다. = = 팀 = = 팀 경기장 수용인원 잉글랜드 트위크넘 경기장 82,000 프랑스 스타드 드 프랑스 81,338 웨일스 밀레니엄 스타디움 74,500 스코틀랜드 머레이필드 스타디움 67,130 아일랜드 아비바 스타디움 51,700 이탈리아 스타디오 플라미니오 32,000(42,000으로 확장 예정) = = 우승 = = = = = 홈 네이션스 = = = 1883 잉글랜드 (트리플 크라운) 1884 잉글랜드 (트리플 크라운) 1885 잉글랜드note: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아일랜드의 럭비 유니온(들이 불화를 겪으면서 2경기 취소 1886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1887 스코틀랜드 1888 아일랜드Note: 럭비 풋볼 유니온이 국제 럭비 평의회에 불참하면서 잉글랜드를 제외하고 대회를 치름 1889 스코틀랜드 1890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1891 스코틀랜드 1892 잉글랜드 (트리플 크라운) 1893 웨일스 (트리플 크라운) 1894 아일랜드 (트리플 크라운) 1895 스코틀랜드 (트리플 크라운) 1896 아일랜드 1897 미정 1898 미정 1899 아일랜드 (트리플 크라운) 1900 웨일스 (트리플 크라운) 1901 스코틀랜드 (트리플 크라운) 1902 웨일스 (트리플 크라운) 1903 스코틀랜드 (트리플 크라운) 1904 스코틀랜드 1905 웨일스 (트리플 크라운) 1906 & 웨일스 & 아일랜드 1907 스코틀랜드 (트리플 크라운) 1908 (그랜드 슬램) 1909 (그랜드 슬램) = 가쪽가슴동맥 = 인체 해부학에서 가쪽가슴동맥(lateral thoracic artery, external mammary artery), 또는 외흉동맥은 흉부와 유방의 가쪽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다. 가쪽가슴동맥은 겨드랑동맥(axillary artery)에서 시작하여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uscle)의 아래쪽 경계를 따라 가슴의 측면으로 주행하고,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muscle)과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muscle)에 혈액을 공급한 뒤 겨드랑이를 가로질러 겨드랑 림프절(axillary lymph nodes)과 어깨밑근(subscapularis muscle)에 가지를 낸다. 속가슴동맥(internal thoracic artery), 어깨밑동맥(subscapular artery), 갈비사이동맥(intercostal arteries), 가슴봉우리동맥의 가슴가지(pectoral branch of thoracoacromial artery)와 문합한다. 여성에서는 가쪽가슴동맥이 큰가슴근의 가장자리를 돌면서 유방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지를 낸다. = 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파라과이인 = = Thunar = Thunar는 리눅스 및 기타 유닉스 계열 시스템들을 위한 파일 관리자이며 초기에는 GTK+ 2 툴킷을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나 나중에는 GTK+ 3 툴킷으로 이식되었다. 버전 4.4 RC1 이상에서 Xfce를 장착하기 시작했다. Thunar는 Benedikt Meurer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처음에는 Xfce의 이전 파일 관리자인 XFFM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최초 이름은 파일러(Filer)였으나 이름 충돌로 인해 Thunar로 변경되었다. Thunar는 노틸러스와 캉커러와 같은 다른 일부 리눅스 파일 관리자들보다 기동이 더 빠르고 더 반응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Thunar Memory Usage 접근성은 GNOME 접근성 툴킷을 통해 이루어진다. Xfce의 나머지 부분처럼 Thunar는 freedesktop.org에서 언급된 것들을 포함한 표준들을 준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unar는 설계상 단순하고 가볍지만 기능은 플러그인을 통해 확장이 가능하다. = 틀:배드민턴나라/설명문서 = 이 틀은 작은 국기그림과 배드민턴 대표팀과의 연결을 보여주기위해 사용됩니다. __TOC__ = 괴정로 = 괴정로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괴정로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도로이다. 괴정로는 대전광역시 서구에 있는 도로이다. = 분류:볼리비아의 행정 구역 = = 먼로군 (인디애나주) = 먼로군 또는 먼로 카운티(Monroe County)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37,974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48,431명이다. = 슈퍼모델 선발대회 = 슈퍼모델 선발대회(Supermodel Contest)는 1992년 SBS 주최로 시작된 대한민국의 모델 선발대회이다. = = 역사 = = 제14회 (2005년 11월 25일) 대회 수상자는 2005년 한중 슈퍼모델 선발대회에 참가함. 제15회 (2006년 10월 13일) 대회 수상자는 2006년 한중 슈퍼모델 선발대회에 참가함. 제16회 (2007년 11월 2일) 대회 수상자는 2007년 아시아 태평양 슈퍼모델 선발대회에 참가함. 제17회 (2008년 9월 19일) 대회 수상자는 2009년 아시아 태평양 슈퍼모델 선발대회에 참가함. 제20회 (2011년 10월 25일)부터는 남자 모델에게도 문호 개방함. 제 23회 (2014년 10월 13일)부터 제 28회 (2019년 11월 18일)까지는 SBS에서 방송됨. = = 역대 대회 = = 회차 개최 일자 우승자 주요 입상자 및 배출 모델 장소 비고 제1회 1992년 9월 23일 이소라 오미란, 김은심, 정재경, 이기린 그랜드 힐튼 호텔 제2회 1993년 9월 23일 이종희 고윤경, 김나애, 한창서, 김정은, 홍진경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3회 1994년 9월 23일 주정은 오지영, 조희주 코엑스 컨벤션홀 제4회 1995년 7월 16일 김소연 이선진, 황인영, 김선아, 임상효, 한고은, 윤서라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5회 1996년 7월 14일 온미정 지미기, 송선미, 변은정, 윤지영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6회 1997년 8월 29일 이진영 송경아, 조경희, 김태연, 오혜영(오승연), 김진희, 유현영 세종문화회관 제7회 1998년 10월 2일 박둘선 조민정, 백소영, 성희경, 최지혜, 이유진, 엽설화, 조향기, 안소라, 이윤미, 이경은, 한지영 세종문화회관 제8회 1999년 9월 17일 정다은 염자영, 장경란, 박세련, 이미선 세종문화회관 제9회 2000년 10월 26일 김희은 전은주, 김효진, 정주은, 이화선 코엑스 컨벤션홀 제10회 2001년 11월 2일 백윤애 이지혜, 김예슬이, 조우정, 김지영, 김혜련, 공현주, 최여진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11회 2002년 11월 8일 이기용 김지혜, 박경은, 이다희 세종문화회관 제12회 2003년 9월 26일 김자연 오지혜, 이순영, 최윤희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13회 2004년 11월 5일 강소영 김은영, 박성희, 이새봄, 최은영, 이은정, 조소현, 임은경, 송은지, 김규봉, 김선유, 조지해, 김새롬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제14회 2005년 11월 25일 김수현 김경화, 오수미, 안은정, 최지선, 정경진, 이현이, 임주영, 배혜진 EXCO 대구 제15회 2006년 10월 13일 차서린 신하영, 유혜영, 신선아, 조희, 오수연, 서유림, 표영주, 이희선 EXCO 대구 제16회 2007년 11월 2일 이현주 양은영, 문현아, 이지은, 안주아, 김나영 고양아람누리 제17회 2008년 9월 19일 김라나 강유진, 김주연, 이혜민, 이혜진, 황도경, 이성경, 윤진수, 유성은, 박민하 거제시 종합운동장 제18회 2009년 11월 2일 김혜진역대 최연소(16세) 곽지영, 송다은, 강리현, 김소영, 김은지, 황수현, 장지은, 김윤선, 황현희, 배지현, 유지현, 우지희, 임진아, 최한빛 거제시 종합운동장 제19회 2010년 10월 5일 윤다영 김혜지, 정은혜, 강수빈, 서승혜, 노주영, 박소연, 이지현, 강은정, 황현주 천안 삼거리공원 제20회 2011년 10월 25일 김재범 김무영, 김건희, 이호승, 이건화, 김수진, 전수민, 김미우, 이지영, 권다솜, 정이나, 김나윤, 김영민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특설무대 제21회 2012년 11월 9일 김경원 정하은, 이정현, 황세진, 변상익, 박기훈, 권은진, 강다빈, 서혜진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 제22회 2013년 9월 27일 최다빈 박선임, 김지향, 추아림, 김유영, 안의찬, 박정욱, 노일현, 이지훈 여수 엑스포해양공원 디지털갤러리 제23회 2014년 10월 13일 고예슬 견정환, 진기주, 김도연, 강민아, 서수원, 정혜린, 성혜민, 이보림, 강민아, 왕현웅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 2014 SBS 슈퍼모델 선발대회 대상에 고예슬 양…TOP7 영광의 얼굴들 제24회 2015년 12월 28일 손기성 김형우, 서하은, 김지아, 최웅, 허현도, 최은경 등촌동 SBS 공개홀 제25회 2016년 12월 22일 최유솔 김민수, 니우위쿤, 우웨루, 홍준기, 이환희, 송지수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 제26회 2017년 12월 15일 제주 신화월드 특설무대 = = 역대 진행자 = = 2009년 : 류시원, 정미선 2014년 : 한고은, 최기환, 유이 2015년 : 사나, 유주, 임윤아 2016년 : 송지효, 은하, 미나, 강다니엘 2017년 : 신동엽, 장예원, 최아리 2018년 : 티파니 영, 한고은, 쯔위, 다현 2019년 : 한고은, 최기환, 주현정, 태연 = 총물아 = 총물아(蔥勿雅, ?~?)는 발해의 관료이다. = = 생애 = = 대문예가 당나라를 공격하라는 발해 무왕의 명을 거역하고 당에 투항하자 무왕은 그와 마문궤를 당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어 서신을 통해 대문예를 죽일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당 현종은 요청을 받아드리지 않았으며 그와 마문궤를 그대로 당나라에 머물게 했다. = 클레어 보언 = 클레어 보언(Clare Bowen, 1984년 5월 12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 틀:2018 K리그1 베스트 11 = = 분류:포르투갈에 거주한 오스트리아인 = = 분류:18세기 알바니아 = = 분류:1978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 = = 분류:덴마크의 록 음악가 = = 바실리오스 베사리온 = 바실리오스(Basilios), 또는 바실리우스(Basilius) 베사리온(Bessarion, 그리스어 : Βασίλειος Βησσαρίων, 1403년 1월 2일 – 1472년 11월 18일)은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 추기경이자 명목상 콘스탄티노플 라틴 총대주교이며, 15세기 그리스어 대부활에 기여한 저명한 그리스어 학자였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그레고리오 3세의 잘못된 해석으로 요한네스(Johannes Bessarion)으로 잘못되어 알려져있다. = = 생애 = = 베사리온은 비잔티움과 오스만 제국 지배기 동안에 폰투스 그리스 문화와 문명의 심장부였던 흑해의 항구인 트라브존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해는 1389년, 1395년 또는 1403년으로 추정된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에서 교육받았고, 1423년 플라톤의 철학을 설명한 게미스토스 플레톤을 들으러 펠로폰네소스에 가기도 했었다. 삭발승이 되면서, 옛 이집트 은자인 베사리온의 이름을 차용했다. 1436년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1437년에 그는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를 재통합시기 위해 이탈리아에 함께 갔었던 비잔티움 제국 황제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에 의해 니케아 관구장이 되었다. 두 교회는 1054년 이래로 분열되었지만, 황제는 튀르크로부터 서유럽의 도움을 얻기 위해 교회를 재통합할 가능성을 바라고 있었다. 베사리온은 통합론자들의 가장 저명한 대표로서 피렌체 페라라 공의회에 비잔티움 제국 대표단으로 참가했지만, 본래는 반 통합 세력에 속해있었다. 1439년 7월 6일, 그는 피렌체 공의회에서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참석한 가운데 그리스 정교 연합의 선언문을 낭독했다. 일부는 통합을 고수하는 베사리온의 정직성에 대해 의문을 재기했다. 이는 실용적인 애국자였던 그가 종교적 통합이 오스만의 위협으로부터의 유일한 희망이자 피난처라고 생각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조셉 길 박사는 베사리온이 쓴 Oratio Dogmatica에서 사용한 공의회에서의 인용에서 논한 로마 교회의 위치 사실성의 문제에 투철함에서 그의 정직성을 옹호했다: = = 출처와 참고 = = (not fully exploited) Francis A. Burkle-Young, "The election of Pope Calixtus III (1455)" Bessarion an early candidate, opposed by the French. Geanakoplos, Deno John. Greek Scholars in Venice: Studies in the Dissemination of Greek Learning from Byzantium to the West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1962). Gill, Joseph. The Council of Florence (Cambridge, U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Harris, Jonathan. Greek Emigres in the West (Camberley : Porphyrogenitus, 1995). Keller, A. "A Byzantine admirer of 'western' progress: Cardinal Bessarion", in, Cambridge Historical Journal, 11 (1953[-]5), 343–8. Labowsky, Carlota. Bessarion's Library and the Biblioteca Marciana (Rome : Edizioni di storia e letteratura, 1979). Legrand, Émile. Bibliographie Hellenique (Paris : E. Leroux (E. Guilmoto), 1885–1906). volume 1. Mohler, Ludwig Kardinal Bessarion als Theologe, Humanist und Staatsmann (Aalen : Scientia Verlag ; Paderborn : F. Schöningh, 1923–42), 3 volumes. Monfasani, John. Byzantine Scholars in Renaissance Italy: Cardinal Bessarion and other Émigrés (Aldershot, UK : Variorum, 1995). Setton, K.M. "The Byzantine background to the Italian Renaissance",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00 (1956), 1–76. Vast, Henri. Le Cardinal Bessarion (Paris : Hachette, 1878), see also (Geneva : Slatkine, 1977). Wilson, Nigel Guy. From Byzantium to Italy. Greek Studies in the Italian Renaissance (London : Duckworth, 1992). = 분류:진딧물아목 = = 분류:모로코-포르투갈 관계 = = 장곡초등학교 반계분교 = 장곡초등학교 반계분교는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4년 4월 2일: 장곡공립보통학교 부설 행정간이학교 개교 1996년 3월 1일: 반계초등학교로 개칭 1999년 3월 1일: 장곡초등학교 반계분교로 편입 2017년 2월 28일: 폐교 = 후안 = 후안은 남자 이름이다. 카스티야의 왕 카스티야의 후안 1세(1358-1390) 카스티야의 후안 2세(1405-1454) 아라곤의 왕 아라곤의 후안 1세(1350-1396) 아라곤의 후안 2세(1398-1479)는 나바라의 왕도 겸한다. 나바라의 왕 나바라의 후안 1세(1316) 나바라의 후안 3세(1469-1516) 군사지도자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1547–1578) 스페인의 왕 후안 카를로스 1세(1938-) 돈 후안은 여러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된 가상의 인물이다.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아르헨티나를 대표했던 중앙 미드필더 후안 도밍고 페론: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의 우파 정치인 후안 마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고 있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 후안 로만 리켈메: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후안 라몬 히메네스: 에스파냐의 시인 후안 안토니오 피시: 전 축구 선수 후안 콰드라도: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후안 프란시스코 토레스 후안 파블로 소린: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후안 세데뇨: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후안 우리베: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프로 야구 선수 후안 카밀로 수니가: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후안 구티에레스 모레노: 스페인의 은퇴한 축구 선수 후안 페르난도 킨테로: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후안 에스티벤 벨레스: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후안 마누엘 판히오: 아르헨티나 출신의 레이싱 카 선수 후안 포이트: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파블로 카리소: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프란시스코 가르시아: 스페인의 옛 축구 선수 호세 후안 바스케스 후안 말다세나: 아르헨티나의 물리학자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1829년부터 1852년까지 아르헨티나 연방을 통치한 독재자 후안 베르나트: 스페인의 축구 선수 후안 라몬 로페스 카로: 스페인의 축구 감독 후안 아랑고: 베네수엘라의 축구 선수 후안 과이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후안 산타마리아 국제공항 후안 사발라: 1932년 하계 올림픽 마라톤 부문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의 육상 선수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 후안 마누엘 바르가스: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뛰고 있는 선수 후안 파틸로: KBL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포워드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페루의 좌파 군인 출신 정치가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아르헨티나의 프로 테니스 선수 후안 데 보르본 이 바텐베르그 후안 이투르베: 티후아나에서 공격수로 뛰는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 후안 비센테 고메스: 베네수엘라의 정치가이며 대통령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스페인의 탐험가 후안 폰세 데 레온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 아즈텍 제국의 황족이자 스페인 식민지의 초대 통치자 후안 파블로 몬토야: 포뮬라 원과 CART 경기에 우승하면서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콜롬비아의 자동차 경주인 후안 네그린: 에스파냐 출신의 정치가이자 의사 후안 피에르: 외야수로 활약한 전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 후안 오를란도 에르난데스: 온두라스의 정치인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 우루과이의 정치인이자 혁명가 호세 후안 바레아: 푸에르토리코의 농구 선수이자, NBA 댈러스 매버릭스의 선수 후안 보르자 데 간디아 공작: 제2대 간디아 공작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스페인 바르셀로나 출신의 영화 감독 후안 파블로 앙헬: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중앙 공격수 후안 마리아 보르다베리: 우루과이의 정치인 후안 린도: 중앙 아메리카의 보수주의 정치가 후안 마누엘 올리베라: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후안 폰세 엔릴레: 필리핀의 정치인, 관료, 교육자 후안 그리스 후안 가브리엘: 예명 후안 가브리엘(Juan Gabriel)로 잘 알려진 멕시코의 가수 후안 데 가라이: 에스파냐의 남아메리카 정복자 후안 바우티스타 아궤로: 파라과이의 전 축구 선수 후안 루나: 필리핀의 근대 화가이자 조각가, 독립운동가 후안 페르난데스 후안 에스나이데르: 아르헨티나의 은퇴한 축구 선수 후안 아파라: 파라과이의 우익 정치인 후안 로드리게스 카브리요: 포르투갈의 탐험가 후안 호세 플로레스: 에콰도르의 정치인 후안 데 카르타헤나: 마젤란 탐험대의 일원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쿠바의 정치인이자 1950년대 쿠바 혁명의 초기 사령관들 중 한 명 후안 마요르가: 스페인의 문학가 후안 루이스 게라: 도미니카 공화국의 가수 후안 발레라이아칼라 갈리아노: 에스파냐의 소설가 후안 마누엘 델가도 요리아: 스페인의 축구 선수 후안 데 푸카 후안 칼라타유드 후안 히메네스 마요르: 페루의 정치인 후안 타푸레스: 15세기 카탈루냐의 모험가 후안 포를린: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바레라: 니카라과의 축구 선수 후안 가라이사발: 예술가 후안 마누엘: 스페인어권에서 사용하는 이름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 멕시코의 권투 선수 후안 소마비아: 칠레의 변호사이자 교수, 외교관 후안 루이스: '이타의 수석사제'(Archipreste de Hita)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문필가 후안 마누엘 판히오 2세: 아르헨티나 출신의 레이싱 카 선수 후안 디에고 보토: 스페인의 배우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 후안 데 라 코사: 에스파냐의 항해가, 지도제작사 후안 벨레스: 푸에르토리코의 가수이자 음악가 후안 베론: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 에스파냐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후안 마누엘 인사우랄데: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파블로: 스페인어권에서 사용하는 이름 후안 아라네타: 필리핀의 기업가 겸 정치가 후안 파블로 야노: 콜롬비아의 배우이자 모델 후안 니카시오: 도미니카 공화국출신의 야구 선수 후안 소토: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메이저 리그의 선수 후안 가르시아 포스티고: 스페인의 남자 모델 후안 루이스 데 알라르콘: 에스파냐의 극작가 = 라나 = 라나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라틴어로 개구리를 뜻한다. 에리다누스자리 델타 = = 지명 = = 라나 (노르웨이): 노르웨이 노를란주의 도시 = = 인명 = = 김라나: 대한민국의 전 가수이자 모델 라나 델 레이: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라나 터너: 미국의 배우 라나 (프로레슬링 선수) 라나 게링: 미국의 쇼트트랙 선수 라나 콘도어: 베트남 태생의 미국의 배우 라나 파리야: 미국의 배우 라나 우드: 미국의 배우 라나 엘 후세이니: 이집트의 플뢰레 펜싱 선수 프란체스코 라나 데 테르치: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의 예수회 성직자이자 수학자·박물학자 파라미타 RL 라나: 네팔의 배우, 모델, 가수 = 오은찬 = 오은찬(2004년 9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제목 분야 방송사 날짜 역할 대왕 세종 대하드라마 KBS2 2008년 어린 문종 역 김치 치즈 스마일 시트콤 MBC 2008년 신월성 역 태양의 여자 미니시리즈 KBS2 2008년 어린 민수 역 달콤한 인생 미니시리즈 MBC 2008년 어린 이준수 역 내 사랑 금지옥엽 연속극 KBS2 2009년 인호의 아들, 이민우 역 자명고 대하드라마 SBS 2009년 해애우 역 아이리스 미니시리즈 KBS2 2009년 어린 김현준 역 개인의 취향 미니시리즈 MBC 2010년 이영선의 아들, 준혁 역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연속극 JTBC 2013년 숭선군 역 굿 닥터 미니시리즈 KBS2 2013년 차동진 역 애인 있어요 연속극 SBS 2015년 용기네 가게에서 물건 훔치던 꼬마 역 = = = 영화 = = = 제목 날짜 역할 비고 수상한 고객들 2011년 옥동 역 = 윤상철 (1954년) = 윤상철(尹尙喆, 1954년 5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제3·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원이다. = = 학력 = = 이령초등학교 졸업 칠원중학교 졸업 칠원고등학교 졸업 경남대학 병설산업전문학교 원예과 학사 졸업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졸업 진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석사 2년 수료 = = 경력 = = 청소년 지도자 4-H 지도자 함안군 지정 4-H 훈련농장주 함안군 선도농가 함안군 농민후계자 연합회 회장 경상남도연합회 부회장 경상남도연합회 감사 칠북청년회 사무국장 칠북청년회 부회장 칠북청년회 회장 칠북면 새마을지도자 회장 함양군 협의회 감사 새농민기술대학 창녕군 농협지도자 교육원 강사 경남 농업경영기술지원단 감사 한국농업전문학교 현장지도 교수 1998.07 ~ 2002.06 제3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의원 1998.07 ~ 2000.07 제3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전반기 조례심사특별위원회 위원 1998.07 ~ 2000.07 제3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2000.07 ~ 2002.06 제3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후반기 조례심사특별위원회 위원장 2000.07 ~ 2002.06 제3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2.07 ~ 2006.06 제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의원 2002.07 ~ 2004.07 제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전반기 조례심사특별위원회 위원 2002.07 ~ 2004.07 제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4.07 ~ 2006.06 제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후반기 조례심사특별위원회 위원 2004.07 ~ 2006.06 제4대 경상남도 함안군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이령초등학교 총동창회 회장 칠원중학교 총동창회 회장 칠원고등학교 총동창회 회장 (재)함안 경상대학교 동문회 회장 (사)전국새농민회 제11·12대 경남도회장 (사)전국새농민회 중앙이사 함안군 동부로타리클럽회장 함안군 배구협회 함안군 생활체육회 이사 함안군 족구협회 칠북조기회 고문 함안군 연합회 회장 함안군 농업경영인연합회 회장 새마을지도자 이장 새마을지도자 개발위원장 함안군 농정심의회 위원 함안군 복지협의회 위원 함안군 건축위원회 위원 함안군 교육경비보조금 심의위원회 위원 함안칠북 3.1독립기념회 (3.9연개장터만세) 회장 한나라당 연락소장 한나라당 부위원장 국제로타리 3720지구 제13지역 총재 지역대표 박정희 대통령 정신문화 선양회 경남본부장 함안군 농촌지도자연합회 감사 함안군 포도연구회 회장 한국 감연구회 이사 함안군 단감연구회장 = = 수상 = = 1992 대통령 표창 1992 새농민상 본상수상 1994 일하는 보람상 = 분류: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의 축구 감독 = = 유칙 = 제문왕 유칙(齊文王 劉則, ? ~ 기원전 165년)은 전한의 제후왕으로, 제나라의 왕이다. = = 생애 = = 문제 원년(기원전 179), 아버지 애왕이 죽자 봉지를 이어받았다. 문제 2년 곧 문왕 원년(기원전 178), 문제가 두 숙부 주허후·동모후를 조나라와 양나라 왕으로 삼기로 한 약속을 깨면서 제나라의 영토 중 성양군을 주허후, 제북군·제남군을 동모후의 새 봉토로 헌납해야 했다. 주허후는 성양왕, 동모후는 제북왕이 됐다. 문제 15년(기원전 165)에 죽었으나, 자식이 없어 후사가 끊겼다. 시호를 문(文)이라 하였다. 제나라는 폐지돼 한나라의 직할지가 됐다. 이듬해 4월 병인(丙寅)일, 도혜왕의 아들 양허후(陽虛侯) 유장려가 제왕에 봉해졌다. 이외에도 도혜왕의 다른 다섯 아들이 함께 제나라를 나누어 왕이 돼, 유장려의 새 제나라는 문왕의 제나라의 임치군 서부로 축소됐다. 전한 문제가 제나라의 태창령을 지낸 의사 순우의에게 여러 가지를 물어본 것 중 문왕이 병사한 까닭이 있었고, 순우의는 소문으로 들은 문왕의 증세로 문왕의 병을 진단해 대답했다.순우의와 문제의 문답에서 제문왕을 시호로 부르고 당시의 제왕은 전에 양허후(제효왕의 이전 작위)를 지낸 인물이라고 했으므로, 이 문답은 문제의 재위(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와 제효왕 재위(기원전 164년 ~ 기원전 153년) 중의 일이다. 그에 따르면 문왕이 병들었을 때 살이 찌고 몸을 잘 움직이지 못해 천식이 생겼고, 나이가 미처 20이 되지 못했으나아버지 애왕의 몰년으로부터 계산하면 문왕이 죽을 때의 나이는 적어도 25세를 넘긴다. 달리지 않고 걸어 천도에 순응하지 않았다. 나중에 의원들이 침을 놓아서 더욱 위독해졌는데, 문왕의 질병에는 침을 쓰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사마천: 사기 권105 편작창공열전제45 = 삼룡 = 삼룡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벙어리 삼룡: 대한민국의 영화 로니를 찾아서의 등장인물 야수와 미녀의 등장인물 = 분류:대전용전초등학교 동문 = = 김선갑 = 김선갑(金善甲, 1960년 6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9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민선 7기)이다. 서울특별시 출생이다. = = 학력 = = 돈암초등학교 염광중학교 대일고등학교 수원대학교 무역학 학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과정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수료 = = 경력 = = 1995.07~1998.06 제2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의회 의원(초선, 구의제3동) 1998.07~2002.03 제3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의회 의원(재선, 구의제3동) 2000.07~2002.03 제3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의회 후반기 부의장 2002.07~2004.05 제16대 국회의원 추미애 의원실 보좌관 2010.07~2014.06 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초선, 광진구 제3선거구) 2011.09~2012.08: 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정책연구위원회 위원장 2012.10~2013.10: 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2014.07~2018.03: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재선, 광진구 제3선거구) 2014.07~2016.06: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2016.07~2018.03: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장 2018.07~2022.06: 제9대 민선 7기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초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당대표 특보단 경제특보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선 문재인 대통령 후보 조직특보 = = 수상 = = 2010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최우수상 2011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대상 2012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최우수상 2013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최우수상 2014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우수상 2015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최우수상 2016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최우수상 2017년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지방의원 약속대상' 우수상 2013년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공로휘장 2014년 대한민국 공정사회발전대상, '국회지방자치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상' 2015년 수도권일보와 시사뉴스 주최 '행정사무감사 우수의원' 2016년 '2016 자랑스런대한국민大賞' 지방의정부문 2016년 서울사회복지대상 2017년 지구촌희망펜상 의정대상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 1급포상 표창 2017년 지방자치 의정대상 2018년 제6회 지방의원 우수의정대상 2018년 2018 지방자치 행정·의정·경영 대상 2019년 제2회 내 삶을 바꾸는 깨알정책 대상 2019년 2019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2019년 2019 한국을 빛낸 사랑스런 한국인 대상 2020년 대한민국 헌정대상 = = 저서 = = 서울, 사회적 경제에서 희망찾기 50플러스세대 인생 제2막을 사는 법 50이후, 어떻게 살 것인가?(개정판) = 분류:라스팔마스의 스포츠 = = 희경루방회도 =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다. 2008년 7월 10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67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9호로 승격·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5-83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588호, 44면, 2015-09-02 = = 개요 = = <희경루방회도>는 1567년(명종 22)에 있었던 희경루에서의 방회장면을 그린 계회도(契會圖)이다. 이 방회도는 1546년(명종1) 증광시의 동기생들이 광주 인근의 누정(樓亭)인 희경루에서 20년만인 1567년에 다시 만난 것을 기념하여, 그 감회를 간직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화면은 위로부터 표제(標題), 계회장면, 좌목(座目), 그리고 발문(跋文)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부분은 붉은 색 선으로 경계가 그어져 있다. 표제는 전서체로 오른 쪽에서 왼쪽으로 적었고, 좌목에는 품계와 관직, 이름, 자, 본관 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쓰여 있으며 이에 의하면 참석자는 1)通政大夫 行光州牧使 崔應龍 見叔 本全州, 2)資憲大夫兼全羅道觀察使 姜暹 明仲 本晉州, 3)前承文院副正字 林復 希仁 本羅州, 4)禦侮將軍全羅道兵馬虞侯 劉克恭 敬叔 本忠州, 5)通訓大夫 前行樂安郡守 南效容 恭叔 本宜寧 등 5인이다. 발문에서는 1546년(명종1) 과거에 함께 합격한 동기생들이 각자의 근무지를 따라 흩어진 후 만나지 못한지 20여년이 되었음을 회고하면서, 그 동안의 그리움과 만남에 대한 감회를 적어, 관계에 함께 첫 발을 들여놓은 동료들 간의 친밀한 공감대가 엿보인다. 나아가 최응룡을 비롯한 다섯 사람의 앉는 위치마저도 서술하여 이 발문이 방회가 행해졌던 현장의 모습에 근거하여 서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장방형의 화면에는 왼쪽에 희경루가 그려져 있고, 오른쪽에는 희경루의 담장을 비롯한 주위경관들이 묘사되어 있다. 이층으로 축조된 희경루 안에는 이 모임의 주인공들과 여러 명의 기녀들이 자리한 가운데 연회가 베풀어지고 있다. 서열에 따라 자리가 정해져 있는데, 신분에 따라 관모(冠帽)를 달리하고 있으며, 기녀들은 당시의 유행대로 고발(高髮)을 하고 있다. 한편 희경루는 축대를 쌓은 대위에 1층은 기둥을 세우고, 2층에 누를 올린 것으로 그림 속 누정의 아래층에는 하인들이 쉬고 있으며, 누정의 왼쪽에는 피리를 부는 악공들이 무리지어 있다. 축대 아래쪽에는 나장과 같은 군졸들이 도열해 있다. 희경루의 동쪽 공간에는 민가가 인접해 있으며, 그 앞의 넓은 터에 활터가 있는데, 주변의 경관 역시 사실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하고자 했음을 살필 수 있다. 이 작품은 배경을 이루는 산의 양감이나 질감묘사, 누정 왼쪽의 나무표현 등 먹의 흑백대비가 강조되어 있는 등 16세기 중·후반기에 유행했던 절파화풍(浙派畵風)이 잘 나타나있다. 또한 연회장면은 정면부감투시와 원근법이 사용되어 부각되고, 담장을 비롯한 다른 주변 경물들은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열하는 이중투시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아래 쪽 기둥들을 뒤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묘사하는 방식은 조선조 후기에야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따라서 이 그림이 방회가 있었던 1567년에 제작된 것이 아니라 좀 더 후인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16세기 중엽경의 화풍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다소 있으나 좌목, 발문 등을 충실히 갖추고 있고, 가필(加筆)의 흔적이 없으며, 내용상 16세기의 방회도(榜會圖)는 <희경루방회도> 외에 1542년경의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를 제외하면 알려진 예가 극히 적으므로 사료적 가치도 있다. = = 보물 지정사유 = = 동국대학교 소장 <희경루방회도>는 1546년(명종 1)의 증광시(增廣試) 문·무과 합격 동기생 5명이 1567년(선조 즉위) 전라도 광주의 희경루에서 만나 방회(榜會)를 갖고 제작한 기년작(紀年作) 계회도(契會圖)이다. 신묘생진시(辛卯生進試, 1531년)의 동방들이 1542년에 만나 제작한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와 함께 현전하는 16세기의 방회도 2건 중 하나이다. 방회도는 16, 17세기에 집중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희경루방회도>는 1550년의 <호조낭관계회도> 및 <연정계회도>와 함께 이른 시기에 제작된 사례이다. 대부분의 16세기 계회도는 수묵화로 그려졌으며 채색화로 그려진 경우는 드문 편이다. 이 <희경루방회도>는 모임의 주체와 장소 등을 고려해 볼 때 전라도 광주 지역의 화사(畵師)가 그렸을 가능성이 높아 지방화단에서 그려진 채색계회도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제목, 그림, 좌목, 최응룡으로 추정되는 ‘완산후인(完山後人)’이 쓴 발문까지 계회도의 형식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다. 인물을 묘사한 필치는 매우 생기 있고 활달하며 자신감이 넘친다. 또한 비슷한 자세의 인물을 같은 모양으로 판에 박은 듯 반복해서 그리는 투식적인 면이 적다. 희경루 건물 묘사에서도 보이는 대로 그린 듯한 꾸밈없는 필치를 엿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희경루방회도>는 제작시기, 양식적인 특징, 회화적 가치 면에서 가치가 크다. = 말리크파 = 말리크파은 피끄흐 혹은 수니파 율법을 가르치는 네 율법학파 중 하나로서 학교 체계에 해당한다. 8세기에 말리크 이븐 아나스가 창시하였다. 네 학교 중에서 세 번째로 신봉자가 많다(약 15%에 해당한다.). 해당 인구는 북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에 집중되고 있다. 말리키 학교는 이맘 말리크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주요하게는 무와타와 무다와나 등의 저서 등도 포함된다. 무와타는 건전하고 말리크의 말씀을 기록해 놓은 저서로 꼽히며 하디스를 정리한 것이다. 두 번째 주요 저서인 무다와나 알쿠바르는 말리크의 오랜 제자인 이븐 카심과 그의 제자인 사흐눈이 기록한 것으로 오래전부터 그가 본 스승 말리크의 율법적 해답과 풀이를 적은 것이다. 그와 제자가 주석과 참고 자료를 달아 놓았으며 말리크로부터 배운 주요 원칙과 이성에 대해 서술했다. 두 권으로 구성된다. 세 다른 율법학파(학교)와 다른 점이 있다면 가르침을 여러 통치자의 통치법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다른 학파에서는 꾸란을 가장 주요한 것으로 하고 무함마드의 말씀, 하디스를 중시한다. 그러나 말리키 학파에서는 하디스에 포함된 것과 통치자의 통치법을 중시한다. 말리키 학교에서는 메디나에 살던 살라프 사람들의 생각을 중시하여 따른다. 말리키 학파는 무함마드의 전통과 예언자의 제자들의 언행, 그리고 메디나에 있었던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관습과 전통들을 모두 하디스에 포함시켰다. 이로 인해 말리키 학파를 메디나학파로 부르기도 하였다. 말리키파는 이성적 접근을 한 하나피파에 대항하여 법체계를 세우면서 하디스에 의존하였고, 하나피 학파가 이즈마를 법적 권위자들의 합의로 보았던 것과 달리 말리키 학파는 메디나 사람들의 합의로만 한정지었다."샤리아와 순니 4대 법학파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 = 야마나카 료스케 = 야마나카 료스케(1993년 4월 20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J1리그의 세레소 오사카에서 뛰고 있다. = 분류:가시마시 (사가현)의 철도역 = = 못테케! 세라후쿠 = 못테케! 세라후쿠(, 가져가! 세일러복)는 2007년 5월 23일에 란티스에서 발매된 TV 애니메이션 러키☆스타의 오프닝 테마 싱글 CD다. 덧붙여 같은 작품의 표제곡 〈못테케! 세라후쿠〉 리믹스 싱글 못테케! 세라후쿠 Re-Mix001〜7 burning Remixers〜, 러키☆스타Re-Mix002〜『에 대해서도 여기서 서술한다. = = 개요 = = 제작진에는 하타 아키, 고사키 사토루, nishi-ken의 3사람이 기용되었다. 덧붙여 코우사키 사토루가 란티스에 발매중인 싱글의 표제곡을 담당하는 것은 이번 작이 처음이다(지난 해에 스즈미야 하루히의 혼합의 작곡을 담당했지만, 이 작품은 트리플 A면사양으로, 정확한 표제곡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nishi-ken도, 이번 작이 란티스에 처음으로 제공한 작품이 되었다. 덧붙여 2008년 3월 5일 발매한 하맛테 사봇테 오 마이 갓!도 제작진의 구성이 이번 작과 동일하다. 노래는 메인 캐릭터 4명의 애니메이션판 성우인 히라노 아야, 카토 에미리, 후쿠하라 카오리, 엔도 아야가 맡았다. 오리콘 주간 차트에서는 초동 6.6만 장이 판매돼 첫 등장 2위를 기록하였다. 거기에 2007년 7월 10일에,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2007년 6월분 '골드 인정 작품(누계10만 장 이상 출하)'으로 발표하며사단법인 일본 레코드 협회 각종 통계 골드 등 인정 작품 인정 2007년 6월 일본 국내 싱글, 이후에도 판매를 거듭하여, 오리콘 연간 차트에서는 16.2만 장으로 40위에 올랐다. 이것은 성우작품 · 캐릭터 명의의 작품으로 한정했을 때 월등히 연간 1위의 숫자이다. 또한 히라노 아야는 2006년에도 하레하레 유카이로 1위(종합 104위)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2년 연속으로 참가 작품이 1위가 되었다. 또, 판매원인 란티스에 의하면, 2008년 2월 시점에서 본작의 출하매수는 20만 매를 돌파했다. 이 작품의 히트 요인 중 하나로, 제12회 애니메이션 고베상 주제가상에 본작을 선출한 애니메이션 고베는 "이 곡이 붐을 일으킨 배경은 곡 자체의 힘뿐만이 아니라 카도카와 쇼텐과 교토 애니메이션의 공이 매우 크다. 카도카와 쇼텐의 제작 능력과 교토 애니메이션의 제작 능력, 그리고 란티스의 음악 제작 능력의 3 가지가 합쳐져 태어난 곡이다."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러키☆스타의 음악 프로듀서인 사이토 시게루는 "러키☆스타에 관련된 사람 전원의 장난기가 좋은 형태로 폭발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오리콘 스타일★모바일 '장안의 화제가 되고있는 그 곡을 노래하는 4 사람의 코멘트!'. 위와 같이 높은 매상을 기록한 것을 계기로, 음악 프로그램이나 정보 프로그램으로의 랭킹 소개에서도 종종 등장했지만, 가수명이 길기 때문에, 본작이 순위에 등장했을 때, 뮤직 스테이션에는 '러키☆스타 4인조', HEY!HEY!HEY!Music champ에서는 '러키☆스타의 4사람', 라지카롯에는 '이즈미 코나타 외' 등, 각각 생략해서 소개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영상에는 러키☆스타의 오프닝 애니메이션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번 작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 러키☆스타의 관련 CD로는 가장 빨리 발매되어 본작 이후의 여섯 작품이 톱 10 위를 하는 등 히트작을 낳았지만, 사이토는 "〈못테케! 세라후쿠〉과 〈카에시테! 니삭스〉로, 러키☆스타의 음악세계가 굳어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라고 말하였다. = = 수록곡 = = (가져가! 세일러복) #: 작사 : 하타 아키, 작곡·편곡 : 고사키 사토루 #:* TV 애니메이션 『럭키☆스타』오프닝 테마. (돌려줘! 니삭스) #: 작사: 하타 아키, 작곡·편곡 : nishi-ken (off vocal) (off vocal) = = 리믹스 버전 = = = = = 못테케! 세라후쿠 Re-Mix001〜7 burning Remixers〜 = = = 2007년 8월 8일에, 리믹스싱글 못테케! 세라후쿠 Re-Mix001〜7 burning Remixers〜가 발매되었다. 외부 아티스트에 의한다7곡이 수록. = = = = 개요 = = = = 2007년 5월 23일에 발매되어 히트를 기록한 못테케! 세라후쿠를 리믹스한 곡을 수록한 싱글. MAD와는 다르다, MAD와는!! 탄막이 얇아! 7트랙 집결!'이 본작의 캐치카피가 되었다러키피디아 러키☆스타 백과사전/러키☆스타 공식웹 「못테케 세라후쿠 Re-Mix001〜7 burning Remixers〜」. 사이토 시게루의 말에 따르면, '팬 여러분이, 자신의 집에서 리믹스를 만드는 시대. 리믹스는 무한한 것이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본직의 분들에게 마음껏 하도록 하게 해주자!'는 것으로 기획된 것이 이번작품이다. 또한 〈못테케! 세라후쿠〉의 작곡을 담당한 고사키 사토루는, '「원곡이 이미 리믹스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하기 어려운 것이 아닐까?」 하고 걱정했었지만, 완전히 기우였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리믹서인 eicheph · baasjack · 무명씨는 각각 별명으로 나와 있지만, 이들은 모두 후쿠자와 히데유키가 가명을 사용한 것으로, 동일 인물이다못테케!세라후쿠 Re-Mix001 〜7 burning Remixers〜 CD 크레딧. 전 7 곡 수록인 싱글로 취급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니 앨범에 가깝다. 덧붙여 가격은 4곡이(두 곡은 인스트루먼탈) 들어있던 전작과 같이 1200엔이 되고 있어 비교적 싼 가격으로 발매되었다. 오리콘주간 차트에서는 첫 등장 3위가 되어, 2작 연속으로 톱 3위를 기록하였다. 러키☆스타 관련 CD로서는 오리지널 음반을 뒤잇는 2위의 매상을 기록하였다. 덧붙여 오리콘에서는 일련의 싱글이 모두 높은 매상을 기록한 현상을 '러키☆스타 선풍'이라고 부르며 소개하고 있다러키☆스타 선풍, 다시! 리믹스싱글, 첫 등장 3위! 뉴스 -ORICON STYLE-. 다만, COUNT DOWN TV에서는 리믹스 음반의 작품은 랭킹 대상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소개되지 않았다(Re-Mix002도 마찬가지). 그리고 가수 네 사람 외에 시라이시 미노루 또한 〈못테케! 세라후쿠【마쓰리 믹스!】〉에 스페셜 게스트로서 출연했다. = = = = 수록곡 = = = = (촐싹대다 박살 믹스) (메타보 대책 Mix) (성우 on the floor mix) (-운다카다~교의 야망-) (글루코사믹스) (마츠리 믹스!) (청춘orz 믹스) = = = = 곡해설 = = = = = = = 러키☆스타 = = = 2007년 12월 26일에, 리믹스싱글 제 2탄 러키☆스타Re-Mix002〜 가 발매되었다. 외부 아티스트에 의한 6곡이 수록되었다. 덧붙여 타이틀은 〈조곡 「러키☆스타 동화」〉의 원재료가 된 니코니코 동화에서 인기를 끈 〈후타에노키와미, 앗!〉과, 〈미쿠미쿠니시테아게루【시테얀요】〉의 패러디다. = = = = 개요 = = = = 못테케! 세라후쿠Re-Mix001 ~7 burning Remixers~에 잇는 못테케! 세라후쿠의 리믹스싱글 제 2탄. 본작에서는 메인 타이틀을 전작까지의 '못테케! 세라후쿠'에서 '러키☆스타'로 변경해 못테케! 세라후쿠의 리믹스 버전만의 수록이었던 전작에 비해서, JAM Project가 커버한 〈JAM이 가져갔다! 세일러복〉이나, 러키☆스타 관련의 악곡을 모듬곡화 한 〈조곡 「러키☆스타 동화」〉가 '러키☆스타의 모두들' 명의로 수록되는 등, 새로운 시도가 되고 있다. 덧붙여 이 두 곡은 공식 사이트 등에서도 'JAM Project참전! 코우사키 사토루, '모듬곡'으로 종을 나누어라!'라는 캐치로 광고하고 있다.. 또, 가사 카드로 라이너 노트각 수록곡의 앨범레코드의 쟈켓이나CD앨범 등에 붙어 있는 책자등에 쓰여지는 해설문 가 기재되어 있어 이것도 전작까지는 없었던 것이다. CD의 크레디트 란에서는 전작까지와 같은 표기이지만, 오리콘에서는 전술한 타가수 명의에 의한 2곡이 수록된 영향으로, 가수명이 전작까지의 4사람에 JAM Project, '러키☆스타의 모두들'을 더한 합계 6조로 표기되었다이번 주의 주목 랭킹 토픽 일람! 뉴스-ORICON STYLE-. 덧붙여 〈조곡 「러키☆스타 동화」〉로 〈못테케! 세라후쿠〉의 작곡을 맡은 코우사키 사토루가 처음으로 리믹스싱글의 악곡을 담당했지만, 전작 발매시에 신전은 '만약Re-Mix002가 나온다면, 부디 참전해 보고 싶다'라고 말했는데, 본작으로 그것이 실현된 것이 되었다. 오리콘 주간 차트에서는 첫 등장 5위를 기록. 3작 연속의 톱 3위는 안 되었지만, 데일리 차트의 최고위에서는 3작 중 가장 높은 2위를 기록하고 있어, 2007년 12월 26일 발매의 신작 중에서는 최고의 매상을 기록했다. 또, 2008년 1월 21일첨 부주간 차트에서는 데일리 최고 25위에도 불구하고 주간 6위를 기록하는 드문 추이를 보여 러키☆스타 관련CD로서는 최장의 3주 연속 톱 10위(다만, 1 · 2주째는 합산주)를 달성. 그러나, 6위 랭크시의 매상은 6,008매로 매우 적고, 6위의 매상으로서는 역대 최저라고 하는 불명예 기록도 동시에 달성했다. 또, 전작에 이어, 〈못테케! 세라후쿠 EX.Motte[k]remix〉, 〈못테케! 세라후쿠 Bak-Bak-Bakoon!! mix〉에서도 시라이시 미노루가 스페셜 게스트로서 출연했다. = = = = 수록곡 = = = = (JAM이 가져갔다! 세일러복) # (가져가! 니삭스) Electro 乙女ちっく mix 못테케! 세라후쿠 Electro 오토메틱 mix Bak-Bak-Bakoon!! mix (조곡 「러키☆스타 동화」) = = = = 곡해설 = = = = = = = = 비고 = = = = 앨범 제목의 경우 니코니코 동화의 고유명사기 때문에 그대로 표기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는 니코니코 동화의 《조곡 니코니코 동화()》의 영향을 받은 패러디다. JAM Project의 참여와 조곡으로 관심을 받았으며 발매즉시 JAM Project의 노래는 니코니코 동화에서 랭킹 1위를 달성했다(조곡의 경우는 랭킹 5위). Electro mix의 경우 ''의 발음을 이용한 다쟈레(, 일본식 말장난) 형식으로 제목을 붙인 것 같다. = 분류:아스카니어가 = = 분류:FC 로카르노의 축구 선수 = = 미네무라 유이 = 미네무라 유이(, 1991년 3월 17일 ~ )는 일본의 모델이다. = 파주시의회 = 파주시의회는 경기도 파주시 지역을 관할하는 기초의회이다. = 이누카이역 = 이누카이역은 일본 오이타현 분고오노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호히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464 2001 449 2002 450 2003 426 2004 410 2005 413 2006 410 2007 380 2008 376 2009 366 2010 347 2011 330 2012 333 = = 역 주변 = = 분고오노 시청 이누카이 지소 = = 역사 = = 1917년 7월 20일 : 개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규슈 여객철도가 승계. 2014년 7월 1일 : 무인화. = 모듈:Location map/data/Australia Shark Bay/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Australia_Shark_Bay/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유진 벨 재단 = 유진 벨 재단(Eugene Bell Foundation)은 미국 워싱턴에 제1본부가 있고 대한민국 서울에 제2본부가 있는 국제 NGO 단체이다. 이 단체는 1995년 12월 19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 출신의 미국계 대한민국 사회사업가인 철학박사 스티브 린턴(Steve Linton, 인세반, 印世潘, 1950.3.21~ ) 前 한양대학교 철학과 겸임교수가 미국 수도 워싱턴 D.C.에서 창설하고 회장 겸 국제 본부 총기구단체 재단 이사장에 취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 국제 NGO 대북 지원 관련 단체이다. 여기서 재단 이름인 "유진 벨(Eugene Bell, 한국명 배유지(裵裕祉), 1868.5.20~1925.11.6)"은 스티브 린턴(인세반)의 진외가 증조부(外家 曾祖父)로 19세기 말기와 20세기 초중기 시대 미국의 사회사업가였다. = 텐노지야 고헤에 = 텐노지야 고헤에 (, 겐나 9년 7월 12일 (1623년 8월 8일) - 겐로쿠 7년 12월 1일 (1695년 1월 15일))는 에도 시대의 상인이다. 본명은 오오마유 미츠시게(大眉 光重)이다. = = 개요 = = 간에이 5년 (1628년)에 환전상을 개업했다. 간분 10년 (1670년)에는, 오사카마치부교에 의해 환전상을 총괄하는 10인 환전 동료(十人両替仲間)의 필두로 임명되었다. 신용거래에 사용되는 어음제도를 창설해, 신용거래의 시작을 확립했다. 여러 다이묘의 오사카 쿠라야시키의 쿠라모토(蔵元)나 카케야(掛屋)를 맡아, 다이묘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에도 응하여, 막부 어용금 징모도 대행했다. 이후의 오오마유가는 텐노지야 고헤에를 대대로 습명하여, 오사카의 대상인으로서 막부 말기까지 무게를 가졌다. 그러나,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시세 변동에 대응하지 못하고 몰락해 파산, 이름을 남기지 못하게 되었다. = = 텐노지야 = = 오오마유 미츠시게의 아버지 오오마유 키치에몬 히데츠나가 겐나 원년 (1615년)에 오사카의 이마바시로 이주해, 가게 이름을 <텐노지야(天王寺屋)>로 칭한 것이 시작이었다고 여겨진다. 에도 시대의 이마바시는 큰 가게의 환전상이 즐비해, 현재의 이마바시 1초메에는 텐노지야 고헤에와 히라노야 고헤에의 2채가 길을 사이에 두고 가게를 하고 있었다고 해서, "텐고에 헤이고 쥬베에 요코마치(天五(てんご)に平五(へいご)十兵衛横町)"라고 불리며, 카이헤이 초등학교 옆에 그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텐노지야의 저택은 저당물로서 매물로 나와, 메이지-다이쇼기의 변호사이자 사업가이자 다인인 타카야 소한(高谷宗範)이 사들여, 교토부 우지시의 쇼덴 산장으로 이축되었다. 대현관과 다실에 옛 영화를 볼 수 있다. = = 관련항목 = = 후루카와 치에코 『小説 土佐堀川 ~ 女性実業家・広岡浅子の生涯』 (1988년, 우시오출판사) - NHK연속TV소설 『아침이 온다』의 원작 NHK연속TV소설 『아침이 온다』 (2015년) - 환전상 <텐노지야>가 작중에 등장하는 <산노지야>의 모델 = 틀: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표 = = 분류:1985년 축구 경기 = = 분류:프랑스의 여객 철도 교통 =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은 태양계, 지구를 포함한 우리 은하가 위치한 초은하단이다. 2014년 9월, 하와이 대학교의 R. 브렌트 툴리가 이끄는 천문학자 집단이 은하의 상대속도에 따른 새로운 초은하단 정의 방법을 발표하면서 밝혀졌다. 국부 초은하단의 새로운 정의는 이전에 정의되었던 국부 초은하단, 이제는 그 부속물인 처녀자리 초은하단도 포함한다. 라니아케아는 국부 초은하단 또는 국부 SCl로도 불리기도 한다. = = 특징 =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은 160 메가파섹 (5억 2000만 광년) 만큼 길게 늘어져 있고, 100,000개의 은하들을 포함하고 있다. 속박 질량은 대략 1017 태양질량으로, 우리 은하의 수십만 배이다. 이는 무거운 시계자리 초은하단의 질량과 거의 같다. 이 초은하단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부분들은 이전에 초은하단이라 불리던 것들이다. 처녀자리 초은하단 우리 은하가 위치해 있는 부분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중력 중심점인 거대 인력체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 공작자리-인디언자리 초은하단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가장 무거운 은하단으로는 처녀자리 은하단, 바다뱀자리 은하단,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아벨 3565, 아벨 3574, 아벨 3521, 화로자리 은하단,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직각자자리 은하단이 있다. 초은하단은 약 300 개에서 500 개의 은하단과 은하군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는 근본적으로 관측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회피대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실제 구성원은 그보다 더 많을 것이다. 초은하단은 우주의 가장 거대한 구조 중 하나로, 이것들 간의 경계선을 정의하기가 쉽지 않은데, 특히 내부에서 경계선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연구팀은 국부 은하들의 거대한 집단 운동을 상세히 알아내기 위해서 전파망원경을 이용했다. 초은하단 내에서, 모든 은하들의 운동은 안쪽, 질량중심 방향이 될 것이다. 라니아케아의 경우, 중력적 중심점이 거대 인력체라고 불린다. 이는 우리 국부 은하군(우리 은하가 위치한 작은 은하무리)의 운동과 우리가 위치한 초은하단 도처에 있는 다른 모든 은하들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 = = 발견 방법 = = 우주의 팽창으로부터의 특유의 운동을 구별하기 위한 은하의 운동 분석에 이용된 새로운 방법은 위치상의 정보를 잘 알려주는 방법으로, 약 3억 광년(92 Mpc)까지의 유동 패턴을 보여주는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위너 필터링이다. 이것의 한계와 함께, 라니아케아는 섀플리 초은하단 방향으로 향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그래서 섀플리와 라니아케아는 더 거대한 복합적인 구조의 일부일 지도 모른다. = = 위치 = = 라니아케아의 이웃 초은하단으로는 섀플리 초은하단, 헤라클레스자리 초은하단, 머리털자리 초은하단,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이 있다. 이러한 초은하단과 라니아케아의 가장자리는 현재 라니아케아의 정의에서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 = 이름 = = 라니아케아(Laniakea)라는 이름이 의미하는 것은 하와이어로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넓은 천상"이다. 하와이어 천상을 의미하는 "lani"와 넓은 또는 측정 불가능을 의미하는 "akea"를 합성한 말이다. 이 이름은 카피올라니 공립 대학교의 부교수 Nawa'a Napoleon으로부터 제안된 것으로, 태평양 항해를 위해 하늘의 지식을 이용했던 폴리네시아 항해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 분류:관박쥐과 = = 4일간의 사랑 = = 필리즈 아흐메트 = 필리즈 아흐메트(, 1981년 4월 15일 ~ )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태생 터키의 배우이다. = 교향곡 6번 (차이콥스키) = 교향곡 6번 b 단조(Op. 74)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마지막으로 작곡한 교향곡이다. 1893년 그가 사망하기 아흐레 전에 초연되었다. 차이콥스키의 말에 따르면 그는 “과장 없이, 모든 영혼을 이 작품에 쏟아 넣었다”마이클 스타인버그, “The Symphony: a listeners guide”, 635-641쪽,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95년.. = = 별명의 유래 = = 교향곡은 흔히 ‘비창(悲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러시아어 제목인 파테티체스카야는 슬픔이 아니라 ‘열정적’·‘감정적’이란 뜻이다. 이것이 프랑스어 파테틱으로 서유럽에 번역되면서 슬픔을 뜻하게 되었다. 원래 차이콥스키는 이 교향곡을 “프로그램 교향곡”이라고 부르고 싶어했으나 밝히고 싶지 않았던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 오히려 궁금증을 유발할 것 같아 망설였다. 그의 동생인 모데스트가 작품의 초기 본에 사용되었던 파테티체스카야이라는 이름을 다시 제안하였다. 차이콥스키는 이 이름을 좋아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Listen to from 2:30 결국 이 이름이 붙은채로 출판되었다. = = 편성 = = 플루트3(3번은 피콜로 겸함), 오보에3, 바순3, 클라리넷3, 호른4, 트롬본3, 트럼펫3, 튜바, 큰북, 팀파니, 탐탐, 심벌즈, 현5부 = = 구성 = = 연주 시간은 약 50분 정도이며, 다음과 같이 네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다지오 - 알레그로 논 트로포 (Adagio - Allegro non troppo) (B단조 - D장조 - 모호한 조 - B단조 - B장조, 소나타 형식) 알레그로 콘 그라치아 (Allegro con grazia) (D장조 - B단조 - D장조, ABA 형식) 알레그로 몰토 비바체 (Allegro molto vivace) (G장조 - E장조 - G장조, 스케르초 / 발전부가 생략된 소나타 형식) 피날레: 아다지오 라멘토소 (Finale: Adagio lamentoso) (B단조 - D장조 - B단조, ABA 형식) = 깍둑썰기 = 깍둑썰기는 무 따위의 채소 등을 깍두기처럼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써는 방법이다. 재료의 가로를 평면으로 자르고 이것을 다시 평행하게 세로로 썰어 정육면체나 직육면체로 만든 것으로, 요리의 맛과 질감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으며 조리 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보기에도 좋다. 깍둑썰기는 대부분 채소에 사용되는 편이지만 고기와 생선, 과일을 자를 때 사용하기도 한다. 깍둑썰기가 주로 쓰이는 요리로는 깍두기, 두부 요리, 일본 카레 등이 있다. = 회현동 = 회현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회현동(會賢洞)은 서울특별시 중구의 행정동이다. 회현동1가, 회현동2가, 회현동3가는 법정동이다. 회현동(會賢洞)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법정동이다. 회현동(會峴洞)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행정동이다. = 서경석 (종교인) = 서경석(徐京錫, 1948년 10월 6일 ~ , 서울)은 대한민국의 종교인으로 서울조선족교회 담임목사이자 기독교사회책임 공동대표이다. = = 출생 = = 그의 할아버지는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서병호이며 서병호는 초기 한국 장로교회 목사의 한 사람 서경조 목사의 아들이다. 그의 큰할아버지 서광호는 세브란스 의전 2회로 졸업한 의사이다.김수진, 소래교회 출신 서병호 장로 , 한국장로신문 = = 활동 = = 개신교 목사로서 민청학련 사건으로 수감된 적이 있으며, 경제정의실천시민운동협의회 사무총장을 지냈다. 현재 안산 조선족 교회를 담임하고 있으며 기독교사회책임 공동대표, 선진화시민행동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 분류:미국의 비술사 = = 분류:1937년 중국 = = 분류:뮤 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 = = 르 그랑 주르날 = 르 그랑 주르날(Le Grand Journal)은 평일 저녁 7시 10분~8시 20분 카날 플뤼스에서 방송하는 정보·토크쇼 방송 프로그램이다. 2004년 8월 30일 처음 선보여졌으며 미셀 데니소트가 제작과 진행을 맡았다. 2013년부터는 안토인 드 콘느가 진행을 맡게 되었다. 프로그램은 뉴스, 토크, 날씨와 예능 부문을 다룬다. 2017년 기준 시즌 13회까지 나왔다. 2017년 2월 13일의 방송을 마지막으로 쇼는 끝맺혔다. = 남동부주 (오만) = 남동부주는 오만 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수르이며 인구는 293,509명(2021년 기준), 면적은 12,350 km2이다. 2011년 10월 28일에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샤르키야 지방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북쪽과 동쪽, 남쪽으로는 아라비아해, 남서쪽으로는 중부주, 서쪽으로는 북동부주, 북서쪽으로는 무스카트주와 접한다. 5개 구를 관할한다. = 김명연 (1964년) = 김명연(金明淵, 1964년 2월 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9·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시흥 출신이다. = = 학력 = = 군자초등학교 졸업 군자중학교 졸업 인천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축산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지방자치학과 석사 졸업 = = 경력 = = 군자사회복지관 운영위원 대한결핵협회 결핵퇴치운동본부 협력위원 2012년 5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 (경기 안산시 단원구 갑) 2012년 7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2012년 8월 ~ 2013년 5월: 제19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2년 8월 ~ 2013년 6월: 제19대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 2013년 10월: 새누리당 경기도당 수석부위원장 2013년 11월: 새누리당 직능특별위원회 건강위생관리위원장 2013년 11월: FPCB제조협동조합 자문위원 2014년: 새누리당 경기도당 서부당협본부장 2014년 1월: 새누리당 국민건강특별위원회 위원 2014년 2월 ~ 2014년 6월: 새누리당 경기도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014년 4월 새누리당 경제혁신특별위원회 공적연금개혁분과 위원 2014년 6월 ~ 2014년 9월: 제 19대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 2014년 6월: 새누리당 세월호 피해자지원특별위원회 간사 2014년 6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장 2014년 8월 ~ 2015년 7월: 새누리당 재능나눔위원장 2014년 11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국민안전혁신특별위원회 위원 2015년 2월 ~ 2015년 7월: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경기 안산시 단원구 갑)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2016년 12월 ~ 2017년 2월: 새누리당 수석대변인 2017년 2월 ~ 2017년 7월: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2017년 7월 ~ 2018년 7월: 자유한국당 전략기획부총장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조직총괄본부 본부장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고문 2017년 12월 ~ 2018년 2월: 자유한국당 지방선거기획위원회 부위원장 2018년 2월 ~ 2018년 5월: 자유한국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지방선거기획본부 본부장 2018년 2월 ~ 2018년 5월: 자유한국당 지방선거 및 6.13 국회의원 재보선 공천관리위원회 간사 자유한국당 남경필 경기도지사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부위원장 2018년 6월 ~ 2018년 7월: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권한대행) 2018년 7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2018년 12월 :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안산시단원구(갑) 당협위원장 2018년 12월 : 자유한국당 정책조정위원회 제6정조정위원회(복지·여가) 위원장 2019년 3월 : 자유한국당 미세먼지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8월 ~ 2019년 12월 :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2019년 12월 : 자유한국당 당대표 비서실장 2020년 2월 : 미래통합당 우한 폐렴 대책 태스크포스 위원 2020년 2월 ~ 2020년 4월 : 미래통합당 당대표 비서실장 2020년 2월 : 미래통합당 소상공인 살리기 경제특별위원회 위원장 2020년 2월 : 미래통합당 경기도당 안산시단원구(갑) 당협위원장 2020년 9월 ~ 2024년 1월 : 국민의힘 경기도당 안산시단원구(갑) 당협위원장 2021년 7월 : 국민의힘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 2021년 7월 ~ 2021년 11월 :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직능본부 직능총괄본부장 2021년 12월 ~ 2022년 1월: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부본부장 2021년 12월 ~ 2022년 1월: 국민의힘 경기도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선거대책위원장 2022년 4월: 국민의힘 유승민 6·1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 선거대책본부장 국민의힘 경기도당 고문 = = 논란 = = = = = 세비반납 공약 파기 논란 = = = 지난 2016년 4월13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김명연 의원등 당시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 40명은 국민을 상대로 조건부 세비 반납 약속을 했다. 이들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등 대한민국을 위한 5대 개혁과제를 2017년 5월 31일까지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하겠다고 공언하였으며 .계약서를 작성하고“우리는 ‘대한민국과의 계약’에 서약합니다”라며 “서명일로부터 1년 후인 2017년 5월31일에도 5대 개혁과제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서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할 것임을 엄숙히 서약합니다”라고 썼다. 거기다가 신문에 전면광고를 내고 이 광고를 1년간 보관해달라고 하였다. 이 약속에 이름을 올린 당시 후보는 40명이다. 이들 중 당선자는 27명(강석호, 강효상, 김광림, 김명연, 김무성, 김성태, 김순례, 김정재, 김종석, 박명재, 백승주, 오신환, 원유철, 유의동, 이만희, 이완영, 이우현, 이종명, 이철우, 장석춘, 정유섭, 조훈현, 정준길, 지상욱, 최경환, 최교일, 홍철호)에 달한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5대과제의 이행은 하나도 되지 않았다. 공약 후 1년이 다되어 세비반납 공약이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년간 5대 개혁과제 법안을 발의함으로써 계약 내용을 이행했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중 노동개혁을 위한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안은 마감 시한인 31일 전날 오전 발의됐되었으며 이들이 앞서 발의한 5개 법안은 이행이 된것이 하나도 없이 모두 해당 상임위에 계류 중인 상태다. 이를 두고 '법안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 개혁 과제를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가', 또 '세비 반납을 피하기 위해 졸속 발의한 것 아닌가' 등의 비판이 일고 있으며 약속했던 세비 반납의 조건이 '과제 이행' 여부였다는 점에서 법안 발의만으로는 약속을 이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연회 = 경연회 en:Category:Competitions in the Dominican Republic = 분류:일제강점기의 법조인 = = 1988년 올림픽 = 1988년 올림픽은 다음과 같다.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1988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캘거리에서 개최되었다. = 광덕초등학교 = 광덕초등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광덕초등학교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내리1길 25 광덕초등학교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포화로 817 광덕초등학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신흥리3길 36 광명광덕초등학교 :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841번길 9 안산광덕초등학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안산천서로3길 6-7 현덕초등학교 광덕분교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현덕로 934 공근초등학교 광덕분교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 분류:255년 아프리카 = = 분류:1904년 스포츠 틀 = = 웨슬리 조너선 = 웨슬리 조너선(, 1978년 10월 18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4플레이 (2014) 메이크 유어 무브 (2014) 디스펑크셔널 프렌즈 (2012) 버즈 하우스 (2011) 스피드-데이팅 (2010) B-걸 (2009) NCIS 시즌6 (2008) 내셔널 람푼: 베그보이 (2008) 리멤버 더 데이즈 (2007) 크로스오버 (2006) 롤 바운스 (2005) 바다스 (2003)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리랜드 (2003) 스톰 왓치 (2002) 표범 (1995) SOS 해상 구조대 (1989) = 호놀룰루 (동음이의) = 호놀룰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USS 호놀룰루 호놀룰루군 호놀룰루 (영화) 호놀룰루 (잡지) = 모듈:Demo = local p = {} creates a frame object that cannot access any of the parent's args unless a table containing a list keys of not to inherit is provided function disinherit(frame, onlyTheseKeys) local parent = frame:getParent or frame local orphan = parent:newChild{} orphan.getParent = parent.getParent returns nil orphan.args = {} if onlyTheseKeys then local family = {parent, frame} for f = 1, 2 do for k, v in pairs(family[f] and family[f].args or {}) do orphan.args[k] = orphan.args[k] or v end end parent.args = mw.clone(orphan.args) setmetatable(orphan.args, nil) for _, k in ipairs(onlyTheseKeys) do rawset(orphan.args, k, nil) end end return orphan, parent end function p.get(frame, arg, passArgs) local orphan, frame = disinherit(frame, passArgs and {arg or 1}) local code, noWiki, preserve = frame.args[arg or 1] or '' if code:match'nowiki' then local placeholder, preserve = ('6'):char, {} code = mw.text.unstripNoWiki(code) noWiki = code:gsub('%%', placeholder):gsub('<', '<'):gsub('>', '>') for k in noWiki:gmatch('&.-;') do if not preserve[k] then preserve[k] = true table.insert(preserve, (k:gsub('&', '&'))) noWiki = noWiki:gsub('(&.-;)', '%%%s') end end noWiki = mw.text.nowiki(noWiki):format(unpack(preserve)):gsub(placeholder, '%%') end local kill_categories = frame.args.demo_kill_categories or frame.args.nocat return { source = noWiki or code, output = orphan:preprocess(code):gsub(kill_categories and '%[%[Category.-%]%]' or , ), frame = frame } end function p.main(frame, demoTable) local show = demoTable or p.get(frame) local args = show.frame.args args.br = tonumber(args.br or 1) and (''):rep(args.br or 1) or args.br or '' if show[args.result_arg] then return show[args.result_arg] end return string.format('%s%s%s', args.style and string.format(" style='%s'", args.style) or , show.source, args.br, show.output) end Alternate function to return an inline result function p.inline(frame, demoTable) local show = demoTable or p.get(frame) local args = show.frame.args if show[args.result_arg] then return show[args.result_arg] end return string.format('%s%s%s', args.style and string.format(" style='%s'", args.style) or , show.source, ' → ', show.output) end passing of args into other module without preprocessing function p.module(frame) local orphan, frame = disinherit(frame, { 'demo_template', 'demo_module', 'demo_module_func', 'demo_main', 'demo_br', 'demo_result_arg', 'demo_kill_categories', 'nocat' }) local template = frame.args.demo_template and 'Template:'..frame.args.demo_template local demoFunc = frame.args.demo_module_func or 'main\n' local demoModule = require('Module:' .. frame.args.demo_module)[demoFunc:match('^%s*(.-)%s*$')] frame.args.br, frame.args.result_arg = frame.args.demo_br, frame.args.demo_result_arg local kill_categories = frame.args.demo_kill_categories or frame.args.nocat if demoModule then local named = {insert = function(self, ...) table.insert(self, ...) return self end} local source = {insert = named.insert, '{{', frame.args.demo_template or frame.args.demo_module, '\n'} if not template then end local insertNamed = #source + 1 for k, v in pairs(orphan.args) do local nan, insert = type(k) ~= 'number', {v} local target = nan and named or source if nan then target:insert(k):insert'=':insert'\n' table.insert(insert, 1, #target) end target:insert(unpack(insert)) local nowiki = v:match('nowiki') if nowiki or v:match('') then orphan.args[k] = frame:preprocess(nowiki and mw.text.unstripNoWiki(v) or v) end end source:insert'}}' table.insert(source, insertNamed, table.concat(named)) return p.main(orphan, { output = tostring(demoModule(orphan)):gsub(kill_categories and '%[%[Category.-%]%]' or , ), frame = frame }) else return "오류: 유효하지 않은 모듈 함수: "..demoFunc end end return p = 분류:2009년 홍수 = = 아루커얼친 기 = 아루커얼친 기는 내몽골 자치구 츠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4555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00,000명이다. = = 지리 = = 구릉성 산지가 47%, 황파지가 27.5%, 평원이 34%, 하천이 2%를 차지한다. 평균해발고도는 430~450m이고 최고해발고도는 1541m, 최저해발고도는 266.8m이다. 연평균 기온은 5.5℃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300~400mm이며 무상일수는 95~140일이다. = = = 기후 = = = = = 행정 구역 = = 1개 가도, 6개 진, 2개 향, 3개 소목을 관할한다. 가도: 天山街道. 진: 天山镇, 天山口镇, 双胜镇, 坤都镇, 巴彦花镇, 绍根镇. 향: 新民乡, 先峰乡. 소목: 罕苏木苏木, 赛汉塔拉苏木, 巴拉奇如德苏木. = 디에고 플라센테 = 디에고 로돌포 플라센테(Diego Rodolfo Placente, 1977년 4월 24일 부에노스아이레스 ~ )는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1996년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에 입단하면서 데뷔했으며 리버 플레이트, 바이어 04 레버쿠젠, 셀타 비고, CA 산로렌소, 지롱댕 보르도 등 여러 소속팀에서 활약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4년 코파 아메리카,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다. = Dragon Attack = 〈Dragon Attack〉은 영국의 록 밴드 퀸의 노래로, 이 밴드의 리드 기타리스트인 브라이언 메이가 작곡했다. 이 곡은 퀸의 여덟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The Game의 두 번째 곡이며 〈Another One Bites the Dust〉의 영국 출시작인 B-사이드에 또한 등장했다. 베이시스트 존 디콘은 이 노래가 그가 가장 좋아하는 퀸 노래라고 주장했다. = 강원 FC U-12 = 강원 FC U-12팀은 강원 FC의 12세 이하 유스팀이다. 2008년 강원 FC의 U-12팀인 강원 FC U-12팀을 창단하여 강원 FC의 가장 어린 유소년 팀으로 자리잡았다.강원 FC U12 JS Foundation] = 김행직 = 김행직(1992년 3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당구 선수이다. 전남당구연맹 소속. = = 생애 = = 당구장을 운영하던 아버지 덕에 3살무렵부터 당구를 접했다. 생일이 3월31일지만 학교를 한 해 빨리 진학했다. 전북 익산에서 이리초등학교와 이리남중학교 졸업후 수원 매탄고등학교로 진학 및 졸업했다. 고등학교 1학년이던 2007년 한국 당구 역사상 최초로 세계주니어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고교졸업 후, 당구 특기자로 한국체육대학교 10학번으로 입학할 수 있었지만, 대학교수나 지도자가 되기보다는 훌륭한 선수가 되는 길을 택하여 2010년 6월 독일 당구 프로리그인 분데스리가 1부리그 호스터에크팀에 입단해 당구 4대 천왕 중 한 명이자 포스트 클루망으로 불리는 스웨덴의 토브욘 브롬달과 함께 독일프로리그에서 맹활약, 그리고 네덜란드 에레리그에서 활약 후 귀국하였다. 2010년, 2011년, 2012년 세계주니어 3쿠션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여 세계주니어 3연패를 달성했다. 2015년 1월20일부터 22일까지 열린 제7회 아시아 3쿠션 당구 선수권 대회에서 역대 최연소 아시아 챔피언이 되었다. 2017년 포르투 월드컵, 2017년 청주 직지월드컵에서 월드컵 2회 연속 우승으로 대한민국 최초 월드컵 2회 우승 선수가 되었다. (만25세 나이에 당구월드컵 우승 기록 수립) 2019년 10월 네덜란드 베겔 3쿠션 월드컵에서 우승하였다. = = 기타 = = 한국인 최초 독일분데스리가 1부리그 선수이자 한국인 최초 네덜란드 에레 리그 선수다. = 틀:기사십자 철십자장 제1산악사단 = = = DirlBot = = 봇의 이름 : DirlBot 봇 운영자 : :en:User:Chesnok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자동/수동 : automatic 자세한 기능 설명 : interwiki via Pywikipedia framework (interwiki.py) 봇 플래그가 있는 다른 언어판의 봇 : als, an, ar, be, bs, ca, cs, da, de, el, en, es, fi, fr, he, hr, id, it, ja, nl, pl, pt, ro, ru, sk, sl, sr, sv, tr, vo, uk 추가 정보 (임의) : = = = 토론 = = = Now DirlBot is a global bot. — Chesnok (토론) 2009년 1월 13일 (화) 00:19 (KST) = 분류:카자흐스탄의 전쟁 영화 = = 분류:잠비아의 식물상 = = 아이다호 루이스턴 하이 스쿨 = 아이다호 루이스턴 하이 스쿨(Idaho Lewiston High School)은 미국 메인 주 루이스턴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이 학교는 1888년 첫 개교되었다. = 로런스 폭스 = 로런스 폭스(Laurence Fox, 1978년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비커밍 제인 - 미스터 위즐리 역 위 - 버티 역 본 어 킹 = = = 드라마 = = = 루이스 시즌 1 (ITV) = 분류:네덜란드의 음악 이론가 = = 분류:아펜첼아우서로덴주의 지형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월군의회 = 다음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영월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영월군의회는 지역구의원 6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영월군 가선거구 영월읍(영흥리, 하송리, 방절리, 삼옥리, 거운리, 문산리, 연하리),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3 영월군 나선거구 영월읍(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3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국민의힘 13,501 1 2 더불어민주당 8,441 0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국민의힘 1 박해경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국민의힘 4 1 5 더불어민주당 2 0 2 = 테키스틀라텍어족 = 테키스틀라텍어족은 멕시코 오아하카주의 촌탈족 원주민 언어들이 이루는 어족이다. 오아하카의 촌탈어족이라고도 한다. 2010년에 4,400명의 화자가 있었다. = = 언어 = = 와멜룰텍어 (저지 오아하카 촌탈어) 테키스틀라텍어 (사멸) 고지 오아하카 촌탈어 = = 이름 = = 오늘날 대부분의 저자는 ‘테키스틀라텍’(Tequistlatec(a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잘못된 나와틀어 활용에서 유래한 것이다. ‘테키시스틀란’(Tequisistlán)의 올바른 활용형은 ‘테키시스텍’(Tequisistec(an))이며, 에드워드 사피어는 두 용어를 같은 뜻으로 사용했다. = = 분류 = = 테키스틀라텍어족은 호크어족 가설의 일부이지만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Campbell and Oltrogge (1980)은 테키스틀라텍어족이 히카케어족과 함께 톨라텍어족을 이룬다는 가설을 내놓았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분류:세인트루이스 스트라이커스 = = 내일은 늦으리 = 내일은 늦으리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환경보전 슈퍼 콘서트의 부제이다. 말 그대로 환경보호를 위해 톱스타군단이 총출동한 대형 콘서트이다. = = 제작진 = = 후원: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방송공사, 주식회사 문화방송, 주식회사 에스비에스, 조선일보사 협찬: 현대그룹,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랜드로바 제작 지원: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 개최일 = = 회차 개최일 주관 방송사 방송일 진행자 제1회 1992년 10월 25일 한국방송공사 1992년 10월 25일 임백천 제2회 1993년 11월 6일 ㈜문화방송 1993년 11월 14일 이창훈, 고소영 제3회 1994년 11월 6일 ㈜문화방송 1994년 11월 6일 이승연 제4회 1995년 10월 14일 ㈜에스비에스 1995년 10월 16일 김승현, 이승연 제5회 1996년 11월 9일 ㈜에스비에스 1996년 11월 16일 이훈, 이본 = = 출연자 = = 출연자 참가 여부 참가 여부 참가 여부 참가 여부 참가 여부 비고 출연자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비고 신해철 참가 불참 불참 참가 불참 1992년과 1995년에는 프로듀서로 참여했다.1992년과 1995년도 공연의 주제가 제작에 참여했다. 김종서 참가 참가 참가 불참 불참 1994년도 공연은 문화방송의 장발 남성 출연 규제로 인해 TV 중계가 끝난 시간대에 참여했다. 이승환 참가 참가 참가 불참 불참 참가하는 동안 자작곡만 공연했다. 서태지와아이들 참가 참가 참가 참가 해체 1994년도 공연은 주제가 제창에만 참여했다.1995년에는 음반 제작에 참여하지 않았다. 윤상 참가 불참 불참 불참 불참 유영석 참가 불참 참가 불참 불참 1994년도 공연의 주제가 제작에 참여했다. 크래쉬 불참 참가 불참 불참 불참 잼 데뷔 전 참가 불참 불참 해체 015B 참가 참가 불참 불참 불참 신승훈 참가 참가 불참 불참 불참 신성우 참가 참가 불참 불참 불참 이오스 데뷔 전 참가 불참 불참 불참 봄 여름가을 겨울 참가 참가 불참 불참 불참 1992년에는 주제가 제작에만 참여했다. 듀스 불참 참가 불참 해체 해체 부활 불참 불참 참가 불참 불참 피노키오 불참 불참 참가 불참 불참 투투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불참 불참 그 중 황혜영은 여성 보컬로는 처음으로 참여했으며, 1994년도 공연에서 유일한 여성 보컬로 참여한 바 있다. 전일식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불참 불참 김현철 불참 불참 참가 불참 불참 김건모 불참 불참 참가 참가 참가 미스터투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불참 불참 솔리드 데뷔 전 불참 불참 참가 불참 DJ DOC 데뷔 전 데뷔 전 불참 참가 불참 지니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불참 룰라 데뷔 전 데뷔 전 불참 참가 참가 강산에 불참 불참 불참 참가 불참 R.ef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참가 신효범 불참 불참 불참 참가 참가 윤종신 불참 불참 불참 참가 불참 노이즈 데뷔 전 불참 참가 불참 불참 김원준 불참 불참 불참 불참 참가 김정민 불참 불참 불참 불참 참가 이현도 불참 듀스로참가 불참 불참 참가 장혜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참가 터보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불참 참가 H.O.T.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언타이틀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아이돌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비비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데뷔 전 참가 = = 음반 목록 = = 92 내일은 늦으리 93 내일은 늦으리 94 내일은 늦으리 95 내일은 늦으리 = KGS = KGS는 다음을 의미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Korea Gas Safety Corporation) 키르기스스탄 솜의 ISO 4217 코드 KGS = 틀:서울 영등포구의 도로 = = Houses of the Holy = Houses of the Holy는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1973년 3월 28일 애틀랜틱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두 명의 밴드 멤버가 집에 스튜디오를 설치한 덕분에 더 정교한 노래와 편곡을 개발하고 음악 스타일을 확장할 수 있게 된 덕을 보았다. 이후 그룹 라이브 세트에 〈The Song Remains the Same〉, 〈The Rain Song〉, 〈No Quarter〉 등 여러 곡이 고정물이 되었다. 타이틀곡을 포함하여 세션에서 녹음된 다른 자료들은 보류되었고 이후 음반인 Physical Graffiti와 Coda에 발표되었다. 모든 악기와 보컬은 밴드 멤버 로버트 플랜트(보컬), 지미 페이지(기타), 존 폴 존스(베이스, 키보드), 존 본햄(드럼)이 제공했다. 음반은 지미 페이지가 프로듀싱했고 에디 크레이머가 믹싱했다. 이 커버는 밴드가 최초로 힙노시스에 의해 디자인한 것으로 북아일랜드의 자이언트 코즈웨이에서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비판적인 반응은 엇갈렸지만, Houses of the Holy는 이후 1999년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다이아몬드(매출 1000만장 이상) 인증을 받아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2012년 이 음반은 롤링 스톤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서 148위에 올랐다. = = 녹음 = = 1972년까지 레드 제플린은 그들의 스튜디오 음반과 라이브 쇼에서 지속적인 상업적이고 비판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들은 지난해 발매된 네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즐거운 경험이 된 롤링 스톤스 이동식 스튜디오를 이용해 장소 녹화에 열심이었다. 호주 투어 후, 1972년 4월, 이 단체는 이 이동식 스튜디오를 햄프셔주의 저택이자 시골 소유지인 믹 재거의 집인 스타그로브스로 가기로 결정했다. 에디 크레이머가 녹음 엔지니어로 돌아왔다. 이 음반의 일부 곡들은 이스트햄프셔의 헤들리 그레인지 단지에서 세션 동안 처음 시도되었던 〈No Quarter〉와 같은 초기 세션에서 시도되었다. 기타리스트 겸 프로듀서인 지미 페이지와 베이시스트 겸 키보디스트 존 폴 존스는 모두 홈 스튜디오를 설치했고, 이를 통해 그들은 완전한 작곡과 편곡으로 스타그로브스에 도착할 수 있었다. = = 커버 아트 = = Houses of the Holy의 커버 아트는 아서 C. 클라크의 소설 유년기의 끝에서 영감을 얻었다. 커버는 북아일랜드 자이언트 코즈웨이에서 힙노시스의 오브리 파웰이 찍은 여러 장의 사진을 콜라주한 것이다. 이 장소는 페루에서의 대체 장소보다 앞서 선택되었다. 사진 촬영에는 스테판 게이츠와 사만다 게이츠라는 두 아이가 출연했다. 열흘에 걸친 답답한 사건이었다. 새벽과 해질녘의 빛을 포착하기 위해 아침과 해질녘에 먼저 촬영을 했지만, 끊임없는 비와 구름 때문에 결코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했다. 두 아이의 사진은 흑백으로 촬영해 멀티 프린트를 해 음반 커버에서 볼 수 있는 11명의 효과를 냈다. 결과는 불만족스러웠지만, 후기 제작에서 일부 우발적인 색조 효과가 적절한 커버를 만들어냈다. 내부 게이트폴드 사진은 코즈웨이 인근 던루스 성에서 촬영됐다. 2010년 2월, 스테판 게이츠는 BBC 라디오 4의 커버에 관한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 그는 그의 여동생이 동의하지 않았지만 이미지에는 뭔가 불길한 것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 음반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인정했다. 이 프로그램은 게이츠가 자이언트 코즈웨이로 돌아와 휴대용 플레이어로 음반을 듣는 것으로 끝났고, 이후 게이츠는 그에게서 엄청난 무게가 풀렸다고 말했다. Houses of the Holy는 그룹이 최초로 음색에 맞지 않는 노골적인 제목을 붙인 음반이지만, 이전 음반과 마찬가지로 밴드 이름도 음반 제목도 소매에 인쇄되지 않았다. 하지만, 매니저 피터 그랜트는 애틀랜틱 레코드가 레코드에 접근하기 위해 부서지거나 미끄러져야 하는 소매의 미국 카피에 랩으로 된 종이 타이틀 밴드를 추가하는 것을 허용했다. 1980년대 이 음반의 첫 번째 CD 발매에는 표지 자체에 타이틀 로고가 인쇄되어 있었다. 1974년 이 음반은 베스트 앨범 패키지 부문에서 그래미 어워드 후보에 올랐고, 이 커버는 2003년 VH1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커버 50위에서 6위로 평가되었다. 페이지는 음반 커버가 힙노시스가 제출한 두 번째 버전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는 아티스트 스톰 소거슨에 의해 테니스 라켓이 달린 전기 녹색 테니스 코트를 선보였다. 소거슨이 비주얼 펀으로 그들의 음악이 "라켓"처럼 들린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에 화가 난 밴드는 그를 해고하고 파웰을 대신 고용했다. = 분류:에이바르 = = 차르주의 = 차르주의(Tsarism, 차리즘)은 모스크바 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그리고 이후 러시아 차르국 및 러시아 제국의 전제군주제를 말한다. 차르주의 전제군주제에서는, 국가의 모든 부와 권력이 차르에 의해 제어되고 분배되었다. 러시아의 군주제에서는 의회를 비롯한 제어수단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차르는 서유럽의 군주들에 비해 더 막강한 권력을 누렸으며, 심지어 서유럽 군주들이 독점하지 못한 종교적 권위까지 가질 수 있었다. 보통 이반 3세를 차르주의의 시조로 보며,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무너진 것으로 취급된다. 하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차르주의의 전통이 소련의 전체주의에 적게나마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 HD 213051 = = 다니알 아흐메토프 = 다니알 켄제타율르 아흐메토프(, , 1954년 6월 15일 ~ )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으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카자흐스탄의 총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카자흐스탄의 국방장관을 지냈다. = 1152년 = = = 연호 = = 남송(南宋) 소흥(紹興) 22년 금(金) 천덕(天德) 4년 일본(日本) 닌페이() 2년 서하(西夏) 천성(天盛) 4년 리 왕조(李朝) 다이딘(大定) 13년 = = 기년 = = 남송(南宋) 고종(高宗) 26년 금(金) 해릉양왕(海陵煬王) 4년 고려(高麗) 의종(毅宗) 6년 서하(西夏) 인종(仁宗) 13년 리 왕조(李朝) 영종(英宗) 15년 = = 사건 = = 5월 18일 - 헨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결혼 = = 탄생 = = 고려(高麗)의 22대 국왕(國王) 강종(康宗) = 1 E7 s = 107 s 미만 107 초 = 115.74 일 (약 3개월 25일) 128.6 일 툴륨-170의 반감기 138 일 폴로늄-210의 반감기 224.701 일 금성의 공전 주기. 271.79 일 코발트-57의 반감기 280 일 인간의 평균 임신 기간 330 일 바나듐-49의 반감기 333.5 일 캘리포늄-248의 반감기 353~355 일 태양태음력의 일년. 354.37 일 달의 12 삭망월 - 음력의 평균 일년. 365 일 태양력에서 평년의 일년. 365.24219 일 2000년 기준의 평균 1 태양년. 365.2424 일 지구의 공전 주기. 365.2425 일 그레고리력의 평균 일년. 365.25 일 율리우스력의 평균 일년. 365.2564 일 1 항성년 366 일 태양력에서 윤년의 일년. 373.59 일 루테늄-106의 반감기 383~385 일 태양태음력에서 윤년의 일년. 383.9 일 달의 13 삭망월 - 음력의 평균 윤년. 396.1 일 넵투늄-235의 반감기. 462.6 일 카드뮴-109의 반감기. 1.88년 = 화성의 공전 주기 1.92년 툴륨-171의 반감기 108 초 = 1157일 = 3.2년 108 s 이상 =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 =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高速道路情報通信工團)은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시스템 등 고속도로 정보통신시설을 통합관리하기 위하여 1996년 대한민국 건설교통부 산하 한국도로공사가 100% 출자하여 설립한 공공기관이었다.고속道 정통공단 노조 정상근무 경기일보2002년 2월 10일'검찰 수사' 대보정보통신, 도로공사 물량 8년간 독점더벨2014년 9월 18일 고설봉 기자대보그룹 검찰수사, 도로공사로 불똥 튀나비즈니스포스트2014년 9월 17일 오대석 기자 2002년 대보그룹이 인수하여 민영화되었다.최등규 대보그룹 회장의 ‘무너진 꿈’ 뉴스웨이2014년 12월 16일 김지성 기자 = = 연혁 = = 1996년 6월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 설립 (한국도로공사 100% 출자) 1997년 1월 고속도로 정보통신시설 통합유지관리 사업 수행 개시 1997년 11월 자본금 27억원 증자 (총자본금60억원) 1999년 7월 기업부설연구소 인가 2002년 1월 공기업 선진화방안에 따른 민영화 완료 (최대주주: 대보그룹)고속도관리공단 매각 급물살 《한국건설신문》2002년 7월 15일 2005년 10월 DB정보통신으로 명칭 변경DB정보통신, 대보정보통신으로 사명 변경《디지털데일리》2013년 3월 15일 이상일 기자 2013년 3월 대보정보통신으로 명칭 변경 = 빗살무늬토기 = 빗살무늬토기 또는 즐문토기(Comb Ceramic)은 빗 모양의 도구에서 기하학적 패턴을 적용한 토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유형의 토기는 발트해, 핀란드, 볼가강 상류, 시베리아 남부, 바이칼 호수, 몽골 고원, 요동반도 및 한반도에 널리 분포했다.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토기는 랴오둥 문명의 유적인 싱룽와 문화(기원전 6200년 - 5400년)에서 발견된다.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in Japanese)A Zhimin (1988) "Archaeological research on neolithic China" Current Anthropology = = 역사 = = = = = 한국 = = =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기장과 기타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정착하기 시작하여 씨족 사회를 형성했다. 그들은 돌을 갈아서 다양한 연삭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 중 신석기시대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토기이다. 서울 암사동, 평양, 김해 가리 등이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 유적지이다.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에 대한 최초의 지식은 1916년 도리이 류코(鳥井龍子)가 조사한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일대에서 발견된 석기시대 유적지와 유물에서 시작됐다. 이후 후지타 류사쿠는 한반도의 융단토기문화와 북유라시아의 신석기토기문화를 연결하는 북방체제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북방계보론은 8·15 해방 이후 남북 학계의 신석기토기 인식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유적지 발굴과 연구를 통해 반박되고 있다. = = 생산방식 = = 빗살토기는 삼국시대의 토기와 달리 물를 이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제작하였으며, 주로 원형의 점토띠를 쌓는 압연법을 사용하고 다양한 성형법, 회전법 등을 이용하였다. 빗살무늬토기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조 없이 노천 가마에서 소성된다. 다만 평양 포대터, 김천 진조리터, 진주 평미동터 등에서 특정 구조의 가마가 발견되고 있어 신석기시대 중기부터 보다 발전된 가마 시설이 이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빗살무늬토기는 산화염기 상태에서 약 600~700℃의 온도에서 소성되는데, 대부분의 빗살무늬토기는 적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 = 문화 = = 빗살무늬토기 문화 - 핀란드, 발트해 및 러시아 줄문토기 문화 - 한반도 = 분류:2002년 해체된 단체 = = 분류:인도네시아의 테니스 = = 김천모암초등학교 = 김천모암초등학교는 경상북도 김천시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50.06.10 금릉학원에서 개교 1950.11.03 현재 본교로 이전 1996.03.01 김천모암초등학교로 개명 2002.02.28 학교경영 우수교 표창 2003.02.28 저축 유공 우수교 표창 2005.01.31 2004 학교경영 우수교 표창 2005.05.31 제3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테니스부 단체전 1위(4연패) 2007.05.31 제36회 전국소년체육대회, 테니스부 단체전 1위 2008.12.26 학교평가 우수교,자율장학공모제 우수교, 유치원 평가 최우수 유치원 2010.03.01 제26대 장재민 교장 부임, 11학급 편성(특수학급 1 포함) 2012.03.01 제27대 이재건 교장 부임, 10학급 편성(특수학급 1포함) 2013.03.01 9학급 편성(특수학급 1포함) 2013.09.01 제28대 이용대 교장 부임 2013.12.31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표창(교육감) 2015.03.01 8학급 편성(특수학급 1포함) = 산파카 = 산파카(Cuniculus taczanowskii)는 굴을 파서 생활하는 작은 설치류의 일종으로 고지대 남아메리카 숲에서 서식한다. 파카는 야행성 동물이며, 이주하지 않고 한 곳에서 홀로 생활하며, 세력권세 습성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주로 열매와 씨앗을 먹는다. 산파카는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그리고 볼리비아의 안데스산맥 산림에서 주로 서식한다.Woods, C. A. and C. W. Kilpatrick. 2005. Hystricognathi. Pp 1538–1600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 분류:유럽 의회 의장 = = 왕카멜레온 = 왕카멜레온(Oustalet's chameleon) 또는 말라가시자이언트카멜레온(Malagasy giant chameleon)은 마다가스카르 전역이 원산지인 카멜레온의 큰 종이지만, 케냐의 나이로비 근처(현재 상태는 불분명하지만)와 미국의 마이애미데이드군에도 도입되었다. 심지어 마을 내의 퇴화된 초목 사이에서도 광범위한 서식지에서 발생하지만, 일차림의 내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문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왕카멜레온은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이며 섬 전체에서 발견된다. 건조한 낙엽수림, 습한 상록수림, 산지 사바나, 황폐화된 숲, 농업 지역 및 심지어 도시 환경을 포함한 매우 광범위한 서식지 유형에서 서식한다. 숲 내부 깊숙한 곳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가장자리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 = 묘사 = = 왕카멜레온은 최대 총 길이(꼬리 포함)가 68.5cm(27인치)로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카멜레온 종으로 간주된다. 유난히 큰 파슨카멜레온과 멜러카멜레온이 훨씬 더 긴 길이를 가진다고 주장되었지만, 여전히 검증되지 않았다. 왕카멜레온은 상대적으로 날씬하고 그 무게는 더 튼튼한 다른 큰 카멜레온 종들, 특히 파슨카멜레온을 능가한다. 왕카멜레온의 큰 성인 수컷은 보통 400~500g (14~18온스)이지만, 더 낮은 무게는 흔하고 암컷은 지속적으로 무게가 덜 나간다. 암컷은 또한 수컷보다 전체 길이가 약 40cm (16인치)로 상당히 작다. 머리는 여러 개의 볏이 있는 높은 주머니 모양을 가지고 있고, 45개 이상의 작은 삼각형 가시로 구성된 등쪽 볏이 척추를 따라 달려 있다. 왕카멜레온의 색깔은 매우 다양하다. 수컷은 보통 대부분 회색이나 갈색을 띠며, 때때로 붉은 오렌지색의 발 또는 아랫부분이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더 다양하고 종종 더 다채로우며, 기본색이나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표시가 가능하며, 눈꺼풀은 때때로 파란색일 수 있다. = 분류:골든 글로브 각본상 수상자 = = 틀:여성폭력 = = = 더 보기 = = 틀:남성폭력 관련된 성 중립적 폭력 틀: * * * = 분류:미국의 주별 과학 박물관 = = 분류:인도네시아 탐험가 = = 폰타두솔 (카보베르데) = 폰타두솔은 카보베르데 산투안탕섬 북부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2,143명(2010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히베이라그란드시에 속한다. 히베이라그란드에서 북서쪽으로 4km, 포르투노부에서 북쪽으로 2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영재 육성 프로젝트 99%의 도전 = 영재 육성 프로젝트 99%의 도전은 SBS에서 2001년 방송되었던 초특급 일요일 만세의 코너 프로그램이다. 영재 선발 프로그램의 원조 격인 프로그램이다. 선발될 경우 JYP에 입사할 기회를 얻는다. = = 출연자 = = 조권 맹지나 선예 지소울 장서희 구슬기 이상지 송이랑 오윤 메이다니(우승) = 틀:아제르바이잔의 대외 관계 = = 분류:영국의 코미디 텔레비전 프로그램 = = 10개의 인디언 인형 = 10개의 인디언 인형(Ten Little Indians, )은 소련에서 제작된 스타니슬라브 고보룩힌 감독의 1987년 범죄, 미스터리 영화이다. 블라디미르 젤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블라디미르 젤딘 타티아나 드루비치 = = = 조연 = = = 알렉산드르 압두로프 알렉산드르 카이다노프스키 알렉세이 자르코프 아나톨리 로마신 비아체슬라프 자리코프 표도르 오디노코프 = = 제작진 = = 원작자: 아가사 크리스티 미술: 발렌틴 기둘야노프 = 설해 = 설해는 다음을 의미한다. 설해(雪害): 눈으로 발생한 자연 재해 《설해》: 2015년 1월 8일에 개봉한 김정권 감독의 한국영화 = 분류:남아메리카의 벌목 = = 야무라정 = 야무라정은 야마나시현 미나미쓰루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현재의 쓰루시에 해당한다. = 에히도 (동음이의) = 에히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에히도: 공동체가 땅의 소유권이 아닌 용익물권을 갖는, 농업에 사용되는 공동 토지 에히도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메리다주의 도시 엘에히도: 스페인의 지역 = 분류:고양시의 역사 = = 키프로스 1부 리그 = 키프로스 1부 디비전은 키프로스의 최상위에 위치한 축구 리그이다. 키프로스리그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리그 마르핀 라이키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이는 후원사인 라이키 은행의 명칭을 딴 것이었다. 2016년부터는 키프로스의 이동 통신사인 CYTA사의 명칭을 따서 공식적으로 Cyta 챔피언십이라고 불리고 있다. 1934-35시즌부터 시작된 키프로스 리그는 2006-07시즌까지 범키프로스 챔피언십 또는 키프로스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존재하였고, 현재는 Cyta 챔피언십으로 불린다. = = 역사 = = 키프로스에 축구가 도입된 것은 20세기에 영국으로부터였다. 처음에는 학교에서 경기가 이루어졌고, 곧 몇 개의 팀이 생기면서 최고의 인기스포츠로 자리매김해갔다. 1911년부터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의 설립과 함께 1932년에 첫 대회이자 비공식대회인 키프로스 챔피언십 대회가 만들어질때까지 많은 클럽팀들이 탄생하였다. 매 시즌마다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팀들은 바뀌었는데, 이는 몇몇 팀간의 분쟁 때문이었다. 축구팀이 점점 더 많이 설립되면서, 많은 팀들이 정규스포츠로서의 통합화된 공식적인 대회를 설립하는 데 협의를 하였다. 그리고 1934년 9월에 키프로스 축구 협회(CFA)가 만들어졌고, 공식적인 키프로스 챔피언십과 키프로스컵이 매년 개최되었다. 1935년의 첫 번째 챔피언십 우승 팀은 트라스트 AC였는데 이팀은 3년 후인 1938년에 해체되었다. 1930년대에는 APOEL FC가 독주하였는데, 1940년대 초까지 다섯번의 우승을 가져갔다. 전 세계의 다른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키프로스 챔피언십도 2차 세계대전 때문에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중지되었었다. 2차 대전의 결과로 그리스 내전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그리스인들 사이의 많은 광신도에 의해 야기되었다. 키프로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 때문에, 스포츠를 포함한 키프로스 사회에도 많은 영향이 있었다. 1948년에는 몇몇 클럽팀들이 정치적으로 연관되어서 전쟁에 책임이 있는 좌익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이러한 팀의 몇몇 축구선수들은 자신의 팀을 비난하였으나, 팀으로부터 곧 제명당하였다. 제명당한 선수들은 새 클럽을 만들고, 그들만의 협회와 그들만의 대회를 만드는 데 협조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1953년까지 키프로스에는 두개의 축구협회가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1953년에 두개의 축구협회는 키프로스 축구 협회로 통합하였고, 1948년에 따로이 만들어진 팀들은 키프로스 축구 협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이중 오직 AC 오모니아만이 1부 리그에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 시즌부터 많은 클럽이 더 참가하였기 때문에 승격 및 강등제가 키프로스 축구에서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통합된 키프로스 챔피언십은 단 두 시즌 만에 분열되었다. 체틴카야 투르크 SK라는 팀은 터키계 키프로스인이 설립한 축구팀이고 1934-35시즌부터 1부리그에 참가해왔던 팀인데, 1955년에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것을 포기하고 다른 터키계 키프로스팀들과 키프로스 터키 축구 협회를 설립하여 그들만의 대회를 만들었다. 이러한 행동의 배후에는 정치적인 면이 깔려 있었는데, 터키계 키프로스인의 지도부가 섬의 분할을 지지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협회는 지금까지도 공인받지 못하고 있고, 이 협회에 소속된 팀들은 국제 대회에서 경기를 하지 못한다. 1960년에 키프로스가 독립이 되면서 키프로스 축구 협회는 1962년에 유럽 축구 연맹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1963년부터 키프로스 챔피언은 유러피언 컵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고, 컵대회 우승 팀은 UEFA 컵 위너스컵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1971년부터 1부리그 준우승 팀은 UEFA 컵에 나가게 되었다. 1967년부터 1974년까지 키프로스 우승 팀은 그리스 1부 리그에 진출할 수 있었는데, 강등되었을 경우에는 다음 시즌의 키프로스 챔피언으로 대체되었다. 키프로스 팀들은 그리스 1부 리그에서 1974년의 APOEL FC를 제외하고는 매시즌마다 강등당하였다. 그러나 그 해에 벌어진 터키군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하여 APOEL FC는 리그를 기권할 수밖에 없었다. 1964년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 간의 키프로스 폭동으로 인하여 1963-64 시즌의 키프로스 챔피언십은 중지되었다. AC 오모니아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13시즌 동안 12번을 우승하면서 그 시대를 주름잡았다. 1976년에 오모니아의 선수인 소티리스 카이아파스는 39골을 기록하여 유럽을 통틀어 최다 득점자가 되어 유러피언 골든슈의 영예를 차지하였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는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가 독주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의 패배는 단 한 번이었는데 1996년에 기록된 것이 그것이다. = = 구성 = = 현재 구성 2022-23 시즌부터 14개 클럽이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키프로스 리그는 스플릿 시스템을 적용해서 각 클럽간 두번씩 경기를 하여 매 시즌마다 26라운드의 경기를 펼친다. 정규 시즌 순위에 따라 상위 7개팀은 상위 스플릿, 하위 7개팀은 하위 스플릿으로 간다. 상위 스플릿 팀들은 리그 챔피언과 유럽 대항전 티켓을 다투고 하위 스플릿 팀들은 강등을 놓고 다투게 되는데 최하위 두팀은 곧장 키프로스 2부 리그로 강등된다. 우승 팀과 2위팀은 각각 UEFA 챔피언스리그 3차예선, 2차예선에 진출할 수 있게 되고, 리그 3~4위 팀은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2차 예선에 참가하게 된다. 키프로스컵 우승 팀은 UEFA 유로파리그 조별예선에 진출한다. 만약 컵 우승팀이 리그에서 유럽대항전 진출권 순위라면 5위팀이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에 진출하고, 그중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순위라면 3위팀에게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이 주어진다. 스플릿 시스템의 도입 1989-90 시즌부터 1부 리그는 13개 팀으로 리그를 진행했었던 1994-95 시즌을 제외하면, 계속 14개 팀으로 우승과 강등팀들을 정했다. 해마다 우승과 유럽 대항전 진출권의 최상위팀들과 강등팀들이 고착화되고 매 시즌 우승이나 유럽 진출 및 강등과도 거리가 먼 중위권 팀들이 생겨나면서 리그 전체적인 수준 저하 우려와 리그의 흥행을 위해 몇 년간 팀의 수를 줄이는 것에 대한 의견이 나오고 있었다. 이에 2007년, 키프로스 축구 협회는 키프로스 리그를 기존의 전통적인 정규리그 구조에서 스플릿 시스템으로 바꾸었다. 2007-08 시즌부터 2012-13 시즌까지 14개 팀 중 정규 시즌 최하위 2개팀은 곧장 강등되고 나머지 12개팀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우승팀과 강등팀을 정했다. 2013-14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는 정규 시즌이 끝난 후 나머지 12개팀을 2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2018-19 시즌부터 2개팀을 줄여 총 12개 팀으로 운영하였고, 2022-23 시즌부터는 다시 14개 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 = 참가팀 = = 2023-24 시타 챔피언십 참가팀 2023-24 시타 챔피언십 참가팀 2023-24 시타 챔피언십 참가팀 2023-24 시타 챔피언십 참가팀 구단명 순위(2023-24) 연고지 창단연도 아리스 우승 리마솔 1930 아포엘 위 니코시아 1926 AEK 위 라르나카 1994 파포스 위 파포스 2014 아폴론 위 리마솔 1954 오모니아 위 니코시아 1948 아노르토시스 위 라르나카 1911 네아 살라미스 위 라르나카 1948 AEL 위 리마솔 1930 카르미오티사 위 리마솔 1979 독사 위 니코시아 1954 오텔로스 아티에누 2부 리그 우승 아티에누 1933 자카키우 2부 리그 2위 자카키 1956 에트니코스 아흐나스 2부 리그 3위 아흐나 1968 = = UEFA 리그 계수 순위 = = 2023년 6월 10일 기준 순위 리그 점수 19 수페르리가 25.225 20 리갓 하알 25.000 21 Cyta 챔피언십 24.475 22 알스벤스칸 23.750 23 프리미어리그 21.882 = 분류:국제 여자배구 대회 = = 포털:대한민국/하부/대한민국의 소식 = = 킬링 미 소프트리 = 킬링 미 소프트리(Killing Me Softly)는 영국에서 제작된 천카이거 감독의 2002년 스릴러 영화이다. 헤더 그레이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마이클 치니치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헤더 그레이엄 조셉 파인즈 나타샤 맥켈혼 = = = 조연 = = = 헬렌 그레이스 이안 하트 제이슨 휴즈 키카 마크햄 율리히 톰센 로난 비버트 = = 제작진 = = 원작자: 숀 프렌치 Line PD: 도나 그레이 미술: 젬마 잭슨 의상: 포비 드 게이 Ass-PD: 안나 치 배역: 수지 피기스 = 분류:2015년 청소년 축구 = = 제니퍼 프리먼 = 제니퍼 프리먼(Jennifer Freeman, 1985년 10월 20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마이 와이프 앤 키즈 시즌 5 마이 와이프 앤 키즈 시즌 4 마이 와이프 앤 키즈 시즌 3 마이 와이프 앤 키즈 시즌 2 = = 영화 = = 트루 투 더 게임 (2017년) 폴링 어웨이 (2012년) - 에밀리 역 제이다 (2008년) - 자스민 역 더 라스트 런 (2004년) 존슨 가족의 휴가 (2004년) - 질 역 유 갓 서브드 (2004년) - 린야 역 = 분류:잔장시 출신 = = 엑스페션 = 엑스페션(, 1992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현재 프로게임단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아이디는 Expession이다. 포지션은 탑 라이너였다. = = 선수 시절 = = 팀 헌터스에서 프로게이머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2년 5월 30일, 나진 화이트 실드에 입단했다. 2013년 6월 15일, 형제팀인 나진 블랙 소드로 소속을 옮겼다. 2013 NLB 서머에서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3 롤드컵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015년 6월 30일, 롱주 게이밍에 입단했다. 롱주에서는 팀의 주전으로 활동했다. 2017 스프링 시즌에서는 팀의 주전 탑 라이너로 활약하면서 팀을 이끌었다. 2017년 9월, 은퇴를 선언했다.'엑스페션' 구본택, 은퇴 발표 "5년 동안 재미있었다" = = 지도자 생활 = = 2019년 3월, DRX 챌린지팀의 코치로 부임했다. 2021년 2월 8일, DRX의 2군팀 감독으로 부임했다.'엑스페션' 구본택, DRX 2군 감독 부임 2022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 = 소속팀 = = = = = 선수 = = = # 팀명 소속 기간 소속 리그 비고 1 팀 헌터스 2 나진 화이트 실드 2012.05.30~2013.06.05 LCK 3 나진 블랙 소드 2013.06.15~2014.02.05 LCK 4 롱주 게이밍 2015.06.30~2017.05.23 LCK = = = 지도자 = = = # 팀명 직책 소속 기간 소속 리그 비고 1 DRX 아카데미 코치 2019.03.24~2021.02.08 LCK 2 DRX 2군 감독 2021.02.08~2022.11.22 LCK = = 수상 내역 = = Go4LoL 프로 아시아 시즌 1 3위 기가바이트 스타스워 리그 4강 이엠텍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스프링 2013 준우승 기가바이트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서머 2013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4강 ZOTAC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윈터 2013-2014 준우승 네네치킨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서머 2015 리그 2 준우승 IEM 시즌 11 오클랜드 4강 = 이준석 (동음이의) = 이준석은 다음 사람 등을 가리킨다. 이준석(1945년~) -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세월호의 선장 이준석(1985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민의힘 전 대표 이준석(1986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준석(1988년~) - 오스트레일리아의 골프 선수 이준석(1997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준석(2000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콘치 공화국 = 콘치 공화국은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에 위치한 마이크로네이션이다. 매년 4월 23일은 독립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몰린다. = = 개요 = = 1982년 미국 국경경비대(United States Border Patrol)가 마약과 불법체류자의 유입을 막기 위해 국도 제1호선을 봉쇄하고 차량에 대한 검문을 실시했다. 이 여파로 인해 키웨스트에서는 상습적인 교통 정체가 일어났고 관광객이 급감하게 된다. 키웨스트 시 의회는 키웨스트를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키웨스트의 중요한 관광 산업을 훼손하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키웨스트 시 의회는 법원에 미국 연방 정부의 봉쇄 금지령이 무효임을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82년 4월 23일 당시 키웨스트 시장을 역임하고 있던 데니스 워들로(Dennis Wardlow)와 키웨스트 시 의회는 콘치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포했다. 콘치 공화국의 총리를 자처한 워들로 시장은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지만 1분 만에 항복을 선언했고 10억 달러 규모의 대외 원조를 요청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국도 봉쇄와 검문은 폐지되었고 키웨스트의 관광에 새로운 길을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 이승철 (동음이의) = 이승철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이승철(1966 ~ )은 대한민국의 가수, 음악가이다. 이승철(1950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승철(1957 ~ )은 경기도의원이다. 이승철(1958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이승철(1959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이승철(1961 ~ )은 대한민국의 음향효과 전문가, 녹음감독이다. 이승철(1964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승철(1979 ~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이다. 이승철(1994 ~ )은 대한민국의 가수 청슬의 본명이다. = 심슨 직선 = 기하학에서 심슨 직선은 삼각형의 외접원 위의 점을 지나는 각 변의 수선의 발을 지나는 직선이다. = = 정의 = = 삼각형 ABC 및 같은 평면 위의 점 P가 주어졌다고 하자. P를 지나는 변 BC, CA, AB의 수선의 발을 D, E, F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D, E, F는 한 직선 위의 점이다. P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 위의 점이다. 만약 P가 삼각형 ABC의 외접원 위의 점이라면, D, E, F를 지나는 직선을 삼각형 ABC에 대한 점 P의 심슨 직선이라고 한다. 만약 P가 삼각형 ABC의 외접원 위의 점이 아니라면, 삼각형 DEF를 삼각형 ABC에 대한 점 P의 수족 삼각형이라고 한다. 점 P가 외접원 위의 점이라고 가정하자. 꼭짓점 A를 지나는 외접원의 지름을 AA'이라고 하자. 편의상 P가 호 BA' 위의 점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D, E는 선분 BC, CA 위의 점이며 F는 선분 AB의 연장선 위의 점이다. 또한 PD, PE, PF가 BC, AC, AB의 수선이므로 사각형 AEPF, BDPF, CEDP는 내접 사각형이며, P가 외접원 위의 점이므로 사각형 ABPE 역시 내접 사각형이다. 따라서 이다. 즉, D, E, F는 한 직선 위의 점이다. 반대로 D, E, F가 한 직선 위의 점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P는 삼각형의 한 꼭짓점에서의 내각의 내부에 속하며, 대변에 대하여 그 꼭짓점의 반대쪽에 있다. 편의상 P가 내각 \angle A의 내부에 속하며 대변 BC에 대하여 A의 반대쪽에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각형 CEDP, BDPF는 내접 사각형이므로 이다. 사각형 AEPF 역시 내접 사각형이므로 가 성립한다. 따라서 사각형 ABPC 역시 내접 사각형이며, P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 위의 점이다. = = 성질 = = 삼각형 ABC에 대한 외접원 위의 두 점 P, Q의 심슨 직선 사이의 각의 크기는 외접원의 호 PQ의 중심각의 크기의 1/2과 같다. 점 P를 지나는 변 BC, AC, AB의 수선의 발을 D, E, F라고 하고, 직선 PD와 외접원의 다른 한 교점을 P'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AP'와 심슨 직선이 평행하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점 B를 지나는 외접원의 지름을 BB'이라고 하고, 편의상 P가 호 AB' 위의 점이라고 하자 (그 밖의 경우의 증명은 유사하다). 그렇다면 사각형 APCP', PCDE는 내접 사각형이므로 이다. 따라서 AP'와 심슨 직선 DE는 평행한다. 삼각형 ABC에 대한 외접원 위의 두 대척점 P, Q의 심슨 직선은 서로 수직이며, 구점원 위의 점에서 만난다. 삼각형 ABC에 대한 외접원 위의 점 P의 심슨 직선은 P와 수심 H 사이의 선분 PH를 이등분하며, 이 이등분점은 심슨 직선과 삼각형 ABC의 구점원의 한 교점이다. = = = 포락선 = = = 주어진 삼각형에 대한 심슨 직선들의 족의 포락선은 델토이드 곡선이며, 이를 슈타이너 하이포사이클로이드라고 한다. = 나미아이촌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2006년) = 나미아이촌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2006년 1월 1일 아치촌에 편입 합병되었다. = = 지리 = = 사방이 1,000m급 산들로 둘러싸인 골짜기 마을이다.촌내를 산슈 가도(국도 153호)가 종관하고 있는 교통의 요충지로 에도 시대에는 관소가 놓여 있었다. 마을의 남부, 히라타니 촌과의 촌경에 있는 지부자카 고개 주변은 예로부터 관광지화되어 중경권으로부터의 관광객이 많다. = = 역사 = = 1934년 4월 1일 - 나미아이촌이 분할해 성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 아치촌에 편입되었다. 동일 나미아이촌은 폐지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국도 153호선 = 분류:발레아레스 제도의 축구단 = = 창전동 (이천시) = 창전동(倉前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의 중앙에 위치한 동이다. = = 개요 = = 창전동은 원래 ‘창고의 앞쪽 마을’이라는 뜻으로 1914년 리의 개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창전리(倉前里)와 사고전리(司庫前里) 2개의 마을이었다. 이곳에 이천부 관아에 예속된 각종 창고가 있었는데, 창전리나 사고전리 모두 이들 창고 앞에 위치한 뜻에서 나온 지명이라 한다. 현재의 창전동은 이천시의 심장부에 위치한 지역으로서, 주요 기관 및 시설이 집중해 있고 시 전체의 생필품을 공급하는 상가밀집 지역이기도 하다.창전동 인사말, 2020년 9월 21일 확인 = = 법정동 = = 창전동(倉前洞) = = 문화재 = = 이천향교 1983년 9월 19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22호로 지정되었다. 1401년 조선 태종 원년 감무 변인달이 부임하여 대성전을 세우고 안흥리(安興里)에 있던 안흥정사의 생도들을 이곳으로 옮겨와 학문을 닦게 하고 첫 제향했다고 한다. 공자의 탄생일인 매년 음력 8월 27일 ‘석전제’를 연다. = 분류:스위스의 골프 = = 분류:아밀카레 폰키엘리의 작품 = = 보디가드 (2003년 드라마) = 보디가드는 2003년 7월 5일부터 9월 14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주말연속극이다. = = 기획 의도 = = 젊은이들 사이에 급부상하고 있는 보디가드의 세계관을 연출하여, 보디가드로서의 사명감을 완수하는 젊은이들의 사랑과 우정을 통해서, 나약하게만 느껴지는 우리 시대의 젊은이들이 정정당당하고 뜨겁게 살아가는지를 다각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청춘 드라마.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차승원 : 홍경탁(30세) 역 - 최종학력 고졸, 경호업체 취직 임은경 : 김나영(20세) 역 - 여고 졸업, 경탁 부의 가게에서 일함 한고은 : 박유진(27세) 역 - 신애의 보디가드 = = = 주변 인물 = = = 송일국 : 한성수(29세) 역 - 사설경호업체 사장 이세은 : 한신애(23세) 역 - 성수의 여동생, 모델 이원종 : 방만복(34세) 역 - 현직 형사, 경탁의 절친한 선배, 태성의 군 동기 백일섭 : 경탁 부(50대 후반) 역 - 홍탁네 감자탕집 운영 박정수 : 경탁 모(50대 초반) 역 - 홍탁네 감자탕집 운영 장세진 : 최태성(34세) 역 - 전직 대통령 경호실 출신 김영옥 : 나영의 외조모(60대 초반) 역 윤용현 : 유성(28세) 역 - 경탁의 동네 후배 김영준 : 세준(23세) 역 - 경탁의 동네 후배, 컴퓨터 도사 마야 : 홍경미(20세) 역 - 경탁의 여동생, 나영의 친구 이주석 : 윤식 역 - 신애의 보디가드 임주완 : 이용철 역 - 성수의 심복 = = = 그 외 인물 = = = 신충식 : 한태웅 역 - 성수의 아버지, 서울그룹 회장 신귀식 : 김문석 역 - 나영의 아버지, 국민당 국회의원 김흥국 : 카메오 역 신정환 : 소매치기 역 현빈 : 한신애의 스토커 역 임채무 : 정원익 역 - 국회의원, 대통령 후보 정주은 공재원 홍승모 한춘일 최윤준 구중림 최은석 이영진 전원주 송금식 홍여진 = = 수상 경력 = = 2003년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남자 인기상 차승원 2003년 KBS 연기대상 여자 인기상 한고은 2003년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마야 = = OST = = 2003년 7월 25일에 발매된 보디가드 OST는 마야, 심신, 명인희, 이민영, 제아 등이 참여하였다. Cool 하게 사랑은 아름답죠 - 명인희 그날 이후로 - 이민영 사랑한다고 말했잖아요 - 제아 You're My Hero 쿨~하게! (Rap By 터틀맨&지이) - 마야 It's In The Bag Tonight 날려버려~ 그대만 바라보면 - 이민영 Cool 하게 쿨~하게! (Latin Ver.) - 심신 Hi-Five!! Fuerza De La Gravedad Cool 하게 Enamorate De Mi 사랑은 아름답죠 (inst.) 쿨~하게! (inst.) Spanish Fly (inst.) = = 참고 사항 = = 수목극으로 기획될 당시 줄거리는 청와대 경호실 소속의 소위 '잘 나가는' 경호원이 우여곡절을 겪는 내용이었지만, 출연진 중의 한 명인 차승원이 "소소하지만 사실적인 이야기 거리가 필요하다. 그것이 주말드라마가 15~16세 위주의 미니시리즈와 다른 점이다"라 말하며 대본의 긴급 수정을 제안하여 결국 성공 스토리로 변경됐다. 홍경탁 역은 당초 주진모가 낙점됐으나 개인사정으로 포기하였고 차승원이 맡게 되었다. 또한 차승원이 3년만에 TV 드라마에 출연하게 된 경우이기도 하다. 임은경이 맡았던 나영 역은 당초 명세빈이 낙점됐으나 일간스포츠 장중호 사장과의 결혼설 탓인지 출연을 포기했다. 나영 역으로 낙점된 김민도 한국-중국 합작드라마 <독행시위> 녹화 스케줄과 겹쳐 출연을 포기하자 우여곡절 끝에 한고은이 낙점되었고 배역명도 유진으로 변경됐다. 당초 <완벽한 남자를 만나는 방법>에서 KBS 드라마본부의 전기상 PD와 호흡을 맞추었던 박예랑이 집필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담당 PD 전기상이 주진모와 김민을 주역으로 낙점시키자, 박예랑 작가는 하차하였다. 하지만 주진모와 김민은 하차를 선택했다. 주인공이 술집 사장에게 마구잡이로 폭력을 휘두르는 장면, 부모가 경영하는 식당에서 손님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완력을 동원해 손님을 위협하는 장면 등 지나친 폭력 남발로 인해 비난을 받았다. 30% 중반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흥행하였고 인기에 힘입어 연장설이 있었으나 연기자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었다. KBS 드라마본부의 담당 PD인 전기상은 <보디가드>에 앞서 중국정통 올로케 무협드라마 <사대신검>의 연출자로 낙점됐지만 공동 제작사 측에서 제작비 지원에 난색을 표명하여 무산된 바 있었다. = = 동일 소재 드라마 = = 열혈사제 (SBS 금토드라마) 모범택시 (SBS 금토드라마) = 분류:아이치현의 역 건물 = = 분류:장소별 슬로베니아 사람 = = 카게야마 토비오 = 카게야마 토비오(, 성우: 마에노 토모아키 [VOMIC], 이시카와 카이토 [TV판]/심규혁)는 하이큐!!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이다. = = 인물 = = 하이큐!!의 제2주인공이자 카라스노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소년. 검은 머리에 날카로운 눈매를 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2학년 때 일찍이 배구를 시작하였다. 중학생 시절 경기에서 히나타 쇼요를 만나면서 그에게 참패를 안기게 되어서 히나타의 설욕 대상이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카라스노 고교에 입학하여 남자 배구부에 들어갔을 때 히나타 쇼요와 만나게 되어 같은 소속 부원이 되었다. 날카로운 눈매답게 성격도 거칠고 사나운 편으로 알려졌지만 쿨하고 카리스마가 있는 스타일도 갖고 있다. 반면 공부는 못하고 오히려 칭찬받으면 쩔쩔매는 반전매력이 있다. 키타가와 제 1 중학교 출신으로 3학년 결승에서 그 누구도 치지 못할 토스를 날려 키타이치 배구부원들은 그를 '코트 위의 제왕' 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카게야마 토비오가 가장 싫어하는 별명이다. = 분류:카리브 제도의 속령별 지리 = = 건바운드 = 건바운드(GunBound)는 소프트닉스에서 제작한 온라인 대전 슈팅 게임이다. 수많은 일반적인 게임 플레이 기능을 공유하므로 웜즈 시리즈와 비교되었다. 오리지널 버전은 2002년 5월 한국에서 출시된 후 2003년 8월 전 세계에 출시되었다. 스핀오프 모바일 게임 건바운드M은 2017년 7월에 출시되었다. 뉴 건바운드라는 속편은 모바일용으로 2019년 9월에, PC용으로 2019년 9월에 발표되었다. 2020년 5월. PC 버전은 2020년 7월에 스팀에서 출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출시 상태로 남아 2021년 2월에 스팀에서 제거되었다. = = 게임플레이 = = 건바운드는 2차원 게임과 탄도 시뮬레이션 게임의 특성을 지닌 턴제 포병 게임플레이를 제공한다. 지형 조건, 바람의 흐름 및 원소 현상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플레이어는 목표와 궤적 파워 설정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전략을 재고해야 한다. 건바운드는 또한 모바일,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무기 및 아이템의 영향을 받는 "지연" 턴 시스템을 구현한다. 아이템을 사용하거나 행동에 시간을 들이면 플레이어의 다음 턴까지 더 오래 기다려야 한다. 모든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룸 마스터는 해당 게임 중에 특정 항목이 사용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항목을 모두 비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없다. 아이템은 1개 또는 2개의 슬롯을 차지하며 각 플레이어는 6개의 슬롯에 맞는 한 아이템 조합을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한 아이템은 두 개의 슬롯을 차지하고 약한 아이템은 한 개의 슬롯을 차지한다. 현재 4가지 유형의 항목을 사용할 수 있다. 공격 아이템, 방어 아이템, 날씨 아이템, 기타 아이템 등이 있다. = = 같이 읽기 = = 포트리스 2 = 분류:1975년 기재된 물고기 = = 아이피토스 = 아이피토스(Aepyto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제우스와 칼리스토의 후손으로서 엘라토스의 아들인 아이피토스는 클리토르로부터 아르카디아 왕국을 물려받아 다스렸는데, 사냥을 하다가 뱀에게 물려 죽었다. 엘라토스의 형제 아피다스의 아들 알레오스가 그의 왕위를 물려받았다. = 분류:사라예보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초안:프리게이트 섬 = = 갈고리벌레아목 = 갈고리벌레아목(Cymothoida)는 등각류에 속하는 갑각류 아목의 하나이다. = = 하위 과 = = 다음과 같은 상과와 과를 포함하고 있다. 마디벌레상과 (Anthuroidea) Leach, 1814 Antheluridae Poore & Lew Ton, 1988 마디벌레과 (Anthuridae) Leach, 1814 Expanathuridae Poore, 2001 Hyssuridae Wägele, 1981 Leptanthuridae Poore, 2001 오목꼬리마디벌레과 (Paranthuridae) Menzies & Glynn, 1968 갈고리벌레상과 (Cymothooidea) Leach, 1814 부채벌레과 (Aegidae) White, 1850 Anuropidae Stebbing, 1893 Barybrotidae Hansen, 1890 모래무지벌레과 (Cirolanidae) Dana, 1852 Corallanidae Hansen, 1890 갈고리벌레과 (Cymothoidae) Leach, 1818 큰턱벌레과 (Gnathiidae) Leach, 1814 Protognathiidae Wägele & Brandt, 1988 Tridentellidae Bruce, 1984 Cryptoniscoidea Kossmann, 1880 Asconiscidae Bonnier, 1900 Cabiropidae Giard & Bonnier, 1887 Crinoniscidae Bonnier, 1900 Cryptoniscidae Kossmann, 1880 Cyproniscidae Bonnier, 1900 Hemioniscidae Bonnier, 1900 Podasconidae Bonnier, 1900 새우살이벌레상과 (Bopyroidea) Rafinesque, 1815 새우살이벌레과 또는 십각기생과 (Bopyridae) Rafinesque, 1815 Colypuridae Richardson, 1905 Dajidae Giard & Bonnier, 1887 Entoniscidae Kossmann, 1881 Rhabdochiridae Richardson, 1905 = 틀:토막글/그림/보츠와나 = 틀:토막글/그림/아프리카 틀:토막글/그림/보츠와나 보츠와나 = 마커스 힉스 = 마커스 힉스(Marcus Hicks, 1978년 1월 21일 ~ 2023년 5월 30일)는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에서 활약했던 미국 출신 전직 농구 선수로 2001년에 고양 소노에 입단한 후 2003년까지 활약하였다. = = 선수 시절 = = 미시시피 대학교 졸업 후 2000-01 시즌을 앞두고 KBL의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에 입단한 뒤 2000-01 시즌 54경기 1408득점, 464개의 리바운드, 261개의 어시스트, 49개의 스틸, 173개의 블록슛의 맹활약으로 2000-01 시즌 최우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며 전 시즌 꼴찌에 머물렀던 팀을 창단 첫 KBL 챔피언으로 만들었고 2002-03 시즌에서도 53경기 1283득점, 435개의 리바운드, 196개의 어시스트, 64개의 스틸, 156개의 블록슛을 기록하며 팀을 2회 연속 챔피언결정전으로 끌어올렸다. 그리고 2002-03 시즌에서 팀을 2회 연속 챔프전 진출 및 첫 준우승으로 이끈 활약을 바탕으로 고양 소노와 재계약을 맺었지만 비시즌 도중 찾아온 허리 통증으로 시즌 아웃되었고 치료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간 뒤 다시는 KBL 무대로 복귀하지 못했다. 그렇게 허리 통증으로 1년동안 치료에만 전념하다가 허리 통증 회복 후 2004년에는 CBA의 야키마 선킹스에서, 2005년에는 프랑스 2부 리그의 대체 선수로 활동했으나 오래 가지를 못했고 이후 세미 프로리그를 전전하다가 2006년 현역에서 물러났다. = = 사망 = = 2023년 7월 24일 기사를 통해 5월 30일 사망했다는 소식이 뒤늦게 알려졌으나 사망 원인은 언급되지 않았으며 모교인 미시시피 대학교도 홈페이지를 통해 애도의 뜻을 표했다. = = 수상 = = = = = 클럽 = = = KBL : 우승 (2001-02), 준우승 (2002-03) = = = 개인 수상 = = = 한국프로농구 2001-02 최우수 외국인 선수상 한국프로농구 2001-02 플레이오프 최우수선수 한국프로농구 2002-03 최우수 외국인 선수상 한국프로농구 2002-03 올스타전 덩크슛 콘테스트 우승 한국프로농구 2002-03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상 = 레이철 트루 = 레이철 트루(, 1966년 11월 15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CB4 (1993) 뱀파이어 (1995) 크래프트 (1996) 어디에도 없는 영화 (1997) 투 트러블 (1998) 헌티드 아파트 (1999, The Apartment Complex) The Big Split (1999) Love Song (2000) 파티는 시작되었다 (2000, Groove) 뉴 베스트 프렌드 (2002, New Best Friend) The Perfect Holiday (2007) White Room: 02B3 (2012) - 단편 블러드 레이크: 어택 오브 더 킬러 램프리 (2014) = = = 텔레비전 = = = 베벌리힐스 아이들 (1990) 코스비 가족 만세 (1984) Once and Again (1999-2000) The Drew Carey Show (2002) = 니시구 (요코하마시) = 니시구는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를 구성하는 18개 구 중 하나이다. 구는 요코하마역부터 일본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가 있는 신 미나토미라이21 복합단지까지 뻗어있는 주요 상업 중심지를 포함한다. = = 지리 = = 구의 중앙은 저지대이고 북단과 남단은 고지대이다. 미나토미라이21 복합단지는 매립지에 세워졌다. 니시 구는 요코하마의 다른 네 개의 구인 나카구, 미나미구, 호도가야구, 가나가와구에 둘러싸여있다. = = 역사 = = 이 지역은 한 때 무사시국(현 가나가와 현}의 구라키 군과 다치바나 군에 속했다. 구는 예전에 도카이도의 역참이었던 가나가와주쿠와 호도가야주쿠를 포함하고 있다. 1901년과 1911년에 다치바나 군의 일부가 요코하마 시에 편입되었다. 요코하마의 구들은 1927년에 설립되었고 이 지역은 가나가와 구와 나카 구의 일부가 되었다. 1944년에 니시 구가 설치되었다. = = 교통 = = 동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선 요코스카 선 쇼난 신주쿠 라인 네기시 선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게이힌 급행 전철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사가미 철도 사가미 철도 본선 요코하마 시 교통국 요코하마 시 교통국 지하철 블루 라인 = = = 도로 = = = 슈토 고속도로 국도 1호선 국도 16호선 = 앨리스 블루 = 앨리스 블루는 오사카시의 게임 메이커 앨리스 소프트(구 챔피언 소프트)의 보이즈 러브 게임 브랜드이다. 2004년 7월 16일, 당분간 활동 휴지를 발표했다. = = 작품 리스트 = = 숨겨진 달 왕자님의 레벨 시리즈 왕자님의 레벨 1 왕자님의 레벨 1.5 왕자님의 레벨 2 내 밑에서 발버둥쳐라 낙원행 = 아카즈촌 = 아카즈촌은 아이치현 히가시카스가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세토시 남동부에 해당한다. = 분류:일본의 열차 = = 분류:코모로의 화산 = = 분류:팔레스타인의 정치 = = 비극은 없다 = 비극은 없다는 다음을 가리킨다. 《비극은 없다》는 1959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비극은 없다》는 1989년 6월 24일부터 6월 25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1TV 특집드라마이다. = 분류:나라별 록 가수 = =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토막글/기여/6등 = = 딜롱 = 딜롱(Dilong)은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하는 작은 공룡의 한 속이다. 중국 랴오닝성의 익시안층(Yixian Formation)에서 온전한 4구의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이 공룡은 가장 원시적인 초기의 티라노사우루스류 가운데 하나이며, 구안롱으로부터 진화되었고, 티라노사우루스 보다 약 6천만 년 이나 7천만 년 전에 살았다. 몸에 깃털을 가졌기 때문에 이름은 깃털 달린 티라노사우루스를 연상하는 뜻으로 지어졌다. 딜롱은 중국어로 제왕을 뜻하는 帝(di)와 용을 뜻하는 龍(long)이 결합되어 황제룡이라는 뜻으로 명명되었다. 딜롱의 깃털은 턱과 꼬리의 화석화된 피부 인상에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그 깃털은 중심 깃촉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새의 깃털에서처럼 날 수 있도록 발전된 것이 아니라 보온을 위해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캐나다 앨버타나 몽골에서 발견되는 티라노사우루스류 성체의 피부 흔적에는 다른 전형적인 공룡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비늘 자국이 나타난다. 그래서 아마도 새끼 때 깃털을 가졌다가 자라면서 서서히 빠져버리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공룡은 초기 공룡들이 어떻게 체온을 조절했는가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상대적으로 긴 앞다리에는 세 개의 앞발가락이 있고, 특이한 사각형 모양의 주둥이를 갖고 있다. 모식종은 딜롱 파라독수스(Dilong paradoxus)이다. = 터미널 스피드 = 터미널 스피드(Terminal Velocity)는 미국에서 제작된 데란 사라피안 감독의 1994년 액션, 스릴러, 미스터리 영화이다. 찰리 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톰 엥겔맨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찰리 쉰 나스타샤 킨스키 = = = 조연 = = = 제임스 갠돌피니 크리스토퍼 맥도날드 게리 불락 한스 호우즈 멜빈 반 피블즈 설리 맥컬러프 캐스린 드 프럼 리처드 C. 사라피안 = = 기타 = = 공동제작: 조안 브래드쇼우 미술: 데이비드 L. 스니더 의상: 포피 캐논-리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 = = = = = KBS (1997년 9월 15일) = = = 김환진 - 디치(찰리 쉰) 송도영 - 크리스(나스타샤 킨스키) 유해무 - 핑크워터(제임스 갠돌피니) 강구한 - 커(크리스토퍼 맥도날드) 김규식 김창주 김정주 차명화 김순영 성완경 장호비 = = = SBS (2005년 6월 18일) = = = 구자형 - 디치(찰리 쉰) 문선희 - 크리스(나스타샤 킨스키) 장광 - 핑크워터(제임스 갠돌피니) 문영래 임성표 김태웅 김강산 정미연 신상숙 김호성 변영희 김지혜 채의진 = 분류:일본의 항공 영화 = = 분류:2024년 텔레비전 에피소드 = = 분류:브란덴부르크주의 지형 = = 울란바토르 지목구 = 울란바토르 지목구는 몽골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지목구이다. 울란바토르 지목구는 어떤 관구에도 속해 있지 않으며, 교황청 직속 관할이다. 울란바토르 지목구는 과거 소련 공산 정권의 영향 하에 있던 공산국가에 설정된 최초의 포교지다. 울란바토르 지목구의 책임자로는 몽골 개방 직후인 1992년부터 현지에서 선교 활동을 하고 있던 필리핀의 웬체슬라오 파딜랴 주교(미션허스트 선교수도회)가 임명됐다. = = 역사 = = 1922년 3월 14일 중몽고 대목구(中蒙古代牧區)에서 외몽골 자치 전교구(外蒙古自治傳教區)가 분할, 설정되었다. 1924년 울란바토르 자치 전교구(庫倫自治傳教區)로 개칭되었다. 2002년 7월 8일 울란바토르 지목구(乌兰巴托宗座监牧区)로 승격되었다. = = 통계 = = 2014년 기준으로 울란바토르 지목구에는 현재 신자 919명, 사제 17명, 수도자 61명(수사 18명, 수녀 43명), 신학생 2명, 본당 6곳이 있다. 2016년 8월 28일 울란바토르 지목구에서 첫 몽골인 사제가 서품되었다. = 식도이완불능증 = 식도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 또는 achalasia)은 평활근의 이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하부식도괄약근이 계속 닫혀있게 만든다. 직장을 포함한 위장관계의 여러 지점을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연하곤란, 가끔은 복장뼈 흉통 등을 주된 특징으로 하며 체중 감소를 경험할 수 있다. = 분류:미즈호구 = = 거영도시 = 거영도시(, Kyoei Toshi)는 플레이스테이션 4용으로 그란젤라가 개발한 비디오 게임이다. 그란젤라는 이 게임이 절체절명도시 게임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임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해당 시리즈에 등장하는 여러 캐릭터들이 이 게임에 카메오로 출연한다. 이 게임의 목표는 괴수, 거대 로봇, 히어로들간의 전투에 의해 파괴된 도시로부터 탈출하는 것이다. 이들 캐릭터들은 일본의 애니메이션 및 실사 영화 및 TV 시리즈 고지라, 울트라 시리즈, 가메라,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등장인물들이다. = = 캐스팅 = = 사토 타쿠야 (성우) - 미사키 켄 역 아케사카 사토미 - 마츠바라 미하루 역 우에다 레이나 - 코우노 유키 역 다케우치 료타 - 오츠카 히데야스 역 카이다 유코 - 카시와기 리사 역 카와이 미노루 - 시바타 료지 역 나라 토오루 - 무토 카츠히로 역 시가 마도카 - 후지와라 토루 역 = 분류:마오쩌둥을 소재로 한 작품 = = Goo = Goo는 1991년 6월 26일에 발매된 소닉 유스의 음반이다. DGC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켈레브리안 = 켈레브리안은 켈레보른과 갈라드리엘의 딸로 엘론드와 혼인했다. 자식으로 엘라단, 엘로히르, 아르웬이 있다. 그녀는 소설 반지의 제왕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이미 가운데땅에 머물러 있는 사람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소설에서 직접적인 등장이 없다. 친족을 만나기 위해 로스로리엔으로 이동하던 도중 악한 것들이 자주 출몰하는 안개산맥의 오크에게 잡혀 고문을 당한 뒤 심각한 충격을 받고 남편과 자식들보다 회색 항구에서 발리노르를 향해 먼저 떠났다. 그녀는 은발으로 선조였던 신다르 왕족의 피를 물려받아 그렇다고 전해진다. = 감자밥 = 감자밥은 한국 요리의 하나로 감자를 같이 넣어 지은 밥이다. 특히 강원도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많이 먹는다. = 한수현 = 한수현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한수현(1969년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한수현(1977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분류:라플라타의 스포츠 = = 분류:월버그가 = = 분류:알제리의 가톨릭주의 = 가톨릭주의 en:Category:Catholicism in Algeria = 존 굿맨 = 존 굿맨(John Goodman, 1952년 6월 20일 ~ )은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출신 배우이다. 1980년 TV 프로그램 인 모로 성 미스터리의 조지 로저스 역으로 데뷔하였다. = = 상세 = = 디즈니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몬스터 주식회사, 몬스터 대학교의 제임스 P 설리반 목소리로 유명 하며 2013년 8월 10일 디즈니 레전즈 어워드 입성하였다. = = 출연 작품 = = 바로워스 귀여운 빌리 고인돌가족 플린스톤 코요테 어글리 에반 올마이티 허드서커 대리인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 - 피트 클라인 역 클로버필드 10번지 - 하워드 역 콩: 스컬 아일랜드 - 빌 랜다 역 발레리안: 천 개 행성의 도시 - 이곤 시루스 역 아토믹 블론드 - 에밋 커즈펠드 역 캡티브 스테이트 - 윌리엄 멀리건 역 = = 목소리 출연작 = = 몬스터 주식회사, 몬스터 대학교 - 제임스 P 설리반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 하운드 갤럭시 히어로즈: 라쳇 앤 클랭크 = 발랜도 발랜도 = 발랜도 발랜도(Le bal, Ballando ballando)는 알제리에서 제작된 에토레 스콜라 감독의 1983년 뮤지컬 영화이다. 마크 버만 등이 출연하였다. = 미니밴 = 미니밴 또는 다목적 자동차(, MPV)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와 함께, 레크리에이션 차량(RV)의 일종이다. 캠핑용으로 쓰이는 캠퍼밴도 미니밴으로 볼 수 있다. 미니밴은 보통 모노코크 바디로 만들어진다. = = 대한민국의 미니밴 = = 대한민국 최초의 미니밴은 미쓰비시 샤리오(2세대)를 베이스 모델로 하여 개발된 현대 싼타모이지만, 대한민국 미니밴의 전성기를 누린 기아 카니발이 유일하다. 과거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던 다인승 자동차는 원 박스형 승합차였다. 하지만 승용차와 비교했을 때 운전 감각과 편의성,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보닛이 갖추어지지 않은데다 에어백도 없어 전면 충돌 시에 안전성이 낮다는 단점이 제기되었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미니밴이 승용차 수준에 가까운 엔진 보닛을 갖춘 기아 카니발이 1998년에 출시되어, 일반 가솔린 승용차보다 저렴한 유지비와 각종 세제 혜택으로 경제성이 뛰어난 만큼, 외환위기와 같은 험난한 위기 상황 속에서 기아차 회생에 일등 공신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기염을 토한 바 있다. 현재 국내에서 양산하는 기아 카니발만 디젤 및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미니밴을 시판하고 있다. = = = 종류 = = = 현대자동차 현대 싼타모 (단종) 현대 트라제 XG (단종) 현대 스타렉스 (단종) 현대 스타리아 기아 기아 카렌스 (해외판매) (국내에서도 판매 됐다가 단종) 기아 카니발 기아 카스타 (단종) 한국지엠 쉐보레 올란도 (해외 판매) (국내에서도 판매 됐다가 단종) GM대우 레조 (단종) 쌍용자동차 쌍용 코란도 투리스모 (단종) 쌍용 로디우스 (단종) = = 일본의 미니밴 = = 동아시아 국가 중 일본 최초의 미니밴은 1982년에 출시된 닛산 프레리이며, 프레리가 출시된 1980년대에는 "다인승 승용차"라는 컨셉으로 개발된 미쓰비시 샤리오 등의 모델들이 등장하던 시기였다. 그리고 1988년에는 마쓰다 MPV(일본 내 발매는 1990년)가 북미 시장에, 1990년에 토요타 에스티마가 일본 시장에 출시되었는데, 두 사례는 기술과 디자인 면까지 포함하여 일본 자동차 업계로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크로스오버 SUV의 열풍과 마쓰다와 스바루가 미니밴 시장에서 철수하는 등 침체기를 겪었지만, 2010년대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일본에서 미니밴이 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큰 덕에 미쓰비시 아웃랜더와 같이 미니밴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장르의 차량도 등장하였다. 경형에서 대형, 보급형에서 고급 미니밴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한 편이고, 니스모 등의 회사에서 출시한 고성능 미니밴도 존재한다. = = =종류 = = = 토요타자동차 토요타 시에나 혼다 기연 공업 혼다 오딧세이 닛산자동차 닛산 엘그란드 스즈키 스즈키 솔리오 미쓰비시자동차공업 미쓰비시 샤리오 (단종) 미쓰비시 델리카 D:5 미쓰비시 델리카 D:2 = = 유럽의 미니밴 = = 유럽에서는 마트라-생카 란초의 후속으로 출시된 르노 에스파스를 시초로 보고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포드와 크라이슬러 같은 미국의 업체들도 진출하였으며, 제너럴 모터스도 당시 산하에 있었던 오펠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출하였다. 1990년대에는 세벨의 유로밴과 포드 갤럭시/폭스바겐 샤란/세아트 알함브라의 사례처럼 여러 제조사들이 합작 회사를 세우거나 협력을 맺어 미니밴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등의 고급 승용차 업체들도 미니밴 시장에 진출하였다. 1996년 출시된 르노 메간 세닉을 필두로 소형 미니밴 시장도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LAV(레저 활동용 차량)이라는 파생형 모델도 있으며, 기존의 미니밴과는 달리 수직형 리프트게이트나 화물차에 쓰이는 힌지 도어를 적용하기도 한다. 저렴한 가격과 넓은 실내공간의 활용성으로 인해 상용차로 사용되기도 한다. = = =종류 = = = 르노 르노 모듀스 (단종) 르노 캉구 르노 에스파스 폭스바겐 폭스바겐 투란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 시탄 BMW BMW 2 시리즈 현대자동차 현대 ix20 (단종) 기아자동차 기아 벤가 (단종) = 준용 = 준용(準用) 또는 유추적용은 법적 개념으로 필요한 경우 그 한도에서 변경을 가하여 적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준용을 하는 이유는 법전을 간소화하고 같은 내용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있다. 단점으로는 한 조문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조문을 참조해야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 더 보기 = =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 분류:우지시의 역사 = = 분류:홍콩에서 활동한 남자 축구 선수 = = Hatching Mayflies = 『Hatching Mayflies』(해칭 메이플라이즈)는 2011년 6월 1일에 발매된 더 하이에이터스의 2번째 EP(싱글)이다. 일본 내 시디번호는 FLCF-4375이며ㅡ 한국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 = = 개요 = = 더 하이에이터스의 2번째 EP이다. 이번 작품부터는 프로듀스가 더 하이에이터스로 표기되어 있다.이전 EP 「Insomnia」에서 프로듀스가 호소미와 호리에 공동으로 했다고 표시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를 보인다. 자켓 일러스트와 디자인은 Nii Makoto가 담당했다. 2011년 6월 13일 자 오리콘 차트에 따르면, 약 2만장의 판매고를 올려 8위를 기록했다. 이 EP 내의 「Bittersweet / Hatching Mayflies」는 PV로 제작되었다. 이 CD는 외국곡이로 분류되어 있어 CD 대여점에서는 발매일로부터 1년 정도 지나야 접할 수 있다(수록곡 전체는 영어 가사임). = = 수록곡 = = Bittersweet / Hatching Mayflies [4:27] #* 작사: Takeshi Hosomi / 작곡:더 하이에이터스 #: PV로 제작되었다. The Brainwasher [3:06] #* 작사: Takeshi Hosomi / 작곡:더 하이에이터스 Snowflakes [3:45] #* 작사: Takeshi Hosomi / 작곡:더 하이에이터스 = = 레코딩 구성원 = = 호소미 타케시 (細美武士) : 보컬・기타 (전체곡) masasucks : 기타 (전체곡) 우에노 코지 (ウエノコウジ) : 베이스 (전체곡) 카시쿠라 타카시(柏倉隆史) : 드럼 (전체곡)・기타 (M-1, 3)・프로그래밍 (M-1, 3) 호리에 히로히사 (堀江博久) : 키보드 (전체곡)・신시사이저 (M-1, 3) = 제24회 세자르상 = 제24회 세자르상은 1999년 3월 6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작품상 = = = Erick Zonca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육체의 학교 - 이자벨 위뻬르 = 포크 음악 = 컨템포러리 포크 음악은 20세기에 생겨난 대중 음악 장르이다. 각 나라와 지역의 민요(포크 음악)에서 파생했으나, 전통민요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장르로 자리잡혔다. 포크송(folksong)이란 한국어의 '민요'에 해당하는 말이나,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포크송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영어이기에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용례는 미국과 캐나다의 민요와 미국에 대한 영국(잉글랜드)계 민요 등, 앵글로색슨 국가의 민족민요를 가리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비영어권 국가의 민요는 월드뮤직으로 분류한다. 그것도 전승적인 옛 민요와 새로운 창작민요를 모두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 종류 = = = = = 트래디셔널송 = = = 포크송 가운데서 민중의 입과 귀로 전해 내려오는 작자 불명의 것을 '트래디셔널 포크송' 또는 '트래디셔널송'(Traditional song)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선 '전승민요(傳承民謠)'라 한다. 민요란 말을 엄밀한 뜻으로 쓸 때에는 '트래디셔널송'과 같은 뜻이 된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중 하나가 발라드이다. 발라드란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문체로 되어 있는 고전 포크송을 뜻한다. 미국에서 가장 트래디셔널 포크송을 풍부하게 전하고 있는 곳이 애팔래치아산맥 지방의 남반부인데, 일반적으로 이 지역을 '서던 마운틴'(Southern Mountain)이라 부르고 있다. 주 이름으로 말하면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의 동부와 버지니아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서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서북단, 조지아주의 북단이 포함된다. 또 캔자스주와 오클라호마주에 걸치는 오자크 대지를 서던 마운틴에 넣는 사람도 있다. 이 지역은 미국에서 가장 개발이 늦은 농촌지대로서 이른바 '푸어 화이트'(Poor white)의 집합소로 변하고 있으나, 이 곳 주민들은 초기에 잉글랜드나 스코틀랜드에서 이민해 와서 이 산악지대에 대대로 정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게다가 교통이 불편하여 외부와의 접촉이 적기 때문에 조상이 유럽에서 가져온 민요를 끊임없이 전하고 있는 예가 종종 발견된다. 대표하는 곡은 다음과 같다. 한글 발음-뜻-알파벳 표기-국적 순으로 나열했다. 셰넌도아-셰넌도아-Shennandoah-미국 블로 이 윈즈-바람아, 불어라-Blow, Ye Winds-미국 홀 어웨이 조-당겨라, 조야-Haul Away Joe-미국 문샤이너-밀수 업자-Moonshiner-미국 양키 두들-미국인 하찮은 것-Yankee Doodle-미국 블랙 이즈 더 컬러 어브 마이 러브스 헤어-내 사랑의 머리카락 색깔은 검은색이다-Black is the Color of My Loves Hair-미국스코틀랜드계 미국 민요로 추정된다. 페기 고든-페기 고든-Peggy Gordon-캐나다스코틀랜드계 캐나다 민요로 추정된다. 뱅크스 어브 뉴펀들랜드-뉴펀들랜드의 둑-Banks of Newfoundland-캐나다 그린슬리브즈-초록빛 소매-Greensleeves-잉글랜드 리빙 어브 리버풀-리버풀 떠나기-Leaving of Liverpool-잉글랜드 더 워터 이즈 와이드-바다가 넓다-The Water is Wide-잉글랜드 스카보로 페어-스카보로 시장-Scarborough Fair-잉글랜드 머메이드-인어-Mermaid-잉글랜드 뱅크스 어브 더 스위트 프림로지스-향기로운 앵초가 핀 둑-Banks of the Sweet Primroses-잉글랜드 로즈 어브 알렌데일-알렌데일의 장미꽃-Rose of Allendale-잉글랜드(찰스 제프리스(Charles Jeffreys) 작사, 시드니 넬슨(Sidney Nelson) 작곡) 올 퍼 미 그로그-모두 내 그로그(칵테일 종류)를 위해-All for me Grog-잉글랜드 이즌 잇 그랜드 보이스-소년들이여, 대단하지 않은가?-Isn't it grand, Boys?-잉글랜드 대니 보이-소년 대니-Danny Boy-잉글랜드(프레드릭 웨덜리 작사, 전통 가락) 월칭 마틸다-왈츠를 추는 마틸다-Waltzing Matilda-호주(밴조 패터슨)과거에는 호주의 비공식 국가였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남 호주-South Australia-호주 = = = 셀틱 포크송 = = = 켈트족 국가인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이다. 그냥 '포크'라고 하는 경우에는 미국, 캐나다, 잉글랜드 등, 앵글로색슨 문화가 강세인 지역의 고전 포크송을 가리킨다. 하지만,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도 영어권 국가이기 때문에 이 두 나라의 포크 음악은 포크로 분류한다. 그러나 민족이 켈트족으로 완전히 다르고, 따라서 '켈트 문화권'이라는 한 문화권을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로 아일랜드 포크, 스코틀랜드 포크로 분류한다. 그러나 같은 켈트 문화권이라도,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와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는 언어가 영어가 아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켈트 음악은 월드뮤직으로 분류한다. 민족적 성격이 강하며, 미국 포크에서 사용되는 악기 가운데 리코더는 틴 휘슬로, 드럼은 보란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참조. = = = 모던 포크송 = = = 모던 포크송(Modern Folksong)은 '트래디셔널송'에 대하여 민요풍인 창작곡을 가리키는 말이다. 트래디셔널송을 편곡하여 새로운 감각으로 처리한 것도 포함하는 수가 많다. 신작 민요나 새 감각으로 편곡된 민요를 전문으로 노래하는 사람을 '모던 포크 싱어'라 부르고 있으며, 피트 시거, 존 바에즈, 밥 딜런 등등 상업적으로 성공한 사람의 대부분이 이에 속한다. 대표하는 곡은 다음과 같다. 한글 발음-뜻-알파벳 표기-국적(작곡자) 순으로 나열했다. 웨어 해브 올 더 플라워스 건-꽃들은 어디로 사라졌을까-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미국(피트 시거, 조 하이커슨) 이프 아이 해드 어 해머-만일 내가 망치를 갖고 있다면-If I Had a Hammer-미국(피트 시거, 리 헤이스) 웬 더 십 컴스 인-배가 들어올 때에-When the Ship Comes In-미국(밥 딜런) 램블링 갬블링 윌리-떠돌아다니며 도박하는 윌리-Rambling, Gambling Willie-미국(밥 딜런)아일랜드 고전 포크송 브레넌 온 더 모어를 미국 버전으로 패러디한 곡이다. 밥 딜런은 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 레스틀리스 페어웰-쉴 틈 없는 이별-Restless Farewell-미국(밥 딜런)아일랜드 고전 포크송 파팅 글래스를 패러디한 곡이다. 블로잉 인 더 윈드-부는 바람-Blowing in the Wind-미국(밥 딜런) 다이아몬즈 앤 러스트-다이아몬드와 녹슨 철-Diamonds and Rust-미국(존 바에즈) 더치맨-네덜란드 사람-Dutchman-미국(마이클 피터 스미스) 위 섈 오버컴-우리는 극복할 것이다-We Shall Overcome-미국(찰스 앨버트 틴들리(Charles Albert Tindley)의 원곡을 약간 변형) 스트레인지스트 드림-가장 이상한 꿈-Strangest Dream-미국(에드 맥커디(Ed McCurdy)) 어 플레이스 인 더 콰이어-합창단의 한 자리-A Place In The Choir-미국(빌 스테인스(Bill Staines)) 로저빌 페어-로저빌 시장-Roseville Fair-미국(빌 스테인스) 앤 더 밴드 플레이드 월칭 마틸다-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호주(에릭 보글(Eric Bogle)) 노 맨스 랜드/그린 필즈 어브 프랜스/윌리 맥브라이드-No Man's Land/Green Fields of France/Willie McBride-아무도 없는 땅/프랑스의 푸른 벌판/윌리 맥브라이드-호주(에릭 보글)에릭 보글의 앨범에는 노 맨스 랜드, 더 코리스와 더 퓨리스(The Fureys),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앨범에는 그린 필즈 어브 프랑스, 그리고 메이컴 앤드 클랜시의 앨범에는 윌리 맥브라이드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스트리츠 어브 런던-런던 거리-Streets of London-잉글랜드(랄프 맥텔(Ralph McTell) 피들러스 그린-천국-Fiddler's Green(존 코놀리(John Conolly)) 바레츠 프라이비티어스-바렛의 사나포선-Barret's Privateers-캐나다(스탠 로저스(Stan Rogers)) 메리 엘렌 카터-메리 엘렌 카터-Mary Ellen Carter-캐나다(스탠 로저스) 얼리 모닝 레인-이른 아침 비-Early Morning Rain-캐나다(고든 라이트풋) 토크 투 미 어브 멘도시노-멘도시노에게 내 얘기를 해 줘요-Talk to me of Mendocino-캐나다(케이트 맥가리글(Kate McGarrigle)) = = = 민중가요 = = = 민중가요(Protest song)는 사회적인 문제를 들어 항의하는 노래, 전쟁 반대나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노래로부터 물가인상에 항의하는 노래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표현방법도 항의의사를 그대로 표명하는 연설조의 것에서부터 유머 감각으로 넌지시 공격하는 풍자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이다. 또 사회악과 싸우는 결의를 표명한 노래도 보통 프로테스트 송에 들어 있다. 대표적인 곡들은 모던 포크송 리스트에 함께 나열되어 있다. = = = 포크록 = = = 포크록(Folkrock)은 포크송 적인 감각을 가진 로큰롤을 말한다. 1965년에 <미스터 탬버린 맨>이 히트한 이래, 이러한 스타일이 널리 시도되기에 이르렀다. 보통 포크는 기타, 밴조, 리코더, 하모니카, 콘서티나, 아코디언, 만돌린, 바이올린, 세트 형태가 아닌 한 개의 드럼을 사용하는 반면, 포크록은 전기 기타, 베이스 기타, 신시사이저를 쓰고 드럼 세트로 록 비트를 붙인다. 1967년경부터 사이케데릭 사운드 등 여러 가지 신종 록의 움직임이 왕성해짐에 따라 포크록도 그 안에 흡수된 것 같으며, 그 뒤로 이 말은 그리 쓰이지 않게 되었다. = = 포크송과 관련된 미국의 음악 = = = = = 발라드 = = = = = = 블루스 = = = 미국 흑인의 포크송의 일종이다. 절망적인 심경을 표현한 것이 대부분이며, 12마디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 = = 흑인영가 = = = 이른바 '니그로 스피리추얼(Negro spirituals)'을 말한다. 미국 흑인의 포크송 중 기독교 신앙을 노래한 것이다. = = = 가스펠 송 = = = 백인의 종교가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흑인영가의 일종을 의미한다. 1940년대에 일어난 새로운 형의 흑인영가로서, 재즈적 리듬을 가진 부르짖는 듯한 창법으로 노래하는 일이 많다. = = = 후테나니 = = = 후테나니(Hootenanny)는 노래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함께 즐기는 단란한 느낌의 포크송 집회를 말한다. 또 305종 하나하나에 차일드가 붙인 정리번호는 '차일드 번호'라 하여 지금도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유명한 <바바라 알렌>은 차일드 84번이다. = 모듈:Unicode data/category/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Unicode_data/category/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피구 효과 = 피구 효과는 영국의 경제학자인 피구(Arthur Cecil Pigou, 1877-1959)가 제시한 실질 잔고(자산)의 증가(특히 디플레이션 하에서의)에 따른 소비 증가가 유발하는 산출과 고용의 관계를 분석한 경제학의 개념이다. = = 역사 = = 피구 효과는 1943년 피구가 연재한 8페이지의 기사인 "The Classical Stationary State"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피구는 이 글보다 훨씬 이전에 잔고와 소비의 연관관계를 제시했다. Gottfried Haberler가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의 출판 다음해 비슷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 = 이론 = = 피구는 (한 경제의) 자산은 통화 공급과 국가 채권의 합을 물가수준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는 케인즈의 일반이론에 "실질잔고"와 현재 소비간의 연관관계가 분명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또한 자산 효과등이 더해지면 총수요의 감소를 통해 케인즈의 예측보다 경제를 더 '자기 수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효과가 실질잔고의 변화로 나타나는 효과이기 때문에 이 케인즈경제학 비판은 실질잔고효과라고도 한다. = = = 케인즈 경제학의 총수요와의 관계 = = = 고전 경제학의 전통 하에서 피구는 경제가 산출할 자연 이자율을 선호했고, 실질잔고효과를 케인즈경제학과 고전경제학 모형을 융합하는 장치로 보았다. 케인즈는 총수요의 하락은 실업률의 증가와 물가의 하락(일반적인 디플레이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케인즈 경제학의 IS-LM 이론의 틀에서 총수요 감소 충격은 실질 임금의 상승에 따라 LM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피구 효과는 실질잔고의 확장을 통해 IS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총수요 충격을 상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 = = 왜 피구의 가설이 유동성 함정을 해소하는가 = = = 유동성 함정에 걸린 경제는 개인적 수입과 통화수요 간의 연관이 부족하여 산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통화정책을 수행할 수 없다. 존 힉스는 이것이 항구적인 높은 실업율의 한 이유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피구 효과는 경제가 유동성 함정을 벗어나도록 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이를 설명하면, 1. 높은 실업율은 저물가를 부르고, 2. 저물가는 실질잔고를 증가시키고, 3. 이는 소비를 촉진시켜 총수요를 증가시키고, 4. 총수요가 늘어나면 IS-LM 평면에서 유동성 함정의 낮은 이자율 한계 위에서 LM곡선을 가로지르는 새 IS곡선을 형성한다. 5. 최종적으로, 경제는 완전고용의 새 균형점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구는 완전고용 이하의 고용수준에서 균형이 형성되는 것은 임금과 물가가 경직적일 때만 가능하다고 결론내렸다. = = = 통화주의학파와의 관계 = = = 피구는 통화와 실물자산의 직접적 대치관계를 상정하였다. 즉 중앙은행의 통화공급이 직접 실질화폐잔고를 증가시킨다는 것인데, 이는 통화주의학파가 주장하는 금융정책이 실물경제에 전달되는 경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 = 비판 = = = = = 칼레키의 비판 = = = 칼레키는 이듬해 같은 잡지에 게재한 기사를 통해 피구 효과에 필요한 조정이 부채의 실질가치를 잘 증가시키지 못하며, 광범위한 파산과 신용위기를 야기한다고 비판하였다. = = = 피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일본 = = = 만약에 피구 효과가 항상 강하게 작용한다면, 일본은행의 제로금리 정책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곧 끝나게 할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일본에서 나타난 피구효과에 반대되는 명백한 증거는 아마도 그 오랜 기간동안 디플레이션이 진행됐음에도 소비자 지출이 정체됐다는 사실이다. 디플레이션이 진행되는 시기인 90년대 이후 일본의 가계지출이 1%대의 저성장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일본 내각부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内閣府, 国民経済計算(GDP統計)장기불황 이후 일본경제의 구조 변화와 글로벌 금융위기(김양희·김은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피구는 가격 하락이 소비자가 부유해진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 소비를 늘린다고 가정했지만, 일본의 소비자들은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여 구매를 미루고자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구 효과와 반대되는 유사한 예로 오스본 효과라고도 불리는 현상이 있는데, 전 세계 소비자 가전시장에서 급락하는 가격 때문에 소비를 미루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공주와 고블린 = 공주와 고블린은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조지 맥도널드가 쓴 1872년 판타지 소설이다. = = 주요 등장인물 = = 아이린 공주: 산기슭의 별궁에 사는 공주. 가끔 고집을 부리지만 공주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고조할머니: 낡은 계단의 꼭대기 탑에 산다. 고조할머니의 존재를 믿어야 만날 수 있다. 커디: 용감한 광부 소년. 뚱땡이들이 노래를(특히 새로 만든 노래를) 싫어한다는 것을 알고 노래를 불러 고블린들을 쫓아낸다. = = 줄거리 = = 비오는 날 아이린 공주는 오래된 계단을 올라가다가 길을 잃었다. 그리고 탑 꼭대기에 사는 아이린 고조할머니의 도움으로 내려가는 길을 찾게 된다. 얼마 후, 아이린 공주는 유모 루티와 산책을 나갔다가 어두워져서 길을 잃게 된다. 공주와 유모는 고블린을 만나지만, 광부 소년 커디가 고블린에게서 도망치고 궁전으로 돌아가는 것을 도와준다. 그 뒤로 아이린 공주는 지하에 있는 고블린들의 궁전에 갇힌 커디를 구해준다. 그리고 고블린들의 궁전에는 홍수가 나서 대부분의 고블린은 죽고, 나머지 고블린들은 착해진다! = 분류:패럴림픽 레바논 선수단 = = 대한민국 민법 제228조 = 대한민국 민법 제228조는 여수급여청구권에 대한 민법조문이다. =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연극인 = 연극인 en:Category:Turkmenistani theatre people = 분류:구스정 = = 엔시노 = 엔시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엔시노 (로스앤젤레스) 엔시노 (텍사스주) 엔시노 (뉴멕시코주) = 분류:시리아의 육상 선수 = = 사크시 탄와르 = 사크시 탄와르(, , 1973년 1월 12일 ~ )는 인도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당갈 (2016) = 분류:인도의 지진 = = 이블 지니어스 = 이블 지니어스(, 약칭 EG)는 1999년에 창단된 미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e스포츠 프로게임팀으로 북미에서 여러 종목에 걸쳐 다양한 수준급 실력을 보유하고 있는 팀으로 유명하다. = = 스타크래프트 II 팀 = = 2010년 미국의 프로게이머 그렉 필즈와 해설자 겸 게이머 닉 플로트를 영입하여 창단하였다. 이후 마누엘 쉔카이젠과 닉 플로트가 팀에서 떠났으나, 북미 스타리그 우승자 이호준과 팀 리퀴드에서 크리스 로랑줴를 영입하였다. 2011년 10월에는 한국의 프로게임단 SlayerS와 트레이닝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3개월 동안 서로의 연습실을 공유하기도 했고 2012년 5월에는 SlayerS와 연합팀을 구성하여 2012 핫식스 GSTL 시즌 2에 참가하기도 했으며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거뒀다. 2012년 12월부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 팀 리퀴드와 연합하여 참가하였으며 진에어 그린윙스에서 이제동을 1년 간 임대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에는 이호준이 계약 조건이 맞지 않아 결별하였고 프나틱에서 방출된 김학수와 한이석을 영입하여 전력을 보강하였다. 2013년 12월 4일 이제동과 1년 임대에 이어서 2014년에 정식 계약을 맺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이 팀은 해체를 선언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 리그 오브 레전드 = = = = = 선수단 = = = 코칭스태프 감독 : 허영철 코치 : 코너 도일 선수 탑 : Impact 정언영 정글 : Svenskeren 데니스 욘센 미드 : Jiizuke 다니엘레 디 마우로 AD캐리 : Bang 배준식 서포터 : Zeyzal 트리스턴 스티덤 서브 : Eforu 신중원 = = 도타 2 = = = = = 선수단 = = = Arteezy 아르투르 바바예프 Suma1L 시에드 수마일 하산 Cr1t- 안드레아스 닐센 =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 = = = 선수단 = = = nvK 네이선 앨릭샌더 밸런티 Yung 오스틴 시어도어 트렉슬러 Gotcha 애런 정 Necrox 암마르 모하메드 알바나 Modigga 모키스 흐리바 = = 스트리트파이터 = = = = = 선수단 = = = Ricky Oritz 리키 오티즈 NYChrisG 크리스토퍼 곤잘레스 =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 = = = 선수단 = = = 코치 : 쳇 싱 선수 Brehze 빈선트 케이언트 CeRq 츠베텔린 디미트로프 Ethan 이든 아널드 Tarik 타리크 첼리크 stanislaw 피터 자거스 = = 주요 성적 = = 2012년 7월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2 준우승 (SlayerS와 연합) 2012년 11월 IPTL Season 1 4강 2013년 3월 2013 IPTL Season 1 4강 = = 발로란트 = = = = = 주요 성적 = = =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2023 락인 16강 = 그렉 롤리 = 그렉 롤리(Gregg Rolie, 본명은 그렉 앨런 롤리(Gregg Alan Rolie), 1947년 7월 17일 ~ )는 미국의 가수, 작사가, 키보드 연주자, 오르간 연주자, 하모니카 연주자이다. = = 생애 = = 1969년 카를로스 산타나(Carlos Santana) 등과 의기상투하여 라틴 록 밴드 "산타나 블루스 밴드(Santana Blues Band)"의 키보디스트 겸 오르가니스트로 데뷔하였고 1971년 라틴 록 밴드 "산타나(Santana)"의 키보디스트 겸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였으며 1975년 하드 록 밴드 "저니(Journey)"의 키보디스트 겸 보컬리스트로 활동하였고 1982년 록 음악 밴드 "스톰(Storm)"의 키보디스트로 활동하얐다. = 낭랑 18세 (2003년 드라마) = 낭랑 18세는 KBS2에서 2003년 6월 24일에 방영한 드라마시티이며, 인기에 힘입어 16부작 월화 미니시리즈 낭랑 18세로 제작 · 방영되었다. = = 줄거리 = = 날라리 고3생 정숙은 나이트 클럽에서 남자 화장실로 잘못 들어가 검사 혁준과 말다툼을 벌인다. 며칠 뒤 정숙은 18년 전 할아버지가 약조했던 정혼 상대자를 만나러 갔는데 그 자리에 혁준이 나와 있다. 정숙은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하기에는 억울하다며 가출한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한혜진 : 윤정숙 역 - 날나리 여고생 이선균 : 권혁준 역 - 엘리트 검사 이순재 : 혁준의 할아버지 역 김형자 : 정숙의 어머니 역 조형기 : 정숙의 담임교사 역 = = = 그 외 = = = 이은실 : 오공주파 일원 역 이은주 : 오공주파 일원 역 유지연 : 룸싸롱 아가씨 역 정인지 : 서현주 역 권병길 : 정숙의 할아버지 역 = 분류:인천광역시의 음악 = = 분류:북아메리카의 공산주의 = = 로스앤젤레스 아줄 레전즈 = 로스앤젤레스 아줄 레전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를 연고지로 하는 순수 아마추어 축구팀이다. 현재 USL 프리미어 디벨로프먼트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성적은 중위권이다. 창단 당시에는 로스앤젤레스 스톰, 2008년부터 2009년까지는 로스앤젤레스 레전즈였다가 2010년 크루스 아술과 제휴 계약을 맺으면서 이름도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浦項 寶鏡寺 寂光殿 塑造毘盧遮那三尊佛坐像)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18년 2월 22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14호로 지정되었다.경상북도 고시 제2018-54호,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207호, 2018-02-22 = = 지정 사유 = = 이 불상은 흙으로 성형되어 여러 겹의 천으로 싸인 후 도금(鍍金)된 삼존(三尊)의 불상이다. 좌상(坐像)의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입상(立像)의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이 시립(侍立)한 비로자나삼존상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희소성이 있다. 비록, 여러 번의 중수(重修)와 보수 시에 두껍게 도포된 도금, 카슈칠 등으로 원상(原狀)이 가려져 있고, 정확한 고증이 따르지 않은 도금과 채색으로 인해 훼손된 부분이 있지만, 신라 통일기의 불상양식을 계승한 고려 전반기의 작풍을 보여주며 우아한 조형성을 갖고 있어 학술적·예술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 분류:바레인의 건축물 = = 빅토르 이바르보 = 세군도 빅토르 이바르보 게레로(, 1990년 5월 19일 ~ )는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J2리그의 V-파렌 나가사키에서 뛰고 있다. = 플라워땃쥐 = 플라워땃쥐(Crocidura floweri)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이집트의 토착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경작지이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 = 다니노쿠치역 = 다니노쿠치역은 일본 미야자키현 니치난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니치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2 19 2003 2004 9 2005 7 2006 5 2007 6 2008 6 2009 3 2010 4 2011 4 2012 4 = = 역 주변 = = 국도 제220호선 난고 강 = = 역사 = = 1949년 1월 15일 : 개업. 1963년 5월 8일 : 니치난 선 미나미미야자키 - 기타고 간 개업에 의해 니치난 선으로 편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규슈 여객철도가 승계. = 여호아하즈 = 여호아하즈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여호아하즈 (유다 왕국): 유다 왕국의 왕. 여호아하즈 (이스라엘 왕국): 이스라엘 왕국의 왕. = 분류:멕시코의 축구단 = = 오번 대학교 = 오번 대학교(, 또는 어번 대학교)는 1856년에 설립된 미국 앨라배마주 오번(Auburn)에 있는 주립 대학교이다. = = 역사 = = = = = 설립 = = = 1856년 주의 인가로 오번 시에 감리교파 대학교(East Alabama Male College)를 건설하였고About Auburn Office of Undergraduate Recruiting and University Scholarships. Retrieved on 2006-12-13Anson West, History of Methodism in Alabama (Nashvill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1893), 738–739. 1859년 오번 대학교로 이름을 바꾸며 개강을 시작, 오번 시는 본격적인 대학 타운으로 발전했다. = = = 발전 = = = 1861년 발발한 남북전쟁으로 미국 남부의 많은 도시들처럼 오번시의 인구 또한 감소하였고 경제적인 피해를 입었다. 1900년 이전까지 남부는 경제난을 입었고 이 도시 또한 모릴 토지 허여 법안이 있기 전까지 대학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침체되었다. 그러나 모릴 토지 허여 법안으로 많은 미국 남부의 공립 대학이 정부의 지원을 받게되면서, 이 대학 또한 다시 침체로부터 회복하였다. 1892년 앨라배마 주에서 최초로 여학생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고 농학과 비즈니스, 엔지니어링 학과가 개설되었다. 1910년 인구는 남북 전쟁 이전으로 회복하였고 오번 대학교 미식축구팀의 남부 지역 우승으로 인지도와 도시 수준도 향상되었다. 대학이 발전하면서 정부 인가로 우주항공 시설과 지질 및 해양 탐사 권리를 갖추게 되고, 본격적으로 과학 분아를 육성시키게되었다. = = 구성 = = 날짜는 설립연도임. College of Agriculture, 1872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Sociology Agronomy and Soils Animal Sciences Biosystems Engineering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Fisheries and Allied Aquacultures Horticulture Poultry Science College of Architecture, Design and Construction, 1907 College of Business, 1967 School of Accountancy Avia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Finance Management Marketing College of Education, 1915 Curriculum and Teaching Educational Foundations, Leadership and Technology Kinesiology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School Psychology Samuel Ginn College of Engineering, 1872 School of Forestry and Wildlife Sciences, 1984 College of Human Sciences, 1916 Consumer Affairs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Nutrition, Dietetic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llege of Liberal Arts, 1986 School of Nursing, 1979 James Harrison School of Pharmacy, 1885 Pharmacal Sciences Pharmacy Practice Pharmacy Care Systems College of Sciences and Mathematics, 1986 Biological Sciences Chemistry and Biochemistry Geology and Geography Mathematics and Statistics Physic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1907 Anatomy, Physiology and Pharmacology Clinical Sciences Pathobiology Graduate School, 1872 = = 학교 현황 = = 미국 남부의 유명 공립 대학으로 스포츠와 특유의 문화로 인기가 많다. 넓고 다양한 분야의 수업을 제공하며, 특히 우주항공, 농학, 공학, 건축, 교육학 등의 순위가 높고 인기가 있다. = = = 순위 = = = 미국 공립 대학교 중 항상 50위 이내로 선정되며, 저렴한 학비에 양질의 교육을 자랑한다. 포브스 - 미국 116위 USNWR - 미국 86위 = = = 입학 현황 = = = = = 캠퍼스 및 환경 = = 이 대학은 교통이 편리하고 약간 더운 기후를 가진 지역에 위치하고있다. 여름은 길고 더우며, 겨울은 짧고 비교적 따뜻하다. 넓고 조경이 아름다운 캠퍼스를 가지고 있으며, 잔디로 덮인 평지 위에 붉은 벽돌로 지어진 전통적인 미국 남부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 많다.Auburn University Campus Map – click on each building for more information.Buildings at auburn University 양식장, 항공 센터, 비행장, 각종 과학 연구소, 기술 연구소, 실험실, 강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크고 수준 높은 도서관과 경기장을 자랑한다. = = 스포츠 = = 이 학교에게 있어 스포츠 팀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미식축구 팀(Auburn Tigers)의 인기와 그 영향은 엄청나다. 전통적으로 앨라배마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역사상 두번 전미 미식축구 대학리그에서 우승하는 등, 팀의 수준이 높다. 이 학교의 스포츠 팀은 수영, 농구,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높은 성적을 구가하고 있다. 오번 타이거즈 위키피디아 영어 문서 = 1+1 (텔레비전 채널) = 1+1은 우크라이나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1995년 8월에 설립되었다. =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 = 뮤지컬 배우 뮤지컬 배우 대한민국 +여자 = 분류:1846년 환경 = = 분류:우간다의 경제 = = 분류:야마가타현의 야구 선수 = = 대지법 = 대지법(大地法, , , )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다. 대지법은 일체(一切)의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두루 함께[大]' 일어나는 마음작용(심소법)을 말한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다음의 10가지 마음작용이 대지법을 구성한다. 수(受): 지각[領納], 고낙불고불락을 느낌, , , sensation, perception 상(想): 표상[取像], 차이를 인식[取差別相], 개념화, , 사(思): 의지, 의업(意業), 선불선무기를 지음, , 촉(觸): 접촉, 근경식의 화합, 대상을 만남[觸對], , 욕(欲): 욕구, 하고자 함, 희구(希求), , 혜(慧): 판단, 간택(簡擇: 여럿 가운데에서 골라냄"간택(簡擇)",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 염(念): 기억, 명기(明記: 분명히 밝히어 적음"명기(明記)",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잊지 않음[不忘], , 작의(作意): 경각(警覺), 대상을 향함, 주의(注意), 유의(留意), , 승해(勝解): 인가(印可: 대상이 옳음을 소상하게 밝혀 인정함"인가(印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인가(認可: 인정하여 허가함"인가(認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결정, , 삼마지(三摩地): 삼매, 심일경성(心一境性), 전념(專念: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씀"전념(專念)",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집중, , = =대지법과 변행심소 = = 대지법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는 변행심소(遍行心所)에 해당힌다.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은 수(受)상(想)사(思)촉(觸)작의(作意)의 총 5가지의 마음작용만이 변행심소를 이루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나열 순서도 촉작의수상사의 순서로 설일체유부의 대지법 나열 순서와는 달리 나열하고 있다. 욕(欲)혜(慧)염(念)승해(勝解)삼마지(三摩地)는 별경심소(別境心所)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또한 별경심소는 이들 5가지 마음작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열 순서로는 욕승해염삼마지(선정)혜(반야)의 순서로 나열하고 있다. 삼마지(三摩地)는 정(定) 또는 선정(禪定)이라고도 한다. = 간성역 = 간성역(杆城驛)은 동해북부선의 폐역된 역이다. 간성읍 내 벽돌공장 근처에 간성역 플랫폼 흔적이 남아있다. = 분류:대륙별 1916년 = = 분류:맨해튼의 도서관 = = 오오쿠 = 오오쿠는 에도성에 존재했던 쇼군가의 자녀나 정실, 오쿠죠츄 등이 거처하는 구역이다. 오오쿠라는 표현은 좁은 의미에서는 에도성 혼마루 오오쿠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니시노마루 오오쿠, 니노마루 오오쿠도 포함한다. 에도시대 다이묘 가문에서도 가문에 따라 오쿠무키(奥向)를 오오쿠라고 부르기도 했다. 본항목에서는 에도성의 오오쿠만을 언급한다. = = 연혁 = = = = = 호칭의 변화 = = = 무가의 저택에서 의례나 정치의 장소인 「오모테(表)」와 일상생활의 장소인 「오쿠(奥)」의 구분은 근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오쿠라는 호칭은 에도성에 처음부터 존재하고 있던 것은 아니다. 겐나 4년 (1618년)의 「헤키쇼(壁書)」나 겐나 9년 (1623년)의 「미다이도코로 법도(御台所法度)」에서 「오쿠가타(奥方)」, 「오쿠(奥)」라는 호칭이 사용되었다. 혼마루에 관한 최고(最古) 도면(図面)인 칸에이 14년 (1637년)의 「혼마루오쿠가타지도(御本丸御奥方御絵図)」에서는 「오쿠가타(御奥方)」라고 불렸다.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 때 「오오쿠(大奥)」라는 호칭이 등장하게 되어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 시대에 「오오쿠(大奥)」가 정착하게 된다. 이는 조쿄 원년 (1684년)에 고자노마(御座之間) 근처에서 대로 홋타 마사토시가 와카도시요리 이나바 마사야스에게 살해됨으로써, 오모테와 오쿠의 경계가 분명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 = 규칙의 변화 = = = 오오쿠 및 오쿠죠츄에 대한 규칙은 「헤키쇼(壁書)」 이후, 쇼군의 대가 이어감에 따라 확인되어 개정되어 왔다고 보고있다. 「헤키쇼(壁書)」에서 주로 규정되고 있던 것은 오오쿠에의 출입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출입이 명확하게 금지되어 있는 것은, 오오쿠 전체가 아닌 하녀들의 처소인 나가츠보네(長局)보다 안쪽이었다. 5년 후의 「미다이도코로 법도(御台所法度)」에서는, 의사나 다이묘의 사자 등의 출입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었다. 간분 10년 (1670년)에는 하녀들이 지켜야할 「조츄법도(女中法度)」, 노녀에 대한 「노중연서조목(老中連署条目)」이 나왔다. 교호 6년 (1721년)의 「조츄법도(女中法度)」에서는, 펜팔이나 휴가에서 교제가 허용되는 범위와 사치 금지 등에 대한 조문이 추가되었다. = = = 구조 변화 = = = 오오쿠의 구조는 화재로 인한 소실 · 재건 시마다 바뀌어갔다. 츠나요시 시대까지의 특징은 노녀와 측실의 처소가 고텐무키(御殿向)에 점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 때부터 측실은 하녀로써 나가츠보네(長局)에 거주하게 된다. 이로써 미다이도코로와 측실의 입장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시대에 오스즈로카(御鈴廊下)가 2개 있었다고 추측된다. 혼마루 어전은 5번이나 소실되었었고, 분큐 3년 (1863년)에 소실된 후, 재건되지 않았다. = = = 에도 막부 말기의 정치 문제로 인한 변화와 오오쿠의 종말 = = = 에도막부 말기의 오오쿠에는 오모테의 정치문제가 파급된다. 코카 3년 (1846년)에 미토번 전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류큐와 에조치에 관해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호소하고자, 죠로 오토시시요리 아네노코지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 후, 안세이 시기의 쇼군 후계자 문제에서는, 난키파(南紀派)와 히토츠바시파(一橋派)가 오오쿠 공작을 펼쳐 정쟁을 전개했다. 난키파는 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혼쥬인과 죠로 오토시요리 우타하시가 같은 편이었고, 히토츠바시파에는 정실 아츠히메를 통해 쇼군을 움직이려했다.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14대 쇼군으로 오른 후, 대로 이이 나오스케 등에 의한 조정과 막부와의 관계 복원을 위해 황녀 강가(降嫁)가 획책된다. 게이오 4년 (1868년), 토바-후시미 전투에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패배하고, 신정부가 요시노부에 대한 추토령(追討令)을 내린 후, 텐쇼인과 세이칸인노미야는 각각 사츠마번과 조정에 탄원서를 보냈다. 그 후, 오오쿠는 막부가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도쿠가와 가문을 향한 어촉(御触)을 발령하고, 공순을 철저히 하도록 명했다. 같은 해 4월, 에도성 개성에 앞서, 세이칸인노미야와 이에모치의 생모인 지츠죠인은 시미즈 저택으로, 텐쇼인과 혼쥬인은 히토츠바시 저택으로 이동하였다. = = 오오쿠 여성의 신분과 입장 = = = = = 미다이도코로 () = = = 상세 내용은 「도쿠가와 쇼군가 미다이도코로」도 참고바람. 오오쿠의 제일의 여주(女主)이자, 주재(主宰)자인 것이, 쇼군 정실인 「미다이도코로(御台所)」이다. 미다이도코로는 3대 쇼군 이에미츠부터 고셋케 (코노에가・쿠죠가・이치죠가・니죠가・타카츠카사가) 또는 사천왕가(四親王家) (아리스가와노미야가・카츠라노미야가・후시미노미야가・칸인노미야가)에서 맞이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었다. 11대 쇼군 이에하루의 미다이도코로 고다이인과 13대 쇼군 이에사다의 미다이도코로 텐쇼인, 이 두사람은 모두 시마즈가 출신이었으나, 친척 격인 코노에가에 양녀가 된 뒤 미다이도코로가 되었다. 또한 7대 쇼군 이에츠구의 약혼자였던 야소노미야 요시코 내친왕과 14대 쇼군 이에모치의 미다이도코로가 된 카즈노미야 내친왕(세이칸인), 이 두사람은 셋케, 미야케 출신이 아닌 황녀이다. 또한, 초대 쇼군 이에야스와 8대 쇼군 요시무네는 쇼군 취임 전에 정실을 잃고, 재임 중에도 새로운 정실을 맞이하지 않아 실제로는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다. 에도시대 초기에 대부분, 미다이도코로는 형식상의 주재자였다. 예를 들면 3대 쇼군 이에미츠의 부인 타카츠카사 타카코는 남편과의 사이가 지극히 좋지 않아, 정식으로 "미다이도코로"로 칭하는 일 없이,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거처를 혼마루에서 나카마루로 옮겨져 오오쿠의 실권은 카스가노츠보네 등이 쥐고 있었다. 그 입장에 변화가 생긴 것은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시대로, 이에노부가 텐에이인의 아버지 코노에 모토히로를 기레이시난야쿠(儀礼指南役)로 중용하여 경의를 표함으로써, 막부의 야쿠닌(役人)은 물론, 오오쿠의 의례(儀礼)도 갖추어졌다. 그에 따라 미다이도코로의 입장은 부동한 것이 되었지만, 앞서 언급한 이에야스나 요시무네의 예와 같이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던 기간이 총 100년 정도 있어, 그 동안은 선대 쇼군의 정실이나 쇼군 생모 등이 오오쿠의 주재를 했다. 생전에 관위를 받은 미다이도코로는 4대 이에츠나의 정실 아사노미야 아키코 여왕 (종3위) 6대 이에노부의 정실 코노에 히로코 (종1위) 10대 이에하루의 정실 이소노미야 토모코 여왕 (종3위) 11대 이에나리의 정실 코노에 타다코 (종1위) 12대 이에요시의 정실 사자노미야 타카코 여왕 (종3위) 13대 이에사다의 정실 코노에 스미코 (시마즈 아츠코) (종3위) 의 6명 뿐으로, 후계자가 된 아이를 낳은 사람은 2대 쇼군 히데타다의 정실 오에요 뿐이다. 미다이도코로가 남편이 죽은 경우, 락쇼쿠를 하고 혼마루에서 물러나, 니시노마루에서 여생을 보냈다. = = = 측실 () = = = 쇼군의 측실은 기본적으로 쇼군 소속 오츄로(御中﨟)에서 선택한다. 쇼군의 눈에 든 사람의 이름을 오토시요리에게 전하면, 그날 저녁에 잠자리를 마련하고 침소인 오코자시키(御小座敷)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미다이도코로 소속 츄로가 쇼군의 눈에 띌 경우,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가 미다이도코로 소속 오토시요리와 담판하여 「미다이도코로 양해(御台所了承)」 절차를 밟아 잠자리 준비를 했다. (미다이도코로 소속 츄로에게 거부권은 있었지만, 그 경우에는 「영원한 휴식(나가노 오이토마(永のお暇)」이 되어 사직하고 오오쿠를 떠나야 했다.) 잠자리를 마친 츄로는 「오테츠키(お手つき)」로 불리고, 임신하여 딸을 출산하면 「오하라사마」, 아들을 출산하면 「오헤야사마」가 되어, 비로소 정식 측실이 된다. 또한, 자신의 자식이 후계자가 되어 쇼군직에 오르면 쇼군 생모가 되어, 시대에 따라서는 미다이도코로를 훨씬 능가하는 절대 권위와 권력을 갖게 된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생모 케이쇼인은 그 중 가장 좋은 예로, 종1위의 관위를 받았다. 그러나, 오오쿠 측도 이런 일은 좌시하지 않고, 다양한 대책을 세운 결과 (예를 들어 카스가노츠보네가 엄청난 권세를 자랑하자, 유모가 젖을 먹일 때는 얼굴을 기억하지 못하도록 검은 천으로 얼굴을 가리게 했다), 측실이나 쇼군 생모의 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졌다. 에도 시대 후기에 이르러서는, 측실이 비록 자기 자식이 쇼군 후계자라해도, 자신의 지위는 일개 하녀들과 동등하게 머물렀고, 자기 자식이 쇼군이 되어서야 비로소 오카미(, 쇼군가의 일원)로 대접 받았다. 그 외의 측실들은 락쇼쿠하고 「○○인(○○院)」이라 칭하고, 니노마루 고텐 (쇼군의 자식을 낳은 측실)이나 사쿠라다 어용저택(桜田御用屋敷)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도쿠가와 쇼군가 측실 일람 태어난 아들이 쇼군이 된 인물은 굵은 글씨, 손자가 쇼군이 된 인물은 기울임체로 표시. 태어난 아들이 쇼군이 된 인물은 굵은 글씨, 손자가 쇼군이 된 인물은 기울임체로 표시. 태어난 아들이 쇼군이 된 인물은 굵은 글씨, 손자가 쇼군이 된 인물은 기울임체로 표시. 대 쇼군 이름 측실 이름 초대 이에야스 사이고노츠보네, 시모야마도노, 요쥬인, 쵸쇼인, 료운인, 챠아노츠보네, 세이운인, 에이쇼인, 니시노코오리노츠보네, 운코인, 세이에이인, 오카메노카타, 타이에이인, 요겐인, 렌게인, 후쇼인, 신쥬인, 호코인, 산죠씨 등 2대 히데타다 조코인 3대 이에미츠 호주인, 케이쇼인, 쥰쇼인, 지쇼인, 에이코인, 호신인, 죠코인, 오마사 4대 이에츠나 요슌인, 엔묘인 5대 츠나요시 즈이슌인, 쥬코인, 세이신인 6대 이에노부 겟코인, 호신인, 렌죠인, 혼코인 7대 이에츠구 없음 8대 요시무네 신토쿠인, 혼토쿠인, 신신인, 카쿠쥬인 9대 이에시게 시신인, 안쇼인 10대 이에하루 렌코인, 요렌인 11대 이에나리 코린인, 묘소인, 세이신인, 신쇼인, 호신인, 소쿠세이인, 세이쇼인, 카이슌인, 혼쇼인, 센코인, 케이메이인, 세이렌인, 쵸소인, 치쇼인, 혼린인, 호치인 12대 이에요시 혼쥬인, 세이료인, 묘카인, 오하나, 슈묘인, 켄코인, 묘온인, 슈게츠인 13대 이에사다 호켄인 14대 이에모치 불명 15대 요시노부 신무라 노부, 나카네 사치, 잇시키 스가, 오요시 등 = = = 오오쿠의 시녀 () = = = 오오쿠에 사는 여자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시녀(女中)들이었다. 덧붙혀서 막부로부터 급료를 받고 있던 시녀들은 모두 「오쿠죠츄(大奥女中)」라고 말하며, 실제로는 쇼군가의 공주(姫君)가 시집가는 곳이나 아들의 양자로 나가는 곳인 다이묘가에도 존재하고 있었다고 한다. 시녀의 숫자는 최전성기에는 1천명에서 3천명 정도로 말하고 있다. 시녀는 기본으로 쇼군 소속과 미다이도코로 소속의 시녀로 크게 나뉘는데 직급명은 거의 동일하다. 다만, 격식이나 권위와 관련해서는 쇼군 소속이 더 높았다. 또, 특정한 주인을 두지 않은 시녀를 "츠마(詰)"라고 불렀다. 서열이나 직급명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에도시기 후기의 오쿠죠츄의 직무는 다음과 같았다. 오죠츄의 명칭 및 직무 오죠츄의 명칭 및 직무 오죠츄의 명칭 및 직무 오죠츄의 명칭 및 직무 계급 읽는 법 주된 직무 上臈御年寄 죠로오토시요리 쇼군 및 미다이도코로의 관련업무 및 상담을 맡음. 미다이가 쿄토에서 데리고 온 구게(문신귀족) 출신의 여성이 많다. 小上臈 고조로 죠로오토시요리 직책의 후보역 또는 견습. 御年寄 오토시요리 로조(老女)라고 불리기도 한다. 오오쿠의 모든 것을 관리하는 최고 권력자.「오모테」의 로주에 대응된다. 御客応答 오캬쿠아시라이 외부인사가 오오쿠를 방문할 때 접대를 담당한다. 中年奇 주도시요리 오토시요리의 지시에 따르는 대리역. 식사메뉴의 체크로부터 독 검사까지의 일을 했다. 中臈 주로 쇼군과 미다이도코로의 신변을 보살펴주는 사람. 양가의 규수나 기량이 우수한 여성이 선택되어 이 중에서 측실이 나왔다. 御小姓 오코쇼 미다이도코로의 시동. 7세~16세정도의 소녀인 경우가 많았다. 御錠口 오조구치 오오쿠와 나카오쿠의 출입구를 관리했다. 表使 오모테즈카이 바깥일 담당. 오토시요리의 지시로 물자 조달을 히로시키의 관리에게 요청했다. 御右筆 고유히쓰 일기부터 서신에 이르는 모든 공문서 관리 담당. 여러 다미묘로부터의 헌상품의 검사도 맡았다. 御次 오쓰키 식사와 여러 가지 도구를 운반하거나 대면소의 청소 등을 담당. 切手書 깃테가키 나나츠구치(나가츠보네와 히로시키 출입문)를 지나서 오는 외부의 내방자가 지녀야 하는 통행증을 발행하는 직무. 呉服之間 고후쿠노마 장군과 미다이도코로의 의상 담당 御坊主 오보즈 쇼군의 잡무 담당. 삭발을 하고 승복을 걸치고 있다. 중노년의 여성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경우에 따라 나카오쿠에 출입하기도 했다. ↑ 여기까지 오메미에 이상. ↓이 밑으로 오메미에 이하 ↑ 여기까지 오메미에 이상. ↓이 밑으로 오메미에 이하 ↑ 여기까지 오메미에 이상. ↓이 밑으로 오메미에 이하 御広座敷 오히로자시키 오모테 쪽의 허드레일. 오오쿠를 방문한 여자 심부름꾼의 식사를 담당했다. 御三之間 오산노마 3지간 이상의 거실 청소 등을 한다. 御仲居 오나카이 부엌에서 취사를 담당. 火之番 히노반 주야간으로 오오쿠의 화재를 감시한다. 무예에 뛰어난 이를 뽑아 경비원의 역할도 담당했다. 御茶之間 오차노마 미다이도코로의 차(茶) 시중을 드는 역 御使番 오쓰카이반 히로시키와 교쇼 간의 출입구를 관리한다. 御半下 오하시타 오오쿠의 모든 잡무를 맡는 하녀. 오오쿠의 시녀 중에서 죠로 오토시요리부터 오보즈까지가 오메미에 이상 (お目見え以上)라고 하여 쇼군과 미다이도코로를 알현하는 것이 허락되었던 상급의 시녀들이다. 시녀들의 녹봉 (수당)은 주로 절미, 합력금, 녹미(매달의 식료), 탕지목(목욕탕용의 신), 오채은(된장이나 소금을 사기 위한 은), 기름 등의 현물이 많았다. 또 로죠 (죠로 오토시요리, 오토시요리를 통칭)가 되면 마치야시키가 주어졌다고 한다. 오쿠죠츄는 되도록이면 하타모토나 고케닌 등 무가 출신의 여성이 고용되었다. 그러나, 그것도 표면상의 이유로,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유복한 쵸닌 여성이 「예절 견습(行儀見習い)」 목적으로 봉공하러 오는 경우도 많아졌다. 쵸닌의 경우, 초기에는 친척이나 아는 선배 시녀의 주선으로 하거나, 하타모토나 고케닌의 집에 수양딸로 들어가거나 하는, 우회적인 사전 준비나 수속을 거쳐 오오쿠에 들어갔지만, 후대로 갈수록 무사와 쵸닌의 경제력이 완전히 역전되자, 이번에는 하타모토나 고케닌 쪽에서 지참금이 딸린 양녀 결연의 이야기를 꺼내는 것도 흔한일이 되었다. = = =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 = = = 오오쿠를 무대로 한 소설・무대・영화・드라마 등에서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大奥総取締)」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나,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大奥総取締)」라는 직명은 오오쿠에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로는 오오쿠의 모든 일과 시녀들의 단속은 로죠가 합의에 의해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서는, 오오쿠에 있어서 한사람의 「소오토리시마리(総取締)」라고도 할 수 있는 역할이 존재하기도 했다. 오오쿠의 제도가 완전히 확립되어있지 않았던 3대 쇼군 이에미츠의 시대, 이에미츠의 유모인 카스가노츠보네가 「쇼군사마오츠보네(将軍様御局)」이라는 입장에서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의 임무를 맡았다. 또, 5대 쇼군 츠나요시 시대의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에몬노스케노츠보네는 츠나요시로부터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大奥総取締)」를 명받았다고 여겨진다. 두 사람 모두 로죠 필두였지만, 최고의 권세를 자랑한 로죠가 반드시 필두였던 것은 아니다. 12대 쇼군 이에요시 시대의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아네노코지는 오오쿠에서 권세를 떨친 여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필두는 아니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오키요(お清)」의 로죠 이외에도, 예를 들면 3대 쇼군 이에미츠의 측실 오만노카타가 다이죠로로써 카스가노츠보네 사망 후, 「카스가 동일(春日同様)」하게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의 직을 받은 예도 있었다. 이와 같이, 시대에 따라서는 쇼군의 개인적인 의향이 오오쿠의 중요 인사에 얽힌 적도 있었다. 막부 정치의 주도권을 쇼군이 잡았을 때, 쇼군을 보좌하는 소바요닌이나 오소바고요토리츠기(御側御用取次)이 득세했던 것과 같다. 하지만, 오오쿠는 막부 정치에서 증답의례 등의 중요한 측면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쇼군 소속 로죠는 막부를 위해서 일하고 있었다는 측면이 부정할 수 없고, 쇼군 개인의 의향으로 인사가 움직이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 = 오오쿠의 예산 = = 오오쿠 경비는 모두 칸죠쇼(勘定所)에서 관리했다. 필요품 구입 대금은 히로시키야쿠닌(広敷役人)으로부터 칸죠쇼로 전달되어 실제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오오쿠 경비는 막부 재정 지출 전체의 3~8%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1년에 20만냥 정도였다고 한다. 카즈노미야 강가 후인 분큐 2년 (1862년)에는 45만냥을 넘었지만, 게이오 2년 (1866년)에 17만냥까지 삭감되었다. = =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 =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이름 신분 남편 비고 오에요노카타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히데타다 오고우(お江・小督)로도 표기하지만, 타츠코(達子)・토쿠코(徳子)라고도 표기함. 나가마사의 딸이자, 요도도노의 동생 오시즈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히데타다 히데타다의 유모 오우바노츠보네의 시녀. 오우바노츠보네 유모 히데타다의 유모. 초창기의 오오쿠에서 큰 권세를 자랑했음. 민부쿄노츠보네 유모 오에요노카타의 유모. 에도성에서는 미다이도코로 소속 필두로죠 카스가노츠보네 유모 사이토 토시미츠의 딸. 본명은 사이토 후쿠. 이에미츠의 유모. 법도를 개정하는 등, 오오쿠를 조직적으로 정비해나감. 소신니 보좌 시숙모 카스카노츠보네 (혈연으로는 아버지의 사촌누이)의 보좌역. 소신니(素心尼)로 표기하기도 함. 아사쿠라 키요 유모 타다나가의 유모. 남편은 타다나가의 츠케가로 아사쿠라 노부마사. 출가하여 쇼세이니(昌清尼)의 법명을 받음 혼리인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미츠 이에미츠와 사이가 좋지 못하였고, 오오쿠에 들어가지 않고 나카노마루 고텐에서 별거하였기 때문에 "나카노마루도노"라고불렸다. 오후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미츠 이에미츠의 첫 측실. 에이코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미츠 오만노카타. 다이죠로. 카스가노츠보네 사후, 이에미츠에게 「카스가처럼」 오쿠무키를 단속하도록 명받음. 호쥬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미츠 오라쿠노카타. 본명인 오란(お蘭)의 소리가 "란(乱)"과 똑같기 때문에 개명함. 쥰쇼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미츠 오나츠노카타.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할머니. 케이쇼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미츠 오타마노카타. 오오쿠 시녀시절의 출사명은 아키노(秋野) 텐쥬인 쇼군의 딸 도요토미 히데요리 이에미츠의 큰누나. 출가 후에는 타케바시고텐에서 살며, 오오쿠에는 거주하지 않았지만,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의 오오쿠 최고고문으로써 중추를 이루었다. 텐쥬인 쇼군의 딸 혼다 타다토키 이에미츠의 큰누나. 출가 후에는 타케바시고텐에서 살며, 오오쿠에는 거주하지 않았지만, 이에미츠 ~ 이에츠나 시기의 오오쿠 최고고문으로써 중추를 이루었다. 아제치노츠보네 시녀 오에요노카타의 시녀. 후에, 이에미츠에서 이에츠나 시대에 다이죠로로써 살았다. 토사국 코쿠시 이치죠가의 딸. 야지마노츠보네 유모 이에츠나의 유모.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 미사와노츠보네 유모 이에츠나의 유모. 오우미국 코무로번주 코보리 마사카즈의 측실.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 오우미노츠보네 시녀 이에츠나의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 아사노미야 아키코 여왕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츠나 후시미노미야가 요슌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츠나 오후리노카타. 이에츠나의 첫 측실. 엔묘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츠나 오마루노카타. 타카츠카사 노부코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츠나요시 좌대신 중1위 타카츠카사 노리히라의 딸. 오덴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츠나요시 오타니노카타・고노마루(산노마루)도노라고도 불린다. 에몬노스케노츠보네 시녀 츠나요시의 장녀 츠루히메 소속 죠로. 후의 쇼군 츠나요시 소속 필두 죠로 오토시요리로써 오오쿠를 다스림 쥬코인 측실 도쿠가와 츠나요시 오스케노츠보네. 오오쿠가 아니라 키타노마루에서 살았기 때문에, 키타노마루도노라고 불렸다. 세이칸지다이나곤가 타케히메 양녀 시마즈 츠구토요 오스케노츠보네의 조카. 그녀의 양녀가 되어 에도성 키타노마루에 들어옴. 8대 요시무네 때, 사츠마번주 시마즈 츠구토요의 계실이 됨. 신스케 측실 도쿠가와 츠나요시 락쇼쿠 후, 세이신인이라 칭했지만, 사통한 것이 걸려, 칩거처분. 공가 히노가 출신 토요하라 시녀 에몬노스케 사망 후의 쇼군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후의 죠로 토시요리. 츠나요시 ~ 이에츠구까지 3대를 섬겨, 오오쿠를 총괄했다. 텐에이인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노부 코노에 히로코. 6대 이에노부부터 8대 요시무네까지 오오쿠 수장. 아버지는 코노에 모토히로. 어머니는 츠네코 내친왕 겟코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노부 이에노부 시대에는 오키요노카타, 사쿄노카타, 산노오헤야사마(三の御部屋様)로 불렸다. 에지마 시녀 이에츠수 시대의 겟코인 소속 오토시요리. 에지마이쿠시마사건으로 실각. "에지마(絵島)의 표기는 후세의 각색. 본명 미요. 호신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노부 오콘노카타. 이치노오헤야사마(一の御部屋様), 우콘노카타로 불렸다. 렌죠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노부 오스메노카타. 니노오헤야사마(二の御部屋様), 신스케노츠보네로 불렸다. 본가는 공가 소노이케가. 혼코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노부 이츠키노카타. 오하마고텐의 번인(番人)의 딸. 오오쿠 들어온 후에는 이츠키(斎宮)로 칭했다. 죠엔인 쇼군생모 쇼군생모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생모. 오몬노카타 또는 오유리노카타로 불림. 키슈번주 도쿠가와 미츠사다의 측실 사나노미야 마사코 여왕 고렌쥬 도쿠가와 요시무네 요시무네가 키슈번 5대 번주 시절의 정실 (고렌쥬). 후시미노미야가 혼토쿠인 측실 도쿠가와 요시무네 오콘노카타. 타야스 도쿠가와가 초대 당주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생모 신신인 측실 도쿠가와 요시무네 오우메노카타. 히토츠바시 도쿠가와가 초대 당주 도쿠가와 무네타다의 생모 칸쥬인 측실 도쿠가와 요시무네 오쿠메노카타. 원래는 죠엔인의 시녀 나미노미야 마스코 여왕 고렌쥬 도쿠가와 이에시게 니시노마루 고렌쥬 지위에서 요절. 후시미노미야가 오코우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시게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의 생모. 미다이도코로 마스코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공가 우메타니가 출신 안쇼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시게 고산쿄 시미즈가 초대 도쿠가와 시게요시의 생모. 오유우노카타(お遊の方), 오세치노카타(お千瀬の方) 등으로 불렸다 마츠시마 유모 유모 이에하루의 유모. 쇼군 소속 필두오토시요리 타마사와 시녀 시녀 이에하루 시대에 세력을 떨쳤던 오토시요리 오치호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하루 후계자 이에모토의 생모. 이소노미야 토모코 여왕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하루 칸인노미야가 히로하시 시녀 시녀 이에하루의 미다이도코로 이소노미야 토모코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고다이인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나리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미다이도코로. 코노에 타다코. 본가는 시마즈가 (토쿠히메(篤姫)・시게히메(茂姫)). 친부 사츠마번주 시마즈 시게히데 카츠라가와 테야 시녀 시녀 고다이인 소속 오츄로. 오오쿠 화재 때, 로죠 하나마치를 구하려다 불에타 죽음. 후에 오쿠죠츄의 귀감이라며 칭송받음. 오토미노카타 쇼군생모 쇼군생모 이에나리의 생모. 원래는 오쿠죠츄. 히토츠바시 하루사다의 측실. 이에나리의 쇼군 취임과 함께 다시 오오쿠에 들어가 절대권력을 휘두름 오오사키 시녀 시녀 이에나리 소속 오토시요리. 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노중 취임에 진력을 했지만, 후에 대립하여 오오쿠를 은퇴. 타카오카 시녀 시녀 이에나리 시대의 쇼군 소속 필두로죠. 죠로 오토시요리 카라하시 시녀 시녀 이에나리 시대의 죠로 오토시요리. 이에하루의 양녀 타네히메 소속이되어 시집간 미토번 고이시하라저택 오쿠에 들어감. 본명은 타카마츠 타네코 오만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히데히메의 생모. 오만(お万・お満武)이라고도 부름. 오라쿠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생모. 오테(お照), 오리에(お里衛)노카타라고도 불림 오미요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야스히메(혹은 요우히메) 등의 생모 오토세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미네히메, 키이 나리유키의 생모 오야에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초명 오미오노카타. 락쇼쿠 후, 오오쿠에서 니노마루로 이사. 시미즈 나리노리의 생모 오루리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오와리 나리하루, 야스히메의 생모 오쵸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나리타카, 카즈히메 등의 생모 오미오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아사히메의 생모 오소데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나리카츠 등의 생모 오이토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나리 에이히메, 마츠다이라 나리사와, 마츠다이라 나리사다, 마츠다이라 나리코토의 생모 아네노코지 시녀 12대 쇼군 이에요시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이에요시 시대에 세력을 뻗쳤다. 하시모토 카츠코 (이요(伊与子). 카즈노미야의 왕고모. 락쇼쿠한 후에 쇼코인의 법명을 받음. 사자노미야 타카코 여왕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요시 아리스가와노미야가. 죠간인 마데노코지노츠보네 시녀 시녀 이에나리 ~ 이에모치 시대까지 4대에 걸쳐 필두로죠.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본가는 이케가미다이나곤가. 본명은 스가(壽賀) 미호노 시녀 시녀 이에나리 ~ 이에요시 시대의 오쿠죠츄. 오죠구치에서 오츄로. 혼쥬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요시 오미츠노카타.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오하나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요시 마이히메, 테루히메의 생모 슈게츠인 측실 도쿠가와 이에요시 오츠유노카타 오코토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요시 락쇼쿠 후, 묘온인이라는 법명을 받고, 사쿠라다어용저택으로 옮겨가지만, 목수와의 사통사건을 일으켜 급사함. 우타하시 유모 유모 이에사다의 유모.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오시가노카타 측실 도쿠가와 이에사다 쇼군 소속 오츄로. 호켄인 타키야마 시녀 시녀 13대 이에사다 ~ 15대 요시노부 시대의 쇼군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타카츠카사 아츠코 고렌쥬 도쿠가와 이에사다 이에사다가 아직 이에사치의 이름을 쓰고 있던 후계자 시절 맞이한 첫번째 고렌쥬 (정실). 아버지 관백 타카츠카사 마사히로 이치죠 히데코 고렌쥬 도쿠가와 이에사다 이에사다가 아직 이에사치의 이름을 쓰고 있던 후계자 시절 맞이한 2번째 고렌쥬 (정실). 법명 쵸신인. 아버지 관백 이치조 타다요시 텐쇼인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사다 이에사다의 3번째 정실. 코노에 스미코 (아츠키미(篤君)). 시마즈 아츠코. 친부 시마즈 타다타케, 양부 시마즈 나리아키라, 우대신 코노에 타다히로 토키와이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초명은 타카츠지. 처음엔 고렌쥬 히데코 소속 이쿠시마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본명은 아사쿠라 이토. 처음엔 후지타라는 이름으로 시마즈 나리노부의 딸로 코노에 타다히로에게 시집간 이쿠히메 소속이었다. 하츠세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오토시요리. 처음엔 고렌쥬 히데코 소속 츄도시요리 카와이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츄도시요리 우타가와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츄도시요리 소데무라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오츄로 필두 후쿠다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오모테즈카이 지츠죠인 쇼군생모 쇼군생모 오미사노카타. 도쿠가와 나리유키의 측실.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생모 카즈노미야 미다이도코로 도쿠가와 이에모치 치카코 내친왕. 락쇼쿠 후 세이칸인의 칭호를 받음. 닌코 천황의 딸. 코메이 천황의 여동생 칸교인 생모 생모 카즈노미야의 생모. 하시모토 츠네코. 닌코 천황의 측실 (신텐지). 카즈노미야 강가를 따라 오오쿠에 들어옴. 니와타 츠구코 시녀 시녀 카즈노미야 소속 필두 죠로 오토시요리. 원래 킨리 어상어전의 여관. 오오쿠에서는 "사이쇼텐지"의 여관 이름으로 통했다. 하시모토 레이코 시녀 시녀 카즈노미야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카즈노미야의 사촌언니에 해당함. 다이나곤 텐지로 출사. 츠치미카도 후지코 시녀 시녀 카즈노미야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오오쿠에선 모모노이(桃の井)로 불림 이쵸 카츠코 시녀 시녀 카즈노미야 소속 오쿠죠츄. 원래 킨리 어상어전의 명부 (노토노츠보네). 오오쿠에선 이와세(岩瀬)로 불림. 궁중 복귀 후에는 타케명부(竹命婦) 타나카 후지 유모 유모 카즈노미야의 유모. 하시모토 사네아키라 저택에서 카즈노미야를 양육, 카츠노미아의 내친왕 선하에 따라, 쇼신(少進)이라는 이름을 받음. 미야와 함께 오오쿠에 들어옴. 무라야마 마세코 시녀 시녀 텐쇼인 소속 오츄로. 필두 오토시요리 타키야마의 조카. 삿사 시즈코 시녀 시녀 이에요시 ~ 요시노부까지 4대동안 오츠기로써 봉공한 오쿠죠츄. 특히 텐쇼인의 신변을 돌본 것으로 알려져있다. = = 오오쿠의 최후 = = 1868년 4월, 에도 막부는 메이지 정부군에게 에도 성을 넘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당시의 오토시요리인 다키야마는 시녀들의 연공에 따라 배령물을 주어 오오쿠를 떠나게 했다. 오오쿠에 남아있던 혼슈인(13대 쇼군 생모)과 덴쇼인(13대 쇼군 정실)은 히토쓰바시家의 저택에,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은 니시노마루에 있던 짓세인(14대 쇼군 생모)과 함께 다야스家 저택으로 옮겨 성의 양도에 대비했다. 4월 11일(5월 3일) 800명의 정부군이 에도 성에 들어오면서 오오쿠 제도도 폐지되었다. 다만 마지막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정실부인 이치조 미카코는 오오쿠에 들어온 적이 없기 때문에 이 자리에 입회하지 않았다. = 뱅크런 = 뱅크런은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 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거나, 주식 등의 투자 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부실해지는 경우,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 인출 폭주 사태를 의미한다.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은, 파산의 위험이 높은 부실 은행에게서 파산 후에 돈을 받지 못할 위험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돈을 확보하고자 하는 예금주들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뱅크런은 고객들이 은행에 맡겼던 돈을 한꺼번에 되찾아 가기 때문에, 돈 없이는 운영이 불가능한 은행에게 있어 상당한 타격을 주는 현상이다. 이는 은행으로 하여금 돈을 빌렸던 기업 혹은 개인에게 상환을 촉구하는 효과도 가져와 기업과 개인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뱅크런은 사회 전체적으로도 국가 경제 상황의 악화, 경제 공황의 발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이러한 뱅크런에 대비하기 위해 ‘예금자 보호법’을 통해 예금자들의 은행 파산에 의한 손실을 어느 정도 줄이는 한편, 뱅크런의 갑작스런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예금자 보호법’이란 은행이 파산해 예금주들이 자신의 돈을 돌려받지 못하더라도 5,000만원까지는 지급을 보장해 주는 제도이다. = 카리모바 = 카리모바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굴노라 카리모바: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인 이슬람 카리모프의 장녀 타치야나 카리모바: 이슬람 카리모프 전직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영부인 롤라 카리모바 틸리야예바: 우즈베키스탄 여자 외교관 겸 정치가 = 사와야마 리나 = 사와야마 리나(, 1988년 10월 13일 ~ )는 일본의 모델, 스케이트 선수, 배우이다.사와야마 리나-네이버 인물 = 고이 전투 = 고이 전투은 1868년(게이오 4년) 음력 4월 6일 ~ 7일에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서 패주한 막부군의 부대와 신정부군이 싸운 보소 최후의 전투이다. = = 전투의 경과 = = 1868년(게이오 4년)음력 4월 3일의 이치카와·후나바시 전쟁에 패한 막부군의 부대는 가즈사쪽으로 남하, 이것을 쫓아 관군도 4일 게미 강, 6일 지바(소가)를 거쳐 추격해왔다. 같은날 밤 가즈사국 야와타(이치하라시)근처에서 사쓰마번병사 두사람이 막부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것을 계기로 다음날 7일, 막부군과 신정부군은 요로 강에서 대치 고이 전쟁이 발발하였다. 낮, 관군은 요로 강을 도하하여 아네가사키로 진출, 여기에는 삿페이대 대장 후지타 하치로우에몬이 거느린 제 3대대가 포진해 있었지만 관군의 맹공에 철퇴되었다. 이 고이 주변의 전투에서 막부군도 잘 감투(敢闘)하였지만 병사 60명이 전사하여 패해, 이 이후 보소반도에서의 조직적 저항을 할 수 없게 되었다. = 분류:딥 퍼플 = = 분류:아타카마주의 지형 = = 여주 상교리 고려석실묘 = 여주 상교리 고려석실묘(驪州 上橋里 高麗石室墓)는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에 있는 고려석실묘이다. 2004년 5월 17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되었다.경기도 고시 제2004-131호, 경기도 문화재 지정, 경기도지사, 경기도보 제3163호, 72면, 2004-05-17 = = 개요 = = 1983년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 하부구조의 석실평면은 원형이고 연도가 있으며, 상부는 네모난 방형의 2층 기단으로 된 독특한 구조를 가진 고려시대 고분임이 밝혀졌다. 지상구조는 2층의 제단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기단 1층의 규모는 동서가 442cm, 남북이 412cm, 높이 46cm이다. 형태는 동서가 남북보다 약간 짧은 장방형이다. 기단 1층에는 모두 14매의 석재를 다듬어서 사용하여 한번에 4 - 5매의 석재를 이용하였다. 기단 2층은 동서가 322cm, 남북이 280cm, 높이가 50cm이다. 기단부의 석실은 돌을 쌓아서 평면원형의 현실과 평면 장방형의 연도를 만들었다. 평면의 모양은 열쇠구멍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원형의 현실 바닥 직경은 평균 163cm이며, 현실벽의 높이는 167-175cm, 연도의 크기는 남북방향 약220cm이고, 넓이는 90cm이다. 방형기단은 불탑의 기단을 연상시키는데, 바로 산 아래 고달사지가 있었던 것을 생각해 볼 때 직간접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은 묘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유물로는 청동수저, 철제촛대, 청자상감대접 등과 토기편 등이 있다. 청동상감대접에는 운문과 여의두문이 상감되어 있고 색은 회청색을 띠고 있다. 바닥에는 모래받침을 하였는데 이러한 양식은 고려말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고려말의 유물로 판단된다. 상교리 고려석실묘는 고려시대 고분 중 매우 특이한 구조를 갖고 있는 무덤이다. 특히 고려시대 고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특히 고려시대 석실묘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이 무덤은 고려시대의 고분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 = 지정 사유 = = 1983년 한양대학교박물관 발굴조사 결과 상방하원(上方下圓) 형태의 고려시대고분으로 매우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려시대묘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농구 선수)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1992년 8월 18일 ~ )는 세르비아의 농구 선수로 포지션은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이다. 현재 전미 농구 협회(NBA)의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 = 경력 통계 = = = = = 유로리그 = = = = 이와야 다케시 = 이와야 다케시(岩屋毅)는 일본의 정치인이다.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의원.지역구는 오이타현 제3구이다. 제4차 아베 신조 제1차 개조내각 당시에는 제19대 방위대신이었다. 부친은 오이타현의회의원 이와야 아키라(岩屋啓)이다. = 분류:165년 사망 = = 1974년 미스코리아 = 1974년 미스코리아는 1974년 5월 18일에 서울특별시 중구의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열여덞번째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이다. 문화방송(MBC TV)으로 중계하였다. = = 입상자 = = 대회 진 (眞) 선 (善) 미 (美) 본선 김은정 김경옥 심경숙 강원 김향숙 장창순 최은희 경기 박상진 황의숙 박혜옥 경북 정선미 이다현 은미영 부산 정미자 정영미 서울 강영숙강승혜김윤희김지현김진주천현경홍인옥 강영숙강승혜김윤희김지현김진주천현경홍인옥 강영숙강승혜김윤희김지현김진주천현경홍인옥 전남 문경자 이윤희 이성자 전북 심경숙 박미숙 김경옥 제주 신수남 고영희 박혜자 충남 김은정 김선숙 충북 안명숙 권상순 이은희 미스코리아 미스코리아 = Coda (음반) = Coda는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컴필레이션 음반이다. 이 음반은 레드 제플린의 12년 경력 동안 다양한 세션에서 사용되지 않은 곡들을 모은 것이다. 1982년 11월 19일, 드러머 존 본햄의 죽음으로 공식적으로 해체된 지 1년 만에 발매되었다. 따라서 본체를 따라 음악 작품을 끝내는 구절을 뜻하는 "코다"라는 단어가 제목으로 선택되었다. = = 배경 = = 밴드를 위한 다섯 번째 스완 송 레코드 음반인 Coda는 애틀랜틱 레코드에 대한 계약상의 약속을 기리고 이전에 벌어들인 돈에 대한 세금 요구를 다루기 위해 발매되었다. 그것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다양한 스튜디오 세션에서 남겨진 거의 모든 트랙을 없앴다. 이 음반은 레드 제플린의 12년 역사에 걸쳐 있는 8곡의 음반이다. 애틀랜틱은 스완 송이 이 밴드의 마지막 스튜디오 음반을 제작했기 때문에 이 음반을 스튜디오 음반으로 간주했다. 마틴 포포프에 따르면 "지미 페이지가 〈We're Gonna Groove〉를 스튜디오 트랙, 〈I Can't Quit You Baby〉를 리허설 트랙이라고 부른 것은 스완 송이 애틀랜틱에 스튜디오 음반을 한 장 더 내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고 한다.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는 음반 발매에 대한 추론의 일부는 팬들에 의해 계속 유포되고 있는 비공식 레드 제플린 음반의 인기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Coda는 기본적으로 너무 많은 해적판이 있었기 때문에 방출되었습니다.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관심이 있다면, 나머지 스튜디오의 물건들을 내놓는 게 낫겠군요." 존 폴 존스가 회상했듯이 "그것들은 좋은 노래였어요. 펑크가 일어날 즈음에 녹음된 게 많았어요... 레드 제플린 트랙이 많이 나오지 않았어요. 우리는 모든 것을 사용했어요."라고 말했다. = = 커버 아트 = = 이 음반 커버는 다섯 번째 음반 커버인 힙노시스가 디자인했으며, 이 커버는 레드 제플린을 위해 디자인된 디자인 그룹이다. 이 음반은 1983년에 해체되기 전에 디자인된 마지막 음반이기도 하다. CODA의 4개의 주요 문자는 1978년 버나드 알룸이 디자인한 "Neon(네온)"이라고 불리는 알파벳 서체 디자인에서 왔다. = 요한 피노 = 요한 호세 알라나 피노(Yohan Jose Alana Pino, 1983년 12월 26일 ~ )은 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미네소타 트윈스의 투수이다. = = 미국 프로야구 시절 = = 2004년에 미네소타 트윈스에 입단하였다. = = 한국 프로야구 시절 = = = = = KT 위즈 시절 = = = 2016년에 KT 위즈로 이적하면서 한국에서 프로야구 선수생활을 하게 됐다. 그러나 성적 부진으로 인해 7월 24일부로 방출되었다. 2016 시즌 12경기에 등판해 2승 3패, 평균자책점 7.15를 기록하였다. 그의 대체 선수로는 넥센에서 방출되었던 라이언 피어밴드가 영입되었다. = = 미국 프로야구 복귀 = = 2017년부터 미네소타 트윈스와 마이너계약을 하여 활동한다. = 엔스 (동음이의) = 엔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엔스: 오스트리아의 도시 엔스강 피터 엔스: 미국의 성서학자, 신학자이자, 작가 디트릭 엔스: 미국의 야구 선수 = 강병기 = 강병기(姜炳基, 1960년 9월 15일 ~ 2021년 1월 28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민선 5기 제7대 경상남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한 경상남도의 대표적 진보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 1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를 예정하고 있었으나 전국농민회총연맹 정치위원장 시절 2002년 30만 농민대항쟁을 주도했다는 명목으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아 있는 상태로 사면복권되지 못해 출마가 좌절된 바 있다. 이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 19.85%의 지지율을 얻었다. 이후 민선5기를 선출하는 6.2 지방선거에 경상남도도지사선거에 출마했지만. 무소속 경상남도 도지사 후보인 김두관과 야권통합을 통해 경남의 야권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민선 5기의 출범 이후 경상남도 정무부지사직을 맡아 지방공동정부의 수반역할을 했다. 2021년 1월 28일, 뇌출혈로 투병하다 사망했다. = = 학력 = = 1972년 2월 진주 대곡초등학교 졸업 1975년 2월 진주 대곡중학교 졸업 1978년 2월 대곡고등학교 졸업 1984년 2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 = 경력 = = 2001년 전국농민회 총연맹 사무총장 2002년 전국농민회 총연맹 정책위원장 2003년 전국농민회 총연맹 정치위원장진주시 학교급식조례제정 주민발의위원장달팽이 어린이도서관 건립추진위원장 2006년~2007년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진주을 출마 2009년~2010년 6월 민주노동당 진주시위원회 위원장 2009년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농민위원장 2009년 시외버스 부당요금 징수문제 해결을 위한 경남대책위 상임대표 2009년 쌀값 지원 조례 제정 청구인 대표 2009년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더큰경남발전위원회 위원장 2009년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도지사 예비후보 2010년 ~ 2011년 경상남도 정무부지사 = 분류:가자 지구의 역사 = = 낸시 맥키온 = 섬네일 낸시 매키언(Nancy McKeon, 1966년 4월 4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성우,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 영화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유쾌한 서니 시즌1 (2009년) 카테고리 6 - 지구 멸망의 날 (2004년) - 에이미 하킨 역 패밀리 우먼 (2003년) - 제인 역 저스트 라이트 (1997년) (1997년) 어머니의 선물 (1995년) 어둠 속의 목격자 (1995년) 토마토 공장에서 생긴 일 (1994, Teresa's Tattoo) 마지막 마피아 (1993년) 스내처 (1992년) 흔들리는 영웅 (1992년) 원주민의 복수 (1991년) 여소방관 신디 (1986년) 여름 캠프 (1985년) 청춘 고백 (1983년)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 남구의회 = 다음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대구 남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남구의회는 지역구의원 7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남구 가선거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2동, 대명5동 3 남구 나선거구 대명1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10동 2 남구 다선거구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1동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남구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무투표 당선이 결정되었다.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국민의힘 1 성윤희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국민의힘 5 1 6 더불어민주당 2 0 2 = 틀: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 = 틀:남해군의원 선거 = = 아르바크와 알스비드 = thumb 아르바크와 알스비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태양의 여신 솔의 채리엇을 끄는 말이다. 신들은 이 두 마리의 말의 어깨 아래에 풀무를 끼워넣어 열기를 식힌다고 한다. = = 참고 자료 = =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 박인년교지 = 박인년교지(朴引年敎旨)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에 있는 교지이다.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24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문서는 영조 15년(1739) 박팽년의 아우 박인년에게 화를 입기 전의 관직인 집현전 교리로 다시 복직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교지이다. 박인년은 단종복위를 도모하다 순절한 사육신 박팽년의 아우로, 이 때 일가족 8인이 참변을 당했다. 참변을 당한 사람을 보면 아버지 박중년, 형 박팽년, 아우 박영년, 박기년, 박대년 그리고 조카 박헌 등이다.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獨立自治勞動組合 '連帶', )는 폴란드의 노동 조합으로 1980년 9월에 레흐 바웬사가 그단스크에서 창설한 단체이다. 옛 공산국가 노조의 특징이었던 당에 속한 노조가 아닌, 노동자들의 자주적인 노동조합을 주장하였다. 당의 말을 잘 듣는 어용노조가 아닌, 노동자들이 운영에 참여하는 자유 민주적 노조라고 할 수 있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공산주의 국가에 자리잡은 첫 비공산주의 노동 조합이었다. 이들은 1980년대에 광범위한 반공산주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부에서는 1980년대 초 계엄이 내려진 시기에 이들을 와해시키려 노력했으나, 결국 협상을 하게 되었다. 공산주의 정부와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사이에 열린 폴란드 원탁 회의는 1989년 국회 선거가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8월 말에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 연합정부가 만들어졌으며 1990년 12월에는 바웬사가 폴란드의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 이후로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전통적인 노조로서의 위치를 지켜왔다. = = 역사 =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1980년 9월 그단스크에 있는 레닌 조선소 (이후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레흐 바웬사를 필두로 한 사람들이 광범위한 반공산주의 단체를 만들면서 시작되었다.스테거, 맨프레드 B., Judging Nonviolence: The Dispute Between Realists and Idealists, 2004년 1월, Routledge (UK), 멤버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좌익 인사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활동에 있어 비폭력을 지향하였다.캐버너-오키프, 존, Justice Without Violence p28, 1993년 2월, Lynne Rienner Publishers, 캐버너-오키프, 존, Emmanuel, Solidarity: God's Act, Our Response p68, 2001년 1월, Xlibris Corporation, 1981년 9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첫 국회를 통해 레흐 바웬사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KALENDARIUM NSZZ „SOLIDARNOŚĆ” 1980–1989 접속일 2006년 10월 15일 폴란드를 공화국 체제 (“독립 공화국” 체제)임을 선포하였다.Piotr Gliński, The Self-governing Republic in the Third Republic, “Polish Sociological Review”, 2006, no.1. 정부는 1981년 계엄을 내린 시기 동안 몇 년간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를 억압하고 와해시키려 노력하였으나, 결국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 폴란드에서, 공산주의 정부와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가 중심이 된 반대파 사이에 열린 폴란드 원탁 회의는 1989년 국회 선거로 이어졌다. 8월 말에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가 이끄는 연합 정부가 만들어졌으며 1990년 12월에는 바웬사가 대통령으로,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가 총리로 당선되었다. 1989년 이후로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전통적인 노조로써의 위치를 지켜왔으며, 1990년 대 초에는 폴란드 정치에 있어서 비교적 적은 영향을 끼쳐왔다. 1996년 정치적인 군대 자유노조행동연합 (AWS, Akcja Wyborcza Solidarność)이 1997년 열린 대선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다음에 열린 2001년 대선에서는 패배하였다. 현재, 정치적인 면에서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거의 영향력을 끼치지 않고 있다. = = 로마 가톨릭의 사회적 영향 = = 로마 가톨릭의 사회선교 회칙 중 하나인 사회적 관심(참고로 복음주의권에서는 사회선교의 원칙을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부른다.)에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교회와 민중과의 연대를 복음서의 중요한 가르침으로, 인류의 협동을 공동선을 위한 필수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지도 아래에 있는 자유노조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조합의 성공에 크나큰 기여를 하였다. 레흐 바웬사 역시 공식적으로 여러 번 가톨릭에 대한 독실한 믿음을 보인 바 있으며, “교황과의 만남을 통해 우리가 얼마나 커다란 존재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분은 우리에게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라는 말을 통해 교황의 영향을 확인하기도 하였다.BBC World, Analysis: Solidarity's legacy. 또, 파업 노동자들에게 여러번 설교를 하기도 하였던 예르치 포피엘루즈코 신부는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와의 관계로 인해 공산주의자들에게 죽임을 당하기도 하였다. 폴란드 노동자들 역시 교회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이는 1980년대 파업 때 찍힌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여러 공장의 벽에는 로마 가톨릭의 성모 신앙을 상징하는 성모 마리아나 요한 바오로 2세의 사진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 외부 영향 =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생존은,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 상태였던 폴란드 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블록 전체에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이는 1970년 시위를 기관총 발포로 제압해낸 (수십 명이 죽고 1000명 이상이 부상)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그리고 1956년의 헝가리 혁명, 1968년 프라하의 봄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소비에트 군의 굳은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영향으로 반공산주의 이념과 운동은 소비에트 블록의 국가들 사이에서 퍼져나갔으며, 이로 인해 공산주의 정부는 약화되어갔다. 1989년 폴란드의 선거에서 반공산주의자 후보가 승리한 것은 중앙유럽과 동유럽에서 1989년 혁명 (Jesień Ludów)이라 하는 일련의 반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하는 불씨가 되었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사례는 소비에트 블록의 여러 국가의 야당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이 되었으며, 이는 소비에트 블록의 해체, 그리고 199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이어졌다. 2008년 말에는, 러시아 연방의 여러 자유 민주주의 야당이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정신을 계승하는 연대당을 조직하였다.Kasparov starts new Russian opposition movement. The Associated Press. 2008년 12월 13일 = = 조직 = = 1980년 8월 31일 조직된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Guardian newspaper report 2009년 6월 22일 접속 “대표 회의” (Zjazd Delegatów)가 입법부의 역할을 한다. 행정부의 역할은 국립협동위원회 (Krajowa Komisja Porozumiewawcza, 이후 국립위원회로 이름을 바꿈)가 맡고 있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지역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38개의 지역 (region)과 두 개의 지구 (okręg)로 나눠져있다. 공산주의 시대였던 1983년에는 계엄령에 의해 38명의 지역 대표가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에 의해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기도 하였다. 1년의 징역 살이 이후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고위 관직들은 그들을 받아들이는 어떤 나라로든 (캐나다, 미국, 중동 국가들 포함) 가서 돌아오지 말 것을 강요당하였다.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산업별 노동조합, 더 자세히 말하자면 하나의 큰 조합 (One Big Union)의 개념에 따라 세계산업노동자동맹과 스페인의 전국노동자연맹 등의 특징을 계승한 단체였다 (모든 직종의 노동자들이 직업별이 아니라 지역별로 묶인 특징이 있다.).Solidarność NSZZ 접속일 2006년 10월 10일 현재,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멤버는 110여만 명이 넘는다. 독립 자유 노동조합 연대의 국립 위원회는 그단스크에 있으며 지역 의회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 = = 지역 단체 구조 = =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는 37개의 지역 단체로 나뉘어 있으며, 이들의 구조는 크게 볼 때 1975년부터 1998년까지 이어졌던 폴란드의 주를 반영한다. 각 구역으로는 그단스크, 그단스크에 위치 바르미아-마주리, 올슈틴에 위치 엘블롱크, 엘블롱크에 위치 돌니실롱스크, 브로츠와프에 위치 피와, 피와에 위치 서포모제, 슈체친에 위치 우치 지역, 우치에 위치 쳉스토호바, 쳉스토호바에 위치 산도미에시 지역, 스탈로바볼라에 위치 프워츠크-쿠트노, 프워츠크에 위치 마워폴스카, 크라쿠프에 위치 오폴레-실롱스크, 오폴레에 위치 연안, 코샬린에 위치 스웁스크, 스웁스크에 위치 지엘로나구라, 지엘로나구라에 위치 베스키디, 비엘스코비아와에 위치 코닌, 코닌에 위치 남비엘코폴스카, 칼리시에 위치 포들라스키에, 비아위스토크에 위치 피오트르쿠프, 피오트르쿠프트리부날스키에 위치 쿠야비-도브진스카, 브워츠와베크에 위치 포트카르파츠키에, 크로스노에 위치 제슈프, 제슈프에 위치 토룬, 토룬에 위치 실롱스크-자그웽비에, 카토비체에 위치 라돔, 라돔에 위치 비엘코폴스카, 포즈난에 위치 고주프, 고주프비엘코폴스키에 위치 시비엥톡시스키에, 키엘체에 위치 시로트코보-프스호드니아, 루블린에 위치 옐레니아구라, 옐레니아구라에 위치 레슈노, 레슈노에 위치 헤움, 헤움에 위치 프셰미실-야로스와프, 프셰미실에 위치 마조프셰, 바르샤바에 위치 카퍼 베이신, 레그니차에 위치 = = = 중요 공장의 네트워크 = = = 독립자치노동조합 '연대'의 폴란드 주요 공장의 네트워크는 1981년 4월 14일 그단스크에서 만들어졌다. 네트워크는 17개의 공장의 대표로 구성되었다. 각 대표는 1975년 전 폴란드의 모든 주에서 가장 중요한 공장으로 선정되었다. 제외 사항이 두 가지 있었는데, 코샬린과 카토비체 주는 두 개의 공장이 대표하였다. 보이보드 대표 그단스크 그단스크의 블라디미르 레닌 조선소 슈체친 슈체친 조선소 포즈난 H. 세지엘스키 - 포즈난 S.A. 비드고슈치 비드고슈치의 “철로 차량 수리점” 지엘로나구라 지엘로나구라의 “철도 화물차 & 제강소” 카토비체 카토비체의 부엑 탄광과 스비에토츨로비체의 “스페어 부품 공장” 크라쿠프 노바후타의 블라디미르 레닌 제강소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의 “운송 철도 공장” 제슈프 제슈프의 “WSK 통신 장비 공장” 비아위스토크 비아위스토크의 면화 공장 키엘체 키엘체의 “볼 베어링 공장” 올슈틴 올슈틴의 “스토밀 타이어 공장” 루블린 스비드니크의 “PZL 통신 장비 공장” 우치 우치의 “줄리앙 마첼레브스키 면화 공장” 바르샤바 바르샤바의 우르주스 공장 오폴레 오지메크의 “마와파뉴 제강소” = = 의장 = = 레흐 바웬사 1980-1990 마리안 크라크제프스키 1990-2002 야누츠 스니아데크 2002- = = 더 읽기 = = * * * * * * * *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사회적 책임, 바티칸 웹사이트 * * = 뉴 뮤턴트 (영화) = 뉴 뮤턴트는 2020년 개봉한 크리스 클레어몬트와 밥 매클로드의 동명의 마블 코믹스를 기반으로 20세기 스튜디오가 배급하는 미국의 슈퍼 히어로 호러 영화이다. 처음에는 돌연변이 공포 영화의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으로 계획 되었지만, 엑스맨 영화 시리즈의 13번째 연재물로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조시 분이 감독하고, 네이트 리와 공동 각본을 썼다. 안야 테일러 조이, 메이지 윌리암스, 찰리 히턴, 헨리 자가, 블루 헌트와 앨리스 브라가가 출연한다. 영화는 비밀 시설에 수용된 젊은 돌연변이 팀이 스스로를 구하기 위해 싸우고 있는 과정을 그린다. 촬영은 2018년 4월 개봉을 염두에 두고 보스턴의 메드필드 스테이트 병원에서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 = 줄거리 = = '선과 악'의 대립이라는 고전적인 플롯구조를 바탕으로 '통제와 자유'라는 중립적인 대립구조를 주축으로 '죽음과 생명'이라는 현대적인 플롯의 대립구조와의 연대를 짜임새있게 새로 구축한 마블 스튜디오의 주요한 스토리중 하나이다. = = 배역 = = 메이지 윌리엄스 - 레인 싱클레어 역 애니아 테일러조이 - 일리야나 라스푸틴 역 찰리 히턴 - 샘 거스리 역 엔히 자가 - 로베르토 "바비" 다코스타 역 블루 헌트 - 대니엘 "대니" 문스타 역 앨리스 브라가 - 닥터 세실리아 레이스 역 = = 제작 = = VFX에는 메소드 스튜디오, 무빙 픽처 컴퍼니, 더블 네거티브 등이 참여하였다. = 홍아름 = 홍아름(1989년 3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이력 = = 2006년 넥슨 메이플스토리 광고 모델로 발탁된 것이 계기가 돼 FT 아일랜드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게 됐고 다시 드라마 인순이는 예쁘다에 출연하여 연기자 데뷔를 하였다. = = 학력 = =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 = 경력 = = 2013년 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홍보대사 2015년 부산광역시 홍보대사 = = 드라마 출연작 = = = = = KBS = = = 2008년 KBS2 주말연속극 《내 사랑 금지옥엽》 ... 김보리 역 2009년 KBS2 아침드라마 《다 줄꺼야》 ... 공영희 역 2010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락 락 락》 ... 현주 역 2013년 KBS2 TV소설 《삼생이》 ... 석삼생 역 2017년 KBS2 TV소설 《꽃 피어라 달순아!》 ... 고달순 / 이은솔 역 2018년 KBS1 일일연속극 《내일도 맑음》 ... 최유라 / 가짜 한수정 역 (특별출연) 2022년 KBS2 주말연속극 《신사와 아가씨》... 커피집 사장 역 2022년 KBS1 일일연속극 《으라차차 내 인생》... 박자영 역 2023년 KBS2 월화드라마 《두뇌공조》 ... 트엉 역 2023년 KBS2 일일연속극 《비밀의 여자》... 모승효 역 (특별출연) = = = 타방송사 = = = 2009년 SBS 월화드라마 《드림》 ... 송유리 역 2012년 MBC 주말드라마 《무신》 ... 월아/안심 역 2013년 SBS 특집드라마 《낯선 사람》 ... 윤희 역 2014년 TV조선 특별기획 드라마 《불꽃 속으로》 ... 하처순 역 2014년 MBN 특별기획 드라마 《천국의 눈물》 ... 윤차영 역 2014년 MBC 주말 특별기획 《전설의 마녀》 ... 은보경 역 2015년 tvN 일일드라마 《울지 않는 새》 ... 오하늬 역 2016년 SBS 월화드라마 《대박》 ... 연화 역 2016년 네이버 TV 웹드라마 《우리집에 놀러오개》 ... 도래미 역 = = = 영화 = = = 2008년 《가벼운 잠》 ... 수진 역 2015년 《막걸스》 ... 초롱 역 2015년 《마리오네트》 ... 문주 역 2016년 《아빠가 돌아왔다》 ... 윤애숙 역 2017년 《원스텝》 ... 지연 역 2021년 《전야》 ... 한나 역 = = = 뮤직 비디오 = = = 2007년 FT 아일랜드 - 너올때까지 2008년 엠씨 더 맥스 - Goodbye To Romance 2014년 가비엔제이 - 좋겠다 2016년 KCM - 오랜나무 = = = 광고 = = = 2006년 넥슨 - 메이플스토리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8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내 사랑 금지옥엽 2009 제4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내 사랑 금지옥엽 2012 MBC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무신 2013 KBS 연기대상 일일극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삼생이 2015 제52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막걸스 2015 제35회 황금촬영상 신인여우상 막걸스 2017 KBS 연기대상 일일극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꽃 피어라 달순아! = 분류:임호중학교 동문 = = B tv = B tv는 SK브로드밴드에서 제공하는 IPTV 서비스이다. B tv는 VOD(Video On Demand) 중심의 TV-Portal 서비스만을 제공해오다가 2009년 1월 12일 서울에서 실시간방송을 시작하였다. 가입자는 2014년 11월 기준 268만 명으로, KT의 지니 TV의 절반수준이므로, IPTV의 맹추격…"내년 케이블TV 가입자 뛰어넘을 것", 아시아경제 2014.11.19 2016년 11월에 모든 채널 번호가 장르별로 재배치되어, 100% HD 채널로 전환하였다. = = 연혁 = = 2006.7 하나TV 론칭 하나로, TV포털 국내 첫 선, 전자신문 2006.7.25 2007.1 결합상품 TPS(Triple Play service; hanaTV & Internet & Telephone) 출시 2007.2 쇼핑사업 개시 2007.4 VAS(Value Added Service) 상품 출시 2007.7 50만 가입자 돌파 하나TV, 가입자 50만 돌파 , 디지털타임스 2007.6.19 2008.4 90만 가입자 돌파 하나로텔레콤 하나TV , 디지털타임스 2008.5.6 2008.9 회사의 사명 변경에 따른 브랜드네임 변경(하나TV->Broad&iptv) 2009.1 실시간방송 시작 2009.3 60개 채널 실시간 방송 서비스 예정 2010.4 broad&iptv에서 B tv로 브랜드 변경 2020.4 Btv 케이블 신설 = =기술적 특징 = = *플랫폼 : H.264(MPEG4-Part10) 인코딩 D&P(Download & Play) 전송 DRM 보안 VoD Servers & VAS(Value Added Service) Servers *네트워크 :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모든 매체에 가능(xDSL, HFC, optical-LAN, FTTH, etc) *단말 : 사용자 친화적 UI(user Interface) 고화질 HD 영상 & 5.1채널 사운드 HD-TV 튜너 & HDD 내장 = = 대한민국의 다른 IPTV 서비스 = = KT - 지니 TV LG유플러스 - U+ TV = 분류:누벨칼레도니의 건축물 = = 마리오 카트 7 = 마리오 카트 7은 닌텐도의 레이싱 비디오 게임으로, 일본에서 2011년 12월 1일 발매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5월 31일 발매되었다. = =기본 캐릭터 = = 마리오 루이지 피치 요시 쿠파 동키콩 키노피오 엉금엉금 = = 잠금 캐릭터 = = 데이지 와리오 로젤리나 헤이호 메탈마리오 김수한무 허니퀸 꽃충이 Mii = You Win Again (비지스의 노래) = You Win Again는 1987년 10월에 발매된 비 지스의 노래이다. 워너 뮤직 그룹에 의해 발매되었다. = 라이프 앤 스타일 = 라이프 앤 스타일(Life & Style)은 바우어 미디어 그룹이 2004년 창간한 미국의 연예인 잡지이다. 2018년 아메리칸 미디어 주식회사가 바우어 미디어 그룹의 미국 연예인 잡지를 인수했다. 비록 그것은 연예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그 잡지는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에 맞추어져 있고, 독자들이 연예인의 아름다움, 옷, 그리고 몸매 트렌드를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포함시키도록 돕는 것에 자체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2014년 현재, 그 초점은 연예인 뉴스에 더 집중되어 있다. 독일어판은 2008년 5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바우어 미디어 그룹에 의해 출판되었다. = 다쓰카와촌 (에히메현) = 다쓰카와촌은 에히메현 기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우치코정에 해당한다. = 분류:게르하르트 슈뢰더 = = 분류:아돌프 히틀러의 암살 미수자 = = 의무소방대 = 의무소방대(義務消防隊, )는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의 하나로,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소방행정 수요에 비해 절대 부족한 현장활동인력을 확충하여 소방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였다. 의무소방원은 2006년 9월 22일 개정된 의무소방대설치법과 2006년 6월 30일 개정된 '의무소방대설치법 시행령'에 의해 선발 및 운영되었고 2023년 6월 13일 73기 전역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 = 설립 = = 2001년 8월 14일 제정, 공포된 '의무소방대설치법'을 근거로 하는 의무소방대 및 의무소방원은 2001년 3월 4일 서울특별시 홍제동 화재 사고 및 3월 7일 부산광역시 연산동 빌딩화재로 7명의 소방공무원이 순직하고 5명이 부상하는 사고를 계기로 설치되었다. 사고 이후 정부차원에서 부족한 소방인력을 보충하여 화재 등 재난현장 활동의 대응력을 높이는 한편, 복리후생증진과 근무 여건 개선으로 소방공무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등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검토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소방충혼탑 건립, 격무부서 3교대 근무, 소방차량 및 개인안전장비 보강 등 다양한 시책이 추진되었다. 그 중 소방인력 부족을 대체하는 한 방안으로 소방공무원 5,000명 증원 및 국방의 의무를 전환하는 의무경찰과 같은 의무소방대를 2001년 7월까지 도입하는 시책을 2001년 3월 12일 당시 행정자치부장관, 기획예산처장관,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당정 협의를 거쳐 당시 소방국 방호과에서 주관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의무소방대 법령기획단(2001.3.14, 총괄 천광철 소방감, 단장 조택희 소방정, 단원 2명)을 전격적으로 구성하고 의무소방대설치법(가칭) 제정 작업을 착수했다. 2001. 6. 14일 제222회 임시국회 회의 시 소방 발전 특별 소위원회안으로 법안을 상정하여 2001년 8월 14일 법률 제6550호로 의무소방대를 설치하였으며, 이때 당초의 4,000명 규모에서 25% 줄여 2002년과 2003년에 각 1,292명, 2004년에 416명 추가 확보 후 정원을 3,000명 유지하는 것으로 추진되었다. 법령 제정 관련 추진된 2001년에 추진된 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1. 3. 20: 의무소방대 설치법 제정초안 작성 장관 결재(13개 조문 및 부칙) *2001. 3. 24 ~ 4. 13: 부처협의(국무조정실 등 25개 부처, 법무부 징계 중 영장제도 추가 의견 제시) *2001. 4. 11: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협의(의원입법으로 처리요: 원유철 의원, 박봉국 수석전문위원) *2001. 4. 20 ~ 5. 20: 행정자치위원회에 소방안전위원회를 두고 의원입법 결정 *2001. 6. 2: 행정자치위원회 입법 상정 수정 의결 *2001. 7. 13: 국방위원회에 병역법 개정안 상정 의결(정원 4,000명 → 3,000명, 복무기간 26개월 → 28개월로 조정) *2001. 7. 18: 법사위․본회의 상정 의결, 8월 14일 의무소방대설치법 공포․시행(법률 제6505호) *시행령 및 훈령, 직제, 예산 등 2001. 9. 15: 시행령 공포․시행(대통령령 제17362호) 2001. 10. 9: 관리규칙 공포․시행(행정자치부훈령 제77호) 2001. 11. 24: 2002년도 군사훈련 일정 정(연 6회, 215명씩) 2001. 12. 31: 의무소방대직제 신설(직제 및 직제시행규칙 개정․2002.1.1시행) 2001. 12. 27: 예산 9,747백만 원 국회본회의 의결(선발, 군사훈련, 소방교육, 배치우 운영) = = 임무 = = 의무소방원의 임무는 의무소방대 설치법 시행령 제20조에 의거 다음과 같다. 화재 등에 있어서 현장활동 소방행정의 지원 소방관서의 경비 = = 임용·선발·교육·배치 및 복무 = = = = = 임용 = = = 의무소방원은 병역 미필의 민간인의 지원에 한하여 선발된다. 즉 병역법 제25조 1항의 규정에 의거 전환복무된 자 중에서 소방청장이 임용했다. 소방청장은 임용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특별시·광역시·도, 중앙소방학교, 중앙119구조본부, 지방소방학교 또는 소방서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으며, 보통 각 시도 소방본부의 장이 선발하고, 선발된 인원을 소방청장이 국방부장관에게 추천하여 임용하게 된다. = = = 선발 = = = 의무소방원의 선발은 '의무소방원 임용예정자 공개경쟁 선발시험'(이하 '선발시험')을 실시하여 그 대상자를 선발하게 된다. 의무소방 선발시험은 신체검사와 면접시험으로 하되 소방방재청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외에 선택형필기시험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통 1차 신체검사, 2차 필기시험, 3차 면접시험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신체검사 기준 체격: 체격이 강건하고 팔·다리가 완전하며, 가슴·배·입·구강 및 내장의 질환이 없는 자. 신장: 146cm 이상인 자 시력: 나안 각각 0.1 이상, 교정시력 각각 0.8 이상 색신: 색맹이 아닌자 청력: 청력이 완전한 자 혈압: 고혈압(수축기 145mmHg 초과, 확장기 90mmHg 초과) 및 저혈압(수축기 90mmHg 미만, 확장기 60mmHg 미만)이 아닌 자 운동신경: 운동신경이 발달하고 신경 및 신체에 각종 질환의 후유증으로 인한 기능장애가 없는 자로서 제자리 멀리뛰기 205cm 이상, 윗몸일으키기 26회 이상(1분 이내), 50m달리기 8.5초 이내, 1,200m달리기 6분 19초 이내 등을 기준으로 판정한다. 필기시험은 국어, 국사, 일반상식(소방상식 포함)으로 이루어진다. 적성시험(인성검사)은 25차 시험부터 생겼는데 주로 면접전에 천안 중앙소방학교에서 실시 된다. 33차 시험부터는 온라인 응시로 바뀌었다. 면접시험은 일반상식(소방상식 포함), 사회, 정치, 문화, 시사 등의 시험문제가 출제 된다. = = = 교육 및 배치 = = = 선발시험에 통과, 임용된 의무소방원은 육군훈련소에서 3주 기초군사교육을 수료한 후 4주 간 공주시 소재 중앙소방학교 의무소방교육대에서 소방훈련(화재진압, 구조, 구급)을 받고 선발된 각 시도 소방본부로 인계된다. 그 후 지침에 따라 일선 소방서나 시도 본부에 배치되어 근무하게 된다. 한편 2008년 기준 소방방재청에 소속된 종류별 징집병은 의무소방원 725명, 사회복무요원은 624명이다.278회 정기국회 업무보고 질의서 (김충조 의원 질문) = = = 복무 = = = 의무소방원은 기초군사교육(논산훈련소 3주)과 중앙소방학교에서 4주 간의 소방교육을 포함하여 1년 8개월 동안 복무했다. 해군의 복무기간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른 현역병(전환복무 대원 포함)과 동일하게 복무기간 감축의 혜택을 받았다. 의무소방원의 계급은 이방, 일방, 상방, 수방, 특방1994년에 폐지된 일반하사와 동일한 개념으로, 창설 이래 적용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이 있으며, 전역 후 소방공무원으로서의 특별채용의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의무경찰도 경찰은 특정직 공무원이기 때문에 특채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각 계급별 진급기간은 다른 현역병(전환복무 대원 포함)과 같다. 2020년부터 계급별 복무기간이 이방 2개월, 일방 6개월, 상방 6개월, 수방 6개월로 변경되었다. = = 계급 = = 현역(전환복무) 징집병인 의무소방대 대원은 단지 소방대원으로서, 소방공무원은 아니다.http://www.nfsa.go.kr/pub/board/bbs_content.html?uid=30 중앙소방학교 홈페이지 참조 수방 (首防) - 군 계급의 병장 (兵長). 이후 나머지 . 상방 (上防) - 군 계급의 상병 (上兵). 이후 6개월. 일방 (一防) - 군 계급의 일병 (一兵). 이후 6개월. 이방 (二防) - 군 계급의 이병 (二兵). 입대일로부터 2개월. 1995년 이후 폐지된 국군의 일반하사와 유사한 개념인 '특방'이라는 직급이 있다. 그러나 의무소방은 2001년에 창설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 임용된 특방은 단 한 명도 없다. 일반하사의 계급은 평시에는 실제로 임용된 경우가 없으나, 전시에는 새로이 임용한다. 그리하여 공무원 봉급표에는 '특방'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들의 월 기본급은 병장(수방)의 2배 가량이다. 전역시에는 다시 신분이 전환되어 육군병장 만기전역으로 전역한다. = = 복제 = = 의무소방대관리규칙에서 복제를 규정(제정 2001. 10. 9. 행정자치부훈령 제77호) 하고 있다. 의무소방원의 제복은 소방복, 소방모, 소방화, 계급장, 표지장 및 그 부속물로 구분하고, 형상·제식 및 재질은 소방공무원복제규칙」을 준용하며, 의무소방원은 계급장, 가슴표장, 기능구분표장, 명찰 등 일부만 새롭게 규정하였다. 특히 기능구분 표지장은 2006년도 10월 16일 소방방재청 훈령(103호)에 의거 새롭게 규정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소방복은 근무복, 기동복, 잠바, 방한복, 조끼, 활동복 및 우의로 구분하고 소방모는 근무모로 소방화는 단화와 기동화로 구분 한다. *기동복 등의 표지장은 소방공무원의 것과 같이 한다. *기능구분 표지장은 원형 테두리 안쪽에 3개의 회오리형 불꽃모양의 자수로 한다. = = 관련 사건 = = = = = 2012년 일산소방서 김상민 상방 순직 사건 = = = 김상민 상방은 2012년 12월 17일 고양시 일산동구 덕이동 화재 현장에서 불의의 사고로 의식을 잃은 뒤 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순직하였다. 이 후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0부(고영구 부장판사)는 유족이 낸 소송에서 "국가가 1억5천66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하였다. 재판부는 "김씨가 건물 내부에 진입해 소방호스를 끌어올린 것은 의무소방원이 해야 할 현장활동 보조임무에서 벗어난다"고 판시하며 "의무소방원에게는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간소한 안전장비가 지급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상민 상방은 사고 당시 안전모와 방화복 상의만 착용한 상태였다.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York Central = return { name = 'York Central', top = 53.9693, bottom = 53.9495, left = -1.1109, right = -1.0604, image = 'Location map United Kingdom York Central.png' } = 위키백과: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 = 위키백과의 자료를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위키백과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체 문서를 묶어서 배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한국어 위키백과 덤프를 받을 수 있습니다. pages-articles.xml.bz2 - 일반 문서의 최신 버전만이 묶여 있고, 전체 편집 역사는 들어있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이용자는 이 파일을 이용하면 됩니다. pages-current.xml.bz2 - 모든 문서의 최신 버전이 묶여 있습니다. pages-full.xml.bz2/7z - 모든 문서(토론 포함)의 최신 버전이 묶여 있습니다. pages-meta-history.xml.bz2 - 모든 문서의 모든 편집 내역이 묶여 있습니다. pages-logging.xml.gz - 모든 문서와 사용자에 대한 행위 기록이 묶여 있습니다. abstract.xml.gz - 문서 요약이 묶여 있습니다. all-titles.gz - 모든 문서 (토론 포함) 의 제목이 묶여 있습니다. all-titles-in-ns0.gz - 모든 문서 (본문만) 의 제목이 묶여 있습니다. redirect.sql.gz - 넘겨주기 문서의 목록이 묶여 있습니다. pagelinks.sql.gz - 위키 문서 간의 링크가 묶여 있습니다. externallinks.sql.gz - 위키 외부로의 링크가 묶여 있습니다. protected_titles.sql.gz - 위키에서 생성보호된 문서의 제목이 묶여 있습니다. user_groups.sql.gz - 사용자의 권한 목록이 묶여 있습니다. user_former_groups.sql.gz - 과거의 사용자 권한 기록이 묶여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 이외의 다른 압축 파일은 dumps.wikimedia.org에서 받을 수 있고, 더 자세한 내용은 메타위키의 문서(영어)를 참고해주세요. = 태비 게빈슨 = 태비 게빈슨(Tavi Gevinson, 1996년 4월 21일 ~ )은 미국의 작가, 잡지 에디터, 배우이다. 12살 때 패션 블로그 "스타일 루키"(Style Rookie)의 운영하며 청소년 블로거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이후 패션에서 대중 문화와 여성주의로 영역을 옮겼다. = 분류:아이슬란드 사람 = = 분류:지표 = = 동희영 = 동희영(董熙英, 1980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 학력 =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학 석사 = = 경력 = = 임종성 국회의원실 보좌관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18.07 ~ 2022.06: 제8대 경기도 광주시의회 의원 2022.10 ~ :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대변인 = 스타산드로스 = 스타산드로스(, , 기원전 4세기)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가신으로 디아도코이 중 한 사람이다. = BFL = BFL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뱃 포 래시스(Bat for Lashes) 빅 팻 라이어(Big Fat Liar) = 윤소호 = 윤소호 (1991년 1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이자 연극배우이다. = = 학력 = = 도원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졸업 = = 수상 경력 = = 2016년 제10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남자신인상 = = 출연 작품 = = = = = 뮤지컬 = = = 2011. 11. 29 ~ 2012. 02. 26 《쓰릴미》 - 그 역 2012. 07. 14 ~ 2012. 09. 02 《번지점프를 하다》 - 현빈 역 2012. 09. 13 ~ 2012. 09. 14 《비스티보이즈_CJ크리에이티브 리딩》 - 승우 역 2012. 11. 03 ~ 2012. 11. 25 《트레이스 유》 - 구본하 역 2013. 01. 15 ~ 2013. 03. 10 《여신님이 보고 계셔》 - 류순호 역 2013. 02. 05 ~ 2013. 04. 28 《트레이스 유》 - 구본하 역 2013. 05. 03 ~ 2013. 08. 25 《여신님이 보고 계셔》 - 류순호 역 2013. 07. 15 ~ 2013. 07. 16 《도리안그레이_워크샵》 - 도리안 그레이 역 2013. 08. 01 ~ 2013. 10. 27 《블랙메리포핀스》 - 헤르만 디히터 역 2013. 09. 27 ~ 2013. 11. 17 《번지점프를 하다》 - 현빈 역 2014. 03. 04 ~ 2014. 06. 29 《트레이스 유》 - 구본하 역 2014. 12. 02 ~ 2015. 02. 22 《킹키부츠》 - 찰리 프라이스 역 2015. 06. 17 ~ 2015. 08. 23 《베어 더 뮤지컬》 - 피터 시몬 역 2015. 10. 21 ~ 2015. 11. 15 《레미제라블_대구》 - 마리우스 퐁메르시 역 2015. 11. 28 ~ 2016. 03. 06 《레미제라블_서울》 - 마리우스 퐁메르시 역 2016. 06. 21 ~ 2016. 10. 03 《스위니토드》 - 안소니 호프 역 2016. 12. 16 ~ 2016. 12. 22 《스모크_트라이아웃》 - 해 역 2017. 03. 18 ~ 2017. 05. 28 《스모크》 - 해 역 2017. 11. 18 ~ 2018. 01. 14 《원스어폰어타임 인 해운대》 - 라청 역 2017. 11. 28 ~ 2018. 02. 25 《베어 더 뮤지컬》 - 피터 시몬 역 2018. 03. 24 ~ 2018. 07. 01 《마마, 돈크라이》 - 드라큘라 백작 역 2018. 04. 24 ~ 2018. 07. 15 《스모크》 - 해 역 2018. 10. 23 ~ 2019. 01. 13 《랭보》 - 랭보 역 2018. 11. 17 ~ 2019. 02. 10 《엘리자벳》 - 루돌프 황태자 역 2019. 04. 15 ~ 2019. 06.30 《더 캐슬》- 밴자민 핏첼 역 2019. 07. 06 ~ 2019. 09. 01 《너를 위한 글자》- 투리 역 2019. 08. 16 ~ 2019. 11. 03 《헤드윅》- 헤드윅 역 2019. 09. 07 ~ 2019. 12. 01 《랭보》 - 랭보 역 2019. 11. 07 ~ 2019. 12. 11 《팬레터》 - 정세훈 역 = = = 연극 = = = 2014. 07. 09 ~ 2014. 09. 21 《데스트랩》 - 클리포드 앤더슨 역 2015. 04. 25 ~ 2015. 08. 30 《데스트랩》 - 클리포드 앤더슨 역 2017. 08. 10 ~ 2017. 10. 22 《지구를 지켜라》 - 강만식 역 2018. 07. 10 ~ 2018. 09. 30 《알앤제이(R&J)》 - 학생2 역 = = = 그외 = = = 2012. 12. 26 《트레이스유 '클럽 드바이파티'》 2013. 02. 25 《해븐의 밤》 2013. 04. 22 《트레이스유 '시크릿콘서트'》 2013. 05. 20 《크리에이티브 라운지 프로젝트박스 시야 '트레이스 유'》 2013. 05. 27 《호아빈의 리본》 2014. 02. 20 《온 스테이지》 2014. 08. 14 《HOT 서머파티》 2014. 09. 13 《극단 들어와 '쓰릴미'》 2014. 09. 14 《극단 들어와 '번지점프를하다'》 2014. 09. 29 《김도현의 뮤지컬 쫑파티 '데스트랩'》 2014. 10. 27 《뮤지컬 '킹키부츠' 클럽 론칭파티》 2014. 11. 22 《온 스테이지 시즌2》 2014. 12. 27 일본《夢のChristmas》 2015. 05. 08 《아주작은 음악회 '동행'》 2015. 06. 08 《'베어 더 뮤지컬' 쇼케이스》 2016. 07. 25 《THE MOMENT - 배우 10인 그들의 이야기》 2016. 11. 18 일본《夢友》 2019. 12. 18~2019. 12. 20 《김수로 curated 14 SOHO, 윤소호 단독 콘서트》 = 서울 프린지페스티벌 = 서울프린지페스티벌은 연극, 무용, 퍼포먼스, 음악, 영상, 다원 등 다양한 장르, 형식의 예술가가 참여하는 독립예술축제이다. 1998년 <독립예술제>로 시작하여 매년 여름 개최되고 있으며, 작품이나 예술가에 대한 심사나 선정 없이 참가 신청 과정을 거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 역사 = = 1947년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국제페스티벌(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이 개최되었을 때 초대받지 못한 예술가들이 공터에서 허가없이 공연을 한 것이 축제 역사의 출발점이다. 특정 기준없이 누구나 참여가 가능했던 프린지 페스티벌은 에든버러 페스티벌의 주축이 되었다. = 인피니티 풀 (영화) = "인피니티 풀"은 2023년 개봉한 SF 공포 영화이다. 브랜던 크로넌버그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 마르틴 하이데거 = 마르틴 하이데거(, 1889년 9월 26일 ~ 1976년 5월 26일)는 독일의 철학자이다. 현상학, 해석학, 실존주의에 관해 20세기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 1명으로 평가받는다. 독일 시골의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나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신칸트주의와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을 공부하였으며, 심리주의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23년 마르부르크 대학교, 1928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27년 그의 대표 저작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에서 현존재(Dasein)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존재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독일의 나치당 정권을 지지하는 언행으로 독일 패전 이후 그의 철학과 나치당 사이의 연계가 의심받기도 했으며, 그의 제자이자 정부였던 유태인 한나 아렌트의 증언 등으로 처벌은 면했으나 수년 간 학문 활동을 금지당했다. = = 생애 = = 하이데거가 태어난 독일 바덴의 메스키르히(Meßkirch)는 마을 주민들이 모두 가톨릭 신자였고 매우 보수적이었다. 독일 남부의 반유대주의 정서는 이곳에도 스며들어 있었고 하이데거 사유의 보수성도 이 마을의 보수성과 연관이 있다. 하이데거는 이곳 성마르틴 성당의 종을 치던 아이였다. 그는 메스키르히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1903년 김나지움(인문계 중등학교)에 입학한다. 그는 가톨릭 교회의 장학금을 받으며 학교를 다녔다. 1916년까지 지급된 장학금은 그가 장차 가톨릭 사제가 된다는 조건이 달려 있었다. 1909년 김나지움을 졸업한 하이데거는 예수회에 들어가지만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예수회 신부가 되기에는 몸이 약하다는 이유였다. 하이데거는 대신 일반 신부가 되기 위해 1909년 바덴주 프라이부르크대학 신학부에 입학했다. 1911년 그는 학업을 중단하고 철학으로 진로를 바꾼다. 그 시절 하이데거는 가톨릭 잡지 등에 여러편의 서평을 실었다.고명섭광기와 천재(인물과사상사,P310~311) 1915년에는 사강사가 되었고, 다음해부터 후설에게서 현상학을 배웠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종군한 후, 후설의 조수를 겸하면서 현상학을 강의하였다. 1927년 현상학의 기관지에 존재와 시간을 발표하여, 독일 철학의 1선에 등장하였다. 1928년에는 후설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는데,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는 그 취임 강연이다. 1933년 3월 총장에 피선되었으나 주(州) 문교부와 충돌하여 1934년 2월에 사직하였다. 1945년에 휴직하였다가 1950년에 복직하여 명예 교수가 되었다.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실존주의, 하이데거 = = 존재 철학 = = 초기시절에는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가치 철학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그의 철학은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전기 철학과 1930년~35년 사이의 소위 전회 이후의 후기 철학으로 나뉜다. 그의 대표작인 존재와 시간은 후설의 현상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 딜타이의 생의 철학 등의 영향하에 독자적인 철학을 개척하여 현존재의 존재의미를 탐구하는 실존론적 철학을 수립하였다. 하이데거의 전기 철학은 방법론적으로는 해석학적 현상학이며 그 대상으로 보자면 현존재, 즉 인간실존에 대한 존재론이다. 한편 현존재로부터 존재 자체로 핵심적 주제가 옮겨간 후기 철학은 역사적으로 존재 자체가 인간 현존재에게 어떻게 스스로를 현시하는가를 다루고 있다. 그에 따르면 플라톤 이래의 역사는 존재망각으로 점철되었으며 특히 오늘날과 같은 기술시대는 존재망각이 극단에 이른 시기라고 한다. 하이데거는 서양 철학이 플라톤 이후로 "어떠하다(성질)”라는 뜻을 "존재"라는 개념을 써서 접근하려고 했지,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존재에 대한 모든 연구가 특정한 성질에만 국한되어있고, 존재 자체를 어떤 성질이 있는 형질로 취급했다. 하이데거는 "존재를 이미 상정하는 전제"를 분석하는 것이 어떤 대상을 탐구하는 데 우선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철학자와 과학자가 더 기본적이고 이론에 앞서는 존재를 무시했기 때문에 그들의 이론을 보편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잘못 되었으며, 우리가 존재와 인간 존재를 그릇되게 인정하였다. 이러한 뿌리깊은 몰이해를 피하기 위하여, 하이데거는 철학의 역사를 하나 하나 되짚어 보면서 철학적인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기해야 한다고 믿었다. 후기의 주요 저작으로는 철학에의 기여, 기술에 대한 논구 등이 있다. = = 친나치 행보 = = 하이데거는 친나치주의자였다. 그는 1933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총장에 취임할 때 학생들에게 나치에 참여하라고 연설을 했고, 1945년까지 나치 당적을 유지했다. 뿐만 아니라 그가 한 강의와 연설, 나치 고위층과의 관계, 부인에게 보낸 편지 그리고 2014년 출간한 하이데거의 비밀일기 <검은 노트>(Schwarze Hefte)를 통해서도 친나치 행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합리적인 근대 계몽주의적 철학이 초래한 비인간화에 반대하고, 미국 자본주의와 소련 공산주의 모두를 이러한 합리화의 산물로 보고 거부하면서 대안을 독일 민족정신의 부흥을 추구하는 나치즘에서 찾았다. 그는 나치의 반유대주의에도 크게 공감했다. 하이데거가 반유대주의자였다는 사실은 그가 1931년부터 1941년 사이 개인적으로 남긴 일종의 '철학 일기'인〈검은 노트〉의 출간으로 더욱 확실해졌다. 그는 유대인들이 '뿌리 없음'을 육화한 존재라고 보고 이들의 '공허한 합리성과 예측가능성'의 정신을 맹렬히 비난했다. 또 세계유대주의(Weltjudentum)를 인간성을 말살하는 서구 근대성의 주요 추동요인으로 지목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했다. 그는 신념을 가지고 나치당에 입당했고 또한 나치의 범죄에 동조했다. 그런데 하이데거의 옹호자들은 그가 의무적으로 나치당에 가입해야 했던 ‘수동적 방관자(Mitlaufer)’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탈나치화 작업을 통해 정직처분만 받았다. 하이데거는 감옥에 가야 했으나 프랑스 철학자들의 지지 덕분에 감옥행을 피할 수 있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4년 5월호에 실린 에티엔 클랭의 ‘소르본대 철학교수, 왜 레지스탕스가 되었나(Jean Cavailliès, une pensee explosive)’를 보면 독일 바덴지방을 점령한 프랑스군은 프라이부르크에 군정(軍政)을 설치하고 탈나치화 작업에 들어간 것을 알 수 있다. 피에르 펜느 군정 사령관은 하이데거의 나치 부역 전력에 대한 평가 임무를 장교이며 독일문학 교수였던 자크 라캉에게 맡겼다. 라캉은 하이데거가 자신은 ‘수동적 방관자’였다는 관례적인 이유로 자신의 행적을 합리화하려 했다고 적고 있다. “내가 하이데거를 오게 해서 면담을 했다. 그는 오랫동안 생각을 하더니 대학을 새롭게 바꾸고 싶었고 나치의 힘을 빌린다면 가능하리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라캉은 하이데거의 변명을 믿지 않았다. 후고 오트, 빅토르 파리아스, 엠마뉘엘 파이에 같은 학자들은 철저한 연구조사를 통해 하이데거가 나치당 행사에 참석하는 것을 비롯해 얼마나 깊게 나치와 관계를 맺었는지, 특히 동료교수들과 스승인 에드문트 후설에게 보여준 태도를 통해 그가 얼마나 심각한 반유대주의자였는지 밝혀냈다. 그리고 하이데거의 아들이 철저하게 아버지의 개인 기록물을 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가 인종과 독일 민족, ‘총통’의 최후의 해결책(final solution, 대량학살) 등 나치의 이데올로기를 이상화한 글도 찾아냈다. 프랑스 철학자들 덕분에 감옥에 가지 않았지만 하이데거는 이들에게 특별히 감사의 표시를 하지는 않았다. 다만 사후에 발표된 슈피겔과의 인터뷰(1976년)에서 “프랑스 철학자들은 생각하기 시작하면 독일어로 말한다”라고 언급했을 뿐이다. = = 저서 = = 하이데거 전집 존재와 시간 (Sein und Zeit) 이기상 번역, 까치 소광희 번역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휴머니즘에 대해서 철학에의 기여 숲길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 = = 관련 문서 = = 하이데거 전집 = 분류:블랙 사바스의 일원 = = 분류:재일 한국인을 소재로 한 작품 = = 분류:24세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 = 하너 데스멋 = 하너 데스멋(, 1996년 10월 26일~)은 벨기에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1000m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 개인 메달을 획득한 벨기에 최초의 여성 선수이다. 또한 벨기에 최초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선수이다. = 훈장 (동음이의) = 훈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훈장(勳章): 국가가 개인이나 단체에 대해 그 공적과 업적을 표창하기 위해 주는 영전의 하나 훈장(訓長): 서방의 교원 훈장시(浑江市):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 = 김무학 = 김무학(金武鶴, 1985년 9월 4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투수이다. = 나세르 알다우사리 = 나세르 이사 샤피 알샤르단 알다우사리(1998년 12월 19일 ~ )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 = 수상 내역 = = 알힐랄 Saudi Professional League: 2017–18, 2019–20, 2020–21 King Cup: 2019–20 Saudi Super Cup: 2018 AFC Champions League: 2019 = NVC = NVC는 다음을 가리킨다. 비폭력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 닛산 바네트 카고(Nissan Vanette Cargo)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 제8회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는 2017년 2월 19일부터 2월 23일까지 오비히로시의 메이지 홋카이도 도카치 오벌에서 진행되었다. = = 메달리스트 = = 남자 500m 남자 1000m 남자 1500m 남자 5000m 남자 10000m 남자 집단 출발 남자 팀 추월 주형준김민석이승훈 나카무라 쇼타셰인 윌리엄슨쓰치야 료스케 드미트리 바벤코데니스 쿠진표도르 메젠체프 여자 500m 여자 1000m 여자 1500m 여자 3000m 여자 5000m 여자 집단 출발 여자 팀 추월 오시기리 미사키다카기 나나사토 아야노 박지우노선영김보름 자오신류징한메이 = = 참가국 = = 10개국, 82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초청국 자격으로 경기에 참여하기 때문에 입상을 하여도 메달이 주어지지 않는다. 괄호 안은 참가 선수의 숫자이다. * * * * * * * * * * = 마지막 연인 = 마지막 연인은 1994년 10월 31일부터 1994년 11월 29일까지 방송된 MBC 월화 드라마이다. 줄거리 전개의 당위성 때문에 무리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고 결국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 영규 역을 맡은 최수종은 이 작품 이후 KBS에서만 활동하다가, 1997년 MBC 월화 드라마 불꽃놀이로 복귀하였다. = = 제작진 = = 원작 : 박범신 극본 : 김정 연출 : 소원영 음악 : 오진우 = = 등장 인물 = = 최수종: 최영규 역 최민식: 최진규 역 김지수: 김주희 역 이승연: 이미순 역 박근형 김자옥 정명환 문회원 강석현 장동건 이현경 이민영 최미향 안재욱 윤용현 김윤정 김수현 최우혁 노희지 = 콩스탕스 = 콩스탕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콩스탕스 자블롱스키: 프랑스의 모델 콩스탕스 루소: 프랑스의 배우 = 후게시다니촌 = 후게시다니촌(鳳至谷村)은 이시카와현 후게시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분류:전촉의 연호 = = 숀 = 숀 또는 션(Sean, Shawn, Shaun, Seán...)은 남자 인명이다. 이 이름은 아일랜드어로 “Seán”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했다. = = 실존 인물 = = 숀 펜(Sean Penn, 1960년 ~ ):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 숀 마이클스(Shawn Michaels, 1965년 ~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숀(Shaun, 1990년 ~ ): 대한민국의 록 밴드 칵스의 일원 숀 (시인)(Sjón): 아이슬란드의 시인, 소설가 숀 코너리: 영국 스코틀랜드의 영화 배우 겸 영화 프로듀서 숀 맥브라이드: 아일랜드의 정치인 숀 레논: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숀 라이트필립스: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 숀 몰리: 캐나다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 숀 오케이시: 아일랜드의 극작가 숀 헤어: 전 KBO 리그 해태 타이거즈의 외국인 선수 숀 헨: 미국의 야구 선수 숀 애슈모어: 캐나다의 배우 숀 에르난데스: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 선수 숀 리커: 1982년 11월 1일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숀 던피: 아일랜드의 가수 숀 패트릭 토머스: 미국의 배우 숀 빈: 영국의 배우 숀 애스틴: 미국의 배우 숀 크로퍼드: 미국의 육상 선수 숀 폴: 자메이카의 랩 가수 겸 레게 음악 가수 숀 머나이아: 미국 프로야구 아메리칸 리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선수 숀 헤이스: 미국의 배우 숀 레비: 캐나다의 영화 감독, 프로듀서, 배우 빅 숀: 빅 숀으로 알려진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출신 래퍼 숀 파커: 미국의 기업인 숀 윌리엄 스콧: 미국의 배우 숀 루니: 미국의 배구 선수 월리스 숀: 미국의 배우이자 극작가 숀 멘데스: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숀 오브라이언: 미국의 배우 숀 해리스: 잉글랜드의 배우 숀 영: 미국의 배우 로버트 숀 레너드: 미국의 배우 숀 토브: 이란계 미국인 배우 숀 킹스턴: 미국의 가수 숀 마: 미국의 배우 숀 대니얼: 미국의 영화 프로듀서 숀 하토시: 미국의 배우 숀 브리저스: 미국의 배우 숀 패트릭 플래너리: 미국의 배우 숀 건: 미국의 배우 숀 리 (보디빌더) 숀 퍼트위: 잉글랜드의 배우 숀 존슨: 미국의 체조 선수 숀 캐머런 마이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배우 숀 머리: 미국의 배우 숀 매과이어: 잉글랜드의 배우 숀 웨이언스: 미국의 배우 숀 로버츠: 캐나다의 배우 숀 콜빈: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제이 숀: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숀 켈리: 미국의 야구 선수 숀 베일리: 미국의 영화 프로듀서 숀 크리스천: 미국의 배우 숀 리빙스턴: 미국 프로 농구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선수 숀 패리스: 미국의 배우 숀 비거스태프: 영국 스코틀랜드의 배우 숀 캐넌: 아일랜드의 포크 가수이며 음악가 숀 말로니: 스코틀랜드의 전 축구 선수 숀 매킨: 옐로카드의 바이올리니스트, 서브 보컬을 맡고 있는 아일랜드-일본계 미국인 숀 마셜: 미국의 야구 선수 숀 셰멀: 미국의 성우 숀 톨러슨: 아메리칸 리그 전 탬파베이 레이스의 선수 숀 스톤: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영화 각본가, 촬영 감독 숀 캠프: 미국의 야구 선수 숀 도일: 캐나다의 배우 숀 켈리 (야구 선수): 미국의 야구 선수 숀 탠: 오스트레일리아의 미술가,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 숀 그린핼시: 영국의 위조 화가 숀 스테이지액: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 숀 로스: 미국의 모델, 배우, 댄서 숀 패닝: 미국의 프로그래머 숀 틸: 잉글랜드의 배우 숀 테일러: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숀 시포스: 캐나다의 배우 숀 플린: 미국의 배우 숀 켈리 (사이클 선수): 아일랜드의 사이클 선수 숀 버디: 미국의 청각 장애 배우 숀 해니티: 미국의 라디오·텔레비전 진행자, 정치 조언가, 작가 숀 그린: 유대계 미국인 숀 머피 (스누커 선수): 잉글랜드의 스누커 선수 숀 머피 (야구 선수): 미국 프로야구 아메리칸 리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선수 숀 데리: 잉글랜드의 축구 감독 숀 호어: 영국의 언론인 숀 링골드: 미국의 배우 숀 파이프롬: 미국의 배우 숀 파넬: 미국의 정치가 숀 래깃: EFL 리그 원 소속 팀인 포츠머스에서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숀 다이치: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 션(Sean, 1972년 ~): 대한민국의 힙합 그룹 지누션의 일원 션 리 (가수): 프로듀싱 그룹 플라스틱의 멤버 톰 션: 전 KBO 리그의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션 오설리반: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워싱턴 내셔널스의 투수 션 M. 버크: 펄 프로그래머, 저자, 언어학자 션 세인트레저: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션 둘리틀: 미국의 야구 선수 션 오프리: 미국 조지아주 케네소 출신의 남자 모델 션 필딩: 미국, 독일, 스위스 텔레비전 시리즈 및 영화에 출연 한 미국계-스위스 여배우 션 라펠: 호주 출신의 소방관, 소방교관 = = 가공 인물 = = 션: 디파티드의 등장인물 션: 120BPM의 등장인물 션: 국제수사의 등장인물 션: 슬립리스: 크리미널 나이트의 등장인물 션: 배드 사마리안의 등장인물 션: 룩 어웨이의 등장인물 션: 더 보이 2: 돌아온 브람스의 등장인물 션: 호텔 타지마할의 등장인물 = 디스크저글러 = 디스크저글러(DiscJuggler)는 전문가용 콤팩트 디스크/DVD 기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여러 CD 레코더를 구동하여 기존의 표준 CD를 가상으로 복제하는 기능과 더불어 여러 장의 CD를 한 번에 복제할 수 있다. *.cdi 파일 확장자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드림캐스트 디스크 이미지를 굽는 데 널리 사용된다. = 한성태 = = = 가공 인물 = = 푸른 바다의 전설의 등장 인물 증발 (1994년 영화)의 등장 인물 = 베베리나시 = 베베리나시는 라트비아의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무르무이자이며 면적은 301.8km2, 인구는 3,567명(2009년 기준), 인구 밀도는 12명/km2이다. 3개 교구를 관할한다. = 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의원 = = 분류:3월 31일 = = 헤르베르트 크나우프 = 헤르베르트 프란츠 요제프 크나우프(, 1956년 3월 23일~)는 독일의 배우이다. = =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더 퍼페티어스 (2017년) 란다우어 (2014년) 꼬마 유령 (2013년) 중학교 졸업 (2012년) 가디언스 (2012년) 어둠 속의 빛 (2011년) - 이그나시 치거 역 단지 키스, 맛있는 키스 (2010년) - 토머스 역 디스 이즈 러브 (2009년) 자리 바꾸기 (2007년) 넌 혼자가 아냐 (2007년) 아그네스와 그의 형제들 (2006년) 타인의 삶 (2006년) 소립자 (2006년) 한 발로 선 세상 (2003년) 희미한 불빛 (2003년) 아나토미 2 (2003년) - 뮬러 교수 역 안나스 썸머 (2001년) 러브 인 아프리카 (2001년) 디센트 크리미날 (2000년) 뉘른베르크 (2000년) 블라인드 데이트 (1998년) 롤라 런 (1998년) 라이팅 온 더 월 (1996년) 더 인빈서블즈 (1994년) = 분류:서울 성동구의 문화재 = = 이재규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이재규: 드라마 PD, 영화 감독 이재규: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3남 은전군(恩全君)의 증손 = = 가공 인물 = = 화이트 크리스마스의 등장 인물 = 라그랑지언 = 라그랑주 역학에서 라그랑지언이란 계의 동역학을 나타내는 함수다. 라그랑주 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일반화 좌표와 일반화 속도로 나타내므로, 라그랑지언은 일반화 좌표와 일반화 속도의 함수다. 수학자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도입하였다. 기호는 대개 L이다. 라그랑주 역학과 뉴턴 역학은 서로 동등하지만, 라그랑주 역학에서는 직교좌표계 뿐만 아니라 임의의 좌표계 (구면좌표계, 원통좌표계 뿐만 아니라 3차원 현실 세계와 전혀 연관되지 않은 추상적인 일반화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 = 고전역학에서의 라그랑지언 = = 고전역학에서의 라그랑지언은 계의 운동에너지 T에서 위치에너지 V를 뺀 것으로 정의된다. 라그랑지언을 알면 이를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에 대입하여 운동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 라그랑지언의 유일성 = = 어떤 운동방정식을 주는 라그랑지언은 유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고전역학의 라그랑지언 L_A(q,\; \dot{q},\; t) = T(q,\; \dot{q},\; t) - V(q,\; t)와 다음과 같은 좌표와 시간만의 임의의 함수 f(q,\; t)의 시간에 대한 전미분을 포함하는 라그랑지언 을 비교해보자. 두 이들이 주는 작용의 차이는 S_B & = \int_{t_1}^{t_2} {L_B(q,\; \dot{q},\; t)} \, dt \\ 가 되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얻게 되며 두 라그랑지언에 의해 얻게 되는 운동방정식은 같게 된다. 일반적으로, 라그랑지언이 어떤 임의의 함수의 전미분만큼 달라도 같은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얻는다. = 분류:베스테르노를란드주의 지방 자치체 = = 아마시아 강화 = 아마시아 강화는 1555년 5월 29일, 사파비 왕조의 타흐마스프 1세와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 사이에 체결된 제1차 오스만-사파비 전쟁의 강화 조약이다. 조약의 명칭은 아마시아에서 체결된 데 따른 것이다. = = 내용 = = 조약은 이란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국경을 획정하고 평화는 이후 20년간 계속되었다. 조약에 의해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는 동서로 등분되어 서부 아르메니아, 서부 쿠르디스탄, 서부 조지아 (메스케티 서부 포함)는 오스만 령, 동부 아르메니아, 동부 쿠르디스탄, 동부 조지아 (메스케티 동부 포함)를 이란 령으로 한다. 오스만 제국이 바그다드를 포함한 이라크 대부분을 획득하고 페르시아만 출구를 얻었으며, 이란은 전쟁에 영유하고 있는 전 수도 타브리즈와 북서부 코카서스 지방 등 (다게스탄과 아제르바이잔 전역 포함) 모두 유지했다.The Reign of Suleiman the Magnificent, 1520-1566, V.J. Parry, A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to 1730, ed. M.A. C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94.Mikaberidze, Alexander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31 jul. 2011 p 698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Vol. II, ed. Spencer C. Tucker, (ABC-CLIO, 2010). 516. 이를 통해 양국의 국경선은 동서 조지아를 나누며 말리캅카스산맥에서 아르메니아, 자그로스산맥의 서쪽 기슭을 통과하여 페르시아 만까지 계속된다. 에르주룸, 샤흐리조르, 반 등 동부 아나톨리아 지방의 일부 도시는 완충 지대에 지정되었다. 카르스는 중립을 선언하였지만, 요새가 파괴되었다.Mikaberidze, Alexander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31 jul. 2011 p 698 오스만 제국은 또한 페르시아 순례자에게 메카와 메디나 등 성지과 이라크의 시아파 순례에 통행을 허용했다.Shaw, Stanford J. (1976),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1, p. 109. Cambridge University Press, 최종적으로 코카서스 지방의 분할과 메소포타미아의 오스만에 할양에 대해서는 1639년 맺어진 평화 조약인 주하브 조약으로 미루어졌다.Феодальный строй , Great Soviet Encyclopedia 이 조약은 또 다른 의무를 부과했다. 3대째까지의 정통 칼리파, 아이샤와 사하바에 대한 저주를 중지하는 의무를 부과했다. 이 의무는 모든 오스만과 사파비 간의 조약에서 부과되었지만, 시아파인 사파비 왕조와 타흐마스프 1세에게는 굴욕적이었다. = 분류:1773년 설립 = = 사베나 벨기에 항공의 운항 노선 = 2001년 도산 전까지 사베나 벨기에 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였다. = = 운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동아시아 = = = = * 베이징 - 서우두 국제공항 상하이 - 푸동 국제공항 * 도쿄 - 나리타 국제공항 = = = = 남아시아 = = = = * 첸나이 - 첸나이 국제공항 = = = = 서남아시아 = = = = * 베이루트 - 베이루트 국제공항 * 텔아비브 - 벤구리온 국제공항 = = = 아프리카 = = = = = = = 서아프리카 = = = = * 반줄 - 반줄 국제공항 * 코나크리 - 코나크리 국제공항 * 라고스 - 무르탈라 모하메드 국제공항 * 몬로비아 - 로버츠 국제공항 * 바마코 - 바마코 세너우 국제공항 * 코토우 - 코토우 카제훈 공항 * 와가두구 - 와가두구 공항 * 다카르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국제공항 * 야운데 - 야운데 공항 두알라 - 두알라 국제공항 * 아비장 - 포르부에 공항 * 로메 - 로메 토코인 국제공항 = = = = 남아프리카 = = = = * 루안다 - 루안다 콰트루 드 페베레이루 공항 * 킨샤사 - 킨샤사 은질리 공항 = = = = 동아프리카 = = = = * 키갈리 - 키갈리 국제공항 * 엔테베 - 엔테베 국제공항 * 나이로비 -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 = = = 북아프리카 = = = = * 카사블랑카 - 모하메드 V 국제공항 = = = 유럽 = = = = = = = 서유럽 = = = = * 런던 - 런던 시티 공항 글래스고 - 글래스고 공항 뉴캐슬 - 뉴캐슬 공항 리즈 - 리즈 브래즈포드 공항 맨체스터 - 맨체스터 공항 벨파스트 - 벨파스트 공항 브리스톨 - 브리스톨 공항 에든버러 - 에든버러 공항 *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리옹 - 생텍쥐페리 국제공항 낭트 - 낭트 아틀랑티크 공항 니스 - 니스 코트다쥐르 공항 마르세유 -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 보르도 - 보르도 메리냑 공항 스트라스부르 - 스트라스부르 공항 툴루즈 - 툴루즈 블라냑 공항 * 베를린 - 베를린 템펠호프 국제공항 뒤셀도르프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뮌헨 - 뮌헨 국제공항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뉘른베르크 - 뉘른베르크 공항 슈투르가르트 - 슈투르가르트 공항 하노버 - 하노버 공항 함부르크 - 함부르크 공항 * 더블린 - 더블린 국제공항 * 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룩셈부르크 시티 - 룩셈부르크 핀델 국제공항 = = = = 중유럽 = = = = * 제네바 - 제네바 국제공항 * 빈 - 빈 국제공항 = = = = 남유럽 = = = = * 아테네 - 아테네 국제공항 * 마드리드 - 마드리드 바하라스 국제공항 말라가 - 말라가 공항 발렌시아 - 발렌시아 공항 빌바오 - 빌바오 공항 세비야 - 세비야 공항 * 나폴리 - 나폴리 국제공항 밀라노 -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 밀라노 - 밀라노 리나테 국제공항 베니스 - 베니스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볼로냐 - 볼로냐 굴리엘모 마르코니 국제공항 베로나 - 베로나 빌라프란카 공항 카타니아 - 카타니아 폰타나로사 공항 튜린 - 튜린 카셸레 공항 플로렌스 - 플로렌스 페레톨라 공항 * 이스탄불 -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리스본 - 리스본 포르텔라 국제공항 파로 - 파로 공항 포르투 - 포르투 공항 = = = = 동유럽 = = = = * 모스크바 - 브누코보 국제공항 * 부쿠레슈티 -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 소피아 - 소피아 국제공항 * 프라하 -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 * 바르샤바 - 바르샤바 프레드릭 쇼팽 국제공항 * 부다페스트 - 부다페스트 페리 헤지 국제공항 = = = = 북유럽 = = = = * 오슬로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코펜하겐 - 코펜하겐 카스트럽 국제공항 * 스톡홀름 -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 예테보리 - 예테보리 란드베터 공항 * 헬싱키 - 헬싱키 반타 국제공항 = = = 아메리카 = = = = = = = 북아메리카 = = = = * 뉴욕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댈러스 - 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 보스턴 -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 시카고 -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신시내티 - 신시내티 노던켄터키 국제공항 * 몬트리올 -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 = 분류:채널 4 텔레비전 드라마 = = 오타 다쿠야 = 오타 다쿠야(, 1970년 1월 2일~)는 일본의 레슬링 선수이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자유형 웰터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분류:씬 리지의 음반 = = 나라시노시 = 나라시노시는 일본 지바현 북서부에 있는 시이다. 시모사 대지의 가장자리이며 도쿄 만에 접한다. 인구는 약 17만명으로 지바 현내에서는 나가레야마시에 이어 11번째로 많다. = = 지리 = = 시모사 대지의 가장자리이며, 해안부에서 내륙부에 걸쳐 고도 차이가 크다. 도쿄 만 연안에는 광대한 해안을 매립한 주택지나 상공업지가 펼쳐져 있지만 유일하게 매립이 되어있지 않고 남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야쓰 갯벌이 있어 철새도래지가 되고 있다. = = = 인접 자치체 = = = 지바시 : 미하마구, 하나미가와구 후나바시시 야치요시 = = 역사 = = 1954년 8월 1일, 쓰다누마 정(津田沼町)이 시로 승격되면서 이름이 바뀌어 나라시노 시가 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국도 126호선 국도 128호선 국도 409호선 = = = 철도 = = = 동일본 여객철도 소부 본선 게이요 선 게이세이 전철 게이세이 본선 지바 선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 선 = = 가볼만한 곳 = = 나라시노는 철새 보호 습지인 야쓰 갯벌(谷津干潟)이 있는 곳이다. 봄과 여름에 해파리와 작은 게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나라시노에는 야쓰 장미정원(谷津バラ園)에서는 5월과 10월에 6000송이의 만개한 꽃을 전시한다. 정원은 게이세이 전철이 운영하는 놀이공원인 야쓰 유원지(谷津遊園)로 설립되었고 1982년에 문을 닫았다. 놀이공원이 문을 닫은 후 시 당국이 정원으로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신평초등학교 (강원) = 신평초등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4.08.20 지정공립보통학교 부설 신평간이학교 개교 1944.05.20 신평국민학교 설립인가 1949.03.21 제1회 졸업식 거행 1954.08.15 신평리 향평동으로 이전 인가 1961.08.30 정규교사증축(115평) 준공 1996.03.01 신평초등학교로 개명 1997.03.01 소규모학교 협동체제 운영(신평, 산현, 고산초등학교) 2008.03.01 강원도교육청지정 두레학교연구(시범)운영 2014.09.01 제39대 교장 부임 2015.02.12 제67회 졸업식(총 졸업생 1869명) = 민명서방 = 민명서방(民明書房, みんめいしょぼう)은 일본의 만화 돌격! 남자훈련소의 세계관에서 권법이나 각종 신기한 사건, 관습 등을 서술한 책 위주로 출간하는 가상의 전문 출판사이다. 돌격! 남자훈련소에서는 특정 무술이나 비법 등을 소개하는 부분도 묘사되는데 이것에 주석 및 참고 자료는 모두 민명서방에서 출간한 책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민명서방이라는 출판사에서 만든 책들의 내용은 하나같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많거나 우스꽝스러운 부분이 많아(예를 들면 목봉을 머리 위로 돌려 헬기처럼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 등.) 그 신빙성이 의심되기도 했다. = = 민명서방에서 출간된 책들 = = 검사기(剣史記) 유럽 중세 스포츠의 기원(ヨーロッパ中世スポーツの起源) 전국 무장 고찰(戦国武将考察) 일본의 풍속 기담(日本風俗奇譚) 세계기상대람(世界気象大鑑) 얼음의 과학(氷の科学) 육체의 비밀(肉体の神秘) 중국무술대람(中国武術大覧) 전국 무예자 왕래(戦国武芸者往来) 고대 형법전(古代刑法全) 교육과 체벌(教育と体罰) 중국 3000년 역사를 연구한 현대인의 지혜(中国三千年の歴史に学ぶ現代人の知恵) 아시아 형사대계(亜細亜刑史大系) 전국 이투기(戦国異聞記) 인도가 만물의 근원인 대지로 돌아오다.(インド母なる大地を往く) 중국무투 3000년(中国武闘三千年) 철권기(鉄拳記) 무사혼(武士魂) 요가의 전모(戮家その全貌) 세계의 괴권과 기권(世界の怪拳・奇拳) 육체의 신비를 이용한 스포츠(肉体の神秘とスポーツ) 풍해림해(風海林海) 기적의 조경한(奇跡の鳥慶漢) 분자핵 구조의 이론(分子核構造その理論) 권법흥망사(拳法興亡史) 기의 효용과 실천(氣―その効用と実践) 중국권법대무람(中国拳法大武鑑) 앎의 바구니의 비밀(知られざる秘拳) 전국무장인정담(戦国武将人情譚) 대중조작암흑사(大衆操作暗黒史) 중국권법수행대람(中国拳法修行大鑑) 중국권법의 과학성(中国拳法―その科学性―) 암살비화(暗殺秘話) 투탕카멘의 역습(ツタンカーメンの逆襲) 실용동물사전(実用動物事典) 무도달인 일화집(武道達人逸話集) 세계 사투결투 100선(世界死闘決闘百選) 중국과 일본무술 교육비사(中国日本武術交流秘史) 경이의 곤충세계(驚異の昆虫世界) 싸움의 중국사(武の中国史) 스포츠기원 이문(スポーツ起源異聞) 중국 궁정의찰 전범(中国宮廷儀礼典範) 중국무구의 창조를 통한 계승(中国武具―その創造と継承―) 세계 스포츠 기담(世界スポーツ奇譚) 부홍류곤충기(浮虻流昆虫記) 세계고대병기대람(世界古代兵器大鑑) 대자계(大磁界) 의학적 견지로 바라보고 고찰한 중국권법(医学的見地より考察した中国拳法) 독습중국권법(独習中国拳法) 중국고대의 놀라운 의학대람(中国古代吃驚医学大鑑) 중국전화대혁명사(中国電化大革命史) 서구문명의 난숙과 퇴폐(西欧文明―その爛熟と退廃―) 싸우는 동물대백과(闘う動物大百科) 인도의 놀라는 요가의 기적(インド人も吃驚!ヨガの奇跡) 늑대소년의 주먹(狼少年―拳―) 스모인생의 기다림(相撲人生待ったなし) 헤엄치는 기마민족(泳げ!騎馬民族) 먹고 먹히는 세계식통사정(喰うか喰われるか!!世界食通事情) 스케이터즈 웰츠(SKATER’S WALTZ) 감빙 가계 3대기 스스로 영원히 얼음이 되다.(かき氷屋三代記―我永遠に氷をアイス―) 인체의 대사기능의 신비(人体―その代謝機能の神秘―) 누굴 위해 종은 운다.(誰が為に鐘は鳴る) 중국권법으로 바라본 동양의술(中国拳法に見る東洋医術) 기의 과학(氣の科学) 중국의 기권의 기원과 발달(中国の奇拳―その起源と発達―) 세계고문사(世界拷問史) 세계사서 바라본 현대병기의 원천(世界史にみる現代兵器の源泉) 중국비권만한전석(中国秘拳満漢全席) 불꽃의 무장 오다 노부나가(炎の武将・織田信長) 전국결전이문 제 7권(戦国決闘異聞第七巻) EYE야말로 모두(EYEこそすべて) 현대마약집성(現代麻薬集成) 크로커다일·댄디저 파충류의 살아있는 이야기(クロコダイル・ダンディ―爬虫類よもやま話―) 배트맨 전래이야기(バットマンかく語りき) 완구를 바라보는 고대중국의 영지(玩具に見る古代中国の英知) 알래스카 대기행(アラスカ大紀行) 실내 구기종목에 있어서의 중국문명의 빛과 그림자(室内球技における中国文明の影響) 마그넷 파워-21세기를 이렇게 바꾼다. (マグネットパワー―21世紀をこう変える―) 고대의술의 빛과 그림자, 이것은 깜짝 놀랄 진의술.(古代医術の光と影 これはびっくり珍医術)(애니메이션 33화(アニメ版33話)) = 틀:버스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 = = DMX (래퍼) = DMX(, , 1970년 12월 18일 ~ 2021년 4월 9일)는 미국의 래퍼 겸 영화 배우였다. = = 출생과 데뷔 = = 그는 언제나 자신을 랩을 통해 표현했다. 처음에 그는 Ace Key로 알려져 있었는데, 1991년 잡지 The Source의 유명한 신인등용 "Unsigned Hype"를 통해 데뷔하였다. 그 후, 콜롬비아 레코드 회사와 계약을 하였지만 아무것도 발매하지 못했고, 싱글 "Born Loser" 가 발매되어있었는데, 계속 연기되었고 콜롬비아 측에서는 Kriss Kross, Cypress Hill 등의 앨범 발매 후에나 발매해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콜롬비아에서는 발매할 기회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콜롬비아를 떠났다. = = 성공(1998 ~ 2006) = =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Ruff Ryders의 프로듀서인 Irv Gotti가 그를 데프잼 레코드의 Lyor Cohen에게 데려갔고, Def Jam 과 앨범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공식 첫 싱글 "Get At Me Dog" 이 발표되었다.첫싱글은 엄청나게 성공했고, 플래티넘을 기록했으며, 여러 챠트의기록을 깼다. 일부는 그의 성공이 Funkmaster Flex에 의해서였다고 하는데, Flex가 HOT97Fm의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DMX의 첫 싱글을 너무많이 항상 틀었다라고하는게 그들 일부의 주장이다. 1998년 5월 DMX의 데뷔앨범 "It's Dark And Hell Is Hot" 이 발표되었고, 경이로운 성공을 기록해, 빌보드챠트의 1위에 랭크되었기도 하다. Jay-Z는 그의 앨범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고, 음악잡지의 리뷰와, 일반사람들의 평가도 아주 좋았다. 1998년 그는 강간 혐의로 위험에 쳐했었는데, 다행히도 증인이 나타나 그가 아니였던것을 증명해서 풀려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유명한 MTV/뮤직비디오 감독인 Hype Williams에 의해 픽업되어 영화 "Belly"에 출연하게 되었고, 사운드트랙에도 참여하였다. 1999년 '...And Then There Was X'를 발표한다. 이 앨범은 전 2앨범에 이어 힙합히트작을 만든 앨범이다. 첫주에만 68만장이 팔린 어마어마한 앨범이다. 첫 싱글인 'Party Up'은 알엔비/힙합, 랩싱글, 리듬 Top 40, 핫링스톤즈 ,트랙, 랍100에서 8위, 11위, 7위, 27위, 1위, 10위 등에 성적을 낸다. 두 번째 싱글인 'What's My Name?'도 발표되었고, 드루 힐에 멤버 시스코가 참여한 세 번째 싱글 'What These Bitches Want'는 11위, 29위를 차지한다. 이 앨범은 전체 1위를 한다. 2001년 'The Great Depression'은 미국내에서 다시 1위를 등극, 영국, 스웨덴, 캐나다, 중국 등지에서 1위, 10위, 25위 등을 기록한다. 2003년 'Grand Champ'를 발표한다. 이 앨범에서는 카니예 웨스트, 스위즈 비츠 등의 프로듀서들과, 캄론, 제이다키스, 50 센트 등의 뮤지션들도 참여한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1위, 영국에서 1위, 캐나다에서 2위, 독일에서 7위, 독일에서 6위를 하는 등,세계에 그의 노래들이 상위권에 진입하는 고공행진을 보인다. 첫 주에만 31만장이 팔렸고,싱글인 'Where the Hood At'이 싱글이었다.(영국에서는 2003년 개봉된 그의 영화 크레이들 투 그레이브의 Bounce Track인 'X Gon Give It To Ya'를 수록했다.) 또한 이 앨범은 데프잼 레코드에서 발매된 마지막 앨범이었다. 2006년 데프잼 레코드와 결별한 그는 '콜럼비아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앨범 'Year of the Dog… Again'을 발매한다. 스위즈 비츠 등의 프로듀서와, 버스타 라임즈, 에이머리, 제이다키스 등의 뮤지션이 참여했으며, 또다시 미국전체 차트에서 1위, 캐나다에서 4위, 독일, 스위스에서 7위, 영국에서 22위를 기록했다. 첫주에만 12만장이 팔렸다. 2007년 베스트 앨범인 'The Definition of X: The Pick of the Litter'를 발매했다. = = 사망 = = 2021년 4월, 약물 과다복용으로 심장마비를 일으켜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일주일만에 사망하였다. = 분류:말리의 현 = = 알필 = 알필(Alfil)은 변형 체스 기물의 하나이다. 대각선으로 2칸 떨어진 곳으로 움직이는 행마를 한다. 멱이 없다. 판의 1/8만 갈 수 있다. = 분류:원-오프 자동차 = =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 =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春川 淸平寺 三層石塔)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청평사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1984년 6월 2일 강원특별자치도의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청평사 입구의 환희령이라는 언덕 위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일반적으로 탑은 사찰의 중심건물인 금당 앞에 세우는데 이 탑은 사찰 길목의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홀로 서 있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모서리가 들려 있어 날렵한 감을 주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아담하면서도 안정감이 드는 탑으로,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청평사가 고려 광종 24년(973)에 창건된 사실로 볼 때 고려 전기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뱀에 몸이 얽혀 갖은 고생을 하던 원나라 순제(順帝)의 공주가 이 절에 와서 불공을 드린 뒤 뱀을 떨쳐버리게 되자 이 소식을 들은 순제가 은혜를 보답하기 위하여 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와 일명 ‘공주탑’이란 애칭으로도 불린다. = = 참고 자료 = = * 청평사 삼층석탑 = 섬터군 (조지아주) = 섬터군 또는 섬터 카운티(Sumter County)는 미국 조지아주(Georgia)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2,819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9,733명이다. = 분류:폰티액 = = 틀:NBA 사우스이스트 디비전 우승팀 = = 분류:중국의 성별 배경으로 한 영화 = = 양산시의 마을버스 = 양산시의 마을버스는 경상남도 양산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소규모 대중교통으로, 2019년 현재 지산 노선 1개, 법서 노선 6개, 웅상 노선 7개, 웅진 노선 8개, 양산 노선 1개의 총 23개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 = 운임 = = 2019년 기준이다. 종류 나이 현금 (원) 카드 (원) 양산BS, 웅상, 웅진, 법서(웅상), 지산마을버스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100 1050 양산BS, 웅상, 웅진, 법서(웅상), 지산마을버스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800 750 양산BS, 웅상, 웅진, 법서(웅상), 지산마을버스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500 450 법서교통(동면)(본법 ~ 영천 구간)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100 1050 법서교통(동면)(본법 ~ 영천 구간)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800 750 법서교통(동면)(본법 ~ 영천 구간)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500 450 법서교통(동면)(본법 ~ 팔송 구간)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400 1350 법서교통(동면)(본법 ~ 팔송 구간)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900 850 법서교통(동면)(본법 ~ 팔송 구간)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500 450 = = 노선 정보 = = 번호 시점 경유지 종점 첫차 막차 배차 간격 운수 업체 비고 지산1 신평 신평 ↔ 지내 ↔ 서리 ↔ 평산 ↔ 지산 지산 1일 13회 지산마을버스 장날 14회 법서1 동원과기대 동원과기대 ↔ 법기 ↔ 창기 ↔ ①범어사역 범어사역 1일 20회 법서교통 월~토2회 동원과기대 경유 법서1-1 동원과기대 동원과기대 ↔ 법기 ↔ 개곡 ↔ ①범어사역 범어사역 06:25 21:45 1일 12회 법서교통 법서14 명곡새진흥 명곡새진흥 ↔ 석호아파트 ↔ 소남마을 ↔ 주남 주남 07:15 21:05 1일 25회 법서교통 휴일 1일 11회 법서17 화성파크드림 화성파크드림 ↔ 서창고 ↔ 서창시장 ↔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07:15 19:05 1일 12회 법서교통 법서18 주남 주남 ↔ 신원아침도시 ↔ 삼호주유소 ↔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20:00 21:45 1일 3회 법서교통 웅상1 봉우아파트 봉우아파트 ↔ 태원아파트 ↔ 무지개폭포입구 ↔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06:30 23:15 1일 93회 웅상교통 웅상1-1 코아루아파트 코아루아파트 ↔ 평산주유소 ↔ 덕계 ↔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06:45 21:15 1일 30회 웅상교통 웅상2 봉우아파트 봉우아파트 ↔ 태원아파트 ↔ 평산휴먼시아 ↔ 명곡 ↔ 서창 덕계상설시장 07:40 20:05 1일 13회 웅상교통 웅상3 한일유엔아이 한일유엔아이 ↔ 평산휴먼시아 ↔ 덕계사거리 ↔ 월평고개 월평고개 06:55 23:30 1일 33회 웅상교통 웅상3-1 한일유엔아이 한일유엔아이 ↔ 평산농협 ↔ 덕계사거리 ↔ 덕계상설시장 월평고개 06:40 21:40 1일 28회 웅상교통 웅상4 한일유엔아이 한일유엔아이 ↔ 평산농협 ↔ 평산주유소 ↔ 서창 서창 06:25 20:45 1일 14회 웅상교통 웅상5 경보4차 경보4차 ↔ 무지개폭포입구 ↔덕계↔ 웅상읍사무소 ↔ 서창 서창 06:40 21:08 1일 50회 웅상교통 일부시간대 웅상고까지 운행, 휴일 감회 운행 웅상5-1 천성초등학교 천성초등학교 ↔ 경보4차 ↔ 덕계 ↔ 평산농협 ↔ 서창동사무소 서창동사무소 07:12 20:33 1일 14회 웅상교통 일부시간대 웅상고까지 운행, 휴일 감회 운행 웅상15-1 천성초등학교 천성초등학교 ↔ 경보2차 ↔ 덕계사거리 ↔ 대동아파트 대동아파트 06:50 17:10 1일 3회 웅상교통 웅진7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 덕계사거리 ↔ 두산위브 1차 ↔ 천불사 ↔ 매곡 매곡 07:00 19:10 1일 23회 웅진교통 일부시간 웅상고 경유 웅진8 덕계계상설시장 덕계시장 ↔ 덕계사거리 ↔ 웅상도서관 ↔ 로즈힐 로즈힐 07:00 21:40 30분 웅진교통 일부시간 웅상고 경유 웅진10 덕계시장 덕계시장 ↔ 덕계사거리 ↔ 웅상도서관 ↔ 용당 용당 06:50 21:40 1일 24회 웅진교통 웅진16 무지개폭포 무지개폭포 ↔ 대근아파트 ↔ 경보아파트 ↔ 대승2차아파트 대승2차아파트 07:15 19:20 1일 26회 웅진교통 웅진11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 무지개폭포입구 ↔ 주진 ↔ 대동아파트 대동아파트 05:30 22:30 1일 35회 웅진교통 웅진12 대동아파트 대동아파트 ↔ 태광산업 ↔ 신원아침도시 ↔ 서창 서창 06:15 21:45 1일33회 웅진교통 웅진20 백동 백동 ↔ 소남다리 ↔ 서창 ↔ 삼한사랑채 삼한사랑채 06:15 21:00 배차간격 20분 웅진교통 소주동 휴먼시아 경유시 물어보고 경유함 웅진15 덕계상설시장 덕계상설시장 ↔ 무지개폭포입구 ↔ 덕계다리 ↔ 세신아파트 세신아파트 07:08 20:20 1일 14회 웅진교통 웅진15-1 천성초등학교 천성초등학교 ↔ 웅상중학교 ↔ 동원식당 ↔ 대동아파트 대동아파트 07:20 15:00 1일 3회 웅진교통 웅진18 주남 주남 ↔ 신원아침도시 ↔ 웅상도서관 ↔ 덕계상설시장 대동아파트 10:33 12:33 1일 3회 웅진교통 양산2 회현 회현 ↔ 일동미라주후문 ↔ 양산여중고 ↔ 협성창조 ↔ 종합운동장 ↔ ②양산역 ↔ 양산역환승센터 ↔ 시외버스터미널.이마트 ↔ 주공3차 후문 ↔ 서이동 ↔ 구터미널 ↔ 신양주 ↔ 동양산농협 ↔ 북부주공 ↔ 양산고 ↔ 하신기입구 ↔ 신기해강 ↔ 금호빌라 ↔ 동부아파트 ↔ 하북정회관 하북정회관 06:10 21:20 10~15분 양산BS = 머큐리-아틀라스 7호 = 머큐리-아틀라스 7호는 미국 머큐리 계획의 4번째 유인우주선이다. 콜사인은 오로라 7호이다. = = 역사 = = 1962년 5월 24일 12:45:16 UTC,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14번 발사대에서 머큐리-아틀라스 로켓에 실려 머큐리-아틀라스 7호가 발사되었다. 머큐리 우주선의 이름은 오로라 7호였다. 스콧 카펜터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지구 저궤도를 3회 돌았다. 전세계 6번째, 미국 4번째 우주비행사이다. 프렌드쉽 7호, 지구 저궤도(LEO) 3회 회전, 무게 1.352톤, 미국 최초 궤도비행 오로라 7호, 지구 저궤도(LEO) 3회 회전, 무게 1.350톤 시그마 7호, 지구 저궤도(LEO) 6회 회전, 무게 1.964톤 페이스 7호, 지구 저궤도(LEO) 22회 회전, 무게 1.360톤 = = 임무 상세내용 = = 무게: 2975 lb (1350 kg) 근지점: 96 mi (154 km) 원지점: 162 mi (260 km) 이심률: 0.00804 궤도 경사: 32.5° 궤도 주기: 88.3 분 연료: 35 파운드 (16 kg) 자동 시스템 24.9 파운드 (11.3 kg) 수동 시스템 = 1962년 =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기년법으로 서력기원(西曆紀元, AD)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한 첫해에 해당한다. 그레고리력(양력)을 도입한 시기는 1896년이었으나 서력기원을 사용하지 않다가 미군정 3년간 사용하던 서력기원을 다시 사용하여 년도를 표기하기 시작하였다. = = 사건 = = 1월 1일 - 단기(檀紀)사용을 폐지하고 서력기원(西曆紀元, AD)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1961년 12월 2일부 법률 제775호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대한민국의 공용연호는 서력기원으로 한다.”고 하고, 다시 그 부칙에서 “본 법은 서기 196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법률 제4호에 관한 법률은 이를 폐지한다. 본 법 시행 당시의 공문서 중 단기로 표시된 연대는 당해 연대에서 2,333년을 감하여 이를 서력연대로 간주한다.”고 법제화함으로써 단군기원은 폐지되고 서력기원이 채택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1948년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의 수립과 동시에 모든 공문서(公文書)에 단군기원을 사용하기로 하여 10여 년간 시행해오다가 1961년 5 ·16군사정변 후 정부가 폐기하였고, 그 뒤부터 서력기원을 쓰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만 나이를 도입하고 법정 나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월 - 동화약방이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3월 22일 - 대한불교 조계종 종헌 제정 3월 26일 - 대한항공공사 창립. 5월 30일~6월 17일 - 칠레에서 1962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7월 5일 - 알제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7월 10일 - 미국이 텔스타 1호를 이용하여 첫 텔레비전 위성 방송을 실시하다. 8월 6일 - 자메이카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다. 8월 11일 - 소비에트 연방이 유인 우주선 보스토크 3호 발사. 8월 16일 - 비틀즈의 드럼 연주자 피트 베스트가 탈퇴하고 링고 스타가 합류하다.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장면(張勉) 총리가 반혁명음모 관련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다. 8월 30일 - 대한민국이 엘살바도르와 수교. 8월 31일 - 대한민국의 사상계 발행인 장준하, 막사이사이상 수상. 8월 31일 - 트리니다드토바고가 독립. 9월 4일 - 대한민국 증권시장 개장. 9월 11일 - 대한민국과 코스타리카와 수교. 9월 18일 - 르완다, 부룬디, 트리니다드 토바고, 자메이카가 유엔에 가입하다. 9월 25일 - 알제리 민주 인민 공화국 선포. 9월 26일 - 일본 후쿠에시에서 화재가 발생. 9월 30일 - 대한민국이 파나마와 수교. 10월 5일 - 대한민국과 에콰도르, 수교하다. 10월 8일 - 알제리 유엔 가입. 10월 9일 - 우간다가 독립하다. 10월 11일 - 교황 요한 23세가 2차 바티칸공의회 소집. 10월 1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 국경에 관한 조중 변계 조약 체결. 10월 13일 - 한국신문발행인협회(현 한국신문협회) 창립.(초대 이사장 이준구) 10월 14일 - 쿠바 미사일 위기: U-2 정찰기가 쿠바 상공을 정찰하여 소련의 미사일 기지를 찾아내다. 10월 22일 - 쿠바 미사일 위기 발발. 10월 25일 - 우간다 유엔 가입 11월 2일 - 흐루쇼프의 철수로 쿠바 미사일 위기 종식.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에서 마포아파트가 준공되었다.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2월 17일 -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헌법 제6호로의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12월 26일 - 대한민국 헌법 제6호를 공포하였다. 12월 27일 - 대한민국 헌법 제6호가 시행되었다. = = 문화 = = 1월 15일 - KBS TV(현 KBS 1TV)가 1일 4시간 30분간 정규방송을 실시를 하다. 3월 21일 - TV중계방송 개시 및 명동 국립극장 개관. 5월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설립. = = 탄생 = = = = = 1월 =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일범. 1월 2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장재근. 1월 4일 - 미국의 소설가 할런 코벤. 1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박흥식. 1월 6일 대한민국의 소설가 장정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홍규.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두겸. 1월 10일 대한민국의 의학자, 교육자 김진왕.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전대영. 대한민국의 축구감독, 전 축구 선수 최순호. 1월 1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축구 선수 정몽규. 1월 15일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숙. 이탈리아의 배우 마르게리타 부이. 1월 17일 - 캐나다의 희극인 짐 캐리. 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광정. (~2008년)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순호. (~2022년) 1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광근. 1월 26일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성곤. 대한민국의 의사 주석중. (~2023년) 1월 27일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의 범인 김현희. 1월 28일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석. 대한민국의 성우 민응식. 1월 30일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전인석. 요르단의 현 국왕 압둘라 2세. = = = 2월 = = = 2월 1일 - 일본의 음악가 호테이 토모야스. 2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석기. 2월 5일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김용범. 미국의 배우 제니퍼 제이슨 리. 2월 6일-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액슬 로즈. 2월 7일 - 아르헨티나의 테너 가수 마르첼로 알바레스. 2월 8일 - 영국의 기업인 대니얼 레비. 2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홍파.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재. 2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흠. 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루 다이아몬드 필립스. 2월 19일 대한민국의 기업인 오혁.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업. (~2023년) 2월 20일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석. 프랑스의 육상 선수 피에르 키농. (~2011년) 2월 21일 - 미국의 기업인 랜디 러너. 2월 23일 일본의 제126대 일왕 나루히토.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안병근.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지미애.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철수.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최교일. = = = 3월 =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진수. 3월 2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존 본 조비 (본 조비). 3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정원. 3월 10일 일본의 가수 마츠다 세이코.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병기. 3월 12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안드레아스 쾨프케. 3월 15일 독일의 축구 선수 마르쿠스 메르크. 대한민국의 기업인 허민회.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김도현. 3월 21일 - 미국의 배우 매슈 브로더릭. 3월 2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영미. 3월 24일 - 미국의 프로레슬러 디 언더테이커. 3월 26일 - 대만계 미국, 대한민국의 배우 나광훈. 3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수. 3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정서임. 3월 30일 미국의 정치인 마크 베기치. 미국의 래퍼 MC 해머. 3월 31일 - 체코의 작가, 출판인 미할 비벡. = = = 4월 = = = 4월 5일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종두. 러시아의 정치인 키르산 일륨지노프. 4월 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혜정. 4월 16일 - 미국의 정치인 앤터니 블링컨. 4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해경.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상군. 4월 2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영화배우 지영옥. = = = 5월 = = = 5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김성갑. 5월 7일 - 대한민국의 서예가 이주형. 5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광필. 5월 15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모토니시 아쓰히로. 5월 17일 - 헝가리의 물리학자 크러우스 페렌츠. 5월 18일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전해철.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윤성효. 5월 2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양락.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식. 5월 31일 - 일본의 성우 히다카 노리코. = = = 6월 = = = 6월 1일 대한민국의 배우 김청. 대한민국의 배우 서광재. 6월 2일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동우.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코치 최정우. 6월 6일 대한민국의 대중음악가 유재하. (~1987년) 일본의 영화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6월 7일 - 미국의 배우 랜스 레딕. (~2023년) 6월 10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달수. 미국의 배우 지나 거숀. 6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표. (~2023년) 6월 19일 - 미국의 가수 폴라 압둘. 6월 21일 한국계 러시아의 대중음악가수 빅토르 초이. (~1990년)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용국. 6월 22일 - 홍콩의 배우, 영화감독 주성치. 6월 27일 - 홍콩의 배우, 가수 양조위.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서예가 신승원. = = = 7월 = = = 7월 3일 - 미국의 영화 배우 톰 크루즈. 7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진희. 7월 8일 미국의 가수 조앤 오즈번. 대한민국의 기업인 강원국. 7월 9일 - 미국의 금융인, 범죄자 조던 벨퍼트. 7월 13일 - 미국의 성우 톰 케니.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문숙. 7월 19일 - 미국의 배우 앤서니 에드워즈. 7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명선.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선우재덕.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정수.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훈기 (~2009년)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함수정. 7월 29일 - 일본의 가수 오노 리사. 7월 30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네보이샤 부치체비치. (~2022년) 7월 31일 대한민국의 배우 유형관. 미국의 배우 웨슬리 스나이프스. = = = 8월 = = = 8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수경. 8월 4일 - 체코의 작가 야힘 토폴. 8월 6일 - 말레이시아의 배우 양자경. 8월 8일 - 독일의 배우 올리버 슈토코프스키. 8월 10일 대한민국의 배우 권태원. 대한민국의 성우 손원일. 8월 16일 - 미국의 희극인, 배우 스티브 커렐.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병호. 8월 28일 미국의 영화 감독 데이비드 핀처. 대한민국의 배우 박준금. = = = 9월 = = = 9월 2일 - 일본의 전 야구감독 와다 유타카. 9월 4일 대한민국의 배우 이혜숙. 일본의 의학자 야마나카 신야. 9월 8일 - 독일의 배우 토마스 크레치만. 9월 11일 대한민국의 성우 정옥주.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훌리오 살리나스.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성윤.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서기철. 9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영화 감독 배즈 루어먼.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조응천.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태술. 9월 23일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김경만. 대한제국 고종 황제 증손 이원. 9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성준. 9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병세. 9월 30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프랑크 레이카르트. = = = 10월 = =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유미.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 정관용. 10월 11일 - 미국의 배우 조앤 큐잭.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재범. 10월 16일 - 러시아의 바리톤 가수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2017년)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톨릭 사제 이태석. (~2010년) 10월 21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수현. 일본의 성우 이토 미키.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최형두.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윤영미.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노준.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재형. = = = 11월 = =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형. 11월 7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균용. 11월 9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세르히오 바티스타.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상수, 안상진 (수와진). 11월 11일 미국의 영화 배우 데미 무어. 대한민국의 배우 최명길. 11월 13일 - 일본의 소설가 야마모토 후미오. (~2021년) 11월 14일 일본의 성우 코오로기 사토미. 일본의 성우 타나카 아츠코. 대한민국의 성우, 연극배우 최아란. 11월 19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 미국의 배우 조디 포스터. 11월 20일 - 중국의 가수, 영부인 펑리위안.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조수미. 11월 23일 -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김회재. 11월 27일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강제규.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종진. 11월 28일 - 홍콩의 영화 감독 천커신.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현미. = = = 12월 = = = 12월 1일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뤼트 휠릿.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상현. 일본의 배우 하기와라 사요코.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경협. 12월 4일 러시아의 전 비밀요원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 (~2006년) 12월 5일 - 아르헨티나의 테너 가수 호세 쿠라. 12월 9일 - 미국의 배우 펄리시티 허프먼.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양혜령.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서정희.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여성청년사회운동가 겸 의회정치가 이경옥.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현숙. 12월 22일 - 영국의 배우 레이프 파인스. 12월 23일 베트남, 프랑스의 영화 감독 쩐아인훙. 대한민국의 배우 김홍수.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미숙.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수종. = = = 미상 = = = *대한민국의 가수 장기호. = = 사망 = = 1월 24일 - 원불교 2대 종법사 정산 송규종사. (1900년~) 1월 29일 -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프리츠 크라이슬러. (1875년~) 2월 5일 - 프랑스의 작곡가 자크 이베르. (1890년~) 5월 10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창숙. (1879년~) 8월 5일 - 미국의 배우, 모델 마릴린 먼로. (1926년~) 8월 9일 - 독일 출신의 스위스 소설가 헤르만 헤세. (1877년~) 8월 26일 - 캐나다의 탐험가 빌햐울뮈르 스테파운손. (1879년~) 11월 28일 - 네덜란드의 여왕 빌헬미나. (1890년~) = = 노벨상 = = 문학상: 존 스타인벡 물리학상: 레프 다비도비치 란다우 생리학 및 의학상: 프랜시스 크릭, 제임스 D. 왓슨, 모리스 윌킨스. 평화상: 라이너스 폴링 화학상: 맥스 퍼루츠, 존 켄드루 = = 달력 = = = = =음양력 대조 일람 = = = 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양력 월일 음력 1일간지 1월 임인 소 2월 5일 갑술 2월 계묘 대 3월 6일 계묘 3월 갑진 소 4월 5일 계유 4월 을사 소 5월 4일 임인 5월 병오 대 6월 2일 신미 6월 정미 소 7월 2일 신축 7월 무신 대 7월 31일 경오 8월 기유 대 8월 30일 경자 9월 경술 소 9월 29일 경오 10월 신해 대 10월 28일 기해 11월 임자 대 11월 27일 기사 12월 계축 소 12월 27일 기해 = 무경총요 = 무경총요(武經總要)는 중국 북송(北宋) 왕조에서 펴낸 군사 저작이다. = = 개요 = = 정공량(曾公亮)와 정도(丁度) 등이 황제 인종(仁宗)의 명을 받들어 강정(康定) 원년(1040년)부터 편찬을 시작, 경력(慶歷) 4년(1044년)에 이르기까지 5년 만에 완성하였다. 주제는 광범위하며, 특히 갖가지 종류의 수군 전함이나 투석기에 대한 것까지 모두 수록하였다. 또한 무경총요는 초석(硝石) · 유황(硫磺) · 숯(木炭) 등을 배합해 화약(火藥)을 제조하는 방법을 언급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기도 하다. 1126년 금(金) 왕조가 북송의 수도 개봉(開封)을 함락시켰을 때 원본이 소실되었고, 1231년에 남송(南宋)에서 몇몇 부본(副本)을 토대로 다시 무경총요를 간행하였다. = = 내용 = = 무경총요는 모두 전후(前後) 양집(集)으로 구성되어, 총43권 2869쪽에 달한다. 전집(前集)은 22권으로 군사제도와 조직, 장수를 선발하고 병사를 부리는 법, 진법(陣法), 산천 지리를 운용해 전술을 짜는 등의 군사 이론과 규칙에 대해 서술하였다. 후집(後集)은 21권으로 전반부분에서 고금의 군사 및 전쟁 사례를 소개하고 후반부분은 음양, 점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 평가 = = 무경총요는 중국에서 으뜸가는 광배한 분량의 종합적 관찬(官撰) 군사저술이다. 송 왕조 이전의 군사 사상이나 송 시대의 군사제도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또한 많은 분량을 할애해 당시의 무기 제조에 대한 것도 소개하고 있어, 과학기술사 연구에도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존하는 판본은 명(明), 청대(淸代) 이후의 것으로, 한국에는 조선 명종(明宗) 2년(1547년) 명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동부승지 정응두가 강목전편(綱目前編) · 속강목발명광의(續綱目發明廣義) 등과 함께 사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명종은 이를 대제학에게 보여 인출하게 하였다고 한다.명종실록 명종 2년(1547년) 4월 4일(을유). = = 무경총요의 판본 = = 명(明) 홍치(弘治) · 정덕(正德) 연간에 남송의 소정본(紹定本)을 모본으로 간행한 중각본. 홍치 17년(1504년)의 이찬(李贊)의 각본(刻本). 명 금릉서림(明金陵書林)의 당복춘(唐福春) 각본. 《사고전서》(四庫全書)본. 《병서집성》(兵書集成)에 영인된 명대 당복춘 각본. = 틀:2005년 월드 게임 경기 종목 = = 분류:인도의 주별 기업 = = This Night = 〈This Night〉은 빌리 조엘의 음반 An Innocent Man의 다섯 번째 싱글이다. 이 노래의 후렴구 멜로디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8번 제 2악장을 사용했다. 베토벤은 L.V. Beethoven라는 제목의 음반의 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영국과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된 이 곡은 영국 싱글 차트에서 78위, 일본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88위를 기록했다. 빌리 조엘은 인터뷰에서 〈This Night〉은 두 번째 부인 크리스티 브링클리와 만나기 직전 잠깐 만났던 슈퍼모델 엘 맥퍼슨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This Night〉이 〈Leave a Tender Moment Alone〉의 B 사이드로 발매되었다. = = 수록곡 = = = = = 7" 싱글 = = = #"This Night" #"I'll Cry Instead" (live) = = = 일본 7" 싱글 / CBS 07SP 722 = = = #"This Night" #"Careless talk" = = 차트 = = 1984년 순위 벨기에 싱글 차트 (플랜더스) 21 일본 오리콘 싱글 차트 88 영국 싱글 차트 78 = 분류:1992년 선거 =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C조 = 이 문서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의 C조에 대한 문서이다. = 이마나가 쇼타 = 이마나가 쇼타(, 1993년 9월 1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내셔널 리그인 시카고 컵스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출신이다. DeNA 입단 후 2018년에는 현역 프로 야구 선수로는 처음으로 기타큐슈시 특명대사(스포츠)로 위촉됐다. = = 인물 = = = = = 프로 입단 전 = = = 에이노마루니시 초등학교 시절에 소프트볼을 시작했고 기타큐슈 시립 에이노마루 중학교에 진학한 후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됐다. 투수로서는 몸이 왜소하여 야구 강호교로부터 스카웃을 받을 정도의 성적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중학교 졸업을 계기로 자택 근처의 공립 학교인 후쿠오카 현립 호쿠치쿠 고등학교에 입학했다.야큐타로, No.017, 고사이도 출판, 2015년, 잡지 69412-14, p.84 호쿠치쿠 고등학교에서는 경식 야구부에 소속됐는데 이 학교는 하교 시각이 19시 30분이기 때문에 ‘평일 연습 시간을 2시간 반으로 제한’이라는 환경 하에 1학년 가을부터 대외 경기에 등판했다. 재학 중에는 춘계와 하계 모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개최된 전국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3학년 때 춘계 후쿠오카현 대회 1차전에서 오리오아이신 고등학교 타선을 상대로 14개의 삼진을 빼앗은 것을 계기로 NPB 구단 스카우트의 주목을 받았다. 같은 해 하계 고시엔 후쿠오카현 예선에서는 4차전에 진출했고 고쿠라 고등학교를 상대로 최고 속도 144km/h의 직구를 주무기로 호투했지만 1대 2로 패해 고시엔 대회 출전은 이뤄지지 못했다.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주니치 드래건스로부터 ‘드래프트 지명에서는 하위가 될 수도 있겠지만, 지명되게 해달라’는 취지를 전달받은 적도 있었지만 졸업 후에는 고마자와 대학에 진학했다. 고마자와 대학에서는 1학년 봄부터 도토 대학 리그 공식전에 등판야큐타로, No.017, 고사이도 출판, 2015년, 잡지 69412-14, p.85했는데 1학년 때인 리그전에서는 당시 4학년이던 도바시라 야스타카와 배터리를 구성한 적도 있었다. 2학년 때 춘계 리그전에서 에이스 자리에 올랐다. 3학년 때 춘계 리그전에선 3경기 연속 완봉승을 기록하여 추계 리그전에서는 MVP, 최우수 투수, 베스트 나인 등 3관왕을 차지함과 동시에 팀을 26년 만의 우승에 큰 기여를 했다. 대학 시절 리그전 통산 46경기에 등판하여 18승 16패, 평균 자책점 2.03, 281탈삼진 등의 성적을 남겼다. 대학 4학년이던 2015년에는 ‘대학에서 가장 뛰어난 좌완 투수’로 평가받는 한편 왼쪽 어깨를 다쳐서 춘계 리그전 등판을 피했다. 추계 리그전에서는 복귀했지만 몸 상태가 올라가지 않았고 팀도 2부 리그로 강등됐다. 그 영향으로 프로 구단의 입단을 진지하게 고민했고 프로 지망 신고서를 일본 학생 야구 협회에 제출한 것은 마감 시한 이틀 전이었다.야큐타로, No.017, 고사이도 출판, 2015년, 잡지 69412-14, p.85-86 결국 그 해에 열린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부터 단독 1순위로 지명돼 계약금 1억 엔과 연봉 1,500만 엔(금액은 추정치)이라는 조건으로 입단했고 등번호는 21번으로 결정했다. 이 드래프트 회의에서는 대학 졸업 후에도 NTT 서일본에서 활약한 도바시라도 DeNA로부터 4순위 지명을 받았다. = = = DeNA 시절 = = = = = = = 2016년 = = = = 3월 2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 선발 투수로서 공식전에 데뷔했다. 이 경기를 비롯해서 5경기에 선발 등판한 가운데 4경기에서 퀄리티 스타트를 달성하면서도 개막 4연패를 당했다. 다만 4패째를 당했던 4월 29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는 전신 구단을 포함한 DeNA의 신인 투수로서는 공식전 최다 타이 기록인 14탈삼진을 달성했다. 일본 프로 야구의 신인 투수가 공식전에서 14개 이상의 삼진을 빼앗으면서도 패전 투수가 된 사례는 역대 네 번째였다. 또한 이 경기까지 통산 평균 자책점 2.45(센트럴 리그 5위)였던 것이 한 경기당 득점 지원율(RS)은 센트럴 리그 규정 투구 이닝에 도달한 투수 중에서 최저 수치(0.50)에 불과했다. 5월 6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데뷔 첫 승을 올린 뒤로는 6월 12일 오릭스 버펄로스전(교세라 돔 오사카)까지 6경기 선발 등판에서 5연승을 기록했다. 전신 구단을 포함하여 DeNA 신인 투수에 의한 5연승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시절이던 1982년에 우완 투수 가나자와 쓰기오가 모두 구원으로 달성한 이후 역대 두 번째 쾌거였다. 좌완 신인 투수 및 모두 선발에 의한 달성은 구단 역사상 처음이었다. “시간을 잡아서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수뇌진의 방침에 따라 6월 중순부터 잠시 2군에서의 조정에 전념하고 있었지만 7월에는 1군에 복귀했다. 8월 이후의 선발 등판에서는 7경기 연속 퀄리티 스타트를 달성했다. 정규 시즌에서는 22경기에 등판하여 8승 9패를 기록해 승수보다 패전 수가 많았지만 평균 자책점은 2.93의 성적을 남겼다. 시즌 8승째를 올린 9월 19일 히로시마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구단 사상 최초로 포스트 시즌에 해당되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이끌었다. 요미우리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2차전(10월 9일, 도쿄 돔)에 선발 등판하여 7이닝을 2피안타 1실점으로 호투했다. 팀은 2승 1패를 기록하면서 그해 리그 우승 팀인 히로시마와 맞붙게 될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는데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1승 3패(어드밴티지를 포함)로 맞이한 4차전(10월 15일, 마쓰다 스타디움)에 선발 등판했다. 하지만 이 경기에서는 1회말에 타자 11명에게서 6피안타를 비롯한 6실점을 내줬기 때문에 이 이닝이 종료된 후에 교체됐다. 결국 팀은 이 경기에 패함으로써 일본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 = = = 2017년 = = = = 홈구장 개막전이었던 4월 4일 요미우리전에 선발 투수로서 시즌 첫 등판을 이뤘는데 동점이던 7회초에 왼쪽 다리를 다친 탓에 급거 강판됐다. 이튿날에는 연습에 복귀했지만 4월 12일 한신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는 데뷔 후 개인 최악의 성적인 8실점으로 시즌 첫 패전 투수가 됐다. 다음 경기에 선발된 4월 19일 히로시마전(마쓰다 스타디움)에서는 1피안타, 4볼넷이라는 투구 내용으로 시즌 첫 승리를 프로 첫 완투승·첫 완봉승으로 기록했다. 일본 프로 야구의 1군 공식전에 선발된 투수가 첫회 노 아웃에 1안타만 내주고 9회 완봉승을 거둔 사례는 DeNA의 OB인 가와무라 다케오가 요코하마 시절이던 1998년 4월 3일 한신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기록한 이래 19년 만이었다. 8월 10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전년도를 뛰어넘은 시즌 9승째를 올렸고 8월 17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10승에 도달했다. 구단의 좌완 투수에 의한 1군 공식전에서 시즌 두 자릿수 승리는 도이 요시히로가 요코하마 시절인 2005년에 달성한 이래 13년 만의 일이며 요코하마 토박이의 좌완 투수에 한해서 요시미 유지가 마찬가지로 요코하마 시절인 2002년에 달성한 이래 15년 만이다. 정규 시즌에서는 팀내 최고 성적에 해당되는 11승을 기록했고 센트럴 리그에서의 최종 규정 투구 이닝에 도달한 좌완 투수로서는 최고(우완 투수를 포함하면 리그 5위) 평균 자책점 2.98을 기록하는 등 선발진 일원으로서의 안정된 투구를 계속함과 동시에 팀을 2년 연속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기여했다. 포스트 시즌에서는 한신과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2차전(10월 15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 선발 등판했는데 경기 시작 전부터 우천으로 인해 그라운드 상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등판을 겪은 영향으로 3이닝 동안 3실점을 내주며 끝났다(승패는 연결되지 않음). 후에 팀은 2승 1패의 성적으로 퍼스트 스테이지를 돌파하면서 히로시마와의 파이널 스테이지(마쓰다 스타디움)에 선발 등판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등판이 예정됐던 4차전은 태풍 란의 영향으로 이틀 연속 순연되면서 알렉스 라미레스 감독은 이틀 정도 쉰 이마나가를 중간 계투로 기용하기로 결정했다. 10월 23일에 열린 4차전에서는 1점 앞선 7회말부터 등판했는데 구원 등판은 정규 시즌을 포함해서 프로 입단 후 처음이었지만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팀은 4승 2패의 성적을 남기며 창단 후 처음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우승했고 이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맞붙은 일본 시리즈에서는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에서의 2차전(10월 29일)과 6차전(11월 4일)에 선발 등판했다. 어느 경기에서도 승패가 연결되진 않았지만 2차전에서는 총 10개, 6차전에서는 선발 전원으로부터 모두 11개의 삼진을 뺏어냈다. 일본 시리즈 역사상 단일 시리즈에서 두 자릿수 탈삼진을 2차례 또는 2경기 연속으로 기록한 투수는 2007년에 다르빗슈 유 이후 두 번째였다. 하지만 팀은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쳤다. 일본 시리즈 종료 후에 개최되는 제1회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도쿄 돔)에 일본 대표팀 선수로 출전했다. 이 대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11월 16일)에 선발 등판하여 대만 타선을 6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18개의 아웃 가운데 12개의 아웃을 탈삼진으로 기록하는 호투로 팀의 결승 진출 및 우승에 기여했다. = = = = 2018년 = = = = 3월에 나고야 돔에서 개최되는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과의 평가전을 앞두고 야구 국가대표팀에 다시 소집됐다. 3월 3일에 열린 경기에선 3회초부터 구원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하지만 소속팀에 복귀한 이후부터 왼쪽 어깨에 불편함을 호소하며 1군 공식전에서의 시즌 첫 등판은 4월 24일 히로시마전(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등판을 미뤘다. 그 후 선발 등판한 경기에서도 예전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어보일 정도로 극심한 부진에 시달려 1군과 2군을 오갔고 16경기에 등판하여 3승 10패, 평균 자책점 7.10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이러한 성적 부진으로 인해 9월 중순부터는 정규 시즌에서 처음으로 중간 계투 요원으로 전향했다. 중간 계투로 전향한 이후 1군 공식전에서는 7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4홀드, 평균 자책점 3.68을 기록하는 등 약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시즌 전체적으로는 센트럴 리그 최다인 11패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시즌 후 11월 18일에 있은 재계약 협상에서는 데뷔 후 처음으로 구단으로부터 연봉 삭감을 제시받으면서 추정 연봉 6,700만 엔(전년도부터 1,700만 엔 삭감)이라는 조건으로 재계약을 맺었다. 11월 중순부터 12월 말까지 자신의 희망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팀인 캔버라 캐벌리에 파견됐다. 오스트레일리아에 머무는 동안 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 무패, 평균 자책점 0.51, 57탈삼진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볼넷 1개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남겼다. = = = = 2019년 = = = = 시즌 개막을 앞두고 3월에 개최되는 멕시코 대표팀과의 평가전에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됐다. 3월 9일에 열린 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으로 막았다. 정규 시즌에서는 자신의 첫 개막전 선발 투수로 발탁돼 3월 30일 주니치전(요코하마)에 선발 등판했다. 이 경기에서는 8이닝 동안 무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리를 장식했고 팀에게 있어서는 8년 만의 홈구장 개막전 승리를 이끌었다. 5경기에 선발 등판한 5월에는 리그 1위에 해당되는 4승(1패), 리그 2위인 월간 평균 자책점 1.78을 기록하는 등의 호조로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월간 MVP에 처음으로 선정됐다. 또한 센트럴 리그의 감독 추천 선수로서 올스타전에도 첫 출장했다. 리그가 재개된 후에는 야마구치 슌 등과 다승왕, 최우수 평균 자책점, 최다 탈삼진 등의 타이틀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결국 타이틀은 무관에 그쳤지만 팀내 1위(리그 2위)에 해당되는 13승, 리그 1위인 3번의 완봉승을 기록하는 등 팀을 2년 만에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기여했다. 홈구장인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한신과의 퍼스트 스테이지 총 3경기 중 2경기에 구원 등판했지만 팀이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에는 실패했다. 오프에는 11월에 개최된 제2회 WBSC 프리미어 12 일본 대표팀 선수로 발탁됐는데 이 대회에서는 11월 14일 멕시코전에서 6이닝 동안 1실점으로 막아냈다. 대회 종료 후인 12월 5일에 전년도부터 6,900만 엔 승급을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했다. 갱신 후의 연봉은 추정 1억 3,600만 엔으로 전신 구단을 포함한 DeNA 좌완 투수로는 사상 최고 액수로 꼽혔다. = = = = 2020년 = = = = 작년에 이어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낙점됐으나 6월 19일 히로시마전(요코하마)에서 5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고 구단으로서는 엔도 가즈히코 이후의 개막전 연승은 나오지 않았다. 그 후에도 선발 로테이션의 일각을 맡았는데도 원래의 모습을 보여주질 못하고 8월 16일에 1군 등록이 말소됐다. 숙고한 결과 10월 5일에 왼쪽 어깨 클리닝 수술을 받았다. 그 해엔 9경기 등판에 그쳤지만 5승 3패를 기록했다. 오프에는 ‘수술로 인해 전력에서 이탈할 때까지는 젊은 선수들을 이끌어 주었다’(미하라 대표)라는 평가를 받고 3,600만 엔이 삭감된 추정 연봉 1억 엔으로 재계약을 맺었다. 전임이던 이시다 겐타에게서 지명을 받아 2021년부터 선수회장으로 취임했다는 사실도 공식 발표됐다. = = = = 2021년 = = = = 스프링 캠프에서의 재활 훈련을 순조롭게 진행해 나가면서 5월 23일 야쿠르트전(진구)에 등판하여 1군에 복귀했다. 6월 13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삿포로 돔)에서 전년도 8월 이후인 309일 만에 승리 투수가 됐다. 9월 19일 주니치전(요코하마)에서는 9이닝 동안 4피안타 6탈삼진 무4구 1실점의 호투로 763일 만의 완투 승리를 거뒀다. 최종적으로 19경기에 등판해 5승 5패라는 기대에 못 미친 성적을 남겼지만 평균 자책점 3.08, 120과 2/3이닝, 110탈삼진은 모두 팀내 1위였다. 반면 피홈런 16개는 리그에서 가장 나쁜 5위를 기록하여 과제를 안게 됐다. 또한 이 해에는 40차례의 타석에 들어서며 타율 0.270과 10타석 이상 들어선 센트럴 리그 투수 중에서 가장 높은 타율을 남겼다. 12월 22일에는 작년과 동일한 연봉 1억 엔(추정치)으로 재계약을 맺었고 “계약 건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 전에 ‘미국 자체에 대해 흥미가 있느냐’며 (미하라 구단 대표로부터)질문을 받았다. 설마 물어볼 줄은 정말 몰랐다.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라고 장래에 MLB 진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 = = = 2022년 = = = = 춘계 스프링 캠프 도중 왼팔에 근육이 급격하게 수축되는 증상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개막은 늦어졌다. 5월 6일 1군에 등록돼 히로시마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의 시즌 첫 선발 등판을 이뤘다. 5월 17일 주니치전(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9이닝 동안 4피안타 13탈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3년 만의 완봉승으로 시즌 첫 승리 투수가 됐다. 교류전인 6월 7일 닛폰햄전(삿포로 돔)에서 역대 85번째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8월에는 5승 무패에 평균 자책점 1.25라는 성적을 올려 구단으로서는 1999년 가와무라 다케오 이래, 좌완 투수로는 1957년 곤도 마사토시 이래 처음으로 월간 5승을 기록하여 자신의 통산 두 번째가 되는 월간 MVP를 수상했다. 8월에는 팀이 18승 6패를 기록하여 리그 2위로 끌어올리는 등 팀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다. 시즌 최종 등판이 된 10월 1일 요미우리전(요코하마)에서는 7이닝 무실점으로 승리를 거두면서 3년 만에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고 11승 4패라는 성적을 남겼다. 선발 투수진의 기둥으로서 팀의 3년 만에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큰 기여를 했고 평균 자책점, QS율은 리그 3위, WHIP는 리그 1위를 기록하여 뛰어난 안정감을 보였다. 오프인 12월 8일의 연봉 협상에서 4,000만 엔이 상승한 1억 4,000만 엔의 단년 계약으로 재계약을 맺었고 향후 MLB 도전을 위한 구단과의 협의를 거듭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 = = = 2023년 = =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일본 대표팀 선수로 발탁돼 이 대회에서는 좌완 에이스로서 마운드를 맡았고 1라운드 대한민국전에서 팀의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 1실점으로 막아냈다. 8강전인 이탈리아전에서 1이닝 2탈삼진으로 기대 이상의 투구를 보였다. 더 나아가 결승전인 미국전에서는 선발로 등판하여 트레이 터너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지만 1실점으로 막아내 승리 투수가 되면서 일본 대표팀의 우승에 기여하는 역할을 했다. 정규 시즌인 4월 21일 히로시마전(마쓰다)에서 시즌 첫 등판하여 8이닝 무실점의 호투로 시즌 첫 승을 올렸다. 7월 7일 요미우리전(도쿄 돔)에서는 요미우리 타선으로부터 개인 최다 타이 기록인 7자 연속을 포함하여 개인 최다이자 구단 타이 기록인 15탈삼진을 기록해, 7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됐다. 9월 13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는 첫회 1사에 주니치의 브라이트 켄타로부터 헛스윙 삼진을 기록해 NPB 역대 8번째의 빠른 속도로 통산 1000탈삼진을 달성했다. 이로써 시즌 174개의 탈삼진을 기록하여 프로 8년 만에 자신의 첫 타이틀인 최다 탈삼진을 차지하게 됐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11일,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MLB 도전이 승인됐다. = = = 시카고 컵스 시절 = = = 2024년 1월 11일, 시카고 컵스와 계약을 맺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등번호는 18번으로 결정했다. 계약은 4년 총액 5,300만 달러(약 77억 엔)로 일본인 선수로서 역대 5위가 되는 대형 계약이었다. 게다가 구단 측에는 2025년과 2026년 시즌 종료 후 계약을 연장하는 옵션이 있어 이를 행사하면 계약 총액은 5년 8,000만 달러(약 116억 엔)가 되고, 행사하지 않으면 이마나가는 자유 계약 선수(FA)가 되는 선택권을 얻는다. = = 플레이 스타일 = = 2023년 투구 데이터 구종 배분% 평균 구속km/h 스트레이트 52.4 147.7 체인지업 15.6 133.3 슬라이더 14.9 131.2 커브 7.8 115.7 투심 5.1 147.4 컷볼 4.1 139.8 스리쿼터로부터 회전력이 뛰어난 직구와 날카로운 묘미를 자랑하는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섞어 던진다.야큐타로, No.017, 고사이도 출판, 2015년, 잡지 69412-14, p.15 구원으로 등판했을 때는 최고 속도 154km/h와 최고 회전수 2678rpm을 기록했다. 2019년부터 후배인 아즈마 가쓰키로부터 전수받은 130km/h선에서 변화하는 체인지업(자칭 ‘체인지 포크’)과 140km/h선에서 변화된 슬래터를 축으로 하는 투구 스타일로 하고 있다. 또 체인지업은 같은 공을 쥐고 140km/h 전후의 고속 체인지업도 던진다. DeNA에 1순위로 지명됐을 때 투구 스타일이 스기우치 도시야와 비슷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직구는 고등학교 2학년 때인 가을부터 견갑골의 유연한 움직임을 의식한 훈련 성과에 의해 구속이 단기간에 크게 향상됐고 3학년 때에는 상시 140km/h대를 측정하게 됐다. 입단 초에는 몸에 대한 과제를 안게 되면서 연투를 지속해야 했던 대학 시절에는 몸 상태가 완전할 때에 탈삼진을 양산하는 한편으론 체력이 떨어진 때에 집중타를 맞게 되는 경향이 유난히 많았다. DeNA 입단 1년차(2016년)에 감독으로 취임한 알렉스 라미레스는 이마나가를 선발로 내세운 그해 공식전에서 투구 수가 85 ~ 100개 전후로 도달할 때까지 이마나가를 교체한다는 방침을 취했다. “젊은 투수는 (한 경기당 투구를)어느 정도 제한하는 것이 장래와 연결된다”라는 지론에 따른 것으로 6월 초순부터 이마나가가 부진에 시달렸을 때 휴양과 컨디션 조정을 목적으로 2군 강등 조치를 내린 것이다. 이마나가도 한 달여 동안 2군 조정을 거쳐 1군에 복귀했을 때 정규 시즌 막판까지 선발 등판하여 호투를 계속했다. 이와 같은 방침에 대해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이 결정된 후에는 “2군에서 보낸 경험이 없었다면 지금 활발하게 1군에서 던질 수 있었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 ‘라미레스 감독에겐 정말로 소중히 기용해주셨구나’라고 생각하고 있다”라는 말로 라미레스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했다. 또한 투수이면서 타격도 좋은 편이라 2022년 시즌 종료 시점에서 통산 타율은 238타수 41안타로 타율 0.172를 기록했으며, 특히 2021년 시즌에는 37타수 10안타로 타율 0.270을 기록했다. = = 에피소드 = = 취재나 히어로 인터뷰 때의 특징적인 표현보다는 ‘던지는 철학자’()라는 별명이 붙으면서 팬과 언론 사이에 회자되고 있다. 특유의 성격이나 야구에 임하는 자세는 다른 선수들에게도 귀감이 될 정도로 동경하는 선수들도 많다. 사용하고 있는 글러브에는 호쿠치쿠 고등학교 야구부 시절 당시 이노우에 가쓰야 감독이 말했던 ‘역경이야말로 각성할 때’()라는 문구를 넣어 그 말을 줄곧 간직하고 있다. 글러브를 비롯한 야구 도구는 미즈노의 것을 사용하여 2017년부터 브랜드 앰배서더 계약을 맺고 있다. 부모는 중학교 교사이며 5살 위의 형도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삼남매의 차남으로 네 살 위에 누나가 있다. 아버지는 2022년 6월에 사망했다. 2023년 10월 27일에 자신의 첫 저서 《이마나가 쇼타의 피칭 바이블》()이 발매됐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후쿠오카 현립 호쿠치쿠 고등학교 고마자와 대학 = = = 선수 경력 =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6년 ~ 2023년) 시카고 컵스(2024년 ~ )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일본 국가대표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일본 국가대표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 = 타이틀 = = = = 최다 탈삼진 : 1회(2023년) = = = = 수상 = = = = 월간 MVP : 2회(2019년 5월, 2022년 8월) ※투수 부문 = = = 개인 기록 = = = = = = = 투수 기록 = = = = 첫 등판·첫 선발 등판 : 2016년 3월 29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7이닝 4실점(3자책점) 3피홈런에서 패전 투수 첫 탈삼진 : 상동, 1회초에 조노 히사요시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승리·첫 선발 승리 : 2016년 5월 6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6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7이닝 무실점 9탈삼진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 2017년 4월 19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9이닝 1피안타 무실점 7탈삼진 첫 홀드 : 2018년 9월 22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5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7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 = = 타격 기록 = = = = 첫 타석·첫 안타 : 2016년 3월 29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3회말에 아론 포레다로부터 3루 내야 안타 첫 타점 : 2016년 5월 6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6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2회초에 요코야마 히로키로부터 투수 스퀴즈 번트 = = = = 기록 달성 경력 = = = = 통산 1000탈삼진 : 2023년 9월 13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2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1회초에 브라이트 켄타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156번째 통산 1000투구 이닝 : 2023년 9월 30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말에 나가오카 히데키를 투수 병살타로 처리 ※역대 367번째 = = = = 기타 = = = = 노히트 노런 : 2022년 6월 7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1차전(삿포로 돔), 9이닝 117구 9탈삼진 1볼넷 무실점 ※역대 85명째·96번째, 구단 역사상 52년 만에 4번째, 허용한 주자가 1명뿐이었던(준퍼펙트 게임) 것은 역대 17명째·18번째 일본 시리즈 21 탈삼진 : 2017년 ※6경기로 치른 일본 시리즈에서는 야마구치 다카시(1975년)와 함께 최다 타이 기록 일본 시리즈에서의 두 자릿수 탈삼진 : 2회(2017년 2차전, 6차전) ※다르빗슈 유와 나란히 최다 타이 기록 올스타전 출장 : 2회(2019년, 2023년) = = = 등번호 = = = 21(2016년 ~ 2023년) 18(2024년 ~ )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2016년 DeNA 22 22 0 0 0 8 9 0 0 .471 541 135.1 108 16 38 1 2 136 1 0 47 44 2.93 1.08 2017년 DeNA 24 24 3 2 0 11 7 0 0 .611 600 148.0 115 13 52 2 5 140 3 0 49 49 2.98 1.13 2018년 DeNA 23 16 1 0 0 4 11 0 4 .267 402 84.2 108 18 38 6 4 80 6 0 77 64 6.80 1.72 2019년 DeNA 25 25 3 3 0 13 7 0 0 .650 684 170.0 128 18 56 8 4 186 2 0 59 55 2.91 1.08 2020년 DeNA 9 9 0 0 0 5 3 0 0 .625 224 53.0 47 2 17 1 1 63 2 0 24 19 3.23 1.21 2021년 DeNA 19 19 1 0 1 5 5 0 0 .500 476 120.0 97 16 26 3 4 110 0 0 43 41 3.08 1.03 2022년 DeNA 21 21 3 2 1 11 4 0 0 .733 560 143.2 106 14 29 1 3 132 3 0 37 36 2.26 0.94 2023년 DeNA 22 22 2 0 0 7 4 0 0 .636 596 148.0 132 17 24 4 4 174 2 0 46 46 2.80 1.05 통산 : 8년 통산 : 8년 165 158 13 7 2 64 50 0 4 .561 4083 1002.2 841 114 280 26 27 1021 19 0 382 354 3.18 1.12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 = WBSC 프리미어 12에서의 투수 성적 = = = 연도 대표 등판 선발 승리 패전 세이브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4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2019 일본 2 2 1 0 0 33 9.0 5 1 1 0 0 12 0 0 1 1 1.00 = = = WBC에서의 투수 성적 = = = 연도 대표 등판 선발 승리 패전 세이브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4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2023 일본 3 1 1 0 0 25 6.0 7 2 0 0 0 7 0 0 2 2 3.00 = = = 연도별 수비 성적 = = = 연도 소속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연도 소속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16 DeNA 22 5 17 1 1 .957 2017 DeNA 24 12 31 1 3 .977 2018 DeNA 23 4 20 1 1 .960 2019 DeNA 25 10 25 1 0 .972 2020 DeNA 9 5 9 2 1 .875 2021 DeNA 19 5 17 1 0 .957 2022 DeNA 21 11 21 0 0 1.000 2023 DeNA 22 9 21 0 2 1.000 통산 통산 165 61 161 7 8 .969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인천장수초등학교 = 인천장수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1년 9월 18일 : 개교 = 람풍주 = 람풍주는 인도네시아의 주 가운데 하나로, 수마트라섬 남단에 위치한다. 주도는 반다르람풍이며 인구는 7,596,115명(2010년 기준), 면적은 35,376km2이다. 북서쪽으로는 븡쿨루주, 북쪽으로는 남수마트라 주와 접한다.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편이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 속한다. 1883년에는 크라카타우산이 폭발했고 2005년 5월 10일에는 진도 6.4의 강진이 일어나면서 이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 분류:잎가락도마뱀붙이속 = 잎가락도마뱀붙이속(Phyllodactylus) = 로버트 저메키스 = 로버트 저메키스(, 1952년 5월 14일 ~ )는 미국의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 영화 각본가이다. 대표작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에 노미네이트되었던백 투 더 퓨쳐와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던 포레스트 검프, 콘택트, 캐스트 어웨이, 하늘을 걷는 남자 등을 꼽을 수 있다. = = 작품 목록 = = 당신 손을 잡고 싶어 (1978) 중고차 소동 (1980) 로맨싱 스톤 (1984) 백 투 더 퓨처(1985)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1988) 백 투 더 퓨처 2(1989) 백 투 더 퓨처 3(1990) 포레스트 검프(1994) 콘택트(1997) 캐스트 어웨이(2000) What lies beneath (2000) 폴라 익스프레스(2004) 베오울프 (2007) 크리스마스 캐롤(2009) 플라이트(2012) 하늘을 걷는 남자(2015) 브라운 박사 세상을 구하다 (단편, 2015) 얼라이드 (2016) 웰컴 투 마웬 (2018) 마녀를 잡아라 (2020) 피노키오 (2022) 히어 (미정) = 분류:1975년 설립된 단체 = = 2018년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 = 다음은 2018년에 일본의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던 프로그램을 나열한 목록이다. = 하드리아누스의 도서관 = 하드리아누스의 도서관은 그리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의 북쪽 기슭에 있는 성전으로, 132년 로마 제국의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건설되었다. 건물은 전형적인 로마 포룸 형태로 지어졌으며, 코린토스 양식이 적용되었다. = 블랙 매직 = 블랙 매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블랙 매직(black magic)은 흑마법을 가리킨다. 블랙매직 디자인(Blackmagic Design): 전문 영상 기판 제조업체 Black Magic: 영국의 소녀 그룹 리틀 믹스의 노래 = 분류:네덜란드-이스라엘 관계 = = 캐벌케이드 = 캐벌케이드(Cavalcade)는 미국에서 제작된 프랭크 로이드 감독의 1933년 드라마 영화이다. 다이아나 위니아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프랭크 로이드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다이아나 위니아드 클리브 브룩 우나 오코너 = = = 조연 = = = 허버트 문딘 베릴 머서 아이린 브라운 템프 피곳 메를 토텐함 프랭크 로턴 = = 기타 = = 원작자: 노엘 카워드 의상: 얼 뤽 의상: 아놀드 맥도널드 = = 보존 = = 아카데미 영화 아카이브는 2002년에 캐벌케이드를 보존하였다. = = 사운드트랙 = = Girls of the C.I.V., Mirabelle, Lover of My Dreams, and Twentieth Century Blues, all by Noël Coward 영국의 국가 작별 by 로버트 번스 Goodbye, Dolly Gray by Will D. Cobb and Paul Barnes Soldiers of the Queen by Leslie Stuart 희망과 영광의 땅 by 에드워드 엘가 A Bird in a Gilded Cage by Arthur J. Lamb and Harry von Tilzer Emperor Waltz by 요한 슈트라우스 2세 I Do Like to Be Beside the Seaside by John A. Glover-Kind Take Me Back to Yorkshire by Harry Castling and Fred Godfrey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by 요한 슈트라우스 2세 Nearer, My God, to Thee by Lowell Mason I'll Make a Man of You by Arthur Wimperis and Herman Finck Your King and Country Want You by Paul Rubens It's a Long Way to Tipperary by Jack Judge and Harry Williams Pack Up Your Troubles in Your Old Kit-Bag and Smile, Smile, Smile by Felix Powell and George Asaf Keep The Home Fires Burning by 아이버 노벨로 and Lena Guilbert Ford Oh, You Beautiful Doll by Nat Ayer and Seymour Brown Mademoiselle from Armentières (Hinky Dinky Parley Voo) by Irwin Dash, Al Dubin, and Joe Mittenthal 개미들의 행진 by Louis Lambert Over There by George M. Cohan = 완도 읍리 하마비 = 읍리하마비(邑里下馬碑)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읍리에 있는 하마비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하마비란 조선시대 종묘 및 대궐 문 앞에 세워놓던 비로, 누구든지 그 앞을 지날 때에는 말에서 내리라는 뜻의 글을 비에 새겨 두었다. 민간신앙에 기초를 둔 것으로, 이 비의 주변에는 10여기의 고인돌이 흩어져 있다.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비는 앞면에 보살상을 새겨두고, 그 아래 ‘하마비’라는 글자는 시멘트로 만든 하단에 새겼다. 불상의 머리위에 보관(寶冠)이 표현된 것으로 미루어 보살상으로 짐작되며, 고려말·조선초 세운 것으로 보인다. = 분류:AKB48 Team SH = = 권재술 = 권재술(權載述, 1948년 12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다. = = 학력 = = 서울대학교 물리교육학 학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학 석사 오하이오 대학교 대학원 물리교육학 박사 = = 약력 = = 한국교육개발원 과학교육연구실 연구원 한국과학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원대학교 조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제3대학 물리교육과 교수 한국물리학회 물리교육분과 총무 한국과학교육학회 편집위원 위원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국제협력위원 위원장 한국교원대학교 제3대학 학장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원장 한국과학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 최은희 (희극인) = 최은희(1980년 8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 = 학력 = = 동덕여자대학교 스포츠학과 = = 출연작 = = 개그투나잇 (SBS) 웃찾사 (SBS) 상식의 여왕 (GTV) 볼수록 애교만점 (MBC) KBS 드라마 스페셜 (KBS2) 강력반 (KBS2) English Cafe (EBS) = 분류:미들섹스 대학교 동문 = = 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2014년 2월 = = 라일락 = 라일락(Lilac)은 꿀풀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수수꽃다리속의 다른 종 식물을 부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가 원산지이며, 온대 아시아에 걸친 지방에서 많이 가꾼다. = = 이름 = = 라일락의 이름은 푸르스름한(bluish)을 의미하는 아라비아어 "라일락(Arabic: ليلك)"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하고, 페르시아어 "닐락(Persian: نیلک)"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라일락"은 영어 번역을 해도 라일락이지만 "릴락"은 "ㄱ"발음이 없어 "릴라"라고 한다. = = 형태 = = 품종에 따라 흰색·연보라색·붉은 보라색 등의 꽃이 피는데, 보라색 계통이 가장 흔하다. 꽃에서 나는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이다. 홑꽃이 피는 것, 겹꽃이 피는 것 등이 있다. 꽃은 향기가 은은하고 강하다. 약 6m까지 자라며, 가지는 많이 갈라져 넓게 퍼지고, 꽃이 가지에 빽빽하게 달린다. 녹색을 띠는 잎은 길이가 약 13cm이며 길이가 약 25cm인 꽃차례를 이룬다. = = 라일락 배경 문학 작품 = = 《라일락꽃 피는 집》 - 루이자 메이 올콧 = 분류:파푸아뉴기니에서 활동한 축구 선수 = = 분류:2020년대 해체된 기업 = = 랑그도크 = 랑그도크는 프랑스 남부에 있는 지방의 이름으로 중심 도시는 툴루즈이다. = 비세일리아 = 섬네일 비세일리아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툴레어 군의 도시이다. 캘리포니아 중부에서 농업의 중심인 산 호아킨 밸리에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에서 남동쪽으로 230 마일 (370 km), 로스앤젤레스에서 북쪽으로 190 마일 (310 km) 떨어진 위치에 있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는 122,442명이며, 2000년부터는 36% 증가했다. 툴레어 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군내에서 인구가 최다이며, 미국에서 가장 큰 생산적인 단일 농업 지역으로 불리는 세쿼이아 밸리의 경제 중심이다. 또한, 세쿼이아 국립공원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이다. = 헤르베르트 비머 = 헤르베르트 "하키" 비머 (Herbert "Hacki" Wimmer, 1944년 11월 9일, 오이펜 ~ ) 은 은퇴한 독일의 축구선수이다. 그는 소속팀이었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소속으로 5차례 분데스리가 우승과, 한차례의 UEFA컵 우승을 거두었고,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어 UEFA 유로 1972와 1974년 FIFA 월드컵을 우승하였다. 헤르베르트 비머는 하위 리그에 속한 보루시아 브란트 (아헨 인근을 연고로 하는 클럽)의 유소년팀을 거쳤다. 1966년에서 1978년 사이, 그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소속으로 366경기에 출장하여 51골을 득점하였다. 그는 소속 클럽을 이끌고 5차례의 분데스리가 우승 (1969-70, 1970-71, 1974-75, 1975-76, 1976-77), 한차레의 DFB-포칼 (1972-73), 한차례의 UEFA컵 우승 (1974-75) 을 거두었다. 그는 초기에 공격수로 활약하였으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 타 스타 선수들을 위해 수비적인 위치에서 미드필더이자 플레이메이커인 귄터 네처 등을 돕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무한 체력으로, 강철 폐라는 명칭을 얻었다. 그는 절대로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체력이 떨어지지 않아 타 선수들에게 모범을 보였다. 1968년에서 1976년 사이, 비머는 서독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어 36경기에 활약하여 4번 골을 득점하였다. 그는 UEFA 유로 1972에 소련과의 결승에서 두 번째 골을 득점하여, 최종적으로 3-0 승리를 견인하였다.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두경기에 출장하였다. = = 수상 = = = = = 클럽 = = = 분데스리가: 우승: 1969-70, 1970-71, 1974-75, 1975-76, 1976-77 준우승: 1973-74, 1977-78 DFB-포칼: 1972-73 UEFA컵: 우승: 1974-75 준우승: 1972-73 유러피언컵 준우승: 유러피언컵 1976-77 = = = 국가대표팀 = = = FIFA 월드컵: 1974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72 준우승: 1976 = 틀:19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 분류:3급 스뱌토고안나 훈장 수훈자 = = 밀레나 차른트케 = 밀레나 차른트케(Milena Tscharntke, 1996년 4월 3일 ~ )는 독일의 배우이다. 2019 독일 황금카메라상 신인상 수상자이다. = 위원중국 = 위원중국(葦原中国)은 일본신화에서 고천원과 황천국 사이에 있는 세계다. 아시하라노 나카츠국,『デジタル大辞泉』小学館 토요아시하라노 나카츠국, 나카츠국이라고도 한다. 『일본서기』에서는 풍위원천오백추서수국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수직형 구조의 세계관에서, 천상계인 고천원과 저승세계인 황천국, 지하의 이계인 네노국 사이에 있는 곳, 즉 지상세계를 가리킨다. 또한 "중국"에는 “중심의 나라”라는 의미도 있다. 기기신화에 따르면 스사노오노 미코토의 난폭함에 마음이 상한 누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는 아마노 이와토에 숨어 버렸고, 세상이 혼란해졌다. 이에 800만 신들이 협의하여 스사노오노 미코토의 수염을 자르고 손발톱을 뽑아 고천원에서 추방했다.榎村寛之「神逐」(『歴史学事典 9 法と秩序』(弘文堂、2002年) 이를 『고사기』에서는 칸야라이(神逐), 『일본서기』에서는 칸야라히야라히(逐降)라고 한다. 스사노오노 미코토의 후손 또는 아들인 오오쿠니누시노 카미가 스쿠나비코나노 카미와 협력해서 천하를 경영했고, 금염과 의약을 가르쳐 위원중국의 나라 만들기(国作り)를 왕성했다. 그 뒤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의 사자들이 국토를 천손 니니기노 미코토에게 양도할 것을 요청하자 건국자들의 아들들인 코토시로누시노 카미와 타케미나타카노 카미가 수용 내지 항복했다. 오오쿠니누시노 카미는 키즈키(杵築) 땅으로 은퇴했고, 후에 이즈모 대사의 제신으로 모셔지게 되었다. 『일본서기』에서는 복종하지 않는 신들을 살육하자 코토시로누시노 카미와 오오모노누시노 카미가 귀순했다고 한다. 호우가 토시오의 설에 따르면, 본래의 고천원(소위 야마타이국)은 북큐슈의 지쿠고강 중하류 지역에 있었으며, 천손강림의 땅은 이토군・사와라군(현재의 이토시마시, 옛 이토국) 부근이라고 한다. 위원중국은 해신신앙이 강했던 나노국(현재의 나카군)을 말하는 것으로, 이즈모국이 아니라고 한다.宝賀寿男「大己貴神とその神統譜」『三輪氏 大物主神の祭祀者』青垣出版、2015年、59頁。 실제로 나노국이 있었던 곳으로 상정되는 하카타 지역은 시카우미 신사나 아즈미씨 등 해신족의 색채가 짙은 곳이며, 출토된 금인의 인뉴도 해신족의 토템인 뱀이다.宝賀寿男「上古史の流れの概観試論」『樹紀之房間』、2009年。 또한 코토시로누시노 카미와 타케미나타카노 카미의 나라 만들기 전설은 『일본서기』의 신혼담(神婚譚)에서도 볼 수 있듯이, 원래는 오늘날의 나라현(옛 야마토국) 주변의 전설이라고 한다.宝賀寿男「長髄彦と磯城県主の系譜」『三輪氏 大物主神の祭祀者』青垣出版、2015年、115頁。 『이즈모국 풍토기』에 코토시로누시노 카미와 타케미나타카노 카미가 등장하지 않는 것도 위원중국이 원래 이즈모 신화가 아니었음을 방증한다. 그 밖에, 기기신화에서 말하는 "이즈모"를 현실의 이즈모국 뿐 아니라 야마토 왕권에 공순하지 않은 지역・부족의 총칭이라고 보는 설도 있다.寺田鎮子、鷲尾徹太 『諏訪明神―カミ信仰の原像』 岩田書店、2010年、81-82頁。 = 분류:사카리아주의 지리 = = 반중 감정 = 반중 감정이란 중국에 대한 혐오감과 반감을 뜻한다. 세계에서 가장 미움 받는 나라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조사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이 1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 세계 대다수의 사람은 중국, 러시아, 북한에 대해 강한 혐오감과 부정적인 감정이 있습니다.Sinophobia is "Fear of or contempt for China, its people, or its culture" states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Online Edition. Retrieved July 12, 2012.Macmillan dictionary. Retrieved July 7, 2022. 나라별 중국에 대한 관점2022년 의 여론조사 Country polled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차이 1 - 1 - 5 - 나라별 중국에 대한 관점2020년 의 여론조사 Country polled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차이 5 -77 1 -71 4 -66 3 -53 4 -52 5 -51 1 -51 4 -50 2 -48 5 -47 4 -46 4 -44 1 -27 0 -24 나라별 중국에 대한 관점2019년 의 여론조사 Country polled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차이 1 –71 5 –45 6 –40 14 –34 16 –30 5 –29 3 –29 4 –26 10 –22 6 –22 7 –21 6 –20 7 –17 8 –14 4 –12 12 –8 28 0 23 3 19 11 22 12 19 13 17 19 29 23 22 24 28 28 17 33 25 35 9 41 29 43 10 46 21 47 13 53 11 53 나라별 중국에 대한 관점2017년 BBC 월드 서비스의 여론조사 Country polled 긍정적 부정적 차이 –53 –48 –41 –25 –25 –22 –21 –15 –14 –1 7 12 15 21 29 36 51 74 78 나라별 중국에 대한 관점2017년 의 여론조사 Country polled 긍정적 부정적 차이 –44 –42 –37 –35 –33 –31 –30 –28 –27 –27 –23 –19 –17 –12 –11 –10 –9 –8 –8 –4 –2 8 13 15 16 22 22 31 = = 지역별 반중 감정 = = = = = 동아시아 = = = = = = = 한국 = = = = 한국은 고대부터 중국의 지배와 침략을 받아오며 계속적인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원을 몰아낸 명나라가 고려의 영토를 요구하자 반중 정서가 고조되어 요동 정벌을 추진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명나라,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종속되어 있다가, 근대에 들어 민족주의가 발달하고 간섭에 대한 반감이 강해져 독립국가인 대한제국을 선포하기에 이른다. 일제강점기 동안 1931년에는 화교에 대한 반감으로 촉발된 유혈사태인 만보산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중국인에 대한 반감은 일제강점기나 대한민국 건국 이후부터 존재해 왔다. 중국 대륙에서 공산당이 주도권을 차지하고 6.25 전쟁 당시 중국의 의용군이 대량 참전하였고, 냉전 기간 동안에는 사실상 적대 국가로서 1992년 한중수교때까진 중국과 국교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과거사 면에서는 동북공정에 관한 논란이 민족사에 관한 분쟁으로 직결되어 중화사상에 대한 반감을 촉발하였다. 현대에 대한민국에서는 반중 정서가 시간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데, BBC 조사에 의하면 중국에 대한 여론 호감도는 2002년 66%에서 2008년 48%까지 빠르게 감소했다.World Public Opinion surveys, 2002–2008 www.worldpublicopinion.org 중국으로부터 노동자와 이민자가 유입되면서 중국인, 특히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계 중국인에 대한 제노포비아가 대중 사이에서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2017년 대한민국에 THAAD 설치가 결정되자 중국에서 한국에 대한 불매 운동을 일으켰고, 양국의 관계가 경직되면서 한국에서도 반중 정서가 강화되었다. 2018년 서울대학교 연구소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48%가 대한민국에 가장 위협이 되는 나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뽑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뽑은 33%를 웃돌았다. 그러다 2019년 8월 홍콩 시위가 벌어지며 이를 지지하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2019년 12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2020년 샤이닝니키 한복 사태, 김치 예속화 시도, 조선구마사 관련 논란 등으로 인해 이른바 '문화공정'이라 부르는 중국의 국내 문화 예속 논란이 불거지면서 과거에 비해 엄청나게 심화되었다. 상당수 소식통에서는 중국인에 대한 경멸적 견해가 보도되거나 암시되었고 중국 동포들은 광범위한 범죄 오명 및 광범위한 배척과 혐오에 직면했다. = = = = 대만 = = = = 대만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중국, 러시아, 북한에 대한 적대감과 반감이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매우 강했습니다. 2024년에 실시된 여러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만인의 95%가 중국을 대만의 주적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만인들은 중국을 매우 후진적이고 미개한 국가로, 중국인을 공공의 골칫거리로 여깁니다. = = = = 일본 = = = = 일본, 대한민국, 대만, 미국, 유럽은 모두 세계에서 반중 정서가 가장 강한 나라들이다. 중일전쟁 중의 난징 대학살 등 일본 제국의 과거사 평가 문제가 국가적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는 한편 센카쿠 열도에 관한 영토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현대 중국의 정치 요소에 대한 반감도 반중정서에 영향을 준다. = = = = 몽골 = = = = 몽골은 17세기에 정벌된 이후 청나라의 영토로 있다가 1921년 몽골 혁명으로 독립하였으나 내몽골은 현재 중국의 지배 아래 있다. 현대에 중국은 내몽골을 빠르게 동화시켜 가고 있으나 동화를 거부하는 내몽골 원주민들 사이에 강한 반중정서가 생겨 몽골 민족주의자들이 중국에 적대감을 가지게 되었다. 몽골국 내에서는 중국이 몽골을 궁극적으로 중국의 일부로 만들기 위해 몽골의 주권을 훼손한다며 경계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 = = 중앙아시아 = = = = = = = 카자흐스탄 = = = = 2018년 카자흐스탄에서는 대규모 토지개혁 시위가 열렸다. 시위대는 중국 기업에 토지를 임대하는 것과 중국 기업과 무역업자의 경제적 지배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카자흐스탄에서 중국혐오증을 유발하는 다른 이슈들 역시 신장 분쟁과 카자흐스탄이 상당수의 위구르 분리주의자들을 유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 = = 타지키스탄 = = = = 최근 타지키스탄에서 중국이 타지키스탄으로부터 토지를 빼앗았다는 비난으로 인해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분노도 증가했다. 2013년 타지크 대중사회민주당 당수 라흐마틸로 졸로프는 중국군이 상륙으로 얻은 것보다 더 깊이 타지키스탄에 침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Tajik social-democrats leader: China grabs more Tajik land than agreed. Posted by Ferghana International Agency, on April 16, 2013. = = = = 키르기스스탄 = = = = 키르기스스탄은 전통적으로 비동맹적이고 중국에 다소 긍정적이다. 그러나 청나라의 점령과 인종청소 등 역사적 불만이 있다. 한 키르기스스탄 농부는 앞으로 중국이 식민지를 만들 것을 우려해 "우리는 항상 중국인의 식민 지배를 받을 위험을 무릅쓰고 있다"고 주장했다.The China-Pakistan Economic Corridor Between Hope and Fear. Posted by Mushtaq A. Kaw on April 26, 2017. 한편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처럼 키르기스스탄 국민들도 대부분 중국의 위구르 분리주의에 공감하고 있어 관계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 = = 동남아시아 = = = = = = = 베트남 = = = = 베트남은 오랜 기간 중국의 지배를 받아온 한편 이에 맞서 투쟁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9년에는 베트남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중월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대에는 남중국해의 영토 분쟁으로 인해 반중 감정이 증가하였다. = = = = 필리핀 = = = =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필리핀도 중국의 남중국해 주요섬에 대한 영유권 주장으로 반중 감정이 치닫고 있다. 이에 중국이 필리핀산 망고 불매운동을 벌이고 필리핀 농산물을 수입하지 않겠다고 하여 필리핀은 큰 타격을 입었다. = = = = 인도네시아 = = = = 인도네시아에는 인구의 극소수를 차지하고 있는 화교들이 부의 상당 부분을 가지고 있어 비화교의 중국인에 대한 반감이 심하다. 1965~66년에는 폭동이 일어나 외모가 중국인같이 생겼다고 살해당하는 일도 있었다. 1998년 수하르토 대통령의 몰락 이후 인도네시아 폭동에서도 많은 중국인들이 폭도들의 표적이 되어 많은 수의 약탈이 발생했다. = = = = 미얀마 = = = = 미얀마의 계속되는 인종 폭동과 1967년 중국 사회에 대한 버마의 폭동은 PRC를 불쾌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중국이 버마에 맞서 민족 및 정치 반군을 무장시켰다. 오늘날, 중국의 투자에 대한 분노와 천연자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된 착취 또한 중-미얀마 관계를 방해했다. 미얀마에 사는 중국인들 또한 버마 언론과 대중문화에서 차별적인 법과 미사여구를 받아왔다. = = = 남아시아 = = = = = = = 부탄 = = = = 부탄과 중국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긴박했고 과거 사건들은 부탄 내부에 반중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1959년 중국 정부가 티베트 불교 기관을 파괴한 것은 티베트 내 반중 정서의 물결로 이어졌다. 마찬가지로, 논란이 된 지도인 중국 부탄 영토의 대부분을 묘사한 중국의 짧은 역사와 1960년 "티베트에서 단결된 가족을 형성" 그리고 "그들은 다시 한 번 단결해서 공산주의 교리를 가르쳐야 한다"는 중국의 성명서가 출간된 것도 이 모든 것을 이끌었다. 국경 폐쇄, 무역, 중국과의 모든 외교적 접촉을 포함한 부탄의 적대 반응 부탄과 중국은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않았다. = = = = 스리랑카 = = = = 스리랑카 내전을 종식시킨 중국의 긍정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민들 사이에선 중국의 대남 투자를 둘러싼 반중 감정이 형성돼 있다. How Beijing won Sri Lanka's civil war. Posted on The Independent. Posted on may 23. 2010. = = = = 인도 = = = = 인도는 티베트 지역에서의 인도-중국 국경 분쟁이 반중정서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 = = = = 역사 = = = = = 인도는 중국과 오랜 국경분쟁이 있으며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1962년에는 중국과 중인전쟁도 벌였다. 이 62년 중인전쟁에서 악사이친을 빼앗겼다. 이 외에도 중국은 인도가 실효지배하는 남티베트같은 곳까지 자국 영토라 주장하고 있다. 중국과는 계속해서 간헐적으로 군사적 충돌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총 없이 싸웠는데도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엄청난 싸움이 있었다. 이때 쇠못을 박은 몽둥이 등이 중국군이 사용한 무기로 드러나며 인도인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인도정부는 틱톡을 포함한 중국 앱 사용을 금지했고 전인도에서 중국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티베트 망명정부도 인도 다람살라에 위치해 있는 등 티베트의 독립에 대한 양국의 입장도 확연히 다르다. = = = = 아프가니스탄 = = = = 최근 신장 분쟁은 아프가니스탄과 중국의 관계를 긴장시켰다.Sinophilia and Sinophobia in Afghanistan. Posted on The Diplomat. Posted by Tamin Asey on December 10, 2014. = = = 서양 세계 = = = 다른 나라에 대한 중국의 인식처럼, 중국의 많은 인구, 오랜 역사, 그리고 규모가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왔다. 중국은 많은 다른 방법으로 서양의 상상 속에서 매우 많은 인구와 함께 수세기 동안 존재하는 매우 큰 문명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중국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부상은 중국에 대한 인식을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빛에서 부정적인 빛으로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서방의 반공주의에 대한 보도와 중국의 인권 유린에 대한 보도. = = = = 리투아니아 = = = = 최근 몇 년간 타이완, 홍콩, 중국의 모바일 스파이 행위에 대한 논쟁으로 인한 중국과 리투아니아 사이의 긴장은 리투아니아인들 사이에서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증가하는 데 기여했다. = = = 아프리카 = = =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반중국 포퓰리즘이 대두되고 있다. 중국 근로자들과 사업주들이 대륙의 일부 지역에서 현지인들의 공격을 받는 사건이 보고되었다. 최근 광저우에서 발생한 COVID-19 전염병 기간 동안 아프리카인들에 대한 퇴거, 차별 및 기타 학대에 대한 보고가 일부 아프리카 정치인들의 중국 대사들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 = = = = 케냐 = = = = 케냐에서는 2016년 케냐인 노동자와 중국 내 이민자들을 상대로 케냐인들의 일자리를 약탈하고 빼앗았다며 중국인들을 비난하면서 반중 감정이 형성됐다.Rise in anti-Chinese violence in Kenya forces halt of major rail project. Posted on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Posted by Elsa Buchanan, on August 19, 2016 14:32 BST. = = = = 가나 = = = = 가나 사람들은 중국 광부들이 불법으로 일자리를 빼앗고, 지역 상수도 공급을 오염시키며, 일을 통해 농업 생산을 방해한다고 주장해왔다. 16세의 중국인 불법 광부가 2012년 체포를 모면하려다 총에 맞았다.TSG IntelBrief: Rising Sinophobia in Africa , July 31, 2013 = = = = 잠비아 = = = = 2006년, 중국 기업들은 반중국 애국전선의 선거 패배 이후 분노한 군중들에 의해 폭동의 표적이 되었다. 델리 암베드카르 대학의 로히트 네기에 따르면, "잠비아에서 중국에 대한 대중의 반대는 경제적 민족주의의 급증과 신자유주의 정통주의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연결되어 있다." 잠비아의 집권 정부는 중국인들에 대한 외국인 혐오 공격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홍콩 과기대학의 2016년 연구는 현지인들이 중국인들에 대해 백인들만큼 높은 순위를 차지하지 않고, 레바논인들, 그리고 어느 정도는 인도인들에 비해 부정적인 순위를 차지하면서, 중국인들에 대해 더 미묘한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가 있다. = = =공통 = = =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전세계의 반중감정이 극대화되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중국은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고 오히려 코로나19 발원지는 중국이 아니다라는 주장등을 하여 반중 감정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그결과 부정적인 정서가 전세계적으로 95퍼센트인 역대최악이 나왔다. = = 반중 감정에서 비롯된 멸칭 = = = = = 영어권 = = = 칭크(Chink) 칭총(Ching Chong) 용 모습의 악마(The Devil in a shape of the dragon) = 틀:플랜츠 vs. 좀비 = = 안 덩컨 = 안 덩컨(Arne Duncan, 1964년 11월 4일 ~ )은 미국의 제9대 교육부 장관이다. 2001년부터 장관 취임 직전까지 시카고시 공립학교 체계의 최고경영자(대한민국의 관례상으로는 교육감)로 재직했다. = = 생애 초기 = = 1964년, 시카고 하이드 파크 지역의 시카고 대학교 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던 아버지 스타키 덩컨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교육, 지도하는 기관의 설립 및 운영자인 수잔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동네 이웃들과 농구를 즐겼으며, 이후 어머니와 함께 '수 던컨 어린이센터'(외부 링크 참조)에서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울 운영, 아이들을 가르쳤다. 시카고 대학교 사범학과 부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농구 선수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는데, 큰 키와 청년 시절의 실력을 바탕으로 1987년 하버드 대학교 사회학을 우등으로 졸업한 이후 1991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프로농구(NBL) 선수로 활약했으며, 그 기간 중에 아내 카렌 덩컨을 만나 결혼하였다.Soaring to a Professional Career , The Harvard Crimson, 1987년 5월 22일 작성 = = 시카고 공립학교체계에서의 활동 = = 1992년부터 그의 오랜 친구 존 로저스와 함께 아리엘 교육행동의 감독을 시작으로, 교육행정가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한 덩컨은 미국 전국에서 3번째로 규모가 큰 교육도시이자 그의 고향인 시카고의 남부에서 어린이들의 교육 기회 신장 및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다. 1995년부터는 시카고 광역 교육이사로서, 1998년부터 2001년 최고경영자취임 전까지 시카고 공립학교 체계에서 일해왔으며, 2001년 6월 26일, 제54대 리차드 R. 데일리 시장이 그를 시카고의 교육감에 임명했다. 2002년 초, 그는 시카고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 스티븐 레빗의 연구진과 함께 '고비용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 작업을 도왔는데,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120개의 학급을 부정 행위가 의심되는 집단, 의심스런 사례가 발견되지 않은 우수한 교사 집단, 의심 사례가 발견되지 않은 중하위급 교사 집단으로 나누어 재시험을 치렀는데, 이 결과로 증거가 입증된 12개 학급의 교사를 파면하고 일부는 경고 조치하여 2003년 시험에서 30% 이상의 부정행위를 감소시키는 등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하였으며, 이는 훗날 '부정행위 분석 연산법'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2003년 5월에는 레이크포레스트 대학에서 명예박사를 받았다. = = 미국 교육부 장관 = = 2008년 12월 16일, 당시 대통령 당선자이자, 1990년대 시카고 남부의 인권운동가 시절부터 아내 미셸의 소개로 알게 된 덩컨의 오랜 친구 버락 오바마는, 던컨이 교육감으로 재직한 당시에 재건에 성공한 다지 아카데미 학교에서 교육부 장관으로 던컨을 지명하였다.오바마 "오늘은 일일교사", 한국경제, 2008년 12월 17일 작성 오바마와 같은 하버드 대학교 동문이자 시카고 출신이라는 사실 때문에 일부 언론들이 '코드 인사'라 지적하였으나,오바마의 '농구 친구', 美 교육장관에 임명, 노컷뉴스, 2008년 12월 17일 작성 교육감 재임중 특정 정파에만 치우지지 않고 보수와 진보, 재계와 교원단체 등을 막론한 모두의 의견을 듣고 합리적인 정책을 수행한 그간의 공로를 높이 평가오바마의 각료·참모-(20)안 던컨 교육장관, 서울신문, 2008년 12월 17일 작성, 미국연방상원의 인준절차를 통과, 2009년 1월 21일에 미국의 제9대 교육부 장관직에 공식 취임하였다. 주요 과제로, 현 오바마 행정부의 교육정책과 전임 조지 W. 부시 정권의 고비용 시험을 통한 낙제생 감축 정책('No Child Left Behind')의 조화로운 연계, 공교육 혁신 등이 있다. = = 각주 및 참고자료 = = 그의 행적을 약술한 서적으로 '괴짜 경제학'(한국어판 기준 56~58쪽, Freakonomics, 바로 옆 링크 참조)이 있다. = 소테리아 (신화) = 그리스 신화에서 소테리아는 해로부터의 안전과 구원, 해방, 보존의 여신 또는 정령(다이몬)이다. 소테르의 남성 대조는 사상 다이몬 소테르였다. 제우스와 디오니소스 모두 소테르라는 이명이 있었기에, 둘 중 하나가 그녀의 아버지일지도 모른다; 그녀의 어머니는 알 수 없다. 그녀는 테살리아의 에우리필로스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믿어지는, 파트라이의 마을에 그녀의 영광으로 만든 성소와 동상이 있었다.Soteria in the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다양한 글이 그녀의 성소의 생성을 언급한다. 소테리아는 승리의 상징, 월계관을 입은 여자로 묘사되었다. 로마 신화에서 소테리아는 살루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살루스의 영역은 보안과 안전 물리적인 행복과 건강을 더 많이 선보였다. 소테리아의 성경의 쓰임은 단어가 "네 배의 구원: 처벌, 전력, 존재와 죄의 가장 중요한 즐거움에서의 구원." 의미로 사용되듯이, 그리스 신화에서 그 어원을 나타낸다. = 틀: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표 = = 각련 = 각련(刻煙)은 썰어놓은 담배가루다. 말이용지를 이용해 그것을 궐련 모양으로 직접 말아서 피운다. 궐련 물부리를 이용해 고정시키기도 한다. 각련은 말아피우는 사람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에 정해진 규격이랄 것이 없고, 타르와 니코틴 제한 수준이 지켜지기 힘들다. 하지만 유럽 등지에서는 각련을 말아 피는 것이 공장제 궐련을 피우는 것보다 싸게 먹히기에 아직도 유행하고 있다. = 김진현 (아나운서) = 김진현(1990년 ~ )은 대한민국 KBS의 아나운서이다. = = 경력 = = 2016년 ~ 2018년 G1 공채 아나운서 2018년 ~ 2021년 TBS 공채 아나운서 2021년 ~ KBS 48기 공채 아나운서(KBS 전주방송총국 지역 근무, 2023년 2월 ~ 서울본국 근무 중) = = 진행 = = KBS 뉴스 7 전북 Today 전북 생생 3도 2023년 : KBS1 아침마당 9477회 (9월 13일) 도전 꿈의 무대 스포츠캐스터 노래자랑 특집 우승 2023년 : 아침마당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임지웅 아나운서와 동반 출연 2023년 11월 17일 : KBS2 지구촌 뉴스 금요일 임시 진행 2023년 11월 22일 : KBS2 KBS 3시 뉴스타임 수요일 임시 진행 2023년 12월 14일 ~ : KBS2 누가누가 잘하나 MC - 캠벨 에이시아와 공동 진행 6시 내고향 월요일 코너 슬기로운 두반장 임시 패널 (자두 전 가수 출신과 함께 같이 임시 패널로 출연, 7911회& 7916회) 2023년 12월 29일 : KBS1 KBS 930 뉴스 금요일 임시 진행 2024년 1월 2일 : KBS2 KBS 아침뉴스타임 (신년특집) 임시 진행 KBS 제1라디오 정시 뉴스 = 틀:일본의 친왕 = = 김근행 = 김근행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김근행(金謹行, 17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안동이다. 김근행(金謹行, 1610년 ~ ?)은 조선 후기의 역관으로 왜어 역관을 지냈다. 본관은 김해이다. = 제19비행연대 = = 일리파 전투 = 일리파 전투는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로마 공화정과 카르타고군과의 전투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서 카르타고를 상대로 최대의 전과를 이룬 전투이다. = = 전투 전의 상황 = = 바이쿨라 전투 이후 하스드루발 바르카는 이탈리아로 떠났고 히스파니아의 카르타고군은 대규모 증원군을 받았다. 마고네 바르카와 시스코네로 나뉜 카르타고군을 상대로 스키피오는 선뜻 공격을 나서지 못하고 있었다. 기원전 207년의 겨울을 숙영지에서 보내고 이듬해 봄 마고네와 시스코네 양군은 일리파(현재 스페인의 세빌리아 북쪽)에서 다시 뭉쳤고 스키피오는 조심스럽게 그들과 일전을 벌이기 위해 일리파로 접근했다. 스키피오의 군대가 도착하자 마고네는 마시니사가 지휘하는 누미디아 기병을 이용하여 로마군 진영에 대한 과감한 공격을 시도했으나 이를 미리 간파한 스키피오가 기병을 숲속에 숨겨놓고 대비하여 카르타고군은 손실을 입었다. 이 첫 조우이후 며칠간 양군은 진을 펼쳐 놓고 서로를 탐색하면서 보냈다. 이 며칠간 스키피오는 로마군은 중앙에, 히스파니아의 부대를 양날개에 배치했는데 카르타고군은 전투 당일에도 이러한 진영을 예상하고 있었다. = = 전투의 전개 상황 = = 전투 당일 로마군은 예상을 깨고 새벽부터 전장으로 나왔고 진영의 배치도 중앙에 히스파니아 부대를 배치하고 양날개에 주력인 로마군을 배치했다. 갑작스러운 진용에 놀란 카르타고군은 성급히 진영을 꾸렸고 이로 인해 초반부터 고전을 면치 못했다. 특히 적의 주력인 로마군이 카르타고군의 가장 약한 부분을 치고 들어왔고 전투 코끼리가 혼란을 가중시키면서 카르타고군의 강점인 누미디아 기병대가 활동하는 데 방해가 생겨 전선은 급속히 무너졌다. 로마군은 삼면에서 포위공격으로 점점 압박해 왔고 결국 카르타고군은 유일한 출구인 후방으로 달아났다. 로마군은 추격을 벌였으나 이어 쏟아진 엄청난 소나기 때문에 추격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도망친 카르타고 병사는 고작 6천 명 정도뿐이었고 카르타고의 세 장군 모두 달아나기에 급급한 상황이었다. = = 전투의 결과 = = 이 참패로 카르타고는 히스파니아에서 완전히 그 세력이 괴멸되었다. 시스코네는 북아프리카로 달아났고 마고네는 발레아레스로 가서 이탈리아에 있는 한니발에게로 갈 준비를 했다. 스키피오는 일리파의 승리로 자신의 아버지와 삼촌의 원수를 갚았고 로마로 돌아와 만장일치로 기원전 205년의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또한 누미디아의 시팍스와 마시니사에게 모두 로마의 편에 서달라는 외교공작을 펼치고 카르타고 본토 북아프리카 침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 분류:19세기 미국 = = 성형미인 = 성형미인(成形美人, plastic beauty)은 대한민국에서 나타난 신조어로 성형외과의 수술로 아름다움을 표현한 사람 또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 = 사용 역사 = = 1980년대 중반 성형외과 전공의가 유망 직업으로 떠올랐다. 1996년에 댄스그룹 노이즈가 발표한 5집 앨범 성형미인이 인기 있었고 2004년에 중국에서 성형미인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2005년에는 서예린 작가가 만든 내 ID는 성형미인이라는 순정만화도 출판되었다. = = 부정적 인식의 변화 = = 20세기 말에 연예인의 미용 성형에 대해 대중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거부감을 표출했지만 21세기 초에 관대해지고 미용을 위해서 할 수도 있다고 판단하는 대중이 증가했다. 그 결과 수술비를 모으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성형대출을 알아보는 경우가 생겼으며 전문의가 아닌 의사가 성형수술을 하거나 기타 이유로 부작용이 발생하여 식물인간이 되거나 사망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성형수술비 알바에 성형대출, 성형계까지…혹시 내 딸도? '성형 1번지' 강남, 전문의 운영 병·의원 5분의 1수준 불과과도한 성형환자 유치경쟁.. 사고 잇따라 = 영규 = 영규(靈圭, 1537년 ~ 1592년 9월 23일(음력 8월 18일)조인영, 운석유고 권12, 영규대사 순의 비명)는 조선 중기의 승병장이다. 속성은 박, 본관은 밀양, 호는 기허당(騎虛堂)이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활약하였다. 충남 공주 출신이다. 계룡산 갑사에 출가하여 서산대사의 고제로 공주 청련암에서 수도하였고 선장으로 무예를 익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초로 승병을 일으켜 500명을 이끌고 의병장 조헌과 함께 청주 전투에서 청주성을 탈환했다. 그리고 다시 제2차 금산 전투를 벌였고 격전 끝에 싸우다 전사하였다. 금산의 칠백의총에 묻히고 종용사에 제향되었으며 법도, 대인에 의해 진락산에 영각이 세워졌으며 의선이란 편액이 하사되었다. = = 전기 자료 = = 박지원, 《연암집》 권10, 영규비(靈圭碑) 황경원, 《강한집》 권9, 영규대사 사절기 조인영, 《운석유고》 권12, 영규대사 순의 비명 = 분류:아제르바이잔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경충대로 = 경충대로(京忠大路, Gyeongchung-daero)는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 교차로와 성남시 중원구 성남 나들목을 잇는 경기도의 도로이다. 전 구간이 국도 제3호선의 일부였으나 OB 맥주 이천공장 부근 삼거리에서 신선으로 이어진다. 경충산업도로(京忠産業道路), 경충국도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 = 역사 = = 1979년 5월 21일 :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이천군 이천읍 ~ 광주군 실촌면 곤지암리 ~ 광주군 광주면 ~ 성남시 갈현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락동 ~ 잠실교 ~ 구의동 79.5km 구간 개통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1979년 5월 21일. 1995년 2월 11일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건장리 1.53km 구간 개통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7호, 1995년 2월 11일. 2003년 12월 28일 :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 ~ 진암리 4.7km 구간 확장 개통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83호 , 2003년 12월 29일. 2009년 8월 24일 : 2개 이상 시·군에 걸쳐있는 도로로 경충대로를 고시경기도고시 제2009-347호 , 2009년 8월 24일. = = 주요 경유지 = = 이천시 장호원읍 - 여주시 가남읍 - 이천시 (대월면 - 부발읍 - 대월면 - 부발읍 - 중리동 - 관고동 - 신둔면) - 광주시 (곤지암읍 - 초월읍 - 경안동 - 광남동) - 성남시 중원구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진암사거리(장호원고가차도) 국도 제37호선(장감로)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 이천시 장호원읍 샘재고개사거리 샘재로 이천시 장호원읍 경기교육연수원삼거리 경충대로168번길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삼거리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송산삼거리 설장로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풍계교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원하삼거리 경충대로307번길경충대로309번길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이황초교삼거리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이황1리삼거리 경충대로519번길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소시랑고개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상승대삼거리 경충대로597번길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이황육교삼거리 이풍로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나래삼거리 경충대로782번길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문드러니고개 이천시 장호원읍 국도 제3호선 구간 문드러니고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은봉삼거리 자석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흑석삼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흑석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세광리치타운아파트 교차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건장사거리 건은로여주남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태평교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태평사거리 지방도 제333호선(설가로)(태평중앙1길)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태평리 태평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신해1리삼거리 일신로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동남아파트 교차로신해2리사거리 여주시 가남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장평삼거리경기고속삼거리 이천시 대월면 국도 제3호선 구간 장평교 이천시 대월면 국도 제3호선 구간 장평교 이천시 부발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응암삼거리 경충대로1722번길 이천시 부발읍 국도 제3호선 구간 응암 교차로 국도 제3호선(성남이천로) 이천시 부발읍 국도 제3호선 구간 가산삼거리 지방도 제337호선(황무로) 이천시 부발읍 지방도 제337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동원삼거리 이천시 부발읍 지방도 제337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도드람조합삼거리 경충대로1937번길 이천시 부발읍 지방도 제337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대월삼거리 지방도 제337호선(대월로) 이천시 대월면 지방도 제337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사동삼거리 사동로 이천시 대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아미사거리 경충대로2141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이천사동중학교삼거리 경충대로2050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SK하이닉스사거리 경충대로2092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아미타운삼거리 경충대로2110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이천 나들목 50호선 영동고속도로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청구아파트삼거리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대상㈜삼거리 경충대로2191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진우아파트삼거리 신아로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거평아파트삼거리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신하초교후문삼거리 대산로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삼익아파트삼거리 경충대로2257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신하삼거리 경충대로2273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성광아파트삼거리 경충대로2285번길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OB삼거리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이마트후레쉬센터사거리 가좌로 이천시 부발읍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복하사거리 국도 제42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중부대로) 이천시 부발읍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복하교 이천시 부발읍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복하교 이천시 중리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진리삼거리 경충대로2481번길 이천시 중리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신진리사거리 구만리로 이천시 중리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설봉삼거리 중리천로중리천로115번길 이천시 중리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이천사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이섭대천로) 이천시 중리동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구간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공설운동장삼거리 서희로 이천시 중리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증일사거리 부악로설봉로 이천시 중리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증일사거리 부악로설봉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이천육교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엑스포삼거리 경충대로2709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설봉아파트삼거리 경충대로2720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설봉공원삼거리 관고재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소방서삼거리기치미고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기치미고개삼거리 양진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사음1동삼거리 경충대로2931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콘티넨탈삼거리 사음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돌고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도예촌사거리 경충대로2993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사음2동삼거리 경충대로2996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수남저수지삼거리 경충대로3041번길경충대로3044번길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사음동삼거리 서이천로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근천교 이천시 관고동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근천교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소정 교차로 지방도 제337호선(황무로)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신둔삼거리 경충대로3145번길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신둔사거리 경충대로3159번길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남정오거리 원적로경충대로3183번길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수광삼거리 경충대로3233번길경충대로3234번길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넉고개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도 제1호선 구간 넉고개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동원대학앞 교차로 새재길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신촌리 신만로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광주공업사앞 교차로 구수동길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수양마을입구 교차로 경충대로311번길경충대로312번길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구양교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농수산물창고앞 교차로 경충대로498번길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중부골프장앞 교차로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목방마을앞 교차로 경충대로493번길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곤지암사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지방도 제325호선(곤지암로)(광여로) 광주시 곤지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신대사거리 곤지암로곤지암천로 광주시 곤지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곤지암교 도척로대석동길평촌길11번길 광주시 곤지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금호주유소앞 교차로 평촌길 광주시 곤지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곤지암 나들목 35호선 중부고속도로 광주시 곤지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빙그레입구 독고개길 광주시 초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나이키앞 교차로 지방도 제325호선(산수로) 광주시 초월읍 지방도 제325호선 구간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렉스콘앞 경충대로963번길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경기주유소앞 교차로 도곡길장담길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쌍동 분기점 국도 제3호선(성남이천로)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초월읍사무소앞 교차로 무들로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소방파출소앞 교차로 경충대로1284번길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도평리입구 교차로 현산로 광주시 초월읍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쌍령동 중앙로 광주시 경안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경안교 광주시 경안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광주 나들목 포은대로 광주시 경안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광주2육교 역동로 광주시 경안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장지 나들목 국도 제43호선국도 제45호선(회안대로) 광주시 광남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선광주유소앞 교차로 순암로264번길 광주시 광남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중대교 순암로텃골길 광주시 광남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삼동 순암로삼지곡길 광주시 광남동 광주시도 제23호선 구간 갈마터널 광주시 광남동 성남 방면 연장 343m이천 방면 연장 480m 갈마터널 성남시 중원구 성남 방면 연장 343m이천 방면 연장 480m 갈현 교차로 지방도 제338호선(순환로) 성남시 중원구 지방도 제338호선 구간 갈현동 지방도 제338호선(마지로) 성남시 중원구 지방도 제338호선 구간 갈마치교 갈마치로 성남시 중원구 갈현 나들목 희망로 성남시 중원구 성남교 성남시 중원구 대원 나들목 국도 제3호선(성남이천로) 성남시 중원구 중원교 제일로돌마로 성남시 중원구 여수사거리 국도 제3호선(성남대로) 성남시 중원구 성남 나들목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성남시 중원구 종점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이황초등학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경충대로 456-20) 방재시험연구원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경충대로 1030) SK하이닉스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091) 현대엘리베이터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091-1) 아미파출소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154) OB맥주 이천공장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314) 이천우체국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610) 이천소방서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739)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742) 다산고등학교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856) 신둔면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 3128) 신둔우체국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 3152-14) 신둔농협 본점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 3161) 신둔파출소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 3162) 동원대학교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26) 곤지암도자공원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27) 초월읍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241) 초월우체국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243-9) 초월농협 본점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247) = 뫼블루트 미랠리예프 = 뫼블루트 무스타파 오글루 미랠리예프(, 1974년 2월 27일~)는 아제르바이잔의 유도 선수, 지도자이다.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하프헤비급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하프헤비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아제르바이잔 대표팀을 지도했다. = 분류:라디오의 역사 = = 분류:센에마른주의 지리 = = 이건창 =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고종 3년(1866)에 병인양요가 일어나 프랑스 군대가 쳐들어와 강화도가 함락되자 주민들 모두가 피신하는 것을 개탄하고, 신하로서 도망갈 수는 없다면서 유소(遺疏)를 올리고 순국하여 주민들의 의식을 깨운 의사(義士)이다. 이때 아우 이지원(李止遠)도 함께 순국했다. 저서로 사기집(沙磯集)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다.(沙磯 李是遠)의 손자이다. 공(公)은 조선후기의 문신, 대문장가(麗韓九大家)이며, 교육자·양명학자·사상가·민족보수주의자이고 강화학파의 계승자이며, 구한말시대 지식인들의 정신적 지주이었다. 저서로는 명미당집 (明美堂集)과 당의통략* 정치역사 연대기(黨議通略)등이 있으며,〈전가추석 (田家秋夕:농가의 추석)충청우도 암행어사 시절 목도한 농가의 참상을 표현함, 고종 13년(1876)〉·〈도망 (悼亡:아내를 애도)(妻 喪)〉시는 일반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하다. 공(公)의 저서 당의통략(黨議通略)을 통해 조선후기 사회 당쟁의 폐단을 지적한 몇 안되는 지식인이다. = = 생애 = = 공(公)은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를 역임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며, 증(贈) 이조참판 이상학(李象學)의 아들이다. 강화도 출신으로서 조부가 개성부유수로 재직할 때 유수부(留守府) 관아에서 태어나 출생지는 개성이지만 조상대대로 강화도에서 살아왔다. 공(公)의 부계(父系)는 조선 제21대왕 영조대왕때 관직을 버리고 강화도로 낙향하여 지식인학자가문(→육진팔광)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그들의 후손들은 전통적으로 강화도를 중심으로 양명학을 가학(家學)으로 발전시켰는데 공(公)은 강화학파의 계승자이기도 하다.(→강화학파 육대계승)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으로부터 충의와 문학을 바탕으로 한 가학(家學)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5세에 문장을 구사할 만큼 재주가 뛰어나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다. 장성한 뒤에는 모든 공사(公私) 생활에서 조부의 영향을 받았다. 김택영(金澤榮), 황현(黃玹), 강위(姜瑋) 등과 교분이 두터웠다. 용모가 청수(淸秀)하였으며, 천성이 강직하여 부정불의를 보면 추호도 용납하지 않고 친척, 지구(知舊),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엄격히 치죄하였으며, 의례적인 가식없이 소신대로 피력하여 당시 부패한 사회분위기속에서 신음하던 백성들과 지식인들로부터 신망을 얻어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현재 송파구 송파1동 송파초등학교 옆 근린공원에는 공(公)의 업적을 기념하기위한 영세불망비(行御史행어사李公建昌 永世不忘碑이공건창 영세불망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강화도 사기리에도 수의사 영세불망비(繡衣使수의사(←수의사도), * 수의를 입은 사또(使道)를 뜻하며 어사또(御使道:암행어사를 높여부르는 말)라고도 한다.李建昌 永世不忘碑이건창 영세불망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경기도 하남시에도 불망비가 세워져있다.(감북로 39번지) = = = 출사(出仕) = = =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에게 가르침을받아 어려서부터 사서오경에 정통하였으며 고종 3년(1866)* 이때 병인양요가 발생하여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과 숙조부 이지원(李止遠)이 사망하였다.에 최연소과거급제(15세)로 별시문과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너무 일찍 등과하였기 때문에 고종 7년(1870) 19세에 이르러서야 승정원주서(注書:정7품)직에 벼슬을 받았다. 고종 11년(1874, 23세) 때 동지사(冬至使:외교사절)의 서장관(書狀官:기록관)으로 발탁되어 청나라에 가서 그곳의 문장가 황각(黃珏)·장가양(張家驤)·서보(徐郙) 등과 교우하고, 이름을 떨쳤다. = = = = 암행감찰·민생구휼 = = = = 고종 14년(1877, 26세) 충청우도 암행어사가 되었고, 이듬해 충청도관찰사 조병식(趙秉式)을 탄핵하다가 도리어 모함을 받아 관서지방의 평안도 벽동(碧潼)으로 유배되었고, 1년이 지나서 풀려났다. 공사(公事)에 성의를 다하다가 도리어 당국자의 미움을 사 귀양까지 갔으며 그 뒤 벼슬에 뜻을 두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종이 친서(親書)로 “내가 그대를 알고있으니 전과 같이 잘하라”는 격려를받고 고종 17년(1880, 29세)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서 관리들의 비행을 파헤치는가 하면, 흉년을 당한 농민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식량문제 등 구휼에 힘썼다. 한편 세금을 감면하여 주기도 하여 백성들로부터 환심을 얻어 공(公)의 불망비가 각처에 세워졌다. 이 시기에 씌여진 충청우도 태안군 안흥(安興)에서 수군(水軍)과 어촌의 실상을 기술한 시, 모진 흉년에 관교들의 횡포로 초주검이 된 산골 사람을 그린 시, 경기도 암행중에 환곡(還穀* 환곡(還穀),농민들에게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받아들이는 제도)의 문란과 농민의 고통을 목도하고 쓴 시, 황해도관찰사로 가다가 연평도 조기잡이의 삶을 노래한 시 등은 당시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알려주고있다. 문학적으로도 우리나라 사실주의문학의 높은 봉우리를 이루게하였다. 기층민(빈곤층)의 애환을 동정하고 조국의 자주적 부강을 염원하는 뜻에서 나왔기에 그 말이 절실하고 그 사상이 온화하면서도 강건했다. 그 뒤 고종 21년(1884)에 연이은 부모상을 당하여 6년간 집상(執喪)을 마치고 고종 27년(1890, 39세) 한성부소윤(少尹)이 되었다. = = = = 외국인의 토지매수를 제약 = = = = 당시 나라 안에 거류하는 청국인과 일본인들이 우리 백성들의 가옥이나 토지를 마구 사들여 방관하는 사이에 그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그들이 소유권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온갖 문제를 일으킬 것에 대비, 시급히 국법을 마련하여 국민들이 부동산을 외국인에게 팔아넘기지 못하도록 금지령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그때 우리나라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북양군(北洋軍)출신 북양대신 리훙장(李鴻章)의 부하인 청국공사 당샤오이(唐紹儀→후(1912년)에 중화민국 초대국무총리를 역임)가 공(公)의 상소내용을 알고 “공약으로 청국사람과 가옥이나 토지매도를 금한다는 조항이 조약상에 없는데 왜 금지조치를 하려는가?”라고 항의하였다. 이에 공은 “우리가 우리 국민에게 금지시키는 것인데 조약이 무슨 상관인가?”라고 일축하였다. 그러자 당샤오이는 리훙장의 항의를 빙자하여 우리 정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금지령을 내리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공은 단념하지 않고, 외국인에게 부동산을 판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 다른 죄목으로써 토죄하고 가중처벌을 하였으므로, 이러한 기미를 알아차린 백성들이 감히 외국인과 매매를 못하게 되니, 청국인들도 하는 수 없이 매수계획을 포기하게 되었다. = = = = 탐관오리 치죄 = = = = 고종 28년(1891, 40세)에 승정원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상소사건으로 전라도 보성(寶城)에 재차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고종 30년(1893, 42세)에 함흥부의 난민을 다스리기 위하여 안핵사로 파견되어 함경도 관찰사의 죄상을 명백하게 가려내어 파면시켰다. 이후 고종도 지방관을 보낼 때에는 “그대가 가서 잘못하면 리건창이 가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할 정도로 공사를 집행하는 공의 자세는 완강하고 당당하였다. = = = 은퇴 = = = 갑오경장(甲午更張, 고종 31년(1894.7)~고종 32년(1895.8))이 발표되자 이를 반대하여 일체의 관직을 버리고 향리인 강화도 화도면 사기리에서 일본 침략세력을 배척할 것을 주장하였다. 고종 32년(1895)에 명성황후(明星皇后) 시해사건(→을미사변)이 있었을 때 공은 홍승헌·정원용(鄭元容)과 함께 궐문에 나아가 <청토복소 (請討復疏)>를 올렸고, 당색의 제한 때문에 정치 이념을 구현하지 못하는 현실을 체험하고는 붕당정치사인 ≪당의통략 (黨議通略)≫을 집필하였다. 공(公)은 정원하(鄭元夏)·홍승헌(洪承憲)·이건승(李建昇)·이건방(李建芳)등과 함께 정제두의 유풍(儒風)을 흠모해 강화도로 모여 함께 강학을 하여, 새로운 학문 방법과 현실 대처 방안을 토의하였다. 공과 더불어 황현과 교유한 아우 이건승, 재종제 이건방이나 마찬가지로 갑오정국(친일파 김홍집(金弘集) 내각)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 = = = 상소문(上疏文) : <청토복소 (請討復疏)> = = = = 고종 32년(1895) 음력 8월 20일에 을미사변(→일성록, 고종실록* 고종 33권, 32년(1895 을미 / 청 광서(光緖) 21년) 8월 20일(무자) 1번째기사)이 있고나서 달이 바뀌었어도 상복을 걸치는 사람이 아무도 없자 강화도 큰사골 집에 칩거하던 공(公)은 홍승헌(洪承憲)·정원용(鄭元容)과 함께 궐하에 엎드려 폐비의 칙명을 거두고 죄인을 잡아 처형하라고 주장하였다. 일제침략세력의 겁박으로 인해 왕비의 상도 치르지 못하는 친일파 김홍집내각이 한심했던 것이고, 이보다 더한 변고가 있다면 그것은 조국의 멸망이었기 때문이다. 음력 9월 5일에 공은 <청토복소 (請討復疏* 請討復疏:명성황후의 신원복원에 관한 의논을 청하다.)>의 상소문(上疏文)을 올렸으나 고종은 읽어보지도 못한채 반송되었다. 음력 9월 13일에 다시 올렸으나 역시 친일파 김홍집내각에 의해 내쳐졌다. 그러나 공의 상소를 전후하여 민심은 하나로 합해졌고 의병들도 일어났다.(→을미의병) 공은 청나라 양무운동(洋務運動)을 이끌었던 리훙장(李鴻章)이 개국을 도모할 때 이미 “스스로 지키는 것 없이 그 자만 믿는다면 나중에 반드시 나라가 팔리고 말리라”고 시정소문(時政疏文)을 지어 우려하였다. 공은 불의와 부정과 타협하지 않았고 척양척왜주의자로 일관하였다. 고종 33년(1896)에 친일파 김홍집내각에 의해 새로운 관제에 따라 각부의 협판(協辦:차관급)·특진관(特進官:비서관)·황해도관찰사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결국 공은 일제침략세력(친일파 김홍집내각)에 협조하지 않아 오히려 전라도 고군산도(古群山島:군산시)로 세번째 유배형에 처해졌다.(특지(特旨)로 2개월이 지난 뒤에 풀려났다) 그뒤 향리인 강화도에 내려가서 한성과는 발길을 끊고 지내다가 2년뒤인 대한제국 광무 2년(1898)에 운명하였고 향년 47세였다. = = = 사후 기념사업 = = = 공(公)의 시문은 동생(同生) 경재 이건승(耕齋 李建昇)이 저자의 사후에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編次:정리* 편차(編次), (자료 따위를)순서를 따라 편집함)하여 산삭(刪削:교정* 산삭(刪削), 필요 없는 글자나 구절을 지워 버림)한 다음 김택영(金澤榮)에게 산정(刪正:검수)을 부탁하여 정고본(定稿本)을 만들었다. 그 후 영남의 선비 하겸진(河謙鎭), 이엽(李曄), 안진우(安鎭宇), 문박(文樸), 윤재현(尹在鉉)과 호남의 선비 황원(黃瑗), 이병호(李炳浩), 안종학(安鍾鶴) 등이 저자의 유고를 인멸시킬 수 없다 하여 출판 비용을 갹출하고, 김택영에게 교수(校讎)를 부탁하여 1917년 12월에 김택영이 중국(中國) 남통시(南通市)의 한묵림서국(翰墨林書局)에서 20권 8책의 연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초간본 이 책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위창古3648-文62-13* 일제식 문서분류 표기법이다.), 성균관대학교 존경각(D3B-348),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1468)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 후 1978년에 명미당집 (明美堂集)과 당의통략 (黨議通略)을 합본하여 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에서 이건창전집 (李建昌全集)上下 2책을 간행하였고, 1984년에는 명미당전집 편찬위원회가 명미당전집 (明美堂全集) 2책을 선문출판사(宣文出版社)에서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底本:문서의 초벌원고)은 1917년 중국 남통시 한묵림서국에서 연활자로 간행된 초간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이다.(출처:한국고전번역원) = = = = 학맥계승 = = = = 노성인(老成人·노련하고 성숙한 사람)은 갔어도 그 전형은 남겨놓았다. 동생(同生) 경재 이건승(耕齋 李建昇)은 을사늑약 (대한제국광무 9년, 1905)이 강압적으로 체결된 뒤 강화도 사기리에 남아 계명의숙(啓明義塾)을 설립하여 교육구국운동을 전개하다가 경술국치 (대한제국융희 4년, 1910)를 당하자 만주(滿洲)로 망명하였다. 그리고 공이 굳게 지켜낸 강화학파의 정신과 민족자주이념은 재종제 난곡 이건방(蘭谷 李建芳)의 제자 위당 정인보(爲堂 鄭寅普)·서여 민영규(西餘 閔泳奎) 등에게 계승되어 큰 줄기를 이루었으며, 현대한국학의 뿌리가 되었다. = = = = 명미당(明美堂) = = = = 명미당(明美堂)은 공의 생가의 당호(堂號)이며,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이 병인양요때 순국하면서 남긴, 시대의 소임을 다하라는 가르침을 지키기 위해 명미당(明美堂)이라 하였다고한다. 영재 이건창 묘역 (인천시 기념물 29호), 영재 이건창 생가 (明美堂, 인천시 기념물 30호), 찾아가는 길은 버스정류장:"강화버스터미널"에서 간선버스 #1, #2, #3, #4, #41번을 탑승하고 버스정류장:"이건창생가"에서 하차하면되고 바로 인근거리에 있다. (간선버스노선 #1, #2, #3, #4, #41번) (→다음 지도정보) = = 가계와 행력 = = 가족 관계 style="border: solid 1px silver; padding: 0px; background-color: white; font-size:108%;" 조 :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 부 : 증(贈) 이조참판 이상학(李象學) 모 : 파평윤씨 (坡平尹氏), 윤자구(尹滋九)의 딸 * 동생 : 경재 이건승(耕齋 李建昇) * 동생 : 이건면(李建冕)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명미당(明美堂) 본처 달성 서씨(達城徐氏), 서장순(徐長淳)의 딸 후처 결성 장씨(結城張氏), 장인근(張仁根)의 딸 * 장남 : 이범하(李範夏) ** 손자 : 이덕상(李德尙) 행 력 (行歷) style="border: solid 1px silver; padding: 0px; background-color: white; font-size:108%;" 기년 (서력, 간지) 연령 기사 철종 3년(1852, 임자) 1 강화도 사곡(江華島 沙曲)에서 태어나다. 철종 12년(1861, 신유) 10 사서삼경(四書三經)에 통하다. 고종 3년(1866, 병인) 15 문과에 급제하다. 고종 5년(1868, 무진) 17 5월, 승정원가주서(假注書:정7품)가 되다. 《과설(過說)》을 짓다. 고종 7년(1870, 경오) 19 3월, 승정원주서(注書)가 되다. 12월, 강위(姜瑋)의 《청추각수초(聽秋閣收艸)》에 발문(머릿글)을 쓰다. 고종 8년(1871, 신미) 20 1월, 홍문관 교리(校理)가 되었다가 체직(替直:교체)되다. 7월, 홍문관 수찬(修撰)이 되다. 9월, 사간원 헌납(獻納)이 되다. 가을, 전가(全家, 집안)가 한성에서 10리 떨어진 호동(湖垌)에 우거(寓居, 임시로 기거)하다. 고종 9년(1872, 임신) 21 5월, 사간원헌납, 홍문관수찬이 되다. 9월, 홍문관교리가 되다. 10월, 사헌부지평(持平)이 되다. 고종 10년(1873, 계유) 22 1월, 사간원헌납이 되다. 3월, 부인 달성서씨(達城徐氏)의 상을 당하다. 고종 11년(1874, 갑술) 23 1월, 암행어사에 뽑히다. 5월, 병조정랑으로 혜성(彗星)을 관찰하다. 7월,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기록관)이 되다. 10월, 연경(燕京:현재의 베이징)에 가다. 고종 12년(1875, 을해) 24 4월, 귀국하다. 9월, 세자시강원사서(司書)가 되다. 고종 13년(1876, 병자) 25 7월, 홍문관응교(應敎)가 되다. 11월, 사헌부장령(掌令)이 되다. 가을, 옥당(玉堂, 왕실 자문기관)에 직숙하면서 《영주몽유가(瀛洲夢游歌)》를 짓다. 고종 14년(1877, 정축) 26 6월, 홍문관수찬(修撰)이 되다. 가을, 충청우도 암행어사가 되다. 고종 15년(1878, 무인) 27 4월, 충청감사 조병식(趙秉式)의 탐오(貪汚, 탐욕)를 서계(書啓)하다. 6월, 암행어사 때에 김학현(金鶴鉉)을 장살(杖殺)했다는 이유로 관서(關西) 벽동군(碧潼郡)에 유배되다. 고종 16년(1879, 기묘) 28 2월, 민영익(閔泳翊)의 도움으로 유배에서 풀려나다. 고종 17년(1880, 경진) 29 3월, 홍문관부교리(副校理)가 되다. 10월, 사간원사간(司諫)이 되다. 고종 18년(1881, 신사) 30 4월, 의금부문사낭청(問事郎廳)이 되다. 고종 19년(1882, 임오) 31 6월, 청나라 외교사절단의 서장관(書狀官:기록관)이 되다. 7월, 흥선대원군의 행차 때 호행관(護行官)이 되다. 8월, 통정대부가 되다. 특명으로 지제교조선 시대, 임금에게 교서(敎書) 등의 글을 지어 바치는 일을 맡은 중요한 벼슬이다.《대전통편》에 의하면 홍문관 부제학 이하의 관원이 겸임하는 것을 내지제교, 홍문관 대제학이 이조판서와 상의하여 6품 이상의 관원 가운데 특별히 뽑은 후보자를 초록(抄錄)·상주하여 지제교로 임명하는 것을 외지제교라고 불렀다.(知製敎)의 직함을 영구히 겸대하다. 경기 암행어사가 되다. 고종 20년(1883, 계미) 32 여름, 암행어사에서 돌아오다. 고종 21년(1884, 갑신) 33 1월, 사간원대사간(大司諫)이 되다. 3월, 모친상을 당하다. 한성에서 강화(江華)로 반장(返葬, 고향으로 이장)하다. 고종 23년(1886, 병술) 35 《한구편(韓狗篇)》을 짓다. (←아우 이건면(李建冕)이 지은 《한구문(韓狗文)》을 시로 옮김) 고종 24년(1887, 정해) 36 3월, 형조참의가 되다. 8월, 병조참지가 되다. 고종 25년(1888, 무자) 37 1월, 부친상을 당하다. 양산(梁山)에서 반구(返柩, 시신을 고향으로 보냄)하다. 고종 28년(1891, 신묘) 40 10월, 한성부소윤(少尹=서윤(庶尹):종4품)이 되다. 11월, 전화(錢貨, 화폐)의 유통 폐단과 외국인의 주택 구입의 문제점을 논하는 상소를 올리다. 고종 29년(1892, 임진) 41 왕명으로 함흥(咸興)에 가서 난민(亂民)을 안핵(按覈)하다. 돌아와서 승정원승지(承旨)가 되다. (함흥민란) 고종 30년(1893, 계사) 42 4월, 양호(兩湖호서(충청)와 호남(전라))의 사비(邪匪:도둑)를 토벌할 것과 아울러 진면(陳勉, 방비에 힘씀)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다. 8월, 이 일로 전라도(全羅道) 보성(寶城)에 유배되다. 고종 31년(1894, 갑오) 43 봄, 유배에서 풀려나다.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다. 6월, 죽은 계제(季弟:막내동생) 이건면(李建冕)을 위해 《謙山篋藁敍傳겸산협고서전》을 짓다. 7월, 공조참판이 되다. 갑오경장으로 새 관제가 시행되어 여러 차례 협판(協辦:차관급), 특진관(特進官:비서관), 시강관(侍講官왕에게 경적·사서를 강론하는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다. 정문부(鄭文孚)의 《농포집(農圃集)》속집(續集) 발문(跋文, 머릿말)을 쓰다. 고종 32년(1895, 을미) 44 음력 8월 22일, 명성황후가 시해되다. 9월, 강화도 큰사골 집에 칩거하던 공(公)은 을미사변이 있고난뒤 홍승헌(洪承憲)·정원용(鄭元容)과 함께 궐하에 엎드려 명성황후의 폐비 칙명을 거두고 죄인을 잡아 처형하라고 주장하였다. 음력 9월 5일에 공은 <청토복소 (請討復疏* 請討:일제침략세력을 토벌할 것을 청하다. * 復疏:명성황후의 신원을 복원하다.)>의 상소문(上疏文)을 올렸으나 고종은 읽어보지도 못한채 반송되었다. 음력 9월 13일에 다시 올렸으나 역시 친일파 김홍집 내각에 의해 내쳐졌다. 그러나 공의 상소를 전후하여 민심은 하나로 합해졌고 의병들도 일어났다.(→을미의병) 겨울, 단발령(斷髮令)이 내리자 해도(海島, 섬)로 피신하다. 고종 33년(1896, 병신) 45 2월 11일, 고종이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하다.(→아관파천) 고종이 친일내각의 김홍집(54세)과 정병하 등의 체포를 명령하다. 친일파 김홍집(54세)과 정병하 등이 광화문 밖에서 백성들에게 짱돌에 맞아 살해되고, 시신은 효수·노륙되어 각도로 보내졌으며, 백성들은 수급에 돌을 던졌다 한다. 2월 16일, 호좌의병진(湖左義兵陳, 유인석)은 충주성을 점령하고, 친일파 충주부관찰사 김규식(金奎軾)을 처단하였으며,〈격고내외백관 (檄告內外百官)〉을 발표하여 관리들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그외에 단양군수 권숙(權潚), 청풍군수 서상기(徐相耆) 등의 토왜(土倭)를 처단하였다. 3월, 새로운 친일파 내각에 의해 해주부(海州府) 관찰사에 제수되었으나 세차례 상소하여 사양하다. 새로운 내각에 협조하지 않자 원래의 관직으로 외직에 보임하라는 명이 내리고 이어 고군산도(古群山島:군산시)에 유배되다. (특지(特旨)로 2개월이 지난 뒤에 풀려남) 이상설(李相卨)이 신새벽 남대문 밖에 주안상을 차려놓고 귀양길 떠나는 공에게 큰절을 하다. 《명미당시문집서전(明美堂詩文集敍傳)》을 짓다. 고종 34년(1897, 정유)대한제국 광무 1년(1897, 정유) 46 3월, 특명으로 징계를 사면받다. 10월 12일, 고종은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원구단을 지었다. 그리고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지낸 후에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光武)로 새로 정하고 황제로 즉위하였다. 대한제국 광무 2년(1898, 무술) 47 6월 18일, 졸하다. 대한제국 광무 9년(1905, 을사) 사후 일제의 강압으로 을사늑약이 체결되다.(→을사의병) 대한제국 광무 10년(1906, 병오) 사후 동생 경재 이건승(耕齋 李建昇)과 재종제(6촌) 난곡 이건방(蘭谷 李建芳)이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서 계명의숙(啓明義塾)을 설립하다.(→계명의숙 터) 대한제국 광무 11년* 융희 원년 이기도 하다.(1907, 정미) 사후 5월 22일, 이토 히로부미의 후원으로 친일파 이완용 내각이 구성되다. 6월, 대한광무제(고종황제)는 네덜란드 수도 헤이그에서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가 소집하는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늑약이 대한제국 황제의 뜻에 반하여 일제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을사늑약을 파기 하고자하였으나 일제와 그 동맹국 영국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못하다.(→이준열사 순국) 7월 22일, 일제는 이 헤이그 특사사건을 빌미로 특사를 위칭했다고 하여 재판에 회부, 궐석재판으로 이상설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이준과 이위종에게는 종신형을 선고하는 한편 선위라는 미명으로 대한광무제(고종황제)가 강제퇴위되다. (→고종 강제퇴위 사건) 8월 1일, 매국노와 일제의 문서위조로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해산되다.(→대한제국 군대 해산) 8월 2일, 대한융희제(순종황제)가 즉위하다. 8월 5일, 원주 진위대, 군대해산에 대항하며 무장 항쟁을 전개하다.(→정미의병) 11월,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 격문을 띄워 11월에 경기도 양평(三山里)(현재 양평군 지평리)로 집결할 것을 촉구하고, 그 결과로 1만 여명의 의병이 집결하여 13도 창의군(倡義軍)을 조직하다.(→이은찬·이구채 등) 대한제국 융희 2년(1908, 무신) 사후 1월 15일, 창의군(倡義軍)이 일본군대를 토벌하고 일제통감부(統監府)를 제거할 목적으로 한성부 망우리 일대에서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다. 동대문 밖 30리(10 Km)까지 진격하였으나 일본군의 저항으로 철수하다.(→의병장 허위(許蔿) 등, 한성탈환작전(서울진공작전)) 대한제국 융희 4년(1910, 경술) 사후 경술국치를 당하다. 대한제국 융희 6년(1912, 임자) 사후 제자 육당 최남선(崔南善)이 광문사(光文社)에서 《당의통략 (黨議通略)》을 간행하다. 대한제국 융희 11년(1917, 정사) 사후 창강 김택영(金澤榮)이 청나라 남통시(南通市) 한묵림서국(翰墨林書局)에서 《명미당집 (明美堂集)》을 간행하다. 대한제국 융희 13년(1919, 기미) 사후 1월 21일, 매국노가 대한광무제(고종황제)를 독살하다.(향년 66세) 3월 1일, 대한광무제(고종황제) 장례일에 3·1운동을 일으키다. 4월 13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존속기간:1919년 ~ 1948년)가 수립되다. 대한제국 융희 15년(1921, 신유) 사후 6월 27일, 자유시 참변이 발생하다. 대한제국 융희 17년(1923, 계해) 사후 9월 1일, 일본에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여 14만여명이 죽다. 사고직후 조선인 학살사건, 가메이도 사건이 발생하다. 대한제국 융희 20년(1926, 병인) 사후 4월 25일, 매국노가 대한융희제(순종황제)를 독살하다.(향년 52세) 6월 10일, 대한융희제(순종황제) 장례일에 6·10운동을 일으키다. = = 주요 저작 = = 공(公)은 결코 문학가로 자처하지 않았지만 저서 당의통략(黨議通略)은 파당을 초월하고 족친을 초월하여 공정한 입장에서 붕당의 원인과 전개과정을 기술한 명저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원래 그의 문필은 송대의 대가인 왕안석(王安石)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하곡 정제두가 양명학(陽明學)의 지행합일(知行合一)의 학풍을 세운 이른바 강화학파의 학문태도를 교훈받고 실천하였다. 구한말의 문학가인 창강 김택영이 우리 나라 역대의 문장가를 추숭할 때에 여한구대가(麗韓九大家)라 하여 아홉사람을 선정하면서 그 최후의 사람으로 공을 꼽은 것을 보면, 당대의 문장가라기보다 우리나라 전대(全代)를 통하여 몇 안되는 대문장가의 한 사람임에 손색이 없을 듯하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성품이 매우 곧아 병인양요 때에 강화에서 순국한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유지를 받들어 개화를 뿌리치고 철저한 척양척왜주의자(斥洋斥倭)로 일관하였다. 명미당고(明美堂稿)12권,당의통략(黨議通略)2권 외에 남천기 (南遷記),유독수기(有讀隨記)1권,미제록(未濟錄)1권이 있다. = = = 저서 = = = = = = = 명미당집(明美堂集) = = = = = = = = 남천기(南遷記) = = = = = = = = 당의통략(黨議通略) = = = = 조부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이 지은 국조문헌(國朝文獻)에서 당쟁에 관계된 내용만을 발췌한 것이다. 이 책은 조선 제14대왕 선조 ~ 제21대왕 영조대(宣祖-英祖代)에 이르는 각 왕대별로 주요한 사건을 기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선조 8년(1575) 김효원(金孝元)과 심의겸(沈義謙)의 대립에서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생겨난 것에서 시작하여, 영조 31년(1755)까지의 약 180년간을 대상으로 하여 당쟁의 흐름을 기술하고, 말미에 <원론(原論)>을 부기하였다. 본문의 내용에 있어서는 숙종조(肅宗朝)의 분량이 전체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이 시기가 당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음에도 원인이 있지만 노소분열이 전개된 이 시기 소론의 정치적입장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저자의 의도가 일정하게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원론>에서는 중국 역대의 붕당사를 간략히 언급한 다음에, 붕당의 원인으로 道學의 太重, 名義의 太嚴, 文詞의 太繁, 刑獄의 太密, 臺閣의 泰峻, 官職의 太淸, 閥閱의 太盛, 昇平의 太久등 8가지를 그 이유로 들었으며, 명절(名節, 명분과 절의)을 지나치게 숭상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실용(實用)에 힘쓰는 것이 붕당의 폐해를 극복하는 한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각 당색(黨色)에 따라 여러 가지 당론사가 출현하였는데, 본 책은 저자의 가계상 소론(少論)의 입장에서 쓴 것으로, 남인(南人)의 입장에서 쓴 동소만록(桐巢漫錄, 남하정)이나 노론(老論)의 입장에서 쓴아아록(我我錄, 남기제) 등과는 서술체제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노소분당(老少分黨)의 원인에 대해서 소론인 명재 윤증(明齋 尹拯)의 입장을 지지하고 노론의 영수 우암 송시열(宋時烈)을 크게 비판한 점, 경종 1년(1721)부터 경종 2년(1722)까지 일어났던 정치적 분쟁, 즉 연잉군(→조선 영조)의 왕세제 책봉문제때문에 발생한 신임사화(辛壬獄事)에 있어서 노론측의 잘못을 부각시킨 점 등은 특히 그러하다. 본 책은 소론의 입장이 개입되어 있지만 다른 당론서에 비해서는 연대기별로 주요한 사건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처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재에도 조선후기의 정치사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자료가 된다. 필사본으로 전해지던 것을 대한 융희 4년(1910)에 설치된 조선 광문회(朝鮮光文會, 고전연구, 최남선)에서 신활자본으로 간행했다. 이를 토대로 1972년 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영인본을 간행했으며, 여강출판사에서 펴낸 조선시대 당쟁사 자료집 (朝鮮時代黨爭史資料集)에도 영인본이 수록되어 있다. 2책 필사본 28.5×17.6cm. = = = = 기타 저서 = = = = = = = = = 忠淸右道 暗行御史 李建昌 別單 = = = = = 충청우도 암행어사 이건창 별단 (忠淸右道 暗行御史 李建昌 別單)은 공(公)이 고종 12년(1875)에 충청우도의 암행어사로서 암행중(暗行中)에 올린 장계·별단(狀啓·別單:보고서)과 그에 대한 의정부(議政府)의 계(啓,보고서), 그리고 사후조치 등을 묶어 책으로 펴낸 것(成冊)이다. 공(公)이 충청우도에 암행어사로 나간 것은 고종 12년(1875)이었는데 이 별단(보고서)이 의정부(議政府)를 통해 고종에게 전달되는 것은 고종 15년(1878) 음력 4월 14일* 고종 15권, 15년(1878 무인 / 청 광서(光緖) 4년) 4월 14일(계사) 1번째기사이다. 공(公)은 이 암행중에 무고한 선비를 장살(杖殺)했다는 죄목으로 고종 17년(1880)까지 관서지방 평안도 벽동군(碧潼郡)에 유배되었다. 서계별단(書啓別單)은 총 12조로 이루어졌는데, 내용은 관청의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하급관리(人吏)와 결탁하여 은결(隱結)로 처리된 토지의 점증(증가)에 대한 사출(査出:조사), 사환발매후 잉여전(社還發賣後 剩餘錢)에 대한 조치, 보녕(保寧) 등의 합영(合營), 합진(合鎭)에 따른 불편 해결책, 서천군(舒川郡)의 세미(稅米)·군전(軍錢) 과다징수, 충청우도 태안군 안면도 소나무숲(安眠島 松林) 훼손, 서해안 모든 섬에서의 사설어전염세액(私設漁箭鹽稅額) 등의 사회·경제적인 폐막에 관한 건이 대부분이다. 이밖에 학행(學行)·열행(烈行) 등 포창(褒彰, 표창)에 관련된 것도 있다. 당시 이 별단(別單)에 관련된 사실들의 공명성(公明性)이 문제되고 있는 사료(史料)가 보이는 만큼 재고의 여지가 있으며, 또 이 별단(別單)에 의해서 관련된 인물들이 치죄·승진(治罪·陞) 되고 있음도 보게 된다. 조선말기의 충청우도의 사회경제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한 자료이다. 1책(15張) 필사본 27×23.5cm. = = = = = 독역수기 = = = = = 1권은 만년에 역학(易學)을 연구하며 저술한 것으로 간행되지 못하였다. = = = 알려진 작품들 = = = = = = = 〈전가추석 (田家秋夕)〉 = = = = 전가추석(田家秋夕)은 고종 13년(1878)에 충청우도 암행어사 때에 목도한 추석을 맞은 농가의 참상을 표현하였다.(원문출처:한국고전종합DB) = = = = 〈녹수작 (錄囚作)〉 = = = = 녹수작(錄囚作)은 충청우도를 암행할 때 죄인을 신문하고 쓴 시이다. 탐욕에 눈먼 인간의 모습에 가슴 아파하고 측은해 하였다. (원문출처: →한국고종종합DB) = = = = 〈도망 (悼亡)〉(妻 喪) = = = = 도망(悼亡)이란 시(詩)는 처상(妻 喪)을 당하여 아내를 애도하는 내용이다.(번역 : 2,4,5 번째 절구) (원문출처:→한국고전종합 DB) = = = = 〈협촌기사 (峽村記事)〉 = = = = 협촌(峽村)이란 '깊은 산골마을'을 뜻한다.(원문출처:→한국고전종합DB) = = 참고 항목 =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고종(高宗)실록 (한문·번역 →국사편찬위원회) 《일성록》(日省錄) →고종조(高宗朝)년간 (한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종조(高宗朝)년간 (번역 →한국고전종합DB)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고종조(高宗朝)년간 (한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종조(高宗朝)년간 (한문 →국사편찬위원회), (번역 →한국고전종합DB) 《비변사등록 부 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 →고종조(高宗朝)년간 (한문 →국사편찬위원회 ), (번역 →국사편찬위원회 ) 육진팔광(六眞八匡) 강화학파 육대계승 원교 이광사(李匡師)의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1486호 경재 이건승(李建昇)의 초상 난곡 이건방(李建芳)의 가족사진 (1925년) 관찰사 이원일(함경도), 조병식(충청우도), 조병갑 방곡령 = 분류:2009년 태풍 = = 박종수 (1947년) = 박종수(1947년 9월 8일 ~ )는 제2대 금융투자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금융인이다. = = 학력 = =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 = 분류:베트남의 반공주의 정당 = = 분류:인도의 무신론자 = = 보헤미안 랩소디 (사운드트랙) = Bohemian Rhapsody: The Original Soundtrack은 같은 이름의 2018년 전기영화 사운드트랙 음반이다. 이 사운드트랙은 1985년 라이브 에이드에서의 그룹의 공연에서 나온 몇 곡들을 포함하여 퀸 노래 몇 곡과 발매되지 않은 녹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사운드트랙은 2018년 10월 19일 할리우드 레코드와 버진 EMI 레코드가 CD, 카세트, 디지털 형식으로 발매했다. 이 사운드트랙은 또한 2019년 2월 8일에 레코드판으로 출시되었다. = 랴오닝 선양 어반 FC = 랴오닝 선양 어반 FC(Liaoning Shenyang Urban Football Club)는 '랴오닝 선양 시티'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 중국 축구 협회 (CFA)의 허가를 받아 중국 갑급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중국 프로 축구단이다. 중국 선양시를 연고지로 두고 있으며, 홈 경기장은 선양 도시 건설 대학 경기장을 사용한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우옌슈(2023 ~ ) 마이클 오모(2023 ~ ) 구니모토 다카히로(2024 ~ ) = 자백의 요구 = 자백의 요구(requests for admissions 또는 request to admit)은 미국 민사소송법상 제도로 당사자는 다른 당사자에 대하여 청구나 방어방법과 관련하여 문서의 진정성립여부를 포함한 어떠한 사실관계 또는 그 사실관계에 적용될 법률관계에 대하여 자백을 할 것인지 여부를 질문하는 것을 말한다. 당사자로서는 자백, 부인, 자백이나 부인 어느 것도 할 수 없는 상태 , 이의 의 네 가지 항 중의 어느 하나를 하게 된다. = = 목적 = = 쟁점의 압축을 통하여 재판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기여한다. = 모듈:Location map/data/USA Virginia Manassas = return { name = 'USA Virginia Manassas', top = 38.85475, bottom = 38.70648, left = -77.64542, right = -77.38827, image = 'Manassas.svg' } = 프시케 = 프시케(Psyche)는 그리스 신화에서 에로스와 사랑을 나눈 에로스의 부인. 어느 왕국의 3녀 중 막내공주였으며, 굉장한 미녀였다. = 월트 사이먼슨 = 월터 "월트" 사이먼슨(, 1946년 9월 2일 ~ )은 미국의 만화가이다. 1983년부터 87년까지 마블 코믹스의 토르 시리즈의 글과 그림을 담당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때 베타 레이 빌 캐릭터를 창조해냈다. 마블에서 엑스팩터와 판타스틱 포도 담당했으며 DC 코믹스에서는 디텍티브 코믹스, 메탈맨 등을 담당했다. = 대한민국 헌법 부칙 제3조 = 대한민국 헌법 부칙 제3조는 대한민국 헌법 부칙의 조항이다. = = 대한민국 제 48-1 조 추방 조항 = = B3 = 스팸 (동음이의) = 스팸(spam)은 다음 등을 가리킨다. 스팸: 식품기업 호멜에서 1937년 출시한 햄 상표 스팸 광고: 휴대전화 문자나 이메일을 통해 대량으로 보내는 광고 스팸 (몬티 파이튼): 코미디 스케치 스팸 (게이밍) SPAM: 세균 문 후보 = 리쓰린촌 = 리쓰린촌은 가가와현 가가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다카마쓰시에 해당한다. = 오바촌 (이시카와현) = 오바촌(大場村)은 이시카와현 가호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멜버른 에이시즈 = 멜버른 에이시즈(Melbourne Aces)는 2010년 창단한 오스트레일리아 ABL의 프로야구 팀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시를 연고로 하고 있으며 홈구장은 멜버른 볼파크이다. = Blackheart Man = Blackheart Man은 원래 1976년 9월 8일 자메이카에서 솔로모닉 레코드와 아일랜드 레코드에서 국제적으로 발매된 버니 웨일러의 데뷔 음반이다. = = 발매 = = 이 음반의 원래 LP 발매는 두 가지 다른 혼합물로 발매되었다. 국제적인 믹스는 가장 널리 이용 가능하고 CD에 등장했던 것이다. 자메이카 혼합물은 더 긴 버전의 노래와 다른 오버더브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이 연속의 자메이카 혼합은 1분 내내 지속된다. 비록 자메이카 혼합물이 CD에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레게 팬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 있는 것으로 남아있다. 이 음반은 여러 번 콤팩트 디스크로 발매되었고, 처음에는 1989년에 망고 레코드에서, 그리고 2002년에 다시 리마스터된 버전으로 아일랜드에서 발매되었다. 새로운 리마스터링은 2009년에 아이튠즈에서 발매되었으며, 일부 곡은 새로 확장된 버전과 더브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버니 웨일러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칼리닌그라드 (동음이의) =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 Калининград)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의 주도이다. 1945년까지는 동프로이센의 수도인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였다. 칼리닌그라드는 다음과 같은 뜻도 가지고 있다.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 Калининград)는 러시아 모스크바주에 있는 코롤료프 시의 1938년에서 1996년까지의 이름이다. *칼리닌그라드주는 주도가 칼리닌그라드인 러시아의 주이다. 1945년까지는 동프로이센의 일부였다. *칼리닌그라드 K-5는 RS-1U로 알려져 있고 나토 코드 AA-1 알칼리인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공대공 미사일 이름이다. *칼리닌그라드 K-8은 나토 코드 AA-3 아납인 소비에트 연방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칸트 주립대학교 (칼리닌그라드 주립대학교) = 애거사: 다크홀드 다이어리 = 애거사: 다크홀드 다이어리는 디즈니+에서 2024년 가을부터 방영 예정인 미국의 드라마이다. MCU 드라마 완다비전의 스핀오프 작품이다. 완다비전의 캐릭터 아가사 하크니스를 주인공으로 하며, 배우 캐스린 한이 아가사 역을 맡는다. = = 출연진 = = 캐스린 한 - 애거사 하크니스 역 데브라 조 럽 - 샤론 데이비스 역 에마 콜필드 포드 - 세라 프록터 역 데이비드 페이턴 - 존 콜린스 역 데이비드 렝글 - 해럴드 프록터 역 아시프 알리 - 아빌라시 탠던 역 에이머스 글릭 - 피자 배달부 데니스 역 케이트 포브스 - 에버노라 하크니스 역 브라이언 브라이트먼 - 웨스트뷰 보안관 역 = 주피터스 문 = 주피터스 문은 2017년에 개봉한 헝가리, 독일의 SF, 판타지 영화이다. = = 줄거리 = = 뒷돈을 받으며 수용소에서 난민을 빼내주던 부패한 의사 '스턴'. 어느 날, 부상을 당한 시리안 소년 '아리안'에게 중력을 거스르는 특별한 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스턴'은 국경에서 헤어진 아버지를 찾아주겠다고 돕는 척 하며 '아리안'의 신비한 능력을 자신의 돈벌이에 이용하는데... 과연 소년은 인생에 희망을 가져다 줄 천사일까? 아니면 그를 추락시킬 악마일까? = = 출연 = = 솜버 예거 - 아리안 역 메랍 니니트쩨 - 스턴 역 기오르기 세르하미 - 라슬로 역 모니카 발사이 - 베라 역 = = 개봉일 목록 = = 주피터스 문의 개봉일 목록이다. "주피터스 문"의 개봉일 목록 국가 개봉일 2017년 6월 8일 2018년 1월 5일 2018년 1월 27일 2018년 4월 20일 2018년 8월 2일 2018년 11월 22일 = 이제현 초상 = 이제현 초상(李齊賢 肖像)은 원나라 화가 진감여가 그린 고려 말의 문신 익재 이제현의 전신 초상화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고려 시대에 그려진 초상화들 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남아 있는 초상화이다. = = 개요 = = 화면 상단에 적혀 있는 화기에 의하면, 이제현이 33세 되던 해인 1319년에 충선왕을 모시고 중국 절강성의 보타산 사찰에 강향하기 위해 갔을 때, 왕명으로 항주 최고의 명수인 진감여(陳鑑如)를 불러 그리게 하고 당시 석학이었던 탕병룡(湯炳龍)에게 찬문을 짓게 했다고 한다. 이제현 영정은 1319년 원나라의 화가 진감여가 그린 것, 1364년에 고려에서 그려진 것, 역옹패설의 목판본으로 인쇄된 2종이 있으며, 현재는 진감여가 그린 원본과 이것을 복사한 구곡사, 수락영당, 가산서원본 등이 함께 전하고 있다. 현재 전남 장성군의 가산서원(佳山書院)과 충북 청원군의 수락영당(水洛影堂), 전남 강진군의 구곡사(龜谷寺)에 수장되어 있는 이제현상의 범본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 영정은 많은 부분이 보수되기는 했지만, 원작의 형식을 거의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시대에 영향을 미친 원나라 초상화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작품이다. = = 기타 = = 1319년에 진감여가 그린 영정을 한때 잃어버렸다가 뒤에 되찾게 되었는데 이제현은 1364년에 그린 자신의 초상화와 원나라의 진감여가 그린 초상화의 차이점을 보고 감회를 느껴 시를 한 수 지었다고 한다. = 분류:대륙별 1561년 = = 분류:1928년 항공 교통 = = 이여빈 =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자(字)는 덕훈(德薰), 호는 취사(炊沙), 감곡(鑑谷), 감계(鑑溪), 도촌(道村), 만취헌(晩翠軒) 등이며,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도촌 이수형의 4대손이며 효신의 둘째 아들이다. 한우(韓佑), 남계 허충길(南溪 許忠吉), 소고 박승임(嘯皐 朴承任)의 문인이다. 경상북도 영천 출신. 1591년(선조 24년) 식년과 진사시에 합격하고 임진왜란이 터지자 의병대장 김개국 휘하에서 의병으로 왜군과 교전했다. 1604년(선조 37) 동당시에 입격하고 1605년(선조 38)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벽사도찰방(碧沙道察訪)에 부임했다가 어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1년만에 사직했다. 통훈대부 성균관전적(通訓大夫 成均館典籍)에 이르렀다. 1610년(광해군 3) 성균관전적에 임명됐으나 곧 사퇴했고, 1614년 안동향교 제독이 됐다. 1616년 금교역 찰방에 임명됐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이황, 이언적의 문묘종향을 이이첨, 정인홍 등이 반대하자, 양선생변무소를 올려 이언적, 이황의 공적을 칭송하고 이이첨, 정인홍을 공박하여 규탄했다. 1617년 다시 성균관전적에 임명됐는데 대북의 인목대비 폐비론과 영창대군 사사 여론을 조성되자, 그는 전은설(全恩說)을 주창, 전은소를 지어 올리고 7일간 궐문 앞에 엎드려 인목대비 폐비와 영창대군 사사의 부당함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 인수정에 우거하며 시문과 후학 교육에 전념하였다. 이후 영주향교, 안동향교, 상주향교, 진주향교의 제독 등으로 활동하다가, 만년에 인수정을 짓고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1625년(인조 3)부터는 영주의 향토지인 영주지를 집필했으나 간행을 보지 못하고 사망한다. 그의 대표적 아호 취사는 모래로 불을 땐다는 뜻이다. 1670년(현종 11) 영주 감계서당에 제향되고 1715년(숙종 41) 봉화 도계서원에 배향되었다. = = 생애 = = = = = 출생과 가계 = = = 취사 이여빈은 1556년 9월 11일 도촌 이수형(桃村 李秀亨)의 4대손으로, 경상북도 봉화군 내성면 도촌리 사제(沙提)부락(현 경북 봉화군 봉화읍 도촌리 사제부락)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홍천현감 이대근(李大根), 할아버지는 정략장군 충좌위부호군 이당(李木+堂)이고, 아버지는 장사랑 기자전참봉을 지낸 이효신(李孝信)이고, 어머니는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보(孝寧大君 補)의 4대손으로 서원군 이친의 증손이고, 황려부정 이종(黃驪副正 李悰)의 아들 어모장군 사직(司直) 이귀윤(李貴胤)의 둘째 딸이다. 고려 밀직부사 이의(李草+疑 또는 李山+疑)의 8대손으로, 이의는 이성계의 조선 개국을 반대하여 영주 구두들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다. 그의 고조부 도촌 이수형은 1455년(단종 3)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분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한양에서 자신의 장인 김담의 고향마을 경상북도 봉화군 문단리 근처 내성면 사제마을로 들어와 정착했다. 이후 단종이 사사되자 삼면은 벽이고, 북쪽을 향해 문이 있는 집을 짓고 평생을 은거하였다. 북쪽은 단종의 능침이 있는 방향이다. 어머니 전주이씨는 효령대군 보의 5대손으로 고조부는 서원군 친이며 증조부는 덕은도정 이납(德恩都正 李蒳)이고 조부는 황려부정 이종이다. 외할아버지 이귀윤은 어모장군 부사직, 사정(司正) 등을 역임했다. 그의 외가는 외할아버지 이귀윤이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에서 경상북도 봉화군 내성면 거촌(巨村)으로 이주하면서 이곳에 정착하였다. 외할머니는 광산김씨로 습독관 김균(金筠)의 딸이다. 형제로는 삼척교수(三陟敎授)를 역임한 진성인(眞城人) 이신도(李信道)에게 출가한 누나와, 형 여형(汝馨), 동생으로는 훈도를 지낸 여암(汝馣), 훈도를 지낸 여함, 여필, 여온 등이 태어났다. 자(字)는 덕훈(德薰), 호는 감곡(鑑谷)이라 하였고, 첫 호는 도촌(道村)이었다가 뒤에 감곡이라 하고, 뒤에 만년에 취사(炊沙)라는 호를 쓰기도 하였다. 그밖에 별호로 만취헌(晩翠軒)이라는 별호도 있었다. = = = 생애 초반 = = = 성격은 순정독실하였으며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좋아했다. 그는 어려서 잦은 병을 앓았다 한다. 이는 후에 장인 김욱(金勗)이 사망하자 지은 제문(祭文)에서 스스로 밝혔다. 교류하던 친구로는 백암 김륵, 유연당 김대현(悠然堂 金大賢), 단곡 곽진(丹谷 郭山+晉), 남천 권두문(南川 權斗文) 등이 있었다. 소고 박승임의 문하에서도 함께 수학했던 백암 김륵은 후일 그의 처삼촌이자 처당숙이 된다. 부인은 예안김씨로 문절공 무송헌 김담(撫松軒 金淡)의 5대손이며고조부 도촌 이수형의 장인이며 고조모 예안(선성)김씨의 친정아버지이니, 이여빈의 5대 외조부가 된다., 고조부는 성균관생원 증 좌통례 김만칭(金萬秤), 증조부는 증 이조판서 김우(金佑)이며, 조부는 생원 김사명(金士明)이고, 아버지는 참봉 김욱(金曰+助)이며문절공 김담은 이여빈에게 외5대조가 된다. 이여빈의 고조할머니의 친정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금천도찰방(金泉道察訪) 증 승지 권동필(權東弼)의 딸이다. 예안김씨 부인에게서 아들 5, 딸 5명을 두었으나 딸 3명과 아들 1명은 태어난지 얼마 안돼 요절하고부인의 제문에 "産子女各五。而女三男一在襁褓不育"이라 하였다., 다음 권람(權欖)에게 출가한 딸이 태어나고, 그 뒤로 아들 성균관생원 성화(成樺), 성림(成林), 선교랑 성재(成材), 성운(成橒), 끝으로 임지경(任之敬)에게 출가한 딸이 태어났다. 예안김씨 부인은 1618년 염질(染疾)로 갑자기 사망하였다. 그의 동생 중 이여암(李汝馣) 역시 예안(선성)김씨와 혼인했는데, 역시 김담의 후손이었다. 김담의 차남 만칭의 4대손 생원 김윤성(金允誠)의 딸이었다.증조부는 김만칭의 장남 김좌(金佐)이고, 조부는 증 봉정대부 사섬시첨정 김택민(金澤民)이다. = = = 청년기 = = = 그는 순정 독실한 성격에 어려서부터 글읽기를 좋아했다. 어려서 진사 한우(韓佑)의 문하에서 경사백가(經史百家)를 수학하다, 뒤에 남계(南溪) 허충길(許忠吉)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뒤에는 퇴계 이황의 제자인 소고 박승임(嘯皐 朴承任)의 문하생이 되었다. 행장에 의하면 처음에는 진사 한우(韓佑)에게서 배우다가 뒤에 남계 허충길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소고 박승임의 문하에 들어가 경사에 통달하고 제자백가를 두루 섭렵하였다. 문사에 능하여 붓을 잡으면 문장이 물흐르듯 하였다 한다. 첫 스승 한우에 대해서는 어린 나이에 가르침은 받은 은혜가 매우 크지만 그 큰 은혜를 제대로 보답하지 못했다는 글을 남겼다. 그는 어려서 병을 앓았는데, 후일 장인 김욱(金勗)의 제문에 '어릴 때부터 많은 병을 앓았고 제멋대로인 성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살펴 주신 은혜가 큰데, 애통하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학당 과시(學堂課試)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나 바로 시험을 치르지 않고 학업을 더 정진하겠다며 공부에 힘썼다. 1585년~1586년에는 동생 이여암과 함께 영주 소수서원에 입학, 글을 배우다. 동암 권성오(東巖 權省吾)에 의하면 감곡(鑑谷) 동쪽 마을에 산수가 맑고 그윽한 곳이 있다. 전적 이여빈이 거처하였는데, 그는 마음이 탁 트였고 문장은 여사로 여겼다 한다.동암문집 권4(東巖文集卷之四) / 雜著, 도촌견문록(陶村聞見錄) 1591년(선조 24년) 9월 식년과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하였으나, 바로 임진왜란을 맞았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지자, 고향으로 돌아가 의병장으로 영천 지역에서 거병하여, 김개국 의병대장의 휘하에서 왜적에 맞서 싸웠다. 1596년 일본군이 물러가자 고향으로 돌아왔다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발생하자, 다시 의병을 조직하여 왜군과 교전하였다. 임진왜란 당시의 현황과 일본군의 행적을 기록한 용사록(龍蛇錄)를 남겼다. = = = 관료 생활 = = = 1598년(선조 31년) 전란이 종결되었으나 바로 부친의 3년상을 치렀다. 1604년(선조 37년) 증광동당시(增廣東堂試)에 입격하고셋째 아들 이성재(李成材)가 쓴 家狀, 1605년(선조 38년) 3월 12일에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 19등으로 급제하였으나, 어머니의 병 간호를 위해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갈천 김희주가 지은 취사묘비명에 과거 급제 직후, 모친이 병중이라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다(以大夫人老病 無意求進) 한다. 셋째 아들 이성재가 지은 가장에 의하면 그는 다년간 병을 앓아서 관직생활에 별 관심이 없었다 한다. 그의 과거 합격일은 조응록(趙應祿)의 죽계일기 권7, 을사(만력 33년, 선조 38년) 상권 3월 12일조 기사에 그날 합격한 동방자들 명단과 같이 기록하였다.조응록, 竹溪日記卷之七 / 乙巳(萬曆三十三年, 宣祖三十八年)上 3월 12일자 1606년(선조 39) 6월 23일 장흥의 벽사도찰방(碧沙道察訪)으로 발령받았으나竹溪日記卷之八 / 丙午(萬曆三十四年, 宣祖三十九年)上 6월 23일자 만년의 어머니 전주이씨가 병환이 잦자, 어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1607년 1년만에 사직,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610년(광해군 2) 성균관전적으로 등용되었으나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 김개시 등이 국정 운영에 문란하게 하므로 나아가지 않았다. 그는 오히려 이이첨과 상궁 김개시의 목을 벨 것은 상소하고 돌아왔다. 1610년(광해군 2) 가을 통훈대부로 승진, 다시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에 임명되었다. 1611년 8월 모친상으로 사직하고 낙향, 그 뒤 3년간 죽을 마시며 여묘살이를 하였다. 3년상 중에도 이이첨, 정조(鄭造) 등의 주도로 영창대군이 화의 근원이니 영창대군을 죽여야 된다는 여론이 나타나자, 그는 8살 어린아이가 무엇을 알겠느냐며 이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 = = 대북과의 갈등, 전은소 제창 = = = 3년상을 마쳤으며, 1613년 옥사가 일어나 이이첨과 정인홍이 폐비를 주장하자, 그해 6월 5일 친어머니와 친동생은 아니지만 계통상 어머니와 아우의 관계이니 의리상 이를 헤아릴 것을 간하는 전은소(全恩䟽)를 올려 폐모살제의 불가함을 상소했다. 이때 처음 지은 상소문은 그의 조카 이성간(李成榦)이 필사하여 후대에 전했다. 이후 정인홍, 이이첨 등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자 그는 양선생변무소(兩先生辨誣疏)를 올려 이황과 이언적의 공적을 치하하며 이이첨과 정인홍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영창대군의 옥사 때에는 여덟살 된 어린아이가 무슨 역심을 품겠느냐며 영창대군 의(㼁)의 신구를 청하는 상소를 몰렸다. 그 외에도 그의 셋째 아들 이성재(李成材) 또한 이이첨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순흥지(順興誌)에 의하면 이여빈이 올린 상소는 승정원에서 반입이 저지되었다 한다. '공이 상중(喪中)에 은혜를 온전히 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는데, 승정원에서 저지되고 말았다(公從草土中 上全恩疏 見阻喉司)' 한다. 그해, 그는 학사 김응조(鶴沙 金應祖) 형제가 찾아와 가례(家禮)를 논하였고, 김선(金洗+金) 등도 그를 찾았다. 한때 그의 상소문을 한강 정구(寒岡 鄭逑)가 사주해서 첨삭했다는 유언비어가 시중에 돌기도 했다. 소문을 들은 간송 조임도(澗松 趙任道)가 그를 찾아와 상소문을 올린 것을 묻고, 박인(朴系+因)에게 보내는 편지에 '이 찰방(李察訪)의 종사(從祀)와 관계된 상소는 지난해 제가 직접 보고 물어보니, 한강(寒岡)이 첨삭했다는 설은 크게 허황된 것입니다. 이미 지은 뒤에 한 번 훑어봤을 따름이라고 하니, '필삭(筆削)' 두 글자는 무함에 가까우므로 제가 손수 지워 없애버렸습니다.(李察訪從祀疏章事。往年任親見問之。則寒岡筆削之說。大脫空矣 旣作之後。但一涉覽而已云云。則筆削二字 近於矯誣)'라 하였다. 이는 조임도의 문집 간송집의 간송속집 제3권 서간편에 수록되었다. 1613년 6월 서소문에서 김제남의 사사 소식을 접하고 분개하였다. 이듬해 영창대군이 사형당했다는 소식을 듣자 탄식하였다. = = = 사퇴와 낙향 = = = 이후 인수정을 짓고 시문과 후학 교육에 힘을 기울였으며, 만취당 김개국(晩翠堂 金蓋國), 백암 김륵(栢巖 金王+力), 계암 김령(溪巖 金木+岺), 단곡 곽진(丹谷 郭瑨), 수서 박선장, 과재 장수희(果齋 張壽禧), 물암 김륭(勿庵 金隆), 학사 김응조(鶴沙 金應祖) 등 소수의 문인들과 교류하였다. 1614년(광해군 6) 11월 친지의 주선으로 안동향교 제독관(安東鄕校 提督官)이 되어 신령객사(新寧客舍)로 갔다. 1615년 영주군 이산면 원리(院里, 현, 휴천1동)에 있던 영주 이산서원(榮州 伊山書院)이 그해 9월 이산면 석포리로 이주하였다. 1615년(광해군 7년) 9월 이산서원(伊山書院)을 옮길 때 참여, 이산서원이건봉안문(伊山書院移建奉安文)을 지었다. 1616년(광해군 8) 11월 18일 금교역찰방에 천거되었으나金土+令, 溪巖日錄. 병자년(1616년) 11월 18일자,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계암 김령은 계암일록에 그가 한성으로 상경한 것을 기록하였다. 1617년 3월 이이첨 등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7년(광해군 9) 5월 23일 안동에서 열린 향시(鄕試)의 시관(試官)의 한 사람으로 시험을 감독하였다.계암일록(溪巖日錄) 3권 정사년 1617, 광해군 9년 5월 21일자 1617년(광해군 9) 다시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어 상경했다. 그해 6월에 인목대비 폐모론이 다시 정청에 올라가자, 그는 위험을 무릅쓰고 6월 26일 인목대비 폐모가 옳지 못함을 상소, 7일 동안 합문(閤門) 앞에 엎드려서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해 7월 벼슬을 단념하고 영주 감곡으로 낙향, 영주와 안동 향교의 시독으로 활동했다. 조정에서는 그에게 학관(學官)의 벼슬을 내렸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그 뒤 영풍군 부석면 감곡(鑑谷)에 은거하여 김개국, 김륵 등 소수의 인사들과 교류하며, 후진 교육에 힘을 쏟았다. 이후 그는 어렵게 살았는데, 눌은 이광정(訥隱 李光庭)에 의하면 그는 나물밥이나 끼니를 잊기 어려울만큼 생활이 궁색한 살림이었으나, 가난에는 마음을 두지 않았다고 한다. = = = 은퇴와 만년 = = = 1618년(광해군 10) 가을 그의 처지를 딱하게 여긴 어느 친지의 주선으로 다시 안동향교(安東鄕校)의 제독관(提督官)이 되고, 1620년 10월 상주향교 제독관(尙州鄕校 提督官)이 되었다. 1623년(광해군 15) 3월 인조반정 후 집권한 서인 정귄에서 불렀으나, 거절하고 나가지 않았다. 그는 처음에는 감곡을 아호로 했다가, 뒤에 모래로 불을 땐다, 뭔가를 해도 되지 않는다, 늦은 나이에 고생스럽게 일을 해도 얻는 것이 없다는 뜻의 취사라는 호를 지어 아호로 삼았다. 모래로 불을 때 밥을 짓는다는 뜻의 취사작반(炊沙作飯)의 줄임말도 된다. 주변에서 그에게 농담 삼아 "그대와 같은 고을 사람으로 출세하여 요직에 있는 사람들도 많은데, 그대는 글쎄 왜 침체한가", 여러 사람이 질문하니 그는 "그 사람들은 그들대로 출세하고, 나는 나대로 침체하니 다 운명이고, 또 주변머리가 없는 탓이 아니겠나."라 하였다. 그러자 "그 사람들 하는 데로 적당히 따르면 될 일이지 왜 주변 타령인가" 라고 하면, 그는 대답을 않고 양심장(養心章)을 펼쳐 보여주었다 한다. 그는 인수정에서 시문과 문인들 양성 외에, 가끔 봉화군 도촌리 사제(沙堤)의 명정암(冥酊巖)을 산책하곤 했다. 그는 인수정에서 시문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1624년 지역 유림들의 추천으로 이산서원 산장(山長)에 초빙되었다. 고향의 향토사 정리에 뜻을 두어, 다니며 여러 분야에 걸쳐 사료를 모으고 다듬어 영주지의 편찬 준비를 해두었으며, 그의 활동을 지켜본 영주 사람 진사 박성범, 김여욱, 조관금이 후원하고, 생원 박안복, 유학 송상헌, 장룡우, 손회종 등이 사적의 수집을 도와주었다. 1625년(인조 3) 11월 이산서원에서 향내 관계 인사의 모임을 주관하여 그 심의를 하고, 그해 12월 24일 서문까지 지었으나 간행을 못 보았다. 또한 외선조 김담의 행적과 사적을 수집하여 문절공 이력록(履歷錄)을 남겼다. 후일 김담의 10대손 김방(金防+土)은 김담의 행장, 신도비명, 기문록과 그가 남긴 이력록 등을 바탕으로 김담의 연보를 정리하였다. 1626년(인조 4) 4월 진주향교 제독관(晉州鄕校 提督官)에 임명되었다. 1627년(인조 5) 1월 정묘호란이 발생하고 영천, 풍기 등에서 의병이 창의하자 이여빈은 아들 성화(成樺),성간(成榦),성재(成材) 등을 창의소로 보내 의병에 가담하게 하였다. 1631년(인조 9년) 질병으로 진주향교 제독직을 사임하고 영주 감곡으로 왔다. 1631년(인조 9년) 9월 28일에 영천군 용암면 감곡리(현,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인수정 건너편 석양와(夕陽窩) 정침에서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나이는 향년 76세였다. = = = 사후 = = = 1670년(현종 11년) 가을, 영천의 지역 유림이 세운 감계서당(鑑溪書堂)에 망와 김영조(忘窩 金榮祖) 등과 함께 제향되었다. 눌은 이광정이 행장을 짓고, 묘비명은 갈천 김희주가 찬하였다. 그의 문집 취사집은 셋째아들 서암 이성재가 처음 정리하여 처음 간행하였고, 뒤에 증손자 이기정(李基定)이 정리하여 다시 3권으로 간행하였다. 7대손 이시묵(李時默)이 재간행하면서 1824년(순조 24) 이인행(李仁行)의 서문을 받고, 이시검(李時儉), 이시탁(李時鐸) 등이 1831년에 유심춘(柳尋春) 등이 다시 서를 써주고, 그 해에 6권 3책의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경상도 순흥부 도강면 감곡리(현, 경북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분토동(粉土洞) 묘좌에 안장되었고, 1830년(순조 30년) 2월 4일 묘비가 세워졌으며, 묘비문은 가선대부 병조참판 문소(聞韶) 갈천 김희주(葛川 金熙周)가 지었다. 1696년(숙종 22)부터 도계서원 제향이 논의되어 1715년(숙종 41) 9월 영주군 순흥의 도계서원(道溪書院)에 제향되었다.도계서원은 그의 고조부 이수형 및 순흥부사 이보흠, 금성대군 등이 제향되었던 곳이다. 사액받기 전의 이름은 견일사(見一祠).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사제길 12 사림에서 1715년(숙종 41) 순흥의 도계서원에 배향하였는데, 그 상향문에 힘은 무너져가는 기강을 붙들 수 있고 손으로는 달리는 번개를 잡을 수 있다. 사나운 범이 관문을 지키니 뜻을 이루지 못했으나 의로운 행동은 일성과 같도다.(力扶頹綱手摯奔電闕 守虎豹義炳日星)라고 하였다. 그해 조정으로부터 불천위(不遷位)를 받았다. 1799년(정조 23) 영남의 선비들이 간행한 영남인물고의 순흥편에 수록되었다. 후일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될 때 공극루 등 건물 일부만 남고 훼철되었다가, 대한제국 멸망 이후 복원되었다. 그뒤 2005년에 후손들이 다시 복원하였다. 저서로 ≪취사문집≫ 6권과 미완성의 유고인 향토사료집 ≪영주지≫가 전한다. = = 저서 = = 취사문집은 셋째 아들 선교랑 이성재(李成材)가 문집을 정리하여 취사문집으로 간행하였다. <<취사문집>> <<영주지>> (유고) = = = 작품 = = = 명정암 기문(酩酊巖 記文순흥읍지인 재향지에 의하면 명정암은 국무당(國武堂) 서쪽 산 기슭에 있다고 한다. 취사 이여빈이 지은 기문이 있는데 '넓은 반석이 있는데, 바둑판같이 평평하여 10여 명이 앉을 만하다. 호사가(好事家)를 만나면 몇 칸 누각을 지을 만하다.'라고 하였다.) = = = 시 = = = 벽사도 찰방으로 근무하며 읊은 시 나는 왜 매미처럼 높은 나무를 찾아 맑은 이슬을 마시며 한여름 뜨거운 날씨에 나대로 놀지 못할까 나는 왜 지렁이 처럼도 못할까 마른 흙이나 먹고 샘물이나 마셨으면 인간 세상의 내음새 나는 것을 얻으려 않게 부끄러워라 썩고 속된 선비로 옷과 밥에 얽매어 속된 무리를 따라 꿈틀거려야 하니 굽히기 싫은 나의 허리를 남 위해 굽혀야 하고 꿇기 싫은 무릎을 남 위해 꿇으며 낮추기 싫은 얼굴을 남 위해 낮추고 숙이기 싫은 머리를 남 위해 숙여야 하며 쥐꼬리 만한 녹봉에 중정의 덕에 좀슬리며 하찮은 벼슬에 기걸한 성품도 굽혀야 하다니 말솜씨는 본래 벼변찮은데 남이야 말재주 부리라 하고 기색은 본시 천연한데 남에게 아첨하라 하네 = = 약력 = = 진사 한우(韓佑)의 문하에서 수학, 남계(南溪) 허충길(許忠吉)의 문하에서 수학 소고 박승임(嘯皐 朴承任)의 문하에서 수학 1585년 ~ 1586년 동생 이여암과 함께 소수서원에 입원, 글을 배우다. 1591년(선조 24년) 9월 식년과 진사시에 3등으로 합격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지자, 고향으로 돌아가 의병장으로 영천 지역에서 거병하여, 김개국 의병대장의 휘하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당시 활동 기록을 메모하여 용사록을 출간하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발생하자, 다시 의병을 조직하여 왜군과 교전 1601년 부친상 1604년(선조 37년) 증광동당시(增廣東堂試)에 입격 1605년(선조 38년) 3월 12일에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 19등으로 급제, 어머니 전주이씨의 병간호를 위해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606년(선조 39) 6월 23일 장흥군 벽사도찰방(碧沙道察訪) 부임 1607년 6월 23일 사직하고 낙향 1610년 성균관 전적에 임명됐으나 사양, 이이첨, 김개시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0년 가을, 성균관 전적에 재임명 정인홍, 이이첨 등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자 그는 양선생변무소(兩先生辨誣疏)를 올려 이황과 이언적의 공적을 치하하며 이이첨과 정인홍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1년 8월 모친 전주이씨 사망, 3년상 1613년 6월 5일 상중에 상소를 올려, 친어머니와 친동생은 아니지만 계통상 어머니와 아우의 관계이니 의리상 이를 헤아릴 것을 간하는 전은소(全恩䟽)를 올려 폐모살제의 불가하다 하였다. 셋째 아들 이성재도 이이첨을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4년(광해군 6) 11월 친지의 주선으로 안동향교 제독관(安東鄕校 提督官) 취임 1615년 영주 이산서원의 이건 작업에 관여 1616년(광해군 8) 11월 18일 금교역찰방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1617년 3월 이이첨 등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7년(광해군 9) 5월 23일 안동에서 열린 향시의 시관으로 시험감독 1617년 6월 다시 성균관전적에 재임명 1617년 6월 26일~7월 2일 폐모살제의 부당함을 상소하며 궐문 앞에 엎드려 간했으나 거절당하자, 관직을 단념하고 낙향 1617년 7월 영주 부석면 감곡으로 낙향, 인수정을 짓고 시문 작문과 후학 교육에 전념하다. 1618년 부인 김씨 사망 1618년 가을 안동향교 제독관 재추대됨 1620년 10월 상주향교 제독관 부임 1624년 영주 이산서원 산장에 추대 1625년 영주지역 사료를 수집, 영주 이산서원 산장으로 재직 중 영주 지역 향사들의 감수, 검토를 받고 서문을 썼다. 그러나 책의 출간을 보지 못하고 사망한다. 1626년 4월 진주향교 제독관 부임 1627년(인조 5) 1월 정묘호란 발생. 영천, 풍기 등에서 의병이 거병하자 아들 성화(成樺),성간(成榦),성재(成材) 등을 창의소로 보내 의병에 참여케 하였다. 1631년 영주군 이부석면 감곡리 석양와에서 질병으로 사망 1670년(현종 11년) 가을, 영천의 지역 유림의 공의로 감계서당(鑑溪書堂)에 제향 1715년(숙종 41), 순흥 지역 유림의 공의로 순흥 도계서원(견일사)에 배향 = = 가계 = = 할아버지 이당(李糖) 백부 이효량(李孝良) 계부 이효충(李孝忠) 아버지 이효신(李孝信, 1529년 9월 9일 - 1602년 1월 16일) 어머니 전주이씨(全州李氏, 1529년 12월 7일 - 1611년 8월 4일) 형 : 이여형(李汝馨) 동생 : 이여암(李汝香+庵) 동생 : 이여합(李汝香+合) 동생 : 이여필(李汝馝) * 조카 이성건(李成建, 자는 자강(子强), 1585년 - ?, 1624년 생원) * 조카며느리 공주이씨, 이질의 딸 동생 : 이여온(李汝香+溫) 매제 : 이신도(李信道) 부인 예안김씨(1558년 5월 29일 - 1618년 윤 4월 4일) 첫째 아들 이성화(李成華, 자는 자회(子晦), 호는 하천(河泉), 1582년 - ?, 생원) 맏며느리 함창 김씨, 부사 김구정(金九鼎)의 딸 둘째 아들 이성림(李成林, 자는 자무(子茂), 1585년 - 1654년, 선무랑) 둘째 며느리 단산 장씨(丹山張氏, 생원 장진(張瑨)의 딸) 셋째 아들 이성재(李成材, 호는 서암(西巖), 문인, 선교랑 역임) * 손녀 이씨 * 손녀 사위 강현선(姜顯先, 본관은 진주,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역임) 넷째 아들 이성운(李成雲, 자는 자장(子章), 을미(1595년?) - ?, 통덕랑 홍문관 교리) 넷째 며느리 공인 성산김씨, 김성택(金成澤)의 딸, 찬성 김현주(金玄柱)의 후손 딸 이씨 사위 권람(權欖) 딸 이씨 사위 임지경(任之敬) 처부 김욱(金勗, 1536년 ~ 1600년, 본관은 예안, 참봉) 처삼촌 김륵(호는 백암, 김륵은 숙부 의 양자로 갔으므로 그에게는 처삼촌이면서 처당숙이 된다.) 외조부 이귀윤(李貴胤, 1493년 ~ 1539년 2월 3일), 서원군 친의 증손 외조모 : 광주김씨(1509년 ~ 1602년 2월 4일), 습독관 김균(金筠)의 딸 외삼촌 : 이탁(李綽 1532년 ~ 1567년8월 23일) 이모부 : 변영순(邊永淳) 이모부 : 이종도(李宗道) = = 평가 = = 눌은 이광정은 그를 가리켜 순정 독실한 천품이었다고 한다. = = 기타 = = 소고 박승임의 문하생들의 사우록을 짓기도 했다. 그는 남계 허충길의 문하와 소고 박승임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남계로부터는 모재 김안국으로, 소고 박승임으로부터는 퇴계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그의 저서 취사문집은 아들 이성재가 정리하여 간행하였고, 1831년(순조 31) 이여빈의 증손 이기정(李基定)에 의해 재정리, 재간행되었다. = = = 전은소 = = = 1617년(광해군 10년) 봄에 광해군이 7서의 변을 계기로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유폐하자, 비록 친 모자간은 아닐지라도 계통상 엄연한 모자간 임으로 폐모 살제의 부당성을 주장한 상소이다. "새재 도적 박응서의 공초에 자전(인목대비)과 영창대군이 관련된 양으로 되었음은 천고의 불행입니다. 예로부터 밝고 어진 임금이 많았으나 특히 요순을 대효로 일컬음은 그분들이 인륜의 변고에 처하였으나 우애의 도리를 극진히 했기 때문입니다. ..... 이제 영창대군은 겨우 여덟 살의 아기로 깊이 대내에 있으면서 어머니 곁에서 어리광이나 부리는 형편으로 바깥 일과 전혀 관련이 있을 수 없으리란 것을 사람들이 잘 아는 바입니다. 그런데도 영창대군을 죄로 다스리기를 주장하는 것은 한갓 역모를 다스린다는 명분만을 알 뿐 전하를 불의와 패륜에 빠뜨린다는 중대한 허물은 생각지 못하는 처사입니다. ..... 전하의 효성은 선왕(선조)께서 쓰고 부리시던 지팡이나 마필까지도 반드시 공경하여 보호 하셨거든, 하물며 평일 선왕께서 그토록 자애하시던 영창이 아니오이리까. 전하는 이미 영창을 폐하여 서인으로 만드셨으니 힘써 여러 신하의 의논을 쫓아 그 명은 용서하심이 처변의 도리를 온전히 하고 공의와 사정에 함께 마땅함을 얻으심이 될까 하옵니다. 또 드리건대 여덟살 아기(영창)는 함께 뿌리에 붙은 나무로 모후(인목대비)에게서 멀리 떼어 놓음은 어린 풀의 뿌리를 잘라 놓음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어린이(영창)가 놀라움과 근심으로 목숨을 잃음에서 벗어나게 하셔야 자전(慈殿) 또한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심이 될까 하옵니다. ..... 원하옵건대 전하는 종당 대순의 마음을 마음으로 하시와 후세의 잘못을 경계하시고 골육이 단란하며 모자분(광해와 인목대비)의 사이가 처음같게 하시면 지극한 화기를 부르심이며 태평을 이루심이 되어 전하의 덕이 청사에 길이 빛날 것이며 선왕의 하늘에 계신 넋이 반드시 기뻐 하실 것입니다. ....." 그는 궐문 앞에서 일주일을 엎드려 간하였지만 상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 = 회퇴변척소 정구 관련설 = = = 이여빈이 이언적, 이황의 문묘 종사를 상소한 회퇴 변척소를 한강 정구(寒岡 鄭逑)가 내용을 첨삭했다는 소문이 유포되었다.간송속집 제3권 서간(書)편, 박백화(朴伯和)인(絪) 에게 주는 편지 세 통(與朴伯和 絪○三) 함안 출신 학자 간송 조임도(澗松 趙任道)가 이여빈의 상소문을 입수하여 읽고 박백화(朴伯和, 무민당 박인(无悶堂 朴絪))에게 편지를 보냈다. 조임도는 박인에게 '이 찰방(李察訪)의 종사(從祀)와 관계된 상소는 지난해 제가 직접 보고 물어보니, 한강(寒岡)이 첨삭했다는 설은 크게 허황된 것입니다. 이미 지은 뒤에 한 번 훑어봤을 따름이라고 하니, '필삭(筆削)' 두 글자는 무함에 가까우므로 제가 손수 지워 없애버렸습니다. 편지 쓸 종이를 마주하니 멍하여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李察訪從祀疏章事,往年任親見問之,則寒岡筆削之說,大脫空矣。旣作之後,但一涉覽而已云云,則“筆削”二字,近於矯誣,故任手自塗抹矣。臨紙茫然,不知所云。)'라 하였다. 조임도는 박인에게 보낸 편지에, 이여빈의 상소문을 읽고 직접 물어봤으나 한강 정구가 내용을 첨삭했다는 소문은 허황되었다고 하였다. = 분류:북마리아나 제도의 태풍 = = 940년대 = 세기 8세기 9세기 - 10세기 - 11세기 12세기 연대 920년대 930년대 - 940년대 - 950년대 960년대 해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948 949 940년대는 940년부터 949년까지를 가리킨다. = 분류:우크라이나의 낙농업 = = 요시노 (방호순양함) = 요시노(吉野)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요시노급 방호순양함 중 1번함으로 급은 다르지만 다카사고와 자매함이다. ‘요시노’라는 이름은 나라현 남부에 있는 요시노 산맥(吉野)에서 나온 것이다. 청일 전쟁 때 활약했지만, 러일 전쟁 중 짙은 안개 속에서 장갑순양함 가스가와 충돌한 직후 침몰했다. 설계는 필립 와츠가 맡았다. = = 개요 = =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군함으로, 국민 모금으로 만들어진 군함이었다. 영국에서 회항할 때 나중에 함장이 되는 가와하라 요이치와 함께 위원으로 아키야마 사네유키도 동행했다. 이후 제1유격대의 기함이되었고, 제1유격대 사령관은 츠보이 고조가, 함장은 가와하라 요이치가 맡았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풍도 해전이나 황해 해전에서 참전하여 활약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때 ‘요시노’는 여순 앞바다에서 후방인 장산 열도로 향하던 도중 짙은 안개 속에서 일등순양함 ‘가스가’와 함수가 충돌해 사에키 긴 함장 이하 300여명을 태운 채 침몰한다. = = 무장 = = 포는 모든 방순부와 함께 상갑판에 놓여있었다. 암스트롱 40구경 15.2cm 단장 속사포는 사령탑 앞에 1개, 사령탑 양쪽의 선교 옆에, 편현에 하나씩 양현에서 2기, 함 후방에 1기가 있었다. 암스트롱 40구경 12cm 단장 속사포는 편현에 4기씩 양현에서 8기가 있었다. 편현에 5 개씩 줄 지어 있는 포 중 선두가 15.2cm 포이다. ‘요시노’는 일본 해군에서 처음으로 무연 화약을 도입하였고, 거리계(바 앤 스트라우드 사제 (해군 호칭 : 무식) 1.5 미터 마이크로 미터)를 탑재한 군함이었다. = = 연표 = = 1893년 9월 30일 - 영국 윌리엄 암스트롱에서 준공. 1894년 7월 25일 - 풍도 해전에 참가. 1904년 5월 15일 - 장갑순양함 ‘가스가’의 구축함 충각과 운반 중앙부에 충돌 침몰했다. 1905년 5월 21일 – 퇴역. = = 함장 = = 일본해군사 제9권, 제10권 ‘장관 내역’과 ‘관보’에 근거한다. 회항 위원장 가와하라 요이치 대좌 : 1893년 5월 20일 - 1893년 6월 7일 함장 가와하라 요이치 대좌 : 1893년 6월 7일 - 1895년 6월 4일 모로오카 요리유키 대좌 : 1895년 6월 4일 - 1896년 11월 26일 시마자키 요시타다 대좌 : 1896년 11월 26일 - 1897년 12월 1일 우에무라 나가자네 대좌 : 1897년 12월 1일 - 1898년 6월 13일 탄지히로 시유우 대좌 : 1898년 6월 13일 - 1899년 6월 17일 오이노우에 큐마로 대좌 : 1899년 6월 17일 - 1900년 2월 13일 사카이 타다토시 대좌 : 1900년 2월 13일 - 1901년 1월 21일 테라가키 이조오 대좌 : 1901년 2월 4일 - 1901년 3월 13일 마츠모토 아리노부 대좌 : 1901년 4월 23일 - 1902년 4월 22일 사에키 긴 대좌 : 1903년 4월 12일 - 1904년 5월 15일 전사 = 분류:680년대 사망 = = 분류:대륙별 1847년 = = 틀:유대교 = = 분류:함부르크의 강 = = 분류:일본의 람사르 등록 습지 = = 김호창 = 김호창(1984년 4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9년 SBS 11기 공채 탤런트이다. 과거에는 김민찬이라는 예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 = 학력 = =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휴학 = = 주요 출연작 = = = = = 드라마 = = = 날짜 방송사 제목 역할 2009 SBS 찬란한 유산 Bar에 온 손님 2009 SBS 녹색마차 검사 2009 SBS 천사의 유혹 이명진 기자 (가짜) 2009 SBS 미남이시네요 댄서 2010 SBS 제중원 의생 2010 SBS 산부인과 레지던트 2010 SBS 검사 프린세스 검찰 조사 받는 남자 2010 SBS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김병수 2011 SBS 신기생뎐 유태영 2011 SBS 49일 기준희 2011 SBS 무사 백동수 상각 2011 SBS 보스를 지켜라 버스 성추행남 2012 JTBC 신드롬 양상두 2012 국방TV 행군 시즌 2 박세종 2013 tvN 푸른거탑 김호창 2013 SBS 당신의 여자 나대구 2013 tvN 푸른거탑 제로 김호창 2013 tvN 푸른거탑 리턴즈 김호창 2014 SBS 신의 선물 - 14일 강경수 2014 SBS 엔젤 아이즈 문제하 2014 MBC 개과천선 비서 2014 tvN 황금거탑 김호창 2014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수상한 7병동 최 형사 2014 tvN 미생 인턴 안영이 상사 2015 SBS 내일을 향해 뛰어라 2015 SBS 인생추적자 이재구 최동식 2015 SBS 냄새를 보는 소녀 탁민석 2015 tvN 초인시대 2015 SBS 이혼 변호사는 연애중 택배기사 2015 네이버 tvcast 닥터 이안 정대수 2015 네이버 tvcast 아는 사람 장진형 2015 SBS 애인 있어요 2015 SBS 용팔이 천재해커 한유진 2015 SBS 너를 노린다 2016 SBS 딴따라 특별출연 2016 SBS 대박 목호룡 2016 SBS 미녀 공심이 공심이 선배 2016 SBS 사랑이 오네요 이진호 2016 MBC 캐리어를 끄는 여자 2017 SBS 아임 쏘리 강남구 오대리 2017 SBS 달콤한 원수 홍세강 2018 JTBC 으라차차 와이키키 이상현 2018 tvN 남자친구 이진호 2019 tvN 그녀의 사생활 주치의 2020 tvN 화양연화 정윤기 2020 JTBC 18 어게인 '위기의 부부' 남편 2 (특별출연) 2020 SBS 불새 2020 김호진 = = = 영화 = = = 《하얀 풍선》(2004년) - 지훈 역 《공사중》(2015년) 《히야》(2016년) - 김호창 실장 역 《빈센트》(2017년) 《미쓰백》(2018년) - 남자경찰 역 《여곡성》(2018년) - 명규 역 = = = 뮤지컬 = = = 《억수로 좋은 날》(2008년) = = = 연극 = = = 《우리읍내》(2006년) 《태》(2007년) 《산불》(2011년) = = = 예능 = = = 2012년 《롤러코스터 시즌 2》(tvN) 2013년 《켠김에 왕까지》(온게임넷) 2013년 《세 얼간이》(tvN) 2013년 《백만장자 게임 마이턴》(tvN) 2013년 《의뢰인K》(KBS) = = = CF = = = 2012년 불스원샷 2013년 워페이스 2013년 모닝케어 2013년 KFC 징거더블다운맥스 - 행복편 2014년 olleh 굿초이스 GIGA 캠페인 2016년 웰컴저축은행 = = 홍보대사 활동 = = 2013년 병무청 홍보대사 = = 수상 = = 2006년: 차세대 한류스타 연기자 선발대회 2위 = 모러헐롬구 = 모러헐롬구는 헝가리 촌그라드처나드주에 위치한 구로 구청 소재지는 모러헐롬이며 면적은 561.71km2, 인구는 28,986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52명/km2이다. 서쪽으로는 바치키슈쿤주 키슈쿤헐러시구, 북쪽으로는 키슈텔레크구, 바치키슈쿤주 키슈쿤머이셔구, 동쪽으로는 세게드구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세르비아와 국경을 접한다. 10개 지방 자치체(1개 시, 9개 마을)를 관할한다. = 와치 (프로게이머) = 와치(, 1992년 1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시절에는 아이디 Tazza를 사용했으며 종족은 프로토스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시절 아이디는 Watch였으며 포지션은 정글라이너였다. = = 스타크래프트 = = 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하이트 스파키즈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008년 11월 25일에 치러진 SK텔레콤 T1과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 1라운드 7주차 3세트 경기에 출전하면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김택용을 꺾으며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 = 리그 오브 레전드 = = 2012년 6월 11일, 나진 블랙 소드에 입단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2 서머 시즌 팀의 3위에 기여했다. 2012-2013 윈터 시즌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스프링 시즌에서는 챔피언스에서 탈락했지만 NLB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머 시즌에서도 좋은 모습을 이어나갔다. 롤드컵 시즌 3에서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013-2014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챔피언스에서 탈락한 이후 NLB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윈터 시즌 종료 후 형제팀인 나진 실드로 자리를 옮겼다. 스프링 시즌에는 좋은 폼을 보여주면서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서머 시즌에서도 좋은 모습을 이어나갔다. 롤드컵 2014에서는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면서 8강에서 탈락했다. 2015 스프링 시즌에서는 초반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프링 2라운드를 앞두고는 피넛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서머 시즌에서는 주전 자리를 차지했으며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2016시즌을 앞두고 ZTR 게이밍에 입단했다. 2016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와치' 조재걸, 은퇴 선언…콩두컴퍼니서 개인방송 시작 = = 은퇴 후 = = 은퇴 후 콩두 컴퍼니 소속 스트리머로 활동했다. 이후 아프리카 TV로 소속을 옮겨 아프리카 TV BJ로 활동했다. = = 주요 기록 = =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0 0–0 0% 대 저그 3 0–3 0% 대 프로토스 8 1–7 12.5% 총합 11 1–10 9.1% = = = 스타크래프트 = = = 2008년 3월 2007 엘리트 학생복 스쿨리그 입상 2008년 6월 PGL 시즌3 그랜드파이널 우승 2008년 12월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 = = 리그 오브 레전드 = = = = = = = 나진 블랙 소드 = = = = 올림푸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윈터 2012-2013 우승 이엠텍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스프링 2013 우승 기가바이트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서머 2013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4강 ZOTAC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윈터 2013-2014 준우승 = = = = 나진 화이트 실드 = = = = 핫식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4 준우승 = 진즈강 = 진즈강은 일본 기후현과 도야마현을 흐르는 강이다. 기후현에서는 미야가와강으로 불린다. 총 길이는 120 km, 유역 면적 2,720 km2이다. = = 지리 = = 진즈강은 기후현의 가오레다케에서 발원해 기후현과 도야마현의 경계에서 다카하라강과 합류한다. 그 후 북쪽으로 똑바로 흘러 도야마만과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한 때 도야마시를 통과했으나 홍수를 막기 위해 도시 서쪽으로 새로운 수로를 건설했다. 도야마 시청을 비롯한 행정 기관들은 옛 유로의 매립지에 위치한다. = 북두의 권 (1995년 영화) = 북두의 권은 1995년 미국에서 제작된 토니 랜들 감독의 액션 영화이다. 대한민국에서 1993년에 제작한 북두의 권과 달리 원작자 테츠오 하라로부터 판권을 정식으로 구매하여 제작했다. = = 등장인물 = = 켄시로 역 : 게리 다니엘스 싱 역 : 코스타스 맨다이어 유리아 역 : 와시오 이사코 쟈기 역 : 바트 역 : 린 역 : = = 기타 = = 이 영화의 주연인 게리 다니엘스는 실제 격투기 선수이다. = 아사노 도시야 = 아사노 도시야(浅野俊哉)는, 일본의 철학자. 전문은 정치철학, 사회사상사. = = 약력  = = 1962년 생. 1986년, 게이오기주쿠대학 문학부 인간관계학과 인간과학전공을 졸업하고, 일본방송협회(NHK)에 입사. 그 후, 동대학 법학부에 학사입학. 쓰쿠바대학 대학원철학·사상 연구과(철학전공)박사후기과 정도 단위습득 퇴학<受験生・新入生のための> 関東学院大学法学部 法政策学科 浅野俊哉 ◆授業・ゼミナール紹介◆. 1998년, 간토 가쿠인 대학 법학부 조교수. 2004년, 간토 가쿠인 대학 법학부 교수. = 캘훈군 = 캘훈군이라는 이름을 가진 군은 다음과 같이 미국에 있으며, 대부분 존 C. 캘훈에서 따왔다. 캘훈군 (앨라배마주) 캘훈군 (아칸소주) 캘훈군 (플로리다주) 캘훈군 (조지아주) 캘훈군 (일리노이주) 캘훈군 (아이오와주) 캘훈군 (미시간주) 캘훈군 (미시시피주) 캘훈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캘훈군 (텍사스주) 캘훈군 (웨스트버지니아주) = 분류:18세기 교통 사고 = =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 =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는 2021년 공개된 미국의 실사 및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이 제작하고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할 예정이다. 1996년 공개된 스페이스 잼의 독립적 속편이다. = = 줄거리 = = 1980년대 어린 르브론 제임스는 경기를 기다리다 친구에게 받은 게임기로 개임을 하다 감독에게 걸려 코트로 들어가게 된다.마지막 한 골만 넣으면 이기는 순간에 르브론은 슛을 했지만 아쉽게 넣지를 못해 경기에서 지고만다.감독은 인생은 좋아하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이라 했다. = = 출연진 = = = = = 실사 배우 = = = 르브론 제임스 - 르브론 제임스 역 스티븐 캔콜 - 어린 르브론 제임스 역 돈 치들 - 알지 리듬 역 크리스 데이비스 - 말릭 역 소니콰 마틴그린 - 커마이아 제임스 역 세드릭 조 - 도미닉 "돔" 제임스 역 세이어 J. 라이트 - 대리어스 제임스 역 하퍼 리 알렉산더 - 쇼샤 제임스 역 어니 존슨 주니어, 릴 렐 하워리 - 경기 해설자 역 NBA 선수 카이리 어빙, 크리스 폴, 드레이먼드 그린, 카일 커즈마 및 WNBA 선수 치니 오그미케가 카메오로 등장한다. 또한 배우 마이클 B. 조던 또한 본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한다. = = = 성우 = = = 제프 버그먼 - 벅스 버니, 실베스터, 요세미티 샘, 프레드 플린트스톤, 요기 베어 역 에릭 바우자 - 대피 덕, 포키 픽, 엘머 퍼드, 포그혼 레그혼, 화성인 마빈 역 젠데이아 - 롤라 버니 역 밥 버건 - 트위티 역 짐 커밍스 - 태즈메이니언 데블 역 가브리엘 이글레시아스 - 스피디 곤살레스 역 캔디 마일로 - 그래니 역 클레이 톰프슨 - 웻파이어 역 앤서니 데이비스 - 브로우 역 데이미언 릴러드 - 크로노스 역 다이애나 토라시 - 화이트 맘바 역 은네카 오그우미케 - 아라크네카 역 로사리오 도슨 - 원더 우먼 역 저스틴 로일랜드 - 릭 산체즈, 모티 스미스 역 = 판교어린이도서관 = 판교어린이도서관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13년 5월 27일 판교어린이도서관 착공(한국토지주택공사) 2014년 10월 29일 부분 개관 (일반열람실만 개방) 2015년 4월 20일 전체 개관 = = 시설 현황 = = 3층 - 로봇관, 문화교실1,2, 세미나실, 시청각실, 멀티스튜디오, 휴게실 2층 - 아동열람실, 종합열람실(전자정보실, 문헌정보실), 제2열람실, 식당/매점 1층 - 유아 열람실, 제1열람실, 노트북실 = = 이용 안내 = = 일반열람실: 매일 07:00 ~ 24:00 유아열람실, 아동열람실, 문헌정보실, 전자정보실: 동절기(11~2월) 09:00 ~ 18:00, 하절기(3~10월) 09:00 ~ 20:00 신정, 설날/추석 연휴 전체 휴관 자료실 : 매주 월요일 일반열람실 : 둘째, 넷째 월요일 = 나카쓰정 = 나카쓰정(中津町): 나카쓰정 (기후현) - 기후현 에나군 나카쓰정. 현 나카쓰가와시. 나카쓰정 (오사카부) - 오사카부 니시나리군 나카쓰정. 현 오사카시(기타구, 요도가와구) 나카쓰정 (오이타현) - 오이타현 시모게군 나카쓰정. → 나카쓰시 = 틀:축구단 천안시 = = 볼리비아큰귀쥐 = 볼리비아큰귀쥐(Auliscomys boliviensis)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 볼리비아와 칠레, 페루에서 발견된다. = 무언의 목격자 = 무언의 목격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무언의 목격자》는 1994년 영화이다. 《무언의 목격자》는 1996년 TV 시리즈이다. = 윤효정 =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인데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아호는 운정이다. 생부 윤희섭(尹熙燮)의 차남(次男)으로 출생하였고 중부(仲父둘째 큰아버지, 즉 친할아버지의 둘째아들을 뜻함.) 윤응섭(尹應燮)에게 양자로 출계하였으며 1893년 음서로써 천거된 그는 1년 후 1894년에 갑오경장 이후 탁지부주사로 근무하였고, 1898년 독립협회 간부로 활동하다가 고종양위음모사건에 관련되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고베에서 박영효·우범선 등과 조일의숙을 세워 한국의 유학생을 수용하였다. 그런데, 윤효정이 우범선과 교제하는 동안 그가 을미사변의 관련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고영근 등을 시켜 우범선을 살해하였다. 귀국하여 1905년 이준·양한묵 등과 헌정연구회 입헌정치체제를 연구하였고, 1906년 장지연 등과 헌정연구회를 토대로 대한자강회를 조직하였다. 이후 대한협회회보·대한민보를 간행하여 일제의 통감정치와 친일매국단체인 일진회에 맞섰다. 1931년부터 동아일보에 〈풍운한말비사〉를 연재하였으며, 1930년대에는 홍만자회(紅卍字會) 대한제국 지부의 일을 맡아보았다.풍운한말의비사, 기록역사박물관 = = 가족 관계 = = 친아버지 : 윤희섭(尹熙燮) 친어머니 : 진주유씨(晉州柳氏) 양아버지 : 윤응섭(尹應燮) - 원래 중부(둘째 자근아버지) 양어머니 : 청송 심씨 부인 - 원래 중모(둘째 자근어머니) 부인 : 창원 황씨, 안동 김씨 장녀 : 윤정원(尹貞媛) - 초취 창원 황씨 부인 소생 장녀의 배 : 최석하(崔錫夏) 차녀 : 윤숙원(尹淑媛) - 측실 밀양 박씨 부인 소생 장남 : 윤승한(尹昇漢) - 계실 안동 김씨 부인 소생 차남 : 윤창한(尹昌漢) - 계실 안동 김씨 부인 소생 3 남 : 윤명한(尹明漢) - 계실 안동 김씨 부인 소생 4 남 : 윤정한(尹晶漢) - 계실 안동 김씨 부인 소생 5 남 : 윤영한(尹映漢) - 계실 안동 김씨 부인 소생 = = 저서 = = 《한말 비사》 = = 기타 = = 그의 저서 한말 비사는 윤치호 일기, 매천야록, 한국통사와 함께 구한 말의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작품의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 지리바꽃 = 지리바꽃(Aconitum chiisanense)은 한국의 지리산과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줄기는 높이 1m이며 뿌리는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이다. 잎은 어긋나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꽃줄기에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뒤쪽의 것이 고깔처럼 위에서 내려 덮으며 길이 2㎝ 정도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퍼지며 씨방은 5개가 서로 떨어진다. 뿌리는 약용으로 한다. = 분류:스웨덴 주재 대한민국 대사 = = 써클 앨범 차트 = 써클 앨범 차트(구 가온 앨범 차트)는 써클 차트의 일부로 가수들의 앨범 판매량을 집계해 1주일 간격으로 기록이 갱신된다. 음반 판매량 순위는 한국에서 가온 차트에 가맹되어 있는 유통사가 출고하는 모든 앨범 출고량을 집계하여 발표한다. = = 1위 목록 = = 2010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1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2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3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4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5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6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7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8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19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20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21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2022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 중앙위원회 = 중앙위원회(, , 中央委員會)는 공산당에서 민주집중제 원칙에 따라 당대회를 주최하고 중앙위원회 위원을 선출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으로, 당수인 서기장의 지도하에 운영된다.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몽골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알바니아 노동당 중앙위원회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중앙위원회 폴란드 통일노동당 중앙위원회 헝가리 노동인민당 중앙위원회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루마니아 노동당 중앙위원회 코민테른 중앙위원회 코민포름 중앙위원회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중앙위원회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중앙위원회 = 칼카타 (비테르보현) = 칼카타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비테르보도에 위치한 코무네다. 로마로부터 북쪽 47km 거리에 있다. = 백도빈 = 백도빈(白道彬, 1978년 3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단국대학교 체육교육학, 사학 (학사) = = 생애 = = 2008년 여름 영화 ‘살인캠프’에 함께 출연했던 정시아와 교제하다가 2009년 3월 7일 혼인하였다. 두 사람은 혼인 4개월 만에 아들을 얻었다.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의 아들 보종 역을 맡아 강직하고 야심찬 역할을 연기했고 2012년 MBC 대장경 천년 특별 기획 드라마 '무신'에서는 최우의 기생에서 난 아들로 후일 김준의 도움으로 제3대 막부 주군에 오른다. 승려 때 이름은 만전이었고 1249년 아버지 최우가 죽자 정권을 이어받아 권력자 최항(崔沆, ? ~ 1257)으로 성장하는 배역이다. = = 출연작 = = = = = 영화 = = = 2017년 《시간위의 집》 - 임 형사 역 2016년 《판도라》 - 구조대장 역 2016년 《어떻게 헤어질까》 2016년 《두 개의 연애》 - 지훈 역 2015년 《살인캠프》 - 명훈 역 2015년 《어우동: 주인 없는 꽃》 - 이동 역 2013년 《콩나물》 - 남혁 역 2013년 《캐치미》 - 오 경위 역 2012년 《내가 고백을 하면》 - 재호 역 2012년 《나는 왕이로소이다》 - 양녕대군 역 2011년 《소녀 K》 - 최태영 역 2011년 《챔프》 - 성현 역 2010년 《쩨쩨한 로맨스》 - 민호 역 2009년 《전우치》 - 친일파 역 2009년 《킬미》 - 신인 킬러 역 2008년 《1724 기방난동사건》 - 세제 역 2007년 《죽어도 해피엔딩》 - 신참 조 형사 역 2007년 《히어로》 2006년 《괴물》 - 방역차 마른남 역 2006년 《Mr. 로빈 꼬시기》 - 홍 대리 역 2006년 《타짜》 - 용해 역 2005년 《너는 내 운명》 - 국선변호사 역 2005년 《삼거리 박씨 미행기》 2004년 《슈퍼스타 감사용》 - 중견수 김경남 역 2004년 《범죄의 재구성》 - 청년 역 = = = 드라마 = = = 2015년 TV조선 & tvN 단막극 《위대한 이야기 - 이주일의 못생겨서 죄송합니다》 - 박정환 역 2012년 MBC 드라마 《무신》 - 최항 역 2011년 MBC 드라마 《나는 살아있다》 - 진모 역 2009년 MBC 드라마 《선덕여왕》 - 미실 - 설원랑 아들, 보종 역 2008년 tvN 드라마 《맞짱》 - 최 대리 역 = = = 방송 = = = 《오! 마이 베이비》 (SBS, 2016년)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백윤식 (1947년 3월 16일 ~ ) 배우자 : 정시아 (1981년 8월 29일 ~ ) 아들 : 백준우 (2011년 7월 15일 ~ ) 딸 : 백서우 (2012년 4월 19일 ~ ) 동생 : 백서빈 (1984년 9월 7일 ~ ) = = CF = = 2009년 SK텔레콤 T밴드 - 백선생 가족밴드 편 = 노포대교 = = 조이 하조 = 조이 하조(Joy Harjo, 1951년 5월 9일 ~ )는 시인이자 음악가, 작가이다. = = 생애 = = 1951년 5월 9일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Tulsa)에서 태어났다. 네이티브 아메리칸으로서 머스코기/크리크(Muskogee/Creek) 부족 소속이다. 하조가 오클라호마주에서 태어났으며 머스코기 부족의 일원이라는 사실은 아주 중요한 역사적 함의를 지닌다. 이런 역사적 배경은 하조의 작품 세계의 근간을 형성하고, 시인에게 네이티브 아메리칸 작가로서의 자의식을 제공해 왔다. 다른 많은 현대 네이티브 아메리칸들이 그렇듯이 하조는 복잡한 혈통을 타고났는데 이 복잡한 혈통만큼이나 하조의 삶은 상처와 트라우마로 점철해 있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정 폭력으로 하조의 부모는 시인이 어릴 때 이혼을 했고 어머니가 재혼해 생긴 새아버지 역시 가정 폭력을 휘둘렀다. 겨우 16세 되던 해 새아버지에게서 쫓겨난 하조는 샌타페이로 가서 아메리칸 인디언 미술학교(Institute of American Indian Arts)에 진학하고, 18세 무렵 동급생과 결혼해 아들을 낳지만 곧 이혼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하조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앨버커키의 뉴멕시코 대학에 진학해 미술과 창작을 전공하게 되며, 이때 그녀가 만난 사람이 바로 사이먼 오티즈(Simon J. Ortiz)다. 하조는 오티즈의 시 낭송 행사에 참여하고 오티즈는 곧 하조의 멘토 역할을 하게 되는데, 1970년대 초 네이티브 아메리칸 인권 운동인 “레드 파워 운동(Red Power movement)”이 앨버커키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될 때 하조와 오티즈는 함께 이 운동의 출판물이나 선전물 제작에 참여한다. 자연스럽게 연인, 사실혼 관계로 발전한 둘 사이에 1973년 딸 레이니 돈(Rainy Dawn)이 태어난다. 하지만 두 시인은 불화로 인해 곧 결별하고, 이후 하조는 아이오와 대학에 진학해 명망 있는 아이오와 작가 워크숍(Iowa Writers’ Workshop)에서 문예 창작으로 석사 학위를 받는다. 상당히 굴곡진 삶에도 불구하고 하조가 비교적 어릴 때부터 예술의 길에 정진하고 시인으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인터뷰에서 언급하듯이 예술을 삶의 “구원(salvation)”으로 여겼고, 특히 시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voice)”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또한 하조는 변함없이 아메리칸 인디언의 문화적 자산을 자신의 정체성의 원천이자 시의 원동력으로 삼아 왔다. 이러한 역사적 유산은, 다른 많은 네이티브 아메리칸 작가들의 작품에서도 발견되듯이 하조의 시 세계를 형성하고 지탱하는 뼈대이며, 시인은 자신의 시에서 이 저항의 목소리를 단순한 구호나 외침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매우 다양한 미학적 장치들을 통해서 재현한다. 이 때문에 하조는 스캇 마머데이(N. Scott Momaday), 제임스 웰치(James Welch), 레슬리 마몬 실코(Leslie M. Silko), 사이먼 오티즈(Simon J. Ortiz) 등과 함께 소위 “네이티브 아메리칸 르네상스” 작가로 꼽힐 뿐만 아니라, 미국 문학 전반으로 영역을 넓혀도 비평적으로 가장 칭송받는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문학적, 정치적으로 깊은 영향을 준 에이드리언 리치(Adrienne Rich)와 오드리 로드(Audre Lorde) 이후 미국 페미니스트 문단을 대표할 수 있는 시인이다. 하조가 2019년 5월 네이티브 아메리칸 시인 최초로 미국 시인 협회(The Academy of American Poets) 임원이 되고, 6월 제23대 미국 계관 시인(United States Poet Laureate)으로 임명된 것은 이런 하조의 위상을 잘 보여 준다. 조이 하조의 첫 시집은 1975년 아홉 개의 시를 담은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라는 제목의 소책자로 출판되었다. 오클라호마와 뉴멕시코를 배경으로 하는 이 초기 작품들은 토착민의 억압받고 파괴된 역사에 대한 하조의 탁월한 힘과 통찰력을 보여 준다. 4년 후에는 첫 시집 ≪마지막 노래≫ 전체를 포함하는 첫 번째 장편 시집 ≪무슨 달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을까?(What Moon Drove Me to This?)≫를 출간한다. 이 시집에서 하조는 일상의 경험과 깊은 정신적 진실을 혼합하는 시들을 선보인다. 하조는 종종 자신의 글에 토착 부족들의 이야기와 역사, 페미니스트와 사회 정의 시의 전통, 토착 신화, 상징, 가치를 포함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하조의 시가 종종 특정 장소들(예를 들면, 미 남서부, 남동부, 알래스카와 하와이)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인데, 이 ‘장소의 시학’은 장소에 대한 기억을 통해 존재와 정체성의 지속을 강조하는 토착민 문화의 생존 전략을 암시한다. 이와 관련해 하조의 작품은 종종 자전적이고, 자연 세계에 대한 내용을 많이 포함하며 무엇보다 생존과 언어의 한계에 대해 몰두한다. 예컨대 1983년 출간되어 비평적 찬사를 받은 시집 ≪그녀에게는 말 몇 필이 있었네(She Had Some Horses)≫에는 토착민 전통 기도, 노래와 동물 이미지를 통합해 무언가 영적인 울림을 주는 듯한 효과를 내는 시들이 많다. 또한 자유와 자기실현을 위한 탐색을 표현하는 경향이 짙은데, 예를 들어 앤솔로지(anthology)에 가장 많이 실린 유명한 시 중 하나인 <그녀에게는 말 몇 필이 있었네(She Had Some Horses)>는 모순된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을 조화시켜 하나의 감각을 얻고자 애쓰는 여성의 “언어”를 묘사한다. 자연은 하조의 시에 중대한 주제다. 예를 들면 1989년 산문시집 ≪세계의 중심으로부터의 비밀(Secrets from the Center of the World)≫은 시와 함께하는 남서부 풍경에 관한 컬러 사진들을 보여 줌으로써 그녀의 시와 실제 장소가 얼마나 밀착되어 있는지를 보여 준다. 여성 조물주의 후손에 관한 이로쿼이(Iroquois) 신화를 바탕으로 한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The Woman Who Fell from the Sky)≫(1994), ≪다음 세상으로 가는 지도 : 시와 이야기들(A Map to the Next World : Poetry and Tales)≫(2000), ≪우리가 인간이 된 방법(How We Became Human : New and Selected Poems)≫(2002) 같은 작품들에서 하조는 신화와 민속학을 바탕으로 토착민의 경험을 다양하고 다중적이며 독특한 것으로 부활시키는 작업을 지속한다. 신화, 오래된 이야기, 자서전을 이용하면서 다른 세계를 조명함으로써 문화적 기억을 탐구하고 창조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산문 및 에세이집 ≪영혼 대담, 노래 언어(Soul Talk, Song Language)≫(2011), 시집 ≪신성한 존재에 대한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for Holy Beings)≫(2015)을 출간했다. 하조는 시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예술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다재다능한 예술가로서, 색소폰 연주가, 보컬리스트, 쇼 호스트이기도 하다. 포에틱 저스티스(Poetic Justice)라는 이름의 재즈 밴드를 이끌면서 정기적인 공연을 하고 몇몇 음반을 발매하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애로우 다이내믹스(Arrow Dynamics)라는 팀과 투어를 진행하고 있다. 시인은 ≪레드 드림스(Red Dreams)≫와 ≪트레일 비욘드 티어즈(A Trail Beyond Tears)≫(2010)를 포함해 오리지널 음악 앨범 4장을 발표했으며 2009년 올해의 최우수 토착 여성 아티스트상(Native American Music Award for Best Female Artist of the Year)을 받았다. 2009년부터는 <윙스 오브 나이트 스카이, 윙스 오브 모닝 라이트(Wings of Night Sky, Wings of Morning Light)>라는 자신만의 원 우먼 쇼(one-woman show)를 진행하고 있으며, 뮤지컬 <재즈가 발명되었을 때 우린 거기 있었다(We Were There When Jazz Was Invented)>를 제작하기도 했다. 한편 하조는 애리조나 대학교,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뉴멕시코 대학,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등 여러 대학의 영문과 및 문예 창작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6년부터는 테네시 대학교 문예 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토착 예술 재단(Native Arts and Cultures Foundation)의 창립 멤버로서 후 세대 네이티브 아메리칸 예술가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시인은 수많은 상을 받았는데 대표적으로 아메리카 토착민 작가 협회 평생 공로상(Lifetime Achievement Award from the Native Writers Circle of the Americas), 미국 시인 협회 월리스 스티븐스상(Wallace Stevens Award from the Academy of American Poets), 미국 시 협회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상(Wallace Stevens Award from the Poetry Society of America), 루스 릴리상 시 부문(Ruth Lilly Prize in Poetry)이 있으며, 특히 2012년 회고록 ≪미치도록 용감한(Crazy Brave : A Memoir)≫은 아메리칸 북 어워드(American Book Award)와 2013년 미국 펜 센터상(PEN Center USA price)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 2019년 9월 미국 계관 시인으로서 임기를 시작하는 동시에 9번째 시집 ≪미국의 일출(An American Sunrise : Poems)≫을 출간해 다시 한번 큰 관심을 받고 있다. = 분류:1세대 전차 = = 펜슬 스커트 = 펜슬 스커트(Pencil skirt)는 치마의 한 종류이다. 치마의 폭이 좁고, 곧으면서, 길이는 긴 모양이라 연필을 닮았다. 폭이 좁아 움직임을 불편하게 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옆트임을 주거나 옆부분을 주름 처리하기도 한다. = 히로덴아지나역 = 히로덴아지나역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연도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1994 2,240 1995 2,094 1996 2,496 1997 2,322 1998 1,942 1999 2,906 2000 3,563 2001 3,699 2002 3,592 2003 3,620 2004 3,839 2005 3,891 2006 3,765 2007 3,902 2008 4,006 2009 3,819 2010 3,884 2011 4,002 2012 4,053 2013 4,061 2014 4,009 2015 3,350 2016 3,785 = = 역 주변 = = 아지나 뉴 타운 = = 역사 = = 1978년 8월 1일 : 다지리역으로서 개업. 2000년 8월 1일 : 히로덴니시히로시마 보다 70m 이전, 자전거 주차장 설치. 2001년 11월 1일 : 히로덴아지나역으로 개칭. 2007년 4월 1일 : 역을 개 · 보수. 하행 승강장과 버스 정류장이 일체가 되어, 동일한 평면으로 환승이 가능. 맞춰서 역으로 들어오는 버스 노선의 다이어 개정, 운행 경로 변경 실시. = 분류:크누트 함순의 소설 = = 야하라촌 = 야하라촌은 이바라키현 쓰쿠바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쓰쿠바미라이시 중부에 해당한다. = 기타토쓰카와촌 = 기타토쓰카와촌(北十津川村)은 나라현 요시노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 2022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경기는 2022년 2월 6일부터 19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의 샤오하이퉈 국립 알파인 스키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 = 경기 일정 = = 다음은 알파인 스키 종목의 전 경기 일정이다. 볼드체는 결승전 경기이다. 날짜 시간 종목 2월 6일 11:00 남자 활강 2월 7일 10:1513:45 여자 대회전 2월 8일 11:00 남자 슈퍼대회전 2월 9일 10:1513:45 여자 회전 2월 10일 10:3014:15 남자 복합 2월 11일 11:00 여자 슈퍼대회전 2월 13일 10:1513:45 남자 대회전 2월 15일 11:00 여자 활강 2월 16일 10:1513:45 남자 회전 2월 17일 10:3014:00 여자 복합 2월 19일 11:00 혼성 단체 = = 메달리스트 = = = = =남자 = = = 활강 1:42.69 1:42.79 1:42.85 슈퍼대회전 1:19.94 1:19.98 1:20.36 대회전 2:09.35 2:09.54 2:10.69 회전 1:44.09 1:44.70 1:44.79 복합 2:31.43 2:32.02 2:32.11 = = =여자 = = = 활강 1:31.87 1:32.03 1:13.81 슈퍼대회전 1:13.51 1:13.73 1:32.44 대회전 1:55.69 1:55.97 1:56.41 회전 1:44.98 1:45.06 1:45.10 복합 2:25.67 2:26.72 2:27.52 = = =단체 = = = 혼성 단체 카타리나 후버카타리나 린스베르거카타리나 트루페슈테판 브렌슈타이너미하엘 마트요하네스 슈트롤츠 에마 아이허레나 뒤어율리안 라우흐푸스알렉산더 슈미트리누스 슈트라서 미나 퓌르스트 홀트만테아 루이세 스티에르네순마리아 테레세 트비베르그티몬 헤우겐파비안 빌켄스 솔헤임라스무스 비닝스타 = 분류:러시아 제국의 함선 = = 분류:농구 선수 목록 = = 뷰티풀 수프 = 뷰티풀 수프(Beautiful Soup)은 다음을 의미한다. 뷰티풀 수프 (HTML 파서):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한 HTML 파서 Beautiful Soup: 1865년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노래 Beautiful Soup: Harvey Jcbos의 1992년 풍자 = 크롬 (동음이의) = 크롬(Chrome)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크로뮴 크롬철광 = = 컴퓨터 과학 = = XUL: 모질라 웹 브라우저에서 쓰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 언어 크롬은 옥시즌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전 이름이다. 구글 크롬: 구글이 만든 웹 브라우저 크롬 V8: 웹 브라우저에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엔진 S3 크롬: 그래픽 카드 = = 인명 = = = = = 실존 인물 = = = 크롬은 메로빙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왕족으로 클로타르 1세의 아들이었다. = = = 가공의 인물 = = = 크롬 도쿠로: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 = = 기타 = = 크롬 (비디오 게임) 크롬 (밴드) 크롬 (음반) 크롬 (노래) = 하트먼 = 하트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필 하트먼: 미국/캐나다의 배우 앨릭스 하트먼: 미국의 배우 = 도이데역 = 도이데역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역사 측 ■ 조하나 선 상행 다카오카 방면 반대 측 ■ 조하나 선 하행 조하나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4 889 2005 871 2006 828 2007 825 2008 836 2009 816 2010 844 2011 829 2012 835 2013 820 2014 787 = = 역 주변 = = 다카오카 시청 도이데 지소 다카오카 미나미 병원 = The Way I Am (에미넴의 노래) = The Way I Am는 2000년에 발매된 에미넴의 노래이다. = 틀:올림픽국기 CAF = = 달마신공 = "달마신공"은 한국에서 제작된 이혁수 감독의 1978년 액션 영화이다. 장일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용덕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장일도 임은주 이강조 최봉 = = 기타 = = 조명: 장기종 녹음: 김성찬 미술: 조경환 = 유혹시대 = "유혹시대"는 198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김진아 : 학희 역 오수비 : 하림 역 이혜숙 : 진연 역 윤일봉 : 박 사장 역 이영하 : 현태 역 이구순 진봉진 유영국 = 프렌 (발드마른주) = 프렌은 프랑스 일드프랑스 발드마른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3.58km2, 인구는 27,416명(2016년 기준), 인구 밀도는 7,658명/km2이다. 파리에서 11.2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프렌 교도소의 소재지로 유명한 곳이다. = 흉상어 = 흉상어(兇 ── , , )는 흉상어목 흉상어과의 물고기이다. 대서양과 인도태평양에 서식한다. 등지느러미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197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이다. = =양궁 = = 선수 세부 종목 1라운드 2라운드 합계 순위 = = 육상 = =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예선 준준결선 준준결선 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 = 참고 자료 = = * 오스트리아 = 혼나 = = = 지명 = = 혼나역: 일본 후쿠시마현 오누마 군 가네야마 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다미 선의 철도역 = = 인명 = = 혼나 요코: 일본의 여자 성우 혼나 와코우: 일본의 여성 만화가 = 분류:중요무형문화재 전수자 = = 분류:도쿠시마현의 행정 구역 = = 분류:2011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 카를 코르슈 = 카를 코르슈(: 1886년 8월 15일 - 1961년 10월 21일)는 독일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정치철학자다. 루카치 죄르지와 함께 1920년대 서구마르크스주의의 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세례에 의한 중생 = 세례에 의한 중생(Baptismal Regeneration)은 성공회나 로마 가톨릭에서 주장하는 교리로, 개인이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서 중생이라는 말은 신약성경에서 예수가 니고데모에게 거듭나지 않고서는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다. 루이스 벌코프는 신생과 중생을 동일한 의미라고 주장하였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세례에 의해서 구원은 보장 받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 성경에서 세례를 받으면 거듭난다는 구절은 단 한 구절도 없다하여 개신교의 장로교에서는 이런 주장을 잘못된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 분류:202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 생물사회범죄학 = 생물사회범죄학은 생물문화적 요인을 탐구하여 범죄와 반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학문 분야이다. 현대 범죄학은 사회학 이론에 의해 지배되어 왔지만, 생물 사회 범죄학은 행동 유전학, 신경 심리학 및 진화 심리학과 같은 분야의 잠재적 기여도 인정한다.Kevin M. Beaver and Anthony Walsh. 2011. Biosocial Criminology. Chapter 1 in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iosocial Theories of Crime. 2011. Ashgate. = = 구혼 = = = = = 환경 = = = 환경은 유전자 발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불리한 환경은 반사회적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친사회적 유전자 작용을 억제하며 유전적 잠재력의 실현을 방해한다.Kevin M. Beaver and Anthony Walsh. 2011. Biosocial Criminology. Chapter 1 in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iosocial Theories of Crime. 2011. Ashgate. = = = 행동 유전학 = = = 범죄에 대한 유전학의 역할을 연구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유전율 계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유전율 계수는 특정 시간에 특정 환경에서 주어진 인구의 일부 특성에 대해 실제화된 유전 효과로 인한 분산의 비율을 설명한다. Kevin Beaver와 Anthony Walsh에 따르면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 계수는 0.40에서 0.58 사이로 추정된다.Kevin M. Beaver and Anthony Walsh. 2011. Biosocial Criminology. Chapter 1 in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iosocial Theories of Crime. 2011. Ashgate. 생물사회 범죄학(쌍둥이 연구의 방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론은 부풀려진 유전 추정치를 산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지만 생물사회 범죄학자들은 이러한 비판이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형사 사법 연구원인 Brian Boutwell과 JC Barnes는 위험 요소의 유전적 유전을 통제하지 않는 많은 사회학적 연구 결과가 오도하거나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Is crime genetic? Scientists don't know because they're afraid to ask = = = 신경생리학 = = = 또 다른 접근 방식은 신경 생리학과 범죄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 가지 예는 세로토닌과 도파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의 측정된 수준이 범죄 행위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신경 영상 연구가 범죄 행위에 뇌 구조와 기능이 모두 관련되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변연계는 궁극적으로 범죄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분노 및 질투와 같은 감정을 생성한다. 전전두엽 피질은 만족과 충동 조절을 지연시키는 데 관여하고 변연계에서 오는 충동을 조절한다. 이 균형이 변연계에 유리하게 바뀌면 범죄 행위에 기여할 수 있다. 테리 모핏(Triee Moffitt)의 범죄 발달 이론에 따르면 "평생 범죄자"는 인구의 6%에 불과하지만 모든 범죄의 50% 이상을 저지르고 있으며 이는 신경 생리학적 결함과 열악한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범죄는 한 번 시작하면 돌이키기 매우 어렵다고 주장한다.Kevin M. Beaver and Anthony Walsh. 2011. Biosocial Criminology. Chapter 1 in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iosocial Theories of Crime. 2011. Ashgate. = = = 진화심리학 = = = 남성은 적은 노력으로 잠재적으로 많은 자녀를 가질 수 있다. 많은 노력을 기울인 여성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것의 주장된 결과 중 하나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신의 성에 대한 번식 경쟁이 더 높기 때문에 여성보다 더 공격적이고 더 폭력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지위가 낮은 남성은 완전히 자녀가 없는 상태로 남을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유전적으로 멸종되기 보다는 지위와 번식 성공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우 높은 위험을 감수하고 폭력적인 침략을 사용하는 것이 진화적으로 유용했을 수 있다. 이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범죄율이 높은 이유와 낮은 지위와 미혼이 범죄와 관련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남성-남성 살인에 대해 사회의 소득 불평등 정도가 사회의 절대 소득 수준보다 더 나은 예측 변수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소득 불평등은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하지만 평균 소득 수준의 차이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여성을 둘러싼 경쟁은 특히 청소년기 후반과 청년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데, 이는 이 시기에 범죄율이 특히 높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화된다. "진화적 신경안드로겐 이론"은 공격성과 범죄에 영향을 미치고 특정 형태의 경쟁에서 유리한 요인으로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에 초점을 맞춘다. 대부분의 종에서 수컷은 암컷보다 더 공격적이다. 남성의 거세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공격적인 행동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인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범죄, 특히 강력 범죄에 더 많이 관여한다. 범죄에 연루되는 정도는 일반적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상승과 관련하여 10대 초반에서 10대 중반 사이에 증가한다. 테스토스테론과 공격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뇌 테스토스테론의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측정이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요추 천자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어렵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종종 혈액이나 타액에서 덜 신뢰할 수 있는 측정값을 사용했다. 일부 연구는 성인 범죄와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연관성을 지지하지만, 성별에 따라 별도로 조사하면 그 관계는 미미한다. 청소년 비행과 테스토스테론 수치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일부 연구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반사회적 행동 및 알코올 중독과 같은 범죄와 관련된 행동 또는 성격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보다 일반적인 공격적 행동/감정과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의 약 절반은 관계를 발견했고 약 절반은 관계를 찾지 못했다. 살인을 유발하는 많은 갈등에는 지위 갈등, 평판 보호, 사소해 보이는 모욕이 포함된다. 스티븐 핑커는 그의 책 빈 서판에서 경찰이 없는 비국가 사회에서 침략에 대한 믿을 수 있는 억제력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인간이 평판("명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복수에 대한 본능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보복에 대한 평판을 갖는 것이 중요했다. 핑커는 국가와 경찰의 발달이 조상의 환경에 비해 폭력의 수준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다고 주장한다. 도시의 가난한 지역과 같이 매우 국지적으로 국가가 무너질 때마다 인간은 다시 보호와 침략을 위해 그룹으로 조직되고 폭력적인 복수 및 명예 보호와 같은 개념이 다시 매우 중요해진다. 일부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보다 명예 보호에 더 중점을 둔다. 한 가지 설명은 조상의 과거에 명예를 보호하는 것이 농부보다 목축업자에게 상대적으로 더 중요했다는 것이다. 목자들의 가축은 쉽고 빠르게 도난당했다.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폭력을 유발할 수 있는 억제력으로 지속적으로 강인함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했다. 이 이론의 예측은 전통 농업과 스페인계 미국인 사회에 대한 교차 문화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좌식 어업 사회가 명예를 중시할 것이라는 예측은 확인되지 않았다. 문화적 집단 주의의 정도는 전염병의 부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집단주의와 감염병 확산을 제한하는 외집단 기피와 같은 특성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강한 내집단-외집단 편향과 내집단의 명예를 옹호하려는 의지와 같은 다른 특성은 폭력을 조장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여러 형태의 폭력적인 범죄 행위와 미국 주 전체의 전염병 발병률 및 미국 주 전체의 문화적 집단주의 정도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협회는 소득 불평등을 통제한 후에도 강한 상태를 유지했다.Aurelio José Figueredo, Paul Robert Gladden, Zachary Hohman. The evolutionary psychology of criminal behaviour. In = = = = 특정 형식 = = = = 진화 심리학 연구자들은 사이코패스에 대한 몇 가지 진화론적 설명을 제안했다. 하나는 사이코패스가 빈도에 의존하고 사회적으로 기생하는 전략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는 커뮤니티에 다른 사이코패스가 거의 없는 한 사이코패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이코패스가 많을수록 사기꾼에 대해 더 많은 대응책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비사이코패스뿐 아니라 다른 사이코패스와 조우할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Harpending, H. C., & Sobus, J. (1987). Sociopathy as an adaptation. Ethology and Sociobiology, 8, 63-72. 강간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이론은 진화적 적응이 강간범의 심리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이론이다. 전통적인 이론은 일반적으로 강간을 행동 적응으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이론은 매우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부 사람들은 윤리적, 종교적, 정치적, 과학적 근거를 근거로 그러한 이론에 반대한다. 다른 사람들은 효과적인 예방 조치를 개발하기 위해 강간의 원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신데렐라 효과는 일부 연구에서 관찰된 유전적 부모에 비해 계부모에게 학대를 받는 의붓자식의 비율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이 영향에 대한 설명은 진화 심리학 이론의 적용을 시도했다. 이러한 이론들에 대해서도 다양한 비판이 있어왔다. 영아 살해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자주 행하는 몇 안 되는 폭력 중 하나이다. 문화 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은 아동이 기형이나 질병을 갖고 있을 때뿐만 아니라 빈곤, 자원이 필요한 다른 아동, 남성의 지원이 없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한 아이는 번식 성공의 가능성이 낮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특히 여성이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부모의 투자를 더 많이 하기 때문에 자녀에게 자원을 지출하는 어머니의 포괄적인 적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 = = = 형사 사법 = = = = 집단에 해로운 착취 행위에 대한 처벌은 조상 환경에서 되풀이되는 문제였을 것이다. 그러한 인간은 이것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개발했다고 주장된다. 처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제할 수 있지만 과도한 처벌도 그룹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범죄의 정도에 따라 비례 대응을 선호한다고 주장한다. 문화 간 연구에 따르면 서로 다른 범죄가 얼마나 상대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인식되는지에 대한 높은 동의가 나타났다. 한편, 현대 경찰이 범죄를 적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와 같은 억제적 관점에서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는 진화적 참신 요인은 적절한 처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Michael Bang Petersen. The evolutionary psychology of Mass Politics. In 범죄의 심각성이 판단되면 대응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조상 환경의 어떤 경우에는 배상이나 재활과 같은 대응에 비해 일부 형태의 형벌이 예방할 수 있는 범죄자와 미래의 상호 작용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개인은 과거 소그룹 환경에서 친족, 집단 내 또는 그룹 외 회원, 자원 소유, 성적 매력, 후회 표현, 의도 및 이전 협력 및 착취 이력 등으로 상호작용한다. =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 = 이 문서에서는 1884년 조선에 칼뱅이 소개된 후 지금까지의 한국의 칼뱅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역사에 대해 다룬다. 2009년 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에서 칼뱅에 대한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어 <칼빈과 한국교회>으로 출판되었다. = = 배경 = = 2009년은 종교개혁자인 칼뱅 탄생 500주년이 되는 해로서 전 세계에서 많은 관심이 있었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에서도 세계를 변화시키는 사상들 가운데 하나로 칼뱅주의가 실렸다. 벤저민 워필드(B. B. Warfield)는 사도 바울에서부터 아우구스투스 그리고 16세기 루터이후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로 보았다.Warfield, Calvin and Augustine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974), 26. 16세기 이후 서구 역사에서 칼뱅의 영향력은 보다 광범위했고 영속적이었다. 칼뱅의 가르침, 즉 칼뱅주의는 제네바에서 프랑스, 네덜란드, 항거리, 그리고 스코틀랜드 등 다양한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 = 역사 = = = = = 기독교전래에서 1945년까지 = = = 칼뱅이 한국에 소개된 것은 1884년 알렌의 입국으로 시작된 선교사들의 도래 이후였다. 한국에서 칼뱅이라는 인물이 처음 소개된 것은 평양신학교에서였다. 평양의 장로회 신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친 왕길지와 윌리엄 R. 부두일이 16세기 종교개혁에 관한 책을 쓰면서 칼뱅과 그의 사적이 구체적으로 소개된다. 1920년대에 와서 칼뱅은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우가 1922년 조선야소교서회가 발행한 게일 역 교회긔였다. 필자 미상의 기독교의 역사를 번역한 이 책은 어떤 점에서 최초의 통사적 교회 사서였다. 이 책을 통해 서양 교회사를 한국에 소개하면서 16세기 인물들을 소개하게 된다. 이 책과 아래에서 소개하는 오천경의 저작을 통해 칼뱅의 사적이 소개되고, '칼빈'이라는 표기가 정착하게 된다. 1920년대의 또 한 권의 역사서가 오천경의 교회역사인물지였다. 이 책은 초대 교회의 익나티우스(Ignatius, 익네시어스)에서 드와이트 L. 무디까지 40여명의 인물을 소개하고 있는데, 칼뱅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하고 소개하고 있다. 즉 이 책에서 "1. 졔니바로 가기 전 생활, 2. 졔니바에서의 사업, 3. 뎌의 신학과 감화"라는 제목 하에서 칼뱅의 가정배경, 학교교육, 제네바에서의 개혁활동, 그리고 루터와의 비교를 통한 그의 성격 등을 설명하고 있다. 이상에서 말한 바처럼 칼뱅을 ‘갈빈’ 혹은 ‘갈윈’으로 표기하기도 했으나, 1920년대 전후 '칼빈'으로 정착하였고, 그의 삶의 여정과 개혁운동이 한국에 점차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한국교회에서 칼뱅에 대한 논문이 처음으로 발표된 때는 1924년 9월이었다. 신학세계감리교의 신학잡지로 1916년에 창간되었다. 신학지남의 경우 1934년 7월호(통권 76호)에서 최초로 칼뱅을 소개하는 특집호를 발간했는데, 평양신학교 교수들의 7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이 논문과 함께 칼뱅의 설교, “핍박”(Enduring Persecution for Christ)이 김재준의 번역으로 게재되었다. 이상의 논문이 칼뱅과 그의 신학의 문제를 취급하고 있으나 당시의 연구 결과를 반영한 논문으로 볼 수 없고, 단지 종교개혁의 위인으로서의 칼뱅의 업적을 소개하는 상식적 수준, 곧 현란한 부박(浮薄)에 지나지 않는다. 위의 7편의 논설을 포함하여 신학지남이 정간되는 1941년까지 23년간 게재된 칼뱅 혹은 칼뱅주의에 대한 논문은 오직 14편에 불과했다. 1936년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칼뱅에 관한 단행본이 출간되었는데, 김태복의 칼빈의 생애와 그 사업이 그것이다. = = = 1945년에서 1979년까지 = = = 1924년 칼뱅에 대한 최초의 논설이 발표된 후 1979년까지 55년간 발표된 칼뱅에 관한 논설은 약 200여 편에 달한다. 1918년 창간된 신학지남은 1941년 정간되었으나, 1954년 박형룡에 의해 복간되었다. 총회신학교 교장이었던 박형룡은 1954년 2월 1일자로 신학지남 복간호(23권 1호)를 발간하고, “신학의 지남침은 다시 움직인다”고 속간사를 썼다. 이 때부터 1979년까지 25년간 칼뱅에 관한 논문은 36편 게재되었다. 특히 1962년 통권 122호에서는 칼뱅 특집호를 발간하기도 했으나 1970년대까지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특별한 진전을 보지 못했다. 칼뱅, 혹은 칼뱅신학에 관한 최초의 석사학위 논문은 1961년 연세대학교 대학원에 제출된 박성모(朴成模)의 “칼빈의 인간이해와 근대 시민사회”였다. 이때부터 1979년까지 23편이 발표되었다. 이 중 7편은 1960년대에, 나머지 16편은 1970년대에 발표되었다. 칼뱅 신학과 유관한 주제의 한국인 학자들의 저작은 1936년 김태복의 칼빈의 생애와 그 사업에 이어 1959년부터 출간되었는데, 1979년까지 발간된 단행본은 8편에 달한다. 결론적으로 해방 후 한국사회의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기 정체성 확립에 골몰했던 한국교회는 1970년대 이후 비로소 칼뱅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구체적인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특히 칼뱅에 관한 외국학자들의 저작이 역간됨으로써 칼뱅신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고, 다음 시기 창의적 칼뱅 연구의 길을 열어갔다고 평가할 수 있다. 1972년대 와서 칼뱅의 전공가는 신복윤박사가 처음으로 ‘칼빈의 신 지식론’(Calvin's Doctrine of the Knowledge of God)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에서 본격적인 발전이 시작되었다. = = = 1980년 이후 = = = 1980년대 이후 한국교회에서 칼뱅 연구는 새로운 단계를 맞게 된다. 이 시기에 와서 비로소 칼뱅학자가 나타나고, 칼뱅 혹은 칼뱅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물이 출간되고, 또 기독교 강요 등 칼뱅의 원저들이 역간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전 시대 함일돈, 박형룡, 박윤선, 이종성, 한철하, 이근삼 등과 같은 칼뱅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진 학자들이 없지 않았으나, 이들을 칼뱅 전공 학자로 보기에는 미흡한 점이 없지 않았다. 이 당시 한국에는 칼뱅신학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던 신복윤, 이근삼, 이종성, 정성구, 홍치모 등과 같은 학자들 외에도 칼뱅을 전공하여 학위를 얻은 20여명의 학자들을 배출했는데, 그 첫 인물이 기독교강요를 분석하여 그 책에 표명된 경험의 개념을 석명한 이수영장신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던 그는 현재 새문안교회 담임목사로 활동하고 있다.이었다. 종래 한국교회는 칼뱅(Calvin)을 ‘칼빈’으로 표기해 왔으나 현지 음에 준하여 ‘깔뱅’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깔뱅’ 혹은 ‘깔뱅주의’라는 표기를 확산시켰던 이가 바로 그였다. 말하자면 그는 인명, 지명 등에 대한 귀속주의를 제창했던 셈이다. 프랑스에서 유학했던 박건택 또한 칼뱅의 초기 작품을 역간하면서 칼뱅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국내에서 최초로 칼뱅을 전공하여 학위를 얻은 이는 연세대학교의 이양호 교수였다. 이수영, 박건택, 이양호 등을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칼뱅 전문 연구가들이 배출된 것은 서구 추구성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의 칼뱅 연구의 커다란 발전이었다. = = 한국의 칼뱅 연구가들 = = 칼뱅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학자를 중심으로 신복윤 박사 이후 칼뱅 연구로 학위를 취득한 이들은 다음과 같다(학위 취득 순). 이수영, La notion d'experience chez Calvin d'apres son Institution de la Religion Chrestienne, Strasbourg, 1984. 권호덕, Eduard Boehls Aufname der reformatorischen Theologie. besonders der Calvins, Heidelberg Universitaet, 1991. 박건택, Doctrine de la Sainte Cène chez Calvin, Université Paris IV-Sorbonne, 1984. (Problématique de la liberté dans l'oeuvre de Calvin, Université Paris IV-Sorbonne, 2006) 이양호,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교회론, 연세대학교, 1985. 황정욱, Der junge Calvin und die Psychopannychia, Wuppertal kirchliche Hochschule, 1991. 유해룡, Bonaventura and John Calvin: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as a Mode of Spiritual Consummation, Fordham University, 1992. 최병섭, Christiliches Leben nach Calvin, Evangelische Theologische Fakultat zu Munster und Leuven, 1994. 김세광, The Relevance of John Calvin's Pneumatology for the Worship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Boston Universdity, 1996. 이은선, 칼빈의 신학적 정치윤리, 총신대학교, 1996. 최윤배, De verhouding tussen pneumatologie en christologie bij Martin Bucer en Johannes Calvijn, Apeldoorn, 1996. 강경림, 칼빈과 니고데모주의, 총신대학교, 1997. 이정숙, Excommunication and Restoration in Calvin's Geneva, 1555-1556,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7. 김재성, Unio Cum Chris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Calvin's Theology,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1998. 박성현, John Calvin on Providence: The Relation of Providence to the Secondary Cause and Man's Sin, Calvin Theological Seminary, 1998. 안명준, Brevitas et Facilitas, A study of a vital aspect in the theological hermeneutics of John Calvin, University of Pretoria, 1998. 김재혁, Understanding of John Calvin's Doctrine of Salvation, Bernadena University, 1999. 황대우, Het mystieke lichaam van Christus: de ecclesiologie van Martin Bucer en Johannes Calvin, Apeldoorn, 2002. 신경수, Calvin's Theology of Holiness: A Study of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Calvin's doctrine of sanctification and Christian social ethics, and its implications for his view of reform in Geneva, University of Aberdeen, 2002. 문병호, Lex Dei Regula Vivendi et Vivificandi :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in the light of His concept of Christus Mediator Legis, University of Edinburgh, 2003. 안인섭, Augustine and Calvin about Church and State: A Comparison, Kampen Theological University, 2003. 박경수, John Calvin as an Advocate of Church Unity: A New Portrait of John Calvi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04. 조진모, Persevere in Sufferring with Good Conscience: John Calvin's View of Christian Suffering with a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Preserv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04. 오형국, 칼빈의 신학과 인문주의, 한국교원대학교, 2005. 추연옥, 칼빈의 신학에서 'fides qua creaditur' 평택대학교, 2005 윤천석, 칼빈신학에 있어서 교회본질 이해, 평택대학교, 2006 윤광원, 평택대학교, John Calvin의 신학에서 Abnegatio Nostri, 2009 = = 칼뱅 연구에 대한 제안 = = 한국에서 칼뱅이 소개되고 수용되는 것은 1910년대 전후이지만 칼뱅에 대한 실제적인 논구는 1970년에 시작되었고, 1980년대 이후 구체적인 연구가 나타나게 된다. 1980년대 이후는 실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체 문헌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칼뱅 연구의 행방을 정리하는 일이 남아있다. 해방 이전까지는 칼뱅, 혹은 칼뱅주의에 대한 관심이 미미했으나 선교사 함일돈과 박형룡은 이 신학 체계를 확립하고자 공헌했던 인물이었다. 프린스톤신학교 출신인 함일돈은 메이첸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인물로서 변증학 분야와 창세기 연구에 상당한 식견을 가진 학자였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 숭실전문학교 교수로 봉직했던 그는 신학지남 19권, 4, 5, 6호 (1937년 7, 9, 11월호)에 〈칼빈주의〉라는 제목의 논설을 발표했는데, 이것이 한국에서의 ‘칼빈주의’라는 제목의 최초 논문이었다. 그는 이 글을 통해 칼뱅주의라는 신학 체계를 소개했다. 박형룡은 1937년 로라인 뵈트너의 The Reformed Doctrine of Predestination를 칼빈주의 예정론이란 제목으로 역간했는데, 이 책은 칼뱅주의 신학에 관한 최초의 역서였다. 특히 알미니안과의 비교를 통해 칼뱅주의 예정론을 석명한 이 책을 역간한 것은 한국 장로교회에 칼뱅주의적인 교의를 확립하고자 하는 역자의 의도가 있었다. 앞으로 한국에서의 칼뱅 연구는 원본을 통한 연구와 서구 신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평가 그리고 칼뱅의 주석과 설교에 나타난 해석학에 대한 연구를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또한 칼뱅주의의 대세인 장로교회가 많은 한국교회에서 비판받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칼빈주의자들의 책임성있는 삶의 방향과 실천이 구체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 = 관련 문서 = = 요한 칼빈 탄생 500주년 기념사업회 칼빈연구 = 자루비노 = 자루비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자루비노 (프리모르스키 지방): 러시아 연해주의 도시 자루비노 (노브고로드 오블라스트): 러시아 노브고로드주의 이전 정착지 자루비노: 러시아의 여러 시골 지역의 이름 = 170년대 = 세기 1세기 - 2세기 - 3세기 연대 160년대 - 170년대 - 180년대 해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70년대는 170년부터 179년까지를 가리킨다. = 베를린 카로역 = 베를린 카로역은 베를린 팡코구의 카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S반 승강장에는 베를린 S반의 S2 노선의 열차 및 니더바르님 철도의 RE 열차가 정차한다. 열차선에는 별도의 승강장이 없다. = = 역사 = = 1882년 11월 15일 베를린-슈체친선 개통 당시에 카로(Carow)역이 개업했다. 개통 초기에는 베를린과 베르나우 간 근교선 열차가 운행했다. 1901년에 현재의 이름인 카로(Karow)로 개칭되었다. 1911년부터 1916년까지 복복선화 공사가 진행되었다. 승강장 외에도 새로운 장거리 열차선이 건설되어 근교선과 장거리선 영업이 분리되었다. 1924년 8월 8일에는 근교선이 전철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베를린 화물 외곽순환선이 건설되었고 카로역 일대에서 슈체친선과의 연결선이 건설되었다. 노선의 서부 구간은 지어지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전쟁 배상으로 근교선과 장거리선의 각각 복선 궤도의 서쪽 궤도가 철거되었다. 화물 외곽순환선은 철거되었다가 1949년에 재건설되었다. 1950년에는 베를린 카로-피히텐그룬트선이 건설되어 베를린 북부선과 연결되었고, 카로역의 장거리선에 신호장이 건설되었다. 몇 년 후에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새로 건설되어 화물 외곽순환선의 기능을 대체했고, 이 노선은 카로역 남쪽의 카로 분기점(Karower Kreuz)에서 슈체친선과 교차한다. 카로역에서 외곽순환선의 양방향으로 연결선이 분기한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하이데크라우트선 열차는 바스도르프역에서 카로역 방면을 본선으로 사용했으며, 카로역의 장거리 열차선을 통과하여 블랑켄부르크역에 종착했다. 1976년에 블랑켄부르크역에 설치된 하이데크라우트선 승강장이 철거되면서 카로역 정차로 변경되었고, 이때부터 베를린 S반과 같은 승강장에 정차했다. 카로-바스도르프 및 반들리츠제까지의 구간은 전철화에서 베를린 S반에 편입하려는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2010년 7월 7일부터 북부 출입구 및 버스 승강장이 있는 새로운 역 광장이 개업했다. 베를린시와 독일 연방정부의 예산으로 역 개보수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역 전체적인 점자 블록과 승강장 조명이 개선되었다. = = = 미래 = = = 카로 분기점 일대에 새로운 베를린 카로어 크로이츠역이 건설될 예정이며, 지역간 열차 및 S반 S2 열차가 정차할 예정이다. 카로어 크로이츠역이 개통되면 더 이상 카로역에 RB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슈체친선 개량 공사 과정에서 역 건설 선시공부가 같이 건설되었으나, 카로어 크로이츠역의 착공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 = = 시설 = = 장거리선 2선에는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S반선 2선에는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S반 1번선 남쪽으로는 측선 110번선이 연결되어 있다. 역 남북으로는 양방향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바스도르프 방면 열차가 역에 장시간 정차해 있을 때 반대 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다. 하이데크라우트선은 이 역 북쪽에서 분기하며 S반선 위쪽을 입체 교차로 지나간다. 열차선은 남쪽에서 베를린 순환선의 양방향으로 연결된다. 2021년부터 슈체친선의 장거리선이 다시 복선이 되었다. = = 사고 = = 2009년 4월 16일 오후 10시 17분에 슈베트 방면에서 오던 약 80 km/h로 운행하던 RE 38399 열차가 PCK 정유소에서 출발하여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었던 약 40 km/h로 운행하던 FTZ 53185 화물 열차를 추돌했다. LPG조차 24량이 추돌 충격으로 인해 멈췄다. RE 열차의 선두 객차의 일부분은 기관차로 뚫고 들어갔다. 두 열차가 모두 탈선했으며 크게 손상을 입었다. 피해액은 약 80만 유로로 계산되었다. RE 열차의 승객 24명 중 11명이 경상을 입었고, 기관사는 중상을 입었다. 이 구간 관제사도 사고의 충격으로 병원에 입원했다. 사고 직전에 선로에 있었던 화물 열차는 카로역의 진입과 출발신호기 사이에서 약 10 km/h로 감속했다. 화물 열차 기관사는 진로가 잘못 현시되었다고 밝혔다. 당시 카로역 일대에서 진행 중인 공사로 인하여 우회했어야 했지만 관제사는 이 사실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었다. 진로를 수정한 후 관제사는 출발신호기에 출발을 현시했으나, 오류로 인하여 화물 열차 뒤편에 있었던 출발신호기에도 대기 없이 출발 신호를 현시했다. 화물 열차는 카로역 2번선의 진입과 출발 신호기 사이에서 약 10 km/h로 감속했다. 열차 기관사는 출발 신호기의 진로가 잘못 현시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당시 카로역 일대에서 진행 중인 공사로 진로가 변경되어야 했지만 관제사는 이 사실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았다. 관제사 측에서 진로를 변경한 후 화물 열차의 출발 신호기가 변경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진입 신호기에도 화물 열차가 출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 신호를 현시해 버렸다. 그 결과 후행 RE 열차의 중계 신호기에 통과 신호가 현시되었고, RE 열차의 기관사가 속도를 높였으나 화물 열차와의 추돌이 불가피했다. 2011년 9월에 관제사의 책임을 물어서 1750유로 벌금형이 선고되었다. = = 인접 정차역 = = 베를린 버스 350번과 환승할 수 있다. = 디지털 데빌 이야기 여신전생 = 디지털 데빌 이야기 여신전생 (デジタル・デビル物語 女神転生) 은 1987년 9월 11일에 남코에서 발매된 패미콤 전용 소프트웨어이다. 남코트 패밀리 컴퓨터 게임 시리즈의 제 29탄으로 1995년에 구약 여신전생이란 이름으로 슈퍼 패미컴 용으로 리메이크되어 발매되었다. 2004년부터 휴대전화 용으로도 발매되고 있다. 후에 본래 개발사인 아틀라스에 의해 시리즈화된 여신 전생 시리즈의 시작이 된 작품이지만, 발매가 남코에서 아틀라스 자체 판매로 바뀔 때 진 여신전생 (1992년) 이란 이름으로 바뀌고 시스템 면에서 몇가지 요소를 이은 외엔 완전히 독립된 작품으로 제작되었기에 본 작품 및 디지털 데빌 이야기 여신 전생II의 이야기는 차후의 진 여신 전생 시리즈와 무관하지 않다. = 분류:네바다주 출신 음악가 = = 소년, 소녀를 다시 만나다 = 소년, 소녀를 다시 만나다는 MBC에서 2013년 10월 17일에 방영한 드라마 페스티벌 시즌 1의 세 번째 작품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김태훈 : 형구 역 최정윤 : 신나 역 노태엽 : 조셉 역 이열음 : 하경 역 김한 : 병오 역 = 김남우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김남우: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김남우 (축구 선수) = = 가공 인물 = = 시네마틱드라마 SF8의 등장 인물 시를 잊은 그대에게의 등장 인물 푸른노을의 등장 인물 = 주찬옥 = 주찬옥(朱賛鈺, 1958년 1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이다. 1988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매혹으로 데뷔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중앙대학교 교수진 소개 참고. = = 학력 =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 = 생애 = = 중앙대 문예창작학과를 나온 후 1980년 KBS 라디오국에서 구성작가로 활동하다 1982년 MBC 라디오국으로 옮겼다. 이후 1988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매혹을 통하여 드라마 작가로 데뷔 후 여러 편의 단막극을 썼는데 그 후 원미동 사람들의 각색을 맡으면서 미니시리즈도 쓰기 시작했다. 첫 작품인 매혹부터 황인뢰 연출가와 함께 많은 작품을 같이 했으며, 대부분 작품을 MBC 문화방송에서 활동을 했다. 하지만, 그 동안 같이 작업해 온 황인뢰 PD의 프리랜서 선언 등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한동안 방황해 왔다가 2001년 아침연속극 외출로 집필활동을 재개했고 그 이후 한동안 SBS 위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 = 집필 활동 = =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방송사 유형 연출 비고 2014 운명처럼 널 사랑해 MBC 수목 이동윤김희원 조진국과 공동집필 2011 남자를 믿었네 MBC 일일 이은규최은경 2007 로비스트 SBS 수목 이현직부성철 최완규와 공동집필 2005 환생: 넥스트 MBC 월화 연출다수 작가 다수 2004 열정 MBC 아침 한철수 2003 베스트극장 - 절집 아이들 MBC 단막 배한천 2001-2002 외출 SBS 아침 이현직 1998 수줍은 연인 MBC 수목 최창욱안판석 1998 사랑 MBC 월화 이진석 중도 하차시청률이 낮다는 이유로 멜로에서 트렌디 드라마로 바꾸자는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자 3,4부는 작가도 모른 채 각색되었으며 5부에서는 보조작가라는 명목으로 대본 작업에 참가하면서 집필을 포기하게 되었다. 1995 누군들 축복을 원치 않으랴 - 제1화 강 건너 사랑 MBC 특집 이은규 1994 천국의 나그네 MBC 아침 황인뢰 1994 마흔 살에 얻은 행복 MBC 특집 정세호 1993 베스트극장 - 서울 이야기 2 MBC 단막 황인뢰장용우정세호 1993 베스트극장 - 서울 이야기 1 MBC 단막 황인뢰최창욱박종 1992-1993 여자의 방 MBC 수목 장두익 1992 베스트극장 - 누군가를 사랑하려는 이유 MBC 단막 황인뢰 1991 고개숙인 남자 MBC 주말 황인뢰 1990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MBC 월화 황인뢰 1990 사랑해 당신을 MBC 아침 이은규 1989 천사의 선택 MBC 월화 황인뢰 1989 스타 탄생 MBC 일일 조중현 어린이 드라마 1989 초대받지 않은 여행 MBC 특집 이승렬 1989 베스트셀러극장 - 실명기 MBC 단막 장두익 1989 베스트셀러극장 - 말괄량이 길들이기 MBC 단막 황인뢰 1988-1989 푸른 계절 MBC 주간단막 김종학 작가 다수 1988 베스트셀러극장 - 샴푸의 요정 MBC 단막 황인뢰 1988 베스트셀러극장 - 미망인 MBC 단막 황인뢰 1988 원미동 사람들 MBC 월화 김지일 1988 베스트셀러극장 - 제3의 사나이 MBC 단막 황인뢰 1987 베스트셀러극장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MBC 단막 황인뢰 1987 베스트셀러극장 - 피아노 살인 MBC 단막 황인뢰 1987 베스트셀러극장 - 마의 사랑 MBC 단막 황인뢰 1987-1988 푸른교실 MBC 주간단막 이진석 작가 다수 1987 베스트셀러극장 - 매혹 MBC 단막 황인뢰 = = = 영화 = = = 1997년 《패자부활전》 (각본) 1997년 《꽃을 든 남자》 (원안) 2007년 《바람 피기 좋은 날》 (각색) = 몰리에르 (영화) = 몰리에르(Moliere)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로랑 티라르 감독의 2007년 드라마 영화이다. 로망 뒤리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올리비에 델보스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로망 뒤리스 파브리스 루치니 = = = 조연 = = = 로라 모란테 에두아르 바에르 루디빈 사니에 파니 발렛 소피 샤롯 허슨 아리에 엘마레 에릭 베르제 앤 수아레즈 니콜라스 바데 필립 뒤 자네르랑 피에르 라플레이스 윌프레드 베나이치 프랑수아 시빌 장 미셸 라미 마리 길리-피에르 이자벨 비타리 다비드 카펠 프레더릭 롱보이스 스테판 포앙키노스 안톤 블랑크포트 쟝-끌로드 제이 = = 제작진 = = 미술: 프랑수아 듀페튜스 배역: 스테판 포앙키노스 = 오륜운수 = 오륜운수(五輪運輸)은 경기도 하남시의 마을버스 회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284번길 59 (상산곡동)에 위치해 있고, 초광로 286 (초이동)에 초이동지점을 두고있다. 계열사로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청록운수, 강남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은곡운수 등이 있다. = = 역사 및 현황 = = 2007년 10월 하남시 감북동에서 둔촌동역을 운행하는 7번, 7-1번 정림에서 둔촌동역을 운행하는 8번 노선을 운행하는 감북운송(甘北運送)을 인수하여 삼성교통(三成交通)으로 법인전환하였다. 2012년 1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청록운수에 인수되었다. 2013년 승민교통을 인수하여 오륜운수로 변경 통합하면서 초이동지점을 신설하였다. 2014년 1월 본사를 하남시 상산곡동으로 이전하였다. = = 운행 노선 = =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분) 비고 6 초이농협 ↔ 송림 지지미, 초이동주민센터, 광암동, 주심사우나 30 6-1 초이농협 ↔ 공영사입구 충청원예농장, 항공대후문, 상화울한솔아파트 35 7 서부초교 ↔ 둔촌역 갈미, 안촌, 배다리 45 8 감일교차로 ↔ 둔촌역 감일동행정주민센터, 감일스윗시티10단지, 동북중고, 둔촌사거리 50 = = 미운행 노선 = = 아래 노선은 삼성교통이 분리되어 삼성교통에서 운행 중인 노선이다. ● 5번: 망월동 ↔ 검단산입구 ● 7-1번: 갈미 ↔ 둔촌동역 = = 보유 차량 = = 전 차량이 포톤 자동차 그린타운, 카운티, 킹롱 시티라이트9으로 운행하고 있다. = 분류:광저우시의 교육 = = 정사 (2001년 영화) = 정사는 2001년 공개된 영국의 코미디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크 라이런스 케리 폭스 티모시 스폴 어라스테어 걸브레이쓰 필리페 칼바리오 마리안느 페이스풀 = = = 조연 = = = 조 프로스페로 수자나 하커 레베카 R. 파머 = = 기타 = = 원작자: 하니프 쿠레이시 미술: 헤이든 그리핀 의상: 캐롤라인 드 비베스 = 비금 성치산성 = 비금 성치산성은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광대리에 있다. 2000년 1월 31일 신안군의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광대리의 성치산 정상부에 축조된 산성으로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전해오지만, 이와 관련한 문헌은 없다. 비금 성치산성 = 니호늄 = 니호늄(Nihonium)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Nh, 원자 번호는 113이다. 초우라늄 원소의 일종이며 다른 초악티늄족 원소에 비해 반감기가 길다고 생각된다. 모스코븀의 알파 붕괴 과정에서 실험적으로 약 1.2초간 관측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344마이크로초에 붕괴한다고 한다. 이 원소는 주기율표에서 탈륨의 아래에 위치해 있으므로 탈륨과 비슷하게 상온에서 고체일 것으로 추측된다. = = 발견 = = 2004년 2월 1일, 러시아의 두브나 원자핵공동연구원(JINR)과 미국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의한 합동 연구팀이 115번 원소 모스코븀의 합성에 성공하고, 모스코븀의 알파 붕괴 과정에서 11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지만, 그 당시까진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명명권은 얻지 못했다. 2004년 9월 28일, 일본의 이화학연구소가 발견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였다. 선형가속기 리니액으로 1초에 2.5조개의 아연 원자핵의 광선을 비스무트 원자핵에 조사하는 실험을 80일간 반복하고, 약 1.7×1019여 회 충돌시킨 결과, 7월 23일의 실험에서 양 원자의 융합으로 인한 니호늄-278 원자를 하나 발견했다고 한다. 2012년 8월 12일에 이화학연구소가 다시 니호늄-278원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12월,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에서 모스코븀, 테네신, 오가네손과 함께 발견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 이화학연구소가 발견자로 인정되어 명명권을 얻게 되었다.원자번호 113, 115, 117, 118의 발견과 할당 (Discovery and Assignment of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113, 115, 117 and 118) . IUPAC (2015-12-30) = = 이름 = = 2016년 3월, 이화학연구소 연구팀 리더인 모리타 고스케 교수는 새 원소의 이름으로 니호늄(Nihonium)을 IUPAC에 통보했다. IUPAC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들은 후, 2016년 말에 공식적으로 원소 이름을 결정한다. 새 이름이 결정될 때까지는 IUPAC이 부여한 임시 이름인 "우눈트륨"이 쓰인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원소를 멘델레예프 명명법에 따라 "에카-탈륨"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원소 이름으로 "자포늄"(Japonium, Jp)이나 "리케늄"(Rikenium, Rk;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약어인 리켄에서 유래) 등이 제안되기도 했다. 2016년 6월 8일, 우눈트륨의 발견자인 일본 이화학연구소는 원소의 이름을 니호늄(Nihonium, Nh)으로 최종 결정,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도 이날 113번 원소 명명안 발표에서 원소의 명명법을 니호늄으로 결정했다. 제안된 이름 설명 니시나늄(Nishinanium) 일본의 물리학자 니시나 요시오 니호늄(Nihonium) 일본의 일본어 발음 "니혼" 리케늄(Rikennium) 이화학연구소의 약칭 리켄(RIKEN) 자포늄(Japonium) 일본의 라틴계 언어 이름 = = 화학적 성질 = = 스핀-궤도 상호작용 탓에 7p 오비탈중 하나가 특별히 안정해져서 13족 원소의 가벼운 동족원소와는 성질이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 분류:지옥을 소재로 한 노래 = = To Hell with God = To Hell with God는 2008년에 발매된 디어사이드의 음반이다. = 분류: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동문 = = 4대 사회악 = 4대 사회악은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 박근혜가 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였을 때, 척결 또는 근절해야 할 4가지의 범죄로 발표한 공약으로,박근혜, 수도권 공략…"권력다툼에 민생 외면" SBS, 2012.12.08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으로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경찰청의 관련 수사대 출범경찰 "성폭력 등 4대 사회악 척결할 것" 뉴스와이, 2013.02.27 및 박근혜 전대통령의 4대 사회악 척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 지시에 의해 척결 또는 근절해야 할 범죄를 의미하는 단어이다.박근혜 대통령 "4대악 근절, 경찰이 역할해야" YTN, 2013.03.14 = = 내용 = = 4대 사회악은 아래와 같은 4가지의 범죄를 의미한다. 성폭력 학교 폭력 가정폭력 불량식품 유통 = 분류:닛케이 225 = = Prostitute = Prostitute는 1994년 8월 26일에 발매된 알파빌의 음반이다. 워너 뮤직 그룹에 의해 발매되었다. = 백 텀블링! = = 아리랑로 = 아리랑로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아리랑로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도로이다. 아리랑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아리랑로는 전라북도 김제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아리랑로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 제3보병사단 = 제3보병사단, 제3소총병사단은 다음과 같다. 제3보병사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3보병사단 (그리스) 제3보병사단 (뉴질랜드)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제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3보병사단 (미국) 베트남 제3보병사단 (베트남 공화국) 제3보병사단 (베트남 인민군) 소련 제3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제3차량화소총병사단 제3소총병사단 (소련) 제3보병사단 (에스토니아) 제3보병사단 "친디스", 영국령 인도 제3보병사단 (이라크) 제3보병사단 라벤나, 이탈리아 제3보병사단 (콜롬비아) 제3보병사단 (캐나다) 제3보병사단 (태국) 제3레기온스보병사단, 폴란드 프랑스 제3알제리 보병사단 제3식민지보병사단 제3카르파티아소총병사단, 폴란드 제3보병사단 (필리핀) = 모닝 = 모닝(morning)은 아침을 뜻하는 영어 단어이다. 모닝은 기아자동차의 차종이다. 모닝은 일본의 주간 만화 잡지이다. = = 음악 = = = = = 음악 그룹 = = = 모닝은 대한민국의 여성 4인조 그룹이다. = = = 노래 = = = Morning: 벡의 2014년 음반 Morning Phase의 노래 Morning: 자라 라슨의 2021년 음반 Poster Girl의 노래 = = 인명 = = 알론조 모닝: 현재 은퇴한 NBA 농구 선수 = 노라조 = 노라조(努喇鳥, Norazo)는 팝 록 음악을 하는 대한민국의 2인조 음악 그룹으로, 조빈과 원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룹명은 ‘놀아줘’로 들리는 우리말에 ‘나팔을 불기 위해 애쓰는 새’라는 뜻의 ‘努喇鳥’를 겹치게 만든 한자 조어로, ‘노래는 라이브가 좋다’를 뜻하기도 한다. 이들은 노래 실력과 상반된 개그 컨셉을 가지고 활동한다. 또, 기계음을 사용하지 않으며 립싱크도 전혀 하지 않는다고 한다. = = 구성원 = = 이름 소개 조빈 본명 : 조현준 출생일 : 포지션 : 리더, 보컬, 퍼포먼스 경력 : 3인조 그룹 T.G.S (Total Gift Set) 활동기간 : 2005년 8월 2일 ~ 현재 원흠 본명 : 조원흠 출생일 : 포지션 : 보컬, 퍼포먼스 경력 : 3인조 그룹 JAM(果宝酱) 활동기간 : 2018년 8월 21일 ~ 현재 = = = 이전 구성원 = = = 이름 소개 이혁 본명 : 이재용 출생일 : 포지션 : 보컬, 기타 경력 : July 보컬, Openhead 보컬 활동기간 : 2005년 8월 2일 ~ 2017년 2월 9일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첫 출연 발매일: 2005년 8월 2일 날 찍어 해피송 착한 용길이 복수무정 Sale 은퇴 선언 몰래 몰래 사랑가 날 찍어 Remix 해피송 Remix 2 미성년자불가마 발매일: 2007년 3월 13일 누님 순간 이동 사생결단 동그라미 굿바이 로맨스 열혈남아 애리조나에서 온 봉자 사나이 순정 오빠 잘할 수 있어 27864315 슈퍼히어로 강철근 별을 따다 (사랑가Part2) 3 Three GO 발매일: 2008년 11월 20일 슈퍼맨 동네 한바퀴 연극 내.도.소(내 도망간 여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귀여워 희망가 9회말 2아웃 사랑의 행진곡 꿀 한 통, 설탕 한 스푼 (사랑가3) 슈퍼맨 Remix 동네 한 바퀴 Remix 4 환골탈태 발매일: 2010년 4월 20일 Rock Star 구해줘 카레 황조가 (黃鳥家) 정신줄을 놓자 하바바 움파 외계인 Book 러브 파이터 - (사랑가 4) 형 (兄) 고등어 미안해요 사랑해요 변비 (忭悲) 자블라니 잡아라 (월드컵 송) 5 전국제패 발매일: 2011년 11월 4일 Desperado 판매왕 효도 시간의 끝에서 김치 Andromeda 빨간날 Mother of mine 멍멍이 포장마차 송곳 Gaia = = = 싱글 = = =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대한민국 발매일: 2006년 4월 25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Ver.2) 2 여름싱글 발매일: 2009년 7월 8일 고등어 미안해요..사랑해요 3 야심작 발매일: 2009년 12월 1일 형 (兄) 변비 (忭悲) 형 (兄) (Inst.) 4 2010 노라조 남아공 월드컵 송 발매일: 2010년 3월 10일 자블라니 잡아라 5 표절작 발매일: 2010년 10월 6일 널 부르다(Feat. Kimm) 6 멍멍이 발매일: 2010년 12월 16일 멍멍이 7 포장마차 발매일: 2011년 5월 6일 포장마차 송곳 8 빨간날 발매일: 2011년 9월 22일 빨간날 (Metal Ver.) 빨간날 (Dance Ver.) 9 여자사람 발매일: 2012년 5월 4일 여자사람 10 야생마 발매일: 2013년 11월 13일 야생마(Feat. 노홍철) 야생마 (Inst.) 11 First Evo.7 발매일: 2014년 9월 23일 프로덕션 사가 萬病通治歌 (만병통치가) 남자훈련소 12 니 팔자야 발매일: 2015년 2월 16일 니 팔자야 니 팔자야 (DL REMIX) (HARD STYLE) 니 팔자야 (Inst.) 13 멍멍이와 냥이 발매일: 2016년 2월 4일 멍멍이 냥이 멍멍이 (Inst.) 냥이 (Inst.) 14 사이다 발매일: 2018년 8월 21일 사이다 사이다 (Inst.) 15 샤워 발매일: 2019년 7월 17일 샤워 샤워 (Inst.) 16 빵 발매일: 2020년 11월 19일 빵 빵 (첫차맨 REMIX) 카레라면 17 야채 발매일: 2021년 4월 29일 야채 야채 (Inst.) 18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 발매일: 2021년 9월 23일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 (Inst.) = = = OST = = =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꿀단지 (내게도 사랑이) 발매일: 2010년 9월 17일 내게도 사랑이 2 치이고 박히고 무능상사 발매일: 2014년 5월 12일 치이고 박히고 무능상사 치이고 박히고 무능상사 (GAME Ver.) 3 가화만사성 OST Part 2 발매일: 2016년 3월 12일 에라 모르겠다 에라 모르겠다 (Inst.) 4 다시 시작해 OST Part 7 발매일: 2016년 7월 5일 보내도 보내지 않습니다 보내도 보내지 않습니다 (Inst.) 5 열혈사제 OST Part 1 발매일: 2019년 2월 22일 우리동네 HERO 우리동네 HERO (Inst.) = = = 콜라보레이션 = = = 순서 정보 트랙 리스트 1 마리오랑 노라조 (with 마리오) 발매일: 2014년 6월 17일 Man Of Steel(Feat. 웁스나이스) Man Of Steel (Inst.) = = = 피처링 = = = 2010년 8월 13일 MadTeam - 〈뱅뱅 (디제이 레코드처럼)〉 2017년 1월 9일 HANG5VA - 〈신데렐라〉, 〈신데렐라 (Ferry Remix)〉, 〈신데렐라 (SAM&SP3CK Remix)〉 = = 음반 외 활동 = = = = = 단독 콘서트 = = = 2010년 5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 동안 서울, 홍대 브이홀 (V-Hall)에서 단독 공연 "더 노라조 쇼"를 개최하였다.스포츠 칸 - 2010년 4월 2일 기사 - "엽기 듀오 노라조 '더 노라조 쇼' 신설" = = = 방송출연 = = = 2018년 MBC 나 혼자 산다 2018년 KBS2 1 대 100 2018년 JTBC 한끼줍쇼 2018년 JTBC 아는 형님 2019년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2019년 채널A 행복한 아침 2019년 JTBC 아는형님 - 게스트 (with UV) 2019년 MBC 주말 특별기획드라마 《황금정원》-전국노래자랑 참가자 안노라조 역 (특별출연) 2019년 KBS joy 무엇이든 물어보살 2020년 KBS2 음치는 없다 엑시트 2020년 MBC 백파더: 요리를 멈추지 마! 2020년 MBC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게스트 931회 2020년 MBC 전지적 참견 시점 = = 수상 경력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9 제17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가요부문 10대 가수상 2010 서울 석세스 어워드 가수부문 2019 제4회 동아닷컴‘s PICK 저세상 비주얼 진(眞)상 2020 MBC 방송연예대상 베스트 드레서상 백파더 : 요리를 멈추지 마! = 소녀전선 (애니메이션) = 소녀전선은 게임 소녀전선을 원작으로 한다. = 언어 능력 = 언어능력은 언어 수행과 구별되어, 한 언어의 체계, 즉 문법 규칙, 어휘, 언어의 모든 조각들과 이 조각들이 어떻게 서로 맞는가에 대한 인간의 기저 지식이다. 언어능력과 구분되는 언어수행은 실제의 표현(말하기, 쓰기) 또는 언어적 사건에 대한 이해(듣기, 읽기)이다. = = 촘스키 = = 노엄 촘스키는 '언어능력이란 화자가 언어에 관해서 알고 있는 것,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을 만들어 내는 화자의 모든 능력을 나타낸다. 실제의 발화는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에 불과한 것이다. 그는 모국어를 말하는 사람은 그의 언어를 말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는 규칙의 집합을 내재화하고 있다.'고 한다. 인간은 무한히 많은 수의 문장을 만들고 이해한다. 과거에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문장을 말할 수 있고 또 들어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언어능력은 이론상 무한히 많은 수의 문장과 무한히 긴 문장을 만들고 이해할 수 있는 창조적인 것이다. 촘스키에게 있어서 언어학자의 임무는 화자가 언어에 관해서 알고 있는 것, 즉 언어능력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지, 화자가 언어를 다루는 것, 즉 언어수행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그는 언어수행을 연구하기 위해서 여러 요인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하지만 청-화자의 기저 언어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촘스키의 표준이론에 의하면 언어능력은 모국어 화자가 실제로 하는 발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언어에 관한 지식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실제 발화는 언어수행에 불과한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모어(母語) 화자들은 그 언어를 말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기저를 이루는 규칙의 집합을 내재화하고 있는 셈이라고 한다. 영어 모어 화자가 무의식적으로 규칙을 내재화하는 한 예로, linger와 singer, anger와 hanger를 살펴 볼 수 있다. 앞의 단어를 잘 들어보면 짝지어진 두 낱말의 발음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inger와 anger는 〔g〕가 있는 것처럼 발음되는데, 이 〔g〕소리는 singer와 hanger에서는 들리지 않는다. 이러한 짝지어진 낱말을 더 살펴보면, 하나의 규칙이 드러나는데, 한 낱말이 동사의 어미 –er에 붙어서 만들어지게 되면 〔g〕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지않은 경우에는〔g〕소리가 난다. 이 규칙은 화자가 언어학자나 언어교사가 아니면 의식하고 있지 않는 규칙인데, 예를 들어 bringer와 같은 단어를 접하게 되면, 영어 화자는 자동적으로〔g〕소리 없이 발음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이 단어가 동사에 어미 –er이 붙어서 된 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Longer와 같은 단어에서는〔g〕소리를 쓰는데, 그 이유는 long이 동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무한한 문장을 만들고 이해한다. “The young orangutan strummed the old red banjo.”와 같은 문장을 영어 모어화자 중에서 한 번도 들어 본 적이 없는 사람도 듣거나 읽음으로써 이해 가능하다. 즉, 과거에 한 번도 들어 본 적이 없는 문장을 말할 수 있고, 또 들어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언어능력은 이론상 무한히 많은 수의 문장과 무한히 긴 문장을 만들고 이해할 수 있는 창조적인 면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인간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면서도 여러 가지 이유로 그 능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게 마련인데, “Dogs chase the cats that ate rats which ate cheese.”처럼 관계대명사절이 여러번 겹쳐진 영어 문장은, 영어 모어 화자도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을 실제로 써 놓고 앞뒤 문맥을 따라 가다 보면 관계대명사가 상당히 많은 문장도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실제로는 관계사절이 많은 문장을 이해할 수 있지만 기억력의 제한으로 이해하는 데 곤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실제의 언어수행과 언어능력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언어학자는 화자가 말하는 말을 관찰함으로써 언어능력을 조사할 수도 있지만, 개개인의 언어수행의 일부인 실제의 발화는 그 자체가 조사의 대상이 아니며 그것은 언어능력에 대한 증거의 일부가 될 뿐이다. 전술한 내용 즉, 모어 화자가 지니고 있는 내재화된 언어능력을 추상적으로 체계화한 것이 바로 촘스키가 제안한 심층구조이다. 또한 문법은 이러한 언어능력이라는 무의식적인 인간고유의 실재를 형식화한 것이다. 촘스키는 언어능력이 화자가 언어에 관해서 알고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여기서 더 발전되어 언어능력은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을 만들어 내는 화자의 모든 능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여러 가지 언어 사용을 다루는 능력을 나타낸다. = 위상차현미경 = 위상차현미경(位相差顯微鏡, Phase-contrast microscopy)은 물체가 큼에도 불구하고 명암이 없어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자 하는 현미경을 말한다. 네덜란드의 제르니케가 1935년에 고안하였다. 살아 있는 세포는 보통 무색 투명에 가깝기 때문에 내부 구조의 식별이 곤란하다. 그래서 광학 현미경의 집광기를 빼고 그 대신 위상판이 든 대물 렌즈와 집광기를 부착하여 관찰하면 살아 있는 세포내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위상판은 그곳을 통과하는 직접광이나 회절광의 한쪽 파장을 빗나가게 하여 직접광을 적당히 흡수하고, 물체의 광학적 두께(물체의 굴절률과 두께의 제곱)의 차를 명암의 차로 바꾼다. 이리하여 위상차 현미경은 생세포 연구에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 분류:나라별 생리학자 = = 슬픈 발걸음 (구두 II) = 슬픈 발걸음’은 ‘구두II’라는 부제를 갖고 있는 곡으로, 씨야의 1집 수록곡 ‘구두’의 연장선상에서 만들어진 발라드 곡이다. = = 순위 및 수상 기록 = = Mnet 《M! Countdown》 2008년 1월 31일 1위 - 《슬픈 발걸음》 SBS 《인기가요》 "뮤티즌 송" 2008년 1월 20일 수상 - 《슬픈 발걸음》 =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는 일본의 소니가 1987년 미국에 설립한 소니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자회사이자 다국적 미디어 지주회사다. = = 역사 = = 1987년 9월 1일, 코카콜라 컴퍼니가 1982년부터 소유한 콜럼비아 픽처스의 자산을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트라이스타 픽처스의 지분 39.6%를 소유한다. 3달후인 12월 21일에 콜럼비아 픽처스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다. 1989년 9월 28일, 코카콜라 컴퍼니는 40억달러를 소니에 매각하고 Guber-Peters Entertainment Company, Inc를 인수해 Peter Guber 와 Jon Peters를 CEO로 영입시킨다. 1991년 9월 24일, 콜럼비아 픽처스 엔터테인먼트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한다. = = = = 연표 = = = = 1918년: 콜럼비아 픽처스 C. B. C. 필름 세일즈란 이름으로 탄생 1924년 1월 10일: 사명을 콜럼비아 픽처스로 개명함 1928년 11월 18일: 월트 디즈니의 단편 만화영화 <증기선 윌리> 배급 1939년 10월 19일: 프란크 카프라 감독의 영화 <스미스 씨 워싱턴에 가다> 배급 1948년 11월: 스크린 젬스 텔레비전 설립. 1958년 2월 27일: 콜럼비아 픽처스 설립자 해리 콘 사망 1974년 5월 6일: 스크린 젬스 텔레비전 -> 콜럼비아 텔레비전로 사명 변경 1982년 6월 22일: 콜럼비아 픽처스 코카콜라에 인수됨. 1983년 5월 16일: 트라이스타 픽처스 설립 1987년: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설립 1987년 12월 21일: 콜럼비아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설립. 1989년 9월 28일: 콜럼비아 픽처스, 트라이스타 픽처스 모두 소니에 인수됨. 1991년 8월 7일: 콜럼비아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 소니 픽처스 엔터테민먼트로 사명 변경 1992년 1월 1일: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설립. 1994년 2월 21일: 콜럼비아 텔레비전 -> 콜럼비아 트라이스타 텔레비전으로 사명 변경 1994년 11월 23일: 소니 픽처스 릴리징 출범. (콜럼비아 트라이스타 필름 디스부터스 인터내셔널의 레이블) 1998년: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배급 계약만료. 1999년 1월 10일: 콜럼비아 픽처스 탄생 81주년, 창립 75주년. 1999년 6월 4일: 스크린 젬스의 영화 사업부문 설립. 2002년 5월: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설립 2002년 9월 16일: 콜럼비아 트라이스타 텔레비전 ->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으로 사명 변경 2005년: 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출범. 2011년: 소니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출범. 2013년: 영화 & TV 제작사 트라이스타 프로덕션스 출범. 2014년: 콜럼비아 픽처스 탄생 96주년, 창립 90주년을 맞아 소니에서 소유한 영화사의 저작권 표기를 모두 Sony Company로 통일. = 분류:미평가 품질 군사 문서 = = 분류:문경시 = = 부러진 창 = 부러진 창(Broken Lance)은 미국에서 제작된 에드워드 드미트릭 감독의 1954년 모험, 서부 영화이다. 스펜서 트레이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솔 C. 시겔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스펜서 트레이시 로버트 와그너 = = = 조연 = = = 진 피터스 리차드 위드마크 커티 주라도 휴 오브라이언 에두어드 프란즈 얼 홀리먼 E.G. 마샬 칼 벤톤 라이드 필립 오베 로버트 버튼 = = 제작진 = = 미술: 모리스 랜스포드 미술: 라일 R. 휠러 의상: 트라빌라 =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 =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23호이다.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격포리에 있는 후박나무 군락이다. = 분류:브라질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 칼데라 (동음이의) = 칼데라는 다음을 가리킨다. 칼데라: 화산성 분출에 따라 일어나는 붕락에 의해 형성된 화산 지형 칼데라 (칠레) 라파엘 칼데라 로토루아 칼데라 옐로스톤 칼데라 키카이 칼데라 아이라 칼데라 롱 밸리 칼데라 라가리타 칼데라 파카나 칼데라 칼데라 오픈리눅스 라바울 칼데라 타오-루시르 칼데라 = 페르난도 요렌테 = 페르난도 요렌테 토레스(, 1985년 2월 26일, 스페인 팜플로나 ~ )는 스페인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며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 별명은 El Rey León (스페인어로 "라이온 킹")이다. = = 클럽 경력 = = = = = 아틀레틱 빌바오 = = = 요렌테는 1996년 11세의 나이로 아틀레틱 빌바오에 들어갔다. 2003년 CD 바스코니아에서 33경기에 출전해 12골을 넣은 그는 2004년 빌바오의 리저브팀 빌바오 아틀레틱에 들어가 활약하였다. 2005년 1월 16일 RCD 에스파뇰전에서 A팀 데뷔전을 가졌고, 3일후의 코파 델 레이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기록하였으며, 2005-06시즌의 첫경기인 레알 소시에다드와의 바스크 더비전에서 골을 넣었다. 그러나 그는 그 시즌에 위장염, 무릎 통증, 근육 통증때문에 많은 골을 넣지 못하였고, 22경기에 출전해 2골을 넣는데 그쳤다. 2006년 7월 13일 그는 2011년 6월까지 계약을 연장하였다. 2006-07시즌 그는 호세바 에체베리아, 아리츠 아두리스와 이스마엘 우르사이스에 밀려 기회를 많이 잡지 못하였고, 23경기에 나와 2골을 넣었다. 2007-08시즌 시작전 그는 6번의 프리시즌 경기에서 6골을 넣었고, 팀의 주전 공격수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는 초반에 부진하였으나 35경기에 출전해 11골을 넣음으로서 팀이 중위권에 안착하는데 일조하였다. 2008년에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고,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2010년 FIFA 월드컵에도 출전하였다. 2012~2013시즌을 앞두고 챔피언스리그 진출이 가능한 팀으로의 이적을 소망한 요렌테는 구단에 이적을 요구했으나 바이아웃을 제시하는 구단이 아니면 이적시키지 않겠다는 아틀레틱 빌바오 구단의 고유한 정책에 의해 이적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소속팀 감독인 마르셀로 비엘사와 불화를 겪으며 시즌을 거의 벤치에서 보내게 되었다. 결국 2013년 1월 24일 그는 이탈리아의 유벤투스 FC로 계악기간을 6개월 남겨둔 채 보스먼룰로 이적이 확정되었다. = = = 유벤투스 = = = 요렌테는 팀의 메디컬 테스트를 통과하여 2013년 7월 1일 공식적으로 유벤투스의 선수가 되었다. 등번호는 14번을 받았으며 9월 22일, 팀이 2-1로 승리한 엘라스 베로나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세리에 A 데뷔골을 기록했다. = = 기록 = = = = = 대회기록 = = = 아틀레틱 빌바오 (2005~2013) 코파 델 레이 준우승: 2008-09, 2011-12 UEFA 유로파리그 준우승: 2011-12 유벤투스 FC (2013~2015) 세리에 A : 2013-14, 2014-15, 2015-16 코파 이탈리아 : 2014-1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2013-14, 2015-16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 2014-15 세비야 FC (2015~2016) UEFA 유로파리그 : 2015-16 토트넘 홋스퍼 FC (2017~2019)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 2018-19 SSC 나폴리 (2019~2021) 코파 이탈리아 : 2019-20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2009~2013) FIFA 월드컵 : 2010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 201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 2009 = = 국가대표 경력 = = 스페인 U-17, 스페인 U-20, 스페인 U-21, 스페인 성인 국가대표팀까지 처음부터 천천히 올라왔다. UEFA 유로 2008 이후 성인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들었고, 첫 월드컵 출전에 우승을 달성했다. UEFA 유로 2012 최종 엔트리에 들었고, 우승을 달성했다. (메이저 대회 3연패를 기여한 바가 있었다.) 페르난도 요렌테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24경기에 출전해 7골을 터뜨렸다. (이후 2014년 FIFA 월드컵 에서 네덜란드,칠레한테 모두 밀려서 탈락하고 말았다.) = 길소뜸 = 길소뜸은 송길한 각본, 임권택 감독의 1985년 한국 영화이다. 제3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본선에 진출하였다. = = 줄거리 = = 이산가족찾기가 한창인 1983년 여름. 화영은 남편의 권유로 아들을 찾으러 가던 중 회상에 젖는다. 광복과 함께 길소뜸으로 이사가 고아가 되고, 아버지의 친구 김병도씨와 함께 살던 중 김씨의 아들 동진과의 사랑 등. 화영은 우연히 여의도 만남의 광장에서 다른 여자와 결혼했음에도 화영을 기다리는 동진을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6.25 전쟁 중 잃어버린 아들 석철을 떠올리며 함께 찾아나서기로 한다. 석철을 만나자마자 핏줄의 끌림에 아들임을 감지하나, 화영은 밑바닥 인생을 살아온 석철의 무례하고 뭔가 보상받기를 바라는 행동에 이질감을 느낀다. 석철의 흉터와 유전자 검사로 석철이 아들임이 거의 확실해지지만, 화영은 완전한 확증이 아니라면 믿지 못하겠다며 아들임을 거부하고 돌아선다. 동진은 화영의 비정함에 실망하며 화영이 형식적으로 건네준 명함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역시 힘없이 돌아선다. 차를 타고 달리던 화영은 잠시 멈춰 서서 눈물을 흘리지만 다시 제 갈 길로 떠난다. = = 캐스팅 = = 신성일 - 김동진 역 김지미 - 민화영 역 한지일 - 맹석철 역 이상아 - 민화영 아역 김지영 - 맹석철 아내 역 전무송 - 민화영 남편 역 오미연 - 김동진 아내 역 최불암 - 의사 역 김정석 - 김동진 아역 김기수 주상호 허기호 - 화영의 음악선생님 역 = 흐엉선현 = 흐엉선현(한자 표기는 남기육성지여지를 기준으로 한다.)은 베트남 북중부 지방 하띤성의 현이다. = = 행정 구역 = = 흐엉선현은 2시진, 23사를 관할하고 있다. = = =시진 = = = 포쩌우 시진 (Thị trấn Phố Châu, 庯洲市鎭) 떠이선 시진 (Thị trấn Tây Sơn, 西山市鎭) = = =사 = = = 안호아틴 사 (Xã An Hòa Thịnh, 安和盛社) 낌호아 사 (Xã Kim Hoa, 金華社) 꽝지엠 사 (Xã Quang Diệm, 光艶社) 선방 사 (Xã Sơn Bằng, 山憑社) 선빈 사 (Xã Sơn Bình, 山平社) 선쩌우 사 (Xã Sơn Châu, 山洲社) 선장 사 (Xã Sơn Giang, 山江社) 선함 사 (Xã Sơn Hàm, 山咸社) 선홍 사 (Xã Sơn Hồng, 山鴻社) 선낌1 사 (Xã Sơn Kim 1, 山金一社) 선낌2 사 (Xã Sơn Kim 2, 山金二社) 선럼 사 (Xã Sơn Lâm, 山林社) 선레 사 (Xã Sơn Lễ, 山禮社) 선린 사 (Xã Sơn Lĩnh, 山嶺社) 선롱 사 (Xã Sơn Long, 山隆社) 선닌 사 (Xã Sơn Ninh, 山寧社) 선푸 사 (Xã Sơn Phú, 山富社) 선떠이 사 (Xã Sơn Tây, 山西社) 선띠엔 사 (Xã Sơn Tiến, 山進社) 선짜 사 (Xã Sơn Trà, 山茶社) 선쭝 사 (Xã Sơn Trung, 山中社) 선쯔엉 사 (Xã Sơn Trường, 山長社) 떤미하 사 (Xã Tân Mỹ Hà, 新美河社) = 틀:비자유 뮤직 비디오 장면/설명문서 = 이 틀은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시 파일의 설명 하단에 붙이는 저작권 태그입니다. 뮤직 비디오의 정지 화면에 사용합니다. 지침에는 캡처 사진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따르시길 바랍니다. 이 틀은 을 대신하지 않으며, 해당 파일을 이용해야 하는 근거가 부족한 파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틀을 사용한 파일은 자동으로 :분류:비자유 뮤직 비디오 장면에 들어갑니다. = 틀:가문 정보/설명문서 = = = 사용법 = = 변수들 참고 {{가문 정보 }} 기타 변수들은 필요에 따라 추가 예정 = = 인수 = = 인수 목록 인수 지정 내용 기본값 설명 = = 분류 = = 이 틀은 이 틀이 부착된 문서에 아래의 분류를 적용합니다: 분류 설명 = 장 피에르 폰넬 = = 최영미 (방송인) = 최영미(崔英美, 1961년 ~ )은 대한민국 KBS의 前 아나운서였다. = = 학력 = = 숙명여자대학교 무역학과 학사 = = 경력 = = 1985년 KBS 12기 공채 아나운서 = = 방송 진행 = = = = = TV = = = 가족오락관 사랑의 가족 KBS 뉴스 9 KBS 낮 뉴스 = = = 라디오 = = = 내일은 푸른하늘 (KBS 제1라디오) 노래의 날개 위에 (KBS 제1FM) 나의 삶 나의 보람 (KBS 사회교육방송) 우리는 한가족 (KBS 제3라디오) = 다이달로스 = 데이달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건축가이다. 그는 크레타섬의 미노타우로스가 들어가 있는 미로를 만들었다. = = 신화 = = 그는 집 뿐만 아니라 다른 신기한 물건들도 잘 만들어서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러나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이 있으면 질투심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마음이 좁은 사람이었다. 그래서 아테나는 다이달로스에게 벌을 내렸다. 바로 여러 나라를 고생하며 헤매고 다니는 벌이었다. = = = 크레타섬 신화 = = = 한번은 데이달로스 누이가 자신의 열두살 난 아들 페르딕스를 데이달로스 맡겼다. 페르딕스는 영리하여 물고기의 등뼈를 보고 톱을 발명하기도 하고 컴파스를 발명하기도 했다. 데이달로스는 이 어린 조카의 천재성을 시기하여 높은 성채에서 밀어 떨어뜨려 죽여버렸다. 그로 인해 데이달로스 크레타섬으로 쫓겨나 미노스 대왕의 심부름꾼이 되었다. 그곳에서 다이달로스는 미노스의 왕비 파시파에를 위해 나무로 만든 암소를 만들어 포세이돈의 황소와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하기도하고 대리석으로 만든 무용실을 짓고, 괴물을 가두는 미궁도 만들었다. 그러나 이 괴물을 없애려고 아테네의 왕자, 테세우스가 왔을 때 그를 도와주려고 한 아리아드네가 미궁을 탈출하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해서 실뭉치를 주며 탈출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바람에 다이달로스는 미노스의 미움을 받았다. 결국 대왕은 다이달로스와 그의 외아들 이카로스를 높은 탑 안에 가두어 버렸다. 하루는 창가에서 밖을 보고 있던 이카로스는 날아가는 새를 보고 아버지 데이달로스 알렸다. 그리고 대이달로스는 그 때부터 탑 밖으로 날아가서 탈출하기 위해 하늘을 나는 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이카로스에게는 새가 지나가면 즉시 알려 달라고 했다. 얼마 뒤, 좋은 생각이 떠오른 데이달로스는 그들을 감시하는 파수꾼에게 나무와 아주 큰 새의 날개, 초와 실을 가져다 달라고 했다. 파수꾼은 두말 않고 가져다 주었는데, 미노스 대왕이 파수꾼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기 때문이었다. 며칠 뒤, 데이달로스는 튼튼한 날개 두 개를 만들었다. 그리고 자신과 이카로스의 팔에 날개를 끼우고 밖으로 탈출했다. 이카로스는 해를 보고 호기심이 생겨서 점점 가까이 날다가 촛농이 다 녹아 그만 떨어져서 사망하고 말았다. 이때 다이달로스는 바다위의 깃털을 보고 슬퍼했다고 한다. = 캐럴턴 (텍사스주) = 캐럴턴(Carrollton)은 미국 텍사스주의 도시로, 인구는 119,097명이다. = 르완다의 로마 가톨릭 교구 목록 = 르완다의 로마 가톨릭 교구는 1개 관구에 1개 관구장좌대교구와 8개 일반교구로 구성된다 = = 교구 = = = = = 키갈리 관구(Province of Kigali) = = = 키갈리 관구장좌 대교구( Archdiocese of Kigali) 부타레 교구( Diocese of Butare) 창구구 교구( Diocese of Cyangugu) 키콩고로 교구( Diocese of Gikongoro) 카브가이 교구( Diocese of Kabgayi) 키붕고 교구( Diocese of Kibungo) 린도 교구( Diocese of Nyundo) 루엥게리 교구( Diocese of Ruhengeri) 비움바 교구 (Diocese of Byumba) =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디옥시리보스를 포함하고 있는 뉴클레오타이드이다.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정보 저장에 관여하는 생체고분자인 디옥시리보핵산(DNA)의 단량체(또는 단위체)이다. 보통 DNA를 구성하는 뉴클레오타이드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형태를 지칭한다.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 48쪽 각각의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질소 염기, 디옥시리보스(5탄당), 인산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소 염기는 핵산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이적인 염기쌍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구조인 헤테로고리의 퓨린이거나 피리미딘이다. 질소 염기는 항상 디옥시리보스의 1' 탄소에 결합하며, 디옥시리보스는 2' 탄소 부위에 수소(-H)가 존재하고, 리보스는 2' 탄소 부위에 하이드록시기(-OH)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인산기는 5탄당의 5' 탄소의 하이드록실기를 통해 디옥시리보스에 결합한다.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가 중합되어 DNA를 형성할 때, 새롭게 첨가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5' 인산기가 합성 중인 기존 가닥의 3' 말단의 하이드록시기(-OH)에 결합하여 탈수 반응을 통해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형성한다. 새로운 뉴클레오타이드는 항상 마지막 뉴클레오타이드의 3' 말단에 첨가되기 때문에 핵산 가닥은 항상 5' → 3' 방향으로 합성된다. = = 구조와 역할 = =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리보스에 결합되는 인산의 개수에 따라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일인산,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이인산,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으로 분류된다.The Structure of Nucleic Acids , vivo.colostate.edu 디옥시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 가운데 디옥시아데노신 삼인산(dATP), 디옥시구아노신 삼인산(dGTP), 디옥시티미딘 삼인산(dTTP), 디옥시사이티딘 삼인산(dCTP)은 DNA 복제 과정에서 기질로 사용된다. = =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 = 뉴클레오사이드가 뉴클레오타이드에서 인산기를 제외한 부분으로 간주되는 것처럼,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도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에서 인산기를 제외한 부분을 지칭한다.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의 예로는 디옥시아데노신(dA), 디옥시구아노신(dG), 디옥시티미딘(dT), 디옥시유리딘(dU), 디옥시사이티딘(dC)이 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 1936년 동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미국 선수단이다. = = 메달 집계 = = = = = 종목별 메달 집계 = = = 종목 합계 봅슬레이 1 0 1 2 스피드 스케이팅 0 0 1 1 아이스하키 0 0 1 1 합계 1 0 3 4 = = = 메달리스트 = = = 메달 이름 종목 세부 종목 아이번 브라운 앨런 워시보드 봅슬레이 남자 2인승 길버트 콜게이트 리차드 로렌스 봅슬레이 남자 2인승 레오 프레이징어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미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아이스하키 남자 = = 노르딕 복합 = = 선수 종목 크로스컨트리 크로스컨트리 크로스컨트리 스키 점프 스키 점프 스키 점프 스키 점프 총계 총계 선수 종목 기록 점수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총계 순위 점수 순위 칼 세트레 남자 개인전 1'25:56 181.8 24 39.0 41.0 174.0 35 355.8 27 버제르 토리센 남자 개인전 1'29:08 165.3 29 45.0 44.0 190.2 19 355.5 28 에드워드 블러드 남자 개인전 1'33:45 142.5 42 44.0 43.0 183.1 26 325.5 37 파울 세트레 남자 개인전 1'36:27 129.4 45 48.5 53.0 144.5 44 273.9 44 = = = 봅슬레이 = = = 선수 세부 종목 1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3차 시기 4차 시기 4차 시기 합계 합계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아이번 브라운앨런 워시본드 남자 2인승 1:22.50 1 1:21.02 2 1:25.39 3 1:20.38 2 5:29.29 휴버트 스티븐스크로포드 메르켈로버트 마틴존 셴 남자 4인승 1:25.61 8 1:19.17 2 1:20.51 3 1:18.84 2 5:24.13 4 길버트 콜게이트리차드 로렌스 남자 2인승 1:25.06 2 1:21.94 3 1:24.80 2 1:22.16 3 5:33.96 프란시스 타일러제임스 빅포드리차드 로렌스맥스 블라이 남자 4인승 1:25.61 8 1:23.85 10 1:20.22 2 1:19.32 5 5:29.00 6 = = 스키 점프 = = 선수 종목 1차시기 1차시기 1차시기 2차시기 2차시기 2차시기 총계 총계 선수 종목 거리 점수 순위 거리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스베르 프레드에임 남자 노멀힐 73.5 107.7 10 73.0 106.4 10 214.1 11 카스파 오이몬 남자 노멀힐 71.5 100.5 23 72.5 107.1 9 207.6 13 로이 미켈센 남자 노멀힐 69.5 102.0 18 68.0 100.6 25 202.6 23 월터 비에틸라 남자 노멀힐 66.5 100.4 24 63.5 94.8 34 195.2 30 = = 스피드 스케이팅 = = = = = 남자 = = = 선수 종목 결선 결선 선수 종목 기록 순위 델버트 램 500m 44.2 5 레오 프레이징어 500m 44.0 레오 프레이징어 1500m 2:21.3 4 앨런 포츠 500m 44.8 6 앨런 포츠 1500m 2:31.2 32 에디 슈로에더 1500m 2:24.3 12 에디 슈로에더 5000m 8:49.1 15 에디 슈로에더 10000m 17:52.0 8 로버트 페테르센 500m 45.0 11 로버트 페테르센 1500m 2:25.4 17 로버트 페테르센 5000m 8:46.5 11 로버트 페테르센 10000m DNF – = = 아이스하키 = = = = = 예선 B조 = = = 상위 2팀이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팀 3 2 0 1 5 1 4 3 2 0 1 5 2 4 3 1 0 2 2 5 2 3 1 0 2 1 5 2 2월 6일 0-1(0-1,0-0,0-0) 2월 7일 3-0(0-0,3-0,0-0) 2월 8일 1-2(0-0,0-0,1-1,0-0,0-1) = = = 2차 예선 B조 = = = 상위 2팀이 결승 라운드에 진출한다. 팀 3 3 0 0 5 1 6 3 2 0 1 6 4 4 3 1 0 2 3 6 2 3 0 0 3 1 4 0 2월 11일 2-0(0-0,2-0,0-0) 2월 12일 1-0(0-0,1-0,0-0) 2월 13일 2-1(0-0,1-1,1-0) = = = 메달 라운드 = = = 팀 3 2 1 0 7 1 5 3 2 0 1 9 2 4 3 1 1 1 2 1 3 3 0 0 3 0 14 0 2월 11일 2-0 (0-0, 2-0, 0-0) 2월 15일 0-0(0-0,0-0,0-0,0-0,0-0,0-0) 2월 16일 1-0(1-0,0-0,0-0) = = 알파인 스키 = = = = = 남자 = = = 선수 종목 활강 활강 회전 회전 회전 총계 총계 선수 종목 기록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총 점수 순위 딕 더렌스 복합 5:16.2 11 1:26.46초의 페널티가 부과됨. 1:26.9 8 87.74 10 조지 페이지 복합 5:42.8 18 1:25.7 1:33.4 14 82.85 13 로버트 리버모어 복합 6:04.4 29 1:37.5 1:36.7 20 77.18 23 앨버트 워시번 복합 6:30.8 37 1:56.7 DSQ – DNF – = = = 여자 = = = 선수 종목 활강 활강 회전 회전 회전 총계 총계 선수 종목 기록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총 점수 순위 엘리자베스 우슬리 복합 6:12.8 14 2:00.8 2:09.3 25 69.24 19 헬렌 보우턴-레이 복합 7:17.4 25 1:46.7 1:50.8 18 67.46 21 클라리타 히스 복합 7:39.2 30 2:25.4 2:00.3 27 59.89 27 메이 버드 복합 8:32.4 33 2:38.9 DSQ – DNF – = = 크로스컨트리 = = = = = 남자 = = = 선수 종목 순위 순위 선수 종목 기록 순위 칼 세트레 18km 1'25:56 34 칼 세트레 50km 3'58:45 18 버제르 토리센 18km 1'29:08 45 버제르 토리센 50km 4'07:44 27 리차드 E. 파슨스 18km 1'30:09 46 리차드 E. 파슨스 50km 4'11:08 29 워런 치버스 18km 1'30:25 48 닐스 백스트롬 50km 4'29:30 33 버제르 토리센워런 치버스리차드 E. 파슨스칼 세트레 4 x 10km 계주 3'06:26 11 = = 피겨 스케이팅 = = = = = 남자 = = = 선수 종목 플레이스 점수 순위 로빈 리 남자 싱글 13 13 80 363.0 12 에를 레이터 남자 싱글 12 17 95 352.9 13 조지 힐 남자 싱글 18 23 148 325.1 22 = = = 여자 = = = 선수 종목 플레이스 점수 순위 메리벨 빈손 여자 싱글 6 7 39 388.7 5 오드리 페페 여자 싱글 18 8 85 363.3 12 루이스 웨이겔 여자 싱글 22 20 140 336.4 21 에스텔 웨이겔 여자 싱글 23 22 151 324.5 22 = = = 페어 = = = 선수 종목 포인트 점수 순위 메리벨 빈손조지 힐 페어 46.5 10.4 5 그레이스 메든J. 레스터 메든 페어 95 9.1 11 = = 참고 자료 = = * * * 미국 = 콘스탄테인 = 콘스탄테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콘스탄테인 데르 네덜란덴: 네덜란드의 왕자로 베아트릭스 여왕의 막내 아들 콘스탄테인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아버지로서, 네덜란드의 외교관, 시인, 작곡가이자 학자 = 제주제일고 = = 성춘향 (1987년 영화) = "성춘향"은 198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나성 : 성춘향 역 김성수 : 이몽룡 역 연규진 : 변학도 역 사미자 : 월매 역 김성찬 : 방자 역 곽은경 : 향단 역 김성원 김하림 박진희 오영화 장혁 윤일주 이예성 박일 추석양 김기범 최삼 주상호 박종설 전숙 김대현 이화진 백송 최신영 박예숙 김종칠 강희주 김신명 성명순 최연수 한명환 김대규 길달호 서평석 = 틀:전한 무제의 연호 = = 조지아 문자 = 조지아 문자는 조지아의 공용어인 조지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기록에 따르면, 조지아 문자는 기원전 284년경에 이베리아의 국왕인 파르나바즈 1세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일부 아르메니아 학자들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든 성 메스로프 마슈토츠가 조지아 문자까지 함께 만들어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조지아 학자들은 부인하고 있으며 널리 인정받는 학설은 아니다. = = 역사 = = 역사적으로 조지아 문자는 서로 크게 다른 형태의 3가지 자체가 있었다. 아솜타브룰리체, 누스후리체, 그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므헤드룰리체다. 아솜타브룰리체는 자체가 큼직한 모양으로, 대문자 또는 둥근 문자로 부른다. 430년 조지아 문자의 기록이 처음 나타난 때부터 9세기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9세기 이후에는 누스후리체로 넘어가는데, 이 글자는 글자의 모양이 작고, 좀 더 각진 모양을 띤다. 누스후리체는 11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주로 종교관계 문헌이나 장식 등에 사용되었는데, 이 두 종류의 문자는 종종 혼용되어, 로마자나 키릴문자의 대소문자처럼 어울려 쓰이기도 했다.(현재의 조지아 문자인 므헤드룰리체는 대/소문자의 구별이 없으며, 아솜타브룰리체와 누스후리체의 글자모양은 로마자의 대소문자보다 차이가 크다.) 현재도 이 두 문자는 종교 문자, 또는 교회 문자로 불리면서 종교관계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13세기에 현재 쓰이고 있는 므헤드룰리체가 탄생하였는데, 이 문자는 세속 문자, 또는 군인 문자로 불렸으며, 종교 이외의 용도로 많이 쓰였다. 글자모양은 곡선을 다용한 미려한 형태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므헤드룰리체는 점차 다른 두 문자를 몰아내고 조지아어의 표준 서체로 정립하였다. 그러나 두 문자도 여전히 제한된 영역과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조지아 문자의 탄생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글자배열을 보았을 때, 그리스 알파벳의 순서를 따르고 있는 점에서 그리스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나, 글자모양자체는 크게 공통점이 없는 점에서, 아이디어와는 별도로 글자모양은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 음소 문자 = = 이 표는 현재 모든 알파벳에서 사용되지 않는 문자(파란색 배경으로 표시됨), 조지아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문자(녹색 배경), 조지아어 이외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추가 문자(분홍색 배경)를 포함하여 세 개의 문자를 병렬 열에 나열한다. "국가" 번역은 조지아 정부가 사용하는 시스템인 반면, "라즈"는 튀르키예에서 사용되는 라틴 라즈 알파벳이다. 표는 또한 문자들의 전통적인 숫자 값을 보여준다. 문자 문자 문자 문자 이름 IPA 음가 음가 음가 음가 수값 아솜타브룰리체 누스후리체 므헤드룰리체 므타브룰리체 이름 IPA 국가 ISO 9984 BGN 라즈 수값 Ⴀ ა Ა 아니 , 스반어 A a A a A a A a 1 Ⴁ ბ Ბ 바니 B b B b B b B b 2 Ⴂ გ Გ 가니 G g G g G g G g 3 Ⴃ დ Დ 도니 D d D d D d D d 4 Ⴄ ე Ე 에니 E e E e E e E e 5 Ⴅ ვ Ვ 비니 V v V v V v V v 6 Ⴆ ზ Ზ 제니 Z z Z z Z z Z z 7 Ⴡ ჱ Ჱ 헤 , 스반어 — Ē ē Ey ey — 8 Ⴇ თ Თ 타니 T t Tʼ tʼ Tʼ tʼ T t 9 Ⴈ ი Ი 이니 I i I i I i I i 10 Ⴉ კ Კ 까니 Kʼ kʼ K k K k Ǩ ǩ 20 Ⴊ ლ Ლ 라시 L l L l L l L l 30 Ⴋ მ Მ 마니 M m M m M m M m 40 Ⴌ ნ Ნ 나리 N n N n N n N n 50 Ⴢ ჲ Ჲ 히에 , 밍그렐어, 라즈어, & 스반어 — Y y J j Y y 60 Ⴍ ო Ო 오니 , 스반어 O o O o O o O o 70 Ⴎ პ Პ 빠리 Pʼ pʼ P p P p P̌ p̌ 80 Ⴏ ჟ Ჟ 자니 Zh zh Ž ž Zh zh J j 90 Ⴐ რ Რ 라에 R r R r R r R r 100 Ⴑ ს Ს 사니 S s S s S s S s 200 Ⴒ ტ Ტ 따리 Tʼ tʼ T t T t Ť t̆ 300 Ⴣ ჳ Ჳ 비에 , 스반어 — W w — — 400ჳ and უ have the same numeric value (400) Ⴓ უ Უ 우니 , 스반어 U u U u U u U u 400 Ⴧ ჷ Ჷ 은, 슈바 밍그렐어 & 스반어 — — — — — Ⴔ ფ Ფ 파리 P p Pʼ pʼ Pʼ pʼ P p 500 Ⴕ ქ Ქ 카니 K k Kʼ kʼ Kʼ kʼ K k 600 Ⴖ ღ Ღ 가니 Gh gh Ḡ ḡ Gh gh Ğ ğ 700 Ⴗ ყ Ყ 까리 Qʼ qʼ Q q Q q Q q 800 — — ჸ Ჸ 엘리프 밍그렐어 & 스반어 — — — — — Ⴘ შ Შ 시니 Sh sh Š š Sh sh Ş ş 900 Ⴙ ჩ Ჩ 치니 Ch ch Čʼ čʼ Chʼ chʼ Ç ç 1000 Ⴚ ც Ც 차니 Ts ts Cʼ cʼ Tsʼ tsʼ Ʒ ʒ 2000 Ⴛ ძ Ძ 칠리 Dz dz J j Dz dz Ž ž 3000 Ⴜ წ Წ 찔리 Tsʼ tsʼ C c Ts ts Ǯ ǯ 4000 Ⴝ ჭ Ჭ 짜리 Chʼ chʼ Č č Ch ch Ç̌ ç̌ 5000 Ⴞ ხ Ხ 하니 Kh kh X x Kh kh X x 6000 Ⴤ ჴ Ჴ 카리, 하리 — H̱ ẖ qʼ — 7000 Ⴟ ჯ Ჯ 자니 J j J̌ ǰ J j C c 8000 Ⴠ ჰ Ჰ 하에 H h H h H h H h 9000 Ⴥ ჵ Ჵ 호에 , 바츠어 — Ō ō — — 10000 — — ჶ Ჶ 피 라즈어 — F f — F f — — — ჹ Ჹ 뒤집힌 가니 복음주의 문헌에서의 다게스탄 언어 — — — — — — — ჺ Ჺ 아이니 바츠어 — — — — — — — ჼ — 수정자 나르 바츠어 앞모음의 비음화 — — — — — Ⴭ ჽ Ჽ 아엔 오세트어 — — — — — — — ჾ Ჾ 경음부호 압하스어 앞자음의 연구개음화 — — — — — — — ჿ Ჿ 연음부호 압하스어 앞자음의 순음화 — — — — — = =비카르트벨리어권 사용 = = 오세트어. 194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압하스어. 1940년대까지 사용되었다.The Abkhazians: A Handbook, George Hewitt, p. 171 인구시어(역사적으로)는 나중에 17세기에 아랍 문자로 대체되었고 현대에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Язык,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вайнахов, И. Ю Алироев p.85, Чех-Инг. изд.-полигр. об-ние "Книга", 1990 체첸어는 17세기에 아랍 문자로, 현대에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Чеченский язык, И. Ю. Алироев, p.24, Академия, 1999 아바르어(역사적으로). 나중에 17세기에 아랍 문자로 대체되었고 현대에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Грузинско-дагестанские языковые контакты, Маджид Шарипович Халилов p.29, Наука, 2004История аварцев, М. Г Магомедов p.150, Дагестанский гос. университет, 2005 튀르키예어. 튀르키예 복음서, 사전, 시, 18세기의 학서적. 페르시아어. 아랍어 복음서의 18세기 페르시아어 번역본은 트빌리시의 국립 필사본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 아르메니아어. 트빌리시의 아르메니아 공동체에서는 18세기와 19세기에 아르메니아어를 쓰기 위해 조지아 문자가 가끔씩 사용되었고, 이러한 종류의 문자의 일부 견본은 트빌리시의 조지아 국립 필사본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 러시아어. 트빌리시에 있는 국립 필사본 센터의 소장품에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조지아 문자로 쓰여진 러시아어로 된 짧은 시 몇 편도 있다. 아제르바이잔어. 조지아에서 아제르바이잔어에 사용된디. *기타 동북캅카스어파. 조지아 문자는 18세기를 기점으로 해당 지역에서의 조지아 선교활동과 관련하여 북캅카스어와 다게스타니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 = 컴퓨터 표기 = = = = = 유니코드 = = = 최초의 조지아 문자는 1991년 10월 버전 1.0의 출시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었다. 조지아어 유니코드 블록을 작성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은 카르트벨리어 연구의 언어학자인 독일인 요스트 기퍼트와 매킨토시 시스템용 조지아어 유니코드를 작성한 미국-아일랜드 언어학자이자 스크립트 인코더인 마이클 에버슨이 맡았다.უნიკოდში ქართულის ასახვის ისტორია (History of the Georgian Unicode) Georgian Unicode fonts by BPG-InfoTech 안톤 둠바체와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Font Contributors Acknowledgements Unicode(조지아 총리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와 다른 인물)도 상당한 공헌을 했다 조지아어 므헤드룰리체는 조지아의 국제화 도메인 네임 문자(.გე)로 공식적인 지위를 받았다.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ში საინტერნეტო მისამართები მხედრული ანბანით დაიწერება Rustavi 2 2018년 6월 유니코드 버전 11.0에서 므타브룰리체가 추가되었다. 이 문자는 므헤드룰리체와 비슷한 문자 형태를 가진 대문자이지만, 디센더는 베이스라인 위로 이동했고, 중앙 타원형은 더 넓었으며, 상단은 어센더 높이보다 약간 높았다. 이 추가 이전에 글꼴 제작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므타브룰리체를 포함했다. 일부 글꼴은 쌍으로 제공되었으며, 하나는 소문자로, 다른 하나는 대문자로 구성했다. 일부 유니코드 글꼴은 므타브룰리체 형식을 아솜타브룰리체 범위(U+10A0-U+10CF) 또는 개인 사용 영역에 배치했으며, 일부 ASCII 기반 글꼴은 이를 ASCII 대문자에 매핑했다. = = = = 블록 = = = = 조지아 문자는 세 개의 유니코드 블록에서 찾을 수 있다. 첫 번째 블록(U+10A0–U+10FF)는 간단히 조지아어로 불린다. 므헤드룰리체(현대 조지아어)는 U+10D0–U+10FF 범위를 차지한다(아래 첫 번째 표의 하단에 표시됨). 아솜타브룰리체는 U+10A0–U+10CF 범위를 차지한다(동일한 표의 위쪽 절반에 표시됨). 두 번째 블록은 조지아어 보충(U+2D00–U+2D2F)이며 누스후리체가 포함되어 있다.Unicode Standard, V. 6.3. U10A0, p. 3 므타브룰리체 문자는 조지아 보충 블록(U+1C90–U+1CBF)에 포함된다. 므타브룰리체는 므헤드룰리체의 대문자로 정의되지만 타이틀 케이스가 아니며, 아솜타브룰리체는 누스후리체의 대문자와 타이틀 케이스로 정의된다.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0A0 Ⴀ Ⴁ Ⴂ Ⴃ Ⴄ Ⴅ Ⴆ Ⴇ Ⴈ Ⴉ Ⴊ Ⴋ Ⴌ Ⴍ Ⴎ Ⴏ 10B0 Ⴐ Ⴑ Ⴒ Ⴓ Ⴔ Ⴕ Ⴖ Ⴗ Ⴘ Ⴙ Ⴚ Ⴛ Ⴜ Ⴝ Ⴞ Ⴟ 10C0 Ⴠ Ⴡ Ⴢ Ⴣ Ⴤ Ⴥ Ⴧ Ⴭ 10D0 ა ბ გ დ ე ვ ზ თ ი კ ლ მ ნ ო პ ჟ 10E0 რ ს ტ უ ფ ქ ღ ყ შ ჩ ც ძ წ ჭ ხ ჯ 10F0 ჰ ჱ ჲ ჳ ჴ ჵ ჶ ჷ ჸ ჹ ჺ ჻ ჼ ჽ ჾ ჿ = = = 키보드 = = = Windows 조지아어의 키보드 배열은 다음과 같다. = 콘비아사 항공 = 콘비아사 항공는 베네수엘라의 국영 항공사로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과 본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2004년 3월에 설립되었다. = = 역사 = = 오랜 경영난 끝에 1997년 1월에 도산한 비아사 항공을 대신해 2001년에 베네수엘라의 새로운 국영 항공사 설립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2002년 12월에 한 번 연기된데 이어 2003년 10월에 또 한차례 연기된 끝에 2004년 3월에 우고 차베스 대통령으로부터 항공사를 설립했다. 같은 해 11월 시범 운항이 이루어지면서 마르가리타섬까지 운항을 시작했으며 12월에 공식적으로 정식 노선을 운항하게 되었다. 2006년에 경영진이 교체되면서 프랭클린 페르난데스 마르티네즈가 되었다. 2010년 9월 17일에 발생한 콘비아사 항공 2350편 사고로 17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베네수엘라 정부는 모든 항공편 운항을 중단하고 같은 해 10월에 재취항했다. 2012년 4월에 유럽 연합이 항공기 기종 노후 문제로 인해 EU 역내 취항 금지 항공 회사 목록에 들어가면서 유럽 취항을 전면 금지를 시켰지만 2013년 7월에 유럽 연합에 의해 유럽 취항 금지가 해체되었다. = = 운항 노선 = = = = = 코드쉐어 협정 = = = 2021년 5월을 기준으로 콘비아사 항공은 다음의 항공사들과 코드쉐어를 실시하고 있다. 시리아 항공 이란 항공 쿠바 항공 = = 보유 기종 = = 2021년 1월 기준으로 콘비아사 항공은 다음과 같이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25.8년이다.OAG Fleet iNet = = = 현재 운용하는 기종 = = = 콘비아사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에어버스 A340-200 1 0 239 에어버스 A340-300 1 0 255 세스나 208B 그랜드 캐러밴 8 0 12 엠브라에르 190AR 15 0 104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의 보유 기종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의 보유 기종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의 보유 기종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의 보유 기종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의 보유 기종 보잉 737-200 1 0 VIP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 에어버스 ACJ319 1 0 VIP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 엠브라에르 리저널 1000 1 0 VIP 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 합계 28 0 = = = 퇴역 기종 = = = 콘비아사 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비고 에어버스 A330-200 1 2015 2015 하이 플라이에 매각 에어버스 A330-300 1 2015 2015 에어아시아 X에 매각 ATR 42-300 2 2006 2010 ATR 42-400 2 2006 2010 ATR 72-200 3 2007 2011 보잉 737-300 4 2005 2016 보잉 747-400 2 2015 2017 와모스 항공에 매각 보잉 767-300ER 1 2014 2015 블루 파노라마 항공에 매각 봄바디어 CRJ700 4 2009 2019 드 하빌랜드 캐나다 대쉬 7 3 2004 2010 = = 사건 및 사고 = = 콘비아사 항공 2350편 2008년 보잉 737 참사 = 에뮬레이터 = 에뮬레이터는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을 복제한다. 그리하여 두 번째 시스템이 첫 번째 시스템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외부의 행동에 대해 똑같이 따라하려고 하는 이 관점은 시뮬레이션과는 정 반대이다. 왜냐하면, 시뮬레이션은 자주 내부 상태와 관련하여, 흉내내는 시스템의 추상적인 모델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 = 컴퓨터 과학 속의 에뮬레이터 = = 에뮬레이터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모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전자기기의 능력"을 뜻한다. 예를 들어, 많은 프린터들은 HP 레어저젯 프린터를 따라하려고 한다. 왜냐하면 꽤나 많은 소프트웨어가 HP 프린터에 맞춰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HP 프린터를 따라함으로써, 프린터는 진짜 HP 프린터에 맞춰진 소프트웨어에서 돌아갈 수 있다. 에뮬레이션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만든 장치가 정말로 다른 장치라고 믿도록 "속이는 것이다". 어느 하드웨어 에뮬레이터는 하드웨어 장치의 형태를 따온 에뮬레이터다. 프린터의 롬 속의 프린터 에뮬레이터와 FPGA 기반의 하드웨어 에뮬레이터가 그 예다. 도스박스는 도스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가상으로 구현한다. = = 구조 = = 메모리 하부 시스템 CPU 시뮬레이터 입출력 = =에뮬레이터의 종류 = = 가상 핸드폰(핸드폰 에뮬레이터)은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진짜 핸드폰인것처럼 기능하고 작동한다. 가상 프린터(프린터 에뮬레이터)는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린터로서 인식된다. 가상 스캐너(스캐너 에뮬레이터)는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어 이미지 스캐너 프로그램과 호환되거나 테스트등에 이용된다. = = 오해 = = 에뮬레이터라고 해서 모든 에뮬레이터가 반드시 롬(ROM) 파일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콘솔 에뮬레이터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한국의 일부 게임 에뮬레이터 관련 사이트에 잘못 나와 있는 위의 정의는 고쳐질 필요가 있다. 옛날 컴퓨터와 도스를 가상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리 출력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뿐 아니라, PearPC나 Virtual PC, Virtual Box와 같이 컴퓨터 자체(CPU 제외)를 가상으로 구현해내는 프로그램도 에뮬레이터의 일종이며, 고전게임을 즐길 수 없는 컴퓨터에서 가상으로 구현해 내는 ZSNES, MAME, MESS과 같은 프로그램도 (콘솔)에뮬레이터이다. = = 디지털 아카이빙에서의 에뮬레이션 = = 에뮬레이션은 기록학에서 디지털 아카이빙의 보존 수단 중 하나이다.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앞서 말한것과 동일하며, 디지털원본에 적용된 기술적인 조건들에 변경이 있어도 인코딩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내어 디지털정보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기술이다. = HFS = HFS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HTTP 파일 서버 계층적 파일 시스템(Hierarchical File System) 안면 경련증 플루오린화 규소산(Hexafluorosilicic acid) 탄성반도측정법(Hydrogen forward scattering) 고과당 시럽(High fructose syrup) = 1984년 뉴질랜드 총선 = 1984년 뉴질랜드 총선은 뉴질랜드 대의원 의원들을 선출하기 위해 1984년 7월 14일에 치러졌다. 총 95개의 선거구에서 단순다수제에 기반하여 의원들을 선출하였다. 선거 결과 노동당이 56석을 얻어 원내 1당에 등극하였고, 대표였던 데이비드 롱이는 총리로 옹립되었다. = = 선거 결과 = = 정당 정당 득표수 득표율 의석 뉴질랜드 노동당 829,154 42.98 56 뉴질랜드 국민당 692,494 35.90 37 뉴질랜드당 236,385 12.25 - 뉴질랜드 사회신용당 147,162 7.63 2 마나 모투하케 5,989 0.31 - 기타 정당 기타 정당 18,017 0.93 - 유효표 수 유효표 수 1,929,201 99.61 - 무효표 수 무효표 수 7,565 0.39 - 투표자 수 투표자 수 1,936,766 - 95 출처: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1984 출처: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1984 출처: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1984 출처: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1984 출처: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1984 = 요우라촌 (구마모토현) = 요우라촌(四浦村)은 구마모토현 구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거대다시마 = 거대다시마는 다시마과 거대다시마속에 속하는 갈조류의 일종이다.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에서 알래스카 해안에 이르기까지 북미 서부 태평양 해안에 가장 흔하며, 남미, 남아프리카, 호주, 뉴질랜드 근해에서도 발견된다. 각 개체는 하루에 60 cm 속도로 자라 최대 신장이 45 미터를 넘는다. 거대다시마 군락은 바닷속에 숲과 같은 해중림을 형성하며, 많은 해양동물들의 먹이 또는 보금자리가 된다. 생김새와 달리 식물이 아니고 부등편모조류에 속한다. 인간들은 주로 알긴산 채취를 위해 채집한다. 드물지만 식용으로 먹을 수도 있다. 요오드와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 백주현 = 백주현(白周俔, 1984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이다. 고창북고와 조선대학교를 나온 후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프로 데뷔를 했으며, 이후 군 입대를 위해 광주 상무 축구단에서 활동한 후 2010년에 수원 삼성에서 퇴단했다. = 추방 (영화) = 추방은 러시아 연방에서 제작된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2007년 드라마 영화이다. 마리아 보네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드미트리 레스네프스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리아 보네비 알렉산드르 바루예프 콘스탄틴 라브로넨코 = 분류:신화학 = = 분류:포르투갈에 거주한 슬로베니아인 = = 분류:기니비사우의 작가 = = 분류:유허비 = = 장홍렬 = 장홍렬(張洪烈, 1935년 ~ )은 대한민국의 제13대 조달청장을 역임한 공무원이다. 본관은 부안이다. = = 생애 = = 육군사관학교 14기로 임관하여 훗날 육본관리참모부장을 거쳐 1987년 4월부터 2년간 국방부 조달본부장으로 재직했다. 1989년 4월 30일, 육군 중장 예편하였으며 1989년 7월 21일부터 1993년 3월 3일까지 제13대 조달청장을 역임했다. = 칼라 = 칼라(Color, Calla, Collar etc..)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칼라(10월 31일 탄생화) 식과 잔테데스키아속 식물 중 원예 품종의 꽃 이름. 깃 = = 경제학 = = 칼라 (금융) (Collar) : 변동금리채(FRN)의 액면가액에 대하여 지급될 최고, 최저 이자율 = =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 = = = = 음악 = = = 칼라 레코드 (Calla Records) :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 칼라 (밴드) (Calla) : 미국 텍사스 출신 인디 밴드 칼라 (음악 그룹) (Color)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COLLAR (걸 그룹) = = = 만화, 영화 = = = 칼라 (만화) (Color) : 일본의 만화 칼라 (영화) (Karla) : 미국의 영화 = = 지명 = = 칼라 분화구 (Karla Crater) : 러시아의 분화구 = = = 가공의 장소 = = = 칼라 브린 스터기스 (Calla Bryn Sturgis) : 《The Dark Tower V》에 나오는 허구 도시 = = 인명 = = 칼라 구지노: 미국의 배우 샬로트 칼라: 스웨덴의 여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유숩 칼라: 인도네시아의 정치인 칼라 갤로: 미국의 배우 칼라 호몰카: 캐나다의 연쇄살인자 칼라 헨리: 필리핀의 미인 대회 우승자, 모델 칼라 보너: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 케나시고개 (군마현) = 케나시고개는 군마현 아가츠마군 츠마고이촌과 나가노현 카미타카이군 타카야마촌의 경계에 있는 고개다. 카미노부 스카이라인에서 연결되는 군마현도・나가노현도 112호 오오마에스자가선의 불통구간 끝점에 위치한다. 표고는 1,823 미터로, 일본 중앙분수계의 통과점이다. "케나시"(毛無)란 "털이 없다"는 뜻으로, 그 이름대로 주변에 초목이 희박하고 지면이 그대로 드러난 황량한 곳이다. 메이지 시대까지는 원시림이 무성했지만, 1916년(다이쇼 5년)부터 유황채굴이 개시되면서 정련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수목을 벌채한 것에 더불어 정련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로 인해 수목이 고사해 버렸고, 그 결과 주변 일대가 민둥산이 되었다. 군마측에서 고개로 접근하는 길은 비포장도로이며, 지로비탈(ジロー坂)이라 불리는 꼬부랑길을 지나 내린 끝에 오구시광산터가 있다. 고개 동쪽에는 유황제품과 자재를 싣고 나르던 삭도의 흔적이 남아 있다. 광산의 전성기에는 2,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주변에 살았지만, 1937년(쇼와 12년) 11월 11일 대규모 산사태("산쓰나미"災害史シリーズ〈192〉気象災害史(180)山津波,小串硫黄鉱山を襲う―1937(昭和12)年11月の群馬・小串鉱山の惨禍― - J-GLOBAL)가 발생해 245명이 사망했다. 이 때 제련소의 불이 화약에 번져서 대규모 폭발까지 일어났다. 현재 이 고개는 광산터를 보러 온 사람들이나 전망을 찾는 등산객들이 찾는다. 오메시악까지 등산로가 이어진다. 전망은 좋지만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 파스타기 = 파스타기(+機)는 파스타을 만들 때 쓰는 도구이다. 파스타 반죽을 반대기나 국수 형태로 뽑을 수 있다. = 분류:히가시야마구의 교통 = = 분류:니노헤군 = = 린델뢰프 = 린델뢰프는 아래의 뜻이 있다. 빅토르 린델뢰프: 스웨덴의 축구 선수 린델뢰프 공간: 콤팩트 공간의 유한 부분 열린 덮개 조건을 가산 개의 부분 덮개 조건으로 약화시킨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 = 분류:스웨덴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다니엘 알레비 = 다니엘 알레비(Daniel Halévy, 1872년 12월 12일~1962년 2월 4일)는 프랑스의 역사학자이자 수필가이다. 독일계 유대인 문학가 집안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었던 아버지 뤼도비크 알레비와, 개신교계 시계 제조공 가문의 딸인 어머니 루이즈 브레게의 아들로 태어난 다니엘 알레비는 개신교 세례를 받아 개신교식으로 교육받았다. 다니엘 알레비는 형 엘리 알레비처럼 리세 콩도르세를 다녔는데 그곳에서 그는 동급생이었던 마르셀 프루스트와 친분을 맺는다. 이후 그는 동양어학교(l'École des langues orientales)에 진학하게 된다. 알레비는 1903년부터 1910년까지 샤를 페기의 정기간행물 <카이예 드 라 캥젠Cahiers de la Quinzaine>에 를 기재하였으며로베르 뷔라크Robert Burac, 우리들의 청춘Notre Jeunesse 작품 해제, 샤를 페기 산문 전집Œuvres en prose complètes, 3권, 갈리마르, 플레야드 총서, 1992, p.1484. 1901년부터 1909년까지는 샤를 기예스의 정기간행물 <파주 리브르Pages libres>에 참여한다. 그는 1921년부터 1937년까지 그라세 출판사의 <초록 노트Cahiers verts> 총서의 편집장이었다. 그는 1949년에 정신과학·정치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 가계 = = 엘리 알퐁 레비, 이후 알레비로 개성(改姓) (?-1826) x 쥘리 마이에르(1781-1819) 자크 프로망탈 알레비(1799-1862), 오페라 작곡가 x 레오니 로드리그앙리크(1820-1884), 은행가 알렉상드르 로드리그앙리크(1765-1834)와 에스테르 그라디(1780-1859)의 딸 * 에스테르 알레비(1845-1864), 사촌 뤼도비크 알레비의 약혼녀 * 주느비에브 알레비(1849-1926) x 1 조르주 비제 x 2 에밀 스트로스(1844-1939) ** 1 자크 비제 레옹 알레비(1802-1883), 문학 교수, 시인, 우화 작가, 극작가. x 1 알렉상드린 르바, 유명 건축가 루이이폴리트 르바(1782-1867)와 콜롱브 이상베르의 딸. x 2 파라돌 양 * 1 뤼도비크 알레비(1834-1908), x 루이즈 브르게(1847-1930), 시계상, 물리학자 루이 브르게(1803-1883)와 샤를로트 라시외르의 딸 ** 엘리 알레비(1870-1937), 철학자, 사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명예박사 ** 다니엘 알레비(1872-1962), 수필가, 사학자 x 마리안 보두아예 *** 프랑수아즈엘렌 알레비(1900-1993) x 루이 족스, 정치가 **** 피에르 족스(1934-), 정치가 * 1 발랑틴 알레비(1846-1893) * 2 뤼시앵아나톨 프레보스트 파라돌 = 마르티니 지역 교통 = 마르티니 지역 교통(, 약칭 TMR)은 버스와 코치 서비스와 2개의 전기 철도 노선을 운영한다. 이 회사는 2001년에 마르티니-오르시에 철도(Martigny-Orsières Railway, MO)와 마르티니-샤틀라르 철도(Martigny-Châtelard Railway, MC)를 2000년 1월 1일에 합병하여 마르티니 지역 교통(Transports de Martigny et Régions)을 구성했다. = = 철도 = = 몽블랑 익스프레스(Mont-Blanc Express)를 운영하는 협궤 마르티니-샤틀라르 철도(MC) 생베르나르 익스프레스(Saint-Bernard Express)를 운영하는 표준궤 마르티니-오르시에르 철도(MO) = 분류:올림픽 롱그폼 = = 함성중학교 = 함성중학교(咸城中學校)는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6년 5월 30일 : 함성중학교 설립 인가 1999년 3월 2일 : 3학급 인가 2014년 6월 25일 : 제8대 조원국 이사장 취임 2017년 9월 1일 : 제15대 문정환 교장 취임 2023년 2월 10일 : 제66회 졸업(22명) (졸업생 총인원 5,628명) 2023년 3월 2일 : 2023학년도 입학식(신입생 21명) = 분란전 = 분란전(紛亂戰, insurgency)은 어떤 권위(예컨대 국가 따위)에 대한 반란으로서, 그 반란 수행자가 교전단체로 인정받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옥스퍼드 영어사전 1989년 제2판: 분란을 진압하는 군사행동을 대분란전(counter-insurgency)이라고 한다. 모든 반란이 분란의 형태인 것은 아니다. 시민불복종 같은 비폭력 반란도 존재한다.Roberts, Adam and Timothy Garton Ash (eds.), Civil Resistance and Power Politics: The Experience of Non-violent Action from Gandhi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See . Includes chapters by specialists on the various movements. 혹 무장반란의 형태를 가진다고 해도 반군과 반란을 진압하는 하나 이상의 주권국 사이에 교전권 상태가 확고하다면 역시 분란이라 하지 않는다. 예컨대 미국 내전 당시 남부맹방은 미승인국으로서 주권국이 아니었지만, 교전단체로서는 인지되고 있었고 남부맹방의 군함들은 해외 항구에서 미합중국 군함과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있었다. 때문에 미국 내전은 반란(rebellion)이기는 해도 분란은 아니다.Hall, Kermit L. The Oxford Guide to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eci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1 , p. 246 Staff.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the Historian -> Timeline of U.S. Diplomatic History -> 1861-1865:The Blockade of Confederate Ports, 1861-1865 , U.S. State Department. Goldstein, Erik; McKercher, B. J. C. Power and stability: British foreign policy, 1865-1965, Routledge, 2003 , . p. 63 때로는 한 국가 내에 복수의 분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라크 분란은 하나의 합법정부와 다수의 분란집단 사이에 벌어지는 내란의 전형적 예시이다. 그 외에도 과거를 보면 러시아 내전이 분쟁 참여 세력들이 양극화되지 않고 다극화된 분란의 양상을 보였다. = 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 = = 분류:라트비아의 쇼트트랙 선수 = = 선우일란 = 선우일란(鮮于一蘭, 1966년 2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이다. 본명은 길은정(吉銀貞)映畵質 높이기 海外로케 붐, 동아일보, 1990년 2월 10일 작성. = = 생애 = = 사업가 부친의 1남 3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경향신문 1985년 1월 24일, 글래머모델 선우일란 산딸기 2 주연데뷔 수도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여학생 잡지의 표지모델로 나온 것을 계기로 영화에 캐스팅됐다. 1984년 영화 산딸기 2로 데뷔했다. 1993년 드라마 출연 직후 연예계를 은퇴했다. 하와이로 건너가 보석 공부를 하다가 1998년 귀국 직후 결혼했다가 2001년 이혼했다., 서울신문 2003년 12월 9일, 선데이서울 그 시절 스타몸매 14-선우일란 = = 작품 = = = = = 영화 = = = 1984년 《산딸기 2》 1985년 《설마가 사람잡네》 1985년 《길고 깊은 입맞춤》 1985년 《여자의 대지에 비를 내려라》 1985년 《밤을 먹고 사는 여인》 1985년 《화려한 유혹》 1985년 《차라리 불덩이가 되리》 1986년 《엘리베이터 올라타기》 1986년 《물레방아》 1986년 《가을장미》 1986년 《작은 고추》 1986년 《오늘만은 참으세요》 1987년 《웅담부인》 1987년 《산딸기 3》 1987년 《돌아이 3》 1987년 《87 영자의 전성시대》 1988년 《이조 춘화도》 1988년 《떡》 1991년 《장미여관》 1991년 《탄드라 부인》 1991년 《밤으로의 긴 여로》 1991년 《무릎 위의 여자》 1991년 《달빛타는 여자》 2015년 《음란한 가족》 = = = 드라마 = = = 1989년 KBS2 월화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 = 용문의 여검 = "용문의 여검"은 한국에서 제작된 안현철 감독의 1969년 영화이다. 이대엽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차태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대엽 강문 = = 기타 = = 조명: 조기남 미술: 이문현 = 에케렌 전투 = 에케렌 전투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의 전투 중 하나로 1703년 7월 30일 일어났다. 프랑스군이 네덜란드군을 포위하였고, 네덜란드군은 간신히 괴멸을 피할 수 있었다. 전투는 1703년 스페인의 네덜란드(벨기에 지방)에서 동맹군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다는 희망을 끝내버렸다. = = 서막 = = 5월 15일 본을 공격한 후에 말버러 공작 1세 존 처칠은 오스텐더(Ostend)를 점령하길 원했으나 프랑스군은 전투를 개시했다. 말버러 공은 네덜란드 장군 코에훈(Coehoorn)에게 오스텐더로 진격하여 그곳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네덜란드 장군 코에훈은 앤트워프(Antwerp)의 남서지역으로 진군했고 네덜란드 장군 오브담(Obdam)도 베르겐 오프 줌(Bergen op zoom)으로부터 남쪽으로 진군했고 말버러 자신 역시 리에르(Lier)로 출진했다. 일 년전 네덜란드는 프랑스군과 개전하는데 열성적이지 않았고 또 앤트워프와 오스텐더에서 영국의 상업을 허가해 주면 네덜란드의 통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허가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코에헨은 오스텐더를 공성하지 않았으며 오스텐더와 앤트워프의 지방을 약탈했다. 오브담은 6월 28일 베르겐 오프 줌에서 앤트워프로 진군했고, 다음날 앤트워프에서 7km 떨어진 에케렌(Ekeren)에 도착했다. 빌레루아(Villeroi)는 말버러 공의 견제작전에 속지 않았고, 그의 군대를 디에스트(Diest)에서 앤트워프를 지키기 위해 그의 군대를 보냈다. 말버러는 이 소식을 듣고 오브담에게 경고를 했다. 그리고 릴로(Lillo)에서 퇴각하라고 명령했으나 오브담은 늦게 움직였다. = = 전투 = = 6월 30일 아침 일찍 프랑스 용기병대는 카펠렌(Kapellen) 방향에 있는 에케렌과 메르크셈(Merksem)으로 진군했는데, 이는 호에베넨(Hoevenen) 근처에 있는 네덜란드군의 브레다(Breda)와 베르겐 오프 줌으로 퇴각 루트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베드마르(Bedmar)의 후작과 그의 스페인 군대는 윌마스돈크(Wilmarsdonk)에 진을 치고 있었다. 이는 네덜란드군이 모든 방향에서 포위되었다는 것을 확실하게 했다. 곧 네덜란드 정찰대는 프랑스 용기병대를 발견했고 오브담은 즉각적으로 그의 기병을 호에베넨에 파견했다. 그러나 이때는 너무 늦어 마을은 프랑스 군에 의해 봉쇄되어 있었다. 근처에 있는 무스브로에크(Moisbroek)를 점령하기 위한 시도 역시 실패했다. 그리고 프랑스군은 공격했고 오브담은 오르데렌(Orderen)을 점령하려 시도했고 공격은 프랑스군이 마을을 탈환하러 오기 전까지 잠시 성공했다. 전투는 시간이 가면 갈수록 명확해졌다. 8시경 오브담의 아무런 신호가 없는 와중에 슬라겐버그(Slagenberg)는 오르데렌을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그런데 이때 프리에쉐임(Friesheim)의 총검돌격에 의해 혼란에 빠졌다. 프리엣쉐임은 그의 병력들로 하여금 강물을 뚫고 돌격하게 했으며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네덜란드군이 예상하지 못한 곳에 출현했다. 이 행동은 남아있는 네덜란드 군으로 하여금 밤중에 네덜란드 쪽으로 도망가게 하였다. = = 결과 = = 이 전투는 프랑스의 승리였으나 부플레르(Boufflers)는 이를 축하하지 않았다. 그는 완전승리의 기회를 손가락 사이로 흘려보냈다고 비난받았다. 오브담은 살아남아 13명의 기병들과 함께 남쪽으로 도망쳤고 그들을 프랑스 군이 것처럼 위장했다. 그들이 네덜란드에 도착했을 때 그는 그의 병사들이 완벽하게 괴멸했음을 인정하는 편지를 썼다. 그의 행동은 네덜란드 군인들에게 용서받지 못했고, 그의 군인으로서의 경력은 파멸했다. 슬라겐버그는 그런 측면에서 네덜란드의 영웅으로 여겨졌다. 그 역시 말버러 공이 프랑스에게 완벽하게 속았고, 그들을 돕기 위해 출진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분노했다. 네덜란드군은 1717명이 전사했고 1003명이 부상했다. 그리고 694명이 전투 중에 포로가 되었거나 실종되었다. 프랑스, 에스파냐 연합군은 1750명이 전사했다. = = 현대의 위치 = = 오르데렌과 윌마스돈크, 그리고 릴로의 마을을 포함하는 전장의 대부분은 1960년대의 앤트워프항구의 확장 아래서 사라졌다. = 서야고등학교 = 서야고등학교(西野高等學校)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8년 4월 20일 : 삼민고등공민학교 개교 1966년 2월 15일 : 학교법인 정민학원 설립 1966년 4월 5일 : 서야중학교 개교 및 입학식 (초대 류재하 교장 취임) 1972년 9월 1일 : 초대 교장 류재하는 정민학원 이사장 취임 1974년 12월 27일 : 서야고등학교 설립 1975년 3월 7일 : 서야고등학교 개교 및 입학식 (김춘자 서야 중.고등학교 겸임 교장 취임) 1980년 10월 10일 : 서야고등학교 학급 증설 인가(고등학교 15학급) 1996년 11월 15일 : 정민관(강당) 준공 1998년 12월 11일 : 해바라기집(여자기숙사) 준공 1999년 5월 18일 : 거북이집(양궁장) 준공 2002년 6월 12일 : 숭덕원(기숙사 및 급식실) 준공 2006년 8월 1일 : 제2대 류대현 이사장 취임 2007년 8월 7일 : 서연학사(기숙사) 준공 2013년 11월 28일 : 청송관(체육관) 준공 2014년 9월 1일 : 제6대 김인섭 교장 취임 2016년 3월 23일 : 양궁부 창단 2017년 2월 10일 : 고등학교 제40회 졸업 117명(계 6,829명) 2018년 2월 8일 : 고등학교 제41회 졸업 109명(계 6,938명) 2018년 3월 1일 : 제7대 단현순 교장 취임 2019년 2월 14일 : 고등학교 제42회 졸업 80명 (계 7,018명) 2019년 3월 1일 : 제8대 한계선 교장 취임 2020년 2월 6일 : 고등학교 제43회 졸업 97명(계 7,115명) 2021년 1월 8일 : 고등학교 제44회 졸업 73명(계 7,188명) = 카에데 (이누야샤) = 카에데(일본어 : 楓(かえで))는 타카하시 루미코의 만화 이누야샤와 후속작 반요 야샤히메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애니메이션 성우는 쿄다 히사코(일), 이토 미카(일, 어린 시절) / 성선녀(한), 오주연(한, 어린 시절)이다. = = 소개 = = 만화 이누야샤의 등장인물로 키쿄우의 여동생이다. 키쿄우가 죽은 후로는 마을의 촌장 겸 신사의 무녀를 맡고 있으며 마을의 큰 어른으로 존경받고 있다. 60대의 고령이며 한쪽 눈에 안대를 하고 있다. 어린 시절 나라쿠가 보낸 요괴들이 마을을 습격할 때 사고에 휘말려 한쪽 눈을 실명하였으며 그 때문에 안대를 하고 있다. 키쿄우가 살아있을 때는 그녀의 견습 및 보조자 역할을 맡으며 무녀 생활을 했었고, 키쿄우가 사혼의 구슬을 품고 죽게 되면서 그녀를 대신하여 마을의 촌장 겸 지주이자 무녀로 생활하였다. 현대 시대에서 온 히구라시 카고메를 보자마자 그녀가 언니인 키쿄우의 환생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카고메에게 이누야샤를 제압할 수 있는 언령의 염주를 주기도 하였다. 미로쿠와 산고, 싯포와는 일행들을 도와주는 지주로서 그들에게 조언을 해주기도 한다. 이누야샤 일행에 속하지만 60대의 노년기라 함께 여정을 할 수는 없으나 직간접적으로 이누야샤 일행을 돕고 있다. 완결편에서는 센고쿠 시대에 정착하여 이누야샤와 결혼하게 된 카고메와 셋쇼마루 일행으로 있던 링의 스승 및 보호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 = 인간관계 = = 언니인 키쿄우와는 둘도 없는 혈통 관계로 키쿄우가 살아있을 적에는 그녀를 따라 무녀 수행 및 보조를 맞추기도 하였다. 언니에 비해서 영력은 부족하였지만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마을에서는 촌장 겸 큰 어른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 눈앞에서 키쿄우가 숨을 거둘 때 그 모습을 지켜본 적이 있었다. 이누야샤와는 언니가 봉인하였던 존재였기에 나라쿠에 의해 오해가 풀리기 전까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이누야샤 역시 자신을 봉인한 키쿄우에 대한 앙금이 있고 봉인이 풀렸을 때 완전히 백발의 노인이 된 카에데를 보고 못 알아볼 정도로 몰랐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누야샤 입장에서는 한때 사랑을 했던 여자의 동생이라는 점 때문에 함부로 대하지는 않았지만 그와는 별개로 자신과 일행들에게 지주 역할을 하고 있어서 그녀를 따르고 있다. 히구라시 카고메와는 처음에는 현대 시대의 교복을 입은 모습을 보고 인간으로 분장한 요괴라고 생각했으나 그녀의 안면을 자세히 보고는 언니인 키쿄우와 매우 닮아 있는 모습에 그녀가 언니의 환생체라는 것을 직감했다. 이후 키쿄우가 반혼술로 부활하였을 때는 언니는 괴술로 움직여지는 존재라는 것을 알고 있고 이미 죽은 사람이기 때문에 카고메를 지지하는 편이다. 나라쿠와는 언니를 죽인 철천지 원수였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악연을 맺어온 사이이다. 나라쿠 역시 어린 카에데가 늙었다는 것을 알았으며 카에데는 나라쿠가 오니구모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 = 기타 = = 이누야샤 한국어 더빙판 애니메이션에서는 금사매로 로컬라이징되었지만 후속작인 반요 야샤히메에서는 2기부터 한국어 더빙판 애니메이션에서도 로컬라이징 없이 원작 이름 그대로 등장하였다. = 츠바이겐 가나자와 = 츠바이겐 가나자와는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이 팀은 2006년에 창단되었다. 팀명은 독일어로 2를 뜻하는 zwei와 나아가다를 뜻하는 gehen을 합성한 것이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도요다 요헤이(2022 ~ ) = = = 역대 = = = 최승인(2011) = 2차 논리 = 수리논리학에서 2차 논리(二次論理, )는 임의의 다항 관계 및 다항 연산에 대한 변수 및 이에 대한 전칭·존재 기호를 사용할 수 있는 논리이다. 1차 논리에서 변수는 사용하는 모형의 원소만을 지칭하지만, 2차 논리에서는 모형 속의 임의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언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논리는 1차 논리보다 더 다양한 개념들에 대하여 논할 수 있다. 그러나 2차 논리는 1차 논리와 달리 완전한 증명 체계를 갖지 못하며, 콤팩트성 정리나 뢰벤하임-스콜렘 정리와 같은 중요한 성질들이 성립하지 않는다. = = 정의 = = = = = 문법 = = = 2차 논리의 문법은 다음과 같은 기호들로 구성된다. 2차 논리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가산 무한 개의 종류에 속한다. 각 자연수 n\in\mathbb N에 대하여, n항 연산 변수 f_0^n,f_1^n,f_2^n,\dots. 특히, n=0일 때, f_0^0,f_1^0,\dots는 1차 논리의 변수에 해당한다. 사실, n>0인 연산 변수들은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orall f_i^n(\cdots)는 \forall R_i^{n+1}\left((\forall x_0,x_0',x_1,x_2,\dots,x_n\colon R_i^{n+1}(x_0,x_1,\dots,x_n)\land R_i^{n+1}(x_0',x_1,\dots,x_n)\implies x_0=x_0')\implies(\cdots)\right)와 같이 풀어 쓸 수 있다. 각 자연수 n\in\mathbb N에 대하여, n항 관계 변수 R_0^n,R_1^n,R_2^n,\dots. 특히, n=1일 때, R_0^1,R_1^1,\dots는 1차 논리 변수들의 집합에 해당한다. 변수 밖에도 다음과 같은 논리 기호들이 사용된다. (이들은 1차 논리와 같다.) 전칭 기호 \forall와 존재 기호 \exists 등호 = 명제 논리 기호 \land (논리곱), \lor (논리합), \lnot (부정) 등 괄호 () 및 반점 , 등 주어진 n항 연산 \mathsf f 및 n항 관계 \mathsf R. 예를 들어, 집합론의 언어는 하나의 2항 관계 \in를 갖는다. 다른 예로, 순서체의 언어는 2항 연산 +와 \cdot, 1항 연산 -, 0항 연산 0과 1, 그리고 2항 관계 \le를 갖는다. 2차 논리의 항은 다음 문법을 따라야 한다. n항 연산 변수 f_i^n과 n개의 항 t_1,t_2,\dots,t_n에 대하여, f_i^n(t_1,t_2,\dots,t_n)은 항이다. (편의상 n=0일 때 괄호 f_i^0()를 생략하여 f_i^0로 쓴다.) n항 연산 \mathsf f와 n개의 항 t_1,t_2,\dots,t_n에 대하여, \mathsf f(t_1,t_2,\dots,t_n)은 항이다. (편의상 n=0일 때 괄호 \mathsf f()를 생략하여 \mathsf f로 쓴다.) 2차 논리의 논리식은 다음 문법을 따라야 한다. n항 관계 변수 R_i^n과 n개의 항 t_1,t_2,\dots,t_n에 대하여, R_i^n(t_1,t_2,\dots,t_n)는 논리식이다. n항 관계 \mathsf R와 n개의 항 t_1,t_2,\dots,t_n에 대하여, \mathsf R(t_1,t_2,\dots,t_n)는 논리식이다. 두 항 t_1, t_2에 대하여, t_1=t_2는 논리식이다. 논리식 \phi와 \phi에 등장하는 n항 자유 연산 변수 f_i^n에 대하여, \forall f_i^n\phi와 \exists f_i^n\phi는 논리식이다. 논리식 \phi와 \phi에 등장하는 n항 자유 관계 변수 R_i^n에 대하여, \forall R_i^n\phi와 \exists R_i^n\phi는 논리식이다. 두 논리식 \phi와 \chi에 대하여, \phi\land\chi와 \phi\lor\chi 및 \phi에 대하여, \lnot\phi는 논리식이다. 여기서, 논리식 \phi에 등장하는 연산 변수 또는 관계 변수 x가 자유 변수라는 것은 \phi에 \forall x나 \exists x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 = 의미론 = = = 2차 논리의 의미론은 흔히 2차 논리의 모형으로 주어진다. 이 경우, 모형 \langle X,\dots\rangle가 주어졌을 때, n항 연산 변수는 X 위의 모든 (외적 관점에서의) 연산 X^{X^n}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n항 관계 변수는 X 위의 모든 (외적 관점에서의) 관계 \mathcal P(X^n)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특히, 1항 관계 변수는 X의 모든 부분 집합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 1차 논리 모형에서는 (집합론의 언어를 사용할 경우, 추이적 모형의 경우) 1차 논리 언어로 정의 가능한 X의 부분 집합만을 다룰 수 있다. 2차 논리의 경우, 위와 같은 표준적인 의미론 대신 헹킨 의미론을 사용할 수 있다. 헹킨 의미론에서는 각 변수 종류가 다른 정의역을 가질 수 있다. 헹킨 의미론을 사용할 경우 2차 논리는 사실상 1차 논리와 같아진다. 간혹 헹킨 의미론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를 표준 의미론이라고 하기도 한다. = = 성질 = = 2차 논리의 증명 체계는 (순수한 논리 기호만 포함하는, 즉 변수 및 =,\forall,\exists,\lor,\land,\lnot만을 포함하는) 2차 논리 명제에 대하여 증명을 제시하거나 또는 제시하지 않는 함수이다. 증명 체계가 증명을 제시하는 명제를 증명 가능 명제라고 한다. 여기서 "증명"이란 (주어진 알파벳에 대한) 일련의 문자열을 뜻한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따라, 2차 논리의 증명 체계는 다음 세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 (정당성 ) 증명 체계가 증명할 수 있는 모든 명제는 2차 논리의 모든 (표준) 모형에서 참이다. (완전성 ) 증명 체계는 2차 논리의 모든 (표준) 모형에서 참인 2차 논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유효성 ) 증명들의 집합은 재귀적 집합이다. 즉, 주어진 문자열이 어떤 명제의 증명인지 여부를 항상 종료하는 알고리즘으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 1차 논리의 경우 위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증명 체계가 존재한다 (괴델의 완전성 정리). 2차 논리에서는 또한 콤팩트성 정리와 뢰벤하임-스콜렘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위 성질들은 2차 논리의 표준 의미론에 대한 것이다. 헹킨 의미론을 사용하면 이는 1차 논리와 같은 성질들을 갖는다.) = = 역사 = = 고틀로프 프레게는 1879년에 출판된 개념 표기법에서 오늘날의 2차 논리와 유사한 논리 체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프레게는 1차 논리와 고차 논리를 구분하지 않았다. 이후 찰스 샌더스 퍼스가 1차 논리와 2차 논리를 구분하였으며, "2차 논리"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헹킨 의미론은 리언 앨버트 헹킨(, 1921~2006)이 1950년에 도입하였다. 2차 논리에 대하여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이솝 우화에 빗대어) “양의 탈을 쓴 집합론”이라고 평하였다. 즉, 2차 논리로는 집합론에 해당하는 여러 개념들(멱집합 등)을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증명 이론을 제시할 수 없으므로, 1차 논리와 달리 2차 ‘논리’는 사실 논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반면, 조지 불로스를 비롯한 다른 수리철학자들은 콰인의 비판에 반대하여 2차 논리를 옹호하였다. = 엑타코 = 엑타코(ECTACO Inc., East-Coast Trading American Company Incorporated). 전자사전, IT Device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최고 경영자는 최영석 2006년부터 한국법인이 운영되고 있으며 본사는 1989년 창시자는 David Lubaynitsky에 의해 미국 뉴욕에서 설립되어 19개국의 지부가 운영되고 있다. 이 회사는 초기 타제조사의 제품을 판매하던 리셀러(Reseller)였으나, 1990년 직접적으로 제품에 탑재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개발에 착수하였다. 미국 내 러시아와 폴란드 이민자가 최초 상업적 판매대상이었다. = = 한국법인 역사 = = 2006년: ECTACO, Inc 공식에이전시 협정 체결 한국 최초 전자사전용 제2외국어 전용제품 출시, 총 180개국어 2007년: 제2외국어 전자사전 쇼핑몰 TUMA 설립 ECTACO, iTRAVL상표권출원과 ㈜유비윈, 랭귀지타운,RussiaBox 입점 2008년: 교보문고, 알라딘커뮤니케이션, YES24, 이엠넷, 아이디어키와 업무제휴 15개 언어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검색 가능한 사전 XL-1500 국내출시 링보대사전을 수록한 다국어 전자사전 800P EK-1600, iTRAVL NTL-1400, 1900출시 경향신문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선정(출처) 2009년: ㈜애디스다이렉트, ㈜선경MNS와 업무제휴 서울 종로 영풍문고 내 직영점 설립 휴대용 광학문자판독스캐너 C-Pen 출시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태국어, 아랍어 전용 전자사전 NTL iTRAVL시리즈 출시 P900-ML13 출시 2010년: 두산동아 전자사전 공동사업 약정서 체결 전국 영풍문고 지점내 직영점 확장 핸드스캐너 C-Pen과 연결가능한 스캐너형 전자사전 P900 딜럭스시리즈 출시 2011년:서울지역 테크노마트점 판매점 개설 ㈜아트라젠 총판 계약 체결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안드로이드계열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한 핸드스캐너 C-Pen 3.5출시 180개국 세계사전과 전 콘텐츠 한국어화로 기능을 보강한 TransDic, ScanDic 출시 = = 미국법인 역사 = = ECTACO Inc. United State = = Speech Recognition technologies = = 엑타코와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공동으로 개발된 최초의 음성인식기능이다. 주로 전자사전분야에 적용되었으며 현재(2011년) 이 기술이 적용된 모델로는 ScanDic, TransDic이 있다. 국가나 외국어의 대한 사전지식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NATO, United Nations(UN),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와 미국방부,미 국립병원, FBI , United States Secret Service 등 수 많은 세계 각 연합과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라크전에서도 활용된 바 있다. = = Text Translation, Language Teacher, U-Learn = = 국내에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던 아랍, 포르투갈, 러시아 등 제2,3외국어에 대한 전자식 학습콘텐츠와 번역기 및 어학기 분야에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기술이 적용된 모델로는 ScanDic, TransDic이 있다. = = 산하 브랜드 = = iTravlhttp://www.itravl.net/ – 여행자에게 맞추어 실외에서 사용가능한 고출력 스피커, 고감도 마이크가 내장된 모델. NTL-ML13 Deluxe, NTL-1900 등의 제품이 있다. Lingvosofthttp://www.lingvosoft.com/- 안드로이드, iOS, 윈도, Palm OS, Pocket PC에서 45개국 이상의 전자사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번역기와 오디오북, 플래쉬카드 등을 포함한다. Partner Series출처- 학습용, 사무용 전자사전에 최적화한 모델. P900-ML13 Deluxe 등의 제품이 있다. Speech Guardhttp://www.speechguard.com/- 미 국방부, 연방수사국(FBI), 국정원, 경찰국 등 국.민간 행정 의사소통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델. JetBookhttp://www.jetbookk12.com/http://www.jetbook.net/- 전자책 eBook 전용리더. 아마존 Kindle, 아이리버 STORY와 같은 제품 군에 속한다. C-Penhttp://www.cpen.com/- 180개언어 이상의 문자를 편집가능한 문자로 판독하는 언어문자전용 판독스캐너. 현재 최신모델은 3.5버전으로 스마트폰과 Windows, Android OS에서 블루투스 무선연결 지원이 가능하다. = 톰과 제리: 수염의 전쟁 = 톰과 제리: 수염의 전쟁는 2002년에 출시된 VIS 엔터테인먼트의 비디오 게임이다. = 분류:발레아레스 제도의 경제 = = 아틀레티코 클루베 데 포르투갈 = 아틀레티코 클루베 데 포르투갈(Atlético Clube de Portugal)은 리스본, 정확히는 Alcântara 교구에 위치한 포르투갈 클럽이다. 1942년 9월 18일 Alcântara(Carcavelinhos Football Club)와 Santo Amaro(União Foot-Ball Lisboa)의 두 클럽이 합병하여 설립되었다. 축구 외에도 클럽에는 풋살 및 농구부도 존재한다. 과거에 클럽에는 필드 하키, 수영, 스포츠 낚시, 사이클 투어링, 탁구, 럭비, 배구, 체조, 트라이애슬론 및 핸드볼 또한 존재 했었다. = = 역대 선수 = = 박준형(2016) = 분류:노르웨이의 이슬람교 = = 분류:1493년 작품 = = 존 포터 = 존 포터(John Potter, 1674년~1747년 10월 10일)는 캔터베리 대주교이다. 요크셔 출신으로 1715년 옥스퍼드 주교가 되었고, 1737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 제72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 제72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은 2020년 9월 20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TV 드라마-남우주연상 = = = Succession - 제레미 스트롱 수상 Ozark - 제이슨 베이트먼 Pose - 빌리 포터 Succession - 브라이언 콕스 The Morning Show - 스티브 카렐 This Is Us - 스털링 K. 브라운 = = = TV 드라마-여우주연상 = = = Euphoria - 젠데이아 콜먼 수상 Killing Eve - 조디 코머 Killing Eve - 산드라 오 Ozark - 로라 리니 The Crown - 올리비아 콜맨 The Morning Show - 제니퍼 애니스톤 = = = TV 코미디-남우주연상 = = = Schitt's Creek - 유진 레비 수상 Black monday - 돈 치들 Black-ish - 안소니 앤더슨 Ramy - 라미 유세프 The Good Place - 테드 댄슨 The Kominsky Method - 마이클 더글라스 = = = TV 코미디-여우주연상 = = = Schitt's Creek - 캐서린 오하라 수상 Black-ish - 트레시 엘리스 로스 Dead To Me - 크리스티나 애플게이트 Dead To Me - 린다 카델리니 Insecure - 잇사 레이 The Marvelous Mrs. Maisel - 레이첼 브로스나한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남우주연상 = = = I Know This Much Is True - 마크 러팔로 수상 Bad Education - 휴 잭맨 Hollywood - Jeremy Pope Normal People - Paul Mescal Watchmen - 제레미 아이언스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여우주연상 = = = Watchmen - 레지나 킹 수상 Little Fires Everywhere - 케리 워싱턴 Mrs. America - 케이트 블란쳇 Self Made: Inspired By The Life Of Madam C.J. Walker - 옥타비아 스펜서 Unorthodox - 쉬라 하스 = = = TV 드라마-남우조연상 = = = The Morning Show - 빌리 크루덥 수상 Brooklyn Nine-Nine - 안드레 브라우퍼 Ramy - 마허샬라 알리 Saturday Night Live - 케넌 톰슨 Better Call Saul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Succession - 매튜 맥퍼딘 Succession - 니콜라스 브라운 Succession - 키에란 컬킨 The Handmaid's Tale - 브래드리 휘트포드 The Morning Show - 마크 듀플라스 Westworld - 제프리 라이트 = = = TV 드라마-여우조연상 = = = Ozark - 줄리아 가너 수상 Big Little Lies - 로라 던 Big Little Lies - 메릴 스트립 Killing Eve - 피오나 쇼우 Succession - 사라 스누크 The Crown - 헬레나 본햄 카터 The Handmaid's Tale - 사미라 윌리 Westworld - 탠디 뉴튼 = = = TV 드라마-게스트 남자 배우상 = = = This Is Us - 론 시퍼스 존스 수상 Black Mirror - 앤드류 스캇 Succession - 제임스 크롬웰 The Mandalorian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The Morning Show - 마틴 숏 The Outsider - 제이슨 베이트먼 = = = TV 드라마-게스트 여자 배우상 = = = Succession - 체리 존스 수상 How To Get Away With Murder - 시실리 타이슨 Orange Is The New Black - 레버른 콕스 Succession - 해리엇 월터 The Handmaid's Tale - 알렉시스 브레델 This Is Us - 필리샤 라샤드 = = = TV 코미디-남우조연상 = = = Schitt's Creek - Daniel Levy 수상 The Good Place - 윌리엄 잭슨 하퍼 The Kominsky Method - 알란 아킨 The Marvelous Mrs. Maisel - 스털링 K. 브라운 The Marvelous Mrs. Maisel - 토니 샬호브 = = = TV 코미디-여우조연상 = = = Schitt's Creek - 애니 머피 수상 GLOW - 베티 길핀 Insecure - Yvonne Orji Saturday Night Live - 세실리 스트롱 Saturday Night Live - 케이트 맥키넌 The Good Place - D'Arcy Carden The Marvelous Mrs. Maisel - 알렉스 볼스타인 The Marvelous Mrs. Maisel - 마린 힌클 = = = TV 코미디-게스트 남자 배우상 = = = Saturday Night Live - 에디 머피 수상 Modern Family - 프레드 윌러드 Modern Love - 데브 파텔 Saturday Night Live - 브래드 피트 Saturday Night Live - 아담 드라이버 The Marvelous Mrs. Maisel - 루크 커비 = = = TV 코미디-게스트 여자 배우상 = = = The Good Place - 마야 루돌프 수상 A Black Lady Sketch Show - 안젤라 바셋 Saturday Night Live - 마야 루돌프 Saturday Night Live - 피비 월러-브리지 The Marvelous Mrs. Maisel - 완다 사이키스 The Politician - 베트 미들러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남우조연상 = = = Watchmen - 야히아 압둘 마틴 2세 수상 Hollywood - 딜란 맥더모트 Hollywood - 짐 파슨스 Unbreakable Kimmy Schmidt: Kimmy vs. The Reverend - 타이터스 버지스 Watchmen - 루이스 고셋 주니어 Watchmen - Jovan Adepo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여우조연상 = = = Mrs. America - 우조 압두바 수상 Hollywood - 홀랜드 테일러 Mrs. America - 마고 마틴데일 Mrs. America - 트레이시 울만 Unbelievable - 토니 콜렛 Watchmen - 진 스마트 = = = TV 단편 코미디,드라마-남자 배우상 = = = #FreeRayshawn - 로렌스 피시번 수상 #FreeRayshawn - 스테판 제임스 Most Dangerous Game - 크리스토프 왈츠 Oh Jerome, No (Cake) - 마무두 아티 Survive - 코리 호킨스 = = = TV 단편 코미디,드라마-여자 배우상 = = = #FreeRayshawn - 자스민 시퍼스 존스 수상 Dummy - 안나 켄드릭 Flipped - 케이틀린 올슨 Razor Tongue - 레인 발데즈 Reno 911! - 케리 케니 = = = TV 드라마-감독상 = = = Succession - 앤드리 페렉 수상 Homeland - 레슬리 링카 글래터 Ozark - 앨릭 사크하로브 Ozark - Ben Semanoff Succession - 마크 미로드 The Crown - Benjamin Caron The Crown - 제시카 홉스 The Morning Show - 미미 레더 = = = TV 드라마-각본상 = = = Succession - 제시 암스트롱 수상 Better Call Saul - 토머스 슈노즈 Better Call Saul - 고든 J. 스미스 Ozark - 존 시반 Ozark - Miki Johnson The Crown - 피터 모건 = = = TV 코미디-감독상 = = = Schitt's Creek - Daniel Levy 외 1인 수상 Modern Family - 게일 맨쿠소 Ramy - 라미 유세프 The Great - 맷 샤크먼 The Marvelous Mrs. Maisel - 다니엘 팰라디노 The Marvelous Mrs. Maisel - 에이미 셔만 Will & Grace - 제임스 버로우즈 = = = TV 코미디-각본상 = = = Schitt's Creek - Daniel Levy 수상 Schitt's Creek - David West Read The Good Place - 마이클 슈어 The Great - 토니 맥나마라 What We Do In The Shadows - Sam Johnson 외 1명 What We Do In The Shadows - Paul Simms What We Do In The Shadows - Stefani Robinson Ozark - 크리스 먼디 = = = TV 버라이어티 시리즈-감독상 = = = Saturday Night Live - 돈 로이 킹 수상 A Black Lady Sketch Show - 다임 데이비스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 폴 페놀리노 외 1명 The Daily Show With Trevor Noah - David Paul Meyer The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 짐 호스킨슨 Tiffany Haddish Presents: They Ready - 린다 멘도자 = = = TV 버라이어티 시리즈-각본상 = = =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 Dan Gurewitch 외 11명 수상 Full Frontal With Samantha Bee - Samantha Bee 외 11명 Late Night With Seth Meyers - Alex Baze 외 17명 The Daily Show With Trevor Noah - Dan Amira 외 18명 The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 Ariel Dumas 외 22명 = = = TV 버라이어티 스페셜-감독상 = = = Dave Chappelle: Sticks & Stones - 스탠 라던 수상 62nd Grammy Awards - 루이스 J. 호빗츠 73rd Annual Tony Awards - 글렌 웨이스 Live In Front Of A Studio Audience: 'All In The Family' And 'Good Times' - 파멜라 프라이맨 외 1명 Super Bowl LIV Halftime Show Starring Jennifer Lopez And Shakira - 해미쉬 해밀턴 = = = TV 버라이어티 스페셜-각본상 = = = Dave Chappelle: Sticks & Stones - 데이브 샤펠 수상 Hannah Gadsby: Douglas - Hannah Gadsby John Mulaney & The Sack Lunch Bunch - 존 멀레이니 외 2명 Patton Oswalt: I Love Everything - 패튼 오스왈트 Seth Meyers: Lobby Baby - 세스 마이어스 73rd Annual Tony Awards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감독상 = = = Unorthodox - 마리아 슈라더 수상 Little Fires Everywhere - 린 쉘튼 Normal People - 레니 에이브러햄슨 Watchmen - 니콜 카셀 Watchmen - 스테프 그린 Watchmen - Stephen Williams = = = TV 리미티드시리즈,영화-각본상 = = = Watchmen - 데이먼 린델로프 외 1명 수상 Mrs. America - Tanya Barfield Normal People - Sally Rooney 외 1명 Unbelievable - 수잔나 그랜트 외 2명 Unorthodox - 안나 윙거 = = = TV 리얼리티 프로그램-감독상 = = = Cheer - 그렉 화이트리 수상 LEGO Masters - Rich Kim Queer Eye - 히샴 아베드 RuPaul's Drag Race - Nick Murray Top Chef - Ariel Boles = = = TV 드라마-최우수작품상 = = = Succession Better Call Saul Killing Eve Ozark Stranger Things The Crown The Handmaid's Tale The Mandalorian = = = TV 코미디-최우수작품상 = = = Schitt's Creek Curb Your Enthusiasm Dead To Me Insecure The Good Place The Kominsky Method The Marvelous Mrs. Maisel What We Do In The Shadows = = = TV 리미티드시리즈-최우수작품상 = = = Watchmen Little Fires Everywhere Mrs. America Unbelievable Unorthodox = = = TV 영화-최우수작품상 = = = Bad Education American Son Dolly Parton's Heartstrings: These Old Bones El Camino: A Breaking Bad Movie Unbreakable Kimmy Schmidt: Kimmy vs. The Reverend = = = TV 버라이어티 토크-최우수작품상 = = =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Full Frontal With Samantha Bee Jimmy Kimmel Live! The Daily Show With Trevor Noah The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 = = TV 버라이어티 스케치-최우수작품상 = = = Saturday Night Live A Black Lady Sketch Show Drunk History = = = TV 리얼리티 경쟁-최우수작품상 = = = RuPaul's Drag Race Nailed It! The Masked Singer The Voice Top Chef = = = TV Outstanding Host for a Reality or Reality-Competition Program = = = RuPaul's Drag Race - 루폴 수상 Making It - 에이미 포엘러 Nailed It! - Nicole Byer Queer Eye - Karamo Brown 외 4명 Shark Tank - Daymond John 외 5명 Top Chef - Padma Lakshmi 외 1명 = = = TV 만화영화-최우수작품상 = = = Rick And Morty Big Mouth Bob's Burgers BoJack Horseman The Simpsons = = = TV 단편만화영화-최우수작품상 = = = Forky Asks A Question: What Is Love? Robot Chicken Steven Universe Future = = = TV 버라이어티 스페셜-최우수작품상 = = = Live In Front Of A Studio Audience: 'All In The Family' And 'Good Times' 77th Annual Golden Globe Awards Super Bowl LIV Halftime Show Starring Jennifer Lopez And Shakira The Oscars Dave Chappelle: Sticks & Stones Dave Chappelle: The Kennedy Center Mark Twain Prize For American Humor Hannah Gadsby: Douglas Jerry Seinfeld: 23 Hours To Kill John Mulaney & The Sack Lunch Bunch Tiffany Haddish: Black Mitzvah = = = TV 스트럭쳐 리얼리티 프로그램-최우수작품상 = = = Queer Eye A Very Brady Renovation Antiques Roadshow Love Is Blind Shark Tank = = = TV 언스트럭쳐 리얼리티 프로그램-최우수작품상 = = = Cheer Amy Schumer Learns To Cook: Lunch Break And Pasta Night Kevin Hart: Don’t F**k This Up RuPaul's Drag Race: Untucked We're Here = = = TV 다큐멘터리, 논픽션 시리즈-최우수작품상 = = = The Last Dance American Masters Hillary McMillion$ Tiger King: Murder, Mayhem And Madness = = = TV 단편 코미디,드라마-최우수작품상 = = = Better Call Saul Employee Training: Legal Ethics With Kim Wexler Most Dangerous Game Reno 911! Star Trek: Short Treks The Good Place Presents: The Selection = = = TV 단편 논픽션,리얼리티-최우수작품상 = = = National Geographic Presents Cosmos: Creating Possible Worlds Between The Scenes - The Daily Show Full Frontal With Samantha Bee Presents: Pandemic Video Diaries Pose: Identity, Family, Community = = = TV 단편 버라이어티-최우수작품상 = = = Carpool Karaoke: The Series Beeing At Home With Samantha Bee Between Two Ferns With Zach Galifianakis: The Movie, Sorta Uncut Interviews Jimmy Kimmel's Quarantine Minilogues The Randy Rainbow Show = = = TV 우수 시리즈 기술감독, 카메라 워크, 비디오 컨트롤 상 = = =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Curb Your Enthusiasm Jimmy Kimmel Live! Saturday Night Live The Voice 2019 American Music Awards Dave Chappelle: Sticks & Stones Live In Front Of A Studio Audience: 'All In The Family' And 'Good Times' The Little Mermaid Live! The Oscars = = = TV 우수 다큐멘터리 필름메이킹 = = = The Cave Chasing The Moon (American Experience) Moonlight Sonata: Deafness In Three Movements One Child Nation = = = TV 우수 나레이터 = = = Seven Worlds, One Planet - 데이비드 아텐버러 수상 Black Patriots: Heroes Of The Revolution - 카림 압둘 자바 Serengeti - 루피타 뇽 The Elephant Queen - 치웨텔 에지오포 The Imagineering Story - 안젤라 바셋 = 메소드 스튜디오 = 메소드 스튜디오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시각 효과 회사이다. 1998년 설립되었다. 밴쿠버, 뉴욕, 시카고, 디트로이트, 애틀랜타, 런던, 시드니, 멜버른에 지사를 두고있다. 주로 영화나 광고의 시각 효과를 제작한다. = = 메소드 디자인 = = 메소드 디자인은 로스앤젤레스 본사의 사업부에서 2002년부터 영화의 메인 타이틀을 디자인한다. 맨 인 블랙 3, 어벤져스, 퍼스트 어벤져 등의 메인 타이틀을 작업하였다. = = 수상 경력 = = 시각 표과 협회상 - 2013년 뛰어난 광고 효과상, 2011년 실사 광고 효과상 = 원주대교 = 원주대교(原州大橋)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에 있는 다리로, 중앙고속도로를 구성하는 고속도로 교량이다. 치악 휴게소와 남원주 나들목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치악 휴게소와 가까운 곳에 있다. = = 역사 = = 1995년 8월 29일 : 중앙고속도로의 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구간이 완공되면서 개통하였다. 개통 당시에는 왕복 2차로였기 때문에 양방향(춘천 방면과 부산 방면) 통행이 가능하였다. 2000년 6월 1일 : 왕복 4차로로 확장이 되면서 북쪽 방향(춘천 방면)으로만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다리 바로 옆에 2차로로 된 남쪽 방향의 도로를 신설하지 않았으며, 서쪽으로 200m에서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2차로로 된 남쪽 방향 도로를 신설하였다.) = = 정보 = = 운송수단 : 중앙고속도로 교차지점 : 원주천 장소 : 원주시 시공 : 준공 : 1995년 = 피닉스 선스 = 피닉스 선스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를 연고지로 하는 NBA 서부 콘퍼런스 퍼시픽 디비전 소속 프로 농구 팀이다. 포인트 가드 스티브 내시를 영입한 2004-2005 시즌 62승 20패로 NBA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5-2006 시즌 NBA 한 시즌 팀 최다 3점 기록인 837개를 기록하였고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했다. 선스의 홈 아레나는 풋프린트 센터로 다운타운에 위치하고 있다. 1968년 이후로 선스는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40년 동안 1,750승을 거두었고 8번의 웨스트 컨퍼런스 우승을 기록하였으며, 1976년과 1993년, 2021년에는 NBA 결승전에도 진출했다. = = 선수단 = = 2024년 2월 기준이다. 0. 조던 굿윈 1. 데빈 부커 2. 조시 오코기 3. 브래들리 빌 4. 치메제 메투 8. 그레이슨 앨런 10. 데미언 리 11. 볼 볼 12. 테오 말레동 14. 드루 유뱅크스 18. 와타나베 유타 20. 유수프 누르키치 21. 케이타 베이츠디옵 23. 에릭 고든 25. 나시르 리틀 27. 우도카 아주부키 35. 케빈 듀랜트 38. 새번 리 감독: 프랭크 보글 = = 역대 홈경기장 = = 경기장 사용기간 수용인원 장소 비고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애리조나 베터런스 메모리얼 콜리시엄 1968년~1992년 14,870명 애리조나주 피닉스 풋프린트 센터 1992년~현재 18,055명 애리조나주 피닉스 아메리카 웨스트 아레나 (1992년~2006년)US 에어워스 센터(2006년~2015년)토킹 스틱 리조트 아레나 (2015년~2020년)PHX 아레나(2020년~2021년)피닉스 선스 아레나(2021년) = = 기념 = = = = = 영구 결번 = = = 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비고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피닉스 선스 5 딕 밴 아스데일 가드 1968년~1977년 1987년 감독 6 월터 데이비스 가드 1977년~1988년 6 빌 러셀 센터 NBA 최초로 전 구단 영구결번됨. 7 케빈 존슨 가드 1988년~1998년2000년 9 댄 멀리 포워드 1988년~1995년2001년~2002년 2008년~2013년 코치 13 스티브 내시 가드 1996년~1998년2004년~2012년 24 톰 챔버스 포워드 1988년~1993년 31 숀 매리언 포워드 1999년~2008년 32 아마레 스터드마이어 포워드 2002년~2010년 33 앨번 애덤스 센터 1975년~1988년 그랜트 힐 (2007년 ~ 2012년) 착용함. 34 찰스 바클리 포워드 1992년~1996년 42 코니 호킨스 포워드 1969년~1973년 44 폴 웨스트팰 가드 1975년~1980년1983년~1984년 1992년~1996년 감독 832 코턴 피츠시먼스 1970년~1972년1988년~1992년1996년 피닉스 선스에서 기록한 승수이다. 제리 콜란젤로 1968년~1995년 1970년 단장 겸 감독1972년~1973년 단장 겸 감독1968년~1995년 단장 존 맥클라우드 1973년~1987년1999년~2000년 감독코치 조 프로스키 1968년~2000년 전 트레이너 알 맥코이 1972년~현재 장내 아나운서 = = =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 = = 인터넷 투표를 통해 팬들에 의해 선정된 40주년 기념팀이 2008년 1월 3일에 공개되었다. 같은 날 밤 선스는 팀의 40번째 시즌을 축하하기 위해 시애틀 슈퍼소닉스를 104-96으로 이겼다. 선스의 1968년 첫 경기는 시애틀 슈퍼소닉스와의 경기였다. 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피닉스 선스 40주년 기념팀 5 딕 밴 아스데일 가드 1968년~1977년 6 월터 데이비스 가드 1977년~1988년 7 케빈 존슨 가드 1988년~1998년2000년 9 댄 멀리 포워드 1988년~1995년2001년~2002년 13 스티브 내시 가드 1996년~1998년2004년~2012년 24 톰 챔버스 포워드 1988년~1993년 31 숀 매리언 포워드 1999년~2008년 132 아마레 스터드마이어 포워드 2002년~2010년 33 앨번 애덤스 센터 1975년~1988년 34 찰스 바클리 포워드 1992년~1996년 42 코니 호킨스 포워드 1969년~1973년 44 폴 웨스트팰 가드 1975년~1980년1983년~1984년 = = 라이벌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 로고 = = 2000-2001 시즌을 위해서 선스는 새로운 세가지 로고를 발표했다. 기존의 로고를 변형 업데이트한 두 로고는 모던하게 바꾸는 동시에 회색을 추가했다. 로고는 전설속의 새인 불사조를 기존 선스의 테마에 맞추어 넣었다. 그것은 팀의 홈타운인 불사조가 공에서 날아오르는 모습과 PHX라는 홈타운의 약자를 앞쪽에 가로넣었다. 코트의 한가운데에 새겨져있다. TV네트워크에서는 프라이머리 로고를 활발히 사용하지만, 웹사이트와 게임에서는 1990년대의 세컨더리 로고를 팀의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다. = = 유니폼 = = 2000-2001 시즌 동안 선스는 똑같은 흰색 홈유니폼과 보라색 원정유니폼을 입었다. 2003년 10월 20일 새로운 대체 유니폼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1년에 5번 정도로만 사용되었다. 이 오렌지색 유니폼은 홈경기와 원정경기에서 둘 다 이용되었고 플레이오프에도 사용되었다. 이는 NBA에서 유일하게 도시 이름의 약자를 사용한 유니폼이기도 하다. 2006-2007시즌에는 바지 양쪽에 유니폼 넘버를 지우고 로고로 대체하였다. = = 선스 고릴라 = = NBA에서의 처음 11번의 시즌 동안 선스는 공식마스코트가 없었다. 처음에 시도한 마스코트는 해바라기 코스튬을 이용한 것이었으나 자리잡지 못했다. 1980년 겨울, 이스턴 어니언 텔레그램 서비스로부터 헨리로하스라는 이름의 노래하는 전보로 고릴라 코스튬이 아레나에 도착한다. 안전요원은 그를 보고 그에게 브레이크타임에 머무르도록 제안했다. 그는 계속해서 게임을 보러왔고 결국 공식적으로 선스의 마스코트로 초대되었다. 그 뒤로 이 고릴라의 이름은 ‘고’라고 불리게 되었다. 스랩스틱 코미디와 4쿼터 시작전 슬램덩크쇼등으로 유명세를 얻게 된다. 2005년 마스코트 홀오브 페임에 선정되기에 이른다. = 분류:가봉의 무술 = = 미요시촌 (아오모리현) = 미요시촌은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고쇼가와라시에 해당한다. = = 연혁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기타쓰가루군 쓰루가오카촌, 다카세촌, 모가와촌과 합병해, 미요시촌이 성립하였다. 1954년 10월 1일 - 고쇼가와라정, 사카에촌, 나카가와촌, 나가하시촌, 마쓰시마촌, 이즈메촌과 합병해 시제를 시행해 고쇼가와라시가 되었다. = 분류:남명 = = 성운설 = 성운설 또는 성운 가설(星雲說, 星雲假說, )은 우주기원론 분야에서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인정받는 가설이다.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48쪽 좌단 1째줄 칸트-라플라스 성운설(Kant-Laplace nebular hypothesis)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가설은 태양계가 성운 물질에서 생겨났다고 가정한다. 이 이론의 최초 주창자는 이마누엘 칸트로 1755년 저작 보편자연사 및 천공 이론에서 소개하였다. 행성계 탄생 과정은 원래 태양계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전 우주에 걸친 보편적 현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널리 인정된 현대 변종(變種) 성운이론은 태양성운원반모형(solar nebular disk model, SNDM) 또는 태양성운모형(solar nebular model)이다. 이 이론은 행성들의 공전궤도가 원 모양에 가깝고 거의 같은 공전면 위에 놓여 있으며 공전방향이 태양의 자전 방향과 같다는 사실 등 태양계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해 준다. 최초 성운가설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일부는 현대 행성탄생 이론에서 다시 등장했으나 대부분은 대체되었다. 성운 가설에 따르면 항성은 거대하고 밀도 높은 분자수소 구름(거대분자운, GMC) 속에서 만들어진다. 이 구름은 중력적으로 불안정하며 물질은 그 가운데에서 좀 더 작고 밀도 높은 덩어리로 뭉친 뒤 회전하고 붕괴하면서 항성이 된다. 항성탄생은 복잡한 과정으로 막 태어나는 별 주위에는 언제나 가스로 된 원시행성계원반이 생겨난다. 이 원반에서 특정한 조건 아래 행성이 생겨날 수 있는데 그 조건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어쨌든 행성계가 생겨나는 것은 항성이 생겨나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인다. 태양과 비슷한 항성이 생겨나는 데에는 대략 100만 년이 걸리며 원시행성계원반이 행성계로 진화하는 데에는 그 후 1000만 ~ 1억 년이 추가로 걸린다. 이 원시행성계원반은 중심별에 물질을 공급하는 강착원반이다. 원반은 처음에는 매우 뜨거우나 이후 식어 황소자리 T형 항성으로 진화한다. 황소자리 T형 단계에서 암석과 얼음으로 된 미세한 먼지입자가 생겨난다. 이 입자들은 최종적으로 1킬로미터 크기의 미행성으로 자라나게 된다. 만약 원반의 질량이 충분히 크다면 강착의 속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10만 년 ~ 30만 년 사이에 달에서 화성 정도 질량의 원시행성으로 빠르게 자라난다. 항성으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이 원시행성들은 격렬한 융합 단계를 거쳐서 수 개의 암석 행성이 된다. 이 마지막 단계에는 대략 1억 년에서 10억 년이 소요된다. 가스행성의 형성은 보다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가스행성은 동결선 너머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곳에 있는 행성 배아(planetary embryo)들은 주로 여러 종류의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결과 이 곳의 행성 배아는 원시행성계원반 안쪽에 있는 것들보다 질량이 몇 배 크다. 행성 배아가 만들어진 이후 진화 과정이 어떤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일부 행성 배아는 지구질량 5~10배 수준까지 자라난다. 이 '문지방 질량'에 이르면 원반에 있던 수소, 헬륨 기체가 행성 표면에 강착되기 시작한다. 중심핵이 주변 기체를 모으는 과정은 처음에는 수백만 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나 원시행성 질량이 지구의 30배에 다다르면 질량 증가 속도는 폭주하여 빨라진다. 목성과 토성과 같은 가스행성들은 불과 1만 년 만에 현재 질량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이 강착 과정은 주변의 기체가 행성에 전부 빨아먹히면 끝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행성들은 이후 공전궤도가 크게 바뀔 수 있다. 천왕성과 해왕성 같은 얼음 행성들은 '실패한 중심핵'으로 보이며 이들은 원반 물질이 거의 다 사라졌을 때 뒤늦게 물질을 흡수하여 크게 자라나지 못했다. = = 역사 = = 1734년 에마누엘 스베덴보리가 성운설의 일부 내용을 최초로 제기했다는 증거가 있다. 스베덴보리의 주장에 흥미를 느낀 이마누엘 칸트는 1755년 그의 가설을 보강하여 본인 저서 천계의 일반자연사와 이론(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에 수록했는데 이 책에서 칸트는 기체로 된 구름(성운)은 천천히 회전하다가 중력 때문에 천천히 붕괴하여 평평한 모양이 되고 최종적으로 항성과 행성으로 진화 한다고 주장했다. For details of Kant's position, see Stephen Palmquist, "Kant's Cosmogony Re-Evaluated",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18:3 (September 1987), pp.255-269.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칸트와 비슷한 모형을 독립적으로 1796년 본인 저서 우주체계 해설 (Exposition du systeme du monde)에서 개발·제안했다. 라플라스는 태양은 원래 태양계 전체 공간을 채우는 뜨거운 대기 형태의 '원시태양성운'이었다고 주장했다. 이 성운은 차가워지고 수축하면서 납작해지고 점점 회전속도가 빨라졌다. 그 다음 기체로 이루어진 고리 여러 개가 본체로부터 떨어져 나왔으며 행성들은 이 기체 고리들이 뭉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플라스의 모형은 칸트와 비슷했으나 보다 정교했으며 천체 크기는 더 작았다. 라플라스의 성운 모형은 19세기를 지배하였으나 몇 가지 문제점에 직면했다. 제일 중요한 문제점은 태양과 행성 사이에 배분된 각운동량이었다. 행성의 각운동량은 전체의 99%였으며 이 수치는 성운 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천문학자들 대부분은 20세기 초에 이르러 이 행성탄생 이론을 버렸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1831년 ~ 1879년)은 라플라스의 이론에 의문을 제기한 19세기 대표주자이다. 그는 '고리 하나의 안쪽과 바깥쪽 부분의 공전 속도가 다르면 물질은 뭉칠 수 없다.'라는 주장을 고수했다.George H. A. Cole (2013). Planetary Science: The Science of Planets around Stars, Second Edition, Michael M. Woolfson, p. 190 천문학자 데이비드 브루스터 경은 1876년 저작에서 라플라스의 가설을 부정했다. "성운설을 믿는 사람들은 태양 대기로부터 내쳐진 물질의 고리로부터 지구의 단단한 물질과 대기 성분이 유래했고, 이것들이 압축되어 지구의 암석과 바다를 형성했으며, 다시 지구로부터 달이 똑같은 방식으로 내쳐졌다고 확신한다. " 그는 상기 관점에 기초하여 "달은 지구로부터 똑같은 방식으로 물과 공기를 필히 가져갔어야 하고, 대기도 있었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Brester, David (1876), "More Worlds Than One: The Creed of the Philosopher and the Hope of the Christian", Chatto and Windus, Piccadilly, p. 153 브루스터는 아이작 뉴튼 경이 종교적 믿음 때문에 성운설을 무신론적 이론으로 여겼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문구를 남겼다. "신의 중재 없이 오래 된 체계로부터 새로운 체계가 자라난다는 것은 뉴튼에게 확실히 터무니 없는 것처럼 보였다."As quoted by David Brewster, "More worlds than one : the creed of the philosopher and the hope of the Christian", Fixed stars and binary systems. p. 233 과학자들은 라플라스 모형을 대체할 이론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토마스 챔벌린과 포레스트 몰턴의 미행성 이론(1901년), 제임스 진스의 조석 모형(1917년), 오토 슈미트의 강착 모형(1944년), 윌리엄 맥크레의 원시행성 이론(1960년), 마이클 울프슨의 포획 이론 등 20세기 많은 이론들이 이 쟁점을 다루었다. 널리 인정받은 현대적 행성생성 이론(태양성운원반모형)의 탄생은 소련 천문학자 빅토르 사프로노프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1969년 책 '원시행성계원반의 진화와 지구 및 행성들의 생성'은 1972년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행성 탄생에 대한 과학자들의 사고에 길고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 책에서 거의 모든 중요한 행성생성과정의 문제들이 공식화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해명되었다. 사프로노프의 가설들은 폭주강착을 발견한 조지 웨더릴의 논문에서 좀 더 진전되었다. 1978년 앤드류 프렌티스는 행성생성에 관한 초기 라플라스의 주장을 부활시켰으며 '현대 라플라스 이론'을 개발했다. 태양성운원반모형은 원래는 태양계의 탄생을 설명하기 위해 세워진 가설이었으나 이후 우리 은하에서 수천 개의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면서 우주 전체에 걸쳐 유효한 가설로 인정받았다. = = 태양 성운 모형: 해명된 부분과 문제점 = = = = = 해명된 부분 = = = 항성 탄생 과정에서 젊은 항성체 주변에는 자연스럽게 강착원반이 나타난다. 대략 나이가 100만 년 정도인 항성들은 예외 없이 이런 원반을 두르고 있을 것이다. 이 결론은 이론적 예측처럼 원시별과 황소자리 T형 항성 주변에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들이 발견되고 있어서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원반들을 관측하여 원반 내 먼지 입자가 짧은 시간(1천 년) 동안 1센티미터 크기의 파편으로 자라나는 것을 알아냈다. 강착 과정 중 1 킬로미터 크기의 미행성들이 1000 킬로미터까지 성장하는 부분은 연구가 많이 되어 있다. 이 과정은 원반 내 미행성의 밀도가 충분히 높은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진행되며 미행성은 기하급수적 속도로 자라난다. 성장속도는 이후 느려지고 과두강착(寡頭降着, oligarchic accretion) 단계에 접어든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행성 배아(planetary embryo)들이 만들어지며 배아의 크기는 중심별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한 모의실험을 통해 원시행성계원반 안쪽 지대에서 행성 배아들끼리 융합하여 지구 크기 천체 여러 개가 태어남을 확인했다. 따라서 지구형 행성의 기원은 현재 거의 해결된 문제로 보인다. = = = 현재 논점 = = = 강착원반의 물리학은 몇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원시항성이 끌어모은 물질이 각운동량을 잃는 과정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의문에 대해 한네스 알벤이 주장한 가설로 '황소자리 T형 단계를 거치는 동안 태양풍이 원반에 있던 각운동량을 흘려 보냈다'라는 것이 있다. 운동량은 점성응력에 의해 원반 바깥쪽 영역으로 옮겨졌다. 거시적 난류가 점성을 만들지만 난류가 생겨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각운동량이 흘러나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가설 중 하나로 자기마찰이 있는데 항성은 자기장을 통하여 회전 에너지를 주변에 둘린 원반으로 옮긴다. 원반의 기체가 사라지는 데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과정은 점성확산과 광증발이다. 미행성의 생성과정은 성운원반모형에서 가장 까다로운 미해결 문제이다. 어떻게 1 센티미터 크기 입자가 1 킬로미터 크기 미행성으로 뭉칠 수 있는지는 수수께끼이다. 이 과정이 규명된다면 어떤 항성에는 행성계가 있는 반면 어떤 항성에는 먼지 원반조차 없는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가스행성이 생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 또한 중대한 의문점이다. 기존 이론으로는 빠르게 사라지는 원시행성계원반으로부터 어떻게 가스행성의 중심핵이 엄청난 양의 기체를 끌어 모을 수 있었는지를 설명할 수 없었다. 1천만 년이 안 되는 원반의 평균 수명은 목성급 천체의 중심핵 형성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다. 이 문제를 궁리하는 과정에서 이론상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가스행성 탄생에 관한 최근 모형들에 따르면 최소 목성급의 무거운 행성이 약 400만 년 또는 그보다 짧은 시간 만에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이 기간은 원시행성계원반의 수명보다 확실히 짧다. 가스행성들의 궤도 이동 또한 잠재적인 의문점이다. 일부 계산들로부터 원반과의 상호작용이 안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만약 이동이 멈추지 않는다면 '준목성급 천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중심별 가까이를 돌게 된다.'Papaloizou 2007 page 10 보다 최근의 계산에 따르면 행성이 이동하는 중 원반의 진화가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의문점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고 한다. = = 별과 원시행성계원반의 생성 = = = = = 원시별 = = = 항성은 태양 질량의 약 30만 배, 지름 약 65광년에 이르는 거대하고 차가운 분자수소 구름 속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수백만 년 시간이 흐르면서 거대분자구름은 붕괴하고 조각나게 된다. 이 조각들은 작고 밀도 높은 핵을 만들며 이 핵은 붕괴하여 항성이 된다. 핵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일부분에서부터 수 배에 이르며 원시항성성운으로 불린다. 원시항성성운의 지름은 2,000–20,000 AU, 입자수밀도는 대략 10,000 ~ 100,000 cm−3이다.비교 예시로 지구의 해수면에서 입자수밀도는 2.8×1019 cm−3이다. 태양 정도 질량의 원시항성성운이 붕괴하는 데에는 약 10만 년이 걸린다. 모든 성운은 일정한 양의 각운동량을 지닌 상태에서 진화를 시작한다. 성운의 중심부에 있는 기체는 상대적으로 각운동량이 낮으며 빠르게 압축되어 뜨거운 유체정역학적 중심핵(수축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 핵은 장차 항성이 될 씨앗이다. 붕괴가 계속되나 각운동량은 보존되므로 추락하는 외피층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며 이는 기체가 중심부 핵 표면에 곧장 강착되는 것을 막는다. 대신 기체는 중심부 핵의 적도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퍼져나가며 핵의 적도면 가까이 원반을 형성하고 그 다음으로 핵 표면에 강착된다. 중심부의 질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젊고 뜨거운 원시별이 된다. 이 단계에서 원시별과 원반은 중심을 향해 떨어지는 외피 물질에 두텁게 가려서 직접 관측할 수 없다. 사실 남아 있는 외피의 불투명도가 너무 높아서 밀리미터파 복사조차도 그 안에서부터 탈출하기 어렵다. 이런 천체들은 매우 밝은 응축체처럼 보이며 주로 밀리미터파와 서브밀리미터파 복사를 뿜어낸다. 이들은 분광형상 0형 원시별로 분류된다. 붕괴는 흔히 원반 자전축을 따라 남북극에서 뿜어져 나오는 쌍극류(제트)를 동반한다. 제트는 항성이 태어나는 영역(허빅-아로천체)에서 빈번히 관측된다. 0형 원시별의 광도는 높아서 태양 질량 정도의 원시별은 태양광도 100배 밝기로 빛날 것이다. 원시별의 중심핵이 아직 핵융합을 시작할 만큼 뜨겁지 않기 때문에 이 빛 에너지의 원천은 중력붕괴이다. 외피의 물질이 원반에 계속 떨어지면서 외피는 종국적으로 농도가 옅어지다가 투명해져서 젊은 항성체(YSO)는 처음에는 원적외선에서, 나중에는 가시광선 파장에서 관측 가능하게 된다. 이 때를 전후하여 원시별은 중수소를 태우기 시작한다. 만약 원시별이 충분히 무거우면(목성질량의 80배 이상) 수소 융합이 뒤따라온다. 만약 천체의 질량이 너무 작으면 갈색 왜성이 된다. 이 새로운 항성이 태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성운의 붕괴가 시작된 뒤로 약 10만 년이다. 이 단계에서의 천체들은 I형 원시별로 '진화한 원시별' 혹은 '젊은 항성체', '젊은 황소자리 T형 항성'으로도 불린다. 이 시점까지 원시별은 원반 전체의 질량 중 대부분을 강착하였고 남은 외피 질량은 젊은 항성체 질량의 10~20%를 넘지 않는다. 다음 단계에서 원반에 의해 물질을 빼앗긴 외피는 완전히 사라지고 원시별은 전형적인 황소자리 T형 항성이 되며 여기에 걸리는 시간은 약 100만 년이다. 전형적인 황소자리 T형 항성 주변에 있는 원반의 질량은 항성 질량의 약 1~3%이며 1년에 태양질량 10−7배의 물질이 중심별에 강착된다. 이 때 보통 한 쌍의 쌍극류 제트도 공존한다. 강착은 방출선에서의 강한 플럭스(항성의 본래 광도의 100%까지 올라감), 자기장 활동, 광구 활동의 변동, 제트 등 황소자리 T형 항성의 특이한 현상들의 원인이다. 방출선은 강착된 기체가 항성의 '표면'을 실제로 때릴 때 형성되며 이는 항성의 자극 근처에서 발생한다. 제트는 강착의 부산물이며 여분의 각운동량을 가지고 나간다. 전형적인 황소자리 T형 항성 단계는 약 1천 만 년 지속된다. 중심별로의 물질강착, 행성 생성, 제트에 의한 방출, 중심별·인접 항성의 UV 복사로 인한 광증발 등으로 인해 원반은 결국 사라진다. 그 결과 젊은 항성은 약선 황소자리 T형 항성이 되며 수 억 년의 시간에 걸쳐 천천히 평범한 태양형 항성으로 진화한다. = = = 원시행성계원반 = = = 원시행성계원반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원반에서 특정 상황이 만족되면 행성계가 탄생한다. 젊은 성단에 있는 항성 주변에는 매우 높은 확률로 원시행성계원반이 관측된다. 원반은 항성이 태어날 시점부터 존재하지만 극초반 단계에서는 항성 주변에 둘리어 있는 외피(外皮)의 불투명도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0형 원시별의 원반은 중심에 있는 원시별에 물질을 공급하는 강착원반이다. 이 원반은 질량이 크고 뜨거운 것으로 보이는데 항성으로부터 5 AU 안쪽은 400 K, 1 AU 안쪽 온도는 1000 K를 가볍게 넘어간다. 원반이 가열되는 원인은 주로 원반 내 난류의 점성소실과 성운으로부터의 가스 유입 때문이다. 안쪽 원반은 온도가 높아서 휘발성 물질(물, 유기물, 일부 광물)은 증발하며 철처럼 열에 잘 견디는 물질만이 남는다. 얼음은 원반의 바깥쪽 부분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 강착원반의 물리학에서 주된 문제점은 '난류의 발생'과 '높은 유효점도의 원인이 되는 메커니즘'이다. 난류의 점성은 질량이 중심부 원시별로, 운동량이 원반 주변부로 수송되는 원인으로 보인다. 이는 강착에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항성은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일부 가스에 각운동량을 실어 보내는 방식으로 갖고 있던 각운동량 대부분을 잃어버려야 가스를 끌어당겨 자라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의 결과 원시별과 원반 반지름 둘 다 증가한다. 원반 반지름은 만약 초기 성운의 각운동량이 충분히 크면 1000 AU에 이를 수 있다. 오리온 성운처럼 다수 항성탄생영역에서 거대한 원반들이 흔하게 관측된다. 강착원반의 수명은 약 1천만 년이다. 항성이 전형적인 황소자리 T형 단계에 이르면 원반은 얇아지고 차가워진다. 휘발성이 약한 물질은 원반 중심부 근처에서 응축하기 시작하여 결정질 규산염을 포함한 0.1 ~ 1 μm 크기의 먼지입자를 생성한다. 바깥쪽 원반으로부터 물질이 이동해 오면서 이 새로 형성된 먼지입자들과 원래 있던 원소들(유기물질과 기타 휘발성 물질을 포함)을 섞을 수 있다. 이 혼합작용으로 원시 운석에 성간먼지 입자가 있거나 혜성에 내화성 물질이 섞인 것과 같이 태양계 천체들의 조성물에 나타나는 몇몇 특이성들을 설명할 수 있다. 먼지입자들은 밀도 높은 원반환경에서 서로 달라붙는 경향이 있어서 좀 더 큰 수 센티미터 크기 입자들로 자라난다. 적외선 파장에서 원반 내 먼지입자의 성장과 응고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융합이 진척되면 지름 1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 크기의 미행성이 생성되며 이는 행성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단순 접착(接着)은 먼지입자가 커질수록 비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에 미행성의 생성원리는 원반 물리학에서 또다른 미해결 문제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시도로 진스불안정에 의한 생성 가설이 있다. 수 센티미터 또는 그 이상 크기의 입자들은 원반면을 중심으로 천천히 모여든 뒤 100 km 이하 두께의 매우 얇고 밀도 높은 층을 만든다. 이 층은 중력적으로 불안정하여 수많은 덩어리로 쪼개진 뒤 붕괴하여 미행성이 된다. 그러나 기체 원반과 원반면 가까이 있는 고체물질들의 속도 차이로 난류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난류는 입자층이 얇아져서 중력적 불안정으로 쉽게 쪼개지는 것을 막으며 원반 특정장소에서 고체물질의 집중도가 높아져 중력이 불안정해지고 미행성이 생겨나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미행성 형성을 설명할 수 있는 또다른 메커니즘으로 '흐름 불안정성'(streaming instability)이 있다. 입자들이 기체의 저항을 받으면 되먹임 효과가 발생하여 특정 영역의 입자 농도가 상승한다. 이렇게 농도가 짙어진 곳(집중체)은 원반 내 기체가 입자들에 가해지는 맞바람이 약해지는 영역을 만들도록 한다. 따라서 이 집중체는 더 빠르게 공전할 수 있으며 방사 흐름의 영향을 덜 받는다. 고립된 입자들이 집중체에 빨려 들어가면서 집중체의 질량은 증가한다. 최종적으로 이 집중체들은 질량 큰 필라멘트 구조가 되며 이 구조들은 다시 쪼개지고 중력에 의해 붕괴하여 대형 소행성 규모의 미행성을 만든다. 원반 자체의 중력적 불안정 때문에 행성의 탄생이 발동될 수 있다. 불안정한 중력은 원반을 여러 덩어리로 쪼개 놓는다. 쪼개진 덩어리 중 일부는 충분히 밀도가 높을 경우 붕괴할 것이며 이 붕괴로 가스행성이나 더 나아가 갈색 왜성은 1000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만들어진다. 만약 이 덩어리들이 붕괴가 진척되면서 항성 가까이로 궤도를 옮길 경우 항성의 조석력 때문에 막대한 질량손실이 일어나 덩어리 일부만 남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원반 질량이 태양질량의 30%보다 큰 곳에서만 가능하다. 이와 비교하여 전형적인 원반 질량은 태양질량의 1~3%이다. 질량이 큰 원반은 드물기 때문에 상기 행성탄생 메커니즘은 흔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이 메커니즘은 갈색 왜성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원시행성계원반이 소산(消散)되는 것에 발동을 거는 메커니즘은 여러 가지가 있다. 원반 안쪽 부분 물질은 중심별에 흡수되거나 쌍극류 제트에 의해 계 밖으로 내쳐지며 원반 바깥쪽 부분은 황소자리 T형 항성 기간 중 중심별이나 근처 항성의 강력한 자외선 복사가 일으키는 광증발효과에 흩어진다. 원반 중심부의 기체는 자라나는 행성에 의해 강착되거나 내쳐지고, 작은 먼지 입자들은 중심별의 복사압에 밀려난다. 마지막에 남는 것은 행성계 또는 행성 없는 먼지원반 잔해이다. 만약 미행성이 생겨나지 못했다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미행성들은 수효가 매우 많고 원시행성계원반 전체에 걸쳐 퍼져 있기 때문에 일부는 행성계가 생성된 뒤에도 살아남는다. 소행성은 잔존한 미행성들끼리 마찰이 일어나 덩치가 작아진 것으로 추정되며 혜성은 행성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온 미행성으로 보인다. 운석은 행성 표면에 도달한 미행성의 표본으로 태양계 탄생에 관해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제공한다. 원시형(原始形, Primitive-type) 운석은 질량이 작은 미행성이 산산조각 난 덩어리로 열적 분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 진행형(進行形, processed-type) 운석은 질량 큰 미행성이 산산조각난 덩어리이다. = = 행성들의 생성 = = = = = 암석행성 = = = 태양성운원반모형에 따르면 암석행성들은 원시행성계원반의 안쪽 부분에서 생겨난다. 이 곳은 동결선 안쪽으로 온도가 높아서 얼음 및 기타 물질들이 입자로 뭉쳐지지 못하며 대신 순수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알갱이들이 생성되는데 이것들이 암석질 미행성으로 뭉쳐진다. 이런 조건들을 만족하는 환경은 태양 비슷한 항성의 경우 별로부터 3 ~ 4 AU 안쪽 원반 지역으로 보인다. 어떻게든 1 킬로미터 정도 되는 작은 미행성들이 생겨나면 폭주강착(runaway accretion)이 시작된다. 질량증가비가 에 비례하므로 '폭주'로 표현한다. 여기에서 R은 미행성의 반지름, M은 질량이다. 천체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성장 속도가 증가하는 것은 확실하다. 이 때문에 작은 천체와 큰 천체는 그 덩치가 양극화 되는 양상을 보인다. 폭주강착은 1만 ~ 10만 년 사이 기간 동안 지속되며 제일 큰 천체들의 지름이 대략 1000 km를 넘어가면 끝난다. 남아 있는 미행성들에 대해 커다란 천체들이 중력으로 교란을 일으키면 강착은 느려진다. 거기에 커다란 천체들은 작은 천체들이 더 자라나는 것을 멈추게 만든다. 다음 단계는 과두강착(oligarchic accretion)으로 불린다. 이 단계는 과두천체(oligarch)로 불리는 커다란 천체들 수백 개가 일대를 압도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들은 천천히 미행성들을 흡수한다. 이 단계에서는 오직 과두천체들만이 덩치를 불릴 수 있으며 과두천체의 기하학적 횡단면으로부터 계산한 강착비율은 R2에 비례한다. 이 강착비는 에 비례하는데 이는 천체의 질량이 증가하면 강착 속도가 감소함을 뜻한다. 이 때문에 작은 과두천체가 성장하여 큰 천체를 따라잡는 게 가능해진다. 남아 있는 미행성들의 영향 때문에 과두천체들은 대략 [=은 힐 반지름이다. 여기에서 a는 긴반지름, e는 궤도 이심률, Ms는 중심별의 질량이다.]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이들의 궤도 이심률과 경사각은 작게 유지된다. 과두천체들은 주변 원반에 있던 미행성들이 고갈될 때까지 강착을 계속한다. 가끔은 인접한 과두천체끼리 합쳐지기도 한다. 어떤 과두천체의 최종질량은 항성으로부터의 거리, 미행성들의 표면밀도에 달려 있고 이를 '고립 질량'(isolation mass)으로 부른다. 암석행성의 경우 고립 질량은 최대 지구의 10% 또는 화성 질량 정도이다. 과두단계의 마지막에 대략 달질량 100배 ~ 화성질량 정도 나가는 행성 배아들은 약 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을 차지한다. 이들은 원반 안쪽의 '틈'을 따라 돌며, 잔존 미행성으로 이루어진 띠들이 과두행성들을 서로 떨어뜨려 놓는다. 이 단계는 수십만 년 정도 지속될 것이다. 암석행성 탄생의 마지막 단계는 '합병 단계'이다. 남아 있는 미행성 수가 적고 행성 배아들의 질량이 커져 서로를 흔들기에 충분해지면 미행성들의 궤도는 혼란스러워진다. 이 단계 동안 행성배아들은 남아 있는 미행성들을 바깥으로 내치며 서로 충돌한다. 1천만 ~ 1억 년 동안 진행되는 이 과정의 결과 극히 적은 수의 지구 정도 크기 천체만이 살아남는다. 행성 배아들 중 궤도가 타원형인 행성은 엇갈려 충돌하지만,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행성들은 그렇지 않고 살아남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모의실험에서 살아남는 행성의 수는 평균 2개에서 5개로 나왔다. 태양계의 경우 지구와 금성이 이 생존자의 예시이다. 두 행성의 형성에 대략 총 10~20개 행성배아 합병이 필요했으며 동시에 이와 비슷한 수의 배아가 태양계 밖으로 내쳐져 날아갔다. 소행성대에서 온 배아 행성 중 일부는 지구에 물을 가지고 온 것으로 추측된다. 화성과 수성은 앞의 경쟁에서 살아남은 잔류 행성배아로 추정할 수 있다. 운좋게 살아남아 덩치를 키울 수 있었던 암석 행성들은 궁극적으로는 어느 정도 안정된 궤도에 정착하는데 이들은 왜 행성계가 일반적으로 한계점까지 쭈그러드는지 또는 왜 행성계가 항상 불안정한 상태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지를 알려준다. = = = 가스행성 = = = 가스행성이 어떻게 생겨나는가는 행성과학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젯거리이다. 태양성운모형의 체계 안에서 가스 행성의 생성에 관해 두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원반 불안정 모형'이다. 이 이론에서 가스행성들은 질량 큰 원시행성계원반 물질이 중력적으로 분열한 결과 태어난다. 두 번째 가능성은 '핵 강착 모형' 또는 '핵 불안정 모형'이다. 두 시나리오 중 후자가 유력해 보이는데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태양 질량의 10% 미만)의 원반에서 가스행성이 태어나는 것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형에서 가스행성 생성은 두 단계로 나뉜다. 1. 대략 지구질량 10배 정도의 중심핵이 뭉쳐친다. 2. 원시행성계원반으로부터 가스가 강착된다. 두 이론은 갈색 왜성의 형성 과정도 설명할 수 있다. 2011년 기준 연구결과를 보면 핵 강착 모형이 행성 생성 메커니즘의 주류인 것으로 보인다. 가스행성의 중심핵 생성은 대체로 암석행성 생성과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중심핵은 처음 미행성 단계에서는 폭주성장을 하다가 두 번째 과두 단계(oligarchic stage)에서 성장속도가 느려진다. 항성으로부터 먼 곳에서는 행성배아끼리의 충돌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가설상 지구형 행성과 같은 병합 단계는 없었으리라 예측하고 있다. 추가적인 차이는 소위 동결선 너머에서 가스행성이 생겨나는 경우 미행성의 조성물이 주로 얼음(얼음 대 암석 비율이 대략 4대 1)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 비율은 미행성의 질량을 네 배 불려준다. 그러나 지구형 행성이 탄생 가능한 최소질량의 원시행성계원반은 목성 정도의 거리(5 AU)에서 1천만 년 동안 지구 질량의 1~2배 정도 핵만을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 1천만 년은 태양 비슷한 항성 주변에 가스원반이 유지되는 평균 시간을 뜻한다. 여기에 대한 설명으로 원반 질량이 기존 가설보다 10배 컸고 배아 행성이 궤도를 변경하여 보다 많은 미행성을 강착했고 마지막으로 배아 행성의 기체 외피가 주변 기체를 끌어당겨 강착 속도가 빨라졌다는 것 등이 있다. 위에 언급한 가설들을 조합하여 보통은 목성, 혹은 토성의 중심핵 형성까지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천왕성과 해왕성과 같은 행성들의 형성 과정은 더욱 불확실한 점이 많은데 어떤 이론도 중심별로부터 20~30 AU 떨어진 두 행성의 현재 위치에서 중심핵이 생겨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 중 하나로 두 행성은 처음에 목성-토성 영역에서 강착되었으나 중력에 의해 밀려나 현재 위치로 이동했다는 것이 있다. 다른 가능성 있는 가설로 가스행성의 핵은 자갈강착(pebble accretion) 단계를 거쳐 성장했다는 것이 있다. 자갈장착에서 지름 1cm ~ 1m 물체들은 무거운 천체 표면으로 추락할 때 기체의 저항 때문에 속도가 느려지고 나선을 그리면서 다가간 뒤 표면에 강착된다. 자갈강착 방식의 성장속도는 미행성 강착에 의한 성장보다 1000배 더 빠를 것이다. 일단 질량이 충분하다면(지구 질량의 5~10배) 중심핵은 주변 원반으로부터 기체를 끌어당기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지구 질량의 30배 정도까지 질량증가가 느리게 진행된다. 그 후 강착속도는 극적으로 증가하여 나머지 90% 질량은 약 1만 년만에 축적된다. 행성이 물질을 흡수한 곳을 따라 원반에 '밀도 낮은 틈'이 생겨나고 원반이 해체되면서 강착 속도는 서서히 줄어든다. 원반에 있던 물질이 모두 고갈되면 기체 강착은 멈춘다. 이 모형에서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같은 얼음 가스행성은 거의 모든 기체가 이미 사라진 뒤 강착이 너무 늦게 시작된 '실패한 중심핵'이다. 폭주강착 이후 단계에서 새로 생겨난 가스행성들은 궤도를 변경하여 이동하며 강착 속도는 느려진다. 행성이동은 원반의 틈에 있는 행성과 남아 있는 원반과의 상호작용 때문에 발생한다. 행성이동은 원시행성계원반이 사라지거나 행성이 원반의 끝에 다다랐을 때 멈춘다. 후자의 경우를 이른바 '뜨거운 목성'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원시행성계원반의 안쪽 공백지대까지 궤도를 옮긴 후 이동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가스행성은 지구형 행성의 생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가스행성의 존재는 암석행성 영역(태양계의 경우 태양으로부터 4 AU 안쪽)에 있는 미행성 및 행성배아들의 이심률과 경사각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코자이 메커니즘) 만약 가스행성들이 너무 일찍 생겨난다면 이들은 내행성이 자라나는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혹은 성장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에 우리 태양계의 경우처럼 가스행성이 과두강착 단계의 마지막 시기에 생겨난다면 이들은 행성배아들끼리 보다 격렬하게 병합하게 만들고 그 결과 암석 행성의 수는 줄어들고 질량은 보다 커진다. 덧붙여 행성계의 크기는 쭈그러드는데 그 이유는 암석행성들이 중심별에 보다 가까운 곳에서 태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태양계에서 가스행성들(특히 목성)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지구형 행성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행성계에서 가스행성과 가까운 영역은 지구형 행성 지대와는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런 장소에서 행성배아들의 궤도 이심률은 매우 커져서 가스행성 가까이를 지나가게 되며 이 때문에 배아들은 행성계에서 내쳐질 것이다.중심별이나 가스행성과 충돌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행성배아가 모두 제거되면 이 영역에서 행성은 더 이상 생겨나지 않는다. 이후에도 막대한 수의 미행성이 살아 남는데 이는 가스행성들은 행성배아의 도움 없이 미행성들을 모두 청소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생존한 미행성들의 총질량은 미미한 수준인데 그 이유는 내쳐지기 전의 행성배아들과 가스행성들의 누적된 움직임은 작은 천체들 99%를 제거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이다. 이 영역은 종국적으로 태양으로부터 2~4 AU에 위치한 소행성대와 아주 흡사한 모양으로 진화할 것이다. = = 강착의 뜻 = = 단어 '강착'은 원시행성계원반의 진화에서 두 가지 의미로 쓰이므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원시행성계원반의 중심별에 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젊은 황소자리 T형 원시별이 수축하는 동안 가스가 원반의 안쪽 경계에서 항성 표면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원시행성계원반을 가끔 강착원반으로 바꿔 부를 때가 있다. 이 강착원반에서는 원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질량의 진류량(眞流量, net flux of mass)이 발생한다. 두 번째는 행성이 생성되는 과정을 표현할 때이다. 이 경우 강착의 의미는 '원시행성계원반 내 원시별을 도는 냉각되고 고체화 된 먼지와 얼음의 입자들이 서로 부딪치고 달라붙어 점점 자라나고 크게는 미행성끼리 고에너지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가스행성들은 태어난 후 첫 번째 의미에서 한때 자신만의 강착원반을 가졌을 것이다. 원시 가스행성의 중력에 붙잡힌 수소와 헬륨 기체 구름은 응축하고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평평해진 뒤 행성 표면에 물질을 떨어뜨렸다. 동시에 원반 내 고체 물질들은 가스행성의 거대 위성들로 자라났을 것이다.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한국원자력환경공단(韓國原子力環境公團, , KORAD)은 대한민국 방사성 폐기물 관리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공공의 안전과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의 새 이름 ‘한국원자력환경공단’한국에너지신문2013년 6월 26일 변국영 기자공기업 미래경영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서울신문2012년 9월 26일 한준규 기자동반성장을 위한 사회적 책임 기업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조선일보2013년 4월 11일 박샛별 기자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방폐물 관리 노하우 수출도 추진한국경제2012년 1월 16일 박신영 기자 기존 명칭인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에 포함된 ‘방사성’과 ‘폐기물’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고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을 유치한 경주시민의 요구에 따라 2013년 6월 25일 제316회 국회(임시회) 8차 본회의를 통해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에서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사명변경이 최종 의결되는 과정을 거쳐 명칭이 변경되었다.방폐물관리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사명변경뉴시스2013년 8월 14일 김재원 기자한국원자력환경공단 사명 변경, '이미지 개선'머니투데이2013년 8월 15일 김평화 기자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천길 19 (서악동 237-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 설립 근거 = = 방사성폐기물관리법제18조(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설립) ①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 = 연혁 = = 2005년 11월 2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 선정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경주유치 최종 확정 예정《울산제일일보》2008년 10월 5일 박대호 기자 2007년 7월 18일 기획예산처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신설 타당성 심사안’ 심의 의결"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신설추진《뉴스타운》2007년 7월 19일 김진우 기자 2008년 3월 28일 방사성폐기물관리법 제정·공포 2009년 1월 1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설립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업무개시《온라인건설일보》2009년 1월 6일 이경운 기자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경주에 법인설립등기-출범《경북도민일보》2009년 1월 7일 윤용찬·황성호 기자 2010년 12월 24일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에 방사성폐기물 첫 반입 2011년 3월 28일 경기도 용인시에서 경상북도 경주시로 본사 이전방폐공단 "온전한 경주 기업으로"《경북일보》2011년 4월 5일 황기환 기자 2013년 7월 30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명칭 변경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새 출발《아시아경제》2013년 8월 13일 김혜원 기자 2017년 1월 13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방사선폐기물 첫 반입 2017년 8월 30일 북부동에서 충현동으로 신사옥으로 이전. 충효천길 19 (서악동 237-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 조직 = = 감사 (비상임) 감사실 기금관리센터 = = = 이사장 = = = 혁신성과팀 품질보증실 = = = = 소통협력단 = = = = 홍보팀 대외협력팀 = = = = 경영기획본부 = = = = 경영기획팀 미래인재팀 경영관리실 총무/노무팀 재무관리팀 재난/정보팀 = = = = 부이사장 = = = = = = = = = 사업본부 = = = = = 사업정책실 해체/중저준위 정책팀 고준위정책팀 고준위사업팀 사업관리팀 엔지니어링팀 안전평가팀 = = = = = 월성지역본부 = = = = = 품질보증실 품질검사반 재난/정보팀 재난/보안반 행정지원팀 건설관리팀 안전운영팀 방사선안전팀 인수처분팀 시설안전운영팀 정비기술팀 RI관리팀 = = = = = 방사성폐기물연구소 = = = = = 연구기획팀 고준위연구팀 해체폐기물연구팀 = = 소속기관 = =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 인재개발센터 기금관리센터 = = 주요 업무 = = 방사성폐기물의 운반·저장·처리 및 처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부지 선정, 건설, 운영 및 폐쇄 후 관리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자료의 수집·조사·분석 및 관리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홍보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협력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 조사 방사성폐기물 발생자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정보 제공 방폐물관리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 데버라 차우 = 데버라 차우는 캐나다의 TV 프로그램 연출가이다. 머독 미스터리, 미스터 로봇, 더 만달로리안 등의 드라마 에피소드를 연출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캐나다로 이주한 중국계 가정에서 성장했고, 맥길 대학교에서 문화학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연출을 공부했다. = = 연출 에피소드 목록 = = 연도 제목 담당 에피소드 비고 2014 머독 미스터리 시즌8 6화 "The Murdoch Appreciation Society"시즌8 7화 "What Lies Buried" CBC 2015 미녀와 야수 시즌3 7화 "Both Sides Now" CW 2015 미스터 로봇 시즌1 6화 "eps1.5_br4ve-trave1er.asf" USA 네트워크 2016 뱀파이어 다이어리 7-10화 "Hell Is Other People" CW 2017 아이언 피스트 시즌1 11화 〈말은 다시 마굿간으로〉 넷플릭스 2014-17 레인 시즌2 7화 "The Prince of the Blood"시즌2 13화 "Sins of the Past"시즌2 19화 "Abandoned" CW 2016-17 피어 더 워킹 데드 2-9화 "Los Muertos"3-3화 "TEOTWAWKI" AMC 2018 제시카 존스 시즌2 4화 〈신의 가호를〉 넷플릭스 2018 로스트 인 스페이스 시즌1 5화 〈전송〉 넷플릭스 2018 베터 콜 사울 4-7화 "Something Stupid" AMC 2018 높은 성의 사나이 3-9화 "Baku" 프라임 비디오 2019 신들의 전쟁 2-3화 "Muninn" 프라임 비디오 2019 만달로리안 시즌 1 3화, 7화 디즈니+ 2022 오비완 케노비 1-6화 디즈니+ = 98 = 98(구십팔)은 97보다 크고 99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7, 14, 49, 98이다. (루트98은 7루트2이다.) = = 과학 = = 캘리포늄(Cf)의 원자번호. = = = 정보통신 및 IT = = = 윈도우 98을 줄여서 98이라고 부른다. = = 기타 = = 옛날 한국에서 병사를 경멸한 호칭이 98이었다. 군사 병(兵)을 파자하면 언덕 구(丘)와 여덟 팔(八)이 되고, 이 두 글자를 이어서 읽으면 98을 한 자리씩 읽은 ‘구팔’과 음이 같았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일반 국도 중 101번 이후의 국도 노선을 제외한 2자리수 국도 번호의 마지막 번호이기도 하다. 서울 도시형버스 98번 스카이라이프의 MGTV 채널 번호이다. 지니 TV의 채널A플러스 채널 번호이다. B tv의 MBN플러스 채널 번호이다. U+ TV의 tvN SHOW 채널 번호이다. = 최유철 = 최유철은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Stay B Hotel, A306 Parking Building, 렉스 타워, 뉴욕 Concord Resort Hotel 등 설계했다. = = 소개 = = 건축가 최유철은 1974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일찍이 도미,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Le Corbusier의 후계자인 Jose Oubrerie 및 유명 건축평론가인 Jeffrey Kinpis, Mark Robbins로부터 건축을 배웠고,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Steven Izennour, Landscape Architect인 James Corner로부터 배웠다. 또한, 이태리 및 프랑스에서의 건축 스튜디오의 경험은 미국 외 유럽의 감수성 및 역사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 뉴욕의 Hillier Group에서 건축가로 첫발을 들인 후, 뉴욕에서 Concord Resort, Coney Island Hospital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 후 2003년 귀국, 창조건축, 공간건축에서는 Vietnam, Poland, Algeria, Angola, Dubai, Kazakhstan등의 해외프로젝트를 주로 진행하였다. Ernst & Young에서는 Kazakhstan등의 해외 프로젝트 금융관련 업무를 진행하였다. 2010년부터 서인건축에 합류하여, 주로 현대적인 교회 건축물을 비롯 다양한 건축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이러한 건축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다른 분야와의 Collaboration 경험은 그의 설계에 있어 다양한 시도 및 여러 가능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여러 이종분야와의 Collaboration, 그리고 건축 주 및 사업가의 입장에서 가장 전략적인 솔루션이 무엇인지를 설계의 최고 가치에 두고 있다. = = 서인건축의 본질 = = 세계적 거장이자 현대건축의 아버지인 핀란드 건축가, 알바 알토로부터 10여년간 시사받으며 현대건축의 전형을 여러각도에서 모색하게 되었다. 알바 알토의 유기적 건축과 사람에 대한 해정과 관심은 건축에 대한 개념 정립의 바탕이 되었고, 오늘날 서인건축의 정신에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서인건축은 언제나 사람에 초첨을 맞추고 사람과 자연에 대한 도입을 저극적으로 시도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를 충족시키는 건축, 스토리와 감성이 있는 공간,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공간 창조를 실현해가고 있다. = = 주요 작품 = = 창신교회 Stay B Hotel 렉스 타워 A306 Parking Building 뉴욕 Concord Resort Hotel Coney Island Hospital = = 주요경력 = = 2010 ~ 현재 서인건축 2007 ~ 2009 Ernst & Young, Transaction Advisory Services 2005 ~ 2007 공간건축 2003 ~ 2005 창조건축 2000 ~ 2002 Hillier Group = 장태완 = 장태완(張泰琓(張泰玩), 1931년 9월 13일~2010년 7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다. 대구상고를 졸업한 후 1950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한 그는, 1979년 12·12 군사 반란 당시 육군 수도경비사령관(소장 계급)이었으며, 1980년 1월 20일, 당시 육군 소장 정병주 장군 등과 함께 예비역 육군 소장으로 강제 예편되었다. 이후 한국증권전산 주식회사 회장, 국군 예비역 재향군인회 회장, 제16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 2010년 숙환(지병)으로 인하여 숨졌으며, 유해는 국군 예비역 성우회 회장 등을 지낸 예비역 육군 대장 정승화 장군 등이 묻힌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 생애 = = 경상북도 칠곡 출신으로 대구상고와 육군종합학교, 육군보병학교, 육군공병학교, 조선대학교 법학과(1958년 학사 학위 취득)를 나온 후 육군본부 작전교육국 군사연구실 실장, 국방부 장관(임충식 예비역 육군 대장)의 비서실 공보비서관, 육군 제5군단 참모장, 육군본부 교육참모부 차장, 육군 제26사단장 등을 거쳐 수도권 육군 수도경비사령관에 올랐으나 1979년 12.12 군사 반란 시 신군부측에 반기를 들다 강제 예편됐다. 이후 6개월간 사실상의 가택연금 생활을 한다. 1982년 1월 서울대학교 자연대학에 재학 중이던 아들 장성호가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그 후 1982년 한국증권전산 회장을 지냈으며 1994년에 자유경선에서 재향군인회장에 당선되어 6년간 재향군인회를 이끌었다. 2000년 3월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했으며, 같은 해 16대 전국구 비례대표 국회의원(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을 지냈다. 이후 여당 지도부의 일원으로 일했으며, 2002년에는 노무현 대통령 후보 보훈특보를 지냈다. 2010년 7월 26일에 폐암으로 향년 78세를 일기로 숨졌다. = = 학력 = = 1950년 대구상고 졸업 1950년 육군종합학교 1기 1951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52년 육군공병학교 졸업 1958년 조선대학교 법학과 학사 = = = 비학위 수료 = = = 197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정책과정 수료 1977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 = 명예 박사 학위 = = = 2001년 조선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 = 가족 = = *아버지 장석현(1904~1980아들이 군대에서 강제퇴출된 것을 보고 술만 마시다 별세했다.,백환) *어머니 성주 이씨(?~1970) *장인 이호우(1907~?) 아내 이병호(1934~2012) *장녀 장현리(1959~) *장남 장성호(1960~1980) *외할아버지 이원은 = = 참전 =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 저서 = = 《12ㆍ12 쿠데타와 나》 = = 12·12 군사 반란 관련 사항 = = = = = 진압군에 정보 자산 = = = 1979년 12월 12일 오후 6시30분 반란군은 전두환 육군 보안사령관 연회 만찬 약속을 전하고, 연회 만찬에서 육군 수경사 사령관을 차라리 만취시켜 쿠데타 예정 시각 8시 30분까지 무력하게 하는 임무를 전담한 조홍 수경사 헌병대장이 상황과 걸맞지 않게 수경사 복귀 차량에 미리 탑승하여 장태완과 동승한다. 사령부에서 19시 55분 정승화 계엄사령관 구출 1차 특공대, 20시 7분 2차 특공대를 10분 거리에 총장 공관으로 파견을 한다. 그런데 2차 특공대의 총지휘관 신윤희 헌병부단장은 수경사 내부를 총괄하는 명령을 하나회 멤버로 별도로 받은 상황이었고, 출동한지 30여분이 지나도록 아무런 보고도 없어 무전으로 호출을 하니 막 도착하여 작전 계획을 수립중이라는 보고를 한다. 또 공사중이어서 비어 있던 청와대 내의 수경사 임무 수행상 성역이라고 할 수 있는 제30경비단 본부에 수많은 역모자들이 모여 정권 탈취 쿠데타를 음모하고 있다고 수경사 상황실로 보고가 들어온다. 예비역 육군 소장 장태완 전직 육군 수경사 사령관은 2010년 1월 월간조선에서 취임 24일 만에 겪은 군사 반란과 관련한 아쉬움을 남겼다. 그런데 이와 관련한 반란군 측에 발표가 12월 12일 이전에 있었다. 1979년 11월 6일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 전두환의 발언이다. 그런데 신군부는 12.12 반란으로 정승화 총장이 무혐의라는 이 발표를 완전히 뒤집었던 것이다. 밤 10시20분 합동참모본부 일행이 수도경비사령부에 도착한 이후에야 비로소 사령부 내에 보안사 요원들이 입창 조치되며 보안사 연결이 차단된다. = = = 진압군 수도경비사령부의 역할 = = = = = = = 수도경비사령부의 반격 = = = = 1979년 12월 13일 새벽 3시에 행방 불명 중이던 노재현 국방장관으로부터 회유하는 내용에 전화가 와서 철수시키라는 말을 끝으로 전화 통화가 갑자기 끊기는데, 장태완 사령관은 이 전화 통화 직후에야 진압 작전 일체를 중단한다. 결국 이보다 앞선 시각인 13일 새벽 2시에 1공수여단 병력은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완전히 점령했었다. 그런데 육군 수방사 병력으로 반란군에게 사격을 가한 것은 국방부 옥상에 수경사 방공포의 발포 한 건뿐이었는데, 그 발포 소식을 듣기 직전에 장태완 사령관은 이제 육군 수방사는 내 부대가, 그리고 내 부하들이 아니다는 탄식을 하게 된다. 장태완 사령관은 수도경비사령부에 행정병을 포함한 전병력을 전투 병력으로 편성 지시를 내리고 13일 1시 31분경 공격 개시선으로 가서 직접 그 병력의 점검을 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이 병력은 출동이 불가능하므로 사령관은 모든 것을 중단해야 한다는 권고를 사령관 검열에 앞서 확인하던 육군 수경사 비서실장으로부터 듣는 치욕을 당한 것이다. 그런데 이 병력 점검이 사령관의 판단에 반대하는 일부 수방사 장교들 때문에 공격 개시선에서 상당히 지연된다. = = = = 대통령의 요구 수용에 지연 = = = = 1979년 12월 13일 새벽 3시 무렵 노재현 국방장관으로부터 최규하 대통령에게 전화가 걸려와서 신현확 국무총리는 전화로 대화를 나누는데 국방장관 노재현 본인은 국방부에 이제 도착하였고, 그 와중에 총격전이 벌어지면서 양측에서 대치하는 상태임을 이유로 신현확 국무총리 공관 쪽으로 가기를 차라리 거부한다. 결국 이런 과정들을 거쳐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이건영 육군 제3군사령관, 정병주 육군 특전사령관, 장태완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김진기 육군본부 헌병감 등에 관련된 연행을 본격적으로 지시하는 결재 서류의 늦은 사후 결재 및 재가 그 자체인 최규하 대통령의 지시 시각은 새벽 5시가 된다. = = 기타 = = 장태완이 전두환을 포함한 하나회 소속 장교들에게 "야이 반란군놈의 새끼야! 니들 거기 꼼짝말고 있어! 내가 지금 당장 전차를 몰고 가서 네놈들의 머리통을 다 날려 버리겠어!"하며 격노하는 모습이 MBC 드라마제5공화국에서 재연되었다. 당시 장태완을 연기한 사람은 배우 겸 성우 김기현이었다. = = 평가 = = 1997년 밴쿠버에서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캐나다 서부지회가 창설되던 날에 참석한 장태완 한국재향군인회 회장은 "우리는 진심으로 장장군을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장장군은 한국의 자랑스러운 군인입니다"라는 치하를 받으며, 회원들이 기립한 가운데 한참 동안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 = 장태완을 연기한 배우들 = = = = = TV 시리즈 = = = 이영후 - 1995년 제4공화국 MBC 드라마 *정운용 - 1993년 12.12 다큐멘터리극장 KBS1TV 실록 김동현 - 1995년 코리아 게이트 SBS 드라마 김기현 - 2005년 제5공화국 MBC 드라마 * = = = 영화 = = = 정우성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극 중 이름에는 이태신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6대 총선 국회의원(비례대표) 16대 새천년민주당 35.9% 6,780,359표 비례대표 3번 = 틀:르네상스 = 르네상스 주제 건축 무용 연극 문학 음악 미술 철학 과학 기술 전쟁 지역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북유럽 폴란드 스페인 } } = 분류:아루바에서 활동한 축구 선수 = = 분류:1931년 11월 = = 베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베델은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33.82km2, 높이는 8m, 인구는 32,890명(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970명/km2이다. 엘베강 우안과 접하며 엘름스호른에서 남쪽으로 약 20km, 함부르크에서 서쪽으로 약 17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분류:주오구 (후쿠오카시)의 역사 = = 분류:레바논의 동방 가톨릭교도 = = 한국국제방송교류재단 = = 분류:1940년대 정치 = = 분류:여자 수학자 = = 춘천종합버스터미널 = 춘천종합버스터미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온의동 111-2번지에 있는 고속버스터미널로 동부고속에서 담당하고 있다.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온의동 511번지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로 강원고속에서 담당하고 있다. = The Powerless Rise = The Powerless Rise는 2010년에 발매된 애즈 아이 레이 다잉의 음반이다. 메탈 블레이드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카마인 인팬티노 = 카마인 마이클 인팬티노(, 1925년 5월 24일 ~ 2013년 4월 4일)는 미국의 만화가이다. 미국 만화의 은 시대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로서 플래시, 일롱게이티드맨 등을 창조하였다. 2000년 아이스너상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 백굴채 = = 분류:2006년 대만 = = 분류:단원구 = = 니코바르어파 = 니코바르어파(Nicobarese)는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열의 언어군이다. 가장 북쪽의 카르니코바르섬에서 쓰이는 카르어(Car)의 화자 수가 가장 많다. Paul Sidwell (2015)는 니코바르 제어를 아슬리어파의 하위 어군으로 간주하였다. 제도 남단의 대니코바르섬의 내륙 지역에서 쓰이는 숌펜어는 니코바르어파에 분류되기도 하고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독자적 분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니코바르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형태론적 유사성을 보이며, 이 사실은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 = 언어 = = 북쪽부터 남쪽까지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Car: 카르어 *Chaura-Teressa: 초라어, 테레사어 *Central: 낭코리어, 카모르타어, 카찰어 *Souther: 남니코바르어, 숌펜어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또는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南朝鮮過渡立法委員會)는 1946년 12월 12일 미 군정 한국에서 개원한 미군정 시대의 입법기관으로서 1946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休會)하자 미군정에서 구성한 과도입법의원이었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미군정에 대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남조선과도입법의원법, 하곡수집법, 미성년자노동보호법, 부일협력자.민족반역자.전범.간상배에 대한 특별조례법률위키문헌/ 부일협력자.민족반역자.전범.간상배에 대한 특별조례법률 등을 제정하였다. 위치는 경성부 예장동(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8번지) 중앙청 청사 내 회의실에 소재하였다. = = 설립 배경 = =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을 맞은 한민족은 모스크바 3상 회담의 신탁통치 결정에 의거 미국과 소비에트연방이 분할해 군정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열린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원만한 타결을 보지 못한 미군정당국은 좌·우 양파의 김규식·여운형 등 온건파 지도자들에게 좌우합작운동을 시도하게 하는 한편, 이들을 중심으로 과도입법의원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 = 결성 및 운영 = = 아처 러치(Archer L. Lerch) 군정장관은 J. R. 하지 미군사령관에게 한국인 입법기관의 창설을 건의하여 동의를 얻은 뒤 1946년 8월 24일 군정법령 제118호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창설을 발표하였다. 미국이 정식입법기관을 설치하고자 했던 이유는 한국인에게 민주주의 제도 인식 및 훈련을 하게 하고 법령초안 작성 등의 실무기술을 익히게 하며 소비에트연방하에 있는 북한체제에 대항하기 위해서 민주적인 의원설치가 불가피 했기 때문이다. 이 발표는 극도의 흥분상태에 놓인 좌·우 양파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으나 하지와 러치는 입법의원이 행정권 이양의 한 단계일 뿐 다른 목적은 없다고 성명을 발표하였고, 1946년 12월 12일 민선의원 45명, 관선의원 45명으로 구성된 과도입법의원인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개원되게 된 것이다. = = 구성 = = = = = 관선의원 명단 (1946년) = = = 이름 대표정당 비고 김규식(金奎植) 좌우합작위원회 사임(단선안 반대)김영미, "1946년 입법의원 선거" (1997), 국사관논총 제75집, 국사편찬위원회 여운형(呂運亨) 좌우합작위원회 사망 원세훈(元世勳) 좌우합작위원회 사임(단선안 반대) 최동오(崔東旿) 좌우합작위원회 안재홍(安在鴻) 좌우합작위원회 사임(단선안 반대) 김붕준(金朋濬) 신진 홍명희(洪命憙) 유교 박건웅(朴建雄) 좌우합작위원회 제명(단선안 반대) 황진남(黃鎭南) 인민 제명(단선안 반대) 문무술(文武術) 해외 제명(단선안 반대) 염정권(廉廷權) 인민 사임 강순(姜舜) 근로대중 사임(단선안 반대) 탁창혁(卓昌赫) 근로대중 사임(단선안 반대) 신기언(申基彦) 인민 사임(단선안 반대) 김학배(金鶴培) 근로대중 사임(단선안 반대) 이봉구(李鳳九) 변호사 신의경(辛義卿) 여자기독교청년회 제명(단선안 반대) 황신덕(黃信德) 교육계 박승호(朴承浩) 독촉애국부인회 박현숙(朴賢淑) 여자국민당 여운홍(呂運弘) 사민 제명(단선안 반대) 장자일(張子一) 언론계 제명(단선안 반대) 김지간(朴賢淑) 서북 제명(단선안 반대) 장연송(張連松) 무소속 하경덕(河敬德) 언론계 제명(단선안 반대) 허간룡(許侃龍) 서북 사임(단선안 반대) 김호(金乎) 한미 사임 허규(許珪) 사민 제명(단선안 반대) 고창일(高昌一) 해외 제명(단선안 반대) 김돈(金墩) 해외 제명(단선안 반대) 변성옥(邊成玉) 기독교청년회 정광조(鄭廣朝) 천도교 사임(단선안 반대) 김법린(金法麟) 불교 장면(張勉) 가톨릭교 장건상(張建相) 사회로동당 조완구(趙琬九) 대종교 윤기섭(尹琦燮) 한독 사임(단선안 반대) 오하영(吳夏英) 한독 제명(단선안 반대) 엄항섭(嚴恒燮) 한독 정이형(鄭伊衡) 해외 제명(단선안 반대) 김약수(尹琦燮) 민중 제명(단선안 반대) 이응진(李應辰) 청우 사임(단선안 반대) 이순탁(李順鐸) 학계 엄우룡(嚴雨龍) 한독 제명(단선안 반대) 유진희(兪鎭熙) 한민 사망 = = = 민선의원 명단 (1946년) = = = *서울: 김성수(金性洙, 한민), 장덕수(張德秀, 한민), 김도연(金度演, 한민) *경기: 하상훈(河相勳, 한민), 문진교(文珍校, 독촉), 이종근(李鍾瑾, 독촉), 류래완(柳來琬, 무), 양제박(梁濟博, 한민), 최명환(崔鳴煥, 독촉) *충남: 홍순철(洪淳徹, 독촉), 김창근(金昌根, 독촉), 유영근(柳英根, 독촉), 이원생(李源生, 독촉), 유정호(柳鼎浩, 독촉) *충북: 김영규(金永奎, 독촉), 송종옥(宋鍾玉, 독촉), 황철성(黃喆性, 독촉) *전남: 홍성하(洪性夏, 한민), 천진철(千珍哲, 한민), 최종섭(崔鍾涉, 한민), 고광표(高光表, 한민), 이남규(李南圭, 한독), 황보익(黃保翼, 한독) *전북: 백남용(白南鏞, 무), 정진희(鄭鎭熙, 한민), 윤석원(尹錫原, 한독), 백관수(白寬洙, 한민) *경남: 김철수(金喆壽, 한민), 김국태(金國泰, 무), 이주형(李周衡, 무), 송문기(宋汶岐, 독촉), 하만한(河萬漢, 무), 신중목(愼重穆, 무) *경북: 서상일(徐相日, 한민), 윤홍열(尹洪烈, 무), 이일우(李一雨, 독촉), 김광현(金光顯, 독촉), 김영옥(金榮玉, 무), 강이형(姜二亨, 무), 이활(李活, 한민) *강원: 서상준(徐商俊, 독촉), 조진구(趙軫九, 독촉), 전영직(田永稷, 독촉) *제주: 문도배(文道培, 인민위원회), 김시탁(金時鐸, 인민위원회) = = 역대 의장, 부의장 = = = = = 의장 = = = 김규식(金奎植) 1946년 12월 12일 ~ 1947년 6월 3일 임시대리, 최동오(崔東旿) 1947년 6월 3일 ~ 1947년 6월 5일 김규식(金奎植) 1947년 6월 6일 ~ 1948년 2월 27일 대리, 윤기섭(尹琦燮) 1947년 8월 12일 ~ 1947년 9월 3일 대리, 윤기섭(尹琦燮) 1948년 2월 19일 ~ 1948년 2월 26일 대리, 윤기섭(尹琦燮) 1948년 2월 28일 ~ 1948년 5월 30일 = = = 부의장 = = = 최동오(崔東旿) 1946년 12월 12일 ~ 1948년 5월 30일 윤기섭(尹琦燮) 1946년 12월 12일 ~ 1947년 6월 3일, 사직 후 복직 윤기섭(尹琦燮) 1947년 6월 4일 ~ 1948년 2월 28일, 의장대리 수행 신익희 1948년 2월 28일 ~ 1948년 5월 30일 = = 구성 =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의장에 김규식, 부의장에 최동오·윤기섭을 각각 선출하였으며 법무사법위원회·청원징계위원회·내무경찰위원회·재정경제위원회·외무국방위원회·문교후생위원회·운수체신위원회·산업노동위원회 등의 과도입법의원 상임위원회와 선거법기초작업위원회·행정조직법기초작업위원회 등의 과도입법의원 특별위원회로 구성되었다. = = 한계 =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활동기간동안 국회의원선거법 등 33건의 법률안을 심의하였으나 그 중 가결 처리된 것은 18건 밖에 되지 않았다. 당시 미군정에서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거치지 않고 법률을 공포할 수 있었는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존재했을 때로 제한하면 그 수는 무려 55건이나 되었다. 이 법령들은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 법률을 제정하기까지에 한한다는 잠정적인 조치였지만 군정법령이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과도정부법령보다 3배나 많은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 해산 및 의의 =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이후 10일째 되는 날인 1948년 5월 20일 과도정부법률 제12호에 의하여 해산하였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미군정에 대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남조선과도입법의원법, 하곡수집법, 미성년자노동보호법, 민족반역자·부일협력자·간상배에 대한 특별법 등을 제정하였고, 그 밖에 공포한 법률은 11건이었다. 그리고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 중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에 출마한 의원은 43명이었고 그 중 15명이 당선되어 제헌국회에 참여함으로써 의정활동 계승 및 입법활동에 밑거름이 되었다. = 분류:2018년 완공된 교량 = = 북방그리스복 = 북방그리스복 또는 샤프그리스복 (Raphicerus sharpei)은 조심성이 많고, 무리 생활을 하지 않는 작은 그리스복의 일종이다. 열대 기후 지역과 아프리카 남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 = 분포 =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트란스발 지방과 나미비아 동부 끝에 좁게 길게 연결된 카프리비 지역, 보츠와나, 모잠비크, 짐바브웨, 잠비아, 말라위 그리고 탄자니아와 빅토리아호에서 발견된다. = = 특징 = = 다이커영양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땅딸막한 몸과 가늘고 긴 털이 궁둥이와 뒷다리 부분을 덮는다. 어깨 높이는 약 45~60cm, 몸무게는 7~11.5kg 정도이다. 털은 불그스레한 갈색을 띠며, 눈과 입, 목 주위는 흰 줄무늬를 갖고 있고, 배 아래쪽은 회색을 띤 흰빛이다. = 분류:리치먼드 (인디애나주)의 교육 = = 분류:정비가 필요한 분류/2017년 = = 일룩스테시 = 일룩스테시는 라트비아의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일룩스테이며 면적은 647.9km2, 인구는 9,231명(2009년 기준), 인구 밀도는 14명/km2이다. 2개 도시, 6개 교구를 관할한다. = 심교언 = 심교언(沈敎彦, 1969년 삼척시 ~ )은 대한민국의 부동산 학자이다. 현재 국토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 = 학력 = = 서울대학교 도시공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 박사 = = 경력 = =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각종 국토개발 자문위원 2022년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동산TF 팀장 2023년 8월 24일 제18대 국토연구원 원장 연합뉴스 - 새 국토연구원장에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 684년 = = = 연호 = = 당(唐) 사성(嗣聖) 원년 / 문명(文明) 원년 / 광택(光宅) 원년 = = 기년 = = 당(唐) 중종(中宗) 원년 / 예종(睿宗) 원년 신라(新羅) 신문왕(神文王) 4년 = = 사건 = = 중종이 측천무후에게 폐위되고 대신 예종이 황위에 오르다. = = 문화 = = 광택의 연호는 신라에서 쓰지 않다. = = 사망 = = 당나라(唐羅羅)의 무신(武臣) 이경업(李敬業) * = 분류:스위스의 스포츠 대회 = = 두만선우 = 두만 선우(, , ? ~ 기원전 209년, 재위: 기원전 220년 경 ~ 기원전 209년)는 흉노의 선우로서 역사에 첫 등장한 사람이다. 그의 이름은 몽골어나 투르크어의 투멘(만인장)과 관련이 있다. = = 생애 = = 진나라의 진시황은 만리장성을 쌓고, 몽염에 북방 수비를 맡겨 흉노에 대비하게 하였다. 이후 진시황이 죽고, 몽염도 권력다툼의 와중에서 죽게 되자, 흉노의 지도자 두만 선우는 오르도스 지역을 회복하고 다시 이 일대를 누비게 된다. 그의 맏아들은 묵돌이었는데, 이때 두만에게는 후궁이 낳은 어린 아들이 따로 있었다. 두만은 묵돌 대신에 이 아들에게 뒤를 잇게 하기 위해 묵돌을 월지에 인질로 보낸 후, 월지와 전쟁을 일으켰다. 하지만 묵돌은 월지에게 살해당하지 않았고, 오히려 월지의 명마를 훔쳐 흉노로 도망쳐 왔다. 이에 두만은 묵돌에게 태자에게 주게 되어 있는 좌현왕의 작위를 내리고, 1만 명의 기병의 대장으로 삼았다. 하지만 묵돌은 이에 그치지 않고 반란을 도모하였다. 묵돌은 소리나는 화살이라는 뜻의 명적(鳴鏑)을 가지고, 자신의 휘하에 있는 1만의 기병을 훈련시켰고 기원전 209년 결국 사냥터에서 묵돌의 공격을 받아 활에 맞아 암살당했다. = ㅸ = ㅸ(가벼운비읍, 경비읍, 여린비읍, 순경음 비읍)은 한글 낱자 ㅂ과 ㅇ을 쌓아놓은 것이다. = = 역사 = = 15세기 한국어의 유성 양순 마찰음 소리를 나타냈던 것이라 여겨지는데, 두 모음 사이, y와 모음 사이, ㄹ과 모음 사이, ㅿ과 모음 사이의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났다. 16세기쯤에 소리가 양순 접근음 으로 바뀌면서 모음 ㅗ/ㅜ가 이 글자를 대신하며 소실되었다. 곱다: 곱+아 → → 고와 → 서울 → 쉬이 → -사옵- → 어려운 = = 외래어 표기에서의 사용 = = 1948년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인 들온 말 적는 법에서는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쓰였다. 찌아찌아어의 한글 표기법에서도 마찬가지로 를 표기하는 데에 쓰인다. = 분류:인도의 대외 관계사 = = 베른 S반 = 베른 S반은 스위스의 수도인 베른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S반 통근 철도망이다. 철도망은 베른의 도시 광역권과 거의 동일하다. 연간 약 9백만 km의 기차를 운행하는 베른 S반은 스위스에서 두 번째로 큰 S반이다. 매일 약 100,000명의 승객(주중에는 175,000명)을 처리하며, 따라서 광역권의 지역 대중교통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 킨더 초콜릿 = 킨더 초콜릿은 이탈리아의 페레로에서 만든 초콜릿이다. 부드러운 우유맛이 강한 어린이용 밀크초콜릿이다. 또한 킨더 초콜릿의 킨더(Kinder)는 독일어로 아이들이란 뜻이다. = = 제품 = = Kinder Bueno Kinder Surprise Kinder Joy Happy Hippos *Kinder Chocolate *Kinder Delice *Kinder Pinguì *Milky Bites (영국 출시명: Choco Bons) *Kinder Maxi *Kinder Riegel *Kinder Maxi King *Kinder Paradiso *Kinder Milk Slice *Kinder Yogurt Slice *Kinder ChocoFresh *Kinder Cards *Kinder Brioss *Kinder Breakfast Plus *Kinder Pan and Choc *Kinder CereAlé = 엄브렐러 아카데미 = 엄브렐러 아카데미(The Umbrella Academy)는 제라드 웨이가 제작, 가브리에우 바 작화의 미국 만화이다. 처음 6권의 한정판 시리즈 엄브렐러 아카데미: 아포칼립스 스위트(Umbrella Academy: Apocalypse Suite)는 2007년 9월 14일부터 2008년 2월 20일까지 다크 호스 코믹스에 의해 출시되었다. Best Finite Series/Limited Series 부문에서 2008년 아이스너상을 수상했다. 2번째 시리즈 엄브렐러 아카데미: 댈러스(The Umbrella Academy: Dallas)가 2008년 출시되었다. 2018년 10월 3일부터 2019년 6월 12일까지 엄브렐러 아카데미: 호텔 오블리비언(The Umbrella Academy: Hotel Oblivion)이 출시되었다. 2019년 2월 넷플릭스에서 텔레비전 방송 각색판 드라마 엄브렐러 아카데미가 초연되었다. = 송도 경비행기 추락 사고 = 송도 경비행기 추락 사고는 2012년 6월 13일 인천광역시 송도에서 경비행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와 승객을 포함한 2명이 모두 사망한 사고이다. 해당 사고기는 프랑스에서 생산한 동력행글라이더로, 날개폭이 5m에 시속 100km가 넘고 안전 비행높이는 150m이다. 안전점검은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고의 원인은 항공기가 비행을 하려 하다가 중심을 잃고 추락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륙을 한지 9분밖에 되지 않아 밑으로 곤두박질을 친 것이다. 기체의 결함은 없었으나 날개가 가볍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은 받는다고 항공철도조사위원회는 말하였다. 그리고 조종사는 자격증이 있었고 비행장소도 비행승인 없이 비행을 할 수 있는 비행공역으로 분류되어 법적인 문제는 없었다. = 분류:몰디브의 스포츠 대회 = = 김비 = 김비는 다음의 뜻이 있다. 김비(金棐, 1613년 ~ ?)는 조선의 문신이다. 김비(1971년 ~ )는 대한민국의 트랜스젠더 소설가이다. 김비(Gimbi)는 에티오피아의 마을이며, 김비 공항이 있다. = 오이틴 = 오이틴은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41.4km2, 높이는 33m, 인구는 16,979명(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410명/km2이다. 오이틴이라는 이름은 7세기부터 8세기 사이에 이 곳에서 형성된 서슬라브족의 거주지인 우틴(Utin)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2세기에는 이 곳에 정착한 네덜란드인들에 의해 마을이 형성되었다. 1156년에는 시장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고 1257년에는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신성 로마 제국 시대에는 제국자유도시 칭호를 받았으며 1803년에 세속화되기 이전까지는 뤼베크 주교구의 지배를 받았다. 독일의 작곡가인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 서머스 = 서머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로런스 서머스 앤디 서머스: 잉글랜드의 음악가 = 선빈 = = = 실존 인물 = = 선빈 안씨: 조선 태종의 후궁 = = 가공 인물 = = 연애 빠진 로맨스의 등장인물 체어맨의 등장인물 코스모스 노래방의 등장인물 = 분류:아랍계 스페인인 = = 성내교회 = 성내교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성내교회는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장로교 교회이다. 성내교회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교회이다. 성내교회는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교회이다. 성내교회는 제주성안교회의 옛 이름이며 다른 이름이다. 성내교회는 다음 교회를 가리킨다. 대구성내교회 김천성내교회 거제성내교회 = 오버 더 톱 = 오버 더 톱(Over the top)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 = 영화 = = 오버 더 톱 (영화) = = 미디어 = = OTT 서비스(오버더톱 서비스) = = 밴드 = = Over the Top (밴드) = = 음악 = = Over the Top (코지 파월의 음반) Over the Top (인피니트의 음반) = = 방송 = = 오버 더 톱 (텔레비전 프로그램) = 분류:198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화기 = = 옥천 육영수 생가 = 옥천 육영수 생가(沃川 陸英修 生家)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교동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2년 4월 26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25년 11월 29일에 태어난 장소이다. 현재 건물은 없지만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송정승 및 민정승이 거주하여 삼정승의 집이라 불리던 가옥을 육영수 여사의 부친인 육종관씨가 민정승의 자손 민대감에게서 1920년 매입하였다고 한다. 6,047m2의 대지 위에 1970년 초에 개축된 관리사·사당 등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울창한 산림이 형성되어 있고 본채·사랑채·별당 등 10여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터만 남아 있으며 주변은 연못과 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의 배치는 대문을 들어서면 넓직한 사랑채 터가 있고 그 뒤에 안채 터가 있으며, 청기와 지붕의 사당과 별당 터가 있다. 그리고 주위에는 관리인과 고용인들이 기거하던 부속건물이 있으며 사랑채 터 동쪽에는 연못이 있다. 육영수 여사는 옥천지방의 독농가(篤農家) 육종관의 2녀로 출생하였으며, 이름있는 문벌이었고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덕(婦德)을 갖춘 현대여성이었다. 특히 불우한 사람을 위해서 봉사와 희생으로 일관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1974년 8월 15일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열린 제29회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조총련계 문세광이 쏜 총탄에 맞아 사망하여 8월 19일 국민장으로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1600년대 김정승 이후 정승들이 살던 곳으로 조선시대 상류계급의 전형적인 양식의 건축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곳이며, 육영수 여사가 태어난 곳으로 가치있는 자료이다. = = 참고 자료 = = * 육영수 생가 육영수 생가 = 분류:징병제 = = 자예차르구 = 자예차르구는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자예차르이며 면적은 3,623km2, 인구는 137,561명(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37.7명/km2이다. 동쪽으로는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한다. = = 지방 자치체 = = 4개 지방 자치체와 5개 군, 168개 마을을 관할한다. 볼레바츠 (Boljevac) 크냐제바츠 (Knjaževac) 자예차르 (Zaječar) 소코바냐 (Sokobanja) = = 인구 = = 인구와 민족 분포는 2002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한다. 세르비아인: 124,427명 (90.45%) 루마니아인(블라크인): 7,155명 (5.20%) 로마인: 1,194명 (0.87%) = 전주동중학교 = 전주동중학교(全州東中學校)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2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1년 8월 31일 : 교육법 개정으로 전주농림고등학교에서 분리인가(3학급) 1984년 5월 2일 : 개교 기념일 변경(1951. 9. 1로 변경) 1993년 1월 19일 : 학급인가 36학급 (학년당 12학급) 2000년 3월 1일 : 남, 여 공학 학급편성 2018년 9월 1일 : 제21대 김지만 교장 부임 2020년 2월 7일 : 제69회 졸업식 거행(281명 졸업, 총 26,073명 졸업) 2021년 3월 2일 : 입학생(신입생 265명 입학) = 바르텔스쥐 = 바르텔스쥐(Sundamys maxi)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구눙 게데 분화구 국립공원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 서 자와에서만 발견된다. = = 특징 = = 꼬리 길이 258~309mm를 제외한 몸길이가 218~270mm인 대형 설치류다. 발 길이는 52~55mm이고 귀 길이는 24~28mm이다.Guy G. Musser & Newcomb Cameron, Malaysian murids and the giant rat of Sumatra, in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vol. 174, n. 4, 1983. 상체는 갈색빛 회색이고 등쪽을 따라 짙은 색을 띠는 반면에 배 쪽은 짙은 회색이다. 귀와 다리 뒷쪽은 짙은 갈색이다. = = 생태 = = 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 육상성 동물이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자와섬 서부 지역의 두 곳에서만 알려져 있다, 해발 900m와 1,350m 사이의 열대 상록수림에서 서식한다. = 도이체 아이스하키 리가 = 도이체 아이스하키 리가(Deutsche Eishockey Liga, DEL, 데에엘)은 독일의 최상위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이다. 1957년 설립된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를 승계하여 1994년에 재발족하였다. 2014년 현재 총 14개 팀이 참여하고 있다. = = 역사 = =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는 기존 오버리가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1957년 독일연방공화국에서 설립되었다. 도이체 아이스하키 리가는 1947년에 다시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를 대체하였으며, 한때 공식 로고에 '디 에르스테 분데스리가'(Die 1. Bundesliga)라는 명칭도 함께 사용하였으나 2012년부터 약자 DEL만 표기하고 있다. 기존의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는 상하위 2개 리그로 분할되어있었고, 많은 팀들이 부채에 시달리고 있었다. 다수의 투자자들은 상위 디비전에 있던 강한 팀들을 선호하였고, 팬과 투자자들은 상위 디비전에 있던 팀들의 강등을 막기 위해 선수들에게 더 투자하여 도이체 아이스하키 리가가 결성되기 전 2년 동안 예산이 25퍼센트 증가해왔다.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의 마지막 시즌이였던 1993-1994년에는 11개 팀만이 하위 디비전에 참여하길 원했고, 시즌 중간과 후에도 두개 팀이 도산하였다. 당시 독일 대중의 아이스하키 인기는 매우 낮았고, 안정적인 투자를 유치할 수 없었다. 결국 21개 중 20개 팀이 새로운 리그를 결성하는데 찬성하여 '도이체 아이스하키 리가 유한회사'가 설립되었다. DEL은 소속 팀들이 경영에 참여하는 첫 독일 프로 스포츠 리그가 되었다. DEL은 미국의 내셔널 하키 리그(NHL)처럼 리그간 승격강등 제도를 없에 안정적인 리그를 만드는 데에 첫 목표를 두었다. 또한 DEL에 참여하는 팀들은 팀 유지 관리를 위한 규칙들을 수용해야한다.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의 상위 디비전에 있던 12개 팀과 하위 디비전의 6개 팀이 첫 설립팀이 되었다. 새 리그는 출범과 함께 크롬바허 맥주 양조 회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새 리그 로고를 제작하였다. 기존 리그에서 겪었던 재정적 문제 해결은 리그 초기에 여전히 가시화되지 못했던 점이 있다.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의 마지막 리그 우승팀이였던 EC Hedos München은 1994년 12월에 파산하였다. DEL의 회장 프란츠 호프헤어는 새 리그의 결성과 함께 해당 팀에 참여 라이센스를 승인한바 있는데, 제대로된 사전 재정 검증이 없었다는 무수한 비판을 받았다. 1995년 유럽재판소의 축구 리그와 관련된 판결은 아이스하키 리그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이스하키-분데스리가는 절대 다수 독일 국적의 선수들로 이루어져있었으나, 같은 유럽연합 회원국 출신의 선수들은 외국인 선수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례에 따라 다양한 출신의 선수들을 영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5-1996년 시즌에는 97명의 유럽 연합 출신 선수들이 DEL에서 활동하였다. 이는 즉시 팀내 예산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반대로 몇몇 팬들의 반감을 사기도 하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 = 시즌 = = = = = 역대 우승 팀 = = = 1994–95 쾰르너 하이에 1995–96 뒤셀도르프 EG 1996–97 아들러 만하임 1997–98 아들러 만하임 1998–99 아들러 만하임 1999–00 뮌헨 바론스 2000–01 아들러 만하임 2001–02 쾰르너 하이에 2002–03 크레펠트 핑귀네 2003–04 프랑크푸르트 라이온스 2004–05 아이스베렌 베를린 2005–06 아이스베렌 베를린 2006–07 아들러 만하임 2007–08 아이스베렌 베를린 2008–09 아이스베렌 베를린 2009–10 하노버 스콜피온스 2010–11 아이스베렌 베를린 2011–12 아이스베렌 베를린 2012–13 아이스베렌 베를린 2013–14 ERC 인골슈타트 = 분류:커널 프로그래머 = = 우르바시 = 우르바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우르바시 라우텔라: 인도의 배우, 모델 우르바시 돌라키아: 인도의 배우 = 분류:고이아스주 = = 세인트제임스구 (자메이카) = 세인트제임스구는 자메이카 북서단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몬테고베이이며 면적은 595km2, 인구는 200,000명(2008년 기준)이다. 콘월주에 속하며 동쪽으로는 트렐로니구, 남쪽으로는 세인트엘리자베스구, 서쪽으로는 해노버구, 웨스트모얼랜드구와 접한다. = 이지란 =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 관료 겸 정치인이다. 여진족 이름은 퉁두란(佟豆蘭)으로서, 성씨(姓氏)는 퉁(佟, 동)이고, 이름은 고륜두란첩목아(古倫豆蘭帖木兒, 쿠룬투란티무르)를 줄인 것이다. 용비어천가에는 그의 여진 이름을 훈민정음으로 고론투란터물이라고 표기하고 있다.용비어천가 권7, 53장, "古論豆蘭帖木兒 고․론투란터․물" 자는 식형(式馨)이고 불교 법명도 식형(式馨)이다.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지란(李之蘭),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등 공저, 한국사전연구사(1998년판);「21세기에서 바라본 조선의 궁술」, 조선시대, 이중화 저, 김이수 역, 한국학술정보(2010년, 235~253p) 아울러 그는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 조선 왕조 개창자인 이성계(李成桂)와 의형제를 맺었으며, 그 인연으로 후에 이(李)씨 성을 사성받아 개명했다고 한다. 이성계가 아직 왕이 되기 전 고려의 무장으로써 활약할 때부터 그를 따라 여러 전투에 참가했으며, 조선 개국에 동참해 개국공신 1등이 되었다. 독립군가(용진가)에 1절에도 이름이 나온다. 한양오백년가에 함흥차사 관련 이야기가 나오는데 태조 이성계 마음을 돌린 사람은 무학대사가 아닌 바로 이지란이다. = = 생애 = = 고려사(高麗史)에는 여진 출신으로 원(元), 몽고제국의 금패천호인 아라부카(阿羅不花)이지란 사후 3백 년 뒤인 영조 50년(1774년)에 세워진 이지란신도비에는 아원(雅遠)으로 되어 있다.의 아들로 아버지의 벼슬을 이어받아 천호(千戶)가 되었다고 적고 있다. 아라부카가 일찍이 서쪽을 정벌할 때 큰 별이 우물 지붕 위에 드리웠는데, 천기를 관장하는 자가 이를 보고 "이는 계명성(샛별)이라 그 아래에서 반드시 위인이 태어날 것이다"라고 예언하였고, 이후 이지란이 태어났다고 한다(이지란신도비). 공민왕(恭愍王) 20년(1371년)에 휘하의 백호(百戶) 부카(甫介)를 보내 1백 호를 거느리고 고려 조정에 내투하였고고려사절요 권29, 공민왕4, 공민왕 20년(1371년) 2월 청해(靑海, 지금의 북청)에 있다가 이성계(李成桂) 휘하로 들어갔다. 우왕(禑王) 6년(1380년)에 의형 이성계를 따라 왜구(倭寇) 토벌에 종군해, 지리산 근교 운봉(雲峯)에서 적장 아지발도를 죽이고 왜구를 대파한 공을 세웠다(황산대첩). 이성계 군단의 강력함은 이지란이 이끄는 여진족 기마군단에 힘입은 바가 컸다. 동왕 9년(1383년) 7월에 요심(遼瀋)의 초적 40여 기가 단주(端州)로 쳐들어왔는데, 이두란은 북청의 천호로써 단주상만호(端州上萬戶) 육려(陸麗), 청주상만호(靑州上萬戶) 황희석(黃希碩) 등과 함께 이들을 쫓아 서주위(西州衛), 해양(海陽) 등 이르러 우두머리 6인을 베었다. 8월에는 호바투(胡拔都)가 단주로 쳐들어왔는데, 부만호(副萬戶) 김토부카(金同不花)가 내응하는 바람에 고려군이 패하였다. 당시 이두란은 어머니가 사망하여 이두란은 고향 북청에서 상을 치르고 있었는데, 이성계의 부름으로 상복을 벗고 종군하였다고 한다(고려사). 그러나 길주(吉州) 벌판에서 선봉으로 나섰다가 호바투에게 패하였다. 우왕 11년(1385년)에는 함흥(咸興) 토아동(兎兒洞)에 쳐들어온 왜구를 이성계와 함께 나아가 격퇴하였다. 이 공으로 선력좌명공신(宣力佐命功臣)의 칭호를 받고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상의동지밀직사사(商議同知密直司事) 회의도감사(會議都監事)가 되었고, 창왕(昌王) 때에는 지밀직사사를 맡았다. 공양왕(恭讓王) 4년(1392년) 지문하부사 판도평의사사가 되었고 이어 명(明)으로부터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가 그 해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일으켜 새로운 왕으로 즉위하자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으며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使)가 되었다. 이듬해 경상도절제사(慶尙道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막는 데 힘썼으며, 태조 8년(1398년)에는 명의 건주위 정벌에 공을 세워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에 제수되었고 이어 판형조사 의흥삼군부사 중군절제사에 보직 변경 임명되었다. 태조가 물러난 후에도 정종(定宗) 원년(1399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보임되었으며, 태종(太宗)이 즉위한지 얼마 안 되어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내려갔으며, 과거 군관 시절에 여러 전쟁터에서 많은 인명을 죽인 것을 속죄하기 위해 불문에 귀의하였다고 한다.연려실기술권2, 태조조 고사본말(太祖朝 古事本末). 태종 2년(1402년) 4월 9일에 죽었으며, 죽기 전에 태종에게 "신은 본토(本土)의 사람으로 타국(他國)에서 죽게 되었으니 내 시신을 태워 본토에 장사지내어 본토의 풍속을 따르게 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태종에게 "조심조심 덕(德)을 닦아 영원히 조선을 보전하시라"는 신하로써의 당부를 남겼다. 태종은 이지란이 죽자 사흘 간 조회를 정지하였고, 그의 청대로 장사지냈으며 시호(諡號)를 양렬(襄烈)이라 하였다. 향년 72세. 태종실록에는 또, 이때 명의 사신 축맹헌(祝孟獻)이 태평관(太平館)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이지란이 사망하자 태종은 왕이 직접 태평관에 행차해 사신을 위한 연회를 베풀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대신 지신사 박석명을 보내면서 자신의 불참 사유를 이지란의 죽음이 아닌 왕 자신의 병 때문이라고 전하게 하였다고 한다(사관은 이 일에 대해 나라의 대신(이지란)이 죽은 것을 사신이 알지 못하게 해서 사신이 마음 편안하게 연회를 즐기도록 하려는 배려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태종 10년(1410년) 조선 태조의 다른 공신인 조준, 조인옥(趙仁沃), 태조의 왕자인 이화와 함께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후손들이 그의 글을 모아 청해백집(靑海伯集)을 지었다. = = 용모 = = 이지란신도비에 이지란 용모에 관해 "용모가 단정하고 아름다운 것이 마치 여인과 같았다"라고 한다. 한국 경기도박물관에 이지란의 초상을 소장하고 있는데, 박물관에 기증하기 전까지 이지란을 모신 포천의 청해사(靑海祠)에서 소장했었다. 가슴까지만 그린 반신상으로 조선 후기 사당에 모시기 위해 원본(전신상)을 발췌하듯이 베껴 그렸다고 추정한다. = = 가족 관계 = = 이지란은 여진족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조선 왕조의 개창자이성계의 최측근으로서 왕조의 개창에도 가담한 공신이었으며, 그의 자손 역시 대대로 조선 조정에서 중용되었다. 이지란 사후 300년 뒤인 영조 50년(1774년)에 세워진 이지란신도비에는 이지란의 선대 가계에 대해, 증조부 부해(浮海)가 원(元)에서 전공을 세워 오천호(五千戶)에 봉해졌고, 이지란의 아버지 아원(雅遠, 아라부카)은 원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에 이르렀으며, 이지란이 조선에서 중용된 뒤 보조공신(補祚功臣)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에 증직되었다. 이지란에게는 함안군부인(咸安郡夫人) 혜안택주(惠安宅主) 윤씨(尹氏)와 상산군부인(象山郡夫人) 곡산 강씨(谷山康氏) 두 부인이 있었다. 상산군부인 강씨는 예의판서(禮儀判書) 강보대(康普戴)의 딸(이지란신도비)로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친정 조카딸로, 이지란은 조선 태조의 처조카사위가 된다. 태종실록에 실린 이지란의 졸기에는 이지란에게 화영(和英) · 화미(和美) · 화수(和秀) 세 아들(이지란신도비에는 네 아들)이 있었다고 적고 있는데, 고려사에는 화상(和尙)이라는 이름의 아들이 한 명 더 있었다고 하며, 이지란신도비에 따르면 아들들 모두 상산군부인 소생이다. 초배 부인 : 상산군부인 곡산 강씨(1349년 ~ ?) - 태조의 제2비인 신덕왕후 강씨의 친정 종질녀로 아버지는 예의판서 강보대(강보대 공은 신덕왕후 친정아버지 강윤성 공의 5촌 종질이며 참고로 이지란 공의 부인 강씨는 5촌 고모 신덕왕후 강비보다 나이가 많았음.). 아들 : 이화상(李和尙) - 관직은 공조판서(工曹判書). 아들 : 이화영(李和英) - 여진 이름은 역리불화(亦里不花). 세종 6년(1424년10월27일) 사망. 관직은 판우군부사(判右軍府使) 판우군부사(判右軍府事) 이화영(李和英) 졸(卒)하였다. 화영은 여진인이요, 태조의 개국 공신(開國功臣) 청해백(靑海伯) 양렬공(襄烈公) 이지란(李之蘭)의 아들이었다. 18세부터 벼슬하기 시작하여 처음에 낭장(郞將)이 되고, 여러 번 승진하여 사복 정(司僕正)에 이르고 보공 대장군(保功大將軍)으로 옮겼으며, 태조 7년에 상장군(上將軍)으로 승진하였다. 태종 1년에 특히 예조 전서에 임명되고, 2년에 승추부 동지총제(承樞府同知摠制), 6년에 도총제(都摠制)로 승진하고, 9년에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15년에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세종 5년에 판좌군도총제부사(判左軍都摠制府事)가 되었다. 화영은 약관 때부터 태조를 따랐으므로, 개국 당초에 원종 공신(原從功臣)의 녹권(錄券)과 전토를 받았고, 정종 2년에 태종을 한위(捍衛)한 공으로 전토와 노비를 더 받았고, 태종 2년에 외간(外艱)을 당하여 여막(廬幕)에 있을 때 태종의 위급함을 듣고 남보다 먼저 귀부하였다. 태종이 그의 충성을 가상하게 여겨 옷을 벗어 입히고, 이후 계속하여 은사를 내렸다. 세종 5년 가을에 〈임금을〉 뵈옵고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고하니, 임금이 교외(郊外)에서 전별연을 차려 주었다. 화영은 마음이 곧고, 행동이 검박하였다. 병으로 자택에서 돌아갔는데, 부고가 이르자 조회를 사흘 동안 정지하고, 관에서 장사를 담당하였다. 시호를 무후(武厚)라 하였는데, 위엄차고 억센 것을 무(武)라 하고, 생각하는 것이 틀림이 없는 것을 후(厚)라 한다. 그 외 아들은 이효량(李孝良)·이효정(李孝貞)·이효온(李孝溫)·이효검(李孝儉)·이효양(李孝讓)·이효강(李孝綱)이었다 아들 : 이화미 - 태종 14년(1414년4월28일) 사망. 관직은 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첨총제(僉摠制) 이화미(李和美)의 상(喪)에 쌀·콩 30석과 종이 1백 권과 관곽(棺槨)을 부의(賻儀)로 내려 주었으니, 이화미는 청해백(靑海伯) 이지란(李之蘭)의 아들이었다. 그의 무재(武才)는 약간 아비의 풍모가 있었다 아들 : 이화수 - 관직은 예조참판(禮曹參判) = = 이성계와 친인척 관계 = = 이지란(李之蘭)은 혜안택주 윤씨(惠安宅主 尹氏)와 1번째 혼인을 하였고 조선 태조(朝鮮 太祖)의 2번째 왕후인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의 친정 조카딸인 군부인 강씨(君夫人 康氏)와 2번째 혼인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 이성계는 그의 처고모부(妻姑母夫)이기도 하다. 이성계(李成桂)보다 4살 위인 이지란(李之蘭)은 이성계의 처조카사위(이성계는 이지란의 처고모부(妻姑母夫)이자 의형(義兄))가 되는 동시에 의형제(義兄弟)를 맺은 이성계의 의제(義弟)이기도 하다. = = 일화 = = 《태조실록》(太祖實錄) 총서에는, 이성계가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한 틈을 타 이성계의 측근이자 참모인 정도전, 조준 등을 투옥하고 제거하려는 정몽주(鄭夢周)를 암살할 것을 명하는 이방원(훗날의 조선 태종)에게 "이건 우리 공(이성계)께서 알지 못하는 일이니 나는 가담하지 않겠다"며 사양했다. 그러나 훗날 이방원이 정도전 및 자신의 두 이복동생을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아버지 태조의 퇴위를 이끌어낸 무인정사(1차 왕자의 난)에서 이지란은 이방원측에 가담, 정사공신(定社功臣)의 반열에 올랐다. 자신보다 네 살 어린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그를 형으로써 모셨으며, 무장 시절 이성계를 따라 황산대첩 등 여러 싸움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는 태조 이성계가 이지란을 가리켜 "두란의 말 달리고 사냥하는 재주야 그만한 사람도 있기는 하겠지만, 싸움에 임해 적군을 무찌르는 데는 두란보다 나은 사람이 없다."고 평가한 대목이 있다. 《용비어천가》에는 또, 일찍이 이성계와 함께 말을 달려 사슴 한 마리를 쫓는데 사슴이 넘어진 나무 밑으로 빠져나가 달아나는데, 이지란은 말을 채찍질하여 나무를 돌아갔는데, 태조는 그 자리에서 몸만 뛰어 나무 위를 넘어 나무 아래로 나온 말을 도로 잡아타고 사슴을 따라가 쏘아 잡았고, 이지란은 "공은 천재이니, 인력으로 따를 수 없소."라고 하였다고 한다. 조선 중기 문인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는 이성계와의 일화가 실려 있는데, 길에서 물동이를 이고 지나가는 아낙을 보고 이성계가 먼저 철환(鐵丸)을 던져 구멍을 뚫어 놓자 물이 미처 새어 나오기 전에 이지란이 다시 조그맣게 뭉친 진흙을 던져서 그 구멍을 막았다고 한다. 또한 평소 은근히 이성계를 해치려는 마음을 품었던 이지란은 밤에 이성계가 뒷간에 간 틈을 노려 세 번이나 활을 쏘았고, 이성계가 이 화살에 맞아 죽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이성계는 태연하게 뒷간에서 볼일을 다 보고 나와서 이지란에게 화살을 돌려주었고, 이지란은 그 뒤로 다시는 이성계에게 함부로 맞설 생각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 《고려사》에는 황산대첩 당시 왜구의 지휘관 아지발도를 칠 때, 왜구와의 교전이 한창이던 때에 창을 든 왜병 한 명이 이성계에게 몰래 다가가는 모습을 보고 놀라 "영공, 뒤를 보십시오"하고 거듭 외쳤지만 치열하게 전투가 벌어지는 와중에 이성계가 미처 듣지 못하자, 이지란은 그 자리에서 자신이 몸소 활을 쏘아 이성계를 찌르려던 그 왜병을 죽였다. 또한 온몸에 갑옷을 두른 아지발도를 죽이기 위해 이성계가 먼저 화살을 쏘아 아지발도가 쓴 투구 꼭대기를 맞혀 투구를 벗겨내고, 아지발도의 투구가 벗겨진 틈에 이지란이 다시 활을 쏘아서 아지발도를 죽일 수 있었다고 한다. 영조 50년(1774년)에 세워진 《이지란신도비》에는, 이지란이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게 된 내막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지정 연간에 이성계가 고광성을 칠 때, 이성계의 어머니 최씨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개강(价江)에 활을 잘 쏘는 자가 있어 패왕(覇王)을 보필할 사람이다."라고 하였고, 이성계가 그 꿈대로 개강에 가 보니 마침 퉁두란(이지란)이 그곳에서 사슴 사냥을 하고 있었다. 이성계는 이를 보고 기이하게 여겨 그와 형제의 의를 맺고 아내 강씨(康氏, 신덕왕후)의 종녀(從女)와 혼인시켰다고 한다. 또한 《이지란신도비》에는 우왕이 서쪽으로 사냥을 나와 대령(大寧)에 이르렀을 때, 무신(武臣)들에게 백금(白金) 2촌(寸)을 과녁으로 삼아 활을 쏘게 하였는데, 이성계가 나서서 활을 쏘아 한 발에 과녁을 맞히자 우왕은 기뻐하였으나, 이지란은 "재주의 아름다움을 어찌하여 남에게 많이 보이십니까."라며 넌지시 꼬집었고, 이성계는 뉘우치고 더욱 공의 지혜에 탄복하였다는 일화도 적고 있다. 청(淸) 왕조의 조조 원황제(肇祖原皇帝)로 추존된 아이신기오로 먼터무와는 6촌 형제 사이였다. 이성계, 심덕부, 이지란이 위화도 회군 직전 서로 의형제를 맺고 회군을 결의한 기록화인 장수군도가 새로 발견되었다.뉴시스 - 이성계 ‘위화도 회군’ 결의 현장, 14세기 그림 나왔다 = = 시조 = = 초산(楚山) 우는 호(虎)와 패택(沛澤)에 잠긴 용(龍)이/토운생풍(吐雲生風)하여 기세(氣勢)도 장(壯)할시고/진(秦)나라 외로운 사슴은 갈 곳 몰라 하노라 조선 말기의 시조집 화원악보(花源樂譜)에 이지란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시조 한 수가 남아 있다. = = 이지란이 등장한 작품 = = 《개국》(KBS 1983년~1983년, 배우:강민호) 《추동궁 마마》(MBC-조선왕조오백년, 1983년~1983년, 배우:국정환) 《용의 눈물》(KBS, 1996년~1998년, 배우:강인덕) 《대풍수》(SBS, 2012년~2013년, 배우:김구택) 《정도전》,《태종 이방원》(KBS, 2014년, 2021~ 배우:선동혁) 《육룡이 나르샤》(SBS, 2015년~2015년, 배우:박해수) 《태종 이방원》(KBS, 2021년~2022년, 배우:선동혁) = = 참고 자료 = = 《조선평전》 「우리 역사가 된 귀화인 이야기」, 신병주 저, 글항아리(2011년, 441~448p)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여진족 이지란(청해 이씨), 박기현 저, 역사의아침(2007년, 94~104p)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지란(李之蘭),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등 공저, 한국사전연구사(1998년판), 《21세기에서 바라본 조선의 궁술》 「조선시대」, 이중화 저, 김이수 역, 한국학술정보(2010년, 235~253p) 《이지란에 대한 연구》,왕영일 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3년) = 분류:시에나의 광장 = = 이방부 = 이방부(理方府)는 신라시대에 형률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이다. 이방부는 좌이방부(左理方府)와 우이방부(右理方府)로 나뉘어 있었다. 좌이방부는 진덕여왕 5년(651년)에 설치되었는데, 영(令)·경(卿)·좌(佐)·대사(大舍) 각 2명과 사(史) 15명의 관원을 두었고, 우이방부는 문무왕 7년(667년)에 설치, 영·경·좌·대사 각 2명과 사 10명의 관원이 있었다. 우이방부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좌이방부만이 이방부라고 일컬어졌다. = 분류:정후 = = 분류:1772년 국제 관계 = = 수정산터널 = 수정산터널(水晶山터널, Sungjungsan Tunnel)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과 부산진구 가야동을 연결하는 관문대로의 일부 구간으로서 기존 경로 이용시 30분이 걸리던 거리를 3분이내로 단축시켰으며, 원활한 항만 물류 수송이 가능해져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큰 터널이다. 터널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좌천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이 있다. = = 개요 = = 기존 경로 이용 시 30분이 걸리던 거리를 불과 3분 이내로 단축시켰으며 원활한 항만 물류 수송이 가능해져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수송용으로 상당히 많이 지나다니는 터널이다. 정식 명칭은 수정산터널이며 줄여서 수정터널이라고 부른다. 현재 아직까지 도로 표지판에는 수정터널 이라 표기되어 있는 상태이다. 수정산터널의 주변에는 동의대학교가 있다. = = 시설 = = 터널 내부는 자동제어설비 시스템에 의하여 조도, 교통량, 풍향 풍속,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가시 거리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건물은 2개의 제연 설비와 1개의 관리 설비로 이루어져 있다. 터널 내부는 제연용 환풍기에 의해 최적 환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터널내의 오염도(일산화 탄소 기준치 50 PPM)가 항상 기준치 이하로 관리된다. = = 역사 = = 1997년 5월 : 착공 2001년 12월 : 완공 2015년 9월 1일 : 통행료 인상부산광역시 공고 제2015-1499호, 2015년 8월 5일. = = 통행료 = = 2015년 9월 1일 통행료가 인상되었다. 구분 통행료 통행료 구분 2015년 8월 31일까지 2015년 9월 1일부터 경차 400 500 소형차 800 1,000 중형차 1,200 1,500 대형차 1,200 1,500 = = 자동차 전용도로 = =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어 자전거, 보행자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 초소형전기자동차는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 = 규모 = = 터널의 길이 2,330m의 편도 2차로(왕복 4차로) 쌍굴형식이다. = = 공원 = = 수정터널 요금소 상부를 복개 공사하여 공원을 만들었다. 공원의 이름은 감고개공원으로 카페, 도서관 등이 설치되어있고 이 시설은 주민 자치로 운영된다. 공원 준공으로 터널 인근 아파트 단지 및 빌라 주민들의 터널 소음, 분진 등의 피해에 대해 어느정도 보상이 되었다. = 한국인정지원센터 = 한국인정지원센터(Korea Accreditation Board ; KAB)는 국가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 인정업무가 갖는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법령 및 ISO/IEC 17011 국제기준에 부합하게 인정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대한민국 국내 산업 경쟁력의 증진과 대외 무역을 촉진하고 산업계의 질적 성장과 내부 역량 강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이다.한국인정지원센터 대표에 조기성 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 취임전자신문2013년 8월 16일 이호준 기자공기업·협회 돌며 10년 더 … '산피아' 정년은 70세 중앙일보2014년 4월 2일 이태경·최선욱 기자국표원-KTL, '국제표준 자격인증포럼' 개최아시아투데이2014년 10월 24일 이재은 기자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이수로 93 국가기술표준원 별관 5층에 있다. = = 연혁 = = 1995년 공업진흥청 산하 사단법인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KCA)로 설립 1996년 정부(통상산업부(기술표준원))로부터 환경경영체제(ISO 14001)인정업무 위탁. PAC(태평양지역인정협력기구). IATCA(국제심사원인증연수기관인정기구) 가입. IAF(국제인정협력기구) 가입 1997년 정부(통상산업부 (기술표준원))로부터 품질경영체제(ISO 9001)인정업무 위탁 1999년 품질경영체제부문 국제다자간상호인정협정(IAF MLA) 가입. 한국품질환경인정협회(KAB)로 개칭 2001년 한국인정원(KAB)으로 명칭 변경 2002년 안전보건경영체제(K-OHSMS) 인증제도 시행. QuEST Forum(미국정보통신학회)으로부터 TL 9000 인정기관으로 지정 및 인증제도 시행 2004년 환경경영체제부문 국제다자간상호인정협정(IAF MLA) 가입 2006년 품질 및 환경경영체제 관련 국내 인증현황 관리 대행기관 지정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 식품안전경영체제 정식 인증제도 도입 시행 2007년 정보보안경영체제 정식 인증제도 도입 시행 2013년 재단법인 한국인정지원센터로 재출범 (재단법인 전환) = = 조직 = = 경영본부 인정본부 인증관리팀 = = = 이사장 = = = = = = 감사 (비상임) = = = = = = 한국인정지원센터장 = = = = = = 전무이사 = = = = 틀:인터넷 아카이브 = = 분류:일본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김해외동초등학교 동문 = = 슈툼군 = 슈툼군은 폴란드 포모제주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슈툼이며 면적은 730.85km2, 인구는 41,476명(2019년 기준), 인구 밀도는 57명/km2이다. 북쪽으로는 말보르크군, 북동쪽으로는 바르미아마주리주 엘블롱크군, 동쪽으로는 바르미아마주리주 오스트루다군, 남동쪽으로는 바르미아마주리주 이와바군, 남쪽으로는 크비진군, 서쪽으로는 트체프군과 접한다. 5개 지방 자치체(2개 도시형 농촌, 3개 농촌)를 관할한다. = 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 말 (식물) = thumb 말 또는 버들말즘은 가래과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학명은 Potamogeton oxyphyllus이다. = = 분포 = = 한국·만주·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특징 = = 높이 30cm 이상으로서 전체가 녹갈색이며,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가늘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길이 5-12cm의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길이 2cm 정도의 턱잎은 얇은 막질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꽃은 5-6월에 황록색으로 피는데 양성이고 잎겨드랑이에서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의 길이는 1-1.5cm이고 꽃줄기의 길이는 2-4cm이다. 꽃잎과 암술·수술은 각각 4개씩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3.5mm의 타원상 난형이며 편평하고 끝에 짧은 암술대가 달려 있다. = 유년 = 청하왕 유년(淸河王 劉年, ? ~ ?) 또는 유연년(劉延年)순열: 한기 효선황제기 2권 은 중국 전한의 황족·제후왕으로, 청하왕이다. 청하경왕 유탕의 아들이다. = = 생애 = = 본시 4년(기원전 70)에 아버지가 죽자 뒤를 이어 청하나라 왕이 됐다. 유년은 태자 시절에 친여동생 유칙(劉則)과 사통한 적이 있었는데, 지절 연간에 기주자사 임(林)이 이를 상주하였다. 한편 왕이 된 후 유칙은 유년의 아들을 낳았고, 유칙의 남편이 키우지 못하게 해 아이를 궁중으로 들여 유년 · 유칙 남매의 어머니 경태후(頃太后)에게 맡기려고 했다. 청하국의 재상은 이를 저지했고, 유년은 작은아버지들에게 왕래하며 유칙을 맞아들이게 했다. 결국 지절 4년(기원전 66년) 12월, 유년은 음란의 죄목으로 왕위를 잃고 방릉(房陵)으로 유배되어 탕목읍 1백 읍을 받았다. 청하국은 폐지되어 청하군이 되었다.반고: 한서 권47 문삼왕전제17 위와 같음, 권14 제후왕표제2 위와 같음, 권8 선제기제8 = 슬론 = 슬론(Sloane, Sloan 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 = 인명 = = 배리 슬론: 잉글랜드의 배우 린지 슬론: 미국의 배우 사샤 슬론: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에드워드 반 슬로언: 미국의 연극 배우, 영화배우 제리 슬로언: 미국의 농구 선수이자 감독 = = 기술 = = 슬론 디지털 전천탐사: 대규모 다중 분광 영상화 및 분광학적 적색편이 탐사 계획 = 셰브론 = 셰브론 코퍼레이션은 1879년에 설립된 미국 샌라몬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는 정부가 소유하지 않은 석유회사 가운데 세계 5위의 석유 회사로 전 세계 180여 개 국가에서 석유 및 가스의 탐사, 정제, 마케팅 및 운송, 화학제품 생산 및 판매, 전력 생산 등에 관여하고 있다. 셰브론은 또한 여섯 개의 슈퍼메이저 중 하나로 칼텍스, 텍사코, 스탠더드 오일 등의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다. = 분류:미나모토노 요시쓰네 = = 더부신경 = 더부신경(accessory nerve), 또는 부신경(副神經)은 목빗근과 등세모근에 분포하는 뇌신경이다. 더부신경은 뇌에서 시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12쌍의 뇌신경 중 11번째 뇌신경이므로 간단하게는 뇌신경 XI(CNXI)로도 불린다. 더부신경이 분포하는 목빗근은 머리를 기울이고 회전시키며 어깨뼈와 연결되어 있는 등세모근은 어깨를 으쓱하고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더부신경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 방식은 척수부분과 뇌부분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뇌부분은 미주신경에 빠르게 합류하며 이런 구조로 인해 뇌부분을 더부신경의 일부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더부신경'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목빗근과 등세모근에 분포하는 신경만을 지칭하며 이 경우 척수더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이라고도 한다. 척수더부신경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신경학적 검사로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근육들의 힘이 약하거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척수더부신경 손상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척수더부신경의 손상은 머리와 목을 포함하는 의료적인 처치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이 신경의 손상은 어깨 근육의 소모, 날개어깨뼈, 어깨 벌림과 바깥쪽돌림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더부신경은 배아 척추 분절 C1-C6의 바닥판에서 발생한다. = = 구조 = = 척수더부신경 섬유는 숨뇌와의 접합부인 더부신경 뇌뿌리에서 약 C6 높이까지 위치한 위쪽 척수의 신경 세포들인 더부신경 척수뿌리에서 기원한다. 뇌뿌리의 신경 섬유는 의문핵에서 발생하며, 운동피질의 목 근육 제어부로부터 피질숨뇌로를 따라 내려온 축삭으로부터 주로 신호를 받는다. 이 섬유들은 서로 결합하여 잔뿌리(rootlet), 뿌리(root)를 이룬 후, 더욱 결합하여 척수더부신경 자체를 형성한다. 형성된 신경은 머리뼈 바닥의 큰구멍을 통해 머리뼈로 들어간다. 신경은 머리뼈의 안쪽 벽을 따라 목정맥구멍을 향해 주행한다. 신경은 머리뼈를 떠나 혀인두신경, 미주신경과 함께 목정맥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빠져나간다. 척수더부신경은 머리뼈에 들어갔다가 다시 나가는 유일한 뇌신경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런 특이한 이동 경로는 더부신경이 뇌신경 중 유일하게 척수에 뉴런이 위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머리뼈를 떠난 후 뇌부분은 척수부분에서 떨어져 나온다. 척수더부신경은 홀로 계속 이어져서 뒤쪽과 아래쪽으로 주행하며, 목에서는 턱두힘살근의 뒤힘살 높이에서 속목정맥을 가로지른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신경은 목빗근을 관통하며 운동가지를 낸 다음 등세모근에 도달하여 등세모근 윗부분에 운동 신경 분포를 낼 때까지 계속된다. = = = 신경핵 = = = 척수더부신경을 형성하는 신경섬유는 척수의 윗부분에 위치한 아래운동신경세포에서 유래한다. 더부신경핵이라고 하는 이 신경핵은 척수 앞뿔의 가쪽면에 위치하며 척수가 시작되는 곳(숨뇌와의 접합부)에서 약 C6 높이까지 뻗어 있다. 높은 목뼈 분절의 가쪽뿔은 더부신경의 뇌부분이 갈라져 나오는 숨뇌의 의문핵과 연속적인 것으로 보인다. = = = 변이 = = = 목에서 더부신경은 턱두힘살근 뒤힘살 주변에서 속목정맥을 가로지른다. 이때 80%의 사람들에서는 속목정맥의 앞으로, 나머지 20%에서는 속목정맥 뒤쪽으로 더부신경이 정맥을 가로지른다. 정맥을 관통하는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 전통적으로, 더부신경의 작은 뇌부분은 숨뇌에서부터 내려와 미주신경에 합류하기 위해 갈라져 나오기 전에 척수부분과 잠시 연결된다고 설명된다. 그러나 2007년에 발표된 1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사람들에서 뇌부분은 척수부분과 뚜렷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뇌부분과 척수부분의 뿌리는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실험 대상에서 섬유질의 신경혈관집(sheath)에 의해 나누어져 있었다. = = = 발생 = = = 더부신경은 배아 척추 분절 C1-C6의 바닥판에서 발생한다. = = 기능 = = 더부신경의 척수부분은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운동을 조절한다. 등세모근은 어깨를 으쓱하는 동작을, 목빗근은 머리를 돌리는 동작을 제어한다. 대부분의 다른 근육들과 마찬가지로 등세모근은 반대쪽 뇌의 운동피질에서 조절한다. 등세모근 윗부분의 수축은 어깨뼈를 들어올린다. 그러나 목빗근에 분포하는 신경 섬유는 두 번 방향을 바꾸는(decussate) 것으로 여겨진다. 결국 목빗근은 신체의 같은 쪽에 있는 뇌에 의해 제어된다. 목빗근 섬유의 수축은 실제로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리며, 이것은 머리가 그 영역에서 시각 정보를 받는 뇌의 측면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더부신경 뇌부분은 여린입천장, 후두, 인두의 근육의 운동을 조절한다. = = = 분류 = = = 연구자들 사이에는 더부신경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등세모근과 목빗근은 배아 시기 때 인두굽이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이 근육을 자극하는 척수더부신경이 특정 특수내장날신경(SVE) 정보를 전달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더부신경핵이 숨뇌의 의문핵과 연속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과도 일치한다. 다른 사람들은 척수더부신경이 일반몸날신경(GSE) 정보를 전달한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척수더부신경이 SVE와 GSE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고 결론 내리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더부신경의 발달적 특징은 SVE 신경 세포와 더 닮아 있다. = = 임상적 중요성 = = = = = 검사 = = = 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기능을 평가하여 더부신경을 검사할 수 있다. 등세모근은 환자에게 저항이 있는 상황과 없는 상황에서 어깨를 으쓱하게 하여 테스트한다. 목빗근은 환자에게 저항에 대해 머리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돌리도록 요청하고서 검사한다. 한쪽 등세모근의 약화는 같은 쪽의 척수더부신경의 손상을 시사할 수 있다. 머리를 돌리는 힘이 약한 것은 반대쪽 척수더부신경의 손상을 시사한다. 즉, 약한 좌회전은 오른쪽 목빗근의 약화(=오른쪽 척수더부신경 손상)를 나타내는 반면 약한 우회전은 왼쪽 목빗근의 약화(=왼쪽 척수더부신경 손상)를 나타낸다. 따라서 한쪽에서 어깨를 으쓱하는 동작이 약해졌는데 다른 쪽에서 고개를 돌리는 동작이 나타난다는 것은 어깨를 으쓱하는 쪽의 더부신경이 손상되었거나 다른 쪽 뇌의 신경 경로를 따라 손상이 있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손상의 원인에는 외상, 수술, 종양 및 목정맥구멍의 압박이 있을 수 있다. 양쪽 근육 모두가 약화되었다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길랭-바레 증후군, 소아마비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질병이 진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 = = 손상 = = = 척수더부신경 손상은 경부 절제술이나 림프절 절제와 같은 목 부위 수술 중에 흔히 발생한다. 둔기나 관통으로 인한 외상의 결과일 수도 있으며 일부 원인에서는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신경 경로의 어느 지점에서든 손상이 발생하면 신경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더부신경은 근치적(radical)인 목 절개에서 의도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목 부위 암의 존재 여부와 범위에 대해 외과적으로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덜 근치적인 절개로 더부신경을 남기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더부신경 손상은 목 통증과 등세모근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증상은 신경이 절단된 지점에 따라 달라진다. 신경 손상은 어깨이음구조(shoulder girdle)의 함몰, 위축, 비정상적인 움직임, 어깨뼈 돌출 및 벌림 약화를 일으킬 수 있다. 어깨이음구조의 약화는 팔신경얼기의 견인 손상(당김 손상, traction injury)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의심되는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근전도 검사나 신경 전도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외과적 치료의 결과는 물리 치료와 통증 완화를 수반하는 보존적 관리보다 더 나은 것으로 보인다. 외과적 관리에는 신경용해, 신경 말단 간 봉합, 영향을 받은 등세모근 부분을 에덴-랑게 처치(Eden-Lange procedure)와 같은 다른 근육으로 외과적으로 대체하는 것이 있다. 더부신경 손상은 기운목(torticollis)을 유발할 수 있다. = = 역사 = = 1664년 영국의 해부학자 토머스 윌리스는 미주신경과 관련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accessory'(라틴어로 nervus accessorius로 기술됨)를 사용하여 'accessory nerve'라는 이름을 처음 기술했다. 1848년 존스 콰인은 더부신경을 '미주신경에 부속된 척수신경'이라고 설명했는데, 더부신경의 작은 뇌부분이 더 큰 미주신경과 연결되는 반면 더부신경 섬유의 대부분은 척수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1893년에 지금까지 미주신경에 대한 "accessory"로 불려왔던 신경 섬유가 숨뇌의 동일한 신경핵에서 유래한다는 것이 알려졌고, 이 신경은 점점 더 미주신경의 일부로 여겨졌다. 결과적으로 "accessory nerve"라는 용어는 척수에서 나온 섬유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점점 그런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척수부분만 임상적으로 검사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이 의견에 무게를 실어 주었다. = 분류:2020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리스트 = = 부바카르 쿠야테 = 부바카르 쿠야테(, 1997년 4월 15일 ~ )는 말리의 축구 선수로, 현재 리그 1의 몽펠리에와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다. = = 구단 경력 = = = = = 초기 경력 = = = 쿠야테는 2013년 바마코의 "에스퍼런스 풋볼 클럽 드 메딘"에서 말리 축구 3부와 2부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보톨라에서 뛰던 모로코 클럽 KAC 마라케시와 계약했다. 지난 시즌 3위를 차지한 KAC는 2016년 CAF 컨페더레이션 컵에 진출하여 클럽은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KAC는 결선 토너먼트 진출을 놓쳤고, 그들은 보톨라에서 14위를 차지했다. 쿠야테는 조별 리그가 끝날 때 클럽을 떠났다. = = = 스포르팅 CP = = = 2016년 8월 26일, 쿠야테는 포르투갈 클럽 스포르팅 CP와 계약을 맺고 B-팀에 배정되었다. 그는 9월 11일 바르징과의 경기에서 리가 프로 데뷔 전을 치렀다. 쿠야테는 첫 시즌에 32번의 선발 출전을 했고, 수비수에서 이바닐두 페르난데스와 함께 뛰었고, 클럽은 14위를 기록했다. 쿠야테는 2017년 10월 12일 ARC 올레이로스와의 타사 드 포르투갈 경기에서 처음으로 성인 경기일 스쿼드에 포함되었다. 그는 2017-18 리가 프로에서 리저브 팀으로 12경기에 출전했지만, 2018년 2월 4일 코바 다 피에데와의 경기에서 부상을 당해 남은 시즌을 뛰지 못했다. 스포르팅 B는 18위로 시즌을 마쳤고 강등되었다. 리저브 클럽은 3부 리그에서 뛰는 것보다 포르투갈의 새로운 23세 이하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선호하면서 시즌 후 해체되었다. 쿠야테는 이적 당시 리가 리베라소에서 U-23 팀과 함께 18경기에 출전했다. = = = 트루아 = = = 2019년 1월, 쿠야테는 루이 알메이다가 영입한 프랑스 2부 리그 리그 2의 트루아와 3.5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의 데뷔 전은 2월 1일 메스와 1-1로 비긴 경기의 마지막 몇 분을 소화했다. 그의 완전한 데뷔 전은 2주 후 니오르 원정에서 오른쪽 수비수 제레미 코르도발과 교체되어 나왔다. 쿠야테는 다음 5경기에 선발로 출전했는데, 마지막 2경기는 3번 백 오른쪽에 있만, 3월 15일 소쇼를 상대로 하프타임에 중단되었다. 그는 5월 10일 2-4로 이긴 클레르몽과의 경기에서 클럽에서의 첫 골을 기록할 때까지 더 이상 선발 출전하지 않았다. 그가 영입할 당시 10위였던 트루아는 마지막 경기일까지 자동 승격을 다투고 있었다. 트루아는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랑스에게 패했고, 쿠야테는 첫 시즌을 12경기에 출전했다. 시즌 후, 알메이다는 캉으로 떠났다. 쿠야테는 8월 9일, 2-1로 패한 쿠프 드 라 리그에서 랑스와의 첫 시즌 데뷔 전에서 첫 골을 넣었고, 리그 2에서의 다음 두 경기에서도 득점을 기록했다. 코우야테는 대부분의 출전 경기를 로랑 바틀레스 감독이 선호하는 백 3번 오른쪽에서 뛰었는데, 시즌 전반에 리그에서 치른 14경기 중 14경기를 선발로 출전해 5골을 넣었는데, 이는 그를 클럽 최고 골잡이로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는 트루아의 첫 두 경기를 휴식기에 시작했지만, 1월 27일 르아브르와의 경기에서 부상을 당했다. 쿠야테는 그 시즌에 한 경기만 더 출전했는데, 추가 시간을 위해 파리 FC와의 경기에 출전했다가 프랑스에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시즌이 취소되기 전이었다. 쿠야테는 클럽 최고 골잡이로 시즌을 마쳤고, 트로예스는 승격 플레이오프가 취소된 후 리그 1 승격에서 승점 2점 더 떨어진 4위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동안 보여준 활약으로 쿠야테는 리그 2의 레키프 소속으로 이번 시즌 벤치를 지켰다. 시즌 후, 쿠야테는 잉글랜드 클럽 노팅엄 포레스트의 관심을 끌었다고 보도되었다. = = = 메스 = = = 2020년 8월 25일, 쿠야테는 메스와 2024년까지 계약을 맺었다. = = = 몽펠리에 = = = 2023년 1월 20일, 쿠야테는 리그 1의 몽펠리에에 입단하였고, 이적료는 600만 유로로 보고되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쿠야테는 2015년 FIFA U-20 월드컵 준결승전에 진출한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 쿠야테는 2017년 9월 모로코와의 월드컵 예선 경기를 위해 처음으로 성인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그는 2019년 3월 26일 세네갈과의 친선 경기에서 말리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쿠야테는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대표팀에 포함되었다. 말리는 조별 리그에서 이겼지만 16강에서 코트디부아르에 졌고, 쿠야테는 앙골라와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를 시작했다. = Cherished = Cherished는 1977년에 발매된 셰어의 음반이다. 워너 브로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유엔 의회 = 유엔 의회(, UNPA)는 가맹국의 입법자를 유엔에 관여시키기 위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세계 규모의 시민에 의한 유엔 의회 의원의 직접 선거를 목표로 한, 유엔 체계를 추가·신설하는 제안·구상이다. 현재의 국가를 단위로, 그 이해에 좌우되는 의사결정이 아니고, 각국의 시민의 의사가 직접 유엔에 반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해, 세계 정부의 구상에 가깝다. 유사한 현존의 제도로서는 유럽 의회의 유럽 의회 의원 제도가 가장 가깝고, 유럽 평의회의 의원 회의도 이 구상의 원형에 있다. = 알반 라퐁 = 알반 마크 라퐁 (Alban Marc Lafont, 1999년 1월 23일 ~ )는 프랑스의 축구 선수이며, 낭트에서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다. = 후쿠이 = 후쿠이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다. = = 지명 = = 후쿠이현(福井県) 후쿠이시(福井市) 후쿠이번(福井藩) = = 인명 = = 후쿠이 겐이치: 일본의 화학자 후쿠이 유카리: 일본의 배우, 성우 후쿠이 유야: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후쿠이 시즈오: 혼다 기술 연구소 사장, 혼다 기연 공업 대표 이사 후쿠이 하루토시: 일본의 소설가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의 은행가 후쿠이 마코토: 일본의 수영 선수 후쿠이 미나: 일본의 배우 후쿠이 료지: 일본의 축구 선수 후쿠이 마사토: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키리칼레주의 지리 = = 안진생 = 안진생(安珍生, 1916년 1월 28일 ~ 1988년 12월 2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군인·외교관·정치가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독립운동가 안중근의 조카이고 역시 독립운동가인 안정근의 둘째 아들이다. = = 생애 = = 1916년(호적상으로 1918년) 1월 28일 시베리아에서 안태훈의 아들 안정근과 이정서의 2남 4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가족이 중국으로 망명을 하면서 함께 떠났고 중국 광둥 성 광저우를 비롯한 홍콩과 마카오에서 청년기를 보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 안정근은 1949년 상하이에서 끝끝내 대한민국을 귀국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한편 그는 1934년 당시 마카오에서 성직을 하던 중국인 신부의 후원으로 인하여 이탈리아에 유학, 이탈리아 중국인 학생회 회장을 지냈고, 1945년 7월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에 대항하는 저항군에 가담해 활동하기도 했다. 이때 이탈리아 지하조직의 한 사람으로 저항군 비행기에 포탄을 실어나르는 역할 등을 하였다. 2차 대전 종전 후 제노아 조선소에 입사하여 근무하였고, 1947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에서 회사원으로 생활했다. 이때 미국에 체류 중이던 이승만과도 교류를 하였으며 1953년 이승만의 제의를 받고 대한민국에 귀국하여 정착한다. 1954년 박태정과 결혼하였고, 해군에 입대하여 장교로 3년간 복무한 뒤 1958년 해군 대령으로 예편, 1958년에서 이듬해 1959년까지 한국독립당 국방과학행정특보위원을 지냈고 한국독립당 탈당 후 1959년 대한조선공사 부사장으로 부임하였다. 1962년 이탈리아 참사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프랑스 공사(~1969년), 네덜란드 대리대사(1969년 11월~1971년 2월) 등을 역임하며 주로 대한민국 정부의 차관을 들이는 협상을 주로 전담하였다. 자이레(現 콩고민주공화국) 대사(1971년 2월)〈브라질노석찬씨 이태리문덕주씨〉경향신문(1970년 11월 26일) 1면. , 콜롬비아 대사 등에 임명되었고 1975년 버마(현 미얀마) 대사로 부임하였다. 1980년 외교안보연구원 본부 대사로 재직 중 전두환 정권에 의해 해임되었다. 당시 충격으로 뇌경색이 발병, 투병생활을 하였다. 1988년 12월 24일에 사망하였다. = = 가족 및 친척 관계 = = 할아버지: 안태훈 할머니: 조마리아 백부: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숙부: 안공근 아버지: 안정근, 1949년 사망, 독립운동가 어머니: 이정서 부인: 박태정, 2021년 10월 사망 딸: 안기수, 1988년 서울올림픽 국제 레슬링협회장 역임, 2021년 3월 사망 딸: 안기려 형: 안원생(安原生), 미국 USIS, 미 국무성 직원 역임 누나: 안미생, 백범 김구의 큰며느리 자형: 김인 = = 학력 = = 1925년 홍콩 화런 천주교 학교(前) → 1928년 마카우 보스코 웨화 초등학교 졸업(1928년 2월) 1934년 마카우 웨화 천주교중고등학교 졸업(1934년 2월) 1941년 이탈리아 제노아 대학교 조선공학과 학사(1941년 2월) 1943년 이탈리아 제노아 대학교 대학원 조선공학과 공학석사(1943년 2월) 1946년 이탈리아 제노아 대학교 대학원 조선공학과 공학박사(1946년 8월) = = = 명예 졸업 = = = 1959년 홍콩 화런 천주교 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 = = 명예 박사 학위 = = = 한국해양대학교 명예 공학박사 오스트리아 레오벤 광공업대학교 명예 공학박사 = = 참고 = = http://weekly.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3/11/2008031101201.html http://weekly.chosun.com/site/data/html_dir/2004/08/26/2004082677005.html http://www.danji12.com/sub_read.html?uid=50§ion= http://weekly.chosun.com/site/data/html_dir/2004/08/26/2004082677006.html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남도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라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 = 선거구 = = 선거구 선거구역 목포시 목포시 일원 여수시 여수시 일원 순천시 순천시 일원 나주시·나주군 나주시 일원 나주군 일원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일원 여천군 일원 담양군·장성군 담양군 일원 장성군 일원 곡성군·화순군 곡성군 일원 화순군 일원 구례군·승주군 구례군 일원 승주군 일원 광양군 광양군 일원 고흥군 고흥군 일원 보성군 보성군 일원 장흥군 장흥군 일원 강진군·완도군 강진군 일원 완도군 일원 해남군·진도군 해남군 일원 진도군 일원 영암군 영암군 일원 무안군 무안군 일원 함평군·영광군 함평군 일원 영광군 일원 신안군 신안군 일원 = = 개표 결과 = = = = = 목포시 = = = = = = 여수시 = = = = = = 순천시 = = = = = = 나주시·나주군 = = = = = = 여천시·여천군 = = = = = = 담양군·장성군 = = = = = = 곡성군·화순군 = = = = = = 구례군·승주군 = = = = = = 광양군 = = = = = = 고흥군 = = = = = = 보성군 = = = = = = 장흥군 = = = = = = 강진군·완도군 = = = = = = 해남군·진도군 = = = = = = 영암군 = = = = = = 무안군 = = = = = = 함평군·영광군 = = = = = = 신안군 = = = = = 당선자 = = 선거구 정당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목포시 평화민주당 권노갑 87,735 여수시 평화민주당 김충조 63,360 순천시 평화민주당 허경만 46,629 나주시·나주군 평화민주당 이재근 57,451 여천시·여천군 평화민주당 신순범 49,723 담양군·장성군 평화민주당 김길곤 54,430 곡성군·화순군 평화민주당 홍기훈 56,582 구례군·승주군 평화민주당 조순승 53,103 광양군 평화민주당 이돈만 29,223 고흥군 평화민주당 박상천 54,513 보성군 평화민주당 류준상 34,071 장흥군 평화민주당 이영권 30,060 강진군·완도군 평화민주당 김영진 35,065 해남군·진도군 평화민주당 김봉호 65,937 영암군 평화민주당 류인학 30,389 무안군 평화민주당 박석무 34,220 함평군·영광군 평화민주당 서경원 64,220 신안군 한겨레민주당 박형오 34,162 = 분류:스위스의 과학과 기술 = = 홍성규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홍성규: 대한민국의 언론인 = = 가공 인물 = = 홍성규: 우리집에 사는 남자의 등장인물 홍성규: 온에어 (드라마)의 등장인물 =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47 =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47는 스페인의 양대 축구 대회를 우승한 구단들 간의 경기였다. 발렌시아는 라 리가의 우승 구단 자격으로, 레알 마드리드는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의 우승 구단 자격으로 이 경기에서 왕중왕을 가리기 위해 참가했다. 경기는 1948년 6월 13일, 마드리드의 누에보 차마르틴에서 단판 경기를 치르기로 했는데, 축구 연맹의 수뇌부가 1947년 9월 말에 회의를 통해 "마리아 에바 두에르테 데 페론의 트로피를 1947년 6월에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로부터 받고서 결정이 내려졌고,Edición del viernes 18 julio de 1947, Página 4 Mundo Deportivo. 2015년 6월 5일 확인. 연간 전 시즌의 리가와 코파 우승을 거둔 구단이 경쟁하여 왕중왕을 가렸다. 컵의 소유권은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와 유사하다. 그에 따라, 리가와 코파가 우승을 거둔 두 구단이 1947-48 시즌에 맞대결을 펼치게 되었다.Diario ABC, miércoles 1 de octubre de 1947 Diario ABC. 2015년 6월 5일 확인. 결국, 이 경기는 1948년 6월에 열렸고, 리가 우승을 거둔 발렌시아와 코파 우승을 거둔 레알 마드리드가 참가했다.Sánchez Javier, Bernal: La Copa Eva Duarte: La gran olvidada de nuestro fútbol, CIHEFE. Véase: Cuadernos de Fútbol, nº 63, 2015년 3월 1일, . 이 대회의 전신은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로 1945년에 열렸으나, 이 대회는 카탈루냐 축구 연맹이 독자적으로 조직했기 때문에 공식 대회가 아니다. 레알 마드리드는 이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3-1로 이겨 우승을 거두었다. = = 참가 구단 = = 팀 자격 발렌시아 라리가 1946-47 우승 레알 마드리드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 우승 = 선전 지하철 9호선 = 선전 지하철 9호선은 2016년 10월 28일에 개통된 선전 지하철의 노선이다. 이 노선은 훙수완 남역에서 원진 역까지 동서간을 잇는다. 10개의 환승역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25.33 km, 난산, 푸톈, 뤄후의 도시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 = 노선명 = = 9호선은 이전에 메이린 선으로 알려져 있었고, 그 전에는 내부순환선을 의미하는 네이환 선이라고 불렀다. 2011년 12월에 계획된 조정과 함께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 =노선 정보 = = *총연장:25.33 km *역 수:22 *역간 최대 거리:3394m;역간 최소 거리:647m *지하구간:전 구간 *차량:6량 A형 차량 *전력공급: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차량 기지:차오청둥 차량 기지(侨城东车辆), 비자산 정차장(笔架山停车场) *장기 피크 시간 편도 구간 최대 승객 유동량 : 시간당 4.11만명 *투자:275억 위안 = =역 목록 = = 역명 역명(간자체) 영문명 환승역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위치 항하이루 Hanghai Road' ■ 5호선 난산 구 전하이루 Zhenhai Road 난산 구 린하이루 Linhai Road 난산 구 첸하이루 Qianhai Road 난산 구 리샹 Lixiang 난산 구 난유 Nanyou ■ 12호선 난산 구 웨하이 Yuehai 난산 구 쉐푸 Xuefu Road 난산 구 선전대학 동 Shenzhen University East ■ 13호선 난산 구 커지청 Science and Technology Town 난산 구 훙수완 남 Hongshuwan South ■ 11호선 0.00 0.00 난산 구 선완 Shenwan 0.85 0.85 난산 구 선전만 공원 Shenzhen Bay Park 1.50 2.35 난산 구 샤사 Xiasha 3.45 5.80 푸톈 구 처궁먀오 Chegongmiao ■ 1호선■ 7호선■ 11호선 1.10 6.90 푸톈 구 샹메이 Xiangmei 2.00 8.90 푸톈 구 징톈 Jingtian ■ 2호선 1.35 10.25 푸톈 구 메이징 Meijing 0.90 11.15 푸톈 구 샤메이린 Xiameilin 0.75 11.90 푸톈 구 메이춘 Meicun 1.25 13.15 푸톈 구 상메이린 Shangmeilin ■ 4호선 0.80 13.95 푸톈 구 마링 Maling ■ 10호선 0.80 14.75 푸톈 구 인후 Yinhu ■ 6호선 2.25 17.00 푸톈 구 니강 Nigang 0.90 17.90 푸톈 구 훙링 북 Hongling North ■ 7호선 1.15 19.05 푸톈 구 위안링 Yuanling 0.70 19.75 푸톈 구 훙링 Hongling ■ 3호선 0.80 20.55 푸톈 구 훙링 남 Hongling South 1.00 21.55 뤄후 구 루단춘 Ludancun 0.80 22.35 뤄후 구 런민 남 Renmin South 0.90 23.25 뤄후 구 샹시춘 Xiangxicun 1.00 24.25 뤄후 구 원진 Wenjin 0.75 25.00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뤄후 구 = = 철도 차량 = = 2014년 선전 메트로 그룹은 7호선과 9호선을 위해 창춘 궤도객차에서 70대의 열차 (420량)를 도입했으며, 7호선은 41대를 사용하고 9호선은 29대를 사용한다. 1차 도입분은 2016년 3월 중순에 도입했다. 열차가 처음 운행될 때 17대의 열차가 6분에서 8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 = 타주라 = 타주라는 지부티 타주라 주의 주도다. 지부티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는 도시며 인구는 22,193명이며, 평균 고도는 0m다. = 복사 방지 = 복사 방지(複寫 防止), 복제 방지(複製 防止)는 소프트웨어, 영상물, 음악 등의 무형 자산을 복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복사 방지는 일반적으로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허가 없이 복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 = 용어 = = = = = 영문 표기 = = = 리처드 스톨만과 같은 비평가들은 복사 보호(copy protection)라는 용어의 사용을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사용자 측면에서가 아니라, 복사 제한 기술을 호의적으로 바라보는 제품 출판업체들 측면에서 대중을 뒤흔드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였다.Confusing Words and Phrases that are Worth Avoiding - GNU Project - Free Software Foundation (FSF) 따라서 그는 복사 방지(copy prevention), 복사 제어(copy control)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중립적이라고 언급하였다. = = = 디지털 권리 관리와의 혼동 = = = 이 용어는 디지털 권리 관리의 개념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헷갈리기도 한다. 디지털 권리 관리는 복사 제한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작품 관리를 포함하기에 더 보편적인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사 방지는 디지털이 아닌 것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 = 기술적인 도전 = = 기술적인 관점에서 보면, 매체 기록 장치가 비어있는 매체에 기록할 수 있을 경우, 구입한 매체의 복사본을 사용자가 절대 만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기술적으로 기본적인 사실은 모든 종류의 미디어는 "플레이어"(CD/DVD 플레이어, 비디오테입 플레이어, 컴퓨터, 게임기)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플레이어는 인간에게 보여 줄 수 있도록 매체를 읽어들일 수 있어야 한다. 논리적으로 다시 말해, 플레이어는 먼저 매체를 읽어들인 다음, 읽어들인 복사본을 정확하게 똑같은 형태의 매체로 기록해서, 하드 디스크의 파일과 같은 어떠한 형식으로 옮긴다. 다른 디스크로 옮기는 경우에는 복사 방지가 된 디스크의 복사물을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적어도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작품의 디지털 복사 보호는 아날로그 허점에 종속되어 있다. 어떠한 디지털 제한이 있다고 해도, 음악은 인간의 귀를 통해 들을 수 있기에 적어도 마이크로폰이나 녹음기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것을 녹취할 수 있다. 영화의 경우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기에, 비디오 카메라나 녹화 장치를 통해 녹취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거의 완전한 복사본은 아날로그 출력의 플레이어(이를테면 스피커 출력, 헤드폰 잭)로 테이프를 녹화함으로써 만들 수 있고, 보호되지 않는 디지털 형태로 다시 기록되면 복제는 어떻게든 가능하다. 문자열 기반의 콘텐츠를 복사하는 것도 똑같은 원칙을 적용 받는다. 인쇄나 표시가 가능한 콘텐츠라면,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거나 스캔을 할 수 있다. 기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약간의 인내심만 가진다면, 컴퓨터를 어느 정도 할 줄 아는 사용자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실이 존재하므로 시간과 자원만 주어진다면 개인이 어떠한 매체를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체 공급업체는 이 사실을 알고 있으며, 복사 보호는 허가되지 않은 대량 생산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며 우연한 복사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봐야 옳다. = 야부사키 신야 = 야부사키 신야 (1978년 6월 1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가시와 레이솔에서 활동하였다. = 대화여객 = 대화여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대화여객은 경기도 의왕시에 연고를 둔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옛 시내버스 회사인 삼원여객의 옛 사명이다. 대화여객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옛 시내버스 회사이다. = 박희준 (축구 선수) = 박희준(朴熙俊, 2002년 1월 5일 ~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이다. 현 K리그1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뛰고 있다. = = 클럽 경력 = = 2021 시즌을 앞두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입단하면서 커리어를 시작했다.수원삼성, 우선지명·자유선발 신인 5명 영입 입단 직후 K3리그 김해시청 축구단으로 임대되었다. = 자리공아과 = 자리공아과( -亞科, 학명: )는 자리공과의 아과이다.Arnott, George Arnott Walker. Botany 125. 1832. = = 하위 분류 = = 자리공속(Phytolacca Tourn. ex L.) Anisomeria D.Don Ercilla A.Juss. Nowickea J.Martínez & J.A.McDonald = 루나 (2018년 영화) = 루나는 2018년 개봉한 프랑스의 로맨스 영화이다. = = 줄거리 = = 남자친구 루벤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루나(레티샤 클레망 분)는 루벤 패거리와 생일 파티를 하던 밤, 자신들의 아지트에서 우연히 만난 알렉스(로드 파라도 분)를 폭행한다. 그리고 몇 주 후, 알렉스는 루나가 일하는 농장에서 함께 일하게 되지만 그녀를 알아보지 못하고 둘은 운명처럼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자신의 잘못을 아는 루나는 알렉스에 대한 사랑이 깊어질수록 괴로움도 커져만 간다. = = 캐스팅 = = 레티샤 클레망 - 루나 역 로드 파라도 - 알렉스 역 리나 쿠드리 쥘리앵 보데 프레드릭 피에롯 = 유창현 (프로게이머) = 유창현(2001년 4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로 아이디는 SPEAR이다. 현재 광동 프릭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 = 선수 생활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 = 2015년 12월, The A Engineering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버닝 타임 팀전 4위를 기록했다. 2016년 8월, 스토머 레이싱 소속으로 활동한다. 듀얼 레이스시즌 팀전 3위, 개인전 4위를 달성했다. 2017년 1월, QsenN_White 소속으로 활동한다. 듀얼 레이스 2시즌 팀전 우승, 개인전 3위를 달성했다. 2018년 1월, PENTA XENICS 소속으로 활동한다. 듀얼 레이스 3시즌 팀전 준우승, 개인전 6위를 달성했다. 2019년 1월, SAVIORS 소속으로 활동한다. 2019-1시즌 팀전 우승, 개인전 3위를 달성했다. 2019년 7월 8일, 샌드박스 게이밍에 입단했다. 2019-2시즌 팀전 우승을 달성했다. 2020시즌을 앞두고 샌드박스 게이밍과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0-1시즌 팀전 4위, 개인전 준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휴식을 위해 팀에서 퇴단했다. 2020년 12월 9일, 한화생명 e스포츠에 입단하면서 선수로 복귀했다. 2021-1시즌 팀전 준우승, 개인전 우승을 달성했다. 2021-2시즌 팀전 준우승, 개인전 준우승을 달성했다. 2021수퍼컵 팀전 우승, 개인전 5위를 달성했다. 2022시즌을 앞두고 한화생명 e스포츠와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2-1시즌 팀전 우승, 개인전 10위를 달성했다. 2022-2시즌 팀전 3위, 개인전 3위를 달성했다. 2022수퍼컵 팀전 3위, 개인전 6위를 달성했다. 이후 팀에서 퇴단했다. =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 = 2023년 1월 7일, 광동 프릭스에 입단했다. 프리시즌1 팀전 우승, 개인전 19위를 달성했다. 프리시즌2 팀전 우승, 개인전 4위를 달성했다. 2023시즌 팀전 우승, 개인전 25위를 기록했다. = = 소속팀 = = # 팀명 소속 기간 소속 리그 비고 1 The A Engineering 2015-16 KRL 2 스토머 레이싱 2016 KRL 3 QsenN_White 2017 KRL 4 PENTA XENICS 2018 KRL 5 XENICS STORM 2018 KRL 6 SAVIORS 2019 KRL 7 샌드박스 게이밍 2019.07.08 ~ 2020.05.27 KRL 8 한화생명 e스포츠→ BLADES → DFI BLADES 2020.12.09 ~ 2023.01.07 KRL 9 광동 프릭스 2023.01.07 ~ KDL = = 수상 내역 = = =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 = 공식 대회 우승 6회, 준우승 5회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팀전 3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시즌 2 팀전 우승 (큐센 화이트)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시즌 2 개인전 3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듀얼 레이스 시즌 3 팀전 준우승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2019 시즌 1 팀전 우승 (SAVIORS)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2019 시즌 1 개인전 3위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팀전 우승 (샌드박스 게이밍)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개인전 준우승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팀전 준우승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개인전 우승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팀전 준우승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개인전 준우승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우승 (블레이즈)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최우수 선수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팀전 우승 (블레이즈)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팀전 3위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개인전 3위 2022 신한은행 쏠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3위 =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 = 공식 대회 우승 1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팀전 우승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팀전 우승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팀전 우승 = 보리스 크리스토프 = 섬네일 보리스 크리스토프(Борис Кирилов Христов, Boris Christoff, 1914년 5월 18일 ~ 1993년 6월 28일)는 불가리아의 소피아 태생인, 20세기 최대 베이스 가수 가운데 한 명이다. 로마에서 스트라치아리에게 사사. 1946년에 로마에서 <보엠>의 코리네 역을 불러 데뷔하였고, 다음 해 라 스칼라극장에 등장하였다. 그의 뛰어난 해석과 극적 박진성은 특히 <보리스 고두노프>에서 볼 수 있으며 '노래하는 배우'로 높이 평가되었다. = Q별 = Q 별(Q-Star) 또는 그레이 홀(gray hole)은 가설 상의 밀집성의 한 종류이며, 무거운 중성자와 함께 별난 상태의 물질로 이루어진 천체이다. Q 별이란 용어를 쿼크 별과 착각하면 안 되며, Q는 쿼크를 의미하기 보다는 보존된 입자수를 의미한다. Q 별은 항성블랙홀과 착각할 수도 있다. Q 별의 후보자로 백조자리 V404가 있다. = = Q 별의 종류 = = 초대칭 Q 볼Properties and signatures of supersymmetric Q-balls, Alexander Kusenko, 2006 B 볼 (안정된 Q 볼이 B 바리온을 가지고 있으며, 중성자별에 함유되어있고 Q 볼을 흡수한다.) = 따봉 = 따봉은 "좋다"라는 뜻을 가진 포르투갈어 단어로, 따봉을 말할 때 주먹을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수직으로 올려 표현을 강조하기도 한다. = = 유래 및 파장 = = 1989년 당시 델몬트 푸즈는 자사의 오렌지 주스 상품을 TV 광고로 선전하면서 “브라질에서도 정말 좋은 오렌지를 찾았을 때 델몬트는 이렇게 말합니다. 따봉!”을 언급하는 장면을 송출하였고델몬트 쥬스 CF - 브라질 따봉 1편 (1989), 여기에서 브라질 농부들이 오두방정을 떨며 기뻐하는 모습이 웃겨서 이로 인해 따봉이라는 표현이 한국어에도 퍼지게 되었다. 이후 ‘델몬트 따봉’과 같이 따봉이 상표명인 주스를 출시하기도 하였으며, 편의점 CU는 2018년 단독 출시로 ‘따봉 제주감귤’을 선보여 복고 열풍에 뛰어 들기도 하는 등 텔레비전 광고가 일반인의 언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 분류:미국의 십대 드라마 영화 = = 수동 변속기 = = 걸스데이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걸스데이의 수상 및 후보 목록 2015년 10월 25일 피닉스 섬머 페스티벌에서 걸스데이 2015년 10월 25일 피닉스 섬머 페스티벌에서 걸스데이 2015년 10월 25일 피닉스 섬머 페스티벌에서 걸스데이 시상식 수상 다음은 걸스데이의 수상 목록이다. = = 2011년 = = 제18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신인가수상 = = 2014년 = = 제9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인기가수상 제8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스타상 제3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롱런 음원상 제6회 《멜론 뮤직 어워드》 TOP10 제16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상 《2014 SBS 가요대전》 TOP 10 = = 2015년 = = 제29회 《골든 디스크》 디지털 음원 부문 본상 제24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제4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 부문 (2014년 1월) 고용노동부장관 감사패 - 혜리 제6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문화체육부장관 표창 제3회 = = 2016년 = = 제3회 《중앙고속》우등&심우&프리미엄 고속버스 부문 대상 = = = 가요 프로그램 1위 = = = 연도 수상 내역 (총 12회) 2013년 (총 1회) 여자 대통령 (총 1회) 7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2014년 (총 9회) Something (총 6회) 1월 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송 1월 1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1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2월 2일 SBS 《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2월 6일 Mnet 《엠카운트다운》1위 2월 13일 Mnet 《엠카운트다운》1위 (2주 연속) Darling (총 3회) 7월 26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7월 27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30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송 2017년 (총 2회) I'll Be Yours (총 2회) 4월 4일 SBS MTV 《더 쇼》 1위 4월 5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송 수상 목록 = 분류:스위스의 도핑 위반 선수 = = 벵고제보군 = 벵고제보군은 폴란드 바르미아마주리주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벵고제보이며 면적은 693.43km2, 인구는 23,641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34명/km2이다. 동쪽으로는 고우다프군, 남쪽으로는 기지츠코군, 서쪽으로는 켕트신군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와 국경을 접한다. 3개 지방 자치체(1개 도시형 농촌, 2개 농촌)를 관할한다. = 어스틴 마든 = 어스틴 알버트 마든 (Austin Albert Mardon, CM Ph.D.) (1962년 6월 25일 출생)은 작가, 커뮤니티 리더, 정신 건강 옹호자이다. 그는 캐나다에 위치한 앨버타 대학의 John Dossetor 건강 윤리 센터의 조교수이다. 80년대 중반에 그는 앨버타주 에드먼턴에 기반을 둔 비영리 단체 인 캐나다 남극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현재도 여전히 이 기관을 이끌고 있다. 그는 현재 변호사이자 활동가인 캐서린 마든 (Catherine Mardon) 과 결혼했으며 그녀와 함께 여러 권의 책을 공동 저술했다. = = 전기 = = = = = 가족력 = = = 어스틴 마든의 친할아버지인 Austin Mardon은 캠브리지 대학에 재학 후 비교 고전 및 역사 교수가 되었다. 친할아버지는 아내 Marie와 함께 스코틀랜드의 Ardross Castle 을 구입했으며 1983년까지 Mardon 가문에 남아 있었다. = = = 초기 = = = 마든박사는 1962년 앨버타주 에드먼턴에서 May와 Ernest George Mardon 사이에서 태어났다. 마든박사는 레스브리지에서 자랐고 현재 에드먼튼에 거주하고 있다. 어린 시절 마든박사는 종종 아팠고 학교에서 많은 괴롭힘을 당했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하와이에서 많은 겨울을 보냈다. 10대 후반에 마든박사는 스코틀랜드에 살면서 그르노블 대학교 에 다녔다. 그 후 마든박사는 캐나다로 돌아와 레스브리지 대학교에 다녔다. 이곳에서 그는 지리학을 전공했다. 그는 또한 서스캐처원주 던던 에 있는 캐나다군 기지에서 기초 훈련을 받고 캐나다 예비 예비군에서 복무했었다. = = = 교육 = = = 마든박사는 1985년에 레스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화지리학을 전공으로 졸업했다. 그는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에서 대학원생이 되어 우주 연구 프로그램에도 참여했으며 1988년에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또한 1990년 텍사스 A&M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후 그는 그리니치 대학에서 박사 학외를 받았다. 그는 Newman Theological College, Kharkov National University 및 University of South Africa에서 다른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2011년 앨버타 대학교에서 명예법학 학위(LL. D.)를 받았다. = = = 직업 = = = 1986년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행하던 중 마든박사는 NASA 와 국립과학재단의 1986-87 남극 운석 탐사의 일원으로 초대되었다. 그의 팀이 수백 개의 운석을 발견했을 때 남극 정거장에서 170마일 떨어져 있었다. 체류하는 동안 환경 노출로 인해 그의 폐가 손상되고 영구적인 기침이 발생했다. 그는 그의 노력과 위험에 대한 공로로 남극 서비스 메달 을 받았다. 앨버타로 돌아온 그는 캘거리 대학교와 레스브리지 대학교에서 남극 대륙에 대해 강의했다. 그는 북부 시베리아에서 캐나다 북극의 엘즈미어 섬까지 가는 캐나다/소련 북극 횡단의 일원이 되기 위해 인터뷰를 확보했지만 그 탐험에 실패했다. 그는 Northwest Territories의 Resolute 근처에서 캐나다 북극에서 실패한 운석 회수 원정대의 일원이었고, 지역 주민들과의 대화와 운석에 대한 이누이트의 생각에 대한 논문을 썼다. 그는 또한 80년대 후반에 아르헨티나 남극 탐험대에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아르헨티나 남극 기지에서 발생한 화재로 그의 회원 자격이 취소되었다. 천문학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그가 Anglo-Saxon Chronicle 연대기에 쓴 일련의 기사이다. 이 연대기는 중세 시대 영국에서 일어난 다양한 사건에 대한 해설이다. 중세 학자인 그의 아버지의 도움으로 마든박사는 연대기에 기록된 2개의 유성우뿐만 아니라 천문학 문헌에는 언급되지 않은 11개의 혜성 사건을 연대기에서 발견했다. 1991년, Mardon 박사는 소련 지리학회가 후원하는 남극 탐험에 초대되었다. 그는 모스크바 로 여행을 가서 몇몇 원정대 관리들을 만났고, 정보가 거의 없고 이상한 숙박 시설로 이상한 환영을 받았다. 그는 곧 자신이 당국의 의심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처음에는 GRU 에, 그 다음에는 KGB에 체포되었다. 마든박사는 심문을 받고 잠시 억류된 후 가이드일 뿐만 아니라 스파이 또는 경비원이 될 수 있는 호위와 함께 모스크바의 거리를 배회해야 했다. 마든박사는 모스크바에서 참담한 경험을 한 후 마침내 캐나다로 돌아갈 수 있는 통로를 확보했고, 결국 모스크바로부터 공식 사과 편지를 받았다. 1992년 마든박사는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았다. 진단을 받은 후 마든박사는 정신 질환자들을 위한 활동가로 일하기 시작했다. 마든박사는 정신 질환에 관해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정신 건강 옹호자로서의 그의 일에 대해 여러 영예와 상을 받았다. 2011년에 캐나다 의학 협회(CMA)는 "[...] 의학 연구 및 교육 발전에 대한 개인적 공헌"을 인정하여 마든박사에게 CMA 명예 훈장을 수여했다. CMA 회장인 Jeff Turnbull은 마든박사에게 메달을 수여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마든박사는 캐나다인이 정신 질환에 대한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자신의 경험을 용감하게 공개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그는 이 나라의 그늘에서 정신 질환을 유도하는 데 진정으로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마든박사는 2006년 캐나다 훈장을 수여하면서 가장 권위 있는 영예를 얻었다. 2019년 2월 기준으로 마든박사는 래스브리지 대학교 상원 의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 = 수상 및 영예 = = 남극공로훈장 - 미 의회 (해군) - 1987 애든버러 공작상 - 동상 l- 1987 텍사스 주 선언문 #51, 텍사스 주회 - 1988 캐나다 총독 상 (Governor Generals Caring Canadian Award- 1996, presented 1999) 나딘 스털링 상, 캐나다 정신 건강 협회 - 앨버타 1999 Flag of Hope Award, 캐나다 정신분열병 학회- 2001 2002년 레스브리지 대학교의 우수 동문상 엘리자베스 2세 여왕 골든 쥬빌리 메달 - 2002 Queen Elizabeth II Golden Jubilee Medal- 2002 앨버타 100주년 메달 - 2005 Ron LaJeunnesse 리더십 상,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Edmonton 2005 Order of St. Sylvester - 2017 Order of Canada, Member- October 2006, Invested- October 2007 Bill Jefferies Family Award, Schizophrenia Society of Canada- 2007 C.M. Hincks Award,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National Division- 2007 Best National Editorial, Canadian Church Press- 2010 for Western Catholic Reporter article Medal of Honour, Alberta Medical Association- October 2010 Mental Health Media Award,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Alberta October 2010 for AHE Edmonton Journal articles Honorable Kentucky Colonel- Commonwealth of Kentucky April 2011 Honorary Doctorate, L.L.D., University of Alberta- 10 June 2011 Medal of Honour,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25 August 2011 Catherine & Austin Mardon CM Schizophrenia Award permanently endowed at U of Alberta for $500 per annum 2012 Dr's Catherine & Austin Mardon CM Student Award Bursary established at Newman Theological College 2012 Queen Elizabeth II Diamond Jubilee Medal- Presented 28 May 2012 Catherine & Austin Mardon CM Schizophrenia Award endowed at Norquest College for $1,000 per annum August 2013 Honorary Doctorate, L.L.D., University of Lethbridge, 19 June 2014 명예 사회 복지사, Alberta College of Social Workers, April 2015 마든박사는 2014년에 특별 선출 펠로우로 캐나다 왕립 협회에 선출되었다. Order of St.Sylvester (2017) = 분류:산마리노의 레슬링 = 산마리노 레슬링 산마리노 en:Category:Wrestling in San Marino = 쓰가루 해협 = 쓰가루 해협(津輕海峽, )은 일본에 있는 해협이다. 홋카이도와 혼슈 아오모리현의 사이에 있고,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다. 동서 길이는 130km이고 가장 깊은 곳은 약 450m이다. 동쪽은 너비가 좁은데 서쪽은 깊이(약 140m 정도)가 얕기 때문에, 해협 서쪽 바다밑에는 철도 전용 터널(세이칸 터널)이 통하고 있다. 도로 터널이나 도로 다리는 없다. = = 쓰가루 해협을 주제로 한 노래 = = 쓰가루 해협 겨울 풍경(노래 : 이시카와 사유리) 쓰가루 해협의 여자(노래 : 소닌) = 분류:나가노현의 스포츠 = = 서울번동초등학교 = 서울번동초등학교(樊洞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있는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1년 3월 25일: 서울번동국민학교 설립 인가 1991년 4월 17일: 서울번동국민학교 학구 확정 1991년 6월 5일: 서울번동국민학교 개교 1996년 3월 1일: 서울번동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 분류:기원전 106년 = = 분류:한국의 애니메이션 = = 약도함수 = 해석학에서 약도함수(弱導函數, )는 일반적인 도함수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이를 통하여 고전적으로 도함수를 취할 수 없는 함수들의 도함수를 취할 수 있다. = = 정의 =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리만 다양체 (M,g) (매끄러운) 벡터장 X \in \Gamma(\mathrm TM) 두 함수 f,g\in \operatorname L^1(M,\mathbb R)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g가 f의 X방향의 약도함수라고 한다. 여기서 \mathcal C^\infty_{\text{comp.supp.}}(M,,\mathbb R) 는 콤팩트 지지 매끄러운 함수들의 공간이다. 이는 흔히 로 표기된다. 만약 M = \mathbb R^n일 때는 표준적인 벡터장 \partial/\partial x^i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약도함수를 취할 수 있다. = = 성질 = = 약도함수는 \operatorname L^1 르베그 공간 속에서 유일하다. \mathcal C^1 함수의 경우, 약도함수는 그 도함수와 일치한다. = = 예 = = 실수선 위의 절댓값 함수 의 약도함수는 부호 함수 (의 르베그 공간에서의 동치류)이다. x=0에서의 값은 어느 값이든 상관이 없다 (이는 모두 르베그 공간 속의 같은 동치류에 속한다). 실수선 위의, 유리수 집합의 지시 함수 를 생각하자 ([\dotsb]는 아이버슨 괄호). 이는 어디서나 연속 함수가 아니며, 따라서 어디서나 도함수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 함수는 약도함수를 가지며, 이는 상수 함수 0이다. 사실, 유리수 집합의 측도가 0이므로, 르베그 공간에서 f는 값이 0인 상수 함수와 같은 동치류에 속한다. 칸토어 함수는 거의 어디서나 도함수를 갖지만, 약도함수를 가지지 않는다. 칸토어 함수의 도함수는 분포로서 존재하지만, 이 분포는 L1 르베그 공간의 원소로 나타내어질 수 없다. = 찰스 콜링우드 = 찰스 콜링우드(, 1943년 5월 30일 ~ )은 영국의 배우이다.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세인트존에서 1943년 5월 30일에 태어났으며 학력 사항 쉐르본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 배우 활동 하기 위해 왕립연극학교에 입문을 하였다. 1975년에 영화계를 나왔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비고, 삶의 열정 (1998년) 다크 크리스탈 (1982년) 밤이 늦기전에 (1979년) = 보스턴 퍼블릭 가든 = 보스턴 퍼블릭 가든(Boston Public Garden)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중심부에 위치한 정원 및 공원으로, 보스턴 코먼 서쪽에 인접해있다. 이 보스턴 퍼블릭 가든과 보스턴 코먼을 기점으로 에메랄드 네클래스라는 홈 공원이 남쪽으로 뻗어있다. 보스턴 퍼블릭 가든은 1837년에 미국 최초의 공립 식물원으로 조경되었으며, 원래는 습지였다. 공원 내에는 조지 워싱턴 동상을 비롯한 수많은 동상이 서있다. 보스턴 퍼블릭 가든에는 매사추세츠 교통국(MBTA)이 운영하는 지하철 그린 라인과 레드 라인의 3개 역을 이용할 수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 분류:시부야구의 철도역 = = Let's Get Blown = Let's Get Blown는 2004년 12월 14일에 발매된 스눕 독의 노래이다. 도기 스타일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토머스 헤이든 처치 = 토머스 헤이든 처치(Thomas Haden Church, 1960년 6월 17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영화 스파이더맨 3에서 빌런 샌드맨 역을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 = = 출연작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1993 툼스톤 Tombstone 빌리 클랜턴 1995 데몬 나이트 Demon Knight 로치 1997 조지 오브 정글 George of the Jungle 라일 밴더그루트 1997 원 나잇 스탠드 One Night Stand 돈 1998 수전의 계획 Susan's Plan 크리스 스틸먼 1998 프리 머니 Free Money 래리 런드스트럼 2000 스페셜스 The Specials 스트로브 2001 3000 마일 3000 Miles to Graceland 퀴글리 보안관 2001 멍키본 Monkeybone 저승사자의 조수 2002 텍사스의 얼간이들 Lone Star State of Mind 킬러 2002 뱃지 The Badge 데이비드 하드윅 2003 롤링 캔자스 Rolling Kansas 매드슨 요원 본인 감독 작품 2003 조지 오브 정글 2 George of the Jungle 2 라일 밴더그루트 2004 사이드웨이 Sideways 잭 콜 2004 스팽글리쉬 Spanglish 마이크 2006 헷지 Over the Hedge 드웨인 러폰댄트 애니메이션 2006 이디오크러시 Idiocracy 브론도 CEO 2006 샬롯의 거미줄 Charlotte's Web 브룩스 목소리 출연 2007 스파이더맨 3 Spider-Man 3 플린트 마코 / 샌드맨 2008 스마트 피플 Smart People 척 웨더홀드 2009 돈 매케이 Don McKay 돈 매케이 2009 이매진 댓 Imagine That 조니 화이트페더 2009 다락방의 외계인 Aliens in the Attic 테이저 애니메이션 2009 올 어바웃 스티브 All About Steve 하트먼 휴스 2010 이지 A Easy A 그리피스 선생 2011 어나더 해피 데이 Another Happy Day 폴 2011 킬러조 Killer Joe 앤설 스미스 2011 우리는 동물원을 샀다 We Bought a Zoo 덩컨 미 2012 존 카터: 바숨 전쟁의 서막 John Carter 탈 하주스 2013 화이트워시 Whitewash 브루스 랜드리 2013 럭키 뎀 Lucky Them 찰리 2014 천국에 다녀온 소년 Heaven Is for Real 제이 윌킨스 2015 맥스 Max 레이 윈컷 2015 대디스 홈 Daddy's Home 리오 홀트 2016 카드보드 복서 Cardboard Boxer 윌리 2019 뜻밖의 룸메이트 Crash Pad 그레이디 돗 2019 피넛 버터 팔콘 The Peanut Butter Falcon 클린트 / 솔트 워터 레드넥 2019 헬보이 Hellboy 랍스터 존슨 2020 제24보병연대 The 24th 노턴 대령 2021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Spider-Man: No Way Home 플린트 마코 / 샌드맨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1995-97 네드와 스테이시 Ned and Stacey 네드 도시 주연 2006 브로큰 트레일 Broken Trail 톰 하트 미니시리즈 2016-19 디보스 Divorce 로버트 듀프레인 주연 = 분류:세네갈을 배경으로 한 작품 = = 파시키비-케코넨 원칙 = 파시키비-케코넨 원칙(Paasikivi-Kekkonen doctrine)은 핀란드의 대통령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가 시작하여 그 후임 대통령 우르호 케코넨에 의해 지속된 외교 원칙이다. 소련과 국경선을 접하는 핀란드가 독립국으로서 주권, 민주주의, 자본주의를 온존하면서 생존하기 위해 소련에게 굽혀주는 유화 정책을 취하는 것이 골자다. 1946년에서 1956년까지 대통령에 재임한 파시키비는 핀란드의 전후 외교 정책을 중립국으로 설계했고, 1956년에서 1981년까지 대통령에 재임한 케코넨은 이것을 발전시켜 "수동적 중립"이 아닌 "능동적 중립"을 취했다. = = 배경 = = 1947년 2월 조인된 파리 평화조약에서 핀란드와 소련은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서 결정된 바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했다. 핀란드 방위군의 군비 제한. 페차모 등 핀란드의 북극 연안 지역의 소련으로의 할양. 헬싱키 근교 포르칼라 반도를 소련이 50년간 해군기지로 조차. 핀란드 영토에 대한 소련의 자유로운 통과 접근권 보장. 핀란드는 소련에게 전쟁배상금 3억 황금 달러(1952년 물가로 5억 7,000만 미국 달러) 지불. = = 현실화 = = 핀란드는 1948년 4월 소련과 우호협조상호원조협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 의해 핀란드는 "독일 또는 그 동맹"(즉 NATO)이 핀란드를 경유하여 핀란드 또는 소련을 공격할 때 소련과 함께 방어전에 나설 의무가 있게 되었다. 또한 동시에 이 협약은 핀란드의 강대국간 분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해 주었다. 1955년 20년 짜리로 협약이 갱신되었고, 1970년과 1983년에도 마찬가지로 갱신되었다. 이 협약에 의해 핀란드는 다당제 의회민주주의를 보존하고 동구권에 가입하지 않는 등 대내정치적 독립을 보장받았다. 하지만 동시에 NATO를 비롯한 서방권에 가맹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다른 대외정책도 종종 소련에 의한 제한을 받았다. = = 비판 = = 당대 핀란드인들은 파시키비-케코넨 원칙이 우호적 관계의 "전례"가 되는 경향을 비판하곤 했다. 양국은 모두 군사적으로 준비되어 있었지만 교역은 쌍변무역의 형태로 활발했다. 또한 이 외교원칙이 케코넨 대통령 개인과 심하게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도 비판 대상이었다. 케코넨은 자신이 "소련과의 관계를 담보할 수 있는" 존재임을 이용해 정치적 반대자들을 제압했다. 정치적 자유는 그렇게 억압적으로 제한당하지는 않았지만, 표현의 자유 면에서는 반소적인 내용이 노골적인 작품들(e.g. 1962년 영화 맨츄리안 켄디데이트)에 전면적인 검열이 가해졌다. 보다 후기에 이루어진 비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주로 핀란드가 아무리 노력을 해도 소련은 핀란드의 의사를 제대로 존중할 의사가 없었다는 요지에서 이루어지는 비판들이다. 소련은 핀란드를 중립국이라고 여기지 않았고, "중립하려고 노력하는 국가"라고 여겼다. 케코넨은 소련이 핀란드의 대내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성공적으로 차단했지만,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같은 국제 문제에 있어서는 애매하거나 친소적인 입장을 취해야 했다. 1977년 소련 여객기 하이잭 사건은 이것을 더욱 예증한다. 이 사건에서 소련 대사가 핀란드 내각을 휘저으며 과도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핀란드의 소련 개입 차단에 문제가 있었음을 보여준다.Tiilikainen, Heikki. Kylmän sodan kujanjuoksu. 케코넨은 정상적인 외교 라인 대신 KGB 주재관을 통해 소련과 대화했다. 하지만 소련은 케코넨을 통하지 않아도 핀란드 정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었다. 소련의 지원금을 받는 핀란드 공산당이 그런 개입 경로들 중 하나였고, 다른 정당들 안에도 친소파 파벌들을 두어 그들과 접촉했다. 중앙당의 케코넨 지지파인 K계파도 중앙당 당내 친소파였다고 할 수 있다. 소련은 전쟁이 날 경우 언제라도 헬싱키로 들이닥칠 수 있도록 에스토니아 탈린에 별개의 부대를 주둔시키고 있었다. 이 핀란드 침공 계획은 언제나 개정을 거듭해 최신 상태로 유지되었으며, 이 핀란드 침공용 부대는 1991년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한 뒤에야 사라졌다. 파시키비-케코넨 외교 정책은 서방권에 대해서는 거의 배려를 하지 못했다. 서방권의 외교 및 군사 인사들은 이 정책을 아예 알지 못하거나, 알았을 경우 시작부터 실패한 정책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런 견지에서 서방권은 핀란드가 소련의 침공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할 것을 대비해 핀란드를 표적으로 한 핵무기를 장전시켜 두고 있었다. 서방권 정보 기관들도 핀란드에서 공작을 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당내 우파의 반소주의를 금전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군사정보적 협력도 이루어졌는데, 핀란드는 서방권이 소련의 레이더망을 정찰하기 위한 SIGINT 비행을 하는 것을 허용했고, 소련의 핵실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파 자료를 서방권에 제공했다. = = 청산 = = 1990년에서 1991년 사이 소련이 망조가 들고 결국 붕괴하는 정국에서 핀란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핀란드는 1947년과 1948년 조약들에서 가해진 제한사항들 중 핵무기 보유 금지 조항을 제외한 다른 사항들을 모두 일방적으로 폐지하고, 노르딕 국가들과 더불어 미하일 고르바초프 반대 쿠데타에 우려를 표시했다. 그리고 발트 3국의 독립을 비공식적으로 지지했다. 하지만 동시에 핀란드는 소련-핀란드 상호원조조약을 일반 협력교역 조약으로 대체하면서, 러시아와 동등한 관계가 되면서도 우호는 유지하려고 했다. 현재 핀란드는 러시아로 통하는 교역로로서 자신들의 가치를 홍보하고 있다. 또 러시아에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핀란드가 잃었던 영토의 반환을 요구하지 않을 것임도 확실히 하면서(일부 동의하지 않는 국민들도 있으나), 양국의 우호적 관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있다. = 복숭아 꽃잎 = 복숭아 꽃잎는 오오츠카 아이가 2003년 9월 10일에 발매한 데뷔 싱글이다. 타이틀 곡인 〈桃ノ花ビラ(복숭아 꽃잎)〉는 NTV가 2003년에 방송한 드라마 수박의 주제가로 사용됐다. = = 수록곡 = = = = = CD = = = 桃ノ花ビラ(모모노 하나비라, 복숭아의 꽃잎) - 日本テレビ系土曜ドラマ『すいか』主題歌 向日葵(히마와리, 해바라기) 桃ノ花ビラ(Instrumental) 向日葵(Instrumental) = = = DVD = = = 桃ノ花ビラ プロモーションビデオ(프로모션비디오, 뮤직비디오) メイキング映像(메이킹 영상) = = 수록 음반 = = single 桃ノ花ビラ (1번 트랙) album LOVE PUNCH (2번 트랙) best album 愛 am BEST (1번 트랙) = 분류:마라톤 우승자 =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 , 1473년 2월 19일 - 1543년 5월 24일)는 당시 진리처럼 믿어온 지구중심설(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태양중심설(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자연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온 폴란드의 천문학자이다. 여러 가지 이름 표기는 그가 태어난 곳(폴란드)과 그의 모국어(독일어) 그리고 그가 즐겨 쓴 라틴어를 감안하여 세가지 언어로 표기한다. 인공원소 코페르니슘의 이름이 코페르니쿠스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그는 라틴어, 폴란드어, 독일어, 그리스어, 그리고 이탈리아어를 모두 말할 수 있었다.Daniel Stone: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1, , p. 101. "He spoke Polish, Latin and Greek. (그는 폴란드어, 라틴어, 그리고 그리스어로 말했다.)" Barbara Somerville: Nicolaus Copernicus: Father of Modern Astronomy. Compass Point Books, 2005, , p. 10. ."He was a linguist with a command of Polish, German and Latin, and he possessed also a knowledge of Greek rare at that period in northeastern Europe and probably had some acquaintance with Italian and Hebrew. (그는 폴란드어, 독일어, 라틴어를 모두 썼으며, 그때 당시 잘 찾아보지 못할 만큼의 그리스어에 대한 지식을 가졌다. 그는 아마도 이탈리아어와 히브리어도 했을것이다.)" Angus Armitage: Copernicus and Modern Astronomy. Dover Publications, 2004 (originally 1957), , p. 62.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잘 했으며, 그리스어로된 비잔티움 시를 라틴어를 번역할 만큼 잘 했으며 (Armitage, The World of Copernicus, pp. 75–77), 폴란드어도 잘 했다는 증거가 있다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vol. II, p. 26). 이탈리아에 있을 동안 아마도 코페르니쿠스는 이탈리어를 배웠을 것이다. ( "O historii i o współczesności" ("About History and Contemporaneity"), 5월 2003.]) 코페르니쿠스는 현재의 폴란드 중북부에 있는 당시의 한자동맹 도시인 토룬(폴란드어 Toruń, 독일어 Thorn)에서 관리이자 주철업을 하는 아버지 니콜라스 코페르니크와 당시의 프로이센의 슐레지엔 지방 출신인 어머니 바르바라 바첸로데 사이에서 네명의 자녀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열 살이 되던 해에 아버지를 잃고 외삼촌 밑에서 자라며 토룬에서 초등 및 중고등학교를 다닌 후 코페르니쿠스는 1491년 당시 독일의 작센에 속했던 폴란드 남부지방의 대도시 크라카우(현 크라쿠프)로 가 대학에 입학하여 1494년까지 수학 및 천문학을 공부하다. 대학을 졸업한 후 1495년 이탈리아의 볼로냐로 가 삼촌의 권유로 신학과에 입학한다. 이탈리아에 머무르면서 코페르니쿠스는 또한 로마 및 파도바 대학에 등록하여 강의를 들은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코페르니쿠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근거하여 논의에만 몰두하던 스콜라학의 학문적 전통을 따르지 않고 천체관측과 궤도 계산을 위주로 하던 실지천문가였다. 코페르니쿠스가 등장하기 전에는 고대 그리스에서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성질에 대한 통념이 기본적으로 변한 것이 없었다. 그러나 코페르니쿠스의 등장으로 암흑기에서 과학혁명으로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지구와 태양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지구가 더 이상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천명했는데, 이것은 당시 누구도 의심하지 않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 체계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도전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인간은 그 위에 사는 존엄한 존재이며 달 위의 천상계는 영원한 신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중세의 우주관을 폐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당시 코페르니쿠스가 행했던 인간중심의 지구중심설에서 객관적인 입장의 태양중심설로의 발상의 전환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이른다. 흔히 대담하고 획기적인 생각을 이르는 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그만큼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당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었다. 이탈리아 유학시기에 접한 플라톤주의와 고대문헌 조사의 영향으로 태양중심설을 구상하게 된 코페르니쿠스는 레기오몬타누스가 쓴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에 대한 핵심적 문제제기가 실린 책 <요약>을 접하고 자신의 우주 모델에 대한 개략적인 생각을 더욱더 발전시켜나갔다. 그 후 1510년에 태양 중심의 천문체계의 기본적인 틀을 완성했으며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짧은 해설서Commentariolus>라는 제목이 붙은 짧은 요약본 형태의 원고를 지인들에게 돌렸다. <짧은 해설서> 발표 후 코페르니쿠스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1543년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를 발표한다. 우주와 지구는 모두 구형이며 천체가 원운동을 하는 것처럼 지구도 원운동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행성을 하나, 하나 따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태양을 중심으로 한 행성체계로 보아 행성간의 관계를 부여함으로써 프톨레마이오스의 모델과 큰 차이점을 두었다. 책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은 매우 미약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널리 퍼져 나갔다. 1616년 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 금서목록에 추가되기도 하였으나 후대에 이르러 천문학과 물리학이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줌으로써 혁명적 씨앗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는 관측 결과와 완전히 부합한 것은 아니어서, 이후 많은 과학자들. 특히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 등에 의해 수정되고 보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생애 = = = = = 출생 = =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1473년 2월 19일, 폴란드 토룬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토룬은 폴란드의 번창한 도시로 발트해에서 약 150킬로미터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1470년대 토룬의 인구는 약 만 명이었고 많은 상인들과 공장주들이 이곳에서 외국과 무역을 했다. 1200년대 프로이센의 영토로 이교도인 슬라브인의 땅이었던 토룬은 동유럽의 게르만 기사단에게 정복당한 후 기독교로 개종되어 약 200년 간 기독교 통치자들의 지배 아래 있었다. 1400년대 초, 폴란드의 지도자들이 이에 반발하여 게르만 기사단과 전투를 벌였고 토룬은 폴란드의 영토가 되었다. 부유한 상인이었던 니콜라우스의 아버지는 정치적 활동도 활발하여 그 후에 벌어진 또 한 번의 전투에서 토룬의 다른 상인들과 연합해 폴란드 왕을 경제적으로 지원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어머니인 바바라 바첸로데 또한 토룬에서 유명한 상인의 딸이었다. 니콜라우스라는 이름의 그의 아버지의 이름을 딴 것이다. 소년 시절에는 니클라스로 불리다가 크라쿠프의 대학에 가게 되면서 라틴어 철자법에 따라 니콜라우스가 된 것으로 보인다. = = = 어린 시절 = = = 코페르니쿠스의 아버지는 그가 열 살 때 죽었다. 그의 큰누나는 수녀가 되었고, 작은 누나는 상인과 결혼했다. 코페르니쿠스 형제는 대학에 다닐 수 있을 지가 불확실해졌지만 외삼촌의 도움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당시 서른 여섯 살이었던 외삼촌 루카스 바첸로데는 두 개의 가톨릭 교구 운영 위원회 위원이었다. 운영 위원회는 참사회라고도 불렸는데 각 교구의 경제적인 업무를 맡고 있었다. 바첸로데는 먼저 코페르니쿠스 형제를 자신이 졸업한 세인트 존스 스쿨에 보냈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학교에서 라틴어를 읽고 쓰는 능력을 갖추고 기본 산술 등을 배웠다. 그 후 형제는 무슨 가톨릭 학교에 입학했다. 토룬의 비스툴라강 상류에 위치한 이 학교는 폴란드의 수도인 크라쿠프에 위치한 크라쿠프 대학교에 들어가기 전 준비단계였다. = = = 대학 시절 = = = 크라쿠프 대학은 야기옐론 대학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야기옐론 왕조는 게르만 기사단의 침입을 막아 발트해에서 흑해에 이르는 대국을 건설했으며 16세기에 정치적, 문화적 번영을 누렸던 강력한 왕조였다. 이 왕조의 왕들은 정치적으로 강건했을 뿐 아니라 예술과 과학 분야를 지원해 폴란드의 문화가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전통 문화와 맞먹을 정도가 되게 했다. 특히 크라쿠프 대학의 천문학 연구는 북유럽에서 최고 수준이었다. 코페르니쿠스는 Nicolaus Nicolai de Thuronia라는 이름으로 1491-1492년 겨울 학기에 크라쿠프 대학에 등록했다. 당시 유럽의 대학의 교육 과정은 대부분 비슷했다. 학생들은 신부, 의사, 법률가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십대 후반에 대학에 입학하면, 우선 4년 동안 일반적인 학문과 예술을 공부했다. 그 후 일부 학생들은 신학, 의학, 법률 중에서 한 분야를 택해 여러 해 동안 더 공부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예술 과정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강의는 라틴어로 진행되었고 많은 과목들이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책들과 함께 이루어졌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과 우주 전체를 밀접한 논리적 관계로 묶어 하나의 체계로 설명하고자했다. 그는 자연의 모든 사물은 흙, 물, 공기 불이라는 네 가지 원소로 이루어져있다고 생각했다. 그에 따르면 하늘은 완벽하여 영원히 변하지 않으면 하늘의 별과 태양, 행성들은 제 5원소인 에테르로 이루어져있다고 주장했다. 신은 우주에 질서를 부여했으며 우주가 그 질서에 따라 움직이도록 관리한다. 인간은 물질적 요소와 영적인 요소가 섞여 이루어진 존재로 생각되었다. 유럽의 교수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들을 분석하고 해설을 달아 학생들을 가르쳤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해설서들을 공부하고, 동료들과 토론하며 후에 펼칠 자신의 사상의 밑거름을 쌓아갔다. 학생들은 또한 수학, 천문학, 유클리드 기하학 등을 공부해야 했다. 교재로는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과 사크로보스코의 <천구>가 쓰였다. 유클리드는 기원전 300년 경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한 수학자로 그가 저술한 <기하학 원론>은 그의 연구와 더불어 그 이전의 수학자들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이다. 이 책은 1900년대 초까지 기하학 교재로 사용되었다. <천구>는 1200년대 초에 영국의 수학자 사크로보스코가 쓴 책으로 하늘과 지구의 형태나 사계절의 변화 등을 설명하고 있다. 대학에서 코페르니쿠스는 다양한 천문학적 지식을 접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동심원 우주 이론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이심, 주전원의 개념은 서로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은 후에 코페르니쿠스가 자신의 새로운 우주 체계를 제시하는 바탕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프톨레오마이오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행성 이론을 수정한 많은 학자들의 책을 공부했다. 게오르그 푸르바흐는 1450년대에 비엔나에서 <새로운 행성 이론>이란 책을 쓴 학자로 그의 책에는 프톨레오마이오스의 옛 모델을 수정한 내용이 담겨있다. 코페르니쿠스는 푸르바흐가 만든 일식과 월식의 시간, 위도 등을 담은 표를 베끼거나 다른 여타 표들을 정리하는 등 천문학적 관심을 높여갔다. = = = 계속되는 배움 = = = 코페르니쿠스는 크라쿠프 대학의 예술 과정에서 4년간 공부한 뒤 학위를 받지 않고 1495년 가을, 대학을 떠났다. 그의 외삼촌 바첸로데는 1489년에 바르미아의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사실상 그곳을 다스리는 통치자였다. 1495년 코페르니쿠스가 외삼촌을 만나기 위해 프롬보르크에 도착했을 때, 바르미아 가톨릭 대교구 참사회 위원 중 한 명이 사망했다. 바첸로데는 그 자리에 니콜라우스를 임명하려 했다. 바티칸의 허락을 받은 뒤, 코페르니쿠스는 그 해 여름 참사회 회원이 되었다. 다음 해, 바첸로데의 뒤를 이어 성직자가 되기 위해 코페르니쿠스는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에서 교회법을 공부하게 되었다. 모든 자금은 바첸로데가 지원했다. 코페르니쿠스가 공부한 교회법은 판사의 권한, 판결을 내리는 과정과 규정, 성직자들이 성사를 행하고 재산을 소유하는 것에 대한 권리와 의무, 결혼에 대한 모든 법률과 규정, 여러 범법 행위에 대한 처벌 등에 대해 교회의 운영과 관련시켜 내린 판결들을 모아놓은 것이었다. 성직자들에게는 일반적인 법이 아닌 교회법이 적용되었다. 볼로냐에서 공부하던 무렵, 코페르니쿠스는 참사회 회원으로서의 권리를 입증하는 공증서를 받은 뒤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코페르니쿠스가 다시 천문학에 몰두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 1497년 초, 코페르니쿠스는 도메니초 마리아 다 노바라는 볼로냐 대학의 천문학 교수의 집에서 하숙했다. 그는 노바라의 천문학 관측을 도우면서 천문학적 지식을 넓혀갔다. 또한, 그는 레기오몬타누스의 <알마게스트의 발췌본>을 공부했다. 1500년 여름, 코페르니쿠스는 볼로냐 대학에서 4년 동안의 법률 공부를 마치고 로마로 여행을 떠났다. 여행에서 돌아와, 1501년 6월 말, 그는 프롬보르크에서 열린 바르미아 가톨릭 대교구 참사회로부터 2년 동안 더 공부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1501년 10월, 코페르니쿠스는 파도바 대학의 의학 과정에 등록했다. 대학의 의학 강의는 2세기 무렵 로마의 의학자인 갈레노스의 저술을 바탕으로 했다. 2년 동안의 학업이 끝나고 1503년 5월 31일, 코페르니쿠스는 볼로냐에서 멀지 않은 페라라 대학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 학문과 성직 = = = 1503년 가을, 바르미아로 돌아온 코페르니쿠스는 참사회 위원으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교회 소유 재산의 관리 감독, 로클로우 교회 학교의 수업 진행 감독 등의 일을 맡았다. 또한, 그는 외삼촌인 바첸로데 대주교의 비서, 주치의로 일하면서 그에 해당하는 수당도 받을 수 있었다. 이 업무를 위해 그는 대주교의 공관인 리츠바르크 성에 머물렀다. 그는 여가 시간에 그리스어를 독학하며 이를 위해 그리스어로 쓰인 몇몇 편지들을 라틴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은 코페르니쿠스가 1509년에 번역한 테오필락투스의 <도덕, 시골뜨기, 사랑꾼의 편지들>이다. 그는 바쁜 생활 속에서도 천문학을 놓지 않았다. 그는 1504년에 행성들이 게자리에서 하나로 만나는 대화합을 꼼꼼하게 관찰하고 기록했다. 기존의 천문학 표와 비교해 본 결과 그는 몇몇 차이를 발견했다. 레기오몬타누스의 <알마게스트의 발췌본> 또한 계속 공부하고 있었는데 레기오몬타누스의 몇몇 해석은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펼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되었다. 그는 다양한 분석과 계산을 통해서 자신의 태양중심설을 발전시켜갔다. 1510년, 코페르니쿠스는 바첸로데 대주교의 비서직을 그만두고 프롬보르크의 가톨릭 참사회 위원으로만 일하기 시작했다. 남은 시간에는 천문학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그 때까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새로운 행성의 배열을 커다란 여섯 장의 종이 위에 옮겼다. 이것이 바로 <짧은 해설서>이며 코페르니쿠스는 이것의 필사본을 자신의 몇몇 친구들에게 돌렸다. 그는 이 얇은 책에서 등속 중심 개념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으며 태양 중심 우주론을 제시했다. 틈틈이 천문학 연구에 몰두하면서도 코페르니쿠스는 성실하게 참사원의 임무를 다했다. 1511년부터 1513년까지 그는 참사회의 고문으로서 참사회 업무 수행에 필요한 서류와 문서들을 작성하고 재정 거래를 관리했다. 1512년, 루카스 바첸로데가 죽고 코페르니쿠스의 볼로냐 대학 동료였던 파비안 루찬스키가 그 뒤를 이어 대주교가 되었다. 코페르니쿠스는 동프로이센의 프라우엔부르크로 옮겨가서 성당 참사회원으로 일했다. 참사회원은 성당의 미사를 계획하고 건물을 관리하는 직책이므로 그다지 일이 많지 않아 남는 시간에 천문학을 연구했다. 1516년에 코페르니쿠스는 바르미아 참사회의 영토를 관리할 임무를 맡아 소작농 문제를 해결하고 1517년에는 화폐 개혁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1520년, 계속해서 바르미아에 대한 약탈 행위를 벌여오던 게르만 기사단이 프롬보르크를 공격했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국왕과 동료 위원들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등 프롬보르크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프롬보르크는 함락되지 않았다. 1522년, 코페르니쿠스는 왕립 프로이센 의회의 회의에 참석해 은전 주조 개혁에 대해 논의했다. 1523년, 파비안 루찬스키 대주교가 사망했다. 코페르니쿠스는 다음 대주교가 선출될 때까지 참사회 위원들에 의해 임시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1525년, 폴란드와 게르만 기사단은 최종 평화안에 서명했다. 그 무렵 일어난 루터의 종교 개혁은 바르미아에도 영향을 끼쳤다. = = = 천문학적 활동기 = = = 경력이 높은 회원이 되어 할 일이 감독과 조언 등으로 줄어들면서 1530년대, 코페르니쿠스는 천문학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1529년 그는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관찰과 연구를 바탕으로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을 완전히 개정하려고 하였다. 코페르니쿠스의 이런 계획이 알려지면서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출판을 권유했다. 1533년에는 교황의 비서가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교황과 추기경들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그의 이론을 들은 쇤베르크 추기경은 그의 업적을 치하하며 자신에게 그의 이론을 알려달라는 편지를 쓰기도 했다. 결국 1542년, 계속된 교정 끝에 코페르니쿠스의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가 출판되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원래 이 책의 제목을 <회전>이라 칭하려 했지만 인쇄소에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로 바꾸어 출판했다. 책은 출판되었지만, 그 해 코페르니쿠스는 뇌출혈을 겪었다. 그 후 그는 몸의 오른쪽 부분이 마비되었다. = = 연구 = = = = = 코페르니쿠스 이전의 천문학 = = = 기원전 고대 그리스의 에우독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구중심설을 주장했다. 에우독소스는 지구를 중심으로 여러 층의 천구가 겹쳐진 모습의 우주를 상상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달을 기준으로 지상계와 천상계를 명명하였다. 태양중심체계를 처음으로 주장한 사람은 기원전 3세기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Aristarchos, 310?~230B.C.)이다. 그는 저서 『태양 및 달의 크기와 거리에 대해서』에서 태양은 지구에 비해 6~7배 더 넓고 그 크기는 지구의 300배에 달한다고 서술하였다. 그는 태양이 지구보다 크기 때문에 태양의 연주운동은 지구의 공전으로 말미암은 것이고 항성의 일주운동은 지구의 자전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아리스타르코스의 태양중심설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는 당시의 과학기술로는 별의 시차에 의한 효과를 관측할 수 없었던 것이 있었다. 기원전 3세기 무렵의 아폴로니우스와 기원전 2세기의 히파르코스는 행성이 단순히 원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원 위에 있는 작은 원 위를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이 작은 원을 주전원, 큰 원을 대원이라고 부른다. 두 가지 이상의 원운동이 합해져 행성의 진행방향이나 속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으로 행성의 접근에 의한 밝기 변화, 순행과 영행의 속도차이를 대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각각의 행성들을 관측해 보면, 이들은 항성들을 배경으로 동쪽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일 년에 한 번 정도 각각 다른 시기에 잠시 정지했다가, 몇 주 동안 서쪽으로 움직인다. 이런 현상을 ‘역행 운동’이라 부른다. 서기 150년 무렵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이런 역행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기하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그의 모델은 두 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원은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원’이다. 작은 원은 모원에 의해 운반되는 ‘주전원’이다. 행성은 주전원을 따라 돈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이 두 원운동을 결합함에 따라 행성이 모원 속으로 들어가 지구에 가장 가까웠을 때, 하늘을 배경으로 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에 따르면, 태양은 원궤도를 따라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인다. 하지만 그 원의 중심은 지구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 원은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약 3.5 퍼센트 정도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놓여 있는 이심원이었다. 그는 태양이 이 이심원 궤도를 일 년에 한 번 회전하며, 이심원 궤도 자체가 지구 둘레를 하루에 한 번 회전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이심원 궤도는 별들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있으며, 태양의 이심원 궤도, 행성들의 궤도가 지구에 대하여 하루에 한 번 회전하는 것이다. 13세기 초, 영국의 천문학자 존 오브 할리우드는 파리에서 활동하면서 라틴어식 이름인 요하네스 시크로보스코라는 필명으로 ‘천구’라는 책을 썼다. 그 책은 기본 교재로서 인기가 있었다. 하지만 이 책에는 행성들의 운동에 대한 설명이 거의 없다. 그래서 다음 세대인 13세기 중엽이 되자 좀더 발전된 교재인 캄파누스가 쓴 ‘행성의 도구’가 등장했다. 이 책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간단한 역학적 방법으로 설명해 놓았다. 14세기 우마이야 왕조의 다마스쿠스에 있던 이븐 알 샤티르(Ibn Al Shatir)는 천동설의 입장에서 동시심을 제거하여 코페르니쿠스와 같은 체계를 생각했다. 원운동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일으키는 방법은 그에 앞서 13세기의 나시르 알 딘 알 투시(Nasir al-din al-Tusi)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들의 업적이 코페르니쿠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지적되지만, 그것을 입증하는 기록은 없다. 15세기 중엽 비엔나 대학의 게오르그 푸르바흐는 프톨레마이오스의 ‘행성의 도구‘를 새롭게 해석해 새로운 책 ’새로운 행성 이름‘을 썼다. 그는 투명한 수정으로 된 틀로 프톨레마이오스의 모원과 주전원을 만들어 보려 했다. 즉, 우주의 구성과 운동을 실제 물질을 사용해 주체적으로 표현해 보려 한 것이다. = = = 천문학적 발견과 의심. = = = 코페르니쿠스는 행성의 궤도에 대한 프톨레마이오스의 모델이 행성들의 위치를 잘 예측해주기는 하였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정립해 놓은 원칙에서 많이 벗어나 있음을 깨달았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지구를 중심으로 하늘의 천체들이 등속 원운동을 한다고 믿었다. 왜냐하면 원운동은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히 계속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이론적 요구를 실제로 만족시키기는 매우 어려웠다. 우선 태양의 궤도가 문제였다. 사계절의 길이는 사람들이 생각한 것처럼 각각 약 91.25일이 아니라, 봄(춘분부터 하지까지)은 92.75일, 여름(하지부터 추분까지)은 93.75일, 가을(추분부터 동지까지)은 89일로 각각 다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처음의 가정을 부정하여 태양의 운동 속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태양의 궤도면이 지구를 중심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프톨레마이오스의 모델이 주장하는 바와는 달리 행성들의 겉보기 운동은 매우 불규칙했다. 예를 들어 화성은 평균 속력에 비해 훨씬 더 느리게 움직일 때도 있었고, 훨씬 더 빨리 움직일 때도 있었다. 그리고 2년에 한 번 정도, 별들 사이에서 화성이 동쪽으로 점점 느리게 움직이다가 멈춘 뒤 여러 달 동안 뒤로 움직이더니 다시 동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처럼 별들을 배경으로 행성이 서쪽으로 느리게 움직이는 운동을 가리켜 역행한다고 말한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역행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가설은 천체들의 영원한 운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고대의 개념들에 들어맞지 않았다. 그래서 커다란 원의 둘레를 움직이는 작은 주전원의 운동이 일정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했다. 그는 지구와는 다른 등속 중심이라는 점을 도입해, 이 점을 중심으로 각운동의 속력이 일정하도록 했다. 새로운 개념의 도입으로 모델은 더욱 복잡해졌지만, 그 영향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지 않아 행성들의 표를 만드는 데 쓰이게 되었다. 한편 중세 아랍 천문학자들은 등속 중심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데 강한 거부감을 느꼈다. 그들은 원의 둘레를 움직이는 운동의 속력이 그 원의 실제 중심에 대하여 일정하지 않고, 다른 어떤 점에 대해 일정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따라서 그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동속 중심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여러 가지 시도를 했다. 하지만 그들이 제시한 방법은 결국 또 다른 작은 주전원들을 만들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일 뿐이었다. 이 외에도 코페르니쿠스로 하여금 프톨레마이오스의 모델보다 더 정교한 모델을 구축하도록 만든 요인들이 더 있다. 첫째, 프톨레마이오스 모델에서와 같이 태양과 달을 포함하여 각각의 행성들이 주전원을 그리면서 지구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궤도를 따라 돌고 있다고 하면 우주를 총체적이고 일관되게 설명할 수 없다. 둘째,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한 달 궤도의 편차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달은 한 달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정 기간 지구 가까이 접근해 있어야만 했다. 따라서 외견상의 크기 역시 계산이 가능할 정도로 크게 달라야 했는데, 사실은 그리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 = = 태양중심설 = = = = = = = 에우독소스 = = = = 그리스 시대의 에우독소스(Eudoxos, 400?~350?B.C.)는 동심천구설을 주장하였는데, 그는 여기서 지구를 중심으로 한 27개의 천구들로 천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려 했다. 실제 천체의 회전궤도는 원형이 아니며 그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는 사실을 몰랐지만, 에우독소스의 가설은 후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채용되었다. = = = = 아리스토텔레스 = = =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B.C.)는 우주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지구를 중심으로 두고, 달을 기준으로 지구와 가까운 공간을 '지상계', 달 윗 공간을 '천상계'로 말이다. 그에 따르면 두 세계는 각각을 이루는 물질부터 다른데, 지상계는 흔히 볼 수 있듯 불, 물, 흙, 공기의 4원소로 이루어져 있고, 천상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테르로 차있다. 두 세계에서 일어나는 운동도 차이가 난다. 아직 지구가 원형이라는 확실한 인식이 없을 적,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상계에서 일어나는 운동은 직선운동이 주를 이루고, 천상계에 있는 천체들은 등속원운동을 한다고 믿었다. = = = = 아리스타르코스 = = = = 현재 기록이 남아 있는 아리스타르코스(Aristarchos, 310?~230B.C.)의 유일한 저서는 『태양 및 달의 크기와 거리에 대해서』이다. 그는 별이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던 것보다 훨씬 더 멀리 있다고 주장했으며, 한 별이 다른 별 주위를 도는 것과 같은 특정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별이 너무 멀리 있어서 육안으로는 관찰하기가 힘들고 망원경을 통해서만 증명이 가능했다. 따라서 대중 사이에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아리스타르코스는 삼각법을 이용하여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의 18~20배라고 하였다. (실제로는 약 400배이다.) 또 그는 에라토스테네스가 사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고 달과 태양에 대해서도 탐구하여 태양의 겉넓이와 부피를 알아내기도 하였다. = = = = 히파르코스 = = = = 히파르코스(Hipparchos, 190?~120?B.C.)는 사실은 천체의 회전 궤도가 정확한 원이 아니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해 주전원을 도입하고 회전속도가 변하는 것은 이심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 = = = 코페르니쿠스 = = = =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한 태양중심설은 현재의 태양계의 구조와는 차이가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구조와 거의 비슷하고 단지 우주의 중심에 있던 지구와 달의 위치를 태양과 바꾸어서, 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오게 하였다. 원형 궤도와 주전원, 이심 등의 기존의 지구 중심적 구조는 그대로 차용하였다. 이러한 코페르니쿠스의 체계화된 태양계의 구조설을 코페르니쿠스 체계(Copernican system)라고 한다. 코페르니쿠스의 새로운 모델은 프톨레마이오스 모델이 가지고 있던 몇 가지 문제점들을 해소해 주었다. 첫 번째는 행성들의 배열순서와 그것들의 주기에 관한 문제였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 주위를 도는 행성들을 회전주기가 짧은 순서대로 지구와 가깝게 배치하였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태양과 금성, 수성의 회전주기가 약 1년 정도로 비슷하기 때문에 그 셋의 순서를 결정하기가 어려웠다. 사실 이 문제는 공전의 중심 자체가 바뀌어서 생긴 문제이기 때문에 태양을 중심에 두는 코페르니쿠스의 모델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두 번째는 행성들의 역행 운동에 대한 문제였다. 지구중심설로서 이를 설명하려면 주전원과 등속 중심 등을 사용하여 매우 복잡했지만 코페르니쿠스의 체계에서는 우주구조 자체로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코페르니쿠스의 변혁이 완벽한 것은 아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관의 전체 골격은 그대로 두고 세부만 바꾼 변혁이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천구는 그대로 존재했고, 행성과 지구는 여전히 이 천구들에 고정되어 돌도록 되어 있었다. 무엇보다도 원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그대로 고수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천체의 가장 자연스러운 운동은 등속원운동이라고 생각하여 그에 맞지 부합하지 않는 관측 데이터에 맞추기 위해 주전원, 이심 등을 그대로 도입하였다. = = 저서 = = = = = 짧은 해설서:en:Commentariolus = = = 짧은 해설서는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의 우주 모델의 기본 틀을 서술한 40쪽 짜리 원고형태의 요약본이다. 1510년 무렵 필사본으로 발표되었으며 현재 비엔나에 있는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에 단 세 권만이 남아 보관되어 있다. 책은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후에 더욱더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1543년, 그의 걸작이라고 칭송받는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을 출판하게 된다. 코페르니쿠스는 [짧은 해설서Commentariolus]의 복사본을 크라쿠프에 있는 몇몇 자신의 지인들과 동료들에게만 돌렸다. 비록 그가 살아있을 때 출판 되지는 않았지만, 그 당시 사람들에게는 알려지게 되었다. 코페르니쿠스가 자신의 생각을 공식적으로 출판했을 때 교회로부터 박해받을 위험을 크게 우려했다는 증거는 없다. 실제로 1533년, 교황 클레멘스 7세(Pope Clement Ⅶ) 와 여러 추기경들이 참석했던 바티칸의 강연에서 교황의 비서였던 로마의 요한 비드만스타트(Johann Albrecht Widmannstetter)는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의 대략적인 내용을 강의 했다. 교황과 추기경들은 그 이론에 관심을 가졌으며 1536년 11월 1일, 바티칸 강연에 참석했던 추기경 중 하나인 니콜라스 폰 쇤베르크(Nicolas von Schönberg)는 코페르니쿠스에게 편지를 써서 그 책의 출간을 재촉하기도 했다. 짧은 해설서의 복사본은 코페르니쿠스가 죽은 뒤에도 존재했지만, 그 뒤에 사람들에게 점점 잊혀짐에 따라 소멸되었다. 때문에 19세기 후반, 필사본이 발견되어 출판되기 전까지 짧은 해설서의 존재는 간접적으로만 확인되었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짧은 해설서에서 우주에 대한 7가지의 새로운 상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모든 천구들은 공통되는 하나의 중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지구는 무게가 향하는 중심, 달의 천구의 중심일 뿐이다 모든 천구들은 태양을 둘러싸고 있다. 그러므로 우주의 중심은 태양의 근처에 있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대천구(항성들의 천구)의 높이와 비교하면 매우 작아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이다 대천구의 겉보기 운동은 실제 운동이 아니라, 지구의 운동에 의해 생긴 결과이다. 지구는 고정된 극을 회전축으로 삼아 자전하며, 하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항성들의 대천구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 태양의 겉보기 운동은 실제 태양의 운동이 아니다. 지구와 지구의 궤도 껍질의 운동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즉, 지구는 다른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구는 적어도 두 가지 운동을 하고 있다. 행성의 역행 운동은 실제 운동이 아니다. 그것은 지구의 운동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구의 운동만으로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불규칙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다. 짧은 해설서에 따르면, 코페르니쿠스는 행성들이 투명하고 단단한 천구의 껍질에 박혀 있다고 믿었다. 또 천체구조가 역학적으로 합리적인 모습을 갖추려면 모든 껍질이 자신의 정확한 중심에 대해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기오몬타누스가 [알마게스트의 발췌본]에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을 만들려고 했지만 투명한 껍질이 서로 교차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새로운 제안을 하게 된다. 이 새로운 제안이란 ‘궤도 껍질 중의 하나가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를 운반하고 있다’였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를 하나의 행성으로 만들어 ‘태양 중심 체계’를 만들었다. 하나의 일관성 있는 체계로 통합되지 못하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와는 달리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일관성 있는 하나의 체계였다. 그러나 행성들의 실제 운동은 일정한 속력의 원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27개의 주전원을 더 만들어 행성들의 관측결과와 일치하도록 만들어야 했다. 코페르니쿠스는 20년의 세월동안 27개의 주전원의 중심 위치, 반지름의 길이, 회전 속력 등 100개가 넘는 값을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결국 자신의 모델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 = =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 = = 코페르니쿠스는 책의 기본구조를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와 동일하게 했다. 두 책은 모두 ‘철학적’ 부분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이 부분에서 우주의 생김새는 구형이고, 지구의 크기는 우주와 비교해 매우 작다고 밝히고 있다. 코페르니쿠스의 행성 배열에 따르면, 행성들은 주기가 길면 길수록 더욱 큰 궤도를 가진다. 이런 관계는 나중에 아이작 뉴턴이 만유인력의 수학적 원리를 발견하는데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다.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는 1권부터 6권까지 총 6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양중심설 사상은 모두 1권에 다 서술되어 있다. 1권의 내용은 수식을 사용하지 않는 단순하고 우아한 모델을 보여 주었다. 총 14장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제1~3장에서는 우주나 여러 천체, 지구 역시 구형이라는 점, 제4장에서는 천체가 원운동을 한다는 점, 제5장에서는 지구도 자전하면서 태양을 원운동 한다는 점, 즉 태양중심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제6~8장에서는 태양중심설에 대한 지구중심설 입장의 반론을 들어 이것을 논박하고, 제9~11장은 태양중심설의 입장에서 어떻게 천계의 여러 현상이 합리적으로 설명되는가를 총괄하고 있다. 제12~14장은 제2권에 대한 수학적 준비로서 원호의 표와 삼각법의 기초정리를 들고 있다. 2권에서 6권까지는 1권과는 달리 복잡한 계산들과 수식들로 이루어진 책을 쓰게 되었는데, 코페르니쿠스가 이를 천문학자들이 읽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2권에서는 구면천문학에 대한 내용을 서술했고, 3권에서는 지축의 선회운동에 의한 세차운동을 포함한 지구의 운동, 춘분점의 이동에 대한 수학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 또한 4권에서는 달의 운동, 5권에서는 행성들의 경도 방향 운동, 6권에서는 행성들의 위도방향에 대한 내용을 서술했다. , 사이언스올 지식백과 :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책의 내용은 당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을 반박하는 내용으로 전통적인 교회의 입장과는 다른 것이었다. 지구가 움직인다는 혁명적인 이론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예상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코페르니쿠스는 출판을 망설였다. 그러나 책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은 매우 미약했다. 크게 반발하는 세력이나 열렬한지지 또한 없었다. 400부의 초판이 발행되었는데, 당시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않아 수요가 적었으며 400부의 초판은 다 팔리지도 못했다. 책의 내용이 전문적이었기에, 당대의 능력 있는 천문학자가 아닌 이상 이해하지 못했다. 책에 쓰여진 코페르니쿠스의 체계에 가장 먼저 반발했던 개신교 신학자들과 달리, 16세기까지 침묵하던 로마 가톨릭은 1616년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금서로 지정하게 된다. 헤르메스주의자였던 브루노가 코페르니쿠스체계를 옹호했기 때문인데, 우주의 중심을 태양이라고 주장한 코페르니쿠스도 헤르메스주의의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되었다. 옛 이집트 종교가 참된 신앙임 동시에 가톨릭도 예전의 방식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극단적인 자세를 취한 브루노는 이단으로 여겨져 교회로부터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와 관련된 모든 사상은 모두 한통속이라고 취급 받았으며 때문에 코페르니쿠스의 책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도 교황청의 금서 목록에 올랐다가 1758년 금서에서 풀려났다., p.40~43 = = 그가 미친 영향 = = = = = 후대의 평가 = = = 많은 역사가들은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가 출판된 1543년을 과학혁명이 시작된 시기로 생각한다. 코페르니쿠스는 과학혁명의 중간적 존재였으며, 프톨레마이오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사로잡혀 있던 2000년의 오류를 바로 잡았다. 태양중심설은 지구와 그곳에 사는 인간의 우주적 의미를 보잘것없는 차원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었다. 인간은 정말로 신의 사랑을 독자치하는 존재인가에 대한 의문을 자아내게 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는 서양 중세의 우주관, 인간관, 세계관의 뿌리를 뒤흔들기에 충분했다. 이는 인간중심주의 파산의 발단이 되었다. 과학사가 토머스 쿤은 코페르니쿠스를 위와 같이 평가했다. 코페르니쿠스는 비록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태양을 중심으로 한 행성체계를 설정함으로써 ‘행성들의 관계’를 부여했다. 후에 이런 코페르니쿠스의 우주모델은 케플러가 행성 운행에 대한 세 가지 법칙을 찾아내는데 바탕이 되었으며 갈릴레이, 뉴턴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비록 성직자로 평생을 살았지만,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천문학에 열정을 바쳤으며, 전통적인 우주관을 넘어 지구가 하나의 행성임을 밝힌 위대한 과학자로 평가된다., p.188-195 = = = 이어지는 태양중심설의 계보 = = = = = = = 토머스 딕스 = = = = 토머스 딕스는 영국의 천문학자이자 대중 과학 운동가이다. 그는 1576년 <지속되는 예측 prognostication everlasting>을 발표했는데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모델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코페르니쿠스 모델에 대한 영어로 쓰인 최초의 책이다. 딕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주가 무한하다고 언급하며 태양을 중심에 두고 모든 방향으로 무한히 펼쳐진 우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 = = 티코 브라헤 = = = = 티코 브라헤는 덴마크의 천문학자로 1546년 덴마크의 크누스트루프에서 태어났다. 그는 벤이라는 섬에 우라니보르그라는 천문대를 세워 직접 운영하며 많은 관측을 수행했다. 그는 대표작 <새로운 천문학 입문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에서 그의 우주모델을 펼쳐보였다. 그것은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타협을 시도하고 있었다. 다음은 그의 우주 모델의 내용이다. 지구는 우주 중심에 고정 태양과 달의 운동, 고정된 별들은 지구를 중심으로 한다. 태양은 다섯 행성의 궤도 운동의 중심이다. 수성과 금성은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는 태양의 궤도 안쪽에서 궤도 운동한다. 화성, 목성, 토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지만 궤도 안쪽에 태양과 지구가 포함되어 있다. 그는 수정된 자신의 우주모델을 통해 소원과 이심의 개념을 제거할 수 있었지만 시차가 관찰되지 않는 등의 증거를 들며 지구의 움직임은 부정했다. = = = = 요하네스 케플러 = = = = 1571년 12월 27일 태어난 독일의 천문학자.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꾸준한 학업으로 티코 브라헤의 조수가 되기도 했으며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케플러는 관측 결과에 대한 분석과 기하학적 신비주의에 입각하여 우주를 설명했다. 다음은 케플러의 우주모델의 내용이다. 지구는 행성이다. 지구를 포함한 여섯 개의 행성은 여섯 개의 입방체와 연계될 수 있다. 안쪽 입방체의 꼭짓점들이 그 입방체를 둘러싼 구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고 구는 다음 입방체 표면의 안쪽 측면에 닿게 한다. 각각의 구는 행성의 궤도가 된다. 그는 수많은 관측 결과를 집대성하여 분석함으로써 행성의 운동에 대한 케플러의 3법칙을 발표했다. <케플러 3법칙> 제 1법칙: 각각의 행성은 태양의 둘레를 타원형을 이루며 돌고 있고, 태양은 타원의 두 초점 중 하나에 위치하고 있다. 제 2법칙: 태양과 태양의 둘레를 따라 돌고 있는 행성을 연결하는 가상선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면적을 휩쓸고 지나간다. 제 3법칙: 어떤 두 행성의 주기의 제곱은 태양에서 그 행성들까지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케플러는 1619년 코페르니쿠스 체계를 옹호하는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개요>를 발표했다. = = = = 갈릴레오 갈릴레이 = = = = 1564년 2월 15일 태어난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초신성 연구를 통해 천체는 변함이 없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을 반박하였다. 망원경을 발명했으며 자신이 발명한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중 네개를 발견했다. 이 관측 결과는 코페르니쿠스 체계를 지지하는 증거가 되었다. 달이 지구 둘레를 돌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렇게 되면 지구와 달이 서로 떨어져버리게 된다는 것이 당시 코페르니쿠스 체계에 대한 반증이였다. 그러나 목성은 스스로도 이미 궤도 운동을 하고 있고 위성 또한 존재함으로 그 반증을 반박한 것이다. 갈릴레이는 금성의 상변화도 관찰했는데 이 현상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가정이 있어야만 설명 가능하다. 은하수는 별로 이루어져 있고 달의 표면은 분화구가 있다는 등 관측 사실들을 <별들의 소식 siderius nuncius>에 실어 출판하였다. 그가 관측한 흑점 또한 완벽한 무결점의 아리스토텔레스식 우주관을 반박하는 증거이다. 갈릴레오는 <두개의 주요 우주체계에 대한 대화 dialogue on the two chief world systems>를 출판했다. 이 책은 두 사람과 중재자 간의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코페르니쿠스에 대한 지지를 드러내고 있다. 갈릴레오는 태양중심설에 대한 지지로 종교재판을 받기도 한다. = = = = 아이작 뉴턴 = = = = 자신의 저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프린키피아)에서 만유인력의 법칙을 도입하여 행성의 궤도를 해석했으며 제임스 브래들리의 광행차 발견(1727), 프리드리히 베셀의 연주시차 검증 등은 태양중심설을 자리매김하게 해주었다. = = 유해 발견 = = 코페르니쿠스가 1543년 세상을 떠난 이후 고고학자들은 수 세기에 걸쳐 그의 유해를 찾으려 노력해 왔다. 1807년 나폴레옹은 그의 무덤을 찾다가 실패하였고, 폴란드 공산 정권은 정부와 교회의 관계가 껄끄러워 유해 찾기 작업이 순조롭지 않았다. 2005년 8월 14세기에 건축된 플라우엔부르크 대성당 제단 아래를 파고 들어가자 여러 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그중에 코페르니쿠스의 것으로 보이는 아래턱이 없는 두개골과 다리뼈 등이 나왔다. 유골은 사망 당시 연령이 60 ~ 70세로 추정되었다. 부러진 코, 왼쪽 눈 위 흉터 등 두개골의 특징이 현존하는 코페르니쿠스 초상화에 나타난 모습과 일치하였다. 2008년 11월 20일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의 유전학 전문가 마리 알렌은 기자회견을 통해 '코페르니쿠스의 책에서 나온 두 가닥 머리카락의 DNA가, 그의 유해로 추정되는 뼈의 DNA와 일치한다'라고 밝혔다.매일경제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 유해 찾아냈다 . 2008년 12월 10일 확인.중앙sunday책 속에서 발견된 머리카락 DNA로 진짜 유골 확인유해의 보존 상태는 좋지 않아 아래턱 부분은 소실된 상태였다. 뼈의 상태를 조사한 결과 약 70세가량 노인의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코페르니쿠스가 죽었을 때의 나이와 일치한다.nprScientists say Copernicus' remains, grave found. 2008년 12월 10일 확인. 2010년 5월에 그의 장례식이 사후 거의 500년만에 폴란드에서 다시 치려졌다. 폴란드 국민과 고위성직자들은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 기리며, 최고의 예우를 하였다.'지동설' 코페르니쿠스, 500년 만에 장례식 = 비소케타트리 = 비소케타트리는 슬로바키아 프레쇼우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360.216km2, 높이는 1,010m, 인구는 4,718명(2005년 기준), 인구 밀도는 13명/km2이다. 1947년에 인근에 있던 지방 자치체들을 통합하면서 설립되었다. 고타트리산맥의 슬로바키아 부분과 접하며 시내에는 리조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 자매 도시 = = 코시체 케주마로크 포프라트 파르두비체 자코파네 노세가와촌 = 분류:혼인과 종교 = = 멘칼리난 = 멘칼리난(Menkalinan, Menkarlina)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85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바이어 명명법에 의하면 마차부자리 베타로 읽는다. 멘칼리난은 아랍어로 منكب ذي العنان(만키브 시-르-이난)라고 표기하며, 이는 '고삐를 쥔 자의 어깨'라는 뜻이다. 멘칼리난은 베가나 데네볼라, 시리우스 등과 비슷한 분광형 A의 항성이다. 이 별은 현재 준거성 상태에 있는데, 이는 멘칼리난이 수소 연소를 끝내고 주계열 단계를 떠나 헬륨 연소 단계에 돌입했음을 의미한다. 이 별은 알데바란과 같은 적색 거성으로 진화할 것이다. 멘칼리난은 삼중성계로, 밝은 준거성 두 개와 어두운 적색 왜성 한 개로 구성되어 있다. A와 B는 서로 질량이 거의 비슷하다. 둘은 분광 식쌍성으로, 두 별이 합쳐서 내는 광도는 +1.85에서 +1.93까지 3.96004일 주기로 변한다. 매 47.5시간마다 한 쪽 별이 다른 쪽 별을 가리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멘칼리난 C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어둡다. C는 A와 B에서 약 330 천문단위 떨어져 있다. 멘칼리난은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이다. 중국에서 이 별은 오거삼(五車三)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다섯 전차 중 셋째라는 의미이다. = 유토피아 (동음이의) = 유토피아(Utopia)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유토피아 - 이상향. 어느 곳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 = = 출판 = = 유토피아 (책) - 토머스 모어의 저작 유토피아 (출판사) - 중국의 잡지사 = = 방송 = = 유토피아 (2013년 드라마) -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유토피아 (텔레비전 프로그램) -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 = 음악 = = Utopia (트래비스 스콧의 음반): 트래비스 스콧의 네 번째 정규 음반 Utopia (비요크의 음반) U☆TOPIA: GWAVE SuperFeature's 시리즈의 4번째 앨범 Utopia (EP): 케를리의 음반 = 분류:나이지리아의 스포츠 리그 = = 군인연금 = 군인연금은 퇴역군인에게 주는 연금이다. 대한민국의 군인연금 군인연금 (미국) = 조선식 운영체제 = 조선식 운영체제(朝鮮式運營體制)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주장되는 모바일 운영체제로 실질적으로 안드로이드를 복제한 운영 체제다. = = 자료 봉사 2.0 = = 조선식 운영체제는 자료 봉사 2.0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앱 스토어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 = 기타 = =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며 대신 인트라넷인 광명망으로 접속된다. 김일성과 김정일의 생일이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다. 앵그리버드를 복제한 《고무총쏘기》라는 게임이 내장되어 있다.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권투 = = 독일 공산당 = 독일 공산당(, KPD)는 독일의 여러 공산주의 정당이 사용했던 이름이다. 최초의 독일 공산당 (1919년)는 1919년 창설되었다. 동독에서 1946년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으로 통일되었다. 서독에서는 1956년 강제 해산되었다.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KPD/ML)는 1968년 창설되어 1986년까지 존재했던 마오쩌둥주의 정당이다. 독일 공산당 (붉은 새벽)(Communist Party of Germany (Red Dawn))은 1985년 KPD/ML에서 분당한 호자주의 정당이다. 이 정당은 정당이 발간한 신문 이름에서 유래했다. 독일 공산당 (1990년)(Communist Party of Germany (Red Flag))은 1990년 창설한 독일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독일의 공산주의 정당 중 가장 큰 규모이며,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법적 후신이자 공식 후계정당이다. 독일 공산당 (야당)(Kommunistische Partei-Opposition, KPO, KPDO)은 1928년 창설한 정당이다. 독일 공산당 (1968년)(DKP)은 1968년 서독에서 창설한 정당이며,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독일 공산노동자당(KAPD)은 1920년 창설한 좌파공산주의 정당이다. = 전주천 = 전주천(全州川/)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8번지호남정맥 슬치재·박이뫼산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고랑동에서 만경강과 합류하는 전라북도의 하천이다. 총 길이는 30km이며, 국가 하천 구간은 6.81km, 지방하천 구간은 25.69km이다.(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건설교통부, 1993) = 평화수호대 = 평화수호대, 약칭 수호대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경찰력이다. 경찰총수는 아일랜드 정부에 의해 임명되는 수호대장(Garda Commissioner)이다. 본부는 더블린의 피닉스파크에 있다. 영국에게 오랜 식민지배를 받았던 아일랜드에서는 반영감정의 영향으로 경찰(police)라는 말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나라의 경찰서도 수호서(Garda station)라고 불린다. = = 계급 = = 계급 원어 원어 인원(2015년) 계급장 계급 아일랜드어 영어 인원(2015년) 계급장 수호대장 1 수호대장보 2 수호장 5 수호정 42 수호령 160 수호감 247 수호사 1,835 수호대원 10,524 예비수호대원 수호대생도 예비생도 = 파킹 미터 = 섬네일 파킹 미터(parking meter)는 제한된 시간 동안 특정 장소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권리를 대가로 돈을 징수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주차 미터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일반적으로 교통량 및 이동성 관리 정책과 관련된 통합된 거리 주차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수익에도 사용된다. 한국어로는 주차 미터기, 주차권 판매기, 주차권 자동 판매기, 주차 요금 징수기, 주차료 징수기 등 다양한 단어로 번역된다. = = 출처 = = Oklahoma City site of first parking meter. (Historic film) "Parking Meters Yield $50,000 A Year" 1951 article with excellent illustration of coin-operated meters Parking meter payment by cell phone from Slashdot, June 26, 2006 New Parking Meter, calls you when time is up - with Pictures Sensor based parking meter with push enforcement, bike share, wayfinding, and validation Secure Storage Technologies Smart Parking Meter The Case of the Parking Meter Thief, FBI = 틀:2018년 동계 올림픽 남자 컬링 드로6 시트A = = 수리남의 역사 = 수리남의 초기 역사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이 지역에 처음 살았던 기원전 3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네덜란드는 영국으로부터 수리남을 얻었고, 유럽인들의 정착은 설탕 재배에 노예제도를 이용하는 농장 식민지였던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의 폐지와 함께, 농장주들은 중국, 마데이라 제도, 인도, 인도네시아로부터 노동력을 얻으려고 했다. 네덜란드어는 수리남의 공용어이다. 다양한 인구로 인해 크리올인 스라난 통고도 발달했다.Albert Gastmann, "Suriname and the Dutch in the Caribbean" in Encyclopedia of Lat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vol. 5, p. 189.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96. = = 원주민 정착촌 = = 수리남은 많은 원주민 문화에 의해 유럽보다 수천 년 먼저 거주하였다. 식민지화 당시 가장 큰 나라는 사냥과 어업을 하며 살았던 해안 유목민족인 아라와크족과 카리브족이었다. 카리브족들은 해안가의 대부분을 따라 아라와크족을 정복했고, 돛단배를 이용하여 카리브해로 들어갔다.Romero-Figueroa, Andrés. Basic Word Order and Sentence Types in Kari'ña. Meunchen: Lincom Europa 2000Carlin, Eithne and Boven, Karen (2002). The native population: Migrations and identities . In: Atlas of the languages of Suriname, Eithne Carlin and Jacques Arends (Eds.) Leiden: KITLV Press 그들은 마로니강 어귀에 있는 갈리비(쿠팔리 유메, "조상의 나무"라는 뜻)에 정착했다. 아라와크족과 카리브족이 해안과 사바나에서 살고 있는 반면, 아쿠리오족, 트리오족, 와라오족, 와야나족과 같은 열대 우림 내륙에 더 작은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다. = = 유럽의 식민지화 = = = = = 간헐적 정착 = = = 수리남으로 온 최초의 유럽인들은 남아메리카의 "야생 해안"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그 지역을 방문한 스페인 탐험가들과 네덜란드 상인들이었다. 1613년, 수리남강에 네덜란드의 교역소가 존재했고, 같은 해 스페인군은 코란틴강의 네덜란드 교역소를 점령했다.Bert Koene (2019) "De mensen van Vossenburg en Wayampibo: Twee Surinaamse plantages in de slaventijd" Hilversum: Verloren. p. 9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위한 첫 번째 중요한 시도는 1630년, 마셜 선장이 이끄는 영국 정착민들이 식민지를 세우려고 시도했을 때였다. 그들은 담배 작물을 재배했지만, 그 모험은 재정적으로 실패했다. 1640년, 아마도 영국군이 아직 마셜의 시내에 있는 동안, 프랑스군은 수리남강 하구 근처에 전초기지를 건설했다. = = = 영국의 식민지화 = = = 1650년, 바베이도스의 총독 프랜시스 윌러비 경은 수리남의 식민지를 정착시키기 위해 배를 준비했다. 자신의 비용으로 그는 20문의 포를 실은 배와 플랜테이션 지원에 필요한 물건들을 갖춘 작은 배 두 척을 준비했다. 앤서니 로우즈 소령은 그의 이름으로 그곳에 정착했다. 2년 후, 그는 식민지의 더 나은 정착을 위해 직접 가서, 방어와 무역에 필요한 것들을 요새화하고 제공하였다. 정착지는 약 30,000 에이커 (120 km2)와 수리남 강 하구 근처의 "윌로비 요새"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려진 프랑스의 전초기지에서 확장되었다. 1663년에 50여개의 농장에 대한 대부분의 작업은 원주민들과 3,000명의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이루어졌다.George Warren (1667) An impartial description of Surinam. 그곳에는 약 1,000명의 백인들이 있었고, 영국인들이 모든 정착민들에게 부여한 종교적 자유에 이끌려 브라질 유대인들과 함께 있었다. = = = 네덜란드의 식민지화 = = = 정착지는 1667년 2월 26일 에이브러햄 크라이즌센이 이끄는 네덜란드 선박 7척에 의해 침략당했다. 윌러비 요새는 3시간의 전투 끝에 다음날 점령되었고, 이름을 제일란트 요새로 바꾸었다. 1667년 7월 31일, 영국과 네덜란드는 브레다 조약을 체결했고, 이 조약은 당분간은 현상 유지가 되었다. 네덜란드인은 수리남을, 영국은 뉴암스테르담(오늘날의 뉴욕)을 계속 점령할 수 있었다. 이 협정은 1667년 영국이 수리남을 되찾고 다시 잃은 후인 1674년 웨스트민스터 조약에서 공식화되었다. 1683년에 수리남 협회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식민지의 관리와 방어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사상을 본뜬 것이었다. 이 모임에는 암스테르담, 반 애르센 판 소멜스디크 가족,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 등 세 명의 참여자가 있었다. 반 애르센 가문은 1770년에야 겨우 지분을 팔았다. 협회는 이러한 종류의 무역과 사업이 더 이상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여겨졌던 1795년에 끝났다. = = = 20세기 = = = 20세기에 수리남의 천연 자원인 고무, 금, 보크사이트가 개발되었다. 미국 회사 알코아는 알루미늄을 만들 수 있는 보크사이트가 발견된 수리남의 넓은 지역에 대한 청구를 했다. 마룬족과의 평화조약이 이들에게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수리남 정부가 이러한 권리를 부여할 권리(자신을 위한 토지에 대한 권리를 의미하고 자치를 무시하는 것)를 부정하는 국제법정 사례가 있었다. 1941년 11월 23일, 미국은 네덜란드 망명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보크사이트 광산을 보호하기 위해 수리남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 = 탈식민지화 = = 1948년 첫 총선이 실시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데 미란다가 수리남의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 식민지 국가의 일원으로서 그는 키엘스트라 총독에 비판적이었고, 식민지 내각에 대한 복종 종식을 주장했었다. 1954년, 수리남은 네덜란드가 국방과 외교의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자치 정부를 얻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네덜란드가 하나의 왕국 아래에 있는 세 개의 회원국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 독립 = = 1973년 네덜란드 정부는 지방 정부와 독립 협상을 시작했으며, 1975년 11월 25일 NPS(크레올 정당과 독립 협상을 시작했다. 네덜란드는 1985년까지 15억 달러 상당의 원조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초대 대통령은 요한 페리르이며, 총리로는 헨크 아론이 있었다. 인구의 약 3분의 1은 네덜란드가 독립하기 전에 네덜란드로 이민을 갔다. 1980년, 헨크 아론 정부는 데시 바우테르서 중사가 이끄는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페리르 대통령은 새 정부를 승인하는 것을 거부했고, 국민당 소속의 헨크 친 아센을 임명하였다. 5개월 후 또 다른 쿠데타가 일어나 페리르가 친아센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군부가 설치한 새 정부가 부패를 종식시키고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기를 기대하는 사람들에게 크게 환영 받았다. 이것은 새 정권이 야당을 금지하고 점점 더 독재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어났다. 네덜란드는 처음에 새 정부를 받아들였지만 1982년 12월 8일 젤란디아 요새에서 15명의 반대파가 군대에 의해 살해되면서 수리남과 네덜란드 사이의 관계는 붕괴되었다. 이 사건은 또한 12월 살인 사건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와 미국은 이 움직임에 항의하기 위해 원조를 중단했다. 1985년, 야당에 대한 금지가 해제되었고,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다음 해에는 로니 브런스위크가 이끄는 정글 특공대라고 자칭한 마룬족들의 반정부 반란이 시작되었다. 바우테르서 정부는 마을들을 불태우고 다른 유사한 수단들을 통해 폭동을 진압하려고 격렬하게 노력했다. 10,000명 이상의 마룬족들이 프랑스령 기아나로 도망쳤고, 난민으로 인정받았다. 불법 난민의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 분류:핀란드의 원로원 = = 서울특별시청 = 서울특별시청(서울特別市廳)은 서울특별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이다. 시장은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부시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시청 앞에는 서울광장이 있어 대규모 행사 시 주로 활용되기도 한다. = = 역사 = = 서울특별시청 청사는 일제강점기 때, 경성부청(京城府廳)으로 건립되었다가 광복 이후 서울시청 건물로 쓰이게 되었다. 이 건물은 6차례 증축되었다. 1962년 증축된 북관과 1986년 증축된 신관은 새로운 청사를 짓기 위해 2006년 초에 철거되었다. 새로운 청사가 들어서면서 구 청사는 서울도서관으로 용도가 바뀌었다. 1975년부터 전광판 시계를 달았는데, 이명박 시장 재임 기간에 대형 바늘시계로 바뀌었다. 시계의 이름은 '바라'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청의 시금고(제1금고) 업무를 맡고 있는 은행은 신한은행이다. 2018년까지는 우리은행이 제1금고은행을 맡았으며, 조선상업은행 시절인 1915년에 경성부청 금고 계약을 맺은 것을 시작으로 100년 동안 서울의 시금고 업무를 맡아 왔으나 신한은행이 1금고로 선정되면서 우리은행은 2금고로 밀려났다. 2007년에는 서소문 청사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됐다. 주로 서울 시내와 인접한 지역에서 운행하는 CNG 마을버스들이 충전하러 들어왔으나 2021년 5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천연가스 충전소의 운영을 종료했으며, 2022년 10월 7일에 수소 충전소로 바뀌었다. 2022년 2월 27일 건물을 비추는 우크라이나 국기가 있다. = = 청사 = = 본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소문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15 서소문2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24 무교로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21 남산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231 청계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 프레스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 = = 신청사 건립 = = = 2007년 10월초에 주차장으로 쓰이던 새 청사 예정 부지에 지상 19층 높이의 새 청사가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문화재청과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새 청사는 3겹의 샌드위치 모양으로, 총 건축비 1565억 원에 연면적 21,500평 규모가 될 예정이었다. 기존 본관은 새 청사와 내부에서 연결되며, 광화문 쪽에서 을지로 입구 쪽으로 걸어갈 수 있도록 건물 일부를 필로티식으로 설계해 보행 통로를 확보할 예정이었다. 또한 새 청사의 고층부는 사무실로 사용하고, 저층부(전체 건물의 34%가량)는 시민들을 위한 문화·관광시설로 이용하게 되며, 기존 청사는 해체 후 건물 전면과 중앙부 돔을 복원하고 내부를 신축하여 도서관으로 활용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전의 설계안이 "수도 서울의 상징성과 역사성, 대표성이 부족하다"라는 여론에 따라 서울시 신청사를 재설계하게 되었다. 2008년 2월 18일 서울시 신청사 설계경기에서 유걸의 설계안이 당선되었다. 건물 앞부분의 상층부는 곡선 모양으로 튀어나오도록 설계됐으며, 신청사 전체 공간 가운데 30% 정도는 다목적 홀, 스카이라운지 등 문화공간으로 이용된다. 신청사에는 시민문화공간과 함께 종합민원센터인 다산프라자 등 관련 업무 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2008년 12월에 착공했다. 설계자 유걸 씨는 "새 건물의 핵심 키워드는 전통, 시민, 미래"라며 "우리 전통건축 양식이 가진 저층의 수평적 요소와 처마지붕의 깊은 음영 및 곡선미를 재해석해서 옛것에 대한 친근감을 살렸다"라고 말했다. 당선된 설계안으로 공사를 하고 있는 2008년 8월 26일, 서울시에서 기존 청사의 '태평홀'을 철거 후 복원하기 위해 태평홀을 철거하자 문화재청에서 이에 대한 반발로 사적 가지정을 하여서 태평홀 해체 공사는 중단되고, 서울시청측과 문화재청은 '보존이냐 해체냐'라는 문제로 대립하였다. 하지만 대립 끝에 문화재청이 사적 가지정을 해제하였고,청사는 정면 부분과 중앙홀(태평홀)만을 남기고 철거되었다. 철거된 자리에는 새로운 청사 건물이 들어섰다. 착공한 지 4년 5개월 만인 2012년 8월 완공되었으며, 규모는 지하 5층, 지상 13층 연면적 90,788m2이다. 지상 3 ~ 4층에는 200석 규모의 대회의실, 지상 8 ~ 9층에는 500 ~ 700석 규모의 다목적홀이 들어서있으며, 지하 1 ~ 2층에는 시민청이라는 민원실이 운영된다. 현재 옛 시청 건물은 서울도서관으로 사용되어, 2012년 10월 26일에 개관하였다. = = 조직 = = 실·국 관·단 담당관실·과 시장 산하 하부조직 시장 산하 하부조직 시장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기획담당관실ㆍ조직담당관실ㆍ창의행정담당관실ㆍ법무담당관실개방형 직위.ㆍ법률지원담당관실 기획조정실 재정기획관실 예산담당관실ㆍ재정담당관실ㆍ공공자산담당관실ㆍ평가담당관실ㆍ공기업담당관실 소방재난본부 소방재난본부 소방행정과ㆍ재난대응과ㆍ예방과ㆍ안전지원과ㆍ현장대응단ㆍ소방감사담당관 대변인실 대변인실 언론담당관실 홍보기획관실 홍보기획관실 홍보담당관실ㆍ뉴미디어담당관실ㆍ서울브랜드담당관실ㆍ민원담당관실 약자와의동행추진단 약자와의동행추진단 동행정책담당관실ㆍ동행사업담당관실 서울특별시 감사위원회 서울특별시 감사위원회 감사담당관실ㆍ공공감사담당관실ㆍ안전감사담당관실ㆍ조사담당관실ㆍ인권담당관실 서울특별시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자치경찰총괄과ㆍ자치경찰협력과ㆍ자치경찰지원과 행정제1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행정제1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행정제1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여성가족정책실 여성가족정책실 양성평등담당관실ㆍ영유아담당관실ㆍ아이돌봄담당관실ㆍ아동담당관실ㆍ가족다문화담당관실ㆍ1인가구담당관실 노동ㆍ공정ㆍ상생정책관실 노동ㆍ공정ㆍ상생정책관실 노동정책담당관실ㆍ소상공인담당관실ㆍ상권활성화담당관실ㆍ공정경제담당관실ㆍ농수산유통담당관실 비상기획관실 비상기획관실 민방위담당관실 디지털정책관실 디지털정책관실 디지털정책담당관실ㆍ빅데이터담당관실ㆍ정보시스템담당관실ㆍ정보공개담당관실ㆍ공간정보담당관실ㆍ정보통신보안담당관실 민생사법경찰단 민생사법경찰단 미래청년기획단 미래청년기획단 경제정책실 경제정책실 전략산업기반과ㆍ국제협력과ㆍ금융투자과ㆍ바이오AI산업과 경제일자리기획관실2024년 8월 1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경제정책과ㆍ일자리정책과ㆍ창업정책과ㆍ뷰티패션산업과ㆍ미디어콘텐츠산업과ㆍ캠퍼스타운활성화과 신산업정책관실 복지정책실 복지기획관실 복지정책과ㆍ안심소득추진과ㆍ안심돌봄복지과ㆍ어르신복지과ㆍ장애인복지정책과ㆍ장애인자립지원과ㆍ자활지원과 도시교통실 도시교통실 교통정책과ㆍ도시철도과ㆍ버스정책과ㆍ미래첨단교통과ㆍ택시정책과ㆍ주차계획과ㆍ보행자전거과ㆍ물류정책과ㆍ교통운영과ㆍ교통지도과 교통기획관실 기후환경본부 기후환경본부 기후환경정책과ㆍ친환경건물과ㆍ친환경차량과ㆍ대기정책과ㆍ녹색에너지과 자원회수시설추진단2023년 8월 1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자원순환과ㆍ생활환경과 문화본부 문화본부 문화정책과ㆍ문화예술과ㆍ문화재정책과ㆍ문화재관리과ㆍ박물관과ㆍ문화시설과 관광체육국 관광체육국 관광정책과ㆍ관광산업과ㆍ체육정책과ㆍ체육진흥과 평생교육국 평생교육국 교육지원정책과ㆍ평생교육과ㆍ청소년정책과ㆍ친환경급식과 시민건강국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ㆍ스마트건강과ㆍ정신건강과ㆍ감염병관리과ㆍ코로나19대응지원과ㆍ식품정책과ㆍ감염병연구센터ㆍ공공의료추진단 행정국 행정국 총무과ㆍ인사과ㆍ인력개발과ㆍ자치행정과ㆍ시민협력과ㆍ대외협력과ㆍ남북협력과 재무국 재무국 재무과ㆍ재산관리과ㆍ계약심사과ㆍ세제과ㆍ세무과ㆍ38세금징수과 행정제2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행정제2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행정제2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미래공간기획관실 미래공간기획관실 도시공간기획담당관실ㆍ공공개발기획담당관실ㆍ공공개발사업담당관실 디자인정책관실 디자인정책관실 디자인정책담당관실ㆍ디자인산업담당관실ㆍ도시경관담당관실 기술심사담당관실 안전총괄실 안전총괄관실 안전총괄과ㆍ중대재해예방과ㆍ안전지원과ㆍ건설혁신과ㆍ도로계획과ㆍ도로관리과ㆍ도로시설과ㆍ교량안전과 주택정책실 주택공급기획관실 주택정책과ㆍ전략주택공급과ㆍ공공주택과ㆍ공동주택지원과ㆍ주거정비과ㆍ주택정책지원센터ㆍ건축기획과ㆍ재정비촉진사업과ㆍ주거환경개선과ㆍ지역건축안전센터ㆍ한옥정책과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ㆍ도시계획상임기획과ㆍ신속통합기획과ㆍ도시관리과ㆍ시설계획과ㆍ토지관리과 균형발전본부 균형발전기획관실 균형발전정책과ㆍ도심재창조과ㆍ도시정비과ㆍ동북권사업과ㆍ서부권사업과ㆍ광화문광장사업과 균형발전본부 동남권추진단 푸른도시여가국 푸른도시여가국 공원여가정책과ㆍ공원여가사업과ㆍ공원조성과ㆍ조경과ㆍ자연생태과ㆍ동물보호과ㆍ산지방재과 물순환안전국 물순환안전국 수변감성도시과ㆍ치수안전과ㆍ물재생계획과ㆍ물재생시설과 정무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정무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정무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 직속기관 = =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특별시소방서 종로소방서 중부소방서 광진소방서 성동소방서 용산소방서 동대문소방서 중랑소방서 영등포소방서 성북소방서 강북소방서 도봉소방서 노원소방서 은평소방서 서대문소방서 마포소방서 강남소방서 서초소방서 관악소방서 동작소방서 강서소방서 양천소방서 강동소방서 송파소방서 구로소방서 금천소방서 서울특별시소방학교 서울특별시대통령경호처소방대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서울특별시시민안전체험관 = = = 사업소 = = = 서울특별시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서울특별시한강사업본부 서울특별시아동복지센터 서울특별시데이터센터 서울특별시차량정비센터 서울특별시립병원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서울특별시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서울특별시립미술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서울도서관 서울역사편찬원 서울특별시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중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서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동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북부공원여가센터 서울특별시서울대공원 서울특별시공무원수련원 서울특별시품질시험소 서울특별시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동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서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남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북부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성동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강서도로사업소 서울특별시물재생센터 서울특별시중랑물재생센터 서울특별시난지물재생센터 서울특별시립과학관 서울식물원 서울기록원 = = 산하 자치단체 = = 종로구청 중구청 용산구청 성동구청 광진구청 동대문구청 중랑구청 성북구청 강북구청 도봉구청 노원구청 은평구청 서대문구청 마포구청 양천구청 강서구청 구로구청 금천구청 영등포구청 동작구청 관악구청 서초구청 강남구청 송파구청 강동구청 = = 정원 = = 서울특별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 총계 총계 5,058명 정무직 계 정무직 계 4명 시장 1명 부시장 1명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1명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상임위원 1명 일반직 계 일반직 계 4,858명 1급 이하 2급 이상 28명 3급 이하 5급 이상 1,201명 6급 이하 3,602명 전문경력관 27명 별정직 계 별정직 계 28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23명 6급 상당 이하 5명 연구직 계 연구직 계 24명 연구관 3명 연구사 21명 소방공무원 계 소방공무원 계 141명 소방준감 4명 소방정 2명 소방령 이하 135명 경찰공무원 계 경찰공무원 계 3명 총경 1명 경정 이하 2명 = = 재정 = =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5.3% 감소한 44조 2190억 4880만 2000원이며, 총수입·총지출 기준 구체적인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 구분 세입예산 작년 대비 증감 지방세수입 23조 955억 7400만 원 +15.3% 세외수입 4조 4403억 5772만 1000원 -3.8% 지방교부세 2048억 2864만 6000원 -1.8% 보조금 7조 9789억 2159만 2000원 -15% 지방채 1조 7088억 9500만 원 -19.6%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6조 7904억 7184억 3000원 -34.3% 구분 구분 세출예산 작년 대비 증감 분야 부문 세출예산 작년 대비 증감 일반공공행정 일반공공행정 7조 5426억 428만 7000원 -12.24% 입법및선거관리 366억 397만 9000원 +33.1% 지방행정·재정지원 6조 1570억 3056만 6000원 -2.9% 재정·금융 6063억 497만 7000원 -59.41% 일반행정 7426억 6477만 5000원 +1.39% 공공질서및안전 공공질서및안전 1조 5195억 6003만 9000원 +9.44% 경찰 16억 9103만 6000원 +55.43% 재난방재·민방위 4195억 6434만 4000원 +31.2% 소방 1조 983억 465만 9000원 +2.88% 교육 교육 4조 2770억 2118만 5000원 -1.71% 유아및초중등교육 4조 2446억 9451만 5000원 -1.83% 평생·직업교육 323억 2667만 원 +17.3% 문화및관광 문화및관광 8146억 7922만 8000원 -0.79% 문화예술 3271억 5484만 1000원 +0.28% 관광 650억 8283만 8000원 -1.24% 체육 1534억 569만 2000원 -18.86% 문화재 1903억 9050만 4000원 +9.17% 문화및관광일반 786억 4535만 3000원 +19.93% 환경 환경 2조 1128억 2548만 원 -12.38% 상하수도·수질 1조 5052억 3730만 2000원 -0.15% 폐기물 1680억 9696만 5000원 +0.55% 대기 2726억 2183만 3000원 -49.89% 자연 387억 4479만 4000원 -51.44% 환경보호일반 1281억 2458만 6000원 +13.64% 사회복지 사회복지 15조 9532억 2832만 원 -5.57% 취약계층지원 5조 6074억 7328만 6000원 +0.74% 보육·가족및여성 2조 9262억 418만 1000원 +2.44% 노인·청소년 3조 5363억 1892만 원 +6.58% 노동 2624억 2875만 5000원 -19.31% 주택 3조 5832억 8500만 원 +12.41% 사회복지일반 375억 1717만 8000원 -97.71% 보건 보건 6939억 6520만 9000원 +1.08% 보건의료 6793억 456만 9000원 +0.85% 식품의약안전 146억 6064만 원 +12.9% 농림해양수산 농림해양수산 987억 1782만 7000원 +42.86% 농업·농촌 987억 1782만 7000원 +42.86%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6904억 8302만 2000원 -10.1% 무역및투자유치 85억 1603만 1000원 +23.96% 산업진흥·고도화 6165억 4059만 5000원 -8.59% 산업·중소기업일반 654억 2639만 6000원 -24.59% 교통및물류 교통및물류 5조 6369억 4135만 원 +0.36% 도로 9973억 8662만 7000원 -22.83% 도시철도 1조 7032억 9953만 8000원 +79.04% 대중교통·물류등기타 2조 9362억 5518만 5000원 -12.95% 국토및지역개발 국토및지역개발 2조 6621억 7794만 0원 -10.18% 수자원 1098억 108만 4000원 -28.16% 지역및도시 2조 5410억 4685만 6000원 -9.01% 산업단지 113억 3000만 원 -38.3% 과학기술 과학기술 18억 4374만 1000원 +12.13% 과학기술일반 18억 4374만 1000원 +12.13% 예비비 예비비 1439억 3787만 1000원 -6.89% 예비비 1439억 3787만 1000원 -6.89% 기타 기타 2조 710억 6330만 3000원 +4.78% 기타 2조 710억 6330만 3000원 +4.78% = 공기주머니메기속 = 공기주머니메기속(Heteropneustes)은 메기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속의 하나이다. 공기주머니메기과(Heteropneustidae)의 유일속이다. 아시아 토착 어류이다. = = 하위 종 = = 공기주머니메기류는 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Heteropneustes fossilis (Bloch, 1794) Heteropneustes kemratensis (Fowler, 1937) Heteropneustes nani Hossain, Sarker, Sharifuzzaman & Chowdhury, 2013Hossain, M.S., Sarker, S., Sharifuzzaman, S.M. & Chowdhury, S.R. (2013): New species of stinging catfish Heteropneustes nani (Siluriformes: Heteropneustidae) from Noakhali, Bangladesh. Vertebrate Zoology, 63 (3): 259–267. Heteropneustes longipectoralis Rema Devi & Raghunathan, 1999 Heteropneustes microps (Günther, 1864) = 분류:정다면체 = = 다세포 소녀 = "다세포 소녀"는 200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김옥빈 : 가난을 등에 업은 소녀 역 박진우 : 안소니 / 가난소녀오빠 역 이켠 : 외눈박이 역 유건 : 우스 역 송하윤 : 도라지 소녀 역 이용주 : 회장 소년 역 이민혁 : 테리 역 이은성 : 두눈박이 역 남호정 : 부회장 소녀 역 박혜원 : 반장 소녀 역 임예진 : 가난소녀 엄마 역 이원종 : 왕칼언니 역 이재용 : 모든 선생님 역 박용식 : 교장 / 교주 역 문원주 : 이쁜이 조폭 / 로드매니저 역 박재웅 : 축구부 주장 / 기도 역 유호린 : 하레크리슈나 / 날라리 소녀 역 김유빈 : 국수 소년 역 김도연 : 여자 조폭 / 최후의 순진 소녀 역 이상호 : 뚱뚱이 가족 역 김지나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유병선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이동우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이혜정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정성웅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허엽 : 에로틱랠름교 살사댄스 역 한은선 : 에로틱랠름교 일당 / 여신도 역 이종환 : 따귀맞는 소년 역 김한준 : 에로틱랠름교 납치단 역 시호 : 에로틱랠름교 납치단 역 이우정 : 에로틱랠름교 납치단 역 홍상훈 : 에로틱랠름교 납치단 역 윤봉길 : 일진 짱 역 안은미 : 선무당 역 김하균 : 회장 아빠 역 장준녕 : 넘버 2 / 간수장 역 김대호 : 뚱땡 조폭 / 간수 역 임지우 : 매니지먼트 실장 역 신현호 : 무종교반 학생들 역 용이 : 강변의 연인 역 전봉현 : 뜬금 요들밴드 역 김덕현 : 조교 역 김수미 : 이무기 역 (특별출연) 조정린 : 주번 소녀 역 (특별출연) 이병준 : 건희 역 (특별출연) = 초안:이민국 비쿠탄 수용소 = 이민국 비쿠탄 수용소은 필리핀 이민국에서 운영하는 주 출입국 수용소이다. 타구이그주 로어 비쿠탄의 캠프 바공 디와에 위치한 해당 시설은 내부적으로는 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도자료 및 공식 발표에서 이민국에서는 해당 시설을 "감옥", " 시설" 또는 "수용소"라고 다양하게 지칭하고 있다. 해당 시설의 기능은 추방을 기다리는 외국인을 수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범죄 사건에 연루되어 계류 중이거나, 비자에 정해진 체류 기간 보다 오래 체류한 경우 등이다. 늘 과포화 상태에 있는 해당 시설은 만연한 인권 침해로 비난을 받아왔으며, 마닐라 타임즈에서는 굴락에 비견했다. 당국에서 운영 중인 수용소로서, BI–Bicutan에서는 보석으로 풀려날 수 있는 헌법적인 권리가 주어지지 않으며, 일부 수용자의 경우에는 범죄 혐의로 기소되거나 추방되지 않은 채로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수용 상태에 있다. = 분류:중국의 정보기관 = = 분류:튀니지의 총리 = = 이탈리아 전쟁 (1494년-1498년) = 이탈리아 전쟁 (1494년~1498년)은 샤를 8세가 이끄는 프랑스 군이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벌어진 전쟁이다. 백년전쟁(1337~1453)후 상비군과 관료제를 통해 중앙집권에 성공하며[네이버 지식백과] 샤를 7세 [Charles VII] - 잔 다르크의 출현과 백년전쟁의 종식 (프랑스 왕가, 홍용진)...샤를 7세는 전쟁 직후 발발한 귀족들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상비군과 관료제에 기반을 둔 강력한 왕권을 구축해 나갔다. 프랑스는 강대국이 되었다. 샤를 8세가 나폴리에 대한 앙주 가문의 계승권을 명분으로 하여 밀라노 공작 루드비코의 도움하에 1494년 9월 이탈리아 원정을 실시했다. 프랑스 원정군은 당시로는 생소했던 야전용 대포를 동원하여 정치적으로 분열되어 있던 이탈리아 국가들의 용병부대를 쉽게 제압하였다. 특별히 큰 전투없이 쉽게 나폴리를 점령하였으나 위기감을 느낀 이탈리아 국가들이 동맹을 맺어 프랑스에 대적하며 프랑스를 나폴리에 고립시켰다. 1495년 7월 귀국길에 오른 프랑스군과 동맹군이 맞붙은 포르노보 전투에서, 양측에 모두 큰 피해가 발생하여 승부를 알 수 없는 가운데 동맹군은 프랑스군의 귀국을 막지는 못했다. 1498년 4월, 2차 원정을 준비하던중에 샤를 8세가 사고로 사망하면서 전쟁은 종결되었다. 샤를 8세의 원정을 통하여 이탈리아 각국은 지중해 해상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경제적으로는 풍요로웠으나 외세의 침략에 대해 취약하다는 것이 들어났다.왈라스 클리퍼트 퍼거슨 <서양근세사> 집문당 1995.8.1, p625 이에 따라 향후 1559년까지 무려 7차례나 추가적인 대규모 전쟁이 이탈리아 반도에서 벌어지면서, 이탈리아는 유럽 강대국들의 패권 다툼의 각축장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 = 역사적 배경 = = = = = 나폴리 왕위 계승 = = = 1442년 6월 아라곤 국왕 알폰소 5세가 경쟁자들과 20여년간의 오랜 투쟁을 종식시키고 나폴리를 차지했다. 이듬해 교황 에우제니오 4세로부터 나폴리 왕위를 인정받았으며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마이클 월시<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366 사후에는 나폴리를 자신의 사생아인 페르디난도 1세에게 물려주었다.(아라곤과 시칠리아등은 알폰소 5세의 친동생인 추안 2세가 상속받았다) 1489년 9월 11일, 교황 인노첸시오 8세(213대 1484~1492)는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가 교황에 대한 봉건 비용 상납을 거부하자 칙서를 통해 그를 파면하고 폐위를 선포했다.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마이클 월시<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379 페르디난도 1세는 크게 반발하였고 양측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샤를 7세의 손자인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생몰 1470~1498)에게 나폴리 왕위 계승을 제안하였다.부르크하르트 <이탈리아 르네상스 이야기> 동서문화사 2011.11.11 p119 조부 샤를 7세가 1442년까지 나폴리를 통치했던 앙주의 마리(마리 당주)와 결혼했기 때문에, 샤를 7세의 손자인 샤를 8세는 할머니를 통해 정통성을 물려받았다고 판단하여 이것을 근거로 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8세와 페르디난도 1세 사이에 분쟁이 벌어졌고 사안이 미처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1492년에 교황이 죽고 말았다. 페르디난도 1세 역시 1494년 1월 25일 사망한후에 나폴리 왕위는 아들 알폰소 2세에게 넘어갔다.Mallett and Shaw (2012), p. 14 알폰소 2세는 1494년 5월 8일에 교황 특사였던 후안 데 보르하 양콜 데 로마니를 통해 공식적인 대관식을 거행하였지만 프랑스 샤를 8세는 그를 나폴리 국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러하듯 교황 인노첸시오 8세가 샤를 8세에게 제공한 호의는 이탈리아 정치사에 불행의 씨앗으로 남고 말았다. = = = 밀라노 계승 분쟁 = = = 1476년,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친형 갈레아초가 암살당한뒤크리스토퍼 히버트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p165 어린 조카가 공작이 되자 미밍인 형수와 권력다툼을 통하여 섭정의 자리를 차지한다. 이후 실권을 쥐고 밀라노를 통치하며 조카(잔 갈레아초)가 성년이 되었음에도 섭정에서 물러나지 않고 권력찬탈을 노렸다.크리스토퍼 히버트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p231 잔 갈레아초(조카)가 나폴리 왕국의 왕세자 알폰소(장인)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자 나폴리 국왕 페르디난도 1세가 루도비코에게 섭정에서 물러나라는 경고를 보냈다. 루도비코는 이것을 내정 간섭이라 하며 거부하였고 나폴리를 견제하기 위해 1494년 3월, 자신의 조카 비앙카와 신성로마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결혼을 성사시키며 혼인동맹을 맺는다.World Book Encyclopedia, Field Enterprises Educational Corporation, 1976.마틴 키친 <케임브리지 독일사>시공사 2004.10.15, p94 신부와 함께 매우 큰 금액의 지참금을 보내면서 밀라노 공작위를 황제에게 인정받았으며 이를 통해 권력기반을 다졌다. 한편 피렌체는 로렌초 데 메디치가 사망한후 그의 아들 피에로가 나폴리와 동맹을 맺었는데, 교황과 베네치아가 이 동맹에 참여하며 밀라노가 고립되었다.후지사와 미치오 <이야기 이탈리아사> 도서출판 일빛, p228 이를 타개하기 위해 루도비코는 프랑스와 동맹을 체결한후 나폴리의 왕위계승을 주장하고 있는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원정을 충동질하였는데[네이버 지식백과 이탈리아의 위기와 불목 (이탈리아사, 2005. 3. 1., 허인, 위키미디어 커먼즈)] ...그의 조카는 나폴리 페르디난도 왕의 질녀와 결혼하여 나폴리 왕국을 지주로 삼고 있었으므로, 모로는 자기 지위를 확보하고자 프랑스 왕 샤를(Charles) 8세를 지지하면서 나폴리의 아라곤 가문에 대적하여 원군을 파견해 주도록 요청했다. 이렇게 해서 밀라노와 나폴리의 반목은 프랑스로 하여금 이탈리아 내전에 간섭할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1494).후지사와 미치오 <이야기 이탈리아사> 도서출판 일빛, p229 이는 외세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이탈리아를 혼란에 빠트리고자 하는 속셈이었다. 이를 통해 밀라노를 고립시킨 동맹을 와해 시키고 자신을 공격하거나 내정간섭을 하지 못하게 하면서, 한편으로는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를 축출하려는 계산이었다. = = = 줄리아노 추기경 = = = 1492년 인노첸시오 8세가 선종한 후 콘클라베에서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즉위하자 경쟁자였던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추기경(훗날 교황 율리오 2세)은 크게 반발했다. 거액의 뇌물이 오고간 금품선거존 줄리어스 노리치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8.5 p503 그가 자신의 교황 선출을 위해 수치심도 없이 상당한 뇌물을 뿌렸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전해지는 말로는 보르지아에서 추기경 아스카니오 스포르차가 있는 곳까지 노새 4마리가 금은보화를 끌고 갔다고 한다.의 결과라고 주장하였고 신임 교황의 성직매매 혐의등을 고발하며 선출이 무효라고 주장하였다. 교황의 회유와 협박이 이어졌고 신변의 위험을 느낀 줄리아노 추기경은 프랑스로 도피했다.[다음백과] 교황 율리오 2세.....1492년 알렉산데르 6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에 선출된 로드리고 보르자가 자신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미자 1494년 프랑스 샤를 8세의 왕궁으로 도피했고...(생략) 프랑스 국왕 샤를 8세를 만난 줄리아노 추기경은 콘클라베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이탈리아 원정을 부추겼다.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383...보르자 추기경이 알렉산데르 6세로 선출되자 신변에 위협을 느낀 그는 1494년에 프랑스로 도망쳤고, 샤를 8세(Charles VIII, 1483~1498)의 나폴리 정복을 지지했다. 그는 프랑스군의 이탈리아 침공(1494~1495)에 합세하여 샤를의 지지를 얻어 공의회에서 알렉산데르를 성직매매 혐의로 퇴위시키려 했으나 교활한 교황에 의해 좌절되었다. 줄리아노 추기경은 과거 카를 대제(800년)나 오토 대제(963년)처럼 샤를 8세가 교황령을 점령하여 교회를 정화한후 알렉산데르 6세를 폐위시키고[다음백과 교황 율리오 2세中 초기생애].....나폴리 원정 길에 오른 프랑스 왕 샤를을 따라 나서면서 그가 알렉산데르 6세를 폐위시킬 것을 기대했다. 자신을 새로운 교황으로 옹립해줄것을 기대했다.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62부 이탈리아 삼국지 이탈리아 전쟁 1편 16분 27초] = = = 프랑스의 샤를 8세 = = = 백년전쟁에서 승리한 샤를 7세(재위 1422~1461)는 유럽 최초로 상비군[네이버 지식백과] 샤를 7세 [Charles VII] - 잔 다르크의 출현과 백년전쟁의 종식 (프랑스 왕가, 홍용진).....1445년 샤를 7세는 유럽 최초의 상비군을 조직하여 노르망디와 기옌 일부에 머무르고 있던 잉글랜드군을 몰아내기 시작했다.을 창설하여 중앙집권을 추진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샤를 7세 [Charles VII] (두산백과)...백년전쟁이 끝나고 샤를 7세는 국가를 부흥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 15개 기사 군단을 설치하여 약 6천 명의 상비군을 확보였으며 제후들이 사설 군대를 양성하지 못하게 하였으며 1445년에는 기병대를, 1448년에는 보병대를 창설하여 군사력을 증강시켰다. 그의 아들 루이 11세(재위 1461~1483)는 귀족들의 힘을 누르고 강력한 왕권을 정립하였으며 프랑스는 강대국으로 거듭났다. 13세의 어린나이에 즉위한 샤를 8세(재위 1483~1498)는 누이의 섭정 끝에 22살이 되던 1492년에 친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1489년에 교황 인노첸시오 8세의 나폴리 왕위 계승 제안을 수용했던 그는 밀라노의 루도비코와 줄리아노 추기경의 거듭된 이탈리아 원정 요청에 응답하여 전쟁준비에 돌입하였다. 원정에 앞서 그는 주변 왕국들의 군주들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1492년에는 잉글랜드 헨리 7세와, 1493년에 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 1세와 상리스 조약을 맺고 일부 부르고뉴 공작령을 돌려주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샤를 8세 [Charles VIII] - 이탈리아 원정의 시작 (프랑스 왕가, 홍용진)다니엘 리비에르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3.11 p125 샤를 8세는 나폴리를 점령하여 그곳을 십자군 원정(성지탈환)의 전초기지로 삼는다는 명분하에 귀족들을 설득하며 원정준비를 진행하였다. = = 프랑스 침공 = = 샤를 8세는 25,000명의 프랑스군과 8,000명의 라이슬로이퍼를 데리고 이탈리아 반도를 침공했다. 라팔로 전투에서 루이 드 오를레앙(훗날 루이 12세)이 승리함으로써 샤를은 제노바 공화국으로 침공할 수 있는 진군로를 확보했다.Mallett and Shaw, p19 10월 19일, 프랑스 군은 모르다노 요새를 포위했고, 요새가 항복하지 않자 대규모 포격을 감행했다. 요새가 함락된 이후 프랑스는 생존자들을 학살했다.Mallet and Shaw, p.19-20 1494년 11월 중순 샤를 8세의 군대는 피렌체 외곽에 도달했고Mallett and Shaw (2012), p. 22 몇몇 요새를 공격한후 주요 주둔지 제공과 프랑스 군대가 토스카나 지역을 무사통과를 요구했다. 실권자 피에로 데 메디치는 무능하게 대처하던 끝에 요구조건 전면수용이라는 굴욕적인 굴복을 선택했다. 피렌체인들은 이에 대해 폭동을 일으켰고 메디치 가문을 추방하였다. 베르나르도 루첼라이와 다른 피렌체 정부는 샤를 8세과 협상을 통해 원만하게 사태 수습했다. 프랑스군은 1495년 2월 나폴리에 도착해 포위나 격전 없이 이를 점령했다. 뒤늦게 외세의 위험성을 깨닫은 이탈리아 각국은, 1495년 3월 베네치아 동맹이라 알려진 반프랑스 연합을 창설하여 북부 이탈리아를 통하는 프랑스의 보급과 연락로를 차단했다. 고립된 샤를 8세는 질베르 드 몽팡시에를 나폴리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일부 군대를 남긴채 귀국길에 올랐다.Mallett and Shaw (2012), p. 28 = = 베네치아 연맹 = = 프랑스군의 진군속도와 모르다노 약탈에서 보여준 잔혹성으로 인해 이탈리아의 다른 국가들은 충격에 빠졌다. 프랑스 샤를 8세는 나폴리 점령후 밀라노에 대한 계승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는데 샤를 8세의 5촌 증조 할머니뻘 되는 발렌티아는 밀라노 공작이었던 비스콘티 가문의 딸이라는 것을 내세웠다. 발렌티아는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의 부인인 비앙카보다 항렬이 높으므로 계승서열에서 앞선다는게 샤를 8세의 논리였다. 또한 발렌티아는 적장자지만 비앙카는 사생아였으며 프란체스코 1세는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았기 때문에 정통성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는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원정을 부추겼던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뒤늦게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당시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프랑스와 여러 이탈리아 국가에 자식들을 결혼 보내 자신의 영지를 지키고자 했다. 교황은 프랑스의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적들과 동맹을 형성했다. 교황 자신과 시칠리아 왕국의 왕이자 아라곤 왕국의 왕이었던 페르난도 2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 밀라노 공국의 루도비코 스포르차, 그리고 베네치아 공화국이 동맹을 맺었다. 1495년의 신성 동맹 또는 베네치아 연맹이라고 알려진 이 연맹은 1495년 3월 31일 선포되었다.Mallett and Shaw (2012), p. 27 연맹은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의 주도 하에 병력을 수집했다. 북부 이탈리아 도시국가 대부분을 비롯해 베네치아 연맹은 샤를 8세가 프랑스로 돌아가는 모든 통로를 차단했다. 나폴리에서 포위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샤를 8세는 1495년 5월 20일 롬바르디아를 향해 북쪽으로 진격했다.Michael Mallett and Christine Shaw, The Italian Wars: 1494-1559, p. 28. 그는 베네치아 연맹과 1495년 7월 6일 포르보노 전투에서 맞붙었다.Mallett and Shaw (2012), p. 30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병력의 우세에도 연맹군은 프랑스군보다 2배나 더 많은 군사를 잃었다.Mallett and Shaw (2012), p. 31 샤를은 프랑스로 돌아가는 길에 적의 영토로부터 안전히 철수할 수 있었고, 베네치아 연맹군은 그를 멈출 수 없었다. 하지만 샤를 8세 역시 그가 이탈리아에서 이룬 업적을 모조리 잃고 말았다.Mallett and Shaw (2012), p. 31 장기적인 측면에서 포르보노 전투는 프랑스의 피로스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Mallett, M. E.; Hale, J. R. (1984). The Military Organisation of a Renaissance State: Venice C. 1400 to 1617.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p. 56. = = 결과와 영향 = = = = = 실패한 원정 = = = 샤를 8세는 간신히 프랑스로 귀국했으며 원정은 성과 없이 왕실 재정만 축내고 말았다. 샤를 8세는 앙부아즈 성에 머무르면서 여러 차례 이탈리아 원정을 재개하려 계획했다. 그러나 1498년 4월 7일 28세의 샤를 8세는 실내 테니스를 즐기던 도중 기둥에 머리를 세게 박아 두개골 골절로 사망Mallett and Shaw (2012), p. 38함으로 인해 실현하지 못하고 전쟁은 종료되었다. 그의 자식들은 모두 요절했기 때문에 왕위는 오를레앙 공작(루이 2세)이 프랑스 왕 루이 12세가 되어 즉위하였다. = = = 나폴리 영토 회복 = = = 프랑스군이 나폴리로 진군해오자 나폴리 국왕 알폰소 2세는 1495년 왕위를 아들인 페르디난도 2세에게 물려주고 시칠리아의 수도원으로 도망갔다. 이후 나폴리에서는 반역이 일어났고 페르디난도 2세는 나폴리를 지키지 못하고 이스키아섬으로 도망쳐야 했다. 샤를 8세의 군대가 나폴리를 떠나자 페르디난도 2세(1469~1496)는 스페인의 장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도움을 받아 나폴리의 프랑스군과 프랑스에 협력한 나폴리인들을 패배시키고 나폴리 왕국을 되찾았다. = = = 혼인 동맹 = = = 역사적으로 볼때 이탈리아의 관할권은 명목상 신성로마 제국 황제가 가지고 있었다.송동훈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2019년 p243 따라서 프랑스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은 황제의 권한에 대한 침해였다. 아울러 스페인은 방계 가문이 통치하는 나폴리를 지켜야 했다. 프랑스를 경계할 필요성을 느낀 황제 막시밀리안 1세와 스페인의 페르난도 2세는 자녀들의 혼인을 통해 동맹을 맺었다. 스페인의 후안 왕자는 막시밀리안 1세의 마르가레테와, 스페인의 광녀 후아나 공주는 펠리페 1세와 이중 결혼(겹 사돈)을 맺어 동맹을 공고히 했다. 후아나와 펠리페 1세의 결혼식은 1496년 10월 20일 현 벨기에 리르에서 열렸다.송동훈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p245 이 결혼으로 인해 훗날 두 사람(펠리페 1세와 후아나)의 자녀인 카를 5세가 스페인과 신성로마제국을 상속받는 역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 = = 르네상스 = = = = = = 매독 = = = = = = 루이 12세의 원정 = = = = 1996년 비악섬 지진 = 1996년 비악섬 지진 혹은 이리얀자야 지진(Irian Jaya earthquake)은 1996년 2월 17일 14시 59분(현지 시각)에 인도네시아 비악섬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뉴기니 해구에서 발생했으며, 미국 지질조사국(USGS) 기준 이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Mw8.1,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최대진도는 VIII이며 인도네시아 기상청 기준 모멘트 규모는 Mw8.2,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최대진도는 IX이다. 지진으로 관측된 쓰나미는 최대 7.7 m 높이에 달했다. 지진으로 총 108명이 사망, 423명이 부상을 입었고 58명이 실종되었다. 주택 5,043채가 파손되거나 파괴되어 1만 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코림 한 마을에서만 주택 187채가 붕괴되었다. 지진 이후 여러 국가와 국제단체가 구호와 지원을 제공했다. = = 지질학적 환경 = = 뉴기니섬은 태평양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이 충돌하고 비스듬하게 수렴하면서 만들어진 여러 소판으로 둘러싸인 매우 복잡한 지구론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북쪽에는 캐롤라인판과 북비스마르크판이 뉴기니 해구를 따라 새머리판과 우들라크판 아래로 섭입한다. 지진은 뉴기니 해구의 중앙 부분에서 발생했다. 뉴기니섬 서부는 각각 북쪽과 남쪽에 필리핀 해구의 연장선상을 따라 이어진 섭입대와 새머리판과 반다해판의 섭입대 2개 섭입대가 있다. 뉴기니섬 서중부에 있는 마오케판은 여러 판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뉴기니섬의 가장 동쪽 부분에서는 남비스마르크판이 우들라크판과 상호작용하고 솔로몬해판이 우들라크판 아래로 섭입한다. 뉴기니섬 지역에서 가장 긴 판의 경계는 우들라크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 사이 경계이다. 통상적으로 1996년 지진 이전까진 거의 지진이 나지 않는 곳으로 평가받았으나 1914년 뉴기니섬의 지진이 이번 1996년 지진의 진원과 거의 비슷하다는 연구가 있다. = = 지진 = = 지진의 발진기구해는 섭입대의 단층과 일치하는 낮은 각도의 역단층인 충상단층의 형태를 보인다. 파열된 섭입대의 길이는 뉴기니 해구를 따라 약 230 km, 폭 약 100 km의 영역이 평균 4 m 미끄러졌다. 진원에서 시작된 단층 파열은 서쪽으로 약 180 km 이어져서 파열되다 15초 후에는 진원에서 동쪽으로 50 km 길이 영역까지도 파열되었다. 가장 크게 미끄러진 지역은 진원 인근으로 최대 미끄러짐 길이는 약 12 m이다. 지진 이후 다양한 종류의 큰 여진이 발생했다. 이 중 대부분은 본진의 영향으로 주변 단층 구조에서 발생한 유발지진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여진은 본진으로 크게 단층이 어긋난 지점에서 발생했다. = = 지진해일 = = 각지의 쓰나미 관측 높이 위치 기록된 높이 (m) 일본 시오노곶 0.96 일본 지치지마섬 1.03 일본 다테야마시 0.90 미국 셰마섬 0.35 미국 에이덱 0.10 캐나다 포트앨버니 0.37 캐나다 윈터하버 0.15 미국 크레센트시티 0.18 미국 샌타모니카 0.05 비악섬 서해안의 마을인 마도리에서는 최대 7.7 m 높이의 쓰나미가, 비악섬 북부의 코렘에서는 최대 5.4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또한 야펜섬, 파다이오제도, 파이섬 등 진원 인근 섬에도 큰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며 평균 4-5 m의 높이가 관측되었다. 흔들림이 발생한 지 대략 5분 후 인근 주민들은 비행기가 날라다니는 소리 같은 매우 큰 소리를 들었고 이를 큰 파도가 닥쳐온다는 신호로 이해했다. 이후 해안가 주민들은 높은 지대로 피난갔다. 이 덕분에 많은 주민들이 쓰나미로부터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지진의 규모와 그 진원에 비해 발생한 쓰나미의 높이는 매우 높았다. 비악섬 서부에 매우 높은 쓰나미가 발생한 이유로 국지적인 해저 산사태가 거론된다. 이는 비악섬 서해안이 쓰나미가 일어난 진원지 반대편인데도 불구하고 가장 먼저 쓰나미의 타격을 입었다는 이유도 잘 설명한다. 또한 쓰나미의 피해 상황이 전통적인 얕은 해역의 단층파괴로 인한 쓰나미 형성과는 많이 달라 마도리 인근 지역의 해저 산사태 이론으로 쓰나미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최대로 융기한 지역에서 여러 건의 산사태도 보고되었다.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기상청이 본진 발생 이후 17일 오후 6시 30분(한국 시각 기준)에 제주도 연안과 남해안 전역에 지진해일주의보를 발령했으며, 해일 도달 시간은 오후 8시경이라고 추정했다. 이후 대한민국에서 10-20 cm 정도의 낮은 높이의 지진해일이 관측되었으며 당일 오후 9시에 모든 지진해일주의보를 해제했다. = = = 일본 = = = NHK 종합 텔레비전은 홋카이도 도요하마 터널 암반붕괴사고 관련 특집보도를 하던 17시 30분(JST 기준) 쓰나미주의보를 발령했고 20시 15분에 지치지마섬에서 103 c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약 1시간 후인 21시 25분에는 홋카이도에서 혼슈, 시코쿠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과 쿠릴 열도,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아와지섬 전 해안, 도쿄만, 오사카만 연안(오사카부 및 효고현 남부 해안)에 쓰나미경보가, 이키섬, 쓰시마섬, 고토 열도를 포함한 규슈 전역과 야마구치현 해안, 난세이 제도 전 해안에 쓰나미주의보가 발령되었다.일본 열도에서 야마구치현 동쪽의 동해 연안, 세토 내해 연안, 쓰가루 해협 연안을 제외한 전 해안선에 쓰나미주의보 이상이 발령되면서 NHK는 특별보도 이외에 긴급경보방송도 내보냈다. 일본의 민영 방송에서도 광범위한 지역에 쓰나미경보가 발령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여러 방송국에 특별보도를 내보냈다. 이 지진으로 일본 본토에서는 와카야마현에서 최대 90 c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일본에서 큰 피해는 없었다. = = 반응 = = = = = 국내의 구호 작전 = = = 지진 발생 직후 인도네시아 정부는 피해 이재민들에게 쌀을 지원했다. 이후 정부, 군, 적십자사가 이재민을 대피시키고 구호품을 배분하며 주민 1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부엌을 건설했다. 악천후와 높은 파도로 배로 구호품을 전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운송에 여러 지장이 있었다. 여러 정부부처와 국가물류관리국이 참여한 지원팀은 텐트 36동, 담요 5,300장, 의약품 500 kg, 구급차, 물펌프, 물통, 물, 의류, 식량, 등유 램프, 플리스틱 시트 등을 공수했다. 인도네시아 사회부는 나중에 미화 15,486달러어치의 식량, 쌀 34톤과 기타 즉시 사용한 구호품을 전달했다. 인도네시아 국민은 미화 74,588달러와 식료품, 여러 건축자재를 기부했다. 인도네시아 퍼스트 레이디는 미화 63,998 달러와 의류 8천벌을 기부했다. = = = 국제적인 지원 = = = 유엔 개발 계획(UNDP)은 담요, 플라스틱 시트, 식량 구입을 위해 25,000달러를 지원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긴급 구호 물품 구입과 구조 활동의 헬리콥터 파견을 위한 55,555달러를 기부했다. 일본 정부는 피해 추산과 구호 활동 지원을 위한 3명의 전문가와 84,000달러를 지원했다. 또한 텐트, 물탱크, 발전기, 목공세트, 의료장비 공수를 위해 192,000달러를 추가로 제공했으며 지역 주민 구호품 구입을 위한 추가 지원금 200,000달러도 원조했다. 또한 야마가타현 정부는 미화 9,346달러를 지원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주택(플라스틱 시트, 텐트, 담요) 구비를 위한 265,486달러와 구호품 배급을 위한 1만달러, 2명으로 구성된 피해조사팀을 파견했다. 아시아 의사협회(AMDA)도 부상자 치료를 돕기 위해 물품과 도구를 갖춘 의사 3명을 피해지로 파견했다. = 분류:386년 사망 = = 분류:매체별 애니메이션 = = 2003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제5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2003년 4월에 개최된 영화제이다. 서울 대학로일대 동숭아트센터, 하이퍼텍 나다, 동덕여대 공연예술센터 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최우수상 = = = Oh! 뷰리풀 라이프 - 김인숙 수상 = = = 우수상 = = = 할머니의 노래 - 리 징후이 수상 발 만져주는 여자 - 이도 수상 = = = 관객상 = = = 천국의 비밀 - 선 고 수상 다큐멘터리 옥랑문화 수상작 엄마··· - 류미례 수상 = = = 여성신문상 = = = 거북이 시스터즈 - 여성영상집단 움 수상 = = = 박남옥 영화상 = = = 미소 - 박경희 수상 = = = 새로운 물결 = = = 밀애 - 변영주 축복 - 레이첼 더글라스 캐롤라이나 - 마를렌 고리스 달의 표정들 - 기타 쉬프터 베를린의 여걸들 - 바바라 투펄 가솔린 - 모니카 스탬브리니 질투는 나의 힘 - 박찬옥 애정성시 - 야우 칭 삶의 색 - 패트리시아 플라트너 결혼의 방식 - 캐서린 마틴 네이키드 - 도리스 도리 조각하늘 - 베네딕트 리에나르 레지나! - 마리아 시거다도티어 문지르고 당기고 - 류수경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 2년 후 - 아녜스 바르다 도시의 허울 아래서 - 락샨 바니 에테마드 비너스 보이즈 - 가브리엘 바우어 불길한 예언 - 타냐 띠나히에로 레자 D.E.B.S. - 안젤라 로빈슨 게트루디스 블루스 - 파트리샤 까리죠 까레라 랑데부 - 마리에뜨 몽삐에르 백일몽 - 아소세나 데 라 포엔테 오르기 - 박은영 해적들의 연인 - 소피아 피터피 나의 이야기 - 유민지 믿음의 엽서 - 레슬리 아담스 연분 - 이애림 씽 씽 씽 - 로즈위타 멘첼 전설의 여성무법자 - 셀리아 갈란 홀베 비너스 - 신강이 외3명 사랑의 묘약 - 가엘 데니스 물고기는 잠들지 않는다 - 가엘 데니스 벌에 대한 다큐멘터리 - 리앤 에릭슨 제이크와 놀다 - 리앤 에릭슨 개 / 도그 - 수지 템플리턴 내 안에는 - 수지 템플리턴 = 종이비행기 (2018년 영화) = "종이비행기"는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연예인 및 연예인 지망생을 스폰서에게 성 상납하는 비리를 다룬 고발성 영화로 '장자연 사건'을 모티브로 하였다. = = 캐스팅 = = 주가을 : 혜원 역 예슬비 : 세빈 역 송보배 : 은슬 역 윤은지 : 사라 역 민준호 : 계 실장 역 위명우 : 장 사장 역 조현진 : 은 실장 역 한솔 : 수현 역 최라윤 : 하선생 역 김린 : 으뜸 역 김지윤 : 점례 역 정해솔 : 유진 역 신하은 : 영자 역 유세빈 : 샛별 역 윤아진 : 아진 역 윤상이 : 황비 역 윤소담 : 봉선 역 김소희 : 소희 역 윤지혜 : 담임 역 이명진 : 명진 역 이슬 : 정원 역 민지환 최재원 김순영 박경준 김예린 = 분류:품질별 공룡 문서 = = 에드워드 프랭클랜드 = 에드워드 프랭클랜드 경(Sir Edward Frankland, KCB, FRS, 1825년 1월 18일~1899년 8월 9일)은 영국의 화학자이다. 1863년 왕립 연구소 교수가 되었다. 노먼 로키어와 함께 원자가 이론을 내놓았으며, 1868년에는 태양 대기중에 헬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공중위생 전문가이기도 하였다. = = 서훈 = = 1897년 바스 훈장 2등급(KCB, 작위급 훈장) = 분류:11세기 폐지 = = 세르게이 테튜힌 = 세르게이 유리예비치 테튜힌(, 1975년 11월 23일~)은 러시아의 배구 선수이다. 러시아 대표팀의 일원으로 올림픽에 6회 참가하여 금메달 1개(2012), 은메달 1개(2000), 동메달 2개(2004, 2008) 등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올림픽 배구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 = 개인사 = = 아들인 파벨도 러시아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뛰고 있는 배구 선수이다. = 틀:User el-3 = = 도모토 츠요시 = 도모토 쓰요시(, 1979년 4월 10일 ~ )는 일본의 가수, 배우이며, 남성 아이돌 듀오 KinKi Kids의 멤버이다. 나라현 출신. 쟈니즈 사무소 소속. 같은 그룹의 멤버 인 도모토 코이치 혈연 관계는 없다. = = 내력 = = = = = 성장 = = = 1979년 4월 10일, 나라 현 나라시에서 도모토가(家)의 장남으로서 탄생. 6살 위의 누나가 있다. 〈강한 아이로 자라도록〉이라고 하는 마음을 담아, 아버지가 〈쯔요시(剛)〉라는 이름을 지어주셨다. 1983년, 사이다이지 유치원에 입원. 1986년, 나라 시립 사이다이지키타 초등학교에 입학. 농구부에 들어가, 자택의 마당에 골을 만들어 달라고 해, 매일 연습했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자신이 출연하는 드라마 청의 시대나 어린 시절에서 그 모습을 보이거나, 자신의 관 프로그램인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에서 팀을 만들어 경험자들과 시합을 하기도 했다. = = = 아역 시절 = = = 초등학교 시절에는 오사카시 키타 구에 있는 지도 극단 극단 아카데미에 입속해, 도모토 나오히로(堂本 直宏)라는 예명으로, 아역으로서 무대·드라마·CM 등에 출연했다. 키타지마 사부로의 무대에서는 부모와 자식 역할로 공동 출연하거나, 다운타운이 칸사이 로컬 시절에 했던 〈다운타운 이야기〉(마이니치 방송) 등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이 외에도 사무소 입소 전에 〈도모토 나오히로〉로서 코쿠분 타이치 등 일부 쟈니즈 탤런트와 공동 출연한 에피소드도 있다. 참고로 〈나오히로〉라는 예명의 유래는, 누나의 첫사랑의 이름으로부터. 초등학교 5학년으로 아역 활동은 접고, 6학년부터는 학업에 전념한다. = = = 쟈니즈 사무소 입소 = = = 초등학교 6학년 때, 어머니와 누나가 본인 몰래 이력서를 쟈니즈 사무소에 보낸 것이 계기로, 히카루GENJI의 콘서트에 초대된다. 당시에는 농구에 몰두해 중학 수험도 치렀기 때문에, 사무소에 들어갈 생각은 없고 거절할 예정이었지만, 1991년 5월 5일, 〈거절하기로 해도 자신의 입으로 말하세요〉라고 들어 어머니와 함께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콘서트를 감상하고, 도모토 코이치와 만난다. 그리고 코이치와 함께, 사무소 입소를 정한다. 1992년, 나라 시립 헤이죠 중학교에 입학. 고향인 나라에서 중학교에 다니며, 일이 있을 때마다 신칸센으로 나라와 도쿄를 왕복했다. 중학교 2학년 10월, 14세의 나이에 상경. 상경 후에는 사무소의 합숙소에 살며, 오카다 준이치와 같은 방에서 생활한 적도 있다. 1993년 4월 4일, ABC TV KISS 했어? SMAP에서 처음으로 〈Kinki Kids〉란 그룹명을 발표. 그 후의 KinKi Kids로서의 활동에 대해서는 킨키 키즈#경력을 참조. 1994년에 출연한 인간·실격~만약 내가 죽는다면~, 1995년부터 1997년에 출연한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 시리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 솔로로 엔딩 테마 〈혼자가 아니야〉도 담당했다KinKi Kids의 1st 앨범 A album에 수록되어, 이 시점에서 솔로 데뷔는 아니었다.. 2000년 여름, KinKi Kids 편집의 단행본 도모토 모드의 취재로 건강 진단을 받았을 때, 긴 시간동안 B형이라고 공언했던 혈액형이 실은 AB형이었던 것을 발견. 2002년 5월 29일, 싱글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으로 도모토 쯔요시 명의로 솔로 데뷔. 2005년에는, TOKIO의 코쿠분 타이치와 함께 기간 한정 유닛 〈토라지·하이지〉로도 활동. 2006년 10월 19일, 첫 솔로 사진집 〈솔직히 I LOVE YOU〉를 발매. 2008년 4월 20일, 나라 시 관광 특별 대사에 취임도모토 쯔요시 씨를 특별 대사에 위촉 나라 시민다요리 2008년 6월호 (No.1051). = = = 돌발성 난청 = = = 2017년 6월 19일 드라마 <우리들의 용기 미만시티 2017>촬영 중 "왼쪽 귀를 시작으로 오른쪽 귀까지 들리지 않는"등의 증세가 나타나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같은 달 27일 신중을 기해서 입원하였다. 같은 달 28일 생방송 <테레토 음악제 2017>과 7월 1일 생방송 의 출연을 보류하였다. 7월 4일에 퇴원하고 통원 치료. 7월 15일과 16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데뷔 20주년 행사 의 라이브 현장 출연은 단념하였지만, 도쿄 도내에서 생중계 연결을 통한 영상 출연으로 노래를 선 보였다. 7월 20일 문화 방송의 특집 에는 예정대로 생방송으로 출연을 하였다. 다음 날 21일 에 퇴원 이후 처음으로 텔레비전 생방송 출연을 하였다. 과 <이나즈마 록 페스피벌 2017 (9월 17일 시가)>의 출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라이브를 실시할 정도로 회복에 이르지 못했다는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라 출연을 보류하였다. 9월 1일~3일 교토 <헤이안 신궁>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솔로 공연도 중지되었다. 그리고 10월 29일 <테레비 아사히 드림 페스티벌 2017>에서 음악 활동을 재개. 5월 31일 녹화한 음악 프로그램 이후 151일 만에 KinKi Kids 두 사람이 무대에 함께 올랐다. 2018년 6월 7일 2년 만의 솔로 라이브 NHK홀 라이브에서 2017년 12월에 의학적 치료를 마친 후에는 침 치료로 전환하였으며, 어느 정도 증상은 회복되고 있지만 완치는 어렵다고 생각된다는 등의 현상을 보고하였다. = = 인물 = = = = = 성격·특징 = = = 10대 때는 주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자신을 눌러 나타내지 않는 점도 많았지만, 〈연예인이라기보다, 한 남성으로서, 한 인간으로서 생활해 가고 싶다〉, 〈거짓말을 하지 않고, 팬에게도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고 싶다〉라는 생각을 강하게 갖고 있다. 고향인 나라를 각별히 사랑한다. ENDLICHERI☆ENDLICHERI의 앨범명(라이브명)이 〈Neo Africa Rainbow Ax〉로 세로반전이 되어 있거나, 2008년, 나라 100년 회관(나라 현 나라 시)에서 라이브를 행한 것을 시작으로 야쿠시지(나라 현 나라 시)나 국영 아스카 역사 공원(나라 현 타카이치 군 아스카무라)에서도 라이브를 행했다. 또,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나 《도모토 쯔요시의 코코로미》 등 프로그램의 기획에서 가거나, 〈나라는 자신의 원점〉 〈아이가 생긴다면 나라에서 기르고 싶다〉 등, 고향에 관련한 발언도 많다. 일본의 아악에 흥미가 있어, 헤이안 신궁에서 라이브를 행하는 등 절과 신사에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부터, 2013년에는 《세계 불가사의 발견!》에서 일본 서기나 고사기에 쓰인 〈국토 양보 신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춘 회에서 내레이션에도 첫 도전했다. 사랑이라고 하는 말이나 개념에 깊은 생각이 있어, 가족이나 자신의 소중한 사람에게 대하는 사랑, 자신을 향한 사랑을 소중히 해, 음악 등으로 자신도 사랑을 발신해가고 싶다는 주지를, MC나 인터뷰 등에서 자주 말하고 있다. 또, 쟈니즈 사무소의 휴대 사이트 〈Johnny's web〉에서는 〈Love Fighter〉라고 하는 타이틀로 연재하고 있다. 할아버지 품에서 자란 아이였기 때문에, 할아버지가 생전 입원했던 때에는 바쁜 시기여도 짬을 내어 문병을 가, 돌아가신 후에도 매년 나라 현까지 오하카마이리를 하러 가고 있다. 또, 누나와도 사이가 좋아, 6년 연상의 누나는 본인이 말하기를 〈상냥한 사람〉으로, 싸운 적이 없다고 한다. 드라마 수록의 틈에 여배우와 이야기하는 것이 서툴렀지만, 미즈카와 아사미와는 사이가 좋아져 그 후에도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 = = = 취미·기호 = = = 개그(오와라이)를 좋아해, 초등학생 때에는 〈익힌 미즈나 놈(水菜の煮たやつ)〉이라고 하는 개그 콤비를 결성해 개그맨을 목표했던 적도 있다. 만화, 애니메이션을 좋아해, 《비바 BLUES (제33권)》에 등장하게 된 적도 있다(작자인 모리타 마사노리 씨는 《쇼지키 신도이》의 오프닝에 애니메이션용 일러스트를 제공). 그 외에 《드래곤볼》도 좋아해, 《도모토 형제》에서 토리야마 아키라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라디오 등에서 드래곤볼 관련 소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또 잡지에서 〈좋아하는 만화(애니)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라고 대답해, 첫사랑은 마크로스의 헤로인·링 밍메이라고 답했다. 미니어처 닥스훈트를 길렀는데, 이름은 켄시로이다. 잡지의 그라비아 등에도 본인과 함께 가끔 등장하고 있다. 이름은 좋아하는 만화인 《북두의 권》의 주인공으로부터 따왔다. 켄시로는 2015년 4월 11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함께 키우던 다른 애완견 타이슨은 2017년 9월 8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낚시에 빠져, 물고기에도 정통하다. 집에서 열대어·대형어를 시작으로 다양한 물고기를 기르고 있어, 솔로 프로젝트 네임으로도 되어있는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엔드리케리는 40마리 가깝게 기르고 있다. = = = 음악 = = = 일본의 음악에서는 Mr.Children·CHAGE and ASKA·DREAMS COME TRUE·시이나 링고·TUBE를 즐겨 듣는다. Mr.Children이나 TUBU에 대해서는 자신의 프로그램 내에서나 콘서트에서 악곡을 부르는 경우도 많다. 처음으로 산 CD는 ASKA의 〈시작은 언제나 비〉로, 2013년에 첫 커버 앨범 《카바》를 발매한 때에는 악곡을 수록해, 각 잡지나 ASKA와의 대담에서도 추억을 이야기했다. DREAMS COME TRUE는, 쯔요시가 그들의 악곡 〈MARRY ME?〉가 좋다고 한 것으로부터 그 앤서 송으로 〈있지, 힘낼게.〉를 KinKi Kids에 제공받거나, 사적으로도 라이브를 보러 가거나, 3명이서 만나거나 하는 등 교류가 깊다. 《도모토 쯔요시의 쇼지키 신도이》에서는 3명이서 게릴라적인 스트리트 라이브를 행했다. 서양 음악에서는 블랙 뮤직을 즐겨 들어, 특히 펑크에 관해 깊은 생각이 있다. 특히 지미 헨드릭스와 슬라이&더 패밀리 스톤을 좋아한다. 《LOVE LOVE 사랑해》에서 공동 출연해 기타를 배운 요시다 타쿠로 외, 《도모토 형제》에서 공동 출연한 THE STREET SLIDERS의 츠치야 코헤이에게도 적극적으로 펑키 기타를 배워,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권받아 자신의 음악 폭을 넓혔다. J-FRIENDS 명의로 활동했을 때, 마이클 잭슨에게 전화로 직접 가창 지도를 받은 적이 있다. 이마이 츠바사, 니노미야 카즈나리, 오카다 준이치, KAT-TUN 등, 후배에게도 곡을 제공하고 있다. 솔로 데뷔 싱글에 수록되어있는 〈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이나 〈당신〉, 〈사랑 덩어리〉 등 여성 가사로 발표한 작품도 많다. 솔로 음악 활동에 대해서는 〈솔로 프로젝트〉를 참조. = = = 패션·디자인 = = = 2004년도의 베스트 지니스트에 선택되었다. 2005년, 여성지 《SEDA》에서 처음으로 남성 탤런트 중 기용되어, 여성 모델·카에데와 2숏으로 표지를 장식한다. 또, 2005년 9월호부터 2011년 12월호까지 연재 〈쯔요코레 TSUYOSHI COLLECTION〉을 게재하고 있던 여성 패션 잡지 《PS》 주최의 〈PS Premium Live 2009 Happy7〉(2009년 10월 5일, Zepp Tokyo)에서는 시크릿 게스트로서 참가했다. 옷의 색으로 좋아하는 건 보라, 초록, 핑크(특히 쇼킹 핑크 등 채도가 높은 것). 또, 바깥에 나갈 때에 변장 등은 하지 않지만, 반대로 사람들이 그다지 말을 걸지 않는다고 한다. 여성보다 남성이 말을 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잡지 인터뷰나 라이브 MC, 음악 프로그램 등). 아디다스를 좋아해, 평소에도 동 브랜드의 옷이나 소품을 착용하고 있어, 2010년 2월부터는 〈adidas Originals〉의 〈BE Originals 캠페인〉 이미지 캐릭터로 발탁되었다. 옷을 고를 때에는 레이디스, 멘즈에 구애받지 않고 골라, 늘 오리지널리티를 원해, 입고싶은 것을 입는다. 그것이 가끔은 남들에게 기발하다고 듣거나 〈이미지가 나쁘다〉라고 사무소로부터 혼난 적도 있지만, 〈인생은 한 번뿐〉이라며 자신의 스타일을 계속 일관해온 결과, 누구도 입지 않을듯한 화려한 옷이나 이상한 아이템도 〈쯔요시스럽네〉라고 들을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시나 일러스트를 그리거나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아, 잡지 연재에도 자주 게재된다. 2013년, 나카가와 겐 시장에게 의뢰받아 나라 시의 모자 건강 수첩의 디자인을 무상으로 만들었다.. 2016년부터,《ATSUSHI NAKASHIMA (아츠시 나카시마)》콜렉션 쇼의 음악을 담당하고 있다. 2016년 9월 23일 「2017년 S/S 밀라노 콜렉션」 2017년 2월 23일 「2017년 A/W 밀라노 콜렉션」 2017년 9월 20일 「2018년 S/S 밀라노 콜렉션」 2018년 2월 26일 「2018년 A/W 밀라노 콜렉션」- 음악 이외〈ENDRECHERI〉와 콜라보레이션 한 의상 아이템도 발의 = = 솔로 프로젝트 = = TBS 계열 텔레비전 드라마 꿈의 캘리포니아의 주제가 〈거리〉가 반향을 일으켜, 2002년 4월 26일, 도모토 쯔요시 솔로 명의로 CD가 발매되는 것이 발표되어, 솔로 데뷔가 결정되었다. 동시에 7월부터 첫 솔로 투어를 행하는 것도 발표되었다. 2002년 5월 29일에 양 A면 싱글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이 발매. KinKi Kids의 앨범에도 솔로로 자작곡을 수록했었지만, 솔로로의 싱글 발매는 이것이 처음이다. 또, 쟈니즈 사무소 소속 탤런트가 자작곡으로 데뷔하는 것도 처음이다. 2005년 12월, 프로젝트 ENDLICHERI☆ENDLICHERI를 EDWIN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시동했다. 동시에 2002년, 2004년의 솔로 활동에서는 구별되어있지 않았던 KinKi Kids로의 활동과 솔로로의 음악 활동을 분리. 본인의 의향에 의해, KinKi Kids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악곡을 일절 틀지 않고, KinKi Kids 공식 사이트나 팬클럽 회보지 등에의 활동 게재를 하지 않는다. KinKi Kids의 회보 no.60 지상에, 〈ENDLICHERI☆ENDLICHERI로서의 활동은 다른 매체로 알리고 싶다〉라고 본인이 희망한 것이 스태프의 코멘트에 의해 밝혀져, 예정되어있던 라이브 레포트의 게재가 보류되었다. KinKi Kids 명의로 나가고 있는 잡지(아이돌 잡지 등)에서는 화제를 꺼내지 않는다, 레코드 회사나 콘서트 사무국을 사실상 분사 취급으로 하는 등, KinKi Kids 명의의 활동과는 완전히 분리된 활동을 하고 있다. 프로젝트 네임을 붙일 때, 본인은 〈도모토 쯔요시(堂本剛)라는 이름이라면, 분명히 도모토 쯔요시=KinKi Kids라는 아이돌로서의 이미지가 붙어버려, 아무리 음악에 힘을 주고 작품을 만들어도 대중은 그렇게 받아들여주지 않는 것이 많기 때문에, 그 이미지를 떼어내고 싶어서 다른 이름을 지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2011년 10월, 앨범 Nippon으로 구주 데뷔. KinKi Kids보다도 빠른 해외 데뷔가 되었다. = = 음반 작품 = = ※ 프로젝트명과 명의 로 표기. = = = 싱글 = = = 발매일 타이틀 명의 프로젝트명 품번 비고 1 2002년 5월 29일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 도모토 쯔요시 【초회반(CD)】JECN-0027【통상반(CD)】JECN-0028 양 A면 싱글 2 2004년 6월 9일 WAVER 도모토 쯔요시 【초회반(CD)】JECN-0047【통상반(CD)】JECN-0048 3곡 A면 싱글 3 2006년 2월 1일 소메이요시노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N-0086【통상반(CD)】JECN-0087 4 2006년 6월 28일 The Rainbow Star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DVD)】JECN-0098/99【통상반(CD)】JECN-0100 5 2007년 2월 7일 하늘이 우니까 E☆E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R-0001【통상반(CD)】JECR-0002 6 2008년 4월 2일 Kurikaesu 봄 244ENDLI-x E☆E 【완전초회한정반(CD)】JECR-0006【통상반(CD)】JECR-0007 7 2009년 4월 10일 하늘 ~아름다운 나의 하늘 쯔요시 비 가 쿠 【통상반(CD)】JECR-0013 8 2009년 9월 9일 RAIN 도모토 쯔요시 【초회반(CD)】JECR-0016【통상반(CD)】JECR-0017 9 2011년 4월 6일 인연을 맺으며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초회한정반A(CD+DVD)】JECR-0018/19【초회한정반B(CD+DVD)】JECR-0020/21【통상반(CD)】JECR-0022 10 2011년 9월 7일 Niji의 노래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초회반A(CD)】JECR-0023【초회반B(CD+DVD)】JECR-0024/25【통상반(CD)】JECR-0026 11 2013년 9월 11일 깜빡임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38/39【초회반B(CD+DVD)】JECR-0040/41【초회반C(CD)】JECR-0042【통상반(CD)】JECR-0043 12 2014년 11월 23일 PANTIES를 내고 싶어 어떻게 해서라도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꽃 팬티】JECT-0019【거품 팬티】JECT-0020 CD 부착 속옷이라고 하는 형식으로 한정 발매 13 2018년 8월 22일 ENDRECHERI ENDRECHERI 【초회반A(CD+DVD)】JECR-0062/63【초회반B(CD+DVD)】JECR-0064/65【통상반(CD)】JECR-0066 dTV 오리지널 드라마 은혼2 주제가 = = = 앨범 = = = 발매일 타이틀 명의 프로젝트명 품번 비고 1 2002년 8월 7일 ROSSO E AZZURRO 도모토 쯔요시 【통상반(CD)】JECN-0030 2 2004년 8월 18일 [síː] 도모토 쯔요시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N-0053/54【통상반】JECN-0055 3 2006년 3월 1일 Coward E☆E E☆E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N-0092/93【통상반】JECN-0094 4 2007년 4월 11일 Neo Africa Rainbow Ax E☆E E☆E 【완전초회생산반(CD+DVD)】JECR-0003/04【통상반】JECR-0005 5 2008년 4월 2일 I AND 사랑 244 ENDLI-x E☆E 【초회반A(CD+DVD)】JECR-0008/09【초회반B(CD+LIVE CD)】JECR-0010/11【통상반】JECR-0012 6 2009년 4월 10일 아름다움 나 하늘 - 비 가 쿠 ~ my beautiful sky 쯔요시 비 가 쿠 【완전초회생산반(CD)】JECR-0014【통상반】JECR-0015 7 2012년 4월 11일 shamanippon -힘 의람사-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초회반A(2CD+DVD)】JECR-0027-29【초회반B(2CD+DVD)】JECR-0030-32 【통상반】JECR-0033 【이벤트 한정반】JECR-0034 8 2014년 2월 12일 shamanippon -색 의명생- 도모토 쯔요시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44-45【초회반B(CD+DVD)】JECR-0046-47 【통상반】JECR-0048 9 2015년 5월 20일 TU 도모토 쯔요시 (堂本剛) SHAMANIPPON 【초회반A(CD+DVD)】JECR-0049-50【초회반B(CD+DVD)】JECR-0051-52 【통상반】JECR-0053 9 2015년 9월 2일 TU 도모토 쯔요시 (堂本剛) SHAMANIPPON 【아날로그 레코드】JEJR-0001 10 2018년 5월 2일 ENDRECHERI ENDRECHERI 【초회반A(CD+DVD)】JECR0057【초회반B(CD+DVD)】JECR0059 【통상방】JECR0061 = = = 미니 앨범 = = =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6년 6월 8일 Grateful Rebirth 도모토 쯔요시 【초회반(CD+DVD)】JECR-0054-55【통상반】JECR-0056 = = = 기획 앨범 = = =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1년 10월 21일 Nippon 도모토 쯔요시 GSCD-083 구주 15개국만 발매 = = = 커버 앨범 = = = 발매일 타이틀 명의 품번 비고 1 2013년 5월 8일 카바 도모토 쯔요시 【초회반(CD+DVD)】JECR-0035-36【통상반】JECR-0037 = = 출연 = = = = = 텔레비전 = = = = = = = 드라마 = = = = 우리들의 용기 미만도시 2017 (ぼくらの勇気 未満都市 2017) (2017년 7월 21일, 닛뽄 TV) *아이바 마사키&마츠모토 준 from아라시, 도모토 코이치 from킨키키즈 = = = = 버라이어티 = = = = = = = 영화 = = = = 벤투라군 = 벤투라군 또는 벤투라 카운티(Ventura County)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 수는 823,318명이다. 최대 도시는 옥스나드이며 군청 소재지는 벤투라이다. = 분류:720년대 작품 = = Paris (패리스 힐턴의 음반) = Paris는 2006년 8월 22일에 발매된 패리스 힐턴의 음반이다. 워너 브로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케냐의 인구 = = 틀:김제시의 교통 = = 난쟁이쇠뜸부기류 = 난쟁이쇠뜸부기류(Flufftail)는 두루미목 난쟁이쇠뜸부기속(Sarothrura)에 속하는 작은 조류 분류군이다.Garcia-R., Juan C., Gibb, Gillian C., Trewick, Steve A. (2014) "Deep global evolutionary radiation in birds: diversification and trait evolution in the cosmopolitan bird family Rallid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1, 96-108. 뜸부기와 가깝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7종, 마다가스카르섬에 2종이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난쟁이쇠뜸부기속은 난쟁이쇠뜸부기과(Sarothruridae)의 유일속이다. = = 하위 종 = = S. pulchra S. elegans S. rufa S. lugens S. boehmi S. affinis S. insularis 흰날개쇠뜸부기 (S. ayresi) S. watersi' = 김성은 (1983년) = 김성은(1983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김성은 - 다음 인물 정보 = = 학력 = = 1996년 ~ 1999년 대안여자중학교 (졸업) 1999년 ~ 2002년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2002년 ~ 2010년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졸업) 2013년 ~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유통산업학과 (졸업) = = 경력 = = 2007년 홀트아동복지회 홍보대사 2008년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홍보대사 2011년 홀트아동복지회 홍보대사 2012년 우당탕탕 아이쿠 홍보대사 2017년 서울국제음식영화제 홍보대사 = = 출연 = = = = = 방송 = = = = = = = 드라마 =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1999 MBC 미니 연작 - 봄 1999 KBS2 누룽지 선생과 감자 일곱개 고차순 2000 KBS1 학교 3 신윤미 2002 SBS 별을 쏘다 2003 KBS2 아내 한상호 애인 2003 MBC 남자의 향기 2003 MBC 백조의 호수 신세희 2004 MBC 굿모닝, 공자 김성은 2005 SBS 세잎클로버 김지현 2005 KBS1 바람꽃 신정님 2005 KBS1 별난여자 별난남자 이해인 2007 MBC 고맙습니다 서은희 2007 SBS 강남엄마 따라잡기 한수진 2007 KBS2 KBS 드라마시티 - 수맥을 잡아라 수지 2008 MBC 누구세요? 윤하영 2008 KBS2 돌아온 뚝배기 강혜경 2009 KBS2 2009 전설의 고향 - 금서 현덕 2009 MBC 살맛 납니다 나예주 2011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그 남자가 거기 있다 서준희 2012 SBS 그래도 당신 신나라 2023 JTBC 킹더랜드 방유진 특별출연 = = = = 시트콤 = = = = 2002년 MBC 《뉴 논스톱》 - 399회, 405회 2003년 SBS 《형사》 = = = = 교양 = = = = 2016년 MBC 《닥터고》 2016년 TV조선 《살림 9단의 만물상》 2017년 JTBC 《TV정보쇼 빅픽처》 - MC = = = = 예능 = = = = 2007년 KBS 2TV 《해피선데이 - 불후의 명곡》 - MC 2008년 KBS 2TV 《뮤직뱅크》 - MC (2008.02.15~2008.05.16) 2008년 KBS 2TV 《대결 노래가 좋다》 - MC (2008.11.27~2009.06.11) 2010년 KBS 2TV 《해피버스데이》 2010년 트랜디 《잇 트래블》 2012년 올'리브 《테이스티로드》 - MC 2013년 스토리온 《스토리온 우먼쇼》 - MC 2013년 MBC 《코이카의 꿈》 2014년 스토리온 《미모 원정대》 2016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2016년 MBC 에브리원 《로맨스의 일주일 3》 2016년 올'리브 《옥수동 수제자》 - (특별 출연) 2017년 패션엔 《마마랜드》 - MC 2017년 KBS 2TV 《발레교습소 백조클럽》 2018년 패션엔 《마마랜드 2》 - MC 2018년 TvN 《따로 또 같이》 2021년 SBS 《동상이몽 2 - 너는 내 운명》 = = = 영화 = = = 2006년 《사랑은 쉬지 않는다》 - (특별 출연) 2007년 《마강호텔》 - 박민아 역 2011년 《엑스트라 II: 사기꾼의 역습》 2013년 《마이 리틀 히어로》 - 사회자 역 (특별 출연) 2013년 《밤의 여왕》 - 지은 역 (우정 출연) 2017년 《비정규직 특수요원》 - 은정 역 2018년 《엄마의 공책》 - 수진 역 = = = 광고 = = = 1998년 존슨앤드존슨 클린앤클리어 1998년 라데팡스안경 1998년 팔도 뿌요소다 1998년 새한 에리트베이직 - 위따로 아래따로 편 1999년 새한 에리트베이직 - 잘 빠졌다 편 2000년 크라운베이커리 2002년 기아 2002년 케이티프리텔 001 블루 2003년 오뚜기 1/2 하프 마요 2006년 코오롱 비코그린플러스 - 양약과 생약의 6가지 복합 처방 편 2011년 농심 후루룩 국수 2013년 삼성전자 스마트 카메라 NX 2000 (With 박수진) 2013년 오스터 마이 블렌드 (With 박수진) 2013년 유한킴벌리 그린핑거 촉촉한 자연 보습 2013년 원앤원 원할머니보쌈 (With 박수진) 2014년 롯데리아 T.G.I. 프라이데이 - 스테이크 프로젝트 편 (With 박수진) 2014년 롯데리아 T.G.I. 프라이데이 - 여자들이 사랑하는 스테이크 플레이스 편 (With 박수진) 2014년 롯데리아 T.G.I. 프라이데이 립아이스테이크 - 김성은 편 2014년 델리팜상사 로아커 (With 박수진) 2014년 동서식품 필라델피아 크림치즈 (With 박수진)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5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연기상 별난여자 별난남자 2007 KBS 연예대상 여자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해피선데이 - 불후의 명곡 2009 KBS 연기대상 여자 특집·문학관·단막극상 2009 전설의 고향 - 금서 =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정조국 (1984년 4월 23일 ~ ) 장남 : 정태하 (2011년 8월 20일 ~ ) 딸 : 정윤하 (2017년 5월 30일 ~ ) 차남 : 정재하 (2020년 1월 27일 ~ ) = 분류:싱할라계 왕국 = = 건스타 히어로즈 = 건스타 히어로즈는 트레져가 개발하고 세가에서 발행한 1993년 메가드라이브용 액션 슈팅 게임이다. 북미 지역에서 1993년 9월 9일에 출시되었으며, 하루 뒤인 9월 10일 일본에서 출시되었다. 1995년 일본에서 게임기어 전용 버전이 출시되었다. 2005년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건스타 슈퍼 히어로즈가 발매되었다 2006년 2월 23일 플레이스테이션 2로 건스타 히어로즈:트레져 박스 컬렉션(Gunstar Heroes: Treasure Box Collection)이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닌텐도 Wii 버추얼 콘솔에서도 작동된다. = = 게임플레이 = = 건스타 히어로즈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횡스크롤 액션 슈팅 게임이다. 게임 플레이어가 고를 수 있는 무기는 네 개 속성 중 하나이며, 이 무기들은 두 개의 속성이 하나로 조합되어 총 14가지 종류의 다양한 무기 종류가 탄생하게 된다. 주로 총을 이용한 슈팅이 주요 공격 방법이지만, 근접 격투 공격 기술도 존재한다.(던전 앤 파이터의 거너 레인저와 거의 비슷) 적을 잡고 던지거나 슬라이딩하거나 점프 발차기 등의 기술 등이 존재한다. 무기는 머신건,레이저,에너미 체이서,플레임 샷이다. 다른 게임과는 달리 건스타 히어로즈 주인공들의 체력은 막대 게이지가 아닌 숫자로 표시된다. 보너스 플레이어가 주어지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체력의 수치가 0을 가리키면서 플레이어는 컨티뉴 또는 게임 끝내기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게임의 보스들은 거대한 덩치를 갖고 있으며 여러 개의 스프라이트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움직임과 공격 패턴을 보여 준다. = = 주요 캐릭터 = = 레드, 블루 : 플레이어가 선택 가능한 캐릭터. 쌍둥이 형제. (메가드라이브판에서는 총을 발사하는 타입이 다르다. 레드는 이동하면서 사격이 가능하며 블루는 서있는 상태에서만 사격이 가능하다.) 옐로우 : 다음 스테이지에 대해 간단한 브리핑을 해 준다. 게임 중반 이후에는 그레이 장군에게 납치되기도 한다. 브라운 박사 : 그는 과거에 골든 실버를 봉인했으나 힘이 약해진 지금 그 임무를 레드와 블루에게 일임했다. 보스 핑크 : 건스타 일행을 막기 위해 고용된 바운티 헌터. 카인과 코타로와 함께 움직인다. 오렌지 : 거대 군함의 함장. 1대 1 승부를 즐기며, 뛰어난 힘과 기술을 갖고 있다. 블랙 박사 : 도박 중독자. 자신의 기지에서 레드와 블루를 기다리며, 마지막에 자신이 만든 병기로 주인공들과 싸운다. 그린 : 제국군에 의해 세뇌되어 골든 실버를 깨우기 위한 보석들을 모으고 있다. '세븐 포스'로 불리는 병기를 조종하며, 이 병기는 7개의 다른 형태로 변신이 가능하다. 옐로우의 오빠이다. 스매시 다이사쿠 : 골든 실버를 깨우기 위해 보석을 모으고 있는 악당. 제국군 서열 2위로, 게임 내에서 여러 번 등장하며 주인공들과 싸우기도 한다. 그레이 장군 : 제국의 수장. 골든 실버 : 1천 년 전 건조된 로봇. 우주를 누비면서 행성의 에너지를 빨아들이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 분류:2008년 파키스탄 = = 스톡홀름, 펜실베이니아 = 스톡홀름, 펜실베이니아는 2015년에 공개된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니콜 백위드의 감독 데뷔작으로 각본도 함께 썼다. 2015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 되었다. 각본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2012 Nicholl Fellowship을 수여 받았다. 이야기는 2015년 3월 26일 라이프타임에 인수 되었으며 2015년 5월 2일에 TV에서 초연 되었다. = = 출연진 = = 시얼샤 로넌 - 레이아 다르곤 역 하나 헤이즈 - 어린 레이아(12세) 신시아 닉슨 - 마시 다르곤 역 데이빗 워쇼프스키 - 글렌 다르곤 역 제이슨 아이삭스 - 벤 맥케이 역 로절린드 차오 - 앤드류 박사 역 = 충청남도 119광역기동단 = 충청남도 119광역기동단(忠淸南道 119廣域機動團)는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를 관할하는 충청남도 소방본부 산하의 특수구조단이다. 기동단장은 지방소방정으로 보한다. = = 조직 = = 재난대책팀 구급팀 구조팀 기동1·2·3팀 = = 항공장비 = = 자체 식별번호는 CN(Chungnam)을 사용한다. = = = 운용중 = = = AW139 1기 (HL9611): 2015년 도입 = = = 퇴역 = = = W-3A 1기 (HL9449): 2000년 배치, 2011년 서산시 해미면 산수저수지에 추락. = = 사건사고 = = 2011년 3월 19일 6시 48분경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저수지에서 한서대학교 뒷산의 산불진화를 위해 물을 담던 도중 추락해 탑승정비사가 사망하였다.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보고서 = 분류:1872년 자연재해 = = 데이다메이아 = 그리스 신화에서 데이다메이아(Deidamia, , 고대 그리스어: Δηϊδάμεια Deïdameia)는 리코메데스 왕의 딸로서 시로스의 공주였다.Dictys Cretensis, 4.15 = = 신화 = = 데이다메이아는 리코메데스 왕의 일곱 딸 중 한 명으로 아킬레우스가 그곳에 숨겨져 있었다.Statius, Achilleid 296 이 이야기의 일부 버전에서는 아킬레우스가 왕의 딸 중 하나로 리코메데스의 궁정에 숨겨져 있었다고 말하며, 일부는 "피라"라는 이름으로 기다리던 여성이라고 말한다.Hyginus, Fabulae 96Bion of Smyrna, Poems 2 아킬레우스와 데이다미아는 8살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둘은 곧 친밀감에 이를 정도로 낭만적인 관계가 되었다. 아킬레우스는 그녀를 강간했지만, 그녀는 그를 용서했고, 임신했다.Statius, Achilleid 640 오디세우스가 리코메데스의 궁전에 도착하여 아킬레우스가 남성이었음을 드러낸 후, 아킬레우스는 아내 데이다메이아를 남겨두고 트로이아 전쟁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Apollodorus, 3.13.8Epic Cycle Fragments, The Cypria fr. 1 as cited in Proclus, Chrestomathia 1 몇 년 후 데이다메아아는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아버지와 같은 전쟁에 참가하지 말라고 설득했지만, 아버지 아킬레우스가 죽은 후 차기 아리스토스 아카이온(Aristos Achaion)이 되어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녀는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프리아모스가 에피로스로 데려온 그의 노예 헬레노스와 결혼했다.Apollodorus, Epitome 6.13 나중에 네오프톨레모스는 아가멤논의 아들이 미쳐버렸을 때 결국 오레스테스에게 살해당했다.Apollodorus, Epitome 5.11 어떤 기록에서는 아킬레스와 데이다미아 사이에 오네이로이(Ὄνειρος)라는 또 다른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그는 포키스에서 텐트 칠 곳을 놓고 그와 싸우다가 그를 알아보지 못한 오레스테스에게 살해당했다.Ptolemy Hephaestion, New History 3 as cited in Photius, Bibliotheca 190 = 분류:뉴욕 레인저스 = = 분류:아코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 = = 분류:201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 분류:1097년 건축 = = 귀암사 = 귀암사(龜岩祠)는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에 있는, 양성지(1414∼1482)를 기리기 위해 1922년 세운 사당이다.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0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양성지(1414∼1482)를 기리기 위해 1922년 세운 사당이다. 양성지는 조선시대 문신으로서 호는 눌재이다. 대사헌·이조판서 등 여러 벼슬을 지냈고 항상 나라를 위해 현실적인 정책을 연구한 인물이다. 민생을 위해 각 지방에 의료기관 설치를 주장하였고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이 중요함을 강조했으며 과거 시험에 대해서도 현실에 맞도록 바꾸길 요구하였다. 또한 귀암사 사숙을 열어 향토 교육에도 이바지하였다. 귀암사에는 선생의 공적을 적은 눌재 양선생 묘비(廟碑)가 있다. = 오도연 = = = 가공 인물 = = 식샤를 합시다의 등장 인물 식샤를 합시다 2의 등장 인물 = 틀:모질라 = = 분류:나이지리아의 여자 배우 = = 매사추세츠주 = 매사추세츠주는 미국 북동부에 있는 주다. 주도는 보스턴이다. 동쪽으로 대서양과 접하고 북쪽으로 버몬트주와 뉴햄프셔주, 남쪽으로 로드아일랜드주와 코네티컷주, 서쪽으로 뉴욕주와 접한다. 주 이름은 한때 이 지역 동쪽에 살았던 매사추세츠 족(Massachusett tribe) 이름에서 왔다. 어원은 나바호어인 "메싸츄세추"에서 나왔다고 한다. 영국 청교도들이 정착했던 탓에 청교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러나, 아일랜드 이민자가 많으면서 아일랜드 문화가 강한 주 가운데 하나다. 매사추세츠주는 유서 깊은 교육의 고장이다. 1636년 설립된 보스턴 라틴 학교는 미국 최초 고등교육 기관이며, 현재 세계 일류 대학 가운데 하나인 하버드 대학교로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하버드 대학교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과 미셸 오바마 여사를 배출했으며, 세계 최대의 도서관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이 밖에도 최첨단 과학의 산실로 알려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등 명문 대학교가 매사추세츠주에 있다. = = 역사 = = = = = 초기 역사 = = = 고고학 증거에 의하면, 매사추세츠 지역은 수 만 년 이전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초기 유럽인 탐험가들은 1500년 경 알곤킨 족을 만났다. 알곤킨 족은 매사추세트, 노세트, 니프머크, 페나쿡, 포콤터크, 왐파노어그 족을 포함하였다. 1616년과 1617년 유럽인들이 전파한 병으로 말미암아 많은 원주민이 사망했다. 1620년, 유럽인 식민지 주민들이 도착하면서 원주민 인구는 대략 30,000명에서 대략 7,000명으로 줄어들었다. = = = 초기 탐험 = = = 매사추세츠에 처음으로 도달한 첫 유럽인은 1000년 경 도착한 바이킹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중국의 몇몇 어부가 1400년대에 이 지역을 방문했다고 추정한다. 1602년, 잉글랜드의 바솔로뮤 고스놀드는 엘리자베스 제도에 있는 커티헝크 섬에 상륙하였다. 그는 그 지역에 케이프코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1605년과 1606년 프랑스의 사뮈엘 드 샹플랭은 뉴잉글랜드 해안선 지도를 그렸다. 잉글랜드 선장 존 스미스는 1614년 매사추세츠의 해안을 따라 항해하였다. 그의 저서 뉴잉글랜드의 묘사는 정착자들을 해안으로 이끌었다. = = = 필그림스와 플리머스 식민지 = = = 1500년대 청교도로 알려진 잉글랜드 교회의 몇몇 구성원이 교회를 정화하기 위한 개혁에 호의를 품었다. 1500년대 후반 들어서 어떤 청교도인들은 잉글랜드 교회에서 빠져나갔으며, 이들은 분리파로 불렸다. 어떤 분리파는 네덜란드에서 종교적 자유를 찾아 아메리카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뉴잉글랜드 초기 영국인 정착자들은 필그림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1620년 9월 16일, 41명의 분리파들과 영국에서 온 다른 61명의 주민들이 아메리카로 떠난 첫 필그림스 단체가 되었다. 이들은 영국 플리머스에서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항해하였다. 그 해 11월 메이플라워 호는 현재의 프로빈스타운 항구에 닻을 내렸다. 배를 떠나기 전에 필그림스는 "메이플라워 서약"으로 불리는 자치 계획을 작성하였다. 12월에 그들은 케이프코드 만을 가로질러 항해한 후 플리머스에 정착하였다. 필그림스는 아메리카에서 자신들의 첫 겨울 동안에 큰 고생을 겪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냥감보다 적은 식량을 가졌으며, 그들의 집들은 천연 나무껍질로 만든 피난처였다. 1620년~1621년의 겨울 동안에 정착자들의 절반이 사망하였다. 1621년, 초순에 필그림스는 몇몇 인디언들과 친해졌다. 인디언들은 그들에게 어떻게 옥수수와 콩을 심는지 가르쳐 주었다. 다시 추운 날씨가 올 때는 정착자들은 더욱 편안하게 살고 있었다. 그들은 겨울을 나는 데 충분한 식량을 가졌다. 1621년, 필그림스는 첫 뉴잉글랜드 감사의 기도 축제를 벌였다. 이듬해에 더 많은 정착자들이 플리머스 식민지에 왔다. 필그림스가 상륙한 지 20년 안에 플리머스 식민지는 8개의 마을들이 생겨났고, 대략 2,50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 = =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 = = 1628년, 청교도들의 합동 회사는 매사추세츠 만 지역에 정착자들의 단체를 보냈다. 그들은 이미 거기에 설립된 작은 정착지에 가입하였고, 세일럼이라고 불렀다. 1629년, 잉글랜드의 찰스 1세는 회사에 헌장을 수여하였다. 헌장은 회사에 그 지역에 정착과 통치를 하는 데 필요한 더욱 강한 권리를 주었다. 1630년, 영국의 변호사 존 윈스롭은 세일럼으로 대략 1,000명의 청교도들을 이끌고 갔다. 그 해 후반에 그들은 세일럼을 떠나 오늘날의 보스턴의 지역에 정착지를 창립하였다. 식민지는 번창하였다. 1640년을 기준으로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에는 대략 10,000명의 정착자들이 있었다. = = = 다른 식민지들 = = =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는 정치적 자유와 정부의 대표적인 형성을 이루었다. 1641년, 식민지의 첫 법전이 "매사추세츠 자유법령"으로 알려진 문서에 적어두었다. 그러나 청교도들은 식민지에 자신들의 소유를 제외하고 종교에 허락하지 않았다. 어떤 종교적인 단체들은 식민지의 밖으로 제거되고, 다른이들은 자신들의 소유에 남겨졌다. 이 매사추세츠 정착자들은 종교적 자유를 찾기 위한 뉴잉글랜드의 다른 지역들에 식민지를 세우는 도움을 주었다. 그들은 코네티컷(1635년), 로드아일랜드(1636), 뉴햄프셔(1638년)과 메인주(1652년)에 정착지들을 설립하였다. 코네티컷과 로드아일랜드는 곧 독립적 식민지들이 되었다. 뉴햄프셔는 1680년까지 매사추세츠에서 갈라지지 않았다. 메인은 1820년까지 매사추세츠의 일부로 남아있었다. = = = 필립 왕의 전쟁 = = = 왐파노어그 족의 족장 매사소이트는 플리머스 식민지 주민들과 친구로서 지내왔다. 그러나 필립 왕으로 불린 그의 아들 메타콤이 1662년, 족장이 되었다. 그는 백인 정착자들에 위협을 느꼈다. 그는 정착자들이 인디언들을 전멸시키고 그들의 대지들을 몰수할 것이라고 믿었다. 1675년, 메타콤이 이끄는 왐파노어그 족과 플리머스, 매사추세츠 만의 식민지 주민들 사이에 싸움이 시작되었다. "필립 왕의 전쟁"으로 알려진 이 분투에서 백인과 인디언 정착지들이 불타고 양쪽에서 수 백 명의 사람들이 사망하였다. 1676년, 식민지 주민 군에 복무한 한 인디언이 메타콤을 살해하여 뉴잉글랜드 남부에서 전쟁을 끝냈다. 뉴잉글랜드의 북부에서는 1678년까지 싸움이 지속되었다. 이후 매사추세츠의 전역에서 인디언의 위협이 끝났다. = = = 영국과의 분쟁 = = = 매사추세츠가 잉글랜드에 속하였어도 식민지 주민들은 가끔 바다 건너에서 통치에 저항하였다. 잉글랜드는 식민지 주민들이 모국 만과 교역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매사추세츠 식민지 주민들은 동의하지 않고, 다른 나라들과 교역을 하였다. 엄격한 통치의 시도는 일부의 식민지 주민들에 적은 영향을 가졌다. 1684년, 찰스 2세는 매사추세츠 헌장을 취소하였다. 제임스 2세가 1685년, 잉글랜드의 국왕이 되었다. 1686년 그는 "뉴잉글랜드 자치령"이라 불리는 매사추세츠와 다른 식민지들에 정부를 설립하였다. 국왕은 에드먼드 앤드로스 경을 자치령의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제임스 2세는 1688년에 축출되었다. 이듬해 그의 딸 메리와 그녀의 남편 오린지 가의 윌리엄이 잉글랜드의 합동 통치자가 되었다. 매사추세츠의 식민지 주민들이 소식을 듣자, 그들은 앤드로스를 물러나게 하고, 자신들의 일시적 정부를 세웠다. 1691년, 윌리엄과 메리는 매사추세츠에 새 헌장을 인정하였다. 이 헌장은 플리머스 식민지를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와 결합하고, 마더스 빈야드 섬을 추가하였다. 1692년, 윌리엄 핍스 경은 매사추세츠의 첫 왕립 총독이 되었다. 그의 가장 중요한 활동들 중의 하나로, 마녀사냥을 끝냈다. = = = 프렌치 원주민 전쟁 = = = 1689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4개중의 첫 전투가 벌어졌다. 영국의 식민지 주민들은 프랑스 식민지들과 그들에게 협조한 인디언들을 대항하면서 싸웠다. 1689년과 1713년 사이에 매사추세츠의 북부와 서부 경계들에 따라 살던 정착자들은 지속적으로 프랑스와 인디언들의 공격에 대항하였다. 1713년, 영국, 프랑스와 다른 유럽의 나라들은 위트레흐트 조약을 맺었다. 매사추세츠에서 번영의 시기가 시작되었다. 타운들의 다스가 식민지의 중부와 서부 지역들에 튀어올랐다. 그러나 전쟁은 1740년대에 다시 일어나가 시작하였다. 결국 1763년, 영국의 승리와 함께 전쟁이 끝났다. = = = 독립 전쟁 전의 세월들 = = = 식민지 전쟁들은 영국에 빚을 남겼다. 식민지들의 방어를 위한 돈을 내기 위해, 영국군들은 아메리카 식민지들에 엄격한 세금을 부과하였다. 그러나 1765년, 인지 조례가 격심한 항의를 초래했다. "대표 없이 세금을 못 낸다"라는 절규는 식민지를 걸쳐 퍼졌다. 화가 난 반란군들은 부총독의 자택을 파괴하였다. 보스턴에서 영국군들의 존재는 식민지 주민들과 왕실 사이에 갈등을 초래하였다. 1770년, 영국군은 보스턴의 반란을 싸우는 동안에 일부 식민지 주민들을 살해하였다. 이 사건은 보스턴 대학살로 불렸다. 1773년, 화가 난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의 차 세금에 항의하는 보스턴 차 사건을 일으켰다.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 차의 342 상자를 보스턴 항구에 던져버렸다. 영국군은 식민지 주민들을 처벌하기 위한 법안을 연속으로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법안들은 단지 식민지 주민들을 더욱 화나게 하고, 아메리카 식민지를 독립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1775년 4월 18일, 영국군은 콩코드에서 식민지 주민들이 숨긴 화약의 공급을 압수 혹은 파괴하려고 보스턴에서 집합하였다. 폴 레버와 다른 이들은 영국군들이 온다는 것을 자신들의 동료 애국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매사추세츠의 한 지방을 가로질렀다. 다음 날 아침에 렉싱턴에서 미국의 민병들이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 전투를 싸웠다. = = = 미국 독립 전쟁 = = = 미국 독립 전쟁이 매사추세츠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전투의 대부분이 매사추세츠 땅에서 일어났다. 매사추세츠의 군인들은 렉싱턴, 콩코드와 벙키 힐에서 용감하게 싸웠다. 1775년 7월 3일, 조지 워싱턴 장군은 케임브리지에서 대륙군을 지휘하였다. 1776년, 봄에 워싱턴은 보스턴에서 영국군을 몰아내고 전쟁의 첫 승리를 거두었다. 싸움은 거의 매사추세츠 밖으로 나가 뉴욕,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로 들어갔다. 그러나 매사추세츠는 지속적으로 군인과 공급 물자를 보냈다. 바다에서 매사추세츠의 군함들이 영국의 상선에 거대한 손해를 입혔다. 매사추세츠에서 독립 전쟁의 영향은 대부분 농부들에 대한 것이었다. 1783년, 전쟁이 끝난 후, 농산물의 가격이 떨어졌다. 돈은 많은 농부들이 세금 혹은 빚들을 못 내어 세수가 부족해졌다. 자신들의 농장들을 잃고 감옥에 갈 위험에 처한 농부들을 쉴 틈이 없어졌다. 1786년 9월, 대니얼 셰이즈는 스프링필드에 있는 법원의 앞에서 항의를 하고, 화가 난 농부들의 단체를 이끌었다. 셰이즈의 폭동이라고 불린 이 싸움은 1787년 2월 농부들이 항복하면서 끝났다. 매사추세츠의 농부들은 또한 미국 헌법의 찬성에 반대하였다. 1788년 2월 6일, 매사추세츠는 헌법을 찬성하고 6번째 주로서 합중국에 가입하였다. 매사추세츠주는 확실한 수정 헌법이 개인 권리들을 추가하는 조건으로 헌법을 찬성하였다. 미국 헌법에 권리 장전이 1791년 12월 15일 실시되었다. = = = 주 승격 = = = 매사추세츠주는 주로서 그 초기 동안에 번영하였다. 1800년대에 프랑스와 영국이 전쟁을 벌였다. 자신들의 배를 유럽의 바다로 보내려는 미국의 선주들은 거대한 이득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모두 자신들의 항구로 들어오는 외국 배들에 공격을 하려고 했다.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미국의 배에 대한 공격이 미국을 전쟁으로 몰 것이라는 위협을 느꼈다. 1807년, 그는 미국이 다른 나라에 수출하는 것을 멈추고 미국의 배들이 외국의 항구로 항해하는 것을 금지한 봉쇄령을 통과하도록 의회를 설득시켰다. 봉쇄령이 가져온 결과로 인한 어려움과 미영 전쟁은 매사추세츠 주민들에게 새로운 방향의 인생을 강조하였다. 물건들은 수입을 하는 것보다 집에서 만들어야 했다. 1814년, 프랜시스 캐벗 로얼은 월트햄에 섬유 공장을 지었으며, 미국의 첫 공장들 중의 하나였다. 다른 제재소들이 곧 매사추세츠주의 동부에서 운영되었다. 1825년, 뉴욕 주에서 이리 운하의 개통과 함께 곡물들이 서부에서 뉴잉글랜드로 가져올 수 있었다. 매사추세츠주의 농업은 고통을 겪었으며, 농부들은 주를 떠나거나 공장에 일하러 갔다. 1840년대에는 아일랜드 이민자들의 다수가 매사추세츠주로 들어왔다. 공장들을 위한 값이 싼 노동력을 마련하였다. 직업들의 경쟁은 이민들과 주의 본고장 미국인들 사이에 긴장의 원인을 일으켰다. 1860년대 초반까지 포경업이 뉴베드퍼드, 낸터킷과 보스턴에서 번창하였다. 그 산업은 등유가 고래기름을 대신하면서 쇠퇴하였다. 반노예주의 운동은 매사추세츠주에서 넓은 지지를 받았다. 1831년, 보스턴의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반노예주의 신문 해방자를 발간하였다. 1832년, 뉴잉글랜드에서 온 반노예주의자들은 보스턴에서 반노예주의 사회를 형성하였으며, 노예들이 캐나다로 탈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매사추세츠주의 어떤 주민들은 반노예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과격적 책략이라 여기는 것에 반대하였다. 그들은 남부의 경작자들이 매사추세츠주의 섬유 산업을 위한 면화 공급을 깎을 것 같은 위협을 가졌다. 1850년 의회는 노예 주인들과 노예제를 반대한 주민들 사이에 논쟁을 진정시켰다. 이 법령들은 1850년 타협으로 불리었다. 매사추세츠주의 상원 대니얼 웹스터는 합중국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로서 타협을 방어하였다. 그러나 매사추세츠주의 많은 주민들은 동의하지 않았다. 에이브러햄 링컨과 공화당은 1860년 대통령 선거에 주를 날랐다. 남북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에 매사추세츠주는 북부에 강한 지지를 주었다. 주는 125,000명 이상의 남성들을 북군의 육군, 대략 20,000명을 해군에 배치하였다. 매사추세츠주의 조선가들은 많은 북군 군함을 지어 장비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주에서 산업이 확장되었다. 섬유 산업이 번영하고, 가죽과 금속 산업들이 재빠르게 번창하였다. 수 천 명의 이민자들이 산업 노동 수요를 맞추기 위해 주로 쏟아져 들어왔다. 1870년대 동안에 발명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보스턴에서 전화를 개발하였다. 보스턴과 로드아일랜드 주의 프로비던스 사이의 전화선이 설치되었다. = = = 1900년대 초반 = = = 1900년에 들어서, 인구는 대략 250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대략 30 퍼센트의 이 주민들은 다른 나라들에서 미국에 왔다. 자신들의 다양한 배경과 함께 이 거대한 수의 주민들은 주에 새로운 문제들을 가져왔다. 공동체들은 수자원 공급, 하수 설비, 주택 건설과 경찰 보호 같은 서비스들에 마련돼야 하였다. 산업 근로자들은 임금과 근무 상태와 함께 행복하지 않았다. 1912년, 로런스에서 섬유 파업이 섬유 산업의 열악한 근무 상태로 전국적으로 주목을 이끌었다. 파업에 따라 개선이 이어졌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매사추세츠주의 양키(제26) 사단이 프랑스의 전투지에 도달한 첫 주방위군 사단이 되었다. 전쟁 중에 주에서 값이 오르고 근로자들은 생활비의 증가를 맞추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하였다. 보스턴 경찰의 대략 4분의 3이 파업에 들어갔다. 캘빈 쿨리지 주지사는 보스턴으로 주방위군을 보내면서 파업을 끝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쿨리지는 그의 활동 덕분에 국가적으로 넓은 명성을 얻었고, 1920년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년 후에 쿨리지는 워런 G. 하딩 대통령의 사망에 이어 대통령이 되었다. 하딩의 기간을 채운 후에 쿨리지는 1924년, 전임적인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20년대에 매사추세츠주의 경제는 주의 남부와 서부에 있는 섬유와 구두 산업들의 경쟁으로 인해 고통을 겪었다. 그러나 다른 산업들은 지속적으로 번창하였다. 1929년 대공황이 미국에 타격을 주었다. 매사추세츠주는 연방 정부가 국가적으로 넓은 프로그램들을 결성할 때까지 주 자신의 실업 구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 = = 1900년대 중반 = = =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주의 경제는 높이 치솟았다. 매사추세츠주의 공장들과 조선소들은 큰 양의 전쟁 물자를 생산하였다. 구두와 섬유의 제조업을 포함한 많은 전통적 매사추세츠주의 산업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거대하게 쇠퇴하였다. 주의 많은 산업들은 우주와 로케트의 연구 혹은 전자 용품의 생산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수 백 개의 연구 노동들이 많은 대학들의 시설과 인원을 이용하면서 보스턴의 내부와 주위가 발달되었다. 미국 해군은 1959년 퀸시에서 "롱비치"라 불리는 첫 핵표면선을 발포하였다. 많은 다른 주들처럼, 매사추세츠주는 1900년대 중반에 심각한 인종 문제들을 직면하였다. 1957년, 주의 입법부는 공공 주택에서 인종 분리를 금지하였다. 1963년, 새 입법은 사설의 주거지의 대부분에서 물론, 인종 분리를 불법으로 만들었다. 1970년대 중반에 보스턴의 공립 학교들의 연방 법원의 명령에 의하여 인종 차별 대우를 폐지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브루클린의 케네디 주와 국내적 정치에서 세력을 얻게 되었다. 존 F. 케네디는 1961년부터 1963년 암살당할 때까지 미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대통령으로 선출될 때에 그는 미국 상원에서 매사추세츠주를 대표하였다. 그의 동생 로버트 케네디는 1961년부터 1964년까지 법무 장관을 지내다가, 뉴욕주의 상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68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위한 선거 운동 중에 암살당하였다. 막내 동생 에드워드 M. 케네디는 1962년부터 2009년에 사망할 때까지 매사추세츠주의 상원을 지냈다. = = = 1900년대 후반 = = = 1900년대 후반에 다른 주들과 같이 매사추세츠주는 다수의 주민과 산업들이 도시들에서 외곽들로 이주하였다. 매사추세츠주는 군사 연구와 개발을 위한 중심지와 금융, 교육, 보험과 보건에서 주요한 성과를 남겼다. 1990년대 초반에 국내적으로 불경기가 매사추세츠주와 다른 북동부의 주들에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첨단 기술과 관광업 같은 산업들에 번창이 주가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 = 21세기 = = = 2003년, 보스턴에서 도시의 중앙 수로를 대체하기 위해 지하 고속도로가 교통을 위하여 개장되었다. 군중들이 많이 몰리는 중앙 수로를 대체하는 사업이 1991년에 시작되었다. 1950년대에 지어진 중앙 수로가 미국 도시의 중앙에 건설된 첫 고가도로였다. 1900년대 후반에 들어서 증가한 교통을 충족시키지는 못하였다. 중앙 수로/터널 프로젝트는 미국 역사상 가장 비싸고, 가장 복잡하고, 가장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고속도로 프로젝트들 중의 하나였다. 2003년 11월, 매사추세츠주는 동성애 결혼에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 그 달에 주의 대법원은 동성애 부부들이 결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것이 주 헌법의 폭력이었다는 것을 지배하였다. 법원은 주를 위한 최종 기한이 동성의 부부들에 결혼 허가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2004년 4월에 세워졌다. 주지사와 입법자들은 연기를 추구하였으나 법원은 그 최종 기한에 품었다. 동성애 결혼은 그해 5월 17일 매사추세츠주에서 법적이 되었다. 2007년, 민주당원 더발 패트릭이 주의 첫 아프리카계 미국인 지사가 되었다. = = 경제 = = = = = 서비스업 = = = 서비스업은 매사추세츠주의 고용과 국내 총생산 모두의 가장 큰 일부를 차지한다. 이 산업들은 주로 보스턴 지역에서 운영된다. 보스턴은 국가에서 주요 금융의 중심지 중 하나다. 주요 오픈엔드 투자 주식회사인 피델리티 투자 회사가 이 도시에 본부를 두었다. 보스턴은 증권 거래소, 많은 큰 보험 회사와 토지 보유 회사들의 본거지이다. 큰 금융 회사들은 또한 스프링필드와 우스터에 기지를 두었다. 주 정부의 활동들은 보스턴에 기지를 두었다. 도시는 세계에서 주요한 의료 연구의 중심지들 중 하나이다. 사립의 대학과 단과 대학들이 매사추세츠주에서 주요 고용주들이다. 주의 호텔, 식당과 소매상들을 주로 보스턴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이들은 특히 각해마다 주를 방문하는 수천만 명의 관광객들에서 이득을 얻는다. = = = 제조업 = = = 컴퓨터와 전자 제품들은 주의 주요한 제조품들이다. 마이크로칩을 포함한 컴퓨터 장치는 이 산업의 주요 부분이다. 전자 회사들 휼렛 패커드와 인텔은 주에서 제조되고 운영이 연구된다. 보스턴 지역은 컴퓨터를 만드는 많은 공장들이 있다. 또한 통신 용품, 특히 방송 장치와 전화 용품, 탐색과 항해술 장치도 중요하다. 주는 또한 화학품, 합성 금속 제품, 식료품, 기계와 의료적 용품들을 만든다. 약품은 주의 주요한 화학품이다. 합성 금속 제품들은 탄약, 총, 연장 등을 포함한다. 제과류, 낙농품, 생선과 정육은 주요한 식료품들이다. 기계의 타입은 금속 세공품과 컴퓨터 산업을 위한 기계를 포함한다. 매사추세츠주는 의료 용품의 제조업에서 주요한 주이다. = = = 농업 = = = 농장 지대는 매사추세츠주 대지 지역의 대략 10 퍼센트를 뒤덮고 있다. 온실과 종묘장의 산품들은 주의 농장 소득의 주요한 근원이다. 크랜베리는 매사추세츠주에서 가치 있는 농산물 중에 2위에 올랐다. 주는 미국에서 자란 크랜베리의 대략 4분의 1을 생산한다. 크랜베리의 대부분은 케이프코드의 서부에 있는 해안 저지대의 늪에서 자란다. 우유는 매사추세츠주의 주요한 축산물이다. 매사추세츠주의 농부들은 육우를 사육하거나 사과, 달걀, 건초, 감자, 사탕 옥수수와 담배를 생산하기도 한다. = = = 광업 = = = 깨진 돌, 모래과 자갈의 생산은 주의 광업 소득의 대부분을 마련한다. 트랩은 주요한 깨진 돌의 생산물이다. 주의 동부는 모래와 자갈 생산에서 선두적이다. 점토, 화강암과 석회암도 주에서 체굴된다. = = = 수산업 = = = 매사추세츠주는 주요한 상업적 수산업주 중 하나이다. 글루스터와 뉴베드퍼드는 1년의 물고기 잡이에서 주요한 미국의 항구들 중 하나이다. 매사추세츠주에서 주로 잡히는 수산물은 가리비이며, 가재가 그 다음이다. 매사추세츠주는 가리비와 가재 모두의 주요한 생산지이다. 매사추세츠주는 또한 대합조개, 가자미목, 해덕, 청어, 굴과 다랑어 등을 생산하는 주요한 주이다. = = 주민 = = 2000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매사추세츠주의 인구가 6,349,097명이라고 보고하였다. 1990년의 6,016,425명에서 5.5 퍼센트나 증가하였다. 2000년, 조사국에 의하면 매사추세츠주는 50개의 주들 중에 인구에서 13위에 올랐다. 매사추세츠 주민의 거의 모두가 메트로폴리탄 지역들 중 하나에 살고 있다. 이 지역들은 반스테이블 타운, 보스턴-케임브리지-퀸시, 피츠필드, 프로비던스(로드아일랜드)-뉴베드퍼드-워릭(로드아일랜드), 스프링필드와 우스터이다. 보스턴은 주의 가장 큰 도시이자, 매사추세츠주의 주도이다. 매사추세츠주의 다른 대도시들에는 인구 순으로 우스터, 스프링필드, 로얼, 케임브리지, 브록턴과 뉴베드퍼드가 있다. 매사추세츠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대략 88 퍼센트가 미국에서 태어났다. 주의 가장 큰 인구 집단은 아일랜드, 이탈리아, 프랑스와 영국 계통이다. 주 인구의 대략 7 퍼센트는 히스패닉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대략 5 퍼센트, 아시아인들은 대략 4 퍼센트를 차지한다. = 초안:박쥐나방 = = = 분포 =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 = 출현시기 = = 8, 9, 10월 = = 형태적 특징 = = 성충의 몸길이는 34∼45mm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45∼110mm로서 변이가 크다. 이는 유충기의 가해수종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활엽수를 식해한 개체는 크고 초본이나 침엽수를 식해한 개체는 작은 경향이다. 앞날개에 갈색의 모자이크 무늬가 있으며 몸은 가늘며 앞날개의 중실(中室) 아래와 끝에 황백색의 무늬가 있고 아래쪽에는 2/3부근에 담갈색의 사대(斜帶)가 있다. 뒷날개는 암갈색이고 그 뒷면은 회갈색이다. 알의 장경은 1mm 미만이고 둥글며 검은색이다. 유충은 머리와 앞가슴 피부판(皮膚板)이 갈색이고 몸은 유백색이며 마디마다 갈색의 작은 무늬가 산재해 있다. 유충은 자랄수록 앞가슴 피부판이 흑갈색이 된다. = = 피해 정보 = = 어린유충은 초목의 줄기 속을 식해하지만 성장한 후에는 나무로 이동하여 수피와 목질부 표면을 환상(環狀)으로 식해한다. 거미줄을 토하여 벌레 똥과 먹이 찌꺼기로 바깥에 철하므로 혹같이 보인다. 처음에는 줄기 바깥부분을 고리모양으로 식해하지만, 이어 줄기의 중심부로 먹어 들어가며 위와 아래로 갱도(坑道)를 뚫으면서 식해한다. 가해 부위는 바람에 부러지기 쉬우므로 피해가 가중된다. = = 생태 및 생활사 = = 성충 발생은 가해수종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어 1년에 1세대 또는 2년에 1 세대 경과한다. 지표면에서 알로 월동하여 5월에 부화하고 어린유충은 지면의 지피물밑에 서식하면서 잡초의 지제부 표면을 섭식하면서 성장하고 그 후 초목류의 줄기속이나 수목류로 이동하여 줄기나 가지를 먹어 들어간다. 임목의 경우 먹어 들어간 구멍은 줄기 밑 부분에 많으며 가지의 껍질을 고리 모양으로 먹고 똥과 나무가루를 거미줄로 철하여 먹어들어간 구멍 위에 덮어 놓기 때문에 쉽게 발견된다. 이어 가지의 중심부로 먹어 들어가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기간은 2∼4주이고 배에 있는 횡상돌기(橫狀突起)로 갱도 속을 자유로이 이동하며 우화기가 가까워지면 식입공에 번데기의 반정도를 내놓고 우화한다. 8월 하순∼10월 상순에 우화한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하며 날면서 많은 알을 땅에 산란한다. 한 마리의 산란수는 3,000∼8,000개이며 때로는 1만개 이상 되기도 한다. = = 방제 방법 = = 화학적 방제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 가능. 생물적 방제 - 천공성 해충을 쪼아 먹는 각종 조류를 보호한다. - 유충에 기생파리류가 있으나 효과는 미미하다. 경종적 방제 - 어린 유충기에는 초목류를 가해하므로 풀깍기를 철저히 하면 발생 억제에 큰 도움이 된다. 물리적 방제 - 피해목, 고사목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 침입구멍에 철사를 이용하여 유충을 찔러 죽인다. = 분류:G1방송 사람 = = 틀: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 분류:아제르바이잔의 언어학자 = = 중수번뇌심소 =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인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다음의 2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이 중수번뇌심소 그룹을 이룬다. 번뇌성의 이 2가지 마음작용을 중수번뇌(中隨煩惱) 또는 중수혹(中隨惑)이라 한다. 무참(無慚) 무괴(無愧)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서 '중'수번뇌(中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든 불선심(不善心), 즉 악한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 하나 혹은 다수의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그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중(中)'이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모든 불선심(不善心)을 말하고 있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불선심은 염오심의 일부로서, 바른 지혜가 현현(顯現: 명백하게 나타남)하는 것을 장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악한 과보를 일으킬 정도의 심한 번뇌, 즉 심한 번뇌성의 마음작용과 상응하고 있는 상태의 마음을 말한다. '불선심(不善心)과 언제나 함께 일어난다는 것'이란, 달리 말하면,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 속한 무참(無慚)과 무괴(無愧)는 각각 자신과 남에 대해 반성함 또는 수치스러워함이 없는 것인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는 언제나 발견되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 언제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 분류:1992년 철도 교통 = = 유리아 = = = 실존인물 = = 유리아는 2009년 미스코리아 진 김주리의 예명이다. YURIA는 오사카 출신의 여성 가수다. 유리아(1988년 11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다. 유리아는 대한민국의 퓨전 밴드다. 유리아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대표작으로 당신만 몰라!가 있다. 유리아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다. 사토미 유리아: 일본의 성인 비디오 여배우 키자키 유리아: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 전 AKB48 팀B의 캡틴 오바라 유리아: 일본의 여자 축구 선수 요시나가 유리아: 일본의 여자 AV배우 하가 유리아: 일본의 여자 배우 히다카 유리아: 일본의 성인 비디오 여배우, 무대 공연 배우 = = 가공의 인물 = = 유리아 마에하라 시노부의 국내판 이름. = 분류:미평가 중요도 프로레슬링 문서 = = 분류:2007년 텔레비전 시즌 =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04조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04조는 재판장의 처분에 대한 이의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 GWI = GWI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다. 그로모프-위튼 불변량(Gromov–Witten invariant) 저먼윙스(Germanwings) = 음양오행설 =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음양(陰陽)설과 오행(五行)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 = = 원리 = = 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분리된 모든 현상이 음(陰)과 양(陽)의 쌍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아래-위, 낮고-높음, 남자-여자). 이들은 대립적이지만 서로 상보적이다. 음(陰)과 양(陽)이 확장하고 수축함에 따라 우주의 운행이 결정된다는 것이며, 음과 양이 네가지 기운 (생, 노, 병, 사)에 따라 확장-수축 함으로써 다섯가지 오행이 나타난다는 것이 오행설이다. 오행설은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다섯 가지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행함으로써 우주의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 = 구성 = = = = = 음양 = = = 음(陰)이라는 글자는 언덕(丘)과 구름(雲)의 상형(象形)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陽)이라는 글자는 모든 빛의 원천인 하늘을 상징하고 있듯이 음양은 원래 산의 그림자(음)와 햇볕(양)으로 구별되어 집안으로 들어와 마침내 한ㆍ난의 뜻으로 이용되며 기(氣)의 자연철학과 결부되어서 1년 기후의 추이를 지배하는 것으로서 음양의 2기가 고려되었다. 이어서 음양은 기(氣)의 주요한 것으로서, 만물을 생성케하는 2대 요소라고 보고, 『역』의 십익(十翼)에 이르러서 음양철학으로서 지양되었다. 이 이후 일기(一氣)의 2상으로서의 음양은 모든 대립하고 순환하는 것의 이원적 원리가 되며, 동양인의 사고법으로 형성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2진법에도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 = = = 오행 = = = 오행이라는 것은 목·화·토·금·수의 오원소를 말하는데, 문헌상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상서(尙書)〈홍범(洪範)〉이다. 거기에서는 오행으로서 수·화·목·금·토가 이 순으로 열거되며, 각각의 성질이나 맛이 기억되고 있다. 홍범에서는 오행 또한 정지하고 있는데, 전국기의 음양가 추연은 이를 역사의 장에 적용해서 왕조의 교대에 대해서 이론을 세웠는데, 모든 오덕(오행의 힘) 시종(순화의 뜻)설이다. 그에 의하면 각 왕조는 각각 오행중 하나가 부여되며, 명운이 다 되면 신왕조로 바뀌는데 그 교대는 필연적인 이법에 따라서 순서가 정해진다. 이 순환은 불에 이기는 것은 물, 물에 이기는 것은 흙의 순서이므로, 이를 오행상극이라고 한다. = = 역사 = = 음양론과 오행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은대(殷代)의 신앙과 관련해서 거의 동시에 성립되었다는 설도 있고 통설에서는 양자는 발생 기반을 달리하여 중국 전국 시대에 유행한 음양과 오행이 합쳐진 말이다. 후한 때 채옹이 쓴 <독단>에서 "천자는 동이족이 사용하던 호칭이다. 하늘을 아버지로, 땅을 어머니로 하는 까닭에 천자라 부른다."라고 했던 점에서 천자란 하늘에서 온 아버지 환인, 환웅과 대지의 어머니인 웅녀 사이에서 나온 천자, 단군을 의미하는 것은 텡그리즘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며,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태양신과 달의 여신이 나타내는 음양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 밖에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오성(五星)에 관한 기사나 고구려의 오부제(五部制) 등을 통해서도 음양오행을 확인할 수 있다. 참위설과 풍수지리설의 전개과정도 음양오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백제동월륜 신라여월신(百濟同月輪 新羅如月新)”이라는 참구가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 이미 참위설을 믿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후 통일신라 말기에 이르면 참위설과 풍수지리설이 결합된 도참설(圖讖說)이 크게 유행하게 된다. 당시 승려였던 도선(道詵)은 지리쇠왕설(地理衰旺說)·산천순역설(山川順逆說) 및 비보설(裨補說)을 주창함으로써 도참사상을 크게 유행시켰다. 그 요지는 지리에는 곳에 따라 쇠왕이 있고 순역이 있으므로 왕처(旺處)와 순처(順處)를 택하여 거주해야 하며, 쇠처(衰處)와 역처(逆處)는 인위적으로 비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도참사상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훈요십조 訓要十條>와 묘청(妙淸)의 양경지덕쇠왕설(兩京地德衰旺說)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조선의 건립을 정당화하고 천도문제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고, 선조 때 일어난 정여립(鄭汝立)의 난 때에는 “이씨는 망하고 정씨가 일어난다(木子亡, 奠邑興).”는 참설이 유포되기도 하였다. 후일 정감록(鄭鑑錄)이라는 비기서에는 이러한 사상이 집대성되어 있으며, 절대 안전지대라는 십승지지사상(十勝之地思想), 역성혁명관에 입각한 말세사상 등도 모두 음양오행설에 뿌리를 두고 있다.종교학대사전,음양오행설, 한국사전연구사(1998년판) 참조 = = 영향 = = 동양 삼국 즉, 한국중국일본의 사상과 이론에 중심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생활의 여러곳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민중들의 심성을 지배하면서 홍경래의 난 등 숱한 민란과 봉기의 사상적 원동력이 되어온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풍수지리설이나 참위설뿐만 아니라 성리학의 세계관에도 음양오행설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음양오행설과 주자학 》 김기 저, 문사철(2013년) 《음양오행설 》 육창수 저, 신일상사(2004년) = 해란초 = 해란초(海蘭草, Linaria japonica)는 한국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약 15-40cm로 자란다. 식물 전체는 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은 흰색이 돌며, 잎에는 잎자루가 없다. 줄기의 윗부분에서 줄기를 따라 무리지어 달리는 꽃은 통꽃이나 위아래 두 갈래로 나뉘어 있으며 위쪽은 다시 두 갈래로, 아래쪽은 세 갈래로 갈라진다. 옅은 노란색의 꽃은 길이 5-10mm로 튀어나온 꿀주머니가 있다. 북한 지방에는 같은 속 식물인 좁은잎해란초(L. vulgaris)가 분포한다. 한방에서는 황달, 소화불량 따위의 약으로 쓸 수 있다. = 으랏차차 짠돌이네 = 으랏차차 짠돌이네는 1985년에 일본에서 출간된 코미디 만화이자 이를 원작으로 한 동명의 애니메이션이다. = = 줄거리 = = 구두쇠 집안에서 태어난 하게마루(짠돌이)가 벌이는 구두쇠짓에 따른 각종 해프닝들을 다룬 만화. = = 등장인물 = = (??? ???) 한국명(???) 성우(???) = = 스탭 = = 원작: 노무라 신보 감수: 사사가와 히로시 미술감독: 미야노 타카시 촬영감독: 사이토 아키오 녹음감독: 오쿠마 아키라 음악: 쿠니 카와치 프로듀서: 키무라 준이치 (TV 아사히), 마스코 소지로 (신에이 동화) 감독: 야스미 데쓰오 시리즈 구성: 사쿠라이 마사아키 각본: 사쿠라이 마사아키, 하야카와 타다시, 타나카 코지, 코마츠자키 야스히로, 스기하라 메구미, 에비누마 사부로, 하시모토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후지타 무네요시 배경: 스튜디오 유니 촬영: 아사히 프로덕션 제작: TV 아사히, 신에이 동화 = = = 우리말 제작 = = = 책임프로듀서: 이정렬 번역작가: 명지선 타이틀음악: GG사운드 녹음·믹싱: 김성진 마스터편집: 강현기, 신현감 C.G: 박보영, 김영구 그래픽: 코디포 조연출: 권혁민 녹음연출: 송미정 기획: JEI재능방송((현)JEI재능TV) = 분류:중세 오스트리아 사람 = = HIP 3391 = = PASPY = PASPY는 히로시마 지역의 교통 (히로시마 전철 · 히로시마 고속 교통) 등에서 2008년 1월 26일 도입된 비접촉식 IC 카드 방식에 의한 교통 카드이다. 히로시마 현 버스 협회가 상표를 관리한다. = = 역사 = = PASPY 시스템은 1994년부터 운용 중이었던 마그네틱 교통카드 시스템의 대용으로 구상되었고, 2008년 들어서는 이미 관련된 기계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교체가 시급한 수준으로 전락하였다. 거기에 승객들 역시 IC 카드 방식을 마그네틱 교통카드 방식보다 선호했다. 이 때문에, 2008년 1월 26일 PASPY 카드가 문제가 된 8개의 회사에서 각각 다른 색의 카드로 전면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하였다. 3월 1일부터는 서일본 JR의 ICOCA 카드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으나, ICOCA 터미널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는 ICOCA 서비스 지역으로 PASPY 카드의 로컬 캠페인과 홍보성 할인의 영향이 미쳐, 히로시마에서는 PASPY를 사용하고 타 지역에서는 ICOCA를 사용하는 주 여행자들의 PASPY 카드로의 이탈을 막기 위한 방편이었다. = 분류:사용자 cs = cs Český.아래 사용자는 체코어를 합니다. cs = 분류:시라즈의 건축물 = = 트윈 시티 = 트윈 시티(twin city)는 다음을 가리킨다. 쌍둥이 도시 자매 도시 트윈 시티(The Twin City): 윈스턴세일럼의 다른 이름 트윈 시티 사이클론스(Twin City Cyclones) 트윈시티 남산타워(Twin City Namsan Tower) 상무 유탑 유블레스 트윈시티(Sangmu U-TOP U-BLESS Twin City) = 엔-멘-바라게-시 = = 위키백과:삭제 토론/Cwur 세계대학랭킹 = = = :Cwur 세계대학랭킹 = = *해당 토론에서 생성된 총의에 따라 삭제 조치합니다. RedMosQ (토론) 2015년 11월 10일 (화) 00:29 (KST) 과연 위키에 등재할만한 저명성을 갖추고 있는지 의심이 듭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4일 (토) 13:11 (KST) = 우파루마운틴 = 우파루 마운틴은 카카오톡의 NHN Studio 629가 만든 소셜 네트워크 모바일 게임이다. 우파루를 키워서 마을을 가꾸는 것이 목표다. 2013년 2월 5일에 출시하였으며, 2020년 6월 1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 소환석 조합법 = = 우파루 이름 우파루 사진 소환석 소환시간 조합법 포리 7초 포리(숲) + 포리(숲) 두더루 3분 두더루(땅) + 두더루(땅) 뿌루루 15분 뿌루루(불) + 뿌루루(불) 우루루 2시간 우루루(천둥)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포리(숲) 츄파 45분 츄파(얼음) + 츄파(얼음)
뿌루루(불) + 치치(얼음,땅) 또루루 30분 두더루(땅) + 포리(숲)
포리(숲) + 두더루(땅)
하쿠루(불,숲) + 뭉구루(땅,숲) 듀파 4시간 듀파(물) + 듀파(물)
프링 2시간 30분 포리(숲) + 뿌루루(불)
츄파(얼음) + 하쿠루(불,숲)
메메(천둥,불) + 하쿠루(불,숲)
치치(얼음,땅) + 하쿠루(불,숲)
뿌루루(불) + 포리(숲) 하쿠루 2시간 30분 뿌루루(불) + 포리(숲)
포리(숲) + 뿌루루(불)
프링(숲,불) + 츄파(얼음) 메메 4시간 30분 우루루(천둥) + 뿌루루(불)
뿌루루(불)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하쿠루(불,숲)
해롱(숲,물) + 페페(불,천둥) 무무 5시간 30분 뿌루루(불) + 두더루(땅)
두더루(땅) + 뿌루루(불) 뭉구루 20분 두더루(땅) + 포리(숲)
또루루(숲,땅) + 무무(불,땅)
무무(불,땅) + 또루루(숲,땅) 용용 6시간 두더루(땅) + 우루루(천둥)
뭉구루(땅,숲)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무무(불,땅) 코카 10시간 두더루(땅)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용용(땅,천둥) 왈루 11시간 듀파(물) + 츄파(얼음)
우파루파(땅,물) + 몽키루(천둥,얼음) 푸푸 6시간 듀파(물) + 포리(숲)
듀파(물) + 초코럽(천둥,숲) 용가루 5시간 30분 듀파(물) + 뿌루루(불) 듀파(물) + 프링(숲,불) 해롱 6시간 포리(숲) + 듀파(물)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펜리루(불,얼음) + 푸푸(물,숲)
듀파(물) + 초코럽(천둥,숲) 몽키루 5시간 우루루(천둥) + 츄파(얼음) 치치 4시간 30분 츄파(얼음) + 두더루(땅)
츄파(얼음) + 또루루(숲,땅)
무무(불,땅) + 츄파(얼음) 유니 18시간 치치(얼음,땅) + 프링(숲,불)
하쿠루(불,숲) + 츄파(얼음)
하쿠루(불,숲) + 펜리루(불,얼음)
프링(숲,불) + 츄파(얼음)
펜리루 14시간 치치(얼음,땅) + 프링(숲,불)
무무(불,땅) + 유니(얼음,숲) 고고 9시간 30분 용가루(바람) + 뿌루루(불)
크랑(물,바람) + 무무(불,땅)
루돌 24시간 치치(얼음,땅) + 프링(숲,불)
츄파(얼음) + 하쿠루(불,숲) 티고 7시간 츄파(얼음) + 용가루(바람) 페페 4시간 우루루(천둥) + 뿌루루(불)
뿌루루(불) + 우루루(천둥)
츄파(얼음) + 메메(천둥,불)
루돌(불,얼음,숲) + 메메(천둥,불)
무무(불,땅) + 우루루(천둥)
투투 8시간 용가루(바람) + 포리(숲) 크랑 12시간 용가루(바람) + 우루루(천둥)
듀파(물) + 용가루(바람)
기로로(바람,천둥) + 푸푸(물,숲) 우파루파 9시간 두더루(땅) + 듀파(물)
듀파(물) + 두더루(땅)
무무(불,땅) + 해롱(숲,물) 바우 16시간 용가루(바람) + 우파루파(땅,물) 기로로 8시간30분 용가루(바람) + 우루루(천둥) 레이 36시간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무무(불,땅) + 해룡(숲,물)
몽키루(번개,얼음) + 해롱(숲,물)
파이루(불,바람)+치치(얼음,흙) 쉐도우 36시간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크랑(물,바람) + 페페(불,천둥) 골디 48시간 펜리루(불,얼음) + 푸푸(물,숲) 다크골디 48시간 루돌(불,얼음,풀) + 바우(바람,땅) 초코럽(발렌타인데이 한정) 10시간 30분 우루루(천둥) + 포리(숲)
뭉구루(땅,숲)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또루루(숲,땅)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캔디럽(화이트데이 한정) 10시간 30분 우루루(천둥) + 포리(숲)
뭉구루(땅,숲) + 우루루(천둥)
우루루(천둥) + 또루루(숲,땅)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파이루(Firu) 9시간 30분 고고(바람,불) + 왈루(얼음,물)
피구루(Piguru) 8시간 포리(풀) + 용가루(바람)
토토 7시간 30분 페페(불,천둥) + 푸푸(물,숲)
루핀(별속성) 40시간 무무(땅,불) + 유니(풀,얼음)
루돌(불,풀,얼음) + 바우(바람,땅) 유니(풀,얼음) + 고고 (불,바람) 묘묘 22시간 푸푸(물,풀) + 뿌루루(불)
푸푸(물,풀)+페페(불+천둥) 클라우(별속성) 50시간 우파루 레벨 11 이상으로 조합 젤로 6시간 30분 젤로(매직)+젤로(매직) 푸딩 7시간 15분 젤로(매직)+두더루(땅) 그 외에도 많은 우파루들이 있다 = 분류:부안군의 교통 = = 분류:이탈리아의 무신론자 = = 장교 (당) = 장교(張喬,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唐) 말기의 시인이다. 자는 백천(伯遷). 지주(池州) 추포현(秋浦県) 출신이다. = = 약력 = = 의종(懿宗) 함통(咸通) 말년(870년경)일설에는 소종(昭宗) 대순(大順) 연간인 890년경이라고도 한다. 진사(進士) 수험 자격을 얻어 시험에 급제하였으나, 황소의 난을 피해 고향 근처의 구화산(九華山)으로 숨어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당시 허당(许棠), 유탄지(喻坦之), 극연(剧燕), 오한(吴罕), 임도(任涛), 주요(周繇), 장빈(张蠙), 정곡(郑谷), 이서원(李栖远) 등 12인과 함께 함통 십철(咸通十哲)이라 불렸다.왕정보(王定保) 당척언(唐摭言) '해서불우'(海叙不遇) "同时有许棠与乔(张乔),及喻坦之﹑剧燕﹑任涛﹑吴罕﹑张蠙﹑周繇﹑郑谷﹑李栖远﹑温宪﹑李昌符,谓之十哲." 이 가운데 장교는 허당, 장빈, 주요와 함께 구화산 일대를 고향으로 했기 때문에 이들을 따로 구화사준(九華四俊)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신라 출신으로 당의 관인을 지냈던 최치원이 화장진사교촌거병중견기(和張進士喬村居病中見寄)라는 제목으로 최치원이 장교에게 화답한 시가 동문선 권12에 실려 있으며, 전당시에는 장교가 당시 신라에서 당에 왔다가 귀국하는 사신, 승려에게 지어준 전별시 6수가 실려 있다. = = 시인으로써의 장교 = = 변방 장수의 연회(宴邊將) 변방 장수의 연회(宴邊將) 一曲梁州金石清 한 곡의 양주(梁州)에 쇠와 돌을 맑게 하고 辺風蕭颯動江城 변방의 바람은 쓸쓸히 불어와 강과 성을 흔든다 座中有老沙場客 좌중에는 모래벌에서 늙어버린 객이 있어 横笛休吹塞上声 횡적으로 불어내던 변경 요새의 소리를 거두었다 장교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변방 장수의 연회 장면을 읊은 7언 절구의 당시 『연변장』(宴邊將)이 있다. = 붉은꼬리다람쥐 = 붉은꼬리다람쥐(Neotamias ruficaud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캐나다 앨버타주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미국 몬태나주와 아이다호주, 워싱턴주에서 발견된다. = = 특징 = = 붉은꼬리다람쥐는 대형 다람쥐로 붓꼬리 모양의 꼬리 길이 105mm를 포함하여 전체 몸길이가 약 230mm 정도이다. 몸무게는 봄에 약 54g부터 가을의 60g까지 다양하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큰 편이다. 머리에 회색빛 갈색 얼룩 반점이 있고, 짙은 줄무늬가 눈 위 아래로 나 있다. 몸은 기본적으로 오렌지색과 갈색을 띠며, 5줄의 검은 줄무늬와 4줄의 연한 회색, 황갈색 또는 크림색 줄무늬가 함께 이어진다. 어깨와 허리, 엉덩이와 옆구리는 황갈색과 담황색이다. 배 쪽은 분홍색이 감도는 크림색과 흰색이다. 꼬리 윗면은 분홍색과 담황색이 감도는 검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고 털 끝은 분홍색과 담황색을 띤다. 겨울에 털 색은 좀더 회색으로 변하고 황갈색을 덜 띤다. = = 분포 및 서식지 = = 붉은꼬리다람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남동부와 앨버타 주 남서부, 워싱턴주 북동부, 아이다호주 북부, 몬태나주 서부 지역의 토착종이다. 해발 720~2400m 고도의 침엽수림과 기타 산림 지대 가장자리, 고지대 목초지 가장자리의 습지와 덤불 지역 등에서 발견된다. 땅 위에서 주로 서식하지만 나무 위에 오르기도 한다. = = 생태 = = 붉은꼬리다람쥐는 씨앗과 열매를 주로 먹고, 이를 볼주머니로 운반하기도 한다. 전나무와 소나무, 인동덩굴 씨, 넌출월귤, 산앵도나무, 허클베리, 아까시나무, 세아노사, 갈매나무, 엉겅퀴, 분홍바늘꽃, 풀의 씨앗 등 여러 종류의 씨앗을 자주 먹는다. 서양민들레 꽃과 잎을 먹기도 하며, 붉은꼬리다람쥐가 고기를 덫으로 놓은 함정에 잡힌 적도 있다. 겨울잠은 자지 않지만 활동을 하지 않는 기간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늦봄과 여름에 번식을 하고, 약 31일간의 임신 기간 이후에 평균 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대부분의 둥지는 땅 아래 굴 속에 있지만, 나무 둥지를 사용하기도 하며 죽은 나뭇가지로 무성한 덤불 바로 아래에 둥지를 만들기도 한다. 새끼는 생후 약 45일 이후에 둥지 밖으로 처음 나온다. = 분류:언프리티 랩스타 참가자 = = 파티 대소동 = 파티 대소동(Animal Crackers)은 미국에서 제작된 빅터 히어만 감독의 1930년 뮤지컬 영화이다. 그루초 막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그루초 막스 하포 마스 치코 마르크스 제포 마르크스 = = = 조연 = = = 릴리언 로스 마가렛 듀몬트 로버트 그레그 로버트 알렌 도널드 맥브라이드 앤 로스 앤 로스 = = 제작진 = = 원작자: 조지 S. 코프만 원작자: 해리 루비 원작자: 버트 캘마 미술: 에른스트 페크테 = 경고음 문자 = 경고음 문자는 벨 문자(Bell character) 또는 벨 코드라고도 불린다. 이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작은 전기 종소리가 들리게 되고, 이는 프린터로 출력할 수는 없다. 경고음 문자는 일반적으로 "BEL"로 표시한다. 경고음 문자의 실행은 스피커나 부저에서 소리가 나거나 프로그램 실행창을 깜빡이기도 한다. = 황창 = 황창(黃昌,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성진(聖眞)이며 회계군 여요현(餘姚縣) 사람이다. = 증국전 = 증국전(, 1824년 10월 12일 ~ 1890년 11월 13일)은 중국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자는 원보(沅甫). 후난성 창사부 상향현(현재의 쌍봉현 하엽진) 출신으로 청나라의 저명한 대신 증국번과 증국화의 동생이자, 증정간의 형이다. 상군 지휘관 중 한 명이다. = = 생애 = = 태평천국의 난에서는 맏형을 보좌했고, 함풍 6년(1856년)에 강서성에서 형이 고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호남순무 락병장에게 청해서 3천 명의 군사를 모아 길안으로 원병으로 나섰다. 이듬해 1857년에 함락시킨 공적으로 지부로 발탁되었다. 1859년(함풍 8년)에는 강서성 전역을 장악하여 도원(道員)으로 승진했다. 그후 구강을 출발해 황주에서 안휘성으로 들어갔다. 1860년(함풍 10년), 안경을 포위했으나 진옥성의 원군에게 종종 패하기도 했다. 이듬해 11년에 안경을 함락시켰다. 1862년(동치 원년)에 절강 안찰사, 이어서 강소 포정사에 임명되었는데, 우화대에서 천경 공격을 시작했다. 1864년, 천경공방전에서 격전 끝에 천경을 함락시켜 태평천국을 멸망시켰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엄청난 수의 안경과 남경 시민을 학살하고 재물을 약탈하여 비난을 받았다. 1865년(동치 4년), 호북순무로 임명되었고, 1867년에는 이홍장과 함께 염군을 진압하러 나섰지만, 작전에 실패하자 칭병하고 은퇴했다. 1875년(광서 원년), 관으로 복귀하여 섬서순무, 산서순무, 양광총독을 역임했고 1884년(광서 10년)에서 양강총독을 지냈다. 1890년(광서 16년), 66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사후 충양공(忠襄公)의 시호가 주어졌다. 같은 해에 조카 증기택도 사망했다. = = 관련자료 = = 주홍장 천경공방전 = 분류:체코의 국가원수 둘러보기 틀 = = 이연향 = 이연향은 대한민국의 통역관이다. 2019년 2월 현재 미국 국무부 통역국장이다.조해람. 트럼프 통역 이연향? 부시·오바마도 맡은 '베테랑'. 머니투데이. 2019년 2월 28일.윤민지. 트럼프 통역관 이연향은 누구? '부시·오바마 통역도 맡아'. 전자신문. 2019년 2월 28일. = = 학력 = = 서울예술고등학교 음악과 (졸업)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졸업) = = 경력 = = 1996년 ~ 2003년 : 미국 몬트레이통번역대학원 교수 2004년 ~ 2009년 :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2009년 ~ : 미국 국무부 통역국장 = 분류:서귀포고등학교 축구부의 코칭스태프 = = 분류:G7 정상회의 = = 분류:직업별 마이애미 사람 = = 1982년 7월 20일 일식 = 1982년 7월 20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다. 지구가 달의 반그림자를 지날 때 일어난다. 1982-07-20 1982-07-20 일식 1982-07-20 일식 = 분류:1814년 화재 = = MBC 노동조합 = MBC 노동조합은 2013년 3월 6일 설립된 MBC 문화방송의 노동조합으로 'MBC 제3노조'로도 불린다. 김세의, 임정환, 최대현이 초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기존의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와는 다른 별개의 노동조합으로서,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상급 단체에 가입하지 않고, 순수 노조 운동을 지향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의 언론노조 MBC본부, MBC 공정방송노동조합에 이어 소수노조에 해당하여 언론 등에서 'MBC 제3노조'로 불렸으며, 2017년 11월 초 공정방송노동조합(제2노조)과의 통합을 발표하였다. = = 연혁 = = 2013년 2월 14일 : 고용노동부로부터 노조 설립 인가 2013년 3월 6일 : MBC 노동조합 공식 출범 = 레반도프스키 = 레반도프스키(Lewandowski)는 폴란드어 성으로 다음의 인물을 가리킨다.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폴란드의 축구 선수. 마리우시 레반도프스키: 폴란드의 축구 선수. 마르친 레반도프스키: 폴란드의 육상 선수. 야누시 레반도프스키: 폴란드의 정치인. = 분류:횡스크롤 플랫폼 게임 = = 분류:식품과학 = = 백전초등학교 (경남) = 백전초등학교는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평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08년 2월 1일 사립 열신학교 개교 1921년 7월 17일 백전공립보통학교 개편 1938년 4월 1일 백전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백전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82년 3월 5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3년 3월 1일 봉현분교장 통합 1994년 3월 2일 학교급식 실시 1995년 3월 1일 대평분교장 통합 1996년 3월 1일 백전초등학교로 개칭법률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6년 3월 1일 백운국민학교 통합 2020년 2월 14일 제96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3,856명) 2020년 3월 1일 제47대 안창남 교장 부임 = 백봉초등학교 장암분교 = 백봉초등학교 장암분교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부흥리 482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50년 11월 3일 백봉국민학교 장암분교장 인가 1954년 4월 20일 운곡국민학교 장암분교장 개편 1955년 4월 1일 장암국민학교 승격인가 1955년 4월 21일 장암국민학교 개교 1985년 9월 2일 병설유치원 개원 1986년 10월 24일 서울 삼성국민학교와 자매결연 1992년 11월 2일 국화 및 시화전 개최 1993년 5월 12일 어린이날 개념 민속잔치 개최 1993년 11월 1일 대전 EXPO 견학(본교 및 유치원생) 1994년 3월 1일 백봉국민학교 장암분교장 1999년 9월 1일 폐교 = 만도코로 = 만도코로(政所, まんどころ)는 친왕(親王), 3위 이상의 구교(公卿)에 설치가 허가되었던 가정기관(家政機関)이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 설치되었다.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의 직제의 하나.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직제의 하나. = = 황족 ・ 구교의 만도코로 = = 친왕, 종3위 이상의 구게(公家)의 가정(家政)을 맡아보았던 기관으로 그 사무관은 게시(家司)이라고 불렀다. 셋쇼(摂政) ・ 간파쿠(関白)의 부인을 기타노만도코로(北政所)로 부르는 것도, 부인이 가정내의 가정을 통괄하고 있었던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이들 부인의 거주지는 저택의 북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헤이안 시대의 귀족들은 서취혼(婿取婚) 즉 신랑이 신부의 집에 들어가서 사는 데릴사위 형태가 보통이었기 때문에, 그 저택은 부인의 친정에서 부인에게로 상속되는 경우도 있었다. 장원제(荘園制)가 확립되고 만도코로가 혼쇼(本所)의 장원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써 기능하게 되었으나, 장원이 쇠퇴하고 구게 가정(家政)이 부진해지게 된 중세 후기에는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 = = 「만도코로 정치」(政所政治) 설 = = = 한편 셋칸정치(摂関政治) 시기의 정책결정 과정에 대해서 일시 「만도코로 정치」(政所政治)로 설명하려는 학설이 유행했던 시기가 있었다. 패전 전에 일본의 구로사카 가쓰미(黒板勝美) 등에 의해서 제창된 이 설에서 셋칸정치 시기에는 셋쇼 ・ 간파쿠가 국정의 전반을 장악하고 만도코로에서 발급하는 문서인 구다시부미(下文)나 어교서(御教書)가 천황이 내리는 선지(宣旨)를 대신해 기능하였으며 최고 국정기관인 태정관(太政官)을 대신해 만도코로에서 정무가 이루어져서 조정은 의례만을 행할 뿐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패전 뒤에 쓰다 나오시게(土田直鎮) 등에 의해서 이 학설은 비판을 받게 되는데, 오늘날에는 인세이(院政) 초기께서는 셋쇼 ・ 간파쿠와 천황 사이에 역학관계의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어쨌든 양자의 '협의'에 의해서 정치적 판단이 이루어졌으며, 셋쇼 ・ 간파쿠가 정무를 전단했던 시기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 국정에 관한 명령은 셋쇼 정치 전성기에도 선지 ・ 태정관부(太政官符)에 의해 명령 계통이 기능하고 있었고, 만도코로의 구다시부미 및 어교서는 어디까지나 셋쇼 ・ 간파쿠 개인의 사적인 것 내지는 셋칸케 내부의 문제에 대한 것에만 유효한 명령문서였다는 것이 밝혀져서, 이 학설은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다. = = 가마쿠라 막부의 만도코로 = = 만도코로는 가마쿠라 막부에서 통치기구의 하나로 역할하였다. 그 전신은 구몬쇼(公文所)였다. 이것은 막부를 열었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종3위 이상의 구교에게 허락된 만도코로 개설 권리를 획득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자신의 통치기구 '막부'가 율령제에 기초한 공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였다. 만도코로는 가마쿠라 막부의 일반 정무 ・ 재정(財政)을 맡아 보았다. 구몬쇼에서 만도코로로 개칭된 시기에 대해서는 1191년 또는 1185년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1185년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조정으로부터 3위 이상(종2위)로 서임된 해로 관위 승진에 의해 만도코로 설치의 자격을 얻게 된 시점으로 지목된다. 또한 구몬쇼와 만도코로의 연속성을 부정하고 오에노 히로모토(大江広元)가 기능이 중복되는 부분이 있던 구몬쇼와 만도코로의 벳토(別当)를 겸무한 결과로써 구몬쇼의 기능이 만도코로로 흡수된 것이라는 설(「가마쿠라 시사」鎌倉市史)도 있다. = = = 기구 = = = = = 무로마치 시대의 만도코로 = = 무로마치 시대(室町幕府)의 만도코로는 막부의 재정과 영지에 관한 소송을 맡아보았다. 시쓰지(執事)는 덴주(天授) 5년/고랴쿠(康暦) 원년(1379년)의 이세 사다쓰구(伊勢貞継)의 임명 이후 이세 집안이 대대로 세습하였다. 예외적으로 호토쿠(宝徳) 원년(1449년)에 8대 쇼군(将軍)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가 원복(元服)을 행했을 때 닛카이도 다다유키(二階堂忠行)가 잠시 시쓰지가 되어 조로쿠(長禄) 3년(1459년)까지 재임했고, 아시카가 요시테루(足利義輝) 때에도 미요시 나가요시(三好長慶)과 결탁한 이세 사다타카(伊勢貞孝)를 경질시키고 쇼군의 측근인 셋쓰 하루카도(摂津晴門)를 기용했던 기간이 있었다. = = = 기구 = = = = = = 만도코로시쓰지의 일람 = = = 취임자 재임기간 닛카이도 유키쓰나(二階堂行綱) 1333년 나가이 히로히데(長井広秀) 1334년 닛카이도 유키토모(二階堂行朝) 1335년 닛카이도 유키나오(二階堂行直) 1340년 닛카이도 유키쓰나 1346년 아이하라 기요타네(粟飯原清胤) 1348년 닛카이도 유키토모 1349년 사사키 도요(佐々木道誉) 1349년 닛카이도 유키미치(二階堂行通) 1351년 사사키 도요 1352년 아이하라 기요타네 1353년 닛카이도 마사모토(二階堂政元) 1353년 사사키 도요 1354년 사사키 씨 1354년 이세 사다쓰구(伊勢貞継) 1379년 - 1391년 이세 사다유키(伊勢貞行) 1393년 - 1410년 이세 사다쓰네(伊勢貞経) 1410년 - 1431년 이세 사다쿠니(伊勢貞国) 1431년 - 1449년 닛카이도 다다유키(二階堂忠行) 1449년 - 1459년 이세 사다치카(伊勢貞親) 1460년 - 1466년 이세 사다무네(伊勢貞宗) 1466년 - 1468년 이세 사다치카 1468년 - 1471년 이세 사다무네 1471년 - 1490년 이세 사다타카(伊勢貞陸) 1490년 - 1520년 이세 사다타다(伊勢貞忠) 1521년 - 1535년 이세 사다타카(伊勢貞孝) 1535년 - 1562년 셋쓰 하루카도(摂津晴門) 1562년 - 1569년 이세 사다오키(伊勢貞興) 1571년木下昌規 「京都支配から見る足利義昭期室町幕府と織田権力」 『戦国期足利将軍家の権力構造』岩田書院、2014년 P261-262。전거는 겐키(元亀) 2년 11월 1일자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서장(書状)(「本法寺文書」) = 분류:1588년 희곡 = = 쿄 = 쿄는 다음을 가리킨다. 쿠사나기 쿄: SNK에서 만든 게임인 킹 오브 파이터즈의 주인공 쿄 마치코: 일본의 배우 = 최태영 = 최태영은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최태영는 대한민국의 법학자이다. 최태영는 대한민국의 음향 감독이다. 최태영(崔泰榮)는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이다. = 그루프 PSA = 그루프 PSA(Groupe PSA),  이전 사명 PSA 푸조 시트로엥(PSA Peugeot Citroën)은 프랑스의 자동차 회사인 푸조가 1976년에 당시 심각한 재정난으로 허덕이던 프랑스 자동차 기업 시트로엥을 인수하면서 탄생한 그룹이다. 대한민국 현대자동차그룹의 관계와 비슷하다. 2017년 3월 7일에는 독일의 자동차 회사인 오펠, 영국의 자동차 회사이자 오펠의 영국 브랜드인 복스홀을 인수하였다. 2020년 FCA와 1:1로 합병하였으며, 현 PSA의 대표인 카를루스 타바르스(Carlos Tavares)가 합병 회사의 대표를 맡는다. 새로운 합병 법인의 이름은 스텔란티스(Stellantis)이다. = 공주시의 향토문화유적 = 공주시의 향토문화유적은 공주시에 있는 유적으로서 「문화재보호법」 및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보호 조례」에 따라 지정되지 아니한 유적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경관적 가치가 크며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공주시장이 지정한 유적을 말하며 그 유형은 다음 각 호와 같다.공주시 향토문화유적 보호 조례 제2조 "유형문화유적"이란 건조물, 전적,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을 말한다. "무형문화유적"이란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을 말한다. "기념물"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 포함층 등의 사적지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 ##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경관적 가치가 큰 것으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 "민속자료"란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 = = 지정 목록 = = = = = 유형 = = = 번호 그림 명칭 소재지 소유자(관리자) 지정·해제일자 비고 1호 동헌(東軒) 공주시 웅진동 332-9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2호 금벽정(錦壁亭) 공주시 장군면 금암리 1997년 6월 5일 지정, 2000년 10월 19일 해제, 도로 공사로 철거 3호 사송정(四松亭) 공주시 월송동 산 30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4호 원산정(圓山亭) 공주시 탄천면 유하리 산13-3 함양박씨별좌공파 1997년 6월 5일 지정 5호 석송정(石松亭) 공주시 정안면 석송리 205-3 성락수 1997년 6월 5일 지정 6호 화암정(花巖亭)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 산39-6 박대현 1997년 6월 5일 지정 7호 오백령 사우 공주시 우성면 당지리 월굴 1997년 6월 5일 지정, 2004년 5월 28일 해제, 해제사유 미상 8호 조견 사우(趙狷 祠宇) 공주시 우성면 보흥리 679 조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9호 효부성씨비 공주시 신기동 647 오인수 1997년 6월 5일 지정 10호 김해김경원정려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469 김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11호 윤빈 정려(尹彬 旌閭)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130-1 윤영호 1997년 6월 5일 지정 12호 효자 정이재 정려(孝子 鄭以載 旌閭) 공주시 탄천면 삼각리 산81-1 조만홍 1997년 6월 5일 지정 13호 효자 황춘억 정려(孝子 黃春檍 旌閭) 공주시 탄천면 성리 177-1 장수황씨첨화휘근공파 1997년 6월 5일 지정 14호 열녀권씨정려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381 권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15호 광주김씨열녀정려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166-2 함안윤씨충민공파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16호 효자오수혁정려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408 남중각 1997년 6월 5일 지정 17호 충신 유지걸 정려 공주시 의당면 송학리 253-3 1997년 6월 5일 지정, 2014년 9월 30일 해제, 세종 향토 48호 지정 18호 충신 정분·정지산 정려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 514 진주정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19호 열녀김씨정려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93 진주류씨연삼공파문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0호 효자 최익항 정려 공주시 정안면 운궁리 89-11 이상익 1997년 6월 5일 지정 21호 김시산 정려 충신문(金時山 旌閭 忠臣門) 공주시 유구읍 노동리 351 김지인 1997년 6월 5일 지정 22호 효자 이구상 효자정문 공주시 신풍면 영정리 155 여주이씨함양공파문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3호 성주이씨 열녀문(星州李氏 烈女門)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353 김인화 1997년 6월 5일 지정 24호 노숙정려 공주시 우성면 동곡리 115-4 노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5호 효자 김영성 정려(孝子 金永聲 旌閭) 공주시 신풍면 대룡리 223-7 광산김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6호 신할 충신 정려 공주시 신호철 외 3인 1997년 6월 5일 지정 27호 충신 오대붕 정려(忠臣 吳大鵬 旌閭) 공주시 신기동 703-1 오씨참의공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8호 효자 윤직 정려각 공주시 신풍면 청흥리 172-2 윤종현 1997년 6월 5일 지정 29호 이기원 정려 공주시 계룡면 화은리 467-2 원주이씨워동파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30호 효자 이면주 정려(孝子 李勉疇 旌閭) 공주시 의당면 용암리 154-1 1997년 6월 5일 지정, 2014년 9월 30일 해제, 세종 향토 49호 지정 31호 동복오씨 삼위 효열 정려 공주시 우성면 단지리 산35-7 동복오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012년 4월 4일 명칭변경 32호 향지리 열녀비 공주시 계룡면 향지리 산299-2 임재천 1997년 6월 5일 지정 33호 효자 박주은 정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303번지 박용두, 박용하 2009년 3월 16일 지정 34호 효자 이복비 공주시 중동 285-1 공주시 2009년 3월 16일 지정 35호 송학리 마애여래좌상(松鶴里 磨崖如來坐像)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산70-1 공주시 2010년 4월 15일 지정 36호 전의이씨 삼위 효열 정려(全義李氏 三位 孝烈 旌閭) 공주시 사곡면 대중리 168 이동찬 2012년 4월 16일 지정 37호 동혈사 삼층석탑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271 대한불교조계종동혈사 2018년 6월 1일 지정 = = = 기념물 = = = 번호 그림 명칭 소재지 소유자(관리자) 지정·해제일자 비고 1호 고마나루 공주시 웅진동 산 21번지 1997년 6월 5일 지정,2009년 3월 2일 해제,명승 21호로 승격 2호 곰사당 공주시 웅진동 452-3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3호 곰굴 공주시 쌍신동(연미산 내)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4호 용못 공주시 웅진동 247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5호 국곡리 고인돌(菊谷里 고인돌) 공주시 반포면 국곡리 산15-23 1997년 9월 5일 지정, 2014년 9월 30일 해제, 세종 향토 50호로 재지정 6호 초봉리 고인돌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46 진주유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7호 남산리 입석(南山里 立石) 공주시 탄천면 남산리 103-11 양성구 외 2 1997년 6월 5일 지정 8호 상신리 입석(上莘理 立石)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191-1 최준호 1997년 6월 5일 지정 9호 이덕사·이태연 묘비(李德泗·李泰淵 墓碑) 공주시 장군면 평기리 산42-13 1997년 6월 5일 지정, 2014년 9월 30일 해제, 세종 향토 52호로 재지정 10호 구암리 석실고분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산34-1 이순례 1997년 6월 5일 지정 11호 황새바위 공주시 교동 1-20번지 1997년 6월 5일 지정,2009년 3월 2일 해제,충남 기념물 178호로 승격 12호 무성산성(茂盛山城) 공주시 사곡면 대중리 산 39-6 최상순 외 1 1997년 6월 5일 지정 13호 고등산 봉수대(高燈山 烽燧臺) 공주시 정안면 북계리 산 36-1 한동욱 외 1 1997년 6월 5일 지정 14호 쌍령산 봉수대(雙嶺山 烽燧臺)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 산58-23 공주개발(주) 1997년 6월 5일 지정 15호 월성산 봉수대(月城山 烽燧臺) 공주시 소학동 산69 산림청 1997년 6월 5일 지정 16호 우공로 묘비(禹恭老 墓碑)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산70-1번지 단양우씨공로파 1997년 6월 5일 지정 17호 18호 오시수 신도비·묘비 공주시 우성면 단지리 321 오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19호 윤원거 묘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산6-1 윤상성 1997년 6월 5일 지정 20호 제민천교 영세비(濟民川橋 永世碑) 공주시 금성동 16-1 공주시 1997년 6월 5일 지정 21호 이목·이세장 유적(李穆·李世璋 遺蹟)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503 이씨종중 1997년 6월 5일 지정 22호 판관 조병로 불망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산112 건설교통부 1997년 6월 5일 지정 23호 소물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 980 노흥선 1997년 6월 5일 지정 24호 큰샘 공주시 봉황동 378-1 건설교통부 1997년 6월 5일 지정 25호 장군석(將軍石) 공주시 의당면 중흥리 599-1 민병석 1997년 6월 5일 지정 26호 류충걸 묘소 및 신도비(柳忠傑 墓所 및 神道碑) 공주시 장군면 대교리 산1- 1997년 6월 5일 지정, 2014년 9월 30일 해제, 세종 향토 53호로 재지정 27호 서기묘소 및 신도비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산10-1 이천서씨문목공고청파 2010년 4월 15일 지정 28호 윤증묘소 공주시 계룡면 향지리 11-11 파평윤씨문성공파종중 2010년 4월 15일 지정 29호 석송 3·1만세유적지 공주시 정안면 석송리 33-2 석송만세운동기념보존사업회 2010년 4월 15일 지정 30호 구무동굴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94-1 이천서씨문목공파종중회 2018년 4월 16일 지정 31호 박약재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415-3 이천서씨문목공파종회 2018년 6월 1일 지정, 2019년 12월 2일 해제, 충남 유형문화재 제252호로 승격 = 크리스 히어로 = 크리스 스프래들린(Chris Spradlin, 1979년 12월 24일 ~ )는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다. 크리스 히어로(Chris Hero), 캐시어스 오노(Kassius Ohno)라는 링네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키는 194cm 몸무게는 122kg이다. = 분류:가니메데의 표면 구조 = = 가이세촌 = 가이세촌은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사쿠호정에 해당한다. = 분류:나라별 재즈 기타 연주자 = = 분류:로마 제국의 사제 = = 분류:스페인 십자장 수훈자 = = 분류:고동률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고동률이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2010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 제10회 FINA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2010년 12월 15일에서 19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렸다. 모든 경기는 Dubai Sports Complex 25m 풀에서 치러졌다. = = 나라별 메달 집계 = = 1 align=left 12 6 7 25 2 align=left 4 4 2 10 3 align=left 4 2 2 8 4 align=left 3 5 6 14 5 align=left 3 3 2 8 6 align=left 3 2 1 6 7 align=left 3 1 4 8 8 2 1 0 3 9 1 7 3 11 10 1 1 2 4 11 1 1 1 3 11 1 1 1 3 13 align=left 1 1 0 2 14 1 0 0 1 15 align=left 0 1 2 3 15 align=left 0 1 2 3 17 align=left 0 1 1 2 17 align=left 0 1 1 2 19 align=left 0 1 0 1 19 align=left 0 1 0 1 21 align=left 0 0 1 1 21 align=left 0 0 1 1 합계 40 41 39 120 = = 세계 기록 = = 두바이에서 세워진 세계 기록 날짜 종목 신기록 신기록 기존 기록 기존 기록 기존 기록 기존 기록 날짜 종목 선수 / 팀 기록 선수 / 팀 기록 날짜 장소 12월 17일 개인혼영 200m (H) 라이언 록티 1분 50초 08 대리언 타운센드 1분 51초 55 2009년 11월 15일 12월 16일 개인혼영 400m(H) 라이언 록티 라슬로 체흐 2009년 12월 11일 계영 800m (H) 6분 49초 04 6분 51초 05}} 2009년 10월 7일? 계영 800m (D) 7분 35초 94 = = 경기 결과 = = = = = 남자 = = = 종목 금 금 은 은 동 동 50m 세자르 시엘루 필류 RC 프레데리크 부스케 조시 슈나이더 100m 세자르 시엘루 필류 RC 파비앵 질로 니키타 로빈체프 200m 라이언 록티 RC 다닐라 이조토프 우사마 멜룰리 400m 파울 비더만 니키타 로빈체프 우사마 멜룰리 1500m 우사마 멜룰리 마스 글레스네르 주르터 게르게이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50m Albert Subirats RC 안드리 고보로프 슈테펜 다이블러 100m 예브게니 코로티시킨 Albert Subirats 카이우 지 아우메이다 200m 채드 르 클로스 카이우 지 아우메이다 라슬로 체흐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50m 스타니슬라프 도네츠 RC 쑨샤오레이 Aschwin Wildeboer Faber 200m 라이언 록티 RC 타일러 클레리 마르쿠스 로간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50m 펠리피 시우바 RC 캐머런 밴더버그 Aleksander Hetland 100m 캐머런 밴더버그 RC 파비오 스코촐리 펠리피 시우바 200m 도미타 나오야 RC 주르터 주르터 브렌턴 리카드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100m 라이언 록티 마르쿠스 다이블러 세르게이 페시코프 200m 라이언 록티 WR 마르쿠스 로간 스콧 클레리 400m 라이언 록티 WR 우사마 멜룰리 스콧 클레리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400m 알랭 베르나르 프레데리크 부스케 파비앵 질로 야니크 아녤 RC, RE, RF 예브게니 라구노프 세르게이 페시코프 니키타 로빈체프 다닐라 이조토프 니숄라스 산투스 세자르 시엘루 필류 Marcelo Chierighini Nicolas Oliveira 계영 800m 니키타 로빈체프 다닐라 이조토프 예브게니 라구노프 알렉산드르 수호루코프 WR, RE 피터 밴더케이 라이언 록티 개릿 웨버게일 리키 베런스 야니크 아녤 (RF) 파비앵 질로 클레망 르페르트 Jérémy Stravius RF 혼계영 400m Nicholas Thoman 미하일 알렉산드로프 라이언 록티 개릿 웨버게일 스타니슬라프 도네츠 Stanislav Lakhtyukhov 예브게니 코로티시킨 니키타 로빈체프 길례르미 기두 아우구스투 펠리피 시우바 카이우 지 아우메이다 세자르 시엘루 필류 = = = 여자 = = = 종목 금 금 은 은 동 동 Nage libre Nage libre Nage libre Nage libre Nage libre Nage libre Nage libre 50m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Hinkelien Schreuder Arianna Vanderpool-Wallace 100m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RC 펨커 헤임스커르크 내털리 코글린 200m 카미유 뮈파 케이티 호프 카일리 파머 400m 케이티 호프 RC 카일리 파머 페데리카 펠레그리니 800m Erika Villaecija García 미레이라 벨몬테 가르시아 케이트 지글러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50m 테레세 알스함마르 RC 펄리시티 갤베즈 Jeanette Ottesen 100m 펄리시티 갤베즈 테레세 알스함마르 다나 볼머 200m 미레이라 벨몬테 가르시아 RC 제마 로 페트라 그란룬드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50m 자오징 RC 레이철 고 메르세데스 페리스 민게트 100m 내털리 코글린 RC 자오징 가오창 200m 알렉시안 카스텔 RF 멀리사 프랭클린 저우얀신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50m 리베카 소니 Leiston Pickett 자오징 100m 리베카 소니 RC 리즐 존스 즈리핑 200m 리베카 소니 RC 쑨예 리케 페데르센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개인혼영 100m Ariana Kukors 응가와티 코투쿠 Hinkelien Schreuder 200m 미레이라 벨몬테 가르시아 RC 예스원 Ariana Kukors 400m 미레이라 벨몬테 가르시아 RE, RC 예스원 리쉬안쉬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400m 펨커 헤임스커르크 잉어 데커르 Hinkelien Schreuder 라노미 크로모비조요 RC 내털리 코글린 케이티 호프 제시카 하디 다나 볼머 탕이 주첸웨이 팡자잉 리저쓰 계영 800m 천첸 탕이 류징 주찬웨이 WR 블레어 에번스 제이드 닐슨 켈리 스터빈스 카일리 파머 카미유 뮈파 (RF) 코랄리 발미 Mylène Lazare Ophélie-Cyrielle Etienne RE, RF 혼계영 400m 자오징 진자오 류쯔거 탕이 RC 내털리 코글린 리베카 소니 다나 볼머 제시카 하디 레이철 고 리즐 존스 펄리시티 갤베즈 Marieke Guehrer = 분류:미국의 야구에 관한 틀 = = 분류:기원전 23년 사망 = = 분류:2012년 AFC U-16 챔피언십 참가 선수 = = 해리먼 = 해리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해리먼 (테네시주): 미국 테네시주 모건 카운티 및 로앤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 에드워드 헨리 해리먼: 미국의 사업가로 윌리엄 애버렐 해리먼의 아버지이자 미국 철도 회사의 중역 = 분류: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 = 분류:코모로의 이슬람교 = = 리차드 더 = 리차드 더(Richard Derr, 1918년 6월 15일 ~ 1992년 5월 8일)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노리스타운에서 태어났으며 샌타모니카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췌장암이다. = = 영화 = = 파이어폭스 (1982년) 아메리칸 지골로 (1980년) 달라스 (1978년) 명탐정 하퍼 2 (1975년) 명탐정 바나비 존즈 (1973년) 6시 아담 (1970년) 쓰리 인 더 아틱 (1968년) 테러 이즈 어 맨 (1959년) 인비저블 어벤저 (1958년) 페리 메이슨 (1957년) 디즈니랜드 (1954년) - 미스터 드라이어 역 생의 애욕 (1952년) 세계가 충돌할 때 (1951년) 럭셔리 라이너 (1948년) 웨스트 포인트에서 온 열 명의 신사 (1942년) =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 =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은 2017년 8월 9일부터 2017년 9월 28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수목 미니시리즈이다. = = 기획 의도 = = 일주일 뒤에 예고되어 있는 결혼을 막기 위해 랜덤 타임슬립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그린 작품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김재중 : 봉필 역 (아역 : 이시우) 유이 : 강수진 역 (아역 : 이제은) 정혜성 : 윤진숙 역 바로 : 조석태 역 = = = 그 외 동네패밀리 = = = 이상이 : 오달수 역 강홍석 : 양구길 역 김민지 : 홍정애 역 *김오복: 김비서 역 = = = 패밀리 부모님들 = = = 주진모 : 봉달 역 김혜옥 : 윤끝순 역 우현 : 석태 부 역 서현철 : 강판식 역 - 수진 부 이연경 : 오순녀 역 - 수진 모 = = = 동네 이방인 = = = 장미관 : 박재현 역 - 약사 = = = 봉봉호프 = = = 서영 : 미자 역 손지안 : 윤미 역 = = = 그외 인물들 = = = 박아인 : 박영주 역 - 재현의 옛 연인 김영옥 (나레이션) 오용 : 고등학교 선생님 역 최무인 : 봉필 해병대 외삼촌 역 김권 : 교회오빠 역 김규철 : 양구길의 아버지 역 최승경 : 파출소 경찰 최경승 경사 역 최두엽 : 청원 경찰역 진현광 : 수진의 스튜디오 대표 역 송하림 정인기 이승현 김대곤 김충길 최윤빈 박희곤 선우성 허수정 손경원 이승훈 고만규 하진 리민 이재은 김지선 안희주 유금 박상용 조희 박찬홍 성현준 박시연 허수정 박도준 한재웅 김봉수 김해곤 최윤준 송경화 태원석 박희곤 이동희 최교식 김선화 허현규 권관오 최현숙 강현정 최종민 장유리 서동규 김윤주 정병호 강정구 안수빈 오승희 오재윤 박승태 최나무 박지혜 유연우 신난애 이준규 김광태 김민경 이루기 박용 최남욱 정자영 천예원 이규섭 정종우 송인섭 이은석 윤갑수 신신범 주동희 = = 시청률 = =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회차 방송 일자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AGB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 일자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8월 9일 3.9% 4.5% 3.1% 3.7% 제2회 8월 10일 3.0% 3.7% 2.8% 3.5% 제3회 8월 16일 3.4% 3.8% 2.2% 2.5% 제4회 8월 17일 3.1% 3.5% 2.0% 2.4% 제5회 8월 23일 3.0% 3.6% 2.0% 2.7% 제6회 8월 24일 2.5% 2.8% 2.1% 2.4% 제7회 8월 30일 2.3% 3.1% 2.0% 2.8% 제8회 8월 31일 2.2% 2.7% 1.4% 1.9% 제9회 9월 6일 2.5% 2.6% 2.2% 2.3% 제10회 9월 7일 2.5% 2.9% 1.8% 2.2% 제11회 9월 13일 2.5% 2.9% 2.1% 2.5% 제12회 9월 14일 2.4% 2.6% 1.9% 2.1% 제13회 9월 20일 2.6% 3.3% 2.6% 3.4% 제14회 9월 21일 2.6% 3.3% 2.3% 3.0% 제15회 9월 27일 2.7% 3.6% 1.9% 2.8% 제16회 9월 28일 2.5% 3.2% 1.9% 2.6% 평균 시청률 평균 시청률 2.7% 3.3% 2.1% 2.7% = = OST = = 아래는 싱글앨범에 포함된 곡들이며, 정렬기준은 출시 순이다. Part. 1 Part. 2 Part. 3 Part. 4 Part. 5 Part. 6Part. 7Part. 8Part. 9 = = 수상 경력 = = 2017년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정혜성 = = 경쟁 프로그램 = = MBC 수목드라마 SBS 수목드라마 = = 참고 사항 = = 복잡한 전개와 잦은 타임슬립 등의 이유로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는 성적을 거두었다. 유이(극중 강수진 역)는 해당 드라마 때문에 KBS 2TV 주말드라마 황금빛 내 인생 캐스팅 제의를 고사했다. 장미관(박재현 역)은 해당 작품에 앞서 KBS 2TV 금토드라마 최강 배달꾼 캐스팅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했다. = 분류:다이쇼지 마에다가 = = 워터폰 = 워터폰, 오션 하프, 아쿠아소닉 워터폰은 스테인리스강 공명기 원판이 있고 그 가운데 손잡이가 있으며 원판의 가장자리에 각기 다른 길이와 지름의 철사들이 있는, 불협화음을 내는 체명악기의 일종이다. 이 공명기는 약간의 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워터폰에서 강렬한 천상의 소리가 나는 까닭에 영화 사운드트랙, 레코드 음반, 라이브 공연에 등장하고 있다. 이 악기는 1968년~1969년 사이 리처드 워터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워터폰은 1960년대 초에 발명가가 마주한 티베트 드럼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현대적 발명품으로, 이 또한 적은 양의 물을 넣어 음색에 영향을 주었다.:en:Journal SEAMUS: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Electro-Acoustic Music in the United States, Volume 17, 2005, p.41. 공명기와 네일, 원판을 사용한 네일 바이올린과도 관련이 있다.:en:Edward Heron-Allen/Hugh Dudinsoska Davies: Nail violin , Grove Music Online ed. L. Macy (Accessed 3 April 2008). = = 이용 = = 워터폰은 여러 박물관과 갤러리에 전시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의 공영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Art Notes", 단편 영화 "Celestial Wave"를 포함한 여러 짧은 다큐멘터리의 주제이다. 최근 10년 이상 워터폰은 교향곡, 공연 밴드,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악보에 워터폰의 일부를 작곡한 컨템포러리 클래식 작곡가들로는 Sofia Gubaidulina,제리 골드스미스, John Mackey, Christopher Rouse, Colin Matthews, John Woolrich, Carson Cooman, Andi Spicer,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Andrew Carter, Beaver & Krause의 Bernie Krause, Todd Barton를 포함한다. 이 악기는 또한 록 음악가들에 의해서도 눈에 띄게 사용된다. 톰 웨이츠는 미키 하트처럼 워터폰 수집자이자 연주자이다. = 한준수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한준수(1999년 ~ )는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포수이다. = = 가공 인물 = = 파트너의 등장 인물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의 등장 인물 핸드폰의 등장 인물 = 분류: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 교수 = = 분류:포르투 지하철 = = 1706년 = 170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 기년 = = 류큐(琉球) 쇼테이왕() 38년 청(淸) 성조 강희제(聖祖 康熙帝) 45년 조선(朝鮮) 숙종(肅宗) 32년 후 레 왕조(後黎朝) 유종(裕宗) 2년 = = 사건 = = 5월 23일 - 라미예 전투에서 말버러 공작이 이끄는 동맹군이 프랑스-바바리아연합군을 격파하다. = = 탄생 =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인 로쿠고 마사나가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인 이타쿠라 가쓰키요 1월 17일 : 미국의 초대 정치인 벤저민 프랭클린 4월 24일 : 이탈리아의 작곡가인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 11월 3일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인 이타쿠라 가쓰사토 12월 3일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인 나이토 마사키 = = 사망 = = 9월 9일 - 프랑스 원수 페르디낭 드 마르생 * = 틀:음반차트 = = 푸토성 = 푸토성은 베트남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의 끝에 위치하여 하노이와 북쪽 산맥으로 뚜옌꽝성, 하장성, 옌바이성, 라오까이성 등과 연결된다. 푸토성의 성도는 비엣찌시이며, 하노이에서 북서쪽으로 80km, 노이 바이 국제공항에서는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 = 지리 = = 전체 면적은 3,465km2이며, 인구는 1997년을 기준으로 1,296,178명이며, 도시 인구는 15%, 농촌 인구는 85%에 이른다. 평균 인구 밀도는 21,042명/km2인 비엣찌시를 제외하고는 3706명/km2이다. 푸토성에는 세 개의 큰 강이 있으며, 홍강, 로강, 다강이 전체 200km 길이로 뻗어 있다. = = =기후 = = = 토지는 꽤 비옥한 편이며, 날씨도 온화한 편이다. 평균 온도 23 °C, 가장 높은 달은 7월로 29 °C이며, 가장 낮은 달은 2월로 15 °C이다. 연평균 습도는 85%애 이르며, 우기인 3월에서 10월까지는 습도가 높아지고, 건기에는 80% 이하로 떨어진다. 연간 강수량은 1800mm로 8월에 가장 많이 내리며, 1월 강수량이 가장 적다. 4월에서 9월 사이에 내리는 강수량이 대부분이다. = = 행정 구역 = = 푸토성에는 1개의 시, 1개의 시사, 11개의 현이 있다. = = = 시 = = = 비엣찌시 (Việt Trì / 越池) = = = 시사 = = = 푸토 시사 (Phú Thọ / 富壽) = = = 현 = = = 껌케현 (Cẩm Khê / 錦溪) 도안훙현 (Đoan Hùng / 端雄) 하호아현 (Hạ Hòa / 夏和) 럼타오현 (Lâm Thao / 臨洮) 푸닌현 (푸토성) (Phù Ninh / 扶寧) 땀농현 (푸토성) (Tam Nông / 三農) 떤선현 (Tân Sơn / 新山) 타인바현 (Thanh Ba / 靑波) 타인선현 (Thanh Sơn / 淸山) 타인튀현 (Thanh Thuỷ / 淸水) 옌럽현 (Yên Lập / 安立) = = 경제 = = 1990년에서 1995년에는 연 평균 72%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농업 생산량은 31%가 증가를 했고, 공업은 15%, 서비스업은 117%가 증가를 했다. 푸토에는 36개의 경제 단위와 63개의 지방 경제 단위, 그리고 5개의 외국인 투자 기반의 경제 단위가 있다. 1997년의 산업 구조는 농림업이 33.1%, 공업 제조가 33.8%, 그리고 서비스업이 33.1% 증가세를 보였다. = 외규장각 = 외규장각(外奎章閣)은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이다. 정조는 외규장각이 설치되자 원래의 규장각을 내규장각(內奎章閣, 내각)이라 하고, 각각의 규장각에 서적을 나누어 보관하도록 하였다.정조실록 권13 정조 6년 2월 14일 신사(辛巳)일 조. 이후 병인양요(1866년) 당시, 강화도에 상륙한 프랑스 극동함대사령관 피에르 구스타브 로즈 제독이 규장각을 불태워 전각이 소실되었다. 이 결과로, 5000권 이상의 책이 소실되었고, 의궤(儀軌)를 비롯한 340권의 책과 문서 및 은궤 수천냥이 약탈되었다. 당시 프랑스군이 약탈해간 의궤 297권은 현재 파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현재 강화도에 있는 외규장각 건물은 강화군에서 2003년에 복원한 건축물이다. 현재는 전시관으로 쓰이고 있다. = = 외규장각 도서 = = 외규장각 도서(外奎章閣圖書, )는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서적으로,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1993년 TGV의 대한민국 고속철도 수주를 위해 방한하면서, 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1권을 반환하며 프랑스 외규장각 도서의 전체 반환을 약속했지만, 양국이 합의점을 찾지 못했었다. 이후 2010년 11월,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열린 서울 G20 정상회담에서 프랑스와의 정상 회담 이후 외규장각 도서를 5년마다 갱신 대여하는 것으로 합의하였고, 2011년 5월 환수가 완료되었다. = 주니치 드래건스 = 주니치 드래건스는 일본의 프로 야구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 소속이다. 본거지는 아이치현 나고야시이며 홈구장으로는 주니치 구장(현재의 나고야 구장)을 사용하다가 1997년부터 나고야 돔을 사용하고 있다. 1954년 이후로 일본 시리즈에 9번 출전하였고, 2007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에 성공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를 연고지로 하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LG 트윈스의 자매구단이다. = = 구단의 역사 = = = = = 단일 리그 시대 = = = 리그 연맹이 나고야를 방문했을 때 신아이치 신문사의 다나카 히토시가 요미우리의 쇼리키 마쓰타로로부터 나고야 지역의 프로 야구팀 구단 결성을 요청받은 것을 계기로 1936년 1월 15일, 나고야 지역의 신아이치 신문사를 모기업으로 하여 고노 아쓰시를 총감독(GM)으로, 이케다 유타카를 감독으로 한 나고야군을 결성하였다. 메이지 대학의 나카네 스스무, 미국인 포수인 벅키 해리스, 내야수 하가 나오카즈, 일본계 미국인 다카하시 요시오, 주장 마스 가이치, 슬로우 볼러인 모리이 시게루 등이 초기 멤버이다. 비슷한 시기에 신아이치 신문사의 산하였던 국민 신문에서도 대도쿄군을 결성하였다. 당초에는 쇼리키 마쓰타로와는 다르게 독자적인 일본 야구 연맹을 조직하여 각지에 같은 구단을 4개 결성하고 그 아래에는 MLB의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에 상당하는 하부 리그를 구성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결국 계획은 실행되지 않고 나고야군과 대도쿄군 만이 일본 직업 야구 연맹에 가입하게 되었다. 당초의 구단명은 나고야군의 경우 주식회사 대일본 야구 연맹 나고야 협회였으며, 대도쿄군은 주식회사 대일본 야구 연맹 도쿄 협회였고, 이를 통해 독자적으로 구성하고자했던 일본 야구 연맹 구상의 자취를 엿볼 수 있다. 1937년, 초대 총감독이던 고노 아쓰시가 구단을 떠나 이글스를 결성하면서 초대 멤버 중 일부였던 나카네, 해리스, 다카하시 등이 뒤를 따라 팀을 떠났으며 이런 혼란을 싫어한 초대 감독 이케다 유타카마저 사임하였고 주장이었던 마스 가이치가 감독직을 승계했다. 팀의 주력이었던 선수들이 팀을 이탈하면서 전력이 급격히 떨어져 이후 침체기를 걷게 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선수 부족 현상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오사와 기요시, 니시자와 미치오, 마쓰오 고조, 무라마쓰 유키오 등 좋은 기록을 남긴 선수들이 지속적으로 나왔다. 그러나 팀 전력은 일정 수준까지 올라오지 못했고 도쿄 교진군이나 오사카 타이거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1942년, 전시 체제에 따른 신문사 통폐합령에 따라 모회사인 신아이치 신문사와 나고야 신문사(예전 나고야 긴코군의 모회사)가 통합하게 되어 주부닛폰 신문사가 발족하였고 합병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이 감당하기 버거웠던 주부닛폰 신문사는 구단 경영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구단에 투입되는 자금이 대폭 감소한 데다가 신문사의 영리 사업이 불허되는 바람에 구단을 정상적으로 경영하는게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주부닛폰 신문의 이사였던 오시마 이치로(구 신아이치 신문의 창업 가문 출신)이 개인 자산을 출자해 1943년 시즌을 정상적으로 마치는 데는 성공했으나 결국 개인 자산 출자에 한계가 왔고, 나고야군의 이사 아카미네 마사시가 구단 선수들을 책임지고 1944년 2월 5일에 구단을 이화학 연구소 공업(이화학 연구소를 모체로 하는 이화학 연구소 콘체른의 한 기업)의 산하에 들어가게 되어 선수들을 취직시켰고, 구단명을 산교군으로 개칭하고 선수들은 공장에서 근로 봉사를 하는 동시에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전쟁에 따라 나고야군의 선수들도 다른 구단의 선수들과 함께 예외없이 징병되었으며 이시마루 신이치를 비롯하여 많은 선수들이 전사했다.특공으로 전사한 프로 야구 선수로서는 유일하다. 1945년 11월, 구단 스폰서에 오시마가 돌아오고, 다음해인 1946년 2월 1일 리그 재개에 수반하여 주부닛폰 신문사가 경영에 복귀, 주식회사 주부닛폰 야구 클럽을 설립하고 팀명을 주부닛폰으로 바꾸어 새롭게 재출발하였으며, 구단 애칭을 주부로 하였다. 1947년, 각 구단의 닉네임 도입에 따라 3월 10일에는 구단 오너였던 스기야마 도라노스케의 간지였던 용(辰)의 영어 번역인 ‘드래곤’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팀의 이름을 주부닛폰 드래건스로 다시 개칭하였다. 그리고 이 해 투수였던 핫토리 쓰구히로가 팀에서 맹활약하며 팀의 상승세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오프 시즌이었던 11월 1일, 아카미네가 해고되면서 팀에서 탈퇴하면서 아카미네를 그리워하던 가토 쇼지, 후루카와 세이조, 가나야마 지로, 고즈루 마코토 등 총 11명의 선수가 팀에서 탈퇴, 후지모토 히데오도 요미우리에 복귀하면서 또다시 팀 전력이 저하됐고 퇴단한 아카미네 일파는 각 구단을 떠돌아 다니며 아카미네 선풍이라 일컬어지는 혼란을 야기했다. 1948년, 팀의 이름을 다시 주니치 드래건스로 개칭하였으며 오프 시즌 중 주니치 스타디움(주니치 구장)이 완공되면서 본격적인 홈구장을 갖추게 되었다. 이듬해 1949년에는 아마치 슌이치가 감독으로 취임하여 스기시타 시게루가 입단하고 타자 니시자와 미치오가 주니치에 복귀했다. 같은 해 일본 야구가 양대 리그로 나뉘면서 센트럴 리그 소속으로 가입하였다. = = = 센트럴 리그 가맹 후 = = = = = = = 1950년 ~ 1961년 = = = = 1950년, 메이저 리그를 모방하여 구단과 구장을 동시 경영하게 됨으로써 주니치 구장을 경영하고 있던 주식회사 주니치 스타디움을 합병하여 나고야 야구 주식 회사가 됐다. 이듬해 1951년에는 나고야 야구 주식회사로부터 주식회사 나고야 야구 클럽이 분리되었고 같은 해 2월 6일 나고야 철도가 경영에 참가하게 됨에 따라 구단명을 나고야 드래건스로 개칭하였으며 이에 따라 나고야 철도와 주니치 신문사가 각각 격년으로 구단을 경영하게 되었다. 첫 해인 이 해에는 나고야 철도에서 경영을 맡았다. 8월 19일에는 주니치 구장이 경기 도중 화재에 의해 전소되면서 오프 시즌에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재건했다. 1953년 12월 19일, 이후의 구단 경영은 주니치 신문만이 도맡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다음해인 1954년 1월 14일에 주식회사 주부닛폰 야구 협회로 상호를 변경하고 팀 이름도 주니치 드래건스로 되돌렸다. 결국 1월 30일에 나고야 제철이 구단 경영으로부터 손을 뗐다. 1954년 시즌에는 아마치 슌이치 감독의 지휘 하에 처음으로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내친 김에 일본 시리즈에서도 니시테쓰 라이온스를 4승 3패로 제압하며 처음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에도 성공하였다. 1959년 이세 만 태풍으로 인해 주니치 구장이 수몰되면서 정규 경기의 일부를 다른 구장에서 치렀고, 1960년 2월에는 회사명을 주식회사 주부닛폰 야구 협회에서 주식회사 주니치 드래건스로 바꿨다. 1961년 노닌 와타루 감독이 취임했으며, 신인 곤도 히로시의 활약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1경기 차까지 추격했으나 역전 우승에 실패하며 2위에 머물렀다. = = = = 1962년 ~ 1980년 = = = = 1962년,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서 주전으로 뛰던 빅리거 돈 뉴컴과 래리 도비를 영입하며 지난 시즌에 비해 전력을 강화시켰으나 리그 3위에 그쳤다. 1965년 ~ 1967년, 니시자와 감독의 지휘 하에 3년 연속으로 리그 2위를 차지했으나 결국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1968년에는 스기시타 시게루 감독, 1969년부턴 요미우리 출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차례로 취임했으나 각 시즌 동안 4위, 5위, 그리고 2위를 기록하며 기록상으로 크게 나아지지 못했다. 그러나 미즈하라 감독의 신뢰 아래서 성장한 선수들이 1972년 이후 기량이 만개하며 결국 1974년 리그 우승에 성공하게 된다. 1972년, 요나미네 가나메 수석 코치가 감독으로 승격하며 ‘타도 요미우리’에 대한 투지를 불태우며 1972년, 1973년 연속으로 V9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괴롭혔다. 결국 근 20년 만에 1974년 다카기 모리미치, 호시노 센이치와 토머스 마틴, 야자와 겐이치 등의 활약과 함께 마침내 V10을 노리던 요미우리를 저지하며 리그 우승에 성공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선 퍼시픽 리그의 롯데 오리온스한테 2승 4패로 패배했다. 그리고 그 다음 시즌인 1975년에는 첫 해외 전지훈련(플로리다주 브래든턴)을 떠났지만 리그 2위에 그친 뒤 1976년에는 B클래스(리그 4위 ~ 6위)로 성적이 추락하며1976년 고라쿠엔 구장에서의 요미우리와의 상대 전적은 0승 1무 12패였고, 다음해인 1977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7연패를 당했지만 9월 13일의 경기에서 6대 5로 승리해 연패를 19연패로 간신히 멈추었다(당시 센트럴 리그의 동일 구장에 있어서의 연패 기록은 20연패였다). 요나미네 감독은 1977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1978년, 나카 도시오 감독이 새롭게 취임했으나 감독 부임 첫 해에 5위로 그쳤다. 비록 그 다음 시즌 3위에 오르며 A클래스(리그 1위 ~ 3위)에 오르는데는 성공했으나 그 다음 시즌 리그 최하위인 6위로 떨어지며 사임하게 된다. = = = 곤도·야마우치 감독 시대 = = = = = = = 1981년 ~ 1983년 = = = = 1981년에 곤도 사다오 감독이 새롭게 취임했다. 곤도 감독은 호시노 센이치나 기마타 다쓰히코 등과 같은 베테랑들을 주전에서 제외하는 동시에 히라노 겐이나 나카오 다카요시, 가미카와 세이지 등의 신예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며 리그 우승이 걸려있던 시즌 최종전에서 고마쓰 다쓰오의 완봉 역투에 힘입어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를 제압했고 동시에 1위로 기록 중이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추월하면서 1982년 팀의 세 번째 리그 우승에 성공했다. 일본 시리즈에선 세이부 라이온스에 2승 4패의 성적을 기록하며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에 실패했다. 그 해 팀의 간판 투수로 군림했던 호시노 센이치 등이 은퇴했고 결국 이듬해인 1983년에는 전력이 약화된 부분을 제대로 메꾸지 못하며 리그를 5위로 마무리를 지으면서 곤도 감독이 퇴임했다. = = = = 1984년 ~ 1986년 = = = = 1984년, 야마우치 가즈히로 감독이 취임하며 부임 첫 해인 1984년에는 리그 2위를 기록하며 기대를 높였다. 그러나 그 후 2년 연속으로 리그 5위에 그쳤고 1986년 시즌 도중 야마우치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는 등 다카기 모리미치 수석 코치가 감독직을 대행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호시노 센이치가 후임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이 때 롯데로부터 지금의 주니치 감독인 오치아이 히로미쓰를 트레이드로 영입했다. = = = 호시노·다카기 감독 시대 = = = = = = = 1987년 ~ 1993년 = = = = 이듬해 1987년, 메이저 리그 LA 다저스와의 제휴 관계를 맺으며 유니폼을 LA 다저스 풍의 파란색/하얀색 유니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즌 한 때 1위에 오르기도 했으나 끝내 리그 2위로 시즌을 마감했으며 다음 해인 1988년에는 13년 만에 미국 전지훈련(베로비치)을 치렀다. 1988년 4월이 끝나는 시점에서 선두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8경기차를 기록하며 최하위로 처진데다가 이후 7월 8일까지 6연패를 기록하며 사실상 리그 우승은 멀어져보였으나 7월 9일부터 50승 3무 15패를 기록하며 이 기간 동안 승률 7할 6푼 9리를 기록하며 10월 7일에는 역전하면서 리그 우승에 성공했다. 토박이 감독으로서는 구단 역사상 최초의 일이였으며 가쿠 겐지가 시즌 44세이브를 기록하면서 리그 MVP에 오른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선 또 다시 세이부한테 1승 4패로 패했다. 1992년 이전 한 차례 감독 대행직을 맡았던 다카기 모리미치가 감독직에 올랐으나 12년 만에 리그 최하위에 그쳤고, 1993년에는 이마나카 신지와 야마모토 마사히로의 좌완 더블 펀치가 각각 17승이라는 리그 최다승을 기록하면서 이마나카는 사와무라상, 야마모토는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까지 거머쥐는데 성공한다. 1위 자리를 두고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시즌 막판까지 접전을 펼치다가 10월 1일 결국 야쿠르트가 리그 우승을 확정지으며 리그 2위에 머물렀고 그 해 시즌 뒤 지바 롯데 마린스와 공동으로 한국을 방문했는데 1984년 롯데 오리온스 이후 9년 만에 일본 프로야구 팀의 한국 방문 프로야구 친선경기였다. = = = = 1994년 ~ 1996년 = = = = 1994년 시즌 중반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치열한 선두 다툼을 벌였으나 8월 18일부터 8연패를 기록하면서 다카기 감독 해임설이 나도는 등 팀 분위기가 저하되었으나 9월 20일부터 내리 9연승을 기록하는 것을 시작으로 요미우리를 맹렬히 추격하는 등 결국 10월 8일 동률을 이룬 두 팀은 이른바 ‘10월 8일 결전’이라고 불리는 경기를 치른다. 그러나 결국 요미우리의 마쓰이 히데키 등이 맹활약에 분패하며 리그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1994년 시즌에서는 팀 선수들은 거의 모든 투타 타이틀을 독식하는 데 성공했다. 1995년, 전년도 시즌 2위의 활약에 힘입어 다카기 감독이 계속해서 지휘봉을 잡았으나 부진 끝에 시즌 도중 사임했고, 도쿠타케 사다유키 수석 코치와 시마노 이쿠오 2군 감독이 차례차례로 감독 대행직을 맡으며 리그 5위로 시즌을 마쳤다. 1996년,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결국 복귀했으며 나고야 구장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된 그 해에는 KBO 리그 팀인 해태 타이거즈로부터 투수 선동열을 영입하면서 투수진에 힘이 돼주길 기대했지만 시즌 직전 선동열은 모친상을 당하는 등 리그 적응에 난조를 겪으며 일본 데뷔 첫 해에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요미우리가 1승만 거두면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시점에서(남은 시즌이 모두 주니치전과 요미우리의 경기였기 때문에 매직 넘버는 뜨지 않았다고 한다) 요미우리를 상대로 6연승을 거두며 추격했으나 끝내 마지막 3경기에서 패배하며 역전 우승에 실패했다. 주니치의 팬들은 이 당시의 강력한 공격과 파워 넘치는 홈런을 바탕으로 한 빅 볼 야구에 ‘공룡 타선’이라는 별명을 붙여 주며 아꼈다. = = = 나고야 돔으로의 홈구장 이전 = = = = = = = 1997년 = = = = 그 해 주니치의 새로운 홈구장인 나고야 돔이 개장하면서 기존의 나고야 구장을 떠나 홈구장을 이전하게 됐다. 그러나 기존의 작은 나고야 구장을 바탕으로 했던 공룡 타선이 구장 크기가 큰 나고야 돔에선 제대로 된 파괴력을 보이지 못했고 끝내 5년 만에 다시 시즌 최하위로 쳐졌다. 그러나 지난 해 부진했던 선동열이 마무리 투수로 나서 활약하는 등 38세이브를 올리고, 에이스인 야마모토 마사히로가 3년 만에 통산 세 번째의 최다승을 수확하는 등 투수진의 분투가 빛났던 한 해였다. 이후 오프 시즌에서 새로운 구장에 적응하기 위해 팀 스타일에 본격적인 변화를 꾀하며 한신으로부터 야노 아키히로와 세키카와 고이치, 구지 데루요시 등을 영입하는 동시에 한국의 해태 타이거즈로부터 이종범까지 영입하는 등 팀 스타일을 타격 중심에서 투수력과 수비력을 살리는 스타일로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한편, 시즌 뒤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한국을 방문했는데 1993년 해당 팀과 지바 롯데 마린스 이후 4년 만에 일본 팀의 한국 방문 프로야구 친선경기이기도 했다. = = = = 1998년 = = = = 1998년 시즌, 이런 개혁이 빛을 보며 강력한 투수 중심의 야구 스타일을 확립, 리그 후반전부터 당시 리그 선두였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를 추격하여 8월 27일 1게임차까지 추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시즌 막판에는 요코하마에게 7연패를 당하며 리그 2위에 그치며 요코하마의 38년 만의 리그 우승을 허용했다. 전년도에 새로 입단한 가와카미 겐신이 신인왕을 차지했고 그 해 오프 시즌에 이후 팀의 주축이 된 타자 후쿠도메 고스케와 투수 이와세 히토키가 입단했다. = = = = 1999년 = = = = 이듬해에는 드물게 개막전부터 11연승을 거두며 리그 우승을 향한 청신호를 보였다. 가와카미 겐신을 필두로 한 막강한 선발진과 이상훈, 이와세 히토키, 오치아이 에이지 등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계투진을 구성하여 양대 리그의 12개 구단 중 최고의 투수력을 갖추며 ‘투수 왕국’이라 불리게 됐다. 이후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끝내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시즌 전반부터 선두에 올라 마지막까지 선두 자리를 지키며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을 올렸으나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로 골든 글러브상을 차지한 선수는 전무했다(오치아이 감독이 취임한 2010년에는 같은 형태로 최고 승률을 기록했다). 나고야 돔 이전 후 처음으로 열린 일본 시리즈에서 퍼시픽 리그 팀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를 상대하였지만 결국 1승 4패로 무릎을 꿇었고, 상대 감독 오 사다하루의 헹가레를 지켜 볼 수 밖에 없었다. = = = = 2000년 ~ 2001년 = = = = 2000년, 시즌 초반에는 별로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5월부터 내리 10연승을 거두며 리그 2위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투타 모두에서 작년과 같은 막강함은 찾아보기 힘들었고 요미우리를 상대로 한 성적이 9승 18패, 특히나 홈인 나고야 돔에 2승 12패를 기록하는 굴욕을 겪었다. 홈에서 맞은 홈런이 26개로 주니치 드래건스가 한 시즌 동안 나고야 돔에서 친 32개의 홈런에 필적할 정도로 많았다. 9월 24일, 요미우리를 상대로 4-0으로 앞서던 경기를 투수 에디 겔라드는 동점 만루홈런과 니오카 도모히로의 끝내기 홈런을 허용하여 패배하는 등 리그 1위를 내주고 만다. 2001년 시즌 5위를 기록하면서 4년 만에 B클래스로 떨어지는 등 호시노 감독이 책임을 물어 사임했고, 야마다 히사시 수석 코치가 감독으로 승격하게 됐는데 이는 주니치의 레전드 선수들을 제외하고는 16년 만에 감독에 오른 사례다. = = = 야마다 감독 시대 = = = = = = = 2002년 = = = = 후쿠도메 고스케가 수위 타자에 오르면서 요미우리의 마쓰이 히데키의 타격 3관왕 시도를 저지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요미우리한테 9연패를 당한 영향으로 리그 3위에 그쳤다. = = = = 2003년 = = = = 그러나 부상으로 인해 선발진이 붕괴된데다가 믿을 만한 4번 타자의 부재로 인해 리그 5위로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팀 출신이 아닌 감독에 대해서 주니치 팬들의 지지를 얻지 못한 끝에 9월 9일에 야마다 감독이 휴양을 이유로 사임했다. 사사키 교스케 수석 코치가 임시 감독직을 맡아 리그 1위 팀인 한신에 14.5경기차로 2위를 기록했다. = = = 오치아이 감독 시대 = = = = = = = 2004년 = = = = 1988년 리그 우승의 주역이었던 오치아이 히로미쓰가 감독으로 취임, 1987년 이후의 ‘호시노 컬러’를 일신하며 지키는 야구를 펼치는 등 취임 첫 해에 리그 우승에 성공했다(당시 팀 실책수 45개는 센트럴 리그 최소 기록이며 골든 글러브상 5개 부문 독점도가와카미 겐신(투수), 와타나베 히로유키(1루수), 아라키 마사히로(2루수), 이바타 히로카즈(유격수), 구라모토 히데노리와 알렉스 오초아(외야수) 센트럴 리그 최다 기록이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선 세이부를 만나 3승 4패로 패해 50년 만에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을 노리는 데엔 실패했다. = = = = 2005년 = = = = 요코하마로부터 한국에서도 뛴 적이 있던 강타자이자 용병 타이론 우즈를 영입하고 즉시 전력이 될 만한 신인들이 수급되면서 팀이 전체적으로 더 강해졌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개막 2연전에서 2경기 연속 끝내기 승리를 거두는 등 교류전 이전까지는 좋은 성적을 보여줬으나 그 해에 처음 도입된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간의 교류전에서 15승 21패에 그치며 고전했다. 하지만 올스타전 이후 11연승을 거두며 선두팀인 한신을 두 차례 0.5경기차까지 추격했으나 시즌 막판 연패에 빠지며 10경기차로 리그 2위에 그쳤다. = = = = 2006년 = = = = 정규 페넌트레이스에서 강력한 투수진과 막강한 수비, 타격진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며 8월 구단 사상 최초의 빠른 속도로 매직 넘버를 점등시켰다(M40). 시즌 막판 한신 타이거스의 추격에 시달렸으나 리그 1위를 끝까지 내주지 않으면서 2년 만에 7번째 센트럴 리그 우승에 성공했으며 각 리그 구단들에게 모두 상대 성적에서 앞선 이른바 ‘완전 우승’을 거두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를 상대로 1승 4패로 패배하면서 또 다시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 = = = 2007년 = = = = 정규 페넌트레이스에선 요미우리, 한신과 나란히 상위권에 올라 치열한 리그 우승 경쟁을 펼쳤으나 끝내 요미우리에게 밀리며 2위를 기록, 리그 2연패 달성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오치아이 감독은 삭발 투혼으로 그 해 처음으로 센트럴 리그에 도입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임하며 한신과의 제1 스테이지, 요미우리와의 제2 스테이지에서 내리 5연승을 거두며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승자에 올랐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2년 연속 닛폰햄을 만나 4승 1패의 성적을 기록해 전년도의 패배를 되갚으며 53년 만에 일본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퍼시픽 리그에서도 2년 전부터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도입했으나 ‘리그 우승을 차지 하지 않고 일본 시리즈 우승에 성공’한 사건은 일본 야구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또한 일본 대표로 아시아 시리즈에 출전하였으나 첫 경기에서 한국 시리즈 우승 팀인 SK 와이번스에게 완패하면서 대회 시작 이후 일본 야구 팀 중 처음으로 한국의 야구팀에게 패배한 팀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조 2위로 결승에 진출하여 결승에서 끝내 SK 와이번스를 누르면서 아시아 시리즈 우승컵 또한 손에 쥐는데 성공했다. = = = = 2008년 = = = = 세이부로부터 FA를 취득한 와다 가즈히로를 영입하는 데 성공했으나 팀의 주축이었던 후쿠도메 고스케가 메이저 리그 팀인 시카고 컵스로 FA 이적했고 주력 4번 타자인 타이론 우즈가 부진에 빠졌고, 투수진과 타자진에서 연달아 줄부상이 터진데다가(정규 이닝수를 채운 투수가 한 명도 없었다)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로 6승 1무 17패에 그치는 등 리그 3위에 머물렀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제1 스테이지인 한신을 상대로 2승 1패로 꺾었으나 제2 스테이지에서 요미우리를 상대로 빈공과 계투진의 부진으로 1승 1무 3패를 기록하며 패배해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 = = = 2009년 = = = = 제2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된 주니치 소속의 일본 대표 선수 4명이 모두 대표팀 사퇴를 선언하는 소동이 있었으나 타이론 우즈를 방출하고 영입한 용병 토니 블랑코가 홈런과 타점 부문에서 2관왕에 오르는 등 맹활약을 했고 가와카미 겐신의 메이저 리그 진출로 인한 선발진의 구멍 또한 요시미 가즈키나 천웨이인의 대활약으로 그 구멍을 메꿀 수 있었다. 시즌 초반에는 하위권에 처지면서 고전했으나 교류전 시점에 이르러 추격하여 2위였던 야쿠르트를 따돌리고 선두 요미우리와 1.5경기차까지 따라붙었으나 요미우리와 상대하면서 8승 16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결국 12경기차로 시즌 2위에 그쳤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1 스테이지에선 야쿠르트를 상대로 2승 1패를 기록하며 제2 스테이지 진출에 성공했으나 제2 스테이지에서의 첫 경기에서는 이겼지만 결국 1승 4패로 패배해 시즌을 마감했다. = = = = 2010년 = = = = 시즌 초반에 선발 투수들이 집단으로 부진에 빠졌으나 아사오 다쿠야와 다카하시 아키후미 등의 계투진이 분전하며 그 부진을 만회했다. 또 주전 야수였던 이바타 히로카즈가 시즌 도중 부상으로 인해 전력에서 이탈했으나 와다 가즈히로와 모리노 마사히코 등이 그 빈 자리를 채웠고 많은 신예들이 새롭게 대두되면서 요미우리, 한신과의 격전 끝에 압도적인 홈 승률을 바탕으로 4년 만에 팀 통산 8번째 리그 우승을 따내며 요미우리의 리그 4연패 시도를 저지했다. 한때는 당시 선두였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8경기차까지 벌어지며 우승이 사실상 불가능해보였으나 후반부터 엄청난 기세로 승리를 서서히 따내면서 시즌 초부터 선두에 있었던 요미우리와 한신을 매섭게 추격하는 등 끝내 뒤집은 대역전 우승이었다. 원정에서 26승 2무 44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뒀으나 홈에서는 51승 1무 17패와 7할 5푼대의 승률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특히 숙적이었던 요미우리를 상대로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포함한 나고야 돔에서 13승 3패(정규 시즌 기준 10승 2패)를 거뒀고 특히 요미우리를 상대로 홈 9연승을 거두며 전년도 시즌 성적인 8승 16패에 대한 복수를 했다. 한신에게도 이와 같이 10승 2패를 거두며 리그 우승 경쟁을 같이 했던 팀들에게 압도적인 모습을 보인 덕분에 3위와의 1경기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리그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4년 만에 리그 우승 팀 자격으로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퍼시픽 리그의 정규 시즌 3위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승리한 뒤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난전 끝에 2승 1무 4패라는 성적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특히나 6, 7차전에서 모두 연장 12회까지 혈투를 거두며 명승부가 펼쳐졌으나 끝내 지바 롯데의 타력이 주니치의 투수력을 넘어서면서 우승을 내주고 만 것이다. = = = = 2011년 = = = = 당초 3월 25일에는 나고야 돔에서의 개막전이 예정되었지만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4월 12일에 연기되었다. 이 때문인지 오치아이 감독은 부임 후 처음으로 원정팀으로서(요코하마 스타디움)의 개막전을 지휘했다. 교류전에서는 기대 이상의 활약과 리그 선두에도 서는 등 호조를 보였지만 다카하시 아키후미, 나카타 겐이치, 야마모토 마사, 토니 블랑코, 다니시게 모토노부, 이바타 히로카즈 등 주력 선수들의 부진이 잇따르고 있는 와중에 새로 도입된 공인구(일명 통일구)의 영향 등으로 전년도 리그 MVP에 선정된 와다 가즈히로를 중심으로 타격진이 극심한 부진에 빠지면서 7월에는 팀 성적이 좋지 않았다. 8월 3일, 선두 야쿠르트와의 10경기차로 벌어지면서 8월 10일에는 5위로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리그에서 최고 성적을 남긴 투수진의 활약에 가세해 특히 중간 계투에서 선발로 전향한 엔옐버트 소토의 활약으로 요미우리, 한신, 히로시마와의 2위 경쟁에 합류했고 9월이 되면서 다니시게, 블랑코, 이바타 등 주력 선수들의 복귀와 오시마 요헤이, 히라타 료스케 등 젊은 선수들의 성장도 있어 선두 야쿠르트와의 조금씩 승차를 줄여 나갔다. 9월 22일, 오치아이 감독이 임기 만료에 의해 2011년 시즌 끝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입장을 밝힘과 동시에 차기 감독은 주니치 감독 출신이자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인 다카기 모리미치로 발탁했다는 내용의 공식 발표를 했고 10월 6일에는 11명의 코치진도 주니치를 퇴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오치아이 감독의 사임 발표가 있은 이후에는 팀 성적과 전력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9월에는 15승 3무 6패, 10월에는 11승 2무 5패를 기록하며 10월 6일에는 리그 단독 선두로 올라섰다. 10월 18일에는 142경기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해 주니치 구단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2년 연속 리그 연패를 달성했다. 팀 타율(2할 2푼 8리)과 득점(419득점)은 모두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타율과 득점 모두 최하위로 처졌는데도 불구하고 리그 우승을 달성한 사례는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이후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승리한 야쿠르트와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맞대결한 끝에 4승 2패의 성적을 거둬 2년 연속이 되는 일본 시리즈 진출에 성공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6차전까지 양 팀이 홈구장에서 패하는 등의 접전을 펼쳤지만 소프트뱅크의 홈구장이자 후쿠오카 돔에서 열린 7차전에서는 결국 3승 4패의 성적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팀 타선이 저조(팀 타율은 1할 5푼 5리)하여 역대 최악의 기록을 남겼다. = = = 제2차 다카기 감독 시대 = = = = = = = 2012년 = = = = 오치아이 히로미쓰 전임 감독의 뒤를 이어 다카기 모리미치가 1995년 이후 15년 만에 감독직에 복귀했고 2011년 오프 시즌 동안 라쿠텐을 떠난 야마사키 다케시가 10년 만에, 메이저 리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떠난 가와카미 겐신이 4년 만에 모두 주니치에 복귀했다. 개막전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승리를 거둔 후 무승부를 포함한 5연승을 거두며 5월 8일 리그 선두에 오른 이후 하루를 제외하고 6월 30일까지 리그 선두를 고수했다. 하지만 교류전에서 센트럴 리그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뒤를 잇는 2위라는 성적을 거두고도 7월 1일, 요미우리에 밀려 리그 2위로 떨어진다. 이후 차이가 점점 벌어지다 8월말 6.5게임차까지 벌어지고 결국 선두 요미우리와 10.5게임차 2위로 시즌을 마감한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선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야쿠르트에 승리를 거두었지만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3연승 후 3연패를 당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시즌 중 주포 토니 블랑코와 에이스 요시미 가즈키가 부상으로 이탈하는 해, 함께 규정 타석과 규정 이닝에 들지 못하는 등 아쉬움을 남겼다. 홈인 나고야 돔에서는 14연승을 거두는 등 맹활약했지만 요미우리, 야쿠르트와 상대하는 관동 원정에서 개막 후 15연패를 당한 것이 성적에 치명타로 작용했다. = = = = 2013년 = = = = 6월 28일, 야마이 다이스케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는 등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지만, 팀은 시즌 내내 부진한 성적을 거두다 9월 25일 홈 히로시마전에서 0-2로 패하며 2001년 이후 12년만에 B 클래스 추락이 확정되었다. 4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후 처음으로 진출에 실패했다. 최종전 후 계약 만료로 다카기 모리미치 감독이 퇴진했으며 후임으로 다니시게 모토노부가 선수 겸 감독으로 취임했다. 이는 2007년 야쿠르트의 후루타 아쓰야 선수 겸 감독 이후 처음이자 구단에선 1955년 노구치 아키라 이후 3번째 일이었다. 또한 구단 최초의 제너럴 매니저로 오치아이 히로미쓰 전 감독이 새롭게 취임했다. = = = 다니시게 감독 시대 = = = = = = = 2014년 = = = = 2013년 11월 4일, 이바타 히로카즈가 전력 외 통보를 받고 요미우리로 이적했으며 나카타 겐이치는 FA로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하며 전력이 약화된 상태로 시즌을 맞이했다. 2014년 8월 구단 최악의 기록인 월간 20패를 기록했다. 9월 20일 원정 한신전에서 패하며 28년만에 첫 2년 연속 5할 미만 승률에 그쳤고 9월 28일 홈 요미우리전에서 패배하며 역시 28년만에 2년 연속 B클래스 추락이란 굴욕을 맛봤다. = = 역대 감독 = = 이케다 유타카(, 1936년) 마스 가이치(, 1937년)〈제1차〉 네모토 유키사토(, 1938년 ~ 1939년) 고니시 도쿠로(, 1939년 ~ 1941년) 혼다 지카키(, 1941년 ~ 1942년) 마스 가이치(, 1942년 ~ 1943년)〈제2차〉 미야케 다이스케(, 1944년) 다케우치 아이이치(, 1946년) 스기우라 기요시(, 1946년 ~ 1948년)〈제1차〉 아마치 슌이치(, 1949년 ~ 1951년)〈제1차〉 쓰보우치 미치노리(, 1952년 ~ 1953년) 아마치 슌이치(, 1954년)〈제2차〉 노구치 아키라(, 1955년 ~ 1956년) 아마치 슌이치(, 1957년 ~ 1958년)〈제3차〉 스기시타 시게루(, 1959년 ~ 1960년)〈제1차〉 노닌 다카미(, 1961년 ~ 1962년) 스기우라 기요시(, 1963년 ~ 1964년)〈제2차〉 니시자와 미치오(, 1964년 ~ 1967년) 곤도 사다오(, 1967년)【감독 대행】 스기시타 시게루(, 1968년)〈제2차〉 혼다 이쓰로(, 1968년)【감독 대행】 미즈하라 시게루(, 1969년 ~ 1971년) 요나미네 가나메(, 1972년 ~ 1977년) 나카 도시오(, 1978년 ~ 1980년) 곤도 사다오(, 1981년 ~ 1983년) 야마우치 가즈히로(, 1984년 ~ 1986년) 다카기 모리미치(, 1986년)【감독 대행】 호시노 센이치(, 1987년 ~ 1991년)〈제1차〉 다카기 모리미치(, 1992년 ~ 1995년) 도쿠타케 사다유키(, 1995년)【감독 대행】 시마노 이쿠오(, 1995년)【감독 대행】 호시노 센이치(, 1996년 ~ 2001년)〈제2차〉 시마노 이쿠오(, 2000년)【감독 대행】 야마다 히사시(, 2002년 ~ 2003년) 사사키 교스케(, 2003년)【감독 대행】 오치아이 히로미쓰(, 2004년 ~ 2011년) 다카기 모리미치(, 2012년 ~ 2013년)〈제2차〉 다니시게 모토노부(, 2014년 ~ 2016년) 모리 시게카즈(, 2016년)【감독 대행】 모리 시게카즈(, 2017년 ~ 2018년) 요다 쓰요시(, 2019년 ~ 2021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2022년 ~ ) ※ 〈 〉은 재임 차수. = = 연도별 성적 = = 연도 감독 순위 경기 승리 패전 무승부 승률 승차 타율 홈런 평균자책점 1936년 이케다 유타카 16 7 9 0 .438 .237 9 5.72 1936년 추계 이케다 유타카 26 12 14 0 .462 .218 2 3.60 1937년 춘계 마스 가이치 7위 56 21 35 0 .375 21 .220 1 4.14 1937년 추계 마스 가이치 8위 49 13 33 3 .283 25 .222 4 4.00 1938년 춘계 네모토 유키사토 7위 35 11 24 0 .314 18 .216 5 3.49 1938년 추계 네모토 유키사토 4위 40 19 18 3 .514 10 .211 12 3.34 1939년 네모토 유키사토·고니시 도쿠로 6위 96 38 53 5 .418 27.5 .216 19 2.44 1940년 고니시 도쿠로 5위 104 58 41 5 .586 15.5 .191 12 1.90 1941년 고니시 도쿠로·혼다 지카키 6위 84 37 47 0 .440 25 .182 13 1.75 1942년 혼다 지카키 7위 105 39 60 6 .394 33.5 .185 24 1.93 1943년 마스 가이치 2위 84 48 29 7 .623 4 .198 18 1.41 1944년 미야케 다이스케 4위 35 13 21 1 .382 14.5 .184 7 3.10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에 의한 경기 중단 1946년 다케우치 아이이치·스기우라 기요시 7위 105 42 60 3 .412 22.5 .248 46 4.40 1947년 스기우라 기요시 2위 119 67 50 2 .573 12.5 .229 41 2.03 1948년 스기우라 기요시 8위 140 52 83 5 .385 34.5 .232 45 2.99 1949년 아마치 슌이치 5위 137 66 68 3 .493 19.5 .268 136 3.77 1950년 아마치 슌이치 2위 137 89 44 4 .669 9 .274 144 3.73 1951년 아마치 슌이치 2위 113 62 48 3 .564 18 .272 67 3.47 1952년 쓰보우치 미치노리 3위 120 75 43 2 .636 7 .264 77 2.82 1953년 쓰보우치 미치노리 3위 130 70 57 3 .551 18.5 .251 66 3.24 1954년 아마치 슌이치 1위 130 86 40 4 .683 - .256 70 2.32 1955년 노구치 아키라 2위 130 77 52 1 .597 15 .238 64 2.02 1956년 노구치 아키라 3위 130 74 56 0 .569 10 .228 52 2.03 1957년 아마치 슌이치 3위 130 70 57 3 .550 4 .219 63 2.26 1958년 아마치 슌이치 3위 130 66 59 5 .527 9 .233 86 2.40 1959년 스기시타 시게루 2위 130 64 61 5 .512 13 .237 106 2.77 1960년 스기시타 시게루 5위 130 63 67 0 .485 9 .230 87 3.08 1961년 노닌 다카미 2위 130 72 56 2 .562 1 .241 79 2.48 1962년 노닌 다카미 3위 133 70 60 3 .538 5 .249 107 2.68 1963년 스기우라 기요시 2위 140 80 57 3 .584 2.5 .246 120 2.84 1964년 스기우라 기요시·니시자와 미치오 6위 140 57 83 0 .407 25 .254 114 3.63 1965년 니시자와 미치오 2위 140 77 59 4 .566 13 .247 100 2.60 1966년 니시자와 미치오 2위 132 76 54 2 .585 13 .253 123 2.54 1967년 니시자와 미치오 2위 134 72 58 4 .554 12 .248 148 3.31 1968년 스기시타 시게루 6위 134 50 80 4 .385 27 .246 142 3.72 1969년 미즈하라 시게루 4위 130 59 65 6 .476 14 .231 145 3.11 1970년 미즈하라 시게루 5위 130 55 70 5 .440 23.5 .234 118 3.20 1971년 미즈하라 시게루 2위 130 65 60 5 .520 6.5 .226 127 2.97 1972년 요나미네 가나메 3위 130 67 59 4 .532 7 .232 123 3.29 1973년 요나미네 가나메 3위 130 64 61 5 .512 1.5 .242 108 2.98 1974년 요나미네 가나메 1위 130 70 49 11 .588 - .264 150 3.75 1975년 요나미네 가나메 2위 130 69 53 8 .566 4.5 .271 133 3.18 1976년 요나미네 가나메 4위 130 54 66 10 .450 21.5 .266 138 4.50 1977년 요나미네 가나메 3위 130 64 61 5 .512 15.5 .275 176 4.38 1978년 나카 도시오 5위 130 53 71 6 .427 20 .252 141 4.45 1979년 나카 도시오 3위 130 59 57 14 .509 7.5 .268 155 3.97 1980년 나카 도시오 6위 130 45 76 9 .372 30 .261 134 4.43 1981년 곤도 사다오 5위 130 58 65 7 .472 16 .268 151 3.71 1982년 곤도 사다오 1위 130 64 47 19 .577 - .266 143 3.27 1983년 곤도 사다오 5위 130 54 69 7 .439 18.5 .263 160 4.11 1984년 야마우치 가즈히로 2위 130 73 49 8 .598 3 .282 191 3.82 1985년 야마우치 가즈히로 5위 130 56 61 13 .479 15 .265 136 4.08 1986년 야마우치 가즈히로 5위 130 54 67 9 .446 20 .242 131 3.70 1987년 호시노 센이치 2위 130 68 51 11 .571 8 .265 168 3.64 1988년 호시노 센이치 1위 130 79 46 5 .632 - .258 131 3.20 1989년 호시노 센이치 3위 130 68 59 3 .535 15.5 .256 149 3.68 1990년 호시노 센이치 4위 131 62 68 1 .477 26 .264 162 4.26 1991년 호시노 센이치 2위 131 71 59 1 .546 3 .262 178 3.59 1992년 다카기 모리미치 6위 130 60 70 0 .462 9 .252 108 3.91 1993년 다카기 모리미치 2위 132 73 57 2 .562 7 .256 158 3.12 1994년 다카기 모리미치 2위 130 69 61 0 .531 1 .258 108 3.45 1995년 다카기 모리미치 5위 130 50 80 0 .385 32 .251 136 4.75 1996년 호시노 센이치 2위 130 72 58 0 .554 5 .278 179 4.01 1997년 호시노 센이치 6위 136 59 76 1 .437 24 .243 115 4.33 1998년 호시노 센이치 2위 136 75 60 1 .556 4 .248 100 3.14 1999년 호시노 센이치 1위 135 81 54 0 .600 - .263 120 3.39 2000년 호시노 센이치 2위 135 70 65 0 .519 8 .266 111 4.19 2001년 호시노 센이치 5위 140 62 74 4 .456 .253 98 3.48 2002년 야마다 히사시 3위 140 69 66 5 .511 15.5 .257 125 3.19 2003년 야마다 히사시 2위 140 73 66 1 .525 14.5 .268 137 3.80 2004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1위 138 79 56 3 .585 - .274 111 3.86 2005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2위 146 79 66 1 .545 10 .269 139 4.13 2006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1위 146 87 54 5 .617 - .270 139 3.10 2007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2위 144 78 64 2 .549 1.5 .261 121 3.59 2008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3위 144 71 68 5 .511 12 .253 140 3.53 2009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2위 144 81 62 1 .566 12 .258 136 3.17 2010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1위 144 79 62 3 .560 - .259 119 3.29 2011년 오치아이 히로미쓰 1위 144 75 59 10 .560 - .228 82 2.46 2012년 다카기 모리미치 2위 144 75 53 16 .586 10.5 .245 70 2.58 2013년 다카기 모리미치 4위 144 64 77 3 .454 22 .245 111 3.81 2014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4위 144 67 73 4 .479 13.5 .258 87 3.69 2015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5위 143 62 77 4 .446 13 .253 71 3.19 2016년 다니시게 모토노부 6위 143 58 82 3 .414 30.5 .245 89 3.65 2017년 모리 시게카즈 5위 143 59 79 5 .428 28.5 .247 111 4.05 2018년 모리 시게카즈 5위 143 63 78 2 .447 19 .265 97 4.36 2019년 요다 쓰요시 5위 143 68 73 2 .482 9 .263 90 3.72 2020년 요다 쓰요시 3위 120 60 55 5 .522 8.5 .252 70 3.84 2021년 요다 쓰요시 5위 143 55 71 17 .437 18.5 .237 69 3.22 2022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6위 143 66 75 2 .468 15 .247 62 3.28 2023년 다쓰나미 가즈요시 6위 143 56 82 5 .406 29 .234 71 3.08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순위에서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통산 성적 : 5519승 379무 5278패(승률 .511) = = 구단 기록 = = = = = 경기·승패·승률에 관한 기록 = = = 리그 우승 : 9회 일본 시리즈 우승 : 2회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 3회 ※ 2007년부터 처음으로 센트럴 리그에 도입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2012년까지 6년 연속 파이널 (2nd)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아시아 챔피언 : 1회 A클래스 : 50회 단일 리그 시대 : 3회(1938년 추계, 1943년, 1947년) 양대 리그제 이후 : 47회(1950년 ~ 1959년, 1961년 ~ 1963년, 1965년 ~ 1967년, 1971년 ~ 1975년, 1977년, 1979년, 1982년, 1984년, 1987년 ~ 1989년, 1991년, 1993년 ~ 1994년, 1996년, 1998년 ~ 2000년, 2002년 ~ 2012년, 2020년) B클래스 : 38회 단일 리그 시대 : 11회(1937년 춘계 ~ 1938년 춘계, 1939년 ~ 1942년, 1944년 ~ 1946년, 1948년 ~ 1949년) 양대 리그제 이후 : 27회(1960년, 1964년, 1968년 ~ 1970년, 1976년, 1978년, 1980년 ~ 1981년, 1983년, 1985년 ~ 1986년, 1990년, 1992년, 1995년, 1997년, 2001년, 2013년 ~ 2019년, 2021년 ~ 2023년) 최하위 횟수 : 11회(1937년 추계, 1946년,퍼시픽과 동률. 1948년, 1964년, 1968년, 1980년, 1992년, 1997년, 2016년, 2022년, 2023년)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11년(2002년 ~ 2012년)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5년(2013년 ~ 2017년) 최다 승리 : 89승(1950년) 최다 패전 : 83패(1948년, 1964년) 최다 무승부 : 19무(1982년) 최고 승률 : .683(1954년) 최저 승률 : .283(1937년 추계) = = = 그 외의 기록 = = = 최소 경기차 : 1.0경기차(1961년, 1994년) 최대 경기차 : 34.5경기차(1948년) 최다 연승 : 15연승(1955년) 최다 연패 : 15연패(1946년) 최다 홈런 : 191개(1984년) 최소 홈런 : 1개(1937년 춘계) 최고 타율 : .282(1984년) 최저 타율 : .182(1941년) 최고 평균자책점 : 1.41(1943년) 최저 평균자책점 : 4.75(1995년) 연속 경기 무실점 승리 : 5경기(2010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연속 이닝 무실점 : 50(2010년)센트럴 리그 타이 기록, 프로 야구 기록은 양대 리그가 출범하기 전의 한신 타이거스가 52이닝을 기록했음(1942년). = = 역대 홈구장 = = 고라쿠엔 구장(1948년) 주니치 구장(1949년 ~ 1975년) 나고야 구장(1976년 ~ 1996년) 나고야 돔(1997년 ~ 현재) = 그래프턴군 = 그래프턴군 또는 그래프턴 카운티(Grafton County)는 미국 뉴햄프셔주 중서부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89,118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89,886명이다. 카운티청 소재지는 해버빌, 최대 도시는 레바넌이다. 그래프턴군 해노버에는 다트머스 대학교가 있다. = 틀: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학교 = = = 참고 자료 = =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 * * = 분류:대한민국의 여학교 = = 분류:나가노현의 상징 = = 광양 차사리 용암세장 = 광양 차사리 용암세장은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에 있다. 2015년 2월 17일 광양시의 향토문화유산 제1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1964년 운사 안경진의 손녀이며, 초대 전주시장 안상선의 딸인 안영이 소설가로 등단 후 스승인 소설가 황순원 교수와 황동규, 서정범 교수가 휴양한 장소이다. 용암세장의 보존 상태는 양호하나 벽이 허물어지고, 안채의 내림마루기와가 떨어지고 용마루가 훼손되는 등 보존대책이 시급하다. 평면 행태는 광양 지방색을 반영한 근대기 한옥 건축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차사리 용암세장 = 꼬리치레과 = 꼬리치레과(Timaliidae)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과의 하나이다. 참새목 중에서 가장 큰 조류 과로 84개 속, 3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대 기후 지역에 사는 조류로 동남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에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한다. 꼬리치레과의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미국 조류 학회(AOU)가 채용한 계통적이고 전통 분류에 비교적 가까운 범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 = 하위 속 = = Achaetops Actinodura Alcippe Arcanator Babax Chaetops Chamaea Chrysominla Chrysomma Crocias Cutia Dasycrotapha Dryonastes Dumetia Elachura Erpornis Fulvetta Gampsorhynchus Garrulax Grammatoptila Gypsophila Heterophasia Horizorhinus Ianthocincla Illadopsis Kakamega Kenopia Kupeornis Leioptila Leiothrix Leonardina Leucodioptron Liocichla Lioparus Lioptilus Macronus Malacias Malacocincla Malacopteron Malia Melanocichla Mesia Micromacronus Minla Modulatrix Moupinia Mystacornis Myzornis Napothera Ophrydornis Parophasma Pellorneum Phyllanthus Pnoepyga Pomatorhinus Pseudoalcippe Pseudominla Pterorhinus Pteruthius Ptilocichla Ptyrticus Rhinocichla Rhopocichla Rhopophilus Rimator Robsonius Schoeniparus Siva Spelaeornis Sphenocichla Stachyridopsis Stachyris Stactocichla Staphida Sterrhoptilus Strophocincla Timalia Trichastoma Trochalopteron Turdinus Turdoides Xiphirhynchus Yuhina Zosterornis = 대반열반경 (상좌부)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経, )의 상좌부 불교에서의 위치는 팔리어 대장경에서 경장(経蔵)의 장부(長部) 가운데 열여섯 번째 경전으로써 수록 되어 있다. 유사한 전통 한역 경전으로써 『장아함경』(長阿含経) 두 번째 경전인 「유행경」(遊行経)이나 『불반니원경』(仏般泥洹経), 『반니원경』(般泥洹経), 『대반열반경』(大般涅槃経) 등이 있다. 여든의 석가모니가 왕사성(라자그리하)의 동쪽에 위치한 영축산에서 마지막 여행을 떠나서 말라국의 쿠시나가르에서 입멸(열반)에 들기까지의 언행 및 그 뒤의 화장 ・ 유골 분배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 시대 배경 = = 석가모니의 마지막 여행이 있었던 시기는 거의 마가다 왕국의 아자타사트루 왕이 밧지국을 침략 ・ 정복하러 나서고 있던 시기로 본 경전에서도 그 시대 배경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상좌부 대반열반경은 아자타사트루 왕이 밧지족을 침략할 계획을 세우면서 석가모니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다(대승불교의 대반열반경에는 밧지국 침략에 대한 언급이 없이 곧장 입멸을 앞둔 석가모니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또한 강가 강 남안의 국경 마을에서 당시 물류의 거점이기도 했던 파탈리 마을(파탈리푸트라)이 침략 거점의 요새로써 변모해가는 모습도 묘사되어 있다(아자타사트루 왕의 뒤를 이은 우다인 왕의 시대에 이르러 마가다 왕국의 수도는 왕사성에서 이곳 파탈리푸트라로 옮겨졌다). = 왕이 되려던 사나이 = 왕이 되려던 사나이(The Man Who Would Be King)는 미국에서 제작된 존 휴스턴 감독의 1975년 영화이다. 러디어드 키플링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숀 코네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존 포먼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숀 코네리 마이클 케인 크리스토퍼 플러머 = = = 조연 = = = 새드 제프리 도프미 라비 샤키라 케인 = = 기타 = = 원작자: 러디어드 키플링 미술: 토니 잉글리스 미술: 알렉상드르 트로너 의상: 에디스 헤드 배역: 보티 보트라이트 = 권오철 (천체사진가) = 권오철(1974년 3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천체사진가이다. 그의 몇 작품은 미국 NASA의 ‘오늘의 천문학 사진(NASA Astronomy Picture of the Day)’에 선정되기도 하였다.Auroras over Northern Canada, APOD, NASA 세계 유명 천체사진가들로 구성된 TWAN(The World At Night)의 회원이다. = = 생애 = = 그는 아버지로부터 좋은 성능의 니콘 카메라 풀세트를 물려받아 촬영기술을 배웠다.울릉도에서 독도 일출 찍은 천체 사진가 권오철 - “세종실록 기록 560년 만에 입증, 가슴이 뜨거워졌다”, 사람과 사람, 201501호, 월간중앙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하여 천문 동아리에 가입한 후, 천체 사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기업과 벤처기업에서 잠수함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일을 하다가 2010년 직장을 그만 두고 전업 천체사진가가 되었다.천체사진가 권오철 - 월간 마음수련 = = 작품 = = 그는 2014년 11월 사상 처음으로 울릉도에서 독도의 일출 사진을 찍는 데 성공하였다. 촬영 후 인터뷰에서 그는 "일출 시 독도는 해의 딱 가운데 섰다"고 말하였다. 일본인들은 울릉도와 독도 간 거리는 92㎞로 안 보인다고 주장하였지만,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날씨가 맑은 날 울릉도와 독도는 서로 보인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그가 사진촬영에 최초로 성공했다.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이휘소 = = 임꺽정 (소설) = 임꺽정(林巨正)은 홍명희의 장편소설로서 조선 명종 때의 의적 임거정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 = 개요 = = 임꺽정전이란 제목으로 1928년 11월 21일~1939년 3월 11일 조선일보에 연재되고 1940년 조광 10월에도 발표되었으나 미완으로 끝났다. 조선시대 최대의 화적패였던 임꺽정부대의 활동상을 그린 역사소설이다. 일제강점기 때 제작된 가장 방대한 규모의 대하장편역사소설로 봉단편·피장편·양반편·의형제편·화적편 등 5편으로 구성되었다. 봉단편·피장편·양반편에서는 화적패가 출몰하지 않을 수 없는 당시의 혼란상을 폭넓게 그려나가면서, 임꺽정의 일생을 중심으로 하여 그와 연관된 이봉학·박유복·배돌석·황천왕동이·곽오주·길막동이·서림 등 여러 인물들의 이력이 꼬리에 꼬리곰탕을 물고 이어진다. 그리고 의형제편은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던 사람들이 특정한 계기를 통해 마침내 의형제가 되어 청석골에서 조직을 이루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화적편은 그 후 이 집단이 벌이는 일련의 활동상이 그려져 있다. '살아 있는 최고의 우리말사전'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토속어 구사가 뛰어나며, 근대 서구소설적 문체가 아닌 이야기식 문체를 통해 박람강기(博覽强記)의 재사인 작가가 구연하는 한 판의 길고긴 이야기이다. 18, 19세기에 융성했던 야담(野談)과 민간풍속·전래설화·민간속담 등을 풍부하게 살렸다. = = 줄거리 = = 벽초의 <임꺽정>은 식민지 시대에 발표된 역사소설 중 가장 규모가 큰 대하 장편 역사소설이다. 이 작품은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초창기에 해당하는 1928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후, 몇 차례나 연재 중단을 거듭하다가 19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되자 [조광]지로 발표지면을 옮겼으나, 결국은 완결되지 못하고 말았다. 따라서 <임꺽정>은 미완성 작이기는 하나, 이미 발표된 것만도 원고지 13,000매 이상 되는 방대한 양이며 미완성 부분은 전체의 10분의 1정도라 추측되므로 이를 제외하고도 충분히 그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할 수 있는 상태이다. 신문 연재 당시의 순서에 의하면 이 작품은 봉단편, 피장편, 양반편, 의형제편, 화적편의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단편은 임꺽정이 태어나기 이전의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연산조 때 유배당한 홍문관 교리 이장곤은 배소를 탈출한 후, 신분을 숨긴 채 함흥 고리백정의 사위가 되어, 아내 봉단과 금슬 좋은 부부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상경하여 동부승지로 승진하게 되는 한편, 왕의 특지로 숙부인에 봉함을 받은 봉단을 정실로 맞아들인다. 본래 학식 있는 백정인 양주팔(봉단의 숙부)은 묘향산 구경을 갔다가 그곳에서 도인 이천년을 만나 천문지리와 음양술수를 전수 받고 돌아온 뒤, 이장곤의 주선으로 재취하여 서울에서 가정을 이루고 소일 삼아 갖바치 일을 하게 된다. 뒤이어 상경한 봉단의 외사촌 임돌이도 양주팔의 주선으로 양주 소백정의 데릴사위가 되어 그곳에 눌러 살게 된다. 피장편에서는 이장곤의 연줄로 대사헌 조광조 등과 교우하게 된 갖바치는 정변을 예견하고 조광조에게 낙향할 것을 권유하나, 망설이고 있던 조광조는 기묘사화를 당해 사사되고 만다. 임돌이의 딸이 갖바치의 아들과 혼인하게 되자, 누이를 따라 상경한 장사 소년 임꺽정은 한 동네에 사는 이봉학, 박유복과 함께 갖바치에게서 글을 배우면서 이들과 의형제를 맺는다. 그러던 중 이봉학은 활쏘기에 비상한 재능을 발휘하게 되고, 박유복은 창던지기의 명수가 되며 임꺽정은 검술을 배워 뛰어난 검객이 된다. 그 뒤 임꺽정은 입산하여 병해대사가 된 갖바치를 따라 각처를 유람하다가 백두산에 사는 운총과 혼인을 맺고 양주로 돌아오며, 병해대사는 죽산 칠장사에게 생불로 추앙을 받으며 지내게 된다. 양반편에서는 중종의 말년에서 명종대에 이르는 양반 사회의 정쟁을 그리고 있다. 중종의 승하 후 즉위한 인종이 일년이 못 되어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 뒤 이복 동생 경원대군 명종이 즉위하고 대왕대비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실권을 장악한 외척 윤형원 일파는 을사사화를 일으키는 등 계속 정계에 파란을 초래한다. 한편 중 보우는 불교를 신봉하는 대왕대비의 신임을 빙자하여 불사를 크게 일으키는데, 양주 회임사에서 재를 올리던 그의 앞에 홀연 병해대사가 임꺽정을 거느리고 나타나 꾸짖고 사라진다. 그 사이 장년의 가장의 된 임꺽정은 이봉학으로부터 을묘왜변의 소식을 듣고 함께 출전하고자 하나 백정이라는 신분 때문에 군총으로 뽑히지 못하여 홀로 전장으로 향한 뒤 뛰어난 활솜씨로 군중에서 두각을 나타낸 이봉학이 상관을 구하려다 위기에 빠진 순간, 이들을 구출해주고 사라진다. 의형제편은 단행본으로 3권 분량에 해당하는 방대한 내용으로서 '박유복이', '곽오주', '길막봉이', '황천둥이', '배돌석이', '이봉학이', '서림', '결의'의 8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는 임꺽정의 휘하에서 두령이 된 주요인물들의 내력과 화적패에의 가담 경위를 다루고 있다. 제1장 박유복이에서는 박유복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장년이 된 박유복이는 부친을 무고하게 죽게 한 노첨지를 살해하여 원수를 갚고 관가에 쫓기던 중, 덕적산 최영장군 사당의 장군 마누라로 뽑힌 최씨 처녀를 만나 인연을 맺고 함께 도주하다가 도둑 오가의 수양딸 내외가 되어 청석골에 눌러 살게 된다. 제2장 곽오주에서는 곽오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청석골 인근 마을의 머슴인 총각 곽오주는 장꾼들을 털던 오가를 때려눕힌 뒤, 보복하려 나온 박유복과 힘자랑을 하다가 화해하고 의형제를 맺게 된다. 그 후 주인집의 주선으로 이웃마을의 젊은 과부에게 장가들었다가 아내가 해산 끝에 죽고 말자 동냥젖으로 아기를 키운다. 그러던 중 배고파 밤새 보채는 아기를 달래다 못해 순간적으로 태질을 쳐죽이고 청석골 화적패에 합류하게 된다. 제3장 길막봉이에서는 길막봉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소금장수인 천하장사 길막봉은 자형을 불구로 만든 청석골 도둑 곽오주를 때려잡아 관가에 넘기려 하나 평소 길막봉과 안면이 있는 임꺽정이 청석골로 와서 이들을 화해시킨다. 다시 소금장수의 길을 나선 길막봉은 안성 처녀 귀련과 정을 통하여 그 집안의 데릴사위가 되나, 장모의 구박으로 처가를 떠나 청석골에 들어오게 된다. 제4장 황천왕동이에서는 황천왕동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백두산 태생으로 나는 듯이 걸음이 빠른 황천왕동은 매부인 임꺽정의 집에서 장기로 소일하던 중, 장기의 명수 봉산 백이방을 찾아 나섰다가 천하일색인 딸의 배필을 구하려는 백이방의 까다로운 취재를 통과하여 장가를 들고 그 덕분에 봉산에서 장교가 된다. 제5장 배돌석이에서는 배돌석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김해 역졸의 아들로 태어나 비참한 생활을 전전하던 배돌석은 뛰어난 솜씨의 돌팔매로 호랑이를 잡은 덕분에 경천역 역졸이 되고, 호환으로 과부가 된 여자를 재취로 맞은 데다가 황천왕동이와 친해져 자주 내왕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부정한 아내를 살해하고 도망하다 체포되었으나, 때마침 황천왕동이에게 와 있던 박유복이 구해주어 청석골로 도피하고, 황천왕동은 이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귀양을 가게 된다. 제6장 이봉학이에서는 이봉학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왜변 후 전라감사로 부임한 이윤경의 휘하에서 비장이 된 이봉학은 왜선을 퇴치하는 등의 공로로 제주의 정의 현감으로 승진한 위, 전주에서 사랑을 맺은 기생 계향을 부실로 맞아들여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 후 한성 우윤이 된 이윤경의 주선으로 상경하여 오위부장이 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결국은 임진별장으로 좌천된다. 제7장 서림편은 서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아전 출신인 서림은 평양 감영 수지국 장사로서 진상품을 관장하였으나 본래 교활하여 자주 포흠을 내다가 들키자 도주하던 끝에 청석골 화적패를 만나게 된다. 그들에게 평양 진상 봉물의 내막을 알리고 계책을 내어 이를 탈취하게 하는 데 성공한 서림은 그 공로로 청석골의 두령이 된다. 제8장 결의에서는 양주 임꺽정의 집에 평양 진상 봉물이 있다는 것이 탄로나 가족들이 투옥되자, 임꺽정이 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임꺽정은 청석골 두령들과 함께 가족들을 구해낸 뒤 화적패에 입당하고 뒤이어 사건에 연루된 임진별장 이봉학과 귀양에서 풀려난 황천왕동이도 이에 가담하게 된다. 청석골에 모인 일당은 아내를 데리러 간 길막봉이 투옥되자, 그를 구해낸 뒤, 칠장사에 들러 세상을 떠난 병해대사의 불상 앞에서 의형제를 맺는다. 화적편은 4권 분량으로 간행될 예정이었으나, 결국 마지막 권이 완성되지 못하여 그중 제 3권까지만 출간되었다. 이는 '청석골', '송악산', '소굴', '피리', '평산쌈', '구월산성'의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적편은 임꺽정을 중심으로 한 화적패가 본격적으로 결성된 이후의 활동을 그린 것으로서, 작품 내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제1장 청석골에서 임꺽정은 청석골 화적패의 대장으로 추대된다. 그 후 상경하여 서울 와주 한온의 집에 머물면서 기생 소홍과 정을 맺고 빚에 몰린 양반의 딸 박씨를 구해내어 첩으로 삼는다. 게다가 원판서의 딸을 훔쳐내어 둘째 첩으로 삼고, 이웃의 사나운 과부 김씨와 싸운 끝에 그녀 역시 첩으로 삼고 지내다가 처자의 성화에 못 이겨 귀가하게 된다. 제2장에서는 송악산에서 일어난 사건을 그리고 있다. 송악산에서 송도 송악산에 단오굿 구경을 간 청석골 두령들은 그곳에서 납치당한 황천왕동의 아내를 구해낸 끝에 살인을 저질러 관군의 쫓김을 받게 된다. 드러나 서림의 계책으로 치성으로 와 있는 상궁을 인질로 삼고 시간을 끌다가 부하들을 거느리고 기세당당하게 진군한 임꺽정의 구원을 받아 위기를 모면한다. 제3장 소굴에서는 임꺽정 일행의 활약상을 그리고 있다. 임꺽정 일당은 가짜 금부도사 행세를 하며 봉산군수를 체포하려 한다든가, 신임군수의 도임 행차를 습격한다든다, 황해감사의 사촌을 자처하고 각 읍을 돌며 사기 행각을 벌이는 등으로 지방 관원들을 괴롭힌다. 그 후 상경한 임꺽정은 기생 소홍의 집으로 습격해 온 포교들을 물리치고 무사히 서울을 탈출하나, 그의 첩들은 체포되어 관비로 박히고 임꺽정을 따르려는 소홍은 그의 첩이 되어 청석골에서 지내게 된다. 제4장 피리에서는 단천령의 피리 솜씨가 주를 이룬다. 청석골을 지나다가 화적패에게 붙들린 종신 서자 단천령이 신기에 가까운 솜씨로 피리를 불러 그들을 감동시키자, 임꺽정은 그 보답으로 단천령이게 자신의 신표를 주어 다른 화적패의 습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제5장 평산쌈에서는 서림의 배반을 다룬다. 청석골 두령들은 신임 봉산군수를 살해하고자 평산 이춘동의 집에 머물면서 기회를 엿보던 중 서울에서 체포된 서림이 목숨을 보전하고자 그 계획을 자백하는 바람에 군읍 군사 오백여 명의 습격을 받게 되나 접전 끝에 이를 물리치고 무사히 청석골로 돌아오게 된다. 제6장 구월산성에서는 수세에 몰려 구월산으로 들어간 임꺽정 일당이 관군에게 저항하다가 포살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조선일보와 [조광]지를 통해 발표된 것은 일부에 불과하다. 청석골 화적패를 소탕하고자 조정에서 관군을 파견한다는 소문 때문에 임꺽정 일당은 오가와 졸개들만을 남겨 주고 해주 재령으로 도피했으나, 거처가 옹색하여 다시 자모산성에 근거를 마련하고 지내게 된다. 한편 고집을 피워 청석골에 남은 오가가 죽은 아내만을 생각하며 적막하게 지내는 가운데 임꺽정에게서 버림을 받은 데다가 관군의 습격소식에 동요된 졸개들은 하나하나 청석골을 버리고 떠나간다는 데서 작품은 중단되고 있다 = 분류:가고시마시의 문화 = = 분류:러시아에 거주한 이라크인 = = 개구리화 현상 = 개구리화 현상이란 호의를 갖고 있는 상대가 자신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 상대가 싫어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남녀를 따지지 않고 사용되지만, 2004년 후지사와는 발표에 '여자가 연애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개구리화 현상'으로 제목을 붙이는 등 여성의 심리를 설명하는 용례가 다수 있다. 좋아했던 상대가 역겹다고 느껴질 정도로 정반대의 감정이 되는 것이다. 이를 그림 동화 『개구리 왕자』에 비유하여 개구리화 현상이라고 부른다.『개구리 왕자』에서는 마법이 풀리면 개구리에서 왕자로 돌아간다. 심리학 용어라고도 하지만 2020년 보고에 따르면 학술적 검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0년대에 들어서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용법은 본래의 의미와 동떨어져 있다며 오용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吉田光成, 箕口雅博 (2023). 関係性志向の⼼理臨床としての個⼈⼼理学のあり⽅とは︖―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に対するアドレリアン・コミュニティ・アプローチによる⾒⽴て例から― 日本個人心理学会第3回学術大会 一般演題発表 発表資料( ) = = 개요 = = 개구리화 현상을 다룬 논문은 2004년부터 보인다.아토미가쿠인여자대학 교수 후지사와 신스케의 보고. 그러나 인터넷을 중심으로 화제가 된 것은 2019년 내지 2020년 정도이다. 2020년 @DIME(쇼가쿠칸)의 기사나 2021년 PROLO(cocoloni)의 기사, 이미다스(슈에이샤)의 기사는 후지사와의 2004년의 보고를 '개구리화 현상' 명명의 시초로 본다. 2020년 일본교육심리학회의 보고는 남녀 전체에서 경험률은 약 20퍼센트이고, 그 일반성은 의문스럽다고 한다. 그러나 후지사와의 2004년 보고는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여대생 58명 중 40명이 '개구리화 현상'을 경험했으며 '개구리화 현상'은 교제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은 Z세대에게 많은 공감을 받았고, 2020년 리리아.는 개구리화 현상을 소재로 「개구리화 현상에 고민하고 있는 여자 아이 이야기」라는 노래를 발표한다. 또 같은 해 출간된 만화 『개구리가 된 왕자님』(가라쿠타니, 코단샤 코믹플러스)에서는 개구리화 현상으로 고민하는 히로인이 나온다. 싱크탱크 조직인 Z종합연구소의 조사에서는 Z세대가 선택한 2023년 상반기 유행어 랭킹 1위를 기록했다. 2023년 신어·유행어 대상에서도 톱10에 진입했다. 심리학계는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용례들을, 원의의 개구리화 현상 당사자들에게 오해와 편견을 갖게 한다며 '현실의 심리학화' 문제를 지적한다.吉田光成, 箕口雅博 (2023). 関係性志向の⼼理臨床としての個⼈⼼理学のあり⽅とは︖―恋愛における“蛙化現象”に対するアドレリアン・コミュニティ・アプローチによる⾒⽴て例から― 日本個人心理学会第3回学術大会 一般演題発表 発表資料( ) 또한 2023년 조사에서는 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의미로 정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 = 원인 = = 2022년 시점에서는 인터넷 상의 기사는 많지만, 학술적인 검토는 극히 적으며 발생 매커니즘이나 대처법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両想いになるとなぜ冷めてしまうのか?―蛙化現象の生起メカニズムの検討― 그러나 인터넷 기사 등에서는 개인적 특성이 주요 발생 요인이라는 주장을 쏟아냈다. 이런 주장은 당사자들에게 오해나 자책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받는다. 한편 이 지적에 근거하여 '개인적 특성이 개구리화 현상을 일으키는가'를 검토한 학술 연구에서는 그렇게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교제 상대 등의 싫은 모습을 보고 환멸을 느낀다'는 의미의 개구리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는 사이타마가쿠인대학 조교수 가와쿠보 아쓰시(川久保惇)는 '이상적으로 보정한 셀카를 SNS에 업로드 하는 것이 당연해진 Z세대가 실제로 만났을 때, SNS상의 이상적 모습과의 차이를 보고 실망하는 것이나, 이상적인 대상을 향한 덕질이 일반화되면서 현실과의 차이를 신경 쓰게 되었을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 또한 가와쿠보는 2021년 경에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했을 것이라고 했다. = = 파생 = = 개구리화 현상에서 파생된 말에는 '뱀화 현상'이 있다. 호의를 가진 상대의 모든 것이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것을 뜻하며, 좋아하는 상대의 행동을 '뱀이 통째로 삼키듯' 받아들인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틱톡에서 퍼진 말이다. = 분류:4-페닐피페리딘 = = 대구과학수사연구소 = = 대구과학수사연구소 = 대구과학수사연구소(大邱科學搜査硏究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소속기관이다. 2013년 12월 11일 발족하였으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호국로 33-14에 위치하고 있다. 소장은 기술서기관·공업연구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행정자치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38조제2항 = = 연혁 = = 2013년 12월 11일: 대구과학수사연구소 설치. = = 관할구역 =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 = 조직 = = = = = 소장 = = = 운영지원과경정으로 보한다. 법의학과기술서기관·의무사무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유전자분석과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법독성화학과공업연구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이공학과공업연구관으로 보한다. = = 같이 보기 = =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부산과학수사연구소 광주과학수사연구소 대전과학수사연구소 = = 각주 = = = = 외부 링크 = = * = = 연혁 = = 2013년 12월 11일: 대구과학수사연구소 설치. = = 관할구역 =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 = 조직 = = = = = 소장 = = = 운영지원과경정으로 보한다. 법의학과기술서기관·의무사무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유전자분석과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법독성화학과공업연구관 또는 보건연구관으로 보한다. 이공학과공업연구관으로 보한다. = 분류: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분류:북아메리카의 학교 = = 분류:1939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 기사카 기쿠조 = 기사카 기쿠조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가와무라 가호 = 가와무라 가호(, 2007년 6월 17일~)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이자, 패션 모델이며, SUPER☆GiRLS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 분류:1978년 기재된 분류군 = = 상파울루 콩고냐스 공항 = 상파울루 콩고냐스 공항(, IATA:CGH , ICAO:SBSP)은 브라질 상파울루에 있는 공항이다. 상파울루 시내의 캄푸벨루 구역에 위치하며, 시내 중심가에서 8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 = 개요 = = 1919년 개항되어 1985년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이 개항할 때까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를 비롯해 다른 지역 국제선 노선도 취항했으나,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국제선 노선을 넘기고 국내선 노선만 개설되어 있다. 브라질 전국 각지와 연결되는 노선이 개설되어 있으며, 특히 리우데자네이루와의 사이에는 셔틀기가 수시로 운행된다. 2008년 기준으로 이용객 수가 1,300만명 이상으로 브라질에서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다음으로 많다.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에 비해 도심에서 가깝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다. = = 운항 노선 = = = = = 국내선 = = = = = 연계 교통 = = = = = 도로 교통 = = = 버스의 경우 공항버스가 운행하고 있으며 상파울루와 타 지역을 연계한다. = = 사건 및 사고 = = 2007년 7월 17일, 포르투알레그리를 출발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가던 TAM 항공 3054편(에어버스 A320-200 기종)이 착륙에 실패하면서 오버런한 후, 공항 인근에 위치한 TAM 익스프레스의 건물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A320이 폭발하여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99명 전원이 사망했다. 또한 충돌 여파로 건물에 있던 직원 13명이 부상을 입었다.착륙중 화물터미널 충돌 최소 200명 사망… 브라질 최악 항공기 참사 《서울신문》, 2007년 7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 우크라이나 철도 = 우크라이나 철도(, Ukrainian Railways)는 우크라이나 철도교통을 맡은 우크라이나 국유 기업이다. 우크라이나 철도 교통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다. 총 트랙 길이는 23,000 km 이상에 달하며 이는 세계 13위에 해당한다. 우크라이나 철도는 또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승객 수송 기업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큰 화물 수송 기업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간 중 우크라이나 철도는 도시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유럽으로 구출하는 일을 계속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의 철도 연결부는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폭파되어 러시아인들이 사용하지 못하게 했으나 우크라이나 내에서와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헝가리, 슬로바키아 간의 운행은 계속하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 = = 인구학적 동향 = =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로, 2018년 인구가 325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지역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14세 미만 인구가 전체의 34.1%를 차지할 정도로 인구가 매우 젊은 편이다. 공식 자료들에 따르면, 우즈베크인이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다른 민족 집단으로는 1996년 기준 러시아인 5.5%, 타지크인 5%, 카자흐인 3%, 카라칼파크인 2.5%, 타타르인 1.5%Uzbekistan in CIA World Factbook로 추산되었다. 한국인의 경우, 1937-1938년 소련 극동에서 이 곳으로 강제 이주된 사람들이다. 또한 소규모 아르메니아인 집단도 있는데, 이들은 주로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지역에 거주한다. 이 국가에는 무슬림이 88%(대부분 수니파이며, 시아파는 5%)로 가장 많았고, 다른 종교로는 동방 정교회 9%, 그 외 기타 3%가 있다.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for 2004 ,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released 2004-09-15) 부하라 유대인들은 중앙아시아, 주로 우즈베키스탄에 살았다. 198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거주 유대인은 94,900명World Jewish Population 2001 , American Jewish Yearbook, vol. 101 (2001), p. 561.으로 전체 인구의 약 0.5%를 차지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 대부분 미국이나 이스라엘로 떠나 현재는 5천 명도 되지 않는다.World Jewish Population 2007 , American Jewish Yearbook, vol. 107 (2007), p. 592. 구소련 시절, 인구의 대다수가 대규모 집단 농장에서 목화 재배에 종사했었다. 1990년부터 우즈베키스탄의 농장 구조가 집단에서 개인으로 크게 바뀌었지만, 대다수 인구는 여전히 시골 농촌 지역에 있고,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 = 인구 통계 = = = = = 1950-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 = = 출처:United nations. Demographic Yearbooks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1000명당) 조사망률 (1000명당) 자연 증감률 (1000명당) 합계출산율 1950 6,314,000 192,188 54,612 137,576 30.4 8.6 21.8 1951 6,511,000 207,302 49,275 158,027 31.8 7.6 24.3 1952 6,704,000 223,452 55,068 168,384 33.3 8.2 25.1 1953 6,909,000 219,832 60,855 158,977 31.8 8.8 23.0 1954 7,085,000 237,470 58,345 179,125 33.5 8.2 25.3 1955 7,256,000 248,545 59,370 189,175 34.3 8.2 26.1 1956 7,466,000 267,187 46,210 220,977 35.8 6.2 29.6 1957 7,720,000 276,668 47,568 229,100 35.8 6.2 29.7 1958 7,979,000 300,646 48,433 252,213 37.7 6.1 31.6 1959 8,252,000 305,082 50,254 254,828 37.0 6.1 30.9 1960 8,558,000 340,618 51,758 288,860 39.8 6.0 33.8 1961 8,895,000 339,952 53,591 286,361 38.2 6.0 32.2 1962 9,237,000 341,352 56,178 285,174 37.0 6.1 30.9 1963 9,574,000 342,659 54,502 288,157 35.8 5.7 30.1 1964 9,905,000 346,847 53,315 293,532 35.0 5.4 29.6 1965 10,233,000 355,135 60,056 295,079 34.7 5.9 28.8 1966 10,557,000 360,336 60,115 300,221 34.1 5.7 28.4 1967 10,886,000 359,623 64,627 294,996 33.0 5.9 27.1 1968 11,259,000 385,687 64,762 320,925 34.3 5.8 28.5 1969 11,625,000 380,729 69,147 311,582 32.8 6.0 26.8 1970 11,973,000 401,613 66,189 335,424 33.6 5.5 28.1 1971 12,354,000 425,646 67,162 358,484 34.4 5.4 29.0 1972 12,756,000 421,458 77,942 343,516 33.0 6.1 26.9 1973 13,155,000 441,237 83,170 358,067 33.5 6.3 27.2 1974 13,569,000 462,062 86,864 375,198 34.1 6.4 27.7 1975 13,981,000 478,604 100,213 378,391 34.2 7.2 27.0 1976 14,389,000 503,514 101,544 401,970 35.0 7.1 27.9 1977 14,786,000 493,329 104,297 389,032 33.4 7.1 26.3 1978 15,184,000 514,030 105,204 408,826 33.9 6.9 27.0 1979 15,578,000 535,928 109,459 426,469 34.4 7.0 27.4 1980 15,952,000 540,047 118,886 421,161 33.9 7.5 26.4 1981 16,376,000 572,197 117,793 454,404 34.9 7.2 27.7 1982 16,813,000 589,283 124,137 465,146 35.0 7.4 27.7 1983 17,261,000 609,400 128,779 480,621 35.3 7.5 27.8 1984 17,716,000 641,398 132,042 509,356 36.2 7.5 28.8 1985 18,174,000 679,057 131,686 547,371 37.4 7.2 30.1 1986 18,634,000 708,658 132,213 576,445 38.0 7.1 30.9 1987 19,095,000 714,454 133,781 580,673 37.4 7.0 30.4 1988 19,561,000 694,144 134,688 559,456 35.5 6.9 28.6 1989 20,108,000 668,807 126,862 541,945 33.3 6.3 27.0 1990 20,465,000 691,636 124,553 567,083 33.8 6.1 27.7 4.20 1991 20,857,000 723,420 130,294 593,126 34.7 6.2 28.4 1992 21,354,000 680,459 140,092 540,367 31.9 6.6 25.3 1993 21,847,000 692,324 145,294 547,030 31.7 6.7 25.0 1994 22,277,000 657,725 148,423 509,302 29.5 6.7 22.9 1995 22,684,000 677,999 145,439 532,560 29.9 6.4 23.5 3.60 1996 23,128,000 634,842 144,829 490,013 27.4 6.3 21.2 1997 23,560,000 602,694 137,331 465,363 25.6 5.8 19.8 1998 23,954,000 553,745 140,526 413,219 23.1 5.9 17.3 1999 24,312,000 544,788 130,529 414,259 22.4 5.4 17.0 2000 24,650,000 527,580 135,598 391,982 21.4 5.5 15.9 2.59 2001 24,965,000 512,950 132,542 380,408 20.5 5.3 15.2 2002 25,272,000 532,511 137,028 395,483 21.1 5.4 15.6 2003 25,568,000 508,457 135,933 372,524 19.9 5.3 14.6 2004 25,864,000 540,381 130,357 410,024 20.9 5.0 15.9 2005 26,167,000 533,530 140,585 392,945 20.4 5.4 15.0 2.36 2006 26,488,000 555,946 139,622 416,324 21.0 5.3 15.7 2007 26,868,000 608,917 137,430 471,487 22.7 5.1 17.5 2008 27,303,000 646,096 138,792 507,304 23.7 5.1 18.6 2009 27,767,000 649,727 130,659 519,068 23.4 4.7 18.7 2010 28,562,000 634,810 138,411 496,399 22.2 4.8 17.4 2.34 2011 29,339,000 626,881 144,585 482,296 21.4 4.9 16.4 2.24 2012 29,774,000 625,106 145,988 479,118 21.0 4.9 16.1 2.19 2013 30,243,000 679,519 145,672 533,847 22.5 4.8 17.7 2.35 2014 30,759,000 718,036 149,761 568,998 23.3 4.9 18.4 2.46 2015 31,576,000 734,141 152,035 582,106 23.5 4.9 18.6 2.49 2016 32,121,000 726,170 154,791 571,379 22.8 4.8 18.0 2.46 2017 32,653,000 715,519 160,723 554,796 22.1 5.0 17.1 2.42 2018 33,254,000 768,520 154,913 613,607 23.3 4.7 18.6 2.60 2019 33,905,000 815,939 154,959 660,980 24.3 4.6 19.7 2.79 2020 34,558,900 841,814 175,637 666,177 24.6 5.1 19.5 = = = 1950-현재 유엔 추계 = = =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 = = = 인구 = = = = 인구 15세 미만 (%) 15–24세 (%) 25–64세 (%) 65세 이상 (%) 중위 연령 (세) 1950 6,264,056 30.9 21.5 41.7 5.9 23.9 1970 12,080,317 45.2 15.4 35.5 5.9 17.5 1990 20,398,348 40.7 19.0 36.2 4.1 19.6 2000 24,769,955 37.3 19.9 38.2 4.6 21.0 2005 26,427,789 32.6 21.7 40.9 4.8 22.8 2010 28,515,909 29.1 22.1 44.3 4.5 24.5 2015 30,929,557 28.4 19.4 48.2 4.1 26.2 2020 33,469,203 28.8 15.9 50.5 4.8 27.8 = = = = 그 외 출생 및 사망 등 기타 통계 = = = = 기간 출생아 수 (천 명) 사망자 수 (천 명) 자연 증감 (천 명) 조출생률 조사망률 합계출산율 영아 사망률 유아 사망률 출생 성비 인구 성장률 1950–1955 1335 494 841 39.4 14.6 5.30 124 156 105 3.0 1965–1970 2133 616 1517 28.4 11.1 6.40 94 124 105 3.6 1985–1990 3458 765 2693 36.0 8.0 4.40 65 85 105 2.4 1995–2000 3038 817 2222 25.6 6.9 3.10 55 69 106 1.7 2000–2005 2720 820 1900 21.3 6.4 2.51 49 59 106 1.3 2005–2010 3082 854 2228 22.4 6.2 2.49 41 48 107 1.5 2010-2015 3400 919 2480 22.9 6.2 2.43 28 34 106 1.6 2015-2020 3513 929 2584 21.8 5.8 2.43 21 26 106 1.6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 = 기대수명 = = = = = 1950-현재 출생시 기대수명 = = = 기간 기대수명 기간 기대수명 1950–1955 56.06 1985–1990 66.58 1955–1960 57.91 1990–1995 66.27 1960–1965 59.76 1995–2000 66.72 1965–1970 61.62 2000–2005 67.73 1970–1975 63.03 2005–2010 69.1 1975–1980 64 2010–2015 70.23 1980–1985 65.3 2015-2020 71.53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 = 유엔 인구 통계 = =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우즈베키스탄의 인구 1950 1970 1990 2000 2005 2010 2015 2019 626.4만 명 ↗1208만 명 ↗2039.8만 명 ↗2477만 명 ↗2642.8만 명 ↗2851.6만 명 ↗2093만 명 ↗3298.2만 명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총인구: 3300만 명 15세 미만 인구: 28.8% 15~24세 인구: 16.4% 25~64세 인구: 50.2% 65세 이상 인구: 4.6%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10.9명 인구 성장률: 1.5%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20.9명 합계출산율: 2.40명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5.8명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20명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24명 출생시 기대수명: 71.7세 =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거 =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거는 모든 인종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첫 보통선거이다. 4월 26일에서 29일까지 IEC의 통제 하에 이루어졌다. 이 선거는 아파르트헤이트가 폐지되었음을 보여준다. = 정다은 (배구인) = 정다은(鄭多誾)은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였다. 현재는 필라테스 강사로 활동중이다. 2009-2010 V리그 1라운드 1순위(구미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로 프로에 입단하였다. 이후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순으로 이적하였다. = 분류:2005년 스페인 = = 위상 공간 국소화 = 호모토피 이론에서, 위상 공간의 국소화(局所化, )는 그 호모토피 군이 주어진 유리수체 부분환의 가군이 되게 위상 공간을 개량하는 과정이다. = = 정의 = = = = = 단순 공간 = =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 X를 단순 공간이라고 하자. CW 복합체와 호모토피 동치이다. 연결 공간이다. 기본군이 아벨 군이다. 기본군 \pi_1(X)은 X의 범피복 공간의 호모토피 군 및 호몰로지 군 위에 작용한다. 이 경우, 이 두 작용이 둘 다 자명해야 한다. = = = 국소 공간 = =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유리수체의 부분환 R\subseteq\mathbb Q 그렇다면, R-국소 공간(局所空間,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순 공간 X이다. 모든 차수의 호모토피 군은 R-가군이다. 즉, 임의의 m/n\in R 및 k\in\mathbb Z^+ 및 g\in\pi_k(X)에 대하여, mg=nh가 되는 h\in\pi_k(X)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 = 국소화 = = = 단순 공간 X의 R에서의 국소화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R-국소 공간 Y 호모토피류 f\colon X\to Y 이 데이터는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R-국소 공간 Y' 및 호모토피류 f'\colon X\to Y'에 대하여, 다음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드는 호모토피류 \iota\colon Y\to Y'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begin{matrix} X&\overset f\to &Y\\ X&\underset{f'}\to&Y' 사실, 다음 두 집합 사이에는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소수의 집합 S\subseteq\mathbb P=\{2,3,5,7,\dotsc\} 유리수체의 부분환들의 집합 R\subseteq\mathbb R 이 전단사 함수는 구체적으로 정수환의 S에서의 국소화 환 으로 주어진다. (즉, S에 속하지 않는 소수들은 (\mathbb P\setminus S)^{-1}\mathbb Z에서 가역원이 된다.) 이에 따라, 단순 공간의 S에서의 국소화는 (\mathbb P\setminus S)^{-1}\mathbb Z에서의 국소화를 뜻한다. 예를 들어, S=\varnothing일 때 대응하는 환은 \mathbb Q이며, S=\mathbb P일 때 대응하는 환은 \mathbb Z이다. 특히, S=\varnothing일 때의 국소화를 유리수화(有理數化, )라고 한다. = = 성질 = = 임의의 R\subseteq\mathbb Q에 대하여, 임의의 단순 공간의 국소화는 항상 존재하며, (보편 성질에 의하여) 호모토피 동치 아래 유일하다. = = 역사 = = 위상 공간의 국소화는 1970년에 데니스 설리번이 도입하였다. 그러나 설리번이 이를 도입한 강의록은 2005년에 되어서야 출판되었다. = 틀:큰태풍 (강풍역) = = 린수이현 = 린수이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광안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919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000,000명이다. 청두까지 청난고속도로를 타고 버스를 이용해 4시간이 걸리고 충칭까지는 2시간이 걸린다. 현은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석탄과 천연가스가 매장되어있다. 전략적으로 린수이 현에는 쓰촨 성에서 동쪽으로 나가는 유일한 도로가 있고 북쪽으로 다저우, 남쪽으로 충칭을 연결하는 지점이다. 지역 경제는 주로 가축 사육과 농업에 의존한다. = = 행정 구역 = = 18개 진, 27개 향을 관할한다. 진: 鼎屏镇, 城北镇, 城南镇, 柑子镇, 龙安镇, 观音桥镇, 牟家镇, 合流镇, 坛同镇, 高滩镇, 九龙镇, 幺滩镇, 袁市镇, 丰和镇, 八耳镇, 石永镇, 兴仁镇, 王家镇. 향: 太和乡, 新镇乡, 冷家乡, 长安乡, 西天乡, 梁板乡, 甘坝乡, 四海乡, 九峰乡, 椿木乡, 华蓥乡, 子中乡, 风垭乡, 黎家乡, 龙桥乡, 关河乡, 两河乡, 长滩乡, 凉山乡, 复盛乡, 古路乡, 荆坪乡, 柳塘乡, 石滓乡, 护邻乡, 同石乡, 三古乡. = 커털리나 포노르 = 커털리나 포노르(, 1987년 8월 20일~)는 루마니아의 체조 선수이다. 올림픽에 3회(2004, 2012, 2016) 출전하였고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여자 마루, 여자 평균대,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3관왕에 올랐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마루 종목 은메달과 여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 5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 13개를 획득했다. 2017년에 현역에서 은퇴했고 2022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아사키 = 아사키는 코나미 소속으로 주로 BEMANI 시리즈에서 활동하고 있는 게임 음악 작곡가이다. 저작권 곡으로는 캡틴 락(Captain Rock)의 명의로 활동하고 있다. 오사카부 출신인 것 외에 신상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 = 특징 = = 아사키(あさき)라는 명의로 발표된 곡들은 작사, 작곡부터 보컬, 기타, 베이스까지 싱어송라이터로서 모두 혼자서 담당한다(드럼은 우치코미(打ち込み)를 사용하나, 예외에 대해서는 신곡(神曲)을 참고). 또 다른 특징으로서 긴 시간의 반주, 어두운 분위기의 가락, 특징적인 가사가 있는데 이 때문에 아사키의 노래들이 비주얼계라고 형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에 대해 아사키는 '비주얼계가 아닌 쿄토메탈'이라고 말한다. 아사키 곡들의 가장 큰 특징인 가사는 길고, 음침, 난해하다. 그의 곡을 가사를 보지 않고 듣기만 한다면 일본인들조차도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아들을 수 없다(일부 노래에 들어가있는 랩풍의 가사를 '빠르게 하는 말'라고도 하는데, 이 '말'을 알아들을 수 없음에서 유래된 것이다). 노래의 가사들을 봐도 복잡한 한자가 많아 읽지 못하는 일이 많다. 또 한자를 읽는 음이 다른데, 첫 번째 앨범인 신곡(神曲)의 앨범 커버에 수록된 가사와 실제 노래에서의 읽히는 음이 다른 일이 많다. 가사는 주로 여성의 마음을 구가하는 것이 많아 노래를 듣지 않고 가사만 먼저 본 사람들은 아사키를 여성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아사키의 일부 곡들은 일본과 한국의 노래방 기기에 수록되어 있으나(한국의 경우 월광접 단 하나만)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때문에 따라 부르기는 힘들다. = = 앨범 = = 아사키의 첫 앨범인 신곡 은 2005년 9월 16일에 발매되었다. 2005년 3월 4일에 제작계획이 발표됐고 5일 후 상품화 결정 목표치인 3,000장이 예약됐다. 일반 상점에서는 팔지 않고 코나미의 온라인 상점인 코나미스타일에서만 구입할 수 있다. 비마니 시리즈에서의 곡들은 모두 드럼에 대해 우치코미를 사용했지만 앨범 수록곡들은 보조 드러머들이 드럼을 연주했다. 蛹 (번데기) / 기타프릭스 7th MIX, 드럼매니아 6th MIX 蛍 (반딧불) / 기타프릭스 V2, 드럼매니아 V2 幸せを謳う詩 (행복을 구가하는 시) / 팝픈뮤직 10 この子の七つのお祝いに (이 아이의 일곱 번째 축하날에) / 기타프릭스 10th MIX, 드럼매니아 9th MIX , [유비트] jubeat saucer 予後の音 (여후의 음) 月光蝶 (월광접) / 기타프릭스 9th MIX, 드럼매니아 8th MIX 赤い鈴 (붉은 방울) / 기타프릭스 11th MIX, 드럼매니아 10th MIX 雫 (물방울) / 팝픈뮤직 12 이로하 神曲 (신곡) / 팝픈뮤직 19 튠 스트리트 空澄みの鵯と (해질녘의 직박구리와) / 팝픈뮤직 16 파티 = = = 참가한 음악가 = = = *아사키 - 작곡, 편곡, 작사, 보컬, 기타, 베이스, 피아노 *사사키 히로후미(佐々木博史) - 피아노 *TOMOSUKE - 피아노 *요시다 타로(吉田太郎) - 드럼 *쥰지(淳士) - 드럼 *타케우치 쥰(竹内純) - 바이올린 *후카미 호우다이(深見邦代) - 바이올린 *타카하시 카오리(高橋香織) - 비올라 *나가야마 토시히코(永山利彦) - 첼로 = = 발표한 곡 = = = = = 비트매니아 IIDX = = = キャッシュレスは愛情消すティッシュ (캐쉬리스는 애정을 지우는 티슈) beatmaniaIIDX12 HAPPY SKY (2005년) 鬼言集 (귀언집) beatmaniaIIDX14 GOLD (2007년) four-leaf beatmaniaIIDX14 GOLD (2007년) = = = 기타프릭스, 드럼매니아 = = = 蛹 (번데기) GUITARFREAKS 7thMIX & drummania 6thMIX ツミナガラ... と彼女は謂ふ (츠미나가라... 라고 그녀는 말했다) GUITARFREAKS 8thMIX & drummania 7thMIX 月光蝶 (월광접) GUITARFREAKS 9thMIX & drummania 8thMIX 花の唄 (꽃의 노래) GUITARFREAKS 9thMIX & drummania 8thMIX この子の七つのお祝いに (이 아이의 일곱 번째 축하날에) GUITARFREAKS 10thMIX & drummania 9thMIX Agnus Dei GUITARFREAKS 10thMIX & drummania 9thMIX 赤い鈴 (붉은 방울) GUITARFREAKS 11thMIX & drummania 10thMIX 鬼姫 (귀희) GUITARFREAKS 11thMIX & drummania 10thMIX mushroom boy GuitarFreaks V & DrumMania V You can't do it if you try GuitarFreaks V & DrumMania V Plastic Umbrella GuitarFreaks V & DrumMania V 蛍 (반딧불) GuitarFreaks V2 & DrumMania V2, 아사키 앨범 神曲으로부터 이식 虧兎に告ぐ (이지러진 토끼에게 고함) GuitarFreaks V3 & DrumMania V3 Ru-Ru-Ru GuitarFreaks V3 & DrumMania V3 Micro Fin GuitarFreaks V3 & DrumMania V3 極東史記 (극동사기) GuitarFreaks V4 & DrumMania V4 DEADMAN'S BED GuitarFreaks V4 & DrumMania V4 Vertigo GuitarFreaks V4 & DrumMania V4 ATOMS GuitarFreaks V5 & DrumMania V5 Mannequin GuitarFreaks V5 & DrumMania V5 流氷の去りて(유빙이 지나가고) GuitarFreaks V5 & DrumMania V5 A.DOGMA GuitarFreaks V5 & DrumMania V5 FOR THE FINAL GuitarFreaks V5 & DrumMania V5 Under The Nest GuitarFreaks V6 & DrumMania V6 Siren GuitarFreaks V6 & DrumMania V6 NIL GuitarFreaks V6 & DrumMania V6 Sonne GuitarFreaks V6 & DrumMania V6 Piranha GuitarFreaks XG & DrumMania XG ほしふり GuitarFreaks V7 & DrumMania V7 青い鳥 GuitarFreaks XG & DrumMania XG 天庭 おとこのこ編 GuitarFreaks XG & DrumMania XG = = = 유비트 = = = Lead Me jubeat ripples APPEND 幸せのかたち(행복의 형태) jubeat copious APPEND (어펜드 에너지 3000 소비후 구매가능) イ号零型 jubeat saucer = = = 리플렉 비트 = = = 虹の先に何があるか REFLEC BEAT 魚氷に上り耀よひて REFLEC BEAT limelight 天庭 REFLEC BEAT colette つばめ REFLEC BEAT colette まほろば教 REFLEC BEAT colette 黒点 REFLEC BEAT colette 太陽の子 REFLEC BEAT colette 空葬 REFLEC BEAT colette マッハマンの歌 REFLEC BEAT colette I LOVE SAKURA / CHERRY BLOSSOMS REFLEC BEAT plus = = = 팝픈뮤직 = = = 幸せを謳う詩 (행복을 구가하는 시) pop'n music 10 明鏡止水 (명경지수) pop'n music 10, 후나키 도모스케와의 공동 작업 雫 (물방울) pop'n music 12 いろは 真超深TION (진초심TION) pop'n music 13 カーニバル, 오사무 미기테라와의 공동 작업 猿の経 (원숭이의 경) pop'n music 14 FEVER! つばめ (제비) pop'n music 15 ADVENTURE 天庭 (천정) pop'n music 15 ADVENTURE 空澄みの鵯と (해질녘의 직박구리와) pop'n music 16 PARTY, 아사키 앨범 神曲으로부터 이식 万物快楽理論 (만물쾌락이론) pop'n music 16 PARTY 水面静かに大地の烈日わたらせて pop'n music 18 せんごく列伝 神曲 pop'n music 19 TUNE STREET = = = 애니메이션 = = = はなまるぴっぴはよいこだけ (참 잘했어요 표시는 착한 아이에게만) / 작사 - 『오소마츠상』 오프닝, 작곡 : 96、노래 : A応P = = = ee'MALL = = = 螺子之人 (나사지인) ee'MALL2nd = 걸 서클 = 걸 서클(ギャルサー)은 일본 TV계열에서 2006년 4월 15일부터 6월 24일까지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첫회는 14분 확대) 후지키 나오히토의 일본 TV 연속 드라마 첫 출연작이다. = = 개요 = = = = = 줄거리 = = = '키타지마 신노스케'는 '제로니모Ⅲ세'에게 '이모코라는 아이를 찾아주길 바라'라고 부탁 받아 시부야로 향한다. 거리에서 밧줄을 휘두르는 신노스케의 기발한 행동에, 상점가의 사람들은 혼란에 빠진다. 그런 가운데, 신노스케는 '사키'등 걸들을 만난다. = = = '이모코'의 정체 = = = 신노스케는 계속 걸 서클 “엔젤 하트”의 멤버라고 생각하는 도중, 유이카 : 그녀가 가지고 있는 엽서에 '이모코'와 관계가 있다고 의심(실제는 무관계)을 하고 있다. 레미 : 본명이 '이모코 (妹子)'이다. 사키 : 본명 '사키코'를 카타카나로 세로로 쓰면 '芋子'로 보여, 편지와 필적도 비슷하다. 가 후보에 올랐다. 그러나 결국, 신노스케의 카우보이 모자 안에 들어 있던 편지를 사키가 찾아내어, 불치의 병으로 죽은 신노스케의 친어머니 시부야 사치코 (카타카나를 세로로 쓰면 '사치코')가 9세 때에 쓴 편지를, 3살의 신노스케가 바다에 흘려 보냈덩 것이라고 판명되었다. 즉 신노스케 자신이 편지의 발송인 '이모코'인 것이 된다. = = = 그 외 = = = 대지와 태양, 생명에 대해서 감사를 표하고 나서 식사를 하는 장면 (고마워요 대지, 고마워요 태양, 생명 고마워요, 잘 먹겠습니다)이 빈번히 등장한다. 매주 반드시, 현대의 일본 사회에 대한 교훈인 듯한 대사가 있다. 또 두 번 다시 모일 수 없는 GIRL역의 신인 여배우 (스즈키 에미, 아라가키 유이, 토다 에리카, 사츠카와 아이코, 나츠코, 야구치 마리, 이와사 마유코등)의 출연이 특징. 다음 번 회에 맞추어 주역이 되는 GIRL역에 대해서는 차례를 경감하는 대응을 취한 것도 특징. = = 등장 인물 및 배역 = = 키타지마 신노스케 (北島進之助) - 후지키 나오히토 (카우보이, 33세) = = = 엔젤 하트 = = = 사키 (サキ) - 토다 에리카 (엔젤하트 백팀, 16세) 레미 (レミ) - 스즈키 에미 (엔젤하트 대표, 18세) 나기사 (ナギサ) - 아라가키 유이 (엔젤하트 흑팀 리더, 18세) 유리카 (ユリカ) - 야구치 마리 (엔젤하트 흑팀, 23세(자칭16세)) 리카 (リカ) - 이와사 마유코 (엔젤하트 차기 대표 후보, 17세) 시즈카 (シズカ) - 사츠카와 아이미 (엔젤하트 백팀, 16세) 스미레 (スミレ) - 나츠코 (엔젤하트 백팀, 16세) = = = 상점가 주변 사람들 = = = 이치노세 마코토 (一ノ瀬誠) - 사토 류타 (경찰관, 24세) 야나시타 테츠오 (柳下哲雄) - 나마세 카츠히사 (시부야 중앙 상가 상점 회장, 49세) 야나시타 에미코 (柳下恵美子) - 오시마 사토코 (상점 회장 부인, 43세) 츠치야 마모루 (土谷守) - 타카다 쥰지 (츠치야문구점 주인, 50세) 아이카와 유사쿠 (相川勇作) - 누쿠미즈 요이치 (드럭스토어 점주, 44세) 하야카와 쇼코 (早川晶子) - 미우라 리에코 (드럭스토어 약제사, 33세) = = = 제로니모 주변 인물 = = = 제로니모Ⅲ세 (ジェロニモIII世) - 후루타 아라타 (수수께끼 인디언, 40세) 모모 (モモ) - 야마우치 나나 (현: 히나타 나나미) (제로니모의 외동딸, 8세) 죠지 (ジョージ) - 아난 켄지 (제로니모의 친구, 43세) = = 방영일·부제·시청률 = = 각화 방송일 서브타이틀 시청률 제1화 2006년 4월 15일 지상 30m 공포의 낙하, 우정을 죽이는 '죽어' 문자 15.4% 제2화 2006년 4월 22일 잃어버린 신용…눈물로 뽑는 우정의 드레스 13.5% 제3화 2006년 4월 29일 격돌 프라이드녀의 대결 결사적 비밀 다이어트 16.0% 제4화 2006년 5월 6일 사기 GIRL 비밀의 7 변화…오만한 여자 아나운서에 앙천역습 12.3% 제5화 2006년 5월 13일 카우보이는 방화범? 제로니모의 배반 vs 고마워요 대지 12.8% 제6화 2006년 5월 20일 저주의 문장? 미소녀가 차례차례 사라졌다! 괴기 현상의 수수께끼를 쫓아라 10.8% 제7화 2006년 5월 27일 꿈을 단념하지 말라! 카우보이 폭주 시부야에서 권총 난사 11.6% 제8화 2006년 6월 3일 여생 1일! 수수께끼의 신데렐라 여고생 궁극의 선택 10.9% 제9화 2006년 6월 10일 카리스마 걸의 충격 과거, 상심 구한 첫사랑의 눈물 11.3% 제10화 2006년 6월 17일 결국 판명!? 생명의 은인…감동의 재회와 영원한 이별 13.2% 제11화 2006년 6월 24일 눈물의 유언, 소녀들의 졸업, 시부야의 거리에 기적이! 13.9% 평균 시청률: 12.9% 평균 시청률: 12.9% 평균 시청률: 12.9% 평균 시청률: 12.9% 평균 시청률: 12.9% 평균 시청률: 12.9%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시청률은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사 조사) = 클레어 블랙웰더 = 클레어 블랙웰더(, 1993년 8월 26일 아이다호주 보이시 ~ )는 미국의 영화 배우이다. 2015년에 방송된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드라마 파워레인저 다이노차지에서 켄달 모건, 퍼플 디노 차지 레인저 역할을 맡았다. = 오라시오 엘리손도 = 오라시오 마르셀로 엘리손도(, 1963년 11월 4일 ~ )는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심판이다. 겸임 직업은 시인과 체육교사이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 킬메스에서 태어나 체육학을 전공한 그는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과정을 마친 뒤 축구심판 활동을 시작하였다. 1992년에 열린 데포르티보 에스파뇰과 벨그라노 데 코르도바의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경기에서 데뷔했으며, 1994년에 국제 축구 연맹으로부터 국제심판 자격을 취득, 1996년 10월 9일에 열린 에콰도르와 콜롬비아의 199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경기에서 처음으로 국제 심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과 코스타리카의 개막전 경기, 체코와 가나, 스위스와 대한민국의 조별 예선 두 경기, 잉글랜드와 포르투갈의 8강전 경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결승전 경기의 주심을 맡기도 하였다. 스위스와 대한민국의 조별 예선 경기에서, 스위스의 알렉산더 프라이가 후반 31분에 넣은 골을 당시 이 경기의 부심이었던 로돌포 오테로가 오프사이드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를 그대로 진행시켜 이를 득점으로 인정해 논란이 일었고, 대한민국 축구 팬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 골은 오심이 아니었다. 프라이에게 패스를 했을 당시에 알렉산더 프라이는 최종 수비수보다 한 발자국 뒤에 있었기 때문에 온사이드였다. 다만 패스 이후에 이호가 공을 건드리는 순간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서 판정이 오심으로 보였던 것이다. 또한, 잉글랜드와 포르투갈의 8강전 경기에서도 웨인 루니에게 퇴장 명령을 내려 잉글랜드 팬들의 원성을 샀고,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결승전 경기에서도 지네딘 지단이 마르코 마테라치의 가슴을 머리로 들이받자 지네딘 지단에게 퇴장 명령을 내려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2006년을 마지막으로 축구심판에서 은퇴했다. = 분류:산티아고 수도주 = = 하세 도형 = 하세 도형(Hasse圖形, )은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들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된 표기법으로, 각 원소의 순서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이 도형을 제안한 헬무트 하세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으나, 그 이전인 19세기 말에도 같은 표기법을 썼던 기록이 있다. = = 예 = = 집합 \{x,y,z\}의 멱집합 원소들에 대해서 부분 집합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60의 약수들에 대해서 배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마르쿠스 알베크 = 마르쿠스 크리스티안 알베크(, 1973년 7월 5일 ~ )는 스웨덴의 전직 축구 선수 및 현직 축구 코치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였다. = = 클럽 경력 = = 예테보리 출신인 알베크는 1992년에 외리뤼테에서 활동하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에는 덴마크의 축구 클럽인 륑뷔, 1998년에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인 바리에 임대되기도 했으며 2000년에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소속 축구 클럽인 헤이렌베인으로 이적했다. 2002년에는 잉글랜드의 축구 클럽인 애스턴 빌라로 이적했으나 더라이어스 바셀, 후안 파블로 앙헬에게 밀려 주전 선수로 기용되지 않았으며 2004년 여름에 독일의 축구 클럽인 한자 로스토크로 이적했다. 알베크는 2005년 여름에 덴마크의 축구 클럽인 코펜하겐으로 이적했으며 코펜하겐의 덴마크 수페르리가 2회 우승에 기여했다. 2006년 11월 1일에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 홈 경기에서 자신의 UEFA 챔피언스리그 첫 골을 기록하여 코펜하겐의 1-0 승리에 기여했다. 2006년 11월 21일에 열린 벤피카와의 조별 예선 원정 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지만 코펜하겐은 벤피카에 1-3 패배를 기록했다. 2006년 12월 6일에 열린 셀틱과의 조별 예선 홈 경기에서 1골을 기록하면서 코펜하겐의 3-1 승리에 기여했다. 알베크는 2008년 7월 1일에 외리뤼테로 이적하면서 스웨덴 무대에 복귀했지만 2009년 12월 14일에 외리뤼테가 2009 알스벤스칸 시즌에서 하위 리그로 강등되자 은퇴를 결정했다. = = 국가대표 경력 = = 알베크는 1999년 11월 27일에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친선 경기에 처음 출전하면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데뷔했다. UEFA 유로 2000, 2002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04, 2006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08에 참가했으며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74경기에 출전하여 30골을 기록했다. 알베크는 2006년 6월 20일에 열린 잉글랜드와의 2006년 FIFA 월드컵 조별 예선 경기에서 FIFA 월드컵 통산 2,000번째 골을 기록했으며 스웨덴은 잉글랜드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스웨덴이 UEFA 유로 2008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이후에 국가대표팀 은퇴를 결정했다. = = 지도자 경력 = = 알베크는 2009년 11월 7일에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의 보조 코치로 임명되었으나 스웨덴이 UEFA 유로 2016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 = 수상 = = 외리뤼테 스벤스카 쿠펜 1회 우승 (2000) 코펜하겐 덴마크 수페르리가 2회 우승 (2005-06, 2006-07)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의 레슬링은 8월 12일부터 8월 21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에서 열렸다. 59개국에서 344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 = 경기장 =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비고 베이징(Beijing)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China Agricultural University Gymnasium) 전 경기 = = 세부 종목 =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의 세부 종목은 아래와 같다. 자유형 남자 55kg 60kg 66kg 74kg 84kg 96kg 120kg 자유형 여자 48kg 55kg 63kg 72kg 그레코로만형 남자 55kg 60kg 66kg 74kg 84kg 96kg 120kg = = 예선 =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의 예선 대회를 겸한 대회는 아래와 같다. 대회 대회 기간 개최지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9월 17일 ~ 23일 바쿠 2008년 대륙별 선수권 대회 아프리카 2008년 3월 7일 ~ 9일 튀니스 2008년 대륙별 선수권 대회 아시아 2008년 3월 18일 ~ 23일 제주 2008년 대륙별 선수권 대회 유럽 2008년 4월 1일 ~ 6일 탐페레 2008년 대륙별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2008년 2월 8일 ~ 10일 캔버라 2008년 대륙별 선수권 대회 판 아메리카 2008년 2월 29일 ~ 3월 2일 콜로라도스프링스 1차 예선 대회 자유형 2008년 4월 18일 ~ 20일 마르티니 1차 예선 대회 그레코로만형 2008년 5월 9일 ~ 11일 로마 1차 예선 대회 여자 2008년 5월 16일 ~ 17일 에드먼턴 2차 예선 대회 자유형 2008년 5월 2일 ~ 4일 바르샤바 2차 예선 대회 그레코로만형 2008년 5월 23일 ~ 25일 노비사드 2차 예선 대회 여자 2008년 5월 31일 ~ 6월 1일 하파란다 = = 참가국 및 참가 인원 = = 국가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 총원 국가 55kg 60kg 66kg 74kg 84kg 96kg 120kg 55kg 60kg 66kg 74kg 84kg 96kg 120kg 48kg 55kg 63kg 72kg 총원 X X 2 X X X 3 X X X X X X X X X 9 X X X X 4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6 X X X X X X X X X 9 X 1 X X X X X X X X X X X X 12 X 1 X X X X X X X X X X 10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6 X X X 3 X X X X X X X X X X X X 12 X 1 X X 2 X X X X X X X 7 X 1 X 1 X X X X X X X X X 9 X 1 X X X X X X X X X X 10 X X X X X X X 7 X X X 3 X 1 X 1 X X X X X X X X X 9 X X X 3 X X X X X X X X X X X X 12 X X 2 X X X X X X X X X X 10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6 X X X X X 5 X X X X 4 X 1 X X 2 X X X X X X 6 X X 2 X X X 3 X 1 X X 2 X 1 X X X X X X X X X 9 X X X X X X X X 8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8 X 1 X X 2 X X 2 X 1 X X X X X X X X X X X 11 X X X 3 X X X X X 5 X 1 X X 2 X X X 3 X X X X X X X X X X X X X 13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6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17 X X X X X X X X 8 X X X 3 총원: 59개국 19 19 21 21 20 19 20 19 20 20 20 20 20 20 17 16 17 16 344 = = 경기 일정 = =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날짜 시간 종목 2008년 8월 12일 화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55kg급 2008년 8월 12일 화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급 2008년 8월 13일 수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급 2008년 8월 13일 수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74kg급 2008년 8월 14일 목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84kg급 2008년 8월 14일 목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2008년 8월 14일 목요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120kg급 2008년 8월 16일 토요일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8월 16일 토요일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8월 17일 일요일 여자 자유형 63kg급 2008년 8월 17일 일요일 여자 자유형 72kg급 2008년 8월 19일 화요일 남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8월 19일 화요일 남자 자유형 60kg급 2008년 8월 20일 수요일 남자 자유형 66kg급 2008년 8월 20일 수요일 남자 자유형 74kg급 2008년 8월 21일 목요일 남자 자유형 84kg급 2008년 8월 21일 목요일 남자 자유형 96kg급 2008년 8월 21일 목요일 남자 자유형 120kg급 = = 메달 집계 = = = = = 최종 순위 = = = = = 메달리스트 = = 남자 자유형 55kg급 남자 자유형 55kg급 남자 자유형 60kg급 남자 자유형 60kg급 남자 자유형 66kg급 남자 자유형 66kg급 남자 자유형 74kg급 남자 자유형 74kg급 남자 자유형 84kg급 남자 자유형 84kg급 남자 자유형 96kg급 남자 자유형 96kg급 남자 자유형 120kg급 남자 자유형 120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55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55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60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60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66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66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74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74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84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84kg급 없음스웨덴의 아라 아브라하미안 선수는 원래 동메달을 획득하였지만, 준결승 경기 당시 심판 오심에 항의하며 동메달 수여를 거부하고 동메달을 시상대에 내팽개치고 퇴장했다. 이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메달 박탈이라는 중징계를 내렸지만, 진상 조사에 나선 스포츠 중재 재판소는 심판의 오심을 인정하였다. 남자 그레고로만형 96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96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120kg급 남자 그레고로만형 120kg급 여자 자유형 48kg급 여자 자유형 48kg급 여자 자유형 55kg급 여자 자유형 55kg급 여자 자유형 63kg급 여자 자유형 63kg급 여자 자유형 72kg급 여자 자유형 72kg급 = Feel So Close = "Feel So Close"은 캘빈 해리스의 노래이다. = All the Lost Souls = 싱글 목록 싱글 목록 "1973" 2007년 All the Lost Souls은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제임스 블런트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이다. = = 수록곡 = = 스탠다드반 "1973" (James Blunt & "Mark Batson") – 4:40 "One of the Brightest Stars" (James Blunt & "Steve McEwan") – 3:11 "I'll Take Everything" (Blunt & White) – 3:05 "Same Mistake" (Blunt) – 4:58 "Carry You Home" (Blunt & Max Martin) – 3:56 "Give Me Some Love" - 3:36 "I Really Want You" (Blunt) – 3:30 "Shine On" (Blunt) – 4:26 "Annie" (Blunt, Jimmy Hogarth) – 3:25 "I Can't Hear the Music" (Blunt) – 3:45 스탠다드 디지털반 보너스 트랙 딜럭스반 보너스 트랙 딜럭스 디지털반 보너스 트랙 영국 스탠다드반 보너스 DVD "In the Studio with James Blunt" "The Making of All the Lost Souls" "1973" (비디오) - 4:15 "Return to Kosovo" (미리보기) - 2:18 오스트레일리아 투어반 보너스DVD "Give Me Some Love"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I Really Want You"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So Long, Jimmy"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Carry You Home"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Wisemen"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Same Mistake"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1973" (Live From The Max Sessions, Sydney) 미국 타켓반 보너스 DVD "1973" (Video) - 4:15 "1973" (Making of the Video) - 4:55 딜럭스반 보너스 DVD "Same Mistake" (Live at Abbey Road) "I'll Take Everything" (Live at Abbey Road) "1973" (Live at Abbey Road) "You're Beautiful" (Live in Paris) "Goodbye My Lover" (Live in Paris) "Carry You Home" (Live from the Sydney Opera House) "Wisemen" (Live in Ibiza) "One of the Brightest Stars" (Live in Ibiza) "1973" (Video) "Same Mistake" (Video) "Carry You Home" (Video) "I Really Want You" (Video) "Je Realise" (Video) "1973" (The Making of the Video) "Same Mistake" (The Making of the Video) "Carry You Home" (The Making of the Video) "I Really Want You" (The Making of the Video) "Return to Kosovo" (다큐멘터리) "T5M Interview Special" = = 차트 성적 및 인증 = = 차크 (2007년) 공급 최고 순위 인증 판매량/출하량 아르헨티나 음반 차트 CAPIF 1 플래티넘 40,000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차트Australia Album Chart ARIA 1 플래티넘 70,000 오스트리아 음반 차트"Ö3 Austria Top 40" Austria Album Chart Media Control Europe 1 플래티넘 30,000 벨기에 (Flanders) 음반 차트Belgium Flanders Album Chart Ultratop/IFPI 5 골드 25,000 벨기에 (Wallonia) 음반 차트Belgium Album Chart Ultratop/IFPI 1 골드 25,000 캐나다 음반 차트 1 2x 플래티넘 200,000First week sales Canada Canoe Radio. Retroeved 28 September 2007. Cyprus 음반 차트 All Records Top 20 1 체코 음반 차트Czech Albums Chart IFPI 5 플래티넘 5,000 덴마크 음반 차트 IFPI/Nielsen Music Control 5 Platinum 30,000 Ecuadorian Albums Chart Discos MTM 6 Estonian Albums Chart Pedrobeat 1 Platinum 10,000 Finnish Albums Chart"James Blunt - All The Lost Souls worldwide chart positions and trajectories". aCharts.us. Retrieved 21 September 2007. GLF 10 French Albums Chart SNEP/IFOP 1 Diamond 750,000 German Albums Chart Media Control 1 2x Platinum 400,000 Greek International Albums Chart IFPI 1 Gold 16,000 Hong Kong Albums Chart IFPIHK 1 Hungarian Albums Chart MAHASZ 6 Gold 3.000 Irish Albums Chart IRMA 1 5x Platinum 75,000 Italian Albums Chart FIMI 1 Japanese albums chart RIAJ/Oricon 26 Gold 37,000 (subscription only) 대한민국 음반 차트 (한터 차트) 4 Mexican Albums Chart AMPROFON 19 Gold 50,000 Mexican International Albums Chart AMPROFON 4 Gold 50,000 Netherlands Albums ChartNetherlands Album Chart MegaCharts/NVPI 2 Platinum 70,000 New Zealand Albums Chart RIANZ 1 Platinum 36,000 Norwegian Albums Chart 3 Swedish Albums Chart GLF 2 GoldSweden Chart + Certification 25,000+ Swiss Albums Chart Media Control 1 2x Platinum 60,000 South African Albums Chart 1 Spanish Albums Chart PROMUSICAE 13 Taiwan G-music Albums Chart G-Msic/Five Music 16 Portuguese Albums ChartPortugal Album Chart AFP 9 영국 음반 차트 BPI 1 2x 플래티넘 633,000 유럽 음반 차트Euro Album Chart IFPI 1 플래티넘 1,000,000 미국 빌보드 200 빌보드 7 골드 500,000 = = = 연말 차트 = = = 국가 최고 순위 (2007년) 독일 16{{ 국가 최고 순위 (2008년) 독일 21 = 분류:1720년 책 = = 제4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제4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1936년에 열린 시상식이다.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개최되었다. = = 수상 및 후보 = = = = = 볼피컵 남우주연상 = = = 과학자의 길 - 폴 무니 수상 = = = 특별공로상 = = =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 - 프랭크 카프라 수상 = = = 특별언급상 = = = 트레일 오브 더 론섬 파인 - 헨리 헤서웨이 수상 = = = 무솔리니 컵 = = = 캘리포니아 형제 - Luis Trenker 수상 = 호소다파 = = 프랭크 웰커 = 프랭크 웰커(1946년 3월 12일 ~ )는 미국의 성우이다. 원작 트랜스포머 메가트론 성우이며 트랜스포머 시리즈 원작 옵티머스 프라임 성우로 알려져 있는 피터 컬런과는 사촌사이이다. 2015년 트랜스포머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 = 출연작 = = = = = 애니메이션 = = = 101마리 강아지 TV시리즈 - 스코치, 스티브 덕 다저스 - K-9 로저 래빗 - 황소 마이티 덕 - 카멜레온 미키의 클럽 하우스 - 페티 본, 부치, 구피의 고양이, 테디베어 등 사우스 파크 - 검은 괴물, 길 잃은 강아지 알라딘과 도적의 왕 - 아부, 라쟈 등 킴 파서블 - 몽키 피스트 티몬과 품바 - 코끼리를 포함한 여러 동물들 트랜스포머 G1 - 메가트론, 사운드웨이브, 래비지, 레이저비크, 럼블, 프렌지, 스카이워프, 미라지 패밀리 가이 - 프래디 존스 하우스 오브 마우스 - 거스 구스, 아부, 아라쿠안, 버치, 크리키, 다저, 피가로, 페가소스 등 호기심 많은 조지 - 조지 트랜스포머 프라임 - 메가트론, 사운드웨이브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 - 로드 러너 = = = 극장용 애니메이션 = = = 가필드:마법의 샘물 - 가필드, 배달부 난쟁이, 레오날드, 제프 101마리 강아지 2 : 패치의 런던 대모험 - 썬더볼트, 패치 등 개들 울음 소리 공룡시대 - 칼이빨 구피 무비 - 빅풋 노틀담의 꼽추 - 아기 새 노틀담의 꼽추 2 - 아킬레스 ,달리 라이온 킹 - 사자 울음소리 라이온 킹 2 - 악어들, 황소들 레이디와 트램프 2 - 레지 코디와 생쥐 구조대 - 마라휴트, 조나 스쿠비 두 - 프레디 존스 스티치 무비 - 스파키(우주 실험체 221호) 아틀란티스:마일로의 귀환 - 오비, 맨텔 자파의 귀환 - 아부, 라쟈 정글북 2 - 발루 외 알라딘과 도적의 왕 - 아부, 라쟈 올리버와 친구들 - 루이 이웃집 토토로 - 토토로(영어 더빙판) 인어공주 - 맥스, 아슐라의 상어들 인어공주 2 - 맥스 위대한 명탐정 바실 - 토비, 펠리시아 미녀와 야수 - 풋스톨 뮬란 - 칸, 크리키(복동이) 멜로디 타임 토이 스토리 - 스커드 토이 스토리 2 - 불스아이 토이 스토리 3 - 토토로 외 톰과 제리 - 제리, 스파이크 외 포카혼타스 (1995년 영화) - 플릿 포카혼타스 2 : 세상 밖으로 - 플릿 헤라클레스 - 페가소스 = = = 영화 = = = 스폰 - 말레볼지아 고질라 - 고질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10) 스페이스 잼 - 찰스 루니툰: 백 인 액션 - 스쿠비 두 트랜스포머 2: 폴른의 복수(패자의 역습) - 사운드웨이브, 데바스데이터, 레비지, 그라인더, 리드맨 트랜스포머 3 - 바리케이드, 사운드웨이브, 쇼크웨이브, 이고르 개구쟁이 스머프2 - 아즈라엘 트랜스포머 4: 사라진 시대 - 갈바트론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 메가트론 알라딘 - 아부, 라자, 신비의 동굴 = = = 비디오 게임 = = = 트랜스포머2: 폴른의 복수 비디오 게임 - 메가트론 = 분류:1419년 작품 = = 배드 브레인스 = 배드 브레인스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결성된 하드코어 펑크 밴드이다. = = 디스코그래피 = = Bad Brains (1982) Rock for Light (1983) I Against I (1986) Quickness (1989) Rise (1993) God of Love (1995) I & I Survived (2002) Build a Nation (2007) Into the Future (2012) = 분류:CS1 - 중국어 (대만) 인용 (zh) = = 분류:핀란드의 대장 = = 일본오소리 = 일본오소리(Meles anakuma)는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일본의 토착종으로 혼슈와 규슈, 시코쿠, 쇼도섬에서 발견된다. 오소리(아시아오소리), 유럽오소리와 함께 오소리속에 속한다. = 세라데 쁘띠 = 세라데 쁘띠(Serrade petit)는 프랑스에서 온 자연적인 고양이 품종이다. 새로운 고양이 품종이기 때문에 아직 품종 기준이 없다. 세라데 쁘띠는 짧은 털과 가늘고 섬세한 질감과 긴 꼬리를 가진 작은 몸을 가지고 있다. 이 종은 크고 꼿꼿한 귀와 큰 눈을 가진 작은 머리를 가지고 있다.Serrade Petit Cat. CatBreedSelector.com. Diakses 8 Oktober 2017. = = 특징 = = 세라데 쁘띠은 적응력이 뛰어난 고양이이다. 이 고양이는 꽤 똑똑한 조용한 고양이이다. = 허드 햇필드 = 허드 햇필드(Hurd Hatfield, 1917년 12월 7일 ~ 1998년 12월 26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뉴욕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이중 음모 (1991년) 미궁 속의 알리바이 (1989년) 크라임 오브 하트 (1986년) 다윗 대왕 (1985년) 노리스 테입스 (1973년) 붉은 남작 (1971년) 보스톤 교살자 (1968년) 미키 원 (1965년) 엘 시드 (1961년) 왕중왕 (1961년) 왼손잡이 건맨 (1958년) 타잔과 노예 소녀 (1950년) 하녀의 일기 (1946년)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1945년) 드래곤 씨드 (1944년) = = = 텔레비전 = = = 스튜디오 원 (1952-54) 클라이막스! (1956-58) 서부를 향해 달려라 (1966-68) 코작 (1976) 유물 (1978, The Word) 전격 Z작전 (1986) = 민병성 = 민병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민병성(閔丙晟, 1890 ~ ?)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다. 민병성(閔丙星, 1926 ~ 1991)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다. = 심약 = 심약(, 441년 ~ 513년)은 중국 위진 남북조 시대 송나라, 제나라, 양나라의 공신, 정치인, 관료, 학자, 역사가, 시인, 문인이다. 저장성 오흥(吳興, 지금의 절강성 호주) 출신으로, 자는 휴문(休文), 호는 은후(隱侯)ㆍ동양(東陽), 시호는 은(隱)이다. = = 가문 내력 = = 조부 심림자(沈林子)는 송나라의 정로장군(征虜將軍)이었고, 부친 심박(沈璞)은 송나라의 회남태수(淮南太守)였다. = = 관력 = = 송나라 때, 안서외병참군과 상서도지낭을 지내고, 제나라 때, 국자감 좨주와 사도좌장사, 동양태수(東陽太守)를 지냈다. 양나라 때, 양 무제(梁 武帝) 소연(蕭衍)을 도와, 양나라를 건국한 공로로, 건창현후(建昌縣侯)에 봉해지고, 이부상서(吏部尙書), 상서복야(尙書僕射), 상서령(尙書令), 좌광록대부(左光綠大夫), 시중(侍中)을 역임하였다. = = 평가 = = 명문세족이었지만, 일찍 부모를 여의어, 학문에 힘썼다. 정치가로서뿐만 아니라 문인으로도 뛰어나, 제나라 때, 양 무제(梁 武帝) 소연(蕭衍)과 함께, 경릉팔우(竟陵八友)의 한 사람이 되었다. 당시, 임방(任昉)의 문장, 심약(沈約)의 시를 제일로 꼽았으며, 궁체시(宮體詩)의 선구가 되었다. 또한, 불교에 능통하고, 사성팔병설을 주창하여, 영명체(永明體)와 근체시(近體詩)의 근거를 성립하였다. = = 저서 = = 진서(晉書) 송서(宋書) 제기(齊纪) 송문장지(宋文章志) 사성보(四聲譜) 심은후집(沈隱侯集) 심휴문집(沈休文集) = 2015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다음은 2015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 = 목록 = = = = = 1분기 = = =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3 세계일주 스물 착한 여자 그라운드의 이방인 몽골리안 프린세스 태양을 쏴라 두 번째 엄마 무삭제판 망대 베드 살인의뢰 소셜포비아 울언니: 성상납의 비밀 무삭제판 개: dog eat dog 살인캠프 순수의 시대 헬머니 기화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조류인간 친절한 가정부 하숙집 꿈보다 해몽 조선명탐정 : 사라진 놉의 딸 망원동 인공위성 쎄시봉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 새로운 악당의 습격 비밀: 아내의 남자 비치하트애솔 어우동: 주인 없는 꽃 정사: 위험한 성적 유희 무삭제판 화끈한 써비스: 어느 잔인한 미용사의 내 심장을 쏴라 생각보다 맑은 강남 1970 가자! 장미여관으로 3 - 방황 무삭제 감독판 고양이 장례식 꽃보다 처녀귀신 미라클 여행기 오늘의 연애 허삼관 설해 워킹걸 = = = 2분기 = = = 나의 절친 악당들 메이드 인 차이나 어떤 가족 욕정이 활활 소수의견 연평해전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극비수사 성난 화가 애인 외출 한여름의 판타지아 따라지 : 비열한 거리 마이 페어 웨딩 은밀한 유혹 혜경궁 홍씨 코인라커 7공주 대리운전 무뢰한 전망 좋은 집 2 간신 막걸스 사랑에도 저작권이 있나요? 산다 명령불복종 교사 악의 연대기 명량: 회오리 바다를 향하여 어떤 여행, 시민창작뮤지컬 연애의 맛 잡식가족의 딜레마 젊은엄마 : 내 나이가 어때서 다이노 타임 부곡 하와이 터치 바이 터치 플랑크 상수 위험한 상견례 2 차이나타운 미궁: 비밀애 반짝이는 박수 소리 약장수 검은손 다이빙벨: 진실은 침몰하지 않습니다 장수상회 화장 후쿠시마의 미래 공사중 맛있는 택배 파울볼 = = = 3분기 = = = 맛있는 덫-정사 춘희막이 서부전선 음란한 가족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탐정 : 더 비기닝 위험한 섹스 덫: 치명적인 유혹 란제리살인사건 션샤인 러브 사도 은밀한 방문자 나쁜 수업 조선안방 스캔들-칠거지악 돼지 같은 여자 보리의 은밀한 사생활 사랑이 이긴다 선지자의 밤 슈퍼레이서 엔지 영도 자가당착: 시대정신과 현실참여 젊은 처제 제 7기사단 창백한 얼굴들 함정 화산고래 외출 무삭제 하숙집 무삭제 기적의 피아노 미션: 톱스타를 훔쳐라 성난 화가 - 무삭제판 오피스 젊은 엄마 3 타부 : 금지된 사랑 맛2 치외법권 고백 뷰티 인사이드 엄마친구 없던 일 오늘영화 퇴마: 무녀굴 마님 그리울 련 미쓰 와이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순교 에스엠타운 더 스테이지 원령 위로공단 협녀, 칼의 기억 짓2: 붉은 낙타 이바라키의 여름 베테랑 마지막 위안부 무서운 집 살인재능 고녀석 맛나겠다2 : 함께라서 행복해 폭풍정사 러브앤서울 복숭아마을 도색소동기 십이야: 깊고 붉은 열두 개의 밤 암살 퀴어영화 나비 : 어른들의 일 밀양 아리랑 악인은 살아 있다 폴라로이드 쓰리 썸머 나잇 권법형사 : 차이나타운 레드 툼 손님 태양을 쏴라 무삭제판 파스카 남편만 몰라요 디렉터스 컷 마돈나 미궁: 비밀애 무삭제 특별판 = = = 4분기 = = =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친애하는 지도자동지께 조선마술사 한양기방 명기전 굿바이 그리고 헬로우 위험한 중독 나의 아들, 나의 어머니 색끈한 퓨전사극 심청야사 인 허 플레이스 대호 유신의 미학 히말라야 전원일기: 젖소농장새댁 실론, 세렌디피티 그들이 죽었다 불안한 외출 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 슬픈남자 앨리스: 원더랜드에서 온 소년 타이밍 타투 * 황진이 감금의 시간 극적인 하룻밤 나쁜 나라 내 친구의 아내 공즉시색 서태지밴드 콘서트 투어 콰이어트나이트 설지 아일랜드 - 시간을 훔치는 섬 어떤이의 꿈 위선자들 한양 기방 춘향뎐 도리화가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꾸루꾸루와 친구들: 무지개 나무의 비밀 내부자들 용주골 착한 처제 해에게서 소년에게 맛있는 정사: 오피스 와이프 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이고 싶다 늙은 자전거 세상끝의 사랑 친구엄마 모텔 검은 사제들 들꽃 핫섹토크 고시원 거짓말 울보 권투부 그놈이다 미안해 사랑해 고마워 수상한 미용실 어떤살인 새폴더 2 더 폰 돌연변이 말하지 못한 비밀 맛있는 비행 스피드 오디세오 조선안방 스캔들-칠거지악 2 특종: 량첸살인기 필름시대사랑 힙스터: 안개의 덫 미션스쿨 비밀 유부녀들 성난 변호사 아내의 애인 안녕, 전우치! 도술로봇대결전 환타스틱 러브짐: 전쟁 같은 사랑 라이브 TV 포장마차 = = 참고 자료 = = *KOFIC 영화 데이터베이스 = 분류:발레 교육자 = = 기획원 사건 = 기획원 사건은 1939년에서 1941년 사이 기획원 직원・조사관 및 관계자들이 좌익 활동 혐의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 기소된 사건이다. 기획원 사건은 1939년 시작된 "판임관 그룹 사건"과 1940년 시작된 "고등관 그룹 사건"의 복합체다. 1938년 10월, 게이힌 공업지대에서 사회과학 연구회를 갖던 노동자들이 일제검거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게이힌 그룹 사건). 당시 노동자들의 연구회 강사는 기획원 판임관 시바 히로시(전후 일본공산당 도쿄도당 위원장 역임)로 밝혀져 체포되었다. 시바의 자백을 바탕으로 기획원 내 젊은 판임관들의 연구회(이것 자체는 기획원 내부에서 허용된 소규모 스터디그룹이었다)의 존재가 경찰에 인식된다. 이것이 소위 "관청인민전선"활동으로 처리되어 1939년 11월부터 이듬해 1940년까지 오카쿠라 코지로, 타마키 하지메 등 4명이 검거되었다. 이것을 "판임관 그룹 사건"이라고 한다. 이후 1940년 10월, 기획원이 발표한 『경제신체제확립요강』을 재계에서 적화사상의 산물로 공격함으로써 그 요강의 초안작성에 참여한 이나바 히데조, 마사키 치후유, 사타 타다타카, 와다 히로오, 카츠마타 세이이치, 와다 코사쿠 등 17인이 검거되었다. 이것을 "고등관 그룹 사건"이라고 한다. 판임관 그룹은 시바 혼자 1940년 실형이 선고되었고 나머지는 집행유예 판결이 내려졌다. 고등관 그룹은 3년간 구금된 후 보석, 패전 후인 1945년 9월 사타를 제외한 전원에게 무죄판결이 내려졌다. 한편 고등관 그룹의 카와사키 미사부로가 만주철도조사부 직원이기도 했기 때문에 이 공안정국이 만철조사부에까지 파급되었다(만철조사부 사건). 피검된 사람들 중 다수(특히 고등관 그룹)는 한때 좌익운동에 참여했던 전향자들이었으며, 고노에 후미마로의 싱크탱크인 쇼와 연구회 소속과 큰 교집합이 있었다. 그들의 국가주도 통제경제정책 제언은 육군성 군무기관의 지지를 얻었으며, 반대파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국체와 상반되는 것"이라며 격렬하게 배격했다. = = 참고 자료 = = 奥平康弘 『治安維持法小史』 岩波書店〈岩波現代文庫〉、2006年。ISBN 4006001614。 = 분류:나라별 교육학자 = = 틀:192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 = 니타 비버 = 니타 비버(Nita Bieber, 1926년 7월 18일 ~ 2019년 2월 4일)는 미국의 배우, 댄서, 연극 배우, 영화배우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으며 란초 팔로스 베르데스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키스밋 (1955년) 도둑이었던 왕자 (1951년) 썸머 스톡 (1950년) = 분류:러시아에서 코로나19로 죽은 사람 = = 1988년 한국프로야구 = 1988년 한국 프로야구 개막일 1988년 4월 2일 리그 우승 팀 해태 타이거즈 최우수선수(MVP) 김성한(해태 타이거즈) 최우수신인 이용철(MBC 청룡) 올스타전 최우수선수(MVP) 한대화(해태 타이거즈) 참가 구단 해태 타이거즈빙그레 이글스롯데 자이언츠삼성 라이온즈OB 베어스MBC 청룡태평양 돌핀스 1988년 한국프로야구는 한국프로야구가 일곱 번째 해를 맞으며, 경기는 108경기를 하였다. 1988년에 있었던 팀은 해태 타이거즈, 빙그레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OB 베어스, MBC 청룡, 태평양 돌핀스인데 1985년 이후 3년 만에 외국 전지훈련이 재개(OB MBC 빙그레 제외)됐다. 해태가 네 번째 우승을 맞게 되었고,팀 창단 이후 최초로 한국시리즈에 올라갔던 빙그레는 준우승으로 시즌을 마친다. 1987년을 끝으로 청보는 태평양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1988년에 새로 창단된 태평양은 최하위를 기록한다. 또한, 전·후기 리그는 1988년를 끝으로 사라지게 된다. = = 1988년 프로야구 순위 = = 보기 보기 전·후기 모두 1위 또는 2위 (한국시리즈 직행) 전·후기 중 한 번만 1위 또는 2위 (플레이오프 진출) 연도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승률 승차 기타 1988 1위 해태 108 68 2 38 0.639 0.0 1988 2위 빙그레 108 62 1 45 0.579 6.5 1988 3위 롯데 108 57 2 49 0.537 11.0 1988 4위 삼성 108 56 2 50 0.528 12.0 1988 5위 OB 108 54 2 52 0.509 14.0 1988 6위 MBC 108 40 4 64 0.389 27.0 1988 7위 태평양 108 34 1 73 0.319 34.5 = = = 1988년 프로야구 전기 순위 = = = 보기 보기 1위 또는 2위 (포스트시즌 진출) 연도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승률 기타 1988 1위 해태 54 34 1 19 0.639 1988 2위 빙그레 54 34 0 20 0.630 1988 3위 OB 54 31 0 23 0.574 1988 4위 롯데 54 29 1 24 0.546 1988 5위 삼성 54 23 1 30 0.435 1988 6위 태평양 54 18 1 35 0.343 1988 7위 MBC 54 17 2 35 0.333 = = = 1988년 프로야구 후기 순위 = = = 보기 보기 1위 또는 2위 (포스트시즌 진출) 연도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승률 기타 1988 1위 해태 54 34 1 19 0.639 1988 2위 삼성 54 33 1 20 0.620 1988 3위 빙그레 54 28 1 25 0.528 빙그레와 롯데의 성적이 같으므로 공동 3위임. 1988 3위 롯데 54 28 1 25 0.528 롯데와 빙그레의 성적이 같으므로 공동 3위임. 1988 5위 OB 54 23 2 29 0.444 4위가 없으나 3위가 2팀이므로 OB와 MBC는 5위가 됨. 또한, OB와 MBC가 성적이 같으므로 공동 5위임. 1988 5위 MBC 54 23 2 29 0.444 MBC와 OB의 성적이 같으므로 공동 5위임. 1988 7위 태평양 54 16 0 38 0.296 6위가 없으나 5위가 두팀이므로 태평양은 7위가 됨. = = 1988년 팀별 기록 순위 = = = = = 1988년 팀별 타율 순위 = = = 연도 순위 팀 경기 타율 기타 1988 1위 해태 108 0.283 작년 팀 타율 2위 타율 0.274 1988 2위 삼성 108 0.278 작년 팀 타율 1위 타율 0.300 1988 3위 롯데 108 0.270 작년 팀 타율 3위 타율 0.268 1988 4위 빙그레 108 0.266 작년 팀 타율 4위 타율 0.261 1988 5위 태평양 108 0.261 작년 팀 타율 5위 타율 0.258 1988 6위 MBC 108 0.260 작년 팀 타율 6위 타율 0.252 1988 7위 OB 108 0.258 작년 팀 타율 7위 타율 0.242 = = = 1988년 팀별 평균자책 순위 = = = 연도 순위 팀 경기 평균자책 기타 1988 1위 해태 108 2.86 작년 팀 평균자책 1위 평균자책 3.16 1988 2위 롯데 108 3.63 작년 팀 평균자책 2위 평균자책 3.26 1988 3위 빙그레 108 3.72 작년 팀 평균자책 공동 3위 평균자책 3.36 1988 4위 OB 108 3.73 작년 팀 평균자책 공동 3위 평균자책 3.36 1988 5위 MBC 108 3.96 작년 팀 평균자책 5위 평균자책 3.58 1988 6위 삼성 108 4.18 작년 팀 평균자책 6위 평균자책 3.78 1988 7위 태평양 108 4.57 작년 팀 평균자책 7위 평균자책 4.36 = = = 1988년 팀별 득점 = = = 연도 순위 팀 경기 득점 기타 1988 1위 삼성 108 516 작년 팀 득점 1위 득점 583점 1988 2위 빙그레 108 506 작년 팀 득점 2위 득점 432점 1988 3위 해태 108 505 작년 팀 득점 3위 득점 415점 1988 4위 롯데 108 482 작년 팀 득점 공동 4위 득점 410점 1988 5위 OB 108 418 작년 팀 득점 공동 4위 득점 401점 1988 6위 MBC 108 408 작년 팀 득점 6위 득점 393점 1988 7위 태평양 108 387 작년 팀 득점 7위 득점 388점 = = = 1988년 팀별 실점 = = = 연도 순위 팀 경기 실점 기타 1988 1위 해태 108 364 작년 팀 실점 1위 실점 401점 1988 2위 빙그레 108 441 작년 팀 실점 2위 실점 404점 1988 3위 OB 108 447 작년 팀 실점 3위 실점 405점 1988 4위 롯데 108 449 작년 팀 실점 4위 실점 407점 1988 5위 MBC 108 491 작년 팀 실점 5위 실점 427점 1988 6위 삼성 108 492 작년 팀 실점 6위 실점 454점 1988 7위 태평양 108 538 작년 팀 실점 7위 실점 524점 = = = 1988년 팀별 홈런 개수 = = = 연도 순위 팀 경기 홈런 기타 1988 1위 해태 108 112 작년 팀 홈런 개수 1위 105홈런(개) 1988 2위 삼성 108 85 작년 팀 홈런 개수 2위 71홈런(개) 1988 3위 빙그레 108 73 작년 팀 홈런 개수 3위 54홈런(개) 1988 4위 롯데 108 68 작년 팀 홈런 개수 4위 48홈런(개) 1988 5위 태평양 108 58 작년 팀 홈런 개수 5위 40홈런(개) 1988 6위 OB 108 44 작년 팀 홈런 개수 6위 36홈런(개) 1988 7위 MBC 108 42 작년 팀 홈런 개수 7위 30홈런(개) = = 1988년 주요 기록 = = 기록 날짜 선수 소속팀 상대팀 기타 역대 최소 전 경기 출장 명수 1988 3명 연속 경기 2루타 1988.4.19~1988.4.27 강정길 빙그레 6경기 연속 2루타, 2루타를 친 팀은 기록하지 못함. 최초 한 이닝 최다 루타 1988.4.19 이만수 삼성 롯데 8루타 최초 한 이닝 최다 타점 1988.9.4 정구선 롯데 OB 5타점 한 이닝 최다 사구 1988.5.5 김동기 태평양 삼성 2개의 사구 특정팀 최다 연승 1988.8.11~1995.9.26 선동열 해태 롯데 20연승 노히트 노런 1988.4.2 장호연 OB 롯데 역대 3번째 노히트 노런 1988.4.17 이동석 빙그레 해태 역대 4번째 경기 최다 피홈런 1988.8.16 박상열 OB 해태 5개 역대 1루수 최소 실책 1988 김바위 태평양 0개 역대 3루수 최소 실책 1988 김성갑 빙그레 3개 역대 유격수 최소 실책 1988 정영기 롯데 4개 경기 최다 자살(투수) 1988.4.8 선동열 해태 5개 역대 1루수 최고 수비율 1988 김바위 태평양 1.000 역대 3루수 최고 수비율 1988 김성갑 태평양 0.988 = = 1988년 최고 기록 = = = = = 1988년 투수 부문 최고 기록 = = = 기록 선수 소속팀 기타 최다 승리 투수 윤학길 롯데 18승 10패(5구원승 포함이라 이상윤과 선발승(13선발승) 공동 2위) 최다 선발승 한희민 빙그레 14선발승 최우수 평균 자책 선동열 해태 1.21 최다 탈삼진 선동열 해태 탈삼진:200개 최우수 구원 윤석환 OB 구원승 13승+세이브 14세이브=SP 27 최다 세이브 이상군 빙그레 세이브:16세이브 = = = 1988년 타자 부문 최고 기록 = = = 기록 선수 소속팀 기타 최고 수위타자 김상훈 MBC 0.354 최다 안타 김성한 해태 안타:131개 최다 홈런 김성한 해태 홈런:30개 최다 타점 김성한 해태 타점:89점 최다 득점 이순철 해태 득점:81점 최다 도루 이순철 해태 도루:58개 최고 장타율 김성한 해태 장타율:0.577 최고 출루율 김성래 삼성 출루율:0.459 = = 1988년 수상 내역 = = 연도 MVP 신인왕 올스타전 MVP 한국시리즈MVP 1988 김성한 이용철 한대화 문희수 = = 1988년 골든 글러브 수상자 = = 연도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외야수 외야수 외야수 지명타자 1988 선동열 장채근 김성한 김성래 한대화 장종훈 이순철 이강돈 이정훈 김용철 = = 1988년 한국프로야구 관중 현황 = = 연도 해태 빙그레 롯데 삼성 OB MBC 태평양 합계 1988 210,959명 211,402명 648,661명 177,774명 275,061명 239,562명 168,726명 1,932,145명 = = 1988년 진기록 명기록 = = 삼성이 태평양전에서 역대 최고 연속 타자 득점(11득점)을 기록하였다. OB가 삼성전에서 역대 팀 최소 타수(21타수)를 기록하였다. 삼성이 태평양전에서 역대 최고 연속 타수 안타(10안타)를 기록하였다. = = 파일의 설명 = =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 빌헴스타흘 전투 = 빌헴스타흘 전투는 1762년 6월 24일 영국, 프로이센, 하노버, 브라운슈바이크, 헤센 연합군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7년 전쟁의 전투 중 하나이다. 다시한번 프랑스군은 하노버를 위협하였고, 동맹군은 프랑스군 주위로 이동하여 포위공격한 후에 격퇴하였다. 이 전투는 동맹군의 승리로 여겨진다. = LG 트윈스 연도별 선수 명단 (1990년 - 2000년) = = =포지션별 주전 = = 연도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우익수 중견수 좌익수 지명타자 1990년 김용수 김동수 김상훈 김동재 이광은 김재박 윤덕규 노찬엽 박흥식 김영직 1991년 김용수 김동수 김상훈 김선진 이광은 김재박 윤덕규 노찬엽 김영직 최훈재 1992년 김기범 김동수 김상훈 김건우 송구홍 민경삼 박준태 노찬엽 김영직 이병훈 1993년 김태원 김동수 김상훈 박종호 송구홍 이종열 박준태 노찬엽 김영직 이병훈 1994년 김태원 김동수 서용빈 박종호 한대화 유지현 박준태 노찬엽 김재현 최훈재 1995년 이상훈 김동수 서용빈 이종열 한대화 유지현 심재학 노찬엽 김재현 김선진 1996년 김용수 김동수 서용빈 송구홍 김선진 유지현 심재학 노찬엽 김재현 최훈재 1997년 임선동 김동수 서용빈 신국환 송구홍 유지현 심재학 이병규 동봉철 박준태 1998년 김용수 김동수 김선진 신국환 이종열 유지현 심재학 이병규 김재현 펠릭스 1999년 손혁 김동수 안상준 신국환 이종열 유지현 대톨라 이병규 김재현 펠릭스 2000년 해리거 조인성 서용빈 이종열 안상준 유지현 양준혁 이병규 김재현 스미스 = =전체 명단 = = 다음은 해당 연도 정규 리그에 최소 한 경기 이상 출장(녹색 칸의 경우 해당 포지션 최다 출장)한 선수 명단이다. = = =투수 = = =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강봉수 강봉수 강봉수 강봉수 경헌호 김건우 김건우 김건우 김건우 김광삼 김광삼 김광수 김경태 김경태 김경태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기범 김도완 김도완 김도완 김도완 김민기 김민기 김민기 김민기 김상엽 김성식 김성식 김성식 김성식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용수 김유진 김유진 김유진 김유진 김유진 김유진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태원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김혁섭 노종우 노종우 노종우 노종우 류택현 류택현 문병권 문병권 문병권 민원기 민원기 민원기 민원기 민원기 민원기 민원기 박창현 박창현 박창현 박창현 박철홍 박철홍 박철홍 박철홍 박철홍 박철홍 박철홍 방동민 방동민 방동민 방동민 방동민 방동민 손혁 손혁 손혁 손혁 해태로 이적 송유석 송유석 송유석 신동수 신동수 신동수 신동수 신윤호 신윤호 신윤호 신윤호 신윤호 신윤호 신윤호 안병원 안병원 오희주 오희주 오희주 이국성 이국성 이병석 이병석 이병석 이병석 이병석 이병석 이병석 이상훈 이상훈 이상훈 이상훈 이상훈 이승호중/ (2패) 이승호중/ (6승 6패) 이용철(중간 / 3승 1패) 이용철(선발 / 2승 7패) 이용철(중간 / 2패) 인현배 인현배 인현배 인현배 인현배 인현배 인현배 임선동 임선동 최일언 삼성으로 이적 = = = 포수 = = =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김정민 당신상 당신상 서효인 서효인 서효인 서효인 서효인 심재원 조인성 조인성 조인성 = = =내야수 = = =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김재박 권용관 권용관 권용관 김동재 김동재 김동재 김상훈 김상훈 김상훈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선진 김정준 김정준 민경삼 민경삼 박종호 박종호 박종호 박종호 박종호 박종호 박종호 서용빈 서용빈 서용빈 서용빈 서용빈 서용빈 서용빈 손지환 손지환 손지환 손지환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송구홍 신국환 신국환 신국환 신국환 신국환 안재만 안재만 안재만 안재만 양준혁 117경기 출장, 1/20 외 19) 유지현 유지현 유지현 유지현 유지현 유지현 유지현 윤찬 윤찬 윤찬 윤찬 조재영 조재영 허문회 허문회 허문회 허문회 허문회 허문회 허문회롯데로 이적 = = =외야수 = = =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김상호 김상호 김영직 김영직 김영직 김영직 김영직 김일권 김재현 김재현 김재현 김재현 김재현 김재현 김재현 김종헌 김종헌 케빈 대톨라(우익수) 노찬엽 노찬엽 노찬엽 노찬엽 노찬엽 노찬엽 노찬엽 동봉철 박준태 박준태 박준태 박준태 박준태 박준태 박준태 박흥식 박흥식 박흥식 심재학 심재학 심재학 심재학 심재학 윤덕규 윤덕규 이광은 이병규 이병규 이병규 이병규 이병훈 이병훈 이병훈 찰스 스미스 = 데이비드 톰 = 데이비드 톰(David Tom, 1978년 3월 23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작전명 D-DAY (2019년) 헤이징 (2005년) 베로니카 마스 (2004년) 기적의 사나이 (1999년) 플레전트빌 (1998년) 룸메이트 (1995년) 현대판 왕자와 거지 (1994, Summertime Switch) 스윙 재즈 (1993년) 닥터 퀸 (1993년) 스테이 튠 (1992년) 계부 3 (1992년) - 앤디 역 엄마의 새출발 (1989년) = = = 텔레비전 = = = 더 영 앤 더 레스트리스 (1999-2014) 원 라이프 투 리브 (2004-05) = 기체 원환 = 기체 원환 또는 가스 토러스는 어떠한 행성을 둘러싸는 원환체 모양의 플라스마로, 태양계에서는 보통 행성의 자기장과 위성의 대기 간의 상호작용으로 생겨난다. 가장 유명한 예시는 이오의 기체 원환으로,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대기에서 이산화 황이 약 1초에 1톤 가량 황과 산소로 이온화되어 생겨난다. 이온화되지 않은 이산화 황은 모여 중성 원환을 형성하는데, 이 또한 이오의 궤도를 중심으로 발생한다. 하전 입자 관측에 따르면 유로파에도 중성 토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존재한다고 하여도 이오 원환의 바깥 부분과 합쳐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른 예시로는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가 있는데, 여기서는 산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중성 원환이 만들어진다. 엔셀라두스는 이오와 달리, 이온화되지 않은 입자가 주를 이룬다. 보이저 탐사선의 탐사 이후 타이탄에도 기체 원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카시니 탐사선은 원환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타이탄에서 나온 중성 질소는 감지할 수 없었으며, 타이탄 궤도 주변에 있는 이온은 대다수 물에서 발생한 계열(O+, OH+, H2O+, H3O+)로, 엔셀라두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경우의 농도와 일치하였다. = 분류:나라별 없어진 통신 기업 = = 분류:미디어위키 이름공간 틀 = = 틀:편집 안내/이름공간/초안 = = 분류:슬로바키아의 배우 = = 순례 (대중문화) = 순례(巡禮)는 소설,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음악 등의 대중문화와 관련한 장소를 여행하는 행위를 말한다. = 분류:초소형위성 발사체 = = 트로이 젠틸 = 트로이 젠틸(Troy Gentile, 1993년 10월 27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골드버그 패밀리 시즌3 (2015) 골드버그 패밀리 시즌2 (2014) 골드버그 패밀리 (2013) 강아지 호텔 (2009) 드릴빗 테일러 (2008) 절대로 네 여자가 될 수 없을거야 (2007) 굿 럭 척 (2007) 터네이셔스 D (2006) 나쵸 리브레 (2006) 배드 뉴스 베어즈 (2005) = 왕웨이 = 왕웨이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왕웨이(王維, 699 ~ 759)는 중국 성당(盛唐)의 시인이자 화가이다. 왕웨이(王伟, 1960 ~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왕웨이(王玮, 1992 ~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이다. 왕웨이(王伟, 1993 ~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이다. = 분류:노르웨이의 주별 지리 = = 이스 V: 잃어버린 모래도시, 케핀 = 이스 V: 잃어버린 모래도시, 케핀은 니혼 팔콤이 제작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이스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으로, 모험가 아돌이 사막에 감춰진 고대도시 케핀에 대한 소문을 듣고 탐색에 나서는 이야기를 다뤘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Daegu Concert House)는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 141(태평로2가)에 위치한 종합 공연장이다. 1975년 10월 5일에 개관했으며, 2000년부터 대구광역시 시설관리공단이 수탁 운영하고 있다. 이후 캠코는 노후화로 보수·보강이 필요한 대구시민회관을 공유재산 위탁개발 사업방식으로 리노베이션했으며 2013년 11월 29일에 국제적 수준의 고품격 전문 콘서트홀로 재개관을 하였다. 2016년 1월 1일에 대구콘서트하우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건립 당시에는 대구·경북권 유일의 대규모 공연장이었고, 대구문화예술회관 개관 이전까지는 시립 예술단의 상주 공연장 역할도 했다. 1618석의 좌석과 오케스트라 피트, 회전무대 등을 갖춘 다목적 공연장인 대공연장과 소규모 회의나 공연에 쓰이는 342석의 소강당, 대중소 규모로 세 개의 전시실을 갖춘 전시관으로 크게 나뉜다. 리노베이션 이후 클래식 전용 콘서트 홀에 맞게 변형되어 1284석(휠체어석 14석포함)의 그랜드콘서트홀, 248석(휠체어석 4석포함)의 챔버홀을 비롯해 운영사무실, 연습실과 함께 이용객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게 됐다. 상주예술 단체로는 대구시립예술단인 대구시립합창단, 대구시립교향악단이 있다. = 분류:잉글랜드의 도시별 박물관 =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박물관 = 1984년 패럴림픽 = 1984년 패럴림픽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1984년 하계 패럴림픽 1984년 동계 패럴림픽 = 분류:대한민국의 핸드볼팀 둘러보기 틀 = = 동아시아 축구 연맹 =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은 2002년 5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본부는 일본 도쿄에 있으며, AFC 소속 5개 지역 연맹중 하나이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은 매 2년마다 EAFF 동아시안컵을 주최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국가들간의 정기적인 교류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10개의 정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 = = 회원국 = = 동아시아의 주권 국가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의 2개 특별행정구, 미국의 2개 영토가 가입되어 있다. * * * * * * * * * * = = 대회 = = = = = EAFF 동아시안컵 = = = = = = = 남자 동아시안컵 = = = = 제1회 대회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2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3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4회 대회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5회 대회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제6회 대회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제7회 대회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제8회 대회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 = = = 여자 동아시안컵 = = = = 제1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제2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제3회 대회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제4회 대회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제5회 대회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제6회 대회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제7회 대회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 = 기타 = = = EAFF 풋살 챔피언십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 제1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제1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2013년 10월 2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서울 무등야구장, 함평야구장에서 열렸고, 대한야구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덕수고등학교가 초대 우승팀이 되었으며, 한주성이 최우수선수에 선정되었다.덕수고, 제1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우승 - OSEN = = 참가 고교 = = ※ 참가자격은 4개 고교야구 대회에서 8강 진출 이상의 성적을 거둔 팀으로 제한되었다. 서울 지역 부산 지역 인천 지역 광주 지역 대구 지역 대전 지역 울산 지역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북 지역 충남 지역 전북 지역 전남 지역 경북 지역 경남 지역 제주 지역 = = 경기 결과 = = 1회전 (30강) 1회전 (30강) 1회전 (30강) 부전승 승리 패배 울산공업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진흥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효천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신일고등학교 용마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 = 개인상 수상자 명단 = = 부문 수상자 소속고교 포지션 비고 최우수선수상 한주성 덕수고 투수 - 우수투수상 한주성 덕수고 투수 - 감투상 주권 청주고 투수 - 수훈상 김재성 덕수고 포수 - 타격상 지성준 청주고 포수 15타수 7안타(.467) 최다타점 전진우 동산고 유격수 7타점 최다홈런 정윤환 야탑고 우익수 1홈런 최다도루 한석현 경남고 우익수 6도루 감독상 정윤진 덕수고 - - 지도상 김창배 덕수고 - - 공로상 이상원 덕수고 - - = 손강 (후한) = 손강(孫羌, ? ~ ?)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성대(聖臺)이며 양주 오군 부춘현(富春縣) 사람이다. = =손강의 친족관계 = = 손견 · 손정의 계보는 각 항목을 참조할 것. = 버티 = 버티는 다음을 가리킨다. 버티 히긴스: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 연주자 버티(butty): 샌드위치 = 포털:동물/이 주의 그림 = = 분류:가이아나의 유도 = 가이아나 유도 가이아나 en:Category:Judo in Guyana = 후애 = 후애(後愛)는 대한민국 가수 엄정화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1997년에 발매되었다. 타이틀곡은 〈배반의 장미〉, 후속곡은 〈3자대면〉, 〈후애 (後愛)〉이다. = 분류:1941년 음악 = = 맨발의 청춘 (2005년 드라마) = 맨발의 청춘은 2005년 10월 3일부터 2005년 12월 30일까지 방송되었던 MBC 일일 드라마였는데 당초 130부작으로 기획됐으나 배우들의 부족한 연기력과 독창성이 부족한 캐릭터로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데 실패했으며 KBS 1TV 일일 드라마 별난여자 별난남자로 인한 시청률 부진 탓인지 63부작으로 조기 종영됐다. = = 등장 인물 = = 강경준 : 엄기석 역 정애연 : 나경주 역 우희진 : 민희정 역 송창의 : 황준혁 역 김갑수 : 엄정환 역 하유미 : 박화숙 역 고두심 : 오순옥 역 허정민 : 봉천동 역 김용림 : 서씨 역 김가연 : 엄미선 역 정다혜 : 최보배 역 최하나 : 정윤정 역 나영희 : 인애 역 박용연 : 형주 역 = = 참고 사항 = = 주로 주말 드라마, 미니 시리즈 드라마 위주로 드라마를 써 온 조소혜 작가의 첫 일일 드라마 집필작인데 조소혜 작가는 《맨발의 청춘》 조기 종영 이후 간암으로 고생하다가 2006년 5월 별세했다. = 분류:라오스의 경연회 = = 문경선 = 문경선(聞慶線)은 경북선 점촌역에서 문경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지선철도 노선이다. 문경탄전의 석탄 수송을 위해 1954년 11월 16일 개통되었으나, 석탄산업이 저물고 여객수요가 줄면서 점촌~문경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다. 이후 주평역 인근의 쌍용양회 공장으로 가는 화물 수송만 지속하였으나, 2011년에는 주평역 등의 완목신호기 사용이 중단되고, 2018년에는 이 수송마저 중지되면서 문경선은 영업 중지 상태가 되었다. = = 연혁 = = 1954년 11월 16일 : 점촌 ~ 불정 구간 개통 1955년 9월 15일 : 불정 ~ 은성 구간 개통 1959년 2월 1일 : 은성역을 가은역으로 역명 변경 1969년 6월 20일 : 진남~문경 구간 개통과 함께 진남~가은 구간을 가은선으로 분리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19호, 1969년 6월 9일. 1995년 4월 1일 : 주평~문경 구간 영업 중지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5-10호, 1995년 3월 24일. 2011년: 완목신호기 중단 2018년 4월 30일: 점촌 ~ 주평 화물 취급 중지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401로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 = 사진 = = 아래는 현재 남아 있는 문경선의 흔적이다. 아직 선로는 남아 있으나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 = 역 목록 = =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km) 영업거리(km)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점촌 Jeomchon 店村 0.0 0.0 경북선 경상북도 문경시 주평 Jupyeong 舟坪 7.1 7.1 경상북도 문경시 영업중지 불정 Buljeong 佛井 - 10.7 경상북도 문경시 폐역 진남 Jinnam 鎭南 5.7 12.8 가은선 경상북도 문경시 영업중지 신현 Sinhyeon 新峴 - 15.4 경상북도 문경시 폐역 마성 Maseong 麻城 - 17.4 경상북도 문경시 폐역 문경 Mungyeong 聞慶 9.5 22.3 경상북도 문경시 영업중지 = = 향후 전망 = = 현재 경강선 부발역에서 충북선 충주역을 경유하여, 문경역까지 잇는 중부내륙선 철도 건설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이 노선이 개통되면 중부내륙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문경시에서는 2020년부터 문경선의 폐지를 요청하였으나, 한국철도공사의 반발로 중부내륙선 개통 이후 영업을 재개할 전망이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차일피일 미루자, 2023년 7월 문경시의회에서 문경선(점촌역-문경역) 폐선 및 부지매각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문경시의 강력한 요구에 국가철도공단은 8월말부터 마무리 단계에 있는 중부내륙선 이천~문경 철도의 신설구간과 중첩되는 지역의 구조물을 먼저 철거하고 조령천 제2교, 남호교, 금곡천교, 봉명통로·마원통로·금곡통로 박스 등 6곳이 철거 대상으로 선정했다. 2024년 1월 17일 국가철도공단 충청본부에서 이번 상반기까지 6개소 철도구조물(교량, 통로박스)을 본격 철거시작하기로 발표했다. = 분류:항공 사고를 소재로 한 작품 = = 레날 페드로스 = 레날 페드로스(, 1971년 10월 10일 ~ )는 프랑스의 전직 축구 선수 및 현 축구 지도자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였으며 현재 모로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 = 선수 시절 = = = = = 클럽 = = = 1971년 10월 10일 프랑스 오를레앙에서 스페인계 프랑스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1990년 FC 낭트 입단을 통해 프로에 전격 입문한 뒤 2009년 은퇴할 때까지 19년동안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마 칼초, SSC 나폴리, 올랭피크 리옹, 몽펠리에 HSC, 툴루즈 FC, SC 바스티아, 알코르 SC, 쉬드 니브르네 임피 드시즈, 부슈멘 라볼에스쿠블라크, FC 볼름 등에서 활동했고 특히 1990년부터 1996년까지 FC 낭트의 주전 미드필더로 맹활약하며 1992-93 쿠프 드 프랑스 준우승, 1993-94 쿠프 드 프랑스 4강, 1994-95 리그앙 우승, 1995-96년 UEFA 챔피언스리그 4강 진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 = 국가대표팀 = = = 1993년 7월 28일 러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프랑스 A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1995년 9월 6일 홈에서 열린 아제르바이잔과의 UEFA 유로 1996 예선 1조 8차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터뜨리며 10-0 대승과 함께 2회 연속 유로 대회 본선 진출에 일조했다. 그 후 UEFA 유로 1996 본선 엔트리에 합류하여 팀의 4강 진출을 이끌었지만 체코와의 4강전 승부차기에서 5번째 키커로 나섰다가 상대 골키퍼 페트르 코우바의 선방에 가로막혀 결승 문턱에서 눈물을 흘렸고 결국 이로 인해 자국 언론과 축구팬들로부터 쏟아진 엄청난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 그리고 유로 1996 4강전에서의 승부차기 실축의 여파로 1996년 11월 29일 열린 덴마크와의 친선 경기를 끝으로 더 이상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지 못했고 결국 A매치 25경기 4골의 기록을 남긴 채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벗었다. = = 지도자 경력 = = = = = 클럽 = = = 2008년 생장뤼엘의 감독으로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한 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생프리베 생일레르의 감독을 역임했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고향팀인 US 오를레앙의 기술고문을 맡았다. 그리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디비지옹 1 페미닌의 명문팀인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의 감독을 역임하며 리그 2회 연속 우승(2017-18, 2018-19), 2017-18 쿠프 드 프랑스 페미닌 준우승, 2018-19 쿠프 드 프랑스 페미닌 우승,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2회 연속 우승(2017-18, 2018-19)의 금자탑을 쌓았고 2018년에는 FIFA 올해의 여자 축구 감독상까지 수상하는 영예까지 안았다. = = = 국가대표팀 = = = 2018-19 시즌을 끝으로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의 감독직에서 물러난 뒤 2020년 11월 모로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취임하여 1년 8개월 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격으로 열린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본선에서 개최국인 모로코의 사상 첫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준우승 및 사상 첫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의 쾌거를 이끌었고 특히 이 대회 최다 우승국인 나이지리아와의 4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를 거두는 기적을 일으키면서 모로코 여자 축구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 = 수상 = = = = = 클럽 (선수) = = = 리그 1 : 우승 (1994-95) 쿠프 드 프랑스 : 준우승 (1992-93), 4강 (1993-94) UEFA 챔피언스리그 : 4강 (1995-96) = = = 국가대표팀 (선수) =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4강 (1996) = = = 클럽 (지도자) = = = 디비지옹 1 페미닌 : 우승 (2017-18, 2018-19) 쿠프 드 프랑스 페미닌 : 우승 (2018-19), 준우승 (2017-18)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7-18, 2018-19) = = = 국가대표팀 (지도자) = =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준우승 (2022) = = = 개인 = = = FIFA 올해의 여자 축구 감독상 : 2018 = 분류:멕시코-콜롬비아 관계 = = Lee-Tzsche (음반) = Lee-Tzsche는 가수 이상은의 정규음반 8집이다. 이상은이 영국의 유명 레코드사인 버진(Virgin)-도시바 EMI사와 음반계약을 맺고, 'Lee-Tzsche(리채,リ-チェ)'라는 이름으로 발매한 음반이다. 앨범에 담긴 12곡 중 6곡은 7집에 수록되어 있던 곡을 영어가사로 바꾸고 편곡을 달리해 선보인 것이며, 나머지 새로운 6곡도 모두 영어가사로 되어 있다. 1997년 12월 일본에서 발매되고, 계속된 요청으로 한국에는 2000년도에 뒤늦게 수입되었다. 앨범 타이틀곡 'Actually, Finally' 와 11번트랙 'Release Your Mind'는 영국의 유명 프로듀서 Richard Niles(폴 매카트니, 팻숍 보이즈, 앨라니스 모리셋과 작업)가 편곡을 하였는데, 팝적인 요소가 강해서 오히려 이상은의 색깔을 잘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을 받았다. 그래서인지 'Actually, Finally'는 악기사용의 절제와 차분한 목소리 톤으로 편곡(다케다 하지무)되었던 오리지널 버전으로 후에 옴니버스앨범인 '도시락특공대 2집' 과 'Lee-tzsche 1991-1999 베스트앨범'에 다시 수록되었다. = =관련 자료 = = 'Actually, Finally' 뮤직비디오 = 효자동 박태성 정려비 및 묘 = 효자동 박태성 정려비 및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에 있다. 1999년 2월 1일 고양시의 향토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조선조 후기의 관료, 효자인 박태성의 무덤과 정려비이다. 소규모의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오석의 정려비와 독특한 서체가 특이하다. 효자동 박태성 정려비 및 묘 = 교차 검증 = 교차 검증 (cross-check, cross-validation)은 검증 대상에 대해 최소 2가지 이상의 확인 방법(출처, 시각, 실험결과)을 사용하여 사실관계 등을 검증하는 것이다. 언론 기사 등의 팩트 체크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단 중 하나가 교차 검증이다. = = 개요 = = 인문학적으로 역사적 진실에 대해 여러 출처를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방법 자연과학적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실험 결과들을 통해 증명하는 방법이다 = 모듈:Location map/data/India Tiruchirapalli/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India_Tiruchirapalli/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아르헨티나의 대회별 축구 감독 = = 도쿄 12대학 홍보 연락 협의회 = 도쿄 12대학은 일본 도쿄 소재 12개 사립 대학의 공동 퍼블리시티 조직이다. 12개교가 공동으로 각 대학 학술연구기관의 연구실적, 교풍, 입시 정보 등의 홍보를 목적으로 1964년 결성되었다. = = 가맹 대학 = =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고쿠가쿠인 대학 조치 대학 센슈 대학 주오 대학 도카이 대학 니혼 대학 호세이 대학 메이지 대학 릿쿄 대학 와세다 대학 = = 활동 내용 = = *공동 홍보 사이트 운영 (각 가맹 대학의 소개 및 각종 이벤트, 입시 정보, 자료 제공 창구) *공동 진학 상담회 '도쿄 12대학 페어' 개최 (도쿄, 나고야, 오사카, 삿포로,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 7개 도시에서 매년 개최) = = 입회 조건 = = 구제대학, 종합성이 있는 대학, 광보 담당자의 열의 = = 연혁 = = 도쿄 간다에 위치한 메이지 대학, 호세이 대학, 주오 대학, 니혼 대학, 센슈 대학이 모여 결성한 도쿄 간다 5대학 홍보 회의(東京・神田5大学広報会議)를 전신으로 한다. 도쿄 간다 5대학 홍보 회의와 별개로 1963년,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주오 대학, 니혼 대학, 호세이 대학, 메이지 대학, 릿쿄 대학 6개 대학이 모였으며, 와세다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이 참가하여, 1964년 '도쿄 8대학 홍보 간담회(東京八大学広報懇談会)'가 결성되었다. 1967년에는 조치 대학이 참가하여 9대학이 되었다. 구제대학이 아닌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도 가맹되어 있다. 가맹 대학이 12개교가 된 후로부터 도쿄 12대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 레게톤 = 레게톤(Reggaetón)은 최신 라틴음악의 한 형태이다. 2004년 주류로 떠오른 이후, 레게톤은 북아메리카·유럽·아시아로 퍼져 나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레게톤의 전신은 파나마에서 시작된 스페인어로 부르는 레게(Reggae en español)라는 새로운 음악 장르이다. 푸에르토리코에서도 스페인어로 부르는 레게가 상업적으로 포장되고 점차 알려지면서, 스페인어로 부르는 레게는 레게톤으로 발전했다. 90년대 중반부터 레게톤은 미국의 라티노와 라틴아메리카인들에게 널리 퍼졌다. 레게톤은 일렉트로니카·힙합·알앤비·살사·바차타·라틴 팝 등 카리브해, 라틴아메리카, 미국의 여러 음악 장르와 자메이카의 레게를 혼합한다. 또한 레게톤은 스페인어로 된 노래와 랩을 포함한다. 레게톤은 힙합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힙합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비트와 리듬을 가지고 있다. 레게톤에서 보이는 이러한 리듬을 뎀 보우(Dem Bow)라고 부른다. 레게톤의 가사는 힙합에 가깝다. 힙합의 가사보다 여성편력과 폭력을 덜 다룰지라도, 레게톤 역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BBC News - "Puerto Rico shakes to a new beat" 페레오(Perreo)와 같은 선정적인 춤 역시 논란거리이다. = = 음악적 특성 = = = = = 뎀 보우 = = = 뎀 보우 리듬은 샤바 랭크스의 노래 "Dem Bow"에서 처음 주목 받기 시작했다. 뎀 보우의 드럼이나 퍼커션의 패턴은 드럼 머신을 통해 만들어진다. 레게톤에서 뎀 보우의 역할은 기본적인 퍼커션의 패턴이 되는 것이다. 레게톤에서 사용되는 뎀 보우 리듬은 뱀뱀 리듬, 포코 리듬, 피버 피치 리듬, 빅-업 리듬과 같은 다른 리듬을 혼합한다. 여러 다른 리듬이 섞여 레게톤의 뎀 보우 리듬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레게톤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뎀 보우 리듬 또한 발달하고 있다. 새로운 레게톤 히트 음악은 더 가볍고 전자음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Permitame"과 "Pa' Que la Pases Bien"과 같은 노래를 들 수 있다. Raquel Z, Rivera. 2009. "Reggaeton" Part I. Mapping Reggaeton From Música Negra to Reggaeton Latino & Narrative: Editor's Notes / Wayne Marshall also by Wayne Marshall, Duke University Press, Duke University, Durham, North Carolina = = = 가사와 주제 = = = 레게톤의 가사는 힙합과 유사하다. 힙합과 같이, 상당수 레게톤 아티스트는 멜로디가 있는 노래를 부르기 보다 랩을 읆조리며, 레게톤 노래는 반복되는 후렴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힙합과 달리, 레게톤에서는 노래도 랩퍼뿐만 아니라 가수도 중요하고, 노래와 랩을 섞는다. 레게톤 곡 대부분은 남자 아티스트에 의해 작곡이 된다. Ivy Queen, Mey Vidal, Adassa, La Sista and Glory와 같은 유명한 가수를 포함해서, 여성 아티스트가 작곡하는 레게톤 음악도 늘어나고 있다. 레게톤의 가사 주제는 다양하다. 보통 레게톤의 가사 주제는 섹스, 춤, 사랑, 파티, 개인적인 경험, 인생 문제이다. 레게톤 노래의 가사는 은유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노래 Gasolina는 성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해서 몇몇 사람들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몇몇 노래는 여성편력적인 가사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 = = 페레오 = = = 페레오는 레게톤 음악과 연관이 있는 푸에르토 리코의 춤이다. 주로 여성의 등 뒤에서 남자가 문지르는 형태를 보인다. 페레오라는 단어는 Perro에서 유래됐으며, '개의 형태'라는 뜻이다. 페레오의 선정성에 대한 비판이 있으며 푸에르토리코에서 이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다나카 도요키 = 다나카 도요키(, 1993년 12월 1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센트럴 리그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사가현 이마리시 출신이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사가 상업고등학교 일본문리대학 = = = 선수 경력 =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2016년 ~ 201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2020년 ~ ) = = = 개인 기록 = = = = = = = 투수 기록 = = = = 첫 등판 : 2016년 5월 8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8차전(세이부 프린스 돔), 8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3이닝 무실점 첫 탈삼진 : 상동, 8회말에 에르네스토 메히아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홀드 : 2016년 9월 30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25차전(삿포로 돔), 9회초에 6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3이닝 무실점 첫 승리 : 2020년 8월 19일, 대 한신 타이거스 9차전(도쿄 돔), 3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 = = 타격 기록 = = = = 첫 타석 : 2020년 8월 29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4차전(도쿄 돔), 8회말에 야마이 다이스케로부터 볼넷 = = = 등번호 = = = 47(2016년 ~ 2019년) 018(2020년 ~ 같은 해 7월 25일) 19(2020년 7월 26일 ~ 같은 해 종료) 59(2021년) 059(2022년 ~ 2023년 3월 29일) 63(2023년 3월 30일 ~ )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2016년 닛폰햄 4 0 0 0 0 0 0 0 1 - 14 3.1 2 0 3 0 0 2 0 0 0 0 0.00 1.50 2017년 닛폰햄 19 0 0 0 0 0 0 0 3 - 86 19.0 19 2 8 0 2 23 2 0 8 7 3.32 1.42 2018년 닛폰햄 8 0 0 0 0 0 0 0 0 - 38 7.2 11 1 5 0 0 8 0 0 10 10 11.74 2.09 2020년 요미우리 31 0 0 0 0 1 1 0 1 .500 133 27.2 32 4 18 1 3 21 0 0 19 15 4.88 1.81 2021년 요미우리 39 0 0 0 0 0 0 0 2 - 152 38.0 22 5 20 2 1 37 3 0 13 12 2.84 1.11 통산 : 5년 통산 : 5년 101 0 0 0 0 1 1 0 7 .500 423 95.2 86 12 54 3 6 91 5 0 50 44 4.14 1.46 2022년 시즌 종료 기준. = = = 연도별 수비 성적 = = = 연도 소속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연도 소속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16 닛폰햄 4 0 0 0 0 - 2017 닛폰햄 19 0 0 0 0 - 2018 닛폰햄 8 0 0 0 0 - 2020 요미우리 31 2 2 0 0 1.000 2021 요미우리 39 0 1 0 0 1.000 통산 통산 101 2 3 0 0 1.000 2022년 시즌 종료 기준. = 분류:한국사 프로젝트 틀 = = 가쿠오잔역 = 가쿠오잔역(각왕산역, )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지쿠사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 타는 곳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지하역. 1 ■ 히가시야마 선 히가시야마 공원·후지가오카 방면 2 ■ 히가시야마 선 사카에·나고야·다카바타 방면 = = 역세권 정보 = = 가쿠오잔 상점가 = = 역사 = = 1963년 4월 1일: 영업 개시. = 마루 마루 모리 모리! = 마루 마루 모리 모리!는 일본의 음악 작품. 2011년 발매. 후지테레비에서 2011년에 제작한 드라마 마루모의 규칙의 엔딩곡이다. 제44회 일본유선대상 신인상 수상. = 틀:접이식 사이드바/내부 = = 풀발렌 = 풀발렌(Fulvalene)은 나프탈렌이나 아줄렌의 이성질체로 5각형 사이클로펜타다이엔 고리가 이중 결합으로 붙어서 분자전체에 콘쥬게이션을 가지고 있다. = 분류: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리트레아 = = Bad (왈레의 노래) = Bad는 2013년 2월 5일에 발매된 왈레의 노래이다. 매이백 뮤직 그룹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항구 도시 = = 마리타 코흐 = 마리타 코흐(, 1957년 2월 18일 ~ , 결혼 후 이름 :마리타 코흐 마이어 )는 전 동독의 단거리 육상 선수였다. 그는 선수 시절 실외에서 열여섯 차례, 실내에서 열네 차례나 세계 기록을 갈아치우는 놀라운 성적을 올렸다. = = 경력 = = 비스마르에서 태어난 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400m 준준결승전에서 뛰었으나 부상으로 인하여 물러나고 말았다. 1977년 밀라노에서 열린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00m 51.8초로 자신의 최초 세계 기록을 세웠다. 이듬해에는 첫 실외 기록 49.19초를 세웠으며 한달 안에 또다른 2개의 세계 기록과 함께 최고로 왔다. 1979년 코흐는 22초 아래로 200m를 달린 첫 여성 선수가 되었다. 카를 마르크스 경기장에서 그녀가 세운 21.71초의 기록은 9년 동안의 세계 기록이 되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400m 금메달과 1600m 계주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이 열리기 3주 전에 그녀는 자신의 기록을 결합시켰으나 동독의 불참으로 이 경기에 나가지 못하게 되었다. 마를리스 괴르가 실내 단거리 육상 경기에서 코흐에게 도전하였는 데, 결과로 보아 코흐는 1980년과 1985년 사이에 많은 기록들을 세운 50m와 60m의 가장 성공적 육상 선수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 동독 계주 팀의 일원으로서 코흐는 더 많은 세계 기록을 세웠다. 괴르와 함께 이끌었던 팀과 함께 1979년과 1983년 400m 계주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16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코흐 자신이 일원이었던 같은 팀은 1980년, 1982년과 1984년 같은 거리에서 세계 기록들을 세웠다. 코흐는 1987년 독일의 가장 성공적 선수들 중의 하나로서 은퇴하기 전에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400m 3연속 우승(1980, 1982, 1984)을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1985년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열린 세계 육상 월드컵에서 200m와 400m를 우승하였으며 400m에서는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장기적 세계기록 47.60초를 수립하였다. 그녀는 200m의 유럽의 21.71초 기록보유자였지만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네덜란드의 육상 선수 다프너 스히퍼르스의 200m 21.63초 에 의해 코흐의 기록은 갱신되었다. 하지만 그녀의 400m 47.60초는 여전히 세계기록으로 남아있다. 2014년 코흐와 동료선수 하이케 드렉슬러가 국제육상연맹 명예의전당에 헌액되었다. 대표 기록 100m 10.83 초 (+1.7) 베를린 (독일) 8/6/1983 200m 21.71 초 (+0.7) 카를 마르크스 경기장(동독) 10/6/1979 400m 47.60 초, 부르스 경기장, 캔버라 (호주) 6/10/1985 (WR) = = 400m 세계기록 = = 코흐는 1977~1986년까지의 가장 뛰어난 400m 선수로써 많은 기록을 세웠다. 그중 가장 뛰어난 기록은 1985년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세운 47.60초로 현재까지도 여자 400m 세계기록이다. 코흐는 경기를 시작할 때 2번째 줄에서 시작하였다. 트랙경기에서 안쪽 레인이 불리했음에도 처음의 100m를 통과할 때 이미 모든 경쟁자 선수를 전부 따돌렸으며 완전히 세계적인 수준을 뛰어넘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100m 지점(11.3초) 200m 지점(22.4초) 300m 지점(34.1초) 400m 종료(47.60초) 종전기록은 47.99초로 체코슬로바키아(체코)의 야르밀라 크라토츠빌로바가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세워진 기록이며 이기록은 현재까지도 대회기록으로 남아있다. 코흐와 크라토츠빌로바 두선수가 여성선수로써 유일하게 여자 400m 48초의 벽을 허문 선수이며 코흐가 세계기록을 세운 이래 48초이내에 드는 여자선수는 단 한명도 존재하지 않는다. = 분류:진천군의 향토유적 = = 분류:미국의 공화주의 = = 분류:중국계 정치인 = = 우짜 = 우짜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1960년대에 생긴 음식으로, 자장면 짜장면 우동 국물을 부어 먹는데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낚시꾼들이 해장할 때 많이 먹는다. 현재 통영시에서는 두개의 식당이 우짜를 만들고 있다. = A100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 이 문서는 A100엔터테인먼트의 발매한 음반 목록이다. = = 2018년 ~ 2021년 = = 2018년 4월 7일 예임 - 길모퉁이 2018년 6월 24일 네온펀치 - MOONNIGHT 2018년 7월 21일 예임 - 이별이 떠났다 OST Part.4 2018년 10월 23일 예임 - 먼저 말해줘 2019년 1월 38일 네온펀치 - Watch Out 2020년 ?월 ?일 XUM - = 카이판라 = 카이판라(개반나, , ) 또는 오픈라이스(OpenRice)는 홍콩의 웹사이트로 음식이나 먹거리에 관련하여 정보를 모아두고 있다. = 개념실재론 = 개념실재론(槪念實在論)은 보편(普遍)이 정말로 있다고 하는 설이다. 보편이란 이성을 위주로 사고하는 것의 대상(對象)으로, 실념론(實念論)은 그 한 예이다. 그러한 것은 없으며 단순한 이름에 불과하다는 것이 유명론(唯名論)이다. = One Of A Kind (지드래곤의 노래) = One Of A Kind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빅뱅의 G-Dragon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2012년 9월 1일 발매된 그의 두 번째 솔로 음반 One Of A Kind에 수록 되어 있다. = = 배경 = = YG 엔터테인먼트는 2012년 8월 22일, YG 공식 블로그 'YG 라이프'를 통해 인트로에 해당하는 "One Of A Kind"의 30초 분량을 공개하며 지드래곤의 3년만의 솔로 컴백을 예고했다. 하지만 정확한 컴백 날짜는 물론, 앨범의 형태, 타이틀곡 등 아무런 정보도 공개하지 않아 팬들과 관계자들의 궁금증이 불러 일으켰는데, YG 엔터테엔먼트는 "지드래곤의 컴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8월 25일 완곡의 뮤직 비디오 공개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후 뮤직 비디오는 8월 25일 자정 12시에 공개되었다. 음원은 지드래곤의 컴백을 암시하는 인트로 형식의 노래라는 이유로 뮤직 비디오 공개와 동시에 발매 하지 않았고, 추후 앨범 발매와 함께 발매되었다. 이 노래는 트렌디한 힙합 장르의 곡으로 차분하면서도 리듬감 있는 일렉트로닉 비트가 인상적이다. 공개 이후, "재주 많은 곰 (no) 곰보단 여우 / 난 재수없는 놈, 좀 비싼 몸(get out) / 네 형 네 누나 (아 왜 그래요) what's up 아 잘나가서 아 죄송해요 / 난 다르니까 그게 나니까 뭐만 했다 하면 난리 나니까 / 뭐만 했다 하면 난리 나니까 유행을 만드니까 다 바꾸니까 그니까 이 실력이 어디 갑니까 / 조그만 놈이 나와 무대를 휙휙 저어 맘에 영 안 들어 눈에 밟혀 고갤 돌려도, 이리저리 가는 곳곳 얘 음악 사진으로 도배돼 미친척해 / 라라라 예쁘게 좀 봐주세요. 욕하지 말아 주세요 / 라라라 귀엽게 받아주세요. 사랑해주세요"의 자신에 대한 세상의 관심과 부정적인 시선을 동시에 언급하였고, 뮤지션으로서 지드래곤의 직설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솔직한 랩가사로 화제를 모았다. 이에 대해 YG 관계자는 “대중의 사랑을 받지만 동시에 자신을 색안경을 끼고 보는 이들에게도 조금 너그러운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봐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솔직하게 푼 곡”이라고 가사에 대해 설명했다. 지드래곤은 이 노래로 자신의 영향력을 과시하면서 강렬한 힙합 비트가 어우러지면서 국내, 해외 팬들과 언더그라운드 래퍼들에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바운스키즈의 우싸이드는 자신의 트위터에 “GD가 결국 한국 음악의 유행을 주도하는 건가.. 솔직히 멋있고 부럽다. GD가 일렉을 하든 힙합을 하든 그게 한국 가요의 지표가 되는 것 같아. 배 아프지만 인정할 건 인정”이라며 지드래곤의 영향력을 높이 평가했으며, 크리스피 크런치의 래퍼 CSP는 자신의 트위터에 “GD 뮤직비디오를 보니까 '한국에서 나 아닌 누구도 스웩을 논하지마'라고 하는 것 같다"”라는 글을 올렸다. 이어 만화가 홍승표는 “원 오브 어 카인드 가사. 건방지고 솔직하다. 이 정도의 뻔뻔함을 갖추면 무서운 사람이 된다. 예고편이 이 정도라니 본 앨범 수록곡들이 기대됨”이라며 지드래곤 뮤직비디오에 대해 평가했다. 이외에도 타블로, 쌈디, 산이, 싸이, 이센스, 긱스 릴보이, 우싸이드, 엠플로 버발, 김이나, 만화가 천계영, 김태호 PD 등의 수많은 동료 가수들과 연예계 관계자들이 지드래곤에게 찬사를 보냈다. = 분류:치앙마이 대학교 = =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 =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朝鮮王朝實錄 奉謨堂本)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2019년 6월 26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5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9-7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및 변경), 제19531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6. 26. / 604 페이지 / 922.4KB = = 개요 =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 태조(太祖)에서부터 조선 철종(哲宗)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編年)으로 정리한 책이다. ‘성종대왕실록(成宗大王實錄)’처럼 왕의 묘호(廟號)를 붙인 서명으로 간행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조선왕조실록’ 이라고 통칭한다. 완질은 1,717권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이다. 완성된 실록은 재난에 대비하고자 춘추관사고(春秋館史庫; 서울),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강화),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 봉화),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평창),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무주)의 전국 5대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ㆍ문화․사회ㆍ외교ㆍ경제ㆍ군사ㆍ법률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이 망라되어 있으며, 국왕도 마음대로 열람하지 못했을 정도로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사료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73년 12월31일 국보 제151호로 정족산사고본 1,181책(제151-1호), 태백산사고본 848책(제151-2호), 오대산사고본 27책(제151-3호), 기타 산엽본 21책(제151-4호), 도합 2,077책을 국보로 지정하였다. 이후 국제적으로도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되었다. 2006년에는 일본 동경대학교가 서울대학교에 오대산사고본 실록 47책을 기증함으로써 국보 제151-3호에 편입된 변화가 있었다. 이번에 신규 지정된 비지정 실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이다. 봉모당(奉謨堂)은 정조 때 규장각 부속 건물 중 하나로 역대 국왕의 어제어필(御製御筆), 선원록(璿源錄), 국조보감(國朝寶鑑) 등 왕실자료를 보존하던 곳이다.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실록부록 6책을 일컫는 것으로 모두 권수제면 우측 윗부분에「봉모당인(奉謨堂印)」이라는 소장인이 찍혀 있다.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은 조선 후기에 어람용(御覽用) 실록을 특별히 제작해 창덕궁 후원 봉모당에 보관 관리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로, 조선왕조실록 제작 전통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필립 풀먼 = 필립 풀먼(, CBE, 1946년 10월 19일 ~ )은 영국의 판타지 · 아동 문학 작가이다. = = 서훈 = = 2004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 수훈 2013년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 ACU = ACU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자동 클라이언트 업그레이드(Automatic Client Upgrade): 노벨 오픈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기능 아미 컴뱃 유니폼(Army Combat Uniform): 미국 육군이 현재 쓰고있는 전투복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Assassin's Creed Unity): 유비소프트 몬트리올 개발에 유비소프트 배급의 액션 어드벤처 비디오 게임 ACU: 아미노산 트레오닌의 유전 부호 아시아 통화 단위(Asian Currency Unit) = 분류:나가토시의 교통 = = 1991 (EP) = 1991는 2012년 5월 28일에 발매된 아질리아 뱅크스의 음반이다. 인터스코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퀜구 = 퀜구(Kween)는 우간다의 구로 행정 중심지는 비니니이며 면적은 851.4km2, 인구는 103,300명(2012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동부 주에 속한다. 북쪽으로는 나카피리피리트 구, 북동쪽으로는 아무다트 구, 동쪽으로는 부쿼 구, 남쪽으로는 케냐, 서쪽으로는 카프초르와 구, 북서쪽으로는 불람불리 구와 접한다. = 이용직 (1894년) = 이용직(李容稷, 1894년 ~ ?)은 일제강점기의 기독교 목회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1925년 뉴욕한인교회 전도사, 1929년 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 목사 등을 역임하였고, 1934년 귀국 후 일제에 의해 4차례 투옥되었으며, 1945년 6.25 전쟁 당시 납북되었다. = = 생애 = = = = = 유년기~뉴욕한인교회 전도사 이전 (1894~1927) = = = 1894년 평양에서 출생했다. 1911년 숭실중학을 졸업한 후 1914년까지 평남 순천에서 교사로 재직한 후 숭실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1915년 숭실전문학교 교장인 조지 섀넌 매큔(George Shannon McCune, 한국명 윤산온) 선교사로부터 그의 모교인 미주리주 팍빌의 팍대학을 추천받아 도미했다. 1916년 4월 팍빌에 있는 팍빌중학교 2학년에 재학하더니 1919년에 이곳의 팍대학에서 공부했다. 1919년 3·1 운동 6개월 후인 9월 미주리주 장로교총회에 참석하여 한국의 참상을 연설하였고, 이후 본 총회는 일치 가결하여 대한독립을 적극적으로 찬조하기로 했다. 1920년 5월에 신형호에 이어 워싱턴 D.C.의 구미위원부 통신원이 되어 워싱턴으로 이동하였다. 팍대학 3년 과정을 인정받아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로 전학하여 1921년 10월에 정치학을 공부하고 졸업했고, 1922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 영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때 그의 영어 이름은 William Y. Lee로 표기했다. 그 후 이용직은 뉴욕에 있는 유니언 신학교에 입학했다. = = = 뉴욕한인교회 전도사 시절 (1925~1928) = = = 1925년 11월 김영섭 목사가 뉴욕한인교회를 떠나 귀국하게 되자 뉴욕한인교회는 전 담임목사 임종순을 백방으로 찾았으나 찾기가 여의치 않자 이용직을 뉴욕한인교회 전도사로 청빙했다. 1926년 1월에 가옥기본금 모집위원회가 조직되고, 2월에는 11인 위원회를 선정하였는데 모집 위원장에 안정수, 서기에 윤홍섭, 회계에 이진일, 위원에 이용설, 이원준, 이두형, 김도연, 장덕수였다. 이들은 세 가지를 결정하였다. 자체교회 마련을 위한 4천 달러 모금, 창립기념일인 이듬해 1927년 4월 18일까지 목표액 완납 그리고 교회1층 확장 예산액 7만 달러 확보를 위한 미국 선교회와의 교섭이었다. 모집운동은 기대 이상으로 성공했다. 모집위원장 안정수가 2천 달러를 기부하였고, 60여 명의 교인이 정성을 다하여 모금액을 달성했다. 그러나 7만 달러의 확장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26년 3월 1일 오후 1시에 뉴욕한인교회에서 뉴욕 대한인 교민단과 대한인국민회 뉴욕 지방회가 연합하여 삼일절을 경축하였는데 80~90명이 모여 대성황을 이루었다. 이 자리에서 이용직은 기도순서를 맡았다. 1927년 10월 가옥기본금 모집위원회가 조직된 1년 만에 21가에서 웨스트 115가 633번지로 예배당을 옮겼다. 인천의 내리 교회의 조시 존슨 ‘조원시’ 선교사 부인의 도움이 컸다. 이 두 건물은 4층 건물이었다는 점에서 흡사하지만 새로 옮긴 곳이 위치상 콜롬비아 대학교의 정문에서 지척 간이었다. = = = 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 목사 시절 (1929~1931) = = = 1929년 12월 이용직은 하와이 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 목사로 청빙을 받았고, 그달 22일에 첫 주일설교를 하였다. 1930년 4월 이용직의 부인 김애희가 평양에서 왔다. 김애희는 1920년 북경 여자의과대학을 공부한 의사였다. 필라델피아, 뉴욕, 시카고에서 2년간 공부한 후 1928년에 평양으로 돌아가 의원 개업을 한 듯하고 평양의 장로교회에서 반주자로 활동하였다. 김애희가 하와이로 온 뒤 그달의 평신도회는 교회 건축 빚 갚기에 앞장섰다. 교회부지나 목사실 기지 중 하나를 팔고 집세 17달러에 못 미치는 5달러를 내는 사람을 내보내기로 하였는데 교회부지 일부와 예배당 건물을 팔아 빚을 갚고, 예배는 신흥국어학교에서 드렸다. 계속되는 교회의 경제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인의 동의를 얻어 이용직이 성공회 감독 리텔 신부를 만나 한인기독교회가 성공회 교단에 속하는 방안을 타진하였는데 이 타진이 그가 외국인에게 예배당을 팔아먹으려 했다는 비방으로 와전됐다. 이런 가운데 1931년 5월의 평신도회는 이용직을 해임했다. 독립된 교회 원리와 이승만의 역할 등에 관하여 이용직의 제동이 근본적 원인이라고도 한다. 그의 목회는 1년 6개월간이다. = = = 한인기독교회 분립 이후 (1931~1934) = = = 1931년 7월 5일 이용직은 교민총단관 회의실에서 그를 지지하는 156명과 함께 교회를 개척했다. 그런데 교회 이름은 이전의 교회와 같아서 마침내 두 한인기독교회가 있게 되었다. 창가대와 주일학교도 시작했는데 주일학교 학감은 한길수였다. 1931년 8월 29일 저녁 7시 30분 밀러 길에 있던 교민총단관에서 하와이 교민단 주최로 국치기념식이 열렸다. 5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주석 단장 손덕인의 사회 하에 변홍규 목사가 기도하고 홍한식 목사와 서진수 목사와 박종수 목사 그리고 마주흥 목사가 연설을 담당하였으며, 미감리교회 부인 성가대가 창가한 후 이용직이 축사를 담당했다. 1931년 8월 30일 오후 왯기기 공원에서 이용직의 한인기독교회와 호황 미감리교회가 연합 소창회를 가졌으며 약 300명이 모였다. 한길수의 사회로 이용직 목사가 기도하고, 미감리교회 목사 변홍규가 간단한 설교를 하였고, 최근에 미주에 다녀온 강영각이 청년운동을 주제로 연설했다. 강영각이 미주 대륙을 다녀온 후 하와이에서 청년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쳤다. 1931년 9월 7일 김유택의 집에 10여 명이 모여 임시 임원을 선택했다. 이용직 목사가 회장이 되었다. 그 외 임원으로는 서기 강영각, 재무 한길수, 사교위원 김유택, 이사원에 이싸라잉, 김이벌잉, 이동빈, 조광원, 홍한식, 이한식, 박종수 그리고 정의조 등이었다. 9월 19일 저녁에 누아누 청년회관에 150여 명이 모였을 때 100달러를 모금하였고 1년 경비로 3백 달러를 책정했다. 회원 자격은 15세 이상 30세 이하로 하고 그 이상은 찬성회원으로 하였으며, 조국정신고취, 친목으로 청년 단합 경영, 사회적 수양을 실현하여 재미한족의 장래준비 등을 목적했다. 1932년 2월 26일 저녁 7시 30분에 3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 예배당에서 소년동맹단 주최로 한인기독교회, 와일누아감리교회, 와히아와감리교회 그리고 호항감리교회 등 네 교회의 찬양대가 참가하여 찬양 경연대회가 있었다. 이날 이용직 목사가 목회하는 한인기독교회 성가대가 1등을 했다. 2등에는 이동빈의 와일누아감리교회 찬양대였다. 1932년 3월 1일 오전 9시 호황 밀러 회관에서 교민단 주최로 제13주년 삼일절 기념식이 열렸을 때 이용직은 박종수와 함께 연설했다. 그날 오후 7시에는 동지회 주최로 선교기념관에서 수백 명이 모여 삼일절 기념식이 있었다. 또한 이날 이용직은 평양에 계신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음을 받고 매우 슬퍼하였다고 한다. 1933년 4월 한길수와 함께 한인혁명당이라는 사설 조직을 만들어 리한(W. K. Lyhan)이란 코드명으로 비밀정보요원으로 자칭하며 활동하였다. 1933년 6월 23일에 이용직의 아내 김애희가 병원을 개업할 목적으로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1933년 9월 16일에 강영각 부부의 결혼 1년 기념식에 30명의 남녀 친구가 모였는데 이용직도 참석했으나 혼자였다. 이날 참석한 자로는 박동환 목사, 안창호 목사도 있었다.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총 임원이 총사직하였을 때인 1934년 5월 27일의 정오에 와이키키 공원에서 야유대회를 열고 사회발전책 연구를 목적으로 하와이 한인사회를 다시 진흥시키도록 토의하였는데 이용직은 14인의 발기인 중 한 사람으로 추대되었다. 1934년 9월 15일 이용직은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에 의해 주하와이외무행서(駐布哇外務行署) 외무위원으로 선임되었다. = = = 귀국 후 투옥 및 납북 (1934~1945) = = = 이용직은 1934년에 평양으로 돌아갔다. 그는 평양에서 안경원을 열고 해방되던 1945년까지 이 사업에 종사했다. 그는 이 기간 일제에 의해 4차례나 투옥 당했다. 1945년 6.25 전쟁이 일어난 다음 달인 7월 12일 서울에서 북한군에게 납북 당한 뒤 소식이 끊겼다. = = 참고 자료 = = 미주크리스천신문 - 93. 이용직(1894-?) 월간조선 - 同志會 美洲-하와이代表會와 하와이 同胞社會의 분열 = ICCC = ICCC는 다음을 의미한다. 국제기독교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 PKP 인터시티(PKP Intercity) = 몰도바 국립도서관 = 몰도바 국립도서관은 몰도바 키시너우에 위치한 국립도서관이다. 1940년에 설립되었으며 이는 1832년 베사라비아 주지사 공공도서관(Gubernatorial Public Library of Bessarabia)에 뿌리를 둔다. 이 도서관은 17세 이상의 모든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 틀:메이플스토리 = = 펜두상어 = 펜두상어(학명:Rhizoprionodon acutus) 흉상어목 흉상어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1.1m로 흉상어과의 상어 중에선 작은 편에 속한다. = = 특징과 먹이 = = 펜두상어는 머리가 납작하고 몸이 긴 방추형이란 특징이 있다. 우유와 같이 흰색의 배쪽이 매우 큰 특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펜두상어를 영어권에서는 밀크 샤크(Milk Shark)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어로 직역하면 우유상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상어로 옆줄을 기점으로 몸의 등쪽은 회색을 띄고 있다. 넓고 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가슴 핀은 세번째나 네번째의 아가미 슬릿에서 발생하며 항문지느러미는 두번째 등지느러미보다 약 두배이고 긴 능선이 선행된다. 등과 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검은색을 띄지만 배와 뒷지느러미는 희다. 등에는 두개의 지느러미가 있는데 두번째 지느러미가 더 작고 꼬리지느러미는 움푹 페인 반달 모양이다. 등지느러미에는 둘 사이의 능선이 없으며 첫번째 등지느러미는 앞마진보다 더 이상이 없다. 또한 첫번째 등지느러미는 가슴 핀이 없는 리어 팁에서 발생하며 훨씬 작은 두번째 등지느러미는 항문 지느러미의 마지막 3분의 1에 걸쳐 발생된다. 눈에 있는 순막은 안구를 보호한다. 사람을 공격했다는 설이 있지만 확인된 것은 없으며 먹이로는 멸치, 청어, 정어리와 같은 작은물고기들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주로 잡아먹는 육식성의 어류이다. = = 서식지와 어획 = = 펜두상어의 서식지는 서부 태평양, 인도양, 동부 대서양으로 대한민국의 남해와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부터 시작해 서아프리카 일대까지 광범위하게 서식한다. 홍해와 페르시아만에서도 서식하는 어종 중에 하나이며 수심 10~200m의 연안이나 산호초 등에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펜두상어는 식용으로도 쓰이는 어종으로 주로 회, 구이, 초밥 등으로 많이 먹는다. 다만 펜두상어는 흉상어과의 어류답게 이빨이 상당히 날카로운만큼 살아있는 개체를 다룰 때는 주의를 요구하며 그래서 두꺼운 장갑을 쓰고 손질을 하는 것이 좋다. 일본과 서아프리카의 나라에서는 펜두상어를 이용한 요리를 고급 요리로 취급하여 많이 식용하는 어종 중에 하나이다. = 분류:러시아식 한국 요리 = = 오발탄 = 오발탄(誤發彈)은 작가 이범선의 단편 소설로서, 1959년에 써졌다. 월남한 사람들의 당시 1950~1960년대 생활상을 소재로 하고 있다. 당시의 비참한 시대 상황을 '인간에 대한 사회의 학대와 배신이 얼마나 철저하게 잔혹한 것인가를 강력히 추궁'하는 고발문학으로서의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도서출판 빛샘, 한국 대표 단편 소설 - '이해와 감상' = JTBC 뉴스 (1155) = JTBC 뉴스 (1155)는 대한민국에서 주말 오전 11시 55분에 방송되었던 JTBC의 주말 낮 뉴스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JTBC 2013년 9월 21일 ~ 2014년 4월 5일 주말 낮 12시 ~ 12시 15분 JTBC 2014년 4월 6일 ~ 2014년 4월 13일 주말 오전 11시 45분 ~ 낮 12시 JTBC 2015년 1월 31일 ~ 2016년 8월 14일 주말 오후 1시 ~ 1시 20분 JTBC 2016년 8월 20일 ~ 2018년 6월 24일 주말 오전 11시 55분 ~ 낮 12시 10분 = = 그 외 JTBC 뉴스 프로그램 = = JTBC 뉴스 아침& JTBC 뉴스현장 정치부 회의 JTBC 뉴스룸 = 에지 컴퓨팅 = 에지 컴퓨팅은 응답 시간을 개선하고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필요한 곳에 연산과 데이터 스토리지를 도입하는 분산 컴퓨팅 패러다임의 하나이다. = = 개념 = = 네트워크 에지상의 IoT 장치의 증가는 연산하기에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만들어져 데이터 센터에 전달되어 네트워크 대역 요구 사항을 한계치에 다다르게 만든다. 네트워크 기술의 개선에도 데이터 센터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 중요한 요건이 되는 수용할만한 전송 속도와 응답 시간을 보장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에지 장치들은 클라우드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꾸준히 소비하며 이로 인해 기업들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만들어 데이터 및 서비스 프로비저닝을 분산화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 이처럼 에지 컴퓨팅의 목적은 연산을 데이터 센터로부터 떠나 네트워크 에지 방향으로 옮김으로써, 스마트 오브젝트, 휴대전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클라우드를 거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비스를 에지로 이동시켜 콘텐츠 캐시, 서비스 딜리버리, 스토리지 및 IoT 관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더 나은 응답 시간과 전송 속도를 가능케 한다. 이와 동시에 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로직을 분산시킴으로써 보안 등 새로운 문제들이 생겨났다. = 분류:중국의 잡지 = = 양주덕산초등학교 = 양주덕산초등학교는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3년 4월 6일 덕정국민학교 덕계분실 설립 1965년 3월 1일 덕정국민학교 덕계분교장 승격 1967년 3월 2일 덕산국민학교 승격 1981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양주덕산초등학교로 개칭 2004년 9월 1일 덕계초등학교 분리 수용(10학급 감축, 44학급 편성) 2013년 3월 1일 제15대 김명제 교장 취임 2015년 2월 13일 제48회 졸업식(졸업생 누계 8,267명) 2015년 3월 10일 초등 19학급(특수학급 1), 유치원 3학급(특수학급 1) 편성 2016년 2월 12일 제49회 졸업생까지 총 8,356명 2016년 3월 1일 초등 19학급(특수학급 1), 유치원 3학급(특수학급 1) 편성 2017년 2월 17일 제50회 졸업식 (졸업생 누계 8441명) 2017년 3월 1일 초등 19학급(특수학급 2), 유치원 3학급(특수학급 1)편성 2017년 3월 1일 제16대 이홍범 교장 취임 = 분류:나라별 과학과 기술 = +과학과 기술 나라별 나라별 과학과 기술 *나라별 나라별 = 분류:사형된 폴란드 사람 = 사형된 폴란드 국민. 폴란드 당국에 의해 처형된 사람은 :분류:폴란드에서 사형된 사람을 참조하세요. 폴란드 = 안테나 (동음이의) =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안테나 (기업) 《안테나》는 쿠루리의 음반이다. 《Antenna》는 ZZ 톱의 음반이다. 배구에서 코트의 좌우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네트에 장착되는 봉. = 진주경로당 = 진주경로당(晋州敬老堂)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다. 2004년 10월 21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59호 진주 옥봉경로당으로 지정경상남도고시제2004-294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04-10-21되었다가, 2015년 11월 5일 진주경로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경상남도고시 제2015-466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5-11-05 = = 문화재 지정사유 = = 조선시대 말 보로당(保老堂)으로 불렸으며 개화기에 세워진 진주시 최초의 양로시설이며 현재의 건물은 1934년 일제시대에 중건되었으나 지방에서의 건출물의 용도분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학술적 가치가 있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므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 참고 자료 = = * 경로당 경로당 = 허쉬 (2016년 영화) = 허쉬(Hush)는 미국에서 제작된 마이크 플래너건 감독의 2016년 공포, 스릴러 영화이다. 존 갤러거 주니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제이슨 블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영화는 2016년 3월 12일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에서 전 세계에 초연되었으며 넷플릭스를 통해 2016년 4월 8일 개봉하였다. 평론가들로부터는 연기력과 분위기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인도에서 두 차례 리메이크되었으며 이 두 작품 모두 2019년 개봉하였다. Kolaiyuthir Kaalam(타밀어), Khamoshi(힌디어). = = 출연 = = = = = 주연 = = = 존 갤러거 주니어 케이트 시겔 = = = 조연 = = = 마이클 트러코 사만다 슬로얀 엠마 그레이브스 = = 제작진 = = 책임프로듀서: 지넷 브릴 책임프로듀서: 쿠퍼 사무엘슨 미술: 엘리자베스 볼러 = 분류:닌자를 소재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 = 한려초등학교 = 한려초등학교는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2년 3월 1일: 개교 = 동대구역 = 동대구역(Dongdaegu station, 東大邱驛)은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4동에 있는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의 철도역이다. 인근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은 남서쪽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옆에 있어 3번 출구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 역은 대구광역시 교통 중심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SRT가 정차하고, 일부 열차는 이 역을 기•종점으로 운행한다. 이 역은 경부선의 중간역이나 예전에는 이 역에서 대구선이 분기되었고, 2005년 11월 3일 이설과 함께 현재는 가천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부산 방면 경부고속선이 이 역에서 분기되고 있다. 구내에 대구기관차승무사업소와 대구차량사업소가 있다. = = 연혁 = = 1966년 7월 16일 : 역사 신축 착공 1969년 6월 10일 : 역사 준공. 보통역으로 영업개시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년 6월 4일. 1971년 3월 1일 : 화물 취급 및 구내업무 개시 1971년 12월 29일 : 선상역사 준공 1977년 6월 15일 : 대구역 소화물업무병합 1977년 7월 19일 : 동대구역 출발 특급열차 운행 개시 1977년 7월 21일 : 귀빈실 증축 1978년 12월 25일 : 역광장육교 가설 1979년 12월 31일 : 본선 3~4호선 승강장 이설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2000년 1월 1일 : 동대구지역관리역으로 직제 변경 2004년 4월 1일 : KTX 개통(1일 88회 운행) 2004년 4월 28일 : 신관 증축 완공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7월 1일 : 지역관리역제 폐지로 보통역으로 조정, 대구지사관할역 2007년 6월 1일 : 시각표 개정으로 김천, 구미 경유 KTX 운행시작 2008년 1월 1일 : 동대구-포항 통근열차 운행 중단. 김천, 구미 경유 KTX 증편 2008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561호, 2008년 10월 17일. 2009년 5월 10일 : KTX 2단계 역사 증축공사 착공 2009년 9월 14일 : 본부체제 개편 및 관리역 체제 운영(3개역) 2010년 11월 1일 : 2단계 역사 증축 공사 진행 중(공정율 50%) 2012년 7월 17일 : 역사 증축공사 임시사용 승인 2016년 12월 9일 : SRT 운행 개시 2016년 12월 12일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개장 2022년 11월 5일 : 누리로 운행 재개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 역 구조 = = 4번 홈은 결번이다.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설로 인하여 2009년 5월 15일부터 역 증축 공사를 시행하여, 7면 14선으로 확장되었다. = = = 배선도 = = = 동대구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 = = 승강장 = = = ↑하양(대구선)/↑경산(경부선)/↑경주(경부고속선)/↑포항(동해선) 1 23 56 78 9 10 11 12 13 14 대구(경부선)↓/김천(구미)(경부고속선)/서대구(경부선)↓ 번호 노선 열차 행선지 1 대구선중앙선영동선 무궁화호 동해영주대구선·중앙선 경유·안동의성방면 2~3 대구선중앙선동해선 무궁화호ITX-마음누리로 영천포항경주태화강부전방면 5~6 경부고속선경부선경전선 KTX서대구 경유SRT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 부산신해운대밀양진영마산진주방면 7~8 경부고속선경부선경전선동해선 KTXSRT 경주울산부산마산진주포항방면 9~10 경부고속선 KTX 동대구발 서울대전 방면서울에서 0시 58분에 들어오는 KTX #281 열차가 주박하고, 다음 날 6시 40분 #286 열차로 편성을 바꾼 후 9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이 열차도 모든 역에 정차하며, 이 열차가 출발한 이후 승강장은 폐쇄된다. 11~12 경부고속선 KTXSRT 대전수원서울행신수서 방면 13~14 경부선경북선충북선 ITX-새마을무궁화호 김천대전서울충주영주충북선 경유동해 방면 = = KTX-산천 복합열차 = = 이 역에서는 부산역/마산역, 진주역에서 출발하는 000, 100, 200번대 경부고속선/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과 포항역에서 출발하는 230번대 동해선 KTX-산천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행 열차의 경우에는 동해선 KTX-산천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중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에 오는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가 동대구역 구내에 진입하면 동해선 KTX-산천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는 앞차와 2미터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후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점검을 마친 후 무전지시를 한다. 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KTX-산천열차는 시속 2Km/h이내로 진입하면서 동해선 KTX-산천 열차와 하나로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후에 두 열차의 뒷 쪽 집전장치가 올리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승객들을 승하차 시킨 후 정시가 되면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 반대로 하행 열차의 경우에는 동해선 KTX-산천 열차가 앞에 있고 경부고속선/경전선 KTX-산천 열차는 뒤에 연결되어 동대구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지켜본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동해선 KTX-산천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가 되면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경부고속선/경전선 KTX-산천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KTX-산천은 1~8호차까지 있는데,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8호차까지 있게 된다.경부선(구포역 경유)/경전선 열차는 1~8호차이고 동해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또한 교류 25,000볼트 고전압이 직접 사람에게 닿을 위험성이 있어 두 편성 간에 직접적으로 전력 공급을 하지 않고 4개의 팬터그래프 중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 2개의 팬터그래프가 올라간 채로 운행한다. = = SRT 복합열차 = = 이 역에서는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300번대 경부고속선 SRT과 진주역/포항역에서 출발하는 380, 390번대 경전선/동해선 SRT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상행 열차의 경우에는 경부고속선 SRT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중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에 오는 경전선/동해선 SRT열차가 동대구역 구내에 진입하면 경부고속선 SRT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경전선/동해선 SRT열차는 앞차와 2미터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후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점검을 마친 후 무전지시를 한다. 경전선/동해선 SRT열차는 시속 2Km/h이내로 진입하면서 경부고속선 SRT 열차와 하나로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후에 두 열차의 뒷 쪽 집전장치가 올리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승객들을 승하차 시킨 후 정시가 되면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 반대로 하행 열차의 경우에는 경부고속선 SRT 열차가 앞에 있고 경전선/동해선 SRT 열차는 뒤에 연결되어 동대구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지켜본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경부고속선 SRT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가 되면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경전선/동해선 SRT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SRT은 1~8호차까지 있는데,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8호차까지 있게 된다.경전선/동해선 열차는 1~8호차이고 경부고속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또한 교류 25,000볼트 고전압이 직접 사람에게 닿을 위험성이 있어 두 편성 간에 직접적으로 전력 공급을 하지 않고 4개의 팬터그래프 중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 2개의 팬터그래프가 올라간 채로 운행한다. = = 승차량 변동 = = 대구광역시에서 규모가 가장 큰 철도역으로, 전국에서도 서울역 다음으로 두번째로 이용객이 많다.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 이용 인원 이용 인원 이용 인원 이용 인원 이용 인원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경부선 경부선 경부선 경부선 경부선 대구선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연도와 승하차방향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총계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577,269 1,282,677 31,099 1,891,045 849,177 2001년 하행 하차 미개통 1,374,255 1,742,485 62,540 3,179,280 시발 2001년 상행 승차 미개통 1,400,297 1,570,276 28,709 2,999,282 종착 2001년 상행 하차 미개통 579,498 1,142,460 29,815 1,751,773 887,875 2002년 하행 승차 미개통 557,497 1,212,496 30,859 1,800,852 754,330 2002년 하행 하차 미개통 1,324,858 1,566,192 59,936 2,950,986 시발 2002년 상행 승차 미개통 1,352,202 1,430,894 25,873 2,808,969 종착 2002년 상행 하차 미개통 539,247 1,100,698 27,146 1,667,091 708,700 2003년 하행 승차 미개통 463,849 1,064,131 28,261 1,556,241 633,013 2003년 하행 하차 미개통 1,213,510 1,358,739 67,251 2639500 시발 2003년 상행 승차 미개통 1,253,584 1,266,026 24,824 2,544,434 종착 2003년 상행 하차 미개통 460257 980,476 20,158 1,460,891 680,352 2004년 하행 승차 472,952 306,483 1,036,959 18,098 1,834,492 696,876 2004년 하행 하차 2,827,276 608,567 1,171,366 20,318 4,627,527 시발 2004년 상행 승차 2,827,224 615,014 1,114,241 7,012 4,563,491 종착 2004년 상행 하차 445,253 319,068 1,005,085 16,526 1,785,932 720,206 2005년 하행 승차 796,778 232,768 1,003,362 22,690 2,055,598 837,075 2005년 하행 하차 4,565,825 335,184 1,103,279 139 6,004,427 시발 2005년 상행 승차 4,555,662 318,631 1,051,984 80 5,926,357 종착 2005년 상행 하차 780,400 277,596 886,491 13,922 1,958,409 849,630 = =동대구역 광장 = = 2017년 준공됐다. 기차와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역 이외에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지하 통로, 주차장, 버스 승강장 등이 있다. 사진 찍기 좋은 여러 가지 조형물, 여름철 시원한 물을 뿜는 바닥분수, 잠시 머물다 가기 좋은 자그마한 공원 등이 있다.대한민국 구석구석 = = 사건사고 = = 2013년 5월 5일 저녁, 한 30대 남성이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생식기 일부를 칼로 자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다행히 생명은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5년 7월 31일 오전 11시쯤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현장 바닥이 붕괴되어 11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 역 주변 = = 동대구역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신세계백화점 대구점 토이킹덤 대구점 메가박스 대구신세계(동대구) 시코르 대구점 대구파티마병원 대구동부소방서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옛 조달청 자리) 동대구 에일린의뜰 이안 센트럴D 동대구역 우방아이유쉘 = 기리시마 예술의 숲 = 기리시마 예술의 숲는 일본 가고시마현 유스이정에 위치한 미술관이다. = 코리아나 호텔 = 코리아나 호텔은 대한민국의 호텔이다. 현재 방성오가 사장을 맡고 있다. = 지례면 = 지례면(知禮面)은 경상북도 김천시 남동부에 위치한 면이다. = = 개요 = = 지례면은 예로부터 충효와 예절의 고장으로 전통문화 계승발전에 앞장서고 향토전래의 고유품종인 토종돼지의 육성보급을 통하여 맛좋고 질좋은 돼지고기를 보급하여 많은 미식가들이 찾아오는 농촌마을이다. = = 연혁 = = 신라초기 : 지품천현 757년 : 지례현 1896년 : 지례군 1914년 : 김천군 지례면 1949년 : 금릉군 지례면 1995년 1월 1일 : 김천시 지례면 = = 행정 구역 = = 법정리 행정리 비고 거물리 거물리 관덕리 관덕리 교리 교1리, 교2리 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대율리 대율리 도곡리 도곡1리, 도곡2리, 도곡3리 상부리 상부1리, 상부2리 신평리 신평1리, 신평2리 여배리 여배1리, 여배2리 울곡리 울곡리 이전리 이전리 = 암파로 노게라 = 암파로 노게라(Amparo Noguera, 1965년 3월 6일 ~ )는 칠레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프리즌 브레이커스 (2020) 망각의 시 (2017) 판타스틱 우먼 (2017) 네루다 (2016) 오로라 (2014) 도그 플래쉬 (2012) 포스트 모템 (2010) 비밀 (2008) 토니 마네로 (2008) 라 비다 메 마타 (2007) 하트 라디오 쇼 (2007) 시골에서의 나날들 (2004)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발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발전은 과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소집할 당시 열렸던 선발전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 = 역사 = = 첫 대회 시작은 조선 축구 협회가 주최한 상해파견축구선발전(홍백축구대항전)으로 상하이로의 원정 대표팀을 구성 했을 당시이다. 당시 첫 대회에서 홍군과 백군으로 나누어 경기했고 홍군이 해당 대회에서는 우승하였다. = 감정가 = 감정가는 다음을 의미한다. 감정가(鑑定價): 역사 자료에 대해 매긴 값어치 감정가(感情價): 심리학 용어 = 분류:세르비아의 전쟁별 참전 군인 = = 청해 = 청해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청해(淸海)는 동아시아에 위치한 바다로, 동해의 다른 명칭이다. 칭하이호(青海湖)는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성 동부의 호수이다. 칭하이성(青海省)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의 성이다. 청해부대(淸海部隊)는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리카의 뿔에 참여하고 있는 대한민국 해군 소속의 군 부대이다. = 분류:드뢰가 = = 클레망틴 셀라리에 = 클레망틴 셀라리에(Clémentine Célarié, 1957년 10월 12일 ~ )는 프랑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꿈꾸는 웨이터 (1983, Garçon !) 사랑할 때와 이별할 때 (1984) 베티 블루 (1986) 캥거루의 콤플렉스 (1986) 모래와 피 (1988) 인도 야상곡 (1989) 만세 아빠와 엄마가 이혼했다 (1991) 사베지 나이트 (1992) 중독된 사랑 (1993) Rose (1993) 레 미제라블 (1995) 룸 투 렌트 (2000) 로리스 하트 (2001) 헬 오브 어 데이 (2001) 죽어도 다시 한번 (2003) 빅토르 (2009) 휘슬러 (2009) 마린 (2011) 러브 인 비즈니스 클래스 (2013) 투 이즈 어 패밀리 (2016) = 서울 화계사 탑다라니판 = 화계사 탑다라니판(華溪寺 塔陀羅尼板)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다. 2016년 8월 4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88호로 지정되었다.서울특별시고시 제2016-227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3363호, 11면, 2016-08-04 = = 개요 = = ① 비로자나장엄장대누각탑다라니목판 : 8개의 목재를 연결하여 정밀하게 판각한 것으로, 간기에 의하면 ‘동치 계유(1873년) 단양일’에 조성되었으며 성월이 썼다. ② 원통궁전탑다라니목판 : 6개의 목재를 연결하여 판각한 것으로 간기에 의하면 1873년에 조성되었고 성월이 씀. 형태 및 재질, 상태 등을 볼 때, 관음보살이 머무르는 원통전을 묘사한 탑다라니를 관음변상판과 함께 조성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③ 연화고향탑다라니목판 : 5개의 목판을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간기는 없으나 형태와 재질, 기법 등으로 보아 같은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천수천안관음변상판〉과 비교하여 화엄경의 선재동자의 구도행에 연관된 내용들로 구성된 것으로,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함께 일괄 조성된 탑다라니로 볼 수 있음. 판각 솜씨와 보존상태가 좋은편이고, 일괄 세트로 구성된 예가 드물다. = = 조사보고서 = = 화계사 탑다라니판은 3점이 남아있다. 탑다라니는 법사리라고도 하며, 불경을 탑 형태의 도형 내부에 배치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다라니(陀羅尼, dhāraṇi)에 적힌 진언(眞言)은 『경률이상(經律異相)』에 따르면, 호법(護法) 및 마귀를 복종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진언의 역사는 고대 인도의 주술행위를 비롯한 원주민의 종교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밀교의 진언수행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관찰제법행경(觀察諸法行經)』에서는 열여섯 가지 ‘자다라니(字陀羅尼)’를 설명하면서, “글자의 행상(行相)을 깨달아 승의법(勝義法)을 말하게 하고, 4류(流)를 건너 명색(名色)이 없는 법을 말하게 하며, 보시를 잘 행하고, 인(忍)에 안주함을 스스로 지키며, 6근에 의지하지 않고, 6바라밀을 행하며, 번뇌를 끊게 해주려고 중생을 위해 설법하게 한다. 모든 법의 차별을 잘 알아 의심이 없는 깊은 경지에 이르게 하고, 처할 곳과 처하지 않을 곳을 말하게 하며, 모든 중생의 행하는 바를 알고, 추악한 말을 듣거나 가죽과 살과 골수를 버리게 되어도 참게하고, 생각과 뜻이 행하는 것을 알아 법계에 안주하게 한다. 이렇게 나를 깨달아 알면 모든 법에 들어간다.”고 하여 다라니 공덕을 일컫는다. 다라니 공덕에 대한 이해가 조선 후기에 퍼지면서 사찰에서 탑다라니를 판각하는 예가 많아졌다. ① 비로자나장엄장대누각탑다라니판(毘盧遮那莊嚴藏大樓閣塔陀羅尼板) ② 원통궁전탑다라니목판(圓通宮殿塔陀羅尼板) ③ 연화고향탑다라니판(蓮華故鄕塔陀羅尼板) 비로자나장엄장대누각탑다라니판(1873), 원통궁전탑다라니판(1873), 연화고향탑다라니판(조선후기)은 같은 나무 재질과 동일한 판각 솜씨를 지니고 있어서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두 표면에 주칠을 입혀 보호하고 있으며, 목재의 뒤틀림 현상이나 갈라짐이 없어서 보존상태도 좋은 편이다. 아울러 함께 화계사에 전하는 〈천수천안관음변상판〉과 비교할 때, 화엄경의 선재동자의 구도행에 연관된 내용들로 구성된 것으로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함께 일괄 조성된 탑다라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매우 정밀한 판각 솜씨뿐만이 아니라 일괄 세트로 구성된 예가 드문 상황에서 유형문화재로 일괄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 참고 자료 = = * 화계사 탑다라니판 화계사 탑다라니판 = 리 페이스 = 리 페이스(, 1979년 3월 25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3 솔저스 걸 Soldier's Girl 칼페르니아 아담스 2005 화이트 카운티스 The White Countess 크레인 2006 인퍼머스 Infamous 딕 히콕 2006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 The Fall 로이 워커 / 마스크 쓴 강도 2006 굿 셰퍼드 The Good Shepherd 리차드 헤이즈 2008 폴라비어맨 Polarbearman 단편 2008 미스 페티그루의 어느 특별한 하루 Miss Pettigrew Lives for a Day 마이클 2008 포제션: 중독된 사랑 Possession 로만 2009 싱글맨 A Single Man 그랜트 2010 로마에서 생긴일 When in Rome 브래디 색스 2010 마마듀크 Marmaduke 필 윈슬로우 2010 세레모니 Ceremony 윗 코텔 2011 레지던트 The Resident 잭 2011 더 미라큘러스 이어 The Miraculous Year 프랭크 모스 TV 영화 2011 브레이킹 던 part 1 The Twilight Saga: Breaking Dawn - part 1 개럿 2012 30 비트 30 Beats 맷 2012 링컨 Lincoln 페르난도 우드 2012 브레이킹 던 part 2 The Twilight Saga: Breaking Dawn - part 2 개럿 2012 호빗: 뜻밖의 여정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스란두일 2013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 스란두일 2014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Guardians of the Galaxy 로난 2014 호빗: 다섯 군대 전투 The Hobbit: The Battle of the Five Armies 스란두일 2015 챔피언 프로그램 The Program 빌 스테이플튼 2017 더 키핑 아워스 The Keeping Hours 마크 2017 북 오브 헨리 The Book of Henry 닥터 데이비드 다니엘스 2017 리볼트: 프리즈너 오브 워 Revolt 보 2018 더 파티스 저스트 비기닝 The Party's Just Beginning 데일 2018 드리븐 Driven 존 델로리안 2019 캡틴 마블 Captain Marvel 로난 = = = TV = = =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2 성범죄 수사대: SVU Law & Order: Special Victims Unit 벤자민 터커 S3 E18 "Guilt" 출연 2004 원더폴즈 Wonderfalls 아론 테일러 13회분 출연 2007-2009 푸싱 데이지 Pushing Daisies 네드 주연 2014-2017 홀트 앤 캐치 파이어 Halt and Catch Fire 조 맥밀런 주연 2015 더 민디 프로젝트 The Mindy Project 알렉스 이킨 "San Francisco Bae" 에피소드 출연 2015 로봇 치킨 Robot Chicken 하인리히 히믈러 / 칼 덴햄 (목소리) "Zero Vegetables" 에피소드 출연 / 애니메이션 2016 네이처 이즈 스피킹 Nature Is Speaking 산 (목소리) "Mountain" 에피소드 출연 / 단편 시리즈 2019 플라잉 타이거 Flying Tiger 샘 콜린 에피소드 #2.1 출연 2021 파운데이션 Foundation 브라더 데이 10회분 출연 / 촬영중 = 분류:2002년 연극 = = 분류:2005년 경제 = = 서김포통진 나들목 = 서김포통진 나들목(W.Gimpo-Tongjin IC)은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흥신리에 설치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5번 교차로이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 ~ 김포 구간의 종점이다. 양촌읍, 통진읍 등지로 진출할 수 있으며, 2017년 3월 23일에 개통되었다. 건설 당시 가칭은 수참 나들목으로 불렸다. = = 연혁 = = 2011년 12월 30일 : 나들목 신설을 위해 김포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양촌면 흥신리 일원을 수참 나들목으로 고시국토해양부고시 제2011-857호, 2011년 12월 30일. 2014년 8월 13일 : 2017년 3월 22일까지 설계 변경을 위해 김포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 면적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4-485호, 2014년 8월 13일. 2017년 3월 23일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 ~ 김포 구간 개통에 따라 서김포통진 나들목으로 영업 개시국토교통부공고 제2017-446호, 2017년 3월 20일. 2019년 5월 20일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김포 ~ 파주 구간 건설에 따라 김포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 면적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42호, 2019년 5월 20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흥신리 영업소: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대로 1869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48호선 (김포대로) = 고나가와 다카히로 = 고나가와 다카히로(, 1979년 11월 30일 - )는 일본의 남자 음악가로, 차콜 필터의 리더이자 기타리스트이다. = = 개략 = = 1999년에 록 밴드인 차콜 필터의 일원으로서 데뷔했다. ""(졸업), "BY MY SIDE", ""(무지개) 등 많은 히트 송을 작곡하여 일컬어지고 있다. 가창력도 있서 보컬을 담당한 차콜 필터의 노래도 몇 곡이 있다. 2006년 7월 19일에는 처음 솔로 앨범 "The first tears"를 발매했다. 더구나 쓰카모토 다카시나 요시다 사토미의 노래도 작곡한 등 다방면에 걸쳐 활약하고 있다. = = 프로필 = = 애칭 : 고나 () 생일 : 1979년 (쇼와 54년) 11월 30일 출신지 : 지바현 가시와시 (출생지 : 오이타현) 학력 : 게이오기주쿠 고등 학교 졸업, 게이오기주쿠 대학 중퇴 취미 : 낚시, 테니스 가족 : 아버지, 어머니와 남동생 처음으로 산 CD : 비즈 "RUN" 좋아하는 뮤지션 : 그린데이, 본 조비, 건즈앤로지즈, U2, 위저, 비틀즈 좋아하는 음식 : 파스타 애용 악기 : Fender Custom Clapton Stratocaster (메인 기타) Fender 1957 Stratocaster NOS Gibson Les Paul Studio-Lite Gibson Les Paul Standard Jimmy Page Signature Model = = 개인 활동 = = = = = 앨범 = = = The first tears tears Stop Magic 이노리 (, 빌기) Melody 모쿠테키치 (, 목적지) Mercy Drive = = = 참가 작품 = = = Gimme MUSIC = = = 제공한 노래 = = = 쓰카모토 다카시 보쿠노 고에 (, 나의 목소리) - 작곡 요시다 사토미 Grapefruit Moon (, 그레입 프루트 문) - 작곡 Quatre Saisons (, 네 계절) - 작곡 = = = 리코딩 참가 작품 = = = 퍼피 Tokyo I’m On My Way = = 차콜 필터로서의 활동 = = = = = 작곡 활동 = = = 2002년 2003년 2004년 2006년 = = = 보컬 담당곡 = = = "D'd" (앨범 "Spiky" 수록) "Bring Out" (앨범 "PANIC POP" 수록) "someday somewhere" (베스트 앨범 "CBEST + Flying Hi-High" 수록) = 분류:직업별 벨기에의 성소수자 = = 위키백과:사랑방 (정책)/2014년 7월 = = = 다중 계정 정책에 관한 오해 = = 한국어 위키백과 특성상 “특정 다중 계정 사용자” 문제 때문에, 다른 언어판에 비해서 다중 계정에 관한 강한 거부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다중 계정 정책에 관한 중요한 오해는 그 제목이 다중 계정이어서 마치 한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계정을 가지는 것 자체를 굉장히 심각한 문제로 오해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영어판 위키 백과를 참고하면 다중 계정 정책은 :en:Wikipedia:Sock puppetry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어 판의 다중 계정이라는 어휘와 영어판의 Sock puppetry는 지칭하는 바가 다릅니다. 다중 계정이라는 것은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계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Sock puppetry 두 개 이상의 계정으로 악용하는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즉, Sock puppetry라는 단어는 악용 없이 한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계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지 않게 되고, 다중 계정이라는 단어는 "악용하는 사용자가 2인 이상인 경우"를 의미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Sock puppetry에는 2인 이상이 공모해서 장난치는 것을 포함합니다. 한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을 가지는 경우 자체는 장기간 또는 무기한 차단에 이를 만한 중대한 위반이 아니라고 보아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중 계정 정책을 안내하고 올바르게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위키백과:차단 정책에도 “다중 계정을 악용하거나 다른 사용자를 사칭할 목적의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로 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악용이 아닌 다중 계정은 차단 사유조차 아닙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다중 계정이라는 어휘를 대체한, 정책의 올바른 취지를 잘 설명하는 제목으로 변경되면 좋겠으나, 그 전까지라도 정책의 취지를 잘 이해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4년 7월 5일 (토) 22:04 (KST) = = patrol을 점검으로 옮김. = = 검토/순찰 등으로 번역되던 patrol 기능을 점검으로 옮기고, 관련 기능의 도움말을 위키백과:새 문서 점검과 위키백과:점검 면제자로 정리했습니다. 살펴봐주세요. ChongDae (토론) 2014년 7월 8일 (화) 17:45 (KST) = = 출처 확인 가능 = = 양띵 문서의 경우에는 출처가 애청자들만 접근이 가능한 게시판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애청자가 되려면 직접 실버라이트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그리드가 되어주며, 온갖 시련을 이겨내야 애청자가 될수 있습니다. 이런 출처를 서술하는게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백:확인 ryush00 토론·기여 2014년 7월 10일 (목) 22:51 (KST) = = 관리자 선거에 사전 토론 기간 도입안 = = 2주간 진행되는 관리자 선거 전에 3일간의 토론 기간을 미리 가지자는 제안을 위키백과토론:관리자 선거 절차#투표 전 토론 도입에 올렸습니다. 의견 남겨주세요. ChongDae (토론) 2014년 7월 18일 (금) 12:53 (KST) = 분류:북마케도니아 축구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노재욱 (프로게이머) = 노재욱(魯宰旭, 1986년 8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이다. 아이디 Lucifer로 유명하며, 사용하는 종족은 언데드이다. 프로스트웜 유닛을 즐겨 사용하며, 창의적인 플레이와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플레이 스타일로 '대마왕', '로재욱동무'라는 별명을 얻었다. MBC GAME의 Warcraft III World War등 수많은 프로리그에 참가했고, 덴마크 MYM 게임단 소속으로 NGL ONE에서 세 번, WC3L에서 한 번 우승하는 등 전성기를 보냈다. 2009년 3월 군입대 문제로 사실상 은퇴를 결정하였으며, 동년 4월 14일 입대하였고, SK Gaming News, "Prospective soldier Lucifer calls it a day" 2011년 2월에 제대하였다. 제대 후 2011년 3월 4일 중국 Tyloo 팀과 계약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堕落天使降临中国豪门 Lucifer加入Tyloo 이후 Tyloo에서 나오고 현재는 아마추어팀 IAM으로 활동 중이다. = = 주요 수상 경력 = = = = = 개인 = = = WEG 2005 시즌3 3위 ESWC 워크래프트 3 부문 그랜드 파이널 우승 경인방송 챔피언십 8강 전국 사이버체전(CNGL) War3 Frozen Throne 1위 XP Special League 3위 WEG III Cj Grand Final 3위 MIL 2위 ESWC 2006 1위 Lenovo IEST 2006 3위 2007 Intel Extreme Masters L.A. 2위 2007 E-stars 서울 2007 3위 2007 네오스타 리그 3위 2007 제2회 Kespa컵 워크래프트3 부문 준우승 2007 Dreamhack S07 2위 나이스게임TV 워크래프트3 리그 올스타전 3위 IEF 2011 4위 IEF 2012 4위 = = = 팀 단위 = = = 2004 Suma 온게임넷 워크래프트3 팀리그 3위(한빛 스타즈, 현 웅진 스타즈) 2006 Trans-Athlantic Showdown 2:2 우승(with MYM]Moon) 2006 NGL Season1 우승 (MYM) 2006 WC3L Season9 우승 (MYM) 2007 WC3L Season10 준우승 (MYM) 2007 NGL Season2 준우승 (MYM) 2007 WC3L Season11 3위 (MYM) 2007 NGL Season3 우승 (MYM) 2007 WC3L Season12 준우승 (MYM) 2008 NGL Season4 우승 (MYM) 2008 WC3L Season13 우승 (MYM) = L-환산 = L-환산(, linear reduction)은 최적화 문제 간의 근사 비율을 선형 보존하는 환산이다. 여기에서 'L'의 의미는 선형(linear)을 가리킨다. = = 정의 = = 최적화 문제 A, B와 각 문제의 비용 함수 c_A, c_B에 대해서, 함수 f, g와 양수 \alpha, \beta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f, g, \alpha, \beta)를 A에서 B로의 L-환산이라고 정의한다. 두 함수 f, g는 다항 시간에 계산가능하다. 문제 A에 속하는 입력 x에 대해, f(x)는 문제 B의 입력이다. 문제 B에 속하는 입력 f(x)의 해가 y일 때, g(y)는 문제 A의 입력 x에 해당하는 해이다. 입력 x에 대한 최적 비용이 OPT_A(x)일 때, 모든 x에 대해 \mathrm{OPT_B}(f(x)) \le \alpha \mathrm{OPT_A}(x)를 만족하는 양수 \alpha가 존재한다. 입력 f(x)의 해가 y일 때, 모든 y에 대해 |\mathrm{OPT_A}(x)-c_A(g(y))| \le \beta |\mathrm{OPT_B}(f(x))-c_B(y)|를 만족하는 양수 \beta가 존재한다. L-환산이 존재할 경우, 만약 A에 대한 \epsilon-근사 알고리즘이 존재한다면 그 알고리즘은 B에 대한 \alpha\beta\epsilon-근사 알고리즘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B에 대한 다항 시간 근사 해법(PTAS)이 존재하게 된다. = 분류:1886년 책 = = 분류:1958년 애니메이션 = = Blondes Have More Fun = Blondes Have More Fun은 1978년 11월에 발매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로드 스튜어트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그 당시 인기 있는 음악 트렌드였던 것처럼, 그것은 스튜어트의 디스코 음악으로의 진출이다. 이 음반은 영국에서 3위, 미국에서 1위에 오르며 상업적으로 성공했지만, 비판적으로 분열되었다. 리드 싱글 〈Da Ya Think I'm Sexy?〉는 영국과 미국 모두에서 1위를 정점으로 스튜어트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가 되었다. = = 배경 = = 1970년대 내내 록 가수로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후, 스튜어트는 이 음반의 일부 트랙에서 1978년에 절정에 달했던 디스코 트렌드를 따르기로 결정했다. 첫 번째 싱글은 〈Da Ya Think I'm Sexy?〉로 영국, 미국, 호주 등 여러 나라에서 1위를 차지했다. 많은 비평가들이 디스코 쪽으로 곡의 방향을 돌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그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스튜어트는 폴 매카트니와 롤링 스톤스가 이 시기까지 디스코 음악에 손을 댔다고 언급하며 이 곡을 옹호했다.Stewart, Rod. Rod: The Autobiography (2012): 225–226 두 번째 싱글은 〈Ain't Love a Bitch〉로 영국에서 11위, 미국에서 22위를 기록했다.Official UK Charts – Rod Stewart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인 〈Blondes (Have More Fun)〉는 영국에서 63위로 정점을 찍었는데, 당시 영국에서 그의 가장 낮은 차트의 싱글이었지만 아일랜드에서는 23위로 아일랜드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음반 자체는 영국에서 3위로 정점을 찍었고, 크리스마스까지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미국에서 더블 플래티넘을 기록한 1위 히트곡이었다. 그것은 또한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 시종면 = 시종면(始終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의 면이다. = = 개요 = = 영암읍에서 서북쪽에 위치해있으며, 서쪽은 영산강으로 강 건너에 나주시 동강면과 무안군 일로읍, 북쪽은 나주시 반남면, 공산면이 있으며, 동쪽에는 도포면과 나주시 반남면, 남쪽에는 덕진면과 영암천을 사이에 두고 군서면과 서호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내동리이며 면적은 35.8km2 인구는 4,635명이다. = = 유래 및 연혁 = = 옛날에는 영암군 북쪽 첫머리가 된다 하여 북이시면(北二始面) 이라 하여 쌍구(雙邱)리 등 56 마을 관할하였다가 일제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군, 면, 통폐합에 따라 나주군의 종남면이었던 달지 등 25 마을과 진도군 명산면의 화산 14 마을을 합하여 북이시면(北二始面)의 시(始)와 종남면(終南面)의 종(終)을 따서 시종면(始終面)이라고 칭해졌다. = = 법정리 = = 내동리 구산리 봉소리 와우리 월송리 태간리 만수리 월롱리 금지리 월악리 신흥리 신연리 옥야리 신학리 = 오타촌 (나가노현) = 오타촌은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이야마시에 해당한다. = 분류:키커스 오펜바흐의 축구 선수 = = 로런스 아칸두 = 로런스 치메지 아칸두(, , 1974년 12월 10일 ~ )는 나이지리아 태생 홍콩의 축구 선수이다. 처음에는 중앙 공격수로 뛰었지만 나중에 포지션을 수비수로 변경하였다. 1994년부터 2002년까지 홍콩 1부 리그의 프랭크웰과 파이브 원 세븐, 퉁포 AA 소속으로 뛰었다. 2002년 킷치로 이적하면서 15골을 기록했고 팀의 1부 리그 승격에 기여하였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해피밸리 AA, 2005년부터 2006년까지 퉁포 AA,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홍콩 FC 소속으로 뛰었다. 2007년 샤틴 SA로 이적했고 2008년에는 팀의 홍콩 2부 리그 우승과 홍콩 주니어 챌린지 쉴드 우승에 큰 공헌을 했다. 2003년 11월 홍콩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며 2003년 12월 4일에 열린 대한민국과의 동아시아컵 경기에서 자신의 A매치 첫 골을 기록하였다. = 틀:User vec-2 = = 분류:에스콘디도 출신 = = 분류:홍콩의 회계사 = = 분류:아르헨티나의 남자 배구 선수 = = 구제 시게유키 = 구제 시게유키(, 1659년 ~ 1720년 8월 1일)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다. 에도 막부에선 노중을 역임하였다. 시모사 세키야도 번주(재봉), 빗추 니와세 번주, 단바 가메야마 번주, 미카와 요시다 번주를 지냈다. 세키야도 번 구제가(関宿藩久世家) 제2대 당주. = 베이커 스케이트보드 = 베이커 스케이트보드(Baker Skateboards)는 프로 스케이트보더 앤드류 레이놀즈와 최초 설립자인 제이 스트릭랜드가 2000년에 만든 스케이트보드 회사다. 주요 제품은 데크와 휠이다. = = 역사 = = 2000년 앤드류 레이놀즈는 자신이 버드하우스의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느껴서 그 팀을 떠나고 제이 스트릭랜드와 베이커를 시작했는데, 블리츠디스트리뷰션을 투자자로서 함께였다 블리츠는 버드하우스의 설립자 토니호크와 퍼웰린더가 그들의 상품을 분산하기 위해서 세운 것이다. 2002년 2월, 레이놀즈의 50퍼센트 지분에 의한 상품을 만들라는 스트릭랜드의 압박에, 레이놀즈는 블리츠가 지분을 가지고 있었는데 자기가 독점하기 위해 베이커의 주식들을 사들였다. 베이커는 블리츠 디스트리뷰션의 멤버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레이놀즈의 스트릭랜드에게 한 약속을 완전히 지키진 못했고, 스트릭랜드는 그의 회사, NHS inc아래있는, 베이커3풀랭스비디오(그 비디오는 베이커에 순간적으로 엄청난 이익이되었다)가 발매되어 2005년 망한 부틀렉 스케이트보즈(스트릭랜드의 첫 비디오, 베이커가 설립되기 2년전에 발매된 베이커-부틀렉에서 따온 이름)에 집중하기 위해 베이커를 떠났다. 2008년 베이커의 새 프로모비디오 베이커 해즈 어 데스와이즈가 누출되었다. 그저 프로모 비디오 였음에도 불구하고 베이커와 데스와이즈의 모든 프로와 거의 모든 아마추어들의 파트를 나타냈고, 한시간이 넘는 시간으로 베이커3와 베이커2G를 능가했다. = = 구성원 = = 앤드루 레이놀즈(Andrew Reynolds) 더스틴 돌린(Dustin Dollin) 제프 레노스(Jeff Lenoce) 케빈 "스팽키" 롱(Kevin "Spanky" Long) 브라이언 허만(Bryan Herman) 레오 로메로(Leo Romero) 테리 케네디(Terry Kennedy) 브레이든 스자프란스키(Braydon Szafranski) 저스틴 "피기" 피게로아(Justin "Figgy" Figueroa) 새미 바카(Sammy Baca) 띠오시스 비즐리(Theotis Beasley) 라이언 윌리엄스(Ryan Williams) 엔젤 콜론(Angel Colon) 윌 모커스(Will Mokus) 앤드류 시모네(Andrew Simone) 리키 휴슨(Ricky huson) = = = 데스위시 스케이트보드 = = = 데스위시 스케이트보드는 베이커 스케이트보드의 자매회사다. 그 스케이트 팀은 보통 베이커 스케이트보드의 프로 짐 그레코와 에릭 엘링턴에 의해 선택된다. 마이크 리자드킹 플럼브는 그 팀에서 프로가 되기로 확정되어있다. 프로팀은 엘링턴, 그레코, 딕슨, 그리고 리자드 킹이 될 것이다. 브라이언 슬래쉬 한센, 라미로 포비 살세도, 그리고 알버트 마드리드는 아마추어팀이 되라고 했다. 데스위시는 베이커보이즈디스트리뷰션에서 파생되어 나왔는데, 실제 회사인 베이커와는 다르다. 짐 그레코(Jim Greco) 에릭 엘링턴(Erik Ellington) 앙투안 딕슨(Antwuan Dixon) 리자드 킹(Lizard King) 퍼비(Furby) 구스타보 팔라벨라(Gustavo Falabella) 알버트 마드리드(Albert Madrid) = 분류:사이키번 = = 정희철 = 정희철(鄭熹哲정희철 웨이보, 1989년 12월 9일 ~ )은 과거 대한민국의 보이 밴드 ZE:A의 멤버였다. = = 경력 = = 배우 정희철은 1989년 12월 9일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에서 태어났다. 2009년에 Mnet 리얼리티 프로그램 오피스 리얼리티 - 제국의 아이들과 제국의 아이들 리턴즈에 출연하여 이동식 무대 차량인 윙카로 전국을 순회하는 게릴라 공연을 펼쳤고, 2010년 1월 15일에 9인조 남성 아이돌 그룹 제국의 아이들의 멤버로 데뷔하였다. 정희철은 2017년에 제국의아이들이 해체함으로써 아쉬움으로 보이며, 충남 논산에 있는 육군훈련소에서 입대 하여 2019년 6월 2일에 제대 하고, 연예활동을 할 예정이다. = = 학력 =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공연예술계열 연극 전공 (중퇴)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연극예술학과 (재학) = = 음악 활동 = = = = = 개인 음반 = = = 《I know》 (with 제이스타) (2015년) = = 출연 작품 = = = = = TV 드라마 = = = 연도 종류 방송사 제목 역할 회차 2010년 드라마 SBS 검사 프린세스 클럽 남성 역 특별출연 (2회) 2010년 드라마 MBC 글로리아 가수 준비생 역 특별출연 (11, 14회) 2012년 드라마 KBS2 넝쿨째 굴러온 당신 제국의 아이들 멤버 역 특별출연 (39회) 2014년 드라마 네이버tvcast 인형의 집 병태 역 주연 = = = 예능 = = = 연도 방송사 제목 회차 방영일 2009년 Mnet 오피스 리얼리티 - 제국의 아이들 12부작 2009년 Mnet 제국의 아이들 리턴즈 6부작 2010년 SBS MTV 아이돌 유나이티드 2010년 E! TV 거성쇼 11부작 2011년 MBC every1 주간 아이돌 6회 8월 27일 2012년 Mnet 유세윤의 Art Video 5회 7월 3일 2012년 Mnet 비틀즈 코드 시즌 2 25회 8월 27일 2012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133회 9월 1일 2012년 MBC every1 주간 아이돌 65회 10월 17일 2013년 SBS 월드 챌린지 - 우리가 간다 2014년 온게임넷 켠김에 왕까지 8월 14일 2014년 tvN 언제나 칸타레 4부작 2015년 tvN 언제나 칸타레 시즌 2 7부작 = = = 뮤지컬 = = = 연도 제목 역할 2010년 루나틱 드림팀 나제비 역 2010년 = 분류:파키스탄계 아일랜드인 = = 스피드 스키 = 스피드 스키는 스키 경기 중 하나로 가파른 슬로프를 미끄러져 시속을 겨루는 경기이다. 정해진 길이의 스키 슬로프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직선으로 내리막길을 타는 스포츠이다. 경쟁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기존 속도 기록을 깨거나 주어진 경쟁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것이다. 스피드 스키어는 정기적으로 시속 200km(124mph)를 초과한다. = = 역사 = = 스피드 스키의 역사는 1898년 미국 토미 토드(Tommy Todd)가 시작했으며 시속 87마일(140km/h)로 보고되었다. 공식 기록은 1932년 레오 가스펄(Leo Gasperl)이 달린 89mph(143km/h)로 시작되었다. 1956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훈련하는 동안 미국 다운힐 선수 랄프 밀러(Ralph Miller)는 100mph(161km/h)를 처음으로 돌파한 것으로 인정된다. 1955년 8월 칠레의 포틸로(Portillo)에서 약 109mph(175km/h)로 15년 동안 유지된 기록이다. 1978년 역시 포틸로에서 미국인 스티브 맥키니(Steve McKinney)는 200.2km/h(124.4mph)의 기록적인 달리기로 200km/h(124.3mph)의 장벽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레 아르크(Les Arcs) 스피드 스키 코스의 알베르빌(Albertville) 1992 동계 올림픽에서 시범 스포츠였지만 여러 차례 사망이 발생한 후 너무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 통일대로 = 통일대로는 전라남도 목포시 신흥동 갓바위터널교차로부터 부주동 25호광장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약 1.4Km 거리의 하당신도심의 대로이다. 입암산의 갓바위터널부터 시작, 영산강하굿둑의 진입도로인 25호광장교차로로 끝이 난다. 25호광장교차로부터는 남악로가 시작된다. = =주요 기관 및 건물 = = *홈CC 목포점 *하이마트 *중앙빌딩 *옥암동우체국 *영빈관 보석찜질사우나 *르노삼성 목포지점 목포지방해양항만청 = 분류:기원전 288년 사망 = = 요안 위사 = 요안 위사(, 1996년 9월 3일 ~ )는 프리미어리그의 브렌트퍼드에서 공격수 또는 윙어로 뛰고 있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프랑스에서 태어난 그는 콩고 민주 공화국 국가대표팀에서 뛰고 있다. 샤토루 아카데미의 선수인 위사는 2015년에 클럽에서 시니어 경력을 시작했다. 앙제에서 잠시 활약한 후, 그는 2018년에 로리앙으로 이적했다. 위사는 리그 2 챔피언으로서 2019-20 시즌을 마친 로리앙 팀의 일부였다. 리그 1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그는 2021년에 브렌트퍼드에 합류했다. = = 구단 경력 = = = = = 로리앙 = = = 2018년 1월, 위사는 리그 2의 클럽인 로리앙으로 이적하여 즉시 승격을 추구하는 클럽에 자리를 잡았다. 2019-20 시즌 말, 위사는 28경기에 출전하여 15골을 기록하여 리그 2 우승에 일조했다. 그는 2020-21 시즌 동안 38경기에 출전하여 10골을 기록했지만, 로리앙은 간신히 강등 플레이오프 진출을 피했다. 위사는 2021년 8월에 클럽을 떠나 스타드 뒤 무스투아르에서 128경기에 출전하여 37골을 기록하며 -년을 마쳤다. = = = 브렌트퍼드 = = = 2021년 8월 10일, 위사는 새로 승격된 프리미어리그의 브렌트퍼드와 4년 계약을 맺었고, 비공개 이적료인 850만 파운드에 1년 더 계약을 맺었다. 이적은 2년 동안 진행되었고, 그는 이전 이적 기간 동안 커뮤니티 스타디움으로 이적할 기회를 거절했다. 눈 수술로 인해 프리 시즌 동안 클럽과 연계할 수 없었지만, 위사는 클럽에서 처음 6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했다. 2021년 9월 21일, EFL컵 3라운드 올덤 애슬레틱과의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한 그의 두 번째 골인 바이시클 킥은 EFL컵 팀 오브 더 라운드와 토너먼트의 골로 선정되었다. 위사의 득점은 2021년 10월 중순 발목 노크로 종료되었다. 그는 두 달 후 경기에 복귀했고, 시즌 마지막 9경기 동안 6번의 선발 출전을 포함하여 시즌이 끝날 때까지 주전과 교체 역할의 혼합으로 배치되었다. 위사는 2021-22 시즌을 34경기에 출전하여 10골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위사는 2022-23 시즌 동안 40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넣었고, 브렌트퍼드는 마지막 날에도 유럽 진출을 놓고 경합을 벌였다. 2023년 5월, 그는 새로운 3년 계약에 서명했고, 1년을 더 선택할 수 있다. 2023년 5월 아이번 토니가 8개월간의 축구 관련 활동 금지 징계를 받은 후, 위사는 브렌트퍼드의 선발 센터 공격수로 2023-24 시즌을 시작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위사는 2020년 10월에 친선 경기를 위해 콩고 민주 공화국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그는 모로코와의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 국가대표팀 경기에서 첫 두 골을 득점했다. = = 플레이 스타일 = = 위사는 윙어, 10번 및 공격수를 포함하여 "많은 다양한 포지션에 맞는" 선수로 묘사되어 왔다. 그는 "페이스와 파워"를 가지고 있고, "뒤에 있는 위협"이며, "선수들을 맡고 과부하를 만드는 좋은 능력"과 "좋은 압박 능력"을 가지고 있다. = = 사생활 = = 콩고 민주 공화국계 프랑스에서 태어난 위사는 링갈라어를 구사할 수 있다. 그의 부모님은 1960년대 초 레오폴드빌에서 태어났다. 그는 2000년 12월 26일 부모님의 귀화라는 집단적 효력으로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15세에 축구에 집중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그는 럭비 유니언도 했다. 그는 2021년 7월에 산성 공격의 대상이 되었고 응급 눈 수술에서 완전히 회복했다. = 벨프역 = 벨프역은 스위스 베른주 벨프의 기차역이다. BLS AG의 표준궤 귀르베탈선의 중간 정류장이다. = 청주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 청주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淸州 菩薩寺 靈山會 掛佛幀)은 충청북도 청주시, 보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다. 1997년 8월 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5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 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화를 말하며, 영산회상도는 그 중에서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보살사영산회괘불탱은 길이 6.13m, 폭 4.26m로 삼베 위에 그린 것이며,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녹색·황색 등 중간색을 넣어 밝은 화면을 보여준다. 남아 있는 글을 통해 조선 인조 27년(1649)에 경기도·충청도 등지에서 활약했던 신겸, 덕희, 경윤 등이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중앙에 앉아 있는 석가모니 본존불은 사각형의 얼굴에 이목구비가 근엄하고 엄격한 표정을 지니며 당당한 신체에서는 중후한 모습을 풍긴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모습이며, 오른손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하단의 8대보살, 중단의 10대제자 등은 석가불 주변을 빽빽하게 에워싸며 좌우대칭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본존불의 얼굴이 또렷하고 신체가 당당하여 화면을 압도하는 듯하며, 선명한 색채·화려한 문양·석가를 둘러싼 무리들의 세밀하고 단아한 묘사로 당대 불화의 대표작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 = 참고 자료 = = *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 분류:뉴질랜드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뉴질랜드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제1차 세계 대전 = CA 티그레 = CA 티그레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산페르난도 파르티도의 빅토리아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02년 8월 3일 인근 지역인 티그레 시에서 창단되었다. = = 역사 = = 2007년 아페르투라는 이 클럽 역사상 최고의 시즌을 보내며 프리메라 디비시온 2위까지 올랐다. 그 이전까지는 1955년의 6위(당시 1부 리그는 총 16개 팀)가 최고 성적이었다. 사실 지금까지 티그레가 1부 리그에서 활약했던 시즌은 1931-33년, 1935-42년, 1946-50년, 1954-58년, 1968년, 1980년, 그리고 2007년부터이다. 3부 리그인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까지 떨어졌던 티그레는 2004/05 시즌 리카르도 카루소 롬바르디를 감독으로 선임하면서 급격히 성적을 내며 승격하기 시작했다. 2006년 스타 플레이어 출신 신임 감독 디에고 카냐를 맞이한 티그레는 2007년 프로모시온에서 누에바 치카고를 누르며 프리메라 디비시온까지 승격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고의 시즌을 보내며 1부리그 잔류를 넘어 2위에 오르는 기적을 연출했다. 그중에는 리버 플레이트를 4-1로 이기는 경기도 있었다. 비록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에게 지면서 아페르투라 우승컵을 라누스에게 넘겨주긴 했지만, 그들은 클럽 역사에 길이남을 시즌을 만들었다. 티그레는 2008 아페르투라에서도 산로렌소, 보카 주니어스와 함께 승점 39점으로 공동 1위에 올라, 삼자간 캄페온 결정전까지 진출, 1승 1패를 거두었으나 골득실차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하지만, 이로써 티그레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였음을 과시할 수 있었다. = = 우승 기록 = = 2007년 - 아페르투라(Apertura) 준우승 2008년 - 아페르투라(Apertura) 준우승 = = =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3회 = = = = 1945년 1953년 1979년 = = = =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 : 3회 = = = = 1994년 - 클라우수라 2004년 - 아페르투라 2005년 - 클라우수라 = = 과거 유명 선수 = = 후안 마르베시 (?) 아돌포 수멜수 베르나베 페레이라 (1927-1932) 루이스 카르니글리아 (1930s) 하이메 사를랑가 (1935-1936) 노르베르토 도로테오 멘데스 (1954-1956) 엑토르 드 부르고앵 (1954-1956) 라울 델라크루스 차파로 (1975-1978, 1986) 에드가르도 루이스 파루소 (1980-1989) 엔리케 우올프 (1981) 왈테르 엑토르 파혼 (1983-1988) 에세키엘 카를로스 마히올로 (1996-1999) 하비에르 자쿠시 (2002-2003) 레오나르도 안드레스 이글레시아스 (2005) 마리아노 훌리오 이스코 (2005-2006) = 분류:세계관 = = 망태 할아버지 = 망태 할아버지는 옛날 한반도 지역에서 아이들에게 엄마 말 안 듣고 거짓말하면 망태 할아버지가 잡아간다고 하면서 아이들에게 공포를 떨게 하며 버릇을 바로잡게 하도록 사용하였던 상상 속 존재이다. 망태 할아버지는 넝마주이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데 그 유형을 겹겹의 장삼을 입은 할배와 도깨비의 우두머리격인 괴수도깨비로 철학자의 유유자적한 모습과 도깨비 무리를 이끌어가는 도깨비의 대표격인 괴수 도깨비에서 유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구(呪具)인 도깨비 감투를 보유하고 도깨비의 호적을 가지고 있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도깨비들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땅에서 천년을 산 도깨비로 신라시대, 비형랑 무리 모두의 정신적 지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교학대사전, 망태할배, 한국사전연구사(1998년판)“망태 할배 참 무섭다… 우리 엄마도 잡아가” 김진경 기자, 동아일보(2007.04.21) 기사내용 참조 = = 유래 = = 망태 할아버지는 넝마주이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데 그 유형을 겹겹의 장삼을 입은 할배와 도깨비의 우두머리격인 괴수도깨비로 철학자의 유유자적한 모습과 도깨비 무리를 이끌어가는 도깨비의 대표격인 괴수 도깨비에서 유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구(呪具)인 도깨비 감투를 보유하고 도깨비의 호적을 가지고 있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도깨비들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땅에서 천년을 산 도깨비로 신라시대, 비형랑 무리 모두의 정신적 지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변화 = = 호랑이보다도 귀신보다도 무서운 망태 할아버지의 망태에는 갖은 흉측한 것들이 들어 있다.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망태 할아버지 같은 이 탈들은 지연광대라고 해서 차례대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상징하고 있는데 백정이나 포수로 변하고 있다. 이같이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겁을 주는 대상은 단지 망태 할아버지뿐만은 아니다. 옛 이야기 속의 호랑이나 도깨비가 될 수도 있고, 주변에서 흔히 만나는 사물이나 동물, 주위 사람이 될 수도 있다. 망태 할아버지는 도깨비, 벌레, 어둠, 주사 등으로 유아에게 공포와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대상이다. = = 참고자료 = = 「신의진의 아이 심리백과」, 엄마가 꼭 알아야 할 2세 아이의 심리, 신의진 저, 갤리온(2007년, 195~207p) = 분류:1972년 노래 = = 칼리닌스키구 = 칼리닌스키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칼리닌스키구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구성하는 18개 구 가운데 하나 : 우크라이나의 구 : 우크라이나의 구 = 분류:롱안 FC = = 분류:CF 바달로나 = = 분류:1878년 설립 = = 분류:토막글급 캐릭터 문서 = = 코다 쿠미코 = = 라이즈 오브 더 노스스타 = 라이즈 오브 더 노스스타는 프랑스의 메탈코어 밴드이자 랩 메탈 밴드로 2008년에 결성되었다. 기존 메탈 그룹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일본의 대중문화와 헤비 메탈, 하드코어 펑크, 힙합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 = 역사 = = = = = 2008년부터 2010년까지 : 결성 및 Tokyo Assault = = = 라이즈 오브 더 노스스타는 2008년에 비티아에 의해 결성이 되었고 그룹 이름의 유래는 일본의 만화인 북두의 권에서 유래되었다. 당시 멤버는 보컬 담당인 비티아를 비롯해, 기타 담당인 니콜라 "디에고" 르호와, 로익 "비보이" 가넴, 베이스 담당은 파비엔 "패뷸러스 패브" 헤이그와 드럼 담당인 맥스 V.로 구성되었다. 2009년에 파리의 상트마르테 스튜디오에서 5일 동안 3개의 트랙을 녹음 했으며, 2010년 1월 12일에 라이즈 오브 더 노스스타의 최초 음반이자 EP 음반인 Tokyo Assault를 발매했다. 같은 해 여름에 기타 담당인 니콜라 "디에고" 르호와와 드럼 담당인 맥스 V.가 탈퇴하면서, 기타 담당인 에바-B와 드럼 담당인 팬텀이 새롭게 영입되었다. = = = 2011년부터 2012년까지 : Demonstrating My Saiya Style = = = 2011년 3월 11일에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하면서 같은 해 5월에 일본이 너를 지키고 있다란 캠패인을 펼쳤다. 같은 해 6월에 일본 적십자사에 기부하기 위해 "Phoenix"란 곡을 발표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기타 담당인 로익이 탈퇴하고 에어 원이 가입했다. 2012년 6월 23일에 두 번째 EP 음반인 Demonstrating My Saiya Style 앨범을 발표했다. 두 번째 EP 음반은 세계 최초로 발매되었고 6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었다. 앨범이 발매 최초로 2천장이나 팔렸다. EP 음반 최초로 "Sound of Wolves", "Demonstrating My Saiya Style"곡이 뮤직 비디오를 통해 공개되었다. = = = 2013년부터 2016년까지 : Welcame = = = 2013년에 베이스 담당인 루카스가 탈퇴하고 파비엔이 영입되었다. 같은 해 하반기에 정규 음반인 Welcame 음반을 녹음하고 독자적인 레이블인 레프레시온 레코드를 설립했다. 당초 2014년 9월 29일에 발매될 예정이나 뉴클리어 블래스트와 협의가 늦어지면서 같은 해 11월 24일로 연기되었다. 이 앨범은 새로운 팬들에게 환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일본의 만화인 루키즈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미국의 기타 리스트로 유명한 제우스와 함께 음반을 작곡했고, 집에서는 기타, 드럼과 보컬은 파리의 스튜디오에서 각각 녹음했다. = = = 2017년부터 현재까지 : The Legacy of Shi, Live in Paris = = = 2017년 3월에 스튜디오에서 두 번째 앨범을 발매 계획을 발표했다. 앨범 녹음을 시작하기 앞서 드럼 담당인 맥스 V.가 탈퇴했다. 같은 해 11월에 고지라, 조 듀플랑티에르와 같이 뉴욕의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앨범 발매를 위해 녹음을 시작했다. 앨범 녹음 작업 이후 드럼 담당인 팬텀이 가입했다. 2018년 6월에 티처 영상인 Here Comes The Boom 10초 짜리 영상을 공개한데 이어 같은 해 7월에 발표되었다. 앨범 발매에 앞서 2개의 싱글 음반이 발매되었고 같은 해 10월에 The Legacy of Shi이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이 앨범은 총 11곡이 구성되었으며, 기타 담당인 에바-B는 일본의 민괴인 요괴를 담았다고 한다. 또한 더 많은 음악 스타일을 앨범에 혼합한 대신 튜닝이 적은 편이다. 2019년 3월에 유튜브 채널을 통해 티저 영상이 최초로 공개되었고 3일 후에 정식으로 뮤직비디오가 출시되었다. 2020년 6월에 새로운 EP 음반이 발매되었다. 새로운 EP 음반에 라이브 곡을 포함해 6곡이 수록되었고, 이와는 별도로 Sayonara 곡이 추가되었다. = = 음악적 스타일 = = 밴드의 음악적 스타일은 1990년대 뉴욕 하드코어 펑크 메탈, 힙합, 일본의 대중문화를 혼합했으며 크로스오버 스래시의 혼합물이라고 주장한다. 밴드는 메탈 그룹인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슬레이어, 수어사이들 텐던시즈, 머쉬인 헤드, 판테라, 바이오해저드와 같은 메탈 그룹의 영향을 받았고, 우 탱 클랜, 오닉스, 맙 딥과 같은 힙합 그룹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노래 가사의 경우 일본의 애니메이션인 루키즈, 북두의 권, 드래곤볼, 아키라, GTO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 = = 음반 = = = = = 정규 음반 = = = 제목 앨범 세부 정보 차트 순위 차트 순위 차트 순위 차트 순위 차트 순위 제목 앨범 세부 정보 FRA GER SWI UK인디브레이크 UK락 Welcame 발매 : 2014년 11월 21일 음반 : 뉴클리어 블래스트 형식 : CD, 다운로드, LP 미집계 미집계 미집계 미집계 미집계 The Legacy of Shi 발매 : 2018년 10월 19일 음반 : 뉴클리어 블래스트 형식 : CD, 다운로드, LP 82 32 81 20 32 Showdown 발매 : 2023년 4월 7일 음반 : 뉴클리어 블래스트 형식 : CD, 다운로드, LP colspan=6 = = = EP 음반 = = = 제목 앨범 세부 정보 Tokyo Assault 발매 : 2010년 1월 12일 음반 : 아카츠키 레코드 형식 : CD Demonstrating My Saiya Style 발매 : 2012년 7월 23일 음반 : 아카츠키 레코드 형식 : CD, 다운로드 Live in Paris 발매 : 2020년 6월 19일 음반 : 뉴클리어 블래스트 형식 : CD, 다운로드 = = 구성원 = = 빅토르 "비티아" 르호와 - 보컬 브리스 "에바-B" 고티에 - 기타 에르완 "에어 원" 메네즈 - 기타 파비엔 "패뷸러스 패브" 헤이그 - 베이스 팬텀 - 드럼 = = 이전 구성원 = = 라이즈 오브 더 노스스타 결성 때부터 밴드를 거쳐갔던 구성원들이다. 니콜라 "디에고" 르호와 - 기타 맥스 V. - 드럼 로익 "비보이" 가넴 - 기타 루카스 - 베이스 케빈 "호쿠토노 케브" 르꼼떼 - 보컬 = 분류:미국의 주별 국립사적지 = = 음식 피라미드 = 음식 피라미드 또는 식품 피라미드(Food pyramid (nutrition))는 각 기본 식품군에서 매일 섭취해야 하는 최적의 섭취량을 나타낸다. 첫 번째 피라미드는 1974년 스웨덴에서 출판되었다. 미국 농무부(USDA)가 도입한 1992년 피라미드는 "식품 가이드 피라미드" 또는 "올바르게 먹기 피라미드"(Eating Right Pyramid)라고 불렸다. 2005년에 "마이피라미드"(MyPyramid)로 업데이트되었으며, 이후 2011년에 "마이플레이트"(MyPlate)로 대체되었다. = = 스웨덴 (기원) = = 1972년 식량가격이 폭등하자 스웨덴 보건복지위원회는 저렴하면서도 영양가 있는 '기본식품'과 기본식품에 부족한 영양을 더한 '보충식품'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스웨덴 협동 소매 체인(Kooperativa Förbundet)의 테스트 주방 책임자인 안나-브릿 아그나세터(Anna-Britt Agnsäter)는 다음 해에 이러한 식품 그룹을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열었다. 참석자 피얄라 클레메스(Fjalar Clemes)는 바닥에 기본 식품을 표시하는 삼각형을 제안했다. 아그나세터는 이 아이디어를 최초의 식품 피라미드로 발전시켰고, 이는 1974년 KF의 Vi 매거진을 통해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피라미드는 기본적으로 우유, 치즈, 마가린, 빵, 시리얼, 감자 등 기본 식품으로 나뉘었다. 보충 야채와 과일의 큰 부분, 그리고 보충 고기, 생선, 계란의 정점에 이른다. 이 피라미드는 국립위원회의 '식이요법'과 경쟁했는데, KF는 7조각으로 나누어진 케이크를 닮았다는 점과 각 음식을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사회가 피라미드와 거리를 두는 동안 KF는 피라미드를 계속 홍보했다. 식품 피라미드는 서독, 일본, 스리랑카뿐만 아니라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도 개발되었다. 미국은 이후 1992년에 최초의 식품 피라미드를 개발했다. = = 비판 = = 매일 8온스(230g)의 햄버거를 먹는 것과 같이 심장병과 관련된 특정 식단 선택은 피라미드 아래에서 기술적으로 허용되었다. 또한 피라미드에는 단백질이 풍부한 그룹("고기, 가금류, 생선, 마른 콩, 계란 및 견과류") 내에서의 차별화가 부족했다. 1991년 4월, 미국 농무부(USDA)는 가이드의 제품 전시에 대해 육류 및 유제품 로비 단체가 제기한 이의로 인해 "올바르게 먹기 피라미드"(Eating Right Pyramid) 출판을 중단했다. 이 가이드에는 추가 연구와 테스트가 필요하다는 USDA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추가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 지 1년이 지나서야 올바른 식습관 피라미드가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이번에는 업계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가이드의 그래픽 디자인까지 변경되었다. 이 사건은 식품 산업이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연방 식이 권장 사항을 변경하려고 시도한 많은 사건 중 하나에 불과했다. = 성내제2동 = = 일등 사장 = "일등 사장"은 1970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장동휘 문희 하명중 방성자 = 분류:헝가리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 진 양공 = 진 양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진 양공(秦襄公, 재위 전778~766)은 춘추 시대 진(秦)나라의 제1대 군주(진백)다. 진 양공(晉襄公, 재위 전627~621)은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제25대 군주(진후)다. = 분류:나라별 남자 프로레슬러 = = 분류:나폴레옹 전쟁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서신터미널 = 서신터미널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매화1길 21(매화리 357-1번지)에 있는 대한민국의 버스터미널이다. 현재 이 곳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은 하나도 없어 터미널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남양여객의 차고지로 사용되고 있다. = = 운행 노선 = = ● 경기도 도시형버스 400번 (궁평항 ~ 광교휴먼시아) 990번 (서신 ~ 동원고등학교 입구) 1000번 (제부도 입구 ~ 동탄신도시) ●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330번 (제부도 입구 ~ 금정역) 1004번 (제부도 입구 ~ 수원역) = 분류:야마노우치씨 = = 화란 (동음이의) = 화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화란은 네덜란드를 의미한다. = = 가공 인물 = = 트라이앵글의 등장인물 2009 전설의 고향의 등장인물 타짜의 등장인물 포화 속으로의 등장인물 구해줘의 등장인물 낙원 - 파라다이스의 등장인물 = = 기타 = = 화란 (영화) = 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 = = 분류:중국의 성별 주 = = 분류:불법행위법 = = 춘천시의회 = 춘천시의회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지역을 관할하는 기초의회이다. = 분류:나라별 자연보전 = = 강서도서관 (부산) = 강서도서관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소재의 도서관이다. = = 연혁 = = 1995년 10월 10일 도서관 부지 매입 1996년 6월 11일 도서관 신축 착공 1997년 9월 9일 도서관 개관 준비단 구성 1997년 9월 25일 도서관 준공 1997년 11월 25일 도서관설치및운영조례 공포 1998년 1월 8일 도서관 개관 2002년 10월 1일 디지털자료실 개실 2013년 2월 19일 강서브라이트 센터내 도서관 재개관 = = 시설현황 = = 지하 1층 - 식당, 서고 1층 - 유아자료실, 어린이실(33좌석) 2층 - 종합자료실(36좌석), 시청각실(30좌석), 교양강좌실(21좌석) 3층 - 자유열람실(128좌석), 전자정보실(17좌석), 자료정리실, 사무실 = = 이용 안내 = = 종합자료실 및 어린이자료실: 화 - 금 09:00~22:00 / 토요일 09:00~18:00 / 일요일 09:00~17:00 전자정보실: 화 - 토 09:00~18:00 / 일요일 09:00~17:00 자유열람실: 화 - 일 07:00~23:00 매주 월요일 및 정부지정 공휴일 기타 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 た행 = た행이란 오십음도의 4번째 행이다. た행에서는 가나 た, ち, つ, て, と가 포함된다(촉음을 나타내는 작게 적는「っ」를 제외한다). 어떤 가나도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음절 또는 모라를 나타낸다. = = 청음 = = た행 각 음의 두자음의 음소는 이고, そ의 발음은, 「た」「て」「と」에서는 유성 치경 파열음 [], 「ち」로는 무성 후치경 파찰음 [], 「つ」로는 무성 치경 파찰음 []이다. た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으로는 ta ti tu te to이고, 헵번식으로는 ta chi tsu te to이다. = = 탁음 = = た행의 가나에 탁점 붙여서 나타내는 탁음은 だ행의「だ」「ぢ」「づ」「で」「ど」이고, 그 두자음의 음소는 //이다. だ행 각음의 두자음 중, 「だ」「で」「ど」은, 문절의 머리 또는 발음(「ん」)의 뒤에는 유성 치경 파열음 [], 그 외에는 유성 치 마찰음 []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밀착도가 약한 유성 치경 파찰음)에, 「ぢ」는 문절 머리 또는 발음 (「ん」)의 뒤에서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ち」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그 이외에는 유성 후치경 마찰음 [](「し」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밀착도가 약한 유성 후치경 파찰음)에서, 「づ」는 문절의 머리 또는 발음(「ん」)의 뒤에서는 유성 치경 파찰음(「つ」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그것 이외에는 유성 치경 마찰음 [](「す」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밀착도가 약한 유성 치경 파찰음)이 발음된다. だ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으로는 da zi zu de do이고, 햅번식으로는 da ji zu de do이다. 「ぢ」와 「じ」, 「づ」와 「ず」의 발음은, 각각 음성학상 동일이기에, 현대가나사용에서는 이들의 음을 각각 동일한 음으로서 취급하고,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 「ぢ」「づ」를 사용하지 않고, 「じ」「ず」로 통일하여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ぢゃ행의 발음은 じゃ행과 동일하기에, 현대가나사용에서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 じゃ행으로 통일하여 표기한다. (さ행 문서 참고) 단, 다름이 아닌「ぢ」와 「づ」의 표기가 불채용이 된 원인(「じ」와 「ず」의 표기가 불채용이 되지 않은 원인)은 명백하지 않다. = = 요음 = = *「ち」를 1자로 하는 요음(개요음)ちゃ행은, 「ちゃ」「ちゅ」「ちぇ」「ちょ」이고, 그 두자음의 음소는 나 ・로 나타낸다. (「ちぇ」는 요음으로 하지 않는 의견도 있다.)ちゃ행의 두자음 발음은 「ち」의 두자음과 동일하다. ちゃ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으로는 tya tyu tye tyo, 햅번식으로는 cha chu (표기없음) cho이다. *「ぢ」를 1자로 하는 요음(개요음)ぢゃ행은, 「ぢゃ」「ぢゅ」「ぢょ」이다. ぢゃ행의 두자음 발음은 「ぢ」의 두자음과 동일하다. ぢゃ행의 로마자 표기는 행과 같고, 일본식으로는 zya zyu zyo, 햅번식으로는 ja ju jo이다. = = 외래어 표기 = = *「チェ」는 외래어의 원음이 인 듯 한 것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ち」의 두자음과 모음「え」을 조합한 음으로 발음된다. チェーン・チェック・チェンジ 등. *「ツ」를 1자로서 작은 ア행・ヤ행의 가나를 붙인 ツァ행・ツャ행, 「ツァ」「ツィ」「ツェ」「ツォ」「ツャ」「ツュ」「ツョ」는 외래음의 표기에 사용되고, 그 두자음의 음소는 이다.ツューリヒ(チューリッヒ) 등. ツァ행의 두자음의 발음은「つ」의 두자음과 동일하다. ツァ행에서는 표준 로마자 표기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tsa tsi tse tso로 표기된다. 또한, 「ツィ」에 관해서는 「외래어 표기 (일본어)」 제2표(원음이나 원 철자가 최대한 가깝게 써내려고 하는 가나)에서 들고 있고, 일본어에 있어서의 발음은 「ち」와 동일하다. *「ヅ」를 1자로서 작은 ア행의 가나를 붙인「ヅァ」「ヅィ」「ヅェ」「ヅォ」는 표준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뭔가 특수한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사용된 적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 경우는「ざ」「ずぃ」「ぜ」「ぞ」와 거의 같은 발음이 된다고 생각된다. *「ティ」「ディ」는 외래어 원음이 ・인 것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た」「て」「と」의 두자음 과 모음「い」를 조합한 음이다. 관용적으로 「チ」「ジ」 혹은「テ」「デ」로 발음표기하는 것이 있다. スティーム(スチーム), ラディオ(ラジオ), スティック(ステッキ), ディザイン(デザイン) *「トゥ」「ドゥ」는 『외래어 표기』제2표에 들고 있고, 원음이 ・인 것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본어에서는「た」「て」「と」의 두자음 ・와 모음「う」을 조합한 음으로 표기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ツ」「ヅ」 혹은「ト」「ド」로 발음・표기된 것도 많다.トゥー(ツー)・トゥアー(ツアー)・ヒンドゥー教(ヒンズー教)・ハチャトゥリアン(ハチャトリアン) 등. *「テュ」는 『외래어 표기』제2표에서 들고 있고, 원음이 인 것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나이다. 일본어로는 「た」「て」「と」의 두자음 을 구개화한 와 모음「う」를 조합한 음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관용적으로 「チュ」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テューブ(チューブ)・コステューム(コスチューム)・ステュワーデス(スチュワーデス)・ステュー(シチュー) 등. *「デュ」는 외래어의 원음이 인 것을 표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본어로는「だ」「で」「ど」의 두자음 을 구개화한 와 모음「う」를 조합한 음으로 발음된다. 또, 관용적으로 「ジュ」로 발음되는 것도 있다. デュエット・デュアル・デュース(ジュース)・デュラルミン(ジュラルミン) 등. た행 = 분류:6월 4일 = = 윤준환 = 윤준환(1941년 7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전라북도 익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했고, 1968년 소년조선일보에 만화 꾸러기로 데뷔했다. = = 출신 학교 = = 이리동산초등학교 이리동중학교 이리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 = 경력 = = 한국어린이만화연구회 회장 동아만화미디어 대표 한국만화가협회 정회원 = = 작품 = = 《참깨밭 들깨밭(알라딘문고 46)》(예원문화사, 1987년) ISBN 2004794002286 《깍두기 반장님 1(알라딘문고 23)》(예원문화사, 1988년) ISBN 2004794000244 《깍두기 반장님 2(알라딘문고 24)》(예원문화사, 1988년) ISBN 2004794000251 《꾸러기 심술일기 1(알라딘문고 108)》(예원문화사, 1988년) ISBN 2004794000404 《골치대장 쭈구리 1(알라딘문고 153)》(예원문화사, 1990년) ISBN 2004794000121 《맹자야 맹자야(알라딘문고 17)》(예원문화사, 1990년) ISBN 2004794001272 《맹자야 맹자야》(예원문화사, 1991년) ISBN 2004794001265 《꾸러기들의 말썽백화점》(예원문화사, 1992년) ISBN 2004794000398 《꾸러기 심술일기 2》(예원문화사, 1992년) ISBN 2004794000411 《꾸러기 만화일기》(대교출판, 1993년) 《꾸러기 만화일기》(대교출판, 1993년) 《말썽천재 꾸러기》(대교출판, 1993년) ISBN 2001272001595 《우야꼬 만화일기》(대교출판, 1994년) 《우야꼬 만화일기》(대교출판, 1994년) 《꾸러기 대소동》(웅진출판주식회사, 1995년) 《골치대장 쭈구리(명랑가족만화 2)》(웅진출판주식회사, 1995년) ISBN 2005035000542 《사고뭉치 꾸러기(꾸러기와맹자 1)》(두산잡지BU, 1996년) 《사부님 우리 사부님(꾸러기와맹자 2)》(두산잡지BU, 1996년) 《심술대장 맹자(꾸러기와맹자 3)》(두산잡지BU, 1996년) 《못말리는 단짝(꾸러기와맹자 4)》(두산잡지BU, 1996년) 《참깨밭 들깨밭(꾸러기명랑만화 6)》(웅진출판주식회사, 1996년) 《깍두기 대소동》(두산동아, 1996년) 《꾸러기 동창생》(두산동아, 1996년) 《천방지축 너구리 1》(웅진출판, 1997년) 《천방지축 너구리 2》(웅진출판, 1997년) 《빵점도사 꾸러기》(웅진출판주식회사, 1997년) 《좌충우돌 맹자》(웅진출판주식회사, 1997년) 《꾸러기는 못 말려》(웅진출판주식회사, 1997년) 《말썽집안 꾸러기네》(웅진출판주식회사, 1997년) 《꾸러기 만화세상》(꿈이있는집, 1998년) 《꾸러기와 맹자 - 만화맹자》(파랑새, 1998년) 《꾸러기와 맹자 - 만화 영어일기》(파랑새어린이, 1999년) 《꾸러기와 쭈구리의 나홀로 119(집안에서편)》(글수레, 1999년) 《꾸러기와 쭈구리의 나홀로 119(집밖에서편)》(글수레, 1999년) 《꾸러기의 한문숙어(저학년용, 참좋은 만화 6)》(계림닷컴, 2000년) 《꾸러기의 한문숙어(고학년용, 참좋은 만화 7)》(계림닷컴, 2000년) 《꾸러기 만화편지》(계림닷컴, 2001년) 《꾸러기 삼강오륜》(파랑새어린이, 2001년) 《꾸러기 명심보감 1(용기편)》(서울문화사, 2001년) 《교과서 만화 국어 3학년》(글수레, 2001년) 《꾸러기 명심보감(지혜편)》(서울문화사, 2001년) 《꾸러기 명심보감(용기편)》(서울문화사, 2001년) 《교과서 만화 국어 1학년》(글수레, 2003년) 《달려가 소방차(집밖에서편)》(글수레, 2003년) 《달려가 소방차(집안에서편)》(글수레, 2003년) 《맹자 - 꾸러기·맹자와 함께하는 고전학습만화》(파랑새어린이, 2006년) 《꾸러기 쭈구리와 함께하는 고전학습만화 삼강오륜》(파랑새어린이, 2006년) 《교과서 만화 수학 2학년》(글수레, 2010년) [[분류:이리고등학교 동문] = 분류: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 리듬 0 = 리듬 0 (1974)은 세르비아 예술가 마리나 아브라모비치가 이탈리아 나폴리의 스튜디오 모라에서 6시간동안 공연했던 행위 예술 작품이다.Marina Abramović, Chris Thompson and Katarina Weslien, "Pure Raw: Performance, Pedagogy, and (Re)presentation", PAJ: A Journal of Performance and Art, 28(1), January 2006 (pp. 29–50), p. 47. 이 작품에서, 아브라모비치는 계속 서있었고 초대된 관객들은 테이블 위에 아브라모비치가 둔 72개의 물건 중 하나를 이용해서 그녀에게 하고싶은 것을 하였다. 72개의 물건 중에는 장미, 가죽, 향수, 꿀, 빵, 포도, 와인, 가위, 메스, 손톱, 금속 막대기, 그리고 총알 한 발이 장전된 총이 포함되었다."Marina Abramović on Rhythm 0 (1974)", Marina Abramović Institute, 2014, c. 01:00 mins."Marina Abramović. Rhythm 0. 1974", Museum of Modern Art. 별개로 나눠진 무대는 없었다. 아브라모비치와 관객들은 같은 공간에 서있었고, 작품에 대한 설명 글은 작품의 일부로써 작품의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Frazer Ward, No Innocent Bystanders: Performance Art and Audienc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2, p. 125. 아브라모비치가 말하기를, 작품의 목적은 관객들이 얼마나 더 나서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관객들은 이런 종류의 상황에서 무엇에 대해 할 것이며,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가?"Abramović 2014, c. 00:00 mins. = = 공연 = = 아브라모비치의 설명은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었다. 안내. 테이블 위에는 당신이 원하는 대로 무언가 할 수 있는 72가지의 물체가 있습니다. 공연. 나는 물체입니다. 이 시간 동안 나는 모든 책임을 집니다. 기간: 6 시간 (오후 8시 - 오전 2시).Ward 2012, p. 119. 아브라모비치는 이 작품에 대해 "그녀의 몸을 한계점에 밀어 넣었다"고 말했다. 관객들은 그녀에게 장미 혹은 키스를 주면서, 평온하게 시작했다. 당시 예술 평론가 토마스 맥에빌리는 다음과 같이 썼다: 공연은 온화하게 시작했다. 누군가는 그녀 주위를 돌았다. 누군가는 그녀의 팔을 공중에서 찔렀다. 누군가는 그녀를 다소 친근하게 만졌다. 나폴리의 밤은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공연 3시간이 지나자 그녀의 옷은 모두 면도날에 찢겼다. 공연 4시간이 지나자 같은 면도날은 그녀의 피부를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녀의 목은 그어져 이제 누군가는 그녀의 피를 빨 수 있었다. 다양하고 소소한 성폭행은 그녀의 몸에 수행되었다. 그녀는 강간 혹은 살인에 저항하지 못하는 그 작품에 전념했다. 인간 심리의 암묵적인 실패와 함께 그녀의 의지의 포기를 직면했을 때, 그 관객 속에서 그녀를 보호하려고 드는 무리는 그 스스로를 규정하기 시작했다. 장전된 총은 마리나의 머리를 찔렀고 그녀의 손가락은 방아쇠 근처로 가져가졌다. 싸움은 관객 무리 사이에서 일어났다."Ward 2012, p. 120. 아브라모비치가 이후 공연에 대해 묘사하기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배운 것은 ... 만약 당신이 그 작품에서 관객 앞에 나선다면, 그들은 당신을 죽일 수 있다 ... 난 정말 위협을 느꼈다: 내 배 위에는 장미 가시가 붙었으며, 한 사람은 내 머리에다 총을 겨눴고, 그리고 누군가는 치워버렸다. 그것은 공격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다. 정확히 6시간 후에, 나는 일어났고 관객들을 향하여 걷기 시작했다. 모두가 달아났다, 실질적인 대치로부터 탈출하기 위해."Daneri, 29; and 30 미술관이 그 작품의 공연 시간이 다 됐음을 알렸을 때, 아브라모비치는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고, 그녀가 말하길 사람으로서의 그녀를 마주칠 수 없었던 관객들은 나가버렸다고 한다.Abramović 2014, c. 01:45 mins. = = 평판 = = 리듬 0은 컴플렉스 잡지에서 역사상 가장 훌륭한 행위 예술 작품 9위로 선정되었다. = 동궁초등학교 = 동궁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9년 9월 1일: 개교 = 분류:1862년 기재된 포유류 = = 어둔 밤 어둔 곳에 = "어둔 밤 어둔 곳에"는 199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동준 김승환 김선애 나유경 서창숙 이상훈 = 틀: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사우디아라비아 선수 명단 = = 오지혜 (모델) = 오지혜(1986년 ~ 2004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모델이다. 강화군 석모도 선착장에서 화보촬영 도중 실족사했다. = = 학력 = =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 분류:1881년 기재된 파충류 = = 박태환 = 박태환(朴泰桓, 1989년 9월 27일~)은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이다. 대한민국의 수영 역사상 최초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자유형 400m에서의 금메달과 자유형 200m에서의 은메달을 획득함으로써 한국인 최초로 수영 올림픽 메달을 어머니 아버지의 기적과 함께 획득하였다. 또한 2012년 하계 올림픽 자유형 400미터서 실격 판정 번복 속에서도 최선을 다해 은메달을 획득한 데 이어, 수영계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하다는 자유형 200미터에서도 값진 은메달을 차지해 한국 수영 선수 최초로 2회 연속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국내 성적은 전국체육대회에서 2005년 울산, 2007년 광주, 2008년 전남 대회까지 3번의 대회 MVP를 수상했으며 그동안 2005년 전국체전 4관왕을 비롯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연속 5관왕에 올랐다. 또한 2004년제28회 아테네 올림픽수영 국가대표, 2006년제15회 도하 아시안게임수영 국가대표, 2008년제29회 베이징 올림픽수영 국가대표, 2010년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수영 국가대표, 2012년제30회 런던 올림픽 수영 국가대표, 2014년제17회 인천 아시안게임수영 국가대표, 2016년제31회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수영 국가대표로 뽑혔다. = = 약력 = = 박태환은 5살 때 천식기가 있어 의사의 권유로 수영을 시작했다. 그가 처음부터 수영을 좋아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어릴 때 물을 무서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속에 들어가자 수영이 좋아졌고 그 이후로 수영을 열심히 했다.올림픽 금메달 박태환의 숨은 감동 스토리 , YTN STAR, 2008년 8월 11일. 대청중학교 3학년 때인 2004년 대한민국 선수단 중 최연소 국가 대표로 주목 받으며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 자유형 400m 예선에서 긴장으로 인한 부정출발로 실격당했으나 2005년 한 해 동안 무려 여섯 번의 대한민국 신기록을 세우며 '신동' 소리를 들었다. 2005년 11월 마카오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자유형 400m에서 3분 48초 71로 대한민국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자유형 1500m에서 15분 00초 32로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며 은메달을 땄다. 1500m는 이 때가 생애 첫 출전이었다. 2006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15회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는 기염을 토하며 아시안게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후 그는 태릉선수촌을 나와 개인 훈련에 돌입했고, 이 과정에서 코치 교체 등 잡음에 시달리기도 했다. 2007년 1월부터는 괌과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2개월 여 동안 전지훈련을 실시했고 2007년 3월 25일에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 자유형 400m 경기에서 예선 2위의 성적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그는 350m 지점까지 4위를 달리다가 마지막 50m에서 역영을 펼쳐, 3분 44초 30으로 2·3위를 기록한 튀니지의 오우사마 멜로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랜트 해켓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기록은 자신이 갖고 있던 대한민국 기록이자 아시아 기록을 1초 42 앞당긴 것이다. 2007년 8월 21일에는 ‘프레 올림픽’ 대회인 2007 일본 국제 수영대회 400m 자유형에서 3분 44초 77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박태환은 2008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정식으로 입학하여 대학원까지 진학하였다. 대학입학시 단국대뿐만 아니라 서울대·연세대·고려대·한체대 등 대학들로부터 입학제의가 들어왔으나 박태환과 가족의 결정은 미래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고려했고 현역 선수 생활을 마친 뒤 교수가 되어 후진양성의 수영지도자로 활동하길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1월부터는 12월까지 배우겸 가수 윤은혜와 함께 의류 제조 업체 베이직하우스의 제6대 광고 모델로 활동하였다. 또한 김연아와 함께 출연했던 다이내믹 코리아 홍보대사와 KB국민은행 광고를 시작으로 SK텔레콤 휴대폰 광고, '2009 코리아매치컵 세계요트대회'의 홍보대사와 우유소비홍보대사를 비롯하여 2010년에는 서울교육청은 추진하는 ‘서울 학생 7560+ 운동’의 저변 확대를 위해 그룹 소녀시대의 서현과 홍보대사로 활동했다. 한편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한국 수영 사상 첫 금메달에 은메달까지 추가하며 한국 최고의 스타로 떠오른 박태환이 중국으로 출국하기 전부터 광고모델 요청을 20건 넘게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2008년 8월 10일에는 베이징의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아시아 최초로 수영 400m 자유형에서 3분 41초 86의 기록으로 그랜트 해켓, 장린 등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어 8월 12일에 벌어진 수영 200m 자유형 종목에서 1분 44초 85의 기록으로 마이클 펠프스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베이징 올림픽 금,은메달 수상 이후 심적 부담감 등의 이유로 심각한 부진에 빠진 박태환은 ‘2009년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자유형 200m, 400m, 1500m 전종목 예선탈락이라는 부진에 빠지게 된다. 전신수영복에 대해 적응을 못하던 그는 2010년 1월 1일부터 전신수영복 금지 규정이 생기면서 다시 한 번 재기의 기회를 노렸다. 2010년 4월부터 80일간 호주 전지훈련에 매달려 1500m를 집중 지구력 위주로 훈련을 하였다. 2010년 8월 19일 2010 팬퍼시픽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200m 은메달을 손에 거머쥐으며 부활의 신호탄을 올렸다. 하지만 하루에 두 경기를 소화한 박태환은 주종목인 1500m에서는 8위 라는 부진한 성적을 내게 된다. 그러나 2010년 8월 21일에 열린 남자 자유형 400m에서 중국의 장린을 따돌리고 전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하였다. 2010년 11월 14일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제 16회 아시안 게임 남자 200m 자유형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던 아시아 최고 기록을 0.05초 앞당기면서 금메달을 땄다. 남자 400m 자유형, 남자 100m 자유형에서도 나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로써 전 대회(2006년 도하)에 이은 2대회 연속 3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쌓게 되면서 한국 수영사의 최고의 대기록을 수립하게 됐지만 도핑검사를 여느 선수보다 많이 받기도 했다. 2012년 하계 런던올림픽에서 자유형 예선에서 오심으로 인해 실격이 되어 결승에 올라가지 못할뻔 하였으나 실격취소를 판정받아 안좋은 컨디션에도 불구하고 자유형200m와400m에서 은메달을 수상하였다. 현재 박태환은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퇴소를 하였다. 2013년 3월 28일 인천시청 수영부에 입단하여 현재 인천광역시청이 소속의 선수로 활동 중이고 2014년부터 한국화이자제약의 진통제 광고 모델을 비롯 삼성전자가 새롭게 선보인 리얼타임 패션 광고에 출연하여 박태환이 역대 메달리스트를 이끄는 모습으로 '갤럭시 응원단'의 응원 여정을 보여준 론칭 광고를 보여주고 있다.박태환, 동계 올림픽을 응원합니다 뉴스1. 2014년 1월 28일 2013년 해군으로부터 명예역 해군 대위로 임관했다. 2016년 리우올림픽 100m 예선포기로 귀국하였다. 2023년부터 수도필터 제조회사 듀벨의 전속 모델로 활동중이다. = = 성적 = = 날짜는 모두 현지 시간이다. = = = 대회 성적 = = = 날짜 종목 대회 장소 순위 기록 기타 2004년 8월 14일 자유형 400m 제28회 하계 올림픽 아테네 DSQ 준비 신호를 출발 신호로 착각하고 입수해 실격 처리됨 2005년 7월 25일 자유형 2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몬트리올 예선 20위 1:49.70 (종전: 박태환 1:50.05) 2005년 11월 6일 자유형 400m 동아시아 경기 대회 마카오 1위 3:48.71 2005년 11월 2일 자유형 1500m 동아시아 경기 대회 마카오 2위 15:00.32 (종전: 위청 15:10.99) 2006년 4월 9일 자유형 1500m(쇼트 코스)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중국 상하이 2위 14:33.28 2006년 6월 자유형 200m 국가대표 공인기록평가회 대한민국 울산 1:48:82 2006년 8월 17일 자유형 2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빅토리아 2위 1:47.51 (종전: 박태환 1:48:82) 2006년 8월 19일 자유형 4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빅토리아 1위 3:45.72 (종전: 마쓰다 다케시, 3:47.28) 2006년 8월 20일 자유형 15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빅토리아 1위 15:06.11 2006년 12월 3일 자유형 200m 제15회 아시안 게임 카타르 도하 1위 1:47.12 (종전: 박태환, 1:47.51) 2006년 12월 5일 자유형 400m 제15회 아시안 게임 카타르 도하 1위 3:48.44 2006년 12월 6일 자유형 100m 제15회 아시안 게임 카타르 도하 2위 50.02 2006년 12월 7일 자유형 1500m 제15회 아시안 게임 카타르 도하 1위 14:55.03 (종전: 장린 15:00:27) 2007년 3월 25일 자유형 4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1위 3:44.30 (종전: 박태환 3:45:72) 2007년 3월 27일 자유형 2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3위 1:46.73 (종전: 박태환 1분46초73) 2007년 8월 21일 자유형 400m 일본 국제 수영 대회 일본 지바 1위 3:44.77 2007년 10월 13일 자유형 100m 제88회 전국 체육 대회 대한민국 광주 1위 49.32 (종전: 박태환 50.02) 2008년 4월 18일 자유형 400m 제80회 동아 수영 대회 대한민국 울산 1위 3:43.59 (종전: 박태환 3:44.30) 2008년 4월 20일 자유형 200m 제80회 동아 수영 대회 (대학부 결승) 대한민국 울산 1위 1:46.26 (종전: 박태환 1:46.73) 2008년 8월 10일 자유형 400m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국 베이징 1위 3:41.86 (종전: 장린 3:43.32) 2008년 8월 11일 자유형 200m 제29회 하계 올림픽 (예선) 중국 베이징 - 1:45.99 (종전: 박태환 1:46:26) 2008년 8월 12일 자유형 200m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국 베이징 2위 1:44.85 (종전: 박태환 1:45:99) 2008년 10월 15일 자유형 100m 제89회 전국 체육 대회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1위 48.94 (종전 : 박태환 49.32) 2009년 7월 26일 자유형 4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예선) 이탈리아 로마 예선 12위 3:46.04 2009년 7월 28일 자유형 2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로마 준결승 13위 1:46.68 2010년 8월 18일 자유형 2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미국 어바인 2위 1:46.27 2010년 8월 20일 자유형 4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미국 어바인 1위 3:44.73 2010년 11월 14일 자유형 200m 제16회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1위 1:44.80 (종전: 박태환 1:44.85) 2010년 11월 16일 자유형 400m 제16회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1위 3:41.53 (종전: 박태환 3:41.86) 2010년 11월 17일 자유형 100m 제16회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1위 48.70 (종전: 박태환 48.94) 2010년 11월 18일 자유형 1500m 제16회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2위 15:01.72 2011년 7월 24일 자유형 4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중국 상하이 1위 3:42.04 2011년 7월 26일 자유형 200m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중국 상하이 4위 1:44.92 2012년 7월 28일 자유형 400m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2위 3:42.06 2012년 7월 31일 자유형 200m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2위 1:44.93 2012년 8월 4일 자유형 1500m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4위 14:50.61 2014년 8월 23일 자유형 400m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골드코스트 1위 3:43.15 = = = 개인 최고 기록 = = = 종목 기록 날짜 대회 장소 기타 자유형 100m 48초 42 2014. 02. 28 뉴사우스웨일스 주 오픈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자유형 200m 1분 44초 80 2010. 11. 14. 2010년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자유형 400m 3분 41초 53 2010. 11. 16 2010년 아시안 게임 중국 광저우 자유형 800m 7분 52초 07 2012. 06. 01 산타클라라 국제 그랑프리 미국 산타클라라 자유형 1500m 14분 47초 38 2012. 02. 12 뉴사우스웨일스 주 오픈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 = 범례 = = = align="center" width="27" 1 아프리카 신기록 Q 예선 통과 올림픽 신기록 align="center" 북아메리카 신기록 DNS 경기를 시작하지 않음 align="center" 아시아 신기록 DNF 경기를 마치지 않음 align="center" 국가 신기록 align="center" 유럽 신기록 DSQ 실격 align="center" 개인 최고 기록 (개인 신기록) align="center" 오세아니아 신기록 WD 기권 align="center" 시즌 최고 기록 (시즌 신기록) align="center" 남아메리카 신기록 NM 기록 없음 = = 사건사고 = = = = = 네비도 투여 사건 = = =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이전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인 네비도를 투약한 것으로 드러나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로써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획득한 모든 메달이 박탈되었다. 징계기간은 2014년 9월 3일부터 2016년 3월 2일까지이며 자격정지로 인해 선수자격으로 훈련을 할 수 없어 일반인 자격으로 노민상 수영교실에 등록해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수영장에서 훈련을 재개했다.박태환, 올림픽수영장에서 다음달 훈련 재개 예정박태환, 다시 한번 수영 스타트?…노민상 수영 교실 등록해 '훈련 스타트' 그러나 대한체육회 규정상 금지 약물 징계를 받은 선수는 징계 만료일로부터 2년 간 대표 선수로 뛸 수 없기 때문에 현 대한체육회 규정상 2019년 3월까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발탁이 불가능해 리우 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었다. 이중처벌 논란이 일자 대한체육회는 국민생활체육회와 통합 작업이 마무리되는 2016년 3월 이후 법률 검토를 거쳐 박태환의 출전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박태환, 리우올림픽 출전 가능성은…"체육회 통합 이후 논의" 법원은 대한체육회와 수영연맹을 상대로 낸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였다. 박태환은 국제스포츠 중재재판소(CAS)에 대한체육회와 수영연맹을 상대로 이중처벌 철회에 대한 소송을 걸었고 결국 국제스포츠 중재재판소(CAS)가 박태환의 손을 들어주면서 박태환은 우여곡절 끝에 리우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 = = = 네비도 투여 사건 일지 = = = = 2014년 7월 29일 박태환 T병원에서 네비도 주사 투여, 9월 3일 FINA 도핑테스트, 10월 30일 FINA, 박태환에게 도핑테스트(9월 실시 A샘플) 양성반응 통보, 12월 2일 ~ 4일 캐나다 몬트리올 세계반도핑위원회(WADA) 인증 연구소 B샘플(9월 실시) 검사, 12월 8일 FINA, 박태환에게 도핑테스트(9월 실시 B샘플) 양성반응 통보, 12월 9일 FINA, 박태환 임시 선수자격 정지, 2015년 1월 20일 박태환 측, 검찰에 T병원 고소, 2월 6일 검찰, 업무상 과실치사 등 혐의로 T병원장 불구속기소, 3월 23일 박태환 등 청문회 대응팀 FINA 청문회 출석, 3월 24일 FINA, 박태환에 18개월 자격정지 징계…2014 인천 AG 메달 6개 박탈, 12월 17일 서울중앙지법, 업무상과실치상 및 의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T병원장에게 벌금 100만원 선고 2016년 3월 3일 FINA 징계 해제, 박태환 선수신분 회복 11월 25일 S호텔 김원장의 상고심에서 의료법 위반에 대해서는 유죄, 업무상과실치상 혐의에는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 = = = = 네비도 투여 사건 법정공방 = = = = 사건의 본질은 법정공방 속에서 밝혀지는데 2015년 1월20일 박태환 측이 검찰에 금지 약물을 투여했다고 의심되는 T병원을 상해 등 혐의로 고소하면서 시작된다. 검찰 조사(형사2부(부장검사 이두봉))에서 ‘박태환이 남성호르몬 증가를 위해 주사제를 맞았다’는 사실관계는 어느 정도 확인이 되었다. 쟁점은 네비도와 테스토스테론에 대해 당사자들이 당시에 얼마나 인지하고 있었는지인데, 이 부분에서 박태환과 병원 측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박태환은 “주사 성분 등을 수 차례 확인했고, 병원에서도 문제가 없는 주사라고 했다. 주사제 이름이 네비도인 줄도 몰랐다”는 입장인 반면, 의사 김씨는 “테스토스테론이 금지약물인 줄 몰랐다. 난 도핑 전문가가 아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판 과정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박태환은 테스토스테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금지약물인 성장호르몬 주사도 맞은 것으로 보인다. 병원측 변호인은 “박태환이 T병원에서 남성호르몬 2회, 성장호르몬 4회, 비타민주사 15회를 맞았다”고 주장했다. 박태환은 “배에 맞는 성장호르몬 주사를 한 번 맞은 기억은 있다”며 “그게 금지약물인지는 몰랐다”고 했다. 병원측 변호인은 박태환이 T병원에서 피를 뽑았다가 다시 주입하는 PRP(자가혈치료술)를 받은 사실도 밝혔다. 박태환은 금지약물 교육을 매년 10년이상 받았는데, 남성호르몬제나 성장호르몬제가 도핑에 문제가 없을것이라고 생각하고 처방 받았다는것은 모순이다. 상시금지약물 S1.이 남성호르몬제, S2.가 성장호르몬이기 때문이다. 이미 두가지 상시금지약물을 맞았고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RP(자가혈치료술)를 받은 것이 드러났다. 이러한 이유로 미필적 고의 또는 고의로 처방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치료 목적을 위한 처방은 치료 목적 사용 면책 (Therapeutic Use Exemption)이라는 방법을 이용해서 처방받을 수 있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은 치료 목적이었다고 볼 수 없는 이유가 된다. 2016년 11월 25일 S호텔 김원장의 상고심에서 의료법 위반에 대해서 유죄를 받은 것은 "네비도 주사를 맞은 후 부작용 등에 대해 제대로 설명했어야 하는 의무가 있는데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유죄를 받은 것이다. 박태환도 모르게 남성호르몬제를 맞게 한 것이 아니고 남성호르몬 제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벌금형을 받은 것이다. = = = = 도핑관련 = = = = 박태환처럼 "국제수준"등급의 선수가 아니더라도 국가대표 선수들은 매년 1회 이상의 도핑방지교육을 받는다. 상시금지약물 한국도핑방지규정 한국도핑방지교육의 주요내용은 선수 생활을 하는동안 도핑방지는 생활이다.라는 것과 아래와 같이 여러번에 거쳐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것을 강조하고 있다. [제2조 도핑의 정의 및 도핑방지규정위반]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는 도핑방지규정위반과 금지목록에 포함된 약물 및 방법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 책임을 진다. 22.1.3 도핑방지와 관련하여 선수가 사용하고 복용한 모든 물질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또한 상시금지약물은 여섯가지로 분류되는데 S1.동화작용제(남성호르몬), S2.펩티드호르몬, 성장인자(성장호르몬)이다. "모르고 주사 맞아" - 의사 "금지약물인지 몰라" = 피카요 토모리 = 올루와피카요미 올루와다밀롤라 "피카요" 토모리(, 1997년 12월 19일 ~ )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현재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AC 밀란 소속으로 뛰고 있다. 캐나다 캘거리에서 나이지리아계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005년에 첼시 유스에 입단했다. 2016년에 첼시 1군 팀에 이름을 올렸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헐 시티, 더비 카운티에서 임대되었다. 201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잉글랜드의 우승을 견인했다. = 체코의 인구 = = = 인구학적 동향 = = 2018년 유엔 통계 기준 체코의 인구는 1066만 5677명으로, 20세기 초의 인구가 930만 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그간 인구 성장률은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 요인으로는 낮은 출산율과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의 인구 손실 등이 꼽힌다. 제1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인구가 약 35만 명 감소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즈음 1120만 명으로 인구가 최대치에 이르렀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거주자들을 추방하고 난 뒤, 약 300만 명의 주민이 감소했고, 1947년 기준 인구가 880만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인구가 다시 증가해 1994년 기준 1033만 명으로 나타났다. 1994-2003년 인구 자연 증감률은 연평균 -0.15%로, 약간 감소세를 보였으며, 인구는 1020만 명으로 감소했다. 이후 2019년까지의 자연 증감률은 거의 증가세를 보이며 크게 나쁘지는 않았지만, 인구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중 것은 이민 유입었다. 다음은 유엔의 인구 통계: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체코의 인구 1950 1970 1990 1994 1995 2004 2005 2015 890.3만 명 ↗981.8만 명 ↗1034.1만 명 ↗1036.1만 명 ↘1035.8만 명 ↘1023.9만 명 ↗1025.8만 명 ↗1060.1만 명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총인구: 1070만 명 15세 미만 인구: 15.7% 15~24세 인구: 9.0% 25~64세 인구: 55.5% 65세 이상 인구: 19.8%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2.8명 인구 성장률: 0.2%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10.3명 합계출산율: 1.66명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10.6명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2명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3명 출생시 기대수명: 79.4세 = = 인구 조사 = = 체코의 인구 조사 날짜 인구 31 Dec 1857 7,016,531 31 Dec 1869 7,617,230 31 Dec 1880 8,222,013 31 Dec 1890 8,665,421 31 Dec 1900 9,372,214 31 Dec 1910 10,078,637 15 Feb 1921 10,009,587 1 Dec 1930 10,674,386 1 Mar 1950 8,896,133 1 Mar 1961 9,571,531 1 Dec 1970 9,807,697 1 Nov 1980 10,291,927 3 Mar 1991 10,302,215 1 Mar 2001 10,230,060 25 Mar 2011 10,486,731 = = 인구 통계 = = = = = 1900-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 = =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1000명당) 조사망률 (1000명당) 자연 증감률 (1000명당) 합계출산율 국제 순이동 1900 9,334,000 330,662 227,920 102,742 35.4 24.4 11.0 4.85 1901 9,405,000 325,514 221,052 104,462 34.6 23.5 11.1 4.76 1902 9,475,000 333,619 222,457 111,162 35.2 23.5 11.7 4.68 1903 9,545,000 318,275 218,448 99,827 33.3 22.9 10.5 4.6 1904 9,615,000 319,433 222,276 97,157 33.2 23.1 10.1 4.52 1905 9,685,000 300,414 232,999 67,415 31.0 24.1 7.0 4.44 1906 9,754,000 313,449 203,182 110,267 32.1 20.8 11.3 4.36 1907 9,825,000 306,356 210,721 95,635 31.2 21.4 9.7 4.27 1908 9,895,000 308,504 210,101 98,403 31.2 21.2 9.9 4.19 1909 9,965,000 305,426 210,047 95,379 30.6 21.1 9.6 4.11 1910 10,036,000 295,617 196,728 98,889 29.5 19.6 9.9 4.03 1911 10,099,000 289,058 206,266 82,792 28.6 20.4 8.2 3.92 1912 10,157,000 280,368 203,324 77,044 27.6 20.0 7.6 3.82 1913 10,221,000 275,060 190,475 84,585 26.9 18.6 8.3 3.71 1914 10,283,000 269,142 188,838 80,304 26.2 18.4 7.8 3.6 1915 10,286,000 197,542 201,280 -3,738 19.2 19.6 -0.4 3.5 1916 10,222,000 140,211 186,381 -46,170 13.7 18.2 -4.5 3.39 1917 10,128,000 126,916 188,649 -61,733 12.5 18.6 -6.1 3.28 1918 10,004,000 120,579 236,035 -115,456 12.1 23.6 -11.5 3.18 1919 9,922,000 189,675 177,428 12,247 19.1 17.9 1.2 3.07 1920 9,978,000 244,668 176,562 68,106 24.5 17.7 6.8 2.964 1921 10,002,000 257,281 161,321 95,960 25.7 16.1 9.6 3.035 1922 10,113,000 248,728 163,366 85,362 24.6 16.2 8.4 2.882 1923 10,198,000 241,230 142,335 98,895 23.7 14.0 9.7 2.768 1924 10,278,000 228,894 146,098 82,796 22.3 14.2 8.1 2.590 1925 10,370,000 225,555 146,450 79,105 21.8 14.1 7.6 2.484 1926 10,443,000 219,802 148,298 71,504 21.0 14.2 6.8 2.392 1927 10,496,000 208,711 155,479 53,232 19.9 14.8 5.1 2.237 1928 10,549,000 208,942 147,064 61,878 19.8 13.9 5.9 2.209 1929 10,598,000 203,064 155,493 47,571 19.2 14.7 4.5 2.124 1930 10,648,000 207,224 142,159 65,065 19.5 13.4 6.1 2.149 1931 10,702,000 196,214 144,534 51,680 18.3 13.5 4.8 2.026 1932 10,750,000 190,397 142,997 47,400 17.7 13.3 4.4 1.966 1933 10,791,000 176,201 140,906 35,295 16.3 13.1 3.3 1.826 1934 10,826,000 171,042 135,914 35,128 15.8 12.6 3.2 1.774 1935 10,853,000 161,748 140,878 20,870 14.9 13.0 1.9 1.678 1936 10,873,000 157,992 139,093 18,899 14.5 12.8 1.7 1.664 1937 10,889,000 155,996 139,558 16,438 14.3 12.8 1.5 1.690 1938 10,877,000 163,525 143,115 20,410 15.0 13.2 1.9 1.847 1939 11,106,000 192,344 146,976 45,368 17.3 13.2 4.1 1.916 1940 11,160,000 218,043 153,499 64,544 19.5 13.8 5.8 2.195 1941 11,129,000 208,913 152,048 56,865 18.8 13.7 5.1 2.279 1942 11,054,000 199,259 153,096 46,163 18.0 13.8 4.2 2.422 1943 11,035,000 225,379 153,349 72,030 20.4 13.9 6.5 2.784 1944 11,109,000 230,183 161,457 68,726 20.7 14.5 6.2 2.796 1945 10,693,000 194,182 184,944 9,238 18.2 17.3 0.9 2.673 1946 9,523,000 210,454 134,568 75,886 22.1 14.1 8.0 3.254 1947 8,765,000 206,745 105,277 101,468 23.6 12.0 11.6 3.050 1948 8,893,000 197,837 101,501 96,336 22.2 11.4 10.8 2.886 1949 8,893,000 185,484 104,632 80,852 20.9 11.8 9.1 2.728 1950 8,930,000 188,341 103,203 85,138 21.1 11.6 9.5 2.801 1951 9,000,000 185,570 102,658 82,912 20.6 11.4 9.2 2.763 1952 9,075,000 180,143 97,726 82,417 19.9 10.8 9.1 2.701 1953 9,140,000 172,547 98,837 73,710 18.9 10.8 8.1 2.611 1954 9,200,000 168,402 99,636 68,766 18.3 10.8 7.5 2.581 1955 9,270,000 165,874 93,300 72,574 17.9 10.1 7.8 2.578 1956 9,330,000 162,509 93,526 68,983 17.4 10.0 7.4 2.568 1957 9,390,000 155,429 98,687 56,742 16.6 10.5 6.0 2.495 1958 9,435,000 141,762 93,697 48,065 15.0 9.9 5.1 2.305 1959 9,465,000 128,982 97,159 31,823 13.6 10.3 3.4 2.121 1960 9,490,000 128,879 93,863 35,016 13.6 9.9 3.7 2.113 1961 9,587,000 131,019 94,973 36,046 13.7 9.9 3.8 2.133 1962 9,625,000 133,557 104,318 29,239 13.9 10.8 3.0 2.140 1963 9,671,000 148,840 100,129 48,711 15.4 10.4 5.0 2.332 1964 9,728,000 154,420 101,984 52,436 15.9 10.5 5.4 2.356 1965 9,779,000 147,438 105,108 42,330 15.1 10.7 4.3 2.178 1966 9,821,000 141,162 105,784 35,378 14.4 10.8 3.6 2.008 1967 9,853,000 138,448 108,967 29,481 14.1 11.1 3.0 1.897 1968 9,876,000 137,437 115,195 22,242 13.9 11.7 2.3 1.827 1969 9,897,000 143,165 120,653 22,512 14.5 12.2 2.3 1.859 1970 9,800,000 147,865 123,327 24,538 15.1 12.6 2.5 1.913 1971 9,827,000 154,180 122,375 31,805 15.7 12.5 3.2 1.978 1972 9,868,000 163,661 119,205 44,456 16.6 12.1 4.5 2.074 1973 9,922,000 181,750 124,437 57,313 18.3 12.5 5.8 2.286 1974 9,988,000 194,215 126,809 67,406 19.4 12.7 6.7 2.431 1975 10,059,000 191,776 124,314 67,462 19.1 12.4 6.7 2.402 1976 10,126,000 187,378 125,232 62,146 18.5 12.4 6.1 2.362 1977 10,187,000 181,763 126,214 55,549 17.8 12.4 5.5 2.319 1978 10,242,000 178,901 127,136 51,765 17.5 12.4 5.1 2.324 1979 10,292,000 172,112 127,949 44,163 16.7 12.4 4.3 2.286 1980 10,283,000 153,801 135,537 18,264 15.0 13.2 1.8 2.096 1981 10,301,000 144,438 130,407 14,031 14.0 12.7 1.4 2.016 1982 10,315,000 141,738 130,765 10,973 13.7 12.7 1.1 2.007 1983 10,324,000 137,431 134,474 2,957 13.3 13.0 0.3 1.963 1984 10,330,000 136,941 132,188 4,753 13.3 12.8 0.5 1.966 1985 10,337,000 135,881 131,641 4,240 13.1 12.7 0.4 1.962 1986 10,341,000 133,356 132,585 771 12.9 12.8 0.1 1.935 1987 10,349,000 130,921 127,244 3,677 12.7 12.3 0.4 1.909 1988 10,356,000 132,667 125,694 6,973 12.8 12.1 0.7 1.940 1989 10,362,000 128,356 127,747 609 12.4 12.3 0.1 1.873 1990 10,363,000 130,564 129,166 1,398 12.6 12.5 0.1 1.893 1991 10,309,000 129,354 124,290 5,064 12.5 12.1 0.5 1.860 1992 10,318,000 121,705 120,337 1,368 11.8 11.7 0.1 1.714 1993 10,331,000 121,025 118,185 2,840 11.7 11.4 0.3 1.665 1994 10,336,000 106,579 117,373 -10,794 10.3 11.4 -1.0 1.438 1995 10,331,000 96,097 117,913 -21,816 9.3 11.4 -2.1 1.277 1996 10,315,000 90,446 112,782 -22,336 8.8 10.9 -2.2 1.185 1997 10,304,000 90,657 112,744 -22,087 8.8 10.9 -2.1 1.172 1998 10,295,000 90,535 109,527 -18,992 8.8 10.6 -1.8 1.156 1999 10,283,000 89,471 109,768 -20,297 8.7 10.7 -2.0 1.132 2000 10,273,000 90,910 109,001 -18,091 8.8 10.6 -1.8 1.143 2001 10,224,000 90,715 107,755 -17,040 8.9 10.5 -1.7 1.145 2002 10,201,000 92,786 108,243 -15,457 9.1 10.6 -1.5 1.171 12,290 2003 10,207,000 93,685 111,288 -17,603 9.2 10.9 -1.7 1.178 25,789 2004 10,216,000 97,664 107,177 -9,513 9.6 10.5 -0.9 1.226 18,635 2005 10,236,000 102,211 107,938 -5,727 10.0 10.5 -0.6 1.281 36,229 2006 10,269,000 105,831 104,441 1,390 10.3 10.2 0.1 1.327 34,720 2007 10,334,000 114,632 104,636 9,996 11.1 10.1 1.0 1.438 83,945 2008 10,425,000 119,570 104,948 14,622 11.5 10.1 1.4 1.497 71,790 2009 10,488,000 118,348 107,421 10,927 11.3 10.2 1.0 1.492 28,344 2010 10,517,000 117,153 106,844 10,309 11.1 10.2 0.9 1.493 15,648 2011 10,514,000 108,673 106,848 1,825 10.4 10.2 0.2 1.427 16,889 2012 10,516,100 108,576 108,189 387 10.3 10.3 0.0 1.452 10,293 2013 10,512,400 106,751 109,160 -2,409 10.2 10.4 -0.2 1.456 -1,297 2014 10,538,300 109,860 105,665 4,195 10.4 10.0 0.4 1.527 21,661 2015 10,553,800 110,764 111,173 -409 10.5 10.5 0.0 1.570 15,977 2016 10,578,800 112,663 107,750 4,913 10.7 10.2 0.5 1.630 20,064 2017 10,610,000 114,405 111,443 2,962 10.8 10.5 0.3 1.687 28,273 2018 10,649,800 114,036 112,920 1,116 10.7 10.6 0.1 1.708 38,629 2019 10,693,939 112,231 112,362 -131 10.5 10.5 -0.0 1.709 44,270 2020 10,701,777 110,200 129,289 -19,089 10.3 12.1 -1.8 1.710 26,927 = 분류:송 (남조)의 불교 신자 = = 쿼드시티 말라즈 = 쿼드시티 말라즈(Quad City Mallards)는 미국 일리노이주 멀린을 연고지로 하는 ECHL의 서부 콘퍼런스 센트럴 디비전 소속 아이스 하키팀이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CHL에 참가하였다가, 2014~2015시즌부터 ECHL로 옮겼다. = = 역대 홈경기장 = = 경기장 사용기간 수용인원 장소 비고 쿼드시티 말라즈 쿼드시티 말라즈 쿼드시티 말라즈 쿼드시티 말라즈 쿼드시티 말라즈 아이와이어리스 센터 2009년~현재 9,200명 일리노이주 멀린 = 모듈:Location map/data/Guatemala Chiquimula = return { name = 'Chiquimula Department', top = 14.989917, bottom = 14.214617, left = -89.766836, right = -89.058531, image = 'Chiquimula department location map.svg', } = 분류:런더구 = = 린지 덩컨 = 린지 덩컨(Lindsay Duncan, CBE, 1950년 11월 7일 ~ )은 스코틀랜드의 배우이다. = = 서훈 = = 2009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 = = 작품 목록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어메이징 메리 - 에블린 역 = 분류:파파야 = = 1988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다음은 1988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 = 목록 = = 가루지기 감자 강시훈련원 고금소총 공방살 화녀 그 마지막 겨울 그녀와 마지막 춤을 그대 원하면 깜동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나신들 뉴머신 우뢰메 5탄 당신은 안개꽃 대남 대물 더블베드 소동 독불장군 돌아이 4 둔버기 둥지 속의 철새 떠돌이 까치 떡 로버트스타 짱가 매춘 맷돌 멋장이 세상 목밀녀 미리마리 우리두리 벽속의 부인 변강쇠 3 보릿고개 불이라 불리운 여인 빨간앵두 4 뽕 2 사랑의 낙서 사방지 산배암 성공시대 성야 소금장수 슈퍼홍길동 2 - 공초 도사와 슈퍼 홍길동 슈퍼홍길동 스파크맨 시로의 섬 아다다 아리수변 꿈나무 아메리카 아메리카 아스팔트 위의 동키호테 어른들은 몰라요 업 여자가 숨는 숲 여자세상 연산일기 오성군,한음군 외계번개용 외계인 코브라 요화경 욕 용호취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위험한 향기 은하에서 온 별똥왕자 3 이장호의 외인구단 2 이조춘화도 접시꽃 당신 지금은 양지 지리산의 성난 토끼들 청춘시대 칠소여복성 칠수와 만수 카멜레온의 시 캠퍼스 연애특강 팁 파리애마 풀잎사랑 필사의 도망자 합궁 햄버거 쟈니 호호전 회장님 우리회장님 후궁별곡 = = 참고 자료 = = *KOFIC 영화데이터베이스 = 틀:클릭가능한 버튼 = = 분류:14세기 태국 사람 = = 내 몸에 주인은 없다 = "내 몸에 주인은 없다"는 한국에서 제작된 최경섭 감독의 1966년 영화이다. 강신성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홍의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강신성일 허장강 강문 = = 기타 = = 조명: 이현우 미술: 홍명기 = 분류:세계명작극장 = = 금능동 = 금능동(金陵洞)은 다음 지역에 위치했던 대한민국의 동이다. 경기도 파주시에 존재했던 금능동은 지금의 경기도 파주시 금릉동이다. 충청북도 충주시에 존재했던 금능동은 지금의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이다.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에 존재했던 금능동은 지금의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금릉리이다. = 회색뺨날다람쥐 = 회색뺨날다람쥐(Hylopetes lepid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 동남아시아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서 발견된다. = = 특징 = = 회색뺨날다람쥐 몸길이는 11.7~13.5cm이고 꼬리 길이는 11.8~12cm이다. = = 생태 = =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설치류이고 야행성 동물이다. 코코야자 등 야자나무 속에 둥지를 만든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자와섬과 보르네오섬 북부 지역 우림에서 서식한다. = 분류:나라별 8세기의 해 = = 시마즈 나리오키 = 시마즈 나리오키는 에도 시대 후기의 도자마 다이묘이다. 시마즈씨 제27대 당주이자 사쓰마번 제10대 번주이다. = = 생애 = = = = = 가독 승계 = = = 간세이 3년 (1791년) 11월 6일, 9대 당주 시마즈 나리노부의 장남으로써 에도에서 태어났다. 생모의 친가인 스즈키씨는 낭인이었기 때문에, 나리오키 출생 후에 번과 스즈키씨간의 다툼이 일어났다. 분카 원년 (1804년) 10월에 원복을 하고,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서 휘를 받아 초명이었던 忠温 (타다요시/타다하루/타다아츠)에서 나리오키로 개명하고, 종4위하 시종 겸 분고노카미에 취임했다. 분카 6년 (1809년) 6월, 킨시로쿠 붕괴의 책임을 지는 형태로 아버지 나리노부가 할아버지 시게히데에 의해 강제 은거당했기 때문에, 그 뒤를 이어 10대 번주가 되었다. 그러나 번주가 되긴 했지만, 번정 개혁 등의 실권은 시게히데에게 있었다. 덴포 4년 (1833년), 시게히데가 89세의 나이로 긴 생애를 마감하자, 그제서야 번정의 실권을 잡고, 시게히데의 대부터 번정 개혁의 중진인 즈쇼 히로사토를 중용하여 재정개혁을 주로 한 사츠마번의 덴포 개혁에 힘썼다. 번정 개혁에서는 즈쇼 주도하에 빚 250년 분할 지불과 청나라와의 밀무역, 설탕 전매, 가짜 돈 만들기 등이 큰 효과를 나타내 사츠마번의 재정은 단번에 회복되었다. 그러나 가에이 원년 (1848년), 막부로부터 밀무역 건으로 비난받아 즈쇼는 12월에 급사했다. 나리오키에게 책임을 미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혼자 죄를 뒤집어쓰고 음독자살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대외 위기가 고조되면서, 서양식 포술을 채택하기로 하고, 번사를 나가사키에 파견하여 배우게 하거나, 주제방을 설치하여 대포 제조 등에도 착수했다. = = = 오유라 소동 = = = 이 무렵, 나리오키의 후계를 둘러싸고 번 내에서는 분쟁이 일어났다. 나리오키의 아들 중 성인이 된 남자는 정실 이요히메 (카네코) (돗토리번주 이케다 하루미치의 딸)와의 사이에서 낳은 적자 나리아키라, 측실 오유라노카타와의 사이에서 낳은 5남 히사미츠가 있다. (차남 나리토시는 오카야마 이케다씨를 계승함). 원래라면 적남인 나리아키라가 이어야지만, 나리오키는 오유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히사미츠를 편애하였기 때문에, 그를 후계자로 하려했었다. 그러나 번내에서는 총명한 나리아키라를 후계자로 권하는 사람이 적지 않아, 가에이 2년 (1849년) 12월에 집안 소동 (오유라 소동)이 발발했다. 이는 나리아키라의 옹립을 바라는 야마다 키요야스(山田清安), 타카사키 고로에몬(高崎五郎右衛門), 콘도 류자에몬(近藤隆左衛門) 등 50여명이 대립하는 히사미츠와 그의 생모 오유라를 암살하려는 음모가 있었지만, 사전에 계획이 드러나 자살한 사건이다. 이 후에도 번 내에서는 나리아키라파와 히사미츠파로 나뉘어 대립이 끊이지 않았으나, 가에이 4년 (1851년) 2월, 로쥬 아베 마사히로의 조정에 의해, 나리오키는 은거하고, 나리아키라가 가독을 잇게 되었다. = = = 만년과 최후 = = = 안세이 5년 (1858년) 7월 16일, 나리아키라가 먼저 50세의 나이로 급사하자, 나리아키라의 유언에 따라 번주는 히사미츠의 장남 타다노리가 어리다는 이유로 다시 번정을 장악하였다. 나리아키라가 계획했던 병사를 거느리고 상락하는 것을 취소하고, 안세이의 대옥에서 교토에서 사츠마로 도망쳐온 겟쇼의 보호를 거부했지만, 사이고 타카모리의 신병에 대해서는 아마미 오오시마에 숨기고, 막부에는 사이고는 죽었다고 위장했다. 또, 집성관 사업의 축소를 명하는 등, 복고 정책을 실시했지만, 안세이 6년 (1859년) 9월 12일에 69세 (만 67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 = 약력 = = ※ 날짜는 음력임. 분카 원년 (1804년) 10월, 원복 (성인식).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한글자를 받아, 나리오키(斉興)라고 하게 됨. 종4위하 시종에 임명되었다. 분고노카미 겸임. 분카 6년 (1809년) 6월 17일, 가독 승계. 12월 16일 좌근위권소장(左近衛権少将)로 관직이 바뀜. 분고노카미 겸임 유임. 분세이 원년 (1818년) 12월 16일, 종4위상으로 승진. 좌근위권중장(左近衛権中将)으로 관직이 바뀜. 분고노카미 겸임 유임. 덴포 3년 (1832년) 5월 16일, 겸임이었던 분고노카미가 오스미노카미로 바뀜. 덴포 3년 (1832년) 윤11월 2일, 정4위하로 승진. 좌근위권중장(左近衛権中将), 오스미노카미 유임 덴포 9년 (1838년) 12월 5일, 참의로 부임 덴포 13년 (1842년) 12월 1일, 정4위상으로 승진. 참의 유임. 가에이 4년 (1851년) 2월 2일, 은거. 안세이 4년 (1857년) 12월 15일, 종3위로 승진. ※참고 - 막부 말기 메이지 중직 보임・부제번 일람 (도쿄대학출판회, 2016년 발행) = = 가계 = = 아버지 : 시마즈 나리노부 (1774년 ~ 1841년) 어머니 : 사타케 요시마사의 양녀 - 스즈키 카츠나오의 딸, 측실 정실 : 이요히메 (1792년 ~ 1824년) - 카네코, 켄쇼인, 이케다 하루미치의 딸 장남 : 시마즈 나리아키라 (1809년 ~ 1858년) 차남 : 이케다 나리토시 (1811년 ~ 1842년) 차녀 : 코우히메 (1815년 ~ 1880년) - 야마우치 토요테루의 정실 4남 : 모로노스케 (諸之助, 1817년 ~ 1819년) - 요절. 분카 14년 (1817년) 3월 17일생 6남 : 친노스케 (珍之助, 1819년 ~ 1820년) - 요절. 분세이 2년 (1819년) 2월 13일생 측실 : 오유라노카타 (1795년 ~ 1866년) - 쵸닌 출신 3녀 : 사토히메 (智姫, 1815년 ~ ?) - 요절 5남 : 시마즈 히사미츠 (1817년 ~ 1887년) - 타네가시마 히사미치, 시마즈 타다키미의 양자 7남 : 유시치로 (唯七郎) - 요절 측실 : 세키네 츠네타다의 딸 측실 : 니시나리 준의 딸 약혼자 : 토미 - 마츠다이라 하루사토의 딸 생모 불명의 자녀 장녀 : 順姫 - 혼다 야스아키의 정실 양자녀 양녀 : 이쿠히메 (1807년 ~ 1850년) - 오키코(興子), 시마즈 나리노부의 딸, 코노에 타다히로의 정실 양녀 : 아리마 하루히메 (1820년 ~ 1903년) - 세이운인(晴雲院), 시마즈 나리노부의 딸. 아리마 요리토우의 정실 양녀 : 카츠히메 - 시마즈 나리노부의 딸, 마츠다이라 야스히사의 정실 쇼와 천황의 황후인 고준 황후는 나리오키의 4대손(외증손녀), 아키히토는 5대손, 나루히토는 6대손에 해당한다. = = 등장 작품 = = 나는 듯이 (1990년, 배우 : 에미 슌타로) 아츠히메 (2008년, 배우 : 나가토 히로유키) 세고돈 (2018년, 배우 : 카가 타케시)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 2002년 OFC 네이션스컵은 OFC에서 주최한 여섯 번째 OFC 네이션스컵이며, 2002년 7월 5일부터 7월 14일까지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었다.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 오클랜드 - 에릭슨 스타디움 노스쇼어시티 - 노스 하버 스타디움 = = 예선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12 4 4 0 0 20 2 +18 9 4 3 0 1 25 4 +21 6 4 2 0 2 8 9 -1 3 4 1 0 3 7 18 -11 0 4 0 0 4 2 29 -27 는 기권하였다. = = 조별 리그 = = = = = A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21 0 +21 6 3 2 0 1 2 2 0 3 3 1 0 2 2 10 -8 0 3 0 0 3 1 14 -13 = = = B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19 2 +17 6 3 2 0 1 6 7 -1 1 3 0 1 2 3 9 -6 1 3 0 1 2 2 12 -10 = = 결선 토너먼트 = = = = = 4강전 = = = = = = 3·4위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뉴질랜드3번째 우승 = = 최종 순위 = =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align=left 5 5 0 0 23 2 +21 15 2 align=left 5 4 0 1 24 2 +22 12 3 align=left 5 3 0 2 8 9 -1 9 4 align=left 5 2 0 3 2 6 -4 6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 결선라운드 진출 align=left 3 1 0 2 2 10 -8 3 6 align=left 3 0 1 2 3 9 -6 1 7 align=left 3 0 1 2 2 12 -10 1 8 align=left 3 0 0 3 1 14 -13 0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 본선라운드 진출 9 align=left 4 2 0 2 1 14 6 10 align=left 3 0 0 8 9 -1 11 align=left 3 0 0 3 1 14 -13 작업을 하다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류발생 부분을 고쳐주십시오.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腹藏典籍)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전적류이다. 2012년 10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80호로 지정되었다. = = 참고 자료 = = *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분류:유럽사 틀 = = 개운사 = 개운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개운사(開運寺)는 서울 성북구 안암동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다. 개운사는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있는 천태종 사찰이다. = 분류:브라질의 테러리즘 = = 울리자이언트쥐 = 울리자이언트쥐(Kunsia tomentosus)는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울리자이언트쥐속 (Kunsia)의 유일종이다. 남아메리카밭쥐족에 속하며, 현재 알려져 있는 아종은 없다. 볼리비아와 브라질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습윤 초원 지대이다. = 분류:나라별 민영 방송 = = 다미아노 피피 = 다미아노 피피(, 1971년 8월 23일~)는 이탈리아의 은퇴한 배구 선수로 포지션은 리베로이다. 선수 활동 경력을 전부 이탈리아 리그에서 보냈으며, 리그 우승 2회, 코파 이탈리아 우승 1회,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 1회를 달성했으며, 챔피언스리그 우승 1회를 기록했다. 국제 대회에서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며,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5년 배구 월드컵에서 우승했고,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시미즈 겐타 = 시미즈 겐타(1981년 9월 18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 틀:후쿠오카 지하철 나나쿠마선 = = 천사의 선택 (1989년 드라마) = 천사의 선택은 1989년 9월 18일부터 1989년 10월 10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월화 미니시리즈이다. 스코틀랜드 AJ 크로닌의 소설 성채를 극화한 것이다. 다수의 시청자들이 문성근 신애라의 데뷔작으로 기억하고 있을 정도로 주연들을 스타 연기자로 발돋음 할 수 있게 한 작품이며 오랜 세월이 경과한 현재도 다수의 시청자들이 잊지 않고 훌륭한 명작 드라마로 기억하고 있으며 기억하는 사람들 사이에 여러 블로그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가 교류되고 있다. = = 줄거리 = = 사생아로 태어난 석범은 아홉 살 때 어머니를 잃고 이모를 따라 진해에 있는 외가에 맡겨진다. 시청 말단직원으로 절약을 외치는 완고하고 권위주의적인 이모부, 큰형만을 편애해 비뚤어져있는 둘째형 명규, 음울하고 표정없는 할아버지 등 비정상적인 집안 분위기에 막막하고 낯선 생활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런 시련과 좌절 속에서도 아름다운 마음을 잃지 않으며 차차 집안사람들뿐만 아니라 동네 아이들도 석범에게 호감을 느낀다. 1부 1963년 유년 시기 (당시 진해시) 2부 1971년 유년 시기 / 학생 시기 3부 1973년 학생 시기 / 조선소 취업 시기 4부 5부 1979년 철암 십자 병원 근무시기 (당시 삼척군 장성읍) 5부 6부 7부 도계 보석 병원 근무시기 (당시 삼척군 도계읍) 7부 8부 1988년 서울 근무시기 = = 등장 인물 = = 문성근 : 이석범 역 (4회 1979년 배경) 고정일 : 석범의 아역 (1회2회 1963년 배경) 전현 : 석범의 아역 (2회 1971년 배경 3회 1973년 배경) 진영미 : 윤희수 역 신애라 : 김화경 역 (아역 : 송혜령 서예진) 정애리 : 임영주 역 남성훈 : 임영주의 남편 역 정동환 : 박용열 역 (철암 일신 의원 원장) 홍성민 : 석범의 외할아버지 역 김윤경 : 석범의 이모 역 문회원 : 석범의 이모부 홍학표 : 김준규 역 (석범의 이종 사촌 큰형) 김명수 : 김명규 역 (석범의 이종 사촌 작은 형) 박성미 : 김인숙 역 (석범의 이종 사촌 누나) 맹상훈 : 맹순식 역 (해군 운전병) 최우정 : 하경민 역 김흥기 : 석범의 고교 시절 담임 교사 김민석 : 일산 장학생 선발 고사 응시장 감독관 사상기 : 석범이 일산 장학생 선발 고사 응시 시기 주치의 남영진 : 생명보험 회사 감독 역 문시경 : 석범이 이모 주치의 박태호 : 김준규 사기 사건 담당 경찰관 윤여정 : 화경의 어머니 역 김응석 : 화경의 애인 역 김광배 : 박희태 역 임재경 : 희태 약혼자 박상규 : 손학민 역 (희태 선배 / 내과 과장) 홍계일 김길호 박소현 : 손인행 역 홍정선 고영수 : 기타 학원 원장역 한영숙 : 철암 십자 병원 원장 부인 임종국 : 철암 십자 병원 원장 (철암 광업소의 직영 병원이었으나 광업소 측에서 운영에 철수하면서 지정 병원으로 됨) 김지영 : 철암 십자병원 원장댁 가사 관리인 최선균 : 은행 지점 대리 (철암 십자 병원 원장 부인의 내연남) 김진태 : 철암 광업소 감독자 (미연의 아버지) 윤진영 : 미연 정승현 : 남도식 (철암 의원 원장) 서권순 : 남도식의 부인 강성욱 : 오재학 역 (도계 보석 병원 의사 / 남도식 부인의 정부) 정욱 : 진현 산업 도계 광업 사업소 사장 역 이주실 : 진현 산업 도계 광업 사업소 사장 부인 역 윤석오 : 지광호 역 (진현 산업 도계 광업소 노조 위원) (윤창우라는 성명으로 출연) 오영수 : 양일수 역 (진현 산업 도계 광업소 노조 사무 국장) 이성용 : 홍석훈 역 (진현 산업 도계 광업소 노조 위원장) 한태일 : 진현 산업 도계 광업소 노조 위원 (태일이라는 예명으로 출연) 송영웅 : 송항규 역 (진현 산업 도계 광업 노조 위원) 전운 : 윤박사 역 (도계 보석 병원 재단 이사장) 서영애 : 윤박사의 부인 역 이경호 : 도계 보석 병원 근무 지원 탈락 의사 (태백 지역 근무 경력 및 윤박사 측 추천) 박상조 : 도계 보석 병원 재단 사무장 홍성선 : 사당 병원 원장 역 최종원 : 예술인 이승현 : 동료 공원 강미 : 동네 부인 홍승옥 : 인옥이 엄마 박웅 : 서울의 대학 병원 박사 역 김성희 : 간호사 박재영 : 간호사 역 박근영 : 간호사 역 윤순홍 : 김재철 역 김정 : 세탁소 주인 역 김진구 : 안성 슈퍼마켓 주인 역 김영님 : 환자역 이재훈 : 신성 상운 제무시 덤프 트럭 기사 = = 편성 변경 = = 1989년 9월 19일 : MBC 뉴스데스크가 15분 축소로 앞당겨 밤 9시 35분부터 방영 = 분류:러시아의 비디오 게임 기업 = = 제2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제2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1974년의 최고의 영화를 기리기 위해 1975년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 = = = = 작품상 = = = LACOMBE LUCIEN 수상 = = = 데이빗 린 상 = = = 차이나타운 - 로만 폴란스키 수상 = = = 칼 포먼 상 = = = 말러 - 조지나 헤일 수상 = = = 남우주연상 = = = 마지막 지령 - 잭 니콜슨 수상 차이나타운 - 잭 니콜슨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여름날의 소망 - 조앤 우드워드 수상 = = = 남우조연상 = = =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건 - 존 길구드 수상 = = = 여우조연상 = = =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건 - 잉그리드 버그만 수상 = = = 각본상 = = = 차이나타운 - 로버트 타운 수상 마지막 지령 - 로버트 타운 수상 = = = 편집상 = = = 컨버세이션 - 월터 머치 수상 = = = 촬영상 = = = 위대한 게츠비 - 더글라스 슬로콤브 수상 = = = 음향상 = = = 컨버세이션 - Art Rochester 수상 = = = 의상상 = = = 위대한 게츠비 - 데오니 V. 알드리지 수상 = = = 미술상 = = = 위대한 게츠비 - 존 복스 수상 = = = 단편애니메이션작품상 = = = LA FAIM (Hunger) 수상 = = = 단편영화작품상 = = = LOCATION NORTH SEA 수상 = = = 안소니 아스퀴스상 = = =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건 - 리처드 로드니 베넷 수상 = = = UN상 = = = LACOMBE LUCIEN 수상 = = = 특별상 = = = MONET IN LONDON 수상 = 연봉초등학교 = 연봉초등학교는 세종특별자치시가 교육기본법에 따라 설치한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46.09.01 연봉국민학교 개교 1981.03.12 연봉국민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1999.09.01 와촌초등학교 통합 2009.02.20 다목적 강당(봉서관)준공 2012.06.20 생활체육시설사업(인조잔지운동장)준공 2012.11.11 2012년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플라잉디스크 퍼핑 남자 초등부 1위 2013.06.01 내진공사및 스마트교육 환경구축(18교실) 2013.07.01 2013년도 실천단계 교육과정 우수(교육감표창) 2013.11.02 2013년도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피구혼성 초등부 2위 2013.12.13 2013년도 학교평가 우수(교육감표창) 2013.12.23 2013년도 세종 10대 교육과정 우수(교육부장관표창) 2014.03.01 교육부지정 창의경영학교(교육과정 혁신형: 건강증진모델) 3년차 (2013~2014년학년도) 운영 교육부 요청 학생위로 제로환경조성 시범학교 운영 세종특자치시교육청 지정 다문화 중심학교 2년차운영 아침자율체육활동 ′ BOKS(BuiId Our Kibsbs ′Success) 프로그램운영 올리사랑 선도학교 운영 2015.03.01 초등13학급 (특수1학급),유치원1학급 편성 2016.03.01 초등12학급(특수1학급),유치원1학급 편성 건강체력 향상학교(모델학교)운영 두드림학교 2년차운영 비즈쿨운영 2017.02.15 제68회 졸업식(졸업생 누계:4,697명) 2017.03.01 초등12학급(특수1학급),유치원1학급 편성 교육부지정 학교검사표본학교 3년차운영 (2015~2017학년도) 어울림학교 2년차운영 2018.01.12 제69회 졸업식(졸업생 누계:4,729명) 2018.03.01 초등9학급(특수1학급),유치원1학급 편성 어울림학교 3년차운영 두드림 학교 4년차운영 비즈쿨운영 = 틀:민발톱박쥐과 = = 도야촌 (홋카이도) = 도야촌(洞爺村)은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관내의 서부에 위치해 도야호 아부타군에 북쪽 해안에 접했던 촌이다. = = 지리 = = 특별 폭설 지역. 홋카이도 중부지역 남부에 위치한 '시코쓰도야 국립공원' 지역이다. 촌내 일부 지역은 국립공원법에 의한 특별구역에 속한다. 도야호 북쪽 기슭의 하대지는 아름다운 호수의 수면을 향해 남쪽으로 경사져 있고, 그 북쪽의 고원지대는 요테이 산기슭까지 이어지는 넓은 농경지로 되어 있다. 촌 이름 '도야'는 아이누어로 '호수의 육지'라는 뜻의 '도야'에서 유래했다. '도야'는 '도야호 북안'= 도야촌 도야정(洞爺村洞爺町) 주변을 가리키는 지명이지만, 역사 이래로 이 지역을 가리키는 통칭으로 '무코도야(向洞爺)'라는 호칭이 있다. 기후는 우치우라만의 영향으로 초봄에는 다소 불규칙하지만 늦가을에는 양호하다. 성수기에는 삿포로 등과 유사한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도야호에 의해 적당한 습도가 공급되어 농업에 적합한 기후 조건의 토지이다. 반대편에 있는 아부타정, 소베쓰정 같은 관광지는 많지 않다. = = 역사 = = 아래와 같이 메이지 20년대부터 40년대에 걸쳐 마을의 각 구역에 개척 정착민들이 들어와 도야촌을 개척하였다. 1887년 - 가가와현 구 마루가메 번주 미하시 마사유키(三橋正之) 등 22가구 76명이 오오하라 지구로 이주, '도야촌' 개기. 1889년 - 2차 이주민 80여 가구가 호숫가에 이주. 가가와 지구의 개척 시작. 1905년 - 하야시 타케타로(다테 기독교회 목사)가 아사히우라 지구에 고아원을 건립. 노오 지진 고아 수용. 1907년- 도미오카 지역 개척 시작. 1920년 - 아부타촌 (현: 도야코정)에서 분촌해, 도야촌이 되었다. (인구 : 3,220명) 1960년 - 도야촌 상공회가 설립하였다. (인구 : 3,672명) 1971년 - 홋카이도 청소년 캠프촌을 이와야 지구에 개설하였다. (전년도 인구 : 2,895명) 1975년 - 가가와현 사이타정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인구 : 2,597명) 1977년 - 우스산이 분화가 관측되었다.(1977~1978년 분화). 2006년 3월 27일 - 도야촌, 아부타정과 신설합병해, 도야코정이 성립하였다. 이를 통해 도야촌은 폐지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국도 230호선 = = = 철도 = = =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 : 촌내에는 철도노선이 다니진 않는다. 대신 제일 가까운 역은 도야 역 = = = 공항 = = = 도야촌에는 없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신치토세 공항이다. = 분류:타이베이시 출신 작가 = = 분류:수산 기구 = = 분류:980년대 출생 = = 틀:역대 올림픽 프리스타일 = = 아자와크 = 아자와크(Azawakh)는 아프리카의 시각 수렵견 계열의 개 품종이다. 기원은 말리, 이집트, 부르키나파소 등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산지에는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이다. = = 특징 = = 몸매가 비교적 날씬한 편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일 정도로 나왔다. 대한민국의 경우, SBS TV에 소개되었던 TV 동물농장을 통해 뒤늦게 알려진 견종으로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단 1마리에 불과하다. = = 주요 질병 = = 심장마비, 폐암, 간암, 방광암, 췌장암, 슬개골탈구, 비만증, 위암 등이 있다. = 키더군 = 키더군 또는 키더 카운티(Kidder County)는 미국 노스다코타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2,435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480명이다. = 과천중학교 = 과천중학교(果川中學校)는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2년 1월 26일 : 과천중학교 15학급 설립인가 1982년 2월 28일 : 교사 준공 (294.6m2) 1982년 3월 1일 : 초대 민내기 교장 취임 1982년 3월 5일 : 제1회 입학식 (3학급 157명) 1997년 12월 29일 : 행목관 준공 (1183.6m2) 2001년 4월 30일 : 별관(특별실) 준공 2011년 3월 1일 : 신관 준공 2021년 1월 13일 : 제37회 졸업식 졸업생 249명(8학급) 누계 16,551명 2021년 3월 1일 : 제12대 최은숙 교장 부임 2021년 3월 2일 : 신입생 250명(9학급) 입학 = = 갤러리 = = 140919과천중학교12.jpg 140919과천중학교13.jpg 140919과천중학교14.jpg 140919과천중학교15.jpg 140919과천중학교11.jpg 2014년 9월 10일 과천중학교 정원07.jpg 2014년 9월 10일 과천중학교16.jpg = 분류:도요카와시의 교통 = = 분류:키리바시의 정치인 = = 분류:K7리그 동두천 경기장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Cleanin' Out My Closet = "Cleanin' Out My Closet"은 미국의 랩퍼 에미넴의 노래이다. 자신의 어머니인 ‘데비 매터스’를 욕하는 노래인 Kill You 때문에 생긴 법정 싸움 끝에 어머니에게 많은 돈을 지불하게 되었고 법원이 사과의 노래를 만들라고 지시했는데, 그 사과의 노래가 바로 이 〈Cleanin' Out My Closet〉이다. 하지만 이 노래에서는 사과하는 듯하지만 은근히 데비 매터스를 비꼬는 가사들이 있다. 이 노래는 The Eminem Show에 수록되어 있으며, 빌보드 핫 100 차트 4위라는 성적을 거둔다. = 분류:스릴러 드라마 영화 = = 틀:튀르크어족 = = 스테이지프라이트 = 스테이지프라이트(Stagefright)는 2.2버전에서부터 그 이후까지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원격으로 조종되어 취약점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버그이다. 이 버그는 공격자가 안드로이드 기기를 공격할 때, 공격자가 악성 코드를 희생자의 안드로이드 기기에 심어 원격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유용성 증명이 함께 쓰여진 버그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필수 요소중 하나인 "스테이지 프라이트"라는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를 공격하면, 악성코드가 심어진 MMS 메시지를 기기에 보내고 악성코드를 심을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최종 사용자 권한은 메시지를 받는데 전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는 알 수 없으며, 이런 타겟팅에 필요한 정보는 오직 핸드폰 번호뿐이다. 밝혀진 보안 취약점들은 CVE-2015-1538, CVE-2015-1539, CVE-2015-3824, CVE-2015-3826, CVE-2015-3827, CVE-2015-3828, CVE-2015-3829 그리고 CVE-2015-3864 (후자는 나중에 배정되었음)이며, 이들을 통틀어 스테이지 프라이트라고 부른다. = = 취약 지점 확인 방법 = =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짐페리움(Zimperium) 사의 스테이지프라이트 디텍터(Stagefright Detector) 앱을 설치하는 것으로 취약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애플리케이션이 보안취약점을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 = 구글의 대응 = = 구글은 2015년 8월 5일 첫 번째 보안 패치를 배포했으나 스테이지프라이트 취약점 문제를 막는데 실패하고 두 번째 보안 패치를 배포했다. = 분류:스리랑카의 환경 = = 구륜동물 = 심비온속(Symbion)은 냉수 바닷가재의 몸에 부착되어 사는, 폭 ½ mm 이하의 매우 작은 해양 동물의 속이다. 다른 동물문과 너무 달라서, 1995년 발견된 후 새로운 문, 구륜동물문(Cycliophora)으로 배정되었다. 구륜동물문은 1983년에 윤형동물문(Loricifera)이 발견된 이래, 새로운 다세포 기관 중에서 최초의 동물 문(門)이다. = = 분류 = = 심비온속(Symbion)은 1995년에 라인하르트 크리스텐센과 피터 펀치에 의해 노르웨이바닷가재 (Nephrops norvegicus)의 구기(口器)에서 발견되었고, 기타 종들은 다음과 같은 곳에서 발견되었다.: 미국바닷가재 (Homarus americanus, Symbion americanus가 기생) 유럽바닷가재 (Homarus gammarus, 아직 Symbion이라는 속명이 붙지 않은 종들이 기생) 이 속은 바닷가재와 공생 관계(상부상조(symbiosis) 형태)에 있기 때문에 심비온속(Symbi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들은 먹이를 바닷가재가 먹다 만 먹이에서 얻는다. 심비온속(Symbion)은 명백한 근연종이 없는 매우 작고 독특한 동물로, 그 자체로 구륜동물문(Cycliophora)이라는 문(門)을 이루고 있다. 심비온속(Symbion)의 계통발생적 위치는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있다: 초기에는 심비온속(Symbion)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외항동물문(Ectoprocta)과 내항동물문(Entoprocta)이 심비온속과 관련이 있는 동물 문으로 고려되었다. 그러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Gnathifera와 좀 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 민중민주파 = 민중민주파(民衆民主派, )는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철학적 전통을 중시하는 사회주의계의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 시작된 진보주의 운동의 한 갈래이다. 평등파(平等派)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사회를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로 규정하고, 사회 변혁 방법으로는 민중민주주의혁명론에 따르며, 사상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단일한 지도 이념에 따라 통일된 조직을 형성한 민족해방(NL) 계열과 달리, 본래부터 단일 정파는 아니며 몇 개 정파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조직적으로도 분립된 양상을 보여왔다. 더불어, 민족 모순을 대한민국 사회의 주요 모순으로 파악하는 민족해방 계열에 반해, 민중민주 계열은 이를 민족 모순이 아닌 계급 모순으로 파악한다. 계급 투쟁의 관점에서 주로 노동 운동을 중심으로 사고하며, 남한 혁명의 주도권을 노동계급이 쥐어야 한다고 주장한 점에서 민족 해방 세력과 대립했다. 이후 한국사회당 다수와 민주노동당 일부를 이루게 되었다. 민주노동당의 제파-PD 계열 평등파는 2008년 민주노동당에서 탈당한 뒤, 진보신당을 창당하였고 그후 2012년에 해산했다. 진보신당에 있던 사람들은 사회민주주의 성향으로 이탈한 계파와 제파-PD의 성격을 간직한 계파로 나뉘게 되는데, 전자는 정의당으로 후자는 노동당으로 갔다. = = 분파 = = = = = 제파-PD = = = '반제반파쇼민중민주주의'의 약자이다. 범세계적인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노선이며, NLPDR노선을 비판했던 그룹이다. 명목상 PD계파에 속하지만, 혁명론에 있어서 통일적인 관점이 없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고 주체사상 노선을 거부하였으며,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특이점이 있다. 이 노선에 기초한 분파는 대표적으로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약칭 인민노련)이 있었다. = = = 제독-PD = = = '반제반독점민중민주주의'의 약자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을 기초로 하여 대한민국 사회의 성격을 바라본 PD파 그룹이다. NLPDR(민족해방민중민주주의혁명론)의 이론도 흡수했기에, NLPDR의 한 분파로도 인식된다. 민족 해방 계열의 식민지반자본주의사회론 또는 식민지반봉건론에 맞서는 이론으로서, 대한민국과 제국주의 사이의 종속성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대한민국의 식민지성은 일제강점기와 다르기에 신식민지라고 주장한다. 또한 대한민국 사회의 자본주의가 국가와 결탁하고, 독점이 강화되는 양상을 띄었다고 본다. 더불어 대한민국 사회의 모순을 민중 대 파쇼 체제, 또는 모든 노동 대 모든 독점자본 사이의 모순이라고 파악한다. 또한, 민중민주는 사회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국민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일어나는 금융적 착취 또한 부정한다. 이는 경제에서의 자립을 주장하며, 결국 궁극적 목표 중 하나가 경제적 민족주의의 실현인 민족해방과 다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민중민주 사상은 서양의 프리드리히 엥겔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의 입장과 매우 같다고 할 수 있다.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맹아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 단체인 민청련 내부의 C.N.P(시민적 민주변혁-민족민주변혁-민중민주변혁) 논쟁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1985년 창작과 비평 통권 57호(부정기간행물) 〈한국 자본주의 논쟁〉에 실린 박현채의 논문 〈현대 한국사회의 성격과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I)-한국 자본주의의 성격을 둘러싼 종속이론 비판〉은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평가된다. 1980년대 말 윤소영 교수를 비롯한 현실과 과학 그룹이 '독점 강화 종속 심화' 테제를 중심으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핵심 명제를 구체화했다. 당시 '이정로'라는 필명을 쓰던 백태웅도 <노동해방문학>에 실은 '한국 사회의 성격과 노동자 계급의 임무'라는 글에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을 주장했다. 다만, 이 글에 대해서는 "이론적 배경이 튼튼했던 것은 아니었다"는 평가가 있다. = 웅양초등학교 = 웅양초등학교는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노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22년 3월 1일 제25대 신정희 교장 취임 *2021년 12월 28일 제102회 졸업(총5,999명) *1999년 9월 1일 하성초등학교 통폐합 *1996년 3월 1일 웅양초등학교로 개명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3년 3월 1일 군암분교장 통폐합 *1979년 4월 2일 병설유치원 개원 *1949년 10월 11일 웅양국민학교로 개명 *1941년 4월 1일 웅양제1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38년 4월 1일 웅양제1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20년 5월 1일 웅양공립보통학교 개교 = 스크라딘 = 스크라딘은 크로아티아 시베니크크닌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3,823명(2011년 기준)이다. 시베니크에서 17km, 스플리트에서 10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크르카강(Krka) 인근에 위치하며 크르카강 국립공원의 입구와 접한다. 스크라딘에서 이름을 딴 폭포인 스크라딘스키부크 폭포(Skradinski Buk)를 포함한 여러 폭포들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다. = 분류:로맨스 텔레비전 영화 = = 분류:포르투갈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 분류:인천 연수구의 정치 = = 김용수 (야구인) = 김용수(金龍洙, 1960년 5월 2일 ~ )는 전 KBO 리그 MBC 청룡과 LG 트윈스의 투수로, 정교한 제구력과 포크볼,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당시 최고의 마무리 투수로 꼽혔다. = =선수 시절 = = = = =한일은행 시절 = = = 동대문상고 · 중앙대학교 체육교육학과(79학번)를 졸업하고 1983년 1차 1순위로 MBC 청룡의 지명을 받았지만, LA 올림픽 참가를 위해 실업 야구 팀인 한일은행 야구단에서 잠시 몸담았다. = = =MBC 청룡 시절 = = = 1985년에 MBC 청룡의 1차 9순위 지명을 다시 받아 입단했다. 1986년, 1987년 그리고 1989년에 구원왕을 하였다. = = =LG 트윈스 시절 = = = 그는 LG 트윈스에서 선발과 마무리 투수로 뛰었다. 1990년 12승을 기록하였고 팀 창단 첫 정규리그 1위와 한국시리즈에서 2승을 기록해 첫 우승에 MVP를 하였다. 1992년 부상을 당하기도 했지만 1994년 5승5패30세이브를 기록하였고 한국시리즈에서 1승 2세이브로 두번째 우승에 MVP를 하였다. 1997년 KBO 최초로 500경기에 등판하였다. 1998년에는 18승 6패를 기록하며 그 해 다승 1위를 차지했고(15선발승으로 삼성 베이커와 공동 선발승 2위였으며 선발 최다승은 17선발승의 정민태였다) 통산 다승 6위(59선발승으로 통산 선발승 51위)에 랭크되어 있다. 다만, 1998년에는 당시 주전 마무리였던 앤더슨이 중반 이후 부진을 보이자 천보성 당시 LG 감독이 1996년 중반부터 선발로 전향한 본인(김용수)을 선발-구원-마무리로 마구잡이 투입시키는 소강수를 뒀으며 이 탓인지 선발로만 17승을 거둔 현대 정민태 때문에 삼성 스콧 베이커와 15선발승으로 선발승 공동 2위에 머무른 데다 정규시즌 MVP도 홈런-타점 2관왕인 OB 우즈에게 빼앗기는 수모를 당했다. 시즌 후 앤더슨이 1999년 쌍방울로 이적하자 같은 해 시즌 전 마무리로 낙점된 최향남이 갑작스런 손가락 골절 부상 때문에 시즌 초 뛰지 못하여 마무리로 돌아왔고 5월 31일 현대전 선발등판으로 복귀한 최향남이 시즌 막판 장염 때문에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어 선발로 보직 변경됐다. 그 해 말 부임한 이광은 감독이 옛 스승 김동엽 감독 스타일(스파르타식 훈련)을 길들이다가 반발이 작용하여 이광은 감독과 선수단 장악 문제를 놓고 마찰을 빚어 2000년 시즌 뒤 은퇴식 없이 옷을 벗었다. 통산 100승-200세이브를 기록한 투수이기도 하다. 2012년 오승환이 경신하기 전까지 통산 세이브 1위를 유지했다. 주 무기는 포크볼이었다.(그외 무기는 sF볼, 스플리터다) 1990·1994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됐으며, 현재까지 LG 출신의 투수 중에서는 유일한 KS MVP 수상자다. 2008년 LG 러브 페스티벌 스페셜 매치 때 현역 시절 그대로의 실력으로 5이닝 2실점 완투승으로 MVP를 차지했다. 그의 현역 시절 등번호였던 41번은 MBC 청룡과 LG 트윈스 구단 소속 선수 역사상 최초로 영구 결번되었다. 그의 별명은 노송이다. 20세기 LG의 KS 우승 2회 때 MVP는 모두 김용수의 몫이었고, LG가 오랫동안 고난의 시간을 보내면서 한동안 그는 LG 트윈스의 역대 선수들 중 유일한 한국시리즈 MVP였다.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오지환이 MVP를 받으며 LG 타자 최초의 한국시리즈 MVP를 받음에 따라, 김용수는 LG 투수 최초의 한국시리즈 MVP로 기록됐다. = =야구선수 은퇴 후 = = 은퇴 후에는 KBS 스카이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고, LG 트윈스에서 투수코치로 활동했으나 지도자로는 선수 시절에 비해 성과가 적었다. 2009년 시즌 후 LG의 스카우트로 전보된 그는 2010년부터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재직했으나, 심판에게 식사비조로 100만 원을 건넨 혐의가 드러나, 대한야구협회로부터 3년 간 지도자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다.KBO, 고교 지도자 인건비 지급 검토...야구계 강타 비리 해법 실마리 될까 - OSEN 결국 이 사건으로 2012년 11월에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직을 고정식에게 넘기고 일본으로 건너가 연수를 받았다. 2014년 시즌 후 롯데 자이언츠가 그를 2군 투수코치로 영입하려고 했으나, 논란 끝에 영입을 철회했다. 대한야구협회와 KBO 간 징계에 관한 상호 규약은 없지만, 논란의 소지를 방지하려고 했기 때문이었다.롯데, 김용수 코치 계약 철회.. "검증 못해 송구" - 스타뉴스 2015년 3월에 자격정지가 풀렸으나, 프로 현장으로 복귀하지 않고 있다.대한야구협회, 김용수 전 중앙대 감독 징계 해제 - 스타뉴스 = = 주요 기록 = = 진한 바탕은 KBO 리그 최초 기록임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타자 경기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각주 500경기 출장 1997.9.11 LG 잠실 해태 37세 4개월 9일 = =통산 기록 =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연도 소속 나이 승리 패전 승률 평자책 출장 선발 완투 완봉 세이브 홀드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4 탈삼진 몸맞 보크 폭투 실점 자책 타자수 WHIP 1985 MBC 25 1 2 .333 3.74 6 0 0 0 2 0 21.2 22 2 7 1 14 0 0 1 9 9 93 1.34 1986 MBC 26 9 9 .500 1.67 60 3 0 0 26 0 178.0 128 4 59 7 74 3 0 0 40 33 694 1.05 1987 MBC 27 9 5 .643 1.98 52 1 0 0 24 0 141.0 109 6 36 6 71 4 0 0 34 31 560 1.03 1988 MBC 28 3 5 .375 4.47 34 3 1 0 11 0 98.2 118 5 31 1 51 3 0 0 51 49 438 1.51 1989 MBC 29 5 5 .500 3.19 47 1 0 0 22 0 104.1 107 2 29 5 51 3 1 1 43 37 429 1.30 1990 LG 30 12 5 .706 2.04 33 13 2 0 5 0 149.2 122 4 38 1 119 3 0 0 40 34 594 1.07 1991 LG 31 12 11 .522 2.79 41 16 8 1 10 0 190.0 172 5 62 7 129 8 2 5 71 59 788 1.23 1992 LG 32 5 4 .556 5.16 14 8 1 0 0 0 61.0 62 5 17 0 27 3 0 2 37 35 255 1.30 1993 LG 33 6 2 .750 1.55 50 0 0 0 26 0 75.2 53 3 20 6 60 2 0 2 16 13 293 0.97 1994 LG 34 5 5 .500 2.56 42 0 0 0 30 0 63.1 46 1 10 1 44 1 0 0 24 18 247 0.88 1995 LG 35 4 2 .667 1.43 48 0 0 0 30 0 69.0 59 1 10 3 44 1 0 2 12 11 270 1.00 1996 LG 36 16 7 .696 2.82 48 9 2 1 9 0 130.2 123 6 36 7 92 3 0 1 55 41 546 1.22 1997 LG 37 12 8 .600 3.70 28 28 2 0 0 0 177.2 163 16 43 4 121 8 0 3 82 73 733 1.16 1998 LG 38 18 6 .750 3.45 32 25 1 0 2 0 175.0 176 11 45 3 116 7 0 2 74 67 742 1.26 1999 LG 39 3 9 .250 2.88 46 3 0 0 26 0 68.2 70 5 13 1 48 3 0 4 23 22 289 1.21 2000 LG 40 6 4 .600 5.24 32 19 0 0 4 1 127.0 142 10 42 2 85 9 0 4 83 74 556 1.45 KBO 통산 : 16년 KBO 통산 : 16년 KBO 통산 : 16년 126 89 .586 2.98 613 129 17 2 227 1 1831.1 1672 86 498 55 1146 61 3 27 694 606 7527 1.19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 = =연도별 타격 성적 = = = 연도 소속 나이 출장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루타 병살타 몸맞 희타 희플 고4 1995 LG 35 1 1 1 0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0 0 0 0 0 0 KBO 통산 : 1년 KBO 통산 : 1년 KBO 통산 : 1년 1 1 1 0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0 0 0 0 0 0 = 틀:코로나19 범유행/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차트 = = = 각주 =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차트 = 교황 궁무처장 = 교황 궁무처장은 로마 교황청의 직무 가운데 하나로 교황의 비서 겸 재무관이다. 교황이 추기경들 가운데서 지명한다. 기독교 역사상 로마 교회의 의전관이자 추기경회의의 사무장이기도 한 궁무처장은 관행에 따라 교황 선종 후 새 교황이 뽑힐 때까지 임시로 바티칸 시국을 주관하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며, 그 때문에 교황대리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이 경우 궁무처장은 사도좌 공석 기간에만 유효한 우표나 화폐를 발행시키며, 교황의 초상화나 문장을 대신하여 교황 궁무처장의 문장을 이용한다. = = 역대 교황 궁무처장 = = 첸치오 사벨리 (1188 - 1216) 오타비아노 콘티 디 세니 (1216 - 1219) 스테파노 디 체카노 (1219 ? 1227) 라이날도 데이 콘티 디 세니 (1227 - 1254) (1254-1270 ? no information found) Odo of Chateauroux (1270 - 1273) (1273-1294 ? no information found) 톰마소 데 오크라 (1294 - 1300) 테오도리코 라니에리 (1300 - 1306) Arnaud Frangier de Chanteloup (1306 - 1310) Bertrand des Bordes (1311) Arnaud d'Aux (1311 - 1319) Gasbert de Valle (1319 - 1347) Stefano Aldebrandi Cambaruti (1347 - 1360) Arnaud Aubert (1361 - 1371) Pierre du Cros (1371 - 1383) 마리노 기우디세 (1383 - 1385) 마리노 불카니 (1385 - 1394) 스테파노 파로시오 (1394 - 1396) 코시모 데 미그리오라티 (1396 - 1404) 코라도 카라치올리 (1404 - 1406) 엔리코 미누토리 (1406 - 1409/1412)In 1409 he adhered to the obedience of Pisa but was not formally deposed by Gregory XII. Antonio Correr (1412 - 1415) Francois de Conzie (14151383-1415 pseduocamerlengo of the obediences of Avignon and Pisa in the Great Western Schism]] ? 1431) Francesco Condulmer (1432 - 1439) 루도비코 트레비사노 (1440-1465) 라티노 오르시니 (1471-1477) Guillaume d'Estouteville (1477-1483) 라파엘레 산소니 가레오띠 리아리오 (1483-1521) 인노첸시오 치보 (1521) 프란체스코 아르멜리니 판타라씨 데 메디치 (1521-1527) 아고스티노 스피놀라 (1528-1537) 구이도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1537 - 1564) Vitellozzo Vitelli (1564 - 1568) Michele Bonelli (1568 - 1570) Luigi Cornaro (1570 - 1584) Filippo Vastavillani (1584-1587) Enrico Caetani (1587-1599) 피에트로 알도브란디니 (1599-1621) Ludovico Ludovisi (1621 - 1623) 이폴리토 알도브란디니 (1623 - 1638) 안토니오 바르벨리니 (1638 - 1671) Paluzzo Paluzzi Altieri degli Albertoni (1671 - 1698) 갈레아초 마르에스콘티, pro-camerlengo (1698) 조반니 바티스타 스피놀라 (1698 - 1719) Annibale Albani (1719-1747) Silvio Valenti Gonzaga (1747-1756) Girolamo Colonna di Sciarra (1756-1763) 카를로 레초오니코 (1763-1799) Romoaldo Braschi-Onesti (1800-1801) Giuseppe Maria Doria Pamphili, pro-camerlengo (1801-1814) Bartolomeo Pacca (1814-1824) Pietro Francesco Galeffi (1824-1837) Giacomo Giustiniani (1837-1843) 톰마소 리아리오 스포르차 (1843-1857) 루도비코 알티에리 (1857-1867) Filippo de Angelis (1867-1877) 조아키노 빈첸초 라파엘 루이지 페치 (1877-1878) 카밀로 디 피에트로 (1878-1884) 도메니코 콘솔리니 (1884) Luigi Oreglia di Santo Stefano (1885-1913) Francesco Salesio Della Volpe (1914-1916) 피에트로 가스파리 (1916-1934) 에우제니오 파첼리 (1935-1939) 로렌초 라울리 (1939-1941) Benedetto Aloisi Masella (1958-1970) Jean-Marie Villot (1970-1979) 파올로 베르톨리 (1979-1985) 세바스티아노 바조 (1985-1993) 에두아르도 마르티네스 소말로 (1993 - 2007)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2007-2014) 장 루이 토랑 (2014-2018) 케빈 패럴 (2019-) = 베티우스 발렌스 = 베티우스 발렌스(Vettius Valens, 120년 2월 8일 ~ 175년경)는 헬레니즘 점성가이며, 프톨레마이오스보다 다소 늦은 태생의 동시대의 사람이다. 발렌스의 주요 저서는 대략 150년에서 175년 사이에 저술된 그리스어로 된 열 권의 명문집(Anthologiarum)이다. 명문집은 그 시대에서부터 잔존되어오고 있는 가장 길고 상세한 점성술 논문이다. 실천적 전업 점성술사로서 베티우스 발렌스는 그 저서에 백 개 이상의 천궁도를 수록한다. 그는 본래 안티오케이아 출생이지만, 그의 실천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유한 점성술 교의들을 찾아 이집트를 두루 순례했다. 그당시, 알렉산드리아는 여전히 옛 바빌로니아 점성술과 그리스 그리고 이집트 전통에 대한 여러 점성가들의 고장이었다. 그는 그러한 전통들로부터 습득한 것들과 그의 저서의 실천으로 얻은 경험들 그리고 그만의 교수방식으로 쓰여진 큰 분량의 저서를 출판했다. 따라서, 명문집은 그 시대의 실제적 실천 기법들을 종합한 것으로써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발렌스의 저서는 그가 알려지지 않은 고대의 많은 저자들과 권위자들의 견해들을 인용하고 있는 점으로도 중요성을 갖는다. 파라오 네켑소와 그의 대사체 페토시리스 그리고 2세기의 위경의 저자들에 기인하는 저작들의 단편들은 주로 발렌스의 저서에서의 직접적인 인용을 통해서 전해진다. 명문집의 사본 세 권은 모두 1300년 이상의 연대를 가진다.M. Riley, A survey of Vettius Valens, p.21 그 문헌은 곳곳에서 지리멸렬함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완성본인 것으로 평가된다.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이며 점성가 그리고 (가장 영향력 있는 점성술 저서인) 테트라비블로스의 저자 프톨레마이오스가 그의 사후 수세기 후에 일반적으로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술의 거장으로 인정받았지만, 그 시대의 실제적 실천 점성술은 발렌스의 명문집에서 상술된 기법들과 유사하다는 견해가 거의 확정적이다. 현대의 학자들은 그 두 저자는 거의 동시대에 활약했고, 알렉산드리아에 살았다는 이유로, 그 둘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과학자이기도 했던 프톨레마이오스는 이론적으로 일관된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인과론에 기초하는 형식을 창시하는데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던 반면에, 발렌스는 고대의 전통으로부터 발생한 더 실재적인 기법들을 상술했다. 그러므로, 발렌스의 명문집에서 부여된 균형은 매우 교육적이다. 어떤 헬레니즘 점성술 저자도 독자에게 초기 로마와 후기 헬레니즘 시대의 실천적 점성술 기법에 대해서 속세를 이해하는 것만큼의 식견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그는 전통적 의 무익함을 깨닫고, 대체적인 종교로써 운명을 선택했다. 그에게 있어서 그러한 절대적인 결정은 감정적 만족을 가져다주었고 거의 신비적인 감성을 각성시켰다. 모든 것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누군가에게 구원의 열망과 근심으로부터 해방감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 스피슈스카노바베스 = 스피슈스카노바베스는 슬로바키아 동부 코시체 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66.672km2, 높이는 430m, 인구는 37,795명(2013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567명/km2이다. 도시 이름은 슬로바키아어로 "스피시(Spiš) 지방에 위치한 새로운 마을"을 뜻한다. 고타트리산맥의 남동쪽, 호르나트강(Hornád)과 접한다. 헝가리의 지배를 받고 있던 1268년에 신설되었으며 19세기에는 석기 산업으로 크게 발전했다. 레보차 중세 도시, 스피시성, 슬로벤스키라이 국립공원(Slovenský raj)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며 2년마다 열리는 음악제로 유명한 곳이다. = 분류:대한민국 축구단 2017 시즌 = = Musicmagic = Musicmagic은 미국의 재즈 퓨전 밴드 리턴 투 포에버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음반이다. 이 음반은 밴드의 마지막 라인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직 설립자인 칙 코리아와 스탠리 클라크만이 이전 음반에서 돌아왔다. 이 음반은 스탠리 클라크와 코리아의 아내 게일 모란이 피처링한 Light as a Feather (1973년) 이후 보컬을 포함한 첫 음반이다. 이 음반은 또한 오리지널 멤버 조 파렐이 색소폰과 플루트로 복귀한 것을 기념하며, 몇몇 새로운 멤버들이 5피스 호른 섹션을 구성하고 있다. 기존의 2채널 스테레오 버전 외에도 이 음반은 1977년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4채널 쿼드러포닉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레이블이 마지막으로 발매한 쿼드러포닉 음반 중 하나이다. 2016년 이 음반은 오디오 피델리티에 의해 하이브리드 슈퍼 오디오 CD의 스테레오로 재발매되었다. 2017년 더튼 보컬리온에 의해 SACD로 다시 발행되었으며, 쿼드러포닉과 스테레오 믹스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 라인업은 트롬본 연주자 론 모스의 추가로 1978년 4LP 세트인 Return to Forever Live: The Complete Concert로 재발매된 라이브 음반 Live (1977년)를 순회하고 녹음했다. = = 배경 = = 이 음반은 대대적인 멤버 교체를 거쳐 제작되었다. 칙 코리아의 아내 게일 모란과 초기 멤버 조 파렐이 합류해 9인조로 녹음했다. 이 밴드가 기타리스트 없이 음반을 제작한 것은 Light as a Feather (1973년) 이후 처음이다. 이 음반은 빌보드 200에서 38위, 빌보드 재즈 차트에서 4위에 올랐다.Musicmagic - Return to Forever : Awards : AllMusic 음반과 함께하는 투어가 끝난 후, 밴드는 한 번 해체되었고, 이는 이 음반이 조직된 유일한 스튜디오 음반이 되었다. = 원층사지 = 원층사지(原層寺址)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이강리에 있는 원층사 절터이다.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별립산(別立山)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이 절터를 마을 사람들이 아직도 원층골이라 부르고 있는 사실로 보아 강도지(江都誌)에 언급된 원층사터임을 알 수 있다. 사찰의 규모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석재유물로 미루어 꽤 큰 사찰로 생각된다. 불상은 보이지 않지만 큼직한 연꽃무늬 대좌(臺座)가 남아 있어서 석불상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석탑 부재들도 꽤 많이 남아 있는데 특히 석탑 옥개석은 모두 남아 있으며, 3단의 옥개받침이나 독특한 수법은 고려작품임을 잘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강도지의 기록대로 고려 조정이 강화도로 도읍을 옮겼던 시기의 사찰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석탑이나 불상의 부재들은 당시의 불교 미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쇼와 난카이 지진 = = 분류:1998년 공수도 = = 서원인텍 = 서원인텍(Seowonintech Co. Ltd.)는 대한민국의 스마트 디바이스 및 2차전지 보호회로 기업이다.서원인텍, 스마트 디바이스 및 2차전지 보호회로 제조로 지속 성장, 뉴스퀘스트, 2023.04.24 본사는 경기도 군포시 공단로 140번길 32-15 (당정동)에 위치해 있으며 대표이사는 김재윤이다. 서원인텍, 거래량↑… 그 외 종목은?, 아이투자, 2023-03-06 서원인텍, 옴니시스템, 화승알앤에이, 비즈니스포스트, 2019-02-22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닌텐도가 제작한 2017년 플랫폼 게임이다. 슈퍼 마리오 시리즈 작품으로 닌텐도 스위치로 개발됐다. 주인공 마리오가 새로운 동료 캐피—마리오가 다른 등장인물들과 물체들을 통제하게 하는 모자혼령—와 함께 다양한 세계를 배경으로 여행하며 강적 쿠파가 피치 공주와 결혼하려는 음모를 저지하는 이야기를 다뤘다. 선형 게임플레이를 채택한 이전작들과는 달리 슈퍼 마리오 64와 슈퍼 마리오 선샤인에서 앞서 선보인 오픈 월드 기반 게임플레이로 회귀한 것이 특징이다. 게임상에서 마리오는 비행선 오디세이에 탑승해 여러 왕국을 탐험하며 오디세이의 연료가 되는 파워문을 수집한다. 캐피는 오디세이의 주요기능 캡처을 담당해, 이를 통해 다양한 물체와 적들에 빙의해 퍼즐을 풀고 탐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본편 이야기를 마친 후에는 추가 왕국이 해금되고 '루이지의 풍선 월드'같은 파고들기 요소들을 즐길 수 있다. 그 외 다인용 기능과 닌텐도 라보를 사용하는 가상 현실을 지원한다. 닌텐도 기획제작본부가 개발을 담당했으며 슈퍼 마리오 3D월드 완성 직후인 2013년부터 개발에 착수하였다. 개발 중에 다양한 도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이들을 모두 통합하기 위해 팀은 고유한 샌드박스 스타일의 게임플레이를 구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일반적인 청중을 겨냥한 슈퍼 마리오 3D랜드나 슈퍼 마리오 런과는 달리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개발진이 시리즈에 익숙한 플레이어들을 매혹하고자 설계했다. 게임 내에 주제가 총 2곡, "Jump Up, Super Star!"와 "Break Free (Lead The Way)"가 수록됐다.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2017년 10월 27일 전세계에 동시발매됐다. 대한민국에서는 닌텐도 스위치 정식발매와 동시에 2017년 12월 1일에 출시됐다. 발매 당시 게임 내 혁신, 독창성, 그리고 지난 마리오 게임들로부터의 개선점 등으로 전폭적인 호평을 받았다. 게임 시상식에서 여러 종목을 수상받았으며 2023년 9월 기준으로 판매량이 2600만 장 이상이다. = = 게임 플레이 =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플레이어가 주인공 마리오를 통제하는 플랫폼 게임의 하나로서, 마리오는 그의 모자 모양의 배 "오디세이호"를 타고 수많은 세계들을 여행하며 피치 공주와 결혼하려는 쿠파로부터 피치 공주를 구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게임을 통해 마리오는 "왕국"이라는 이름의 다양한 세계들로 여행을 떠나며 슈퍼 마리오 64와 슈퍼 마리오 선샤인에서 선보였던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탐험 기반 레벨 디자인으로 복귀하는데, 각각은 포토리얼리스틱한 도시들에서부터 더 판타지에 기반을 둔 세계에 이르는 고유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마리오가 찾아떠나는 각 왕국은 파워문이라는 아이템을 얻기 위해 다양한 목표를 클리어하며 오디세이호를 파워업하면 새로운 세계들로 접근할 수 있다. 전 세계에 퍼져있는 체크포인트 깃발들에 도달하면 마리오는 즉시 워프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다. 일부 레벨에는 "플랫"(flat) 존이라는 이름의 지역들이 있으며 여기에서 마리오는 오리지널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에서의 자신의 모습과 비슷한 사이드스크롤링 환경으로 이동한다. 트리플 점프라든지 벽 점프와 같이 마리오의 기존의 이동 레퍼토리뿐 아니라 마리오는 그의 캡(캐피라는 이름의 모런족)을 던질 수 있다. 이 캡은 적을 공격하기 위해 여러 방향으로 던질 수 있으며 일시적인 발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캡을 특정한 물체나 직접 플레이가 불가능한 등장인물에 던지면 마리오는 이들을 소유하여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테면 마리오는 커다란 틈 사이로 날아다니는 킬러를 소유할 수 있고 전기 박스의 경우 전기선을 올라탈 수 있으며 탱크로를 소유하면 적에게 발사할 수 있다. 조이콘 컨트롤러를 가지고 모션 컨트롤을 사용하면 일부 동작을 가속시킬 수 있지만, 완전한 게임 플레이를 가능케 하려면 조이콘이 스위치 콘솔에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게임을 통해 마리오는 개별 왕국에만 존재하는 자주색 코인(로컬코인)을 포함하여 코인들을 모을 수 있으며 새로운 모자와 옷과 같은 아이템을 사는데 쓸 수 있고 그 중 일부는 특정한 목표를 완수하는데 필수적이다. 마리오는 구덩이에 떨어지거나 데미지를 입음으로써 사망하면 10코인을 잃는다. 그 외의 경우 사망 시에는 특별한 페널티가 없다. 이 게임은 협동 플레이도 갖추고 있어서, 2P 플레이어가 캐피 역할을 맡아서 마리오와 별개로 적들을 공격할 수 있다. 이 게임은 각 왕국에서 최소한의 수의 파워문을 모아야 다음 레벨로 이동할 수 있지만 파워문을 모으는 것은 어디에서나 가능하며 이는 주요 목표 달성이 크게는 선택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쿠파가 패배하면 각 레벨은 훨씬 더 많은 파워문으로 재조성되며, 그 중 일부는 파워문을 얻기 위해 더 진보화된 기술들이 필요하다. 충분한 파워문을 모으면 추가적인 의상을 구매할 수 있으며 2개의 보너스 지역의 잠금을 풀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보스전이다. 슈퍼 마리오 64 기반의 피치성 기반의 레벨도 있으며 이를 통해 마리오는 벽화에 점프하여 이전에 패배시켰던 보스들보다 더 어려운 버전들과 마주하게 된다. 이 레벨은 또한 추가적인 파워문들이 있으며 이것들은 게임 내에서 무언가를 달성하면 얻을 수 있다. 이 게임은 포토 모드가 있어서 플레이어가 자유 이동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크린샷을 찍고 저장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옵션으로는 필터와 스티커 등이 있다. 또한 포토 모드로 게임플레이중 화면을 잠시 멈춰서 보지 못한곳을 볼 수 있다. 오디세이 테마의 마리오, 피치, 쿠파 아미보 조각상들을 사용하면 제각기 특수한 게임 내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그 외에 플레이어가 게임을 완수하여 충분한 파워문을 모으기 전까지는 입을 수 없었던 특수 의상의 잠금이 해제된다. 다른 아미보를 스캔하면 파워문을 찾기 위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 = 줄거리 = = 마리오는 쿠파가 피치 공주와 결혼을 위해 납치하는 것을 막으려 시도하지만, 쿠파는 의인화된 사악한 토끼들의 모임인 브리들(Broodals)의 도움을 받아 마리오를 쿠파의 비행선에서 내쫓으며 그 과정에서 그의 시그너처 캡을 찢어버린다. 마리오는 모자 왕국에서 깨어나 모런인들 가운데 하나인 캐피를 만난다. 캐피는 마리오에게 쿠파가 자신의 여동생 티아라를 피치 공주의 왕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데려갔다고 이야기하며 쿠파는 다른 왕국으로부터 그의 예정된 결혼에 관련한 더 많은 물건들을 모으고 있다고 추론한다. 마리오의 모자의 조각을 보고 캐피는 그것의 복제물로 변신하여 마리오에게 날아다니는 힘과 다른 창조물들과 물체들을 붙잡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피치 공주와 티아라를 구출할 수 있게 도와준다. 먼저 폭포 왕국 근처로 여행한 다음에 수많은 파워문을 채우면 쿠파를 따라잡을 수 있는 비행선인 오디세이호를 복원하게 된다. 마리오와 캐피가 세계의 여러 왕국을 탐험하면서 쿠파와 브리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방해하는 것을 눈치채며 가끔씩 오디세이호를 파괴시켜 어쩔 수 없이 파워문으로 이들을 복원해야만 여행을 다시 할 수 있게 된다특히 잃어버린 왕국에선 캐피가 납치당한다. 끝내 쿠파 왕국에서 쿠파를 따라잡고 브리들을 무찌르지만 쿠파는 자신의 결혼을 위해 달로 떠난다. 마리오와 캐피는 달 위의 성당으로 향하고 여기에서 결혼이 막 시작되려고 한다. 달 표면 아래의 어느 동굴로 떨어진 뒤 마리오와 쿠파는 다시 마주치게 되는데, 마리오는 주도권을 잡고 쿠파를 의식을 잃게 만든 다음 피치 공주와 티아라를 구해낸다. 그러나 동굴이 갑자기 붕괴되기 시작한다. 달의 중심에서 피치 공주를 구출하기 위해 마리오는 캐피를 사용하여 쿠파 몸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쿠파의 강력한 발톱을 이용하여 길을 트며 나아가게 된다. 피치 공주는 마리오의 도움에 고마워하지만 그가 피치 공주에게 프로포즈를 할 때 쿠파는 깨어나고 자신도 그녀에게 프로포즈를 시도한다. 마리오는 쿠파와 티격태격 싸우지만 피치 공주는 no하고 마리오에게 "집에 가자!"("Let's go home!") 라고 외친 뒤 캐피, 티아라와 함께 오디세이호에 탑승하여 출발한다. 마리오는 쿠파를 발로 차서 점프한 다음 쿠파를 달에 놓아두고 피치 공주, 캐피, 티아라가 버섯 왕국으로 향하는 그 시점에 탑승한다. = = 개발 = = 게임 개발은 2013년 말 슈퍼 마리오 3D월드 출시 이후 시작되었으며 동일한 개발팀이 만들었다. 모토쿠라 켄타 감독의 감독 아래에 이 팀은 이 시리즈의 놀라움의 테마(theme of surprise)에 기반을 둔 재밌는 개념들을 찾아내는 것을 실험하였다. 이를테면 이 팀은 조이콘 컨트롤러를 가지고 모자를 던져서 게임 메카닉을 포착하는 편이 가장 만족스러운 동작임을 발견하였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수많은 기이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냈으며, 개발자들은 촘촘한 샌드박스 환경으로 게임을 기원시킴으로써 이것들을 통합하는 일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게임의 다양한 왕국 환경들이 탄생되었으며 각기 고유한 게임 매카닉을 갖추게 되었다. 개발자들은 어느 환경이 오디세이호를 표현하는지를 선택할 때 도시 환경에 우선을 두었다. 이들은 새로운 설정에서 시리즈의 친숙한 개념을 앵커 플레이어들에게 전달하기 원했으므로 마리오와 더불어 동키콩에서 처음 등장한 등장인물인 폴린이라는 이름의 캐릭터를 도시 왕국(뉴동크 시티, New Donk City) 세계의 시장으로 선정하였다. 폴린의 캐릭터 개발을 통해 오디세이 테마 노래 Jump Up, Super Star!가 탄생하게 되었고 이 노래는 시장의 목소리를 연기한 케이트 데이비스가 맡았으며 목소리와 더불어 뮤지컬 테마를 사용한, 시리즈 중 최초의 게임이 되었다. 마리오의 의상 옵션 중 일부는 마리오의 피크로스, 슈퍼 마리오 메이커 등 마리오 시리즈의 이전 게임들의 캐릭터 의상을 참조하고 있다. 오디세이호는 마리오의 핵심 게이머들을 어필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는 시리즈가 최근까지 캐주얼 플레이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던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수집 가능한 주요 아이템들을 찾은 이후에 마리오를 레벨의 시작점으로 되돌려보내는 이전 타이틀과는 달리 파워문은 지속적인 탐험을 통해 발견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리즈의 이전 게임들 보다 더 많은 주요 수집 아이템들을 갖추고 있다.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파워문이 부족한 상황은 플레이어들에게 단순히 스토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 모험을 위해 탐험하는 더 넓은 자유도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시리즈의 새로운 방향이자 개발 직원들의 디자인적인 도전이기도 했다. 개발자들은 플레이어들이 비밀스러운 곳에 집중을 유도하는 모든 것을 검사하기를 바랐다. 마리오 시리즈의 개발자 미야모토 시게루는 게임의 의사결정에 매일 매일 참여하지는 않고 대신 책임 프로듀서의 역할을 맡았으며 개발팀이 그에게 게임 개념을 표출할 최선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미야모토의 피드백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비판적이었으나 최후 통첩이 아닌 제안으로서 이야기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게임의 사운드트랙 작곡은 쿠보 나오토가 주도했으며, 이는 그가 닌텐도에서 처음으로 주도적으로 맡은 역할이며, 추가적인 작곡은 후지이 시호가 맡았고 장기간의 시리즈 작곡은 곤도 고지가 맡았다. = = 프로모션과 출시 = = 선임 프로듀서 고이즈미 요시아키는 새로운 3D 마리오 게임이 2014년에 개발 중이라고 넌지시 언급했다. 타이틀은 닌텐도 스위치의 2016년 말 예고편에서 예고되었으며 닌텐도의 2017년 1월 신규 콘솔 프레젠테이션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게임플레이 동영상이 곧 잇따랐다. E3 2017에서, 여러 곳의 키오스크에 도시 왕국(뉴동크 시티) 테마의 섹션을 구축해놓고서 참석자들이 게임을 시연해볼 수 있게 하였다. 2017년 10월 10일, 닌텐도는 게임의 메인 테마이자 브로드웨이 뮤지컬 트레일러인 Jump Up, Super Star!를 자사의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였으며 이 영상에는 라이브 액션 댄서들과 마리오가 등장한다. 이 노래는 그 달에 아이튠즈에 출시되었으며 미국 내 톱 25 베스트셀러에 등재되었다. 이 게임은 2017년 10월 27일에 전 세계로 출시되었다. 화이트 웨딩 테마의 마리오, 쿠파, 피치 공주 아미보 조각상들이 게임을 보완하기 위해 출시되었다. 닌텐도는 한정판 스위치 콘솔 번들을 출시하였으며 콘솔, 캐피-레드 컬러의 조이콘 한 쌍, 스위치 휴대용 케이스, 해당 게임의 e숍 다운로드 코드를 포함한다. 게임 프로모션에서 닌텐도는 2017년 12월 음식 제조업체 켈로그와 파트너십을 맺고 "슈퍼 마리오 시리얼"(Super Mario Cereal)이라는 이름의 마리오 테마의 시리얼을 미국에 출시하였다. 상자 뒷면에는 NFC 태그가 포함되어 있어서 게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아미보 역할을 수행한다. 4장의 136개 트랙의 공식 사운드트랙이 2018년 2월 빙에 의해 일본에서 출시된다. = = 평가 = = E3 2017의 발표에서 오디세이는 해당 쇼에서 소셜 미디어의 가장 대중적인 게임이었으며 참석자 중 개발자들 사이에서 최고로 평가되었다. 비평가들이 초기에 감영받은 부분으로는 이 게임에 비밀들이 촘촘히 들어가있고 진행보다는 탐험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더 버지의 앤드루 웹스터(Andrew Webster)는 게임의 구조가 스위치의 포터블 성향에 잘 순응하고 있어서 플레이어가 미션을 따라가기 위해 긴 시간 동안 플레이하거나 파워문을 수집하면서 짧은 시간 해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 저자는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 걸쳐있는 성지, 숨겨진 미니 던전과 비교했다. 이러한 찬사에도 불구하고 웹스터는 모션 컨트롤이 실망스럽게도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표준 컨트롤의 정확도를 선호하였다. 특정한 장소에서 마리오를 2차원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형태로 전환하는 기능은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2에 내장된 퍼즐과 비교되었으나, 벤처비트는 이 게임의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와의 유사성을 지적하였다. 출시 이후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리뷰 애그리게이터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비평가들로부터 대체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수많은 다른 게임들과 함께 해당 플랫폼에서 5위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게임으로 평가되었다. 에지는 이 게임의 새로운 아이디어들의 독창성과 닌텐도가 마리오 게임에서 설립해놓은 공식에서 벗어난 리스크에 대해 높게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평가를 받을만한 자격이 있다고 믿었다. 이들은 이 게임을 슈퍼 마리오 64와 관련지었으며 이전에 달성해본 적이 없는 정신적인 계승자로 불렀다. 이 잡지는 또한 캐피와 포착 매카닉을 도입한 것에 대해 찬사를 보냈으며 현재까지의 마리오 시리즈 가운데 가장 다재다능한 기능으로 불렀고 닌텐도가 이러한 기능을 통해 자신들의 수많은 게임플레이 활동들을 재발명할 수 있게 해주었지에 대해 향유하였다. 패미통은 이 게임에 대해 40점 중 30점을 주었으며 이는 슈퍼 마리오 64와 동점이며 그 이후 3D 마리오 게임에 대해서는 최고점이다. IGN과 게임스팟에 의해서는 10/10점 만점을 받기도 했으며 둘 다 게임의 독창성을 칭찬하였다. = = = 판매 = = = 출시된지 나흘만에 전 세계적으로 게임의 200만 본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그 중 일본에서는 50만 본 넘게 판매되었다. 런칭한 주 동안에 이 게임은 영국에서 보다 더 많이 판매된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과 경쟁하였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닌텐도가 가장 빠르게 판매한 슈퍼마리오 게임으로 되었는데, 미국에서 닷새 안에 1,100,000본이 판매되었다. NPD 그룹에 따르면 이 게임은 2017년 10월 가장 많이 판매된 비디오 게임이었으며, 그 해 온라인 소매자의 가장 많이 판매된 게임으로서 아마존에 등재되었다. 2017년 9월 25일부터 10월 말까지 63,538개의 디지털 사본이 일본에서 판매되었다. = = = 수상 = = = 수상 및 지명 목록 연도 상 분류 결과 참조 2017 IGN's Best of E3 Best Platformer 2017 IGN's Best of E3 Best Nintendo Switch Game 2017 IGN's Best of E3 Game of Show 2017 Game Critics Awards Best Action/Adventure Game 2017 Game Critics Awards Best Console Game 2017 Game Critics Awards Best of Show 2017 디스트럭토이드s Best of E3 Best of Show 2017 게임스컴 Best of Gamescom 2017 게임스컴 Best Action Game 2017 게임스컴 Best Family Game 2017 게임스컴 Best Nintendo Switch Game 2017 게임스컴 Most Wanted Consumer Award 2017 Golden Joystick Awards Studio of the Year 2017 Golden Joystick Awards Nintendo Game of the Year 2017 Golden Joystick Awards Ultimate Game of the Year 2017 The Game Awards 2017 Game of The Year 2017 The Game Awards 2017 Best Game Direction 2017 The Game Awards 2017 Best Score/Music 2017 The Game Awards 2017 Best Audio Design 2017 The Game Awards 2017 Best Action/Adventure Game 2017 The Game Awards 2017 Best Family Game 2017 IGN Best of 2017 Awards Game of the Year 2017 IGN Best of 2017 Awards Best Switch Game 2017 IGN Best of 2017 Awards Best Platformer 2017 IGN Best of 2017 Awards Best Original Music = = 참조 = = = = = 내용주 = = = = = = 각주 = = = = 틀:축구 라운드별 순위/독일20-21 = = 분류:EC 1.13.12 = = 분류:1999년 영상 음반 = = 청년 유럽당 = 청년 유럽당은 1834년 주세페 마치니가 청년 이탈리아당을 모델로 출범한 국제정치결사체다. 청년 이탈리아당, 청년 독일당, 청년 폴란드당이 가맹했다. 청년 유럽당의 중앙위원회를 통해 결정된 공통의 기조, 즉 유럽에서의 자유와 평등과 인권의 원칙의 확립이라는 의제를 각자의 조국에서 독립적으로 전개했다. 청년 유럽당의 본부는 스위스에 있었으나, 스위스 당국의 반감을 사 다수의 당원들이 추방당하고 1836년이 되면 활동이 형해화되었다. = 발곡초등학교 = 발곡초등학교는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8년 1월 15일 - 발곡초등학교 설립 인가 1998년 3월 1일 - 발곡초등학교 개교(5학급) 1998년 3월 1일 - 발곡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개원(1학급) 1998년 3월 1일 - 초대 이항무 교장 취임 1998년 4월 2일 - 학급편성완료(개교기념일 지정) 2014년 9월 1일 - 제7대 고혜숙 교장 취임 2015년 3월 1일 - 제16회 졸업식(졸업생 198명. 총 3,460명) * = = 학교 상징 = = 교목(校木) - 주목 교화(敎化) - 장미 = 교향곡 3번 (본 윌리엄스) = 교향곡 3번 바장조 ‘전원’(Symphony No.3 in F major ‘Pastral’)은 본 윌리엄스가 작곡한 3번째 교향곡이다. 1918년에서 1921년까지 작곡됐으며, 전원교향곡이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으나, 통상적으로 교향곡 3번이라고 번호를 붙었다. 베토벤의 〈교향곡 6번〉, 글라주노프의 〈교향곡 7번〉과 함께 전원(田園)이라는 부제가 부쳐있다. = = 작곡, 해설 = = 본 윌리엄스가 〈교향곡 2번 ‘런던’〉을 완성하여 발표한 1914년에 유럽은 제1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인다. 그는 포병 장교로서 프랑스 전선에 참전한 관계로 그 후 약 4년동안 그의 음악 활동은 중단된다. 종전 후에 귀국하여 왕립 음악원의 교수로 복직한 후 이 3번 교향곡의 작곡에 착수한다. 그리하여 1921년에 완성한 후 이듬해 1월 26일에 초연을 본 이 작품은 2번 교향곡 이후의 대작으로서, 그의 명성을 확고부동한 것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은 2번 교향곡보더 덜 형식적이므로, 다소 교향시적 인상을 주지만, 베토벤, 글라주노프의 〈전원(田園)〉과 같은 표제적 혹은 묘사적 내용은 찾아볼 수 없는 절대음악적 교향곡이다. 이 작품은 근대 영국 음악의 이정평표를 마련한 것으로서, 수많은 영국 비평가들은 이것을 근대 영국의 하나의 걸작으로 평가한다. 뿐만 아니라 영국 이외의 나라들에서도 이 〈전원교향곡〉만큼 이해되고 애호받는 음악도 드물다. 본 윌리엄스가 이 〈전원〉을 구상하기 시작한 것은 그가 파리에 참전해 있을 무렵인 1916년의 일이다. 이 작품의 느린악장에서 나타나는 트럼펫의 '군대 나팔 소리'가 아마도 그 직접적인 증거일 것이다. 이러한 전쟁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유츄할 수 있는 것은 이 음악의 외견상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고요함의 이면에 흐르는 긴장감, 그리고 전체적인 조용함에 도전하는 갑작스런 강렬한 치솟음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교향곡을 구성함에 있어서 거의 모든 작곡가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문제인 템포, 다이내믹스, 그리고 기본 소재 등에 있어서의 대조를 본 윌리엄스가 이 작품에서 거의 도외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전원〉은 드라마틱하다. 동시에 이 작품은 자신의 가장 깊숙한 내면에 던져진 인간이 여러 가지 발견을 하고 자신의 문화적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그러한 인간상의 표현이기도 하다. 양식적으로 보아서는 문화적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그러한 인간상의 표현이기도 하다. 양식적으로 보아서는 문화적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그러한 인간상의 표현이기도 하다. 양식적으로 보아서는 문화적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그러한 인간상의 표현이기도 하다. 양식적으로 보아서는 문화적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그러한 인간상의 표현이기도 하다. 양식적으로 보아서는 크게 2가지 특징이 근본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즉, 극히 제한된 영역 내에서 선법적이고 5음계적 선율의 굽이쳐 흐름이며, 이에 대한 전현적인 예는 피날레 악장의 시작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선율의 화성적 암시와는 독립적으로 덩어리 화음들을 자유롭게 취급한다는 점이다. 이 곡은 1922년 1월 26일 런던 필하모닉 관현악단에 의해 초연됐다. = = 연주시간 = = 약 38분 = = 악기편성 = = 플루트3(3번은 피콜로 겸함), 오보에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3(3번은 베이스 클라리넷 겸함), 바순3, 호른4, 트럼펫3, 트롬본3, 튜바, 큰북, 심벌즈, 트라이앵글, 하프, 첼레스타, 현5부 (소프라노 독창) = = 구성 = = = = = 제1악장 = = = 몰토 모데라토, 바장조. 먼저 목관의 반주를 카고 콘트라베이스와 하프가 제1주제를 연주한다. 이 주제는 극히 명상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이 악장 전체의 석격을 결정한다. 이 주제는 믹솔리디아 선법(Mixolydian mode)으로 되어 있다. 이 주제를 다시 독주 바이올린이 연주하면 오보에가 그것을 모방한다. 다시 제2주제가 잉글리시 호른과 첼로에 의해 도입되면 다른 악기들이 이것을 이어받아 나가고, 그러는 동안 제1주제 또한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각 악기에서 등장한다. 이어 발전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들어가, 독주 바이올린이 제1주제를 발전시킨다. 여기에는 호른, 플루트, 오보에 그리고 하프가 대위선율을 제공한다. 이 부분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선율들은 외적 유사성은 거의 없으나 그 근윈에서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서 서로 얽혀 클라이맥스를 형성했다가 고요히 사라져 감으로써 악장을 마친다. 따라서 이 악장은 전혀 고전적인 형식의 틀에 맞지 않는 것으로 오히려 그 형식 발생 요인은 거의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선율 자체 내에 있다. 그리하여 본 윌리엄스는 자신의 특우한 형식을 선율적 발전 윌리에 입각하여 창출해 낸 것이다. = = = 제2악장 = = = 렌토 모데라토. 먼저 호른이 낭만적인 성격의 선율을 시작하면, 현이 이를 이어받아 상행 선율을 계속한다. 이어 독주 비올라와 독주 플루트가 유니즌으로 호른의 주제를 반전시킨다. 여기어서 독특한 '군대 나팔 소리'인 트럼펫의 악구가 전체적인 고요속으로 뛰어들어 온다. 이 악구는 1916년 본 윌리엄스가 프랑스 전선에서 종군하고 있을 무렵에 연습 중이던 나팔수가 옥타브로 취주해야 할 악구를 7도로 불고 있는 것을 들은 것이 힌트가 되어 만들어진 악구라고 전해진다. 이 악구가 트럼펫에 이어 호른으로 다른어진 연후에 클라리넷이 앞서의 호른 주제를 대위법적으로 변주하여 화려하게 연주한다. 이어서 현악의 온음게적 진행과 호른의 악구에 위해 악장을 마친다. = = = 제3악장 = = = 모데라토 페잔테. 일종의 부드러운 스케르초에 해당하는 악장이다. 본 윌리엄스 자신은 이 악장을 가리켜 '느린 무곡'이라고 말하고 있다. 주된 주제는 3개로서 모두가 영국 농민들이 무용곡 선율을 암시하는 것들이다. 제1주제는 악장 첫머리 근처에서 나타나며, 트럼펫과 트롬본의 장식을 수반하고 있고, 제2주제는 하프와 현의 반주를 수반한 플루트 독주에 의해 제시되고 나중에는 형을 바꾸어 나타난다. 제3주제는 믹소리다아 선법에 의한 선율로서 트럼펫이 연주한다. 짤막한 코다로 악장을 마친다. = = = 제4악장 = = = 피날레, 렌토. 먼저 팀파니의 연타가 악장의 시작을 알리면 그를 배경으로 하여 소프라노 독정이 은은한 칸틸레나(Cantilena)를 가사없이 노래한다. 일반적인 연주에서는 소프라노를 흔히 사용하며, 가수는 보통 무대 뒤에서 노래한다. 독창을 생략한 소규모 편성에서는 이 선율을 제1클라리넷이 연주한다. 이 선율이 사라지면 약음기를 낀 현이 주요 주제를 암시하고 곧 이어 목관, 호른, 하프 등이 주요 주제를 당당하게 제시한다. 이어서 잉글리시 호른이 보다 활달한 주제를 제시하면 독주 바이올린이 이것을 이어받아 한층 더 고조 시킨다. 이어 현과 관이 대화풍으로 〈소녀의 노래〉를 포르티시모(ff)로 연주하여 이 악장의 클라이맥스를 이룬다, 계속하여 소프라노 독창이 〈소녀의 노래〉를 멀리 사라지듯이 부름으로써 전곡을 마무리한다. = 분류:다카라즈카 가극단 11기생 = = 장항항 (남해군) = 장항항(麞項港)은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서상리, 장항마을 인근에 있는 어항이다. 2002년 8월 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남해군수이다. = = 어항 연혁 = = 마을 뒷산이 산짐승인 노루의 목과 같이 생겼다 하여 장항(麞項)이라 유래되었다. = = 어항 시설 = = 방파제 L=165m, B=7m, 선착장 L=113m, B=4.5m, 호안 L=200m, B=6m = = 주요 어종 = = 게, 노래미, 도다리, 장어, 메기, 해삼 등 = 보어 공화국 = 보어 공화국이란 현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서부 지역에서 네덜란드인의 후손들(현 보어인의 조상)이 세운 자치 공화국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보어 국가(Boerstaat)라고도 한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하였으나, 모두 남아프리카 연방에 병합되었다. = = 보어 공화국 보기 = = = = = 네덜란드 통치시대에 세워진 나라 = = = 그라프 레이네 스벨렌담 =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2010년 9월 = = = 아나운서 문서 생성 IP 관련 = = 올해 들어 특정 IP 사용자가 아나운서 문서를 '토막글 미만' 수준으로 대량 생성한 뒤 삭제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여러 사용자들이 해당 IP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요청을 남기고 있지만, 이러한 일이 무려 10번이나 계속되었습니다. (, 외 여러 문서) 이 정도의 상황이면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앞으로도 이러한 일이 반복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의견은 해당 IP 사용자가 생성한 아나운서 문서 중 저명성을 갖추었거나 해당 아나운서가 아니더라도 동명이인 중 저명성을 갖춘 대상이 있다면 일단 생성한 뒤 관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위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미생성 문서가 있다면, 일단 해당 IP 사용자가 문서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보호 조치를 한 뒤, 토론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12:19 (KST) = = 음란성, 특정인 타켓 계정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특징 츄군씨를 타켓으로 하는 계정들이 많다. 계정마다 음란한 말을 같다 붙인다. 자신의 핸드폰번호를 공개한다 "츄군"이란 단어 입력 금지여도 비슷한 이름을 계속 계정을 생성한다. 요 근래 생성된 음란성 계정, 특정인을 타켓으로하는 계정들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rk4624 (토론) 2010년 9월 18일 (토) 19:20 (KST) = 시베니크크닌주 = 시베니크크닌주는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지방 중북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시베니크이며 면적은 2,994km2, 인구는 112,891명(2001년 기준), 인구 밀도는 37.7명/km2이다. 남동쪽으로는 스플리트달마티아주, 남쪽과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북쪽으로는 자다르주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국경을 접한다. 5개 시와 15개 지방 자치체를 관할하며 주 의회는 41개 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분류:서울 성동구 = = 스크루지 = 스크루지는 다음을 가리킨다. 에비니저 스크루지(Ebenezer Scrooge)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의 주인공이다. 스크루지 맥덕(Scrooge McDuck)은 디즈니 만화 캐릭터이다. 《스크루지》(Scrooge)는 1970년 영국 영화이다. 《스크루지》(Scrooged)는 리처드 도너 감독의 찰스 디킨스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을 원작으로 한 1988년 미국 영화이다. RT-20P의 NATO 보고명 SS-15 스크루지 = 2004년 CAF 챔피언스리그 = 2004년 CAF 챔피언스리그(2004 CAF Champions League)는 2004년 3월 7일부터 12월 12일까지 개최된 CAF 챔피언스리그의 40번째 대회이다. 현재의 CAF 챔피언스리그 방식으로는 8번째 대회에 해당한다. 나이지리아의 에님바가 결승전에서 튀니지의 에투알 뒤 사엘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예선 라운드 = = = = = 예비 라운드 = = = 1 US 스타드 탕포네즈는 참가를 거절했다. 이 때문에 3,000 미국 달러의 벌금을 받았으며 2년 동안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2 ASC 나스르 드 셉카가 2차전 경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기권함에 따라 하사니아 아가디르의 3-0 승리로 처리되었다. = = = 1라운드 = = = = = = 2라운드 = = = = = 조별 예선 = = = = = A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에투알 뒤 사엘 6 3 2 1 8 5 +3 11 에님바 6 2 2 2 11 4 +7 8 아프리카 스포르 6 2 1 3 6 10 -4 7 바클리 불리츠 6 1 3 2 5 11 -6 6 = = = B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에스페랑스 드 튀니스 6 4 0 2 12 7 +5 12 ASC 잔 다르크 6 3 2 1 8 9 -1 11 USM 알제 6 2 1 3 8 8 0 7 슈퍼스포츠 유나이티드 6 1 1 4 5 9 -4 4 = = 결선 토너먼트 = = = = = 준결승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2004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에님바2번째 우승 = SP 카일룬고 = SP 카일룬고는 보르고마조레를 연고로 하는 산마리노의 축구 클럽이다. 현재는 캄피오나토 산마리노 디 칼초에 참가하고 있다. = = 성적 = = 산마리노 연방 트로피 3회 우승 (2002) = = 틀:장항항선 = = 장항항선은 단지 장항화물선의 일부 구간입니다. 일단 장항항선 문서는 IP 125.241.93.170님이 넘겨주기 처리해 주셨습니다. 장항화물선과 같은 노선인데, 틀:장항항선을 유지할 필요가 있나요? -125.241.93.170 2010년 6월 18일 (금) 17:26 (KST) 넘겨주기를 사용하는 문서가 다 처리되면 틀:삭제 신청을 사용해서 즉시 삭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삭제 토론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보아, 토론을 닫습니다. - IRTC1015 (토론) 2010년 6월 18일 (금) 20:35 (KST) = 셜리 스트롱 = 셜리 일레인 스트롱(Shirley Elaine Strong, 1958년 1월 18일 ~ )은 주로 100m 허들에 나간 전 영국의 육상 선수로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영국 기록을 보유하였다. = = 경력 = = 커딩턴에서 태어난 스트롱은 1977년 자신의 국내 육상 경력을 시작하여 AAA 선수권과 영국 육상 선수권 둘다에서 100m 허들 2위를 하였으며, 이듬해 양선수권에서 2위를 되풀이하였다. 그녀는 AAA 선수권에서 6개의 연속적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3회의 국내 챔피언(1979, 1980, 1983)이었다. 스트롱의 첫 주요 국제적 경연은 1978년 에드먼턴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서 은메달을 딴 일이었다. 4년 후, 브리즈번에서 열린 그 대회에서 금메달 획득과 함께 향상시켰다.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스트롱은 12.78초와 함께 5위를 하여 2011년 티퍼니 포터가 4위를 할 때까지 종목에서 영국의 최고 순위에 놓였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구권의 보이콧과 함께 스트롱은 100m 허들의 우승 후보였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미국의 베니타 피츠제럴드브라운이 12.84초와 우승하면서 스트롱보다 0.04초나 더 빨랐다. 올림픽에 이어 스트롱은 아킬레스건 부상을 겪어 1986년 코먼웰스 게임에 나가는 데 실패하였다. 그해 후반에 유럽 선수권을 위하여 선발되었으나 팀으로부터 물러나왔다. 1987년 실내 시즌을 마친 후, 육상에서 은퇴하였다. = 오리올 파크 = 오리올 파크(Oriole Park)는 메릴랜드 볼티모어의 과거 몇몇 메이저리그, 마이너리그 야구장들의 이름이다.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현재의 다운타운 홈의 이름의 절반을 차지하며, 전체 이름은 오리올 파크 앳 캠던 야즈이다. 오리콜 파크의 초창기 화신은 서로 수 블럭을 사이에 두고 그 안에 건설되었다. = = 참고 자료 = = *House of Magic, by the Baltimore Orioles. *Green Cathedrals, by Phil Lowry. *The Home Team, by James H. Bready. = 로니 콕스 = 로니 콕스(Ronny Cox 1938년 7월 23일 ~ )는 미국의 배우,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이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에이전시 = = = 영화 = = = 머더 1600 베버리 힐스 캅 2 = 2012 VP113 = 은 세드나족에 속하는 해왕성 바깥 천체이다. 조 바이든에서 유래한 별칭인 바이든(Biden)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태양계의 가장 바깥쪽 범위에 위치해 있다. 평균 직경은 450km로 추정되며 2012년 11월 5일에 천문학자 스콧 셰퍼드와 채드 트루히요에 의해 발견되었다. = KBS 스포츠 9 = KBS 스포츠 9는 KBS 1TV에서 매주 평일 오후 9시 50분 · 주말 오후 9시 30분에 방송 중인 KBS 뉴스 9의 스포츠 뉴스 코너인 스포츠 종합 뉴스 프로그램이다. = = 개요 = = KBS 스포츠뉴스로 읽는다. = = 앵커 = = = = = 평일 = = = 이윤정 KBS 아나운서 (여성) = = = 주말 = = = 김종현 KBS 아나운서 (남성) = = 역대 앵커 = = = = = 평일 = = =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김병찬 前 아나운서 1994년 10월 10일 ~ 1996년 3월 1일 2대 성세정 아나운서 1996년 3월 4일 ~ 1998년 10월 9일 3대 김홍성 아나운서현재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 남성 MC 1998년 10월 12일 ~ 1999년 12월 24일 4대 성세정 아나운서 1999년 11월 27일 ~ 2001년 4월 27일 성세정 아나운서는 3년 8개월 만에 평일 KBS 스포츠뉴스 재진행 5대 김현태 아나운서실 팀장 2001년 4월 30일 ~ 2004년 4월 30일 김현태 아나운서실 팀장은 마지막 주말 진행 다음 날 바로 평일로 옮겨서 진행. 6대 이재홍 아나운서실장 2004년 5월 3일 ~ 2009년 4월 17일 이재홍 아나운서실 스포츠팀장은 마지막 주말 진행한 다음 날 바로 평일로 옮겨서 진행이재홍 아나운서실 스포츠팀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08년 10월 27일부터 2008년 10월 31일에는 이지애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7대 엄지인 아나운서현재 아침마당 여성 재진행 MC 2009년 4월 20일 ~ 2014년 2월 28일 엄지인 (현재 아침마당 여성 재진행 MC)공채 33기 아나운서의 휴가·KBS 노조 파업으로 인해 2009년 7월 22일에는 이형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09년 9월 7일부터 2009년 9월 11일에는 이영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0년 8월 30일부터 2010년 9월 3일에는 김솔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1년 3월 22일부터 2011년 3월 25일에는 이선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1년 8월 15일부터 2011년 8월 19일에는 박은영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1년 12월 20일에는 조건진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8대 정지원 아나운서현재 KBS 아침뉴스타임 여성 앵커, 남북의 창 MC 2014년 3월 3일 ~ 2014년 12월 30일 9대 이승현 아나운서현재 이슈 픽 쌤과 함께 여성 MC 2015년 1월 2일 ~ 2018년 1월 31일 이승현 아나운서의 휴가·KBS 노조 파업으로 인해 2016년 11월 4일부터 2016년 11월 11일에는 가애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7년 1월 27일에는 한상헌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7년 9월 4일부터 2018년 1월 23일에는 유지철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7년 10월 12일부터 2017년 10월 13일, 2017년 10월 20일, 2017년 10월 26일, 2017년 10월 30일에는 김동우 아나운서실 부팀장이 대신 진행했다. 10대 이재성 아나운서현재 영화가 좋다 남성 MC,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남성 MC 2018년 4월 23일 ~ 2020년 2월 7일 이재성 아나운서의 휴가·2018년 아시안 게임 현지 중계 파견 및 중계 준비로 인해 2018년 8월 13일, 2018년 9월 3일부터 2018년 9월 6일에는 이혜성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9년 11월 11일부터 2019년 11월 15일에는 남현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1대 남현종 아나운서현재 KBS 월드 24 앵커 2020년 2월 10일 ~ 2023년 3월 2일 남현종 아나운서의 휴가로 인해 2020년 11월 9일부터 2020년 11월 13일에는 김선근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12월 17일에는 김종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2021년 7월 19일부터 2021년 8월 6일에는 남현종 아나운서의 2020 도쿄 올림픽 현지 축구 중계를 위한 일본 도쿄 파견으로 인하여 이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남현종 아나운서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현지 중계 파견, 2022 카타르 월드컵 현지 중계 파견, 휴가·개인 사정으로 인해 2022년 1월 31일부터 2022년 2월 25일, 2022년 3월 25일부터 2022년 4월 8일에는 박소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2월 14일에는 김종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2월 15일부터 2022년 2월 18일에는 정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8월 11일, 2022년 11월 16일, 2022년 11월 17일에는 김도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11월 21일부터 2022년 12월 19일에는 이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2대 홍주연 아나운서현재 평일 KBS 뉴스광장 여성 앵커 2023년 3월 6일 ~ 2023년 11월 10일 13대 이윤정 아나운서 2023년 11월 13일 ~ 현재 이윤정 아나운서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2023년 11월 29일에는 김보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 주말 = = =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김홍성 아나운서현재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 남성 MC 1999년 12월 26일 ~ 2001년 1월 14일 2대 김현태 아나운서실 팀장 2001년 1월 20일 ~ 2001년 4월 29일 3대 이재후 아나운서현재 출발 FM과 함께 DJ 2001년 5월 5일 ~ 2002년 10월 27일 4대 김태규 아나운서 2002년 11월 2일 ~ 2003년 6월 22일 5대 이재홍 아나운서실장 2003년 6월 28일 ~ 2004년 5월 2일 6대 김희수 아나운서현재 토요일 오후 5시·오후 7시 KBS 뉴스 (주말) 앵커 2004년 5월 8일 ~ 2005년 5월 1일 7대 이승연 아나운서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여성 패널 2005년 5월 7일 ~ 2005년 10월 30일 8대 박지윤 前 아나운서 2005년 11월 5일 ~ 2007년 11월 4일 9대 이지애 前 아나운서 2007년 11월 10일 ~ 2009년 4월 19일 이지애 前 아나운서의 2008 KBS 연예대상 진행으로 인해 2008년 12월 27일에는 오정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0대 이영호 아나운서 2009년 4월 25일 ~ 2013년 10월 20일 11대 김승휘 아나운서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남성 MC 2013년 10월 26일 ~ 2014년 12월 28일 12대 한상헌 아나운서 2015년 1월 3일 ~ 2017년 9월 2일 한상헌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5년 7월 4일부터 2015년 7월 12일 에는 박태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6년 1월 23일에는 김기만 아나운서 차장이 대신 진행했고 2016년 10월 1일부터 2016년 10월 2일에는 조항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17년 8월 19일부터 2017년 8월 20일에는 김승휘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3대 이혜성 前 아나운서현재 벌거벗은 세계사 여성 MC 2018년 4월 21일 ~ 2020년 2월 9일 이혜성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8년 9월 22일부터 2018년 9월 23일, 2019년 2월 2일부터 2019년 2월 3일에는 이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4대 김종현 아나운서 2020년 2월 15일 ~ 2020년 10월 25일 2020년 7월 25일부터 2020년 7월 26일, 2020년 10월 3일부터 2020년 10월 4일에는 남현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5대 김선근 前 아나운서 2020년 10월 31일 ~ 2022년 4월 17일 김선근 前 아나운서의 휴가·개인 사정으로 인해 2021년 9월 11일, 2021년 11월 13일부터 2021년 11월 14일에는 남현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6대 김도연 前 아나운서 2022년 4월 22일 ~ 2022년 12월 18일 김도연 아나운서의 신혼 휴가로 인해 2022년 10월 15일부터 10월 16일에는 김종현 아나운서 대신 진행했고 2022년 10월 21일부터 2022년 10월 28일에는 남현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7대 김종현 아나운서 2022년 12월 23일 ~ 현재 김종현 아나운서는 2년 10개월 만에 주말 KBS 스포츠 9 재진행김종현 아나운서의 휴가·개인 사정·단오 장사 씨름 대회 중계 방송 진행으로 인해 2023년 1월 7일부터 2023년 1월 8일에는 박소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3년 6월 24일부터 2023년 6월 25일에는 이광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3년 9월 30일부터 2023년 10월 7일에는 임지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4년 1월 13일부터 2024년 1월 14일에는 이승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 코너 = = = = = 평일 = = = 코너명 진행자 오늘의 영상 이윤정 아나운서 = = 타이틀 변천사 = = 기수 프로그램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KBS 스포츠뉴스 일자 미상 ~ 일자 미상 2기 KBS 스포츠 9 일자 미상 ~ 현재 = = 테마곡 = = 1995년 만들어진 작곡가 왕준기씨로 스포츠뉴스 시그널 곡이며, 2007년과 2014년 이후에 리메이크 수차례 작업하였다. = = 스포츠뉴스 경쟁 프로그램 = = MBC 스포츠뉴스 (MBC TV) SBS 스포츠뉴스 (SBS TV) = 서경 97도 = 서경 97도(西經97度)는 본초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97도 떨어진 경선이다.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북극해, 북아메리카, 대서양, 남극해, 남극을 거쳐 남극점에 이른다. 서경 97도는 동경 83도와 이어져 지구의 둘레를 이룬다. = = 지나가는 지역 = =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서경 97도선은 다음 지역을 지나간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북극해 액슬하이버그섬, 누나부트 준주 액슬하이버그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페이 제도 바로 동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 아먼드링네스섬 무명 해역 누나부트 준주 크레센트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 피오니어섬 페니 해협 누나부트 준주 스핏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데번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존배로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하이드파커 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퀸스 해협 누나부트 준주 데뵈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밀른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누나부트 준주 — 리틀콘월리스섬 맥더걸만 누나부트 준주 트루로섬 바로 동쪽을 지나감 페리 해협 누나부트 준주 — 프린스오브웨일스섬 필만 누나부트 준주 — 비비언섬, 프레스콧섬 브라운 만 누나부트 준주 판도라섬 바로 서쪽을 지나감 영만 누나부트 준주 — 프린스오브웨일스섬, 호브데이섬 프랭클린 해협 라센만 제임스로스 해협 누나부트 준주 클라렌스 제도 (부터 누나부트 준주 — 킹윌리엄섬 심슨 해협 누나부트 준주 매니토바주 — 부터, 위니펙호를 통과함 미네소타주 노스다코타주 — 부터 사우스다코타주 — 부터 네브래스카주 — 부터 캔자스주 — 부터 오클라호마주 — 부터 텍사스주 — 부터, 댈러스-포트워스 메트로플렉스 권역을 반으로 가르고 산호세섬 빅토리아 시를 바로 통과함 멕시코만 베라크루스주 푸에블라주 — 약 6 km 부터 베라크루스주 — 부터 푸에블라 주 — 부터 오아하카주 — 부터 태평양 남극해 남극 영유권 주장이 없는 권역 = 광주 서원문 밖 석장승 = 광주 서원문 밖 석장승은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대학교에 있는 석장승이다. 2017년 1월 1일 광주광역시의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광주광역시 공고 제2016-254호, 광주광역시 문화재 지정 고시, 광주광역시장, 2017-01-01 = = 개요 = = 광주읍성 동문인 서원문 밖에서 1967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수습되어 원래 위치가 명확하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장승에 새겨진 명문으로 보아 광주를 보호하기 위해 세워졌음을 알 수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있다. = 오경주 (희극인) = 오경주(1984년 1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다. = = 출연작 = = = = = 방송 = = = 개그야 (MBC) 개그1 (SBS) 하땅사 (MBC) = 분류:군인 순직 사건 = = 분류:데와국의 번 = = 분류: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동문 = = 아사카와정 (도쿄도) = 아사카와정(浅川町)은 도쿄도 미나미타마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세무사 = = 광서 (연호) = 광서(光緖, 1875년 ~ 1908년)는 청나라 덕종(德宗) 광서제(光緖帝)의 연호이다. 34년 가량 사용하였다. 연호 후보로는 광서(光緖) 외에도 승희(承熙), 소덕(紹德), 연도(延道) 등이 있었다. = = 개원 = = 동치(同治) 13년 12월 9일갑술년(甲戌年) 12월 무인일(戊寅日)(그레고리력 1875년 1월 16일)에 연호를 광서(光緖)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을해년(乙亥年) 1월 기해일(己亥日)(그레고리력 1875년 2월 6일)에 개원함.《청실록》(清實錄) 덕종실록(德宗實錄) 권1 - 동치(同治) 13년 12월 무인(戊寅) 기사《청사고》(清史稿) 권23 〈본기〉(本紀) 23 - 덕종(德宗) 1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광서(光緖) 34년 10월 25일무신년(戊申年) 10월 정축일(丁丑日)(그레고리력 1908년 11월 18일)에 연호를 선통(宣統)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기유년(己酉年) 1월 임오일(壬午日)(그레고리력 1909년 1월 22일)에 개원함.《청실록》(清實錄) 선통정기(宣統政紀) 권1 - 광서(光緖) 34년 10월 정축(丁丑) 기사《청사고》(清史稿) 권25 〈본기〉(本紀) 25 - 선통황제(宣統皇帝) = = 연대 대조표 = = 연대 대조표 광서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기(西紀) 1875년 1876년 1877년 1878년 1879년 1880년 1881년 1882년 1883년 1884년 간지(干支)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광서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서기(西紀) 1885년 1886년 1887년 1888년 1889년 1890년 1891년 1892년 1893년 1894년 간지(干支)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광서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서기(西紀)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간지(干支) 을미(乙未)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광서 31년 32년 33년 34년 서기(西紀)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간지(干支) 을사(乙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무신(戊申) = = 동시대 연호 = = = = = 한국 = = = 개국(開國) (1894년 ~ 1895년) 건양(建陽) (1896년 ~ 1897년) 광무(光武) (1897년 ~ 1907년) 융희(隆熙) (1907년 ~ 1910년) = = = 중국 = = = 대만민주국(臺灣民主國) 영청(永清) (1895년) 철국산(鐵國山) 천운(天運) (1896년) 대정 정권(大靖政權) 대정(大靖) (1897년 ~ 1899년) 홍전복(洪全福) 대명국(大明國) (1902년) 공준태(龔春台) 한덕(漢德) (1906년) = = = 베트남 = = = 뜨득(嗣德) (1848년 ~ 1883년) 끼엔푹(建福) (1884년) 함응이(咸宜) (1885년) 동카인(同慶) (1885년 ~ 1888년) 타인타이(成泰) (1889년 ~ 1907년) 주이떤(維新) (1907년 ~ 1916년) = = = 일본 = = = 메이지(明治) (1868년 ~ 1912년) = = = 란방공화국 = = = 난방(蘭芳) (1777년 ~ 1884년) = = 관련 항목 = = 중국의 연호 = 분류:슬롯 머신 = = 리오로 가는 길 = 리오로 가는 길(Road To Rio)은 미국에서 제작된 노먼 Z. 맥레오드 감독의 1947년 모험, 코미디, 뮤지컬,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빙 크로스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빙 크로스비 밥 호프 도로시 라무어 = = = 조연 = = = 게일 손더그라드 프랭크 파이른 조셉 비탈 프랭크 푸글리아 네스토 파이바 로버트 바랫 = = 제작진 = = 미술: 한스 드레이어 = 분류:미카와정 = = 광명도시공사 = 광명도시공사는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지방공기업이다. = 커스터드애플 = 커스터드애플(, 학명: )은 뽀뽀나무과의 과일 나무이다. = = 분포 = =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및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 과테말라와 니카라과가 원산지이다. = 분류:모리셔스의 인구 = = 서해 (동음이의) = 서해(西海)는 기본적으로 서쪽에 있는 바다를 뜻한다. = = 바다 = = 에스토니아어권에서 발트해를 이르는 말이다. 필리핀어권에서 남중국해를 가리켜 ‘서필리핀 해’라 부른다. = = 지명 = = 사이카이시(西海市) - 일본 나가사키 현에 있는 시 사이카이도(西海道) - 일본의 옛 행정 구역. 지금의 규슈 지방 = 항혈소판제 = 항혈소판제(抗血小板劑, antiplatelet drug, antiaggregant, platelet agglutination inhibitor,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는 혈소판의 응집을 감소시키고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의 한 클래스이다. 일반적인 비타민 K 길항제인 항응고제의 효과가 최소화되는 동맥 순환에서 효과적이다. 항혈소판제는 혈전성 질환, 특히 심근경색과 허혈성 뇌졸중의 일차와 이차 예방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나 이상의 항혈소판제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항혈소판치료 또는 항혈소판요법(antiplatelet therapy)은 일차 지혈 과정에서 혈소판의 활성화에 간섭하여 혈전 형성 능력을 감소시킨다. 항혈소판제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혈소판 활성화에 관련된 과정을 억제하여 혈소판이 다른 혈소판이나 손상된 혈관 내피에 붙는 경향을 줄인다. = = 약제의 선택 = = 항혈소판제는 안정성과 불안정성 허혈성 심장질환 양쪽 모두에 대해 일차적으로 권장되는 치료 약제 중 하나이다. 가장 흔하게는 아스피린이 단순 안정성 협심증과 일부 불안정성 협심증에 대해서 단일 약제로 사용된다. 환자가 아스피린에 과민성으로 보여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ADP/P2Y 억제제가 단일 약제로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더 중증의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두 종류의 항혈소판제를 병용하거나,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를 포함시켜 세 종류의 약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임상의는 환자에게 약제를 병용했을 때의 이득과, 병용 치료 시 증가하는 출혈 위험을 따져서 치료법을 결정해야 한다. = = = 병용 투여 = = = 종종 아스피린에 ADP/P2Y 억제제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등)를 함께 사용하여 각각의 약제만 따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이중 항혈소판요법(dual antiplatelet therapy, DAPT)이라고 한다. 이중 항혈소판요법은 불안정성 협심증, NSTEMI, 다른 위험이 큰 혈전성 질환이 있거나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이용된다. 이중 항혈소판요법은 심장 발작, 뇌졸중, 전반적인 심혈관계로 인한 사망의 비율을 크게 낮춘다고 밝혀졌으나, 주요 출혈의 위험을 반대로 크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저위험군 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분류 = = 항혈소판제의 하위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ADP 수용체 억제제 칸그렐러 (켄그릴) 클로피도그렐 (플라빅스) 프라수그렐 (에피언트) 티카그렐러 (브릴린타) 티클로피딘 (티클리드) 아데노신 재흡수 억제제 디피리다몰 (페르산틴) 당단백질 IIB/IIIA 억제제 - 정맥 주사로만 투여 가능 압식시맙 (리오프로) 엡티피바티드 (인테르그릴린) 티로피반 (아그라스타트) 비가역적 고리형 산소화효소 억제제 아스피린 트리플루살 (디스그렌)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억제제 실로스타졸 (프레탈) 프로테이스 활성화 수용체 1 (PAR-1) 길항제 보라팍사르 (존티비티) 트롬복산 억제제 트롬복산 수용체 길항제 - 테루트로반 등 트롬복산 합성효소 억제제 = = 의학적 사용 = = = = = 동맥혈전증의 예방과 치료 = = = 혈전증이나 혈전색전증이 발생했을 때 심장 발작, 폐색전증, 뇌졸중 등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동맥혈전증의 예방과 치료는 필수적이다. 항혈소판제 사용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는 심방세동 유무에 관계없이 뇌졸중이 있는 환자, 어떠한 경우든 심장 수술 (특히 인공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 관상동맥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의 환자, 안정성 협심증 등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환자, 말초동맥질환 환자 등이 있다. 동맥혈전증의 치료법에는 항혈소판제 투여와 혈전용해가 있다. 항혈소판제는 동맥의 혈전 발생에 필요한, 혈관 손상 부위에서의 혈소판 활성화 정도를 변화시켜 작용한다. = = 수술 전후 관리 = = 항혈소판요법은 수술 도중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항혈소판요법을 중간에 그만두는 것은 심근경색과 같은 다른 색전성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수술 전후 시기에 이러한 약제들을 사용할지 고려할 때, 반드시 약제 투여를 멈췄을 때 혈전이 생길 위험과 수술 중 또는 후에 약제 투여를 지속했을 때 출혈이 발생할 위험을 비교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다섯 개의 무작위 조절 시험을 종합한 2018년의 코크란 리뷰에서는 심장 이외의 수술에서는 항혈소판요법을 지속하든 하지 않든 사망률이나 수술을 필요로 하는 주요 출혈, 허혈성 사건 등에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고 시사하는 낮은 수준의 확실성을 가진 근거를 발견했다. 또한 같은 리뷰에서는 수혈을 필요로 할 정도의 출혈 발생 위험에도 큰 차이가 없다는 중간 수준의 확실성을 가진 근거를 발견했다. = = 상호작용과 부작용 = = 항혈소판제의 효과는 환자가 복용 중인 다른 약물, 최근 질환, 섭취하는 음식과 보충제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때 항혈소판제의 효과가 올라갈 수도, 떨어질 수도 있다. 항혈소판제의 효과가 증가하면 출혈 위험이 증가하며 출혈이 생겼을 때 출혈 시간이 길어지거나 과도하게 많은 양의 피가 날 수 있다. 반대로 효과가 감소하면 출혈 위험은 줄어들지만 혈전 생성의 위험은 올라갈 수 있다. 여러 가지 항혈소판제를 같이 썼을 때 약물 독성이 증가할 수 있다. 위장관 출혈은 가장 흔히 관찰되는 부작용이다. = = = 다른 약제 = = = 항혈소판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골수억제와 관련되어 있거나 세포독성을 가지는 약제들: 레플루노미드, 하이드로클로로퀸, 아달리무맙, 인플릭시맙, 에타네르셉트, 설파살라진, 페니실라민, 금,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미코페놀레이트 등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 -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나프록센 등 다른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 항혈소판제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카바마제핀 에리스로마이신 플루코나졸 오메프라졸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치과 치료 시에 NSAID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데, 이는 NSAID가 항혈소판제로서의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대신 파라세타몰이나 코데인/파라세타몰(코-코다몰) 등의 단순 마취제가 일차 선택 약물이 될 수 있다. NSAID 사용이 필요한 경우 출혈 위험은 치과 치료 기간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 = = 의학적 상태 = = = 항혈소판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의학적 상태에는 만성 신부전, 간질환, 혈액학적 악성 종양, 최근 받은 화학요법, 진행성 심부전, 유전성 출혈 장애(혈우병, 폰 빌레브란트 병 등),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등이 있다. = = = 음식과 보충제 = = = 항혈소판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보충제에는 세인트존스워트, 은행, 마늘 등이 있다. = 분류:캐나다에 거주한 체코슬로바키아인 = = 라시디 예키니 = 라시디 예키니(, 1963년 10월 23일 ~ 2012년 5월 4일)는 나이지리아의 전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공격수로 뛰었으며 나이지리아 대표팀 역대 국제 A매치 최다 득점자이자 나이지리아의 월드컵 본선 1호골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 = 사망 = = 그는 2012년 5월 4일 이바단에서 48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사망 전 그는 오래전부터 양극성 장애, 우울증 등 알려지지 않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 분류:이탈리아의 노면전차 = = 론 클레먼츠 = 로널드 프랜시스 "론" 클레먼츠(, 1953년 4월 25일 ~ )는 미국의 애니메이터이다.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소속으로서 동료 존 머스커와 같이 위대한 명탐정 바실(1986), 인어공주(1989), 알라딘(1992), 헤라클레스(1997), 공주와 개구리(2009), 모아나(2016)를 만들었다. = = 론 클레멘츠와 존 머스커가 공동으로 감독한 영화 = = 연도 영화 비고 1986년 위대한 명탐정 바실 감독 데뷔작 1989년 인어 공주 (1989년 영화) 1992년 알라딘 (1992년 디즈니 영화) 1997년 헤라클레스 (1997년 영화) 2002년 보물성 2009년 공주와 개구리 2016년 모아나 (영화) 최초의 CG 영화 = 신쿠라시키역 = 신쿠라시키역는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있는 역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산요 본선 = = 승강장 = = 1 산요 신칸센 (하행) 히로시마・하카타・가고시마 방면 2 산요 신칸센 (상행) 신오사카・도쿄 방면 3 ■ 산요 본선 (하행) 후쿠야마・오노미치・히로시마 방면 4 ■ 산요 본선 (상행) 오카야마・구라시키 방면 = = 역 주변 건물이나 시설 = = = = 역 역사 = = 1891년 7월 14일 - 다마시마역()으로 영업 개시. 1975년 3월 10일 - 산요 신칸센 개통. 동시에 신쿠라시키역로 개칭되었다. = 피스토이아 = 피스토이아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스토이아도에 있는 코무네이며, 현도이다. 피렌체에서 서쪽으로 30km 거리에 있다. = = 역사 = = 피스토이아(라틴어로 가능한 다른 철자로는 피스토리움[Pistorium] 또는 피스토리애[Pistoriae])는 기원전 6세기에 로마 식민지를 거치기 이전 갈리아, 리구리아, 에트루리아의 중심지였으며, 중요한 카시아 가도를 따라, 기원전 62년에 선동정치가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카틸리나와 그의 지지자들이 인근에서 참수되었다. 서기 5세기부터 이 도시는 주교국 소속이였으며, 롬바르디아 왕국 동안에는 왕실의 소유지였고 여러 성지 순례지도 있었다. 피스토이아의 황금기는 자치 코무네로 선안한 1177년에 시작되었으며, 다음 해에 성벽과 몇몇 정치, 종교 시설물이 지어지면서 중요한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1254년에 피스토이아의 기벨린 세력이 피렌체의 구엘프 세력에게 장악당하며, "검은색"과 "하얀색" 세력으로 된 피렌체 구엘프 세력의 한 분파의 기원이 되었다. 피스토이아는 14세기에 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가 루카를 위해 잠시 점령했던 잠깐의 기간을 제외하곤 피렌체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1530년에 공식적으로 피렌체에 합병되었다. 14세기 동안 오르마노 테디치가 이곳의 군주 중 한 명이였다. 단테는 그의 신의 저주로 뱀들에게 둘러싸여 있던 반니 푸치를 지옥에서 맞닥뜨리면서 피스토이아를 그의 고향이자 자유의 도시라고 신곡에서 언급한다.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가문 출신 중 하나는 농업 지역 지주들이자 양털 대상들인 로스필리오시 가문이다. 로필리오시 가문은 1667년에 클레멘스 9세(1667–69)라는 이름으로 짧은 시간을 집권했던 줄리오 로스필리오시(Giulio Rospigliosi)를 교황으로 선출시켜냈다. 1786년에 유명한 얀센주의자 주교들의 종교회의가 피스토이아에서 열렸었다. 한 이론에 따르면, 피스토이아라는 명칭은 16세기에 이곳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피스톨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또한 피스토이아는 인근의 페시아와 같이 꽃 판매로도 유명하다. = = 자매 도시 = = 오네슈티 크루셰바츠 포 치타우 시라카와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펜싱 = = 분류:1517년 책 = = 분류:세인트헬레나 = = 글로벌 남편백서 내편, 남편 = 글로벌 남편백서 내편, 남편은 KBS 2TV로 방영된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2015년 8월 26일부터 2016년 3월 23일까지 방송되었다. = = MC = = 정준하 장윤정 박지윤 (이전 내레이터) 컬투 (이전 내레이터) = = 출연자 = = 로돌포 파텔라 안톤 강 바니 에반 바티스타 아비셰크 굽타 마크 앤클리프 로드리고 디아즈 알바로 산체스 사무르 사토 유키에 = = = 이전 출연자 = = = 쉬 샤오밍 리 스매더스 졸탄 폴 잼버 알렌 니콜라이 프로토포포프 그레고리 드프레즈 프랑크 바야만 무함마드 사킵 = = 시청률 =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 방송 일자 전국 시청률(증감치) 파일럿 1회 2015년 6월 25일 3.6% 파일럿 2회 2015년 7월 1일 4.2% 1회 2015년 8월 26일 4.2% 2회 2015년 9월 2일 3.9% 3회 2015년 9월 9일 4.7% 4회 2015년 9월 16일 3.9% 5회 2015년 9월 23일 3.8% 6회 2015년 9월 30일 3.9% 7회 2015년 10월 7일 3.2% 8회 2015년 10월 14일 5.4% 9회 2015년 10월 21일 3.8% 10회 2015년 10월 28일 4.2% 11회 2015년 11월 4일 5.3% 12회 2015년 11월 11일 4.8% 13회 2015년 11월 18일 4.7% 14회 2015년 11월 25일 4.5% 15회 2015년 12월 2일 5.3% 16회 2015년 12월 9일 4.0% 17회 2015년 12월 16일 4.3% 18회 2015년 12월 23일 3.9% 19회 2016년 1월 6일 4.4% 20회 2016년 1월 13일 4.5% 21회 2016년 1월 20일 4.5% 22회 2016년 1월 27일 3.8% 23회 2016년 2월 3일 4.0% 24회 2016년 2월 24일 5.3% 25회 2016년 3월 2일 6.2% 26회 2016년 3월 9일 4.9% 27회 2016년 3월 16일 3.9% 28회 2016년 3월 23일 4.2% = 분류:허베이 공업 대학 = = 무쓰자와촌 = 무쓰자와촌은 야마나시현 나카코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가이시에 해당한다. = 북부새도둑주머니쥐 = 북부새도둑주머니쥐(Caenolestes convelatus)는 새도둑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새도둑주머니쥐의 일종이다.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에서 발견된다. = TV리포트 = TV리포트는 대한민국 대표 연예 전문 온라인 매체이다. 2004년에 창간되었으며 네이버, 카카오, 네이트 등 주요 포털을 비롯,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에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 현지 지사를 두고 있으며 시나닷컴, 아이치이(중국), 고단샤(일본)와 전략적 협력으로 해외에서도 인지도와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다. TV리포트의 연예 기사는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로도 현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또한 TV리포트는 온라인 미디어를 기반으로 공연 사업, 스타마케팅, 출판 등 다양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 가야노미야 구니노리 왕 = 가야노미야 구니노리 왕(賀陽宮邦憲王)은 일본 제국의 황족이다. 이세 신궁의 제주.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제2왕자. 아키히토의 외숙이다. = 르낭 (보주) = 르낭은 스위스 보주에 위치한 도시로 로잔의 외곽에 위치해 있다. 보주에서 네번째로 큰 도시이다. 주민의 50% 이상이 약 100개국에서 온 거주 외국인이기 때문에 매우 다민족적인 도시로 간주된다. = 틀:단위 변환/mdyn = = Epilogue (에픽하이의 음반) = Epilogue는 2010년 3월 9일 발매된 에픽하이의 스페셜 음반이다. 전 소속사 울림 엔터테인먼트와 현 소속사 맵더소울이 합병하여 발매하고, DJ 투컷이 군복무로 빠져 2인조로 활동한 첫 음반이다. DJ 투컷의 군 복무에 따라 타블로가 작곡한 신곡과 함께 기존에 만들었던 미공개곡을 수록하였다. 이 음반 이후로 에픽하이로서의 활동은 2012년까지 중단하고, 2013년에 컴백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에픽하이는 2012년 10월에 정규 7집으로 컴백했다. = = 배경 = = = = = 음반 작업 = = = 2009년 10월, DJ 투컷이 입대함에 따라, 에픽하이는 2년 공백을 가지게 되었다. 11월 13일, 유튜브와 맵더소울닷컴을 통해 자신들의 솔로 음반을 비롯한 MYK의 데뷔 음반 소식을 전한 뒤 차후 활동 없이 에픽하이의 음반이 여러 형식으로 새로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2009.11.13 - 타블로와 미쓰라가 전하는 맵더소울 최근 근황 유튜브, 2009년 11월 13일 원래 DJ 투컷 없이는 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결심했었으나 군복무 중이던 DJ 투컷의 권유로 스페셜 음반을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타블로는 100곡에 가까운 B 사이드 곡 중 몇 곡을 골라 작업하기 시작하였다. 추가적으로 타이틀 곡 "Run"과 몇 곡을 작곡하였다. 공개적으로는 별 다른 활동없이 타블로와 미쓰라 진은 타 가수 음반 작업 및 O.S.T에 참여하거나 콘서트 및 게스트로 참여하였고 2010년 1월에는 프랑스에서 열린 국제 음악축제인 미뎀 2010에 참여하였다.에픽하이•f(x), 佛 미뎀 쇼케이스 참가 스타뉴스, 2010년 1월 12일에픽하이ㆍ에프엑스 佛음악박람회 공연 연합뉴스, 2010년 1월 27일 이후 전 소속사인 울림 엔터테인먼트와의 맵더소울의 합병을 알리며 1월 31일, 프랑스에서 돌아온 에픽하이는 2010년 3월에 스페셜 음반을 발매한다고 발표하였다.타블로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현재 스페셜 음반을 준비 중이며 음반 내에 미공개 곡과 신곡들이 수록된다”고 밝혔다. 또한 간접적으로 TBNY의 얀키가 참여함을 밝혔다.1월 3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밝힌 내용: “예전에 작업했던 미공개곡들과 신곡들이 담긴 스페셜 앨범 준비중입니다~ 정식이가 떠나면서 살짝 귀뜸해드렸던, 기억나요? [e]앨범의 갑작스러운 활동중단땜에 아쉬워했던 분들~ 좀만 기다리세요...!”, “ 간만에 에픽+얀키 collabo 녹음중^^”이라며 트위터에 남겼다. 트랙리스트가 공개되면서 6번 트랙 〈비늘〉에 참가함이 밝혀졌다. 2월 6일, DJ 투컷의 휴가를 알리면서 투컷 또한 스페셜 음반에 참여함을 간접적으로 알렸다.2월 6일, 트위터를 통해 “휴가 나온 투컷~ 역시 녹음실로 달려왔다 ㅋㅋ 정신적으로 스페셜 앨범 양념치는 중! 건강하게 잘 지내는 모습 보기 좋다!”라고 남겼다. 다음 날엔 음반에 대해 4집 Remapping the Human Soul과 비슷할 것이라고 알렸다.2월 7일, 타블로는 “우리의 4집 즈음의 음악을 좋아했던 분들은 증말 신날 듯^^”이라고 작성하여 4집 음반 컨셉과 비슷함을 암시하였다. 이어 트위터를 통해 작업하는 모습을 올렸으며 2월 11일, 음반의 마무리 작업 중임을 알리며 음반의 제목은 ‘Epilogue’이며 변동없이 2010년 3월에 발매될 것이라고 밝혔다.2월 11일, “에픽하이 스페셜 앨범, epilogue. 3월 초... 마무리작업 중. epik high's special album, epilogue. Early March... ”라고 작성하였다. 2월 18일, 녹음 작업을 마무리하였으며 믹싱 작업을 앞두고 현재 음반의 자켓을 디자인 중이라고 밝혔다.2월 18일, 트위터를 통해 “"epilogue" 앨범 업데이트: 녹음 완성, 믹싱 곧 시작. 자켓 디자인 중. / "epilogue" album update: recording done, mix about to start. Artwork in progress. ”이라고 밝혔다. 또한 맵더소울도 리뉴얼 중이라고 알렸다. 2월 21일에는 음반의 녹음을 끝마쳤다. 이어 타블로는 트위터를 통해 Epilogue의 발매일이 3월 9일로 정해졌다고 밝혔고2월 22일, 타블로 트위터를 통해 “3월 9일, 에픽하이 '에필로그' 앨범 발매 / Epik High's 'Epilogue', to be released on March 9th” 메시지를 남기며 음반 발매를 알렸다. 다음 날, 미쓰라 진은 현재 믹싱 작업과 뮤직비디오 촬영 중임을 알렸다.2월 23일, 미쓰라 진 트위터를 통해 “믹싱과 뮤직비디오 촬영으로 잠시 넋을 놓고 있었습니다.”라며 현재 믹싱과 뮤직비디오 촬영 중임을 알렸다. 2월 25일에는 음반 작업 영상 및 티저 영상을 유튜브를 통해 공개하였다. 영상에서 기존에 밝힌 바와 같이 “기존 음반에 넣으려 했던 곡들 중 컨셉이 겹치는 몇몇 곡들을 미완성인 채로 배제하였다가 이번 음반을 통해 완성하여 공개한다”고 밝혔다. = = = 활동 = = = 음반을 작업하면서 타블로와 미쓰라 진은 여러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2010년 2월 11일에는 에픽하이가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인피니트라는 신인 보이 밴드를 공개하였다. 에픽하이는 인피니트와 함께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의 일환으로 개최되고 있던 2010년 동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선수단을 응원하는 동영상을 만들기도 했다. 이어 에픽하이가 미국의 언론인 CNN의 "토크 아시아(Talk Asia)"에 출연하였다. 이는 박지성, 비, 이병헌 등 대한민국 출신 인물에 이은 출연으로써, 타블로는 “CNN이 한국 음악의 깊이와 다양성을 알고 큰 관심을 보여줘서 기뻤다. 전 세계인들에게 우리만의 힙합을 대표해 전할 수 있는 이 기회, 과분한 영광이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본 인터뷰는 4월 21일 밤 CNN을 통해 방송된다고 알렸다. 2월 26일에는 트랙리스트를 발표하였다. 음반의 자켓은 타블로가 사진을 찍고 미쓰라 진이 글을 썼다고 밝혔다.타블로가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에필로그 앨범 자켓, 신경 많이 썼어요^^ 제가 사진을 찍고, 미쓰라가 글을... / put a lot into the album booklet for epilogue! words by mithra & photography by yours truly”라고 남겼다. 이후 2월 28일, 믹스 작업 마무리에 임박했으며 뮤직비디오 또한 촬영을 마쳤고 현재 편집 상태임을 알리며 이어 많은 활동을 할 예정이라고 알렸다.타블로가 트위터를 통해 “믹스 작업 마지막 날~ 뮤직비디오도 촬영 완성, 편집중. 본격 활동 준비중입니다^^ (에픽하이의 에필로그, 3월 9일 발매!) ”, “이번 활동은 정식이 몫까지 우리가 미친듯이 달릴거다! 기대하세요~”라며 많은 활동을 할 것임을 암시하였다. 3월 2일에는 이번 음반이 모든 곳에서 판매되며, 맵더소울닷컴 SHOP 메뉴에서는 메뉴 업데이트로 인하여 판매하지 않는다고 사전 공지를 하였다. 또한 앨범 자켓을 공개하였다. 2월 25일, 미쓰라 진이 김진표와 함께 엠넷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맡았다고 밝히고, 3월 1일부터 출연하였다. 3월 3일 새벽에 타블로가 타이틀 곡은 "Run"이라고 밝혔다.타블로가 3월 3일 새벽 트위터에 "깔끔하게 retweet 부탁드립니다~^^ 에픽하이의 'epilogue' 앨범 (타이틀곡: Run) 3월 9일 발매! "라고 올렸다." 또한 엠군, 유튜브, 아프리카 이 세 동영상 사이트에 인피니트의 한 멤버인 엘(L)을 주인공으로 하고 다른 멤버들이 출연한 타이틀 곡의 뮤직비디오 티져 영상을 동시에 공개하였다. 뮤직비디오의 티져 영상은 세 편으로 나뉘어 공개될 예정이며 음반 발매 당일 날 유희열의 스케치북 녹화를 시작으로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당일 오전부터 트위터를 통해 음반이 마스터링 작업에 돌입했음을 알렸고 음반 발매 후부터 송 노트를 게시하겠다고 밝혔다.3월 3일, 타블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앨범 프로듀싱의 마지막 단계, 마스터링. D-6!”, “앨범 나오는 날부터 트윗으로 song note 올리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오후에는 티저 첫 번째 편인 타블로 편을 공개하였다. 다음 날, 두 번째 "미쓰라 진 편"이 나왔다. 마지막 3월 5일에 세 번째 티저인 "Run" 뮤직비디오 티저와 함께 노래의 일부분을 공개했다. 네이버 웹툰 싸우자 귀신아의 작가인 임인스는 "R U N"이라는 제목의 글에 에픽하이 새 음반 소개 만화를 그렸다. 또한 맵더소울에는 이 만화를 영어로 번역한 티저 만화가 올라왔다. 또한 절친한 사이로 알려진 코요태의 빽가는 에픽하이의 포스터 촬영을 맡았다. 3월 9일 발매 당일 새벽에 타이틀곡 "Run"의 싱크가 어긋난 불법 뮤직비디오가 유출되어 파장을 일으켰다. 그 영향으로 에픽하이는 공식 뮤직비디오를 다소 일찍 공개했고, 타블로와 미쓰라 진은 뮤직비디오가 유출된데에 격앙된 표현으로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3월 9일 발매 당일날, 타블로는 트위터에 "뮤직비디오가 유출되는건 또 처음이네... 아 완전 마음 상한다...", 미쓰라 진은 "하하하하하!! 고맙다.. 발매일 시작과 동시에 기분 잡치게 해줘서.." 등의 격한 표현을 쓰며 여러 개의 글을 남겼다. 발매 다음 날 3월 10일에는 어떠한 해외 프로모션 없이 미국 아이튠즈 "힙합/랩 음반 차트"에서 1위를 하기도 하였다. 또한 뉴질랜드 아이튠즈 1위, 캐나다 아이튠즈 3위, 한터차트 1위 등 세계 곳곳의 차트에서 발매 하루 만에 상위권에 들었다. 3월 12일에 뮤직뱅크를 통해 공중파에 복귀하였다. 이어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하였고 곧바로 쇼! 음악중심, 인기가요 등 방송 3사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3월 13일, 에픽하이는 대한민국 힙합 웹사이트 힙합플레이야의 10주년을 맞아 열리는 힙플쇼(Hiphop Playa Show, 힙합플레이야 공연)에 슈프림 팀 등과 1차 출연진으로 공개되었다. 또한 2010년 3월 20일 유튜브가 개최한 유튜브 뮤직데이에 헤드라이너로 참여하였다. 4월 11일에는 리바이스가 주최하는 Keep The Faith 콘서트에 윤미래 등과 참여하였다. 이어 공중파 방송에 출연하며 4월 17일에 힙합플레이야 10주년 쇼에 헤드라이너로 참여하였다. 미쓰라 진을 제외하고 타블로는 아내 강혜정의 출산으로 인해 5월 초까지 휴식을 가졌다. 5월 2일, 타블로가 득녀를 하고 복귀한 후 활동은 기존에 녹화한 음악 프로그램과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였으며 주로 라디오 프로그램 게스트로 참여하였다. 이후 5월 26일, 타블로는 트위터를 통해 Epilogue 활동 마감을 알렸다.5월 26일, 타블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서 “에필로그 앨범 아껴준 모두, 고마워요! 활동 끝, 음악 시작.”이라고 남기며 활동 마감했음을 알렸다. = = 성과 = = Epilogue는 한터차트에 의하면 2010년 한 해 동안 총 18,000장이 팔려 2010년 32위를 기록했다.2010 연간 한터집계 음반판매량 Top 50 가온차트에 의해 집계된 판매량은 26,000장으로, 순위는 50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음반 활동과는 달리 활동 도중에 큰 악재가 터져 별다른 수상이나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 = = 음반 정보 = = = = = 수록곡 = = = = = = 부클릿 = = = 가사집 및 음반 정보 등 11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블로가 직접 촬영한 8장의 사진들과 미쓰라 진이 작성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 = = 라이너 노트 = = = 아래는 음반 발매 당일부터 타블로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서 트랙 순으로 공개한 Epilogue의 라이너 노트이다. (일부는 인터뷰 중 밝힌 내용 포함.) 서랍 & Run: 준비, 질주, 숨돌리기, 예측하지 못한 정지, 재출발 등 인생을 달리기에 비유하여 달리는 느낌을 음악으로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또한 〈서랍〉은 여태 에픽하이가 발매해왔던 타이틀곡 및 후속곡의 제목을 두 글자의 단어로 담아냈다. 바보: 사랑 앞에 작아지는 사람들이 갈수록 흔하지 않은 세상 속에서 바보의 순수함을 잃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노래이며, 심플한 리듬 위주 편곡을 하였다고 밝혔다. 다른 인터뷰에서는 필터를 보고 썼다고 밝혔다. Wordkill: 5집 Pieces, Part One 작업할 때 쓴 곡. 타블로가 당시 어떤 악플을 본 후 작곡하였으며 Lost Maps #001에 수록된 데모 버전과는 달리 훅을 바꿨다. Blossom: 이터널 모닝의 멤버로서 작업한 연주곡이며 피아노를 치고 녹음해서 왜곡시켜 동양적인 느낌을 담고 싶었다고 밝혔다. 비늘: 유일한 이번 음반의 랩 피쳐링 곡이며, 과거에 타블로와 미쓰라 진, 그리고 얀키가 했었던 〈비의 랩소디〉의 후속작이라고 밝혔다. 잡음: 라디오 주파수 잡음을 녹음해서 리듬으로 꾸몄으며 작곡보다 편곡에 집중한 곡이라고 밝혔다. 애당초 타블로의 랩 파트가 있었으나 미쓰라 진이 잘한 나머지 포기하였으며 또한 다음엔 이와같이 "생활의 소리"들로만 한 곡을 완성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Over: 항상 최고여야 하는 사람들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만든 곡이다. 또한 해외 팬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기 위하여 영어로 만들었다. Coffee: 한 시트콤의 오프닝곡으로 쓰려다 우울하다고 퇴짜를 맞았고, 또 5집에 수록하려다가 〈우산〉과 겹쳐 수록하지 못했다. = = = 뮤직비디오 = = = 타이틀 곡 "Run"의 뮤직비디오는 쟈니브로스의 홍원기 감독이 맡았으며 에픽하이를 비롯한 같은 소속사 후배 그룹인 인피니트가 출연하였다. 3월 5일, 뮤직비디오의 티저 영상을 공개하며 음반 발매일이자 뮤직비디오 공개일이었던 3월 9일, 정각 무렵 뮤직비디오가 한 사이트를 통해 사전 유출되어 예정보다 빨리 공개하였다. 사막 한 가운데에 밴드 장면에서 인피니트와 함께 타블로, 미쓰라 진이 나온다. 또한 인피니트의 엘이 주인공을 맡았으며 출생에서부터 성인이 된 이후의 모습을 1인칭 시점으로 보여준다. 뮤직비디오의 시작과 함께 출생부터 성장을 하는 모습과 함께 달리는 모습이 번갈아 나오며, 탈선 후 오토바이를 타게 되고 여자친구를 만난다. 그러나 오토바이 사고와 다른 남자에게 여자친구를 잃게 되고, 이후 복서로서 열심히 훈련하기 시작한다. 마지막 장면에선 신발끈을 오른쪽만 묶는 복선과 함께 왼쪽 다리에 의족을 찬 채 달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사고로 다리를 잃었음을 보여준다. 계속해서 훈련하는 모습이 나오며 끝난다. = = 평가 = = 네이버 뮤직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단과 네티즌 선정위원단의 평가로 별점 5.5점을 부여했다.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단은 담백하고 색깔 뚜렷한 작품이라 평했으며, 네티즌 선정위원단은 DJ 투컷의 공백이 느껴졌다고 평했다. 음악 리뷰 사이트 이즘은 부드럽지만 몇 년 동안 에픽하이가 보여준 모습 그대로라며 식상하다는 평을 내렸다. 그 외에도 에픽하이 특유의 모습을 보여줬지만 기존의 음악을 답습하고 너무 안정적이면서 질린다는 평도 있다.에픽하이, 이제는 쉬어야 할 때, 김봉현의 블랙비트, 2010년 4월 16일 = 성남시 = 성남시(城南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서울의 위성도시 중 하나로서 서울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6km 거리에 있는 시이다. 광주산맥에 둘러싸여 있으며 탄천을 따라 형성된 분지지형이다. 시청은 중원구 여수동에 있고,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3개의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 = 역사 = = 1973년 7월 1일 광주군 대왕면·낙생면·돌마면 일원과 중부면 성남출장소 중 단대리·상대원리·탄리·수진리·복정리·창곡리 일대를 관할로 성남시가 설치되었다.시설치와 군의 폐치분합에 관한 법률 (제정 1973년 3월 12일 법률 2597호) 급격한 인구 증가에 따라 1980년대 들어 성남시는 인구 기준 전국 10위 도시로 부상하였다. 따라서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성남시 조례 제858호(1988. 6. 3 공포)에 따라 1988년 7월 1일 기존의 돌마출장소, 대왕출장소, 낙생출장소를 폐지하고, 성남시 수정출장소 및 중원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89년 5월 1일에는 성남시 조례 제931호에 따라 수정 출장소, 중원 출장소 2개 출장소를 각각 수정구, 중원구로 승격하였다. 1989년 4월 27일 성남시 남쪽 지역의 소위 '남단녹지'를 중심으로 한 540여만 평 규모의 분당 지역 일대에 10만 6천 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42만 인구를 수용하는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이 공식 발표·착수되었다. 이에 따라 성남시 조례 제971호 (1989. 6. 20 공포)에 의거 1989년 6월 1일 분당 지구 개발 지원 사업소를 설치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해 1991년 9월 17일 중원구에서 분당구가 분구되어 현재의 3구에 이르고 있다. 2009년 11월 2일 중원구 여수동으로 시청사를 이전하였다. 2015년 12월 7일, 위례신도시 건설에 따라 서울특별시 송파구 및 경기도 하남시와 행정 구역 경계를 조정하였다.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665호 (2015년 11월 26일) = = = 성남의 명칭 유래 = = = 성남(城南)이란 이름은 성(남한산성)의 남쪽에 있다는 뜻이다.성남시, 새이름 찾는다 경향신문, 1996.8.1. = = = 광주대단지 사건 = = = 광주 대단지 사건은 정부와 서울특별시의 일방적 행정행위에 항거하여 1971년 8월 10일부터 8월 12일까지 경기도 광주군 성남출장소(광주 대단지) 개발 지역 주민 수만 명이 공권력을 해체시킨 채 도시를 점령하고 무력시위를 벌인 것이다. 광주대단지사건은 서울시의 판자촌 주민들을 지금의 성남 수정구와 중원구로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광주대단지란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도시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이다. 사건 발생 초기에는 3만 명의 시위대가 몰렸으나 그날 5만명의 시위대가 성남출장소를 점거한 뒤 10만 명 이상으로 시위 참여 시민이 폭증하면서 박정희 정부는 내무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 경기도지사를 파견하여 이주민들에게 사과하고 요구 조건을 수용함으로써 3일 만에 진정되었고 이후 정식으로 성남시가 설치되었다. = = 지리 = = 동쪽으로 남한산(522m)과 청량산(479m)·검단산(535m)·불곡산(312m)의 긴 산줄기를 경계로 하남시·광주시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청계산(618 m)을 경계로 과천시와 의왕시를 접하며, 북쪽은 서울특별시 송파구·강남구·서초구, 남쪽은 용인시와 접한다. 광주산맥에 둘러싸여 탄천을 따라 남북으로 긴 협곡 분지 지형이며, 1989년 성남시 남부에 건설된 분당신도시 및 2000년대에 건설된 판교신도시는 성남 구시가지와 그린벨트로 생활권이 단절되어 있어 시가지와 생활권이 양분되어 있다. = = 행정 구역 = = 성남시의 행정 구역은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로 구분된다. 면적은 141.72 km이다. 2023년 1월말 주민등록 인구는 408,915세대, 924,087명이다.성남시 일반현황 인구, 2023년 2월 7일 확인 일반구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행정동 수정구 壽井區 45.46 113,175 229,568 17 중원구 中院區 26.41 101,123 213,070 11 분당구 盆唐區 69.77 194,617 481,449 22 성남시 城南市 141.64 408,915 924,087 50 현재 성남시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성남시 수정구,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 분당구 갑, 성남시 분당구 을의 4개이다. = = = 시청 = = = 현재 성남시청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성남대로 997) 에 위치하고 있다. = = = 인구 = = = 성남시의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969,675명이며 인구밀도는 6.915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6.7%, 65세 이상 인구는 11.3%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5%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높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2.3%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1%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좁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9.5로 여자가 다소 많다. 2011 경기도 통계연보 PDF 자료 성남시의 인구추이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연도 총인구 1975년 272,470명 1980년 376,822명 1985년 447,647명 1990년 540,690명 1995년 868,268명 2000년 912,222명 2005년 931,019명 2010년 936,267명 2015년 969,675명 2022년 931,072명 = = = 수정·중원구 = = = 박정희 정권 시절 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원에 광주대단지라는 이름으로 새로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시는, 수도 개발권에 있는 주거 도시라는 특수여건에 힘입어 방대한 공업단지를 조성하고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이 육성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계천 일대 판자촌 철거 사업으로 거주하던 주민들을 성남시로 강제 이주시켜 많은 사람들이 성남시에 터전을 잡게 되었다. 현재 성남시는 각종 IT산업 및 첨단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경기도와 함께 공업단지에 입주한 업체에 세제혜택을 주어, 테헤란 밸리 기업의 수요와, 분당신도시에 입주한 각종 공기업의 수요와, 각종 IT산업 및 첨단산업에 관련된 대기업과 이에 관련된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공업단지에 그러한 산업들이 가능한 아파트형 공장 등 인텔리전트 빌딩 형태의 현대식 공장들이 많이 입주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3개의 공업단지에 2차 및 3차 산업에 종사하는 각종 기업이 많이 입주해 새로 신축되는 인텔리전트 빌딩의 수와 분야별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으로는 금융·서비스·전자·통신·화학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중원구 상대원동의 제2·3공업단지는 최근 ‘성남하이테크밸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수정구 신흥동의 제1공업단지는 성남시 수정구·중원구 생활권에서 모란역세권에 이은 제2의 도심지가 되었으나 토지용도의 문제로 인해 오랫동안 개발되지 못하여 현재까지도 공터로 남아있던 상태였다. 그러나 최근 시 발전을 저해해 왔던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 완화'에 힘입어 '성남신흥(1공업단지)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승인'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인근의 희망대공원과 연계된 첨단 고층아파트 주거지역과 백화점, 쇼핑몰과 같은 상업시설이 위치해 있는 활기찬 도심지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대규모 재개발을 진행 중이다. = = = 분당구 = = = 제6공화국 노태우 정권 당시 ‘주택 200만호 건설 공약’에 의해 계획된 5대 신도시 중 하나로 조성되었던 분당신도시 개발 시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야탑동 148번지 일원에 ‘분당테크노밸리’를 조성하여 현재 기업들이 입주하여있으나 교통이 불편하고 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주변 도시들과의 접근성이 편리한 분당선 역세권에 형성된 상업 지구에 비해 많이 활성화되지는 못하였지만 각종 중견기업들이 입주하여 운영되고 있다. 분당신도시의 초기 도시계획을 살펴보면 당시 ‘백궁지구’였던 정자동 탄천 서쪽 일대 정자역세권 상업 지구를 대규모 ‘벤처밸리’로 지정하여 분당신도시의 CBD 기능을 살리고 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 존재하였으나(이에 따라 네이버 본사와 SK그룹의 일부 계열사가 분당신도시로 이전하였다.) 대신 2000년대 초반 강남발(江南發) 부동산시장의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 열풍의 영향으로 정자역세권 일대의 상업 지구에는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및 거주용 오피스텔이 대거 건설되었다. 분당신도시의 입주가 15년차에 접어들고 안정세에 들자 정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와 인접하고 분당신도시와 붙어있어 개발압력이 심했던 경부고속도로 판교 나들목 인근에 2기 신도시인 판교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신도시의 자족기능과 우수한 입지조건을 살리기 위해 판교 나들목 근처에 도시지원 시설용지를 지정하여 판교테크노밸리를 계획하였다. 그곳에 각종 IT·BT·CT·NT 및 첨단 융합 기술 연구시설 및 첨단 인프라 시설, 연구지원시설 등의 개발을 계획, 착수하여 현재 유수 관련 기업들이 입주해있고 많은 사무용 인텔리전트 빌딩을 건축 중에 있으며 개발은 2013년에 완공됐다. = = 경제 = = = = = 재정자립도 = = = 2018년 기준 성남시의 재정자립도는 63.53%로 경기도에서 2번째로 높다.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주요 IT기업들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 = = 지역내 총생산 = = = 성남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46조 6,685억 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6.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90억 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9조 1,880억 원으로 19.7%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37조 4,716억 원으로 80.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서울시와 가까운 지역으로써 교통이 편리하고 주거기능이 발달하여 사업서비스업(12.1%)과 건설업(10.0%), 부동산업 및 임대업(9.2%)과 도소매업(7.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 = = 성남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928,009명이고 주간인구는 836,338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90으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01,649명, 유출인구는 181,598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4,991명, 유출인구는 26,713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91,671명 더 많은데,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 상업 = = = = = = = 백화점·대형아울렛 = = = = 롯데백화점 분당점 (분당구 수내동) AK플라자 분당점 (분당구 서현동) NC백화점 야탑점 (분당구 야탑동) 현대백화점 판교점 (분당구 백현동) 세이브존 성남점 (수정구 신흥동) 2001아울렛 분당점 (분당구 구미동) = = = = 대형마트 = = = = 롯데마트 서현점 (분당구 서현동) 롯데마트 판교점 (분당구 삼평동) 이마트 성남점 (수정구 태평동) 이마트 분당점 (분당구 정자동) 홈플러스 분당오리점 (분당구 구미동) 홈플러스 야탑점 (분당구 야탑동) 농민식자재마트 (중원구 금광동) = = = = 영화관 = = = = 롯데시네마 모란점 (중원구 성남동) 롯데시네마 성남중앙점 (수정구 신흥동) 메가박스 분당점 (분당구 서현동) CJ CGV 오리점 (분당구 구미동) CJ CGV 야탑점 (분당구 야탑동) CJ CGV 서현점 (분당구 서현동) CJ CGV 판교점 (분당구 백현동) = = 문화·관광 =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콘서트홀, 앙상블시어터 등 3개의 극장과 미술관 본관, 큐브미술관으로 나뉘어있는 전시장과 아카데미, 음악분수와 야외광장, 편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www.snart.or.kr/ 홈페이지] 남한산성 사적 제57호이며, 2014년 6월 22일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남한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성된 주장성으로 추정되며, 군수 물자를 저장하는 특수 창고를 설치한 중요한 거점성이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외성과 옹성을 갖춘 전형적인 산성이면서, 산성의 변화 과정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조선시대 병자호란 시기 최후의 항전지였다. 판교환경생태학습원 어린이들이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과 생명의 소중함을 알고 환경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기관으로 소개하고 있다. 판교박물관 1600년 전 한성백제시대 석실분 밀집 지역으로 삼국시대의 동북아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인 한성백제 유적 9기와 고구려의 남하 증거인 2기의 석실분을 보유한 박물관으로서 성남의 역사를 보여 주는 박물관으로 소개하고 있다. 성남중앙공원 잔디광장, 상록수광장, 역말광장, 황새울광장, 야외공연장과 복원된 지방문화재인 고인돌 정원, 수내동 가옥 등으로 구성된다. = = 교육 = = = = = 도서관 = = = 수정도서관 중원도서관 중원어린이도서관 구미도서관 분당도서관 운중도서관 중앙도서관 판교도서관 해오름도서관 복정도서관 무지개도서관 서현도서관 = = 교통 = = 서울 중앙부로부터 20km 반경, 수원시 21km 반경에 있으며, 철도는 없으나 분당선의 각 역을 통하여 관내 교통과 연계되고 있다. 도로교통은 경부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가 시의 서남부를 통과하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주축으로, 잠실방면의 도로와 광주-안양간 도로, 서울 지하철 8호선과 분당선 전철이 통과해 타 지역과의 소통이 편리하다. 그리고 기존 한국철도공사 분당선의 혼잡도 완화와 표정속도 증가를 목적으로 정자역에서 판교신도시를 거쳐 강남역을 잇는 신분당선이 2011년 10월 28일 개통하였다. = = = 철도 = = = 한국철도공사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서울특별시 성동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서울특별시 송파구) ← 가천대역 - 태평역 - 모란역 -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 → (용인시) → (수원시) → (화성시) → (안산시) → (시흥시) → (인천광역시 남동구)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인천광역시 중구) : 판교역 - 이매역 → (광주시 → 이천시 → 여주시) 서울교통공사 : (서울특별시 강동구) ← (서울특별시 송파구) ← 남위례역 -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 수진역 - 모란역 신분당선주식회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 판교역 - 정자역 - 미금역 → (용인시) → (수원시) = = = 버스 = = = 시내버스 : 성남시의 시내버스, 성남시의 마을버스 시외버스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 = = 도로 = = = = = = = 고속도로 = =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 = = = 국도 = = = = 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 성남대로, 성남이천로) = = = = 지방도 = = =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34호선, 지방도 제338호선, 지방도 제342호선 = = = = 자동차전용도로 = = = = 분당수서도시고속화도로 (동부간선도로) :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 광진구로의 접근 편리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광장로, 수내로, 언주로) = = 스포츠 = = 성남 FC (K리그1) 성남시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이다. 성남 일화 천마를 성남시에서 인수하여 시민프로축구단으로 재출범하였다. 1989년 일화 천마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초기엔 서울을 연고로 하는 축구단이었지만,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에 의하여 1996년 천안으로 옮겨갔으며, 다시 2000년 성남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정착하였다. 홈경기장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이다. K리그 7회 우승, AFC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등 각종 대회에서 총 18회 이상의 우승을 한 아시아 최고의 축구단 중 하나이다. 성남 블루팬더스 (경기도 챌린지 리그)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 소재 야구학교가 2017년 11월 경기도 성남시를 연고로 하는 독립리그 야구단을 창단한다고 발표하였다. 성남시청 필드하키단 성남 ROX (카트라이더 리그) 성남산업진흥원에서 2020년 E스포츠 게임단 운영지원에 따라 성남시를 연고로 가지게되었다. 리그명 구단명 창단연도 홈경기장 K리그1 성남 FC 1989년 탄천종합운동장 경기도 챌린지 리그 성남 블루팬더스 2017년 탄천야구장 카트라이더 리그 성남 ROX 2019년 - = = 논란 = = = = = 호화 청사 건설 논란 = = = 2009년 성남시는 새로운 성남시청사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그 비용이 무려 3,222억원에 달한데다, 에너지 효율도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나 각 언론들과 정치권, 시민단체 들의 비판을 받았으며 이명박 대통령도 "호화청사를 뜯어고쳐서라도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며 비판을 하기도 하였다. 새로 건설된 성남시청사는 전라남도나, 전라북도의 청사보다 큰 것이며, 서울시의 청사와도 맞먹는 수준이다. 후에 성남시는 복지예산도 대폭 삭감한 것으로 드러나 야당 시의원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 논란 가운데 감사원은 지차체들에 대해 감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사과를 하기도 하였으며, 한나라당은 지자체들의 호화 청사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운다고 밝혔다. 이러한 호화 청사를 짓던 당시 시장직을 맡았던 이대엽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낙선하였다. 이후 성남시의 호화청사와 관련된 수사 과정에서 공무원들의 충성맹세 등 갖은 비리들이 드러났다.사실로 드러난 성남시 공무원들의 '충성맹세' 민중의소리 2010년 10월 25일 한편 성남시는 2010년 7월 12일에 판교특별회계에서 빌려쓴 돈 5,200억원을 단기간에 갚을 수 없다며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다. 그로인해 2010년 12월 30일 성남시는 성남시 소속 스포츠 팀 15곳 중 12곳을 해산시켰다. 이 조치로 80여 명의 선수들과 감독들이 해고당했다. = = 자매 도시 = = 지역 & 국가 도시 도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경기도 가평군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북도 울릉군 전라남도 목포시 충청남도 아산시 광둥성 후이저우시 랴오닝성 선양시 지린성 창춘시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 콜로라도주 오로라 스베르들롭스크주 예카테린부르크 나망간주 나망간 가지안테프주 가지안테프 북중부 지방 타인호아성 볼로냐 볼로냐 = = = 교류 = = =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 작전 (영화) = "작전"작전(作戰, Scam)은 경제용어로 증권의 시세를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이득을 취하는 행위다. 시세조종을 의미한다.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주식을 소재로 한 영화로 이호재 감독의 첫 작품이다. 주인공 강현수 역은 배우 박용하가 맡았다. 긴박감 있고 완성도 높은 영상을 위해 일반적인 한국영화 두 배에 달하는 3600컷을 사용했다. 작전은 주식을 통해 한방을 노리는 이들의 물고 물리는 두뇌게임에 관한 이야기이며 이것은 최근 금융 및 경제 위기와 관련 화제가 되기도 했다. = = 시놉시스 = = 인생한방을 꿈꾸는 백수 강현수(박용하)는 주식에 투자했다가 신용불량자가 된다. 그 후 수 년을 시행착오를 겪으며 독학으로 프로개미가 된다. 뛰어난 차트분석 능력으로 작전주를 추격 7천만 원을 손에 쥐지만 그것은 전직 조폭인 황종구의 작전주였다. 현수로 인해 작전을 망친 황종구(박희순)는 현수를 납치하나 현수의 능력을 높이 사 600억 작전에 그를 합류시킨다. 잘나가는 펀드매니저 조민형(김무열), 자산관리자 유서연(김민정), 대산토건 대주주 박창주(조덕현)등 작전계의 에이스들로 팀을 구성, 600억 작전이 시작되고 성공한 듯 보인 작전은 멤버들간의 속고 속이는 또다른 작전으로 인해 흔들리기 시작한다. = = 캐스팅 = = 박용하 : 강현수 역 김민정 : 유서연 역 박희순 : 황종구 역 김무열 : 조민형 역 조덕현 : 박창주 역 김준성 : 브라이언 최 역 이동용 : 한 부장 역 조재윤 : 이 대리 역 박재웅 : 덕상이 역 신현종 : 우 박사 역 권재환 : 김승범 역 유승목 : 윤상태 역 김승훈 : 이재학 역 전국환 : 마산 창투 역 이용이 : 현수 모 역 박용연 : 강준수 역 배호근 : 박지혁 역 홍승범 : 진형이형 역 김영훈 : 남 비서 역 박팔영 : 금배지 국회의원 역 이은지 : 섹시녀 역 김동찬 : 금융감독원 팀장 역 송영재 : 서진에셋 부장 역 신용욱 : 박지혁 매형 역 정종렬 : 증권사 남자 역 설지윤 : 가정주부 역 서왕석 : 철거 용역 1 역 김수웅 : 멤버스 클럽 지배인 역 정민성 : 형사 1 역 신창수 : 형사 2 역 유승권 : 형사 3 역 = = 음악 = = 엔딩크레딧곡 'MONEY'는 사회 이슈를 다룬 조PD의 랩과 주인공 박용하의 참여로 화제가 되었다. "영화의 주인공 '강현수'의 시점에서 곡을 만들었다. 멜로디는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고 영화의 경쾌함도 살린 팝스타일로 작곡했다. 부드러운 박용하의 음색이 지금의 젊은이들의 욕망을 담아내고, 솔직하고 신세대적인 조PD의 랩이 대조를 이뤄 곡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작전의 목영진 음악감독은 밝혔다. = 모듈:Location map/data/Uzbekistan Tashkent = return { name = 'Tashkent', top = 41.449664, bottom = 41.136889, left = 68.977919, right = 69.533756, image = 'Tashkent Uzbekistan location map.svg', image1 = 'Tashkent Uzbekistan relief.png', } = 틀:올림픽국기 MAR = = 제11회 유럽 영화상 = 제11회 유럽 영화상의 시상식에 관한 내용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유러피안 작품상 = = = 인생은 아름다워 - 로베르토 베니니 수상 = = = 유러피안 여우주연상 = = = 천사들이 꿈꾸는 세상 - 엘로디 부셰즈 수상 천사들이 꿈꾸는 세상 - 나타샤 레그니어 수상 = = = 유러피안 남우주연상 = = = 인생은 아름다워 - 로베르토 베니니 수상 = = = 유러피안 각본상 = = = 슬라이딩 도어즈 - 피터 호윗 수상 = = = 유러피안 촬영상 = = = 푸줏간 소년 - 애드리언 비들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평생공로상 = = = 제레미 아이언스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비평상 = = = 화약고 - 고란 파스칼레비치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신인상 = = = 셀레브레이션 - 토마스 빈터베르그 수상 천사들이 꿈꾸는 세상 - 에릭 종카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다큐멘터리상 = = = Claudio Pazienza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비유럽 영화상 = = = 트루먼 쇼 - 피터 위어 수상 = = = 베스트 유러피안 감독상 = = = 고질라 - 롤랜드 에머리히 수상 = = = 베스트 유러피안 남우주연상 = = = 마스크 오브 조로 - 안토니오 반데라스 수상 = = = 베스트 유러피안 여우주연상 = = = 타이타닉 - 케이트 윈슬렛 수상 = = = 유러피안 월드 시네마상 = = = 아미스타드 - 스텔란 스카스가드 수상 = = = 유럽영화아카데미 단편영화-UI = = = 언젠가 - 마리 파코 수상 = 분류:에히메현의 시정촌사 = = 분류:사회의 여성 = = 제이디 스미스 = 제이디 스미스(Zadie Smith, 1975년 10월 25일 ~)은 영국의 소설가, 수필가, 단편 작가이다. 그녀의 데뷔 소설 , White Teeth (2000)는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2010년 9월부터 New York University의 Creative Writing 교수진에서 종신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데뷔 소설 White Teeth는 완성되기 전에 1997년에 출판계에 소개되었다. 부분 원고를 기반으로 Hamish Hamilton 이 이겼던 권리 경매가 시작되었다.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마지막 해에 White Teeth를 마쳤다. 2000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많은 찬사를 받았다. 그것은 국제적으로 찬사를 받았고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 포함하여 많은 상을 수상했다. 런던의 ICA에서 상주 작가로 근무한 후 편집자로서 이 역할의 정점으로 섹스 쓰기 선집인 Piece of Flesh를 출판했다. 두 번째 소설인 The Autograph Man 은 2002년에 출판되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비평가들에게는 White Teeth 만큼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 분류:아라과주 = = All My Loving (EP) = All My Loving는 1964년 2월 7일에 발매된 비틀즈의 음반이다. 팔로폰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1975년 베트남 = = 분류:마작 선수 = = 분류:K7리그 안양 경기장 = = 분류:사진기의 기능 = = 분류:카타르의 복싱 대회 = = 이누야마역 = 이누야마역은 일본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있는 나고야 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IY15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나고야 철도 이누야마 선 고마키 선 히로미 선 = = 역사 = = 1912년 8월 6일: 이누야마 선의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 1923년 5월 1일: 급행 열차가 설정됨. 1926년: 선로가 이누야마바시 역(현, 이노야마코엔 역)까지 연장됨. 1927년 4월: 역이 현재 위치로 이전함. 1931년 4월 29일: 오조네 선(현, 고마키 선)이 접속함. 1946년 3월 1일: 히로미 선의 기점이 당역으로 변경됨. 1966년 2월 10일: 화물 영업 폐지[1]. 1972년 9월 27일: 급행 "기타 알프스"가 정차하게 됨. 1984년 2월: 역 개량 공사에 착수철도 픽토리얼 1984년 5월호 93쪽. 1985년 2월 24일: 동서연결통로와 현재의 역사의 공용 개시. 역을 2면 4선의 구조에서 3면 6선으로 확대시킴. 4월 7일: 동쪽 출입구를 개설하고 버스와 택시 승강장 등이 정비됨. 1987년 5월: 자동 개찰기 설치. 1992년 2월 4일: 서쪽 출입구에 역 빌딩이 완성됨. 1993년 8월: 배선이 변경되고 0번 선 신설. 2003년 3월 27일: 선불 카드 "트랜 패스"를 고마키 선만 공용을 개시한다(후에, 이누야마 선과 히로미 선에도 확대됨). 2010년 12월 20일: 배리어 프리에 대응하여 북쪽 개찰구를 개설함. 2011년 2월 11일: IC카드 승차권 "manaca" 공용 개시. 2012년 2월 29일: 트랜 패스 공용 종료. = = 역 구조 = = 섬식 승강장 3면 6선의 지상역에서 교상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미이이다 연결선 개통에 대비하여 1번 선의 남쪽에 0번 선을 신설하고, 4면 7선으로 할 계획도 있었지만, 배선 변경으로 0번 선에 해당하는 유치선이 정비되면서 말단부, 승강장의 증설 등은 실시되지 않았다. 현재 이 유치선은 지하철 쓰루마이 선 직통용 차량 유치에 사용되고 있다. 개찰구는 남문과 북문의 2곳에 있어 개찰 외의 동서연결통로 옆에 마주보고 위치한다. 동시에 자동 매표기나 자동 개찰기, 자동 정산기를 갖추고 있다. 매점은 개찰구 서쪽 바로 옆에 있으며 역 서비스 센터가 자동 매표기의 동쪽에 있다. 열차의 발착 번호는 방향마다 정해진 것이 아니고, 같은 방면에 같은 종류의 열차라도 발차 승강장의 시간마다 다르다. 또,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하차 승강장에서 환승할 수 없는 것도 있다. = = = 승강장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비고 1 ■ 이누야마 선 (가카미가하라 선 직통) 하행 메이테쓰나고야 방면에서 신우누마・미카키노・메이테쓰기후 방면 1 ■ 이누야마 선 상행 고난・이와쿠라 방면의 반환점 출발 주로 지하철 쓰루마이 선 직통 열차 2 ■ 이누야마 선 상행 신우누마 방면에서 고난・이와쿠라・메이테쓰나고야 방면 주로 뮤 스카이・특급・급행 3 ■ 고마키 선 - 고마키・헤이안도리 방면의 반환점 출발 4・5 ■ 이누야마 선 (가카미가하라 선 직통) 하행 신우누마・미카키노・메이테쓰기후 방면의 반환점 출발 4・5・6 ■ 이누야마 선 상행 신카니・메이테쓰기후(6번 승강장 제외)와 메이테쓰나고야 방면과의 직통・메이테쓰나고야 방면의 보통 준급행 열차의 반환점 출발 준급은 분리되고 연결 시에는 6번 선 사용. 6번 선 안쪽에는 연결용과 신카니 행의 대기 차량(4량 편성) 선로가 있다. 4・5・6 ■ 히로미 선 - 신카니 방면의 반환점 출발 ※ 상기 표에는 대략적인 기준으로, 시간대에 따라서는 그렇지 아니하다. = = 역 주변 = = 역의 동서 왕래는 보행자와 자전거에 대해서는 역 구내(개찰구 외의 동서연결통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이용 가능한 인근의 도로, 역 북쪽의 건널목이나 역 남쪽의 육교(현도 이치노미야이누야마 선) 등이 있다. 역 서쪽은 상점가가 형성되어 있고 이누야마 시 관공서와 이누야마 시 도서관 등도 있다. 이누야마 성은 서쪽 출입구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역 동쪽은 구획 정리되고 캐스터 이누야마가 역전 로터리에 인접하는 위치하고 있다. 택시 승강장은 서, 동쪽으로 로터리 내에 설치되어 있다. = = = 히가시구치 = = = 장치 시계(로터리 중앙 설치) 아이치 현 경찰 이누야마 경찰서 이누야마 공공 직업 안정소(헬로우 워크 이누야마) 요시즈야 이누야마점 이누야마 우체국 = = = 니시구치 = = = 이누야마 성(도보 10분 정도) 이누야마 시청 이누야마 시 도서관 이누야마 야쿠시 우체국 = 난바라 시게루 = 난바라 시게루(, 1889년 9월 5일 ~ 1974년 5월 19일)는 전후 일본에서 문화공동체론을 주장한 일본의 정치철학자이다. = = 인물 = = 가가와현 출신으로 191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내무성 관료로 근무하였다. 1921년 도쿄 제국대학의 조교수로 교단에 섰으며, 1924년 독일과 영국에서 유학하였다. 그는 독일 관념론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정치철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국체론을 비판하였다. 그 성과로써 1942년에 ‘국가와 종교’, 1959년 ‘피히테의 정치철학’을 발표하였다. 1945년 도쿄 대학 법학부장에 부임하였고, 도쿄 대학 초대 총장으로 선출돼 6년간 재직하였다. 1946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선출됐으며 전후 신헌법 심의에 참여하였다. 1947년 교육쇄신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하였고, 1949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수상 요시다 시게루와 정면으로 대립하여 전면강화를 주장하였다. 1972년부터 난바라 시게루 저작집(전 10권)을 간행하였다.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경, 1대 준남작 KCB(Sir John Francis Davis, 1st Baronet, 1795년 7월 16일 - 1890년 11월 13일)은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외교관이자 중국학자로 영국 동인도회사에서 근무했고 이후 2대 홍콩 총독이 됐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의 부친은 외교관이었던 새뮤얼 데이비스, 모친은 18세기 초 프랑스 랑그도크에서 잉글랜드로 이주한 난민 귀족 가문의 구성원 헨리에타 보일로였다. = = 홍콩 총독 = = 1844년 5월 7일 봄베이로부터 HMS 스파이트풀호를 타고 도착한 데이비스는 다음날 2대 홍콩 총독으로 지명되어 1848년 3월 21일까지 임기를 수행했다. 임기 도중 데이비스는 홍콩 시민 모두에게 부담을 준 다양한 조세 도입과 부하 직원들에 대한 부적절한 대우 때문에 홍콩 주민들 및 영국 상인들에게서 지지를 얻지 못했다. 데이비스는 1844년 홍콩의 첫 인구조사를 수행했는데 이에 의하면 홍콩 거주 인구는 23,988명이었다. 동년에 데이비스는 중국 측에 아편 무역 금지 정책 포기를 촉구했다. 그의 임기 동안 주말 경마를 시작했는데 이는 현재의 홍콩경마회가 되는 조직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데이비스는 1847년 왕립 아시아 학회 중국 지부를 세웠고 초대 회장을 지냈다. 1890년 11월 13일, 브리스톨 헨베리에서 사망했다. = 틀:노벨상 딱지/설명문서 = = = 변수 = = 1번 변수는 상의 종목을 기입. 2번 변수는 상의 수상 연도를 기입. 변수를 모두 사용치 않고 노벨상 딱지 만 사용해도 동작 오류는 없음. = = 넘겨주기 = = (기본) * * = 틀:교황령 표 = = 도소 (니제르) = 도소(Dosso)는 니제르 도소 주의 주도다. 2001년 기준 인구는 43561명이고 고도는 227m다. = 틀:나라자료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 블루 옥토버 = 블루 옥토버(Blue October)는 미국의 록 밴드이다. = 분류:나카모리 아키나의 노래 = = 에케르트 제6도법 = 에케르트 제6도법(Eckert 圖法)은 1906년에 독일인 에케르트가 발표한 6개의 도법 가운데 하나의 도법을 일컫는다. 또한 에케르트 제6도법은 1점에 불과한 극을 적도 길이의 반인 길이의 선으로 표시한 것이 특색으로, 극과 중앙 경선과 적도 길이의 비는 1:1:2로 되어 있다. 위선과 위선의 간격은 낮은 위도에서 높은 위도로 갈수록 좁게 되어 있다. 경선은 중앙 경선이 직선인 것 외 제6도법에서는 모두 사인 곡선이다. = 루이즈 반스 = 루이즈 반스(, 1974년 4월 1일 ~ )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배우이다. 캐나다 드라마 검은 해적에 출연하였다. = 유튜브 본사 총격 사건 = 2018년 4월 3일 12시 46분 (PDT)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브루노에 위치한 유튜브 본사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용의자는 이란 출신의 38세 여성 나심 나자피 아그담(Nasim Najafi Aghdam)으로 밝혀졌으며, 스미스 & 웨슨의 9 mm 피스톨로 유튜브 본사의 지하 주차장으로 들어가 야외 테라스를 향해 총격하였다. 이 총사건으로 직원 3명이 부상당하고, 용의자는 그 자리에서 총으로 자살하였다. = 분류:2002년 폐간 = = 분류:쿠바의 남자 배구 = 쿠바 배구 남자 en:Category:Men's volleyball in Cuba = 분류:1952년 기재된 파충류 = = 분류:베트남의 축구 대회 = = 대대지도자 = 대대지도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래로 존재한 독일의 준군사 계급이다.Bataillonsführer, Reverso online Dictionary. Retrieved July 2011 대대지도자란 보병대대 대대장(일반적으로 계급은 소령)을 가리키는 표현이었고, 1차대전 종전 이후 자유군단의 준군사 계급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1945년 국민돌격대의 대대급 지휘관 직함으로 부여된 것이 대대지도자라는 명칭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때이다. = 분류:중국 슈퍼리그 구단 = = 아바시리호 = 아바시리 호는 홋카이도 아바시리시, 아바시리 군 오조라정에 걸쳐 있는 호수이다. 아바시리 국정공원에 속해 있다. = = 지리 = = 홋카이도 동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아바시리 강, 메만베쓰 강 등이 유입되 다시 북동쪽으로 빠지는 아바시리 강으로 흘러 오호츠크해로 빠져나간다. 호수 동쪽에는 요비토 반도가 돌출되어 있다. 호면의 표고는 0m로 만조시 해수가 역류하기 때문에 호수 밑바닥에는 염분 농도가 높아 무산소층을 이루고 있다. 강수량이 많은 시기에는 호면이 해수보다 높아 역수현상이 감소해 호수 밑바닥의 무산소층이 얕아진다. 특히 1920년대에는 지역의 강수량이 지금보다 100mm정도 많아 아바시리 호를 담수호로 불러도 상관이 없는 상태였지만, 현재는 기수호이다. 오히려 강수량이 적은 해에는 무산소층이 확산되어 빙어 등의 어류가 호면 가까이 올라와 풍어를 이루기도 한다. 유입하천 : 아바시리 강, 메만베쓰 강, 도맛푸 강, 사라카오마키킨 강 유출하천 : 아바시리 강 = = 생태 = = 습지에는 오리나무, 물파초 군락지가 넓게 펼쳐 있고, 특히 오조라 정과 가까운 지역은 메만베쓰 습성식물군락으로서 천연기념물에 지정되어 있다. 주변 숲은 왜가리 번식지로 알려져 있고, 아바시리 강이 흘러 가는 동쪽에는 높이 207m의 덴토 산이 자리잡고 있다. 덴토 산정에서는 아바시리 호뿐만 아니라 멀리 오호츠크해와 노토로호를 조망할 수 있다. 동절기에는 호수가 결빙되어 빙어 낚시객으로 붐빈다. 또, 양식 어업도 활발하여 1928년 모코토 호에서 도입한 참재첩 이외에도 빙어, 잉어, 붕어 등을 양식하고 연어, 송어의 부화사업도 시행되고 있다. 그 밖에도 뱅어 등도 잡히고 있다. = 10일간의 애인 = 10일간의 애인은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이영용 감독의 2022년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송민경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송민경 : 한재인 역 = = 기타 = = 제공: 그노스 공동제공: KT알파 = 아침마당 = 아침마당은 KBS 1TV에서 매주 평일 오전 8시 25분 ~ 9시 30분에 방송 중인 해당 요일 코너별 토크쇼 프로그램이다. = = 프로그램 소개 = = 일상에서 만나는 선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로 특화, 감동, 재미, 가치 등과 의미를 느끼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 본 방송 시간의 기준은 2023년 1월 10일을 기준으로 하며 평일 방송 시간을 기준으로 작성함. 평일 코너별 부제명 방송 시간에서만 유동적으로 부제가 변경될 수 있다. ※ 공휴일, 특집 프로그램, KBS 뉴스특보 등이 편성되면 특집 프로그램이 편성될 경우 방송 시간이 변경되거나 과거 지난주의 해당 요일별 코너의 이전 및 이전 회차 재방송으로 대체에 한해서만 편성이 변경된다. 해당 요일별 코너 당일 방송분 이후 소식을 전해드리게 한다.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일부 해당 요일별 코너의 한 회의 다시 보기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KBS 1TV 1991년 5월 20일 ~ 1992년 4월 3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20분 ~ 오전 9시 10분 KBS 1TV 1992년 4월 6일 ~ 1992년 10월 2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20분 ~ 오전 9시 20분 1992년 봄 개편으로 인하여 10분 확대로 1시간으로 편성했다. KBS 1TV 1993년 10월 18일 ~ 1995년 11월 3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20분 ~ 오전 9시 20분 1993년 가을 개편으로 10분 확대로 1시간으로 복귀했다. KBS 1TV 1992년 10월 5일 ~ 1993년 10월 15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20분 ~ 오전 9시 15분 1992년 가을 개편으로 인하여 5분 축소로 55분으로 편성했다. KBS 1TV 1996년 3월 4일 ~ 1996년 10월 11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40분 ~ 오전 9시 40분 1996년 봄 개편 시행, 평일 오전 방송을 아침 6시부터 낮 12시까지 확대, 오전 10시~11시 편성 및 오전 12시 편성으로 인하여 방송 시간이 변경되었다. KBS 1TV 1996년 10월 14일 ~ 1999년 10월 16일 매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8시 30분 ~ 오전 9시 35분 1996년 가을 개편 시행으로 인하여 10분 확대로 방송 시간이 1시간 5분으로 편성되었다. KBS 1TV 1999년 10월 18일 ~ 2000년 10월 20일 매주 평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1999년 가을 개편 시행으로 인하여 방송 시간이 변경되었다. KBS 1TV 2000년 10월 23일 ~ 2007년 4월 27일 매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8시 30분 ~ 오전 9시 30분 2000년 가을 개편 이후 3주 만에 부분 조정 개편 시행으로 인하여 방송 시간이 5분 축소로 1시간으로 편성되었다. KBS 1TV 2007년 4월 30일 ~ 현재 매주 평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2007년 봄 개편으로 인하여 방송 시간이 5분 확대되어 변경되어 편성되었으며, 2017년 6월 12일<7880회>, 2021년 7월 6일<8920회>·8월 10일<8943회>, 2023년 2월 1일<9319회>(도전! 꿈의 무대 패자부활전 설 특집 - 나도 가수다!) · 3월 15일<9349회>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이후 다시보기 5회 불가이며, <8967회>(이상 4회 김재원, 김솔희 진행 당시) 1회 방송분은 방송분량 이하 50초 누락으로 인하여 이하 생략이다. 2022년 방송분은 7700회 특집 편성 아님 · 5월 중순의 32주년 특집 편성을 하지 않고 · 6월 3일<7800회> 방송분은 7,800회 특집 편성을 하지 않고 2회 방송분은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을 했으며 2022년 31주년 특집 방송을 하지 않았으며, 9100회 방송분 9100회 특집 방송을 편성하지 않고, 9200회 방송분은 9200회, 9300회, 9400회, 9500회 방송분은 9300회 · 9400회 · 9500회 특집 편성을 2년 연속 특집 방영하지 않았다. KBS 1TV KBS 1TV KBS 1TV KBS 1TV KBS 1TV KBS 1TV = = 진행자 = = 역대 MC 중 진행자 변경시 마지막 MC 및 새 MC 변경시 2명 동시 진행자가 변경한 아나운서는 단 한번도 없으며, 현재 진행자의 남성은 2018년 5월 28일(재진행) 을 기준으로, 여자는 2023년 5월 1일을(재진행) 기준으로 한다 ※ 역대 MC 남성의 1980년대~1990년대 출생의 남자 아나운서는 없으며 임시로 진행한 아나운서이다. (김승휘 아나운서) 및 임시로 진행한 박씨 여자 아나운서이다. (박지원 아나운서) 김재원 KBS 아나운서 엄지인 KBS 아나운서 김수찬 = = 역대 진행자 = = = = = 남성 = = = = = = = 정규 방송 = = = =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이계진 前 아나운서 1991년 5월 20일 ~ 1991년 10월 12일 남자 MC 단독 진행 2대 윤방부 前 아나운서 1991년 10월 14일 ~ 1991년 11월 1일 3대 이계진 前 아나운서 1991년 11월 4일 ~ 1992년 4월 3일 4대 이상벽 前 아나운서 1992년 4월 6일 ~ 1998년 12월 31일 방송 4사 총파업 중 KBS의 총 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1월 7일 이후~일자 미상 방송분은 이상벽 前 아나운서 없이 이금희 아나운서가 단독 진행했다. 6대 송지헌 前 아나운서 1999년 1월 1일 ~ 2000년 4월 28일 KBS의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11월 30일 이후~일자 미상 방송분은 이금희 前 아나운서 업이 송지헌 前 아나운서가 단독 진행했다. 7대 이상벽 前 아나운서 2000년 5월 1일 ~ 2003년 9월 16일 1년 11개월만 재진행자 부활 및 재복귀 8대 손범수 前 아나운서 2003년 9월 17일 ~ 2008년 11월 14일 2023년 6월 6일 방송분의 9408회(현충일 특집) 화요초대석에서 잠시 출연했다. 9대 김재원 아나운서 2008년 11월 17일 ~ 2013년 4월 5일 10대 윤인구 아나운서현재 6시 내고향 남성 MC 2013년 4월 8일 ~ 2018년 5월 25일 남자MC 일반 단독 최후의 마지막 남자MC 진행자엄지인 아나운서의 첫진행 이후 하차로 인하여 출산유하로 진행자로 변경함, 2017 공영방송(KBS 아나운서실 소속)의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4일~2018년 3월 9일 까지 방송분은 오유경 前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다.전경은-부인(피아니스트)의 남편 및 두 남매을 키우고 있는 아버지(아들 윤찬영, 딸 윤서영) 11대 김재원 아나운서 2018년 5월 28일 ~ 현재 남자MC 재진행2023년 1월 9일<9302회> 이후 방송분은 이재홍 아나운서실 스포츠팀장이 아닌 취소로 · 같은 해 5월 1일 <9382회> 이후 방송분은 1980년대 출 생의 최초 아나운서 한상헌 아나운서가 연속 아닌 이후 현재의 최장기간 동안 재진행 남자MC를 유지하게 되었으며, 새 남자mc가(4월 28일 까지 물러나지 아님 및 5월 1일 부터 아님) 아닌 사실무근이며, 남자 재진행 mc를 계속 유지를 진행하는 내용이다. 2019~2020~2021년~2022년~2023년 진행 중 외에 4년 연속 아쉽게 남자 MC가 변경하지 않았으며, 현재의 남자 재진행 MC를 유지하게 되었다. 같은 해 7월 24일 방송분은 김재원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 팀장 없이 대신 임시 남자 아나운서가 아닌 당시 월요일 패널로 출연한 이용식과 엄지인 아나운서와 함께 진행했으며, 7월 25일 방송분은 이광기 배우가 대신 임시(※ 패널은 박애리 국악인의 남편 팝핀현준이 대체하여 패널로 출연했다.)~7월 27일 9443회 방송분은 이호섭 작곡가가 대신 진행했으며,~7월 27일(2023 재난피해 특집 1부 2023 재난극복 우리함께)~7월 28일(특별생방송 2부 2023 재난극복 우리함께) 이후 방송분은 1980년대 최초로 임사 남자MC(한상헌 아나운서) 또는 1970년대 남자 MC(한상권 아나운서)가 아닌 8176회 방송분의 <월요토크쇼 베테랑-아시안 게임 미리보기 스포츠 중계의 神과 함께> 편에서 최승돈 아나운서가 2일간 이후로 대신 진행했으며, 같은 해 12월 4일 ~ 12월 7일 4일간(단 12월 8일 금요일 코너 방송분은 진행하지 않은 것 제외하고는 엄지인 아나운서 여자 재진행MC 하는 관계로 제외)., 12월 11일 ~ 12월 13일(당일 이후 까지 진행) ~ 12월 14일 2주간 · 다음 해인 2024년 1월 30일 ~ 2월 1일(단 다음 해인 2월 2일 금요일 코너 방송분은 진행하지 않은 것 제외하고는 엄지인 아나운서 여자 재진행MC 하는 관계로 제외). 3일간 이후 방송분은 한상헌 아나운서가 아닌 김승휘 아나운서(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남자MC 진행중, 2014년 7월 16일 [세대공감! 알랑가 몰라] 옛날 엄마 VS 요즘 엄마 , 7774회 화요초대석 3인 3색! 우리는 아나테이너3명 중 1명이 출연· 8046회(평창 동계올림픽 기획 2부) - 화요초대석 최고의 캐스터 4인방이 전하는 올림픽 200% 즐기기·8065회 화요초대석 우리의 겨울을 뜨겁게 달궜던 평창! 그 감동의 뒷얘기, 같은 해 9499회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방송분에서 2인 1조 참가자 에서 엄지인 아나운서와 2인 1조와 같이 <드디어 팀>도전했으나 준우승팀에 그쳤다. 대신 이후로 진행했다. = = = = 금요일 코너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전문 MC = = = =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금요일 패널 김수찬 2023년 5월 26일~ 금요일 코너의 패널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전용 최초 연예인 mc금요일에만 패널로 출연 및 진행한다. = = = 여성 = = =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정은아 前 아나운서 1991년 10월 14일 ~ 1998년 6월 12일 2대 이금희 前 아나운서현재 사랑하기 좋은 날 이금희입니다 DJ 1998년 6월 15일 ~ 2016년 6월 30일 KBS 총 파업으로 인하여 1999년 1월 7일 이후~일자 미상 방송분은 이금희 前 아나운서가 단독 진행했다. 3대 엄지인 아나운서 2016년 7월 1일 ~ 2016년 12월 9일 여자MC 첫 진행(3번째)엄지인 아나운서의 2019년 4월 26일 방송분 <화요초대석> 1부-아나운서들이 간다!에 잠시 출연한 적이 있으며, 첫 여자MC 진행시 아쉽게 2번 연속 이름을 부르지 못했다. 4대 오유경 前 아나운서 2016년 12월 12일 ~ 2018년 5월 25일 여자 MC 4번째1994년 공채 20기 입사 이후 2020년 10월 퇴사엄지인 아나운서의 첫진행 이후 하차로 인하여 출산유하로 진행자로 변경함, 2017 공영방송(KBS 아나운서실 소속)의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4일~2018년 3월 9일 까지 방송분은 오유경 前 아나운서가 단독 진행했다. 5대 이정민 前 아나운서 2018년 5월 28일 ~ 2021년 6월 18일 여자 mc 이름 부는 진행자의 최후의 마지막 진행자이정민 아나운서의 출장으로 같은 해 8월 15일부터 8월 17일 방송분은 이각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2020년 1월 29일부터 2월 3일 방송분은 박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2021년 2월 17일부터 2021년 2월 19일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가 대신 여자로 진행했다.2019년~2020년 진행 기간 내에 및 동안의 이정민 아나운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진행하고 있으나 향후 계획이 있다.이정민 前 아나운서의 여자MC로 2번째 출산 및 출산의 휴직 인하여 다음 주부터 출산 준비에 들어가 2021년 6월 18일 <8908회>방송분의 마지막 여자MC 출산 관련 멘트를 전했다. 6대 김솔희 아나운서현재 KBS 뉴스 7 여성 재진행 앵커 2021년 6월 21일 ~ 2023년 4월 28일 여자 새 MC 6번째 최후의 마지막 진행자초등학교 재학 시절 당시 KBS 15기 어린이 합창단 단원 이었다.6월 21일 <8909회> 방송분에서 재진행 남자mc가 소개시 멘트시 1명 단독 아님, 2명 변경하며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이후 아니며, 환영합니다 어서오세요멘트 취소 및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하지 않았다."안녕하세요 아나운서 김솔희입니다"진행자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첫 멘트를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않아 소개하지 않았으나 임시 진행자로 이름을 부른 적이 있었던 경우였다.김솔희 아나운서(現. KBS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가 여자MC)의 새 진행자일 때 안타깝게도 지난 2016년 7월 1일 1984년 태어난 여자 아나운서 엄지인(前 우리말 겨루기 여자 MC, 현재 여자MC 재진행중)) 아나운서 새 여자MC일 때 5년 만에 1,816일 만에 2회 연속 이름을 부르지 않았는데, 방송에서는 김솔희 아나운서가 첫 여자MC일 때 이름을 부르는 것이 좋다. 여자 mc의 첫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은 것은 1,816일만이며, 엄지인(前 우리말 겨루기 여자 MC)) 아나운서와 동일하다.김재원 아나운서(재진행)와 김솔희 아나운서는 예전(2014년 4월 14일~2018년 4월 13일)에 6시 내고향도 공동 진행한 이력과 2021년 2월 17일~2월 19일 이정민 아나운서의 휴가로 인하여 임시 여자MC로 대신 진행한 경우였다. 2021년 10월 29일 방송분은 여자MC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김재원(재진행)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남자MC 재진행의 진행하였으나 아쉽게도 여자MC의 여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지 않았으며, 김솔희 아나운서의 출장으로 2022년 7월 11일부터 같은 해 7월 15일 이후 공채 29기 박사임 아나운서가 아닌 현재까지 기준 이후 방송분은 8120회 <도전! 꿈의 무대> 방청객 출연 및 8746회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패널로 출연한 박지원(45기) 아나운서(현재 우리말 겨루기 여자MC 및 현재 KBS 뉴스 9 평일 여자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다음 해 2022년 아쉽게 여자mc가 변경하지 않았다. 2023년 초 아쉽게 임시 여자MC에 진행하지 않았다. 2023년 4월 28일 방송분은 최후의 여자MC 7번째 마지막이었으며(1년 반만에 후속 진행자인 새 7번째 여자MC가 아닌 엄지인 아나운서가 재진행으로 넘겨주었다.) · 동년 4개월 후인 9월 4일 2TV 생생정보에 전임 이선영(현재 2명 중 1명의 이각경 아나운서와 같이 진행중)물러날 예정이었으나 아쉽게 물러나지 않고 여자MC로 진행할 예정되어 있었으나 아쉽게 진행하지 않고(김씨 최초로 진행자 이후 아님), 이후 KBS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로 인하여 2년 2개월 만에 뉴스진행자로 복귀 후 이동했다. 7대 엄지인 아나운서 2023년 5월 1일 ~ 현재 여자MC 7번째 변경 아님 여자MC 재진행,시 아쉽게 2회 연속 진행 이름 부르지 못함월~목요일본래는 같은 해 전임 이후 후임 여자MC의 새 여자mc(4월 28일 까지 물러나 및 5월 1일 부터 아님) 가 아닌것은 사실무근이며 이후 여자 재진행 mc 변경한 내용이다. 4월 28일 기사에 나온 새 여자mc 복귀 가 아닌 '여자 재진행 mc 복귀'한 것이 맞다는 내용이다.금요일은 9396회 까지 기준, 이후 월~목요일은 9397회 부터 기준2023년 5월 봄개편으로 인하여 진행자가 변경되었으며, 새 여자MC 및 7번째 여자MC가 박사임 아나운서가 아닌 여자 재진행 MC로 변경, 재진행 남자mc가 소개시 멘트시 1명 단독 아님, 2명 변경하며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이후 아니며, 환영합니다 어서오세요멘트 취소 및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2회 연속 하지 않았다. 엄지인 아나운서의 여자 재진행으로 복귀함, 아쉽게 2번 연속 이름을 부르지 못했으나, 안녕하세요 엄지인입니다를 부르지 않고 및 반갑습니다 이후 생략으로 "엄지인입니다"를 부르지 않고 아쉽게 이름 부르지 못했다. 같은 해 7월 24일 방송분은 이용식 씨와 진행했으며, 7월 26일에는 방송인 김혜영씨가 대신 진행했다. 같은 해 5월 22일부터 월~목요일에 진행하고 금요일에는 진행하지 않고 있으나, 같은 해 10월 14일<9499회> 금요일 방송분은 김승휘 아나운서와 같이 참가했으나 아쉽게 2위팀에 그쳤으며 · 12월 8일<9540회> 및 12월 15일<9544회>/다음 해인 2024년 2월 1일 방송분은 2주 및 3회 연속 에서도 임시 여자mc로 아쉽게 이름을 연속 부르지 못했다. = = 구성 = = 2023년 5월 26일 기준 요일 코너명 출연자(MC 및 진행자)(패널) 비고 평일 오프닝 멘트(OP) 김재원(재진행), 엄지인(재진행)(월~목요일) 김수찬(금요일) 평일 엔딩 멘트(ED) 김재원(재진행), 엄지인(재진행)(월~목요일) 김수찬(금요일) 평일 상품소개 엄지인 월요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남상일 화요일 화요초대석 박애리, 이광기 9511회 방송분은 개그우먼 장도연 얼굴 닮은 과거 이승연 아나운서의 2명 중 1명의 임시 패널로 출연했다., 수요일 그사람이 보고싶다 김혜영, 이호섭 5명의 참가자 및 초대 가수가 출연하며 노래 가사는 자막으로 처리된다. (2017년 11월 8일 (7987회) 부터)방송사 사정으로 인하여 상단 부제 표시 <해당 도전자의 몇승 도전 및 특집편성 >을 표시하지 않고 있으며 다시보기 창의 정규편성에서만 부제 해당 도전자의 몇승 도전을 올리지 않고 있다. 수요일 그사람이 보고싶다 초대 가수 무대 수요일 그사람이 보고싶다 5명의 참가자 중 우승자 발표 수요일 그사람이 보고싶다 5명의 참가자 중 우승자 앵콜 무대 목요일 목요특강 4인샘 패널 최시중(KBS 아나운서)9062회 방송분은 이광엽 아나운서(전주총국 근무를 마치고 지난해 2020년이 아닌 2021년으로 변경하여)가 대신 패널로 출연했다. 목요일 목요특강 4인샘 도움 주실 분 해당 출연자 참조 목요일 목요특강 4인샘 다음주 예고 오프닝 및 엔딩 멘트 위와 같음 금요일 생생토크 김수찬(가수)(패널 겸 진행) 마당 토크 / 대결!듀엣 노래방/쌍쌍 퀴즈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 타이틀 변천사 = = 현재 타이틀은 1991년 5월 20일을 기준으로 한다. 대수 타이틀 방송 기간 1대 스튜디오 830 1981년 5월 25일 ~ 1986년 10월 31일 2대 스튜디오 800 1986년 11월 3일 ~ 1987년 2월 28일 3대 가정저널 1987년 3월 2일 ~ 1991년 5월 18일 4대 이계진의 아침마당 1991년 5월 20일 ~ 1991년 10월 12일 5대 아침마당 1991년 10월 14일 ~ 현재 = = 특집 방영 목록 = = 2004년 4000회 특집 방송분은 LA현지 특별 생방송으로 인하여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장소를 옮겨 ‘세계 속의 아침마당’이라는 타이틀로 편성했다. 2018년 1월 1일< 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5월 17일(8884회) ~5월 21일(8888회)<[아침마당 희망은 당신입니다 아침마당 30th] (30주년 특집 (1부~5부 포함)>으로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었다.30주년 특집 5일간 특집 방송분의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2021년 11월 3일 · 11월 10일 · 11월 17일 도전!꿈의무대 4주년 특집 별들의 전쟁 역대 5승 및 5연승을 달성한 왕중왕전(1부~2부~3부)간 특집방송했다.9004·9011·9015회 3주간 도전꿈의무대 특집방송분은 상단 특집명 미표기였다. 12월 31일<9046회> 방송분은 송년특집 관계로 송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2022년 1월 3일<9047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 5월 중순에는 (31주년 특집 (1부~5부 포함)을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지 않았다. 2023년 1월 2일<9297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 했다. 1월 9일<9300회> 방송분은 9,300회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2월 27일~3월 3일 5일간 방송분은 공사창립 50주년 기획 1~5부 - 한민족 디아스포라 5일간 공사창립 특집으로 방송했다. ※ 5월 중순에는 (32주년 특집 (1부~5부 포함)을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지 않았다. 5월 25일<9400회> 방송분은 9,400회 방송분은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9월 27일 ~ 9월 28일 ~ 9월 29일 3일간 추석특집으로 방영했다.아쉽게 진행자 2명의 9487회 ~ 9488회 한복 입지 못했음 10월 16일<9500회> 방송분은 9,500회 방송분은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12월 6월 · 12월 13일 · 12월 20일 · 12월 27일 도전!꿈의무대 6주년 2023 왕중왕전 별들의 전쟁 4부작 (※ 송년특집으로 인한 4부작 포함) 특집으로 방영 중이다. (12월 6일과 12월 13일 ※ 2주간 특집 방송분은 김승휘 아나운서가 임시로 대신 진행함).9537회·9542회 2주간 방영중(2명 중 1명의 ※김승휘 아나운서의 남자 임시 MC 2주간), 9547회·9552회(김재원 아나운서 재진행 21기 2주만에 재개 및 복귀 및 2주간 진행함) 인 <최종 결과 :고정우 : 소금꽃 (원곡 진성) (대상 수상)(초대가수 진성-※ 가수 정미애 가수 아님) 도전꿈의무대 특집방송분은 상단 부제 / 스튜디오 벽면 미표시 및 상단 특집명 미표기이다. 12월 29일 방송분은 송년특집 관계로 송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될 예정이다. 2024년 1월 1일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신년기획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1부 방송편성 1월 2일 화요초대석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기획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2부 방송편성 1월 3일 도전!꿈의무대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기획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3부 방송편성 2월 7일 ~ 2월 9일 · 2월 12일 설특집으로 방영예정이다. 2월 26일 ~ 3월 1일 공사창립 1주일 특집 5부 방영예정이다. 3월 4일 9,500회 방송분은 특집 편성할 예정이다. = =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 = ※ 해당 연도의 에피소드 목록 중 결방 참조 3월 21일: 화요초대석의 KBS 뉴스특보 《박근혜 前 대통령 검찰 소환》 ① [수화] 로 결방 3월 23일: 목요특강의 KBS 뉴스특보 《세월호 본체 부상》 ① [수화] 로 결방 5월 10일: 고민상담소 - 내 말 좀 들어봐 KBS 뉴스특보 《제19대 대통령 문재인 당선》 ① [수화] 로 결방 2월 9일: 공감토크 - 사노라면 평창올림픽 라이브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2월 21일: <8061회>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프로젝트 콜라보레이션 대잔치 (※ 오유경 前 아나운서(여)(파업으로 인하여 윤인구 남자 아나운서 MC없이 단독 진행)) 33:26 프로젝트 콜라보레이션 대잔치 역대 도전자와 유명인들이 2~3~4명이 2인 1조를 참가하여 3팀으로 참가했다. 파업으로 인하여 다시보기 35분 축소로 방송편성되었다. 3월 14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결방 4월 27일: 공감토크 - 사노라면 《KBS 뉴스특보》 - 2018 남북정상회담 [수화] 방송 관계로 결방 5월 28일 : * 진행자 MC 2명 중 1명의 남자 새 MC 아님 (김재원 아나운서로 변경함) 및 이정민 前 아나운서 새 MC(여자MC의 이름 부른 곳의 최후의 진행자) * OP 멘트 중에서 당시 진행자 2명 중 1명의 전임 남자MC(윤인구 24기 아나운서)가 전임 당시가 아나운서가 <6시 내고향>남자MC로 이동에 관한 멘트로 전해드렸음 6월 12일: 화요초대석 《KBS 뉴스특보》 <2018 북미 정상회담 (아침 7시 50분 특보)] ③> [수화] 방송 관계로 결방 6월 13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KBS 뉴스특보》 북미 새로운 관계·6.13 지방선거 투표 시작 [8시 25분] 방송 관계로 결방 8월 23일: 객관식토크 나는 몇번? 결방 8월 24일: 공감토크 - 사노라면 결방 9월 18일: 화요초대석 결방 9월 19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결방 9월 20일: 객관식토크 나는 몇번? 결방 2월 27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결방 2월 28일: 목요 이슈토크 나는 몇 번? 4월 5일: 공감토크 - 사노라면의 강원 산불 화재 관련 KBS 뉴스특보 [수화] 편성 관계로 결방 8월 16일 * 여자MC 이정민 전 아나운서 없이 남자 재진행mc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 * 단독 남자재진행mc 및 여자MC 없이 아닌 경우 남자 재진행mc가 같이 진행중인 2명 중 1명의 아쉽게도 여자 아나운서(박사임 아나운서)가 대신 임시 진행 취소 8월 5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가 편성 취소 로 결방 8월 6일: 슬기로운 목요일 이 편성 취소로 결방 8월 26일: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 가 [수화] 《제8호 태풍 ‘바비’》 북상 관계로 결방 8월 27일: 슬기로운 목요일 이 태풍 '바비' 관련 [수화] 《제8호 태풍 ‘바비’ 황해도 상륙》 관계로 결방 9월 7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이 편성 취소로 결방 11월 4일: 전국이야기대회 도전 꿈의 무대 코너에서 2020 미국 대선 관련 KBS 뉴스특보로 인하여 결방 2월 26일: KBS 뉴스특보 [수화]《국내 첫 백신 접종 9시부터 시작》 (아침 8시 25분~10시)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결방 5월 17일~5월 21일: 30주년을 특집 맞아 <아침마당 희망은 당신입니다 아침마당 30th(30주년 특집 (1부~5부 포함)> 2021년 기준으로 5월 17일부터 5월 21일까지 1시간 15분 동안 특집으로 10분 확대하여 편성했다.2명의 남자 및 여자 MC(마지막 여MC 물러나기 1개월 전)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변경함 (남자:"안녕하십니까" 여자: "안녕하세요") 6월 18일: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동시 마지막 MC 아님→2명 중 1명의 남자 마지막 MC 변경 취소 및 마지막 여자MC(이정민 前 아나운서 - 출산휴가(득남 출산)로 1년 후 아나운실에서 퇴사함)최종확정 6월 21일: 8909회지난 8908회 전임(이정민 前 아나운서 마지막 mc) 외의 부제 중 다음 회차(8909회 김솔희 아나운서 새 여자MC 변경) 월요일 예고편 출연자 무표기 *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새 MC 동시 변경 아님→2명 중 1명의 남자 새 MC 변경 취소 및 새 여자MC 변경 * 새 남자mc 및 1980년대 최초로 진행한 한상헌/이재성/오승원 아나운서 아님→재진행 남자mc 아나운서를 재진행 유지로 변경 * 재진행 남자mc가 소개시 멘트시 1명 단독 아님, 2명 변경하며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이후 아님 및 환영합니다 어서오세요멘트 취소 및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하지 못함 * 여자 새 MC 대본(※ 출연자/패널 및 방청객의 박수소리 때문에)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김솔희입니다 (아님)→ 인사를 부르지 않았거나, 이름을 부르지 못하여 이후 생략 및 아님 * OP 멘트 중에서 당시 진행자 2명 중 남자 재진행 및 여자MC가 두 진행자 중 6시 내고향 같이 진행한 것에 관한 멘트로 전해드렸음 7월 21일: 코로나 이후 여파로 결방 8월 2일: 도쿄올림픽 1TV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8월 9일: 뉴스특보 폭우 관련 관계로 결방 9월 13일 : 8967회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세상에 이런 직업이?!> * 6명 중 1명의 김현심(성우) 출연 취소 ※ 다시보기 중에서 방송분량 이하 50초 누락으로 인하여 이하 생략. 10월 29일 * 여자MC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남자 재진행mc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 * 단독 남자재진행mc 및 여자MC 업이 아닌 경우 남자 재진행mc가 같이 진행중인 2명 중 1명의 아쉽게도 여자 아나운서(박사임 아나운서)가 대신 임시 진행 연속 취소 1월 20일: [슬기로운 목요일] 100세 시대 필수품 →나만 몰랐던?! 100세 시대 필수품 (내용 추가함) 1월 24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카리스마 사극 배우 납시오》 (출연자 5명 노영국,이기혁,선동혁,이원발,이광기 5명 )→《우리는 깐부! 환상의 선후배》(배진아(여가수)·태진아(남가수)(가수)·윤영미(1962년생)·김일중(SBS 前 아나운서)·김산옥(전남 순천시 출신,광주광역시 출신-여국악인)·남상일(SBS아나운서) )(기존 예정 5명이 아닌→출연자 6명이 2인 1조로 3팀을 이루어 출연자 변경) 1월 27일: [목요특강 4인쌤] 건강하고 행복한 명절나기→안 챙기면 후회하는 명절 준비 1월 31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설 특집한국 명절이 왜 이래?→한국 명절엔 특별한 것이 있다 2월 7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스타밖에 난 몰라, 찐팬 열전》 →《대를 이어 온 꿈, 위대한 유산》 (부제 변경) 2월 14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스타밖에 난 몰라, 찐팬 열전》 →《신통방송 신통 모여라》 (부제 변경) 2월 21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스타밖에 난 몰라, 찐팬 열전》 →《우리 아빠의 전업 주부》 (부제 변경) 2월 28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카리스마 사극 배우 납시오》 →《우리 아빠의 전업 주부》 (부제 변경) 3월 7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카리스마 사극 배우 납시오》 →《스타 탄생 1인 미디어 전성시대》 (부제 변경) 3월 10일: KBS 뉴스특보 [수화]《 》 ( )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결방 3월 14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카리스마 사극 배우 납시오》 →《성대모사 달인 모여라!》 (부제 변경) 3월 21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카리스마 사극 배우 납시오》 (출연자 5명 노영국,이기혁,선동혁,이원발,이광기 5명 ) ※ 편성변경으로 인하여 2개월 만에 방영함 5월 중순: ※ 31주년 특집 방송 (1부~5부) 5일간 특집 편성 취소→평상시 정규방송으로 변경함 7월 11일 ~ 7월 15일(9181회~9185회) * 진행자 2명 중 1명의 임시진행자 박사임 아나운서 아님 → 박지원 아나운서로 임시 남자 진행자로 변경 (※ 여자mc 당시 진행중으로 했던 최후의 6번째 마지막 여자진행자 김솔희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여자mc로 대신 진행함) * 여자 임시MC 최후의 마지막 임시진행자 8월 5일: KBS 뉴스특보[수화]《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7시 50분~9시,앵커 정연욱) 7시 50분~9시 까지 이후 결방 8월 9일: KBS 뉴스특보[수화]《 》 화요초대석 결방으로 7시 50분~10시 까지 이후 결방 8월 10일: KBS 뉴스특보[수화]《 》도전!꿈의 무대 결방으로 8시 25분~10시 까지 이후 결방 8월 16일: 화요초대석 (1) 나에게 찾아온 재혼과 첫 출산 - 이재은(배우) / (2) 우리말 몰랐던 감염병 이야기 - 이재갑(감염내과 전문의) 1주일 연기로 방송일 변경 8월 17일: 8월 패자부활전 - 장구의 신 박서진을 이겨라! 1주일 연기로 방송일 변경 9월 5일: KBS 뉴스특보 [수화]《태풍 힌남노 영향》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결방 9월 6일: KBS 뉴스특보 [수화]《태풍 힌남노 영향》 속보의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9월 추후 : OP 멘트 중에서 당시 진행자 2명 중 1명의 여자MC(김솔희 아나운서)가 전임 당시가 아나운서로 퇴사한 이정민 아나운서가 아나운서실 당시 소속에서 퇴사 후 프리랜서로 전향에 관한 멘트로 전해드렸음 9월 14일: 9223회 패자부활전 3부(3주간)→나도 가수다 9월 19일: KBS 뉴스특보 [수화]《태풍 난마 영향》 속보의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결방 10월 19일: 중계방송 2022 제26차 ANOC 서울 총회 개회식 [수화] 편성 관계로 결방 10월 31일: KBS 뉴스특보 [수화]《이태원 참사 관련 》 속보의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결방 11월 1일: 0825~0915 시사기획 창(재방송) 편성 이후 특집 KBS 뉴스특보 [수화]《이태원 참사 관련 》 속보의 뉴스특보 편성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11월 2일: 9250회 회차 변경 * 도전 꿈의 무대 안지완씨의 의 2승 도전!!/아니면 새로운 1승 탄생!! 편성 취소→[특별기획] 안전한 대한민국 - 우리 모두가 만든다! * 방송시간 0825~0930→0825~0920 5분 축소로 55분 단축 방송시간 변경 11월 7일: 9257회 * 나 , 가을 타나 봐♪(출연자:이용,조관우,KC,은가은,별사랑 5명 )→인생 역전의 농부들(출연자: 6명 김영석,박장우, 오장훈,진상빈,최고야,호암 티 투이 6명) (부제 및 출연자 변경)(월요일 코너 - 결방으로 1주일 연기) * 출연자 5명→6명 (1명 추가) 11월 14일: 9262회 * 나 , 가을 타나 봐♪(출연자:이용,조관우,KC,은가은,별사랑 5명 ) (월요일 코너 - 부제 변경으로 1주일 연기) 1월 5일: 9,300회 특집 편성 취소→정규편성 목요일 코너 목요특강 4인4색 으로 변경 (※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연속변경함) 1월 9일: 새 남자mc 및 1980년대 최초로 진행한 한상헌/이재성/오승원 및 이재홍 아나운서실 스포츠팀장 2회 연속 아님→재진행 남자mc를 재진행 유지로 2회 연속 변경 1월 23일 : * 전설의 액션 스타 견자단 (※ 출연자 2명 중 배우 견자단, 왕정 감독 의 - 동시 통역사 김남희(중국어 통역사) 무표기여자mc 진행시 통역사의 이름을 불렀으나 통역사 이름 무표기였다. ) * 방영한지 15여분만에 김홍성 아나운서 패널 특별 출연했음(개그맨 이용식과 함께 같이 패널로 특별 출연함) 1월 24일 : 설특집 화요초대석 해당 진행자 한복 미착용 및 ED 무대 - 정가연(가수) <용꿈 한번 꿈꾸자> (※ 가수 출연 못함) 1월 25일 : 설특집 - 나도 가수다! 중에서 상단 부제 미표시 및 해당 진행자 한복 미착용 4월 28일: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동시 마지막 MC 아님→2명 중 1명의 남자 마지막 MC 변경 취소 및 마지막 여자MC 최종확정 5월 1일: kbs의 봄철 프로그램 개편(2명 중 1명의 여자 재진행 mc 변경) *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새 MC 동시 변경 아님(남자 - 한상헌 아나운서 및 여자 - 박사임 아나운서) 2명 동시 아님→2명 중 1명의 남자 새 MC 변경 취소(재진행 남자mc를 현재 재mc를 그대로로 유지함) 및 재진행 여자MC(엄지인(33기) 아나운서) 변경 * 새 남자mc 및 1970년대 김희수/이재홍 아나운서실 스포츠팀장/이규봉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오언종 1980년대 최초로 진행한 한상헌/이재성/오승원/이재성 각각 아나운서 2회 연속 아님그외 남자 새MC의 예외 사항 새 진행자가 아닌 경우 오늘부터 새롭게 진행하게 될 한상헌입니다 이후 멘트 아님→ 한상헌 아나운서가 아닌 재진행 남자mc를 평상시 아나운서 재진행 유지로 2회 연속 변경 * 재진행 남자mc가 소개시 멘트시 1명 단독 아님, 2명 변경하며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이후 아니며 및 환영합니다 어서오세요멘트 취소 및 스튜디오에 들어올때 2회 연속 하지 아쉽게 하지 못함 * 여자 새 MC 대본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엄지인입니다 (아님) →이후 아님 * 새 여자 MC 7번째 변경 아님 및 박사임/백승주(29기)/이현주(35기)/장수연/박지현(35기) 각각 아나운서 아님그외 여자 7번째 새MC의 예외 사항 새 진행자가 아닌 경우 오늘부터 새롭게 진행하게 될 ???입니다 이후 멘트 아님→재진행 여자mc 엄지인(33기) 아나운서 재진행 변경 * 새 남자 1980년대 최초로 새 MC→아쉽게 새 남자 1980년대 최초로 새 MC 아님 * 여자 MC 변경시 안녕하세요 또는 반갑습니다 엄지인입니다 아님→반갑습니다. 이후 생략 (1안/2안 대본)(※ 여자 새MC가 아닌 재진행 MC로변경하여 부르지 못한것 외에 이 중에서 패널과 출연자 6명 외 부르지 못함) 5월 2일 : 화요초대석 새 패널 2명 중 1명의 이광기(남자배우) 2명 중 1명의 화요일 코너 패널 이름 출연자의 이름 부르지 못함 5월 3일 : 도전!꿈의무대 새 패널 2명 중 1명의 이호섭 작곡가 수요일 코너 패널 이름 출연자의 이름 부르지 못함 5월 중순: ※ 32주년 특집 방송 (1부~5부) 5일간 특집 편성 취소→※ 평상시 정규방송으로 변경함 5월 25일: 9,400회 특집 편성 취소→목요특강 4인4샘 (※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변경함) 6월 12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대한민국 별별 ★ 의사→방송국을 장악한 스타 의사들 (부제 변경) 6월 19일 댄스 가수들의 화려한 귀환!→댄스 스타들의 화려환 귀환 (부제 변경) 7월 17일 * 폭우 이후 통제해제 관련으로 인한 결방으로 KBS 뉴스특보[수화](오전 9시 30분 방송분) 방송되기 직전 월요일 방송분은 다음주 1주 연기 * 폭우 관련 이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수상작 UHD 환경 스페셜《옷을 위한 지구는 없다》(오전 8시 25분~9시 15분)(재방송)을 대체 편성으로 결방했으며, 이후 0915~0920 불편해도 괜찮아, 0920~0930 천상의 컬렉션 연이여 대체 편성으로 결방으로 월요일 방송분은 다음주 1주 연기 7월 24일: 여심 사냥꾼 - 트롯의 품격→코미디는 살아있다 (※ 해당 월요일 방송분 예정의 결방 이후 1주일 만에 아쉽게 부제 변경) 7월 27일 ~ 7월 28일 폭우 재난 관련 특집편성으로 인하여 한상헌 아나운서 아님 → 최승돈 아나운서로 변경함(※ 임시진행시 파업에 관한 멘트를 전해드리지 못했음) 7월 31일: 여심 사냥꾼 - 트롯의 품격→신사의 품격 - 트로트 여심 사냥꾼 (※ 결방 이후 2주 후 만에 부제명 변경) 8월 10일: 태풍 관련 KBS 뉴스특보 [수화] 로 인하여 목요일 방송분은 결방 8월 17일: 목요특강 웃으며 삽시다 →굿바이! 통(痛)! (결방 취소 이후 부제 변경) 8월 24일: 목요특강 웃으며 삽시다 →고향수비대 (결방 취소 이후 2주 연속 부제 변경) 8월 27일: 절대 포기 못해! 가수의 꿈→가수의 꿈, 포기는 없다! (부제 변경) 8월 31일: 목요특강 웃으며 삽시다 →몸 튼튼, 마음 튼튼 (결방 취소 이후 3주 연속 부제 변경 이후 이번주 방송편성 예정) 9월 4일 : 내 고향 대표! 최강 리포터가 떴다 * OP 멘트 중에서 진행자 2명 중 1명의 여자 재진행MC가 전임 당시 김솔희 아나운서가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로 진행 복귀에 관한 멘트로 전해드렸음 * 6시 내고향에 해당 출연자 중 패널 1명과 전국 네트워크 연결 리포터 5명이 중의 출연자 6명 중 청주총국의 양소라 리포터 아님 → 이병철 리포터 대체 출연 · 춘천총국의 김민솔 리포터 또는 또다른 광주총국의 김나윤 리포터 각각 아님 → 장원석 강릉국 리포터 변경함 축하무대 중 전유경 리포터 노래 취소 출연자 조영구 패널 출연자 중 부인 신재은 방송인과 아들 조영우 군 가족의 2명 출연 취소 9월 27일 ~ 9월 28일 : 9487회(추석특집 1부)<추석기획 나도 가수다> ~ 9488회(추석특집 2부)<추석기획 - 목요특강 4인4쌤> 방송분은 2명의 재진행 MC(남자 및 여자)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 단 9월 29일 9489회 추석특집3부 -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남자 재진행 MC와 금요일 전용 MC(김수찬 가수)만 한복을 2명 동시 입어 진행했음) 10월 2일 : 추석특집 월요일 방송분은 2명의 재진행 MC(남자 및 여자) 방청객들이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 10월 5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가을이 오면 (결방 취소 이후 연속 부제 변경) 10월 12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가을이 오면 (결방 취소 이후 연속 부제 변경) 10월 13일 :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3팀 중 1팀의 여자mc로 재진행중인 엄지인 - 김승휘 아나운서 <팀명-드디어> (아쉽게 준우승팀에 그침) (※ 여자 재진행mc가 소개 중 이름을 부르지 못함 및 남자 아나운서가 이름 부르지 못함) 10월 16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9,500회 특집 편성 취소→웃기고 노래하고~ 개가수가 떴다! (※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변경함) 10월 19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시문샘답(1부) (결방 취소 이후 연속 부제 변경) 10월 25일 : 도전!꿈의무대 10월 패자부활전 2번 참가자 오하라 도전자(한국수어 임영수 추가함) 10월 26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시문샘답(2부) (결방 취소 이후 연속 부제 변경) 10월 30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잘 자라줘서 고마워 - 신통 열전→떡잎부터 남다르다! 신동 열전! (※ 부제명 변경) 10월 31일: 9511회 방송분 * 국악인 박애리→이승연(29기) 아나운서개그우먼 장도연과 얼굴 닮았음 특별 임시 패널로 변경함 * 0900~0930 《ABU 서울총회 개막식 [수화] 중계방송 기념식》 특집편성 관계로 방송시간이 35분으로 축소했다. 11월 1일 : 도전!꿈의무대 * 해당 정규편성 해당 도전자의 2승 도전 아님→[6주년 특집] 2부 - 2번째 패자부활전 변경함 11월 2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무통장수(9513회) (결방 취소 이후 2주 연속 부제 변경) 11월 8일: 도전!꿈의 무대 * 2주 연속 해당 정규편성 해당 도전자의 2승 도전 아님→[6주년 특집] 2부 -3번째 패자부활전 변경함 11월 9일 : 목요특강 4인4쌤 웃으며 삽시다 → 알면 득, 모르면 독(결방 취소 이후 연속 부제 변경) 11월 15일 : 도전!꿈의무대 * 해당 정규편성 해당 도전자의 2승 도전 아님→[6주년 특집] 2부 - 4번째 패자부활전(패자부활전 당시 우승한 3명 + 차점자 당시 도전자 2명) 변경함 11월 16일 : 목요특강 4인4쌤 * 웃으며 삽시다 (※ 결방 취소 이후 3개월만에 방영함) 11월 22일 : 도전!꿈의무대 * 가을 패자부활에 성공한 도전자 하태하의 3승 도전(하태하의 3승 도전 실패/태남 씨의 1승 성공) 다시 정규편성으로 방영함 11월 27일 :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출연자 5명 중 1명의 팝핀현준의 부인 박애리 국악인 특별패널 출연 취소 12월 4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12월 7일 목요특강 · 12월 11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12월 13일 도전!꿈의무대 6주년 2023 왕중왕전 별들의 전쟁 2부 (※ 송년특집으로 인한 4부작 포함) ~ 12월 14일 목요특강 4인4쌤 * 진행자 2명 중 1명의 임시진행자 1970년대 오언종 및 1980년대 81년생 한상헌 아나운서 각각 아님 → 김승휘 아나운서로 임시 남자 진행자로 변경 (※ 남자mc 재진행중인 김재원(21기)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남자mc로 대신 진행함) 12월 8일 · 12월 15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진행자 2명 중 1명의 임시 남자mc 아나운서 김승휘(임시) 아나운서 아님 → 현재 여자 재진행 mc로 진행중인 엄지인 아나운서 여자 임시 진행자로 변경 및 임시 여자 재진행 mc에서도 이름 부르지 못함 (※ 남자mc 재진행중인 1967년 7월 10일생의 공채 21기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남자mc로 김승휘 아나운서가 아닌 재진행중인 여자 재진행mc가 대신 진행함) * 2명 중 1명의 김수찬 가수 코너로 진행함(아쉽게 패널 없음) 12월 13일 도전꿈의무대 별들의 전쟁 송년특집 3부 * 내일 예고편 목요특강 4인4쌤 목요일예고 <중독이 뭐길래 출연자:전혜진 김윤준 전상원 배한진/패널 최시중 아나운서> * 진행자 김승휘(임시),엄지인(재진행) 2명의 엔딩멘트를 하지 않았음(고맙습니다 및 감사합니다) 12월 15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현재 여자 재진행 mc로 진행중인 엄지인 아나운서 여자 임시 진행자로 변경 및 임시 여자 재진행 mc에서도 이름 부르지 못함 (※ 남자mc 재진행중인 김재원(21기)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남자mc로 김승휘 아나운서가 아닌 재진행중인 여자 재진행mc가 대신 진행함)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아님) → 김효선 - 강진(땡벌 부부) 팀명 변경 12월 18일 * 현재 재진행중인 1967년생의 공채 21기 아나운서 2주여만에 복귀함 * 고맙습니다, 우리 동네 히어로 → 2023을 빛낸 우리 동네 히어로 (※ 부제 변경) * 출연자 중 김진-성진(스님 2명) 추가함) * 월요일 패널 출연자 중 국악인 남상일의 부인 이원아 특별출연 취소 12월 19일 * 패널 출연자 2명 중 1명의 박애리 국악인 단독 출연 (※ 이광기 패널 없이 단독 출연함) 12월 21일 목요특강 4인4쌤 * 전문가 4명 중 1명의 서상교(SNU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 출연 취소 * 대신 특별출연은 문소연(여,28세/돌발성 난청 치료 환자) ) 가 특별로 출연했음 12월 22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2주 연속 아님-취소) 팀원 출연 취소 12월 25일 송년특집 1부 2023 명불허전을 빛낸 → 2023 명불허전을 빛낸 (부제 변경) 12월 28일 목요특강 4인4쌤 송년특집 4부 내 환자를 소개합니다 2부 패널 최시중 아나운서와 같이 특별출연한 배연정 추가 출연함(※ 특별출연시 아쉽게 이름 부르지 못함) 12월 29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2주 연속 아님-취소) 팀원 출연 취소 *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재진행 마지막 MC 동시 변경 아님→2명 두 재진행 MC 평상시 아나운서 재진행 유지를 함 1월 1일 : 신년특집 9555회 *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새 7번째) 새 MC 동시 변경 아님→2명 두 재진행 MC 평상시 아나운서 재진행 유지를 함 * 신년특집으로 방영 당시 '신년기획' 무표기로 OP 멘트를 새해 멘트(남자 mc가 아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및 여자mc의 '신년특집'을 붙이지 않았음)가 아닌 → 기존 평상시 멘트로 변경 1월 3일 : 신년특집 - 신년기획 3부 도전!꿈의무대 * 신년특집 패자부활전 아님 → 도전자 5명 중 남자도전자로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도전 방식 변경함 * 신년특집으로 방영 당시 '신년기획' 벽면 미표시 (남자 mc가 아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및 여자mc의 '신년특집'을 붙이지 않았음)가 아닌 → 기존 평상시 로고로 변경 * 초대가수 숙행 《참참참》가수 아님 → 이동준《봉자야》 가수로 변경함 * 결과 발표 중 여자 재진행mc 다리 아쉽게 보여주지 못하여 우승한것 외에 도전자 4명이 모이지 못함 1월 3일 : 신년특집 - 신년기획 4부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4부 목요특강 4인4쌤 * 신년특집 무표기 → 행복하세요 1월 4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신년특집 5부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4부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팀원 출연 취소 1월 8일 * 출연자 중 이용식 아버지 원혁 사위인 딸 이수민 출연 못함같은 해 4월 결혼 예정임 * 출연자 중 신승태-이미리6시 내고향 60초를 잡아라의 임시 패널(한정)으로 대신 한시적으로 출연했다. 중에서 아쉽게 조항리 아나운서 출연 못함 1월 11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신년특집 5부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4부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팀원 출연 취소 1월 18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신년특집 5부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5부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팀원 출연 취소 * 3팀 중 1명의 팀명 중에서 송준근의 부인 윤미영 아님 → 짝을 이룬 채윤 가수로 변경함 1월 19일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도전 꿈의 무대 TOP 7과 함께> (※ 출연자 7명 중 5승 달성 주인공) * 출연자 7명 중 2명의 성민지 가수와 한태웅 가수가 출연하지 못했음 1월 26일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신년특집 5부 2024 당신을 응원합니다 5부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출연 취소 * 우승한 팀에게는 한우선물세트 마지막 최후의 품목 1월 29일 : 시장의 아이돌, 품바가 떴다 → 얼씨구~장터의 아이돌이 떴다! (부제 변경) 1월 30일 화요초대석(임시 진행시 이름 부르지 못함) ~ 2월 1일 목요특강 * 진행자 2명 중 1명의 임시진행자 1970년대 오언종 및 1980년대 81년생 한상헌 아나운서 각각 연속 아님 → 김승휘 아나운서로 임시 남자 진행자로 연속 변경 (※ 남자mc 재진행중인 공채 21기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남자mc로 대신 연속 진행함) * 진행자 2명 중 1명의 임시진행자 여자 임시 MC 아님 → 평상시 여자 재진행MC를 그대로 유지함 * 1월 30일 화요초대석 임시 진행시 이름 부르지 못함(김승휘 아나운서) 2월 2일 * 현재 여자 재진행 mc로 진행중인 여자 임시 진행자로 연속 변경 및 임시 여자 재진행 mc에서도 이름 부르지 못함 (※ 남자mc 재진행중인 아나운서의 빈자리를 채워 대신 임시로 남자mc로 김승휘 아나운서가 아닌 재진행중인 여자 재진행mc가 대신 진행함) *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출연 취소 * 우승한 팀에게는 한우선물세트 취소 → 백화점상품권 상품 품목 변경 2월 5일 * 현재 남자mc 재진행중인 아나운서의 1주일만에 재개함 * 월요일 패널 출연자 중 출연한 국악인 남상일의 부인 이원아 특별출연 취소 * 김동하(김태균 매니저) 중에서 스케줄 문제로 김태균(코미디언) 하지 못했음 - 대신 VCR로 짧게 매니저는 소개함 * 남상일 가수 축하무대 하지 못했음 2월 6일 * 현진우의 부인(아내) 재혼한 온희정 가수가 축하무대 아쉽게 하지 못함 * 내일 예고편 설특집 1부의 '설기획 도전 꿈의 무대-나도 가수다' 의 '설특집' 특집명 미표기 2월 7일 9582회 설특집 1부 - <나도 가수다> * 설특집 도전꿈의무대 상단 부제명 및 스튜디오 상단 특집명 미표시 * 시계 오른쪽 아님 → 왼쪽으로 표시됨 * 설특집 1부 수요일 방송분은 2명의 재진행 MC(남자 및 여자)의 도전자 2인 1조 5팀과 초대가수 방청객들이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 * 초대가수 숙행 아님 → 김상희《울산 큰 애기》 초대가수명 변경 * 결과 발표 및 엔딩 멘트에서 우승자가 전체 도전자 5팀 중 4팀이 모임 → 인하여 취소(여자 재진행 mc의 다리 모습 아쉽게 보여주지 않았음) * ※ 9384회(가정의 달 특집)에서도 전영랑-전수현 아버지가 이후 9582회 설특집 1부 방송분에서도 단일 우승이 아닌 2승에 탄생했음 * 내일 예고편 설특집 2부의 '설기획 행복이란 무엇인가' 의 '목요특강 - 설특집 1부' 코너및 특집명 미표기와 패널 이후 출연자 미확정 무표시 2월 8일 9583회 설 특집 2부 - 목요특강 4인4쌤 <행복이란 무엇인가> * 설특집 2부 목요일 방송분은 2명의 재진행 MC(남자 및 여자)의 목요일 패널과 출연자 3명 및 방청객들이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 * 목요일 패널 중에서 최시중 아나운서 대신 임시 패널로 출연한 김민희(배우 겸 가수) 임시 패널로 출연함 * ※ 단 여자 재진행 mc가 아쉽게 2회 연속 입지 못하여 추석특집에 이어 설특집에서 2일연속 여자재진행MC에서만 입지 못했음 * 다음주 목요일 예고분의 예고편 '목요특강 - <요양의 모든것> (출연자:이호선,이윤한,진민혜,박미영) 코너및 특집명 미표기와 패널 이후 출연자 미확정 무표시 * 내일 예고편 금요일 설특집 3부 무표기 2월 9일 9584회 설특집 3부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내일 예고편 설특집 3부 금요일 코너 예고편의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10주 연속 출연 취소 * ※ 단 여자 재진행 mc가 아쉽게 2회 연속 입지 못하여 2월 9일 9586회 설특집3부 -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남자 재진행 MC와 금요일 전용 MC(김수찬 가수)만 한복을 2명 동시 입어 연속 진행했음 * 우승한 팀에게는 한우선물세트 취소 → 백화점상품권 상품 품목 2주 연속 변경 2월 12일 9585회 설특집 4부 월요토크쇼 명불허전 - <국악계 약방의 감조> * 설특집4부 방송분의 월요일 특집 코너에서 진행자 중 2명의 재진행MC 남자 및 여자가 한복을 입지 않고 및 방청객들이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출연자 5명/패널이 한복을 입었음 * ※ 단 여자 재진행 mc가 아쉽게 2회 연속 입지 못하여 추석특집에 이어 설특집에서 여자재진행MC에서만 입지 못했음 2월 13일 * 내일 예고편의 '오주헌 씨의 2승 도전' / '아니면 도전자 4명 중 1명의 다른 도전자 1승 성공??' 의 방송사 사정으로 인하여 부제 무표기 2월 15일 9588회 * 다음주 목요일 예고분의 예고편 '목요특강' 코너및 특집명 미표기와 패널 이후 출연자(최시중 23기 아나운서) 미확정 무표시 2월 16일 9589회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내일 예고편 설특집 3부 금요일 코너 예고편의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11주 연속 출연 취소 2월 20일 9591회 * 출연자 6명 중 1명의 김시윤 신동 취소 → 김성윤 신동 출연자 변경함 * 내일 화요초대석 예고편 자막에 써있는 내용을 여자 재진행MC 아나운서가 멘트를 알리지 못함 2월 21일 9592회 도전!꿈의무대 * 설특집 도전!꿈의무대 상단 부제명 및 스튜디오 상단 특집명 미표시 * 용띠부자(임규우, 임준우)의 이름과 나이 소속 미표기 * 초대가수 숙행 아님 → 조항조 가수명 변경 * 결과 발표 및 엔딩 멘트에서 우승자가 전체 도전자 5팀 중 4팀이 모임 → 인하여 취소(여자 재진행 mc의 다리 모습 아쉽게 보여주지 않았음) 2월 23일 9594회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내일 예고편 설특집 3부 금요일 코너 예고편의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11주 연속 출연 취소 * 주제 중에서 내 인생이 롤모델이 아닌 내 인생의 kbs으로 주제명 변경 2월 26일 9595회 공사창립특집 1부 * 출연자 중 공채 46기 송지원 아나운서가 아닌 대체 출연자 이윤정 아나운서로 변경함 2월 27일 9696회 * 내일 도전!꿈의무대 예고편 자막에 써있는 내용을 여자 재진행MC 아나운서가 멘트를 알리지 못함 2월 23일 9594회 행복한 금요일 쌍쌍파티 * 내일 예고편 설특집 3부 금요일 코너 예고편의 3팀 중 1팀의 팀명 변경 박준규 - 박종찬 (3주 연속 아님-취소) 아쉽게 팀원 11주 연속 출연 취소 * 내일 행복한금요일 쌍쌍파티 편 자막에 써있는 '공사창립 51주년 특집' 미표기로 아쉽게 표기하지 못함 =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 = = = 지역 자체 프로그램 = = = 방송국 방송 권역 프로그램 방송 시간 KBS 대전 1TV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아침마당 대전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KBS 대구 1TV KBS 안동 1TV KBS 포항 1TV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아침마당 대구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KBS 부산 1TV KBS 울산 1TV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아침마당 부산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KBS 전주 1TV 전북특별자치도 아침마당 전북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KBS 광주 1TV KBS 목포 1TV KBS 순천 1TV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KBS광주 열린마당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 = = 지역 자체 프로그램 편성 여부 = = = 방송국 방송 권역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KBS 춘천 1TV KBS 강릉 1TV KBS 원주 1TV 강원특별자치도 O O O O O KBS 청주 1TV KBS 충주 1TV 충청북도 O O O O O KBS 대전 1TV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O O O O X KBS 대구 1TV KBS 안동 1TV KBS 포항 1TV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O O O O X KBS 부산 1TV KBS 울산 1TV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O O O O X KBS 창원 1TV KBS 진주 1TV 경상남도 O O O O O KBS 전주 1TV 전북특별자치도 O O O O X KBS 광주 1TV KBS 목포 1TV KBS 순천 1TV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O O O O X KBS 제주 1TV 제주특별자치도 O O O O O = 분류:모리타니의 올림픽 참가 선수 = = 황치신 = 황치신(黃致身, 1397년 ~ 148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초명은 동(董)이었다가 뒤에 치신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맹충(孟忠)이고 시호는 호안(胡安)이다. 정승 황희의 아들이다. = = 생애 = = 음서로 출사하여 공안부부승(恭安府副丞)에 등용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태종 때인 1415년 통례문 봉례랑(奉禮郞)이 되었다. 이후 사헌부감찰, 호조좌랑 등을 지내고 1432년 선공감판사와 통례문판사 등을 지냈다. 1434년 동부승지에 올랐다. 1435년 예조참의가 되었고, 이후 중추원부사를 거쳐 외직인 한성부판윤, 경기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이후 형조참판과 공조참판을 거쳐 1444년 호조판서로 승진했다. 1454년 단종 2년 중추원사로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이후 1457년(세조 3)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다. 1461년 판중추원사가 되었고, 이후 남의 노비를 빼앗은 혐의로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1466년 중추부동지사로 복관되었다가 다시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사후 의정부 우의정에 증직되었다. = = 사후 = = 황치신 신도비 및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에 있다. 2005년 7월 29일 고양시의 향토유적 제43호로 지정되었다. =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황군서 할머니 : 용궁 김씨 아버지 : 황희(黃喜) 어머니: 정경부인 청주양씨 * 동생 : 황보신(黃保身) * 제수 : 정경부인 일선김씨 * 조카 : 황우형(黃友兄) * 조카 : 황종형(黃從兄) * 조카 : 황경형(黃敬兄) * 조카 : 황공형(黃恭兄) * 동생 : 황수신(黃守身) * 제수 : ? * 조카 : 황신(黃 ) * 조카 : 황찰(黃察) * 조카 : 황성(黃省) * 조카 : 황욱(黃旭) * 동생 : 황직신(黃直身) * 제수 : ? * 조카 : 황삼외(黃三畏) * 조카 : 황씨(黃氏) * 누이: 행주 기씨 기질의 처(공민왕 때 신돈과 함께 처형된 기현의 손자) 조카 : 기시경 * 배우자 : 황상(黃象)의 딸 * 장남 : 황사친(黃事親) * 차남 : 황사장(黃事長) * 손자 : 황섬(黃蟾)증 병조판서 * 손자며느리 :이구경(李球卿)의 딸 * 증손자 : 황윤준 * 삼남 : 황사현(黃事賢) * 사남 : 황사형(黃事兄) * 오남 : 황사충(黃事忠) * 육남 : 황사효(黃事孝), 동지중추부사 양정공(良靖公) 대사헌 * 칠남 : 황사공(黃事恭) * 파남 : 황사의(黃事義) * 구남 : 황사경(黃事敬) * 며느리 : ? * 손자 : 황징 * 손자 며느리 : ? * 증손자 : 황윤길 (조선통신사) = 수학의 정석 = 수학의 정석 (数学의 定石) 은 홍성대가 쓴 수학 참고서적으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 과정을 담고 있다. 1966년 8월 31일에 초판이 발행되었으며, 지금도 같은 이름으로 발행되고 있다. 현재는 성지출판에서 발행하고 있다. 50주년을 맞이한 2016년까지 4,500만 부 이상의 수학의 정석 시리즈가 팔렸다.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는 저자 홍성대의 고향이 그 곳임을 알리기 위해 '수학정석길'이라는 도로명이 제정되어 있다. = = 시리즈 = =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공통수학 수학의 정석: 수학 I 수학의 정석: 수학 II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기본수학 (공통, 수I) 수학의 정석: 공통수학 수학의 정석: 수학 I 수학의 정석: 수학 II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기본공통수학 수학의 정석: 기본수학I 수학의 정석: 공통수학 수학의 정석: 수학 I 수학의 정석: 수학 II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수학 I(상)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하)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 (실력편) 5차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일반수학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상)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하) (기본편, 실력편) 6차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수학의 정석: 공통수학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 (기본편, 실력편) 7차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교육과정 개편 초기에 출간되었던 이산수학편은 이듬해에 절판되었다. 수학의 정석: 수학 10-가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10-나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미분과 적분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확률과 통계 (기본편, 실력편) 2008년에는 교육 과정의 개편에 따라 인문 계열(문과)의 학생도 미적분문과는 다항함수의 미적분만 배우고, 이과는 여기에 더해 삼각함수, 합성함수, 분수함수, 음함수, 역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미적분까지 배운다.을 배워야 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판을 냈다. 수학의 정석: 수학(상)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하)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미적분과 통계 기본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적분과 통계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기하와 벡터 (기본편, 실력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다음과 같이 개편됨에 따라 행렬에 관련된 단원개정 전 수학Ⅰ(행렬과 그래프), 기하와 벡터(일차변환과 행렬) 이 삭제된 것이 특징이며, 인문 계열(문과)의 학생은 초월함수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를 말함를 배우지 않고 자연 계열(이과)의 학생만 배운다.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확률과 통계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미적분 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미적분 II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기하와 벡터 (기본편, 실력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참조) (총 14권 구성) 현재 수학 (상), (하), 그리고 수학 I 까지만 (기본편, 실력편 모두) 발간되었으나, 이후 전편이 개발될 예정이다. (책 종류는 수학의 정석 시리즈 커버에 씌어 있음) 수학의 정석: 수학 (상)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하)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수학 I (기본편, 실력편)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이 아니다. 수학의 정석: 수학 II (기본편, 실력편)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I가 아니다. 수학의 정석: 확률과 통계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미적분 (기본편, 실력편) 수학의 정석: 기하 (기본편, 실력편) = = 논란 = = 일본의 수학 참고서 차트식 수학(チャート式)의 구성과 디자인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저자인 홍성대는 "외국 책하고 내 책을 비교해서 한 페이지라도 같은 것이 있으면 가져와라. 내가 포상을 해준다."라며 표절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를 포함한 수학 개념서들이 이 구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과한 논란이라는 지적도 있다. = 틀:기술보고서 인용/설명문서 = = 냇 샌더스 = 냇 샌더스(, 1980년 8월 8일 ~ )는 미국의 영화 편집자이다. 배리 젱킨스 감독의 멜랑콜리의 묘약, 문라이트, 린 셸턴 감독의 유어 시스터즈 시스터 등을 작업했다. = = 연출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감독 비고 2008 멜랑콜리의 묘약 Medicine for Melancholy 배리 젱킨스 2009 험프데이 Humpday 린 셸턴 2010 더 프리비 The Freebie 케이티 애설턴 2011 잃어버린 순수 On the Ice 앤드루 옥피하 매클레인 2011 유어 시스터즈 시스터 The Mosquito Coast 린 셸턴 2013 숏텀 12 Short Term 12 데스틴 대니얼 크레튼 2014 래기스 Laggies 린 셸턴 2016 문라이트 Moonlight 배리 젱킨스 = 더 걸프렌드 익스피어리언스 = 더 걸프렌드 익스피어리언스(The Girlfriend Experience)는 미국에서 제작된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2009년 드라마 영화이다. 샤샤 그레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마크 큐반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샤샤 그레이 크리스 샌토스 = = = 조연 = = = 티모시 J. 콕스 제프 그로스만 켄 마이어스 조지 알로이 퀄즈 안톤 대니 보쉬벨 마리아 디아즈 다니엘 페인맨 에드워드 M. 켈러핸 탠더 머서 클리포드 리베라 폴 위버 = = 제작진 = = 의상: 크리스토퍼 피터슨 배역: 카멘 쿠바 = 모듈:Location map/data/Iran = return { name = '이란', top = 40.0, bottom = 24.5, left = 43.5, right = 64.0, image = 'Iran location map.svg', image1 = 'Iran relief location map.jpg' } = UMS = UMS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Unified Messaging System USB 대용량 장치 계열 United Mexian States = 틀:User pie-0 = = 분류:알바니아의 여자 스포츠 = = D2D = D2D는 다음을 가리킨다. Direct2D 방문판매(Door-to-door)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분류:카리브 제도의 건축물 = = 로블록스 = Roblox는 사용자가 게임을 프로그래밍하고, 다른 사용자가 만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온라인 게임 플랫폼 및 게임 제작 시스템이다. 데이비드 바수츠키와 에릭 카셀이 2004년에 설립하고 2006년에 출시한 이 플랫폼은 루아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된 여러 장르의 사용자 제작 게임을 호스팅한다. 로블록스는 2010년대 하반기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성장은 2020년대에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졌다. 로블록스는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로벅스(Robux)'=라는 가상 화폐를 통해 게임 내에서 여러 가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2021년 5월, 로블록스는 570만명의 최대 동시접속자를 달성했고, 월 1억 64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한다. 로블록스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미국 어린이의 절반 이상이 로블록스를 플레이한다. 로블록스에서는 플레이어가 플랫폼에서 아바타 역할을 하는 가상 캐릭터를 장식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아이템을 구매, 판매 및 생성할 수 있다. 복장 구매는 누구나 가능하지만 판매는 로블록스 프리미엄 멤버쉽을 구매한 사용자만 가능하다. 로블록스 관리자와 사측에서 허가를 받은 유저들만 공식 로블록스 사용자 계정으로 액세서리, 신체 부위, 장비 및 패키지를 판매할 수 있다.name="bizjournals2"> Roblox Corporation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일부 사용자만 가상 모자와 액세서리를 게시할 수 있다. 아이템을 정규직으로 디자인하는 개인이 여러 명 있으며,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는 크리에이터는 아이템 판매에서 연간 $100,000 이상을 벌어들인다. 한정판 아이템은 프리미엄 멤버십 상태의 사용자 간에만 거래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로블록스에서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의 게임 상의 사이버폭력이 종종 일어난다. 또한 로블록스는 매년마다 축제가 종종 열린다. 참여하여 보았으면 좋겠다. 로블록스는 그리고 서버가 터질 때가 많다. 컴퓨터는 Roblox player 에 들어가면 위에 회색깔로 영어가 쓰여 있다.휴대폰은 Roblox 앱을 실행하면 마찬가지로 회색깔로 영어가 뜬다. = = 제작자 = = 제작자는 빌더맨과 로블록스 컴포네이션의 직원 등이 있다. = = 다운로드 방법 = = 다운로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휴대폰은 기종에 따라 Google play 스토어나 Apple 스토어 이용하면 된다. 컴퓨터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2가지로 나눠서 설명하겠다. 1. Roblox player 설치법. 로블록스 플레이어 설치법은 일단 웹 브라우저에 www.roblox.com 을 치고 첫 번째에 뜨는 로블록스 로고모양 있는 사이트로 들어간다. 그리고 들어가고 싶은 체험을 클릭하고 초록색깔 버튼 누르고 Roblox 설치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2번째다. 이것은 간단하다. 검색하려면 여기에 입력하시오에 Microsoft Store 를 검색하고 엔터를 누른다. 그러면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가 나타나는데, 검색에다가 로블록스 라고 치면 로블록스 로고 모양에다가 영어로 Roblox 라고 쓰여있다. 그것 옆에 있는 설치를 누르면 다운로드가 시작되고, 조금 있으면 플레이/열기 버튼이 나온다. 그 버튼을 누르면 로블록스가 실행된다. 근데 2번째 방법은 주의할 것이 있다. 바로 매일 Microsoft store 에 들어가서 해야한다는 단점이다. 당연히 첫번째 거도 단점이 있다. 1주일에 1번씩 업데이트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 = 로블록스 스튜디오 = = 로블록스는 사용자가 자체 게임 엔진인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고 자신이 만든 게임을 다른 사용자가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게임은 게임 환경을 조작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 루아 5.1.4를 사용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코딩된다. 사용자는 "게임 패스 (Gamepass)로 알려진 일회성 구매와 "개발자 제품" 또는 "제품"으로 알려진 한 번 이상 구매할 수 있는 소액 결제를 통해 구매 가능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구매 수익의 일정 비율은 개발자와 로블록스 코퍼레이션과 나누어 분배된다. 현재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제작된 대부분의 게임은 미성년자들이 개발했으며 이를 사용하여 연간 총 2천만 개의 게임이 제작된다. 게임 개발 언어는 lua를 사용한다. 로블록스 스튜디오는 에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 = 데브 포럼 = = 데브 포럼은 로블록스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개발자들의 모임이다. 포럼에는 총 6개의 레벨이 있으며, 방문객(Visitor), 회원(Member), 정규 회원(Regular), 최우수 기여자(Top Contributor), 커뮤니티 편집자(Community Editor), 커뮤니티 세이지(Community Sage)가 있다. 현재 데브포럼에는 한국어 카테고리, 한국인 개발자 그룹들이 있다. = = 데브 허브 = = 데브 허브는 데브 포럼과 달리 개발을 교육하는데에 중점을 둔 로블록스의 플랫폼 중 하나이다. 데브포럼과이 가장 명확한 차이는 바로 서로 소통이 원할하지 않으며, 개발자들이 직접 글을 작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데브허브의 주된 목적은 인제개발, 교육 이므로, 여러 가지 기술을 알수있는 개시물(글)과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 = 로벅스 = = 로벅스(Robux)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로블록스의 가상 화폐이다.(근데비싸다) 플레이어는 실제 화폐로 로벅스를 구매하고, 프리미엄 멤버십이 있는 회원에게 주기적으로 지급되는 보상에서, 로블록스에서 가상 콘텐츠를 제작 및 판매하여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로벅스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 판매를 통해 획득한 로벅스는 웹 사이트의 개발자 교환 시스템을 통해 실제 화폐로 교환 할 수 있다. 가격: 40: 750₩ 80: 1,500₩ 400: 7,500₩ 800: 15,000₩ 1,700: 30,000₩ 4,500: 50,000₩ 10,000: 149,000₩ 22,500: 299,000₩ = = 틱스 = = 틱스(Tix)는 2007년 8월 2일~2016년 4월 14일까지 존재하였던 로블록스의 가상 화폐이다. 모든 유저들은 매일 10틱스를 받았으며 그 외에도 받는 방법이 있었다.하지만 싼 가격에 옷을 만들어 올리고 봇을 이용해서 계정을 여럿 생성해 틱스를 벌어들이는 유저가 생겨났고 이 것으로 리미티드 아이템도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로블록스는 2016년 3월에 틱스를 폐지하겠다고 선언하고 틱스의 마지막을 기념하는 "틱스 팔루자"라는 이벤트를 열었다. = = 이벤트 = = = = = 이벤트 = = = 로블록스는 2012년 2월 때때로 실제 및 가상 이벤트를 주최한다. 과거에는 플랫폼에서 일반 플레이어를 위한 컨벤션인 "블 (BloxCon)"과 같은 이벤트를 주최했다. 로블록스는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이스터에그 사냥을 운영했었고 원더우먼 1984 및 아쿠아맨을 위해 영화 홍보 이벤트에 가끔 참여한다. 로블록스는 또한 모금 행사로도 기능하는 시상식인 "블록시 어워드(Bloxy Awards)"라는 연례 행사를 주최한다. 플랫폼에서 가상으로 개최되는 시상식인 2020년 블록시 어워드에는 약 60만 명의 시청자가 모였다. 이후 영화 씽2게더와 콜라보를 맺어 이벤트를 열었다. 2021년 말 반스와 콜라보를 맺어 이벤트를 주최해 반스 관련 아바타 아이템을 무료로 주기도 했다. = = = 개발자 컨퍼런스 = = = Roblox Corporation은 매년 샌프란시스코에서 3일 간의 초대 전용 이벤트인 로블록스 개발자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사이트의 상위 콘텐츠 제작자가 플랫폼에 대한 향후 변경 사항에 대해 알게 된다. Roblox Corporation도 런던과 암스테르담에서 유사한 행사를 주최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오프라인 행사가 취소되고 전 행사를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진행하였다. = = 개발 = = 로블록스의 베타 버전은 2004년 공동 설립자 데이비스 바수츠키와 에릭 카셀에 의해 원래 다이나블록스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바수츠키는 그해 첫번째 데모 테스트를 시작했다. 2005년에 회사 이름을 로블록스로 변경하고 2006년 9월 1일에 공식적으로 출시했다. 2007년 3월 로블록스는 메뉴에서 미리 정의 된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제한하여 13 세 미만 사용자의 의사 소통을 제한하는 변경 사항인 안전한 채팅을 추가하여 COPPA(아동 온라인 보호법)를 준수하게 되었다. 8월에 로블록스는 서버 개선 사항을 적용하고 "빌더스 클럽(Builders Club)"이라는 프리미엄 멤버십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유료 멤버십 기능은 2019년 9월에 "로블록스 프리미엄(Roblox Premium)"으로 리브랜딩되었다. 로블록스는 2011년 12월에 개발자가 회사에 제공할 새로운 개발을 위한 외부 아이디어를 작업하는 연례 행사인 첫 번째 "핵위크(Hack Week)"를 개최했다. 2012년 12월 11일에 로블록스의 iOS 버전이 출시되었고 2014년 7월 16일에 안드로이드 버전이 출시되었다. 2013년 10월 1일 로블록스는 개발자가 게임에서 얻은 로벅스를 실제 통화로 교환할 수 있는 개발자 교환 프로그램(DevEx)을 출시했다. 2015년 5월 31일에 '부드러운 지형(Smooth Terrain)'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어 지형의 그래픽 충실도를 높이고 물리 엔진을 블록 지향 스타일에서 보다 부드럽고 사실적인 스타일로 변경했다. 11월 20일, 로블록스는 엑스박스 원에서 출시되었으며 로블록스 직원이 선택한 15개의 게임을 처음으로 출시했다. 엑스박스 원 전용의 새로운 로블록스 게임은 승인 절차를 거쳐야하며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표준을 따라야 한다. 2016년 4월, 로블록스는 오큘러스 리프트용 로블록스 VR을 출시했다. 출시 당시 천만 개 이상의 게임이 3D로 제공되었다. 같은 기간에 안전한 채팅 기능이 제거되고 13세 미만 사용자에게 허용되는 단어 세트와 다른 사용자를 위한 블랙리스트 단어 세트가 포함된 화이트리스트 기반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6월에 회사는 윈도우 10과 호환되는 버전을 출시했다. 게임 플랫폼은 웹 버전이 만들어진 2004년부터 PC에 존재했지만 윈도우 용으로 구축된 독립 실행 형 런처로 업그레이드 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2020년 7월 로블록스는 온라인 만남의 역할을 하는 '파티 플레이스(Party Place)'의 생성을 발표했다. 이 기능은 2020년 블록시 어워드에서 사용된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코로나19 범유행에 대응하여 설계되었다.현재는 사용자의 서버량을 못 따라올 정도로 인기가 많아서 서버에 렉, 버그가 일어날 때가 종종 있다. = = = 반인종차별 노력 = = = 로블록스 사용자는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노력으로 유명해졌으며, 수많은 유저들과 공동 창립자 바수츠키가 조지 플로이드 시위와 Black Lives Matter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것 외에도 NBC에서 언급한 극우 및 신나치주의와 관련된 계정들을 신속하게 삭제하는 등의 노력을 보였다. = = =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 = = = 코로나19 범유행은 로블록스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격리로 인해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어린이들은 서로 대화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몇몇 아이들은 게임 내에서 생일 파티를 열기도 한다. 2020년 5월, Roblox Corporation은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자선 단체를 위한 모금을 위해 가상 모금 행사를 추진했다. 앞에서 설명한 예시들처럼 코로나19는 게임 플랫폼의 수익과 플레이어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 = 사건사고 = = = = = 2012년 만우절 로블록스 해킹 사건 = = = 2012년 만우절, 로블록스의 세 명의 전 제작자가 로블록스를 해킹한 사건이 벌어졌다. 로블록스 사이트는 엉망이 되었고 이상한 상품이 출시되었다. 또 몇몇 유저에게는 로벅스가 무료 지급 되었고, 이후 로벅스를 지급 받은 계정이 삭제 되었다. 로블록스의 게임 중 하나인 '자연재해 서바이벌' 제작자 stickmasterluke 플레이어는 얼굴 표정 아이템(이름은 face C:)이 자동으로 장착되는 일이 벌어졌고 게임에 들어가면 나올 수 없었다. 그 후 로블록스는 복구 되었다. (현재 C: 아이템은 UGC로 출시되었다.) = = = 2021년 로블록스 서버 다운 사건 = = = 2021년 10월 29일 아침 8시경 대부분의 로블록스 게임들이 모두 먹통이되더니 이후 서버가 완전히 다운 되었다.서버 다운후 최초의 트위터 공식 트윗 약 3일 2시간동안 관리자들이 복구 작업을 하였고, 11월 1일 복구되었다.로블록스가 서버를 고쳤다고 알리는 공식 트윗 이로 인해 10월 31일 할로윈 이벤트도 취소 되었다. = = = 2022년 로블록스 서버 다운 사건 = = = 2022년 8월, 다시 서버가 터졌다. 2021년 서버 다운 사건처럼 대부분의 게임이 먹통이 되면서 서버가 터졌다. 5만개의 계정을 정지시키고 곧 해결되었다.(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발견되지 않았다.) = = = 2023년 로블록스 서버 다운 사건 = = = 2023년 10월 22일 일요일 오전 10시 55분, 로블록스 웹 서버가 다운되었고, 사이트 접속 시 503 에러가 발생하였다. 이유는 불명이다. LG 스마트폰 기기는 로블록스가 아예 삭제되는 피해를 입혔다. = = 평가 및 수익 = = = = = 평가 = = = Common Sense Media의 Berin Brereton은 다양한 게임들과 어린이들의 실력을 칭찬하였다. 또한 어린 플레이어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채팅 기능을 비활성화 할 것을 권장했다. Family Online Safety Institue의 Pateicia E. Vance는 부모에게 자녀가 게임을 플레하는동안 감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더불어 자녀가 스스로 놀고, 탐색하고, 대화하고, 만들고, 배울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칭찬하였고, 또한 아이들이 게임을 직접 개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칭찬했다. Trusted Reviews의 Justin M. Jones는 로블록스의 플랫폼을 칭찬하면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거나 개발자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이 게임을 추천해주고 싶다" 라고 말했다. Android Guys의 Craig Hurda는 다양한 게임들을 칭찬하였다. 하지만 게임의 초점이 어린이들에게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 성인은 큰 재미를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 수익 = = = 2017년 로블록스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관계자는 2017년 게임 플랫폼의 제작자가 약 170만명이라고 말했다. 총 수입이 최소 $30,000,000이다. 로블록스의 iOS 버전은 2019년 11월에 1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2020년 6월에 15억 달러를 넘어서 두 번째로 높은 매출을 기록한 iOS 앱이 되었다. * 로블록스의 여러 개별 게임은 누적 수익이 1천만 달러가 넘는 반면 플랫폼의 개발자는 전체적으로 2020년 동안 약 2억 5천만 달러 정도를 벌 것으로 예상된다. Roblox Corporation의 가치는 40억 달러이며 벤처 캐피탈 회사인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상당한 투자자로 알려져 있다. = = 장난감 = = 2017년 1월, 장난감 제작사 재즈웨어즈(Jazwares) 와 협력하여 플랫폼에서 개발자가 만든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기반으로 미니 피규어를 제작했다. 미니 피규어에는 레고 미니 피규어와 비슷한 팔다리와 관절이 있고 크기는 약 8cm로, 레고 피규어의 약 두배이다. 미니 피규어에는 탈부착과 교체가 가능한 팔다리와 액세서리가 있다. 세트에는 가상 아이템을 교환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무작위 미니 피규어가 들어있는 블라인드 상자도 있다. 2019년 Roblox Corporation은 "Roblox Desktop 시리즈" 라는 브랜드의 새로운 장난감을 출시했다. = = 수상 및 표창 = = Inc. 5000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민간 기업 목록 (2016, 2017) 샌마테오군 경제 개발 협회(SAMCEDA) 우수상 (2017) San Francisco Business Times의 기술 및 혁신 상–Gaming/eSports(2017) Fast Company의 세계 50 대 혁신 기업 - 게임 부문 1위, 전체 9위(2020) = = 주식 = = 로블록스는 주식 거래를 제공한다. 2022년 8월 9일(현지 시간), 올라갔던 주식이 17% 폭락, 일명 '어닝 쇼크'로 로블록스는 당기순 손실이 1억7644만달러로 전년 동기(1억4013만달러)보다 더 늘었다고 발표했다. 주당 순손실도 이 기간 25센트에서 30센트로 커졌다. 시장 추정치(21센트)보다 부진했다. 로블록스의 실적 부진은 일회성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로블록스의 예약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보다 28%, 20%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3% 감소하며 성장세가 꺾였다. 적자 규모도 매 분기 커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2.4배 급증한 1억4330만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1분기에는 1억6020만달러의 순손실을 냈다. = 분류:수출 = = 브렌던 하인스 = 브렌던 하인스(Brendan Hines, 1976년 12월 2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더 틱 (2016) 말도안돼 (2015) 비터 오렌지 (2013) 라이 투 미 1 (2009) 딥 인 더 밸리 (2009) 미들맨 - TV시리즈 (2008) 터미네이터 시리즈 - 사라 코너 연대기 (2008) 헤비 페팅 (2007) 오더너리 시너 (2001) = 분류:1979년 여자 축구 = = 레이철 코린 = 레이철 코린(Rachel Korine, 1986년 4월 4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맨 고 투 배틀 (2015) 드루이드 피크 (2014) 로투스 커뮤니티 워트샵 (2012) 스프링 브레이커스 (2012) 슬립리스 나이츠 스토리 (2011) 셉티엔 (2011) 트래쉬 험퍼스 (2009) 미스터 론리 (2007) = 분류:선법 = = 수행 = 수행(修行, )은 자아를 초월하는 영적 행위이다.Flood, Gavin.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6. pp. 92, 156, 160, 167. . 수행은 다양한 정신적 또는 의식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따르는 힌두교,NK Brahma, Philosophy of Hindu Sādhanā, , pages ix-x 불교 및 자이나교C.C. Shah, Cultural and Religious Heritage of India: Jainism, Mittal, , page 301 전통의 다양한 학문을 포함한다. 수행은 사두의 목표가 될 수있는 세속으로부터의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이뤄진다. 카르마 요가, 바크티 요가 및 즈냐냐 요가는 일상 생활의 모든 흐름에서 최대 수준의 완벽을 달성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수행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행으로 설명될 수 있다.V. S. Apte. A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p. 979. 사다나는 탄트라 전례나 전례 양식, 즉 특정 수행을 수행하기 위한 지침을 가리킬 수도 있다. = 옥산초등학교 (경기) = 옥산초등학교는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1. 03. 01. 샛별초등학교 설립인가 2003. 03. 01. 옥산초등학교 개교(9학급 편성) 2004. 11. 11. 소규모 신설학교 경영연구 보고회 2005. 03. 01. 12학급 편성(학급당 35명) 2007. 10. 10. 방과후학교 우수교 표창(교육감) 2008. 12. 05. 학교평가 우수교 표창(교육감) 2008. 12. 20. 예절체험학습장 우수교 표창(교육감) 2012. 11. 28. 옥산초 배드민턴부(남) 창단 2012. 12. 28. 학교문화 혁신 우수교 표창(교육장) 2014. 09. 01. 제 6대 김미리 교장 취임 2015. 02. 13. 제11회 졸업식 거행 2015. 03. 01. 6학급 편성(학급당 17명) = 코니아일랜드 = 코니아일랜드(Coney Island)는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남쪽에 있는 반도이다. 원래는 섬이었다. 매년 7월 4일에는 현지에 핫도그 가게 네이산즈에서 핫도그 먹기 대회가 열린다. 이 지역 자체에 놀이공원이 많기 때문에, 관광객이 많이 찾아온다. = 틀:진행 막대 = = 인천부개초등학교 = 인천부개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2년 10월   5일: 인천부평동초등학교 부개분실 1955년   5월   1일: 인천부개초등학교 승격 개교 = 분류:아르메니아의 귀족 = = 분류:프랑스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 = = 우스산 = 우스산은 일본의 홋카이도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현재까지 활동하는 활화산이다. 이곳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도야 호수(도야호)옆에 위치해 있다. 이 산은 분화구로 가는 산책로가 있으며, 분화구는 아직도 활동이 활발하다. 이곳은 꽃도 피어서 장관이다. 옆에는 측화산인 쇼와신 산이 있으며 쇼와신 산은 1943년에 최종 분화를 일으켰다. 우수 산은 2000년에 분화하였으며 용암 분출은 없었지만 화산재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은 도야호 옆에서 사진촬영을 하였다. 그때 화산재는 아주 높이 치솟았다. 2000년때의 분화는 나무들 주변에서 발생하였다. 지금은 케이블카까지 설치해 놓아 산 정상까지 편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 = 2000년의 분화 = = 2000년에 이 화산이 분화를 일으키면서 화산재 구름이 하늘 높이 치솟았고, 그 주변의 나무들이 다 괴사하였다. 이때의 분화는 멀리서도 잘 보였고, 인명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대피를 했을 것이다. 취재진들은 도야호를 건너 멀리서 촬영하였다. 그 후에는 분화를 멎었다. 현재 활동적인 분화구는 니시야마 분화구이다. = 세연 = 세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열혈 장사꾼의 등장인물 말아톤의 등장인물 젊은이의 양지의 등장인물 어제 일은 모두 괜찮아의 등장인물 조금만 더 가까이의 등장인물 레나의 등장인물 = 가와카미 노리히로 = 가와카미 노리히로(1987년 4월 4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도치기 SC, 츠바이겐 가나자와, SC 사가미하라에서 활동하였다. = 이백약 = 이백약(李百藥, ,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는 중규(重規). = = 생애 = = 이백약은 564년에 정주(定州. 현 허베이성 딩저우 시) 안평현(安平縣. 현 허베이성 안핑 현)에서 당시 북제에서 벼슬을 하고 있던 수나라의 내사령(内史令) 이덕림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덕림은 당시 북제의 역사서를 편찬하고 있었으나, 끝내 완성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이백약은 어릴 적 병약하였다. 할머니 조씨(趙氏)에게서 「백약」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도 그것 때문이었다. 그는 7세에 문장을 잘 지었고, 아버지의 친구 육예(陸乂)와 서릉(徐陵)이 지은 문장을 읽고 이해하기 어려운 한 구절을 해독하였으므로 주위의 놀라움을 샀다. 음서로 삼위장(三衛長)으로서 북주의 조정에 사관하였다. 수나라 개황 원년(581년), 태자통사사인(太子通事舍人)・동궁학사(東宮學士)에 임명되었다. 599년, 인수궁(仁壽宮)으로 소환되어 아버지의 안평공(安平公) 작위를 이었다. 양소와 우홍 등에게 그 문학적 재능을 사랑받아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에 임명되었다. 수 문제의 명을 받아 오례와 율령, 음양 관련 서적들을 편찬하고 제정하였다. 일찍이 병으로 사인(舍人)의 직책을 사임했을 때 양광(훗날의 수 양제)이 양주에 있었는데, 그가 이백약을 불렀으나 이백약은 부름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 일로 양제가 즉위하면서 작위를 박탈당하여 계주사마(桂州司馬, 현 구이린 성 구이저우 시)에 좌천되었다. 그곳에서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613년, 회계군(會稽郡)에서 일어난 관숭(管崇)의 반란에 직면하게 되자, 성을 지키는 데 거둔 공적으로 건안군(建安郡, 현 푸젠성 푸저우시)의 군승(郡丞, 군의 보좌관)에 임명되었다. 수나라 말엽에 강남(江南) 지방은 전란이 계속되면서 심법흥・이자통・두복위 등의 군벌들이 할거하고 있었다. 이때 이백약의 그들의 휘하를 전전하였다. 당 고조 이연이 두복위를 불러서 타이르려고 했을 때, 이백약은 두복위를 설득하여 그로 하여금 장안으로 향할 것을 권유하였다. 두복위는 도중에 이를 후회하고 이백약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두복위의 부하 장수인 왕웅탄(王雄誕)의 보호로 구명되었다. 보공석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이백약은 이부시랑(吏部侍郞)에 임명되었다. 고조는 이백약도 모반하였다며 분노했지만, 두복위가 이백약을 죽이라며 보공석에게 보낸 편지가 발견되어 이백약의 목숨을 살려줬다. 그러나 보공석이 당나라 정부군에 의해 평정되면서 이백약은 경주사마(涇州司馬, 현 산시성 징촨 현)로 좌천되고 말았다. 627년,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임명되어 안평현의 남작에 봉해졌다. 후에 자작으로 진급하였다. 이듬해 628년에는 예부시랑(禮部侍郞)이 되었다. 당시 조정 내에서는 황족들과 공신들에게 토지를 나눠 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이백약은 〈봉건론(封建論)〉이라는 글을 지어 자신의 반대 입장을 보였다. 당 태종은 이백약의 의견을 채용하여 이를 그만두었다. 630년에는 태자우서자(太子右庶子)에 임명되었는데, 당시의 태자 이승건의 소행이 고쳐지지 않자, 〈찬도부(贊道賦)〉를 지어 이승건에게 간언하였다. 이후 아버지의 유고(遺稿)를 계승하여 북제의 역사서를 편찬하였고, 636년에 이를 완성시켜 〈제서(齊書)〉라 명명하였다. 후에 북송 대에 이르러, 소자현의 남제서와 구별되어 북제서로 개명되었다. 이백약은 647년에 8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후 강(康)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그의 아들 이안기는 당 고종 때 짧은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다. = = 참고 자료 = = 《구당서》, 권 72 - 열전(列傳) 제22 이백약전(李百藥傳) 《신당서》, 권 102 - 열전 제27 이백약전 = 안도현 = 안도현(安度昡, 1961년 12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 겸 대학 교수이다. = = 주요 이력 = =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그는,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과에서 <세상의 '겉'과 '속'에 대한 상상력과 시작품 「간격」(외 30편)의 창작 실제>로 석사 학위를, <서정의 갱신과 창작 실제: 창작시 「국화꽃 그늘과 쥐수염붓」 외 67편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1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 낙동강이 당선되어 문단에 발을 들였다. 대학 졸업 후 익산 이리중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국어를 가르치다가 전교조에서 활동한 것이 밝혀져 해직되었다. 1998년 제13회 소월시문학상 대상과 2002년 노작문학상을, 2005년 이수문학상과 2007년 윤동주문학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시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2016년에는 노무현재단 전북지역위원회 상임공동대표 한국작가회의 소통위원회 위원장이며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정교수로 재직 중이었다가, 현재는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연어들이 번식을 위해서 바다에서 강으로 가는 과정을 배경으로 사회를 비평한 연어의 작가이기도 하다. 한겨레 21에 원고지, 타자기, 워드프로세서로 글쓰는 도구가 바뀐 이야기를 쓰기도 했다.육필의 시대를 위하여! 2003년 9월 4일자 한겨레21 제474호 = = 대표 작품 = = 출시일 책이름 출판사 2015.09. 잡문 이야기가 있는 집 2010.05.10 연어 이야기 (연어 그 두 번째 이야기) 문학동네 2009.03.03 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써라 한겨레출판사 2009.02.05 괜찮아 네가 있으니까 마음의숲 2008.06.10 당신이라는 말 참 좋지요 창비 2008.04.15 연어 문학동네 2008.01.21 간절하게 참 철없이 창비 2007.12.12 비목어 예담 2006.06.12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이가서 2006.05.25 연탄 한 장 비앤엠 2005.08.16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 문학동네 2004.09.14 너에게 가려고 강을 만들었다 창비 2002.12.10 안도현의 아침엽서 늘푸른소나무 2000. 3. 20 짜장면(어른이 읽는 동화) 열림원 2002.06.05 관계 문학동네 2002.03.31 그대에게 가고 싶다 푸른숲 2001.06.13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 현대문학북스 2000.08.10 이름이 란이라는 여자애가 있었다 동아일보사 2000.05.01 당신을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이가출판사 2000.03.01 외롭고 높고 쓸쓸한 문학동네 1999.12.30 나 대신 꽃잎이 쓴 이 편지를 하문사 1999.11.27 그 작고 하찮은 것들에 대한 애착 나무생각 1999.01.31 바닷가 우체국 문학동네 1998.12.11 외로울 때는 외로워하자 샘터사 1997.07.15 그리운 여우 창작과비평사 = 브래디 엘리슨 = 브래디 리 엘리슨(, 1988년 10월 27일 ~ )은 미국의 양궁 선수이다. 애리조나주 글렌데일 출신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개인전과 단체전에 출전했으며 예선 탈락하였다. 그 후 대한민국 출신의 이기식 감독의 지도로 기량이 성장하여 2010년부터 세계랭킹 1위에 올라 있으며, 2011년 세계 선수권 개인전에서 대한민국의 김우진과 오진혁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이에 따라 그는 '한국 킬러'라 불리며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을 위협할 가장 강력한 선수 중 하나로 꼽혔다. 단체전 준결승에서 대한민국과 맞붙어 그는 우수한 성적을 보였고, 결국 미국팀은 대한민국팀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리고 결승전에서는 이탈리아에 져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개인전에서는 예상 외로 32강전에서 탈락하였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단체전 은메달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스트라이크 위치스 = = 분류:태국의 공기업 = = 마사타카 = 마사타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나시다 마사타카: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야구 해설가·평론가 쿠보타 마사타카: 일본의 배우 마츠토야 마사타카: 일본의 남성 음반기획자,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기획사 사장, 자동차 평론가 니시모토 마사타카: 일본의 축구 선수 홋타 마사타카: 시모쓰케 사노 번주 오쿠다이라 마사타카: 부젠 나카쓰 번 제5대 번주 쓰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쿠테쓰 사카키바라 마사타카: 막말의 다이묘이며 메이지 시대의 화족 사카모토 마사타카: 일본의 축구 선수 가니 마사타카: 일본의 축구 선수 이마이 마사타카: 일본의 축구 선수, 감독 다무라 마사타카: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모로코계 스위스인 = = 분류:US 페르마나의 축구 선수 = = 김영후 = 김영후(金永煦, 1292년 ~ 1361년)는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안동이다. 김영후(金永厚, 1951년 ~ )는 대한민국의 군인이었고, 제21대 병무청장을 지냈다. 김영후(1983년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다. 김영후 (음악가) = 전학공투회의 = 전학공투회의, 약칭 전공투는 1968년에서 1969년 사이 일본의 각 대학에서 학생운동이 바리케이드 스트라이크(바리스토) 등 무력투쟁으로 행해지던 시절, 분트와 삼파전학련이 학부와 정파를 초월한 운동으로서 조직한 대학내 연합체들이다. 전공투는 특정한 조직・단체의 이름이 아니고 1968년에 국한된 대학가 "현상"에 가깝기 때문에, 학교별 전공투들은 활동시기・목적・조직・운동방침이 모두 제각각이다. 그 중 니혼대학의 일대전공투와 도쿄대학의 동대전공투가 유명하다. 동대전공투는 “대학해체”, “자기부정”의 주장을 내세웠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실력투쟁”을 전면에 세워 데모 중 기동대와 충돌할 때면 투석전이나 각목(게발트봉)도 사용되었다. 전공투운동은 특정 정파가 자기 사상과 정책을 내거는 조직운동이라기보다는 대중운동이었던 측면이 있었다고도 한다. 대학마다 개인마다 다양했다고 할 수 있다. 전공투와 가장 극렬히 대립한 것은 일본공산당 하위조직인 민청계 전학련이다. 도쿄대 투쟁 때도 전공투가 난립하는 중 7학부 대표단을 주도하고 대학 당국과 확인서를 만들어 종결시킨 것이 민청계였다. 니혼대학에서 일대전공투와 대립한 것은 체육회계・민족파계였다. = = 역사 = = = = = 전사(前史) = = = 전공투운동 이전의 일본 학생운동은 수업방기나 피켓팅 등 학생들의 생활옹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그나마도 대학측의 양보를 쟁취한 성공사례는 드물었다. 이런 학생운동은 1949년의 신제대학 출범 이전부터 시작되어 희귀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수업방기 및 시위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대학당국에 큰 부담이 되지 않았다. 이하는 전공투 등장 이전의 학생운동의 수많은 사례들 중 몇 가지만 거론한 것이다.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1965년 9월 22일부터 기숙사규정 개악 반대를 호소하고 전학무기한수업방기에 들어갔다. 그러나 학업방기에 대한 반대로 9월 30일 학생대회에서 수업방기를 해제했다. 다카사키 경제대학: 1965년 9월 시측이 재정난을 이유로 사학화를 제안했다. 교수회가 이에 반발, 학생들도 교수들을 지지하여 사학화는 제지되었다. 시측은 대신 등록금 대폭 인상을 내세웠고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 반대투쟁을 조직하지만 시위대를 촬영한 사진 등을 근거로 징계처분자가 잇따랐다. 영화 《압살의 숲》에서 이것을 상세하게 다루었다. 도쿄 상선대학(현 도쿄 해양대학): 1965년 11월 5일부터 스트라이크를 쳤지만 11월 26일 학생대회에서 스트라이크를 풀었다. 와세다 대학: 대학도서관 규정 개정 투쟁이 있던 중 1965년 12월 대폭적인 등록금 인상발표로 단번에 반대투쟁이 고조. 1966년 1월 18일 제1법학부를 시작으로 제1상학부, 제1정경학부, 제1이공학부, 제1문학부가 연이어 스트라이크에 돌입. 입학시험은 기동대가 캠퍼스에 주둔한 채로 치러졌다. 6월 공학부가 스트라이크를 해제하고 문학부가 마지막으로 해제하면서 투쟁이 종식. 메이지 대학: 1966년 11월 25일 아침부터 학비 인상 반대를 호소, 이즈미 캠퍼스에서 무기한 스트라이크. 하지만 패배로 돌아갔다. 게이오 대학: 1968년 미군에서 의대에 자금을 유입하는 문제를 놓고 전학 바리케이드 봉쇄를 했지만 유급 문제 등을 걱정한 학생들이 투표로 봉쇄를 해제했다. 주오 대학: 1966년 12월 8일 학생회관 관리운영권을 두럴싸고 4천 명의 학생이 대학측과 협의를 가졌다. 그러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밤에 바리스토에 돌입한다. 단체교섭이 거듭된 끝에 드물게도 요구가 거의 수용되어 25일 바리스트가 해제되었다. 국제기독교대학: 1963년 등록금 인상 반대투쟁, 1966년 생협설립투쟁, 1966년 6월 능연(能研)테스트로의 입시대체 및 응시료 1.67배 인상 반대투쟁 등이 있었다. 본관점거로 목표를 달성하려 했으나 63명의 징계처분자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전공투운동에서는 본관봉쇄 바리케이트 스트라이크라는 실력행사를 수반하는 투쟁을 하고 강사・교직원의 출입을 저지하는 투쟁방식으로 발전한 것이 특징이다. 전공투가 발생한 경위는 대학마다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일대전공투와 동대전공투다. = = = 발단 = = = 1968년 5월, 도쿄국세국이 니혼대학(이하 일대)을 가택수색하여 용도불명금 22억 엔을 적발했다. 당시 일대에서는 이사장 후루타 쥬지로의 방침에 따라 학생자치회가 인정되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이 용도불명금 문제를 계기로 대학당국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이 폭발, 5월 23일 지요다구 칸다미사키정의 경제학부 앞에서 일대의 첫 시위인 “이백 미터 데모”가 열렸다. 5월 27일에는 아키타 아케히로를 의장으로 하여 니혼대학전학공투회의(이하 일대전공투)가 결성되었다. 이사회는 일대전공투의 요청에 따라 9월 30일 학생과 당국의 협상의 장으로서 “전학집회”를 료고쿠 강당에서 개최했다. 이 집회에는 3만 5천 명의 학생이 참가하여 전공투 측에서는 이것을 노동조합법의 단체교섭에 빗대어 “대중단교”라고 불렀다. 12시간의 협상 끝에 당국은 회계 공개 및 이사진 퇴진 등 일대전공투 측의 요구를 일단 받아들였다. 그러나 다음날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대중단교는 상식을 일탈하고 있다”朝日新聞2009.06.22 『(ニッポン人脈記)反逆の時を生きて:2 勝ったと思った、風雲児』秋田明大インタビュー며 참견, 당국이 학생들과의 약속을 철회했다. 료고쿠 강당에는 일본도를 든 체육회 학생들이 난입, 그 직후 돌입한 경찰기동대를 일대전공투 학생들은 박수로 맞이했지만 기동대는 전공투 측 학생들만 진압했다. 이로써 니혼대 분쟁은 진정되지만 일부 일대생들은 도쿄대 투쟁 등에 합류했다. 도쿄대학에서 의대 인턴 문제를 둘러싸고 학생들에게 부당처분을 내린 것을 발단으로 대학당국에 대한 항의 시위가 높아졌다. 야스다 강당을 일시점거한 뒤 7월 5일 물리학과 대학원생 야마모토 요시타카를 의장으로 도코대학전학공투회의(동대전공투)가 결성되었다. 동대전공투도 일대전공투와 마찬가지로 대학 내 건물들을 바리케이드 봉쇄하고 당국과의 “대중단교 ”를 요구했다. = = = 전개 = = = 전공투운동은 68년 초에서 68년에 걸쳐 동대와 일대의 투쟁에 병행, 자연발생적으로 “요원의 불과 같이”神津陽 『極私的全共闘史―中大―1965-68』彩流社、2007年、p23 전국의 대학에 퍼졌다. 전공투는 처음에는 각 대학의 개별 문제(학비문제 등)를 취급하는 조직이자 운동으로서 각 대학의 학생회 테두리를 넘어 결성되었다. 그 뒤 대학 당국의 경직된 대응과 정부와 기동대의 개입을 경험하는 가운데 점차 전학(全学)화하여 “대학과 학생・연구자의 본연의 자세를 검토하는 대학의 이념과 학문의 주체를 둘러싼 운동”으로 비화했다. 그리고 현재의 대학은 “제국주의적 관리에 짜 넣어진 「교육공장」에 지나지 않으며, 교수회는 그 관리질서를 담당하는 「권력의 말단기구」”인 바, 이런 상황에서 「대학의 자치」는 이제 환상에 지나지 않고, 그러한 관리질서 총체를 해체하는 것이야말로 과제임을 칭하고 전학 바리케이드 봉쇄 등 폭력에 의한 대학 해체를 주장했다. 또한 신분으로서의 「학생・연구자임」을 안으로부터 부정하는 「자기부정」의 사상적 물음이 진행되어야 한다. 전학적 바리케이드 봉쇄는 제국주의 대학 해체의 정치성을 가진 동시에 자기부정의 사상을 갖는다고 여겨졌다.宮崎学『突破者』南風社、1996、p151・p152・p99・p162・p180 이렇게 도쿄대 투쟁에서 “대학해체”, “자기부정”의 구호가 등장하고 대학 내 문제의 테두리를 넘어 “학생들과 국가권력간의 투쟁”의 형태가 되었다. 이는 각 대학의 타협 따위로 종결될 수 있는 투쟁이 아니며, 또한 이후 투쟁 패배 이후 운동이 단숨에 쇠락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당시 학생으로서 와세다대학 투쟁에 참여한 쿠레 모토후사는 “「자기부정」은 「자기긍정」이다. 출세를 위해 학문을 하면 할수록 학문의 본의에서 멀어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것은 자기부정이다. 자기부정은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긍정의 결과가 출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1968년 11월 22일, 도쿄대학 혼고캠퍼스 야스다 강당 앞에서 「동대, 일대 투쟁승리전국학생총궐기집회」가 열리고, 2만 명의 학생들이 모였다. “이 궐기대회가 이후 각 대학의 전공투운동의 원점이 되며, 또 그 운동의 빛나는 절정”이었다. 11월 1일에는 동대의 오오코치 카즈오 총장・전학부장・평의원이 분쟁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68년에서 69년까지 30여 대학이 바리케이드 봉쇄 상태였다. 1969년 1월 18일에서 19일로 넘어가는 밤, 전공투가 봉쇄하고 있는 야스다 강당에 8500명의 기동대가 공격을 개시, 72시간에 걸친 공방전이 전개되면서 동대전공투운동은 종말로 치달았다(야스다 강당 사건). 그러나 동대 투쟁이 짐으로써 전공투 운동은 전국에 들불쳐럼 번졌다. 1969년 교토대학을 비롯해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히토츠바시대학, 도쿄외국어대학, 도쿄교육대학, 요코하마국립대학, 시즈오카대학, 신슈대학, 가나자와대학, 나고야대학, 오사카대학, 오사카교육대학, 오사카시립대학, 오카야마대학, 히로시마대학, 규슈대학, 구마모토대학, 메이지대학, 와세다대학, 게이오대학, 호세이대학, 니혼대학, 토요대학, 주오대학, 도시샤대학, 리츠메이칸대학, 간사이대학, 간사이가쿠엔대학 등 일본의 주요 국공립대와 사립대 80%에 해당하는 165개교가 전공투투쟁에 의한 전학 바리케이드 봉쇄를 겪었다. = = = 쇠락 = = = 전공투는 각 대학의 주요 운동권 정파 연합체에 일반 학생들이 다수 참가한 형태이며, 특정한 사상・조직・목표가 있었던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 경과의 전모, 형태, 평가는 다양하다.2005年、「本郷学生隊長」として安田講堂に立てこもった島泰三の著書、『 安田講堂 1968‐1969』(中央公論新社)が出版された。 당시 가두투쟁을 벌이고 있던 삼파전학련(공산주의자동맹,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 사청동 해방파)나 그것을 지지한 제2차 분트・혁공동 등 여타 신좌파 정파와의 관련도 활자화된 기록 중심으로 평가된다. 또한 삼파전학련과 전공투를 혼동해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있다.小阪修平 『思想としての全共闘世代』 筑摩書房(ちくま新書)、2006年 일반적으로는 “1970년대 들어 신좌파 정파들 간에 우치게바에 의해 100건 이상의 살인이 발생했으며 특히 연합적군의 아사마 산장 사건과 일본적군의 요도 호 사건 등으로 인해 급진적 학생운동이 급속히 지지를 잃고 자연발생 운동인 전공투도 급속히 붕괴했다”는 것이 통설이다. 하지만 “어느 당파건, 무당파 운동이건 연합적군 사건으로 동원력이 줄어든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府川充男「この本で小熊英二の「学者生命」は終わった」、『悍』3号 어쨌든 “일시에 발화했던 전공투운동은 순식간에 진화되었다.” 1969년 9월 6일 히비야 야외음악당에서 전국 78개 대학 26,000 명이 참가한 전국전공투(동대전공투 의장 야마모토가 의장, 일대전공투 의장 아키타가 부의장) 결성대회가 있었던 시점에서 이미 중핵파, 사학동, 학생해방전선, 학생인터, 공학동, 반제학평, 프론트, 프로학동 등 신좌파 8개 정파가 “실질적 당파공투” 또는 “캄파니아 조직”을 만들었다고 한다.すが秀実 『革命的な、あまりに革命的な-1968年の革命」史論』 国文社、p315・p229・p263・p224・p262・p292・p230・p7・p8・p161 한편 국회에서는 8월 3일 사토 내각에서 최악의 경우 문부성 명령으로 대학 전체 업무를 중단할 수 있다는 「대학의 운영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성립했다.池田浩士『似而非物語』、「証言・京大闘争ー「時計台裁判」弁護側証人として」pp286-287、2005、インパクト出版 이에 따라 대학 자치를 중시하고 자력해결을 목표로 했던 여러 대학 구성원들 간에 대학이 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동요가 확산되었다. 후기 수업이 시작된 9월 들어 대부분의 대학에는 바리케이드 해체를 위한 기동대가 투입되었다. = = 특징 = = 전공투의 가장 큰 특징은 문화대혁명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폭력 찬미에 있다. 도쿄대학 강사였던 작가 시바타 쇼는 전공투의 폭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게발트가 나오기 시작했을 때 그 의미를 충분히 알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그 때 생각한 것은 게발트는 국가의 폭력장치에 대항하는 대항폭력으로서 나온 것으로 이해했다. 나는 비록 대항폭력으로서의 게발트에도 반대했지만, 현상으로서는 그렇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런데 대학의 교사인 내 눈 앞에서 학생들이 게바봉을 휘두르고 있는 사이, 그런 측면이 있더라도 그것은 소위 타테마에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이 게바봉을 들고 싶어서 드는 것이고 게바봉을 흔드는 것 자체에 기쁨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은 좋고 나쁜 문제 이전에 바로 현실이 그렇다는 것이 보여왔다. 그런데 전후 일본 근대 전후민주주의가 전제하고 있던 인간관에 그것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인간은 본래 지적인 동물이고, 폭력충동 등은 그 인간관 밖으로 내몰린 것이었다.「全共闘―それは何だったのか」筑紫哲也、現代の理論社、1984年、148頁 전공투의 두 번째 특징은 기존의 학생자치회와 전학련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운동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예외적으로 학생측의 승리로 끝난 주오대학 학관투쟁의 지도자 입장이었던 코우즈 아키라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상부조직으로서 전학련에 가맹하려면 자치회조직의 특별참가 결의가 필요하며, 가입비도 상납임원도 내지 않으면 안 되고 상명하복의 조직 구속도 있었다.” “하지만 전공투의 가장 큰 특징은 학교 상황에 불만을 가진 뜻 있는 자들이 모여 결맹하는 대신 마음대로 전공투를 자칭한 점이다. 전공투의 편안함과 적당함은 정치변혁을 지향하는 의식된 학생의 집합체인 전학련의 활동가상과는 다른 광범위한 확대를 보였다.” 세 번째 특징은, 일본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학가를 중심으로 전개된 68혁명이 그 이전의 학생운동과 차별되는 특징으로서, 학생들이 교육자들을 규탄하는 스타일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미셸 푸코는 파리 5월 혁명 전야 파리대학 낭테르교에서 “학생들이 교수와의 관계를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은 기묘”하다고 말했다.ミシェル・フーコー 「年譜」『ミシェル・フーコー思考集成I』 筑摩書房 전공투는 아카데미션(학인)들이 대학의 “감시/관리체제의 위에 서서만 「양심적」=「진보적」 할 수 있다는 사태에 전혀 무자각”하다고 여기고, “학외에서 「민주적」 언사를 늘어놓으면서 학내에서는 학생 탄압을 감싸고 도는 교원들에게 그 기만성을 질책했다.” 전후 초기에 결성된 학생자치회(학급별로 위원회를 선거)의 기본 이념은 학생이 미래사회의 시민으로서 참여하는 학문을 닦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규율=훈련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상조단체였다. 이에 같은 대학 구성원이며 전후민주주의사회 「시민」의 이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교원들과의 상호교류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사실 “60년 안보 때까지만 해도 교원과 학생은 국가권력에 맞서는 일종의 친화적 동맹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1968년 전공투투쟁 시기에는 마루야마 마사오가 동대전공투의 전학봉쇄와 실험실 자료파괴에 “나치스도 하지 않았던 만행”이라고 격노하기에 이른다. 이런 변화의 원인에 관하여 스가 히데미는 많은 신제대학이 탄생한 데 따른 고등교육의 보급과 대중화에 따라 대졸자라고 상위중산층이 될 보장이 없어지면서 “국민=시민의 이상형인 교수와 같은 상위중산층 스테이터스”에 대한 보장으로 이루어져 있던 대학의 「신용」이 무너지고, 대학이 국민국가에서 존립할 근거 자체가 추궁당한 이유를 보고 있다. 이 시대의 학생들은 “자신이 놓인 무근거의 지위”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기실 전공투들 중 다수가 “중견대학”들에서 창출되었다. 스가는 전공투에 의해 규정된 “전후민주주의 비판”이라는 슬로건도 여기에 연유했다고 논한다. 사상적으로는 좌파공산주의 등의 “특정 권위에 의하지 않는 상향식 혁명”과의 유사성도 지적된다. = = 평가 = = 전공투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다양한 평가의 갑론을박이 있다. 2009년 방대한 자료 인용으로 저서 『1968』을 간행한 오구마 에이지는 전공투운동이 발생한 원인으로 “소학교 및 중학교 시절 전후민주주의의 이상적 교육을 받은 이들이 이후 수험경쟁의 죄책감을 안고 또 대학의 대량생산교육에 환멸한 것”, “일본이 개발도상국이던 시절 어린 시절을 보낸 이들이 고도경제성장의 결과로 선진국이 된 일본 사회에 위화감을 안고 또한 풍요로운 사회 특유의 "현대적 고민"을 안고 있었던 것”을 꼽았다. 그리고 동시기 학생운동을 일으킨 유럽과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와 비교해서 일본의 전공투세대 중 이후 정치활동에 관여한 사람이 적은 이유는 “급속한 기세로 선진국화한 일본에서 학생운동은 「정치운동」이 아닌 「자기표현」을 위해 하는 것이 아니었나”고 논했다. 오구마가 말하는 “권력의 악에 대항하는 순수한 정의감으로 반항을 시작했지만, 체제의 두꺼운 벽 앞에 좌절을 피할 수 없게 되자 결국 연합적군 사건(1972년)을 상징적 정점으로 하는 “우치게바”들로 속에서 썩어갔다”는 식의, 이른바 “자기”를 찾고 “자기”를 표현하려고 했지만 “좌절”했다는 소외이론에 집약시키는 관점 및 심리주의적 방법은 “지금도 많은 것을 규정하고 있는 통념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오구마의 저서는 최종적으로 60년대 베평련 및 그 상징적 존재였던 오다 마코토와 츠루미 슌스케에 가능성의 핵심요구, “전후민주주의의 구제와 재론을 위한 패러다임 창출목적을 의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실오인이나 독단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하나의 입장에서만 서술되는 논리적 구성은 자료문맥의 횡령”이며, 전공투운동과 신좌파운동에 대한 자료구사는 “기간자료에 의한 설명과 거기 명시된 사실경과가 나와있”지 않으며, “당사자에 대한 대면적 책임과 관련된” “문자자료를 뒷답침할 청취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는다.友常勉 『「あの時代」の脱神話化」』、図書新聞2009,9,5 한편 오구마 에이지의 논고에 대조되는 것으로서 스가 히데미의 『혁명적인, 너무나 혁명적인: 1968년 혁명 시론』이 있다. 스가는 1968년을 중심으로 일어난 움직임을 1848년 혁명과 함께 역사상 단 두 차례 있었던 “세계혁명”으로 보는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68년을 결정적인 역사적 변곡점으로 하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등을 부분적으로 참조, 전공투운동을 세계사적 사건인 68혁명과 푸코·들뢰즈·데리다 등의 소위 "68 사상"에 병렬되어 일본이라는 공간에 한정된 것으로서 추출하려 했다. 급진적 무당파 활동가였던 츠무라 타카시는 1984년 『중앙공론』 지상에서 이렇게 말했다. “국가권력 탈취가 혁명이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게 되고, 구체적인 국소에서의 국가와의 대치가 과제”가 되어, “대의에 기대지 않고, 소비사회의 상대주의에 해체당하는 일 없이, 어떻게 국가와 모든 국면에서의 대치를 계속할 수 있는가, 그 「교통」을 어떻게 가능케 할 것인가, 이것이 바로 지난 십여년 간 십구백만 명의 사람들이 필사적으로 모색해 온 것이다. 이 실천의 다발과 그물코야말로 전공투의 「총괄」이라 할 것이다.”津村喬 「<逃走>する者の<知>-全共闘世代から浅田彰氏へ」『中央公論』99巻9号、1984年9月 실제로 전공투를 경험한 사람들이 그전까지와는 다른 생협운동, 생태운동, 여성주의, 소수자운동 등 다양하고 분산적인 활동을 유지하며 일정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사례들이 있다. 다만 일본 사회에서 전공투운동을 긍정적으로 파악하는 방향은 작았다. 1968년 열린 내각부 세론조사学生運動に関する世論調査 (昭和43年11月29日〜12月5日実施)에서 학생운동을 지지 또는 공감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0% 정도였다. 부모에게 생활비와 학비를国立大学の学費は、1966年で入学料4,000円・授業料12,000円、1972年で入学料12,000円・授業料36,000円であり、国公立大の学生負担はさほど重くはなかった。(参考:1975年(昭和50年)以降の国立大学と私立大学の授業料等の推移) 지원받는 학생이 공부보다 운동에 빠져드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제대해체”, “입시분쇄”, “엘리트로서의 자기부정”을 주장했던 동대전공투 의장 야마모토 요시타카는 운동 종식 후 대학원에서 중퇴당하고 슨다이 예비교(입시학원)에서 입시강사가 되었다. 전공투에 관해서 운동 후 일절 발언하지 않고 언론에 의한 취재도 거절했지만, 1992년 운동 당시의 자료를 모은 『동대투쟁자료집』을 국립국회도서관에 기증했다. 2015년에는 도쿄대 투쟁에 관한 회고록 『나의 1960년대』를 출간했다. = = 영향 = = 전공투를 비롯한 68년 학생반란에서는 세계 공통적으로 대학본부 점거와 대중단교의 전술이 채택되었다. 이것은 당시 드문 현상으로서, 19세기 말-20세기 초를 풍미하고 사라진 생디칼리슴의 정석이라 할 전술이 냉전 시대에 갑자기 부활한 것이었다.長崎浩「自由のつけ」p23『情況』8・9月号「なぜ今、全共闘か」特集、2009年 68의 문제 제기는 민주주의의 문제가 대의제 기능의 문제로 축소되는 것을 단호히 물리치고, 그 대의제 밖으로 넘쳐흐른 「정치」의 차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기존의 정치사회제도와 민주주의의 재검토로 이어질 수 있었다.座談会「ルソーの不在、ルソーの可能性」における王寺賢太の発言p13、『思想』2009年11月、岩波書店 무라카미 신이치로는 서구 좌파정당들은 68세대의 반란에 의해 혼란에 빠졌지만 그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해 크게 변모했으나, 일본에서는 68세대가 기업사회에 잠식되면서 기존 좌파정당들에 거의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았고, 이것이 전반적인 “좌익의 썰물”로 연결되었다고 주장한다. 즉 전공투세대(단카이 세대)의 대부분은 고도경제성장이 절정에 달했을 무렵 일찌감치 정치의 계절을 「졸업」하고 「기업사회」의 주요담당자가 됨으로써, 유럽과 미국에서처럼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옹호자도 되지 못하고, “새로운 사회운동”의 담지자도 되지 못하면서, 서구의 68세대와 근본적으로 다른 코스를 걷게 되었다는 것이다.村上信一郎、「日本社会党とイタリア社会党」、p178、山口二郎、石川真澄編、『日本社会党』、日本経済評論社、2003 단기적으로 보면 1969년 12월 제32회 중의원의원 총선거에서 여당인 자민당이 20석을 늘려 300석을 넘어섰다. 반면 사회당은 신문사의 당락 예상(예컨대 아사히는 118석을 예상)을 크게 벗어나 약 50석이 줄어 90석으로 전락, 대패했다. 공명당이 25석에서 47석으로 약진했다. 전공투 및 신좌파 세력과 격렬히 대립한 공산당도 5석에서 14석으로 약진했다. 투표율은 전회보다 5.5% 감소해 68.5%로 급락, 이 이후 무당파층이 급증하면서 사회당 지지율이 정체하기 시작했다. 사회당의 갑작스런 지지율 급락에 대해 전공투운동과의 직접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시카와 마스미의 담론이 있다.石川真澄 『データ戦後政治史』 岩波書店〈岩波新書〉、1984年10月、p153~157 이시카와에 따르면 사회당이 총선에 즈음하여 “일부 학생들의 폭력적 행동”을 전면 부정하는 통일전망을 제시했다. 그러나 하부조직인 사청동에서 분화한 신좌파 정파(해방파)가 참여하는 삼파전학련에 대해서는 “각 전학련의 공통된 사상인 트로츠키주의와 잘못된 전술에 대한 사상투쟁을 강화하고 광범위한 학생들의 에너지를 우리 전열에 추가하도록 노력하겠다”1968年1月、第30回党大会における中央執行委員会統一見解는 견해를 보이는 등, 공산당과 비교해 신좌파・전공투 세력과 엄격히 구별되고자 하는 정도가 낮았다. 이시카와는 사회당의 이런 태도가 프라하의 봄과 문화대혁명 등 사회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이어지는 사건들에 대한 애매한 대응과 겹쳐 사회당 지지층이 대량으로 기권해 총선에 패배하고 이후 사회당에서 이탈한 사람들이 무당파층 증가에 결합되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반면 공산당은 당시 위원장 미야모토 겐지가 도쿄대 투쟁 분쇄를 직접 지도했다. 공산당은 육전협 이래 “민주연합정권의 수립”을 슬로건으로 삼아 의회주의로 전환해가는 과정에 있었고, 따라서 폭력투쟁를 내건 전공투와 대결했다. 도쿄대 투쟁 시 공산당 산하의 민청은 신좌파와 항쟁하는 사수대로서 새벽행동대를 조직하고 있었으나, 1969년 1월 야스다 공방전 전날 미야모토의 지도하에 게발트봉 하나도 남기지 않고 철수하면서 우치게바의 나쁜 이미지가 미치는 것을 피하는 데 성공했다.당시 민청 소속이던 인물들의 회고록으로서 다음 문헌들이 공산당 측에서 본 도쿄대 투쟁에 상세하다: 川上徹・大窪一志『素描・1960年代』、同時代社2007、第5章東大紛争前後、宮崎学『突破者』 = = 전공투 출신 유명인 = = 야마모토 요시타카: 도쿄대학전공투 의장. 재야과학사학자, 학원강사. 아키타 아케히로: 니혼대학전공투 의장. 이노세 나오키: 신슈대학전공투 의장.臼井敏男 『叛逆の時を生きて』 朝日新聞出版、2010年、143-146頁。 도쿄도지사 역임. 시오자키 야스히사: 신주쿠고교전공투 활동가.平井玄『愛と憎しみの新宿 半径一キロの日本近代史』ちくま新書、2010年、15頁。 제1차 아베 내각 관방장관, 제2차 아베 개조내각・제3차 아베 내각 후생노동대신 역임. 센고쿠 요시토: 도쿄대학전공투 활동가.臼井敏男 『叛逆の時を生きて』 朝日新聞出版、2010年、199-201頁。 간 내각・간 제1차 개조내각 관방장관 역임. 우에노 치즈코: 교토대학전공투 활동가.小熊英二『1968 上』新曜社、2009年、81頁。 여성주의 사회학자. 사카모토 류이치: 신주쿠고교전공투 활동가. 시오자키와 동기.平井玄『愛と憎しみの新宿 半径一キロの日本近代史』ちくま新書、2010年、15頁。 피아니스트. 타테마츠 와헤이: 와세다대학전공투 활동가.臼井敏男 『叛逆の時を生きて』 朝日新聞出版、2010年、123-129頁。 소설가. 테리 이토: 니혼대학전공투 활동가.産経新聞取材班 『総括せよ! さらば革命的世代』 産経新聞出版、2009年、27頁。 텔레비전 디렉터, 프로듀서. 하시즈메 다이사부로: 도쿄대학전공투 활동가.小熊英二『1968 上』新曜社、2009年、74頁。 사회학자. 야마우치 마사유키: 홋카이도대학 재학시 사학동 소속으로 활동.小熊英二『1968 上』新曜社、2009年、262頁。 역사학자. 야스히코 요시카즈: 히로사키대학전공투 활동가.https://www.asahi.com/and_M/20200221/9894662/ 일공민청 소속이었으나 베평련을 거쳐 전공투로 전향. 만화가. 시게노부 후사코: 메이지대학전학투 활동가. 공산주의자동맹 적군파 중앙위원, 일본적군 최고간부. = = 참고 자료 = = 岡本雅美/村尾行一 『大学ゲリラの唄 落書東大闘争』 (三省堂新書) イマニュエル・ウォーラーステイン 『大学闘争の戦略と戦術』 公文俊平訳、日本評論社、1969年 津村喬 「<逃走>する者の<知>-全共闘世代から浅田彰氏へ」『中央公論』99巻9号、1984年9月 日本大学文理学部闘争委員会書記局・『新版・叛逆のバリケード』編集委員会編著 『叛逆のバリケード:日大闘争の記録』 三一書房、2008年9月 山本義隆 『東大闘争資料集』全23巻、'68・'69を記録する会編、1992年(国会図書館に寄贈) 全共闘白書編集委員会 『全共闘白書』 新潮社、1994年 神津陽ほか 『全共闘30年-時代に反逆した者たちの証言』 実践社、1998年 神津陽 『極私的全共闘史-中大-1965‐68』 彩流社、2007年 - 例外的に学生側の勝利に終わった、65~69年の中央大学学費・学館闘争の指導的立場にいたものの証言。 宮崎繁樹 『雲乱れ飛ぶ 明大学園紛争』 私家版、2003年 島泰三 『安田講堂-1968‐1969』 中央公論新社〈中央公論新書〉、2005年 - 当時「本郷学生隊長」として安田講堂に立てこもる。 渡辺眸(寄稿・山本義隆) 『東大全共闘1968-1969』 新潮社、2007年 池田浩士『似而非物語』 インパクト出版、2005-京大「造反教官」第一号による、当時の京大闘争の資料及び竹本処分までの証言 小阪修平 『思想としての全共闘世代』 筑摩書房、2006年 - 三島由紀夫が東大全共闘と対話集会をもったときの積極的な学生側の発言者。 すが秀実 『革命的な、あまりに革命的な-「1968年の革命」史論』 国文社、2003年 小熊英二 『1968』 新曜社、2009年 千坂恭二 『思想としてのファシズム──「大東亜戦争」と1968』 彩流社、2015年 加藤尚武『進歩の思想・成熟の思想―21世紀を生きるために』(講談社学術文庫 、1997)東大紛争時、丸山真男と学生との対話の、大学助手の立場からの目撃の回想 丸山真男『自己内対話―3冊のノートから』(みすず書房、1998)ノートからの死後出版。学生との対話の回想含む 長谷川宏『丸山真男をどう読むか』(講談社現代新書、2001)当時丸山との対話を行った学生(ポストドクター)の一人。 西田慎 『ドイツ・エコロジー政党の誕生-「六八年運動」から緑の党へ-』 昭和堂、2009年 ISBN 978-4-8122-0960-8 -ドイツ「68年運動」の成果=緑の党の結成過程を追いつつ、日本の全共闘と比較。 『回想の全共闘運動-今語る学生叛乱の時代』彩流社、2011年10月 = 언더 더 문 = 언더 더 문(Under The moon)은 슈가빈즈가 제작한 2006년 작 여성향 18금 게임이다. 2007년 8월 24일에 팬 디스크 『Under The Moon ~달빛 그림책~』이 발매되었다. 또, 2009년6월에 플레이스테이션 2에서 이식판 『Under The Moon ~크레센트~』가 딤플에서 발매되었다. = = 등장인물 = = ※캐스트는 PC판/PS2판이다. 특히 표기가 없는 경우는 마찬가지. = = 설정 = = 무려 H 씬 온,오프 음성지원이 된다. 또한 퀵 세이브, 퀵 로드가 가능해서 엄청나게 편리하다. = = 스탭 = = 기획·원안·시나리오:히요 원화·캐릭터 디자인:토죠 세카나 음악:아루루 칸 오프닝 테마『Under The Moon』 작사·작곡·아루루 칸, 노래:杉崎和哉 엔딩 테마『This Love』 작사·작곡·노래:Antistar = = 관련 상품 = = Under The Moon 드라마CD 「저 달 아래에서(あの月の下で)」 2007년 1월 26일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 주제가 맥시싱글 「Under The Moon/This Love」 2007년 1월 26일 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 ドラマCD 「달 아래에서 잘자요(月の下でおやすみ)」 2007년 8월 24일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 사운드 트랙CD 「달빛 멜로디(つきいろメロディ)」 2008년3월 27일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 드라마CD 「마계에서 잘자요(魔界でおやすみ)」 2008년 3월 27일 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 드라마CD 「Love Letters」 2008년 8월 29일발매, L.Field(LadyBug Field) Under the Moon~크레센트~ 드라마CD 「달빛 캘린더(つきいろカレンダー)」 2009년 1월 30日발매, dimple = 나 (중국 성씨) = 루어([luó]羅)씨는 중국의 성씨이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백성들이 쓰던 성씨 중 하나이며, 선비족 등 소수 민족들이 사용하기도 한다. 기원전 759년(주나라 평왕 12)에 나국(羅國)에 봉해진 후손들이 고을 이름을 따서 성(姓)으로 삼은 것이 나씨(羅氏)의 시초가 된다고 한다. = = 어찌 나 那 = = 나씨(那氏)는 중국 성씨 순위 676위이다. 춘추전국시대 나국(那國) 백성들이 나씨 성을 썼고, 초나라 사람들이 나국에 들어와 살면서 나씨 성을 쓰기도 했다. = 분류:예멘의 민족 = =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미국의 소설가인 에드거 앨런 포가 집필한 추리 소설로, 그레이엄스 매거진(Grayam's Megazine)의 창간 편집장이었을 당시 잡지에 실어 발표하였다. 현대 추리·탐정 소설의 시초로 여겨지며, 탐정 캐릭터의 시초 가운데 하나인 오귀스트 뒤팽이 처음으로 등장한 작품이다. = 정갑철 = 정갑철(1945년 1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35·36·37대 화천군수를 역임했다. = 청주시립교향악단 = 청주 시립 교향악단(淸州市立交響樂團, Cheongju City Philharmonic Orchestra)은 충청북도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이다. 1973년에 창단된 청주관현악단을 모체로 1979년에 창단되었으며, 초대 상임 지휘자는 이상덕이었다. 1995년부터 비상임 단원 체제를 개편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단원 상임화를 시행하고 있다. 2010년 11월 현재 상임 지휘자는 유광이 맡고 있다. 주요 공연장으로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을 사용하고 있다. = 분류:폴란드의 남자 종합격투기 선수 = = 틀:Cpulist = = 사이드맨 (유튜브 그룹) = 사이드 맨은 KSI, Miniminter, Zerkaa, TBJZL, Behzinga, Vikkstar123 및 W2S로 구성된 영국 YouTube 그룹이다. 이 그룹은 2021년 4월 현재 약 2 천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다양한 YouTube 채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 멤버 = = 멤버는 다음과 같다. 올라지데 윌리엄스 올라툰지 – 온라인으로 알려진 KSI 사이먼 에드워드 민터 – Miniminter로 알려진 온라인 조슈아 브래들리 – 온라인에서 Zerkaa로 알려져 있음 토빗 존 브라운 – 온라인에서 Tobjizzle 또는 간단히 TBJZL로 알려짐 이선 리 페인 – 온라인으로 알려진 Behzinga 비크람 싱 반 – 온라인에서 Vikkstar123으로 알려짐 해리 크리스토퍼 조지 루이스 – 온라인에서 Wroetoshaw 또는 간단히 W2S로 알려짐 = = 역사 = = 일부 멤버들은 그룹이 형성되기 전에 서로를 알고 있었다. 브래들리와 브라운은 모두 런던의 벡스 레이 문법 학교에 다녔고 KSI와 Minter는 하트퍼드셔주의 버크햄식이 학교에 다녔다. 이 그룹은 2013년 10월 19일 그랜드 테프트 오토 온라인에서 "The Ultimate 사이드 맨"이라는 이름의 록스타 게임스 소셜 클럽 그룹에서 시작되었으며 루이스를 제외한 모든 회원이 포함되었다. 2014년 1월 브래들리는 뉴욕시에서 열린 FIFA 게임 이벤트에서 루이스를 만났고 그를 그룹에 초대했다. Minter는 그룹 이름을 설명하면서 비디오에서 "사이드 맨은 기본적으로 ...나는 기본적으로 그를 따라 다니는 JJ의 년이었다. " 2014년 2월 세종 학당, 민터, 브래들리, 반은 런던 근처에 있는 집으로 이사를 했고 이를 "사이드 맨 House",라고 부르며 더 자주 협업 할 수 있었다. 2020년 12월 1일, 그룹의 시조 YouTube 채널은 구독자 1,000만 명을 돌파했다. 그룹의 각 구성원은 이정표를 표시하기 위해 YouTube에서 다이아몬드 버튼을 받았다. = = = YouTube 콘텐츠 = = = 이 그룹에는 4 개의 YouTube 채널 인 사이드 맨, More사이드 맨, 사이드 맨Reacts 및 사이드 맨Shorts가 있으며,이를 통해 챌린지, 스케치 및 비디오 게임 해설을 포함한 다양한 비디오를 게시한다. 2018년부터이 그룹은 사이드 맨 채널에서 사이드 맨 Sundays라는 주간 비디오 시리즈를 출시했다. , 사이드 맨은 구독자 440 만 명, 조회수 12억 명, 사이드 맨 리 액트 구독자 수는 200만 명 이상이다. 2018년 6월 18일, 그룹 은 유튜브 프리미엄에서만 제공되는 '사이드 맨 쇼' 인터넷 텔레비전 시리즈를 출시했다. 여러 유명 인사와 함께 전 세계에서 촬영 된 7개의 30분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3월 사이드 맨은 "#StayHome"이라는 제목으로 20 분 분량의 YouTube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 동영상에는 영국에서 COVID-19의 확산을 줄이기위한 영국의 "집에 머물기"캠페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사이드 맨과 100 명 이상의 다른 YouTube 동영상 제작자 및 기타 유명인이 등장했습니다. 영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광고 수익 은 NHS에 기부되었다. = = = 기타 프로젝트 = = = 2014년부터이 그룹은 사이드 맨 의류 상품을 판매하고 배포했다. 2016년 10월 18일, 그룹 은 Coronet Books에서 출간한 '사이드 맨 : The Book'이라는 책을 발표하고 영국 전역의 프로모션 투어를 시작했다. 영국 최고의 베스트셀러 인이 책은 발매 후 3 일 만에 26,436 부가 팔렸다. 이 그룹은 다양한 자선 활동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3 개의 축구 행사를 주최했다. 2016년 첫 경기는 Southampton의 세인트 메리스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성도 재단을 위해 £ 110,000 이상을 모금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경기가 개최되었다. 밸리 스타디움을 위해 £ 210,000를 제기, 런던 NSPCC 와 찰턴 애슬레틱 지역 사회 신뢰, 와 젊은 마음을 위한 £ 65,747 신뢰와 찰턴 애슬레틱 지역 사회 신뢰, 각각. 2018년에는 Viker Limited가 제작한 '모바일 스포츠 게임 BoxTuber' 출시를 도왔다. = = 음반 = = 선택한 차트 위치 및 출시 연도의 싱글 표제 년 최고 차트 위치 최고 차트 위치 최고 차트 위치 최고 차트 위치 최고 차트 위치 표제 년 영국
영국




R & B
영국




Ind.
뉴질랜드




뜨거운
SCO
"선물" 2019년 77 40 11 27 26 = = 수상 및 지명 = = 년 장학금 범주 후보자 결과 2017년 영국 도서상 논픽션 : 올해의 라이프 스타일 북 2019년 쇼티 어워드 최고의 YouTube 앙상블 = 분류:초나라 사람 = = 주술적 사고 = 주술적 사고(呪術的思考, magical thinking, superstitious thinking)는 주술이 효과가 있다는 전제로 사물을 생각하거나 문제가 있을 때에 자기의 건전하고 합리적인 노력이 부족한 채로, 주술에 유사한 행동에만 따라 해결해 버리려는 사고를 가리킨다. 마술적 사고라고도 불린다. 진화 심리학적으로 생각하면, 불결한 냄새를 혐오해, 그 일반화로서 더러움을 꺼리는 것은 병을 예방하고 유전자를 늘리는 것에 연결돼, 어느 정도 합리성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 = 개요 = = 예를 들어 옛날 사람이 물리적인 현상인 천재지변의 원인을 신의 분노나 누군가의 원한에 있다고 생각하여 그에 대해 주술로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주술적 행위를 하였을 경우 그것을 주술적인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학 수험이나 자격 시험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에도 교과서나 문제집 등의 현실적인 해결법이 아니라 어떠한 주문을 이용하여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역시 주술적 사고라고 부를 수 있다. 또 근년의 큰 문제 중에서는 빈곤이나 실업이 증대하는 사회를 이성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지 않고 청소년이나 니트·프리터와 같은 사회적 약자나 소수파를 겨냥하여 증오나 불만을 표하는 행위도 주술적 사고라고 부를 수 있다. 다만, 건전하고 합리적인 노력을 날마다 겹쳐 쌓은 다음, 최고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미혹을 불식하거나 기력을 높이기 위해서 각종 종교 시설에 나가거나 하는 것은, 일본뿐만 아니라 온 세상의 문명국의 교양 있는 인물에 의해서도 넓게 행해지고 있는 행위이므로, 이러한 행위까지 “주술적인 사고”라고 은닉 밤으로 해도 좋은지 어떤지는 논의가 나뉘는 부분이다. 자신의 심신에 일어나는 심리 효과까지 미리 계산한 합리적인 행동이라고도 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굳이 말한다면, 근현대인이어도 그 행동의 상당수는 주술적 사고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점성술이나 혈액형에 영향을 받아 나가면서 신발끈이 끊어지면 신경쓰는 것은 많다. 또 언령을 금지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을 완수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패배를 입에 대지 않는, 영어를 적성어로서 금지하는 것으로 전쟁에 이기려고 하거나 차별어를 금지하는 것으로 차별을 없애려고 하는 일도 주술적 사고이다. 단검의 금지에 의해서 묻지마 범죄의 재발을 방지해, 또 라이터의 비행기 내 반입을 함으로써 항공기 납치 테러를 방지하자는 것도, 무엇인가를 금지한다는 행위로 방지가 된다는, 일반화된 행동을 합리성을 검토하지 않고 실시한다는 점으로 희생이나 의식에 유사해 주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것을 공포해, 그것을 특정의 대상에 대한 공격으로 하는 일도 생지·희생양과 같은 구조를 가져, 그것은 근세에서는 마녀 재판, 현대에도 대량학살·적색 공포·옴 진리교 신자 자제에 대한 인권침해·소아성애자에 대한 공포 등 많이 볼 수 있다. 범죄자의 공범이 아닌 가족이라도 혼담이 파담이 되어, 실직해 지역으로부터 쫓기는 등 박해되는 일도, 범죄가 더러워져가 혈연을 통해서 감염하고 있으면 간주하는 주술적 사고가 깊게 관련되고 있다. 한층 더 말하면, 미를 좋아하는, 청결이나 안전을 과잉에 요구하는 등 정상적인 심리와 병적인 엄선한 경계에 있는 정동도, 그 많게 주술적 사고와의 공통점이 있다. = WARC (파일 형식) = WARC (Web ARChive) 압축 형식은 여러 디지털 자원을 관련 정보와 함께 종합 압축 파일로 결합하는 방법이다. WARC 형식은 전통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에서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어 온 인터넷 아카이브의 ARC_IA 파일 형식의 개정판이다. WARC 형식은 웹 정보 의 수집, 액세스 및 교환 요구 사항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이전 형식을 더 범용적이도록 개정했다. 현재 기록된 기본 콘텐츠 외에도 개정판에는 할당된 메타데이터, 축약된 중복 감지 이벤트(§7.6 "revisit" 참조) 및 이후 변환과 같은 관련 보조 콘텐츠가 포함된다. WARC 형식은 유사한 헤더와 CRLF를 구분 기호로 사용하는 HTTP/1.0 스트림에서 영감을 얻어 크롤러 구현에 매우 유용하다. 2008년에 처음 제정된 WARC는 이제 대부분의 국립 도서관 시스템에서 웹 아카이브를 위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 소프트웨어 = = Java 의 Heritrix 웹 아카이버 wget (버전 1.14부터) Conifer, 이전 Webrecorder 스톰크롤러 아파치 너치 libarchive = 분류:대만의 여자 모델 = = 기원전 29년 = = = 연호 = = 전한(前漢) 건시(建始) 4년 = = 기년 = = 전한(前漢) 성제(成帝) 4년 신라(新羅) 혁거세 거서간(赫居世居西干) 29년 고구려(高句麗) 동명성왕(東明聖王) 9년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 콘스탄티노스 11세 드라가시스 팔레올로고스는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다. 1448년에 즉위하여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전사하였다. 그의 죽음은 아우구스투스가 즉위한 이래로 로마 제국의 최종 종말을 의미했다. = = 생애 = =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플)에서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와 마케도니아 지방 드라가슈 가문 출신의 세르비아인 아내 헬레나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냈으며, 1443년 모레아의 황제 소유영지를 통치하고 라틴인들을 완전히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1448년 형인 요한네스 8세 팔레올로고스가 자녀 없이 죽자, 다른 형제인 데메트리오스와 제위를 놓고 분쟁이 벌어졌는데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2세에게 중재를 요청한 결과, 콘스탄티노스가 결정되어 미스트라에서 황제로 즉위했다(1449년).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된 메흐메트 2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위협을 가해오자, 콘스탄티누스는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재결합에 동의함으로써 서유럽의 지원을 얻어내려고 노력했으나 끝내 무산되었다. 결국 가브리엘로 트레비사노가 이끄는 소수의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와, 주스티니아니 롱고가 이끄는 제노바 공화국 용병의 지원을 받아 독자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방위조직을 갖추는 등 갖은 노력을 다했지만 결국 메메드 2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의 군대의 침공하는 것을 막아낼 수는 없었다. 1453년 5월 29일 일화로, 사석포(우르반 대포)를 동원한 메흐메트 2세의 오스만 군이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마주보며 서있었을 때, 황제는 백마를 타고 3중 성벽을 지키는 8천 병사를 시찰하고 있었다.메흐메트 2세는 백마를 탄 그의 모습을 보고 '황제는 백마를 타는가?'라고 하며 타고 있던 흑마를 물리고 백마로 갈아탔다고 한다. 후에 메흐메트 2세가 스스로를 로마의 황제로 칭한 것을 생각나게 한다. 4900명 정도의 그리스인들(무기를 들 수 있는 남성에 수도승까지 모두 포함한)과 2000명의 자진해서 잔류한 외국 용병들이 메메드 2세를 맞아 싸웠다. 황제는 전선에 직접 나섰으며, "활을 쏘고 창을 던져라, 저들에게 로마인들의 후예와 싸우고 있다는 것을 알려라!" 라며 사기를 북돋았다고 한다. 그리고 메흐메트 2세의 항복 제안에 대해서는 이런 말을 남겼다. = = 콘스탄티노플의 함락과 죽음 = = 콘스탄티노플은 그 뒤에도 테오도시우스 성벽의 강력한 방어력을 바탕으로 몇번의 파상공세를 6천 남짓한 병사를 바탕으로 이겨낸다. 메흐메트 2세는 계속되는 실패로 원정을 지속할 지를 참모들에게 묻는다. 참모들은 딱 한 번의 총공세 이후에 황제와 평화 협정을 맺자고 제안하고 메흐메트 2세는 수긍한다. 마지막 공격지점은 외부 성벽 중 가장 약한 곳, 리쿠스강이 흘러드는 지점이었다. 황제는 첩자를 통해 공격지점을 들었지만, 방비를 단단히 하는 수 밖에 없었다. 바시-바주크에 의한 1차 공세, 정규군에 의한 2차 공세, 심지어 예니체리 군단의 3차 공세까지 모두 막아냈지만 비어있는 통로를 따라 올라간 오스만 병사가 탑에 오스만 군기를 세움으로써 성이 함락되었다고 생각해버린 병사들이 전의를 상실한다. 설상가상으로 방어전을 지휘하고 있던 용병대장 주스티니아니가 투르크군의 사격에 부상을 입고 방어선에서 이탈하여 배로 도망간다. 배로 옮겨진 주스티니아니는 회복하지 못하고 며칠 후 바다를 건너던 중 배 안에서 사망하고 만다. 주스티니아니가 부상으로 후송되자 방어군의 사기는 떨어졌고 황제가 근위대와 함께 최후의 저항을 하고있는가운데 수비군이 열려있는 비밀문을 잠그지못했고 그 문을 통해 오스만 군대가 난입해오면서 결국 성은 함락되고 만다. 그는 위의 유언을 남기며 적에게 돌진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그 후의 종적을 알려진 바가 없다. 마지막으로 적군에게 돌격하면서 자신의 몸에 달고 있던 황제로서의 상징물을 죄다 떼어냈기 때문에, 황제의 시체는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투르크인들은 황제가 신었다는 보라색 부츠를 근거로 '황제의 시신'을 찾아 목매달았지만, 그것이 황제의 주검임을 확인하는 정확한 사료는 없다. = = 기타 = = 당시에 "로마 제국은 창시자와 이름이 같은 황제의 치하에서 멸망한다"는 예언이 있다는 소문이 떠돌았는데 이 소문은 들어맞고 말았다. 흥미롭게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플라비우스 모마일루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도 로마의 첫 번째 왕 로물루스와 로마의 첫 번째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서로마 최후의 황제는 "풀라비우스 모마일루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작은 아우구스투스)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시신을 찾지 못했기 때문투르크인들은 황제의 시체를 찾아 그 목을 베어 매달았지만(시신에 신겨진 보라색 부츠를 근거로 판단함), 그 시체가 확실히 황제가 맞는지에 대한 그리스인이나 유럽인들의 기록이 없다.에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 그리스에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당시 천사들이 내려와 콘스탄티누스 11세를 구하여 대리석상으로 만들었으며, 투르크의 지배가 무너지고 그리스가 해방될 날 다시 부활하여 앞장서게 될 것이다.'라는 전설이 생겨났다. = 넬슨강 = 넬슨강은 북아메리카 북부의 중부 지역의 강으로 캐나다 매니토바주에 위치한다. 넬슨강의 총 길이는 2,575km(1,600mi)이며 평균 유량은 2,370 m3/s(3,100yd3/s)이다. 유역 면적은 982,900km2(379,500sq mi)이며 이 중에서 180,000km2가 미국에 위치한다. Atlas of Canada 넬슨강은 위니펙호로 흘러들어간 후 다시 하구인 허드슨만으로 빠져나가는데 위니펙호로부터 허드슨만까지의 넬슨강의 길이는 644km(400mi)이다. = 아르놀드 페랄타 = 아르놀드 파비안 페랄타 소사(, 1989년 3월 29일 ~ 2015년 12월 10일)는 온두라스의 축구 선수였다.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였다. 2015년 12월 10일, 그의 고향 라세이바의 한 쇼핑몰 주차장에서 총격으로 사망하였다. 18번의 총격으로 사망하였으며, 경찰은 강도로 인한 살인은 아닐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는 라세이바의 하르디네스 데 파스 세이베뇨스 묘지에 묻혔다.DiarioMas.hn – ¡Asesinaron al defensor Arnold Peralta! – 11 December 2015LaPrensa.hn – Asesinan al futbolista hondureño Arnold Peralta – 11 December 2015 = 분류:레소자보츠크 출신 = = 그린 북 = 그린 북(Green Book) 또는 더 그린 북(The Green Book)은 다음을 의미한다. 녹색서(The Green Book): 리비아의 국가 원수 무아마르 카다피가 쓴 책 그린 북 (영화): 2018년 드라마 영화 The Little Green Book: 루홀라 호메이니가 발행한 컬렉션 The Green Book: The Land and the Nation의 다른 이름. 1925년 영국 자유당의 출판물 Nonattainment Areas for Criteria Pollutants: 미국 환경보호청 = 신대석성로 = 신대석성로(Sindaeseokseong-ro)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북이삼거리와 진천군 초평면 진암삼거리 잇는 충청북도의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 진천군 (초평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비고 북이 삼거리 지방도 제592호선(충청대로)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신대 삼거리 지방도 제540호선(팔결신대로)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용계 사거리 화상석성로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석성교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석성교 진천군 초평면 초평면 진암 삼거리 지방도 제508호선(중부로) 진천군 초평면 초평면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북이면 행정복지센터 (신대석성로 10/신대리 4-8) 북이면자치센터 (신대석성로 10/신대리 4-8) 북이보건시소 (신대석성로 10/신대리 4-8) HD현대오일뱅크 대율주유소 (신대석성로 163/대율리 272-12) 세븐일레븐 청주북이대율점 (신대석성로 231/대율리 319-11) CU 청주북이용계점 (신대석성로 256/용계리 595-1) = 분류:CD 바스코니아 = = 분류:과테말라의 정당 = = 분류:유형별 예술 = = 틀:유닉스 셸 = = 슈퍼 바람돌이 = "슈퍼 바람돌이"(슈퍼 바람돌이 - 폭풍전야 편)는 한국에서 제작된 박용호 감독의 1988년 영화이다. 비룡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유영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비룡 홍명진 = = 기타 = = 원작자: 박용호 조명: 구석진 = 분류:1917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분류: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앤서 = 앤서는 다음을 의미한다. 앤서(answer): 질문에 대한 답변 또는 응답 ANSWER (Only this time의 노래) Answer (동방신기의 노래) LOVE YOURSELF 結 'Answer' 앤서속(anser) = 분류:나라별 프로레슬링 = = 임금피크제 = 임금피크제(賃金peak制)는 일정 연령이 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면서 그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이다. 임금이 근속년수에 비례에 계속 상승하는 대신 생산성이 최고인 연령에서 절정(피크)에 달한 후 감소하는 방식이다. 미국·유럽·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공무원과 일반 기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2001년부터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신용보증기금이 2003년 7월 1일부터 '일자리를 나눈다'는 취지에서 임금피크제를 적용한 것이 처음이다. = = 도입 배경 = = 한국 기업의 임금피크제의 도입은 1998년 경제위기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생산성과 인건비용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기업 경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영자와 근로자 간의 합의의 결과라 볼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연공서열에 의한 임금제도 하에서의 고령자들의 고임금 비용구조로 인한 기업경영의 어려움과 고령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정년 보장에 대한 불안감 두 가지가 공존하는 상태에서 임금피크제는 노사 각자가 가진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는 공동의 방안으로 실행되었다. 임금피크제의 종류 정년연장형 재고용형 근로시간단축형 기존의 정년을 연장하면서 임금을 줄이는 방식 정년퇴직 후 재고용하면서 임금을 줄이는 방식 근로시간 (노동시간)만 단축하는 방식 = = 도입 현황 =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에서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를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378개 계열사 중 47%인 177개사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177개사 사업장은 사무직 뿐만 아니라 생산직(기술직)에도 제도를 적용했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있지 않은 그룹 계열사도 정년 60세 의무화 시기를 전후하여 임금피크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7월) 대한민국에서는 신용보증기금이 2003년 7월부터 최초로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신용보증기금이 운용하는 임금피크제는 워크 셰어링을 응용한 것으로, 정년인 58세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대신 만 55세가 되는 해부터 1년차에는 원래 받던 임금의 75%, 2년차에는 55%, 3년차에는 35%를 받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만 55세가 되는 근로자는 퇴직금을 받은 뒤, 일반직에서 별정직 등 다른 직책으로 바꿔 근무하게 되는데, 개인의 능력에 따라 최대 60세까지 일할 수 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2015년 8월 27일 노사합의 및 이사회 의결을 통해 임금피크제 도입을 확정하여 2016년 1월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적용 대상은 전문 계약직을 제외한 전 직원이며, 현행 58세인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면서 임금을 감액하는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이다. 공단은 부서별 업부와 직원 의견을 반영해 연금교육 및 퇴직예정자 교육 강사, 퇴직공무원지원센터 지원, 연금제도·경영분야 조사 연구 등 임금피크 대상자 적합 직무를 개발하여, 임금피크제 대상이 되면 직무도 바뀌게 된다. 제도 도입으로 인한 추가 신규 채용 목표는 2016년 22명, 2017년 27명이다. = = 쟁점 사항 = = 고용노동부에서는 '고령화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장년 노동력의 적극적 활용은 장년 개인에게는 취업기회 확대와 고용의 질 개선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생활 기반 마련, 기업은 숙련 인력 활용 및 세대간 기술전수로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 '국가 전체적으로는 노동 공급확대를 통한 성장동력 유지, 연금 및 복지비용 등 국가재정 부담 감소, 청년층의 부양 부담 감소 및 일을 매개로 한 세대간 통합효과 제고 등에 기여할 수 있음', '합리적 임금체계 개편이 수반되지 않는 정년연장은 장기적으로 기업 부담을 가중하게 되고 이는 장년고용에도 부정적 영향을 줌'을 이유로 임금피크제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서는 '법질서를 혼란스럽게 한다.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취업규칙을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 노조나 근로자 과반의 동의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노동자의 의견을 무시한 채 취업규칙변경 조건 완화를 통해 임금피크제 도입을 추진하여 법질서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정년연장으로 인해 기업의 인건비 총액은 증가되어 신규일자리 발생은 많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민간기업의 경우 임금피크제로 인한 인건비 절감액을 신규채용에 투자할 것이라 담보할 수 없다',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 임금피크제는 대안적 임금체계로서 청년실업의 근본적 대안이 될 수 없음에도 이를 청년실업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하는 것은 청년층과 기성세대의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다. 또한 노동자 동의 없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민간기업까지 이어진다면 노‧사‧정 그리고 계층 간의 갈등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 '인건비 절감이나 인력 구조를 변경하는 목적만 악용할 소지가 있다. 임금 수준을 낮추는 편법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임금이 높은 편인 공기업들은 정년이 늘어나서 자체 노령자 구제 수단의 일환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임금피크제의 문제점을 주장하고 있다. 일부 회사들은 임금피크제의 원래의 취지와 조건에 해당하는 '호봉제'가 아닌, '등급제'를 적용 중임에도 본 제도를 도입하여 구설수에 오르고 있기도 하다. = = 참조문헌 = = 이희자, 60세 정년 관리와 임금피크제, 행정경영자료사, 2014. 박성준, 우리나라 임금피크제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경제연구원, 2009. 고진수, 임금피크제의 합리적 도입방안과 정책과제, 한국경영자총협회, 2007. 임공수, 임금피크제의 문제와 운용 고용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올리브나무, 2007. 고진수, 임금피크제 매뉴얼 도입 설계 운용을 위한 임금피크제 매뉴얼, 한국재정경제연구소, 2006. 박성준, 임금피크제 도입기업 지원방안의 문제점, 한국경제연구원, 2006. 전근오, 임금피크제 도입 운용 인사 노무관리의 이해, 2005. 신정식, 한국형 임금피크제, 한국경영개발협회, 2005. = 분류:기독교 급진주의자 = = JTV 뉴스 (1100) = JTV 뉴스 (1100)는 JTV MAGIC FM(FM 90.1MHz)에서 평일 오전 11시에 방송되었던 라디오 뉴스 프로그램이다. = 쿠팡플레이 = 쿠팡플레이 (Coupang Play)는 대한민국의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에서 운영하는 OTT 서비스이다. 대한민국 지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로 운영되고 있다. 2020년 10월 26일 정식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 = 역사 = = 2020년 10월 26일 정식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안드로이드 공식 앱으로 우선 출시되었다. 쿠팡의 로켓배송 서비스 무료 이용권인 '쿠팡 와우' 멤버십 가입자라면 소정의 구독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계정 하나당 최대 4개의 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 잠언집 = 도덕에 대한 성찰과 잠언 또는 간단히 잠언집은 프랑스 모럴리스트 프랑수아 6세 드 라 로슈푸코 공작이 1665년 집필한 격언집이다. 1665년 초판 발행 이후 생전에 제5판 발행까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궁정 생활을 바탕으로 새로운 생각들을 추가하여 더욱 간결하고 명료하게 하는 개고·수정을 거듭하였다. = = 내용 = = 라로슈푸코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인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에 대한 이기심과 자기애를 바탕으로, 간결 명확하고 예리한 통찰력으로 격언을 썼다. "우리가 미덕(美德)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때때로 위장된 악덕에 지나지 않는다."라든가, 아니면 "우리의 술책은 교묘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여러 행위나 모든 이해관계를 끌어모은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남자가 용감하고 여자가 정숙한 것은 반드시 그 용감, 그 정숙 자체에 의한 것은 아니다."라는 격언에서 보듯이 라 로슈푸코는 '막심'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의 여러 가지 행동 일체를 자기애와 이해에 의해서 신랄하게 묘사한다. 고민과 절망에 가득 찬 자기의 반생에 대한 심각한 반성에서 생긴 이 페시미즘은 미덕이 가장된 악덕에 불과하다는 것을 철저하게 폭로하였지만 그러나 인생 자체는 결코 부정하지 않는다. 그것은 외견만의 미덕을 파괴하고 당시의 사교계에서 이상적 인간 유형으로 생각되었던 오네트옴(良識人)에게 있어서 끊임없는 반성이야말로 필수조건이라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순수하고 다른 정념이 섞이지 않는 사랑이 있다면 그것은 마음 속 깊이 숨겨져 우리들 자신이 알지 못하고 있는 사랑이다."에서 라 로슈푸코는 그것을 탐구하여 우리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 = 참고 = = Réflexions ou sentences et maximes morales et réflexions diverses, Éd. Laurence Plazenet, Paris, Champion, 2002 Susan Read Baker, Collaboration et originalité chez La Rochefoucauld, Gainesville, University Presses of Florida, 1980 Jean de Bazin de Bezons, Vocabulaire des “Maximes” de La Rochefoucauld, Paris, Fauteur, 1967 Edmond Dreyfus-Brisac, La clef des Maximes de La Rochefoucauld, Paris, E. Dreyfus-Brisac, 1904 Françoise Jaouën, De l’Art de plaire en petits morceaux : Pascal, La Rochefoucauld, La Bruyère, Saint-Denis, Presses universitaires de Vincennes, 1996 Jean Lafond, La Rochefoucauld : augustinisme et littérature, Paris, Klincksieck, 1977 Jean Lafond, La Rochefoucauld : l’homme et son image, Paris, H. Champion, 1998 René Pommier, Études sur les Maximes de La Rochefoucauld, Saint-Pierre-du-Mont, Eurédit, 2000 Piero Toffano, Claire Bustarret, Poétique de la maxime : la figure de l’antithèse chez La Rochefoucauld, Orléans, Paradigme, 1998 Gustave Vapereau, Dictionnaire universel des littératures, Paris, Hachette, 1876, p. 1192-3 = 분류:1896년 완공된 교량 = = 고네스 = 고네스는 프랑스 북부 일드프랑스 발두아즈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20.09km2, 인구는 26,593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1,300명/km2이다. 파리에서 16.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엘리자 = 엘리자는 다음을 가리킨다. 엘리자 쿠프(Eliza Coupe): 미국의 배우 엘리자 테일러(Eliza Taylor):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엘리자 효과(ELIZA effect) 엘리자 우드(Elijah Wood): 미국의 배우 = 인제터널 = 인제터널(麟蹄터널)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에 위치한 국도 제44호선 및 국도 제46호선 상의 터널이다. 인제 ~ 신남간 도로 확포장 공사 때 건설된 것이며, 이 터널과 함께 인제대교가 개통되면서 이 구간을 통과하는 소요시간이 약 10분 정도 단축되었다.신남~인제간 4차로 확장 개통, 머니투데이, 2002년 11월 12일 작성. = = 연혁 = = 1995년 12월 : 인제 ~ 신남간 도로공사 착공과 함께 터널 공사 착공 2001년 : 터널 준공 2002년 11월 13일 : 인제 ~ 신남간 도로 개통과 함께 개통 2002년 12월 21일 : 도로 사용 개시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2-144호, 2002년 12월 21일. = 모듈:ISO 3166/data/GG = = 서적상 (소설) = 서적상(Le libraire)은 제라르 베세트의 소설이다. = = 소개 = = 이 작품이 출간된 1960년은 퀘벡 주의 조용한 혁명이 시작된 시기다. 퀘벡 사회를 지배하던 지배 세력에서 벗어나 ‘과거의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찾으려는 기운이 충만했던 때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는 문학계에도 영향을 미쳐 퀘벡 사회를 지배하던 성당 세력과 그들이 내세웠던 가치관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서적상≫은 이 시기 문학계의 흐름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나중에 반체제 문학 대열에 참가한 다른 작가들에게 길잡이가 되어 준 작품이다. 조용한 혁명은 물론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벌써 1940년대에 조금씩 일기 시작하던 사회 변화가 1950년대를 거치면서 무르익어 1960년대 조용한 혁명으로 이어졌다. ≪서적상≫의 시대적 배경은 1950년대로, 조용한 혁명이 일어나기 전 뒤플레시를 주 수상으로 한 권위 정부의 시기, 즉 암흑기(1945∼1959년)의 후반이다. 이 시기에는 텔레비전의 출현뿐 아니라 시골을 버리고 도시로 이주하는 이농 현상과 도시화, 중산층의 확대, 노조의 형성과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현상에 맞서기 위해서 전통 엘리트 계층(의사, 치과 의사, 변호사, 성직자 등)은 더욱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고 교육과 지식을 관할하던 고위 성직자들은 금서 목록을 만들어 주민의 사고까지 조정하려 했다. 모든 권리가 하느님에게서 오기 때문에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사고와 생활윤리, 도덕 면에서 성당의 간섭을 받고 있던 주민들의 태도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고 성당의 세력도 점차 약해졌다. 1959년에 뒤플레시가 죽고 1960년대로 접어들면서 장 르사주가 이끄는 퀘벡 자유당이 들어서서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의 정체성 확보와 공립 복지국가 건설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고위 성직자 대신 공무원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정부와 성당이 분리되어 성당이 차지하고 있던 권력이 정부로 이양되었고 산업화와 도시화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도시화가 확대되면서 도시는 시골과 달리 과거의 가치관, 성당의 반대 세력의 상징이 되었다. 1980년에 문학적 공헌을 인정받아 퀘벡 문학계의 가장 명망 높은 아타나즈다비드 상을 받은 제라르 베세트의 대표작으로, 주인공 에르베 조두엥을 통해 성당의 권위와 억압에 반항하는 암흑기 말기의 퀘벡 사회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퀘벡 문학의 대표 작품 중 하나로 많은 문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으며, 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읽힌 작품이다. 현재 퀘벡 주의 대다수 고등학교의 필독 도서며 1961년 문학위원회 대상을 받은 작품이다. = = 줄거리 = = ≪서적상≫은 주인공 에르베 조두엥을 통해 성당의 권위와 억압에 반항하는 암흑기 말기의 퀘벡 사회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몬트리올 출신 주인공 에르베 조두엥은 지식인이지만 야망도 희망도 없이 사는 사람이다. 게으르고 성격도 항상 삐딱하다. 살기 위해 할 수 없이 일을 하는 사람이며 아무 할 일이 없는 일자리를 찾는다. 바깥세상에 완전히 무관심하다. 한때 책도 많이 읽었고 아는 것도 많지만, 특별히 좋아하는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다. 처음엔 성직자들이 운영하는 중학교에서 복습 교사로 일했지만 실직하자 새 직장을 찾기 위해 정부 기관인 취업 알선소에 가게 되는데 거기서 우연히 만난 학교 동창의 소개로 몬트리올에서 몇 시간 거리의 생조아생이라는 작은 도시에 있는 한 서점의 서적상 자리를 얻게 된다. 생조아생은 성당의 영향이 주민의 생활 모든 면에 편재(遍在)하는 곳이었다. 길 이름까지도 성인들의 이름에서 따왔을 뿐 아니라 퀘벡 주의 고위 성직자들이 발간한 금서 목록을 가지고 서점이 판매할 수 있는 서적을 감시하면서 주민의 사고까지 주도했다. 어느 누구도 성당 세력에 불복하거나 반항할 수 없었다. 사고방식이 좀 더 개방된 도시 출신 주인공 에르베는 성당의 권위나 생조아생 사람들의 도덕관념에 조금도 개의치 않는다. 서점 사장이 아무도 모르게 간직하고 있던 금서들을 성당 몰래 “믿음이 가는 독자”들에게만 팔아 달라고 요구했을 때 망설이지 않는다. 어느 날, “위험한 독자”로 낙인찍힌 한 중학생이 금서 목록에 있는 서적을 찾았을 때 에르베는 그 중학생에게서 자신의 옛 모습을 발견하고 그 책을 팔게 된다. 결국, 그 지역 관할 신부들이 이 사실을 알게 되자 궁지에 몰린 사장은 신부들을 미궁에 빠트리고 책망을 피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 에르베에게 실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에르베는 자기만의 획책으로 신부와 사장을 동시에 따돌리고 혼자만의 이익을 챙긴다. = = 참고 자료 = = 김명희 역, 지만지 2012년, = 1904년 하계 올림픽 체조 남자 도마 = 1904년 하계 올림픽 체조 남자 도마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1904년 하계 올림픽 체조의 세부 종목이다. 10월 28일에 진행되었고, 참가 선수 중 상위 5명의 선수와 경기 결과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다. = = 경기장 = =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세인트루이스 전 경기 세인트루이스 프랜시스 필드 Francis Field 전 경기 = = 경기 결과 = = 순위 선수 기록 rowspan=2 36 31 4-5 4-5 = = 메달리스트 = = 남자 도마 없음 남자 도마 없음 = 분류:기원전 199년 = = 그 남자가 나를 안았다 = "그 남자가 나를 안았다"(Infatuation)는 한국에서 제작된 임나무 감독의 2002년 영화이다. 김덕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김덕은 홍우진 = = 기타 = = 음향: 서석준 음향: 백승록 미술: 왕성익 = 분류:조지아에 거주한 세네갈인 = = 웨인 스태틱 = 웨인 스태틱(, 1965년 11월 4일 ~ 2014년 11월 1일)은 미국의 음악가이다. = 분류:USV 엘링크베이크 = = In the Aeroplane Over the Sea = In the Aeroplane Over the Sea는 미국의 록 밴드 뉴트럴 밀크 호텔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이다. 1998년 2월 10일 머지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인디 록과 사이키델릭 포크 장르의 음반으로, 의도적인 낮은 음질의 사운드 연출이 특징이다. 기타와 드럼처럼 전통적으로 쓰이던 악기와 싱잉 소, 일리언 파이프, 잔지토폰같이 음악에 자주 안 쓰이는 악기가 함께 사용된다. 가사는 초현실적이고 불투명하며, 주제는 향수부터 사랑까지를 다루고, 안네 프랑크의 일기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기도 했다. 1997년 7월부터 9월까지 펫 사운즈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In the Aeroplane Over the Sea는 밴드의 첫 정규 음반 On Avery Island의 로파이 사운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밴드리더 제프 맨검과 함께 프로듀서로 로버트 슈나이더가 참여하였다. 슈나이더는 디스토션을 유도하기 위해 기타 페달이나 이펙터 같은 스튜디오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컴프레서를 활용한 녹음 기술을 개발하였다. 음반을 홍보하기 위해 뉴트럴 밀크 호텔은 북미와 유럽을 돌며 혼란스럽고 육체적으로 힘든 공연으로 인지도를 얻었다. 발매 당시 음반은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극찬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추종자들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맨검은 새로운 관심에 대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하지만 공연하고 자신의 가사를 설명하는데 지쳐 대중의 눈에서 사라졌다. In the Aeroplane Over the Sea는 발매 이후 몇 년 동안 음악 평론가들 사이에서 인디 록의 랜드마크 격 음반이자 1990년대 최고의 음반 중 하나라고 칭송받았다. = 틀:User io-3 = = 틀:ITZY = = 정정기 = 정정기(, , 1952년 3월 19일 ~ )는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이다. = = 생애 = = 1980년 11월 4일 제2기 소방간부후보생으로 소방에 입문해 중앙119구조대장, 인천남부소방서장,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장, 소방방재청 대응관리국장, 제22대 서울소방재난본부장, 초대 소방산업공제조합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 경력 = = *1980년 11월 : 부산중부소방서, 부산진소방서 *1984년 12월 : 부산사하소방서 예방, 소방, 장비계 *1987년 6월 : 동래소방서 방호계 *1992년 4월 : 부산소방본부 방호과, 동래소방서 *1996년 3월 : 초대 중앙119구조대장 *1997년 7월 : 인천소방본부 소방행정과장, 인천서부소방서장, 인천남부소방서장 *2000년 8월 : 행정자치부 예방과 기술담당 *2002년 7월 : 제주소방방재본부장 *2004년 1월 : 행정자치부 소방국 소방행정과장 *2004년 6월 : 소방방재청 대응관리국장 *2005년 9월 : 소방방재청 소방대응본부장 *2006년 3월 : 제18대 중앙소방학교장 *2007년 6월 : 서울소방재난본부장 *2009년 4월 : 초대 소방산업공제조합 이사장 = = 학력 = = *1987년 2월 : 부경대학교 건축공학 공학사 *1989년 8월 : 동아대 경영대학원 경영학 경영학석사 *2007년 3월 : 서울시립대 대학원 재난과학 박사과정 = = 표창 = = *1999년 11월 : 대통령 표창 *2004년 2월 : 홍조근정훈장 = 분류:40년 = = 능가사 = 능가사(楞伽寺)는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69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다. = = 역사 = = 능가사는 고흥 능가사 사적비에 의하면, 신라 눌지왕 3년(419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였고, 창건 당시에는 ‘보현사’라 이름하였다 한다.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버린 것을 인조 22년(1644년) 정현대사가 다시 건물을 지어 ‘능가사’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사천왕상이 있는 천왕문은 조선 현종 7년(1666년)에 처음 지어진 후 순조 24년(1824년), 1931년에 다시 고쳐 지어졌다. = = 소장 문화재 = = 고흥 능가사 대웅전 - 보물 제1307호 고흥 능가사 동종 - 보물 제1557호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 보물 2137호 고흥 능가사 사적비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70호 고흥 능가사 목조사천왕상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24호 고흥 능가사 추계당 및 사영당 부도 -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64호 = 파나규리슈테 = 파나규리슈테는 불가리아 파자르지크주의 도시로 높이는 550m, 인구는 17,959명(2009년 12월 기준)이다. 도시 이름은 그리스어로 '축제'를 뜻하는 '파니귀리스'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스레드나고라산맥과 접하며 소피아에서 동쪽으로 91km, 파자르지크에서 북쪽으로 43km, 즐라티차에서 남쪽으로 37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인근에 위치한 코프리프슈티차에 비해 관광객은 적은 편이다. = 신다르 = 신다르(Sindar)는 실마릴리온, 후린의 아이들, 반지의 제왕, 호빗에 등장하는 수많은 요정의 분파 중 하나다. 텔레리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이름의 뜻은 회색요정이다. = = 개요 = = 신다린으로 회색의 요정이라는 뜻이다. 발리노르로 향하는 여정 중에 실종된 엘웨를 기다리던 텔레리의 일부가 그대로 벨레리안드에 정착한 요정들을 일컫는 말로, 후에 엘웨가 멜리안과 돌아와 이름을 싱골로 바꾸었을 때 신다르라 불리게 된다. 신다르는 두 영생목의 빛을 보지 못했기에 모리퀜디였지만 싱골은 빛을 목격했기 때문에 칼라퀜디였다. = = 특징 = = 왕족인 싱골과 그 혈족을 중심으로 은발이 드물게 존재하며, 그 외 대부분은 흑발이라 전해진다.루시엔은 싱골의 딸이었지만 흑발이었다. 다른 텔레리들처럼 놀도르와 바냐르에 비해 체격이 작고 무력이 약한 편이었지만 활에 소질이 있었다.다만 싱골은 일루바타르의 자손 중 가장 키가 컸다 노래에 소질이 있었으며, 가장 뛰어난 가수로 뽑히는 요정도 신다르인 다이론이었다. = = 역사 = = 실종된 엘웨가 멜리안과 돌아온 뒤 엘웨는 남아있던 텔레리들을 이끌고 요정왕국 도리아스를 세운다. 그 뒤 엘웨는 이름을 싱골로 바꾸었고, 그를 따르던 텔레리들도 신다르로 불리게 된다. 도리아스는 멜리안의 가르침과 싱골의 통치 아래 발리노르에 있던 바냐르와 놀도르, 팔마리에 비견될만큼 번영한 왕국을 이루었다. 나무의 시대가 끝날 무렵 옹골리안트를 시켜 두 영생목을 말려죽인 모르고스는 벨레리안드로 돌아온다. 모르고스는 두 군세를 각각 싱골과 팔라스림에 보내 싸우게 했다. 이 전투가 벨레리안드의 첫 전쟁이다. 이 전투에서 신다르는 큰 피해를 입었고, 이때부터 도리아스는 멜리안의 장막이라는 안개 장벽을 펼쳐 쇄국정책을 펼쳤다. 이 전쟁 이후 모르고스를 쫓아온 페아노르와 망명 놀도르에 의해 다고르 누인길리아스(별빛 속의 전투)가 일어난다. 전투가 끝난 후 망명 놀도르가 저지른 동족학살에 대해 알게 된 싱골은 놀도르에게 퀘냐 사용을 금지하고 도리아스 내에서 사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예외적으로 갈라드리엘과 그의 오빠들은 학살에 참여하지 않았고 싱골의 친척이었기 때문에 도리아스에 사는 것이 허용되었다. 태양의시대 제 1시대에 인간 베렌이 멜리안의 장막을 통과하여 도리아스에 도착했을 때 그는 싱골의 딸이자 일루바타르의 자손 중 가장 아름다운 루시엔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 소중한 딸이 인간과 결혼하는 걸 바라지 않았던 싱골은 멜리안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베렌을 죽일 목적으로 실마릴을 가져오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베렌은 루시엔과 후안의 도움을 받아 실마릴을 가져오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베렌이 가져온 실마릴은 신다르가 겪게 될 많은 불행을 몰고 온다. 시간이 지난 뒤 싱골이 실마릴을 나우글라미르에 박아넣으려고 난쟁이들에게 의뢰를 맡기나 난쟁이들도 실마릴의 아름다움에 취해 이를 욕심내게 된다. 결국 싱골은 탐욕에 눈이 먼 난쟁이들에게 살해당한다. 베렌에 의해 나우글라미르는 되찾았지만, 싱골의 죽음에 상심한 멜리안이 가운데땅을 떠나자 도리아스를 보호하던 장막도 사라진다. 싱골의 뒤를 이어 디오르 엘루킬이 왕이 되었으나 실마릴을 탐한 페아노리안이 일으킨 동족 살상에 의해 사망하고 도리아스는 멸망한다. 이때 디오르의 딸 엘윙만이 살아남아 실마릴을 가지고 도리아스 난민을 이끈다. 이후 도리아스 난민은 남쪽으로 내려가 시리온 하구에 자리 잡았다. 그러나 엘윙이 실마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세번째 동족 학살이 일어났다. 엘윙은 실마릴을 지키기 위해 몸을 절벽에서 던졌다. 그녀의 아들 엘론드와 엘로스는 간신히 살아남았다. 분노의 전쟁이 끝나고 제 2시대와 제 3시대를 거치며 점차 요정의 세력이 쇠퇴해져 갈 때, 난도르는 신다르와 놀도르 왕족을 지배자로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왕족인 엘론드와 키르단, 갈라드리엘은 요정의 세반지 빌랴, 네냐, 나랴의 힘을 이용해 회색항구, 리븐델, 로스로리엔을 요정들의 마지막 보루로 만들었으며, 스란두일은 어둠숲을 다스리게 되었다. 반지전쟁이 끝나고 난 뒤인 4시대에는 대부분의 요정이 가운데땅을 떠났다. 이처럼 신다르의 역사는 난쟁이들과 놀도르의 불화가 얽혀있었다. 신다르는 위대한 군주 싱골을 살해했던 난쟁이들을 싫어했으며 수많은 동족살상을 저질렀던 놀도르에 대해서도 좋지않은 감정을 가졌다. = = = 주요 사건 = = = 벨레리안드의 첫 전쟁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 요정의 동족살해 반지전쟁 = = 기타 = = 신다르는 폐쇄적인 성향이 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수많은 요정 분파, 다른 종족 간에 혈연성이 있다. 특히 엘론드의 경우에는 마이아의 혈통과 요정의 세 분파 바냐르, 놀도르, 텔레리와 인간의 세 가문 베오르, 할레스, 하도르의 혈통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 분류:인도의 종합 스포츠 클럽 = = 한국농공학회 = 한국농공학회는 농공기술자 상호간 학문연구. 기술을 연마하여 농공기술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57년 1월 26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35-4 과학기술회관 본관 205호에 있다. = = 주요 사업 = = 농업공학에관한 조사 연구, 기술개발 및 성과의 보급 농업공학에 관한 기술교류와 기술지도 농업공학에 관한 정보교한과 자료수집 정부 및 관련단체가 시행하는 사업에의 참여 및 협력 학회지, 연구보고서 및 관련서적의 발간 연구발표회, 학술강연회 및 간담회의 개최 회원 상호간의 친목 및 권익신장을 위한 사업 기타 학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사업 = 분류:양평군의 지리 = = 분류:프로세스 = = 파일:Hyundai dep.jpg = = = 파일의 설명 = = 현대백화점 압구정지점 = 성기웅 = 성기웅(1974년 ~ )은 한국의 연극 작가이다. = = 생애 = = 1974년에 태어났다. 2004년, 직접 쓰고 연출한 <삼등병>에서 강압적인 군대 조직 안에서 갈등하는 동시대 젊은이들의 초상을 독특한 감각으로 그려 내며 평단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형사 홍윤식>(2007), <소설가 구보 씨의 경성 사람들>(2007) 등을 통해 일제시대와 근대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드러냈다. 아픈 역사 가운데서도 낭만을 포착해 예리하게 묘사하는 능력을 보여 준다. 문학적 감수성과 언어적 상상력을 겸비한 극작과 섬세하면서도 재기 발랄한 연출을 선보이며 극작가 겸 연출가로 활동 중이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히라타 오리자의 <과학하는 마음> 3부작을 번역, 연출했고, 2011년에는 <과학하는 마음−숲의 심연 편>을 각색, 연출했다. 그 밖에 대표작으로는 <깃븐 우리 절믄 날>(2008), <소설가 구보 씨의 1일>(2010), <다정도 병인 양하여>(2012)가 있으며 체호프의 <갈매기>를 각색한 한일 합작 연극 <가모메>(2013)를 쓰고 협력 연출로 참가했다.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상(2011), 오늘의젊은예술가상(2013), 두산연강예술상(2013) 등을 수상했다. 현재 극단 제12언어연극스튜디오를 이끌고 있다. = 몰타의 관광 = 몰타의 관광은 몰타의 경제 주요 수입원으로, 몰타 국내 총생산(GDP)의 15퍼센트를 차지하며, 이를 관광환경문화부 산하의 몰타 관광청이 관리, 감독하고 있다. 몰타에는 지중해에서의 수상 활동 뿐만 아니라 몰타 섬의 다채로운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관광 자원이 많이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 관광의 메카로도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정부가 영국의 의료 관광객을 많이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9년에 몰타에 방문한 사람 수는 2008년의 수치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떨어졌는데, 국가 전체적으로 여행 산업이 2008년에 비해서 8퍼센트 떨어졌다. 또한 유럽 연합 내 방문 (특히 유로존 국가 내 방문)보다 유럽 연합 이외 지역에서의 방문 하락이 더 컸는데, 이에 비해 평균 체류 기간은 2008년과 2009년이 같은 수치였다. 몰타를 방문하려면 비자가 필요한데, 비자를 필요로 하는 나라들은 이미 유럽 연합 규칙에 따라 표준화되었다. 셴겐 지대 비자 또는 유럽 연합 시민권을 가진 방문자는 몰타를 방문하는 데에 비자가 전혀 필요치 않은데, 이 때문에 최근 몇년간 몰타의 관광 산업은 작은 국토와 적은 인구와 관련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은 특히 성수기인 7, 8월에 자원과 산업 기반 시설(식수, 오수 관리, 해변, 도로)의 확장과 관련 있다. = 분류:2007년 브라질 = = 라이브러리 제네시스 = 라이브러리 제네시스, 약칭 립겐(LibGen)은 학술논문 및 단행본 검색엔진이다.On the LibGen homepage hover over topics. 대개 학술줄판사에 과금을 해야 열람할 수 있는 온갖 학술자료의 pdf 파일에 접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당연히 이 웹사이트를 둘러싼 저작권적 논쟁이 존재하며, 엘스비어 등 학술출판사들은 이 웹사이트를 고발한 바 있다. 이에 대한 반박으로 학술출판사들이 공적 기금과 세금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물을 이용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부도덕적이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립겐의 존재와 활동을 핵티비즘으로서 옹호한다. 2008년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비슷한 성격의 library.nu가 2012년 송사의 결과 폐쇄되자 그 컨텐츠를 흡수하여 사실상 후신이 되었다. 카자흐인 대학원생으로 과학연구원이자 해커인 알렉산드라 엘바캰이 만든 Sci-Hub 데이터베이스에 2011년 기준 6000만 건 이상의 논문이 저장되어 있었는데, 립겐은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요 컨텐츠를 긁어왔다. 2019년 7월 28일 현재 립겐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술단행본이 2300만 건, 과학학술지가 7600만 건, 만화책이 200만 건, 소설책이 2200만 건, 기타 잡지가 40만 건이다. 2017년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2억 회 이상 다운로드가 있었다. = 영주제일고등학교 = 영주제일고등학교(榮州第一高等學校)는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3년 3월 3일 : 영주농업학교 설립 인가 1943년 5월 5일 : 영주농업학교 개교 1946년 9월 1일 : 영주농업중학교로 교명 변경 1947년 7월 21일 : 제1회 졸업 1951년 8월 11일 : 영주농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52년 11월 15일 : 영주중학교 분리 1964년 12월 10일 : 영주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8년 3월 1일 : 영주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1년 3월 1일 : 영주공업고등학교와 영주중앙고등학교 통합 2001년 3월 1일 : 영주제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3년 3월 21일 : 신축 교사(학림관, 선비관) 준공 2010년 2월 25일 : 자율형 공립고로 선정 2010년 3월 1일 : 교육부 정책 연구학교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2010~2012) 2015년 3월 1일 : 제29대 임원수 교장 취임 2016년 3월 1일 : 교육부 정책 연구학교 자율형 공립고 운영(2016~2021) 2019년 3월 4일 : 입학식(신입생 162명 입학) 2020년 2월 3일 : 제72회 졸업생 169명 졸업(졸업생 누계 27,922명) = 마이클 데바인 = 마이클 제임스 "미키" 디바인(, 1954년 5월 26일 ~ 1981년 8월 20일)은 아일랜드 민족해방군(INLA)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다. 아일랜드 단식투쟁 당시 굶어 죽었다. 1971년 영국 군인들이 두 명의 비무장 민간인 디시 비티(Dessie Beattie)와 레이먼드 커색(Raymond Cusack)을 사살하자 디바인은 데리의 제임스 코널리 공화주의 클럽에 가입했다. 이듬해 벌어진 피의 일요일 사태는 디바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Cowan, Rosie. "Why I had to let my brother die", The Guardian, April 1, 2001 디바인은 1975년 INLA 창립에 참여했다. 1976년 아일랜드 공화국 도네갈 주를 습격했다가 북아일랜드에서 체포되었다. 징역 12년을 선고받은 디바인은 모포투쟁에 참여했다. 1981년 6월 22일, 디바인은 제2차 아일랜드 단식투쟁에 참여했고, 8월 20일 사망했다.Melaugh, Martin.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CAIN), University of Ulster 향년 27세. = 분류:아프가니스탄의 여자 정치인 = = 분류:고대 인도의 드라마 = = 틀:의회 정보/설명문서 = = 호모 루돌펜시스 = 호모 루돌펜시스(Homo rudolfensis)는 1972년 케냐의 루돌프 호수에서 인류학자 리처드 리키(Richard Leakey)와 동물학자 미브 리키(Meave Leakey)가 주도하는 조사단의 구성원인 버나드 느게너(Bernard Ngeneo)에 의해 발견된 화석으로 250만년 전부터 170만년 전 사이에 살았다. 사람속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사람속의 공통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어 사람속으로 분류되었다. 처음에는 호모 하빌리스로 분류되어 있기도 하였다. 체구는 작았으나 두뇌의 용량은 800cc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보다 상당히 큰 두뇌였다. 1972년에 발견된 남성의 두개골은 루이스 리키의 호모 하빌리스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투르카나 호수에서 발견된 다른 호모 하빌리스의 두개골은 600cc이며 좀더 둥근 형태인 반면 이 화석은 타원형에 가까운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1470번으로 명명된 남성 두개골과 유사한 화석이 발견되면서 학계에서는 한때 호모 하빌리스의 다른 두개골과의 뇌용량 차이를 남녀 성별에 의한 차이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발견된 화석 중, 손발가락이 나무타기에 적합하지 않은 손, 발뼈와 나무타기에 적합한 손, 발뼈 등 신체 골격의 차이점이 계속되면서 1985년 직립보행에 더 적응하고 두뇌용량이 큰 종을 호모 루돌펜시스로 따로 분류하자는 제안이 나타났다. 이 제안은 2000년에 와서 승인되어 한때 호모 하빌리스의 남성으로 분류된 화석들은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 = 분류:보성군 출신 = = 삼성 갤럭시 (e스포츠) = 삼성 갤럭시(Samsung Galaxy)는 제일기획 산하 삼성스포츠가 2017년 11월 KSV에 매각하기 전까지 활동하였던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이다. 과거 워크래프트 3, 피파,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을 운영하였었다. = = 역사 = = 삼성 갤럭시는 2000년 6월 9일 삼성전자 칸이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다. 팀 창단시에는 정수영 감독이 감독직을 수행했으나, 당시에는 프로리그 같은 팀단위 리그 개념이 전혀 없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매니저의 인식이 강했다. 그 후 정수영 감독은 삼성전자와 결별하고 2001년 4월부터 팀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감독이 없는 내부 직원의 관리 체제로 이 체제는 2003년 7월 24일까지 이어진다. 강성욱 주임, 김선아 사원, 김태훈 사원, 허민구 사원이 약 2년간 순차적으로 실질적인 감독 겸 매니저 및 프런트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 후 2003년 7월 팀의 활성화와 더불어 감독과 프런트체제로 조직 개편과 더불어서 같은해 7월 25일부터 최초의 프로게이머 출신 감독이자 유일의 여성 감독인 김가을 감독과 이주연 과장이 프런트를 맡아 진행했고 2006년부터는 김가을 감독과 정상진 과장이, 2013년부터는 최윤상 감독(LOL), 오상택 코치(스타)와 허민구 과장이 프런트를 맡기도 했었다.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전기리그와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11월 1일에는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 송병구가 우승, 창단 8년 5개월 이래 최초의 개인리그 우승자를 배출시켰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에 들어선 삼성전자는 에이스 송병구의 부활과, 박대호, 유준희, 김기현, 유병준, 임태규등 신인들의 활약으로 프로리그 성적을 상위권으로 기록한다. 2011년 11월 해체된 3개의 게임단 공개 포스팅을 통해 신노열을 영입하였고 이후 2차 협상을 통해 이영한을 영입하였다. 또한 화승 OZ에서 코치직을 맡았던 오상택 코치도 영입, 2005년 변은종, 이창훈, 박성준을 영입한 이래로 최대 전력 보강을 하였다. 2012년 8월 진에어 그린윙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4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결승진출을 확정지었으나 결승에서는 CJ 엔투스에 패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년 9월 7일 MVP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인 MVP 오존과 MVP 블루를 인수, 팀 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새로이 창단하며 팀명을 삼성 갤럭시로 변경하였다. 이후 오존 게이밍의 후원 종료로 인해 삼성 갤럭시 오존의 이름을 예전 이름인 화이트로 변경하였고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은 '삼성 갤럭시 칸',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삼성 갤럭시 블루',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2팀으로 활동했다. 2013년 이후 모기업의 체계적인 후원과 관리, 게이머 출신들로 구성된 사무국 등 타 프로게임단 대비 우수한 경쟁력으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하지만 2014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끝난 후부터 몰아친 해외 러쉬로 인해 '삼성 갤럭시 화이트'와 '삼성 갤럭시 블루' 두 팀의 주전 10명과 대부분의 연습생, 코치 윤성영까지 모두 중국으로 이적했다. 그리고 2014년 11월 아마추어 '큐배' 이성진, 'Mid Huni' 김지훈, 'Bell park' 박종원, 'errOr report' 서준철과 前 Prime 소속 'JetEnJin' 이진용, 前 SKT T1 K 소속 'Casper' 권지민을 영입한 로스터가 공개되며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완전히 다른 팀이 되어버렸다. 2015년 5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5 개막과 동시에 'Kabum Shadow' 이민호, '루나어린이' 장경호를 영입했다. 2016년 10월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를 발표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을 우승하였다. 2017년 12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Gen.G에 매각하며 팀이 해체되었다. = = 게임단 연혁 = = = = =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 = = = 2000년 6월 삼성 프로게임단 칸 창단 2005년 10월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06년 1월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우승 2006년 1월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4위 2007년 6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 2008년 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준우승 2008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 2008년 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4위 2009년 7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위 2011년 7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2012년 3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위 2012년 9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 정규시즌 우승 2012년 9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 준우승 2013년 9월 삼성 갤럭시로 팀명 변경 2014년 2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3위 2014년 7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4위 = = = = 워크래프트 III = = = = 2004년 6월 온게임넷 WEG 팀리그 WarCraft 3 3위 = = = = 리그 오브 레전드 = = = = 2013년 9월 롤팀 창단 (허민구 사무국장) 2014년 1월 롤챔스 윈터 준우승 (삼성 갤럭시 화이트) 2014년 6월 롤챔스 스프링 우승 (삼성 갤럭시 블루), 3위 (삼성 갤럭시 화이트) 2014년 7월 LOL 클럽 마스터즈 초대 우승 2014년 8월 롤챔스 서머 준우승 (삼성 갤럭시 블루), 3위 (삼성 갤럭시 화이트) 2014년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4 우승 (삼성 갤럭시 화이트), 4강 (삼성 갤럭시 블루) 2016년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6 준우승 2017년 11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7 우승 = = 역대 성적 = = = = = 프로리그 = = = 년도 리그 순위 경기 승 패 벌점 승점 포스트시즌 주요선수 감독 2003 KTF EVER 7위 7 2 5 0 -5 진출실패 김가을 2003 Neowiz Pmang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탈락 김가을 2004 SKY 1라운드 10위 10 3 7 0 -6 진출실패 김가을 2004 SKY 2라운드 새턴 4위 8 3 4 0 -5 진출실패 김가을 2004 SKY 3라운드 머큐리 5위 8 2 6 0 -5 진출실패 김가을 2005 SKY 전기 7위 10 4 6 1 +1 진출실패 김가을 2005 SKY 후기 3위 18 12 6 1 +11 준우승 김가을 2006 SKY 전기 8위 10 4 6 0 -6 진출실패 김가을 2006 SKY 후기 5위 10 5 5 0 +3 진출실패 김가을 2007 신한은행 전기 1위 22 17 5 0 +21 우승 송병구, 이성은, 김동건, 박성준, 이창훈, 이재황, 박성훈, 임채성 김가을 2007 신한은행 후기 5위 22 12 10 0 +6 진출실패 송병구, 이성은, 김동건, 박성준, 이창훈, 이재황, 박성훈, 임채성 김가을 2008 신한은행 2008 1위 22 16 6 0 +20 우승 송병구, 허영무, 이성은, 김동건, 이재황, 박성훈, 임채성 김가을 2008-2009 신한은행 08-09 6위 55 30 25 0 +3 준플레이오프 송병구, 허영무, 이성은, 차명환, 박동수 김가을 2009-2010 신한은행 09-10 9위 55 27 28 0 -12 진출실패 송병구, 허영무, 이성은, 차명환 김가을 2010-2011 신한은행 10-11 5위 36 18 18 0 -8 6강 플레이오프(5위) 송병구, 허영무, 차명환, 박대호, 임태규, 유준희 김가을 2011-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2위 21 13 8 0 +5 플레이오프 송병구, 허영무, 임태규, 유병준, 박대호, 김기현, 신노열, 이영한 김가을 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 2 1위 21 12 9 0 +13 준우승 송병구, 허영무, 김기현, 박대호, 신노열, 이영한 김가을 2012-2013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Ⅱ 프로리그 12-13 5위 42 22 20 -4 -20 진출실패 송병구, 허영무, 김기현, 박대호, 신노열, 이영한, 지동원, 강민수 김가을 = = = 팀리그 = = = 연도 스폰서 경기수 승 패 승점 승률 기타 2003 계몽사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예선 탈락 (KTF 매직엔스전 3 : 0 패) 2003 라이프존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예선 탈락 (2전 2패 - 개인전 1승 4패) 2003-2004 LG IBM 2 0 2 -6 0% 8위 2004 투싼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예선 탈락 (3전 1승 2패 - 개인전 9승 10패) 2004-2005 MBC MOVIES 7 1 6 -10 14.2% 8위 총 2시즌 총 2시즌 9 1 8 -16 11.1% - 연도 스폰서 경기수 개인승 개인패 승률 올킬수 기타 2003 계몽사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3 라이프존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3-2004 LG IBM 10 2 8 20% - 2004 투싼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4-2005 MBC MOVIES 26 8 18 30.7% 1 통산성적 통산성적 36 10 26 27.7% 1 = = = 리그 오브 레전드 = = = = = 역대 명칭 =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2000년 ~ 2013년 삼성전자 칸 2013년 ~ 2017년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MVP 블루 - 삼성 갤럭시 블루 MVP 화이트 - MVP 오존 - 삼성 갤럭시 오존 - 삼성 갤럭시 화이트 삼성 갤럭시 = = 역대 감독 =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1대 감독 : 정수영 (재임 기간 : 2000년 ~ 2001년) 감독 대행 : 허민구 (재임 기간 : 2002년 ~ 2003년) 2대 감독 : 김가을 (재임 기간 : 2003년 ~ 2013년) 감독 대행 : 오상택 (재임기간 : 2013년 ~ 2014년) 감독 대행 : 송병구 (재임기간 : 2014년 ~ 2016년) 리그 오브 레전드 1대 감독 : 최윤상 (재임 기간 : 2013년 ~ 2014년) 2대 감독 : 최우범 (재임 기간 : 2014년 ~ 2018년) = = 우승 기록 = =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 시즌 = = 특이사항 = = 창단 이후 약 14년 동안 게임단 로고와 팀 명칭이 창단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 번도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팀이었다. 이 기록은 2013년 9월 7일 팀 명칭이 삼성 갤럭시로 바뀌면서 깨졌다. = 분류:퉁샹시 = = 폭스 빙하 = 폭스 빙하(Fox Glacier, 마오리어:Te Moeka o Tuawe)는 뉴질랜드 남섬의 서해안에 위치한 웨스트랜드 국립공원에 위치한 13km에 이르는 긴 빙하이다.Fox Glacier area(from the DOC website. Accessed 2008-05-17.) 이 빙하의 이름은 1872년 당시 이곳을 방문했던 뉴질랜드의 수상, 윌리엄 폭스 경을 따서 지은 것이다. = = 지리 = = 네 개의 산악 빙하로 뭉쳐져서 폭스 빙하는 서던알프스에서 해안 쪽 아래로 13 km 길이에 너비 2.6km에 달한다. 해발 300m 밖에 되지 않은 울창한 우림 사이에 있는 몇 안되는 빙하이다. 비록 지난 100년간 많이 후퇴를 했었지만, 1985년 이래로 점점 나아가고 있다. 2006년에는 1주일에 약 평균 1m 정도를 전진했다. 2009년 1월에는 빙하의 끝부분이 여전히 전진을 하고 있었고, 수직면 또는 돌출면이 여전히 붕괴되고 있는 중이었다. 빙하의 유출로 폭스 강이 형성되었다. 최후의 빙하기에는 빙상이 현재의 해안선 너머까지 뻗었었고, 그 이후에 후퇴를 하면서 많은 빙퇴석을 남겼다. 마테손 호수는 이러한 작용으로 생겨난 것이다. = = 관광 = = 근처에 있는 프란츠 조셉 빙하와 같이, 폭스 빙하도 세계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빙하이다. 돌출면까지 폭스 빙하 마을 (웨헤카)에서 쉽게 걸어갈 수 있다. 이곳은 주요 관광지이며, 최성수기에는 약 1000명의 사람들이 매일 방문한다. 주의를 당부해도, 사람들이 장벽 너머로 가거나 가이드 없이 빙하를 오른다. 빙하의 빠른 전진으로 갑작스런 얼음이나 바위의 붕괴를 초래하여 위험할 수도 있다.Glacier visitors ignore 'extreme risks' - The New Zealand Herald, Thursday 12 January 2006 = 프린스에드워드군 = 프린스에드워드군 또는 프린스 에드워드 카운티(Prince Edward County)는 다음을 의미한다. 프린스에드워드군 (버지니아주) 프린스에드워드군 (온타리오주) = 커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 컴퓨팅에서 커서(cursor)는 컴퓨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서 입력을 기다리거나 위치를 가리키는 물체, 곧 포인터이다. = = 문자 커서 = = 대부분의 명령 줄 인터페이스에서 커서는 밑줄이 그어진 깜박이는 수직 선으로 되어 있다. 이를테면 일반적인 유닉스 셸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sh ~# █ MS-DOS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C:\> _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비롯한 소프트웨어는 현재의 문자열 삽입 위치를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위키백과│ 일부 인터페이스는 수직 막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삽입 모드에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문자열은 기존의 문자 중간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 키를 사용하여 기존의 문자열을 덮어 쓰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전문지인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1993년 8호에 당시 나눔기술이사 채희선씨가 막대모양 문자커서를 만들었다는 내용이 기술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이전에도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전의 박스모양의 커서가 오타수정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던등의 문제가 있어 기존막대커서를 개선해 현재의 막대커서로 사용되게끔 한 것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 = 마우스 커서 = =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는 이차적인 커서를 추가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보여 준다. 리눅스 콘솔과 수많은 MS-DOS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커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이 직사각형은 언제나 하나의 색만을 가지거나 그 아래에 반대색을 가질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통 화살표 모양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마우스 위치를 가리킨다. 문자열 커서가 깜빡이는 것은 커서를 움직이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잠시 멈추지 않으면 커서 위치가 바뀔 때 해당 위치를 발견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수많은 TUI와 GUI는 사용자에게 텍스트 입력에 대해 마우스 커서를 사용하지 않을 옵션을 제공한다. 수많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마우스 커서는 환경에 따라 모양을 바꾸기도 한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선택하고 편집할 수 있는 문자열에서, 커서는 위 아래의 작은 빗장 모양의 수직 막대로 바뀐다. 문서를 볼 때, 커서는 모든 손가락을 갖춘 손 모양을 나타낸다. 브러시, 연필과 같은 그래픽 편집 커서는 그림을 편집할 때 나타난다. 창의 가장자리에서 커서는 보통 두 개의 화살표로 바뀐다.(수직, 수평, 대각선 모양의 화살표 커서) 사용자가 가장자리를 표시된 방향으로 끌어 내면 크기나 모양을 바꿀 수 있음을 가리킨다. 컴퓨터 처리가 작업 중이거나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대기 커서를 나타낸다. 커서가 하이퍼링크 위에 놓일 때, 손가락 모양의 커서로 바뀐다. windows 7 운영체제에서 제어판의 마우스 설정을 통해 원하는 색깔과 모양, 크기, 클릭 시 반응 등 마우스 커서를 원하는대로 조정 가능했다. = 소피야 스카야 = 섬네일 소피야 스카야(Sofya Skya, 1987년 8월 12일 ~ )는 소련의 배우, 발레 무용수, 영화배우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의붓딸 (2015년) 화이트 스완 (2013년) - 마야 역 샤도우 오브 더 화이트 나잇 (2010년) 섀도우 솔저 (2010년) - 사샤 역 더 툼 (2009년) = 팔푼 며느리 = 팔푼이 며느리는 한국에서 제작된 심우섭 감독의 1968년 영화이다. 남정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우기동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남정임: 순녀 역 구봉서: 만복 역 서영춘: 달근 역 = = = 조연 = = = 양훈: 양태욱 역 도금봉: 윤여사 역 백일섭: 갑수 역 김순철: 태평 역 김소은: 영희 역 성인경 김정옥 전숙 지계순 이예성 태일 태무진 지방열 경윤수 김지영 석귀녀 = = 제작진 = = 세기상사주식회사 작품 기획: 김한일, 이종택 각본: 김경일, 홍종원 촬영: 김인용 조명: 강용신 미술: 송백규 음악: 정민섭 효과: 최형래 소품: 김성순 편집: 장현수 녹음: 한양녹음실 현상: 한양현상소 감독보: 이민욱 촬영보: 심동섭 조명보: 이춘재 제작부장: 김정수 제작주임: 추병원 진행: 권봉주 제작: 우기동 감독: 심우섭 = 고두항 = 고두항(顧頭港)은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고두마을 인근에 있는 어항이다. 2002년 8월 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남해군수이다. = = 어항 연혁 = = 어렵게 살아온 일을 잊지 않고 '고개를 돌려 되돌아 본다'는 뜻의 고두(顧頭)로 불리고 있다. = = 어항 시설 = = 선착장 L=98m, B=4.0m 물량장 L=80m, B=10m, 호안 L=300, B=4m = = 주요 어종 = = 도다리, 노래미, 볼락 등 = 분류:12월 19일 = = 분류:대한민국의 말레이시아 진출 축구 선수 = = 맥딜리버리 = 맥딜리버리는 고객의 문앞까지 음식을 배달해주는 맥도날드의 배달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1993년부터 미국 일부 지역에 도입되었으며 오토바이 택배를 사용하는 많은 아시아, 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맥딜리버리가 하루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특정 지역에서는 최소 주문 시 무료로 제공된다. = = 이용 가능 지역 = = 맥딜리버리는 호주, 오스트리아, 바레인, 브라질, 중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칠레, 키프로스, 이집트, 독일, 조지아, 과테말라,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요르단, 한국, 쿠웨이트, 레바논,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파키스탄, 카타르, 필리핀, 루마니아,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페인, 스리랑카, 대만, 태국, 터키, 아랍에미리트, 우크라이나, 미국 및 영국에서 이용할 수 있다. = APB = APB는 다음을 가리킨다. Advanced Peripheral Bus The AndersonPonty Band APB (1987년 비디오 게임) = 위키백과:중재위원회/요청 양식 = = 가나즈카촌 = 가나즈카촌은 니가타현 기타칸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시바타시, 다이나이시에 해당한다. = 틀:아프리카의 세계유산 = = 산청 단계리 권씨고가 = 산청 단계리 권씨고가(山淸 丹溪里 權氏古家)는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에 있는 옛집이다. 1985년 1월 23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2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안채 건물에 적힌 기록에 따르면 기미삼월에 마룻대를 올렸다고 하는데 안채, 사랑채, 곳간채,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5칸·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가운데 있는 대청을 북쪽으로 트지 않고 마루방으로 만든 특이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의 팔작지붕이고 곳간채는 앞면 4칸·옆면 1칸 크기이다. 문간채는 앞면 4칸·옆면 1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 = 참고 자료 = = * 단계리 권씨고가 단계리 권씨고가 = 차투랏군 = 차투랏군은 차이야품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0년 기준으로 74548명이다. 인구 밀도는 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1. Ban Kok บ้านกอก 17 2. Nong Bua Ban หนองบัวบาน 10 3. Ban Kham บ้านขาม 12 5. Kut Nam Sai กุดน้ำใส 14 6. Nong Don หนองโดน 11 7. Lahan ละหาน 18 10. Nong Bua Yai หนองบัวใหญ่ 9 11. Nong Bua Khok หนองบัวโคก 11 13. Sompoi ส้มป่อย 13 = BCF = BCF는 다음을 의미한다. 발칸 연방(Balkan Communist Federation) * Boeing Converted Freighter: 화물기의 일종 = 백조자리 A 은하 = 백조자리 A 은하(, 3C 405)는 백조자리에 위치한 전파 은하이다. 강한 전파를 방출한다. 그루트 로터가 1939년에 발견하였다. 1953년에 두 개의 은하로 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은하는 나중에 활동 은하로 분류되었다. 오른쪽 사진은 백조자리 A의 은하핵에서 전파가 방출되는 모습을 찍은 것이다.. = 분류:올림픽 모터보트 참가 선수 = = 전갈자리 X-1 = 전갈자리 X-1은 전갈자리에 있는, 9천 광년 떨어진 엑스선 천체이다. 전갈자리 X-1은 태양계 밖에서 최초로 발견된 엑스선 방출 천체이며, 태양을 제외하면 하늘에서 가장 엑스선을 강하게 방출하는 천체이다. 엑스선의 선속은 매일 변화하며, 이는 동반성인 전갈자리 V818과 관련이 있다. = 틀:영국의 공항 = = 아이소사이안화 메틸 = 이소시안산 메틸 또는 아이소사이안화 메틸(Methyl isocyanate, MIC)은 유기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CH3NCO.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중간물질이며, 고무와 접착제 생산에 이용된다. 보팔 가스 사고에서 누출된 주요 물질이며 30,000명 가까이의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한 주된 원인이다. = = 물리적 특성 = = 무색이며 자극성이 있는 냄새를 가진 가연성 · 맹독성 액체이다. 물에 6~10%가 용해되며 용해될 때에 물과 함께 반응한다. = = 제조 = = 아이소사이안화 메틸은 메틸아민과 포스젠의 반응으로 제조된다. = 에노모토 다쓰야 = 에노모토 다쓰야 (1979년 3월 16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비셀 고베, 도쿠시마 보르티스, 도치기 SC, FC 도쿄에서 활동하였다. = 초안:덴탈 임플란트 식립과정 = 덴탈 임플란트(관내 임플란트 또는 고정체)는 크라운, 브릿지 의치 또는 안면 보철물과 같은 치과 보철물을 지지하거나 치열 교정 앵커 역할을 하기 위해 턱 또는 두개골의 뼈를 연결하는 보철물을 말한다. 현대 덴탈 임플란트의 기초는 골유착이라고 하는 생물학적 과정으로, 티타늄이나 지르코니아와 같은 재료가 뼈에 긴밀한 결합을 형성한다. 임플란트 픽스쳐는 먼저 골유착 가능성이 있도록 식립한 후 치과용 보철물을 추가한다. 치과 보철물(치아, 브릿지 또는 의치)이 임플란트에 부착되거나 치과 보철물/크라운을 고정할 지대주가 배치되기 전에 다양한 양의 치유 시간이 골유착에 필요하다. = = 덴탈 임플란트 환자 선정 및 식립과정 = = = = = 환자 병력 및 신체검사 = = =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 가능여부는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세 병력, 치과적 질환은 물론, 환자의 의과적 질환과 관련 약물도 포함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술 부위의 혈관 분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자의 흡연, 음주 또는 약물 복용 등도, 평가 되고, 논의 되며, 문서화 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시술이 성공하려면 환자의 동의가 중요하므로 개인의 심리적 사고 방식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이다. 잠재 임플란트 환자에 대해 모든 표준 구강 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기본 치조골의 지지부와 연조직 측모는 보철물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이다. 무치 치열궁의 연조직 상태(부착 잇몸의 폭과 두께)를 확인하고 임플란트 가능한 부위로서 치조제 확장의 적합성을 평가해야 한다. = = = 전문 분야 간 커뮤니케이션 = = = 임플란트 치과학은 세 가ㅂ지 기본 단계(즉, 픽스쳐 식립, 어버트먼트 채결 및 보철)로 이루어진다. 임플란트가 무치악 또는 발치 부위의 기존 경조직 및 연조직 지지로 제한되지 않고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종 위치에 식립 될 수 있다. = = = 환자 해부학적 구조 평가 = = = 환자의 기존 치열궁 모양(예: 좁음(narrow), 과밀(crowded), 구치부 반대 교합(posterior cross bite))에 따라,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안정적인 교합을 유지하려면 치조골 내 거리와 중심 관계가 중요하므로, 치료전에 정적 및 동적 교합을 평가해야 한다. 치료 전에 이갈이 또는 악관절 장애 등 저작계에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소견을 고려해야 한다. = = = = 치은형(바이오타입) = = = = 환자의 치은형(바이오타입)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앏은 치은형을 가진 환자는 치은 퇴축 성향을 보이며(그림 1.8), 치은형이 두껍고 평평한 환자는 임플란트 수술 후 낭 형성 또는 염증의 성향이 있다(그림 1.9). 치은형이 얇은 환자에게서는 골개조의 부산물로 결손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결손을 정확히 평가하고 수술적으로 치료하여 임플란트 주변에 건강한 경조직 및 연조직이 다시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 = = = 생물학적 폭경 = = = = 자연 치아에서 “생물학적 폭경”은 구강을 막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상치조 연조직(예: 접합 상피와 결합 조직)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임플란트와 자연 치아 주변의 결합 조직 크기(1mm 이하)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편이지만, 임플란트 주변의 접합 상피는 자연 치아 주변보다 훨씬 크다(각각 2-2.5mm vs. 1mm). 자연 치아에서 결합 조직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콜라겐 섬유를 통해 백악질질 안으로 깊게 삽입된다. 그러나 임플란트 주변(그림 1.10)의 콜라겐 섬유 다발은 실제로는 들러붙지 않지만 글리코아미노글리코시드를 통해 점막관통부에 점착된다. 그 결과, 이러한 점착으로 인해 기계적 내성이 약해진다. 따라서, 점막 관통 구성 요소 선택 시 생물학적 호환성을 고려해야 한다. = = = = 보철학적 치료 계획 = = = = 현대의 임플란트 치료는 다양한 조직 이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술 전에 뼈가 충분하지 않은 부위에서 임플란트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 기반보다는 보철 기반의 치료이다. 보철 기반 임플란트 식립은 인접 자연 치아와의 적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철물의 형태와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외형의 조화를 유도해야 한다. = = = 진단 왁스업 = = = 치과 기공실에서는 악골 관계를 평가하고 교합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진단용 주조 모형 위에 진단 왁스업을 해야 한다. 전방-측방 운동 시 구치부의 즉시 이개를 확립할 수 있도록 교합기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가능하면 중심에 여유를 부여하여(freedom in centric)). 진단 왁스업을 통해 치조제 형태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식립할 임플란트 수, 위치, 각도 형성 및 유형을 계획할 수 있다. = = = 수술 가이드 = = = 수술 템플릿이나 가이드를 사용하여 구내 임플란트 위치를 계획하면 성공적인 임플란트, 관련한 수복물을 계획하고 수행하기가 훨씬 더 간단해진다. 나중에 템플릿을 드릴링 가이드로 변환할 수도 있다. 계획 단계에서는 가이드가 다음 전제 조건에 준하는 올바른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 = = 임플란트 식립 = = = = = = = 2회 접근법 임플란트 식립 = = = = “침하(submerged) 또는 지연(delayed)” 접근법으로도 알려져 있는 2회 수술법 임플란트 식립은 정통 Branemark 시술 방법이며, Branemark가 하악골 내에서 응력 없이 임플란트를 유착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데 사용했던 방법이다. 임플란트는 첫 번째 수술(그림 3.5 - 3.10)에서 식립되며 3 - 6개월 동안 골유착을 위해 침하된다. 두 번째 수술에서는 임플란트가 노출시켜 임플란트의 커버 스크류가 제거되며, 그 후 임플란트를 어버트먼트에 맞게 조정하면 치료 보철 단계가 완료된다. 2회 수술법은 가끔 환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나 오랜 시간에 걸쳐 확실한 성공 기록을 보유한 방법이다. 이 수술법은 초기고정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나 수술 전에 또는 동시에 뼈의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 언제나 유용한 수술 방법이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골유착은 골질이 우수한 경우에 1회 수술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시술이 간편하고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 = = = 1회 접근법 임플란트 식립 = = = = 심미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우라면 1회 접근법 수술 후 골유착 기간 동안 치아 임플란트의 커버 스크류 또는 힐링 캡을 그대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그림 3.11 - 3.14). 적당한 치유 기간이 지난 후에는 두 번째 수술 없이 커버 스크류를 회수한다. 다양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1회 수술법 임플란트 수술은 현재 특정한 경우에 대한 성공적 수술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단, 이 수술법을 선택하려면 몇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 환자의 골질(최적 I형 또는 II형) 및 골량이 초기고정(뼈와 임플란트 사이의 최초 채결)를 보장할 수 있고 GBR이 필요 없을 만큼 충분해야 한다. 이 경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ISQ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 잇몸 주변에 각화 치은 조직이 충분해야 한다. •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 임플란트 제조업체의 지시 사항에 따라 지대치를 충분한 토크 값까지 조여야 한다. 토크 값은 N/cm 단위로 측정되며 각 치아 임플란트 시스템마다 다르다. 적절한 토크 값을 사용하는 것은 예기치 못하게 느슨해지는 일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어버트먼트 높이가 교합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되고, 대합치와 접촉되거나 부하를 주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기준이 고려된다면 1회 수술법은 빠른 보철이 가능하기 때문에, 2회 수술법보다 더 경제적이고 환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볼 수 있다(Ahmad 2012). 또한 임플란트 주위염과 주위 점막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적절한 구강 위생 상담이 필수적이다. = = = =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 = = =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방법도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관련 수술 프로토콜을 간소화하며 심미적 재건 기간을 단축함에 따라 환자의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어 환자에게 크게 각광받고 있다.임플란트 즉시 식립은 생존률이 높게 보고되었다. 단, 뼈의 흡수와 잇몸 후퇴의 합병증이 있기 때문에 조직 손실 또는 임플란트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현재 이 수술법의 적응증으로는 치아 파절, 광범위한 우식, 수복 불가 치관이 포함된다. = = 덴탈 임플란트 골 재생 = = = = = 유도 골 재생의 원리와 과정 = = = 치주에서 발견되는 치은상피, 치은결합조직, 치주골 및 치주인대에서 각각이 세포의 발현에 관여한다. 조직 유도 재생을 통해서 원하지 않는 조직과 세포를 배제하고 재생가능성이 있는 전구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뒤에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유도 골 재생을 진행한다. 1. 바람직하지 않은 치은 상피 및 치은 결합 조직 및 세포를 제외하고, 2. 상처 부위의 선조 세포가 들어가는 외딴 상처 부위를 만든다. 치조골은 이동하여 뼈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3. 기본 혈액 공급을 보호하고, 4. 상처 부위를 안정시킨다. = = = 골 재생 필요성 = = = 골유착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충분한 양의 뼈가 있어야 한다. 뼈 이식 기술, 치조 신연 및 유도 뼈 재생(GBR)과 같은 다양한 전략이 손실된 뼈를 복구하여 기능 부하 동안 임플란트가 완전히 통합되고 유지될 수 있다. 골유도 재생은 골전구 세포가 비골형성 조직의 진입을 방지하여 골결손 부위를 다시 채우도록 배타적으로 허용될 때 달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골유착 임플란트의 최대 40%가 환자의 재활 의 일부로 GBR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GBR로 보강된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깨끗한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유사하다.. 보강된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79%에서 100% 사이로 다양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최소 1년 기능 15 후 생존율이 90% 이상임을 보인다. = = = 골 재생 인자 = = = 골 재생 분자 중 BMP는 강력한 골유도 인자로 중간엽 줄기 세포(MSC) 및 기타 골전구 세포의 유사분열 형성 및 골아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다. BMP-2, BMP-7 분자는 불유합, 개방 골절, 관절 유합, 무균 골 괴사 및 치명적인 골 결손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조건에서 사용된다. 변형 성장인자-β,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세포 증식, 화학주성 및 혈관신생과 관련하여 다른 기능을 가진 뼈 재생 중에 관련되어 있는 다른 성장 인자도 조사 중이거나 현재 혈소판 유래 성장을 포함하여 뼈 복구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 = = 골 재생 과정 = = = CD68‐양성 단핵구/대식세포 및 페리오스틴-양성 골전구세포)가 주변 조직에서 골 재생부위로 이동한다. 막으로 이동한 세포는 뼈 형성과 뼈 재형성에 중추적인 인자를 발현하고 분비한다. 이것은 골 형성 및 재형성의 주요 세포인 조골 세포 및 파골 세포의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기저 결함에서 성숙한 재형성된 골의 발달을 촉진한다. = = 덴탈 임플란트 표면개질 = = 외과용 임플란트의 사용은 의료 산업에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금속 재료는 높은 강도, 연성 및 인성으로 인하여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금속 이온이 주변 조직으로 침출되어 발생하는 임플란트 부식은 금속 임플란트의 주요 단점이다. 임플란트 이식 후 특성 수준 이하로 임플란트의 성능이 떨어지면 외과적 재수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은 부식이나 마모로 인해 발생한 이온의 파편, 낮은 파괴 인성, 낮은 피로 강도 등이다. 임플란트 재료의 필수 표면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면 개질 절차가 필요하다. 임플란트 표면 개질의 이론적 근거는 재료의 표면이 이식된 재료에 대한 생물학적 환경의 반응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임플란트 표면 개질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분류된다: 임플란트의 향상된 뼈 결합 및 가속화된 뼈 치유 향상된 뼈 결합 접근법에서 임플란트 재료의 표면 지형은 임플란트 재료와 뼈의 기계적 연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개질된다. 개질된 표면은 재료의 표면적과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켜 기질 단백질 흡수와 세포 흡착 및 증식을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임플란트와 뼈의 더 나은 골 유착을 유도한다. 가속화된 뼈 치유 접근법에서 무기 또는 복합 뼈 재료는 뼈의 표면에 통합되어 세포의 뼈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고, 임플란트와 인접한 뼈의 생화학적 연동을 유발한다. 단백질, 펩타이드와 같은 생화학적 물질을 임플란트 표면에 결합하는 것도 뼈 치유를 가속화하는 방법이다. 임플란트 재료의 표면 개질 기술은 호스트 뼈 구조를 모방하고, 임플란트 생체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표면 개질 기술은 표면에 나타나는 특성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 = = 물리적 기술 = = = 물리적 표면 개질은 건식 변형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 표면의 지형이나 형태를 변경하여 골 유착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적 표면 개질 기술에는 그릿 블라스팅 (Grit blasting), 적층 제조 (Additive manufacturing), 플라즈마 스프레이 (Plasma spraying), 증착 (Vapor deposition) 등이 있다. = = = = 그릿 블라스팅 = = = = 그릿 블라스팅은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입플란트 표면의 연마 입자를 밀어내는 전형적인 물리적 표면 개질 기술이다. 표면의 지형과 거칠기는 주로 적용된 입자의 크기, 모양 및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2] 그릿 블라스팅과 산 에칭의 조합이 다양한 이식 절차에서 골 형성 과정을 가속화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의 단점은 가공된 거친 표면이 박테리아의 부착을 촉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 = = 적층 제조 = = = = 3D 프린팅 또는 쾌속 조형 (Rapid prototyping)으로 알려진 적층 제조는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규모의 복잡한 3D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선택적 레이저 융융 및 전자빔 융융이 널리 보급된 층별 제조 공정으로, 이론적으로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한 가공하기 어려운 모든 재료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환자를 위한 맞춤화된 모양을 생성할 수 있다. 3D 프린팅 된 임플란트는 임상적으로 관련된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MSC의 접착, 콜라겐 침착 및 알칼리성 인산 가수 분해 효소 (ALP)의 분비에도 기여하였다. = = = = 플라즈마 스프레이 = = = = 플라즈마 스프레이는 융융된 물질을 표면에 코팅하는 기술이다. 분말 코팅 재료를 플라즈마 화염에 주입하여 가열시킨 후 표면에 코팅하며, 표면에 도달하면 냉각하기 시작해서 단단한 코팅을 형성한다. 나노미터에서 수 밀리미터까지 광범위한 코팅 두께를 생성할 수 있으며, 화학 성분이 제조 중에 표면에 거의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 연구에서 플라즈마 코팅이 임플란트의 생체 적합성을 개선하고 골 유착을 촉진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 = = 물리적 기상증착 = = = = 물리적 증착은 표면에 증착시키려는 고체 상태의 물질을 진공상에서 증기 상태로 변화시킨 후 표면에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표면에 대한 코팅의 강한 접착력은 이 방법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이다. 시험관 내 연구에 따르면 은 코팅된 임플란트는 박테리아 성장을 방지하고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은 혈관신생을 관찰할 수 있었다. = = = 화학적 기술 = = = 화학적 표면 개질은 산화, 탄화 또는 질화와 같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 의해 임플란트 표면을 변경할 수 있다. 화학적 표면 개질 기술에는 양극 산화, 산 및 알칼리 처리, 화학 기상 증착(CVD) 및 졸-겔 증착이 포함된다. = = = = 양극 산화 = = = = 양극 산화는 전해질 수조에 담근 상태에서 양극 금속 임플란트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이다. [2] 양극 산화에 의해 생성된 표면의 나노미터 특성은 생체 활성을 개선하고 임플란트의 골 유착을 촉진한다. = = = = 졸-겔 = = = = 졸-겔 공정은 졸-겔화 및 열처리에 의해 산화물 또는 고체 화합물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전구체 가수분해 중합을 거쳐 졸이 되고 점차 겔과 같은 2상 시스템으로 변한다. 그런 다음 나머지 액체는 건조 과정에 의해 제거되어 구조가 수축된다. 그 후, 중축합을 촉진하고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사용한다. 이 접근법의 장점 중 하나는 코팅의 화학 조성을 탁월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저온 기술이라는 점이다. 다른 중요한 특징은 코팅이 약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약물은 통제된 속도로 방출된다. = = = = 화학적 기상 증착 = = = = 화학적 기상 증착(CVD)은 기체 상태의 물질이 가열된 표면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박막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화학적 증착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코팅을 증착하는 반면 물리적 증착은 물리적 힘에 의존한다. 이 기술은 반도체 산업에서 박막을 생산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균질하고 계층적인 구조와 제어 가능한 구성의 필름을 생성할 수 있다. = = = 생물학적 기술 = = = 간접적인 골 형성 자극 방법(물리적 및 화학적)과 달리 세포 파종 및 생물학적 코팅을 포함한 생물학적 기술은 조골 세포 부착, 증식 및 분화를 직접적으로 촉진한다. 물리화학적 기술이 상당한 결과를 보여 왔기 때문에 생물학적 기술은 골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완 전략으로 자주 사용된다. = 분류:1790년 설립 = = USS 필리핀시 = USS 필리핀시는 미국 해군의 함정이다. ,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복무한 . , 1989년 취역한 현역 . 필리핀시 = 호랑이 들어와요 = 호랑이 들어와요는 배세혁, 유은이 네이버 웹툰에 연재하는 웹툰이다. = = 스토리 = = 어느 날 아이가 없었던 부부에게 찾아온 작은 두 아이, 호랑이 신령, 랑아와 호야. 그리고 그들이 같이 살아가는 이야기. = = 등장인물 = = 랑아: 시베리아 호랑이 신령의 아이. 하지만 아이가 없는 두 부부에게로 와 살게 된다. 늘 여유로우며 순수하다. 발음이 좋지 못한다. 팽이와 먹을 것을 좋아하며, 호야를 잘 따른다. 호야: 백호랑이 신령의 아이. 하지만 아이가 없던 두 부부에게로 와 지내게 된다. 랑아에 비해 단호한 면이 있다. 또한 랑아에 비해 발음이 매우 좋아 가끔 발음이 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항상 정확한 발음을 낸다. 엄마: 아이들을 잘 챙겨주며 자신들을 위협한 설화가 쓰러지자, 이불에 눕히며 쉬게 하는 등 마음이 넓다. 하지만 랑아, 호야, 설화, 허찬, 담비 등 무분별하게 받아준다. 아빠: 무뚝뚝해 보이지만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다. 청소와 빨래 개기 등 집안일을 주로 하는 편이다. 금란, 천수: 랑아의 친부모. 백호랑이 신령들과 싸우고 있어 랑아를 두 부부에게 맡겼다. *연희 : 호야의 친 엄마. 강박적 교육으로 호야를 길러왔다. 담비: 사람으로 변할 수 있으며, 작은 몸집과는 다르게 설화를 이길 정도로 강하다. 랑아와 호야에게는 매우 잘해주지만 설화나 허찬 등 다른 신령이나 잡귀들에게는 불친절한 편이며 만만하게 본다. 중학생 정도의 체격. 허찬: 험준한 산속에 살던 도깨비족 청년. 요술을 부릴 줄 알며, 여동생을 찾고 있었다. 랑아와 호야를 잘 놀아주고는 한다. 설화: 구미호. 두 부부와 랑아, 호야, 담비가 살고있는 집의 주인이라고 말했다. 여우 구슬을 자주 잃어버린다. = 이즈리얼 커즈너 = 이즈리얼 커즈너(, 1930년 2월 13일 ~ )는 영국 런던 태생의 미국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랍비 철학자이다. = 분류:앙골라-튀르키예 관계 = = 위키프로젝트:공학 = 위키프로젝트 공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여러가지 공학과 관련된 정보를 연구하고 공유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 분야 = = 기계공학 화학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토목공학 재료공학 항공우주공학 산업공학 = = 좋은 글 = = 시화호조력발전소 = = 참가 및 활동 = = 프로젝트 참가자는 이곳에 서명해주세요. = = = 참가자 틀 = = = 를 사용자 문서에 부착해주시면 됩니다. = = = 배너 = = = 를 공학과 관련된 문서 토론에 부착해주시면 됩니다. = = 관련 프로젝트 = = 위키프로젝트:기술 위키프로젝트:컴퓨터 과학 = 분류:뉴욕 출신 배우 = = 해양천국 = 해양천국(海洋天堂: Ocean Paradise)은 홍콩에서 제작된 설효로 감독의 2010년 드라마 영화이다. 이연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강지강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연걸 계륜미 문장 = = = 조연 = = = 진서 석소룡 조병곤 마재함 동성붕 = = 제작진 = = 미술: 해중문 = 분류:모터스포츠 영화 = = 분류:괌 사커 리그 = = 왕해양 = 왕해양(, 1830년 ~ 1866년)은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이다. = = 생애 = = 안휘성 전초현 출신이다. 익왕 석달개와 전경에서 떨어져 나와 독자적인 행동을 취하게 된다. 1860년, 강서성에서 팽대순 등과 함께 부하를 이끌고 이탈해 이듬해 강서성에서 충왕 이수성 군과 합류했다. 이수성을 따라 절강에 진군하고 공적을 세워 강왕에 봉해졌다. 청나라 군대가 절강의 실지를 차례로 회복하면서, 왕해양은 1864년에 강서성을 전전하며, 시왕 이세현 휘하에서 싸웠다. 천경이 함락되자 왕해양은 이세현을 따라 복건성으로 들어갔다. 1865년 5월, 이세현군이 대패하자 왕해양군은 광동성 진평으로 물러났다. 8월이되어 이세현은 왕해양에서 피해왔지만, 왕해양은 이세현에게 죄를 추궁당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했다. 이후 왕해양은 북상하여 염군과 합류하려고 했지만, 강서성의 청군에게 막혀 광동성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 12월, 가응주(현재의 메이저우시)를 점령했다. 그러나 좌종당이 파견한 강국기·왕덕방·유전·고연승·전복초·황소춘 등의 상군에 포위되어 이듬해에 전사했다. 남은 무리들은 담체원이 이끌고 남쪽으로 피신했다. = = 참고 자료 = = 羅爾綱。《太平天國史》, 65권 謝國珍。《嘉應平寇紀略》 = 심곡천 = 심곡천(深谷川)은 대한민국에 있는 하천의 이름이다. 심곡천은 인천광역시 서구의 하천이다. 심곡천은 경기도 부천시의 하천이다. 심곡천은 경상북도 경주시의 하천이다. = 히로미치 = 히로미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시게 히로미치: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감독, 야구 해설가·평론가 가타노 히로미치: 일본의 축구 선수 야하라 히로미치: 일본의 육군 군인 = 1971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다음은 1971년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드라마 프로그램을 나열한 목록이다. = = 1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꽃님이 1971.01.01 MBC 쌍무지개 뜨는 언덕 1971.02.151971.04.30 TBC 왈순아자매 1971.03.011971.05.23 MBC 아버지 1971.03.011971.10.01 MBC 검은세월 1971.03.021971.09.28 MBC 수사반장 1971.03.061984.10.18 MBC 외갓집 1971.03.141971.07.17 MBC 정 1971.03.141971.10.26 MBC = = 2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우리누나 최고 1971.05.031971.07.30 TBC 사랑은 죽음을 넘어 1971.06.25 MBC = = 3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장희빈 1971.07.191972.01.31 MBC 사랑의 학교 1971.08.021971.10.29 TBC = = 4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사슴이 노는 언덕 1971.10.02 MBC 학부인 1971.10.031972.02.20 MBC 북간도 김영수 이기하 1971.10.111972.03.31 136 KBS 일일 행복 1971.10.271972.04.18 MBC 돌아온 사나이 1971.12.25 MBC = 분류:영광군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 분류:아키타현의 기업 이름을 딴 분류 = = 분류:1998년 군사사 = = 잉리 옐름세트 = 잉리 옐름세트(, 1980년 4월 10일 ~ )는 노르웨이의 여자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노르웨이 톱세리엔의 스타베크 포트발 크빈네르에서 활동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옐름세트는 셰텐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트론헤임-외른에서 활동하던 동안에는 트론헤임-외른의 톱세리엔 3회 우승, 노르웨이 여자컵 3회 우승에 기여했다. 2007년에는 아스케르로 이적했지만 2007년 6월에 무릎 부상을 당하면서 한동안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아스케르 포트발이 2008년에 파산으로 인해 해체되면서 스타베크에 인수되었고 2009년에는 동료 선수들과 함께 스타베크로 이적하게 된다. = = 국가대표 경력 = =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노르웨이 여자 U-18,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했다. 2003년에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었으며 2015년 10월 23일에 열린 웨일스와의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경기에서 A매치 100경기 출전 기록을 수립했다. 4차례의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2005년, 2009년, 2013년, 2017년), 3차례의 FIFA 여자 월드컵(2011년, 2015년, 2019년)에 참가했다. 2009년 8월부터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핀란드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2009에서는 노르웨이의 준결승전 진출에 기여했고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2013에서는 노르웨이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프랑스에서 개최된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을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A매치 137경기에 출전했다. = = 수상 = = SK 트론헤임-외른 톱세리엔 3회 우승 (2000, 2001, 2003) 노르웨이 여자컵 3회 우승 (1999, 2001, 2002) 스타베크 톱세리엔 2회 우승 (2010, 2013) 노르웨이 여자컵 3회 우승 (2011, 2012, 2013) = = = 국가대표 = = = UEFA 여자 유로 2005 준우승 UEFA 여자 유로 2009 4강 UEFA 여자 유로 2013 준우승 = = = 개인 = = = UEFA 여자 유로 2013 베스트 일레븐 선정 = 분류:냉전기의 조약 = = 안성 여객기 추락 사고 = 안성 여객기 추락 사고는 세기항공에서 파이퍼 PA-28 체로키로 운항하던 서울-제천간 항공편이 1969년 8월 22일 안성에서 추락한 사고이다.경여객기의 추락참사 이 사고로 조창대 의원 등 6명이 사망했다. = 스카이라인루지 = 스카이라인루지는 1985년 뉴질랜드 로토루아에서 개발된 스카이라인사(뉴질랜드의 관광회사)의 어드벤쳐 활동이다. 현재 전 세계 5개국 6개의 장소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2021년 5월 경에는 부산 기장군의 오시리아 관광단지 테마파크개장도 예정하고 있다. 루지카트는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보호자가 동반한다면 신장 85cm~110cm인 어린이들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 출발지점까지 스카이라이드라고 불리는 리프트를 타고 이동하여, 루지카트를 타고 두개의 트랙(총 2.1km) 구간을 내려온다. 루지카트는 다운힐 라이딩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탈것이다. = = 역사 = = 스카이라인루지는 1985년 뉴질랜드 로토루아 개장을 시작으로 1998년 뉴질랜드 퀸즈타운, 2003년 캐나다 몽트-트렘블랑, 2005년 싱가포르 센토사, 2013년 캐나다 캘거리, 2017년 대한민국 통영의 순으로 자리를 넓혀왔다. '스카이라인루지'라는 브랜드명은 2010년부터 새롭게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센토사의 탑승기록이 10,000,000번을 달성했다. 스카이라인루지 통영은 개장 4개월 만에 100만의 탑승 기록을, 관광지의 전반적인 관광객 감소 추세에도 현재까지 550만의 탑승 기록이 있다. = = = 스카이라인루지 통영 = = = 스카이라인루지 통영은 2017년 2월 국내 첫 개장 이후 2년 만에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하며 대한민국의 대표 관광지로서 자리잡았다. 통영시에서는 유일하게 2019~2020년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된 관광지이다. ‘한국관광 100선’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2년마다 국내 대표 관광지를 선정하여 국내외에 홍보하는 사업이다. 1차 서면 평가와 2차 현장 평가, 3차 최종선정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선정하게 된다. 2020년 9월 17일, 스카이라인루지 통영은 2개의 신규트랙 개장으로 4개의 트랙과 총 3.8km의 길이로 아시아 최대 루지사이트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 쿤쳅스카야역 = 쿤쳅스카야역은 다음과 같은 역을 가리킨다. 쿤쳅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과 필룝스카야 선의 역이다. 쿤쳅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볼샤야 콜체바야 선의 역이다. = 신후지역 (시즈오카현) = 신후지역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소속의 도카이도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은 2면 2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후지 산의 남쪽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에서 후지 산 전경을 볼 수 있다. = = 승강장 = = 1 ■도카이도 신칸센 (상행) 신요코하마 시나가와 도쿄 방면 2 ■도카이도 신칸센 (하행) 시즈오카하마마츠 나고야 신오사카 방면 = = 이용 현황 = =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의 통계(2003~2006) 연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승차객 4640 4808 4901 4890 = 틀:송해성 = = 분류:프랑켄 관구 = = 재난 = 재해(災害, )는 날씨 등의 자연현상의 변화, 또는 천재지변 또는 인위적인 사고로 인한, 재산의 피해를 말한다. 재해 가운데 자연현상과 관련된 천재지변을 좁은 의미의 재해(災害) 또는 재앙(災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사람의 실수 또는 부주의나 고의로 일어난 사고도 재난으로 보아 인재(人災, 인재 사고)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해의 원인을 재난(災難)이라고 부른다. 다만 재해와 재난을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재난 및 대응체계 = = 정의 = = 재해는 다음과 같이 정의 및 분류된다. 재난의 정의 #자연적 재난 : 태풍, 홍수, 호우(豪雨), 강풍, 풍랑, 해일(海溢), 대설, 한파, 낙뢰, 가뭄, 폭염, 지진, 황사(黃砂), 조류(藻類) 대발생, 조수(潮水), 화산활동, 소행성ㆍ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ㆍ충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사회적 재난 : 화재ㆍ붕괴ㆍ폭발ㆍ교통사고(항공사고 및 해상사고를 포함한다)ㆍ화생방사고ㆍ환경오염사고ㆍ 다중밀집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와 에너지ㆍ통신ㆍ교통ㆍ금융ㆍ의료ㆍ상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이하 "국가기반체계"라 한다)의 마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피해 = 람베르투스 2세 스폴레텐시스 = 람베르토 2세(Lambert II of Spoleto, 870년/875년경 - 898년 10월 15일)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의 스폴레토 공작, 이탈리아의 군주이다. 스폴레토 공작 구이도 3세의 아들이며 891년 5월 부왕에 의해 공동 황제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교황 포르모소는 그에게 왕관 수여를 거절했고, 동프랑크의 아르눌프에게 도움을 청하여 이후 이탈리아를 원정한 아르눌프와 여러 번 교전하였다. 896년 교황 포르모소에 의해 황제위를 박탈당하자 분개한 그는 포르모소 사후 자신들의 측근들을 시켜 포르모소의 묘소를 파헤쳐 시신을 상대로 재판을 하였다. 재위기간 내내 교황 포르모소의 구원 요청으로 이탈리아 원정을 한 아르눌프와 교전했고, 이탈리아 내부에서도 베렌가리오 1세와 제관 및 이탈리아 왕관을 놓고 경합하였다. 896년 2월 22일 교황 포르모소에 의해 폐위당했으나 898년경까지 이탈리아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군림하였다. 병을 앓던 아르눌프가 이탈리아에 오래 체류하지 못하고 동프랑크 왕국으로 회군하자, 람베르토는 아르눌프 제관 수여의 무효화를 주장했지만 898년 10월 15일 피덴차 근처에서 사냥 도중 암살당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카롤링거 왕가의 카피툴라리아(Capitulary) 전통을 존중한 마지막 군주이기도 하다. = = 생애 = = = = = 공동 통치자 겸 공동 국왕 = = = 람베르토 2세는 구이도 3세와 베네벤토 공작 아델히스의 딸 베네벤토의 아겔트루드의 아들이었다. 그의 증조모 롬바르디아의 아델라이드는 샤를마뉴의 아들 피피노 카를로만의 딸이었다. 또한 작은할아버지 낭트의 람베르토 3세의 부인 로틸데는 중프랑크 왕국의 황제 로타르 1세의 딸이었다. 그는 샤를마뉴의 아들 피피노 카를로만의 증외고손에 해당되어 계승권에서 멀었지만, 아버지 구이도가 888년 12월 이탈리아의 귀족들로부터 왕으로 선출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을 수여받으면서 공동황제이자 황위 계승자가 되었다. 889년 아버지 구이도 3세는 이탈리아 파비아에서 귀족들에 의해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왕세자가 된 람베르토는 889년 5월 제국의 섭정이자 이탈리아 왕국 섭정으로 임명된다. 왕권을 불안히 여긴 부왕 구이도는 교황에게 아들 람베르토의 축성과 제관 수여를 계속 요청했지만 번번히 거절당한다. 891년 5월 부왕 구이도 3세에 의해 파비아에서 공동 황제로 선포되었다. 교황 스테파노 5세에게 축성받고 바로 이탈리아의 왕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교황 스테파노 5세가 죽고 포르모소가 새 교황이 되자 람베르토는 892년 4월 30일 아버지 구이도 3세와 함께 라벤나로 가서 제관을 요구했지만 교황 포르모소는 제관 수여를 거절했다. 람베르토와 그의 아버지 구이도 3세는 교황에게 피핀의 기증과 같은 형태로 영토를 헌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교황 포르모소에게 거절당했다. = = = 제관 수여 문제 = = = 892년 4월 30일과 8월 30일, 그리고 893년 초, 귀도 3세는 라벤나를 방문하여 교황 포르모소에게 아들 람베르토를 공동 황제로 인정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귀도는 군사적 압력을 행사하여 교황 포르모소에게 아들 람베르토의 공동 황제를 추인하도록 강요했다. 귀도는 황제나 왕의 아들을 공동 통치자로 승인하는 법을 제정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교황 포르모소는 비밀리에 아르눌프에게 사람을 보내 도움을 호소하였다. 893년 교황 포르모소는 동프랑크의 레겐스부르크로 사절을 보내 동프랑크의 국왕 아르눌프에게 이탈리아를 해방시키고 로마를 구해 달라며 군사를 요청했고, 894년 초 아르눌프는 자신의 서자 츠벤티볼트와 함께 바이에른의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산맥을 넘어와 이탈리아를 공격했고, 프리울리의 베렝가리오 1세가 이들에게 합류했다. = = = 동프랑크 군대와의 전쟁 = = = 아버지 구이도와 함께 아르눌프, 츠벤티볼트, 베렝가리오 1세의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 그러나 이들은 곧 아버지 구이도의 뇌물로 그해 가을 동프랑크로 떠나보냈다. 894년 11월 공동통치자였던 아버지 구이도가 병사하자 유일한 황제이자, 이탈리아의 실질적 통치자가 되었다. 아버지 구이도 3세가 죽자 마자 아버지 구이도의 경쟁자였던 베렌가리오 1세는 다시 롬바르디아의 수도 파비아를 점령했지만 람베르토는 자신의 모후와 측근들의 강력한 지원으로 베렌가리오 군대를 다시 쫓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894년 초부터 아르눌프는 개인적으로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산맥을 넘어 이탈리아 북부의 포강까지 공략하였다. 람베르토는 아르눌프의 군대를 상대해야 했다. 그는 나이가 젊었지만 어머니 아겔트루드가 섭정 노릇을 하였다. 아겔트루드는 철저한 반(反) 독일주의자이기도 했다. 람베르토와 아겔트루드는 교황의 승인을 얻기 위해 로마로 갔다. 람베르토 모자가 로마로 갈 무렵 베렌가리오가 파비아를 점유한다. 람베르토는 다시 교황 포르모소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을 요구하지만 포르모소는 제관을 아르눌프에게 수여했고, 람베르토 일행을 산 탄젤로 성에 감금해버린다. 그는 집권기간 내내 이탈리아를 공략하려는 아르눌프와 베렝가리오 1세와 전쟁하였다. 토스카나의 아달베르토 2세는 파비아에 있으면서 베렝가리오 1세 군대를 공격하는 저격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896년 무렵에는 람베르토를 배신하고 아르눌프의 편에 서게 된다. 893년부터 아르눌프가 군사를 이끌고 오자, 람베르토는 선봉으로 아르눌프 군과 맞서 싸우기도 했다. 894년 부왕 구이도 3세가 죽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위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아르눌프의 침공은 계속되었고, 교황 포르모소에 의해 896년 2월 21일 황제위를 박탈당했다. = = = 승인 거부 = = = 895년 1월 람베르토는 자신의 수도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 같은 해에 그의 형제 구이도 4세는 비잔틴 제국에 도움을 얻어 스폴레토 지역을 점령했다. 람베르토는 정식 황제로 승인해줄 것을 촉구했고, 랭스의 풀크 주교는 침묵했다. 895년 9월 교황의 사절은 다시 아르눌프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레겐스부르크에 도착했다. 10월 아르눌프는 두 번째 이탈리아 공략에 착수했다. 람베르토 2세는 아르눌프 군과의 전투를 회피하였고, 아르눌프는 토스카나의 귀족들 사이에서 지지를 모으고 있었다. 이때 람베르토 2세의 측근이었던 토스카나의 아달베르토 역시 아르눌프의 편에 가담했다. 이들은 람베르토와 아겔트루드를 찾아내려 했고, 896년 2월 21일에는 로마를 점령했다. 바로 포르모소에 의해 제관은 아르눌프에게 수여되었고, 람베르토는 황제직에서 면직이 선언되었다. 람베르토는 어머니 아겔트루드와 함께 스폴레토로 도주했다. 하지만 아르눌프가 뇌졸중과 중풍을 앓고 있었으므로 아르눌프의 군대는 곧 동프랑크로 되돌아갔고, 람베르토 2세는 곧 풀려났다. 이탈리아는 사실상 람베르토가 통치하고 있었다. 아르눌프가 중풍과 뇌졸중이 발병해서 다시 동프랑크로 돌아가자 이탈리아의 북동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람베르토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람베르토는 이탈리아 중부 지역을 오가며 이탈리아의 통치자임을 과시했다. 그는 파비아를 재탈환하여 마기눌프 등을 참수하였고, 동시에 10월과 11월 베렝가리오 1세에게 사람을 보내, 베렝가리오가 차지하고 있던 영역과 자신이 차지한 파비아 이남 지역에 경계선을 설정하고 이탈리아를 분할하여 서로의 주권을 인정하기로 하고, 포강에서 휴전을 선언하였다. 람베르토 2세와 베렝가리오 1세는 또한 베르가몬을 공유하기로 약속하고 베렌가리오 1세의 딸 기셀라와 결혼하기로 정략결혼동맹 약속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람베르토와 베렝가리오 1세의 일시적인 휴전과 정략결혼 동맹계획은 깨졌는데, 크레모나의 작가 리우르프란트는 이탈리아가 두 왕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이는 이런 저런 말을 낳다가 람베르토와 베렝가리오 1세의 동맹관계는 깨지게 된다. = = = 시신 재판 = = = 896년 람베르토는 다시 교황 포르모소를 찾아갔지만 그해 4월 4일 포르모소는 병으로 죽었다. 황제관 박탈에 분개한 그는 포르모소 사후 자신들의 측근들을 시켜 포르모수스의 묘소를 파헤치기도 했다. 한편 람베르토는 아르눌프에게 협력했던 밀라노의 백작 마기눌프 등을 파비아에서 참수형에 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지지층의 이탈을 막기도 했다. 이어 교황 스테파노 6세를 사주하여 죽은 포르모소를 재판하는 이벤트를 벌이기도 했다. 죽은 교황 포르모소의 석관에서 시신을 꺼낸 뒤, 교황의 옷을 입히고 재판을 하였다. 그리고 심판관들이 죄를 물으면 포르모소 시신의 뒤에 있는 인물이 시신의 손가락을 움직이며 죄를 자복한다고 하는 식의 재판이었다. 이 재판에서 교황 스테파노 6세는 교황 포르모소의 교황 선출은 무효라는 판결을 내린다. 람베르토 2세와 교황 스테파누스 6세는 교황 포르모소의 시체에 교황 옷을 입히고 교황자리에 앉힌 뒤 교황 포르모소의 교황직을 폐하고, 그가 시행한 교회 훈령과 포르모소가 생전 수여한 성직자 임명을 전부 무효라고 선언했다. 곧이어 스테파누스는 포르모소의 시체를 로마시내 거리로 끌고 다녀 조리돌림을 한 뒤 테베레강에 던져 빠뜨리도록 명령함으로써 그 재판을 끝냈다. 그러나 898년 1월 정변이 발생해 교황 스테파노 6세가 퇴출당하고 요한네스 9세가 교황으로 즉위하면서 판결은 뒤집힌다. 교황 요한네스 9세는 즉위 직후 로마, 라벤나에서 공의회 소집을 명하고 교황 포르모소를 복권시켰으며, 교황 스테파노 6세는 교황 포르모소의 시체를 재판하여 그의 교황선출과 정책이 무효라고 선언한 것을 다시 뒤집었다. 교황 요한네스 9세가 소집한 공의회의 성직자들은 스테파노의 재판과 성직자 회의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그 교령들을 파기했다. 또한 스테파누스와 그 일파에게 폐위당한 성직자들을 복권시켰다. 898년 2월 람베르토 2세는 라벤나에서 제국 의회를 소집, 70명의 주교단과 만나 891년의 자신의 즉위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아르눌프의 대관식 무효와 람베르토 2세의 제국 황제 지위의 적법성의 동의를 구하였다. = = = 생애 후반 = = = 람베르토 2세는 아버지 구이도 3세의 "새로운 프랑크 왕국(Renovatio Francorum)"이라는 정책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선대 프랑크 왕들의 법령 역시 계승하였다. 람베르토 2세는 또 824년의 프랑크 황제 로타르 1세의 로마 헌장(Constitutio Romana) 부활을 선언했는데, 교황 요한네스 9세는 로타르의 로마 헌장을 다시 승인하여, 교황 선출 때 황제의 사절을 의무적으로 참석하도록 확정하였다. 898년 초, 람베르토 2세는 아버지 구이도의 정책을 명문화한 우티넨의 로마법(Lex Romana Utinensis)을 제정하였다. 895년 5월 아르눌프의 황제관 수여 무효를 선언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북동부는 여전히 베렝가리오 1세의 세력이 강건했고, 그는 토스카나의 반항적인 아달베르토를 상대해야 했다. 898년 초가을, 그는 베렝가리오 1세와 교전했지만 패하였다. 그러나 베렝가리오는 파비아 남쪽으로 내려오지 못했고 여전히 이탈리아 중남부는 람베르토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898년 10월 15일 사냥을 위해 파비아에 갔다가 밀라노 남부의 마렝고로 가서 사냥하였다. 사냥 도중 그는 피덴차의 보르도 산 도미노(Borgo San Donnino)에서 경쟁자가 보낸 자객에 의해 말 위에서 떨어져 낙마한 뒤 암살되었다. 크레모나의 주교 리우르프란트는 마기눌프의 아들 우고를 암살자로 지목했다. = = = 사후 = = = 그의 시신은 곧 수습되어 파비아에서 피아첸차로 운구되어 팔라센티(Placentiae)에 매장되었다. 그는 아버지 구이도 3세와 함께 혼란에 빠진 틈을 타서 이탈리아의 왕위와 신성로마황제의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는 곧 많은 제후들의 반발을 샀고, 많은 이탈리아와 독일의 제후들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넘보는 원인이 되었다. 그의 죽음을 기점으로 이탈리아는 여러 통치자들이 난립하게 되었다. 람베르토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으므로, 스폴레토 공작위는 그의 동생인 귀도 4세가 계승하였다. 그러나 귀도 4세는 동프랑크의 귀족가 출신인 알베리크 1세(Alberic I)에게 살해당하고 이후 스폴레토 공작직과 이탈리아 남부지역의 패권은 알베리크 가문과 마로치아 가문이 차지하게 된다. 한편 람베르토가 죽자마자 수일 안에 프리울리의 베렝가리오 1세가 파비아 이남 지역을 점령하였다. 이탈리아 북부는 베렝가리오 1세와 그의 경쟁자들이 난립하여 혼란이 발생하였다. = = 가족 관계 = = 증조부 : 람베르토 1세(836년 사망), 낭트 백작 증조모 : 롬바르디아의 아델라이드, 피피노 카를로만의 딸, 샤를마뉴의 손녀 할아버지 : 귀도 1세(860년 사망), 스폴레토 공작 할머니 : 베네벤토의 이타, 베네벤토의 싸이코(Sico of Benevento) 딸 백부 : 람베르토 1세 * 사촌 : 귀도 2세 아버지 : 귀도 3세, 스폴레토 공작, 이탈이아의 왕, 황제 어머니 : 아겔트루드 드 토스카나(Ageltrude, 923년 8월 27일 사망), 베네벤토 공작 아델히스의 딸 형제 : 귀도 4세, 스폴레토 공작 부인 : 아델라이드, 생캉탱과 페로네 백작 피핀의 딸, 피피노 카를로만의 증손녀 외할아버지 : 아델히스(Adelchis of Benevento, ? ~ 878년 5월), 베네벤토 공작 외할머니 : 아겔트루드(Ageltrude) 외증조부 : 라델히스(Radelchis I of Benevento, 851년 사망), 베네벤토 공작 외삼촌 : 라델히스 2세(Radelchis II of Benevento, 907년 사망) 장인 : 피핀 2세(Pepin II de Senles, 815년/817년 - 850년/855년), 피피노 카를로만의 서손자 = = 기타 = = 그가 살해당했다고 본 리우트프란트는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 = 참고 자료 = = Hartmut Becher: Lambert von Spoleto. In: Neue Deutsche Biographie (NDB). Band 13, Duncker & Humblot, Berlin 1982, , S. 432 f. Georg Gresser: Lambert v. Spoleto. In: Lexikon für Theologie und Kirche. Band 6, Freiburg 1997, Sp. 617–618 (mit weiterführender Literatur). Herbert Zielinski: Lambert von Spoleto. In: Lexikon des Mittelalters (LexMA). Band 5, Artemis & Winkler, München/Zürich 1991, , Sp. 1623–1624. = 분류:하엔도의 지리 = = 틀:인형 정보/설명문서 = = = 사용 방법 = = *예: {{인형 정보 }} { "description": "", "format": "block", "params": {} } =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 =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는 G20의 정상들이 모이는 다섯 번째 모임이다. 회의의 주제는 금융 시장, 세계 경제에 관한 것이었다. 2010년 11월 11일 ~ 12일 아시아 최초로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다. = = 준비 = = = = = 자원봉사자 모집 = = = 서울특별시에서는 G20 정상회의 기간동안 외국인들을 안내할 시민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였다. 모집 된 인원들은 11월 8일부터 13일까지 자원봉사단은 G20 정상 회의 기간동안 각국 참가자와 외국인 방문자들의 숙소별 종합 안내, 관광 및 문화 행사 안내,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안내 등을 지원하였다.서울시 G20 자원봉사자 모집 페이지 (종료)송복규, 서울시, G20 자원봉사단 2600여명 모집, 머니투데이, 2010년 5월 25일 = = = 교통 = = = 회의 기간 중 이틀 간 회의가 열리는 삼성동 주변에 대한 교통 통제가 강화되었다. 서울특별시 전역에는 자동차 2부제(홀짝제)가 실시되었으며, 코엑스 일대 일반 차량의 진입은 전면 차단되었다. 지하철 2호선 삼성역 역시 코엑스와 연결된 구조적 특성 때문에 정상회의 둘째날 오전 삼성역을 지나는 지하철을 모두 무정차 통과시켰다.이재철, [서울 G20] 각국 정상 경호 對테러 작전 어떻게 , 매일경제, 2010년 1월 16일 또한 코엑스 블럭 내부로의 접근은 삼성역쪽 연결 게이트 외에는 모두 차단 봉쇄 되었다. = = 참가국 = = 구성국 구성국 참여자 명칭 G20 공업화 국가 G20 공업화 국가 G20 공업화 국가 G20 공업화 국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이컵 주마Zuma (U Toronto site); Zuma (G20 official site) 대통령 대한민국 (개최국) 이명박Lee (U Toronto site); Lee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독일 앙겔라 메르켈Merkel (U Toronto site); Merkel (G20 official site) 연방수상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Medvedev (U Toronto site); Medvedev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멕시코 펠리페 칼데론Calderón (U Toronto site); Calderón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미국 버락 오바마Obama (U Toronto site); Obama (G20 official site) 대통령 브라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Brazil (U Toronto site); Brazil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King Abdullah (U Toronto site); King Abdullah (G20 official site) 국왕 아르헨티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Kirchner (U Toronto site); Kirchner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영국 데이비드 캐머런Cameron (U Toronto site); Cameron (G20 official site) 총리 오스트레일리아 줄리아 길라드Australia (U Toronto site); Australia (G20 official site) . 연방총리 유럽 위원회 조제 마누엘 바호주Barroso (U Toronto site); Barroso (G20 official site) 집행 위원장 유럽 이사회 헤르만 판 롬파위Van Rompuy (U Toronto site); Van Rompuy (G20 official site) 이사회 의장 인도 만모한 싱Singh (U Toronto site); Singh (G20 official site) . 총리 인도네시아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Yudhoyono (U Toronto site); Yudhoyono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일본 간 나오토Kan (U Toronto site); Kan (G20 official site) . 내각총리대신 중화인민공화국 후진타오Hu (U Toronto site); Hu (G20 official site) . 주석 캐나다 스티븐 하퍼Harper (U Toronto site); Harper (G20 official site) . 총리 터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Erdoğan (U Toronto site); Erdoğan (G20 official site) 총리 프랑스 니콜라 사르코지Sarkozy (U Toronto site); Sarkozy (G20 official site) . 대통령 초대 국가 초대 국가 초대 국가 초대 국가 나라 나라 참여자 명칭 말라위 빙구 와 무타리카 대통령 베트남 응우옌떤중Đặng Khanh. "G20 to Promote Cooperation (Đẩy mạnh hợp tác G20)," VOV News (Vietnam).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총리 에티오피아 멜레스 제나위 총리 스페인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Joshi, Vijay. "G20 struggles to find common ground on disputes," San Diego Union (US). November 10, 2010; retrieved 11 Nov 2010. 총리 싱가포르 리셴룽Chang, Rachel. "PM heads to Seoul for G-20," Straits Times (Singapore). November 10, 2010; retrieved 10 Nov 2010. 총리 국제 기구 국제 기구 국제 기구 국제 기구 국제 기구 국제 기구 참여자 명칭 국제 노동 기구 후안 소마비아 Head 국제 연합(UN) 반기문Wang Guanqun. "UN chief stresses necessity of cooperation between UN, G20," Xinhua (China). November 10, 2010; retrieved 10 Nov 2010 사무총장 국제 통화 기금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Lee Chi-dong "G-20 leaders start Seoul session," Yonhap News Agency.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Managing Director 금융안정포럼 마리오 드라기Cho Jin-seo. "G20 to Beef Up Vigilance on Banks," Korea Times (ROK).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Chairman 동남아 국가연합 수린 피츠완 "G-20's Poverty Reduction Agenda" (박희태 "인류 빈곤해소가 서울 G20회의 핵심 의제), Asia Economy Daily (ROK).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Secretary General 동남아 국가연합 응우옌떤중 Chairman 세계 무역 기구 파스칼 라미Mallard, William. "WTO's Lamy: US, Korea 'Will Get There' On Free-Trade," Wall Street Journal.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Director-General 세계은행 그룹 로버트 졸릭Beattie, Alan. "Deep Fractures Damage Hopes of G20 Breakthrough," Financial Times. November 10, 2010; retrieved 11 Nov 2010. 회장 아프리카 연합 빙구 와 무타리카Jang, Jiyun. "Malawi President Arrives in Seoul For G20 Summit," Arirang News (ROK). November 9, 2010; retrieved 9 Nov 2010 Chairman NEPAD 멜레스 제나위Kim Tae-gyu. "Ethiopian PM Asks for Brisker Korea-African Cooperation," Korea Times. November 11, 2010; retrieved 11 Nov 2010. Chairman OECD 호세 앙헬 구리아Mu Xuequan. "Global Leaders Arriving in Seoul for G20 Summit," Xinhua (China). November 10, 2010; retrieved 11 Nov 2010. Secretary-General 1: 개최국 = = 안전 = = 아래와 같은 기관들이 회의의 보안을 담당했다. 경찰청 대통령경호실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 유치 의의 및 기대효과 = = 대한민국은 2010년 11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G20 정상회의 개최국과 의장국을 겸함으로써 아시아의 변방에서 벗어나 세계의 중심국가로 도약하게 되었다. 즉 회의 개최뿐만 아니라 의제설정, 토론, 결론 도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 다양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 경제질서의 남들이 짜놓은 국제질서 속에서 기존의 수동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주도적으로 새로운 판을 짜는 나라가 된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특별기자회견에서 “세계 주요정상들이 피츠버그 정상회의에서 G20을 글로벌 거버넌스의 ‘최상위 협의체’로 선언했다”며 “G20이 세계 질서의 구심점으로 경제뿐 아니라 에너지, 자원, 기후변화, 기아, 빈곤 등 글로벌 이슈를 논의하는 핵심기구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G20정상회의를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개최하는 것은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공조 체제에서 대한민국이 선도국의 위치를 재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역설했다.G20 코리아 프리미엄 절호의 기회李대통령 특별회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도 역대 회의보다 클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005년 APEC 정상회의의 경제적 효과를 4천7백억∼6천7백억원으로 분석한 바 있다. 또 지난 6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린 제주도는 1만명 이상의 고용유발 효과와 2천6백억원 이상의 홍보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했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의 85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는 G20 국가의 경제적 위상을 생각하면 앞서 국내에서 열린 국제 정상회의보다 훨씬 큰 직접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그러나 논란도 있다. 정부는 "서울 G20 정상회의와 기대효과"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는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는데 따른 직접 효과만 1023억원에 이른다고 되어 있으며이 금액은 참가자들의 체류비 490억원과, 부가가치 533억원을 더한 금액이다. 간접 효과는 21조 4553억원~24조 5373억원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 G20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져서 수출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가장 큰 근거중 하나는 외국인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인데,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G20 정상회의 개최 이전에 비해서 18% 높아졌다는 것이다.이 설문조사 단 하나만으로 21조원에서 24조원의 경제효과가 창출된다는 결론을 내놓은 것이다.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G20개최 -> 국가 브랜드 상승 -> 기업 브랜드 상승 -> 수출 증대'라는 논리의 과정을 설명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러한 경제적 효과는 일자리 11만2천개, 소나타 100만개 수출과 맞먹는 경제효과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한민국보다 5개월 먼저 회담을 개최한 캐나다 폴라리스 연구소 토니 클라크 소장은 "(경제 효과가 발생하는)증거를 본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어 "즉각적인 증거는 대부분의 호텔이 손님으로 꽉찼고 식당에도 손님이 많았고 택시도 바빴지만 며칠에 불과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토론토 대학교에서 G20으로 인한 경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1049억원에서 1485억원의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바 있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21조 5576억원의 경제 효과와, 한국무역협회에서 450조원에 달하는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는 발표와 차이가 매우 컸다. 경제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이러한 경제효과 분석은 차후 정책에 참고할만한 수준으로 시용해야 하며, 무리하게 정책 홍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MBC PD수첩 2010년 12월 22일 또한 G20으로 인한 경제효과가 한미 FTA의 20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설득력이 부족하며 과장되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황당하다! G20 경제효과가 한미 FTA의 30배라니… 프레시안 2010년 11월 9일 세계 입법부 수장들이 서울에 집결한 주요20개국 국회의장 회의가 5월 19일부터 20일까지 `지구촌 안전'과 `동반성장'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고 이틀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서울 회의는 인류 안전을 위협하는 테러, 기후변화, 자연재해 등에 대한 국제적 공동대처 노력을 `의회 외교' 차원으로 확장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국제기구도 이미 이 같은 이슈를 다루고 있으나 서울회의를 통해 국회의장 간에도 협력을 강화키로 함으로써 입법화, 제도화를 통한 실행력을 한층 끌어올렸다는게 성과로 꼽히고 있다. 서울회의는 공동선언문에서 자연재해가 지구촌의 안전에 미치는 위협이 점증하는만큼 공동의 예방과 구호노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일본 원전사고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기존의 원자력 안전기준을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면서 원자력 안전, 정보교환, 대처능력 구축, 비상체계에 관한 국가간 협력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기로 했다. 테러와 관련해서는 "어떤 목적을 위해 저질렀던지 우리는 어떤 형태의 테러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나아가 테러는 물론 해적행위 같은 새로운 안보위협의 대처에 국제사회가 함께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2010년 6월 캐나다 토론토, 11월 대한민국 서울 2011년 프랑스 칸에 이어 2012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회의가 열렸다.[ G20 국회의장회의 성과와 과제] 연합뉴스 2011년 5월 20일 加 토론토에서 메뉴정하고… 서울에서 밥상 차려… 佛칸에서 첫술 뜰까 동아일보 2010년 11월 13일 = = 평가 = = 주최측인 대한민국 정부는 각국 정상들의 경호와 신변 안전에 가장 큰 노력을 기울였고, 안전을 위협할만한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곳곳에서 한국인을 비롯해 외국인들이 참가한 G20 반대 집회가 열리기는 했으나, 경찰과 충돌하지는 않았다. 이전에 영국 등에서 열렸던 G20 정상회담의 반대 집회에서 사상자가 100명 이상 발생한것과 대조적인 것으로, 성숙한 집회였던 것으로 평가된다.'안티 G20' 성숙한 집회 문화로 거듭나 아시아경제 2010년 11월 12일 또한 회의 며칠 전부터 회의 당일에 극심한 교통 체증이 일 것이란 언론들의 보도가 일던 가운데 정부는 자율적 2부제를 시행하였고,홀수날에는 홀수 차량만, 짝수날에는 짝수 차량만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서울 강남 일대 교통량이 15%가량 줄어들어 심각한 교통체증을 빚지는 않았으나, 일부 좁은 도로에서 각국 정상이 이동시에 도로가 차단되어 체증은 있었다. 코엑스 상가들과 극장도 자진 휴업하는 등 협조했다.코엑스몰 주변 업체 G20 기간동안 휴업 결정 아시아경제 2010년 11월 5일 핵심 의제였던 환율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각국은 환율절상을 통해 수출증대를 계획하여 갈등을 빚었으나 결국 시장경제에 맡기자는 결론에 합의했다.G20 서울선언문 나오기까지...숨가빴던 순간들 YTN 2010년 11월 11일 그러나 경제규모 1,2위에 해당하는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 중국의 후진타오주석이 환율 문제와 관련해서 신경전을 벌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해 논란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오바마-후진타오, 환율 문제 놓고 네탓 공방 연합뉴스 2010년 11월 12일 이 외에도 전 세계 GDP의 85%를 차지하는 G20국가들이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고, 경제위기를 예방하는 방안을 합의하는데도 성공했다고 G20 정상회의 의장인 이명박이 밝히기도 했다.李대통령 "개발 의제, 활발한 토의 진행 '뿌듯'" 노컷뉴스 2010년 11월 12일 회의가 끝난 이후 대한민국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렸다. 민주당은 '성과가 없었다'며 폄하했고, 한나라당은 "가슴 벅찬 시간이었다"라고 극찬했다.與 "자랑스러워" 野 "실패했다"…엇갈린 평가 뉴시스 2010년 11월 12일 = = = 해외언론 평가 = = = G20 정상회의가 정례화되고 대한민국이 차기 개최지로 결정된 것과 관련 미국의 블룸버그와 프랑스의 AFP통신 등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 주도국의 하나로 중점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즈 신문은 “새로운 조직이 경제의 리더십을 장악했다”고 보도했으며 중국의 신화통신도 “국제금융 구도에서 권력관계 변화를 의미하는 중대한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이밖에 중국의 인터넷뉴스 포털 환구망(環球網)은 “대한민국은 G20 정상회의 의장국이자 주최국으로서 글로벌 논의의 중심에 서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높아진 국제적 위치가 반영된 것”이라고 보도했다.세계언론이 본 G20정상회의 대한민국 유치 = = 사건·사고 및 논란 = = = = = 환율조작국 논란 = = = 그러나 대한민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명하는 예가 있어서 서울 G20 정상회의를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이명박 대통령은 정상회의에 대해서 "대한민국은 테러 대상 국가도 아니고... 테러 대상이 될 수 없다"라고 말하였다."대한민국은 테러대상 국가도 아니고 될 수도 없다" = = = 과잉홍보 논란 = = = 공영방송인 KBS에 의해 과도한 G20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으며 그 효과 또한 과장되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KBS 노조 " 정권 아부 제발 적당히해라 미디어오늘 2010년 10월 27일 실제로 정부에서는 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대해 외신들은 "공무원들에게 본연의 업무 대신 거리 청소를 시키고 일곱살배기 어린이들은 경제학을 공부한다. 한국 정부가 G20회의를 위해 시민들을 동원하고 있다"라고 비꼬기도 했다. 김태동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는 "G20은 앞으로 7~8년이면 20개 나라 모두가 한 차례씩은 개최할 터인데, 공무원을 동원해 길거리의 껌을 제거하는 나라는 한국 뿐일 것"이라며 "대통령과 이 정부 역대 기획재정부 장관 모두 환율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제대로 모르는데, 왜 초등학생까지 환율전쟁 숙제로 고생하여야 하는지 분통이 터진다"라고 비판했다.G20이 뭔지’ 공무원은 껌 떼고, 초등생은 환율 공부 경향신문 2010년 11월 2일 = = = 기타 = = = 또한 음향대포 도입도 논란이 되었다. 음향대포는 청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140dB 이상의 큰 소리를 내며 두뇌에도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시위 진압도구 중에 가장 큰 논란의 중심에 있다.위험한 진압장비 mbc 2010년 10월 22일 또한 G20을 계기로 야간집회금지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데 대한 국민 탄압 비판도 제기되었다. 민주당은 이를 저지하겠다고 밝힌바 있으며 2010년 7월 1일, 헌법재판소에 의해 집시법이 헌법불합치라는 결정이 내려진 이후 200여회 이상의 집회가 있었지만, 폭력집회는 그중 단 한건도 없었다며 과도한 시위 진압을 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야간 폭력집회 0건, 이래도 집시법 개정해야 하나" 오마이뉴스 2010년 10월 12일 이에 더 나아가 입국하는 외국인들에게 '집회에 참가하면 처벌받는다'는 내용의 전단을 배포하여 외국인들이 불쾌감을 보이기도 했다.김황식, 외국인에 '집회시 처벌' 안내문 "G20 홍보 방법" 프레시안 2010년 11월 10일 이 외에도 G20 정상회의 홍보 포스터에 쥐 그림을 그려넣은 사람에게 구속영장을 무리하게 신청하여 기각된 사안이나,쥐20’ 풍자그림 박씨 “담당 경찰관, 전화받더니 배후 누구냐 추궁” 한겨레 2010년 11월 3일 G20 정상회의 기간동안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자제해달라고 공고를 보내거나,G20 행사 기간엔 밥도 하지 말아라? 쿠키뉴스 2010년 11월 4일 정화조 차량 통행을 금지시켜 사실상 대변을 보지 말라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빚기도 했으며G20이 뭔데 ‘똥’도 싸지 말라고?” 서울시, 정화조 차량 운행도 중지시켜 쿠키뉴스 2010년 11월 10일 대학교내 G20 서울 정상회의 관련 토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등대학내 G20 토론도 금지…“G20 독재” 경향신문 2010년 11월 3일 무리한 준비를 요구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중 음식물 쓰레기 배출 자제는 논란을 빚자 철회했다.'G20 음식쓰레기 배출 자제' 논란 빚자 '철회' YTN 2010년 11월 5일 정상회의를 준비하는 동안 검찰의 현역의원에 압수수색에 차질이 있었다. 경찰청의 시위자를 즉각 검거하는 뜻으로 경찰특공대 대원 10만명과 장갑차의 삼엄한 분위기와 코엑스의 검문이 일반 주민에게 불편을 주었다.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이었던 네스토르 키르치네르가 이 회의가 개최되기 1개월 전에 지병으로 사망했다. 이에 따라 그 배우자이자 이 당시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이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는 우울한 모습으로 회의에 참석했다. 전 아프리카TV 비제이인 진워렌버핏이 회의장에 난입해서 "김이브님인터넷 방송인이다., 결혼해 주세요!"라고 외쳤다가 진행요원들에게 저지당하기도 했다. = = =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 = = 이외에도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일이 11월 11일에서 11월 18일로 늦추어졌다. = = = G20 부속회의 유치 시도 및 개최지 = = = 2009년 11월 27일 경상북도청은 “경주는 세계가 인정한 역사문화 도시인 만큼 주요 20개국 관계자들에게 대한민국의 참모습을 보여 줄 최적지”라며 “재무장관 회의를 비롯한 G20 부속회의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경북도, G20 재무장관회의 유치 `전력'경북일보2009년 11월 27일 특히 경주는 1992년 영국의 찰스 왕세자 부부의 방문, 1993년 한일 정상회담, 2005년 한미 정상회담 등 국빈 행사가 많았고 뛰어난 숙박시설과 국제 수준의 컨벤션 시설까지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G20 서울 정상회의 때 부속회의는 경주서 서라벌신문2009년 12월 6일 경상북도청의 한 관계자는 “2010년 G20 정상회의를 잘 활용하면 경상북도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고 선진문화를 정착시키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재무장관 회의를 유치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내년 G20 재무장관회의 유치 총력전국매일신문2009년 11월 30일 신용대 기자“G20 재무회의는 경주서” 경북도, 12월부터 유치전 세계일보2009년 11월 30일 전주식 기자 권역 개최기간 개최도시 개최회의 비고 수도권 2010년 2월 27일~2월 28일 인천광역시(송도)G20 첫 회의, 인천서 2월 27일 개최KBS2010년 1월 18일 이소정 기자 G20 재무차관·중앙은행부총재회의 영남권 2010년 6월 3일~6월 5일 부산광역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수도권 2010년 7월 서울특별시 sherpa회의 호남권 2010년 9월 4일~9월 5일 광주광역시 G20 재무차관·중앙은행부총재회의 영남권 2010년 10월 21일~10월 23일 경주시(경상북도)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충청권 2010년 10월 11일~10월 13일 부여군(충청남도) ※ T20 관광장관회의제2차 T20 관광장관회의, 대백제의 도시 부여에서 개최되다문화체육관광부2010년 10월 21일 정하늘 문화체육관광부 대학생 기자제5차 T20 관광장관회의(2013.11.4)문화체육관광부2013년 11월 5일 전소향 홍보담당관 = 분류:중국의 동굴 = = 블러디 메리 (전설) = 블러디 메리는 서양 문화에서 전승되는 유령이다. 거울을 보고 "블러디 메리"를 3번(혹은 그 이상) 부르면 거울을 통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본을 거치면서 이야기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다. 이것은 놀이의 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 = 소개 = = 블러디 메리가 나타나게 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깜깜한 욕실의 거울 앞에 서서 "블러디 메리"를 3번 부르는 것이다. 그 밖에도 "블러디 메리"를 100번 부르기, 밤에 노래부르기, 제자리에서 돌기, 눈 만지기, 수도꼭지 틀기, 양초를 켜고 "블러디 메리"라고 13번 부르기 등등 많은 변종이 있다. 일본에서 넘어온 버전에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설들에서, 블러디 메리는 종종 아기를 잃어버려 통탄하다가 끝내 자살을 저지른 어린 엄마의 영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또,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인 것으로 오인받아 감옥에 간 이야기에서는,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하면 블러디 메리가 나온다. 이것은 자정, 거울에 the Bell Witch가 나오게 하는 놀이와도 유사하다. 이 놀이는 블러디 메리가 나오면 그녀를 부른 사람의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잘라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리고 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아주 잔인한 방법으로 죽인다고 하여 담력 테스트로 사용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블러디 메리가 그녀를 부른 사람을 죽이지 않은 경우에는 평생동안 그들에게 귀신이 씌인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다른 버전에서는,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12:09까지 대화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또 다른 변종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직접 보지않고, 거울에 비친 블러디 메리의 모습을 보면 배우자와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See generally, Bill Ellis, Lucifer Ascending: The Occult in Folklore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Kentucky, 200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 다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다. = = 지정 목록 = = = = = 제1호 ~ 제100호 = = = = = = 제101호 ~ 제200호 = = = = = = 제201호 ~ 제300호 = = =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제201호 원산감나무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 제202호 두류산 고양나무군락 강원도 천내군 동흥리 제203호 안변느티나무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 제204호 문수리 소나무 강원도 안변군 문수리 제205호 추애산조선범 강원도 고산군, 세포군, 법동군 제206호 위남리소나무 강원도 고산군 위남리 제207호 석왕사소나무림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 제208호 석왕사느티나무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 제209호 광명약수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 제210호 천아포고니살이터 강원도 통천군 하수리 제211호 통천알섬바다새번식지 강원도 통천군 금란리 제212호 시중호 강원도 통천군 강동리, 송전리 제213호 국섬 강원도 통천군 자산리 제214호 총석정 강원도 통천군 통천읍 제215호 금란굴 강원도 통천군 금란리 제216호 천선대 제217호 금강산닭알바위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18호 삼일포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 제219호 상팔담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0호 삼선암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1호 조양폭포 강원도 금강군 단풍리 제222호 비봉폭포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3호 십이폭포 강원도 고성군 월비산리 제224호 귀면암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5호 구룡폭포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6호 금강산온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7호 금강수정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제228호 해금강솔섬 강원도 고성군 해금강리 제229호 해금강문 강원도 고성군 해금강리 제230호 외금강남생이살이터 강원도 고성군 금천리 제231호 명경대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제232호 금강국수나무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제233호 금강초롱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제235호 창도늘어진소나무 강원도 창도군 징현리 제240호 두문동 은행나무 강원도 철원군 저탄리 제241호 이천영웅은행나무 강원도 이천군 이천읍 제242호 우미리느티나무 강원도 이천군 우미리 제243호 가재울 은행나무 강원도 철원군 정동리 제244호 성북느티나무 강원도 이천군 성북리 제245호 룡흥리 백로왜가리번식지 강원도 판교군 룡흥리 제246호 판교전나무 강원도 판교군 룡포리 제247호 금구리 소나무 강원도 법동군 금구리 제249호 법동 수달 강원도 법동군의 림진강 상류 제250호 덕흥 박쥐굴 강원도 문천시 덕흥리 제251호 동흥산은행나무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동 제252호 함흥반송 함경남도 함흥시 소나무동 제254호 흥남구경대 함경남도 함흥시 서호구역 풍흥동 제256호 호남향나무 함경남도 금호지구 호남리 제257호 속후회화나무 함경남도 금호지구 속후리 제258호 함주조선닭 함경남도 함주군 추상리 제259호 백악폭포 함경남도 영광군 천불산리 제260호 천불산 사향노루 함경남도 신흥군 대동리 제261호 신흥 엄나무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읍 제263호 서목리왜가리번식지 함경남도 장진군 서목리 제264호 장진정장어알쓸이터 함경남도 장진군 늪수리 제265호 속사강명태알쓸이터 함경남도 장진군 갈전리 제266호 정평백로살이터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리 제267호 광포종 오리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리 제268호 광포 함경남도 정평군과 함주군 제269호 사철오리 함경남도 정평군 구읍리 제270호 정평구슬꽃잎나무 함경남도 정평군 구창리 제271호 금야은행나무 함경남도 금야군 동흥리 제272호 인흥왕밤나무 함경남도 금야군 중동리 제273호 가진 소나무 함경남도 금야군 가진로동자구 제274호 청백향나무 함경남도 금야군 청백리 제275호 금야 겨울새살이터 함경남도 금야군 광명성로동자구와 해중리, 광덕리 제277호 성남소나무 함경남도 고원군 성남리 제278호 홍원류문,진주암 함경남도 홍원군 경포로동자구 제279호 홍원솔섬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 제280호 청도해식굴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 제283호 대섬 신의대군락 함경남도 홍원군 호남리 제284호 룡전사과나무 제285호 조상사과나무 함경남도 북청군 룡전리 제286호 중동리 소나무 함경남도 덕성군 중동리 제288호 대덕리 원앙새살이터 함경남도 리원군 대덕리 제289호 리원 구석 함경남도 리원군 라흥로동자구 제290호 리원 학사대 함경남도 리원군 학사대리 제291호 곡구리 백리향군락 함경남도 리원군 곡구리 제292호 리원 팽나무 함경남고 리원군 곡구리 제293호 단천 산양 함경남도 단천시 리파리 제294호 포거옥돌 함경남도 단천시 포거동 제295호 오색화강암 함경남도 단천시 증산리 제296호 백금산마그네사이트광체 함경남도 단천시 백금산동 제297호 두연못련꽃 함경남도 단천시 두연리 제298호 단천만지송 함경남도 단천시 달전리 제299호 허천리티움홍전기석로두 함경남도 허천군 룡원로동자구 제300호 백암 부채붓꽃군락 함경남도 부전군 백암리 = = = 제301호 ~ 제400호 = = = = = = 제401호 ~ 제500호 = = = 천연기념물 02 천연기념물 02 = 이사성 = 이사성은 다음 사람 등을 가리킨다. 이사성(李思聖, 1525 ~ 1571)은 조선 시대의 문관 관료이다. 이사성(? ~ 1728)은 조선 영조 치세 시대 무관으로 이인자의 난에 가담한 반역 무관 관료이다. 이사성(李思聖, 1883 ~ 1949)은 대한제국 독립운동가이다. = 내가 성에 관해 알고 있는 몇가지 이야기들 = "내가 성에 관해 알고 있는 몇가지 이야기들"은 한국에서 제작된 양태화 감독의 1993년 영화이다. 김재성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유영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김재성 이웅열 문자영 = = 기타 = = 조명: 박만창 미술: 조기형 = Prisoner of Love = Prisoner of Love는 다음을 가리킨다. "Prisoner of Love"는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틴 머신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우타다 히카루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케니 가렛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제임스 브라운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포리너의 곡이다. "Prisoner of Love"는 《로앤오더》의 에피소드이다. Prisoners of Love는 다음을 가리킨다. "Prisoners of Love"는 《어드벤처 타임》의 에피소드이다. "Prisoners of Love"는 《대니 팬텀》의 에피소드이다. "Prisoners of Love"는 《트루 컬러스》의 에피소드이다. 《Prisoners of Love: A Smattering of Scintillating Senescent Songs: 1985–2003》는 요 라 텡고의 음반이다. = 분류:이탈리아에서 활동한 남자 축구 선수 = = 키롭스크 = 키롭스크(Кировск) 키롭스크(Кировск)는 레닌그라드주에 있는 도시이다. 키롭스크(Кировск)는 무르만스크주에 있는 도시이다. = = 참조 = = 키로프는 칼루가주에 있는 도시이다. 키로프는 키로프주에 있는 주도이다. 키롭그라드는 스베르들롭스크주에 있는 도시이다. 키로보체페츠크는 키로프주에 있는 도시이다. = 금강선법 = "금강선법"(Keum-Kang Martial Arts)은 한국에서 제작된 남기남 감독의 1981년 액션, 드라마 영화이다. 임자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화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임자호 민복기 김국현 최종숙 = = 기타 = = 조명: 김윤덕 = 트란속사니아 = = 리에주 전투 = 리에주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독일 제국이 벨기에의 리에주 요새를 둘러싸고 벨기에군과 벌인 전투다. 이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하긴 했지만, 벨기에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애초 작전 종료 예정일이었던 8월 10일보다 1주일가량 늦게 요새를 점령했다. 이 바람에 이후 작전에 차질을 빚었고, 영국 및 프랑스 연합군에게는 독일군에 대비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 = 배경 = = 1914년 8월 1일 오후 7시를 몇 분 앞둔 시점, 트리어에 주둔하고 있는 독일의 16 보병사단은 룩셈부르크로 진격할 예정인 가운데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트리어의 사단본부에 긴급 전문을 보낸다. 내용은 다음 명령이 내려질 때까지 국경을 넘지 말라는 내용이었으나 이미 16사단의 선봉인 펠트만 중위가 이끄는 69보병사단 예하의 보병중대는 국경을 넘어 독일과 벨기에간의 철도와 전신의 교차점인 트르와-비에르즈를 점령하고 있었다, 오후 7시 30분 독일 황제는 다시 전문을 보내 16사단은 룩셈부르크의 국경을 넘지 말 것을 명령하나 총사령관인 몰트케의 반대로 이 명령은 취소되고 8월 2일 16사단은 룩셈부르크로 진격해 오후에는 이미 룩셈부르크 전역이 독일 제4군의 영향권 안에 들게 된다. 룩셈부르크를 점령한 독일은 벨기에에 대해 프랑스군이 벨기에 영토를 넘어 독일로 진격하려 하고 있다는 구실로 독일군이 벨기에 영토를 통과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하나 8월 3일 벨기에가 이를 단호히 거부하자 독일과 벨기에는 전쟁 상태에 돌입한다. 벨기에의 왕인 알베르 1세는 즉시 룩셈부르크와 독일 국경 사이로 연결되는 모든 다리와 철로를 파괴하라고 명령하며 평균 폭이 180미터에 이르는 뮤즈 강의 다리도 모두 파괴하라고 명령한 후 결사 항전할 것을 다짐한다. 벨기에는 20만이 채 안 되는 병력으로 34개의 독일군 사단과 맞서게 되었고 독일 1군과 2군은 작전대로 벨기에 영토로 들어서기 시작한다. 사실 이 요구는 모두 독일의 사전 전쟁 계획인 슐리펜 계획에 의한 것으로서 당시 독일군 총사령관인 몰트케는 “리에주 점령이 우리 계획의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 우리군은 반드시 8월 10일 이전에 리에주를 점령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각 군단으로부터 6개 여단을 차출해 뮤즈군을 편성, 10군단장이었던 엠미히에게 지휘를 맡기고 국경을 넘는다. 슐리펜 계획에 따른 벨기에 점령을 위해서는 독일의 국경 지대에 위치한 요새화된 도시인 리에주와 나무르를 꼭 점령해야 했다. 독일은 좀 더 방어가 약한 나무르를 먼저 점령하지 않고 리에주를 먼저 공격하기로 하는데, 이는 3가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벨기에 방어의 상징적 존재인 리에주를 점령함으로써 얻는 벨기에의 전의 상실. 리에주의 지리적 요건 : 리에주는 독일에서 브뤼셀에 이르는 철도의 교차점이었다. - 보급과 전진에 유리한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벨기에를 원조하려는 프랑스 제5군이 다다르기 전에 점령이 가능했다. - 나무르보다 프랑스 국경에서 먼 지역에 위치. 이때 독일군이 사용한 슐리펜 계획은 원래 계획이 아니라 몰트케 참모총장이 보급 문제를 염려하여 일부 수정한 계획이었다. 애초의 슐리펜 계획에서는 대부분의 주력을 우익(북쪽)에 배치하여, 벨기에를 관통하여 프랑스로 진격하도록 되어 있었다. 거의 9:1에 가깝게 우익에 병력을 집중한 계획이었는데, 결정적으로 이 계획에서는 보급 문제가 등한시되어 있었다. 수십만에 달하는 병력에 대한 식량 및 탄약 보급 문제를 단지 “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언급만 있을 뿐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전쟁을 수행하기로 했지만, 몰트케는 보급 문제를 도저히 등한시할 수가 없었다. 결국 이 계획을 수정하여(일부 군사사가들은 이 수정이 제1차 세계 대전 초전의 1차 마른 전투에서 독일군이 패한 원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상당수 병력을 좌익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그런 몰트케였던 만큼 중요한 보급 수단이 될 철도 교차점인 리에주 점령이야 말로 전쟁의 승패를 가늠하는 요소로 간주했던 것이다. 어쨌거나 이 계획에 따라 독일군은 엠미흐의 지휘를 받아 리에주 공략에 나섰다. = = 상황 = = = = = 리에주 요새 상황 = = = 리에주 시는 당시 인구 16만4천 명의 산업 도시로서 뮤즈 강이 도시 중앙을 흐르고 있었으며 철도 노선이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였다. 리에주 요새는 1880년대에 구축된 독일 국경으로부터 25~30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에 12개의 보루로 이루어진 강력한 방어 요새로 각 보루의 210mm 포에도 버틸 수 있는 콘크리트로 건설되었다. 각 보루의 간격은 평균 1.9킬로미터였고, 가장 멀리 떨어진 보루 사이는 7킬로미터로 요새 지역의 총 둘레는 54킬로미터에 달하고 있었다. 이들 보루는 리에주 시로부터 보통 6.5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각 보루에는 요새포가 배치되어 있었으며 보루들 사이에는 요새 주둔군 외의 벨기에군이 포진하고 있어 강력한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당시 리에주 요새는 다음의 부속 요새로 구성되었다. 바르슝 에베그니 플레론 쇼드퐁텐 옹부르 봉셀르 퐁티에스 리에르 랑텡 롱센 홀로뉴 플레말 = = = 양국 전력 비교 = = = 요새를 둘러싼 공방전을 벌일 벨기에군 및 독일군의 전력은 다음과 같다. 벨기에군 독일군 지휘관 : 지라드 르망 중장 병력 : 보병 31,590명, 기병 492명, 기타 포병. 주요 장비 : 포 252문(요새포 제외), 기관총 30문 지휘관 : 오토 폰 엠미흐 대장 병력 : 대략 6만여 명 주요 장비 : 야포 100문(중포, 박격포 제외), 기관총 100문 3 보병사단 9 혼성여단 * 9 보병연대 * 29 보병연대 * 43/44/45 포대(16문) 11 혼성여단 * 11 보병연대 * 31 보병연대 * 37/38/39 포대(16문) 12 혼성여단 * 12 보병연대 * 32 보병연대 * 40/41/42 포대(16문) 14 혼성여단 * 14 보병연대 * 34 보병연대 * 46/47/48 포대(16문) 기타 * 3 공병 대대 * 2 창기병 연대 * 3 포병 연대 * 3 통신소대 독립부대 및 리에주 주둔군 15 혼성여단 * 1 추격병 연대 * 4 추격병 연대 * 61/62 /63포대(16문) 예비군 * 9, 11, 12, 14 예비 보병연대 리에주포병연대 * 12개 포대 78문 * 전쟁후 4개 포대 추가 편성 요새공병 * 리에주 요새 공병대대 * 4개 요새 공병중대 * 2개 요새통신중대 시민군 - 8,900명으로 추정 뮤즈군 34 보병여단(9군단) * 89척탄병 * 90소총병 * 25보병 연대 * 9엽병대대 * 16 용기병연대 5 기병대대 * 60 야전포병연대 2 대대 * 3개의 파견 공병 중대 27 보병여단(7군단) * 16, 53 보병연대 * 7엽병대대 * 10 경기병연대 1대대 * 파견공병중대 * 43 야전포병연대 1대대 * 9 포병연대로부터 210mm 박격포 2대대 14 보병여단(4군단) * 27, 165 보병연대 * 4엽병대대 * 10 경기병연대 1대대/ 파견공병중대 * 4 야전포병연대 2대대/ 210mm박격포 7대대 11 보병여단(3군단) * 20, 35 보병연대 * 3엽병대대 * 3경기병연대 5대대 * 39 야전포병연대 2대대 * 3공병대대 제1 중대 38 보병여단(10군단) * 73소총병, 74 보병 연대 * 10 엽병대대 * 17 경기병연대 4대대 * 26 야전포병연대 1대대 * 10공병대대 1중대 43 보병여단(11군단) * 82, 83 보병연대 * 6 흉갑기병연대 1대대 * 21 야전포병연대 1대대 2 기병군단 * 2 기병 사단 * 9 기병 사단 기타 * 제플린 퀼른(Coln), 1개 비행편대 = = 경과 = = = = = 서전 = = = 독일의 오토 폰 엠미흐 대장과 그의 뮤즈군은 8월 4일 오전 2마일에 걸쳐 벨기에 국경을 넘기 시작한다. 이미 마르비츠 중장 휘하의 기병은 뮤즈 강을 건널 수 있는 다리와 철로의 확보를 위해 8월 3일 국경을 넘어 정찰 활동 중이었으며, 그들은 리에주에서 북쪽으로 9마일가량 떨어진 곳에서 다리를 발견하나 이미 파괴된 후였다. 결국 북쪽으로 더 이동하여 3마일 떨어진 곳에서 강을 건널 수 있었고 2개의 경기병 연대가 강을 건너 정찰을 계속하게 된다. 그동안 벨기에군의 저항은 없었으며 이미 근처의 모든 벨기에군은 리에주로 퇴각한 뒤였다. 뮤즈군의 임무는 독일 1군과 2군이 벨기에를 통과할 수 있는 루트를 만드는 것이었으며, 작전에 따라 뮤즈군은 리에주의 남쪽으로 접근하여 8월 5일 리에주 전선에 다다르게 된다. 엠미흐는 리에주 전선에 도착과 동시에 벨기에군의 르망 장군에게 전문을 보내 독일군이 벨기에 영토를 통과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하나 르망은 이를 거부하고 결국 전투가 개시된다. = = = 요새 공방전 = = = 8월 5일: 독일 포병은 리에주 남부 지대의 옹부르와 봉셀르 보루를 향해 포격을 개시하고 독일 제43보병여단과 38보병여단이 옹부르와 봉셀르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을 시도하나 벨기에군의 기관총 사격으로 인해 결국 실패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남동부의 쇼드퐁덴과 플레론 공격에서도 재현된다. 8월 6일 : 이른 아침 제34 보병여단은 북부 지역의 리에르와 퐁티에스 보루 사이의 공간으로 공격을 개시해 퐁티에스의 강력한 포격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과하는 데 성공해 벨기에군을 리에주 안쪽의 시타텔(Citadel)로 후퇴시키고 제9 엽병 대대는 이들을 추격해 도시 안까지 진입한다. 결국 르망 장군은 벨기에 제3사단을 도시에서 철수시킨 뒤 독일의 5개 부대가 리에주를 공격 중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독일 제14 보병여단은 에베그니와 플레론 사이의 공간으로 공격하나 벨기에군의 강한 저항을 받게 되고 14 보병여단의 지휘관인 폰 부조브(von Wussow) 소장이 전사한다. 독일 2군의 참모였던 에리히 루덴도르프가 폰 부조브 소장의 뒤를 이어 14 보병여단의 지휘를 담당하게 되고 14여단은 이날 치열한 격전을 치른 끝에야 겨우 1,500여명의 병사와 함께 이곳을 돌파하게 된다. 8월 7일: 이른 아침 루덴도르프는 폰 오벤 대령의 부대를 리에주 안으로 보내 시타텔을 점령하도록 하나 실패했다. 그러나 계속된 포격과 공격으로 시타텔의 벨기에 방어 부대는 최악의 상황으로 다다르게 된다. 8월 8일: 시타텔을 비롯한 리에주 전역이 독일군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고 폰 엠미흐 장군은 리에주가 함락되었다고 최고 사령관에게 보고하나 여전히 12개의 보루는 벨기에군의 수중에 있었다. 27보병여단의 150mm 야포를 뮤즈 강 동안으로 이동시켜 보루들에 대해 포격을 계속한다. 결국 오후 4시 40분 바르슝 보루가 독일군에게 항복하게 된다. 8월 9일: 독일 2군의 일부 부대인 14보병사단과 40보병사단이 리에주 근처에 도착하게 되고 17보병사단은 리에주 북쪽에서 34 보병여단과 합류하게 된다. 8월 10일: 독일의 210mm 곡사포가 뮤즈 강 동안의 퐁티에스와 에베그니 보루에 대해 포격을 개시한다. 빅 베르타라 불리는 2문의 420mm 곡사포가 크루프사의 공장에서 출고되어 기차를 통해 리에주로 향한다. 8월 11일: 에베그니 보루가 독일군에 항복했다. 8월 12일: 플레론과 쇼드퐁텐이 하루 종일 독일군의 210mm 곡사포의 포격을 받고 이날 오후에는 새로 도착한 빅 베르타의 포격을 받게 된다. 제3군 사령관 폰 아이넴 장군이 직접 포격을 지휘한다. 8월 13일: 쇼드퐁텐(오전 9시)과 옹부르(오후 5시 30분)가 항복하고 퐁티에스 보루도 12시 30분 독일에 항복한다. 이날 독일 포병은 플레론, 리에르, 랑텡에 대한 포격을 계속한다. 8월 14일: 오전 9시 45분 플레론이 여섯 번째로 항복하는 보루가 되어 리에주 동쪽의 모든 보루가 독일군의 손에 들어가 동쪽으로부터의 통로가 확보된다. 같은 시간 최북단의 보루인 리에르가 항복하게 되고 독일 포병은 최남단의 봉셀르 보루에 대한 포격을 계속하는데, 이 보루는 뮤즈 강 동안에 위치한 벨기에군의 수중에 있는 유일한 보루이다. 8월 15일: 봉셀르 보루가 밤 동안 계속된 포격으로 결국 이른 아침 독일군에 항복하게 되고 남쪽의 제38여단이 리에주 시로 진입하게 된다. 빅 베르타는 롱센과 랑텐에 대한 포격을 계속해 결국 두 보루 모두 독일에 항복한다. 롱센 보루에서 방어를 지휘하던 르망 장군은 보루 안의 포들을 빼내려 했지만 실패하게 되고 독일군에 포로로 잡힌다. 독일군은 남서쪽에 위치한 플레말에 대한 포격을 계속한다. 8월 16일: 최후의 보루였던 플레말(오전 7시 30분)과 홀로뉴(오전 9시)가 독일군에 항복하고 벨기에 병사들은 독일군의 포로수용소로 명예로운 행진을 하게 된다. = = 결과 = = 독일의 동원은 8월 14일에 마무리 되었는데 동원이 끝난 14일 이후에도 독일 1군과 2군은 벨기에 국경에서 머무르며 작전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리에주는 12일 동안 독일의 공격을 막아내었는데, 그동안 연합군은 독일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어느 정도의 대비를 마칠 수 있었다. 벨기에의 저항은 의도했던 것보다 짧았지만 결과적으로는 독일이 궁극적으로 프랑스 침공에 실패하는 원인이 되었다. 만약 벨기에군이 아닌 프랑스군이 같은 병력으로 리에주에서 독일군에 맞서 전투를 벌였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것이라는 견해도 존재하는데, 이는 벨기에군의 장비가 19세기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효용성이 떨어졌으며 포병이 크게 부족했고 요새 또한 210mm 포탄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 했지만, 이는 1880년대의 210mm 흑색 화약 포탄의 폭발력을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1914년의 발전된 포탄의 파괴력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요한 방어 무기인 기관총도 많이 보유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점도 중요한 사실이다. 하지만, 당시 모든 참전국 중에 전쟁 초기에 기관총을 충분히 갖춘 나라는 없었다. 당시 독일군과 영국군 모두 1개 대대당 2정 정도가 고작이었다. 독일은 리에주 공격을 진행하는 동안 엄청난 양의 포탄을 보루에 쏟아 부었는데 리에주 공격의 진정한 승자는 독일의 410mm 곡사포와 210mm 곡사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포격으로 인해 벨기에 병사들은 엄청난 정신적 충격을 받았으며 이로 인한 피해도 엄청났다. 이들 곡사포의 위력은 요새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주변 땅에 크레이터를 만들어낼 정도였다. 전후의 많은 군사학자는 리에주 전투가 유럽을 구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하는 등 리에주에서의 벨기에군 희생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무튼 이 리에주 전투를 통해 연합국은 적어도 귀중한 2~3일의 시간을 벌 수 있었으며 이는 빈약한 장비와 수적 열세에도 용감히 전투를 벌인 벨기에군에게 그 공이 돌아감이 당연할 것이다. = = 제2차 세계 대전 =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벨기에군은 리에주 요새 못지않은 에반 에말 요새를 건설하여 독일군의 침공에 대비했다. 그러나 에반 에말 요새는 리에주 전투처럼 지상군의 공격에 의해서가 아니라 공수 부대의 기습으로 함락되었다(→에반 에말 요새 전투). = = 참고 자료 = = 대세계사(마당, 1983) 13권 세계전쟁사(봉명, 1999,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 분류:송나라의 민란 = = 안녕 자두야 스페셜: 언더 더 씨 = 안녕 자두야 스페셜: 언더 더 씨은 2019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VOD를 통해서만 상영되었으며, 텔레비전 스페셜로 방송된 적 있었다. = = 성우진 = = 여민정 - 자두 역 양정화 - 엄마 / 용왕 역 정유미 - 미미 / 돌돌 역 김현지 - 애기 / 조영 역 최준영 - 아빠 역 정혜옥 - 민지 역 김보영 - 딸기 역 김영은 - 윤석 역 정혜원 - 성훈 역 김새해 - 은희 역 소정환 - 무사교관 등 역 손수호 - 너구리 / 경찰 등 역 김지율 - 가오리 / 선장 등 역 = 분류:해적전대 고카이저 = = 분류:이탈리아의 금융인 =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래리 크레이머 = = 분류:에스토니아의 올림픽 조정 참가 선수 = = 베르겐 =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남부, 호르달란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25만(2008). 노르웨이 서남부 해안의 깊숙이 들어간 피오르에 위치한다. 수도 오슬로에서 서북쪽으로 400km 떨어져 있으며, 노르웨이에서 오슬로 다음으로 큰 제2의 도시이다. 북위 60° 22′의 고위도에 위치하나, 멕시코 만류의 영향으로 기후가 온화하여 겨울철에도 평균기온이 영상이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2,000mm 이상으로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곳 중 하나이다. 반면 눈은 노르웨이에서는 적게 오는 곳에 속한다. = = 역사 = = 시의 역사는 1070년 노르웨이의 올라프 3세 국왕이 건설한 것에서 시작된다. 그 후 성곽이 생기면서 노르웨이에서 중요한 곳이 되었으며, 12∼13세기에는 이 나라 수도였다.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을 강타한 후 영국 선원들이 들어오면서 무역항으로 중요해졌다. 중세(中世)에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중에서는 최대의 항구이며 무역의 중심이었다. 또한 이때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스칸디나비아의 서해안의 무역을 지배하며 수백년 동안 크게 번창하였다. 19세기까지도 노르웨이의 최대 도시였다가 크리스티아나(현재의 오슬로)에 그 자리를 빼앗겼다. = = 문화 = = 19세기에는 이 곳을 강타한 대화재와 크리스티아나의 발전으로 다소 침체했으나, 그 후 다시 서해안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대화재를 계기로 목재건축은 금지하고 있으나, 한자 동맹 시절의 중심가에는 독특한 목재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피오르식 해안관광의 출발점인 베르겐은 화려한 자연경관과 더불어 각종 미술관·박물관이 있는 문화도시이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베르겐〉 한자 박물관(Hanseatisk Museum)은 베르겐 시가 항구도시로서, 예부터 어업과 해외무역이 발달, 14세기에는 한자동맹에 가세하여 더욱 발전을 거듭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박물관이다. 시장 북쪽 브리겐 거리에 위치하며, 1702년 건립된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자 박물관〉 마리아 교회(Mariakirken)는 브리겐 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베르겐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바로크풍의 선교단이 있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마리아 교회〉 트롤하우겐(Troldhaugen)은 노르웨이의 작곡가 에드바르 그리그의 집이다. 트롤은 보는 사람에 따라 선인과 악인으로 변하는 숲속의 요정으로 트롤하우겐은 트롤이 살고 있는 언덕이란 뜻이다. 그리그가 사용했던 피아노, 악보, 가구 등이 전시되어 있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그리그의 집〉 베르겐 수족관(Bergen Aquarium)은 노르네스 반도 서쪽 끝에 있는 노르웨이 최대의 수족관으로, 9개의 큰 수족관과 42개의 작은 수족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다표범, 해수어, 펭귄, 바다새를 볼 수 있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베르겐 수족관〉 판토프트 통널 교회(Fantoft Stavkirke)는 베르겐 교외의 판토프트(Fantoft)에 있는 독특한 통널 교회이다. 1150년에 처음 송네피오르드에 세워졌던 것인데, 보존을 위해 1883년 이곳으로 이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97년 6월 6일 재건축했다. 지붕이 5층으로 되어 있는 독특한 건물이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스타브 교회〉 = = 자매 도시 = = 에리트레아 아스마라 스웨덴 예테보리 독일 뤼베크 영국 뉴캐슬어폰타인 캐나다 퀘벡 독일 로스토크 미국 시애틀 핀란드 투르쿠 덴마크 오르후스 = 굴베네구 = 굴베네구는 라트비아 북동부에 있던 구로 행정 중심지는 굴베네이며 면적은 1,873km2, 인구는 28,998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15명/km2이다. 1개 시와 13개 교구를 관할했으며 2009년에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폐지되었다. 알룩스네 구와 발카 구, 체시스 구, 마도나 구, 발비 구와 인접해 있었다. = 분류:1823년 작품 = = 시코쿠 방송 = 시코쿠 방송은 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방송국이자 도쿠시마현의 유일한 민영방송국이며 라디오 방송국은 1952년 7월 1일, 텔레비전 방송국은 1959년 4월 1일에 개국했다. 약칭은 JRT, 라디오 콜사인은 JOJR, 텔레비전 콜사인은 JOJR-DTV이다. = = 개요 = = 도쿠시마현의 민방 텔레비전국은 시코쿠방송 1국뿐인데 그 이유는 다른 지역의 방송을 도쿠시마현의 해안가를 중심으로 한 넓은 지역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민방 텔레비전국이 사가 TV 1국인 사가현도 이와 같음). 텔레비전은NNN·NNS의 단독 가맹국이면서 현역민방 텔레비전 방송국이 1개밖에 없는 상황과 NNS 비완전가맹국인것을 이유로 다른 가맹국보다 타 계열 방송국 제작 프로그램을 많이 방송하는 편성을 취하고 있다.물론 NNN·NNS로부터 동시방송을 지정된 시간 이외의 편성권은 시코쿠방송이 가지고 있어 시청자의 의견도 참고는 하고 있지만 실제는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동시 연결 방송 시간대(특히 황금시간대) 편성은 니혼TV 중심이지만 다른 시간대에 다른 계열국의 프로그램을 동시방송 하는 일이 많았고시코쿠 방송과 비슷한 상황에 있는 사가 TV는 개국 당초부터 후지 TV계열 방송국인데 이는 사가TV가 니시닛폰 신문이나 TV 니시닛폰의 협력을 받고 있었고 당시 인접한 구마모토·나가사키의 후지 텔레비전 계열국이 크로스 네트워크 방송국이어서 전략적으로 완전 계열국화되었다고 한다. 그 때문에 NNS 계열 프로그램의 방송 비율이 크로스 네트워크 방송국 같은 수준이었던 시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니혼 TV 계열 프로그램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참고로 2002년 FIFA 월드컵 당시에는 계열국인 니혼TV 뿐만 아니라 TBS·후지 TV·TV 아사히가 제작한 중계도 방송되었고 그 경우 타계열 제작 월드컵 중계가 우선시되어 보통 방송되는 니혼TV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후일 방송되었다. 1971년 4월부터 아침 시간대에는 자사제작 와이드쇼 프로그램을 방송했으나 2011년 3월 31일을 끝으로 종료되었다. 라디오는 JRN계열과 NRN계열의 크로스 네트워크 방송국이며 와카야마 방송이나 TV 와카야마개국 전까지는 와카야마에 지사를 두어 와카야마현 관련 방송을 하던 일이 있었다. 라디오는 도쿠시마 현을 포함해 와카야마 현 이외에도 효고현 남부나 오사카부 일부지역에서 양호하게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에서는 MBS라디오나 ABC라디오, 라디오 오사카에서 방송되지 않는 네트워크 중심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시코쿠방송을 통해 들을 수 있다.
반대로 도쿠시마 현에서는 간사이의 라디오 방송국 대부분이 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내에서는 오사카의 라디오국을 청취하는 청취자도 있으며 이 때문에 옛날부터 지역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특히 오전 0시대까지는 전국적으로 격감한 자사 제작 심야 프로그램을 다수 방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방송했다. 중심 주파수 부근의 혼신 방송국이 적은 탓인지, 멀리 아이치현 일부와 기후현 평야지역 일부에서도 양호하지 않지만 낮에도 수신이 가능하고 5kW의 출력에 비례해 상당히 원거리 수신이 용이한 방송국이나 홋카이도 방송 오비히로, 에사시 중계국, 오이타 방송사에키 중계국은 동일 주파수이기 때문에 이 방송국들의 청취구역에서 야간 원거리 수신은 곤란하다. = = 연혁 = = 1952년 4월 - 시코쿠방송 설립. 1952년 7월 1일 - 라디오 방송 개시.일본 13번째 (기타니혼 방송과 같은 날)이자 시코쿠 지역 첫 중파 민방라디오 방송국으로서 개국. 1953년 10월 1일 - 이 날 개국한 라디오시코쿠(후에 라디오 가가와→현재의 니시닛폰 방송)와 「시코쿠방송 연맹」(SBS, 시즈오카 방송과는 관계없음)을 결성. 1956년 7월 31일 - 라디오가가와(당시)와의 「시코쿠방송 연맹」 해소. 1959년 4월 - TV 방송 개시. 1982년 4월 - 약칭을 JRT로 지정한다. 그 전 까지는 콜사인 끝에서 딴 JR(철도 약칭과는 무관)로 불리고 있었다. 1984년 12월 - 도쿠시마 신문과 함께, 본사를 현재지에 이전. 1988년 7월 -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 개시. 2006년 10월 1일 -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개시. 2006년 12월 1일 - 원세그 방송 개시. 2007년 1월 11일 - 와카야마 방송과 지진 등의 대규모 재해가 발생될 경우 상호 원조 협정 체결. 2011년 7월 24일 -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2018년 9월 30일 - 도쿠시마·이케다 FM 보완중계국 개국. = = 라디오 주파수 = = 방송국·중계국 주파수 출력 비고 도쿠시마 방송국 1269kHz 5kW 콜사인은 JOJR, 중파방송 중계국은 모두 동일한 주파수로 방송을 송출한다. 도쿠시마 FM 보완중계국 93.0MHz 1kW 이케다 중계국 1269kHz 1kW 예전에 JOJO이라고 하는 콜사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케다 FM 보완중계국 93.0MHz 10W 무기 중계국 1269kHz 100W 히와사 중계국 1269kHz 100W = = 텔레비전 네트워크 변천 = = 1959년4월 1일 - 텔레비전 방송 개시.니혼TV를 중심으로 도쿄 방송·후지 TV·NET-TV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1966년 4월 1일 - 뉴스 네트워크 NNN 발족과 동시에 가맹. 1967년 6월 - 민간방송 교육협회에 가맹. 1972년 - 이 해 발족한 NNS에 가맹.이후 타지역 방송국 4국화 진행에 따라 니혼TV계열 네트워크가 강화되면서 서서히 니혼TV계 프로그램 방송시간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저녁·심야·주말을 중심으로 타계열 프로그램이 현재도 많이 방송되고 있다. 2007년 10월 - 토요일 오후 10시 대가 TV아사히 수요일 오후9시 범위 형사드라마 방송에서 니혼TV 프로그램 동시 방송으로 바뀌는 것에 따라 일요일밤의 로컬범위를 제외한 골든·시청률 최고 시간대의 프로그램이 니혼TV계열로 통일되면서 크로스 넷 방송국 3개를 제외한 니혼TV 단독 네트워크 방송국이 모두 같은 편성으로 통일되게 된다. 2011년 4월 - 1971년 4월부터 제작하던 자사제작 아침 와이드쇼 프로그램을 종료하면서 니혼 TV에서 제작한 새 와이드쇼 프로그램 ZIP!을,그동안 아침 8~9시대에 방송되던 TV 아사히 제작 와이드쇼 프로그램 슈퍼 모닝 방송을 중단하고 니혼 TV 제작 프로그램으로 바꾸었으며 이와 동시에 프로그램 판매 형태로 방송되던 ANN 뉴스가 종료되었다. 2013년 4월 - 일요일 밤 22:30 - 23:30에 방송하던 프로그램이 TBS 드라마에서 요미우리 TV에서 제작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바뀌면서 황금시간대 프로그램이 니혼 TV 계열 프로그램으로 통일된다. = = = 보충 서술 = = = 일찍이 일본에서 방송국용으로 UHF대 채널이 많이 사용되지 않았던 시대(TV 와카야마개국 이전)에는 와카야마현 대부분이 오사카 지역의 방송 대신 시코쿠방송을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방송국을 수신하는 세대가 많았으며 지금도 와카야마현 전용 신문 프로그램표 중 일부에는 시코쿠방송의 프로그램표가 게재되고 있다. 민영 방송국이 하나밖에서 없기 때문에 일본 민방 텔레비전 5계열 프로그램을 모두 방송하고 있는 유일한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다.민간방송 교육협회의 프로그램을 TV아사히계라고 생각하면 오이타 방송도 이에 해당한다.그리고 간사이 지역 방송 네트워크 준 중심방송국 5국의 프로그램도 모두 방송하고 있으며 이것도 일본에서는 유일하다. 그러나, 타계열 프로그램은 도중에 중지되는 프로그램이 많으며 참고로 도쿠시마 현 시청자는 이 타계열 시간차방송을 「재방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프로그램 판매 형태로 ANN뉴스 방송을 했으나도쿠시마현 취재는 아사히 방송 도쿠시마 지국이 담당했다. 2011년 3월 31일을 끝으로 방송을 마쳤다.. 도쿠시마 현의 2번째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뉴 도쿠시마 방송이 개국을 목표로 콜사인까지 교부받았지만 설립기한까지 회사를 설립하지 못해 예비 면허가 실효되어 개국이 무산된 일이 있으며 뉴 도쿠시마 방송이 개국할 경우 시코쿠방송은 도쿄 방송 제작 프로그램 전부와 후지 TV·NET-TV 그리고 도쿄 12채널(지금의 TV도쿄) 제작 프로그램 일부를 양도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도쿠시마현에서는, 긴키광역권과오카야마현·가가와현 텔레비전 방송국을 부스터에 의한 직접 수신 혹은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보고 있기 때문에 시코쿠방송이 필요 없다는 현민의 의식이 크지만 구역외 송신이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어려우며 또 케이블 텔레비전의 구역외 재발송신의 규제 강화의 영향을 받게 될지도 모른다.그러나 오사카 민방의 허가등을 통해 일부 오사카민방의 디지털 재발송신이 시작되는 케이블 텔레비전도 있다. = = 도쿠시마현에 있는 다른 텔레비전·라디오 방송국 = = NHK 도쿠시마 방송국 FM도쿠시마 (JFN 계열) = 수티삭 싱콘 = 수티삭 싱콘(, 1996년 10월 5일 ~ )은 태국의 육상 10종경기 선수이다. = = 경력 = = 2017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2018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19년 유니버시아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크림 전쟁 =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은 대한민국의 김지운 감독이 연출한 만주 웨스턴 장르의 영화이다. 만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 정우성, 이병헌, 송강호가 각각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의 역할을 연기했다. 2008년 7월 17일에 개봉했다.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란 제목은 세르조 레오네 감독의 1966년작 황야의 무법자(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의 오마주이다. 줄여서 ‘놈놈놈’으로도 불린다. = = 캐스팅 = = 송강호 : 윤태구 역 - 독고다이 열차털이범. 이상한 놈 이병헌 : 박창이 역 - 마적단 두목. 나쁜 놈 정우성 : 박도원 역 - 현상금 사냥꾼. 좋은 놈 류승수 : 만길 역 - 태구의 촐랑대는 짝패 윤제문 : 병춘 역 - 다국적 마적단 삼국파의 부두목 마동석 : 곰 역 - 쇠망치 거한 류창숙 : 할매 역 송영창 : 김판주 역 - 친일파 손병호 : 서재식 역 - 아편장사치 김광일 : 쌍칼 역 오달수 : 박 서방 역 - 존재 자체가 웃음인 ‘괴물 이청아 : 송이 역 하쿠류 : 이시하라 대장 역 손진환 : 김혁 역 박진우 : 황씨 역 조경훈 : 두채 역 이항수 : 가네마루 역 강현중 : 왕초 역 이성민 : 주방장 역 윤영목 : 창이파 역 염철호 : 창이파 역 서승원 : 창이파 역 조덕제 : 창이파 역 김길현 : 창이파 역 노진영 : 창이파 역 오일용 : 창이파 역 곽영재 : 창이파 역 홍기준 : 창이파 역 전승재 : 창이파 역 길금성 : 창이파 역 조용재 : 창이파 역 양도현 : 창이파 역 정진영 : 창이파 역 류제승 : 창이파 역 김만기 : 창이파 역 김필중 : 창이파 역 최경만 : 창이파 역 정미남 : 삼국파 역 김하준 : 삼국파 역 이한솔 : 삼국파 역 이승준 : 삼국파 역 이설구 : 삼국파 역 강승철 : 삼국파 역 최락진 : 삼국파 역 송승현 : 삼국파 역 이태림 : 삼국파 역 강재은 : 삼국파 역 박성균 : 삼국파 역 염우상 : 삼국파 역 바나 테라니 알리 아스가 : 삼국파 루이스 역 매블리아노브 자서벡 : 삼국파 제시 역 쿠니모토 쇼켄 : 아베 부관 역 더리걸 : 장취 역 - 다국적 마적단 삼국파의 두목 하쿠류 : 이시하라 대장 역 알렉산더 파브로브 : 기관사 역 유영욱 : 운봉 역 김희문 : 금봉 역 김홍수 : 주호진 중국대장 역 정세형 : 주호진 부하 역 전재은 : 기차 인질 꼬마 역 오연아 : 1등칸 일본여인 역 오서원 : 1등칸 중국여인 역 김찬형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유상재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최기현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차정환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정성우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손정만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장광순 : 기차 만주군 경찰 역 최대성 : 일본인 신사 역 김대원 : 태극기 청년 역 조화성 : 식당 겸 여관 객실 남자 역 고유미 : 식당 겸 여관 객실 여자 역 성정훈 : 귀시장 문지기 역 곽도원 : 귀시장 패거리 역 김민재 : 귀시장 패거리 역 손상규 : 귀시장 문지기 역 박광복 : 귀시장 패거리 역 이성호 : 귀시장 패거리 역 신재환 : 귀시장 패거리 역 이근후 : 귀시장 패거리 역 이유수 : 귀시장 패거리 역 이창수 : 귀시장 패거리 역 임주현 : 귀시장 패거리 역 진선규 : 귀시장 패거리 역 기은세 : 아편굴 여급 역 김선영 : 아편굴 여급 역 갠너 피오노바 : 아편굴 여급 역 장민영 : 아편녀 역 김수남 : 아편굴 장정 역 박연아 : 조선 소녀 역 최우혁 : 귀시장 아이 역 강선아 : 귀시장 아이 역 박재현 : 포스터남 역 최진호 : 총포점 주인 역 장문석 : 귀시장파 야채상인 역 민영 : 기차 가방 창부 역 엄지원 : 나연 역 (특별출연) = = 촬영 = = 중국에서 영화 촬영 중 지중현 무술감독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큐멘터리 영화 우린 액션 배우다에서도 다루고 있다. = = 반응 = = 칸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에서 관객 6,685,988명을 동원했다. 블루레이로 출시됐는데, 이는 대한민국 영화 최초의 블루레이 타이틀이다. = = 수상 = = 청룡영화상 감독상, 미술상, 촬영상, 최다관객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미술상, 촬영상, 시각효과상, 음향상 = RCP = RCP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루마니아 공산당(Romanian Communist Party) 소련 공산당(Russian Communist Party) rcp (유닉스) = 2010년 동계 올림픽 몰도바 선수단 = 2010년 동계 올림픽 몰도바 선수단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몰도바 선수단이다. = = 알파인 스키 = = 어스 임보덴 크리스토프 룩스 = = 바이애슬론 = = 선수 종목 결과 결과 결과 선수 종목 기록 실수 순위 빅토르 핀자루 스프린트 27:52.6 1+0 70 빅토르 핀자루 개인전 58:42.6 0+1+0+2 85 선수 종목 결과 결과 결과 선수 종목 기록 실수 순위 나탈리아 레첸코바 스프린트 22:18.2 1+1 53 나탈리아 레첸코바 추적 37:38.5 1+0+0+3 56 나탈리아 레첸코바 개인전 44:34.9 0+1+1+0 37 = = 크로스 컨트리 스키 = = 선수 종목 결과 결과 결과 선수 종목 시간 차이 순위 세르지우 밸런 남자 15km 프리 42:12.1 8:35.8 86 = = 루지 = = 선수 종목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선수 종목 1차시기 2차시기 3차시기 4차시기 총계 순위 보그댄 마코베이 남자 1인승 50.325 50.175 50.423 50.331 3:21.354 33 = 분류:가이아나의 육상 = = 캐서린 맥그레거 = 캐서린 맥그레거(Dorlee Deane MacGregor, 1925년 1월 12일 ~ 2018년 11월 13일)는 미국의 배우, 무용가이다. 글렌데일에서 태어났으며 우들랜드힐스에서 사망하였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트레벌링 엑시큐셔너 (1970년) = = = 텔레비전 = = = 아이언사이드 (1972) 초원의 집 - TV 시리즈 (1974-83) = 백초월 = 백초월(白初月, 1878년 2월 17일 ~ 1944년 6월 29일)은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본명은 백인영(白寅榮), 초월은 법호이다. 법명은 동조(東照)이다.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출생하였으며, 13세에 출가하여 영원사로 들어가 공부하였다. 1919년, 3·1운동 당시 불교계를 이끌던 한용운과 백용성이 체포되자, 초월은 그들의 뒤를 이어서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를 발표하고 의용승군제를 추진했다. = = 생애 = = 경상남도 고성군 출생으로, 13세에 지리산 영원사에서 출가하여 불문에 입문했다. 1916년 명진학교(明進學校) 교장을 지냈다. 3·1운동 직후인 1919년 4월 서울 중앙학교(中央學校)를 근거로, 항일의식을 고양할 목적으로 인쇄물을 간행한 한국민단부(韓國民團部)의 부장을 맡았다. 그 해 7월, 항일신문인 『혁신공보(革新公報)』를 발간, 사장으로 활약하며 신문을 상해임시정부 및 길림성(吉林省)의 독립군에 보냈다. 또한, 상해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천은사(泉隱寺)·화엄사(華嚴寺) 등 각처의 사찰을 통해 군자금을 모금하는 한편, 국내의 애국청년들을 뽑아 길림(吉林)의 독립군 및 상해임시정부로 파견하였다. 건국기념일(개천절)인 11월 25일(음력 10월 3일), 보성학교 학생이 중심이 되어 시내 각 학교 학생들이 참가한 시위계획 때, 선언서에서 이강(李堈)·김가진(金嘉鎭)·나창헌(羅昌憲) 등과 함께 대한민족대표(大韓民族代表)로 추대되기도 하였다. 이 무렵 상해임시정부를 지원할 목적으로 신상완(申尙玩)이 주도, 조직한 승려결사인 의용승군(義勇僧軍)에도 관계하여 지원금을 제공하였다. 또 상해임시정부 명의로 채권을 발행할 것을 계획하였는데 도중에 일본 경찰에 잡혔다. 다음 해 2월에는 제자 이중각(李重珏)을 통하여 일본 유학생들이 주도한 3·1운동 1주년 기념시위에 관여하다 1920년 3월 동경(東京)에서 잡혀 경성지방법원으로 이송되었다. 이 때 모진 고문으로 건강이 악화된 뒤부터 미치광이로 행세하며 활동하다 여러 차례 경찰서 유치장에 갇히기도 하였으나 그 때마다 정신이상자로 석방되었다. 기인(奇人)으로서의 생활을 계속해, 죽은 거북이 한 마리를 방 안에 놓고 대화하는 시늉을 하기도 하였다. 그런 중에도 친일 승려를 규탄하며 독립의 의지를 강하게 나타냈고, 종교의 통일을 위해 일심교(一心敎)를 제창하기도 하였다. 1939년 백초월이 거처하던 마포포교소 신도가 만주로 탈출하던 중 봉천행(奉天行) 화물열차에서 ‘대한독립만세’라고 낙서한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 경찰에 잡혔다. 그 뒤 마포·대전 형무소를 거쳐 청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판결문이 없어 형기를 알지 못함.) 옥사하였다. 청주 금천동 형무소 공동묘지에 묻혔다가 6·25전쟁 때 유해가 없어지는 사후의 비극을 겪기도 하였다. = = 사후 =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86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 참고자료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초월(白初月) = 초안:도발 = 도발(挑發)이란 남에게 경고하는 말을 하거나 피해를 입히도록 경고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어에서는 '공격적'이라는 의미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이것에서 비롯된 어휘도 다수 존재한다. = = 종류 = = 도발의 종류에는 굉장히 다양한 방식이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중 하나로 언어적 폭력이 있다. 언어적 폭력은 욕설이라고 많이 불려지며 도발 보다는 모욕에 가깝게 분류된다. 또 다른 하나는 손가락을 이용한 욕설이 있는데, 이것을 '손가락 욕설'이라고 부른다. 가장 대표적인 손가락 욕설은 가운뎃손가락이 있으며, 지역마다 다른 형태의 제스처 도발이 있다. = 페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페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페루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대표팀으로 페루 축구 협회에서 관리한다. 1998년 3월 2일 브라질과의 1998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A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뤘고 이 경기에서 0-15로 대패했는데 이는 페루 여자 축구가 최다 점수차로 패한 국제 경기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델 페루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 국제 대회 경력 = = = =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 = = 1998년 대회에 첫 출전한 이후 6번의 대회에 출전하여 처음 출전한 1998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고 자국에서 열린 2003년 대회에서는 4위에 이름을 올렸으나 이후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 = = 팬아메리칸 게임 = = = 자국에서 열린 2019년 대회에서 사상 첫 팬아메리칸 게임 본선 무대를 밟았지만 4경기에서 1무 3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참가한 8팀 가운데 꼴찌에 머물렀다. = = 기타 국제 대회 경력 = = 볼리바르 경기 대회 4번의 대회 중 2005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을 맛보았고 남미 U-17 여자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출전하여 4번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남미 U-20 여자 선수권 대회에는 5번 출전하여 2006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 = 성적 = = = = = FIFA 여자 월드컵 = = = 1991년 ~ 1995년: 불참 1999년 ~ 2019년: 예선 탈락 = = = 올림픽 축구 = = = 1996년: 불참 2000년 ~ 2020년: 예선 탈락 = =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 = = 1991년 ~ 1995년: 불참 1998년: 3위 2003년: 4위 2006년: 조별 예선 2010년: 조별 예선 2014년: 조별 예선 2018년: 조별 예선 = 분류: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 = = 충렬서원 선생안 = 충렬서원 선생안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책이다. 1992년 10월 12일 용인시의 향토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 스텐 = = = 인명 = = 스텐 스투레 덴 윙레: 스웨덴의 재상, 섭정(재위: 1512년 7월 23일 ~ 1520년 2월 3일) 스텐 스투레 덴 엘드레 브리안 스텐 닐센: 덴마크의 축구 선수 파프리카 스텐: 덴마크의 배우, 영화 감독 스텐 수비오: 핀란드의 복싱 선수 나스탸 스텐: 러시아의 모델 스텐 스투레: 스웨덴의 재상, 섭정(재위: 1470년 ~ 1497년, 1501년 ~ 1503년) = = 기타 = = 스텐 기관단총: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주로 영국 및 영연방 국가에 의해 사용된 9mm 기관단총 계열 = 권벌 종가 고문서 = 권벌 종가 고문서(權橃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조선 중종 때 명신이며, 학자인 권벌(1478∼1548)의 종손가에 소장 되어온 고문서와 일괄 유물들이다. 1986년 11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0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조선 중종 때 명신이며, 학자인 권벌(1478∼1548)의 종손가에 소장 되어온 고문서와 일괄 유물들이다. 권벌은 연산군 2년(1496)에 진사가 되고 중종 2년(1507)에 문과에 급제하여 대간, 정원과 각 조의 판서 등 여러 벼슬을 지냈다. 인종 1년(1545)에 우찬성과 판의금부사를 지냈으며, 을사사화 때 소윤일파에 의하여 삭주로 유배가서 그곳에서 죽었다. 선조 때 억울함이 풀어져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안동의 삼계서원에 모셔졌다. 태종 14년(1414)에 황보인의 과거 합격자명단인 문과방목을 비롯하여, 성종 대 권벌의 어머니 윤씨 남매의 재사분배기록인 재산분배기가 있다. 또한 중종 때 권벌 선생에게 내려진 교서와 임금의 명령서인 교지, 관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개인이 어떤 사실을 확인해줄 것을 요청할 때 이를 확인해 인정해주는 문서인 입안, 개인이 관청에 어떤 사실을 청원할 때 쓰는 진정서인 소지, 명문 등 570년간에 걸쳐 내려온 고문서가 수십종 1,000여점이 되나, 그중 15종 274점 선별 조사하였다. 이러한 각종 고문서와 유물들은 각각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조선 전기의 가족제도와, 정치, 인사행정제도 연구에 각각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 일봉 = = = 지명 = = 일봉리 일봉동 = = 가공 인물 = = 일봉: 올래?! - 천사들의 도시편의 등장인물 = 분류:강진군 = = 제주항공우주박물관 = 제주항공우주박물관(JAM)은 미래 첨단산업인 우주와 항공을 테마로 교육과 엔터테인먼트를 접목한 체험형 공간과 전시프로그램, 천문대와 전망대 등을 조성하여 방문객들에게 꿈과 비전을 제시한다 = = 추진 목적 = = 항공․우주를 테마로 한 항공우주박물관 건립을 통해 관광과 체험 중심의 교육관광 인프라 구축 = = 추진 개요 = = 위치 및 면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녹차분재로 218 / 329,000m2(10만평) 사업기간 및 사업비: 2009~2013년 / 약 1,326억원 주요시설: 항공․우주탐험관, 영상관, 전시관(연면적 24,486m2(7,400평)/건축면적 12,912m2(3,906평)/지하1층·지상3층) = = 추진 경과 = = 2008년 8월 공군본부에서 항공우주박물관 사업제안 요청(15개 자치단체대상), 제주도와 업무협약 및 사업제안서 제출 2008년 12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를 사업대상자로 지정(공군본부) 2009년 2월 항공우주박물관 건립 및 운영 계약 체결(제주도-공군본부-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2009년 5월 항공우주박물관 건립공사 기공식 2009년 11월 스미소니언 재단(미국 워싱턴)과 업무협약 체결 항공우주박물관 건립공사 기공식 2009년 11월 항공우주박물관 건립공사 발주 2010년 3월 항공우주박물관 건립공사 실시설계적격자 선정 2010년 5월 국립과천과학관과 업무협약 체결 2010년 하반기 실시설계 완료 2010년 하반기 본공사 착공 2012년 하반기 공사 준공 및 개관준비 2014년 4월 24일 개관 = 바위다람쥐 = 바위다람쥐(Otospermophilus variegat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멕시코와 미국 남서부의 토착종이다. = = 특징 = = 다람쥐과에서 가장 큰 종의 하나로 성체가 되면 몸길이가 최대 53cm까지 자란다. 앞면과 윗쪽 바위다람쥐의 털은 얼룩덜룩한 회갈색을 띤다. 뒷면과 아래 쪽의 회색 털은 더 얼룩덜룩란 갈색과 검은색 색조가 된다. 눈 주위에 반점 무늬의 밝은 색 고리가 있고, 귀는 뾰족하며 머리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위다람쥐는 끝이 흰 긴 붓꼬리를 갖고 있다. = = 아종 = = 8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O. v. variegatus O. v. buckleyi O. v. couchii O. v. grammurus O. v. robustus O. v. rupestris O. v. tularosae O. v. utah = 무선조종 헬리콥터 = 무선조종 헬리콥터(無線操縱helicopter)는 무선조종 방식으로 원격 조작되는 헬리콥터를 가리킨다. 주로 1~5만원짜리 장난감 형태와 10~100만원짜리에 중급용 헬기, 500~3000만원짜리 고급용 헬기로 나뉜다. 그리고 보통 장난감 헬기는 3채널로 작동하고 중급용, 고급용 헬기는 4채널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헬기 중에는 3D헬기라는 6채널 헬기가 있는데 이 헬기는 일반 무선조종 헬기와 달리 뒤집혀서도 날고 옆으로도 나는 공연용 헬기가 또 있다. 또 보통 장난감 형태에 무선조종 헬기는 전기를 이용한 모터(전동기)를 이용해 동력을 얻는 반면, 중급용, 고급용 헬기는 일반 엔진과 제트엔진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경우가 많다. 헬리콥터 =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 목록 = 다음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 목록이다. = = A-Z = = Jae JAY B JK 김동욱 Jun. K Key (가수) MC몽 MJ (가수) T.O.P = = ㄱ = = 감우성 강경준 강기둥 강기영 강남 (가수) 강남길 강다니엘 강동원 강두 강민혁 (가수) 강석우 강석정 강성진 (배우) 강성훈 강수진 (남자 성우) 강승윤 강신일 강신효 강유찬 강은탁 강이석 강인 (가수) 강인수 (가수) 강준규 강지섭 강지환 강찬 (배우) 강타 강태오 강하늘 강한별 강홍석 거룡 건일 고건한 고경표 고규필 고성일 고세원 고수 (배우) 고온 (배우) 고윤 고주원 고준 고지용 고창석 공명 (배우) 공유 (배우) 공찬 공형진 곽도원 곽동연 곽시양 곽정욱 곽희성 광민 구교환 구본승 구승현 구원 (배우) 구자성 구준엽 구준회 권상우 권수현 (배우) 권오중 권율 (배우) 권해효 권혁 (1989년) 권혁수 (배우) 권혁수 (성우) 권현빈 권현상 권화운 규현 그리 (연예인) 기섭 기주봉 기태영 길용우 김C 김갑수 (배우) 김강민 (1998년) 김강우 김강훈 김경남 (1989년) 김광규 (배우) 김구라 김권 김규종 김규철 김기덕 (1960년) 김기리 김기방 김기범 (배우) 김기현 (성우) 김남길 김남진 김남희 (배우) 김다현 (배우) 김대곤 (배우) 김대명 김대진 (배우) 김동범 (배우) 김동영 (배우) 김동완 (가수) 김동욱 (배우) 김동준 (가수) 김동현 (1998년) 김동호 (배우) 김동희 (1999년) 김래원 김뢰하 김명곤 김명민 김무생 김무열 김무영 (1987년) 김민교 (배우) 김민귀 김민규 (1994년) 김민규 (2001년) 김민석 (1990년생 배우) 김민석 (1992년생 배우) 김민재 (1979년) 김민재 (1996년) 김민종 김민준 (1976년) 김범 김병기 (배우) 김병만 김병세 김병옥 (배우) 김병철 (배우) 김보성 (1966년) 김산호 김상경 김상중 김상진 (영화 감독) 김상호 (배우) 김석 (1992년) 김석훈 김선호 (배우) 김성규 (가수) 김성규 (배우) 김성균 (배우) 김성민 (배우) 김성수 (1973년) 김성오 김성철 (배우) 김소형 (성우) 김수로 (배우) 김수현 (1970년) 김수현 (1988년) 김승수 (배우) 김승우 김승준 (성우) 김승호 김시후 김아영 김연우 김영광 (배우) 김영대 (배우) 김영선 (성우) 김영재 (1975년) 김영재 (1995년) 김영철 (배우) 김영철 (희극인) 김영호 (배우) 김영훈 (배우) 김요한 (가수) 김용건 김용만 (희극인) 김용준 (성우) 김용희 (배우) 김우빈 김우석 (1994년) 김우석 (가수) 김원준 김원해 김유석 김윤석 (배우) 김율호 김응수 (배우) 김의성 김이안 김인권 김일우 (1953년) 김일우 (1963년) 김재덕 (가수) 김재영 (배우) 김재용 (배우) 김재욱 (배우) 김재원 (배우) 김재중 김재현 (가수) 김정민 (1968년) 김정태 (배우) 김정현 (1976년) 김정현 (1990년 4월) 김정훈 (1980년) 김종국 (가수) 김종민 김종서 (가수) 김종수 (배우) 김종현 (1995년) 김주헌 김주혁 김준 (배우) 김준성 (배우) 김준수 (가수) 김준한 김준현 (희극인) 김준호 (희극인) 김지석 (배우) 김지수 (가수) 김지훈 (1981년생 배우) 김지훈 (1973년생 가수) 김진규 (배우) 김진성 (배우) 김진우 (가수) 김진우 (배우) 김진태 (배우) 김진표 (가수) 김창완 김태균 (희극인) 김태우 (1981년) 김태우 (배우) 김태정 (1957년) 김태훈 (1975년생 배우) 김현목 김현중 김형준 (1987년) 김혜성 (배우) 김호성 김호진 (배우) 김흥국 김흥수 (배우) 김희라 김희원 (배우) 김희찬 김희철 (가수) = = ㄴ = = 나운규 나인우 나태주 (연예인) 나현 (영화 감독) 남궁민 (배우) 남궁원 남다름 남도형 남연우 남우현 남윤수 남주혁 남태현 노민우 노영학 노우진 노종현 노주현 노홍철 니아 (가수) 니엘 (가수) = = ㄷ = = 다니엘 헤니 대니얼 대 킴 대성 (가수) 대현 (가수) 데니 안 데니스 오 데이비드 맥기니스 데프콘 (가수) 도상우 도영 도지한 독고영재 동하 (배우) 동해 (가수) 동현 (1989년) 동호 (가수) 디오 (1993년) 딘딘 = = ㄹ = = 라키 (가수) 래니 준 레오 (가수) 려욱 려운 로꼬 로운 류경수 (배우) 류담 류덕환 류수영 류승룡 류승범 류승수 류승완 류시원 류의현 류제윤 류준열 류진 (배우) 류태준 리키 김 = = ㅁ = = 마동석 마르코 (배우) 마붑 알엄 마이클 리 (배우) 마크 (1999년) 맹상훈 맹세창 메이슨 문 무어하우스 문빈 문성근 문세윤 문우진 문원주 문준영 문지윤 문지후 민우 (1985년) 민우혁 민진웅 민호 = = ㅂ = = 박건우 (배우) 박건형 박광현 (배우) 박근형 박기웅 박노식 (1930년) 박두식 박명훈 박민우 (배우) 박병은 박보검 박상면 (배우) 박상민 (배우) 박상욱 (배우) 박상원 박상훈 (2005년) 박서준 박선호 (배우) 박성광 박성우 (배우) 박성웅 박성호 (희극인) 박성훈 (배우) 박수영 (1970년) 박시환 (가수) 박시후 박신양 박아성 박암 (배우) 박영규 (배우) 박완규 박용우 박용하 박원상 박유천 박유환 박윤재 박은석 (1984년) 박인환 (배우) 박일 (성우) 박재정 (가수) 박재정 (배우) 박정민 (가수) 박정민 (배우) 박정범 박정철 박종환 (배우) 박준규 (배우) 박준형 (가수) 박중훈 박지빈 박지우 (무용가) 박지일 (배우) 박지훈 (가수) 박진영 (1994년) 박진영 박진우 (1983년) 박철민 (배우) 박철수 (영화 감독) 박태호 (성우) 박해수 박해일 박해준 박해진 박혁권 박형식 박효신 박효준 (배우) 박훈 (배우) 박희순 방성준 방용국 배기성 배성우 배수빈 배용준 배인혁 (배우) 배진영 배현성 백민현 백봉기 백성현 백수호 백승현 (배우) 백윤식 백일섭 백현 (가수) 백호 (가수) 변요한 변우석 변희봉 병헌 보비 리 봉만대 봉태규 붐 (방송인) 뷔 브라이언 (가수) 비 (가수) 비범 = = ㅅ = = 사무엘 (가수) 사이먼 도미닉 산들 서강준 서경석 (희극인) 서도영 서영주 서우진 (2015년) 서은광 서인국 서인석 (배우) 서준영 서지석 서지훈 (배우) 서하준 서현우 서현철 선우재덕 선웅 설경구 설정환 성동일 성민 (1986년) 성시경 성유빈 (배우) 성주 (가수) 성준 (배우) 성지루 성혁 성훈 (배우) 세븐 (가수) 세용 세훈 셔누 션 리차드 소지섭 손동운 손병호 손상연 손석구 손승원 손우혁 (1983년) 손원일 (성우) 손준호 (배우) 손지창 손진영 손창민 손현주 손호영 손호준 송강 (배우) 송강호 송건희 송민호 송새벽 송승헌 송승현 송원근 송유빈 송일국 송재림 송재호 송재희 (배우) 송종호 (배우) 송준석 (성우) 송중기 송지호 (배우) 송창의 (배우) 수호 (가수) 스티븐 연 승리 (가수) 승호 시우민 시원 (가수) 신강우 신구 (배우) 신기준 신동 (가수) 신동엽 (희극인) 신동우 (배우) 신동욱 (배우) 신성록 신성우 신성일 신승호 신승환 신연식 신영균 (배우) 신우 (가수) 신원호 (가수) 신재하 신정근 신정환 신철진 신하균 (배우) 신현수 (배우) 신현준 (배우) 심완준 심지호 심형래 심형탁 싸이 = = ㅇ = = 아주 (가수) 안길강 안내상 안도규 안동구 안보현 안석환 안성기 안세하 안승균 안용준 안우연 안장혁 안재모 안재욱 안재현 안재홍 (1986년) 안재환 (배우) 안종덕 안지호 (배우) 안지환 안효섭 알렉산더 (가수) 알렉스 (가수) 알렌기범 앤디 (가수) 양경원 양동근 양병열 양상국 양세종 양세형 양승필 양요섭 양익준 양현석 엄기준 엄상현 엄태구 엄태웅 엄태화 엄효섭 에릭 (가수) 엔 (가수) 엘 (가수) 여원 (가수) 여진구 여현수 여회현 연우진 연정훈 연준석 영민 영재 (1994년) 영재 (1996년) 예성 오광록 오달수 오대규 오대환 오만석 (1974년) 오민석 오상진 오성원 오승윤 (배우) 오승훈 (배우) 오신환 오영수 (배우) 오우진 오의식 오재무 오정세 오종혁 오지호 (배우) 오창석 옥택연 온유 온주완 옹성우 왕석현 용준형 우도환 우석 (가수) 우영 우원재 우현 (배우) 원 (래퍼) 원기준 원빈 원태희 위하준 유건 (배우) 유겸 유권 유노윤호 유동근 유민규 유병재 유선호 (가수) 유수빈 유승준 유승호 유아인 유여운 유연석 유오성 유은숙 유인촌 유일 (배우) 유재명 유재석 유준상 (배우) 유지태 유태오 유해진 육성재 윤계상 윤균상 윤나무 윤다훈 윤도현 윤두준 윤문식 윤박 윤산하 윤상현 (1973년생 배우) 윤선우 윤소호 윤시윤 윤제문 윤종빈 윤종신 윤종훈 윤주상 윤지성 윤지온 윤찬 (1972년) 윤찬 (1996년) 윤찬영 윤태영 (배우) 윤학 윤현민 윤희석 은상 은원재 은지원 은혁 이가섭 이강민 (배우) 이경규 이경영 (1960년) 이계인 이광수 (배우) 이규한 (배우) 이규형 (배우) 이기광 이기영 (배우) 이기우 (배우) 이기찬 (가수) 이기혁 (배우) 이기홍 (1986년) 이낙훈 이다윗 이대연 이대휘 이덕화 이도겸 이도현 (1995년) 이돈구 (영화 감독) 이동건 이동욱 (배우) 이동휘 (배우) 이루 이명훈 (배우) 이문식 이민기 이민우 (가수) 이민우 (배우) 이민혁 (가수) 이민호 (1987년) 이범수 이병준 (1964년) 이병헌 이상민 (가수) 이상엽 이상우 (배우) 이상우 (영화 감독) 이상윤 (배우) 이상이 (남자 배우) 이서원 이서진 이선균 이선호 (배우) 이성민 (배우) 이성열 (가수) 이성재 (배우) 이성종 이수근 (희극인) 이수혁 (배우) 이순재 이승기 이승준 (1973년) 이승준 (1978년) 이승철 이승협 이승형 이승호 (1991년) 이승효 이시언 (배우) 이시우 (남자 배우) 이신영 이언 (배우) 이영하 (배우) 이영훈 (배우) 이완 (배우) 이용우 (배우) 이원근 이원종 (1966년) 이유진 (1992년) 이유청 (배우) 이은형 (배우) 이이경 이인 (배우) 이인성 (배우) 이장우 (배우) 이재룡 이재용 (배우) 이재욱 (1998년) 이재윤 (배우) 이재준 (배우) 이재진 (1979년) 이재진 (1991년) 이적 (가수) 이정 (가수) 이정길 (1944년) 이정신 이정재 (배우) 이정진 이정하 이정혁 이제훈 이종석 (배우) 이종수 (배우) 이종원 (1994년) 이종원 (배우) 이종혁 (배우) 이종현 (가수) 이종화 (배우) 이주승 이준 (배우) 이준기 이준영 (1997년) 이준혁 (1972년) 이준혁 (1984년) 이중옥 이지훈 (1988년) 이지훈 (연예인) 이진권 (배우) 이진우 (배우) 이진욱 이진혁 (가수) 이참 이창민 (가수) 이창섭 (가수) 이창욱 이창훈 (1966년) 이천희 이태곤 (배우) 이태리 (배우) 이태선 이태성 이태환 (1995년) 이특 이필립 이필모 이하율 이학주 (배우) 이한위 이현승 (영화 감독) 이현우 (1966년) 이현우 (1993년) 이현욱 (배우) 이현재 (1988년) 이현진 (배우) 이형석 (2000년) 이형철 (배우) 이호원 (1991년) 이홍기 이효정 (1961년) 이훈 (배우) 이휘재 이희준 인교진 일라이 (가수) 임강성 임슬옹 임시완 임원희 임윤호 임주환 임지규 임창정 임채무 임태경 임필성 임하룡 임혁 임현식 임형준 임호 (배우) = = ㅈ = = 장광 장근석 장기범 (배우) 장기용 (1992년) 장기하 장도윤 장동건 장동민 장동우 장동윤 장동주 장미관 장민혁 장수원 장승조 장용 (배우) 장우혁 장유상 장의수 장인섭 장준환 (영화 감독) 장진 (영화 감독) 장태성 (배우) 장한별 장항선 (배우) 장항준 장혁 장혁진 (배우) 장현성 재민 재현 (1997년) 재호 재희 전광렬 전노민 전무송 전배수 전석호 전성우 전준혁 전진 (가수) 전태수 정가람 정건주 정겨운 정경호 (1972년) 정경호 (1983년) 정동하 정동환 정두홍 정만식 정보석 정상훈 정석원 (배우) 정성하 정성화 정세운 (가수) 정영웅 정용화 정우 정우성 정웅인 정윤석 정은우 (배우) 정은표 정의철 정인기 정일우 정일훈 (가수) 정재광 정재영 정재헌 (성우) 정준 (배우) 정준영 정준원 (1988년) 정준원 (2004년) 정준하 정준호 정진영 정진운 정찬 (배우) 정찬우 (가수) 정찬우 (희극인) 정태우 정한용 정해균 정해인 정헌 (배우) 정현준 정형돈 정호근 (배우) 정희태 제이 (1983년) 조관우 조권 조동혁 조민기 조병규 (배우) 조성모 조성하 (배우) 조세호 조승우 조연우 (배우) 조예신 조우진 (배우) 조윤우 조인성 (배우) 조재윤 조재현 조정래 (영화 감독) 조정석 조정치 조진웅 조태관 조한선 조현식 조현재 (배우) 조희봉 존 조 종업 주상욱 주우재 주원 주종혁 (1983년) 주종혁 (1991년) 주지훈 주진모 (1958년) 주진모 (1974년) 주현 준호 줄리엔 강 지민혁 지상렬 지성 (배우) 지수 (배우) 지승현 (배우) 지오 지윤호 지은성 (1991년) 지일주 지조 지진희 지창욱 지현우 지훈 (가수) 진구 진선규 진영 (1991년) 진이한 진주형 진진 (가수) 진태현 진현빈 진호 (1992년) = = ㅊ = = 차도진 차서원 (1991년) 차선우 차승우 차승원 차은우 차인표 차인하 차태현 찬성 (가수) 찬열 찬희 창조 (가수) 채상우 채종협 천둥 (1990년) 천보근 천정명 천호진 첸 (가수) 최강창민 최고 (배우) 최권 최권수 (배우) 최귀화 최규진 (배우) 최다니엘 최대성 (배우) 최대철 최덕문 최로운 최무룡 최무성 최민 (1987년) 최민기 (1995년) 최민수 최민식 최민영 최민용 최민철 최민환 최병모 (배우) 최병찬 최보민 (가수) 최불암 최성국 (배우) 최성민 (1995년) 최성원 (배우) 최성재 최수종 최승훈 (배우) 최영준 (배우) 최우식 최우혁 (1985년) 최우혁 (1997년) 최웅 최원영 (배우) 최원형 최원홍 최일화 (배우) 최재성 (배우) 최정우 (배우) 최정원 (1981년 5월) 최종원 최종환 (배우) 최종훈 (가수) 최지호 최진영 (배우) 최진혁 최진호 (배우) 최철호 최태준 최태환 (1989년) 최필립 (배우) 최한 추송웅 = = ㅋ = = 카이 (1981년) 카이 (1994년) 케빈 (1991년) 케이윌 켄 (가수) = = ㅌ = = 타블로 타이거 JK 탁재훈 탕준상 태민 태인호 테이 토니 안 팀 (가수) = = ㅍ = = 팝핀현준 표영재 피오 = = ㅎ = = 하도권 하명중 하석진 하정우 하준 하하 학진 한규희 한기웅 (배우) 한도우 한상진 (배우) 한상혁 (성우) 한석규 한석준 한승우 (가수) 한재석 (1973년) 한정수 한주완 한준우 한지상 한진희 한현민 (모델) 한희준 허성태 허영생 허장강 허정민 허준호 혁 (가수) 현빈 현우 현우성 형원 홍경 홍경민 홍광호 홍빈 (가수) 홍석 홍석재 홍석천 홍요섭 홍종현 (배우) 환희 황광희 황민우 황민현 황인엽 황정리 황정민 황희 (배우) 훈 (가수) 휘성 = 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 = #Redirect 천리안 2호#정지궤도복합위성 2A = 틀:요즘 화제 처음/2021년 1월 23일 = 미국의 방송 진행자 래리 킹이 숨졌다. 코로나19가 사인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74,692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431명(국내 403, 해외유입 28)이 늘었다. 누계가 일부 정정(-1) 되었다. = 분류:2024년 대만 = = 남도국악원 = 남도국악원(南道國樂院)은 국립국악원의 소속기관이다. 2004년 1월 1일 발족하였으며,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진도대로 3818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학예연구관으로 보하되,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전속 국악연주단의 단원은 전국 공모를 통해 선발하고 2004년 8월 1일 창단하여 현재 다양한 공연, 연수, 체험,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 = 연혁 = = 2004년 1월 1일: 남도국악원 설치. 2004년 7월 7일: 남도국악원 개원. 2005년 7월 6일: 남도국악방송 개국. = = 조직 = = = = = 원장 = = = 행정지원과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장악과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 = 시설 현황 = = 진악당 달빛마당 별빛마당 사랑채 사무·연습동 = 존 아치볼드 휠러 = 존 아치볼드 휠러(, ; 1911년 7월 9일 - 2008년 4월 13일)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휠러는 또한 닐스 보어와 함께 핵분열의 기본 원리를 설명했다. 휠러는 그레고리 브라이트Gregory Breit와 함께 브라이트-휠러 프로세스(Breit–Wheeler process)의 개념을 개발했다. 그는 20세기 초에 이미 예측된 중력 붕괴가 있는 물체에 대해 "블랙홀"Overbye, Dennis (April 14, 2008). "John A. Wheeler, Physicist Who Coined the Term 'Black Hole', Is Dead at 96". The New York Times.이라는 용어를 대중화 시켰으며, "양자 거품(quantum foam)", "중성자 감속재", "웜홀" 및 "비트로부터 그것"라는 용어를 발명했고 또한 "단일 전자 우주(one-elecron universe)"를 가정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스티븐 호킹은 그를 "블랙홀 이야기의 영웅"이라고 불렀다.Hawking, Stephen, et al. Brief Answers to the Big Questions. John Murray, 2020 p.103 휠러는 칼 헤르츠펠트Karl Herzfeld 지도하에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국립 연구 위원회 장학금으로 브라이트와 보어 밑에서 공부했다. 1939년에 그는 보어와 협력하여 핵분열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액체 방울 모형(liquid drop model)을 사용하여 일련의 논문을 작성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그는 시카고에 있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야금 연구소(Metallurgical Laboratory)에서 원자로 설계를 도운 후 워싱턴 주 리치랜드에 있는 핸퍼드 사이트에서 듀폰의 건설을 도왔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 프린스턴으로 돌아갔지만 1950년대 초 수소폭탄의 설계와 제조를 돕기 위해 정부로 복귀했으며, 열핵무기의 주요 민간 지지자인 에드워드 텔러와 함께 있었다.Bird, Kai (2004). American Prometheus (1st ed.). Vintage. p. 133. 휠러는 경력의 대부분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38년에 합류하여 1976년 은퇴할 때까지 남아 있었다. 그는 프린스턴에서 프린스턴 물리학과의 다른 어떤 교수보다 많은 46명의 박사 과정 학생들을 지도했다. 휠러는 1976년 65세의 나이로 프린스턴 대학을 떠났다. 그는 1976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이론물리학 센터장으로 임명되어 1986년 은퇴하고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가 될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 = 초년 및 교육 = = 휠러는 1911년 7월 9일 플로리다 잭슨빌에서 사서인 조셉 루이스 휠러Joseph Lewis Wheeler와 메이블 아치볼드 (아치) 휠러Mabel Archibald (Archie) Wheeler 사이에서 태어났다.Wheeler & Ford 1998, pp. 64, 71. 그는 4명의 자녀 중 맏이였으며 두 명의 남동생 조셉Joseph과 로버트Robert와 여동생 메리Mary가 있었다. 조셉은 브라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그리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도서관학 석사를 취득했다. 로버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지질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석유 회사와 여러 대학에서 지질학자로 일했다. 메리는 덴버 대학교에서 도서관학을 공부하여 사서가 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71-75. 그들은 오하이오 주 영스타운에서 자랐지만 1921년에서 1922년까지 1년을 버몬트 주 벤슨(Benson, Vermont)에 있는 농장에서 보냈다. 그곳에서 휠러는 원룸 학교에 다녔다. 그들이 영스타운으로 돌아온 후에 그는 라옌 고등학교(Rayen High School)에 다녔다.Wheeler & Ford 1998, pp. 78-80. 1926년 볼티모어 시티 칼리지(Baltimore City College)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Leonhart 1939. p. 287. 휠러는 메릴랜드 주에서 장학금을 받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입학했다.Wheeler & Ford 1998, p. 85. 그는 국립 표준국(National Bureau of Standards)에서 여름 연구의 일환으로 1930년에 첫 번째 과학 논문을 발표했다.Wheeler & Ford 1998, p. 97. 그는 1933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칼 헤르츠펠트Karl Herzfeld의 감독하에 수행된 그의 논문 연구 작업은 "헬륨의 분산 및 흡수 이론"에 관한 것이었다.John Archibald Wheeler at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그는 1933년과 1934년에 뉴욕 대학교에서 그레고리 브라이트Gregory Breit 아래에서 공부한 후,Wheeler & Ford 1998 pp. 105-107., 1934년과 1935년에 코펜하겐에서 닐스 보어 밑에서 연구하기 위해서Wheeler & Ford 1998, pp. 123-127. 국립 연구 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 장학금을 받았다. 1934년 논문에서 브라이트와 휠러는 광자가 전자-양전자 쌍의 형태로 잠재적으로 물질로 변환될 수 있는 메커니즘인 브라이트-휠러 프로세스(Breit–Wheeler process)를 소개했다.Breit, G.; Wheeler, John (December 1934). "Collision of Two Light Quanta".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46 (12): 1087–1091. Bibcode:1934PhRv...46.1087B. = = 초기 경력 =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은 1937년에 휠러를 부교수로 임명했지만, 그는 입자 물리학의 전문가들과 더 긴밀하게 연구할 수 있기를 원했다.Wheeler & Ford 1998, pp. 151-152. 그는 1938년 존스 홉킨스 대학의 부교수직 제안을 거절하고 프린스턴 대학교의 조교수직을 선택했다. 지위는 낮았지만 물리학과를 신설하고 있는 프린스턴이 더 나은 직업 선택이라고 생각했다.Ford, Kenneth W. (February 4, 1994). "Interview with Dr. John Wheeler – Session VI".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그는 1976년까지 거기서 교수진으로 남아 있었다.MacPherson, Kitta (April 14, 2008). "Leading physicist John Wheeler dies at age 96". News at Princeton. 1937년 논문 "공명하는 그룹 구조의 방법에 의한 가벼운 핵의 수학적 기술에 대하여 (On the Mathematical Description of Light Nuclei by the Method of Resonating Group Structure)"에서 휠러는 S-행렬(산란 행렬의 약자) "[적분 방정식의] 임의의 특정 해의 점근적 거동을 표준 형식의 해의 점근적 거동과 연결하는 계수의 단일 행렬"을 도입했다.Mehra & Rechenberg 1982, p. 990.Wheeler, John A. (December 1937). "On the Mathematical Description of Light Nuclei by the Method of Resonating Group Structure".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52 (11): 1107–1122.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1940년대에 S-행렬에 대한 아이디어를 그 후에 개발했다. 당시 양자장론에 존재하는 문제적 발산으로 인해 하이젠베르크는 이론이 발전함에 따라 미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을 이론의 본질적인 특징을 분리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입자 물리학에서 중요한 도구가 된 단일 "특성" S-행렬을 도입하게 되었다. 휠러는 S-행렬을 발전시키지 않았지만, 원자핵에 대한 보어의 액체 방울 모형(liquid drop model)을 검토하는 에드워드 텔러에 합류했다.Teller, E.; Wheeler, J. A. (May 1938). "On the Rotation of the Atomic Nucleus".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53 (10): 778–789. Bibcode:1938PhRv...53..778T. 그들은 1938년 뉴욕에서 열린 미국 물리학회의 회의에서 결과를 발표했다. 휠러의 채플힐 대학원생인 캐서린 웨이Katharine Way도 특정 조건에서 액체 방울 모형이 어떻게 불안정한지 자세히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 액체 방울 모형의 한계로 인해 그들은 모두 핵분열을 예측할 기회를 놓쳤다.Mehra & Rechenberg 1982, pp. 990-991.Way, Katharine (May 1939). "The Liquid-Drop Model and Nuclear Moments".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55 (10): 963–965. Bibcode:1939PhRv...55..963W. 리제 마이트너와 오토 프리쉬Otto Frisch의 핵분열 발견 소식은 1939년 보어에 의해 미국에 전해졌다. 보어는 레온 로젠펠트Leon Rosenfeld에게 말했고, 그는 휠러에게 알려 주었다. 보어와 휠러는 핵분열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액체 방울 모형을 적용하는 작업을 시작했다.Bohr, Niels; Wheeler, John Archibald (September 1939). "The Mechanism of Nuclear Fission". Phys. Rev. American Physical Society. 56 (5): 426–450. Bibcode:1939PhRv...56..426B. 실험 물리학자들은 핵분열을 연구하면서 수수께끼 같은 결과를 발견했다. 조지 플라첵George Placzek은 왜 우라늄이 매우 빠르고 매우 느린 중성자 둘 다 분열하는 것처럼 보이는지 보어에게 물었다. 휠러와 함께 회의하러 걸어가면서, 보어는 낮은 에너지에서 핵분열은 우라늄-235 동위원소 때문인 반면에, 높은 에너지에서는 주로 훨씬 더 풍부한 우라늄-238 동위원소 때문이라는 통찰력이 갖게 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27-28. 그들은 핵분열에 관한 두 편의 논문을 더 공동 저술했다.Bohr, Niels; Wheeler, John Archibald (November 1939). "The Fission of Protactinium".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56 (10): 1065–1066. Bibcode:1939PhRv...56.1065B.Bohr, Niels; Wheeler, John Archibald (January 1940). "Resumés of Recent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hysics. 11 (1): 70–71. Bibcode:1940JAP....11...70.. 그들의 첫 번째 논문은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1939년 9월 1일 피지컬 리뷰에 실렸다.Wheeler & Ford 1998, p. 31. 그는 양전자가 시간을 거꾸로 이동하는 전자라는 개념을 고려하여 1940년에 단일 전자 우주(one-electron universe) 가정을 제시했다. 그의 대학원생 리처드 파인만은 이것이 믿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했으나, 양전자가 시간을 거꾸로 이동하는 전자라는 생각에 흥미를 느꼈고 파인만은 시간의 가역성 개념을 그의 파인만 다이어그램에 통합했다.Wheeler & Ford 1998, pp. 117-118. = = 핵무기 = = = = = 맨해튼 프로젝트 = = = 일본의 진주만 공격 직후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자, 휠러는 시카고 대학의 맨해튼 프로젝트 야금 연구소(Metallurgical Laboratory)에 합류해 달라는 아서 콤프턴의 요청을 수락했다. 그는 1942년 1월 그곳으로 이사하여 원자로 설계를 연구하고 있던 유진 위그너의 그룹에 합류했다.[Wheeler & Ford 1998, p. 39.그는 플루토늄 정제 과정에서 중요한 "용액 내 순수 핵분열성 물질의 연쇄 반응"에 대해 로버트 F. 크리스티Robert F. Christy와 공동으로 논문을 작성했다.Ford, Kenneth W. (February 14, 1994). "Interview with Dr. John Wheeler – Session VII".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그것은 1955년 12월까지 비밀 취급이 해제되지 않았다.Christy, R. F.; Wheeler, J. A. (January 1, 1943). "Chain Reaction of Pure Fissionable Materials in Solution". Metallurgical Laboratory. OSTI 4369066. 그는 엔리코 페르미가 사용한 "더 느린 진정제(slower downer)"라는 용어를 대체하여 중성자 감속재라는 명칭을 지정했다.Wheeler & Ford 1998, p. 40.Weinberg 1994, p. 14. 미국 육군 공병대가 맨해튼 프로젝트를 인수한 후 원자로의 세부 설계 및 건설을 듀폰에 맡겼다.Weinberg 1994, pp. 27-30. 휠러는 듀폰 디자인 스태프의 일원이 되었다.Jones 1985, p. 203. 그는 시카고와 듀폰 본사가 있는 델라웨어 주 윌밍턴 사이를 오가며 엔지니어들과 긴밀히 협력했다. 그는 1943년 3월에 가족을 윌밍턴으로 옮겼다.Wheeler & Ford 1998, pp. 46-48. 듀폰의 임무는 원자로를 건설하는 것뿐만 아니라 워싱턴의 핸포드 사이트에 전체 플루토늄 생산 단지를 건설하는 것이었다.Jones, Vincent (1985). Manhattan: The Army and the Atomic Bomb (PDF). Washington, D.C.: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pp. 210-211.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휠러는 1944년 7월에 가족을 다시 이주했으며 이번에는 워싱턴 주 리치랜드(Richland)로 옮겨 300 지역(300 Area)으로 알려진 과학 건물에서 일했다. 핸포드 사이트가 1944년 9월 15일에 3개의 원자로 중 첫 번째 원자로인 B 원자로(B Reactor)를 가동하기 전에도 휠러는 일부 핵분열 생성물이 핵독극물(nuclear poison)로 판명될 수 있으며, 그 축적은 연쇄 반응을 계속하는 데 필요한 많은 열중성자(thermal neutrons)들을 흡수하여 진행 중인 핵 연쇄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Rhodes, Richard (1986). The Making of the Atomic Bomb. New York: Simon & Schuster. pp. 558-60. 1942년 4월 보고서에서 그는 핵분열 생성물이 100,000 반 이상의 중성자 포획 단면((neutron capture cross section)을 갖지 않는 한 이것이 반응성을 1% 미만으로 감소시킬 것이라고 예측했다.Wheeler & Ford 1998, p. 56. 원자로가 예기치 않게 정지되고 약 15시간 후에 예기치 않게 다시 시작된 후 그는 반감기가 6.6시간인 요오드-135와 반감기가 9.2시간인 그 딸 생성물인 제논-135를 의심했다. 제논-135는 2백 반을 훨씬 넘는 중성자 포획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제는 그 독을 태우기 위해 연료봉을 추가함으로써 해결되었다.Wheeler & Ford 1998, p. 61. 휠러는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일한 개인적인 이유가 있었다. 이탈리아에서 싸우고 있었던 그의 남동생 조Joe는 그에게 "서둘러."라는 간단한 메시지가 담긴 엽서를 보냈다.Gefter, Amanda (January 16, 2014). "Haunted by His Brother, He Revolutionized Physics" . Nautilus (9). 이미 너무 늦었다: 조는 1944년 10월에 사망했다. 휠러는 나중에 쓰기를, "우리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핵무기를 만드는 데 매우 가까웠다. 나는 그래서 전쟁이 1944년 10월에 끝날 수 있었을 것라는 생각을 멈출 수 없었고, 그 후에도 그 생각은 멈추지 않았다." 조는 미망인과 어린 딸 메리 조Mary Joe를 남겼고, 메리 조는 나중에 물리학자 제임스 하틀과 결혼했다.Wheeler & Ford 1998, p. 75. = = = 수소폭탄 = = = 1945년 8월 휠러와 그의 가족은 프린스턴으로 돌아와 교육 경력을 재개했다.Wheeler & Ford 1998, pp. 161-162. 파인만과 함께 연구하면서 장이 아닌 입자로 물리학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제이미 티옴노Jayme Tiomno와 함께 뮤온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여Wheeler & Ford 1998, pp. 171-177. 1949년 논문에서 티옴노와 휠러는 서로 다른 형태의 방사성 붕괴와 관련된 "티옴노 삼각형(Tiomno Triangle)"을 소개를 포함하는,Tiomno, J.; Wheeler, J. A. (January 1949). "Energy Spectrum of Electrons from Meson Decay". Reviews of Modern Physics. 21 (1): 144–152. Bibcode:1949RvMP...21..144T. 주제에 대한 일련의 논문을 발표했다.Wheeler, John (March 1947). "Mechanism of Capture of Slow Mesons".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71 (5): 320–321. Bibcode:1947PhRv...71..320W.Tiomno; Wheeler, J. A. (January 1949). "Charge-Exchange Reaction of the μ-Meson with the Nucleus". Reviews of Modern Physics. American Physical Society. 21 (1): 153–165. Bibcode:[Tiomno; Wheeler, J. A. (January 1949). "Charge-Exchange Reaction of the μ-Meson with the Nucleus". Reviews of Modern Physics. American Physical Society. 21 (1): 153–165. Bibcode:1949RvMP...21..153T. 1949RvMP...21..153T]. 그는 또한 뮤온을 핵 탐사선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 논문은 1949년에 작성되어 사적으로 유통되었지만 1953년까지 출판되지 않았기 때문에,Wheeler, John (November 1953). "Mu Meson as Nuclear Probe Particle".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92 (3): 812–816. Bibcode:1953PhRv...92..812W. 뮤온이 방출하는 창 복사(Chang radiation)에 대한 일련의 측정 결과가 나왔다. 뮤온은 우주선의 구성 요소이며, 또한 휠러는 1948년 해군연구청으로부터 375,000달러의 상당한 보조금을 받은 프린스턴의 우주선 연구소(Cosmic Rays Laboratory)의 설립자이자 초대 소장이 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177-179. 그는 1946년에 구겐하임 펠로십을 받았고"John A. Wheeler".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Retrieved December 6, 2014. 1949-50 학년도를 파리에서 보낼 수 있었다.Wheeler & Ford 1998, p. 183. 1949년 소련에 의한 조-1(Joe-1)의 폭발은 텔러가 이끄는 미국이 이에 대응하여 보다 강력한 수소폭탄을 개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게 했다. 프린스턴에서 휠러의 부서장인 헨리 D. 스미스Henry D. Smyth는 그에게 노력에 동참할 것을 요청했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휠러처럼 전쟁으로 중단된 경력을 다시 쌓으려 했고 더 큰 혼란에 직면하는 것을 꺼렸다. 다른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반대했다.Wheeler & Ford 1998, pp. 188-189. 참여하기로 동의한 사람들은 에밀 코노핀스키Emil Konopinski, 마샬 로젠블루스Marshall Rosenbluth, 로타르 노드하임Lothar Nordheim 및 찰스 크리치필드Charles Critchfield를 포함했지만 이제 노리스 브래드버리Norris Bradbury가 이끄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는 경험 많은 무기 물리학자들도 있었다.Rhodes 1986, pp. 416-417.Wheeler & Ford 1998, p. 202. 휠러는 보어와 대화한 후 로스앨러모스에 가기로 동의했다. 프린스턴에서 그의 대학원생 중 두 명인 케네스 포드Ken Ford와 존 톨John Toll이 그곳에 합류했다.Wheeler & Ford 1998, pp. 193-194. 로스앨러모스에서 휠러와 그의 가족은 전쟁 중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그의 가족이 기거했던 "배스투브 로우(Bathtub Row)"의 집으로 이사했다.Wheeler & Ford 1998, p. 196. 1950년에는 수소폭탄에 대한 실용적인 설계가 없었다. 스타니스와프 울람 등의 계산에 따르면 텔러의 '클래식 슈퍼(Classical Super)'는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러와 휠러는 "알람 시계"로 알려진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었지만, 그것은 진정한 열핵 무기가 아니었다. 1951년 1월이 되어서야 울람은 실행 가능한 디자인을 고안해냈다.Rhodes 1986, pp. 457-464. 1951년 휠러는 브래드베리Bradbury로부터 두 부분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마터호른(Project Matterhorn)으로 알려진 프린스턴에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의 지사를 설립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마터호른 S(스텔라레이터, 휠러가 만든 다른 이름)는 라이먼 스피처Lyman Spitzer 밑에서 핵융합을 동력원으로 조사했다. 마터호른 B(폭탄용)는 휠러 밑에서 핵무기 연구에 종사했다. 고참 과학자들은 이 프로젝트에 무관심하고 냉담했기 때문에, 그는 젊은 대학원생과 박사 후 학생들과 함께 스태프를 만들었다.Wheeler & Ford 1998, pp. 218-220. 마터호른 B의 노력은 1952년 11월 1일 태평양의 에네베탁 환초에서 휠러가 목격 아이비 마이크 핵실험의 성공으로 결실을 맺었다.Ford, Kenneth W. (April 2009). "John Wheeler's work on particles, nuclei, and weapons". Physics Today. 62 (4): 29–33. Bibcode:[ 2009PhT....62d..29F. 아이비 마이크 소시지(Sausage) 장치의 생산량은 매터호른 B가 추정한 것보다 약 30% 높은 10.4 TNT 메가톤(44 PJ(petajoule))으로 계산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224-225. 1953년 1월 그는 야간 열차 여행 중 리튬-6와 수소폭탄 설계에 관한 극비 문서를 잃어버렸을 때 보안 위반에 연루되었다.Ouellette, Jennifer (December 30, 2020). "That time physicist John Wheeler left classified H-bomb documents on a train". Ars Technica.Wellerstein, Alex (2019). "John Wheeler's H-bomb blues". Physics Today. 72 (12): 42. Bibcode:2019PhT....72l..42W. 이로 인해 휠러는 공식적인 견책 처분을 받게 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285-286. 마터호른 B는 중단되었지만 마터호른 S는 Princeton Plasma Physics Laboratory(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로서 지속되고 있다. = = 이후 학계 경력 = = 마터호른 프로젝트 작업을 마친 후 휠러는 학계 경력을 재개했다. 1955년 논문에서 그는 자신의 장의 인력에 의해 제한된 영역에서 함께 유지되는 전자기파 또는 중력파인 게온(geon)을 이론적으로 조사했다. 그는 "중력 전자기적 개체(gravitational electromagnetic entity)"의 축약형으로 그 이름을 만들었다.[Wheeler, J. A. (January 1955). "Geons". Physical Review. 97 (2): 511–536. Bibcode:1955PhRv...97..511W. 그는 가장 작은 게온(geon)이 태양 크기의 원환체인데, 그러나 수백만 배나 더 무겁다는 것을 발견했다.Wheeler & Ford 1998, p. 237. = = = 기하동역학 = = = 1950년대에 휠러는 중력 및 전자기력와 같은 모든 물리적 현상을 휘어진 시공간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물리적 및 존재론적으로 환원하는 프로그램인 기하동역학(geometrodynamics)을 공식화했다. 이 주제에 대한 그의 연구는 1957년과 1961년에 출판되었다.J. Wheeler (1961). "Geometrodynamics and the Problem of Motion". Reviews of Modern Physics. 44 (1): 63–78. Bibcode:1961RvMP...33...63W.J. Wheeler (1957). "On the nature of quantum geometrodynamics". Ann. Phys. 2 (6): 604–614. Bibcode:1957AnPhy...2..604W. 휠러는 우주의 구조(the fabric of the universe)를 그가 "양자 거품(quantum foam)"이라고 불렀던 양자 요동의 카오스적 아원자 영역(chaotic sub-atomic realm)으로 파악했다.Wheeler & Ford 1998, p. 248. = = = 일반 상대성이론 = = = 일반 상대성이론은 덜 존경받는 물리학 분야로 간주되어 와서, 실험에서 배제되었다. 휠러는 프란스턴 대학교에서 학교를 이끌며 그 주제 부활의 핵심 인물이었고, 그동안 데니스 W. 시아마Dennis W. Sciama와 야코프 젤도비치는 케임브리지 대학교과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각각 그 주제를 개발하고 았었다. 휠러와 그의 제자들은 일반 상대성이론의 황금기(Golden Age of General Relativity)동안 그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Hawking et al 2003, pp.80-88. 1957년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수학적 확장 작업을 하는 동안, 휠러는 시공간의 가상 "터널"을 설명하기 위해 '웜홀'의 개념과 단어를 도입했다. 보어가 그것들이 안정적인지를 물었는데, 휠러의 추가 연구는 그렇지 않다고 결정했다.Wheeler & Ford 1998, pp. 239-241.Misner, Charles W.; Wheeler, John A. (December 1957). "Classical Physics as Geometry". Annals of Physics. 2 (6): 525–603. Bibcode:1957AnPhy...2..604W.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그의 연구에는 중력 붕괴 이론이 포함되었다. 그는 1967년 NASA 고다드 우주 연구소(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GISS)에서 한 연설에서 '블랙홀'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Wheeler & Ford 1998, p. 296. 이 용어는 십년 일찍 사용되었으며미국 천체 물리학자이자 출판인인 홍이 차우Hong-Yee Chiu는 물리학자인 로버트 헨리 딕이 중력에 의해 붕괴된 물체에 대해 "캘커타의 블랙홀과 같다"고 말한 1960년경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한 세미나를 기억한다고 말했다. 과학 저술가인 마르시아 바르투시아크Marcia Bartusiak에 따르면 이 용어는 1963년 달라스에서 열린 천체 물리학 회의에서 사용되었다.Siegfried, Tom (December 23, 2013). "50 years later, it's hard to say who named black holes". Science News. 휠러는 강의 중에 청중 중 한 명이 휠러가 "중력적으로 완전히 붕괴된 물체"라는 말을 듣는 것에 싫증났을 때 이 용어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휠러는 1967년 브라이스 디윗와 함께 휠러-디윗 방정식을 개발한 덕분에 양자 중력 분야의 선구자이기도 하다.DeWitt, B. S. (1967). "Quantum Theory of Gravity. I. The Canonical Theory". Phys. Rev. 160 (5): 1113–1148. Bibcode:1967PhRv..160.1113D. 스티븐 호킹은 나중에 휠러와 디윗의 연구를 "우주의 파동 함수"를 지배하는 방정식으로 기술했다.Hartle, J.; Hawking, S. (December 1983). "Wave function of the Universe". Physical Review D. American Physical Society. 28 (12): 2960–2975. Bibcode:1983PhRvD..28.2960H. = = = 양자 정보 = = = 휠러는 1976년 65세의 나이로 프린스턴 대학을 떠났다. 1976년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센터의 소장으로 임명되어, 은퇴할 때인 1986년까지 그 자리를 지켰고, 또한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가 되었다."Report of the Memorial Resolution Committee for John A. Wheeler (pdf file)". Retrieved April 7, 2021. 휠러의 이전 학생이었던 미스너Misner, 손Thorn과 보이치에흐 주렉Wojciech Zurek이 쓰기를: 휠러가 텍사스에서 보낸 10년을 돌이켜보면, 많은 양자 정보 과학자들은 이제 그를 IBM의 롤프 란다우어Rolf Landauer와 함께 자신의 분야의 할아버지로 여기고 있다. 그것은, 그렇자만, 휠러가 양자 정보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 논문을 작성했기 때문이 아니다. 그는 한 가지 중요한 예외인 지연된-선택 실험(delayed-choice experiment)을 제외하고는 논문을 쓰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역할은 급진적 보수주의적 관점에서 깊은 질문을 함으로써 영감을 주는 것이고 또한 그의 질문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연구와 발견을 자극하는 것이었다.74] Misner, Charles W.; Thorne, Kip S.; Zurek, Wojciech H. (April 2009). "John Wheeler, relativity, and quantum information" (PDF). Physics Today. 62 (4): 40–46. 휠러의 지연된-선택 실험은 실제로 그가 제안한 양자 물리학의 몇개의 사고 실험이었으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들은 1978년과 1984년에 나타났다. 이 실험은 빛이 통과할 이중 슬릿 실험에서 실험 장치를 어떻게 든 "감지"하고 적절한 결정 상태를 가정하여 적합하도록 동작을 조정하거나, 빛이 파동도 입자도 아닌 불확정정 상태로 남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려는 시도이며, 이러한 "질문"을 묻는 실험적 배열에 따라 파동 일관성(wave-consistent) 방식 또는 입자 일관성(particle-consistent) 방식으로 묻는 "질문"에 응답한다.Wheeler & Ford 1998, pp. 334-339. = = = 가르치기 = = = 휠러의 대학원생으로는 야코브 베켄슈타인, 휴 에버렛, 리처드 파인만, 데이비드 힐David Hill, 베이록 후Bei-Lok Hu, 존 R. 클로더John R. Klauder, 찰스 미스너Charles Misner, 킵 손, 윌리암 운루William Unruh, 로버트 발드Robert Wald, 캐서린 웨이Katharine Way 및 아서 와이트먼Arthur Wightman이 있다.Saunders 2010, p. 6 휠러는 가르치는 일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젊은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1학년과 2학년 물리학을 계속 가르쳤다. 프린스턴에서 그는 프린스턴 물리학과의 다른 어떤 교수보다 많은 46명의 박사를 지도했다.Christensen, Terry M. (April 2009). "John Wheeler's Mentorship: An Enduring Legacy". Physics Today. 62 (4): 55–59. Bibcode:2009PhT....62d..55C. 휠러는 켄트 해리슨Kent Harrison, 킵 손, 마사미 와카노Masami Wakano와 함께 중력 이론 및 중력 붕괴(Gravitation Theory and Gravitational Collapse)(1965)를 저술했다. 이것은 미스너와 손과 함께 공동 저술한 방대한 일반 상대성이론 교과서 중력(Gravitation)(1973)으로 이어졌다. 일반 상대성이론의 황금기에 적시에 등장한 것과 그 포괄성으로 인해 한 세대에 걸쳐 영향력 있는 상대성이론 교과서가 되었다.Wheeler & Ford 1998, pp. 232-234. 휠러는 에드윈 F. 테일러Edwin F. Taylor와 팀이 되어 시공간 물리학(Spacetime Physics)(1966)과 블랙홀 찾기(Scouting Black Holes)(1996)를 집필했다. 휠러의 "질량 없는 질량(mass without mass)"를 암시하면서, 그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기념논문집(festschrift)은 마법 없는 마법: 존 아치볼드 휠러: 그의 60번째 생일을 기리는 에세이 모음집 (Magic Without Magic: John Archibald Wheeler: A Collection of Essay in Honor of his Sixtyth Birthday)(1972)라는 제목이 붙었다. 그의 작문 스타일은 한 상대성이론 학술지에서 애정을 담아 출판한 "존 아치볼드 와일러(John Archibald Wyler)"를 포함한 패러디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Wyler, John Archibald (1974). "Rasputin, Science, and the Transmogrification of Destiny" (PDF).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5 (2): 175–182.Misner 2010, p. 22. = = = 참여적 인류 원리 = = = 휠러는 실재(reality)가 우주의 관찰자들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라고 추론했다. "무에서 어떻게 무엇인가(something)가 생겨나는가?" 그는 공간과 시간의 존재에 대해 물었다.Ford 2006, p. 2 그는 또한 강한 인류 원리의 버전인 "참여적 인류 원리"(Participatory Anthropic Principle PAP)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Nesteruk, Alexei V. (2013). "A "Participatory Universe" of J. A. Wheeler as an Intentional Correlate of Embodied Subjects and an Example of Purposiveness in Physics". Journal of Siberian Federal University. 6 (3): 415–437. arXiv:1304.2277. 1990년 휠러는 정보가 우주의 물리학의 기본이라고 제안했다. 이 "비트로부터 그것" 교리에 따르면, 물리적인 모든 것은 그 기원이 정보-이론적(information-theoretic)이다. 휠러: 비트로부터 그것.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 - 모든 입자, 모든 힘의 장, 심지어 시공간 연속체 자체까지도 - 그 기능, 의미, 존재 자체는 전적으로 - 어떤 맥락에서는 간접적으로라도 - 장치가 예 혹은 아니오 질문, 이진 선택, 비트로부터 대답에서 파생한다. 비트로부터 그것은 물리적 세계의 모든 항목이 바닥 - 대부분의 경우 매우 깊은 바닥 - 에 비물질적 출처와 설명이 있다는 생각을 상징하고; 우리가 현실이라고 부르는 것은 예-아니오 질문을 제기와 장비-유발 응답(equipment-evoked responses)의 등록의 최종 분석에서 발생한다; 요컨대, 물리적인 모든 것은 기원은 정보-이론적이며 또한 이것이 '참여적 우주(participatory universe)'라는 것이다.Wheeler 1990, p. 5. 양자역학의 해석인 참여적 인류 원리(PAP)를 개발할 때 휠러는 부정적인 스무고개라고 하는 스무고개에 대한 변형을 사용하여 우주에 대해 묻기로 선택한 질문이 우리가 얻는 답을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 변형에서 응답자는 사전에 특정 또는 명확한 대상을 선택하거나 결정하지 않고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는 패턴에 대해서만 결정한다. 이 변형을 사용하려면 응답자가 연속적인 질문에 일관된 답변 세트를 제공해야 각 답변이 이전의 모든 답변과 논리적으로 호환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연속적인 질문은 질문자가 명확한 대상을 결정할 때까지 선택의 폭을 좁힌다. 휠러의 이론은, 유사한 방식으로, 의식이 우주를 존재하게 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Gribbin, Gribbin & Gribbin 2000, pp. 270-271. "인류 우주(Anthropic Universe)"에 대한 라디오 인터뷰 녹취록에서: 휠러: 우리는 가깝고 여기에 있을 뿐만 아니라 멀고도 먼 옛날을 가져오는 데 참여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먼 과거에 우주의 무엇인가를 가져오는 참여자이니, 만일 먼 과거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나만 갖는다면 왜 우리는 더 이상이 필요할까? 마틴 레드펀Martin Redfern: 많은 사람들이 존 휠러의 말에 동의하지 않지만, 만일 그가 옳다면 우리와 아마도 우주 전체의 다른 의식적인 관찰자들은, 창조자들 - 또는 최소한 우주를 현현하게(menifest) 만드는 정신들이다."The anthropic universe". Science Show. February 18, 2006. = = = 초심리학에 대한 반대 = = = 1979년 휠러는 미국 과학진흥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에 마거릿 미드의 요청으로 10년 전에 승인된 초심리학을 추방할 것을 요청했다. 그는 그것을 유사과학이라고 불렀고,Gardner 1981, pp.185ff. 그는 질문에 대한 진지한 연구에 반대하지 않았지만, AAAS 제휴자가 되는 "정당성의 분위기"는 최소한 몇 가지 소위 psi 효과에 대한 설득력 있는 테스트가 있을 때까지 유보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Wheeler & Ford 1998, pp. 342-343. "의식이 아니라, 관찰의 요소의 양자 행위의 핵심으로서의 탐지와 피탐지의 구분"이라는 발표 이후의 질의응답 시간에서 휠러는 조지프 뱅크스 라인이 학생 시절 사기를 저질렀다고 잘못 진술했고, 사이언스 저널에 보낸 후속 편지에서 사과했다.Wheeler, J. A. (1979). "Parapsychology – A correction". Science. 205 (4402): 144–148. doi:10.1126/science.205.4402.144-b. 그의 요청은 거절되었고 초심리학 협회는 AAAS의 회원으로 남았다. = = 개인적 생활 = = 72년 동안 휠러는 교사이자 사회복지사인 자넷 헤그너Janette Hegner와 결혼했다. 그들은 세 번째 데이트에서 약혼을 했지만, 그가 유럽에서 돌아올 때까지 결혼을 미루기로 동의했다. 그들은 그가 돌아온 지 5일 후인 1935년 6월 10일에 결혼했다.Wheeler & Ford 1998, pp. 121-122. 대공황 기간 동안에는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아서 루아크Arthur Ruark는 휠러에게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의 조교수직을, 2,300달러의 연봉으로, 제안했는데, 이는 자넷이 라이 컨트리 데이 스쿨(Rye Country Day School)에서 가르치는 데 제공된 2,400달러보다도 적은 것이었다.Wheeler & Ford 1998, pp. 144-145. 그들은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레티시아Letitia, 제임스 잉글리시James English와 앨리슨 휠러Alison Wheeler. 휠러와 헤그너는 프린스턴 유니테리언 교회(Unitarian Church)의 창립 멤버였고, 그녀는 '프린스턴 공립 도서관(Princeton Public Library)의 친구들'을 시작했다."Obituaries". www.towntopics.com. Retrieved January 8, 2016. 말년에 헤그너는 그와 함께 프랑스, 로스앨러모스, 뉴멕시코, 네덜란드 및 일본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헤그너는 2007년 10월 9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Princeton University – Leading physicist John Wheeler dies at age 96". www.princeton.edu.Carlson, Michael (April 15, 2008). "Obituary: John Wheeler". the Guardian. = = 사망과 유산 = = 휠러는 1966년 미국 성취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의 골든 플레이트 어워드(Golden Plate Award),"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www.achievement.org.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968년 엔리코 페르미 상, 1969년 플랭클린 매달(Franklin Medal), 1969년 아인슈타인 상(Einstein Prize), 1971년 국가 과학 메달(National Medal of Science), 1982년 닐스 보어 국제 금메달(Niels Bohr International Gold Medal), 1983년 외르스테드 메달, 1984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J. Robert Oppenheimer Memorial Prize), 1997년 울프 물리학상 등 수많은 상들(prizes and awards)을 수상했다. 그는 미국철학학회, 왕립예술원, 린체이 아카데미 및 세기 협회(Century Association)의 회원이었다. 그는 18개의 다른 기관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2001년 프린스턴은 300만 달러의 기부금을 사용하여 존 아치볼드 휠러/바텔 물리학 교수직(John Archibald Wheeler/Battelle Professorship in Physics)을 설립했다. 그가 사망한 후, 텍사스 대학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존 A. 휠러 강당(John A. Wheeler Lecture Hall)을 명명했다. 2008년 4월 13일, 휠러는 뉴저지주 하이츠타운(Hightstown)에서 96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 = = 저서 목록 = = Wheeler, John Archibald (1962). Geometrodynamics. New York: Academic Press. Harrison, B. Kent; Kip S. Thorne; Masami Wakano; John Archibald Wheeler (1965). Gravitation Theory and Gravitational Collaps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sner, Charles W.; Kip S. Thorne; John Archibald Wheeler (September 1973). Gravitation. San Francisco: W. H. Freeman. Wheeler, John Archibald (1979). Some Men and Moments in the History of Nuclear Physics: The Interplay of Colleagues and Motiv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Wheeler, John Archibald (1987). Cosmology, Physics and Philosophy (2nd ed.). New York: Springer Verlag. Wheeler, John Archibald (1990). A Journey Into Gravity and Spacetime. Scientific American Library. New York: W.H. Freeman. Taylor, Edwin F.; Wheeler, John Archibald (1992). Spacetime Physics: Introduction to Special Relativity. New York: W. H. Freeman. Wheeler, John Archibald (1994). At Home in the Universe. New York: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Ciufolini, Ignazio; Wheeler, John Archibald (1995). Gravitation and Inertia.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Wheeler, John Archibald (1998). Geons, Black Holes, and Quantum Foam: A Life in Physics. New York: W.W. Norton & Co. Arrow/scrollable preview. Taylor, Edwin F.; Wheeler, John Archibald (2000). Exploring Black Holes: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Addison Wesley. = 분류:양구군의 스포츠 = = 분류:1056년 = = 제너럴셔먼호 사건 = 제너럴셔먼호 사건(-號事件)은 1866년(조선 고종 3년, 미국 앤드루 존슨 대통령 2년) 음력 7월 27일(양력 9월 5일) 평양 군민(軍民)들이 중무장한 미국 상선(商船)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를 격침시킨 사건이다.[조선 왕조 실록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7월 27일 계미 1번째기사]..... 그들을 제압하고 이기는 방책으로는 화공 전술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므로 일제히 불을 질러서 그 불길이 저들의 배에 번져가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저쪽 사람들인 토마스〔崔蘭軒 : Thomas, Robert Jermain〕와 조능봉(趙凌奉)이 뱃머리로 뛰어나와 비로소 목숨을 살려달라고 청하므로 즉시 사로잡아 묶어서 강안으로 데려왔습니다. 이것을 본 군민(軍民)들이 울분을 참지 못해 일제히 모여들어 그들을 때려죽였으며 그 나머지 사람들도 남김없이 죽여버렸습니다.[네이버 지식백과 제너럴 셔먼호 사건 [─號事件]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9월 5일 박규수는 철산부사(鐵山府事) 백낙연(白樂淵)과 서윤(庶尹) 신태정(申泰鼎)에게 2개 부대를 동원하여 제너럴 셔먼호를 공격하게 하였고, 제너럴 셔먼호도 이에 대응 사격하였다. 그러다 제너럴 셔먼호가 수심이 얕은 양각도(羊角島) 서쪽 모래톱에 좌초하면서 기동 불능 상태에 빠졌고, 박규수가 파견한 군대에 의해 배에 불이 붙었다.이 결과 제너럴 셔먼호에 승선한 선원 24명은 전원 사망하게 되었다.외양선 격침에 대한 장계가 올라간 시기는 음력 7월 27일이고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9월 5일이다. 1866년 년초부터 벌어졌던 병인박해로 프랑스 출신 천주교 성직자 7명과 다수의 천주교 신자들이 참수 당했다. 이로인해 프랑스 측의 보복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 속에 외양선에 관한 사항은 매우 긴급히 보고가 올라갔다. 양력 8월 중순에 서해안에 출물한 제너럴셔면호는 통상이 거절당했음에도 불법으로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수로탐사를 하는 등 행패를 부렸다. 이에 평양 관민이 합심하여 화공전 펼친 끝에 배를 소각, 격침시키고 승무원 전원을 사살하였다. 이 사건은 신미양요의 원인이 되었다.문일평, 호암전집 제3권, 서울: 조광사, 1939년, 267~268쪽. = = 배경 = = = = = 미국과 조선의 접촉 = = = 19세기 중반, 서구의 열강들은 아시아에서 새로운 통상을 개설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썼다. 그리고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서의 통상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매튜 페리 준장이 1853년 7월 8일 에도(현재의 도쿄) 부근의 우라가 항까지 항해한 뒤, 일본도 통상을 개방하였고, 미국의 무력의 위협 하에 일본과 미국은 1854년 가나가와 조약을 체결하였다. 일찍이, 앤드루 잭슨이 대통령이었던 1832년의 미국에서는, 피콕 호에 승선했던 에드먼드 로버츠에 의하여 조선의 통상 개방 문제가 논의되고 있었다. 미국은, 제1차 아편 전쟁(1840~42년)의 여파로 힘을 잃은 청나라와 왕샤 조약(1844년 7월 3일)을 맺어 불평등한 통상을 개시하였다. 이 조약은 처음으로 아시아가 미국의 상인들에게 문을 여는 결과를 가져왔다. 같은 해에, 미국 의회는 조선의 문호 개방을 위한 안건도 마련하였으나,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보류되었다. 어쨌든 미국과 조선의 첫번째 접촉은 적대적인 것은 아니었다. 1853년 사우스 아메리카 호가 일본으로 항해하던 도중, 부산에 입항하여 열흘을 머물렀다. 이때, 이 배의 관리들은 조선의 관리들과 식사를 하기도 하였다. 1855년, 65년에 조선에 표류했던 여러 번의 사례에서도 미국인들은 식량과 식수를 보급받는 등 좋은 대우를 받았고, 본국 송환을 위하여 청나라로 보내지기도 했다.Kim Young-Sik, Ph.D. 〈The early US-Korea relations (Excerpt from "A Brief History of the US-Korea Relations Prior to 1945") 〉 2003-7-25U.S. Diplomatic Correspondence, 1870 = = = 쇄국정책 = = =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서양의 이양선이 조선 연해에 자주 출몰하였다. 조선은 이들의 통상요구는 단호하게 거절하였으나, 조난된 선원 등에게는 먼 곳에서 온 사람들에게 최대한 관용을 베푼다는 ‘유원지의(柔遠之義)’ 원칙으로 처리하였다. 두 차례의 아편전쟁으로 베이징이 함락되고 청나라 함풍제(咸豊帝)가 피난 간 사실이 알려지면서 조선에는 위기감이 확산되었다. 영국, 프랑스 연합군과 청나라의 강화를 중재한 러시아가 그 대가로 연해주를 획득하게 되면서 러시아의 남하로 조선은 더욱 압박을 받게 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쇄국정책 [鎖國政策]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863년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국정 전반에 걸쳐 과감한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외교적인 면에서는 청나라를 제하고는 척양척왜를 주장하여 쇄국정책을 계속 유지하였다. = = = 병인박해 = = = 흥선대원군은 천주교에 대한 이해가 깊은 인물로 집권초기에만해도 천주교를 탄압할 생각이 없었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병인사옥〉 18세기말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한 천주교에 대해서는 신해박해(1791) 이후 여러차례 탄압이 있었으나, 흥선대원군의 부인과 딸도 천주교 신자이고 그 자신이 불우하던 시절 천주교인과 접촉을 했었기 때문이다. 또한, 프랑스 선교사를 통해 한불조약을 체결하여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막고자하는 계획을 품기도 했다.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93 그러나 청나라에서 천주교를 박해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자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94 이런 분위기에 편승한 흥선대원군의 정적들이 천주교와 같은 불순 세력을 척결해야 한다고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운현궁(雲峴宮)에도 천주교가 침투했다는 소문이 퍼져니,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95 조대비(趙大妃)마저 천주교를 비난하기에 이르자 정권 유지를 위해 정책을 바꿔야 했다. 흥선대원군은 부득불 1866년 1월에 천주교를 탄압하기 시작했다.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95 이에 따라 2월에 베르뇌를 비롯한 비롯한 프랑스 신부 6명과 홍봉부, 남종삼, 김면호를 포함한 수많은 천주교인들이 서울과 지방에서 체포되어 순교했다. 박해를 피해 1866년 5월 8일 조선을 탈출한 리델 신부는 그해 7월 프랑스 극동함대(極東艦隊)사령관 로즈 제독을 톈진에서 만나 프랑스 신부들의 순교소식을 전하고 생존해 있는 다른 신부 두 명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즉각 함대를 출항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로즈 제독은 인도차이나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주력함대가 돌아오는 대로 조선 원정을 약속했다.장학근, 조선 평화를 짝사랑하다 ―붓으로 칼과 맞선 500년 조선전쟁사― 플래닛미디어 (2008) 287쪽 이런 소식이 조선에도 전달되며 조선의 관원들은 외양선의 출현을 경계, 감시하고 더욱 긴장하며 대비하였다. = = 사건 개요 = = = = = 조선과의 통상시도 = = = 조선에서 벌어진 병인박해로 천주교 선교사들이 참수당했기 때문에 조선과 프랑스 사이에 관계가 악화되며 전운이 감돌았지만, 이런 분위기와는 무관하다는 듯 당시 텐진에 기반을 두고 있던 영국의 메도즈 상사는 조선과 통상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와 용선 계약을 맺고 비단, 유리그릇, 천리경, 자명종 등의 상품을 선적한 후 화물관리인으로 영국출신 호가스(Hogarth)를 승선시켰다. 또한 조선과 무역을 해온 중국인들과도 접촉을 하고 통역으로는 런던 선교회 소속의 개신교 선교사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과 계약을 맺고 승선시켰다.[네이버 지식백과 제너럴셔먼호사건 [─號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토머스는 한 해전인 1865년에 조선에 밀입국하여 조선어를 배운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 = = 제너럴셔먼호의 항해 = = =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 호는 대포 2문이 설치되어 있는 증기선이었다. 선박의 이름은 미국의 군인 윌리엄 테쿰세 셔먼의 이름을 딴 것이었고, 톈진(天津)에 머물고 있던 미국인 상인 프레스턴( W. B. Preston)의 소유였다. 이 배의 승무원은 선장 페이지(Page), 1등 항해사 윌슨(Willson), 13명의 청국인, 3명의 말레이시아인 선원 등 총 23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선원들은 전원이 완전무장을 하고 있었다. 화물을 선적한 제너럴셔먼호는 선주 프레스턴을 태운 후 체푸(Chefoo, 현재의 옌타이)를 1866년 8월 9일에 출항하여 조선으로 향했다. = = = 통상요구와 거절 = = = 8월 14일에 충남 해안가에 도착한 제너럴셔먼 호는 조선 관리들과 접촉하여 통상을 요구했으나, 서양과의 통상은 국법으로 금기사항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고 불법항해이니 신속히 물러갈 것을 요구받았다.[조선 왕조 실록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7월 5일(양력 8월 14일)]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중국 정크선의 인도로 8월 20일(음력 7월 11일)에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평양 경내에 들어갔다. 중국 정크선의 선장인 유화태는 1865년말 토마스가 황해지역에 왔을 때 타고 왔던 배의 선장이며 토머스에 의하면 20년 이상 조선인과 무역을 하였던 자였다.Rev. Thomas's letter dated 12 January 1866 published in Missionary Magazine July 1866 그해 봄에 벌어진 병인박해(1866)로 인해 프랑스 군함의 보복이 예견되는 가운데 조선 관원들은 긴장과 경계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 경내에 정박하자 조선의 관리들은 조심스럽게 이들과 접촉했다. 제너럴셔먼호 측은 상거래를 요구하며, 그들이 가져온 비단 · 자명종 등을 쌀 · 사금 · 홍삼 · 호표피 등과의 교역하자고 제의하였다. 이에 대해 서양과의 교역은 국법에 금한 내용이라 불가하나 식량과 보급품을 제공할 수는 있다하며 사태를 원만하게 수습하려 하였다. 아울러 더 이상의 항해는 불법이니 퇴각을 요구했다. 그러나 제너럴셔먼 호는 이를 무시하고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 = = 양측의 공방전 = = = 8월 21일(음력 7월 12일) 조선 측의 강경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제너럴셔먼호는 만경대 한사정(閑似亭)에까지 올라왔고 그들의 행동을 제지하던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을 붙잡아 감금하기까지 했다. 사태가 이지경에 이르자 평양성 내의 관민(官民)은 크게 격분하여 강변으로 몰려들었고, 셔먼호에서는 소총과 대포를 이들 관민에게 마구 쏘아대자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와 같은 제너럴셔먼호의 무모한 행동에 대하여 강변의 군민은 돌팔매·활·소총으로 맞서 대항했고, 퇴교(退校) 박춘권(朴春權)은 배를 타고 가서 이현익을 구출해 내기도 했다. 당시 며칠씩 계속된 비로 강의 수위가 높았기 때문에 셔먼호는 대동강을 따라 계속 올라 갈 수 있었으나, 비가 그치고 썰물이 곁치면서 수위가 얕아지자 제너럴셔먼호는 양각도(羊角島) 서쪽 모래톱에 선체가 좌초되어 움직일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러자 불안과 초조에 휩싸인 셔먼호의 승무원들은 대포를 발사하는 등 폭력을 자행하여 평양 사람 7명이 죽고, 5명이 다치는 인명피해가 일어났다. = = = 화공전과 격침 = = = 평안도 관찰사 박규수는 그들을 체포할 수 있는 사람들을 돈을 주고 구하던 중 한 교졸이 지원했다. 이 교졸은 어촌의 괴피선(작은 배) 수백 척을 동원하여 배안에 기름을 끼얹은 뒤 섶을 가득 실어 불을 지르게 하고 궁수로 하여금 일제히 화살을 당기게 하였다. 이와 동시에 박규수는 철산부사(鐵山府事) 백낙연(白樂淵) 등과 상의하여 9월 5일(음력 7월 27일)부터 포격을 가한 뒤 대동강 물에 식용유를 풀고 불을 붙였고 화공선을 띄워 공격하며 결국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워 격침시켰다. 이로인해 승무원 23명 가운데 대부분이 불에 타 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배에 불이 번지자 영국 선교사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와 중국 상인 조능봉이 뱃머리로 나와 살려달라고 애원했다. 그러자 조선 관군이 이들을 강안으로 데려왔다. 그러나 성난 평양부민들이 삽시간에 달려들어 그들을 때려죽였으며, 나머지 생존자들도 전원 사망했다.[조선 왕조 실록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7월 27일 계미 1번째기사] 박규수는 품계가 올랐고 박규수를 도왔던 교졸은 진영의 으뜸이 되었다. 이후 박규수는 대원군의 각별한 총애를 얻게 되었다. = = 영향 = = = = = 19세기 = = = 당시 조선의 흥선대원군 정권은 이 사건과 같은 해 10월 26일(음력 9월)에 일어난 프랑스 함대의 침입 사건인 병인양요를 계기로 양이정책(攘夷政策)인 통상수교거부정책을 더 한층 강화하게 되었다. 그리고 186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은 1865년 미국 링컨 대통령의 암살 사건이후 권력을 승계받은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탄핵(1868년) 등 어수선한 미국 국내 사건으로 바로 처리되지 못하고 5년 후 1871년 신미양요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대동강에 침몰한 제네럴 셔먼호를 인양하여 이를 복제, 철갑증기선을 건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수십만 냥을 들여 10개월 만에 복원하기는 했으나, 아주 느리게 움직여서 사실상 실패했다. 그러나 그 뒤에 통상수교거부 정책이 한창임에도 증기선을 만들든지 구하든지 하라는 상소가 빗발쳤다고 전해진다.우리文化 〈50〉 科学(6)西歐기술의 摸倣, 경향신문, 1973.7.3 = = = 현대 = = = 북한은 1986년 9월2일 대동강변에 셔먼호 격침비를 세웠으며 그 바로 옆에 1968년 1월에 북한이 나포한 미국의 첩보선 푸에블로호를 정박시켜 대미(對美) 항전의 `전리품'으로 전시하고 있다. 남과 북 모두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한말 구미 열강의 침략 사례로 기록하고 있지만 미국과 적대관계에 있는 북한은 셔먼호 격침비까지 세우고 매년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기념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김정일의 고조부인 김응우(1848∼1878)가 1866년 9월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에 불법 침입한 제너럴셔먼호를 침몰시키는 데 앞장섰다고 선전하고 있다.[연합뉴스 北 "139년전 9월2일 제너럴 셔먼호 격침"] = = 제너럴셔먼호 = = 나포: 1863년 1월 29일 미국 정부의 구매: 1863년 3월 18일 취역일: 1863년 2월 4일 민간에 판매: 1865년 8월 17일 배수량: 614톤 길이: 38.81미터 (127피트 4인치) 선폭: 10.5미터 (34피트 6인치) 흘수: 503센티미터 (16피트 6인치) 추진방식: 요트(Sail) + 외륜(Side-wheel steamer) 승무원: 150 명 무장: 4 X 8" Sg. 16 X 32 pdrs 원래 영국 군함이었는데, 1863년에 나포되었다. 남북전쟁에 북부군 군함 USS Princess Royal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공경매로 민간에 팔려서 제너럴셔먼호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이는 미 해군이 보유한 기록과 다르다. 미국 해군의 공식문서에 따르면 프린세스 로열호의 민간 판매 시점이 평양에서 제너럴셔먼호 사건이 일어난 지 2년 뒤인 1868년이라는 것이다. 또한 평양 대동강이 아닌, 1874년 1월 10일 노스 캐롤라이나 Cape Fear에서 침몰하였다. = = 제너럴셔먼호 탑승자 = = 선장 페이지(Page, 덴마크인) 일등 항해사 윌슨(Wilson, 미국인) 선박 소유주 프레스턴(Preston, 미국인) 조지 호가스(George Hogarth, 영국인) 13명의 청나라인 3명의 말레이인 영국 개신교 선교사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Robert Thomas, 한국어를 배웠기 때문에 통역으로 탑승하였다.) = 김남희 (종교인) = 김남희는 예수를 믿는 기독교인이다. 원래 가톨릭의 열심신자였으나 신천지에 포섭되어 한때 신천지의 2인자로 묘사될 정도로 신천지 교세 확장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러나 2017년 신천지에서 탈퇴하였고, 최근 한 개인 유튜브 방송에 출연하여 신천지 교주 이만희의 거짓 실체를 폭로하였다. 해당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남희는 "봉사활동을 하러간 아프리카 기니에서 예수님을 만났으며 이만희는 구원자가 아니며 예수 그리스도만이 구원자임을 깨달았다 " 고 고백하였고"신천지는 이 땅에서 없어져야 할 종교 사기집단" 이라고 밝혔다.유튜브 "존존티비JonJonTV" 참조 현재까지 해당 영상을 보고 많은 신천지인들이 신천지에서 탈퇴하였다고 한다. = 김조규 = 김조규(1914년 1월 20일 ~ 1990년 12월 3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가이다. = = 생애 = = 한국의 시인으로 1914년 1월 20일 평안남도 덕천군에서 태어났다. 1931년 시 <연심>을 조선일보에 발표하였고 그해 10월 <<동광>>의 문예작품 공모에 <검은 구름 모일 때>가 당선되면서 등단되었다. 1937년에는 숭실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45년 황순원, 최명익 등과 함께 우익 계열인 '평양예술문화협회'를 결성했으나 후에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에 흡수되면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에서 활동했다. 이후 평양예술대학 교수가 되어 한국 전쟁 발발 때까지 근무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종군 시인으로 낙동강, 경북 영천 일대까지 종군했으며, 1952년에 중국을 방문했고, 그해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세계인민평화대회에 북한 대표로 참가했다. 이 무렵 김일성종합대학 문과대 교수가 되었으나 반종파투쟁 과정에서 허가이의 소련파와 함께 숙청당했다. 1956년까지는 작품 활동을 했으나 이후 이태준과의 교분 때문에 집필 금지를 당하고 협동 농장으로 밀려났고 1960년에 복귀하여 작품 활동을 재개했다. 1990년 12월 3일 사망했다. = = 주요 작품 = = *<생활의 흐름> *<대오는 이 밤을 걷는다> *<이 사람들 속에서> = = 참고자료 = = 신형기, 오성호, 이선미 엮음, 한국 문학 전집 <<북한 문학>>(2007, 문학과 지성사) =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大岩山·大愚山 天然保護區域)은 해안분지와 그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대암산·대우산·도솔산 및 대암산 정상부근의 일명 큰용늪과 작은용늪을 포함하는 지역을 말한다. 1973년 7월 10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46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은 펀치볼 분지와 그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대암산·대우산·도솔산 및 대암산 정상부근의 일명 큰용늪과 작은용늪을 포함하는 지역을 말한다. 펀치볼 지대는 지름 약 10km의 원형분지로, 분지벽과 주변의 능선은 편마암으로 되어 있으나 분지의 밑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이는 화강암이 편마암보다 침식이 빨라 분지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암산 정상 부근에는 큰용늪, 작은용늪이라 불리는 고지습원이 있는데, 작은용늪은 이미 그 원래의 모습을 상실하여 숲으로 변해버리고 말았다. 큰용늪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고지습원으로 연중 안개 끼는 날이 많은 특수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생태계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큰용늪에는 물이끼, 삿갓사초, 꼬리조팝나무, 꽃쥐손이풀 등의 식물군락이 있으며, 손바닥 난초, 비로용담, 끈끈이주걱 등의 희귀식물도 자라고 있다. 그 밖에 식물성 플랑크톤 63종, 돌말 19종과 천연기념물인 산양과 검독수리가 관찰된 바 있으며, 도룡뇽, 무당개구리, 줄흰나비 등도 볼 수 있다. 또 이 지역과 연결된 두타연계곡에서는 열목어를 비롯한 특산 어류 10여 종이 살고 있다.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은 분지·습원 등 지형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기후조건이 특이하여 희귀동식물이 자라고 있다. 또한 동식물의 남북한계·동서 구분의 현상이 나타나는 등 식물생태학·식물지리학적·식물분류학적 연구가치가 매우 큰 지역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상, 특이한 지형·지세 및 기후적 특성 등 다양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 = 공개 제한 = = 문화재보호법 제48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0조의 규정에 의거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의 보존을 위한 공개제한을 하고 있다.문화재청고시제2011-130호,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공개제한, 문화재청장, 관보 제17577호, 19면, 2011-08-23 근거 법령 : 문화재보호법 제48조, 동법 시행규칙 제30조 제한 대상 : 천연기념물 제246호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제한 기간 : 2011. 7. 1. ~ 2021. 6. 30. 제한 사유 : 천연기념물 훼손방지 및 자연유산 가치 보존 공개제한 관련 규제 및 위반자 처벌 : 문화재 수리․관리 및 보호․보존을 위한 학술조사연구 등 필요한 경우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 출입(법 제48조 제5항) 공개제한지역 출입허가 일부 관리단체 위임 : 문화재 관리단체에서 시행하는 생태탐방, 현장학습 등 생태체험 프로그램 참여자, 생태조사 및 학술조사 등 연구용역 수행자 공개제한 지역을 허가 없이 출입하는 경우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됨(법 제101조 제8호) 공개제한의 예외 : 문화재 관리단체, 원주지방환경청, 북부지방산림청 등 해당(관계)부처 담당자의 시설보수 등 공적업무를 위한 출입 = 칠성장어과 = 칠성장어과(七星長魚科, Petromyzontidae)는 칠성장어목에 속하는 어류 과이다.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염색체(164–174)를 갖고 있다. = = 하위 속 = = 카스피칠성장어속 (Caspiomyzon) 태평양칠성장어속 (Entosphenus) 칠성말배꼽속 (Eudontomyzon) 이크티오미존속 (Ichthyomyzon) 람페트라속 (Lampetra) 다묵장어속 (Lethenteron) 바다칠성장어속 (Petromyzon) 멕시코칠성장어속 (Tetrapleurodon) = 집 이야기 = "집 이야기"는 201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유영 : 은서 역 강신일 : 진철 역 서영화 : 미자 역 황은후 : 은주 역 조현식 : 경식 역 공민정 : 경란 역 신황철 : 만석 역 전석찬 : 상진 역 이남경 : 가람 역 장우서 : 민호 역 한동완 : 박 선배 역 남문철 : 오 부장 역 김병순 : 배씨 역 정대복 : 이씨 역 김종숙 : 아파트 아주머니 역 이명자 : 수건집 할머니 역 신정만 : 용달차 기사 역 우유민 : 새 입주자 역 신지인 : 간호사 역 정우영 : 장례지도사 역 이태용 : 선배경찰 역 강승일 : 후배경찰 역 김도엽 : 수건집손주 역 서임철 : 노인 손님 역 김민주 : 금고 사무실 직원 역 표성식 : 금고 사무실 사장 역 심민성 : 상조 회사 직원1 역 이은호 : 상조 회사 직원2 역 이준섭 : 수건집손주 목소리 출연 역 하지혜 : 경란네 골목 행인 역 김성웅 : 소사 아파트 주차장 행인 역 김유정 : 병원 복도 방문객 역 임철빈 : 병원 동료 환자 역 이준섭 : 이삿짐 센터 직원들 역 한제택 : 이삿짐 센터 직원들 역 김소영 : 전철 승객들 역 김상언 : 전철 승객들 역 조윤상 : 전철 승객들 역 이은주 : 금고 사무실 직원들 역 박해미 : 금고 사무실 직원들 역 정병묵 : 금고 사무실 직원들 역 배은규 : 신문사 행인들 역 황선아 : 신문사 행인들 역 박승호 : 신문사 행인들 역 윤형철 : 갈비집 손님 가족 역 김문정 : 갈비집 손님 가족 역 윤성빈 : 갈비집 손님 가족 역 윤성연 : 갈비집 손님 가족 역 김명기 : 수건집 행인들 역 문대성 : 수건집 행인들 역 임창석 : 수건집 행인들 역 주성우 : 수건집 행인들 역 안상준 : 병원 환자 가족 역 심혜규 : 병원 환자 가족 역 안혜영 : 병원 환자 가족 역 오자훈 : 병원 환자 가족 역 오가은 : 병원 환자 가족 역 김혜원 : 신문사 동료들 역 최문연 : 신문사 동료들 역 황현진 : 신문사 동료들 역 안은정 : 신문사 동료들 역 박세원 : 신문사 동료들 역 노재욱 : 신문사 동료들 역 지동현 : 광화문 행인들 역 김지선 : 광화문 행인들 역 이진주 : 광화문 행인들 역 김효진 : 광화문 행인들 역 홍승일 : 광화문 행인들 역 노치형 : 광화문 행인들 역 장제룡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양영희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민종미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김민경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허해심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김미영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권오관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문철복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유석능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방수철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배희철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최정규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오종근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최종민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박용선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허정자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방수협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김철우 : 미자 결혼식 하객들 역 방지현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원혁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강권은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규상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강석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희선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양선정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홍수정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해민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이보윤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하원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지민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문정우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방여진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임광석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방다현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강은지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문경태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장주혜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안여경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부요한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서정훈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엄진아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형상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정윤희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이현지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여녕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김윤진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박상호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고종회 : 제주 공항 승객들 역 이유하 : 예약담당자 역 (우정출연) 고인배 : 부동산 중개인 역 (특별출연) = = 수상 = = 2019년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 - 파노라마 2020년 제8회 무주산골영화제 상영작 - 판 2020년 제7회 들꽃영화상 남우, 여우주연상 = 분류: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체조 대회 = = 김종석 (축구 선수) = 김종석(, 1995년 1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 충남 아산 FC에서 활약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김종석은 포항 스틸러스 산하의 유소년 팀인 포항제철고등학교를 거쳤으며, 포항제철고의 2011년과 2012년 고교 챌린지리그 우승에 기여하였다. 2013년 초, 졸업과 함께 포항 스틸러스에 우선지명된 뒤 상지대학교에 진학하였다. 2016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였으며, 6월 25일 FC 서울과의 홈 경기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며 데뷔전을 치렀다. 2018시즌을 앞두고 팀 동료 최호주와 함께 K리그 챌린지의 안산 그리너스 FC로 이적했다.안산, 포항 출신 김종석과 최호주 영입 2019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내셔널리그의 김해시청에 입단했다. 2020시즌을 앞두고 평택 시티즌 FC에 입단했다. 2021시즌을 앞두고 천안시 축구단으로 이적했다. 천안 입단 이후인 2021시즌 동안 21경기에 출전해 16골 1도움을 기록했다. 이런 활약으로 김종석은 2021시즌 K3리그 득점왕에 올랐으며 2021시즌 MVP에 선정되었다.천안시축구단, K3리그 BEST 11 최다 배출 2022시즌을 앞두고 K리그2에 합류하는 김포 FC에 입단했다.세미프로 정복하고 프로로 돌아왔다… 김종석, K리그2 김포행 = = 가족 = = 김종석의 형 김종우 역시 축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 수상 = = = = = 개인 =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고등학교 축구대회 득점상: 2012 K3리그 득점상: 2021 K3리그 베스트 11: 2021 K3리그 MVP: 2021 = 분류:피닉스 제도 = = 마이크 네스 = thumb 마이크 네스(MIKE NESS, 1962년 4월 3일~ )는 1983년 1집 앨범 [Mommy's Little Monster]으로 데뷔한 '소셜 디스토션(Social Distortion)'의 보컬과 기타를 맡고 있는 멤버. = = 소셜 디스토션 = = 미국 하드코어 펑크씬에서 빠질 수 없는 아이콘으로 평가받는 소셜 디스토션은 1978년 캘리포니아 오렌지 카운티(Orange County)에서 결성되었다. 마이크 네스(Mike Ness/g), 릭 액뉴(Rikk Agnew/v,g), 프랭크 액뉴(Frank Agnew/b), 케이시 로이어(Casey Royer/d)의 라인업으로 출발한 이들은 1983년 "Mommy's Little Monster"를 발매하면서 정식 데뷔하였다. 펑크 밴드임에도 뛰어난 연주력으로 많은 팬들을 포섭했던 소셜 디스토션은 씬의 동료 밴드들이 단명했던 것과 달리 지난 2004년에도 "Sex, Love and Rock'n'Roll"을 공개하며 건재를 과시, 펑크씬의 살아있는 화석임을 입증했다. = 분류:문화에 관한 틀 = = 인도 이름 = 인도 이름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나라로 사람의 이름 또한 매우 다채롭다. 인도는 다민족, 다언어, 다종교 국가이므로, 이름도 지역, 언어, 종교와 이어지는 것이 많고 인도의 신분제인 카스트도 반영된다. = = 종교에 따른 이름 = = = = = 힌두 이름 = = = 힌두교를 믿는 힌두들은 성과 이름은 반드시 있고 가운데 이름(미들네임)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마하라슈트라 주나 구자라트 주 같은 지역에서는 아버지의 이름이 자녀의 가운데 이름이 된다) 간디의 풀네임은 모한다스 카람찬트 간디(Mohandas Karamchand Gandhi)인데, 카람찬트가 간디 아버지의 이름이고, 간디 아들의 가운데 이름은 모한다스가 된다. 한편 스와미 비베카난트(Swami Vivekanand)벵골출신의 종교인으로 요가를 보급한 인물이다.와 같이 성은 쓰지 않고 이름과 가운데 이름만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럽문화의 영향이다. 힌두 여성은 결혼하면, 성을 남편성으로 바꾼다. = = = 시크 이름 = = = 시크교를 믿는 시크인들은 이름을 지을 때 보통 인도의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나 페르시아어 이름에서 따온다. 남녀평등사상에 따라 남녀에 따른 별도의 구분은 없으나, 편의상 남자에게는 사자와 같은 용맹한 마음이란 뜻의 Singh을 붙이고 예)Mahindar Singh Bawa 여자에겐 공주란 뜻의 Kaur를 이름과 성 사이에 붙여준다. 예)Mahindar Kaur Bawa. = 바스크주 = 바스크 광역자치주 바스크 광역자치주 문장 깃발 위치 위치 일반 정보 일반 정보 국가 스페인 주도 비토리아-가스테이스 최대도시 빌바오 공용어 바스크어, 스페인어 시간대 UTC +1 인구 2,189,534명 (2016년)(스페인 내 7위) 면적 7,234km2(스페인 내 14위) 인구밀도 300/km2 주정부 수반 Iñigo Urkullu 바스크 광역자치주(Basque, , )는 스페인의 광역자치주으로, 역사적인 바스크 지역의 일부이다. 특유의 바스크어를 쓰는 바스크인 민족이 다수 거주하며, 프랑코 정권 시대에는 이들의 활발한 독립 운동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비스케이만에 면해 있는 알라바·기푸스코아·비스카야 도를 포함하는 주이다. = = 역사 = = 1979년 자치법령으로 설립되었다. 이 지방의 행정부는 임기 5년의 총리와 3개주에서 각각 같은 수로 선출된 대표의원들로 이루어진 의회로 구성된다. 1930년대에 바스크 분리주의 운동이 이 지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났는데, 이 소요는 1936년 10월 5일의 자치법령 발표로 끝났다. 이듬해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바스크 분리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시작하자 이 운동의 과격파들은 스페인 중앙정부에 대항해 테러 활동을 전개했다. 에브로 강 유역의 탁 트인 들판과 포도원으로 둘러싸여 구심점이 되는 작은 공동체들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한편 피레네산맥에서는 개인농장인 카세리오를 중심으로 인구가 넓게 분산되어 있는데, 이 농장들은 산악지역의 작은 농지에서 집약적인 재배를 한다. 19세기 중반 이래 이 지역의 급격한 공업화로 피레네산맥의 전통적 거주지역이 해체되었으며, 그결과 오지의 거주지보다는 산세바스티안이나 빌바오 같은 해안도시들이 성장했다. 인구밀도는 해안지역에서 가장 높아 바스크 지방 인구의 4/5 정도가 빌바오 및 교외지역에 몰려 있다. 알라바 주는 북쪽 구릉지대를 덮고 있는 오크나무와 너도밤나무 삼림을 제외하면 곡물 및 포도 재배에 적합한 광활한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 초기 이후 미국에서 들여온 옥수수와 감자 같은 작물의 보급으로 재배작물이 많아지고 종류도 다양해졌지만, 전통적으로 바스크 지방의 주민들은 목동이다. 1950년대초 이래로 알라바 주의 비토리아 시는 상당히 공업화되었지만, 알라바 주는 이 지방에서 농업활동이 가장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중세 후기부터 비스카야 도와 기푸스코아 도는 방대한 철광석과 삼림자원을 개발하여 크게 공업화되었다. 이 지방의 야금업은 대부분 빌바오 시와 네르비온 강의 연안지역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빌바오 시 외곽에서는 야금업·식품가공업·화학산업 등이 이루어지며, 제지업은 톨로사와 오리아 강 연안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또한 서비스업이 매우 발달했으며, 특히 빌바오 시는 스페인 제1의 금융 중심지이다. 한편 이 지방의 도시화와 산업발전으로 인해 바스크인의 전통문화는 쇠퇴했으며 프랑스와 미국으로의 이민 때문에 개인농장의 주민 수도 크게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진적인 바스크 분리주의 단체로서 바스크어로 '바스크의 조국과 자유'라는 뜻의 ETA(Euzkadi Ta Azkatasuna/에테아)가 결성되어 그들의 테러 활동으로 바스크 지방분권주의가 스페인 중앙 정권을 약화시키는 가장 큰 세력이 되었다. 프랑코 사후 자치정부를 갖춘 바스크 지방이 수립되고 ETA의 테러 행위도 잦아들었으나 바스크 분리주의가 완전히 종식되지는 않았다. = = 지리 = = 역사적인 바스크 지방은 북동쪽에서 피레네산맥에 의해 스페인령 바스크 지역과 바스크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프랑스령 바스크 지역으로 나뉘며, 서쪽에서 칸타브리아산맥에 의해 바스크 지방과 산탄데르주가 나뉜다. 또한 남쪽으로는 피레네산맥이 에브로강 유역, 카스티야주의 부르고스, 로그로뇨로 이어지며, 동쪽으로는 나바레주와 접한다. 비스카야와 기푸스코아에 있는 산들은 매우 들쭉날쭉하며 강들은 길이가 짧고 물살이 빨라 산을 지나면서 가파른 골짜기를 형성한다. 연평균 강우량은 1,200mm에 달하는데, 산세바스티안시 주변에서는 1,500mm가 넘지만 에브로강 유역에서는 750mm를 넘지 않는다. 동부는 강우량이 비교적 풍부하고 고른 북대서양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남부의 알라바 산간분지는 아(亞)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 = 행정 구역 = = 3개의 도로 나뉜다. 기푸스코아도 비스카야도 알라바도 = 란트슈트 전투 = 란트슈트 전투는 다음을 가리킨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란트슈트 전투 (1809년) = 유브 갓 메일 = 유브 갓 메일은 1998년에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톰 행크스와 멕 라이언이 출연했다. 노라 에프런 감독이 연출했고, 각본은 여동생인 델리아 에프런과 함께 썼다. 라슬로 미클로시의 희곡 향수가게(Parfumerie)와 그를 영화화한 에른스트 루비치 감독의 모퉁이 가게를 현대적으로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서로에 대해 전혀 모른 채 온라인 채팅을 통해 만난 두 남녀의 로맨스를 다룬다. 볼케이노(1990)와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1993)에 이은 행크스와 라이언 주연의 세 번째 로맨스 영화이다. = = 줄거리 = = 뉴욕 맨해튼에서 '모퉁이 서점(Shop Around The Corner)'이라는 작은 어린이 서점을 운영하는 캐슬린 켈리. 칼럼니스트인 남자 프랭크와 동거하고 있지만 정말로 호감을 가진 상대는 AOL 온라인 채팅으로 만나는 익명의 남성이다. 캐슬린은 '숍걸(SHOPGIRL)'이라는 아이디로 'NY152'라는 익명의 남성과 매일 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다. NY152의 정체는 대형 서점 체인 '폭스 서점'을 운영하는 폭스가의 후계자 조 폭스. 조는 캐슬린처럼, 퍼트리샤라는 여성과 사귀며 그녀의 집에서 지내고 있지만 큰 애정이 없으며, 채팅 속 '숍걸'에게 흥미를 느끼고 있다. 캐슬린과 조는 같은 지역에 살고 있다는 것 빼고는 서로의 신원을 철저히 감춘 채 친밀감을 키워가고 있었다. 어느 날 폭스 서점은 캐슬린의 모퉁이 서점이 있는 골목에 지점을 내기로 한다. 조는 시장 조사차 맨해튼에 왔다가, 나이 어린 고모와 이복동생을 데리고 모퉁이 서점을 찾아온다. 조와 캐슬린이 마주치고 둘은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대형 서점 체인에 불편함을 표하는 캐슬린을 보고 자기가 폭스 사람이라는 것을 감춘다. 며칠 뒤, 프랭크와 함께 출판인 파티에 가게 된 캐슬린은 조와 재회한다. 그리고 그의 성이 폭스라는 것을 알게 되자 배신감을 느낀다. 이후 폭스 서점이 들어서고, 캐슬린의 낙관과는 달리 모퉁이 서점 손님은 급감한다. 캐슬린은 숍걸의 이름으로 NY152에게 조언을 구하고 NY152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강하게 나서야 한다고 충고한다. 한편 채팅 속에서 'NY152'는 '숍걸'에게 한번 만나보지 않겠느냐고 제안하고 근처 카페에서 약속이 잡힌다. 조는 '숍걸'의 정체가 캐슬린임을 알게 되고 충격을 받는다. 그래서 처음에는 돌아서려다가, 곧 NY152임을 숨기고 조 폭스의 이름으로 캐슬린 앞에 앉는다. 조는 능글맞게 캐슬린을 놀리는 척하며 떠보는데, 캐슬린은 그런 조에게 피도 눈물도 없는 자본가라고 비난한다. 조는 굳은 얼굴로 캐슬린을 떠난다. 이후 캐슬린은 NY152가 왜 나오지 않았는지 궁금해 하고 조는 사과하는 답신을 보내며 언젠가는 이유를 말해줄 것이라고 한다. 캐슬린은 서점을 살리기 위해서 프랭크의 도움을 받아 방송 출연도 해보고, 어린이들을 모아 시위에도 나선다. 그러나 박리다매에 세련된 시설을 갖춘 폭스 서점에 당해내지 못한다. 결국 직원들을 내보내고 서점은 폐업한다. 캐슬린은 잠시 휴식기를 가지며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조는 그런 캐슬린을 보고 죄책감을 느낀다. 어느 날 맨션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사건을 계기로, 조는 캐슬린을 정말로 좋아했음을 깨닫는다. 조는 그 길로 퍼트리샤와 이혼하고 집을 뛰쳐 나온다. 조는 폭스 서점에서 일하게 된 옛 모퉁이 직원 조지에게 물어 캐슬린의 집을 찾아온다. 마침 프랭크와 헤어지고 감기에 걸려 있던 캐슬린에게, 조는 꽃을 건네며 마음을 담아 사과한다. 그 후 몇 주간, 조는 NY152로서 캐슬린과 계속해서 대화하면서, 현실에서 우연을 가장해서 캐슬린과 몇 번이나 만난다. 캐슬린이 NY152와 만나기로 한 날, 조는 캐슬린에게 자신이 서점 사장이 아니었더라면 캐슬린에게 데이트 신청을 했을 거라고 넌지시 고백한다. 캐슬린은 혼란을 느끼며 NY152를 만나러 약속 장소인 리버사이드 공원으로 간다. 그곳에서 조가 NY152로서 나타나자, 캐슬린은 눈물을 흘리며 당신이기를 바랐다고 답하고, 둘은 키스한다. = = 출연 = = 톰 행크스 - 조 폭스 멕 라이언 - 캐슬린 켈리 그레그 키니어 - 프랭크 너배스키 파커 포지 - 퍼트리샤 이든 진 스테이플턴 - 버디 데이브 셔펠 - 케빈 스티브 잔 - 조지 헤더 번스 - 크리스티나 대브니 콜먼 - 넬슨 폭스 존 랜돌프 - 스카일러 폭스 데버라 러시 - 베로니카 그랜트 핼리 허시 - 애너벨 제프리 스캐퍼로타 - 맷 카라 시모어 - 질리언 퀸 케이티 피너런 - 모린 마이클 바달루코 - 찰리 빈 콕스 - 미란다 마걸리스 작가 사라 라미레스 - 마트 계산원 로즈 레이코 에일스워스 - 추수감사절 파티 손님 안드레 솔리우초 - 카페 랄로 웨이터 캐스린 메이즐 - 세실리아 켈리 = = 한국어 더빙 성우진 = = = = = SBS (2001년 12월 23일) = = = 오세홍 - 조 폭스(톰 행크스) 송도영 - 캐서린 캘리(멕 라이언) 차명화 - 패트리샤(파커 포지) 김정희 - 버디(진 스테이플턴) 김태웅 - 케빈(데이브 채플리) 김수중 - 죠지(스티브 잔) 온영삼 - 넬슨(대브니 콜먼) 강구한 - 프랭크(그렉 키니어) 정기항 김정미 이재정 김희선 서윤석 이주원 = = = KBS (2012년 7월 13일) = = = 오세홍 - 조(톰 행크스) 송도영 - 캐슬린(멕 라이언) 김일 - 프랭크(그레그 키니어) 배정미 - 패트리샤(파커 포지) 김병관 - 조의 아버지(대브니 콜먼) 박상일 - 조의 할아버지(존 랜돌프) 손정아 - 캐슬린의 책 가게 아줌마(진 스테이플턴) 변현우 - 남자 직원(스티브 잔) 유호한 - 조의 아파트 경비원(마이클 바달루코) / 백화점 손님(하워드 스피겔) 오인실 - 크리스티나(헤더 번스) 장민혁 - 케빈(데이브 셔펠) / 컴퓨터 시스템 음성(엘우드 에드워즈) / 커피 가게 직원(조지 F. 밀러) 박희은 - 애나벨와 메튜의 엄마(카라 세이무어) / 백화점 계산원(사라 라미레스) 양유진 - 애나벨(핼리 허시) 김소희 - 메튜(제프리 스카페로타) = = 비평 = = 듀나는 서점 전쟁이라는 소재가 영화 속 전형적 로맨스에 불안한 현실 감각을 부여하며 차별성을 띠지만, 그걸 풀어내는 설득력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로맨틱 코미디로서 관객을 만족시키는 '아주 잘 만들어진 기성품 영화'로 호평하며 4점 만점에 3점을 주었다. = 흰이땃쥐류 = 흰이땃쥐류는 진무맹장목의 땃쥐과를 구성하는 3개의 아과 중의 하나인 흰이땃쥐아과(Crocidurinae) 포유류를 두루 일컫는 말이다.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 남부, 아시아에서 발견된다. = = 하위 속 = = 땃쥐속 (Crocidura) - 땃쥐 얼룩무늬땃쥐속 (Diplomesodon) 켈라트긴발톱땃쥐속 (Feroculus) 팔라완이끼땃쥐속 (Palawanosorex) 큰머리땃쥐속 (Paracrocidura) 루웬조리땃쥐속 (Ruwenzorisorex) 갑옷땃쥐속 (Scutisorex) 피어슨긴발톱땃쥐속 (Solisorex) 사향땃쥐속 (Suncus) 숲땃쥐속 (Sylvisorex) = 분류:키 = = 닷선 = 닷선(Datsun)은 닛산 자동차의 산하의 브랜드이다. = = 역사 = = 닷선의 유래는 닛산 자동차의 모체인 하시모토 마스지로사 설립한 카이신(快進) 사로부터 올라간다. 1914년에 일본 제 1호 국산차를 제작하였고, 지원자 세 명의 이름이었던 덴 겐지로, 아오야마 로쿠로, 타케우치 메이타로의 머릿글자에서 따 닷트(DAT)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카이신 사가 지츠요 자동차 제조회사와 합병하여 닷트 자동차가 되었고, 1930년에는 '닷트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닷손(DATSON)이라는 명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손'이라는 부분이 손해와 비슷하여 발음이 비슷한 SUN(태양)으로 바꿔 닷선(DATSUN)이 되었다. 그리고 1934년에 회사의 명칭이 닛산 자동차로 변경되면서, 닷선은 닛산의 상표로만 남았다. 예로 일본에서는 '써니'라는 명칭으로 판매된 차량이 미국 시장에서는 닷선 상표가 부착되었다. 1958년에는 미국에 최초로 진출한 일본 자동차 회사가 되었으며, 닷선 1600, 닷선 240Z 등의 모델들이 인기를 끌었다. 미국 등 일부 시장에서는 닛산보다 인지도가 높았지만, 이후 1986년에 닛산자동차에 흡수되었다. 다만, 차명으로써의 닷선은 일본 내에서 닛산 닷선 트럭이라는 이름으로 2002년 8월까지 존속하였다. = = = 부활 = = = 2013년 여름, '파워 브랜드 88 계획'의 저가 보급형 라인의 브랜드를 담당하게 되었고 닷선 GO를 출시하면서 재출범을 알렸다.가난한 자들의 BMW, 닛산의 닷선 'GO' 부활, 오토헤럴드, 2013년 7월 16일 2019년 말에는 인도네시아에서 판매 부진을 이유로 철수하였다. 그리고 2022년에는 닛산이 닷선 브랜드의 폐기를 발표하면서 다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 차종 = = = = = 2013년 이후에 출시된 모델 = = = GO/GO+ on-DO mi-DO redi-GO 크로스 = = = 1986년 이전까지 판매된 모델 = = = 240Z 1600 = 위키백과:삭제 토론/국제 이민자 문화 교류 협회 = = = :국제 이민자 문화 교류 협회 = = 삭제로 종결합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18일 (토) 11:45 (KST) 해당 문서가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생각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15일 (일) 12:24 (KST) = 분류:미국 사람 = = 분류:미국의 연극상 = = 분류:2011년 코트디부아르 = = 스베티유리오브슈차브니치 = 스베티유리오브슈차브니치는 슬로베니아의 도시로 면적은 51.3km2, 높이는 234m, 인구는 2,883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56.2명/km2이다. = 분류:축구 포지션 = = 틀:토막글/그림/탁구인 = 틀:토막글/그림/스포츠인 틀:토막글/그림/골프인 틀:토막글/그림/농구인 틀:토막글/그림/무술가 * 틀:토막글/그림/검도인 * 틀:토막글/그림/권투인 * 틀:토막글/그림/레슬링인 ** 틀:토막글/그림/프로레슬링인 * 틀:토막글/그림/씨름인 * 틀:토막글/그림/유도인 * 틀:토막글/그림/태권도인 틀:토막글/그림/미식축구인 틀:토막글/그림/배구인 틀:토막글/그림/수영인 틀:토막글/그림/야구인 틀:토막글/그림/자동차 경주인 틀:토막글/그림/축구인 틀:토막글/그림/탁구인 틀:토막글/그림/테니스인 틀:토막글/그림/핸드볼인 탁구인 = 파스텔 작전 = 파스텔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운폴 작전의 조공으로 남부 일본을 공격하는 작전이었다. = 기하학 = 기하학(幾何學, , )은 공간에 있는 도형의 성질, 즉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기하학이 다루는 대상으로는 점, 선, 면, 도형, 공간과 같은 것이 있다.Howard Eves, 허민·오혜영 역, 수학의 기초와 기본 개념, 〈제4장 힐베르트의 기초〉, 경문사, = = 어원 = = 유럽 언어의 , 등은 라틴어 에서 왔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그리스어 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는 땅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γε(게)와 측정하다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μετρία(메트리아)를 합하여 만든 말이다.geometr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기하(幾何)’는 ‘(길이·넓이 등이) 얼마인가?’를 뜻하는 말로, 구장 산술(3세기) 등 중국의 수학책에서 ‘밭의 넓이가 얼마인가(為田幾何)’ 같은 표현으로 쓰였고 이는 명나라 때의 수학책까지 계속되었다. 1607년 명나라의 서광계가 마테오 리치와 함께 가 편집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라틴어판을 번역하면서 제목을 기하원본(幾何原本)이라 붙였다. 이 번역본에서 ‘기하’라는 낱말은 라틴어의 geometria가 아니라 ‘크기’ , ‘양’을 뜻하는 단어 magnitudo의 번역어로 쓰였다. 마테오 리치의 역기하원본인(譯幾何原本引) · 의 서학범(西学凡)(1623) · 이지조의 명리탐(名理探)(1630년대) 등에서는 기하학(geometria)을 ‘양법(量法)’으로 번역했으며, 특히 서학범에서는 ‘기하지학(幾何之學)’이라는 낱말을 수학(mathematica)의 번역어로 썼다.(“幾何之學,名曰馬得馬第加者,譯言察幾何之道”) 청나라 때에도 ‘기하’라는 낱말은 보통 서양의 수학 전반을 부르는 말로 썼지만 일부 번역서에서는 기하학을 부르는 말로 쓰기도 했다. 조아킴 부베와 이 프랑스어에서 한문으로 번역한 기하원본(1690)에서는 ‘기하’를 의 번역어로 썼다. 보편적인 ‘기하’라는 낱말의 뜻이 변하여 지금의 기하학을 가리키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에 들어서였다. = = 역사 = = 기하학(幾何學, 그리스어: γεωμετρία, 영어: geometry)은 공간에 있는 도형의 성질, 즉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기하학이 다루는 대상으로는 점, 선, 면, 도형, 공간과 같은 것이 있다. = = = 고전 기하학 = = = = = = 주요 기초 정리 = = = = = = = 피타고라스의 정리 = = = =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널리 알려진 기본 정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있다. 직각삼각형의 세 변 a, b, c에서 c를 빗변이라고 할 때 a^2 + b^2 = c^2가 된다는 이 정리는 고대부터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수 많은 방식으로 증명되어 있다.Pythagorean Theorem 아래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한 간단한 대수적 증명이다. = = = = 원뿔 곡선 = = = = 원뿔 곡선은 하나의 평면으로 원뿔을 잘랐을 때 생기는 곡선인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을 말한다.Conic Sections 원뿔 곡선에 대한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부터 계속되어 왔다. 각 곡선에 대한 기하학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원: 평면 위의 하나의 정점에서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타원: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 포물선: 평면 위의 하나의 정점과 이를 지나지 않는 하나의 직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 쌍곡선: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 = = = 데자르그의 정리 = = = = = = = =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 = = =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발견한 도형의 점, 선, 면의 관계이다. 꼭짓점의 개수를 v, 모서리의 개수를e, 면의 개수를 f라고 하면 v-e+f=\chi의 관계가 성립한다.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는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에서 비롯된 한붓그리기와 함께 도형에 변형이 있더라도 변하지 않는 속성이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이는 호몰로지라는 위상수학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사쿠라이 스스무, 정미애 역, 수학으로 우주재패, 살림MATH, 2008년 , 76쪽 = = = = 가우스의 정17각형 작도 가능 증명 = = = = 1796년 가우스는 변의 개수가 페르마 소수인 정다각형은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3월 30일에 정17각형의 작도법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수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온 작도 문제에서 주요한 발견이었다.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이는 π⁄17의 삼각함수 값이 사칙연산과 제곱근만으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십칠각형 이러한 가우스의 증명은 다시 사칙연산과 제곱근으로 표현 가능한 도형은 작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비유클리드 기하학 = = = 수학자들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공리들 가운데 평행선 공리가 다른 공리들로부터 유도 될 수 있는 정리인지 의심했으며, 평행선 공리가 정말 필수적인지 고민하였다. 결국 가우스, 보여이, 로바체프스키 등의 수학자들은 평행선 공리는 타 공리들로부터 독립적이며, 평행선 공리 대신 다른 공리로 바꿔도 여전히 의미 있는 기하학이 됨을 알아내었다. 대표적으로 구면 기하학과 쌍곡 기하학이 있다. = = = 미분 기하학 = = = 1800년대에는 가우스, 리만 등의 수학자들이, 좌표 기하학과 해석학을 결합하여, 미분 기하학을 발전시켰다. 기본적으로 해석학이 적용될 수 있는 기하학적 대상들을 다루었으며, 해석학에서 기본적으로 미분은 국소적인 성질을, 적분은 그 국소적인 성질들을 적분하여 대역적인 성질을 알아내는 과정에 해당한다. 미분 기하학은 기하학적 대상의 국소적 성질을 분석하여 적분을 통해 대역적인 기하학 성질을 다루는 작업으로 이뤄져 있다. 예를 들어, 접선, 접평면 등의 기하학적 개념은 미분으로 다루기 아주 알맞은 주제다. 또한, 전통적인 기하학은,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을 먼저 배경으로 놓고, 그 안에서 여러 가지 기하학적 대상들을 연구 하였다. 즉, 다루고자 하는 기하학적 대상의 바깥에서 본 관점으로 이뤄져 있었다. 이에 반해 미분 기하학자들은, 배경 공간에 독립적인 기하학적 대상 고유의 성질들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내재적 성질이라고 한다. 가우스는 주로 미분 가능한 곡면을 연구하였는데, 여기서 내재적 성질의 대표적인 예시인, 가우스 곡률을 정의 하였다. 가우스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은 그 곡면이 들어가 있는 배경 공간에 독립적이라는 정리, Theorema Egregium을 증명하였다. 리만은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에 대한 미분 기하학을 만들었으며, 곡선, 곡면뿐만 아니라 임의의 차원을 가진 다양체를 일관적인 방식으로 연구 할 수 있다. 이를 리만 기하학이라고 하며, 미분 기하학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리만 기하학을 뜻한다. 리만이 리만 기하학을 발표할 당시 가우스도 참관하였는데, 리만에게 기립 박수를 보낸 것으로 유명하다. 가우스는 타 수학자들을 칭찬하는데 굉장히 인색한 사람 이였지만 리만이 리만 기하학을 발표할 때는 자신이 꿈꾸던 기하학이 눈 앞에 펼쳐졌기 때문에, 아주 감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직전에 발달한 비유클리드 기하학도 거의 다 미분 기하학 안에서 다뤄질 수 있기 때문에, 한 동안 기하학은 미분 기하학의 시대였다. = = 분야 = = 유클리드 기하학 심플렉틱 기하학 비유클리드 기하학: 리만 기하학 대수기하학 해석기하학 미분기하학 복소기하학 사영기하학 위상수학 프랙탈 = 브레인 스토밍/너만 있으면 아무것도 필요 없다 = 브레인 스토밍/기미사에 아레바 나니모 이라나이는 2013년 4월 17일 발매된 모닝구무스메의 쉰세 번째 싱글이다. = = 개요 = = 다나카 레이나 마지막 참가 싱글이다. "브레인 스토밍"의 뮤직 비디오의 "루즈 쇼트 Ver."는 2013년 2월 27일에 유튜브로 공개되었다. 3월 3일의 "Hello! Project 봄의 대감사 히나마츠리 페스티벌 2013 ~베리즈코보 10년째 돌입 스페셜!~"에서 라이브 첫 피로하였다. 3월 13일, "너만 있으면 아무것도 필요 없다"의 뮤직 비디오의 "Dance Shot Ver."이 유튜브로 공개되어 공식 사이트나 프로듀서 층쿠♂의 블로그 등에서 50번째의 "One·Two·Three/The 마천루쇼"이래가 되는 양 A면 싱글 "브레인 스토밍/기미사에 아레바 나니모 이라나이"가 4월 17일에 발매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초회한정반 A, B, C, D, E, 통상반 A, B의 7 형태로 발매. 초회한정반 A, B, C에는 DVD가 같이 수록되고 있다. 모든 초회한정반에는 이벤트 추첨 일련 번호 카드가 봉입되고 있다. = = 수록곡 = = = = = CD = = =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히라타 쇼이치로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Instrumental) (Instrumental)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히라타 쇼이치로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에가미 코타로 / 노래 : 미치시게 사유미, 후쿠무라 미즈키, 이쿠타 에리나, 이이쿠보 하루나, 이시다 아유미 (Instrumental) (Instrumental)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히라타 쇼이치로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에가미 코타로 / 노래 : 사야시 리호, 스즈키 카논, 사토 마사키, 쿠도 하루카, 오다 사쿠라 (Instrumental) (Instrumental)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히라타 쇼이치로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노래 : 다나카 레이나 (Instrumental) (Instrumental) = = = DVD = = = (Music Video) (Dance Shot Ver.) (Music Video) (Close-up Ver.) / 다나카 레이나 (Music Video) (메이킹 영상) = = 차트 = = 일간최고순위 1위 (오리콘 차트) 주간최고순위 1위 (오리콘 차트) = 분류:중국의 병부시랑 = = 하이비 아레나 = 하이비 아레나(Hy-Vee Arena)은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과거 NBA 캔자스시티 킹스와 NHL 캔자스시티 스카우츠 그리고 IHL 캔자스시티 블레이즈의 홈경기장으로 사용했다. = 와온해변 = 와온해변은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 상내리 와온마을에 있는 길이 3km의 해변이다. 동쪽으로는 여수와 남서쪽으로 고흥반도와 순천만에 인접하고 있다. 와온해변 앞바다에는 짱뚱어 새꼬막 숭어 맛조개 등 수산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꼬막 생산지로 유명하며 10월에서 5월 초가 제철이다. 썰물로 개펄이 드러나면 'S'자 모양의 길이 보인다. 개펄위에 솟은 갈대밭과 천연기념물인 흑두루미 등 순천만 특유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 메리맥군 = 메리맥군 또는 메리맥 카운티(Merrimack County)는 미국 뉴햄프셔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46,445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51,391명이다. = 분류:에스토니아의 군인 = = 분류:FK 아틀란타스의 축구 선수 = = 오 마이 갓 (e스포츠) = 오 마이 갓(Oh My God)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에이펙스 레전드 프로게임단이다. 과거에는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을 운영했다. = = 리그 오브 레전드 = = = = = 연혁 = = = 2012년 5월 9일 : Oh My God 창단 = = = 소속 선수 = = = 감독 : 저우취린 코치 : 허원보 이름 소환사명 포지션 비고 덩즈지안 shanji 탑 마오안 Aki 정글 린잔 Creme 미드 츠즈홍 0909 미드 다이즈춘 Able AD 캐리 류시위 COLD 서포터 주장 저우커세 Jerry 서포터 = = = 주요 성적 = = = 네스트 2020 12강 데마시아 컵 2020 12강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스프링 15위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서머 9-10위 네스트 2021 조별 리그 4위 데마시아 컵 2021 8강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스프링 11위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서머 9-10위 = =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 = = = 배틀그라운드 (해체) = = = = = 연혁 = = = 2017년 9월 25일 : Oh My God 창단 2020년 12월 9일 : 해체 = = = 주요 성적 = = = 펍지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2018 FPP 부문 우승 = 미노와촌 (미에현) = 미노와촌은 미에현 나가군에 설치되었던 시이다. 현재의 나바리시에 해당한다. = = 역사 = = = = = 미노와촌 (제1차) =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나바리군 미노와촌(箕曲村)이 발족. 1896년 4월 1일 - 나가군 소속으로 변경. 1942년 5월 5일 - 나바리정에 편입. 미노와촌은 폐지. = = = 미노와촌 (제2차) = = = 1949년 8월 1일 - 나바리정의 일부가 분리되어 미노와촌(箕曲村)이 발족. 1954년 3월 31일 - 나바리정·다키가와촌·구니쓰촌과 합병하여 나바리시가 발족, 미노와촌은 폐지.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우리들의 공룡일기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우리들의 공룡일기은 일본에서 2024년 여름에 개봉될 예정인 짱구는 못말려의 애니메이션 영화 시리즈의 제 32부작이다. = = 일본판 성우진 = = 노하라 신노스케 역 : 코바야시 유미코 노하라 미사에 역 : 나라하시 미키 노하라 히로시 역 : 모리카와 토시유키 노하라 히마와리 역 : 코로오기 사토미 시로 역 : 마시바 마리 카자마 토루 역 : 마시바 마리 사쿠라다 네네 역 : 하야시 다마오 사토 마사오 역 : 이치류사이 테이유우 보오 역 : 사토 치에 = = 한국판 성우진 = = 짱구 역 : 박영남 짱구 엄마 (봉미선) / 맹구 역 : 강희선 짱구 아빠 (신영식) 역 : 김환진 짱아 / 철수 역 : 여민정 흰둥이 / 유리 역 : 정유미 훈이 역 : 정혜옥 = 예천권씨 영사당종택 = 예천권씨 영사당종택(醴泉權氏 永思堂宗宅)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에 있는 종택이다. 2003년 12월 1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454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건물은 임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던 영사당 권우(權祐, 1520 ~ 1593)가 1580년경에 건립한 살림집이다. 현재의 종택(宗宅)은 1780년을 전후하여 중수(重修)한 것인데, 안 대청의 좌우에 둔 도장방이나, 사랑방 공간이 발달되지 못한 점, 도장방 상부에 있는 더그매와 대청 뒷벽의 구성 등은 건립 당시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주거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박경호 (목사) = 박경호(朴庚浩, 1964년 2월 14일 ~ )는 4GospelChurch의 담임목사이다. = = 이력 = = 4GospelChurch 박경호 목사의 이력서 (국문버전) 성 명 박경호 성 별 남성 국 적 대한민국 사용언어 한국어 직 업 목사 사 역 성경번역 강해설교 찬양가수 주 소 서울 E-mail 주요약력 기간 학교명 및 전공 학교명 및 전공 학교명 및 전공 학교명 및 전공 주요약력 1982~1986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학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학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학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학사) 주요약력 1987~1989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원 졸업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원 졸업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원 졸업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원 졸업 (석사) 주요약력 2014년 1월 평신도로 4GospelChurch 개척 평신도로 4GospelChurch 개척 평신도로 4GospelChurch 개척 평신도로 4GospelChurch 개척 주요약력 2020년 3월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주요약력 2020년 3월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4GospelChurch 와 병행하여 히브리어헬라어번역원 개설 주요약력 2022년 2월 10일 예장합동해외총회 제 106회 강도사인허 예장합동해외총회 제 106회 강도사인허 예장합동해외총회 제 106회 강도사인허 예장합동해외총회 제 106회 강도사인허 주요약력 2022년 3월 8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서북노회 목사안수 및 임직 대한예수교장로회 서북노회 목사안수 및 임직 대한예수교장로회 서북노회 목사안수 및 임직 대한예수교장로회 서북노회 목사안수 및 임직 주요약력 2022년 10월 25일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설립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설립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설립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설립 주요약력 2023년 10월 박경호 자작곡 12곡 음반 발매 (앨범명: 4GospelChurch Songs Vol.1) 박경호 자작곡 12곡 음반 발매 (앨범명: 4GospelChurch Songs Vol.1) 박경호 자작곡 12곡 음반 발매 (앨범명: 4GospelChurch Songs Vol.1) 박경호 자작곡 12곡 음반 발매 (앨범명: 4GospelChurch Songs Vol.1) 주요약력 현재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대표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대표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대표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대표 주요번역 2017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태복음 출판 주요번역 2018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누가복음 출판 주요번역 2020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가복음/요한복음/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가복음/요한복음/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가복음/요한복음/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마가복음/요한복음/요한계시록 출판 주요번역 2021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 마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 마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 마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마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누가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 마가복음 출판 주요번역 2022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로마서 출판 박경호히브리어번역성경 창세기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로마서 출판 박경호히브리어번역성경 창세기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로마서 출판 박경호히브리어번역성경 창세기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복음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New요한계시록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로마서 출판 박경호히브리어번역성경 창세기 출판 주요번역 2023년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히브리서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히브리서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히브리서 출판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히브리서 출판 주요 수상경력 2021년 2021년 한국최고인물대상 수상 2021년 한국최고인물대상 수상 2021년 한국최고인물대상 수상 2021년 한국최고인물대상 수상 주요 수상경력 2012년 웨스터민스터대학교 명예철학박사 웨스터민스터대학교 명예철학박사 웨스터민스터대학교 명예철학박사 웨스터민스터대학교 명예철학박사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Genesis (창세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xodus (출애굽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Leviticus (레위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Numbers (민수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Deuteronomy (신명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oshua (여호수아)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udges (사사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Ruth (룻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Samuel (사무엘상)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Samuel (사무엘하)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Kings (열왕기상)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Kings (열왕기하)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Chronicles (역대상)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Chronicles (역대하)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zra (에스라)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Nehemiah (느헤미야)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sther (에스더)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ob (욥기)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Psalms (시편)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Proverbs (잠언)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cclesiastes(전도서)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Song of Songs(아가)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Isaiah (이사야)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eremiah (예레미야)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Lamentations(예레미야 애가)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zekiel (에스겔)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Daniel (다니엘)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Hosea (호세아)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oel (요엘)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Amos (아모스)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Obadiah (오바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onah (요나)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Micah (미가)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Nahum (나훔)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Habakkuk (하박국)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Zephaniah (스바냐)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Haggai (학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Zechariah (스가랴)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Malachi (말라기)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Matthew (마태복음)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Luke (누가복음)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Mark (마가복음)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ohn (요한복음)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Acts (사도행전)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Romans (로마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Corinthians(고린도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Corinthians(고린도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Galatians(갈라디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Ephesians(에베소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Philippians(빌립보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Colossians 골로새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Thessalonians(데살로니가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Thessalonians(데살로니가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Timothy(디모데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Timothy(디모데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Titus (디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Philemon (빌레몬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Hebrews (히브리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ames (야고보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Peter (베드로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Peter (베드로후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1 John (요한1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2 John (요한2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3 John (요한3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Jude (유다서)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주요활동 Youtube Website Blog 성경 66권 강해 Revelation(요한계시록)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 강해 예정 Etc (기타) = = 4GospelChurch 정관 (4GospelChurch Standing Rule) = = 4GospelChurch의 정관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 총 칙 제1조 명칭 4GospelChurch (미국 뉴 청교도 교회) 제2조 주소 주소는 1738 E State Highway M35, Little Lake, MI 49833. 제3조 시행규칙 본 정관을 시행하는 것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함이요, 교회의 단합과 화평을 위함이며, 은혜와 사랑을 실천하기 위함이다. 본 정관을 악용하여 고의로 비판하거나 정죄하고 중상 모략하거나 위조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는 일이 없을 것을 하나님 앞에서 서로 약속하며 이 정관을 시행 규칙으로 정한다. 제4조 목적 본 정관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로 삼고 우리가 그분의 지체가 되는 것이다. 신·구약 66권 성경말씀과 청교도 교회의 헌법과 신앙원리에 따라 선교, 예배, 교육, 사회봉사 및 성도교제를 그 목적으로 한다. 제 2 장 조직 및 권리 제5조 교역자 1. 교회의 교역자는 교단신학교 및 건전한 신학교를 졸업한 분 또는 신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자라 할지라도 공동의회에서 거론되고 선출된 자를 담임목사로 둘 수 있다. 2. 부교역자 또는 전도사는 세례교인이어야 하며, 담임목사가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다. 제6조 당회 1. 당회가 구성될 시에 담임목사가 당회장이 되며 장로는 당회원이 된다. 2. 당회는 제반적인 교회의 최종심의권을 가지며 다만 결정이 미흡할 때는 당회장이 기도하고 결정권을 가지고 처리한다. 제7조 장로 & 집사 & 전도사 위원회 (위원회) 1. 장로, 집사, 전도사로 하며 의장은 담임목사로 한다. 2. 집사 7명 중 1명을 장로로 선출할 수 있으며, 위원회에서 장로를 선출한다. 3. 집사는 남자, 여자 모두 가능하다. 4. 장로는 설교할 수 없다. 5. 회의 최종 결정은 위원회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제8조 공동의회 1. 공동의회 회원은 4GospelChurch에서 세례 받은 세례교인으로 하고, 의장은 담임목사로 한다. 2. 세례는 구원받았다고 판단되는 자에게 세례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례교인에게는 세례증서를 부여하며, 7년이 경과되면 자동 소멸되며, 7년 후 다시 세례식을 거행한다. 3. 세례교인 7명 중 1명을 집사로 선출할 수 있으며, 공동의회에서 집사를 선출한다. 4. 타 교회 세례교인은 4GospelChurch에서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 5. 회의결정은 세례교인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제9조 기타 조직 및 회의 1. 4GospelChurch에 출석하는 예배자는 성경의 말씀대로 성도라고 부른다. 2. 복음전파를 위해 여러 부서를 구성할 수 있다. 3. 4GospelChurch는 해외로 선교사를 파송할 수 있으며, 지원할 수 있다. 4. 교역자회의, 당회, 위원회, 공동의회는 담임목사의 결정으로 소집된다. 5. 담임목사의 유고 및 부재 시, 상위 부교역자 또는 전도사 또는 상위 당회원, 위원회 회원, 공동의회 회원이 대신한다. 제10조 권리정지 성결한 의무를 수행하지 못하며, 4GospelChurch를 비난하며 불순종하고 교회에 덕이 안되는 성도가 있다면 담임목사의 직권으로 권리를 정지하고 출교하도록 한다. 제11조 의무 1. 모든 성도는 본 정관을 준수하고, 결정된 사항을 이행하여야 하며, 십일조 및 헌금과 기부금을 이행하여야 하며, 안식일(주일과 토요일 예배)를 지켜야한다. 이를 어길시, 담임목사가 권고한다. 그 후에도 실행되지 않을 경우 면직 또는 출교로 징계한다. 2. 모든 성도는 하나님 말씀대로 살아가며 담임목사의 가르침과 권위에 순종하며 따라야 한다. 3. 모든 성도는 하나님의 영광과 교회의 사명을 위해서 자신의 재능과 시간과 물질을 헌신할 의무가 있다. 4. 4GospelChurch 성도이거나 4GospelChurch를 다녔었던 성도는 교회의 담임목사, 전도사, 장로, 집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 안된다. 이것에 동의할 수 없는 자는 4GospelChurch 출석이 불가능하다. 제12조 원로목사 1. 원로목사는 100세 이상으로서, 4GospelChurch에서 20년 이상 목회한 목사이며,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정되는 은퇴와 함께, 원로목사로 추대된다. 다만, 본 교회 담임목사로 헌신한 분이어야 하며 1명으로 제한한다. 2. 매월 사례비는 최종사례비의 60%로 정하며 본인 또는 배우자가 사망할 때까지 지급한다. 제 3 장 재 정 제13조 재정 1. 교회의 재정은 본 교회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입을 획득하고 지출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2. 교회가 재산을 취득, 처분, 권리 변경시에는 담임목사가 지정한 위원회 회원 중 3인(담임목사가 포함될 수 있음)의 명의로 법률행위를 한다. 3. 성도이든지 아니든지 하나님께 헌납 또는 헌금한 것은 여하한 이유를 막론하고 이의를 제기하거나 반환청구할 수 없다. 4. 재무회계월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이다. 재무회계년도는 없다. 재무회계 단위는 월별로 구성된다. 5. 본 교회 재정장부 및 관련 영수증은 재정회계월에 한달간 보관하고, 마감 후 폐기 처분한다. 제14조 지출 결의 1. 교회 지출에 있어서 교회 재정 입출금 집행은 담임목사가 최종 결제한다. 2. 4GospelChurch 담임목사가 선교사로 파송되면 현지 교회건축비를 전액 지원하고 매달 선교비를 후원하되 마지막달 사례비의 60%를 지원한다. 제 4 장 보고양식과 문서 제15조 보고양식과 문서 교회현황과 행사 및 성도의 이동과 기타 전반에 관하여 양식과 문서로 담임목사에게 보고하여야한다. 제 5 장 상 벌 제16조 상 벌 1. 교회발전에 크게 공헌한 자는 교회명의로 상을 수여할 수 있다. 2. 교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성도 상호간에 담임목사 허락 없이 금전거래 하는 자, 교회의 화합과 발전에 누를 끼친 자는 담임목사 직권으로 면직 또는 출교로 중징계하고 교회의 질서를 세운다. 제 6 장 은퇴 규정 제17조 은퇴 규정 1. 장로, 집사의 은퇴연령은 만 80세로 하며, 7년마다 있는 세례식에서 세례교인으로 인정되지 않으면 시무 정지된다. 2. 만 80세가 되면 은퇴식과 관계없이 시무 정지된다. 3. 담임목사의 은퇴연령은 만 100세 이상으로 하며,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을 통해 은퇴로 결정되며, 원로목사로 추대된다. 제 7 장 부 칙 1. 본 정관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담임목사의 결정에 따른다. 2. 본 교회 정관의 개정은 공동의회에서 공동의회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개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정관개정을 위한 공동의회는 담임목사가 요청할 때만 가능하다. 3. 본 교회 정관은 통과된 날로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4. 본 교회 정관은 2023년 10월 20일부터 시행한다. = = Hebrew & 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 = = Hebrew&Greek translation publisher Inc.에서는 박경호 목사의 역서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히브리서, 로마서, 요한계시록, 요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마태복음), 박경호히브리어번역성경 (창세기)를 출판하였다.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 요한계시록가격정보, 요한계시록 : 네이버 책 (naver.com) 박경호헬라어번역성경 : 히브리서 = = Singer-Songwriter = = 박경호목사는 Singer-Songwriter로 활동하고 있으며, 다음의 곡들을 작사, 작곡 하였다. 0004 [Once Abandoned] 한번 버림받은 인생은 0002 [My Prayer] 이 시간 나의 기도 0005 [Spiritual Distinction Of Pastor Park] 박경호 목사의 영분별 0007 [The Song Of Visionary] 선지자의 노래 0011 [Real Church Fake Church Heresy Other Religion] 참교회 미혹교회 이단 타종교 0010 [Reborn, Salvation and Eternal Life Are Differant] 거듭남과 구원과 영생이 다른 걸 0008 [Oh God Is This Salvation] 오 하나님 이것이 구원인가요 0009 [Eternal Life Is A High Mountain] 영생은 우리에게 높고 높은 산이죠 0001 [Twelve Disciples Song] 12제자 송 0012 [4GospelChurch Song] 4GospelChurch 송 =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 역사 마을 =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 역사 마을은 일본 기후현 히다 지방의 오노군 시라카와촌의 시라카와고와 도야마현 난토시 고카야마에 있는 갓쇼즈쿠리로 된 지붕을 가진 마을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 = 개요 = = 갓쇼즈쿠리는 에도 시대부터 시작된 양잠을 위해 지붕 안에 선반을 설치한 것이 시초라고 전해진다. 폭설로 인한 눈치우기 작업의 경감과 지붕안의 공간 확대를 위해 지붕을 크게 경사지게 지어, 지금의 독특한 세로지붕으로 되었다고 생각된다. 또, 갓쇼즈쿠리 지붕의 꼭대기선은 어느 집이든지 동서 방향로 되어 있다. 이것은 지붕에 빛이 잘 들게 하기 위한 것이고, 마을은 남북으로 길쭉한 골짜기에 있다. 그래서 남북으로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바람을 맞는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함도 있다고 한다. 갓쇼즈쿠리로 된 집을 사수하기 위한 지역주민의 연대형식인 '유이'(結)에 의해 지붕의 보수와 교체가 30년 ~ 40년에 한 번 이루어지고 있다. 지붕의 띠 교체에는 많은 일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전체의 지붕의 띠를 교체하는 데에는 이틀이 걸린다.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 지역은 폭설지역으로 인해 주변 도로정비가 늦어져 갓쇼즈쿠리로 된 주거구조가 보존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역인구의 감소와 주민의 고령화 때문에 유이(結)의 활동에 의한 갓쇼즈쿠리의 유지활동에도 제동이 걸린 실정이다. 세계유산 등록후, 급격히 관광객이 증가하였으며, 2008년에는 마을 주변을 지나는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가 완전 개통하여 접근성이 더 편리해졌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생활과 관광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가령 사람이 실제로 거주하는 집인가 따져보지 않고 관광객이 멋대로 집 문을 여는 등, 주민들의 사생활을 존중하지 않는 몰상식한 행동 등이 있었다. 통칭으로는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라고 불리고 있으며, 행정 구역 상으로는 시라카와촌 시라카와고의 오기마치(荻町), 난토시 고카야마의 아이노쿠라(相倉)·스가누마(菅沼) 세 마을이고, 세 마을은 붙어있지 않고 따로따로 떨어져 있다. 오기마치는 1976년, 아이노쿠라와 스가누마는 1994년에 중요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로 선정되었다. = = 등록 기준 = =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의 갓쇼즈쿠리 마을의 등록 요건은 등록기준 4항과 5항에 해당된다. (4) 가장 특징적인 사례의 건축양식으로서 중요한 문화적, 사회적, 예술적, 과학적, 기술적 혹은 산업의 발전을 대표하는 양식. (5) 중요하고 전통적인 건축양식, 건설방식 또는 인간주거의 특징적인사례로서 자연에 의해 파괴되기 쉽거나 역행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 혹은 경제적 변혁의 영향으로 상처받기 쉬운 것. = 지기만타스 1세 켕스투타이티스 = 지기만타스 1세 켕스투타이티스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공이다. 지기만타스(Žygimantas)는 세례명이며 세례받기 이전의 이름은 알려져있지 않았다. 그는 리투아니아 대공 켕스투티스와 비루테(Birutė) 사이에 태어났다. = 금봉로 = 금봉로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금봉로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도로이다. 금봉로는 충청북도 제천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금봉로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금봉로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도로이다. 금봉로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도로이다. = 다케이 히로유키 = 타케이 히로유키(, 1972년 5월 15일 ~ )타케이 히로유키 코믹시스트 정보는 일본의 남성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이다. 아오모리현에서 태어났다. 대표 작품으로는 샤먼킹이 있다. = = 작품 활동 = = 데뷔 전에는 사쿠라 다마키치, 기리야마 고우지, 와츠키 노부히로(바람의 검심)의 어시스턴트로 활동하였다. 당시 어시스턴트로 활동하던 오다 에이치로(원피스)나 스즈키 신야(미스터 풀스윙) 등과도 친분이 있다. 1994년〈이타코의 안나(ITAKOのANNA)〉로 제48화 데즈카상을 수상, 1997년에 주간 소년 점프 12호부터 30호까지 첫 작품인 불존(仏ゾーン)을 연재했다. 단행본은 전3권으로 완결되었다. 1998년 주간 소년 점프 31호부터 샤먼킹(シャーマンキング)을 연재하기 시작, 동명의 애니메이션까지 나왔던 이 작품은 2004년 40호에서 연재 중단이 되어 단행본은 전32권으로 완결되었다. 2007년에 주간 소년 점프 3호부터 14호까지 중기인간 윤볼(重機人間ユンボル)을 연재하였다. 2007년 12월에 개최된 점프 페스타 2008에서 샤먼킹의 완전판 발매 소식과 연재 중단 후의 스토리가 신작으로 나온다는 것이 발표되어, 2009년 4월부터 완전판이 매월 발매되기 시작해 전27권으로 모두 완결되었다. 2008년 3월 슈에이사가 미국의 스탠 리와의 합작 프로젝트인 기교동자 ULTIMO(機巧童子ULTIMO)의 소식을 발표, 점프스퀘어 세컨드에 첫 단편인 〈기교동자 ULTIMO:0 (機巧童子ULTIMO:0)〉가 공개되었다. 그 후 2009년 점프 스퀘어 3월호부터 연재 중이다. 울트라 점프 2009년 11월호 와 2010년 3월호에 중기인간 윤볼의 300년 후를 그린 윤볼-JUMBOR-(ユンボル -JUMBOR-)을 단편으로 발표, 2010년 8월호부터 정식으로 연재가 시작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중기인간 윤볼은JUMBOR ANGZENGBANG(ユンボル 安全版)라는 제목과 함께 상/하 전2권의 완전판 형태로 발매되었다. = = 작품 목록 = = = = = 연재작 = = = 《불존(仏ゾーン)》 (주간 소년 점프,전3권, 1997년) 《샤먼킹(シャーマンキング)》 (주간 소년 점프, 전32권 - 2009년 완전판 전27권으로 새로운 결말이 추가됨) 《중기인간 윤볼(重機人間ユンボル)》 (주간 소년 점프, 전1권 - 2010년 완전판 상/하 전2권으로 발매됨) 《기교동자 ULTIMO(機巧童子ULTIMO)》 (원작: 스탠 리, 점프스퀘어 연재 중, 2009년~) 《윤볼-JUMBOR-(ユンボル -JUMBOR-)》 (울트라 점프 연재 중, 2010년~) = = = 단편 = = = 〈이타코의 안나(ITAKOのANNA)〉 〈데스제로(デスゼロ)〉 〈이그조티카(エキゾチカ)〉(주간 소년 점프, 2003년) 〈기교동자 ULTIMO:0 (機巧童子ULTIMO:0)〉 (원작: 스탠 리, 점프스퀘어 세컨드, 2008년) = KCB77 총검 = KCB77은 독일에서 제작한 총검이다. 현재 미국,한국등에서 사용한다. = 빌리노 폴레 = 빌리노 폴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제니차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수용 인원은 15,600명이다. 1972년에 개장했으며 NK 첼리크 제니차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 기록 = = = =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라운드 2001년 10월 7일 style="text-align:right;" 5 - 0 style="text-align:left;" 7조 = 틀:2010년 FIFA 월드컵 F조 = = 분류:팔레스타인의 기독교인 = = 바버군 (앨라배마주) = 섬네일 바버군 또는 바버 카운티(Barbour County)는 미국 앨라배마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27,457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4,686명이다. = 분류:일본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 틀:핵과정 = = 뤄디시 = 러우디(누저, )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중앙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성도 창사에서 남서쪽으로 110km 떨어진 중소 규모의 시이다. = = 지리 = = 후난 성 중부에 위치하고 이양 시, 창사 시, 샹탄 시, 헝양 시, 사오양 시, 화이화 시와 접한다. 상강의 지류인 롄수이가 시내를 흐른다. = = 역사 = = 1999년 1월에 지급시인 뤄디 시가 성립되었다. = = 행정 구역 = = 1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2개의 현을 관할한다. 뤄싱 구(娄星区) 렁수이장 시(冷水江市) 롄위안 시(涟源市) 솽펑 현(双峰县) 신화 현(新化县) = =출신 인물 = = 증기택: 솽펑현 출신 = 분류:유키시의 역사 = = 천연동 = 천연동(天然洞)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행정동 및 법정동이다. 행정동으로서의 천연동은 법정동으로서의 천연동은 물론, 냉천동(冷泉洞), 옥천동(玉川洞), 영천동(靈泉洞), 현저동(峴底洞) 등 총 5개의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 = 유래 = = 조선 영조 17년(1714) 무악재를 오가는 관원을 맞이하고 전송하는 행사장으로 사용하던 천연정이라는 정자가 세워졌던 마을이라하여 불렸다. 1911년 이판동, 석교동이라 하였고 1914년 천연동으로 바뀌었다. 1975년 교암동 지역의 의주로 서쪽 대부분이 천연동에 편입되었다. = = 연혁 = = 서대문구청 홈페이지에 따른 행정동으로서의 천연동 연혁은 아래의 표와 같다. 1998년 10월 현저동사무소 폐지, 천연동과 통합 1978년 10월 시조례 제1287호로 영천동 폐동영천동을 천연동과 현저동에 분할편입, 영천동사무소 폐지 1975년 10월 시조례 제1287호로 관할구역 변경냉천동사무소를 폐지, 천연동과 통합 1975년 10월 시조례 제979호로 동명칭 및 구역획정교남동, 교북동 일부를 냉천동에 편입 1975년 10월 대통령령 제7816호로 구 관할구역 변경현저제1동 관할구역을 종로구에 편입 (⇒무악동) 1970년 5월 시조례 제613호로 관할구역 변경석교동사무소를 천연동사무소로 개칭현저제 2, 3동 관할구역을 현저제 2동으로 통합 1955년 4월 시조례 제66호로 동(洞)제 실시냉천동, 석교동(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제1~3동 1947년 천연동회, 냉천동회, 옥천동회, 영천동회, 현저동회 1946년 10월 왜식동명을 우리 동(洞)명으로 개칭 1943년 7월 서대문구역소 냉천정, 천연정, 옥천정, 관동정, 현저정 1915년 6월 서부출장소 폐지 1914년 9월 서부출장소 냉동, 천연동, 옥천동, 관동(영천) = = 명소 =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독립공원 영천시장 = 이연선 = 이연선(1971년 5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영화 = = 2004년 돌려차기 2005년 공공의 적 2 2006년 사랑을 놓치다 2006년 생날선생 2006년 구미호 가족 2007년 숨 2007년 펀치 레이디 2008년 과속스캔들 2009년 애자 = 보성 나들목 = 보성 나들목(Boseong IC)은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에 설치된 남해고속도로의 5번 교차로(나들목)이다. 국도 제29호선을 통해 보성군, 화순군, 광주광역시 동구 일대로 갈 수 있다. = = 연혁 = = 2006년 1월 6일 : 나들목 신설을 위해 보성군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일원을 보성 나들목으로 고시건설교통부고시 제2006-9호, 2006년 1월 6일. 2012년 4월 27일 :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개시국토해양부공고 제2012-542호, 2012년 4월 26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영업소: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남해고속도로 62 한국도로공사 보성지사: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화보로 407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18호선 (송재로, 화보로) 국도 제29호선 (화보로) = = 특이 사항 = = 한때는 고속도로 출구 안내 표지판에 '보성, 이양'이라 표기가 되어 "보성이양"이라는 관련 개그가 있었으나, 현재는 이양 표기가 화순으로 변경되었다.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각주 보성 (폐쇄식) 2,253 2,895 3,274 3,803 4,093 4,365 4,302 4,533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왕식 = = 분류:인천광역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 = = 분류: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문화 = = 분류:필리핀의 대회별 축구 감독 = = 분류:네덜란드 배구 국가대표팀 선수 = = 사쓰키 = 사츠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사츠키(김은지): 대한민국의 래퍼 유키노 사츠키: 일본의 성우 카타야마 사츠키: 일본의 정치인이며 참의원 에다 사쓰키: 일본의 변호사 및 정치인 후지사와 사쓰키: 일본의 컬링 선수 이토 사쓰키: 일본의 권투 선수 미야노시타 사츠키: 학교괴담의 주인공 = 타이머 = 타이머는 특별한 종류의 시계로, 일련의 사건이나 프로세스를 제어하거나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주로 특정 목적의 사건이 진행될 때, 진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스톱워치는 숫자 0부터 숫자를 올려 세어 숫자의 진행이 얼마의 시간이 걸렸는지를 측정한다. 스톱워치와는 달리, 모래시계 개념의 타이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부터 숫자를 내려 세어 끝나는 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는 기계적, 전자기계적, 전기적,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을 취하기도 하며 다양한 목적에 적용된다. 현대의 모든 컴퓨터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타이머를 포함하기도 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주기적 타이머는 주기적 사건 처리가 필요할 경우, 주기를 만들기 위해 디지털 카운터 회로를 사용하여 특정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디지털 신호로 얻어 낸다. 하드웨어적인 카운터 회로로부터 발생한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인터럽트 처리 방식과 결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처리함으로써 주기적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있다.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소리 신호 등을 이용하여 단순히 이를 알려주기도 하지만 타임 스위치와 같은 전기 스위치를 운영하여 전력을 차단하기도 한다. 전기 시스템에서 PLC에 내장된 타이머는 전기 시스템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래더 다이어그램에 타이머 기능을 추가하여 일정 시간 간격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 컴퓨터에서의 활용 = = 컴퓨터에서 가장 필수적인 모듈로 사용한다. 소프트웨어로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면 거의 불가능해진다. 물론 특정 기간에 특정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계어 묶음을 실행하여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보통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여러 가지 일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회로(하드웨어)에 의한 시간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거의 모든 컴퓨터에서 사용되며, MCU 등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도 필수적이다. 아주 간단한 MCU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하드웨어인 디지털 회로(타이머 모듈)로부터 일정 시간이 되면 인터럽트 등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다시 카운터하는 방식으로 좀 긴 시간의 타이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보통 카운터가 8/16비트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긴 시간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는 드물다. 보통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클럭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미리 2진 카운터로 주파수를 낮추고, 다시 카운터 회로에 의해 원하는 시간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 = = 컴퓨터에서 타이머 모듈 = = = 타이머는 주기적 시간을 얻을 때 사용하는 디지털 카운터 회로 모듈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일정시간을 카운터 하는 방식은 복잡한 기계어 실행으로 인해 긴 시간 측정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별도의 카운터 회로를 갖는 타이머 모듈을 사용하여 일정한 주기적 시간 처리를 하는 시스템 요구에 대응한다. MCU의 기본 모듈로 사용한다. 8051의 초기 모델의 경우 2개가 장착되어 있다. MCU는 다양한 개수의 타이머를 장착하여 모델을 분리하여 다양한 성능에 따른 요구 사항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카운터 회로이기 때문에 클럭이 필요한데, 보통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클럭을 원천으로 사용한다. 이 주파수가 높아 우선 프리스케일 카운터 회로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낮춘다. 다시 이 낮아진 주파수를 가지고 8,16비트 등의 카운터 회로를 사용하여 주기를 얻는다. 보통 8비트 MCU의 경우 8비트와 16비트 등을 많이 사용한다. 타이머는 하드웨어 카운터 이기 때문에 이 모듈을 사용하여 주기적 시간도 얻지만 한 주기 동안 HIGH와 LOW의 상태의 시간을 조절하여 PWM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도 많다. 주기와 PWM의 시간 조절을 하나의 타이머 모듈에 장착하고 레지스터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 = = 실시간 시계 = = = 실시간 시계(Real Time Clock, RTC) 모듈은 시간을 전용으로 카운터 하는 회로로 시간을 세는 디지털회로 모듈이다. 시간을 세기 위해 카운터 회로와 별도의 수정 발진자(결정 진동자)와 배터리가 필요하다. 보통 32.768kHz 수정발진자를 사용하여 시분초와 날짜를 만드는 카운터의 클럭 신호로 사용한다. RTC는 컴퓨터 전원이 나가도 시간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입 없이 초부터 년까지의 시간을 디지털 회로의 카운터에 의존한다.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별도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카운터 회로가 동작한다.RTC DS12C887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날짜와 시, 분, 초 등의 시간을 카운터하는 디지털 카운터 회로 회로 카운터 회로에 사용하는 수정 발진자(결정 진동자) 카운터 회로에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도 공급하는 배터리 = = 전기 시스템에서 활용 = = 정해진 시간 동안 전기 장치를 가동하는 방법으로 타이머가 장착된 콘센트를 활용할 수 있다. = 분류:도치기현의 국가지정명승 = = 분류:기원전 501년 출생 = 출생 8 en:Category:501 BC births = 틀:백분율 막대 = = 애버딘 대학교 = thumb 애버딘 대학교는 영국 북단의 도시인 애버딘에 위치한 대학이다. 1495년에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4세가 왕립 대학으로 설립한 킹즈 칼리지가 시내 중심에 위치한 마샬 칼리지(1593년 설립)과 1860년에 합병하여 현재의 애버딘 대학교가 되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3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며, 영국 전체에서는 5번째로 오래된 유서 깊은 대학이다. 영어사용권 모든 나라들 중에서도 5번째로 오래된 대학이기도 하다. 애버딘은 북동부 스코틀랜드 지방의 주도이고, 석유 산업 발달 이후 영국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 고풍스러운 캠퍼스와 현대적인 도서관 시설에서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하며 의학, 종교학, 신학 분야에서 영국 최고 수준의 학부와 대학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497년에 처음 임명된 왕립의학교수좌 (The Regius Professorship of Medicine)는 영어권에서 최초로 임명된 왕립교수좌로 알려져 있다. 상식실재론으로 유명한 철학자 토마스 리드, 인슐린을 발견하고 노벨상을 수상한 존 맥클라우드와 맥스웰 방정식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이 교수로 봉직한 바 있다. 지금까지 다섯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영국 인문학 분야 최고의 영예로 여겨지는 기포드 강연(The Gifford Lectures)를 주최하는 대학 중 하나이다. = = 대학교 동문 = = = = = 노벨상 수상자 = = = 조지 패짓 톰슨 : 영국의 물리학자 존 제임스 리카드 맥클라우드 : 영국의 생리학자 프레더릭 소디 : 영국의 물리학자 = = = 대한민국 출신자 = = = 박종화 : 1994년 졸업. 생화학과. 박홍규 신학 권문상 신학 신문철 신학 김경식 신학 김덕중 신학 조영모 신학 정경심 영문학 이한수 신학 = Minit = Minit(미닛, , 1993년 ~ )은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이다. 2016년 'Konsoul - Too Many Bottles (Feat. Punchnello)' 로 데뷔를 했고, 이후 2017년 '오르내림(OLNL)' 의 데뷔 앨범 'Apollo' 의 수록곡 6번 트랙 'Gold (Feat. LILMONEY)'를 발판으로 기리보이, 한요한 등 다수의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하며 커리어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본인이 프로듀싱 한 곡에는 'wait a min boy'라는 시그니처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 = 참여곡 = = 아티스트 노래 Konsoul Too Many Bottles (Feat. Punchnello) OLNL Gold *코끼리코 *하얀 (Feat. 염따, OHIORABBIT) 김승민 Dollar Sign (Feat. NO:EL) What`s Wrong (Feat. OLNL) Chase the star 기리보이 바보상자스타 (Feat. 김승민) 우주심해 (Feat. 김승민) 내핸드폰에금이갔네 (Feat. Paloalto) 도쿄 (Feat. 유라 (youra)) 파티피플 (Feat. 염따, Uneducated Kid) 꺼져 밤에들어갈게 (Feat. 김승민) party is over all prod by Minit 이혼서류 호랑이소굴 (Feat. Jvcki Wai) 하이에나 한요한 BABY I'M A ROCKSTAR (Feat. NO:EL, 김승민) 카와이 (Feat. SUPERBEE) 어떡해야 돼 걱정마 (Feat. Osshun Gum) TO ALL THE FAKE RAPSTARS (Feat. 스윙스) 댄스 (Feat. 기리보이) 웃어줘 (Feat. 김승민) 오아시스 악당 퇴치 (Feat. 개리) Reset (Feat. 릴보이) TO ALL THE FAKE RAPSTARS Remix (Feat. NO:EL, JUSTHIS, 영비, Kid Milli) FAKE ROCK STAR (Feat. NO:EL) 호루라기 (Feat. nafla, CHANGMO) Tough 호루라기 Remix (Feat. 한국사람) 산산조각 (Feat. ASH ISLAND) 불꽃 (Feat. 조현아 Of 어반자카파) 반복 400 km (Feat. Kid Milli) 니 숨결 (Feat. 김승민) BECAUSE I'M A ROCKSTAR (Feat. YUNHWAY) 소리쳐 (Feat. 후이 (펜타곤)) 구석 (Feat. BLOO) Drive (Feat. UZA) Go Away (Feat. GEMma) 조퇴 (Feat. 안병웅) 오늘도 (Prod. Minit, AIRAIR) = 존 캐머런 미첼 = 존 캐머런 미첼(John Cameron Mitchell, 1963년 4월 21일 ~ )은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 참여 작품 = = = = = 감독 = = = 숏버스 래빗 홀 간호사 재키 런던 러브스토리 글로우: 레슬링 여인 천하 = = = 배우 = = = 맨하탄의 사나이 맥가이버 헤드 오브 더 클래스 죽느냐 사느냐 숏버스 걸스 (드라마) 굿 파이트 샌드맨 (드라마) = 분류:효고현의 사립 학교 = = 콤프소포곤목 = 콤프소포곤목(Compsopogonales)은 콤프소포곤강에 속하는 홍조류 목의 하나이다. 2과 4속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분류 = = 볼디아과 (Boldiaceae) 볼디아속 (Boldia) - 유일종 볼디아 에리트로시폰 (B. erythrosiphon) 콤프소포곤과 (Compsopogonaceae) - 9종 콤프소포곤속 (Compsopogon) - 7종 콤프소포고놉시스속 (Compsopogonopsis) - 유일종 C. fruticosa 풀비나스테르속 (Pulvinaster) - 유일종 P. venetus = 분류:포항 스틸러스 선수 명단 틀 = = 분류:정신 과정 = = 분류:가시마시 (이바라키현)의 건축물 = = 줄리아나황금두더지 = 줄리아나황금두더지(Neamblysomus julianae)는 황금두더지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토착종이다. 서식지 감소와 제한적인 분포때문에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 분류:프랑스의 도시별 축구단 = = 한수지 = 한수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한수지 (배구 선수) 한수지 (음악가) 한수지 (짱구는 못말려) 한수지 (레이싱 모델) = 분류:덴마크계 노르웨이인 = = 틀:인스타그램 = = 위키백과:위키백과와 위키배움터 = 만약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사용자 중 상당수가 학생이거나 청소년이라면, 한국어 위키백과는 사용자들에게 교육적인 도움을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려면 위키 자매 사이트 중에서 온라인 학습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위키배움터에 주목해야 합니다. 여기서 말한 "온라인 학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사용자가 위키백과 문서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안 후, 그 문서와 연계된 위키배움터 강좌에 들어가 심층적인 개념을 깨우치고 응용이나 적용까지 익히는 것입니다. (철학 문서가 그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문서 아래 쪽에 위키배움터 강좌가 링크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위키백과에서 다루는 범위를 벗어난 내용까지 위키배움터 강좌를 통해 접할 수 있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단편적이고 특정 항목에 한정된 백과사전식 정보제공만 접하는 것으로는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개념을 서로 연결하고 통합하며 질문을 유도하는 방식의 강의를 사용자가 접하고 또한 그런 강의를 만드는 과정에 사용자가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학습자가 단순한 정보 습득에 그치지 않고 정보 분석력과 응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지요. 둘째, 위키배움터 강좌에 참여하다가 모르는 단어나 개념, 사건이 있으면 위키백과에서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이 경우에 하이퍼 텍스트 교과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온라인 학습을 강조하는 이유는, 입시에 도움을 주자는 의미가 아닙니다. 입시 정보를 위키배움터 강좌에서 얻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현재의 교육기관이 사실상 입시기관으로 변해가는 상황에서, 입시의 압박에서 자유로운 위키백과/위키배움터가 분석력, 응용력, 판단력, 상상력, 창의력을 키우는 '교육'을 온라인상에서 해보자는 취지입니다. 물론 나도 그 '교육'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합니다. 다만 우리나라 초중고의 주입식 교육이 대학의 서술식, 토론식 교육과 너무나도 달라서 대학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미리 온라인을 통해서 청소년기에 대학교육의 맛을 보면 조금이나마 대학교에 들어갔을 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단편적인 지식의 나열과 암기는 인간을 "기계"로 훈련시키는 것입니다. "인간"이라면 지식과 지식을 연결하면서 이야기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면접관 앞에서 자신의 이력서를 단순히 기억해내는 것은 컴퓨터도 하는 일입니다. 자신이 한 그 경험이 지금 이 회사에 무슨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말해야 취직할 수 있습니다. 그런 능력을 위키백과/위키배움터에서 기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양성거질 = 양성거질(陽成去疾, ? ~ 기원전 148년)은 전한 초기의 제후로, 소부 양성연의 아들이다. = = 생애 = = 고후 6년(기원전 182년), 양성연의 뒤를 이어 오후(梧侯)에 봉해졌다. 경제 중2년(기원전 148년)에 죽으니 시호를 경(敬)이라 하였고, 작위는 아들 양성언이 이었다. = = 출전 = = 사마천,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 반고, 《한서》 권16 고혜고후문공신표 = 분류:미국의 사법부 = = 분류:1899년 분쟁 = = 분류:다카오카번주 = = 양정초등학교 (전남) = 양정초등학교는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봉월로 140 (용정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변천 = = 1963.12.10 설치인가 1964.03.02 현경북국민학교 양정분교장 개교 1965.11.14 양정국민학교로 승격 1996.03.01 양정초등학교로 개칭 2005.09.01 폐교 = 극장판 쥬얼펫: 스위트댄스 프린세스 = 극장판 쥬얼펫: 스위트댄스 프린세스(映画ジュエルペット スウィーツダンスプリンセス, Jewelpet the Movie: Sweets Dance Princess)는 일본에서 제작된 사쿠라이 히로아키 감독의 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아시다 마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2012년 8월 11일 일본에서 개봉하였다. DVD와 블루레이 버전의 영화는 2013년 1월 25일 토호를 통해 출시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아시다 마나 사이토 아야카 히라노 아야 = = = 조연 = = = 사와시로 미유키 토요사키 아키 히다카 리나 = 새날신문 = 새날신문(-新聞)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신문으로 전체 4페이지, 대형판으로 발간한다. = = 일제강점기 = = 새날신문은 김일성 국가주석이 친모, 강반석에 도움으로 발간한 신문이라고 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청소년들에게 새 희망과 독립에 대한 긍지를 주기 위해 발간되었다. 이 신문은 만경대와 평양에서 살고 있었던 시민들을 위해서 발간했으며, 1927년 1월에 창간되었다. 그 후 발간을 중단했다가 1956년 6월 1일에 김일성 국가주석의 지시로 복간되었다. 최초 발간 당시에는 문학예술출판사에서 발간했지만, 현재는 금성청년출판사에서 발간한다. 1주일에 2번 발행한다. = = 내용 = = 신문의 내용은 동화, 일기, 수필, 기행문이 많으며, 조선혁명에 관련된 기사들이 종종 실리기도 한다. 이밖에도 과학상식이나, 동화책에서 발췌된 교훈을 바탕으로 꾸민 글도 있다. = 분류:적도 기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여자 축구 *여자 국가대표팀 *여자 축구 = 노조무 = 노조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코타키 노조무: 일본의 가수, 배우 사사키 노조무: 일본의 남자 성우 가나구치 노조무: 일본의 축구 선수 가토 노조무: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노령의 신 = = 스와핑 (성교) = 스와핑은 여러 커플이 서로의 파트너를 교환하고 같은 방 또는 별실에서 하는 집단 성행위이다. = 시모이치구치역 = 시모이치구치역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2 요시노 선 하행 요시노 방면 3 요시노 선 상행 가시하라진구마에 · 오사카아베노바시 방면 = = 이용 현황 = = 연도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사람 / 연도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사람 / 연도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사람 / 연도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사람 / 연도 승.하차인원 조사 결과 사람/ 날짜 승.하차인원 조사 결과 사람/ 날짜 연도 통근 정기 통학 정기 정기 외 합 계 조사일 조사 결과 1954년 493,140 ←←←← 486,543 979,983 1955년 515,640 ←←←← 497,604 1,013,244 1956년 561,180 ←←←← 488,755 1,049,935 1957년 611,700 ←←←← 526,134 1,137,834 1958년 641,340 ←←←← 550,938 1,192,278 1959년 666,330 ←←←← 528,851 1,195,181 1960년 761,760 ←←←← 557,212 1,318,972 1961년 789,600 ←←←← 575,088 1,364,688 1962년 879,000 ←←←← 609,343 1,488,343 1963년 924,120 ←←←← 570,414 1,494,534 1964년 1,022,940 ←←←← 596,903 1,619,843 1965년 954,030 ←←←← 553,176 1,507,206 1966년 1,160,730 ←←←← 519,078 1,679,808 1967년 1,119,840 ←←←← 510,141 1,629,981 1968년 1,096,830 ←←←← 454,995 1,551,825 1969년 1,061,850 ←←←← 465,325 '1,527,175 ' 1970년 1,029,390 ←←←← 451,836 1,481,226 1971년 972,690 ←←←← 433,202 1,405,892 1972년 960,090 ←←←← 435,039 1,395,129 1973년 963,540 ←←←← 475,692 1,439,232 1974년 1,014,840 ←←←← 499,279 1,514,119 1975년 999,360 ←←←← 506,878 1,508,238 1976년 977,940 ←←←← 490,281 1,468,221 1977년 932,880 ←←←← 494,503 1,427,383 1978년 967,590 ←←←← 492,646 1,460,236 1979년 982,500 ←←←← 488,712 1,471,212 1980년 976,170 ←←←← 485,290 1,461,460 1981년 963,360 ←←←← 466,732 1,430,092 1982년 921,990 ←←←← 450,531 1,372,521 11월 16일 6,568 1983년 919,800 ←←←← 458,248 1,378,048 11월 8일 6,586 1984년 900,900 ←←←← 427,514 1,328,414 11월 6일 6,864 1985년 893,730 ←←←← 410,603 1,304,333 11월 12일 6,295 1986년 890,100 ←←←← 407,408 1,297,508 11월 11일 6,035 1987년 900,480 ←←←← 387,154 1,287,634 11월 10일 5,884 1988년 871,230 ←←←← 372,720 1,243,950 11월 8일 5,619 1989년 859,500 ←←←← 384,815 1,244,315 11월 14일 6,005 1990년 847,590 ←←←← 379,661 1,227,251' 11월 6일 6,050 1991년 852,990 ←←←← 383,129 1,236,119 1992년 818,820 ←←←← 368,542 1,187,362 11월 10일 5,524 1993년 809,370 ←←←← 365,121 1,174,491 1994년 807,810 ←←←← 356,765 1,164,575 1995년 777,510 ←←←← 339,060 1,116,570 12월 5일 4,897 1996년 733,680 ←←←← 325,437 1,059,117 1997년 694,050 ←←←← 304,180 998,230 1998년 701,760 ←←←← 288,538 990,298 1999년 677,670 ←←←← 280,511 958,181 2000년 677,310 ←←←← 266,689 943,999 2001년 645,540 ←←←← 259,936 905,476 2002년 627,600 ←←←← 242,941 870.541 2003년 612,180 ←←←← 229,268 841,448 2004년 608,760 ←←←← 209,369 818,129 2005년 598,500 ←←←← 199,079 797,579 11월 8일 3,989 2006년 587,010 ←←←← 182,316 '769,326 2007년 582,450 ←←←← 176,923 759,373 2008년 561,090 ←←←← 173,064 734,154 11월 18일 3,493 2009년 25,620 ←←←← 159,730 694,840 2010년 518,280 ←←←← 155,037 673,317 11월 9일 3,203 2011년 22,110 ←←←← 148,273 670,003 2012년 ←←←← 11월 13일 3,177 = = 역 주변 = = 나라 가정 재판소 요시노 출장소 요시노 간이 재판소 오요도 정 문화 회관 오요도 정청 오요도 정 주오 공민관 = 분류:파생 상품 = = 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의 코칭스태프 = = 청안군 (1851년) =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다. 1899년 사도장헌세자가 장조 의황제로 추존되면서, 그해 9월 왕족의 예로서 청안군에 책봉되었다. 자는 덕일(德一), 초명은 순달(順達),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철종의 이복 서형인 영평군 경응의 양자로 입양, 음서로 관료생활을 하던 중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1899년 왕족 자격으로 군에 봉작되었다. = = 생애 = = = = = 초기 생애 = = =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재순(載純), 자는 덕일(德一), 초명은 순달(順達),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증손이며, 철종의 양 조카이다. 아버지는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이며, 생부는 선조의 9남 경창군의 9대손으로 음직 부사 증 판서 이휘응(李徽應)경창군의 서차남 창흥군(昌興君)의 8대손이며, 어머니는 안동인(安東人) 김재협(金在協)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양부 영평군 이경응은 본부인 평산신씨에게서 자녀가 없어, 사후에 청도인 김재협(金在協)의 딸 김재협의 딸 청도김씨와 재혼하였다. 그러나 딸 1명만을 보았다. 영평군 경응은 곧 양자를 들이게 되었고 그가 낙점되었다. 이휘응의 아들로 1851년(철종 2) 10월 24일 탄생하였다. 음서로 출사하여 사용을 역임하였다. = = = 관료 생활 = = = 사용으로 재직 중 1868년(고종 5) 왕족에게 실시하는 특별 과거인 종친정시문과(宗親庭試文科) 을과로 급제하자, 고종이 전교하길 "이 가문에 과거 급제의 명성이 성대하니 매우 기특하고 기쁘다. 전계 대원군(全溪大院君)의 사우(祠宇)에 정경(正卿)을 보내어 전작례(奠酌禮)를 섭행(攝行)하게 하라." 하였다. 이해 4월 11일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를 거쳐 헌납(獻納)을 지내고, 1871년(고종 8) 부교리(副校理)를 거쳐 1872년(고종 8) 부사과(副司果)를 지내고, 다시 부교리(副校理)를 거쳐 1873년(고종 10) 교리(校理)가 되었으며, 1876년(고종 13) 종친부정(宗親府正)이 되었다. 1877년(고종 14) 집의(執義)를 거쳐 1878년(고종 15)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역임하고, 부호군을 거쳐 1880년(고종 17) 4월 30일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제수되었다. 1882년(고종 19) 종정경(宗正卿)을 거쳐 1888년(고종 25) 6월 30일 이조참판(吏曹參判)을 거쳐 이해 11월 22일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에 제수되고, 이해 12월 선원보략(璿源譜略)을 수정할 때 감인 당상(監印堂上)을 지냈다. 1890년(고종 27) 종정경(宗正卿)되고, 1892년(고종 29) 도승지(都承旨)를 거쳐 6월 23일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이 되고, 이해 8월 15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거쳐 이해 10월 30일 의정부 우참찬(右參贊)을 거쳐 1893년(고종 30) 10월 12일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역임하였다. 1895년(고종 32) 4월 27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거쳐 5월 25일 시종원경 겸 시종장(侍從院卿兼侍從長)에 제수되고, 이해 7월 28일 특파대사(特派大使)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이해 10월 12일 시종원경으로 있으면서 친일정권에 포위되어 불안에 떨고 있는 국왕을 궁성 밖으로 모셔 나와 친일정권을 타도하고 새 정권을 수립하고자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을 일으켰다. 시종 임최수(林最洙), 탁지부 사계국장(度支部司計局長) 김재풍(金在豐), 참령 이도철(李道徹), 정위 이민굉(李敏宏), 전의원(前議員) 이충구(李忠求), 중추원의관 안경수(安?壽) 등과 합작 모의하여 정동파(貞洞派) 인사들인 이범진(李範晉)·이윤용(李允用)·이완용(李完用)·윤웅렬(尹雄烈)·윤치호(尹致昊) 등의 호응을 받아, 친위제1대대소속 중대장 남만리(南萬里)와 친위제2대대 소속 중대장 이규홍(李奎泓)이 인솔한 800명의 군인들로 하여금 건춘문(建春門)으로 입궐을 시도하게 하였으나 실패하고, 삼청동 쪽에 있는 춘생문에서 담을 넘어 입궐을 시도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에 협력하기로 약속하였던 친위대 대대장 이진호(李軫鎬)가 서리군부대신(署理軍部大臣) 어윤중(魚允中)에게 밀고 함으로써 어윤중의 선무공작(宣撫工作)으로 거사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가담자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11월 15일에 열린 특별법원의 판결에서 태(笞) 100대, 징역 3년의 형을 받았으나 종친이었던 까닭으로 3년의 징역을 면제받고 3년 기한의 향리방축(鄕里放逐)의 벌을 받았다. 1896년(고종 33, 건양 1) 2월 11일 방축향리 죄인(放逐鄕里罪人)이었던 그를 사면해주고, 궁내부 대신(宮內府大臣)에 제수하였다. 이해 3월 1일 혼전(魂殿)의 향관(享官)에 임명되고, 이해 10월 19일 경소전(景昭殿)을 새로 지은 공로로 특별히 종1품으로 가자하였다. 1897년(광무 1) 3월 12일 홍문관 시강(弘文館侍講)을 겸임(兼任)하고, 이해 7월 12일 규장각 학사(奎章閣學士)를 겸임시키고, 이해 10월 1일 칙임관 3등에 서임하고, 이해 10월 12일 대행 황후 개명정 서사관(大行皇后改銘旌書寫官)에 임용되었다. 1898년(광무 2) 4월 30일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용하고 칙임관 1등에 서임하고, 이해 7월 11일 궁내부 대신(宮內府大臣)에 임용되어 칙임관(勅任官) 1등에 서임(敍任)되고, 이해 10월 11일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이 되었다. 이해 11월 9일 경효전 제조(景孝殿提調)를 거쳐 이해 11월 30일 종정원 경(宗正院卿)에 임용되어 칙임관(勅任官) 3등에 서임(敍任)되고, 이해 12월 21일 궁내부 대신(宮內府大臣)에 제수되었다. 1899년(광무 3) 2월 22일 규장각 학사(奎章閣學士)를 겸임하고, 이해 5월 14일 부장(副將)이 되었다. = = = 봉작 이후 = = = 1899년 6월 5일 독일〔德國〕 친왕(親王)이 오늘 대한제국 항구에 도착할 때에 영접하였고, 이해 7월 13일 겸임 표훈원의정관(兼任表勳院議政官)을 거쳐, 이해 7월 20일 임시서리군부대신사무(臨時署理軍部大臣事務)에 임용되고, 이해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면서 그도 이해 9월 21일 승습의 예에 따라 청안군(淸安君)으로 봉작하였다. 1900년(광무 4) 1월 9일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용하고 칙임관(勅任官) 1등에 서임(敍任)하고, 이해 4월 22일 종친(宗親)으로서 일찍이 대사(大使)의 직함을 띠고 이웃 나라에 파견되어 기록할 만한 공적을 세워 특별히 훈(勳) 1등에 서훈(敍勳)하고 태극장(太極章)을 하사하였다. 이해 6월 25일 행로명정서사관(行路銘旌書寫官)이 되었다. 1901년(광무 5) 2월 6일 판돈녕원사(判敦寧院事)에 임용하고 모두 칙임관(勅任官) 1등에 서임하고, 이해 3월 19일 징계가 풀려 이해 4월 23일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용하고 칙임관(勅任官) 1등에 서임(敍任)되고, 이해5월 5일 호위대 총관(扈衛隊總管)의 사무를 서리(署理)하였다. 아들이 없어서 소현세자의 후손 이한용을 양자로 들였다. 그러나 양자 이한용 역시 자녀 없이 1890년 15세에 사망하여 결국 덕흥대원군 13대손 군수(郡守) 이건용(李建鎔)의 아들 해승을 양손자로 들였다. 1904년(광무 8) 1월 2일 거상 중에 불러내어 벼슬을 시키고 다시 청안군(淸安君)에 봉군하였다. 그러나 곧 병석에 누웠고, 수일간 신병으로 고생하였다 한다. 이해 3월 2일 상오 1시, 향년 54세로 별세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직책은 숭록대부 판돈령원사 겸 장례원경 홍문관학사 규장각학사 시강원시강관이었고, 대한제국 육군부장직도 겸하고 있었다. = = = 사후 = = = 시신은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神穴面) 진관리(津寬里, 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 산 47-1번지 북한산의 지산 이말산(莉茉山)에 처음 안장되었다가 1980년 경에 전계대원군과 회평군 명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포천군 포천읍 선단리(현 포천시 선단동)로 이장되었다. 묘비는 1904년에 건립되었으며 글은 윤용구(尹用求)가 지었고, 글씨는 이헌형(李金+憲永)이 썼다. 고종황제가 조령(詔令)을 내리길, "이 종신(宗臣)은 천성이 진중하고 후덕하며 몸가짐이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서 가까운 종친들 가운데서도 가장 깊은 관심을 가졌었다. 또한 임오년(1882)과 을유년(1885) 양년에 높은 충성을 다한 수고로 말하면 역사에 기록될 만한 것이다. 한창 등용하던 도중에 갑자기 부고를 받고 보니 슬프기 그지없다. 졸한 청안군 이재순의 상사(喪事)에 장생전(長生殿)에서 관 1부를 보내 주고, 장례비는 궁내부(宮內府)로 하여금 되도록 넉넉하게 보내주도록 할 것이며, 특별히 증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로 추증하고 시호(諡號)는 장사를 지내기 전에 시장문(諡狀文)이 올라오기를 기다리지 말고 의논하도록 하라. 성복일(成服日)에는 치제(致祭)할 수 없을 것이니, 장일(葬日)에 비서원 승(祕書院丞)을 보내어 치제하게 하라. 제문은 직접 지어 내려보내겠다." 하였다. 이해 3월 8일 시호는 문충(文忠)에 추증되었다. 1909년(융희 3) 8월 27일 황후가 인정전(仁政殿) 동쪽 행각에서 청안군(淸安君) 부인 정경부인 홍씨(洪氏)에게 특별히 훈 2등에 서훈하고 서봉장(瑞鳳章)을 하사하였다. 1910년(융희 4) 8월 21일 황후(皇后)가 청안군(淸安君) 부인 정경부인(貞敬夫人) 훈(勳) 2등 홍씨(洪氏)에게 훈 1등에 서훈(敍勳)하고 서봉장(瑞鳳章)을 하사하였다. = = 가족관계 = = 할아버지(양 조부) :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 ~ 1841년 12월 14일) 아버지(양부):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 1828년 - 1901년), 전계대원군의 서자였으나 승적하여 봉사손이 되었다. 어머니(양모): 정경부인 평산신씨(1832년 7월 22일 - 1857년 5월 8일), 신재준(申在準)의 딸 어머니(양모): 정경부인 청도김씨(貞敬夫人 淸道金氏, 1839년 3월 23일 - 1921년) 양 누이: 숙부인 이씨(淑夫人 李氏, 1866년 - 1913년), 군수(郡守) 황연수(黃演秀)에게 출가. 양 매제 : 선산군수(郡守) 황연수(黃演秀, 1866년 - 1949년), 응교 황보연(黃普淵, 창원 황씨)의 아들 아버지(생부): 이휘응(李徽應), 선조의 서 9남 경창군(慶昌君)의 9대손. 어머니(생모): 안동김씨(安東 金氏), 안동인(安東人) 김재협(金在協)의 딸. 부인: 정경부인 풍산홍씨(貞敬夫人 豊山洪氏, 1853년 3월 14일 ~ ?), 풍산인 홍경모(洪慶謨)의 딸 아들(양자): 풍선군 이한용(豊善君 李漢鎔, 1875년 - 1890년), 인조의 적장남 소현세자 8대손이자 음서로 영(令)을 지낸 이재철(李載徹)의 아들. = 에이잭스 (온타리오주) = 에이잭스(Ajax)는 온타리오주의 도시로, 인구는 109,600명이다. = 탈리트 = 탈리트( tallit, 기도보)는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 덮어 쓰는 종교적인 옷이다. 일반적으로 유대인들은 탈리트를 입고 기도를 한다. 탈리트는 기도 시에 외부와 차단하여 깊은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께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침 기도(Shacharit), 욤 키푸르(Yom Kippur) 기간 중에 기도할 때에 입는다. = 포털:화학/설명 = 화학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등에 대해서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정의됩니다. 화학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길을 제공하며, 이는 농작물의 증산,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에너지 효율 증대, 환경오염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자세히 읽기... = 9월 = 9월(九月, September)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된다. 이 달과 그 해의 12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한다. 또한,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에는 다음 해 3월, 11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다음 해가 평년이면 다음해 6월과 같은 요일이 된다. 400년 동안 이 달은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에 58번, 일요일과 월요일에 57번, 수요일과 금요일에는 56번 시작한다. 한중일월 4국의 공휴일이 모두 있을 가능성이 높은 달로 일본과 베트남, 북한은 건국 이래 9월에 공휴일이 최소 하나는 무조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9월의 공휴일은 추석이 9월 내에 들거나 늦어도 10월 1일이 추석 당일이어야만 있으나이 날은 국군의 날과 겹친다. 추석이 9월에 들 확률이 10월에 들 확률보다 높기 때문에추석이 10월에 있는 경우는 거의 100% 윤달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9월에 드는 경우라도 음력 4월 이전이나 음력 8월 이후에 윤달이 드는 해가 있다. 9월에 공휴일이 있을 확률은 높은 편이다. 중화인민공화국도 이와 같다. 미국에서는 이 달에 새 학기를 시작한다. 음력 7월과 음력 8월이 이 달에 있으며 9월에는 음력 7월 15~16일, 8월 15~16일의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다. 윤달일 경우는 윤7월 (추분 이전) 윤8월 (추분 이후)이 양력 9월에 있다. = = 유래 = = 9월을 뜻하는 영어단어 September는 seven(7)을 의미하는 라틴어 'septem'에서 유래하였다. = = 행사 = = 음력 8월 15일은 추석이다.간혹 10월에 드는 해도 있다. 가장 최근에 양력 10월이 추석이였던 해는 2001년(10월 1일 - 국군의 날과 겹침), 2006년(10월 6일), 2009년(10월 3일 - 개천절과 겹침), 2017년(10월 4일), 2020년(10월 1일 - 국군의 날과 겹침)이였고, 양력 10월에 다가오는 추석인 해는 2025년(10월 6일), 2028년(10월 3일 - 개천절과 겹침), 2031년(10월 1일 - 국군의 날과 겹침)이며, 모두 음력 3월~7월에 윤달을 낀다. 러시아 등의 유럽 국가와 미국, 캐나다에서는 새학년의 새학기가 시작된다.이들 국가에서는 9월생을 기준으로 학년을 끊기 때문에 동갑이라도 생일 때문에 학년이 아래로 내려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의 41대 대통령인 조지 H. W. 부시와 39대 대통령 지미 카터의 사례가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달에 초중고등학교의 2학기가 시작된다. (1945년에서 1950년대 초까지는 9월에 새학년이 시작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일부 대학들은 미국처럼 9월 학기제를 시행한다. 에티오피아의 새해 첫날은 양력으로 환산할 경우 9월 11~13일 사이에 온다. = = 9월과 스포츠 = = 일부 축구 리그는 9월에 시즌이 시작된다. KBO 리그는 9월부터 주말 낮경기를 재개한다. = = 국경일 및 법정기념일 = = 9월 7일 - 사회복지의 날, 푸른 하늘의 날 9월 16일 -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청년의 날 9월 10일 - 세계 자살예방의 날, 해양경찰의 날 9월 18일 - 철도의 날 - 2018년 부터 6월 28일로 날짜 변경. 9월 27일 - 관광의 날 = = 세계 각국의 휴일 = = - 독립기념일 (9월 1일) - 독립기념일 (9월 2일) - 독립기념일 (9월 3일) - 독립기념일 (9월 6일) - 독립기념일 (9월 6일) - 독립기념일 (9월 7일) - 독립기념일 (9월 8일) - 인민정권 창건일 (9월 9일) - 독립기념일 (9월 9일) 의 - 연방가입일 (9월 9일) - 레이버 데이 (9월 첫째 주 월요일) - 레이버 데이 (9월 첫째 주 월요일) - 에티오피아 신년 (9월 11일) - 독립기념일 (9월 15일) - 독립기념일 (9월 15일) - 독립기념일 (9월 15일) - 독립기념일 (9월 15일) - 독립기념일 (9월 16일) - 독립기념일 (9월 16일) - 국경일 (9월 18일), 육군의 날 (9월 19일) - 국경일이 화요일이면 9월 17일, 육군의 날이 목요일이면 9월 20일 추가 휴무 - 독립기념일 (9월 19일) - 경로의 날 (9월 셋째 주 월요일) - 독립기념일 (9월 21일) - 독립기념일 (9월 21일) - 독립기념일 (9월 21일) - 독립기념일 (9월 22일) - 독립기념일 (9월 22일) - 추분 (9월 23일) - 사우디 국가기념일 (9월 23일) - 독립기념일 (9월 24일) - 주권의 날 (9월 28일) - 독립기념일 (9월 30일) - 로쉬 하샤나 (유대력 1월 1일, 보통 9월에 있다.) = = 절기 = = 백로: 9월 7일 또는 9월 8일. 추분: 9월 22일 또는 9월 23일. = 난징 (동음이의) = 난징은 중국 장쑤성의 지급시이다. 난징은 다음을 가리킨다. 난징푸싱역(南京復興站) 난징현 = 아달혜 = 아달혜(阿達兮, ?~?)는 고구려의 장수이다. = = 생애 = = 662년 고구려 평양성을 포위하던 당나라의 군대가 회군하자 신라의 군대도 본국으로 회군했다. 이때 고구려군이 신라군을 추격해 전투를 벌였지만 고구려군은 신라군에게 크게 패배며 1만여 명이 전사하고 그는 포로가 되었다. = 세종국책연구단지 = 세종국책연구단지(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ex, 世宗國策硏究團地)는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모여 있는 단지이다. = = 배경 = = 현재 임차사옥을 사용중인 1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은 공공기관 이전 계획(‘05.6월)에 따라 세종시의 임차 사옥으로 이전 결정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노동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 = 주요 사업내용 = = * (개발방향) 세종시의 개발방향 및 주변지형 여건과 조화를 이루는 복합 연구단지로 개발 * (개발부지) 부지면적 71,657m2(세종시내 연구시설 용지 4-4호), 토지가액 500억원 * (개발 규모) 건축 연면적 11.7만m2, 총사업비 2,820억원으로 연구시설(11만m2) 외에 수익시설(0.7만m2) 배치(상업+업무시설) 12개 연구기관을 기능별로 통합하여 4개동에 분산 배치 * (개발방식) KAMCO를 통한 국유지 위탁개발(국유재산법 제59조) KAMCO가 사업비를 조달하여 준공 후,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고 KAMCO는 연구기관으로부터의 임대수입으로 개발사업비 회수(25년 예정) = = 기대효과 = = *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세종시 이전 원활화 및 국유재산의 가치 제고에 기여 = 카롤루스 제국 = 카롤루스 제국은 중세 전기 동안 서유럽과 중부 유럽에 있었던 프랑크계 대제국이다. 751년 이래로 프랑크인의 왕으로, 774년부터는 랑고바르드인의 왕으로 군림했던 카롤링거 왕조 출신들이 다스렸다. 800년에, 프랑크족 왕 샤를마뉴가 로마 제국을 동방에서 서방으로 옮기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써 로마에서 교황 레오 3세를 통해 황제로 즉위하였다. 카롤링거 제국은 1806년까지 지속된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역사에 있어 최초의 형태로 여겨진다. 경건왕 루트비히 황제의 사망 이후 벌어진 내전 (840년–843년)이 끝난 뒤, 카롤링거 제국은 독립성을 띤 왕국들로 분열되었는데, 여전히 한 명의 왕이 황제로 인정되나 자신들의 왕국 밖으로 나가면 권한이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제국의 통일성과 카롤링거 출신들의 상속권에 대한 인정은 계속되었다. 884년에, 뚱보왕 샤를이 마지막으로 모든 카롤링거 왕국들을 하나로 통일시켜냈으나, 그는 888년에 사망하였고 제국은 즉시 분열됐다. 카롤링거 왕조의 유일한 적법한 남자가 아이인 가운데, 동부 지역의 경우에 귀족들은 카롤링거 왕조 밖 또는 카롤링거의 서출을 왕으로 선출시켰다. 서출계 혈통은 동부에서 911년까지 지배를 계속한 한편, 서부에서는 적출계 카롤링거가 898년에 다시 들어서서 922년부터 936년까지의 공백기를 빼면 987년까지 다스렸다. 시작 시기의 제국 크기는 대략 으로, 인구는 1,000만과 2,000만 사이었다. 제국의 중심부는 루아르강과 라인강 사이의 프랑키아로, 왕궁의 핵심 거처인 아헨이 위치해 있었다. 제국의 남쪽으로는 피레네산맥이 지나갔고 코르도바 토후국과 영토를 맞대고 있다 824년 이후로는 팜플로나 왕국과 영토를 마주했다. 북쪽으로는 데인족들의 왕국과, 서쪽으로는 얼마 안 있어 종속국이 된 브르타뉴와, 동쪽으로는 슬라브족과 아바르족과 경계를 이뤘는데, 아바르족 같은 경우 결국에 제국에 패하여 영토로 흡수되었다. 이탈리아 남부에 대한, 카롤링거 왕조의 영유권은 비잔틴인 (그리스인)과 베네벤토 대공국의 랑고바르드 왕국계 잔존 세력들과 분쟁에 있었다. "카롤로스 제국" 혹은 "카롤링거 제국"이라는 용어는 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동시대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제국 내 공용 언어는 라틴어였다. 제국의 이름은 universum regnum (지역 왕국들과 대조되는 "전[全] 왕국"), Romanorum sive Francorum imperium ("로마인들과 프랑크인들의 제국"), Romanum imperium ("로마 제국"), 또는 imperium christianum ("기독교 제국") 등 다양하게 일컬어졌다. = = 역사 = = = = = 카롤링거 왕조의 부흥(732년경–768년) = = = 샤를 마르텔이 왕 (그의 아들인 피핀 3세가 그랬듯이)이나 황제 (손자인 샤를마뉴가 그랬듯이)의 지위를 가지지 않기로 했지만, 그는 피레네산맥 이북의 오늘날 서유럽 대륙의 사실상 완전한 통치자로 있었다. 그가 부분적으로 점령하기도 했던 색슨족들의 잔존 왕국들과, 롬바르디아 지방, 피레네 이남의 마르카 히스파니카 지역들만이 그의 사후에 프랑크 왕국들에 추가된 지역들뿐이었다. 마르텔은 732년 투르 전투에서 무슬림 군대에 맞서 기독교 유럽을 방어하면서 역사에 자신의 자리를 굳혔다. 이베리아의 사라센인들은 베르베르족들의 경기병들을 아랍의 중무장 기병들에 더해 결코 패하지 않았던 강력한 군대를 만들었다. 한편 기독교 유럽 군대는 등자라는 강력한 도구의 부족을 겪었다. 이 시기에, 샤를은 '마르텔' (Martel, 망치)라는 별칭을 얻었다. 로마 및 그 이후에 대한 역사가인 에드워드 기번은 샤를 마르텔에 대해 "그의 시대 최고 대공"이라 칭하였다. 피핀 3세는 741년경에 교황 자카리아의 왕 임명을 받아들였다. 샤를마뉴의 통치는 768년에 피핀이 사망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형제와 함께 아버지의 왕국을 공동 상속하면서, 형제인 카롤만의 사후 뒤에는 왕국 전체를 지배했다. 샤를마뉴는 800년에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 = = 샤를마뉴 통치기 = = = 샤를마뉴 통치기 카롤링거 제국은 로마 제국이 그랬던 것처럼 서유럽 대부분을 차지했다. 토이토부르크숲의 재앙 (서기 9년)으로 인해 20년도 안 되어 중단된 로마인들의 라인강과 엘베강 사이에 대한 진출과는 달리, 샤를마뉴는 게르만족의 저항을 제압하고 왕국을 엘베강까지 확장시켰고, 지속적으로 러시아 스텝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샤를마뉴의 통치는 매년 군사 원정에 참여하는 등 거의 끊임없는 전쟁에 연속이었고, 상당 수 그가 직접 전쟁을 이끌었다. 그는 774년에 랑고바르드 왕국을 제압시키고 '랑고바르드의 왕'이라 자칭하며 이들을 자신의 왕국으로 병합시켰다. 그는 이후 778년에 실패로 끝나고 만 스페인 원정을 이끌었으며, 이 원정은 론스보 전투로 종전되었는데, 이 전투는 샤를마뉴의 최대 패배로 여겨진다. 그는 그 뒤로 794년에 바이에른 공작 타실로 3세에게 그가 가진 바이에른에 대한 지위를 포기하도록 하면서 영토를 바이에른으로 늘렸다. 아들인 피핀은 샤를마뉴가 색슨족의 반란 문제를 다룸에 따라 795년에 아바르족들에 대한 원정 명령을 받았다. 마침내 아바르족 부족 연합은 샤를마뉴가 판노니아로 바이에른 군대를 보낸 뒤인 803년에 해체되고 말았다. 그는 또한 772년부터 804년까지 지속된 전쟁 및 반란 진압 중에 색슨족 영토를 정복하였으며 이러한 와중에 782년의 베르덴 대학살과 802년의 색슨법 재정 등이 있었다. 샤를마뉴가 죽기 앞서, 카롤링거 제국은 카롤링거 왕조의 다양한 인물들한테 분열되었다. 이 인물들에는 네우스트리아를 받은 샤를마뉴의 아들인 소 샤를, 아키텐을 받은 경건왕 루이, 이탈리아를 받은 피핀 등이 있었다. 피핀은 810년에 서출인 베르나르도를 두고 사망했고, 샤를은 후계자를 두지 못하고 811년에 죽고 말았다. 베르나르도가 피핀에게 이탈리아의 왕 지위를 승계했음에도, 루이는 813년에 공동 황제가 되어, 제국 전역이 814년에 샤를마뉴의 죽음과 함께 그에게 넘어갔다.Joanna Story, Charlemagne: Empire and Socie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 = = 경건왕 루이의 재위와 내전 (814년–843년) = = = 황제로서 경건왕 루이의 재위는 예견되지 않은 것이었는데, 샤를마뉴의 삼남이었던 루이는 본래 세 살 나이에 아키텐의 왕위에 올랐다. 그의 형들이 사망하면서, 그는 "왕이 된 소년에서 황제가 될 인물"이 되었다. 그의 재위가 대부분 왕조의 분쟁 및 끊임없는 내전이 드리워져 있지만, 그의 별칭이 말하듯이 그는 종교 문제에 대단히 관심이 많았다. 그가 맨 처음으로 한 일 중 하나가 주로 교회들을 복구하며 '법과 그의 독실한 신앙심으로 사람들을 다스리는 것'이었다. "천문학자"가 말하길, 아키텐 왕 시절에, 그가 "낭독과 낭송 학문을 한층 드높였고, 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세속 및 종교적 문서들을 이해했다"라고 하였다. 그는 또한 재위 이전에 사라진 많은 수도원들을 복구하는 데 대단한 노력을 들였고, 또한 새로운 수도원을 짓는 데에도 후원을 하였다. 경건왕 루이의 재위는 안정성이 부족했다. 그는 자주 제국의 통치권을 유지하는 데 투쟁을 해야만 했다. 샤를마뉴의 사망 소식을 듣자마자, 그는 아헨으로 재빨리 이동해 왈라같이 여러 샤를마뉴가 신뢰한 조언자들을 추방시켰다. 왈라와 그의 자식들은 샤를 마르텔의 막내 아들의 후손들이었고, 잠재적인 왕가를 대체할 가문으로서 위험 요소였다. 이들의 수도원으로 추방이 그의 지위를 강화시키고 잠재적 경쟁 상대를 제거하는 데 그의 재위 초기에 많이 사용한 전략이었다. 817년에 그의 조카인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도 국왕이 루이의 장자인 로타르의 가신이 되는 것에 불만을 품고 그에게 반기를 들었다."Revolt of Bernard of Italy",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Series volumes 1-5, Plantagenet Publishing 이 반란은 루이에게 빠르게 진압됐고 818년 무렵에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도는 붙잡혀 처벌을 받게 되었는데 이 처벌은 눈을 멀게 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후유증으로 이틀 뒤에 사망하고 말았다. 이탈리아는 제국의 지배 하에 다시 놓이게 됐다. 822년에 베르나르도의 죽음에 대한 루이의 행위는 귀족들에게 황제로서 그의 권위를 대단히 떨어트리게 했는데 일부는 그에게 '서임권' 문제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817년에 루이는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아들들에게 새로운 카롤링거 왕위 세 개를 설치해주었는데 로타르는 이탈리아의 왕이자 공동 황제가 되었고, 피핀은 아키텐의 왕이 되었고, 독일인 루트비히는 바이에른의 왕이 되었다. 823년에 유언을 통해 대머리왕 카를을 넷째 아들 (재혼을 통해 태어남)로 들이려는 시도는 카를의 형들의 저항에 마주쳤다. 이것이 루이의 아들들 사이에 불화의 이유 중 하나가 된 것과 동시에, 일부는 로타르와 불화가 있던 고관인 셉티메니아의 베르나르가 사주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로타르는 829년에 공동 황제직을 회수당하고 이탈리아 왕위도 뺏겼으며 (이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천문학자는 '루이가 로타르를 이탈리아로 돌려보내기 위해 자리를 뺏었다' 고 간단히 설명한다.) 베르나르는 황제 다음의 직위에 올랐다. 베르나르가 황제뿐만 아니라 황후에게도 영향력이 있음에 따라, 추가적인 갈등이 유력한 귀족들 사이에 형성되었다. 루이의 차남인 피핀 역시도 불만을 품었는데 그는 827년에 군사 원정을 진두지휘했으나 실패하였고, 그는 아키텐의 통치에 있어 아버지의 고압적인 개입에 진절머리가 났다. 이에 따라, 성난 귀족들은 피핀을 지지했고, 830년 사순절에 내전이 발발하여, 루이의 재위 기간 말년은 내전으로 고통받았다. 부활절이 지나자마자, 그의 아들들은 루이의 제국을 공격했고 로타르를 지지하며 아버지를 폐위시켰다. 천문학자는 루이가 '이름만 황제인채' 아들에게게 구금되어 여름을 지냈다고 하였다. 다음 해에 루이는 상속 계획을 바꾸며 그의 아들들의 왕국을 공격했다. 루이는 네우스트리아를 피핀에게 주었고, 로타르의 지위를 빼앗은 다음에 이탈리아 왕국을 카를에게 주었다. 832년의 또 다른 분할은 피핀과 게르만인 루트비히를 완전히 배제하고,로타르와 카를을 왕국의 단독 후원자로 만들어, 이를 통해 피핀과 게르만인 루트비히가 같은 해에 봉기을 일으키도록 촉발시켰으며, 뒤이어 833년에 로타르와 함께 이들은 경건왕 루이와 카를을 감금하였다. 로타르는 중재를 구실로 하여 로마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4세를 데려왔으나, 그가 의도한 교황의 목적은 루이를 폐위시키고 파문함으로써 로타르와 그의 형제들을 합법화시키는 것이었다. 835년경에, 평화 조약이 이 가족들 사이에 이뤄졌고, 루이는 메츠의 성 스테판 교회에서 황제 자리에 복위되었다. 838년에 피핀이 죽자, 루이는 카를을 아키텐의 왕으로 즉위시켰고, 반면 아키텐의 귀족들은 피핀의 아들 피핀 2세를 왕으로 즉위시켰는데, 이 분쟁은 860년에 피핀이 사망할 때까지 봉합되지 않았다. 경건왕 루이는 840년에 마침내 사망했고, 로타르는 분할에 관계없이 제국 전체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이 결과로, 카를과 게르만인 루트비히는 로타르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하였다. 퐁트누아 전투에서 패한 뒤, 로타르는 아헨으로 달아나 새로운 군대를 양성하였는데 이들은 동생들의 군대보다 질이 좋지 못했다. 스트라스부르 서약으로, 842년에 카를과 루트비히는 루트비히가 황제에 적합하지 않다고 선포하였다. 이 사건은 베르됭 조약까지 루트비히와 카를 간의 카롤루스 제국의 동서 분할을 명확히 했다. 유럽 역사에 있어 중대 사건으로 여겨지는, 스트라스부르 조약은 프랑스와 독일의 탄생을 상징한다. 카롤링거 제국의 분할은 마침내 843년경에 베르됭 조약으로 경건왕 루이의 세 아들들 간에 합의가 이뤄졌다. = = = 베르됭 조약 이후 (843년–877년) = = = 로타르는 황제 지위, 이탈리아 왕위, 중프랑크 왕국이라 한데 묶이는 라인강과 론강 사이의 영토을 받았다. 루트비히는 라인강 동쪽과 이탈리아 북동쪽에 해당하는 모든 영토에 대한 왕위를 부여받았는데, 이 영역은 동프랑크 왕국이라 불리며 현대 독일의 전신에 해당한다. 카를은 론강 서부의 모든 영토를 받았으며, 이곳은 서프랑크 왕국이라 불린다. 로타르는 장자인 루도비코 2세에게 844년에 이탈리아 왕위를 양위하였고, 850년에는 그를 공동 황제로 지명했다. 로타르는 영토를 세 영역으로 분리하고 855년에 사망했는데 루도비코가 이미 지니고 있던 영토는 그의 것이 되었고, 옛 부르군트 왕국의 영역은 삼남인 부르군트의 샤를에게 부여됐으며, 전통적 명칭이 없었던 남은 지역은 차남인 로타르 2세의 것이 되었는데 이 영역은 로타링기아로 불렸다. 아버지가 죽을 때 추가 영토를 받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은 루도비코 2세는 858년에 형제인 로타르 그리고 숙부인 대머리왕 샤를에 맞서 숙부인 독일인 루트비히와 동맹을 맺었다. 로타르는 얼마 안 되어 형제와 숙부와 분쟁을 해결했다. 샤를은 침공에 맞서 군대를 소집할 수 없을 정도로 인기가 없었고 부르군트로 달아났다. 그는 주교들이 독일인 루트비히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거부하고 나서야 몸을 보호할 수 있었다. 860년에, 대머리왕 샤를은 부르군트의 샤를을 공격했으나 격퇴당하고 말았다. 로타르 2세는 아내와의 이혼에 대한 지지를 대가로 862년에 루도비코 2세에게 영토를 양도했는데, 이는 교황과 그의 숙부들 간의 반복된 분쟁들을 야기했다. 부르군트의 샤를은 863년에 사망했고, 그의 왕국은 루도비코 2세가 상속하였다. 로타르 2세는 적자를 두지 못한 채 869년에 사망했고, 그의 왕국은 대머리왕 샤를과 독일인 루트비히가 870년 메르센 조약으로 갈라 가져갔다. 한편, 독일인 루트비히는 세아들과 분쟁에 휩싸였다. 루도비코 2세는 875년에 사망했고, 독일인 루트비히의 장자인 카를로만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교황의 지지를 받은 대머리왕 샤를은 이탈리아의 왕 및 카를로스 제국의 황제로 즉위했다. 다음 해에, 독일인 루트비히가 사망했다, 샤를은 마찬가지로 그의 왕국을 흡수하려 했으나 안더나흐에서 결정적 패배를 했고, 동프랑크 왕국은 소 루트비히, 바이에른의 카를로만, 비만왕 카를 등에게 분할됐다. = = = 쇠퇴 (877년–888년) = = = 대머리왕 샤를이 죽은 뒤, 카롤루스 제국은 북쪽과 서쪽에서 바이킹들의 침입에 놓였고 이탈리아에서 발트해, 동쪽에서는 헝가리에서 서쪽으로는 아키텐까지 내부 갈등에 직면하였다. 대머리왕 샤를이 몽스니를 지나가다 사망했고, 서프랑크의 왕 자리를 그의 아들 말더듬이 루이가 계승했으나 황제 직위는 상실하고 말았다. 말더듬이 루이는 몸이 약했고 2년 뒤에 죽고 말았으며, 그의 왕국은 두 아들들에게 분할되었는데 루이 3세는 네우스트리아와 프랑키아를 가져갔고 카를로만은 아키텐과 부르군트를 차지했다. 이탈리아 왕국은 최종적으로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에게 주어졌으나, 뇌졸중으로 이탈리아를 그의 동생인 뚱보왕 샤를에게 바이에른은 작센의 루트비히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또한 879년에, 빈의 보소는 프로방스에 저지 부르군트 왕국을 세웠다. 881년에, 뚱보왕 샤를은 황제로 즉위했고 작센의 루트비히와 프랑키아의 루이 3세는 다음 해에 사망했다. 작센과 바이에른은 뚱보왕 샤를의 왕국에 통합되었고, 프랑키아와 네우스트리아는 아키텐의 카를로만에게 주어졌는데 그는 또한 저지 부르군트를 정복하기도 했었다. 격동적이고 불안정한 치세를 보낸 카를로만은 884년에 사냥 중에 사고로 죽고 말았고, 그의 영토는 뚱보왕 샤를이 상속하여 사실상 샤를마뉴의 제국이 재건되었다. 뇌전증으로 생각되는 병을 앓던 샤를은 바이킹 약탈자들한테서 왕국을 지켜낼 수 없었고 886년에 파리에서 이들의 철수를 돈으로 산 뒤 그는 궁정에서 비겁하고 무능한 자으로 여겨졌다. 다음 해에 바이에른의 카를로만 왕의 서출이자 그의 조카인 케른텐의 아르눌프가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에 맞서기보다는, 샤를은 나이딩겐으로 달아나 다음 해인 888년에 사망하면서, 제국의 분열과 계승 문제를 남기고 말았다. = = = 제국의 분할 = = = = = = = 887–88년의 분할 = = = = 카롤루스 제국은 분열되었다. 아르눌프는 케르텐, 바이에른, 로트링겐, 현재의 독일 지역을 점유했고, 파리의 외드는 서프랑크(프랑스)의 왕으로 추대되었으며, 라눌프 2세는 아키텐의 왕이 되었고, 이탈리아는 프리울리의 베렌가리오에게 주어졌고, 고지 부르군트는 루돌프 1세에게, 저지 부르군트는 저지 부르군트의 왕인 아를의 보소의 아들이자 루트비히 2세 황제의 외손인 맹인왕 루트비히에게 넘어갔다. 로타링기아의 나머지 영토는 부르고뉴 공국이 되었다. = = 인구 = = 중세 초기 당시 인구학은 대표적으로 어려운 분야이다. 크리스 위컴은 저서 'Framing the Early Middle Ages'에서 중세 초 인구에 관하여 신뢰할 만한 통계 자료가 현재는 없다고 하기도 했었다. 그럼에도 가장 그럴싸한 것은 카롤루스 제국의 대부분의 도시가 동일 시기 로마에서 측정된 20–25,000명을 넘지 못 했다. 제국 전역에서, 인구가 서기 750년부터 850년까지 점진적으로 늘어났다. 1,000만에서 2,000만 명의 수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 측정치는 제국의 규모와 이론 상의 인구 밀도를 기반으로 가정된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에 티모시 뉴스필드는 인구 팽창에 대한 생각에 의문을 재기하며, 이 이전 시기인 서기 541년-750년에 반복적인 질병의 영향을 감안하고 이들이 카롤링거 시기 유럽의 잦은 기근을 무시한 것에 대해 학자들을 비판하였다. 그린란드의 빙하코아 샘플인 'GISP2' 같은 기후 프록시를 사용한 한 연구에서 얼마 안 가 혹독한 겨울이 몇번 발생하기는 했지만, 카롤루스 제국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였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졌다. 동시에 카롤루스 제국의 인구에 이러한 발견 요소들이 미치는 영향은 파악하기 어렵다. = = = 민족성 = = = 카롤링거 제국의 민족성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이 한정적이다. 그럼에도, 카롤루스 제국은 프랑크인, 알레만니인, 바이에른인, 튀링겐인, 프리슬란트인, 랑고바르드인, 고트인, 로마인, 켈트인, 바스키인, 슬라브인 등 같은 주요 민족 집단들이 거주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민족성이란 이 시기의 여러 신원 확인을 위한 여러 방식 중 하나일 뿐이고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 힘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방식일 뿐이었다. 여러 지역 및 민족적 정체성들이 유지되어 이후에는 정치적 역할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다. 법률에 있어서, 민족적 정체성은 어느 민족들에게 어느 법률을 적용시키는 걸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나, 이런 방식들은 다소 유동적이었기 때문에 민족성에 대한 명확한 표현은 아니었다. = = = 성별 = = = 카롤루스 시대 재산 조사 및 폴리프티카 등에서 비롯한 증거 자료들은 여성의 기대 수명이 이 시기에는 남성보다 낮았음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이는 기록 편향에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 = = 정부 = = 카롤루스 제국의 정부, 행정, 조직은 800년경 샤를마뉴의 궁정에서 형성됐다. 이 해에 샤를마뉴는 황제가 되었고 새로운 직위에 걸맞게 현존하는 행정 체계를 개선하였다. 아헨에서 이뤄진 이 정치 개혁은 남은 중세 시기 서유럽 지역의 정치적 정의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옛 메로빙거의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카롤링거의 개선은 강력해진 중앙 통제, 효율적인 관료 체계, 정부 책무성, 문화 부흥 등에 있어서 역사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카롤루스 제국은 로마의 멸망 이래로 서방에서 가장 거대한 영토였으나, 역사가들은 카롤루스 제국 황제들의 영향력과 통제력의 정도에 있어서 의문감을 표하고 있다. 법률적으로, 카롤링거 제국의 황제는 소유하고 있는 모든 영토에 대한 지배와 통제권인 '반눔'을 행사하였다. 또한, 황제는 재판 문제에서 최고 재판권을 지녔고, 법을 제정하며, 군대를 지휘하고, 교회와 빈자들을 수호하였다. 황제의 행정권은 자신을 주변으로 왕국, 교회, 귀족을 구조화시키려 했으나, 이에 대한 유용성은 가신들의 충성, 지지, 능률에 직접적으로 의존되었다. = = = 군사 = = = 샤를 마르텔의 취임과 작센족(색슨족)과의 전쟁 종결 사이 거의 매년 프랑크의 군대는 종종 적의 영토로 군사 활동 및 원정을 벌였다. 여러 시기 샤를마뉴는 부활절 시기에 군대를 소집하여 일반적으로 여름에 실시될 군사 활동을 벌였는데 이는 여름 때 야전군을 위한 충분한 공급을 마련하기 위한 것일 거이다. 샤를마뉴는 모든 소집 병사들이 무기를 소지 및 가져올 것을 요구하는 법규를 통과시켰는데 부유한 기수들은 갑옷을 마련하여 가져와야만 했고, 가난한 자들은 방패와 창을 챙겨야 했고, 수레를 모는 자들은 활과 화살을 챙겨야만 했다. 규정에 따라, 병사들은 특정 장소에 도달하기 전까지 식량을 전부 먹어치우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고, 수레는 세 달 치의 식량과 여섯 달 치의 관련된 장비를 비롯해 무기 및 의류를 실어야 했다. 종심방어 체계 대신에 기동성에 대해 우선을 두었는데, 점령된 요새 시설은 보통은 파괴되어 장래에 카롤링거 왕조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하였다. 800년 이후 그리고 경건왕 루이 치세 때, 확장에 대한 노력은 줄어들었다. Tim Reuter는 루이 치세 많은 군사적 노력들이 대부분 방어 목적이었고 외부 위협에 대한 대응이었음을 증명하였다. 카롤루스 왕조의 군사적 성공이 730년대에 샤를 마르텔이 조직한 기병 전력의 사용을 바탕으로 한다는 평가가 오랜 기간 계속되고 있다. 그렇지만, '기병 혁신'이 카롤루스 시대에 이르거나 샤를마뉴 재위에 발생한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등자는 8세기 말까지 프랑크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고 따라서 말을 탄 병력들은 공격할 때만 검과 랜스를 쓰고 돌격할 때는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카롤루스 제국의 군사적 성공은 주로 공성술과 뛰어난 작전 시행에 의존했었다. 그럼에도, 많은 수의 말들이 샤를마뉴 시대에 프랑크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됐다. 이는 말들이 병사들을 먼거리를 빠르게 운송해주었기 때문이며, 이런 점은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카롤루스 군대에 있어 말의 중요성은 프랑크 왕가의 연감을 통해 나타나 있다. 연감은 샤를마뉴가 791년에 군사 원정 중에 있었고 이때 말들에게 역병이 일어나 [...] 겨우 수만 마리 중에 10분의 1만이 살아남았다고 전한다. 말의 부족은 카롤루스 제국의 군대가 판노니아의 아바르족과의 전쟁을 이어나가는 걸 방해하는 데 일조했다. = = = 궁전 = = = 이 시대의 모든 서유럽 왕국들의 전형적인 특징이 순회 궁전이었고, 따라서 카롤루스 제국에는 영구적인 수도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일부 궁전들은 중앙 행정의 거점들로 구분된다. 샤를마뉴는 재위 초에 아헨 (; )으로 향했다. 그는 780년대 그곳에 궁전을 짓기 시작했으며 본래 계획은 곧장인 768년에 건설을 착공했을 예정으로 여겨진다. 796년에 지어진, 궁전의 채플은 후대에 아헨 대성당이 되었다. 아헨에서 건설 작업이 계속되던 790년대 동안 샤를마뉴의 아헨 궁전은 770년대에 비해 한층 더 행정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는데 770년대에는 궁전이라는 것이 전쟁 중에 있던 막사에 세워지곤 했었다. 아헨이 영구적 수도로서 분명하게 의도된 것이 아니었기에 이 궁전은 귀족 및 성직자들 위한 회의 장소로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샤를마뉴 왕국의 정치적 심장부에 지어졌는데 이를 통해 이곳에서 후원이 이뤄지고, 자문단이 소집되고, 법이 입법되고, 심지어는 신학자들이 연구 목적으로 모이기도 했었다. 아헨은 또한 수행원 및 성직자 같은 이들이 제국 전역에서 수집한 정보 및 소문들의 집합 장소이기도 했다. 물론, 샤를마뉴 말년까지 아헨의 왕궁이 정부의 중심지이기는 했지만, 그의 궁전은 자주 옮겨졌고 프랑크푸르트, 잉겔하임, 네이메헌 등에 있는 왕궁도 사용되었다. 이런 왕궁의 사용 방식은 여러 카롤루스 왕조의 통치자들의 재위 내내 카롤루스 궁전에서 사용된 왕궁 정부 체계의 시작에 대한 계기였을 것이다. Stuart Airlie는 카롤루스 왕조 영토 전역에 150개가 넘는 궁전이 궁정 활동을 위한 환경을 제공했을 것이라 시사했다. 왕궁들은 단순히 행정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샤를마뉴 시기에 왕궁의 이점은 정복으로 쌓아올린 부를 상징적인 행정 시설뿐만 아니라 왕조의 권위를 알리기 위한 전환에 있었다.아인하르트는 이른 바 '공공 시설물들'의 건축이 샤를마뉴의 위대함에 대한 증거이자 이전 황제들과의 유사성이며 이러한 연관성은 분명하게 왕궁의 장식에 대한 형상화에 의해 이용되었다라고 주장하였다. 잉겔하임은 이러한 상징성과 이에 따른 단순히 국가 경영에 그치지 않은 왕궁 체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특별한 예이다. 잉겔하임 왕궁의 채플 '성서에서의 표현과 관련되어 있고' 왕궁의 홀은 고대의 통치자들과 더불어 샤를 마르텔, 피핀 3세 등 카롤루스 왕조의 통치자들을 포함한 '위대한 왕들의 행위를 기념하는 그림들'로 장식되어 있다' 고 한다. 경건왕 루이는 아키텐 왕으로 재위하던 때 샤를마뉴와 동일한 효과로서 왕궁 체계를 사용했으며 아키텐에 있는 동안 겨울 왕궁을 네 개나 돌려 사용했다. 황제 시절에 그는 아헨, 잉겔하임, 프랑크푸르트, 마인츠를 사용했는데 이곳들은 거의 항상 '896–928년 기간 한 해에 2번 혹은 3번 총회의가 개최되는...' 동일한 장소였고 그가 자유롭지 못한 지배자이던 시절, 이때 재위 기간은 분명하게 더 정적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런 방식에 있어서 이 왕궁 체계는 통치 방식의 연속성이라는 도구로서도 볼 수 있다. 카롤루스 제국의 분열 이후에도 이 왕궁 체계는 콩피에뉴를 중심으로 하던 용맹왕 샤를과 더불어 후대의 카롤링거 지배자들이 계속 사용했으며 콩피에뉴의 왕궁 채플 같은 경우에는 877년에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고, 일부는 아헨의 성모 예배당과의 연속성에 대한 흔적이라고도 한다. 독일인 루트비히의 경우, 프랑크푸르트가 그만의 신(新)아헨으로 여겨지고 알자스 셀레스타에 있는 비만왕 샤를의 왕궁은 특히나 아헨 왕궁을 모방하여 설계됐다. 카롤루스 제국의 중앙 행정 및 통치 방식을 위한 이 왕궁 체계의 대한 개념에 대해서 역사가 F. L. Ganshof는 의문을 제기하였는데, 그는 카롤링거의 왕궁들은 “동시대 비잔티움 황제들이나 바그다드의 칼리프들의 왕궁들처럼 사용 가능한 특별화된 업무 및 부서들에 있어 유사점이 없다"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Matthew Innes, Rosamond McKitterick, Stuart Airlie 등의 카롤루스 왕조 관련 역사가들의 연구 내용들에서는 왕궁들의 사용이 카롤루스 왕조 통치의 혁신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하였고 Janet Nelson은 "왕궁들은 권력이 발산되고 행사되는 장소"라고 주장하였고 카롤루스 왕조의 행정, 학문, 정통성에 있어서 왕궁들의 중요성은 폭넓게 논의되고 있다. = = = 왕실 = = = 카롤루스 왕가는 자신들이 좋은 정부임을 확실시키기 위해 왕국 이곳저곳을 움직이며 지방고정된 형태가 아니었고 (802년경까지) 소재지에서 유지되었다. 왕가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던 자들에는 사제 (왕국의 모든 교회 업무들에 대한 책임자), 그리고 왕가에 대한 최고 책임권을 가진 궁정백이 있었다. 또한 시종, 청지기, 마굿간지기 등 좀 더 작은 책임자들도 포함되었다. 때로는 카롤루스 왕가가 직접 군대를 이끌기도 했다 (786년에 청지기가 브르타뉴인들에 대한 원정을 이끔). 추정상 사제와 왕가 예배당 간의 관련이 있는 것은 서기단의 수장인 서기장이다. 여기서 만든 문서들은 초보적인 것이었고 대부분 토지 계약과 관련이 있었다. 피핀이 40개, 경건왕 루이가 350개인 것과 대조적으로 샤를마뉴 시기에는 262개의 문서들이 남아 있다. = = = 관료 = = = 지방에서 카롤루스 제국의 권위를 행사하는 주요 관료 3개가 있었다: 코메스는 백국을 관리하기 위해 샤를 마르텔이 임명한 이들이다. 카롤루스 제국 (바이에른 제외)은 110개에서 600개의 백작령으로 나뉘었는데, 이 각각의 백작령은 코메스의 대리들이 관리하는 켄테나이(Centenae)로 나뉘었다. 처음에 코메스들은 샤를 마르텔이 파견한 왕족 출신들이었으나 802년경 이후로는 지방 출신의 주요 인사들이었다. 이들은 재판, 법령 행사, 군사 징집, 세금 징수, 도로 및 교량 유지 등의 업무를 책임졌다. 이들은 기술적으로는 왕한테서 신분을 박탈당할 수 있었으나 많은 자리들이 세습직이 되었다. 또한 이들은 때로는 부패하기도 했으나 프리울리의 에리크 백작을 예시처럼 대부분은 모범적이었다. 지방의 총독들이 결국에는 일부 백작들을 감독하는 이들이 되었다. 미시 도미니키는 본래 임시적으로 임명되는 직위이며, 802년의 개혁으로 상설직이 되었다. 이들은 두 명이 짝을 이루어 파견되었다. 한 명은 세속 업무를 맡고 나머지 한 명은 교회 임무를 띠었다. 고위직에 속한 이들의 지위는 뇌물 수수의 유혹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려는 장치로 생각된다. 이들은 1년에 네 차례 순례를 떠났고, 한 번 갈 때마다 한 달은 계속됐으며, and 왕가의 뜻, 알려진 법령을 전파하고, 재판을 심리하며, 이따금 군대를 징집하는 업무를 맡았다. 바시 도미니키는 왕의 봉신들로 보통은 '특권'을 지니고 왕의 군대 내에서 군대를 형성하는 강력한 이들의 아들로 이뤄졌다. 이들은 또한 임시 임무도 수행했다. = = = 법률 체계 = = = 780년경 샤를마뉴는 사법 관련 지방 체계를 개혁하였고 법률 관련 전문가들인 '스카비니'(scabini)를 창설했다. 모든 법정은 모든 국내법을 알고 있어야만 했던 이 스카비니 일곱 명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모든 이들이 국내법에 따라 재판을 받을 수 있었다. 재판관들은 뇌물을 받는 것이 또한 금지되었고 사실을 확립하기 위해 증언된 심리를 사용해야만 했다. 802년에, 모든 법들이 성문화되었고 개정되었다(살리카법 역시도 798년과 802년에 개정되었는데, 아인하르트는 29절에서 이것 역시도 불완전했다고 인정했다). 재판관들은 살리카 법전과 리푸아리아법전의 사본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 = = 주화 = = = 주화는 로마 제국과 깊은 관계성을 지니고 있으며, 샤를마뉴는 그는 그의 다른 제국의 의무와 함께 주화에 대한 규정을 정하였다. 카롤링거의 지배자들은 은화의 구성과 가치를 조절하며 왕국의 은화를 통제하였다. = = = 구획 = = = 프랑크 왕국은 샤를마뉴를 통해 행정의 용이성을 위해 세 개의 별도 지역으로 나뉘었다. 이 지역들은 프랑크 왕국의 내부 심장부 (아우스트라시아, 네우스트리아, 부르군트)로 미사티카 (missatica) 체계와 순회 왕가를 통해 직접적인 지배 하에 놓였다. 이 중심부 밖은 '레그나'(regna)로 프랑크 행정 당국이 백작들에게 의지하는 곳이며, 레그나 그 밖은 변경 지역이며 강력한 총독들의 지배를 받는 곳이었다. 이 변경 지역 군주들은 브르타뉴, 스페인, 바이에른에 있었다. 샤를마뉴는 또한 아키텐과 이탈리아에 두 개의 소 왕국을 만들었으며, 이 각각은 그의 아들인 루트비히와 피핀이 다스렸다. 바이에른은 또한 자치를 인정받은 총독인 바이에른의 게롤트가 796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의 지배 하에 있었다. 샤를마뉴가 이 지역들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가짐과 동시에 이 지역들은 자체적인 재판소 및 화폐제조 시설을 갖추는 등 상당한 자치를 누렸다. = = = 플라티쿰 제네랄리스 = = = 1년 정기 회의인, 플라티쿰 제네랄리스(Placitum Generalis)는 왕이 지정한 장소에서 매년 개최됐다 (3월과 5월 사이). 세 가지 사유 등으로 소집되었는데, 군사 작전을 위해 프랑스 군대를 소집하기 위해서, 프랑크 왕국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그리고 교회적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 법률을 제정하고 재판을 하기 위해서 등이었다. 모든 중요한 인사들이 이 회의에 참석해야 했고 따러서 샤를마뉴에게는 그의 뜻을 알리는 중요한 방식이었다. 본래 이 회의는 효율적으로 작동했으나 시간이 흘러 단지 토론 및 귀족들이 그들의 불만을 표현하기 위한 장이 되고 말았다. = = = 맹세 = = = 충성의 맹세는 샤를마뉴가 그의 모든 신하들로부터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르면 779년부터 그는 다른 자들끼리 맹세를 하는 걸 금지시켰고 이에 따라 모든 이들은 그에게만 충성의 맹세를 할 수 있었다. 789년에 (786년의 반란에 대한 대응으로) 그는 모든 사람들이 왕으로서 그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하는 법을 제정하였으나 802년에 그는 맹세를 대대적으로 늘려 12세가 넘는 모든 이들이 자신에게 맹세를 하게끔 하였다. = = = 법령집 = = = 법령집은 8세기와 9세기 동안 카롤링거 왕조 왕들이 자문회들과의 협의 중에 내린 결정들에 대한 기록물이다. 법령집의 명칭인 'capitulare'는 장(章)을 의미하는 라틴어 'Capitula'에서 유래했고 장의 방식으로서 쓰여진 기록들을 나타낸다. 이 기록물들은 Sören Kaschke가 일컫길 8세기와 9세기 프랑크 제국의 통치 방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료라고 여겨졌다. 법령집의 사용은 카롤링거 시대 왕들과 속주들 간의 접촉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다. 법령집의 내용들은 왕실 예법, 특정 관료들에 대한 지시 사항, 세속 및 교회 문제 등에 대한 자문회의 전달 사항, 법령에 대한 추가 및 개정 등을 포함해 방대한 주제를 담고 있다. 주요 증거물들은 법령집이 필사되어 샤를마뉴 제국 전역에 배포되었음을 보여주나, 법령집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증거물이 불충분하고 제국 전역에 실제로 행해졌는지에 대해서도 충분하지 못하다. 샤를마뉴가 점차 활동성이 적어지게 되며, 법령집의 양은 크게 늘었는데, 이는 798년의 대권고문(Admonitio generalis) 이후에 특히나 분명해졌다. 법령집의 목적을 두고 논쟁들도 존재한다. 몇몇 역사가들은 법령집이 '왕가의 희망집'에 불가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다른 이들은 중앙집권화된 국가의 기반을 나타내는 것이라고도 한다. 법령집은 보통 세속 순찰사와 교회 순찰사 등으로 짝을 맞추어, 카롤링거 왕국을 주변으로 순회하는 왕가의 인물들인 순찰사들에게 사용되었으며, 순찰사들은 민중들이 모인 집회에서 최신 법령집의 사본을 발표하였다. 순찰사들은 또한 복잡한 지역 문제들을 다루는 다른 일을 하기도 했으며 법렵집 및 샤를마뉴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것과 관련 성공을 거두는 데 중요했다고 언급될 수 있다. 샤를마뉴 치세의 유명 법령집에는 다음이 있다: 779년 허스탈 법령집: 교회 및 세속 주제를 다루며, 십일조를 내는 대한 중요성, 주교의 역할, 샤를마뉴 제국 이후에 군대를 양성하는 것에 대해 불관용을 언급한다. 789년의 대권고문: 샤를마뉴 시기 가장 영향력 있는 법령집 중 하나. 80개가 넘는 장으로 구성되며, 종교와 관련한 여러 법령을 포함한다. 794년 프랑크푸르트 법령집: 양자론 및 성상파괴운동에 대해 반하는 언급을 한다. 802년 계획 법령집: 사회에 있어 커져가는 시각을 보여준다. 814년 유대인에 대한 법령집: 상업 및 대부업에 유대인들이 종사하는 것에 대한 금지를 기술하고 있다. = = 종교와 교회 = = 샤를마뉴는 프랑크 왕국에 있는 모든 이들의 기독교로 개종을 그리고 자신의 제국과 기독교의 전파의 확장을 목표로 했다. 789년의 대권고문은 샤를마뉴의 신하들에 대한 구제 그리고 이전에는 대부분이 문맹들이었던 성직자들을 위한 교육 기준 준비에 있어 샤를마뉴의 책임을 천명하고 있다. 당시의 지식인들은 에우세비우스와 히에로니무스의 계산에 근거해 서기 800년을 [[세계 기원] 6000년으로 믿으며 종말론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앨퀸 같은 지식인들은 800년 성탄절에 샤를마뉴의 황제 즉위가 7천년의 시작이자 세상의 종말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고 생각했었다. 이런 걱정들은 왜 샤를마뉴가 모든 이들을 속죄 행위에 취하도록 했는지를 설명한다. = = 황제 = = 다른 카롤링거 왕조 왕들에 대해선 프랑크인의 왕 문서 참조. 후대 황제들에 대해선, 신성로마황제 참조. 이름 즉위일 사망일 동시대 주화 및 인장 샤를마뉴 800년 12월 25일 814년 1월 28일 경건왕 루트비히 첫 번째: 813년 9월 11일Egon Boshof: Ludwig der Fromme. Darmstadt 1996, p. 89 두 번째: 816년 10월 5일 840년 6월 20일 로타르 1세 823년 4월 5일 855년 9월 29일 루트비히 2세 첫 번째: 850년 부활절두 번째: 872년 5월 18일 875년 8월 12일 대머리왕 샤를 875년 12월 29일 877년 10월 6일 뚱보왕 샤를 881년 2월 12일 888년 1월 13일 = = 유산 = = = = = 역사학에서 있어 카롤루스 제국 = = = 다른 유럽의 왕조 제국과 비교할 때 카롤루스제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존재했음에도, 카롤루스의 유산은 그 유산을 벼려낸 국가보다 오래 지속되었다. 역사학적 측면에서, 카롤루스 제국은 봉건제 혹은 정확히는 현대에 자리 잡은 봉건제라는 개념의 시작으로 본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샤를 마르텔과 그의 후손들을 봉건제의 창시자들로 규정하는 걸 당연하게 주저할 테지만, 카롤루스 제국의 '템플릿'이 중앙 유럽의 정치적 문화 구조를 마련한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일부는 이 주장에 대해서 반박을 하기도 하는데 마르크 블로크는 봉건제의 탄생에 대한 이 탐색을 '우상의 기원'이라 하며 무시하였다. 아인하르트 같은 카롤루스 시대 작가들에 의해 메로빙거 왕조에서 카롤루스 왕조로 연속성의 변화를 확립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이뤄진 것을 주목할 수 있는데 , 아마 둘 사이에 그런 획기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 = = 왕조의 상징성 = = = 샤를마뉴와 그의 후손들의 단일화된 힘은 여러 유럽의 지도자들이 자신들이 행하는 힘을 강화하는 데 있어 사용되어 왔으며, 샤를마뉴가 그의 전성기에 아우구스투스의 요소들을 반영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성로마황제라는 지위를 얻어낸 오토 왕조는 자신들 왕조의 야망을 정당화하기 위해 '후계자'로서 카롤링거 왕조와의 먼 관계성을 과장하였다. 군림했던 다섯 명의 오토 왕조 황제 중에 네 명은 또한 아헨에 있는 샤를마뉴 궁전에서 즉위식을 했으며, 아마 카롤링거 제국과 자신들 제국 사이의 연속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자신들 왕조가 샤를마뉴의 숙적인 삭소니아에서 비롯했음에도, 오토 왕조는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 수단을 통해 카롤루스 왕조와 자신들을 연결시켰다. 추가적으로 샤를마뉴에 대한 도상학이 후대 중세 시대에 활용되었는데, 이 당시에 그는 귀감이 되는 기사이자 기사도의 모범으로 묘사됐다. = 분류:위키데이터에 없는 WorldFootball.net template with ID = = 분류:예씨 = = 분류:패럴림픽 네팔 선수단 = = 분류:미얀마의 암살된 사람 = = 분류: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 분류:남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앙가라강 = = 분류:저장성의 군 = = 2018년 피지 지진 = 2018년 피지 지진은 2018년 8월 19일 피지 동부 해역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8.2의 지진이다. 처음에는 규모 7.9로 발표되었다가 이후 8.2로 상향하였다. 깊이는 563.4km로 매우 깊은 심발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미국의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는 미국령 사모아를 포함한 남태평양 일대에 쓰나미 주의보를 내렸으나 매우 낮은 높이의 쓰나미만 주변에 도달하였다. 진원이 깊어 인명 피해는 일어나지 않았다. 같은 해 9월 7일에는 비슷한 곳에서 모멘트 규모 Mw8.1의 지진이 일어났다. 10월 1일에도 역시 비슷한 지역에서 모멘트 규모 Mw6.6의 지진이 일어났다. 이 지진은 2018년에 일어난 지진 중 규모가 가장 큰 지진이다. = 존 디콘 = 존 리처드 디콘(, 1951년 8월 19일 ~ )은 영국의 음악가로, 록 밴드 퀸의 베이시스트로 활동했다. = = 생애 = = 존 디콘은 영국 중서부의 레스터 시에서 태어났다. 7세 때부터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여 나중에 베이스로 전향했다. 현재 킹스 칼리지 런던의 일부인 첼시 칼리지(Chelsea College)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그는 2학년 때인 1971년 퀸의 멤버가 되었다 1974년에는 퀸의 3집 앨범 Sheer Heart Attack 수록곡 〈Misfire〉를 처음으로 작곡하였고, 후에는 〈I Want to Break Free〉, 〈Another One Bites the Dust〉, 〈Spread Your Wings〉, 〈My Life Has Been Saved〉 등을 작곡하게 된다. 1986년에는 프로젝트 밴드 '디 이모털스(The Immortals)'와 함께 싱글 〈No Turning Back〉을 작업, 발매하기도 하였다. 이 곡은 영화 비글스(Biggles: Adventures in Time)에 수록되었다.영어 위키백과 문서 'John Deacon' 중 Selected solo efforts 그가 즐겨쓰던 베이스는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Fender Precision Bass)라고 하며, 그는 손가락 주법과 피크 주법을 모두 사용한 베이시스트의 대표적 유형으로 꼽힌다.영어 위키백과 문서 'John Deacon' 중 Notable instrument(s) 퀸의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노래를 부르지 않았으며, 무대 위에서도 상당히 조용한 인물로 평가됐다. 1997년에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 Queen Rocks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 분류:한국의 농구 선수 = = 박수 = 박수(拍手)는 손바닥 또는 손뼉을 서로 마주치면서 소리를 일으키는 행위이다. 찬성, 환영, 즐거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고, 음악, 춤 등에서 박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박수는 이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음악 교습에서 박수는 악보의 장단을 파악하고 새로운 리듬에 쉽게 익숙해지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음향학에서 박수는 방의 반향을 조사하는데 사용된다. 박수 소리의 감쇠 시간을 통해 반향을 조사하는데, 박수 소리 이외의 어떤 소리도 사용될 수 있지만, 박수 소리는 명확한 주파수를 지니고 있고, 게다가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일부 음악에서는 하나의 타악기부로서도 사용된다. 스티브 라이히의 《Clapping music》이라는 작품은 박수로만 이루어져 있다. = = 같이 읽기 = = 박수갈채 = 엑슨발데즈 = 배 경력 배 경력 발주 기공 1985년7월 29일 진수 1986년10월 14일 취역 1986년12월 11일 퇴역 그 후 운용 중 주요 요록 주요 요록 총 톤수 110,831t 재화 중량 톤수 211,469t(롱 톤)214,862t(메트릭 톤) 길이 300.84 m(987 ft) 전폭 50.6 m(166 ft) 깊이 26.8 m 흘수 19.66 m(64.5 ft) 주기 디젤 출력 31,650힘 항해 속력 16.25노트(30 km/h) 최고 속력 적재량 원유 148만배럴(235,000 m³) 승무원 21명 엑슨 발데즈(Exxon Valdez)는 엑슨소유하는 석유 운반선. 엑손 바른 디즈는 1989년 3월 24일에 선장 조지프 헤이젤 우드가 지휘하는 가운데 알래스카주의 프린스 윌리엄 왕에 좌초해 1,100만 갤런 (24만배럴) 원유를 유출시켰다. (엑슨발데즈 원유 유출 사고). 이는 사상 최대의 생태학적 재해 중의 1개로 기록됐다. = = 선박 이력 = = 엑슨 발데즈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내셔널 스틸 앤 십 빌딩 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나 1986년 엑슨 모빌에 인도됐다. 엑슨 발데즈는 알래스카주 아리에스카·컨소시엄사의 파이프 라인·터미널에서 원유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다. 사고 발생 시 엑손 바른 디즈는 5,300만 갤런의 기름을 탑재했다. 사고 후 엑손 바른 디즈는 샌디에이고를 견인되어 7월 10일에 도착했다. 수리는 견인 중인 6월 30일부터 개시되었다. 약 1,600t의 강재가 1989년 7월 중에 떼어 내고 교환된. 배 수리는 3,000만달러가 소요됐다. 수리 후, 바른 디즈는 시·리우아ー, 메디 토레니앙(Sea River Mediterranean)로 개명하고 그 후S/R메디 토레니앙과 단축, 최종적으로 선명은 메디 토레니앙(Mediterranean)가 되었다. 엑손은 배를 알래스카의 원유 수송에 사용하려 했으나 법률에 따라 프린스 윌리엄 만으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했다. = = 픽션에서의 등장 = = 케빈 코스나가 주연한 1995년의 SF영화 『워터 월드』은지구 온난화에 의해북극및남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모든 육지가 수몰된 가까운 미래를 그렸고 엑손 발데즈가 악역인 스모 커스 한 가닥의 거점으로서 등장한다. 선내에는 헤이젤 우드 선장의 초상화가 장식되어 스모 커스 일당은 그를 "세인트·조"라고 불러 신격화했다. = 분류:코르티코스테로이드 에스터 = = 분류:1970년대 노래 = = 옌치 후이족 자치현 = 옌치 후이족 자치현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2429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30,000명이다. 소르추크의 사원 유적지가 옌치 현에 위치하며 옌치 진에서 남서쪽으로 25~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 행정 구역 = = 4개 진, 4개 향을 관할한다. 진: 焉耆镇 七个星镇 永宁镇 四十里城子镇 향: 北大渠乡 五号渠乡 查汗采开乡 包尔海乡 = 분류:르완다의 반공주의 = 르완다 반공주의 반공주의 반공주의 en:Category:Anti-communism in Rwanda = 화성 마하리 고분군 = 화성 마하리 고분군(華城 馬霞里 古墳群)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에 있는 고분군이다. 2003년 8월 2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5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에 있는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은 1995년 경부고속철도 경기·충청권 구간에 대한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96∼1997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박물관과 호암미술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삼국시대에 이르는 많은 고분이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분의 형태는 널무덤(목관묘), 덧널무덤(목곽묘), 돌덧널무덤(석곽묘)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출토유물은 유리제·구슬·철기류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토기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은 당시의 묘제와 토기의 변천과정, 편년 연구 및 한강유역에 한정되었던 초기백제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 = 참고 자료 = = * 마하리 고분군 = 분류:사우스다코타 주립 대학교 = = 공간 (정은지의 음반) = 공간은 정은지의 두 번째 미니 음반이다. 2017년 4월 10일에 로엔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하였다. = 제임스 본드의 영화 목록 = 007 시리즈 또는 제임스 본드 시리즈(James Bond)는 살인 번호를 첫 작품으로 하는 영화 시리즈이다. = = 메인 시리즈 = = = = = 007 살인번호 (1962) = = = = = = 007 위기일발 (1963) = = = = = = 007 골드핑거 (1964) = = = = = = 007 썬더볼 작전 (1965) = = = = = = 007 두 번 산다 (1967) = = = = = = 007 여왕폐하 대작전(1969) = = = = = = 007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1971) = = = = = = 007 죽느냐 사느냐 (1973) = = = = = = 007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 (1974) = = = = = =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 (1977) = = = = = = 007 문레이커 (1979) = = = = = = 007 유어 아이스 온리 (1981) = = = = = = 007 옥토퍼시 (1983) = = = = = = 007 뷰투어킬 (1985) = = = = = = 007 리빙 데이라이트 (1987) = = = = = = 007 살인면허 (1989) = = = = = = 007 골든 아이 (1995) = = = = = = 007 네버 다이 (1997) = = = = = = 007 언리미티드 (1999) = = = = = = 007 어나더데이 (2002) = = = = = = 007 카지노 로얄 (2006) = = = = = = 007 퀀텀 오브 솔러스 (2008) = = = = = = 007 스카이폴 (2012) = = = = = = 007 스펙터 (2015) = = = = = = 007 노 타임 투 다이 (2021) = = = = 오언군 (켄터키주) = 오언군 또는 오언 카운티(Owen County)는 미국 켄터키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0,841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0,880명이다. = 비성우 더빙 = 비성우 더빙 또는 연예인 더빙은 성우가 아닌 방송에 출연중인 연기배우, 영화배우, 희극인, 가수, 일부 사회계 인사 등의 사람들이 자신의 육성을 통해서 목소리 연기를 하는 더빙 과정. 보통은 연기배우나 영화배우, 희극인들이 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예인 더빙이라고도 한다. = = 개요 = = 성우는 원래 연기배우, 영화배우, 가수, 희극인이나 뉴스 아나운서, 기상캐스터, 방송 진행자처럼 방송계에 종사하는 직종의 사람들이지만 이들과는 달리 여러 시청자들 앞에서 본인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 본인의 육성녹음을 통하여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역할을 하거나 방송중에 목소리 연기를 통해서 알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인지도가 이들에 비해서 매우 낮은 편이며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성우들에 대해서는 그리 아는 이들도 많지 않은 편이다. 때문에 일부 더빙을 요구하는 애니메이션이나 방송, 영화 등의 작품에서는 특히 인기가 높고 인지도가 대중적으로 높아보이는 유명한 연기배우나 영화배우, 가수, 희극인 등을 통해서 감독이나 제작진 등이 출연을 부탁하는 경우에서 나오기도 하며 이들을 캐스팅할 경우 일반 성우보다 작품의 인기나 흥행성, 인지도가 상승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경우는 굳이 더빙에서만이 아니라 대부분 광고계에서도 주로 유명한 연기배우나 영화배우, 가수, 희극인 등이 모델로 출연하는 편이며 지자체에서도 관광홍보나 특산물 홍보를 위해서 시장이나 군수 등 지방의 수장이 직접 홍보대사로 임명하여 그 지역을 알리는 안내자 및 홍보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들 연예인들은 사회적으로나 대중적으로 정치인, 경제인 및 재벌, 사회인사 등과 함께 대중사회를 이끄는 주역이자 유명세를 받는 영향력이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정치인이나 경제인, 사회인 등은 다소 무겁고 권위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그보다 덜하면서도 사회적으로 유명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들 연예인들이 가장 맞아보인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연예인 더빙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다. 의외로 연예인이 아닌 유튜브 출신 유명 유튜버나 BJ 등도 캐스팅되는 사례도 있다. = = 역사 = = 한국에서의 연예인 더빙은 오중일 감독의 블루시걸과 신동헌 / 야마구치 시게야스 감독의 돌아온 영웅 홍길동을 통해서 잘 알려져있는 편이었다. 1990년대까지는 연예인에 대한 대중적, 사회적인 인지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지금에 비해서 연예인 더빙이라는 문화나 작용 자체가 그리 활성화되지는 않았으며 블루시걸까지만 했어도 유명 연예인들과 일반 성우들이 교체되어가며 진행된 적이 있었고 돌아온 영웅 홍길동은 연예인들이 작품 내내 목소리 출연을 진행하였던 편이었다. 2004년 이전까지만 했어도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작이 지금에 비해 그리 많지 않은 편이라 연예인 더빙도 그리 주목받지 않았지만 그 이후부터 한국 영화 시장이 성장해가면서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일반 성우 대신 연예인들을 섭외하여 출연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를 계기로 시청자들과 일반 성우 사이에서 연예인 더빙에 대한 주목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 = 현황 = = 대개는 TV 애니메이션보다는 주로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출연하고 있다. 극장판은 실사 영화와 동일하게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방식으로 나오는데다가 TV판에서 비해서 상영시간이 길어보이는 편이면서 단편이나 일부 영화 시리즈 한정 등으로 나오는 편이라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연예인 더빙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TV 애니메이션은 지상파나 케이블 채널에서 나오기 때문에 대개 일반 성우들이 출연하는 편이나 의외로 투니버스의 아이엠스타에서 미르 역으로 배우 유인나가 목소리 출연을 하면서 극장판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TV 애니메이션에서도 연예인이 애니메이션 더빙을 맡은 전례가 생겼다. 연예인 더빙이 주로 극장판에 쏠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근거와 추측이 있다. TV 애니메이션은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비해서 방송시간이 매우 짧은 편이다.(보통 30분) 방송사에서 방송되는 드라마나 오락프로그램과의 혼선이 생길 수 있다. 주로 방송사 성우실이나 녹음실에서 작업일정을 보내는 성우와는 다르게 연예인들은 방송국 이외에도 서울 및 지방과 해외 촬영, 그리고 야간 촬영 등의 일정으로 인해서 녹음일정을 잡기 힘들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경우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특성과 상영시간이 길어보이기 때문에 녹음하기에도 맞을 수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이 영화의 대중성이나 사회적인 인지도를 고려하여 흥행 등을 위해 캐스팅하였다.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면이 있어서 대개 연예인들을 캐스팅한다. = = 차이 = = 대한민국은 연기배우, 영화배우, 가수, 희극인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와 문화적인 역할이 대개 높은 편이기도 하고 사회적으로도 정치인, 경제인, 사회인사 등과 같이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는 점 때문에 그만큼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그 중에서 연예인들은 사회적인 면과 문화적인 면의 양면에서 대중적인 영향력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만큼 이들의 역할도 큰 편이라 할 수 있으며 몸값 또한 비중있는 편이기도 하다. 연예인 중에는 정치에 입문하여 정치인으로 전향하였거나 다시 연예인으로 전향하였던 경우도 있는 편이기도 하고 사회적으로는 국민들에게 대중문화의 영향력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특히 광고계에서는 주요 모델들을 연예인으로 캐스팅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국내 지자체들도 지역홍보를 위해 국내 연예인들을 지역 홍보대사로 시장 및 군수 등이 직접 임명하여 권한을 부여하기도 한다. 이에 비해서 성우의 경우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성우에 관심이 있는 만화팬이나 성우팬 및 지망생 등을 제외하면 대중적, 사회적으로는 인지도가 연예인에 비해서 매우 낮은 편이며 사회적 및 문화적인 영향력에서도 연예인에 비해서 낮아보이는 편이다. 광고계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연예인과 함께 목소리 출연을 통해서 어느 정도 알리는 경우도 있기는 하나 모델로 나오는 연예인에 비해서 대중적인 인지면에서는 그리 많지는 않으며 설령 목소리에 익숙하다고 해도 그 성우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안면을 비추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면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연예인들은 자신의 모습을 보이며 역할을 하는데 비해서 성우들은 자신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 목소리로만 존재를 알리기 때문이다. 정작 목소리는 귀에 익숙하지만 성우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도 하다. 국내 언론 및 미디어에서는 정치인, 사회인, 경제인, 연예인 등이 논란과 파문, 구설수 등에만 올라도 대서특필에 특보로 전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기도 하고 사망을 했을 때나 가족이 사망하였어도 이를 상세히 알리는 편이지만 성우에 대해서는 이들과는 달리 논란과 구설수에 올랐어도 이를 전하는 경우가 많이 없으며 사망을 했을 때도 전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거나 없는 편이다. 그나마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성우 팬이나 지망생 등이 일부 성우들의 논란과 구설수 등을 알리는 것이 전부였다. 과거 소셜 네트워크가 없었던 시절에는 이를 알릴 수단도 없었기 때문에 정치인이나 연예인과는 달리 성우에 대한 논란이나 구설수에 대해서 아는 이들은 거의 없는 편이다. = = = 실제 연기와 목소리 연기 = = = 영화배우나 연기배우들은 시나리오 대본을 탐독하고나서 실제 연기를 통해서 상대방 역할의 연기자와 캐릭터상으로 직접 상대하는 편이며 배역도 나이와 안면 등에 맞춰서 캐스팅 배정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서 20대 이상 캐릭터는 실제 20대에 속하는 연기배우를 캐스팅하는 편이고 60대 이상의 경우 실제 환갑이 지나거나 노년에 가까워보이는 중년배우를 캐스팅하는 편인데 이는 작중 캐릭터와 실제 배우의 연령과 일치하기 위해서 또 시청자들에게 배우의 실제 모습을 통해서 캐릭터와 동화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연령대에 맞춘 주인공 캐스팅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10대의 어린 역할의 경우 실제 10대 아역배우들이 작중 10대 어린 캐릭터가 성인으로 성장할 때 실제 성인배우와 교대할 때까지 그 역할을 맡으며 20대 젊은 캐릭터도 50대 이상 중년이나 60대 이상 노년이 될 때까지 젊은 역할을 젊은 배우가 맡았다가 중노년 배우로 교대되기도 한다. 목소리 연기의 경우는 이와는 다른 편으로 캐릭터가 10대인 경우에도 20대 성우는 물론 30대나 40대 이상 성우들도 연기가 가능하며 높게는 50대 이상 성우도 목소리 연기가 가능하다. 이 같은 이유는 목소리의 경우 성대의 시기가 대개 50대 이상에 접어들 때 노화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30대나 40대 이상의 성우도 10대나 20대 이상 캐릭터 목소리의 연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성우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목소리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때문에 캐릭터와 성우가 안면상의 불일치가 드문 편이며 대신 목소리가 그 캐릭터의 나이나 활기에 따라 맞아보이는 편이다. 다만 소년 캐릭터의 경우는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캐릭터에 맞게 실제 남자 배우를 캐스팅하는 편이지만 성우 연기상에서는 대개 여성 성우들이 소년 캐릭터로 캐스팅되는 편이 많은데 이는 소년 캐릭터들은 20대 이상 남성의 성숙한 변성기 이전 과정에 있고 어린 아이의 가늘고 얕은 목소리가 강조되기 때문에 이와 맞아보이는 여성 성우들이 캐스팅되는 편이다. 일부에서는 소년 캐릭터가 성인 남성 목소리와 일치할 경우 남성 성우를 그대로 캐스팅한다. = = 비성우라는 명칭 = = 일부에서는 성우도 연기배우, 영화배우, 가수, 뉴스 아나운서, 기상캐스터, 방송 진행자와 같이 방송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니만큼 연예인 더빙이라고 하는 것은 같은 방송사에 종사하는 성우들을 무시할 수 있는 인식이 될 수 있다고 하여서 일부는 성우가 아닌 사람들을 부르는 비성우 더빙으로 부르고 있다. 사실 이들 연기배우나 영화배우 중에는 원래 성우로 활동하였다가 배우로 전향하여서 활동한 이들도 있는 편이라 이들의 경우는 성우 출신 배우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방송국에서 카메라를 통해서 안면을 비추며 대중 앞에 모습을 보이며 연기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연예인으로 인식하는 편이라 성우를 연예인으로 인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편이고 성우들 대부분도 자신은 연예인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연예인 더빙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대한민국 연예계에서도 성우는 연예인으로 뽑지 않으며 대부분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국 산하 성우극회 공채를 통해서 성우를 뽑고 있다. 의외로 원래는 성우 출신이었다가 연기배우나 방송인으로 전향하였거나 겸직하는 인물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성우 김기현(MBC 4기), 장광(KBS 15기), 김영옥(MBC 1기), 나문희(MBC 1기), 한석규(KBS 22기), 사미자(KBS 6기), 서유리(대원방송 1기) 등이 있다. = = 근거와 사유 = = 한국에서는 연예인들에 대한 대중적, 사회적인 영향력이 짙어보이기 때문에 특히 영화나 드라마에서 인기에 힘입은 연기배우나 영화배우들을 감독이나 제작진 등이 직접 섭외하여서 이를 위탁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수 중에서도 인기그룹 멤버나 솔로가수도 이와 마찬가지로 진행하고 있다. 연예인들은 일반 성우에 비해서 몸값이나 인지도에 따라서 대중적, 사회적인 영향력이 있는 편이라 작품의 흥행성, 인지성 등이 높아질 수도 있고 특히 광고나 한국의 지자체 등에서도 주로 연예인들을 모델이나 지역 홍보대사 등으로 섭외하거나 임명하는 경우가 많은 편인데다가 직접 본인의 모습을 보이며 시청자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는 점, 특히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는 어린이들에게 더욱 친근감을 불어넣어주고 인기를 실감할 수 있도록 특별히 유명하고 인기있는 연예인들을 섭외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주로 이 같은 경우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많은 편이나 의외로 TV 애니메이션에서도 연예인이 섭외되어서 일반 성우들과 함께 출연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투니버스의 아이엠스타에 출연한 배우 유인나(미르 목소리 출연)이다. 이에 비하면 일반 성우들은 연예인들과 같이 방송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지만 이들과는 달리 본인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 본인의 목소리로만 출연하는 편이라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성우에 대해서는 그리 잘 아는 이들이 많지 않으며 대중적, 사회적으로도 인지도가 매우 낮아보이는 편이다. 목소리는 기억에 남을만하지만 그 모습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들이 많은 편이라 누군지 아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이었다. 물론 연예인들과 함께 광고에도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서 나레이션 역할을 하지만 그것을 기억하거나 아는 시청자들은 매우 드문 편이다. 이는 SNS 문화가 발달하기 이전의 얘기이고 SNS 문화가 활성화가 되었을 시기에는 성우들 대부분이 자신의 SNS 등을 통해서 그 광고에 나온 목소리의 주인공이 자신이었음을 알리기 위해 광고 원본 등을 올리며 인증을 하기도 한다. = = 방송법 규정 = = 현행 방송법 규정에는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 및 영상물이나 원래부터 사람의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시청자들의 이해와 소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국 성우의 육성녹음을 통해서 의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편이다. 연예인 더빙에 대해서는 방송법상에서도 특별히 제한이나 금지 등을 하지 않으며 성우는 물론 한국의 연기배우나 영화배우, 희극인도 한국어를 통해서 연기를 하거나 대사를 전달해주는 사람들이니만큼 연예인의 더빙 출연에 대해서는 법적상에서도 특별히 제한이나 금지를 하지 않는다. = = 일정의 차이 = = 주로 방송사 성우실 및 녹음실에서 일정을 보내는 일반 성우들과는 다르게 연예인들은 영화, 드라마, 오락프로그램 촬영 등으로 인해서 방송사 스튜디오 뿐만 아니라 서울특별시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의 촬영지나 제주도, 울릉도 등 낙도 지역까지 포함하여서 영화, 드라마 배경에 맞춰서 원정촬영 등을 나가는 경우도 있고 해외 촬영이나 야간 및 새벽 촬영 등을 하는 경우도 있는 편이라 경우에 따라 일정이 맞지 않을 수 있는 단점도 있다. 일반 성우들은 방송사 성우실 및 녹음실에서 더빙 작업에 임하면서 녹음일정을 통해서 방송사 사옥 내 일정에서의 시간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연예인들의 경우 위와 같이 영화나 드라마, 오락프로그램 촬영일정에 따라 방송사 사옥을 떠나서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전국 각지나 해외 국가 등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 더빙 일정에 있어서도 일반 성우에 비해서 변수도 있는 편이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일반 성우들에 비해서 녹음 준비나 연습을 하는데 변수가 생기기도 하며 연예인의 촬영 일정 등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 = 문제점 = = 전문급의 일반 성우들과는 달리 성우학원 등에서 목소리 연기 훈련이나 교육을 전문적으로 받지 않은 사람들이라 아무리 유명인이라고해도 더빙면에서는 대부분 흥행에 실패하거나 저조한 경우가 많다. 일반 성우들은 성우학원이나 선배 성우들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목소리 연기 연습과 훈련 등을 통해서 전문적으로 목소리 연기를 할 수 있었지만 연예인들은 원래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 촬영 때 연기를 통해서 유명세를 알려온 사람들이라 목소리로만 하는 더빙 연기에 다소 서툴거나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으며 일부는 영화나 드라마 대본을 보거나 암기하며 익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 일반 성우에 비해서 발성이나 발음 고저성 조절을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연기력의 강약을 조절하지 못하여 다소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연예인들의 부족성 때문에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이나 성우 팬들 사이에서는 연예인이 애니메이션 더빙에 캐스팅되었다는 정보를 알게되면 실망을 하거나 일반 성우로 교체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또한 연예인들 대부분은 성우들과는 다르게 녹음대본을 익히거나 연습을 하는 시간이 없는 편인데다가 주로 방송국 스튜디오를 비롯하여 서울이나 지방 그리고 해외 등으로 원정촬영을 가거나 야간 촬영 등의 일정으로 인해서 바쁘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성우들처럼 전문적인 녹음연습이나 훈련을 받거나 녹음대본을 익히는 시간이 거의 없어서 성우들과 같은 목소리 연기를 보이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경우에 따라 원정촬영 일정으로 인해서 뒤늦게 녹음훈련 및 연습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고 사정에 따라 연기되어서 나중에 가서야 연습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연습없이 바로 영화나 드라마 대본을 보듯이 하는 경우도 생긴다. 일부 감독이나 제작진들은 연예인의 인지도를 믿으며 섭외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연기배우나 영화배우의 경우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시나리오 및 스토리 대본의 내용을 보고 암기한다는 것과 일반 성우들이 녹음 대본 내용을 본다는 것이 같다고 보이거나 영화나 드라마에서 대사를 소화하는 것처럼 더빙 또한 이와 동일하여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직접 촬영중인 상황에서 상대역의 배우와 마주하는 등의 영화나 드라마와는 달리 더빙은 녹음 대본과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의 원본 영상 등에 맞춰서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야한다는 다른 점이 있어서 이 같은 차이 때문에 이를 잘 파악하지 못하거나 구분하지 못한 일부 제작진들의 오해 등으로 인해서 연예인 더빙이 대부분 흥행에 실패하는 원인으로 보여진다. 또 경우에 따라 대본만 보면서 영화나 드라마에서의 연기를 하듯이 하면 된다는 인식도 더해졌다. = = = 전문적인 상식 부족 = = = 연예인들은 성우와 함께 법적상에서는 방송인에 속하는 편이지만 그 활동과 역할은 다르며 교육과 훈련 또한 다르게 가는 편이다. 연기자들은 시나리오에 나오는 대본 낭독과 숙달 그리고 그에 맞은 몸짓과 대사 연기를 통해서 시청자들에게 안면을 보이면서 전달하고 배경이나 캐릭터에 맞는 복장이나 분장을 하면서 연기를 하게 되지만 성우들은 영상 속에 나오는 캐릭터에 맞는 목소리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몸짓이나 복장을 맞춰입는 경우는 거의 없거나 드문 편이다. 또한 목소리 연기는 몸짓과 말로 하는 연기와는 다르게 목소리 자체를 강약으로 조절하고 발성을 고저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연기하기 때문에 연예인들의 경우 그것에 익숙하지 못하여서 서투르거나 아예 평시에 하는 언행처럼 보이기도 하여서 시청자들의 불만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다. 목소리에 따라서 강약이나 고저를 사람이 스스로 감성적으로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성우가 아닌 이들로서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연예인들은 성우들과는 달리 전문적인 성우 및 발성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거나 드물어서 몸짓과 대사를 전달하는 전문연기 교육과 훈련만을 익혔을 뿐 목소리 연기를 교육하고 연습한 경우가 거의 없어서 목소리 연기에서 서투르게 나오는 것이다. 가수들의 경우에는 노래하는 것과 같다고 하는 인식도 있을 수 있으나 노래하는 발성과 목소리를 조절하면서 하는 발성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것이다. = = = 캐릭터와의 동화(同化) 부족 = = = 보통 애니메이션에 출연하는 성우들은 녹음중에 만화 속 캐릭터와의 교감 및 일심동체화라는 시선으로 그 캐릭터를 응시하며 동화(同化)하는 기분으로 임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성우에 따라서 그 캐릭터의 감정, 시선, 입장, 심오함 등을 잘 표현해야하기 때문에 그 캐릭터에 동화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그러나 연예인들의 경우 전문 성우들과는 다르게 원래 실제 연기자들끼리 마주보며 호흡을 맞춰왔으면서도 만화 속 캐릭터와의 동화를 맞추기에는 매우 부족하거나 부실한 편이 있으며 아예 적응을 하지 못하거나 경우에 따라 자신이 실사 연기 때 써왔던 유행어나 대사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순수하게 만화 캐릭터를 바라보는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이질감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주로 성인들이 주연으로 나오는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은 대부분 10대 어린이나 청소년 캐릭터들이 주연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사 톤이나 연기력이 성인의 근엄하고 성숙하며 진지하고 사회적인 분위기보다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철부지적이고 악동적이며 밝고 코믹하면서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시선에서 맞춰야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20대 이상의 성우들에게 있어서 경우에 따라 어려울 수 있는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우들 대부분도 10대 어린이나 청소년 캐릭터의 분위기에 맞게 목소리를 조절하거나 강약을 맞추려는 연습을 하거나 분석을 하는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 연기자들이나 희극인들은 성우들처럼 10대 어린이나 청소년 캐릭터를 소화하는 경우가 거의 드물어서 서투르거나 부실한 연기력이 잦게 되는 것이다. = = = 유행어 남발 = = = 이는 특히 일부 희극인들 사이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은 편으로 희극인들 일부는 자신이 써왔던 유행어를 애니메이션 캐릭터에다가도 이입을 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일부 시청자들로부터 이질감과 캐릭터만이 가진 특징을 반감시킨다는 반응도 있다. 개그 프로그램이 아닌 애니메이션이나 캐릭터에 희극인 특유의 유행어가 남발할 때마다 시청자에 따라 부정적인 반응도 많으며 재미를 반감시킨다는 반응도 있다. = = = 발성 및 연기력 부족 = = = 여기에서의 발성이라는 것은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캐릭터의 설정된 감성, 시선, 입장, 심오함, 희노애락 등에 따라 그것을 적응하며 따르는 것을 얘기하기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개그물에 나오는 대사와 다소 차이가 있거나 다를 수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은 그 캐릭터의 행동이나 감성, 시선을 응시하며 그것을 따라야하기 때문에 전문 성우들이 아닌 이상은 이것을 완전히 맞춰가기는 어려울 수 있다. 물론 일부 전문 성우도 경우에 따라 그 캐릭터의 특성을 따라잡기에 역부족인 경우도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은 주로 어른들이 보는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성숙하고도 근엄한 대사보다는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의 시선에 맞게 악동적인 특유의 대사가 나오는 편이기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대사와는 다를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적응과 연기력이 적응되어야 하는 요구가 있다. 시청자 대부분이 어린이나 청소년이니만큼 주로 어른들이 시청자가 많은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그들의 악동적이고 해학적인 특유의 대사가 나오기 때문에 발성과 연기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대개 10대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주로 20대 이상이나 30대 이상의 성인들이 주무대로 나오는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대사의 톤이나 분위기부터 다른 편이다. 때문에 발성이나 연기력에서도 성인들이 주역으로 나오고 시청자가 많은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10대 학생이나 어린애들의 밝고 특유한 분위기나 감성 등을 잘 파악하여서 더빙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 = = 연습 및 훈련, 적응 부족 = = = 일반 성우들과는 다르게 연예인들은 주로 방송사 스튜디오 외에도 영화나 드라마 촬영을 위해 서울특별시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와 제주도, 울릉도 등 낙도 지역으로 원정을 나가는 경우가 잦아서 녹음 일정이나 시간 등에 변수가 잦기도 하다. 경우에 따라 해외로 촬영을 나가는 경우도 있다. 이렇기 때문에 일반 성우들과는 다르게 녹음 일정이 제대로 잡혀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녹음 연습이나 훈련 그리고 캐릭터 등에 대한 적응 또한 부족한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일부 애니메이션 감독이나 제작진들 사이에서 연예인들의 녹음 참여를 위해 일부러 녹음 일정을 연기하거나 보류하는 경우가 생긴다. 일반 성우들의 경우 주로 방송사 녹음실이나 성우실 등에서 녹음 참여 적응과 연습 등을 하고 캐릭터에 대한 분석과 시선을 집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일정이 제대로 잡혀져서 녹음 일정에 참여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 타 방송 및 작품 녹음과 겹치는 경우나 개인 사정으로 불참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녹음 일정에 제대로 참여하는 편이다. 그러나 연예인들의 경우는 개인 일정과 촬영 일정 때문에 성우들처럼 제대로 녹음 참여 적응이나 연습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 때문에 연기력과 발성이 부족해보이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 = = 전문 성우와의 일정 여부 = = = 주로 방송국 성우실이나 녹음실 등에서 녹음 작업으로 일정을 보내는 전문 성우들과는 다르게 연예인들은 일부가 방송국 스튜디오 등에서 촬영일정을 보내기도 하지만 촬영 스케줄에 따라 서울특별시 시내를 비롯하여 수도권과 지방 등으로 원정촬영을 나가거나 제주도, 울릉도 등 낙도 지역으로도 원정촬영을 가기도 하고 넓게는 해외 원정촬영으로 인해 출국하는 일이 많아서 일정이 맞지 않거나 섭외에 있어서 보류 등을 받는 경우도 많다. 전문 성우들도 다른 방송사 녹음실이나 사설 녹음실 등에서 녹음일정을 잡거나 부득이하게 다른 작품 녹음일정과 겹쳐서 출연이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면 연예인들은 전문 성우의 일정에 비해서 광역급의 성격이 짙고 방송 촬영 일정으로 인해서 방송국 스튜디오나 서울을 비롯하여 제주도나 울릉도 등 낙도 지역으로 원정촬영을 나가기 때문에 녹음일정이 경우에 따라 보류되거나 연기되는 일이 많으며 더 나가서 해외 촬영의 경우 해외 체류 등으로 인해서 대한민국에서 있는 녹음 일정을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겨서 전문 성우들과 일정이 빗나가는 일도 잦은 편이다. 그로 인해서 전문 성우들과는 다르게 일정이 맞지 않게 되기도 하지만 녹음에 관한 사전 연습이나 분석 등을 제대로 할 시간도 없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전문 성우에 비해서 목소리 연기가 서툴거나 엇박자를 이루는 경우도 생긴다. = = = 영화, 드라마와 같은 인식 = = = 일부 감독 및 제작진들은 더빙을 아예 영화나 드라마에서나 나올법한 대사 낭독이나 암기 등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여 더빙에 참여하는 연예인들에게 이 같은 권고를 해주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더빙에 대한 인지도가 영화나 드라마에 비해서 낮아보이는 편인데다가 성우라는 직종 자체 역시 인지도가 낮아서 이를 제대로 아는 이들이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외에서는 드문 편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나온 내용처럼 영화, 드라마와는 다르게 특히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더빙은 주인공들이 대부분 10대 어린이나 청소년이 많고 그렇기 때문에 근엄하고 성숙하면서 어른스러운 대사를 명시하는 것과는 다르게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철부지적이고 악동적이며 해학적이고 말썽적인 대사와 톤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그렇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을 더빙하려면 이들 10대 어린이나 청소년에 맞게 철부지적이고 천진난만하면서 악동적스럽고도 괴짜스러운 대사를 명시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연습과 적응이 필요한 것이다. = = = 대중적, 사회적인 인지도 = = = 경우에 따라 대중적, 사회적인 인지도를 믿으며 정략적으로 연예인들을 캐스팅하였던 사례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문제로 일부 제작진들은 연예인들의 대중적, 사회적인 영향력과 파급력에 영감 등을 받아서 작품성보다는 연예인의 대중성만을 믿으며 캐스팅하였던 경우도 있다. 성우에 비해서 대중적, 사회적인 인지도가 높다는 이유도 그렇고 이를 통해서 작품성에서도 흥행을 할 수 있거나 대중적인 영향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다는 인지성 때문에 작품성보다는 대중적인 흥행 요소를 위해서 연예인들을 캐스팅하였던 경우도 있다. 성우들을 캐스팅하면 작품성은 좋을지 모르지만 대중적인 흥행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과 관객들이 취향을 토대삼아 그렇게 하였던 경우도 있다. = = 영화/드라마 시나리오 대사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녹음 대사의 차이 = =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시나리오 대사들은 시청자들 대부분이 20대 이상 성인층을 타깃으로 한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성인 특유의 근엄하고 성숙하면서 진지한 분위기의 대사를 통해서 배우들이 연기를 하면서 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고 실제로 연기를 하는 중에 배우가 상대역의 배우의 모습을 보면서 시나리오를 구성하며 만들어가는 것이 기본이다. 영화나 드라마에 출연한 배우들이나 연예인들은 대부분 이런 경험을 하였기 때문에 익숙한 편이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 시나리오에 나오는 녹음 대사들은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시나리오 대사와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성우들은 이런 차이를 알기 때문에 10대 캐릭터나 20대 이상의 젊은 캐릭터에 맞는 목소리로 강약조절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배우들이나 배우 출신들은 영화나 드라마에 나올법한 성인 분위기의 대사에 익숙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시선이나 대사에 미숙한 경우가 많아서 성우에 비해서 서툴거나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은 것이다. 특히 주로 아동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캐릭터 변신 대사나 주문 대사 등에서는 연예인들이 더빙을 하는데 최대 약점이자 단점으로 알려져있다. 연예인들이 출연하는 영화나 드라마는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주인공이나 캐릭터가 변신하거나 주문하는 대사가 거의 없거나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일찍이 변신 대사나 주문 대사를 사전에 분석하고 연습하였던 전문 성우들과는 다르게 이 점에서 연기력이 매우 서툴거나 부족한 것이다. = = = 영화/드라마와 애니메이션의 내용 차이 = = = 주로 20대 이상 성인층이 주 시청자, 관객으로 있는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은 주 시청자층이 주로 10대 어린이나 중고생 청소년이 많은 편이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성인층 시청자들을 위해 그에 맞는 진지하고 성숙하면서 근엄하고 지성있는 시나리오 대사들이 나오는 편이나 애니메이션은 10대 어린이나 청소년 시청자들을 위해 코믹하고 괴짜적이며 악동적이고 철부적이면서 밝은 톤의 대사가 나오는 편이다. 캐릭터 설정에 있어서도 아동영화나 드라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만 20세 이상 성인층이 많으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대개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가 많다. 주인공도 대개 10대가 압도적으로 많다. 영화나 드라마는 실제 배우들이 서로 얼굴을 마주하며 대사를 전달하지만 애니메이션은 성우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선을 보면서 대사를 전달한다. 여기에 캐릭터 몸짓이나 입모양이나 말버릇 등을 집중분석한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나오는 것이 거의 드문 애니메이션에서만 나오는 변신대사나 주문대사 등을 할 때 성우들에 비해서 서툴거나 엇나가는 점이 있다. 정치, 사회, 경제적인 요소가 들어가는 대부분의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은 일부 성인급 애니메이션을 제외하고는 그런 요소를 넣는 것이 드물며 대신 학교나 학원 요소가 거의 많이 들어간다. 영화나 드라마 중에서도 일부 학교나 학원 요소가 들어가는 작품도 있으나 영화나 드라마는 주로 20대 이상 성인층을 주요 시청층으로 잡는 경우가 많아서 애니메이션에 비해 드문 편이다. 이에 비하면 애니메이션은 10대 어린이나 중고생 청소년을 주요 시청층으로 잡기 때문에 대부분 학교나 학원 소재가 많은 편이다. *영화나 드라마는 대중적인 영향이 있어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파급을 주는 면이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대개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인식되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는 실제 카메라 촬영으로 가기 때문에 컬러에 특별히 신경쓰지 않아도 될 수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사람이 고안하였던 가상의 그림체로 연출되기 때문에 컬러에도 신경을 써야하는 장르이다. 내용 자체가 애니메이션 컬러로 나오기 때문에 특히 색맹증 환자나 색맹끼가 있는 이는 각별히 주의가 요구된다. *영화나 드라마는 등장인물들이 모두 실존의 사람 및 연기배우들이지만 애니메이션은 사람이 고안하였던 가상체의 인물들이 나오기 때문에 실제 사람처럼 언어를 구사하거나 소통을 직접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가상체의 인물들은 실제의 성우들이 육성녹음을 통해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 성우들도 그 캐릭터와의 동화성을 위해 녹음 전에 캐릭터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하고 자체적으로 연습을 하는 것이다. = 분류:앨라배마 주립 대학교 = = 분류:로스토프나도누 출신 = = 볼라섬 = 볼라섬(Bhola Island) 또는 다킨샤바즈푸르섬(Dakhin Shahbazpur)은 방글라데시에서 가장 큰 섬으로 넓이는 1,441 km2이다. 바리살주 볼라구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메그나강 하구에 위치해 있다. 다카와 바리살에서 연결되는 페리 및 항공편이 있다. = 분류:아이슬란드의 술 = = 분류:20세기 역사가 = = 분류:IPadOS 소프트웨어 = = 분류:야마토시의 교통 = = 코로나구멍 = = 분류:정치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대한민국 민법 제575조 = 대한민국 민법 제575조는 제한물권있는 경우와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대한 민법조문이다. = 아라키스 = 아라키스는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 시리즈에 등장 하는 가상의 사막 행성이다. 1965년 발행된 시리즈의 첫 번째 소설인 듄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SF 소설 중 하나로 여겨지며,Touponce, William F. (1988), Frank Herbert, Boston, Massachusetts: Twayne Publishers imprint, G. K. Hall & Co, pg. 119, . "Locus ran a poll of readers on April 15, 1975, in which Dune 'was voted the all-time-best science-fiction novel ... It has sold over ten million copies in numerous editions.'" 때때로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SF 소설로 인용되기도 한다. 듄에서 아라키스는 프레멘의 고향이며 이후 아트레이드 제국의 제국 수도가 된다. 아라키스는 카노푸스를 도는 세 번째 행성이며 두 개의 위성이 궤도를 돌고 있다. = 조반 아데포 = 조반 아데포(, 1976년 4월 1일 ~ )는 영국의 배우이다. 덴절 워싱턴 감독의 영화 펜스(2016)에 출연했다. = = 출연작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6 펜스 Fences 코리 맥슨 2017 마더! Mother! 차 따르는 사람 2018 오버로드 Overlord 에드워드 보이스 2020 바이올런트 러브 The Violent Heart 대니얼 2022 바빌론 Babylon 시드니 파머 = = = TV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5-17 레프트오버 The Leftovers 마이클 머피 11회분 출연 2016 NCIS: 로스앤젤레스 NCIS: Los Angeles 이매뉴얼 살림 "Revenge Deferred" 에피소드 2018-19 쏘리 포 유어 로스 Sorry for Your Loss 대니 그리어 주연 2019 톰 클랜시의 잭 라이언 Jack Ryan 마커스 비숍 주연 2019 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 When They See Us 앤트런 매크레이 "Enemy Bag of Tricks" 에피소드 2019 왓치맨 Watchmen 윌 리브스 / 후디드 저스티스 "This Extraordinary Being" 에피소드 2020 더 스탠드 The Stand 래리 언더우드 미니시리즈 미정 삼체 The Three-Body Problem 미정 제작중 = 분류:조기선거 = = 농수산기업연합회 = 농수산기업연합회는 회원들의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를 통하여 해외진출지원과 공동마케팅으로 상호 우익을 증진할 목적으로 2011년 12월 22일 설립 허가농림수산식품부공고 제 2011-561호, 사단법인 농수산기업연합회 설립 허가 공고, 농림수산식품부장관, 2011-12-22된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11-2에 있다. = = 주요 사업 = = 농림수산식품 관련 기업 해외 사업 진출 국내 해외 농림수산식품관련 기업의 공조체제로 글로벌 기업화 추진 국내 해외 농림수산식품사업 시장, 경영 마케팅에 대한 정보 공유 농림수산식품업 해외수출기지 구축 및 거점화 사업 농림수산식품업 관련 국내·외 정부 기관 및 단체와의 공조 유지 정부의 농림수산식품관련 정책에 관한 협조 및 수임 사업 회원의 경영애로 해소 및 교육·지도 컨설팅사업 농림수산식품업 해외수출 및 해외 농림수산업개발 농정현안에 대한 검토 및 대정부 건의 농림수산식품업에 관한 교육, 전시, 홍보 관련 사업 등 = 틀:CHNML = = 에르난도 데 소토 = 에르난도 데 소토(, 1495년경 ~ 1542년 5월 21일)는 스페인의 아메리카 탐험가이며 콩키스타도르로 지낸 것으로 더욱 잘 알려졌다. 그는 잉카 제국에 속하는 대지들을 포함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일부들에 있는 많은 대지들을 정복하는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탐험가이기도 한 데 소토는 오늘날 미국의 남동부에 있는 9개의 주들을 탐험하여 그것들을 지도에 정밀하게 표하였다. 역사는 미시시피강을 발견하여 건너는 데 처음으로 기록된 유럽인으로서 그의 위대한 성취를 인정한다. = = 초기 생애 = = 에르난도 데 소토의 출생한 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카스티야 왕국 헤레스 데 로스 카발레로스에서 1495년과 1501년 사이 즘에 태어났을 것이다. 이 곳은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에 있는 작은 촌이었다. 그의 부모는 프란시스코 멘데스 데 소토와 레오노르 아리아스 티노코였다. 그들은 소수의 귀족 계급으로 지내온 것으로 생각되어 그들이 부자 혹은 빈민도 아니었던 것을 의미하였다. 에르난도는 형 후안과 2명의 누이 동생 카탈리나와 마리아를 두었다. 어린 에르난도는 수학과 역사를 포함했던 표준 교육을 받았다. 그의 부모는 그가 성직자 혹은 변호사가 되기를 희망하였으나 데 소토는 모험에 더욱 흥미를 가졌다. 에르난도는 자신의 형 후안이 맏아들로서 부모가 사망한 후 그들의 대지와 돈을 물려받을 것 때문에 교역을 배우는 데 필요하였다. 에르난도는 아무것도 얻지 않았다. 1514년 데 소토는 부친에 의하여 스페인 세비야로 보내졌다. 여기서 어린 데 소토는 페드로 아리아스 데 아빌라 (페드리아스 다빌라로도 알려짐)로 불린 남성을 위하여 일하기 시작하였다. 데 아빌라 아래 에르난도 데 소토는 모험을 위하여 거리의 장소들로 항해하는 데 자신의 첫 기회를 얻으려고 하였다. 그해 데 소토는 신세계로 데 아빌라의 원정에 가입하였다. 또한 이 여행에 자신의 오늘날 미국의 남서부의 탐험들로 유명하게 된 남자 프란시스코 바스케스 데 코로나도가 있었다. 데 아빌라는 중앙아메리카가 된 곳에 파나마 다리엔의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 대지는 이전에 콩키스타도르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에 의하여 정복되었다. 데 아빌라의 선원들은 20척의 항선과 대략 200명의 사람들과 함께 4월 11일 항해를 세웠다. 그들은 대서양을 가로질러 중앙아메리카의 열대 우림에 상륙하였다. 그 일은 거기에 도달하는 데 대략 2개월이 걸렸다. 이 지역들은 이미 스페인인들과 충돌한 원주민들에 의하여 거주되었다. 이 충돌들은 보통 스페인의 군인들이 원주민을 노예로 만들고 살해한 것에 결과를 가져와 원주민들이 그들을 두려워 하였다. 에르난도 데 소토도 또한 치명적인 침략들에 가담하였다. 데 소토는 원주민들을 상대로 많은 급습들을 이끌었고, 용감한 군인으로서 그의 명성이 자라났다. 그는 1520년 경에 대위가 되었다. 데 아빌라의 대표로서 데 소토는 대지와 보물을 발견하는 데 중앙아메리카를 탐험하는 데 허용되었다. 1520년대에 그가 탐험한 지역들 중에는 오늘날 코스타리카와 온두라스였다. 1524년 데 소토는 니카라과를 정복하였고, 곧 레온의 시장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데 소토는 오랫동안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아직도 더 많은 모험을 원하였다. 프란시스코 피사로가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북서 해안의 탐험을 계획하고 있었다는 것을 그가 배웠을 때 이 기회가 왔다. = = 항해들 = = = = = 주요 항해 = = = 1530년 데 소토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더 많은 지역을 탐험하는 데 피사로의 원정과 함께 계약을 맺었다. 데 소토는 1531년 니카라과를 떠나 곧 페루에서 피사로에 가입하였다. 이때 대지는 잉카 제국에 의하여 거주되었다. 다음 몇년 동안 데 소토는 잉카 문명의 정복에 거대한 역할을 하였다. 스페인인들이 최고의 무기들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재앙과 질병이 잉카 제국에 감염시켜 그들의 군대 수가 떨어지는 원인을 일으켰다. 그들은 잉카의 추장 아타후알파를 사로 잡았고, 피사로는 잉카의 지배자로 자신의 대표로서 데 소토를 뽑았다. 아타후알파는 거대한 부유를 가져 자신의 자유를 얻는 데 데 소토와 스페인인들에게 많은 금과 은을 주었다. 그러나 피사로가 어쨌든 그를 처형시켰고, 그들은 자신들을 위하여 부유를 간직하였다. 이 후에 데 소토는 잉카 제국의 수도 쿠스코로 행렬하여 들어가 정복하였다. 그는 이 도시에 들어가는 데 첫 유럽인이었다. 그는 도시를 정복하여 자신을 위하여 많은 부유를 주장하였다. 이제 매우 부자가 된 데 소토는 1535년 페루로부터 항해하여 1536년 다시 한번 스페인에 도달하였다. 스페인에서 자신의 시간 동안 그는 데 아빌라의 딸 이사벨 데 보비야와 결혼하였다. 스페인에서 새로운 인생과 저택을 가짐에 불구하고, 데 소토는 안절부절 하였다. 그는 피사로처럼 총독이 되기를 원하였다. 그는 에콰도르, 과테말라 혹은 콜롬비아에서 대지들을 위하여 황제 카를 5세를 청원하였다. 이 전부의 요청들은 거절되었다. 그러나 황제는 곧 그에게 라 플로리다로 가서 정복하여 영토를 다스리는 데 권리를 부여하였다. 이 지역은 결국적으로 오늘날 우리가 아는 플로리다주가 되었다. 다음 몇년간 데 소토와 그의 부하들은 미국의 남동부가 된 곳을 탐험하러 갔다. 데 소토는 1538년 4월 자신의 기함 산크로스토발 (San Critóbal)호에 스페인을 떠났다. 그는 대략 600명의 남성들과 다수의 말, 개와 돼지를 데려갔다. 데 소토는 쿠바 아바나의 총독직이 부여되었다. 그들은 식민지의 통치를 차지하는 데 거기에 멈추었다. 원정은 1539년 5월 18일 라 플로리다를 위하여 항해하여 5월 25일 오늘날 탬파베이 근처에 상륙하였다. 그들은 북부로, 그러고나서 북서부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가을 초순에 오늘날 탤러해시 근처에 안하이카의 아파치족 촌에 멈추었다. 그들은 겨울을 통하여 여기에 머물렀다. 그 일은 데 소토의 원정이 지속되는 데 몇달 전이었을 것이다. = = = 그 후의 항해 = = = 그들은 1540년 봄에 한번 더 자신들의 탐험 여행을 시작하였다. 데 소토와 그의 조가 다시 출발했을 때 그들은 오늘날 조지아주를 향하여 더욱 북동부로 이동하였다. 이 후에 캐롤라이나 지방으로 알려진 것이 왔다. 그들은 곧 오늘날 테네시주로 들어가 애팔래치아산맥을 건너 테네시강 유역을 찾아냈다. 금을 찾지 않은 그들은 남부로 돌려 오늘날 앨라배마주로 향하였다. 그들은 오늘날 모빌로 알려진 모빌라로 불린 촌에 도착하여 거기에 살았던 인디언들과 싸웠다. 후에 그들은 앨라배마주의 밖으로 북서부로 돌려 오늘날 미시시피주로 들어갔다. 여기서 스페인인들이 인디언들과 싸웠던 또다른 전투가 일어났다. 곧 후에 그들은 야영지를 만들고 미시시피에서 겨울을 보냈다. 그들은 몇달 후에 지속적으로 원정하였고, 1541년 5월 데 소토와 그의 부하들은 미시시피강에 왔다. 그들은 뗏목을 만들어 강을 건넜다. 데 소토와 그의 원정은 강력한 미시시피강을 보고 건너는 데 첫 유럽인들이 되었다. = = 이후의 세월과 사망 = = 강을 건넌 후, 원정은 오늘날 아칸소주로 향하였다. 그들은 금과 다른 미네랄 부유들을 찾는 데 아칸소에서 다음해를 보내려고 하였다. 아무것도 찾지 않은 그들은 곧 미시시피강으로 돌아와 건너갔다. 강을 건너 멀리 않은 후에 데 소토는 열이 나고 병에 걸렸다. 전혀 회복하지 못한 데 소토는 1542년 5월 21일 오늘날 루이지애나주 페러데이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선원들은 자신들의 두려움 없는 지도자 없이 지속적으로 항해하여 결국적으로 누에바에스파냐 (오늘날 멕시코)에서 스페인의 정착지에 도달하였다. = = 유산 = = 에르난도 데 소토의 원정은 북아메리카의 내륙을 탐험하는 데 스페인인들에 의하여 만들어진 가장 정교한 노력들 중의 하나였다. 데 소토의 탐험과 그의 부하들은 오늘날 미국의 남부 절반의 대부분을 통하여 탐험하는 데 처음이었다. 그는 거대한 미시시피강을 발견하여 건너는 데 첫 유럽인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 것은 스페인의 탐험가에 의하여 만들어진 불행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목하는 데 중요하다. 데 소토와 그의 부하들에 의하여 충돌한 원주민들은 자신들이 면책이 없었던 것으로 홍역, 천연두와 수두 같은 유럽인들의 병들로 노출되어 아메리카 원주민들 사이에 엄청난 인명 손실을 일으켰다. 그럼에 불구하고, 데 소토의 지도와 기록들은 신세계에 관하여 유럽의 상식으로 거대하게 추가된 것 뿐만 아니라 유럽인들의 도착에 앞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관습과 문화에 정보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 분류:홍콩의 개신교 = = 분류:나라별 9세기 = = 프리러닝 = 프리러닝(Freerunning)은 다양한 장애물 및 환경과 상호 작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한 방법이다. 프리러닝을 하는 사람을 '프리 러너(FreeRunner')라고 부른다. 프리 런닝은 뒤집기와 회전 flipping and spinning 을 포함 할 수 있다. 이 운동은 일반적으로 체조, 묘기 Tricking  또는 브레이크 댄싱과 같은 다른 스포츠 기술을 이용하기도 한다. 프리 런너는 여러 풍경에서 자신만의 움직임, 흐름 및 선을 만들 수 있다. 그것은 객관적인 환경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프리 런을하는 사람들은 '파르쿠르 parkour' 2)라고도 한다. 프리 런은 종종 곡예와 스타일리쉬 한 움직임을 추가하여 파르쿠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움직임의 예술을 보여준다. 프리 런은 파르 쿠르에서 파생되었지만, 효율성이 아니라, 예술성을 강조하여 멋진 플립과 스타일 곡예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프리러너는 다른 사람의 동작을 모방하거나 복제해서는 안되며, 스스로 움직임을 창조해야한다. 프리러닝은 도전과 심미적인 가치를 추구하며 궁극적인 목표는 자기의 완성이다. 파르쿠르와 프리러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마음가짐에 있다. 만약 자신이 같은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그것이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면 프리러닝이라 할 수 있고, 자신을 훈련하고 단련하기 위한 것이라면 파르쿠르라고 할 수 있다. = = 역사 = = 프리러닝이라는 단어는 2003년 다큐멘터리 '점프 런던 Jump London'의 제작중 만들어졌으며, 세바스티앙 푸캉(Sebastien Foucan)에 의해 창시된 개념이다. 원래 '파르쿠르 parkour'의 국제적 명칭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파르쿠르의 창시자 데이비드 벨(David Belle)과의 사상적 차이로 인해 각자 다른 훈련방식이 되었다. 프리러닝(Freerunning)은 야마카시1)의 멤버였던 세바스티앙 푸캉(Sebastien Foucan)에 의해 창시된 개념이다. Foucan은보다 포괄적인 형태의 파르쿠르 parkour로 프리 런닝을 개발했다. = = 참고사항 = = 야마카시(Yamakasi)는 프랑스 리스 출신의 파르쿠르 훈련 개발자들의 오리지널 그룹이다. 9명의 설립 멤버는 데이비드 벨(David Belle), 세바스티앙 푸캉(Sébastien Foucan), 차우 벨 딘(Chou belle Dinh), 윌리엄스 벨, 얀 노트라(Yann Hnautra), 로랭 피에몬테시, 갈레인 엔'구바 보옉, 말릭 디우프, 찰스 페리에르이다. 파르쿠르(Parkour)의 효율적인 군사 스타일 장애물 코스 훈련은 파르쿠르를 무기 회피 및 상대에게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무술로 발전하게 하였다. = 황일봉 = 황일봉(1957년 1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4·5대 광주 남구청장을 역임했다. = 세드리크 뷔르데 = 세드리크 뷔르데(, 1974년 11월 15일~)는 프랑스의 핸드볼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SO 샹베리, 몽필리에 HB, VfL 구머스바흐 등에서 활동했다. 프랑스 국가대표로도 활약하여 3번의 올림픽(2000, 2004. 2008)에 출전했으며, 2008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 클럽 경력 = = 앵주의 벨레에서 태어났다. SO 샹베리에서 핸드볼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1995년까지 그 팀에서 뛰었다. 이후 몽필리에 HB로 이적하였으며, 2003년에 독일 핸드볼 분데스리가의 VfL 구머스바흐에 입단했다. 구머스바흐에서 3년간 활약한 후 다시 몽필리에로 돌아왔으며, 2009년 5월 28일에 은퇴를 선언했으나 이를 번복하고 2010년까지 USAM 님에서 활동하다가 은퇴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1997년 6월에 이탈리아와의 경기로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1998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 프랑스 대표팀으로 참가하였으며, 팀은 7위를 기록했다. 1999년에 이집트에서 열린 세계 핸드볼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팀은 6위를 기록했다. 2000년에는 크로아티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와 2000년 하계 올림픽에 프랑스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 2001년에는 발가락과 발목 부상으로 인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 불참하여 프랑스의 우승의 영광을 함께 하지는 못했다. 2003년에 포르투갈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프랑스 대표로 참가하여 동메달 획득에 기여하여 자신의 첫 국제 대회 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에는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고,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하였다. 2005년에는 튀니지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6년에는 손가락 부상으로 인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 불참했다. 프랑스는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에는 제롬 페르낭데즈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려 클로드 오네스타 감독에게 대표로 발탁되지 않았으나 페르난데즈의 부상으로 인해 그의 대타로 다시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후 노르웨이에서 열린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여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활약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2008년 10월에 국가대표 은퇴를 발표했다. 국가대표팀 선수로서 227경기에 출전하고 491골을 기록했다. = 분류:프랑스의 인쇄업자 = = 플리머스 마전 대학교 = 플리머스 마전 대학교(Plymouth Marjon University)는 영국 데번주 플리머스의 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주로 단일 캠퍼스로 운영되는 대학교이다. 이전 교명은 세인트 마크 앤드 세인트 존 대학교(University College Plymouth St Mark & St John)였으나 2013년 온전한 대학교(university) 지위를 얻었다. =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 =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João Cabral de Melo Neto, 1920년 1월 9일 ~ 1999년 10월 9일)는 브라질의 시인이다. = 강태율 = 강태율(姜颱律, 1996년 11월 1일 ~ )은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 투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강동관'이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2015년에 입단하였다. 2018년 시즌 후 현역으로 입대했으며, 2020년 6월 23일에 제대했다. 제대한 다음 날에 정식 선수로 전환됐다. = = 출신 학교 = = 부산 수영초등학교 부산 대천중학교 부경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6 롯데 0.000 2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017 롯데 -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020 롯데 0.455 14 11 2 5 0 0 2 11 2 0 0 7 0 2 1 0 2021 롯데 0.077 19 26 1 1 0 0 1 6 5 0 1 4 0 10 1 4 2022 롯데 0.094 19 32 0 1 0 0 0 4 3 0 0 2 1 9 2 0 통산 5시즌 0.145 55 71 3 5 2 0 3 21 10 0 1 13 1 21 4 4 = 메이 (가수) = 메이(MAY, 1982년 5월~)는 일본에 진출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09년부터 유우[u]로 아티스트명을 바꿔 활동을 하고 있다. = = 음반 목록 = = = = = 한국 활동 = = = 원더랜드(Wonderland) (2006년 3월 7일) 스마일(Smile) 못된 나 (2008) Fall in love(ep) (2010) 기적 [2010 remix ver.] 《SBS 일요일이 좋다 OST》 = = = 일본 활동 = = = = = = = 싱글 = = = = 원더랜드(Wonderland) (2006) 사라지지 않는 무지개 (2006) 서렌더(Surrender)/리디아(Lydia) (2006) 찬바람의 순정 (2006) 못된 나 여자의 마음 (2007) KIZUNA (2007) = = = = 정규 앨범 = = = = A Little Happiness (어 리틀 해피니스) 2007 = 분류:1363년 완공된 건축물 = = 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 = 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은 창원지방법원을 관할하는 사건 중에서 통영시를 관할하는 일부 형사, 민사 등의 사건을 재판, 등기하는 법원이다. = = 관할 구역 = = 재판관할구역: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등기관할구역: 통영시 즉결관할구역: 통영경찰서 = = 지원장 = = 순번 이름 재임 기간 1대 박래홍 1947년 10월 27일 ~ 1948년 12월 21일 2대 송의근 1948년 12월 22일 ~ 1949년 11월 14일 3대 박래홍 1949년 11월 15일 ~ 1951년 2월 8일 4대 이일규 1951년 2월 9일 ~ 1951년 5월 2일 5대 김병두 1952년 5월 3일 ~ 1958년 12월 22일 6대 박정표 1959년 1월 10일 ~ 1964년 5월 5일 7대 박기수 1964년 5월 6일 ~ 1967년 2월 27일 8대 김유곤 1967년 2월 28일 ~ 1967년 11월 14일 9대 장문호 1967년 11월 15일 ~ 1968년 9월 24일 10대 황도연 1968년 9월 25일 ~ 1969년 9월 30일 11대 장양재 1969년 10월 1일 ~ 1970년 10월 19일 12대 국명덕 1970년 10월 20일 ~ 1971년 12월 31일 13대 유근완 1972년 1월 1일 ~ 1973년 8월 31일 14대 안병희 1973년 9월 1일 ~ 1974년 8월 31일 15대 신성택 1974년 9월 1일 ~ 1975년 9월 30일 16대 조열래 1975년 10월 1일 ~ 1977년 1월 3일 17대 석용진 1977년 1월 4일 ~ 1978년 9월 17일 18대 김대진 1978년 9월 18일 ~ 1980년 5월 31일 19대 황규정 1980년 6월 1일 ~ 1981년 8월 31일 20대 조건오 1981년 9월 1일 ~ 1982년 8월 31일 21대 박국홍 1982년 9월 1일 ~ 1983년 8월 31일 22대 백수일 1983년 9월 1일 ~ 1984년 8월 31일 23대 고왕석 1984년 9월 1일 ~ 1985년 8월 31일 24대 이영석 1985년 9월 1일 ~ 1986년 4월 30일 25대 이국주 1986년 9월 1일 ~ 1989년 2월 28일 26대 조창호 1989년 3월 1일 ~ 1991년 2월 10일 27대 김종대 1991년 2월 11일 ~ 1993년 3월 1일 28대 최춘근 1993년 3월 2일 ~ 1995년 2월 28일 29대 윤석종 1995년 3월 1일 ~ 1997년 9월 21일 30대 이혁우 1997년 9월 22일 ~ 1999년 2월 28일 31대 한덕렬 1999년 3월 1일 ~ 2000년 2월 17일 32대 권오봉 2000년 2월 18일 ~ 2001년 2월 18일 33대 황용경 2001년 2월 19일 ~ 2003년 2월 18일 34대 이학수 2003년 2월 19일 ~2005년 2월 20일 35대 최인석 2005년 2월 21일 ~ 2007년 2월 20일 36대 홍광식 2007년 2월 21일 ~ 2009년 2월 22일 37대 고규정 2009년 2월 23일 ~ 2011년 2월 27일 38대 박종훈 2011년 2월 28일 ~ 2013년 2월 24일 39대 김주호 2013년 2월 25일 ~ 2015년 2월 10일 40대 장홍선 2015년 2월 13일 ~ 2016년 2월 21일 41대 권영운 2016년 2월 22일 ~ 2018년 2월 25일 42대 이용균 2018년 2월 26일 ~ 현재 = = 조직 = = 사무과 사무과장 서무계 용도, 도서 민사/가사합의부 형사합의부(제1형사부) 민사1단독, 가사단독 민사2~3단독 민사4단독(소액) 형사1단독, 제2형사부 형사2단독, 제2형사부 형사3단독, 영장, 즉결 접수 사무관 접수계 신청계 공시최고, 재산명시 독촉, 과태료 보존, 제증명 보관금 공탁 기타집행, 집행해제 가족관계등록 협의이혼 약식계 등기계(조사1~2계) 등기접수 등,초본 경매1~4계 당직실,방호원실 구내은행 집행관실 = = 재판 개정 = = 월요일: 민사 형사 재정합의, 가사합의, 제1민사단독, 제4민사단독(소액), 제1형사단독 화요일: 제2민사단독, 제2형사단독, 가사단독 수요일: 제1민사단독, 제1형사단독 목요일: 제3민사단독, 제3형사단독 금요일: 제2민사단독, 제3민사단독, 제2형사단독, 제3형사단독 = = 시군법원 = = 거제시법원: 소액, 신청, 공탁, 협의이혼, 독촉, 종결 고성군법원: 소액, 신청, 공탁, 협의이혼, 독촉, 즉결 =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35년경 - 107년경)는 초기 기독교의 속사도 6인중에 한 사람이며 순교자로서 안티오키아 주교이다. ‘하느님을 공경하는 자’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이그나티오스 호 테오포로(Ιγνάτιος ὁ Θεοφόρο)라고도 알려져 있다. 그는 안티오키아에서 로마로 압송되어 가는 도중에 일곱 편의 서간을 썼다. 이그나티오스의 서간들은 사도 교부 시대의 것으로 간주되며, 초기 기독교 신학의 좋은 예가 되고 있다. 이들 서간의 주요 주제는 교회론과 성사(성례), 주교(감독)의 역할 등이다. 그는 교회와 주교(감독)의 권위를 논하면서 처음으로 보편교회의 의미인 ‘가톨릭교회’라는 용어를 사용한 교부이다.Thurston, Herbert. "Catholic."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3.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28 June 2016 = = 생애 = = 이그나티오스(이냐시오)는 어린 나이에 기독교로 개종했다.Foley, Leonard O.F.M., "St. Ignatius of Antioch", Saint of the Day, (revised by Pat McCloskey O.F.M.), Franciscan Media 전승에 의하면, 그는 친구인 폴리카르포와 함께 사도 요한의 제자라고 전해진다. 만년에 이그나티오스는 안티오케이아의 주교로 선출되어 사목했다. 4세기 교회 역사학자 에우세비오는 그가 에보디오의 뒤를 이어 주교가 됐다고 썼다.Historia Ecclesiastica, 3권 22장 퀴로스의 테오도레토는 사도 베드로가 안티오케이아를 떠나면서 직접 이그나티오스를 주교로 서품하고 안티오케이아 주교에 임명했다고 주장했다. 이그나티오스는 스스로 테오포로(하느님을 공경하는 자)라고 자칭했다. 그가 예수가 안고 축복한 어린이들 중 한 사람이었다는 전승도 전해지고 있다. 이그나티오스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시대에 기독교를 전파한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기 위해 로마로 갔다. 로마로 압송되어 가는 길에 이그나티오스는 소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들렀다. 이그나티오스는 자신이 들른 지역의 교회들에게 보내는 여섯 편의 서간을 썼고, 나머지 서간 한 편은 동료 주교인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포에게 썼다. 에우세비오는 저서 연대기에서 이그나티오스가 아브라함 이후 2124년, 즉 서기 10년 트라야누스 재위 11년에 선종했다고 기록했다. 이그나티오스 스스로도 자신이 맹수들에게 던져질 것이라고 예감하는 글을 썼지만,나를 맹수의 먹이가 되게 버려두십시오. 나는 그것을 통해서 하느님께 갈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하느님의 밀입니다. 나는 맹수의 이빨에 갈려서 그리스도의 깨끗한 빵이 될 것입니다. 오히려 맹수들을 유인해서 그들이 나의 무덤이 되게 할 뿐 아니라 최후 잠듦에 있어 아무에게도 폐가 되지 않게 맹수들이 내 몸의 어떤 부분도 남겨두지 말도록 해주기 바랍니다. 세상이 내 몸을 볼 수 없을 때,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가 되는 것입니다. 이 맹수라는 도구를 통해서 내가 하느님께 봉헌된 희생이 될 수 있도록 그리스도께 기도해주십시요. - 로마 4,1-2 구체적으로 4세기에 예로니모가 사자라고 언급했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모스는 이그나티오스가 순교한 장소가 콜로세움이라고 처음 언급했다. 학계의 추측에 따르면, 이그나티오스는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순교했으며, 그의 유해는 동료들에 의해 안티오케이아로 옮겨져 성문 밖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이후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가 티카에움에 있는 튀케 신전을 성당으로 개축해 축성하게 한 다음 이그나티오스의 유해를 이곳으로 가져와 안장했다. 637년 이그나티오스의 유해는 다시 로마에 있는 산 클레멘테 성당으로 이장되었다. = 마게이트 = 마게이트는 잉글랜드 켄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61,223명(2011년 기준)이다. 메이드스톤에서 북동쪽으로 61.3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분류:네덜란드의 사격 선수 = = 틀:토막글/그림/빵 = 틀:토막글/그림/음식 틀:토막글/그림/후식 틀:토막글/그림/음료 틀:토막글/그림/빵 빵 = 분류:15세기 유럽의 통치자 = = 러블리 호러블리 = 러블리 호러블리는 KBS 2TV에서 2018년 8월 13일부터 2018년 10월 2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이다. = = 줄거리 = = 운명을 공유하는 한 남녀가 톱스타와 드라마 작가로 만나면서 일어나는 기이한 일들을 그린 호러 로맨틱 코미디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박시후 : 유필립 역 - 뭘 해도 되는 우주 대스타, 배우 (아역 김태율, 하경) 송지효 : 오을순 역 - 뭘 해도 안 되는 드라마 작가 (아역 신린아, 박가람) 이기광 : 이성중 역 - 귀신 보는 드라마 PD (아역 조연호) 함은정 : 신윤아 역 - 대한민국 대체불가 탑 여배우 최여진 : 기은영 역 - 뭘 해도 시청률이 터지는 드라마 작가 = = = 필립의 주변 인물 = = = 장혁진 : 강태식 역 - 필립의 소속사 대표 안두호 : 김용만 역 - 필립의 매니저 황선희 : 김라연 역 - 필립의 첫사랑 장영남 : 김옥희 역 - 필립의 친어머니, 전직 무당. 성두섭 : 서민준 역 - 전직 점프 파이브 멤버 민준, 필립과 같은 배우이자 라이벌 정순원 : 충열 역 - 전직 점프 파이브 멤버 열이, 빵집 주인 이규복 : 기순 역 - 전직 점프 파이브 멤버 JJ, 에어로빅 강사 지승현 : 사동철 역 - 전직 점프 파이브 멤버 사현 = = = 을순의 주변 인물 = = = 문수빈 : 박수민 역 - 을순의 친한 동네 동생, 백호슈퍼 상속녀 전배수 : 을순의 아버지 역 (특별출연) 정재은 : 을순의 어머니 역 (특별출연) = = = 주변 인물 = = = 김영웅 : 이 형사 역 - 동치경찰서 수사과 형사 류태호 : 조 국장 역 - KBC 방송국 국장 김응수 : 의안 점쟁이 역 (특별출연) 김지은 : 이수정 역 - 은영의 보조작가 = = = 그 외 인물 = = = 송영학 강석원 지수 최희진 : 은영을 인터뷰했던 기자 역 백현주 : 무속인 역 김종태 : 정 탐정 역 (5회 목소리 출연, 9회) 민정섭 지찬 : 의사 역 - 을순을 치료해주는 의사 신주협 : 조연출 역 오승찬 : 을순이 찾은 마트 직원 역 최형준 권오경 함진성 임지현 박승찬 강율 강신철 백기범 윤종인 정호 박성균 이병철 고한민 정현석 : 은영의 담당의사 역 신주엽 김중돈 송하림 신승용 김수은 김새별 홍솔 표은진 봉은선 김성효 구혜령 이동규 이상화 = = = 특별 출연 = = = 하하 : 을순의 전 남자친구 역 홍석천 : 강현석 역 - 피부과 전문의 구재이 : 배우 지망생 역 송영재 : 성중과 을순의 궁합을 봐 준 무속인 역 오승원 = = OST = = WHO (승희)(오마이걸) Here I Am (산들)(B1A4) Love One (범키) So In Love (은하)(여자친구) In Your Right (이창섭) My All (은가은) = = 촬영지 = = 낙산공원 비스타 워커힐 서울 아침고요수목원 - 아침광장 = = 시청률 = =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AGB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8월 13일 5.2% 5.4% 4.8% 5.0% 제2회 8월 13일 5.5% 5.7% 5.0% 5.2% 제3회 8월 14일 4.3% 4.5% 3.9% 4.1% 제4회 8월 14일 4.9% 5.1% 4.5% 4.7% 제5회 8월 20일 5.4% 5.6% 4.9% 4.9% 제6회 8월 20일 5.7% 5.9% 5.3% 5.4% 제7회 8월 21일 4.1% 4.3% 3.7% 4.0% 제8회 8월 21일 5.0% 5.2% 4.6% 4.8% 제9회 8월 27일 5.8% 6.0% 5.4% 5.6% 제10회 8월 27일 6.6% 6.7% 6.2% 6.3% 제11회 8월 28일 4.3% 4.4% 4.0% 4.1% 제12회 8월 28일 4.8% 4.9% 4.4% 4.5% 제13회 9월 3일 % % 4.2% % 제14회 9월 3일 % % 4.2% % 제15회 9월 4일 % % 3.9% % 제16회 9월 4일 % % 4.3% % 제17회 9월 10일 % % 3.4% % 제18회 9월 10일 % % 3.7% % 제19회 9월 11일 % % 4.4% % 제20회 9월 11일 % % 4.4% % 제21회 9월 17일 % % 2.4% % 제22회 9월 17일 % % 2.7% % 제23회 9월 18일 % % 2.6% % 제24회 9월 18일 % % 2.9% % 제25회 9월 24일 % % 1.0% % 제26회 9월 24일 % % 2.2% % 제27회 9월 25일 % % 2.0% % 제28회 9월 25일 % % 3.2% % 제29회 10월 1일 % % 2.7% % 제30회 10월 1일 % % 2.8% % 제31회 10월 2일 % % 2.9% % 제32회 10월 2일 % % 3.3% % = = 동시간대 드라마 = = MBC 월화 미니시리즈 SBS 월화 미니시리즈 = 압록강군 = 압록강군은 일본 제국 육군의 군 중 하나였다. 러일 전쟁에 따라 1905년 1월에 편성되어 만주군에 편입되어, 한반도에 배치되었다. 봉천 전투에 참가했다가. 1906년 1월 20일에 재향했다. = = 조직 = = = = = 사령부 = = = 사령관 : 대장 가와무라 케게아키; 1905년 1월 15일 - 1906년 1월 26일 참모장 : 소장 우치야마 고지로; 1905년 1월 14일 - 1906년 1월 30일 포병부장 : 대좌 이카타 토쿠조 공병부장 : 대좌 오타 마사노리 참모부장 : 대좌 이카타 토쿠조 : 1905년 1월 13일 - 1906년 1월 참모 *# 중좌 사토 켄타케시 *# 소좌 후루 미이즈시오 *# 소좌 무토 노부요시 *# 소좌 이노우에 카즈츠구 경리부장 : 카토 군의부장 : 요코이 도시조 군의감 병참부 병참관 : 대좌 후루타니 야스타미; 1905년 1월 14일 - 1906년 1월 20일 참모장 : 중좌 후지이 고오츠치; 1905년 1월 15일 - 1906년 1월 = = = 편성 = = = 제11사단 : 사메지마 시게오 중장 보병 제10여단 보병 제22여단 기병 제11연대 야전 포병 제11연대 공병 제11연대 물류병 제11연대 후비 제1사단 : 사카이 시게스에 중장 후비 보병 제9여단 : 히시지마 요시테루 소장 후비 보병 제6여단 : 구사바 彦輔 대좌 후비 보병 제16여단 (히로사키) : 마루이 政亜 소장 사단 직할부대 * 기갑부대 * 야전포병연대 * 도보 포병대 * 공병대대 * 위생대 * 야전병원 * 탄약대대 * 물류병대대 압록강군 야전전신대 도보 포병 제1독립대대 후비 보병 제59연대 : 나마이 준조 중좌 = 분류:17세기 건축 = = 분류:1761년 책 = = 다안 = 다안은 다음을 의미한다. 다안 거리 다안 계 다안구 다안시 다안역 다안진 다안향 = 모듈:Location map/data/India Manipur = return { name = 'Manipur', top = 25.70, bottom = 23.83, left = 92.97, right = 94.76, image = 'India Manipur location map.svg', image1 = 'Manipur relief.svg' } = 분류: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 =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Leicester/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nited_Kingdom_Leicester/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마이크 포카로 = 마이크 포카로(Mike Porcaro, 1955년 5월 29일 ~ 2015년 3월 15일)는 미국의 음악가이다. 제프 포카로의 동생이자 스티브 포카로의 형으로, 1976년부터 2007년까지 토토의 베이시스트로 활동하였다. 루 게릭 병으로 인해 2007년부터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2015년 3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 로버트 스미걸 = 로버트 스미걸(, 1960년 2월 7일 ~ )은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TV 펀하우스(TV Funhouse)의 카툰 작가와 욕쟁이 개그견 트라이엄프의 퍼펫티어(puppeteer)로 잘 알려진 미국의 희극 배우, 배우, 각본가이다. 그는 몬스터 호텔 시리즈와 조한 등 애덤 샌들러의 영화에서 공동 작업을 맡았다. = 루이빌 커늘스 = 루이빌 커늘스는 1882년부터 1891년까지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 존재했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으로, 처음 팀명은 루이빌 이클립스(Louisville Eclipse, 1882–1884)였고 이후 커늘스로 개명했으며, 커늘스는 켄터키 커널에서 유래한 것이다. = 쓰리두들러 = 쓰리두들러(3Doodler)는 워블워크스(WobbleWorks, Inc.)의 피터 딜워스(Peter Dilworth), 맥스웰 보그(Maxwell Bogue), 대니얼 코언(Daniel Cowen)이 공동 개발한 3D 펜이다. 쓰리두들러는 거의 즉각적으로 냉각되는 가열된 플라스틱을 입체적인 물체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도록 고체적이고 안정적인 구조로 밀어내는 작업을 한다. ABS 수지, PLA 수지, 열 폴리우레탄 가운데 하나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실을 이용하여 펜을 통해 이동하면서 특허받은 과정을 거쳐서 냉각한다. 쓰리두들러는 플라스틱이 끝에서 돌출되는 방식 때문에 3D 인쇄용 접착총으로 설명되어 왔는데 플라스틱 실의 한쪽 발은 "약 11피트(3.3528 미터) 정도 돌출된 재료"와 동일하다. 쓰리두들러에는 3가지 모델이 있는데 어린이를 위한 스타트(Star), 일반 소비자를 위한 크리에이트(Create),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Pro) 모델이 있다. = 마흐무디예 FC = 마흐무디예 FC는 1934년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창단된 최초의 축구단이다. 이 구단은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한 4명의 주요 선수들을 배출했었다.FIFA.com = 이정길 (음악가) = 이정길(1982년 2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록 밴드 국카스텐의 드러머이다. '광길'(光吉)이라는 별명이 있다. 이펙터로 음향 효과를 줄 수 있는 전자 드럼을 사용하기도 한다. = = 공연 = = 양방언 Evolution 2014 - 출연:이정길 (2014년 11월 28일 - 3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후쿠시마역 (한신 전기철도) = 후쿠시마역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후쿠시마구에 있는 한신 전기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HS 02이다. 보통, 구간급행 정차역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 오사카 순환선(후쿠시마 역) JR 도자이 선(신후쿠시마역) 게이한 전기철도 나카노시마 선(나카노시마 역) 본 역 도착 시에는 어느 노선의 환승 안내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역 출입구 안내에는 각 역에의 가장 가까운 출입구가 표시되고 있다 후쿠시마 역 구내 안내도 - 한신 전철 HP.. = = 역 구조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승강장 유효 길이는 8량 편성분이지만, 정비 및 공용되는 것은 6량 편성분이다. 분기기, 절대 신호가 없어 정류장으로 분류된다. 개찰구는 동서로 각 1개소씩 설치되어 있는데 두 개찰구는 지하 1층 대합실로 연결되고, 승하차 인원에 비해서는 개찰 내 큰 공간을 갖고 있다. 한신 전기철도 개업 100주년의 해에는 당시 데이리바시 역을 재현한 모형이 전시되기도 했었다. 본 역의 도착 전에 차내 방송에서는 "다음은 후쿠시마 락사 더 오사카, 호텔 한신 앞"으로 안내되고 있다. 역명판에도 "래그 더 오사카 앞" 부역명 표기가 있었지만 새 디자인 역명판 도입에 따라 이 표기는 사라졌다. 지상역사 철거지에는 호텔 한신, 지상 선로의 철거지에는 파출소와 상업 빌딩이 들어섰다. ICOCA, PiTaPa, 스루카 KANSAI 대응의 각종 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 = 승강장 = = = 승강장 노선 방향 행선 북 본선 상행 우메다 방면 남 본선 하행 아마가사키・고베 (산노미야)・아카시・히메지 방면 = = 역 주변 = = 후쿠시마텐만구 오사카 후쿠시마 역전 우체국 오사카 가미후쿠시마 우체국 더・심포니 홀 호텔 한신 러그 더 오사카 간사이 장기 회관 간사이 전력 병원 오사카 나카노시마 합동청사 오사카 고등 검찰청 오사카 지방 검찰청 법무 종합 연구소 오사카 지소 인사원 긴키 사무국 호타루마치 후쿠시마 1초메 재개발 지구 아사히 방송 본사 도지마 리버 포럼 ABC홀 시티 타워 니시우메다 마이니치 신문 빌딩 = = 역사 = = 1905년 4월 12일: 한신 본선의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 1945년: 전화로 영업 정지. 1948년 10월 26일: 영업 재개와 동시에 본 역의 우메다 방향으로 300m 거리에 있던 데이리바시 역 폐지. 1993년 9월 5일: 지하역으로 이전하는데, JR 서일본 후쿠시마 역 남쪽에서 국도 제2호선 지하로 이전함. 1999년 4월 11일: 급행 정차역으로 승격. 2009년 3월 20일: 급행 정차 폐지(동시에 본선 준급도 폐지) 대신 구간급행 정차역이 됨. 2014년 4월 1일: 역 번호 도입. = 강설 (1996년) = 강설(1996년 6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전 태권도 선수이다. = = 학력 = = 2012년 ~ 2015년 성사고등학교 2015년 ~ 2019년 한국체육대학교 태권도학과 학사 = = 출연 = = = = = 방송 = = = = = = = 드라마 = = = = 2020년 넷플릭스 《인간수업》 (웹 드라마) - 이나은 역 2023년 SBS 《모범택시 2》 - 한수련 역 = = = 영화 = = = 2022년 《학교게임》 (웹 영화) - 최혜정 역 2022년 《걸스 인 더 케이지》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2 제7회 세계 태권도 품새 선수권대회 여자 17세 이하급 동메달 rowspan="4" rowspan="4" 2013 제8회 세계 태권도 품새 선수권대회 여자 17세 이하급 은메달 2016 제4회 아시아 태권도 품새 선수권대회 30세 이하 여자 개인전 금메달 2016 제4회 아시아 태권도 품새 선수권대회 30세 이하 페어전 금메달 = 캐런 알렉산더 = 캐런 알렉산더(, 1965년 ~ )는 미국의 모델 겸 배우이다. 영화 나쁜 녀석들(1995)에서 조연 맥스 역으로 출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붉은가라지 = 붉은가라지(학명:Decapterus akaadsi)는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30cm로서 전갱이과에서 소형인 물고기에 속한다. = = 특징과 먹이 = = 붉은가라지는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어류 중에서도 붉은색의 꼬리지느러미를 가진 것이 아름다운 어종이기도 하다. 옆줄을 기점으로 몸의 등쪽은 푸른색을 띄며 배쪽은 회색을 띄는 어종이며 눈이 매우 크고 입이 앞으로 돌출이 된 어종이다. 지느러미는 대부분 붉은색이며 등지느러미가 2개이고 제2등지느러미가 매우 길게 나있다. 꼬리지느러미가 완전한 붉은색을 띄어서 이름이 붉은가라지가 되었으며 꼬리지느러미를 제외한 나머지 지느러미는 갈색이거나 옅은 붉은색이다. 먹이로는 멸치, 청어와 같은 작은물고기, 요각류, 갑각류를 잡아먹는 육식성물고기에 속한다. = = 서식지와 산란 및 어획 = = 붉은가라지의 주요서식지는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이며 그 중에서도 남중국해 일대와 대만, 대한민국, 일본 남부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서식한다. 수심 10~70m의 산호초나 암초 지대에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산란기는 5월~6월인 여름이며 알을 낳으면 알은 해수면의 위로 뜨게 된다. 식용으로도 이용이 되는 어종인데 주로 회나 구이로 많이 먹는다. = 분류:아프리카의 분리주의 = = 분류:14세기 네덜란드 = = TV조선 뉴스 9 = TV조선 뉴스 9은 대한민국 TV조선에서 평일 밤 9시에 방송되는 TV조선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이다.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 뉴스 날 후속으로 편성되었다. 주말에는 TV조선 뉴스 7으로 주말 저녁 7시에 방송된다. = = 앵커 = = = = = 평일 (뉴스 9) = = = 윤정호 보도본부장 윤우리 정치부 차장대우 = = = 주말 (뉴스 7) = = = 김명우 국제부장 오현주 정치부 기자 = = 역대 앵커 = = = = = 평일 = = = = = = = 남자 = = = = 김진우 아나운서 (2011년 12월 1일 ~ 2012년 2월 3일) 김기성 기자 (2012년 2월 6일 ~ 2012년 9월 14일) 최희준 보도국장, 보도본부장, 편성실장 (2012년 9월 17일 ~ 2016년 4월 29일) 이하원 논설위원 (2016년 5월 2일 ~ 2016년 10월 28일) 윤정호 보도국 부국장 (2016년 10월 31일 ~ 2017년 6월 30일) 전원책 변호사 (2017년 7월 3일 ~ 2017년 12월 8일) 신동욱 보도본부 부본부장, 보도본부장, 뉴스총괄프로듀서 상무 (2017년 12월 11일 ~ 2023년 12월 29일) 윤정호 보도본부장 (2024년 1월 1일 ~ 현재) = = = = 여자 = = = = 이하정 아나운서, 방송인 (2011년 12월 1일 ~ 2012년 9월 14일) 김미선 정치부 차장 (2012년 9월 17일 ~ 2015년 5월 29일) 오현주 산업부 기자 (2015년 6월 1일 ~ 2016년 10월 28일) 정혜전 문화연예부장 (2016년 10월 31일 ~ 2017년 3월 3일) 오현주 산업부 기자 (2017년 3월 6일 ~ 2019년 5월 10일) 윤우리 정치부 차장대우 (2019년 5월 13일 ~ 현재) = = = 주말 = = = = = = = 남자 = = = = 최희준 보도국장 (2011년 12월 3일 ~ 2012년 1월 22일) 윤정호 워싱턴 특파원 (2012년 1월 28일 ~ 2012년 9월 16일) 김명우 기자 (2015년 6월 6일 ~ 2015년 7월 26일) 강동원 기자 (2015년 8월 1일 ~ 2016년 2월 7일) 이하원 논설위원 (2016년 2월 13일 ~ 2016년 5월 8일) 강동원 기자 (2016년 5월 14일 ~ 2016년 6월 12일) 이상목 문화연예부장 (2016년 6월 18일 ~ 2019년 9월 15일) 박정훈 정치부장 (2019년 9월 21일 ~ 2021년 3월 28일) 김명우 편집2부장, 국제부장 (2021년 4월 3일 ~ 현재) = = = = 여자 = = = = 김지언 아나운서 (2011년 12월 3일 ~2012년 2월 5일) 이승연 기자 (2012년 2월 11일 ~ 2012년 9월 16일) 윤슬기 사회부 차장 (2015년 9월 12일 ~ 2016년 2월 7일) 김미선 정치부 차장 (2016년 2월 13일 ~ 2016년 5월 1일) 윤우리 정치부 기자 (2016년 5월 14일 ~ 2016년 6월 12일) 김자민 경제산업부 기자 (2016년 6월 18일 ~ 2019년 5월 12일) 송무빈 기획취재부 기자 (2019년 5월 18일 ~ 2019년 9월 15일) 오현주 경제산업부 기자, 정치부 기자 (2019년 9월 21일 ~ 현재) = = 기상캐스터 = = 김라희 (평일) 이나엘 (주말)토요일 또는 일요일 중 1회만 나온다. 토요일에 나올 경우에는 김라희 기상캐스터가 일요일에 나오고, 김라희 기상캐스터가 토요일에 나올 경우에는 일요일에 나온다. = = 타이틀 변천사 = = = = = 평일 = = = TV조선 뉴스쇼 판 : 2012년 9월 17일 ~ 2016년 10월 30일 TV조선 종합뉴스 9 : 2017년 7월 1일 ~ 2017년 12월 8일 TV CHOSUN 뉴스 9 : 2017년 12월 11일 ~ 현재 = = = 주말 = = = TV조선 주말뉴스 7 : 2012년 9월 22일 ~ 2013년 2월 12일 TV조선 주말뉴스 土/日 : 2013년 2월 18일 ~ 2015년 9월 6일 TV조선 종합뉴스 7 : 2017년 7월 6일 ~ 2017년 12월 10일 TV CHOSUN 뉴스 7 : 2017년 12월 16일 ~ 현재 = = = 매일 = = = TV조선 뉴스 날 : 2011년 12월 1일 ~ 2012년 9월 16일 TV조선 뉴스 판 : 2016년 10월 31일 ~ 2017년 6월 30일 = = 시보 광고 = = 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기아) =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 =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 (Windows Driver Model, WDM)은 컴퓨팅에서 윈도우 95, 윈도우 3.1, 윈도우 NT 드라이버 모델과 같은 오래된 버전의 윈도우에서 쓰였던 VxD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윈도우 95, 윈도우 2000에 도입된 장치 드라이버를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Win32 드라이버 모델로도 알려져 있다. = = 개요 = = WDM 드라이버는 복잡한 계층으로 되어 있고 입출력 요청 패킷 (IRP)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은 기록되어야 하는 코드의 양을 줄이고 요구 사항을 표준화함으로써 윈도우 98과 윈도우 2000 운영 체제를 위한 통합 드라이버 모델을 정의하였다. WDM 드라이버는 윈도우 98, 윈도우 2000 이전의 운영 체제, 다시 말해 윈도우 95, 윈도우 NT 4.0, 윈도우 3.1 등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WDM을 따르게 되면 x86 기반의 컴퓨터에서 윈도우 98, 윈도우 98 SE, 윈도우 미,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비스타 (하위 호환성을 위함)에 걸쳐 이진 코드 호환성과 소스 호환성을 보장한다. WDM은 상위 호환성을 전제로 만들어졌으므로 WDM 드라이버는 드라이버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보다 더 새로 나온 윈도우의 버전에서도 동작할 수 있지만 새로운 버전의 운영 체제에 도입된 새로운 기능의 이점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WDM은 일반적으로 하위 호환성은 제공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WDM 드라이버는 더 오래된 버전의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윈도우 XP는 윈도우 2000용으로 작성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윈도우 XP에 도입된 어느 새로운 WDM 기능도 이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윈도우 XP용으로 쓰여진 드라이버는 윈도우 2000에서 사용할 수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WDM은 윈도우 2000 커널 모드 드라이버들의 중재 계층에 존재하며 윈도우의 드라이버 기록을 쉽게 하고 기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WDM이 윈도우 98 계열부터 윈도우 2000 계열에 이르기까지 주로 이진 코드 호환성과 소스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이것이 반드시 선호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드라이버는 그 둘 중 하나의 운영 체제에 맞추어서 개발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WDM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뉜다. = = = 장치 기능 드라이버 = = = 기능 드라이버는 장치를 위한 주된 드라이버이다. 기능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장치 제조업체가 만들어내며 (드라이버가 원본 모드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면) 필수적이다. 기능 드라이버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도와줄 수 있다. 클래스 드라이버: 기능 드라이버의 일종으로, 미니포트와 기타 클래스 드라이버를 맨 위층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내장 프레임워크 드라이버로 생각할 수 있다. 클래스 드라이버는 서로 다른 수준의 WDM 아키텍처 사이에서 상호 작용한다. 다른 드라이버 클래스 사이의 공통 기능은 클래스 드라이버 안에다 기록할 수 있으며 다른 클래스와 미니포트 드라이버가 이를 사용한다. 낮은 수준의 클래스 드라이버는 미니포트 드라이버에 노출된 저만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만 높은 수준의 클래스 드라이버는 운영 체제에 따른다. 클래스 드라이버는 원하는 대로 동적으로 로드하거나 언로드할 수 있다. 이들은 하드웨어나 버스에 따르지 않는 클래스 고유 기능으로, 실제로 열거(Enumeration)와 같이 클래스 고유 기능만 다루는 경우도 있다. 미니포트 드라이버: USB, 오디오, SCSI, 네트워크 어댑터를 위한 기능 드라이버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윈도우 98에서 윈도우 2000에 이르기까지의 소스 호환성과 이진 호환성을 보장하지만 특정한 버스 클래스 드라이버를 통해 하드웨어로의 접근을 제어한다. = = = 버스 드라이버 = = = 버스 드라이버는 버스 컨트롤러, 어댑터, 브리지를 도와 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PCI, PnPISA, SCSI, USB, IEEE1394와 같은 가장 일반적인 버스를 위한 버스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각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는 필요하다면 저만의 버스 드라이버를 만들 수 있다. 버스 드라이버는 컴퓨터에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버스가 일을 경우 하나 이상의 버스를 도와 줄 수 있다. = = = 필터 드라이버 = = = 필터 드라이버는 선택적인 드라이버로서, 장치의 동작에 값을 더하거나 수정하는 역할을 하며 비장치 드라이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필터 드라이버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도와 줄 수 있다. 상위 수준의 필터 드라이버는 기능 드라이버를 위한 기본 드라이버 위에 놓일 수 있지만 하위 수준의 필터 드라이버는 기능 드라이버 아래와 버스 드라이버 위에 놓일 수 있다. 장치 서비스: 이것은 윈도우 서비스로 추가된, 커널 수준의 필터 드라이버의 일종이며 응용 프로그램들이 장치와 함께 동작할 수 있게 도와 준다. = = VxD, WDM, 그리고 윈도우 98 = = 윈도우 98 기반 운영 체제(윈도우 98, 윈도우 98 SE, 윈도우 미)는 WDM와 VxD 드라이버 표준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이 드라이버들은 둘 다 같은 하드웨어에 통일되고도 각기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더 새로운 WDM 표준은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테면 VxD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TV 수신 카드는 384 x 288 화소의 해상도로 영상을 캡처할 수 있지만 같은 TV 수신 카드에 WDM 드라이버를 사용하게 되면 768 x 576 화소의 해상도로 캡처할 수 있다. 이는 WDM의 일부인 새로운 브로드캐스트 드라이버 아키텍처 (BDA)의 도움을 받은 것에 기인한다. = = 비판 = =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은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개발자로부터 비평을 받아왔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이 주를 이룬다: WDM은 매우 가파른 학습 곡선이 있다. 전원 관리 이벤트와 플러그 앤 플레이의 상호 작용이 쉽지 않다. 입출력 취소가 거의 불가능하다. 지원 코드의 수천 개의 라인이 드라이버마다 요구된다. 순수 사용자 모드 드라이버 기록을 지원하지 않는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제공한 문서의 품질과 샘플에 대한 수많은 문제도 거론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WDM을 대체할 새로운 프레임워크인 윈도우 드라이버 파운데이션(WDF)을 공개하였다. 여기에는 커널 모드 드라이버 파운데이션 (KMDF)와 사용자 모드 드라이버 파운데이션 (UMDF)를 포함하고 있다. 윈도우 비스타 이상의 운영 체제에서는 WDM과 더 새로운 윈도우 드라이버 파운데이션을 둘 다 제공하고 있다. KMDF는 윈도우 2000/XP용으로도 제공되지만 UMDF는 윈도우 XP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 참조 = = Finnel, Lynn (2000년). MCSE Exam 70-215, Microsoft Windows 2000 Server. Microsoft Press. . Oney, Walter (2003년). Programming the Windows Driver Model, Microsoft Press, . = 틀:(S2) = = 틀:나라자료 시스케이 = = 분류:폭발물 탐지 = = 부캐 마케팅 = 예전에는 미디어를 소비할 수 있는 플랫폼이 TV, 영화관이 대부분이었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이 활발해지기 시작했고 이전에는 방송사에서 그쳤던 플랫폼이 인터넷으로도 쉽고 다양하게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거기에 스마트폰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플랫폼은 더욱 다양해졌다. 또한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쉽게 캐릭터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개인이 자신만의 개성이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 인터넷에 올리고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참고 논문 '멀티 페르소나'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배우들이 쓰던 가면의 이름인 '페르소나'에서 파생된 용어로 '다중적 자아'를 뜻한다. 우리는 온라인 속 '나', 학교에서의 '나', 집에서의 '나' 등 여러 가지 모습을 가지며 다양한 모습을 띈다. 이는 진정한 나다움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하는 개개인의 고민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기업과 같은 판매자 측면에서도 멀티 페르소나 시대에서 어떤 마케팅 전략과 정책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고민토록 한다. 멀티 페르소나의 확산 배경으로는 SNS의 발달이 있다. SNS 이용자가 많아지며 남의 시선을 의식한 사진, 영상을 올려 그것이 마치 진짜 삶인 듯 보여준다. 이러한 멀티 페르소나를 캐릭터 마케팅에 활용하여 성공적인 성과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부캐릭터'이다.참고 논문 부캐 마케팅의 예시로 우리은행의 부캐 <웃튜브>가 있다. 은행은 보통 보수적이고 딱딱한 이미지를 연상케하는데, 우리은행이 이를 해결하고자 기업명을 떼어내 은행의 이미지를 버리고 <웃튜브>라는 서브 채널을 유튜브에 개설한 것이다. 은행원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은근남녀썰, 표준투자권유준칙으로 하는 ASMR 등 다양한 예능 콘텐츠로 금융/재테크에 흥미 있는 고객들에게 더 유연한 이미지로 다가가고 있다.웃튜브 링크 = 주병선 = 대표곡 대표곡 고인돌 1988년 칠갑산 1988년 어머니의 나라 2007년 아리아리요 2009년 둥글둥글 2011년 들꽃 2012년 주병선(1964년 11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이력 = = 추계예술학교 국악학과 3학년 시절이던 1985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 첫 데뷔하였으며 3년 후 추계예술학교 국악학과 4학년 시절이던 1988년 제12회 MBC 대학가요제 금상 수상하였고 이듬해 1989년 1집 앨범 수록곡 칠갑산으로 정식 데뷔하였다. 한때 국악 가수라는 닉네임으로도 유명하였던 그의 대표곡은 트로트 가수 윤희상의 1980년 오리지널 원곡을 1989년 리메이크한 칠갑산이 있다. = = 생애 = = 주병선은 여수에서 태어나 전라남도 여수공업고등학교에 다니던 시절, 그룹 사운드 활동을 하며 록 뮤지션의 꿈을 키우던 주병선은 추계예술학교(지금의 추계예술대학교)에 입학을 한 이후에도 계속 록 음악을 했다. 그러나 그는 국악학과 학생이었으며 부전공은 타악학이었고 록과는 전혀 다른 방식의 음악이어서 록 음악과 국악, 그리고 타악기 연주 세 분야를 모두 습득하였다. 그 때 록 음악을 장르로 대학가요제 예심에 여러 번 출전 신청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예심에서 몇 번 탈락하였고 그 후 주병선이 가수로 데뷔하게 된 계기는 1988년에 제12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주병선 작곡, 작사로 이루어진 전통음악의 형식을 띤 가요〈고인돌〉로 출전하여 금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가수로 데뷔하였으며 1989년에 반도음반의 소속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88년 MBC 대학가요제에서 금상을 수상하고 가요계에 데뷔한 주병선은 이듬해 1989년부터 1집 앨범칠갑산을 발표하였다. 데뷔 직후 그에게 단 한번의 일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는데 그것은 여성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진주 씨의 모친인 재즈 가수 출신의 유정금이 음악 프로그램이었던 주부가요열창에서〈칠갑산〉으로 출전하여 3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이다. 갑자기〈칠갑산〉이 인기를 얻기 시작하자 이 곡의 원곡자였던 주병선도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즉, 처음에는 노래만 알려졌지만 점차 주병선도 전국을 강타하여 일약 스타덤에 올라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후 2집 앨범을 발표하였지만 워낙〈칠갑산〉이 유명했던터라 다른 곡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고 데뷔한 지 몇 년 뒤에 군에 입대하였다. 제대 후 1992년 데뷔한 서태지와 아이들을 반도음반의 가수로 발탁하고 이듬해 1993년 발표된 서태지와 아이들의 곡〈하여가〉에 태평소 연주를 도입한 전통가요 형식의 코러스를 넣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7년에는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 OST를 맡으면서 활동을 재개하였고 2008년에 7집 앨범을 발표하고 2009년에는 8집 앨범을 발표하였다. 8집여덟번의 행복에 대한 고백의 타이틀곡〈아리아리요〉는 룸바와 보사노바 리듬이 빛나는 신나는 트로트이면서 춘향전의 사랑가를 현대적인 느낌으로 새롭게 개사한 곡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후로 각종 많은 공연 무대에 출연하고 있다. = = 학력 = = 여수공업고등학교 졸업(1983년) 추계예술대학교 국악학과 학사 (부전공: 타악)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과정 (공학 석사) = = 음반 = = 1988년 <고인돌> 1989년 <슬픈 그림자 / 칠갑산> 1990년 <내 잘못이야> 1992년 <꽃분네야 /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1997년 <내 한사람의 이름 앞에> 1998년 <주빌리야> 2007년 <어머니의 나라> 2008년 <아버지의 강> 2009년 <아리아리요 / 둥글둥글> = 분류:폐지된 도도부현도 = = 매천시장역 = 매천시장역(Maecheon Market Station, 梅川市場驛)은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이다. = = 역명의 유래 = = 역명은 역 인근에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이 있어서 당초에 매천농수산물시장역이란 이름으로 역명이 확정되었으나 역명이 상당히 길다는 이유로, 2014년 12월 22일 간결하게 매천시장역으로 변경되었다. = = 역 구조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다.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 = 승강장 = = = 매천 ↑ 하 상 ↓ 팔달 상행 매천·칠곡운암·칠곡경대병원 방면 하행 팔달·서문시장·용지 방면 대합실을 지나면 반대쪽 승강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 = 역사 = = 2015년 1월 15일 : 매천시장역으로 역명 결정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역 주변 = = 대구광역시 농수산물도매시장 매천수산시장 관문동주민센터 대구북부화물터미널 대구관문초등학교 매천휴먼시아2단지 두산위브2001 대백인터빌 청구장미타운 매천교 팔달로교차로 팔달고가교 = = 승차량 변동 = = 주변에 대구광역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외에는 역세권이 많이 발달하지 못해 이용 빈도가 적은 편이며,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들 중 4번째로 승객이 적은 역이다. 주변 아파트 단지 개발로 이용객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선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승차 인원 주석 노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주석 3호선 851 875 893 908 1,328 1,219 대구교통공사 = 윤성현 (PD) = 윤성현은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프로듀서이다. = = 경력 = = 한국방송공사 라디오2국 프로듀서 = = 저서 = = 《라디오 지옥 紙屋 (신청곡 안 틀어 드립니다)》() = = 제작한 프로그램 = = (2007 ~ 2009) 《KBS 2FM - All THAT CHART》 (2009 ~ 2011) 《KBS 2FM - 심야식당》 = 곤바데 카부스 (탑) = 곤바데 카부스는 이란 곤바데카부스에 있는 타워이다.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 분류:다마구 = = Vs. (펄 잼의 음반) = Vs.는 미국의 록 밴드 펄 잼의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93년 10월 19일 에픽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1991년 데뷔 음반 Ten을 지지하며 거침없는 투어 일정을 소화한 펄 잼은 1993년 초 데뷔의 상업적 성공을 좇아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여 스튜디오로 향했다. 결과적인 음반인 Vs.는 밴드의 이전 발매에 비해 더 빠르고 공격적인 사운드를 선보였다. 이 밴드는 프로듀서 브렌단 오브라이언과 첫 번째 콜라보레이션이었고 드러머 데이브 애브러지스와 첫 음반이었다. 펄 잼은 Vs.에 대한 홍보 노력을 축소하기로 결정했는데, 여기에는 음반의 어떤 싱글도 뮤직비디오 제작을 거절하는 것이 포함된다. 발매되자마자, Vs.는 발매 첫 주 동안 판매된 음반의 대부분의 음반 판매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5년 동안 유지된 기록이다. Vs.는 빌보드 200 차트에서 5주 동안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펄 잼 음반으로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음반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의해 7배의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 녹음 = = 두 번째 음반으로 펄 잼은 데뷔 음반인 Ten의 성공에 걸맞게 노력하는 중압감을 느꼈다. 2002년 인터뷰에서 기타리스트 마이크 매크리디는 "밴드는 꽤 크게 불었고 모든 것이 꽤 미친 짓이었다"고 말했다."Interview with Stone Gossard and Mike McCready". Total Guitar. November 2002. Vs.는 브렌단 오브라이언이 프로듀싱 업무를 담당한 최초의 펄 잼 음반이었다. 1991년 8월 이 밴드에 합류해 음반 Ten을 순회했던 드러머 데이브 애브러지스와 함께한 밴드의 첫 음반이기도 했다. Vs. 리허설은 1993년 2월 워싱턴주 시애틀의 포테이토헤드 스튜디오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밴드는 1993년 3월에 캘리포니아주 니카시오에 있는 현장으로 이동하여 녹음을 시작했다. 애브러지스는 이 고요한 녹음 사이트를 "천국"이라고 불렀고, 리드 보컬리스트 에디 베더는 "여기 정말 싫어... 나는 힘든 시간을 보냈어... 여기서 어떻게 록 음반을 만들까?" 밴드는 한 번에 한 곡씩 녹음하는 접근법을 취했고, 오브라이언과 각 곡이 완성되는 대로 그 곡들을 혼합하기로 합의했다. 오브라이언은 밴드 멤버들에게 라이브와 마찬가지로 많은 셋팅을 시켰고Rotondi, James. "Blood On the Tracks". Guitar Player. January 1994., 대부분의 곡들은 잼 세션으로 개발되었다. 기타리스트 스톤 고사드는 "내가 이미 정리된 여러 가지 물건을 들여오기보다는 좀 더 자연스럽고 밴드 지향적인 방식으로 사물이 발전하도록 허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고사드는 베더가 합류해 노래를 시작하자 편곡된 곡들이 대부분이라며 "노래하는 모습만으로 음악이 언제 바뀌고 싶은지 알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Garbarini, Vic. "Spit Fire". "Spit Fire". Guitar World. February 1995. 2009년 인터뷰에서 고사드는 "Vs.는 아마도 현명하게 녹음을 하는 것이 더 기분이 좋은 곳이었을 것입니다. 저는 그것이 어떻게 변화하고 진화할 수 있는지 보았습니다. 그래서 제게 많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발라드도 할 수 있고, 빠른 것도 할 수 있고, 느린 것도 할 수 있고, 펑크도 할 수 있습니다. 거기서 나는 에드에게 갈 곳이 많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Quinn, Bryan. "Q+A session with Pearl Jam". Daily Record. March 9, 2009. = = 투어 = = 펄 잼은 1993년 가을과 1994년 봄에 미국에서 투어를 하며 음반을 홍보했다.Pearl Jam: Set Lists. Pearljam.com. 1993년 가을 투어는 미국 서부에 초점을 맞췄고 1994년 봄 투어는 미국 동부에 초점을 맞췄다. 업계 관계자들은 펄 잼의 투어를 레드 제플린의 투어 습관에 비유했는데, 이는 이 밴드가 "언론을 무시하고 팬들에게 직접 음악을 가져갔다"는 것이다. 이 순회공연 동안 그 밴드는 암표상을 막기 위해 티켓 가격을 제한했다.DeRogatis, Jim. Milk It!: Collected Musings on the Alternative Music Explosion of the 90's. Cambridge: Da Capo, 2003. , pg. 58–59 이 밴드의 세 번째 음반인 Vitalogy의 여러 곡이 이 투어에서 초연되었다. 이 밴드의 1994년 4월 3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폭스 시어터에서 열린 콘서트는 미국에서 라디오로 생중계되었다. 며칠 후, 너바나의 프런트맨 커트 코베인의 시신이 명백한 자살로 시애틀의 자택에서 발견되어 베더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1994년 4월 8일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서 열린 이 밴드의 패트리엇 센터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베더는 "나는 우리 중 누구도 오늘 밤 커트 코베인이 없었다면 이 방에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언했다.Gunderson, Edna. "Musical artists offer commentary on the late Kurt Cobain" . Gannett News Service. 베더는 나중에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커트에 대해 알게 된 날... 그냥 빙글빙글 돌았어요. 저는 길을 잃어서 놀아야 할지, 아니면 그냥 집에 가야 할지, 아니면 예배에 참석해야 할지 몰랐어요. 그래도 아쉬움이 남습니다. 마지막 2주 동안 투어를 한 것이 더 나았을 것입니다. 저는 다음 2주 동안 이 게임을 하기로 결정했고 그 후에는 다시는 경기를 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Marks, Craig. "Let's Get Lost". Spin. December 1994. 펄 잼은 1994년 3월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한 공연 후 티켓 판매업자 티켓마스터가 티켓에 서비스 요금을 추가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격분했다.Wall, Mick. "Alive". Nirvana and the Story of Grunge. Q. p. 99. 투어에 이어, 밴드는 티켓마스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티켓마스터는 자신들을 독점적인 존재라고 비난했고, 그들의 반경쟁 관행이 30% 이상의 가격 인상을 허용했다. 그 밴드의 의도는 팬들을 위해 티켓 가격을 낮추려는 것이었다."PJ's testimony before Congress regarding Ticketmaster". June 30, 1994. 1994년 여름 여행을 위한 펄 잼의 계획은 티켓마스터 불매운동의 결과로 취소되었다. 2016년 4월 16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 있는 본 스쿠 웰니스 아레나에서 펄 잼은 밴드의 세트의 일부로 음반 전체를 순서대로 연주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에디 베더에 의해 작사하였다. = 거창초등학교 = 거창초등학교는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07년 6월 1일 공립거창보통학교 개교 1911년 11월 1일 거창공립보통학교(4년제) 개편 1921년 4월 1일 6년제 개편 1938년 4월 1일 거창읍내공립심상소학교(학교 명칭 변경)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거창읍내공립국민학교(학교 명칭 변경)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46년 9월 1일 거창공립국민학교(학교 명칭 변경) 1950년 4월 1일 거창국민학교로 변경법률 제86호 (1949년 12월 31일) 1976년 3월 1일 창동국민학교 분리 1984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설립 인가 1994년 2월 1일 급식소 준공 및 학교 급식소 운영 1996년 3월 1일 거창초등학교로 변경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2004년 3월 1일 아림초등학교 분리 2012년 2월 17일 제100회 졸업식(총 졸업생 26,086명) 2020년 3월 1일 16학급(308명) 편제 2020년 3월 1일 제25대 신정희 교장 부임 2020년 1월 10일 제108회 졸업식(총 졸업생 수 26,920명) = 에버모어 엔터테인먼트 = 에버모어 엔터테인먼트(EVERMORE ENTERTAINMENT)는 대한민국의 음반사이다. 2011년에 설립되었으며 음반기획 및 제작뿐만 아니라 레코딩 스튜디오도 운영하고 있다. = = 연혁 = = 2011년 7월 에버모어(주) 설립 2011년 10월 에버모어 레코딩 스튜디오 오픈 = = 소속 아티스트 = = 김정훈 AIVAN 김종현 (뉴이스트 출신) 캐치더영 (Catch The Young) 이정주 이근형 = = 현재 소속 연습생 = = 남유주 이선우 = = 이전 소속 연예인 = = S.L.K. 김바다 레이시오스 아트오브파티스 헬로 스트레인저 버스터즈(슈퍼스타K6 TOP6) 보이스퍼 = 이시카와현립 미술관 = 이시카와 현립 미술관은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 있는 미술관이다. = = 개요 = = 1945년 10월, 이시카와 현 미술관으로 가나자와 시 혼다 정에 있는 구 호쿠리쿠 해군관을 개조하여 개관하여 그 해 말에 점령군에 의해 접수된다. 1959년 다니구치 요시로가 설계하여 개관하였다. 1983년에 근접하는 현재 위치에 이전과 함께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하여 개관하였다. 이시카와 현에 연고가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수집하고 있다. 1997년 이시카와 현 문화재 보존 수복 공방이 부속되어 문화재 복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2005년에는 현지 사업가로부터 우키요에 판화 2,224점 (3,016건)을 기증을 받았다. 2008년에 설비 노후화에 따른 대규모 수리가 완료되었다.「大型ガラスで開放空間 新県立美術館、20日に改装オープン」 호쿠리쿠 신문, 2008년 9월 12일 = = 전시실 = = 첫 번째부터 아홉 번째까지의 전시실과 마에다 이쿠토쿠가이 손케이가쿠분코 분관에 10개 방이 있다. 첫 번째 전시실에는 노노무라 닌세이의 작품이자 국보인 이로에키지코로와 중요문화재 色絵雌雉香炉 두 점이 전시된다. 분관은 마에다 성씨의 문화재를 관리하는 마에다 이쿠토쿠가이 (본부는 도쿄 도 메구로 구)가 소장하고 있는 손케이카쿠분코의 미술 공예품을 월별로 주제를 정해 전시한다. = = 히로시카 별관 = = 2008년 대규모 수로를 계기로 지금까지 손케이카쿠분코의 기탁품을 보관하고 있던 전시실이 히로시카 별관으로 수리 정비되었다. 1개 홀, 2개 회의실, 1개 와시쓰, 1개 담화실이 있다. 건물은 가가번의 주요 가문으로 혼다 성씨의 다이묘야시키가 있던 곳에「本多家屋敷を結ぶ道跡 県立美術館敷地で金沢市確認 当主らの近道か」 호쿠리쿠 신문, 2009년 10월 23일 1922년 일본 제국 육군 9사단의 사단 장관 건물로 지어진 전후는 미군 장교 관사, 가나자와 가정 법원 이시카와 현 아동회관, 조류 공원, 휴식관 등에 사용된 것이다. = = 숍 · 카페 = = 무료 시설인 현관에 이시카와 현의 전통 공예품의 복제품 등을 판매하는 뮤지엄 숍과 나나오시 출신의 파티시에 쓰지구치 히로노부가 운영하는 카페 르 뮤제 드 애슈 KANAZAWA가 들어서 있다. = 대한산악구조협회 = 대한산악구조협회는 산악사고시 지상 구조활동 및 산림항공구조대와의 연계활동 전개, 일반 등산인을 위한 산악 안전교육 실시할 목적으로 2009년 12월 11일 설립 허가된 대한민국 산림청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40-10, 산악문화회관 2층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산악사고시 지상 구조활동 산악 안전교육 = 김은희 (작가) = 김은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 = 드라마 = = 2002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겨울연가》 ... 공동집필 2003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여름향기》 ... 공동집필 2004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낭랑 18세》 ... 공동집필 2004년 KBS2 청춘 미니시리즈 《알게될거야》 ... 공동집필 2006년 ~ 2007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눈의 여왕》 ... 공동집필 2008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밤이면 밤마다》 ... 공동집필 2009년 KBS2 수목 미니시리즈 《아가씨를 부탁해》 ... 공동집필 2013년 ~ 2014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총리와 나》 ... 공동집필 2022년 MBC 금토 미니시리즈 《금수저》 ... 공동집필 = 분류:나시오나우 FC = = 분류:소목장 = = 노마 맥밀란 = 노마 맥밀란(Norma MacMillan, 1921년 9월 15일 ~ 2001년 3월 16일)은 캐나다의 영화배우이다. 밴쿠버에서 태어났으며 밴쿠버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헤드 오버 힐스 (2001년) 톰 소여의 모험 (1998년) 악몽의 13층 (1990년) 인생의 반전 (1988년) 마녀의 심판 (1987년) 언더독 - 시리즈 (1964년) = = 부여 마정성결교회 = = 위 문서를 삭제 토론에 회부코자 합니다. 더불어 해당 문서만이 속한 :분류:부여군의 교회도 함께 삭제 토론에 회부코자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에 의해 해당 교회가 지속적으로 다뤄진 것을 확인할 수 없는, 즉 저명성의 문제입니다. 현재 대한민국 내에 있는 교회만 해도 그 수가 엄청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일개 지역의 교회라고 해서 아무 특필할 것이 없는데 생성해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는 기독교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것이 많아, 혹 기독교 내에서는 해당 교회가 잘 알려져 있을 수도 있기에 바로 삭제 신청을 하기보다는 우선은 삭제 토론에 회부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소심자 (토론) 2012년 6월 2일 (토) 13:34 (KST) = 세인트 루시아 = = 낮은 욕구좌절 내성 = 낮은 욕구좌절 내성(low frustration tolerance, LFT) 혹은 단기 쾌락주의(short-term hedonism)는 불쾌한 느낌이나 스트레스성 상황을 견디는 것이 불가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현실이 바램처럼 되어야 한다든지, 혹은 좌절은 빠르고 쉽게 해결돼야 한다든지 하는 느낌에서 유래한다. 낮은 욕구좌절 내성의 소유자들은 좌절이 빨리 해결되지 않을 때 정서장애(emotional disturbance)를 겪는다. 행동은 좌절을 유발하는 사건을 피하도록 지향되지만, 모순되게도 이는 오히려 좌절이 더 커지게 되고 정신적 스트레스마저 커지게 된다. 합리정서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에서, 반대 개념은 높은 욕구좌절 내성(high frustration tolerance)이다. = = 특성 = = 낮은 욕구좌절 내성은 유년기에 부모들이 아이가 부탁한 것을 별다른 반대 없이 제공하는 좋지 않은 훈육으로 인해 시작될 수 있으며, 이때문에 아이들은 오로지 부탁하는 것만으로 자신이 바라는 모든 것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믿어버릴 수 있다. 또한 시간이나 시간계획을 관리하지 못한다. 때문에 자신은 예민한 사람이 되게 한다는 잘못된 믿음과 문제 해결 능력이 결여된 상태로 성장한다. 삶이 쉽고 즐거워야 한다는 믿음 때문에,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몰라 자신만의 프로젝트나 특정 입장을 고민 없이 포기하게 된다.Mariana Alvez. Baja tolerancia a la frustración Psicología Positiva Uruguay. 또한 어렸을 적 행동을 그대로 드러내는, 나이에 걸맞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형태의 현실을 그대로 보이려고 한다. 자신이 바라는 모든 것을 획득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요청하고 지시하며 고집을 부려 어떤 비용을 들여서라도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한다. 인생은 항상 쉽고 쾌적한 것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어떠한 어려움, 지체, 실패 등은 견디기 너무나도 끔찍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욕구를 필연적인 것으로 혼동한다. = = 역사 = = 개념은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가 개발하였다. 엘리스는 낮은 욕구좌절 내성이 기능장애성(dysfunctional) 비합리적 신념에서의 평가 구성요소라고 이론을 세웠다.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치료 이론은 비합리적 신념과 스트레스 유발 상황의 회피는 행동이나 감정상의 문제의 기원이 된다고 하였다. 인간으로서 우리는 고통을 회피하고자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현재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나중에 더 큰 문제를 안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 = 쾌락주의 유형 = = 추론적 쾌락주의(Inferential hedonism) : 인간의 욕망(desire)은 자신의 쾌락(pleasure)이나 고통(pain)의 쾌락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강화적 쾌락주의(Reinforcement Hedonism) : 한 욕망은 특정한 욕망을 상상하는 것이 가져다주는 쾌락으로 인해 강화된다. = = 스트레스 = = 합리정서행동치료에 의하면, 스트레스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발휘한다. 스트레스는 신경계(nervous system)의 일부로 존재하고, 스트레스 수준이 상황 대처 능력을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히 초과할 경우 그것은 인간의 행복(well-being)에 악영향을 준다. = = 의의 = = 낮은 욕구좌절 내성은 지연행동(procrastination)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사라 에델만 박사(Dr. Sarah Edelman)에 의하면, 낮은 욕구좌절 내성은 견디기 어려운 상황을 회피하게 하고 이런 상황들을 회피하게 한다.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일들을 많이 달성한다는 것은 불편(discomfort)이 포함되어 있는 행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어려운 상황이나 과업을 회피하는 것은, 불쾌한 관계의 종결 등 건강하지 못한 일상 개선, 불만족스러운 직업에서 벗어나기와 같은 건설적인 문제 대처 방식으로부터 차단한다. 또한 지겹거나 어렵거나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과업은 지연행동(procrastinate)을 하게 한다고 말한다. = = 감소 방안 = = 합리정서행동치료에 의하면, 비합리적 신념을 줄이고 합리적 신념을 늘리는 것이 낮은 욕구좌절 내성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인지 구축(cognitive restructuring)을 통해 기능부전적 사고(dysfunctional thinking)와 행동을 수정할 수 있고, 고통을 안겨주는 사고를 바꿀 수 있다. "기존의 외부조건들은 내가 좋아하는 것을 나에게 주도록 바뀌어야 해. 그렇지 않으면 나는 견디지 못하고 절대 행복할 수 없어." "나는 즉각적인 만족을 얻어야 하고 얻게 될 거야. 그렇지 않으면 나는 견디지 못하고 내 삶은 끔찍할거야." "나는 번거로운 일(hassles)을 못 참아." 보다 합리적이고 과장이 덜한 사고는 다음과 같다. "나는 현재 조건들을 좋아하지 않아." "나는 즉각적인 만족을 좋아해." "나는 번거로운 일이나 좌절이 불편해." = = 척도 = = 욕구좌절 불편 척도(frustration discomfort scale, FDS)은 낮은 욕구좌절 내성을 위한 다면적 측정으로, 합리정서행동치료 이론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차원들은 네 범주로 나뉜다. 감정적 못참음(Emotional intolerance) : 감정적 고통을 참지 못함 권리 부여(Entitlement), 불공정이나 만족 좌절에 대해 참지 못함 불편 못참음(Discomfort intolerance) : 어려움이나 번거로운 일을 못참음 달성(Achievement), 좌절된 달성 목표에 대해 못 참음 = = 내성 증가 = = 엘리스는 내성으로 가는 경로는 많은 길로 이뤄졌다고 말하였다. 그 길은 무조건적 자기 수용(unconditional self-acceptance), 무조건적 타인 수용(unconditional other-acceptance), 무조건적 인생 수용(unconditional life-acceptance)이다.The Road To Tolerance, Albert Ellis, 2004, Prometheus Books, Conclusion (p211) = 논리 오류 = 논리 오류(論理誤謬, )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이 부정확하게 동작하게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종료 또는 충돌시키지는 않는 버그이다. 논리 오류는 비록 즉시 인식되지는 않지만 의도치 않은 또는 바라지 않은 결과나 다른 행동을 유발한다. 논리 오류들은 컴파일 언어 그리고 인터프리터 언어에서 모두 발생한다. 프로그램의 구문 오류와는 다르게, 논리 오류는 비록 의도되지 않은 행동을 하지만 언어에서 유효한 프로그램이다. 논리 오류의 존재에 대한 유일한 단서는 잘못된 해결법의 생산이다. = = 논리 오류 디버깅 = = 이러한 종류의 오류들을 찾는 방법 중 하나는 코드에서 오류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변수들의 출력을 파일이나 화면에 나오게 하는 것이다. 비록 이것이 모든 경우에 통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잘못된 서브루틴을 호출할 때, 만약 프로그램이 나쁜 수학적 계산의 부정확한 결과를 사용한다면 문제를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 = 예시 = = 이 예제 함수는 C로 만들어졌으며 논리 오류를 포함하는, 두 수의 평균을 계산한다. 이것은 계산에서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서, 컴파일되고 실행되지만 정확한 답을 주지는 않는다(나누기가 덧셈 전에 수행된다). int average(int a, int b) { return a + b / 2; /* should be (a + b) / 2 */ } =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 =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프라세오디뮴의 안정 동위 원소는 한 종으로 141Pr이 100% 존재한다. 143Pr은 반감기가 13.57일로 프라세오디뮴의 방사성 핵분열 생성물들 중 가장 반감기가 길다. = = 목록 = = 핵자수 Z(p) 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 붕괴방식 전자 포획IT: 이성질핵 전이 붕괴 생성동위 원소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핵스핀 자연계에 존재하는동위 원소범위(몰 분율) 자연계에 존재하는최대 범위(몰 분율) 핵자수 들뜬 에너지 들뜬 에너지 들뜬 에너지 반감기 붕괴방식 전자 포획IT: 이성질핵 전이 붕괴 생성동위 원소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핵스핀 자연계에 존재하는동위 원소범위(몰 분율) 자연계에 존재하는최대 범위(몰 분율) 121Pr 59 62 120.95536(75)# 600(300) ms p 120Ce (3/2-) 121Pr 59 62 120.95536(75)# 600(300) ms β+ (드묾) 121Ce (3/2-) 121Pr 59 62 120.95536(75)# 600(300) ms β+, p (드묾) 120La (3/2-) 122Pr 59 63 121.95181(54)# 500# ms β+ 122Ce 123Pr 59 64 122.94596(64)# 800# ms β+ 123Ce 3/2+# 124Pr 59 65 123.94296(64)# 1.2(2) s β+ 124Ce 124Pr 59 65 123.94296(64)# 1.2(2) s β+, p (드묾) 123La 125Pr 59 66 124.93783(43)# 3.3(7) s β+ 125Ce 3/2+# 125Pr 59 66 124.93783(43)# 3.3(7) s β+, p (드묾) 124La 3/2+# 126Pr 59 67 125.93531(21)# 3.12(18) s β+ 126Ce (4,5,6) 126Pr 59 67 125.93531(21)# 3.12(18) s β+, p (드묾) 125La (4,5,6) 127Pr 59 68 126.93083(21)# 4.2(3) s β+ 127Ce 3/2+# 127mPr 600(200)# keV 600(200)# keV 600(200)# keV 50# ms 11/2- 128Pr 59 69 127.92879(3) 2.84(9) s β+ 128Ce (3+) 128Pr 59 69 127.92879(3) 2.84(9) s β+, p (드묾) 127La (3+) 129Pr 59 70 128.92510(3) 32(3) s β+ 129Ce (11/2-) 129mPr 382.7(5) keV 382.7(5) keV 382.7(5) keV 1# ms β+ 129Ce (11/2-) 130Pr 59 71 129.92359(7) 40.0(4) s β+ 130Ce (6,7)(+#) 130mPr 100(100)# keV 100(100)# keV 100(100)# keV 10# s 2+# 131Pr 59 72 130.92026(6) 1.50(3) min β+ 131Ce (3/2+) 131mPr 152.4(2) keV 152.4(2) keV 152.4(2) keV 5.7(2) s IT (96.4%) 131Pr (11/2-) 131mPr 152.4(2) keV 152.4(2) keV 152.4(2) keV 5.7(2) s β+ (3.59%) 131Ce (11/2-) 132Pr 59 73 131.91926(6) 1.49(11) min β+ 132Ce (2+) 132mPr 0(100)# keV 0(100)# keV 0(100)# keV 20# s β+ 132Ce (5+) 133Pr 59 74 132.916331(13) 6.5(3) min β+ 133Ce (3/2+) 133mPr 192.05(14) keV 192.05(14) keV 192.05(14) keV 1.1(2) µs (11/2-) 134Pr 59 75 133.91571(4) ~11 min β+ 134Ce (5-) 134mPr 0(100)# keV 0(100)# keV 0(100)# keV 17(2) min β+ 134Ce 2- 135Pr 59 76 134.913112(13) 24(2) min β+ 135Ce 3/2(+) 135mPr 358.06(6) keV 358.06(6) keV 358.06(6) keV 105(10) µs (11/2-) 136Pr 59 77 135.912692(13) 13.1(1) min β+ 136Ce 2+ 137Pr 59 78 136.910705(13) 1.28(3) h β+ 137Ce 5/2+ 137mPr 561.22(23) keV 561.22(23) keV 561.22(23) keV 2.66(7) µs 11/2- 138Pr 59 79 137.910755(15) 1.45(5) min β+ 138Ce 1+ 138mPr 348(23) keV 348(23) keV 348(23) keV 2.12(4) h β+ 138Ce 7- 139Pr 59 80 138.908938(8) 4.41(4) h β+ 139Ce 5/2+ 140Pr 59 81 139.909076(7) 3.39(1) min β+ 140Ce 1+ 140m1Pr 127.5(3) keV 127.5(3) keV 127.5(3) keV 0.35(2) µs 5+ 140m2Pr 763.3(7) keV 763.3(7) keV 763.3(7) keV 3.05(20) µs (8)- 141Pr핵분열 생성물 59 82 140.9076528(26) 안정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안정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안정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5/2+ 1.0000 142Pr 59 83 141.9100448(26) 19.12(4) h β- (99.98%) 142Nd 2- 142Pr 59 83 141.9100448(26) 19.12(4) h ε (0.0164%) 142Ce 2- 142mPr 3.694(3) keV 3.694(3) keV 3.694(3) keV 14.6(5) min IT 142Pr 5- 143Pr 59 84 142.9108169(28) 13.57(2) d β- 143Nd 7/2+ 144Pr 59 85 143.913305(4) 17.28(5) min β- 144Nd 0- 144mPr 59.03(3) keV 59.03(3) keV 59.03(3) keV 7.2(3) min IT (99.93%) 144Pr 3- 144mPr 59.03(3) keV 59.03(3) keV 59.03(3) keV 7.2(3) min β- (0.07%) 144Nd 3- 145Pr 59 86 144.914512(8) 5.984(10) h β- 145Nd 7/2+ 146Pr 59 87 145.91764(7) 24.15(18) min β- 146Nd (2)- 147Pr 59 88 146.918996(25) 13.4(4) min β- 147Nd (3/2+) 148Pr 59 89 147.922135(28) 2.29(2) min β- 148Nd 1- 148mPr 50(30)# keV 50(30)# keV 50(30)# keV 2.01(7) min β- 148Nd (4) 149Pr 59 90 148.92372(9) 2.26(7) min β- 149Nd (5/2+) 150Pr 59 91 149.926673(28) 6.19(16) s β- 150Nd (1)- 151Pr 59 92 150.928319(25) 18.90(7) s β- 151Nd (3/2)(-#) 152Pr 59 93 151.93150(13) 3.63(12) s β- 152Nd 4+ 153Pr 59 94 152.93384(11) 4.28(11) s β- 153Nd 5/2-# 154Pr 59 95 153.93752(16) 2.3(1) s β- 154Nd (3+,2+) 155Pr 59 96 154.94012(32)# 1# s [>300 ns] β- 155Nd 5/2-# 156Pr 59 97 155.94427(43)# 500# ms [>300 ns] β- 156Nd 157Pr 59 98 156.94743(43)# 300# ms β- 157Nd 5/2-# 158Pr 59 99 157.95198(64)# 200# ms β- 158Nd 159Pr 59 100 158.95550(75)# 100# ms β- 159Nd 5/2-# = 처복 = "처복"은 197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신영균 황정순 윤정희 김희라 복혜숙 방수일 여수진 고상미 안인숙 이승현 박기택 김웅 전숙 이영호 박병기 김수천 추봉 박달 임성포 석인수 박예숙 김지영 = 금무정 = 금무정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금무정 - 경북 영천시 금호읍 덕성리11-9(고수부지내)에 있는 국궁장 금무정 - 경남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산6-114에 있는 국궁장 = 뤄하이충 = 뤄하이충(, 1973년 8월 10일 ~ )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배우이다. 간쑤성 란저우시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렵장 한동 착복 차창 대송제형관 1 = = 영화 = = 착복 (2015년) 한동 (2013년) 쉬즈 더 원 (2008년) = 분류:가고시마현지사 = = 분류:브라흐마의 무기 = =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2022년 제2주 = = = 2022-01-10 현원의 요청 = = 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현원 저자 혹은 저작권자: 현원 원본 파일 위치: https://movie.daum.net/person/main?personId=142062#photoId=364338 예정 파일 이름: [[:파일:현원 (영화감독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배우 현원]] 라이선스: 현원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현원 (토론) 2022년 1월 10일 (월) 04:46 (KST) = = 2022-01-10 Yxe:h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영화 《돈 룩 업》 포스터 저자 혹은 저작권자: 넷플릭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t1.daumcdn.net/movie/8f68c9c26a9041f134e1cb7feb4e4dbb1840e8da 라이선스: 비자유 포스터 파일이 이용될 문서: 돈 룩 업 자료 유형: 영화 포스터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히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Yxe:h (토론) 2022년 1월 10일 (월) 19:12 (KST) = = 2022-01-11 너무좋아요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가수 장민호장민호의 미니앨범 <에세이 ep.1>의 표지 이미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호 엔터테인먼트 원본 파일 위치: https://www.genie.co.kr/detail/albumInfo?axnm=82467085 예정 파일 이름: Essay_ep1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에세이 ep.1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너무좋아요 (토론) 2022년 1월 11일 (화) 19:04 (KST) = = 2022-01-12 Melon Tree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그 해 우리는"의 포스터 저자 혹은 저작권자: SBS 원본 파일 위치: https://www.news1.kr/articles/?4502454 예정 파일 이름: 그 해 우리는.jpeg 라이선스: 비자유 비디오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그 해 우리는 자료 유형: 포스터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TV 프로그램의 시각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 Melon. T. 2022년 1월 12일 (수) 18:36 (KST) = = 2022-01-13 양념파닭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학교 2021 포스터 저자 혹은 저작권자: KBS 2 원본 파일 위치: https://m.newsen.com/news_view.php?uid=202111050822570010 예정 파일 이름: 학교 2021 포스터.jpg 라이선스: 비자유 포스터 파일이 이용될 문서: 학교 2021 자료 유형: 포스터 이용될 부분: 정보 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양념파닭 (토론) 2022년 1월 13일 (목) 18:16 (KST) = = 2022-01-14 Ddxfx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REC. 음반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커넥트 엔터테인먼트 원본 파일 위치: https://twitter.com/konnect_yuju/status/1478380702634692608?s=21 예정 파일 이름: Rec_cover.png 라이선스: 비자유 파일이 이용될 문서: REC.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 Ddxfx (토론) 2022년 1월 14일 (금) 01:42 (KST) = = 2022-01-14 유미사카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안녕 자두야 시즌 4 로고 저자 혹은 저작권자: 이빈, 투니버스, 아툰즈 원본 파일 위치: http://img.lifestyler.co.kr/uploads/program/1/1597/menu/1/html/f131580527680295850(0).png 예정 파일 이름: 안녕 자두야 시즌 4 로고.png 라이선스: 비자유 로고 파일이 이용될 문서: 안녕 자두야 자료 유형: 로고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이해도 상향 추가 사항: 로고 파일입니다만 로고에 자두를 형상화한 그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유미사카 (토론) 2022년 1월 14일 (금) 15:52 (KST) = = 2022-01-14 Skilsdhuo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UP 소속 83호 디젤 기관차 (퇴역) 저자 혹은 저작권자: 페리, 오토 원본 파일 위치: https://digital.denverlibrary.org/digital/collection/p15330coll22/id/49675 예정 파일 이름: UP DD35A 83.jpg 라이선스: 비자유 파일이 이용될 문서: EMD DD35A 자료 유형: 사진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 Skilsdhuo 토론기여 2022년 1월 14일 (금) 22:54 (KST) = = 2022-01-15 Skilsdhuo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UP 소속 83호 디젤 기관차 (퇴역)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오토, 페리 원본 파일 위치: http://digital.denverlibrary.org/cdm/ref/collection/p15330coll22/id/49675 예정 파일 이름: UP_DD35A_83.jpg 라이선스: 비자유 사진 파일이 이용될 문서: EMD DD35A 자료 유형: 사진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 Skilsdhuo 토론기여 2022년 1월 15일 (토) 17:04 (KST) = = 2022-01-16 Sungwiki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그린 랜턴 # 54에서 카일 레이너가 살해당하고 냉장고 속에 넣어진 여자 친구를 발견하는 그림 저자 혹은 저작권자: DC 코믹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en.wikipedia.org/wiki/File:WomaninRefrigerator.jpg 예정 파일 이름: 냉장고속의여인.jpg 라이선스: 비자유 만화 파일이 이용될 문서: 냉장고 속의 여인 자료 유형: 비자유 만화 이용될 부분: 본문 이용 목적: '냉장고 속의 여인'의 대표적 예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함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Magika (토론) 2022년 1월 16일 (일) 01:39 (KST) = 틀:서울 중랑구 = = 수바 (행정 구역) = 수바는 무굴 제국의 최상급 행정 구역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 용어는 인도 아대륙의 다른 정치권에서도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다. 수바의 주지사/통치자는 수바다르("수베다르"라고도 함George Clifford Whitworth. Subah. An Anglo-Indian Dictionary: A Glossary of Indian Terms Used in English, and of Such English Or Other Non-Indian Terms as Have Obtained Special Meanings in India. London: Kegan Paul, Trench & Co. 1885. p. 301.)로 알려졌으며, 나중에 인도군과 파키스탄군의 장교를 지칭하는 수베다르의 어원이 되었다. 수바는 1572~1580년 무굴 황제 악바르가 행정 개혁을 단행하면서 설립했으며, 처음에는 12개였으나 악바르의 정복으로 통치 말기에는 수바의 수가 15개로 늘어났다. 수바는 사르카르 또는 구로 나뉘었다. 사르카르는 다시 파르가나 또는 마할로 나뉘었다. 그의 후계자들, 특히 아우랑제브는 정복을 통해 수바의 수를 더욱 확장했다. 18세기 초에 제국이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수바가 사실상 독립하거나 마라타나 영국에 정복당했다. 현대적 의미에서 수바는 주로 파키스탄에서 우르두어로 주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 니콜라 루프라니 = 니콜라 루프라니(Nicolas Loufrani, 1971년 12월 17일 ~ )는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스마일리(Smiley) 얼굴 모양과 이름에 대한 상표권과 저작권을 소유한 스마일리社(Smiley Company)의 CEO이며, 프랑스 뇌이쉬르센 출생이다. = = 니콜라 루프라니 = = 루프라니와 그의 아버지인 프랑스인 저널리스트 프랑클랭 루프라니(Franklin Loufrani)는 1996년 런던에서 스마일리 라이선싱 회사를 시작하여 프랭클린 루프라니가 1971년 이후 스마일리 로고에 대해 보유했던 기존의 모든 상표권을 회수했다. = = 스마일리 브랜드의 성장 = = 루프라니는 더 나아가 이 브랜드 명칭을 등록했고 라벨, 포장, 카탈로그 및 유사 물품에 대한 새로운 브랜드 정체성을 창조하여 로고와 명칭은 더욱 밀접하게 연상되기 시작했다. 또한 광범위한 브랜드 전략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이를 제시하며 모든 라이선싱 파트너에 대한 지원을 제공했다. 이는 스마일리 로고를 나이키 부메랑이나 라코스테 악어와 같은 상징적인 로고와 같은 수준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 = 그래픽 이모티콘 = = 1997년 루프라니 모바일 기술 내에서 문자형식의 ascii 이모티콘 사용의 성장을 인식하여 디지털에서 대화형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생생한 스마일리 얼굴모양을 실험하기 시작했는데, 단순한 구두점으로 구성되는 기존 문자형식의 ascii 이모티콘에 대응하는 화려한 아이콘을 만들고자 했다. 이를 통해 루프라니는 온라인 이모티콘 사전 편찬하여 이모티콘을 클래식, 기분 표현, 깃발, 축하, 재미, 스포츠, 날씨, 동물, 음식, 국가, 직업, 행성, 별자리, 아기 등 범주를 구분하여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1997년 미국저작권협회(The United States Copyright Office)에 처음 등록되었고, 이후 1998년에는 이 아이콘들이 웹 상에 .gif 파일로 게시되어, 처음으로 기술에 사용된 그래픽 이모티콘이 되었다. 2000년에는 사용자들이 smileydictionary.com을 통해 인터넷에서 루프라니가 만든 이모티콘 사전을 휴대폰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여기에는 1,000개 이상의 스마일리 그래픽 이모티콘과 그 ascii 버전이 컴파일되어있었다. 이와 동일한 사전은 이후 2002년에 마라부(Marabout) 출판사의 디코 스마일리(Dico Smileys)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2001년 스마일리 기업인 스마일리사(스마일리社, Smiley Company)는 루프라니의 그래픽 이모티콘을 노키아, 모토로라, 삼성, SFR(보다폰), 스카이 텔레미디어와 같은 여러 통신기업에서 휴대폰 이모티콘으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를 라이선스하기 시작했다. = = 월마트 분쟁 = = 2001년 스마일리社는 미국에서 해당 그림 브랜드 원본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 슈퍼마켓 브랜드 월마트와 긴 법적 분쟁에 들어갔다. 이 분쟁에서 루프라니가 창작한 아이콘이나 스마일리 브랜드명칭에 대한 권리에 대한 의견 차이는 없었다. 이 사건은 결국 2010년 시카고 연방법정에서 비공개 조건을 원칙으로 양당사자간에 해결되었다. 이 기업의 이전 저작물과 법정 소송을 통해 형성된 관심이 복합되어 스마일리 로고의 인지도는 더욱 높아졌고 라이선스를 통해 새로운 파트너사들은 의류, 향수, 플러시 천, 문구류와 같은 제품에 브랜드를 사용하고 판촉 캠페인을 진행했다. = = 스마일리월드 협회 = = 2005년 루프라니家는 스마일리월드 협회 (SmileyWorld Association, SWA)라는 자선단체를 설립했다. 이후 루프라니는 옷감에 공정무역을 통해 조달한 유기농 면을 사용하고 기업 이윤의 일부가 스마일리월드 협회로 돌아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윤리적 제품을 상품화하기로 결정했다. = = 파트너쉽과 컨셉스토어 = = 루프라니가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 오라 이토(Ora ito)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Jean Charles de Castelbajac)과 같은 유명 디자이너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스마일리"는 파리의 콜레트(Colette), 로스앤젤레스의 프레드시걸(Fred Segal), 뉴욕의 헨리 벤델(Henry Bendel), 뮌헨의 스티어블루트(Stierblut)[17]와 같은 유명 컨셉스토어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011년 12월 런던에서 첫 스마일리 컨셉스토어가 문을 열었다. = = 재무 순위 = = 스마일리社는 세계 100대 라이선싱 회사 중 하나이며 2012년 매출액은 미화 1억 6,700만 달러였다. = 포털:역사/틀 목록 = :틀:역사 프로젝트 :틀:위키프로젝트 역사 사이드바 :틀:위키프로젝트 역사 참가자 :틀:토막글/그림/역사 :분류:나라별 역사에 관한 둘러보기 틀 :분류:역사에 관한 둘러보기 틀 = 틀:베름란드주 = = 틀:2018년 FIFA 월드컵 H조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0 1 5 2 +3 6 3 1 1 1 4 4 0 4 3 1 1 1 4 4 0 4 3 1 0 2 2 5 −3 3 출처: FIFA = 분류:20세기 로마 가톨릭 성직자 = = 분류:세기별 왕족 = = 장안사 명부전 = 기장 장안사 명부전(機張 長安寺 冥府殿)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11년 3월 26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6호로 지정되었다.부산광역시 고시 제2011-118호,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문화자료 지정, 부산광역시 지정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및 해제, 부산광역시장, 2011-03-30 = = 지정 사유 = = 명부전은 죽은 사람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고, 출입구를 바라보며 ㄷ자형으로 불단을 배치한 장안사 명부전에는 1684년에 조성된 석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도명존자상과 무독귀왕상, 시왕을 협시로 한 지장시왕상 13구와 함께 동녀상, 귀왕상, 판관상, 사자상, 역사상이 좌우로 각 1구씩 배치되어 있으며, 지장삼존상 뒷면에는 1856년에 제작된 지장보살도가 봉안되어 있다. 장안사 명부전의 건립연대나 건축형식에 대해서는 그 동안 이렇다 할 조사가 없어 건축사적 위치나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알 수 없었으나, 2010년 10월 현장 조사에서 종도리 하단에 적힌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어 머릿글 부분 10행정도가 확인됨으로써 정확한 건립연대를 알 수 있었다. 묵서명에 따르면 명부전은 임진왜란 피해를 복구하던 1600년대 중반에 건립된 후 존속하다가 대웅전의 서까래를 수리하던 1744년에 중건되었고, 다시 1800년에 상연(上椽) 수리공사가 이뤄졌으며, 1800년 이후로는 이러하다 할 수리공사가 없었음도 확인되었다. 이를 볼 때 이 건물의 건립연대는 적어도 1800년으로 볼 수 있고, 더 이전으로는 1744년으로도 소급이 가능하다. 이처럼 건립연대를 오래전으로 소급할 수 있는 것은 정면 상인방과 문선과의 맞춤 방식이 비교적 오래된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의 반연귀맞춤으로 되어 있고, 그 밖의 부재들도 모두 1800년 수리 때 또는 그 이전의 1744년 중건 때 형성된 것으로서 보존상태도 상당히 양호한 편이며, 건축형식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공포도 비교적 오래전 형식인 출목없는 3익공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안사 명부전은 조선후기 부산 지역의 사찰 건물에 구사된 건축수법과 부불전(副佛殿)의 건축형식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부산지역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 참고 자료 = = * 장안사 명부전 장안사 명부전 = 분류:힌두교 사원 = = 분류:영국의 재난 = = 분류:전북특별자치도의 문화 = = 분류:2009년 영화 = = 고센 = 고센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고센시 고센역: 일본 니가타현 고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반에쓰사이선의 철도역 고센 (기업) = 양혜령 = 양혜령(梁惠鈴, 1962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5대 광주광역시의원이었다. = = 학력 = = 광주중흥국민학교 졸업 광주서광중학교 졸업 전주여자고등학교 졸업 전남대학교 치의학과 학사 졸업 = = = 비학위 수료 = = =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수료 전남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사 수료 전남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박사 수료 = = 경력 = =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총동창회 회장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외래교수 국제로타리 3710지구 광주광역시 송죽로타리클럽 회장 광주 양치과의원 원장 광주광역시 동구 치과 의사회 회장 한국투명성기구 광주전남본부 공동대표 백화포럼 공동대표 2007.12 ~ 2010.06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2007.12 ~ 2008.07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산업건설위원회 위원 2008.07 ~ 2010.06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2008.07 ~ 2010.06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산업건설위원회 위원 2008.07 ~ 2010.06 제5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문화수도특별위원회 위원장 2012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후보 2016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후보 = = 참고 자료 = = 공식 블로그 = 분류:체코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 BAE 해리어 II = BAE 해리어 II (GR5, GR7, GR9)는 영국 공군과 해군이 사용중인 2세대 해리어 전투기다. 영국 해군은 2006년부터 사용을 하고 있다. 영국의 호커 시들리 해리어를 미국이 개량하여 AV-8B 해리어 II를 개발했고, 이를 다시 개량한 것이 BAE 해리어 II 전투기이다. 수직으로 이륙할 때의 최대이륙중량은 8,595 kg이며, 단거리 이륙시 최대이륙중량은 14,061 kg이다. 영국 해군의 BAE 시 해리어는 2006년에 퇴역했다. 해리어 GR9는 최소한 F-35가 등장할 2018년까지는 사용될 것이다. 더 오래 사용될 수도 있다. = = 파생형 = = 해리어 GR5는 영국 공군의 최초의 2세대 해리어이다. 1976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1979년에 2대의 AV-8A이 개조되었다. 1985년 4월 30일 초도비행했으며 1987년 7월 실전배치되었다. GR5는 항법장비, 무기, 방어장비 등에서 미국 해병대의 AV-8B와 많이 다르다. 41대가 제작되었다. 해리어 GR7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여 약간의 개조를 하였다. 21대가 제작되었다. 해리어 GR7는 1990년 5월 초도비행했고 1995년 유고슬라비아에 처음으로 실전배치되었다. 1994년 6월 시험기간 중에 GR7은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에 배치되었다. 해상에서의 실전배치는 1997년에 있었다. 해리어 GR7A는 해리어 GR9로 가는 1단계 사업이었다. GR7A는 GR7에 롤스로이스 페가수스 107 엔진을 장착했다. 40대의 GR7이 이러한 업그레이드를 했다. 모든 GR7은 107 엔진으로 교체하여 GR9로 개조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기존의 105 엔진은 21,750 lbf (98 kN) 추력을 내었는데, 107 엔진은 3,000 lbf (13 kN)의 추력을 더 낸다. 마지막 해리어 GR7은 2010년 3월 31일 퇴역한다. 이후로는 오직 GR9와 GR9A만 사용될 예정이다. 해리어 GR9는 항법장비와 무기를 업그레이드했다. 개량사업을 Integrated Weapons Programme (IWP)이라고 부른다. 최신형 정밀유도무기의 장착을 가능하게 했고, 신형 INS/GPS 장비를 장착했다. 브리스톤 미사일, AGM-65 메버릭, GBU-27 페이브웨이 III, 페이브웨이 IV 등을 장착할 수 있다.Harrier GR9 VSTOL Strike Aircraft . airforce-technology.com 또한 록히드 마틴의 스나이퍼 타게팅 포드도 장착할 수 있다. 2007년 7월, BAE는 영국 국방부를 위해 마지막 7대의 해리어 GR9 개량사업을 완료했다. 동체 후미를 교체하는 것이었는데, 3년간 2,000만 파운드의 사업이었다."Harrier Replacement Rear Fuselage Programme Concluded Successfully" . BAE Systems, 31 July 2007. 해리어 GR9A는 엔진을 업그레이드한 GR7A의 항법장비와 무기를 개선한 것이다. 모든 GR9는 107 엔진으로 교체하여 GR9A이 될 수 있다. 107 엔진이 부족하여 다수의 해리어가 105 엔진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해리어 T10은 2세대 해리어의 2인승 훈련기이다. 영국 공군은 1세대 해리어 훈련기인 T4를 개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개조를 하기엔 동체가 너무 오래 되어서, 해리어 II 훈련기를 새로 제작했다. 영국 공군은 미국 해벙대의 훈련기인 TAV-8B를 기초로 설계했다. 미국 훈련기와는 달리, 완전한 전투용으로 사용가능하다. 13대가 제작되었다. T10에 IWP 업그레이드를 한 것이 해리어 T12 훈련기이다. = = 제원 (Harrier GR7) = = = 분류:유고슬라비아의 전쟁범죄 기결수 = = 홍콩 항공의 운항 노선 = 2017년 6월 현재, 홍콩 항공의 운항 노선은 다음과 같다. = = 운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동아시아 = = = = * 서울 - 인천국제공항 * * 베이징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 상하이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 * 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 구이양 - 구이양 룽둥바오 국제공항 난닝 - 난닝 우수 국제공항 화물 난징 -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 난창 -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싼야 - 싼야 피닉스 국제공항 샤먼 -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정저우 - 정저우 신정 국제공항 화물 창춘 - 창춘 룽자 국제공항 청두 - 청두 솽류 국제공항 충칭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톈진 -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 하이커우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항저우 -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 * 홍콩 -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 허브 * 도쿄 * 하네다 국제공항 화물 * 나리타 국제공항 * 오사카 - 간사이 국제공항 * 가고시마 - 가고시마 공항 구마모토 - 구마모토 공항 삿포로 - 신치토세 공항 오카야마 - 오카야마 공항 오키나와 - 나하 공항 * 요나고 - 미호-요나고 공항 * 타이베이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가오슝 - 가오슝 국제공항 화물 = = = = 동남아시아 = = = = * 쿠알라룸푸르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화물 페낭 - 페낭 국제공항 화물 * 하노이 - 노이바이 국제공항 * 호치민 시 - 떤선녓 국제공항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화물 * 덴파사르 - 응우라라이 국제공항 * 방콕 - 수완나품 국제공항 * 끄라비 - 끄라비 국제공항 치앙마이 - 치앙마이 국제공항 * 마닐라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 = = = 남아시아 = = = = * 말레 - 말레 국제공항 * 다카 - 샤잘랄 국제공항 화물 = = = = 중앙아시아 = = = = * 알마티 - 알마티 국제공항 화물 = = = 유럽 = = = = = = = 남유럽 = = = = * 이스탄불 -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화물 = = = 아메리카 = = = = = = = 북아메리카 = = = = * 로스앤젤레스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밴쿠버 - 밴쿠버 국제공항 = = = 오세아니아 = = = = = = = 오스트랄라시아 = = = = * 멜버른 - 멜버른 공항 화물 = = = = 미크로네시아 = = = = * 사이판 - 사이판 국제공항 = = 단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동아시아 = = = = * 구이린 - 구이린 량장 국제공항 난닝 - 난닝 우수 국제공항 닝보 - 닝보 리스 국제공항 다롄 -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란저우 - 란저우 중촨 국제공항 산터우 - 제양 차오샨 국제공항 선양 - 선양 타오셴 국제공항 슈저우 - 슈저우 관인 국제공항 화물 스자좡 - 스자장 정딩 국제공항 화물 시안 - 시안 셴양 국제공항 지난 - 지난 야오창 국제공항 창사 - 창사 황화 국제공항 쿤밍 - 쿤밍 창슈이 국제공항 타이위안 - 타이위안 우수 국제공항 푸저우 - 푸저우 창러 국제공항 하얼빈 -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후룬바이얼 - 후룬바이얼 하이라얼 국제공항 전세편 후허하오터 - 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 * 도쿄 - 하네다 국제공항 - (현재 화물 노선만 운항) 기타큐슈 - 기타큐슈 공항 도쿠시마 - 도쿠시마 공항 전세편 미야자키 - 미야자키 공항 * 가오슝 - 가오슝 국제공항 타이중 - 타이중 국제공항 = = = = 동남아시아 = = = = * 쿠알라룸푸르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현재 화물 노선만 운항) 코타키나발루 -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쿠칭 - 쿠칭 국제공항 * 네피도 - 네피도 국제공항 전세편 * 다낭 - 다낭 국제공항 * 프놈펜 - 프놈펜 국제공항 씨엠립 - 씨엠립 국제공항 * 푸켓 - 푸켓 국제공항 * 라오아그 - 라오아그 국제공항 수빅베이 - 수빅베이 국제공항 클라크 - 클라크 국제공항 = = = = 남아시아 = = = = * 델리 -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화물 첸나이 - 첸나이 국제공항 화물 = = = 유럽 = = = = = = = 서유럽 = = = = * 런던 - 런던 개트윅 국제공항 - (전 좌석 비지니스 클래스로 운항) 맨체스터 - 맨체스터 공항 = = = = 동유럽 = = = = * 모스크바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모스크바 - 브누코보 국제공항 = = = 아메리카 = = = = = = = 북아메리카 = = = = * 샌프란시스코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 = = 오세아니아 = = = * 오클랜드 - 오클랜드 국제공항 * 골드코스트 - 골드코스트 공항 케언스 - 케언스 공항 = 분류:가오슝시장 = = 베르나즈키 우크라이나 국립도서관 = thumb 베르나즈키 우크라이나 국립도서관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위치한 국립도서관이다. 볼로디미르 베르나즈키의 명칭을 따서 건립되었다. = 해바라기아족 = 해바라기아족(亞族, 학명: )은 국화아과에 속하는 쌍떡잎 종자식물의 아족 분류군이다. = = 분포 및 자생지 = = 해바라기아족의 분포 지역은 거의 전적으로 아메리카 대륙이다. 자생지는 따뜻한 온대에서 아열대 및 열대 지역까지 다양하다.[4] = 분류:세르비아의 범죄 피해자 = = 1726년 = 172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 기년 = = 류큐(琉球) 쇼케이왕() 14년 청(淸) 세종 옹정제(世宗 雍正帝) 4년 조선(朝鮮) 영조(英祖) 2년 후 레 왕조(後黎朝) 유종(裕宗) 22년 = = 사망 = = 2월 26일 -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 = 아카베소프트2 = 아카베소프트2(あかべぇそふとつぅ 아카베소푸토-트)는 일본의 어덜트 게임 메이커이자 브랜드이다. = = 아카베소프트2 = = G선상의 마왕 놔둘 곳이 없어! 세계연애기구 차륜의 나라 광윤의 마을 = = = 아카베소프트2 TRY! = = = 라그나록 = = = 샹그릴라 = = = 새벽의 호위 새벽의 호위 ~ 죄 많은 종말론 사랑은 아니야 = = = 아플리케 = = = 황혼의 신세미야 시간을 잣는 언약 월영의 시뮐라크르 -해방의 날개- = = 제작진 = = = = = 시나리오 라이터 = = = 루스보이 = = = 원화가 = = = 알파 토모세 슌사쿠 = 머피와 샐리의 법칙 = 머피와 샐리의 법칙은 202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최미교 : 지수 역 박태을 : 이현 역 이정민 : 진국 역 정인철 : 이현 부 역 김두리 : 신희 역 이예은 : 이현 모 역 박효근 : 진국 부 역 이혜령 : 진국 모 역 김지니 : 진옥 역 박태현 : 구차한 역 서정우 : 점쟁이 역 박노철 : 지배인 역 신승환 : 진철 역 전채련 : 이현조모 역 박준철 : 박형사 역 소장호 : 만상 역 장지희 : 다미 역 우명덕 : 중년 역 서예빈 : 예린 역 박흥열 : 변사 역 최영일 : 연출자 역 = 이광철 = 이광철(李光喆, 1956년 5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이다. 본관은 서천(서림)이며, 전북 익산 출생이다. 1996년 5월에 구국전위 사건으로 구속되었으나 1997년 1월 헌법재판소가 국가기밀에 대해 좁게 해석한 새로운 결정을 내놓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3년6월이 선고된 원심이 파기되고 무죄가 선고되었다.동아일보 1997년 2월 22일자 = = 학력 = = 1975년 군산고등학교 졸업 1986년 전북대학교 철학과 학사 = = 경력 = = 1980년 계엄포고령위반으로 구속 (11월 석방) 1982년 의식화교육 혐의로 보안사에 연행, 징역 3년 (~ 1984년) 1987년 민족통일민중운동연합 지역운동협의회 대표 1994년 구국전위사건으로 수배, 구속 (1996년 5월) 2000년 전북민주시민사회단체협의회 상임대표 2000년 시민행동21 2002년 전북지방자치개혁연대 상임대표 2002년 개혁국민정당 전북추진위원회 실행위원장 2002년 개혁국민정당 집행위원 2003년 열린우리당 전북도당 중앙위원 2004년 제17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전주 완산을) 2005년 참여정치실천연대 대표 2010년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2010년 국민참여당 최고위원 2010년 국민참여당 전북도당 위원장 2011년 국민참여당 전북도당 위원장 2012년 통합진보당 최고위원 2012년 통합진보당 전북도당 위원장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화문명부흥운동(中華文化復興運動)은 중화민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문화대혁명에 대항하여 일으킨 문화 운동이다. 1966년에 중국공산당이 통치하는 중국대륙에서는 문화대혁명이 일어났고 중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파괴를 혁명의 목표로 삼음으로써 유가문화 및 윤리도덕은 타도되어야 할 첫째가는 적이 되었다. 이듬해에 중화민국에서는 즉시 “중화문화 부흥운동 추진위원회(中華文化復興運動推行委員會)”가 설립되었고 중화문화를 부흥시키는 것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당시 양안의 정치적인 대립이 문화적인 영역에까지 확대되었음이 분명한데 장중정(蔣中正) 총통의 지도하에 대만정부는 문화부흥운동의 추진에 힘을 쏟았고 모든 중국인 사회에서 대만은 절대적으로 중화문화를 가장 완벽하게 보존하고 지켜낸 곳으로 되었다. 이는 화교 사회에서 열렬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현재는 중화문화총회라는 이름으로 존속하고 있다. = LMC = LMC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대마젤란운(Large Magellanic Cloud) 링컨 자동차 회사(Lincoln Motor Company) 엘엠씨 (브랜드) = 우지현 = = = 인명 = = 우지현(1986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지명 = = 우지현()은 중국 허베이성 스자좡시의 행정 구역이다. = 분류:19세기 북아메리카 사람 = = 구양생 = 구양 생(歐陽生, ? ~ ?)은 전한의 학자로, 자는 화백(和伯)이며 천승군 사람이다. ‘생’은 학자를 높여 일컬은 것으로, 이름자는 알 수 없다. = = 행적 = = 장생과 함께 복승의 밑에서 상서를 익혔으며, 예관을 가르쳤다. 구양씨 가문은 구양생 이래로 상서를 전수하였으며, 후손 구양여는 소부를, 구양흡은 후한에서 대사도(大司徒)를 지냈다. = = 출전 = = 사마천, 《사기》 권121 유림열전 반고, 《한서》 권88 유림전 범엽, 《후한서》 권79상 유림전 上 = 분류:2009년 필리핀 = = 조인주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조인주: 대한민국의 전 권투 선수 = = 가공 인물 = = 닥터스의 등장 인물 누나의 거울의 등장 인물 = 일괄 처리 =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란 최종 사용자의 개입 없이 또는 (자원이 허가한다면) 실행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작업(job)의 실행을 의미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초기의 일괄 처리 방식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운영 체제가 발전함에 따라 프로그램 입출력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일괄 처리는 1950년대 전자 컴퓨팅 초기 시절 이후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함께하고 있다. = = 역사 = = "일괄 처리"라는 용어는 작업 생산, 일괄 생산, 플로 생산으로서의 전통적인 생산 방식 분류에서 기원한다. = = = 초기 역사 (19세기부터 1960년대) = = = 일괄 처리는 유닛 레코드 장비, 특히 1980년 미국 인구 조사에 사용된 허먼 홀러리스의 도표 작성기에 의해 천공 카드 데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던 19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것이 제어(자카드 방직기에서처럼 오늘날 코드와 일치하는 제어)용이 아닌, 데이터를 위한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매개체의 최초의 이용이었고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최초로 처리하던 방식이 일괄 처리였다. = = 일괄 처리의 장점 = = 많은 사용자 사이에서 컴퓨터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작업 프로세스의 시간대를 컴퓨터 리소스가 덜 사용되는 시간대로 이동한다. 분 단위의 사용자 응답 대기와 더불어 컴퓨터 리소스의 유휴 사용을 피한다. 전반적인 이용률을 높임으로써 컴퓨터의 비용을 더 잘 상환하도록 도와 준다. = = 일괄 처리 시스템 = = 일괄 처리 시스템(batch system)이란 일괄처리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작업이 끝나기 전까지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 = = 일괄 처리 시스템이 이용되는 곳 = = 데이터 처리 인쇄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처리 변환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한꺼번에 처리할 필요가 있고, 그룹별로 분류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순차 접근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업무. 즉, 처리 요건이 일괄적인 업무에 대해 유사한 자료를 한데 모아 일정한 형식으로 분류한 뒤 한번에 일괄 처리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데이터 처리의 경우, 급여명세서나 봉급계산, 전화요금, 전기요금, 수도세, 성적처리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곳이다. = 분류:코소보 남자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DDH-979 강감찬 = DDH-979 강감찬(姜邯贊/姜邯瓚)은 대한민국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5번함이다. 한국형 다목적 구축함 도입 사업인 KDX(Korea Destroyer eXperiment)-Ⅱ 계획에 따라 만들어진 4,500톤급 헬기 구축함(DDH)이다. 충무공 이순신급은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방공 구축함이자 원거리 작전능력을 보유한 차세대 주력 구축함이다. 거란의 10만 대군을 귀주에서 물리친 귀주 대첩으로 유명한 고려시대의 장군 강감찬을 함명으로 정하였다.해군 “소말리아판 귀주대첩 기대하세요” (2008년 11월 19일자 해럴드경제) = =센티널 작전 = = 2019년 8월 13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청해부대 30진 강감찬함이 출항했다. 청해부대의 본래 작전지역인 아덴만으로 출발했지만, 아덴만에서 1800 km 떨어진 호르무즈 해협으로 작전지역이 변경될 수 있다고 부대원에게 통보되었다. 미국은 호르무즈 해협에서 이란 해군에 맞서 싸우기 위해 센티널 작전을 수행중이다. 강감찬함은 센티널 작전에 필요한 대잠무기를 대폭 보강해서 출항했다.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선언했고, 2019년 6월 20일, 코다드-3 지대공 미사일로 미국의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를 격추했다. = =함의 특징 = = = = = =수직발사대 = = = = 충무공 이순신급 3번함까지 설치된 Mk.41 VLS(미국에서 만들어짐)가 4번 왕건함부터는 왼쪽에 설치하고 오른쪽 공간은 비워둔 채로 진수식이 열렸다. 오른쪽 공간은 한국형 VLS 24셀이 설치될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16발의 한국형 토마호크인 천룡 순항 미사일이 8셀에는 홍상어 대잠 미사일탑재될 것이라고 알려져왔다.KDX구축함과 동북아 균형자론? (네이버 블로그, 이어도가 2006년 4월 25일 작성) 현재, 강감찬함이 한국형 VLS까지 모두 설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 = =천룡 순항미사일 = = = = 천룡 순항 미사일(현무-III)은 대한민국이 독자 개발 완료한 토마호크형 순항 미사일로 대한민국의 국방과학연구소(ADD)가 10여 년 만에 개발한 천룡 미사일은 지상에서 50∼100m 정도의 고도를 유지하며 빠른 속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적군이 요격하기 힘들고, 관성 항법 장치와 지형영상대조항법 체계를 갖추고 있어 오차범위가 3m 이내일 정도로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사거리 500km 순항 미사일 천룡 개발 [세계일보]2006-09-22 50판 07면 896자 = = = =KDCOM-II 전투 관리 시스템 = = = = KDCOM-II 전투 관리 시스템은 영국 해군의 23형 프리깃에 사용된 SSCS 전투 관리 시스템을 개량한 것이다. 23형 프리깃은 영국 해군이 현재 사용중인 프리깃함이다. 22형 프리깃에서 발전한 것이다. 듀크급 이라고 불린다. 1987년 7월 11일 1번함 노포크함이 진수되었다. 마지막 16번함 세인트 알반스함이 2000년 5월 6일 진수되었다. 1번함 노포크함, 4번함 매리보로함, 12번함 그래프톤함이 칠레 해군에 중고로 판매되었으며, 현재 13척이 영국 해군에서 사용중이다. = 4Pi 현미경 = 4Pi 현미경(4Pi microscope)은 축 해상도가 향상된 레이저 스캐닝 형광현미경이다. 이를 통해 500~700nm의 일반적인 축 해상도 범위를 100~150nm로 향상할 수 있다. 이는 표준 공초점 현미경보다 부피가 5~7배 적은 거의 구형 초점에 해당한다. = = 역사 = = 1971년에 크리스토프 크레머(Christoph Cremer)와 토마스 크레머(Thomas Cremer)는 완벽한 홀로그램, 즉 모든 방향의 점 광원 방출에 대한 전체 필드 정보를 전달하는 소위 4pi 홀로그램의 생성을 제안했다. 그러나 1978년의 출판물은 부적절한 물리적 결론(즉, 점 모양의 빛의 반점)을 도출했으며 입체각의 다른 면을 추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실제 이점인 축 해상도 증가를 완전히 놓쳤다. 4Pi 현미경의 실행 가능한 시스템, 즉 두 개의 반대 간섭 렌즈 설정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은 1991년 슈테판 헬에 의해 발명되었다. 그는 1994년에 이를 실험적으로 시연했다. 다음 해에 이 현미경의 적용 사례가 늘어났다. 예를 들어, 병렬 여기 및 샘플 내 64개 지점의 검출과 향상된 공간 분해능이 동시에 결합되어 2002년 4Pi 현미경을 사용하여 효모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역학을 성공적으로 기록했다. 현미경 제조업체인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스(Leica Microsystems)에서 상용 버전을 출시했다. 2004년 이후 중단되었다. 지금까지 STED(유도방출감소) 원리와 같은 초해상도 기술을 결합하여 4Pi 현미경의 최고 품질에 도달했다. 적절한 여기 및 해제 빔이 있는 4Pi 현미경을 사용하면 균일하게 50 nm 크기의 스폿을 생성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고정 셀에서 공초점 현미경에 비해 150-200배 감소된 초점 부피에 해당한다. 4Pi 현미경과 RESOLFT 현미경을 전환 가능한 단백질과 함께 사용하면 이제 40 nm 미만의 등방성 해상도로 저조도에서 살아있는 세포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 분류:패이얘트해메 지역의 지리 = = 분류:오베르뉴론알프 출신 = = FX (텔레비전 채널) = FX는 디즈니 제너럴 엔터테인먼트 컨텐트의 케이블 텔레비전과 위성방송 채널 글로벌 남성채널이다. = Mle1907 생태티엔느 기관총 = Mle1907 생태티엔느 기관총은 프랑스군 소속 기술자들이 M1897 호치키스 기관총의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면서 개발한 기관총이다. 그러나, 이 기관총은 이른바 "개조를 위한 개조"가 되어 제식 채용은 되었으나 일선에서는 완전히 외면받은 기관총이었다. = 테투안역 = 테투안역은 마드리드 지하철 1호선의 역이다. 마드리드 테투안 구의 브라보 무리요 거리와 마르케스 데 비아나 거리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으며, 이름은 테투안이란 지명에서 따왔다. 요금구역상으로는 A구역에 속한다. = = 역사 = = 1929년 3월 6일 개업하였다. 처음에는 60m 길이의 승강장이었으나 나중에 90m로 확장되었다. 또 한동안 1호선의 시종착역이었지만 1961년 2월 4일부터 플라사 데 카스티야 역까지 연장되면서 일반역이 되었다. 개업 당시만 하더라도 마드리드 시내를 벗어나는 최초의 지하철역이었는데 당시 테투안은 '테투안데라스빅토리아스'란 이름으로 차마르틴데라로사 시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었다. 차마르틴데라로사는 1948년 마드리드 시에 합병되었다. 2016년 7월 3일부터 1호선 도심구간에 해당되는 플라사 데 카스티야-시에라 데 과달루페 구간이 시설정비 공사로 임시 운행중단되면서 이 역도 영업을 중단하였다. 공사 작업 완료일은 2016년 11월경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먼저 공사가 끝난 구간만 우선운행하기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같은해 9월 14일에 플라사 데 카스티야-콰트로 카미노스 구간 / 알토 델 아레날-시에라 데 과달루페 구간이 운행을 재개하였고, 이 역도 다시 문을 열었다. = = 환승 정보 = = 역 주변에는 시내버스 정류장이 세 곳 정도 있으며, 야간 버스 노선도 일부 운행된다. = 부여 경찰서 서장관사 = 부여 경찰서 서장관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다. 2009년 12월 24일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05호로 지정되었다. 경찰서 서장관사 경찰서 서장관사 = 분류:창녕중학교 동문 = = 분류:불교 = = 분류:1771년 = = 위키프로젝트:포켓몬스터 = 위키프로젝트 포켓몬스터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포켓몬스터에 관한 모든 문서를 다루는 곳으로, 포켓몬스터에 관한 문서를 작성하며, 그 문서를 다루는 모든 사용자분들을 위한 의사소통의 장이며 안내소입니다. 어떤 분이든 참가자 문단에 서명만 해주시면 됩니다! = = 목적 = = 이 프로젝트에서는 포켓몬스터에 관한 문서들을 생성·편집하여 알차게 만드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 계획 = = 위 틀의 빨간 링크를 채워보죠. = = 편집자분들에게 = = *독자연구를 하지 말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확인 가능한 출처를 가지고 있는 내용을 적어주세요. = = 참가자 = =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목록입니다. 참가자 및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을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 붙여 참여 의사를 밝혀주시면, 자동으로 :분류:포켓몬스터 프로젝트 참가자에 포함됩니다. 나름 흥미있어하는 분야입니다. 주로 번역일을 할 것 같네요. 미싱노를 알찬 글로 만들어 볼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제 편집에 도움이 될꺼라 생각합니다. Altostratus (토론) 2010년 11월 4일 (목) 21:23 (KST) #참가하겠습니다. 北京 (대화 / 편집항목·메세지) 2010년 11월 5일 (금) 19:07 (KST) #참가합니다 Dream2999 (토론) 2011년 10월 21일 (금) 09:55 (KST) # 原子爆彈(討 · 記) 2012년 5월 28일 (월) 18:43 (KST) #참가 ROLLERDFSM (user • talk • contribs) 2012년 3월 3일 (토) 11:34 (KST) 재서명합니다. StarryKnightWikitalk 2017년 7월 26일 (수) 22:28 (KST) # Braveattack (토론) 2013년 12월 27일 (금) 1:17 (KST) #포덕입니다 뷁쉙(breaksreak) (토론) 2014년 4월 12일 (토) 09:25 (KST) #팬심으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이로치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보는게 목표입니다. 팟팅! Qw0221qw 2015년 9월 25일 (금) 12:29 (KST) Fire Blitz (토론) 2016년 5월 29일 (일) 12:50 (KST) #포덕 의지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Punne1412 (토론) 2016년 6월 26일 (일) 22:50 (KST) #— Hue/talk 2018년 1월 31일 (수) 16:31 (KST) 복슝아 유니콘의 핑뀨색 눈물 (토론) 2018년 3월 17일 (토) 09:03 (KST) # 211.104.134.138 (토론) 2019년 3월 15일 (금) 17:55 (KST) #Ltg2013 (토론) 2019년 11월 21일 (목) 19:52 (KST) #참가하겠습니다. ⏳PØĶÊMÖŅ W⏳ (토론) (연습장) (유저박스) (기여) 2020년 4월 13일 (월) 10:47 (KST) #참가하겠습니다.오댕오댕오댕오댕분신술이닷! 2020년 8월 12일 (수) 15:36 (KST) #재미있을것 같네요!참가하겠습니다.ت #포켓몬스터에 대한 관심을 높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토론) 2020년 9월 21일 (월) 11:21 (KST) #흥미가 있어서요 포켓몬스터가라르! (토론) 2020년 11월 7일 (토) 07:09 (KST) humandialogue 2020년 12월 6일 (일) 17:07 (KST) #포켓몬스터 지식을채워 친구들과 같이 게임하기위해서 🏁🚗🚗kartrider🤴👸king (토론) 2020년 12월 28일 (월) 01:52 (KST) #-강돌이와 강석이 (토론) 2021년 2월 12일 (금) 21:19 (KST) #-요즘 포켓몬스터 알파사파이어 하고 있어요.출동 히어로 ඞ 2021년 2월 17일 (수) 16:06 (KST) #흥미있겠네요참가합니다.Leonalex7465 ツ''' #shdhdi #R.P(T/C) 2022년 2월 13일 (일) 09:29 (KST) 을 붙여주셔도 됩니다 28.열심히 하겠습니다!!(아이러브 포켓몬!) 심만보 (토론) 2022년 2월 16일 (수) 17:39 (KST) = = 반스타 = = 몬스터볼 반스타 몬스터볼 반스타 는 포켓몬스터 관련 문서에 훌륭한 기여를 한 사용자에게 수여됩니다. = = 배너 틀 = = 을 포켓몬스터 관련 문서 토론창에 달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 = 유용한 링크 = = 포켓몬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벌바피디아 (영문) = 테티 = 테티는 이집트 제6왕조의 첫 파라오이다. 호루스 이름은 세헤텝타위로 "두 땅을 평화롭게 하는 자"라는 뜻이다. 마네토의 기록에는 오토에스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테티는 제4왕조, 제5왕조 때와 마찬가지로 우나스의 사위로서 파라오가 되었다. 파라오가 된 테티는 딸 세슈세셰트를 재상 메레루카와 결혼시켰다. 메레루카의 마스타바 무덤은 테티의 피라미드 근처에 있는데, 테티 시대 유적 중 가장 화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네토에 의하면 테티는 경호원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로 인해 페피 1세가 즉위하기 전까지 우세르카레라는 인물이 잠시 통치했었다. 테티의 피라미드는 사카라 북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1881년에 목관이 발견되었다. 그의 피라미드 북쪽에는 왕비인 이푸트(페피 1세의 어머니), 카위트의 작은 피라미드가 발견되었다. 이푸트의 피라미드에서는 그녀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 에카테리나 오프로이우 = 에카테리나 오프로이우(Ecaterina Oproiu)는 루마니아의 새로운 연극을 주도하는 유일한 극작가로 <나는 에펠탑이 아니다>로 각광을 받았다. 그녀는 루마니아의 대표적인 영화잡지의 편집자이며 영화대본도 쓰고 있다. 남편은 경제학자이다. <에펠탑>은 평범한 이야기를 풍부한 상상력을 갖고 쓴 작품으로, 버스를 놓친 소년, 소녀가 시골길을 떠돌아다니며 자신들의 미래를 꿈꾸는 이야기이다. = 분류:아키하구 = = 분류:동두천시의 법정동 = = 분류:모로코의 펜싱 선수 = = 카미유 게랭 = 장마리 카미유 게랭(, 1872년 12월 22일 ~ 1961년 6월 9일)은 프랑스의 의사이다. 알베르 칼메트와 함께 BCG를 발견하였다. 여러 가지 연구 끝에 결핵에 대해서 면역이 되는 균을 얻었는데, 이것을 '칼메트와 게랭의 균' 즉 BCG라 하였다. = 분류:공중전을 소재로 한 작품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 = 다음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전라북도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전라북도의회는 지역구의원 34명과 비례대표의원 4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전주시 제1선거구 완산구 중앙동, 풍남동, 교동, 태평동, 중노송1동, 중노송2동, 남노송동, 동완산동, 서완산동, 동서학동, 서서학동, 중화산1동, 중화산2동, 평화1동, 평화2동, 남고동 전주시 제2선거구 완산구 서신동, 삼천1동, 삼천2동, 삼천3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효자4동 전주시 제3선거구 덕진구 서노송동, 진북1동, 진북2동, 인후1동, 인후2동, 인후3동, 우아1동, 우아2동, 호성동 전주시 제4선거구 덕진구 덕진동, 금암1동, 금암2동, 팔복동, 전미동, 송천1동, 송천2동, 조촌동, 동산동 군산시 제1선거구 임피면, 서수면, 대야면, 개정면, 성산면, 나포면, 조촌동, 구암동, 개정동 군산시 제2선거구 월명동, 삼학동, 선양동, 명산동, 중앙로1가동, 중앙로2가동, 중앙로3가동, 미원동, 중동, 흥남동, 경암동, 수송동 군산시 제3선거구 옥구읍, 옥산면, 회현면, 옥도면, 옥서면, 나운2동 군산시 제4선거구 해망동, 신흥동, 오룡동, 신풍동, 나운1동, 소룡동, 미성동 익산시 제1선거구 오산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송학동, 신동 익산시 제2선거구 함열읍,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모현동, 계문동 익산시 제3선거구 낭산면, 망성면, 삼기면, 영등동, 어양동, 팔봉동, 삼성동 익산시 제4선거구 여산면, 금마면, 왕궁면, 춘포면, 인화동, 동산동, 마동, 신흥동 정읍시 제1선거구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감곡면, 연지동, 농소동, 상평동, 과교동, 정일동 정읍시 제2선거구 태인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수성동, 장명동, 상동, 시기1동, 시기2동, 시기3동, 내장동 남원시 제1선거구 운봉읍, 주천면, 산동면, 이백면, 동면, 아영면, 산외면, 동충동, 향교동, 용정동, 도통동 남원시 제2선거구 수지면, 송동면, 주생면, 수지면, 대강면, 대산면, 사매면, 덕과면, 보절면, 죽항동, 쌍교동, 노암동, 금동, 왕정동 김제시 제1선거구 용지면, 백구면, 금구면, 봉남면, 황산면, 금산면, 신풍동, 봉황동, 검산동 김제시 제2선거구 만경읍, 죽산면, 백산면, 부량면, 공덕면, 청하면, 성덕면, 진봉면, 광활면, 요촌동, 서흥동, 교동, 월촌동 완주군 제1선거구 삼례읍, 상관면, 이서면, 소양면, 구이면 완주군 제2선거구 봉동읍, 용진면,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 진안군 제1선거구 진안읍, 백운면, 성수면, 마령면 진안군 제2선거구 용담면, 안천면, 동향면, 상전면, 부귀면, 정천면, 주천면 무주군 제1선거구 무주읍, 적상면, 부남면 무주군 제2선거구 무풍면, 설천면, 안성면 장수군 제1선거구 장수읍, 산서면, 번암면 장수군 제2선거구 장계면, 천천면, 계남면, 계북면 임실군 제1선거구 임실읍, 운암면, 신평면, 성수면, 신덕면, 관촌면 임실군 제2선거구 청웅면, 오수면, 삼계면, 강진면, 덕치면, 지사면 순창군 제1선거구 순창읍, 인계면, 동계면, 적성면, 유등면 순창군 제2선거구 풍산면, 금과면, 팔덕면, 복흥면, 쌍치면, 구림면 고창군 제1선거구 고창읍, 아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 고창군 제2선거구 고수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부안군 제1선거구 부안읍,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백산면 부안군 제2선거구 계화면, 보안면, 변산면, 진서면, 상서면, 하서면, 줄포면, 위도면 = = 지역구 선거 결과 = = = = = 전주시 = = = = = = 군산시 = = = = = = 익산시 = = = = = = 정읍시 = = = = = = 남원시 = = = = = = 김제시 = = = = = = 완주군 = = = = = = 진안군 = = = = = = 무주군 = = = = = = 장수군 = = = = = = 임실군 = = = = = = 순창군 = = = = = = 고창군 = = = = = = 부안군 = = =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한나라당 1 김경안 새정치국민회의 1 김완자 새정치국민회의 2 김영길 자유민주연합 1 공영옥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새정치국민회의 32 2 34 한나라당 0 1 1 자유민주연합 0 1 1 무소속 2 - 2 = 우메다 = 우메다는 일본 오사카시 기타구의 상업과 업무 지구로, 도시의 주요 교통에는 북쪽 철도 터미널인 오사카역과 우메다역이 있다. 우메다는 커다란 철도 축일 뿐만 아니라 주요 관청과 호텔 지구이기도 하다. 특히 니시우메다, 도지마, 나카노시마에는 거리를 따라 대형 건물들이 늘어서 있으며, 구역 내에는 초고층 빌딩 수가 40개가 넘는다. 우메다는 또한 쇼핑 지구로 알려져 있어, 오사카에서 가장 큰 세 개의 백화점인 한신 백화점, 한큐 백화점, 다이마루와 디아몰 오사카, HEP 파이브, HEF 나비오, 와이티 오사카와 같은 몇몇 쇼핑몰들이 위치한다. = = 교통 = = 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역: 도카이도 본선 기타신치역: JR 도자이 선 한큐 전철 우메다역: 고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교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우메다역: 한신 본선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우메다역: 미도스지선 히가시우메다 역: 다니마치선 니시우메다역: 요쓰바시선 = = 시설 = = = = = 쇼핑 = = = 다이마루 한큐 백화점 한신 백화점 하비스 ENT 요도바시 카메라 기노쿠니야 서점 아사히야 서점 디아모르 오사카 포켓몬 센터 = = = 놀이 시설 = = = 우메다 예술극장 HEP 파이브 우메다 스카이 빌딩 = = = 호텔 = = = 힐튼 호텔 리츠칼튼 오사카 웨스틴 오사카 = 분류:영화인 = = 분류:오스트리아의 남성 = = 쿠싱 = 쿠싱(Cushing)은 미국 오클라호마주 페인 카운티에 있는 도시이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 7,826명을 기록했는데, 2000년 인구 조사때보다 6.5% 감소한 수치이다. 오늘날 쿠싱은 석유 거래 허브이자 뉴욕상업거래소의 서부 텍사스 중질유(WTI) 가격 결정소이다. = 4식 중폭격기 = 4식 중폭격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개발된 일본 제국 육군의 폭격기로 시제품 명칭은 Ki-67이다. 애칭은 히류이며 연합군의 코드 네임은 페기(Peggy)이다. 1식 육상공격기의 개발사인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하였다. 첫 비행은 1942년 12월 27일에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4년 1월부터 사용되었으며 일부 폭격기는 가미카제 특공대 전용 폭격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 = 제원 = = 전장: 18.7m 전폭: 22.50m 전고: 7.70m 익면적: 65.90m2 엔진: 미쓰비시 Ha-104 14기통 성형 엔진 (1,417kW, 1,900마력) 중량: 8,649kg 최대 속도: 537km/h 무장: 포탄 1,600kg 20mm 기관포 1문(후방 포탑) 13.2mm 기관총 3정(1정 하방,1정 위, 1정 전방) = 주파수 영역 =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은 주파수를 독립 변수로 하는 영역을 말하며, 시간 영역에 대응된다. 시간 영역의 함수를 푸리에 변환시키면 주파수 영역의 함수로 나타난다. Geophiwiki에서 가져옴 주파수 영역에는 각 주파수 성분의 위상 정보도 포함된다. 그로인해 각 주파수의 사인파(sine wave)를 합성하는 것으로 원래의 신호가 얻어진다. 주파수 영역 해석에는 푸리에 변환이나 푸리에 급수를 쓰고, 함수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 이것은 임의의 파형이 사인파의 합성으로 인해 얻어진다고 말한 푸리에 급수의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실제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시각화하는 Tool로는 스펙트럼아날라이저(Spectrum Analyzer)가 있다. = = 진폭과 위상 =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Z변환(Z-Transform),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면,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은 각 주파수의 진폭과 위상의 복합으로 나타난다. 많은 응용에서 보면 위상 정보는 중요하지 않다. 위상 정보를 버리면 주파수 영역을 표현하는 정보가 간략화 되기 때문이고, 이것이 일반적으로 주파수 스펙트럼 또는 스펙트럼 밀도라고 불리는 것으로 된다. 스펙트럼아날라이저는 이 스펙트럼을 표시하는 기기이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PSD : Power Spectral Density)는 주파수 영역 표현의 일종이다. 주기적이지 않은 신호나 제곱 적분이 가능하지 않은 신호도 적용이 가능하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에서 신호는 단지 정상 과정의 출력으로 있으면 된다. = = 청각 = = Romp의 "The Ear as a Frequency Analyzer"에도 있듯이 청각의 일반적인 단순화 모델으로, 내이(内耳)는 시간 영역의 음성 파형을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으로 변환한 것으로 생각된다. = 분류:2019년 자메이카 = = 분류:도시별 마천루 목록 = = 나마인 = 나마인(Nama, Namaqua)는 남아프리카 지역의 원주민족의 하나로, 나미비아 중부와 나마콰랜드(Namaqualand)로 불리는 나미비아와 남아공의 국경지대 등지에 많이 분포한다. 코이코이족(호텐토트) 중에는 거의 유일하게 정체성이 살아남은 민족이다. 원래 코이산 제어의 일종으로 알려진 코에어족 나마어를 말했으나 현대에는 대부분의 나마인들이 아프리칸스어를 쓰고 있다. 나마인은 수천 년 간 나마콰랜드 지역에 살아온 코이코이족의 일파로, 전통적으로 목축 생활을 영위해 왔다. 19세기 초부터는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지역으로부터 오를람인(Oorlam)들이 나마콰랜드로 들어와 살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코이코이족과 유럽인 및 아시아계 노예의 혼혈로 형성된 집단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빠르게 나마인에 동화되었고, 나마어를 사용하며 나마인의 일부로 여겨지게 되었다. 1884년 독일 제국은 오늘날의 나미비아에 해당하는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았고, 1904년부터 당시 반란 소탕을 명분으로 이 지역에 살던 나마인과 헤레로인에 대한 집단학살을 행하였다. = 분류:전쟁별 캐나다 사람 = = 로열 파빌리언 = 로열 파빌리언 또는 브라이턴 파빌리언은 영국 브라이턴시에 위치 한 저택이다. 당시의 웨일스 공 (후에 조지 4세)가 1787부터 건설 시켰다. 인도고딕 (Indo-Gothic) 양식인 현재의 모습은 건축가 존 내시에 의하여 디자인 되었다. = 분류:1758년 설립된 기업 = = 분류:북아메리카의 옛 공화국 = = 틀:194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농구 예선 B조 경기 결과 = 나라 경기수 승 패 득점 실점 승점 5 3 2 258 152 8 5 3 2 269 162 8 5 3 2 234 156 8 5 3 2 262 200 8 5 3 2 281 202 8 5 0 5 113 545 5 = 틀: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조연 = = 풍객 = 풍객은 KBS 2TV에서 1988년 10월 12일부터 1988년 12월 1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수목 미니시리즈이다. = = 등장 인물 = = 홍요섭 : 장우림 역 조민수 : 박다솜 역 백윤식 박혜숙 송재호 최명수 이일웅 최화정 김형자 김을동 = 분류:1956년 소설 = = 틀:아사나 = = 흥학당 = 흥학당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영동 흥학당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 452-1 충주 흥학당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내동1길 42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부여 흥학당(扶餘 興學堂)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장수 흥학당(長水 興學堂)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화양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김천 흥학당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교리 = 분류:벵골계 파키스탄인 = = 뮤리에타 = 뮤리에타(Murrieta)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군 남서부의 도시이다. 2020년 미국 인구 조사 기준 인구 수는 110,949명이다. 2000년부터 2010년 사이 133.7% 인구 증가를 경험했으며 해당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들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 분류:모리셔스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 몽마르트르 묘지 = 몽마르트르 묘지는 파리 18구에 있는 묘지이다. 19세기 초까지 거슬러 간다. 파리에서 페르 라셰즈 묘지와 몽파르나스 묘지와 더불어서 3번째로 큰 묘지이다.  1825년 1월 1일에 조성되었다. . = = 매장된 유명한 사람들 = = = = A  = = 아돌프 아당 (1803–1856) - 작곡가 샤를 발랑탱 알캉 (1813–1888) - 작곡가 앙드레마리 앙페르 (1775–1836), 물리학자, 암페어 만든 사람 에두아르 앙드레 (1840–1911), 건축가 = = B = = 벵자맹 볼 (1833–1893), psychiatrist 미셸 베르제 (1947–1992), composer, singer 엑토르 베를리오즈 (1803–1869), composer (originally buried in a less prominent plot in the same cemetery) Mélanie "Mel" Bonis (1858–1937), composer 부이예 후작 프랑수아 클로드 아무르 (1739–1800), royalist general named in the French National Anthem, La Marseillaise 릴리 불랑제 (1893–1918), composer 나디아 불랑제(1887–1979), composer Georges Hilaire Bousquet (1846–1937), jurist, legal scholar 마르셀 부사크 (1889–1980), entrepreneur Giuseppina Bozzacchi, (1853-1870), ballerina Victor Brauner (1903–1966), painter 바크라프 브로지이크 (1851–1901), 체코의 화가 Alfred-Arthur Brunel de Neuville (1852–1941), painter Myles Byrne (1780–1862), Irish revolutionary soldier = = C  = = Moïse de Camondo (1860–1935), banker Nissim de Camondo (1892–1917), banker, World War I pilot 바크라프 브로지이크 (1784–1833), famed inventor of classical cuisine 루이외젠 카베냐크 (1802–1857), politician 파니 체리토 (1817–1909), Italian ballerina 장마르탱 샤르코 (1825–1893), neurologist 자크 샤롱 (1920–1975), actor 테오도르 샤세리오 (1819–1856), painter 앙리조르주 클루조 (1907–1977), director and screenwriter 베라 클루조 (1913–1960), actress = = D = = 달리다 (1933–1987), 이집트에서 태어난 이탈리노 프랑스의 가수이며 배우이다. 디바 노래가 유명하다. Louis Antoine Debrauz de Saldapenna (1811–1871), Austr에드가 드가ian writer and diplomat 에드가 드가 (1834–1917), Impressionist painter, sculptor 레오 들리브 (1836–1891), 낭만주의 음악 작곡가 Maria Deraismes (1828–1894), social reformer, feminist Narcisse Virgilio Díaz (1808–1876), painter William Didier-Pouget (1864–1959), artist painter Maxime Du Camp (1822–1894), author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 (1824–1895), novelist, playwright Marie Duplessis (1824–1847), French courtesan François Duprat (1941–1978), assassinated political radical = = F  = = Renée Jeanne Falconetti (1892–1946), actress, notable for La Passion de Jeanne d'Arc. 조르주 페이도 (1862–1921) - 벨 에포크 극작가 레옹 푸코 (1819–1868), scientist 샤를 푸리에(1772–1837), utopian socialist Christopher Fratin (1801–1864), animalier sculptor Carole Fredericks (1952–2001),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 = = G           = = 프랑스 갈(1947–2018) - 가수 테오필 고티에 (1811–1872), poet, novelist 장레옹 제롬 (1824–1904), painter José Melchor Gomis (1791–1836), Spanish Romantic composer 에드몽 드 공쿠르 (1822–1896), author/publisher (patron of the Prix Goncourt) 쥘 드 공쿠르(1830–1870), author/publisher 아메데 조르디니 (1899–1979), Gordini sports car manufacturer La Goulue (Louise Weber) (1866–1929), Can-can dancer (she was originally buried in the Cimetière de Pantin) 장밥티스트 그뢰즈 (1725–1805), artist Béla Grünwald (1839–1891), Hungarian historian and politician Jules Guérin (1860-1910), nationalist political radical Lucien Guitry (1860–1925), actor Sacha Guitry (1885–1957), actor/director Charles Gumery (1827–1871), sculptor 존 건닝 (1773-1863), army Surgeon at the Battle of Waterloo = = H   = = Fromental Halévy (1799–1862), composer 하인리히 하이네 (1797–1856), German poet Fanny Heldy (1888–1973), Belgian soprano Jacques Ignace Hittorff (1792–1867), architect = = I     = = François-André Isambert (1792–1857), lawyer, historian, and politician Daniel Iffla (1825-1907), Jewish philanthropist and financier = = J     = = 하인리히 하이네 (1900–1940), composer, conductor 앙드레 졸리베 (1905–1974), composer Marcel Jouhandeau (1888–1979), author 루이 주베 (1887–1951), actor Anna Judic (1850–1911), actress, chanteuse 앙투안앙리 조미니 (1779–1869), French General, Military Author = = K = = Friedrich Kalkbrenner (1784–1849), pianist, composer Miecislas Kamieński, a Polish soldier, mentioned because the statue of Jules Franceschi on his grave is well known Julian Klemczyński, (1807 or 1810-1851?), pianist, composer Marie-Pierre Kœnig (1898–1970), Free French Field Marshal Bernard-Marie Koltès (1948–1989), playwright, director Joseph Kosma (1905–1969), composer = = L = = 외젠 라비슈 (1815–1888), dramatist Dominique Laffin (1952–1985), actress 샤를 라무뢰 (1834–1899), violinist 장 란 (1769–1809), Marshal of France (his heart only, the body is in the Pantheon) Margaret Kelly Leibovici (1910–2004), Miss Bluebell, Irish dancer Frédérick Lemaître (1800–1876), actor Pauline Leroux (1809-1891), dancer Elisabeth Leseur (1866-1914), Venerabl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Emma Livry (1842–1863), ballet dancer 에두아르 뤼카 (1842-1891), mathematician = = M  = = Aimé Maillart (1817–1871), composer Henri Meilhac (1830–1897), dramatist Mary Marquet (1895–1979), actress 빅토르 마세 (1822–1884), composer Joseph Porter Michaels (1838–1912), American dentist, professor at the Dental School of Paris, he collaborated with Professor Péan for the creation of the first shoulder prosthesis 오귀스트 드 몽페랑 (1786–1858), architect 호세 마리아 루이스 모라 (1794-1850), Mexican politician 귀스타브 모로 (1826–1898), symbolist painter 아이메 모로 (1850-1913), academic art painter 앙리 뮈르제 (1822–1861), novelist Musidora (1889-1957), actress/director/writer = = N        = = 바츨라프 니진스키 (1890–1950), Russian ballet dancer Adolphe Nourrit (1802–1839), tenor 외젠 니옹 (1812-1870), playwright and novelist 알퐁스 드 뇌빌 (1836–1885), painter whose funerary monument was realized by Francis de Saint-Vidal = = O   = = 자크 오펜바흐 (1819–1880), French composer of German descent 조르주 오네 (1848–1919), writer Harriet Osborne O'Hagan (1830-1921), Irish portrait artist = = P = = Théophile-Jules Pelouze (1807–1867), chemist Isaac Péreire (1806–1880), financier Jacob Rodrigues Péreire (1715–1780), educator Francis Picabia (1879–1953), painter Alphonsine Plessis (1824–1847), La Dame aux Camélias Patrick Pons (1952–1980), motorcycle racer Pierre Alexis Ponson du Terrail (1829–1871), novelist Jean Le Poulain (1924–1988), actor Francisque Poulbot (1879–1946), painter, illustrator 올가 프레오브라젠스카 (1871–1962), ballet dancer (according to other sources, she is buried in the Sainte-Geneviève-des-Bois Russian Cemetery)Arnold Lionel Haskell. The Ballet annual: a record and year book of the ballet: Vol. 18, 1963 = = R  = = 줄리에트 레카미에 (1777–1849), socialite and woman of letters Salomon Reinach (1858–1932), archaeologist 에르네스트 르낭 (1823–1892), writer 자크 리베트 (1898–1929), poet 자크 리베트 (1928-2016), film director and film critic 앙리 리비에르 (1827–1883), naval officer, writer 장 레델레 (1922–2007), automotive pioneer, pilot and founder of the French automotive brand Alpine. Hilda Roosevelt (1881–1965), opera singer, daughter of Cornelius Roosevelt (1847-1902) Jeanne Roques aka Musidora (1889-1957), Actress/writer/director Endre Rozsda (1913-1999), surrealist painter = = S = = Joseph Isidore Samson (1793-1871), actor and playwright 앙리 소게 (1901–1989), composer 아돌프 삭스 (1814–1894), musical instrument artisan (inventor of saxophone) Ary Scheffer (1795–1858), painter Helen Scott (1915–1987), Truffaut / Hitchcock Philippe Paul de Ségur, Count of Ségur (1780–1873), historian 클로드 시몽 (1913–2005), novelist 율리우시 스워바츠키 (1809-1849), Polish romantic poet Harriet Smithson (1808–1854), Anglo-Irish actress, the first wife of Hector Berlioz, and the inspiration for his Symphonie fantastique 페르난도 소르 (1778–1839), guitarist 알렉상드르 수메 (1788–1845), poet 스탕달 (Marie-Henri Beyle) (1783–1842), writer 샤를 앙리 상송 (1739–1806), executioner of Louis XVI = = T = = 마리 탈리오니 (1804–1884), ballerina Ludmilla Tchérina (1924–2004), dancer, actress and painter 앙브루아즈 토마 (1811–1896), opera composer 아르망 투생 (1806-1862), sculptor 장피에르 트라보 (1767-1836), general 콩스탕 트루아용 (1810–1865), painter 프랑수아 트뤼포 (1932–1984), 누벨 바그 필립제작자와 감독 = = V = = 오라스 베르네 (1789–1863), painter Auguste Vestris (1760–1842), dancer Gaétan Vestris (1729–1808), dancer Pauline Viardot (1821–1910), opera singer, composer Alfred de Vigny (1797–1863), poet, playwright, novelist 장밥티스트 비욤 (1798–1875), luthier = = W = = René Waldeck-Rousseau (1846–1904), politician Georges-Fernand Widal (1862–1929), bacteriologist = = Z = = 에밀 졸라 (1840–1902),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비평가 겸 저술가이다. 졸라의 가족들도 그와 함께있다. = B2G (동음이의) = B2G는 다음을 뜻한다. Business-to-government B2G OS: 파이어폭스 OS의 커뮤니티 개발 계승판 Boot to Gecko: 파이어폭스 OS의 코드명 브리지 투 그레이스(Bridge to Grace): 미국의 록 밴드 = 분류:로켓펀치 = = 분류:스코틀랜드의 자선가 = = 송재영 = 송재영(2002년 6월 20일 ~ )은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2021년에 입단하였다. 2021년 5월 12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0.2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 =상무 야구단 시절 = = 2022년 5월에 입단하였다. = =롯데 자이언츠 복귀 = = 2023년에 복귀하였다. = = 출신 학교 = = 잠원초등학교 (수원영통구리틀) 매향중학교 라온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21 롯데 13.50 19 0 0 0 2 0 1 0.000 79 14⅔ 24 3 12 1 13 23 22 통산 1시즌 13.50 19 0 0 0 2 0 1 0.000 79 14⅔ 24 3 12 1 13 23 22 = 추호렬 = 추호렬(秋浩烈, 1951년 ~ )은 대한민국의 과학자, 대학 교수이다.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농생명학부 응용생물환경학전공 교수이자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이다. 친환경해충방제 연구분야에서 선구적 역할을 하여, 2005년 세계적 권위의 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 등재됐다. = = 생애 = = 경상국립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각각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85-1986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데이비스 선충학과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1989년~1990년, 1994년~1995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데이비스, 2000-2001 미국 뉴저지 주립대학인 럿거스 대학교에서 객원교수 등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추호렬 교수는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토양동물학회, 한국잔디학회, 한국농약과학회의 부회장, 상임이사,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200여편의 논문을 국내 외 학회지에 발표한 것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도 국내・외에서 출판하는 등 활발한 학회활동을 통해 국내・외 곤충학 및 선충학 그리고 해충의 친환경방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미국선충학회, 미국곤충학회, 일본선충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각 국에서 개최되는 선충과 곤충 관련 국제심포지엄, 국제워크숍 및 각종 국제학회에서 초청연사와 좌장으로 초청받아 곤충기생선충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특히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곤충기생선충으로 골프장의 잔디 해충과 시설원예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구명함으로써 친환경해충방제 연구분야에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2005년 추호렬 교수가 세계적 권위의 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 등재됐다. 이 인명사전은 오래된 역사와 절제되고 일관된 편집정책 등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적 전문 인력정보 제공에 활용돼 오고 있다. 추호렬 교수는 30대와 40대에 이미 "마르퀴즈 후즈후"의 인명등재 요청을 받은 바 있으나 다시 제안을 받아 등재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 = 학력 =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학 학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 = 경력 = = *2004년 ~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교수 *2004년 ~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 2006년 8월 : 경상국립대학교 생명환경대학원장 *2005년 : 마르퀴즈 후즈 후 인 더 월드 등재 *2005년 8월 : 전국 국 공립 농학계대학장협의회 회장 *2007년 2월 ~ 2009년 1월 : 농림수산식품부 중앙농정심의회 위원 *2010년 3월 ~ 2012년 3월 : 경상남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위원 *푸른진주시민위원회 위원장 = 분류: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선수단 = = 조차 = 조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조차(潮差)는 밀물과 썰물때의 수위차이다. 조차(租借)는 다른 나라에서 일시적으로 영토의 일부를 빌리는 일이다. 조차(槽車)는 철도 차량 중 하나이다. = 강래연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강래연: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중화민국 국적 화교 3세 배우 = = 가공 인물 = = 학교의 등장 인물 내게 거짓말을 해봐의 등장 인물 마마의 등장 인물 = 미국 알래스카 사령부 = 알래스카 사령부는 미국 북부 사령부의 예하 통합전투사령부이다.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22,000명의 육/해/공군의 장병들과 해병대, 4,700명의 방위군과 예비군들로 구성되어 있다. 알래스카의 해역은 해안경비대 제17해양경비지구에서 맡고 있다. 알래스카 사령부의 사령관은 옛 알래스카 항공사령부, 지금의 제11공군 사령관이 겸직하고 있다. 알래스카 사령부의 표어는 두가지가 있다. - 1947년 1월 1일, 재정 -1989년 7월 7일, 재정 = = 역사 = = ALCOM의 창설에 앞서 알래스카 방위사령부가 있었다. 이 사령부는 향토방위와 방위군 훈련을 위해 서부방위사령부의 예하 조직으로서 사이먼 B. 버크너 Jr. 준장이 지휘했었다. 1941년 6월 3일, 일본군의 알류샨 열도 침공에 대응하여 병력 34,00명을 동원한 끝에 1943년 8월 15일에 그들 제국 육군 북해파견대와 제국 해군 알래스카 강습단을 알래스카에서 몰아내는데 성공하였다. 공적에 따라 전쟁부는 11월 1일에 전쟁부에 직접 보고하는 "알래스카부"로 승격하고, 버크너 장군의 계급을 중장으로 승진시키면서, 계속 지휘하도록 그에게 맡겼다. 1947년 1월 1일, 합동참모본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얻은 교훈을 토대로 군종 간의 합동성의 필요성을 느꼈다. 통합사령부 계획을 새우고 알래스카 항공사령부(AAC)와 알래스카 육군(이때의 알래스카 육군은 "USARAL"로 구분함), 해군의 알래스카 영해대를 예속시켜 미국 국방부 직속 알래스카 사령부로 재조직하였다. 1956년 2월 1일에 눈쌓인 산위에 서있는 북극곰이 그려진 앰블럼을 받았다. 1971년부터 주월 미군의 베트남 전쟁 철수에 따라 군대 축소가 진행되면서 알래스카 주둔군 또한 영향을 받았다. 같은 해에 해군 알래스카 영해대, 1974년에는 알래스카 육군, 뒤이어 1975년 6월 30일, 사령부를 해산하고, 다음 날 7월 1일에 합동태스크포스 알래스카로 대채되었다. 하지만, 대척없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9년 7월 7일, 태평양 사령부 예하 통합전투사령부로서 재설립되었다. 1990년 8월 9일, 알래스카 항공사령부가 제11공군으로 재편성되었다. 2014년 10월 말, 알래스카 사령부의 관할 통제권이 태평양 사령부로부터 북부사령부로 넘어갔다. = = 조직 = = = = = 배속 = = = 서부방위사령부, 1941년 2월 4일 전쟁부, 1943년 10월 31일 국방부, 1947년 1월 1일 미국 태평양 사령부, 1989년 7월 7일 미국 북부사령부, 2014년 11월 1일 = = = 편성 = = = = = 프로그램 = = 노턴 엣지 연습, 2년 주기의 합동훈련. = = 역대 사령관 = = 알래스카 사령부, 총사령관 사진 성명 취임일 이임일 1 소장 하워드 A. 크레이그 1947년 1월 1947년 10월 2 중장 네이션 F. 트위닝 1947년 10월 1950년 7월 3 중장 윌리엄 E. 케프너 1950년 7월 1953년 3월 4 중장 조지프 H. 엣킨슨 1953년 3월 1956년 9월 5 60px 중장 프랭크 A. 암스트롱, Jr. 956년 9월 1961년 7월 6 중장 조지 W. 문디 1961년 8월 1963년 7월 7 대장 레이몬드 J. 리브스 1963년 8월 1966년 7월 8 중장 글렌 R. 버차드 1966년 7월 1967년 6월 9 소장 로버트 A. 브릿와이저 1967년 6월 1969년 7월 10 중장 로버트 G. 루에그 1969년 8월 1972년 8월 11 중장 제임스 C. 세릴 1972년 8월 1974년 8월 12 중장 제임스 E. 힐 1974년 8월 1975년 7월 JTF 알래스카, 사령관 # 사진 성명 취임일 이임일 1 중장 제임스 E. 힐 1975년 7월 1976년 10월 2 중장 마리온 L. 보스웰 1976년 10월 1978년 6월 3 중장 윈필드 W. 스코트, Jr. 1978 6월 1981년 3월 4 중장 린우드 E. 클라크 1981년 3월 1983년 8월 5 중장 브루스 K. 브라운 1983년 8월 1985년 9월 6 60px 중장 데이비드 L. 니콜스 1985년 9월 1988년 5월 7 중장 토머스 G. 맥클러니 1988년 5월 1989년 7월 알래스카 사령부, 사령관 사진 성명 취임일 이임일 1 중장 토머스 G. 맥클러니 1989년 7월 1992년 7월 2 중장 조지프 W. 랄스턴 1992년 7월 1994년 7월 3 중장 로렌스 E. 보에세 1994년 7월 1996년 8월 4 중장 패트릭 K. 겜블 1996년 8월 1997년 12월 5 중장 데이비트 J. 맥클라우드 1997년 12월 1998년 7월 6 중장 토머스 R. 케이스 1998년 10월 2000년 9월 7 중장 노턴 A. 슈워츠 2000년 9월 2002년 9월 8 60px 중장 캐롤 H. 챈들러 2002년 9월 2005년 10월 9 중장 더글러스 M. 프라이저 2005년 10월 2008년 5월 10 60px 중장 다나 T. 앗킨스 2008년 5월 2011년 11월 11 60px 중장 스테판 L. 후그 2011년 11월 2013년 8월 12 60px 중장 러셀 J. 핸디 2013년 8월 2016년 8월 13 60px 중장 케네스 윌즈바흐 2016년 8월 2018년 8월 14 60px 중장 토머스 A. 부시에 2018년 8월 임기중 = = 계보 = = 1941년 2월 4일, *: 1943년 10월 31일, *: 1947년 1월 1일, *: = = 참고 = = = = = 인용 = = = = = = 자료 = = = * * = 분류:코닉세그의 차종 = = 김하균 = 김하균(金河均, 1959년 8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한때 성우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신장은 179cm이고 체중은 75kg이다. 1978년 대학 1학년 재학 중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그로부터 7년 후 1986년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20기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다. 2년 후 1988년 영화 연산일기의 단역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9년 동아대학교 환경공학과를 입학 11년만에 학사 학위 취득하였으며 1991년 KBS 한국방송공사 14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고, 이후 2000년에는 영화 이프(If)의 단역으로 12년만에 영화 분야 컴백을 하였다. 바둑에 취미가 있으며, 사극과 현대극 드라마에서 주연과 조연을 넘나들며 농익은 연기를 소화하는 배우로 유명하다. = = 학력 = = 진해중앙국민학교 성지중학교 부산중앙고등학교 동아대학교 환경공학과 학사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1991년 KBS2 수목드라마 《아스팔트 내 고향》 1992년 KBS1 설날특집드라마 《너의 이름은 효자》 1992년 KBS2 미니시리즈 《검은 자화상》 1992년 KBS1 대하드라마 《삼국기》 ... 대걸걸중상 역 1992년 KBS1 특집드라마 《대리인》 1993년 KBS2 미니시리즈 《백색 미로》 1993년 KBS1 특집드라마 《은하의 강》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12.12》구정길 역 1994년 MBC 미니시리즈 《사랑을 그대 품안에》 1994년 KBS2 대하드라마 《한명회》 ... 윤구폐제헌왕후 함안 윤씨의 동복 오라비 역 1994년 KBS2 주말연속극 《딸부잣집》 1994년 MBC 주말연속극 《서울의 달》 1995년 SBS 주말극장 《옥이 이모》 ... 박 형사 역 1995년 KBS2 일일연속극 《원지동 블루스》 1995년 KBS2 청소년드라마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1995년 KBS1 대하드라마 《김구》 ... 기자 역 1996년 KBS2 납량특집드라마 《전설의 고향 - 내 혼백 남의 육신》 ... 사또 역 1996년 KBS2 납량특집드라마 《전설의 고향 - 열불열비》 1996년 KBS1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 ... 박서생 역 1997년 KBS2 납량특집드라마 《전설의 고향 - 검룡소애》 1997년 KBS2 미니시리즈 《스타》 1997년 KBS2 미니시리즈 《그대 나를 부를 때》 1997년 KBS1 아침드라마 《TV소설 모정의 강》 1997년 KBS2 주말연속극 《웨딩드레스》 1998년 KBS1 아침드라마 《TV소설 너와 나의 노래》 1998년 KBS1 대하드라마 《왕과 비》 ... 취금헌 박팽년 역 1998년 KBS2 미니시리즈 《거짓말》 ... 약사 역 1998년 KBS2 미니시리즈 《킬리만자로의 표범》 1998년 MBC 미니시리즈 《내일을 향해 쏴라》 ... 매니저 이만동 역 1998년 SBS 일일연속극 《7인의 신부》 1998년 KBS2 단막드라마 《싱싱 손자병법》 1998년 KBS2 주말연속극 《종이학》 1998년 SBS 일일연속극 《미우나 고우나》 1999년 KBS2 어린이드라마 《누룽지 선생과 감자 일곱개》 ... 황평도 역 1999년 KBS1 아침드라마 《TV소설 누나의 거울》 1999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달콤한 신부》 1999년 MBC 미니시리즈 《햇빛속으로》 1999년 KBS1 일일연속극 《해뜨고 달뜨고》 1999년 KBS2 금요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 게스트 역 2000년 KBS1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 ... 태평 역 2000년 KBS2 일일시트콤 《멋진 친구들》 2000년 MBC 미니시리즈 《뜨거운 것이 좋아》 2000년 MBC 미니시리즈 《비밀》 2000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내 인생의 스타카토》 2000년 SBS 드라마스패셜 《여자만세》 2001년 MBC 미니시리즈 《반달곰 내 사랑》 2001년 KBS2 대하드라마 《명성황후》 ... 사이온지 긴모치일본 제국 외교관 겸 정치가 역 2001년 SBS 드라마스페셜 《피아노》 ... 오 대리 역 2001년 KBS2 일일연속극 《여자는 왜?》 2002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사랑을 예약하세요》 ... 김학남 역 2002년 MBC 미니시리즈 《위기의 남자》 2002년 EBS1 주간드라마 《역사탐구 과거와의 대화》 2002년 MBC 미니시리즈 《내 사랑 팥쥐》- 차 과장 역 2002년 KBS2 추석특집극 《첨성대의 달》 ... 병섭 역 2002년 MBC 미니시리즈 《어사 박문수》 ... 장수장 역 2003년 SBS 대기획 《올인》 ... 손 비서 역 2003년 MBC 일일연속극 《인어 아가씨》 201회 제주도 현지 택시 기사역 2003년 EBS1 주간드라마 《역사극장》 2003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오줌장군》 ... 아버지 역 2003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사랑한다 말하기》 2003년 KBS2 청소년드라마 《성장드라마 반올림》 ... 김정식 역 2003년 KBS1 대하드라마 《무인시대》 ... 김광립 역 2003년 SBS 주간시트콤 《형사》 2003년 SBS 주말특별기획 《천년지애》 2003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문제작》 ... 박 PD 역 2003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사진사 홍봉구》 ... 홍봉구 역 2004년 SBS 주말특별기획 《발리에서 생긴 일》 ... 여행사 사장 조상배 역 2004년 KBS2 주말연속극 《애정의 조건》 ... 문방구 역 2004년 SBS 일일연속극 《소풍가는 여자》 ... 미용실 원장 역 2004년 KBS2 미니시리즈 《북경 내 사랑》 ... 오 상무 역 2004년 KBS1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 천 린(진인)명나라 수군 장수 역 2005년 MBC 미니시리즈 《달콤한 스파이》 ... 수사과 형사 조정해 역 2005년 KBS1《TV문학관 - 소나기》... 국민학교 선생님 역 2006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토끼의 아리아》 ... 최박사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닥터 깽》 ... 황검사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넌 어느 별에서 왔니》 ... 조두식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90일, 사랑할 시간》 ... 시트콤 '청춘' 정 PD 역 2006년 KBS2 아침드라마 《그 여자의 선택》 ... 하재무 역 2006년 SBS 금요드라마 《내 사랑 못난이》 ... 신대통 역 2006년 KBS1 대하드라마 《대조영》 ... 부기원 역 2006년 KBS1 일일연속극 《열아홉 순정》 2007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꽃밭에서》 2007년 MBC 미니시리즈 《신 현모양처》 2007년 SBS 대하사극 《왕과 나》 ... 장순무 역 2007년 MBC 미니시리즈 《고맙습니다》 ... 박택동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불량 커플》 ... 조용구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감시중 역 2007년 KBS2 일일시트콤 《못말리는 결혼》 2008년 KBS2 대하드라마 《대왕 세종》 ... 경암 허조 역 2009년 KBS2 대하드라마 《천추태후》 ... 내융 최항 역 2009년 SBS 일일연속극 《두 아내》 ... 정태수 역 2009년 SBS 일일연속극 《아내가 돌아왔다》 ... 조합장 역 (7회 특별출연) 2009년 SBS 드라마스페셜 《카인과 아벨》 ... 오인근 역 2010년 KBS2 미니시리즈 《공부의 신》 ... 오달식 역 2010년 SBS 아침연속극 《당돌한 여자》 ... 왕만길 역 2010년 KBS2 월화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 대사성 최신묵 역 2010년 KBS1 한일강제병합100년특별기획 《자유인 이회영》 ... 옥관빈 역 2010년 KBS2 미니시리즈 《프레지던트》 2011년 KBS1 대하드라마 《근초고왕》 ... 신라 실성 마립간 역 2011년 SBS 일일연속극 《당신이 잠든 사이》 ... 윤황구 역 2011년 KBS1 대하드라마 《광개토태왕》 ... 가렴 역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스파이 명월》 ... 김영탁 역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장 비서 역 2011년~2012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 청성부원군 형지 한치형 역 2012년 SBS 《부탁해요 캡틴》 ... 토니 브라이언 역 2012년 TV조선 미니시리즈 《한반도》 ... 김득수 역 2012년 SBS 주말특별기획 《바보 엄마》 ... 오민석 역 2012년 KBS1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 ... 신라 진평왕 김백정 역 2012년 JTBC 주말연속극 《무자식 상팔자》 ... 바리스타 강사 역 (카메오) 2012년 MBC 수목드라마 《보고싶다》 ... 형사계장 역 2013년 JTBC 대하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 ... 완성부원군 지천 최명길 역 2013년 SBS 일일드라마 《못난이 주의보》 ... 추만돌 역 2014년 SBS 설날특집드라마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 (특별출연) 2014년 KBS2 TV소설 《일편단심 민들레》 ... 박순희 역 2014년 SBS 월화드라마 《비밀의 문》 ... 김상로 역 2014년 MBC 수목드라마 《미스터 백》 ... 점쟁이 역 2015년 SBS 주말특별기획 《내마음 반짝반짝》 ... 신하성 이사 역 2015년 KBS1 대하드라마 《징비록》 ... 양 하오(양호) 역 2015년 MBC 수목드라마 《그녀는 예뻤다》 ... 부중만 역 2015년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 백윤 역 2015년 KBS2 수목드라마 《장사의 신 - 객주 2015》 ... 의주부윤 김형중/전라도관찰사 역 2016년 SBS 아침얀속극 《내 사위의 여자》 ... 최달석 역 2016년 MBC 수목드라마 《한 번 더 해피엔딩》 2016년 KBS2 월화드라마 《우리집에 사는 남자》 ... 신정남 역 2016년 SBS 일일드라마 《사랑은 방울방울》 ... 윤계능 역 2017년 SBS 시트콤 《초인가족 2017》 ... 박병달 역 2017년 KBS2 TV소설 《꽃 피어라 달순아!》 ... 김집사 역 2017년 MBC 수목드라마 《로봇이 아니야》 ... 성집사 역 2018년 SBS 주말특별기획 《착한마녀전》 ... 박기범 역 2018년 KBS2 저녁일일드라마 《끝까지 사랑》 ... 한수창 역 2019년 SBS 금토드라마 《녹두꽃》 ... 박원명 역 2020년 KBS2 월화드라마 《본 어게인》 ... 성당 신부 역(특별출연) 2020년 SBS 아침연속극 《엄마가 바람났다》 2021년 KBS2 주말연속극 《오케이 광자매》 ... 전식중 역(특별출연) 2022년 tvN 금토드라마 《블라인드》 ... 강영기 역 = = = 영화 = = = 1988년 《연산일기》 2000년 《이프(If)》 ... 아파트 연인 역 2002년 《남자 태어나다》 ... 나이트클럽 사장 역 2003년 《강아지 죽는다》 ... 고씨 역 2006년 《다세포 소녀》 ... 회장 아빠 역 2006년 《두뇌유희 프로젝트, 퍼즐》 ... 남 사장 역(특별출연) 2006년 《굿 럭》 ... 김 프로 역 2008년 《아기와 나》 ... 왕근 역(특별출연) 2009년 《청담보살》 ... 관리반장 역(특별출연) 2012년 《저스트 프렌즈》 ... 집 주인 아저씨 역(특별출연) 2015년 《연평해전》 ... 갑판장 역 = = = 연극 = = = 1993년 《이괄과 흥안군》 ... 조선 인조 역(주연) = = = CF = = = 삼성전자 에어컨 코카콜라 베스킨라빈스 오뚜기 북경반점 (윤영삼과 함께 출연) 농협 목우촌우유 SONY 캠코더 개비스콘 일양약품 원비디 080 무료전화 = Jobkorea = = 오거스타 리 = = 참새피속 = 참새피속( -屬, 학명: )은 벼과의 속이다.Linnaeus, Carl von. Systema Naturae, Editio Decima 2: 846, 855, 1359. 1759. 300여 종이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및 남·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자생종인 참새피와 귀화종인 물참새피, 큰참새피가 발견된다. = 안토니에타 = 안토니에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안토니에타 스텔라: 테발디, 칼라스 등과 함께 최후의 대형가수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프리마돈나 마리아 안토니에타 데 보그란: 온두라스의 여성 정치인 = 분류:키에르케고르 학자 = = 박명수 (동음이의) = 박명수는 다음의 동명이인이 있다. 박명수(1970년 ~ )는 대한민국의 방송인, 코미디언이다. 박명수(1987년 ~ )는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박명수(1998년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박명수는 롯데 자이언트에서 뛰었던 전 야구 선수다. = 분류:1981년의 달 = = 대만여행법 = 대만여행법은 미국 의회에서 제정된 법률로써 2018년 2월 28일에 가결되고 동년 3월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서명을 받아 발효되었다. 이 법안의 주요 내용은 미국과 중화민국 고위 관료들의 상호 방문, 교류를 촉진하는 법률이다. 대만관계법에 이어 대만과 관련된 미국 국내법 중 하나이다. = = 역사 = = 1979년에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고 동년 미국 의회에서 대만관계법이 제정된 이후에 미국은 중화민국과의 공식적인 외교를 자제하는 비공식 관계를 유지했다. 2016년 9월 대만여행법 초안이 미국 하원에 발의되었고, 동년 9월 미국 상원에 제출됐지만 부결되었다. 2017년 1월 대만여행법안이 하원에 이어 5월 상원에도 다시 제출되었다. 2018년 1월 하원에서 법안이 가결되었고 2월 28일 상원에서도 만장 일치로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였다. = = 내용 = = 대만여행법은 미국의 공직자가 대만을 방문해서 대만의 공직자와 회담하는 것과 대만의 공직자가 미국에 입국하여 미국 국무부 및 미국 국방부 관리를 포함한 미국 공직자와 만나는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 상원을 통과한 이 법안은 5개의 섹션(Section)으로 구분된다. = 분류:1945년 폭발 = = 인천중앙공원 = 인천중앙공원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과 구월동 그리고 미추홀구 주안동, 관교동에 걸쳐 있는 공원으로, 연 면적은 35만㎡ 규모의 도시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공원으로 공원의 서쪽에는 문화로를, 동쪽에는 예술로가 놓여 있으며, 도심지 내에 있는 약 3.9km에 이르는 벨트형 녹지대를 이루고 있어, 도시 내에서의 열악한 기후 환경을 개선하고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교통교육장, 바닥분수, 축구장, 희망의 숲, 올림픽 기념탑, 해외 자매결연 조형물, 기타 휴양시설 등 공원 시설과 풍부한 녹지를 갖춘 시민들을 위한 공원이다. = = 이용 안내 = = 이용 시간 : 연중 24시간 개방 주차 시설 : 있음 애완동물 출입 가능 여부 : 가능 = = 주요 시설 = = 교통교육장 바닥분수 축구장 희망의 숲 올림픽 기념탑 해외 자매결연 조형물 기타 휴양 시설 등 공원 관련 시설 녹지 시설 가온교 = = 구성 = = 지구 서단 북단 남단 동단 내용 1지구 경인로561번길 경인선 경인로 예술로 웨슬리 희망의 숲인천지하철 1호선 인입선 2지구 문화로 경인로 석산로 예술로 인조잔디구장분수대 3지구 문화로 석산로 구월로 예술로 인천시청역 8·9번 출구 4지구(조각원지구) 문화로 구월로 구월남로 예술로 인천시청역 6·7번 출구조각광장 5지구(하트분수지구) 문화로 구월남로 인주대로 예술로 예술회관역 10·11번 출구하트분수배드민턴장 6지구 문화로 인주대로 인천문화예술회관 주차장 예술로 예술회관역 8·9번 출구올림픽공원 (올림픽 기념탑) 7지구 문화로 인천문화예술회관 주차장 인하로 예술로 예술회관역 7번 출구인천문화예술회관 8지구 문화로 인하로 매소홀로 예술로 인천터미널역인천터미널역 1·4·5·6번 출구중앙어린이교통공원입구 회랑 9지구 문화로 매소홀로 예술로 예술로 Ø = = 교통 = = = = = 도로 = = = 문화로 예술로 주안로 경인로 석산로 구월로 구월남로 인주대로 인하로 예술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도로 : 이화로, 정각로, 성말로 = = = 도시 철도 = = = : 인천시청역, 예술회관역 : 인천시청역 = = 주변 시설 = = 인천광역시청 인천예술고등학교 덕산아파트 간석동 금호맨션 간석동 극동아파트 간석동 현대홈타운 간석동 한진아파트 홈플러스 구월점 인천지방경찰청 뉴코아아울렛 인천점 : 인천터미널역, 간석오거리역 인천종합버스터미널 남동 나들목 (제2경인고속도로) : 간석역 = 위키백과:이동 요청/2013년 12월 = = = 고등판무관 (영국 연방) → 고등판무관 = = 전자의 문서가 영연방의 판무관만 다루는 것이 아닌데 이유 없이 이동되었습니다. 되돌려 주세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1일 (일) 12:57 (KST) 토트 2013년 12월 8일 (일) 17:23 (KST) = = 삼용동 삼층석탑 → 천안 삼용동 삼층석탑 = =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2013년 11월#지귀동 봉림사지 삼층석탑→봉림사지 삼층석탑과 동일한 이유로 요청합니다. Eggmoon (토론) 2013년 12월 1일 (일) 16:35 (KST) = = 박새 (새) → 박새 = = 당장 동음이의어 문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 문서입니다. 행유 (談) ☆4 2013년 12월 2일 (월) 21:10 (KST) = = 일본의 율령제 → 율령제 = = 일본어판, 중국어판 모두 표제어가 "율령제"입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해 체계적인 법전을 편찬하고 시행한 국가는 일본뿐"이라고 본문에도 설명하고 있네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4일 (수) 03:52 (KST) = = 일본의 축제 → 마쓰리 = = 마쓰리라는 고유명사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일본의 마쓰리는 축제(Festival)적인 성격보다도 근본적으로 제사적인 의미에 기원을 두고 있기에 축제라는 표제어가 대표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엠미니 2013년 12월 4일 (수) 04:21 (KST) = = 조룡하강 → 지배파충하강 = = 조룡류 → 지배파충류 와 마찬가지 이유로 조룡하강 역시 지배파충하강 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합니다. JikhanJung (토론) 2013년 12월 6일 (금) 12:08 (KST) = = 강착 원반 → 강착원반 = =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150쪽 좌단 17째줄 용례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6일 (금) 18:15 (KST) = = 틀토론:싸이언→ 틀토론:LG전자의 휴대 전화기 = = 토론 내용의 주된 의견에 따라 병합 처리했습니다. 토론 문서를 이동처리 하려고 하는데 틀토론:LG전자의 휴대전화기에 프로젝트 안내가 있어서 이동이 되지 않습니다. 해당 문서를 삭제하고 틀토론:싸이언을 이동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Привет(토론) 2013년 12월 6일 (금) 20:33 (KST) = = 곽이경 (활동가) → 곽이경 = = 위키백과에 존재하는 유일한 '곽이경' 문서입니다. 포탈 (토론) 2013년 12월 7일 (토) 14:43 (KST) = = 추풍령 휴게소 → 추풍령휴게소 = = 이동 요청합니다 Roadgo (토론) 2013년 12월 8일 (일) 00:43 (KST) = = 신지 (1981년) -> 신지 (가수) = = 일반적인 표현으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동명의 일본 가수는 일본어판에도 따로 문서가 없으니, 이동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어판에서 확인한 결과 가수가 아닌 기타리스트로 나옴)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3년 12월 8일 (일) 00:49 (KST) = = 문서 이동 요청 = = 제스트 항공 -> 에어아시아 제스트 에어아시아 재팬 -> 바닐라 에어 에어아시아 필리핀 -> 필리핀 에어아시아 AMR 코퍼레이션 -> 아메리칸 항공 그룹 해당 항공사의 경우 2013년 하반기에 사명이 변경되면서 문서 이동 요청을 하고자 합니다. 121.164.240.76 (토론) 2013년 12월 9일 (월) 17:25 (KST) = =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 루이스 수아레스 = =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 루이스 수아레스 *루이스 수아레스 → 루이스 수아레스 (동음이의) 이동 신청합니다. 구글에서 루이스 수아레스 검색 27만 건 가운데 대부분이 알베르토 수아레스를 가리키며 각각 검색시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1.9만건) 루이스 수아레스 (6백건)으로 대표문서 자격 있다고 생각함 Sangrila (토론) 2013년 12월 10일 (화) 01:39 (KST) = = 마르카 (동음이의) -> 마르카 = = 이동 부탁드립니다.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3년 12월 10일 (화) 16:12 (KST) = = 동성애 혐오증 → 동성애 혐오 = = 더 일반적인 명칭으로 변경합니다. 포탈 (토론) 2013년 12월 11일 (수) 02:04 (KST) = = 토슈즈를 포인트 슈즈로 이동 = = 우리나라에서 토슈즈라는 명칭으로 정착됐지만 포인트 슈즈가 맞는 표현이며 다른 나라에서도 포인트 슈즈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합니다. (다른 언어 항목 참조) 175.194.170.138 (토론) 2013년 12월 11일 (수) 14:50 (KST) = = 일본의 온천 -> 온센 / 일본의 목욕탕 -> 센토 = =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일본의 축제 → 마쓰리와 같은 이유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3년 12월 12일 (목) 01:57 (KST) = = 이원국 (발레무용가)에서 이원국 (발레 무용가)로 변경 = = 분류의 통일성을 위해 요청합니다. 175.194.170.138 (토론) 2013년 12월 12일 (목) 11:11 (KST) = = 펜타그램 -> 오각별 = = 이미 문서가 있는줄 모르고 만들었네요. = = AAC (동음이의) -> AAC = = 이동 부탁드립니다.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3년 12월 13일 (금) 15:27 (KST) = = 차륜식 토기 -> 도기 바퀴장식 뿔잔 이동 요청 = = 문화재 명칭이 2011년 변경되었으므로 [1] 해당 문서 제목 또한 이동 해야하지 않을까요? Grampus (토론) 2013년 12월 13일 (금) 23:21 (KST) = = 헐 시티 타이거스 → 헐 시티 AFC = = 구단 명칭 변경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3년 12월 14일 (토) 00:37 (KST) = = 스노든 백작 부인 마거릿 → 스노든 백작부인 마거릿 = =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14일 (토) 18:53 (KST) = = 도키->톳키 = = とっきー는 톳키(통용) 또는 돗키(일본어 표기법)로 읽습니다. とき와는 다릅니다. 125.130.223.231 (토론) 2013년 12월 15일 (일) 13:41 (KST) = = 벨리코터르노보 → 벨리코투르노보, 벨리코터르노보 주 → 벨리코투르노보 주 = = 이동 부탁드립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3년 12월 15일 (일) 17:11 (KST) = = 벨리코투르노보 → 벨리코터르노보, 벨리코투르노보 주 → 벨리코터르노보 주 = = 이동 부탁드립니다. 아센 (토론) 2013년 12월 15일 (일) 20:54 (KST) = = 카리알라, 카리알라인 -> 카렐리야, 카렐리야인 = = 이동요청합니다.(:분류:카렐리야와 일관성) S0ch1 (토론) 2013년 12월 16일 (월) 08:58 (KST) = = 포켓몬 목록(670-689) -> 분류:포켓몬의 목록 안으로 넣어주십시오. = = 포켓몬 목록(670-689)를 분류:포켓몬의 목록 문서 안에 넣어주세요. 6세대 포켓몬들입니다. 신수지짱 (토론) 2013년 12월 16일 (월) 16:55 (KST) 그러니까, 포켓몬 목록(670-689) 문서를, 포켓몬 목록에 넣어달라는 말입니다. 신수지짱 (토론) 2013년 12월 16일 (월) 17:12 (KST) = = 박근혜 정부 → 박근혜정부 = = 붙여쓰는 것이 청와대에서 밝힌 공식명칭입니다. 재논의 중이라고는 하지만 바뀌면 그때 다시 이동하면 될 듯합니다. 147.46.119.189 (토론) 2013년 12월 18일 (수) 15:23 (KST) = = 터미네이터 4: 미래 전쟁의 시작 →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 = = 정식 개봉명으로 변경. 아드리앵 (토·기) 2013년 12월 19일 (목) 16:09 (KST) = = 페타르 스토야노프 → 페터르 스토야노프 = = 이동 부탁드립니다. 아센 (토론) 2013년 12월 19일 (목) 17:43 (KST) = = 관세 동맹→관세동맹 = = 브리태니커 용례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19일 (목) 21:13 (KST) = = 알렉산더르 (불가리아) → 알렉산더르 1세 = = 일단은 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서 요청합니다. 아센 (토론) 2013년 12월 19일 (목) 23:35 (KST) = = 국책항공사 → 국책 항공사 = = 띄어쓰기 아드리앵 (토·기) 2013년 12월 20일 (금) 02:17 (KST) =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 FC = = 성남 일화는 내년 성남시민프로축구단(가칭 성남 FC)로 새 출발한다. Sdp1026 (토·기) 2013년 12월 20일 (금) 12:39 (KST) = =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 국가사회주의 문서는 붙여 표기되어 있습니다. 또한 브리태니커에서 붙여서 씁니다 브리태니커 1, 브리태니커 2.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20일 (금) 17:05 (KST) = = 방화역 (서울) → 방화역 = = 이동 부탁드립니다. 평라선에는 방화역이라는 역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틀:평라선 참고)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3년 12월 20일 (금) 22:34 (KST) = = 아스토르 피아소야 → 아스토르 피아졸라 = = 구글 검색결과 "아스토르 피아졸라" 약 158,000개, "아스토르 피아촐라" 약 5개, "아스토르 피아쏠라" 약 6,970개, "아스토르 피아소야" 약 18,300개로 '아스토르 피아졸라'가 범용성에도 앞서고,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도 *피아졸라, 아스토르 (판탈레온) 로 심의되어 있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Yxe:h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이근호 (1985년) -> 이근호 = = 이근호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 중 축구 선수 이근호 (1985년)가 타 동명이인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인지도가 높고 이근호라는 이름을 대표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이근호 (1985년)문서를 이근호 문서로 옮기고 현재 동음이의 문서로 되어있는 이근호 문서를 박주영의 경우처럼 이근호 (동음이의) 문서로 옮기는 것을 건의합니다. z4617925 (토론) 2013년 12월 21일 (토) 12:52 (KST) = = SBS (대한민국) → SBS = = 사용자:Thswnstjr123의 일방적인 복사 붙여넣기 문서 편집으로 인해 문서 역사가 단절되었습니다. 이 사용자가 기존 SBS 문서를 SBS (동음이의)로 이동시킨 상태이므로 SBS (대한민국) 문서를 SBS로 이동시켜서 문서 역사가 이어지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커뷰 (토론) 2013년 12월 21일 (토) 17:40 (KST) Min's (토론) 2013년 12월 21일 (토) 17:47 (KST) = = SBS (동음이의) → SBS = = 토론:SBS (대한민국)을 참고해 주십시오. 팝저씨 (토론) 2013년 12월 21일 (토) 17:46 (KST) Min's (토론) 2013년 12월 21일 (토) 17:47 (KST) = = 박병호, 김성근, 김광현 문서 이동 요청 =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3년 1월#박병호, 김병현, 김성근, 김광현 문서 이동 요청합니다.에 이어 다시 한번 요청합니다. 이유는 이전에 이동 요청 할 때 충분히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다시 적지는 않겠습니다. 1년동안 세 항목의 인지도 변화에 대해서도 고려해 주시길 바랍니다. Bart0278 (talk · cont.) 2013년 12월 21일 (토) 19:12 (KST) = = 고대 불가리아 → 고대 대불가리아 = = 고대 불가리아라는 명칭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이동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아센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 없는 이동이었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23일 (월) 07:39 (KST) = = 키예프 공국 → 키예프 대공국 = = 키예프 루시의 지배자는 Grand duke 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24일 (화) 05:40 (KST) = = 웅상읍 → 웅상출장소 = = 웅상읍이 폐지되고 웅상출장소로 바뀌었습니다. 팝저씨 (토론) 2013년 12월 24일 (화) 12:25 (KST) = = 일화 기억 -> 일화적 기억 = = 더 많이 사용됩니다. 175.207.132.218 (토론) 2013년 12월 24일 (화) 15:10 (KST) = = 관창→김관창 = = 김품일, 김품석, 김숙흘종, 김원술 등등 모두 성을 붙여쓰는데, 이것만 이름만 표기할 이유가 없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25일 (수) 02:52 (KST) = = 보천보 전투 -> 보천보 습격사건 이동 요청 = = 북한의 특성상 정확한 자료를 이야기한다는건 어렵지만 1차 자료를 비롯해서 백과사전에서도 제목은 전투로 적고있지만 백과사전 내용에서도 전투라기보다는 사건이나 다름없음으로 보천보 습격 사건으로 이동 요청합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두산백과 1차 자료 하나같이 습격 또는 사건으로 부르고있음. 문원 (토론) 2013년 12월 25일 (수) 09:03 (KST) = = 우대신 → 우다이진 = = 좌대신 문서를 비롯한 위키프로젝트:일본사/일본의 관제 관련 작업장#이관 문단에 따라 표기법을 통일하는 중입니다. 태정대신을 비롯한 다른 문서들이 일본어 원어의 음독을 표제어로 책정하고 있는 데에 비해 좌대신, 우대신 문서는 한국어 한자 음독 표기로 되어있기에 통일시키고자 이동을 요청합니다. Tsunami 2013년 12월 25일 (수) 13:48 (KST) = = 리슈몽 → 리치몬트 = = Richemont는 프랑스어 표기법상으로는 리슈몽이 맞지만 한국어권에서는 리치몬트라는 이름이 가장 많이 불리고 있고, 한국 지사의 명칭도 리치몬트코리아로 정식 등록되어 있는 만큼 이것이 올바른 프랑스어 표기법은 아니지만, 프랑스어 한글 표기인 리슈몽보다 리치몬트사가 제시하는 고유명사 표기법이자 통용 표기로 가장 많이 쓰이는 리치몬트가 백:표기에 더욱 부합되므로 문서 이동을 요청합니다. 비슷한 예로 Michelin의 프랑스어 한글 표기는 미슐랭이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의 표제어는 미쉐린입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3년 12월 25일 (수) 21:33 (KST) = = 동아여객 (경남) → 동아여객 = = 일반적으로 옛 회사보다 현존하는 회사를 대표 표제어로 두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 특히 버스 기업 같은 경우 말입니다. 이전에도 이런 요청 많이 했었지만... -半月 (ㅌ·ㅁ) 2013년 12월 28일 (토) 14:52 (KST) = = 2012년 세계 박람회→2012년 여수 세계 박람회 = = 이동 부탁드립니다. Thswnstjr123 (토론) 2013년 12월 29일 (일) 18:34 (KST) = = 마자파힛 왕조 → 마자파히트 제국 = = 브리태니커 용례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30일 (월) 14:22 (KST) = = 모비 딕→모비딕 = = Moby Dick이 아니고 Moby-Dick 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30일 (월) 15:45 (KST) = = 김해경전철 공식 역명 확인에 따른 문서 이동 요청 = = 안동역 (김해)을 김해대학역으로, 활천역을 인제대역으로, 화정역 (김해)을 장신대역으로, 삼계역을 가야대역으로 이동해 주세요. 안우석 (토론) 2013년 12월 30일 (월) 20:16 (KST) = = 정자 (동음이의) -> 정자 = = 원래 정자 문서를 정자 (생물학) 문서로 옮겼습니다. 따라서 동음이의라는 말이 붙을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Привет(토론) 2013년 12월 30일 (월) 21:23 (KST) = = 국민 정부 → 국민정부 = =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2월 31일 (화) 10:10 (KST) = = SBS ESPN -> SBS 스포츠 = = 2014년 1월 1일부로 명칭 변경. S0ch1 (토론) 2013년 12월 31일 (화) 19:56 (KST) = 조유 후미히로 = 조유 후미히로(上祐 史浩, 1962년 12월 17일 ~ )는 옴진리교의 대변인이었으며, 1999년부터 2007년까지는 알레프로 개칭한 옴진리교의 사실상 지도자였다. 2007년 5월 7일에는 알레프에서 독립해 빛의 바퀴를 설립했다. = 로드리고 모레노 마차도 = 로드리고 모레노 마차도(, , 1991년 3월 6일 리우데자네이루 ~ )는 로드리고(Rodrigo)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브라질 태생의 스페인 축구 선수로, 현재 카타르 스타스 리그의 알라이얀에서 뛰고있다. 그는 윙어나 스트라이커로 기용 가능하다. = = 클럽 경력 = = = = = 레알 마드리드 CF = = = 2009년, 로드리고는 셀타 비고의 후베닐 A 유소년팀과 계약하였다. 그러나, 그는 2010년 초, 레알 마드리드 C팀으로 이적하였다. 그는 주전 자리를 꿰찼고, C팀에서 세번 득점을 하였다. = = = SL 벤피카 = = = 2010년 7월 31일, 그는 SL 벤피카로 비공개 이적료에 이적하였다. 하지만, 레알 마드리드는 기량을 확인하고 쉽게 마드리드로 복귀시키기 위해 2년의 €12M의 바이백 조항을 계약 조건으로 두었다.El Real Madrid traspasa a Rodrigo al Benfica por seis millones de euros = = = 볼턴 원더러스 FC = = = 2010년 8월 31일, 로드리고는 볼턴 원더러스 FC로 한 시즌간 임대되었다."Bolton sign Rodrigo Moreno from Benfica on loan", 2010년 8월 31일. 그는 번리 FC와의 리그 컵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2010년 10월 24일, 그는 위건 애슬레틱 FC와의 경기에서 프리미어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12월 29일 첼시 FC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선발출전하였다. 그는 2011년 1월 5일, 위건 애슬레틱 FC와의 경기에서 볼턴 소속으로 첫 골을 기록하였다. = = 국가대표 경력 = = 로드리고는 스페인 U-19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10차례 출전하였고, 프랑스와의 UEFA U-19 챔피언쉽에서 처음이자 마지막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패하였다. 다음 해 로드리고는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참여하였다. 스페인 U-20 대표팀이 8강에 진출할때까지 그는 대회에서 3골을 기록하였다. 2011년 9월 1일, 그는 스페인 U-21팀 데뷔골을 조지아와의 경기에서 득점하였고, 이 과정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 = = 수상 = = = = = 국가대표팀 = = = 스페인 U-19 UEFA U-19 챔피언쉽: 2010년 준우승 = 분류:노가미가 = = 분류:크림반도의 스포츠 = = 프랜시스 골턴 = 프랜시스 골턴 경(Sir Francis Galton, FRS, 1822년 2월 16일~1911년 1월 17일)은 영국의 인류학자이다. 이래스머스 다윈의 외손자이고, 찰스 다윈은 그의 배다른 외사촌 형이었다. = = 생애 = = = = = 초년과 지리학, 기상학 = = = 골턴은 1822년 2월 16일 워위크셔 버밍엄 스파크브루크에서 새뮤얼 골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시인이자 자연철학자인 이래즈머스 다윈이며, 찰스 다윈은 그의 사촌이다. 버밍엄에 위치한 에드워드 4세 그래머 스쿨을 다닌 후 골턴은 버밍험 병원과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그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지 칼리지에서 학위를 받았고 이때부터 방향을 전환하였다. 1845년에서 1846년까지는 수단을 여행하였고, 1850년에는 웰비스 만에서 시작하여 서남 아프리카를 탐방하였고 1853년에는 탐방 결과를 담은 Narrative of an Explorer in Tropical South Africa가 출판되었다. 같은 해 그는 왕립 지리학 협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이와 함께 금메달을 수여하였다. 골턴은 1855년 Art of Travel; or, Shifts and Contrivances in Wild Countries를 저술하였다. 1860년에는 북부 스페인을 조사하였고, 지역과 사람들에 대한 탐문 결과를 Vacation Tourists로 출판하였다. 그 이후 골턴은 기상학으로 관심을 돌렸고, 그의 조사 결과는 1863년에 출판된 Meteorographica에 포함되어있다. 이 책은 광대한 수준에서의 기후를 관찰한 결과였으며 고기압의 존재와 그 이론에 대한 첫 번째 출판물이기도 하였다. 그는 1868년 기상학 위원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이 직책을 30년 동안 유지하였다. = = = 우생학 = = = 골턴은 인류학, 특히 유전에 관심이 많았다. 1869년 골턴은 Hereditary Genius, its Laws and Consequences를 저술하였다. 뒤이어 1874년에는 English Men of Science, their Nature and Nurture을 저술하였고 1883년에는 Inquire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 1884년에는 Life-History Album과 Record of Family Facultes, 1889년에는 Natural Inheritance를 출판하였다. 1865년 골턴은 인류의 발전을 위해서는 부적격자의 탄생율 확인과 적격자의 탄생율 증진을 위해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1884년에도 이를 재주장하였으며, 우생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1904년 골턴은 런던 대학교에서 '물리적, 정신적으로 후대의 종족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통제를 위한 연구'라는 이름하에 우생학 연구를 진행하도록 지원하였다. 골턴은 많은 인류학적 주제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그는 인체측정학의 과정을 확립하였고, 지문과 그것을 이용하여 범죄자를 가려내는 방법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1892년의 Finger Prints, 1893년의 Decipherment of Blurred Finger Prints, 1895년에 Finger Print Directories가 이와 관련된 출판물들이다. = = = 수상 및 서훈 = = = 골턴은 1860년부터 왕립 학회의 회원이었다. 1886년 그는 로열 메달을 수상하였으며 1902년에는 다윈 메달을 받았다. 1894년 옥스퍼드 대학교는 그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하였으며 1895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수여하였다. 1908년 그는 Memories of My Life를 출판하였으며 1909년에는 Knight Bachelor(기사작위)에 서임되었다. = 분류:강령군 = = 왕비실 = 왕비실은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로 서브주인공이기도 하다. 퉁퉁이랑 진구를 괴롭히고 놀리는 걸 즐긴다. 부잣집 아들이며 허영덩어리다. 키는 130으로 5인방 중 제일 작다. 혈액형은 AB형이다. 왕비실은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로 노진구의 학급 친구이다. 부유한 호네카와 씨 집안의 아들로, 자랑을 자주 하지만 만퉁퉁과 함께 노진구를 괴롭히는 것을 좋아하며, 만퉁퉁을 마음껏 놀리거나 괴롭힐 때도 있다.(하지만 늘 도라에몽의 도구로 놀린다.) 사람을 조롱하면서 사는 것이 하루 일과의 대부분이다.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감상하는 것이 취미이며, 장래 희망은 패션 디자이너이다. 장난감을 굉장히 많이 가지고 있다. 생년월일은 2월 28일이다. 일본 현지 명칭은 호네카와 스네오이다. = 분류:대학교 난사 사건 =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南楊州 奉印寺 浮圖庵址 舍利塔 및 舍利莊嚴具)는 조선시대에 세운 사리탑과 그 안에 봉안되었던 금동 사리장엄구이다. 이 사리탑은 본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는 봉인사의 부도암에 세워져 있었다. 그러나 1927년 일본 고베(神戶)로 불법 반출되었다가 오사카(大阪)의 천왕사(天王寺) 공원 내에 있는 오사카시립미술관 앞에 전시되어 있던 것을, 일본측 소유자의 기증으로 1987년 2월 국내로 되돌아온 문화재이다. 이 사리탑이 세워진 동기는 조선시대 광해군의 왕세자에 대한 만수무강과 부처님의 비호를 함께 기원하는 뜻에서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하기 위함이었다. 이 사리탑과 그 안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모두 조선시대 전기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면서도 사리탑 상륜부를 길쭉하게 장식한 점이라든가, 사리장엄에서 합을 7개나 넣어 둔 점 등, 부분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사리장엄구 중 은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서 1620년이라는 조성시기가 뚜렷한 자료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 탑의 모습 = = 이 사리탑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 초에 이르기까지 유행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을 기본 형식으로 하였으며, 구성은 기단·탑신·옥개석·상륜으로 이루어져 있다. 팔각형 기단은 중대석 없이 상·하대석으로 되었는데, 상대석과 하대석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으로 장식한 횡대(橫帶)를 대칭으로 새겼다. 그리고 기단부 주위로 마치 왕릉의 호석(護石)처럼 돌난간을 둘렀다. 탑신은 원구형(圓球形)인데, 몸체 가득히 구름 속에 날고 있는 용(龍)의 모습을 매우 생동감 있게 새겼다. 탑신 윗 부분 중앙에는 지름 16.2cm, 깊이 9.8cm의 사리공(舍利孔)을 마련하여 사리장엄을 안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법은 보물 제388호 회암사지 무학대사부도탑과 매우 비슷한 방식이다. 옥개석은 팔각으로 목조 건축을 본떠 간략하게 만들어졌다. 지붕 위에는 여덟 줄의 굵은 우동(隅棟)이 있는데 그 중간에 용두(龍頭)를 장식하였고 끝에는 귀꽃을 배치하였다. 이처럼 지붕 중간에 용두를 새기는 것은 충청북도 충주 청룡사(靑龍寺) 사리탑, 경기도 회암사지 사리탑 등 조선시대 초기의 부도탑에 이미 나타나고 있는 형식이다. 지붕의 낙수면은 경사가 급하고, 팔각원당형 부도의 옥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와 표현은 생략되었으나 겹처마로 된 지붕 귀에 추녀와 사래를 표현하여 목조 건축을 나타내려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륜부는 여러 단의 복발(覆鉢)과 보륜(寶輪)이 중첩되어 길쭉한데, 정상에는 보주(寶珠) 모양의 연꽃이 장식되었다. 이 사리탑 옆에는 석관(石棺)이 놓여 있는데, 이는 본래부터 이 사리탑에 딸려 있는 유물이다. = = 사리장엄구 = = 사리탑에 봉안되었던 사리장엄구로는 대리석사리외합·청동사리내합·은제사리내합ㆍ수정사리병ㆍ사리기비단보자기 등이 발견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합은 은제(銀製) 및 동제(銅製)가 각 3점씩이고, 금으로 만든 뚜껑이 달린 수정사리병 안에는 사리 1과(顆)가 들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합형(盒形) 사리장치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도 그러한 형식을 잘 따르고 있다. 그러나 합형 사리장치는 보통 2∼3개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와 같이 7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매우 독특한 방식이다. 발견 당시 은제 외합 속에는 명주실과 비단·향이 남아 있었으며 은으로 만든 내합의 뚜껑에는 생동감 넘치는 운룡문(雲龍紋)을 장식하고 금박을 입혔다. 그리고 이 은합의 밑바닥에는 ‘萬曆四十八年庚申五月’의 글씨가 새겨져 이 유물이 광해군 12년(1620)에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분류:1848년 건축 = = 분류:1948년 설치 = = 분류:1992년 하계 올림픽 수구 참가 선수 = = G41 = G41, G-41, G.41은 다음을 가리킨다. 헤클러 & 코흐 G41 HMS 팬서 (G41) IBM 씽크패드 G41: G 시리즈 씽크패드 모델 인텔 G41 마이크로칩셋: 데스크톱 컴퓨터용 = 틀:정당색/정당소개/불가리아 = 정당목록이 제대로 보이려면 [ 틀:정당색/불가리아]에 추가해야 합니다. = NS5-막 = 끈 이론과 초중력에서 NS5-막(NS5-幕, )은 10차원 시공간 속의, 캘브-라몽 장에 대한 자하(磁荷)를 갖는 5+1차원 막이다. 즉, 캘브-라몽 장의 전하(電荷)를 갖는 기본 끈의 자기 이중성 개체다. = = 정의 = = 미분 형식 전기역학에서, 일반적으로 p차 형식 게이지 퍼텐셜은 (p-1)차원 막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II종 끈 이론에서는 2차 형식인 NS-NS 게이지 퍼텐셜(캘브-라몽 장) B_{\mu\nu}가 있고, 이는 1차원 막인 기본 끈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전자기 이중성에 의하여, 모든 전기적 현상에 대응하는 자기적 현상이 존재하여야 한다. 여기서 "자기적 현상"이란 다음과 같다. p차 퍼텐셜 A의 경우 (p+1)차 장세기(패러데이 텐서) \mathrm dA를 정의한다. 시공간이 d차원이라면, 장세기 형식의 호지 쌍대 \star\mathrm dA는 (d-p-1)차 형식이다. 전자기 이중성에 따라서 \star\mathrm dA를 또다른 장세기 형식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퍼텐셜 \tilde A는 \mathrm d\tilde A=\star\mathrm dA를 따른다. 즉, \tilde A는 (d-p-2)차 형식이고, 이는 (d-p-3)차원 막과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10차원 시공간에 존재하는 Ⅱ종 끈 이론에서는 2차 게이지 퍼텐셜에 자기 쌍대인 6차 게이지 퍼텐셜이 존재하고, 이는 5차원 막과 결합하게 된다. 이 막을 NS5-막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26차원에 존재하는 보손 끈 이론에서는 자기 NS21-막이 존재한다. = = 성질 = = = = = 장력 = = = NS5-막의 전하는 캘브-라몽 장의 자기 홀극에 해당하므로, 자기 홀극의 디랙 양자화 조건을 써서 구할 수 있다. NS5-막은 BPS 개체이므로 그 장력(에너지 밀도)과 전하가 비례한다. 이로써 NS5-막의 장력을 구할 수 있다. NS5-막의 장력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ell_\text{s}^2=\alpha'이며, g_{\text{s}}는 닫힌 끈 결합 상수이다. S-이중성을 통한 계산: S-이중성을 사용하여 D1-막 장력과 D5-막 장력의 곱이 F-끈 장력과 NS5-막 장력의 곱과 같게 된다. D-막의 장력은 이고 이므로, 이다. NS5-막의 장력은 닫힌 끈 결합 상수 g_{\text{s}}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NS5-막은 섭동 이론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기본 끈으로 이루어진 솔리톤임을 알 수 있다. 반면, D-막의 장력은 결합 상수에 반비례하므로, NS5-막이 D-막보다 더 비섭동적인 개체이다. NS5-막의 장력 은 M5-막의 장력 과 같다. 여기서 는 11차원 플랑크 길이이고, g_\text{s}는 닫힌 끈 결합 상수, \alpha'=\ell_\text{s}^2는 레제 기울기(Regge slope)이다. 이는 IIA NS5-막이 사실 M이론에서 감기지 않은 M5-막이기 때문이다. = = = 초대칭 = = = NS5-막은 ½-BPS 대상이므로, 그 세계부피 이론은 ⅡA/B 초끈 이론에서는 6차원 \mathcal N=2 초대칭 (즉, 16개의 초전하) 이론이다. 6차원에서는 \mathcal N=(2,0) 또는 \mathcal N=(1,1) 초대칭이 가능한데, \mathcal N=(2,0)은 ⅡA종 초끈 이론의 NS5-막, \mathcal N=(1,1)은 ⅡB종 초끈 이론의 NS5-막에 해당한다.Kiritsis, String Theory in a Nutshell 잡종 끈 이론에서의 NS5-막 위에는 \mathcal N=1 (8개의 초전하) 초대칭 이론이 존재한다. = = = ⅡA NS5-막 = = = = = = = 세계 부피 이론 = = = = 하나의 ⅡA NS5-막의 세계부피 위에 존재하는 이론은 6차원 \mathcal N=(2,0) 자유 초대칭 게이지 이론이며, M5-막의 세계부피 이론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이들 이론은 다음과 같은 장들을 가진다. IIA NS5-막 세계부피 이론의 장들 기호 푸앵카레 표현 개수 질량껍질 위 자유도 B_{\mu\nu}^- 반자기쌍대(反自己雙對, ASD, ) 2차 미분 형식 게이지장 1 3 ⅡA NS5-막에는 2차 미분 형식 퍼텐셜이 존재하므로, 6차원 세계부피 속에 존재하는 1-막이 존재한다. 이는 꼬마 끈 이론의 끈으로, ⅡA NS5-막에 붙어 있는 D2-막에 해당한다. 이는 M이론을 통해 M2-막이 M5-막에 붙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들은 하나니-위튼 전이 등을 사용하여, 초대칭 게이지 이론을 분석할 때 쓰인다. = = = = M이론과 이중성 = = = = ⅡA 초끈 이론은 M이론을 원에 축소화하여 얻는다. IIA 끈 이론의 NS5-막은 M이론에서 감기지 않은 M5-막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축소된 차원에 감긴 M5-막은 D4-막을 이룬다.) = = = ⅡB NS5-막 = = = N개의 장이 겹쳐진 ⅡB NS5-막 위의 이론은 6차원 \mathcal N=(1,1) SU(N) 초대칭 양-밀스 이론이다. (이는 S-이중성으로서 결합 상수를 제외하면 D5-막 위의 양-밀스 이론과 같다.) 이는 재규격화될 수 없으며, 높은 에너지에서 꼬마 끈 이론으로 추가 자유도를 갖게 된다. ⅡB NS5-막 세계부피 이론의 장들 기호 푸앵카레 표현 개수 질량껍질 위 자유도 A_\mu 벡터 게이지장 1 6 ⅡB NS5-막에는 벡터 게이지 퍼텐셜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대전된, 6차원 세계부피 속에 존재하는 0-막과 2-막이 존재한다. 이는 각각 ⅡB NS5-막에 붙어 있는 D1-막과 D3-막에 해당한다. 이들은 T-이중성과 S-이중성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또한, ⅡB NS5-막 속의 꼬마 끈은 1-막이며, 이는 4차원 양-밀스 순간자를 4+2차원에 적은 것이다. 이는 S-이중성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여기서 D5–D1은 D5-막 속에 D1-막이 녹아서 순간자가 된 것을 뜻한다. 이는 ADHM 작도에 사용된다. ⅡB 초끈 이론의 S-이중성 아래, NS5-막은 D5-막에 대응된다. SL(2;ℤ)의 작용 아래 NS5-막과 D5-막은 하나의 정의(定義) 표현 2를 이룬다. 이에 따라, D5-막과 NS5-막들이 결합한 (p,q)5-막 또한 존재한다. 이는 p개의 D5-막과 q개의 NS5-막이 결합한 상태이며, 그 속에는 (기본 끈과 D1-막이 결합한) (p,q)-끈이 녹을 수 있다. = = = 꼬마 끈 이론 = = = ⅡA 또는 ⅡB 겹친 NS5-막의 6차원 세계부피 위에 존재하는 이론은 꼬마 끈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6차원에 존재하는, 끈을 포함하는 이론이므로, 끈 이론의 일종이다. 하지만 이 이론은 (일반적인 끈 이론과 달리) 중력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나탄 자이베르그가 1997년에 발견하였다. 꼬마 끈 이론은 6차원에 존재하는 \mathcal N=2 초대칭 (즉, 16개의 초전하) 이론이다. 6차원에서는 \mathcal N=(2,0) 또는 \mathcal N=(1,1) 초대칭이 가능한데, \mathcal N=(2,0)은 IIA종 초끈 이론의 NS5-막, \mathcal N=(1,1)은 IIB종 초끈 이론의 NS5-막에 해당한다. = = = T-이중성 = = = D-막과 달리, NS5-막은 T-이중성 아래 일반적으로 차원이 바뀌지 않는다. 다만, 일부 경우 T-이중성 아래 NS5-막이 생기거나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멸된 NS5-막은 콤팩트화의 자명하지 않은 원다발 및 이에 대응하는 5차원 칼루차-클라인 솔리톤에 대응된다. T-이중성을 가하면, NS5-막은 특정한 형태의 점근 국소 평탄 공간과 대응한다. 예를 들어, N개의 겹친 평행한 NS5-막은 ADE 분류에서 AN−1 꼴의 점근 국소 평탄 공간 공간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mathbb R^3 \times \mathbb S^1 위의 한 점에 위치한 N개의 겹친 NS5-막이 주어졌다고 하자. 원 방향으로 T-이중성을 가하면, 점근적으로 \mathbb R^3 \times \mathbb S^1인 점근 국소 평탄 공간을 얻는데, 이 경우 \mathbb R^3에서, NS5-막이 있었던 점을 중심으로 하는 등각 경계 \mathbb S^2 위에서 \mathbb S^1은 자명하지 않은 원다발을 이룬다. 이러한 원다발은 천 특성류로 분류되는데, 천 특성류의 값은 원래 있었던 NS5-막의 수 N과 같다. 예를 들어, N=1인 경우는 토브-너트 공간이다. = = 역사 = = 커티스 캘런과 제프리 하비, 앤드루 스트로민저가 1991년 발견하였다. = 역진행 수업 = 역진행 수업(逆進行 授業, ) 또는 플립드러닝, 플립러닝, 역전(逆轉)학습, 거꾸로 교실은 혼합형 학습의 한 형태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수업에서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강의보다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수업시간을 더 할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식을 말한다. 흔히 적용되는 방식으로는 교사가 준비한 수업 영상과 자료를 학생이 수업시간 전에 미리 보고 학습하는 형태가 있다. 그 후 교실 수업시간에 교사는 교과내용을 중심으로 가르치기보다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심화된 학습활동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 = 개요 = =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다룰 교재의 내용을 미리 읽어보는 것이 권장되었으며 교재의 내용은 다음날 수업 시간에 다루어졌다. 수업 후, 학생들은 그들이 학습내용을 온전히 숙지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숙제를 풀어야 했다. 플립드러닝 수업 방식은 이와 반대이다. 학생들은 수업에 앞서 수업내용을 교수자가 제공하는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교실수업에서는 실제적 과제를 연습하거나 문제풀이를 통해 지식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교수자는 문제풀이가 안되거나 과제 연습이 어려운 학생들을 돕는다. 따라서 플립드러닝 방식에는 개별화 수업, 프로젝트 중심 학습 등과 같은 학습자 중심 활동 시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학습을 이끄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며 또한 학생들이 정보를 이해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촉진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플립드러닝 수업의 효과로는 학생들의 수업 중도 탈락율이 감소되며 학생들이 학습하게 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다.The Flipped Classroom Bill Tucker (Winter 2012), EducationNext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은 플립드러닝 수업이 학교 밖에서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또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은 플립러닝을 도입한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일부 대학의 경우 강연은 하버드대학이나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 수업으로 대체하고 담당 교수는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까지 발생하기도 해 교육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수동적 수업을 받고 가정에서 과제를 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가정에서 능동적 학습을 하고 학교에서 실습과 과제를 하는 방식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 역사 = = 1990년대에 동료교수법 (peer instruction) 을 개발한 하버드의 Eric Mazur 교수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면서 강의를 하는 대신 수업내용을 코칭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결과, 나와 조교는 컴퓨터를 활용한 강의 전달과 코칭을 하지 않았으면 발견되지 않았을 몇 가지 일반적인 오해들을 다룰 수 있게 되었다." 고 말하였다. 또한 "우리는 그러한 과정의 시작을 보았을 뿐이고, 컴퓨터는 곧 교육의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컴퓨터가 교사를 대체할 수는 없지만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중요한 역동적 도구를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2000년 Maureen Lage, Glenn Platt, Mchael Treglia는 "Inverting the Classroom: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논문을 통해 Miami 대학교의 '경제학 입문' 과목을 가르치면서 역진행 수업(flipped teaching, inverted instruction, inverted classroom)을 적용한 사례를 논의하였다. 저자들은 역진행 수업을 ‘flipped teach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등의 용어로 정확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역진행 수업이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수용하여 차별화된 수업을 가능케한다고 강조하였다. J. Wesley Baker는 2000년에 teaching & learning 협회가 주관한 국제 컨퍼런스 발표에서 "역진행 수업: 웹 기반 강좌 관리도구를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기" 논문을 통해 역진행 수업을 이야기했다. 그 이후, 이 논문은 ‘강단 위의 현인(賢人)’ (sage on the stage) 대신 ‘객석의 안내자’ (guide on the side) 라는 기발한 문구와 함께 매우 많이 인용되었는데 이 말은 교실에서 역진행 수업을 적용하려는 이들의 표어가 되었다. Baker는 또한 교사가 학생들에게 과제를 내주는 온라인 학습을 제시하기 위한 웹 기반 수업 관리 프로그램과 온라인 웹 도구를 사용하는 역진행 수업의 모델을 발표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교실에서 교사는 활동적인 학습활동과, 다른 학생들과 함께 노력하면서 더 심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2000년 가을에 Wisconsin-Madison 대학교는 Computer Science 코스에서 강의를 대체하기 위해 파워포인트 슬라이드와 강의 비디오를 통합시켜 제작한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을 스트리밍하는 eTeach software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온라인에서의 강의 제공은 학생들이 스케줄에 따라 시간이 있을 때와 주의를 집중할 수 있을 때 강의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강의 내용 전달을 온라인으로 대체함으로써 학생들과 교수자는 문제 해결에 수업 시간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도 증가되었다. 한편 2011년에는 2개의 Wisconsin Collaboratory for Enhanced Learning Center가 역진행 수업 및 블렌디드학습을 위해 세워졌다. "The Classroom Flip" (2006) 발표를 통해 저자인 Mike Tenneson과 Bob McGlasson은 역진행 수업을 적용하고자 할 때 교사가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를 설명했다. 그들은 특히 교사는 교실에서 가장 원하는 변화에 대해 스스로 의문을 가져야 하며, 개인의 교수 과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메카니즘을 플리핑(Flipping)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발표는 학습자에게 잘 설계된 수업과 관련 활동이 주어질 때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이유를 밝혔으며 그것은 학습 이론 및 동기와 관계가 있다. 또한 선택가능한 컴퓨터 코스 관리 시스템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2007년 Jeremy Strayer의 박사 논문 "학습 환경에서 역진행수업의 효과: 전통적 교실의 학습 활동과 intelligent tutoring system을 이용한 역진행수업의 비교"에서 대학교에서의 역진행 수업을 연구했다. 저자는 통계학과 예비-미적분학 코스에서 스스로 녹화한 비디오테입을 서론 강의로 주고 숙제를 부여했다. 학습자들은 수업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그 코스는 블랙보드 상호작용 기술을 이용한 수업 내 활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저자는 학습자들이 비디오를 봤을 때 제어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를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Woodland Park High School의 화학교사인 Jonathan Bergmann과 Aaron Sams는 2007년부터 중등교육에서의 역진행 수업을 지지하였다. Bergmann은 그의 교실에서 역진행 수업의 가장 큰 효과는 사람사이의 접촉이라고 생각하였다. 국외의 경우에서도, 기존의 학교 시스템의 변화와 더불어 학생들의 요구와 여러 장점을 지닌 교수방식으로 새로운 교육의 대안으로서 flipped learning(flip-flop)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학습활동은 학생들에게 더 많은 활동과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Education reform: Legislators must make way for new ideas <> , 2013년 4월 7일 = 분류:롯데 오리온스 선수 = = 이정현 (1980년) = 이정현(1980년 2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 = 학력 = = 서울개봉초등학교 (졸업) 개봉중학교 (졸업) 명덕여자고등학교 → 성지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상학과 (석사/재학) = = 개요 = = 연기자로는 1996년 영화 꽃잎에 캐스팅되어 영화계에 데뷔했고, 곧바로 MBC 드라마에 출연하며 브라운관에도 이름을 알렸다. 1999년 1집 음반 Let's Go to My Star를 발표하며 가요계에도 뛰어들었고, 그 해 신인 가수상을 휩쓸었다. 1집 수록곡 <와>, <바꿔>가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대한민국 테크노 열풍의 주역이 되었고, 이후에도 <너>, <줄래>, <미쳐>, <반>, <아리아리>, <달아달아>, 등 많은 곡을 히트시키며 미국의 레이디 가가보다도 10년 가까이 앞서 독창적이고 화려한 무대 퍼포먼스를 선보인 예술가라는 평을 받기도 하는 등 한국 가요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연기자로서도 청룡영화상 신인상과 주연상을 모두 수상한 몇 안되는 배우 중 하나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멀티 엔터테이너'로 꼽힌다. = = 생애 = = 이정현은 1980년 2월 7일 5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악을 들으며 가수의 꿈을 키우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고등학교 재학 와중에 선생님의 소개로 오디션을 보게 되고 3000:1의 경쟁을 뚫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룬 장선우 감독의 영화 꽃잎의 여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으며, 이 영화로 청룡영화상, 대종상 등 각종 영화상의 신인상을 휩쓸며 영화계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1999년, 음반 제작자 신철의 제안으로 출연한 댄스그룹 구피의 <게임의 법칙> 뮤직비디오가 크게 화제가 되며 가수 데뷔에 급물살을 타게 된다. 1999년 8월 24일 발표된 조PD의 2집 In Stardom Version 2.0의 타이틀곡인 에 피처링으로 참여했고, 같은 해 10월 9일 우주를 컨셉으로 한 데뷔 음반 Let's Go to My Star를 발표하였다. 1집 수록곡 <바꿔>와 <와>가 큰 인기를 얻음과 함께 이정현은 대한민국 테크노 음악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며 "테크노 여전사"로 불리기 시작한다. 데뷔 전 소속사는 이정현을 엄정화의 <몰라>나 채정안의 <무정> 등이 선보인 바 있는 사이버 컨셉으로 데뷔시키려 했지만, 이정현은 본인의 고집으로 부채, 비녀 등을 이용한 동양적인 컨셉으로 등장했고 이것이 히트했다. 뿐만 아니라 <와>에서 사용했던 새끼손가락 마이크 역시 크게 유행했다. 당시 음악프로그램 1위는 물론, 음반 역시 60만장 가까이 팔아치우면서 1999년 대부분의 가요 시상식 신인상을 거머쥐는 등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2000년 6월에는 두번째 정규 음반 이정현 2집을 발표했다. 이 음반에는 양현석, 이현도, 윤일상, 피터 라펠슨, 닥터코어911, 조성진 등 유명한 프로듀서 및 아티스트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고대 이집트를 컨셉으로 한 타이틀곡 <너>는 가요차트 1위에 오르며 히트했다. 이정현은 평소 마론인형 수집을 좋아했는데, 이를 계기로 2집 후속곡 <줄래>는 마론인형 컨셉으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다. 2000년 7월 22일에는 공포영화 하피의 주연을 맡아 출연했고, 2집의 수록곡 <따>가 주제가로 쓰였다. 2001년 3월부터는 SBS 드라마 아름다운 날들에 출연했다. 2001년 10월에는 세번째 정규 음반 Magic to Go to My Star를 발표했는데, 타이틀곡인 <미쳐>는 마술사 컨셉으로 활동하였고 후속곡 <반>은 클럽에서 인기를 끌며 이후로도 꾸준히 사랑받는 노래가 되었다. 2002년 11월 5일에는 네번째 정규 음반 I Love Natural를 발표, 야생녀를 컨셉으로 한 타이틀곡 <아리아리>와 탈춤을 컨셉으로 한 후속곡 <달아달아>로 활동하였고, 2003년 7월 스페셜 앨범 Summer Party를 발표, 타이틀곡 로 활동하였다. 이후 국내에서의 인기가 서서히 하락세를 탐에 따라 중국, 일본 등에서의 활동에 보다 주력했고 특히 중국에서는 수년간 한류스타로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2011년 박찬욱 감독의 단편영화 파란만장 출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국내 연기 활동을 재개, 이후 범죄소년, 명량, 떴다! 패밀리,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스플릿, 군함도 반도 등에 출연하며 활발한 연기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15년 개봉작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로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다시금 입증했다. 2019년 4월 7일, 모 대학병원 정형외과 전문의(1983년생)와 결혼식을 올렸다. 2020년에 장녀를 출산했다. = = 연기 활동 = = = = = 영화 = = = 1996년 《꽃잎》 소녀 역 1997년 《마리아와 여인숙》 18세 마리아 역 (특별출연) 1999년 《침향》 임선희 역 2000년 《하피》 송수연 역 2011년 《파란만장》 여자(무녀) 역 2012년 《범죄소년》 장효승 역 2014년 《명량》 정씨 여인 역 2015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정수남 역 2016년 《스플릿》 주희진 역 2017년 《군함도》 오말년 역 2017년 《여배우는 오늘도》 본인 역 (카메오) 2019년 《두번할까요》 박선영 역 2020년 《반도》 민정 역 2020년 《죽지않는 인간들의 밤》 소희 역 2022년 《리미트》 윤소은 2022년 《헤어질 결심》 정안 역 = = = 드라마 = = = = = = = 한국 = = = = 1996년 MBC 《가슴을 열어라》 ... 유서영 역 1996년 MBC 《일곱개의 숟가락》 ... 조정혜 역 1998년 KBS2 《야망의 전설》 ... 이정희 역 1998년 SBS 《어느날 갑자기》 ... 은미 역 2001년 SBS 《아름다운 날들》 ... 김세나 역 2008년 KBS2 《대왕 세종》 ... 이선(신빈 김씨) 역 2015년 SBS 《떴다! 패밀리》 ... 나준희(수잔 존스) 역 2024년 NETFLIX 《기생수: 더 그레이》 ... 최준경 역 = = = = 일본 = = = = 2006년 TBS 《윤무곡》 최윤희 역 = = = = 중국 = = = = 2003년 베이징 텔레비전 품질극장《미려심령》- 쳉후이 역 2010년 CCTV-8 황금강당극장《공자》 - 난쯔 역 = = 가수 활동 및 음반 목록 = = = = = 한국 = = = Let's Go to My Star (1999 10월 20일) Lee Jung Hyun II (2000 6월 14일) Magic to Go to My Star (2001 10월 24일) I Love Natural (2002 11월 4일) Passion (2004) Fantastic Girl (2006) Lee Jung Hyun 007th (2010) Summer Party! (2003 7월 10일) - 스페셜 앨범 Avaholic (2009) - 미니 앨범 V (2013) - 싱글 영화 꽃잎 OST - 이정현이 부르는 꽃잎 (1996) NOW & NEW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하나되어 (1999) 조PD 2집 In Stardom Version 2.0 - Fever (1999) 영화 하피 OST - 따 (2000) SBS 드라마 아름다운 날들 OST - Heaven, 꿈 (2001) 통일염원 사랑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그날이 오면 (2005) 베이징올림픽 주제가 -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 (2008) MBC 무한도전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 - 세뇨리따 (2009) KBS 2TV 드라마 아이리스 OST - 어떻게 눈물 참는지 (2009) = = = 일본 = = = Heaven / ワ -Come On- (2004) - 싱글 Wa -Come On- (2005) - 미니 앨범 Passion -情熱- / Heavy World (2005) - 싱글 This is Hyony (2006) - 베스트 앨범 = = = 중국 = = = Love Me - 千面女孩 (2008) Remix Album (2001) = = TV 프로그램 = = = = = 예능 = = = 1996년 MBC 《김동건의 텔레비안 나이트》 1996년 SBS 《기쁜 우리 토요일》 1996년 KBS 《슈퍼선데이》 ... 이민우, 이정현의 공포명작극장 1999년 SBS 《좋은 친구들》 1999년 MBC 《박상원의 아름다운 TV 얼굴》 1999년 MBC 《테마게임》 1999년 MBC 《생방송 화제집중》 2000년 KBS 《서세원쇼》 2000년 MBC 《박상원의 아름다운 TV 얼굴》 2000년 MBC 《밀레니엄 5대 스타쇼》 2000년 MBC 《설날특집 2000 천하장사 팔씨름 대회》 2000년 MBC 《설날특집 10대가수극장》 2000년 MBC 《일밤》 ... 가무만사성 특집 2000년 SBS 《이홍렬쇼》 2000년 MBC 《와! e 멋진세상》 2000년 MBC 《21세기 위원회》 2000년 MBC 《목표달성! 토요일》 2000년 MBC 《디바 빅5 스페셜》 2000년 KBS 《인간극장》 2001년 MBC 《박상원의 아름다운 TV 얼굴》 2001년 Mnet 《Hotline School》 2001년 MBC 《일밤》 ... 게릴라 콘서트 2002년 KBS 《체험 삶의 현장》 2002년 Mnet 《스타 VJ쇼》 2002년 SBS 《좋은 아침》 2002년 KMTV 《더팬》 2002년 MBC 《토크쇼 임성훈과 함께》 2002년 Mnet 《What's Up Yo!》 2002년 KBS 《사랑의 리퀘스트》 2002년 Mnet 《비키의 막강생방》 2002년 KBS 《야!한밤에》 2002년 KBS 《폭소클럽》 2002년 Mnet 《스타앨범》 2002년 MBC 《강호동의 천생연분》 2003년 SBS 《좋은 아침》 2003년 KBS 《야!한밤에》 2003년 KMTV 《스타셀프 카메라》 2003년 Mnet 《스타 VJ쇼》 2003년 SBS 《결정! 맛대맛》 2003년 KBS 《쇼! 행운의 신용카드》 2003년 MBC 《강호동의 천생연분》 2003년 MBC 《전파견문록》 2003년 MBC 《일밤》 ... 브레인 서바이버 2003년 KBS 《뮤직쇼 HI 5!》 2003년 Mnet 《What's Up Yo!》 2004년 ETN 《행운대작전》 2004년 SBS 《솔로몬의 선택》 2004년 아리랑 TV 《Showbiz Extra》 2006년 tvN 《옥주현의 Like A Virgin》 2006년 KBS 《가치대발견 보물찾기》 2006년 tvN 《신동엽의 감각제국》 2006년 MBC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2006년 MBC 《황금어장》 2006년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2006년 MBC 《행복주식회사》 2006년 KBS 《스펀지》 2006년 SBS 《X맨》 2006년 MBC 《행복주식회사》 2006년 MBC 《에너지》 2007년 KBS2 《해피투게더》 2007년 MBC 《일밤》 ... 경제야 놀자 2008년 KBS2 《불후의 명곡》 2008년 MBC 《네버엔딩 스토리》 2009년 KBS 《신동엽, 신봉선의 샴페인》 2009년 MBC 《일밤》 ... 몸몸몸 2009년 KBS2 《해피투게더》 2009년 SBS 《야심만만 2》 2009년 KBS 《스타골든벨》 2009년 SBS 《대결 스타셰프》 2009년 SBS 《퀴즈! 육감대결》 2009년 KBS 《미녀들의 수다》 2009년 Mnet 《마담B의 살롱》 2009년 MBC 《무한도전》 ...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 특집 2009년 MBC 《세바퀴》 2011년 KBS 《여유만만》 2011년 MBC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2012년 SBS 《강심장》 2012년 SBS 《고쇼》 2013년 SBS 《화신 - 마음을 지배하는 자》 2013년 MBC Music 《손담비의 뷰티풀 데이즈 2》 2014년 MBC 《무한도전》 ...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 특집 2015년 KBS2 《1박 2일》 ... 여자사람친구 특집 2016년 온스타일 《겟잇뷰티》 2019년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 2020년 SBS 《집사부일체》 2023년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 = = = 음악 = = = 2000년 KBS 《이소라의 프로포즈》 2003년 KBS 《열린음악회》 2009년 Mnet 《소년소녀 가요백서》 2009년 SBS 《김정은의 초콜릿》 ... 박한별과 공동 출연 2009년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 = = 기타 = = = 2000년 KBS 《인간극장》 2023년 MBC 《다큐플렉스 광복절 특집 다큐 - 비밀의 섬, 지심도》 ... 내레이션 = = 그 외의 출연 목록 = = = = = 뮤직 비디오 = = = 1998년 조트리오 - 눈물 내리는 날 1999년 구피 - 게임의 법칙 = = = 라디오 프로그램 = = = 2000년 MBC 《이정현의 클릭! 1020》 = = 홍보대사 = = 2000년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 홍보대사 2001년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홍보대사 2003년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홍보대사 2004년 대한적십자사 홍보대사 2004년 정보통신부 사랑의 PC나누기 홍보대사 2006년 세계인형대축제 홍보대사 2007년 유네스코 평화 홍보대사 2012년 한중도시문화콘퍼런스 홍보대사 2013년 K-스타지움 한중 우호의 집 홍보대사 2013년 K-친구 프로젝트 홍보대사 2013년 하이서울브랜드 홍보대사 2017년 '무협찬 무단체 노개런티' 제19대 대선 투표 독려 캠페인 '장미프로젝트' 2022년 아동권리보장원 실종아동 예방 홍보대사 2023년 인천광역시 홍보대사 2023년 스페셜올림픽코리아 홍보대사 = = 광고 = = 1996년 코카콜라 하이씨 1999년 매일유업 카페라떼 1999년 스포츠서울 1999년 ~ 2000년 KT n016 1999년 롯데제과 아이쫀 2000년 LG패션 티피코시 2000년 한미약품 위퍼 스내플 2000년 아모레퍼시픽 비타민 헤어팩 샴푸, 린스 2002년 에이블씨엔씨 미샤 2002년 인터워크코리아 유누꼬 속눈썹 2002년 쇼핑몰 파비뉴21 2003년 중국 미라클이동통신-세원텔레콤 핸드폰 2004년 LG유플러스 뮤직온 2005년 티브로드 큐릭스-빅박스 2007년 교촌에프앤비주식회사 교촌치킨 2009년 중국 중한전자 냉장고, 세탁기, TV 2009년 중국 HUIFANG LE'BRAL 화장품 2010년 중국 현대모바일 Like Phone 2015년 ~ 2017년 CJ 제일제당 이너비(INNER B) 2016년 조성아22 바운스업 팩트 울트라 2018년 라플로코스메틱스 벨라도르 300샷 울트라 V 마스크 2020년 ~ 2022년 바디프랜드 W냉온정수기 브레인 2021년 바디프랜드 팬텀 메디컬 케어(Phantom Medical care) = = 심사위원 = = 2011년 MBC 스타오디션 - 위대한 탄생1 중국편 2014년 제8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2015년 제1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 = 사회 = =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식 2015년 제16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2015년 제2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2021년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 = 수상 및 후보 = = = = = 연기상 = = = 연도 작품 시상식 부문 결과 1996년 꽃잎 제34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1996년 꽃잎 제34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1996년 꽃잎 제1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 1996년 꽃잎 제17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1997년 꽃잎 제2회 씨네21 영화상 신인배우상 2013년 범죄소년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2013년 범죄소년 제56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여우주연상 2014년 명량 제23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2015년 명량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 2015년 떴다! 패밀리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2015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한국영화아카데미 올해의 배우상 경국지색상 2015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36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1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배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21회 춘사영화상 여우주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3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5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제25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2016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한국영화아카데미 十歲傳(십세전) 특별공로상 2017년 군함도 제1회 더 서울어워즈 영화부문 여우조연상 2017년 군함도 제38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2017년 군함도 제25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2017년 군함도 제6회 한국영화배우협회 스타의 밤 시상식 대한민국 톱스타상 2018년 군함도 제23회 춘사영화제 여우조연상 2020년 반도 제15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여자연기상 2022년 헤어질 결심 제43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 = = 가요상 = = = 연도 수상내역 1999년 MBC 10대가수가요제 30세 미만의 국민이 뽑은 10대 가수상 MBC 10대가수가요제 신인가수상 KMTV 가요대전 신인가수상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발 댄스가수상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발 신인가수상 SBS 가요대전 신인가수상 제14회 한국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신인가수상 제10회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00년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KMTV 가요대전 본상 제15회 한국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본상 제11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1년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KMTV 가요대전 본상 제12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2년 제17회 한국영상음반대상 골든디스크 인기상 SBS 가요대전 본상 KBS 가요대상 본상 KMTV Korean Music Awards 올해의 가수상 제9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신세대 가요 가수상 2003년 KBS 가요대상 본상 2004년 일본 NHK 홍백가합전 본상 2006년 중국 QQ 성광대전 시상식 최고 인기 여자가수상 중국 TOM 영요 시상식 최고 인기 여자가수상 2007년 중국 CCTV 동남경박 시상식 최고 인기 여자가수상 2012년 제7회 중국 화정상 아시아 최고 인기대상 = = = = 가요 프로그램 1위 = = = = 연도 순위 내역 (총 10회) 1999년 (총 5회) 와 (총 5회) 11월 16일 KBS 《뮤직뱅크》 1위 11월 23일 KBS 《뮤직뱅크》 1위 11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30일 KBS 《뮤직뱅크》 1위 (3주 연속) 12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2000년 (총 5회) 바꿔 (총 2회) 1월 16일 SBS 《인기가요》 1위 1월 25일 KBS 《뮤직뱅크》 1위 너 (총 3회) 8월 6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3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8월 15일 KBS 《뮤직뱅크》 1위 = = = 기타 수상 = = = 연도 수상내역 2004년 정보문화의 달 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2005년 제1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한류올스타상 2006년 중국 차이나 패션 어워즈(CFA) 한·일 베스트 드레서상 2013년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레드카펫 특별상 2015년 제1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WTUF중국의 밤 한·중 문화교류상 대한민국 문화관광 산업대상 한류스타대상 2020년 제5회 동아닷컴’s PICK 2020 올해의 흥행치트키 = 틀:삼계/설명문서 = = 발랄라이카 (동음이의) = 발랄라이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발랄라이카(balalaika)는 민속악기의 하나이다. 미코얀-구레비치 MiG-21의 비공식 명칭. 발랄라이카 (쿠스미 코하루의 노래) 블랙 라군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 The King Of Limbs = #Redirect The King of Limbs = 킬리안 데인 = 킬리안 데인(Killian Dain, 1985년 2월 20일 ~ )은 본명은 다미안 막클(Damian Mackle)에다가 예전 링네임이 빅 다모(Big Damo)에다가 데미안 오'코너(Damian O'Connor)라는 가지는 경우도 있었다.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다. 키는 194cm(6 ft 4 in)에다가 몸무게는 163kg(359 lb)이다. 피니쉬는 베이더 밤(코너 슬링샷 스플래쉬), 데인 드라이버/얼스터 플랜테이션(원-헨드 일렉트릭 체어 드라이버), 밴-다모-나토르(다이빙 프론트 코너-투-코너 드롭킥), 런닝 센턴으로 사용을 한다. 시그니처는 런닝 로우 크로스바디, 수어사이드 다이브, 런닝 빅 붓을 자주 사용을 한다. = = Professional wrestling highlights = = Finishing moves Dain Driver / Ulster Plantation (One-handed electric chair driver) Running senton sometimes while using standing position on a downed opponent - sometimes used as a signature moves Vader Bomb (Corner slingshot splash) - 2018-present; used as a characteristic move previously Van-Damo-Nator (Diving front corner-to-corner dropkick) - 2016; used as a characteristic move earlier Signature moves Belfast Bomb (Diving senton bomb) Fireman's carry slam frontal strike followed by a running senton Powerbomb followed by a running elbow drop Running big boot Suicide dive Manager Nikki Cross Train Wrestlers Joe Coffey Entrance themes "Beast" by Neil McDougall (Independent circuit; 2013-2016) "Controlled Chaos" by CFO$ (WWE NXT/WWE; 2016-2019; used as a member of Sanity) "Beast of Belfast" by CFO$ (NXT/WWE; 2017-2019) "Darkness Past" by CFO$ (WWE NXT; 2019-2020) "Best Friends Forever" by Julien Cavard & Raphael Nauleau (WWE NXT; 2020-2021; used in tandem with Drake Maverick) "Floating On a Breeze" by CFO$ (WWE NXT; 2021; used in tandem with Drake Maverick) = = 수상 = = 3CW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콧 렌윅 I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프라이드 레슬링 챔피언 (1회) PWI 랭크드 힘 #119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18 레클러스 인텐트 하드코어 챔피언 (1회) 레클러스 인텐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SSW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콧 렌윅 SWA 레어드 오브 더 링 챔피언 (1회) SWA 태그팀 챔피언 (6회) - 스콧 렌윅 (4회), 피트 오닐 (1회), 치킨 (1회) SWE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WCPW 챔피언 (1회) W3L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W3L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스콧 렌윅 W3L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 토너먼트 (2017) WWE NXT 이열-엔 어워즈 (1회) 태그팀 오브 더 이열 (2017) - 알렉산더 울프 언드 에릭 영 XWA 브리티쉬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XWA 브리티쉬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 토너먼트 (2014) = 스코피언 오프쇼어 = 스코피언 오프쇼어 (Scorpion Offshore)는 해상 시추 설비 운영 회사이다. = = 역사 = = 스코피언 오프쇼어는 2005년 4월 22일에 창립되었다. 본사는 버뮤다에 등록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휴스턴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2010년 5월 31일, 시드릴은 스코피언 오프쇼어의 주식 40% 가랑을 주당 40.50 노르웨이 크로네 ($6.26)에 인수하여 경영권을 확보했다. = 분류:가공의 플루트 연주자 = = 이와테정 = 이와테정 (이와테마치)은 일본 이와테현 중부에서 북부에 위치하는 이와테군의 정이다.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가 시행으로 기타이와테 군 누마쿠나이 정, 가와구치 촌, 잇카타이 촌, 미도 촌이 성립하였다. 1896년 3월 29일 - 기타이와테 군과 미나미이와테 군이 합병해 이와테 군이 되었다. 1955년 7월 21일 - 누마쿠나이 정, 가와구치 촌, 미도 촌, 잇카타이 촌이 합병해 이와테 군 이와테 정이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 IGR 이와테 은하 철도 이와테 은하 철도선 = = = 도로 = = = 국도 4호선 국도 281호선 = 텍스트 시리즈 = 텍스트 시리즈는 2017년부터 GMA 네트워크에서 방영중인 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가비 거시아 : ~ 역 = 분류:브라질의 태권도 선수 = = 분류:네덜란드에 거주한 러시아인 = = 아저씨 (영화) = 아저씨는 2010년에 개봉한 이정범 감독의 액션 영화이다. 이정범 감독이 열혈남아이후 4년만에 내놓은 두 번째 장편 영화로 원빈의 첫 단독 주연 영화이기도 하다. 역대 미성년자 관람불가 영화로는 친구(818만 명), 타짜(684만 명)에 이어 흥행 3위(622만 명)로, 2010년 최고의 흥행작으로 기록되었다. = = 줄거리 = = 한때 잘나가는 특수 요원이었지만 임신한 아내가 화물차에 치여 죽는 현장을 목격한 뒤 요원을 그만두고 전당포를 꾸려 세상과 등진 채 살아가는 남자 차태식. 동네 사람들 사이에서도 음침하기로 소문난 그는 기피 대상이었고 이런 그에게 다가오는 건 전당포에 물건 맡기러 오는 손님들과 바로 옆집에 사는 꼬마 소녀 정소미가 전부였다. 소미의 엄마 박효정은 말로만 딸아이를 건들지 마라며 보호할 뿐 사실은 마약에 찌들려 아이를 방치하고 있었다. 엄마에게서 버림받은 소미는 혼자 다니는 태식도 자신처럼 버림받았다고 여겼고 태식 또한 이런 소미가 싫지 만은 않았는지 같이 밥까지 먹을 만큼 가까워진다. 하지만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사건의 발단은 효정이 태식의 전당포에 맡긴 카메라. 사실 그 카메라에는 훔친 마약이 들어있었는데 마약의 주인은 단순 깡패가 아닌 마약 유통과 장기 밀매까지 서슴치 않는 거대 범죄 조직의 일원이었다. 마약이 없어진 걸 안 조직에게 들통난 효정은 들이닥친 조직원 종석에게 무자비한 고문을 당한 뒤 소미와 함께 납치 당한다. 결국 태식은 모녀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다시 세상 밖으로 나왔지만 종석과 그의 형 만석이 파 놓은 함정에 걸려 마약 사건에 연루됐고 그 때문에 경찰의 추격까지 받게 된다. 2개월 째 마약 사범 오명규를 쫓던 마약반형사 김치곤은 난데없이 사건에 끼어든 것도 모자라 5분도 안되는 짧은 시간에 경찰 6명을 때려눕히고 오명규의 파일을 훔쳐 달아나는 태식을 보면서 그에 대한 호기심이 폭발했고 단번에 그가 소미를 찾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태식은 이에 굴하지 않고 열심히 형제의 흔적을 쫓던 도중 그들의 아지트에 발을 들이게 된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원빈 : 차태식 역 김새론 : 정소미 역 김희원, 김성오 : 만석 & 종석 역 타나용 웡트라쿨 : 람로완 역 김태훈 : 김치곤 역 = = = 마약장기매매 조직 = = = 송영창 : 오명규 사장 역 이재원 : 김도치 역 백수련 : 개미굴 노파 역 장남부 : 오상만 역 = = = 마약계 형사 = = = 이종필 : 노병수 역 곽도원 : 김 형사 역 정도원 : 박 형사 역 정민성 : 정보과 형사 역 남경읍 : 마약계장 역 = = = 기타 = = = 김효서 : 박효정 역 조재윤 : 장두식 역 조석현 : 문달서 역 홍소희 : 김연수 역 권성덕 : 문방구 노인 역 = = = 그 외 = = = 황민호 : 남성식 역 박성택 : 사채 사장 역 한철우 : 사채 회사원 역 류성훈 : 골프장 덩치 역 공병철 : 마약 2팀 역 김용운 : 검문 경찰 역 유연미 : 미진 역 이문호 : 안경 역 김효민 : 중호 역 선호진 : 재문 역 김기홍 : 국정원 3 역 기세형 : 특작부대원 역 김영근 : 특작부대원 역 김시권 : 클럽기도 역 한사명 : 오락실남 역 윤종원 위지웅 : 조직원 역 송용호 : 터키탕 조직원 역 권용환 : 터키탕 조직원 역 서동석 : 터키탕 조직원 역 배영한 : 마약 2 역 엠제이레드 : 비키니녀 역 이하은 : 비키니녀 역 = = 에피소드 = = 이정범 감독은 애초 시나리오 단계에서는 주인공 태식이 60대의 노년 남성으로 은퇴한 HID요원이라는 설정이였다. 하지만 캐스팅, 상업성 등 문제로 40대 중년 남성의 설정으로 김명민을 캐스팅했지만 김명민이 같은 시기에 영화 파괴된 사나이를 선택했다. 그로 인해 원빈에게 넘어갔으며 이후 원빈이 시나리오를 읽고 관심을 나타낸 것을 계기로 제의를 받아들이자 지금의 캐스팅이 완성됐던 것이다. 람로완은 원래 캐릭터 설정이 태국 조직의 조직원으로서 보스의 여자를 사랑했다가 발각되어 그 여자를 살해한 뒤 대한민국으로 들어온 전직 특수부대 출신 참전군인이었다. = = 수상 = = 2010년 제19회 부일영화상 특별상부분-부일독자심사단상, 음악상 2010년 제47회 대종상영화제 영상기술상, 편집상, 남우주연상, 인기상(원빈) 2010년 제8회 대한민국영화대상 편집상, 조명상, 촬영상, 시각효과상(무술), 음악상, 남우주연상(원빈), 신인여우상(김새론) 2010년 제31회 청룡영화상 최다관객상, 기술상(무술), 인기스타상(원빈) 2010년 제2회 대한민국 한류산업대상 시상식 대중문화(영화)부분 2010년 제6회 대한민국대학영화제 감독상, 남우주연상(원빈), 음악상, 촬영상 2010년 제11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시상식 영화부분 대상 2010년 제13회 디렉터스컷어워즈 올해의 제작자상 2010년 미국 필라델피아영화제 특별언급상 2011년 제2회 영화기자협회선정 "올해의 영화상" 남우주연상(원빈) 2011년 제8회 맥스무비 올해의 영화상 감독상, 최고의 남자배우상(원빈), 최고의 여자신인배우상(김새론) 2011년 제3회 본 스릴러 국제영화제 "대상" = 대치면 = 대치면(大峙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청양군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광금리 광대리 농소리 구치리 대치리 상갑리 수석리 시전리 오룡리 이화리 작천리 개곡리 장곡리 주정리 탄정리 형산리 = 분류:450년대 출생 = = 위키백과:삭제 토론/2013년 8월 = = We No Speak Americano = "We No Speak Americano"(위 노 스피크 아메리카노)는 오스트레일리아 2인조 Yolanda Be Cool과 프로듀서 DCUP의 노래이다. 독립 오스트레일리아 레이블 Sweat It Out에서 2010년 2월 27일 발매하였다. 1956년 레나토 카로소네와 니콜라 살레르노가 작곡하고 카로소네가 부른 이탈리아 노래 Tu Vuò Fà L'Americano를 샘플링하였다. 특히 이 노래는 유럽과 호주 그리고 중남미에서 히트를 쳤고 그 뿐만 아니라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엄청난 대박을 쳤다. 또한 2010년 4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베스트 댄스 릴리즈'상을 수상했다. 2011년 4월 10일 집계결과 미국에서 1백만장 이상의 디지털 앨범이 판매되었다. 그리고 이 노래는 2012년 마다가스카3 : 이번엔 서커스다., 2013년 그레이트 뷰티의 사운드 트랙에 실렸다. 그리고 2011년 드라마 시티헌터의 2화에 또 비디오 게임인 줌바 피트니스와 저스트 댄스' 4에 이 노래가 사용되었다. We No Speak Americano'는 이후 쿠바계 미국인 래퍼인 핏불이 Bon, Bon이라는 곡으로 스페인어로 번안하여 리메이크를 했고 욜란다 비쿨과 디컵이 이 노래의 프로듀싱을 받았다. 그리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미국의 체조선수인 가비 더글라스가 금메달을 딸 때 이 곡을 피날레 곡으로 사용했다. = = 뮤직비디오 = = 감독은 앤디 하이튼이며 내용은 이탈리아계 미국인이 미국에서 겪는 일을 무성영화처럼 구성하였다. = 요안니스 미트로풀로스 = 요안니스 미트로풀로스(, 1874년 ~ ?)는 그리스의 체조 선수이다. 그는 아테네에서 열린 18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미트로풀로스는 개인, 단체 평행봉 종목과 개인 링 종목에 출전했다. 링 종목에서는 그리스에게 사상 첫 체조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개인 평행봉 종목에서는 그다지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순위 또한 알려져있지 않다. 미트로풀로스는 단체 평행봉 종목에 에트니코스 체조단 소속으로 참가했으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 파일 할당 테이블 = 파일 할당 테이블은 디지털 카메라 등에 장착되는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와 수많은 컴퓨터 시스템에 널리 쓰이는 컴퓨터 파일 시스템 구조(architecture)이다. FAT 파일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카드, 디지털 카메라 및 다른 수많은 휴대용 기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FAT의 성능은 다른 대부분의 파일 시스템에 견주어 좋지 않은 평을 받는다. 그 까닭은 운영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는 너무나도 단순한 자료 구조를 이용하고 조그마한 파일이 많이 있으면 디스크 공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플로피 디스크의 경우 FAT는 ECMA-107Standard ECMA-107 및 ISOISO 9293:1987 - Information processing - Volume and file structure of flexible disk cartridges for information interchange/IEC 9293ISO/IEC 9293:1994 - Information technology - Volume and file structure of disk cartridges for information interchange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들은 긴 파일 이름 지원이 포함되지 않은 FAT12와 FAT16만 포함하고 있다. FAT 파일 시스템은 기술적으로 비교적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기존의 모든 PC용 운영 체제가 이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카드를 위한 쓸모있는 포맷으로서 운영 체제 사이의 자료 공유를 위한 편리한 방법이 되었다. = = 역사 = = FAT 파일 시스템은 빌 게이츠와 마크 맥도널드가 1976년부터 1977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개발하였다. */www.microsoft.com/mscorp/ip/tech/fathist.asp DR-DOS, 프리도스, MS-DOS, OS/2 (v1.1)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윈도우 미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운영 체제를 위한 주된 파일 시스템이었다. FAT 파일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 독립형 디스크 베이직의 디스크 관리를 위해 만들어졌다. 1980년 8월에 팀 패터슨(Tim Paterson)은 FAT를 S-100 8086 CPU 기판을 위한 86-DOS 운영 체제로 도입하였다. 이 파일 시스템은 86-DOS와, 86-DOS 이전에 쓰였던 CP/M 사이의 주된 차이였다. 이 이름은 어느 영역에 파일이 속해 있는지, 공간에 여유가 있는지, 또 어디에 각 파일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에서 비롯한다. 테이블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라 불리는 하드웨어 섹터에 인접한 그룹에서 디스크 공간이 파일에 할당된다. 디스크 드라이브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자 클러스터의 최대 수도 눈에 띄게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각 클러스터를 인식하는 데 쓰이는 비트 수가 늘어났다. FAT 포맷의 주요 버전은 12, 16, 32와 같은 이름을 가진다. FAT 표준은 기존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보존하면서 다른 방식으로 확장되어갔다. = = = FAT12 = = = MS-DOS 초기부터 주로 쓰였으며, 플로피 디스크에서는 여전히 이용된다. = = = FAT16 = = = 32메가바이트 이상의 하드 디스크를 지원하기 위해 MS-DOS 3.0과 함께 나왔으며 윈도우 95까지 주로 이용되었다. 최대 2기가바이트 파티션을 지원한다.FAT16 파일 시스템의 최대 파티션 크기 - MSKB. 용량이 적은 이동식 드라이브에서는 아직까지 고유 형식으로 자리잡혀 있다. = = = FAT32 = = = 2기가바이트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며, 윈도우 95 OSR2부터 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FAT32에서는 하나의 파일은 최대 4기가바이트-1바이트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파티션이 최대 8테라바이트의 용량을 가질 수 있고, 최대 268,435,437개의 파일을 담을 수 있다. 윈도우 98, 윈도우 미와 같은 구형 운영 체제나, 리눅스, OS X과 같은 운영 체제에서 윈도우와 호환성이 필요할 때, 또는 디지털카메라, 게임기 등에서도 이용된다. 윈도우 XP 등에 내장된 디스크 관리자 유틸리티에서는 32기가바이트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파티션할 때 FAT32를 선택할 수 없고 NTFS만 나오지만, 별도 유틸리티를 이용하거나 다른 운영 체제에서 파티션을 설정하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아 하드디스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FAT16보다 효율적으로 하드디스크를 이용한다. 물리적 드라이브의 크기에 따라서 클러스터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한다. = = = FATX = = = FATX는 FAT 파일 시스템을 수정한 버전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 게임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메모리 카드를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FATX는 아래의 exFAT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 = = exFAT = = = '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의 약자로 일명 FAT64라고도 한다. 윈도우 XP와 윈도우 서버 2003 (둘다 x86, x64) 사용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 업데이트 KB955704를 내려받아 설치하면 exFAT 지원을 사용할 수 있고, 윈도우 비스타의 경우 서비스 팩 1, 윈도우 임베디드 CE 6.0부터 지원한다. FAT32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으며 고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미디어를 위한 파일 시스템이다. 여유공간 계산이 빨라졌으며 파일 삭제 또한 빨라졌다. FAT32에서 파일의 최대 크기가 4기가바이트인 반면, exFAT에서는 16엑사바이트가 파일의 최대 크기가 된다. = = = Turbo FAT = = = Turbo FAT는 NetWare 파일 시스템(NWFS)에서 NetWare 운영 시스템에 대한 FAT 파일 시스템을 변형하여 구현했다. 큰 파일의 경우는 터보 FAT라는 성능 기능을 활용한다. = = = TFAT / Tex FAT = = = TFAT와 TexFAT는 각각 FAT와 exFAT 파일 시스템 위의 레이어를 뜻하며 트랜잭션 보안을 수준을 제공하여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예기치 않은 드라이브를 제거함으로써 일어나는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섀도 더 헤지호그 (비디오 게임) = 섀도 더 헤지호그는 소닉 팀이 만든 게임으로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큐브와 엑스박스로 출시했다. = = 스토리 = = 기억을 잃은 섀도우는 진정한 자신을 고민하고 있었다. 그런데 수수께끼의 암흑 군단, 블랙 암즈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도시를 파괴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블랙 암즈의 수장인 블랙 둠은 섀도우에게도 나타나 이제 때가 되었다며 7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으라고 말한다. 섀도우는 그것들을 전부 다 모으면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면서 7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으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 = = 과거 = = = 과거에 섀도우는 연방정부의 주요 군사 기관인 군(軍) ・G.U.N(Guardian Units of Nation)의 극비 프로젝트였던 프로젝트 섀도우라는 명칭으로 프로페서 제럴드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런데 어린 시절의 사령관(오드아이 로보트닉)이 누나인 마리아 로보트닉과 아크에서 뛰노는 도중에 제랄드 박사와 외계 암흑 군단 블랙 암즈의 강력한 수장인 블랙 둠과의 거래를 우연히 목격하고 난 후, 훗날 사령관이 되고난 다음 그 당시의 연구 결과가 위험하다면서 연구 내용을 아는 모든 사람을 매장하기로 했다. 이 때, 섀도우의 남매와도 같았던 인간 소녀 마리아도 이때 살해되었다.(나빴네) 섀도우는 마리아에 의해 탈출용 캡슐에 갇혀 간신히 살아남았다. 이후 스토리는 소닉 어드벤처 2를 거쳐 여기까지 오게 된다. = = 게임 시스템 = = 다른 소닉 시리즈와 다르게 무기를 사용하여 공격할 수 있고 다양한 탈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롤플레잉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하였다. 이 게임은 세 개의 미션이 있다. 히어로 미션과 다크 미션, 노말 미션이 있으며, 각각 클리어할 때마다 스토리가 달라진다. 각각의 미션은 캐릭터들이 도와준다. 캐릭터는 각각의 스테이지마다 다르다. GUN을 도와주면 히어로 게이지가 오르고, 블랙 둠을 도와주면 다크 게이지가 오른다. 히어로 게이지가 차면 빠른 이동을 할 수 있는 카오스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다크 게이지가 차면 공격 범위 이내의 모든 적에게 공격이 가능한 카오스 블래스트를 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엔딩 제도를 넣었는데, 스테이지마다의 미션을 클리어할 때마다 스토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클리어하는 미션에 따라 총 326개의 엔딩이 존재한다. 다만 326개의 멀티 엔딩은 모두 소닉 시리즈의 스토리와는 별개이며, 라스트 스토리만이 정식 소닉 스토리로 취급된다. = = = 특전 = = = 모든 스테이지에서 A 랭크를 받으면 익스퍼드 모드(전문가 모드)가 열린다. 단지, 여기서는 히어로나 다크, 노멀 미션의 구분이 없으며, 타겟은 항상 골링이며, 죽으면 다시 선택 화면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시작시 스테이지는 랜덤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모든 스토리 루트를 클리어하면 라스트 스토리가 열린다. = = 스테이지 = = = = = STAGE 1 = = = Westopolis = = = STAGE 2 = = = Digital Curcuit Glyphic Cannon Lethal Highway = = = STAGE 3 = = = Cryptic Castle Prison Island Circus Park = = = STAGE 4 = = = Central City The Doom Sky Troops Mad Matrix Death Ruins = = = STAGE 5 = = = The ARK Air Fleet Iron Jungle Space Gadget Lost Impact = = = STAGE 6 = = = GUN Fortress Black Comet Lava Shelter Cosmic Fall Final Haunt = = = HIDDEN STAGE = = = The Last Way = = = BOSS STAGE = = = 괄호의 이름은 등장하는 스테이지의 이름이다. 히어로 미션을 클리어해야 등장하는 보스는 '-HERO', 다크 미션을 클리어해야 등장하는 보스는 '-DARK'표시를 해두었다. VS HEAVY DOG(The Doom) VS BLUE PALCON(The ARK) VS EGG BREAKER(Cryptic Castle, Mad Matrix, Iron Jungle) VS BLACK BULL(Lethal Highway, Death Ruins) VS SONIC & DIABLON(GUN Fortress-DARK, Black Comet-DARK, Final Haunt-DARK) VS EGG DEALER(Black Comet-HERO, Lava Shelter, Cosmic Fall-DARK) VS BLACK DOOM(GUN Fortress-HERO, Cosmic Fall-HERO, Final Haunt-HERO) VS DEVIL DOOM(The Last Way) = = 평가 = = 소닉 시리즈에서 지향하는 목표인 스피드를 이 작품에서 거의 볼 수 없기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특히 이번 작품은 스피드보다는 총 등을 이용한 무기 액션이 더 강조되기에 더욱 그렇다. = = 테마곡 = = I Am..All Of Me(Crush 40) = 분류:가운데땅의 마이아 = = 분류:아벨리노도의 코무네 = = 솜마베수비아나 = 솜마베수비아나는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나폴리현에 위치한 코무네다. = 분류:카타르의 서비스 산업 = = 틀:Anontools/ipv4 = [.html rDNS · Traceroute · 지리위치 (대체) · [ 차단 현황] · 전체 기여] · [인터넷 레지스트리: 아시아·태평양 · 아메리카 · 유럽 · 아프리카 · 라틴아메리카·카리브] = 분류:1980년 네덜란드 = = 분류:1905년 판례 = = 춘향이 = 춘향이(, 1988년 10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김춘향이라는 예명을 사용하다가 2018년부터 현재의 이름을 쓰고 있다.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음반 번호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쿵짜작 쿵짝 발매일: 2014년 10월 22일 쿵짜작 쿵짝 콩콩 아파요 쿵짜작 쿵짝 (Remix) 쿵짜작 쿵짝 (Inst.) 콩콩 (Inst.) 아파요 (Inst.) 쿵짜작 쿵짝 (Remix) (Inst.) = = = 미니 음반 = = = 음반 번호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트로트가 좋아요 발매일: 2018년 8월 10일 트로트가 좋아요 달려라 청춘아 안나오면 쳐들어간다 트로트가 좋아요 (MR) 달려라 청춘아 (MR) 안나오면 쳐들어간다 (MR) = = = 싱글 = = = 음반 번호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콩콩〉 발매일: 2010년 9월 17일 콩콩 아파요 콩콩 (Inst.) 아파요 (Inst.) 2 〈달려라 청춘아〉 발매일: 2017년 10월 13일 달려라 청춘아 달려라 청춘아 (Inst.) = = 수상 = = 2014년 대한민국을 빛낸 위대한 한국인 특별가수상 = 연천군의회 = 연천군의회는 연천군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221에 있다. = = 의회연혁 = = 2020. 07. 01 : 제8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2018. 07. 02 : 제8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2018, 07. 02 : 제8대 의회 개원식 2018. 06. 13 : 제8대 연천군의회의원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개 선거구 7명 선출(비례대표 1명 포함) 2016. 07. 01 : 제7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2014. 07. 01 : 제7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2014. 07. 01 : 제7대 의회 개원식 2014. 06. 04 : 제7대 연천군의회의원선거(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개 선거구 7명 선출(비례대표 1명 포함) 2012. 06. 29 : 제6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2010. 07. 01 : 제6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2010. 07. 01 : 제6대 의회 개원식 2010. 06. 02 : 제6대 연천군의회의원선거(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개 선거구 7명 선출(비례대표 1명 포함) 2008. 07. 02 : 제5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2006. 07. 03 : 제5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제5대의회 개원식 2006. 05. 31 : 제5대 연천군의회의원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개 선거구 7명 선출(비례대표 1명 포함) 2004. 07. 02 : 제4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2002. 07. 03 : 제4대 의회 개원식 2002. 07. 02 : 제4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2002. 06. 13 : 제4대 연천군의회의원선거 8개 선거구 8명 선출 2000. 07. 06 : 제3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1998. 06. 04 : 제3대 연천군의회의원 선거 10개 선거구 10명 선출 1996. 12. 28 : 제2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1995. 07. 11 : 제2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1995. 07. 11 : 제2대 의회 개원식 1995. 06. 27 : 제2대 연천군의회 의원 선거(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0개 선거구 11명 선출(전곡읍 2명) 1995. 04. 13 : 제1대 후반기 잔여임기 의장단 선출 1993. 04. 12 : 제1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1992. 02. 13 : 사무기구를 사무과로 직제 개편 1991. 04. 15 : 연천군의회 사무기구 설치 1991. 04. 15 : 제1대 전반기 의장단 선출 1991. 04. 15 : 제1대 의회 개원식 1991. 03. 26 : 제1대 연천군의회 의원 선거 10개 선거구 10명 선출 = = 지역구 = = 가선거구: 연천읍, 신서, 군남, 왕징, 미산, 중면 나선거구: 전곡읍, 청산, 백학, 장남면 = 후지이 셸리 = Shelly(, 1990년 2월 18일 ~ )는 후지이 셸리로 데뷔했던 성인 비디오 여배우다. = 중국의 4대 미인 = 중국의 4대 미인은 중국에서 손꼽는 4명의 미인으로, 서시, 왕소군, 양귀비, 초선 이 4명의 여성들을 일컫는다. = = 서시 = = 서시(西施, 생몰년 미상)는 춘추 전국 시대 월(越)나라 때의 사람이며 본명은 시이광(施夷光)이다. 오나라의 왕인 부차를 홀려 오나라를 멸망하게 하였고 오나라가 멸망한 뒤 월나라의 왕인 구천의 후궁이 되지만 구천의 왕비에게 비밀리에 제거되어 죽임을 당한다. 왕소군, 양귀비, 초선과 함께 중국 고대 4대 미인으로 손꼽히는 여성이다. = = 왕소군 = = 왕소군(王昭君, 기원전 1세기)은 흉노의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 복주누약제 선우(復株累若鞮單于)의 알씨(선우의 처)로, 본래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이름은 장(嬙, 출전은 한서)이다. 성을 왕, 자를 소군이라고 하여 보통 왕소군이라고 불리며 후일 사마소(司馬昭)의 휘(諱)를 피하여 명비(明妃), 왕명군(王明君) 등으로도 일컬어졌다. 형주 남군(현재의 호북성 사시) 출신으로 양귀비, 서시, 우희와 함께 고대 중국 사대 미인의 한 사람에 손꼽힌다. = = 양귀비 = = 당나라 현종의 사랑을 받은 여인으로 현종이 나라일을 망치게 만든 여자이다. 현종이 양귀비에게 빠져 나라일을 소홀이 하자 안록산의 난이 일어났고 양귀비는 현종의 부하들에 의해 죽고, 당나라도 기울게 되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7년 2월 16일 = =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1886년 7월 3일 ~ 1969년 12월 13일)는 미국의 군인으로 태평양 전쟁 당시 많은 활약을 하였다. 1903년 미국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전함 아이오와 호의 승무원이 되었으며, 1907년 아이오와가 퇴역하자 신예함 미네소타 호에 전속되어 1907년 12월부터 세계 순항을 떠나 1908년 10월 최초 기항지 일본에서 벌어진 가든 파티에서 러일 전쟁 당시 쓰시마 해전의 영웅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을 만났다. 1910년 정식 소위가 되어 코네티컷 호에 승조했고 1911년 10월 경순양함 신시네티 호의 기관장교, 1912년 중위, 1913년 구축함 베인브릿지 호의 함장 등으로 승진했다. 1914년 5월 대위 승진 후 미국으로 귀국해 12월 마가렛 딘과 결혼했다. 이후 소위, 대위, 함장 등 여러 요직들을 거치다가 1941년 태평양 함대 소속 제5순양함 전대 사령관이 되었고 태평양 전쟁 발발 후 1942년 5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제16기동부대 사령관직을 맡아 항모 엔터프라이즈를 지휘하여 일본군 항공모함들을 격퇴시켜 태평양 함대 총사령관 체스터 니미츠의 참모장이 되었다. 1942년 10월 과달카날 전역 당시 현지 시찰을 하였고 중부 태평양 해역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4년 필리핀 해 해전에서 일본군 함대를 격퇴시켜 미군의 사이판 전투에 큰 기여를 했다. 1945년 1월에는 이오지마 전투를 지휘했고 오키나와 전투도 지휘했다. 전쟁 종결 후 11월 체스터 니미츠 제독의 뒤를 이어 태평양 함대 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두 달만인 1946년 2월 미국 해군참모대학교의 교장으로 자리를 옮겨 복무하다 1948년 7월 1일 퇴역했다. 이후 캘리포니아주에서 은퇴 생활을 하다가 1952년 1월 필리핀 대사로 임명되었고 1955년까지 대사직을 수행하였으며 1969년 12월 13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함급명과 그 1번함(DD-963),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의 61번함(DDG-111)은 그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 = 출처 = = * Naval Historical Center: USS Spruance (DD-963) Naval Historical Center, Online Library of Selected Images * = 연당역 = 연당역(Yeondang station, 淵堂驛)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에 위치한 태백선의 철도역이다. 1955년 9월 1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1일 2왕복의 정기 여객열차가 정차하였으나 2009년 7월 1일 여객취급이 중단되었다. = = 역명 유래 = =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양연마을과 승당마을에서 따서 지은 이름이다. = = 연혁 = = 1955년 6월 30일 : 역사 신축 1955년 9월 10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제439호, 1955년 9월 10일 1990년 1월 1일 : 수소화물 취급 중지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9,40호, 1989년 12월 4일 1996년 5월 1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1996-23호, 1996년 5월 4일 2009년 7월 1일 : 여객취급 중지 2013년 11월 14일 : 제천 기점 25.9km로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01호 , 2013년 10월 17일. 2014년 8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15년 5월 29일 : 화물 취급 중지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 2015년 5월 29일. = 위키백과:삭제 토론/우주겁쟁이 = = = 우주겁쟁이 = = 독립적인 음악 그룹으로 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지금으로서는 단순히 나비잠 (Sweet Dream)을 위해 지어진 프로젝트명이자 듀엣명이라 생각되구요. 앞으로 활동 여부도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해당 문서에는 소속사가 SM 엔터테인먼트라 기재되어있는데, 나비잠 음반을 SM에서 유통한다는 점에서 소속사로도 잘못 기재한 것 같네요. 제 생각에선 나비잠 (Sweet Dream) 문서나 아는 형님 문서로 넘겨줬으면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들 궁금합니다. Eyey90 (토론) 2016년 12월 17일 (토) 17:40 (KST) 나비잠 (Sweet Dream) 문서로 넘겨주기 처리합니다. 추후 “우주겁쟁이”의 활동 영역이 확장된다면 그 때 문서를 되살려도 충분하다 판단합니다. IRTC1015 2016년 12월 23일 (금) 01:35 (KST) = 셰이머스 맥가비 = 셰이머스 맥가비(, 1967년 6월 29일 ~ )는 북아일랜드 출신의 촬영 감독이다. 아마 출신으로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대학교를 나왔다. 어톤먼트(2007), 안나 카레니나(2012), 어벤져스(2012) 등의 영화에서 촬영 감독을 맡아 이름이 알려졌다. = = 제작 참여 작품 목록 = = 연도 제목 원제 감독 비고 1995 버터플라이 키스 Butterfly Kiss 마이클 윈터보텀 1997 스위니 The Winter Guest 앨런 리크먼 1999 빅 티즈 The Big Tease 케빈 앨런 1999 전쟁지대 The War Zone 팀 로스 2000 세계 지도 A Map of the World 스콧 엘리엇 2000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 High Fidelity 스티븐 프리어스 2001 에니그마 Enigma 마이클 앱티드 2001 위트 Wit 마이크 니컬스 2002 디 아워스 The Hours 스티븐 돌드리 2004 폴리와 함께 Along Came Polly 존 햄버그 2005 사하라 Sahara 브렉 아이스너 2006 월드 트레이드 센터 World Trade Center 올리버 스톤 2006 샬롯의 거미줄 Charlotte's Web 게리 위닉 2007 어톤먼트 Atonement 조 라이트 2009 존 레논 비긴즈: 노웨어 보이 Nowhere Boy 샘 테일러우드 2011 케빈에 대하여 We Need to Talk About Kevin 린 램지 2012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 조 라이트 2012 어벤져스 The Avengers 조스 휘던 2014 고질라 Godzilla 개러스 에드워즈 2015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Fifty Shades of Grey 샘 테일러 존슨 2015 팬 Pan 조 라이트 2017 라이프 Life 다니엘 에스피노사 = 다카사고역 (홋카이도) = 다카사고역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하코다테 본선 (상행) 삿포로오타루 방면 2 ■ 하코다테 본선 (하행) 에베쓰이와미자와 방면 = = 이용 현황 = = 연도 하루 평균 승차 인원 2009년도 2,570명 = = 역 주변 = = 국도 제12호선 에베쓰 시청 에베쓰 시민회관 = = 역사 = = 1986년 11월 11일 : 다카사고 임시 승강장으로서 개업. 1987년 4월 1일 :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로 이관, 동시에 역으로 승격. 2008년 10월 25일 : IC 카드 Kitaca 사용 개시. = 피크람니아과 = 피크람니아과(Picramnia科, 학명: )는 피크람니아목의 과이다.Fernando, Edwino S. & Quinn, Christopher John. Taxon 44: 177. 1995.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맥 위 쪽에 자생하는 2속 46종의 속씨식물이다. 1981년의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무환자나무목의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1998년의 APG 분류 체계에서는 독립된 하나의 과로 분리되어 장미군에 속하였다. = = 하위 분류 = = 피크람니아속(Picramnia Sw.) Alvaradoa Liebm. Nothotalisia W.W.Thomas = 사하데바 = 사하데바는 판다바 형제 중 막내로,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다섯 주인공이다. 그와 그의 쌍둥이 형제인 나쿨라는 쌍둥이 신 아슈빈을 불러 판두 왕과 마드리 왕비의 축복을 받았다. 사하데바는 검술과 점성술에 능숙한 것으로 묘사된다. 쿠루크셰트라 전쟁 동안, 그는 샤쿠니를 포함한 많은 전사들을 죽였다. = = 출생 및 초기 생애 = = 판두가 아이를 낳지 못했기 때문에(리시 킨다마의 저주로 인해), 마드리는 세이지 두르바사가 쿤티 데비에게 준 은혜를 출산하는데 사용해야 했고, 세이지 두르바사는 나쿨라와 사하데바를 낳기 위해 아슈비니 쿠마라스를 발동했다. 나중에 판두는 아내와 사랑을 나누려다 킨다마의 저주로 인해 죽었다. 마드리는 아이들을 쿤티에게 맡기고 사티를 맡겼다. 쿤티는 하스티나푸라에서 형제들과 함께 사랑과 보살핌으로 그를 키웠다. 사하데바는 쿤티의 친아들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쿤티가 가장 좋아하는 판다바였다고 여겨진다. 또한 사하데바는 아스라스의 구루인 슈크라의 화신이었다고 여겨진다. 사하데바와 그의 형제들은 하스티나푸라로 가서 드로나와 크리파에게 무기를 가르쳤다. 그는 펜싱과 도끼 싸움에서 자신의 기술을 터득했다. 그는 또한 데바스의 구루인 브리하스파티로부터 니티샤스트라를 얻었다. = = 결혼 및 자식 = = 이후 쿤티와 다섯 명의 판다바는 하스티나푸라로 이주했다. 사하데바의 핵심 기술은 검을 휘두르는 것이었다. 사하데바는 자신의 지혜와 영적 지식에 대해 거만하게 굴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온화하고 수줍고 인내심이 있으며 덕이 있다고 한다. 사하데바는 판다바의 공동 아내인 드라우파디와 비자야를 두었다. 사하데바는 드라우파디와 함께 슈루타세나, 그의 다른 아내 비자야와 함께 수호트라였다. 비자야는 스웨이 앰바라 차림으로 사하데바를 선택했고, 따라서 그들의 결혼이 성사되었다. 비자야는 사하데바의 외사촌이었다. 수호트라는 비자야 왕비와 사하데바의 아들이었다. 그들은 마하바라타 사건 이후 마드라에서 살았다. = 요코하마 미술관 = 요코하마 미술관은 1989년에 설립된 미술관이다. 일본 요코하마시 미나토미라이 21 근처에 있다.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옆에 존재한다. = 분류:나다구 = = 분류:일본의 돼지고기 요리 = = 분류:수리남 요리 = = 188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1887년 독일 총선은 1887년 독일에서 치러진 제국의회 선거로, 77.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 = 선거 결과 = = 정당 득표수 % 의석수 +/– 국민자유당 1,678,000 22.26 99 +48 독일 중앙당 1,516,200 20.12 98 −1 독일 보수당 1,147,200 15.18 80 +2 독일 자유사상당 973,100 12.91 32 −35 사회주의노동자당 763,100 10.12 11 −13 독일 제국당 736,400 9.77 41 +13 알자스로렌 그룹 233,700 3.10 15 0 폴란드인 그룹 220,000 2.92 13 −3 독일-하노버당 112,800 1.50 4 −7 독일 인민당 88,800 1.18 0 −7 덴마크인 그룹 12,000 0.16 1 0 반유대주의 11,600 0.15 1 +1 기타 47,600 0.63 2 +2 무효/기권 29,800 – – – 합계 7,570,700 100 397 0 등록 유권자/투표율 9,769,800 77.49 – –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 후안 피에르 = 후안 드본 피에르(Juan D'Vaughn Pierre, 1977년 8월 14일 ~ )는 외야수로 활약한 전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그는 콜로라도 로키스, 플로리다/마이애미 말린스, 시카고 컵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하였다. 자신의 속도로 알려진 그는 자신의 경력에서 614회의 도루를 가져 자신의 은퇴 당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18번째로 가장 많았다. 그는 2019년 시즌을 위하여 마이너 리그 외야수 조정자로서 말린스에 가입하기 전에 MLB 네트워크의 전파 방송 분석자로 일하였다. = = 초기 생애 = = 앨라배마주 모빌에서 제임스와 데리 피에르에게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후 곧 그의 가족은 루이지애나주 알렉산드리아로 이주하였다. 피에르 가족은 식민지 시절 이래 루이지애나에서 깊게 뿌리를 두어왔으며, 크리올 계통이다. 그의 이름은 부친이 가장 좋아하던 도미니카 공화국의 명예의 전당 투수이자 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선수 후안 마리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그의 중앙 이름 드본은 그가 그 이름이 "그 것에 좋은 운이 맞는다"고 말하였기 때문이었다. 피에르는 알렉산드리아 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 = 대학 시절 = = 자신의 프로 경력에 대비하여 피에르는 갤버스턴 칼리자와 사우스앨라배마 대학교에서 야구를 하여 1998년 "올해의 선벨트 컨퍼런스 선수"로 임명되었다. = = 마이너 리그 = = 199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13번째 라운드에서 콜로라도 로키스에 의하여 선발된 후, 피에르는 북서부 리그의 포틀랜드 로키스와 함께 자신의 프로 경력을 시작하였다. 그는 38개와 함께 자신의 첫 프로 시즌에서 리그의 타구와 도루 타이틀을 우승하였고, 그 수준에서 마저 팬의 총아였다. 피에르는 이듬해 애슈빌 투어리스츠로 옮겨 다시 .300 점 이상으로 잘 타구하였고, 콜로라도주에서 한해를 끝내기 전 캐롤라이나 머드캐츠와 2000년을 시작하였다. = = 메이저 리그 = = = = = 콜로라도 로키스 = = = 피에르는 2000년 8월 7일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상대로 로키스를 위하여 대주자로서 자신의 메이저 리그 데뷔를 이루었다. 그는 이어진 날에 중견수에서 자신의 첫 출발을 이루어 호세 실바에 첫 이닝에서 자신의 첫 안타를 얻었다. = = = 플로리다 말린스 = = = 2002년 11월 16일 피에르는 찰스 존슨, 프레스턴 윌슨, 빅 대런스버그와 파블로 오수나를 위하여 마이크 햄프턴과 현금과 더불어 플로리다 말린스로 이적되었다. 2003년 정규 시즌에서 피에르는 .305의 타구 평균을 게시하여 활약한 경기 (162), 타석 (668), 도루 (65)와 번트 (15)에서 내셔널 리그를 이끌었고, 5.2%의 최저 스트라이크아웃 퍼센티지와 함께 전 메이저 리그를 이끌었다. 포스트 시즌 동안 그는 말린스의 2003년 월드 시리즈에 주요 공헌 선수였다. 그는 월드 시리즈에서 .333 점을 타구하였고, 자신의 첫 플레이오프 경험에서 전체 .301 점을 타구하였다. 2004년 그는 678개의 타석, 안타 (221), 3루타 (12), 활약한 경기 (162), 번트 (24)와 내야 안타 (38)와 함께 내셔널 리그를 이끌었다. 추가로 그는 자신의 팀 경기들의 각각의 모든 이닝을 활약하는 데 단 하나의 메이저 리그 선수였다. = = = 시카고 컵스 = = = 2005년 12월 7일 말린스는 피에르를 시카고 컵스로 이적시켜 교환에서 투수들 세르히오 미트레, 리키 놀라스코와 레니얼 핀토를 받았다. 거래는 플로리다주 남부에서 새로운 구장을 확보할 수 없은 후 말린스가 임금 대장을 깎는 데 필요하면서 동기가 주어졌다. 2006년 .292 점을 타구하는 동안 피에리는 204개의 안타와 함께 내셔널 리그를 이끌어 자신의 2번째 안타 타이틀을 우승하였고, 타석 (699), 활약한 경기 (162), 번트 (21), 내야 안타 (30)과 최저 스트라이크아웃 퍼센티지 (5.4%)와 함께 리그를 이끌었다. 그는 실책에 본루한 도달한 13회에서 메이저 리그를 이끄는 데 동점을 매겼고, 완벽한 방어적 야구를 하여 1.000의 수비율을 얻었다. 하지만 그는 또한 자신이 이룬 아웃 (532)에서 메이저 리그를 이끌기도 하여 1982년 이래 선수를 위한 2번째로 최고의 총 아웃이었다. =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06년 11월 22일 피에르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4천 4백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2007년 피에르는 번트 (19)에서 메이저 리그를 이끌었다. 그는 또한 5연속 해를 위하여 활약한 경기 (162)와 2연속 해를 위하여 1루타 (164)에서 내셔널 리그를 이끌었고, 희생타 (20)게서 리그를 이끌어 내셔널 리그에서 최저 스트라이크아웃 퍼센티지 (5.5%)를 가졌다. 내셔널 리그에서 그는 도루 (64)에서 2위, 타석 (668)과 본루 출연 (729)에서 3위, 안타 (196)에서 4위와 3루타 (8)에서 9위를 하였다. 2008년으로 들어가면서 다저스는 중견수로 활약하는 데 앤드루 존스를 2년 계약으로 맺었다. 이 때문에 피에르는 좌익수로 옮겼다. 7월 장애자 명단에 놓인 후, 피에르는 분투하는 존스와 함께 중견수에 전문의 포지션을 맡는 데 옮겨졌다. 다저스가 매니 라미레스를 위하여 이적시킬 때 피에르는 벤치로 옮겨져 제한된 활동을 보았으며, 주로 시즌의 나머지에 대타자로 있었다. 홈런을 치지 않으면서 거의 2년 후에 피에르는 2008년 9월 15일 피츠버그 PNC 파크에서 우익수의 좌석들로 공을 타구하였다. 그 일은 2년전 8월 28일 또한 피츠버그에서 있던 이래 피에르의 전통적인 플라이볼 홈런이었다. 2009년 시즌의 시작에 대비하여 다저스는 라미레스의 팀과 재계약이 피에르를 좌익수에서 백업 역할로 밀어넣은 이래 이적을 완전히 세우는 희망들에서 다른 팀들에게 얘기하는 데 피에르와 그의 대리에게 허락을 주었다. 매니 라미레스가 50개의 경기 출장 정지를 받을 때 피에르는 다시 한번 다저스의 정규적 좌익수가 되었다. 라미레스의 출장 정지가 있는 동안 피에르는 비판 같고, 팬들로부터 칭찬을 청한 화려한 상연을 하였다. 하지만 한번 라미레스가 돌아오면서 그는 백업 선수로서 자신의 이전 역할을 다시 시작하였다. 자신의 열성적인 활약의 인정에서 다저스의 팬들은 7월 16일 라미레스가 출장 정지로부터 복귀한 이래 자신의 첫 홈런을 가진 같은 경기에서 피에르에게 영구적인 열렬한 환영을 주었다. = = =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2009년 12월 15일 피에르는 2명의 마이너 리그 투수 전망 선수들(존 링크와 존 일리)이 후에 임명되는 데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이적되었다. 피에르는 68개의 도루와 함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을 이끌었으며, 1983년 루디 로의 77개 만의 도루 후에 프랜차이즈 역사상 싱글 시즌에 2번째로 가장 많은 수였다. 2010년 8월 3일 그는 릭 포셀로에 자신의 처음이자 그해의 단 하나의 홈런을 쳤다. 8월 5일 그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상대로 자신의 500번째 경력 도루를 이루었다. 2011년 피에르는 번트 (19)와 한 스트라이크에 타석 (15.6)에서 메이저 리그를 이끌었다. 방어에 그는 7개와 함께 좌익수에 의한 실책들에서 메이저 리그를 이끄는 데 동점을 매겼다. = =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 2012년 1월 27일 피에르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필리스는 3월 29일 그의 계약을 매입하고, 이어서 그는 팀의 오프닝 데이 명부로 추가되었다. 그는 6월 23일 3개의 득점 홈런을 쳤다. 6월 28일 그는 자신의 500번째 경력 타점을 얻었다. 130개의 경기에서 좌익수에서 98개의 출발을 이룬 피에르는 6개의 3루타와 37개의 도루와 함께 .307/.351/.371 점을 타구하였다. = = = 마이애미 말린스 = = = 11월 17일 피에르는 마이애미 말린스와 1년, 1.6백만 달러의 거래에 계약을 맺었다. 그는 마이애미와 함께 2013년 시즌을 활약하고, 시즌의 말기에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그는 다른 팀과 계약을 맺는 데 희망을 가졌고, 가끔 팀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소극적으로 상연하는 선수들을 위하여 커버하는 데 외야수에서 깊이 요구하는 것에 관한 기자의 보고들에서 언급되었다. 하지만 그는 전체의 시즌을 위하여 계약을 맺지 않고, 2015년 2월 27일 프로 야구로부터 자신의 은퇴를 공고하였다. 피에리는 2019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으로 선출되는 데 적합하였으나 투표의 5%보다 적게 받고, 2020년 비밀 투표를 위하여 자격이 없었다. = = 성취들 = = 2003년 월드 시리즈 챔피언 플로리다 말린스의 일원으로서 미국 야구 작가 협회의 사우스 챕터에 의하여 말린스의 MVP로 임명됨. 2003년 니그로 리그 야구 박물관으로부터 제임스 "쿨 파파" 벨 영예 상 수상 2001년 (46)과 2003년 (65) 도루에서 내셔널 리그를 이끔 2004년 자신의 팀의 경기 전부에서 모든 이닝을 활약하는 데 야구에서 단 하나의 선수이며, 1971년 이래 그렇게 하는 데 3번째 만의 선수 한 시즌에 200개의 안타를 기록하는 데 첫 말린스 선수 2008년 6월 29일 다저스와 함께 경력 100번째 도루를 이루어 3개의 다른 팀과 함께 최소한 100개의 도루를 가지는 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단 4명의 선수들 중의 하나. 이전에 로키스와 100개, 말린스와 167개의 도루를 가짐. 토미 하퍼, 브렛 버틀러와 오티스 닉슨이 이 업적을 이룬 다른 선수들임. 2009년 6월 12일 알링턴 스타디움에서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444개와 함께 톱 50의 경력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도루 지도 선수들에 전 다저스 선수 스티브 색스와 동점을 매김. 다음날 다시 레인저스를 상대로 자신의 445번째 도루와 함께 톱 50에서 색스를 밀어냄. 2010년 도루에서 아메리칸 리그를 이끔. 2011년 9월 8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자신의 2,000번째 안타를 매김. 2013년 5월 2일 필리스를 상대로 600번째 도루를 가져 그 절정에 도달하는 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18번째 선수 = 200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선수 명단 = 다음은 200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선수 명단이다. = = 참가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엔픽문고 = = 네이버 검색 결과, 엔픽문고에 책을 내놓으려던 어떤 라이트노벨 작가 분의 글 엔하위키 건도 필요 있을 지도? *역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자기 PR에다가 검색 결과를 보면 아직 어떠한 책도 내놓지 않은 저명성 없는 출판사 입니다. 이에 따라 삭제 토론을 엽니다. Leedors (토론) 2010년 8월 18일 (수) 00:53 (KST) 존재하지 않는 출판사이며, 따라서 등록할 저명성의 기준이 충족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위키백과에 등록할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므로 삭제 처리 합니다. Erio-h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00:20 (KST) = 낫 옛 = 낫 옛(Not Yet)은 다음을 의미한다. "아직은 아니다"를 의미하는 영어 문구이다. Not yet (밴드) 1993년 음반 마다다요의 영어명 Not Yet Not Yet: 젠 보스틱의 노래 = 평 = = = 역사 = = *평(平)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다. = 현곡 = 현곡은 다음을 의미한다. 현곡면 현곡리 = 산청교통 = 산청교통(山淸交通)은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에 본사를 둔 경상남도 산청군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 = 연혁 = = 1991년 10월 1일: 회사 설립 = = 보유 차종 = = 뉴 카운티와 레스타로만 운행한다. = 이탈리아의 총리 목록 = 이탈리아 공화국의 각료회의 의장 목록으로서 이탈리아 공화국 선포 후 현재까지의 명단으로, 총 30명의 총리와 67개의 내각이 있었다. 첫번째 총리는 알치데 데 가스페리이며, 이탈리아 왕국의 마지막 총리이기도 하다. 1945년 12월부터 1953년 8월까지 총 8번의 내각을 이끌었다. = = 역대 총리 명단 = = 대수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임기 임기 정당 정부 및 구성 정부 및 구성 의회(선거) 공화국대통령 대수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각료회의 의장(출생연도~사망연도) 취임 퇴임 정당 정부 및 구성 정부 및 구성 의회(선거) 공화국대통령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46년 7월 14일 1947년 2월 2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2기 민족해방위원회기민-사회-공산-공화 제헌 (1946년) 엔리코 데 니콜라(1946년~1948년)1947년 12월 31일까지는 '임시 국가원수'였으며 1948년 1월 1일부터는 공화국 대통령으로서 역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47년 2월 2일 1947년 6월 1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3기 민족해방위원회기민-공산-사회-노민 제헌 (1946년) 엔리코 데 니콜라(1946년~1948년)1947년 12월 31일까지는 '임시 국가원수'였으며 1948년 1월 1일부터는 공화국 대통령으로서 역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47년 6월 1일 1948년 5월 24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4기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공화 제헌 (1946년) 엔리코 데 니콜라(1946년~1948년)1947년 12월 31일까지는 '임시 국가원수'였으며 1948년 1월 1일부터는 공화국 대통령으로서 역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48년 5월 24일 1950년 1월 27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5기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공화 1대(1948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50년 1월 27일 1951년 7월 26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6기 중도주의기민-민사-공화 1대(1948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51년 7월 26일 1953년 7월 16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7기 중도주의기민-공화 1대(1948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1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1954년) 1953년 7월 16일 1953년 8월 17일 기독교민주당 데 가스페리 8기 기민 2대(1953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2대 주세페 펠라(1902년~1981년) 1953년 8월 17일 1954년 1월 19일 기독교민주당 펠라 기민-무자유당과 군주의 지지. 2대(1953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54년 1월 19일 1954년 2월 10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1기정부가 의회의 신임을 얻는데 실패하며, 공화국 역사상 가장 짧은 정부가 됐다. 기민 2대(1953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4대 마리오 셸바(1901년~1991년) 1954년 2월 10일 1955년 7월 6일 기독교민주당 셸바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 2대(1953년) 루이지 에이나우디(1948년~1955년) 5대 안토니오 세니(1891년~1972년) 1955년 7월 6일 1957년 5월 20일 기독교민주당 세니 1기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 2대(1953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6대 아도네 촐리(1887년~1960년) 1957년 5월 20일 1958년 7월 2일 기독교민주당 촐리 기민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자유-공화-민사-군주-민군주-사회운 2대(1953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58년 7월 2일 1959년 2월 16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2기 중도주의기민-민사 3대(1958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5대) 안토니오 세니(1891년~1972년) 1959년 2월 16일 1960년 3월 26일 기독교민주당 세니 2기 기민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 포함:자유-군주-민군주-사회운 3대(1958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7대 페르난도 탐브로니(1901년~1963년) 1960년 3월 26일 1960년 7월 27일 기독교민주당 탐브로니 기민사회운동과 군주민주 정당의 외부 지지 포함 3대(1958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60년 7월 27일 1962년 2월 22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3기 기민 3대(1958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62년 2월 22일 1963년 6월 22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4기 중도주의기민-민사-공화사회당의 외부 지지 포함 3대(1958년) 조반니 그론키(1955년~1962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62년 2월 22일 1963년 6월 22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4기 중도주의기민-민사-공화사회당의 외부 지지 포함 3대(1958년) 안토니오 세니(1962년~1964년) 8대 조반니 레오네 (1908년~2001년) 1963년 6월 22일 1963년 12월 5일 기독교민주당 레오네 I 기민 4대(1963년) 안토니오 세니(1962년~1964년) 9대 알도 모로(1916년~1978년) 1963년 12월 5일 1964년 7월 23일 기독교민주당 모로 1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4대(1963년) 안토니오 세니(1962년~1964년) 9대 알도 모로(1916년~1978년) 1964년 7월 23일 1966년 2월 24일 기독교민주당 모로 2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4대(1963년) 안토니오 세니(1962년~1964년) 9대 알도 모로(1916년~1978년) 1966년 2월 24일 1968년 6월 25일 기독교민주당 모로 3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4대(1963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8대) 조반니 레오네(1908년~2001년) 1968년 6월 25일 1968년 12월 13일 기독교민주당 레오네 2기 기민 5대(1968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10대 마리아노 루모르(1915년~1990년) 1968년 12월 13일 1969년 8월 6일 기독교민주당 루모르 1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통합사회-공화 5대(1968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10대 마리아노 루모르(1915년~1990년) 1969년 8월 6일 1970년 3월 28일 기독교민주당 루모르 2기 기민 5대(1968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10대 마리아노 루모르(1915년~1990년) 1970년 3월 28일 1970년 8월 6일 기독교민주당 루모르 3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5대(1968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11대 에밀리오 콜롬보(1920년~2013년) 1970년 8월 6일 1972년 2월 18일 기독교민주당 콜롬보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5대(1968년) 주세페 사라가트(1964년~1971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72년 2월 18일 1972년 6월 26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1기 기민 5대(1968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72년 6월 26일 1973년 7월 8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2기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 6대(1972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0대) 마리아노 루모르(1915년~1990년) 1973년 7월 8일 1974년 3월 15일 기독교민주당 루모르 4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6대(1972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0대) 마리아노 루모르(1915년~1990년) 1974년 3월 15일 1974년 11월 23일 기독교민주당 루모르 5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 6대(1972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9대) 알도 모로(1916년~1978년) 1974년 11월 23일 1976년 2월 12일 기독교민주당 모로 4기 중도주의기민-공화 6대(1972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9대) 알도 모로(1916년~1978년) 1976년 2월 12일 1976년 7월 30일 기독교민주당 모로 5기 기민 6대(1972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76년 7월 30일 1978년 3월 13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3기 기민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 공산 7대(1976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78년 3월 13일 1979년 3월 21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4기 기민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 공산 7대(1976년) 조반니 레오네 (1971년~1978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79년 3월 21일 1979년 8월 5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5기 중도주의기민-민사-공화 7대(1976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3대 프란체스코 코시가(1928년~2010년) 1979년 8월 5일 1980년 4월 4일 기독교민주당 코시가 1기 중도주의기민-민사-자유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3대 프란체스코 코시가(1928년~2010년) 1980년 4월 4일 1980년 10월 18일 기독교민주당 코시가 2기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공화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4대 아르날도 포를라니(1925년~2023년) 1980년 10월 18일 1981년 6월 28일 기독교민주당 포를라니 중도좌파 "오르가니코"기민-사회-민사-공화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5대 조반니 스파돌리니(1925년~1994년) 1981년 6월 28일 1982년 8월 23일 이탈리아 공화당 스파돌리니 1기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5대 조반니 스파돌리니(1925년~1994년) 1982년 8월 23일 1982년 12월 1일 이탈리아 공화당 스파돌리니 2기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82년 12월 1일 1983년 8월 4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5기 기민-사회-민사-자유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 공화 8대(1979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6대 베티노 크락시(1934년~2000년) 1983년 8월 4일 1986년 8월 1일 이탈리아 사회당 크락시 1기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9대(1983년) 산드로 페르티니(1978년~1985년) 16대 베티노 크락시(1934년~2000년) 1986년 8월 1일 1987년 4월 18일 이탈리아 사회당 크락시 2기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9대(1983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3대) 아민토레 판파니(1908년~1999년) 1987년 4월 18일 1987년 7월 29일 기독교민주당 판파니 6기 기민-무 9대(1983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17대 조반니 고리아(1943년~1994년) 1987년 7월 29일 1988년 4월 13일 기독교민주당 고리아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10대(1987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18대 치리아코 데 미타(1928년~2022년) 1988년 4월 13일 1989년 7월 23일 기독교민주당 데 미타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공화-민사-자유 10대(1987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89년 7월 23일 1991년 4월 13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6기 펜타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공화-자유 10대(1987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12대) 줄리오 안드레오티(1919년~2013년) 1991년 4월 13일 1992년 6월 28일 기독교민주당 안드레오티 7기 콰드리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자유 10대(1987년) 프란체스코 코시가(1985년~1992년) 19대 줄리아노 아마토(1938년~) 1992년 6월 28일 1993년 4월 29일 이탈리아 사회당 아마토 1기 콰드리파르티토기민-사회-민사-자유 11대(1992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0대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1920년~2016년) 1993년 4월 29일 1994년 5월 11일 무소속 참피 기민-사회-좌민-민사-공화-자유-녹련 11대(1992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1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1936년~2023년) 1994년 5월 11일 1995년 1월 17일 전진 이탈리아 베를루스코니 1기 자유의 극-좋은 정부의 극전진-북동-국동-중기민-중련 12대(1994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2대 람베르토 디니(1931년~) 1995년 1월 17일 1996년 5월 18일 무소속1994년 이탈리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1996년 2월에 이탈리아 혁신을 창당한다. 디니 기술 정부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좌민-민중-사회-녹련-조직-사기-북동 12대(1994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3대 로마노 프로디(1939년~) 1996년 5월 18일 1998년 10월 21일 중도좌파 무소속 프로디 1기 올리브나무좌민-민중-민련-녹련-혁신-사회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공재-민동-공운-공화-세니-공좌-쥐민-조직-발련 13대(1996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4대 마시모 달레마(1949년~) 1998년 10월 21일 1999년 12월 22일 좌파 민주주의 달레마 1기 올리브나무좌민-민중-혁신-민사-녹련-공산-공민련-조직 13대(1996년) 오스카르 루이지 스칼파로(1992년~1999년) 24대 마시모 달레마(1949년~) 1999년 12월 22일 2000년 4월 26일 좌파 민주주의 달레마 2기 올리브나무좌민-민중-민주자-유민련-민사-녹련-혁신-공산-발련 13대(1996년)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1999년~2006년) (19대) 줄리아노 아마토(1938년~) 2000년 4월 26일 2001년 6월 11일 중도좌파 무소속 아마토 2기 올리브나무좌민-민중-민주자-녹련-공산-유민련-혁신-민사 13대(1996년)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1999년~2006년) (21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1936년~2023년) 2001년 6월 11일 2005년 4월 23일 전진 이탈리아 베를루스코니 2기 자유의 집전진-국동-북동-기중민련-신사회-공화 14대(2001년)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1999년~2006년) (21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1936년~2023년) 2005년 4월 23일 2006년 5월 17일 전진 이탈리아 베를루스코니 3기 자유의 집전진-국동-북동-기중민련-신사회-공화 14대(2001년)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1999년~2006년) (23대) 로마노 프로디(1939년~) 2006년 5월 17일 2008년 5월 8일 중도좌파 무소속2007년 새로 창당한 민주당의 원내대표로 뽑힌다. 프로디 2기 연합좌민-민자/민주-공재-손안장-공산-귀이-녹련-유민련-사회-민기련-자치-롬동-민좌-자민-유공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남민-가이-소련-민련-쥐민-자자민-남이련-비좌 15대(2006년) 조르조 나폴리타노(2006년~2015년)둘째 임기는 2013년 4월 22일 부터. (21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1936년~2023년) 2008년 5월 8일 2011년 11월 16일 자유민중 베를루스코니 4기 중도우파자민-북동-자운-국결-민령-남힘-기민 16대(2008년) 조르조 나폴리타노(2006년~2015년)둘째 임기는 2013년 4월 22일 부터. 25대 마리오 몬티(1943년~) 2011년 11월 16일 2013년 4월 28일 무소속2013년 이탈리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2013년 1월에 시민의 선택을 창당. 몬티 기술 정부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자민-민주-중련-이미자-동맹-급진-자운-내이민-자유-공화-자민-중동-사회-해이운련 16대(2008년) 조르조 나폴리타노(2006년~2015년)둘째 임기는 2013년 4월 22일 부터. 26대 엔리코 레타(1966년~) 2013년 4월 28일 2014년 2월 22일 민주당 내각 대연정민주-자민/신중우-시선-중련-이민-급진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사회-쥐민-트티자치-이민남련-해이운련-발련-민중-트련-민참행단 17대(2013년) 조르조 나폴리타노(2006년~2015년)둘째 임기는 2013년 4월 22일 부터. 27대 마테오 렌치(1975년~) 2014년 2월 22일 2016년 12월 12일 민주당 렌치 민주-신중우-시선-중련-연민-민중-사회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자자동-쥐민-트티자치-트련-이민남련-발련-동맹-귀이-해이운련 17대(2013년) 조르조 나폴리타노(2006년~2015년)둘째 임기는 2013년 4월 22일 부터. 28대 파올로 젠틸로니(1954년~) 2016년 12월 12일 2018년 6월 1일 민주당 젠틸로니 민주-신중우/민대-유중-연민-민중-사회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자자동-시선-해이운련-쥐민-트티자치-스알-발련-귀이-트련-이민남련-온건-LC-LPP 17대(2013년) 세르조 마타렐라(2015년~현재)둘째 임기는 2022년 2월 3일 부터. 29대 주세페 콘테(1964년~) 2018년 6월 1일 2019년 9월 5일 오성계 무소속 콘테 1기 오성-북동맹-해이운련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자유-사르행-자국운 18대(2018년) 세르조 마타렐라(2015년~현재)둘째 임기는 2022년 2월 3일 부터. 29대 주세페 콘테(1964년~) 2019년 9월 5일 2021년 2월 13일 오성계 무소속 콘테 2기 오성-민주-생이-자평-해이운련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사회-민중-쥐민-발련-트티자치-연수-민대-SF-유중-온건 18대(2018년) 세르조 마타렐라(2015년~현재)둘째 임기는 2022년 2월 3일 부터. 30대 마리오 드라기(1947년~) 2021년 2월 13일 2022년 10월 22일 무소속 드라기 오성-북동맹-전이-민주-생동-1항-+유-이우-민중이하 정당의 외부 지지:행동-용이-사회-중련-트티자치-쥐민-유중-신사회-그이-èViva-조헌-미시-온건-연수-사르행-캄우-해이운련-이민남련 18대(2018년) 세르조 마타렐라(2015년~현재)둘째 임기는 2022년 2월 3일 부터. 31대 조르자 멜로니(1977년~) 2022년 10월 22일 재임중 이탈리아의 형제들 멜로니 형제-동맹-전이 18대(2022년) 세르조 마타렐라(2015년~현재)둘째 임기는 2022년 2월 3일 부터. = 분류:유튜브 오리지널 프로그램 = = 요자령 = 요자령(, 1980년 11월 21일 ~ )은 홍콩의 배우이다. = 분류:지중해 수계 = = 틀:나라자료 광주 남구 = = 태시 (유송) = 태시(泰始)는 중국 송(宋) 명제(明帝)의 첫 번째 연호이다. 465년 12월에서 471년까지 6년 1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같은 시기에 사용된 다른 연호로는 북위(北魏)에서 사용한 화평(和平 : 460년 ~ 465년), 천안(天安 : 466년 ~ 467년), 황흥(皇興 : 467년 ~ 471년), 연흥(延興 : 471년 ~ 476년)이 있다. = = 개원 = = 경화(景和) 원년 12월 7일을사년(乙巳年) 12월 병인일(丙寅日)(466년 1월 9일)에 태시(泰始)로 개원함. = = 연대대조표 = = 태시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서력 465년 466년 467년 468년 469년 470년 471년 육십간지(六十干支) 을사(乙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북위(北魏) 화평(和平)6년 천안(天安)원년 2년황흥(皇興)원년 2년 3년 4년 5년연흥(延興)원년 = = 삭일(1일) = = 태시 원년(46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을미일(乙未日) 갑자일(甲子日) 갑오일(甲午日) 계해일(癸亥日) 계사일(癸巳日) 임술일(壬戌日) 임진일(壬辰日) 신유일(辛酉日) 신묘일(辛卯日) 경신일(庚申日) 경인일(庚寅日) 경신일(庚申日) 율리우스력 465년2월 12일 3월 13일 4월 12일 5월 11일 6월 10일 7월 9일 8월 8일 9월 6일 10월 6일 11월 4일 12월 4일 466년1월 3일 태시 2년(466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기축일(己丑日) 기미일(己未日) 무자일(戊子日) 무오일(戊午日) 정해일(丁亥日) 정사일(丁巳日) 병술일(丙戌日) 병진일(丙辰日) 을유일(乙酉日) 을묘일(乙卯日) 갑신일(甲申日) 갑인일(甲寅日) 율리우스력 466년2월 1일 3월 3일 4월 1일 5월 1일 5월 30일 6월 29일 7월 28일 8월 27일 9월 25일 10월 25일 11월 23일 12월 23일 태시 3년(467년) 1월 윤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계미일(癸未日) 계축일(癸丑日)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임오일(壬午日) 신해일(辛亥日) 신사일(辛巳日) 경술일(庚戌日) 경진일(庚辰日) 기유일(己酉日) 기묘일(己卯日) 무신일(戊申日) 무인일(戊寅日) 율리우스력 467년1월 21일 2월 20일 3월 21일 4월 20일 5월 20일 6월 18일 7월 18일 8월 16일 9월 15일 10월 14일 11월 13일 12월 12일 468년1월 11일 태시 4년(46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정미일(丁未日) 정축일(丁丑日) 병오일(丙午日) 병자일(丙子日) 을사일(乙巳日) 을해일(乙亥日) 을사일(乙巳日) 갑술일(甲戌日) 갑진일(甲辰日) 계유일(癸酉日) 계묘일(癸卯日) 임신일(壬申日) 율리우스력 468년2월 9일 3월 10일 4월 8일 5월 8일 6월 6일 7월 6일 8월 5일 9월 3일 10월 3일 11월 1일 12월 1일 12월 30일 태시 5년(469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윤11월 12월 삭일(음력) 임인일(壬寅日) 신미일(辛未日) 신축일(辛丑日) 경오일(庚午日) 경자일(庚子日) 기사일(己巳日) 기해일(己亥日) 무진일(戊辰日) 무술일(戊戌日) 정묘일(丁卯日) 정유일(丁酉日) 정묘일(丁卯日) 병신일(丙申日) 율리우스력 469년1월 29일 2월 27일 3월 29일 4월 27일 5월 27일 6월 25일 7월 25일 8월 23일 9월 22일 10월 21일 11월 20일 12월 20일 470년1월 18일 태시 6년(47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병인일(丙寅日) 을미일(乙未日) 을축일(乙丑日) 갑오일(甲午日) 갑자일(甲子日) 계사일(癸巳日) 계해일(癸亥日) 임진일(壬辰日) 임술일(壬戌日) 신묘일(辛卯日) 신유일(辛酉日) 경인일(庚寅日) 율리우스력 470년2월 17일 3월 18일 4월 17일 5월 16일 6월 15일 7월 14일 8월 13일 9월 11일 10월 11일 11월 9일 12월 9일 471년1월 7일 태시 7년(471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경신일(庚申日) 기축일(己丑日) 기미일(己未日) 기축일(己丑日) 무오일(戊午日) 무자일(戊子日) 정사일(丁巳日) 정해일(丁亥日) 병진일(丙辰日) 병술일(丙戌日) 을묘일(乙卯日) 을유일(乙酉日) 율리우스력 471년2월 6일 3월 7일 4월 6일 5월 6일 6월 4일 7월 4일 8월 2일 9월 1일 9월 30일 10월 30일 11월 28일 12월 28일 = = 관련항목 = = 다른 왕조의 같은 연호 서진(西晉) 태시(265년 ~ 274년) 중국의 연호 = 청소년 아시안 게임 = 청소년 아시안 게임(아시안 유스 게임, Asian Youth Games, AYG)은 14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이 참가하는 4년마다 열리는 국제대회이다. 제1회 청소년 아시안 게임은 청소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해서 싱가포르에서 열렸다. = = 역대 청소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 = = 연도 회 개최국 우승국 (금메달 수) 준우승국 (금메달 수) 3위국 (금메달 수) 2009년 I 2013년 II , 난징 2017년 2017년 , 함반토타 스리랑카 함반토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스리랑카 함반토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스리랑카 함반토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2021년 2021년 , 산터우 중화인민공화국 산터우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를 고려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중화인민공화국 산터우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를 고려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중화인민공화국 산터우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를 고려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취소됨. 2025년 IV , 타슈켄트 = = 경기 종목 = = 2009년 청소년 아시안 게임에서 시간 부족과 자금난으로 인해 싱가포르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는 종목의 수를 9개로 다듬었다. 그 중 8개는 정식 종목으로 수영/다이빙, 육상, 농구, 비치발리볼, 축구, 요트, 사격, 탁구이며 볼링은 추가 종목이다. = 빅블러 = 빅블러 (Big Blur)는 '경계융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좀 더 구체적인 정의는 '소비자 역할, 기업 관심사, 서비스 역할, 비즈니스모델, 산업 장벽, 경쟁 범위의 6가지 측면에서 동시다발적인 힘이 작용하며 생산자-소비자, 소기업-대기업, 온오프라인, 제품 서비스간 경계융화를 중심으로 산업/업종간 경계가 급속하게 사라지는 현상'을 뜻한다. 하나의 시대적 흐름으로 비즈니스영역에서 주요 경계가 사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는 자와 파는 자, 작은 것과 큰 것, 만질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서비스와 제품,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에서 다양한 혁신의 새로운 흐름이 일어나고 있음을 일컫는 말로 특히 최근 유통혁명, 금융혁명과 관련하여 빅블러를 주요한 현상 중 하나로 기업들이 받아들이고 대응하고 있다. 최초로 빅블러 (Big Blur)를 하나의 혁명으로 보고 언급하고 정의한 원전은 '당신이 알던 모든 경계가 사라진다(조용호 저, 2013년 출간, 미래의창)'이다. 이 책에서는 빅블러를 4차산업혁명 시대, 비즈니스모델 대충돌을 일으키는 현상이라는 맥락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과거와 빅블러 시대의 차이점을 아래처럼 소비자 역할, 기업 관심사, 서비스 역할, 비즈니스모델, 산업 장벽, 경쟁 범위의 6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구분 과거 빅블러 시대 소비자 역할 상품 구매, 제한적인 기업 활동 보조 기업 활동의 주요 영역에 참여 기업 관심사 고객과의 거래 고객과의 지속적 관계 서비스 역할 고객 서비스 차원 지속 성장 모델 비즈니스모델 동일 시장, 유사한 가치 및 접근 방식 시장 재정의, 차별화된 가치 및 접근 방식 산업 장벽 고유 영역의 업무 존재 산업간 경계 초월 경쟁 범위 단일 기업, 가치사슬간 생태계 중심으로 확대 해당 책의 내용은 코스닥저널 (2013년 6월 발간)에 스페셜 컬럼으로 게재되면서 금융권을 중심으로 이슈가 되며 이후 빅블러 (Big Blur)라는 용어 자체가 핀테크 혁명, O2O(온라인 오프라인 융합형) 혁명의 기저 변화로 받아들여지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분류:필리핀의 작가 = = 방송탑 = 방송탑(放送塔)은 방송용 신호를 보내는 탑 모양의 철 구조물로, 송신소 시설 중 하나이다.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남산에 위치한 N서울타워가 가장 유명하다. = 태양속의 남자 = "태양속의 남자"는 1994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경호 : 영표 역 강리나 : 선영 역 한영수 : 철민 역 김준우 김기종 염혜숙 안진수 송일동 (특별출연) = 분류:스웨덴에서 개최된 테니스 대회 = = 분류: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정치 = = 분류: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토씨 (소셜 네트워크) = 토씨(tossi)는 한국의 통신사 SK텔레콤이 2007년 설립한 유무선 연동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이다. 모든 이동전화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 외에도 유선은 물론 이동중에 무선으로 바로바로 글을 올릴 수 있고, 올린 글을 친구들에게 동시에 바로 전송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녀 당시 언론의 관심을 끌었다. 친구들과 관계지수(RQ)를 확인해보고 연락이 뜸했던 친구들을 챙기는 등 인맥관리를 할 수도 있다. 서비스 업체인 SK텔레콤은 "토씨의 공유포스팅 기능을 이용하면 친구의 토씨사이트에 동시 포스팅이 가능하고, 친구의 친구까지 포스팅을 전파할 수 있다"면서 "약속을 잡거나 지인들에게 널리 알려주고 싶은 글은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를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휴대전화 폰주소록과 네이트온 등의 메신저에 등록된 지인들을 토시 서비스로 연동, 이용자의 모든 인맥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지인의 관심사, 연락빈도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지인들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것이 '관계지수'로 나타난다. 그러나 2012년 10월 1일 SK플래닛이 서비스를 종료시켰다. = 튼살 = 튼살(, striae)은 좋지 않은 색조로 피부 위의 흉터가 형성되는 일이다. 팽창선조, 임신선(姙娠線)이라고도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해지지만 완전하게 사라지지는 않는다. 임신 기간 중 사용되는 크림이 튼살을 예방한다는 증거는 없다. 다양한 방식들이 시도되긴 했지만 분명하게 유용한 치료법은 없다. = = 역사 = = 고대 이래로, 임신부들은 임신 기간 중 튼살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법을 찾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둘 다 올리브 기름을 사용하였고, 에티오피아 사람들과 소말리족은 유향을 사용하였다. = 매곡리 = 매곡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매곡리(梅谷里)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梅谷里)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梅谷里)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梅谷里)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매곡리(梅谷里)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매곡리(梅谷里)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매곡리(昧谷里)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매곡리(梅谷里)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梅谷里)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매곡리(梅谷里)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매곡리(梅谷里) 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 매곡리(梅谷里)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每谷里)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매곡리(梅谷里)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매곡리(梅谷里) = 릴런드 H. 하트웰 = 릴런드 해리슨 하트웰(, 1939년 10월 30일 ~ )은 미국의 생물학자이다. 2001년에 세포 주기의 핵심 조절 인자를 발견한 공로로 팀 헌트, 폴 너스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 수상 경력 = = 1992년 : 가드너 국제상 1995년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1995년 : 딕슨상 과학 부문 1998년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2000년 : 매스리상 2001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분류:나라별 참전 군인 = = 분류:그리스어 인명 = = 최윤정 (기자) = 최윤정(1982년 7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TV조선 보도본부인 기자이다. = = 학력 = = 중앙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 = 경력 = = 2009년 SBS CNBC 아나운서 2012년 TV조선 보도본부 기자 TV조선 경제산업부 기자 = = 진행 = = = = = TV = = = 2010년 SBS 생활경제 연예뉴스 2010년 SBS CNBC 파워런치 TV조선 뉴스 12 뉴스와이드 참 TV조선 주말뉴스 토 TV조선 뉴스 (930) = 고흥군 (동음이의) = 고흥군은 다음을 가리킨다. 고흥군(高興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해안 고흥반도와 230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 = 선거구 = = 고흥군은 과거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고흥군 (1963년 선거구) - 전라남도 고흥군 (1963년 신설, 1973년 폐지) 고흥군 (1988년 선거구) - 전라남도 고흥군 (1988년 신설, 2004년 폐지) = 틀:행성 정보/해왕성 = = 라몬 칼데레 = 라몬 마리아 칼데레 델 레이(, 1959년 1월 16일, 카탈루냐 주 빌라-로도나 ~)는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최근 감독으로 활동했다. 다목적 미드필더였던 그는 주로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했으며, 라 리가 4시즌 동안 157번의 공식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바야돌리드와 베티스 소속으로도 스페인 1부 리그에서 활약한 적이 있다. 1980년대 중반 스페인 국가대표 선수였던 칼데레는 1986년 월드컵과 유로 1988에서 자국을 대표로 참가했다. 그는 은퇴 후 오랜 기간 감독일을 했지만 하부 리그에서 위로 올라오지는 못했다. = = 클럽 경력 = = 카탈루냐 주 타라고나 도 빌라-로도나 출신인 칼데레는 인근 바르셀로나 유소년부 출신으로, 2군에서 몇 년을 보냈다. 그는 1980-81 시즌에 바야돌리드로 임대되어 라 리가 첫 경기를 치렀지만, 그 해를 그리 성공적이지 못하게 보냈다.10 futbolistas que han jugado en Barça y Valladolid (바르사와 바야돌리드에서 활약한 축구인 10명); Mundo Deportivo, 2018년 8월 24일 (스페인어) 칼데레는 25세가 되어서 1군에 정식 승격되었고,Así invirtió el Barça el dinero de otras grandes ventas (이게 바르사가 다른 대형 매각을 통해 자금을 투자하는 방법이다); Diario AS, 2017년 8월 2일 (스페인어) 주전은 아니었지만 1군 승격 1년차에 소속 구단의 리그 우승을 도왔다. 3년 더 활약한 칼데레는 1988년 여름에 같은 1부 리그의 베티스로 본의 아니게 이적했고,Ramón: “Seré culé de por vida” (라몬: "저는 평생 엉덩이를 지지할 것입니다"); Mundo Deportivo, 1988년 9월 2일 (스페인어) 베티스 1년차에 소속 구단이 강등되었다.Apoteosis en Valencia (신바람 난 발렌시아); Mundo Deportivo, 1989년 6월 18일 (스페인어)No hubo milagre en Sevilla (세비야에서 기적은 없었다); Mundo Deportivo, 1989년 7월 3일 (스페인어) 1993년, 칼데레는 34세에 고향 카탈루냐 연고의 하부 리그 산트 안드레우에서 은퇴했고, 이후 감독일을 시작해 주로 지역 하위 구단 감독을 맡았다: 프레미아를 두 번 맡았고, 코르넬랴, 가바, 카스텔데펠스, 바달로나, 세우타, 레우스, 테루엘, 팔렌시아, 그리고 부르고스를 지휘했다.Qué fue de... Calderé (무슨 일이... 칼데레에게 일어났나); La Liga, 2013년 11월21일 (스페인어) 2008년 6월, 레우스의 임기에 그는 상고네라 아틀레티코와의 경기 도중 민병대원을 가격한 혐의로 체포되었다.Calderé, detenido por la Guardia Civil (칼데레, 민병대원에게 체포); Mundo Deportivo, 2008년 6월 2일 (스페인어) 국내 하위 리그 구단을 전전한 것 외에도, 칼데레는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의 신트-트라위던의 수석 코치를 맡아 같은 스페인 출신인 틴틴 마르케스 감독을 보좌한 적도 있다.'Tintín' Márquez i Ramon Calderé dirigiran el St. Truiden belga ('틴틴' 마르케스와 라몬 칼데레, 벨기에 신트 트라위던 감독 맡는다); Ara, 2017년 6월 22일 (카탈루냐어) = = 국가대표팀 경력 = = 칼데레는 스페인 국가대표팀 경기에 18번 출전했고, 1986년 월드컵에 출전하여 3-0으로 이긴 알제리와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2번 득점을 올렸다. 그의 첫 국가대표팀 경기는 1985년 4월 30일, 0-3으로 렉섬에서 패한 웨일스와의 1986년 월드컵 예선전 경기였고,Gales, espectacular y potente, goleó a España (강력하고 화려했던 웨일스, 스페인 대파); El País, 1985년 5월 1일 (스페인어) 이후 그는 유로 1988에도 차출되었지만, 출전하지는 못했다. 칼데레는 1986년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연령 초과 선수로, 부상당해 결장한 결승전을 제외하고 자국 U-21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거둘 수 있도록 도왔다.Ramón Vázquez García; El País, 1986년 10월 28일 (스페인어)¡¡¡Campeones!!! (우승이다!!!); Mundo Deportivo, 1986년 6월 30일 (스페인어) = = = 1986년 월드컵 = = = 칼데레는 멕시코에서 열린 1986년 월드컵에서 물갈이로 앓아 국가대표팀 의료진으로부터 항생제를 처방받았다. 그는 북아일랜드전 승리 후 도핑을 받아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나, 칼데레는 의료진이 그의 탈수 문제를 막기 위해 약을 처방했다 항의하여 제재를 면했다.그는 이어지는 알제리전에서 2골을 성공시켰다.¿Sabías cuál fue la “lesión” más temida en los mundiales de México? (멕시코 월드컵에서 가장 두려운 부상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 Diarios de Fútbol, 2007년 5월 9일 (스페인어) = = 감독 통계 = = 2019년 1월 20일 기준 구단 및 임기별 감독 기록 구단 국적 취임 해임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구단 국적 취임 해임 프레미아 1997년 7월 1일 1998년 6월 30일 38 13 8 17 50 50 0 34.21 코르넬랴 1998년 7월 1일 2000년 6월 30일 82 45 21 16 151 76 +75 54.88 가바 2000년 7월 1일 2001년 6월 30일 44 23 13 8 83 45 +38 52.27 카스텔데펠스 2002년 1월 1일 2002년 6월 30일 20 7 9 4 33 27 +6 35.00 바달로나 2002년 7월 1일 2005년 6월 30일 127 62 36 29 187 118 +69 48.82 세우타 2005년 7월 1일 2006년 3월 13일 30 5 18 7 22 23 −1 16.67 프레미아 2006년 7월 1일 2007년 6월 30일 38 11 10 17 40 58 −18 28.95 레우스 2007년 7월 1일 2009년 6월 30일 81 42 22 17 142 80 +62 51.85 테루엘 2009년 7월 1일 2011년 5월 28일 80 43 20 17 128 64 +64 53.75 팔렌시아 2011년 7월 1일 2012년 6월 23일 41 13 11 17 36 50 −14 31.71 부르고스 2012년 6월 23일 2014년 6월 13일 79 44 14 21 127 67 +60 55.70 카스테욘 2014년 10월 30일 2015년 10월 19일 45 20 15 10 64 38 +26 44.44 — 올로트 2016년 6월 1일 2017년 6월 3일 40 25 9 6 75 39 +36 62.50 살라망티노 2017년 10월 16일 2018년 2월 9일 15 6 4 5 21 15 +6 40.00 — 바달로나 2018년 7월 9일 2019년 1월 22일 22 5 7 10 19 25 −6 22.73 합계 합계 합계 합계 782 364 217 201 1,178 775 +403 46.55 — = = 수상 = = = = = 선수 = = = 라 리가: 1984–85 코파 델 레이: 1987–88 세군다 디비시온 B: 1991–92 = = = 감독 = = = 테르세라 디비시온: 2000–01 테르세라 디비시온: 2009–10 테르세라 디비시온: 2014–15 = 샐리 호킨스 = 샐리 호킨스(Sally Hawkins, 1976년 4월 27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2002년 마이클 리의 전부 아니면 무에서 영화 데뷔를 했다. 리와의 작품 활동을 계속하며, 베라 드레이크 (2004)에서 조연으로, 해피 고 럭키 (2008)에 출연하며, 골든 글로브상 코미디 뮤지컬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과 제5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또한 메이드 인 다겐함 (2010), 패딩턴 (2014)에도 출연했다. 카산드라 드림 (2007)과 아카데미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르게 해준 블루 재스민 (2013)등 우디 앨런 영화 두 편에도 출연했다. 2016년 내 사랑에 출연했다. 2017년에 그녀는 패딩턴 2에서 메리 브라운 역으로 재출연했으며, 세계적으로 극찬을 받은 판타지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에 엘라이자 에스포시토라는 주연을 맡으며, 아카데미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호킨스는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작품에 출연하며 연극 배우로 경력을 시작했고, 줄리엣, 헛소동, 한여름 밤의 꿈에 출연했다. 그녀는 런던의 로열 코트 극장등 연극 무대에 출연했고, 2010년에는 워렌 부인의 직업에 출연하며 브로드웨이 데뷔를 했다. = = 출연작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02 전부 아니면 무 All or Nothing 서맨사 2003 바이런 Byron 메리 셸리 TV 영화 2004 베라 드레이크 Vera Drake 수전 웰스 2004 레이어 케이크 Layer Cake 슬래셔 2006 할로우 차이나 Hollow China 호머 단편 2006 반짝반짝 빛나는 내 마음의 구멍 Shiny Shiny Bright New Hole in My Heart 내털리 TV 영화 2006 H. G. 웰스의 우주 전쟁 H. G. Wells: War with the World 리베카 웨스트 TV 영화 2007 설득 Persuasion 앤 엘리엇 2007 카산드라 드림 Cassandra's Dream 케이트 2007 워즈 WΔZ 엘리 카펜터 2008 해피 고 럭키 Happy-Go-Lucky 포피 크로스 2009 언 에듀케이션 An Education 세라 골드먼 2009 데저트 플라워 Desert Flower 메릴린 2009 해피 에버 애프터스 Happy Ever Afters 모라 2010 멋진 사후세계 It's a Wonderful Afterlife 린다 2010 네버 렛 미 고 Never Let Me Go 루시 2010 메이드 인 다겐함 Made in Dagenham 리타 오그레이디 2010 서브마린 Submarine 질 테이트 2011 러브 버즈 Love Birds 홀리 2011 제인 에어 Jane Eyre 리드 부인 2012 위대한 유산 Great Expectations 조 부인 2013 올 이즈 브라이트 All Is Bright 올가 2013 블루 재스민 Blue Jasmine 진저 2013 더블: 달콤한 악몽 The Double 직원 카메오 2013 폰 콜 The Phone Call 헤더 단편 2014 고질라 Godzilla 비비엔 그레이엄 2014 네이든 X+Y 줄리 엘리스 2014 패딩턴 Paddington 메리 브라운 2016 내 사랑 Maudie 모드 루이스 2017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The Shape of Water 일라이자 에스포지토 2017 패딩턴 2 Paddington 2 메리 브라운 2019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Godzilla: King of the Monsters 비비엔 그레이엄 2019 이터널 뷰티 Eternal Beauty 제인 2021 스펜서 Spencer 매기 2021 오픈의 유령 The Phantom of the Open 진 플릿크로프트 2021 크리스마스로 불리는 소년 A Boy Called Christmas 보돌 2023 웡카 Wonka 웡카의 엄마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1999 캐주얼티 Casualty 에마 리스터 "To Have and to Hold" 에피소드 2000 닥터스 Doctors 세라 칸 "Pretty Baby" 에피소드 2002 벨벳 애무하기 Tipping the Velvet 지나 블레이크 2003-05 리틀 브리튼 Little Britain 캐시 3회분 출연 2005 핑거스미스 Fingersmith 수전 트린더 미니시리즈 2005 하늘 아래 2만 개의 거리 Twenty Thousand Streets Under the Sky 엘라 미니시리즈 2011 리틀 크래커 Little Crackers 머미 "Barbara Windsor's Little Cracker: My First Brassiere" 에피소드 = 분류:양서류 = = 메들린 = 메들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메들린 클라인: 미국의 배우, 모델 메들린 더치: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 시모마키세 나츠키 = 下牧瀬菜月 시모마키세 나츠키 下牧瀬菜月(, 1988년 11월 11일 ~ )는 일본의 여성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 = 내력 = = 조이풀이라고 하는 체인 레스토랑에서 업무를 보며 클럽에서 DJ 일을 하다가 뒤늦게 종합격투기의 매력에 빠져들어 여가 시간을 이용해 체육관에 다니기 시작했다.로드FC 029 이예지의 상대 시모마키세 나츠키..., 정윤하 칼럼. 2016.02.19 2015년 8월 딥 쥬얼스 9 대회에 출전, 전 딥 쥬얼스 스트로급 챔피언 출신의 베테랑 도미마츠 에미를 상대로 프로 데뷔했고 현격한 실력 차를 보이며 서브미션 패 했다.Deep: Jewels 9, Tapology. 2015년 9월 전 일본 슈토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 출전, 여성부 플라이급(-56.7 kg)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All Japan Amateur Shooto】決め手はTD+コントロール。女子バンタム級は高森、フライ級は下牧瀬が優勝, MMAPLANET. 2015.09.22 2015년 12월 판크라스 274 대회에서 예외적으로 치러진 메인카드 여성부 아마룰 경기에서 하마다 리카에게 서브미션 패 했다.Pancrase 274, Tapology. = = 전적 = = 프로페셔널 승패 누적 전적 상대 승부 방식 라운드 수 종료 시간 대회명 개최날짜 장소 비고 패 1–1–0 이예지 서브미션(암바) 2R 03:49, 1R ROAD FC 029 2016.03.12 원주 원주종합체육관 46 kg 계약체중 매치, 메인카드 패 0–1–0 도미마츠 에미 서브미션(암바) 2R 02:43, 1R Deep: Jewels 9 2015.08.29 도쿄 디퍼 아리아케 아톰급 매치, 메인카드 아마추어 승패 누적 전적 상대 승부 방식 라운드 수 종료 시간 대회명 개최날짜 장소 비고 패 1–1–0 하마다 리카 서브미션(리어네이키드 초크) 3R 02:11, 2R Pancrase 274 2015.12.19 후쿠오카 기타큐슈 아톰급 매치 승 1–0–0 히로세 사토미 판정(메조리티) 2R 2R 종료 22nd All-Japan ASC 2015.09.22 가나가와 플라이급 결승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카를로스 마르티네스(1991년 ~ )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이다. 카를로스 마르티네스(1999년 ~ )는 코스타리카의 축구 선수이다. = 티키테레 = 티키테레(Tikitere), 더 잘 알려진 이름으로 헬스 게이트(Hell's Gate, 지옥의 문)는 뉴질랜드 로토루아 로토루아 호수 근처에 있는 지열지대이다. 이곳은 뉴질랜드 로토루아에서 가장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이화산, 머드팟, 온천 등 다양한 화산 활동 요소들이 나타난다. 또한 마오리 족의 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고, 관광객들은 진흙 목욕 등의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 = 개요 = = 이곳은 약 10,000년전 일어난 지열 폭발(Geothermal Eruption)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분출은 로토루아 칼데라의 분출 중 하나였고, 로토이티 호수도 형성되었다. 그리고 가스와 열수가 대량 분출하며, 지금의 티키테레를 만들어냈다. 이곳에서는 마오리 족의 문화와 역사, 온천욕, 진흙목욕을 즐길 수 있다. 대부분의 요소에는 지옥, 악마 등의 공포스런 이름이 붙어있다. = 분류:곤고급 구축함 = = 근세 = 근세(近世, early modern period)는 서양의 중세와 근대 사이의 시기이다. 이를 다시 근세와 근대로 나누기도 하며, 근대는 대개 영국 산업 혁명 이후부터 20세기 초반(주로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가리키며, 근세는 그 이전을 일컫는다. = = 개요 = = 서구의 중세 봉건사회는 로마 교회의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강력한 정신적 공동체로 그 명맥을 이어왔으나 수차에 걸쳐서 감행된 십자군 원정 이래 로마 교회의 권위와 위신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또한 십자군 운동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상업의 부활과 도시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상업의 발달은 화폐의 통용을 가져왔고 화폐경제의 대두는 필연적으로 농업을 주로 하는 봉건사회 내부에 변화를 일으켰다. 즉 봉건 지대(地代)의 금납화(金納化) 과정이 도처에서 실시됨으로써 장원제를 서서히 해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정치적인 측면에서 15-16세기 유럽을 개관해 보면 소위 근대적 국민국가가 탄생한 시기이기도 하다. 영국은 프랑스와의 백년전쟁을 하는 동안 싹이 튼 강렬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의지를 하나로 묶을 수가 있었으며, 봉건제후(封建諸侯) 사이에 벌어졌던 장미 전쟁을 계기로 왕권을 강화시키는 데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하여 튜더 왕조가 성립되었던 것이다. 15-16세기는 정치·경제면만의 변혁기가 아니었고, 정신적으로도 커다란 혁명을 일으킨 시기이기도 하다. 서양 근대문화의 모체가 된 문예 부흥 운동은 인간의 정신활동 모든 분야에서 전개되었지만 그 중심 사상은 특히 미술과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르네상스의 근본정신은 현세를 존중하는 인간중심적인 사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탈리아는 십자군 운동 이래 동방무역의 중심지가 되어 부의 축적과 병행하여 외부로부터 정신적인 영향을 어느 국가보다 먼저 받았으며, 14세기 중엽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 운동이 발흥하였고, 16세기 중엽까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한편 16세기 초엽 독일에서는 인문주의자와 신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중세 로마 교회의 미신적 교리와 교권에 항거하고 초대 교회의 정신으로 복귀하기 위한 개혁 운동을 전개했다. 이와 같은 개혁운동은 보헤미아의 후스, 영국의 위클리프를 거쳐 마침내 루터에 이르러 실현을 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제네바의 칼뱅과 스위스의 츠빙글리 등은 각각 타당한 명분을 내걸고 로마 교회와 대결하여 개혁운동을 촉진시켰다. 이 개혁 운동은 단순히 로마 교회에 대한 항거라는 차원에서 끝나 버린 것이 아니고 정치·경제·사회 각 방면의 개혁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 서아시아에서는 티무르(Timur)가 나타나 차가타이 한국·일 한국과 오스만 투르크를 정복한 다음 강대한 국가를 수립하였으나 얼마 안 가서 티무르는 죽고 말았다. 그의 제국도 분열되고 티무르 제국에서 벗어난 오스만 투르크는 소아시아 방면에서 강력한 신흥국가로 등장하여 소아시아 지역을 휩쓸었다. 1453년 메흐메트 2세 때에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공략하였다. 1000여 년간 지속되어 오던 동로마 제국도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오스만 투르크는 세력을 계속 신장시켜 16세기 초에는 발칸반도 전역을 복속시켰다. 그래서 1517년 오스만 투르크의 술탄(Sultan, 황제)이 이슬람 세계의 칼리프로 군림하던 무렵에는 그 막강한 세력으로 서유럽을 위협함으로써 새로운 위기를 조성시켰다. 이 무렵 인도에서는 티무르 제국이 성립한 후 토후국(土侯國)으로 분열상태를 계속해 오다가 티무르의 후계인 바벨(Babel)이 델리 정권을 타도한 다음 무굴 제국을 건설하였다. 14세기 중엽부터 원조(元朝)의 정치세력이 쇠약해진 틈을 타서, 오랫동안 그 압제 하에서 신음하던 한족(漢族)은 반란을 일으켜 몽골족을 다시 사막으로 추방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명(明)은 중앙집권 국가를 수립하자 즉시 한민족(漢民族)의 중흥과 한문화의 재건에 착수하였다. 영락제는 북원의 잔존세력을 소탕하고 남방에는 정화를 파견, 명의 국위를 널리 선양하였다. 그러나 명조(明朝)도 중기에 이르자 대외적으로는 소위 북로남왜(北虜南倭)로 곤경에 빠지게 되고 대내적으로 환관의 횡포와 당파싸움에 국세는 차츰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만주에서 일어난 여진족에 의해서 멸망하였다. = = 유럽의 근세 = = = = = 프랑스와 영국의 왕권 강화 = = = 백년전쟁은 그것이 단순히 왕위 계승이나 플랑드르 쟁탈을 에워싼 100년 간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프랑스 출신 영국 왕실이 프랑스 국내에 갖고 있는 봉토에 대한 지배권(知行權)을 둘러싸고 되풀이된 영국·프랑스 사이의 고질적인 분쟁의 계속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양국이 봉건제도를 극복하고 국가의 민족적 통일을 성취하는 때에 해당하며 영국·프랑스의 봉건적 제세력을 많이 동원함으로써, 특히 프랑스에 있어서는 국내 봉건 제후 내부의 투쟁이기도 하였으며, 제후의 몰락과 왕권의 신장, 국민 의식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하였다. 프랑스에서는 샤를 7세, 루이 11세, 샤를 8세에 의한 전후 재건을 통해서 왕권이 정비되었다. 영국에서 전후 또다시 제후, 기사들을 휘말아버린 30년에 걸친 내전인 장미전쟁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 등장하는 튜더 왕조의 헨리 7세에 의해 영국 절대주의가 등장하였다. = = = 르네상스 = = = 영국, 프랑스에 왕권이 신장되고 있던 시대에 독일과 함께 이탈리아는 분열 상태가 계속되었고 남부에서 나폴리 왕국, 중부에서 로마 교황령, 북부에서는 십자군 이후 동방 무역으로 이익을 거둔 도시가 주변 농촌까지도 지배하에 두고 도시 국가로 번영하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등 북부 이탈리아의 도시 공화국을 무대로 부유한 상인층을 기수로 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전개되었다. 이탈리아는 당시 동방 무역을 통해서 이슬람의 문화나 고대와 고전의 학문·예술 등이 유입되고 있었으며, 고대 로마의 옛 영토로서 유적과 유물에 접하는 기회가 풍부하였다. 유럽 중세의 신에 대해 고대 그리스·로마의 인간이 대치되어 피안적(彼岸的)이 아니고 차안적(此岸的)·개인주의적이며 현실주의적인 생의 약동에 찬 문화가 시민 계급에 의해 이 곳에서 창조되기에 이르렀다. 단테는 신곡을 써 르네상스의 선구가 되었고, 페트라르카, 조반니 보카치오가 문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한편 르네상스 예술은 조토 디 본도네에서 시작해 보티첼리를 거쳐 레오나르도, 라파엘로, 미켈란젤로가 출현하여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즈음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써서 분열하고 있던 이탈리아의 통일을 호소하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알프스를 넘어 북방 서구 여러 나라에 파급되고, 제각기 나라별로 독자적인 형태를 취하면서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러나 그것은 이탈리아의 단순한 모방 따위는 아니다. 네덜란드나 남독일과 같이 도시를 기반으로 하면서 때로는 프랑스·에스파냐·영국처럼 왕권에 의한 국가 통일을 배경으로 르네상스는 싹터 가고 있었다. 예를 들면 네덜란드의 경우와 같이 벌써 15세기 초에 반 에이크 형제에 의한 사실적인 풍경화·초상화가 뒤의 플랑드르파의 기초를 만들고 있었으며, 반대로 형제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유화법은 베네치아의 화가를 통하여 이탈리아로 전해졌다. 영국에서는 위클리프의 성서 영역,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를 통해서 영국 국민 문학의 토대가 마련되어 있었다. 더욱이 서구 여러 나라의 르네상스는 깊은 종교성 속에서 전개되었고, 특히 그 휴머니즘은 그리스어, 히브리어 원전(原典)에 의한 성서 연구를 통해서 종교개혁 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남북 유럽을 연결시키는 상업의 중심지이며 모직물 공업이 왕성한 네덜란드에서는 농민의 생활을 밝게 묘사한 브뤼헐이나 시민의 세계를 묘사한 루벤스, 렘브란트 등이 활동하였다. 16세기 최대의 휴머니스트라고 불린 에라스무스는 신약성서를 그리스어 원전으로 연구하고 치우신 예찬에서 교회의 부패를 풍자했다. 독일에서 르네상스는 종교성으로 짙게 채색된다. 로이힐린, 멜란히톤의 인문주의적인 성서 연구, 뒤러의 회화가 그렇다. 프랑스에서는 궁정의 보호 아래 라블레의 가르강튀아 이야기나 몽테뉴의 수상록 등 예리한 풍자 정신으로 일관된 작품이 만들어졌다. 국가 통일과 해외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었던 에스파냐에서는 세르반테스가 돈 키호테에서 몰락해 가는 기사계급을 풍자하며 인간을 추구한다. 절대주의 체제하의 영국에서는 토머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썼으며, 프랜시스 베이컨이 경험론 철학의 기초를 만들어 놓았으며, 셰익스피어가 많은 걸작을 남겼다. = = = 종교 개혁 = = = 독일에서는 13,14세기 이래 영방국가 체제가 더욱 진전되고 성속(聖俗)의 제후나 도시는 자립했으며 국내의 분열은 점점 심해져 갔다. 쇠퇴해 가고 있던 교황권은 국가적 통일의 약한 부분에 기생할 수밖에 없었다. 교황 레오 10세에 의한 면죄부의 판매가 독일을 목표로 한 것도 그와 같은 사정에 의한다. 이 면죄부 판매에 반대한 루터의 95개 조항의 논제 발표(1517)와 함께 종교개혁(Reformation)이 시작되었다. 봉건사회의 해체가 늦어진 독일에서도 농민의 계층 분화가 진행되고 해방을 요구하는 농민들은 15세기 이래 농민 폭동으로 번지기 시작하였으며, 루터의 개혁에서 그들의 사회적 해방을 기대하였다. 1524년과 1525년 뮌처의 민중적인 설교를 신봉한 서남 독일의 농민들은 격렬한 농민전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루터에게 격려되어 태세를 정비한 제후들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였고, 더욱이 이들은 종교개혁을 정치 대립에 이용했다. 1529년의 슈바이엘 국회에서 황제에게 항의한 루터파의 제후들은 이듬해 동맹을 맺어 황제와의 대립을 더욱 심화시켰고 슈말칼덴 전쟁을 벌였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는 제후나 도시에게 루터파 신앙을 인정함으로써 영방 지배 체제를 종교면에서 확인한 것에 불과하였으며, 독일은 결국 영방국가 체제의 강화, 따라서 국가의 분열은 더욱 심화되었다. = = = 지리상의 발견 = = = 12,13세기에 봉건사회의 완성과 더불어 유럽 세계는 밖으로 향해서 팽창·확대를 시작했다. 동남방으로 향해서 십자군이, 서남방에는 이베리아 반도의 국토 회복이, 동방에는 동독일 식민이 있었다. 이 유럽의 팽창·확대의 전개로서, 15세기 말의 지리상의 발견을 볼 수 있다. 동방에 대한 동경에 곁들여 십자군 이래 이슬람 상인을 매개체로 한 동방 무역의 유리함에 눈뜬 유럽 여러 나라는 오스만 투르크의 발전으로 무역이 방해를 받았으므로 인도에 이르는 항로의 개발을 기도하였다. 14,15세기에 동방 무역으로 번영한 북이탈리아 도시가 아니라 이슬람과의 국토 회복 전쟁을 통해서 강력한 왕권하에 통일국가를 형성해 가고 있던 이베리아 반도의 국가인 에스파냐, 포르투갈이 지리적 위치를 이용하여 그 선두에 섰다. 헨리 항해왕 밑에서 착실하게 아프리카 서해안의 탐험을 해 나가던 포르투갈에서는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에 도달하였으며(1488), 그 후 1498년에 바스코 다 가마에 의해 마침내 인도에 도달했다. 에스파냐에서는 이슬람 최후의 거점인 그라나다를 함락시킨 1492년 콜럼버스가 단번에 신대륙 아메리카를 발견했다. = = = 신대륙 식민 = = = 신대륙의 식민 활동은 15세기 말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계기로 유럽의 여러 민족이 건너가, 원주민 인디언의 문명을 멸망시키고 유럽 문명과 사회를 이식시킴으로써 비롯되었다. 에스파냐는 16세기 말까지 브라질을 제외한 모든 라틴아메리카를 점령했다. 에스파냐가 식민지를 경영한 목적은 금·은의 채굴이었으며, 국왕의 직할 지배 아래 영위되었다. 네덜란드는 서인도 제도, 기아나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다시 맨해턴섬과 허드슨 강변에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건설했다. 1621년에 서인도회사를 설립하여 무역 활동을 했다. 프랑스는 17세기에 캐나다에 진출하여 루이 14세 시대에 미시시피강 일대에 광대한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건설했다. 프랑스의 식민 활동은 모피 무역과 가톨릭의 포교를 주로 한 것으로, 인구도 적은데다, 국왕의 직접 지배하에 두고 있었다. 영국의 식민 활동은 1497년 존 카보트의 북아메리카 동안(東岸), 체서피크만 부근의 탐험으로 시작되었는데, 실제의 식민 활동은 엘리자베스 1세 시대였다. 1606년 제임스 1세는 버지니아 회사(런던 회사)와 플리머스 회사에 특허장을 주어 식민과 무역에 관한 독점권을 인정했다. 버지니아 식민지가 1707년에 제임스 하구에 건설되어 태평양으로 나가는 방향이 탐색되었다. 제임스 1세의 국교 강제를 피하여, 청교도들이 종교나 정치의 자유를 찾아 북아메리카에 이주하여 뉴잉글랜드 식민지의 건설이나 가톨릭 교도의 메릴랜드나 찰스 2세의 특허장에 의한 영주(領主) 식민지인 캐롤라이나 식민지 등 1732년까지 13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이들 영국 식민지는 견실한 농업 식민이 주이며, 인구도 많고 건전한 발달을 했다. = = 아시아의 근세 = = = = = 중국 = = = 약 1세기에 걸친 이민족 왕조인 원(元)의 지배하에서 정치 사회적으로 가혹한 민족 차별을 받아 왔던 한족은 14세기 중엽, 원 왕조의 내부 분열에 의한 지배력의 약화에 편승하여 민족적 반항을 개시했다. 그 반항의 중심이 된 것은 홍건군(紅巾軍)이라 자처하는 백련교도(白蓮敎徒)였는데, 이 홍건군에 참가한 빈농 출신의 주원장(朱元璋)이 마침내 두각을 나타내어 양쯔강 하류 지역의 경제력을 수중에 넣고 군웅을 굴복시켜 명나라를 건국하고 제위에 올라, 원을 북방으로 쫓아 중국을 통일했다. 그는 수도를 남경(南京)으로 정하고 정치 기구의 개혁과 농촌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여 황제 독재제를 주축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확립했다. 홍무제가 내정에 중점을 둔 데 반해서 적손(嫡孫)인 건문제(建文帝)를 물리치고 즉위한 영락제(永樂帝)는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기고 또한 몽골 원정을 반복하고 남해 원정을 하는 등 대외 적극 정책을 취했다. 그러나 그 후의 황제에는 범용한 자와 연소자가 많아서 관료의 당쟁이나 환관의 전횡이 격심해졌다. 15세기에는 북방에서 서몽골의 오이라트가 침입하여 명 왕조에 타격을 가하고 안으로는 농민폭동인 등무칠의 난(鄧茂七의 亂)이 일어나서 사회 모순이 드러나게 되었다. 16세기가 되자 소위 북로(北虜), 남왜(南倭)의 침공이 심해져서 명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기초가 흔들렸다. 이 때 장거정(張居正)이 나와 정치 개혁을 실시하여 재정을 바로잡았으나 그의 사후 다시 정치는 흔들려서 동림(東林)과 비동림의 당쟁이 격화되고 환관이 세력을 제멋대로 휘둘렀다. 한편 명대에는 사회적·경제적으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명초는 자급자족의 현물경제가 중심이었으나 영락제가 북경에 천도한 데 기인한 경제적 중심(강남 지방)과 정치적 중심의 분리는 상인의 활동을 환기시켜서 차차 화폐인 은의 유통을 활발하게 했다. 이리하여 명 중엽이 되자 농민 사이에 면화와 뽕나무를 중심으로 하여 상품 작물의 재배가 보급되어 양쯔강(揚子江) 하류 삼각주 지대에는 양잠업이나 면직물업·견직물업 등의 수공업이 발달했다. 이 밖에 복건(福建)의 쪽(藍) 재배나 제당·제지업, 경덕진(景德鎭)의 도자기업, 광동(廣東)의 제철업 등 각종 수공업이 발달하였고, 명말에는 감자·옥수수·땅콩·담배 등의 재배도 시작되었다. 상품 생산이 왕성해지자 대(大)상인의 전국적 거래도 활발해져서 시장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한편 농민은 더욱 화폐경제에 휘말려 농민의 가내 부업으로서의 수공업은 상인의 지배를 강하게 받았다. 그러나 농촌 수공업의 전개는 그 때까지 고립 분산된 농촌 사회에 갇혀 있던 다수 하층 농민을 직접 간접으로 국내 시장에 결부시켜 자기들의 사회적 입장에 대한 자각을 눈뜨게 했다. 여기에서 새로운 농민운동이나 직공(職工)운동이 전개되었다. = = = 한국의 근세 = = = 한국의 경우 조선의 건국인 1392년에서 흥선대원군 집권기인 1863년까지로 보는 견해가 있다. = = = 일본 = = = 교토를 초토화한 오닌·분메이의 난이 종식한 1477년부터, 기나이는 오다씨(織田氏), 그리고 주고쿠은 모리씨(毛利氏), 도고쿠(東國)는 호조씨(北條氏)에 의해서 거의 통일되는 16세기의 70년대에 이르는 약 1세기를 센고쿠 시대라고 한다. 전반인 약 50년 간은 오닌의 난 이후 교토에서 귀국한 슈고 다이묘가 일족, 가신 및 고쿠진들과 항쟁하여 급속도로 몰락하는 과정이며, 또한 후반의 50년은 슈고 다이묘로부터 하극상에 의해서 권력을 빼앗은 신흥 센고쿠 다이묘에 의한 통일을 위한 쟁패의 과정이다. 센고쿠 시대는 일본 역사상 가장 변동이 심했던 시대의 하나인데, 이와 같은 변동은 무로마치 시대 이래 전진해온 사회의 생산력 발전에 대응할 수 없게 된 낡은 정치·경제 체제를 급속도로 붕괴시키고, 새롭고 강력한 지배체제로 재편성한다는 성격의 것이었다. 센고쿠 다이묘는 일족이나 고쿠진을 가신으로 삼고, 나아가서 촌락의 토착 무사(地侍·土豪)를 군사 조직화하여 본성(本城)-지성(支城)을 주축으로 하는 정치·군사 체제를 강화하고, 가신이나 농민·수공업자를 통제하기 위한 법을 마련했다. 또한 항상 영토 내의 생산력에 비해서 과대한 군사력을 가졌기 때문에, 대외적으로는 팽창책을 취하여, 평화적·군사적 수단에 의한 영토 확장을 계속하였다. 한편에서는 부국 강병책을 위한 영국(領國) 내의 산업 발전에 주력하여 용수(用水)나 축제(築提) 등의 토목공사와 병행하여 경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광산개발·교통제도가 정비되었다. 각지에 6재시(六齋市:월 6회의 정기 시장)가 발달하여 대체로 상·공·농업 등의 산업·경제면에서 활기가 있는 시대였다. = = = 동남아시아 = = = 이 시기 포르투갈, 에스파냐가 동남아시아에 진출하였다. 한편 그들을 맞는 동남아시아의 배경은, 반도에서 안정된 정권은 타이의 아유타야 왕조였으며, 캄보디아는 이 왕조에 침식당하여 마침내 앙코르를 버리고 프놈펜에 중심을 옮겨 완전히 힘을 잃었다. 말라카 해협에는 14세기 말에 말라카 왕국이 형성되어 동남아시아에서는 최초의 이슬람교국이 되었으나 얼마 못 가서 포르투갈에 멸망하였다. 15,16세기의 도서(島嶼) 지역은 통일이 결여된 시기여서 자바 북부의 데마크나 수마트라 서북 연안의 아츄 등 항구가 번영하기 시작하였다. = 섹스투스 아티우스 수부라누스 = 섹스투스 아티우스 수부라누스 아이밀리아누스 (Sextus Attius Suburanus Aemilianus), 흔히 줄여서 수부라누스는 로마의 에퀴테스로, 트라야누스가 로마 황제 자리를 굳건히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래 갈리아 벨기카의 프로쿠라토르였던 수부라누스는 98년에 친위대라고 알려진 로마 황제 근위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트라야누스의 통치기 때 이 친위대를 이끌었다.John D. Grainger,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London: Routledge, 2003), pp. 111f 그의 공적에 대한 치하로써, 친위대 사령관 말년에, 수부라누스는 원로원 계급인 inter praetores로 선정되었고, 그 뒤에는 서기 101년에 퀸투스 아르티쿨레이우스 파이투스의 동료 집정관 (consul posterior)인 보좌집정관을 맡았다.Alison E. Cooley,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p. 467 수부라누스에게 항상 차고 다녀야 되는 친위대 사령관의 검을 건내줄 때, 트라야누스는 칼집에서 그 칼을 뽑아 그에게 건내주고 말하였다 "만일 내가 잘 다스린다면, 이 검을 나를 위해 써라. 내가 잘못 다스린다면, 이 검을 나에게 써라."카시우스 디오, 68.16 = = 생애 = = 에퀘스로서 그의 쿠르수스 호노룸은 시리아 바알벡 (오늘날 레바논)에 놓여진 비문에서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다. 수부라누스의 가장 초기 직책은 프레펙투스 파브룸이라 알려져 있다. 그 다음은 보조군 기병대 코호르스 ala Taurina의 프레펙투스이며, 타키투스는 이 부대가 서기 69년 봄 초에 이탈리카 제1군단과 같이 루구두눔에 있었다고 언급한다.타키투스, 편년사 I.52, 64 로널드 심은 이를 통해 수부라누스가 "Voltinia" 트리부누스에 속했고, 그가 "황제위 주장자 술피키우스 갈바 편에서 이탈한 나르보넨시스 유명인사 중 한 명."이었다고 추론하였다.Syme, "Guard Prefects of Trajan and Hadrian", Journal of Roman Studies, 70 (1980), p. 65 네 명의 황제의 해 이후 수 십 년간 수부라누스는 플라비우스 왕조에서 많은 직책들을 맡았다. 그는 고위 계급과 영향력을 지닌 인사들의 두 차례 보좌관 (adiutor)직을 수행했었다. 처음은 루키우스 유니우스 퀸투스 비비우스 크리스푸스로, 크리스푸스가 74-79년 동안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총독으로 있을 때 속주의 인구 조사를 도왔다. 두 번째는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로, 프라이펙투스 안노나이였고 후에는 이집트의 프레펙투스였다. 그 뒤에 수부라누스는 아드 메르쿠리움 (ad Mercurium)의 프레펙투스를 맡았다. 다음에, 그는 알페스 코티아이, 페다티우스 티리우스 (Pedatius Tyrius), 감문티우스 (Gammuntius), 레폰티우스 (Lepontius) 등의 소규모 속주들의 총독이었다. 그후에 그는 유대의 프로쿠라토르를 수행했고, 트라야누스가 네르바에게 후임자로 지명된 97년에는 다시 갈리아 벨기카의 프로쿠라토르를 수행했다. 그의 갈리아 벨기카 직책은 로마 제국의 가장 큰 군사 집단 중 하나인 라인강 전선의 군단들에 대한 재정을 다뤄서 상당히 중요했다. 여기서 그는 트라야누스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증명해냈고, 이에 대한 결과로, 트라야누스는 그를 친위대 사령관으로 임명한다. 그의 전임자 카스페리우스 아일리아누스는 이전 황제 네르바를 상대로 일어난 반란에 대한 책임이 있었고, 네르바가 사망한 뒤에, 반란에 관여된 카스페리우스 및 다른 인물들은 속임수를 통해 콜로니아 아그리피나에 본거지를 둔 트라야누스 앞에 불러들여졌고, 카시우스 디오의 말에 의하면, 트라야누스가 ‘이들을 소멸시켜 버렸다’고 한다. 역사가 John D. Grainger의 의견에선, 카스페리우스가 처형당한 방식은 친위대의 나머지 인원들을 "자신들의 장교들과 동료들의 처형 및 이것이 이뤄진 기만적 방식에 있어서 분명하게 분노케 하였다."라고 한다Grainger, Nerva, p. 111 믿지 못할 만한 인원들을 제거하는 한편 이들을 통제하고, 트라야누스에 대한 신뢰를 다시 쌓는 것이 수부라누스에게 달렸었다. 한편, 트라야누스는 수부라누스가 이 임무를 끝낼 때까지 라인강 국경에서 있었다. 심은 "플리니우스가 100년 9월에 연설을 할 때, 수부라누스가 아마 이미 원로원 의원이었고 집정관직을 맡고 있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심은 수부라누스가 국가 사제단에 속했고, 이는 "그의 지위를 알려준다."라고 추가로 언급했다.Syme, "Guard Prefects", p. 66 그는 104년에 마르쿠스 아시니우스 마르켈루스를 동료 집정관으로 둔, 직권집정관으로서 두 번째 집정관직이라는 대단한 영예를 누렸다. 플리니우스는 그의 문서에서 수부라누스를 두 차례 언급하며, 그가 107년만큼이나 늦게까지 살았음을 확인해주었다.Epistulae, VI.33; VII.6.10,11 = = 추가 서적 = =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 (PIR)2 A 1366 = 분류:대한민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7주 = = = ‎아니 사람 말 못 쳐알아들으면 짜지고 있던가 무기한 차단 요청 = = * 지속적인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1 지속적인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2 지속적인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2 부적절한 닉네임일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장난을 반복하고 있으며, 장난 및 문서 훼손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임을 알수 있거 무기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18:11 (KST) 증거 기여만봐도 정상적인 기여를 할 사용자는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18:17 (KST) 장난 반복 증거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18:20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18:24 (KST) '어딜 Neoalpha님의 편집을...'하면서 되돌리는 것도 거의 협박성 어조까지 드러나네요. 60.53.95.218 (토론) 2017년 4월 24일 (월) 18:22 (KST) Ykhwong님에 의해 무기한 차단되었습니다. — Jeresy, 2017년 4월 24일 (월) 19:49 (KST) = = ‎ 박기순짱 차단요청 및 터닝메카드 W문서 보호요청 = = ‎박기순짱 무기한 차단 요청 터닝메카드 W문서에다 또 반달질을 하고있습니다. 타 위키에서도 저짓했는데 제발 문서좀 보호하고 박기순짱 차단시켜주세요 이 의견을 2017년 4월 24일 (월) 22:10에 작성한 사용자는 라이몬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jerrykim306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끝에 ~~~~를 달면 서명이 됩니다. = = 사용자:Bart0278 = = 사사건건 남의 문서 기여에 시비를 걸고 자기가 하는 말이 무조건 맞다며 고치라고 강요합니다 최소한 제 눈에는 안 띄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의견을 2017년 4월 24일 (월) 22:26에 작성한 사용자는 테리정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jerrykim306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끝에 ~~~~를 달면 서명이 됩니다. = = 2001:2D8:6C4A:603:0:0:1CDC:20B1 차단 요청 = = * * * 요 몇 달 전부터 오승환 문서 등에서 2001:2d8:로 시작하는 아이피로 해당 선수들의 소속 구단 공식 프로필 신장과 다른 신장으로 꾸준히 반달하고 있는 상습범을 신고합니다. 저 해당 IP 대역을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Vv150vv (토론) 2017년 4월 25일 (월) 02:25 (KST) = = 최순실 위키피디아 무기한 차단 요청 = = 장난합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5일 (화) 19:08 (KST) = = Dogtiale 무기한 차단 요청 = = * 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님 사칭 계정입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5일 (화) 20:33 (KST) Twotwo2019님에 의해 무기한 차단되었습니다. — Jeresy, 2017년 4월 27일 (목) 15:42 (KST) = = 175.194.99.242 차단 요청 = = * 다시한번더 요청합니다. 2주전에 작성한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5주의 요청을 아무도 검토해주지 않아 또다시 해당 IP에서 장난성 편집이 확인되었습니다. 서수길 문서의 기여 우병우 문서의 기여 기여보면 한눈에봐도 허위 및 장난임을 누구라도 알고 있고, 지난 요청때도 장난을 반복한적이 있음을 언급했고, 차단이 되지 않으면 또 남들몰래 장난을 반복할 수 있어 차단이 필요합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4주 175.194.99.242 차단 요청 이전에 2주일 차단된적이 있고,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5일 (화) 21:13 (KST) = = 116.100.53.53 차단요청 = = * 문서를 비우는 행위를 함 문서 훼손증거1 이 의견을 2017년 4월 26일 (수) 01:13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Gglo9973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끝에 ~~~~를 달면 서명이 됩니다. = = 220.85.189.55 긴급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2주 211.36.0.0/24 긴급 차단 요청때 언급된 인물의 다중 및 우회 IP이며, 실시간으로 토론란에 장난 반복 및 장난성 넘겨주기 생성 등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편집필터 기록 계속 장난을 반복하고 있고, 장난성 넘겨주기를 반복하는 점 등을 보면 차단이 필요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6일 (수) 10:46 (KST) = = Sibalwikitori 무기한 차단 요청 = = * 비방 계정입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7일 (목) 11:19 (KST) = = 사용자:4창가 제재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명일 뿐 아니라, 문서 훼손 및 타 사용자의 생성되지 않은 사용자 문서 일방적 생성, 악질적인 문서 이동, 타 사용자의 서명 사칭 등을 반복하므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제재를 요청합니다. Lee Soon (토론) 2017년 4월 27일 (목) 16:50 (KST) = = 110.35.10.10 차단 요청 = = * 토론란을 통한 주의 및 경고에도 매일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4월 15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 문서 훼손 반복 증거 2 문서 훼손 반복 증거 3 문서 훼손 반복 증거 4 4월 17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5 4월 20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6 문서 훼손 반복 증거 7 4월 25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8 4월 26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9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0 4월 28일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1 지금보면 몇몇분들이 기여를 되돌려도 해당 IP에서 훼손행위를 반복되고 있고,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8일 (금) 11:05 (KST) = = 나방우적우적 사용자 차단 요청 = = * *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8일 (금) 17:02 (KST) = = 사용자 한빛가람 = = * 특수:diff/18669669 위키백과:오리 실험; 해명 요청의 답변에 달린 서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람 (논의) 2017년 4월 28일 (금) 18:37 (KST) = = 나방 제재 요청 = = * * 누군지 알 것입니다. 계속 나방 관련 SKT IP 회피/동원 계정입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8일 (금) 20:44 (KST) = = 비방 계정 = = * 사유 위와 같음. — Tursetic 2017년 4월 28일 (금) 20:48 (KST) = = 사:투투2019 병신 씨 발놈 차단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명 및 직접적 이해관계가 없는 본인의 사용자 문서에 비방, 욕설 편집을 반복하므로 차단을 신청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7년 4월 28일 (금) 20:51 (KST) = = Tursetic SIBAL = = = = Tursetic2019 = = 또요.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8일 (금) 21:03 (KST) = = 122.42.25.64 긴급 차단 요청 = = * 220.85.189.55 긴급 차단 요청때 차단된 인물의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편집 필터 기록 - 장난성 넘겨주기를 반복 생성한 증거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13:00 (KST) = = RoToRlemf = =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3:12 (KST) = = PLM 1627 = = VOA(Vandalism-only account)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3:19 (KST) = = ) =asadghahkd =(a) =l =( = = 기여 차단 VOA(Vandalism-only account) 제가 미리 작성합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3:27 (KST) = = 무기한 차단 요청 = = # # VOA(Vandalism-only account)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3:51 (KST) *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4:36 (KST) *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4:40 (KST) * noratelimit의 권한이 없는데 컴퓨터 여러대로 만드는 것은 아니겠죠?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14:46 (KST) = = 49.142.9.171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4주 49.142.9.103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5주 49.142.9.115 & 49.142.9.133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50주 49.142.9.93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주 49.142.9.93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2주 49.142.9.0/24 차단 요청 문단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48주 49.142.9.0/24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3주 49.142.9.0/24 차단 요청 과거 요청에서 언급된 인물의 다중 IP이며, 또다시 장난 및 허위 편집 등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류시원 문서의 기여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다른 IP로 허위 편집한 증거 확인되지 않은 내용 작성 증거 1 확인되지 않은 내용 작성 증거 2 다른 IP로 같은 행위를 반복한 증거 확인되지 않은 내용 작성 증거 3 이전부터 수차례 49.142.9.***로 시작하는 IP에서 장난 및 허위 편집이 반복된일이 많았고,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문서 훼손을 반복해서 IP 대역까지 차단될 정도입니다. 49.142.9.0/24 차단 기록 IP 대역 차단이 풀리면서 다시 훼손행위를 반복하고 있고, 다시 훼손 행위를 반복할 수 있어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17:01 (KST) = = ‎Motoko P. K. 무기한 차단 요청 = = * 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님 사칭 계정입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19:48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1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2 실시간으로 몇몇 사용자분들의 토론란에 장난을 반복까지 하고 있으며, 신속한 처리 부탁드립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19:50 (KST) 토론란 장난 반복 증거 1 토론란 장난 반복 증거 2 사용자란 장난 증거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19:59 (KST) = = 살인마 필터 = = VOA(Vandalism-only account)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29일 (토) 20:54 (KST) = = 차단회피 IP 차단 요청 = = * * * 3개의 IP는 220.85.189.55 긴급 차단 요청 & 122.42.25.64 긴급 차단 요청 때 차단된 인물의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220.76.31.81의 기여 115.139.22.84의 기여 211.176.102.98의 기여 장난성 넘겨주기를 생성한다든가 토론란에 나타나 장난 등이 매번 반복되는 정황을 봐서는 3개의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72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21:26 (KST) = = 뭬이 무기한 차단 요청 = = * 님의 사칭 계정입니다. 39.115.9.144 (토론) 2017년 4월 29일 (토) 22:11 (KST) = = Towtow2019 = = Twotwo2019님의 사칭 계정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4월 30일 (일) 00:12 (KST) = = 사:과학의달 온라인 에디터톤 진행담당(사) = = * 있지도 않은 운영자 참칭 및 장난. 맵핵켜는 네오알파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10:30 (KST) = = 사용자:신한국당 창당위원 무기한 차단 요청 = = * 계속 반달하네요 거북이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12:57 (KST) 토론란 장난 반복 증거 1 토론란 장난 반복 증거 2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22.42.193.33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13:04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신속한 처리 부탁드립니다. 122.42.193.33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13:06 (KST) = = 다람쥐는 맛있다 무기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 이름 + 문서 훼손 반복. — Jeresy, 2017년 4월 30일 (일) 13:51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1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2 기여 패턴 등을 보면 이전에 차단된 인물의 다중 및 우회 계정입니다. 다람쥐 문서 편집 내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6주#최고의 보약 다람쥐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6주#꼽등이 무기한 차단 요청 122.42.193.33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14:07 (KST) = = 180.66.51.15 차단 요청 = = * 토론란을 통한 주의 및 경고에도 실시간으로 드라마 문서 및 인물문서마다 허위 편집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1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2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3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4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5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6 많은 사람들이 본 드라마에 해당되는 태양의 후예 & 드림하이에 한 기여만 봐도 금방 장난 및 허위임을 알아챌수 있습니다.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 드림하이 문서의 기여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 태양의 후예 문서의 기여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3 - 우리가 남인가요 문서의 기여 (개인 블로그를 이용한 허위 누설 반복 증거) 그 밖에도 성우 문서에까지 근거없는 허위 내용 삽입을 반복한게 확인되었습니다. 허위 작성 반복 증거 1 허위 작성 반복 증거 2 허위 작성 반복 증거 3 허위 작성 반복 증거 4 허위 작성 반복 증거 5 해당 IP는 허위 편집을 남발하는 상습 훼손자이며, 계속두면 같은 행위를 반복하는게 확인되어 차단이 필요합니다. 218.48.211.82 (토론) 2017년 4월 30일 (일) 21:45 (KST) = 분류:노르웨이의 여자 국가대표팀 = = 시뮬레이션 게임 = 시뮬레이션 게임은 현실상황을 비디오 게임으로 표현한 게임을 말한다. 처음에는 군사 훈련용 게임이었으나, 점차 일반적인 상황을 컴퓨터로 표현함에 따라 그 범위가 넓어졌다. 전략, 육성, 연애, 비행, 레이싱, 생활, 경영 등의 다양한 장르가 있다. 모의 실험 게임이라고도 한다. 컴퓨터 게임, 온라인 게임, 모바일 게임, 휴대용 게임 등 다양한 기기로 즐길 수 있다. = 분류: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스포츠팀 = = 분류:버뮤다의 스키 선수 = = 김약로 = 김약로(金若魯, 1694년 ~ 1753년)는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 자는 이민(而敏, 而民), 호는 만휴암(晩休庵). 노론의 핵심 거두였다. 영조 때 좌의정을 지냈다. 영의정 김상로의 형이다. = = 생애 = =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정자, 지평, 정언, 교리, 부교리, 시독관, 수찬, 검토관, 부수찬, 이조좌랑, 헌납, 응교, 부응교, 시강관을 지내고 동부승지, 참찬관, 승지, 대사성, 대사간, 부제조, 호조참의, 관리사에 이어 개성유수, 대사간, 공조참판, 병조참판, 예조참판, 동지경연사, 평안도관찰사에 이어 대사헌, 호조판서, 선공감제조, 세자빈객, 병조판서, 약방제조, 우참찬, 공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지경연사, 판의금부사에 이어 호조판서, 공조판서, 판의금부사,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내고 경기도관찰사로 있다가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이 되고, 내국도제조와 사복시도제조 등을 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 히다카호로베쓰역 = 히다카호로베쓰역은 일본 홋카이도 우라카와 군 우라카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히다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1981년도 : 219명 1992년도 : 62명 = = 역 주변 = = 국도 제236호선 · 국도 제336호선 히다카호로베쓰 강 = = 역사 = = 1937년 8월 10일 : 국유철도 히다카 선 우라카와 역 - 사마니 역 간 연장 개통에 의해 개업. 일반역. 1943년 11월 1일 : 선로명을 히다카 본선으로 개칭, 그것에 의해 이 노선의 역으로 한다. 1961년 4월 1일 : 업무위탁화. 1977년 2월 1일 : 화물 · 하물 취급 폐지. 동시에 무인화.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승계. 2021년 4월 1일 : 폐역. = OHA = OHA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pen Handset Alliance) 경구혈당강하제(Oral hypoglycemic agents) = 사미르 아민 = 사미르 아민(Samir Amin, , 1931년 9월 3일 ~ 2018년 8월 12일)은 이집트계 프랑스인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정치학자이며 세계체제론 분석가이다. 종속 이론의 선구자이자 유럽중심주의를 주창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아민은 이집트 카이로에서 1931년 9월 3일 프랑스인 어머니와 이집트인 아버지 두 의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포트사이드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정치학과 통계학, 경제학을 수학하였다. 1952년 파리 정치 대학을 졸업했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이집트 카이로에서 연구원으로, 1960년대에는 말리에서 계획부 고문으로 일했다. 1970년대에 국제연합 산하 아프리카 경제개발 및 계획 연구소(African Institut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Planning, , IDEP)에서 일하며 푸아티에 대학교, 다카르 대학교와 파리 8대학 등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2018년 7월 폐암 진단을 받고 다카르에서 파리의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8월 12일 숨졌다. = 좌파 (동음이의) = = = 정치 = = 좌파(左派, )는 좌파당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의 원내정당 중에 좌파 정당으로 분류되는 정당은 정의당과 민중당이 있다. 좌파()는 2007년에 창당한 독일의 정당이다. 좌파()는 1999년에 창당한 룩셈부르크의 정당이다. 좌파-무지개()는 2008년에 창당한 이탈리아의 정당이다. 대안좌파는 2010년에 창당한 스위스의 정당이다. 좌파 (폴란드)는 폴란드의 정당 연합이다. 이탈리아 좌파는 2017년 창당된 이탈리아의 정당이다. = = 기타 = = 좌파(坐婆): 조산사의 문화어 = 분류:크루즈 라인별 배 = = 침묵의 암살자 = 침묵의 암살자(Man With A Gun)는 캐나다에서 제작된 David Wyles 감독의 1995년 영화이다. 마이클 매드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로버트 K. 맥린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이클 매드슨 제니퍼 틸리 게리 부시 로버트 로지아 = = = 조연 = = = 이안 트레이시 빌 콥스 빌 도우 앤드류 가이 미나 E. 미나 에이에이샤 리 가빈 크로스 소니 수로위엑 마이크 크레스테조 = = 제작진 = = 라인프로듀서: 오그던 가밴스키 미술: 마이클 조이 의상: 린 켈리 배역: 쉘리아 자프 배역: 조지안느 워큰 = 분류:나라별 여자 성우 = = 김조원 = 김조원(金照源, 1957년 7월 19일링크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었다. 감사원 사무총장을 역임했고,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이사를 거쳐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 = 경력 = = 1978년: 제22회 행정고시 합격 1998년 7월: 감사원 제6국 제4과 과장 2000년 4월: 감사원 제7국 제1과 과장 2000년 12월: 감사원 제4국 제3과 과장 2002년 12월: 감사원 제1국 제1과 과장 2003년 12월 ~ 2005년 3월: 감사원 국가전략사업평가단 단장 2005년 3월 ~ 2006년 12월: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 2006년 12월 ~ 2008년 3월: 감사원 사무총장 2008년 4월 ~ 2008년 8월: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좌교수 2008년 9월 ~ 2012년 8월: 제5대 진주산업대학교 총장 2010년 8월 ~ 2012년 8월: 제5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총장 2015년 11월 ~ 2017년 7월: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당무감사원 원장 2017년 10월 ~ 2019년 7월: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이사 사장 2017년 11월 ~ 2019년 7월: 제15대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회장 2019년 7월 ~ 2020년 8월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 = 논란 = = = = = 강남 다주택 고가 매물 = = = 문재인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해 주택 매각을 권고하자 서울 강남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한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이 2020년 8월 그 중 하나인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47평형(전용면적 123m2)을 역대 실거래 최고 가격인 22억원에 매물로 내놓았다. 이는 역대 실거래 최고 가격보다 2억1000만원, 다른 매물보다는 최고 4억원 비싼 가격이다. 2020년 8월 6일 김조원이 아파트 매각 호가(呼價)를 시세보다 2억~4억원 비싸게 불렀다는 조선일보 보도가 나오자 22억원에 내놨던 매물을 돌연 철회하고 아내에게 책임을 돌렸다. 김조원의 강남 아파트 두 채의 가격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만 도곡한신은 약 8억원, 갤러리아팰리스는 약 5억원 상승하며, 12억원 넘게 올랐다. 부동산 매물을 거두어들인지 하루 만인 8월 7일 청와대 수석 비서관 5명과 함께 사의를 표명하며 강남 다주택을 지켰다. = = = 헬기 추락 사고 무마 의혹 = = = 2018년 7월17일 포항에서 마린온 헬기가 시험비행 도중 추락해 해병대 제1사단 항공대 소속의 해병대원 5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마린온은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개량해 만든 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다. 수리온은 유럽 헬기제작기업 유로콥터의 '쿠거'와 '슈퍼푸마'를 한국형으로 재설계하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7월18일 해병대가 공개한 폐쇄회로TV 영상을 보면 마린온이 완만하게 상승한 지 10초가 지나지 않아 메인로터블레이드(회전날개)가 부러지고 메인로터가 분리돼 추락하는 장면이 확인됐다. 해병대는 육·해·공군 인원들과 합동으로 마린온 추락사고 조사위원회를 구성한 뒤 7월19일 사고 기체 잔해에서 수거한 블랙박스를 정밀분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유족들이 조사위원회 구성에 반발해 7월21일 민·관·군 합동 조사위원회로 재구성하겠다는 데 합의했다. 김도읍 자유한국당 의원은 7월 20일 국회에서 열린 법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마린온 원조모델인 슈퍼푸마가 2009년 스코틀랜드에서 추락하고 2016년 노르웨이에서 추락했다"며 "유가족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마린온 추락이 예고된 참사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2019년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거론되자 마린온 추락 사고 유가족들은 임명을 반대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유가족들은 "우리는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사장 김조원에 대한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을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저희는 이 사고에 관련하여 마린온 헬기 제작회사인 주식회사 항공우주산업을 검찰에 고소‧고발한 바 있다"라며 "검찰이 이 사고에 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수사의 피고소인을 청와대 민정수석에 임명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참으로 유감스럽다"라고 비판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세월호 사고에서 희생자들의 유가족과 끝까지 함께하신, 사람을 위한 정치를 저희에게도 보여주길 눈물로 청한다"고 호소하며 눈물을 쏟았다. 유가족들은 "김 사장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될 경우 아직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에 부도덕하고 정당치 않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이 일이 청와대가 해병대 마린온 헬기 추락사고를 제대로 조사할 의도가 없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사고 유가족의 호소를 묵살하고 친분이 있던 김조원 민정수석 임명을 강행했다. 2020년 사고 2주기를 앞두고 유가족들은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이었던 김조원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되면서 진상규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의심된다며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유가족들은 김조원에게 "과오를 인정하고 검찰 수사에 적극 임하라"고 촉구했다. 유가족들은 "검찰은 2년 동안 조사 진행 상황에 대해 한 차례도 설명한 적이 없다"며, 오히려 검찰이 김조원 민정수석 임명에 반대하는 유가족에게 전화를 걸어 사건을 무마하려 협박했다고 주장했다. = = = 한국항공우주산업의 미국 로비 의혹 = = = 한국항공우주산업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 마이클 코언이 만든 유령회사에 2017년 11월 15만 달러를 송금한 사실이 2018년 5월 드러났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미국 고등훈련기 교체사업을 앞두고 로비용 자금 명목으로 돈을 송금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 폐차 (철도) = 철도 차량의 폐차(廢車)는 철도 차량으로의 사용을 중지하고 차적에서 삭제하는 행위나, 그렇게 된 차량이다. = = 폐차의 원인 = = 철도 차량이 폐차가 되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다. 경년 폐차 용도(잉여) 폐차 사고 폐차 = = = 경년 폐차 = = = 철도 차량은, 고액의 손질 및 정비를 실시하면 30년이나 그 이상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기간 사용된 차량의 예로서는, 전쟁 전의 베를린 올림픽시에 제조된 S반용 전철이 독일 분열, 동서 통일을 거쳐 21 세기 초두까지 운행하고 있던 예나, 서일본 여객철도(JR서일본) 오노다선에 2003년까지 70년간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던 쿠모하 42형 전철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차량들은 빠르면 25년, 늦어도 40년 후에는 그 역할을 끝내고 있다. 이는 아래의 주원인을 이유로 한다. = = = = 기술적 요인 = = = = 기술의 향상에 의해 시대에 맞지 않게 된 이유로 폐차하는 것이다.제조된 당시는 최신예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해도, 기술 혁신에 의해 머지않아 진부화(陳腐化)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새롭게 개발된 보안 장치를 설치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철도 차량은, 장기간에 걸친 법정의 보수 점검을 실시하기 위해, 신조 비용 뿐만이 아니라 런닝코스트가 많이 걸린다.이 때문에, 보수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던 것보다 새로운 차량에 옮겨놓는 것이 토탈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는 일이 있기 위해, 수명에 이르지 않아도 폐차되는 일이 있다.너무 낡은 차량의 경우, 교환용의 부품이 제조 중지가 되어 버려, 수리를 실시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부득이 폐차가 되는 경우도 있다. = = = = 노후화 = = = = 철도 차량은 계속 사용하면 노후화가 진행된다.각종 기기의 노후화에 의한 동작 불량이 사고를 부르기도 하므로, 어느 정도의 기간 사용한 시점에서 폐차가 된다. 특히 신칸센이나 KTX같은 고속철도 차량에서는 재래선보다 비싼 안전 수준이 요구되는 것이나, 고속·장거리 주행을 위해 각부의 마모나 아픔이 재래선 차량보다 빨리 진행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차량의 수명이 15년 정도 짧아지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 중국, 베트남, 독일, 타이완, 루마니아 의경우에는 법정 내구연한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법으로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열차를 연장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밀진단을 받아 안전운행에 적합하다고 인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외 규정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그 기준이 엄격하여 차량의 연장 사용이 지극히 어려워 차량을 일괄 폐차해야 하는 등의 난맥상이 지적되고 있다. 전동차의 경우, 근래 들어서는 신형 차량이 대부분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합금 재질이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동차 내구연한을 40년으로 늘려서 쓰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다. 덧붙여 한국의 법령에 의해 지정된 철도차량 종류별 내구연한은 다음 표와 같다. 종류 사용 내구 연한 고속철도 차량 30년 일반철도 차량 30년 디젤 기관차 25년(재생시 연장 가능.) 전기 기관차 40년 디젤 동차 20년 전기 동차 25년(경우에따라 5~15년 추가연장 가능.) 객차 25년 화차 30년단, 화학물 수송용 조차는 25년 특수차 철도 차량 제작당시 정한 기준 = = = 용도(잉여) 폐차 = = = = = = = 환경의 변화에 의한 폐차 = = = = 철도 차량을 둘러싸는 수송 환경은 폐차가 된 차량이 달리는 노선에 대한 내부적인 변화 뿐만 아니라, 그 차량이 달리는 노선 그 자체란 아무 관계도 없는 외부적 요인에 의한 변화 등 다양한 이유로 변화한다. 전자의 내부적인 변화로서는, 우선 운용 체계의 변화나 수송력 증강 등에 수반하는 편성의 재편성에 수반하는 잉여 차량의 폐차를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운용 체계의 변화나 수송력 증강 등에 수반하는 편성의 재편성에 수반하는 잉여 차량이 폐차되는 경우는 없으며 드물게 편성 양수 증량(예를 들면,6량편성을 10량편성으로)에 따른 증차분 부수차들이 폐차가 되기도 한다. 아래의 것은, 그 예이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또, 신형 차량을 투입한 후에 지금까지의 차량을 폐차하지 않고, 다른 노선에 전출시켜 그 노선의 구형식 차를 도태시키는 일도 있다. 이때 편성은 적당히 새로 짜넣을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남은 차량이 폐차가 되는 일이 있다. 편성 재편성에 의해서 잉여가 되는 것은 대부분이 부수차로, 전용하는 경우는 모터 등을 달아 동력차로 개조하는 것 등이 필요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다만, 전속이나 증발에 의한 단편성화로 선두차가 부족하는 경우에는, 개조되어 선두차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용하는 319000호대 전동차와 321000호대 전동차 및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용하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등이 예이다. 후자의 외부적인 변화로서는, 다른 사업자외 노선 혹은 타 차량·새로운 규제나 법령의 영향 등에서 폐차된 예가 있다. 한국에서는 외부적인 변화에 따른 폐차의 예는 거의 없다. 다만, 일본에서는 쉽게 볼 수 있다. 일본(도쿄)에서는 도큐전철에서 도큐1000계전동차가 리뉴얼과 지방사철로양도되는 동시에 잉여가된2칸은 폐차해체되었다. = = = = 시험 종료에 따른 폐차 = = = = 시험차는 크게 아래 3가지로 나뉜다. A 신조차:시험을 위해서만 개발된 차량.지금까지 완전히 다른 기기를 탑재하고 있거나 차체 형상이 엉뚱한 것으로부터, 편성내에서 뿔뿔이 흩어진 것도 많다. B 개조차:대차나 모터 등 일부분만의 시험을 실시하는 차량.재래의 차량에 개조나 사양 변경을 실시했을 뿐이므로, 여객 운전을 하면서 데이터 수집을 실시하는 것도 많다. C 시제차:차기 신조 차량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차량.신조차와 다른 것은, 양산을 염두에 둔 차량인 점과 실제로 손님 취급을 실시하는 점으로, 엉뚱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우선 없다.또, 손님의 평가나 운용상의 문제점등을 조사해 대량생산차에 반영시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A가 여객차에 개조되는 것은 우선 없고, 시험 종료→은퇴가 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마지막에 내구 시험으로서 추에 잡아지거나 장애물에 충돌시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해체되어 가는 것도 많다.또, 매우 드문 이야기이지만 완전히 다른 시험차가 되는 케이스가 있다. B는 시험 종료후, 일반형에 되돌려지는 케이스도 있는(예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5083-5183편성 5783호VVVF-IPM 시험차량)가, 기본적으로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사용계속 된다(예 -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VVVF-IGBT 시험차량).그러나, 종차에 구형의 차량을 선택하고 있었을 경우는 견인차나 입체차로서 재이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폐차되어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일부의 시험차 등에서는 일단은 운행을 개시했지만, 보수등의 취급해 위의 문제로부터 조기에 폐차가 되는 예도 있다. C는 양산형에 맞춘 양산화 개조를 해 신형식의 일원으로서 사용계속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예 - 서일본 여객철도 207계 전동차 양산 선행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그러나 양산이 중지가 되거나 양산시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했을 경우, 그 차량은 휴차·처분되거나, 신형식 등장 후도 계속해 시험용으로서 사용되거나 하기도 한다(예 - 신칸센 N700계 전동차).또, 무사하게 운용을 개시했다고 해도 양산 편성의 중간에 짜넣어지거나(예 -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 900 번대), 지선 운용에 계속 오르거나 하는 경우나, 사업용차에 전용되는 경우가 많다.양산에 이르지 않았던 차량은 러시 시한정으로 사용되는 일도 있다.안에는 일본국유철도 207계 전동차등 아직도 본선으로 운용되고 있는 예도 있다(국철 207계는 2010년 1월 6일에 폐차).1986년에 차세대형 VVVF 인버터 제어 시작차로서 등장했지만, 당시는 아직 반도체 기술이 미숙했었기 때문에, 코스트가 너무 걸리는 등 의 이유로, 동타입의 차량의 양산에 이르지 않았다(국철 분할 민영화 후에 JR서일본이 신설계로 207계를 신조·양산했다). = = = 사고(재해) 폐차 = = = 사고로 인해 철도 차량이 폐차되기도 한다. 2002년 2월 22일에 발생한 서울지하철공사(당시) 1000호대 111편성같이 차량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나, 그렇지 않아도 수리 비용이 신제와 거의 다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전형예이다. 그렇지만, 철도차량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프레임이 손상되었을 경우, 그것이 휘어지면 그 복구는 어렵다. 겉으로 봐서는 수리 가능한 차량도, 실제로는 수리 불가능으로 폐차되는 경우도 있다. 또, 사고 지점의 지형적인 문제로부터 차체의 반출이 곤란하거나 재해 노선의 신속한 복구 작업에 지장이 나온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현지에서 해체되기도 한다. 2007년에 영등포역에서 디젤 기관차와의 충돌로 인해 파손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같은 경우, 차량은 전체적으로 손상이 없어보이나 프레임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 지는 정밀진단 전까지는 알 수 없다. 해당 차량은, 정밀 진단 후 프레임 손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 결과, 폐차 처분되었다. 사고로 폐차가 된 만큼은 보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고 폐차가 된 차량이 낡은 경우, 혹은 이미 제조 정지가 되어 있었을 경우는 다른 차량을 돌리는(최신형의 차량을 추가로 신조 투입)이나, 편성 변경이나 운용의 변경으로 대체 차량을 조달하게 된다.(예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5019-5119편성,당시 5071-5171편성~5078-5178편성은 광명역 셔틀전철 운행차량이었으므로 2008년 12월에 광명역 셔틀전철 4량화로 광명역 셔틀전철 운행을 종료한 5071-5171편성~5078-5178편성을 대체 투입하였다.) 아직 새로왔던 경우에는 사고 폐차가 된 차량과 같은 차종의 차량을 신조 한다.이것을 대체 신조라고 부른다.다만, 사고차가 폐차 대상차이거나 남은 차량이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 남은 차량도 함께 폐차가 되기도 한다.그 때문에,남은 차량을 개조하여 다른 노선에 투입한 것은 상당히 드물다.(예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5019-5119편성 →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31906~31907편성) 사고차가 폐차 대상차의 경우는 대체차가 이미 발주 끝난 경우도 있어, 그 경우는 추가로 투입하지 않고 발주 끝난 분에만 조달해지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철도 차량에는 1량마다 번호가 붙어 있다. 대체 신조 된 차량에는, 사고 폐차된 차량의 번호와 같은 것을 붙이는 철도 사업자도 있지만, 폐차 차량과 번호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사무상의 처리에 대해 장해가 된다, 혹은 재수가 없다등의 이유로부터 새로운 번호를 부번 하고, 사고 폐차가 된 차량의 번호는 결번으로 하는 철도 사업자도 있다. 또, 차체 전체 혹은 차량 그 자체를 제조해 수선 수리 복구 취급으로 재차 영업 운행에 투입하는 예도 있다. 예를 들면,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전기 기관차는 8058호의 경우 1975년 11월 3일 태백선 서남철교에서 제동기 취급 불량으로 추락하였다. 이후 1979년 1월에 대우중공업에서 새로 제작하였다. = = 폐차 후의 처치 = = 해체되는 경우, 해당 차량은 해체장까지 이동하여 해체를 기다리게 된다. 해체장은 차량 기지나 공장의 한쪽 구석을 사용하는 것이 많다. 해체의 차례가 오면, 교체 기계에 의해 해체선에 옮겨지고, 해체 작업이 시작되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체되고 있다. 기기나 내장 장치를 분리한 후, 버너로 측면을 가열해서 절단한 후, 중기를 사용하여 상부를 절단한다. 한층 더 하부도 차체를 지탱하는 부분으로부터 떼어낸다. 최종적으로 한층 더 절단한다. 기기나 내장 장치를 분리한 후, 중기를 사용해 재단해 나간다. 중기는 사용하지 않고, 버너만 사용하는 작업으로 해체해 나간다. 해체된 다음은 소재마다 분별해 재생되는(예를 들면 철조각은 제철소에 옮겨 재생철에)가, 재생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산업 폐기물로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떼어낸 기기 등은 다른 차량의 예비로서 남겨지거나 다른 철도 사업자 전용으로 중고 부품으로서 판매되기도 한다. 어쨌든, 폐차된 차량이 해체되는 것은 며칠의 시간에 불과하다. = = = 다른 철도 사업자로의 양도 = = = 폐차가 된 후, 다른 철도 사업자에게 양도되는 차량도 있다. 대도시에서는 오래된 차량일지라도 차체나 기기의 성능이 극단적으로 열화한 것은 아니라서, 지방이나 국외에서는 충분히 가동시킬 만한 성능인 경우가 있다. 두 회사 간 선로가 연결되어 있거나 계열회사이거나 하면 교섭도 더욱 부드럽게 행해지기 쉽다. 한국에서는, 국외로 양도하는 예가 많다. 서울메트로 2000호대전동차 일부가 전형적 예이다. = = = 보존이나 개인으로의 양도 = = = 폐차가 된 차량 가운데, 산업 고고학적, 철도 역사적등의 관점으로부터 보존하는 가치가 있다고 인정된 차량은 보존되는 일이 있다.보존에는 2종류가 있어, 선로상을 자주 할 수 있는 상태로 보존하는 것을 동태 보존 이라고 하여, 자주는 하지 못하고 주로 전시 목적으로 보존하는 것을 정태 보존이라고 한다. 한국에서의 예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최초 반입편성이 신정차량사업소, 한얼테마과학박물관에서 동태보존중에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1001호, 1115호, 1315호가 철도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수는 적지만, 개인이 보존 목적이나 창고 대신 매입하는 경우나, ‘추억의 차량’으로서 현지 자치체가 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개인이 매입하는 케이스는 이전에는 잘 볼 수 있었지만, 근래에는 수송비의 상승이나 토지의 감소 등의 이유로 별로 행해지지 않은 것이나, 철조각의 가격이 차량 그대로 매각하는 가격보다 비싸기 때문에, 회사의 방침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개인이 차량을 통째로 1량을 매입해 무언가에 이용하려고 하면, 수송비·토지대·개장비 등으로 거금이 드는 경우도 있으며, 트레일러 등을 통한 수송에는 경찰 그 외 많은 관계 기관의 허가가 필요하게 되어, 그 후의 고정 자산세도 막대한 것이 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대상이 되지 않는 대부분의 차량은 앞서 말한 것처럼, 해체장에 옮겨져 해체된다. 또, 일단 보존되어도, 특히 개인이나 재정 기반의 약한 단체의 경우는 유지관리가 어렵고, 비 맞게 내버려 둔 상태로 유지 관리도 충분히 되지 않고 놓여지고 있는 사이에 녹이나 파손, 부품의 도난등이 눈에 띄게 되어, 끔찍한 상태를 계속 유지된 끝에 위험으로 여겨져 해체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별 분류 = = 안푸현 (지안시) = 안푸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지안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다. 넓이는 2793 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90,000명이다. = = 기후 = = 연평균 기온은 17.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5.9°C, 7월 평균기온은 28.9°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553mm이고 연강수일은 166일이다. 연일조시간은 1,649시간이고 무상기일은 279일이다. = = 행정 구역 = = 7개 진, 12개 향을 관할한다. 진: 平都镇 , 浒坑镇 , 洲湖镇 , 横龙镇 , 洋溪镇 , 严田镇 , 枫田镇 향: 竹江乡 , 瓜畲乡 , 钱山乡 , 赤谷乡 , 山庄乡 , 洋门乡 , 金田乡 , 彭坊乡 , 泰山乡 , 寮塘乡 , 甘洛乡 , 章庄乡 = 분류:2022년 몰타 = = 모스비 = = 나인숙 = 나인숙(羅仁淑,1952년~)은 대한민국의 탁구선수였다. 1971년 4월 일본 나고야 세계선수권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1973년 유고 사라예보 세계선수권대회 단체전 멤버였다. 1974년 미국으로 이민 후 미국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미국 명예의 전당에 올라있다. = = 참조 = = 대한체육회 발행 "체육" 1971년4월호,1973년4월호 = 분류:대한민국의 도시별 성우 = = 송월동 (나주시) = 송월동(松月洞)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나주시의 동이다. = = 행정 구역 = = 토계동 송월동 = 분류:FC 키질쿰 자라프샨 = = 분류:니카라과의 죽음 = = 분류:계원예술고등학교 동문 = = 아우슈비츠 의정서 = 아우슈비츠 보고서 로도 알려진 아우슈비츠 의정서는 원래 아우슈비츠와 비르케나우의 절멸 수용소 로 출판되었으며, 1943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의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에서 일어난 대량 학살에 대한 세 명의 목격자 기록을 모아 놓은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폴란드를 점령했다.Tibori Szabó (2011), pp. 85–120 목격자 기록은 개별적으로 Vrba–Wetzler 보고서, Polish Major 보고서 및 Rosin-Mordowicz 보고서로 알려져 있다.Tibori Szabó (2011), p. 94 = = 설명 = = 보고서는 수용소를 탈출한 포로들이 작성했으며 연대순이 아닌 서방 연합군의 관점에서 중요한 순서로 제시되었다.Tibori Szabó (2011), p. 94 보고서를 작성한 탈북자는 Rudolf Vrba 와 Alfred Wetzler ( Vrba–Wetzler 보고서 )였다. Arnošt Rosin 및 Czesław Mordowicz (Rosin-Mordowicz 보고서); 및 Jerzy Tabeau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 Vrba-Wetzler 보고서는 1944년 4월 브라티슬라바 실무 그룹 에 의해 널리 배포되었으며 루마니아 외교관 Florian Manoliu 의 도움으로 부다페스트의 Moshe Krausz 로부터 얻은 보고서 또는 요약은 비극적으로 많은 지연을 거쳐 George Mantello (Mandl)에게 도달했다., 스위스 주재 엘살바도르 대사관 제1서기관, Manoliu를 통해 Mantello에게 가져왔다. Mantello는 이를 기밀로 유지해 달라는 Rudolf Kasztner 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즉시 이를 공개했다. Rudolf는 17세에 슬로바키아에서 유태인 집단 이주 명령에 따라, 나찌의 유태인 집단학살로 유명한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이송되어 1942년에서 1944년까지 약 2년간 지내다가 탈출에 성공하였다. 그는 탈출 후 유태인 조직의 도움으로 아우슈비츠의 실상이 전세계에 알려지도록 했으며, 이후 전범 재판에 증인으로 나서 유태인 학살 잔학행위에 연관된 사람들의 처벌에 앞장섰다.  이 책은 아우슈비츠에서 벌어진 일을 상세히 묘사하고, 그가 어떻게 탈출에 성공했는지, 탈출 후에 어떻게 아우슈비츠의 실상을 외부로 알렸는지 설명한다. 그가 수용소에 있던 2년동안 1,750,000명이 죽었다고 진술했는데, 나치의 유태인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아우슈비츠에서 200~300만명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스위스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고, 스위스 교회에서는 유대인의 비극적인 곤경에 대한 설교가 촉발되었으며, 유대인에 대한 잔학 행위에 항의하는 약 400개의 헤드라인이 실린 스위스 언론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스위스에서 발생한 전례 없는 사건과 기타 고려 사항으로 인해 루즈벨트 대통령, 윈스턴 처칠 등은 헝가리의 섭정 미클로스 호르티 (Miklós Horthy)에 대한 보복 위협을 가했다. 이것은 Horthy가 헝가리의 죽음의 수용소 수송을 중단하도록 설득한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전체 보고서는 1944년 11월 26일 미국 전쟁 난민 위원회 에 의해 7개월 지연되어 The Extermination Camps of Auschwitz (Oświęcim) and Birkenau in Upper Silesia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문서는 뉘른베르크 재판 에서 문서 번호 022-L로 증거로 제출되었으며 뉴욕 하이드파크에 있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 도서관 및 박물관 의 전쟁난민위원회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Conway (2002), pp. 292–293, footnote 3. 아우슈비츠 의정서 라고 언제 처음 불렸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랜돌프 L. 브라함(Randolph L. Braham)이 처음으로 그렇게 불렀을 것이다. 그는 대량 학살의 정치: 헝가리의 홀로코스트 (1981)의 문서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Conway (2002), pp. 292–293, footnote 3. = = 목차 = = 홀로코스트에 관한 일련의 기사 Vrba–Wetzler 보고서 연대표 아우슈비츠 2로 향하는 주요 철도선로 연대표 1942 13 April 아우슈비츠로 끌려간 알프레드 베츨러 20 June 카지미에르츠 피에초스키가 탈출하여 폴란드 본국군에게 정보를 전달 30 June 루돌프 브르바가 아우슈비츠로 끌려감 July 디오니스 레나드는 마다가네크에서 탈출하여 브라티슬라바 워킹 그룹의 인터뷰 2 November Kazimirez Halori는 탈출하여 폴란드 사회당에 정보를 전달 December 또 다른 폴란드 탈출자인 나탈리아 자렘비나가 1943년(런던) 영어로 출판한 "아우슈비츠 – 죽음의 캠프". 1943 27 April 위톨드 필레키가 탈출 위톨드의 보고서는 OSS에 의해 제출 May 폴란드 내무군 소속 스타니슬라브 치빈스키(Stanislaw Chybinski)가 탈출하여 "아우슈비츠의 스냅샷" 보고서를 편집 19 November Jerzy Tabeau와 Roman Cieliczko는 탈출. 그들의 1944년 1월 보고서는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로 알려짐 March 1944 19 March 독일이 헝가리를 침공 22 March 워싱턴포스트와 뉴욕 헤럴드 트리뷴은 아우슈비츠의 가스실과 화장실의 존재를 보도 April 1944 5 April 지그프리드 레더러는 테레지엔슈타트와 적십자의 유대인들에게 아우슈비츠 내부의 대량 살인에 대해 경고하기 위해 탈출 7–11 April Vrba와 Wettzler가 탈출 22 / 23 April Vrba와 Wettzler는 슬로바키아 질리나에 도착 24 April Vrba와 Wettzler는 Bratislava Working Group의 오스카 노이만 박사를 만남 27 April Vrba-Wettzler 보고서의 독일어 번역 완료. 28 April 헝가리 유대인들의 첫 기차가 아우슈비츠로 떠납 c. 28 April 원조 및 구조 위원회의 Rezs ő Kasztner는 보고서를 입수하여 헝가리 외무부 관리인 Geza Soo에게 보고서 사본을 주고, Soo는 Joszef Elias에게 그것을 주고, Elias의 비서는 그것을 헝가리어로 번역하여 헝가리 관리들을 위해 6부를 준비 Vrba-Wetzler 보고서 ("Auschwitz Protocols"라는 용어는 때때로 이 보고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됨), 1944년 4월 24일경 아우슈비츠에서 탈출한 슬로바키아 수감자 두 명인 Vrba와 Wetzler의 이름을 따서 작성된 33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이다. 1944년 4월.Tibori Szabó (2011), p. 91 의정서 에서는 33페이지 분량으로 "No 1. 상부 실레지아의 아우슈비츠(오쉬비엥침)와 비르케나우 학살 수용소"라고 불렸다.Gilbert (1989), p. 305 Rosin-Mordowicz 보고서는 1944년 5월 27일 아우슈비츠에서 탈출한 슬로바키아 수감자 Arnošt Rosin과 Czesław Mordowicz의 7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이다 이는 Vrba–Wetzler 보고서의 추가 장 "III. Birkenau"로 제시되었다. Jerzy Wesołowski라는 가명으로 아우슈비츠에 있었고 1943년 11월 19일 Roman Cieliczko와 함께 탈출한 Jerzy Tabeau (또는 Tabau)가 작성한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이다. Zoltán Tibori Szabó는 Tabeau가 1943년 12월부터 1944년 1월 사이에 자신의 보고서를 편집했다고 썼다. 1944년 8월 제네바에서 스텐실 기계를 사용하여 복사되었으며, 폴란드 망명 정부 와 유대인 단체에 의해 배포되었다.Tibori Szabó (2011), p. 90. 이는 의정서 에 19페이지 분량의 "No 2. Transport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로 제시되었다. 의정서 의 내용은 1944년 11월 26일 The New York Times 에서 자세히 논의되었다Gilbert (1989), p. 305 = = 보충자료 = = 폴란드 흑서 - 점령된 폴란드에서 나치의 잔혹행위에 관한 1942년 보고서 카르스키의 보고서 - 점령된 폴란드의 상황을 설명하는 1939-1942년 일련의 보고서 Pilecki의 보고서, 일명 Witold의 보고서 - Witold Pilecki 가 1943년에 작성한 아우슈비츠에 대한 보고서 폴란드 백서 - 1940년 및 1941년에는 1939년 전후의 폴란드-독일 관계에 대해 보고한다. 라친스키의 메모 – 1942년 12월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 관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의 메모 = = 참고자료 = = = = = 출처 = = = * * * = 나도민들레아족 = 나도민들레아족(학명: )은 치커리족에 속하는 아족이다. 26개 속에 고들빼기, 민들레를 포함하여 약 36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특징 = = 나도민들레아족의 종은 한해살이, 2년생 및 여러해살이 식물로 키가 크지 않고, 쓴 유액이 풍부한 꼭지 유형 종이다. 때때로 관목과 같은 서식지(나도민들레속)를 가질 수 있다. 꽃자루는 속이 비어 있고 물기가 없다. 뿌리 줄기에서 직접 유래할 수도 있다. 일부 속의 줄기는 가지가 갈라진다. = = 분포 및 자생지 = = 나도민들레아족의 종은 거의 모든 대륙(세계 보편종), 특히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한다. = = 하위 속 = = Acanthocephalus Askellia 고들빼기속(Crepidiastrum) Crepidifolium 나도민들레속(Crepis) Dubyaea Faberia Garhadiolus Heteracia Heteroderis 께묵속(Hololeion) 씀바귀속(Ixeridium) 선씀바귀속(Ixeris) Lagoseriopsis Lagoseris 서양개보리뺑이속(Lapsana) 개보리뺑이속(Lapsanastrum) 왕씀배속(Nabalus) Rhagadiolus Sonchella Soroseris Spiroseris Syncalathium 민들레속(Taraxacum) Tibetoseris 뽀리뱅이속(Youngia) = 펀자브 = 펀자브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국경에 걸쳐 있는 지역을 말한다. 펀자브(Punjab)란 페르시아어로 다섯 강(江)이란 의미. 인더스강 본류와 주요 네개의 지류가 흐르는 인도 서북부를 가리킨다. 힌두쿠시산맥을 넘어서 침입하는 이민족(異民族)이 우선 정착하는 곳이 이곳이다. 이곳은 또 갠지스강 유역과 중앙아시아·이란 방면을 연결하는 교섭로의 중앙에 위치하여, 동서문화의 접촉점으로 중요하다. = 분류:에콰도르의 교통 = = 2016년 하계 올림픽 리투아니아 선수단 = 리투아니아는 2016년 8월 5일에서 8월 21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제31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대전시 (1963년 선거구) = 대전시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충청남도 대전시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전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또한 1963년 1월에 대덕군 유천면·회덕면 일부(대화리·오정리·용전리)·산내면 일부(옥계리·삼정리·가오리·효동리)가 대전시로 편입됨에 따라 해당 지역들 역시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덕군 선거구에서 대전시 선거구로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전시 선거구가 다시 한 번 갑,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63년 민정당 진형하 1967년 신민당 박병배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 = = Life for Rent = Life for Rent는 2003년 9월 26일에 발매된 다이도의 음반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차관 = = 최윤석 (연출가) = 최윤석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감독이다. = = 학력 및 경력 = = KBS 프로듀서 = = 드라마 = = 2015년 KBS2 수목 미니시리즈 《어셈블리》 ... 공동연출 2016년 KBS2 단막극 《드라마스페셜 2016 - 즐거운 나의 집》 ... 연출 2017년 KBS2 수목 미니시리즈 《김과장》 ... 공동연출 2017년 KBS2 단막극 《드라마 스페셜 2017 - 당신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다》 ... 연출 2018년 KBS2 수목 미니시리즈 《추리의 여왕 2》 ... 공동연출 2020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그놈이 그놈이다》 ... 공동연출 = 모듈:Location map/data/India Agra Administrative/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India_Agra_Administrative/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뉴욕 주립 패션 공과대학교 동문 = = 집정 = 집정(執政)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있다. 집정: 나라의 정권을 잡은 사람을 말한다. 예) 프랑스 역사에서 혁명 정부나 제1공화국 정부때 집정하는 것. 집정관(Consul): 나라의 경영하는 관리를 말한다. 고대 로마때 몇 명의 관리가 나라를 경영하는 것. = 권한 부여 = 권한 부여(Empowerment)는 사회학, 경제학, 정신학, 정치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며, 조직 현장의 구성원에게 업무 재량을 위임하고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체제 속에서 사람이나 조직의 의욕과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권한부여’, ‘권한이양’을 말한다. 최근 고객 니즈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함께 구성원이 직접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현장에서 개선/변혁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 더 키드 = 더 키드는 다음을 의미한다. 더 키드 (2010년 영화) 더 키드 (2019년 영화) = 분류:이란의 무술가 = = 대럴 해먼드 = 대럴 해먼드(, 1955년 10월 8일 ~ )는 미국의 스탠드업 코미디언 겸 배우이다.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에 1995년부터 2009년까지 고정출연했다. = = 영화 = = 무서운 영화 5 (2013년) 네이처 콜스 (2012년) 버즈킬 (2010년)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인 더 2000s: 타임 앤 어게인 (2010년) - 본인 역 한나 몬타나: 더 무비 (2009년) 위너스 (2008년) 세터데이 나잇 라이브 인 더 '90s: 팝 컬처 네이션 (2007년) - 본인 역 에픽 무비 (2007년) - 캡틴 잭 스왈로우스 역 네더비스트 인코퍼라테 (2007년) 퍼프, 퍼프, 패스 (2006년) 키스 미 어게인 (2006년) 아이라 앤 애비 (2006년) 세터데이 나잇 라이브: 더 베스트 오브 윌 페럴 - 볼륨 2 (2004년) - 아나운서 역 뉴욕 미니트 (2004년) - 허드슨 역 달콤한 악마의 유혹 (2004년) 에이전트 코디 뱅크스 (2003년) - 얼 역 무서운 영화 3 (2003년) - 멀둔 신부 역 왕과 나 (1999년)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더 베스트 오브 마이크 마이어스 (1998년) - 본인 역 배스킷 히어로 (1996년)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1975년) = 분류:멕시코의 암살된 정치인 = = 분류:서울 마포구의 건축물 = = 틀:나라자료 알샤바브 = = 828년 = = = 연호 = = 당(唐) 대화(大和) 2년 일본(日本) 덴초() 5년 = = 기년 = = 당(唐) 문종(文宗) 2년 신라(新羅) 흥덕왕(興德王) 3년 발해(渤海) 선왕(宣王) 11년 = = 사건 = = 흥덕왕이 장보고에게 1만 군사를 주고 청해진 (지금의 완도군)이 완성이 되었다. = PBX Funicular Intaglio Zone = PBX Funicular Intaglio Zone는 2012년에 발매된 존 프루시안테의 음반이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아프가니스탄 분쟁은 1978년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다양한 전투, 분쟁, 내전, 전쟁의 총칭이다. 1978년부터 사우르 혁명 이후로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무력 충돌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분쟁이 시작된 이래 1,405,111명에서 2,084,468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 잡가 (노래) = 잡가(雜歌)는 국악의 한 갈래로, 서울을 중심으로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널리 불리던 민속 음악이다. 좌창이라고도 한다. = 슬라브조어 = 슬라브조어(Proto-Slavic language)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문증되지 않는 공통 조상 언어를 재구한 것이다. 슬라브조어는 기원전 2천년경에서 기원후 6세기 사이에 쓰이던 슬라브어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조어들과 마찬가지로 슬라브조어를 기록한 자료는 발견된 바 없으며, 학자들은 문증되는 모든 슬라브어파 언어들에 비교 방법론을 적용하고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을 참고함으로써 슬라브조어를 재구했다. 슬라브어는 슬라브조어 시기에 빠르게 발달했는데, 이 시기는 슬라브어권의 대규모 확장과 맞물린다. 일찍이 방언차가 생겨났으나, 10세기 무렵에 이르기까지 수 세기 동안 언어의 전반적 통일성과 상호 의사 소통성이 유지되었다. 슬라브조어 시기에는 말소리의 여러 변화가 슬라브어권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따라서 조어를 한 언어군에서 방언차 없이 '재구 가능한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 언어'로 정의하는 전통적 관점은 슬라브조어에 잘 맞지 않는다. (이렇게 본다면 6세기경 이후의 모든 범슬라브어적 변화를 다양한 자손 언어들 각자의 역사로 분리해서 생각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슬라브어학자들은 방언차가 생겨났지만 언어적 통일성이 유지된 이 시기 전체를 '공통 슬라브어(Common Slavic)'로 취급한다. 슬라브조어/공통슬라브어 시기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방언차가 아예 또는 거의 없던 초기 방언차가 약간 내지는 적당히 있던 중기 변이가 상당해진 후기 권위자들 간에도 슬라브조어와 공통 슬라브어를 가르는 시점에 대해 이견이 있다. 이 문서에서 기술하는 대상은 흔히 '후기 슬라브조어'(때로 '중기 공통 슬라브어')라고 부르는 중기의 언어가 기준이며, 7~8세기경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는 거의 문증되지 않지만,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테살로니키 근방에서 사용되었던 9세기 말의 후기 방언형이 고대 교회 슬라브어 필사본에 남아 있다. = =더 읽어보기 = = * * * * * * * * * * * * * * * * = 창수초등학교 (경기) = 창수초등학교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6년 4월 1일: 창수국민학교 설립인가 = = 소장 문화재 = = 조영원 선생 공적비는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 창수초등학교 내에 있다. 독립지사 조영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4호로 지정되었다. = 수비초등학교 = 수비초등학교는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33년 9월 16일 수비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설립인가 5월 25일 1938년 4월 1일 수비공립심상소학교(6년제)로 개칭 1941년 4월 1일 수비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48년 8월 15일 수비국민학교로 명칭 변경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1년 3월 1일 신암분교장 인수 1992년 3월 1일 본신분교장, 죽파분교장 본교로 통폐합 1996년 3월 1일 수하분교장 본교로 통폐합 1996년 3월 1일 수비초등학교로 학교명 변경 2009년 3월 1일 신암분교장 본교로 통폐합 2016년 9월 1일 제35대 이준복 교장 취임 2017년 2월 10일 제81회 7명 졸업 (총 5744명) = = 학교 상징 = = 교화 - 개나리 : 봄이 되면 방방곡곡 어디서든 귀엽게 피어나는 개나리 꽃처럼 순박하고 귀여운 어린이가 되자 교목 - 은행나무 : 곧게 바르게 자라나는 은행나무 올바르고 거침없이 서로 도우며 구김살 없이 씩씩하게 자라자 = 칠판 볼드체 = 칠판 볼드체는 수학 및 물리학 교재 등에서 몇몇 특이한 기호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글꼴로, 세로에 가까운 선들을 두 겹으로 쓰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정수의 집합 \mathbb{Z}나 복소수의 집합 \mathbb{C}를 비롯한 수의 집합을 나타낼 때 주로 쓴다. 몇몇 교재에서는 이 기호들을 단순한 볼드체로 쓰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도, 칠판 볼드체는 칠판에 볼드체가 아닌 글자들과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볼드체 글자를 쓰려는 시도에서 생겨난 것이다. 칠판 볼드체의 발명자 혹은 전파자로 20세기 초중반에 활동한 수학자 집단인 니콜라 부르바키를 꼽는 이들이 많으나,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반박이 있다. 첫째로, 해당 기호들이 프린스턴 대학 강의록이나 거닝(Gunning)과 로시(Rossi)의 다변수 복소함수록 교재에 등장할 때까지도 부르바키의 출판물에서는 일반적인 볼드체만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부르바키 그룹의 회원인 장피에르 세르는 칠판 볼드체를 칠판 이외의 장소에 사용하는 것을 강하게 비난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 = 유니코드 = = 유니코드에서는 칠판 볼드체를 U+1D538~U+1D56B, U+2102, U+210D, U+2115, U+2119, U+211A, U+211D, U+2124, U+1D7D8~U+1D7E1에 따로 배당하고 있다. , 하지만 유니코드에서도 일반 아스키 문자(U+0030~U+0039, U+0041~U+005A, U+0061~U+007A)에 다른 글꼴을 쓰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유니코드 (16진) 심볼 U+1D552 𝕒 U+1D553 𝕓 U+1D554 𝕔 U+1D555 𝕕 D\!\!\!\!D U+2145 ⅅ U+1D556 𝕖 e\!\!e U+2147 ⅇ U+1D557 𝕗 U+1D558 𝕘 U+1D559 𝕙 U+1D55A 𝕚 i\!i U+2148 ⅈ U+1D55B 𝕛 j\!\!j U+2149 ⅉ U+1D55D 𝕝 U+1D55E 𝕞 U+1D55F 𝕟 U+1D560 𝕠 U+1D561 𝕡 U+1D562 𝕢 U+1D563 𝕣 U+1D564 𝕤 U+1D565 𝕥 U+1D566 𝕦 U+1D567 𝕧 U+1D568 𝕨 U+1D569 𝕩 U+1D56A 𝕪 U+1D56B 𝕫 U+213E ℾ U+213D ℽ U+213F ℿ U+213C ℼ U+2140 ⅀ U+1D7D8 𝟘 U+1D7D9 𝟙 U+1D7DA 𝟚 U+1D7DB 𝟛 U+1D7DC 𝟜 U+1D7DD 𝟝 U+1D7DE 𝟞 U+1D7DF 𝟟 U+1D7E0 𝟠 U+1D7E1 𝟡 = 애기여새 = = 스테픈울프 (DC 코믹스) = 스테픈울프는 DC 코믹스의 슈퍼빌런 캐릭터로, 뉴 가즈의 한 명이자 다크사이드의 심복이다. '스테픈울프'는 초원의 늑대를 가리킨다. 1972년 2월 뉴 가즈 7호에 처음 등장했고, 잭 커비가 창작하였다. 영화 저스티스 리그(2017)에서는 시어런 하인즈가 연기한다. = = 담당 배우 = = 저스티스 리그(2017) - 시어런 하인즈 = = 담당 성우 = = = = = TV 애니메이션 = = = 슈퍼맨(1996) - 셔먼 하워드 저스티스 리그(2001) - 코리 버턴 배트맨 더 브레이브(2008) -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저스티스 리그 액션(2017) - 피터 제섭 = 클레먼츠 = 클레먼츠(Clements)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론 클레먼츠(, 1953~)는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이다. 잭 클레먼츠(, 1864~1941)는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프레더릭 클레먼츠(, 1874~1945)는 미국의 생물학자이다. = 이어도 = 이어도(離於島), 이어초(離於礁), 소코트라 암초 혹은 쑤옌자오(소암초, )는 등수심선 50 m를 기준으로 길이는 남북으로 1800 m, 동서로 1400 m, 면적 약 2 km2의 암초로, 동중국해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149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 암초는 가장 윗부분이 평균 해수면에서 4.6 m 아래의 바닷속에 있어서 높이 10 m 이상의 심한 파도가 치지 않는 이상 여간해서는 그 모습이 드러나지 않는다.이어도 소개 , 국립해양조사원 암초의 정상부를 기준으로 동쪽과 남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서쪽과 북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이어도 일대는 약 1만1000년 전인 빙하기(glacial age)에는 제주도와 연결된 육지였는데, 현재의 간빙기(interglacial age)가 되면서 바닷물의 높이가 상승해 해저 대륙붕이 되었다.전설의 섬 '이어도토피아'가 해양영토 전초기지로 국민일보, 2011.12.8. 현재 이 지역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배타적 경제 수역의 설정을 둘러싼 갈등이 있다. = = 명칭 = = 이어도는 한국어권에서 주로 쓰이며, 쑤옌자오는 최근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영어권에서는 영국 상선 소코트라(Socotra)호가 1900년에 발견하였다는 것에서 착안해 선박의 이름을 따서 소코트라 암초라 한다. = = 위치 = = 에 위치해 있으며, 대한민국의 유인도인 마라도(馬羅島)에서 남서쪽으로 149 km(80 해리, 93 마일) 떨어진 동중국해 북서쪽의 한중 잠정 조치 수역 내에 위치해 있다.이어도, 두산백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무인도이자 바위섬인 퉁타오(童島, | 중국측 관방 공식명칭: 하이자오 )타이부자오 , 혹은 타이자오 , 또는 비에밍퉁타오라고도 부른다.에서는 245 km(132 해리, 152 마일), 유인도인 위산다오중국의 대륙 영해부분 기준선 제 11번 기점(余山島, 중국측 관방 공식명칭: )에서는 287 km(155 해리, 178 마일) 떨어져 있다.중국 "제주-이어도 점령이 제일 쉬웠어요" 한다면 일본 나가사키현 고토시()에 있는 도리시마(히젠토리시마 )암초에서는 276 km(148 해리, 171 마일) 해상에 위치한다. = = 설화 및 역사 = = = = = 근·현대 이전 기록 = = = = = = = 한국 = = = = 옛 제주도 사람들은 이 섬을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전설이 있었다. 이 섬은 원래 구전되는 전설에 따르면 바다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 어부들이 가는 섬, 어부들이 죽으면 가는 환상의 섬으로 알려져 왔다. 구전되는 설화마다 세부사항은 다르지만, 크게 각 설화마다 대략 일치하는 것을 요약하면, "어부가 배를 타고 폭우가 쏟아지는 바다에서 방향을 잃고 처음 보는 작은 섬에 도착했는데, (대략 지금으로 치자면) 초등학교 운동장만하고 자갈과 바위 밖에 없는 섬이 있더라. 그런데 섬 한가운데에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사당 같은 게 보여서 가보니, 한칸짜리 사당 안에는 밥상이 있고 그 위에 김이 피어오르는 쌀밥 한 그릇이 놓여 있더라. 주위를 아무리 살펴봐도 사람의 흔적은 보이지 않고 사람이 숨을 만한 장소도 없는데 막 지어 올린 듯한 쌀밥이 놓여 있으니 섬뜩해져서, 비바람을 무릅쓰고 섬을 떠나 버렸다더라"는 식의 내용이다. 설화에 따라 사당 대신 초가집, 쌀밥 대신 보리밥이라 하는 여러 변주가 나타나지만,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씨에 작은 섬이 나타난다"는 것은 비슷한 설화들의 공통된 내용이다. 1984년 제주대학교 측에서 이 해역을 탐사한 뒤 이 암초를 파랑도라고 명명하면서, 전설상의 이어도와 결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설화 속의 이어도와 이 섬의 상관관계는 객관적으로 밝혀진 것이 아니다. 또, 17세기 후반에 쓰여진 하멜 표류기에도 이어도로 추정할 개연성이 있는 암초가 언급되어 있다는 주장이 있다. = = = = 중국 = = = = 중국의 고대 지리서이자 각종 신화·전설들을 기록한 산해경(山海經, B.C. 475년 ~ B.C. 221년 경)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로서, 쑤옌이라는 섬이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것이 수중 암초인 지금의 이어도를 가리킨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된다. = = = 근·현대 기록 = = = 1900년 영국 상선 소코트라(Socotra)호에 의해 이어도가 범 국제적(한반도 주변국 외), 공식적으로 발견되었다. 이후 1910년 영국 해군 측량선 워터위치호(Waterwitch)에 의해 그 깊이가 5.4m 정도인 암초로 측정되었다.종합해양과학기지-이어도 소개 이와는 별개로, 영국 해군 중장이었던 Archibald Day는 그의 저서 <1795~1919년간의 영국 해군 본부 수로 측량국(기록), >에서 해당 측량 조사가 1901년에 행해졌다 주장하기도 하였다. 1938년, 일본 제국에 의해 해저진선 중계시설과 등대를 설치할 목적으로 직경 15미터, 수면 위로 35미터에 달하는 콘크리트 인공 구조물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태평양 전쟁의 발발로 무산되고 말았다. 1944년 12월 25일 오후 7시 경, 미 해군은 미 해군의 전함(잠수함) Icefish 호를 수면위로 떠오르게 한 뒤, 황해를 향하여 서쪽으로 진행하다 이윽고 북진하며(각각 마라도-이어도와, 제주도-흑산도에서 최종적으로 상하이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가며)해당 문단에서의 Mara to는 마라도, Socotra rock는 이어도, Saishu to는 제주도를, 마지막으로 Kokuzan은 흑산도를 의미한다., 순찰하던 중 소코트라 암초(Socotra rock)를 미 해군 Icefish 호의 2차세계대전 2번째 순찰 보고서USS Icefish, 2nd War Patrol Report-2nd patrol에 기록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으나 국공내전이 아직 진행중에 있었으므로 저우산도 근처의 동중국해 일대는 중화민국 해양 순시선 관할 하에 있었다. 당시 순시선은 이어도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지는 못하였고, 이후 1950년대에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 소속 동해함대 이어도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51년 국토규명사업을 벌이던 한국산악회와 대한민국 해군이 공동으로 이어도 탐사에 나서 높은 파도와 싸우다 바다 속의 검은 바위를 눈으로만 확인하고 ‘대한민국 영토 이어도’라고 새긴 동판 표지를 수면 아래 암초에 가라앉히고 돌아왔다. 1952년 이승만 정부는 국무원 고시 제 14호를 통해, 한국 인접해양에 대한 한국의 주권 내용을 담고 있는 평화선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여 이어도를 포함한 한반도 주변 해역을 영해와 한국 관할 평화선(평화선이란, 현 국제 해양법 상 배타적 경제 수역 개념과 유사하며, 당시 해당 개념을 관습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있었으나, 현 배타적 경제 수역 개념과의 세부적 차이와 당시 해당 개념이 법적으로 명문화 돼 있진 않았으므로, 편의상 직접적으로 배타적 경제 수역이라 부르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국무원고시 제14호 인접 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선언>, 한국사 데이터 베이스 내부 수역으로 포함, 명문화시켰다. 1963년 5월 1일 13시 55분경, 중화인민공화국이 자체 제작한 최초의 원양화물선 "약진"(Yuejin)호(15,930톤)가, 칭다오를 거쳐 일본 나고야로 가기위해 처녀항행 중 해수면 및 어떤 물체에 부딪혀 침몰하였으나, 승선했던 선원 59명은 부근에서 조업중이던 일본 어선에 의해 무사히 구조되었다.(5월 2일 19시30분경 귀환) 사건 초기엔 어뢰의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한 선원들의 발언에 의해 국제 분쟁으로 발전할 뻔했으나, 사건이 해명되는 과정에서, 당시 배는 이어도를 향해 가다 부딪친 것으로 밝혀졌고, 어뢰공격설은 선원들의 방향 오판으로 인한 착각으로 간주되어 사건이 일단락되었다.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경향신문, 1963년 5월 2일자, 3면 상단기사(발췌) 사건이 마무리 되어가고 있었을때, 한국과 주변국들은 큰 반응을 내보이진 않았다. 1963년 5월 1일 - 6월 3일, 상하이해상(수로)관함대가 난파선을 이어도로부터 남서쪽으로 2.8 km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발견하였다. 1970년, 대한민국 정부가 이어도 해역을 제4광구로 지정한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을 제정 및 공포하였다. 이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은 별다른 공식적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국가기록원, 1970년 1월 1일 해저광물자원개발법 제정·공포 그러다가 1984년 한국해양소년단연맹 이어도 탐사대의 수중탐사 등을 포함한 조사에 의해 그 정확한 위치가 재확인되었고, 이후 동년 제주대학교-KBS의 파랑도 학술탐사팀의 조사에 의해 그 정확한 위치가 다시 확인되어 '파랑도'라고 명명되기도 하였다. 1986년 대한민국 수로국 조사선에 의해 암초의 수심이 4.6미터로 측량되었다. 1987년, 대한민국 해운항만청이 이어도 최초의 구조물인 이어도 등부표를 띄우고 국제적으로 공표하였다. 1995년에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가 해양연구·기상관측·어업활동 등을 위한 이어도 과학기지 설치를 위해 해저지형 파악과 조류관측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기 시작하였고, 기지는 2001년에 착공하여 2003년 6월경 완공하였다. 2001년, 한ㆍ중 어업협정에서 이어도 유역이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어선의 공동 조업지대로 설정되어 논란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으나, 단순 어업 한정으로 맺은 협정이므로, 한-중간 근본적인 해안 경계 획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이후 2006년, 한ㆍ중 양국은, 이어도는 수중 암초로 섬이 아닌 만큼 영토분쟁의 대상이 아니라는 데 기본적인 합의를 하였다. 본래 국제 해양법 상 이어도는 원래 암초로 분류됐고, 영토의 지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이전부터 불가능하였다. 또한 EEZ 해안 경계 획정과 영토분쟁은 해양법 상 다른 차원의 문제이므로, 이것 또한 한-중간 근본적인 해안 경계 획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2013년 11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이어도를 포함하는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하였고, 이에 12월 8일 대한민국 측에서도 방공식별구역을 이어도까지 확장 선포하여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 =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대한민국의 전초 과학기지로 해양연구·기상관측·어업활동 등의 목적으로 해양수산부에서 이어도 정봉에서 남쪽 약 700 m 떨어진 위치(동경 125도 10분 56.0초, 북위 32도 07분 22.0초) 수심 40 m 지점의 수중암초 위에 설치한 종합해양과학기지이다. 1995년부터 수년간 해저지형 파악과 조류관측 등 현장조사를 실시 후 21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0년 5월에 착공, 2003년 6월 완공하였다. = = = 규모 = = = 해저 지반에 박은 60m의 기초를 제외하고도 수중 40m, 수상 36m, 총중량 3,400t의 구조물이다, 400평 규모의 2층 Jacket형 구조물엔 관측실, 실험실, 회의실이 있고 기지의 최상부에 가로 21m, 세로 26m에 이르는 헬기 이·착륙장 외에, 등대시설, 선박 계류시설, 통신 및 관측시설 등과 8인이 15일간 임시 거주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 = 운영 = = = 무인으로 자동 운영되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초기에는 한국해양연구원이 운영하다가, 2007년부터 국가기관인 국립해양조사원으로 이어도 기지의 운영·관리 권한이 이관됐다. = = = 기능 = = = 해양, 기상, 환경 관측 체계를 갖추고 해양 및 기상, 파고, 수온 등 해상 상태와 어장 정보, 지구 환경 및 해상 교통 안전, 연안 재해 방지와 기후 변화 예측에 필요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 무궁화 위성을 이용 관측 정보를 제공하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데이터 검증을 거쳐 기상청을 비롯하여 관련 기관에 실시간으로 자료를 제공한다. = = 배타적 경제 수역의 설정을 둘러싼 갈등 = = 대한민국에서는 이곳을 이어초(離於礁)보다는 '이어도'(離於島)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그 실체가 수중 암초이지 섬이 아니다. 따라서, 법적으로 영토의 지위를 갖지 못하므로 이어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거나 이어도를 기점으로 한 배타적 경제 수역은 설정할 수 없다.정부, 中대사에 '이어도 관할권 주장' 항의 연합뉴스, 2012.3.12. 이어도나 파랑도라는 용어에 있는 도(島: 섬)는 단지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하여 운용 중인데, 해양과학기지는 섬이 아니라 인공 구조물이므로 이를 통해 배타적 경제 수역이 확장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어도가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 안에 있는 수중 암초'라는 입장이다.韓中 이어도 관할권 분쟁 불붙나 연합뉴스, 2009.5.13. = = = 대한민국 주장 = = = 대한민국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은 영해로부터 일반적으로 200해리 지점이나, 두 나라의 수역이 겹칠 경우 그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삼는 국제 해양법 재판소 중간선 원칙 상 이어도 부근 해역은 대한민국의 관할 지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982년에 개최된 제3차 국제 해양법 회의에서 채택되고 1994년부터 발효된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협약의 배타적경제수역(EEZ) 개념에 따르면, 인접성의 기반 위에 있는 국가 간 해안 경계 획정 시에는 중간선 원칙과 같은 형평성 원칙을 기본으로 하며, 그 밖의 상호 간 자연적 요소를 고려하되, 인구, 경제력 등의 사회적 요소는 배제시키는 경향을 일반화시켰다. 여기에 무인도나 암초는 가장 가까운 유인도에 귀속되도록 하는 국제 해양법에 따르더라도 이어도의 관할권은 자명하게 대한민국에 있다는 주장도 있다. = = = 중화인민공화국 주장 = = = 중화인민공화국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의 경계 획정은 중간선이 아닌 대륙붕을 기준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중국은 이러한 주장과 달리, 2004년에 베트남과의 통킹만 EEZ 경계를 중간선 원칙에 따라 정한 선례가 있다. 통킹 만 대륙붕은 지질 구조상 3분의 2가 베트남 쪽에, 3분의 1이 중국 쪽에 속해 있다.출처 : 중-베 통킹만 영해 획정 어업협정 경남신문, 2004.7.1. 황하와 장강(양쯔 강)에서 흘러내려온 퇴적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해저 지형을 따라 EEZ 경계선을 그으면 동중국해의 3분의 2가 중국 관할 EEZ로 편입돼 이어도 부근 해역이 중화인민공화국의 관할 지역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국제법상 인접 국가 사이의 해양 경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중간선 원칙이며, 나머지는 부가적인 사항이다.2012년 4월 14일 국제 해양법 재판소는 방글라데시와 미얀마 간 벵골만 해역의 경계를 중간선 원칙에 따라 결정했다.출처 : 국제해양법재판소 "해양경계 기준은 중간선" 첫 판결'…이어도 관할권' 한국에 유리해져 동아일보, 2012.4.19. 중화민국 정부는 센카쿠 열도 분쟁과 달리 이곳에 관해서는 어떤 입장도 내놓고 있지 않다. = 산사람 = 산사람(mountain man)은 야생의 산중에 사는 탐험가다. 1810년대에서 1880년대 사이 북아메리카 로키산맥 일대에 흔했으며, 그 수효는 1840년대 초에 가장 많았다. 산사람들은 북아메리카 모피무역으로 인한 지리적, 경제적 팽창의 산물이었다. 1840년대 이후 견직물 산업의 부상으로 비버 모피 산업이 쇠락하자 산사람들은 육군척후대나 포장마차 대열 안내인 등으로 전업하여 정착민화되었다. = 양승호 (정치인) = 양승호(미상 ~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내각 기계공업상 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이다. = = 경력 = = 2019년 리종국 후임으로 내각 기계공업상에 임명되었다. 2019년 4월, 조선로동당 제7기 제4차 전원회의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 2019년 3월 최고인민회의 제239호 남창선거구 제14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 분류:서울 중랑구의 정치 = = 틀:축구단 RCD 에스퍄뇰 = RCD 에스파뇰 = 지방도 제747호선 = 지방도 제747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용전삼거리에서 부안군 동진면 팔왕삼거리를 잇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 = 주요 경유지 = = 고창군 성내면 용전삼거리 - 신림리 - 양계리 - 성내초등학교 - 성내면사무소 - 성내보건지소 - 성내농협 - 신성리 - 덕산리 - 미개통 구간 정읍시 고부면 (미개통 구간 : 백운리 - 강고리 - 신흥리) - 고부천교 하단 - 관청리 - 용흥리 영원면 풍월리 - 앵성리 - (노교) 부안군 백산면 죽림리 - 신평리 - 평교리 - 덕신리 동진면 팔왕 교차로 - 팔왕삼거리 = = 도로명 = = 고창군 성내면 용전삼거리 ~ 성내보건지소 : 낙산로 고창군 성내면 성내농협 ~ 덕산리 : 근촌로 정읍시 고부면 고부천교 하단 - (노교) : 부월길 정읍시 고부면 (노교) ~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 신죽로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 동진면 팔왕삼거리 : 덕신로 747 = HD 172051 = HD 172051은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주계열성이다. 이 별은 태양에서 약 42광년 거리에 있으며 유사 태양으로 분류된다. 질량은 태양과 비슷하나 밝기 및 온도는 태양보다 작으며 덜 뜨겁다. 태양과 비슷하다는 이유 때문에 미국 항공우주국의 지구형 행성 탐사기 및 다윈 미션에서 지목한 탐사 대상이기도 하다. = 분류:1975년 음반 = = 로베르트 보슈 = 로버트 보쉬(Robert Bosch, 1861~1942)는 독일의 기업가로, 독일의 전기·전자기기 및 자동차부품회사인 보쉬(Bosch)를 창업한 사람이다. = 분류:한국의 고기 요리 = = 클로르페녹사민 = 클로르페녹사민 (Chlorphenoxamine) 또는 페노세닌(Phenoxene)은 항소양제 또는 항파키슨제 약물로 사용하는 항히스타민제이자 항콜린제이다. = 분류:영어 음악 = = 분류:나라별 13세기 = = 분류:전주시의 학교 = = 가브리 폰테 = 가브리엘레 폰테(Gabriele Ponte, 1973년 4월 20일 ~ ), 간단히 가브리 폰테(Gabry Ponte)는 이탈리아의 디스크자키이다. 1998년 에펠 65에 합류하여 에펠 65의 멤버가 되었다. = 분류:낙태 반대 운동 = = 분류: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동문 = = 오뚝이다트 = 오뚝이 다트는 2015년 트니트니 율동체조에서 제작한 어린이 동요이다. "던져!"의 내용이 반복되는 특이한 가사 내용으로 인해 2018년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터넷 밈처럼 소비되다가, 2019년 10월에 가사 중 일부인 '던져! 던져!’를 반복하는 영상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 개요 = = 오뚝이다트는 2015년 출시 당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하였으나 2019년에는 'n시간 동안 오뚝이 다트 춤추기' 등 수많은 패러디로 큰 인기를 얻었다. 유튜버 '짱재영'은 이 노래에 맞춰 1시간 동안 같은 춤을 반복하는 챌린지 영상을 올렸고, 허팝은 10시간 동안 따라 추는 영상을 업로드했다. = 틀:한국어의 표기법 =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08년 4월/그림 = }} 2008-04 그림 2008-04 = 분류:왕실 후원을 받는 캐나다의 단체 = = 얍비 = 얍비는 남방가재과에 속하는 민물 갑각류의 일종이다. 호주에 서식한다. = 분류:몽골의 연호 = = 애덤스군 (인디애나주) = 애덤스군 또는 애덤스 카운티(Adams County)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4,387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5,777명이다. = 분류:앵글로색슨 여신 = = 기수 (별자리) = 기수(箕宿)는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이십팔수의 하나이다. 동방청룡 7수(宿) 중 일곱 번째에 해당된다. 서양 별자리의 궁수자리의 일부에 해당된다. = = 기수에 속한 별자리 = = 기수에 속한 별자리들은 다음과 같다. 별자리 한자 별 개수 위치 별의 색 의미 기 箕 4 궁수자리 주홍색 후궁을 주관 목저 木杵 3 주홍색 곡식의 도정하는 일 강 糠 1 검은색 별이 밝으면 풍년, 어두우면 기근 = 유총 (진민왕) = 진민왕 유총(陳愍王 劉寵, ? ~ 197년)은 후한의 제후국 진나라의 왕이다. = 지방도 제602호선 = 지방도 제602호선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대동리 내포신도시와 예산군 오가면 월곡리를 잇는 충청남도의 지방도이다. 본래 이 도로는 내포신도시 주 진입도로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도로이며, 개통 당시에는 각각 홍성군 구간은 홍성군도 제20호선(4.3km), 예산군 구간은 예산군도 제17호선(4.1km)로 지정되어 있었다. 2015년 7월 1일 도로 개통 이후 교통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예산수덕사 나들목과의 연계 및 충청남도청 연결 도로의 상징성 등을 감안해서 지방도 승격을 추진해 2015년 9월 10일 지방도로 승격되었다. 노선 번호는 도로 번호 부여 체계에 따라 충남도청 관문도로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동서축을 의미하는 짝수 번호의 가장 첫 번째인 602호로 정했다.내포 주진입도로 지방도 승격된다, 충청남도 보도자료, 2015년 9월 3일 작성. = = 연혁 = = 2015년 7월 1일 : 도로 개통내포신도시 주 진입도로 7월 1일 개통, 충청남도 보도자료, 2015년 6월 30일 작성. 2015년 9월 10일 : 지방도 제602호선으로 지정충청남도 고시 제2015-258호, 2015년 9월 10일. = = 주요 경유지 = = 홍성군 홍북읍 (나들목사거리 동단 교량) - 홍북 교차로 - 홍북터널(260m) - 삽교천교 - 산수과선교 - 산수교 - 산수 교차로 예산군 응봉면 계정교 - 계정 교차로 - 주령 교차로 - 주령교 - 응봉교 - 응봉1 교차로 - 송석교 오가면 응봉2 교차로 - 국도 제21호선과 직결 = = 도로명 = = 전 구간 충남대로로 되어 있다. = 대한민국 제1무임소장관실 = 제1무임소장관실(第一無任所長官室)은 국무회의 의장이 지정하는 사항의 조사·연구 및 조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75년 9월 8일 무임소장관실을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1981년 4월 8일 정무장관(제1)실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 = 설치 근거 및 소과 업무 = = 정부조직법 [법률 제2210호, 일부개정 1970.08.03] 제13조① 원, 부, 처의 장관이 아닌 국무위원(이하 "무임소장관"이라 한다)은 국무회의 의장이 특히 지정하는 사항을 조사·연구하며 조정한다. = = 연혁 = = 1975년 9월 8일 - 무임소장관실을 폐지하고 제1무임소장관실과 제2무임소장관실을 신설. 1981년 4월 8일 - 제1무임소장관실을 폐지하고 정무장관(제1)실을 신설. 1988년 4월 13일 - 제2무임소장관실을 폐지하고 정무장관(제2)실을 신설. = = 역대 장·차관 = = = = = 제1무임소 장관 = = =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교 비고 제 4 공화국 초대 이병희(李秉禧) 1975년 9월 8일 ~ 1975년 12월 18일 제6·7·8·9·10·13·15대 국회의원 제 4 공화국 2대 신형식(申泂植) 1975년 12월 19일 ~ 1976년 12월 4일 전남 고흥 미국 미주리대 건설부 장관&제6·8·9·10대 국회의원&국회재무위원장 제 4 공화국 3대 장경순(張坰淳) 1976년 12월 6일 ~ 1978년 12월 22일 전북 김제 일본 도요대 농림부 장관&제6·7·8·9·10대 국회의원&국회부의장 제 4 공화국 4대 김용태(金龍泰) 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24일 중앙정보부장 경제고문&공화당 당무위원&제6·7·8·9·10대 국회의원 제 4 공화국 직무대리 김영수(金永洙) 1979년 12월 25일 ~ 1980년 5월 21일 제 4 공화국 5대 김좌겸(金佐謙) 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2일 한국관광공사 사장 제 4 공화국 6대 최광수(崔侊洙) 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10일 서울 서울대 대통령 비서실장&국방부 차관&체신부 장관&외무부 장관&주 UN 대사 제 5 공화국 직무대리 김영수(金永洙) 1981년 3월 11일 ~ 1981년 4월 7일 = = = 제1무임소 장관 보좌관(차관) = = = 김영일(金永一) 1975년 9월 8일 - 1980년 7월 9일 신재현(辛載睍) 1975년 9월 8일 - 1977년 6월 2일 이재현(李載睍) 1975년 9월 8일 - 1977년 11월 17일 이희대(李熙大) 1976년 11월 17일 - 1977년 6월 2일 조병봉(趙炳鳳) 1977년 6월 2일 - 1978년 4월 14일 김영수(金永洙) 1978년 4월 14일 - 1982년 4월 10일, 예비역공군준장 권익현(權翊鉉) 1980년 7월 28일 - 1980년 11월 29일, = 신명성 = 신명성(, 1994년 7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드라마 = = 2019년 네이버TV《온더캠퍼스》- 동석 역 2020년 넷플릭스 《인간수업》- 태우 역 2023년 tvN 《성스러운 아이돌》 - 황태인 역 2023년 네이버TV 《설의 미학》 2023년 헤븐리 《해피메리엔딩》 - 호연 역 = 모듈:Location map/data/Russia Ryazan Oblast = return { name = 'Ryazan Oblast', top = 55.6, bottom = 53.2, left = 38.5, right = 42.8, image = 'Outline Map of Ryazan Oblast.svg', image1 = 'Relief Map of Ryazan Oblast.png' } = 아라하타촌 = 아라하타촌은 사이타마현 이루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코로자와시 남부에 해당한다. = 틀:대문 인터위키/설명문서 = 모든 인터위키를 보여줄 수 없는 대문에 부착하는 틀입니다. 등재 기준은 문서 수 기준으로 상위 50개의 위키백과입니다. = 매코믹 = 매코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팻 매코믹: 전 미국의 여성 다이빙 선수 캐스린 매코믹: 미국의 배우이자 무용가 캐럴린 매코믹: 미국의 배우 시에라 매코믹: 미국의 배우 = = 가공의 인물 = = 케니 매코믹: 《사우스 파크》 만화 영화 시리즈에 나오는 4명의 중심 등장인물의 하나 스튜어트와 캐롤 매코믹 부부: 사우스 파크 만화영화 시리즈에 나오는 등장인물 = 이석수 = 이석수(李碩洙, 1963년 ~ )는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이며,신종철. 조국 “원세훈 살리려 채동욱, 우병우 살리려 이석수 죽이려”. 로이슈. 2016년 8월 18일.장관순. '역풍'만 부른 청와대의 이석수 공격. 노컷뉴스. 2016년 8월 20일.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 = 학력 = = 상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 경력 = = 1986년 : 제28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18기 수료) 1989년 3월 ~ 1991년 7월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 1991년 7월 ~ 1993년 9월 : 대구지방검찰청 경주지청 검사 1993년 9월 ~ 1995년 9월 : 인천지방검찰청 검사 1995년 9월 ~ 1997년 8월 :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1997년 8월 ~ 2001년 2월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2001년 2월 ~ 2002년 2월 : 인천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2002년 2월 ~ 2004년 6월 :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2004년 6월 ~ 2005년 4월 : 부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검사 2004년 12월 ~ 2006년 2월 :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파견 2005년 4월 ~ 2006년 2월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2006년 2월 ~ 2007년 2월 : 대검찰청 감찰2과장 2007년 2월 ~ 2008년 3월 : 대검찰청 감찰1과장 2008년 3월 ~ 2009년 1월 : 제43대 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장 2009년 1월 ~ 2009년 8월 : 춘천지방검찰청 차장검사 2009년 8월 ~ 2010년 8월 : 전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2010년 8월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2010년 9월 : 법무법인 승재 대표변호사 2011년 3월 ~ 2014년 3월 : 삼환기업주식회사 사외이사 2012년 3월 ~ 2012년 7월 : 대신에프앤아이(주)감사 2012년 6월 ~ 2015년 3월 : 한화생명보험주식회사 이사 2012년 10월 ~ 2012년 11월 : 이명박 정부의 내곡동 사저부지 매입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팀 특별검사보 2015년 3월 ~ 2016년 9월 : 특별감찰관 2017년 6월 ~ : 법률사무소 이백 변호사 2018년 8월 ~ 2020년 8월 :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 히혼 = 히혼 (Gijón, Xixón)은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해안에 있는 도시이다. 초기 중세 기록에는 "Gigia"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지만 이베리아 반도에 인류가 거주한 이래로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다. 주변에 항구가 많이 있으며 주요 항구의 이름을 따서 "엘 무셀"(El Musel)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2006년 기준 인구는 277,000명이다. 해안가를 따라 위치하며 시마빌라 반도에 딸려 있다. 산 로렌소 해변이 있으며 동쪽으로 포니엔테, 아르베얄과 마주한다. 휴향지로 각광받기 때문에 많은 시설 건물이 있다. = 이스트라나 = 이스트라나(Istrana)는 이탈리아 베네토주 트레비소도의 코무네이다. 베네치아에서 북서쪽으로 약 35킬로미터, 트레비소에서 서쪽으로 약 1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해 있다. 200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구 수는 8,223명이며 면적은 26.3 제곱 킬로미터이다.All demographics and other statistics: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이스트라나의 지방 자치체에는 프라치오네 등이 포함된다. = = 인구 = = Colors= id:lightgrey value:gray(0.9) id:darkgrey value:gray(0.8) id:sfondo value:rgb(1,1,1) id:barra value:rgb(0.6,0.7,0.8) ImageSize = width:455 height:303 PlotArea = left:50 bottom:50 top:30 right:30 DateFormat = x.y Period = from:0 till:8000 TimeAxis = orientation:vertical AlignBars = justify ScaleMajor = gridcolor:darkgrey increment:500 start:0 ScaleMinor = gridcolor:lightgrey increment:100 start:0 BackgroundColors = canvas:sfondo BarData= bar:1861 text:1861 bar:1871 text:1871 bar:1881 text:1881 bar:1901 text:1901 bar:1911 text:1911 bar:1921 text:1921 bar:1931 text:1931 bar:1936 text:1936 bar:1951 text:1951 bar:1961 text:1961 bar:1971 text:1971 bar:1981 text:1981 bar:1991 text:1991 bar:2001 text:2001 PlotData= color:barra width:20 align:left bar:1861 from: 0 till:0 bar:1871 from: 0 till:2870 bar:1881 from: 0 till:3202 bar:1901 from: 0 till:3665 bar:1911 from: 0 till:4352 bar:1921 from: 0 till:4955 bar:1931 from: 0 till:5033 bar:1936 from: 0 till:5036 bar:1951 from: 0 till:5346 bar:1961 from: 0 till:5373 bar:1971 from: 0 till:5701 bar:1981 from: 0 till:6315 bar:1991 from: 0 till:6916 bar:2001 from: 0 till:7763 PlotData= bar:1861 at:0 fontsize:XS text: ? shift:(-8,5) bar:1871 at:2870 fontsize:XS text: 2870 shift:(-8,5) bar:1881 at:3202 fontsize:XS text: 3202 shift:(-8,5) bar:1901 at:3665 fontsize:XS text: 3665 shift:(-8,5) bar:1911 at:4352 fontsize:XS text: 4352 shift:(-8,5) bar:1921 at:4955 fontsize:XS text: 4955 shift:(-8,5) bar:1931 at:5033 fontsize:XS text: 5033 shift:(-8,5) bar:1936 at:5036 fontsize:XS text: 5036 shift:(-8,5) bar:1951 at:5346 fontsize:XS text: 5346 shift:(-8,5) bar:1961 at:5373 fontsize:XS text: 5373 shift:(-8,5) bar:1971 at:5701 fontsize:XS text: 5701 shift:(-8,5) bar:1981 at:6315 fontsize:XS text: 6315 shift:(-8,5) bar:1991 at:6916 fontsize:XS text: 6916 shift:(-8,5) bar:2001 at:7763 fontsize:XS text: 7763 shift:(-8,5) TextData= fontsize:S pos:(20,20) text:Data from ISTAT = 나니와바시역 = 나니와바시역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에 위치한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나카노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H 5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 = 타는 곳 = = 1 ■ 나카노시마 선 상행 교바시 · 히라카타시 · 산조 · 데마치야나기 방면 2 ■ 나카노시마 선 하행 나카노시마 방면 = = 이용 현황 = =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특정일 특정일 특정일 1일 평균 승차 인원 연도 조사일 하차 인원 승차 인원 1일 평균 승차 인원 2008년 11/11 3,052 1,409 1,435 2009년 11/10 2,884 1,266 1,417 2010년 11/9 3,115 1,373 1,296 2011년 11/1 3,067 1,345 1,391 2012년 10/31 3,485 1,528 1,374 2013년 11/12 2,571 1,080 1,580 2014년 11/11 2,807 1,203 1,136 2015년 11/10 2,539 1,071 1,255 = = 역 주변 = =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 게이한 본선 기타하마 역 나카노시마 공원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오사카 고등 · 지방 · 가정 재판소 합동 청사 = 분류:CS1 - 마라티어 인용 (mr) = 다음은 또는 을 지정한 CS1 틀을 사용한 문서입니다. mr = 분류:일본의 문장 = = LGD = LGD는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LG디스플레이 (LG Display) — 액정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기업. 부도시 손실률 (Loss Given Default) = 틀:))) = = 동곡초등학교 김전분교 = 동곡초등학교 김전분교는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김전2길 13 (김전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21.04.01 사립 영동학원 설립 개교 *1935.04.30 금천공립보통학교 부설 김전간이학교 개편 *1943.05.28 김전공립국민학교로 승격인가(2학급) *1943.06.15 김전공립국민학교 개교 *1949.09.20 소천분교장 개교 *1985.03.12 병설유치원 개원 *1996.03.01 김전초등학교로 개칭 *1997.02.28 동곡초등학교 김전분교장으로 격하, 소천분교장 폐교 *1999.08.31 동곡초등학교로 통폐합 = 분류:1956년 동계 올림픽 = = 배수 (공학) = 배수(排水)는 어느 지역으로부터 과잉지표수와 과잉지하수를 인공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 = 종류 = = = = = 간선배수 = = = 간선배수(幹線排水)는 강, 하천 및 대수로와 같은 간선 수로를 이용하여 배수하는 방법이다. = = = 개거배수 = = = 개거배수(開渠排水)는 개수로나 도랑에 의한 배수방식이다. = = = 자연배수 = = = 자연배수(自然排水)는 수면 기울기에 의해 홍수 등의 과잉수를 배제하는 것으로, 배수문 신설 및 확장, 문비설치 및 개량(전동화), 승수로 설치, 매립복토 등에 의한 공법이 있으며, 사업비 및 유지관리가 저렴하고, 경제성이 양호하나, 계획적 배수관리가 곤란하고, 이상 홍수 발생시 외수의 범람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 = 배수 효과 = = 배수효과는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발생하는 효과로, 침수피해 방지, 토지생산성 증대, 지내력 향상, 경지이용률 확대 등 토지의 가치가 상승한다. = 스코어: 영화음악의 모든 것 = 스코어-영화음악의 모든 것는 2017년에 개봉한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맷 슈레이더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대한민국은 2017년 10월 19일 개봉되었다. = = 줄거리 = = <스타워즈>, <007>, <반지의 제왕>시리즈부터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할리우드를 빛낸 세기의 명작 뒤에는 그들을 빛내 준 영화음악이 있다! 한스 짐머, 존 윌리엄스, 하워드 쇼어 등 최고의 음악감독들이 직접 밝히는 전설의 명작을 완성시킨 영화음악의 탄생, 과정, 비하인드 스토리 그리고 잊을 수 없는 전율의 순간들까지! = = 출연진 = = 한스 짐머 - 본인 역 대니 엘프만 - 본인 역 존 윌리엄스 - 본인 역 하워드 쇼어 - 본인 역 트렌트 레즈너 - 본인 역 제임스 카메론 - 본인 역 랜디 뉴먼 - 본인 역 퀸시 존스 - 본인 역 정키 XL - 본인 역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 본인 역 해리 그렉슨 윌리엄스 - 본인 역 스티브 자블론스키 - 본인 역 = 틀:논리학 = = 분류:고함원숭이속 = = 분류:루마니아의 치즈 = = 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 = 돌산중학교 = 돌산중학교(突山中學校)는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2년 3월 6일 : 정영모 교장 취임 1952년 3월 11일 : 여천 남중학교로 설립인가 1952년 3월 25일 : 돌산 향교에서 개교 1966년 7월 21일 : 돌산중학교로 교명 개칭 1982년 4월 12일 : 현 교사로 이설 2020년 3월 1일 : 제32대 천충렬 교장 부임 2022년 2월 10일 : 제70회 5명 졸업(총 6,503명) = 캐럴 롬바드 = 캐럴 롬바드(출생명은 제인 앨리스 피터스(, , 1908년 10월 6일 ~ 1942년 1월 16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1942년 인디애나주 전쟁 공채 집회에 참석하고 돌아오는 길에 비행기 사고로 33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 = 출연 작품 = = 하이 볼티지 (1929) 애리조나 키드 (1930) 뉴욕행 열차 20세기 (1934) 핸즈 어크로스 더 테이블 (1935) 마이 맨 갓프리 (1936) 낫띵 새크리드 (1937) 스미스 부부 (1941) 사느냐 죽느냐 (1942) = 정창욱 = 정창욱(鄭彰郁鄭彰郁 (33:33~33:41) 1980년 12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요리사이다. 탄탄멘 전문점 금산제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 되었으나 작년에 무면허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또 하다 적발 되어 벌금을 내었고, 하와이에서 주변 사람을 폭행 하고 칼로 특수 협박과, 폭언을 서슴 없이 하다가 고소를 당해 징역 10개월을 선고 받았다. 이 사건 터지기 이전에도 그의 업장에서는 주방에서 그에게 구타, 폭언, 모욕, 칼로 협박 등을 당했다는 옛 직원들 이야기가 많았다. = = 방송 = = 2014년 JTBC 《냉장고를 부탁해》 2014년 KBS2 《인간의 조건 (텔레비전 프로그램)》 2015년 SBS funE 《셰프끼리》 = 분류:인주 왕조 = = 류케이 = 류케이 (Ryu-K, 본명 유근배, 1981년 8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프로듀서이다. 류 케이라는 예명으로 데뷔하였으며 게리 케이라는 이름으로 게리 골드 스미스맴버로 활동한적이 있다. = = 음반 = = CnR (멤버 : 류케이 & 커즈디) 《Cuz D & Ryu K》 (2007년) 《오늘 같은 날이면》 (2011년) 게리 골드 스미스 (멤버 : 게리케이 & 골드 & 스미스) 《So Cool》 (2010년) 《EDGE:엣지》 (2010년) 킬링 타임 (멤버 : 류케이 & 일통) 《YOU》 (2010년) 《당신의 기억속에…》 (2010년) 젠틀릭 (멤버 : 류케이 & Fun-E) 《Baby Girl》 (2012년) 《Need Girl》 (2012년) 《Ma Girl》 (2012년) 《Girls Girls Girls》 (2012년) 《Autumn Road》 (With 헤이 리얼리스트) (2013년) '10년째 친구 (멤버 : 류케이 & RK) 《Supa Fly》 (2012년) 《박동화 - Somnium》 (2011년) 〈Wrong Rhythm (Feat. Fun-E, 류케이)〉 《솔리드 제이 - 아직도...》 (2011년) 〈아직도…(Feat. 류케이)〉 《커즈디 & 유진 - Music Colony》 (2011년) 〈사랑이 내게 하는짓 (Feat. JD, 류케이)〉 《신종훈 - 성실한 머슴》 (2011년) 〈성실한 머슴 (Feat. Fun-E, 류케이)〉 〈성실한 머슴(Only Rap Ver.) (Feat. Fun-E, 류케이)〉 《박동화 & 솔미 - Jesus is My Life》 (2011년) 〈Jesus is My Life (Feat. 류케이)〉 《커즈디 - Candy》 (2012년) 〈Candy(Ryu-K Ver.) (Feat. 유라, 류케이)〉 《Cinderella Man - She's So Fla》 (2012년) 〈그녀는 (Feat. 류케이)〉 《박동화 White Day & 워니 - Dissemble》 (2013년) 〈Dissemble (Feat. 류케이)〉 《헤이 리얼리스트 - Dissemble》 (2013년) 〈시원한 바람 (Feat. 류케이)〉 = 틀:FL-Class = = 엘더스크롤 2: 대거폴 = 엘더 스크롤 2: 대거폴은 1996년에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에 의해 개발된 도스용 1인칭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엘더 스크롤: 아레나의 속편이며, 엘더 스크롤 시리즈의 두 번째 시리즈이다. 2009년 7월 9일, 대거폴은 엘더스크롤 공식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었다. = = 게임 플레이 = = 다른 모든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와 마찬가지로, 대거폴에서 플레이어는 정해진 퀘스트를 따라가거나 특정한 캐릭터 타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대거폴은 마법사 길드를 통해 주문 창조 시스템(spell-creation system)을 제공한다. 플레이어는 여러 가지 다른 효과를 지닌 자신만의 주문을 만들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주문의 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효과의 강도에 따라 자동으로 마나 소모량이 정해진다. 장비 인챈트 시스템은 주문 창조 시스템과 유사하다. 또한 집과 배 및 여러 종류의 장비나 옷 등을 구입할 수 있으며, 뱀파이어, 늑대인간, 멧돼지 등으로 변신할 수 있다. 전투 시스템은 마우스의 움직임을 사용한다. 근접 전투에서 무기를 휘두르는 효과와 방향은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왕국들 간의 역동적인 정치관계가 표현되어 있다. 정치 시스템은 길드의 연락망과 명령, 종교, 독특한 과제와 퀘스트들에 의해 유지된다. 길드에 참가하고 기여하면 플레이어 본인의 길드 내 랭크를 높이고, 게임 세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NPC와 다른 조직들의 플레이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끼친다. 대거폴은 해당 장르의 전형적인 유혈 및 성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장비가 벗겨지면 플레이어의 캐릭터나 NPC의 몸은 나체가 된다. (카툰 형태로, 가슴은 보이지만 생식기는 보이지 않는다) 게임 설치 파일은 아이들을 위해 성적인 요소와 유혈 요소를 비밀번호를 통해 잠그는 옵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성적인 대화를 제거하고, 캐릭터가 항상 속옷을 안에 입고 있도록 할 수 있다. = = 게임 세계 = = 대거폴에서 플레이어는 가상의 장소인 탐리엘 대륙의 북서쪽 지방인 하이 락 및 해머펠 지방을 여행할 수 있으며, 강력한 이계의 존재 '데이드라'(Daedra)를 포함하여 다양하고 많은 적들이 등장하여 플레이어의 여행을 어렵게 만든다. 2010년 5월 기준으로 대거폴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게임 내의 대륙 크기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는 15,000여 개의 마을, 도시, 던전을 여행할 수 있으며, 베데스다는 영국(487,000 평방 킬로미터)의 두 배 이상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더 스크롤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토드 하워드에 따르면 후속작인 모로윈드에서 구현된 지도의 크기는 대거폴의 0.01퍼센트이다. 오블리비언에서는 대략 41.4평방 킬로미터의 크기를 여행할 수 있다. 또한 대거폴에서 플레이어와 상호 작용하는 NPC는 약 750,000명인 반면, 오블리비언과 모로윈드에서는 약 1000명 가량이다. 하지만 대거폴의 지형 및 NPC들은 게임 플레이 중 랜덤하게 생성되는 것이며, 이들 지형과 캐릭터는 후속작에서 규모가 줄어든 대신 훨씬 세밀하게 구현되었다. 오토맵은 플레이어가 무덤과 고대의 지하 요새를 탐사하는 데 덜 지루하도록 도움을 준다. 게임 내에는 47개의 지역이 존재하지만, 플레이어가 게임의 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대략 6-8개의 지역을 순차적으로 방문해야만 한다. 마을과 던전들은 제한적인 블록으로 건설되어 있으므로, 리뷰어들은 이런 점이 지나치게 단조롭다고 지적하였다. 2002년, 시리즈의 세 번째 작인 모로윈드는 이러한 이슈에 대해 더 작아진, 더 섬세한, 세계와 독특한 도시와 훨씬 더 개성적인 NPC들로 응답하였다. = = 스토리 = = 대거폴은 하이 락 지방에 위치한 브르타뉴인들의 고향 도시이다. 플레이어는 황제의 개인적인 요구에 의해 이곳에 보내졌으며, 두 가지의 임무를 띠고 있다. 우선 플레이어는 전왕 라이샌더스의 유령을 이승의 족쇄에서 해방시켜야 하며, 또한 황제가 대거폴의 블레이드 스파이에게 보낸 편지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알아내야 한다. 그 편지는 라이샌더스의 어머니 Nulfaga가 만텔라의 위치를 알고 있다는 사실을 담고 있었으며, 만텔라는 첫 번째 누미디엄(강력한 철 골렘)의 부활의 열쇠이다. 황제는 스파이들이 Nulfaga를 압박해서 만텔라의 위치를 알아내어, 블레이드들이 누미디엄 골렘을 부활시키기를 원한다. 재난과 혼돈의 연속을 지나, 편지는 고트워그라고 하는 오크의 손 안에 들어간다. 만텔라가 무엇인지 모르는 고트워그는 벌레들의 왕(네크로맨서의 리더)인 맨니매크로에게 자문을 구했다. 그 사이에, 타이버 셉팀에 의해 악용되었던 누미디엄 골렘을 파괴한 언더킹은 하이 락의 무덤 가운데서 소리없이 회복되고 있었다. 플레이어는 순서대로 만텔라를 누군가에게 주어야 하며, 또한 전왕 라이샌더스를 죽인 살해범을 반드시 처형하여 그의 영혼이 안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 엔딩 = = 대거폴은 만텔라의 최종 소유자에 따라 6가지의 다른 엔딩들을 지닌다. 플레이어가 만텔라를 사용하면, 누미디엄 골렘은 플레이어를 죽이고 통제불능 상태로 제국군에게 파괴된다. 언더킹에게 만텔라를 주면, 그는 그 힘을 흡수한 후 영원한 잠에 빠진다. 주변에는 비마력지대가 형성된다. 고트워그가 만텔라를 가지게 되면, 그는 누미디엄 골렘으로 제국군과 일리악 만의 여러 왕들을 파괴한다. 곧 언더킹이 누미디엄 골렘을 파괴하지만, 그 와중에 생명을 잃는다. 고트워그는 오크의 왕이 된다. 블레이드가 만텔라를 가지게 되면, 누미디엄 골렘을 부활시켜 일리악 만의 왕들과 오크들을 무찌른 후, 탐리엘 대륙을 재통일한다. 일리악 만의 왕들 중 한명이 만텔라를 가지면, 언더킹이 오기 전에 누미디엄 골렘으로 다른 경쟁자들을 파괴한다. 매니마코가 만텔라를 받는다면 그 자신이 신이 되기 위해 만텔라를 사용한다. = 분류:가이아나의 무슬림 = = 분류:아이슬란드의 곤충 = = 국장 목록 = 다음 목록은 전세계에 있는 국장들의 목록이다. = = 아시아 = = = = = 동아시아 = = = = = = 동남아시아 = = = = = = = 인도차이나 반도 = = = = = = = = 말레이 제도 = = = = = = = 남아시아 = = = = = = 서아시아 = = = = = = 중앙아시아 = = = = = = 캅카스 3국 = = = = = 유럽 = = = = = 동유럽 = = = = = = = 舊 소련 지역 = = = = = = = 서유럽 = = = = = = 남유럽 = = = = = = 북유럽 = = = = = = = 발트 3국 = = = = = = = 중앙유럽 = = = = = 아메리카 = = = = = 북아메리카 = = = = = = 중앙아메리카 = = = = = = 서인도 제도 = = = = = = = 대앤틸리스 제도 = = = = = = = = 소앤틸리스 제도 = = = = = = = 남아메리카 = = = = = 아프리카 = = = = = 북아프리카 = = = = = = 서아프리카 = = = = = = 중앙아프리카 = = = = = = 동아프리카 = = = = = = 남아프리카 = = = = = 오세아니아 = = = = = 오스트랄라시아 = = = = = = 멜라네시아 = = = = = = 미크로네시아 = = = = = = 폴리네시아 = = = = = 속령 = = = = = 중화인민공화국 특별행정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 = 댓글 읽어주는 기자들은 KBS 1라디오에서 방송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 역사 = = 2019년 2월 3일에 첫방송을 시작했으며, 원래는 밤 10시 5분에 방송됐으나, 2019년 4월 28일부터 오후 5시 5분으로 시간대를 이동하여 방송하다가, 2019년 9월 15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 = 역대 방송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1라디오 2019년 2월 3일 ~ 2019년 4월 21일 매주 일요일 밤 10:05 ~ 밤 10:58 KBS 1라디오 2019년 4월 28일 ~ 2019년 6월 9일 매주 일요일 오후 5:05 ~ 오후 5:56 KBS 1라디오 2019년 6월 16일 ~ 2019년 9월 15일 매주 일요일 오후 5:05 ~ 오후 5:56 (생방송),매주 월요일 새벽 2:00 ~ 새벽 2:53 (재방송) = 킴 페트라스 = 킴 페트라스(Kim Petras, 1992년 8월 27일 ~ )는 독일의 가수이며, 트랜스여성이다. 출생 당시 이름은 팀 페트라스(Tim Petras)였다. 2022년, 샘 스미스와의 합작 싱글 "Unholy"가 대성공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Unholy"는 빌보드 핫 100 1위도 기록하면서, 킴은 빌보드 사상 해당 차트 1위에 오른 최초의 트랜스젠더 솔로 음악가가 되었다. = = 어린 시절 = = 부모에 따르면 페트라스는 두 살 때부터 스스로 여자라고 다른 사람들에게 말했다. 부모는 아이의 정체성을 존중했지만 바깥에 나갈 때는 중성적인 옷을 입혀주었다. 페트라스의 부모는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의 전문가를 찾아가 성전환증 진단을 받은 뒤 열두살때부터 호르몬 치료를 받게해주었다. 결국 16살때 성전환 수술을 받았다.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Clarity (2019) Turn Off the Light (2019) Feed the Beast (2023) = = = EP = = = One Piece of Tape (2011) Turn Off the Light, Vol. 1 (2018) Turn Off the Light, Vol. 2 (2019) Slut Pop (2022) = 니콜라 부알로 = 섬네일 니콜라 부알로 데스프로(Nicolas Boileau-Despréaux, 1636년 11월 1일 – 1711년 3월 13일)는 프랑스의 시인·비평가이다. 파리 중급 관리의 아들로 태어나서 처음에 승직을 지망하였으나 법률을 배웠고 부친의 유산을 받아 20대 초부터 문학에 전념하였다. 풍자시인으로 문단에 등장하여 1667년 <풍자시집> 7편을 발표한 후 계속 증보(增補)하였다. 한편 고전주의의 이상을 논의하는 라모와뇽의 아카데미에 참가하여 그 영향을 받은 <시법>을 써서 루이 14세에게 인정을 받아 궁정에서 크게 세력을 얻었다. 1677년 라신과 더불어서 국왕의 수사관(修史官)으로 임명되었다. 골계적 서사시 <뤼트랭>(1674-83)은 당시의 문단에 물의를 불러일으켰다. 문학사상 점유하는 보왈로의 위치는 프랑스 고전주의 이론의 집대성자로서 후세에 그것을 전했으며, ‘신구 논쟁’에 있어서 고대문학파의 영수로 활약한 사실보다도 동시대의 몰리에르나 라신 등의 고전주의 작가를 강력하게 옹호한 비평가로서 규정지워야 할 것이다. = 분류:부산광역시의 학교 = = 어느 늦은 밤 = "어느 늦은 밤"(One Late Night)은 한국에서 제작된 김선희 감독의 2005년 드라마 영화이다. 최보영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최보영 정재진 = = 기타 = = 프로듀서: 윤희제 조명: 강승기 조감독: 윤정원 음향: 한명환 미술: 이진영 = 쿠시어파 = 쿠시어파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이름은 셈어파와 마찬가지로 쿠시라는 성서의 인물에서 유래했다. 주로 아프리카의 뿔 지대에서 사용되며, 현재 화자 수가 2백만 명을 넘는 대형 언어로는 오로모어, 소말리어, 베자어, 시다마어, 아파르어가 있다. = = 기원 = = 아직 명확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에레트(Christopher Ehret)는 이집트와 수단의 홍해 연안에 걸친 홍해 구릉 지대(Red Sea Hills)에 공통 조상 언어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며, 그 시기를 홀로세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학자들은 고유명사학적 분석을 통해 고대 북부 누비아의 메자이(Medjay)나 블렘미에스(Blemmyes) 등의 집단도 베자어와 가까운 쿠시어파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보다 불명확한 가설에 의하면 고대 누비아의 케르마 문화가 쿠시어파 사용 문명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 분류 = = 북부쿠시어군(베자어) 중부쿠시어군(아가우어) 남부쿠시어군 동부쿠시어군 사호-아파르어군 고지 동부쿠시어군 저지 동부쿠시어군 = 기븐스 회전 = 기븐스 회전(Givens rotation)은 G ( i , j , \theta ) \cdot x는 \theta 라디안의 ( i , j ) 평면에서 벡터 x 의 반 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므로 기븐스 회전이라 명명된다. 수치 해석및선형 대수학에서 기븐스 회전의 주요 용도는 벡터 또는 행렬에 0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효과는 예를 들어 행렬의 QR 분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스홀더 변환에 비해 장점은 쉽게 병렬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는 비교적 매우 적은 수의 행렬 연산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 = 성질 = = c & s \\ -s & c \\ a & b \\ = r & 0 \\ = = 3차원의 기븐스 회전 = = 기븐스 회전(Givens rotation)은 상삼각행렬을 위한 특정한 위치의 값을 0으로하는 행렬을 유도할 수 있다. R_X(\theta) = 1 & 0 & 0 \\ 0 & \cos \theta & -\sin \theta \\ 0 & \sin \theta & \cos \theta R_Y(\theta) = 0 & 1 & 0 \\ -\sin \theta & 0 & \cos \theta R_Y(\theta) = 0 & 1 & 0 \\ R_Z(\theta) = 0 & 0 & 1 = = 예 = = 5 & 1 & 4 \\ 0 & 4 & 3 \\ 기븐스 회전의 두번 반복 (여기서는 3행3열의 성분이 이미 0이다)을 수행하여 QR 분해를 계산하기위한 상삼각행렬을 산출한다. 필요한 행렬을 만들기 위해서는 성분(2, 1)과 (3, 2)를 제로화해야한다. 먼저 성분(2, 1)를 0으로 선택하여, 회전 행렬을 적용하면, s & c & 0 \\ 0 & 0 & 1 \\ G_1 A_1 &{}= A_2 \\ s & c & 0 \\ 0 & 0 & 1 \\ 5 & 1 & 4 \\ 0 & 4 & 3 \\ 0 & -2.4327 & 3.0729 \\ 0 & 4 & 3 \\ 이제 프로세스를 끝내기 위해 (3, 2)성분을 제로로 만든다. 이전과 같은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회전 행렬을 적용한다. 0 & c & -s \\ 0 & s & c \\ G_2 A_2 &{}= A_3 \\ 0 & c & -s \\ 0 & s & c \\ 0 & -2.4327 & 3.0729 \\ 0 & 4 & 3 \\ 0 & 4.6817 & 0.9664 \\ 0 & 0 & -4.1843 \\ 이 새로운 행렬 A_3 은 QR 분해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상삼각행렬 R이다. 0.6402 & -0.3992 & -0.6564 \\ 0 & 0.8544 & -0.5196 \\ = = 참고 자료 = = 플래닛매스(http://planetmath.org/givensrotation) = 이재윤 = 이재윤은 다음 사람을 뜻한다. 이재윤(李載潤, 1858 ~ ?)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이재윤(李載允, 1849 ~ 1911)은 조선 말의 의병장이다. 이재윤(1983 ~ )은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이다. 이재윤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 분류:기타 품질 예술 문서 = = 분류:공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 분류:버니 웨일러의 음반 = = 분류:대륙별 댄스스포츠 = = 분류:나스티카 = = 분류:일본의 옛 지역명 = = 천위전 (1973년) = 천위전(, , 1973년 10월 29일 ~ )는 타이완의 정치인이다. 2019년 진먼현 선거구의 입법위원으로 당선되었다. = 신당서 =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다. 이십사사 중 하나에 속한다. 송나라 시대에 당시에 얻을 수 있는 자료를 구당서의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고, 체계를 정비하여 내용을 갖추었다. 병지(兵志) ·선거지(選擧志)를 갖추고 재상세계표(宰相世系表)등 표가 많고 당시 중시되던 고문으로 문장을 간결하게 기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정사 편찬에 새로운 기원을 이룩했으나, 구당서와 신당서의 편찬시기가 100년이라는 차이가 나는데 그 사이 소실되어 사라진 원사료가 많았는데 원사료의 문체를 고치고자 너무 지나치게 간략하고 문장의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 등으로 인해 사료적 가치는 구당서보다 못하다는 평이다. = = 내용 = = = = = 본기(本紀) = = = ### ### 제목 군주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고조(高祖) 고조 이연(高祖 李淵) 615년 ~ 635년 5월(수 대업(大業) 11년 ~ 정관(貞觀) 9년) 권2 본기2 태종(太宗) 태종 이세민(太宗 李世民) 617년 ~ 649년 5월(수 의녕(義寧) 원년 ~ 정관(貞觀) 23년) 권3 본기3 고종(高宗) 고종 이치(高宗 李治) 649년 5월 ~ 683년 12월(정관(貞觀) 23년 ~ 홍도(弘道) 원년) 권4 본기4 측천황후(則天皇后)중종(中宗) 측천황후 무조(則天皇后 武曌)중종 이현(中宗 李顯) 683년 12월 ~ 710년 6월(홍도(弘道) 원년 ~ 경룡(景龍) 4년) 권5 본기5 예종(睿宗)현종(玄宗) 예종 이단(睿宗 李旦)현종 이융기(玄宗 李隆基) 710년 6월 ~ 761년 4월(경룡(景龍) 4년 ~ 상원(上元) 2년) 권6 본기6 숙종(肅宗)대종(代宗) 숙종 이형(肅宗 李亨)대종 이예(代宗 李豫) 756년 6월 ~ 779년 5월(천보(天寶) 15재 ~ 대력(大曆) 14년) 권7 본기7 덕종(德宗)순종(順宗)헌종(憲宗) 덕종 이괄(德宗 李适)순종 이송(順宗 李誦)헌종 이순(憲宗 李純) 779년 5월 ~ 820년 1월(대력(大曆) 14년 ~ 원화(元和) 15년) 권8 본기8 목종(穆宗)경종(敬宗)문종(文宗)무종(武宗)선종(宣宗) 목종 이항(穆宗 李恒)경종 이담(敬宗 李湛)문종 이앙(文宗 李昻)무종 이염(武宗 李炎)선종 이침(宣宗 李忱) 820년 1월 ~ 859년 8월(원화(元和) 15년 ~ 대중(大中) 13년) 권9 본기9 의종(懿宗)희종(僖宗) 의종 이최(懿宗 李漼)희종 이현(僖宗 李儇) 859년 8월 ~ 888년 3월(대중(大中) 13년 ~ 문덕(文德) 원년) 권10 본기10 소종(昭宗)애제(哀帝) 소종 이엽(昭宗 李曄)애제 이축(哀帝 李柷) 888년 3월 ~ 907년 4월(문덕(文德) 원년 ~ 천우(天祐) 4년) = = = 지(志) = = = ### ### 제목 비고 권11 지1 예악(禮樂) 1 권12 지2 예악(禮樂) 2 권13 지3 예악(禮樂) 3 권14 지4 예악(禮樂) 4 권15 지5 예악(禮樂) 5 권16 지6 예악(禮樂) 6 권17 지7 예악(禮樂) 7 권18 지8 예악(禮樂) 8 권19 지9 예악(禮樂) 9 권20 지10 예악(禮樂) 10 권21 지11 예악(禮樂) 11 권22 지12 예악(禮樂) 12 권23 지13上 의위(儀衛) 上 권23 지13下 의위(儀衛) 下 권24 지14 거복(車服) 권25 지15 역(曆) 1 권26 지16 역(曆) 2 권27上 지17上 역(曆) 3-上 권27下 지17下 역(曆) 3-下 권28上 지18上 역(曆) 4-上 권2下8 지18下 역(曆) 4-下 권29 지19 역(曆) 5 권30上 지20上 역(曆) 6-上 권30下 지20下 역(曆) 6-下 권31 지21 천문(天文) 1 권32 지22 천문(天文) 2 권33 지23 천문(天文) 3 권34 지24 오행(五行) 1 권35 지25 오행(五行) 2 권36 지26 오행(五行) 3 권37 지27 지리(地理) 1 권38 지28 지리(地理) 2 권39 지29 지리(地理) 3 권40 지30 지리(地理) 4 권41 지31 지리(地理) 5 권42 지32 지리(地理) 6 권43上 지33上 지리(地理) 7-上 권43下 지33下 지리(地理) 7-下 권44 지34 선거(選擧) 上 권45 지35 선거(選擧) 下 권46 지36 백관(百官) 1 권47 지37 백관(百官) 2 권48 지38 백관(百官) 3 권49上 지39上 백관(百官) 4-上 권49下 지39下 백관(百官) 4-下 권50 지40 병(兵) 권51 지41 식화(食貨) 1 권52 지42 식화(食貨) 2 권53 지43 식화(食貨) 3 권54 지44 식화(食貨) 4 권55 지45 식화(食貨) 5 권56 지46 형법(刑法) 권57 지47 예문(藝文) 1 권58 지48 예문(藝文) 2 권59 지49 예문(藝文) 3 권60 지50 예문(藝文) 4 = = = 표(表) = = = ### ### 제목 목록 비고 권61 표1 재상(宰相) 上 권62 표2 재상(宰相) 中 권63 표3 재상(宰相) 下 권64 표4 방진(方鎭) 1 권65 표5 방진(方鎭) 2 권66 표6 방진(方鎭) 3 권67 표7 방진(方鎭) 4 권68 표8 방진(方鎭) 5 권69 표9 방진(方鎭) 6 권70上 표10上 종실세계(宗室世系) 上 권70下 표10下 종실세계(宗室世系) 下 권71上 표11上 재상세계(宰相世系) 1-上 배씨(裵氏), 한유씨(漢劉氏), 하남유씨(河南劉氏) 권71下 표11下 재상세계(宰相世系) 1-下 소씨(蕭氏), 두씨(竇氏), 진씨(陳氏), 봉씨(封氏), 양씨(楊氏), 고씨(高氏), 방씨(房氏), 우문씨(宇文氏) 권72上 표12上 재상세계(宰相世系) 2-上 권72中 표12中 재상세계(宰相世系) 2-中 왕씨(王氏), 위씨(魏氏), 온씨(溫氏), 대씨(戴氏), 후씨(侯氏), 잠씨(岑氏) 권72下 표12下 재상세계(宰相世系) 2-下 장씨(張氏), 마씨(馬氏), 저씨(褚氏), 최씨(崔氏), 우씨(于氏) 권73上 표13上 재상세계(宰相世系) 3-上 권73下 표13下 재상세계(宰相世系) 3-下 권74上 표14上 재상세계(宰相世系) 4-上 권74下 표14下 재상세계(宰相世系) 4-下 구양씨(歐陽氏), 적씨(狄氏), 원씨(袁氏), 요씨(姚氏), 누씨(婁氏), 두로씨(豆盧氏), 주씨(周氏), 길씨(吉氏), 고씨(顧氏), 주씨(朱氏), 당씨(唐氏) 권75上 표15上 재상세계(宰相世系) 5-上 권75下 표15下 재상세계(宰相世系) 5-下 = = = 열전(列傳) = = = ### ### 부제 목록 비고 권76 열전1 후비(后妃) 상 태목황후 두씨(太穆皇后 竇氏), 문덕황후 장손씨(文德皇后 長孫氏), 태종현비 서혜(太宗賢妃 徐惠), 고종폐후 왕씨(高宗廢后 王氏), 측천황후 무씨(則天皇后 武氏), 화사황후 조씨(和思皇后 趙氏), 서인 위씨(庶人 韋氏), 상관소용(上官昭容), 숙명황후 유씨(肅明皇后 劉氏), 소성황후 두씨(昭成皇后 竇氏), 현종폐후 왕씨(玄宗廢后 王氏), 정순황후 무씨(貞順皇后 武氏), 원헌황후 양씨(元獻皇后 楊氏), 현종귀비 양씨(玄宗貴妃 楊氏) 권77 열전2 후비(后妃) 하 숙종서인 장씨(肅宗庶人 張氏), 장경황후 오씨(章敬皇后 吳氏), 정의황후 독고씨(貞懿皇后 獨孤氏), 예진황후 심씨(睿眞皇后 沈氏), 소덕황후 왕씨(昭德皇后 王氏), 덕종현비 위씨(德宗賢妃 韋氏), 장헌황후 위씨(莊憲皇后 王氏), 의안황후 곽씨(懿安皇后 郭氏),효명황후 정씨(孝明皇后 鄭氏), 공희황후 왕씨(恭僖皇后 王氏), 정헌황후 소씨(貞獻皇后 蕭氏), 선의황후 위씨(宣懿皇后 韋氏), 상궁 송약소(尙宮 宋若昭), 경종귀비 곽씨(敬宗貴妃 郭氏), 무종현비 왕씨(武宗賢妃 王氏), 원소황후 조씨(元昭皇后 晁氏), 혜안황후 왕씨(惠安皇后 王氏), 의종숙비 곽씨(懿宗淑妃 郭氏), 공헌황후 왕씨(恭憲皇后 王氏), 소종황후 하씨(昭宗皇后 何氏) 권78 열전3 종실(宗室) 남양공 연백(南陽公 延伯), 초왕 진(譙王 眞), 필왕 장(畢王 璋), 옹왕 회(雍王 繪), 순왕 의(郇王 禕), 채열왕 울(蔡烈王 蔚), 정효왕 관(鄭孝王 亮), 양왕 징(梁王 澄), 촉왕 담(蜀王 湛) 권79 열전4 고조 제자(高祖諸子) 은태자 건성(隱太子 建成), 위회왕 현패(衛懷王 玄霸), 소척왕 이원길(巢刺王 元吉), 초애왕 지운(楚哀王 智雲), 형왕 원경(荊王 元景), 한왕 원창(漢王 元昌), 풍도왕 원형(鄷悼王 元亨), 주왕 원방(周王 元方), 서왕 원례(徐王 元禮), 한왕 원가(韓王 元嘉), 팽사왕 원칙(彭思王 元則), 정혜왕 원의(鄭惠王 元懿), 곽왕 원궤(霍王 元軌), 괵장왕 봉(虢莊王 鳳), 도효왕 원경(道孝王 元慶), 등강왕 원유(鄧康王 元裕), 서왕 원명(舒王 元名), 노왕 영기(魯王 靈夔), 강안왕 원상(江安王 元祥), 밀정왕 원효(密貞王 元曉), 등왕 원영(滕王 元嬰) 권80 열전5 태종 제자(太宗諸子) 상산민왕 승건(常山湣王 承乾), 초왕 관(楚王 寬), 욱림왕 각(郁林王 恪), 복공왕 태(濮恭王 泰), 서인 우(庶人 祐), 촉도왕 음(蜀悼王 愔), 장왕 운(蔣王 惲), 월경왕 정(越敬王 貞), 기왕 신(紀王 愼), 강상왕 효(江殤王 囂), 대왕 간(代王 簡), 조왕 복(趙王 福), 조왕 명(曹王 明) 권81 열전6 삼종 제자(三宗諸子) 고종 8자(高宗八子), 중종 4자(中宗四子), 예종 6자(睿宗六子) 권82 열전7 14종 제자(十四宗諸子) 현종 30자(玄宗三十子), 숙종 14자(肅宗十四子), 대종 20자(代宗二十子), 덕종 11자(德宗十一子), 순종 27자(順宗二十七子), 헌종 20자(憲宗二十子), 목종 5자(穆宗五子), 경종 5자(敬宗五子), 문종 2자(文宗二子), 무종 5자(武宗五子), 선종 11자(宣宗十一子), 의종 8자(懿宗八子), 희종 2자(僖宗二子), 소종 17자(昭宗十七子) 권83 열전8 공주(公主) 세조 1녀(世祖一女), 고조 19녀(高祖十九女), 태종 21녀(太宗二十一女), 고종 3녀(高宗三女), 중종 8녀(中宗八女), 예종 11녀(睿宗十一女), 현종 29녀(玄宗二十九女), 숙종 7녀(肅宗七女), 대종 18녀(代宗十八女), 덕종 11녀(德宗十一女), 순종 11녀(順宗十一女), 헌종 18녀(憲宗十八女), 목종 8녀(穆宗八女), 경종 3녀(敬宗三女), 문종 4녀(文宗四女), 무종 7녀(武宗七女), 선종 11녀(宣宗十一女), 의종 8녀(懿宗八女), 희종 2녀(僖宗二女), 소종 11녀(昭宗十一女) 권84 열전9 이밀(李密) 권85 열전10 왕세충(王世充), 두건덕(竇建德) 권86 열전11 설거(薛擧), 이궤(李軌), 유무주(劉武周), 고개도(高開道), 유흑달(劉黑闥), 서원랑(徐圓朗) 권87 열전12 소선(蕭銑), 보공석(輔公祏), 심법흥(沈法興), 이자통(李子通), 주찬(朱粲), 두사홍(林士弘), 장선안(張善安), 양사도(梁師都), 유계진(劉季眞) 권88 열전13 유문정(劉文靜), 배적(裴寂) 권89 열전14 굴돌통(屈突通), 울지공(尉遲恭), 장공근(張公謹), 진경(秦瓊), 당검(唐儉), 단지현(段志玄) 권90 열전15 유홍기(劉弘基), 은개산(殷開山), 유정회(劉政會), 허소(許紹), 정지절(程知節), 시소(柴紹), 임괴(任瓌), 구화(丘和) 권91 열전16 온대아(溫大雅), 황보무일(皇甫無逸), 황보희인(皇甫希仁), 이습지(李襲志), 강모(姜謩), 최선위(崔善爲), 이사진(李嗣眞) 권92 열전17 두복위(杜伏威), 함릉(闞棱), 왕웅탄(王雄誕), 장사귀(張士貴), 이자화(李子和), 원군장(苑君璋), 나예(羅藝), 왕군곽(王君廓) 권93 열전18 이정(李靖), 이적(李勣) 권94 열전19 후군집(侯君集), 장량(張亮), 설만균(薛萬均) 권95 열전20 고검(高儉), 두위(竇威) 권96 열전21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권97 열전22 위징(魏徵) 권98 열전23 왕규(王珪), 설수(薛收), 마주(馬周), 위정(韋挺) 권99 열전24 이강(李綱), 이대량(李大亮), 대주(戴冑), 유계(劉洎), 최인사(崔仁師) 권100 열전25 진숙달(陳叔達), 양공인(楊恭仁), 봉륜(封倫), 우문사급(宇文士及), 정선과(鄭善果), 권만기(權萬紀), 염입덕(閻立德), 장엄(蔣儼), 위홍기(韋弘機), 강사도(姜師度), 장지건(張知謇) 권101 열전26 소우(蕭瑀) 권102 열전27 잠문본(岑文本), 우세남(虞世南), 이백약(李百藥), 저량(褚亮), 요사렴(姚思廉), 영호덕분(令狐德棻) 권103 열전28 소세장(蘇世長), 위운기(韋雲起), 손복가(孫伏伽), 장현소(張玄素) 권104 열전29 우지녕(于志寧), 고계보(高季輔), 장행성(張行成) 권105 열전30 장손무기(長孫無忌), 저수량(褚遂良), 한원(韓瑗), 내제(來濟), 이의염(李義琰), 상관의(上官儀) 권106 열전31 두정륜(杜正倫), 최지온(崔知溫), 고지주(高智周), 곽정일(郭正一), 조홍지(趙弘智), 최돈례(崔敦禮), 양홍례(楊弘禮), 유상도(劉祥道), 이경현(李敬玄), 이의염(李義琰), 유덕위(劉德威), 손처약(孫處約), 형문위(邢文偉) 권107 열전32 부혁(傅弈), 여재(呂才), 진자앙(陳子昻) 권108 열전33 유인궤(劉仁軌), 배행검(裴行儉), 누사덕(婁師德) 권109 열전34 최의현(崔義玄), 양재사(楊再思), 두회정(竇懷貞), 종초객(宗楚客), 축흠명(祝欽明), 산운(山惲), 왕여(王璵) 권110 열전35 제이번장(諸夷蕃將) 사대내(史大柰), 풍앙(馮盎),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 아사나충자(阿史那忠者), 집실사력(執失思力), 계필하력(契苾何力), 흑치상지(黑齒常之), 이근행(李謹行), 천남생(泉男生), 이다조(李多祚), 논궁인(論弓仁), 손유정(孫惟貞), 울지승(尉遲勝), 상가고(尙可孤), 배분(裴玢) 권111 열전36 곽효각(郭孝恪), 장검(張儉), 왕방익(王方翼), 소열(蘇烈), 설인귀(薛仁貴), 정무정(程務挺), 왕효걸(王孝傑), 당선(唐璿), 장인원(張仁愿), 왕준(王晙) 권112 열전37 왕의방(王義方), 한사언(韓思彦), 소안항(蘇安恒), 설등(薛登), 왕구례(王求禮), 류택(柳澤), 풍원상(馮元常), 장흠서(蔣欽緖) 권113 열전38 당림(唐臨), 장문관(張文瓘), 서유공(徐有功) 권114 열전39 최융(崔融), 서언백(徐彦伯), 소미도(蘇味道), 두로흠망(豆盧欽望) 권115 열전40 적인걸(狄仁傑), 학처준(郝處俊), 주경칙(朱敬則) 권116 열전41 왕침(王綝), 위사겸(韋思謙), 육원방(陸元方), 왕급선(王及善), 이일지(李日知), 두경전(杜景佺), 이회원(李懷遠) 권117 열전42 배염(裴炎), 유의지(劉禕之), 위현동(魏玄同), 이소덕(李昭德), 길욱(吉頊) 권118 열전43 장정규(張廷珪), 위주(韋湊), 한사복(韓思復), 송무광(宋務光), 신체부(辛替否), 이발(李渤), 배린(裴潾), 이관(李款) 권119 열전44 무평일(武平一), 이예(李乂), 가증(賈曾), 백거역(白居易) 권120 열전45 환언범(桓彦範), 이복업(李福業), 습수(襲秀), 설계창(薛季昶), 양원염(楊元琰), 경휘(敬暉), 최현위(崔玄暐), 장간지(張柬之), 원서기(袁恕己) 권121 열전46 유유구(劉幽求), 종소경(鐘紹京), 최일용(崔日用), 왕거(王琚), 왕모중(王毛仲), 이수덕(李守德), 진현례(陳玄禮) 권122 열전47 위현충(魏元忠), 위안석(韋安石), 곽원진(郭元振) 권123 열전48 이교(李嶠), 소지충(蕭至忠), 노장용(盧藏用), 위거원(韋巨源), 조언소(趙彦昭), 화봉요(和逢堯) 권124 열전49 요숭(姚崇), 송경(宋璟) 권125 열전50 소괴(蘇瓌), 장설(張說) 권126 열전51 위지고(魏知古), 노회신(盧懷愼), 원굉(李元紘), 두섬(杜暹), 장구령(張九齡), 한휴(韓休) 권127 열전52 장가정(張嘉貞), 원건요(源乾曜), 배요경(裴耀卿) 권128 열전53 소향(蘇珦), 윤사정(尹思貞), 필구(畢構), 이걸(李傑), 정유충(鄭惟忠), 왕지음(王志愔), 허경선(許景先), 반호례(潘好禮), 예약수(倪若水), 석예(席豫), 제한(齊澣) 권129 열전54 배수진(裴守眞), 최면(崔沔), 노종원(盧從願), 이조은(李朝隱), 왕구(王丘), 엄정지(嚴挺之) 권130 열전55 배최(裴漼), 양교(陽嶠), 송경례(宋慶禮), 양창(楊瑒), 최은보(崔隱甫), 이상은(李尙隱), 해완(解琬) 권131 열전56 종실재상(宗室宰相) 이적지(李適之), 이현(李峴), 이면(李勉), 이이간(李夷簡), 이정(李程), 이석(李石), 이회(李回) 권132 열전57 유자현(劉子玄), 오긍(吳兢), 위술(韋述), 장예(蔣乂), 류방(柳芳), 심기제(沈旣濟) 권133 열전58 곽건관(郭虔瓘), 곽지운(郭知運), 왕군착(王君㚟), 장수규(張守珪), 왕충사(王忠嗣), 우선객(牛仙客) 권134 열전59 우문융(宇文融), 위견(韋堅), 양신긍(楊愼矜), 왕홍(王鉷) 권135 열전60 가서한(哥舒翰), 고선지(高仙芝), 봉상청(封常淸) 권136 열전61 이광필(李光弼) 권137 열전62 곽자의(郭子儀) 권138 열전63 이사업(李嗣業), 마린(馬璘), 이포옥(李抱玉), 노사공(路嗣恭) 권139 열전64 방관(房琯), 장호(張鎬), 이필(李泌) 권140 열전65 최원(崔圓), 묘진경(苗晉卿), 배면(裴冕), 배준경(裴遵慶), 여인(呂諲) 권141 열전66 최광원(崔光遠), 등경산(鄧景山), 위소유(魏少游), 위백옥(衛伯玉), 이징(李澄), 한전의(韓全義), 노종사(盧從史), 고하우(高霞寓) 권142 열전67 이린(李麟), 양관(楊綰), 최우보(崔祐甫), 류혼(柳渾), 위처후(韋處厚), 노수(路隨) 권143 열전68 고적(高適), 원결(元結), 이승(李承), 위륜(韋倫), 설각(薛珏), 최한형(崔漢衡), 대숙륜(戴叔倫), 왕굉(王翃), 서신(徐申), 치사미(郗士美), 신비(辛秘) 권144 열전69 내전(來瑱), 전신공(田神功), 후희일(侯希逸), 최녕(崔寧), 엄려(嚴礪) 권145 열전70 원재(元載), 왕진(王縉), 여간(黎幹), 양염(楊炎), 엄영(嚴郢), 두참(竇參) 권146 열전71 이서균(李棲筠), 이용(李鄘) 권147 열전72 왕사례(王思禮), 노경(魯炅), 왕난득(王難得), 신운경(辛雲京), 풍하청(馮河淸), 이봉(李芃), 이숙명(李叔明), 곡환(曲環), 왕건휴(王虔休), 노군(盧群), 이원소(李元素), 노사매(盧士玫) 권148 열전73 영호창(令狐彰), 장효충(張孝忠), 강일지(康日知), 이유(李洧), 유옹(劉澭), 전홍정(田弘正), 왕승원(王承元), 우원익(牛元翼), 사효장(史孝章) 권149 열전74 유안(劉晏), 제오기(第五琦), 반굉(班宏), 왕소(王紹), 이손(李巽) 권150 열전75 이규(李揆), 상곤(常袞), 조경(趙憬), 최조(崔造), 제영(齊映), 노매(盧邁) 권151 열전76 관파(關播), 동진(董晉), 원자(袁滋), 조종유(趙宗儒), 두역직(竇易直) 권152 열전77 장일(張鎰), 강공보(姜公輔), 무원형(武元衡), 이강(李絳), 송신석(宋申錫) 권153 열전78 단수실(段秀實), 안진경(顔眞卿) 권154 열전79 이성(李晟) 권155 열전80 마수(馬燧), 혼감(渾瑊) 권156 열전81 양조성(楊朝晟), 대휴안(戴休顔), 양혜원(陽惠元), 이원량(李元諒), 이관(李觀), 한유괴(韓遊瓌), 두희전(杜希全), 형군아(邢君牙) 권157 열전82 육지(陸贄) 권158 열전83 위고(韋皋), 장건봉(張建封), 엄진(嚴震), 한홍(韓弘) 권159 열전84 포방(鮑防), 이자량(李自良), 소흔(蕭昕), 설파(薛播), 번택(樊澤), 왕위(王緯), 오주(吳湊), 정권(鄭權), 육긍(陸亙), 노탄(盧坦), 류성(柳晟), 최융(崔戎) 권160 열전85 서호(徐浩), 여위(呂渭), 맹간(孟簡), 유백추(劉伯芻), 양빙(楊憑), 반맹양(潘孟陽), 최원략(崔元略), 위수(韋綬) 권161 열전86 장천(張薦), 조연(趙涓), 이서(李紓), 정운규(鄭雲逵), 서대(徐岱), 왕중서(王仲舒), 풍항(馮伉), 유경휴(庾敬休) 권162 열전87 요남중(姚南仲), 독고급(獨孤及), 고소련(顧少連), 위하경(韋夏卿), 단평중(段平仲), 여원응(呂元膺), 허맹용(許孟容), 설존성(薛存誠), 이손(李遜) 권163 열전88 공소부(孔巢父), 목녕(穆寧), 최빈(崔邠), 류공작(柳公綽), 양어릉(楊於陵) 권164 열전89 귀숭경(歸崇敬), 해척(奚陟), 최연(崔衍), 노경량(盧景亮), 설빈(薛蘋), 위차공(衛次公), 설융(薛戎), 호증(胡證), 정공저(丁公著), 최홍례(崔弘禮), 최현량(崔玄亮), 왕질(王質), 은유(殷侑), 왕언위(王彦威) 권165 열전90 정여경(鄭餘慶), 정순유(鄭珣瑜), 고영(高郢), 정인(鄭絪), 권덕여(權德輿), 최군(崔群) 권166 열전91 가탐(賈耽), 두우(杜佑), 영호초(令狐楚) 권167 열전92 백지정(白志貞), 배연령(裴延齡), 최손(崔損), 위거모(韋渠牟), 이제운(李齊運), 이실(李實), 황보박(皇甫鎛), 왕파(王播) 권168 열전93 위집의(韋執誼), 왕숙문(王叔文), 육질(陸質), 유유석(劉禹錫), 류종원(柳宗元), 정이(程異) 권169 열전94 두황상(杜黃裳), 배게(裴垍), 이번(李藩), 위관지(韋貫之) 권170 열전95 고숭문(高崇文), 이신(伊愼), 주충량(朱忠亮), 유창예(劉昌裔), 범희조(范希朝), 왕악(王鍔), 맹원양(孟元陽), 왕서요(王栖曜), 유창(劉昌), 조창(趙昌), 이경략(李景略), 임적간(任迪簡), 장만복(張萬福), 고고(高固) 권171 열전96 이광진(李光進), 오중윤(烏重胤), 왕패(王沛), 양원경(楊元卿), 조화(曹華), 고우(高瑀), 유면(劉沔), 석웅(石雄) 권172 열전97 우적(于頔), 왕지흥(王智興), 두겸(杜兼), 두아(杜亞) 권173 열전98 배도(裴度) 권174 열전99 이봉길(李逢吉), 원진(元稹), 우승유(牛僧孺), 이종민(李宗閔), 양사복(楊嗣復) 권175 열전100 두군(竇群), 유서초(劉棲楚), 장우신(張又新), 양우경(楊虞卿), 장숙(張宿), 웅망(熊望), 백기(柏耆) 권176 열전101 한유(韓愈) 권177 열전102 전휘(錢徽), 최함(崔咸), 위표미(韋表微), 고익(高釴), 풍숙(馮宿), 이우중(李虞仲), 이고(李翺), 노간사(盧簡辭), 고원유(高元裕), 봉오(封敖), 정훈(鄭薰), 경회(敬晦), 위박(韋博) 권178 열전103 유분(劉蕡) 권179 열전104 이훈(李訓), 정주(鄭注), 왕애(王涯), 가속(賈餗), 서원여(舒元輿), 왕번(王璠), 곽행여(郭行餘), 한약(韓約), 나입신(羅立言), 이효본(李孝本), 고사옹(顧師邕), 이정소(李貞素) 권180 열전105 이덕유(李德裕) 권181 열전106 진이행(陳夷行), 이신(李紳), 이양이(李讓夷), 조확(曹確), 유첨(劉瞻), 이울(李蔚) 권182 열전107 이고신(李固言), 이각(李珏), 최공(崔珙), 소업(蕭鄴), 정숙(鄭肅), 노균(盧鈞), 노간방(盧簡方), 위종(韋琮), 주지(周墀), 배휴(裴休), 유전(劉瑑), 하후자(夏侯孜), 조은(趙隱), 배탄(裴坦), 정연창(鄭延昌), 왕부(王溥), 노광계(盧光啓) 권183 열전108 필성(畢諴), 최언소(崔彦昭), 유업(劉鄴), 육의(陸扆), 정계(鄭綮), 주박(朱朴), 한악(韓偓) 권184 열전109 마식(馬植), 양수(楊收), 노암(路巖), 노휴(盧攜) 권185 열전110 정전(鄭畋), 왕탁(王鐸), 왕휘(王徽), 위소도(韋昭度), 장준(張濬) 권186 열전111 주보(周寶), 왕처존(王處存), 등처눌(鄧處訥), 진유(陳儒), 유거용(劉巨容), 조덕인(趙德諲), 양수량(楊守亮), 양성(楊晟), 고언랑(顧彦朗) 권187 열전112 왕중영(王重榮), 제갈상(諸葛爽), 이한지(李罕之), 왕경무(王敬武), 맹방립(孟方立) 권188 열전113 양행밀(楊行密), 필사탁(畢師鐸), 시부(時溥), 주선(朱宣), 손유(孫儒) 권189 열전114 고인후(高仁厚), 조주(趙犫), 전군(田頵), 주연수(朱延壽) 권190 열전115 유건봉(劉建鋒), 성예(成汭), 두홍(杜洪), 종전(鍾傳), 유한굉(劉漢宏), 장웅(張雄), 왕조(王潮), 유지겸(劉知謙) 권191 열전116 충의(忠義) 상 하후단(夏侯端), 유감(劉感), 상달(常達), 경군홍(敬君弘), 여자장(呂子臧), 왕행민(王行敏), 나사신(羅士信), 장도원(張道源), 이육덕(李育德), 고예(高叡), 안금장(安金藏), 왕동교(王同皎), 오보안(吳保安), 이징(李憕), 노혁(盧奕), 장개연(張介然), 무피(無詖) 권192 열전117 충의(忠義) 중 안고경(顔杲卿), 가순(賈循), 장순(張巡), 허원(許遠), 남제운(南霽雲), 뇌만춘(雷萬春), 요은(姚誾) 권193 열전118 충의(忠義) 하 정천리(程千里), 방견(龐堅), 장흥(張興), 채연옥(蔡廷玉), 부영기(符令奇), 유내(劉乃), 맹화(孟華), 장비(張伾), 주증(周曾), 장명진(張名振), 석연분(石演芬), 오서(吳漵), 고목(高沐), 가직언(賈直言), 신당(辛讜), 황갈(黃碣) 권194 열전119 탁행(卓行) 원덕수(元德秀), 권고(權皐), 견제(甄濟), 양성(陽城), 사공도(司空圖) 권195 열전120 효우(孝友) 이지본(李知本), 장지관(張志寬), 유군량(劉君良), 왕소현(王少玄), 임경신(任敬臣), 지숙재(支叔才), 정원사(程袁師), 무홍도(武弘度), 송사례(宋思禮), 정잠요(鄭潛曜), 원양(元讓), 배경이(裴敬彛), 양문정(梁文貞), 심계전(沈季詮), 허백회(許伯會), 진집원(陳集原), 육남금(陸南金), 장수(張琇), 서원경(徐元慶), 여상안(余常安), 양열(梁悅), 목종세(穆宗世), 후지도(侯知道), 정구라(程俱羅), 하징수(何澄粹) 권196 열전121 은일(隱逸) 왕적(王績), 손사막(孫思邈), 전유암(田遊巖), 맹선(孟詵), 왕우정(王友貞), 왕희이(王希夷), 이원개(李元愷), 위대경(衛大經), 무유서(武攸緖), 백이충(白履忠), 오긍(吳兢), 노홍(盧鴻), 오균(吳筠), 반사정(潘師正), 사마승정(司馬承禎), 하지장(賀知章), 진계(秦系), 장지화(張志和), 손술예(孫述睿), 육우(陸羽), 최근(崔覲), 육구몽(陸龜蒙) 권197 열전122 순리(循吏) 위인수(韋仁壽), 진군빈(陳君賓), 장윤제(張允濟), 이소립(李素立), 손지원(孫至遠), 설대정(薛大鼎), 가돈이(賈敦頤), 전인회(田仁會), 배회고(裴懷古), 위경준(韋景駿), 이혜등(李惠登), 나향(羅向), 위단(韋丹), 노홍선(盧弘宣), 설원상(薛元賞), 하역우(何易于) 권198 열전123 유학(儒學) 상 서문원(徐文遠), 육덕명(陸德明), 조헌(曹憲), 안사고(顔師古), 공영달(孔穎達), 구양순(歐陽詢), 주자사(朱子奢), 장사형(張士衡), 장후윤(張後胤), 개문달(蓋文達), 곡나률(谷那律), 소덕언(蕭德言), 경파(敬播), 나도종(羅道琮) 권199 열전124 유학(儒學) 중 낭여령(郎餘令), 서제담(徐齊聃), 심백의(沈伯儀), 노경순(路敬淳), 왕원감(王元感), 왕소종(王紹宗), 팽경직(彭景直), 노찬(盧粲), 윤지장(尹知章), 장제현(張齊賢), 류충(柳沖), 마회소(馬懷素), 공약사(孔若思) 권200 열전125 유학(儒學) 하 저무량(褚無量), 원행충(元行沖), 진정절(陳貞節), 시경본(施敬本), 노이빙(盧履冰), 왕중구(王仲丘), 강자원(康子元), 조동희(趙冬曦), 담조(啖助), 위동(韋彤), 진경(陳京), 창당(暢當), 임온(林蘊), 위공숙(韋公肅), 허강좌(許康佐) 권201 열전126 문예(文藝) 상 원랑(袁朗), 가덕인(賀德仁), 채윤공(蔡允恭), 사언(謝偃), 최신명(崔信明), 유연우(劉延祐), 장창령(張昌齡), 최행공(崔行功), 두심언(杜審言), 왕발(王勃), 원만경(元萬頃) 권202 열전127 문예(文藝) 중 이적(李適), 위원단(韋元旦), 유윤제(劉允濟), 심전기(沈佺期), 송지간(宋之問), 염조은(閻朝隱), 윤원개(尹元凱), 유헌(劉憲), 이옹(李邕), 여향(呂向), 왕한(王翰), 손적(孫逖), 이백(李白), 왕유(王維), 정건(鄭虔), 소영사(蕭穎士), 소원명(蘇源明) 권203 열전128 문예(文藝) 하 이화(李華), 맹호연(孟浩然), 유태진(劉太眞), 소설(邵說), 우소(于邵), 최원한(崔元翰), 우공이(于公異), 이익(李益), 노륜(盧綸), 구양첨(歐陽詹), 이하(李賀), 오무릉(吳武陵), 이상은(李商隱), 설봉(薛逢), 이빈(李頻), 오융(吳融) 권204 열전129 방기(方技) 이순풍(李淳風), 견권(甄權), 원천강(袁天綱), 설이(薛頤), 명숭엄(明崇儼), 상헌보(尙獻甫), 엄선사(嚴善思), 두생(杜生), 장과(張果), 강무(姜撫), 상도무(桑道茂) 권205 열전130 열녀(列女) 배숙영(裴淑英), 양경 처 왕씨(楊慶 妻 王氏), 방현령 처 노씨(房玄齡 妻 盧氏), 왕난영(王蘭英), 양삼안 처 이씨(楊三安 妻 李氏), 번회인 모친 경씨(樊會仁 母 敬氏), 위무기(衛無忌), 정의종 처 노씨(鄭義宗 妻 盧氏), 하후쇄금(夏侯碎金), 우민직 처 장씨(于敏直 妻 張氏), 초왕영구비 상관씨(楚王靈龜妃 上官氏), 양소종 처 왕씨(楊紹宗 妻 王氏), 가효녀(賈孝女), 왕아족(王阿足), 반언침 처 위씨(攀彦琛 妻 魏氏), 이여 모친(李畬 母), 판녀 이씨(汴女 李氏), 최회 처 노씨(崔繪 妻 盧氏), 견정절부 이씨(堅貞節婦 李氏), 옥영(玉英), 고예 처 진씨(高叡 妻 秦氏), 왕림 처 위씨(王琳 妻 韋氏), 노유청 처 서씨(盧惟淸 妻 徐氏), 요아(饒娥), 두백녀(竇伯女), 중녀(仲女), 노보 처 이씨(盧甫 妻 李氏), 추대정 처 박씨(鄒待征 妻 薄氏), 김절 며느리(金節 婦), 고민녀 매매(高湣女 妹妹), 양열 며느리(楊烈 婦), 가직언 처 동씨(賈直言 妻 董氏), 이묘법(李妙法), 이단 처(李湍 妻), 동창령 모친 양씨(董昌齡 母 楊氏), 왕화자(王和子), 단거정 처 사씨(段居貞 妻 謝氏), 양함 처 소씨(楊含 妻 蕭氏), 위옹 처 소씨(韋雍 妻 蕭氏), 형방후 처 정씨(衡方厚 妻 程氏), 정효녀(鄭孝女), 이정절 처 최씨(李廷節 妻 崔氏), 봉현(封絢), 두열 며느리(竇烈婦), 이증 처 노씨(李拯 妻 盧氏), 산양녀 조씨(山陽女 趙氏), 주적 처 주씨(周迪 妻 朱氏), 연수 처 왕씨(延壽 妻 王氏) 권206 열전131 외척(外戚) 독고회은(獨孤懷恩), 무사확(武士彠), 위온(韋溫), 주인궤(周仁軌), 왕인교(王仁皎), 양국충(楊國忠), 이소(李翛), 정광(鄭光) 권207 열전132 환자(宦者) 상 양사욱(楊思勖), 고력사(高力士), 정원진(程元振), 어조은(魚朝恩), 유정량(劉貞亮), 토돌승최(吐突承璀), 마존량(馬存亮), 구사량(仇士良), 양복광(楊復光) 권208 열전133 환자(宦者) 하 이보국(李輔國), 왕수징(王守澄), 유극명(劉克明), 전영자(田令孜), 양복공(楊復恭), 유계술(劉季述), 한전회(韓全誨), 장언홍(張彦弘) 권209 열전134 혹리(酷吏) 색원례(索元禮), 내준신(來俊臣), 후사지(侯思止), 왕홍의(王弘義), 곽홍패(郭弘霸), 요소지(姚紹之), 주이정(周利貞), 왕욱(王旭), 최기(崔器), 모약허(毛若虛), 경우(敬羽) 권210 열전135 번진위박(藩鎭魏博) 전승사(田承嗣), 사헌성(史憲誠), 하진도(何進滔), 악언정(樂彦禎), 나홍신(羅弘信) 권211 열전136 번진진기(藩鎭鎭冀) 이보신(李寶臣), 왕무준(王武俊), 왕정주(王廷湊), 왕원규(王元逵) 권212 열전137 번진노룡(藩鎭盧龍) 이회선(李懷仙), 주도(朱滔), 유평(劉怦), 주극융(朱克融), 이재의(李載義), 양지성(楊志誠), 장중무(張仲武), 장윤신(張允伸), 장공소(張公素), 이무훈(李茂勛), 이전충(李全忠), 유인공(劉仁恭) 권213 열전138 번진치청횡해(藩鎭淄靑橫海) 이정기(李正己), 정일화(程日華), 이전략(李全略) 권214 열전139 번진선무장의택로(藩鎭宣武彰義澤潞) 유현좌(劉玄佐), 오소성(吳少誠), 유오(劉悟), 이좌지(李佐之), 이사회(李師晦), 이비(李丕) 권215上 열전140-上 돌궐(突厥) 상 권215下 열전140-下 돌궐(突厥) 하 권216上 열전141-上 토번(吐蕃) 상 권216下 열전141-下 토번(吐蕃) 하 권217上 열전142-上 회흘(回鶻) 상 권217下 열전142-下 회흘(回鶻) 하 권218 열전143 사타(沙陀) 권219 열전144 북적(北狄) 거란(契丹), 해(奚), 실위(室韋), 말갈(靺鞨), 발해(渤海) 권220 열전145 동이(東夷) 고려(高麗), 백제(百濟), 신라(新羅), 왜국(倭國), 일본(日本) 권221上 열전146-上 서역(西域) 상 니파라(泥婆羅), 당항강(党項羌), 동녀(東女), 고창(高昌), 토욕혼(吐谷渾), 언기(焉耆), 구자(龜茲), 발록가(跋祿迦), 소륵(疏勒), 우전(于闐), 천축(天竺), 마게타(摩揭陀), 계빈(罽賓) 권221下 열전146-下 서역(西域) 하 강국(康國), 안국(安國), 동안(東安), 동조(東曹), 서조(西曹), 중조(中曹), 자지(柘支), 쇄엽(碎葉), 포한(怖捍), 미말(彌末), 굴상이가(屈霜爾迦), 화심(火尋), 갈상나(羯霜那), 나색파(那色波), 달밀종(呾蜜種), 영원(寧遠), 대발률(大勃律), 토화라(吐火羅), 읍달국(挹怛國), 구란(俱蘭), 겁자(劫者), 월저연(越底延), 범연(帆延), 석한나(石汗那), 식닉(識匿), 사몰(似沒), 구밀(俱蜜), 호밀(護蜜), 개실밀(個失蜜), 골돌(骨咄), 소비(蘇毗), 다미(多彌), 이오성(伊吾城), 사자(師子), 파사(波斯), 구위(俱位), 불림(拂菻), 대식(大食), 달만(怛滿) 권222上 열전147-上 남만(南蠻) 상 남조(南詔) 上 권222中 열전147-中 남만(南蠻) 중 남조(南詔) 下, 팔조(八詔) 권222下 열전147-下 남만(南蠻) 하 환왕(環王), 파리(婆利), 나찰(羅刹), 파라(婆羅), 수내(殊柰), 반반(盤盤), 가라(哥羅), 구루밀(拘蔞蜜), 부남(扶南), 백두(白頭), 진랍(眞臘), 참반(參半), 도명(道明), 가릉(訶陵), 타화라(墮和羅), 담릉(曇陵), 타파등(墮婆登), 투화(投和), 첨박(瞻博), 천지(千支), 가라사분(哥羅舍分), 다마장(多摩萇), 실리불서(室利佛逝), 명멸(名蔑), 단단(單單), 나월(羅越), 표국(驃國), 양찬만(兩爨蠻), 각라봉(閣羅鳳), 오만(烏蠻), 곤명만(昆明蠻), 동사만(東謝蠻), 서조만(西趙蠻), 송외만(松外蠻), 서이하만(西洱河蠻), 여주(黎州), 삼왕부락(三王部落), 제만(諸蠻), 육성만(六姓蠻), 부락(部落), 영창만(永昌蠻), 군만(群蠻), 생만림도부부락(生蠻林睹符部落), 남평요(南平獠), 서원만(西原蠻) 권223上 열전148-上 간신(姦臣) 상 허경종(許敬宗), 이의부(李義府), 부유예(傅游藝), 이임보(李林甫), (진희열陳希烈) 권223下 열전148-下 간신(姦臣) 하 노기(盧杞), 최윤(崔胤), 최소위(崔昭緯), 류찬(柳璨), 장현휘(蔣玄暉), 장정범(張廷範), 씨숙종(氏叔琮), 주우공(朱友恭) 권224上 열전149-上 반신(叛臣) 상 복고회은(僕固懷恩), 주지광(周智光), 양숭의(梁崇義), 이회광(李懷光), 진소유(陳少游), 이기(李錡) 권224下 열전149-下 반신(叛臣) 하 이충신(李忠臣), 교림(喬琳), 고변(高駢), 주매(朱玫), 왕행유(王行瑜), 진경선(陳敬瑄), 이거천(李巨川) 권225上 열전150-上 역신(逆臣) 상 안록산(安祿山), 안경서(安慶緖), 고상(高尙), 손효철(孫孝哲), 사사명(史思明), 사조의(史朝義) 권225中 열전150-中 역신(逆臣) 중 이희렬(李希烈), 주자(朱泚) 권225下 열전150-下 역신(逆臣) 하 황소(黃巢), 진종권(秦宗權), 동창(董昌) = = = 부록 = = = 진신당서표(進新唐書表) = 마이소라 히토미 = 마이소라 히토미 (, 8월 27일 - )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호시구미에 소속되어 있는 여역이다. 현 호시구미 톱여역이다.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출신, 키타카마쿠라여자가쿠엔중학교 출신이다. 키 164cm, 혈액형은 A형, 애칭은 "힛통", "나코"이다. = = 약력 = = 2014년,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입학. 2016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102기생으로 입단. 호시구미 공연 「박쥐/ THE ENTERTAINER!」로 마이소라 미미 로 초무대. 같은 해 4월 26일자로 현재의 예명인 마이소라 히토미로 개명하고 그 후 하나구미에 배속. 2017년, 한큐한신 첫 참배 포스터 모델로 기용되다. 같은 해 「한나의 꽃집 -Hanna's Florist- (TBA아카사카ACT시어터 공연)으로 메인 캐스트인 한나 역을 연기했다. 입단 2년차때의 발탁이다. 2018년, 「포의 일족」 신인공연으로 주요 캐스트인 주인공의 동생 메이벨 역 (본역 : 하나 유우키)을 연기했다. 같은 해 「MESSIAH」로 신인공연 첫 히로인. 이어서 「멜란콜릭 지고르」로 전국투어 공연 첫 히로인. 2019년 4월 29일자로 호시구미로 조 이동이 되다. 같은 해, 쿠레나이 유즈루ㆍ키사키 아이리 톱 콤비 퇴단 공연 「GOD OF STAR」로 2번째 신인공연 히로인. 같이 공연하는 쇼 「에클레르 브리앙」으로 첫 에트와르를 맡았다. 같은해 10월 14일자로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레이 마코토의 상대역으로, 「록오페라 모차르트」 (우메다예술극장ㆍ도쿄건물 Brillia HALL 공연)으로 톱 콤비 오히로메. 레이와 마이소라는 수석 입단 톱 콤비가 되었다. = = 주요 무대 = = 기간 (월) 소속 제목 공연장 배역 비고 2016년 2016년 2016년 2016년 2016년 2016년 3- 4 호시 박쥐 다카라즈카 대극장 초무대 3- 4 호시 THE ENTERTAINER! 다카라즈카 대극장 초무대 11 - 2017년 2월 하나 설화초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1 - 2017년 2월 하나 금색의 사막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비르마야 (회상)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6 - 8 하나 야마토국의 바람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이사카 (신인공연) 본역 : 시로키 미레이 6 - 8 하나 Santé!!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0 하나 한나의 꽃집 -Hanna's Florist- TBS아카사카ACT시어터 한나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2018년 1 - 3 하나 포의 일족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호텔 메이드 메리벨 (신인공연) 본역 : 하나 유우키 5 하나 Senhor CRUZEIRO (세뇨르 크루제이로) 바우홀 바르바라 7 - 10 하나 MESSIAH -이문 ・ 아마쿠사 시로-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만 류우 (신인공연) 본역 : 센나 아야세 신인공연 첫 히로인 7 - 10 하나 BEAUTIFUL GARDEN -백화현란-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1 - 12 하나 멜란콜릭 지고로 전국투어 펠리시아 전국투어 첫 히로인 11 - 12 하나 EXCITER!! 2018 전국투어 2019년 2019년 2019년 2019년 2019년 2019년 2 - 4 하나 CASANOVA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마논 바렛치 콘뒤르멜 부인 (신인공연) 본역 : 호즈키 안 7 - 10 호시 GOD OF STARS-식성-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크리스티나 챤 아이린 쵸 (신인공연) 신인공연 히로인 7 - 10 호시 Éclair Brillant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첫 에트와르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2019년, 호시구미 톱여역 취임 11 - 12 호시 록오페라 모차르트 우메다예술극장 도쿄건물 Brillia HALL 콘스탄체 웨이버 톱 오히로메 공연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 - 3 호시 현요의 계곡 ~내려온 샛별~ 다카라즈카 대극장 토우카 대극장 톱 오히로메 공연 2 - 3 호시 Ray -별의 광선- 다카라즈카 대극장 대극장 톱 오히로메 공연 7 - 9 호시 현요의 계곡 ~내려온 샛별~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토우카 7 - 9 호시 Ray -별의 광선-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1 호시 엘 아르콘 -매- 우메다예술극장 길다 라반느 11 호시 Ray -별의 광선- 우메다예술극장 2021년 2021년 2021년 2021년 2021년 2021년 2 - 5 호시 로미오와 줄리엣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줄리엣 7 호시 VERDAD (베르대드) 마이하마안피시어터 9 - 12 호시 야규인법첩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유라 9 - 12 호시 모어 댄디즘!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2022년 2022년 2022년 2022년 2022년 2022년 2 호시 왕가에 바치는 노래 미소노좌 아이다 4 - 7 호시 다시 만나 재회 next generation -미드나이트 걸프렌드-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안젤리크 4 - 7 호시 Gran Cantante!!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9 호시 몬테크리스토 백작 전국투어 9 호시 Gran Cantante!! 전국투어 11 - 2023년 2월 호시 사양 나라의 루스단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1 - 2023년 2월 호시 JAGUAR BEAT -재규어 비트- 다카라즈카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 출연 이벤트 = = 2018년 12월, 다카라즈카 스페셜 2018 『Say! Hey! Show Up!!』 2019년 5월, 호즈키 안 디너쇼 『NEXT ONE』 2019년 10월, 제 55회 『다카라즈카 무용회 ~祝舞御代煌(いわいまうみよのきらめき)~』 2019년 12월, 다카라즈카 스페셜 2019 『Beautiful Harmony』 = = 광고 = = 2017년, 『한큐한신』 첫 참배 포스터 모델 2019년 11월 - , 『오릭스 그룹』 = = 수상 이력 = = 2019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연도상』 - 2018년도 신인상 2021년, 『한큐스미레회 팬지상』 - 여역상 = 모듈:Location map/data/Netherlands Amsterdam metro station = return { name = 'metro van Amsterdam', top = 52.403, bottom = 52.274, left = 4.799, right = 5.004, image = 'Outline map Amsterdam metro 2.PNG' } = 승진훈련장 = = 틀:인천급 호위함 = = 분류:현풍고등학교 동문 = = 엘 카프리초역 = 엘 카프리초 역은 마드리드 지하철 5호선의 역이다. 마드리드 바라하스 구의 알라메다데오수나 지역에서 베르데 데 라 가솔리다 로와 피노스 데 오수나 거리가 만나는 교차로 바로 전에 자리잡고 있다. 요금구역상으로는 A구역에 속한다. = = 역사 = = 2006년 11월 24일 5호선이 알라메다 데 오수나 역까지 연장되면서 처음 영업에 들어갔다. 널찍한 거리에 맞춰 지어진 역이라서 알라메다 데 오수나 역과 함께 내부공간이 제일 넓은 역으로 꼽힌다. 2014년 8월 2일부터는 5호선의 종점인 알라메다 데 오수나 역에서 토레 아리아스 역까지 모든 역의 시설정비 공사를 개시하였다. 특히 카니예하스 차량기지로 향하는 사선 우회로를 재정비하고, 신호기를 최신기술로 바꾸는 작업이 진행됐다. 공사는 2014년 8월 18일에 끝났다. = = 환승 정보 = = 역 주변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두 곳 있으며, 1개 노선만 다닌다. 시내버스 114번 노선 (주간) = 분류:그레나다계 잉글랜드인 = = 복스 룩스 = 복스 룩스는 2018년 개봉된 미국의 뮤지컬 드라마 영화이다. 브레이디 코벳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제75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2018) 경쟁부문 진출작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나탈리 포트만 주드 로 래피 캐시디 스테이시 마틴 = = = 조연 = = = 맷 세비토 나타샤 로마노바 다니엘 런던 = 민홍남 = 민홍남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자 영화 프로듀서이다. = = 영화 = = 2005년 영화 《병원이나 가야겠습니다》 ... 감독 2006년 영화 《타짜》 ... 제작지원 2007년 영화 《검은 집》 ... 연출부 2008년 영화 《그의 결혼식》 ... 연출부 2009년 영화 《하늘과 바다》 ... 연출부 2010년 영화 《반가운 살인자》 ... 연출부 2011년 영화 《평양성》 ... 연출부 2012년 영화 《페이스 메이커》 ... 연출부 2012년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 연출부 2013년 영화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 연출팀 2014년 영화 《상의원》 ... 연출부 2016년 영화 《부산행》 ... 조감독 2018년 영화 《염력》 ... 조감독 2020년 영화 《반도》 ... 조감독 = = 드라마 = = 2024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선산》 ... 연출 & 공동각본 = 땅륀강 = 땅륀강 또는 누강은 티베트에서 발원하여 마르타반만으로 흐르는 강이다. 중국 남부에서 미얀마와 태국으로 흘러들어 안다만해로 빠져나간다. 길이는 약 2,815km이다. 그러나 동부의 산간 협곡을 형성할 뿐 유역에 평야는 없고 산지에서 나는 티크재(材)의 운반에 이용된다. 7,000종이 넘는 식물과 80종의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과 어류의 고향이며, 윈난 성의 광대한 부분을 흘러가는 강이기도 하다.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 = 오쿠라야마 점프 경기장 = 오쿠라야마 점프 경기장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스키 점프장이다. = 가내초등학교 = 가내초등학교는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2017년 10월 23일 가내초등학교 개교 2017년 10월 23일 초대 신동란 교장 취임 2017년 10월 23일 초등학교 7학급 편성, 병설 유치원 3학급 편성 2017년 10월 30일 초등학교 9학급 편성, 병설 유치원 3학급 편성 = 2012년 하계 올림픽 근대5종 = 제30회 하계 올림픽 근대5종 경기는 2012년 8월 11일부터 12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렸다. = = 메달리스트 = = 남자 여자 근대5종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남도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라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 = 선거구 = = 선거구 선거구역 목포시 목포시 일원 여수시 갑 여수시 돌산읍, 남면, 삼산면,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국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여수시 을 여수시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삼일동, 묘도동 순천시 순천시 일원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 광양시 광양시 일원 담양군·곡성군·구례군 담양군 일원 곡성군 일원 구례군 일원 고흥군·보성군 고흥군 일원 보성군 일원 장흥군·강진군·영암군 장흥군 일원 강진군 일원 영암군 일원 해남군·완도군·진도군 해남군 일원 완도군 일원 진도군 일원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함평군·영광군·장성군 함평군 일원 영광군 일원 장성군 일원 = = 개표 결과 = = = = = 목포시 = = = = = = 여수시 갑 = = = = = = 여수시 을 = = = = = = 순천시 = = = = = = 나주시·화순군 = = = = = = 광양시 = = = = = = 담양군·곡성군·구례군 = = = = = = 고흥군·보성군 = = = = = = 장흥군·강진군·영암군 = = = = = = 해남군·완도군·진도군 = = = = = = 무안군·신안군 = = = = = = 함평군·영광군·장성군 = = = = = 당선자 = = 선거구 정당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목포시 무소속 박지원 45,415 여수시 갑 통합민주당 김성곤 35,597 여수시 을 통합민주당 주승용 42,958 순천시 통합민주당 서갑원 65,071 나주시·화순군 통합민주당 최인기 50,502 광양시 통합민주당 우윤근 27,539 담양군·곡성군·구례군 통합민주당 김효석 36,143 고흥군·보성군 통합민주당 박상천 36,407 장흥군·강진군·영암군 통합민주당 유선호 38,087 해남군·완도군·진도군 무소속 김영록 36,827 무안군·신안군 무소속 이윤석 16,200 함평군·영광군·장성군 통합민주당 이낙연 42,950 = 분류:벨기에 프로젝트 문서 = = 분류:1974년 판례 = = 고덕초등학교 (경기) = 고덕초등학교는 경기도 평택시 고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1년 11월 1일 고덕공립보통학교 개교(설립인가 7월 16일) 1938년 4월 1일 고덕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고덕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48년 5월 1일 효덕분교장 설치 1949년 4월 1일 종덕분교장 설치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고덕초등학교로 개칭법률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9년 12월 24일 환경개선특별사업 준공 2003년 10월 17일 다목적 체육관 준공 2011년 5월 1일 급식실 개설 2015년 2월 13일 제81회 10명 졸업(총5,267명) 2015년 3월 1일 3학급편성, 유치원 1학급 2016년 4월 1일 고덕국제신도시 개발로 인한 임시 휴교고덕초등학교, 개교 85년 만에 ‘임시 휴교’평택 고덕초교, 재탄생 위한 '고별 음악회' 열려 2022년 3월 2일 고덕국제신도시에 위치한 신 교사에서 재개교 = 봉래동1가 = 봉래동1가(蓬萊洞1街)는 대한민국의 다음 지역에 위치한 법정동 이름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1가 = 분류:고려 현종 = = 포털:음식/알고 계십니까 = *…분자 요리학은 요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변화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체더 치즈는 영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치즈로, 19억 파운드에 달하는 영국의 한 해 치즈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중세 시대에는 고래가 생선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사순절 기간 동안에 이 포유류를 소금에 절여 먹기도 하였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진 껌은 그 기원이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 시대에 엿은 체력과 혈당을 보충하기 위한 서생들의 필수 간식이였습니다. 서생들은 각자 자신이 가져온 엿의 색깔을 보면서 부인의 정성을 비교해보기도 하였습니다. *...한국 불교의 승려들이 먹는 사찰음식에는 마늘·파·달래·부추·흥거의 오신채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아구를 찜으로 먹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마산에서부터이며, 이전에는 버리거나 탕 정도로만 먹었습니다. *...샌드위치는 영국의 백작 존 몬태규 샌드위치 4세가 카드놀이를 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요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의 김치는 채소를 염장한 소금 절임의 형태였으며, 오늘날의 형태는 임진왜란을 통해 고추가 들어온 이후부터 갖추게 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옛부터 황복을 희고 윤기있는 살에 빗대어 미인 서시의 유방이라 불렀으며, 오늘날에도 서시유 (西施乳)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한편, 송나라의 시인 소동파는 '죽음과 맞바꾸는 맛'으로 황복의 맛을 극찬하였으며, 제철이 되면 복어를 먹느라 정사를 게을리 하였다고 합니다. *...조개'를 부르는 이름 중에서, 홍합은 속살이 붉어서, 키조개는 곡식을 거르는 키를 닮아서, 피조개는 피가 나와서 붙은 이름이며, 가리비는 부채를 닮아 부채조개, 강굴은 벚꽃이 필 때 먹는다고 벚굴, 모시조개는 표면이 검어서 가무락조개라고도 부릅니다. *...과거에는 떡국에 꿩고기 육수를 사용하였는데, 구하기 힘든 경우에는 닭고기를 대신 육수로 사용하였으며, 이것이 오늘날의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비롯되게 하였습니다. *...이집트의 라마단 기간 중에는 부유한 무슬림들이 거리에 '자비로운 하느님의 식탁'을 세워,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놓여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합니다.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는 돼지를 불결한 동물로 여기기 때문에 돼지고기를 먹는 것을 금기시합니다. = 서울시립승화원 = 서울시립승화원(서울市立昇華院)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통일로 504 (대자동)에 있는 화장장이다. 서울시설공단에서 운영한다.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국가보훈법에 따른 희생.공헌자 및 그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서울시립승화원에 부속된 봉안당(납골당)인 추모의 집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근에는 민간에서 설립한 여러 봉안당들이 위치해 있다. 과거 행정구역인 벽제읍을 따서 벽제 화장장이라고도 불린다. 1930년 3월 1일 현재의 홍제동 서울고은초등학교 자리에서 설립했으며, 1970년 9월 26일에 경기도 고양시 대자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교통 = = 통일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인근에는 교외선 벽제역이 있으나, 교외선은 영업하지 않고 있다. = = 요금 = = 요금은 관내 거주민과 관외 거주민이 다르다. 관내 거주민은 소유주인 서울특별시, 승화원 소재지인 고양시, 서울특별시립 공동묘지인 용미리 묘지(광탄면)의 소재지인 파주시민을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립승화원뿐만 아니라 서초구 원지동 서울추모공원을 이용할 때도 고양시민과 파주시민에게 관내 거주민 혜택이 부여된다. = 분류:의령군의 고등학교 = = 프테리기난드룸과 = 프테리기난드룸과(Pterigynandraceae)는 털깃털이끼목에 속하는 이끼과의 하나이다. 좁은실덩굴이끼 (Heterocladium angustifolium), 고산가는실이끼 (Iwatsukiella leucotricha) 등을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속 = = Habrodon Heterocladium Iwatsukiella Myurella Pterigynandrum Trachyphyllum = 알파걸 = 알파걸(Alpha Girl)은 학업, 운동, 리더십 모든 면에 있어서 남성을 능가하는 높은 성취욕과 자신감을 가진 여성을 뜻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넉넉한 수입을 벌어들인다. 미국 하버드대 아동심리학 교수 댄 킨들러의 2006년 그의 저서 새로운 여자의 탄생-알파걸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말이다. 댄 킨들러 교수는 알파걸을 '학업과 운동, 인간관계와 리더십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며 남성을 능가해 질주하는 여성'이라고 설명했다. 비슷한 말로는 일본의 하나코상, 한국의 골드미스 등이 있는데 모두 여성의 능력이 남성보다 우위에 있고, 사회적 지위를 갖춘 능력이 있는 여성들을 이르는 말이다. = = 알파걸의 어원 = = 동물행동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무리의 우두머리를 의미하는 알파에서 파생되었다. 대부분의 동물 무리에서는 가장 우두머리인 수컷이 알파의 위치를 차지하는데,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자/소녀로서 알파를 지향한다는 의미에서 girl이 붙는다. 단어 뜻 자체로 알파란 그리스어의 첫째 자모이다. 알파걸이라는 조어로 인해 기존의 수컷 알파를 지칭하는 신조어로 알파 메일(alpha male)이 사용되기도 한다. = = 알파걸 대 베타걸 = = 알파걸의 뛰어난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여성들을 가리켜 ‘베타걸’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동물행동학에서 사용되는 알파와 베타의 용법을 그대로 가져온다. = = 참고 서적 = = 알파걸(Alpha Girl), 댄 킨들런 저, 최정숙 역, 미래의 창, 2007년, ISBN : 9788959890538 = 가엘 몽피스 = 가엘 세바스티앵 몽피스(, 1986년 9월 1일~)는 프랑스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2011년 프로 테니스 협회 선정 싱글 랭킹 7위까지 올랐다. = 율리아나 파샤 = 율리아나 파샤(Juliana Pasha, 1980년 5월 20일 ~ )는 알바니아의 가수이다. 2010년에 시장으로부터 Honorary Citizen Award of Burrel을 수상했다. 2010년 유로비전에 출전하여 "Sa e shite zemren"라는 곡으로 "Kenga Magjike" 페스티벌에서 1위를 차지했다. = 흰민들레 = 흰민들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민들레와 비슷하지만, 흰색 꽃이 피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 = 생태 = = 원줄기 없이 모든 잎은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서며 자란다. 길이 7~25센티미터, 너비 3~6센티미터쯤 되며, 도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무 잎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4~6월에 피며 처음에는 꽃자루 잎보다 짧게 나와 그 끝에 흰색 두상화가 한 개씩 달린다.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힐 때쯤엔 꽃자루가 잎보다 훨씬 길어진다. 총포는 연한 녹색인데 바깥쪽 조각에 민들레처럼 돌기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윗 부분에 돌기가 있으며, 갓털은 갈색 또는 흰색이다. 뿌리는 수직으로 뻗고 굵다. = = 쓰임새 = = 민들레와 같이 포공영(浦公英)이라 하여 생약으로 쓴다. 어린잎은 생채로 먹거나,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 먹는다. 뿌리는 튀겨 먹고, 꽃은 그늘에 말려 차로 마신다. = 틀:미국 대학 순위 정보 = = 문징명 = 문징명(文徵明, 1470년~1559년)은 중국 명나라의 문인·화가이다. 장쑤 성 사람으로,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는데, 산수·화조를 잘 그렸다. 명나라 4대가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작품으로 <혜산다회도>, 시문집으로 <보전집(甫田集)>이 있다. = = 졸정원 = = 졸정원(拙政园)의 소비홍(小飞虹) 2009 -쑤저우(苏州) 졸정원 중부 (사진 韩笃一) 졸정원(拙政园)의 소비홍(小飞虹) - 문징명(文徵明)의拙政园图咏중에서(1531) 졸정원이있는 쑤저우는 문징명의 고향이다. 한편 문징명은 졸정원의 1510~1526년사이에 이루어진 16년간의 개보수 디자인에 참여하였다. = 미법도 = 미법도(彌法島)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미법도리에 위치한 인천광역시의 섬이다. 서검도와 석모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있다. 이 섬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가깝기 때문에 강화군에서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 섬은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주민들이 총 다섯차례나 간첩으로 몰렸던 아픔을 간직한 섬이기도 하다. 미법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9k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서해 5도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더 가까운 섬이다. = 뿔논병아리속 = 뿔논병아리속(Podiceps)은 논병아리과에 속하는 한 속이다. 뿔논병아리, 귀뿔논병아리 등이 속해 있다. = = 하위 종 = = †Colombian grebe (Podiceps andinus) 귀뿔논병아리 (Podiceps auritus)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Hooded grebe (Podiceps gallardoi) 큰논병아리 (Podiceps grisegena) Great grebe (Podiceps major) 검은목논병아리 (Podiceps nigricollis) Silvery grebe (Podiceps occipitalis) Junin grebe (Podiceps taczanowskii) = 햄린원숭이 = 햄린원숭이(Cercopithecus hamlyni)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 올빼미게논, 올빼미긴꼬리원숭이, 올빼미얼굴원숭이, 올빼미얼굴게논로도 알려져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의 대나무 숲과 1차 우림에서 산다. 이 종은 매우 희귀해서, 아주 일부만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종에 대한 정보는 아주 적다. 그러나 이들 표본은 에풀루 강에서부터 루알라바 강, 그리고 한 예로 북서부 루안다의 한 곳과 함께 콩고강에서부터 카발레 숲에 이르기까지, 콩고 동부 전 지역에 걸쳐 폭넓게 분포해 있다. 지리적으로는 로에스트원숭이(C. lhoesti)와 아주 가깝게 일치한다. 지상을 통해 이동하며, 연구자들은 이 종을 야행성 동물로 추측하고 있다. 슈바르츠(Schwarz, 1928)는 이 종을 로에스트원숭이(C. l'hoesti)와 한 묶음으로 분류한 반면에, 엘리오트(Elliot, 1913)는 3번째 어금니 상의 교두의 독특한 유형에 주목하여, 이를 별도의 리노스티마속(Rhinostigma)이라는 속명을 부여했다. 긴꼬리원숭이속(Cercopithecus)과 흰눈꺼풀망가베이속(Cercocebus) 사이에 걸쳐 있는 중간 종으로 믿었다. 햄린원숭이는 그와는 달리 아종을 가지고 있다. 몸무게는, 수컷이 암컷보다 무겁고 평균적으로 약 7에서 10 kg 정도인 반면에, 암컷은 평균적으로 4.5 내지 6 kg이다.Singapore Zoological Gardens Docents (1999). CERCOPITHECIDS (Cercopithecidae) . 2006년 7월 10일 확인. 음식은 과일과 초식 식물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 출판된 일부의 보고서는, 햄린원숭이가 일부일처제 집단을 형성한다고 보여지는 정보가 없이, 한 마리의 수컷과 여러 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진, 10마리 이하의 작은 집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종은 해발 900m 이상 4600m까지의 고지에서 유일하게 발견된다. 털 색깔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회색이며, 코 윗부분부터 윗입술까지 특징적으로 한 줄의 흰 줄무늬가 있으며, 이와 같은 올빼미 모습 때문에 "올빼미얼굴원숭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햄린원숭이"라는 이름과 학명에 포함된 "hamlyni"는 이 종을 처음 런던 동물원에 들여 온 동물 딜러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가슴에 사향(麝香) 분비선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영역 표시를 한다. 암수 모두 궁둥이에 털이 없고 푸르며, 성숙한 수컷의 생식기는 밝은 붉은 색과 푸른 색을 띤다. 유년기의 몸 색깔은 노란 빛의 갈색이고, 얼굴은 분홍 빛을 띤다. 사육 상태에서, 33살까지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속의 다른 종들과 같이, 하루에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대부분 먹이를 구하는 데 쓴다. = = 아종 = = Cercopithecus hamlyni hamlyni Cercopithecus hamlyni kahuziensis = 분류:그린란드의 통신 = = 웅천초등학교 = 웅천초등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웅천초등학교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충서로 1035 웅천초등학교 :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초등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중로 80 웅천초등학교 명동분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명동로 93 웅천초등학교 수도분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수도동 웅천초등학교 연도분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연도동 = 분류: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동문 = = 틀:위치 지도 프랑스 파리 = = 분류:가이씨 = = 분류:미얀마 남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회 운동 = = 위키백과:질문방/2021년 제11주 = = = 계속 = = 나의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라고 뜨는데 뭔가요??세빈피치 (토론) 2021년 3월 15일 (월) 00:35 (KST) = = 저기 = = IP주소가 동일할수있나요?야구천재 야구박사 2021년 3월 15일 (월) 07:59 (KST) = = 제 토론 = = 보존 줌 해주세요!ㅡBubbletea🔮 2021년 3월 15일 (월) 13:45 (KST) = = 화면에서 문서 내용 폭이 왜 좁아졌나요? = = 로그인 해서 설정을 하면 예전처럼 넓게 볼수는 있더군요. 표같은 건 넓게 작성된 경우 좁게 보면 상당히 보기 싫더군요. 다른 나라 위키 들어가보니까 아직도 대부분 다 넓게 되있던데요. 다시 넓게 볼수 있게 하면 안되나요? 넓게 보는게 훨씬 좋던데요. Aquawalk (토론) 2021년 3월 15일 (월) 22:28 (KST) = = 최근 게임 위키 하나를 수정하고 있습니다 = = 영문 위키피디아 이들을 참고해서 게임 플레이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만 작성하고 있는 중인데 왜 계속 정책 위반이라고 다 지워지는 건지 궁금합니다. 위에 링크 해 놓은 영어 위키를 보시면 제가 쓴 것 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서술 되어 있는데 삭제 당하지 않고 저는 이 게임에는 어떤 어떤 시스템이 있다 정도로만 이야기하고 있는데 대체 무엇 때문에 삭제 당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쓴 글이 공략이라면 여기에서 '적 머리 위에 뭔가 뜨는 것은 그 다음 행동을 암시한다' 라고 말 하는 건 게임 스포일러입니다. 그런데 이건 되고 저는 안된다뇨.. 제가 아직 위키피디아에 대해 모르는 게 아직 많으니까 배우고 싶습니다. 부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쓴 글은 '저는 공략을 쓰지 않았습니다' 였는데 '공략을 쓰셔서 제거되는겁니다' 라고 달아주셨네요 그렇다면 제가 쓴 글이 공략이라는건데, 그 '공략'의 기준이 뭔가요? 가이드북도 다 읽어봤는데 전혀 위반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카드 3장 중 1개를 골라야 하는데 그때 A가 나오면 고르는 것이 좋다' 가 아니라 '카드 3장 중 1개를 골라야 한다' 까지만 썼는데 혹시 이 정도도 공략의 범주에 들어가는 건가요? 여기에 써 있는 '나이트메어 (기본 저항력 -40) & 헬 (기본 저항력 -100)' '보스 몬스터의 경우 내성을 지니고 있지는 않으나 평균적으로 원소 저항력이 75 유지된다' 이런건 "가이드북"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건가요?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작성하던 글이 규정에 위배된다면서 통째로 편집 되고 다음엔 제제 받을 수도 있다는 말 까지 들어버렸습니다. 진짜 위배 되는 거라면 제가 잘못 한 건데 링크 해 놓은 문서처럼 대놓고 공략의 성질을 띠는 문서도 있는데 저것은 괜찮고 제 문서는 규정에 위배된다고 그러니까 대체 뭐가 달라서 그러는지 이유를 알고 싶었어요 이 문서 '시크리트 카우 레벨' 이 부분 보시면 그냥 진짜 공략집입니다. = = 김재원의 설명에 대한 궁금증 = = 지금 위키백과에 김재원을 검색하면 구독자수가 63억명, 조회수사 1300억회로 되어 있는데 누군가 장난을 친것 같은데 이럴 경우에는 따로 징계같은게 있느느건가요? 그리고 누가 수정해 주시나요? = = 틀에 대한 질문 = = 시간이 답장해주시기 어려운 시간이어서 답장을 못 받은 것 같네요. 한번 더 여쭤봅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의 틀을 번역할 때 틀이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틀의 내용만 삭제했을 때 틀이 풀리는 경우가 있는데 제가 중요한 부분을 삭제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위 질문에서 여쭤본 문서는 게시되지 않았습니다. 꾹풀 = = 장기인증 유저박스 = = 저 편집500회랑 가입30일 다 했는데 인제 장기인증된 사용자 유저박스 재 사문에 넣어도 되나요?야구천재 야구박사 2021년 3월 17일 (수) 13:37 (KST) = = 차단 = = 저는 ZEM으로 위키백과에 접속하고있습니다. 제가 만약 차단당한다면, ZEM까지 사용하지 못하게 돼는건가요? 규잉규 (토론) 2021년 3월 17일 (수) 14:53 (KST) 네 감사합니다.규잉규 (토론) 2021년 3월 21일 (일) 21:31 (KST) = = lang = = lang 틀은 llang틀 처럼 표시도 돼지 않는데 왜 사용하는 것인가요?ㅡBubbletea🔮 2021년 3월 17일 (수) 18:44 (KST) 아마 문서 번역됬을때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때 쓸걸요?형광내복야코 (토론) 2021년 3월 17일 (수) 19:35 (KST) 틀:Lang/설명문서#이점 단락에 틀을 사용하는 이유가 나와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브라우저 설정에 따라 각 언어에 맞는 글꼴을 출력해준다는 이점이 있네요. 과거에는 사용환경에 다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언어의 경우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많아 이 틀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대부분의 틀은 틀 설명문서에 틀이 필요한 이유가 적혀있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닭살튀김 (토론) 2021년 3월 17일 (수) 20:54 (KST) = = 답변 어떻게 해요? = = 답변 하는 법을 몰라서...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 일반 문서에 사용자 문서 링크를 남겨도 되는건가요? = = 이 문서에서 사용자:이강철님에 대한 글이 있는걸 보았습니다. 이렇게 일반 문서에 위키백과 사용자에 대한 설명을 넣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유동닉 (토론/기여) 2021년 3월 18일 (목) 09:21 (KST) = = 아이피로 문서반달하는건 어디로 신고하면 되나요? = = 계속해서 반달을 하고 훼손을 하면 아무런 조치없이 되돌리기만 무한반복해야하는건가요? = = 질문! = = 사진 갤러리에 있는거는 못넣나요? = = 문서 부제목 = = 어떻게 바꾸나요?컴이예요ㅡBubbletea🔮 2021년 3월 19일 (금) 08:50 (KST) = = 글자수 확인법 = = 한 문서에서 바이트 수(글자 수)는 어떻게 확인가능한가요? 기여 들어가셔서 기여한 시간 아래에 -(숫자) 나 +(숫자) 있으실텐데 그게 바이트에요! CHUNYE S,G 2021년 3월 19일 (금) 19:55 (KST) = = 발로란트 설명의 장난 = = 발로란트 등장인물중 타격대에 가면 있어야할 제트가 없고 김감자라는게 있네요... 또누가 장난을 친건지...수정 부탁드립니다 = = 사용자 하위문서 만드는법 = = 사용자 하위문서는 어떡해 만드나요?야구천재 야구박사 2021년 3월 20일 (토) 08:22 (KST) = =사랑방과 질문방 = = 혹시 사랑방과 질문방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초코우유맛나연 (토론) 2021년 3월 20일 (토) 17:57 (KST) = = @그냥초딩 ㅋ = = 님을 차단할수 있나요?? 반달러라서 약간 불편합니다.세빈피치 (토론) 2021년 3월 20일 (토) 23:26 (KST) = = 질문입니다 = = 너무 가끔 와서 그런지 위키백과에 대한 지식 다 날려버렸네요. 질문 몇개 하겠스니다. 1.캣어랏이 무엇인가요? 2. 기여를 한 횟수를 일문, 사문,토론 같은거로 나눠 나타내는 틀 어떻게 만드나요? 꼭 답해주세요.. B.B.B. 2021년 3월 21일 (일) 08:55 (KST) = = 저기... = = 사진 어케추가하죠? 편집할때 사진추가하고싶은데 어케하는지 모르겠군요... = = 위키백과의 링크는 왜 작동이 안될까? = = 어린이들이 zem(쿠키즈)를 사용하면서 위키백과를 사용하는데 위키백과의 낱말사전,위키여행,위키미디어등과 같은것들이 사용이 되지않는다. 그래서 많은 어린이들이 힘들어하고있다. = = 위키백과 우리언어를 검색하면 검새결과가 없다?! = = 위키백과를 사용할때 불편한점이 많다. 버튼이 않눌리거나,작동이 아예 않되거나,위키미디어같은 것들이 않되는것이 예시다. 그중제일 문제인것은 어린이들이 코로나19로 집에서 공부하는데 잼(zem)을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국어,수학,사회등을 위키백과로 사용하는데 네이버처럼 많은정보를 얻을수없어서 위키백과는 네이버를 좀 본받아ㅇ ㅑ... 할것같 ㄷ ㅏ.. = = 시계 = = 한혜리님 문서에 가보면 시계가 있는데 어떻게해야 하나욥??세빈피치 (토론) 2021년 3월 21일 (일) 23:47 (KST)\ = 빅사 (식물) = 빅사(학명: )는 빅사과의 관목이다.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512. 1753.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및 멕시코이다. 착색제 안나토의 재료로 쓰이며, 우루쿠, 아치오테, 립스틱나무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모듈:Military navigatio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Military_navigatio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IBM 개인용 컴퓨터 = = 분류:덴마크의 테니스 = = 틀:축구단 지롱댕 보르도 = = 분류:라틴어학자 = = 마리아노 트리아스 = 마리아노 트리아스 클로사스(Mariano Trías y Closas, 1868년 10월 12일- 1914년 2월 22일)는 필리핀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제2대 부통령이자 필리핀의 초대 부통령이었다. 산 후안 대학과 산토 토마스 대학을 졸업한 후 아기날도,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카티푸난에 참여했다. 1898년 7월 15일부터 1899년 5월 7일까지 필리핀 혁명 정부의 재무부 장관, 899년 5월 7일부터 1901년 4월 1일까지 혁명 정부의 국방부 장관과 해군 최고사령관을 지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897년 선거 필리핀 대통령 1대 카티푸난 11.72% 30표 3위 낙선 = 스타우드 호텔 & 리조트 = 스타우드 호텔 & 리조트(Starwood Hotels and Resorts Worldwide)는 세계 규모로 전개하는 미국의 대형 호텔 체인이다. 산하 브랜드로 쉐라톤 및 웨스틴 등이 있다. 2016년 매리엇 인터내셔널에 인수됐다. = 분류:리 왕조의 연호 = = 신평초등학교 (충남) = 신평초등학교는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금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22년 3월 31일 신평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신평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신평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49년 9월 30일 신송국민학교 분리 1950년 6월 1일 신평국민학교로 개칭 1952년 6월 30일 한정국민학교 분리 1967년 10월 30일 서정국민학교 분리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신평초등학교로 개칭법률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2018년 2월 6일 제93회 졸업식(10,594명) 2018년 3월 1일 초등학교 12학급, 병설유치원 1학급 편성 = 분류:대구광역시의 절 = = 진안중학교 (경기) = 진안중학교(陳雁中學校)는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0년 6월 7일 : 보통교실 30실, 특별교실 9실, 관리실 4실 등 착공 2001년 1월 5일 : 진안중학교 설립인가 (30학급) 2001년 3월 1일 : 초대 김성윤 교장 취임 2001년 3월 5일 : 제1회 신입생 입학식 (5학급 184명) 2002년 8월 20일 : 건물 3차 준공 2003년 2월 13일 : 제1회 졸업식 (졸업생 23명) 2016년 2월 5일 : 제14회 졸업식(졸업생 344명) 4,275명 배출 2019년 3월 1일 : 제6대 노학래 교장 취임 2021년 1월 8일 : 제19회 졸업식(졸업생 112명) 2021년 3월 2일 : 제21회 신입생 입학(9학급 190명) 2023년 9월 1일 : 제7대 송기태 교장 취임 = 다치바나 다카시 = 다치바나 다카시(, (본명:), 1940년 5월 28일 ~ 2021년 4월 30일)는 일본의 언론인이자 논픽션 작가 겸 평론가이다. = = 약력 = = = = = 공부 = = = 1940년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아버지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살았던 적도 있고, 주로 이바라키현에서 자라났다. 이바라키 사범학교 부속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했다. 이과를 지망했지만 색약이어서 포기하고 1959년 도쿄 대학 불어불문학과에 들어갔다. 1967년 다시 도쿄 대학 철학과에 재입학했다. 철학과 재학 중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1970년 대학을 중퇴했다. = = = 글쓰기 = = = = = = = 주간 문예춘추 = = = = 1964년 도쿄 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분게이슌주에 들어갔다. 1966년까지 슈칸 분게이슌주 기자로 있었다. 별로 하기 싫어하는 프로야구 취재를 하다가 2년 만에 회사를 그만뒀다. = = = = 다나카 가쿠에이 뇌물수수사건 취재 = = = =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연구-그 금맥과 인맥〉(분게이슌주 1974년 11월호)에서 당시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의 수뢰 사실을 파헤쳐 일본 사회에 크나큰 충격을 안겼다. 20여 명의 취재진을 사용하여 얻은 정보로 집필된 이 기획기사는 당시 자민당의 최고 권력자이자 총리대신의 자리까지 오른 다나카 가쿠에이에 대한 환상을 깨는 내용으로 여론의 관심을 모았고, 결과적으로 다나카 몰락의 신호탄이 되었다. 변변한 학연도 없던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막강한 동원력과 자금력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었는가를 집중적으로 파헤친 이 기사는 다나카의 영광 뒤에는 철저한 정/관/재계의 밀착과 다나카의 고향인 니가타현 지방 지연인맥들의 유착이 있었고 그 사이에서 엄청난 액수의 비자금이 오간 사실을 폭로한다. 분게이슌주 1974년 11월호에 다나카 가쿠에이 연구와 함께 연재된 고다마 타카야의 외로운 에쓰산카이의 여왕도 다나카 총리의 불륜행위와 그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의 존재, 다나카의 비밀자금을 취급하던 에쓰산카이의 존재를 포착하여 세간에 폭로하였다. [1] 다나카도 이 특집기사의 존재를 이미 알고 있었기에 분게이슌주에 압력을 넣어서 기사를 내리도록 요구했으나 무시당했다고 한다. 고다마 타카야의 경우 이 기사가 나간 지 3개월만에 지병으로 사망한 반면, 당시만 해도 무명 프리라이터에 불과했던 다치바나는 이 특집기사의 대성공으로 이른바 저널리스트계의 스타로 떠오르게 된다. = = = = 일본 공산당 연구 = = = = 1975년 12월 분게이슌주에 일본공산당 연구 연재를 시작했다. 2년에 걸쳐서 분게이슌주에 연재된 이 기사는 일본공산당의 성립으로부터 일본패전까지를 다루는 일본공산당의 통사적 성격을 띄고 있었다. 이 책은 코민테른이 실질적으로 8.15 이전의 일본공산당을 지배하고 있었던 점을 지적하고 1933년 일어난 공산당원 동료들간의 프락치 살인 스파이 M 사건, 지하투쟁 간부들의 현지처 문제 같은 사실까지 드러내는 등, 일본공산당이 자랑하던 일제 말기 반파쇼투쟁의 치부를 드러내는 내용이 많았기 때문에, 일본공산당측은 일본공산당 연구를 "사상범을 잡던 일제 특별고등검사들의 기록을 다수 인용한 '특고사관'이다" 라고 비난하였다. 일본 공산당의 기관지 아카하타에서는 고루한 반공이론과 반동재판소 자료를 문제삼는다라는 기사를 4회, 개는 짖어도 역사는 진보한다 - 문예춘추 다치바나 논문에 대한 총비판을 2회에 걸쳐 연재하면서 일본공산당 연구를 반박함과 동시에 당 차원에서 반 다치바나 캠페인을 전개하였으며, 지금도 이 책의 사료적 가치를 전면 부정하고 있다. 1976년 1월 27일 일본의 우익정당인 민사당 위원장인 가스가 잇코가 중의원 본회의에서 이 책을 인용하여 스파이 M 사건을 화두에 올리기도 했다. = = = = 현재 = = = = 이후 사회적 문제 외에 우주, 뇌를 포함한 과학 분야로 저술 분야를 넓혔다. = = 게스트 출연 = = 미야자키 하야오와의 친분으로 인해 지브리 애니메이션 귀를 기울이면의 여주인공인 시즈쿠의 아버지(도서관 사서)를 연기했다. = = 고양이 빌딩 = = 감당이 되지 않을 정도로 불어난 수만 권의 장서를 보관하기 위해 도쿄 시내에 고양이 빌딩을 지은 것으로 화제가 됐다. 도쿄 고이시가와의 10평 정도 되는 자투리땅에 철근으로 세운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로 내부 서가의 길이를 모두 합하면 무려 700m에 이른다고 한다. 빌딩의 설계는 소설 소년 H의 작가로 알려진 무대미술가 세노오 갓파가 맡았으며, 신문에 이 빌딩의 사서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내기도 했다. 빌딩 지하에는 와인셀러가 비치되어 있으며 지상 1~3층은 침대와 탁자를 제외하면 모두 책을 꽂아두는 서고로 쓰인다. 장서는 적게 잡아도 5만 권을 넘으며, 서고가 꽉 차서 몇년 전부터 다른 건물을 빌려 제 2 서고로 쓰고 있다고 한다. = = 저서 = = 《素手でのし上がった男たち》, 1969년 《東大ゲバルト壁語録》 《思考の技術》, 1971년 《日本経済・自壊の構造》, 1973년 《中核vs革マル|中核 vs 革マル》, 1975년 《田中角栄研究》, 1976년 《우주로부터의 귀환》 《뇌사》 《일본공산당 연구》 《정신과 물질》(공저) 《원숭이학의 현재》 《거악vs언론》 《임사 체험》 《뇌를 단련하다》 《인체 재생》 《21세기 지의 도전》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천황과 도쿄대》 = = 수상 = = 1979년 제1회 고단샤 논픽션 상 1983년 제31회 기쿠치 간상 1998년 제1회 시바 료타로상 = 분류:갈리시아주의 도시 = = 블라 = 블라 또는 워터퍼드 블라는 아일랜드의 빵이다. 아일랜드 남부 워터퍼드의 특산품이며, 이웃한 킬케니, 웩스퍼드에서도 즐겨 먹는다. 2013년 11월 19일부터 유럽 연합 지리적 표시 보호(PGI)를 받고 있다. = = 이름 = = 어원은 프랑스어 "블레" 또는 "블랑"일 것으로 추정된다. "블레"는 "밀"을, "블랑"은 "희다, 하얗다"를 뜻한다. 후자의 경우 "흰빵"을 뜻하는 "팽 블랑"에서 왔다. = = 만들기 = = 보통 흰밀가루 강력분을 쓴다. 설탕을 탄 물에 효모를 넣어 활성화시키고, 효모가 깨어나면 밀가루와 소금을 넣어 반죽한다. 반죽이 부드러워지면 기름 바른 그릇에 담아 부풀어 오르게 둔다. 잘 부풀어 오르면 반죽해 공기를 빼고, 반죽을 잘라 동그란 모양으로 빚은 다음 오븐 트레이에 올려 다시 부풀린다. 부풀어 오르면 위에 밀가루를 뿌리고, 210°C에서 구워 낸다. 보통 아침에 버터를 발라 먹는다. 반 갈라 버터를 바른 블라에 레드 레드라 불리는 런천 미트를 끼워 먹기도 하고, 래셔(베이컨)를 끼워 래셔 샌드위치로 먹기도 한다. 베이컨 외에도 달걀 프라이, 소시지 등을 함께 끼워 브렉퍼스트 샌드위치로 먹기도 한다. = 분류:우즈베키스탄의 테니스 = = 분류:오사카부의 야구 선수 = = 우메오카 유미 = 우메오카 유미는 일본의 은퇴한 여자 축구 선수이다. = = 국가대표 경력 = = 그녀는 1997년 6월 15일 중국과의 경기에서 일본대표팀에 데뷔했다.일본 축구 협회 그녀는 국제 A매치 4경기에 출전했다. = = 통계 = = 연도 출전 골 1997 3 0 1998 1 0 합계 4 0 = 혼다 다다히로 = 혼다 다다히로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혼다 다다히로 (1827년) 혼다 다다히로 (1832년) = 창더시 = 창더(상덕, )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의 북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 = 역사 = = 창더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많은 유적지로 유명하다. 오늘날까지 약 500개 정도가 발견되었다. 역사적으로 창더는 정부가 후난 성 서쪽 산악지대의 부족을 통제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 창더의 행정구역 명은 진나라 시대에는 전통적으로 검중군(黔中郡)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2년 동정군이 발견되고 이 지역으로 비정되면서 검중군과 동정군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기원 전 202년, 전한에 의해 무릉군이라고 개칭되었고, 형주(荆州)에 귀속 되었다. 송나라 때 정주(鼎州)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청나라 때까지 상덕로, 상덕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9세기 후반에 창더는 원강 분지의 번영하는 상업 중심지이자 농업 시장의 중심이 되었다. 많은 중국 기업들과 함께 1905년에 외국과의 무역이 개방되면서 많은 외국 기업들이 쌀, 면화, 동유, 목재를 구매하기 위해 창더에 지사를 두었다. 창더의 경제적인 영향력은 구이저우성 북부와 후베이성 남서부, 쓰촨성의 남동부 일부까지 미쳤다. 도시의 상인들은 후난 성 북서부 경제의 대부분을 통제했고 20세기 초에 창사에 이어 후난 성 제2의 도시가 되었다. 1943년의 창더 전투에서 국민당 군대는 쓰촨 성으로 침입하려는 일본군을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생화학무기를 사용하여 그들의 시도를 좌절시켰다.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이르면 1941~1942년에 이 지역이 오염되어 선 페스트 등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비록 1949년에 공산주의자들이 집권한 이래 창더의 상업적 우위가 사라지기는 했지만 도시는 여전히 교역의 중심지로 인구의 대부분이 상업과 운송업에 종사한다. = = 지리 = = 둥팅호 수계에 속하는 원강의 북안에 위치하고 후난 성 북서쪽 평원의 중심이다. 연평균 기온은 17.7 °C이고 1월 평균기온은 5.0 °C, 7월 평균기온은 29.1 °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68mm이고 강수는 4월부터 8월까지 집중된다. = = 경제 = = 오늘날 창더는 행정 중심지이자 동유, 곡물, 면화, 약초의 저장과 선적 중심지이다. 제조업은 요업, 공작 기계, 방직, 피혁, 식품 가공업을 포함한다. 곡물, 기름, 면화와 기타 상품들은 중간 크기의 배에 실어져 웨양, 창사, 한커우로 보내진다. 목재는 뗏목으로 엮어져 둥팅 호를 거쳐 창 강에 띄워 보내진다. 1949년 이후로 도시는 지역 생산품인 목재, 가죽 등을 기초로 한 경공업이 발달해있다. = = 행정 구역 = = 2개의 시할구와 1개의 현급시 그리고 6개의 현을 관할하고 있다. 시할구 우링 구(武陵区) 딩청 구(鼎城区) 현급시 진스 시(津市市) 현 리현(澧县) 린리현(临澧县) 타오위안현(桃源县) 한서우현(汉寿县) 안샹현(安郷县) 스먼현(石门县) = = 교통 = = 207번 국도 창더 도화원 공항(常德桃花源空港) = = 교육 = = 창더 사범대학(常德师範学校) 창더 방송대학(常德电视大学) 창더 공업학교(常德工业学校) = 치사 유전자 = 치사 유전자(致死遺傳子, lethal gene), 치사 대립 유전자(致死對立遺傳子, lethal allele)는 그 유전자로 말미암아 생물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유전자다. 치사 유전자 X와 대립 유전자 x가 있을 때, 치사 유전자가 호모일 때(XX)만 죽는다면 열성 치사 유전, 헤테로일 때(Xx)에도 죽는다면 우성 치사 유전이라고 한다. 치사 유전자 X가 다른 형질에도 관여할 수 있는데, 그 형질의 우열과 치사의 우열은 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먼치킨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는 치사 유전자인데, 먼치킨 특성에 대해서는 우성(헤테로도 먼치킨), 치사에 대해서는 열성(호모만 죽음)이다. 열성 치사 유전자는 자연계에서 가끔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우성 치사 유전자는 그 죽음으로 인해 빠르게 제거되지만, 헌팅턴병은 우성 치사 유전임에도 병의 진행 속도가 느려 번식이 가능한 연령대까지 살아남으므로 자손에게 유전된다. = 페드로 치리베야 = 페드로 치리베야 부르고스(, 1997년 5월 23일 ~ )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로, 현재 낭트에서 수비형 미드필더으로 뛰고 있다. = 비사기나스 = 비사기나스는 리투아니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58km2, 인구는 29,555명(2001년 기준)이며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큰 호수인 드룩샤이 호(Drūkšiai)와 접한다. 빌뉴스와 다우가프필스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가 지나가며 리투아니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1975년 리투아니아 유일의 원자력 발전소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인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주민 5,000명이 원자력 발전소에서 근무했으며 1977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비사기나스 호 인근에는 소나무 숲이 분포한다. = 분류:김준일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김준일이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분류:허드슨만 = = TON 618 = TON 618은 머리털자리와 사냥개자리의 경계 근처에 위치한 퀘이사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지구에서 182억 광년이다.  TON 618은 660억 태양질량이며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블랙홀 중 하나이다. = = 관측 = = TON 618은 1957년에서 1963년까지 블랙홀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은하원반에서 떨어져 있는 희미한 백색왜성으로 알려졌었다. 멕시코의 토난친틀라 천문대에서 0.7m 슈미트-카세그레인식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 건판에는 보라색으로 나타나 멕시코의 천문학자 브라울리오 이리아르테와 엔리케 차비라가 토난친틀라 카탈로그에 618번이라는 이름으로 등재했다. 1970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라디오 스펙트럼 분석을 한 결과 TON 618이 퀘이사임을 나타내는 라디오 스펙트럼을 발견했다.  마리 헬레네 울리치는 맥도날드 천문대에서 퀘이사가 내뿜는 전형적인 방출선을 보여주는 TON 618의 광학 스펙트럼을 발견했다. 높은 적색편이를 보고 울리치는 TON 618이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알아냈고, 발견된 가장 밝은 퀘이사 중 하나라고 추측했다. = = 초대질량 블랙홀 = = TON 618은 은하의 중심부에 위치한 활동은하핵이자, 강착원반에서 가열된 가스와 물질을 섭취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다. 이 블랙홀에서 나오는 빛은 108억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에서는 주변 은하들의 빛에 가려 볼 수 없다. 절대등급은 -30.7이고 광도는 4×10 40 와트, 또는 140조 태양 광도이며 발견된 우주에서 가장 밝은 물체 중 하나이다. 다른 퀘이사와 마찬가지로 TON 618은 강착원반보다 광대역 영역의 차가운 가스에서 나오는 방출선을 포함하는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광대역 영역의 크기는 퀘이사를 비추는 퀘이사 방사선의 밝기로 계산할 수 있다. TON 618 스펙트럼 방출선은 비정상적으로 넓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가스가 퀘이사 주변을 매우 빠르게 돌고 있음을 나타낸다. TON 618의 Hβ선을 측정하여 물질이 10,500km/s 속도로 떨어지는 것을 알아냈으며 이는 매우 강한 중력을 의미한다.  이 측정에서 TON 618의 질량은 최소 660억 태양질량이다.  100억 태양질량인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모든 항성의 질량을 합한 것의 6.6배 이상, 우리은하의 중심 블랙홀인 궁수자리 A*보다 15,300배 더 무겁다. 이 블랙홀의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은 1,300AU(약 1950억km 또는 0.02 광년) 로 해왕성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40배 이상이다. = 금산초등학교 (전북) = 금산초등학교는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4. 11.1 원평소학교 금산분교 인가 1947. 6 .10 금산국민학교로 승격 1984. 3 .1 금산국민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1996. 3 .1 금산초등학교로 개명 2013. 3 .1 제28대 이 승 교장 부임 2014. 2 .14 제64회 졸업식(총 2,647명 졸업) 2014. 3 .1 초등학교 3학급, 병설유치원 1학급 편성 = 분류:농구 박물관 = = 문헌통고 = 문헌통고(文獻通考)는 원(元)대 마단림(馬端臨)이 찬한 책으로, 당대 두우(杜佑)의 통전(通典)을 본뜨면서 통전의 분류법인 8문(門)을 24고(考)로 늘려서 상고시대에서 남송(南宋) 영종(寧宗) 가정(嘉定) 5년(1212년)까지에 이르는 중국의 역대 전장 제도(典章制度), 즉 제도와 문물사를 수록하였다. 원 대덕(大德) 11년(1307년)에 완성되었다. 전 348권. 훗날 통전이나 정초(鄭樵)의 통지(通志)와 함께 '삼통(三通)'이라 불렸다. = = 개요 = = 문헌통고는 전 348권으로 후에 3권을 더 붙이고 24고(考)로 나누어, 전부(田賦), 전폐(錢幣), 호구(戶口), 직역(職役), 정교(征榷), 시적(市糴), 토공(土貢), 국용(國用), 선거(選舉), 학교(學校), 직관(職官), 교사(郊社), 종묘(宗廟), 왕례(王禮), 악(樂), 병(兵), 형(刑), 여지(輿地), 사예(四裔) 등의 19고에서는 통전의 옛 사료를 많이 인용하였고, 여기에 경적(經籍), 제계(帝系), 봉건(封建), 상위(象緯), 물이(物異)의 5고를 더 늘려 붙였다. 이 가운데 경적고(經籍考)는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찬자 마단림은 문헌통고의 서문에서 "고금을 인용하는 것을 일러 문(文)이라 하고, 당송(唐宋) 이래 여러 신료들의 주소(奏疏), 여러 유학자들의 의론을 참고하는 것을 헌(獻)이라 하므로, 그 이름을 '문헌통고'라고 하였다."(引古今謂之文,參以唐宋以來諸臣之奏疏, 諸儒之議論謂之獻,故名文獻通考)고 밝혔다. 통전의 내용을 기초로 사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상세하게 고증하여, 진위를 위조하고, 분류별로 분류하고, 시대에 따라 선후로 배열하여 비교하였다. 전서에는 「문」(文), 「헌」(獻), 「고」(考)의 3종이 있다. 「문」은 문헌의 망라와 고정(考訂),「헌」은 전대 사람들의 의론에 대한 지적,「고」는 주로 찬자 마단림 자신의 견해를 수록한 것이다. 마단림의 견해는 고금을 관통하고 내용의 절충이 적절하면서도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신중한 결론을 내리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토지 및 병역 제도에 대한 견해는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남송 말기를 살았던 인물인 마단림은 남송 멸망의 한 원인을 남송 왕조의 부패로 지적하였다. 그의 송대 제도에 대한 연구는 깊이가 있었으며 송대의 전장 제도에 대해서도 기록이 특히 상세하여 송대 정치의 어두운 면을 파헤쳐, 본서의 송대에 대한 기록은 비교적 사실적이고 믿을 만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동류의 다른 저술보다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헌통고는 역대 중국 왕조의 전장 제도를 다룬 서적으로써 사마광의 자치통감과 서로 보완하는 역할을 했으며, 자치통감만 읽고 문헌통고를 읽지 않는 것은 본기나 열전을 읽으면서도 지(志)나 표(表)는 읽지 않는, 한 세대의 인물만 알고 한 세대의 전장 제도는 모르는 것과 같고, 반대로 문헌통고만 읽고 자치통감을 읽지 않는 것은 지, 표만 알고 본기, 열전은 모르는 것과 같아서, 두 책을 함께 읽어야만 중국의 역사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헌통고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통전보다 실속있고, 체제 및 범례는 통지보다도 엄밀하며, 송대의 제도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구비되어 있어 그 가치가 높다. 청대의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는 문헌통고를 두고 「통전의 간결함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사실의 상세한 첨부는 그보다 더 나으며, 정초의 통지도 미치지 못하는 점이다」(雖稍遜通典之簡嚴,而詳瞻實為過之,非鄭樵通志所及也)라고 평하였다. = = 목록 = = 문헌통고는 24개의 고(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부고(田賦考) 7권(권1~7) 전폐고(錢幣考) 2권(권8~9) 호구고(戶口考) 2권(권10~11) 직역고(職役考) 2권(권12~13) 정확고(征榷考) 6권(권14~19) 시적고(市糴考) 2권(권20~21) 토공고(土貢考) 1권(권22) 국용고(國用考) 5권(권23~27) 선거고(選舉考) 12권(권28~39) 학교고(學校考) 7권(권40~46) 직관고(職官考) 21권(권47~67) 교사고(郊社考) 22권(권68~89) 종묘고(宗廟考) 15권(권90~105) 왕례고(王禮考) 22권(권106~127) 악고(樂考) 20권(권128~149) 병고(兵考) 13권(권149~161) 형고(刑考) 12권(권162~173) 경적고(經籍考) 76권(권174~249) 제계고(帝系考) 10권(권250~259) 봉건고(封建考) 18권(권260~277) 상위고(象緯考) 17권(권278~294) 물이고(物異考) 20권(권295~314) 여지고(輿地考) 9권(권315~323) 사예고(四裔考) 25권(권324~348) = = 평가 = = 청 말기의 고증학자 완원(阮元)은 자치통감을 읽었다면 역대의 정치사에 통달한 것이고, 문헌통고를 읽었다면 역대 정전(政典)에 통달한 것으로 「이통」(二通)이라고 평하였다. 뤄샹린(羅香林)은 중국통사(中國通史)에서 "마단림의 문헌통고는 정지(鄭志, 정초의 통지)와 함께 보면 그에 못 미치지만 상세하게 첨부한 부분에서는 또한 볼 만한 것도 많다"고 평하였다. 원 인종(仁宗) 연우(延祐) 6년(1319년) 도관(道官) 왕수(王壽)가 이 책을 구해 바친 이래로 이 책은 세상에 널리 퍼졌고, 간행된 이래 줄곧 호평을 받았다. 원대 사람들은 "행보가 단순하고, 문장은 아름다우며, 집안에서 전해오는 전정(鼎鼐)의 족보, 유관각에 쌓아둔 전적, 전대의 전장 제도를 알고 현세의 요체를 알았다"(行履端純,詞章雅麗,家傳鼎鼐之譜,幼館閣之儲,知前代之典章,識當世之體要), "무릇 다스림의 도리에 관련된 것을 표표히 구분하여 집적하고, 질서정연하며, 치국안민(治國安民)하며 특히 들어 알렸으니, 이는 가히 세상을 구제하는 유자이며, 유용한 학문이다."(凡於治道有關者,無不彪分匯列,井井有條,治國安民,特舉而措之耳,此可謂濟世之儒,有用之學)라고 평하였다. 청대 사고전서총목제요는 문헌통고에 대해 꽤 많은 비난을 하면서도, 그 조목별로 자세히 분석하여 유형별로 고찰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송대 제도에 관해서는 송사에서 미처 갖추지 못한 부분들을 수록한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문헌통고의 언어는 고금을 절충적으로 꿰뚫어 보고 있으며, 통전의 간결함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부실한 부분을 상세하게 갖춘 것은 정초의 통지도 미치지 못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후대 인물들 가운데는 문헌통고가 남송의 멸망 이후의 사실에 관해 찬자의 말이 독선적이라고 평가하였으며, 특히 원과 송의 대립 시점을 다루지 않으려고 굳이 가정 5년(1212년)에서 기록을 끊음으로써 송대 전장 제도에 대한 서술이 완전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비판하였다. = = 국외로의 전파 = = 한국의 조선 문종(文宗) 1년에 완성된 고려사(高麗史)에서는 서경(西京, 평양)의 연혁을 소개하면서 문헌통고를 인용, 서경의 대성산(大城山)은 문헌통고에 언급된 평양성 동북쪽에 위치한 노양산(魯陽山)과 같은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고려사권제58 지 권제12 지리(地理)3 북계 서경유수관 평양부 연혁 또한 조선왕조실록에는 성균관의 건립태종실록 11권, 태종 6년(1406년) 3월 14일 갑진 두 번째 기사이나 태종(太宗) 당시 태상왕이었던 태조(太祖)의 장례 절차에 대해서 문헌통고를 참조하고태종실록 15권, 태종 8년(1408년) 5월 24일 임신 두 번째 기사 기상 관측이나 천문상의 이변에 대해서 문헌통고를 참조해 대처 방법을 의논한 기록이 있다. 이후 조선 왕조는 국가의 주요 제사나 장례, 천문 및 기상 이변에 관해 문헌통고를 참고해 대처하였으며, 영조 때에는 문헌통고의 구성을 모방해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기도 하였다.영조실록 113권, 영조 45년(1769년) 12월 24일 임신 2번째기사 = Coma of Souls = Coma of Souls는 1990년 11월 6일에 발매된 크리에이터의 음반이다. = 김형태 (가수) = 김형태(1991년 12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버스커 버스커 멤버이다. = = 학력 = = 상명대학교 애니메이션 = 분류:법인법 = = 분류:오클라호마주 출신 배우 = = Every Little Thing = Every Little Thing(에브리 리틀 씽)은 일본 에이벡스에 소속된 대중음악 그룹이다. 줄여서 ELT라고도 부른다. 일본 내에서 인기가 있고, 한국에도 상당한 팬층을 갖고 있다. 에이벡스 그룹의 에이벡스 트랙스에 소속되어 있다. 'Every Little Thing'이란 이름은 "우주에서 내려다 보면 작은 존재인 인간과 동물등 모든 것들에게"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한다. 덧붙여 "만물은 어차피 모두 조그맣다. 앞만 보고 가자!"란 메시지도 담고 있다고 한다. = = 연혁 = = 1996년에 보컬, 작사 담당 모치다 카오리, 기타 · 작곡 · 편곡 담당 이토 이치로, 리더 사운드 프로듀스 · 키보드 · 작사 · 작곡 · 편곡 담당 이가라시 미츠루의 3명으로 첫 번째 싱글 "Feel My Heart"로 avex trax에서 데뷔했다. 이 싱글은 오리콘 최고 순위 24위를 기록하고 약 1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1997년에 세 번째 싱글 "Dear My Friend" 로 히트를 치고 첫 앨범 "everlasting"의 메가 히트, 1998년 여덟 번째 싱글 "Time goes by"가 싱글 최초의 밀리언 히트를 기록하는 등 이가라시 음악의 세계관, 신디사이저를 구사한 사운드와 모치다의 보컬, 패션이 10대~20대를 중심으로 지지를 받게 되고, 199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그룹으로 성장하였다. 초창기 작사 · 작곡 · 편곡은 이가라시가 혼자서 맡아서 데뷔 이래 하이 페이스를 유지하며 싱글 릴리스를 계속해왔다. 1999년 제작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이가라시의 생각에서 3월의 열한 번째 싱글 "Over and Over", 열두 번째 싱글 "Someday, Someplace"와 베스트 앨범 "Every Best Single +3"의 릴리스 후 릴리스와 투어 없이 휴식기를 보냈다. 2000년에 열세 번째 싱글 " Pray / Get Into A Groove"와 열네 번째 싱글 "sure", 세 번째 앨범 "eternity"발매 후 3월에 이가라시가 프로듀싱에 전념하기 위해 탈퇴하였다. "이가라시가 탈퇴 후 사운드 프로듀싱에 전념할 것"이라고 발표 이후부터 TV와 콘서트에 출연은 하지 않고 악곡 제공은 계속 이어갈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eternity"에서 싱글 컷 된 열다섯 번째 싱글 "Rescue me (Single Mix)"를 제외하고 나머지 ELT의 악곡에 직접적으로 이가라시가 참여하는 것은 오랫동안 없었다. 그로부터 약 9년 뒤인 2009년 9 월 23일 발매된 서른여섯 번째 싱글 "DREAM GOES ON", 같은 해 11월 18일 발매된 서른일곱 번째 싱글 "冷たい雨", 2010년 2월 24일 발매된 서른여덟 번째 싱글 "Change"에 이가라시가 사운드 프로듀서로 작곡 · 편곡에 참여하였다. 이가라시 탈퇴 후 곡의 작사는 거의 모두 모치다가 하고 있고, 작곡은 카즈히토 키쿠치, 타고 쿠니오, HIKARI 등의 작곡가로부터 곡을 제공받고 있다. 물론 모치다와 이토가 작곡을 맡는 경우도 있다. 또한 사운드 면에서도 이가라시 시절에는 신디사이저를 많이 사용한 곡이 많았지만, 이가라시 탈퇴후 1년여를 거친 2001년 가을 이후에는 밴드 사운드 어쿠스틱 지향의 곡이 많아지고 있다. (이가라시 탈퇴 직후에는 그의 노래 스타일을 답습한 곡이 많았다). 2007년 무렵부터는 기타 이외의 반주를 메인으로 하고 기타를 장식음으로 처리하는 곡도 증가하기 시작해 이가라시가 프로듀싱을 재개한 2009년 이후에는 초창기의 스타일을 다시 도입한 곡도 만들고 있다. 대표곡 중 하나인 "fragile"는 2001년 오리콘 연간 가라오케 차트에서 1위를 차지, 그 후에도 3년 연속 연간 TOP10에 진입하는 등, 일반 여성의 가라오케의 애창곡으로 정착하고있다. 여성 아티스트의 경우 솔로 체제가 많은 가요계에서 이러한 밴드 체제로 데뷔 이후 15년 이상 활동을 하고있는 매우 귀중한 존재이다. 또한 NHK 홍백가합전은 8회 연속 출전하였다. (1997년 ~ 2004년) = = 구성원 = = 모치다 카오리(, 1978년 3월 24일 - ) 보컬, 작사 이토 이치로(, 1967년 11월 10일 - ) 기타 이가라시 미쓰루(, 1969년 5월 17일 - ) 작사, 작곡과 키보드. 2000년에 탈퇴했다. 하야시 마사후미 - 키보드 (2001년 가을 - 현재) 소가와 토모지 - 밴드 프로듀서 (2011년 여름 - 현재) 카사하라 나오키 - 베이스 (2005년 여름 - 현재) 마쓰가와 코우지 - 드럼 (2013년 겨울 - 현재) 카토 카오루 - 기타 (데뷔 - 2007년 12월) 사이드 기타. 탈퇴 후 ELT에서는 사이드 기타를 배치하지 않고 있다. 아사다 타케시 - 베이스 (데뷔 - 2001년) 야마다 사토시 - 베이스 (2002년 - 2005년) 쿠와지마 겐야 - 키보드 (데뷔 - 2001년) 야시로 츠네히코 - 키보드 (2001년 투어) 타나하시 노부히토 - 밴드 프로듀서 (2001년 - 2004년 여름) 나카무라 야스나리 - 밴드 프로듀서 (2004년 여름 - 2011년 초) 코도우 케이이치 - 드럼 (데뷔 - 2001년) 야마구치 타카 - 드럼 (2001년 가을 - 2012년) = = 앨범 = = = = = 싱글 = = = Feel My Heart(1996.8.7) Future World(1996.10.23) Dear My Friend(1997.1.22) For the moment(1997.6.4) [만났을 때처럼](1997.8.6) Shapes Of Love/Never Stop!(1997.10.22) Face the change(1998.1.7) Time goes by(1998.2.11) ※ Every Little Thing이 발매한 싱글 중 유일한 밀리언 셀러 FOREVER YOURS(1998.6.17) NECESSARY(1998.9.30) Over and Over(1999.1.27) Someday, Someplace(1999.3.3) Pray/Get Into A Groove(2000.1.1) sure(2000.2.16) Rescue me/Smile Again(2000.6.14) [사랑의 조각](2000.10.18) ※ 이가라시 미쓰루 탈퇴 후 발매한 첫 싱글 fragile/JIRENMA [fragile/ Dilemma](2001.1.1) ※ 이니셜 D 3rd Stage 엔딩으로 JIRENMA가 사용됨 Graceful World(2001.2.21) jump(2001.10.17) [기억](2002.5.15) [소박한 기도](2002.8.16) UNTITLED 4 ballads(2002.12.18) Grip!(2003.3.12) [Fundamental Love](2003.7.30) [내일 또 봐요](2003.11.12) [하늘모양](2004.2.25) /good night [연애편지 / good night](2004.12.15) [그대의 손](2005.10.26) azure moon(2006.3.15) [Hi-Fi Message](2006.6.14) [스이미](2006.8.30) [반짝임의 시간](2007.8.8) [사랑을 하고 있어](2007.10.31) (2008.2.13) [새로운 날들/황금의 달](2008.8.27) Dream Goes On (2009.9.23) [차가운 비](2009.11.18) Change (2010.2.24) STAR (2011.2.23) MOON (2011.2.23) 宙 -そら-/響 -こえ- (2011.7.13) アイガアル(2011.8.24) Landscape (2011.12.7) ON AND ON (2013.2.20) ハリネズミの戀/Lien (2013.04.10) ANATA TO (2015.04.22) KIRA KIRA / AKARI (2015.11.4) = = = 정규 앨범 = = = everlasting(1997.4.9) Time to Destination(1998.4.15) eternity(2000.3.15) 4 FORCE(2001.3.22) Many Pieces(2003.3.19) commonplace(2004.3.10) Crispy Park(2006.8.9) Door(2008.3.5) CHANGE (2010.3.24) ORDINARY (2011.9.21) FUN-FARE (2014.2.19) Tabitabi (2015.9.23) = = = 베스트 앨범 = = = Every Best Single +3(1999.3.31) Every Ballad Songs(2001.12.5) Every Best Single 2(2003.9.10) ACOUSTIC:LATTE(2005.2.16) 14 Message - Every Ballad Songs:2(2007.2.14) Every Best Singles ~COMPLETE~ (2009.12.23) Every Cheering Songs ~すべての人達に贈るELT応援ソングベスト~ (2015.1.14) Every Best Singles 2 ~MORE COMPLETE~ (2015.9.23) = = = 리믹스 앨범 = = = THE REMIXES (1997.9.17) THE REMIXES II (1998.11.18) SUPER EUROBEAT presents Euro Every Little Thing (2001.9.5) The Remixes III 〜Mix Rice Plantation〜 (2002.2.27.) Cyber TRANCE presents ELT TRANCE (2002.2.27) = 분류:디엔비엔성의 지형 = = 분류:I2P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 = 다음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고양시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고양시의회는 지역구의원 29명과 비례대표의원 4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고양시 가선거구 덕양구 원신동, 흥도동, 고양동, 관산동 3 고양시 나선거구 덕양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일산동구 식사동 2 고양시 다선거구 덕양구 화정1동, 화정2동 2 고양시 라선거구 덕양구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화전동, 대덕동 2 고양시 마선거구 덕양구 행신1동, 행신3동 2 고양시 바선거구 덕양구 능곡동, 행주동, 행신2동 2 고양시 사선거구 일산동구 중산동, 풍산동, 고봉동 3 고양시 아선거구 일산동구 백석1동, 백석2동, 장항1동, 장항2동 2 고양시 자선거구 일산동구 정발산동, 마두1동, 마두2동일산서구 일산2동 3 고양시 차선거구 일산서구 일산1동, 탄현동 2 고양시 카선거구 일산서구 송포동, 송산동 2 고양시 타선거구 일산서구 주엽1동, 주엽2동 2 고양시 파선거구 일산서구 일산3동, 대화동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더불어민주당 239,968 2 2 자유한국당 113,251 1 3 정의당 93,921 1 4 바른미래당 36,714 0 5 민중당 2,777 0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더불어민주당 1 이해림 더불어민주당 2 김덕심 자유한국당 1 엄성은 정의당 1 장상화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더불어민주당 19 2 21 자유한국당 7 1 8 정의당 3 1 4 = 주디 레예스 = 주디 레예스(Judy Reyes, 1967년 11월 5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록스타처럼! - 도나 역 = INTO1 = INTO1은 2021년 4월 24일에 데뷔한 중국의 연예 기획사 와지지와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11인조 보이 그룹이다. 구성원은 류위, 산타, 리키마루, 미카, 까오칭천, 린모, 보위엔, 장쟈위엔, 인하오위, 죠우커위, 류장이다. 팬덤명은 「INsider」이며, 공식 응원색은 「자요남(바이올렛 블루)」(紫耀蓝) 이다. = = 활동 = = = = = 2021년: 데뷔 = = = 4월 24일, 중국의 동영상 사이트 플랫폼 텐센트 비디오에서 주최한 보이 그룹 결성 프로젝트 서바이벌 프로그램 《창조영 2021》의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데뷔조 11명의 프로젝트 보이 그룹 'INTO1'의 멤버 류위, 산타, 리키마루, 미카, 까오칭천, 린모, 보위엔, 장쟈위엔, 인하오위, 죠우커위, 류장을 포함하며 그룹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5월 25일, INTO1의 공식 유튜브에서 진행하는 未知周刊! INTO1! '4화'에서 팬덤명 'INsider'와 공식색 '자요남(바이올렛 블루)색'이 결정되었다. 6월 5일, 중국의 방송사 후난위성텔레비전에서 방송하는 예능 쾌락대본영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7월 16일, INTO1의 공식 유튜브에서 《INTO1's WONDERLAND》의 타이틀 곡 《INTO THE FIRE》의 뮤직비디오 티저가 공개되고 무대를 최초 공개하였다. 7월 17일, INTO1의 공식 유튜브에서 《INTO1's WONDERLAND》의 타이틀 곡 《INTO THE FIRE》의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였다. = = 구성원 = = 이름 소개 류위 이름: 류위() 생년월일: 출생지: 안후이성 쉬안청시 징현 민족: 한족 포지션: 센터 공식색:《刘宇: 청자 블루》 산타 이름: 우노 산타(, ) 생년월일: 출생지: 아이치현 나고야시 포지션: 댄스 공식색:《赞多: 댄스 오렌지》 특이사항: 일본 연예 기획사 에이벡스 소속의 WARPs UP의 멤버 리키마루 이름: 치카다 리키마루(, ) 생년월일: 출생지: 효고현 포지션: 댄스 공식색:《力丸: 마일로 퍼플》 특이사항: 일본 연예 기획사 에이벡스 소속의 WARPs UP의 멤버 미카 이름: 하시즈메 미카(, ) 생년월일: 출생지: 하와이주 포지션: 보컬 공식색:《米卡: 하와이안 그린》 특이사항: 일본의 연예 기획사 에이벡스 소속의 INTERSECTION의 멤버 까오칭천 이름: 까오칭천() / Nine 본명: 콘치드 분사칫팍디() 생년월일: 출생지: 방콕 포지션: 보컬 공식색:《高卿尘: 칭천 스타》 린모 이름: 린모() 생년월일: 출생지: 충칭시 민족: 한족 포지션: 보컬 공식색:《林墨: 찬란한 노랑》 특이사항: 중국의 연예 기획사 위엔지화 문화 소속의 이안음악사의 멤버 보위엔 이름: 보위엔() 생년월일: 출생지: 구이저우성 구이양시 민족: 한족 포지션: 공식색:《伯远: 괴연》 특이사항: 중국의 연예 기획사 백색계 소속의 ZERO-G의 멤버 장쟈위엔 이름: 장쟈위엔() 생년월일: 출생지: 랴오닝성 잉커우시 민족: 한족 포지션: 보컬, 기타 공식색:《张嘉元: 섭씨 15도》 특이사항: 중국의 연예 기획사 와지지와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은하계악단의 멤버 인하오위 이름: 패트릭() / Patrick 본명: 나타왓 핀르() 생년월일: 출생지: 포지션: 보컬, 피아노, 기타 공식색:《尹浩宇: 패트릭 스타》 죠우커위 이름: 죠우커위() / Daniel Zhou 생년월일: 출생지: 베이징시 민족: 한족 포지션: 보컬, 래퍼, 댄스, 작곡 공식색:《周柯宇: 우주성하》 특이사항: 중국의 연예 기획사 제이워크뉴조이 소속의 BEST의 멤버 류장 이름: 류장() / Akira Liu 생년월일: 출생지: 광둥성 주하이시 민족: 한족 포지션: 래퍼 공식색:《刘彰: AK 레드》 = = 음반 목록 = = = = = 미니 앨범 = =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st INTO1's WONDERLAND 포맷: CD · 디지털 다운로드 · 스트리밍 발매일: 2021년 7월 16일 장르: C-POP 유형: 디지털 앨범 언어: 중국어, 영어 레이블: 텐센트 = = = 싱글 = = = 발매일 곡 명칭 곡 설명 각주 2021년 5월 28일 고촉의 메아리 삼성퇴적문화연도 국제보급 곡산타, 리키마루, 미카, 까오칭천, 인하오위INTO1 외국인 멤버들. 참여 2021년 6월 6일 타올라라 청춘 열혈 군대 다큐멘터리 신병들 입열 주제 곡보위엔, 린모, 장쟈위엔 참여 = 분류:지방도 제301호선 = = 분류:남아시아계 사람 = = 분류:몰도바 유대계 미국인 = = 분류:베냉의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는 2009년 6월 29일 예메니아 항공 소속 에어버스 A310 항공기가 사나를 출발해 모로니를 거쳐 지부티로 가던 도중 코모로 인근 모잠비크 해협 부근에서 추락한 사건이다. 이 사고로 조종사를 포함한 152명이 목숨을 잃었다. = = 사고 발생 원인 = = 사고 당시 모로니 국제공항 주변에는 심각한 강풍이 몰아치고 있었고, 파도도 매우 높았다. 이러한 기상 악화의 영향도 있지만, 사고기는 기체에 문제가 있어 한때 프랑스 공항 측이 운항을 금지시킨 적이 있었다고 AFP가 전한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체 결함의 원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53명 태운 예멘 항공기 인도양 코모로 근해 추락 = = 탑승 승객 = = 추락 여객기에 탑승한 승객 중에서 66명은 파리나 마르세유에서 예메니아 항공의 항공기를 타고 예멘 사나 국제공항으로 간 뒤 사나 국제공항에서 사고기로 갈아탄 프랑스인인들로 밝혀졌고, 나머지는 대부분 코모로인들이라고 밝혔다.부산일보 = = 추락 상황 = = 승객 142명과 승무원 11명을 포함한 153명을 태운 예메니아 항공 626편은 29일 새벽 2시(추락지역 현지 시간대 기준)에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 에어버스 A310기종인 예메니아 항공 소속 626편 여객기는, 예멘 수도 사나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코모로 모로니 국제공항으로 가던 중이였다. 사고기는 모로니를 경유해 다시 지부티의 지부티로 갈 예정이었으나 착륙 직전 코모로 인근 모잠비크 해협에 추락하였다. 이 여객기가 추락한 지점은 이 여객기의 최종 도착지점인 모로니에서 15km정도 떨어진 해역이다. = = 추락 피해 = = 이사고로 생존자 1명을 제외한 탑승객은 전원사망하였고 1명은 생존했다. = = 구조 작업 = = 코모로 당국은 사고 수 시간 후, 14세 어린이 1명이 해안으로 떠밀려 온 것을 구조하여 냈으나, 나머지 탑승자들은 대부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상구조 전문인력과 장비가 없는 코모로는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자국민 66명이 탑승한 프랑스 정부는 해군함정 2척 및 정찰기를 파견해 구조 작업을 돕고 있으나 수색에 진척은 없다. = = 구조자 = = 구조자는 13세 여자 어린이 1명 뿐이고, 사고기에는 영유아가 최소 3명 탑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구조된 14세 어린이는 현재 자신의 신원을 밝힐 수 있을 정도로 의식이 뚜렷하고, 심각한 부상을 입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명장초등학교 = 명장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3년 1월 27일: 개교 = 1999년 상원법 = 1999년 상원법 또는 1999년 귀족원법은 영국 의회의 상원을 개혁한 영국 의회제정법이다. 이 법은 1999년 11월 11일에 영국 왕실의 재가를 받았다. 수 세기 동안 상원에는 자리를 물려받는 수백 명의 구성원(세습 귀족)들이 있었다. 이 법은 그러한 권리를 박탈했다. 그러나 타협에 일환으로 이 법은 92명의 세습 귀족이 잠정적으로 상원에 남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 다른 10명은 상원에 남을 수 있도록 일대귀족이 되었다. = 욕 (영화) = "욕"(Shame)은 한국에서 제작된 김문옥 감독의 1988년 영화이다. 박순애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정도환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박순애 윤철형 이영욱 = = = 조연 = = = 장혁 김애경 홍성영 한명구 김지원 남포동 박용팔 김백수 김덕영 강성환 맹찬재 서평석 이선희 = = 기타 = = 원작자: 이상락 제작부장: 조사준 촬영부: 정범수 촬영부: 이동국 촬영부: 서근희 조명: 박순덕 조명부: 배상룡 조명부: 이태신 조명부: 김수연 스틸: 정기성 조감독: 김기영 조감독: 이정우 녹음: 청맥 녹음실 네가편집: 김영균 네가편집: 윤윤혁 음악부문: 서울음반 프로페레티: 조경호 음악부문: 강인엽 음악부문: 박순애 음악부문: 이승복 음악부문: 김혜연 음악부문: 나희 음악부문: 손정은 음악부문: 이상빈 음악부문: 윤형규 디자인: 김태환 현상: 세방현상소 = 틀:PD-user = = 분류:캐나다 주재 대사 = = 분류:사이타마현의 쇼핑 센터 = = 야마다 노부요시 = 야마다 노부요시(, 1991년 9월 19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퍼시픽 리그인 오릭스 버펄로스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후쿠이현 후쿠이시 출신이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쓰루가 케히 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오릭스 버펄로스(2010년 ~ ) = = = 개인 기록 = = = = = = = 첫 기록 = = = = 첫 등판·첫 선발 등판 : 2010년 9월 5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4차전(스카이마크 스타디움), 3이닝 1실점 첫 탈삼진 : 2012년 8월 17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6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1회초에 이마미야 겐타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승리·첫 선발 승리 : 2016년 7월 2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5차전(홋토못토 필드 고베), 6과 1/3이닝 1실점 첫 홀드 : 2018년 8월 4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4차전(후쿠오카 야후오쿠! 돔), 8회말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무실점 = = = = 기타 = = = = 월간 18 등판 : 2018년 8월 ※이나오 가즈히사, 마스다 나오야, 헤로니모 프란수아와 나란히 최다 타이 = = = 등번호 = = = 57(2010년 ~ 2014년, 2015년 7월 27일 ~ ) 121(2015년 ~ 같은 해 7월 26일)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2010년 오릭스 1 1 0 0 0 0 0 0 0 14 3.0 5 0 1 0 1 0 0 0 1 1 3.00 2.00 2012년 오릭스 6 2 0 0 0 0 2 0 0 .000 78 17.1 19 3 9 0 1 7 1 0 12 11 5.71 1.62 2013년 오릭스 1 0 0 0 0 0 0 0 0 8 1.1 4 0 0 0 0 1 0 0 3 3 20.25 3.00 2015년 오릭스 7 2 0 0 0 0 1 0 0 .000 79 16.1 17 1 13 0 1 12 0 0 11 10 5.51 1.84 2016년 오릭스 12 12 0 0 0 2 7 0 0 .222 245 58.1 63 7 19 0 0 43 0 0 35 32 4.94 1.41 2017년 오릭스 4 4 0 0 0 0 3 0 0 .000 71 12.1 21 2 10 0 2 13 1 0 16 12 8.76 2.51 2018년 오릭스 30 0 0 0 0 1 2 0 10 .333 84 21.1 14 1 6 0 0 20 0 0 10 9 3.80 0.94 2019년 오릭스 40 1 0 0 0 0 0 0 5 172 43.0 31 6 18 1 0 44 1 0 17 17 3.56 1.14 2020년 오릭스 48 0 0 0 0 4 5 0 18 .444 170 39.1 37 1 19 1 0 44 0 0 20 17 3.89 1.42 2021년 오릭스 43 0 0 0 0 1 0 0 9 1.000 186 43.2 38 2 19 2 1 35 0 0 14 11 2.27 1.31 2022년 오릭스 12 0 0 0 0 1 0 0 2 1.000 44 10.1 11 0 4 0 1 14 1 0 5 5 4.35 1.45 2023년 오릭스 32 0 0 0 0 0 0 0 6 121 31.1 23 1 10 0 1 29 0 0 4 4 1.15 1.05 통산 : 12년 통산 : 12년 236 22 0 0 0 9 20 0 50 .310 1272 297.2 283 24 128 4 8 262 4 0 148 132 3.99 1.38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 = = 연도별 수비 성적 = = = 연도 소속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투수 연도 소속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10 오릭스 1 0 1 0 0 1.000 2012 오릭스 6 0 4 0 1 1.000 2013 오릭스 1 0 1 0 0 1.000 2015 오릭스 7 0 4 0 0 1.000 2016 오릭스 12 2 4 0 0 1.000 2017 오릭스 4 0 1 0 0 1.000 2018 오릭스 30 0 4 1 0 .800 2019 오릭스 40 4 11 0 1 1.000 2020 오릭스 48 2 4 1 0 .857 2021 오릭스 43 4 8 0 0 1.000 2022 오릭스 12 1 0 0 0 1.000 2023 오릭스 32 3 2 0 0 1.000 통산 통산 236 12 44 2 2 .966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 분류:1981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분류:동래중학교 동문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 다음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해운대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해운대구의회는 지역구의원 18명과 비례대표의원 2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해운대구 가선거구 우제1동, 중제1동 2 해운대구 나선거구 우제2동, 우제3동 3 해운대구 다선거구 중제2동, 좌제2동, 송정동 3 해운대구 라선거구 좌제1동, 좌제3동, 좌제4동 2 해운대구 마선거구 재송제1동 2 해운대구 바선거구 재송제2동, 반여제2동, 반여제3동 2 해운대구 사선거구 반여제1동, 반여제4동 2 해운대구 아선거구 반송제1동, 반송제2동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국민의힘 106,020 1 2 더불어민주당 55,085 1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더불어민주당 1 김미희 국민의힘 1 남지원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국민의힘 10 1 11 더불어민주당 8 1 9 = 제17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 제17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2015년 10월 23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본상-대상 (장편) = = = 백일홍 : 미스 호쿠사이 - 하라 케이이치 수상 = = = 본상-대상 (단편) = = = 해변의 깃발 - 사라 세이단 수상 = = = 본상-대상 (학생) = = = 고치 - 여은아 수상 = = = 본상-심사위원상 (장편) = = = 에덴의 끝 - 게르하르 트레믈 외1명 수상 = = = 본상-심사위원상 (단편) = = = 마왕 - 게오르그 쒸제벨 수상 = = = 본상-심사위원상 (학생) = = = 엄마에겐 비밀이에요 - 가부키 사와코 수상 = = = 본상-관객상 (장편) = = = 겁쟁이페달 The Movie - 나베시마 오사무 수상 = = = 본상-관객상 (단편) = = = 스마트 몽키 - 뱅상 파로노드 수상 = = = 본상-관객상 (학생) = = = 친구가 되고 싶어요 - 오가와 이쿠 수상 = = = 본상-TV&커미션드 (국내) = = = 그라미의 서커스쇼 2 - 신창환 수상 = = = 본상-TV&커미션드 (해외) = = = 작은 새, 드미트리의 모험 - 아그네스 르크루 수상 = = = 본상-온라인 우수상 = = = 원플러스원 - 허수영 수상 = = = 특별상-DHL DIVERSITY상 = = = 공포의 물고기 - 시양야오 수상 = = = 특별상-빈스로드상 = = = 리좀 - 보리스 라베 수상 = = = 특별상-온라인 네티즌상 (해외) = = = 라스메이 - 테비 두브레이 수상 = = = 특별상-온라인 네티즌상 (국내) = = = 기억 세탁소 - 가경란 외2명 수상 = = = 특별상-장편 우수상 = = = 팬텀 보이 - 알랭 가뇰 수상 = = = 장편경쟁부문 = = = 매직 마운틴 - 안카 다미안 내 주머니 속의 돌들 - 시그네 바우만 솔로탈출귀 - 전용석 = = = 단편경쟁부문 = = = 우주를 향한 꿈 - 콘스탄틴 브론지트 바뇰레 거리의 태양 - 쿠엔틴 기슈 엘만도 - 안톤 옥타비안 벙어리 장갑 - 클레멘타인 로박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 - 라피 야니거 외1명 줄줄이 꿴 호랑이 - 브누아 슈 컬러스 인 더 서브웨이 - 김명은 마라톤 다이어리 - 한네 베르카아크 뉴-라이프 - 린 킴 검열의 시대 - 아이스 카르탈 소피아 - 릴리앙 바스케스 까마귀 이야기 - 아그네스 패트런 외1명 야외극장 - 필리포 리베티 외1명 자연의 법칙 - 에밀리오 예브라 아멜리아와 두아르테 - 앨리스 구이마라에스 외1명 헤어컷 - 버지니아 모리 발자국 - 빌 플림튼 듀엣 - 글렌 킨 제비 - 첸 시 심야버스 2011 - 벤자민 피첸하이타 세일러 그레이브 - 이사벨 에르구에라 낯선 오후의 정경 - 레아 비다코빅 무지개 인생 - 에두아르도 바르아프치그 링링! - 토마스 네펠 유혹의 자동차 극장 - 아르한 빌샤우트 피그 - 스티븐 서보트닉 림보 림보 트래블 - 주잔나 크레이프 외1명 살육의 피크닉 - 한나 르타이프 섹시 런드리 - 이자벨라 프루신스카 율 앤 스네이크 - 가브리엘 하렐 타이페이 리사이클 - 니키 슈스터 5월 이야기 - 시몬느 마씨 벌거벗은 남자 - 타투 포자비르타 슬립워커 - 테오도르 위셰브 = = = 학생경쟁부문 = = = 어머니 - 조안 정 사촌 베르트 - 13명의 학생들 비밀둥지 - 뿡빵뀨 스위치맨 - 샤오-쿠에이 퉁 토요일 - 조안 린 히어로 발러캣 - 벤자민 라이커 그녀의 마음 한 구석 - 이시타니 메구미 버블 - 람 이 싱 외2명 오퍼레이션 라이징 터스크 - 벤자민 브랜드 외5명 팡타스마고리 - 이지호 외3명 떠돌이 고양이 - 카이데 왕 세 개의 사과 - 25명의 학생들 완전히 다른 세계 - 나탈리아 체르니쇼바 영혼의 여정 - 파에드라 데리지오티 방랑자 - 페드로 이보 카르바로 블랙 랜드 - 다비-자이나브 파이다이 내 마음 속 괴물 - 쩡 야원 야전병원 - 막심 브롱델 외6명 대가 - 에드워드 차우 조금 추운 날 - 김지혜 순풍 - 기노시타 에리 공룡 화석과 소녀, 메리 애닝 - 실뱅 마리오 어부의 딸 - 베릭 마리나 세임 리버 트와이스 - 마 웨이지아 리틀 몬스터 - 클라라 루 베리 - 비체 팔만 아아아 - 노영미 엔젤 나이트 - 코사카 하루히 아침을 위한 준비 - 최우진 마이셀륨 - 줄리아 체스치노 외5명 세상의 끝에서 - 샘 사우스워드 리플렉션 - 앨리스 구조 조심히 잘 다뤄 주세요 - 피아 듀킥 그림자 여신 - 데반잔 난디 백 홈 - 레오 슈바이처 외1명 해브 어 굿 슬립 - 세코 하루카 룸메이트 원티드 – 사느냐 죽느냐 - 레르케 엘리자베스 크로만느 깊은 밤 - 빅토르 스보보다 아이온 - 페트라 헬레니노바 엉덩이 요정 - 가부키 사와코 이반이 원하는 것 - 베로니카 링 외2명 새집 증후군 - 춘-티엔 천 외1명 수상한 공항 - 카밀 살렘 바다아이 - 김민하 노벨 - 인카 마티라이넨 다른 방식으로 보기 - 제롤드 총 피포 - 엘리엇 데슈세스 wHole - 로버트 배닝 외1명 사든가 죽든가 - 울리 르퍼부 = = = TV&커미션드경쟁부문 = = = 인 앤 야나 - 패밀리 - 안톤 디아코프 말하는 과일 – EP. #26 친구 만들기 - 우지징 선물 - 맷 아비스 좀비덤 – 플라이 미 투 더 문 - 이문용 이야기 속으로 – 개미와 베짱이 - 마리나 앤드리 스콥 갤럭시 키즈 - 김탁훈 외1명 코요테와 거대 바위 - 아론 가우더 왓 이즈 씽킹 - 이네케 구스 에이비씨 오브 데쓰 2 (타이틀 시퀀스) - 볼프강 마치 스페네루 앤 조 - 스테판 피에라 크로네믹스 - 에드 바렛 놓지마 정신줄 - 김근영 허풍선이 과학쇼 - 홍성욱 베어 미 - EP. #6 사춘기 - 카시아 빌크 트위스티 '케이브맨' - 라우 킴 산 = = = 온라인경쟁부문 = = = 엘리를 찾아서 - 리웬유 딴짓하다 걸리면 이렇게 된다 - 폴라 아사두리안 외5명 환상의 네불라 - 카밀 안드레 외6명 못생긴 앵무새 - 마스 와이드너 바닷가 추억 - 옌 라이 쳔 아델리 앤 폴 - 미야자와 카나 총알에 달린 인생 - 조안 린 외1명 아미르 앤 아미라 - 마르샬 앙드레 외5명 아메리카노 리턴 - 리카르도 레나 백일홍 - 정채원 외1명 목적지 - 장지영 오드보드 - 22명의 학생들 = = = 초청장편 = = = [[Itoh Project <죽은자의 제국>]] - 마키하라 료타로 슈퍼 스파이: 수상한 임무 - 하비에르 페서 낙원추방 - 미즈시마 세이지 노블레스 - 구봉회 = = = 특별전-안시2015 BEST = = = 모델 - 로사나 우르베스 에드몬드 - 니나 갠츠 주인 - 리호 운트 마이나르스키 데스 플러밋 - 매튜 랜킨 리좀 - 보리스 라베 아빠 - 마르쿠스 아르미타지 월드 오브 투모로우 - 돈 헤르츠펠트 = = = 특별전-컨템포러리 크로아티아애니메이션 = = = 그래서 그는 집에 돌아갔다 - 바트로슬라프 미미카 슈로갓 - 듀상 뷰코틱 텁 텁 - 네델리코 드라직 사티마니아 - 츠덴코 가슈파로비츠 리바이어던 - 시몬 보고제빅-나라드 히피 퓨처 - 달리보 바릭 헝거 - 페트라 즐로노가 감시자들 - 다니엘 슈지치 = = = BIAF키즈 = = = 뽀롱뽀롱 뽀로로 5기 - 신창환 외1명 뽀롱뽀롱 뽀로로 3기 - 신창환 외1명 꼬마버스 타요 3기 - 신창환 외1명 타요의 씽씽 극장 2기 - 신창환 외1명 라바 - 맹주공 바다 탐험대 옥토넛 스페셜 - 니키 팰런 = 분류:나라별 여성 작가 = = 틀:유르고르덴 IF 여자 선수 명단 = = 분류:대회별 필드하키 선수 = = 로렌스군 (앨라배마주) = 섬네일 로렌스군 또는 로렌스 카운티(Lawrence County)는 미국 앨라배마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4,339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2,924명이다. = 틀: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주연 = = 학습 장애 = 학습 장애(learning disability)는 보통 혹은 그 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내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본적인 학습 능력에 심한 어려움이 있는 상태이다. = = 효과 = = 학습 장애나 학습 편차의 효과는 학업 성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사회성 문제도 겪게 된다. 신경심리적 차이는 또래들이 보이는 사회적 단서(social cue)를 알아차리는데 악영향을 줄 수 있다.Rourke, B. P. (1989).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The syndrome and the model. New York: Guilford Press. 연구자들은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학습 편차와 낙인 찍히게 되는 결과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겪게 된다. 데이터와 방법론적 한계로 인해 특별 교육 서비스의 유효성이 확정되기 어려웠다. 최근 연구에서는 학습 장애를 가진 청소년은 비슷한 수준의 성취와 행동을 보이는 또래에 비해서도 학업 성적이 더 낮다고 한다. 학업 성적이 낮은 이유는 부분적으로 교사의 기대치가 낮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국 국립 데이터에 의하면, 시험 점수나 학습 행위를 통해 증명되는 학습 잠재력과 달리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에 대해서는 기대가 있다고 한다. 아동의 학습 장애와 성적 간에는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많은 연구들은 학습 장애와 자존감 간의 연관성을 평가해 왔다. 연구들은 자존감이 학습 장애에 대한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여주었다. 실제 성적에 상관없이, 학습 능력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자존감이 높다. 그러나 연구들에서는 다른 요소 역시 자존감과 연결된다고 본다. 체육이나 미술 등 비학업적인 영역 역시 자존감을 높인다. 또한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역시 자존감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 또다른 발견으로는 학습 장애 학생이 학업 기술과 지적 능력을 구분할 줄 안다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학업적 한계를 알지만 다른 지적 과제를 성공시킬 수 있는 자신의 잠재력을 알아본 학생은 자신을 지적으로 유능하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란 인식은 자존감을 높인다. 학습 장애를 가지면서 장애 행동(challenging behavior)을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들이 정신병약을 먹는 것이 위험을 상쇄할 만큼 이점이 있다고 입증되지 못하였다고 본다. = = 원인 = = 학습 장애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학습 장애 원인이 명확하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러나 신경정신적 장애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 판별 = = 학습 장애 학생에게 그에 적절한 교수를 하려면 학습 장애를 정확히 평가하고 진단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 장애 판별을 위해 IDEA에 의해 중재반응모형이 설계되었다. 이것은 학생에게 과학적으로 타당하게 교수하고, 이에 따라 학생이 반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전도를 검사함으로써 학습 장애를 판별하는 것이다.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134 = = 특성 및 증상 = = 학습 장애 아동의 특성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면, 학업적 특성으로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셈하기, 추론하기 등 영역 중 몇 가지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132 추론하기의 경우에 문장제 문제를 읽고 그 문제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특히 읽기 장애의 경우가 가장 많은데, 읽기의 경우에 글자를 빠트리거나 추가하거나 하는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인지적 특성으로는 낮은 기억력을 보이고 인지적인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해 비효율적인 결과를 낳는다. 하지만 평균 지능을 가지고 있다. 정서적 특성으로는 낮은 학업성취로 인한 자신감 결여, 부정적인 자아 개념, 위축, 부적절한 귀인 등을 보인다. 하지만 반대로 안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사회적으로 거부당하지 않고 잘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적 특성으로는 상황에 대해 잘못 판단하여 부적절하게 행동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으로 거부되기 쉽다. 사회적인 거부가 반복되면 정서적으로 더욱 부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되고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것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신체적 특성으로는 운동능력의 부족함으로 손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하는 활동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어설픈 동작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시각적, 청각적인 정보처리에서 문제가 있어 학업적 문제를 보일 수 있다.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136~137 = = 교수법 = = 학습 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 지침으로, 교정적 접근과 전략 교수 등이 있다. 교정적 접근은 기본적인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법으로, 읽기, 쓰기, 어휘 및 독해력, 수학 등을 여러 단계를 거쳐 배우도록 한다.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여러 단계를 거쳐 내용을 이해하는 상보적 교수방법, 스스로 읽은 내용을 파악하고 잘못된 내용을 수정하는 자기점검 독해력 전략 등을 사용한다. 수학적인 개념을 가르치기 위해 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의 순서를 따르며, 많은 학습 장애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수학 문장제 문제는 인지 및 초인지 전략의 7단계를 거쳐 문제를 풀도록 한다. 학습전략 교수는, 비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인지전략과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도록 가르치는 전략교수를 말한다. 미국 캔자스 대학에서 개발한 학습전략으로 전략과 시험 준비, 노트 필기, 시간관리 등의 일반전략이 있다. 학습 장애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의 원칙이, 과제의 난이도를 조절하며, 소집단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집단을 구성하고, 기본적 기술을 가르치며, 문제해결 기술을 가르치고, 초인지 전략을 사용하도록 학습 과정을 모델로 보여주는 다섯 가지 원칙이 있다.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138~140 = 분류:1892년 = = 에디스 네스빗 = 에디스 네스빗(, 1858년 8월 15일 ~ 1924년 5월 4일)은 주로 아이들을 위한 책을쓰던 영국의 작가이자 시인이다. 직접 쓰거나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 60권 이상의 책을 냈으며, 정치 활동가이자 나중에 노동당에 소속된 사회주의 단체인 파비안 소사이어티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했다. = = 생애 = = 에디스 네스빗은 1858년에 서레이주 케닝턴에서 어머니 사라 그린과 농업화학자였던 아버지 존 콜리스 네스빗 사이에서 태어났다. 4살 생일전 1862년 3월에 아버지를 여의었고, 동생 메리의 건강이 나빠지자 몇년동안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살았다. 1871년, 시인 필립버크 마스턴과 약혼하던 메리는 결국 패결핵으로 사망했다. 동생의 죽음 후, 네스빗과 그녀의 어머니는 3년동안 북서쪽 켄트지방의 할스테드 홀(네스빗은 이곳에서 "기찻길의 아이들"에 영감을 받았다)에 정착했다. 네스빗이 17세가 되었을때 가족은 런던 남동부에 있는 루이셤으로 이주했으며, 그곳 엘스윅 로드 28번지에 그녀를 기리는 루이셤 의회 명판이 있다. 1877년, 18세가 된 네스빗은 그녀보다 세살 많은 은행원인 휴버트 블랜드를 만난다. 임신 7개월만에 1880년 4월 22일 블랜드와 결혼하지만 그가 그의 어머니 곁에 남았으므로 초기에는 함께 살지 않았다. 그들의 결혼생활은 격동적이었다. 얼마안가 네스빗은 남편이 다른 여자와도 약혼을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1886년 친구 앨리스 홋슨이 자신의 남편으로부터 임신을 했다는 사실을 발견하곤 큰 타격을 받았다. 이전에 홋슨의 아이를 입양하고 홋슨이 가정부로 함께 살기로 동의했었던 네스빗은 이 사실을 알게 된 후 남편과 격렬하게 다투었고, 그녀가 홋슨과 홋슨의 아기 로자먼드가 떠나야할것이라고 제안하자 남편은 아기와 아기의 엄마를 거부하면 그녀를 떠나겠다고 협박했다. 결국에 홋슨은 가정부이자 비서로 그들과 살게되었고, 13년 후 네스빗의 남편 블랜드에 의해 다시 임신하여 낳게된 홋슨 두번째 아이 존을 에디스는 다시 입양했다. 네스빗은 예술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자인 윌리엄 모리스를 존경했다. 네스빗과 블랜드는 1884년 파비안 소사이어티의 창립자가 되었고, 그 후 아들 파비안의 이름을 따서 저널인 "투데이"를 공동 편집했다. (호슨은 부비서였다.) 네스빗과 블랜드는 사회민주주의 연맹에 가입했지만 너무 급진적이라고 생각했고, 네스빗은 1880년대에 사회주의에 관한 다양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그녀와 남편은 "파비안 블랜드"라는 가명으로 공동 집필했지만 아동 작가로 성공하면서 공동 작업은 줄어들었고, 네스빗은 다른 파비안 소사이어티 회원들이 설립한 런던 정경대학의 초청 연사였다. 1899년부터 1920년까지, 네스빗은 그녀의 책속 가상의 등장인물들을 탄생시켰던 런던 남동부에 위치한 웰 홀과 엘담에서 지냈다. 1911년부터는 동부 서섹스 프리스톤의 크로우링크에 있는 서섹스 다운스에 두 번째 집을 꾸렸으며 남편과 웰 홀에서 많은 친구, 동료, 팬들을 즐겁게 했다. 1917년 2월 20일, 남편 블랜드가 죽고 약 3년이 지나자 네스빗은 울위치라는 도시에서 울위치 페리의 선장인 토마스 "더 스키퍼" 터커와 결혼식을 올렸다. 인생의 끝자락을 향해, 네스빗은 처음엔 크로우링크로, 그다음엔 스키퍼와 함께 왕립 비행단 건물인 '졸리 보트'와 '롱 보트' 두 채를 합친 건물로 이주해서 네스빗은 '졸리 보트'에, 스키퍼는 '롱 보트'에서 살았다. 에디스 네스빗은 아마도 폐질환 때문에(그녀는 담배를 자주 피웠다) 1924년 켄트지방의 뉴롬니에 있는 세인트 메리 베이의 제슨, 롱보트 안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녀는 습지의 성모 마리아 교회 마당에 묻혔으며, 남편 토마스도 같은 곳에서 1935년 5월 17일에 숨을 거두었다. 에디스의 아들 폴 블랜드가 토마스 터커의 유언 집행자였다. = = 작품 = = *보물찾는 사람의 이야기 *기찻길의 아이들 *다섯 아이들과 그것 *아뮬렛의 이야기 *불사조와 양탄자 *아덴의 집 *마법에 걸린 성 = 수요일은 음악프로 = 수요일은 음악프로는 tvN에서 방송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방송 개요 = = 잊었던 명곡, 숨은 명곡, 몰랐던 신곡들을 토크, 게임, 야외 버라이어티 등 다양한 예능 포맷으로 즐길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tvN tvN 2019년 10월 2일 ~ 2019년 12월 4일 수요일 오후 11시 00분 tvN tvN tvN tvN tvN = = 출연자 = = 전현무 김준호 존 박 김재환 = = 시청률 = = = = =2019년 = = =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1 10월 2일 1.037% 2 10월 9일 0.731% 3 10월 16일 0.622% 4 10월 23일 0.720% 5 10월 30일 1.367% 6 11월 6일 0.695% 7 11월 13일 1.006% 8 11월 20일 0.740% 9 11월 27일 1.341% 10 12월 4일 0.717% = 틀:요즘 화제 처음/2017년 4월 18일 = = 하아인뚜언 = 하아인뚜언(, 한자: 하영준, 1984년 12월 17일 ~ )은 베트남의 가수이다. = = 음반 = = = = = 정규 앨범 = = = Café sáng (2007) Saigon Radio (2008) Acous'84 (2010) Cock-tail (2010) Lava (2014) Streets Rhythm (2015) Fragile (2017) = = = 싱글 = = = Chuyện của mùa Đông (2013) Hai giọt nước (2014) Người (2016) Tháng Tư là lời nói dối của em (2016) Người con gái ta thương (2016) Cuộc đời là những bước chân (2017) Mình yêu nhau yêu nhau bình yên thôi! (2017) Người tình mùa Đông (2017) Nơi ấy bình yên (2017) Tái bút anh yêu em (2017) = 틀:아시안 게임 배구 남자 우승 국가 = = 문성우 = 문성우(文晟祐, 1956년 2월 27일 ~ )는 전라도 광주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법조인, 검사다. 6월 5일 임채진 전 검찰총장이 퇴임하여 차장으로서 그 업무를 대신 수행했으며, 자신보다 후배 기수인 천성관이 차기 검찰총장으로 내정되자 7월 14일 용퇴했다. = = 학력 = =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수료 = = 경력 = = 1979년 : 21회 사법고시 합격(사법연수원 11기 수료) 1984년 ~ 1987년 : 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 1987년 ~ 1988년 :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검사 1988년 ~ 1992년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1991년 :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1991년 : 미국 워싱턴 법학대학교 방문연구원 1992년 ~ 1993년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1993년 :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장 1993년 ~ 1994년 :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특수부장검사 1994년 ~ 1995년 : 광주지방검찰청 공안부장검사 1995년 ~ 1997년 8월 : 대검찰청 기획과장 1997년 8월 ~ 2000년 2월 : 법무부 검찰제1과장, 검찰제2과장, 검찰제3과장 2000년 2월 ~ 2001년 6월 :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3부장검사, 형사제7부장검사 2001년 6월 ~ 2002년 2월 : 서울지방검찰청 의정부지청 차장검사 2002년 2월 ~ 2003년 3월 :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3년 3월 ~ 2004년 6월 : 서울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4년 6월 ~ 2005년 4월 :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2005년 4월 ~ 2006년 2월 :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2006년 2월 : 법무부 검찰국장 2008년 3월 ~ 2009년 1월 : 법무부 차관 2009년 1월 ~ 2009년 7월 : 대검찰청 차장검사 2009년 ~ 2015년 : 법무법인(유한) 바른 대표 변호사 2016년 ~ 2018년 : 법무법인 바른 총괄 대표 변호사 2019년 ~ 2020년 : 법무법인(유한) 바른 구성원 변호사 2020년 ~ 현 재 : 법무법인(유한) 바른 고문 변호사 한국법죄방지재단 이사 = = 주요 사건 = = 2000년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7부장을 맡고 있을 때, 음란 여부를 놓고 큰 논란이 됐던 영화 "거짓말"에 대해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영화 ‘거짓말’ 음란물 아니다…서울지검 무혐의 결정] 《동아일보》 2000년 6월 30일 이수형 기자 = = 평가 = = 검찰 행정과 수사 분야를 폭넓게 경험한 기획통으로 2005년에는 검ㆍ경 수사권 조정과 관련해 검찰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으며, 법무부 검찰제3과장, 제2과장, 제1과장 등을 지내면서 검찰 행정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검 기획조정부장을 맡았을 때에는 일선 검찰 수사와 관련된 인권 보호 장치와 선진 제도 도입을 주도했다.<프로필> 문성우 검찰국장 연합뉴스 2006년 2월 1일 이광철 기자 = = 재산 사항 = = 2006년 공직자 재산 공개시, 문성우는 재산이 3억5233만원을 신고하여 법무부와 검찰 고위직 중 안대희에 이어 꼴찌에서 2등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문성우는 "18년 전에 산 집을 옮기지 않고 당시 기준으로 신고해서 그렇지 실제로는 부자"라고 말했다.검찰-안대희, 법원-이인복 ‘영예의 꼴찌’ 문화일보 2006년 3월 2일 노윤정 기자 2009년 3월 27일 공직자 재산 변동사항 발표에 나타난 문성우와 그 친족의 재산은 12억 3331만원이다. 이 중 14억 3200만원은 본인명의의 대치동 국제아파트와 대치동 선경아파트 전세권으로 인한 것이며, 3억 1399만원의 채무를 가지고 있다.대한민국 정부 관보 = 분류:장소별 페루 사람 = 페루 en:Category:Peruvian people by location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 인도네시아실러캔스(Latimeria menadoensis)는 현존하는 2종의 실러캔스 중의 하나이다. 갈색의 물고기로 멸종 취약종으로 등록되어 있다. 나머지 종은 서인도양실러캔스로 멸종 위급종이다. = 크리스 로랑줴 = 크리스 로레인저(Chris Loranger)는 현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이블 지니어스에 소속되어 있다. 아이디는 Huk이며 종족은 프로토스이다. 이블 지니어스 소속. = = 수상 경력 = = 2010 MLG Raleigh 우승 2010 IEM Season V - American Championships 3위 2010 MLG Pro Circuit 워싱턴 D.C. 3위 2010 블리즈컨 스타크래프트2 부문 8강 2011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A 8강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월드 챔피언쉽 서울 WC 16강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S 32강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32강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 16강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8강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 Code S 32강 2011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S 16강 2011 MLG Pro Circuit 댈러스 9위 2011 DreamHack Summer 우승 2011 MLG Pro Circuit 애너하임 7위 2011 MLG Pro Circuit Raleigh 7위 2011 MLG Pro Circuit Orlando 우승 2011 MLG Pro Circuit Providence 5위 WCG 2011 그랜드파이널 스타크래프트2 부문 16강 2011 HomeStory Cup III 우승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48강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A 48강 2012 MLG Winter Championship 4위 2012 NASL Season 3 8강 2012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32강 2012 MLG Winter Arena 3위 2013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32강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32강 2013 WCS Season 1 America PL 32강/CL 1라운드 → Group Stage/PL 승격 2013 MLG Spring Championship 공동 13위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 리그 32강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챌린저리그 24강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 리그 16강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 32강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 8강 (진행중) = V-리그 2018-19 이적 명단 = 다음은 V-리그 2018-19 시즌 전과 시즌 중에 일어난 이적 사항 명단이다. = = 은퇴 = = 날짜 선수 소속팀 (연도) 나이 비고 참고 한유미 수원 현대건설 (2000–2010, 2014-2018)대전 KGC인삼공사 (2011–2012) 37 2x V-리그 챔피언 (2012, 2016)KOVO컵 MVP (2006)V-리그 기량발전상 (2007)KBS N 스포츠 해설자로 활동 이연주 대전 KGC인삼공사 (2007-2016, 2017-2018) 29 V-리그 기량발전상 (2010)유소년 지도자로 활동 본인 SNS를 통하여 은퇴 발표. 시은미 GS칼텍스 서울 KIXX (2008–2017)대전 KGC인삼공사 (2017-2018) 29 비치발리볼 선수로 전향 남지연 GS칼텍스 서울 KIXX (2001–2012)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2012–2017)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17-2018) 35 5x V-리그 수비상 (2005, 2006, 2007, 2010, 2013)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코치로 활동 = = 선수 변화 = = = = = 자유계약 = = = 자유계약자격을 얻은 선수는 4월 2일부터 5월 10일까지, 1차로 원소속 구단과 협상한다. 불발시에는 5월 11부터 5월 20일까지 타 구단과 2차 협상 할 수 있다. 또 다시 불발시에는, 원소속 구단과 5월 21일부터 5월 31일까지 3차 협상을 갖게된다. 선수 계약일 새 소속팀 이전 소속팀 참고 김유리 4월 5일 GS칼텍스 서울 KIXX GS칼텍스 서울 KIXX 이소영 4월 5일 GS칼텍스 서울 KIXX GS칼텍스 서울 KIXX 노란 4월 23일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최수빈 5월 10일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한수지 5월 10일 대전 KGC인삼공사 대전 KGC인삼공사 박상미 5월 10일 대전 KGC인삼공사 대전 KGC인삼공사 김미연 5월 14일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김세영 5월 14일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수원 현대건설 한지현 5월 14일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최은지 5월 16일 대전 KGC인삼공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시은미 미계약 대전 KGC인삼공사 = = = 보상선수 = = = 보상 선수 보상 지명 구단 FA 영입 구단 FA 영입 선수 참고 정시영 수원 현대건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김세영 = = = 트레이드 = = = 시즌 전 시즌 전 시즌 전 시즌 전 5월 30일 대전 KGC인삼공사행 노란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지명권 (전체 8순위)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행 박상미 백목화 (2016년 미계약)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 지명권 (전체 14순위) 6월 11일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행 박혜미 수원 현대건설행 백채림 6월 21일 GS칼텍스 서울 KIXX행 이고은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행 이나연 7월 24일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행 김혜원 우수민 대전 KGC인삼공사행 하효림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지명권 (전체 7순위) = = = 자유신분 = = = 선수 공시일 새 소속팀 이전 소속팀 참고 정다운 6월 8일 수원 현대건설 GS칼텍스 서울 KIXX 이경민 6월 11일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황현정 6월 11일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박경현 6월 22일 — 수원 현대건설 정다은 6월 22일 — 수원 현대건설 한유미 6월 22일 — 수원 현대건설 김지민 7월 3일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정경은 7월 3일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이연주 7월 3일 — 대전 KGC인삼공사 장영은 7월 3일 — 대전 KGC인삼공사 한주은 7월 3일 — 대전 KGC인삼공사 이호빈 7월 3일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임해정 7월 3일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변채림 7월 3일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김혜선 7월 3일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김진희 7월 3일 — GS칼텍스 서울 KIXX 김화원 7월 3일 — GS칼텍스 서울 KIXX = = = 임의탈퇴 = = = 선수 공시일 소속팀 참고 이소라 7월 3일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남지연 7월 3일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유미라 7월 3일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 =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 = = 순위 선수 구단 1 알레나 버그스마 대전 KGC인삼공사 2 베레니카 톰시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3 알리오나 마르티니우크 GS칼텍스 서울 KIXX 4 이바나 네소비치 (재계약)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5 베키 페리 수원 현대건설 6 어도라 어나이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 = 드래프트 = = = = = 라운드별 지명 = = = R 라이트 L 레프트 C 센터 S 세터 Li 리베로 — 미지명 라운드 순위 선수 포지션 구단 출신 학교 1 1 이주아 C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원곡고등학교 1 2 박은진 C 대전 KGC인삼공사 선명여자고등학교 1 3 박혜민 L GS칼텍스 서울 KIXX 선명여자고등학교 1 4 정지윤 R/L/C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경남여자고등학교 1 5 문지윤 L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원곡고등학교 1 6 최민지 R/C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강릉여자고등학교 2 1 나현수 R/C 대전 KGC인삼공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로부터 양수) 대전용산고등학교 2 2 이예솔 R 대전 KGC인삼공사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로부터 양수) 선명여자고등학교 2 3 심미옥 L/C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대전용산고등학교 2 4 — GS칼텍스 서울 KIXX 2 5 고의정 L 대전 KGC인삼공사 원곡고등학교 2 6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3 1 박은서 S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수원전산여자고등학교 3 2 김해빈 Li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대전 KGC인삼공사로부터 양수) 강릉여자고등학교 3 3 한송희 L GS칼텍스 서울 KIXX 전주근영여자고등학교 3 4 —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3 5 이윤주 S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중앙여자고등학교 3 6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4 1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4 2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4 3 —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4 4 이지우 C GS칼텍스 서울 KIXX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4 5 — 대전 KGC인삼공사 4 6 남은빈 R/L/Li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세화여자고등학교 = = = 수련 선수 = = = 선수 포지션 구단 출신 학교 김다희 Li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원곡고등학교 심민지 Li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수원전산여자고등학교 이미소 S 수원 현대건설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 분류:닝샤 출신 = = Serial experiments lain = serial experiments lain(시리얼 익스페러먼츠 레인)은 그래픽·텍스트 형식의 잡지 연재 기획과 애니메이션·게임이 서로 관련을 맺고 동시 진행으로 제작된 일본의 미디어 믹스 작품이다. 철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신, 음모론, 집단적 무의식,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 펑크 소재를 다루어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잡지에서는 AX에서 1998년 3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연재,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텔레비전 도쿄에서 같은 해 7월 6일부터 9월 28일까지 방송 (반년 늦게 TV 오사카·TV 아이치에서 방송)되어 제2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 (PS)용 소프트로서 같은 해 11월 26일에 발매되었다. = =작품 개요 = = '존재는 인식 = 의식의 접속에 의해서 정의되며 사람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기억은 단순한 기록에 지나지 않는다.'라는 세계관에서 전개되는, 14세의 소녀 레인 (lain)을 둘러싼 이야기. 리얼 월드와 컴퓨터 네트워크·와이어드 (Wired = 연결된 것)에 편재하는 'lain'이라는 존재에 대해. 게임판과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등장 인물도 스토리도 "lain"이라는 존재를 제외하고 크게 다르다. 잡지 연재된 그래픽+텍스트는, 캐릭터 원안의 아베 요시토시에 의한 화집 (엄니 존재=편재)에 미게재분을 포함한 완전판이 수록되고 있다. 오랫동안 절판이었지만, 악어 매거진사에서 로서 신작분을 추가해 재판되었다. 각본 코나카 치아키에 의한 애니메이션판 시나리오집 (시나리오 익스페리멘츠 레인) 등도 출판되고 있어 파이오니아 LDC에서는, 라고 제목을 붙인 데스크탑 액세서리집도 발매되었다. 처음에는, 주인공 레인의 영어 표기는 미결정으로 이 검토되었다. 아베 요시토시에 의한 스케치 등에서는 시험적으로 2종류 그려졌지만, 결국 1997년 3월 무렵에 으로 결정되었다아베 요시토시 Web 사이트 <과거의 군소리>1997년 3월 26일부터..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 = =개요 = = = 고도로 발전한 네트워크 사회 - 현실과 구별이 가지 않는 가상 공간이라는 자주 있는 이야기와 반대로, 본작은 '가상 세계 (wired)와 구별이 가지 않는 애매한 현실 (리얼 월드)'에 주목한다. 각 등장 인물이 말하는 '진실'도 그것이 사실이라는 보증은 없다. 주인공 레인의 세계는 친밀한 인간이나 친구에 관한 내용으로 차지되며 작품 그 자체가 레인 자신의 주관의 영향 하에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객관의 부재성은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등의 성질을 리얼하게 묘출하고 있어, 시청자도 또한 lain이라는 작품, 이와쿠라 레인과 연결된 <네트워크>에 커넥트하는 것을 강요 당한다. 방송 당시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디지털 환경이 도입되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3D 모델링에 의한 무기적인 표현이 눈에 띄는 한편으로, 각본의 코나카 치아키가 촬영·매킨토시으로 편집한 감촉이 있는 화면이 사용되거나 때로는 실사가 그대로 이용되며 모든 정보 매체가 혼재하고 있다. 코나카에 의하면, 방송에 견딜 수 있는 퀄리티의 내용을 PC상에서 만들 수 있게 된 시작이 1998년 당시이며, 거기에 최첨단의 기계를 좋아하는 사람이 모여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한 것이 lain이다코나카 치아키 인터뷰 (프랑스의 아시아 영화잡지 HK 2000년 04호/Alice6 Chiaki J. Konaka's Web(코나카 치아키의 페이지)). 본작의 독특한 컬러와 분위기는 그러한 해커적인 색채가 강한 환경에서 태어나고 있다. = = =현실 세계와의 연계 = = = 이 웨더 브레이크 시리즈도 DVD에 일부, BD-BOX에서는 모두 수록되고 있다. 본작의 제작자는 컴퓨터 매니아가 대부분, 실재하는 컴퓨터나 OS가 많이 등장한다. 예를 들면, 후반에 등장하는 초대 iMac은 본방송의 개시 직전에 발표된지 얼마 안된 기종이다. 그 밖에도 Apple재, NeXTSTEP재, BeOS재 등이 여기저기로 보여진다. = = =개요 = = = 커뮤니케이션용 컴퓨터 네트워크 단말 (네비)가 보급된 현대, 중학생 이와쿠라 레인은, 죽었음이 분명한 요모타 치카로부터의 메일을 받는다. 그 날 이래, 레인은 안보여야 할 것을 보게 된다. 요모타 치카의 메일의 말에 흥미를 가져, 대형 를 손에 넣지만, 그 이후로 더욱 기괴한 사건에 말려 들어간다. 물리 세계 (리얼 월드)와 컴퓨터 세계 (wired), 두 개의 세계·두 명의 레인 (lain)이 혼탁해 착종하는 끝에 있는 것은? - 사람은 누구든지 “연결되어” 있다 - · - 나는 편재한다— = = =등장 인물 = = = = = =스탭 = = = 기획·원안- production 2nd. 오리지널 캐릭터 디자인 아베 요시토시 감독- 나카무라 류타로 시리즈 구성- 코나카 치아키 캐릭터 디자인 키시타 타카히로 미술 감독-사토 마사루 색채 설정-이리오모테 미치요 촬영 감독-안진 하타 타카시 편집- 세야마 타케시 음향 감독- 츠루오카양태 음악- 나카이도 ‘CHABO' 레이치 프로듀서- ueda yasuyuki, 아베 쇼우지로우 제작 협력- GENCO 애니메이션 제작- 트라이앵글 스탭 제작- PIONEER LDC = = =주제가 = = = = = =각 화 목록 = = = 화수 부제 각본 그림 콘티 연출 작화 감독 방송일 수록 VHS LAYER: 1 WEIRD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나카무라 류타로 세키구치 마사히로 1998년 7월 6일 LIF.01 LAYER: 2 GIRLS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나카무라 류타로 스가이 카조우 1998년 7월 13일 LIF.01 LAYER: 3 PSYCHE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마츠우라 죠헤이 타나카 유이치 1998년 7월 20일 LIF.02 LAYER: 4 RELIGION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니시야마 아키히코 타카하시 유지 1998년 7월 27일 LIF.02 LAYER: 5 DISTORTION 코나카 치아키 무라타 마사히코 무라타 마사히코 세키구치 마사히로 1998년 8월 3일 LIF.02 LAYER: 6 KIDS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나카무라 류타로 스가이 요시히로 1998년 8월 10일 LIF.03 LAYER: 7 SOCIETY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마츠우라정평 마루야마 야스시영 1998년 8월 17일 LIF.03 LAYER: 8 RUMORS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우에다 시게루 타나카 유이치 1998년 8월 24일 LIF.03 LAYER: 9 PROTOCOL 코나카 치아키 진가 로쿠로 니시야마 아키히코 세키구치 마사히로 1998년 8월 31일 LIF.04 LAYER: 10 LOVE 코나카 치아키 사토 타쿠야 무라타 마사히코 스가이 카조우 1998년 9월 7일 LIF.04 LAYER: 11 INFORNOGRAPHY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마츠우라 죠헤이 마루야마 야스히데 1998년 9월 14일 LIF.04 LAYER: 12 LANDSCAPE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나카무라 류타로 키시다 타카히로 1998년 9월 21일 LIF.05 LAYER: 13 EGO 코나카 치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나카무라 류타로 마루야마 야스히데세키구치 마사히로 1998년 9월 28일 LIF.05 = = =비디오/ DVD / Blu-ray Disc = = = 방송 후 발매된 비디오에는 아베가 그린, 슈르 개그 4컷만화가 붙어 있었다. 이 4컷은 아베의 화집에도 수록되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판과 DVD 등에서는 오프닝과 엔딩의 연출이 다소 다른 것 외에 웨더 브레이크도 DVD 등에는 모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2010년 10월에는, 베타 캠으로서 남아 있던 1998년 당시의 SD소재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고해상도화를 베푼 BD 박스가 발매되었다. 품질이 나쁜 소재 밖에 남아 있지 않은 파트도 있어, 제작은 매우 고생스러운 일이었다고 한다. = = serial experiments lain BOOTLEG = = 파이오니아 LDC에서 1999년에 발매된 한정판 팬디스크적 자리 매김 2매 세트 CD-ROM. 타케모토 아키라가 작곡한 텔레비전 시리즈 본편에 사용된 음원 외, 미니 게임, 벽지등의 데스크탑 액세서리가 수록되고 있다. 본제품은, 의 이름이 알려져, 제작 스태프로부터 유출한 데이터를 제삼자가 전매한 것이라는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어 패키지도 무지의 골판지에 자필풍의 라벨이 간단하게 붙여졌을 뿐인 간소한 것이 되고 있다. = 푸리 (동음이의) = 푸리는 다음을 가리킨다. 푸리: 속이 빈 튀긴 빵 = = 지명 = = 푸리향: 중화민국 화롄 현의 향 푸리: 인도의 도시 푸리진: 중화민국 난터우 현의 진 풀리: 베트남 하남성의 성도 (푸리가 아니라 풀리로 불린다) 푸리역 = = 인명 = = 옴 푸리(Om Puri, 1950 ~ 2017)는 인도의 배우이다. 푸리(付利, 1975 ~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이다. 암리타 푸리(Amrita Puri, 1983 ~ )는 인도의 배우이다. 암리쉬 푸리: 인도의 연극 배우, 영화배우 루이스 푸리: 캐나다의 배우, 가수, 작곡가, 피아노 연주자, 음악 프로듀서 = 분류:1690년 경제 = = 아르투로 프론디시 = 아르투로 프론디시 에르콜리(Arturo Frondizi Ercoli (1908년 10월 28일 ~ 1995년 4월 18일)는 아르헨티나의 제33대 대통령이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58년 선거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28대 급진시민연합 52.77% 4,090,840표 1위 = 분류:198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 디스커버드 어택 = 디스커버드 어택(Discovered Attack)은 체스의 전술의 하나이다. 공격을 가로막고있는 기물이 이동하면서 가려져있던 기물이 공격을 하는 것을 뜻한다. 이동한 기물이 공격을 하고 가려져 있던 기물이 디스커버드 어택을 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기물을 공격할 수 있다. = 모듈:Location map/data/West Midlands (region) = return { name = 'West Midlands (region)', top = 53.25, bottom = 51.75, left = -3.3, right = -1.1, image = 'West Midlands districts 2011 map.svg', } = 분류:명사초등학교 = = YESTERDAY & TODAY (TOKIO의 음반) = YESTERDAY & TODAY는 TOKIO의 6번째 정규 앨범으로, 2000년 2월 2일 발매하였다. = = 설명 = = 소니 뮤직 레코드 재팬에서 발매한 마지막 정규 앨범. 2년만의 새 앨범이였기 때문에, 싱글곡은 전부 수록하지 않았다. = = 수록곡 = = Overture Yesterday's Feel It 何度も夢の中でくり返すラブ・ソング (TOKIO Edit) Heart 忘れえぬ君へ…(Remix) Cool so Rock 一秒のOthello〜君に選ばれたい〜(Matsu Remix) ジャンクフードの逆襲 君を想うとき (Romanesque Version) Break Down Love & Peace (Play-out Version) JUMBO Yesterday's (Reprise) = 오시은 = 오시은(1986년 12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레이싱모델이다. = = 경력 = = 2010년 잡지 모터바이크 모델 2011년 잡지 모터바이크 모델 2013년 잡지 강아 GZ모델 = = 드라마 = = 2009년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 2009년 KBS2 수목드라마 《파트너》 2009년 KBS2 주말연속극 《수상한 삼형제》 2009년 ~ 2010년 OCN 드라마 《조선추리활극 정약용》 = = 수상 = = 2013년 오션월드 비키니 코리아 미스 키스유상 = = 영화 = = 2010년 부당거래 2015년 차이나타운 2015년 나의 절친 악당들 2015년 란제리살인사건 2015년 음란한 가족 = 분류:1960년 6월 = = 게임 엔진 = 게임 엔진은 비디오 게임 같은 실시간 그래픽 표시 기능을 갖춘 상호 작용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핵심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말한다. 컴퓨터 게임 개발에 바탕이 되는 기술을 제공하여 개발 과정을 단축시켜 줄 뿐 아니라, 게임을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게임브리오 엔진이나 렌더웨어 엔진 등이 여러 플랫폼을 지원한다. 특히 게임 엔진은 재사용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게임에 종속되지 않고 여러 종류의 게임에 쓰일 수 있도록 개발된다. 게임 엔진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으로는 2차원 그래픽이나 3차원 그래픽을 출력하기 위한 렌더링 엔진('렌더러'), 물리 엔진, 충돌 검출과 충돌 반응, 사운드 출력, 스크립트 작성, 애니메이션, 인공 지능, 네트워크, 스트리밍, 메모리 관리, 쓰레딩, 씬 그래프 등이 있다. = = 개요 = = 게임 엔진은 게임 소프트웨어의 구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엔진은 개발에 필요한 기능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개발의 단가와 복잡도를 줄여주고, 제 일정에 복잡한 게임을 출시할 수 있게 해 준다. 이것은 게임 업계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게임 엔진은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해주는 점 때문에 '게임 미들웨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게임 미들웨어라고 불리는 시스템들은 구성 요소(컴포넌트) 기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많다. 그로 인해 게임의 특정 시스템을 더 전문적인 미들웨어 구성 요소로 대체하거나 확장할 수도 있다. 렌더웨어 같은 게임 엔진의 경우, 아예 일련의 미들웨어 구성 요소들을 느슨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개발사가 그 중 적당한 것만 선택해 자신들이 사용하는 엔진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름과는 달리 게임 엔진은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홍보용 데모나 건축 시각화, 훈련 시뮬레이션, 모델링 환경 등 실시간으로 그래픽을 출력하는 상호작용 응용 프로그램들이 좋은 예이다. = = 주요한 기능 = = 각각의 게임 엔진은 저마다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인 엔진들이 제공하는 기능들이 있다. = = = 플랫폼 추상화 = = = 많은 게임 엔진은 다른 미들웨어 프로그램처럼 플랫폼 추상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교적 손쉽게 같은 게임을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소스 코드에 아주 적은 혹은 어떤 수정도 없이 게임 콘솔과 개인용 컴퓨터 모두에서 실행 가능한 게임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많은 3D 엔진이나 게임 엔진의 렌더링 시스템은 그래픽 처리 장치나 비디오 카드의 소프트웨어 추상화를 제공하는 다이렉트3D나 오픈GL같은 그래픽스 API를 기초로 만들어진다. 또한 게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이렉트X나 SDL, 오픈AL 같은 저수준 라이브러리는 입력 장치,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같은 컴퓨터 하드웨어에 접속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독립된 접속을 제공한다. = = = 물리 엔진 = = = 물리 엔진은 실제 세계의 물리 작용을 컴퓨터로 모사하여, 보다 사실적인 게임 환경을 제공해준다. 게임 엔진 초기에는 충돌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것이 엔진이 제공하는 물리 기능의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현실과 가까운 물리 엔진이 크게 대두된 것은 게임 엔진 소스에 탑재된 하복 물리 엔진의 물리 시뮬레이션 기능을 활용한 일인칭 슈팅 게임 하프라이프 2가 공개되고 나서였다.Half-Life 2 Preview 물리 엔진이 지원하는 기능은 크게 차량, 강체, 액체, 레그돌, 직물과 연체 효과 등이다. = = = 쓰레딩 = = = 쓰레딩은 오늘날의 멀티 코어 시스템과 사실성에 대한 요구의 증가 때문에 게임 엔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스레드는 렌더링, 스트리밍, 사운드, 그리고 물리를 수반한다. = = 미들웨어 = = 어떤 회사들은 전문적으로 '미들웨어'라 불리는 소프트웨어 묶음을 개발해서 다른 게임 개발사가 게임을 만드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사운드, 물리, AI 등 특정 기능의 개발을 쉽게 해준다. 유니티3D, DX 스튜디오, 게임브리오, 렌더웨어(현재 개발과 마케팅을 모두 중단)가 널리 사용되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들의 예이다. 어떤 미들웨어는 오직 특정한 기능만을 수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피드트리는 오직 사실적인 나무와 식물을 렌더링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미들웨어다. 기능성있는 서브 시스템들을 제공하여 널리 사용되는 미들웨어에는 하복 물리 엔진과 RAD 게임 툴즈의 시스템들이 있다. 하복 물리 엔진은 사실적인 물리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며, RAD 게임 툴즈는 비디오 렌더링, 오디오 녹음재생, 그리고 3D 렌더링을 위한 시스템들을 개발하고 있다. = = = MMOG용 미들웨어 = =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MMOG)을 위한 미들웨어는 일인용 게임을 위한 것보다 더 복잡하다. 하지만, MMOG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그러한 미들웨어 패키지의 개발도 늘어나고 있다.MMOG 미들웨어들은 다음과 같다. Bigworld Technology HeroEngine RealmCrafter = = 개발과 이용 = = 게임 엔진은 주로 게임과 함께 개발된다.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그래머, 게임 디자이너 등이 함께 게임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결정하는데, 엔진을 직접 개발할 것인지 개발된 것을 쓸 것일지도 이때 결정한다. 개발된 것을 사용할 경우 예산과 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개발할 게임과 상성이 맞지 않을 경우 역효과가 난다. 물론 아무리 범용적인 엔진이라도 모든 게임이 요구하는 바를 모두 충족하지는 못 하기 때문에, 게임 개발사가 자신들의 게임에 맞춰 최적화하거나 개조하는 경우가 많다. (상용 게임 개발사를 위한 상용 엔진은 대부분 구입자에게 소스를 공개한다.) 스프린터 셀 시리즈는 구입한 엔진을 개조한 대표적인 예이다. 처음에 언리얼 엔진 2.5를 구입했지만,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자신들의 게임에 맞게 엔진을 개조해왔다. (결국 스프린터 셀: 컨빅션에서는 개조된 엔진을 LEAD 엔진이라 이름붙였다.) 직접 엔진을 개발하는 경우는 자신들의 게임에 맞는 엔진이 없는 경우이다. 일인칭 슈팅 게임 헤이즈의 개발팀은 자신들의 게임이 가진 특징을 살리기 위해 스스로 엔진을 개발했다."A Personal Chat with Free Radical's Derek Littlewood", 플레이스테이션매거진: p.22 - 26 직접 개발하는 엔진도 사내의 다른 프로젝트나 후속 프로젝트를 고려해 범용성을 보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어떤 개발사들은 연구개발팀을 따로 두어 회사 프로젝트 전용의 게임 엔진을 개발하기도 한다. 일본의 게임 개발사인 캡콤은 회사의 자체 엔진인 MT 프레임워크를 꾸준히 개발하고 있고, 로스트 플래닛과 데드 라이징에 이 엔진이 쓰였다. 판매를 위해 개발되는 엔진은 그 범용성이 관건이 된다. 에픽 게임즈의 언리얼 엔진은 판매를 목적으로 개발된 엔진으로, 특히 언리얼 엔진 3는 기존의 일인칭 게임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범용성을 더욱 강화했다. 그 외에 판매 목적으로 엔진을 개발하는 회사로는 크라이엔진의 크라이텍과 토크 게임 엔진의 게러지게임즈가 있다.토크 게임 엔진의 경우 판매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 취미 개발 = = = 게임 엔진의 개발은 컴퓨터 과학도와 취미 개발자 모두에게 인기있는 프로젝트이다. 엔진 개발은 기하학, 색상 이론, 전산학에 대한 학제적인 이해가 강력하게 요구되는 일이지만, 시각적인 결과가 나오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그런 개발자들은 그것을 재미와 보상으로 받아들인다. 그 중 크리스털 스페이스는 유명한 오픈 소스 멀티플랫폼 게임 엔진이다. = = 주요한 게임 엔진들 = = 유니티 - 유니티 테크놀러지가 개발한 게임 엔진 및 저작 툴로 PC와 맥,안드로이드, 아이폰/아이패드, 콘솔 기기, 웹 브라우저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 언리얼 엔진 시리즈 - 에픽 게임즈가 개발, 초기때부터 범용성이 좋아 널리 쓰였으며 언리얼 엔진 3부터는 더욱 범용성이 강화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용 엔진이다 소스 - 밸브 코퍼레이션이 개발, 《하프라이프 2》의 개발에 사용되었다 이드 테크 시리즈 - 이드 소프트웨어가 개발, 《둠 3》의 개발에 사용되었다 크라이엔진 시리즈 - 크라이텍이 개발, 《크라이시스》의 개발에 사용되었다 게임브리오 - 엘더 스크롤 시리즈의 3편과 4편, 《문명 IV》, 《다크 에이지 오브 카멜롯》 등에 사용되었다 토크 게임 엔진 - 저렴한 엔진으로 독립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게임 엔진이다 ISI모터엔진 - 레이싱게임 rFactor(알팩터)의 개발사인 Image Space Incorporated(ISI)사에서 개발 및 배포한 엔진으로 동사의 rFactor시리즈 , Raceroom(레이스룸)시리즈 등의 레이싱게임에 도입된 DX7기반의 게임 엔진이다 스노우 드랍 엔진 -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있는 유비소프트에서 만들어진 엔진이며 더 디비전의 개발엔진으로 사용되었다 데시마 엔진 - 게릴라 게임즈에서 개발된 엔진으로서 데스 스트랜딩과 언틸던, 킬존 섀도우 폴, 호라이즌 제로 던의 개발엔진으로 사용되었다 우르시나(Ursina) -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임 엔진이다. = = = 대한민국의 게임 엔진 = = = 대한민국에서는 아직까지도 게임 엔진의 개발이나 마케팅보다는 해외의 게임 엔진을 구입하는 일이 많다. 잘 알려진 국산 게임 엔진으로는 화이트데이와 팡야에 적용된 왕리얼 엔진과 드림익스큐션이 워록을 만들 때 개발한 진도 엔진과 넥슨산하의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만든 게임에 사용되는 프라우드넷과 또한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만든 마비노기의 기본 그래픽 처리 기법인 카툰 렌더링을 위한 플레이오네 엔진이 있고 가이블에서 판매용으로 개발한 지블렌더가 있다. 네트워크 엔진으로는 프라우드넷과 엑스커넥터가 있다. 프라우드넷 - 온라인 게임 서버와 멀티플레이 기능 개발을 위한 엔진이다. CGCII - 고성능 고안정성 대규모 온라인 게임 서버 개발을 위한 엔진이다. Bamer - 게임 서버 전용 미들웨어 솔루션 플레이오네 엔진 - 카툰 렌더링을 위해서 만들어진 엔진이다. 엑스커넥터 지블렌더 진도 엔진 라이드엔진 제로딘 엔진 엑스 엔진 왕리얼 엔진 블루사이드 엔진 - 구 페임테크 엔진 e++엔진 - 개발 중단 여우비 엔진 = = = 게임 제작 소프트웨어 = = = 엔터브레인의 RPG 만들기 같은 소프트웨어는 최종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진 게임 엔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제작 소프트웨어는 쉽고 빠르지만 제한된 범위의 게임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네코 RPG 팩토리 UC노벨 스튜디오 = = = 비주얼 노벨을 위한 스크립트 엔진 = = = NScripter와 키리키리는 비주얼 노벨에 특화된 엔진으로, 간단한 스크립트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국어로 제공되는 비주얼 노벨 엔진으로는 브이냅과 바실리어트가 있다. 바실리어트 - 한국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네코노벨 - 한국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NScripter - 일본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키리키리 - 일본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브이냅 - 일본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렌'파이 - 미국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피니 엔진 - 한국산 비주얼 노벨 엔진이다. = 스미 켄이치로 = 스미 켄이치로(, 1976년 12월 8일 ~ )는 일본의 성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TV 애니메이션 = = = 크게 휘두르며(미즈타니 후미키) 크게 휘두르며 여름대회편(미즈타니 후미키) = 세계견문록 아틀라스 = 세계견문록 아틀라스는 EBS 1TV에서 월요일 ~ 수요일 새벽 5시 30분에 방송하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EBS 1TV 2014년 5월 12일 ~ 2015년 8월 12일 매주 월요일 ~ 수요일 밤 11시 35분 ~ 밤 12시 5분(30분) EBS 1TV 2015년 9월 5일 ~ 2015년 11월 7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5분 ~ 밤 10시 35분(1시간 30분) = 무선주파수 = 무선주파수는 파장 0.1mm 이상의 범위, 즉 진동수 3 THz이하의 전자기파이다. RF(Radio Frequency)로 약칭한다. 무선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는 방송에 사용되는 전파와 각종 무선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교류 전류 진동수로 활용되고 있다. = = 주파수 분류 = = 주파수 파장 명칭 영문 명칭 약어 3 ~ 30 kHz 100 ~ 10 km 초장파 Very low frequency VLF 30 ~ 300 kHz 10 ~ 1 km 장파 Low frequency LF 300 kHz ~ 3 MHz 1 km ~ 100 m 중파 Medium frequency MF 3 ~ 30 MHz 100 ~ 10 m 단파 High frequency HF 30 ~ 300 MHz 10 ~ 1 m 초단파 Very high frequency VHF 300 MHz ~ 3 GHz 1 m ~ 10 cm 극초단파 Ultra high frequency UHF 3 ~ 30 GHz 10 ~ 1 cm 초고주파 Super high frequency SHF 30 ~ 300 GHz 1 cm ~ 1 mm 밀리미터파 Extremely high frequency EHF = 분류:시즈오카현의 성 = = 틀:HITO 대중음악상 해외 가수 (홍콩) = = 유아재 = 유아재는 중화민국의 가수 뤄즈샹의 열두 번째 정규 앨범이다. = = 뮤직 비디오 = = 제목 감독 공개일 유아재 진혁인 2012년 3월 18일 불구명적비상 황중평 2012년 4월 1일 왕견왕 진정도 2012년 4월 16일 전성열애 광성 2012년 4월 30일 금천니최표량 진정도 2012년 4월 25일 애불용설 진정도 2012년 5월 21일 애주수 - 2012년 5월 19일 행복라 - 2012년 6월 18일 = 박은정 (독성학자) = 박은정은 동덕여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은 뒤 경력단절과 늦깎이 연구자라는 어려움을 딛고 경희대학교 교수가 된 사람이다. = 파스칼의 삼각형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은 수학에서 이항계수를 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것은 블레즈 파스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지만, 그가 처음 발견한 것은 아니고 수세기 전에 인도,Maurice Winternitz,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 III 페르시아,. 중국,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이미 연구된 바가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파스칼의 삼각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줄에는 1을 쓴다. 그 다음 줄을 만들 때 바로 위의 왼쪽 숫자와 오른쪽 숫자를 더한다(오른쪽 그림 참고). 예를 들어, 네 번째 줄의 숫자 1과 3을 더하여 다섯 번째 줄의 4가 만들어진다. 파스칼의 법칙을 이용해 이 규칙을 아래와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n 번째 줄의 k 번째 값을 a_{nk}라고 할 때, 으로 정의된다. 이때, = = 조합 배열의 예 = = = = = 처음2줄 = = = 가장자리의 수는 없는 부분이 '0' 이라고 생각해서 1을 더하고 나온 값인 1을 그대로 내려온다. 파스칼의 삼각형의 3열의 모든 숫자는 자신의 상위 열의 2개 숫자를 더해서 만든다. 가장자리의 수는 계속해서 0과 1을 더한다고 생각하고 1을 그대로 내린다. 파스칼 삼각형의 6열. 네 번째 줄의 1과 3을 더해 다섯 번째 줄의 4를 만든다. 네 번째 줄의 3과 3을 더해 다섯 번째 줄의 6을 만든다. = = = 11줄 = = = = = = 19줄 = = = 1 -> n=0 일때 1 1 -> n=1 일때 1 2 1 -> n=2 일때 1 3 3 1 . 1 4 6 4 1 . 1 5 10 10 5 1 . 1 6 15 20 15 6 1 1 7 21 35 35 21 7 1 1 8 28 56 70 56 28 8 1 1 9 36 84 126 126 84 36 9 1 1 10 45 120 210 252 210 120 45 10 1 1 11 55 165 330 462 462 330 165 55 11 1 1 12 66 220 495 792 924 792 495 220 66 12 1 1 13 78 286 715 1287 1716 1716 1287 715 286 78 13 1 1 14 91 364 1001 2002 3003 3432 3003 2002 1001 364 91 14 1 1 15 105 455 1365 3003 5005 6435 6435 5005 3003 1365 455 105 15 1 1 16 120 560 1820 4368 8008 11440 12870 11440 8008 4368 1820 560 120 16 1 1 17 136 680 2380 6188 12376 19448 24310 24310 19448 12376 6188 2380 680 136 17 1 1 18 153 816 3060 8568 18564 31824 43758 48620 43758 31824 18564 8568 3060 816 153 18 1 = = 파스칼의 삼각형의 응용 = = 파스칼의 삼각형은 이항정리에서 계수들의 값을 계산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라는 식에서, 각 계수의 값인 1, 2, 1은 파스칼의 삼각형의 3번째 줄에 대응된다. 일반적으로, 와 같은 전개식에서, a_i = {n+1 \choose k} 가 성립한다. 즉, a_i는 파스칼의 삼각형의 (n+1) 번째 행(row)의 (k) 번째 열(column) 값과 순차적으로 대응된다. = = 소스코드 = = = = = 파이썬 = = = def pTriangle(n): if n is None or n == 0: return [] ret = [] for row in range(0, n): l = [] for col in range (0, row+1): if col == 0 or col == row : l.append(1) else: l.append(ret[row-1][col-1] + ret[row-1][col]) ret.append(l) return ret = = = 스칼라 = = = //파스칼 삼각형 소스코드 var height:Int = 0 def pTriangle(given:Array[Int], stop:Int):Unit = { println(given.deep.toString) height = height + 1 if (height < stop) { val next = Array.ofDim[Int](given.length + 1) for (i <- 0 until next.length) { else next(i) = given(i-1) + given(i) } pTriangle(next, stop) } else { height = 0 } } C# public class PascalsTriangle { static void PascalTriangle(int n) { for (int line = 1; line <= n; line++) { int c = 1; for (int i = 1; i <= line; i++) { Console.WriteLine(c); c = c * (line - i) / i; } Console.WriteLine("\n"); } } public static int Main(int input) { PascalTriangle(input); return input; } } = = 일반화 = = 파스칼의 삼각형은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 3차원 형태는 파스칼의 피라미드 또는 파스칼의 4면체로 부른다. 더 높은 차원의 유사체를 일반적으로 총칭하여 "파스칼의 단체"라고 말한다. = 분류:치윤법 = = 이라크 디나르 = 디나르는 이라크의 통화이다. 1932년에 도입되었으며 1 디나르는 1,000 필스에 해당된다. 25, 50, 100 디나르 동전과 50, 100, 250, 500, 1,000, 5,000, 10,000, 25,000, 50,000 디나르 지폐가 통용된다. = 코핸 = 코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로런 코핸: 미국의 배우, 모델 조지 코핸: 미국의 가수,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 분류:몬테비데오의 건축물 = = 남자는 괴로워 5 = 남자는 괴로워 5(男はつらいよ 望鄕篇: Tora-san's Runaway)는 일본에서 제작된 야마다 요지 감독의 1970년 코미디 영화이다. 아츠미 키요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아츠미 키요시 바이쇼 치에코 = = = 조연 = = = 나가야마 아이코 마에다 긴 모리카와 신 미사키 치에코 다자이 히사오 류 치슈 이가와 히사시 이시이 켄이치 마츠야마 세이지 사토 가지로 타니무라 마사히코 츠사카 마사아키 = 위치토 (캔자스주) = 위치토(Wichita)는 미국 중부 캔자스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354,865(2005). 아칸소 강 연안에 위치하며, 캔자스주 최대의 도시이다. = = 자매 도시 = = 프랑스 오를레앙 (1944년) 멕시코 사카테카스주 (1973년) 멕시코 캉쿤 (1975년) 중국 카이펑 시 (1985년) 미국 오마하 (1993년) = 분류:잠비아의 호수 = = 에이주인 = 에이주인 (, 분카 2년 음력 1월 23일 (1805년 2월 22일) ~ 안세이 5년 음력 9월 10일 (1858년 10월 16일))은 사쓰마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정실이다. 아버지는 히토쓰바시 도쿠가와가 당주 도쿠가와 나리아쓰이고, 어머니는 오야요(於弥与, 히구치씨)이다. 히사히메(恒姫)로도 불렸다. = = 생애 = = 분카 9년 (1812년)에 시마즈 나리아키라와 결혼을 약속했다. 분카 12년 (1815년)에 에도 다카나와의 시마즈 저택에 들어갔다. 분세이 9년 (1826년), 당시 후계자였던 나리아키라와 결혼했다. 적자를 낳은 적도 있지만, 모두 일찍이 요절하여서, 오유라 소동과 텐쇼인 시집에 영향을 주었다. 안세이 5년 (1858년)에 나리아키라가 사망하고 2달 후에, 에이주인도 사망하였다. = = 등장 작품 = = 아츠히메 (2008년, NHK대하드라마, 배우 : 요 키미코) = 매직 쿼드런트 =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 MQ)는 IT 컨설팅 회사 인 Gartner가 방향, 성숙도 및 참가자와 같은 시장 동향을 입증하기 위해 독점적인 질적 데이터 분석 방법에 의존하는 시장 조사 보고서로 발행된 시리즈이다. 그들의 분석은 몇몇 특정한 기술 산업을 위해 실행되고 1-2년마다 새롭게 갱신된다. = 야코블렙스키군 = 야코블렙스키군은 러시아에 위치한 군이다. 야코블렙스키군 (프리모르스키 지방) 야코블렙스키군 (벨고로드주) = 사랑아 사랑아 = 사랑아 사랑아는 2012년 5월 7일부터 2013년 1월 4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TV소설이다. = = 기획 의도 = = 꿈이 사라진 현대 사람 냄새가 가득한 70년대 격동의 현대사를 TV 소설로 그려낸 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황선희 : 홍승희 역 (40대 : 윤세아) 송채윤 : 홍승아(한애리) 역 (40대 : 오나라) 오창석 : 박노경 역 (40대 : 지진희) 김산호 : 강태범 역 = = = 다미울 식구들 = = = 김영옥 : 이금옥 역 선우재덕 : 홍윤식 역 김예령 : 김양자 역 김효원 : 이금동 역 김주엽 : 홍승구 역 김경숙 : 오방순 역 권오현 : 김춘봉 역 = = = 색오름 식구들 = = = 이일화 : 최명주 역 김석옥 : 유씨 역 한민채 : 김양 역 이지은 : 방곱단 역 정승호 : 심상철 역 김주현 : 심연홍 역 = = = 소망 병원 식구들 = = = 김규철 : 여삼추 역 김보미 : 김말년 역 강민아 : 여의주 역 장다경 : 최민영 역 = = = 그외 인물 = = = 정아율 : 영심이 역 전다정 : 아낙네 역 = = 연장 = = 사랑아 사랑아 방영 분량이 120부작에서 55회 연장되어 175부작으로 변경 및 확정되었다. = = 수상 = = 2012 KBS 연기대상 일일극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김예령 2012 제20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 신인상 오창석 = = 참고 사항 = = 제작사 측은 영심이 역의 정아율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인해 대본 수정을 논의하기도 했다.정아율 사망, 데뷔작 겸 유작 '사랑아 사랑아' 대본 수정 논의 중 부산일보 2012.06-14 멀티미디어부 = = = 정치적 의도 여부 = = = 남성 주인공 2명의 경우 공안 검사와 건설회사 직원으로 나오고 있으며, 공안 검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 포장된 면이 많고, 건설회사 직원의 경우는 이명박 대통령을 모티브로 운동권 학생에서 초고속 승진을 하는 건실한 직원으로 꾸며지고 있다. *여주인공 어머니 집안은 친일파로, 친일파도 피해자일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금동의 처의 경우, 배경이 되는 경상도 구미와 다른 전라도 출신으로 전라도 사투리 구사하며 각종 사건의 원인을 제공하고 가족간에 불화를 만드는 주범으로 등장한다. *이처럼 보이는 인물들의 이미지를 통해 아침드라마의 주 시청층을 대상으로 지역감정을 강화시키고, 현 정권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있다. = 수도고속도로 4호선 신주쿠선 = 수도고속도로 4호선 신주쿠 선은 도쿄도 지요다구에서 스기나미구에 이르는 수도고속도로의 노선이다. = = 개요 = =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에서 나뉜 방사 노선 중 하나이며,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된다. 대부분이 고슈 가도(국도 제20호선)과 평행하고 있다. 미야케자카 분기점에서 도심 환상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니시신주쿠 분기점에서 중앙 환상선과 연결되어 있다. 또 다카이도 출입구에서 주오 자동차도와 연결되어 있다. 2007년에는 니시신주쿠 분기점과 통하는 중앙 환상선과의 연결이 완성(북쪽 방향)되었으며, 2010년에는 중앙 환상선의 남쪽 방향, 니시신주쿠 분기점 ~ 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의 오하시 분기점이 개통했다. 한편, 4호선 신주쿠 선을 경유해서 도심 환상선 방면과 중안 환상선을 오고 갈 수는 없다. = = = 산구바시 = = = 신주쿠 출입구와 요요기 간이 휴게소 사이에 산구바시 커브라고 불리는 급커브가 있다. 参宮橋カーブにおける社会実験の概要(산구바시 커브에 있어서 사회실험 개요) 90도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전방의 시계가 나쁘기 때문에 감속 불량 등에 기인하는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고 건수는 수도고속도로 내에서도 최다이며, 예를 들면 2003년도에는 연간 181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이 부근의 최고속도제한은 50 km/h이다. = = 역사 = = 1964년 8월 2일 : 미야케자카 분기점 ~ 하쓰다이 출입구 구간 개통 1973년 8월 15일 : 에이후쿠 출입구 ~ 다카이도 구간 개통 10월 27일 : 하쓰다이 출입구 ~ 에이후쿠 출입구 구간 개통 1976년 5월 18일 : 가미타카이도(上高井戶) 지역 내가 개통되어 전구간이 개통었으며, 이와 동시에 주오 자동차도와 접속 2007년 12월 22일 : 중앙 환상선의 이케부쿠로 ~ 신주쿠 구간이 개통으로 니시신주쿠 분기점이 부분 개통 2010년 3월 28일 : 중앙 환상선의 신주쿠 ~ 시부야 구간이 개통으로 니시신주쿠 분기점이 완전 개통 = = 구성 = = 차로수 전 구간 왕복 4차로 제한 속도 미야케자카 분기점 : 최고 40 km/h 미야케자카 분기점 ~ 요요기 출입구 : 최고 60 km/h 요요기 출입구 ~ 신주쿠 출입구 : 최고 50 km/h 신주쿠 출입구 ~ 다카이도 출입구 : 최고 60 km/h = = 시설물 = = 번호의 배경색이 ■인 구간은 공식 구간이다. ■로 된 구간은 산구바시() 커브 구간이다. 번호 이름 일본어 이름 구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37 미야케자카 분기점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 도쿄도 미나토구 지요다 터널위험물적재차량 통행금지 401 가이엔 출입구 2.5 가이엔히가시도리 도쿄도 신주쿠구 긴자, 하네다 방면만 진입 가능 402 가이엔 출입구 3.0 가이엔니시도리 도쿄도 신주쿠구 신주쿠, 주오 자동차도 방면만 진입 가능 - 요요기 간이 휴게소 도쿄도 시부야구 긴자, 하네다 방면 403 요요기 출입구 4.7 요요기 공원 방면 도로 도쿄도 시부야구 긴자, 하네다 방면만 진입 가능 404 신주쿠 출입구 5.3 도쿄도 신주쿠구 긴자, 하네다 방면만 진입 가능 405 신주쿠 출입구 5.5 도쿄도 신주쿠구 다카이도, 주오 자동차도 방면만 진출 가능 - 니시신주쿠 분기점 수도고속도로 중앙 환상선 도쿄도 신주쿠구 주오 자동차도, 다카이도 방면이 합류 406 하쓰다이 출입구 6.5 국도 제20호선 고슈 가도 도쿄도 시부야구 다카이도, 주오 자동차도 방면만 진입 가능 407 하타가야 출입구 6.8 국도 제20호선 고슈 가도 도쿄도 시부야구 긴자, 하네다 방면만 진입 가능 408 에이후쿠 출입구 9.6 국도 제20호선 고슈 가도 도쿄도 스기나미구 긴자, 하네다 방면만 진입 가능 409 에이후쿠 출입구 9.9 국도 제20호선 고슈 가도 도쿄도 스기나미구 다카이도, 주오 자동차도 방면만 진입 가능 - 에이후쿠 본선 요금소 도쿄도 스기나미구 - 에이후쿠 간이 휴게소 도쿄도 스기나미구 411 다카이도 출입구 12.4 도쿄 도도 제14호선 도쿄도 스기나미구 긴자, 하네다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주오 자동차도와 직결(고후, 나가노, 나고야 방면) = = 교통량 = = 평일 24시간 교통량은 아래와 같다.(2005년도 일본 도로 교통 센서스) 세타가야 구 마쓰바라 2초메 43:97, 010 = = 통과 지역 = = 도쿄도 지요다구 - 신주쿠구 - 시부야구 - 신주쿠 구 - 시부야 구 - 스기나미구 = = 접속 고속도로 = =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미야케자카 분기점에서 접속) 수도고속도로 중앙 환상선(니시신주쿠 분기점에서 접속) 주오 자동차도(다카이도 출입구에서 접속) = 분류:한국의 황제 이름을 딴 분류 = = 조 샘플 = 조 샘플(, 1939년 2월 1일 ~ 2014년 9월 12일)는 미국의 재즈 음악가이다. = 분류:칠레의 록 음악 = = 분류:홈스 = = 분류:칠레-유엔 관계 = = 코모에현 = 코모에현은 부르키나파소 카스카드주에 위치한 현으로, 현도는 방포라이며 면적은 15,277km2, 인구는 400,534명(2006년 기준)이다. 9개 군(방포라군, 베레가두구군, 망고다라군, 무소두구군, 니앙골로코군, 워군, 시데라두구군, 수바카니에두구군, 티에포라군)을 관할한다. = 마츠다 료 = 마츠다 료(1991년 9월 13일 ~)는 일본의 배우이다. = 2015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 AFC 챔피언스리그 2015 결승전은 AFC 챔피언스리그 2015의 우승팀을 가리기 위한 경기로 2015년 11월 7일과 21일 각각 아부다비와 광저우에서 열렸다. 광저우 헝다가 1,2차전 합계스코어 1-0으로 알아흘리를 꺾고 두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 승리로 광저우 헝다는 FIFA 클럽 월드컵 2015에서 아시아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 = 결승전까지의 경기 = = 알아흘리 알아흘리 알아흘리 알아흘리 라운드 광저우 헝다 광저우 헝다 광저우 헝다 광저우 헝다 상대 결과 결과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결과 결과 알아흘리 3-3 (H) 3-3 (H) 3-3 (H) 1차전 FC 서울 1-0 (H) 1-0 (H) 1-0 (H) 트락토르 사지 0-1 (A) 0-1 (A) 0-1 (A) 2차전 웨스턴 시드니 3-2 (A) 3-2 (A) 3-2 (A) 나사프 카르시 0-0 (H) 0-0 (H) 0-0 (H) 3차전 가시마 앤틀러스 4-3 (H) 4-3 (H) 4-3 (H) 나사프 카르시 1-0 (A) 1-0 (A) 1-0 (A) 4차전 가시마 앤틀러스 1-2 (H) 1-2 (H) 1-2 (H) 알아흘리 1-2 (A) 1-2 (A) 1-2 (A) 5차전 FC 서울 0-0 (A) 0-0 (A) 0-0 (A) 트락토르 사지 3-2 (H) 3-2 (H) 3-2 (H) 6차전 웨스턴 시드니 0-2 (H) 0-2 (H) 0-2 (H) D조 2위 팀 알아흘리 6 3 3 0 11 7 +4 12 알아흘리 6 2 2 2 8 8 0 8 나사프 카르시 6 2 2 2 5 5 0 8 트락토르 사지 6 1 1 4 7 11 -4 4 = = 경기 = = = = = 1차전 = = = GK 12 아흐메드 마흐무드 RB 26 압둘라지즈 후세인 CB 2 살민 카미스 CB 21 권경원 LB 62 압둘라지즈 산쿠르 RM 8 이베르통 히베이루 CM 88 마지드 하산 LM 4 하비브 파단 RF 11 아흐메드 칼릴 (c) CF 9 리마 LF 7 이스마일 알함마디 교체명단: 교체명단: 교체명단: GK 55 마지드 나세르 DF 5 왈리드 압바스 DF 80 후마이드 압둘라 DF 77 유세프 알사예드 MF 6 하산 압둘라흐만 MF 71 나와프 무바라크 알다르마키 FW 14 오사마 아사이디 감독: 감독: 감독: 코스민 올러로이우 코스민 올러로이우 코스민 올러로이우 코스민 올러로이우 = = = 2차전 = = = GK 19 쩡청 RB 5 장린펑 CB 6 펑샤오팅 CB 28 김영권 LB 25 쩌우정 DM 10 정즈 (c) DM 8 파울리뉴 AM 11 히카르두 굴라트 RW 16 황보원 LW 27 정룽 CF 9 이우케종 교체명단: 교체명단: 교체명단: GK 22 리솨이 DF 3 메이팡 DF 33 룽하오 DF 35 리쉐펑 MF 17 류젠 MF 20 유한차오 FW 29 가오린 감독: 감독: 감독: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2015 = 분류:소유주별 미디어 프랜차이즈 = =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현대 무용가 = = 드리븐 = 드리븐은 2001년 액션 영화이다. 레니 할린 감독 작품으로,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인공으로 출연한다. 스탤론은 프로듀싱과 각본에도 참여했다. 포뮬러 원을 소재로 한 영화 프로젝트였으며, 1997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F1을 소재로 한 영화를 촬영할 권리를 획득했다고 발표했지만, 그 후 여러 가지 사정으로 미국의 챔프 카 월드 시리즈를 배경 및 소재로 변경하여 촬영이 진행됐다. 스탤론은 후에 이 영화에 참여한 것에 대해 후회한다고 하였다. = = SBS 성우진 (2003년 3월 23일) = = 이정구 - 존 탠토(실베스터 스탤론) 안지환 - 보 브란텐버그(틸 슈바이거) 구자형 - 지미 블라이(킵 파듀) 김병관 - 칼 헨리(버트 레이놀즈) 우정신 - 소피아(에스텔라 워렌) 강구한 - 드밀(로버트 숀 레너드) 윤소라 - 케이시(지나 거손) 이진화 - 룩(스테이시 에드워즈) 윤병화 김혜경 이병식 홍승섭 장주영 김소형 = 틀: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 명단 = = 나콘사완주 = 나콘사완주(, Nakhon Sawan Province)는 태국 북부에 위치한 창왓(주)이다. 이웃하는 주로는 깜팽펫주, 피찟주, 펫차분주, 롭부리주, 싱부리주, 차이낫주, 우타이타니주, 딱주가 있다. = = 어원 = = 〈나콘〉이라는 말은 '도시'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nagara'에서 왔고, 〈사완〉이라는 말은 ’천국‘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svarga'에서 왔다. 그리하여 이 지방의 이름은 글자 그대로 ‘천국의 도시’라는 의미이다. = = 지리 = = 핑강과 난강이 나콘사완시 근처에서 합류를 하여 짜오프라야강을 만든다. 깜팽펫주와 경계를 접하는 매옹 국립공원은 1987년 매옹매포엔 정글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부엥 보라펫은 태국의 가장 큰 민물 습지이며, 212 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 습지는 나콘사완시의 바로 동쪽에 위치하며, 타또코와 쭘싸엥에까지 뻗어있다. 동절기에는 많은 민물 가금류가 이곳으로 이주를 한다. 습지의 일부는 사냥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 역사 = = 나콘사완은 드바라바띠 시대 이후로 존재한 도시였다. 수코타이 왕조의 일부로 수코타이 최남단 도시인 므앙 프라방이라고 불렸다. 아유타야 왕조에 와서는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정학적인 입지로 말미암아 중요한 교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또한 버마가 아유타야를 공격하기 전에 접전을 벌인 주요 전장이기도 하였다. = = 행정 구역 = = 나콘사완 주는 15개의 암프(도시)와 130개의 땀본(구)과 1328개의 무반이 있다. 므앙나콘사완군 끄록프라군 춤생군 농부아군 반폿피사이군 까오리아오군 딱클리군 타따꼬군 파이살리군 파유하키리군 랏야오군 딱파군 매웡군 매폰군 춤따봉군 = NF (래퍼) = NF(1991년 3월 30일 ~ )는 미국의 래퍼, 싱어송라이터이다. = = 음반 목록 = = Moments (2010) NF(EP) (2014) Mansion (2015) Therapy Session (2016) Perception (2017) The Search (2019) Time (2019) CLOUDS (THE MIXTAPE) (2021) = 분류:게임 엔진별 비디오 게임 = = 분류:미국 해군의 구축함 전대 = = 메시에 67 = M67은 게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 거리는 2600~2900 광년이며, 겉보기등급 6.1이다. 067 2682 = 서울광장 통행저지 사건 = 서울광장 통행저지 사건(2011.6.30. 2009헌마406 [위헌확인])은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 파스칼 (단위) = 파스칼(Pascal, 기호 Pa)는 압력에 대한 SI 유도 단위이다. 1 파스칼은 1 제곱미터 당 1 뉴턴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에 해당한다. 단위의 이름은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의 이름을 땄다. = = 정의 = = 여기서 N은 뉴턴, m은 미터, kg은 킬로그램, s는 초. = = 사용 = = 표준 대기압은 101,325 Pa = 101.325 kPa = 1013.25 hPa = 0.101325 MPa = 1013.25 mbar = 760 토르 (ISO 2533) = 14.696 psi에 해당한다. 기상학자들은 오랫동안 기압의 단위로 밀리바를 사용했다. SI 단위계가 도입된 후에도 계속 예전 단위를 더 선호했다. 그래서 기상학에서는 밀리바와 동등한 단위인 헥토파스칼을 쓴다. 재료과학에서 재료의 압축강도, 인장강도를 측정하는데 메가파스칼 (MPa = 1,000,000 N/m2) 이나 기가파스칼 (GPa = 1,000,000,000 N/m2) 등을 주로 쓴다. 응력, 영률(Young's modulus), 인장 강도 등의 단위로도 쓰인다. = = 유니코드 문자 = = 유니코드는 한중일 호환용 블록에 코드포인트 와 를 할당하였으나 이는 하위 호환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며 구식이기 때문에 사용이 권장되는 것은 아니다. =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아시아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1997년 12월 10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다. = 잔잔부레 = 잔잔부레(Janjanbureh)는 감비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센트럴리버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과거 조지타운(Georgetown)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했던 도시이다. 1832년 감비아 강에 있는 섬인 매카시 섬 위에 건설되었으며 감비아에서 2번째로 큰 도시이다. = 우피족 = 우피족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노인세대를 뜻하며, 'well of older people'의 머릿글자를 딴 말이다. 재산상속이나 벌어둔 돈이 있어, 자식들이 돈을 주지 않아도 독자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50대 이상의 부유한 노인들을 말한다. 이들은 연금을 받을 나이가 되면서 자녀는 다 성장해 양육에 대한 부담도 없고, 저축해 둔 자금이 있기 때문에 소비에 자유롭다. 이들을 타겟으로 삼은 광고업계에서 우피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엘머 베넷 = 엘머 베넷(Alma Bennett, 1904년 4월 9일 ~ 1958년 9월 16일)은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이다. 시애틀에서 태어났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긴 바지 (1927년) 잃어버린 세계 (1925년) - 글레이디스 헝거포드 역 = 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동문 = = 1804년 2월 11일 일식 = 1804년 2월 11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는 혼성일식이다. 혼성일식은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과 비슷하여, 관측 지역에 따라 개기일식 또는 금환일식으로 보이는 일식이다. 개기일식이나 금환일식은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 가능하며,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1804-02-11 1804-02-11 일식 1804-02-11 일식 = UEFA 유로 2016 예선 I조 = 이 문서는 UEFA 유로 2016 예선 I조에 대해서 다룬다. 각 조의 1위, 2위 팀은 UEFA 유로 2016 본선에 직행한다. 공정성을 위해 I조를 제외한 나머지 A~H조의 3위 팀들은 각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은 부전승으로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나머지 8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 경기 결과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8 7 0 1 11 5 +6 21 8 4 2 2 10 5 +5 14 8 3 3 2 8 5 +3 12 8 2 1 5 8 13 -5 4* 8 0 2 6 5 14 -9 2 세르비아는 UEFA로부터 승점 3점을 감점하는 조치를 받았다. 이는 세르비아가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홈 경기에서 일어난 난투극을 막지 못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 = = 득점 선수 = =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조란 토시치 니클라스 벤트너 주앙 무티뉴 아뎀 랴이치 베킴 발라이 베라트 짐시티 슈컬젠 가시 에르미르 레냐니 머르김 마브라이 아르만도 사디쿠 로베르트 아르주마냔 헨리크 미키타리안 흐라이르 므코얀 마르쿠스 피젤리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토마스 칼렌베르 시몬 키에르 야코브 포울센 유수프 포울센 라세 비베 히카르두 카르발류 파비우 코엔트랑 나니 미겔 벨로주 네마냐 마티치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머르김 마브라이 (아르메니아전 자책골) 레본 하이라페티얀 (세르비아전 자책골) 카모 호브한니시얀 (알바니아전 자책골) = 틀:1968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 덴노지 동물원 = 덴노지 동물원는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덴노지구에 위치한 동물원이다. 덴노지 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 분류:9월 = 9월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다. 09월 = 안델코 사비치 = 안델코 사비치 1993년 3월 3일, 스위스 로잔 ~)는 스위스의 축구 선수이며 최근에는 FC 바부아에서 뛰고 있다. = = 클럽 커리어 = = 2011년 FC 바셀에서 UC 삼프도리아로 이적하였다. 안델코 사비치는 세르비아의 여권 역시 갖고 있으며, AC 시에나를 상대로 대뷔전을 치렀다. = 앙까라 = = 로리사 맥코마스 = 로리사 맥코마스(Lorissa McComas, 1970년 11월 26일 ~ 2009년 11월 3일)는 미국의 배우, 모델, 글래머 모델, 영화배우이다. 콜럼버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프로젝트 바이퍼 (2002년) 하드 에즈 네일즈 (2001년) 킹스 고질라 (2001년) 디시 독스 (2000년) 익스트림 리미트 (2000년) 핫 보이즈 (1999년) 러브 게임즈 (1998년) 언더커렌트 (1998년) 섹슈얼 터치 (1998년) 마담 사반트 (1997년) 어레인지드 메리지 (1996년) 하인드사이트 (1996년) 타이거 하트 (1996년) 위시 미 럭 (1995년) 랩 댄서 (1995년) 피라나 (1995년) - 바바라 역 사이버존 (1995년) 애욕의 네트워크 (1995년) 더블 크로스 (1995년) 에로틱고스트 (1995년) 비키니 사냥꾼 (1992년) = Reborn (스트라이퍼의 음반) = Reborn는 2005년에 발매된 스트라이퍼의 음반이다. = 곰녹음기 = 곰녹음기는 곰앤컴퍼니에서 만든 컴퓨터의 소리와 마이크, 외부오디오기기를 녹음할 수 있는 녹음기다. = = 기능 = = 녹음입력 : 컴퓨터의 소리, 마이크, CD, DVD등 녹음할 수 있다 파일포맷 : WAV, MP3, OGG를 지원한다 파일음질 : AM,FM 라디오음질에서 CD 음질등 최대 320kbps까지 지원한다. 녹음시, 일시정지 기능과 특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정지기능이 있다. wav파일을 제외한 파일을 tag정보를 입력 할 수 있다. 곰오디오 자르개로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해서 파일을 만들수 있다. = 이집트땅거북 = 이집트땅거북(Testudo kleinmanni)는 북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땅거북이다. 한때는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 개체수는 감소하고 있어 이름에 들어가 있는 지명인 이집트에서는 멸종되었다. 현재는 리비아에만 남아있으며, 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관심이 필요한 종이다. 애완동물로 불법포획되어 유출되는 것이 가장 큰 위협이다. 그리고 아주 작은 종류도 있다. = 덕유산휴게소 = 덕유산휴게소(德裕山休憩所, Deokyusan Service Area)는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안성면, 장수군 계북면에 위치한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통영 방면의 휴게소가 장수군에, 대전 방면의 휴게소가 무주군에 위치하고 있다. 휴게소 통영 방면은 행운휴게소라는 새로운 닉네임으로 고객들에게 다가서고 있다고 한다. 이 이름은 그동안 덕유산 휴게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크고작은 각종 행운 사연이 많은 것에 착안하여 '행운휴게소`라는 닉네임을 사용하게 됐다고 한다. 휴게소 매장 내부 및 휴게소 주변에 `행운 우체통`을 설치해 고객들이 전하고 싶은 내용들을 이 우체통에 넣어 받는 사람과 추억을 같이 공유할 수 있는 기쁨을 주고 휴게소 둿편을 `행운화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대전 기점 148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2008년 10월 10일 한국도로공사에서 실시한 휴게소 평가에서 96점으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 = 시설 = = 주차장 화장실 식당가 던킨도너츠 * * * * *앤탐스 * * * * * * * * * * * * * * * * *CD기:KB은행 * 콜핑 * = = 전후 = = 대전 방면 덕유산 나들목←덕유산휴게소→장수 분기점 인삼랜드휴게소←덕유산휴게소→함양휴게소 통영 방면 덕유산 나들목←덕유산휴게소→장수 분기점 인삼랜드휴게소←덕유산휴게소→함양휴게소 = = 참고 = = *휴게소에 들렀다 ‘힐링’까지 하고 가네 - 위클리공감 *장수 덕유산 휴게소 `행운 휴게소`로 새 단장 - 전민일보 *[추석특집-고향길 쉼터]덕유산휴게소 - 충청투데이 *음식 가장 맛있는 고속도휴게소 ‘덕유산’..‘동서울’ 꼴찌 - 파이낸셜뉴스 = 듀론 = AMD 듀론(Duron)은 AMD가 제조한 x86 호환 컴퓨터 프로세서이며, 소켓 A에 꽂는다. 애슬론 프로세서의 보급형 모델로서 기본 사양은 같으나 레벨 2 캐시의 크기가 작고, FSB 동작 클럭이 낮다. 라이벌 인텔의 펜티엄 III의 보급형 셀러론 프로세서와 경쟁하기 위해 낮은 가격으로 출시되었으며, 2000년 7월 19일에 최초 출하하고 2004년 공급이 중단되었다. 그 뒤, AMD의 보급형 모델은 셈프론이라는 제품명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초기 셈프론은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기존 듀론 프로세서가 아니라 상위 제품인 애슬론 XP 제품을 기반으로 제조되었다. = = 사양 = = 최대 CPU 클럭: 600 MHz ~ 1.8 GHz FSB 속도: 200 MT/초 ~ 266 MT/초 지원 명령어 집합: x86 소켓: 소켓 A = = 듀론 코어 데이터 = = = = = Spitfire (모델 3, 180 nm) = = = L1 캐시: 64 + 64 KiB (데이터 + 명령어) L2 캐시: 64 KiB, 풀스피드 MMX (명령어 집합), 확장 MMX, 3DNow!, 확장 3DNow! 소켓 A (EV6) 프론트 사이드 버스: 100 MHz (200 MT/s) V코어: 1.50 볼트 - 1.60 V 첫 출시일: 2000년 6월 19일 클럭 속도: 600 MHz - 950 MHz = = = Morgan (모델 7, 180 nm) = = = L1 캐시: 64 + 64 KiB (데이터 + 명령어) L2 캐시: 64 KiB, 풀스피드 MMX (명령어 집합), 확장 MMX, 3DNow!, 확장 3DNow!, SSE 소켓 A (EV6) 프론트 사이드 버스: 100 MHz (200 MT/s) V코어: 1.75 V 첫 출시일: 2001년 8월 20일 클럭 속도: 900 MHz - 1300 MHz = = = Applebred (모델 8, 130 nm) = = = L1 캐시: 64 + 64 KiB (데이터 + 명령어) L2 캐시: 64 KiB, 풀스피드 MMX (명령어 집합), 확장 MMX, 3DNow!, 확장 3DNow!, SSE 소켓 A (EV6) 프론트 사이드 버스: 133 MHz (266 MT/s) V코어: 1.50 V 첫 출시일: 2003년 8월 21일 클럭 속도: 1400, 1600, 1800 MHz = 요정솔딱새과 = 요정솔딱새과 또는 스테노스티라과(Stenostiridae)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 과이다.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석을 토대로 최근에 제안된 과이다.Beresford et al. (2005) = = 하위 종 = = 스테노스티라속 또는 요정솔딱새속 (Stenostira) 요정솔딱새 (S. scita) 엘미니아속 (Elminia) E. longicauda E. albicauda E. nigromitrata E. albiventris E. albonotata Chelidorhynx C. hypoxantha Culicicapa 회색머리노랑딱새 (C. ceylonensis) C. helianthea = 신드라몬 = 신드라몬은 디지몬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몬스터)이다. = = 소개 = = 데바 중 한명으로, 닭의 형태를 한 디지몬이다. = 분류:펨바섬 = = 세팡 = 세팡(Sepang, )은 말레이시아 슬랑오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212,050명(2010년 기준), 면적은 612km2이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과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F1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의 개최지)가 위치한다. = The Beatles Bootleg Recordings 1963 = The Beatles Bootleg Recordings 1963는 2013년에 발매된 비틀즈의 음반이다. 애플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미피 (동음이의) = 미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미피: 딕 브루너가 만든 토끼 캐릭터 미피: 레고의 작은 인간형 피규어 미스터피자: 피자 브랜드 : 인도의 지역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Bristol Central = return { name = 'Bristol Central', top = 51.46173, bottom = 51.44398, left = -2.61024, right = -2.57831, image = 'Location map United Kingdom Bristol Central1.png' } = 예허나라 후이정 = 엽혁나랍 혜징(葉赫那拉 惠徵, 예허나라 후이정, 1805년 7월 2일 ~ 1853년 7월 8일)은 예허나라 할아(葉赫那拉氏, ) 출신이고, 만주 양람기인(鑲藍旗人, )으로 청 제국 관료(官僚) 겸 황실 외척이다. = = 생애 = = = = = 관직 출사 이후 청나라 황실과의 관계 = = = 중국 청나라 제8대 황제 도광제(道光帝) 시대였던 1831년 음서로써 관직에 출사한 그의 아명(兒名)은 엽혁나랍 혜정(葉赫那拉 惠征, 예허나라 후이정), 엽혁나랍 혜치(葉赫那拉 惠致, 예허나라 후이지)이다. 본부인 1명과 측실 1명을 거느리고 둘 사이에서 슬하에 2남 4녀를 얻은 그는 서태후(西太后, 셋째딸)와 예허나라 완전(葉赫那拉 婉貞, 넷째딸)과 예허나라 구이샹(葉赫那拉 桂祥, 둘째아들)의 아버지이며 광서제(光緖帝)의 본부인(本夫人)이자 외사촌 누나인 효정경황후(孝定景皇后)의 할아버지인 그는 순현친왕(醇賢親王)의 장인(丈人)이자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咸豊帝)의 첩장인(妾丈人)이며 청나라 제10대 황제 동치제(同治帝)의 외조부(外祖父)가 되고 청나라 제11대 황제 광서제(光緖帝)에게는 외조부(外祖父)이자 장조부(丈祖父)가 된다. = = = 비참한 최후와 사망 = = = 1852년 셋째딸(서태후)이 함풍제(咸豊帝)의 후궁(後宮)으로 간택되었으나 그 해에 우연찮게 청나라 조정으로부터 억울한 누명을 쓰고 관직이 박탈됨과 동시에 퇴출되어 이후 그 충격으로 인하여 이듬해 1853년 7월 8일 향년 48세로 병사하였다. = = = 청 광서제와의 관계 = = = 청나라의 제11대 군주 광서제(光緖帝)는 그의 외손(외손자)이자 친손서(손녀사위)이다. 후이정 =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프리미어리그 = 프리미어리그 또는 바클리스 프리미어리그은 1992년에 시작한 잉글랜드의 축구 리그이다. 현재는 바클레이즈 은행의 후원을 받기 때문에 바클레이즈 프리미어리그라고도 한다. 프리미어리그는 이탈리아의 세리에 A,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와 함께 세계 3대 프로 축구 리그로 꼽히며, 풋볼 리그와의 승강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매 시즌은 8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며 홈 & 어웨이 방식으로 20개의 클럽이 각 38경기씩 총 380경기를 하게 된다.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2월 20일에 풋볼 리그 1부를 프리미어리그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시작되었고, 첫 경기는 같은 해 8월 15일에 펼쳐졌다. 1부 리그가 속해 있던 풋볼 리그는 1888년부터 잉글랜드의 최고 리그로 존재했던 리그이지만, 프리미어리그가 생기면서 두 번째로 내려가게 되었다. 이때부터 프리미어리그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스포츠 리그이자,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축구 리그가 되었다. 프리미어리그는 20개 클럽이 주주로 있는 일종의 주식회사이다. 프리미어리그가 진행되어 오면서 총 44개 클럽이 프리미어리그 무대를 밟았다. 그러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블랙번 로버스 FC, 아스널 FC, 첼시 FC, 맨체스터 시티 FC의 단 다섯 팀만이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프리미어리그 = LGBT 성교육 = LGBT 성교육은 학교, 대학 또는 커뮤니티 센터 내의 성교육 프로그램으로 LGBT 그룹 사이에서 중요한 성 건강 주제를 다룬다. 학교 내에서 LGBT 성 건강에 관한 주제는 일반적으로 일반 성교육 과정에 통합된다. LGBT 성교육이 성교육 커리큘럼에 포함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LGBT 성교육 옹호자들은 성교육 프로그램에 LGBT 문제가 포함되면 동성애 혐오 성 괴롭힘이 줄고, LGBT 사람들의 건강을 개선하며,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과 같은 LGBT 학생들에게 일반적인 문제 사례를 줄일 것이라고 말한다. 반대자들은 LGBT 성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정치적 관점을 강요하고, 세금을 남용하고, 종교적 가치를 무시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2014년 기준 미국 중 고등 학교 학생들의 오직 5%만이 건강 수업에서 "LGBT 관련 주제에 대한 긍정적인 논의" 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 = 배경 = = LGBT 성교육은 현재 많은 학교에서 다루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종종 기존의 LGBT 성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Gegenfurtner, and Gebhardt. “Sexuality Education Includ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LGBT) Issues in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ol. 22, 2017, pp. 215–222. 교사들은 동성애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개인적인 의견은 LGBT 성교육이 시행될 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 여러 연구들은 LGBT 성교육이 학교 성교육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LGBT 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다고 결론지었다. 영국의 Ellis and High(2004)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384명의 학생이 설문 조사에 참여했다. 그들 중 24%가 LGBT 성 문제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청소년 및 학교 보건 CDC 부서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학교의 48%가 LGBT 주제를 다루었다. 2001년 Burston과 Hart가 보고한 연구에 따르면 설문 조사에 참여한 학생의 45%가 학교에서 LGBT 성교육을 충분히 다루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연구는 또한 모든 학생이 성교육 수업에서 이성애자라는 암묵적인 가정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Eleanor Formby의 2011년 성교육 연구에서 LGBT 학생들은 성교육 수업이나 학교에서 항상 환영 받는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성교육 과정은 일반적으로 결혼을 이상화하여(많은 국가에서 동성 결혼을 금지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음) 성과 관계에 대한 이성애적 관점을 정상으로 제시한다. 연구에 따르면 성교육 프로그램은 종종 LGBT 개인을 위한 안전한 성행위를 다루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LGBT 문제를 다루는 성교육 커리큘럼은 있다. 예를 들면, Unitarian Universalist 연합회는 성적 지향에 대한 토론을 포함하고 동성애와 이성애를 동등하게 유효하다 제시하는 Our Whole Lives라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Our Whole Lives는 유치원 수준에서 성인까지 다양한 발달 단계를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국 성 정보 교육 위원회(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SIECUS)가 승인하는 "종합 성교육 지침" 을 따른다. 미국 연합 그리스도 교회(United Church of Christ)도 Our Whole Lives를 지원한다. = = 성교육 프로그램들의 문제 = = 연구에 따르면 일부 성교육 과정은 LGBT 개인과 LGBT 섹슈얼리티를 잘못되고, 아프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묘사하며 부정적인 관점에서 LGBT 문제를 제시한다. 미국 시민 자유 연맹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에 따르면, 성교육에 대한 "오직 금욕" 접근 방식은 LGBT 학생들에게도 소외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결혼이 모든 학생들의 가능성이자 욕구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성 결혼은 많은 나라에서 불법이다. 게다가, LGBT 학생들의 목표로 결혼을 장려하는 것은 동성애 기준을 만들어 결혼에 대한 접근권이나 관심이 없는 사람들을 소외시킨다. 2004년 Ellis and High의 설문 조사 (학생 384명 포함)에 따르면 LGBT 성교육을 받은 청소년의 59%가 효과가 없다고 밝혔다. = = = 교사들 = = = 일부 연구에서 교사는 LGBT 성교육의 장애물로 확인되었다. 교사는 항상 동성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가지고 있고 이런 연구들에 따르면, 만약 교사가 LGBT 개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그들의 가르침을 통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LGBT 학생들에게 받아 들여지지 않고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게 한다. Ellis and High (2004)에 따르면, LGBT 학생들이 부정적인 저조로 LGBT 성에 대한 정보를 받으면 동성애가 교과 과정에서 제외 된 경우보다 훨씬 더 좋지 않고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게 된다. 연구자들은 교실에서 실제로 편견이 있는 수업을 하는 자칭 "LGBT 친화적" 교사를 여러명 기록했다. 이러한 교사들은 반에서 LGBT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성애 혐오성 괴롭힘 사례를 무시할 가능성이 높다. Formby (2011)에 따르면 동성애를 미묘하게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문구조차 LGBT 학생들의 성교육 경험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성애와 동성애 건강 정보를 똑같이 강조하는 성교육을 가르치는 교사들과 관련된 문제들도 있다. Deana Morrow의 연구(1993)는 일부 교사가 LGBT 문제를 논의하면 해고 될까봐 두려워한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두려움은 역사적으로 미국에서 동성애와 성추행의 잘못된 연결과 관련이 있다; 이런 아마도 자연스런 관련은 여러 번 밝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애자와 LGBT 교사 모두 성에 관한 토론, 특히 LGBT와 관련된 토론에 참여할 때 여전히 성추행 혐의를 경험한다. 또 교사들은 학교 환경이 동성애에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에 방해 받을 수도 있다; Burston과 Hart의 2001년 연구에서 일부는 학교가 LGBT 성교육을 가르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Buston and Hart (2001)에 따르면 학생들은 현재 성교육 과정에서 LGBT 문제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으며 종종 동성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주저한다. = = = 집에서의 교육 = = = 성교육 학교에서의 건강 교육에 존재하는데, 많은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가 성에 대해 그곳에서 학습하기를 원한다. 연구들에서는 대부분의 가족들이 집에서는 성에 관한 대화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성에 대한 대화를 할 때에는 주로 이성애 중심적인 관점에서 대화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애자라는 가정은 LGBT 사람들이 수치스럽거나 가족들로부터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끼게끔 한다. LGBT 사람들이 느끼는 집에서의 대화와 지식의 부족은 그들이 정보를 잘못되거나 호도하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얻게 한다. 동일한 연구는 많은 부모들이 동일한 성 혹은 LGBT 주제에 대하여 확실한 지식이 없거나, 그들의 자녀에게 알려줄 자원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 = 제안된 LGBT 성교육 프로그램 = = LGBT 성교육 지지자들은 학교들에서 진행되는 현재의 성교육 실행에 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자들이 밝힌 발전을 위한 하나의 공통적인 지점은 일반적으로 성교육이 접근되는 시각이다. Buston와 Hart (2001), Ellis와 High (2004), 그리고 다른 연구자들은 교사들이 성교육을 단순한 재생산이라기보다는 관계의 관점으로 접근하는데, 이는 LGBT 학생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Ellis와 High는 성적 지향이 “문화와 정체성의 측면“에서 보다 적절히 가르쳐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Ellis and High 2004, pg. 11). Morrow (1993)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은 성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LGB가 이성애와 같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에 맞추어 LGBT 성교육의 옹호자들은 LGBT 성 건강 문제가 교육과정에 동일한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그들은 LGBT 성 건강 문제와 관련된 더 많은 자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UCLA의 여성 정책학 업무 11에 관한 센터(UCLA's Center for the Study of Women's Policy Brief 11 (2012))에 따르면, LGBT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지도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교사들이 성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동성애가 성적으로 전염되는 질병들과 근본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피하고, 파트너를 특히 "그" 혹은 “그녀”(더 융통성 있는 “그들”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더 좋다)라고 지칭하는 것과 같이 LGBT 학생들에게 해로울 가능성이 있는 행위를 삼가는 것을 추천했다. Gowen과 Winges-Yanez (2014)는 그들의 관심집단들인 LGBT 10대를 통하여 성 교육 방식에 다양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제안했다. 그 10대들은 조용히 시키는 것, 이성애 중심주의 그리고 LGBT 개인들을 질병처럼 여기는 것을 흔한 문제로 지적하였다. 그들에게 성교육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지에 대하여 질문을 하였을 때, 그 집단은 포괄적인 성교육이 LGBT 관련 문제들, 자원들에 접근하는 방법, 성적으로 전달되는 감염이나 성적으로 전달되는 질병의 예방, 관계에 대한 문제들, 그리고 해부학을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LGBT 권리에 대한 옹호자들은 또한 교사들이 동성애에 대한 토론에 있어서 한 쪽을 택해야 한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온라인 성적 교육 강좌와 같은 LGBT 사람들에 대한 대안적인 성교육 프로그램들 역시 존재한다. 온라인으로 상호작용하는 LGBT 사람들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에 따르면, 모든 세부 항목들은 통계적으로 지식의 유의미한 발전을 기록했다. 안전한 섹스 활동, 건강한 관계, 기쁨과 성적으로 전염되는 감염은 주제들의 일부이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은, 이 과정을 수강하는 사람들끼리 온라인으로 질문을 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온라인 공동체 역시 형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이런 사회적인 측면은 또한 정상과 수용에 대한 감각을 만들어냈다. 온라인 프로그램들은 학교에서 교육받을 수 없는 이들을 위한 교육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의 다양한 온라인 LGBT 사이트들 또한 교육적인 전단이나 정보를 제공한다. LGBT 관계들을 포함하는 소설들은 LGBT 포괄적인 성교육 과정 혹은 청소년이나 10대들이 LGBT 관계와 문제들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배우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LGBT 관계들을 포함하는 소설들은 LGBT 청소년에 대한 더 수용적이고 포용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동성애 관계들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또한 이야기의 형태로 그를 강화하여 습득한 정보를 보충할 수도 있다. 많은 LGBT 청소년들, 특히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지 않은 이들은 LGBT 관계들을 정보의 원천으로 어린 성인 소설들을 활용한다. 성적으로 노골적인 어린 성인 소설들은 LGBT 청소년이 그들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탐구하는데 연관지을 수 있는 성교, 성행위와 성적 정체성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LGBT 청소년에 대한 연구에서 그들이 현재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배우는지와 그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질문했다. 몇몇의 답변들은 다른 성별의 정체성, 성적 지향성과 민족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묘사를 포함하며, LGBT 사람들의 관계들과 관련된 초보적인 정보와 LGBT 위험, 문제, 태도와 관련된 특별한 부분을 포함하는 더욱 포괄적인 교육과정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그들은 또한 확장된 교육과 지원을 위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인터넷 정보의 사용과 자원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였다. = = LGBT 성교육에 대한 찬성 의견 = = LGBT 성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것을 지지하는 이들은 공통적으로 몇 가지의 논거를 제시한다. 허핑턴포스트에 의하면, 일부의 지지자들은 성교육 프로그램에서 LGBT 문제들을 포함하는데 실패한 것은 LGBT로 정체화한 꽤 많은 수의 학생들을 간과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 (CAP))는 이것이 그들에게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 학생들이 본인들을 하찮은 존재가 된 것 같이 느끼게 할 수 있고 수업으로부터 내보낼 수도 있다고 말한다. LGBT 성교육 지지자들은 또한 LGBT 안전 섹스 지침을 교육과정에서 내보내는 것이 LGBT 학생들의 건강 문제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지지자들은 LGBT 사람들이 HIV/AIDS의 위험에 특별히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성적 건강 정보를 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한다. 연구자 Eleanor Formby (2011)에 따르면, 레즈비언 여성들은 성적으로 전염되는 질병들에 대한 고위험군인데, 그 이유는 그들이 성적으로 전염되는 질병에 취약하다는 사실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안전한 섹스를 하는 방법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이 레즈비언 성 교육을 받는 것은 중요하다. LGBT 성교육 지지자들은 LGBT 학생들이 학교에서 그들을 포함하는 성 교육에 대해 교육받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이 섹스에 있어서 준비되지 않았고, 섹스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들 스스로 섹스에 대해 알아가야 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건강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한다. Sanchez (2012)는 LGBT 학생들이 그들 자신에게 좋은 정보를 줄 수도 있는 자원들을 찾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LGBT 성 교육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LGBT 청소년들은 더 위험한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큰데, 이는 자살 시도나 약물사용, 고위험의 성적 행위를 더 높은 비율로 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LGBT 청소년 사이에서의 이러한 고위험의 행위들 중 다수가 우울, 감정적 괴로움, 비LGBT 사람들로부터의 부당한 괴롭힘 경험들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교들에서의 LGBT에 민감한 성 교육과 HIV 교육은 LGBT 사람들을 정상화하고 LGBT 청소년에게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위험 행위를 완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LGBT 성 교육 지지자들은 LGBT 주제들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성 정체성의 범위를 익숙하게 하고 해로운 고정관념을 감소시켜 학교에서의 왕따 사건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도 주장하였다. 미국진보센터(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는 LGBT 성교육이 동성애 혐오 발언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허핑턴포스트에 의하면, 지지자들은 어린 사람들에게 LGBT 개인들에 대하여 교육하는 것은 그들의 동성애자인 또래들에 대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고 말한다. 미국진보센터(2013)는 LGBT 성교육이 LGBT 학생들이 부정적인 태도로 인해 흔히 겪게 되는 문제들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문제들이란 우울증, 자살 위험, 약물 남용, 자존감 문제,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하는 더 안 좋아진 학업 성취 등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들을 포함한다. 그들은 동성애를 성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것이 학교에서 학생들이 더 안전하게 느끼게 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연구들은 이성애 중심적이고 LGBT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낮은 학업 성취도와 관련되어 있다고 밝혔다. 학교에서 이성애 중심적이고 포괄적이지 않은 문화는 동기부여를 하기 어렵고, 건강과 LGBTQ+라고 자신을 정체화하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ndreas Gegenfurtner와 Markus Gebhardt는 사람들이 더 교육을 받았을수록 그리고 덜 종교적일수록 성소수자들에 대한 관용과 허용이 더욱 긍정적이라고 보고한 연구를 공유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 LGBTQ+ 학생들의 학업적인 성취와 포괄적인 학교 환경에 대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유사한 결과가 보여진다.Gegenfurtner, and Gebhardt. “Sexuality Education Includ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LGBT) Issues in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ol. 22, 2017, pp. 215–222. York 대학교의 교육학과 부교수인 Jen Gilbert에 의하면, LGBT 어린이들은 그들이 성과 관련된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동성애자인 부모가 없거나 LGBT 성인들과 접할 방법이 없다. LGBT 성교육은 LGBT 학생들에게 자신이 특별히 필요로 하는 것들에 대하여 잘 알고 학생들이 다른 방식으로는 집이나 학교로부터 얻을 수 없었을 정보를 단언해줄 수 있는 어른들을 제공해주어 이러한 간극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LGBT 성교육의 지지자들은 성적 취향에 관한 모든 면을 탐구하는 교육과정은 이성애자인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세상과 인간의 성적 취향에 대해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타주의 동성애자/이성애자 연합(Gay/Straight Alliances)에 대한 연구는 성적 취향과 성적 정체성의 스펙트럼에 대한 동료들이 구성한 토론은 이성애자와 LGBT 학생들 모두에게 좋은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것은 미디어(성교육도 마찬가지)에서 지배적인 이성애 중심적인 이미지들의 바깥에 있는 관계의 실제적인 모습을 드러내 알렸고, 연관된 모든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까지 했다. 지지자들은 LGBT-포괄적인 성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수업에 있을 수도 있는 미심쩍어 하는 학생들에게 주요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진보센터(2013)에 의하면, 대부분의 부모들은 동성애를 성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한다. 미국진보센터는 73%의 고등학교 학부모들이 LGBT 문제들을 교육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미국진보센터는 이러한 높은 지지의 퍼센트로 보아 LGBT 주제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LGBT 성교육에 대한 반대 의견 = = LGBT 성교육에 대한 반대자들은 동성애 문제가 너무 논쟁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교육을 하는 것이 잘못됐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들이 무엇에 노출되고 교육되는지에 대해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LGBT 성교육을 공교육에서 다루는 것은 이러한 권리를 약화시켜서 학생들에게 정치적으로 특정한 시각을 갖게 한다고 말한다. 그에 더해 포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많은 반대자들은 부모들이 자녀들이 학교에서 무엇을 배우는지에 대한 통제권을 잃도록 강요받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믿음은 종교적으로 연계된 집안이나 LGBT 권리를 정치적으로 간주하는 집안들에서 특히 흔하다.Gegenfurtner, and Gebhardt. “Sexuality Education Includ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LGBT) Issues in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ol. 22, 2017, pp. 215–222. The Christian Post에 의하면, 일부의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들이 동성애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비판가들은 주로 시민들의 세금이 잘못 쓰인다는 것을 인용하며, 학생들이 부모가 동의하는 것과 다른 생활습관에 대해 배우는 것을 위해 시민들이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족들의 부모들과 후견인들은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그리고 트랜스젠더의 활동들이 부도덕적이고 비정상적이며 자연스럽지 않다고 주장한다. Formby (2011)에 의하면, 반대자들은 또한 LGBT 성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이 해로운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해롭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학생들이 LGBT 문제들에 대해 그들이 더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배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LGBT 성교육의 몇몇 반대자들은 성교육 프로그램에서 LGBT 문제들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젊은 사람들이 동성애를 행하도록 한다고도 주장한다. LGBT 성교육은 특정 가족들의 종교적인 믿음에 대하여 존중하지 않는다고 비난을 받았다. The Christian Post는 LGBT 사람들에 대하여 교육하도록 학교에서 선택한다면, 교육과정은 불공평하여 균형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성애 혐오적인 학생들이 동성애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려워 이러한 지도를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LGBT 성교육이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역시 존재한다. = = = 미국에서의 반대 = = = "개인의 성적취향(섹슈얼리티)를 조장"하는 행위를 금지한느 법률이 있다.("반 동성애 광고법"이라고 칭함). 5개주(앨라배마,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오클라호마, 텍사스)에서는 성교육이 제공될 때 모든 LGBT정체성에 대해 특별히 부정적인 메세지지를 전달해야 한다. 7개 주(앞서 언급된 5개주에 애리조나, 사우스 캐롤라이나를 포함)는 LGBT와 관련이 있다고 간주되는 주제에 대한 토론을 금지한다. 2017년 Guttmacher Institute에 따르면, "애리조나주에서 HIV교육을 실시 할 경우, 동성애 생활방식을 장려하거나 동성애를 긍정적으로 묘사 할 수 없다. 오클라호마주의 의무적인 HIV교육은 다른 행동들 중에서 동성애 활동이 AIDS바이러스에 노출되는 원인으로 여겨진다고 가르친다." 유타에서는 "반 도성애 광고법"이 있었지만 후에 폐지되었다. = = 법과 법적 투쟁 = = = = = 28조 = = = 28조는 영국에서 논란이 많았던 법으로 학교들이 동성애를 성적 지향이나 성적 관계의 근거로 제시하는 것을 금지하였다(법정에서는 결코 사용되지는 않았음). 1988년에 제정되었고 2003년이 되어서야 영국 전역에서 폐지되었다. 28조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 법이 동성애 혐오성 괴롭힘 사건에 교사들이 개입하는 것을 허용치 않았고, 영국에서 동성애자 권리 발전을 심각하게 방해했다고 말한다. Morane(2001)에 따르면, 이 법의 지지자들은 이 법이 동성애 선전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LGBT옹호자들은 28조와 유사한 정책이 영국 학교에 다시 등장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웨일즈는 2022년까지 새로운 교육 커리큘럼 RSE(관계 및 성교육)을 도입하여 이 조항의 중요성에 이의를 제기하고자 했다. 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목표는 관계와 성에 대해 더 많은 이해를 포함하도록 전통적인 성교육을 확장하는 것이다. 또한 성정체성과 같은 LGBTQI 주제를 포함하고 동의와 성폭력에 대한 문제들을 제기할 것이다. 새로운 교과과정은 초중고교에서 필요로 하며, 각 학교에서는 다른 커리큘럼을 포함하지만, 종교학교에서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 = = 크로아티아 교과서 = = = 2009년 유럽 사회권익 위원회에는 크로아티아 의무 생물학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발견했다. "많은 이들이 동성과의 성관계를 갖는 경향이 있다....부모의 잘못으로 자녀들이 올바른 성적 발달과 가족관계의 부조리를 가져온다. 최근 동성애 관계가 성병(AIDS)확산의 주범임이 명백해졌으며 성 파트너를 자주 바꾸는 난잡한 집단들 사이에서 동성애가 확산되고 있다. 그런 사람들은 수 많은 성 파트너, 마약 중독자, 매춘부와의 성교를 하는 동성애자이다." 유럽 사회 권리 위원회는 이러한 진술이 차별적이며 유럽사회 헌장에 따른 크로아티아의 의무를 위반한다고 간주한다. = = 소수집단사이에서 = = = = = CDC 소견 = = = 2018년 CDC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성관계를 갖는 히스패닉계 흑인 및 청년 성인 남성은 성병 교육, 예방 및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되는 낙인과 차별, 언어장벽에 부딛히게 된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HIV감염율이 높고, 기타 건강 문제에 취약하다. 2017년 새롭게 진단된 HIV중 43%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히스패닉/라틴계도 새롭게 진단된 HIV의 26%를 차지하는등,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2017년에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양성애자는 미국과 6개 약물 중독 지역에서 전체 HIV진단의 66%를 차지하였다.HIV/AIDS. (2018, November 19). Retrieved from = = = 구조적인 장벽 = = = 한 사례 연구에서, 재정적인 어려움과 사회적 지지와 결부된 동성애차별, 인종차별은 유색인종 동성애 남성들 사이에서 더 높은 HIV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고 증명했다.Ayala, G., Bingham, T., Kim, J., Wheeler, D. P., & Millett, G. A. (2012). Modeling the Impact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Financial Hardship on the Sexual Risk of HIV Among Latino and Black Men Who Have Sex With 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S2). doi:10.2105/ajph.2011.300641 미국에서는 남성과 성관계를 갖는 히스패닉 남성(MSM)이 HIV에 불균형인 발병 영향을 받고있다. 또 다른 연구는 다변수 분석에서 나이, 저소득층, 그리고 퀴어 정체성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또한, HIV, MSM 환자와 트랜스젠더 여성은 양질의 의료, 예방, 성교육에 접근할 수 없다는 낙인으로 인해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 여겨진다.Oster AM, Russell K, Wiegand RE, Valverde E, Forrest DW, et al. (2013) HIV Infection and Testing among Latino Men Who Have Sex with Men in the United States: The Role of Location of Birth and Other Social Determinants. PLOS ONE 8(9): e73779. 조지 워싱턴 대학의 매튜 레비에 따르면, 많은 시스템적 요인들(불충분한 건강관리, 사회적 오명과 차별, 수감, 가난)이 남성과 성관계를 가지는 흑인과 라틴계 남성들 사이에서 HIV의 불균형적인 유병률을 가져왔다고 한다. 남성과 성관계를 갖는 유색인종 남성은 문화적으로 만족할만한 서비스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는 낙인 및 차별, 교도소 내 서비스 부족, 지역 사회에서 제한된 서비스를 경험한다.Levy, M. E., Wilton, L., Phillips, G., Glick, S. N., Kuo, I., Brewer, R. A., . . . Magnus, M. (2014). Understanding Structural Barriers to Accessing HIV Testing and Prevention Services Among Black Men Who Have Sex with Men (BMSM) in the United States. AIDS and Behavior, 18(5), 972-996. doi:10.1007/s10461-014-0719-x = 스탠리 호 = 스탠리 호(, 간체자:何鸿燊, 정체자:何鴻燊, 한어 병음:Hé Hóngshēn, 홍콩 언어학 학회 월어 병음 방안: Ho4 Hung4 San1, 1921년 11월 25일 ~ 2020년 5월 26일)는 홍콩과 마카오의 기업가이다. 호는 마카오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자,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하나이다. 포브스에 따르면, 그는 10억 달러로 추정되는 자산과 함께, 2009년에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사람들 중 701위를 차지했다. 그는 홍콩과 마카오에 많은 재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관광, 해운, 부동산, 항공 교통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에 참여 중이다.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하고, 그는 중국 대륙, 포르투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필리핀에도 투자한 상태이다. 호는 또한 아시아에서 유명한 산업가이자 기업가이며, 홍콩과 마카오에서 많은 회사의 수많은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 분류:2021년 카리브 제도 = = 분류:미국의 해병대사령관 = = 26주형 = 26주형은 오목이나 렌주에서 첫 3수 의 유형을 말한다. 첫 수는 천원에, 두번째 수는 천원을 중심으로 한 3x3 사각형에, 세번째 수는 천원을 중심으로 한 5x5 사각형에 둔다. = 블랙 사바스 (영화) = 블랙 사바스는 1963년 개봉한 이탈리아의 공포 옴니버스 영화이다. 안톤 체호프와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톨스토이의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마리오 바바가 감독과 공동각본을 맡았다. = 분류:덴마크 남자 U-16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콜롬비아의 정치 관계자 = =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사동에 있는, 흑비둘기가 사는 곳이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37호로 지정되어 있다. = 모듈:Location map/data/Portugal topographic/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Portugal_topographic/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TV-14 = TV-14는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텔레비전 등급 제도 중 하나이다. 14세 미만의 어린이나 청소년에게는 부적절한 프로그램이므로 반드시 보호자의 지도를 요한다는 뜻이다. TV-14 등급을 받은 프로그램은 아래의 추가 표시가 따라오기도 한다. 밤 9시 이후의 미국 프로그램은 대부분 이 등급을 받는다. R 등급을 받은 영화는 텔레비전 방송시 편집하여 TV-14 등급으로 낮추어 방송하기도 한다. = 분류:조선의 해전 = = 메르세데스-벤츠 GLK = 메르세데스-벤츠 GLK(Mercedes-Benz GLK)는 독일의 자동차 회사인 다임러 AG가 제조해 메르세데스-벤츠로 판매하는 컴팩트 SUV이다. 2008년에 개최된 베이징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였다. 차명인 GLK에서 G는 겔린더바겐, (Geländewagen), L은 럭셔리(Luxus), K는 컴팩트(Kompakt)를 의미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와 그에 따른 트랜스퍼 및 프로펠러 샤프트의 구조로 인하여 운전석은 좌측에 있는 사양만 생산된다. 간결한 직선과 수평면이 만나 곳곳에서 각을 이룬 디자인은 정통성이 느껴진다. 2012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 램프와 LED 데이타임 런닝 램프, 둥근 형태의 에어 벤트가 새로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에는 GLK220 CDI 4매틱 트림이 판매되었으며, 7단 자동변속기와 4륜구동(4매틱)이 탑재되었다. 2015년에 단종되었고, 후속 차종은 새로운 작명법에 의하여 GLC 클래스라는 차명이 붙었다. = 강릉국악방송 = 강릉국악방송(江陵國樂放送, )은 대한민국 전통 및 창작 국악 보급 교육과 국악의 대중화를 위하여 2012년 12월 14일에 개국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으로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지역의 국악 전문 공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 = 방송국 개요 = = 개국: 2012년 12월 14일 방송권역 일부: 강릉, 동해 자세한 링크 = = 주요 사업 = = 국악방송사업 국악방송프로그램의 제작보급 국악창작교육연구 및 각종 대중화사업 = = 연혁 = = = = = 2010년대 = = = 2012 12.14 강릉 국악방송 개국 강릉 국악방송 개국기념식 및 기념 공연 ‘강릉, 국악을 품다’, 인터넷 생중계 (강릉 단오 문화관) 2012 12.15 강릉 국악방송 개국기념 어린이 음악회 ‘빛나라! 샛별 명인명창!’ (season3) (강릉 단오 문화관) 2012 12.16 강릉 국악방송 개국기념 국악방송 특강 ‘역사와 문화로 돌아보는 新관동팔경’ (작은 공연장 단) 2013 11.19 강릉국악방송 개국1주년 기념공연 "전통예술 가무악의 정원을 거닐며" = = 조직 = = = = = 사장 = = = 이사회 감사 = = = 방송본부 = = = 심의자료실 경영기획부 방송제작부 방송기술부 방송망인프라팀 문화영상콘텐츠부 광주국악방송 대전국악방송 = = 방송 송출 시설망 = =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괘방산 송신소 FM 103.3㎒ 1㎾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강릉에 도내 첫 국악FM방송 개설 허가 = = = 로고송 = = = 정겨운 노래가 들려요 흥겨운 장단에 춤춰요 당신의 미소가 번져요 사랑해요 국악방송 어화둥둥 내 사랑 둥기둥 두덕 둥기둥 두덕 어화둥둥 내 사랑 사랑해요 국악방송http://skun.info/radio2011/play.php?url=http://cfile24.uf.tistory.com/original/184A134C4F0EE73913A37B , http://skun.info/radio2011/play.php?url=http://cfile1.uf.tistory.com/original/125C71344E6E783C231DD5 음~ 랄라라 라라라~ 랄라라 라라라~ 랄라라라라 랄랄라 국악방송 사랑해~ 국악방송 사랑해~ = = 방송 = = 월 ~ 금 08:55, 13:55, 15:55, 19:55 - 국악방송에서 전하는 문화소식입니다 <왕준호> 월 ~ 일 05:00 ~ 07:00 - 솔바람 물소리 [대전] <김성필> 월 ~ 일 07:00 ~ 08:55 - 창호에 드린 햇살 <박경소> 월 ~ 일 09:00 ~ 11:00(본), 00:00 ~ 02:00(재) - 국악산책 <송지원> 월 ~ 금 11:00 ~ 12:00(본), 22:00 ~ 23:00 (재) - 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 <김경란> 토 11:00 ~ 12:00 - 이금희와 함께 음악의 숲을.. <이금희> 월 ~ 일 12:00 ~ 14:00 - 음악이 흐르는 마루 [전주] <이진영> 월 ~ 금 14:00 ~ 16:00 - 바투의 상사디야 <바투> 토 ~ 일 14:00 ~ 16:00 - 온고을 상사디야 [전주] <강길원>,<방수미> 월 ~ 일 16:00 ~ 17:40 - 노래가 좋다 <황민왕> 월 ~ 일 17:40 ~ 18:00 - 오정해가 전하는 엄마의 국악 '달강달강' <오정해> 월 ~ 일 18:00 ~ 20:00 - 맛있는 라디오 <김필원> 월 ~ 목 20:00 ~ 21:00 - FM국악당 <현경채> 금 20:00 ~ 21:00 - 김상연의 FM국악당 [광주] <김상연> 토 20:00 ~ 21:00 - 신찬균의 FM국악당 [대전] <신찬균> 일 20:00 ~ 21:00 - 연구의 현장 <박정경> 월 ~ 일 21:00 ~ 22:00 - 글과 음악의 온도 <황인찬> 월 ~ 금 23:00 ~ 00:00 - 음악의 교차로 <신창렬> 토 ~ 일 22:00 ~ 23:00 - 원일의 여시아문 <원일> 토 ~ 일 23:00 ~ 00:00 - 황윤기의 세계음악여행 <황윤기> 월 ~ 일 02:00 ~ 05:00 - 흐르는 음악처럼 [광주] <진행자 없음>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Marcus Cocceius Nerva)는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기원전 36년 집정관) - 로마 황제의 증조부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법학자) - 로마 황제의 조부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서기 40년의 보좌 집정관, 로마 황제의 아버지 네르바 - 96년부터 98년까지 로마 황제 = 술고래 = 술고래(Barfly)는 미국에서 제작된 바벳 슈로더 감독의 1987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미키 루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바렛 슈로더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미키 루크 페이 더너웨이 = = = 조연 = = = 앨리스 크리지 J.C. 퀸 프랭크 스탤론 = = 제작진 = = 협력프로듀서: 잭 바런 미술: 밥 지엠비키 의상: 밀레나 카노네로 배역: 낸시 라라-한슈 배역: 로버트 맥도널드 배역: 팻 오세스 = 김아중 = 김아중(1982년 10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관은 광산이다. 166cm, 48kg이다. = = 학력 = = 서울휘경초등학교 (졸업) 경희여자중학교 (졸업) 휘경여자고등학교 (졸업)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졸업)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방송영상과 (졸업) = =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4 어깨동무 지영 2005 광식이 동생 광태 이경재 2006 미녀는 괴로워 강한나/제니 2009 선물 나연 2010 페스티발 수정 특별출연 2012 나의 PS 파트너 윤정 2013 캐치미 윤진숙 2013 어메이징 이린 미중 합작영화 2017 더 킹 임상희 우정출연 2019 나쁜 녀석들: 더 무비 곽노순 = = = 드라마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4~2005 해신 백하진 52부작 2005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서희원 16부작 2005~2006 별난여자 별난남자 김종남 170부작 2009 그저 바라보다가 한지수 16부작 2011 싸인 고다경 20부작 2014~2015 펀치 신하경 20부작 2016 원티드 정혜인 16부작 2017 명불허전 최연경 16부작 2022 그리드 정새벽 2022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특별출연 = = 기타 활동 = = = = = 방송 = = =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명 회차 역할 비고 2004 MBC 심심풀이-러브서바이벌 두근두근 13~26 게스트 2005 KBS2 해피투게더 프렌즈 1~52 진행 2006 SBS 야심만만 190 게스트 2009 SBS 김정은의 초콜릿 84 게스트 2010 Mnet 김아중의 선물 1~5 리얼리티 2010 KBS2 백상예술대상 46 진행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010 SBS 강심장 57~58 게스트 2011 KBS2 백상예술대상 48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2 JTBC 백상예술대상 48 진행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2012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276 게스트 2013 JTBC 백상예술대상 50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3 SBS 희망TV 46 게스트 라이베리아 거리의 소녀들 2013 JTBC 마녀사냥 20 게스트 2014 JTBC 백상예술대상 50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5 JTBC 백상예술대상 52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6 JTBC 뉴스룸 - 대중문화초대석 20 게스트 2017 SBS 더 서울어워즈 2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7 JTBC 한끼줍쇼 62 게스트 경주편 2018 SBS 더 서울어워즈 2 진행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2019 EBS 다큐시선 나레이션 세상의 모든 가족 2019 MBC 놀면 뭐하니? 릴레이 카메라 특집 게스트 전주 아중리 투어 2019 JTBC 비밀기획단 1~3 진행 2022 tvN 바퀴 달린 집시즌4 1~2 게스트 2023 tvN 어쩌다사장3 8회~ 일일 알바생 = = = 라디오 = = = 연도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명 역할 2009 07.14 MBC 표준FM 박경림의 별이 빛나는 밤에 게스트 2011 05.09 MBC FM4U 두시의 데이트 윤도현입니다 게스트 2012 11.26 MBC FM4U 푸른 밤, 정엽입니다 게스트 2012 12.10 SBS 파워FM 공형진의 씨네타운 게스트 2013 12.18 SBS 파워FM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게스트 2015 10.09 SBS 파워FM 케이윌의 대단한 라디오 게스트 2015 10.10 MBC FM4U 푸른 밤, 종현입니다 게스트 2016 06.21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게스트 2018 12.27 SBS 팟캐스트 김혜리의 필름클럽 전화연결 2019 05.13 MBC FM4U 굿모닝FM 김제동입니다 전화연결 2019 08.21 MBC FM4U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게스트 = = = 뮤직비디오 = = = 연도 아티스트 곡명 2005 신혜성 같은생각 2008 유미 여자라서 하지 못한 말 = = = 음반 = = = 연도 앨범명 곡명 2005 광식이 동생 광태 O.S.T 광태는 작업중 2006 미녀는 괴로워 OST 별 2006 미녀는 괴로워 OST Beautiful Girl 2009 Over the Rainbow Over the Rainbow 2012 나의 PS 파트너 OST Special 섹시징글벨 나의 PS 파트너 OST Part2 Show Me Your Heart 2015 곽태훈 부반장의 Limitied Edition 3 Lonely night = = = 광고 = = = 연도 브랜드 제품 비고 2004 팬택 SKY 핸드폰 2005 한국P&G 팬틴 트리트먼트 2005~2010 2005 파크랜드 의류 2005 해태 생생감자 2005 엡손 프린터 2005 동아제약 템포 2005 코카콜라 음료 2006 LG생활건강 오휘 화장품 2006~2007 2006 남영비비안 속옷 2006~2007 2006 KTF 지상파 DMB 2006 하이온넷 인터넷 2006 롯데칠성음료 현미흑초 사랑초 2006 롯데푸드 초코퍼지 2006 피자에땅 피자 2007 예츠 의류 2007~2009 2007 진로 참이슬 주류 2007 GUESS 의류 2007 S-OIL S-OIL 2007 한국 타이어 타이어 2007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DV 디지털 케이블 TV 2008 롯데카드 신용카드 2008~2009 2008 해태 차온 까만콩차 2009 금호 아시아나 기업 2013 VIDIVICI 화장품 2015 밀튼스텔리 주얼리 2016 LAUREL CROWN 레쉬가드 2017 A+G 의류 2017~현재 2019 ZWC 산소마스크 2019 여성가족부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사업 재능기부 2020 세이브더칠드런 아동 성착취 반대 캠페인 재능기부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5 동아TV 패션뷰티상 시상식 베스트드레서상 2005 MBC 연기대상 신인상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2005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연기상 별난여자 별난남자 2006 제4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광식이 동생 광태 2006 제4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인기상 광식이 동생 광태 2006 제27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광식이 동생 광태 2007 제6회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12월의 Song of The Month "Maria" 2007 제2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인기스타상 2007 제4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배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30회 황금촬영상 신인여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44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44회 대종상 여자 국내인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1회 Mnet 20's Choice 베스트 Actress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15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주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3회 프리미어 라이징 스타 어워즈 여우주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1회 대한민국 영화연기대상 신인여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1회 대한민국 영화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엘르 스타일 어워드 아시아 2007 핫페이스부문 2007 제45회 영화의 날 기념식 유망여자연기자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28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28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6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주연상 미녀는 괴로워 2007 제22회 골든 디스크 Ceci 특별상 "Maria" 2009 제46회 저축의 날 기념식 국무총리 표창 2009 제3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스타상 2009 제7회 코리아 라이프스타일 어워드 올해의 베스트드레서상 2009 K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그저 바라보다가 2011 제4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싸인 2011 S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싸인 2015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펀치 2016 제5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원티드 2017 제1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명불허전 2019 제8회 대한민국 베스트 스타상 베스트 주연상 나쁜 녀석들: 더 무비 = = 사고 = = = = = 사망설 해프닝 = = = 2018년 8월 14일 오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김아중이 사망했다는 황당한 루머가 퍼졌는데, 그 내용은 '2018년 8월 13일에 김아중이 서울 강남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사인은 파악 중'이라는 내용이었다. 해당 루머는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출처 없이 내용이 적혔다가 2018년 8월 14일 오후 2시 경 바로잡혔다. 소속사 관계자 측에서는 "김아중은 현재 개인 일정 참여 중"이라는 말을 내놓았으며 "왜 이렇게 황당한 루머가 나왔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아중의 소속사 킹엔터테인먼트의 박영민 대표는 인스타그램에 김아중의 사진을 올리며 '무사히 개인 일정 소화 중'이라는 것을 보여줬다. = 비련 (1967년 영화) = "비련"은 1967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고은아 남궁원 황천려 = 아주대학교 = 아주대학교(亞洲大學校, )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에 위치한 4년제 사립 대학이다. 경기도를 대표한다. 설립자는 박창원이다. '아주대학교'라는 교명은 아주라는 교명은 아시아의 옛말인 아주(亞洲)에서 유래했다. 1971년 맺어진 대한민국과 프랑스 정부의 한·불기술초급대학 설립에 관한 협의의 이행을 위해 1972년, 학교법인 유신학원이 설립되었다. 1977년 대우그룹(당시 대우실업)의 김우중이 학교법인 대우학원을 설립하고 1981년 인문사회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과 대학원을 가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고, 교명을 지금의 아주대학교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 뉴이 미쓰기 = 뉴이 미쓰기(, 1712년 ~ 1792년)는 에도 시대의 히로사키 번사이다. 뉴이 미쓰구라고도 불린다. = = 개혁과 사상 = = 1753년, 당시 번주인 쓰가루 노부야스에게 중용되어 간조부교의 자리에 올랐고, 1755년 12월에는 재정 최고책임자인 원사직(元司職)에 올랐다. 그는 재정난에 시달리는 히로사키번에 대해 호레키 개혁을 주도하였다. 개혁을 통해 그는 행정기능과 권력을 일원화하고, 경작지를 재조사하고 정비하며, 무사로의 계급 상승을 보장하며 상인들의 활동을 장려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또 그는 '표부'(標符) 발행을 시행하였는데, 번 영내의 상업 활동에 있어서 화폐로 거래를 하는 것이 아닌 표부라는 일종의 장부를 이용하여 물건을 사고 파는 통제경제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뉴이는 번내 생활 물자와 부의 재분배를 꾀하였다. 1756년 8월에는 소토가하마를 순시하고, 쓰가루의 에조 마을에 사는 에조의 신분을 '인간', 즉 일반 평민으로 정한다고 말하였다. 이는 당대의 에조를 바라보는 멸시관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관점이었다. 뉴이의 개혁은 대지진과 대기근으로 인하여 종국에는 실패했지만,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뉴이는 그가 추진한 급진적인 개혁과 기발한 발상으로 독특한 사상가로서 평가받았다. = = 주판에 대하여 = = 그는 주산 교육에 관한 책 초학산법을 저술하였고, 이 책에서 주판의 아랫쪽 구슬을 네 알로 하는 것이 계산을 빨리 하기 위해 좋다고 제안하였다. 전통적으로는 주판의 아랫쪽 구슬이 다섯 알이었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신선한 것이었으나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고, 실제로 네 알 주판은 일본에서 1935년에 들어서야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 = 저서 = = 《지학유변》() 《초학산법》()(1781년) = 분류:1113년 출생 = = 갈겨쓴 BEAT = 〈갈겨쓴 BEAT〉는 일본의 남성 아이돌 그룹 칸쟈니∞의 38번째 싱글 앨범으로, 2017년 1월 25일 발매되었다. (12cm CD: JACA-5646) 곡의 작사와 작곡은 NOMSON이, 편곡은 오니시 쇼고 가 맡았다. 이 곡은 쇼치쿠가 배급한 영화 파문: 두 사람의 역병신 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B 사이드 곡은 둘로써, 먼저 〈Tokyoholic〉은 칸쟈니∞의 멤버인 니시키도 료가 작사와 작곡을 모두 맡았다. 나머지 한 곡은 〈BJ〉이며 HIKARI가 작사와 작곡을, 니시키도가 편곡을 담당했다. 통상반 외에도 "초회한정반"과 "신춘특반 "이 따로 발매되었는데, 이들 모두 CD에 수록된 곡이 통상반과는 큰 차이가 있다. 초회한정반은 B 사이드 곡이 33번째 싱글 〈긍정적 스크림!〉과 35번째 싱글 〈죄와 여름〉의 리믹스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춘특반은 B 사이드 곡이 전혀 없이 단 한 곡만 수록되어 있다. = = 수록곡 = = = = = 통상반 = = = = = = 초회한정반 = = = 〈갈겨쓴 BEAT〉 (Music Clip) 〈갈겨쓴 BEAT〉 (Making) = = = 신춘특반 = = = 〈7명만의 신년회 2017〉 = = 발매 일정 = = 버전 일정 레이블 포맷 〈갈겨쓴 BEAT〉 2017년 1월 25일 INFINITY RECORDS 12cm CD (JACA-5646) 〈갈겨쓴 BEAT〉 (초회한정반) 2017년 1월 25일 INFINITY RECORDS CD + DVD (JACA-5644/5) 〈갈겨쓴 BEAT〉 (신춘특반) 2017년 1월 25일 INFINITY RECORDS CD + DVD (JACA-5647/8) = 틀:막대10 = = 이동환 (1966년) = 이동환(李東奐, 1966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1대 고양시장이다. = = 학력 = = 대구경신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건축공학 / 학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 /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도시공학 박사(x) / 건축공학 박사)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음에도 왜 도시공학 박사인지 알 수 없음. 연세대학교 대학원에 도시공학과는 따로 있음. 건축공학과 출신임을 밝히지 않고 도시공학 박사라고 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됨. = = 경력 = = 주)엘드 기획실 이사 남양주 지금․도농 재정비촉진지구 보조MP 의정부 금의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촉진계획 수립 총괄계획팀 분야전문 MP 순천시 금곡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 대표 MP(디자인팀) 킨텍스 제2전시장 건립자문단 자문위원(김충환 차장 담당) 남양주 지역혁신협의회 위원 고양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정당 건설교통 전문위원(어느 정당의 전문위원이었는지 밝혀야 함. 항상 정당의 전문위원이라고만 홍보) ?국회의원 보좌관(어느 국회의원의 보좌관이었는지 밝혀야 함) 주거환경연구원 연구실장 서울산업대학교 건축학부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교수 고양시 의제21 운영위원장 사람의도시연구소 소장 국가건축정책위원회 협력관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 홍익대학교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겸임교수 2014.07 ~ 2015.08: 경기도지사 정무실장 2018.01 ~ 2020.01: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고양시병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고양시병 당협위원장 윤석열 후보 선대위 정책본부 국토정책위 팀장 20대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 2022.07 ~ : 제11대 민선 8기 경기도 고양시장 2022.08 ~ 2023.06: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공동회장 겸 감사 2023.07 ~: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대표회장 = 분류:카르나타카주의 도시 및 마을 = = 모스트 원티드 (1997년 영화) = 모스트 원티드(Most Wanted)는 미국에서 제작된 데이비드 글렌 호건 감독의 1997년 영화이다. 키넨 아이보리 웨이언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에릭 L. 골드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키넨 아이보리 웨이언스 존 보이트 = = = 조연 = = = 질 헤네시 폴 소비노 로버트 컬프 울프갱 보디슨 사이먼 베이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 2001년 1월 21일) = = 김준 - 제임스 (키넨 아이보리 웨이언스) 박상일 - 그랜트 케이시 (존 보이트) 김병관 문영래 오세홍 이정구 이호인 윤병화 김익태 임성표 정미숙 구자형 김소형 김희선 김영진 류다무현 = = 기타 = = 의상: 아일린 멜처 배역: 밸러리 매캐프리 = 분류:대만의 화산 = = 분류:이치노세키시의 철도역 = = 페널티 카드 = 페널티 카드(Penalty card)는 수많은 스포츠에서 심판들이 사용하는 카드이다. 선수가 반칙 등을 했을 때 사용한다. 축구에서는 옐로 카드, 레드 카드가 여기에 해당한다. = = 역사 = = 축구에서 심판의 소통을 위해 언어 중립적인 색 카드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는 잉글랜드의 심판 켄 애스턴에서 비롯되었다. 애스턴은 FIFA 심판위원회에 지명되었고 1966년 FIFA 월드컵의 모든 심판에게 책무가 부여되었다. = 스쿠데토 = 스쿠데토(Scudetto, "작은 방패"라는 뜻, 복수형: scudetti)는 세리에 A의 우승한 팀이 다음 시즌에 유니폼 중앙에 붙이는 문양이다. 보통 세리에 A 우승과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이탈리아의 시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이후 이탈리아 군 사령부 주관으로 열린 친선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다음과 같이 세리에 A를 우승한 팀이 다음 시즌에 스쿠데토를 붙이고 나올 수 있다. 2008-09 시즌 세리에 A 우승팀인 인테르는 2009-10 시즌에서 유니폼에 스쿠데토를 부착하고 출전했다. 세리에 A 역대 우승 팀 시즌 우승 팀 1898 제노아 CFC 1899 제노아 CFC 1900 제노아 CFC 1901 AC 밀란 1902 제노아 CFC 1903 제노아 CFC 1904 제노아 CFC 1905 유벤투스 FC 1906 AC 밀란 1907 AC 밀란 1908 프로 베르첼리 1909 프로 베르첼리 1909-191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10-1911 프로 베르첼리 1911-1912 프로 베르첼리 1912-1913 프로 베르첼리 1913-1914 카살레 1914-1915 제노아 CFC 1915-1916 -1차세계대전으로 1915~1919년의 기간 동안 세리에 A는 열리지 않음 1916-1917 - 1917-1918 - 1918-1919 - 1919-192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20-1921 프로 베르첼리 1921-1922 프로 베르첼리(C.C.I)노베세(F.I.G.C)FIGC에 대항해 탄생한 CCI라는 단체로 인해 2개의 리그가 독립되어 운영 1922-1923 제노아 CFC 1923-1924 제노아 CFC 1924-1925 볼로냐 FC 1909 1925-1926 유벤투스 FC 1926-1927 -상대팀 선수에 대한 뇌물사건으로 토리노 FC의 우승이 박탈됨 1927-1928 토리노 FC 1928-1929 볼로냐 FC 1909 1929-193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30-1931 유벤투스 FC 1931-1932 유벤투스 FC 1932-1933 유벤투스 FC 1933-1934 유벤투스 FC 1934-1935 유벤투스 FC 1935-1936 볼로냐 FC 1909 1936-1937 볼로냐 FC 1909 1937-1938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38-1939 볼로냐 FC 1909 1939-194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40-1941 볼로냐 FC 1909 1941-1942 AS 로마 1942-1943 토리노 FC 1943-1944 -2차세계대전으로 1943~1945동안 세리에 A는 열리지 않음 1944-1945 - 1945-1946 토리노 FC 1946-1947 토리노 FC 1947-1948 토리노 FC 1948-1949 토리노 FC 1949-1950 유벤투스 FC 1950-1951 AC 밀란 1951-1952 유벤투스 FC 1952-1953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53-195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54-1955 AC 밀란 1955-1956 ACF 피오렌티나 1956-1957 AC 밀란 1957-1958 유벤투스 FC유벤투스 FC가 10회 우승을 하여 별 1개를 달게 된다. 1958-1959 AC 밀란 1959-1960 유벤투스 FC 1960-1961 유벤투스 FC 1961-1962 AC 밀란 1962-1963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63-1964 볼로냐 FC 1909 1964-1965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65-1966 FC 인테르나치오날레FC 인테르나치오날레가 10회 우승을 하여 별 1개를 달게 된다. 1966-1967 유벤투스 FC 1967-1968 AC 밀란 1968-1969 ACF 피오렌티나 1969-1970 칼리아리 칼초 1970-197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71-1972 유벤투스 FC 1973-1974 SS 라치오 1974-1975 유벤투스 FC 1975-1976 토리노 FC 1977-1978 유벤투스 FC 1978-1979 AC 밀란AC 밀란이 10회 우승을 하여 별 1개를 달게 된다. 1979-198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80-1981 유벤투스 FC 1981-1982 유벤투스 FCFC 유벤투스가 20회 우승을 하여 별 2개를 달게 된다. 1982-1983 AS 로마 1983-1984 유벤투스 FC 1984-1985 헬라스 베로나 FC 1985-1986 유벤투스 FC 1986-1987 SSC 나폴리 1987-1988 AC 밀란 1988-198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989-1990 SSC 나폴리 1990-1991 UC 삼프도리아 1991-1992 AC 밀란 1992-1993 AC 밀란 1993-1994 AC 밀란 1994-1995 유벤투스 FC 1995-1996 AC 밀란 1996-1997 유벤투스 FC 1997-1998 유벤투스 FC] 1998-1999 AC 밀란 1999-2000 SS 라치오 2000-2001 AS 로마 2001-2002 유벤투스 FC 2002-2003 유벤투스 FC 2003-2004 AC 밀란 2004-2005 -칼치오폴리 사건으로 유벤투스 FC의 우승이 무효화 됨 2005-2006 FC 인테르나치오날레칼치오폴리 사건으로 유벤투스 FC와 AC 밀란의 승점이 삭감되어, 3위였던 FC 인테르나치오날레가 우승하게 됨 2006-2007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07-2008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08-200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09-201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10-2011 AC 밀란 2011-2012 유벤투스 FC 2012-2013 유벤투스 FC 2013-2014 유벤투스 FC 2014-2015 유벤투스 FC 2015-2016 유벤투스 FC 2016-2017 유벤투스 FC 2017-2018 유벤투스 FC 2018-2019 유벤투스 FC 2019-2020 유벤투스 FC 2020-202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 비키 패티슨 = 비키 패티슨(Vicky Pattison, 1987년 11월 16일 ~ )은 잉글랜드의 방송 유명인이다.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조디 쇼어와 엑스 온 더 비치에 출연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 산루이스 FC = 산루이스 FC(San Luis F.C.)는 멕시코 산루이스포토시주 산루이스포토시를 연고로 했던 축구 클럽이다. 이 팀은 1957년에 창단되었다. 이 팀은 2013년에 해체되었으며, 이후 치아파스 FC와 합병하였다. = 루비 스팍스 = 루비 스팍스(Ruby Sparks)는 조너선 데이턴과 발레리 페리스가 감독을 맡고 조 카잔이 각본을 쓴, 2012년에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 = 캐스팅 = = 폴 다노 - Calvin Weir-Fields 조 카잔 - Ruby Tiffany Sparks 크리스 메시나 - Harry Weir-Fields 아네트 베닝 - Gertrude Weir-Fields 안토니오 반데라스 - Mort 아시프 맨드비 - Cyrus Modi 스티브 쿠건 - Langdon Tharp 토니 트럭스 - Susie Weir-Fields 데버러 앤 울 - Lila 엘리엇 굴드 - Dr. Rosenthal 앨리아 쇼캇 - Mabel 월리스 랭햄 - Warren 마이클 베리 주니어 - Silverlake Passerby = 분류:작가별 텔레비전 드라마 = = 바이바스바타 마누 = 바이바스바타 마누 또는 쉬랏다데바, 사티야브라타는 힌두 신화에서 현재 인류의 조상인 마누이다. 그는 힌두교 우주론의 현재 칼파의 14마누 중 일곱 번째이다. 그는 태양신 비바스바나와 그의 아내 사란유의 아들이다. 그는 비슈누 신의 아바타라인 마츠야에게 대홍수가 일어난다는 경고를 받고 그의 가족과 사프타리쉬를 안전하게 태울 배를 만들어 인류를 구했다.The Hare Krsnas – The Manus – Manus of the Present Universe = = 가계 = = 푸라나에 따르면 쉬랏다데바의 족보는 다음과 같다. 브라흐마 브라흐마가 만든 10프라자파티들 중 하나인 마리치 . 카샤파, 마리치의 아들과 그의 13명의 아내 중 칼라가 유명하다. 카샤파는 인류의 조상 중 하나로 간주된다. 비바스반 또는 수리야, 카샤파와 아디티의 아들 . 바이바스바타 마누 = = 전설 = = 쉬랏다데바는 마츠야 푸라나에서 드라비다 왕국의 왕으로 알려져 있다. 마츠야 푸라나에 따르면, 쉬랏다데바가 말라야산을 흐르는 강에서 손을 씻는 동안 비슈누의 화신인 마츠야가 샤파리(작은 잉어)의 형태로 나타났다. 작은 물고기는 왕에게 구해 달라고 부탁했고, 가엾은 마음에 물동이에 담았다. 왕이 먼저 그것을 더 큰 주전자에 넣은 다음 우물에 넣을 때까지 계속 커졌다. 그 우물이 또한 계속 성장하는 물고기에게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었을 때, 왕은 그것을 수면 위와 땅 위의 높이 2개의 요자나(16마일)와 너비 8마일의 요자나(8마일)인 수조에 넣었다.DRISCOLL, Ian Driscoll; KURTZ, Matthew Atlantis: Egyptian Genesis, 2009.Sacred Texts. Section CLXXXVI 그것이 점점 커지자 왕은 그 물고기를 강에 놓아야 했고, 강으로도 모자라는 것을 알게 되자 바다에 놓았는데, 그 후에는 광활한 큰 바다에 거의 가득 찼다. 그 때 비슈누가 자신을 드러내며 왕에게 곧 올 파괴적인 홍수에 대해 알렸다.S'rîmad Bhâgavatam (Bhâgavata Purâna)Canto 8 Chapter 24 Text 12Matsya Purana, Ch.I, 10–33 왕은 대홍수가 끝나고 대양과 바다가 물러간 후에 그의 가족, 사프타리쉬, 아홉 종류의 씨앗, 그리고 지구를 다시 살릴 동물을 실은 거대한 배를 만들었다. 대홍수 때 비슈누는 뿔 달린 물고기로, 셰샤는 밧줄로 나타나 왕이 물고기의 뿔에 배를 고정시켰다.Matsya Purana, Ch.II, 1–19 배는 나우반다나(Naubandhana)라고 불리는 히마바트의 최고봉 정상에 대홍수 후에 정박했다.The Matsya Purana 대홍수 후, 마누의 가족과 일곱 현자들은 지구를 다시 채웠다. 푸라나에 따르면 마누의 이야기는 7번째 만반타라인 현 만반타라에서 28차투르요가 이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이는 1억 2천만년 전으로 추산된다. 이 이야기는 길가메시 홍수 신화나 창세기 홍수 이야기와 같은 다른 대홍수 신화와 유사하다. = = 자손 = = 쉬랏다데바는 쉬랏다와 결혼하여 각각 찬드라밤사와 수리야밤사의 조상인 일라와 이크슈바쿠를 포함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마하바라타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Mahabharata Book 1:Adi Parva:Sambhava Parva:Section LXXV, p. 183.The Laws of Manu , translated by George Bühler. = = 신지학 = = 신지학에서 "바이바스바타 마누"는 마이트레야 및 마하 초한과 함께 고대 베다 현자의 입문 최고 수준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 중 하나이다. 신지학에 따르면 각 뿌리 인종은 이전 뿌리 인종 개인의 진보된 몸으로 물리적으로 화신하고 적합한 여성 파트너와 함께 새로운 뿌리 인종의 첫 번째 개인을 육체적으로 번식시키는 고유한 마누를 가지고 있다. = 분류: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부산광역시 = = 분류:알바니아의 소설가 = = 나빌 = 나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나빌 벤탈렙: 프랑스 출신의 알제리의 축구 선수 나빌 페키르: 프랑스의 축구 선수 나빌 길라스: 알제리의 축구 선수 나빌 엘 자르: 모로코의 축구 선수 나빌 디라르: 모로코의 축구선수 나빌 엘아라비: 현 아랍 연맹 사무총장 = Sleeps with Angels = Sleeps with Angels는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닐 영의 스무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94년 8월 16일에 더블 LP와 싱글 CD로 리프리즈 레코드에 발매되었다. 데이비드 브릭스가 공동 프로듀싱한 이 음반은 영의 크레이지 호스와 함께한 일곱 번째 음반이다. = = 배경 및 녹음 = = 이 음반은 영과 크레이지 호스가 After the Gold Rush 가지고 놀았던 대기 실험들 중 일부를 되찾기 위한 의식적인 시도로 착안되었다. 음반의 대부분은 사실 이전에 녹음되었지만, 영은 그의 유서에서 그를 인용한 커트 코베인의 자살 이후 타이틀곡을 만들었다. 두 곡 (〈Western Hero〉와 〈Train of Love〉)은 가사가 다른 같은 음악을 특징으로 한다. 〈Safeway Cart〉는 클레르 드니의 1999년 영화 아름다운 직업의 행진 장면에서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있다. Sleep with Angels는 그가 플루트를 연주하는 유일한 닐 영의 음반이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닐 영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단권변압기 = 단권변압기 또는 오토트랜스포머(autotransformer)는 하나의 코일로만 이루어진 전기변압기이다. 어떠한 자동화 매커니즘이 수반되지 않는다. 단권변압기에서 동일 코일 부분들은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 부분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일반적인 변압기는 별도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있으며 이 코일들 간 서로 금속 전도 경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권변압기의 코일은 전기 연결을 하는, 적어도 3개의 탭(tap)이 있다. 코일의 일부가 2가지 기능을 하기 때문에 단권변압기는 2개의 코일을 갖춘 변압기에 비해 더 작고 더 가볍고 가격이 더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1차 회로와 2차 회로 간 전기 분리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단권변압기의 또다른 장점은 더 낮은 누출 유도저항, 더 낮은 소실, 더 낮은 여고 전류, 주어진 크기와 질량에 대한 증가된 VA 등급이 포함된다. =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는 인티 크리에이츠가 제작한 2017년 액션 어드벤처 플랫폼 게임이다. 선소프트사의 블래스터 마스터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으로, 2017년 3월 닌텐도 3DS와 닌텐도 스위치로 전세계에 출시됐다. 전체적인 이야기는 패밀리 컴퓨터로 발매된 1988년작 블래스터 마스터의 북미판 줄거리에 기반한다. 변종생물로 가득한 미래의 지하세계가 무대로, 주인공 제이슨 프로드닉과 장갑차 소피아(SOPHIA)를 조작해 여러 구역을 탐험하며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2019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로, 2020년 6월 플레이스테이션 4로, 2021년 7월에 엑스박스 원 및 엑스박스 시리즈 X/S로 이식됐다. 이후 이 게임의 직속 후속작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2 (2019)와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3 (2021) 두 편이 제작돼 출시됐다. = = 개발 = = 게임 출시 두 달 후 난이도를 높인 '디스트로이어 모드'가 패치를 통해 배포됐으며, 2017년 10월에 보스 러시 모드가 추가됐다. 그 외에 인티 크리에이츠가 개발한 작품 푸른 뇌정 건볼트의 건볼트와 걸 건의 에코로, 타사 작품의 삽질 기사와 샨테가 각각 플레이어 캐릭터로 추가됐다. = = 출시 = = 블래스터 마스터 제로는 닌텐도 3DS와 닌텐도 스위치로 디지털 다운로드 전용 게임으로서 일본에 2017년 3월 3일, 북미 및 유럽 지역에 2017년 3월 9일에 최초로 출시됐다. 그 후 2019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로, 2020년 6월 플레이스테이션 4로 이식판이 출시됐다. 2021년 7월에는 엑스박스 원 및 엑스박스 시리즈 X/S 이식판이 발매됐다. = 노력인민 = 노력인민(勞力人民)은 1947년 한국의 군정기 시기 발간된 남조선로동당의 기관지이다. = 볼프 뤼디거 헤스 = 볼프 뤼디거 헤스(, 1937년 11월 18일 ~ 2001년 10월 24일)는 독일의 건축가이며, 루돌프 헤스와 일제 헤스의 외아들이다. = = 생애 = = 뮌헨에서 태어난 헤스는 1941년 5월 14일 아버지가 스코틀랜드로 떠날 때까지 부모와 함께 살았다. 그 후, 그의 아버지는 나치 정부로부터 정신병자라는 비난을 받았고, 그의 어머니는 뮌헨을 떠나 알제우 알프스의 작은 온천 마을인 바트 오버도르프에 있는 가족의 집에서 살게 되었다. 그곳에서 어린 볼프 뤼디거는 어린아이(Buz)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7년 6월 3일, 헤스의 어머니는 뉘른베르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다른 독일인들의 아내들과 함께 연합군에 의해 체포되었고, 그녀는 아우크스부르크-예깅겐 수용소에 억류되었다. 헤스는 1948년 3월 어머니가 석방될 때까지 이모와 함께 살았다. 그는 1947년에 지역 고등학교에 다니기 시작했고 1950년대 중반부터 건축을 공부했고 1961년에 건축가 자격을 얻었다. Tania Crasnianski, Children of Nazis: The Sons and Daughters of Himmler, Göring, Hess, Mengele, and Others — Living with a Father's Monstrous Legacy (Simon and Schuster, 2018), pp. 70–78 = = 활동 = = 헤스는 베를린의 슈판다우 교도소에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아버지의 자살에 대한 수사를 비판하여 명성을 얻었다. 헤스는 수사가 은폐이며, 영국 비밀정보부(SIS)가 아버지를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 정부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의 행동에 대한 당혹스러운 정보를 공개할까봐 두려워했기 때문에 그들이 그의 아버지의 가석방을 막기 위해 이것을 했다고 믿었다. 볼프 뤼디거 헤스와 그의 아버지의 변호사 알프레트 자이들은 자신들의 부검을 준비했다.British Sympathy for Jailed Nazi on the BBC 헤스는 세 권의 책을 썼다: 나의 아버지 루돌프 헤스(1986), 누가 나의 아버지를 죽였는가(1989), 루돌프 헤스: 나는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는다(1994/1998). 헤스는 죽기 전에 루돌프 헤스 사회의 우두머리였다. 63세의 나이로 볼프 뤼디거 헤스는 뇌졸중으로 뮌헨의 병원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는 과부와 세 아이를 남겼다. = 월경 주기 = 월경 주기(月經週期)는 가임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생리학적 변화의 주기를 뜻한다. 월경 현상(자궁으로부터 질로의 출혈)은 주로 인간이나, 침팬지처럼 인간과 진화적으로 가까운 종에게서 나타난다. 진수류의 다른 암컷들은 발정 주기를 겪는데, 이 경우엔 생식 주기의 마지막에 자궁내막이 동물 자신의 몸에 완전히 재흡수된다. 이 문서는 인간의 월경 주기에 초점이 맞춰 있다. 내분비 기관에 의해 조절되는 월경 주기는 생식에 필수적이다. 이 주기는 뚜렷하게 월경기, 난포기, 그리고 황체기로 나뉠 수 있다. 배란은 난포기와 황체기를 구분짓는다. 각각의 기간은 개인마다, 혹은 주기마다 다른데, 평균적인 월경 주기는 28일이다. 호르몬 피임의 경우 생식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이러한 자연스런 호르몬 변화를 방해한다. 난포기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월경은 느려지고 결국 멈춰, 자궁의 내막이 두텁게 된다. 난소 안에 있는 난포는 여러 호르몬의 복합 작용에 의해 발달하기 시작하고, 며칠이 지나면 하나, 때로는 두 개가 성숙한다(미성숙 난포는 위축되어 사라진다). 대략 주기의 중간쯤, 황체 형성 호르몬(LH)이 급증한 지 24~36시간이 지나면, 난자는 수정이 되지 않을 경우 길어야 24시간 동안 생존하고 난소 안에 있는 성숙 난포의 나머지 부분은 황체가 된다(황체는 많은 양의 프로게스테론을 생성시키는 기능이 있다).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아, 자궁 내막은 배아의 착상에 알맞게 변화하여 정상적인 임신을 대비한다. 만일 약 2주 안에 착상이 이뤄지지 않게 되면, 황체는 퇴화하여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수치 모두의 급격한 하락을 가져온다. 이 호르몬 변화는 자궁이 그 내벽을 허물게 하여 월경이라는 과정을 겪도록 한다. 월경 주기 동안, 여성의 생식 기관 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들(예를 들어, 유방 동통이나 기분 변화를 유발하는)에서 여러 변화가 나타난다. 여성의 첫 월경은 초경이라고 하여, 보통 12세 전후에 나타난다. 여성의 생식 주기의 마지막은 폐경기라 하고, 45세에서 55세 사이의 기간 중 한 때에 나타난다. = = 용어 = = 초경은 여성이 사춘기의 초반부에 겪는 현상 중 하나다. 초경을 겪는 평균 연령은 12 세이지만, 8세에서 16 세 사이 어느 때이든 정상으로 본다. 가족력이나 식생활, 또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초경을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다."At what age does a girl get her first period?(여성은 몇 살에 첫 월경을 겪나?) ," Menstruation and the Menstrual Cycle에서 발췌 (영어), 미국 국립 여성건강 정보센터 (2009년 10월 20일 확인) 여성의 가임기의 마지막에 일어나는 월경 주기의 중단은 폐경이라고 한다. 여성이 폐경기를 겪는 평균 연령은 50 세 정도로, 40 세에서 58 세 사이 어느 때에든 정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35 세 이전의 폐경은 조기 폐경 이라고 한다. 폐경 연령은 유전적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병이나 일부 외과 수술, 또는 의약품에 의해서 앞당겨지기도 한다. 여성의 월경 주기는 조금 짧거나 조금 긴 식으로, 그 길이가 기본적으로 일정하지 않다. 한 여성의 월경 주기 중 가장 짧은 것과 가장 긴 것의 차이가 8일 미만이면 정상적인 월경 주기를 가진 것으로 본다. 반대로 그 차이가 4일 미만인 여성은 매우 드물다. 기간의 차이가 8일에서 20일 사이이면 월경 불순으로 볼 수 있고, 짧은 월경 주기와 긴 월경 주기의 차이가 21일 이상일 경우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본다(주기의 불규칙 참조). = = 단계 = = 월경 주기는 몇 가지 단계로 나뉜다. 각 단계의 평균 기간은 다음과 같다. 명칭 평균 시작하는 날주기를 28일로 봄 평균 끝나는 날 월경기 1 4 난포기 (증식기라고도 함) 5 13 배란 (단계는 아니지만, 두 단계를 구분짓는 현상) 14 14 황체기 (분비기라고도 함) 15 26 허혈기 (이 단계를 황체기에 포함시키기도 함) 27 28 = = = 월경기(menstrual phase) = = = 월경은 또한 생리, 멘스라고도 일컬어진다. 월경시 나타나는 피의 배출은 여성이 임신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하지만, 이것이 항상 옳지많은 않다. 몇 가지 요건에 의해 임신중 출혈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임신 초기에만 한정되지만 몇몇 요건은 과다 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가임기 동안 월경이 중지된다면, 이는 여성이 임신을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정상 월경의 범위는, 그 기간이 일반적으로 3 ~ 5 일 정도이지만, 2 ~ 7 일의 범위에만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월경시 평균적인 출혈량은 35 ml이고, 10 ~ 80 ml를 정상량으로 본다.(이 출혈 때문에, 여성들은 남성보다 철분 결핍에 취약하다.) 플라스민이라고 하는 효소는 월경혈의 응고를 억제한다. 월경 시작 후 처음 며칠 동안은 일반적으로 복부나 등, 또는 허벅지 윗부분에서 월경통이 느껴지게 된다. 월경이 시작될 때, 유방 동통이나 신경 과민 같은 월경전 증후군(PMS)의 증상들이 대체로 감소한다. 많은 위생용품이 월경을 겪는 여성들을 위하여 판매되고 있다. = = = 난포기(follicular phase) = = = 이 단계는 여포기 라고도 불리며 때로는 증식기 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에 자궁 내막이 두꺼워지거나 증식하기 때문이다. 월경 주기의 초반에 일어나는 난포 자극 호르몬(FSH)의 증가에 영향을 받아, 몇 개의 난포가 자극받게 된다. 태어날 때부터 존재했고 난포발달 과정을 통해 발달해 온 이 난포들은, 서로가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쟁한다. 몇몇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우세한 단 하나의 난포만이 성숙해지며, 나머지는 성장이 멈추게 된다. 다 자란 난포는 성숙난포 혹은 삼차난포라고 불리며, 난세포를 생성한다. 완전히 성숙하게 되면, 난포는 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로겐을 점차 많이 분비하게 된다.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의 새로운 층의 형성을 시작하도록 하고, 이는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의 증식이라 한다. 에스트로겐은 또한 자궁경부의 샘을 자극해 자궁목 점액을 생성하도록 하며, 이는 배란 관찰을 하는 여성이 확인할 수 있다. = = = 배란(ovulation phase) = = = 난포기 동안, 에스트라디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황체 형성 호르몬 (LH) 분비를 억제한다. 난모세포가 거의 다 성장하게 되면, 에스트라디올의 수치가 LH의 생성을 자극할 만큼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LH와 에스트라디올의 상반된 반응은,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각기 다른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라디올 - LH의 상호작용에 부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와 ' 에스트라디올 - LH의 상호작용에 긍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평균적인 월경 주기에서, 황체 형성 호르몬의 방출은 12일째쯤 시작해서 48 시간 정도 지속된다. 이러한 황체 형성 호르몬의 분비는 난자를 성숙하게 하고 난소 안의 난포 벽을 약하게 하여, 완전히 발달된 난포로 하여금 이차난모세포를 내보내도록 한다. 이차난모세포는 바로 난세포로 발달하여 성숙한 난자가 되는데, 이 성숙난자의 지름은 약 0.2 mm이다. 왼쪽과 오른쪽 난소 중 어느 쪽에서 배란이 되는지는 기본적으로 무작위로 결정되고, 좌/우 순서가 있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때때로, 양쪽 난소에서 난자를 내보내기도 한다.ref 만일 이때 두 난자 모두 수정이 되면, 이란성 쌍둥이가 태어나게 된다. 난소에서 방출되고 나서, 난자는 나팔관의 끝에 있는 술 모양의 조직인 섬모에 의해나팔관으로 들어간다. 하루 정도 지나면, 수정되지 않은 난자는 나팔관 안에서 퇴화하거나 분해된다. 보통 나팔관의 가장 넓은 부분인 자궁관팽대에서 정자와의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된 난자는 즉시 배아발생, 혹은 배아발달이라 불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아의 발달은 배아가 자궁에 도달하기까지 약 3일 정도 소요되고, 이것이 자궁내막에 착상되는 데 또 3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착상을 할 때쯤이면, 일반적으로 배아는 주머니배 단계에 접어든 상태이다. 일부 여성은, 배란하는 시기에 배란통을 같이 겪는다. 배란이 이뤄질 때 일어나는 급격한 호르몬 변화는 때때로, 주기 중 가벼운 출혈을 유발하기도 한다.Weschler (2002), p.65 = = = 황체기(luteal phase) = = = 황체기는 분비기라고도 한다. 난자가 난소로부터 나와 나팔관으로 들어간 이후에, 난소에서는 단단한 덩어리가 형성된다. 이 덩어리, 황체는 배란 이후 일정 기간 동안 그 크기가 커지고, 상당량의 호르몬, 그 중에서도 주로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으로 하여금 주머니배(포낭)의 착상이 가능하도록 하고, 초기 임신에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다만 여성의 기초체온을 높이는 부작용 또한 나타낸다.Weschler (2002), pp.361-2 배란 이후, 뇌하수체 호르몬인 난포 자극 호르몬(FSH)과 황체 형성 호르몬(LH)에 의해 성숙난포의 남은 부분은 황체로 변화하여,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생성한다. 황체에서 생성된 호르몬은 또한 황체 자체의 유지를 위해서 꼭 필요한 FSH와 LH의 생성을 억제한다. 그 결과, FSH와 LH의 수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빠르게 낮아지고, 황체 역시 위축된다. 프로게스테론 수치의 저하는 월경과, 그에 따르는 새로운 월경 주기를 불러온다. 배란이 일어난 시점부터 프로게스테론이 저하되어 월경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일련의 과정은 대략 2 주 정도 소요되며, 10일에서 16일 까지는 정상으로 볼 수 있다. 여성 개개인에 따라서 난포기는 매 주기마다 그 기간이 종종 차이가 나지만, 이와 달리 황체기는 매 주기마다 거의 일정하다.Weschler (2002), p.47 황체의 소멸은 난자의 수정으로 막을 수 있다. 수정의 결과로 나타나는 배아는 사람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을 생성하고, LH와 매우 흡사한 이 호르몬이 황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호르몬이 오직 배아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대부분의 임신 테스트는 이 hCG의 존재 여부를 측정한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9년 2월 15일 = 쿠릴 열도 분쟁: 일본에서 아이누족을 홋카이도의 원주민으로 인정·지원하는 법률이 통과 되었다. 앞서 2018년 12월,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쿠릴 열도의 아이누족을 원주민으로 인정한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2019년 미국 국가비상사태 선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멕시코 국경 문제와 관련해 비상사태를 선포하였다. 2018-2019년 미국 연방 정부 폐쇄: 비상 사태 선포 전,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에서 가결된 예산안에 서명, 이후의 정부 폐쇄 재발을 방지하였다. = 분류:미국의 군종별 시설 = = 분류:무선 송신기 = = 분류:반사회성 인격장애인 = = 작은견장과일박쥐 = 작은견장과일박쥐(Epomophorus minor)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Epomophorus minor. Ubio.org (2011-10-05). Retrieved on 2012-12-31. 잠비아와 탄자니아,Mammals of Tanzania . Fieldmuseum.org. Retrieved on 2012-12-31. 모잠비크 그리고 케냐에서 발견된다. = B-52 (칵테일) = = = 재료 = = 1/3 깔루아(Kahlúa) 1/3 베일리스(Baileys Irish Cream) 1/3 그랑 마르니에(Grand Marnier) = = 제조법 및 특이사항 = = 비중의 차를 이용한 레이어를 만든다. 샷 글라스(Shot glass)에 깔루아를 먼저 붓고 스푼을 표면에 가까이 붙여서 조심스럽게 흘려서 베일리스를 깔루아 위에 띄운다. 그 후 같은 방법으로 그랑 마르니에를 띄운다. 같은 양으로 성공적으로 완성되면 접대한다. 레이어가 쉽게 무너지므로 상당히 조심스럽게 만들어야 한다. = = 변형 = = 불타는 B-52(Flaming B-52) : 그랑 마르니에에 불을 붙이면 엷고 푸른 불꽃이 일어난다. 꺼질 때까지 기다리면 잔이 너무 뜨거워지므로 적당한 시기에 꺼서 마신다. 상온에서 그랑 마르니에는 불이 잘 붙지 않으므로 만들기 전에 약간 가열할 필요가 있다. 바카디 151(Bacardi 151) 등 쉽게 불이 붙는 리큐르로 층을 얇게 하나 더 만들어 불을 붙여도 된다. B-53 : B-52에 코엥트로(Cointreau)를 첨가한다. B-54 : B-52에 보드카를 첨가한다. B-55 : B-52에 아마레또(amaretto)를 첨가한다. B-56 : B-52에 압생트(absinthe)를 첨가한다. B-57 : B-52에 그랑 마르니에 대신 삼부카(Sambuca)와 트리플 섹(triple sec)을 첨가한다. B-61 : B-52에 바닐라(vanilla)와 크림 드 카카오(creme de cacao)를 첨가한다. = 한국 한국인 = 한국 한국인은 매주 일요일 아침 7시 10분에 KBS 1TV로 방송되었던 토크쇼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화제의 인물을 만나는 강연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KOREA 2002년 7월 15일 ~ 2005년 4월 26일 매주 월요일, 화요일 오후 2:30 ~ 3:30 (60분) KBS 2TV 2005년 5월 2일 ~ 2009년 10월 12일 매주 월요일 밤 12:45 ~ 1:15 (30분) KBS 2TV 2009년 10월 22일 ~ 2010년 5월 6일 매주 목요일 밤 12:45 ~ 1:20 (35분) KBS 1TV 2010년 5월 16일 ~ 2012년 2월 26일 매주 일요일 아침 6:10 ~ 6:40 (30분) KBS 1TV 2012년 3월 10일 ~ 2013년 4월 6일 매주 토요일 오전 11:30 ~ 낮 12:00 (30분) KBS 1TV 2013년 10월 27일 ~ 2014년 12월 28일 매주 일요일 아침 7:10 ~ 8:00 (50분) = = 역대 진행자 = = 1대 김동건 : 2005.5.2 ~ 2010.5.6 2대 김성수 : 2010.5.16 ~ 2010.12.26 3대 이병혜 : 2011.1.2 ~ 2012.8.25 4대 정용실 : 2012.9.1 ~ 2013.4.6 / 2013.10.27 ~ 2014.12.28 = 분류:빌드 자동화 = = 세부의 아기예수상 = 세부의 아기예수상(Santo Niño de Cebú , (, /Batang Banal ng Cebu 타갈로그어)은 아기 예수의 로마 가톨릭식 아기예수상이다. 이 상을 많은 필리핀 사람들은 기적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이것은 필리핀에 있는 가장 오래된 종교적 그리스도 상이며, 원래는 1521년 투르투갈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에 의해 세례의 선물로 안토니오 피가페타를 거쳐 후마마이 왕비를 통해 선물로 성모 마리아 상과 에케 호모의 흉상과 함께 라자 후마본 왕에게 준 것이다. 1965년 4월 28일, 교황 바오로 6세가 대관식을 위해 교황 특사를 통해 교황 칙서를 내렸을 때,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 이 상은 약 12인치 키를 가지고 있고, 벨기에 플란더스에서 제작된 것으로 믿고 있다. = 대정부 = 대정부(大定府)는 거란이 설치한 옛 행정구역으로 요나라의 5경중 하나인 중경(中京)으로 불렸다. 지금의 내몽골 자치구 츠펑 시 닝청 현일대에 대정부의 옛 고성이 남아있다.요사 권39 지리지 3 중경도 대정부 = = 요 = = 현재 츠펑 시 닝청 현 칭이 진(靑義鎭)에 존재했다. 도성가운데에 요 경종과 승천황후의 묘가 있다. 대동역(大同驛)에서 송나라의 사신을, 조천관(朝天館)에서 고려의 사신을, 래빈관(來賔館)에서 서하의 사신을 맞았다. 1013년(개태 2년) 인구를 분산시켜 여러 현을 만들었다. 10주 9현을 통치했다. 현명/주명 한자 군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대정현 大定縣 大定縣 大定縣 닝청 현 요 중경유지 대정부의 치소가 있다. 백습(白霫)의 땅이었다. 여러 나라에서 생포한 포로들을 이곳에 살게 하였다. 장흥현 長興縣 長興縣 長興縣 닝청 현 요 중경유지 한나라 요서군 빈종현이었다. 여러 지역에서 생포한 사람들을 이곳에 살게 했다. 부서현 富庻縣 富庻縣 富庻縣 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 한나라 요서군 신안평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권농현 勸農縣 勸農縣 勸農縣 닝청 현 대쌍묘진 동남 한나라 빈종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문정현 文定縣 文定縣 文定縣 차오양 시 젠핑 현 사하진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승평현 升平縣 升平縣 升平縣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귀화현 歸化縣 歸化縣 歸化縣 닝청 현 전자진 남 한나라 유성현이 있었다. 신수현 神水縣 神水縣 神水縣 차오양 현 북사가자향 한나라 도하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있다. 1013년 신설되었다. 금원현 金源縣 金源縣 金源縣 아오한 기 사가자향 당나라 청산현(靑山縣)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은주 恩州 회덕군 懷德軍 츠펑 시 하르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신안평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로 보인다. 요 태종이 주를 설치했다. 개태연간에 발해유민들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흥궁(永興宮)에 소속되어있었다. 은화현 恩化縣 恩化縣 恩化縣 츠펑 시 하르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신안평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로 보인다. 요 태종이 주를 설치했다. 개태연간에 발해유민들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흥궁(永興宮)에 소속되어있었다. 혜주 惠州 혜화군 惠和軍 차오양 시 젠핑 현 젠핑 진(建平鎭) 혜주촌 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본래 당나라 귀의주(歸義州)가 있었는데, 요 태조가 중국인 수백호를 토록산(兔鹿山)아래에 정착시켜 성을쌓도록 하고 그 성을 혜주로 승격시켰다. 혜화현 惠和縣 惠和縣 惠和縣 차오양 시 젠핑 현 젠핑 진(建平鎭) 혜주촌 상경의 주민들을 본현에 옮겨 설치했다. 고주 高州 高州 高州 츠펑 시 북동부 관찰이 주의 민정을 맡았다. 당나라 신주(信州)가 있었다. 696년(만세통천 원년) 거란의 부족중 하나인 실활부(室活部)로 설치하였다. 개태연간에 고려-거란 전쟁이 발발하였기에 이름을 고주(高州)라 칭했다. 평정산(平頂山)과 난하(灤河)가 있다. 삼한현 三韓縣 三韓縣 三韓縣 츠펑 시 북동부 고려-거란전쟁시기 납치해온 고려인들로 설치했다. = = 금 = = 북경로에 속했다. 중급부로 북경유수사를 두었다. 거란대에 중경따라 그대로 중경이라 칭하였다가 1153년(금 해릉양왕 정원 원년) 북경으로 칭하게 되었고 유수사, 도전운사(都轉運司), 경순원(警巡院)을 두었다. 굉서(紘鼠), 소라껍데기로 만든 술잔, 수유소(茱萸梳), 대모의 등딱지로 만든 안장(玳瑁鞍), 수유병(酥乳餅), 오미자가 났다. 64,047호 11현 2진을 거느렸다.금사 권24 지리지 1 북경로 현명/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대정기 大定倚 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 토하(土河), 칠금산(七金山), 음량하(陰凉河)가 있다. 은화진 恩化鎭 츠펑 시 카라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 대정기의 속진이다. 장흥현 長興縣 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 도하(塗河)가 있다. 부서현 富庶縣 차오양 시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 심하(心河)가 있다. 문안진 文安鎭 부서현의 속진이다. 송산현 松山縣 츠펑 시 쑹산 구 성자향(城子乡) 하북촌 1123년(천보 7년) 관찰사를 두었고 1143년(황통 3년) 주에서 현으로 격하했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태화 4년)본부로 이관시켰다. 음량하와 낙마하(落馬河)가 있다. 신산현 神山縣 청더 시 핑취안 현 서남 1197년(승안 2년), 시험으로 혜주(惠州)를 설치했고 해아관(孩兒館)을 난양현(灤陽縣)을 신설하여 주의 속현으로 두었다. 1204년 혜주와 난양현을 폐했다. 혜화현 惠和縣 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 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금원현 金源縣 츠펑 시 아오한 기사가자향 금전(金甸)이라는 땅과 낙타산(駱駝山)이 있다. 화중현 和眾縣 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무평현 武平縣 츠펑 시 아오한 기 1143년 무안주를 폐지하고 그 치현을 본부의 속현으로 두었다가 1167년(대정 7년)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 본부로 내속시켰다. 정봉현 靜封縣 1197년 설치하여 전주(全州)에 소속시켰다가 1년후 고주로 소속을 옮겼다. 1204년 본부로 내속되었다. 삼한현 三韓縣 츠펑 시 북동부 1123년 요나라 고주에 절도사를 두었고 1143년 주를 폐하고 현만 두었다. 1198년 고주로 복구되어 자사를 두고 전주(全州)의 지군(支郡)이 되었다. 이후 무평현, 송산현, 정봉현 3개현사이에서 현을 신설했다. 1204년 폐지되었다. 낙마하, 도하가 있다. = = 원 = = 요양등처행중서성의 일부였던 대녕로(大寧路)의 중심지였다. 원나라초 북경로총관부(北京路總官府)가 파견되었으며 흥중부와 서주, 흥주, 고주, 금주, 이주, 혜주, 천주, 건주, 화주의 10주를 관할했다. 1262년(쿠빌라이 칸 중통 3년) 흥주의 송산현이 상도로로 이관되었다. 1268년(쿠빌라이 칸 지원 5년) 화주가 이주의 영화향(永和鄕)으로 격하되어 편입되었다. 1270년(쿠빌라이 칸 지원 7년) 흥중부가 주로 강등되어 북경에 속했고 북경로를 대녕로로 개명했다. 1288년(쿠빌라이 칸 지원 25년) 무평로(武平路)로 개명되었다가 대녕로로 복귀했다. 46,006호 448,193명을 거느렸다. 1사 7현 9속주를 관할했다.원사 권59 지리지 2 요양등처행중서성 대녕로 대정부 사/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녹사사 錄事司 1265년(쿠빌라이 칸 지원 2년) 경순원(警巡院)에서 녹사사로 개명했다. 1265년(쿠빌라이 칸 지원 2년) 경순원(警巡院)에서 녹사사로 개명했다. 1265년(쿠빌라이 칸 지원 2년) 경순원(警巡院)에서 녹사사로 개명했다. 대정현 大定縣 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 下 1261년 장흥현을 통폐합했다. 용산현 龍山縣 下 대정부에 속했으나 1267년 이주로 이속되었다가 후에 본부로 복귀했다. 부서현 富庶縣 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 下 1266년 폐지되어 흥중주에 들어갔다가 후에 복구되었다. 화중현 和眾縣 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下 금원현 金源縣 츠펑 시 아오한 기사가자향 下 혜화현 惠和縣 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 下 무평현 武平縣 츠펑 시 아오한 기 下 = = 명 = = 1380년(명 태조 홍무 13년) 대녕부로 개명되어 북평포정사에 속했다가 얼마못가 폐지되었고 1387년(명 태조 홍무 20년) 8월 대녕위로 재건되었다. 동년 9월 대녕좌위, 대녕우위, 대녕중위로 분리되었다가 얼마못가 대녕전위와 대녕후위가 추가설치되었다. 1395년(명 태조 홍무 28년) 대녕좌위, 대녕우위, 대녕중위를 각각 영주(營州)좌호위, 영주우호위, 영주중호위로 개명했다. 1403년(명 성조 영락 원년) 2월 폐지되면서 이후 고고학자들에 의해 재발굴될때까지 버려지게 되었다.명사 권40 지리지 1 북직례 북평행도사 대녕위 = 강윤석 = 강윤석(생년 미상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겸 법제위원회 위원이다. = = 경력 = = 2016년 5월 제7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장을 거쳐 2016년 6월 중앙재판소 소장 겸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고, 2019년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회의 부문위원회 선거에서 법제위원회 위원으로 재선출되었다. = 분류:키프로스에 거주한 슬로바키아인 = = 갑상샘 = 갑상샘(甲狀-, )은 사람 몸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 중 가장 크며, 갑상샘 호르몬(티록신)을 만들어 몸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일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티록신은 항온 동물에서는 물질 대사, 특히 이화 작용의 속도를 조절하며, 또 양서류의 변태, 양서류나 파충류의 탈피 및 조류의 환우(換羽)를 촉진한다. 원어(thyroid, thyroid gland)는 방패를 뜻하는 Thyreos(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 = 위치 = = 갑상샘은 목의 한가운데 앞으로 튀어나온 물렁뼈 바로 아래쪽에서 기도 주위를 나비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 = 크기 = = 한 쪽 날개의 크기는 넓이 1~2 cm, 두께 2~3 cm, 높이 5 cm 정도 되고, 무게는 모두 합해서 15~20g 정도이다. 보통은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겉으로 봐서 볼 수 없고 거의 만져지지 않는다. 나비 모양인 2개의 좌우 양날개와 이 날개를 서로 연결하는 좁은 연결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뒤쪽으로 부갑상샘이 좌우 2개씩 모두 4개가 붙어 있다. = = 용어 = = 애초에는 갑상선으로 불렸으나,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위원회에서 2001년 발간되고 2006년 수정 보완된 의학용어집 제4집에서 외래어를 쉬운 우리말 표현으로 바꾸어 갑상샘으로 용어로 정의되었으며, 2008년 11월 발간된 의학용어집 제5집에서는 생소한 한글 용어에 불편을 느끼는 사용자를 위해 기존의 한자어 용어를 되살려 갑상샘, 갑상선이 병기되었다. 또한 형태에서 따온 방패샘이나, 위치상 특징을 따온 목밑샘으로 불리기도 한다. = = 기능 = = 갑상샘은 갑상샘호르몬을 만들고,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혈액으로 내보내는 일을 한다. 갑상샘호르몬은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로, 인체의 대사 과정을 촉진하여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일을 하는데, 예를 들어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태아와 신생아의 뇌와 뼈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주는 역할 등을 한다. 만일 태아기 또는 성장기에 갑상샘호르몬이 모자라면 키가 작고 지능이 낮아진다. 갑상샘호르몬은 몸안의 여러 대사를 섬세하게 조절하여 만들어진 에너지가 제대로 쓰이게 한다. 즉, 심장의 박동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에도 적절히 대응하게 하며, 적혈구 생성도 늘려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근육과 뼈의 기능도 좋게 유지한다. 또한 다른 호르몬들이 올바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나오미 라이언 = 나오미 라이언(, 1974년 5월 24일 ~ )은 영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허니 트랩 (2014) = = = 방송 = = = 스튜디어스 다이어리 (시즌1,2) 닥터 후 (시즌7) 미스터 셀프리지 (시즌3) = 하드웨어 오버레이 = 하드웨어 오버레이(Hardware overlay)는 비디오 오버레이의 일종으로, 비디오 하드웨어 안에 메모리 버퍼를 할당하여 그림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현하는 방식이다. 빠르게 움직이는 컴퓨터 게임, DVD, TV 카드의 신호와 같은 영상을 보여 주는 데 사용한다. 대략 1998년 이후로 출시된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와 미디어 플레이어는 하드웨어 오버레이를 지원한다.What is overlay? – Computer Hope = = 개요 = = 하드웨어 오버레이를 사용하는 중요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윈도우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운영 체제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보통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보여 주는 데 사용한다. 둘째, 각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그려질 때, 운영 체제의 그래픽 하위 시스템은 객체들이 화면의 올바른 위치에 나타나 있는지, 또 창들이 겹칠 때나 이웃할 때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지 꾸준히 검사해야 한다. 그래픽 하부 시스템은 충돌이 일어날 때 객체들을 최적화해야 한다. 이러한 일정한 검사와 최적화를 통해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이 또다른 프로그램과 화면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게 도와 주지만, 컴퓨팅 파워를 많이 소모하게 된다. 컴퓨터가 화면 위에 그릴 때 그래픽이 비디오 메모리라고 불리는 특별한 메모리 부분에 비트맵으로 표현한다. 하드웨어 오버레이 없이는, 오직 하나의 비디오 메모리 덩어리만이 모든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할 것이며 주어진 응용 프로그램의 비디오 메모리의 위치는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의 창을 움직일 때마다 이동할 것이다. 공유 비디오 메모리와 더불어,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메모리에 "쓰기"만을 사용하는지 꾸준히 검사해야 한다. 게임이나 동영상 재생기와 같은 높은 대역의 비디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꾸준한 최적화와 검사를 수행해야 하는 컴퓨터의 성능과 호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제한에서 벗어나기 위해, 하드웨어 오버레이가 발명되었다. 하드웨어 오버레이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그 응용 프로그램에 속한 완전히 구분된 비디오 메모리의 일부를 차지한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의 일부가 그에 속하는지, 비디오 메모리의 창 이동과 위치 변경에 대해 신경을 쓴다든지 하는 등으로 절대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구분된 비디오 메모리로부터 이미지를 얻어 디스플레이에 남아 있는 공유 요소와 나란히 보여 주기 위해, 그래픽 하부 시스템은 특정한 특성과 연결이 되어 있고 (이를테면, 특정한 색) 오버레이에 대해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로써 그래픽 카드는 별도의 오버레이 버퍼로부터 화면에 그린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을 보통 크로마 키라고 한다.) 이를테면, "자주색"이 마스크 색으로 정의되고 오버레이를 사용한다고 하자. DVD를 재생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공유 화면에 자주색 사각형을 그릴 것이고, DVD를 오버레이에 할당된 특정한 메모리 영역으로 "재생"할 것이다. 그래픽 카드는 DVD 재생을 자주색 영역 안에만 표현할 것이다. 다른 창이 자주색 영역 위로 움직여서 그 부분이 가리거나 한다면, 그래픽 하드웨어는 자체적인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실제로는, 자주색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검은색에 가까운 자주색이 사용된다는 것이 맞는 말이다. = = 다른 운영 체제로의 기능 추가 = = 윈도우 비스타의 강화된 그래픽 성능과 더불어 하드웨어 오버레이의 기본 개념은 동영상, 게임뿐 아니라 시스템에서 돌아가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의 창에 대한 완전한 하드웨어 합성이다. macOS 또한 이러한 하드웨어 복합 기술을 사용해 왔다. = 양주백석초등학교 = 양주백석초등학교는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2년 10월 30일 양주군 백석공립보통학교로 개교(2학급) 1938년 4월 1일 백석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백석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1학급) 1996년 3월 1일 양주백석초등학교로 개칭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9년 9월 1일 은봉초등학교 분리 2006년 3월 1일 신지초등학교 분리 2017년 3월 1일 제24대 서애란 교장 부임 2020년 1월 제84회 졸업장 수여식(55명, 누계 7643명) = 클루브 레온 = 클루브 레온은 멕시코 레온을 연고지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이다. 레온은 1948년, 1949년, 1952년, 1956년, 1992년, 2013년 아페르투라 그리고 가장 최근에 우승한 2014년 클라우수라까지 총 7번의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1949년에 "캄페오니시모(Campeonísimo, 같은 해에 리그와 멕시코컵을 우승한 팀)"를 달성한 최초의 클럽이다. 1993년에는 코스타리카 축구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에게 패배하며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을 하기도 하였다. 가장 오래된 라이벌팀으로는 같은 도시에 존재하는 우니온 데 쿠르티도레스이며, 오늘날에는 CD 이라푸아토와 두 팀의 지역에서 따온 클라시코 델 바히오(Clásico del Bajio)라는 이름의 치열한 더비 경기도 있었으나 이라푸아토가 2021년 9월에 해체되면서 사라져버렸고, 다른 라이벌은 같은 파추카 그룹이 소유한 CF 파추카가 있다. = = 유명 선수 = = 하레드 보르헤티 = = 역대 성적 = = = = = 국내 리그 = = = 프리메라 디비시온 (7회): 1947-48, 1948–49, 1951–52, 1955–56, 1991–92, 2013 아페르투라, 2014 클라우수라 세군다 디비시온 데 멕시코/프리메라 디비시온 'A' 멕시카나/리가 데 아센소 데 멕시코 (5회): 1989/1990 템포라다, 2003년 클라우수라, 2004년 클라우수라, 2008년 클라우수라, 2012 클라우수라 캄페온 데 아센소(2회): 1989/1990 아센소 결승전, 2011/2012 아센소 결승전 코파 MX (5회): 1948-49, 1957–58, 1966–67, 1970–71, 1971–72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4회): 1947/1948, 1955/1956, 1970/1971, 1971/1972 = 고노헤정 = 고노헤정 (고노헤마치)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의 정이다. 2004년 7월 1일, 구라이시 촌을 편입해 새로운 고노헤 정이 되었다. = = 지리 = = 산노헤 군 북부의 내륙에 위치한다. 정내는 비탈이 매우 많으며 총 면적의 반이상을 삼림이 차지한다. = = = 기후 = = = 연평균 기온은 9.6도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165mm, 일조시간은 1556시간이다. = = = 인접한 자치체 = = = 하치노헤시 도와다시 가미키타군 : 로쿠노헤정, 오이라세정 산노헤군 : 난부정, 신고촌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고노헤 촌, 아사다 촌, 가와우치 촌, 구라이시 촌이 탄생하였다. 1915년 11월 1일 : 고노헤 촌이 정으로 승격해 고노헤 정이 되었다. 1955년 7월 1일 : 고노헤 정, 아사다 촌, 가와우치 촌이 합병해 고노헤 정이 되었다. 2004년 7월 1일 : 합병에 의해 구라이시 촌을 편입하였다. = = 교통 = = = = = 도로 = = = 국도 4호선 국도 454호선 = = 자매 도시 = = 충청북도 옥천군 = 마이크로맥스 인포매틱스 = 마이크로맥스 인포매틱스(Micromax Informatics)는 인도의 다국적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제조사이다. 본사는 구르가온에 위치해 있다. 2000년 3월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의 IT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과 2010년에 휴대 전화 사업에 들어가면서 인도의 저비용 피처폰을 제조하는 최대 기업들 중 하나가 되었다. 2014년, 마이크로맥스는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스마트폰 벤더였다. = = 시장 부문 = = = = = 모바일 핸드셋 = = = 피처폰 스마트폰 = = = 가전제품 = = = 텔레비전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 분류:다르질링 출신 = = 양우조 = 양우조(楊宇朝, 1896년 3월 29일 ~ 1964년 9월 24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아호는 소벽(少碧), 본관은 중화이다. = = 생애 = = 평남 강서군 증산면 취룡리에서 양기영의 6남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조실부모하여 동생 양익조와 함께 이모 박씨 아래서 자라며 한학을 공부하다가, 강명화 (건국훈장 애족장)의 딸 강영실과 1915년 결혼하였다. 강명화는 1905년 아들 영문, 영소, 영상, 영각을 데리고 미국으로 건너간 지역 유지이자 개화한 지주였다. 이들 부자들은 훗날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강명화와 차남 강영소 (건국훈장 독립장)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 총회장을 역임했다. 영대, 영문, 영상, 영각도 건국훈장과 건국포장을 받아 이 집안은 아버지, 아들, 사위까지 모두 일곱명이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 가족이다. 1917년 장인 강명화의 주선으로 상해를 거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이미 21세의 나이였으나 인디애나주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중학교를 졸업한 뒤 1924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뉴벳포드 방직학과에 입학하여 방직 기술을 공부했다. 1921년에는 손위 처남 강영소가 발기인중 하나인 흥사단에 가입 (단우번호 199)했고, 1927년 같은 시기 유학했던 고향 친구 최희송, 오정수와 함께 귀국했다. 일제의 방해로 고향에 방직공장을 세우려던 꿈을 접고, 1930년대 초반 강영대, 강영소, 강영문의 지원으로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 운동에 뛰어들었다. 이후 한국독립당에 가담해 활동했고 기관지 한성(韓聲)을 발행했으며, '삼민주의란 무엇인가'를 최초로 번역하여 독립후 어떤 나라를 만들 것인가를 고민했다. 임시정부에서는 의정원, 생계부, 재무부에서 다양한 보직을 수행했고 광복군 정훈처에서 정령을 지냈다. 광복후에는 1946년 귀국하여 3.1동지회 회장 등을 지냈다. 양우조는 1937년 중국에서 이화여전 출신 최선화(건국훈장 애족장)를 만나 재혼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딸 양제시를 낳으면서 부인과 함께 육아일기를 겸한 일기장을 1946년 귀국 때까지 작성했는데, 이 내용은 1997년 '제시의 일기'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2022년 천안 독립기념관에 양우조 어록비가 설치되었다. = = = 평가 = = = 1963년 -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1999년 - 국가보훈처 선정 9월의 독립운동가. = = = 유언 = = = = = 참고자료 =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양우조, 1999년 KBS, 광복절 특별기획 3부작 - 발굴다큐멘터리 독립전쟁 (연출:박석규,권오대), 2001년 = 대한민국의 분리배출 표시 제도 = 대한민국의 분리배출 표시 제도는 대한민국에서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때 쓰이는 분리배출 제도를 말한다. = = 역사 = = = = =초창기 = = = 2002년 개정 이전 당시 분리배출 표시를 할 때 플라스틱은 숫자의 기호별로 분리배출을 해야 하며, 알루미늄은 △모양을, 철은 스틸이라는 기호에 S자 마크를 적용하였으며, 종이나 종이팩의 경우 태극 문양을 쓰였다. 그러나 최초 개정판이 적용되기 전까지는 분리수거를 하는 것 또는 분리배출을 하기에 많이 복잡하거나 모호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 = = 2003년 개정 = = = 환경부가 2003년 표기 체계를 최초로 개정되었을 당시 '분리배출'이라는 기호가 밑면에, 12종으로 재구성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계열 재질을 숫자 기호나 일련 번호 대신 영문(HDPE, LDPE, PP 등)으로 대체하였으며, 스틸은 철로, 알루미늄은 알미늄으로 각각 대체되었으며 유리가 분리배출 마크에 추가로 적용되었다. 또한 비닐 및 필름 포장재에 대한 분리수거 전면 실시도 이 때부터 적용되었다. = = = 2011년 개정 = = = 한국환경공단이 분리배출을 하는데 혼란을 야기함에 따라 분리배출을 색다르게 개정되었으나, 종전 12종으로 구성된 분리배출 마크는 7종으로 줄였으며, 이 가운데 PET는 페트로 변경하였고, 알미늄과 철을 '캔류'에 합병하였으며, 'PET'를 제외한 나머지 합성 수지 재질들을 전부 플라스틱 또는 비닐류로 변경되었다. 또한 유리와 종이, 종이팩은 현재와 같으며, 플라스틱이나 비닐류는 밑면에 재질 구성도(PP, PS, PVC, OTHER 등)가 적용되며 캔류 밑에는 알미늄과 철을 각각 적용하게 되었다. 또한 '분리배출'이라는 글귀가 제거되며, 스티로폼의 경우 플라스틱에 표시된다. 분리배출 표시 제도에서 2003년 당시 적용된 이전 분리배출 마크는 18개월간의 유예를 두었으나, 2012년 7월 2일자로 전면 개정하여, 이전 분리배출 마크를 부착하는 제품은 더 이상 만들지 않게 되어, 2012년 6월 중반 이후에 출고된 상품들은 새 분리배출 마크를 달아야 한다. 그래서 이를 어길 경우 해당 업체에게는 최대 300만원 이상의 과태료를 부과하게 된다. = 혼인보 = 혼인보(일본어: 本因坊)는 일본에서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4대 바둑 가문 가운데 하나의 이름이며, 일본의 마이니치신문에서 1936년부터 주최하는 바둑 대회이기도 하다. 근대 이전에는 에도식 한자 읽기로 혼닌보라 불렸지만 바둑의 보급과 함께 혼인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 혼인보 가문은 1대 혼인보 산사부터 21대 혼인보 슈사이까지 전해 내려오며 일본의 고수들을 키워내는 유명한 가문이었다. 21대 혼인보 슈사이는 혼인보의 이름은 일본 제일의 실력자에게 전해내려가야 한다고 생각하여 일본기원에 혼인보의 이름을 계승하게 하여 혼인보센(本因坊戰)이라는 이름의 바둑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혼인보센은 전년도 1위에서 4위, 그리고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된 4명을 합해 리그전을 치른다. 그리고 이 리그에서 1위를 한 사람이 전년도 우승자와 7전4선승제로 타이틀을 가린다. 조치훈이 제44회부터 53회까지 이 대회를 10연패한 이후 대회에서 5번 이상 우승한 사람에게는 명예 혼인보의 이름을 수여하는 새로운 규칙이 생겼다. 이 규칙에 의해 조치훈은 10연패한 공로로 명예자격의 나이제한 없이 곧바로 제 25대 혼인보가 되어 혼인보 치훈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 = 역대 혼인보 = = = = = 세습 혼인보 = = = *1대: 혼인보 산사 (算砂, 1612-1623) *2대: 혼인보 산에쓰 (算悦, 1630-1658) *3대: 혼인보 도에스 (道悦, 1658-1677) *4대: 혼인보 도사쿠 (道策, 1677-1702) 아토메: 혼인보 도데키 (道的) 아토메: 혼인보 사쿠겐 (策元) *5대: 혼인보 도치 (道知, 1702-1727) *6대: 혼인보 지하쿠 (知伯, 1727-1733) *7대: 혼인보 슈하쿠 (秀伯, 1733-1741) *8대: 혼인보 하쿠겐 (伯元, 1741-1754) *9대: 혼인보 사쓰겐 (察元, 1754-1788) *10대: 혼인보 레쓰겐 (烈元, 1788-1808) *11대: 혼인보 겐조 (元丈, 1809-1827) *12대: 혼인보 조와 (丈和, 1827-1839) *13대: 혼인보 조사쿠 (丈策, 1839-1847) *14대: 혼인보 슈와 (秀和, 1847-1873) 아토메: 혼인보 슈사쿠 (秀策) *15대: 혼인보 슈에쓰 (秀悦, 1873-1879) *16대: 혼인보 슈겐 (秀元, 1879-1884) *17대: 혼인보 슈에이 (秀栄, 1884-1886) *18대: 혼인보 슈호 (秀甫, 1886) *19대: 혼인보 슈에이 (秀栄, 1887-1907) *20대: 혼인보 슈겐 (秀元, 1907-1908) *21대: 혼인보 슈사이 (秀哉, 1908-1940) = = = 혼인보기전 5연패 이상의 명예 혼인보 = = = 22대 - 혼인보 슈카쿠 (타카가와 카쿠) 23대 - 혼인보 에이슈 (사카타 에이오) 24대 - 혼인보 슈오 (이시다 요시오) 25대 - 혼인보 치훈 (조치훈) 26대 - 혼인보 몬유 (이야마 유타) = = 역대 혼인보 우승자 = = 회수 연도 우승 전적 준우승 1 1941 세키야마 리이치(關山利一) 6단 3 - 3 가토 신(加藤 信) 7단 2 1943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8단 1 - 0 세키야마 리이치(關山利仙) 7단 3 1945 이와모토 가오루(岩本薰) 7단 3 - 3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8단 4 1947 이와모토 가오루(岩本薰) 8단 3 - 2 기타니 미노루(木谷實) 8단 5 1950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8단 4 - 0 이와모토 가오루(岩本薰) 8단 6 1951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8단 4 - 3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7단 7 1952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1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8단 8 1953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기타니 미노루(木谷實) 8단 9 1954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슈기우치 마사오(杉內雅男) 7단 10 1955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0 시마무라 토시히로(島村利博) 8단 11 1956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시마무라 토시히로(島村利博) 8단 12 1957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후지사와 호사이(藤沢朋斎) 9단 13 1958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스기우치 마사오(杉內雅男) 7단 14 1959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기타니 미노루(木谷實) 8단 15 1960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4 - 2 후지사와 슈코(藤沢秀行) 9단 16 1961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1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17 1962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1 한다 도겐(半田道玄) 9단 18 1963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2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19 1964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0 타카가와 카쿠(高川格) 9단 20 1965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0 야마베 토시로(山部俊郞) 9단 21 1966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0 후지사와 슈코(藤沢秀行) 9단 22 1967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4 - 1 린하이펑(林海峰) 9단 23 1968 린하이펑(林海峰) 9단 4 - 3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24 1969 린하이펑(林海峰) 9단 4 - 2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25 1970 린하이펑(林海峰) 9단 4 - 0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26 1971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4 - 2 린하이펑(林海峰) 9단 27 1972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4 - 3 린하이펑(林海峰) 9단 28 1973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4 - 0 린하이펑(林海峰) 9단 29 1974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4 - 3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30 1975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4 - 3 사카타 에이오(坂田榮男) 9단 31 1976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1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32 1977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4 - 1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33 1978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4 - 3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9단 34 1979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4 - 1 린하이펑(林海峰) 9단 35 1980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1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36 1981 조치훈 9단 4 - 2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37 1982 조치훈 9단 4 - 2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光一) 9단 38 1983 린하이펑(林海峰) 9단 4 - 3 조치훈 9단 39 1984 린하이펑(林海峰) 9단 4 - 1 아와지 슈조(淡路修三) 9단 40 1985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1 린하이펑(林海峰) 9단 41 1986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1 야마시로 히로시(山城宏) 9단 42 1987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0 야마시로 히로시(山城宏) 9단 43 1988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 - 3 오타케 히데오(大竹英雄) 9단 44 1989 조치훈 9단 4 - 0 다케미야 마사키(武宮正樹) 9단 45 1990 조치훈 9단 4 - 3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光一) 9단 46 1991 조치훈 9단 4 - 2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光一) 9단 47 1992 조치훈 9단 4 - 3 고바야시 고이치(小林光一) 9단 48 1993 조치훈 9단 4 - 1 야마시로 히로시(山城宏) 9단 49 1994 조치훈 9단 4 - 3 가타오카 사토시(片岡聰) 9단 50 1995 조치훈 9단 4 - 1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51 1996 조치훈 9단 4 - 2 류시훈 7단 52 1997 조치훈 9단 4 - 0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53 1998 조치훈 9단 4 - 2 왕리청 (王立誠) 9단 54 1999 조선진 9단 4 - 2 조치훈 9단 55 2000 왕밍완(王銘琬) 9단 4 - 2 조선진 9단 56 2001 왕밍완(王銘琬) 9단 4 - 3 장쉬(張栩) 7단 57 2002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4 - 2 왕밍완(王銘琬) 9단 58 2003 장쉬(張栩) 8단 4 - 2 (故)가토 마사오(加藤正夫) 9단 59 2004 장쉬(張栩) 9단 4 - 2 요다 노리모토(依田紀基) 9단 60 2005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8단 4 - 1 장쉬(張栩) 9단 61 2006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4 - 2 야마다 기미오(山田規三生) 9단 62 2007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4 - 1 요다 노리모토(依田紀基) 9단 63 2008 하네 나오키(羽根直樹) 9단 4 - 3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64 2009 하네 나오키(羽根直樹) 9단 4 - 2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65 2010 야마시타 케이고 (山下敬吾) 9단 4 - 1 하네 나오키(羽根直樹) 9단 66 2011 야마시타 케이고 (山下敬吾) 9단 4 - 3 하네 나오키(羽根直樹) 9단 67 2012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3 야마시타 케이고(山下敬吾) 9단 68 2013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3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69 2014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1 이다 아쓰시(伊田篤史) 8단 70 2015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1 야마시타 케이고(山下敬吾) 9단 71 2016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1 다카오 신지(高尾紳路) 9단 72 2017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0 모토키 가쓰야(本木克弥) 7단 73 2018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1 야마시타 케이고(山下敬吾) 9단 74 2019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2 고노 린(河野臨) 9단 75 2020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1 시바노 도라마루(芝野虎丸) 9단 76 2021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3 시바노 도라마루(芝野虎丸) 9단 77 2022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4 - 0 이치리키 료(一力 遼) 9단 77 2023 이치리키 료(一力 遼) 9단 4 - 3 이야마 유타(井山裕太) 9단 = 공중망 = 공중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공중 교환 전화망 공중육상이동망 공중 데이터 통신망(공중 데이터 네트워크, en) = 제18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제18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05년에 개최된 국제 바둑 기전이다. = 맥라렌 솔루스 GT = 맥라렌 솔루스 GT는 맥라렌 오토모티브에서 2022년부터 생산 중인 제한된 생산 트랙 전용 미드 엔진 스포츠카이다. 맥라렌 F1, 맥라렌 P1, 맥라렌 세나, 맥라렌 스피드테일, 맥라렌 엘바에 이어 맥라렌 얼티밋 시리즈의 여섯 번째 추가 모델이다.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한 게임 그란 투리스모 스포츠에 등장한 2017 비전 그란 투리스모 컨셉을 기반으로 한다.트랙 드라이빙 참여의 극단적인 표현으로 설계되었으며 생산대수는 25대로 제한된다. = = 사양 = = = = = 파워트레인 = = = V10은 Judd에서 파생된 블록으로 맥라렌은 10,000rpm의 레드라인에서 및 를 초과하여 생산한다고 주장하였다. = = = 섀시 = = = 섀시는 포뮬러 원의 수많은 디자인을 통합한 맞춤형 탄소 섬유 모노코크이며, 조종석과 롤바를 보호하는 헤일로에 사용된 3D 인쇄 티타늄 부품, 포뮬러 원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탄소 섬유 충돌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 = = 차체 = = = 차체는 또한 지면 효과를 사용하는 현재의 포뮬러 원 자동차에서 차용한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대형 프론트 스플리터, 바닥에 통합된 Venturi 터널, 트윈 요소 고정 리어 윙이 모두 결합되어 최고 속도에서 의 다운포스 수치를 제공한다. = = 비디오 게임에서의 등장 = = 아스팔트 8: 에어본 아스팔트 9: 레전드 = 가와구치 가즈히사 = 가와구치 가즈히사(, 1959년 7월 8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야구 해설가·평론가이다. 돗토리현 돗토리시 출신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투수였다. = = 인물 = = = = = 프로 입단 전 = = = 돗토리시의 요시오카 온천에서 료칸과 식당을 운영하는 가정에서 3형제 중의 막내로 태어났다.프로패셔널의 ‘원풍경’- 〈3회〉 가와구치 가즈히사 ‘“누구보다 오랜 야구를 하고 싶다” 모든 것의 시작은 거기서부터였다’, 슈칸 베이스볼, 1990년 5월 14일자, p.109 형들의 영향도 있어 일찍부터 야구를 시작해 고난가쿠엔 초등학교 4학년 때 소년 야구팀에 입단했다.슈칸 베이스볼, 1990년 5월 14일자, p.110 처음에는 1루수였지만 6학년 때 투수로 전향했고 고난가쿠엔 중학교 시절에는 돗토리시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 정도의 원동력이 됐다. 자신의 팀이 실책을 해도 화내지 않고 동료들을 위로하는 등 냉정함과 침착한 성격을 가진 투수였다고 한다. 강속구 투수로서 세간의 주목을 받아 돗토리현내의 여러 고교 야구부로부터 입단 권유를 받았지만 돗토리조호쿠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됐다.마이니치 신문, 2012년 2월 23일자 조간, 돗토리 지방면 1학년 때 추계 돗토리현 대회에서 3위에 들어가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 진출했고 1차전에서는 간토 지역 대표인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에게 1대 3으로 패했다. 이것을 계기로 타 지역으로의 원정 경기도 증가하면서 2학년이 된 1976년의 춘계 주고쿠 대회에서는 구로다 신지의 소속팀이자 같은 해 제48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던 소토쿠 고등학교를 8이닝까지 1실점으로 막는 호투를 펼쳤는데도 팀은 1대 2로 패했지만 프로 구단의 스카우트로부터 주목을 받게 됐다. 같은 해 하계 돗토리 대회(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돗토리 대회)에서는 유력한 우승 후보로 거론됐으나 볼넷을 연발하여 2차전에서 팀은 패배해 큰 충격을 받아 야구에 대한 생각이 엄격해졌다고 한다. 3학년이 되면서 마쓰모토 쇼지, 다나베 시게후미와 함께 ‘고교 좌완 3인방’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고핵심 인터뷰 - 가와구치 가즈히사 ‘‘탈삼진’의 견딜 수 없는 유혹’, 월간 겐다이, 1993년 4월호, p.123 일본 프로 야구 10개 구단으로부터 영입하고 싶다는 제의가 나오면서슈칸 베이스볼, 1990년 5월 14일자, p.111 위에서 말한 주고쿠 대회에서 가와구치의 활약하는 모습을 지켜본 가네다 마사이치 당시 롯데 오리온스 감독에게서 눈에 띄어 가와구치에게 직접 전화로 연락하여 “어때, 롯데에 오지 않을래? 나는 너 같은 좌완 투수를 좋아한다. (가네다 자신이 착용하고 있던) 등번호 34번도 준비하고 (롯데에서의 드래프트 1순위 선수와 같은 대우의) 계약금도 3,000만 엔은 준비할 테니까 롯데로 와라”는 관심을 가질 정도로 가와구치 영입에 적극적이었다. 그런 가네다의 열의와는 달리 당시 프로 야구 뉴스에서 롯데라고 하면 ‘가네다류’의 ‘어쨌든 달리고 또 달릴 거야’라는 연습 영상만으로 나왔던 이미지가 가와구치 본인에게는 있었기 때문에 “이런 (달리는 연습뿐인) 팀에는 가고 싶지 않아…”라고 롯데 입단에 부정적이었다. “가네다 감독님, 가능하면 사회인 야구팀에서 롯데로 들어갈 수 있게 해주십시오. 고등학교에서의 지명은 없도록 부탁합니다”라고 가네다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롯데 입단을 거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로써 고교 졸업 후 롯데 입단 가능성은 없어졌다고 생각됐지만 1977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는 롯데로부터 6순위 지명을 받았다. 그리고 가네다로부터 다시 전화가 왔는데 “(입단 여부를 떠나)일단은 6순위로 지명했으니까 마음 바꾸면 (롯데에)들어와라”는 말을 듣고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고 한다. 주변에서 입단을 권유받았으나 “아직은 자신이 없다”라는 이유로 결국 롯데 입단은 없던 일이 됐고 고교 졸업 후인 1978년, 고교 야구부의 감독과 같은 돗토리니시 고등학교 출신의 OB가 감독과 부장을 맡고 있는 사회인 야구팀 듀플로에 입단했다.슈칸 베이스볼, 1990년 5월 14일자, p.108 가와구치 자신은 돗토리조호쿠 고등학교 선배가 소속된 미쓰비시 자동차 교토에 입사하고 싶었지만 고등학교 감독 선배인 듀플로 감독에게 맡기면 모든 걸 제대로 해줄테니 가보라며 반강제적으로 듀플로에 입사가 결정됐다고 했다. 가와구치는 또한 당시 프로 야구에서는 어떤 구단이든 지금처럼 육성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고교 졸업 후 곧바로 프로에 들어간 선수 중에서 큰 성공을 거두질 못한 채로 해고되는 선수가 통계적으로도 너무 많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후 곧바로 프로가 아닌) 사회인 야구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참고로 당시 롯데에서는 계약금 3,500만 엔을 제시받았다고 한다.마이니치 신문, 1999년 1월 14일자 조간, p.26 당시의 듀플로는 자사 전용 연습장이 없을 정도의 환경이 열악했고, 평일에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영업 업무를 하였지만 야구 연습은 야간에 2시간 30분에 불과할 정도였는데 가와구치 본인 말로는 영업 80%, 연습 20%였다고 한다. - 스포니치 입사 1년째는 스미토모 금속에 보강되면서 도시 대항 야구 대회 준준결승에서는 팀이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막판에 잠시 등판했다. 이때 스미토모 금속의 에이스였던 모리 시게카즈와 도시 대항 야구 대회 기간 중 약 1개월 동안 같은 방에서 지내며 가와구치를 너무 아꼈다고 한다. 입사 2년째인 1979년에는 처음으로 선발 등판한 마쓰시타 전기와의 경기에서 배스터드의 자세로부터 홈런까지 허용하는 등 기대 이하의 활약으로 자신감을 잃었을 뿐만 아니라 고교 시절에 무릎을 다친 적이 있었는데도 달리는 것을 강요당한 일도 있어 한때는 퇴단을 고려한 적도 있다. 그러나 이듬해까지는 프로에 입단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1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지역 대회 등에서 호투하는 등의 활약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입단을 희망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 방문한 스카우트 기니와 사토시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드래프트 번외로 획득할 것이니 주목을 피하기 위해 부상이라는 이유로 1년간 던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부탁을 받았다.아사히 신문, 1998년 2월 18일자 석간, p.3도쿄 스포츠 연재 가와구치 가즈히사 G킬러 댄디즘 〈4〉, 2008년 4월 11일, 3면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의 벳토 가오루 감독이 왔을 때도 아픔을 어필해 이를 계기로 부상을 믿는 관계자들이 늘었다고 한다. 당시 듀플로 사장은 전직 해군 군인으로, 야구를 매우 좋아하는 ‘호랑이’ 기질의 사장이었다.도쿄 스포츠 연재 가와구치 가즈히사 G킬러 댄디즘 〈5〉, 2008년 4월 15일, 3면 경기에 지기라도 하면 불같이 화를 내고, 야구부 전원을 일렬로 세워서 엉덩이를 방망이로 쳤다. 어디에도 아픈 곳은 없었는데 거짓말을 하는 것은 통하지 않았다. 1980년의 드래프트 회의에서 하라 다쓰노리를 추첨에서 제외된 히로시마로부터 1순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과 연봉 각각 3,300만 엔, 360만 엔(모두 추정 금액)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요미우리 신문, 1980년 12월 8일자 조간, p.17 계약금에 관해서는 훗날 본인이 TV 프로그램에 출연할 당시 3,500만 엔으로 서명했다고 밝혔다. 앞의 사정 때문에 부모나 회사에게도 히로시마로부터 드래프트 번외에서 얻어지는 것은 말하지 않고 언론도 지명될 줄은 몰랐다고 한다.도쿄 스포츠 연재 가와구치 가즈히사 G킬러 댄디즘 〈7〉, 2008년 4월 17일, 3면 드래프트 1순위 지명에 “댁의 사원에 가와구치라는 사람이 있습니까!”라고 당시 듀플로 본사에서 50m 떨어진 곳에 있던 요미우리 TV가 문의해 왔고 이미 듀플로 본사에 기자들이 몰려왔다. 지명됐을 때는 직장에서 매출 그래프를 작성하고 있었고, 귀빈실에서 급거 기자회견이 열리면서 작업복에 듀플로 로고가 새겨진 점퍼를 입은 가와구치의 모습이 전국에 방송됐다. 앞이 고운 작업복에 잠자리 안경을 착용한 가와구치의 모습에 히로시마팬들도 관심을 갖게 됐다.도쿄 스포츠 연재 가와구치 가즈히사 G킬러 댄디즘 〈8〉, 2008년 4월 18일, 3면 듀플로 최초의 드래프트 1순위 지명에 사장도 기뻐하는가 하면 “결혼할 때는 댁의 따님을 달라고 부모에게 인사를 하는 것이 상식이다. 드래프트 지명을 한다면 보통 회사에 인사 정도를 할 것이다. 히로시마라는 것은 뭐 별거 아닌 팀이다. 갑자기 와서 지명할 수 있는 것은 카바레뿐이다! 너는 프로에 적합하지 않다!”라고 기자회견에서 발언했다. 스카우트였던 기니와가 회사에 인사하러 갔을 때도 이 ‘카바레 이론’으로 즉석에서 반전됐다. 하지만 야구를 좋아하는 사장은 내심으로 반가워 하고 있었고 약간은 유연했지만 무사히 히로시마에 입단할 수 있었다. = = = 프로 야구 선수 시절 = = = 현역 시절 센트럴 리그에서 줄곧 활약했다. 일본 프로 야구에 있어서 외국인 선수 중에서도 좀처럼 보기 드문 좌완 스위치 히터였다. 고등학교까지는 오른쪽에서 치고 있었지만 잘 쓰던 왼쪽 어깨에 몸에 맞는 볼을 맞아 당시 감독에게서 좌타자로 교정을 받고도쿄 스포츠 연재 가와구치 가즈히사 G킬러 댄디즘 〈41〉, 2008년 6월 18일, 3면 프로에서도 처음으로 왼쪽에서 치고 있었다. 1994년 야쿠르트전에서 이시이 가즈히사의 머리를 노리고 날아온 공에 맞아 거꾸로 머리를 땅에 세게 부딪히며 뇌진탕을 일으킨 뒤로 좌완 투수로서는 오른쪽 타석에 서게 됐다. 실제로 일 년에 한 번은 맹타상을 기록하여 좌우 모두 안타를 치는 등 현역 생활 18년간 타격 성적은 797타수 128안타 3홈런을 남겼다. = =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절 = = = = 프로 1년째의 1981년에는 시범 경기부터 안정된 마운드 처리로 고바 다케시 감독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곧바로 1군에 등록돼 자신감을 가졌으나 첫 등판이 된 4월 10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좌타자를 상대로 기용됐다가 2루타를 맞자 2군으로 조정해 달라고 지원했다.‘사라져 가는 남자들에 대한 찬가: 가와구치 가즈히사(요미우리) 최후의 마운드’, 슈칸 베이스볼, 1998년 12월 14일자, p.156 이 신청에는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6월 경에 캐치볼을 지켜보던 야마모토 고지에게 투구 폼의 버릇부터 모든 구종을 눈깜짝할 사이에 간파당해 공포를 느꼈다고 한다. 같은 달에 열린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투수 야마모토 가즈유키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여 결국 2군으로 내려갔고 오시타 쓰요시나 오이시 기요시에 의해서 철저하게 달리기도 했다. 나고야 구장에서 개최된 주니어 올스타전에도 올 웨스턴팀의 일원으로서 출전했다. 그런 한편으로 가혹한 연습을 극복하여 자신감이 붙게 되자, 입단 2년째인 이듬해 1982년 7월 8일에 1군으로 승격돼 같은 달 10일에 있은 요미우리전 등판 중에 갑작스런 허리 통증으로 슬럼프를 겪고 있던 후쿠시 히로아키를 대신해서 15일에 다이요전 선발을 맡아 이 경기에서 프로 데뷔 첫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일 주니치전에서는 4피안타 완봉승으로 첫 완투승을 달성하는 등요미우리 신문, 1982년 9월 3일자 조간, p.17 그 해에는 15경기에 등판하여 4승(5패)과 1.94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했다. 이 해의 시즌 종료 후에는 작년에 이어 교육 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프로 3년째인 1983년 봄, 임시 코치로 초빙된 하세가와 료헤이로부터 컨트롤을 의식한 노 와인드업 투구법이 아닌 입단 당시의 와인드업 투구법으로 돌아가라는 지시를 받은 게 전환점이 되어 1983년부터 선발 로테이션 투수로 1군에 정착했다. 이때 하세가와 코치는 “노 와인드업은 상체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기 때문에 어깨와 팔꿈치를 상하게 된다. 제구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말고 폭투는 자기 편으로 삼으면 된다”라는 조언을 해줬다고 한다.데일리 스포츠, 2007년 10월 10일자 조간, 히로시마판, p.10 6월에는 처음으로 월간 MVP에 선정됐다.아사히 신문, 1983년 7월 7일자 조간, p.19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출전했는데 마운드에 오른 2차전에서는 가도타 히로미쓰로부터 삼진을 빼앗았지만 오치아이 히로미쓰에게 홈런을 허용했다.1983년 올스타전 경기 결과(2차전)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페넌트레이스 종반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뒤쫓는 팀을 만나 9월 3일의 직접 대결에서는 188개의 공을 던져 완투승을 거두었고,아사히 신문, 1983년 9월 4일자 조간, p.17 3일 쉬고 등판했던 9월 21일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전에서도 완투승을 했다.아사히 신문, 1983년 9월 22일자 조간, p.18 1984년에는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속구와 커브만으로 구성된 배합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게 되면서 전반기에서는 겨우 1승 밖에 올리지 못했다.‘몸쪽과 살기 : 아슬아슬 한계의 몸쪽 공간에 포커스를 맞춰라! 혼신을 다한 좌완 투수의 몸쪽에 대한 고집 인사이드 공격이 생명선 가와구치 가즈히사의 크로스 파이터’, 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20 에나쓰 유타카의 조언도 있어 이 때문에 아웃코스의 속구 컨트롤을 연마할 필요성을 느껴 6월부터 한 달 반 동안 2군에서의 조정을 거듭했다. 후반기에서는 7승을 올리는 등 회복의 기미를 보여 팀도 센트럴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한큐 브레이브스와 맞붙은 일본 시리즈에서는 3차전에 등판하여 첫 이닝을 3자 범퇴로 넘기면서 페이스를 타기 시작해 일본 시리즈 첫 등판에서 완투승을 거두었다.아사히 신문, 1984년 10월 17일자 조간, p.17 그러나 6차전에서는 후쿠하라 미네오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 3이닝 도중 7실점을 내주면서 패전 투수가 됐다.1984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6차전)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팀은 그 해에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올랐다. 작년 1983년에 월드 시리즈 챔피언으로서 일본을 방문했던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미일 야구에서 상대해 1차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칼 립켄과 에디 머레이 등을 상대로 6안타 10개의 탈삼진으로 막아내 완봉승을 거두었다.아사히 신문, 1984년 10월 28일자 조간, p.17 최종전에서도 다시 선발로 등판했지만 패전 투수가 됐다.아사히 신문, 1984년 11월 2일자 조간, p.17 그리고 같은 해에 결혼했다. 1985년에는 우타자의 아웃코스를 좀더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 싱커를 습득하여 2년 만에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는 등 시즌 9승을 기록했다. 이듬해 1986년에는 작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한 한신으로부터 5승아사히 신문, 1986년 8월 23일자 조간, p.19을 포함한 3년 만에 두 자릿수 승리가 되는 12승을 기록했고 올스타전에도 3년 만에 출전해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 선발로 등판했다.1986년 올스타전 경기 결과(3차전)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그러나 허리 통증 때문에 일본 시리즈에는 출전할 수 없었다.요미우리 신문, 1991년 10월 13일자 조간, p.19 시즌 종료 후에는 800만 엔이 상승한 연봉 2,400만 엔(추정)으로 재계약을 맺었다.요미우리 신문, 1986년 11월 26일자 조간, p.17 1987년에는 6월 6일까지 무패 행진을 달리며 7연승을 기록하는 등의요미우리 신문, 1987년 6월 7일자 조간, p.17 순조로운 활약으로 정규 시즌에서는 처음으로 센트럴 리그 최다 탈삼진을 기록했다(184개). 이듬해 1988년에는 올스타전 3차전에서 센트럴 리그 팀의 두 번째 투수로서 등판해 3이닝 동안 1피안타 무실점, 탈삼진 3개로 막아냈다.1988년 올스타전 경기 결과(3차전)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9월에 등판한 4경기 모두 완투승을 거두었는데 특히 9월 15일의 요미우리전에서 1피안타 완봉이라는 호투를 보여 통산 두 번째가 되는 월간 MVP를 수상했고요미우리 신문, 1988년 10월 7일자 조간, p.19 미일 야구에서는 3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2이닝 동안 4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됐다.요미우리 신문, 1988년 11월 9일자 조간, p.19 1989년 4월에 월간 MVP에 선정돼 시즌 오프를 사이에 두어 2개월 연속으로 수상했다. 정규 시즌에서는 2년 만에 리그 최다인 192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0년에는 근속 피로와 같은 상태로 몸이 무겁고 본래의 투구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제구력 난조와 슬럼프를 겪는 등 11승 13패를 기록해 승수보다 패전 수가 앞서는 암울한 시즌을 보냈다.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22 속구와 커브의 비율로부터 커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이유로 슬라이더를 기억하게 됐고‘프로가 밝히는 구질의 부분 - 변화구 비결, 변화구는 이렇게 던진다! 가와사키 겐지로 vs 가와구치 가즈히사’, 슈칸 베이스볼, 2005년 6월 6일자, p.16 1991년에는 시즌 최다인 230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면서 같은 해 정식 타이틀로 제정된 최다 탈삼진을 석권하는 등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퍼시픽 리그 우승팀인 세이부 라이온스와 맞붙었던 일본 시리즈에서는 전날에 사사오카 신지가 녹아웃 되면서 전환점이 된 2차전에 선발 등판해‘천국과 지옥을 경험한 남자 가와구치 가즈히사’, Sports Graphic Number, 1991년 11월 20일자, p.46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에게 2점 홈런을 맞았지만 8이닝까지 피안타 3개, 2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 투수가 됐다. 야마모토 고지 감독은 일본 시리즈의 흐름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시즌 중에는 한 차례도 없었던 가운데 3일 간격으로 가와구치를 5차전의 선발로서 기용했다. 가와구치도 이것을 기세로 느껴 104개의 공을 던지면서 8이닝 무실점의 호투를 보여 일본 시리즈 MVP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다. 특히 8회 2사 만루 상황에서 아키야마 고지로부터 삼진을 빼앗은 속구는 니노미야 세이준 등을 비롯한 스포츠 평론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월간 겐다이, 1993년 4월호, p.125 그러나 중간 계투로서 등판한 6차전에서는 동점이던 6회 2사 만루 상황에서 스즈키 야스토모에게 2점 적시타, 7차전에서는 5회 1사 3루 상황에서 히라노 겐과 다나베 노리오에게 결승 적시타를 허용했지만 일본 시리즈 기간 동안 선발로서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였다는 높은 평가받아 일본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계약 갱신과 관련해서는 1,750만 엔이 상승한 연봉 7,550만 엔(추정)으로 재계약을 맺었다.요미우리 신문, 1991년 12월 21일자 조간, p.17 1992년에는 6월까지 2승 8패의 성적으로 극심한 부진을 겪었고마이니치 신문, 1992년 7월 5일자 조간, p.23 빠른 공을 던졌다가 얻어맞는 일도 많았다.요미우리 신문, 1992년 8월 31일자 조간, p.23 시즌에서는 6년 연속으로 달성했던 두 자릿수 승리가 멈췄고 시즌 종료 후에 있은 계약 갱신에서 350만 엔이 삭감된 7,200만 엔(추정)으로 서명하는 등 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연봉이 삭감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마이니치 신문, 1992년 12월 3일자 조간, p.21 또 그 해에는 미일 야구에 출전하여 3차전에서는 데이브 홀린스와 셰인 맥에게 홈런을 연달아 맞으면서 패전 투수가 됐다.마이니치 신문, 1992년 11월 2일자 조간, p.17 이듬해 1993년 6월에는 급성 왼쪽 팔꿈치 관절염이 발병하여 1군 등록이 말소된 데 이어마이니치 신문, 1993년 6월 28일자 조간, p.15 시즌 종반에는 왼손 검지손가락에 혈행 장애가 생겼다.아사히 신문, 1994년 3월 28일자 조간, p.17 또한 같은 해에 자유 계약 권리를 얻었지만 그대로 행사하지 않고 연봉 8,000만 엔(추정)이라는 계약을 갱신했다.마이니치 신문, 1993년 11월 24일자 조간, p.17 1994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승수를 쌓지 못하면서 7연패를 기록해 한때는 선발 로테이션에서 제외되는 등아사히 신문, 1994년 6월 20일, p.23 극심한 부진에 시달릴 정도로 성적이 침체됐지만, 7월 이후로는 7승 3패를 기록하며 컨디션을 회복했다.아사히 신문, 1994년 9월 1일자 조간, p.27 한편 그 전 해에 췌장암으로 쓰러졌던 장인(히노시에 거주)의 상태가 9월 들어 악화되자, 아내가 도쿄로 옮겨 간병하고 싶다고 강하게 호소했다.요미우리 신문, 1998년 10월 2일자 조간, p.23 가와구치 자신은 제2의 고향이 된 히로시마에 대한 애착을 지니고 있었던 데다가 스승과도 같은 존재인 오노 유타카를 비롯한 동료들과 헤어진다는데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매일밤 상의를 거듭하다가 오랫동안 원정 생활을 하면서 더 이상 아내와 떨어져 지내기가 싫다는 마음도 있었기에 결국 고심 끝에 수속 기한인 11월 8일 밤 FA권을 행사하겠다고 구단에 연락했다. 이것은 히로시마 구단 사상 최초로 FA권을 행사하는 선수가 됐지만 11월 10일에 가와구치와 면담한 히로시마 구단 상무는 “기분 좋게 보내주고 싶다”라고 말하면서 가와구치를 만류하지 않았다.마이니치 신문, 1994년 11월 11일자 조간, p.24 또 이 시점에서 이미 요미우리나 한신 등이 그를 영입하고 싶다는 뜻을 히로시마측에 전달하였다. = = = =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 = = = 플레이 스타일 등이 알려지지 않은 퍼시픽 리그에서 뛴다는 이점 등도 고려해 도쿄와 가까운 구단이자 처가가 있는 히노시로부터 연고지가 있는 도코로자와시가 비교적 가까웠던 점, 또한 위에서 언급한 사회인 시절에 자신을 매우 아껴줬던 모리 시게카즈가 코치로 소속돼 있던 인연도 있어 가와구치는 세이부 라이온스에 입단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훗날 가와구치의 어린 시절부터 동경하던 인물인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직접 나섰던 점도 작용해서 장인이 요미우리 열성팬이었던 점도 있었기 때문에 요미우리에 입단했다.슈칸 베이스볼, 1998년 12월 14일자, p.157 요미우리쪽에서는 미야모토 가즈토모밖에 없던 좌완 선발 투수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는 점마이니치 신문, 1995년 1월 24일자 조간, p.17이나, 작년에 요미우리한테서 4승을 올리고 있던 호적수 투수와의 더이상 맞붙을 일이 없어진다는 점 등을 평가하고 있었다. 또 히로사와 가쓰미에 이어 FA에 의한 요미우리 입단이 결정되면서 마찬가지로 FA 선언을 한 뒤 거취 논란이 일었던 구도 기미야스의 요미우리 입단 가능성이 없어졌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아사히 신문, 1994년 11월 20일자 조간, p.27 이적과 더불어 연봉은 2,000만 엔이 늘어난 1억 엔(추정)으로 상승했지만아사히 신문, 1994년 12월 6일자 조간, p.23 이같은 연봉을 두고 일부 언론과 주간지 등에서는 “3년 연속 한 자릿수 승리가 이어지고 있는데 FA 이적에 따른 높은 연봉 획득을 노렸다”라는 비판성 논조의 기사가 게재됐다. 장인은 가와구치의 이적을 반겼으나 이듬해인 1995년 3월에 사망했다. 하지만 좌완 선발의 기둥이 될 것으로 기대된 1995년에는 4승에 그쳤고 이듬해 1996년에는 개막 3차전째에 선발 등판하여 9회 도중 1실점 호투했으나 그 후에는 제구력 난조로 인해 전혀 이기지 못하고 5월에는 선발 로테이션에서 제외돼 6월 상순까지 2군에서 조정하고 있었다.‘D vs. G 환희의 추억 - 나가시마 교진의 메이크도라마를 완결시킨 남자 가와구치 가즈히사 96년 리그 우승 헹가래 투수’, 슈칸 베이스볼, 1999년 10월 4일자, p.19 이전에는 은퇴도 고려했지만, 미야타 유키노리 2군 투수 코치의 부름으로 구원 투수로 전향했다. 선발은 8월 10일 주니치전에서 마지막이 됐지만요미우리 신문, 1996년 9월 28일자 석간, p.7 7월부터 8월에 걸쳐 패전 경기의 구원으로 등판하면서 안정된 투구를 보이는 등 팀이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기용이 점차 늘어나게 됐다.슈칸 베이스볼, 1999년 10월 4일자, p.21 구원 투수로서는 평균 자책점이 1점대 초반의 좋은 성적을 남겼고 9월 24일에는 프로 16년 만에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메이크도라마를 향해 컨디션을 끌어올린 팀에 있어서 같은 좌완 투수인 고노 히로후미와 함께 구원 투수의 중심이 됐다. 10월 6일 주니치전(나고야 구장)에서는 9회말 2사에서 다쓰나미 가즈요시로부터 탈삼진을 기록해 자신으로서는 처음이자 최고 투수의 자리에 올라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공교롭게도 이 경기는 나고야 구장에서의 1군 공식전 마지막 경기였다(주니치는 다음 해인 1997년부터 홈구장인 나고야 돔으로 이전했다).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맞붙은 일본 시리즈에서는 1차전, 2차전, 5차전 등 3경기에 등판해 합계 4와 2/3이닝 무실점으로 시즌을 마쳤다.1996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 -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1997년부터는 예전부터 고질적인 부상에 시달렸던 허리나 왼쪽 다리의 통증, 어깨의 위화감 등으로 2군에서의 조정이 계속되면서 조성민이나 오노 히토시 등 젊은 선수들에게 투구와 마음가짐에 대한 조언을 보내기도 했다. 1998년 시즌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고 은퇴 경기가 된 10월 3일, 대전 상대이자 친정팀인 히로시마전에서 인사 때 은퇴식에 참석한 히로시마의 선수들에 대한 사례를 말했다. 2016년 시점에 FA로 요미우리에 이적하여 요미우리에서 은퇴한 투수는 가와구치뿐이다(야수로는 2015년에 은퇴한 긴조 다쓰히코가 있다). = = = 그 후 = = = 은퇴 직후인 1999년부터 TBS의 야구 해설자와 안녕 쿠지라에 해설자로서 고정 출연했고슈칸 베이스볼, 1998년 12월 14일자, p.158 TBS와의 계약은 2009년까지 계속돼 2010년부터는 CS·라디오에 출연하고 있다. 또, 1998년 가을에는 NHK 교육 텔레비전의 교양 프로그램에 출연해 프로그램내에서 이탈리아 요리를 배우기도 했다.‘’, 오브라, 2003년 5월호, p.96 1999년에는 7월 31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의 공식전에서 시구식의 시구자로 나오기도 했고마이니치 신문, 1999년 6월 29일자 조간, 히로시마 지방면 주고쿠 방송에서 야구 해설위원을 맡는 것 외에도 프로 야구 마스터스 리그에서는 삿포로 앰비셔스의 소속 선수로 활동하였다. 또 탤런트로서 방송에 출연하거나 취미인 경정의 해설까지 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2005년에는 고향인 돗토리현에서 가토 신이치 등과 함께 사회인 야구 클럽팀 설립에 종사했고 12월 8일에 돗토리 키타로우스가 창단하면서 총감독으로 부임했다.아사히 신문, 2005년 12월 25일자 조간, 돗토리 지방면 1년 간 역임한 뒤 해설자 등 일과의 양립이 어려워 충분히 지도할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사임을 신청했다.마이니치 신문, 2005년 2월 4일자 조간, 돗토리 지방면 구단에서는 만류했지만 2007년 1월에 사임은 받아들여졌고 관계자들로부터 팀을 북돋아줬다는 감사의 말을 전달받았다고 한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요미우리의 미야자키 춘계 스프링 캠프에서 임시 투수 코치를 맡았고 2011년 시즌부터 요미우리 1군 투수 종합 코치로 부임요미우리 신문, 2010년 11월 2일자 조간, p.19했다. 2014년 10월 19일에 1군 투수 종합 코치직에서 물러남과 동시에 요미우리 구단측이 가와구치를 비상근에서의 프런트(편성부)에 들어갔다는 내용을 발표했고, 2015년부터는 요미우리 편성부에 재직하는 입장에서 TBS 라디오·TBS TV(주로 위성파의 BS-TBS·TBS 채널 전용의 방송)의 해설자로 복귀했다. TBS 라디오가 야구 중계에서 손을 뗀 2018년부터 DeNA 주최 중계로 CBC 라디오, 주고쿠 방송 등에 출연하고 있다. 또 지바 롯데 주최 경기에서는 분카 방송 제작의 RKB 라디오·HBC 라디오에 중계하는 데도 출연하고 있다. 2021년에 모친상을 당함에 따라 친척들이 모였을 때 돗토리로의 귀향을 권유받은 것을 계기로 2021년 연말에 고향 돗토리시로 이사했다. 이사 후 ‘돗토리 웰커니스포츠 종합 대사’로 위촉됐고 지금까지 했던 해설도 하면서 돗토리에서의 야구 지도와 경험하지 않었던 농업에 종사하며 정미업을 하고 있다. - FNN 프라임 온라인(2022년 4월 19일), 2022년 5월 26일 확인 = = 플레이 스타일 = = 제일 자신있는 구종은 속구이며, 거기에 동일한 폼으로 던지는 커브나 슬라이더를 여기에 더하는 투구 스타일이 기본을 이루었다. 프로 입문한 직후에 아니야 소하치의 조언을 얻어 크로스파이어 대응을 가장 먼저 생각하기 마련이니 힘이 실린 속구를 던진다면 막아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19 몸에서 가깝고 방망이 중심에 맞추기 어려운 몸쪽 높은 코스를 뚫기 위해 방망이 손잡이보다 약간 아래쪽을 노림으로써 타자가 손을 대는 범위 중에서 가장 까다로운 코스를 공격하고자 했다. 몸쪽 높은 코스로 파울을 맞으면 낮은 투구의 완만한 변화구로 손쉽게 삼진을 처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한편 좌타자의 경우에는 아웃코스에 목표물이 없어서 세밀한 제구가 어렵기 때문에 인코스의 제구에 신경을 썼다.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21 제구를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구종을 간파당하지 않도록 릴리스 포인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중시했다. 팔을 휘두르는 모습이 속구와 커브, 슬라이더를 던질 때 완전히 똑같았기 때문에 타자가 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포수도 처리하기 어려웠다고 한다.本, 고단샤, 1999년 4월호, p.60 이 때문에 요미우리에서는 사인 없이(노 사인) 가와구치의 투구를 받아낼 수 있는 다쓰카와 미쓰오와 같은 포수가 없었기에 헛스윙을 해도 공을 투수가 패스트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배터리를 짜기 시작했을 무렵에는 다쓰카와하고 호흡이 전혀 안 맞아서 경기 개시 직후 내린 사인에 세 번 연속으로 고개를 젓는 바람에 다쓰카와를 격분하게 만들기도 했다가 투수가 루에 나와도 견제구를 던지는 등 가와구치의 독특한 리듬을 다쓰카와가 존중해 주면서 타자의 약점을 공격하기보다 던지기 쉬운 공을 중시하게 되자 궁합이 좋아졌다고 한다.‘야구의 유물론 52 - 다쓰카와 미쓰오 vs 가와구치 가즈히사 ‘배터리란 무엇인가’(후편)’, 本, 고단샤, 1999년 5월호, p.55 이처럼 다소 기복이 있어서 별 것도 아닌 타자에게 간단하게 볼넷을 내주는가 하면 강타자에 대해서는 극히 감정이 실린 공을 던져 잡아내기도 했다. 컨트롤이 좋지 못한 탓도 있어 투 스트라이크까지는 포수한테 크게 의존했다가 궁지에 몰리면서부터는 코스에 몸자체로 대비하면서 집중력을 끌어올려 승부에 나서곤 했다. 현역 은퇴 후에 가진 인터뷰에선 돔구장에서의 등판은 그닥 좋아하지 않았음을 고백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후쿠오카 돔에서의 등판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그 이유로 가와구치 본인은 아웃코스의 직구를 생명선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주도권을 잡아가는 스타일을 취했지만 “후쿠오카 돔은 내부가 어둡고 마운드가 높아서 18.44m의 거리감을 쉽게 잡을 수가 없었다. 아웃코스의 직구 궤도가 안정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히로시마 시절인 1994년 5월 18일 후쿠오카 돔에서 열린 요미우리전에 선발 등판했을 때는 2회 도중에 3실점을 내주며 일찌감치 강판해 고전하고 있었다. 공교롭게도 이 날은 요미우리 선발 투수인 마키하라 히로키가 일본 프로 야구 역대 15번째가 되는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또 삼진이냐 볼넷이냐의 투구가 강점이었다.슈칸 베이스볼, 2021년 7월 5일자, 제31호 = = = 구종 = = = 속구의 경우 시속 140km/h대의 구속이나 코스보다는 공을 힘껏 쥐고 스핀의 특징을 살려 손끝을 완전히 뻗다시피 던지는 것에 늘 신경썼다고 한다. 속구에 능란해서 노리기만 하면 확실하게 삼진을 잡아내는 힘이 있어서‘프로패셔널들 오치아이 히로미쓰 ‘야구계 명사록’ vol.19 가와구치 가즈히사’, 슈칸 베이스볼, 1999년 6월 21일자, p.49 1987년, 1989년, 1991년 세 차례에 걸쳐 센트럴 리그 최다 탈삼진을 기록했다. 하반신으로 다부지게 버티면서 공을 한참 쥐고 있다가 얼굴 앞에서 릴리스하는 이미지로 던지는데, 타자들로부터 공이 쭉 늘어나서 실제 구속보다 더 빠르게 보인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이 때문에 허리를 중심으로 몸을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몸 앞쪽에서 빠르게 팔을 휘둘렀다가 팔꿈치를 앞으로 내밀며 공을 던졌다. 현역 시절인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후년과는 달리 빠른 공의 예리한 느낌과 구위가 있으면 변화구에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타자를 잡아낼 수 있었다고 말한다.슈칸 베이스볼, 2005년 6월 6일자, p.13 우타자를 상대하면서 카운트를 벌고 싶을 때에 쉽게 손을 댈 수 있도록 일부러 팔꿈치를 내려서 상하 각도를 없앰으로써 공이 어디서 날아오는지 보기 쉽게 던지기도 했다.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21 또, 좌타자에 대해서는 릴리스 때 중지에만 볼을 살짝 얹다시피 해서 던지는 식으로 미묘한 슈트 회전을 걸치고 몸쪽에 먹혀들게 하는 때도 많았다. 소년 시절 목표로 삼았던 니우라 히사오의 영향으로 우선 커브부터 익힌데 이어 슬라이더를 익혔으며, 프로 입단 후에는 세로 변화구로 포크볼과 스크루를 익히는 등 연구를 거듭해서 2 ~ 3년마다 새로운 구종을 습득했다.本, 고단샤, 1999년 5월호, p.57 그리고 변화구를 숙달시키는 데는 실전에서 던지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하여 가령 포크볼은 야쿠르트전에서 오스기 가쓰오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처음으로 던졌다고 한다. 커브는 손바닥과 공을 띄우는 것이 특징인 공을 쥐는 법으로 릴리스 때 중지로 공을 으스러뜨리는 듯한 감각으로 던지면 스핀이 잘 걸렸다고 한다. 몸을 지탱하는 축이 되는 다리로 버티는 것이 중요한데 현역 말년에는 커브의 구부러지는 정도가 악화됐다. 릴리스 포인트의 위치를 바꾸어 빠른 커브와 느린 커브라는 두 가지 종류를 구분해서 던졌다.슈칸 베이스볼, 2005년 6월 6일자, p.15 좌타자에 상대하면서 몸쪽으로 던지면 머리 위에서 사라지는 듯한 궤도를 그렸다고 한다. 슬라이더는 커브와 같은 식으로 쥐고 손바닥을 볼에 붙였다가 떨어지는 순간에 손목을 비스듬히 향하는 것 외에는 직구와 투구폼이 같았다. 타자에게서는 직구와 똑같은 궤도로 날아오다가 갑자기 구부러지면서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경기에서 슬라이더를 처음 시도했을 때는 다쓰카와로부터 혹평을 받았지만 서서히 개선해 나갔다. 이 구종을 습득하면서 1991년에는 리그 1위인 230개의 탈삼진을 기록했으나 이후에는 변화량이 조금씩 떨어졌다. 좌타자에게는 주로 아웃코스로 던져서 삼진을 잡아냈는데 노무라 겐지로와 맞붙은 것을 계기로 의표를 찌르기 위해 인코스로도 던지게 됐다.야큐코조, 2006년 2월호, p.123 스크루볼은 포크볼을 베이스로 하는데 릴리스 때 구부러진 집게손가락에 볼이 걸렸다가 바깥으로 달아나면서 떨어졌고 중지는 봉제선에 얹지 않았다고 한다. 우타자를 상대하면서는 효과적이었지만 좌타자한테는 먹히지 않았기 때문에 슈토를 익혔다.슈칸 베이스볼, 2005년 6월 6일자, p.17 직구에다 약간만 변형을 준 방법으로 공을 쥐고 던졌기에 변화량은 미미했지만, 좁은 각도로 들어오기 때문에 몸쪽에 던지면 타자를 궁지에 몰아넣는 효과가 있어 커브와 조합하는 게 효과적이었다. = = = 제구 = = = 컨트롤이 안 좋았기 때문에 상반신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반신으로 리듬을 타는 것에 신경을 썼다.슈칸 베이스볼, 2005년 6월 6일자, p.14 시즌 최다 폭투를 기록한 것 외에도 1994년에는 통산 폭투수의 센트럴 리그 기록(종래는 곤도 마사토시의 69개)을 경신했다.요미우리 신문, 1994년 7월 11일자 석간, p.10 한편, 볼넷을 포함해 투구 수는 많아도 리듬이 좋아서 경기 시간은 짧았기 때문에 수비를 맡은 야수들의 집중력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本, 고단샤, 1999년 4월호, p.61 오치아이 히로미쓰는 10차례의 볼넷을 내주고 150개 이상을 던져도 완투 승리를 거둘 스타일이라고 평가했다. 볼넷을 연속으로 내주면서 만루 상황이 되고 다음 타자도 쓰리 볼에 노 스트라이크가 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지만 거기서부터는 끈질기게 점수를 쉽게 내주지 않는 등 보통 타자하고는 볼넷의 의미가 다르다고 다쓰카와 미쓰오는 말한다.‘야구의 유물론 51 - 다쓰카와 미쓰오 vs 가와구치 가즈히사 ‘배터리란 무엇인가’(전편)’ 本, 고단샤, 1999년 4월호, p.59 또 일반적으로 투수가 불리하다고 여겨지는 3볼 2스트라이크나 3볼 1스트라이크의 볼카운트를 매우 능숙하게 사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슈칸 베이스볼, 2004년 7월 5일자, p.25 타자가 높은 확률로 공을 때려내는 이러한 카운트 상황에서도 팔을 제대로 휘두루면서 던졌기에 볼이라도 스윙이 걸리거나 쉬운 코스에도 힘이 실려 타자가 이를 때려내지 못하는 때가 있었다고 한다. = = = 선발 = = = 1년을 통해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기 위해서 체력을 키우는 것과 더불어 2군에서의 조정도 염두에 두고 컨디션 난조 시기를 가급적 단축하는 데 유의했다.‘스타터의 미학 : 가와구치 가즈히사가 말하는 스타터론 “두 자릿수 승리를 클리어해야 비로소 선발 투수 칭호가 주어진다”’, 슈칸 베이스볼, 2007년 8월 13일자, p.22 매년 두 자릿수 승리를 거두는 것을 선발의 기준으로 파악하고 페넌트레이스가 6개월이기 때문에 매달 2승씩 올리기 위해 월 초반 등판에서 이기는 데 전력을 쏟았다. 여기서 이기면 나머지 경기는 마음이 무척 편해졌다고 한다. 선발로 나서면 항상 완투를 염두에 두고 5회까지는 전력을 다해 던지다가 매 이닝 선두 타자가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8, 9회에는 한 명씩 막아내는 것을 중시했다고 한다.‘투구 방법 승리를 잡는 ‘1구의 공방’ 가와구치 가즈히사 vs 마키하라 히로미’, 슈칸 베이스볼, 2004년 7월 5일자, p.24 타자가 한 바퀴 돌 때까지는 직구를 축으로 카운트를 조정하고 타석이 두 번째로 돌아오면 커브로 전환해 보유 구종 중에서 비중을 달리해가면서 볼배합을 했다. 또, 선두 타자에 대해서는 경기 내내 출루를 막는 것을 의식했다. 첫 시작이 고역이라서 3회까지는 몇 번씩 위기에 몰렸다가도 거기를 넘으면 자연스럽게 승리로 향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요미우리에 이적한 이후 선발에서 제외된 때에는 현역 생활을 그만두려고도 생각해 구원 투수로 전향한 이후에도 1개씩 전력으로 던지는 감을 잡는데 1개월이나 걸렸다. “경계하는 타자에게는 볼을 던지고, 볼넷이 되면 다음 타자와 승부”라는 선발에서의 투구 스타일이 통하지 않아서 상대하기 어려운 타자에게도 대담하게 승부를 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 또한 미야타 유키노리의 지도로 보폭을 짧게 하고 축을 만드는 폼을 했을 때 제구가 좋아져서 타자가 노리는 코스에 가깝게 던져서 투구 수를 줄이는 투구 스타일으로 바뀌었다. 패한 경기를 정리해 가는것은 어려웠지만 중간 계투나 마무리 투수를 경험했던 것은 장기적으로 플러스가 됐다고 한다. = = = 오치아이 히로미쓰와의 대결 = = = 오치아이 히로미쓰와의 상대 전적은 118타수 32안타로, 타율 2할 7푼 1리, 홈런 6개, 15타점으로 특별히 좋지않은 성적이었지만 오치아이로서는 “프로 중에 유일한 천적”이라고 생각할 정도의 상대하기 어려운 선수로 인식되고 있었다. 공을 끌어들이는 타격 스타일이 좌완 투수와 궁합이 나빴던 것과 동시에 빠른 공의 예리함과 컨트롤의 수준이 한 경기를 통해서 높았고 투구 패턴을 연구해도 투구 도중에 구종의 종류가 바뀌면서 깊이 생각하지 않고 본능적으로 상대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또 가와구치가 전성기에 이치로와 대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시즌을 통틀어 제압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투수였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한편, 가와구치 자신도 오치아이와의 대결은 한 경기를 통한 심리전 등이 매우 재미있었다고 말했다.슈칸 베이스볼, 2004년 7월 5일자, p.27 보통하던대로 승부를 하면 안타나 홈런을 맞아버리기 때문에 1구 1구를 공들여서 복선을 사용해가며 던질려고 하면 승부의 과정을 서로가 인식하고 있었다. = = 그 외의 기록 = = 히로시마 시절에는 ‘요미우리 킬러’로서도 활약하여 요미우리와의 상대 전적에서는 33승 31패를 기록했다. 요미우리전에서 30승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 투수 가운데 패한 횟수보다 이긴 횟수를 많이 기록하고 있는 선수는 호시노 센이치, 히라마쓰 마사지, 가와구치 등 3명 뿐이다.아사히 신문, 2017년 1월 24일자 석간 동시에 ‘한신 킬러’이며, 1983년에는 한신전에서 3경기 연속 완봉승을 기록, 1987년 5승 무패, 1988년 5승 1패의 좋은 성적을 남기는 등 히로시마 시절에만 요미우리전을 뛰어 넘는 통산 34승(21패)을 기록했다. 또 요미우리 이적 후에 한신으로부터 2승을 올리고 있어 한신전에서의 생애 성적은 36승 21패가 됐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돗토리조호쿠 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듀플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1981년 ~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1995년 ~ 1998년) = = = 지도자 경력 = = =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투수 종합 코치(2011년 ~ 2014년)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 = 타이틀 = = = = 최다 탈삼진 : 3회(1987년, 1989년, 1991년) ※센트럴 리그에서는 1991년부터 타이틀로 제정됨. = = = = 수상 = = = = 일본 시리즈 감투상 : 1회(1991년) 월간 MVP : 3회(1983년 6월, 1988년 9월, 1989년 4월) 우수 JCB·MEP상 : 1회(1989년) = = = 개인 기록 = = = = = = = 첫 기록 = = = = 첫 등판 : 1981년 4월 10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차전(나고야 구장), 6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3이닝 3실점 첫 탈삼진 : 상동, 7회말에 히라노 겐으로부터 첫 선발·첫 승리 : 1982년 7월 15일,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14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6이닝 1실점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 1982년 9월 2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4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첫 세이브 : 1996년 9월 2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6차전(도쿄 돔), 7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3이닝 무실점 = = = = 기록 달성 경력 = = = = 통산 1000투구 이닝 : 1988년 7월 7일, 대 한신 타이거스 1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5회초 3아웃에 달성 통산 1000탈삼진 : 1989년 6월 8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0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2회초에 스미 후지오로부터 ※역대 79번째 통산 1500투구 이닝 : 1990년 9월 22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도쿄 돔), 6회말 2아웃에 달성 통산 100승 : 1991년 6월 1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4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완봉 승리 ※역대 102번째 통산 1500탈삼진 : 1991년 9월 7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3차전(도쿄 돔), 4회말에 오카자키 가오루로부터 ※역대 34번째 통산 2000투구 이닝 : 1993년 7월 1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6차전(삿포로시 마루야마 구장), 3회말 3아웃에 달성 ※역대 71번째 통산 2000탈삼진 : 1995년 9월 27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0차전(도쿄 돔), 3회초에 하루 도시오로부터 ※역대 14번째 = = = = 기타 = = = = 올스타전 출장 : 6회(1983년, 1986년 ~ 1990년) = = = 등번호 = = = 34(1981년 ~ 1994년) 25(1995년 ~ 1998년) 71(2011년 ~ 2014년)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1981년 히로시마 7 0 0 0 0 0 1 0 .000 44 11.0 8 3 5 0 0 12 0 0 7 7 5.73 1.18 1982년 히로시마 15 11 1 1 0 4 5 0 .444 301 69.2 57 1 34 0 1 50 3 0 23 15 1.94 1.31 1983년 히로시마 33 32 14 4 0 15 10 0 .600 920 218.2 189 23 104 1 8 166 2 1 87 71 2.92 1.34 1984년 히로시마 24 22 5 1 0 8 6 0 .571 522 123.1 110 16 59 0 3 104 5 0 64 58 4.23 1.37 1985년 히로시마 31 21 5 2 0 9 9 0 .500 627 143.2 150 15 62 3 2 116 4 0 73 70 4.39 1.48 1986년 히로시마 24 24 6 1 0 12 9 0 .571 711 164.2 153 17 63 7 2 145 6 0 61 55 3.01 1.31 1987년 히로시마 27 27 8 2 0 12 11 0 .522 756 183.1 154 21 62 8 2 184 1 0 67 60 2.95 1.18 1988년 히로시마 27 25 8 2 1 13 10 0 .565 794 190.2 155 15 72 4 7 179 11 0 61 54 2.55 1.19 1989년 히로시마 26 26 11 2 1 12 7 0 .632 851 208.1 167 18 73 8 6 192 8 0 65 58 2.51 1.15 1990년 히로시마 29 29 11 2 0 11 13 0 .458 895 208.2 187 26 87 3 5 180 6 0 101 92 3.97 1.31 1991년 히로시마 29 29 8 2 0 12 8 0 .600 840 205.0 169 16 82 4 3 230 10 0 70 66 2.90 1.22 1992년 히로시마 26 26 9 2 1 8 12 0 .400 766 183.0 168 18 65 0 2 156 5 0 79 68 3.34 1.27 1993년 히로시마 25 25 7 3 0 8 11 0 .421 722 162.2 167 15 74 2 3 128 5 0 71 64 3.54 1.48 1994년 히로시마 27 22 3 1 0 7 10 0 .412 631 139.1 142 18 93 1 1 96 5 0 74 73 4.72 1.69 1995년 요미우리 17 17 2 0 0 4 6 0 .400 396 91.2 90 12 37 1 3 66 2 0 47 45 4.42 1.39 1996년 요미우리 29 11 0 0 0 1 4 3 .200 331 76.1 68 8 33 5 6 62 4 0 28 25 2.95 1.32 1997년 요미우리 22 0 0 0 0 3 3 1 .500 81 16.1 23 3 7 0 1 17 1 0 20 18 9.92 1.84 1998년 요미우리 17 0 0 0 0 0 0 0 62 13.2 15 1 9 1 0 9 1 1 8 7 4.61 1.76 통산 : 18년 통산 : 18년 435 347 98 25 3 139 135 4 .507 10250 2410.0 2172 246 1021 48 55 2092 79 2 1006 906 3.38 1.32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 저서 = = 《투구론()》(고단샤겐다이 신서, 1999년 9월 20일) 《반역의 좌완()》(네코 퍼블리싱, 2001년 8월) = 디지털도서관 = = 제61보병사단 (대한민국) = 제61보병사단(第六十一步兵師團, , 상징명칭: 상승부대)은 대한민국 육군 수도군단 예하에 있던 동원보병사단이었다. 동원사단은 평시 감편부대로써 예비군 교육관리를 하며 전시로 전환되어 동원령이 선포되면 예비군을 증편받아 완편 후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이다. 1974년 4월 1일, 광주광역시 제2군단 예하 제61훈련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81년 8월 20일에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2017년 11월 30일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해체되었다. 인천광역시로 이전하기 전에는 사단 사령부와 포병연대, 제179보병연대는 광주광역시 북구, 제177, 178보병연대는 상무대에 주둔했었다. = = 편성 = = 제177보병연대 제178보병연대 제179보병연대 포병연대 제351포병대대 제352포병대대 제353포병대대 제931포병대대 사단직할대대 = = 사단가 = = 보아라 푸른 하늘 상승의 터전 부풀은 가슴마다 희망 드높다 충성된 몸과 마음 갈고 또 닦아 조-국의 평화 위해 목숨을 바칠 우-리는 천하무적 평-화의 사도 청-사에 길이 빛날 육십-일 사단 61 61 = 서산 개심사 심검당 = 개심사심검당(開心寺尋劍堂)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5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다. 절 안에는 개심사 대웅전(보물 제143호)을 비롯하여 명부전, 무량수각 등의 문화재가 있다. 그 중 심검당은 건축연대를 기록한 문헌이 없어 지은 시기를 알 수 없고 단지 조선 성종 15년(1484)에 다시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인데 건물 왼쪽에 앞면 3칸·옆면 5칸 규모의 덧집이 붙어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꾸몄다. = = 참고 자료 = = * 개심사 심검당 개심사 심검당 심검당 = 분류:노란색 선 (몬트리올) = = 라콜 = 라콜은 모나코를 구성하는 10개 행정구 가운데 하나이며 면적은 0.11km2, 인구는 2,829명(2000년 기준)이다. 과거 라콩다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모나코 북서부와 퐁비에유 북쪽에 위치한다. 산업 시설과 교육 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국영학교 1개, 사립학교 1개가 들어서 있다. = 분류:불교 순례 = = 틀:우한 지하철 = = 분류:하와이주의 군사 = = 사르페돈 = 그리스 신화에서 사르페돈이란 이름은 대체로 다음의 세 명의 다른 사람을 뜻한다. 사르페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리시아의 초대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페의 아들이며 크레타왕 미노스의 동생이다. 사르페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리시아의 왕으로 벨레로폰의 외손자로 제우스와 라오다메이아의 아들, 혹은 사르페돈의 손자였다. 사르페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되었다. = 홍진아 (기자) = 홍진아 (紅塵亞, 1990년 8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KBS 기자 겸 앵커다. = = 학력 = =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 = = 경력 = = 2014년 : KBS 40기 공채 기자 KBS 보도국 사회부 사건팀 기자 KBS 보도국 사회부 법조팀 기자 KBS 보도국 사회부 기획팀 기자 KBS 보도국 국제부 기자 KBS 보도국 문화부 교육팀 기자 KBS 보도국 경제부 유통팀 기자 KBS 보도국 문화복지부 복지팀 기자 KBS 보도국 문화복지부 시청팀 기자 KBS 보도국 통일외교부 국방부 담당 기자 KBS 보도국 정치부 기자 KBS 보도국 앵커 = = 진행 = = 2023년 5월 6일 ~ 현재 : KBS1 《KBS 뉴스광장 토요일》 2023년 11월 13일 : KBS1 《KBS 뉴스광장 평일》임시진행 = 제곱합 = 제곱합(sum of squares, 자승합,SS)는 표본 내의 각 사례의 변인 값과 평균 사이의 편차를 제곱한 값들의 총합으로, 표본 내의 변산성(variability)의 총량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 분류:북아메리카계 북아메리카인 = = 분류:호라산에라자비주 출신 = = 분류:2020년 기재된 물고기 = = 분류:이란-이라크 전쟁의 소련군 장비 = = 모듈:Location map/data/USA Metro Atlanta = return { name = 'Metro Atlanta', top = 34.326, bottom = 33.346, left = -84.898, right = -83.776, image = 'Metro atlanta.jpg' } = 소모전 = 소모전(消耗戰, )은 교전 중에 인력과 물질이 지속적으로 소모되어 쉽게 승부가 나지 않는 전쟁을 가리킨다. 이러한 전쟁은 승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많은 자원이 수반된다.Types of War, www.military-sf.com, undated (accessed 20 January 2007) = = 전략적 고려사항 = = = = = 전격전과 결전은 미포함 = = = 소모전은 유격전, 인민전쟁, 초토화전, 결전을 제외한 모든 전투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상대의 군사력을 파괴하여 상대의 전쟁능력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를 말한다. 소모전에는 모든 종류의 전격전이나 힘의 집중 및 승리를 위한 결정적인 전투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지 않는다. 더 빠른 속도로 군대를 강화하는 쪽이 일반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한다. 클라우제비츠는 이를 적의 탈진이라고 불렀다. = = = 불리한 측이 택할 만한 선택지이며 지친 적과는 소모전만 지속이 불가능 = = = 자신이 현저하게 불리한 입장에 있다고 인식하는 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방의 이점을 무력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모전을 모색할 수 있다. 손자는 장기전으로 이득을 본 나라가 없다고 했지만, 1812년 러시아는 나폴레옹과의 소모전으로 전쟁에서 승리했다. 소모적 방법이 다른 방법을 실현할 수 있을 만큼 적을 충분히 지치게 하면 소모적 방법은 종종 다른 전략에 의해 보완되거나 심지어 포기되기도 한다. 제1차 세계대전 양측의 군 사령관들은 소모전에 의존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전략적 결과 없이 사상자가 발생했다. = = = 상대방의 소모 강요가 주요 목표 = = = 소모전과 다른 형태의 전쟁의 차이점은 단일 전투에도 일반적으로 소모의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다소 인위적인 것이다. 자신의 점진적인 손실을 허용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면서 결국 상대방이 용납할 수 없거나 지속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게 하는 점진적인 소모를 유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는 경우 소모 전략을 추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자원이나 영토를 정복하거나 단번에 적에게 큰 손실을 입히려는 시도(예: 포위 및 포획)와 같은 다른 주요 목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소모전은 또한 상대방을 위한 전쟁에서 마찰을 증가시키려고 시도한다. = = = 장기전의 부재는 실패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 = = = 소모전은 상대보다 더 많은 자원이나 비대칭적 이점을 가진 전투원에게 논리적인 선택처럼 보일 수 있지만 상당한 단점도 있다. 아마도 소모전 실패의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전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지정학적, 전략적 상황은 장기간에 걸쳐 극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승리가 빨리 달성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상대방에게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또한 소모 전략은 상대에게 전술과 전략을 조정할 시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략은 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승리로 이어지지만,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아테네와 같은 작전 및 지정학적 사고로 인해 결국 실패할 수도 있고, 영국 전투 중 독일과 같은 전략적 오판으로 인해 결국 실패할 수도 있다. = = 예 = = 악티움 해전 대월 제국 미국 독립 전쟁에서의 미국 전략 러시아 원정 미국 남북 전쟁에서의 참호전 세계 1차 대전에서의 참호전 (솜 전투, 베르됭 전투를 포함) 영국 본토 항공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르제프 전투 다부동 전투, 한국 전쟁의 마지막 2년 베트남 전쟁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리비아 내전 멕시코 마약 전쟁 = = 관련 작품 = = 영화 《고지전》 = = 출처 = = * * * * * * * * * * * * =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 =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東海港國際旅客 - , )은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여객선 터미널이다. 2009년에 동해시와 일본 사카이미나토시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여객선과 함께 개항하였다. = = 위치 = = 동해항 국제여객터미널은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에 위치하고있다. = = 역사 = = 1998년 (주) 현대상선이 금강산 관광을 위해 건립하였다. 2002년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면서 터미널을 해양수산부에 기증하였다. 2009년 6월 일본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DBS 크루즈의 이스턴 드림호가 취항하면서 터미널을 사용하고있다. = = 구상 = = 2008년 10월 24일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일본 사카이미나토 항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 취항이 임박하였다동해항 일본·러시아행 국제 여객선 취항 2009년 6월 29일 DBS 크루즈의 이스턴 드림호가 정식취항 예정이다.동해항 국제여객선 6월29일 취항 확정 2015년 12월 24일 동해 ~ 일본 마이즈루시가 정식운항을 앞두고 시범운항하였다. 2015년 12월 26일 동해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새단장했다.동해항 국제여객터미널 새단장 = 토머스 윌리스 = 토머스 윌리스(Thomas Willis, 1621년 1월 27일 ~ 1675년 11월 11일)는 영국의 의사이며 신경해부학자, 신경학자, 정신과학자로, 토마스 시드남과 함께 17세기 영국 임상의학을 대표하는 의사였다. 왕립학회의 창립 멤버였으며 해부학, 신경학, 정신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오줌 맛이 달다는 것을 주목했던 최초의 학자로 알려져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윌리스 - 대뇌동맥고리 (인물로 보는 해부학의 역사, 2015. 10. 15., 송창호)] 대뇌피질의 역할을 처음으로 인식했고, 뇌바닥 혈관 구조를 설명했다. 부검을 통해 질병과 해부학적 이상 상태가 관련이 있는지 찾아보려고 노력했다. 또한 심리학(psychology), 신경학, 비교 해부학, 반사(反射) 등의 용어를 만들어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이재담 <의학의 역사> 위드 2000년 p116 히스테리가 자궁이 아닌 신경계통의 병이라고 주장했다. 1642년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657년부터 1667년 사이 옥스퍼드 머튼스트리트에 거주했다. 1656년, 1659년에 2권의 중대한 의학 작품(De Fermentatione, De Febribus)을 냈다. 이는 1664년 책 뇌의 해부학을 탄생시킨 계기가 되었다. = 풍흥 = 풍흥(, ? ~ 791년)은 제3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시기에 봉기를 일으켜 당나라의 통치에 맞서 저항한 지도자이다. = = 생애 = = 풍흥은 드엉럼(Đường Lâm, 현재 하노이 선떠이)의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기골이 장대하였다. 791년에 동생 풍하이(馮駭)와 함께 도아인한(Đỗ Anh Hàn)의 건의를 받아들여 무리를 모으고 봉기를 일으켰다. 당나라의 안남도호(安南都護) 고정평(高正平)이 군사를 내어 진압하려 했지만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고정평은 놀라고 걱정한 나머지 병사하여 대치상태가 유지되었다. 그런데 얼마 안 가서 풍흥은 봉기한 그 해에 사망하였고, 아들 풍안이 뒤를 이었으나 당나라 토벌군의 압박과 투항 권유를 받자 항복함으로써 풍흥의 봉기는 실패로 돌아갔다. 풍흥은 보까이다이브엉이란 존호를 받았는데, '보까이'는 베트남어로 부모를 의미하며, 풍흥은 현재까지도 베트남인들의 존경과 제사를 받고 있다. = 종편 개국쇼 더좋은 방송이야기 = 종편 개국쇼 더좋은 방송이야기는 대한민국의 종합편성채널(JTBC·MBN·TV조선·채널A)을 통해 개국 특집 프로그램이다. = = 개요 = = 2011년 12월 1일에 첫 번째 편성 프로그램으로 종편 4사 공동 출범과 함께, 시청자들에게 더 나은 방송을 보여주기 위한 다짐을 통해서 대한민국 가수들의 축하 공연으로 방송되었다. = = 방송 일정 = = 개국 당일에는 저녁 5시 40분 ~ 8시까지 방송되었다. 개국 당일에는 2부가 편성된 1부 개막식, 2부 축하 무대 등의 구성되었다. = = 장소 = = 1부는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2부는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으로 열렸다. = = 참여 가수 = = 1부 : 박정현, 원더걸스, 미스에이 2부 : 소녀시대, 샤이니, 김건모, 김장훈, 인순이,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 = = 참고 사항 = = 박희태 국회의장을 뒤늦게 참석하였다. 전국언론노동조합에서 총파업으로 "종편 특혜 반대" 항의 집회를 열었다. = 분류:3세기 철학자 = = 조 페리 (음악가) = 조 페리(Joe Perry, 1950년 9월 10일 ~ )는 미국의 기타리스트로, 에어로스미스의 일원이다. = 분류:후진 (오대)의 장군 = = 볼슈틴군 = 볼슈틴군은 폴란드 비엘코폴스카주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볼슈틴이며 면적은 680.03km2, 인구는 54,718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80명/km2이다. 북쪽으로는 노비토미실군, 북동쪽으로는 그로지스크군, 동쪽으로는 코시치안군, 남동쪽으로는 레슈노군, 남쪽으로는 루부시주 프스호바군, 남서쪽으로는 루부시주 노바술군, 서쪽으로는 루부시주 지엘로나구라군과 접한다. 3개 지방 자치체(1개 도시형 농촌, 2개 농촌)를 관할한다. = 스케이트 펑크 = 스케이트 펑크 (Skate punk)는 미국 서해안의 하드코어 펑크신에서 파생된 펑크 록의 하위장르 중 하나이다. 스케이트 록 또는 스케이트코어라고도 불린다. = 분류:나라별 남자 승마 선수 = = 분류:대한민국의 풋살에 관한 틀 = = 1450년 = = = 연호 = = 명(明) 경태(景泰) 원년 일본(日本) 호토쿠() 2년 후 레 왕조(後黎朝) 다이호아(大和) 8년 = = 기년 = = 명(明) 대종 경태제(代宗 景泰帝) 원년 조선(朝鮮) 세종(世宗) 32년 후 레 왕조(後黎朝) 인종(仁宗) 8년 = = 사건 = = 조선 5대 국왕 문종이 즉위함. = = 탄생 = = 1월 14일 - 조선 8대 국왕 예종 북미대륙을 발견한 존 캐벗 10월 31일 - 아메리카 대륙 발견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 사망 = =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 조선 제4대 국왕 세종대왕.(이도,충녕대군) * = 이명기 (화가) = 이명기(李命基, 1756년 ~ 1813년)는 조선의 화가이다. 호는 화산관(華山館), 본관은 개성이다.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로 평가받는다. 도화서 화원과 사과(司果)를 역임한 이종수(李宗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김응환(金應煥)의 사위이기도 하다.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이명규(李命奎)의 아들이었던 이인식(李寅植)을 양자로 삼았다. 1791년에는 정조 어진 원유관본 도사 담당 주관화사로 활동했다. 산수화는 화중 인물과 바위의 모습, 필법 등에서 김홍도의 화풍을 짙게 반영하고 있어 독자적인 개성은 뚜렷하지 못한 편이다. = = 작품 = = 작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직수 초상〉‧〈관폭도(觀瀑圖)〉‧〈산수인물도〉 등과 호암미술관 소장의 〈송하독서도(松下讀書圖)〉,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장범선유도(張帆船遊圖)〉가 있다. 허목 초상 - 보물 1509호,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홍가신 초상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04호 = 분류:유럽의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 = 분류:아무로 나미에의 음반 = = 분류:우크라이나의 수영 선수 = = 분류:1977년 창간 = = 위키백과:사랑방/2018년 (기술) = 2018년 기술 사랑방 색인 목록입니다. = = 2018년 1월 = = 사용자 문서의 외부링크 틀:곡 목록을 모듈:Track listing로 바꾸고 있습니다 데스크톱 편집창 하단에 math 모바일 웹에서 위키배움터 틀 = = 2018년 2월 = = CS1 oo어 인용 새 소도구 시험 도입: charinsert "감사" 비활성화 모바일 화면에서의 문서 미리보기 섬네일 Global preferences available for testing = = 2018년 3월 = = 편집창 상단 문구 Editing News #1—2018 린트 오류 목록의 갱신에 대해서 Tidy (200x-2018) 토론 보존과 링크 공용 IP로 나타나는 상습 훼손자들 Notification from edit summary 둘러보기 상자 틀 모듈 이름공간 편집 시의 글꼴 We need your feedback to improve Lua functions = = 2018년 4월 = = 이거 학교 공용 아이피니까 차단좀 해주세요 틀:사용자 링크에 무언가 문제가 있습니다 연간 독자층에 그래프가 안 보이는 경우 면진 설계 = = 2018년 5월 = = Wikitext highlighting out of beta AdvancedSearch 틀:여러 문제의 문제입니다 위키 솔루션 구축을 전문업체를 알고 싶어요? = = 2018년 6월 = = 인용문 Change in OAuth behavior in your language ORES라는 프로그램 도입의 근황을 알고 싶습니다. Improvements coming soon on Watchlists Update on page issues on mobile web = = 2018년 7월 = = Consultation on the creation of a separate user group for editing sitewide CSS/JS 틀:둘러보기 상자 주제 모음 사라짐. = = 2018년 8월 = = Enabling a helpful feature for Template editors 스크립트 몇 가지 소개 봇 스크립트 공유 새 미디어위키 확장기능 도입: 틀스타일 mw:Help:Extension:FileImporter 미디어위키:WikiLove.js CLDR 언어명 한국어 번역 요청 형광펜 틀을 만들었습니다. = = 2018년 9월 = = InternetArchiveBot의 작동에 따르는 날짜 오류의 발생에 대해서 ORES = = 2018년 10월 = = 위키백과:데이터베이스 보고서/공개 기록별 사용자 목록 "문서평가" (Page Assessments) 특수:가리키는문서 계정 해킹? = = 2018년 11월 = = InternetArchiveBot의 작동에 따르는 날짜 오류의 발생에 대해서 2 Editing News #2—2018 제 계정이 이상합니다 비로그인 편집 시 회원가입 권고창 개선 mw.util.jsMessage Advanced Search = = 2018년 12월 = = 소도구 Gadget-contribsrange 폐지 건의 제안: blockquote 인용문의 형태를 좀 더 인용문스럽게 바꿀 수 있을까요? 제안: 플로우(Flow) 확장 기능 도입 = 이연화 = = = 실존 인물 = = 이연화(李蓮花, 1930년대 활동) - 한국의 민요 명창. 이연화(李娟和, 1954~) - 대한민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이연화(1991~) - 대한민국의 피트니스 모델. = = 가공 인물 = = 바람의 아들의 등장 인물 더 게임: 0시를 향하여의 등장 인물 풍선껌의 등장 인물 국경의 남쪽의 등장 인물 = 분류:오트비엔주의 역사 = = 앙드레 르롱 = 앙드레 르롱(; 1930년 12월 6일, 오트-노르망디 지방 르 아브르 ~ 2018년 4월 8일, 오베르뉴-론-알프 지방 브롱)은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수비수로 활약했다. 그는 주로 중앙 수비수나 측면 수비수로 좌측면을 맡았다. 그는 1950년대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 2007년 프랑스 풋볼에 따르면, 르롱은 "평균적인 신체 조건에도 매우 빠르고, 위대한 기술가로, 침착하며 적재적소를 지켰다. 그는 매우 재능 있는 선수였다"라고 평했다. 그는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주장으로서 14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2018년 4월 8일에 향년 87세로 영면에 들었다.André Lerond, ancien capitaine de Lyon et de l'équipe de France, est mort = = 수상 = = 프랑스 올해의 축구 선수: 1962 월드컵 3위: 1958 = Wu-Tang Forever = Wu-Tang Forever는 1997년 6월 3일에 발매된 우 탱 클랜의 음반이다. = 아파도 웃을래 = 〈아파도 웃을래〉는 대한민국의 걸 그룹 레이디스 코드의 두 번째 싱글 앨범이다. 2015년 9월 7일에 발매되었으며, 지난 2014년 9월 빗길 교통사고로 사망한 레이디스코드의 두 멤버인 故은비와 故리세를 추모하기 위하여 만든 노래로 나머지 멤버 3명 애슐리, 주니, 소정이 앨범에 참여했다. 특히 멤버 소정은 직접 작사에 참여하였다. = = 곡 목록 = = 모든 곡은 서의범, 서유석이 작곡·편곡, 서의범, 서유석, 소정이 작사를 했다. (가사가 없는 "아파도 웃을래 (Inst.)"는 제외) = 세종 1호 = 세종 1호는 최초의 대한민국산 디지털 컴퓨터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미국 데이터 제너럴의 미니컴퓨터 노바 01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1972년 6월에 개발이 시작되었고, 완성된 것은 1973년 2월이다. 이 컴퓨터의 개발은 원래 PABX (사설 전자 교환기) 개발 계획에서 시작되었다. 당초에는 노바 01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하였으나, 노바 01은 PABX에 필요한 시분할 처리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였다. 세종 1호는 시분할 처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세종 1호는 일종의 노바 01 호환 기종으로서 노바 01하고 처리 용랑이나 명령어 집합 구조(ISA)가 똑같다. 그러나 설계가 독자적이었다는 점과 인텔의 1KB 디램을 채용하여 속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평가받고 있다. = 베헤모스 = 베헤모스주로 베헤모스나 베헤모쓰로 읽고 발음 기호에 따라 비어머쓰, 비히머쓰, 비히모쓰 등으로 읽는다.는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거대한 수륙양서 괴수의 이름이다. 베헤모스는 ‘짐승’을 뜻하는 의 복수형이며, 이는 한 마리임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동물을 한데 모은 것과 같이 너무나도 거대한 크기였기 때문에 이와 같이 표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도 잡을 수가 없으며 쓰러뜨릴 수도 없는 동물로, 그 모습에 대해서는 하마, 물소, 코뿔소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욥기 40장 17절에서 시인은 넓적다리를 뜻하는 일반적인 히브리어 대신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는 희귀한 아람어 명사를 선택하는데, 이 용어는 옹겔로스(Onqelos)와 유사 요나단(Pseudo-Jonathan)의 레위기 21장 20절의 아람어 번역과 창세기 랍바 (Genesis Rabbah) 7장 4절의 베헤못에 대한 주석에서 고환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Kipperwasser가 인용한 Targum에도 동일한 이해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베히모스의 꼬리와 연결된 동사 'yachpotz'는 '확장'과 '기쁨'/'욕망'을 모두 의미한다Bernat, D. (2004). Biblical Wa[UNKNOWN]sfs Beyond Song of Songs.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28(3), 327-349. "그의 힘은 그의 허리에 있다"라는 앞의 문구는 창세기 49:3, 신명기 21:17, 시편 105:36과 같은 본문에서 종종 성적 정력을 나타내는 '힘'과 함께 이와 연결된다. Rob Alter는 그가 번역한 Torah 에서 이 구절 "그의 불알의 힘줄이 서로 얽혀 있다 his balls’ sinews twine together"고 대담하게 번역했으며, Edward Greenstein는 그의 Yale 판 욥기에서 "그는 백향목처럼 '꼬리(음경의 완곡한 표현)'를 떨어뜨리며, 그의 고환의 힘줄은 서로 뒤엉켜있다. He drops his ‘tail’ [footnote: a phallus euphemism] like a cedar (trunk); the sinews of his testes intertwine"라고 번역하였다Greenstein, E. L. (2019). Job: A New Translation. Yale University Press. (ISBN-13: 978-0300162349). 이 구절의 구조는 꼬리가 음경을 뜻하는 완곡한 표현임을 암시하는데, 이는 '파카드 pachad'가 일반적으로 고환을 의미하며 이어지는 구절의 꼬리가 유사하게 음경을 상징할 수 있음을 암시할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며, 많은 학술 평론가들 역시 이를 지지한다. 해당 구절의 히브리어 단어 "zanav זָנָב"는 "꼬리"로 번역되었지만 성경 외의 히브리어 기록에서 남성의 중요부위를 구어체로 사용된 단어이자 고대 히브리어에서 “큰 음경”을 완곡하게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이다. 욥기의 베헤모스에 대한 묘사는 베헤모스의 성적 정력을 강조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그의 힘은 그의 허리에 있느니라… 그의 고환의 힘줄은 뒤얽혀있다… ." 이와 같은 욥기 속 베헤모스에 대한 묘사는 근동 상징주의에서 황소가 종종 생식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에 부합한다. 성경에서는 '베헤마'라는 용어는 소를 가리키는 데에만 200번 이상 사용되었다. 베헤모스가 강물을 삼키는 묘사는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오는 하늘의 황소 구갈안나를 연상시키며, 주류 학자들은 바알 주기(Baal Cycle)에서 로탄과 "엘의 송아지 아틱(Atik)"(또는 아르슈/아르쉬 Arsh)이라는 혼돈의 괴수들(또는 신적 존재들)과 성서의 레비아탄과 베헤모스 사이의 유사점에 주목한다. KTU 1.6 vi:51-53과 같은 우가리트어 텍스트에서는 이 생물(아틱)을 욥의 설명과 유사한 이중 혼돈(dyadic chaos; 베헤모스와 레비아탄, 아틱과 로탄)의 일부로 묘사합니다. 갈대와 습지에 사는 것으로 묘사되는 베헤못은 비슷한 환경에 사는 것으로 시편 68:30의 황소에 부합하며, 또, 이러한 묘사는 우가리트 텍스트의 황소에 대한 묘사에도 부합한다. 유대교의 한 전승에 의하면, 하느님이 천치창조 6일째 되는 날에 만들어졌으며 천 개의 산들 한가운데에 방목되었다고 한다. 또다른 전승에서는 본래 레비아탄과 더불어 바다에 살도록 창조하였지만 둘 다 바다에 살면 바닷물이 넘쳐나기 때문에 베헤모스만이 육지에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최후의 심판 날에는 레비아탄과 지즈와 함께 베헤모스도 죽임을 당하여 음식으로서 하느님으로부터 죄를 용서받은 정화받은 사람들의 식탁에 제공된다고 한다. = 소가와촌 = 소가와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소가와촌 (가가와현)(十河村) - 가가와현 기타군 소가와촌. 현 다카마쓰시.(そがわむら) 소가와촌 (야마가타현)(添川村) - 야마가타현 니시오키타마군 소가와촌. 현 이데정.(そがわむら) 소가와촌 (와카야마현)(寒川村) -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소가와촌. 현 히다카가와정.(そうがわむら) 소가와촌 (에히메현)(惣川村) - 에히메현 히가시우와군 소가와촌. 현 세이요시.(そうがわむら) = 인공 의식 = 인공의식(人工意識, )은 인공지능과 지능형 로봇에 관련된 연구 영역이며, 기술로 만들어진 인공물에 의식을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eksander, Igor (1995). "Artificial Neuroconsciousness: An Update" , IWANN, 1995. 인공적으로 지각을 가진 '존재'를 만드는 이야기는 옛날부터 신화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했다. 골렘, 그리스의 프로메테우스 신화,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기계인간,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사이언스 픽션에선 인공적으로 의식을 가진 존재로서 로봇이나 인공지능이 그려져 왔다. 인공의식은 철학적으로도 흥미로운 문제이다. 유전학, 뇌과학, 정보처리 등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의식을 가진 인공적 존재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제기 되었다. 생물학적으로는 인간의 뇌에 필요한 유전 정보를 가지는 인공적인 게놈을 적당한 숙주의 세포에 짜넣는 것으로 인공적으로 생명을 만드는 것도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되며, 그러한 인공생명체는 의식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그 생명체 안의 어떤 속성이 의식을 낳는 것일까? 비슷한 것을 비생물학적인 부품에서 만들 수 없는 것인지? 컴퓨터를 설계하기 위한 기술로 그러한 의식체를 낳을 수 없을까? 그러한 행위는 윤리적으로 문제 없을까?와 같은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뇌과학에서는 뇌가 있는 부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의식이 태어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의식을 낳는데 충분한 최소한의 뇌활동을 '의식에 상관한 뇌활동(Neural correlate of consciousness, NCC)'이라고 부른다. 뇌는 호문쿨루스 오류로 불리는 문제에도 빠지지 않으며 다음 문단에서 해설하는 문제도 극복한다. 인공의식의 연구자들은 이(아직 완전하게는 해명되지 않았다) 상호작용을 컴퓨터에 의해서 에뮬레이트 가능하다고 믿는다. = = 의식의 성질 = = 소박실재론이나 직접적 실재론에 의하면, 뇌가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서 인간은 직접 의식을 가진다고 여겨진다. 간접적 실재론이나 이원론에 의하면, 뇌에는 처리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존재하지만, 인간의 의식은 물리적인 사물 위에 투영된 정신 모델이나 정신 상태라고 한다(르네 데카르트의 이원론 등). 의식에 관한 이러한 접근의 어느 쪽이 올바른가에 대해서는 항상 논란이 있다. 직접 지각이라는 생각은 의식 체험이 외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설명하는 새로운 물리 이론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각이 뇌 속의 세계 모델을 통한 간접적인 것이라면, 어떻게 모델이 경험이 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지각이 직접적이라면, 자기인식을 설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왜냐하면 직접 지각이라는 생각이 등장한 배경에는 내부 처리가 무한하게 재귀하는 라일의 회귀(Ryle's regress)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로봇의 자기 인식은 메이지 대학의 무야 쥰이치 교수htm가 연구하고 있으며, 거울에 비친 자기 자신과 다른 로봇을 구별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됐다arnumber=1554325. 직접 지각의 입장에서는 꿈이나 상상이나 멘탈 이미지 등의 정신 생활에 인간이 실제로는 눈치채지 못한다고 주장한다(이것들은 재귀와 관련되기 때문에). 자기 인식은 간접 지각의 입장에서는 그만큼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정의상, 인간은 자신 상태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간접 지각의 입장에서는 라일의 회귀를 막고 있는 현상을 설명해야 한다. 인간이 간접적으로 지각한다면, 자기 인식은 이마누엘 칸트, 윌리엄 제임스, 데카르트가 설명하는 시간 경험의 확장의 결과로서 생길지도 모른다. 시간 경험의 확장은 현재의 물리학의 인식과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 정보처리와 의식 = = 정보처리란 상태의 부호화다. 컴퓨터 프로그램이라 불리는 명령줄에 의해서 나타난 일련의 변환을 부호화된 상태에 실시한다. 이 부호화된 상태는 전자의 흐름에 의해서 표현되지만, 원칙적으로 매체는 뭐든지 상관없다. 명령이 탑재된 머신도 전자식일 필요는 없고, 기계식에서도 유체를 사용해도 괜찮다. 디지털 컴퓨터는 정보처리를 탑재한 것이다. 초기에는 기기들이 의식을 가지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가장 조기에 그것을 진지하게 논한 인물로서 앨런 튜링이 있다. 기술자가 의식을 가지는 실체를 만들어낼 때 디지털 컴퓨터 방식만을 사용한다면, 강한 AI의 철학과 관련된 문제가 생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존 설의 중국어 방이라는 사고실험이다. 그것은 정보처리 장치의 내용은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것은 단지 전자의 한 무리에 지나지 않는다. 설의 주장은 직접 지각 주의자들을 납득시키지 못한다. 그들은 '의미'가 지각하는 객체에 의해서만 찾아낼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 창발의 개념도 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이 되었다. 창발주의는 처리계의 복잡함이 새로운 물리적 현상을 낳는 것을 제창한다. 인공지능 연구에서는 '디지털 직관(digital sentience)'이라는 잘못된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 '직관'이란, 내적 사고 없이 지각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것은 의식 체험이 프로세스가 아닌 상태인 것을 시사한다. 머신이 임의의 환경에서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논의는 일반적으로 물리주의와 이원론의 대립으로 그려진다. 이원론자는 '의식에는 물리적이 아닌 무엇인가가 관련되었다'고 믿는 한편, 물리주의자는 '모두는 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한다. = = 디지털 컴퓨터의 의식 = = 머신이 인공적으로 의식을 가지기 때문에 필수라고 생각되는 의식의 여러 가지 면이 존재한다. 베르나르트 바르스(Bernard Baars)는 의식이 역할을 완수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안했다. 인공의식의 목적은 그것을 포함한 의식의 각 상을 디지털 컴퓨터와 같은 인공물로 합성하는 것이다. 그 리스트는 완전하지 않고, 커버되어 있지 않은 면도 많이 있다. 직관과 의식을 판정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자기인식이다. "conscious(의식이 있다)'의 사전의 정의를 보면 '자신이 처한 환경, 자신의 존재, 감각, 사고를 자각한다"라고 되어 있다(dictionary.com). 1913년판의 웹스터에서는 conscious를 "내부의 의식 체험, 또는 외부에서의 관측에 의해서 지식을 가진다; 인식이 있다; 눈치채고 있다; 분별이 있다"라고 정의한다. 자기 인식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은 주관적으로 검증하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고르 알렉산데르(Igor Aleksander)는 인공의식의 중요한 능력으로서 미래의 사상을 예측하는 것을 들었다. 그의Artificial Neuroconsciousness: An Update로 '예측은 의식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예측을 할 수 없는 유기체는 의식에 심각한 장해를 입었을 것이다'고 말했다. 창발주의자 다니엘 데넷트는 '해명되는 의식'으로 예측에 관련된 '다원적 초고'모델을 제안했다. 그것은 현재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초고'를 평가·선택한다는 생각이다. 또 하나 필요하게 되는 면으로서 '자각 (Awareness)'가 있다. 그러나, '자각'에 대해서도 정의상의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철학자 데이비드 챠마즈는 범심론자의 주장에 의하면 온도조절기도 의식이 있다고 역설적으로 논했다(Chalmers 1996, pp283-299). 온도조절기는 '너무 더운', '너무 추운', '정확히 좋은 온도'라는 상태를 가진다. 원숭이의 신경계를 스캔한 실험에 의하면, 상태나 객체가 아니라 프로세스가 신경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나타났다. 그러한 반응은 오감을 통해서 얻을 수 있던 정보에 근거하는 프로세스의 모델로 설명되어야 한다. 그러한 모델의 작성에는 다대한 유연성을 필요로 하지만, 예측을 실시하는데 유익하기도 하다. 의식을 가진 머신은 개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선, 개성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뇌가 낳은 착각이라는 약간 일반적인 이론이 있다. 즉, 다른 사람과 관계를 가지지 않는 인간(및 다른 동물)은 개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인간의 개성은 진화할 것은 없을 것이라는 설이다. 인공의식을 가지는 머신은 인간의 옵저버와 의미가 있는 대화를 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한, 개성을 필연적으로 가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과학자 등이 지적하는 대로, 기계의 개성을 측정하는 튜링 테스트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학습도 인공의식이 갖추어야 할 능력이다. 서식스 대학교의 론 크리슬리(Ron Chrisley)가 정리한 "Engineering consciousness"에 따르면, 의식은 자기 투과성, 학습, 계획, 이질 현상학, 신호의 구별, 행동 선택, 주의, 타이밍 관리로 구성된다. 다니엘 데넷트는 "Consciousness in Human and Robot Minds" 중에서 '미성숙인 로봇이 의식을 가지도록 기르는 것이 사전에 모든 준비를 정돈하는 것보다 간단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의 의식에 대해 "사이즈는 어른이어도, 최초부터 성숙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것은 인공적인 유아기를 거치도록 설계되어 그 사이, 현실 세계가 혼잡한 환경에서 얻을 경험에서 배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 언어로 대화할 수 있는 에이전트는 온 세상의 지식 중 수 백 억의 항목은 너무 많다고 해도 수 백 만의 독립인 항목에 액세스할 수 없으면 안 되는 것은 틀림없다. 달라스의 더글라스 레나토 인솔하는 Cyc 프로젝트가 수행하고 있는 인간의 프로그래머에 의한 코드화가 그 손단일지도 모르고, 인공 에이전트가 실세계와 실제로 교환해 지식을 획득하는 새로운 방법이 발견될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학습에 관한 흥미로운 논문으로서 Axel Cleeremans(University of Brussels)와 Luis Jimenez(University of Santiago)의"Implicit learning and consciousness" 가 있다. 그곳에서는 학습을 '계통 발생적으로 발전한 적응 프로세스의 집합이며, 경험에 대한 감도에 강하게 의존하고, 복잡하고 예측 불능인 환경에서 에이전트가 행동을 유연하게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기대 (Anticipation)'는 머신에 의식이 있도록 보이게 하는데 사용되는 특징이다. 인공의식을 가진 머신은 기대되는 사상에 대해서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 나타내 보이는 것은 머신이 실시간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며, 거기에 따라 머신이 현재 의식을 가지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머신을 검증하려면 현실 세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예측 불능인 환경 속에서 동작시켜야 한다. 존 매카시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범용성이 부족해서 괴로워하는 것은 1971년 시점은커녕, 1958년 시점에서도 분명했다"라고 말했다. '범용성 (Generality)'은 인공지능 뿐만이 아니라 오히려 인공의식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 학설 = = 인공의식의 지당함과 능력, 인공의식이 진정한 의식을 가질 가능성에 대한 몇 가지 정설이 있다.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의식이 있다는 사람도,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음악을 이해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id=ns99994845. 챠마즈는 인터뷰 중에서,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매우 사색적인 의식을 가진다고 했지만, 그 자신은 열성적인 범심론자는 아니다(Chalmers (1996) whiter panpsychism의 298 페이지 참조). 그러한 해석은 의도적으로 부정확한 정의를 줄 가능성이 있지만, 임의의 의미가 있는 지성을 정의하려면 한정적인 경향이 있다. 인공의식은 '강한 AI'와 같이 천재적일 필요는 없다. 그것은 과학적 방법과 같이 객관적일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의식의 능력을 실현할 수 없으면 안 된다. 다만, 토마스 네겔이 객관적으로 관측할 수 없다고 한 주관적 경험은 제외된다. 무언가에 의식이 있을 지를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온도계가 음악을 이해할 수 있을까 묻는 것은 인간에게 5차원에서 사고할 수 있을지 묻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인간이 5차원에서 사고할 필요는 없고, 온도계가 음악을 이해할 필요도 없다. 의식이란, 스스로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의 속성을 나타내는 단순한 용어이며, 아마 우리의 정신이 내포하려면 너무 복잡한 것이다. 의식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있지만, 그것은 단지 우리의 정신이 그렇게 믿게 하려는지, 우리의 그러한 것으로의 감정의 영향이다. 의식은 착각이다. 다른 관점의 일례로서 인간은 자신의 존재, 나아가서는 자신의 의식도 부정할 수 있다. 르네 데카르트의 '코기토 에르고 숨'을 열심히 논하는 기계가 있었다고 하면, 그것은 인공의식의 존재의 증거의 하나가 될 것이다. 그러나 기계가 그것을 기호적으로 논한다면, 너무 인간적이다. 그 주장의 본래의 의미는 의식체험이 존재한다고 하는 것이며, 그것을 부정하는 일도 일종의 의식체험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의식을 가지는 머신은 머신이기 때문에 의식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정확히 기호적 주장과 체험의 차이를 오해한 인간과 같이. 의식은 반드시 무류의 논리적 능력을 의미하지 않는다. 의식의 완전성, 의식의 정도, 그 외의 관련하는 일에 대해서는 논의가 계속되며 향후도 계속될 것이다. 어느 실체의 의식이 다른 의식보다 뒤떨어진다고 해도, 어느 쪽의 의식의 완전성도 해치게 해서는 안 된다. 오늘의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의식을 가지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UNIX계의 시스템으로 codewc - w/code 커멘드를 실행하면, 텍스트 파일내의 단어 수를 세어 보고한다. 그러나, 그것은 의식의 존재를 나타내는 증거도 아무것도 아니다. 그러나, codetop/code 커멘드를 실행하면, 컴퓨터는 실시간에 계속적으로 태스크의 실행 상황이나 CPU 사용률등을 보고한다. 이것은 일종의 한정된 자기인식의 증거이며, 의식이 자기인식에 근거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정의된다면, codetop/code 커멘드는 의식의 존재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없는 것도 아니다. = = = 학문 분야로서의 인공의식 = = = 인공의식의 연구에는 인공의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자연의 메커니즘을 이해한다는 측면도 있다. '인공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과학자는 이고르 알렉산데르(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가 있다. 그의 저서Impossible Minds 중에서, 인공의식을 창조하기 위한 원리는 이미 존재하지만, 그 머신에 언어를 이해시키려면 40년이 걸린다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언어 이해란 반드시 인간의 자연 언어를 의미하지 않는다. 200개 정도의 단어를 이해한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만인이 납득한 증거는 없다. 그 점에서, '디지털 직관(Digital Sentience)'은 막연히 대체적 목표로 여겨졌지만, 별로 이해가 진행되지 않았다. 1950년대 이래, 계산기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SF작가가 디지털 직관의 의미나 가능성을 논의해 왔다. 그렇게 말한 의미에서는 인간의 직관을 모델로 한 아날로그의 홀로그램적 직관이 가능성이 높다. = = 실용적 접근 = = 철학의 범위에 그치지 않는 인공의식 연구도 있다. 실제로 인공의식을 가진 머신을 개발하려고 진지하게 임하는 사람도 있다. 이하에 2개의 예를 든다. 그 밖에도 같은 연구는 이뤄지고 있고, 향후에도 증가할 것이다. = = = 프랭클린의 지적분산대리인 = = = 스탠 프랭클린(1995년, 2003년)은 자율대리인을 베르나르트 바르스의 글로벌 직장 이론(Global Workspace Theory, 1988년, 1997년)에 정의된 의식의 기능의 일부를 갖추었을 경우에 기능적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했다. 그가 만든 IDA(Intelligent Distributed Agent)는 GWT의 소프트웨어에 탑재되었으며, 그 정의에 따라 기능적 의식을 갖추고 있다. IDA는 미국 해군에서 항해에서 돌아온 선원에 대해서, 각자의 스킬과 기호, 해군 측의 요구를 고려해 새로운 일을 할당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IDA는 해군의 대략의 방침에 따른 다음 해군의 데이터베이스와 대화하면서, 선원들과도 자연 언어의 전자 메일을 사용해 통신한다. IDA의 계산 모델은 프랭클린 등이 1996년부터 2001년에 멤피스 대학에서 개발했다. 이것은 약 25만 행의 자바 코드로 구성되어 2001년 즈음의 사치품·워크스테이션의 자원을 거의 완전하게 소비한다. 그것은 '코드렛(codelet)'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다. 코드렛은 목적에 특화되고 비교적 독립적인 미니 에이전트이며, 스레드로서 동작하는 작은 코드로서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IDA의 톱 다운형 아키텍처에서는 고레벨인 인지기능이 명확하게 모델화된다. 자세한 것은 프랭클린(1995년, 2003년)을 참조하기 바란다. IDA는 정의에 따라 기능적 의식을 가진다고 여겨지지만, 프랭클린은 그것이 인간과 같은 행동을 많이 보인다고 해도, 이른바 일반적인 현상으로서의 의식은 아니라고 말한다. 미국 해군의 사람들은 IDA와의 교환에서 '그렇다'고 수긍하는 것이 몇 번이나 목격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IDA가 그 작업을 실행한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 = = = 하이코넨의 인지건축 = = = 펜티 하이코넨(Pentti Haikonen, 2003년)은 인공의식을 달성하려면 기존의 룰 베이스의 처리 방식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뇌는 컴퓨터와는 완전히 다르다. 사고는 프로그램된 명령줄의 실행이 아니다. 뇌는 수치 연산 장치도 아니다. 우리는 숫자로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하이코넨은 말한다. 정신이나 의식을 실현하기 위해 근저에 있는 계산 규칙을 특정해 탑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코넨는 '인지/내부 이미지/내 말/고통/기쁨/감정의 프로세스나 그러한 배후에 있는 인지기능을 재현하는 특수한 인지건축'을 제안했다. '이 바텀 업형 아키텍처는 알고리즘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인공신경이라 불리는 기본 처리 장치를 다수 사용해 높은 수준의 기능을 낳는다. '하이코넨은 여기에 충분한 복잡성을 갖게 하면, 이 아키텍처가 의식을 발생시킨다고 믿는다. 그는 그것을 '분산 신호 표현, 지각 프로세스, 혼합 양상, 소급력 등을 특징으로 한 조작의 스타일과 방법'이라고 한다. 하이코넨과 같은 의식의 견해 (신경을 기본으로 한 아키텍처를 자율대리인에게 도입하는 것을 통해 창발적으로 인공의식을 낳으려는 입장)은 고립된 것은 아니다. 그 밖에도 프리먼 (Freeman, 1999년), 코테릴(Cotterill, 2003년)의 예가 있다. 하이코넨(2004년)은 이 아키텍처를 별로 복잡하지 않게 탑재하는 제안하고 있어 인공의식에는 이르지 않기는 하지만, 감정이라고 볼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 = = 검증 = = 인공의식은 형식적으로 증명 가능하다 해도 탑재된 것이 의식을 가지고 있을 지에 대한 판정은 관측에 의지하게 된다. 튜링 테스트는 머신과 인간이 대화하는 것으로 그 머신의 지능을 측정하는 것을 제안한 것이다. 튜링 테스트에서는 대화의 상대가 머신인가 인간인가를 추측한다. 인공의식체가 관측자의 상상을 넘어 의미가 있는 관계를 쌓아 올렸을 때에 처음으로 그러한 테스트에 합격했다고 말할 수 있다. 고양이나 개는 이 테스트에 합격할 수 없다. 의식은 인간만이 가지는 속성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인공의식을 가진 머신도 이 테스트에 합격할 수 없을 가능성은 높다. 전술한 것처럼, 중국어 방은 튜링 테스트에 합격하는 머신이 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내 보이는 것을 통해서 그 타당성에 의문을 나타냈다. 의식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간의 행동은 매우 폭넓기 때문에, 머신에 의식이 있을지를 판정하는 모든 기준을 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실은 간접지각주의자에 따르면, 의식의 유무를 검증하는 행동에 관한 테스트는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의식체는 꿈 등의 정신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그 점은 의식 체험의 주관적 성질을 강조하는 사람들이 주장한다. 예를 들면, 토마스 네겔은 논문 What is it like to be a bat? 으로, 주관적 체험은 객관적으로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환원되는 것이 없고, 물리주의에도 반하지 않는다고 한다. 객관적 기준이 머신의 의식을 테스트하는 전제 조건으로서 제안되고 있지만, 특정의 테스트에 불합격이었다고 해도 의식이 없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 최종적으로, 의식에 대한 일반적 이해가 적용 가능하면, 머신이 의식이 있을지를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의식의 다른 검증 방법으로서 환경을 인공적으로 구축해 일부의 자극 이외에 발생하지 않게 하고, 머신을 그 환경에 두었을 때의 학습 능력을 증명한다는 방법도 제안된다. 인간이 무언가에 주목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과학적으로 완전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다. 이 지식의 결여가 인공의식의 기술자에 의해서 이용되었다. 즉, '주목'의 메커니즘을 모르기 때문에, 머신에 관해서도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이 특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인간의 무의식은 완전하게 주의력이 없는 상태이며, 전술한 테스트에서는 인공의식이 주목한 점을 나타내는 출력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안토니오 첼라(Antonio Chella, 팔레르모 대학)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abs=315. '개념과 언어의 사이의 매핑은 개념 구조의 언어적 상징에 의한 번역이다. 적절한 내부 상태를 가지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탑재한 주목의 메커니즘에 의해서 된다. 개념적 표현을 적절히 주사하는 순서대로 목표 주목 메커니즘을 가정했을 때, 사전의 지식에 근거해 생성된 가설에 따르면, 그 자리에서 발생하는 흥미로운 사상을 예측해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력되는 정보에서 그러한 메커니즘이 기대를 만들며, 가설이 실증되는(경우에 따라서는 보정된) 문맥을 작성한다.' = = 윤리적 측면 = = 인공의식을 가지는 머신이 실제로 만들어졌을 때, 그 머신의 권리라는 윤리 문제가 생긴다(즉, 법적으로 그것은 어떤 권리를 가지는 것인가). 예를 들면, 의식을 가진 컴퓨터가 누군가의 소유물로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 권리는 특히 애매하다. 법률 제정 전에 '의식'을 법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인공의식은 아직 연구 단계이며, 그러한 윤리적 문제는 아직 논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픽션에서 잘 다루어지는 주제이다(아래를 참조). = = 픽션의 인공의식 = = 테크놀로지나 미래사를 테마로 하는 작품에서는 고도로 발달한 정보공학의 상징으로서 가공의 인공의식이 자주 등장한다. 다음은 대표적 예들이다. 스카이 넷 - '터미네이터' Vanamonde - 아서 C. 클럭 '도시와 별' 프랭크 하바트의 '보이드-호시의 방주'에 등장하는 우주선 제인 - 오슨 스콧 카드의 엔다 시리즈에 등장한다 HAL 9000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데이비드 - 'A.I.' 데이터 - 스타 트렉 시리즈 아이작 아시모프의 일련의 로봇 물건에 등장하는 로봇 안드류우 - '[[bicentennial man]' 레프리칸트 - '블레이드 러너' '뉴로만서' '매트릭스' 테크노 코어 - 댄 시몬즈의 ' 하이페리온' 사부작 Johnny 5 - '쇼트 서킷' 로버트 A. 하인라인은 인공지능이나 인공의식을 다룬 소설을 여러 가지 남겼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등이 대표적이다. '우주소년 아톰' 돌노 모리 쇼우타로우의 제작품(로봇 형사, 인조인간 키카이다, 대철인 17 등) R타나카 이치로 - '궁극 초인아~루' 야마모토 히로시의 '아이의 이야기 ' '지구 이동 작전'에 등장하는 TAI나 인공의식 컴퍼니언. 다각전차 - '마사요시 기동대' 같은 작품에 등장하는 해커 '인형 조종사'도 자아나 지성의 근원인 네트워크가 인공물이기 때문에 광의에서는 인공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U-18 - '블랙 잭' = 반정 = 반정(反正)은 쿠데타의 일종으로, 과거 조선에서 현 국왕에 반대하여 군사를 동원하여 축출한 후 새 국왕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 = 역대 반정 = = 반정은 조선에 한정되어 불리는 단어로 크게 세 차례로 구분된다. 다만, 세조찬위의 경우에는 세조의 단종에 대한 일방적인 왕위 찬탈이므로 반정보다는 찬위로 불린다. 세조찬위 중종반정 인조반정 = = 축출된 국왕에 대한 대우 = = 일반적으로 반정을 통해 축출된 국왕(임금)의 경우에는 묘호가 박탈되어 군호로 격하되며, 무덤 또한 명칭이 '능'에서 '묘'로 격하된다. 조선 역사상 축출된 군주는 총 3명으로 다음과 같다. 노산군(후에 단종으로 복위) 연산군 광해군 = 이건우 = = = 실존 인물 = = 이건우(1955년 ~ )는 대한민국의 교수이다. 이건우(1960년 ~ )는 대한민국의 작사가이다. 이건우(1989년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이건우(1995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건우(1997년 ~ )는 대한민국의 건아이다. 이건우(2001년~)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I-LAND의 참가자이다. 이건우는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인 슬러거(Slugger, 1998년 ~ )의 본명이다. = = 가공 인물 = = 이건우: 끝없는 사랑 (2014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이건우: 슬픈 연가의 등장인물 이건우: 삼총사 (2002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이건우: 행복을 주는 사람의 등장인물 이건우: 연인 (1993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이건우: 그대에게 가는 길의 등장인물 이건우: 이브의 유혹의 등장인물 = 세계테마기행의 에피소드 목록 (2008년) =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방송사 한국교육방송공사 EBS TV의 여행 프로그램 세계테마기행의 2008년 에피소드 목록을 나열한다. = = 에피소드 목록 = = 회차 방송일 주제 부제 큐레이터 비고 1회 2월 25일 김영하가 만난 시칠리아 1부 로마에서 시칠리아까지 김영하 (소설가) 2회 2월 26일 김영하가 만난 시칠리아 2부 지중해의 파라디소 김영하 (소설가) 3회 2월 27일 김영하가 만난 시칠리아 3부 지중해의 교차로 김영하 (소설가) 4회 3월 3일 머나먼 신세계, 페루 1부 마추픽추 가는 길 탁재형 PD 5회 3월 4일 머나먼 신세계, 페루 2부 티티카카의 세 여신 탁재형 PD 6회 3월 5일 머나먼 신세계, 페루 3부 아마존 정글 서바이벌 탁재형 PD 7회 3월 6일 머나먼 신세계, 페루 4부 이키토스의 꿈 탁재형 PD 8회 3월 10일 유럽의 땅 끝, 포르투갈 1부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의 향기 신현림 (시인) 9회 3월 11일 유럽의 땅 끝, 포르투갈 2부 해양 대국의 추억 신현림 (시인) 10회 3월 12일 유럽의 땅 끝, 포르투갈 3부 파두 가락에 흔들리는 포르투갈 人의 영혼 신현림 (시인) 11회 3월 13일 유럽의 땅 끝, 포르투갈 4부 빵과 와인에 깃든 “슬로우 라이프” 신현림 (시인) 12회 3월 17일 이동진이 만난 튀니지 1부 지중해의 양지 이동진 (영화평론가) 13회 3월 18일 이동진이 만난 튀니지 2부. 아프리카의 보물창고 이동진 (영화평론가) 14회 3월 19일 이동진이 만난 튀니지 3부. 스타워즈가 찾은 외계마을 이동진 (영화평론가) 15회 3월 20일 이동진이 만난 튀니지 4부. 사하라 사막의 오아시스 이동진 (영화평론가) 16회 3월 24일 맛의 대륙, 중국 1부 광둥의 보석, 딤섬(点心) 유지상 (음식전문기자) 17회 3월 25일 맛의 대륙, 중국 2부 광둥요리의 지존, 해선(海鮮) 유지상 (음식전문기자) 18회 3월 26일 맛의 대륙, 중국 3부 황제의 요리, 베이징 카오야(北京鴨) 유지상 (음식전문기자) 19회 3월 27일 맛의 대륙, 중국 4부 대륙의 건강식, 훠궈(火鍋) 유지상 (음식전문기자) 20회 3월 31일 나일 강의 선물, 이집트 1부 산 자와 죽은 자의 도시, 카이로 정규영 (교수) 21회 4월 1일 나일 강의 선물, 이집트 2부 신들의 축제 정규영 (교수) 22회 4월 2일 나일 강의 선물, 이집트 3부 룩소르로 향하는 100개의 문 정규영 (교수) 23회 4월 3일 나일 강의 선물, 이집트 4부 미지의 땅 정규영 (교수) 24회 4월 7일 9,288 km 시베리아 횡단 열차 1부. 대륙의 시작, 블라디보스토크 정지찬 (가수, 작곡가) 25회 4월 8일 9,288 km 시베리아 횡단 열차 2부 샤먼의 바다, 바이칼 정지찬 (가수, 작곡가) 26회 4월 9일 9,288 km 시베리아 횡단 열차 3부 러시아의 봄 정지찬 (가수, 작곡가) 27회 4월 10일 9,288 km 시베리아 횡단 열차 4부 꺼지지 않은 예술의 불꽃 정지찬 (가수, 작곡가) 28회 4월 14일 대자연의 축복, 뉴질랜드 1부 얼음산 빙하탐험, 마운트 쿡(Mount Cook) 김석우 (영화감독), 김태훈 (여행칼럼리스트) 29회 4월 15일 대자연의 축복, 뉴질랜드 2부 익스트림의 성지, 퀸스타운(Queenstown) 김석우 (영화감독), 김태훈 (여행칼럼리스트) 30회 4월 16일 대자연의 축복, 뉴질랜드 3부 북섬의 숨은 보석, 노스랜드(Northland) 김석우 (영화감독), 김태훈 (여행칼럼리스트) 31회 4월 17일 대자연의 축복, 뉴질랜드 4부 삶의 또 다른 이름, 여행 김석우 (영화감독), 김태훈 (여행칼럼리스트) 32회 4월 21일 성석제의 칠레 종단 1부 지구 끝에 부는 바람 성석제 (소설가) 33회 4월 22일 성석제의 칠레 종단 2부 아타카마의 비밀 성석제 (소설가) 34회 4월 23일 성석제의 칠레 종단 3부 사랑과 절망, 칠레를 노래하다 성석제 (소설가) 35회 4월 24일 성석제의 칠레 종단 4부 마지막 마푸체를 찾아서 성석제 (소설가) 36회 4월 28일 김태용감독의 베트남 종단 1,800 km 1부 메콩델타, 물 위의 사람들 김태용 (영화감독) 37회 4월 29일 김태용감독의 베트남 종단 1,800 km 2부 사파 가는 길 김태용 (영화감독) 38회 4월 30일 김태용감독의 베트남 종단 1,800 km 3부 호이안, 500년 코스모폴리스 김태용 (영화감독) 39회 5월 1일 김태용감독의 베트남 종단 1,800 km 4부 베트남의 초상, 냐짱 김태용 (영화감독) 40회 5월 5일 최종원의 아프리카 기행, 말리 1부. 모래로 뒤덮인 옛 황금도시 최종원 (연기자) 41회 5월 6일 최종원의 아프리카 기행, 말리 2부. 절벽에 꽃핀 두 개의 문명 최종원 (연기자) 42회 5월 7일 최종원의 아프리카 기행, 말리 3부. 니제르 강의 축복, 몹티 최종원 (연기자) 43회 5월 8일 최종원의 아프리카 기행, 말리 4부. 진흙으로 빚은 문명, 젠네 최종원 (연기자) 44회 5월 12일 여행 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멕시코 1부 구리 계곡으로 가는 길 유성용 (여행 생활자) 45회 5월 13일 여행 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멕시코 2부 호텔 캘리포니아와 테킬라 할리스코 유성용 (여행 생활자) 46회 5월 14일 여행 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멕시코 3부 과나후아또 ‘낭만을 노래하다’ 유성용 (여행 생활자) 47회 5월 15일 여행 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멕시코 4부 산크리스토발, 마야의 후예를 찾아서 유성용 (여행 생활자) 48회 5월 19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 1부. 스페인의 자존심, 투우 이상은 (가수) 49회 5월 20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 2부. 집시의 영혼, 플라멩코 이상은 (가수) 50회 5월 21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 3부. 태양의 땅, 열정의 사람들 이상은 (가수) 51회 5월 22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 4부. 중세 골목에서 만난 느림의 여유 이상은 (가수) 52회 5월 26일 중동의 붉은 꽃, 요르단 1부. 신의 사막, 와디 럼 유별남 (사진작가) 53회 5월 27일 중동의 붉은 꽃, 요르단 2부. 사막의 오아시스 유별남 (사진작가) 54회 5월 28일 중동의 붉은 꽃, 요르단 3부. 찬란한 고대도시, 페트라 유별남 (사진작가) 55회 5월 29일 중동의 붉은 꽃, 요르단 4부 - 아랍 속 유럽 유별남 (사진작가) 56회 6월 2일 탁재형PD가 만난 브라질 1부. 리우는 잠들지 않는다 탁재형 (PD) 57회 6월 3일 탁재형PD가 만난 브라질 2부. 3國3色, 이구아수 탁재형 (PD) 58회 6월 5일 탁재형PD가 만난 브라질 3부. 세계 최대의 습지, 판타날 탁재형 (PD) 59회 6월 8일 탁재형PD가 만난 브라질 4부. 코룸바, 희망의 이름 탁재형 (PD) 60회 6월 9일 심산, 무지개 나라 남아공을 가다 1부 흑과백, 공존의 도시 케이프타운 심산 (작가) 61회 6월 10일 심산, 무지개 나라 남아공을 가다 2부 남아공의 전설, 줄루족을 찾아서 심산 (작가) 62회 6월 11일 심산, 무지개 나라 남아공을 가다 3부 야생의 아프리카 심산 (작가) 63회 6월 12일 심산, 무지개 나라 남아공을 가다 4부 무지개 너머 자유를 노래하라 심산 (작가) 64회 6월 16일 하늘로 열린 땅, 파키스탄 1부. 바람 계곡의 비밀, 훈자 진우석 (산악전문기자) 65회 6월 17일 하늘로 열린 땅, 파키스탄 2부. 마지막 이교도, 칼라쉬족 진우석 (산악전문기자) 66회 6월 18일 하늘로 열린 땅, 파키스탄 3부. KKH, 길 위의 사람들 진우석 (산악전문기자) 67회 6월 19일 하늘로 열린 땅, 파키스탄 4부. 무굴 제국의 향기, 라호르 진우석 (산악전문기자) 68회 6월 23일 소설가 천명관의 프랑스기행 1부. 브르타뉴, 특별한 바다이야기 천명관 (소설가) 69회 6월 24일 소설가 천명관의 프랑스기행 2부. 켈트문화의 꽃 천명관 (소설가) 70회 6월 25일 소설가 천명관의 프랑스기행 3부. 프로방스, 영혼의 울림 천명관 (소설가) 71회 6월 26일 소설가 천명관의 프랑스기행 4부. 풍요의 땅, 프로방스 천명관 (소설가) 72회 6월 30일 이탈리아의 유산 1부 칸타레, 노래는 나의 인생 이규성 (성악가, 교수) 73회 7월 1일 이탈리아의 유산 2부 밀라노와 피렌체, 냉정과 열정 사이 이규성 (성악가, 교수) 74회 7월 2일 이탈리아의 유산 3부 인생은 아름다워 이규성 (성악가, 교수) 75회 7월 3일 이탈리아의 유산 4부 축제, 즐거움의 전염 이규성 (성악가, 교수) 76회 7월 7일 박영훈감독의 인도네시아 기행 1부 불과 인간의 땅, 화산을 찾아서 박영훈 (영화감독) 77회 7월 8일 박영훈감독의 인도네시아 기행 2부 자바의 세 가지 보물 박영훈 (영화감독) 78회 7월 9일 박영훈감독의 인도네시아 기행 3부 신에게 바치는 선물, 발리 박영훈 (영화감독) 79회 7월 10일 박영훈감독의 인도네시아 기행 4부 망자의 땅, 따나 또라자 박영훈 (영화감독) 80회 7월 14일 신비의 땅, 마다가스카르 1부 배조족, 바다의 삶 박강수 (가수) 81회 7월 15일 신비의 땅, 마다가스카르 2부 천년의 생, 바오밥 박강수 (가수) 82회 7월 16일 신비의 땅, 마다가스카르 3부 숨겨진 보석 박강수 (가수) 83회 7월 17일 신비의 땅, 마다가스카르 4부 안타나리보, 꿈꾸는 사람들 박강수 (가수) 84회 7월 21일 오광록의 노르웨이 기행 1부 빙하가 준 선물, 피오르 오광록 (연기자) 85회 7월 22일 오광록의 노르웨이 기행 2부 자연에서 평화를 배운다, 스타방에르 오광록 (연기자) 86회 7월 23일 오광록의 노르웨이 기행 3부 자연에서 피어난 예술 오광록 (연기자) 87회 7월 24일 오광록의 노르웨이 기행 4부 백야(白夜)의 나라, 우리는 북극으로 간다 오광록 (연기자) 88회 7월 28일 자전거 여행가 이창수의 ‘미지의 섬을 찾아서’ 1부 신비한 산호초 바다, 아포 섬 이창수 (자전거 여행가) 89회 7월 29일 자전거 여행가 이창수의 ‘미지의 섬을 찾아서’ 2부 원시 자연 탐험, 시키호르 섬 이창수 (자전거 여행가) 90회 7월 30일 자전거 여행가 이창수의 ‘미지의 섬을 찾아서’ 3부 돌고래 천국, 파밀라칸 섬 이창수 (자전거 여행가) 91회 7월 31일 자전거 여행가 이창수의 ‘미지의 섬을 찾아서’ 4부 베트남 최고의 낙원, 냐짱 이창수 (자전거 여행가) 92회 8월 4일 이동진이 찾은 남태평양, 피지! 1부 할리우드가 선택한 미지의 섬 이동진 (영화평론가) 93회 8월 5일 이동진이 찾은 남태평양, 피지! 2부 피지언, 그들이 사는 법 이동진 (영화평론가) 94회 8월 6일 이동진이 찾은 남태평양, 피지! 3부 사탕수수 농장의 노래 이동진 (영화평론가) 95회 8월 7일 이동진이 찾은 남태평양, 피지! 4부 시원(始原)의 선물 이동진 (영화평론가) 96회 8월 11일 만화가 이우일, 캄보디아에 가다 1부 살아있는 신들의 도시, 앙코르 이우일 (만화가) 97회 8월 12일 만화가 이우일, 캄보디아에 가다 2부 몬둘키리, 원시 오지의 삶 이우일 (만화가) 98회 8월 13일 만화가 이우일, 캄보디아에 가다 3부 상처와 희망, 킬링필드 이우일 (만화가) 99회 8월 14일 만화가 이우일, 캄보디아에 가다 4부 크메르의 젖줄, 톤레사프 이우일 (만화가) 100회 8월 18일 여행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이란 1부 조로아스터의 후예들 유성용 (여행생활자) 101회 8월 19일 여행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이란 2부 페르세폴리스로 가는 길 유성용 (여행생활자) 102회 8월 20일 여행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이란 3부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유성용 (여행생활자) 103회 8월 21일 여행생활자 유성용이 만난 이란 4부 페르시안, 길 위의 영혼 유성용 (여행생활자) 104회 8월 25일 영혼의 땅, 인도 1부 마하라나 왕조의 낭만, 우다이푸르 조수진 (인도 여행가) 105회 8월 26일 영혼의 땅, 인도 2부 마지막 샹그릴라를 찾아서 조수진 (인도 여행가) 106회 8월 27일 영혼의 땅, 인도 3부 순수의 땅, 라다크 사람들 조수진 (인도 여행가) 107회 8월 28일 영혼의 땅, 인도 4부 삶과 죽음의 용광로, 바라나시 조수진 (인도 여행가) 108회 9월 1일 공존의 땅, 스리랑카 1부 삶의 장인들을 찾아서 황주리 (서양화가) 109회 9월 2일 공존의 땅, 스리랑카 2부 코끼리와의 동고동락 타나말윌라 황주리 (서양화가) 110회 9월 3일 공존의 땅, 스리랑카 3부 성스러운 사리와 실론티의 고향 황주리 (서양화가) 111회 9월 4일 공존의 땅, 스리랑카 4부 2천 년 신비와의 조우 황주리 (서양화가) 112회 9월 8일 박민우의 비바! 콜롬비아 1부 커피의 낭만에 취하다, 살렌토 박민우 (작가) 113회 9월 9일 박민우의 비바! 콜롬비아 2부 사라진 도시 시우다드 페르디다 박민우 (작가) 114회 9월 10일 박민우의 비바! 콜롬비아 3부 전설의 황금도시 엘도라도를 찾아서 박민우 (작가) 115회 9월 11일 박민우의 비바! 콜롬비아 4부 내 영혼의 따뜻한 오후, 타강가 박민우 (작가) 116회 9월 15일 김연수, 초원의 나라 몽골에 가다 1부 내 안의 사막, 고비 김연수 (소설가) 117회 9월 16일 김연수, 초원의 나라 몽골에 가다 2부 어머니의 바다, 홉스굴 김연수 (소설가) 118회 9월 17일 김연수, 초원의 나라 몽골에 가다 3부 초원과 바람의 후예들 김연수 (소설가) 119회 9월 18일 김연수, 초원의 나라 몽골에 가다 4부 바람과 영혼의 노래 김연수 (소설가) 120회 9월 29일 이희수 교수의 내가 사랑한 터키 1부 공존의 도시, 이스탄불 이희수 (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121회 9월 30일 이희수 교수의 내가 사랑한 터키 2부 따뜻한 바다, 흑해 이희수 (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122회 10월 1일 이희수 교수의 내가 사랑한 터키 3부 신의 손길, 인간의 숨결 카파도키아 이희수 (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123회 10월 2일 이희수 교수의 내가 사랑한 터키 4부 믿음의 고향을 찾아서 이희수 (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124회 10월 6일 심산, 캐나다 서부를 가다 1부 캐나다의 영혼, 로키 심산 (작가) 125회 10월 7일 심산, 캐나다 서부를 가다 2부 빙하에서 서부까지 심산 (작가) 126회 10월 8일 심산, 캐나다 서부를 가다 3부 자연을 닮은 사람들, 토피노 심산 (작가) 127회 10월 9일 심산, 캐나다 서부를 가다 4부 캐나디안, 그들이 사는 법 심산 (작가) 128회 10월 13일 아프리카의 재발견, 에티오피아 1부 나일 강의 시원, 타나 호수 신미식 (사진작가) 129회 10월 14일 아프리카의 재발견, 에티오피아 2부 아프리카의 지붕, 시미엔 신미식 (사진작가) 130회 10월 15일 아프리카의 재발견, 에티오피아 3부 뜨거운 땅, 다나킬 신미식 (사진작가) 131회 10월 16일 아프리카의 재발견, 에티오피아 4부 검은 대륙의 기독교 성지 신미식 (사진작가) 132회 10월 20일 샬롬! 이스라엘 1부 역사가 흐르는 사막, 네게브 김종철 (방송작가) 133회 10월 21일 샬롬! 이스라엘 2부 이스라엘의 생명수, 갈릴리 김종철 (방송작가) 134회 10월 22일 샬롬! 이스라엘 3부 사막의 계곡에서 홍해까지 김종철 (방송작가) 135회 10월 23일 샬롬! 이스라엘 4부 3천년의 고도(古都), 예루살렘 김종철 (방송작가) 136회 10월 27일 구름의 땅, 중국 윈난 1부 잃어버린 세계, 또 하나의 샹그릴라 전용성 (아트디렉터) 137회 10월 28일 구름의 땅, 중국 윈난 2부 전설과 낭만이 있는 곳, 따리-리장 전용성 (아트디렉터) 138회 10월 29일 구름의 땅, 중국 윈난 3부 시간이 멈춰진 곳, 젠수웨이-위엔양 전용성 (아트디렉터) 139회 10월 30일 구름의 땅, 중국 윈난 4부 차보다 진한 사람들의 향기, 푸얼-쿤밍 전용성 (아트디렉터) 140회 11월 3일 황금빛 땅, 벵골만을 가다 1부 모래섬 이야기, 찔마리 손병휘 (가수) 141회 11월 4일 황금빛 땅, 벵골만을 가다 2부 은둔자의 숲, 반다르 반에서 만난 사람들 손병휘 (가수) 142회 11월 5일 황금빛 땅, 벵골만을 가다 3부 어머니의 바다, 콕스바자르 손병휘 (가수) 143회 11월 6일 황금빛 땅, 벵골만을 가다 4부 초록빛 희망을 꿈꾼다, 순다르반 손병휘 (가수) 144회 11월 10일 북아프리카의 진주, 모로코 1부 천년의 빛깔, 페스 김원철 (건축가) 145회 11월 11일 북아프리카의 진주, 모로코 2부 사하라로 가는 길 김원철 (건축가) 146회 11월 12일 북아프리카의 진주, 모로코 3부 아틀라스의 축복, 투브칼 김원철 (건축가) 147회 11월 13일 북아프리카의 진주, 모로코 4부 대서양의 길, 에사위라 김원철 (건축가) 148회 11월 17일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 1부 천상의 계곡, 랑탕 최항영 (사진가) 149회 11월 18일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 2부 구름 위 성지, 고사인쿤드 가는 길 최항영 (사진가) 150회 11월 19일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 3부 네팔의 이방인들 최항영 (사진가) 151회 11월 20일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 4부 삶과 죽음의 공존, 카트만두 최항영 (사진가) 152회 11월 24일 미지의 나라 나미비아를 가다 1편 모래와 바람의 집, 나미브 사막 하림 (가수,작곡가) 153회 11월 25일 미지의 나라 나미비아를 가다 2편 원시의 삶, 부시맨과 에토샤 하림 (가수,작곡가) 154회 11월 26일 미지의 나라 나미비아를 가다 3편 붉은 정열의 사람들, 오바힘바 하림 (가수,작곡가) 155회 11월 27일 미지의 나라 나미비아를 가다 4편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빈트후크 하림 (가수,작곡가) 156회 12월 1일 마야의 심장, 과테말라 1부 정글 속 마야문명을 찾아서 송영복 (경희대학교 스페인어학과 교수) 157회 12월 2일 마야의 심장, 과테말라 2부 죽은 자를 위한 축제 송영복 (경희대학교 스페인어학과 교수) 158회 12월 3일 마야의 심장, 과테말라 3부 불의 땅 송영복 (경희대학교 스페인어학과 교수) 159회 12월 4일 마야의 심장, 과테말라 4부 작은 아프리카, 리빙스턴 송영복 (경희대학교 스페인어학과 교수) 160회 12월 8일 여행생활자 유성용 시킴·부탄을 가다 1부 시킴으로 가는 길, 홍차의 고향 다즐링 유성용 (여행생활자) 161회 12월 9일 여행생활자 유성용 시킴·부탄을 가다 2부 히말라야의 진주, 시킴 유성용 (여행생활자) 162회 12월 10일 여행생활자 유성용 시킴·부탄을 가다 3부 히말리야의 마지막 왕국, 부탄 유성용 (여행생활자) 163회 12월 11일 여행생활자 유성용 시킴·부탄을 가다 4부 바람과 영혼의 축제, 붐탕 유성용 (여행생활자) 164회 12월 15일 매혹의 땅, 쿠바 1부 희망을 꿈꾸는 도시, 아바나 송봉주 (가수) 165회 12월 16일 매혹의 땅, 쿠바 2부 시가의 향기를 따라서, 피나르 델 리오 송봉주 (가수) 166회 12월 17일 매혹의 땅, 쿠바 3부 카리브해의 낭만, 바라데로 송봉주 (가수) 167회 12월 18일 매혹의 땅, 쿠바 4부 부에나 비스타의 고향, 아바나 송봉주 (가수) 168회 12월 22일 대륙의 오아시스, 우즈베키스탄 1부 중앙아시아의 심장, 타슈켄트 박 루슬란 (영화감독) 169회 12월 23일 대륙의 오아시스, 우즈베키스탄 2부 역사박물관 부하라 박 루슬란 (영화감독) 170회 12월 24일 대륙의 오아시스, 우즈베키스탄 3부 호바로 가는 길 박 루슬란 (영화감독) 171회 12월 25일 대륙의 오아시스, 우즈베키스탄 4부 고려인 마을, 뽈리따젤 박 루슬란 (영화감독) (재방) 12월 29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재방)(1부~3부) 1부 스페인의 자존심, 투우 이상은 (가수) 48~50회차 (재방) 12월 30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재방)(1부~3부) 2부 집시의 영혼, 플라멩코 이상은 (가수) 48~50회차 (재방) 12월 31일 보헤미안 이상은의 스페인 기행(재방)(1부~3부) 3부 태양의 땅, 열정의 사람들 이상은 (가수) 48~50회차 2008 = 분류:프랑스에서 스페인으로 이민간 사람 = = 분류:스페인의 유도 = =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聞慶 大乘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及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문경시 대승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34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0-18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202호, 135-146면, 2010-02-24 = =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과학적 조사(성분분석, X-ray)를 하던 중 불상의 머리에서 "大德五年辛丑五月二十日 宮闕都監錄事別將丁承說印出"의 묵서가 적힌 기록이 발견되어 연대는 1301년에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일체보협인다라니(1292년)와 태장경만다라에도 연대가 있고, 묵서가 적힌 향낭 등도 출토되었다. 이 다라니를 포함한 복장물은 처음 불상을 제작하였을 때에 납입한 것으로 추정되어 이 아미타여래좌상이 14세기 초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 결과 정상계주 역시 신체와 같은 동으로 제작되었음이 밝혀져 현재 상태의 정상계주 표현이 원래 모습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도 확인된다. 대체로 13세기말 14세기의 고려불상이 원의 영향을 받은 티베트 불상 계통이 개성지역에서 유행하였던 것에 비해 이 문경의 대승사 불상은 그 이전 시기인 고려중기 불상의 전통을 이어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리고 이 전통은 역시 13세기로 추정되는 서울 수국사의 아미타불상이나 청양 장곡사의 약사불상(1346년)으로 전개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상으로 평가된다. 이 불상은 묵서명 다라니를 통해 1301년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고려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이 시기 유행한 금동불상 중에서 조형적 완성도가 비교적 높고 보존 상태 또한 양호하다. = =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 = 순번 명칭 수량 연대 크기 (세로×가로cm) 비고 1 아미타삼존다라니(阿彌陀三尊陀羅尼) 1 충렬왕27년(1301) 33× 34.5 인본(印本) 다라니로서 ‘大德五年(1301)辛丑五月二十日宮闕都監綠事別將丁承說印出’의 묵서(墨書)가 있음. 2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 8 충렬왕18년(1292)刻 37.5× 34 인본(印本) 다라니로서 至元 29年(1292) 僧齋色開板의 간기와‘張頤’의 묵서(墨書)가 있음. 3 아자범자원상태장계만다라(阿字梵字圓相胎藏界曼茶羅) 3 고려후기 33× 35.5 인본(印本) 다라니로서 ‘同願戒淸’,‘同願僧鳳’의 시주자(施主者) 묵서(墨書)가 있음. 4 향낭(香囊) 1 고려후기 길이 7.9 향낭(香囊) 표면에 묵서(墨書)가 있음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복장에서 수습된 다라니 12매는 고려 충렬왕 18년(1292)과 27년 (1301)경에 판각 또는 인출되어 금동아미타불조성시에 불복장에 납입(納入)된 것으로 “大德五年五月二十日 宮闕都監綠事別將丁承說 印出”의 묵서명은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연대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아미타불조성에 있어 필수적인 다라니로 흩어져있는 불복장 일괄유물을 체계화시키는데 보완이 되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 = 참고 자료 = = *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차세연 = 차세연(2000년 7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다. 2020년 SBS 드라마 '편의점 샛별이'로 데뷔했다. = = 방송 = = 편의점 샛별이 (2020) 나의 위험한 아내 (2020) 토정로맨스 (2021) 디어엠 (2021) 고디바SHOW (2021) - 최종 생존 = = 영화 = = 지구에서의 휴가 (2023) = = CF = = 하나카드 CJ프레시지 밀키트 = 분류:우주 무기 = = EGA = EGA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강화 그래픽 어댑터(Enhanced Graphics Adapter) 대수기하원론(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 틀:YG 엔터테인먼트 = = 언양읍 = 언양읍(彦陽邑)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읍이다. 언양이란 이름은 옛 언양군의 진산인 고헌산의 '헌'자를 '언'자으로 발음하여 따서 만든 이름이다. 본래 언양은 고려, 조선 시대에 울산 도심과는 다소 구분되는 권역을 이루어왔다. = = 역사 = = 1914년 3월 1일 언양군이 폐지되어 울산군 상북면과 중북면이 되고, 같은 해 4월 1일 두 면에 중남면과 두동면, 두서면 각 일부를 편입하여 14개리를 관할하는 언양면이 설치되었다. 개편 전 개편 후 상북면 송대동(松臺洞) 송대리(松臺里) 상북면 서부동(西部洞), 노상동(路上洞) 서부리(西部里) 상북면 동부동(東部洞), 노동동(路東洞) 동부리(東部里) 상북면 남부동(南部洞) 남부리(南部里) 상북면 어음동(於音洞), 중남면 평리 일부 어음리(於音里) 상북면 반소동(盤所洞) 반송리(盤松里) 상북면 천소동(泉所洞), 천상동(泉上洞), 반소동 일부, 반호동 일부 반천리(盤泉里) 상북면 반호동(盤湖洞), 동부동 일부, 중북면 반곡동 일부 반연리(盤淵里) 중북면 대곡동(大谷洞), 반곡동 일부, 두동면 대곡동(大谷洞) 대곡리(大谷里) 중북면 반곡동(盤谷洞), 두서면 천전리 일부, 구영동 일부 반곡리(盤谷里) 중북면 다개동 일부 평리(平里) 중북면 다개동(茶開洞), 두서면 차동 일부 다개리(茶開里) 중북면 태동(台洞), 기지동(機池洞) 태기리(台機里) 중북면 직동(直洞), 남동(南洞), 기지동 일부 직동리(直洞里)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언양면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언양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언양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삼남면 구수리를 편입하였다. 1982년 10월 5일 면청사를 현위치로 이전하였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언양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언양면이 되었다. 1996년 2월 1일 언양면이 언양읍으로 승격하였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이 되었다. = = 행정 구역 = = 언양읍은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 271개 반으로 구성되어있다. 인구는 2015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0,723세대 27,073명이다. 읍소재지는 동부리이다. 법정리 한자 행정리 수 세대 인구 송대리 松臺里 1 267 649 서부리 西部里 9 3,282 9,294 동부리 東部里 6 3,126 8,271 남부리 南部里 2 447 834 어음리 於音里 2 651 1,431 반송리 盤松里 3 379 897 구수리 九秀里 3 169 308 반천리 盤泉里 4 1,265 3,298 반연리 盤淵里 1 261 309 대곡리 大谷里 1 46 90 반곡리 盤谷里 2 161 287 평리 平里 1 117 248 다개리 茶開里 1 183 399 태기리 台機里 1 51 89 직동리 直洞里 2 318 669 언양읍 彦陽邑 39 10,723 27,073 = = 주요 시설 = = 경남은행 언양지점 국민은행 언양점 서울주새마을금고 울주신협 농협중앙회 울산점 언양농협 울산축협 울주경찰서 언양파출소 울산중부소방서 언양119안전센터 울산우체국 = = 교육 기관 = = 언양초등학교 언양초등학교병설유치원 영화초등학교 반곡초등학교 반곡초등학교병설유치원 반천초등학교 반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신언중학교 언양중학교 언양고등학교 울산과학기술원 = = 교통 시설 = = = = = 도로 = = = 경부고속도로가 언양읍을 지나고, 울산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언양 분기점이 있다. 언양 나들목이 있었지만 현재는 폐쇄되어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삼남면에 있는 서울산 나들목으로 진입해야한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과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이 언양읍에서 교차한다. = = = 철도 = = = 경부고속선이 언양읍을 지나지만 역은 설치되어있지 않다. 열차를 이용하려면 인접한 삼남읍 신화리에 소재한 울산역으로 가야한다. = = 주거 = = = = = 아파트 = = = 동부리 SM경남기업 신울산 경남아너스빌 : 2010년 1월 입주. 서부리 두산건설 서울산 두산위브 : 2009년 4월 입주. 삼성물산 건설부문 언양 삼성아파트 : 1996년 8월 입주. 한신공영 서울산 한신휴플러스 : 2013년 6월 입주. 해창종합건설 언양 서부리 스타골든캐슬 : 2018년 2월 입주. 송대리 양우건설 KTX울산역 양우내안애 더 퍼스트 : 2019년 1월 입주. = = 문화재 = = 언양읍성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 언양면의회 = = 언양면의회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지방 의회이다. 1952년 4월 25일 초대 면의원 선거 실시, 언양면의원 13명(자유당1+대한독립촉성국민회5+대한청년단1+무소속6)이 선출되었다. 1956년 8월 8일 2대 면의원 선거 실시, 언양면의원 12명(자유당12)이 선출되었다. 1960년 12월 12일 3대 면의원 선거 실시, 언양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군사 정권에 의해 강제해산되었다. = 셰인 바즈 = 셰인 오스틴 바즈 (Shane Austin Baz, 1999년 6월 17일 ~ )는 미국 프로야구 아메리칸 리그 탬파베이 레이스의 산하 마이너 리그 선수이다. 2017년 1라운드 12순위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에 입단했으며, 2018년 8월 14일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2020 하계 올림픽 미국 야구 대표팀 선발 투수로 뛰었다. = 이선 호바스 = 이선 셰이 호바스(, 1995년 6월 9일 ~ )는 미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잉글랜드 EFL 챔피언십의 클럽 카디프 시티에서 활약하고 있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 덕계천 = 덕계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덕계천 (경기도) 덕계천 (경상남도) = 김용강 = 김용강(金容江, Yong-Kang Kim、1965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전 세계복싱평의회(WBC),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다. = = 생애 =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 1985년 4월 6일 프로 데뷔. 1988년 7월 24일 세계복싱평의회(WBC) 세계 챔피언. 2차 방어 성공. 1995년 3월25일 타이틀 재도전 실패후 은퇴. 통산 전적 31전 26승(11KO)5패. = 분류:도미오카시 = = 진정 = = = 인명 = = 진정(眞淨, 생몰년 미상)은 백제 근초고왕 때의 대신이자 외척이다. 진정(陳政, 616년 ~ 677년)은 당나라의 군인이다. 진정(陳靜, Dada Chan, 1989년 ~ )는 홍콩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 기타 = = 진정작용(鎭靜作用)이란 신경계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작용이다. 진정(陳情)이란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에 사정을 진술하고 어떤 조치를 희망하는 행위를 뜻한다. = 싸이베이 = 싸이베이(, 새북) 또는 싸이와이(, 새외)는 예전에 쓰이던 중국의 지리적 위치를 가리키는 용어였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 유래 = = "새"(塞, 싸이)는 요새나 국경 요새를 의미하는 글자로, 명나라 시기의 만리장성을 말한다. 싸이베이나 싸이와이 모두 만리장성 바깥(북쪽) 지역을 의미한다. = 후르비츠의 정리 = 후르비츠의 정리(Hurwitz's theorem, -定理)는 독일의 수학자 아돌프 후르비츠(Adolf Hurwitz)의 이름이 붙은 다음과 같은 정리들을 칭한다. 후르비츠의 정리 (복소해석학) 후르비츠의 정리 (나눗셈 대수) 후르비츠의 정리 (정수론) 리만-후르비츠 공식 후르비츠 자기 동형군 정리 = 이미옥 (1966년) = 이미옥(李美玉, 1966년 10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제7대 광주광역시의원이며,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이다. = = 학력 = = 광주중앙여자고등학교 졸업 1984.3 ~ 1984.12 조선대학교 자원공학과 제적 = = 경력 = = 노동자문화패 일꾼마당 활동 민주노총 광주·전남지역본부 총무기획국장 광주노동자 문예 ‘광노문연’활동 협동조합 마을항아리 이사 일하는여성문화공동체 ‘광산여성회 공동대표’ 월곡동 행복도서관 운영위원장 PRCM(움직임을 활용한 평화관계만들기) 수료 몸,맘 놀이 촉진가 전래놀이 강사 민주노동당 광주시당 노동위원장 통합진보당 광주시당 사무처장 통합진보당 광주시당 합동사무처장 통합진보당 광주시당 광산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조정담당 공익위원 2014.07 ~ 2014.12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2014.07 ~ 2014.12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산업건설위원회 부위원장 2014.07 ~ 2014.12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4.07 ~ 2014.12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문화도시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14.12.22 통합진보당 해산, 의원직 상실 2016.05.19 의원직 복귀 2016.05 ~ 2018.06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2016.05 ~ 2016.07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2016.07 ~ 2018.06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2016.07 ~ 2018.06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도시재생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16.07 ~ 2018.06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7.03 ~ 2017.07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2017.03 ~ 2017.05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광주도시공사사장인사청문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18.02 ~ 2018.06 제7대 광주광역시의회 군공항이전특별위원회 위원 = 분류:백제의 조각 = = 분류:양독 국경 = = 루갈-안네-문두 = = 대한민국의 부총리 = 부총리(副總理)는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사무를 처리하는 정무직 공무원이다. 특정 부처의 장관이 겸임할 수 있으나, 주로 해당 정부의 주요 시책 담당 부서의 장관이 겸임한다.헌법에는 부총리의 직책을 규정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어서 위헌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다만 정부조직법에는 그 직책이 명시되어 있다. 2013년 현재 경제 관련 사무에 관하여 기획재정부 장관이 부총리직을 겸임하고 있으며, 2014년 현재 교육·사회·문화 관련 사무에 관하여 교육부 장관이 부총리직을 겸임하게 됐다. 국무총리가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부총리가 그 직무를 대신하며, 부총리가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통령의 지명이 있으면 그 지명을 받은 국무위원이, 지명이 없는 경우에는 정부조직법 제26조 제1항에 규정된 순서에 따라 국무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대통령령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르면 부총리는 국무총리 아래의 직위로서 장관 및 장관급에 준하는 공무원보다 높은 보수를 받으며, 같은 대우를 받는 공직자는 '감사원장'이 있다(공무원보수규정 제35조) = = 역할 = = (정부조직법 제19조 제1항)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총리 2명을 둔다. (정부조직법 제19조 제3항) 부총리는 기획재정부장관과 교육부장관 겸임하며, 경제정책과 사회, 문화, 교육 정책에 관하여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관계 중앙행정기관을 총괄·조정한다. = = 연혁 = = 1963년 12월 제3공화국 때, 경제 개발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해 경제기획원 장관이 경제부총리를 겸임하게 한 것이 시초이다. (부총리: 1인) 제5공화국 때, 국무위원이 특사로 임명되어 해외로 나갈 때, 부총리의 직함을 준 적이 있었다.對外職名 副總理制 신설 《경향신문》 1981년 11월 10일閣議의결 大統領특사 國務위원 副總理 對外職命가능 《동아일보》 1981년 11월 10일 1990년 12월 노태우 정부 때, 통일원 장관이 겸임하는 통일부총리가 신설되었다. (부총리: 2인) 김영삼 정부 때, 재정경제원 장관이 경제부총리를 겸임하게 되었다. 1998년 2월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면서 외환 위기의 여파로 작은 정부를 지향하면서 부총리제를 전면 폐지하였다가, 2001년 1월 재정경제부 장관이 경제부총리를,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이 교육부총리직을 겸임하게 함으로써 부총리제가 부활하였다. (부총리: 2인) 2004년 9월 노무현 정부 때에는 과학기술부 장관이 과기부총리를 겸임하게 함으로써 3명의 부총리가 있었다. (부총리: 3인)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부총리제를 폐지하였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부총리제가 부활하여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부총리를 겸임하게 되었고, 2014년 11월 교육부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겸임 하게 되었다. (부총리: 2인) = = 부총리직을 겸하는 부처 = = 경제부총리를 겸하는 부처 기획재정부 - 2013년 3월 ~ 사회부총리를 겸하는 부처 교육부 - 2014년 11월 ~ = = = 부총리직을 겸했던 부처 = = = 경제부총리를 겸했던 부처 경제기획원 - 1963년 12월 ~ 1994년 12월 재정경제원 - 1994년 12월 ~ 1998년 3월 재정경제부 - 2001년 1월 ~ 2008년 2월 통일부총리를 겸했던 부처 통일원 - 1990년 12월 ~ 1998년 3월 교육부총리를 겸했던 부처 교육인적자원부 - 2001년 1월 ~ 2008년 2월 과학기술부총리를 겸했던 부처 과학기술부 - 2004년 10월 ~ 2008년 2월 = = 역대 부총리 = = = = = 제3공화국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7대 김유택(金裕澤) 1963년 12월 17일~1964년 5월 11일 재무부 이재국장, 재무부 차관, 재무부 장관, 제7대 국회의원, 주 영국 대사, 한국은행 총재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8대 장기영(張基榮) 1964년 5월 11일~1967년 10월 3일 제9대 국회의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조선일보 사장, 한국일보 사주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9대 박충훈(朴忠勳) 1967년 10월 3일~1969년 6월 3일 상공부 차관, 상공부 장관,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이사장, 한국무역협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0대 김학렬(金鶴烈) 1969년 6월 3일~1972년 1월 4일 경제기획원 차관,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1대 태완선(太完善) 1972년 1월 4일~1974년 9월 18일 상공부 장관, 건설부 장관, 제2·5·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 = = 제4공화국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1대 태완선(太完善) 1972년 1월 4일~1974년 9월 18일 상공부 장관, 건설부 장관, 제2·5·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2대 남덕우(南德祐) 1974년 9월 18일~1978년 12월 22일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 코리아헤럴드 회장, 한국무역협회장, 산학협동재단 이사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3대 신현확(申鉉確) 1978년 12월 22일~1979년 11월 22일 대구대 교수, 외자청장, 부흥부 차관, 부흥부 장관, 국무총리, 행정개혁위원회 위원장, 제9·10대 국회의원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4대 이한빈(李漢彬) 1979년 11월 22일~1980년 5월 22일 숭실대 총장, 재무부 예산국장, 재무부 정무차관·사무차관, 주 스위스 대사, 인간개발연구원 원장·회장, 과학기술원 이사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5대 김원기(金元基) 1980년 5월 22일~1980년 9월 2일 재무부 이재국장·세정차관보, 재무부 차관, 재무부 차관, 한국산업은행 총재, 한국도로공사 이사장, 한국무역협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6대 신병현(申秉鉉) 1980년 9월 2일~1982년 1월 4일 상공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무역협회장 = = = 제5공화국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6대 신병현(申秉鉉) 1980년 9월 2일~1982년 1월 4일 상공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무역협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7대 김준성(金埈成) 1982년 1월 4일~1983년 7월 7일 한국은행 총재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8대 서석준(徐錫俊)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국. 1983년 7월 7일~1983년 10월 7일 행정조정실장,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한국개발연구원 자문위원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19대 신병현(申秉鉉) 1983년 10월 15일~1986년 1월 8일 상공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무역협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0대 김만제(金滿堤) 1986년 1월 8일~1987년 5월 26일 서강대 교수, 재무부 장관, 제16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미은행장, 한국개발연구원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1대 정인용(鄭寅用) 1987년 5월 26일~1988년 2월 24일 재무부 외환국장·국제금융차관보, 경제기획원 차관, 재무부 차관, 재무부 장관 = = = 노태우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2대 나웅배(羅雄培) 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아주대 총장, 상공부 장관, 재무부 장관, 제11·12·13·14대 국회의원, 전국경제인연합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3대 조순(趙淳) 1988년 12월 5일~1990년 3월 17일 서울대 교수, 서울특별시장, 제15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총재, 한국은행 총재, 한국국제경제학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4대 이승윤(李承潤) 1990년 3월 17일~1991년 2월 18일 서경대 교수, 재무부 장관, 제9·10·13·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정책위원회 의장, 해외건설협회장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5대 최각규(崔珏圭) 1991년 2월 18일~1993년 2월 24일 강원도지사, 재무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제13대 국회의원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16대 최호중(崔浩中) 1990년 12월 27일~1992년 6월 25일 외무부 경제차관보, 상공부 차관, 외무부 장관, 주 말레이시아 대사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17대 최영철(崔永喆)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5일 체신부 장관, 노동부 장관, 제9·10·11·12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정책위원회 의장, 국회부의장, 통일번영연구원 회장 = = = 김영삼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6대 이경식(李經植) 1993년 2월 25일~1993년 12월 21일 체신부 차관, 한국은행 총재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7대 정재석(丁渽錫) 1993년 12월 21일~1994년 10월 4일 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교통부 장관, 상공부 장관 부총리 겸경제기획원장관 28대 홍재형(洪在馨) 1994년 10월 4일~1994년 12월 23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재무부 제1차관보, 재무부 장관, 제16·17·18대 국회의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수출입은행장 부총리 겸재정경제원장관 초대 홍재형(洪在馨) 1994년 12월 23일~1995년 12월 20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재무부 제1차관보, 재무부 장관, 제16·17·18대 국회의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수출입은행장 부총리 겸재정경제원장관 2대 나웅배(羅雄培) 1995년 12월 20일~1996년 8월 8일 아주대 총장, 상공부 장관, 제11·12·13·14대 국회의원, 전국경제인연합회장 부총리 겸재정경제원장관 3대 한승수(韓昇洙) 1996년 8월 8일~1997년 3월 5일 서울대 교수, 대통령비서실장, 상공부 장관, 국무총리, 제13·15·16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경제정책위원회 위원장, 주 미국 대사 부총리 겸재정경제원장관 4대 강경식(姜慶植) 1997년 3월 5일~1997년 11월 19일 경제기획원 차관보, 재무부 차관, 제12·14·15대 국회의원,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이사장 부총리 겸재정경제원장관 5대 임창열(林昌烈) 1997년 11월 19일~1998년 3월 5일 경기도지사, 조달청장, 재무부 증권국장, 과학기술처 차관, 재정경제원 차관, 통상산업부 장관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18대 한완상(韓完相) 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서울대 교수, 상지대 총장, 한성대 총장, 교육부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19대 이영덕(李榮德) 1993년 12월 22일~1994년 4월 29일 서울대 교수, 명지대 총장, 국무총리,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한국교육개발원장,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장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20대 이홍구(李洪九) 1994년 4월 30일~1994년 12월 16일 서울대 교수, 국무총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통일고문회의 의장, 제15대 국회의원, 주 영국 대사, 주 미국 대사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직무대행 송영대(宋榮大) 1994년 12월 17일~1994년 12월 23일 통일원 차관, 평화문제연구소장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21대 김덕(金德) 1994년 12월 24일~1995년 2월 21일 국가안전기획부장, 제15대 국회의원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22대 나웅배(羅雄培) 1995년 2월 22일~1995년 12월 20일 아주대 총장, 재무부 장관, 상공부 장관, 경제부총리, 제11·12·13·14대 국회의원 부총리 겸통일원 장관 23대 권오기(權五琦) 1995년 12월 21일~1998년 3월 2일 동아일보 이사장, 한국신문편집인협회장 = = = 김대중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9대 진념(陳念) 2001년 1월 29일~2002년 4월 15일 경제기획원 공정거래실장·기획차관보, 재무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동력자원부 장관, 노동부 장관, 기획예산처 장관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10대 전윤철(田允喆) 2002년 4월 15일~2003년 2월 27일 수산청장, 경제기획원 기획관리실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기획예산처 장관, 감사원장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초대 한완상(韓完相) 2001년 1월 29일~2002년 1월 28일 상지대 총장, 한성대 총장, 통일부총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이사장, 대한적십자사 총재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2대 이상주(李相周) 2002년 1월 29일~2003년 3월 6일 서울대 교수, 강원대 총장, 울산대 총장,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 = = = 노무현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11대 김진표(金晉杓) 2003년 2월 27일~2004년 2월 10일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국무조정실장, 재정경제부 차관, 교육부총리, 제17·18·19대 국회의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국회 재정·조세연구회장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12대 이헌재(李憲宰) 2004년 2월 10일~2005년 3월 7일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13대 한덕수(韓德洙) 2005년 3월 14일~2006년 7월 18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국무조정실장, 통상산업부 차관, 국무총리, 주 미국 대사, 산업연구원장, 한국무역협회장 부총리 겸재정경제부장관 14대 권오규(權五奎) 2006년 7월 18일~2008년 2월 29일 대통령비서실 정책·경제수석비서관, 조달청장,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차관보, 주 OECD 대사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3대 윤덕홍(尹德弘) 2003년 3월 7일~2003년 12월 23일 대구대 총장, 한국학중앙연구원장, 민주당 최고위원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4대 안병영(安秉永) 2003년 12월 24일~2005년 1월 4일 연세대 교수,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장, 아시아사회과학연구협의회장, 한국행정학회장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5대 이기준(李基俊) 2005년 1월 5일~2005년 1월 10일 서울대 총장, 한국공학한림원장,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사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직무대행 김영식(金永植) 2005년 1월 11일~2005년 1월 27일 교육인적자원부 고등교육지원국장·기획관리실장·차관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6대 김진표(金振杓) 2005년 1월 28일~2006년 7월 20일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국무조정실장, 경제부총리, 제17·18·19대 국회의원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7대 김병준(金秉準) 2006년 7월 21일~2006년 8월 8일 국민대 교수, 대통령비서실 정책특별보좌관·정책실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직무대행 이종서(李鍾瑞) 2006년 8월 9일~2006년 9월 19일 교육부 교육정책기획관·고등교육지원국장,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교육인적자원부 차관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8대 김신일(金信一) 2006년 9월 20일~2008년 2월 5일 서울여대 교수, 서울대 교수, 한국사회교육협회장, 한국교육학회장 부총리 겸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직무대행 서남수(徐南洙) 2008년 2월 6일~2008년 2월 28일 위덕대 총장,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교육부 장관, 서울장학재단 이사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과학기술부장관 24대 오명(吳明) 2004년 10월 18일~2006년 2월 9일 아주대 총장, 체신부 차관, 체신부 장관, 건설교통부 장관, 동아일보 회장, 국립암센터 이사장 부총리 겸과학기술부장관 25대 김우식(金雨植) 2006년 2월 10일~2008년 2월 28일 연세대 총장, 대통령비서실장, 한국과학기술학회장,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 한국미래발전연구원 이사장 = = = 박근혜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4대 현오석(玄旿錫) 2013년 3월 22일~2014년 7월 14일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 총장, 세계은행 자문위원, 한국개발연구원장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5대 최경환(崔炅煥) 2014년 7월 15일~2016년 1월 12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행정관, 대한경제신문사 편집국 부국장 및 논설위원, 제17대,18대,19대 국회의원, 지식경제부 장관, 새누리당 원내대표,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6대 유일호(柳一鎬) 2016년 1월 13일~2017년 6월 9일 제19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국토교통부 장관,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2대 황우여(黃祐呂) 2014년 11월 19일본래 8월 8일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가 11월 19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승격 되었다.~2016년 1월 12일 춘천·제주지법 수석부장판사, 제15·16·17·18·19대 국회의원, 한국청소년연맹 총재, 한나라당 원내대표,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3대 이준식(李俊植) 2016년 1월 13일~2017년 7월 4일 제2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창조경제분과 분과의장, 공과대학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연구부총장 = = = 문재인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7대 김동연(金東兗) 2017년 6월 10일~2018년 12월 10일 제15대 아주대학교 총장, 국무조정실장 (장관급), 기획재정부 제2차관·기획재정부 예산실장,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실 국정과제비서관·대통령실 경제수석실 경제금융비서관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8대 홍남기(洪楠基) 2018년 12월 11일~2022년 5월 9일 국무조정실장 (장관급),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실 기획비서관,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국장·기획재정부 대변인, 주미합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교육부장관 4대 김상곤(金相坤) 2017년 7월 5일~2018년 10월 2일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장, 제14대,15대 경기도 교육감, 등록금후불제를 위한 교수대책위원회 위원장,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 공동의장, 한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부총리 겸교육부장관 5대 유은혜(兪銀惠) 2018년 10월 2일~2022년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제6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사회분과 위원, 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위 위원장, 제19대, 20대 국회의원 = = = 윤석열 정부 = = =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9대 추경호(秋慶鎬) 2022년 5월 10일~2023년 12월 28일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 제20·21대 국회의원, 여의도연구원장, 국무조정실장 (장관급), 기획재정부 제1차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부총리 겸기획재정부장관 10대 최상목(崔相穆) 2023년 12월 29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농협대학교 총장, 기획재정부 제1차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경제금융비서관 명칭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부총리 겸교육부장관 5대 박순애(朴順愛) 2022년 7월 4일~2022년 8월 8일 서울대 행정학 교수 부총리 겸교육부장관 6대 이주호(李周浩) 2022년 11월 7일~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 역대 부총리 세부목록 = = = = 기록 = = 신병현 부총리: 제16대 및 제19대 경제기획원 장관 홍재형 부총리: 제28대 경제기획원 장관과 초대 재정경제원 장관 한완상 부총리: 제18대 통일원 장관과 초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김진표 부총리: 제12대 재정경제부 장관과 제6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나웅배 부총리: 제22대 경제기획원 장관, 제2대 재정경제원 장관과 제22대 통일원 장관 유은혜 부총리: 제5대 교육부 장관 단일 재직 일수 남덕우 부총리: 제22대 경제기획원 장관 (1547일) 유은혜 부총리: 제5대 교육부 장관 (1316일) 홍남기 부총리: 제8대 기획재정부 장관 (1247일) 총 재직 일수 남덕우 부총리: 제22대 경제기획원 장관 (1547일) 유은혜 부총리: 제5대 교육부 장관 (1316일) 신병현 부총리: 제16대 및 제19대 경제기획원 장관 (1307일) 이기준 부총리: 제5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6일) 김병준 부총리: 제7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19일) 김덕 부총리: 제21대 통일원 장관 (60일) 서석준 부총리: 제18대 경제기획원 장관 (46세) 김상곤 부총리: 제4대 교육부 장관 (69세) 이기준 부총리: 제5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68세) 황우여 부총리: 초대 교육부 장관 (68세) = = 부총리급 예우를 받는 직위 = = 감사원장 = = = 과거에 부총리급 예우를 받았던 직위 = = = 중앙정보부장 (이후 국가안전기획부로 명칭 변경) 국가안전기획부장 (문민정부 이후 장관급으로 격하) = 분류:2015년 동아시아지역 페스티벌 참가 선수 = = 채린 (1988년) = 채린(, 1988년 8월 23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생애 = = 2007년 10월에 결성된 대한민국의 3인조 여성 음악 그룹인 브랜뉴데이(Brand New Day)에 소속되어 오랜 준비 기간을 걸쳐 2009년 1월에 브랜뉴데이 EP 앨범 Lady Garden으로 정식 데뷔한 보컬 가수이다.PC사랑 2009년 8월호, 43페이지 현재 그룹은 해체된 상태이다. 〈살만해〉와 〈마스카라〉 등의 노래로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현재 호원대학교 실용음악학과에 재학 중이다. 2019년에 솔로로 데뷔했으며 현재는 수지니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라지 오브젝트 = 라지 오브젝트(Large object)는 다음 뜻이 있다. 바이너리 라지 오브젝트 캐릭터 라지 오브젝트 = 분류:진주시의 건축물 = = 분류:모듈러 형식 = = 분류:한남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동문 = =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 = = 레몽 코파 = 레몽 코파(, 본명: 레몽 코파셰프스키(Raymond Kopaszewski), 1931년 10월 13일 ~ 2017년 3월 3일)는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였다. = = 경력 = = 1931년 폴란드 이민자 출신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17세 때 앙제 SCO와 계약을 맺으면서 프로 무대에 데뷔하게 된다. 1951년 스타드 드 랭스로 이적했고 1953년과 1955년 팀의 리그 1 우승에 기여했다. 1956년에는 팀을 유러피언컵(UEFA 챔피언스리그의 전신) 결승전까지 진출시켰지만 랭스는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3-4로 패하면서 준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1956년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했고 1957년과 1958년 시즌에서 팀의 라 리가 우승에 기여했다. 1957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가 피오렌티나를 2-0으로 누르고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하는 데에 공헌했으며 1958년과 1959년에도 팀의 유러피언컵 우승에 공헌했다. 1959년 스타드 드 랭스로 복귀했고 1960년과 1962년 팀의 리그 1 우승에 공헌했다. 리그 1(프랑스 1부 리그) 클럽 소속으로 있는 동안 346경기에 출전하면서 75득점을 기록했고 1958년 프랑스 선수로는 처음으로 발롱도르를 수상했다. 1952년부터 1962년까지 프랑스 대표팀에서 뛰는 동안 45경기에 출전하면서 18득점을 기록했으며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가 3위를 차지하는 데에 공헌했다. 2004년 3월 펠레가 선정한 현존하는 최고의 축구 선수 목록인 FIFA 100에 선정되었다. = = 수상 및 수여 = = = = = = 랭스 = = = = 디비시옹 1 : 1952–53, 1954–55, 1959–60, 1961–62 디비시옹 2 : 1965-66 라틴 컵 : 1953 유로피언컵 준우승 : 1955-56 = = = = 레알 마드리드 = = = = 라리가 : 1956–57, 1957–58 유로피언컵 : 1956–57, 1957–58, 1958–59 라틴 컵 : 1957 = = =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 = = FIFA 월드컵 3위 : 1958 = = = 개인 = = = 발롱도르 : 1958 FIFA 월드컵 도움왕 : 195810도움 프랑스 올해의 선수 : 1960프랑스풋볼 선정 프랑스 세기의 선수 3위레퀴프 선정 월드사커 20세기 최고의 선수 100인 월드사커 올해의 팀에릭 배티 선정 : 1963 Etoile d'Or: 1960 FIFA XI : 1963 FIFA 100펠레 선정 : 2004 UEFA 회장상 : 2010 골든풋 : 2006 = = = = 서훈 = = = =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 1970 레지옹 도뇌르 오피서 : 2007 = = = = 발롱도르1956년부터 시상 = = = = 1956 - 3 1957 - 3 1958 - 1 1959 - 2 1960 - 6 1962 - 11 = 2시폭탄 = 2시폭탄은 iTV 경인방송의 라디오 채널 iTV iFM에서 방송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 역사 = = 2003년 6월 30일 iTV iFM 개국과 함께 첫방송을 시작했으며, 원래는 평일 방송이었으나, 2004년 7월 5일부터 매일 방송으로 확대되었고, 이후 2004년 12월 30일 iTV iFM 잠정 폐국같은 시기에 iTV가 완전 폐국을 했고, iTV iFM은 잠정 폐국을 했다.으로 인해 잠정적으로 폐지됐다가, 2005년 3월 1일 iTV iFM 방송 재개와 함께 다시 부활했으나, 2005년 11월 6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2시폭탄"은 완전히 폐지되었다. = = 역대 방송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iTV iFM 2003년 6월 30일 ~ 2004년 7월 2일 평일 오후 2:00 ~ 오후 4:00 iTV iFM 2004년 7월 5일 ~ 2004년 12월 30일 매일 오후 2:00 ~ 오후 4:00 iTV iFM 2005년 3월 1일 ~ 2005년 11월 6일 매일 오후 2:00 ~ 오후 4:00 = = 역대 DJ = = = = = 1기 = = = 2003년 6월 30일 ~ 2004년 12월 30일 : 박철 = = = 2기 = = = 2005년 3월 1일 ~ 2005년 7월 31일 : 박철 2005년 8월 1일 ~ 2005년 11월 6일 : 아우라, 문영민 = = 논란 = = 초대 DJ인 박철이 진행할 무렵 청취자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은 데다가 바른 언어생활을 저해한 것이 빌미가 된 점과 2004년 11월 8일 방송에서 협찬 상품을 노골적으로 부각하여 간접 광고를 한 데다가 "배가 고파서 문소영(당시 2시폭탄 작가)이라도 뜯어먹고 싶을 판이에요."라는 말로 방송의 품위를 손상시켰다는 지적을 사 방송위원회(이하 방송위)로부터 시청자에 대한 사과와 해당 프로그램의 관계자에 대한 징계 조치를 받았다.한편 박철은 이 프로그램 이전에 진행한 SBS 러브FM 박철의 2시탈출에서도 인터넷으로 자신을 비방한 청취자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화를 내는 등 청취자를 모욕하는 발언을 하여 2002년 12월 13일 방송위로부터 시청자에 대한 사과와 프로그램 관계자 징계 조치를 받았다. = 블루 라인 (영화) = 블루 라인은 2017년 공개된 미국의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 출연자 = = = = = 주연 = = = 톰 시즈모어: 브로자 형사 역 조던 래드: 린제이 월터스 역 니키 무어: 니콜 역 = = = 조연 = = = 톰 데누치: 세스 월터스 역 캐빈 내쉬: 시스코 역 타임 루이스: 크리스 백 역 데이빗 게르: 디클랜 역 린제이 램: 버니 애봇 역 레스터 키프: 미키 역 다이애나 앤젤슨: 매기 역 = 틀:2013년 삼성 라이온즈 = = 분류: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충청북도 = = BHP = BHP는 세계 최대의 광산 업체이다. 200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Broken Hill Proprietary Company사와 영국의 Billiton사가 합병되어 생긴 회사이다. = = 경쟁사 = = 발리 리오 틴토 = 분류:1976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 가평 (동음이의) = 가평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가평군(加平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행정 구역이다. 가평읍(加平邑)은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의 행정 구역이다. 가평(嘉平)은 조위(曹魏) 애제(哀帝)의 두 번째 연호이다. 가평(嘉平)은 전조(前趙) 소무제(昭武帝)의 두 번째 연호이다. 가평(嘉平)은 남량(南凉) 경왕(景王)의 두 번째 연호이다. = 전관예우 = 전관예우(前官禮遇)란 행정관청, 법원 등의 공공기관이 해당기관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공직자, 특히 고위직을 지낸 전직 공직자를 전 동료이자 선배로서 예우하고, 그에 따라 전직 공직자가 공공기관의 업무에 계속하여 영향력을 가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영향력을 기대하고서 민간은 퇴직한 공직자를 높은 연봉을 줘가면서 고용하기도 하고, 또는 전직 공직자에게 많은 수임료를 주고 해당 공직자가 근무했던 공공기관과 관계된 사건의 자문, 소송, 기타 해결을 의뢰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 있어선 부패의 사슬로 지적되고 있다. = = 전관예우의 문제점 = = 민간에선 전관예우를 기대하며, 전직 공직자를 높은 연봉을 주고 고용한다. 혹은 많은 돈을 주고 공공기관의 업무와 관계된 사건을 의뢰하기도 한다. 한편 높은 연봉이나 많은 돈을 받은 전직 공직자는 그 값어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에 대하여 영향력을 미치려하기도 하고, 그 과정에서 부정한 청탁이나 로비가 일어나기도 한다. 설령 전직 공직자가 부정한 청탁이나 로비를 하지 않더라도, 공공기관에서 먼저 알아서 전직 공직자의 업무의 편의를 봐주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업무의 공정성과 신뢰성이 훼손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입게 된다. = = 전관예우 방지법 = = 퇴직 법관에 대한 전관예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한변호사협회는 퇴직(사법연수생과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군인ㆍ공익법무관 등으로 근무한 자는 제외한다)하여 변호사 개업을 한 자는 퇴직일부터 2년 동안 수임한 사건에 관한 수임 자료와 처리 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마다 소속 지방 변호사회에 제출하여야 하고, 그 지방변호사회는 제출받은 자료를 윤리협의회에 제출하도록 변호사법이 규정하고 있다. (변호사법 제89조의4) = = 관련 사건 = = = = = 차한성 전 대법관 변호사 등록거부 사건 = = = 2015년. 대한변호사협회가 전관예우 근절을 명분으로 차한성 전 대법관의 변호사 개업신고를 수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前대법관이 변호사 하기엔…" 변협의 봉쇄 한국일보 2015.03.19 = = =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 낙마 = = = 2011년, 이명박정부에서 감사원장으로 내정된 정동기 내정자가 법무법인 바른에서 7개월간 7억의 수임료를 받는 등의 전관예우 논란으로 낙마하였다.정동기 후보자, 7개월에 7억원 벌어들여 = = =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 = = 2014년, 박근혜정부에서 국무총리로 내정된 안대희 내정자가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5개월간 16억의 수임료를 받는 전관예우 등의 논란으로 낙마하였다.‘변호사 안대희’ 5개월간 월평균 3억2천만원…남다른 ‘전관예우’ = 고란초아목 = 고란초아목(Polypodiineae) 또는 진정고사리군 I(Eupolypods I)은 양치식물강의 고사리목에 속하는 양치식물 분기군의 하나이다. 백악기 중엽에 진정고사리군 II에서 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유전적 다양성은 분자생물학적 정보와 잎자루의 관다발 구조에서의 현저한 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지지되곤 한다. 진정고사리군 I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종들은 3중의 관다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 하나의 예외는 2중으로 된 금털고사리속(Hypodematium)의 그람미티스과 양치식물뿐이다. 이는 거의 2중의 관다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진정고사리군 II(일반적으로 적어도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새깃아재비류 양치식물은 예외)과는 다르다. = = 하위 분류 = =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디디모클라이나과 (Didymochlaenaceae) 관중과 (Dryopteridaceae) 금털고사리과 (Hypodematiaceae) 덩굴고사리과 (Lomariopsidaceae) 줄고사리과 (Nephrolepidaceae) 올레안드라과 (Oleandraceae) 고란초과 (Polypodiaceae) 텍타리아과 (Tectariaceae) =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Paramount Animation)는 파라마운트 픽쳐스의 자회사로 2006년부터 6년간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배급을 맡았다가 흥행 참패로 전략적 제휴를 청산하고 2011년에 새롭게 만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이다. = = 주요 작품 목록 = = = = =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 = = = = = = 개봉된 영화 = = = = # 제목 개봉일자 공동 제작사 1 스폰지밥 3D 2015.2.6 니켈로디언 무비스 and United Plankton Pictures 2 몬스터 트럭 2017.1.13 Disruption Entertainment and 니켈로디언 무비스 3 셜록 놈즈 2018.3.20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Rocket Pictures, and Mikros Images 4 원더랜드 2019.3.15 니켈로디언 무비스, 일리온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5 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 2020.8.14 니켈로디언 무비스 and United Plankton Pictures = 오버레이 (운영 체제) = 운영 체제에서 오버레이(overlay)는 자신을 다른 프로그램의 코드로 바꾸는 프로세스이다. 유닉스 계통 운영 체제에서는 exec 시스템 요청으로 수행된다. 유닉스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유일한 방법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분기시킨 뒤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차일드 위에 오버레이시키는 것이다. 이를 Fork-exec 기술이라고 한다. = 대리항 (부안군) = 대리항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8년 12월 1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되었다. 시설관리자는 부안군수이다. = = 연혁 = = 대리항이 있는 위도는 1963년 전남 영광군 위도면에서 부안군 위도면으로 편입되었다. 대리항은 전막마을과 대리마을 2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 동측으로 치도항과 서쪽으로 거륜항이 위치하고 있다. 1972년 4월 12일 소규모어항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2월 1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되었다. = = 어항 구역 = = 수역: 기존 대리방파제에서 좌우로 20m 평행 이격한 선내의 공유수면과 석금 방파제 및 신규 방파제에서 각각 20m 평행 이격한 선내의 공유수면(7,600m2)2008년 12월 16일, 부안군 고시, 어촌정주어항 신규지정 고시 = = 어항 시설 = = 방파제 465m, 호안 507m, 선양장 121m = = 주요 어종 = = 삼치, 조기 = 토성에서 본 수성 일면통과 = 토성에서 본 수성 일면통과는 수성이 토성과 태양 사이를 정확히 통과할 때 발생한다. 토성에서 본 수성은 마치 태양 원반 위를 지나가는 작은 점처럼 보인다. 인류 중 누구도 토성에서 수성이 태양 표면을 지나가는 것을 본 자는 없으며, 가까운 미래에도 이 일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런 점을 무시한다면, 가장 가까운 일면통과일은 2012년 9월 22일이다. 토성은 가스 행성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현상을 관측하려면 토성 주위를 도는 위성들의 표면에서 태양을 바라봐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일면통과 발생 시각 및 기타 여건은 이론적인 시간에 비해 약간 달라질 수 있다. 공식 1/(1/P-1/Q)(여기서 P는 수성의 공전 주기 87.968435일, Q는 토성의 공전 주기 10746.940일임)을 이용하면 수성과 토성의 회합 주기는 88.694일이다. 토성 공전면 경사각에 대한 수성의 경사각은 6.38도로 지구 경사각에 대한 수성의 경사각 7도보다 작다. 토성에서 관측 가능한 수성 일면 통과는 보통 특정 시기에 몰려서 자주 관측된다. 보통 약 1년의 기간 중 5번 정도 일면통과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1년 내 5번' 주기는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각 시기는 다음 시기와 30년의 격차를 두고 일정하게 반복된다. 1894년 3월 21일 토성에서 일어난 수성 일면통과는 좀 특이했다. 같은 날 금성도 일면통과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 날 토성에서는 수성과 금성이 차례대로 태양 위를 지나가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었던 셈이다.(동시에 지나간 것은 아니다) 2056년 12월 9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수성은 태양의 원반 가장자리를 아슬아슬하게 걸쳐서 지나가며, 여섯 시간 뒤 금성이 태양 표면을 지나갈 것이다. = = 과거와 미래의 수성 일면통과 = = 토성에서 본 수성의 일면통과 토성에서 본 수성의 일면통과 1998년 3월 4일 1998년 6월 1일 1998년 8월 28일 1998년 11월 25일 1999년 2월 21일 2011년 12월 30일 2012년 3월 28일 2012년 6월 25일 2012년 9월 22일 2027년 7월 22일 2027년 10월 19일 2028년 1월 15일 2028년 4월 13일 2028년 7월 10일 2041년 8월 15일 2041년 11월 12일 2042년 2월 9일 2057년 3월 7일 2057년 6월 3일 2057년 8월 31일 2057년 11월 28일 2071년 1월 2일 2071년 4월 1일 2071년 6월 29일 2071년 9월 26일 2086년 7월 5일 2086년 10월 22일 2087년 1월 18일 2087년 4월 17일 2100년 5월 22일 2100년 8월 19일 2100년 12월 16일 2101년 2월 13일 = = 읽어보기 = = 통과 (천문학) = 틀:강경선 = =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무기 = = 사자명예훼손죄 = 사자명예훼손죄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사자의 명예를 훼손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경우에는 본 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친고죄로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형법 제312조 제1항 고소권자는 친족 또는 자손을 원칙으로 한다.형사소송법 제227조 = 분류:20세기 재난 = = 틀:축구단 알비노 레페 = = 분류:가나의 재외 공관 = = 아이다니 신호장 = 아이다니 신호장은 일본 효고현 미카타군 가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호장이다. 다케노 역에서 4.0 km, 사쓰 역에서 3.4 k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상·하행 열차의 교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2007년 3월 시간표 개정 이후에는 정기 열차의 교행을 위해서는 쓰이지 않고 있다. = = 역사 = = 1976년 12월 1일 - 일본국유철도 산인 본선 다케노 역 ~ 사쓰 역 사이에 신설 개업. 2007년 3월 18일 - 시간표 개정에 따라 정기적인 교행 일정이 없어졌다. = 틀: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 = 감수성 = 감수성(Susceptibility)에 대한 많은 동음이의어가 존재한다. = = 의학 = = "감수성(Susceptibility)"이란 건강의 위해요인에 대한 저항력이 없으며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 전자기학 = = 전기분극률, 전기 감수율, 전화율, 대전율(Polarizability, Electric Susceptibility)은 유전체가 외부 전기장에 얼마나 감응이 되는가의 능력을 말한다. 자화율, 자기 자화율, 자기 감수율(Magnetic Susceptibility)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매질 내부에 자기 모멘트를 형성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 Insensible = Insensible은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가수 윤상의 EP 음반이다. = = 앨범 = = 윤상의 EP Renacimiento가 발표된 지 1년여 후에 발매되었다. 수록곡 〈언제나 그랬듯이〉의 뮤직비디오에는 훗날 윤상의 아내가 되는 심혜진이 출연했고, 〈마지막 거짓말〉에는 배우 이나영이 출연했다. 타이틀에 대해서 그는 "다들 화려하게 꾸미느라고 바쁜 대중음악계의 흐름 속에서 그런 것에 무감각하게 내 갈 길을 가야겠다는 뜻으로 'Insensible'이라는 제목을 붙였다"라고 밝혔다. = = 참여 = =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 〈staff〉목록에서 발췌하였다.Insensible 라이너 노츠 박창학 - 프로듀서 고현정(드림팩토리 스튜디오) - 녹음(1~4, 6) hiroyuki yoshimitsu(sound alive studio) - 녹음(5) 이동녁, 박혁 - 보조 기술 임창덕 - 믹싱, 마스터링 서상환 - 마스터링 드림 팩토리 스튜디오 - 녹음, 믹싱 스튜디오 소닉 코리아 - 마스터링 스튜디오 이강현 - 디자인 DMR - 제조 =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목록 =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목록이다. 이 도시 가장 높은 마천루는 2017년에 개장된 롯데월드타워(123층, 555m)이다. 대한민국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초고층 건축물' 이란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가장 높은 건물은 4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집중되어 있다. 기존의 시내 중심 종로에, 현대의 비즈니스 및 금융지구 강남과 함께 테헤란로 사이 강남역과 코엑스 복잡의 섬, 여의도 소재 부유한 금융 및 정치의 중심이 있고 도곡동에 위치한 타워팰리스 등 주거 지역이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산으로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위치한 남산이 있다. 남산 꼭대기에는 서울의 상징적인 이미지로 간주되는 남산타워가 있으며 거의 모든 도시에서 볼 수 있다. 이 시선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개발자가 건물 높이 제한을 설정해야 했다. 대한민국 공군과 미국 공군이 강조하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건물 높이에 관한 엄격한 법률이 적용된다. 가장 오랫동안 최고층 빌딩의 자리를 지킨 것은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서울 최고층 빌딩의 자리를 지킨 63빌딩이다. 63빌딩은 1980년에 착공하여 1983년에 완공된 후 1985년 7월 27일에 개장하였다. 북아메리카를 제외했을 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으며, 1987년 싱가포르에 OUB 센터가, 1990년 홍콩에 중국은행 타워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빌딩이었다. = = 역사 = = 1960년대 후반인 1969년에 한진빌딩이 완공되었다. 김두식 회장이 설립한 삼미그룹의 모태인 대일목재공업이 1968년 사옥건물로 쓸 삼일빌딩을 짓기 시작해 1970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완공된 건물이다. 같은 해에는 정부서울청사가 완공되었다. 1980년에는 여의도 강변에 우뚝 선 63빌딩은 착공된다. 지상 60층, 지하 3층의 63층이었지만 당시로서는 미국 대륙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높은 빌딩이 없던 시절이었고 63빌딩은 1985년에 개장을 하였다. 1987년에는 여의도에 위치한 LG트윈타워가 완공되고 1988년에는 63빌딩보다 낮은 강남구의 트레이드 타워, 1999년에는 종로타워가 완공되었다. 2001년에는 200m 이상의 강남 파이낸스 센터가 완공되고 2004년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인 삼성 타워팰리스 3차가 완공되었다. 이는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라고 한다. 2006년에는 목동 하이페리온, 2007년에는 삼성타운 (A,B,C동), 2012년에는 63빌딩보다 높은 279m의 서울국제금융센터 (A,B,C동), 2013년에는 63빌딩보다 낮은 전경련회관이 완공되었다. 제2롯데월드는 1987년에 추진한 빌딩이므로 디자인을 몇 년이 지나도 바꾸고 2009년에 착공에 들어갔다. 2016년 12월에 555m의 지상 123층짜리 롯데월드타워가 완공되었고 2020년에는 300m 이상 건축물의 메가톨 빌딩인 여의도 파크원 타워(Parc 1) 등 3개 건물이 완공되었고 2026년에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105층, 569m)가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었다. = = 마천루 순위 = = 본 목록은 완공이 되었거나 상량식을 끝낸 150m 이상의 마천루이다. 순위 이름 사진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연도 비고 1 롯데월드타워 송파구 신천동 555.0m 123층 2017년 현재 서울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2 파크원 타워 A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333m 69층 2020년 북한의 류경호텔보다 3m 더 높고, 여의도에서 가장 높다. 3 서울국제금융센터 3IFC 영등포구 여의도동 279.0m 55층 2012년 서울국제금융센터 3IFC는 파크원 타워가 완공되기 전까지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4 삼성 타워팰리스 3차 G동 강남구 도곡동 264.0m 69층 2004년 63빌딩보다 높은 삼성 타워팰리스 3차가 2004년에 완공되어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가 되었다. 5 파크원 타워 B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256.0m 53층 2020년 6 목동 하이페리온 101동 양천구 목동 256.0m 69층 2003년 7 63빌딩 영등포구 여의도동 249.0m 63층 1985년 여의도의 마천루 중 거의 유일하게 전망대가 갖추어져 있다. 8 전경련회관 영등포구 여의도동 245.0m 51층 2013년 9 목동 하이페리온 102동 양천구 목동 239.0m 59층 2003년 10 삼성 타워팰리스 1차 B동 강남구 도곡동 234.0m 66층 2002년 11 트레이드 타워 강남구 삼성동 229.0m 54층 1988년 12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D동 동대문구 전농동 226.5m 65층 2023년 12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B동 동대문구 전농동 226.5m 65층 2023년 14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A동 동대문구 전농동 223.0m 64층 2023년 15 TP타워 영등포구 여의도동 220.0m 42층 2024년 16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C동 동대문구 전농동 219.0m 63층 2023년 17 삼성 타워팰리스 1차 C동 강남구 도곡동 209.0m 59층 2002년 17 삼성 타워팰리스 1차 A동 강남구 도곡동 209.0m 59층 2002년 17 강남 파이낸스 센터 강남구 역삼동 206.0m 45층 2001년 20 래미안 첼리투스 101동 용산구 이촌동 202.0m 56층 2015년 현존하는 한강변 주거용 건물들 중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21 트리마제 101동 성동구 성수동 201.0m 46층 2017년 21 트리마제 102동 성동구 성수동 201.0m 46층 2017년 21 목동 하이페리온 103동 양천구 목동 201.0m 54층 2003년 24 삼성전자 빌딩 서초구 서초동 200.0m 44층 2007년 C동은 삼성전자 빌딩이다. 24 콘래드 서울 호텔 영등포구 여의도동 200.0m 37층 2012년 서울국제금융센터 주변에 있다. 24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A동 성동구 성수동 200.0m 49층 2021년 24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B동 성동구 성수동 200.0m 49층 2021년 28 더클래식500 A동 광진구 자양동 196.0m 50층 2009년 28 더샵스타시티 A동 광진구 자양동 196.0m 58층 2006년 30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101동 동대문구 전농동 192.0m 59층 2023년 31 삼성 타워팰리스 2차 E동 강남구 도곡동 191.0m 55층 2003년 31 삼성 타워팰리스 2차 F동 강남구 도곡동 191.0m 55층 2003년 33 프라임센터 광진구 구의동 189.0m 39층 1998년 해외에서는 테크노마트 21이라고 부른다. 33 디큐브시티 구로구 신도림동 189.0m 41층 2011년 35 G타워 구로구 구로동 186.0m 39층 2020년 35 서울국제금융센터 1IFC 영등포구 여의도동 186.0m 32층 2012년 35 목동 트라팰리스 타워 A동 양천구 목동 186.0m 49층 2009년 38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 동대문구 전농동 185.0m 42층 2023년 38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C동 중랑구 상봉동 185.0m 48층 2013년 40 트리마제 103동 성동구 성수동 184.0m 45층 2017년 40 트리마제 104동 성동구 성수동 184.0m 47층 2017년 42 파르나스 타워 강남구 삼성동 183.0m 40층 2016년 42 디큐브시티 아파트 A동 구로구 신도림동 183.0m 51층 2011년 42 디큐브시티 아파트 B동 구로구 신도림동 183.0m 51층 2011년 45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104동 동대문구 전농동 182.0m 56층 2023년 45 목동 트라팰리스 타워 C동 양천구 목동 182.0m 48층 2009년 45 센터포인트 웨스트 구로구 신도림동 182.0m 40층 2008년 48 메세나폴리스 101동 마포구 서교동 180.0m 39층 2012년 48 메세나폴리스 102동 마포구 서교동 180.0m 39층 2012년 48 세아타워 마포구 서교동 180.0m 34층 2012년 51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102동 동대문구 전농동 179.0m 55층 2023년 52 더클래식500 B동 광진구 자양동 177.0m 40층 2009년 52 더샵스타시티 C동 광진구 자양동 177.0m 50층 2006년 54 아셈 타워 강남구 삼성동 176.0m 41층 2000년 55 서울국제금융센터 2IFC 영등포구 여의도동 176.0m 29층 2012년 56 래미안 강동 팰리스 타워 101동 강동구 천호동 175.0m 45층 2017년 56 래미안 강동 팰리스 타워 102동 강동구 천호동 175.0m 45층 2017년 56 래미안 강동 팰리스 타워 103동 강동구 천호동 175.0m 45층 2017년 59 보라매 쉐르빌 동작구 신대방동 174.0m 49층 2002년 60 GS타워 강남구 역삼동 173.0m 38층 1999년 외국에서는 LG 강남타워(LG Gangnam Tower)라고 부르지만 과거에도 그렇게 불렀다. 60 더샵스타시티 D동 광진구 자양동 173.0m 45층 2006년 62 한화 갤러리아 포레 타워 101동 100px 성동구 성수동 172.0m 45층 2011년 62 한화 갤러리아 포레 타워 102동 100px 성동구 성수동 172.0m 45층 2011년 64 브라이튼 여의도 아파트 A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168.0m 49층 2023년 64 브라이튼 여의도 아파트 B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168.0m 49층 2023년 64 브라이튼 여의도 오피스텔 영등포구 여의도동 168.0m 49층 2023년 64 앵커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168.0m 32층 2023년 64 현대 41 타워 100px 양천구 목동 168.0m 41층 2001년 64 아카데미 스위트 타워 강남구 도곡동 168.0m 51층 2004년 70 래미안 첼리투스 102동 용산구 이촌동 166.0m 42층 2015년 71 삼성 타워팰리스 1차 D동 강남구 도곡동 164.0m 42층 2002년 72 아크로빌 타워 1동 강남구 도곡동 163.0m 46층 1999년 72 아크로빌 타워 2동 강남구 도곡동 163.0m 46층 1999년 72 목동 트라팰리스 타워 B동 양천구 목동 163.0m 42층 2009년 72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103동 동대문구 전농동 163.0m 50층 2023년 76 현대 슈퍼빌 A동 서초구 서초동 162.0m 46층 2003년 77 씨드큐브 창동 도봉구 창동 160.0m 49층 2023년 77 목동 트라팰리스 타워 D동 양천구 목동 160.0m 41층 2009년 77 SK서린빌딩 100px 종로구 서린동 160.0m 36층 1999년 80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A동 중랑구 상봉동 159.0m 43층 2013년 80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B동 중랑구 상봉동 159.0m 43층 2013년 80 삼성동 아이파크 타워 103동 강남구 삼성동 159.0m 46층 2004년 83 센터필드 웨스트타워 강남구 역삼동 158.0m 36층 2020년 83 센터필드 이스트타워 강남구 역삼동 158.0m 35층 2020년 85 디타워 서울포레스트 성동구 성수동 157.5m 33층 2021년 86 여의도 포스트 타워 영등포구 여의도동 156.0m 33층 2020년 86 삼성동 아이파크 타워 101동 강남구 삼성동 156.0m 45층 2002년 86 두산타워 중구 을지로6가 156.0m 34층 1999년 89 용산 푸르지오 써밋 오피스 빌딩 용산구 한강로2가 155.0m 39층 2017년 89 상봉 듀오트리스 동관 타워 중랑구 상봉동 155.0m 41층 2016년 89 상봉 듀오트리스 서관 타워 중랑구 상봉동 155.0m 41층 2016년 89 더샵스타시티 B동 광진구 자양동 155.0m 35층 2006년 93 에스트레뉴 타워 영등포구 여의도동 154.0m 36층 2009년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오피스텔이다. 93 브라운스톤 서울 101동 중구 중림동 154.0m 39층 2006년 93 DB금융센터 강남구 대치동 154.0m 35층 2001년 96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A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0m 40층 2003년 97 서울숲 더샵 101동 성동구 행당동 150.0m 42층 2014년 97 용산 푸르지오 써밋 아파트 용산구 한강로2가 150.0m 38층 2017년 97 KCC 웰츠타워 A동 용산구 문배동 150.0m 39층 2015년 97 KCC 웰츠타워 B동 용산구 문배동 150.0m 39층 2015년 97 KDB생명타워 용산구 동자동 150.0m 30층 2013년 97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A동 용산구 동자동 150.0m 35층 2013년 97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B동 용산구 동자동 150.0m 35층 2013년 97 갤러리아 팰리스 타워 A동 송파구 잠실동 150.0m 46층 2005년 97 갤러리아 팰리스 타워 B동 송파구 잠실동 150.0m 46층 2003년 97 갤러리아 팰리스 타워 C동 송파구 잠실동 150.0m 46층 2003년 97 코업 스타클래스 타워 A동 성북구 하월곡동 150.0m 41층 2010년 97 래미안 첼리투스 103동 용산구 이촌동 150.0m 36층 2015년 97 삼성SDS타워 송파구 잠실동 150.0m 30층 2014년 97 향군타워 송파구 잠실동 150.0m 30층 2014년 97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1동 송파구 잠실동 150.0m 39층 2013년 97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2동 송파구 잠실동 150.0m 39층 2013년 97 남산 트라팰리스 중구 회현동 150.0m 37층 2010년 97 T타워 중구 회현동 150.0m 28층 2013년 97 삼성생명 빌딩 서초구 서초동 150.0m 34층 2007년 A동은 삼성생명 빌딩이다. 97 더 에셋 서초구 서초동 150.0m 32층 2007년 B동은 더 에셋 빌딩이다. 97 강동역 신동아 파밀리에 A동 강동구 천호동 150.0m 41층 2015년 97 강동역 신동아 파밀리에 B동 강동구 천호동 150.0m 41층 2015년 97 트윈시티 남산타워 A동 용산구 동자동 150.0m 30층 2015년 97 트윈시티 남산타워 B동 용산구 동자동 150.0m 29층 2015년 97 래미안 용산 타워 1동 용산구 한강로동 150.0m 40층 2017년 97 래미안 용산 타워 2동 용산구 한강로동 150.0m 40층 2017년 97 이스트 센트럴 타워 강동구 천호동 150.0m 36층 2017년 97 서울드래곤시티 용산구 한강로동 150.0m 40층 2017년 = = 구조물 = = 서울의 구조물에는 N서울타워가 있다. 이름 사진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연도 비고 N서울타워 용산구 용산동2가 237.0m 8층 1975년 1973년에 부산타워가 완공되고 그 2년 뒤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N서울타워가 완공되었다. = = 미완공 마천루 = = = = = 공사중인 마천루 = = = 이 목록은 서울특별시에서 공사가 진행중인 마천루이다. 이름 상태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예정 비고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공사중단 강남구 삼성동 260m 50층 2028년 앙사나 레지던스 여의도 서울 공사중 영등포구 여의도동 249m 57층 2026년 10월 현대차 컨벤션 호텔 공사중단 강남구 삼성동 193m 35층 2028년 = = = 계획중인 마천루 = = = 이 목록은 현재 서울특별시에서 계획이 진행중인 마천루이다. 이름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예정 비고 역삼동 상록회관 재건축 강남구 역삼동 452m 88층 - 뉴 트레이드 타워 송파구 잠실동 300m 70층 - 서초 롯데타운 서초구 서초동 250m 60층 - 노량진 복합리조트 동작구 노량진동 225m 52층 -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 1 영등포구 여의도동 199m 65층 -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 2 영등포구 여의도동 199m 65층 - 뚝섬 부영아파트 A동 성동구 성수동 199m 49층 - 뚝섬 부영아파트 B동 성동구 성수동 199m 49층 - 뚝섬 부영호텔 성동구 성수동 199m 49층 - 보문 센트럴 아이파크 성북구 보문동 178m 50층 - 보문5구역 재개발이다. 노량진 호텔 동작구 노량진동 156m 41층 - 서초구청 신청사 주거동 서초구 서초동 150m 39층 2026년 2023년에 착공하여 2026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서초구청 신청사 업무동 서초구 서초동 150m 33층 2026년 2023년에 착공하여 2026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촌 자이더리버 용산구 이촌동 - 68층 - 용두1-6구역 재개발 동대문구 용두동 - 61층 - 서울혁신파크 랜드마크 타워 은평구 녹번동 - 60층 -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아파트 송파구 잠실동 - 50층 - 광운대역세권 복합빌딩 노원구 월계동 - 49층 - = = = 승인 또는 제안된 마천루 = = = 이 목록은 서울특별시에서 건설이 승인 또는 제안된 153m 이상의 마천루이다. 이름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예정 비고 서초 롯데타운 서초구 서초동 250m 60층 - 승인 강남 르메르디앙 호텔 부지 개발 1 강남구 역삼동 195m 31층 - 제안 강남 르메르디앙 호텔 부지 개발 2 강남구 역삼동 195m 31층 - 제안 여의도 서울아파트 재건축 1 영등포구 여의도동 - 77층 - 제안 여의도 서울아파트 재건축 2 영등포구 여의도동 - 77층 - 제안 = = = 취소된 마천루 = = = 이 목록은 서울특별시에서 건설이 취소된 마천루이다. 이름 위치 높이 층수 비고 금융관광허브빌딩 중구 을지로5가 960m 220층 코레일 타워 용산구 이촌동 655m 150층 디지털 미디어 시티 랜드마크 빌딩 마포구 상암동 640m 133층 트리플 원 용산구 이촌동 621m 111층 용산계발계획이 좌초되면서 무산되었다. 그린 게이트 웨이 타워 1 강남구 삼성동 600m 113층 롯데월드 2 호텔 송파구 잠실동 555m 112층 21세기 파이낸스 센터 영등포구 여의도동 450m 101층 한강 시티타워 용산구 이촌동 517m 120층 밀레니엄타워 130 마포구 상암동 510m 130층 21세기 여의도 금융센터 영등포구 여의도동 450m 101층 여의도 개발방식 변경 삼성 시너지 타워 강남구 도곡동 450m 111층 (도곡동 주민 반발, IMF사태로 인해 취소) 타워팰리스로 대체 댄싱 드래곤 타워 1 용산구 이촌동 446m 88층 부티크 오피스텔 A동 용산구 이촌동 440m 88층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 그린 게이트 웨이 타워 2 강남구 삼성동 400m 75층 블럭 H 용산구 이촌동 386m 73층 고급호텔 & 호텔 레지던스 용산구 이촌동 385m 62층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 부티크 오피스텔 B동 용산구 이촌동 378m 77층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 댄싱 드래곤 타워 2 용산구 이촌동 378m 77층 다이아고널 타워 용산구 이촌동 362m 64층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 용산 랜드마크 타워 용산구 이촌동 350m 100층 스카이워크 레지던스 용산구 이촌동 333m 52층 용산국제업무지구 펜토미니엄 1 용산구 이촌동 319m 59층 용산국제업무지구 펜토미니엄 2 용산구 이촌동 319m 59층 더 클라우드 1 용산구 이촌동 300m 70층 블레이드 타워 용산구 이촌동 293m 56층 더 클라우드 2 용산구 이촌동 260m 54층 하모니 타워 용산구 이촌동 243m 47층 그린 게이트 웨이 타워 3 강남구 삼성동 235m 50층 크로스 타워 A 용산구 이촌동 215m 50층 크로스 타워 B 용산구 이촌동 215m 46층 산들바람 A 용산구 이촌동 189m 50층 산들바람 B 용산구 이촌동 189m 50층 산들바람 C 용산구 이촌동 189m 46층 댄싱 타워 A 용산구 이촌동 188m 47층 댄싱 타워 B 용산구 이촌동 188m 47층 댄싱 타워 C 용산구 이촌동 188m 47층 아카데미 타워 용산구 이촌동 160m 25층 외국인전용 임대 아파트 용산구 이촌동 159m 35층 서울역컨벤션센터 중구 봉래동2가 - 40층 = = 역대 최고층 마천루 = = 1969년부터 현재까지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최고층 마천루 목록이다. 시기 이름 사진 위치 높이 층수 완공 연도 비고 1969년 ~ 1970년 한진빌딩 중구 소공동 82m 16층 1969년 완공 당시 이름은 KAL빌딩이다. 현재는 한진그룹 본사로 사용하고 있다. 1970년 ~ 1979년 31빌딩 종로구 관철동 114m 31층 1970년 63빌딩이 완공되기 전에는 31빌딩(삼일빌딩)이 완공이 되었다. 1979년 ~ 1985년 롯데호텔 서울 100px 중구 소공동 138m 38층 1979년 완공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호텔이 되었다. 1985년 ~ 2003년 63빌딩 영등포구 여의도동 249m 61층 1985년 완공 당시부터 1987년 싱가포르에 원 래플즈 플레이스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었다. 2003년 ~ 2004년 목동 하이페리온 101동 양천구 목동 256m 69층 2003년 타워팰리스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서울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였다. 2004년 ~ 2012년 삼성 타워팰리스 3차 G동 강남구 도곡동 264m 69층 2004년 서울 강남구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며 동시에 높은 아파트다. 2012년 ~ 2017년 서울국제금융센터 3IFC 영등포구 여의도동 279m 55층 2012년 A동의 높이는 185m, 층수는 32층, B동의 높이는 176m, 층수는 29층, C동의 높이는 285m인데 55층짜리 빌딩이다. 2017년 ~ 현재 롯데월드타워 송파구 신천동 555m 123층 2017년 현재 서울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 아리엘 올리베티 = 아리엘 올리베티(, 1967년 11월 15일 ~ )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만화가로, 미국 만화 업계에서 일했다. = = 저작 = = = = = 마블 코믹스 = = = 제목 원제 이슈 작화 연도 인크레더블 헐크 Incredible Hulk #601-605 그레그 박 2009-10 헤라클레스: 어벤저의 몰락 Hercules: Fall of an Avenger #1-2 제프 파커, 프레드 밴렌티, 그레그 박 2010 토르: 천국과 지상 Thor: Heaven & Earth #1 폴 젱킨스 2010 아이언맨 2.0 Iron Man 2.0 #4-8 닉 스펜서 2010-11 = 다이야무코역 = 다이야무코역은 일본 도치기현 닛코시에 있는 도부 철도 기누가와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N 51이다. = = 역사 = = 1917년 1월 2일: 시모쓰케 궤도 다이야무코이마이치역으로 영업 개시. 1919년 12월 28일: 다이야무코역으로 역명 변경. 1921년 6월 6일: 시모쓰케 궤도가 시모쓰케 전기 철도로 변경되어, 시모 전기 궤도의 역이 됨. 1927년 11월 이후: 폐지. 1931년 3월 1일: 재개업. 1943년 5월 1일: 도부 철도가 시모쓰케 전기 철도를 매수하여 도부 철도의 역이 됨. 1973년 9월 1일: 역 무인화(간이 위탁 개시). 2017년 4월 21일: 특급 "케곤" 정차 개시. = = 역 구조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역사는 신후지와라 방향 승강장 측에 있고(서문), 시모이마이치 방면 승강장은 과선교에서 연결된다. 시모이마이치 역 승강장에는 동쪽 출입구가 있다. 역무원의 배치 역에서 승차권은 역전 상점에서 판매하고 있다. = = = 승강장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1 기누가와 선 하행 기누가와온센・ 야간 철도선 아이즈코겐오제구치・아이즈 철도선 아이즈타지마 방면 2 기누가와 선 상행 시모이마이치・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가스카베・기타센주・도쿄 스카이트리・아사쿠사 방면 = = 역 주변 = = 이마이치 다이야무코 우체국 이마이치 경찰서 닛코 시 소방 본부 이마이치 소방서 닛코 시립 이마이치 제2초등학교 혼쿄지 다이야 강 국도 제121호선 국도 제461호선 = 을지무공훈장 = 을지무공훈장(乙支武功勳章, Eulji Order of Military Merit)은 대한민국의 무공훈장의 5종 중 2번째 무공훈장이며, 전시 또는 전시에 준하는 비상사태 하에서 전투에 참가하여 그 무공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 =무공훈장의 등급 = = 1등급 태극무공훈장(太極武功勳章, Taegeuk Order of Military Merit) 1963년까지 금성 태극무공훈장, 은성 태극무공훈장, 무성 태극무공훈장으로 세분화 되어있었다. 2등급 을지무공훈장(乙支武功勳章, Eulji Order of Military Merit) 1963년까지 금성 을지무공훈장, 은성 을지무공훈장, 무성 을지무공훈장으로 세분화 되어있었다. 3등급 충무무공훈장(忠武武功勳章, Chungmu Order of Military Merit) 1963년까지 금성 충무무공훈장, 은성 충무무공훈장, 무성 충무무공훈장으로 세분화 되어있었다. 4등급 화랑무공훈장(花郎武功勳章, Hwarang Order of Military Merit) 1963년까지 금성 화랑무공훈장, 은성 화랑무공훈장, 무성 화랑무공훈장으로 세분화 되어있었다. 5등급 인헌무공훈장(仁憲武功勳章, Inheon Order of Military Merit) 1963년에 추가되었다. = = 상세 = = 상훈법에 의거하면, 을지무공훈장은 무공훈장 2등급으로 인정된다. = 하도권 = 하도권(, 1977년 3월 3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하도권 - 다음 인물 정보 = = 학력 = = 서울대학교 성악과 (학사 / 편입학 졸업)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16년 소후 / SBS 《고호의 별이 빛나는 밤에》(한중 합작) 2017년 SBS 《사임당, 빛의 일기》 2018년 SBS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 태산고 조정부 코치 역 2018년 SBS 《황후의 품격》 - 추기정 역 2019년 KBS 2TV 《퍼퓸》 - 상담사 역 (특별 출연) 2019년 SBS 《의사요한》 - 주형우 역 2019년 SBS 《스토브리그》 - 강두기 역 2020년 TvN 《메모리스트》 - 간부 조직원 역(특별 출연) 2020년 KBS 2TV 《좀비탐정》 - 노풍식 역 2020년 SBS 《펜트하우스》 - 마두기 역 2021년 SBS 《펜트하우스 2》 - 마두기 역 2021년 SBS 《펜트하우스 3》 - 마두기 역 2021년 JTBC 《알고있지만,》 - 전 여자 친구 오빠 역(특별 출연) 2021년 티빙/SBS 《마녀식당으로 오세요》 - 오두기 역 2022년 SBS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 신기호 역 (특별출연) 2022년 OCN 《우월한 하루》 - 배태진 역 2022년 TvN 《별똥별》 - 최지훈 역 2022년 KBS 2TV 《붉은 단심》 - 정의균 역 2022년 SBS 《오늘의 웹툰》 - 허관영 역 2023년 TvN 《구미호뎐 1938》 - 가토 류헤이 역 2023년 SBS 《7인의 탈출》 - 한모네 선배 역 (특별출연) 2024년 TvN 《내 남편과 결혼해줘》 - 이석준 역 2024년 tvN 《플레이어 2 : 꾼들의 전쟁》 = = = 영화 = = = 2016년 《고산자, 대동여지도》 - 고리대 사내 역 2017년 《로마의 휴일》 - 이 형사 역 2019년 《버티고》 - 말콤 역 = = = 연극 = = = 2005년 《간주곡》 = = = 뮤지컬 = = = 2004년 《미녀와 야수》 2005년 《명성황후》 - 7인의 사절 역 2005년 《오페라의 유령》 - 피르맹 역 2007년 《라이온 킹》 - 품바 역 2007년 《찬스》 - 사장 앙리 역 2008년 《지저스 지저스》 2009년 《햄릿》 - 로젼크랜츠 역 2011년 《투란도》 - 타타칸 역 2011년 《아가씨와 건달들》 - 빅쥴 역 2012년 《엘리자벳》 - 황실 세력가들 역 2013년 《레 미제라블》 - 앙상블 역 2013 ~ 14년 《아가씨와 건달들》 - 빅쥴 역 2016년 《왕의 나라》 - 공민왕 역 2018년 《레 미제라블 자베르》 - 자베르 역 = = = 오페라 = = = 2000년 《마탄의 사수》 2001년 《토스카》 2001년 《카발레리아 루스티까나》 2001년 《라 트라비아타》 2002년 《십자가상의 칠언 (The last seven word)》 = = = 교양 = = = 2020년 SBS 《SBS 스페셜》 - 〈스토브리그 : 더 리얼〉 - 출연자(2020.05.10) = = = 예능 = = = 2020년 KBS 2TV 《해피투게더 4》 - 게스트(2020.03.19) 2020년 SBS 《동상이몽 2 - 너는 내 운명》 - 스페셜 MC(2020.03.24) 2020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참가자(2020.04.19~2020.04.26) 2020년 SBS 《집사부일체》 - 게스트(2020.06.21) 2020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20.08.09) 2020년 KBS 2TV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참가자(2020.09.05) 2020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20.11.22~2020.11.29) 2021년 KBS 2TV 《옥탑방의 문제아들》 - 게스트(2021.01.12) 2021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21.02.14) 2021년 MBC 《구해줘! 홈즈》 - 게스트(2021.02.21) 2021년 MBC 《심야괴담회》 - 게스트(2021.03.11~2021.03.18) 2021년 MBC 《놀면 뭐하니?》 - MSG워너비 참가자(2021.03.27) 2021년 MBC 《놀면 뭐하니?》 - MSG워너비 참가자(2021.04.24) 2021년 KBS 2TV 《신상출시 편스토랑》 - 게스트(2021.04.23~2021 .05.07) 2021년 SBS 《정글의 법칙》 - 게스트(2021.05.22~2021.05.29) 2021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21.07.18,12.19 ~ 12. 26) 2021년 MBC 《구해줘! 홈즈》 - 게스트(2021.08.22) 2021년 tVN 《해치지않아》 - 게스트(2021.11.02~12.07) 2021년 SBS 《편먹고 공치리》- 게스트(2021.11.06 ~ 11.13) 2022년 SBS 《편먹고 공치리》- 게스트(2022.01.22 ~ 01.29) 2022년 tVN 《놀라운 토요일》 - 게스트(2022.03.12) 2022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22.08.07 ~ 08.14) 2023년 MBC 《구해줘! 홈즈》 - 게스트(2023.06.04) 2023년 MBC 《전지적 참견 시점》 - 게스트(2023.07.29) = = = 라디오 = = = 2021년 SBS 파워FM 《김영철의 파워FM》 - 〈그러면 안돼〉 - 게스트(2021.02.26) 2021년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 〈특별 초대석〉 - 게스트(2021.05.20) = = = 광고 = = = 2020년 투쿨포스쿨 아트클라스 바이로댕 피니쉬 세팅팩트 2021년 헨켈홈케어코리아 홈키파∙홈매트 제로라인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20 SBS 연기대상 팀부문 조연상 스토브리그 2020 S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스토브리그, 펜트하우스 = = 가족 관계 = = 배우자: 여민정(1975년 5월 13일~) 딸: 김가연(2006년~) 아들: 김건(2009년~) = 남양산 나들목 = 남양산 나들목(S.Yangsan IC)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지선의 3번 교차로이다. 국도 제35호선을 통해 동면 및 양산시내로 진출할 수 있다.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남양산역과 양산역이 있으며, 양산 나들목보다 양산시내로 더 빨리 갈 수 있다. = = 연혁 = = 1992년 6월 27일 : 나들목 신설을 위해 양산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동면 석산리 일원을 양산 나들목으로 고시건설부고시 제1992-330호, 1992년 6월 27일. 1994년 1월 14일 :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 석산리 8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건설부고시 제1994-7호, 1994년 1월 14일. 1996년 3월 22일 : 1997년 12월까지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9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건설교통부고시 제1996-94호, 1996년 3월 22일. 1996년 5월 1일 : 부산대구고속도로지선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31호, 1996년 4월 30일. 2008년 7월 16일 :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로 양산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동면 석산리 일대를 남양산 나들목으로 고시국토해양부고시 제2008-318호, 2008년 7월 16일. 2009년 12월 31일 : 양산시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 면적 조정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248호, 2009년 12월 31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영업소: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양산대로 565 한국도로공사 양산지사: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양산대로 542-45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35호선 (양산대로)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각주 남양산 (폐쇄식) 11,821 14,422 16,734 16,792 16,772 18,315 18,431 18,313 19,212 18,614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남양산 (폐쇄식) 18,475 19,261 20,115 20,622 23,740 25,866 27,770 26,807 26,248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지수역 = 지수역(智水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신양군 인평로동자구에 위치한 평라선의 역이다. 여객과 화물을 모두 취급한다. = = 연혁 = = 1936년 11월 1일: 평원선 장림 - 양덕 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일본 국회도서관 소장자료) 일자 불명: 평라선으로 편입 = 분류:중국의 종교 회의주의자 = 종교 회의주의자 종교 회의주의자 en:Category:Chinese religious skeptics = 분류:우주 비행 = = 분류:나라별 16세기의 해 = = 장옥 = 장옥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장옥(葬玉) - 시신에 달아 무덤에 같이 매장하는 옥. = = 인명 = = 장옥(張玉, 1343~1401) - 원나라 말·명나라 초의 군인·관료. 장옥(張玉, 1493~?) - 조선의 문신. 서인주(일명: 장옥, ?~1900) - 조선의 동학 지도자. 장옥(章鈺, 1865~1937) - 청나라의 관료. = 용인 용덕사 석조여래입상 = 용인 용덕사 석조여래입상(龍仁 龍德寺 石造如來立像)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용덕사에 있는 신라 시대의 불상이다. 2001년 9월 16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불상은 이동면 천리 75번지 적동저수지 입구에 저수지 하단 제방 좌안 삼분지일의 지점에 있었던 것으로 1960년대 초 저수지 축조 공사를 시작하면서 저수지 입구 좌측으로 옮겨 정측 1칸의 당우(堂宇)에 안치 했었다. 후에 용덕사로 이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불상을 살펴보면 머리에는 육계의 흔적이 있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다. 법의는 통견이며 양쪽 팔에서 흘러내린 천의는 발끝에 닿았다. 가슴 앞에서 원호로 나타나는 의문(衣文)이 길게 처지면서 하반신에서 양 다리에서 타원형의 주름을 만들면서 흐른다. 도식화된 이러한 형태의옷주름 표현은 8세기 이후의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수결(手決)은 시무외(施無畏), 여원(與願)으로 보이나 오른손은 보주를 쥐고 있다. 수인과 옷주름 등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 옷주름이 패턴화된 경향을 일부 보이고 신체는 부피감 없이 다소 경직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계승하면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작품으로 보인다. = = 참고 자료 = = * 용덕사 석조여래입상 = 분류:1834년 기재된 종 = = 횡성시외버스터미널 = 횡성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횡성로 379 (읍하리 420-2)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시외버스터미널이다. 횡성군에서 터미널 이전을 추진하여횡성 읍하리 ‘지역 랜드마크’ 급부상, 강원도민일보, 2013년 5월 27일 작성. 2013년 9월 10일 부로 인근 지역으로 이전하였다.횡성 신규 시외버스터미널 10일부터 운영, 연합뉴스, 2013년 9월 9일 작성. 이전된 위치는 기존 터미널건물자리에서 약 50m떨어진지점이다 = = 운행 노선 = = = = = 시외버스 = = = 방면 행선지 강원권 방면 간성, 강릉, 공근, 남면, 대화, 둔내, 미탄, 방림, 복지골, 삼척, 서석, 속초, 양구, 원주, 원통, 유현, 인제, 장평, 정선2011년 5월 13일 부로 운행을 중단했다가 2013년에 1회 운행으로 재개했다., 진부, 춘천, 평창, 풍수원, 홍천, 횡계 수도권 방면 갈운리, 광탄, 교문, 단월, 동서울, 양평, 용두, 용문 충청권 방면 대전, 유성, 청주 호남권 방면 전주 영남권 방면 경주, 부산, 북대구,서대구, 신복, 울산, 포항 = = = 시내(농어촌)버스 운행 노선 = = = 방면 행선지 정금 경유 둔내 방면 용둔, 정금, 진구비, 황고개, 현천4리, 현천2리, 둔내, 삽교, 하마, 상마, 화동 소사 경유 둔내 방면 우항, 새말, 소사입구, 소사리, 현천4리, 현천2리, 둔내, 두원, 두원2리 = 앙겔로스 = 앙겔로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앙겔로스 왕조: 1185년부터 1204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를 배출한 가문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 비잔티움의 황제로 1185년부터 1195년까지 첫 번째 재위를 하였고 형의 반란으로 퇴위되었다가 1203년부터 1204년까지 복위되어 다시 황제가 되었다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 비잔티움의 황제로 1195년부터 1203년까지 황제 알렉시오스 4세 앙겔로스: 비잔티움의 황제로 1203년 8월 1일부터 1204년까지 아버지 황제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와 함께 공동 황제 앙겔로스 하리스테아스: 그리스의 전 축구 선수 앙겔로스 바시나스: 은퇴한 그리스의 국가대표 축구 선수 앙겔로스 페치스: 그리스의 육상 선수 = 우륵샘 = 우륵샘(于勒샘)은 우륵(于勒)이 우륵동에 세거할 때 샘을 파서 식수한 고적이다. = = 위치 = = 우륵샘은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 의림지 순주섬에서 정동쪽으로 의림대로 건너 우륵산 산자락에 있다. 한편 우륵샘에서 서쪽으로 의림대로 건너 의림지 호반에 우륵정(于勒亭)과 호숫가에 우륵이 12현금을 탄금한 우륵대와 마주한다. = = 명칭 = = 예부터 우륵정(于勒井)은 고유명사로 불렸으나 우물 정(井)자는 한글로 순화되면서 우륵샘으로 부르고 있다. = = 유래 = = ①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와 제천현(堤川縣誌)고적조, 우륵당(于勒堂)에, “우륵정(于勒井)은 우륵당의 동북(東北)쪽 벼랑 밑에 있는데, 매우 차갑다.”堤川郡邑誌古跡, 勒井在堂之東北厓下甚冽.堤川縣誌古跡, 于勒井在堂之東北厓下甚冽.하여 공히 우륵당 터에서 동북쪽에 있는 지금의 우륵샘을 가리키고 있다. ②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고적조에, “우륵정(于勒井)은 의림지(義林池)에서 동북쪽으로 벼랑 밑에 있다. 옛날에 우륵(于勒)이 놀던 때 파서 샘물을 취한 것으로 항상 지금도 샘물이 마르지 않는다. 그 남쪽으로 언덕에는 우륵(于勒)의 터 유적이 항상 있다.”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古跡, 于勒井在義林池東北崖下昔于勒取遊詩所鑿尙今不涸其南畔于勒基址尙存.하여 의림지에서 동북쪽의 방위는 제방에서 볼 때 동북쪽은 지금의 우륵샘의 위치는 부합한다. 그리고 지금의 우륵샘에서 남쪽으로 우륵당 터의 방향도 일치한다. ③한국지명총람에, “우륵정(于勒井)【우물】우륵당 동북쪽 벼랑 밑에 있는 샘. 바위틈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데, 여름에도 얼음처럼 차며, 속병도 좋다 함.”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3(충북편), 선일인쇄사, p. 391.이라는 우륵샘은 우륵당 터 입구에 있었다. = = 자연환경 = = 신증동국여지승람제천현 제영조, 정인지(鄭麟趾)의 시에, “지세는 가장 높은 곳이요, 백성이 사는 곳은 궁벽한 시골이로다. 샘이 밑 없는 구멍으로부터 나와 펑펑 솟아서 절로 못을 이룬다.”이행(李荇) 저, 이식 역,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4권, 한국고전번역원, 1969.라는 정인지가 지은 시에서 조선초기 용두산은 혼효림(混淆林)으로 수원이 풍부한 한 수맥으로 우륵산 자락은 샘물이 용출하는 지형으로 순채가 서식할 수 있었으며, 늪지에 띠가 자생하여 모산동(茅山洞)의 지명이 전승한 것이다. 우륵은 모선(茅仙)으로 존칭하여 모선동(茅仙洞)으로 별칭하기도 하였다. 고대로부터 의림지는 천혜의 늪지로 유지(柳池)와 순지(蓴池)로 별칭한 것은 연못의 바닥에서 용출수로 빙어(氷魚)가 서식 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갖추었다. = = 복원 = = 우륵당 터 입구에 있었던 우륵샘은 도로에 비해 1m 50㎝ 가량 쑥 들어가 차량의 먼지 등으로 수질오염이 되면서 식용수로 부적합하여 재현하지 않을 수 없었다.柳今烈, 義林池總覽(上), 奈堤文化硏究會, p. 2020. 653. 이 샘은 2023년 현재 도로확장으로 멸실되었다. 2020년 우륵샘의 배후지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연자암에 있는 도로에서부터 50m 지점에 석축이 쌓여 있고, 그 아래 두 세평의 늪지에 수생식물이 자라고 있었다. 그리고 흐르는 물을 짧은 호수로 연결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 호수의 지름은 수도꼭지 보다 굵은데 물줄기가 상시 흐르고 있었다. 자연늪지 위에 석축 위를 보니 무덤 한 기를 이장한 흔적이 있었고, 그 옆으로 석축이 쌓여 있었다. 이 우물의 방위가 동쪽에 위치하고 산기슭 밑에 있다는 점을 들어 또 하나의 ‘우륵정’이 아닌가 유추한다. 자연늪지를 형성한 샘이 ‘우륵정’이라고 결론지을 수 없지만, 상시 우륵이 연자암(우륵대)에서 탄주하면서 제일 가까운 곳에 샘물을 팠을 것으로 추론한다.”柳今烈,〈樂聖 于勒과 義林池〉奈堤文化 第11輯, 내제문화연구회, 1999, pp. 355-359.라는 조사 자료를 토대로 제천시에서 모산동 245-1번지에 토지를 매입하여 2010년 6월 30일 우륵샘을 재현하였다.①우륵샘 안내판. ②柳今烈, 義林池總覽(上), 奈堤文化硏究會, p. 2020. 653-661. = = 현황 = = 우륵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산기슭에 용출(涌出)하는 석간수(石澗水)의 우륵샘은 수질검사로 양호한 수질을 보존하는 약수로 평가되며 시민들이 약수로 음용하고 있다. = = 의의 = = 우륵의 숨결이 밴 우륵정(于勒井)으로 명명한 바와 같이 제언(堤堰)의 관개수리와 관련한다. 그 연원은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이 정복전쟁으로 지금의 단양에서 춘천방면으로 중앙고속도로 주변에 고구려의 10개 고을을 점령하면서 군량미(軍糧米)를 보급하기 위하여 552년에 악기공정을 응용한 부엽공법으로 대제(大堤)를 축제하였다. 우륵은 우륵동에 세거하면서 식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굴착한 우륵정(于勒井)을 재현한 우륵샘은 우륵대와 연계한 역사인물의 발자취와 자연유산의 가치를 지닌다. = 분류:바이마르 공화국의 주 = = 신한벤처투자 = 신한벤처투자는 2000년 4월 설립된 대한민국의 전업 벤처투자사로 대표이사는 이동현이며이동현 신한벤처투자 사장, 1년 연임 성공 [신한 사장단 인사 본사는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글래스타워에 위치해 있다. 운용자산(AUM) 규모는 약 1조5000억원이다김진현, 신한벤처 성장 '일등공신' 이동현 대표, 장수 CEO 될까, 더벨, 2023-10-20 = = 연혁 = = 2000년 4월 두산이 네오플럭스를 설립, 2020년 9월 신한금융그룹에 매각하였고 사명을 변경하였다.손예술, 네오플럭스, 신한벤처투자로 새 출발, 지디넷, 2021/01/12 신한금융그룹이 2023년 조성한 한일 공동 벤처투자펀드를 운영하고 있다.김환, 신한금융 한일 최초 공동 벤처투자펀드 출범, 450억 규모 스타트업 발굴, 비지니스포스트, 2023-10-05 = = 투자기업 = = 제노코 티에스아이 바이옵트로 안다르 쏘닉스 클로봇 = 10월 9일 =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한글날이자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이다. = = 사건 = = 1900년 - 알래스카 주에서 규모 8.2의 지진 발생하였다. 1907년 - 일본 제국 헌병이 조선의 경찰권을 장악하다. 1945년 - 군정기: 미군정청, 치안유지법 등 12개 일제악법 폐지. 1955년 - 제2차 세계 대전 때 생포돼 소련에 억류됐던 마지막 독일군 포로 전원 석방. 1965년 - 한국군 첫 전투부대가 베트남에 도착했다. 1975년 - 소비에트 연방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 소련인으로는 최초로 노벨 평화상수상 1976년 - 화궈펑, 중국 공산당 주석에 임명 1983년 - 아웅산 묘소 폭파암살 사건: 전두환 대통령이 미얀마(당시 버마)를 방문 중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이 순직하고 15명이 부상당하다. 1988년 - 서초동 꽃마을에 화재, 이재민 1천 500여 명 발생했다. 1991년 - 전노협, 업종회의 등을 주축으로 한 'ILO 기본조약 비준과 노동법 개정을 위한 전국노동자공동대책위원회(이하 ILO공대위)'가 결성되었다. 1992년 - 노태우 대통령은 현승종을 총리직에 앉히는 등 중립내각 개편을 단행하였다. 2006년 - 북한 핵실험: 북한이 오전 10시 35분경 함경북도 화포리에서 핵실험을 실시하다. = = 문화 = = 1446년 - 조선: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1446년 9월 상한(上澣)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므로, 10월 9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1446년 당시 서양이 사용했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446년 음력 9월 10일은 9월 30일이 된다. (더 자세한 것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 혹은 천문참여관 질문상자 를 참조하라.)'민음 한국사' 15세기-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6쪽~168쪽 1874년 - 만국우편연합(UPU), 스위스 베른에서 발족. 1888년 - 그 당시 가장 높은 건물이었던 워싱턴 기념탑이 공개되다. 1901년 - 대한제국, 빈민구휼을 위한 혜민원 설치되었다. 1957년 -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1984년 - 대한민국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하다. 1989년 MBC TV에서 엄기영님 앵커, 평일 MBC 뉴스데스크 첫 방송. (첫 번째) 일본에서 마쿠하리 멧세가 완공되었다. 1994년 - 황영조 선수가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마라톤서 우승. 2001년 - 제8차 아시아·태평양 대학총장회의 서울에서 개최. 2002년 - K리그 최초의 시민구단 대구 FC 창단. 2006년 - tvN이 개국되었다. 2010년 - 서울 여의도에서 약 120만명이 운집한 가운데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렸다. 2012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의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의 메인스트림 지원을 중단했다. 2013년 - 한글날이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되었다. 2021년 - 보이그룹 백퍼센트가 데뷔 9년 만에 공식 해체하였다. = = 탄생 = = 1757년 - 프랑스의 샤를 10세. (~1836년) 1835년 - 프랑스의 작곡가 카미유 생상. (~1921년) 1873년 -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 (~1916년) 1925년 -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2010년) 1935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영. (~2020년) 1938년 -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하인츠 피셔. 1940년 - 영국의 대중음악가 (비틀즈의 멤버) 존 레논. (~1980년) 1964년 - 멕시코의 영화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1966년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하득인. 영국의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1967년 - 미국의 프로레슬러 에디 게레로. 1969년 - 영국의 영화감독 스티브 매퀸. 1971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규봉. 1972년 일본의 가수 V6의 멤버 나가노 히로시. 일본의 성우 미야타 코우키. 1973년 - 이탈리아의 가수 파비오 리오네. 1974년 - 대한민국의 배우 윤태영. 1975년- 미국의 가수 숀 레논. 1979년 - 대한민국의 개그맨 유민상. 1981년 - 일본의 축구인 이케다 마사히로, 1982년 - 카메룬의 축구인 모데스트 음바미. (~2023년) 1983년 대한민국의 야구인 이병규. 대한민국의 역도선수 출신 스포츠기관단체인 장미란. 1984년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추혜정.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준혁. 1985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손혜림. 1986년 - 대한민국의 성우 임윤선. 1989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서윤아. 1992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용지. 대한민국에 활동하고 있는 튀르키예 방송인 이렘 츠라이. 1993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은. 1994년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훈.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아시사트 오쇼알라. 1995년 - 대한민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김준호. 1996년 - 미국의 모델 벨라 하디드. 1998년 - 일본의 가수 키타가와 료하. 1999년 - 대한민국의 골퍼 이가영. 2001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박시진. 200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영. = = 사망 = = 1615년 - 조선의 한의사 허준. (1539년~) 1855년 - 캐나다의 사업가 토마스 맥케이. (1792년~) 1943년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피터르 제이만. (1805년~) 1951년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김성칠. (1913년~) 1958년 - 260대 로마 교황 교황 비오 12세. (1876년~) 1967년 쿠바의 혁명가 체 게바라. (1928년~) 프랑스의 소설가 앙드레 모루아. (1885년~) 2016년 - 폴란드의 영화감독 안제이 바이다. (1926년~) 2017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재원. (1917년~) 2018년 - 미국의 생화학자 토머스 A. 스타이츠. (1940년~) 2019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구인환. (1929년~) 2019년 -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 (1934년~) 2021년 - 이란의 정치인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1933년~) 2023년 - 미국의 사업가 척 피니. (1931년~) = = 기념일 = = 대한민국: 한글날 (공휴일) - 2013년부터 공휴일로 다시 지정. 국경일이 되기 전에는 1949년부터 1990년까지 공휴일이었음. = 연석 (뮤지컬 배우) = 연석(1992년 9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다. 2018년 연극 '그녀를 믿지마세요'로 데뷔했다. = = 방송 = = 메이드 인 유 (2012) - 3위 다함께 차차차 (2019) = 하라 나츠코 (성우) = 하라 나츠코(, 1988년 7월 6일 ~ )는 일본의 성우, 여배우, 아이돌이다. 아이치현 출신이며 크로커다일 소속이다. = = 주요 출연작 = = = = = 애니메이션 = = = 2015년 JK메시! - 사에키 레이나 성 아랫마을의 단델리온 - 주부 2016년 비색 코코아 in Hawaii - 샤인 귀참 - 아마테라스 나조토키네 - 아마노 토키네 빵으로 Peace! - 사쿠라 아미 미소녀 유희 유닛 크레인 게일 - 미라이 2017년 ēlDLIVE - 유타 케모노 프렌즈 - 오록스 러브 쌀: WE LOVE RICE - 마나무스메, 아나운서, 음성 가이드 지지마라!! 악의 군단! 가부키부! - 톤보의 어머니 변변찮은 마술강사와 금기교전 - 사자, 중독자 카이토×안사 - 아마노 토키네 클리오네의 불빛 - 쿄코(츠키하시 쿄코) 첫 갸루 - 시이나 코코로 장국의 알타이르 - 아라바 족 메이드 인 어비스 - 이리므, 인파 명탐정 코난 - 모모치 쿠루미(871화 엑스트라) aiseki MOGOL GIRL - 하루코 2018년 gdgd맨s - 멜로디, 우상, 메이드들 킬링바이츠 - 아라시나 료코 앨리스 or 앨리스 - 코리 앙골모아 ~원구전투기~ - 관청의 여자 사신 짱 드롭킥 - 타치바나 메이 치오의 통학로 - 여학생 B: The Beginning - 조연 2019년 비색 코코아 sideG - 코코아 방패 용사 성공담 - 리시아 아이비레드 거친 계절의 소녀들이여 - 타케야마 유코 2020년 이과가 사랑에 빠졌기에 증명해보았다 - 카나데 코토노하 사신 짱 드롭킥' - 타치바나 메이 2022년 방패 용사 성공담 2기 - 리시아 아이비레드 이과가 사랑에 빠졌기에 증명해보았다 r=1-sinθ(하트) - 카나데 코토노하 = = = 게임 = = = 걸 건 더블피스 - 사카구치 카스미, 나미키 산고 메모리즈 오프 -Innocent Fille- - 토키와 요미, 모노레일 아나운서 이스 Ⅸ: 몬스트룸 녹스 - 실루엣, 잉그리드 야생소녀 - 스쿠프, 에투알, 후기 = = = 외화 = = = 세계의 끝까지 하하! - 조세핀 드라이 스콜피온 킹 - 메노펠 엑소시스트 - 키사 마크스 = Ball (아이언 버터플라이의 음반) = Ball는 1969년 2월에 발매된 아이언 버터플라이의 음반이다. 앳코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저청중학교 동문 = = 엔씨소프트 = 주식회사 엔씨소프트(NCSOFT)는 대한민국에 기반을 둔 온라인 · 모바일 게임 개발사 및 퍼블리셔이다. MMORPG 리니지, 리니지2, 아이온,블레이드 & 소울로 유명하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44번길 12 (삼평동)에, 본점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09 (삼성동)에 있다. = = 역사 = = = = =창업 = = = 엔씨소프트는 1997년 3월 한글 워드프로세서 한/글의 개발자인 업무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김택진에 의해 설립되었다. 엔씨소프트가 개발한 첫 번째 소프트웨어 중 하나는 NC HTML 편집기(NC HTML Editor)였다. 1998년 11월, 엔씨소프트는 리니지를 발표하였는데, 이 게임은 엔씨소프트의 데뷔작으로, 엔씨소프트의 게임들 중 가장 유명한 게임이다. 리니지의 성공으로 엔씨소프트는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미국으로 진출했다. 2000년 7월 7일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2003년 5월 22일 거래소 이전 상장했다. 엔씨소프트는 2001년 4월 리처드 개리엇의 데스티네이션 게임즈와 제휴하기 위해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엔씨 인터랙티브(NC Interactive)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리니지의 개발자인 송재경 또한 오스틴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송재경은 엔씨소프트를 퇴사하여 자신의 회사 XL게임즈를 설립함) 엔씨 인터랙티브는 MMORPG의 개발과 엔씨소프트의 북미 지역의 지원을 담당했다. 엔씨소프트는 대한민국에서 2003년 10월 1일, 미국에서 2004년 4월 28일, 각각 리니지 II를 발표하였다. 또한 엔씨소프트는 길드워를 퍼블리싱 하였으며(길드워는 엔씨소프트의 자회사 아레나넷에서 개발한 게임이다), MMORPG 시티 오브 히어로와 시티 오브 빌런을 퍼블리싱 하였다. (이 두 게임은 크립틱 스튜디오에서 개발했다.) 2004년 7월, 엔씨소프트 유럽이 영국 브라이튼에서 설립되었다. 엔씨소프트 유럽은 2005년 2월 4일 시티 오브 히어로를 유럽 각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같은날 유럽용 리니지 II의 서버를 개설하였다. 2006년 2월, 타이페이 게임쇼에서 엔씨소프트는 엔씨 오스틴에서 개발하고 있던 던전러너의 클로즈드베타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게임은 이후 무료 게임으로 현재 엔씨소프트의 북미 게임 포탈 플레이엔씨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 = =중흥기 = = = 2006년, 엔씨소프트는 오픈 소스 진영의 JMonkeyEngine의 개발자를 고용하였다. 또한, 2006년 E3에서 엔씨소프트는 새로운 MMORPG 아이온의 개발을 발표, 2008년 11월에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2009년에는 중국, 일본, 대만, 북미, 유럽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온의 음악은 양방언이 담당했다. 2011년 3월, 경상남도 창원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야구 제 9구단 NC 다이노스를 창단하였다. 2012년에 KBO 퓨처스리그에 참가했고, 2013년부터 KBO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2012년 2월, 엔트리브소프트의 지분 76%를 인수했다. 2012년 6월, 동양적 세계관의 대작 MMORPG 블레이드 & 소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중국에는 2013년 11월, 북미/유럽에는 2016년 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2년 8월, 길드워2를 북미 시장에 론칭했고, 그 해 타임지의 ‘2012 올해의 게임’으로 선정되었다. 2016년 3월, 모바일 TCG 게임 ‘블레이드 & 소울 모바일’(战斗吧剑灵)을 중국에 론칭했다. 2018년 1월, 아이온 1월 17일 리플라이 패치를 통해 추억팔이를 하며 유저를 우롱 기만하는 행동에 대해 이에 화가난 유저들이 리니지M, 아이온등 NC소프트의 모든 게임의 사행성과 게임내 재화인 "키나"를 마음대로 회수삭제한것에대해 재산에 대한 피해를 언급하며 집단행동을 나서 청원운동을 벌이고 있다. 2019년 11월 리니지2M을 국내에 출시했다. = = 연혁 = = = = = 1997년 = = = 3월 - (주)엔씨소프트 창립 = = = 1998년 = = = 9월 - 온라인게임 리니지 한국 상용서비스 개시 12월 - 리니지,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 수상 = = = 2000년 = = = 1월 - 영국 현지 법인 엔씨 인터랙티브 (NC Interactive) 설립 5월 - 미국 현지 법인 엔씨 인터랙티브(NC Interactive) 설립 7월 - 코스닥 등록 7월 - 리니지 대만 상용 서비스 개시 12월 - 리니지, 국내 최초 동시 접속자 수 10만 돌파 = = = 2001년 = = = 5월 - 미국 지사 엔씨 오스틴(NC Austin) 설립 5월 - 리차드 게리엇(Richard Garriott) 등 세계 정상급 미국 게임 개발자 영입 7월 - 리니지, 북미 상용 서비스 개시 8월 - 소프트뱅크 그룹과 일본 합작 법인 엔씨 재팬(NC Japan) 설립 12월 - 리니지, 세계 최초 동시 접속자 수 30만 돌파 = = = 2002년 = = = 3월 - 미국 크립틱 스튜디오(Cryptic Studios)와 시티 오브 히어로(City of Heroes) 퍼블리싱 계약 9월 - 리니지, 일본 상용 서비스 개시 12월 -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의 핵심 개발자로 구성된 미국 아레나넷(ArenaNet) 인수 = = = 2003년 = = = 1월 - 시나(SINA)와 중국 합작 법인 엔씨 시나(NC-Sina) 설립 4월 - 리니지 중국 상용 서비스 개시 5월 - 한국증권거래소로 이전 상장 8월 - 엔씨 타이완(NC Taiwan) 설립 10월 - 리니지 II 한국 상용 서비스 개시 11월 - 엔씨소프트, 개인정보보호 우수업체로 선정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12월 - 리니지 II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대통령상) 수상 = = = 2004년 = = = 4월 - 시티 오브 히어로 미국 상용 서비스 개시 5월 - 리니지 II, 북미/대만 상용 서비스 개시 6월 - 리니지 II 일본 상용 서비스 개시 7월 - 트루(True Corporation Public Company Ltd.)와 태국 합작 법인 엔씨 트루(NC True) 설립 7월 - 유럽 현지 법인 엔씨소프트 유럽(NCsoft Europe) 설립 10월 - 중국 북경에 NCsoft China R&D Center 설립 11월 - 리니지 II 중국 상용 서비스 개시 11월 - 리니지 II 유럽 게이머를 위한 서버 오픈 = = = 2005년 = = = 3월 - 시티 오브 히어로 한국 상용 서비스 개시 4월 - 길드워 북미/유럽 상용 서비스 개시 5월 - 길드워 한국 상용 서비스 개시 6월 - 리니지 II 태국 상용 서비스 개시 9월 - 길드워 전 세계 1백만 계정 돌파 10월 - 시티 오브 빌런 북미/유럽 상용 서비스 개시 = = = 2006년 = = = 1월 - 길드워 일본 상용 서비스 개시 1월 - 엑스틸 한국 상용 서비스 개시 2월 - 길드워 대만 상용 서비스 개시 2월 - 일본 오사카에 엔씨소프트 재팬(NCsoft Japan) 설립 2월 - 시티 오브 히어로 유럽 상용 서비스 개시 4월 - 길드워 팩션(Guild Wars Factions) 상용 서비스 개시 4월 - 오토어썰트 북미/유럽 상용 서비스 개시 5월 - 엔씨소프트 차이나(NCsoft China) 설립 6월 - 길드워 2백만 계정 돌파 10월 - 길드워 나이트폴(Guild Wars Nightfall) 상용 서비스 개시 11월 - 리니지 II, 북미/유럽 10만 액티브 유저 돌파 12월 - 길드워 3백만 계정 돌파 = = = 2007년 = = = 5월 - 던전러너 북미 정식 서비스 개시 5월 - 소니(SCEI)와 전략적 제휴 체결 5월 - 길드워 400만 계정 돌파 5월 - 길드워 아이 오브 더 노스(Eye of the North) 상용 서비스 개시 5월 - 샨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제휴 체결 5월 - 리차드게리엇의 타뷸라라사 북미, 유럽 정식 서비스 개시 = = = 2008년 = = = 2월 - 길드워 500만 계정 돌파 4월 - 엔씨소프트 R&D센터 완공 11월 - 아이온: 영원의 탑 상용화 서비스 개시 12월 - 기능성게임 '푸드포스' 한글판 배포 = = = 2009년 = = = 1월 - 포인트블랭크 태국 상용 서비스 개시 4월 - 이노바시스템즈(Innova Systems Ltd)와 아이온 퍼블리싱 계약 체결 4월 - 아이온 중국 상용 서비스 개시 4월 - 길드워 600만장 판매 7월 - 아이온 일본, 대만 상용 서비스 개시 9월 - 아이온 북미/유럽 상용 서비스 개시 10월 - LG전자-인텔과 전략적 제휴 체결 10월 - 인텔과 글로벌 협력 체계 구축 12월 - 아이온 러시아 서비스 개시 12월 - 웹게임 ‘무림제국’ 서비스 개시 12월 - 캐주얼게임 개발사 ‘제페토’ 지분 인수 = = = 2010년 = = = 1월 - 개인정보관리보호 국제인증 획득 3월 - 캐주얼게임 개발사 ‘넥스트플레이’ 지분 인수 5월 - 서울대학교 ‘온라인 지식 나눔 서비스(SNUi)’ 후원 9월 - ‘펀치몬스터’ 정식 서비스 개시 10월 - ‘드래고니카’ 정식 서비스 개시 12월 - ‘N 서비스’ 개시 = = = 2011년 = = = 3월 31일- NC 다이노스 프로야구단 창단 (구단 명칭 확정은 2012년 8월 12일) 6월 - 웹게임 '무림제국' 업데이트 중단 8월 - 웹게임 '마이트앤매직 히어로즈킹덤즈' 업데이트 중단 = = = 2012년 = = = 6월 - 넥슨, 엔씨소프트의 지분 14.7%를 인수하여 엔씨소프트 최대주주가 됨 (경영권 미 인수. 넥슨은 2015년 10월 엔씨소프트 지분 전량 매각함.) 6월 - 블레이드 앤 소울, 정식서비스 시작(상용화) 8월 - 길드워2, 북미/유럽에서 정식서비스 시작 11월 - 블레이드 앤 소울, 게임대상 2012에서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엔씨소프트 게임대상에서 대통령상을 4번 받은 유일한 게임업체) 12월 - 길드워2, 타임지 ‘2012 올해의 게임’ 선정 = = = 2013년 = = = 8월, 판교 R&D센터 완공 11월 – 블레이드 앤 소울, 중국 서비스 시작 12월 11일 - 모바일 매거진 '버프(BUFF)' 출시엔씨소프트, 모바일 앱 게임 매거진 '버프' 출시 - 아이티투데이 = = = 2014년 = = = 6월 - 와일드스타 북미/유럽 상용서비스 개시 = = = 2015년 = = = 5월 - 북미법인 엔씨웨스트(NC West)의 모바일 스튜디오 설립 (“Iron Tiger Studios”) 10월 - 길드워2: 가시의 심장(Heart of Thorns™) 상용서비스 개시 = = = 2016년 = = = 1월 - 블레이드 앤 소울, 한국, 중국, 일본, 대만에 이어 북미/유럽 정식 서비스를 시작. = = = 2018년 = = = 1월 - NC소프트의 아이온의 리플라이 패치로 키나를 몰수, 거래불가능한 대체품 지급에 대해 재산피해를 야기, 사기에 가까운 이벤트로 과금유도를 하는등의 행위로인해 유저들이 NC소프트 모든 게임에 대해 사행성조장에 대해 법의 개편과 사행성 조장 게임 과금 컨텐츠를 규제 해달라는 목소리를 내며 단체행동에 나서고 있다. = = =2019년 = = = 11월 - 리니지2M을 출시했다. = = =2021년 = = = 4월 - 프로야구 H3가 서비스를 시작했다. = = 기업의 사회적 책임 = = 엔씨소프트의 창립 15주년(2012년)을 맞아 엔씨소프트의 사회공헌 활동을 총괄하는 비영리 공익 재단 엔씨소프트문화재단 설립. 엔씨소프트문화재단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우리사회의 질적 도약을 위한 가치 창출’을 지향하며 사회공헌 활동을 더욱 체계적, 지속적으로 수행 하고 있음. = = = 엔씨소프트문화재단 주요 활동 = = =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가치 제고 및 문화적 삶의 질 향상, 건강한 게임문화 확립,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재단은 출연자 엔씨소프트의 뛰어난 분야인 게임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우리 사회를 이롭게 하는 활동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게임사전 제작, 야구를 통한 사회공헌, 특수학교 및 부산 소년의 집 후원 등 비영리 공익목적의 사회공헌 활동을 수행 중 = = 엔씨 소프트에 일어난 각종 사건들 = = = = = 리니지 II 개인정보 노출사건 = = = 2005년 5월 대한민국 리니지II의 사용자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엔씨 소프트가 게임을 업데이트 하면서 엔지니어의 실수로 사용자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지 않은 채 저장된게 발단이었다. 이로 인해 동월 11일부터 16일까지 엿새 동안 게임에 접속을 시도한 모든 컴퓨터에 개인의 비밀번호 등이 그대로 노출됐으며, 피해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산된다.'리니지2' 사용자 개인정보 대량 유출돼 = = = 리니지 명의 도용 사건 = = = 2006년 2월 13일 엔씨 소프트는 누군가가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해 게임계정을 생성했다는 내용의 신고가 약 500건 접수됐다고 발표했다. 발표직후 경찰의 수사가 이루어졌으며, 경찰의 수사결과에 의하면 국내 작업장 운영자들이 다량의 계정을 이용해 매크로 등을 사용하여 리니지의 사이버머니와 아이템을 대량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약 28만건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리니지에 가입시킨 사건이었다. 이 사건에 관여되었던 모든 작업장 사장들은 입건되었으며, 사건을 방조한 엔씨소프트에도 책임이 있다하여 엔씨소프트 또한 입건되었다.'리니지 명의도용' 회사 책임자 입건 이 사건은 한때 대한민국의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최대 주민등록번호 도용사건 중 하나로 기록됐다. 이 사건은 엔씨소프트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것이 아니라, 작업장 사장들이 대량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리니지 계정을 생성한 사건이다.엔씨소프트 "리니지 고객 정보 유출 도용 없다"(상보) = = = 리니지 III 소스 유출 시도 사건 = = = 2007년 4월 27일 서울지방경찰청은 엔씨소프트 전(前) 직원 7명이 리니지 III의 소스 코드를 일본 유명 게임 개발사에 팔려고 시도한 혐의가 있다고 밝혀졌다. 엔씨소프트에 의하면 잠재적인 손실은 1억달러에 달한다고 한다.Shack NewsPC News: Lineage III code stolen - ComputerAndVideoGames.comGame GuruWired = = = 3D 기술 침해 논란 = = = 2009년 3월 12일 월즈닷컴의 CEO 톰 키드린은 2008년 12월 엔씨소프트의 시티오브히어로, 시티오브빌런, 던전러너, 엑스틸, 길드워, 리니지, 리니지2, 타뷸라라사 게임들이 자사의 가상현실과 관련된 특허권을 침해했다엔씨 고소한 회사, 다음 타겟은 WOW, 세컨드라이프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 = = 리니지M 불성실한 보상 논란 = = = 2021년 1월, '문양 저장 및 복구 기능'인 아이템 업데이트 롤백(저장해두었던 상태로 돌릴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고과금 이용자들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문제를 제기하였고, 엔씨소프트는 업데이트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미 과금한 이용자들에게 환불을 해주는 과정에서 마찰이 심해졌고, 불매 운동으로까지 번졌다. = 미야오 고이치 = 미야오 고이치(1993년 6월 15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싱가포르의 컨벤션 센터 = = 랄프 슈만 = 랄프 슈만(, 1962년 6월 10일~)은 독일의 사격 선수로 주 종목은 속사권총이다. 올림픽에서 3회 우승을 차지한 그는 사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이다. 진종오, 킴 로드와 함께 올림픽 금메달 3개를 획득한 3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올림픽 사격 역사상 최초로 금메달 3개를 획득한 선수이다. 그는 1992년, 1996년,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속사권총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8년부터 2012년까지 7회 연속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독일 선수 최다 올림픽 출전 기록을 세웠다. = 분류:뉴질랜드의 자유주의 정당 = = HR 8834 = = 광주중학교 축구부 = 광주중학교 축구부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광주중학교의 축구부이다. 광주중학교가 운영하는 축구부로 1991년에 창단 하였다. = = 역사 = = 1991년 창단 이후 정성룡 국가대표 선수와 같은 여러 축구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 즈궈 = = 템플 런 = 템플 런은 Imangi Studios가 개발한, 주인공이 보물을 훔쳐 LTY에게 달아나는 스마트폰용 어드벤처 게임이다. '템플 런:brave'와 '피라미드 런'등 여러 페러디 작품이 나왔다. 게임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 알맞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Video game reviews = 하머사이드 = 하머사이드(Homicide)는 본명은 넬슨 로드리게스 에라조(Nelson Rodriguez Erazo, 1977년 3월 20일 ~ )는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다. 키는 177cm(5 ft 10 in)에다가 몸무게는 100kg(220 lb)이다. 1993년 프로레슬링 입문으로 피니쉬는 웨스트 브루클린 래리어트(래리어트), 다이빙 프로그 스플래쉬, 에이스 크러셔/그링고 커터/그링고 스터너(커터), 그링고 킬라(더블 언더훅 벨리 투 백 파일드라이버), 코너 하이 니, 풀 넬슨, 웨스트 브루클린 락(크로스 레그드 에스티에프), 점핑 백 킥, 에스티에프, 기무라 락 위드 넥시저스, 다이빙 문설트 레그 드롭으로 사용을 한다. 예전 TNA 시절에서는 헤르난데스라는 태그팀을 활동을 한적도 있었지만 2009년 9월 10일 TNA 임팩트 중에서 갑작스럽게 인질극 벌이는 척하다가 연기를 하면서 갑자기 헤르난데스를 체어 샷을 날려버리면서 그렇게 월드 엘리트(에릭 영, 더그 윌리엄스, 브루투스 매그너스, 키요시, 쉬크 압둘라 바쉬르, 랍 테리, 케빈 내쉬)라는 들어가고 말았지만 그러나 현재는 헤르난데스라는 붙어 다니기 시작한다. 그는 헤르난데스하고 키가 약 10cm 차이가 있으며 아무레도 헤르난데스가 키가 187cm라서 그런지 좋은 태그팀이라고 한다. = = Professional wrestling highlights = = Finishing moves 187/Gringo Cutter/Gringo Stunner (TNA)/Ace Crusher (Independent circuit) (Cutter, sometimes from the top rope) Corner high knee - 1993-2005 Da Cop Killa (Independent circuit)/Da Gringo Killa (TNA) (Double underhook belly to back piledriver) Full nelson - 1993-2002 Diving frog splash - 2005-present Diving moonsault leg drop - 1993-2005 Jumping back kick - 1993-2005 Kimura lock with neckscissors 2004-2005 STF - 2002-2004 West Brooklyn Lariat (Lariat) (Independent circuit); used as a regular move in TNA West Brooklyn Lock (Cross-legged STF) - 2005-present Signature moves Bronx Bomber 27 (Sitout body slam piledriver) Diving double foot stomp Facewash Lifting double leg slam Multiple suplex variations * Exploder * Overhead double underhook, sometimes from the top rope * Pumphandle * Sitout * Snap overhead belly to belly * Triple rolling verticals - adopted from and used in tribute to Eddie Guerrero Neckbreaker slam Piledriver Shining wizard Sitout double underhook powerbomb Standing big boot Tope con Hilo (Over the top rope somersault plancha) Managers Gary Hart Julius Smokes Konnan JBL Salinas Hector Guerrero Madison Rayne Nicknames "Japw Icon" "Urban Legend" "Strong Style Thug" "The Notorious 187" Entrance themes "People = Shit" by Slipknot "I Will Be Heard" by Hatebreed "The Truth (with Ironside intro)" by Beanie Sigel "You're Not Ready" by 50 Cent (ROH) "Rabbit Run" by Eminem "Dawgz" by Konnan (TNA/ROH) "To Live and Die In LAX" by Dale Oliver and Serg Salinas "Do the Thang" by GEARZ "Hardcore" by FILTHEE / Brickman Raw "5150" by FILTHEE / Brickman Raw "Grito Mundial" by Daddy Yankee "Sleep Deprivation" by Doctor Scott and DJ Fokus "The Anthem" by Jess Jamez & MVP (TNA; 2015; used as part of Beat Down Clan) "Cold Blooded" by Viceversah (Impact; 2018) "It's a 1-8-7 on 'Em" by Mikey Rukus (AEW; 2021) = = 수상 = = ACW 그레이트 아메리칸 챔피언 (1회) BJPW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D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DCW 태그팀 챔피언 (1회) - 그림 리퍼 EP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FIP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I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ICW 태그팀 챔피언 (1회) - 보오갈루 I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헤르난데스 I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IWA 미드-서든 태그팀 챔피언 (1회) - 에디 킹스턴 IWU 월드 그루지아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JAPW 헤비웨이트 챔피언 (7회) JAPW 태그팀 챔피언 (7회) - 케인 디 (2회), 돈 몬토야 (1회), 비-보이 (1회), 테디 하트 (1회), 헤르난데스 (1회) 앤 에디 킹스턴 (1회) JAPW 헬 오브 페임 (2016) J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LI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LIWF 월드 라이트웨이트 챔피언 (1회) LIWF 월드 뉴 져지웨이트 챔피언 (1회) 글로벌 컨플릭트 토너먼트 (2011) NHPW 아트 오브 파이팅 챔피언 (1회) NWA 와일드사이드 태그팀 챔피언 (2회) - 라인맨 PGW 태그팀 챔피언 (1회) - 비-보이 탱고 & 캐쉬 인비테이션 (2004) 비-보이 PWI 랭크드 힘 #54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07 PWU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ROH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트리오 토너먼트 (2005) - 리키 리예스 앤 로키 로메로 RCW 월드 레전드웨이트 챔피언 (1회) R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헤르난데스 NWA 태그팀 챔피언 (2회) - 헤르난데스 TN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헤르난데스 TNA 엑스 디비전 챔피언 (1회) 듀스 와일드 태그팀 토너먼트 (2008) - 헤르난데스 피스트 오어 파이어드 (2008 엑스 디비전 챔피언 컨트렉트) 매치 오브 더 이열 (2006) - 헤르난데스 vs AJ 스타일스 앤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엑트 TNA 서렌더 2006 온 2006년 9월 24일 USA 월드 프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USA 월드 프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웨이트 챔피언 (1회) UXW 엑스트림 챔피언 (2회) WOW 노 리밋 챔피언 (1회) 베스트 기믹 (2006) - 헤르난데스 에스 라틴 아메리칸 엑스체인지 태그팀 오브 더 이열 (20060 - 헤르난데스 에스 라틴 아메리칸 엑스체인지 MAS 월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WMF 월드 올 버러웨이트 챔피언 (1회) = 1980년 롯데 자이언트 시즌 = 1980년 롯데 자이언트 시즌은 롯데 자이언트가 실업리그에 참가한 5번째 시즌이다. 박영길 감독이 팀을 이끈 3번째 시즌으로, 팀은 전기 4차리그와 후기 4차리그를 제외한 모든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크게 부진했는데 박영길 감독이 3월 18일 경리단전에서 유격수 정영기를 구원투수로 등판시켰지만 연속 6안타를 맞아 "판단 미스"란 혹평을 받았다. 백호기 준우승을 차지한 것이 유일한 소득이었다. = 현빈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현빈 조씨(賢嬪趙氏)는 조선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세자빈이으로, 남편 사후 현빈으로 개봉되었다. 시호는 효순(孝純). 현빈(玄彬, 1982년 ~ )은 대한민국의 가수, 연예인으로 본명은 김태평(金泰坪)이다. = = 가공 인물 = = 굿바이 싱글의 등장인물 휴가 (2021년 영화)의 등장인물 = = 종교 = = 현빈(玄牝)은 도교에서 생각하는 동물의 두뇌를 말한다. = 동산 (충북) = 동산(東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과 수산면 그리고 단양군 적성면의 경계에 있는 높이 896m의 산이다. = 알렉산더 버크먼 = 알렉산더 버크먼(, 1870년 11월 12일 ~ 1936년 6월 28일)은 아나키스트로 활발한 정치 활동, 저술 활동으로 유명했다. 20세기 초반 아나키스트 운동을 이끈 대표적 인물이다. 러시아 제국 시절 빌뉴스에서 태어났으며 1888년에 미국으로 이주했다. 뉴욕에 살면서 아나키스트 운동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아나키스트 옘마 골드만과는 연인이자 일생 동안의 친구였다. 1892년에 행위를 통한 선전(propaganda of the deed)의 행동으로 사업가 헨리 클레이 프릭을 암살하려다 실패했으며, 이후 14년동안 감옥에 있었다. 감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첫 저서, 한 아나키스트의 감옥 경험(Prison Memoirs of an Anarchist)를 냈다. 감옥에서 풀려난 이후에 버크먼은 골드만의 아나키스트 저널 어머니 지구(Mother Earth)에서 편집장을 맡았고, 버크만 자신이 블래스트(The Blast)라는 이름의 저널을 만들었다. 1917년, 새롭게 실시된 징병제에 반대해 골드만과 함께 2년형을 선고받았다. 감옥에서 나온 뒤에 수백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체포되어 러시아로 추방되었다. 처음엔 10월 혁명을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소비에트 연방의 폭력 행사와 압제를 본 후에는 반대의 목소리를 냈다. 1925년에 러시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볼셰비키는 거짓이다(The Bolshevik Myth)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 이후 프랑스에서 살며 아카니스트 운동을 지원하는 일을 계속하며, 아나키스트 운동에 대한 설명을 담은 책 현재와 미래: 공산주의적 아나키즘 입문(Now and After: The ABC of Communist Anarchism)을 냈다. 이후 건강이 악화되었고, 1936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윤후정 = 윤후정(尹厚淨, 1932년 5월 7일 ~ , 함경남도 안변군)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학자이다. 여성 의식화와 여성운동의 대중화, 여성학의 만개, 그리고 여성부 출범과 호주제 폐지 등은 대한민국의 여성발전사를 관통하는 굵은 줄기인데, 이 역사적 맥락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윤후정이라는 평가가 있다. 헌법에 양성평등 조항을 넣었고 남녀차별금지법을 만들어 사적·공적 생활에서의 성평등 실현을 위해 힘썼다.이은경. 윤후정 명예총장 “여성들, 상생의 사회 향해 새판을 짜라” . 여성신문. 기사입력 2013년 6월 26일. 기사수정 2013년 6월 29일. = = 생애 = = 1932년에 함경남도 안변군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11남매 중 다섯 명이 사망하여 6남매 중 다섯째가 되었다. 부모는 농부였고 식구가 많아 생활이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부지런하고 정직한 아버지와 조용하고 신앙이 돈독한 어머니 밑에서 따뜻하게 자랐다. 경제적으로나 지적 수준에 있어서는 평범한 가정이었고, 형제들끼리는 따뜻하고 평화로운 생활을 하며 성장했다. 학업 성적이 우수했고 교사가 되고 싶어 원산사범학교에 진학했다. 원산사범학교는 150명의 신입생을 뽑았는데, 한국인은 7,000명이 지원하고 일본인은 300명이 지원한 중에서 반은 일본인이고 반은 한국인이었다. 즉, 한국인은 상당한 수재들이 아니면 사범학교 들어가는 게 어려웠다. 성 차별 없는 가정에서 성장하였지만 어머니의 삶은 아버지와 많이 달랐고 그것이 여성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한국 최초의 여성 헌법학자 윤후정 원산사범학교 2학년 때 특별국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출세가 보장되었지만 자신의 신앙과 북한의 공산주의 사상은 맞지 않아 재학증명서 1장을 들고 단신으로 월남하였다.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고 고교시절 강원용 목사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강원용의 조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진학 후 김옥길의 조언으로 사법시험은 접고 학자의 길을 가게 되었다. 대학원 시절 사법인 민법을 공부하다가 공법인 헌법으로 바꾸었고 그에 필요한 것이 정치 사상이어서 1962년 미국 루이스빌 대학교에 가서 다음 해 여름까지 정치학 석사 과정을 밟았다. 이후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예일 대학교 법대에서 법학석사 과정을 거쳐 1968년부터 1972년까지 노스웨스턴 대학교 법대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하였다. 당시에 대한민국에는 남녀 불문하고 법학박사 학위자가 아주 드문 때여서 정치권의 유혹이 많았지만, 후학 양성의 길을 갔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였으며, 노스웨스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지냈다. 코넬 대학교 법과대학과 하버드 대학교 법학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였으며, 1979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정대학 학장을 지냈다. 이후 여성학회 회장, 공법학회 상임 이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장,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이사장이 되었다. 2008년, 영산법률문화상을 받은 바 있다.영산법률문화상에 윤후정이사장 선정. 경향신문. 2008년 9월 11일. 이화여자대학교는 '우리 사회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분단 극복'이라며 2013년 10억 원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부한 윤후정의 뜻에 따라 한국 전쟁 64주년을 맞아 분단의 극복과 민족의 평화적 번영, 동북아시아의 평화 질서 구축을 논의하기 위한 포럼을 제정하였는데, 제1회 '윤후정 통일 포럼'을 2014년 6월 25일에 개최하였다.이재. 이화여대 제1회 윤후정 통일 포럼 개최. 한국대학신문. 2014년 6월 23일.유혜은. 이화여대, ‘제1회 윤후정 통일 포럼’ 성공적 개최. 이투데이. 2014년 6월 26일. = = 학력 = = ~ 1955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 학사 ~ 1972년: 노스웨스턴 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예일 대학교 로스쿨 법학 석사, 루이빌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 석사 ~ 2005년: 서강대학교 대학원 문학 명예박사 = = 경력 = =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전임강사 1990년 ~ 1993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1989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원장 1985년 ~ 1992년: 한국공법학회 상임이사 1984년: 한국여성학회 회장 1979년: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학장 1978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 법과대학 객원교수 1977년: 미국 코넬 대학교 법과대학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조교수 1998년 3월~1999년 3월: 대통령 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초대 위원장 ~ 2011년 3월: 이화학당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총장 = = 저서 = = 《법여성학》(1989년) 《기본적 인권과 평등》(1997년) 《여성의 인간화를 위하여》(1997년) 《Impact of Student Demonstration on the Constitutional Practice and Laws of Korea, 1960-1970》(1997년) 《이화와 더불어 한국 여성을 바꾸어온 오십년》(2001년) = = 상훈 = = 2008년: 제4회 영산법률문화상 2012년: 제6회 목촌법률상 = = 관련 도서 = = 《윤후정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학자)》- 여성신문 지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년 출간 = 틀:RJFU = = 스트레이 = 스트레이는 다음과 같다. 더 스트레이(The Stray): 레드카의 개방된 초원 지역 = = 비디오 게임 = = 스트레이 (비디오 게임): 2022년 비디오 게임 스트레이: 마인크래프트의 몹 = = 음악 = = The Strays: 슬리핑 위드 사이렌스의 음반 Madness의 노래 Strays: 제인스 어딕션의 음반 Stray: STRAYZ의 2022년 노래 Stray: 애니메이션 울프스 레인의 오프닝곡으로 사용된 노래 The Strays: 슬리핑 위드 사이렌스의 음반 Madness의 노래 = 분류:독일의 기술자 =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령 시리아에서 분리되어 영국에게 할당된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령으로서, 1920년부터 1946년까지 영국은 이 지역을 위임통치하였다. 1923년 이후에 이 지역은 요르단강 서안은 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위치한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1948년까지 영국이 통치하였고 동안은 트란스요르단으로 분리하여 히자즈에서 온 하심가 출신 왕족에게 자치권을 주어서 통치하였으며, 1946년에 트란스요르단은 요르단 하심 왕국으로 독립하였다. 1917년에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영국군과 아랍 반란군은 오스만 제국의 군대를 격퇴시킨 이후, 과거 오스만 제국령 시리아 지역에 군정을 실시하였다. 이 지역은 1922년 6월에 국제 연맹으로부터 영국의 위임령으로 인정받았고, 프랑스가 현재의 시리아 지역과 레바논 지역을 차지하며 이로 인해 튀르키예는 16세기 이후 지배해 온 아라비아 반도의 주도권을 완전히 상실하고 말았다. = 분류:1925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 분류:1840년 기재된 동물 = = 분류:1963년 폐지 = = 냅스터 = 냅스터(Napster)는 숀 패닝(Shawn Fanning)이 만든 온라인 음악 파일 공유 서비스였으며 1999년 6월TABLE: Napster's High and Low Notes부터 2001년 7월까지 운영하였다. 처음으로 널리 쓰였던 P2P 공유 서비스였으며 사람들, 특히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인터넷을 쓰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냅스터 기술은 MP3 포맷의 음악 파일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게 해 놓았으므로 음악 산업의 저작권 침해의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 서비스는 패닝의 가명을 따서 냅스터라고 이름이 붙었다. 냅스터의 브랜드와 로고는 청구 서비스(pay service)를 통해 계속 관리되고 있다. = 일산화 탄소 감지기 = 일산화 탄소 감지기(Carbon monoxide detector) 또는 CO 감지기는 일산화 탄소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일산화 탄소(CO) 가스의 존재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1990년대 후반 UL(Underwriters Laboratories)에서는 음향 장치가 있는 단일 스테이션 CO 감지기의 정의를 일산화 탄소(CO) 경보기로 변경했다. 이는 UL 2034 표준을 충족하는 모든 CO 안전 경보기에 적용된다. 그러나 UL 2075를 충족하는 수동 표시기 및 시스템 장치의 경우 UL은 이를 일산화 탄소 감지기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CO 감지기는 정의되고 제한된 수명을 가진 센서를 사용하며 무기한 작동하지 않는다. CO는 탄소를 함유한 물질이 불완전 연소되어 생성되는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이다. 사람의 눈에 거의 띄지 않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라고도 불린다. UL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의 60%는 가정에서 CO 누출의 잠재적인 징후를 식별할 수 없다." CO의 수준이 높으면 존재하는 양과 노출 기간에 따라 인간에게 위험할 수 있다. 농도가 낮을수록 장기간에 걸쳐 해로울 수 있으며 농도가 높아지면 노출 시간이 짧아야 해로울 수 있다. CO 감지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CO 수준을 측정하고 위험한 수준의 CO가 환경에 축적되기 전에 경보를 울리도록 설계되어 사람들에게 해당 지역을 안전하게 환기하거나 대피할 수 있는 적절한 경고를 제공한다. 일부 시스템 연결 감지기는 필요할 경우 응급 서비스를 파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에 경고도 보낸다. CO 감지기는 연기 감지기 역할을 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연기/CO 결합 감지기도 판매된다. 가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CO 발생원으로는 화염, 실내 난방기, 온수기, 막힌 굴뚝, 차고 내부의 자동차 운전이나 그릴 등이 있다. = 분류:대한민국의 울산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 앤젤리카 휴스턴 = 앤젤리카 휴스턴(Anjelica Huston, 1951년 7월 8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라스트 타이쿤 (1976)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1981) 여배우 프란시스 (1982) 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 (1984) 우주 해적선 (1984) 프리찌스 오너 (1985) 캡틴 EO (1986) 병사의 낙원 (1987) 죽은 자들 (1987) 범죄와 비행 (1989) 적 그리고 사랑 이야기 (1989) 마녀와 루크 (1990) 그리프터스 (1990) 아담스 패밀리 (1991) 플레이어 (1992) 앤 더 밴드 플레이드 온 (1993) 맨해튼 미스터리 (1993) 아담스 패밀리 2 (1993) 크로싱 가드 (1995) 돈 크라이 마미 (1996) - 감독 겸임 에버 애프터 (1998) 버팔로 66 (1998) 러브 템테이션 (2000) 로얄 테넌바움 (2001) 바비의 라푼젤 (2002) - 목소리 블러드 워크 (2002) 대디 데이 케어 (2003)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 (2004) 천사의 투쟁 (2004) 아트 스쿨 컨피덴셜 (2006) 헤이디스 바이러스 (2006) 머터리얼 걸스 (2006) 세러핌 폴스 (2006) 다즐링 주식회사 (2007) 질식: 어느 섹스 중독자의 초상 (2008) 팅커벨 (2008) - 목소리 팅커벨 2: 잃어버린 보물 (2009) - 목소리 파리의 도둑 고양이 (2010) - 목소리 로마에서 생긴 일 (2010) 50/50 (2011) 더 빅 이어 (2011) Pixie Hollow Games (2011) - 목소리 팅커벨 4: 날개의 비밀 (2012) - 목소리 팅커벨 5: 해적 요정 (2014) - 목소리 팅커벨 6: 네버비스트의 전설 (2014) - 목소리 숲속괴담: 다크포레스트 (2017) - 앨리우드 부인 역 개들의 섬 (2018) 존 윅 3: 파라벨룸 (2019) - 디렉터 역 아틱 저스티스: 썬더 스쿼드 (2019) - 마그다 역 (목소리) 웨이팅 포 안야 (2020) 더 프렌치 디스패치 (2021) 발레리나 (2024) = = = 텔레비전 = = =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1986) The Mists of Avalon (2001) 허프 (2006) 고스트 & 크라임 (2008-9) 아메리칸 대드! (2011-23) - 목소리 스매쉬 (2012-13) 보잭 홀스맨 (2014, 2020) - 목소리 Transparent (2015-16) 줄리언 대왕 만세 (2016) - 목소리 트롤헌터: 아카디아의 전설 (2016-18) - 목소리 앤지 트리베카 (2018) 스타워즈: 비전스 (2023) = 니더작센 관구 = 니더작센 관구는 신성 로마 제국의 관구이다. 중세의 작센 공국 (베스트팔렌)을 제외한)의 지역을 포함했으며, 오버작센 관구로부터의 차이점을 두기 이전에는 본래 작센 관구라고 불렸다. 니더작센 관구의 흔치 않게 여러 시대에서 덴마크(홀슈타인), 그레이트브리튼(하노버), 스웨덴(브레멘)의 군주들 모두가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들의 제후였다. = = 기원 = = 니더작센 관구에 대한 최초 계획은 1438년에 알브레히트 2세에서 비롯됐다. 제국령 작센 관구는 1500년에 공식적으로 만들어졌지만 1512년에 니더작센 관구와 오버작센 관구로 나뉘게 되었다. 이 분리는 1522년에서야 성문화되었으며, 제국 최고 법원에 의한 분리가 완전히 시행되기 전에 시간이 좀 필요했었다. 뿐만 아니라, 오버작센 관구가 먼저 언급되었고, 니더작센 관구 또는 네덜란드 지역은 이후에 이뤄졌다. 니더작센(Niedersachsen)이라는 용어는 1548년에서야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 = 영역 = = 니더작센 관구는 현재의 니더작센주의 최동부 지역, 작센안할트주의 최북부 지역(알트마르크 제외),Rudi Fischer: 800 Jahre Calvörde – Eine Chronik bis 1991. 메클렌부르크, 홀슈타인 (디트마르센 제외), 함부르크, 브레멘, 추가적으로 브란덴부르크주와 튀링겐주의 작은 지역들이 포함됐었다. 대게 니더작센 관구는 할레, 위터보크와 같은 작은 월경지들로 이뤄진 지속적으로 연결된 영역이였다. 노르트하우젠과 뮐하우젠은 역시도 제국 관구의 부분 외부에 위치했었다. 관구 내부에는 1052년부터 브레멘 대주교국과 동군 연합을 이룬 페르덴 대주교국이 있었다. 샤움부르크와 슈피겔베르크 백국 또한 동군 연합의 일부였으나, 니더작센 관구에 속하지는 않았다. 신성 로마 제국의 몰락 때, 네더작센 관구는 1,240 평방 마일과 2,120,000명의 인구를 지녔었다. 종교에 관해서, 거주민들의 대다수가 개신교도였다. 예외로는 가톨릭 힐데스하임 주교국이 있다. = = 구조 = = 니더작센 관구의 상당 영역은 벨프 가문이 다스리던 지역으로 이뤄졌었다. 종교 개혁으로 새롭게 개종한 마그데부르크 대주교국은 1513년부터 호엔촐레른가 출신의 관리들의 통치를 받았다. 또한 1648년에 할버슈타트 주교국이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게 넘어갔다. 종교 개혁후 브레멘 대주교국은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배를 받다, 1715년에 벨프 가문에게 넘어갔다. 올덴부르크 공국을 통해, 덴마크의 군주는 제국 관구의 제후가 되었다. 또한 제국 관구의 그들의 소유지를 지녔던 결과로 프로이센, 스웨덴 그리고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국을 다스렸던 그레이트브리튼의 군주들 역시도 제국의 제후가 되었다. 제국 전체 중에서, 니더작센 관구는 대부분 외국의 군주들이 다스려졌다. 이에 상관없이 벨프 가문의 니더작센내 관구내에서 강력한 위치는 메클렌부르크 공작들과 덴마크의 군주들에게서 완전한 지배로부터 벗어나게 해주었다. = = 구성 = = 니더작센 관구는 다음의 국가들로 이뤄졌다: 명칭 정부 형태 참고 20px 블랑켄부르크 백국 1123년에 세워졌으며, 1599년부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들이 소유했고, 1703년에 공국으로 승격했다 브레멘 주교후국 787년에 샤를마뉴가 세웠으며, 1648년에 스웨덴 왕가의 영지인 브레만 공국으로서 세속화되었고, 1719년에 하노버에 넘어간다. 브레멘 제국 도시 1186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1235년–1269년 사이에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제국 관구 설립 이전에는 하나의 국가로 있었다. 그 후에 이 지역에 모든 벨프 가문 영지에 보편적으로 이름 붙여졌다. 칼렌베르크 후국, 공국 1494년부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와의 일부 중 하나였으며, 1705년에 첼레와 함께 통합되어 볼펜뷔텔을 제외한 모든 브라운슈바이크 지역을 포함한 하노버가 세워졌다. 간더스하임 대수도원장후국 852년에 작센 공작 리우돌프가 세웠으며, 919년에 하인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고,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과 경쟁을 벌였다. 고슬라어 제국도시 1290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그루벤하겐 후국 1291년부터 1596년까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일부였다. 할버슈타트 주교후국 804년에 샤를마뉴가 세웠으며, 1648년에 브란덴부르크가 할버슈타트 공국으로서 소유함으로써 세속화되었다. 함부르크 제국도시 1189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히델스하임 주교후국 815년에 루트비히 1세가 세웠다. 홀슈타인 공국 1474년에 세워졌으며, 덴마크의 왕가인 올덴부르크 가문이 소유했고, 1648년부터 글뤼크슈타트에 위치했다. 홀슈타인고트로프 공국 1544년부터 1773년까지 홀슈타인의 일부였다. 20px 뤼베크 주교후국 1160년에 하인리히 사자공이 세웠다. 뤼베크 제국도시 1226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뤼네부르크 후국 1269년부터 1705년까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일부였다. 마그데부르크 대주교후국 955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1세가 세웠으며, 1680년에 마그데부르크 공국으로서 브란덴부르크가 소유함으로써 세속화되었다.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 1352년에 세워졌다.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공국 1520년부터 1552년까지, 다시 1621년부터 1695년까지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일부였다. 메클렌부르크스텔리츠 공국 1701년부터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일부였다. 뮐하우젠 제국도시 1251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노르트하우젠 제국도시 1220년부터 제국 도시 지위 유지 란차우 백작령 1650년에 세워졌으며, 1734년부터 덴마크의 왕가 올덴부르크 가문이 소유했다. 20px 라체부르크 주교후국 1154년에 하인리히 사자공가 세웠으며, 1648년에 라체부르크 공국으로서 1701년부터 메클렌부르크, 메클렌부르크스텔리츠 공작들이 소유함으로써 세속화되었다. 20px 레겐슈타인 백국 1160년에 세워져, 1368년에 블랑켄부르크와 합쳐졌고, 1599년부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들이 소유했다. 작센라우렌부르크 공국 1296년에 세워졌으며, 1689년에 브라운슈바이크칼렌베르크 공작에게 넘어갔다. 슈베린 주교후국 1154년에 하인리히 사자공가 세웠으며, 1239년부터 뷔쵸우에 위치했다가, 1648년에 공국으로서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들이 소유함으로써 세속화되었다. 볼펜뷔텔 후국 1269년부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일부였으며, 1815년에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이 되었다. = = 참고 자료 = = The list of states making up the Lower Saxon Circle is based on that in the German Wikipedia article Niedersächsischer Reichskreis. = 괴크체아다섬 = 괴크체아다섬은 에게해에 있는 섬으로, 터키 차나칼레주에 속하며, 튀르키예에서 가장 큰 섬이기도 하다. 터키어 옛 표기는 임로즈였으나, 현재의 이름이 1970년 7월 29일부터Alexis Alexandris, "The Identity Issue of The Minorities In Greece An Turkey", in Hirschon, Renée (ed.), Crossing the Aegean: An Appraisal of the 1923 Compulsory Population Exchange Between Greece and Turkey, Berghahn Books, 2003, p. 120 공식 명칭으로 바뀌었다. 괴크체아다섬은 에게해 북쪽 사로스만 입구에 자리잡고 있으며, 섬의 이지르부르누반도는 터키의 최서단이다. 섬의 면적은 279 km2이며, 숲도 있다. 1912년 11월부터 1923년 9월까지 임브로스, 테네도스 두 섬은 그리스 왕국의 행정권 하에 있었다. 두 섬 모두 그리스인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임브로스섬은 모든 주민이 그리스인이었다.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라 이 섬은 터키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으나, 이스탄불과 함께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의 예외 지역으로 지정되어, 그리스인들의 특수 자치 지위가 보장되었다. 그러나 1927년 6월 26일의 민법 제정 직후, 이들 두 섬에 거주하는 그리스인들에 대한 권리는 부인되었으며, 로잔 조약에 대한 침범이었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괴크체아다섬의 인구는 총 8,875명이었다. 주요 산업은 어업과 관광이다. 주민 대부분은 튀르키예인이나, 아직 그리스인도 300여명 살고 있으며, 상당수 그리스인은 섬을 떠났다. = 윤추섭 = 윤추섭(尹鄒燮, 1897년 1월 2일 전남 곡성 ~ 1972년 3월 18일)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 약력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광주지부 재정부장 민주국민당 전남도당 재정부장 민주당 곡성군당 위원장 민주당 중앙위원 신민당 전남지부 고문 = 분류:스위스에 거주한 포르투갈인 = = 가와구치모토고역 = 가와구치모토고역은 일본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 = 타는 곳 = = = = = 사이타마 고속철도 = = = 1 ■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 우라와미소노 방면 2 ■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 아카바네이와부치ㆍ 히요시ㆍ에비나ㆍ쇼난다이 방면 = = 역세권 정보 = = 가와구치 시청 동일본 여객철도(JR동일본) 게이힌 도호쿠 선 가와구치역 - 도보 약 10분 15분, 당역으로부터 버스 노선도 있음. 국도 제122호선 = = 역사 = = 2001년 3월 28일: 영업 개시. 2002년 11월 10일: 역전 광장 완성, 역전 광장 측에 엘리베이터를 신설 = 외뿔소자리 15 = 외뿔소자리 S 또는 외뿔소자리 15는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3,247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변광성이다. 이 별은 분광쌍성으로 구성원은 질량중심을 74년에 한 번 돈다. 1943년까지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항성의 분광형을 정하는 기준별 역할을 했다. 분광형은 O V로 O형 주계열성이며 밝기는 4.2에서 4.6까지 요동친다. NGC 2264 내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이 항성계의 물리적 자료는 그 정확성에 있어 논쟁거리이다.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이 계가 8중성계라고 기록되어 있다. 공전궤도 매개변수 및 NGC 2264 내 있다는 가정하에 나온 거리는 3,247 광년이다. 그러나 히파르코스 시차자료에 따르면 상기 거리의 절반 정도로 줄어든다. = 분류:치앙라이주의 지리 = = 파피 = 파피(Poppy, 1995년 1월 1일 ~ )는 미국의 가수, 배우, 작곡가, 작사가, 유튜버이다. 이전 예명인 댓 파피(That Poppy)로도 알려졌다. 유튜버로 활동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2015년 아일랜드 레코드와 계약을 맺은 후 2016년 데뷔 EP Bubblebath를 발매하며 가수 활동도 시작했다. 2017년에는 매드 디센트(Mad Decent)와 계약을 맺고 정규 데뷔 음반 Poppy.Computer를 발매했으며, 2018년, 두 번째 음반 Am I A Girl?을 발매하였다. Am I A Girl? 에는 그녀가 초기에 발매했던 음악들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메탈 장르의 곡이 여럿 수록되었다. 2020년에는 수메리안 레코드(Sumerian Records)와 계약을 맺고 세 번째 음반 I Disagree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전작의 앨범과 유사한 음악적 색을 띔과 동시에 헤비 메탈, 인더스트리얼 락 등의 장르에 속하는 곡들이 다수 수록되어 더욱 거칠게 변화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해당 앨범에 수록된 곡인 BLOODMONEY로는 제 63회 그래미 어워드의 최우수 메탈 퍼포먼스 상(Best Metal Performance)에 수상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1990년 그래미에서 해당 카테고리가 신설된 이래로 여성 솔로 아티스트가 노미네이트된 최초의 기록이다. 연이어 2021년에는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Flux를 발매한다. 해당 앨범은 록, 그런지와 같은 장르의 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작들에 비하여 비교적 정제된 사운드를 들려준다는 평을 받는다. 이에 걸맞게 가사에서도 겪어왔던 각종 사건사고들과 본인이 느껴온 진솔한 감정이 담긴 내용이 주가 된다.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Poppy.Computer (2017) Am I a Girl? (2018) I Disagree / I Disagree (more) (2020) *Flux (2021) *Zig (2023) = = = EP = = = Bubblebath (2016) Poppy.Remixes (2018) Choke (2019) A Very Poppy Christmas (2020) EAT (NXT Soundtrack) (2021) Stagger (2022) = = = 싱글 = = = Lowlife (Slushii Remix) (2015) This is a Dog (2015) I'm Poppy (2017) Metal (2018) X (Acoustic) (2018) Immature Couture (2018) Everybody Wants to be Poppy (acoustic) (2020) Lowlife (acoustic) (2020) All The Things She Said (2020) Mind Aide (2020) I Won't Be Home For Christmas (2020) Fear of Dying (2021) Her (2021) FYB (2022) Church Outfit (2023) Spit (2023) Knockoff (2023) Motorbike (2023) Hard (2023) = 서동원 (배우) = 서동원(1979년 4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천안북일고등학교 중부대학교 연극영화과 경희대학교 연극영화과 학사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1995년 SBS 주간시트콤 《LA아리랑》 1998년 EBS 청소년드라마 《내일》 ... 이범석 역 1999년 EBS 청소년드라마 《네 꿈을 펼쳐라》 ... 권석태 역 2004년 SBS 미니시리즈 《형수님은 열아홉》 ... 신창조 역 2004년 MBC 주간시트콤 《조선에서 왔소이다》 ... 안 박사 역 2005년 MBC 미니시리즈 《신입사원》 ... 강민 역 2005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낙타씨의 행방불명》 ... 명석 역 2007년 MBC 미니시리즈 《개와 늑대의 시간》 ... 최일도 역 2007년 SBS 금요드라마 《아들 찾아 삼만리》 ... 서방교 역 2008년 MBC 미니시리즈 《달콤한 인생》 ... 현필 역 2008년 SBS 미니시리즈 《일지매》 ... 은복 역 2009년 MBC 대하드라마 《선덕여왕》 ... 덕충 역 2009년 SBS 일일연속극 《아내가 돌아왔다》 ... 박영배 역 2010년 MBC 미니시리즈 《로드 넘버원》 ... 최용배 역 2010년 SBS 주말극장 《웃어요, 엄마》 ... 강도영 역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뿌리깊은 나무》 ... 북방 병사 역 2012년 SBS 주말 특별기획 《바보 엄마》 ... 배일도 역 2012년 SBS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왕》 ... 주동석 역 2013년 tvN 월화드라마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 1968년 최진철 역 2013년 MBC 주말연속극 《사랑해서 남주나》 ... 송병주 역 2013년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 - 상놈탈출기》 ... 점백이 역 2014년 SBS 설날특집극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 우편 배달부 송하진 역 2014년 JTBC 미니시리즈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 ... 박승룡 역 2014년 SBS 주말 특별기획 《엔젤 아이즈》 ... 김호진 역 2014년 KBS2 미니시리즈 《조선 총잡이》 ... 화약기술자 역 2014년 SBS 주말극장 《모던파머》 ... 박상득 역 2015년 SBS 주말 특별기획 《내마음 반짝반짝》 ... 이순진의 맞선남 역 2015년 SBS 주말 특별기획 《이혼변호사는 연애중》 ... 한국남 역 2015년 SBS 주말 특별기획 《애인 있어요》 ... 고현우 역 2015년 SBS 미니시리즈 《육룡이 나르샤》 ... 이방과 역 2015년 SBS 월화드라마 《대박》 ... 밀풍군 역 2016년 MBC 주말 특별기획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 서철민 역 2016년 SBS 수목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 ... 63빌딩 수족관 직원 역 2017년 SBS 월화드라마 《피고인》 ... 오종민 형사 역 2017년 MBC 미니드라마 《세가지색 판타지 - 생동성 연애》 ... 유정준 역 (특별출연) 2017년 SBS 시트콤 《초인가족 2017》 ... 성교육 강사 역 (특별출연) 2017년 tvN 토일드라마 《비밀의 숲》 ... 김정본 역 2017년 SBS 수목드라마 《수상한 파트너》 ... 소정하 역 2017년 MBC 수목드라마 《로봇이 아니야》 ... 조진배 역 2018년 JTBC 월화드라마 《으라차차 와이키키》 ... 최 감독 역 (특별출연) 2018년 SBS 주말 특별기획 《착한마녀전》 ... 유부남 역 2018년 OCN 월화드라마 《그남자 오수》 ... 김순경 역 2018년 SBS 수목드라마 《훈남정음》 ... 강춘남 역 2018년 SBS 월화드라마 《사의 찬미》 2019년 SBS 월화드라마 《초면에 사랑합니다》 ... 정중희 역 2019년 MBC 수목드라마 《하자있는 인간들》 ... 김 박사 역 2021년 JTBC 토일드라마 《구경이》 ... 노무현 역 2024년 SBS 금토드라마 《재벌X형사》 ... 이기석 역 = = = 영화 = = = 2000년 《단적비연수》 ... 어린 장준 역 2001년 《엽기적인 그녀》 ... 탈영병 역 2003년 《동갑내기 과외하기》 ... 창희 역 2004년 《말죽거리 잔혹사》 ... 박성춘 역 2004년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 문호 역 2005년 《여자, 정혜》 ... 슬픈 남자 역 2007년 《6년째 연애중》 ... 김민재 역 2008년 《멋진 하루》 ... 사촌집 남자 역(특별출연) 2012년 《댄싱퀸》 ... 정철 역 2012년 《자칼이 온다》 ... 벨보이 역 2015년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 체육 수습 역 2021년 《파이프라인》 2022년 《공조 2: 인터내셔날》 ... 이 형사 역 2023년 《웅남이》 ... 성 형사 역 = = = 방송 = = = 《우리동네 예체능》 (2016년, KBS2) 《도전 지구탐험대》 - 2001년 6월 10일 출연 = = 광고 = = 2004년 농심 오징어짬뽕 = Help Us Stranger = Help Us Stranger는 2019년에 발매된 래콘터스의 음반이다. = 분류:광대역 = = 분류:기원전 90년대 = = 분류:나라별 과거급제자 = = 분류:FC 유나이티드 오브 맨체스터 = = Death Rituals = Death Rituals는 2008년에 발매된 식스 피트 언더의 음반이다. 메탈 블레이드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여천군 (왕족) = 여천군 이경(驪川君 李境, 1683년 ~ 1730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다. = = 생애 = = = = = 일생 = = = 그는 숙종 치세 시기이자 나이 7세 시절이던 1689년 여천군(驪川君)에 책봉된 이후 경종·영조 때까지 왕족 종실 지위를 온온히 지내었지만 영조 치세 시기였던 1728년에는 갑작스레 친형 여릉군과 아울러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결국 전라남도 해남에 유배되었다가 끝끝내 1730년 복주 처분되었다. = = 사후 = = 고종 임금 때인 1864년 7월에 관작 작위가 복권되었다. = 분류:긴키 대학 동문 = = 사뮈엘 무투사미 = 사뮈엘 무투사미(, 1996년 8월 12일 ~ )는 리그 1의 낭트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축구 선수이다. 프랑스 출신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 국가대표팀에서 뛰고 있다. = = 구단 경력 = = 2017년 8월 12일, 1-0으로 패한 마르세유와의 리그 1 경기에서 무투사미는 낭트에서 프로 데뷔 전을 치렀고, 2020년 10월 6일, 그는 포르튀나 시타르트로 임대 이적했다. 2023년 1월 29일, 0-0으로 비긴 클레르몽 푸트와의 경기에서, 그는 낭트와 리그 1에서 100번째 경기를 치렀고, 3일 후, 구단은 그의 업적을 보상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무투사미는 프랑스에서 인도계 과들루프인 아버지와 콩고 민주 공화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2019년 10월 10일 알제리와의 1-1 친선 경기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 = 사생활 = =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콩고 민주 공화국 사람이고, 아버지는 타밀족 태생의 인도계 과들루프 사람이다. = 미즈타니 유타카 = 미즈타니 유타카(, 1952년 7월 14일 ~ )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홋카이도 아시베쓰시에서 태어났다. 대표작으로는 드라마 열중시대 시리즈 (1978년 ~ 1981년)와 파트너 시리즈 (2000년 ~ ) 등이 있다. = = TV 출연 = = 태양에 짖어라 파트너 (드라마) = = 애니메이션 = = 도라에몽 = 장쑤 휴즈홀스 = 장쑤 휴즈홀스는 장쑤성 우시 시를 연고로 하는 중국야구리그(CBL)의 동남화동지구 소속의 프로야구팀이다. 2005년 창단했으며 홈구장은 우시야구훈련기지이다. 일본의 지바 롯데 마린스와 한국의 롯데 자이언츠와 업무 제휴를 맺고 있다. = = 팀명 = = 차이나 호프스타스 (2005년 ~ 2006년) 장쑤 호프스타스 (2007년 ~ 2013년) 장쑤 페가수스 (2014년 ~ 2015년) 장쑤 휴즈홀스 (2016년 ~ 현재) = 틀: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 = = 니우통 소아리스 호드리게스 = 니우통 소아레스 호드리게스(, 1993년 9월 11일 ~ )는 니우치뉴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K리그 등록명은 닐톤이였다. = 미래강연Q = 미래강연Q는 EBS 1TV에서 수요일 밤 12시 30분에 방송된 교양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EBS1 2017년 8월 30일 ~ 2018년 2월 21일 매주 수요일 오전 12:30 (본방송) EBS1 2018년 2월 28일 ~ 2018년 3월 21일 매주 수요일 오후 11:55 (본방송) EBS1 2017년 8월 30일 ~ 2018년 2월 21일 매주 수요일 오후 12:45 (전주재방) EBS1 2018년 2월 28일 ~ 2018년 3월 28일 매주 수요일 오후 1:40 (전주재방) EBS1 2018년 1월 6일 ~ 2018년 1월 13일 매주 토요일 오후 9:05 (신년기획) EBS2 2017년 9월 3일 ~ 현재 매주 일요일 오후 10:00 (본방송) EBS 플러스 2 2017년 9월 2일 ~ 현재 매주 토요일 오전 12:00 (본방송) = = 결방 사유 = = 2017년 10월 4일 : 추석 특선 세계의 명화 블레이드 러너 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 만리동 정영국 가옥 = 만리동 정영국 가옥(萬里洞 鄭榮國 家屋)은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다. 2006년 5월 1일 서울특별시의 민속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1930년대 후반 경성부(京城府)의 인구 급증에 따라 새로이 개발된 주거단지 중 하나인 만리동〔일제강점기 때는 봉래정 4정목(蓬萊町 4丁目)〕지역에 1936년 신축된 상류층 도시형 한옥이다. 이 한옥을 최초로 건립한 정영국(鄭榮國)씨는 흥국생명을 창립하고 동명고무(활표 고무신)와 삼정광업을 운영한 신흥자본가이다. 구(舊) 가옥대장에 의하면 건립 당시의 규모는 지하 1층(4평)·지상 1층(38평)이었고, 구조는 목조와즙(木造瓦葺)이었다. 이후 1949년에 지상 2층 총 19평 규모(1층은 11평, 2층은 8평)의 목조토단즙(木造釷丹葺) 건물을 서쪽에 증축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등을 탄 비탈진 부지에 약 2m 이상 높이의 단을 조성하여 남향으로 건립된 이 한옥은 그리 넓지 않은 부지이기는 하지만 땅을 잘 활용하여 안채·사랑채·행랑채·곁채 등 4동이나 되는 건물을 배치하였다. 한옥 정면에 3간의 ‘ㅡ’자형 행랑채를 놓고 그 앞에 옆으로 돌계단을 시설했다. 대문을 지나면 중문간인데 동쪽으로 반 칸이 큰 사랑채가 있어서 담장을 막아 공간을 구분한다. 말하자면 중문간채가 사랑채에 덧붙여져 있는 형상이다. 중문간 안으로 안마당이 있고 뒤쪽에 ‘ㄱ’자 형태의 안채를 배치했다. 서쪽 담장 밖은 다시 뒷길이어서 뒷문이 시설되고 한국전쟁 직전에 증축된 2층의 곁채가 그 사이에 놓여졌다. 그러나 이 2층 건물은 뒷길 확장공사 때 1/3 규모로 축소되면서 건물의 외관은 완전히 변형되었다. 중문간채와 행랑채 서쪽은 안마당 한 단 아래에 정원 공간 혹은 텃밭이 조성되었고 담장으로 막아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대문으로 공간을 여러 개로 나눈다든가 대문 앞 계단과 대문간, 중문간의 축을 일치시키지 않아서 동선이 전곡(轉曲)되면서 감지되는 공간의 변화는 온전한 전통한옥의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건물 하나하나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채는 전형적인 5간 전후퇴집이다. 동쪽으로 건넌방, 복판에 2간 대청, 동쪽으로 꺾어지면서 안방, 앞쪽으로 부엌이 배열되는 순서이다. 건넌방 앞에는 툇마루가 놓이고 건넌방 서쪽에도 머리퇴가 배치되었는데 상부는 개조되고 아래에는 쪽마루가 설치되어 머릿방임을 알 수 있다. 부엌은 건립 당시에는 재래식 부엌이었으나 1990년대에 입식으로 개조되었는데 지하실로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하부는 전통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는 2간 전후퇴집으로 작은 규모인데 그 옆으로 맞배지붕의 2간 중문간채가 덧붙여진다. 서쪽에는 중문간방이 시설되었고 안마당에서 출입토록 설계되었다. 문간채는 맞걸이 3량의 3간집인데 중앙에 문간이 놓이고 동쪽에는 문간방이 시설되는데 문간으로 출입하기 위한 쪽마루 시설이 예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 밖에 49년에 증축된 안채 서쪽 2층 곁채도 당시의 구조법식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가 된다. 각 건물 모두 일반적으로 잘 짓는 집의 전형을 보여주는 구조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큰 구조적 변형 없이 오늘에 이른다. 이상과 같은 배치와 구조상의 특징 외에 이 한옥은 의장과 조경 면에서도 당시의 매우 특징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우선 문짝의 장식이 당시의 조형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대청 앞의 아자무늬 미서기문, 부엌의 완자무늬문, 안방 샛문, 대문 상부 등 각종 고창에 시설된 마름모꼴 문양은 당시의 조형언어를 잘 시사하고 있다. 문간방 앞의 쪽마루나 부엌 앞, 건너방 머리퇴 등의 쪽마루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특히 안채의 경우는 고창의 마름모 문양, 긴보 5량의 구조미, 뒤퇴의 판문, 안방 장지문의 그림, 대청 상부의 시렁, 건넌방 미닫이창의 아자 문양, 안채 부엌과 사랑채 사이에 끼워 시설한 붙박이 찬장 등을 고려할 때 전통적이면서도 20세기적인 조형미를 함께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대문간의 경우 2간으로 구부리지 않고 단칸으로 처리하되 유리창이 달린 아자 중문을 시설하여 시선을 차단하는 방식은 20세기에 처음 등장하는 방식인데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대문간이나 중문간채에 딱지소로를 붙인다든가 맞걸이3량으로 가공한 모습은 전통미를 살리려고 했던 당시 장인의 고뇌를 엿볼 수 있다. 기둥 분수 등이 가늘게 처리된 것도 당시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사랑채와의 쪽문 시설도 의장적으로 간이하면서 아름답다. 한편 조경적 측면에서 볼 때 집 앞 계단 위를 등나무는 기어오르도록 배치한 것은 20세기 정원사에 기록해 둘 방식이다. 문간채 앞에 조그만 바깥마당을 설정하고 있는 점은 전통미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안마당에는 서쪽으로 몇몇의 관목을 심어 두었는데 완벽히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정원사에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문간채 서쪽으로 한단 아래 머리정원을 별도 배치한 것도 특이한데 상당 부분 원형을 상실했다. 안채 뒤쪽에 조성된 화계(花階)도 분위기가 많이 훼손되었지만 그래도 옛 서민들의 조경 의식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 집은 일제강점기 신흥 자본가의 주생활 의식과 미의식을 살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대가 계속적으로 한 집에서 대를 이어 산 집으로서 민속 생활사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창건 당시의 모습을 별로 개조하지 않고 지금까지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20세기 전반의 전통건축미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그 이전의 전통적 생활사까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옥이다. 당시 일반적 도시형 한옥들이 전통적인 한옥 배치평면을 벗어나 ‘ㄷ’자형 또는 ‘ㅁ’자로 변화하는 데 반해 이 한옥은 공간배치와 건축구조 면에서 전통적 한옥의 조형미를 계승하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고 건축 의장과 조경 면에서도 전통한옥의 발전과 외래요소의 도입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양상을 보여 학술적 가치가 크다. 이와 같이 민속생활사적, 건축사적, 조경사적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큰 이 한옥은 만리동 지역 뿐 아니라 서울의 20세기 전반기 주생활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 참고 자료 = = * 만리동 정영국 가옥 만리동 정영국 가옥 정영국 가옥 정영국 가옥 = 트랙매니아 = 트랙매니아(TrackMania)는 Nadeo가 개발하고 파이어브랜드 게임스가 개발한,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 닌텐도 DS용 레이싱 게임 시리즈이다. 게임 플레이를 위해 차와 트랙을 선택하는 일반적인 트렌드에서 벗어나, 플레이어는 1984년 게임 익사이트바이크, 1985년 게임 레이싱 디스트럭션 세트, 1990년 게임 스턴츠처럼 "빌딩 블록" 프로세스 사용하여 자신만의 트랙을 만들 수 있다. 트랙매니아 게임들은 보통 타임 트라이얼 포맷을 갖추고 있다. = 깟프엉 = 깟프엉(한자: 갈봉, 베트남어: Cát Phượng, 1970년 5월 15일 ~ )은 베트남의 영화 배우, 텔레비전 배우, 연극 배우, 희극인이다. = = 출연 작품 = = = = = 코미디 = = = Anh chồng nhát Đệ nhất thần thấu Tình bạn Rình trộm Đồ thật Quán ăn vui vẻ Chỉ tại cái thiệp Mùa xuân cưới em Oan gia ngõ hẹp Xem mắt nàng dâu Trạng chết, chúa băng hà Món quà kỳ diệu Mẹ mãi trông đợi con Chưa yêu sao hiểu Ngựa người - người ngựa Vụ án thế kỷ Chuyện tình chàng họa sĩ Cuộc thi các loài chim Ngủm vì game online Tình cha Đun sôi nước mắm Chuyện bà tám Nợ duyên Ngôi nhà hạnh phúc Tìm cha cho con Thiện ác vô song Quán lạ Gái Trộm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Yêu thầy Chí Phèo Cánh đồng bất tận Sự lừa dối đáng yêu Phận làm gái = = = 영화 = = = Hải đường trắng Đất phương Nam Võ lâm truyền kỳ Trâu vàng như ý Hiệp sĩ đường phố Sắc đẹp và danh vọng Duyên trần thoát tục Thiên sứ lông bông Chiếc giường chia đôi Lệ phí tình yêu Ai cũng có Tết Túm cổ đại gia Mưa đầu mùa Làm đẹp ăn Tết Bí mật lại bị mất Thám tử miệt vườn = 모듈:Location map/data/USA Rhode Island inset = return { name = 'Rhode Island', top = 42.03, bottom = 41.13, left = -71.90, right = -71.11, image = 'Rhode Island Locator Map with US.PNG', image2 = 'Rhode Island Locator Map.PNG' } = 호반건설 = 호반건설(湖畔建設)은 대한민국 건설업체이며 1989년 7월에 설립했다. 호반건설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토목건축공사업 시공능력평가액이 4조3965억원으로 2019년에 이어 두 번째로 10위에 진입했다. = = 역사 = = 1989년 7월 창업주 김상열 회장이 광주에서 자본금 1억원으로 시작해 34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사세를 키웠다. 현재는 호반산업, 대한전선, 호반써밋, 리솜리조트, 서울신문 등 자산총액 13조원이 넘는 계열사를 둔 재계 순위 33위 그룹사로 발돋움했다. 2005년 주택 브랜드 '호반베르디움'을 선보였다. 줄곧 분양률이 90%가 되지 않으면 다음 사업을 진행하지 않고, 어음 없이 현금으로 결제하는 등 안정적인 경영기조를 유지했다. ‘단 한 장의 어음도 쓰지 않는 기업’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런 경영 기조를 통해 확보한 유동성으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성장을 멈추지 않고 사세를 더욱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일부 경쟁사들이 이런 호반건설의 경영 원칙을 벤치마킹하면서 재계에서 유명세를 탔다. 김상열 회장은 1999년 30억원으로 '꿈을 현실로 장학회'를 설립하고 초대 이사장으로 장학사업, 인재양성, 학술연구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2012년엔 호반장학재단으로 이름을 바꾸며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지난 24년간 호반장학재단이 양성한 장학생은 8700여명으로 154억원에 이르는 장학금을 지원했다. 호반건설은 2009년 봉사단 '호반 사랑나눔이'를 발족하고, 꾸준한 사회공헌 활동을 벌이고 있기도 하다. 호반건설은 2014년 주택 누적 공급 8만 세대, 2016년 10만 세대, 2021년 15만 세대를 달성했다. 2021년 서울신문사를 계열사에 편입했다. 계열사로 편입해 사세를 키운 kbc 광주방송은 같은 해 방송법 규정에 따라 지분을 매각했다. = = 주요 계열사 = = (주)호반산업, 대한전선(주). 호반프라퍼티(주), (주)호반티비엠, 호반호텔앤리조트(리솜리조트), 호반골프계열, 호반서서울, 서울신문, EBN, 대아청과(주), (주)삼성금거래소, 아브뉴프랑 등 (홈페이지 참고) = = 주요 수상 실적 = = 1999년 국가사회발전 기여 대통령 표창 2003년 납세자의 날 대통령 표창 민간 우수시공아파트 표창 2005년 신성장 경영대상 특별상 5회 그린주거문화대상 최우수 프리미엄아파트 대상 2006년 제10회 살기좋은 아파트상 우수상 친환경 경영대상 건설·전문건설 부문 2007년 친환경 경영대상 제품·아파트 부문 대상 2008년 제8회 그린주거문화대상 종합대상(국토해양부 장관상) 2008 아시아건설 주거품질 대상 제42회 납세자의날 철탑산업훈장 수훈 2009년 아시아건설 주거품질 대상 제13회 매경 살기좋은아파트 선발대회(국토해양부 장관상) 2010년 헤럴드경제 그린주거문화대상 종합대상(국토부장관) 아시아경제 브랜드대상 선호도대상 2011년 2011 대한민국 대표아파트 대상(그린주거 부문) 2011 한국 색채대상 2011 매경 살기좋은아파트 대상(국토부장관) 2011 상반기 한경주거문화대상(타운하우스 부문) 2012년 제12회 헤럴드경제 그린주거문화 대상(최우수마케팅) 매경 살기좋은아파트(우수상) 한경주거문화대상(고객만족대상) fn하우징건설 파워브랜드대상(베스트오브베스트 분양단지) 아파트브랜드대상(파워브랜드 부문) 2012 대한민국 주거서비스 대상(그린홈부문 최우수상) 2013년 그린주거문화대상(브랜드 최우수상) 한경주거문화대상(베스트경영) fn하우징 파워브랜드대상(베스트분양단지) 아시아경제 아파트브랜드 대상(친환경부문) 2014년 포춘코리아·잡플래닛 일하기 좋은 한국기업 50 선정 한경주거문화대상(혁신혁명) 매경 살기좋은 아파트(중견 최우수상) 서경하우징페어(도시/주거환경부문 우수상) 수상 2015년 2015 ‘주택건설의 날’ 대통령 표창 납세자의 날 동탑산업훈장 2016년 한경주거문화대상(혁신평면대상) 수상 건설협력증진대상 국토부장관 표창 재해대책 업무 추진 우수기관 표창 매경 살기좋은 아파트(최우수상) 수상 한경주거문화대상(브랜드대상) 수상 2017년 2017 올해의 히트 상품 '호반 베르디움' 선정 2018년 매경 살기좋은 아파트 고층주거·복합부문 우수상 한경 주거문화대상 마케팅대상 머니투데이 대한민국 주거서비스 대상 최우수상 2019년 2019 한경 주거문화대상 고객만족대상 2019 매경 살기좋은 아파트 우수상 제53회 납세자의 날 '국세 1000억원 탑' 2021년 ‘2021 건설협력증진대상’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표창 2022년 2022 건설협력증진대상 국토부장관상 표창 = = 브랜드 = = 호반리젠시빌 : 1998년 ~ 2005년 4월 호반베르디움 : 2005년 5월 ~ 2019년 호반써밋 : 2019년 ~ = = = 단지 현황 = = = 광주광역시 동구 * 광주 그랜드센트럴 : 계림동(2020년 9월) * 월남 호반베르디움 1차 : 월남동(2015년 5월) * 월남 호반베르디움 2차 : 월남동(2016년 5월) 북구 * 첨단2지구 호반베르디움 1단지 : 신용동(2014년 2월) * 첨단2지구 호반베르디움 2단지 : 신용동(2013년 12월) 서구 * 호반써밋 광주 : 광천동(2020년 1월) = 오죽 = 오죽(烏竹, )은 벼과 왕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학명은 Phyllostachys nigra이다. 검정대, 흑죽, 분죽이라고도 한다. = = 특징 = = 중국이 원산지로 높이 약 7m이다. 줄기의 색은 처음에는 녹색이나, 가을 무렵부터 멜라닌 색소가 증가하여 검정으로 변한다. 색의 농담이나 변하는 방식은 입지에 따라 다르다. 양지바른 건조지에서는 선명한 검정을 띤다. = = 이용 = = 줄기가 잘 휘어지므로 낚싯대로 쓰이고, 또 공예품의 소재로 쓰인다. 줄기의 색이 검기 때문에 사람의 눈을 많이 끌어 정원에 심거나 분재로 애용한다. = 분류:아프가니스탄의 업종별 기업 = = 다니엘 스펜서 = 다니엘 스펜서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다니엘 스펜서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다니엘 스펜서 (미국의 배우) = 열수 광상 = 열수 광상은 열수의 작용으로 이뤄진 광상이다. 수증기와 휘발성 성분이 암석중의 틈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온도가 374°C이하로 떨어지면, 수증기는 여러 가지 성분을 포함한 열수로 변한다. 이 열수용액이 틈속을 지나가며 틈을 넣거나, 온도가 더 낮아지면 그 틈 속에 여러 가지 광물을 침전시킨다. 광상의 생성 온도에 따라, 심열수, 중열수, 천열수, 최천열수, 제노서멀 로 구분하며, 주로 금, 은, 납, 아연, 구리, 안티모니등 이 산출된다. = 오닐 원기둥 = 오닐 원기둥(O'Neill cylinder)은 1976년 물리학자 제럴드 키친 오닐이 자기 책에서 제안한 우주 식민지 형태이다. 오닐은 21세기가 되면 달이나 소행성에서 얻은 자원으로 우주 식민지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오닐 원기둥은 한 쌍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원기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기둥의 크기는 직경 8 킬로미터 길이 32 킬로미터이고, 원기둥 끝에서 베어링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있다. 내부 표면에 인공중력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한다. = Wake me up = 〈Wake me up〉(웨이크 미 업)은 쿠라키 마이의 2번째 DVD 싱글이다. 2014년 2월 26일에 노던 뮤직에서 DVD 싱글로 발매되었다. 전작 〈TRY AGAIN〉에서 약 1년만이 되는 신곡이며, DVD 싱글로는 2011년 발매한 〈Strong Heart〉 이래로 2번째이다. 데뷔 15주년을 맞는 쿠라키 마이의 15주년 YEAR 제1탄 발매 작품으로 발표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초회한정반과 통상반의 2형태로 발매. 팬 클럽 회원과 Musing 회원 한정으로 FC & Musing반이 발매되었다. 3형태 모두 자켓 사진이 달라져있다. FC & Musing반에는 특전으로 〈Wake me up〉 Music Clip 메이킹 영상 시청 URL · QR 코드, MAI KURAKI ORIGINAL 휴대전화 대기화면 다운로드 URL · QR 코드가 들어있다. 또, FC & Musing반의 자켓은 아날로그 레코드 LP반 사이즈 사용으로 되어있다. 노래는 2014년 애니메이션 영화 마녀 배달부 키키의 주제가이며, 본작의 뮤직 클립에는 주인공 키키 역의 코시바 후카가 출연하고 있다. = 분류:경희초등학교 동문 = = 메신져: 죽은 자들의 경고 = 메신져 - 죽은 자들의 경고(The Messengers)는 미국에서 제작된 대니 팽, 옥사이드 팽 천 감독의 2007년 공포, 스릴러 영화이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샘 레이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크리스틴 스튜어트 딜란 맥더모트 페네로프 앤 밀러 존 코베트 = = = 조연 = = = 에번 터너 테오도르 터너 윌리엄 B. 데이비스 브렌트 브리스코 더스틴 밀리건 조델 퍼랜드 = = 기타 = = Line PD: 론다 베이커 Line PD: 앤드류 페퍼 공동제작: 루 아코프 공동제작: 켈리 코노프 공동제작: 짐 밀러 공동제작: J.R. 영 미술: 알리샤 케이원 세트: 사라 맥쿠든 의상: 메리 하이드-카 의상: 캐시 맥콤 배역: 베티아 호벳스코브 배역: 낸시 네이어 배역: 켈리 와그너 = 아페람 = = 똠 얌 = 똠 얌 또는 똠 냠은 태국의 맵고 신 국물 음식이다. = = 이름 = = 태국어 "똠 얌은 "맵고 신 국"이라는 뜻이다. "똠(/)"은 "끓이다"를 뜻하며, "얌/냠"은 "섞다"라는 뜻으로, 맵고 신 샐러드를 가리킨다. = = 만드는 방법 = = 똠 얌 국물은 보통 레몬그래스, 카피르라임 잎, 큰고량강, 라임 즙, 어장(남 쁠라/남 빠), 새눈고추 등 여러 가지 향신료와 허브를 넣어 만들며, 마지막에는 고수 잎을 넣어 낸다. = = 종류 = = = = = 국물 = = = *똠 얌 남 사이: 맑은 국물 똠얌이다. *똠 얌 남 콘: 무당연유를 넣은 똠 얌이다. *똠 얌 까티: 코코넛밀크를 넣은 똠 얌이다. = = = 주재료 = = = *똠 얌 까이: 닭고기를 넣어 만든다. *똠 얌 꿍: 새우를 넣어 만든다. 라따나꼬신 왕국 시기(1782~1932년)에 만들어진 음식으로, 여행객들에게나 외국에서 인기가 많으며 "세계 3대 국물 음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똠 얌 쁠라 또는 똠 냠 빠: 생선을 넣어 만든다. 전통적으로 쌀밥과 함께 먹는 맑은 국으로, 관광업이 발달하기 전에는 가장 흔히 먹는 똠 얌이었다. 지역과 환경에 따라 강과 호수 또는 바다 등에서 흔히 잡히는 민물고기나 바닷물고기로 끓이며, 살이 단단해 끓여도 쉽게 으스러지지 않는 생선을 주로 사용한다. *똠 얌 카 무: 족발을 넣어 만든다. *똠 얌 탈레 또는 똠 얌 뽀 택: 새우, 오징어, 조개, 생선 등 여러 가지 해산물을 넣어 만든다. = 앙카라 중앙역 = 앙카라 중앙역는 앙카라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터키에서 가장 바쁜 기차역으로 181개의 열차가 매일 운행된다. 앙카라 중앙역은 이스탄불-앙카라 철도와 터키의 고속철도인 YHT의 종착역이다. 현 역사는 1937년에 아르 데코 스타일로 건축됐다. = = 역사 = = = = = 터키 공화국 시절(1922년 ~ 현재) = = = 2015년 10월 10일 오전 10시 4분(현지시간 EEST)에 앙카라에서 테러가 발생했다. 앙카라 중앙역 앞 광장에서 2개의 폭탄이 폭발해 102명이 사망하고 4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 테러는 터키 공화국 수립 이래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테러였다. = = 참조 = = 철도역 철도역 = 틀:요즘 화제 처음/2021년 5월 18일 = 미국 해군 당국이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커티스 윌버(USS Curtis Wilbur)가 타이완 해협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제법상 항행의 자유(Freedom of navigation)와 관련된 통상적 이동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대변인은 평화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며 반발하였다.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132,818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528명(국내 506, 해외유입 22)이 늘었다. 타이완의 타이베이시, 신베이시가 확진자 증가와 관련하여 오는 5월 28일까지 초, 중, 고교의 폐쇄를 결정하였다. = 비나 말리크 = 비나 말리크(, , 1984년 2월 26일 ~ )는 파키스탄의 배우, 모델, 사회자이다. 2002 니가르상 여우조연상 수상자이다. = 분류:190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 이사벨라 뢰빈 = 이사벨라 뢰빈(, 1963년 2월 3일 ~ )은 스웨덴의 정치인으로, 당적은 녹색당이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대내개발협력부 장관이었으며, 2016년부터 부총리 및 녹색당 공동대변인이다. 작가이자 언론인인 그는 2009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유럽의회 의원직을 지냈으며, 이 시절 어업 분야에 전문적으로 활동했다. 어업 관련 기사들을 주로 써왔으며, 이 덕에 스웨덴 언론대상으로부터 수상을 받았다. = 송파구청장 = 송파구청장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구청장이다. = = 역대 송파구청장 = = 기수 이름 임기 관선1기 김성순(金聖順) 1988년 1월 1일 ~ 1989년 5월 16일 관선2기 김영근(金永根) 1989년 5월 17일 ~ 1991년 7월 24일 관선3기 배병호(裵炳昊) 1991년 7월 25일 ~ 1993년 3월 17일 관선4기 김성순(金聖順) 1993년 3월 18일 ~ 1995년 3월 19일 관선5기 서찬교(徐贊敎) 1995년 3월 20일 ~ 1995년 6월 30일 민선1기 김성순(金聖順)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선2기 김성순(金聖順) 1998년 7월 1일 ~ 2000년 2월 12일16대 총선 출마로 인한 사퇴 민선2기 이유택(李裕澤) 2000년 6월 9일 ~ 2002년 6월 30일 민선3기 이유택(李裕澤)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민선4기 김영순(金榮順)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민선5기 박춘희(朴椿姬)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선6기 박춘희(朴椿姬)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민선7기 박성수(朴星洙)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민선8기 서강석 (徐康錫) 2022년 7월 1일 ~ 현재 = 틀:카메라 정보 = = 분류:헤이제이 천황 = = 분류:파사우의 건축물 = = 여분 차원 = 물리학에서 여분 차원(Extra dimensions)은 시공간에서 관측되는 공간과 시간 차원의 개수(3 + 1)보다 더 많은 차원이 있다는 가설로,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다음이 있다. 거대 여분 차원: 계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8년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사바스 디모풀로스, 기오르기 드발리가 주장하였으며, 표준 모형의 장은 4차원 막에 갇혀 있고, 중력은 플랑크 규모보다 큰 공간 차원으로 전파된다는 이론이다.For a pedagogical introduction, see 접힌 여분 차원(랜들-선드럼 모형 등): 우주가 5차원 반 더시터르 공간이고 중력자를 제외한 기본 입자는 3 + 1차원 막에 갇혀 있다는 이론이다. 보편 여분 차원: 모든 장이 여분 차원으로 전파된다는 이론이다. 다시간 차원: 시간 차원이 2 이상일 가능성은 물리학과 철학에서 논의된 적이 있지만, 인과관계와 모순된다는 한계가 있다. = 틀:충청남도의 공원 = = 서울묘곡초등학교 = 서울묘곡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5년 10월 23일 서울묘곡국민학교 개교(설립인가 7월 10일) 1995년 2월 11일 급식실 신축 1996년 3월 1일 현재 교명으로 개칭 2006년 6월 28일 멀티미디어실 개관 2006년 9월 27일 보육교실 개설, 도서관 리모델링(2개 교실로 확장) 2010년 10월 21일 꿈마루(체육관) 개관 2017년 2월 28일 본관 화장실 리모델링 공사 2018년 10월 24일 학교 증축공사(시청각실 외 12실) 2019년 8월 23일 도서실 리모델링 공사 2019년 8월 26일 통학로 및 주차장 정비 공사 2019년 8월 31일 냉난방기 교체 공사 2019년 9월 2일 지혜마루 리모델링 및 행복학교 공용공간 공사 2019년 10월 23일 wee클래스 설치 2020년 2월 12일 제34회 졸업식(270명) *2021년 3월13일 wee클래스 선생님 교채 = = 학교 상징 = = 우리 학교 꽃 - 철쭉 : 철쭉은 건강한 몸과 마음을 나타낸다. 어디서나 잘 자라는 철쭉은 어려움을 이겨내는 강한 의지를, 예쁜 꽃은 묘곡어린이들이 꿈이 활짝 피어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다. 우리 학교 나무 - 느티나무 : 느티나무는 큰 인재를 상징하며 즐기는 강인한 의지를, 고루 퍼진 가지는 조화된 질서를, 단정한 잎들은 묘곡어린이들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학교 캐릭터 - 묘린, 묘량 : 묘곡어린이들의 준말인 묘린은 묘곡의 여자 어린이를, 묘량은 묘곡의 사내 즉 묘곡 남자어린이를 상징한다. 묘린·묘량은 학교의 교훈인 지혜롭고 성실하며 튼튼하게 자라는 묘곡어린이를 상징하는 캐릭터이다. = 1463년 = = = 연호 = = 명(明) 천순(天順) 7년 일본(日本) 간쇼() 4년 후 레 왕조(後黎朝) 꽝투언(光順) 4년 = = 기년 = = 명(明) 영종 천순제(英宗 天順帝) 복위 7년 조선(朝鮮) 세조(世祖) 9년 후 레 왕조(後黎朝) 성종(聖宗) 4년 = = 사건 = = 1463.11.17 (조선 세조 9년) 홍문관 설치 = = 탄생 = = 2월 24일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철학자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 장척 = 장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장척동 장척리 = 회계군 = 회계군(會稽郡)은 진·한시대에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다. 동쪽으로 황해를 접했다. 이름은 회계산에서 따왔다. 현대 중국어에선 독특하게 후이지가 아닌 "콰이지" 혹은 "구이지"라고 읽는다. = = 진나라 = = 춘추전국시대에는 오나라와 월나라의 땅이었다. 오나라는 월나라에 병탄당했고 다시 월나라는 초나라에 월왕 무강이 죽고 절강까지 병탄당했다. 나머지 지역은 월나라의 잔존 세력들이 흩어져 난립하였다.사마천, 사기41권 세가 제11 월왕구천 기원전 222년(진왕 정 25년), 전해에 초나라를 멸한 진나라의 왕전이 강남을 마저 평정하여 월나라 잔당들의 항복을 받고 회계군을 설치했다.사기6권 본기 제6 진시황 치소는 오(吳)현에 두었다. 이외에도 문헌과 유물에서 오정(烏程, 烏呈), 연릉(延陵), 절강(浙江), 해염(海鹽), 말릉(秣陵), 부춘(富春), 단도(丹徒), 전당(錢唐), 여항(餘杭), 유권(由拳), 산음(山陰), 제기(諸曁), 오상(烏傷), 다말(太末), 구장(句章), 여요(餘姚), 상우(上虞), 강승(江乘), 단양(丹陽), 누(婁), 양선(陽羨), 곡아(曲阿), 은(鄞), 이(黟), 흡(歙) 총 26현이 진나라 당시에 있었음이 보인다. = = 전한 = = 초기에는 회계군을 오군(吳郡)이라고도 불렀다. 기원전 202년(한고제 5년) 유방이 항우를 죽여 서초를 멸하고 그 땅을 초나라로 삼아 한신에게 주면서, 회계군은 사수군·진군·동양군·설군·장군과 함께 초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 유방이 한신을 회음후로 격하하고 초나라를 둘로 나누어, 유고를 형왕에 봉하고 동양군, 장군(鄣郡), 회계군을 봉토로 주었다.한서1권下 본기 제1下 고제 유방 아직 민월과 동우(東甌 : 동구라고도 함)는 멸하기 전이라서 민월의 지역인 야현과 동우의 지역인 회포현은 관할이 아니었다. 유고는 영포의 반란으로 살해되고 유방은 새로 오나라를 만들어 옛 형나라 땅을 관할하게 했다.사기51권 세가 제21 형왕 유고 오왕 유비가 봉국을 거의 독립적으로 다스리던 차에 경제가 제후왕들의 죄를 빌미로 왕국의 지군을 몰수하자 유비 등이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다.한서35권 열전 제5 오왕 비 기원전 154년(경제 3년) 난이 진압된 후 동양군과 장군만 강도역왕의 강도국(江都國)이 되었고 회계군은 한나라의 직할 군이 되었다.한서28권下 지 제8下 지리 광릉국 무제 치세의 민월·동월 정복에서 회계군의 군사력을 동원했으니, 무제의 민월 정벌의 단초가 되는 건원 3년(기원전 138년) 민월의 동우 공격 때 회계군의 군사를 내서 동우를 구원했다. 건원 6년(기원전 135년) 민월이 남월을 공격하고 남월과 한나라의 약조에 의거해 한나라가 남월을 구원하면서 회계군과 예장군의 군사를 동원했다. 민월 정복이 완료된 후 민월 사람들이 산간과 계곡으로 흩어졌다가 다시 나오므로 옛 민월 땅에 야현을 설치하고 회계군에 속하게 했다.심약:송서 권36 지제26 주군2 중 건안태수 양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23,038호, 1,032,604명을 관할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28권上 지리지 제8上 원연·수화 연간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대략 지금의 장쑤성 장강 이남, 저장성, 푸젠성 푸저우시 일대이다. 저장성의 산간 지대와 푸젠성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오현 吳縣 쑤저우시 옛 나라로 주태백의 읍이었다. 구구택(진택, 震澤)이 서쪽에 있다. 남쪽에는 남강(南江)이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곡아현 曲阿縣 전장시 단양 시 옛 운양(雲陽)이다. 오상현 烏傷縣 진화시 이우 시 비릉현 毗陵縣 창저우시 계찰(季札)이 살던 곳이다. 북쪽에 자리한 장강은 동쪽 바다로 향한다. 본래 연릉(延陵)이던 것을 한나라가 개명했다. 여기현 餘暨縣 항저우시 빈장구 서남 소산(蕭山)에서 반수(潘水)가 나와 동쪽 바다로 흘러간다. 양선현 陽羨縣 우시시 이싱 시 제기현 諸暨縣 사오싱시 주지 시 무석현 無錫縣 우시시 춘신군이 소를 잡아 제사를 지낸 역산(歷山)이 있다. 산음현 山陰縣 사오싱시 남쪽의 회계산(會稽山)에 우의 능과 우정(禹井)이 있다. 월왕 구천의 본국이다. 박태후의 아버지 영문후가 묻힌 영문원(靈文園)도 있다. 단도현 丹徒縣 전장시 단도진(丹徒鎭) 서 춘추에서 이르던 주방(朱方)이다. 여요현 餘姚縣 닝보시 위야오 시 누현 婁縣 쑤저우시 쿤산시 합려가 월나라를 방비하고자 남무성(南武城)을 세웠다. 상우현 上虞縣 사오싱시 상위 구 구정(仇亭)이 있다. 가수(柯水)가 동쪽의 바다로 흐른다. 해염현 海鹽縣 상하이시 진산 구,자싱시 남동부 원래 치소는 진산구 전산촌(甸山村)에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179년 자호(柘湖)에 수몰되어 무원향(武原鄕, 現 핑후 시)으로 옮겼다. 염관을 두었다. 섬현 剡縣 사오싱시 성저우시 감림진(甘霖鎭) 북동 치소는 성저우 시에 있었다. 유권현 由拳縣 자싱시 시벽정(柴辟亭)은 옛 취리향(就李鄕, 檇李)으로 오나라와 월나라가 싸운 곳이다. 다말현 大末縣 취저우시 룽유 현 太末(태말)로 쓰기도 한다. 곡수(穀水)가 동북쪽으로 가다가 첸탕강과 합류한다. 오정현 烏程縣 후저우시 우싱구 운소촌(雲巢村) 구양정(歐陽亭)이 있다. 구장현 句章縣 닝보시 하이수구 동 전풍촌(前豐村) 일대 거수(渠水)가 동쪽 바다로 향한다. 여항현 餘杭縣 항저우시 위항구 여항가도(余杭街道) 은현 鄞縣 닝보시 펑화구 백두촌(白杜村) 일대 진정(鎭亭)이 있다. 대합이 많이 나는 길기정(鮚埼亭)도 있다. 천문수(天門水)는 바다로 들어간다. 월천문산(越天門山)이 서있다. 전당현 錢唐縣 항저우시 샤청구 링인산 인근 서부도위 치소 소재지. 무림산(武林山, 지금의 링인산)에서 무림수가 나와 동쪽 바다까지 간다.한서에서는 그 거리를 830리라고 하였으나 오기이다. 무현 鄮縣 닝보시 북동부 부현 富春縣 항저우시 푸양구 야현 冶縣 푸저우시 본디 민월(閩越)의 땅이었다. 회포현 回浦縣 타이저우시 자오장구 장안가도(章安街道) 일대 본디 동월(東越)의 땅이었다. 한무제가 동월을 정복한 이후 남부도위의 치소가 되었다. = = 신나라 = =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신 오 태덕(泰德) 곡아 풍미(風美) 오상 오효(烏孝) 비릉 비전(毗壇) 여기 여연(餘衍) 제기 소로(疏虜) 무석 유석(有錫) 누 누치(婁治) 상우 회계(會稽) 해염 전무(展武) 섬 진충(盡忠) 대말 말치(末治) 여항 진목(進睦) 은 근(謹) 전당 천정(泉亭) 무 해치(海治) 부춘 주세(誅歲) = = 후한 = = 129년(후한 순제 영건 4년), 첸탕강유역과 그 북쪽지방이 오군으로 분리되었다.후한서6권 본기 제6 효순제 유보 영건 4년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오군은 14성 123,090호 481,196명을 거느렸다.속한지22권 군국 제4 양주 회계군 후한말에는 회계태수 왕랑이 지배하고 있었으나, 손책이 그를 격파하면서 그의 땅으로 편입되었다.삼국지 13권 위서 제 13 종요화흠왕랑전 왕랑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산음현 山陰縣 사오싱시 직산(稷山)이 있다.월절서8권 외전기지전(外傳記地傳) 무현 鄮縣 닝보시 북동부 오상현 烏傷縣 진화시 이우시 상산(常山)이 있다.월절서2권 외전기오지전(外傳記吳地傳) 제기현 諸暨縣 사오싱시 주지시 여기현 餘暨縣 항저우시 빈장구 서남 섭악산(涉屋山)이 서있다.사승, 후한서 ; 유소 주석, 사마표 저, 속한지22권 군국 제4 양주 회계군에서 인용 태말현 太末縣 취저우시 룽유현 옛날의 지명은 고멸(姑蔑)이다.유소 주석, 속한지22권 군국 제4 양주 회계군 용구산(龍丘山)이 있다.동양기(東陽記) ; 유소 주석, 속한지22권 군국 제4 양주 회계군에서 인용 상우현 上虞縣 사오싱시 상위구 섬현 剡縣 사오싱시 성저우시 감림진(甘霖鎭) 북동 → 성저우시 196년(후한 헌제 건안 원년) 지금의 성저우시 일대로 치소가 옮겨졌다. 여요현 餘姚縣 닝보시 위야오시 구장현 句章縣 닝보시 하이수구 동 전풍촌(前豐村) 일대 은현 鄞縣 닝보시 펑화구 백두촌(白杜村) 일대 장안현 章安縣 타이저우시 자오장구 장안가도(章安街道) 일대 본래 회포현이었으나, 87년(후한 장제 장화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야현 東冶縣 푸저우시 옛 야현이다. 산음현을 지켰던 왕랑이 손책에 참패하자 동야로 도주했다. 하지만 손책군은 동야까지 추격하여 그를 격파했다. 영녕현 永寧縣 원저우시 루청구 본래 장안현 동구향(東甌鄕)이었으나, 138년(후한 순제 영화 3년)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 = 손오 = = 257년(오 폐제 태평 2년), 회계군 동부도위가 임해군, 260년(오 경제 영안 3년), 남부도위가 건안군, 266년(오 말제 보정 원년), 회계군 서부도위가 동양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지금의 사오싱시, 닝보시 일대로 크게 축소되었다.삼국지48권 오서 제3 삼폐주전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양주 송서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 = 진 = =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서진이 오를 정복하면서 서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서진대 회계군은 10현 3만호를 거느렸다.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양주 회계군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산음현 山陰縣 사오싱시 상우현 上虞縣 사오싱시 상위구 여요현 餘姚縣 닝보시 위야오시 남쪽에 구여산(句餘山)이 솟아있다. 구장현 句章縣 닝보시 하이수구 동 전풍촌(前豐村) 일대 400년(동진 안제 융안 4년), 현의 치소가 닝보시 하이수구 은강진(鄞江鎭) 일대로 옮겨졌다. 은현 鄞縣 닝보시 펑화구 백두촌(白杜村) 일대 무현 鄮縣 닝보시 북동부 시녕현 始寧縣 사오싱시 성저우시 삼계진(三界鎭) 후한 때 상우현의 남부를 분할해 세웠다. 본래 삼계진 일대를 흐르는 강 서쪽에 치소가 있었으나, 317년(진 원제 건무 원년) 치소가 강 동쪽으로 옮겨졌다. 섬현 剡縣 성저우시 영흥현 永興縣 항저우시 빈장구 서남 222년(손권 황무 원년) 여기현(餘暨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양주 회계군 제기현 諸暨縣 사오싱시 주지시 = = 송, 남제 = = 유송 초기 양주에 속했지만, 454년(유송 문제 효건 원년) 동양주가 설치되자 동양주로 편입되었다. 이 동양주는 459년(유송 효무제 대명 3년) 폐지되고, 양주가 남대시어사(南臺侍御史)가 관리하는 왕기(王畿)로 개명되자 왕기에 속했다.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 왕기가 폐지되고 양주가 재설치되었다가 동양주가 재분리되면서 동양주에 속했다. 465년(유송 전폐제 영광 원년) 동양주가 폐지되자 다시 양주로 편입되었다. 유송대 회계군은 10현 52,228호 348,014명을 거느렸다. 수도인 건강까지 수로로 1,355리, 육로로 1,355리 거리였다. 회계군의 속현은 남제시기에도 변하지 않았다.남제서 14권 지 제6 주군지 上 양주 회계군 현명 한자 민정 산음현 山陰縣 현령(令) 영흥현 永興縣 현령(令) 상우현 上虞縣 현령(令) 여요현 餘姚縣 현령(令) 섬현 剡縣 현령(令) 제기현 諸暨縣 현령(令) 시녕현 始寧縣 현령(令) 구장현 句章縣 현령(令) 무현 鄮縣 현령(令) 은현 鄞縣 현령(令) = = 양, 진, 수 = = 524년(양 무제 보통 5년) 3월 동양주가 재설치되자 동양주로 내속되었다.양서 3권 본기 제3 무제기 下 보통 5년 556년(양 경제 태평 원년) 동양주가 폐지되자 다시 양주로 내속되었다.양서 6권 본기 제6 경제기 태평 원년 남진대인 562년(진 문제 천가 3년) 동양주가 재설치되자 동양주에 편입되었다.진서 3권 본기 제3 세조 천가 3년 수나라가 남진을 정복한 이후,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회계군은 폐지되고 그 군에 오주(吳州)가 설치되었다. 오주는 대업 초에 월주(越州)로 개명되었다. 이 월주는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폐지되고 그 자리에 회계군이 재설치되었다. 4현 20,271호를 거느렸다.수서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회계군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회계현 會稽縣 사오싱시 수나라가 남진을 정복한 이후 산음현, 영흥현, 상우현, 시녕현의 4개현이 통폐합되어 만들어졌다. 현내에 직산(稷山), 종산(種山), 회계산(會稽山)이 있었다. 구장현 句章縣 닝보시 하이수구 은강진(鄞江鎭) 수나라가 남진을 정복한 이후 여요현, 무현, 은현의 3개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태백산(太白山), 방산(方山)이 있었다. 섬현 剡縣 성저우시 현내에 동백산(桐栢山)이 있었다. 제기현 諸暨縣 사오싱시 주지시 현내에 예계(泄溪)와 대농호(大農湖)가 있었다. = = 군수·태수 = = = = = 전한 = = = 주매신(? ~ 기원전 122년) 노백(전한 후기) 유교(? ~ 기원전 13년) = = = 후한 = = = 제오륜(? ~ 62년) 왕랑(193년 ~ 197년) = 임피중학교 = 임피중학교(臨陂中學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서수면 서수리에 있는 사립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8년 11월 11일 : 임피중학교 개교 1952년 3월 11일 : 초대 윤재중 교장 부임 2020년 9월 1일 : 제23대 서진용 교장 부임 2021년 2월 5일 : 제71회 11명 졸업(총 졸업생 6,735명) = 부탄 국기 = = 틀:UEFA 유로 2000 참가팀 = = 분류:카자흐스탄의 세단뛰기 선수 = = 조상우 (1640년) = 조상우(趙相愚, 1640년 ~ 17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우의정을 지냈다. 본관은 풍양.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 = 생애 = =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태인현감이 되고 지평, 병조좌랑, 부교리, 이조좌랑, 수찬, 검토관, 교리, 부응교, 시강관을 지내다 기사환국으로 쫓겨났지만 갑술환국으로 복귀해 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대사성, 부제학, 개성유수 등을 거쳐 대사간, 승지, 대사성, 부제학을 거쳐 경기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대사헌, 부제학을 거쳐 형조판서, 예조판서, 우참찬, 좌참찬을 거쳐 대사헌,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이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고 뒤에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 = 가계 = = 고조부 : 조세찬(趙世贊) 고조모 : 광주 이씨, 이은(李誾)의 딸 양고조부 : 조세훈(趙世勛) - 고조부 조세찬의 중형 양고조모 : 정부인 평해 손씨, 손준(孫濬)의 딸 증조부 : 조기(趙磯) 증조모 : 증 정부인 전주 이씨, 이숙(李淑)의 딸 * 조부 : 조희보(趙希輔) * 조모(전실) : 증 정부인 교하 노씨, 노직(盧稙)의 딸 * 조모(조형의 모) : 증 정경부인 강릉 최씨, 최문(崔文)의 딸 ** 아버지 : 조형(趙珩) ** 어머니 : 정경부인 사천 목씨, 목장흠(睦長欽)의 딸 *** 형님 : 조상변(趙相抃) *** 형님 : 조상정(趙相鼎) - 백부 조민(趙珉)의 양자로 감 *** 형님 : 조상기(趙相槩) *** 누이 : 연안 이씨 이두징(李斗徵)에게 시집감 *** 누이 : 청송 심씨 심추(沈樞)에게 시집감 *** 누이 : 덕수 이씨 이선원(李善源)에게 시집감 부인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이장영(李長英)의 딸 장남 : 조태수(趙泰壽) * 손자 : 조준명(趙駿命) * 손자 : 조구명(趙龜命) 차남 : 조해수(趙海壽) * 손자 : 조인명(趙麟命) * 손자 : 조용명(趙龍命) * 손녀 : 여산 송씨 송익휘(宋翼輝)에게 시집감 * 손녀 : 연안 이씨 이언소(李彦熽)에게 시집감 * 손녀 : 청주 한씨 한명룡(韓命龍)에게 시집감 삼남 : 조두수(趙斗壽) * 손자 : 조학명(趙鶴命) * 손자 : 조기명(趙夔命) * 손자 : 조양명(趙揚命) * 손자 : 조신명(趙新命) * 손녀 : 해평 윤씨 윤득응(尹得膺)에게 시집감 장녀 : 한산 이씨 이필흥(李必興)에게 시집감 차녀 : 안동 권씨 권익문(權益文)에게 시집감 삼녀 : 청송 심씨 심경(沈璟)에게 시집감 사녀 : 창녕 조씨 조하장(曺夏章)에게 시집감 오녀 : 전주 이씨 이시형(李蓍亨)에게 시집감 = 분류:가나-아랍에미리트 관계 = = 네오바로크 건축 = 네오바로크 건축(Neo-baroque architecture, 신바로크 건축) 또는 바로크 부흥 건축(Baroque Revival architecture)은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있었던 17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행하였던 바로크 건축 양식의 부흥을 지칭한다. = 분류:캄피나그란지 = = 전략 롤플레잉 게임 = 전략 롤플레잉 게임은 전통적인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과 전략 게임의 주 요소들을 한 데 모아 게임플레이를 구성한 비디오 게임의 한 장르이다. 전략 롤플레잉 게임의 형식은 모양, 속도 및 규칙 구조에서 전통적인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 및 전략 게임과 매우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초기 탁상용 롤플레잉 게임은 주로 전투에 관심이 있었던 체인메일(Chainmail)과 같은 스커미시 워게임(맨투맨 워게임)에서 파생했다. = 분류:만화 평론가 = = 산타 크로체 광장 = 산타 크로체 광장(Piazza Santa Croce)은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피렌체 도심에 위치한 주요 광장 중 하나이다. 시뇨리아 광장과 피렌체 국립 중앙 도서관에 인접해 있으며, 이곳 광장을 내려다 보는 산타 크로체 성당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 = 주요 건축물 = = = = = 산타 크로체 성당 = = = 산타 크로체 성당의 가장 독특한 점들로는 조토와 그의 제단들이 하나하나 프레스코화로 장식한 16개의 예배당과 무덤 및 세노타프이다. 미켈란젤로, 마키아벨리, 엔리코 페르미, 갈릴레오, 우고 포스콜로, 굴리엘모 마르코니, 루이지 케루비니,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비토리오 알피에리, 조아키노 로시니, 로렌초 기베르티, 로렌초 바르톨리니,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조반니 젠틸레 등 여러 저명한 이탈리아인들이 묻힌 곳으로, 이에 따라 '이탈리아 영광의 교회'(Tempio dell'Itale Glorie)로도 알려져 있다. = = = 코키-세리스토리 궁전 = = = 산타 크로체 성당 반대편 쪽에는 로렌초 데 메디치의 전속 건축가인 줄리아노 다 상갈로가 15세기 말에 개축한 코키-세리스토리 궁전이 있다. 이 궁전의 앞쪽에는 19세기에 조성된 분수가 있다. = = = 안텔라 궁전 = = = 산타 크로체 광장 남쪽에는 조반니 다 산 조반니의 지시로 17세기 초에 꾸며진 파사드가 있는 기다란 궁전인 안텔라 궁전이 있다. = = = 조각상 = = = 산타 크로체 성당 앞쪽으로 이른바 '단테 기념비'라고 하는, 엔리코 파치가 제작한 단테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이 있다. = = 행사 = = 매년 6월마다, 광장에는 1년마다 열리는 칼초 피오렌티노 경기를 위해 모래 사장이 준비된다. 이 경기는 꽤나 폭력적인데 복싱과 레슬링 기술이 허용되고 작은 부상도 빈번히 일어난다. = 응암제1동 = = 도화면 = 도화면(道化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의 면이다. = = 하위 행정 구역 = = 법정리 한자명 행정리 비고 가화리 加禾里 지동, 이목동, 원도동, 화옥, 황촌, 대통, 여의천 구암리 九岩里 사동, 하동, 상동, 단장, 내촌 사덕리 四德里 덕흥, 덕촌, 덕방, 수덕, 하도 발포리 鉢浦里 발포 1996년 2월 1일 내발리(內鉢里)에서 발포리로 개칭 덕중리 德中里 덕산, 중산 봉산리 鳳山里 봉산 당오리 堂梧里 당곤, 동오치, 신오치, 오치 신호리 新虎里 동백, 신기, 원산, 동호덕, 지정 봉룡리 鳳龍里 봉동, 봉서, 황산, 청룡, 고당 지죽리 支竹里 지호, 죽도 9개리 37행정리 = = 교육 = = 도화초등학교 (당오리) 죽도분교 (폐교) : 도화면 천마로 1967-4 (지죽리) 지죽분교 (폐교) : 도화면 지호길 27-30 (지죽리) 단장분교 (폐교) : 도화면 땅끝로 860-5 (구암리) 가화초등학교 (폐교) : 도화면 천마로 1967-4 (가화리) 흥양초등학교 (폐교) : 도화면 문안길 220 (신호리) 충무초등학교 (폐교) : 도화면 천마로 2562 (발포리) 고흥도화중학교 (당오리) 고흥도화고등학교 (당오리) = 1988년 하계 올림픽 서독 선수단 = 서독은 1988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까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서독은 금메달 11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여 1988년 하계 올림픽 종합 5위를 차지하였다. 서독 올림픽 = 루카스 바르셀루스 다마세누 = 루카스 바르셀루스 다마세누(, 1998년 7월 19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K리그1의 대구 FC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K리그 등록명은 바셀루스이다. = 분류:스웨덴-우루과이 관계 = = 헝 = 헝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헝현 헝 (TV 시리즈) = 배정아 = 배정아(1975년 9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연극영화과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03년 MBC 실화극장 죄와 벌 ... 다수 단역 2005년 SBS 주말극장 그 여름의 태풍 … 양 비서 역 2006년 KBS2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 다수 단역 2008년 KBS2 주말드라마 엄마가 뿔났다 … 기자 역 2011년 KBS2 월화드라마 동안미녀 … 백화점 직원 역 2013년 KBS2 일일드라마 루비반지 … 팀장 역 2014년 KBS2 주말드라마 참 좋은 시절 ... 미용실 주인 역 2021년 카카오TV NEW 사랑과 전쟁 ... 다수 단역 = = = 영화 = = = 2005년 주먹이 운다 … 아이 엄마 역 2008년 사랑과 전쟁: 열두 번째 남자 … 한수정 역 = = = 연극 = = = 안티고네 … 안티고네 역 텔레비젼 … 아나운서 역 사자와 보석 … 시디 역 하녀들 … 끌레르 역 산불 … 사월이 역 산씻김 … 여자 역 진땀흘리기 … 장희빈 역 이상의 날개 … 변호사 역 엘렉트라 … 왕비 클리템네스트라 역 = 분류:서울장위초등학교 동문 = = 해리 포터 프리퀄 = 해리포터 프리퀄(Harry Potter prequel)은 J. K. 롤링이 쓴 해리 포터의 프리퀄 작품이다. 2008년 6월 11일 온라인으로 출판되었다. 해리 포터가 탄생하기 3년 전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다. = 프럭탄 = 프럭탄은 프럭토스(과당)로 구성된 중합체이다. 사슬의 길이가 짧은 프럭탄은 프럭토올리고당으로 알려져 있다. 프럭탄은 용설란, 아티초크, 아스파라거스, 부추, 마늘, 양파(파 포함), 야콘, 콩감자, 보리, 밀과 같은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을 포함하여 속씨식물의 12% 이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프럭탄은 풀에서도 발견되며, 말과 기타 방목 동물(말과)에 대해 식이적 영향을 미친다. = = 유형 = = 프럭탄은 프럭토스 잔기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환원 말단에 수크로스 단위(즉, 글루코스-프럭토스 이당류)가 있다. 프럭토스 잔기의 연결 위치는 프럭탄의 유형을 결정한다. 프럭탄에는 5가지 유형이 있다. 결합은 일반적으로 2개의 1차 하이드록실기(OH-1 또는 OH-6) 중 하나에서 일어나며 단순 프럭탄에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이 있다. 1-결합: 이눌린에서 프럭토실 잔기는 β-2,1-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6-결합: 레반과 플레인(phlein)에서 프럭토실 잔기는 β-2,6-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프럭탄의 세 번째 유형인 그라미닌 유형은 β-2,1-글리코사이드 결합과 β-2,6-글리코사이드 결합 모두를 포함한다. 다음과 같은 프럭탄의 두 가지 유형은 더 복잡하다. 이들은 분자의 양쪽에서 신장이 일어나는 6G-케스토트라이오스 골격에 형성된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이 식별된다. 신-이눌린 유형("이눌린 신시리즈"라고도 함): β-2,1-글리코사이드 결합이 우세함. 신-레반 유형("레반 신시리즈"라고도 함): β-2,6-글리코사이드 결합이 우세함. = = 기능 = = 프럭탄은 많은 풀 종의 줄기에서 중요한 저장 다당류이며 어느 정도의 동결 내성을 부여한다. 주목할만한 예외는 프럭탄을 합성할 수 없는 벼이다. 보리에서 프럭탄은 액포에서 축적되고 세포 내에서 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하여 광합성을 촉진한다. 프럭탄의 저장은 곡물이 자라는 동안에는 생식 조직으로, 생장 기간 동안에는 영양 조직으로 운반된다. 치커리의 이눌린계 프럭탄은 주로 식품 원료인 프럭탄의 공업적 생산을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 식품 산업에서 프럭탄의 사용은 프리바이오틱 식이 섬유로서 프럭탄의 영양적 및 기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다. = = 다양한 식품에서의 프럭탄의 함량 = = 공급원 함량 (%) 용설란 7~25% 뚱딴지 16.0~20.0% 아티초크 2.0~6.8% 아스파라거스 1.4~4.1% 보리 낟알 (아주 어린 것) 22% 마늘 17.4% 양파 1.1~10.1% 호밀 (겨) 7%Karppinen, Sirpa. Dietary fibre components of rye bran and their fermentation in vitro. Espoo 2003. VTT Publications 500. 96 p. + app. 52 p. 호밀 (낟알) 4.6~6.6% 밀빵 (흰색) 0.7~2.8% 밀가루 1~4% 밀 파스타 1~4% = 분류:중앙콩고주 출신 = = 예산종합버스터미널 = 예산종합버스터미널은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금오대로 35-14(산성리 647번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시외버스터미널이다. 4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2~4층은 웨딩홀이 들어와 있고, 지하에는 찜질방, 1층에는 각종 편의시설들이 들어와 있다. 1988년에 현 위치에 터미널 건물이 준공되었으며, 2013년 4월 8일에 예산군에서 2억 90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리모델링하였다.예산버스터미널 ‘좋아졌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470이다. 또한 충남고속의 본사도 이 곳에 있다. = = 운행 노선 = = = = = 고속버스 = = =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예산 ↔ 서울호남 충남고속 예산 ↔ 서울호남 무정차 5회 06:40, 10:40, 14:00, 17:30, 20:30 = = = 시외버스 = = =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김포공항, 공도, 동서울, 서울남부, 성남, 안성, 인천직통과 신창 경유 두가지가 있다., 인천국제공항 충청권 방면 갈산, 고북, 공암, 공주, 광시, 광천, 구룡, 구항, 규암, 기지시, 나령, 남면, 남포, 내포시, 당진, 대교, 대천해수욕장여름 휴가철에만 한시적으로 운행한다., 대전, 서대전, 덕산, 동성리, 보령, 봉강교, 부여, 비안, 사곡, 삽교천, 서산, 서천, 신례원, 신양, 신창, 신평, 신풍, 아산(온양), 안면도, 안흥, 어송, 운곡, 운산, 웅천, 유구, 유성, 은산, 음암, 응봉, 장항, 종천, 주교, 주산, 주포, 천안, 청소, 청양, 청주, 태안, 한서대, 합덕, 해미, 홍성 호남권 방면 군산 = = = 군내버스 = = = = 오톤 (닥터 후) = 오톤(Auton)은 영국의 SF 드라마 닥터 후에서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외계 생명체이며 닥터의 적이다. 원래 로버트 홈즈가 만들어낸 이 종족은 존 퍼트위가 닥터로 등장하는 첫번째 시리얼인 〈Spearhead from Space〉 (197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오톤은 드라마에서 처음으로 컬러 방송으로 등장한 괴물이기도 하다. 오톤은 본래 외계에서 온 네스틴 컨셔스니스(Nestene Consciousness, 네스틴의 의식)에 의해 움직이는 실물 크기의 플라스틱 인형인 자동기계이다. 네스틴 컨셔스니스는 속이 빈 플라스틱 운석으로 지구에 처음 도착하게 된 육체로부터 분리된 형태 지성이다. 오톤이라는 이름은 네스틴이 잠입하고 그 뒤로 '선두 (Spearhead)'에서 오톤 껍데기를 제조하는 오토 플라스틱이라는 회사에서 따왔다. 오톤들은 손 안에 치명적인 무기를 숨기고 있는데, 목표물을 죽이거나 증발시킬 수 있다. 마네킹을 닮은 전형적인 오톤은 로봇처럼 움직이고 말없이 행동해서 유난히 진짜처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좀더 세련된 오톤도 만들어질 수 있는데, 피부에 플라스틱 광택이 약간 있고 무미건조한 목소리를 갖고 있다는 점만 제외하면 사람처럼 보이고 행동한다. 닥터 후 뉴 시리즈의 시리즈 5에서는 다른 인간들을 속일 수 있는 인간과 완전히 똑같이 생긴 복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 = 더 보기 = = 닥터 후의 로봇 목록 닥터 후의 외계 생명체 목록 = 분류:무공훈장 (대한민국) 수훈자 = = 분류:홋타 사가미노카미가 = = S.P.A.L. = S.P.A.L.은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페라라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원래는 현 구단명을 풀어쓴 '소치에타 폴리스포르티바 아르스 에트 라보르'가 구단명이었으나, 두문자어인 현재의 이름으로 2005년에 바꾸어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1907년에 창단 후, 1928년 이래로 홈 경기를 1946-1977년 간 스팔의 회장이었던 파올로 마차의 이름이 붙여진, 스타디오 파올로 마차에서 치르고 있다. 스팔은 지금까지 1부 리그 23회, 2부 리그 26회, 3부 리그 41회, 4부 리그 7회, 5부 리그 1회 등을 겪었다. 최고 성적은 5위로 시즌을 마친 세리에 A 1959–60이며, 코파 이탈리아 1961–62 때는 결승전에 오르기도 했다. = = 역대 성적 = =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C1 레가 프로 세리에 C2 코파 이탈리아 레가 프로 수페르코파 디 레가 프로 코파 델라미치치아: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미르코 안테누치(2016 ~ 2019, 2023 ~ ) 파비오 마이스트로(2022 ~ ) 파트리크 페다(2021 ~ 2023, 2023 ~ ) = 유녹숭 = 유록숭(庾祿崇, 1035년 ~ 1114년 7월 25일)은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귀수(龜壽)이다. 강직함으로 명성이 있었다. 유학(儒學)으로 벼슬을 시작해 40여 년 동안 관직에 있으면서 공정과 충성을 자처했다. 자신을 굽혀 남에게 복종하지 않았으며 의롭고 올곧게 행동하니 비록 권세가나 친척일지라도 감히 그를 굴복시키지 못했다. 숙종 때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추밀원사(樞密院使)·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를 역임하고, 예종 때 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 비록 고관으로 현달했으나 의복과 집은 벼슬하지 않던 시절과 같았다. 시호는 안정(安貞)이다.『고려사』 권97, 열전10 유록숭(庾祿崇) = = 생애 = = 1099년(숙종 4) 12월 26일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로 임명되었다.『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4년 나라에서 수도를 남경(南京)으로 옮기려고 하자 재상과 관료들이 대부분 찬성하였으나,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서 류신(柳伸)과 함께 수도 이전을 반대하였다.『고려사』 권95, 열전8 제신(諸臣) 류신(柳伸) 1102년(숙종 7) 1월 15일 좌산기상시로서 지서북면병마사(知西北面兵馬使)에 임명되었고,『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7년 1월 같은 해 5월 13일 추밀원사 겸 태자빈객(樞密院使兼太子賓客)이 되었다.『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7년 5월 1103년(숙종 8) 2월 26일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고려사』 세가 권제12 숙종(肅宗) 8년 2월 고려 예종 때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치사(致仕)하여 1114년(예종 9) 6월 22일 죽으니,『고려사』 세가 권제13 예종(睿宗) 9년 6월 나라에서 3일 동안 조회를 정지하였다. 시호는 안정(安貞)이다. = 분류:약물에 의해 죽은 사람 = = 호텔 바빌론 = 호텔 바빌론(Hotel Babylon)는 2006년 1월 19일부터 2009년 8월 14일까지 방영된 영국 BBC 드라마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2007년 5월 6일 ~ 5월 27일 매주 일요일 밤 11:35 ~ 1:15(100분(2편 연속방송)) = = 한국판 성우진(KBS) = = 양석정 - 찰리(맥스 비슬리) 서혜정 - 레이첼(탐진 오스웨이트) 정현경 - 안나(엠마 피어슨) 김준 - 토니(덱스터 플레처) 임주현 - 재키(나탈리 잭슨 멘도자) 김영진 - 지노(마틴 마르게츠) 서문석 - 벤(마이클 오비오라) 송정희 - 타냐(다니라 고비치) = 신사이바시역 = 신사이바시역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미도스지 선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요쓰바시 선 요쓰바시 역 (환승역) 미도스지 선과 요쓰바시 선의 환승은,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의 승강장을 경유해야 한다. 요쓰바시 선과는 역명으로서는 다르게 취급되지만, 중간 개찰 없이 연결되어 동일한 역으로 간주된다. = = 역 구조 = = 두 개 노선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다. 전쟁 전에 개업한 미도스지 선 승강장은, 요도야바시 역과 같이 보르트 구조이다.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승강장의 모리노미야 방면에 인상선이 있어, 오사카 돔에서 야구나 이벤트가 개최되었을 때 임시열차가 운행되며, 유치선에 사용된다. 근처의 요쓰바시 선을 포함하여 세 개 노선은 코 글자의 형태로 연결되고 있다.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승강장의 모리노미야 방면으로부터 미도스지 선 승강장의 우메다 방면, 다이쇼 방면에서 요쓰바시 선 요쓰바시 역의 니시우메다 방면으로 구성된 연결 형태이다.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으로부터 요쓰바시 역까지 거리가 있어, 중간에 구내 및 일반통로 양쪽에 자동길이 설치되어 있다.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은 미도스지 선이나 요쓰바시 선보다 아래를 지나고 있으므로, 다른 노선에 비해 승강장의 위치가 꽤 깊은 곳에 있다. = = = 미도스지 선 = = = 1 미도스지 선 난바·덴노지·나카모즈 방면 2 미도스지 선 우메다·신오사카·에사카·센리추오 방면 = =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 = = 1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교바시·가도마미나미 방면 2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니시나가호리·다이쇼 방면 = = = 역의 디자인 테마 = =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의 당역 디자인 테마는 "석양과 신사이바시"로 설정되어 있다. 미도스지 선 환승통로에는, 나가호리가와에 가설되던 지난 날의 신사이바시를 모티프로 한 장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 = 역 주변 = = 역 주변은 오사카를 대표하는 고급 브랜드 거리가 되고 있다. 다이마루 신사이바시 지점 파르코 도큐 핸즈 아메리카촌 신사이바시 상점가 오사카 미나미후바 우체국 오사카 신사이바시 우체국 CRYSTA 나가호리 지하상점가 ㈜OPA 시즈오카 은행 오사카 지점 = = 역사 = = 1933년 5월 20일: 미도스지 선 우메다 ~ 신사이바시 간 영업 개시. 1935년 10월 30일: 미도스지 선 신사이바시 ~ 난바역간 연장 개통, 중간역이 됨. 1996년 12월 11일: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이 영업 개시, 환승역이 됨과 동시에, 요쓰바시 선의 요쓰바시 역과 연결됨. 1997년 8월 29일: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신사이바시 ~ 다이쇼 역간 연장 개통, 중간역이 됨. 2010년 9월 24일: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스크린도어 사용 개시. 2015년 3월 1일: 미도스지 선 스크린도어 사용 개시. = 가와사키 닌자 ZX-12R = 가와사키 닌자 ZX-12R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했던 닌자 스포츠 바이크 시리즈 모터사이클이다. 4기통 직렬 엔진은 저속에서 를 생산하고 램 공기 흡입구로 인해 고속에서 로 증가하였다. 2006년과 ZX-14 출시까지 가장 강력한 양산형 모터사이클이 되었다. = 뉴스파노라마 = 뉴스파노라마는 다음을 가리킨다. 뉴스파노라마 (KBS-TV) 뉴스파노라마 (KBS 1TV) 8時 뉴스 파노라마 KBS 뉴스 파노라마 BBS 뉴스파노라마 MBN 뉴스파노라마 = 분류:루마니아의 파시즘 정당 = =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 =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白磁 象嵌牡丹葉文 扁甁)은 상감기법으로 모란과 잎 무늬를 새긴, 조선 초기의 백자 편병병의 앞뒤가 둥글납작하고 목이 짧은 병을 편병(扁甁)이라 한다.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791호이다. 몸체의 양면을 편평하게 만들고, 굽다리와 입을 따로 만들어 붙였다. 굽은 타원형이며, 모래받침으로 구웠던 흔적이 남아 있다. 문양은 흑상감으로 양쪽 면 가장자리에 각각 2줄과 3줄의 원을 두르고, 둥근 면 중심에도 2줄씩의 원을 나타냈으며 그 사이에 모란엽문을 배치하였다. 각 모란엽 중심에서 선상의 당초문이 한 두 가지씩 뻗어 나오게 나타낸 부분도 있다. 편병의 벽과 굽다리는 모두 두꺼우며, 태토는 담회색이고, 유색은 담회백색으로 전면에 고르게 칠해졌다. 15세기 중반 광주 일대의 우산리 번천리 등의 상감백자 가마에서 제작한 것으로, 편병에 이처럼 대범하게 문양을 새긴 예는 드물다. 야외용의 술 물을 담은 병으로 쓰였다. = = 참고 자료 = = * 상감모란잎문 편병 = 분류:핀란드의 제13대 의회의원 = = 주와촌 = 주와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주와촌 (이바라키현)(十和村, じゅうわむら): 이바라키현 쓰쿠바군 주와촌. 현 쓰쿠바미라이시, 조소시. 주와촌 (지바현)(中和村, ちゅうわむら): 지바현 가토리군 주와촌. 현 아사히시. = 분류:영암군 출신 가수 = = 저 언덕을 넘어서 = 저 언덕을 넘어서는 다음을 의미한다. 저 언덕을 넘어서 (1968년 영화) 저 언덕을 넘어서 (1960년 영화) = 안나 신베리 바트라 = 안나 신베리 바트라(, 1970년 4월 14일 ~ )는 스웨덴의 정치인으로, 2015년 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온건당 대표 겸 야권대표를 역임했다. 2006년 9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스톡홀름 선거구의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온건당 원내대표직을 맡았다. 2017년 8월 25일에 당대표직에서 사퇴를 선언했으며, 10월 1일에 울프 크리스테르손이 선출되면서 물러났다. 2017년 9월에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 유성의 입맞춤 = 〈유성의 입맞춤〉은 9nine의 10번째 싱글이다. 2012년 6월 20일에 SME Records로부터 발매되었다. = = 개요 = = 〈소녀 트래블러〉이후 5개월만의 싱글이자, 앨범 9nine의 릴리즈후 첫 싱글이다. 〈Cross Over〉로부터 여섯 작품 연속으로 타이틀곡이 타이업됐다. 또한 리뉴얼후 첫 연속드라마 주제가로 TBS 드라마NEO 방과후는 미스터리와 함께 주제가로도 사용되었다. 통상반 외에도, DVD에 〈유성의 입맞춤〉의 뮤직 비디오나 메이킹 영상이 수록된 A버전, 2012년 1월 28일에 시나가와 스테라볼에서 실시된 "원맨 9nine ~줄여서 "원나이" 스페셜!!~"의 영상이 수록된 B, C버전의 세가지 초회생산한정반까지 모두 4가지 형태로 발매되었다. 오리콘 차트에서 데뷔 이후 첫 데일리 5위에 진입했으며, 주간 차트도 10위로 전작에 연이어 TOP10에 올랐다. = = 수록곡 = = 流星のくちづけ #* 작사:市川喜康、작곡:TSUKASA、편곡:ha-j いける、いける! #* 작사:Keiko Takahashi、작곡:Tatsuya Kurauchi、편곡:Kousuke Noma 夏 wanna say love U (tofubeats remix) 流星のくちづけ (Instrumental) いける、いける! (Instrumental) = = 첫회 특전 = = DVD #* 초회생산한정판A #*# 〈流星のくちづけ〉Music Video #*#* 監督・福居英晃‏ #*# 〈流星のくちづけ〉Music Video Making #*# 〈流星のくちづけ〉Dance Shot ver. #* 초회생산한정판B #** 『ワンマン9nine〜略して”ワンナイ”スペシャル!!〜@品川ステラボール/2012.1.28』라이브영상 #**# 〈チクタク☆2NITE〉 #**# 〈Cross Over〉 #* 초회생산한정판C #** 『ワンマン9nine〜略して”ワンナイ”スペシャル!!〜@品川ステラボール/2012.1.28』라이브영상 #**# 〈少女トラベラー〉 #**# 〈夏 wanna say love U〉 #**# 〈SHINING☆STAR〉 트레이드 카드 (전12종・각종공통특전) = = 타이업 = = 곡명 타이업 유성의 입맞춤 TBS 드라마NEO 방과후는 미스터리와 함께 주제가 = 조나타스 벨루수 = 조나타스 엘리아스 벨루수(, 1988년 6월 10일 ~ ), 간단히 조나타스 벨루수라고도 부르는 브라질의 프로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다. 대한민국 프로팀 강원 FC와 서울 이랜드 FC에서 활약한 바 있으며, K리그 등록명은 벨루소였다. 2018년 현재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EC 비토리아에서 활약하고 있다. = = 축구인 경력 = = = = = 클럽 경력 = = = 2011년 브라질 메트로폴리타누에서 데뷔하였으며, 많은 팀을 거쳐 2014년에는 키프로스 에르미스 아라디푸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2015년 2월 대한민국 K리그 챌린지의 강원 FC로 임대 이적하였다. 강원 FC에서 31경기 출전 15골을 기록하며 대활약한 그는 시즌 후 임대복귀로 팀을 떠났다. 2016년 2월 서울 이랜드 FC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서울 이랜드 측은 벨루수가 가지고 있는 시리아 국적을 통해 아시아 쿼터 해당 선수로 영입하였다고 밝혔다. = 1996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 1996년 한국프로야구 신인선수 지명회의는 지역 연고를 바탕으로 한 '1차 지명'과 지역 연고 내 고졸 선수를 지명하는 '고졸우선지명', 지역 연고에 상관없이 지명하는 '2차 지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1차 지명 = = 구단 순서는 A~Z, 가나다 순. 구단 성명 출신학교 포지션 비고 LG 트윈스 이정길 배재고등학교 - 연세대학교 투수 OB 베어스 최기문 충암고등학교 - 원광대학교 포수 롯데 자이언츠 차명주 경남상업고등학교 - 한양대학교 투수 삼성 라이온즈 전병호 대구상업고등학교 - 영남대학교 투수 쌍방울 레이더스 석수철 군산상업고등학교 - 성균관대학교 내야수 한화 이글스 홍원기 공주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내야수 해태 타이거즈 김종국 광주제일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내야수 현대 유니콘스 최원호 인천고등학교 - 단국대학교 투수 ※서울지역 1차 지명 우선권은 LG 트윈스에 있었음. = = 고졸우선지명 = = 구단 순서는 A~Z, 가나다 순. ※이름에 가로줄이 그어진 것은 구단이 해당 선수에 대한 지명권을 포기했음을 의미함. 구단 성명 출신학교 포지션 비고 LG 트윈스 경헌호 선린상업고등학교 투수 한양대학교(96학번) 진학 후 입단 LG 트윈스 최승환 배재고등학교 포수 연세대학교 진학 후 입단 LG 트윈스 이경원 충암고등학교 투수 OB 베어스 김선우 휘문고등학교 투수 고려대학교(96학번) 진학 후 중퇴, 1998년 보스턴 레드삭스 입단 OB 베어스 박명환 충암고등학교 투수 OB 베어스 한명윤 성남고등학교 투수 롯데 자이언츠 이재섭 마산고등학교 투수 롯데 자이언츠 이정훈 동래고등학교 투수 롯데 자이언츠 손균환 마산상업고등학교 내야수 삼성 라이온즈 김헌수 경주고등학교 투수 삼성 라이온즈 김성훈 대구상업고등학교 투수 삼성 라이온즈 권영철 대구상업고등학교 내야수 쌍방울 레이더스 임정현 군산상업고등학교 투수 쌍방울 레이더스 조병찬 전주고등학교 투수 영남대학교(96학번) 진학 후 SK 와이번스 인계로 입단 쌍방울 레이더스 김형주 군산상업고등학교 투수 한화 이글스 이상열 북일고등학교 투수 한화 이글스 조성희 공주고등학교 투수 한화 이글스 심광호 북일고등학교 포수 해태 타이거즈 서재응 광주제일고등학교 투수 1996년 인하대학교(96학번) 진학 후 중퇴, 1998년 뉴욕 메츠 입단 해태 타이거즈 김상훈 광주제일고등학교 포수 고려대학교 진학 해태 타이거즈 김상진 광주진흥고등학교 투수 현대 유니콘스 강해룡 부천고등학교 투수 현대 유니콘스 유인보 부천고등학교 포수 현대 유니콘스 박진만 인천고등학교(유급) 내야수 인천고등학교 시절 1년간 부상으로 인한 유급 ※서울 지역 지명 우선권은 OB 베어스에 있었음. = = 2차 지명 = = 2차 지명 구단 순서는 1995년 리그 순위의 역순이다. 1996년 2차 지명은 선수를 무제한으로 지명할 수 있었던 마지막 회의이기도 했다. ※ 이름에 가로줄이 그어진 것은 구단이 해당 선수에 대한 지명권을 포기했음을 의미함. 지명순위 쌍방울 현대 한화 삼성 해태 LG 롯데 OB 1 최정환(경성대,투수) 허유신(경희대,내야) 오중석(한양대,내야) 박태순(경희대,투수) 장성호(충암고,외야) 손혁(고려대,투수) 김영복(원광대,투수) 강영수(연세대,외야) 1 박주언(인하대,투수) 허유신(경희대,내야) 오중석(한양대,내야) 박태순(경희대,투수) 장성호(충암고,외야) 손혁(고려대,투수) 김영복(원광대,투수) 강영수(연세대,외야) 2 신영균(단국대,투수) 설종진(중앙대,투수) 이영우(건국대,외야) 최재호(계명대,외야) 황성기(휘문고,포수) 오규택(한양대,내야) 정학수(천안북일,내야) 정원석동국대학교 진학 후 입단 (휘문고,내야) 3 김현민(홍익대,내야) 장정석(중앙대,외야) 송지만(인하대,외야) 정현욱(동대문상,투수) 조홍준(광주상고,투수) 박연수(원광대,외야) 김대익(경성대,외야) 박찬협,단국대학교 진학(중앙고,투수) 4 박재현계명대학교 졸업 후 실업야구 팀 현대 피닉스 입단(계명대,내야) 안명성(한양대,내야) 엄종수(홍익대,포수) 정석(동국대,투수) 곽현희(영남대,투수) 이동진(배재고,내야) 배정훈(동아대,포수) 임봉수(경희대,투수) 5 김선섭(고려대,내야) 전근표한양대학교 진학 후 입단 (신일고,투수) 김수연(천안북일,외야) 정경배(홍익대,내야) 한명식(경동고,투수) 박재형(배재고,투수) 박효순(부천고,투수) 이정주(대전고,외야) 6 정원배(인하대,포수) 김형남(단국대,포수) 김대헌(동아대,외야) 박정환 (동대문상,내야) 권오성(고려대-상무,포수) 최철영(경북고,투수) 박상태(휘문고,외야) 박상언(중앙고,외야) 7 임종수(건국대,외야) 김동현(신일고,내야) 정영환(홍익대,투수) 하춘동(경북고,외야) 최길성연세대학교 졸업 후 입단(배재고,외야) 김기진(대구고,투수) 차종현(원주고,투수) 강봉규 고려대학교 진학 후 입단 (경남고,투수) 8 이상혁(상무,내야) 강병식 (신일고,외야) 장재혁(대전고,투수) 임학수(공주고,내야) 윤형진(인천고,투수) 이승현(서울고,내야) 김성천(휘문고,내야) 김규식(부산공고,내야) 9 정수찬(동아대,투수) 박준수경희대학교 입학 후 2000년에 입단. 은퇴 후 박승민으로 개명.(서울고,투수) 김태형(홍익대,투수) 이계성(신일고,외야) 양현석경희대학교 진학 후 입단 (동대문상,외야) 이호균(배명고,외야) 황선우(덕수상고,투수) 표성대(부산고,포수) 10 박봉수(휘문고,외야) 문진기(덕수상고,내야) 조효상(성균관대,외야) 오진호(동산고,투수) 이우종(신일고,투수) 김재학(덕수상고,외야) 임성택(신일고,외야) 이기승(경남고,내야) 11 채종범(마산고,외야) 오재덕(부산공고,투수) 임수민(성균관대,내야) 정성훈(대구고,투수) 홍세완성균관대학교 진학 후 입단 (장충고,내야) 임노병(배명고,내야) 송은석(성남고,포수) 홍재호(계명대,내야) 12 박윤성(춘천고,투수) 최광훈(인천고,투수) 서도원(경북고,투수) 남기헌 (부산고,외야) 지승준(부천고,외야) 우석봉(유신고,투수) 편정희(천안북일,투수) 김용혁(동래고,내야) 13 최용석(서울고,내야) 이재준(광주일고,외야) 이권철(한서고,투수) 안치성(부산고,외야) 유종열(진흥고,외야) 윤현식홍익대학교 진학(신일고,내야) 박종욱(중앙고,내야) 장건희(포철,외야) 14 박경호(인하대,내야) 장교성(인천고,내야) 조준혁(건국대,내야) 이인식(동대문상,내야) 이동욱(진흥고,외야) 이순국(배명고,투수) 심용운(대전고,투수) 윤준호(상무,내야) 15 김민환SK 와이번스 인계, 경희대학교 진학(광주일고,투수) 윤인섭(인천고,외야) 이덕영(세광고,포수) 이용훈(부산공고,투수) 강상진(광주일고,외야) 이주용(공주고,투수) 이보현(대구상고,내야) 16 최정중(군산상고,외야) 김해녕(세광고,내야) 박성진(부산고,투수) 이준(선린상고,외야) 김우신(장충고,외야) 박윤보(서울고,외야) 박창원(광주상고,외야) 17 박원철(건국대,외야) 최호근(경주고,포수) 김신완(경남상고,외야) 최희탁(경동고,투수) 박현철(광주일고,외야) 염규훈(광주상고,내야) 최완창(서울고,내야) 18 김성주(군산상고,포수) 신승국(춘천고,투수) 유진호(고려대,투수) 박근영(경남대,포수) 김정대(계명대,내야) 이정준(한서고,내야) 박종호(마산고,포수) 19 정남수(전주고,내야) 강윤철(춘천고,내야) 이정선(한서고,투수) 김종대(성균관대,포수) 백대산(인천전문,투수) 정정필경기고에서 전학, 지명 후 원광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장충고,투수) 김세종(공주고,외야) 20 신주일중앙대학교 진학(진흥고,내야) 윤상규(경주고,내야) 주영대(경남고,외야) 김동수(경주고,투수) 오주헌지명 후 원광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진흥고,투수) 박정진지명 후 포기, 1996년 실업팀 포스틸 입단후 소멸(성균관대,투수) 오승훈지명 후 동아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대구상고,외야) 21 조성곤(계명대,투수) 조경수(인천고,내야) 하수성(경남고,외야) 최형근(동대문상,투수) 이현석이광환 감독의 아들로, 영남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중앙고,투수) 정진용홍익대학교 졸업 후 2000년 두산 베어스의 2차 7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한서고,투수) 선성균(진흥고,투수) 22 이승준(경동고,내야) 정상국(부천고,내야) 천용호(성균관대,내야) 전석윤지명 후 미입단으로 경희대학교 진학하며 지명권 포기(동대문상,외야) 조상현(부산상고,투수) 23 정경택지명 후 미입단으로 지명권 포기(경성대,포수) 박흥신지명 후 미입단으로 단국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덕수상고,외야) 양세규(대전고,외야) 구민호건국대학교 진학 후 2000년 입단(경남상고,내야) 김종남(원광대,포수) 24 김태균지명 후 미입단으로 지명권 포기(연세대,내야) 김태광(경동고,외야) 장은수지명 후 영남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 2000년 상무 입단 후 소멸(경북고,내야) 25 양선직신고선수 입단(경남대,외야) 최효선(계명대,포수) 서경상지명 후 성균관대학교 진학 후 지명권 포기, 이후 2000년 실업팀 포스틸 입단 후 소멸(동대문상,포수) 26 이봉우(포철공고,내야) 27 조일현(전주고,포수) = 연료전지 자동차 = 연료전지 전기자동차(燃料電池 電氣自動車, ) 또는 단순히 연료전지 자동차(燃料電池自動車, )는 연료전지로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혹은 수소전기차는 수소 자동차의 일종으로 스택이라는 연료전지에서 수소하고 산소가 서로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된다. 연료전지를 사용해 전기모터로 자동차가 구동되며, 수소충전소에서 몇 분 만에 수소를 재충전해 사용한다. 기존의 가솔린 차량하고 큰 차이가 없는데,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만 나온다. 그 외에 에탄올 등 탄소를 함유한 주로 액체상의 분자를 연료전지로 사용하는 자동차도 있는데, 기존의 주유소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내버스에도 FCEV를 이용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와 FCEV를 혼용하지만 울산광역시와 전주시는 대형 시내버스용으로는 FCEV만 이용하며,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는 지선 및 마을버스에만 투입한다. = = 개발 상황 = = = = = FCEV를 개발하는 기업 = = = FCEV의 대표격인 수소전기차는 유럽,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등에서 트럭, 승용차, 버스로 출시되어 보급 및 실증이 진행되고 있으며, 수소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는 기업은 약 20여개로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실증기업까지 포함하면 3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승용차의 경우 한국의 현대자동차, 일본의 도요타/혼다에서 양산 중이며, 선도업체와 후발업체 간의 제휴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전세계에서 한-일 두 나라에서만 생산되고 있다. ※ 독일 BMW는 도요타하고 공동개발, 2020년 출시 예정 ※ 미국 GM은 혼다하고 공동개발 중 ※ 아우디는 현대차와 공동개발 MOU를 맺고 2022년경 출시 예정 현대차그룹·아우디 의기투합...'수소차' 글로벌 저변 확대 나선다 상용차의 경우 유럽,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등에서 보급 및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전기차에 이어 수소자동차 시장에서도 글로벌 주도권을 쥐겠다는 목표(’30년 100만대) 아래 이미 40여 업체에서 56종의 수소버스·트럭 모델을 개발했다. (둥펑 자동차, 포톤, 상하이 자동차, 포산페이츠 등) = = = 국내 FCEV 기술력 수준(해외 브랜드와 비교) = = = 세계적으로 출시된 수소전기차(승용)는 현대차의 투싼ix('13년)와 넥쏘('18년), 토요타 미라이('14년), 혼다 클라리티('16년)가 있으며, 현대차 수소전기차는 ‘세계 10대 엔진’에 ’14년에 최초로 선정 및 ’18년에 두 번째로 선정되었다.세계가 주목한 현대차의 친환경 엔진 넥쏘는 가장 최근에 출시된 만큼 경쟁차 대비 항속거리 및 연료저장기술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분 넥쏘 토요타 미라이 혼다 클래리티 최대 항속거리(Km) 611(미국 인증: 복합 연비) 502(미국 인증: 복합 연비) 579(미국 인증: 복합 연비) 최고속도 177km/h 178km/h 169km/h 가속성능(0→100km/h) 9.2초 9.0초 8.1초 모터 최대토크(N・m) 395 335 300 모터 최대출력 (bhp) 154 151 174 ※ 가속 성능은 현대차(연구소) 자체 평가 결과 ※ 최대 항속거리는 도로상황, 운전방법, 차량적재, 정비상태, 외기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 미국 = = 미국 에너지부는 2013년 5월 13일 민관 합동 FCEV 연구기관인 H₂USA에 개발 파트너로 벤츠, 닛산, 도요타, 현대를 선정했다. = = 더 보기 = = 배터리식 전기자동차(BEV) 현대 투싼ix FCEV 수소 자동차 수소전기차 수소저장 수소저장합금 수소에너지 수소충전소 = 시로가네촌 = 시로가네촌(白銀村)은 나라현 요시노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닉 벤슨 = 닉 벤슨(Nick Benson, 1994년 6월 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썸머랜드에서 데릭 웨스털리 역할로 출연하였다. = = 출연 작품 = = 베스트 플레이어 (2011) 스윙타운 (2008) 썸머랜드 (2004) = 미야하라촌 (사이타마현) = 미야하라촌은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사이타마시 기타구의 일부에 해당한다. = 변영섭 = 변영섭(邊英燮, 1951년 3월 22일 ~ )은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이며, 대한민국의 제7대 문화재청장을 지냈다. 경상북도 봉화군 출신이다. = = 학력 = = 1971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 학사 1973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학 석사 1987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학 박사 = = 경력 = = 1991.03 ~ 2013.03: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1991.03 ~ 2013.03: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1991.03 ~ 2013.03: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1991.03 ~ 2013.03: 한국미술사학회 정회원 1991.03 ~ 2013.03: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정회원 1991.03 ~ 2013.03: 한국고대학회 평생회원 1993.08 ~ 1994.07: 한국미술사학교육연구회장 1994.03 ~ 1996.02: 한국미술사학회 학술이사 1994.09 ~ 2001.10: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1995.05 ~ 2000.04: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2002 ~ 2003: 한국미술사학회장 2003 ~ 2005: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2009.10 ~ 2012.10: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2013.03 ~ 2013.11: 제7대 문화재청장 2016: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2017.03 ~ :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유산융합학부 명예교수 = 분류:2009년 음악 = = 분류:영남중학교 (대구) 동문 = = 이나가키 리이치로 = 이나가끼 리치로 (稲垣 理一郎)(いながき りいちろう, 1976년 6월 20일 출생 )는 일본의 만화가·만화 원작자.만화 제작·판권 관리 회사 미국 스튜디오 대표이다. "아이 쉴드 21" (アイシールド21) "Dr.STONE"및 "트릴리온 게임" 원작자이며, 도쿄도 출신이다. 여동생이 있다. 아내는 무대 여배우·성우인 이츠모토 오리에이다. = = 약력 = = = = = 학생 = = = 초등학생, 중학생 때는 개인용 컴퓨터로 게임을 만드는 것이 취미였다. 중학생 때 『만화도』를 읽고 만화업계에 장래에 들어갈 것을 결심한다.。高교생 때, 제3회 만화 고시엔(1994년)에 출장한다. = = = 취직 = = = 만화 및 영화 제작사에 재직하며 작화도우미도 하고 있으며, 코믹스와 영화의 스탭 롤에 이나가키의 이름('이나가키 리이치로' 명의인지는 불명)이 실리기도 했다.[ 만화가 시절에 상을 받거나 '빅 코믹 스피릿'(소학관)으로 만화를 그렸다. = = = 주간 소년 점프 이적 = = = 2001년 주간 소년 점프(집영사) 주최 상 스토리킹 7회 네임 부문에 독실한 아이쉴드 21을 응모해 사상 첫(결과적으로 유일) 대상을 수상한다. 단편 작화 무라타 유스케에 의해 만화화되어 게재되었다. 이후 아이쉴드21은 주간 소년점프 주간 연재가 결정됐다.아이쉴드21을 연재할 때 편집부가 직접 그림도 그리고 싶냐고 묻자 저는 소년만화 그림을 잘 못 그려요.네임에 집중하고 그림은 잘 그리는 사람에게. 그 편이 무조건 좋은 것을 할 수 있다!"고 답하며 만화 원작가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에 따라 무라타 유스케가 독서와 마찬가지로 작화를 담당한다. 2006년, 제71회 테즈카상 심사원을 토리야마 아키라, 오다 에이치로, 테즈카 프로덕션, 당시 『주간 소년 점프』편집부 편집장인 이바라키 마사히코와 함께 맡는다. = = 인물 = = = = = 만화 관계 = = = 과거 청년지 빅 코믹 스피릿의 만화가였던 것에서 원작자이면서 그림도 어느 정도 그릴 수 있다.그래서 '아이쉴드 21'의 이름에는 인물의 얼굴과 표정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週刊少年ジャンプ』2008年44号「マンガ脳の鍛えかた 稲垣理一郎編」 사인을 부탁 받았을 때는, 이나카키 나름의 「아이 쉴드 21」캐릭터도 곁들인다.稲垣理一郎公式HP2008年1月28日「マンガ原作者のサイン」 빅 코믹 스피릿 시대의 편집과는 주간 소년 점프 이적 후에도 교류가 있다.그 밖에도 몇몇 편집부와의 관계를 가진다.과거에 신세를 진 사람에게는 재미있는 만화를 그려서 보답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자신이 제작사에서 작화를 했던 경험 때문에 '스태프'에게, '보조'라는 뜻의 '어시스턴트'라는 말에는 난색을 표하고 배경 등을 그리는 것도 훌륭한 창작 활동이라는 생각에서 영화와 마찬가지로 '미술스태프' 등으로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스탭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으며, 이나가키의 만화 '아이 쉴드 21'에서는 자신이 원작가이기 때문에 스탭은 사용하지 않지만, 무라타의 작화에서는 사용하기 때문에 스탭의 보람으로도 이어진다는 생각에서 '아이 쉴드 21'의 단행본에서는 반드시 스탭 롤을 붙이고 있다. 제71회 테즈카상에서는 다른 심사원과 함께 스케노 요시아키의 재능을 발견하고 대상을 냈다. 가장 존경하는 만화가는 후지코 후지오 A와 후지코 F 후지오의 양 후지코 후지오이다. 이나가키가 만화업계로의 진로를 잡는 계기가 된 '만화도'를 그린 두 사람을 만나는 것이 숙원이며, 심사원을 맡고 있어 초대받은 테즈카상 파티에 와 있던 후지코 후지오 A에게 인사를 해 소원을 이루었다. 영화·만화는 왕도가 있는 오락으로 여기고 있어 소년만화업계에 '소년 메인으로 웃긴' 왕도 소년만화 히트작이 계속 나오지 않는다'고 걱정하고 있다. 2008년 고단샤가 소년용 만화 잡지 '월간 소년 라이벌'을 창간했을 때는 출판 불황을 겪으면서도 소년을 위한 새로운 만화 잡지를 창간하는 자세로 '주간 소년 점프'의 경쟁 잡지이면서 응원을 보내고 있다.稲垣理一郎公式HP2008年1月24日「少年ライバル」 = = = 취미 등 = = = 게임은 이나가키의 취미중 하나이다.초중등 컴퓨터 게임을 만드는 취미는 '아이쉴드21'을 연재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카드게임 '꼭두각시' 프로그램을 핫소프로세서리로 만들어 인터넷 게임으로 만들어 친구들과 놀고 있다.시간이 없으면서 Wii 발매일에 완구점에 1시간 전에 줄을 서서 사고, Wii의 캐리커처 채널에서 '아이쉴드 21' 캐릭터의 캐리커처 그림을 만들어 Mii 콘테스트 채널에서 공개한다. 그 밖에도 닌텐도 DS용 소프트 '퀴즈 매직 아카데미 DS'를 구입하여 인터넷으로 전국 대전하고 있다. 현재는 드래곤 퀘스트 X를 플레이하고 있으며, 2013년 8월 3일에 싱글벙글 생방송으로 전달된 「드래곤 퀘스트 X TV~1주년 고마워 스페셜!~」에서는 응원 메시지를 기고했다. "아이쉴드 21"의 연재를 안고 31세에 보통 자동차 면허를 땄다. = = 미국 스튜디오 = = 아이쉴드21 제작을 위해 만화 원작 제작 판권관리회사 미국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있다.개인보다 법인 쪽이 세금 혜택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수입이 더 커진 만화가들은 만화 제작 및 판권 관리 회사를 설립할 수도 있다.特にジャンプ系作家には顕著である이나가키의 경우도 만화 원작이기 때문에 어시스턴트는 없지만 법인화돼 있다. "미국 스튜디오"의 이름에는 미식축구의 일본 최고전 라이스볼, 미식축구를 소재로 한 만화이기 때문에 미국의 약칭 '미국', 그리고 가장 크게는 이나가키 리이치로의 벼 등의 의미가 담겨 있다. 아이쉴드21의 작화 무라타 유스케 역시 만화제작 판권관리회사 빌리지 스튜디오를 설립했다.이나가키의 「미 스튜디오」 및 무라타의 「빌리지 스튜디오」의 회사명은, 애니메이션이나 게임등의 저작권 표시로 볼 수 있다. = = 수상 경력 = = 2001년 - 『주간 소년 점프』51호에서 제7회 스토리킹 네임 부문 킹 수상 56p (스토리킹 사상 최초 킹) *2019년 - 제64회 쇼가쿠칸 만화상 소년을 위한 부문(Dr.STONE) = = 작품 목록 = = 몇 번이라도 6월 13일 (2001년, 『빅 코믹 스피릿』증간 새스님 10월 1일 Vol.2에 게재) 스퀘어 프리즈 (2001년, 『빅 코믹 스피릿』51호에 게재) LOVE LOVE 산타 (2002년, 『빅 코믹 스피릿』 증간 新 22월 1일 Vol.4에 게재) 아이쉴드21 (독절) (2002년, 『주간소년점프』 14호, 2002년 『주간소년점프』 15호에 게재)작화 : 무라타 유스케 아이 쉴드 21 (2002년, 『주간 소년 점프』34호-2009년 29호) 작화 : 무라타 유스케 KIBA & KIBA (2010년, 『주간 소년 점프』30호) 작화: 펑 스크루 걱정 괴도 NOFACE (2011년, 『주간 영 점프』1호) 작화: 마쓰이 카츠노리 켄타우리 동물원 (2014년, 『점프 개』2월호·3월호) 작화: 마츠이 카츠노리 주먹다짐 (2015년, 『빅 코믹 스페셜』17호·18호) 작화 : 이케가미 료이치 Dr.STONE (2017년, 『주간 소년 점프』17호-2022년 14호) 작화: Boichi 트릴리온 게임 (『빅 코믹 스페셜』2021년 1호-연재중) 작화 : 이케가미 료이치 = = 출연 매체 = = 2007년 7월 15일 : 아사히 신문 《만화의 힘》 - 인터뷰 2017년 7월 29일 · 8월 5일 : 《샌드위치맨의 주간 라디오 점프》 (TBS 라디오) - 게스트 출연 2018년 8월 27일 : 《만도 코바야시》 (CS 후지 TV ONE) - 게스트 출연 = 리런리 = 리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중화민국의 리이다. 타이중시 다리구 리런리 윈린현 후웨이진 리런리 = 탈진실 정치 = 탈진실 정치 또는 탈실재 정치는 사실이 무관하다고 간주되는 정치 문화이다. 이는 진실과 거짓, 정직과 거짓의 구별이 공적인 삶의 초점이 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며, 대중 평론가들과 학계 연구자들은 모두 역사의 특정 지점에서 정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것은 특히 새로운 통신 및 미디어 기술의 도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언론 매체의 용어이자 사전적 정의로 대중화된 탈진실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잘못된 정치적 주장의 풍부함과 영향력에 대한 짧은 꼬리표에서 학문적 연구에 의해 경험적으로 연구되고 이론화된 개념으로 발전했다. 옥스퍼드 사전은 2016년 올해의 국제어를 "탈진실"이라고 선언하면서 2015년에 비해 20배 증가한 사용량을 언급했으며, 일반적으로 "탈진실 정치"라는 명사와 연관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탈진실 정치는 주로 특정 미디어 맥락에서의 공적 진실 진술(주요 방송망, 팟캐스트, 유튜브 영상, 소셜 미디어 등에 대한 해설)을 통해 알려지기 때문에 특히 의도적인 루머, 거짓말, 음모론, 가짜뉴스 등 특정 형태의 진실 진술을 가진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상으로 연구된다. McComiskey(2017, p. 6)에 따르면, "탈진실은 언어가 사실, 진실, 현실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결여한 상태를 의미한다."(McComiskey, 2017, p. 6) "탈진실 소통의 풍경에서, 사람들(특히 정치인들)은 진술의 진실 가치나 사실성과 관련 없이 주어진 상황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원하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말한다."(McComiskey, 2017, p. 6). 미디어와 정치의 맥락에서, 그것은 종종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고 정치적 의제를 진전시키기 위한 정보의 조작 또는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포함한다. 탈진실 정치의 역사적 본질은 선전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저널리즘 연구 분야와 관련하여 또한 논의되어 왔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 탈진실은 종종 존 듀이의 대안적 관점뿐만 아니라, 흑색선전, 회색선전 및 월터 리프먼의 백색선전 이론과 관련이 있다(Baron & Davis, 2016). 선전은 "특정 신념과 기대를 전파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무제한 사용"으로 정의된다(Baran & Davis, 2016, p. 31). 2018년, 정치 평론가들과 학술 연구자들은 호주, 브라질, 인도, 가나, 러시아, 영국,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탈진실 정치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했다. 가나에서 코커와 아프리예는 특히 가나의 주요 정당인 신애국당(NPP)과 국민민주회의(NDC)와 연계된 인쇄 신문의 출판물을 중심으로 가나 맥락에서 탈진실 정치의 유행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 저자들은 가나를 포함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선거 캠페인과 정치 담론의 구조에 탈진실 관행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들의 연구는 이 두 주요 정당과 연계된 가나 정치인들이 사용하는 탈진실 전략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는 각각의 정치적 제휴 신문인 < The Daily Statesman>과 에 나타난 것이다. 코커와 아프리예는 이러한 맥락에서 카이로스, 허위 정보/오보, 전략적 허위의 의도적인 전달 등 세 가지 별개의 전략을 확인했다. 이러한 전략은 적극적으로 정치적 서술과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용어의 역사 = = 탈진실 정치라는 용어는 "탈진실 정치 환경", "탈진실 세계", "탈진실 시대", "탈진실 사회"와 같은 "탈진실"의 다른 형용사적 용법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옥스포드 사전에 따르면, 세르비아계 미국인 극작가 스티브 테시크가 1992년 의 한 에세이에서 탈진실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을 수 있다. 테시크는 워터게이트의 부끄러운 진실(1972-1974)에 이어 이란-콘트라 사건(1985-1987)과 페르시아만 전쟁(1990-1991)에 대한 더 많은 보도를 통해 "우리는 자유민으로서 자유롭게 어떤 진실 이후의 세계에서 살고 싶다고 결정했다"고 썼다. 그러나, 하신(2018)이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용어는 1990년대에 학술적으로 유포되었다. 미디어 연구 학자인 존 하틀리는 1992년 저서 "사진의 정치학"에서 "탈진실 사회의 저널리즘"이라는 장 제목으로 "탈진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2004년 랄프 키스는 자신의 책에서 "탈진실 시대"라는 용어를 제목으로 사용했다. 그는 거기서 현 미디어 중심의 세계에서 속임수가 더욱 널리 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키스에 따르면, 거짓말은 더 이상 변명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취급되지 않고 특정한 상황에서 용인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 시작했고, 이것이 탈진실 시대의 시작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해 미국의 저널리스트 에릭 알터먼은 "탈진실 정치 환경"에 대해 언급했고, 2001년 9.11 이후 부시 행정부가 발표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들을 분석하면서 "탈진실 대통령직"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국의 학술지 는 2003년 "탈진실 시대를 이끈 것은 이라크 전쟁"이며, 미국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Bayoumi는 스페인-미국 전쟁이나 통킹만 사건과 같은 시대에 비해 차이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2002-2003년부터 특별기획실의 구성과 신보들의 숭고한 거짓말 이념의 지지를 통해 이전 시기와 가장 큰 차이가 존재하며 "거짓말의 장치가 제도화되었다". 콜린 크라우치는 2004년 저서 포스트 민주주의에서 포스트 민주주의라는 용어를 "선거가 분명히 존재하고 정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정치의 모델이라는 의미로 사용했지만, "공적 선거 토론은 철저하게 통제된 구경거리이며, 설득 기술에 전문가들로 구성된 경쟁 팀들에 의해 관리되고, 그 팀들에 의해 선택된 소수의 문제들을 고려한다." 크라우치는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산업 모델"을 직접적으로 몇 년 후 다른 사람들이 포스트 진실 정치와 연관시킨 신뢰의 위기와 부정직한 비난에 기인한다고 본다. 보다 최근에는 학자들이 크라우치를 따라 불신과 잘못된 믿음에 대한 전문적인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입증하고 있으며, 여기서 감정의 전략적 사용이 진실 진술에 대한 신뢰를 얻는 데 핵심이 되고 있다. "탈진실 정치"라는 용어는 원래 블로거 데이비드 로버츠가 2010년 4월 1일 Grist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만든 것일 수 있다. 로버츠는 "정치(여론 및 언론 서사)가 정책(입법의 내용)과 거의 완전히 단절된 정치 문화"라고 정의했다. 탈진실은 철학자 조셉 히스가 2014년 온타리오주 선거를 설명할 때 사용했다. 이 용어는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2016년 영국의 유럽 연합 가입을 위한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위한 선거운동 기간 동안 널리 퍼지게 되었다. = = 개념 = = 정보 장애는 탈진실 정치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부실하거나 허위의 정보를 아우르는 포괄적 용어로 제시되어 왔다. = = = 탈진실 = = = 학자들과 대중 평론가들은 탈진실이 새롭게 생성되지만 어떤 역사적 시기에도 거짓말과 같은 현상에 적용될 수 있는 레이블인지, 아니면 경험적으로 더 최근에 관찰 가능한 원인(특히 새로운 디지털 통신 기술에 의해 가능해진 새로운 사회 정치적 관계)과 함께 역사적으로 특정한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며, 정치적 거짓말이라는 오래된 현상으로만 단순화된다. 학자들과 대중 평론가들은 또한 옥스포드 사전의 원래 정의에서 감정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탈진실 이론에서 감정이 강조되어야 하는 정도에 대해 의견을 달리한다. 2016년 옥스퍼드 사전이 등장하기 전에는 '탈진실'이라는 용어가 사전적으로 등장하지 않았지만, 옥스퍼드 사전은 브렉시트 국민투표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의 결과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 암묵적으로 정치를 언급하고 있었다. 게다가, 원래 옥스포드 사전의 등재(심지어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사전 등재보다 더 많은 보도 자료)는 그들의 선택을 정당화하며, 그들은 그것이 종종 "탈진실 정치"라는 명사 형태로 사용된다고 말한다. 따라서, 탈진실은 종종 탈진실 정치와 혼용된다. 탈진실 정치는 더 넓은 용어인 탈진실의 부분집합으로, 정치적 사건에 대한 최근의 초점보다 더 앞서 사용된다. 옥스포드 사전은 2016년 올해의 단어로 탈진실을 영향력 있게 명명했지만, 개념으로서의 탈진실에 대한 현재의 학문적 발전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호소가 "감정과 개인적 믿음에 대한 호소"만큼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그들의 원래의 강조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 탈진실 커뮤니케이션은 영국의 브렉시트 논쟁이나 미국의 트럼프 캠페인과 같은 정치 캠페인에서 주요 도구로 사용되어 정치의 측면으로서 그것에 대한 학문적 및 저널리즘적 관심을 강하게 낳았다."the idea of post-truth is not just that truth is being challenged, but that it is being challenged as a mechanism for asserting political dominance." McIntyre, Lee. Post-Truth (The MIT Press Essential Knowledge series) (p. 10). MIT Press. Kindle Edition. 자유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 생활에서 이치에 맞고 문제가 되는 개념으로서 "탈진실 정치"의 존재는 때때로 비평가들에 의해 부정된다.'The “other side” of the post-truth debate does not consist of people who defend it—or think that post-truth is a good thing—but those who deny that a problem even exists.' McIntyre, Lee. Post-Truth (The MIT Press Essential Knowledge series) (p. 10). MIT Press. Kindle Edition. 이 개념의 일부 사용은 더 일반적인데, 경험적으로 널리 문서화된 불신 또는 홍보 자본주의의 맥락,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통제하기 어려운 소셜 미디어의 아마추어 대중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정치에 대한 거짓말과 불신의 존재, 그리고 저널리즘의 편향(그리고 당시의 사람들은 불신적이었다거나 정치적 거짓말이 일반적이었다고 생각하는 해설자들의 의견)을 가리킨다. 탈진실의 개념을 정직하지 않은 정치적 커뮤니케이션과 그것의 다양한 스타일로 줄이면서, 일부 학자들은 오늘날 사람이 탈진실 정치라고 파악하는 것은 정말로 이전 시기의 정치로 돌아온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버드 대학의 제니퍼 호치차일드 행정학 교수는 탈진실의 증가를 미국에서 18세기와 19세기의 정치 및 미디어 관행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묘사하고, 그 후에 언론이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수사가 축소되는 20세기로 되돌아간 것으로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점은 다른 시기에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도 충돌한다. 예를 들어, 1957년 과학자 캐슬린 론스데일은 영국의 맥락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정치에서 진실함은 이제 조롱거리가 되었다. ... 생각하는 사람들이 뒤섞인 회사에서 라디오를 듣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냉소가 얼마나 깊은지 안다"고 말했다.Kathleen Lonsdale, Is Peace Possible? by Penguin Books, 1957, p 11 비슷하게, 뉴 사이언티스트는 1600년대부터 시작된 인쇄술과 문해력의 성장과 함께 일어난 팜플렛 전쟁을 탈진실 정치의 초기 형태로 특징지었다. 비방 및 독설적인 팜플렛은 값싸게 인쇄되어 널리 배포되었고, 그들이 조장한 반대 의견은 전쟁과 영국 내전(1642–1652), (훨씬 나중에) 미국 혁명 (1765–1791)과 같은 혁명을 일으키는데 기여했다. = = = = 동인들 = = = =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탈진실의 정의, 기원, 원인을 조금 다르게 보는 경향이 있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역사적 혁명을 강조하며, 이는 사회적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우리의 사회적(사회적 인식론) 앎의 방식, 권위, 제도에 대한 신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탈진실을 주로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혼란, 방향감각 상실, 불신의 문제로 본다. 철학자들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인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철학적, 문화적 운동 자체가 사회에 영향을 미쳐, 느낌과 믿음이 정치에 대한 인식론적 위기를 초래하는 상황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과학 기술 연구 분야의 학자들은 지식 사회의 진화의 일환으로, 공적인 영역과 정치적인 영역에서 과학적 진실 말하기의오랜 역할로 전환하면서 탈진실을 연구해왔다. 원래 옥스포드 사전의 정의에 의해 언급된 탈진실(정치)을 둘러싼 "상황들"은 경험적으로 문서화된 수많은 변화들의 수렴에 의해 정의되는 역사적인 시기를 나타내기 위해 확장되었다. 인터넷의 출현과 관련된 사회적 변화 이전에는 덜 주목받았던 정치적 삶의 오랜 부분이라고 그것을 묘사했던 초기의 논평가들과는 대조적으로, 몇몇 학자들은 동시대에 있고 그 개념의 핵심인 많은 경험적 변화들을 지적한다. 이러한 학자들에게, 탈진실은 몇몇 발전들의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수렴을 지적함으로써 공적인 삶에서의 전통적인 경쟁과 사실의 위조와 다르다: 부분적으로 통신 제작, 개인 웹사이트, 비디오, 마이크로 블로깅 및 채팅 그룹의 접근 가능한 기술로 인해 경쟁적인 진실 주장이 풍부하다 진실 주장을 판단하기 위한 공유된 권한의 부족 (특히 이슈와 공공 진실 주장의 문지기로서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소멸과 함께) 알고리즘에 의해 촉진되는 파편화된 공공 공간으로, 진실 주장은 때때로 에코 챔버 및 필터 버블의 잘못된 지식 효과와 관련되어 더 많은 대중이 참석하여 이의를 제기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홍보, 마케팅, 광고,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영향력이 있거나 설득력이 있는 산업으로서, 특히 정보나 교육이 아닌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 홍보, 자체 브랜드인 자체 브랜드, 자체 브랜드, 사용자 생성 콘텐츠, 사용자 생성 콘텐츠,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문화적 배경이다 경쟁과 혼란에 실질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감정과 인지적 편향에 의존한다 탈진실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이 기여하고 영향을 받는 광범위한 사회적 불신의 맥락 가속화, 주의 분산 및 "뜨거운 인식"의 문화에 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그리고 아마도, 얼마나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 윤리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2015년 언론 및 정치학자 제이슨 하신은 포스트 진실 정치의 많은 측면을 포괄하는 "포스트 진실의 정권"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일련의 역사적 발전이 포스트 진실 사회와 그 정치의 조건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소문과 거짓의 전략적 사용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타겟팅과 같은 기술을 통해 세분화된 인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을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지 과학에 의해 알려지는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주로 서로의 스쿱과 그들의 보고서를 반복해온 현대적이고 더 중앙집중화된 대중 뉴스 미디어 게이트키퍼의 단편화 정보 과부하 및 가속화, 사용자 생성 콘텐츠 및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기 위한 사회 전반의 공통 신뢰할 수 있는 권한의 감소, 정확하고 부정확한 주의 경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 및 검색 엔진 순위에 나타나는 것을 관리하는 알고리즘 표절, 거짓말, 선전 및 뉴스 가치 변화의 스캔들로 얼룩진 뉴스 미디어 이러한 발전은 경제 위기를 배경으로 발생했으며, 타블로이드화Frank Esser `Tabloidization' of News. A Comparative Analysis of Anglo-American and German Press Journalism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14, Issue 3, 1999 1 September 1999 및 인포테인먼트로 알려진 보다 전통적인 타블로이드 기사와 보도 스타일에 대한 경향을 축소하고 선호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탈진실은 사회 가속화를 배경으로 인지(온라인에서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사회 생활의 혁명을 제외하고는 이해될 수 없다. 엔터테인먼트 측면에서 Corner and Pels(2003) 및 Harsin(2018, 2021)과 같은 학자들은 시민의 정치에 대한 지향성은 리얼리티 TV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형식과 관련하여 수용자로서 먼저 형성된 성향이며, 이는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에 전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상들 중 일부는 (더욱 타블로이드 신문과 같은) 과거로의 회귀를 암시할지도 모르지만, 수렴의 효과는 의도적인 왜곡과 투쟁에서 이전의 형태의 저널리즘을 능가하는 사회 정치적 현상이다. 사실 확인과 소문을 마구 퍼뜨리는 사이트들은 넘쳐나지만, 그들은 파편화된 청중 집단과 각각의 신뢰/불신을 재결합시킬 수 없다. 하신은 그것을 단순한 탈진실 정치 대신 "탈진실의 정권"이라고 불렀고, 전문적인 범당파적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과학과 뉴스 미디어 같은) 기관과 담론들이 서로에게 의존하여 진실의 대중적 순환을 안정화시키는 맥락에서 경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조작했다. Cosentino(2019)는 탈진실의 체제 개념을 지정학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비서구는 물론 서구 세계의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분석한다. 철학자 Lee McIntyre(2018)와 같이 일반적으로 "탈진실"에 초점을 맞추지만 정치에 대해 언급하는 다른 학자들은 과학적 전문성과 탈근대적인 학문적 담론에 대한 증가하는 사회적 불신이 사실에 대한 승리를 느끼는 조건을 만들기 위해 인지적 편향과 결합했다고 주장한다. 이 학자들 중 몇몇이 불신을 탈진실 사회적, 정치적 효과의 대리인으로 인용하지만, 불신의 기원은 덜 명확하다. McIntyre는 예를 들어 담배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진실을 훼손하려는 홍보 노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본다(비록 이 연결고리가 경험적으로 확립되지는 않았다). 기업의 이익이 과학적 합의가 존재하는 진실을 훼손하는 또 다른 구체적인 예로, McIntyre는 기후 변화를 부정하는 단체들에 대한 BP의 이전 기부를 인용한다. 그러나 홍보는 기업, 국가, 제품, 당사자 및 정치인으로서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느끼도록 영향을 미치는 전략에서 진실은 오랫동안 마지막 관심사였다.Hearn, A., & Hearn. (2011). Promotional culture. In D. Southerton, Encyclopedia of consumer culture. Sage Publications. 또한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표절과 치어리딩을 둘러싼 저널리즘의 스캔들은 홍보 문화, 윤리적으로 의문스러운 전문적인 전략적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잠재적인 바이러스성 미디어스케이프, 알고리즘적으로 맞춤화된 정보 제공 등 다양한 형태의 구체적이고 일반화된 불신을 재현하기 위한 요소들과 결합된다: 신뢰는 합법적인 공공 진실 전달자의 인식에 중요해진다. 탈진실(가짜 뉴스와 혼용되기도 함)에 대한 많은 대중적인 치료법들이 정치적 거짓말의 증가를 주장하거나 암시하는 반면, Kalpokas(2018), Harsin(2015, 2017, 2018, 2021), and Cosentino(2019)는 거짓말을 탈진실(역사적으로 그것을 새로운 것으로 구별할 수 없는)의 단 하나의 특징으로 보고, 대신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는 문제(믿음이 더 부족하다고 유도하는 일반적인 권위자들), 또는 방향감각 상실, 혼란, 잘못된 인식 및 주의 산만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백신 반대 지지자들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전문성(그들의 분야에서는 소수의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에 대한 호소는 전반적으로 사람들이 과학 전문가들 또는 그들의 생각을 존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과학과 전문성이 정치화되어, 모르는 사람들이 합법적인 권위자들(모두 고급 학위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식별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정서적 진실 발화자를 진실하고 정직하며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은 진실 주장 이전에 사후 진실이 자신의 감정에 대한 명백한 신뢰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 = = 오보 = = = 오보는 정치적 담론에서 사용되는 잘못된 정보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이다. 이 용어는 오보, 역정보, 가짜 뉴스의 모든 유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 = 역정보 = = = 역정보는 예를 들어 선전에서 의도적으로 정보를 오도하는 것이다. = = = 가짜 뉴스 = = = 가짜 뉴스는 "형식은 뉴스 미디어 콘텐츠를 모방하지만 조직의 과정이나 의도는 모방하지 않는 조작된 정보"이다 = = = 음모론 = = = 음모론은 강력한 음모자들에 대한 상호 연결된 주장의 정교한 패키지이며, 일반적으로 개연성이 없는 것으로 특징지어지지만 워터게이트 침입이나 은폐와 같은 실제 정치적 음모는 존재한다. = = = 루머 폭탄 = = = 학제적인 연구 기관 전체에 걸쳐, 소문 정의의 핵심은 검증 가능하게 사실 또는 거짓이 아닌 진술이다. 군국주의적 은유 "루머 폭탄"은 혼란, 의심, 또는 잘못된 믿음을 야기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중단"되는 소문을 가리킨다. = = = 취약성 = = = 잘못된 정보에 대한 취약성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더 나쁜 정보에 대한 속기성 그것을 수정할 수 있는 더 나은 정보에 대한 불신과 회의 = = = 조작된 논란 = = = 탈진실 공간의 정치적 운영자들은 경제적 또는 정치적 이익을 위해 논쟁을 조작하거나 가스라이팅에서와 같이 대중을 혼란스럽게 하고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 = 서술 = =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현대적 전문화(마케팅 및 광고 연구와 관련)에서 탈진실 정치의 정의적 특성은 언론 매체, 해당 분야의 전문가 등이 이러한 논의 사항과 모순되는 증거를 제공할 때에도 선거운동가들이 자신의 논의 사항을 계속 반복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의 EU 국민투표 캠페인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동안, Vote Leave는 EU 회원권이 일주일에 3억 5천만 파운드가 든다는 주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했지만, 이후 이 수치를 EU로 직접 송금되는 순액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리베이트 등을 무시한 이 수치는 영국 통계청에 의해 "잠재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설명되었고, 재정연구소에 의해 "합리적이지 않다"고 설명되었으며, BBC 뉴스, 채널 4 뉴스 및 전체 팩트에 의한 사실 확인에서 거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ote Leave는 국민투표 당일까지 이 수치를 선거운동의 구심점으로 계속 사용했고, 그 후 그들은 이 공약을 "예시"라고 평가절하했으며, EU에 보낸 순자금의 대체 사용 가능성으로 제시되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보수당 의원이자 탈퇴 운동가인 사라 울러스턴은 "탈진실 정치"를 비판했다. 마이클 고브 법무장관은 인터뷰에서 영국인들이 "전문가들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됐다. 의 의회 스케치 작가인 마이클 디콘은 탈진실 정치의 핵심 메시지를 "사실은 부정적이다. 사실은 비관적이다. 사실은 비애국적이다"라고 요약했다. 그는 탈진실 정치에는 당파성에 대한 거부와 부정적인 선거운동도 포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맥락에서 선거운동가들은 반박을 비방과 유언비어, 그리고 반대를 당파적인 것으로 치부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인 "긍정적인 선거운동"을 추진할 수 있다. 가장 극단적인 방식의 탈진실 정치는 음모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탈진실 정치에서는 거짓 소문(버락 오바마에 대한 'birther' 혹은 '무슬림' 음모론)이 주요 뉴스거리가 된다. 피자게이트 음모론의 경우 한 남성이 the Comet Ping Pong 피자가게에 진입해 AR-15 소총을 발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Kang, Cecilia, A. D. A. M. Goldman, and WASHINGTON—Edgar M. Welch. "In Washington pizzeria attack, fake news brought real guns." The New York Times 5 (2016). 의 잭 홈스와 같은 작가들은 단순히 거짓을 말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 과정을 뭔가 다른 것으로 묘사하며, 홈스는 "그러므로, 만약 당신이 무엇이 진실인지 모른다면, 당신은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말할 수 있고 그것은 거짓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학자들은 탈진실이 단순히 명백한 진실/거짓 진술과 사람들이 이들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관점과 해석에서 어떤 면에서는 진실일 수도 있고, 다른 면에서는 거짓일 수도 있는 전략적으로 모호한 진술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탈진실 시대의 분수령으로 묘사되어 온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촉진하기 위한 영국과 미국의 허위 정보 캠페인이 이에 해당되었다. = = = 주요 뉴스 매체 = = = 탈진실 정치의 증가는 미디어 환경의 여러 경향에 기인한다. 미국의 미국의 소리와 CCTV 뉴스, RT와 같은 국가의 자금 지원을 받는 통신사의 확산이 한 가지 기여 요인이다. 모스크바의 TNT에서 일했던 영국계 러시아 기자인 피터 포머란체프에 따르면, 그들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정부, 민주주의 및 인권 구조를 포함한 서구 기관의 합법화를 폐지하는 것이었다. 2016년 기준, 미국의 주류 언론에 대한 신뢰는 역사적으로 최저에 도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뉴스 매체에 의한 사실 확인은 더 많은 대중들 사이에서 설득력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정치인들은 점점 더 과감한 메시지에 의존한다고 제안되었다. 많은 언론사들은 공정한 것처럼 보이길 원하거나, 존재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 많은 작가들은 사실적 근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지지받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는 주장에 동등한 강조를 하는 관행인 잘못된 균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24시간의 뉴스 주기는 뉴스 채널이 동일한 공인을 반복적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PR에 정통한 정치인들에게 이익이 되고, 발표와 성격이 사실보다 청중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주장과 반론의 과정은 사건에 대한 더 깊은 분석을 희생시키면서 며칠 동안의 뉴스 보도에 대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 = = =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 = = 인터넷상에서 방대한 양의 정보를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자,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편집 과정과 전문적인 저널리즘 및 학문적 규율로 인해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었던 기존 매체들을 우회했다. 이제는 걸러졌을지도 모르는 잘못된 정보들이 자주 세계적으로 접근 가능한 인기 있는 포럼에 실리고, 이 포럼들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이 유권자들에게 알리는 것에 의존한다.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 네트워크가 하나의 정치적 관점이 지배하고 주장에 대한 정밀 조사가 실패하는 필터 버블에 의해 강조될 수 있는 에코 챔버가 되어 웹 사이트, 출판사 및 뉴스 채널의 병렬 미디어 생태계가 발전할 수 있으므로 반박 없이 진실 이후 주장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후 진실 캠페인은 사실 확인을 무시하거나 편견에 의해 동기 부여된 것으로 치부할 수 있다. 가디언지 편집장 캐서린 바이너는 "정확성과 진실성을 희생시키면서 값싼 클릭 수를 줄이는 것은 저널리즘과 진실의 가치를 훼손한다"고 말하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사실적인 내용의 기사인 클릭 미끼의 증가에 책임을 돌렸다. 2016년 팩트체크 및 디벙킹 사이트 Snopes.com의 공동 설립자인 데이비드 미켈슨은 소셜 미디어와 가짜 뉴스 사이트의 도입을 전환점으로 묘사하면서 "진실 이후의 시대라고 부를지는 모르겠지만 … 수문이 열렸고 모든 것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빌지는 당신이 펌프질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계속 오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문화는 컴퓨터와 인터넷에 접근하는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온라인에 게시하고 그것을 사실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은 에코 챔버와 다른 사용자들이 서로를 검증함으로써 합법화될 수 있다. 조사된 사실 대신 감정, 청중 편향 또는 헤드라인 호소력에 호소하는 분위기를 만들면서, 게시물이 얼마나 많은 조회수를 얻는지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판단될 수 있다. 더 많은 조회수를 얻는 콘텐츠는 그것의 합법성에 관계없이 지속적이다. 일부 사람들은 또한 인터넷에서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풍부한 사실이 근본적인 진실 대신 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주장을 아는 것에 초점을 맞춘 태도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인터넷은 종종 사람들이 그들의 의견을 강화하도록 촉진하면서, 사람들이 그들의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지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연구자들은 트위터 상에서 800개가 넘는 현대 엘리트들에 대한 원형 위조 점수 및 이와 관련된 노출 점수를 개발하였다. 공통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술적 변화 또는 확장에 크게 기반을 둔 다양한 유사 대응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2017년,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도널드 트럼프의 승리에 반대하는 전국적인 시위의 증가는 수백만 명의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에 올리고 공유한 가짜 뉴스 이야기들 때문이라고 촉발되었다. 이 사건 이후, 잘못된 정보의 확산은 옥스포드 사전에서 "올해의 단어"로 만들어진 용어인 "탈진실"이라는 단어가 주어졌다. = = = 양극화된 정치문화 = = = 탈진실 정치의 부상은 양극화된 정치적 신념과 일치한다. 미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Pew 리서치 센터의 연구는 "좌우에 가장 일관된 이념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은 더 혼합된 정치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구별되고, 서로 매우 구별되는 정보 흐름을 가지고 있다"고 발견했다. 새로운 기술이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도입되면서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와 통계에 대한 집착은 정치 현장에도 스며들고, 정치적 논쟁과 연설은 오해를 살 수도 있고, 거짓일 수도 있으며, 전체 그림을 담지 못할 수도 있는 정보의 토막글로 채워진다. 선정적인 텔레비전 뉴스는 웅장한 진술을 강조하고, 나아가 정치인들을 공론화한다. 미디어로부터의 이러한 형성은 대중이 정치 이슈와 후보자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 = 기원 = = 탈진실 정치는 세계 경제 및 정치 엘리트들이 기후 변화 및 COVID-19 범유행과 같은 문제에 대한 신자유주의 및 기타 제안된 세계적 해결책에 대한 대중 부문의 반응에 기원을 두고 있다. 호주의 두 학자 안테아 로버츠와 니콜라스 램프의 저서 'Six Faces of Globalization: Who Wins, Who Loses, and Why It Matters'는 '누가 이기고, 누가 지고, 왜 중요한가'를 중심으로 '좌파 포퓰리즘 서사', '기업 권력 서사', '우파 포퓰리즘 서사', '우파 포퓰리즘 서사', '지질경제 서사', 다수의 '글로벌 위협 서사' 등 기성 신자유주의 서사와 이에 대한 주요 반응을 비교·대조한다.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무역기구(WTO) 등 민주적 정당과 기관의 합의가 뒷받침하는 설립 서사는 경쟁과 비교우위의 경제 원리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의 국제적 협상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각국의 국내총생산(GDP)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고용된 원칙이 잘 정립되고 작동하여 세계경제 생산이 확대되지만, 국제경제의 일부 부문에서는 이익을 얻고 다른 부문에서는 손실을 낳기도 한다. = = 반대 의견 = = 탈진실을 역사적으로 구체적이고 저널리즘, 사회적 신뢰, 뉴미디어와 통신 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는 일부 학문적인 취급과는 달리, 탈진실을 거짓말이나 선정적인 뉴스와 동일시하는 몇몇 대중적인 논평가들(펀드 및 저널리스트)은 탈진실이 부정확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용어이며 또는 포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뉴 사이언티스트 사설에서 "비꼬는 사람은 정치인들이 실제로 예전보다 더 정직하지 않은지 궁금해 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한때 선별된 귀에 속삭였던 물고기들은 이제 모든 사람들이 엿듣는다"고 가설을 세웠다. 데이비드 헬펀드는 에드워드 해리스에 이어 기술이 포화된 환경 속에서 "대중의 선입견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이제는 변화된 것은 "관객의 지식"과 "신뢰성의 한계"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오히려 그러한 신뢰성의 한계가 사라졌고, 모든 사람이 쉽게 공유되고 전파되는 주장을 할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잘못된 정보의 시대에 있다. 작가 조지 길렛은 "탈진실"이라는 용어가 경험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을 잘못 혼동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른바 "탈진실" 운동은 사실 "전문가 경제 의견이 가치에 기반한 정치적 판단의 대리가 되는 것"에 대한 반란이라고 썼다. 토비 영(Toby Young)은 스펙터에 기고한 글에서 이 용어를 주로 좌파 평론가들이 보편적인 이념 편향을 공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상투적인 용어라고 부르며, "우리는 모두 탈진실인이며 아마도 항상 그래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수에즈 사태와 이란-콘트라 사태를 둘러싼 정치적 추문(진실을 은폐하려는 시도를 포함하는)과 공적 사실이 단순하게 무시되는 현대적인 추문의 질적 차이를 확인하면서 이 주장을 "안일하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Poynter 연구소의 알렉시오스 만찰리스는 정치적 거짓말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역사상 오늘날 "탈진실"로 묘사될 몇몇 정치 캠페인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만잘리스에게, "탈진실"이라는 꼬리표는 어느 정도 "해설자들이 어떤 사실에 대한 공격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이었을 뿐만 아니라, 2016년은 "대서양 양쪽의 정치에 신랄한 한 해"였다고 언급했다. 만찰리스는 사실 확인에 대한 관심이 이보다 높았던 적이 없다는 점도 언급했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가 "탈진실" 정치를 거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게다가, 가디언지의 카트린 바이너는 거짓 뉴스들과 선전들이 횡행하고 있지만, 소셜 미디어는 양날의 검이라고 언급한다. 이것은 몇몇 거짓 뉴스들이 퍼지는 것을 도왔지만, 다른 것들도 억제해왔다; 예를 들어, 그녀는 힐스버러 참사 이후 더 선의 거짓 "진실" 이야기와 관련된 경찰 은폐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 국가별 = = 탈진실 정치는 오스트리아, 독일, 북한, 폴란드, 러시아, 튀르키예, 영국 및 미국의 포스트 진실 정치를 이코노미스트의 한 기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치 문화에 정치적 유행어로 적용되어 왔다. = = = 독일 = = = 2016년 12월 독일어학회(Gesellschaft für deutsch Sprache, 독일어학회)는 2015년부터 우파 포퓰리즘이 부상한 것과 관련해 '포스트 팩티쉬'(postfaktisch, post-factual)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1990년대 이후 사회학에서는 '포스트 민주주의'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 = = = 인도 = = = 타임스오브인디아의 칼럼니스트인 아물야 고팔라크리쉬난은 한편으로는 트럼프와 브렉시트 캠페인의 유사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위조된 증거와 역사 수정주의에 대한 비난이 '이념적 난국'을 낳은 이스라트 자한 사건과 티에스타 세탈바드에 대한 진행 중인 사건 등 인도의 핫버튼 이슈를 확인했다. = = = 인도네시아 = = = 탈진실 정치는 적어도 2016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논의되어 왔다. 2016년 9월, 현직 자카르타 주지사인 바수키 차하야 푸르나마는 스리부 제도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일부 시민들이 "알 마이다와 다른 것들의 51절을 사용하여 속고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그의 정적들이 사용한 코란의 한 구절을 언급한 것이다. 이 영상은 이후 편집되어 한 단어가 생략되었으며, 그의 진술을 잘못 전달하고 정치 스캔들을 선동하여 모독 혐의와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 이후로, 탈진실 정치는 인도네시아 유권자들 사이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정치 캠페인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인도네시아 대학의 범죄학 연구자인 요셉 위르토노는 소셜 미디어 매체와 "인터넷 폭도"를 종교적 포퓰리즘이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잠재적으로 "넓게" 열어준 탈진실 역학의 원천으로 확인했다.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타보 음베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그의 HIV/AIDS 부정주의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의료와 교육은 크게 위축되었다. = = = 영국 = = = 영국 정치에서 이 문구는 2012년 3월 스코틀랜드 노동당 MSP 아이인 그레이가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주장과 공식 통계의 차이를 비판하면서 사용되었다. 짐 머피 스코틀랜드 노동당 대표는 2014년 스코틀랜드 독립 국민투표에서 독립 지지 운동가들 사이에서, 그리고 다가오는 EU 가입 국민투표에서 탈퇴 운동가들 사이에서 그들의 관점을 지지하지 않는 사실들이 제시되었을 때 사람들이 "명랑하게 메신저를 쐈다"는 포스트 진실 정치의 저류를 묘사하기도 했다. 특히 2016년 7월 발간된 칠콧 보고서가 토니 블레어가 이라크의 화학무기 프로그램이 진보했다는 그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군사 정보를 잘못 전달했다는 결론을 내린 후, 이라크 전쟁을 앞두고 탈진실 정치가 소급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문구는 2016년 영국 EU 회원국 국민투표에서 탈퇴 캠페인을 설명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스카이 뉴스의 정치 편집자 파이살 이슬람은 마이클 고브가 트럼프 선거운동에서 가져온 '탈진실 정치'를 사용했다고 밝혔으며, 특히 고브가 인터뷰에서 "이 나라 사람들은 전문가들을 충분히 보유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은 비록 이는 더 긴 발언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탈진실 흐름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지적됐다.Matthew Flinders, Post-truth, post-political, post-democracy: the tragedy of the UK's referendum on the European Union, OUPBlog (Oxford University Press) (3 July 2016). 비슷하게, 비공식적인 Leave.EU 캠페인의 설립자인 Arron Banks는 "사실은 효과가 없다 … 당신은 감정적으로 사람들과 연결해야 한다. 그것은 트럼프의 성공이다"라고 말했다. EU 국민투표에서 Leave의 저명한 운동가이자 보수당 대표 선거의 두 명의 최종 후보 중 한 명인 Andrea Leadsom은 특히 그녀가 대화록 증거에도 불구하고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경쟁자인 테레사 메이의 무자녀를 비하한 것을 부인한 후 진실 이후의 정치인으로 지목되었다. = = = 미국 = = = 새로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특히 인터넷과 블로그)의 부상과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정치 컨설팅)의 전문화와 더불어, 그 용어와 개념이 2016년 대중의 눈에 띄게 폭발하기 전까지 학자들은 9.11 이후의 시기와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이른바 '탈진실 정치' 출현의 결정적 순간으로 간주해 왔다. 부시 행정부가 사담 후세인과 알카에다 사이의 '연관'(토니 블레어 정부에 의해 병렬적으로 반복)과 후세인이 주장한 대량살상무기 보유(둘 다 당시 혹은 그 후에 전문가들에 의해 고도로 경쟁을 벌였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에 대해 이야기하는 요점들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역사적 변화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미국 정부의 조직적 거짓말과 같은) 정치적, 정부적 거짓말에 대한 오래된 전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선전 노력은 (광범위한 케이블 및 위성 TV, 온라인 및 레거시 뉴스 미디어 소스 간의) 복잡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일부인 뉴미디어 시대에 조직과 실행에서 더 정교하다고 여겨졌다. 미국에서 칼 로브, 조지 W. 부시, 도널드 럼즈펠드 등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동일시되는 불신과 기만은 (정확성 또는 정직성과 같은) 진실을 둘러싼 논란에 가까운 역사적 선례로 상당한 뉴스와 뉴미디어의 관심을 끌었고, 측정 가능한 혼란과 잘못된 믿음을 낳았다. 학자들이 연구한 가장 화려한 사례로는 2004년 존 케리 후보의 대선 출마(공화당 컨설턴트가 연출한 'Swift boat Veterans for Truth'의 주장)와 수년 뒤(2008년 미국 대선 전) 버락 오바마 당시 후보가 기독교인임을 선언했음에도 이슬람교도로 가짜 출생증명서(케냐 태생으로 추정)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 등이 꼽힌다. 원래의 공식에서 '탈진실 정치'라는 용어는 민주당보다 더 엄격한 당규를 시행한 공화당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초당적인 것으로 표현할 수 있었던 미국의 역설적인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개별 민주당이 공화당 정책을 지지할 가능성이 그 반대보다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 용어는 뉴욕 타임즈에 실린 폴 크루그먼이 2012년 밋 롬니의 대선 캠페인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버락 오바마가 국방비를 삭감했다는 주장이나 그가 "사과 투어"에 나섰다는 주장 등이 논란이 된 후에도 계속해서 반복되었다. 현대 미국 정치에서 다른 형태의 과학적 부정론은 안티 백신 운동, 현재 시판되는 GMO 식품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강력한 과학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유전자 변형 식품이 해롭다는 믿음 등을 포함한다.See for extensive citations. 미국의 건강 자유 운동은 1994년 초당적인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을 통과시키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 법은 FDA가 동종 요법 제품에 대한 규제를 시작했지만 소비자가 기대하는 목적에 대해 안전하거나 효과적이라는 증거 없이 식이보충제의 판매를 허용한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의 윤리학 및 공공정책 강사인 크리스토퍼 로비쇼는 <하버드 가제트>에 기고한 평론에서 선거의 정당성에 대한 음모론과 버락 오바마가 태생적인 미국 시민이 아니라는 'birther' 사고 등을 탈진실 정치의 한 가지 부작용으로 설명했다. 로비쇼는 2000년 선거에서 앨 고어가 부시 대 고어의 결과를 인정하고 지지자들에게 받아들이도록 독려했던 경합적 결과와 후보들의 행태를 비교하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휴머니스트를 위해 쓴 롭 보스턴은 미국 공공생활 전반에 걸쳐 Birtherism, 기후변화 부정론, 진화 거부론 등 음모론이 증가했는데, 그는 이러한 음모론에 대한 광범위하고 광범위한 증거의 존재가 이들의 성장을 늦추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탈진실 정치의 결과로 파악했다. 2016년에는 워싱턴 포스트의 다니엘 W. 드레즈너 교수, 가디언의 조나단 프리랜드, 인디펜던트의 크리스 실리자, 뉴리퍼블릭의 지트 히어, 로스앤젤레스타임스의 제임스 키르칙 교수 등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캠페인을 묘사하는 데 "탈진실"이라는 꼬리표가 특히 널리 사용됐다. 2017년에는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등이 선거 후 트럼프의 발언에 거짓이나 거짓을 지적하기 시작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뉴미디어 생태계가 "모든 것이 진실이고 아무것도 진실이 아님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 = 정치적 "사실" = = = = 미국의 저명한 정치인이자 트럼프 지지자인 뉴트 깅리치는 2016년 7월 22일 방영된 CNN 기자 알리신 카메로타와의 인터뷰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이 수집한 통계보다 유권자들의 감정에 기반한 사실이 정치 캠페인에서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카메로타: "그들은 그것을 느끼고 있다, 네, 하지만 사실은 그것을 뒷받침하지 못한다. 깅리치: 정치적 후보자로서, 나는 사람들의 기분에 따라 갈 것이고, 나는 당신을 이론가들과 함께 가게 할 것이다.""GINGRICH As a political candidate, I'll go with how people feel and let you go with the theoreticians." McIntyre, Lee. Post-Truth (The MIT Press Essential Knowledge series) (pp14,15). MIT Press. Kindle Edition. 사실이 아닌 것을 출판하거나 주장하는 사람들의 지지자들은 반드시 그들을 믿지는 않지만, 그것이 게임이 진행되는 방식이라는 것을 받아들였다."These [middle-class] voters were not motivated by ignorance. They listened to Trump's rhetoric [bit removed] on a level transcending the mere fact. As a friend of mine put it recently, Trump supporters took him seriously—they did not need to take him literally. His language is keyed to produce a feeling rather than make a convincing argument. The New York Times interviewed conservatives about what they regarded as truth, as opposed to “fake news,” and learned that political frames and emotion guide the reception of information as credible or not. Part of being credible is resonating with the lives and struggles of one's audience. Cloud, Dana L.. Reality Bite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Kindle Edition. = = = = 환경 정치 = = = = 비록 인간의 활동이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는 것이 과학자들 사이의 일치된 의견이지만, 세계의 몇몇 정당들은 기후 변화 부정을 그들의 정책의 기초로 만들었다. 이 정당들은 산업 기부자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기후 변화와 싸우기 위한 환경 조치를 공격하기 위해 탈진실 기술을 사용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2016년 선거 이후, 미국은 버락 오바마의 임명자 지나 매카시를 대신하여 새로운 환경 보호국의 수장인 스콧 프루이트가 권력을 잡는 등 수많은 기후 변화 부정자들이 등장했다. 호주에서, 디 에이지는 토니 애벗 정부에 의한 탄소 가격 결정의 폐지를 "탈진실 정치의 최하층"으로 묘사했다. = = 해결책 = = 정치학자 알프레드 무어(요크 대학교), 카를로 인버니지-액체티(뉴욕 시립 대학교), 엘리자베스 마르코프츠(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 자이넵 파무크(세인트 존스 칼리지)는 미국 역사학자 소피아 A. 로젠펠트의 저서 민주주의와 진실: 짧은 역사 (2019)와 탈진실 정치를 다루는 데 있어 그것의 잠재적 해결책을 평가했는데, 인버니지-액체티는 "현대 민주주의 체제에서 포퓰리즘과 기술주의 사이의 분열이 증가하는 것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Moore, A., Invernizzi-Accetti, C., Markovits, E. et al. (2020). "Beyond populism and technocracy: The challenges and limits of democratic epistemology". Contemp Polit Theory. (19): 730–752. 로젠펠트는 탈진실 정치의 문제에 대한 7가지 잠재적 해결책을 강조한다. 진실 말하기와 사실 확인에 대한 윤리적인 약속 정착된 토론을 재개하는 것에 대한 금지 소셜 미디어 회사에 의한 허위 정보에 대한 단속 자유 발언 절대주의로부터의 전환 정치 제도의 완전성 보호 교육을 통한 정보 리터러시의 향상 거짓말과 부패에 대한 비폭력 시위의 지지 인버니지-액체티는 정치에서 진리의 가치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로젠펠트의 해결책을 비판한다. 인버니지-액체티는 "진실은 정치적으로 권위의 정당화로서 기능하는 반면, 민주주의를 '진실의 정권'으로서 구성하려는 어떤 시도도 결국은 그 자신과 모순될 수밖에 없다"고 썼다. 이에 대한 답으로, 로젠펠트는 "진실은 항상 어떤 민주주의에 대한 문제적인 침입일 수밖에 없다"고 쓰고, "회의주의는 민주주의에 진정으로 내재한다"고 썼다. 알프레드 무어는 "해결책은 대중적이든 전문가든, 지식의 더 나은 조직과 의사소통,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경쟁과 상호작용의 제도와 관행으로부터가 아니라, 공동의 관심과 상호 헌신의 실체적인 관계의 생성으로부터 나올 것이다"라고 언급한 로젠펠트의 제안에 응답한다.Moore, A., Invernizzi-Accetti, C., Markovits, E. et al. (2020). "Beyond populism and technocracy: The challenges and limits of democratic epistemology". Contemp Polit Theory. (19): 730–752. = 케이트 고슬린 = 케이트 고슬린(Kate Gosselin, 1981년 9월 3일 ~ )은 미국의 방송 유명인, 작가, 전직 간호사이다. 리얼리티 프로그램 "존 앤 케이트 플러스 8"(Jon & Kate Plus 8)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 분류:2000년 사우디아라비아 = = 분류:1648년 정치 = = 틀:위키낱말사전/설명문서 = 특정 단어에 대한 문서를 위키낱말사전에 있는 낱말 문서와 연결할 때 쓰는 틀입니다. = = 사용법 = = 변수를 기입하지 않은 경우, 자동적으로 문서이름이 치환됩니다. = 분류:온게임넷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분류:폴란드의 왕비 = = 타이베이 당대예술관 = 타이베이 당대예술관(台北當代藝術館,)은 타이완 타이베이시에 있는 미술관이다. 모던 아트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 분류:에스토니아의 도시별 분류 = = 분류:노스캐롤라이나주의 기독교 = = 분류:반포고등학교 동문 = = 인천글로벌캠퍼스 = 인천 글로벌 캠퍼스(영문: Incheon Global Campus, 약칭: IGC)는 대한민국 정부와 인천광역시가 외국 10개 명문대학 유치를 목표로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 클러스터(5, 7공구) 내 교육연구용지에 설립한 캠퍼스이다.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교육과 연구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정부와 인천시, 민간자본 총 5,199억원을 들여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 허브로 조성되었다. 2012년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의 개교를 시작으로, 2014년 조지메이슨대, 겐트대, 유타대, 2017년 뉴욕주립대 FIT 등 5개의 외국대학이 개교하여 국내 최초로 고등교육기관 중심의 글로벌 연합 캠퍼스가 탄생한 것이다. 다른 경제자유구역은 외국교육기관이 폐교했지만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인천글로벌캠퍼스는 5개교나 외국교육기관을 유치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4년 내내 본교 교수님들이 직접 강의를 하고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는 점, 모든 학사 운영을 홈 캠퍼스에서 직접 진행하며 홈 캠퍼스와 동일한 행정 시스템 아래 운영되는 점에서 분교가 아닌 확장형 캠퍼스가 맞으며 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 등이 본교와 모두 동일하게 발급된다. 입학시 학교마다 요구하는 공인영어시험 성적을 확보해야 하고 무엇보다 고등학교 내신성적, 에세이가 가장 중요하다. 2021년 6월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부설연구소인 스탠퍼드 센터가 개소하여 스마트시티의 각종 인프라와 첨단시스템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스탠퍼드 대학교는 2022년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함께 공동 3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러한 우수 교육・연구기관의 유치는 경제자유구역을 산학연 혁신 생태계로 조성함으로써 4차 산업시대의 첨단산업 발전과 외국인 투자유치를 활성화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봄학기 기준으로 전세계 46개국 3,941명의 학생들이 수학하고 있으며, 그간 1,00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어 구글, 메타, 아마존, SK바이오, 셀트리온, 삼성전자, LG전자, KPMG 등 국내・외 우수 기업으로 취업하여 83%의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설립 11년차인 인천글로벌캠퍼스가 국내외에 알려지면서 재학생이 꾸준히 늘고 있다. 2023년 봄학기 학생 수가 3,941명을 기록해 2022년 가을학기 3712명에 비해 6% 이상 늘었다. 충원율은 83.8%에서 89.3%로 5.5% 상승했다. 겐트대는 올해 입학생이 165명으로 전년 같은 학기에 비해 57% 증가했다. 한국조지메이슨대는 193명이 입학해 45% 늘었다.(관련기사) = 특장점 = 글로벌 일류 기업 취업 기회 외국 명문대학 홈캠퍼스와 동일한 학위 수여 홈캠퍼스와 동일한 커리큘럼으로 수업 외국유학대비 절반에 가까운 학비 및 생활비 홈캠퍼스에서 직접 파견한 교수진 재학중 1~2학기 홈캠퍼스에서 수학 연합캠퍼스를 통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확보 = 학생 수 = 2012년 입주 첫 해, 47명으로 시작하였던 학생은 지난 9년간의 운영을 통하여 2023년도 3,941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정원 89.3%의 충원율을 달성하였다. = 대학별 학과 현황 = 인천글로벌캠퍼스 입주대학(5개) 학과 및 특장점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대학교명(가나다순) 개설학부 유명동문 졸업 후 진로(취업 현황)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분자생명공학과 (학부) 환경공학과 (학부) 식품공학과 (학부) - 자크 로게(전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코르네유하이만스(생리학자, 노벨의학상 수상) - 이브 르테름(정치인, 전 벨기에 총리) - 디르크프리모우트(천체 물리학자) - 마크 반 몽테규(분자생물학자, 세계식량상수상) - 로버트 카일리아우(World Wide Web 개발자) - 베링거잉게레하임 - 스위스연방공과대학 - 얀센백신 - 영국임페리얼칼리지 - SK 바이오사이언스 - 네덜란드델프트공과대학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신문방송학과 (학부) 심리학과 (학부) 영화영상학과 (학부) 도시계획학과 (학부) 전기컴퓨터공학과 (학부) 회계학과 (학부) 정보시스템학과 (학부) 게임학과 (학부) - 정이삭(해외 수상작 영화 '미나리' 감독) - 에드윈 캐트멀(픽사 에니메이션 공동설립자) - 존 워녹(어도비 공동 창립자 및 전 회장) - 윌러드 메리어트(메리어트 창립자) - 코넬대학 - 모건스탠리 - 존스홉킨스대학 - 한미약품 - 유엔글로벌콤팩트 - 바이엘 - MBO - 중앙일보 - SM Entertainmnt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대학교〉 기술경영학과 (학부 및 대학원) 컴퓨터과학과 (학부 및 대학원) 기계공학과 (학부 및 대학원) 응용수학통계학과(학부 및 대학원) 경영학과 (학부) 전자정보공학과 〈뉴욕패션기술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패션경영학과 <스토니브룩 대학교> - 오 명(대한민국 전 부총리) - 이현순(두산그룹 부회장) - 제프 라스킨(애플 매킨토시 인터페이스 개발자) - 패트리샤 커윙즈(미국 최초 여성우주비행사) - 리차드 겔폰드(IMAX 대표이사) <뉴욕패션기술대학교> - 마이클 코어스(마이클 코어스 창립자, 디자이너) - 캘빈 클라인(캘빈 클라인 창립자, 디자이너) - 니나 가르시아(잡지 '엘르' 편집장) - 조이 허펠(폴로 랄프로렌 대표) - 구글 - 삼성전자 - 메타 - 마이크로소프트 - 화이자 - GM - 한화 - 셀트리온 - 아마존 - LG 전자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경제학과 (학부) 국제학과 (학부) 경영학과 (학부) 분쟁분석 및 해결학과 (학부) 컴퓨터 게임 디자인학과 (학부) 데이터과학과 (학부 및 대학원) - 제임스M. 뷰캐넌(노벨 경제학상 수상) - 버논 스미스(노벨 경제학상 수상) - 타일러 코웬('The Economist'지 선정, "최근 10년 간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 Deloitte - UNOSD - P&G - 삼성바이오 - KPMG - 3M, ESCAP - 우리은행 - 포스텍 - 선더버드 경영대학원 - 런던정치경제대학 = = 캠퍼스 시설 = = 공용시설 : 중앙도서관, IT 센터, 건강센터, 소강당, 세미나실, 전시관 체육시설 : 체육관, 수영장, 탁구장, 당구장 학생식당, 대강당, 생활관(1, 2인실), 게스트하우스 편의시설(이마트24, 나눔카페, 잇츠네이쳐(베이커리), 인쇄 업체 등) = = 인천글로벌캠퍼스 조성 배경 = =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허브’로서 우리나라 교육혁신과 경제, 산업, 문화, 예술 등 각 분야를 이끌어갈 차세대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국가적인 사업이다. IGC가 위치하는 인천 송도는 세계 3개 교역권의 하나로 부상된 동북아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인구의 약 30%(25억명)를 대상으로 1일 비즈니스가 가능하다. 또한, 비행거리 3시간 내 인구 100만 이상 도시 147여개가 위치하고 있어 지정학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 = 역사 = =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세계적인 글로벌수준의 대학교 10개교이상을 유치하며 1만명이상의 학부생의 학업을 계획 및 추진중이다. 한편 현재 인천글로벌캠퍼스내의 명문대학교중 하나인 겐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IGC(인천글로벌캠퍼스) 내의 유일한 유럽 대학이다. 200년 전통의 생명과학 분야를 선도하는 벨기에 1위 종합대학이다. 2012년 2월 21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이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3월 3일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대학교가 개교하였다. 2014년 3월 10일,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가 개교하였고, 같은 해 9월 1일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가 개교하였다. 2017년 8월 25일에는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패션기술대학이 개교하였으며, 2021년 6월 3일 한국스탠포드센터가 IGC에 개소하였다. = = 캠퍼스 시설 = = 공용시설 : 중앙도서관, IT 센터, 건강센터, 소강당, 세미나실, 전시관 체육시설 : 체육관, 수영장, 탁구장, 당구장 학생식당, 대강당, 생활관(1, 2인실), 게스트하우스 편의시설(이마트24, 나눔카페, 잇츠네이쳐(베이커리), 인쇄 업체 등) = = 인천글로벌캠퍼스 조성 배경 = =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허브’로서 우리나라 교육혁신과 경제, 산업, 문화, 예술 등 각 분야를 이끌어갈 차세대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국가적인 사업이다. IGC가 위치하는 인천 송도는 세계 3개 교역권의 하나로 부상된 동북아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인구의 약 30%(25억명)를 대상으로 1일 비즈니스가 가능하다. 또한, 비행거리 3시간 내 인구 100만 이상 도시 147여개가 위치하고 있어 지정학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 = 역사 = =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세계적인 글로벌수준의 대학교 10개교이상을 유치하며 1만명이상의 학부생의 학업을 계획 및 추진중이다. 한편 현재 인천글로벌캠퍼스내의 명문대학교중 하나인 겐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IGC(인천글로벌캠퍼스) 내의 유일한 유럽 대학이다. 200년 전통의 생명과학 분야를 선도하는 벨기에 1위 종합대학이다. 2012년 2월 21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이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3월 3일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대학교가 개교하였다. 2014년 3월 10일,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가 개교하였고, 같은 해 9월 1일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가 개교하였다. 2017년 8월 25일에는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패션기술대학이 개교하였으며, 2021년 6월 3일 한국스탠포드센터가 IGC에 개소하였다. = IGC 운영재단의 미션과 비전 = 미션: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허브로서 외국교육연구기관 유치, 설립 지원 및 입주대학 운영지원 비전: 세계 수준의 글로벌 교육허브 조성 핵심가치: I(Integrity) 청렴성, G(Globalization) 글로벌마인드, C(Communication) 소통, 상생, F(Flexibility) 유연성 = = 각주 = = = = 외부 링크 = = 공식 홈페이지 = 빈 소녀 합창단 = 빈 소녀 합창단(Wiener Chormädchen)은 10세에서 15세 사이의 소녀들로 이루어진 합창단이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2004년에 결성된 이 합창단은 비르트 음악 아카데미의 일부이다. 빈 소년 합창단의 예술 감독인 게랄트 비르트는 소녀 합창단의 운영을 돕고 있으며, 이 합창단은 1498년에 설립된 빈 소년 합창단의 부지에 있는 유서 깊은 요제프슈퇴클에서 만난다. 그 합창단은 많은 나라들의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곡들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의 전통 민요들을 공연한다. 소녀 합창단은 중앙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는 정기적으로 순회공연을 하지 않는데, 이 행사는 보통 훨씬 더 유명한 소년 합창단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2007년 2월, 빈 소녀 합창단은 뉴델리의 어린이 합창단과 공연하기 위해 인도로 갔다. 이것은 세계 평화 합창단 라비 샹카르 음악 공연 예술 연구소 (RIMPA)에서 리허설과 함께 그 회의를 주최한 첫 번째 공연이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세계 평화 합창단은 모든 최고의 합창단을 환영했고 연합된 그룹으로 해외 투어를 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제공했다. = 분류:경희고등학교 = = 10년 : 태국 = 10년 : 태국(10 YEARS THAILAND)은 태국, 홍콩, 일본에서 제작된 아딧야 아사랏,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위시트 사사나티앙 감독의 2018년 드라마 영화이다. 2015년 홍콩 영화 10년에 기반을 둔다. = 분류:마녀 사냥꾼 = 이 분류는 위키백과 기사에서 고전 마녀 사냥꾼 (또는 유사한 설명)이나 관습의 옹호자로 묘사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 분류:중화민국의 총통 선거 = = 분류:미확인생물을 소재로 한 영화 = = 분류:랜드로버의 차종 = = 차가타이 칸국 = 차가타이 울루스(, Chagatai Ulus), 또는 차가타이 칸국은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지역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던 국가이다. 1370년 티무르에 의해 멸망당했지만 차가타이 칸국을 계승한 동차가타이 칸국(모굴리스탄 칸국)은 18세기 초에 중가르에 의해 멸망당할 때까지 존속했다. = = 차가타이 칸국의 독립 = = 초기의 차가타이 칸국은 독자적인 권력을 인정받지 못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차가타이에 이어 칸위를 계승한 카라 훌레구, 예수 몽케, 무바라크 샤는 모두 몽골 제국의 대칸에 의해 해임됐던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사실상 몽골 제국의 마지막 대칸이었던 몽케 칸이 죽은 후인 1260년에 즉위한 알루구(Alghu)는 중앙의 아리크 부케에게 반기를 들며 독자적 행보를 걷기 시작했다. = = 오고타이 칸국과의 대립 = = 아리크 부케에게 반기를 든 알루구는 곧 아리크 부케의 지원을 받고 있던 오고타이 칸국의 하이두와 맞서게 됐다. 1266년, 알루구의 뒤를 이어 칸위에 오른 바락(Baraq)도 하이두와의 전투를 계속했다. 3년간의 격렬한 전쟁으로 바락과 하이두는 모두 심대한 피해를 입었고 결국 1269년에 잠시 휴전할 것에 합의했다. 바락과 휴전한 하이두는 바락을 궁지에 빠뜨리기 위해 바락에게 일 한국을 공격할 것을 종용했고 지원군을 보냈다. 1270년 바락은 이 제안에 넘어가 먼저 일 한국을 공격했지만 하이두의 지원군이 그를 배신하면서 일 한국의 군대에게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1년 뒤인 1271년에 바락은 죽고 차가타이 한국은 오고타이 한국의 속국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그 이후 하이두는 이름뿐인 칸들을 즉위시켜 차가타이 칸국을 완전히 장악했다. 하지만 곧 바락의 아들인 두아(Duwa)를 비롯한 왕족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차가타이 칸국의 지배에 어려움을 느낀 하이두는 두아와 타협하여 그를 칸위에 올렸다. 두아는 영리한 인물이었고 자신을 칸위에 올린 하이두와 협력하며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1301년, 차가타이 칸국의 숙적인 하이두가 사망하였다. 하이두가 사망하자 두아는 즉시 오고타이 한국의 칸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1303년에 하이두의 장남인 차바르를 칸위에 올린 뒤 원을 비롯한 모든 한국들과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하지만 평화협정은 오래 가지 못했다. 평화협정이 체결된 지 3년이 지난 1306년에 두아는 원나라의 성종과 연합하여 오고타이 칸국을 공격, 칸인 차바르를 추방시키고 원과 함께 오고타이 한국의 영토를 나눠가졌다. = = 멸망 = = 오고타이 칸국을 멸망시킨 두아 칸 이후에 즉위한 에센부카 칸과 케벡 칸에 의해 차가타이 한국은 약 20여년간 중앙아시아의 분쟁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아유르바르와다는 일 칸국의 울제이투과 동맹하여 원나라를 공격한 차가타이 한국의 에센 부카 1세에 대항하였다. 1316년 그는 에센부카를 격파하였고 에센부카의 사후에 케벡이 원나라와 화의하였다. 하지만 케벡 칸이 사망한 1326년(혹은 1325년) 이후 차가타이 한국의 국세는 급격히 기울기 시작했다. 각 유목 부족들은 독자적 권리를 행사하며 서로 분열하였고, 칸은 부족장들에 의해 추대되고 부족장들에 의해 쫓겨났다. 지금의 신장 지역에는 유목민들의 세력이 강했고, 마 와라 알나흐르 지방에는 정주 세력이 더 강했다. 전자는 스스로를 ‘모굴인’이라고, 후자는 스스로를 ‘차가타이인’이라고 칭했다. 마침내 1348년, 현재의 신장 지역인 차가타이 한국 동부 지역의 유력 가문인 두글라트부에서 투글루크 티무르(Tughlugh Timur)를 옹립하면서 차가타이 한국은 동서로 분열되고 말았다. 동차가타이 한국(=모굴리스탄 한국)의 첫 번째 칸이 된 투글루크 티무르가 잠시 차가타이 한국을 통합하고 여러 부족의 아미르들을 격파하기도 했지만 이 일시적 통합은 그가 죽은 1363년에 붕괴되고 말았다. 투글루크 티무르에 이어 차가타이 한국을 장악한 것은 발라스부의 아미르, 티무르였다. 투글루크 티무르에 의해 아미르가 된 티무르는 다른 여러 부족들을 제압한 뒤 1370년에 서차가타이 한국을 장악하고 티무르 왕조를 세웠다. 티무르 왕조가 설립된 이후에도 차가타이 한국의 칸은 1402년까지 형식상으로는 존재하지만 사실 차가타이 한국은 1370년에 멸망한 상태였다. = = 모굴리스탄 칸국 = = 차가타이 한국을 통합한 투글루크 티무르 사후, 그의 아들 일리아스 호자(Illyas Khoja)는 트란속시아나에 대한 지배권을 다시 확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서차가타이 칸국에서 티무르 왕조가 성립, 모굴리스탄 칸국은 티무르 왕조의 지배권 아래로 들어가게 됐다. 15세기 중반, 티무르 한국의 분열로 다시 자립한 모굴리스탄 한국은 에센 부카 2세와 유누스 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모굴리스탄은 도스트 무함마드가 유누스 칸에 대항하여 동쪽 투르판을 중심으로 위구르스탄 칸국을 세우며 양분되었다. 16세기 초 위구르스탄의 만수르 칸이 모굴리스탄을 재통일하고 오이라트와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며 위세를 떨쳤지만 그의 형제인 사이드 칸이 카슈가르를 중심으로 카슈가르 한국카슈가르를 중심으로 모굴리스탄 칸국을 계승한 칸국, 야르칸트 칸국이라고도 한다을 세우면서 모굴리스탄 한국은 다시 분열되었다. 카슈가르 칸국에서는 16세기 말부터 칸의 권위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그 대신 호자(Khoja)라는 이슬람 귀족 가문이 권력을 잡게 됐다. 호자 가문은 카슈가르의 백산당과 야르칸트의 흑산당으로 분열하여 권력 투쟁을 벌였다. 1678년, 카슈가르 칸국의 마지막 칸인 이스마일 칸은 백산당의 영수 아팍 호자(Appak Khoja)를 몰아내고 칸의 권력을 회복하려 했으나 도리어 아팍 호자가 불러들인 중가르의 칸 갈단에 의해 쫓겨나고 말았다. 이후 카슈가르 한국은 준가르의 보호령으로 전락했으며 호자 가문이 완전한 권력을 쥐게 됐다. 위구르스탄도 이와 마찬가지로 준가르의 보호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1695년, 아팍 호자의 아들인 야흐야 호자(Yahya Khoja)가 죽은 뒤 마지막 칸인 아크바쉬 칸(Akbash Khan)이 즉위하여 준가르에 대항하려 했다. 하지만 그 역시도 1706년에 호자 가문에 의해 추방당해 무굴 제국으로 망명하면서 모굴리스탄 칸국도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 = 차가타이 칸국의 역대 칸 = = 차가타이(Chagatai) (1226 ~1242년 ) 카라 훌레구(재위 : 1242년 ~ 1246년, 1251년 ~ 1252년) 이수 뭉케(1246년 ~ 1251년) 카라 훌레구(1251년 ~ 1252년) 무바라크 샤 (1252년 - 1260년) 오르키나 하툰(섭정 : 1252년 - 1260년) 알루구(Alghu, 1260년 ~ 1266년) 무바라크 샤(복위 : 1266년) 바락(Baraq, 1266년 ~ 1270년) 네구베이(Negubei, 1270년 ~ 1272년) 부카 테무르(Buqa Temur, 1272년 - 1287년) 두아(Duwa, 1282년 ~ 1307년) 콘첵 칸(Könchek, 1306년 - 1308년) 탈리쿠(Taliqu, 1308년 - 1309년) 케벡 칸(Kebek, 1309년) 에센부카 칸(1309년 ~ 1320년) 케벡 칸(Kebek, 1320년 - 1325년) 엘지기데이(Eljigidey, 1325년) 두와 테무르(Duwa Temur, 1325년) 알라딘 타르마시린(Aladdin Tarmashirin, 1325년 - 1333년) 부잔(Buzan, 1333년 ~ 1334년) 창시(Changshi, 1334년 ~ 1338년) 예순 테무르(Yesun Temur, 1338년 ~ 1342년) 알리 술탄(Ali-Sultan, 1338년 ~ 1342년)과 함께 통치 무하마드 1세 이븐 풀라드(Muhammad I ibn Pulad, 1342년 - 1343년) 카잔 칸 이븐 야사우르(Qazan Khan ibn Yasaur, 1343년 - 1346년) 다니시멘지(Danishmendji, 1346년 - 1348년) 차가타이 한국이 동서로 분할 바얀 쿨리(Bayan Quli, 1348년 - 1358년) 투글루크 티무르{Tughlugh Timur, (모굴리스탄 한국 1348년 - 1363년), 1358년 - 1363년} 일리야스 호자(Ilyas Khodja, 1363년 - 1368년) 아딜 술탄(Adil-Sultan, 1363년) 카불 샤(Khabul Shah, 1364년 - 1370년) 1370년부터 티무르의 총독이었다. 수우르가트미시(Suurgatmish, 1370년 - 1388년) 술탄 마흐무드(Sultan Mahmud, Mohammed II, 1388년 - 1402년) = 휴 오코너 = 휴 오코너(Hugh O'Conor, 1975년 4월 19일 ~ )는 아일랜드의 배우이다. = = 작품 목록 = =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역 필그리미지 - 카할 역 메탈 하트 = Żgħażagħ Azzjoni Kattolika = Żgħażagħ Azzjoni Kattolika(ŻAK)는 몰타의 가톨릭 행동의 일환으로, 청소년 단체이다. 이는 몰타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넓은 국가 단체이다. ŻAK는 가톨릭 대중 청소년 단체인 Fimcap의 회원이다. = = 현황 및 조직 = = 로마 가톨릭 신앙이 몰타에서 우세하기 때문에 몰타 가톨릭 행동의 청소년 부서인 ŻAK는 몰타에서 가장 중요한 청소년 단체 중 하나이다. 유럽 이민 및 청소년 이민 파트너쉽과 유럽 위원회는 ŻAK(몰타 국가 청소년 협의회, 몰타 스카우트, 몰타 가이드와 함께)을 젊은이들의 필요와 기대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갖춘 주요한 청소년 비정부 기구 중 하나로 리스트업했다. ŻAK는 몰타 커뮤니티 체스트 펀드에서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38개 단체 중 하나이다. 또한, 2005년에는 ŻAK가 국가 청소년 인식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 설명 및 활동 = = ŻAK는 몰타 가톨릭의 한 분과로, 영적, 사회적, 개인적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의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하나님과 타인과의 관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ŻAK의 구조는 청소년 지도자와 다른 청소년들이 청소년 활동을 관리하고 청소년들의 그룹 모임 및 여름 캠프와 같은 다른 활동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2016년에는 몰타에서 크라코프로의 세계 청년의 날 순례를 조직한 적이 있으며 이 순례를 조직하기 위해 캐릭터 스시문나 대주교로부터 위임을 받았다. ŻAK는 2018년에 FIMCAP 의 EuroCourse를 주최하기도 했다. = = 추가 자료 = = 기독교 교리 학회 = 선소항 (보성군) = 선소항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3년 5월 2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보성군수이다. = = 어항 시설 = = 방파제 250m,선착장 290m, 물양장 200m, 해안도로 145m, 부잔교 20m = = 주요 어종 = = 낙지, 주꾸미, 숭어 = 틀:OCN 드라마틱 시네마 = = 월터 롤리 = 월터 롤리 경(, 1552년 또는 1554년 ~ 1618년 10월 29일)은 영국의 정치인, 탐험가, 작가, 시인이자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총신이다. 신세계 최초의 잉글랜드 식민지인 버지니아(로어노크 식민지)를 건설했다.[다음백과 월터 롤리 Walter Raleigh] 진흙길 위에 값진 망토를 펼쳐 엘리자베스 1세를 지나가게 하였다는 일화로 유명하다.[네이버 지식백과] 월터 롤리의 묘비명 (묘비명•비문_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2009. 12. 15., 박경남) 일설에는 그가 엘리자베스 1세의 숨겨진 애인이라는 설도 있다. 캐나다를 탐험한 험프리 길버트의 이부(異父)형제이다.[네이버 지식백과] 길버트 [Sir Humphrey Gilbert] (인명사전, 2002. 1. 10., 인명사전편찬위원회)유종선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p32 = = 생애 = = 롤리 경의 출생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어떤 역사학자들은 월터 롤리가 1552년경에 태어났다고 하기도 하고, 다른 이들은 1554년이라고도 주장한다. 그는 데번주의 버들리 살터튼(Budleigh Salterton)에서 그리 멀지 않은 헤이스 바튼(Hayes Barton)의 가정에서 자랐다. 그는 어머니 캐서린 챔퍼노운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형제 중 막내였으며, 배다른 형제로 존 길버트, 험프리 길버트, 앤드리안 길버트가 있었고, 같은 어머니 밑에서 태어난 카레우 롤리도 또한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의 치세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롤리의 가족은 종교적으로 개신교 쪽과 가까웠고, 가톨릭 교도였던 여왕 메리 1세 치세에는 여러 번 도피도 경험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기록할만한 것으로, 롤리 아버지가 처형을 피하기 위해 탑 속에 몸을 숨긴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어릴 적에 롤리는 가톨릭에 대한 증오를 키웠고, 1558년 프로테스탄트인 여왕 엘리자베스 1세가 왕위에 즉위하자 증오를 표현함으로써 증명해 보였다. 1572년에 그는 대학 오리엘 컬리지의 학생이 되었고, 1575년 미들 템플 법학원에 입학했다. = = 신세계 = = 롤리는 여러 차례에 걸쳐 식민지 탐사를 목적으로 신세계로 항해를 했다. 신세계의 첫 영국 식민지는 1584년 롤리에 의해 로어노크섬에 세워진 로어노크 식민지였다. 이 식민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섬을 포기해야 했다. 최초 정착민들의 대부분이 농업과 정원사의 기술을 갖고 있지 않았고, 섬의 토양이 모래 토양으로 건조하고, 마른 땅이었다는 것, 그리고 이주민들이 미국에 온 이유가 황금 등을 찾아 돈을 벌려왔다는 애초의 생각 등이 그 이유였다. 예상한 목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밝혀지자, 그들은 들고 일어나려 했다. 또한 이주민이 토착민들에게 작물을 대량으로 요구했기 때문에, 이주민과 원주민의 관계도 벌어졌다. 1587년, 롤리는 다시 로어노크섬에 식민지를 개척하기 위해 원정을 시도했다. 이때는 존 화이트 감독관의 지휘 아래 보다 다양한 이주민(가족 전체가 개척민으로 온 이주민도 여러 가구 있었다)이 정착했다. 그리고 곧 화이트는 식민지에 새로운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영국으로 귀환했다. 그러나 여왕이 스페인 무적함대와의 전투에 대비하여 부두를 동결시키도록 명령했기 때문에, 화이트는 계획대로 다음 해에 식민지로 돌아갈 수 없었다. 마침내 1591년이 되어 보급 물자를 싣고 식민지에 도착했지만, 정착민들은 자취를 감추고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그들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는 나무줄기에 새겨진 "CROATOAN"이라는 단어와 "CRO"라는 문자였고, 아마 정착민들은 크로아탄 족(Croatan) 또는 기타 토착민에 의해 학살 또는 납치된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다른 가설로, 1588년에 폭풍이 자주 발생한 기간(스페인 무적함대가 격파된 요인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도에 휩쓸려 갔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그래서 이 정착지는 현재 "잃어버린 식민지"로 알려져 있다. 롤리는 북아메리카의 "버지니아"(현재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포함) 이민 계획은 로어노크섬의 개척이 실패로 끝이 났지만 이후의 식민지 시대의 길을 열었다. 그의 항해는 당초 자신과 친구들의 기금 출자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의 식민지를 구축할 정도로 안정된 수익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이다. (17세기 전반에 행해진 이후의 식민지는 합자회사였던 버지니아 회사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충분한 식민지를 개척할만한 자본을 공동 출자하는 것이 가능했다). 월터 롤리는 영국사에서 신세계로의 항해에 투자를 하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 = 아일랜드 = = 1579년부터 1583년 사이, 롤리는 아일랜드에서 일어난 데스몬드의 반란 진압에 참가하여 이후 땅을 분배 받는 혜택을 받았다. 그는 요르(Youghal)와 리스모어(Lismore)의 두 개의 해안 마을을 포함하여 1,600km2의 땅을 얻었다. 그는 또한 맨스타의 지주 중 한명이 되었지만, 영국의 주민을 그 땅으로 이주시키려는 시도는 제한된 범위에서 성공을 거둔 뿐이었다. 롤리는 17년간 아일랜드 지주의 지위에 있었으며, 요르는 롤리의 임시 거처가 되었다. 그는 1588년부터 1589년 사이에 촌장을 맡았고, 설화에 따르면 아일랜드 지역에 처음으로 감자를 심은 것도 롤리라고 한다. (하지만 감자의 모종은 스페인과의 무역으로 전파되었다는 설이 훨씬 유력하다). 다른 유명한 설화로 롤리가 담배를 피우고 있는 것을 보았던 현지의 하인(그때까지 담배를 본 적이 없었던)이 주인의 몸에 불이 붙었다고 착각하고 롤리에게 물통의 물을 퍼부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이 지역에서 롤리의 지인으로는 같은 맨스타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던 시인 에드먼드 스펜서가 있었다. 1590년에 스펜서는 롤리와 함께 아일랜드에서 런던의 궁전을 여행했고, 거기서 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자신의 우화시 페어리 퀸의 일부를 봉헌했다. 롤리의 아일랜드 사유지는 점차 곤궁에 빠졌고, 그로 인해 그의 재산도 감소하여 결국 1602년 롤리는 토지를 코크 백작 리처드 보일에게 매각했다. 보일은 그 후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 두 국왕의 밑에서 재산을 축적했으며, 롤리의 사후에 가족이 그에게 롤리와 맺은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 계약 기반의 보상을 요구했다. = = 사망 = = 1603년 전쟁에 휘말려 런던탑에 12년간 유폐생활 후, 65세에 다시 모험을 떠난다. 롤리의 심복인 로버트 케이미스가 무단으로 스페인인을 공격한 사실로 호되게 꾸짖어 케이미스를 자살로 몰았고, 케이미스의 자살에 부하들이 동요하고 반항하여 롤리는 결국 탐험을 포기한 채 귀국할 수 밖에 없었다. 롤리는 스페인인과의 무력충돌시 처형에 처한다는 조건을 본의아니게 어겼기에, 웨스트민스터의 처형대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 사라진 여성 = 사라진 여성(missing women)은 특정 지역이나 나라에서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여성의 인구에 실제 여성 인구가 못 미치는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된 용어이다. 개발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성비 측정을 통하여 이러한 현상을 실제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성별 선택적인 낙태, 여자 어린이에 대한 살해, 여성의 건강을 위한 영양과 의료 공급의 부재 등이 꼽힐 수 있다. = 워리스 후세인 = 워리스 후세인(Waris Hussein, 태명 워리스 하비불라 -Habibullah, 1938년 12월 9일~)은 영국의 인도계 텔레비전 감독, 영화 감독이다. 1960년대 BBC 최연소 드라마 감독으로 발탁되어 SF 드라마 닥터 후의 첫번째 시리얼 An Unearthly Child (1963년)을 비롯해 초창기 에피소드들을 감독하였다. 이후 템스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어 여러 상을 수상한 드라마 에드워드 앤드 미세스 심슨 (1978년)의 감독도 맡았다. = = 어린 시절 = = 워리스 후세인은 1938년 영국령 인도 제국의 러크나우에서 탈루크다르 귀족계급 가문으로 태어났다. 태명은 워리스 하비불라 (Waris Habibullah)였다. 어린 시절은 주로 뭄바이에서 보냈다. 1946년 아버지 알리 바하두르 하비불라(Ali Bahadur Habibullah)가 인도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되면서 가족들과 함께 영국으로 이민을 왔다.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아버지는 인도로 돌아갔지만, 어머니 아티아 후세인 (Attia Hosain)은 아이들과 함께 영국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어머니는 1949년부터 BBC 극동방송의 인도부 (Indian Section)에서 작가와 방송인으로 일했다. 하비불라는 클리프턴 칼리지를 졸업한 뒤 케임브리지 퀸스 칼리지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그곳에서 여러 연극을 연출했다. 당시 활동하던 인물로는 데릭 재커비, 마거릿 드래블, 트레버 넌 , 이언 매켈런 등이 있었으며 이들 모두 말로 소사이어티에서 제작한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를 비롯, 여러 작품의 감독으로서 만나게 되었다. = = 직업 = = 1960년 퀸스 칼리지 졸업 후 BBC에 입사해 감독 연수를 받았다. 이와 함께 자신의 성을 하비불라에서 후세인으로 바꿨다. 그 당시에 대해 후세인은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농담섞인 소감을 밝혔다. "그때는 요르단 왕처럼 들렸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사담 후세인에 더 가까웠다. 그것이 살면서 도움되지는 않았다." 1963년 SF 드라마 닥터 후의 첫번째 시리얼인 〈An Unearthly Child〉를 감독했다. 이후 수십년 넘게 인기리에 방영될 드라마의 초대 감독이 된 것이었다. 하지만 이 SF 드라마의 감독이 자신의 경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고 있었다. "케임브리지에서 우등생으로 졸업하고 나오니, 무슨 가죽 두른 원시인이 나오는 이 작품을 감독하란다. '내 인생에서 나는 어디쯤 도착해 있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1964년 후세인은 네 번째 시리얼인 〈Marco Polo〉 편의 감독을 다시 맡았다. 이후 BBC 내에서 어 패시지 투 인디아 (1965년) 등의 여러 프로그램의 감독을 맡았다. 노토리어스 우먼 (1974년), 참정권 운동을 다룬 사극 드라마 숄더 투 숄더 (1974년), 템스 텔레비전 연속극 에드워드 앤드 미세스 심슨 (1978년)이 대표적인 드라마 연출작이다. <에드워드 앤드 미세스 심슨>의 경우 닥터 후의 초대 프로듀서 베리티 램버트와 다시 한 번 작업하기도 하였다. 템스 텔레비전 내에서는 드라마 암체어 스릴러의 제1화 (4부작)를 감독하기도 했다. 1969년에는 이안 맥켈런이 출연하는 장편영화 사랑의 손길 (A Touch of Love)의 감독을 맡아 제19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출품되었다. 극장 개봉된 다른 영화로는 잭 와일드와 마크 레스터가 출연한 1971년 영화 작은 사랑의 멜로디, 키스 미첼, 샬롯 램플링, 도널드 플레젠스가 출연한 1972년 영화 헨리 8세와 여섯 아내가 있었다. 1980~1990년대에는 주로 미국에서 여러 TV 영화를 감독했다. 영국에서 제작에 참여한 작품 가운데에는 클레어 블룸과 대니얼 매시가 공동 주연으로 나오는 센트럴 TV의 4부작 드라마 인티메이트 컨택트 (1987년)이 있었다. 남편이 AIDS에 걸려 사망하기까지의 부부의 이야기를 다룬 이 드라마는, 제작 당시만 하더라도 아무에게도 밝히지 않은 사실이었지만, 비슷한 시기 애인이 똑같이 AIDS에 걸려 사망한 후세인으로선 더 와닿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1997년에는 트라잉 투 그로우의 작가 퍼더우스 캥거가 각본을 맡은 영화 식스 해피니스의 감독을 맡았다. 주연으로 미라 사이얼, 니나 와디아, 퍼더우스 캥거가 출연하였다. 2013년 BBC 다큐드라마 An Adventure in Space and Time에서 닥터 후의 탄생 비화를 다루면서 워리스 후세인도 주연으로 소개됐다. 배우는 사샤 다완이 맡았다. 그러나 본인이 카메오로 출연하지는 않았다. = = 수상 = = 1979년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 드라마부문상에서 <에드워드 앤드 미세스 심슨>으로 프로듀서 앤드류 브라운과 공동으로 수상하였으며, 1985년 에미상 예능 뮤직 프로그램 우수감독상 부문에서 코파카바나로 단독 수상하였다. = = 개인사 = = 후세인은 동성애자이며 12년간 만나던 애인이 있었으나 1980년대에 AIDS로 세상을 떠났다. 2017년 <닥터후: 더 팬 쇼>에서 본인의 성정체성을 비롯해 여러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 = 도랒 = = 분류:2023년 건축 = = 대한민국 형법 제53조 = 대한민국 형법 제53조는 작량감경에 대한 형법총칙의 조문이다. = = 조문 = = 제53조(작량감경)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작량하여 그 형을 감경할 수 있다. 第53條(酌量減輕) 犯罪의 情狀에 參酌할 만한 事由가 있는 때에는 酌量하여 그 刑을 減輕할 수 있다. =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原城 大安里 느티나무)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 제이미 네스 = 제이미 네스(Jamie Ness, 1991년 3월 2일 ~ )는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포퍼 애슬레틱 FC에서 활약하고 있다. = 양재역 = 양재역(Yangjae station, 良才驛)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와 강남구 강남대로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신분당선의 강남권 환승역이다.유상병기역명은 서초구청(瑞草區廳, Seocho-gu Office)이며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인근에 서초구청 및 양재고, 국립외교원 등이 있다. 2011년 10월 28일에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신분당선은 양재천 하저터널로 양재시민의숲역과 연결된다. =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 양재역으로 역명 결정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1993년 10월 30일 : 양재 ~ 수서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회차선 철거 중간역이 됨 2009년 2월 10일 : 신분당선 역명을 양재역(서초구청)으로 결정국토해양부고시 제2009-55호 , 2009년 2월 10일.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24호 , 2011년 10월 28일. = = 역 구조 = =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은 직선 승강장이고, 신분당선은 1단계 구간의 유일한 곡선 승강장이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8개, 신분당선 소속 4개로 총 12개다. = = = 3호선 승강장 = = = 남부터미널 ↑ 하 상 ↓ 매봉 상행 남부터미널교대신사옥수충무로대화 방면 하행 도곡일원수서오금 방면 = = = 신분당선 승강장 = = = ↑ 강남 상 하 양재시민의숲 ↓ 상행 신사 방면 하행 판교정자수지구청광교 방면 = = 역 주변 = = 서울가정법원 서울행정법원 국립외교원 남부순환로 한국전력공사 강남지점 강남대로 뱅뱅사거리 도곡동방면 서초구청 - 양재역의 병기역명이다. 양재고등학교 외교안보연구원 양재역 환승주차장 경부고속도로 서초 나들목 은광여자고등학교 양재지하도 양재육교 양재1동행정복지센터 양재치안센터 양재동우체국 양재시장 양재천(8번출구) 여의천 염곡사거리 구룡산 강남직업전문학교 말죽거리근린공원 = = 이용객 변동 = = 노선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노선 노선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각주 3호선 승차 47,289 52,124 51,457 50,837 49,058 44,414 44,073 44,326 43,376 43,154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3호선 하차 47,267 52,172 51,583 51,493 49,988 46,762 46,357 46,966 46,581 47,030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3호선 승하차 94,556 104,296 103,040 102,330 99,046 91,176 90,430 91,292 89,957 90,184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노선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3호선 승차 44,157 43,968 41,698 43,050 43,246 42,313 40,959 40,045 40,046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3호선 하차 48,888 48,647 45,278 46,226 46,234 45,038 43,752 42,572 42,712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3호선 승하차 93,045 92,615 86,977 89,276 89,480 87,351 84,711 82,617 82,75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분류:세기별 소말리아 = = 골 항공 = 골 항공은 브라질의 저비용 항공사로 허브 공항은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 브라질리아 국제공항이 있다. = = 역사 = = 2001년 1월 15일에 설립, 2001년 3월 15일에 최초로 취항했다. 2004년 11,600,000명의 승객을 수송하면서 브라질 국내 시장을 형성하게 되었다. 2006년 6월 경영난을 겪은 바리그 브라질 항공을 인수해 2007년에 합병했다. 2011년 7월 8일에 브라질의 저비용 항공사인 웹제트를 인수했으며 델타 항공이 일부 지분을 인수한데 이어美델타, 브라질 2위 항공사 지분 3% 인수 추가로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2014년까지 브라질 국내선 점유율 4위까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美 델타, 브라질 2위 항공사 지분 20% 인수 추진 2015년에 대한항공과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 상파울루에서 연결하는 브라질 국내선의 공동 운항을 시작했다. 동시에 대한항공의 스카이패스에 골 항공 탑승분의 마일리지 적립도 가능하다. = = 운항 노선 = = = = = 코드쉐어 협정 = = = 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으며 * 표시는 스카이팀 회원에 해당된다. KLM (스카이팀) TAP 포르투갈 (스타 얼라이언스) 델타 항공 (스카이팀) 대한항공 (스카이팀) 아르헨티나 항공 (스카이팀) 에어 캐나다 (스타 얼라이언스) 에어 프랑스 (스카이팀) 에티하드 항공 이베리아 항공 (원월드) 카타르 항공 (원월드) 코파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 = 보유 기종 = = 2020년 12월 기준으로 골 항공은 다음과 같이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6.8년이다. = = = 현재 사용하는 기종 = = = 골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승객 승객 비고 기종 대수 주문 W Y 합계 비고 보잉 737-700 22 0 42 104 146 보잉 737-800 90 0 36 150 186 보잉 737 MAX 8 16 112 36 144 180 보잉 737 MAX 8 16 112 42 144 186 합계 128 112 = = = 퇴역 기종 = = = 골 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비고 보잉 737-300 15 2004년 2011년 보잉 737-700 30 2000년 2021년 보잉 737-800 54 2005년 2021년 보잉 767-200ER 1 2010년 2011년 보잉 767-300ER 4 2009년 2011년 = = 사건 및 사고 = = GOL 항공 1907편 추락 사고 = 후지노촌 (아이치현) = 후지노촌은 아이치현 헤키카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안조시 남동부에 해당한다. = 인천 옹진군의 국회의원 = 옹진군의 국회의원은 제3대 총선 때는 경기도 옹진군의 대부분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된 데다 한국 전쟁 직후여서 국회의원을 선출할 수 없었다. 이후, 제4대 총선부터 다시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 = 행정 구역 변천 = =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옹진군의 대부분 지역이 미국 관할 아래, 38선 이북인 교정면과 가천면은 소련 관할 아래 들어감. 1945년 11월 4일: 황해도의 38선 이남 지역 경기도에 편입. 이에 따라 황해도 옹진군은 경기도 옹진군이 되었고, 벽성군 해남면·동강면·송림면과 장연군 백령면 등 38선 이남의 인근 4개면 옹진군에 편입.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으로 본래 황해도 옹진군이었던 지역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고, 경기도 옹진군에는 백령면·송림면만 남게 됨. 1973년 7월 1일: 경기도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부천군의 섬 지역(6면 3출장소) 옹진군에 편입(8면 4출장소). 1974년 7월 1일: 백령면 대청출장소가 대청면으로 승격(9면 3출장소) 1983년 2월 15일: 영흥면 자월출장소가 자월면으로 승격(10면 2출장소) 1989년 1월 1일 영종면·용유면이 인천직할시 중구에 편입(8면 2출장소) 1994년 12월 26일: 대부면이 안산시에 편입(7면 2출장소) 1995년 3월 1일: 경기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어 인천광역시 옹진군이 됨. 1999년 7월 20일: 송림면을 연평면으로 개칭. = = 옹진군의 역대 국회의원 일람 = = 대수 이름 소속정당 임기 선거구역 제4대 유영준(兪英濬) 자유당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옹진군 일원(제25선거구) 제5대민의원 손치호(孫致浩)1960년 12월 13일 선거법 위반으로 인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무소속 당선 무효 옹진군 일원(제25선거구) 제5대민의원 장익현(張翼鉉)1960년 12월 30일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무소속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5월 16일 옹진군 일원(제25선거구) 제6대 옥조남(玉朝南) 민주공화당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일원(제13선거구) 제7대 오학진(吳學鎭) 민주공화당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일원(제13선거구) 제8대 오학진(吳學鎭) 민주공화당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부천군·옹진군 일원(제16선거구) 제9대 이택돈(李宅敦) 신민당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9대 오학진(吳學鎭) 민주공화당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10대 이택돈(李宅敦)1980년 7월 4일 사직하였다. 신민당 1979년 3월 12일 ~ 1980년 7월 4일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10대 윤국노(尹國老) 민주공화당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11대 윤국노(尹國老) 민주정의당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11대 이석용(李奭鎔) 민주한국당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일원(제6선거구) 제12대 이택돈(李宅敦) 신한민주당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안양시·광명시·시흥군· 옹진군 일원(제4선거구) 제12대 윤국노(尹國老)1986년 12월 9일에 사망하였다. 민주정의당 1985년 4월 11일 ~ 1986년 12월 9일 안양시·광명시·시흥군· 옹진군 일원(제4선거구) 제13대 장경우(張慶宇) 민주정의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안산시·옹진군 일원 제14대 장경우(張慶宇)1995년 6월 10일에 경기도지사에 출마하기 위하여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민주자유당 1992년 5월 30일 ~ 1995년 6월 10일 안산시·옹진군 일원 제15대 서정화(徐廷華) 신한국당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중구·동구·옹진군 일원 제16대 서상섭(徐相燮) 한나라당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중구·동구·옹진군 일원 제17대 한광원(韓光元) 열린우리당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중구·동구·옹진군 일원 제18대 박상은(朴商銀) 한나라당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중구·동구·옹진군 일원 제19대 박상은(朴商銀)2015년 12월 24일에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과 벌금 300만원, 추징금 2억 4100만원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새누리당 2012년 5월 30일 ~ 2015년 12월 24일 중구·동구·옹진군 일원 제20대 안상수(安相洙) 무소속→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중구·동구·옹진군·강화군 일원 제21대 배준영(裵俊英) 미래통합당 2020년 5월 30일 ~ 중구·강화군·옹진군 일원 = 제2포병여단 = = BAND-MAID = BAND-MAID는 일본의 5인조 록밴드이다. 플래티넘 패스포트소속이며 레이블은 포니 캐년이다. 시부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이드복을 입고 라이브를 하는 게 컨셉이다. 라이브를 "서빙", 팬을 "주인님", "아가씨"라고 부르는 특징이 있는 트윈 보컬, 트윈 기타 (리드 기타 & 리듬 기타), 더블 베이스 드럼 록 밴드다. BAND-MAID는 2021년 넷플릭스 영화 '케이트'에 카메오로 출연하여 콘서트 장면에서 직접 연기를 펼쳤다. 이 영화에서 그들의 노래 'Blooming'과 'Choose Me'가 사용되었다. = = 구성원 = = 코바토 미쿠(小鳩 ミク) - 1991년생. 리듬 기타 & 보컬 토노 카나미(遠乃 歌波) - 리드 기타 히로세 아카네(廣瀬 茜) - 드럼 미사(ミサ,MISA) - 베이스 아츠미 사이키(厚見 彩姫) - 1994년생. 리드 보컬 = = 디스코그라피 = = = = = 정규 앨범 = = = 2014년 - Maid in Japan 2015년 - New Beginning 2016년 - Brand New Maid 2017년 - Just Bring It 2018년 - World Domination 2019년 - Conqueror 2021년 - Unseen World = 틀:올림픽 탁구 남자 단체 금메달리스트 = = 틀:나치 해군 계급장/설명문서 = 이 틀은 독일 국방군 해군 계급을 계급장 그림과 함께 계급 명칭을 표기합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안의 계급 항목에서 군인이 마지막으로 해당되었던 계급을 표기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__TOC__ = = 사용법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수병 }}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수병장 }}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조타중사 }}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갑판상사 }}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대령}}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제독 }} *: → {{나치 해군 계급장 |계급=원수 }} *: → = = 인수 = = 인수 목록 인수 지정 내용 기본값 설명 계급 없음 표기할 계급 Τ분류:군사 계급 틀분류:독일의 군사에 관한 틀 = 크세니아 굿윈 = 크세니아 굿윈(Xenia Goodwin, 1994년 2월 7일 ~ )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댄서이다. = = 출연 작품 = = 댄스 아카데미 시즌3 (2013) 댄스 아카데미 시즌2 (2012) 댄스 아카데미 시즌1 (2010) = 하동 정씨 = 하동 정씨(河東鄭氏)는 경상남도 하동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관향이다. = = 역사 = = 하동 정씨는 본관은 같지만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이 있다. 밀직공 국룡파(密直公 國龍派) : 평장사에 오른 정도정(鄭道正)을 시조로 한다. 그 후 후손의 기록이 없어 고려 때 문하시중을 지낸 후손 정석숭(鄭碩崇)을 1세조로 하고, 10세 정인지(鄭麟趾), 12세 정여창(鄭汝昌)으로 이어져 왔다. 정승공 응파(政丞公 膺派) :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도첨의 좌정승(都僉議左政丞)등을 지낸 정응(鄭膺)을 시조로 하고 6세 정희(鄭熙), 7세 정초(鄭招), 8세 정수충(鄭守忠), 9세 정세(鄭稅)로 이어져왔다. 지부사공 손위파(知部事公 遜位派) : 시조 정손위(鄭遜位)는 고려 숙종 때부터 명종 등 5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여 정헌대부(正憲大夫), 지례부사(知禮部事), 응양대장군(膺揚大將軍),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하동백에 봉해졌다. = = 인물 = = 정희(鄭熙) : 號 默隱, 포은 정몽주의 제자, 고려 우왕 진사시, 동년 문과 급제고려 진현관 직제학, 두문동 72현중 9정신, 광주 화담사, 장성 경현사, 화순 예산사 배향하였다. 정초(鄭招, ? ~ 1434년 ) : 1405년(태종 5) 문과에 급제하고, 1407년 중시에 합격하여 이조판서 공조판서, 함길도관찰사, 예문관 집현전 대제학을 지냈고 경술년 농사직설 찬진, 역법, 회례문무악장, 삼강행실도 . 시호는 문경(文景), 광주 화담사, 괴산 문경사 배향하였다. 정인지(鄭麟趾, 1396년 ~ 1478년) :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주도한 계유정변의 성공과 함께 좌의정에 발탁되고,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록되면서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정수충(鄭守忠, 1401년 ~ 1469년 ) : 博通經史로 영응대군 사부, 1450년(문종 1)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 사예, 하원군, 조선 최초의 14인의 봉조하중 한 분이며 의정부 좌찬성을지냈다. 시호는 문절(文節) 황해도 금천 영당, 청주 옥산 문절영당, 영동 청절사, 광주 화담사, 화순 예산사 배향하였다.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 정인지의 아들. 1455년(세조 1) 세조의 딸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하여 하성위(河城尉)에 봉해졌다. 1458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1468년 익대공신(翊戴功臣) 2등에 책록되고 수록대부 하성군에 봉하여졌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고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시호는 편정(褊玎)이다. 정여창(鄭汝昌, 1450년 ~ 1504년) : 145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495년(연산군 1) 안음현감(安陰縣監)에 임명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 1504년 죽은 뒤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 정적(鄭積, 1447년 ~): 성종 을미 친시 급제, 첨정, 사헌부 장령을 역임하였다. 정세(鄭稅, 1450년 ~): 문절공의 8남으로 성종 을유년에 팔공신 회맹제 참여, 진위장군 충순위 호군 배명,눌재 박상의 婦翁. 정길(鄭佶, 1566년 ~): 號 蘭谷, 명종 병오중 생원시, 죽천 박광전 수제자, 임란 창의, 산양 오현, 유고및 난곡일기, 전남 보성 출생하였다. 정회(鄭繪, 1538년 ~ ): 정유재란시 부옹 병사 선거이를 따라 창의후 보성 정자천에서 순절, 광해군 증 참의 고종 증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정겸(鄭謙, 1619년 ~ ): 號 松菴, 인조때 사마시, 전남 화순 출생하였다. 정운(鄭運, 1543년 ~ 1592년) : 1570년(선조 3) 무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 휘하에서 공을 세우고,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右部將)으로 선봉에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정오도(鄭吾道, 1647년 ~ ): 號 藥圃, 우암 송시열 문인, 숙묘 만언소, 인현왕후 복위및 우율 양현 복설 주청, 철종 증 이조판서겸 오위도총부 도총관, 약포집, 남공철 찬행장,광주 화담사 배향하였다. 정덕필(鄭德필, 1725년 ~ ): 號 醉隱, 병자 사마 일등, 임오 문과 급제, 성균 직강, 이조 좌랑, 사헌부 장령, 경기도사, 돈녕부 도정, 취은 유고 남주헌 찬행장. 정봉수(鄭鳳壽, 1572년 ~ 1645년) :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1634년 전라도병마절도사를 거쳐 부총관 겸 훈련도정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양무(襄武) 정상기(鄭相基, 1678년 ~ 1752년) : 영조 때 지리학자로 임진왜란 때 공헌하였다. 범현대가 정주영(鄭周永, 1915년 ~ 2001년) : 현대그룹 회장,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현대그룹 창업주로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과 경제를 이끌었으며, 국가 경제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쳤다. 아들 정몽구를 이어, 손자 정의선 등에 이어 대대로 자동차 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범현대家로 불리는 거대 유력 재벌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아들 정몽구 회장, 정몽헌 회장, 정몽준 회장, 정의선 회장 등 자손과 친인척들 대부분이 대기업 집단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정몽준 회장은 김동조 제16대 외부부 장관의 영애와 결혼하였으며, 정의선 회장의 영애 정진희는 김덕중 제39대 교육부 장관의 영애와 결혼하였다.) = = 항렬자 = = 도정계(정석숭을 1세로 한다)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口열(烈)口환(煥) 재(在) 口현(鉉) 순(淳) 口채(采)口상(相) 찬(燦)병(炳) 口기(基)口균(均) 회(會)종(鍾) 口영(永)口철(澈) 집(集)주(柱) 口섭(燮)口광(光) 교(敎) 口호(鎬) 口태(泰) = =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 = 회원군(세종 적손자 귀성군의 양자)비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 덕흥대원군(중종의 서자) 정비 하동부대부인(선조의 생모) 도평군(정종의 서자) 사위 정여창 근녕군(태종의 서자) 사위 정석년 정의공주(세종의 차녀) 사위 정광조 의숙공주(세조의 장녀) 부마 정현조 = 틀:1906년 중간 올림픽 육상 = = 지네딘 = 지네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지네딘 지단: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레알 마드리드 감독 지네딘 수알렘: 프랑스의 배우, 영화배우, 텔레비전 배우 = 대방포항 = 대방포항은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삼화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3년 1월 14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통영시장이다. = = 어항 구역 = = 2003년 1월 14일 본 항의 어항구역을 고시하였다.2003년 1월 14일, 통영시 고시, 어촌정주어항 지정ㆍ고시 = = 어항 시설 = = 선착장 2개소 = 3 (스크립트의 음반) = 3는 2012년 9월 7일에 발매된 스크립트의 음반이다. 포노제닉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전자법 = = 스가마촌 = 스가마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스가마촌 (이바라키현)(菅間村) - 이바라키현 쓰쿠바군 스가마촌. 현 쓰쿠바시. 스가마촌 (후쿠시마현)(須釜村) - 후쿠시마현 이시카와군 스가마촌. 현 다마카와촌. = 틀:자치체 면적/교토부 = = 위키백과:한국 위키미디어 협회/협회소개/재정현황 = =재정현황= __NOTOC__ = = 2019년 = = 2019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 =2018년 = = 2018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 =2017년 = = 2017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 =2016년 = = 2016년 운영성과표 = = 2019년 = = 2019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 실적 명세서 = 분류:기원전 1세기 이집트 사람 = = IOJ = IOJ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국제기자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Journalists) 법무연수원(Institute of Justice) = 셰자룽 = 셰자룽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셰자룽(1897년~1966년)은 중국의 지질학자이다. 셰자룽(1999년~)은 홍콩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프로레슬링 단체 = = 임주연 = 임주연(1976년 4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99년 8월 단편 〈어느 비리 공무원의 고백〉으로 만화잡지 issue(이슈)에서 공모전 가작으로 데뷔하였다. 데뷔 이래 issue에서 주로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4년 현재 Pure Crown(퓨어 크라운)을 연재중이다. 만화가 데뷔전 통신매체에서 판타지 소설 서랍 속의 어드벤처를 연재해 출판한 적이 있다. = = 작품 세계 = = 임주연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작품 서로간에 등장인물이 겹치거나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은 'CAST 시리즈'와 Ciel의 경우로, 이 둘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데다 일부 등장인물이 겹치고 있다. 'CAST 시리즈'는 독립된 이야기를 구축하고있지만 후에 Ciel의 프리퀄(prequel)이 되었다. 그 밖에 세계관은 다르지만 동일한 등장인물이 나오는 경우를 나열해 보면, 악마의 신부의 등장인물 '유희'는 소녀교육헌장에 이어 Ciel에서 다시 출연하였다. 소설서랍 속의 어드벤쳐의 등장인물 '키리에'와 '베네딕트'가 Ciel에 등장한다. 또한 Ciel에 '스노우 화이트'와 '크리스티안'이 출연하지만 이는 소녀교육헌장의 '백설희'와 '강무현'과 내용적으로 별 관련이 없다. 이러한 경우는 클램프의 츠바사: RESERVoir CHRoNiCLE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해당작품의 주인공들은 클램프의 다른 작품 카드캡터 사쿠라의 주인공들이기도 하지만 전혀 다른 인물이다. = = 작품 목록 = = = = = 만화 = = = = = = = 단편 = = = = 작품명 연재 출판 특징 〈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1999년 제4회 이슈.화이트 수퍼만화대상 가작수상 〈HOW TO LOVE 파파〉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Over the centuries〉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악의 꽃〉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Fantasy Road〉 issue 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컬러 에스프리 〈겨울의 문〉 issue 애장판악마의 신부 컬러 에스프리, Ciel도터&제뉴어리 파트의 계기가 됨 〈상록수〉 issue 단편집악마의 신부애장판악마의 신부 〈Dreaming Beauty〉 해피2002년 5월호 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8page 땜빵용 단편웹사이트<유리 향기> '공지 & Preview' 〈SANTUARY〉(성역) issue2007년 엔솔로지純愛普 2 issue 순애보 2탄 연작순애보 2는 만화잡지issue의 '순애보' 연작기획 제2탄으로 만화가 7명이 참여하였다. BL 단편만화 모음집이다. 임주연 작가의 작품 〈SANCTUARY(성역)〉이 실려있다. 〈천년도 당신 눈에는〉 issue2010년 4월호 엔솔로지純愛普 4 issue 순애보 4탄 연작순애보 4는 만화잡지issue의 '순애보' 연작기획 제4탄으로 만화가 6명이 참여하였다. '연상연하' 주제의 단편만화 모음집이다. 임주연 작가의 작품 〈천년도 당신 눈에는〉이 실려있다. = = = = 중편 'CAST 시리즈' = = = = 작품명 연재 출판 특징 〈꿈 도마뱀 사냥〉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컬러 에스프리 〈CAST〉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3부작 연재 〈START〉 issue 단편집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애장판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4컷만화 = = = = 장편 = = = = 작품명 연재 출판 특징 악마의 신부 ~사립 그노시스 특수목적고~ issue2000년 12월 15일자 ~ 2001년 8월 15일자 단편집악마의 신부애장판악마의 신부 전17장, 단행본에 에필로그 추가됨 소녀교육헌장 issue2002년 3월 ~ 2004년 전7권 단행본에 한 회 추가됨 Ciel ~The Last Autumn Story~(씨엘) issue2004년 11월 25일자 ~ 2013년 10월호(8월 25일 발행) 전23권 Pure Crown(퓨어 크라운) issue2014년 2월호(2013년 11월 25일 발행) ~ 1권 ~ 연재중, 마법소녀물 = = = 소설 = = = 《서랍 속의 어드벤처》 = = = 기타 = = = 《한국판 뉴타입》몇 년 몇월호 'FANSION BEAT'코너 《임주연의 유저 사용기》 = = 관련 지식 = = 〈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은 'X-File 패러디'로 여주인공 이름 '다이안'은 '다나 스컬리'에서 왔다. 남주인공 이름 '히드'는 눈이 '머리칼에 숨어있다(hide)'는 뜻에서 나왔다. 스캐너 국장님은 이 만화로 탄 상금으로 컴퓨터와 '스캐너'를 살 수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over the centuries〉의 남주인공 이름 '로이'는 만화가 고병규의 작품〈파이팅 브라더〉의 주인공 이름에서 따왔다. '소녀'가 머리에 총을 쏜 직후의 장면은 잔인함을 이유로 콘티 과정에서 잘렸다. 《악마의 신부》의 '우설아'는 '웃어라'에서 나왔다. 《서랍 속의 어드벤처》의 주인공 '석영'의 캐리커쳐가 옛날에 작가 웹페이지에서 《서랍 속의 어드벤처》배너그림으로 공개된 적이 있느나 현재는 해당페이지가 없어졌다. 《Ciel ~The Last Autumn Story~ 》는 일본 만화잡지 《월간 윙스》(月刊ウィングス)에서 초반권이 연재된 적이 있다. 실험적으로 1권 분량을 연재하기로 계약하고 인기가 좋으면 지속하기로 하였는데 현재는 단행본만 출간되고 있다. 유희는 작가가 속한 천주교 교리 '신은 어디에나 계시며', '가장 미천한 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의 반영이며 등장해도 활약하지 않는다고 한다.애장판《악마의 신부》, 2010. 10. 후기 = = 출판 목록 = = 《서랍 속의 어드벤처》 《어느 비리공무원의 고백》 《악마의 신부 ~사립 그노시스 특수목적고~ 》 《소녀교육헌장》 《Ciel ~The Last Autumn Story~ 》(씨엘) 《순애보》 = 분류:발트해의 해협 = = SC 미란델라 = SC 미란델라(Sport Clube de Mirandela)는 포르투갈 북동부(Trás-os-Montes 지역)의 미란델라를 연고로 하는 포르투갈 축구단이다. = 제2보병사단 (대한민국) = 제2보병사단(第二步兵師團, , 별명: 노도부대)은 제3군단 예하에 있었던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이었다. 2019년 12월 6일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2021년 1월 1일 창설된 제2신속대응사단이 제2보병사단의 명맥을 계승하고 있다. = = 역사 = = = = = 초기 = = = 1947년 12월 1일 조선경비대 소속 제2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초대 여단장은 원용덕 대령이었다. 이후 1948년 10월 여수·순천 사건 진압에 투입되었으며 이때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기세가 성난 파도와 같다고 하여 노도(怒濤)부대라는 별칭을 얻었다. 1949년 5월 12일 여단에서 사단으로 승격되어 제2사단이 되었다. 사단 승격 시의 첫 사단장은 유승렬 대령이었다. = = = 6.25 전쟁 = = = 6.25 전쟁이 발발하자 의정부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전선에서 큰 피해를 입고 궤멸되었다. 이후 1950년 11월 17일 서울 성동공업중학교(현 성동공업고등학교, 광희중학교)에서 17연대, 31연대, 32연대를 예하 연대로 하여 사단이 재편성되었다. 이 중 17연대는 부대 재편성에 따라 2사단에 배속되기 전까지 독립연대로 편제되어 있었으며 개전 초기 옹진반도 전투와 청주 전투를 치렀고, 1950년 9월에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유일하게 인천 상륙 작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51년 9월에는 강원도 김화 전선을 담당하였고, 1952년 10월 14일에는 저격능선 전투에 투입되었다. 1953년에는 제1야전군에 배속되었고, 휴전 직전인 6월 말~7월에는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치렀다. = = = 휴전 이후 = = = 1953년 제3군단에 배속되었다. 1959년 8월 28일에 주둔지를 양구로 이동하였고, 이후 해체 시까지 양구 일대에 주둔하였다. 2001년~2003년 사이에는 사단 예하 제32보병연대 3대대가 당시 초창기였던 KCTC의 대항군 부대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때 부대 구성원 중 일부는 이후에도 KCTC에 잔류하여 전문대항군연대(전갈부대)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2015년 6월 25일, 육군본부에서 처음으로 주최한 '중대전투경연대회'에서 2사단 쌍호(17)연대 11중대가 3사단 맹호연대 5중대, 5사단 표범중대 10중대, 27사단 쌍독수리연대 3중대를 물리치고 '육군 최정예 전투중대'의 영광을 거머쥐었다. 2019년, 해체를 앞두고 사단 예하의 제17보병연대가 제12보병사단으로, 제31보병연대가 제21보병사단으로 각각 예속전환되었다. = = = 해체 = = = 제2보병사단은 2019년 12월 6일 해체식을 갖고 공식 해체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1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공중강습을 통한 신속대응부대로서의 역할을 주 임무로 하는 제2신속대응사단이 창설되며 기존 제2보병사단의 부대표지 도안제2신속대응사단의 부대표지는 기존 제2보병사단의 부대표지에서 공중강습 신속대응부대로서의 특성을 강조하는 "AIRBORNE"이 적힌 리본이 상단에 추가된 형태이다.과 상징명칭인 "노도부대"를 계승함에 따라 제2보병사단의 명맥을 잇게 되었다. = = 편성 = = 직할대 공병대대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 화생방지원대 수색대대 "비호" 의무근무대 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 전차중대 본부근무대 방공중대 보충중대 제17보병연대 "쌍호" 2019년 10월 제12보병사단으로 예속전환됨 제1대대 "인천상륙" 제2대대 "화령장" 제3대대 "수도탈환" 제31보병연대 "백호" 2019년 9월 제21보병사단으로 예속전환됨 제1대대 "진격" (신병교육대 임무 수행) 제2대대 "승공" 제3대대 "통일" 제32보병연대 "독수리" 제1대대 "명문" 제2대대 "금성" 제3대대 "철혈" 포병연대 "노도포병" 제18포병대대 "충무" 제62포병대대 "화랑" 제63포병대대 "인헌" 제633포병대대 "무공" = = 기록 = = = = = 계보 = = = 1947년 12월 1일, 제2여단 *: 조선경비대 소속 1949년 5월 12일, 제2보병사단 *: 대한민국 육군 소속 2019년 12월 6일 부대 해체 = = = 참전 = = = 여수·순천 사건, 1948년 10월 태백산지구 공비 토벌 작전, 1949년 9월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 1950년 6월 인천 상륙 작전. 1950년 9월 (제17연대) 북한강 지구 전투, 1951년 5월 금화지구, 저격능선 전투, 1952년 10월~11월 화살머리고지 전투, 1953년 6월~7월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1968년 11월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9월 = 분류:록 음악 영화 = = 분류:내셔널리그 = = 신도환 = 신도환(辛道煥, 1922년 5월 25일~2004년 3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체육인이다. 본관은 영월. 호는 창범(滄帆)이다. 대구에서 태어나 유도 명문학교로 알려진 계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43년엔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과를 나왔다. 체육인으로서 체육 활동에도 힘썼고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1979년), 범태평양유도연맹 회장(1980년), 유도고단자회 회장(1993년), 대한체육회 고문(1993년), 체육인동우회 이사장(1993년)을 역임하였다. 2000년에는 한국의 유도발전에 힘쓴 공로로 유도 10단증(유도 명예 10단)을 받았다. = = 신도환을 연기한 배우 = = 장기용 - 무풍지대(KBS 드라마 1988년) 정상철 - 제4공화국(MBC 드라마 1995년) 김선동 - 야인시대(SBS 드라마 2003년) = = 저서 = = 《천하를 준다 해도》(1991년) = 스카니아 옴니시티 = thumb 스카니아 옴니시티는 스카니아사에서 만들었던 가로로 엔진이 구축된 버스차종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상진운수사가 디젤 엔진형으로 보유했던 차종이기도 하다. = = 스카니아 옴니시티의 변천사 = = 스카니아 옴니시티는 1997년에 처음으로 출시된 시내버스의 용도로 쓰이는 차종으로 스카니아 옴니링크와는 달리 저상버스, 굴절버스 외에 2층버스까지도 있는 차종이다. 1996년에 스카니아사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1997년에 출시된 차종으로서 스웨덴의 캐서린 홀름에 있는 스카니아 공장과 함께 연쇄적으로 생산한 차종이다. 2004년과 2006년에는 카트린 홀름에 있는 공장에서 몇대의 테스트형 차종이 생산되었고 1999년부턴 폴란드의 스워프 스크에 있는 공장에서도 생산이 되었던 차종이다. 2007년에는 2세대가 출시되었으며 5년후인 2012년부터는 스카니아 N-시리즈와 완전통합으로 단종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상진운수사가 디젤 엔진형의 굴절버스를 보유했었다. = = 경쟁 차종 = = 볼보버스 메르세데스-벤츠 MAN SE = 크레씨-서브 = 크레씨-서브 (Cressi-Sub)는 이탈리아에 위치한 해양레저장비 제조업체이다. 에지디오 크레씨 (Egidio Cressi)와 난니 크레씨 (Nanni Cressi) 두 형제에 의해 1946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설립되었으며, 세계 주요 스쿠버다이빙 장비 제조업체로 성장하였다. 스쿠버다이빙 장비 이외에도 스피어피싱, 수영용품 등을 만들기도 한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위치한 인터오션이 딜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스쿠버다이빙과 스노클링 장비를 중심으로 인지도가 높으나, 수영용품은 인지도가 낮다. = = 생산제품 = = 수영용품: 1950년대부터 레크리에이션용과 선수용 수영용품을 생산하여 왔다. 스쿠버다이빙: 세계 주요 스쿠버다이빙 장비 제조업체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다. = 분류:세군다 디비시온 시즌 = = 박삼용 = 박삼용(朴三龍, 1968년 6월 7일 ~ )은 전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자 현 감독으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상무 배구단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 = 개요 = = 서울시청과 고려증권에서 레프트로 활약했으며 고려증권 해체 후 곧바로 은퇴했다. 은퇴 이후 주로 여자 배구 팀의 지도자 생활을 하였다. 여자 프로 배구 GS칼텍스 서울 KIXX와 대전 KGC인삼공사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인삼공사의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끈 후 이성희 수석코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났으며 2012년부터 상무 배구단의 감독직을 맡아 실업 배구 주요 대회 및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서 10번의 우승과 8번의 준우승을 지휘했다. = = 경력 = = 1988 ~ 1994 국가대표 배구 선수 1991 ~ 1998 고려증권 선수 1999 ~ 2001 국가대표 여자대표팀 코치 2000 ~ 2002 LG정유 코치 2003.5 ~ 2006.2 GS칼텍스 감독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여자배구 대표팀 감독 2007 ~ 2012.5 대전 KGC인삼공사 감독 2008 ~ 대한배구협회 이사 2012 ~ 현재 상무 감독 = = 수상경력 = = 2008 프로배구 V-리그 시상식 여자부 페어플레이상 2010 NH농협 V리그 여자부 우수 감독상 2012 NH농협 V리그 여자부 우승 감독상 2014년 삼성화재배 제69회 전국 종별 배구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4 한국 실업 배구 연맹 회장배 종합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5년 제70회 전국 종별 배구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5년 한국 실업 배구 연맹 회장배 종합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5년 경북 문경 세계 군인 체육 대회 우승 제96회 전국 체육 대회 우승 2016년 한국 실업 배구 연맹전 지도자상 2016년 제71회 전국 종별 배구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6년 한국 실업 배구 연맹 회장배 종합 선수권 대회 지도자상 2017년 한국 실업 배구 연맹전 지도자상 = 스투덴체스카야역 (모스크바 지하철) = 스투덴체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필룝스카야 선의 역이다. 키옙스카야 역과 쿠투좁스카야 역 사이에 위치한다. = 분류:나이지리아의 소프트웨어 기업 = = 황금률 = 황금률(黃金律)은 수많은 종교와 도덕, 철학에서 볼 수 있는 원칙의 하나로, '다른 사람이 해 주었으면 하는 행위를 하라'는 윤리 원칙이다. 영어로는 골든룰(Golden Rule)이라고 한다. = = 종교 및 철학 = = = = = 기독교 = = = 기독교에서는 예수가 산상수훈 가운데 보인 기독교의 기본 윤리관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신약성서 마태복음 7장 12절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에게 대접하라"누가복음 6장 31절 또, 레위기 19장 18절에 따르면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라는 표현이 있다. '이웃을 사랑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기독교 윤리의 핵심이며, 근본적인 특징으로 되어 있다. 예수는 하느님의 최대 요구(계명)로서 '신에 대한 사랑'과 함께 '인인애'를 역설하고 있으며, 바울 또한 아무리 많은 율법이 있다 해도 "결국 자기를 사랑하듯이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씀에 귀일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성서가 말하는 인인애는 인류애나 인류평등사상과는 다른 기반 위에 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성서적인 인인애는 하느님의 말씀과 사랑으로 싸여 있고, 지탱되고 있는 질서 속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사랑, 즉 인간이 신에게 사랑을 받는 것은 인간이 착하다든가 혹은 인간의 공적(功績) 때문이 아니라 자기중심적인 존재(죄인)로서 신을 배반한 자임에도 불구하고 신은 인간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성서는 역설하고 있다. '이웃 사람'이란 이와같이 신의 사랑을 자기에게 가져다 주는 자를 말하며, 따라서 '이웃을 자기처럼 사랑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는 '무(無)'와도 같은 자신이 신에게서 사랑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을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서로 상대에 대해서 이러한 사랑의 행위를 교환하는 이웃이 되라는 것이며, 인간의 진지한 인격적 공존(共存) 원리를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 = 유교 = = = 논어에서 공자는 자기가 하고싶은 것이 아니면 다른사람에게 시키지 말라고 말한다.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사서중 하나인 대학에서는 혈구지도(絜矩之道) 라는 말로 표현된다. 所惡於上,毋以使下;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所惡於後,毋以從前;所惡於右,毋以交於左;所惡於左,毋以交於右。此之謂絜矩之道。 = 라시 비하리 보스 = 라쉬 비하리 보스는 인도 제국에 대항한 인도 혁명지도자이다. = 모듈:Location map/data/Spain Province of Salamanca = return { name = 'Province of Salamanca', top = 41.361864, bottom = 40.164399, left = -7.077219, right = -4.992954, image = 'Salamanca-loc.svg' } = 틀:빅 수학/설명문서 = = 분류:미국 공군 = = 1차원 = 1차원(一次元, )은 차원이 1인 것을 가리킨다. = = 폴리토프 = = 1차원의 폴리토프는 선분밖에 없다. 1차원의 초구는 중심을 사이에 반지름만큼 떨어진 두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 = = 1차원에서의 좌표계 = = 잘 알려진 1차원의 좌표계는 수직선과 각이 있다. = Tales of Us = Tales of Us는 2013년에 발매된 골드프랩의 음반이다. = 분류:2023년 양궁 = = DBO = DBO는 다음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 소유자(Database owner): SQL 용어 드래곤 볼 온라인(Dragon Ball Online) Dbo (래퍼): 대한민국의 래퍼 데드 블랙아웃(Dead Blackout): 극장 조명 DBO 에너지(DBO Energy): 브라질의 가스 기업 = 마리어 (헝가리) = 엉주 마리어(, , , , 1371년 ~ 1395년 5월 17일)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여왕(재위: 1382년 9월 10일 ~ 1385년 12월, 1386년 2월 24일 ~ 1395년 5월 17일)이다. 러요시 1세와 그의 아내 에르지베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러요시 1세에겐 딸밖에 없었고, 장녀였던 커털린이 요절하였기 때문에 차녀였던 그녀가 헝가리와 폴란드 왕국의 추정 상속인이 되나, 러요시 1세 사후 폴란드에선 마리어의 동생인 야드비가를 추대하면서, 두 왕국의 동군연합은 해체되어버린다. 카로이 2세는 마리어의 즉위에 반발하여 그에게 한때 왕위를 빼앗기지만, 남편이었던 룩셈부르크의 지그몬드의 지원으로 다시 왕위를 되찾고 그와 공동 통치하게 된다. = 심상규 = 심상규(沈象奎, 1766년 ~ 1838년)는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송(靑松). 초명은 상여(象輿). 자는 가권(可權)·치교(穉敎), 호는 두실(斗室)·이하(彛下)이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순조와 헌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수장 김조순과 절친한 노론 시파(時派) 대신 중 한 명이다. = = 가계 = = 인조 때 형조판서와 예조판서를 지낸 심집(沈諿)의 8대손으로 정조 때 규장각 직제학과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심염조(沈念祖)의 아들이다. = = 생애 = = 1789년(정조 13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교대교, 부교리, 규장각직각을 지내다가 검교직각을 거쳐 승지가 되고, 이후에 이조참의를 지내다가 승지, 이조참의, 사간원대사간을 거쳐 검교직각에 이어 예조참의를 지내고, 비변사제조를 거쳐 승지에 이어 이조참판이 되고 검교직각과 전라도 관찰사를 거쳐 다시 이조참판을 하고 검교직각이 된다. 그러다 홍문관부제학과 비변사유사당상을 거쳐 다시 이조참판이 되고 검교직각을 거쳐 예문관제학에 이어 도승지가 되고, 이후 예조판서와 형조판서, 공조판서에 이어 규장각제학으로 있다가 호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내고, 약방제조를 겸한 뒤 다시 호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내고, 상의원제조를 겸하다 홍문관 대제학, 병조판서, 이조판서, 판의금부사에 이어 좌빈객을 지내고, 병조판서, 호조판서, 판의금부사를 지내다가 동지정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이후 좌빈객을 거쳐 병조판서가 되고, 원임제학에 이어 판의금부사를 다시 하고, 우빈객과 좌빈객을 두루 한 뒤, 원임제학에 이어 판의금부사를 다시 하고, 지중추부사로 전직되었다가 광주부 유수 겸 남한산성 수어사를 거쳐 예책문제술관으로 순조의 신임을 받아, 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내고 평안도 관찰사로 나가 민정을 다스렸다. 이후 우빈객을 하다 대제학을 다시 하고 지문제술관에 이어 좌빈객이 되고, 이후 예조판서를 하다 다시 우빈객이 되고 호조판서를 거쳐 장례도감제조에 이어 호조판서와 공조판서를 했다. 이후 좌빈객과 우빈객을 거쳐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냈다. 1825년 우의정이 되고, 1833년 좌의정을 거쳐, 1834년(순조 34년) 영의정이 되었으며 세손(헌종)의 사부와 호위대장을 겸하였다.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 7월 9일 임신 1번째기사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 8월 10일 임인 2번째기사 그 해에 순조가 승하하고 헌종이 즉위하자, 원상(院相)이 되어 정국을 이끌었다.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 11월 13일 갑술 21번째기사 1835년(헌종 1년) 6월 영의정을 사임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헌종실록 2권, 헌종 1년 6월 10일 무술 2번째기사 이후에 영중추부사가 되었다.헌종실록 4권, 헌종 3년 11월 25일 기해 1번째기사 = = 평가 = = 정조의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상규(象奎)라는 이름과 치교(穉敎)라는 자를 하사받을 정도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순조 때에는 육조판서와 문형(文衡),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두루 역임하였다. 1811년(순조 11년)에는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자 병조판서로서 이를 진압하였다. 대문장가(大文章家), 대장서가(大藏書家)였으며, 북학파(北學派)로서 이용후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정치적으로는 노론 시파(時派)의 거두였다. = =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상징 심상규(沈象奎) = = 영의정 두실상공 심상규는 19세기 경화사족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경화사족(京華士族)이란 서울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문화의 특권을 향유하던 계층을 말한다. 이 경화사족 가운데 안동 김씨(김조순), 풍양 조씨(조만영)등이 세도가문으로 성장하였으며, 김조순의 처가(妻家)가 바로 청송 심문(심택현·심건지·심풍지·심능건·심능악·심의면·심의신·심의복·심경택·심상학·심순택·심이택·심상황)이다. 호가 두실(斗室)인 심상규는 정조의 큰 사랑을 받았으며, 순조 시대를 이끌어간 인물이다. 특히 세도가인 안동 김씨 김조순 등과 더불어 천생오태사(天生五太史)로 불리며 한 시대를 풍미하였다. = = 고종과 심순택의 일화 = = 고종이 심순택을 영의정으로 임명하면서, "경의 선대에 정승을 역임한 이가 많다는데, 과연 몇 사람인가?" 하니, "신의 직파(直派)로는 다섯 번 재상의 고명을 받들었다" 고 했다. 그러자 고종이 "심상규는 경과 가까운 친족인가?" 하고 물으니, "신과 수십 촌이고 심환지(沈煥之)는 신의 증조(심풍지)와 재종형제" 라고 답하였다.「승정원일기」고종 21년 9월 3일 = = 심상규와 김조순 = = 심상규와 김조순은 둘도 없는 절친이었고, 천생오태사(天生五太史)로 불리는 동지였다. 그 관계를 보여주는 서찰 한 통을 보면, 심상규가 중국 연행(燕行) 중에 김조순에게 보낸 편지에, "갈수록 바람은 날카롭고 눈마저 날리는데 / 그대는 나를 생각하고 나는 그대를 생각하네 / 문득 하늘 밖에서 편지통을 만나니 / 옥호산장에서 촛불 심지 자르며 글 읽을 때 같네"<次韻楓皐太史>「斗室存稿」卷1 = = 심희순과 추사 김정희 = = 두실 심상규의 후손으로 두실존고(斗室存稿)를 편찬한 손자 심희순(沈熙淳)은 이조참의를 지냈고, 그는 조부 심상규를 계승하여 추사 김정희와의 관계가 돈독하였다. = = 광주유수 겸 수어사 심상규의 남한산성 경영 = = 광주유수는 한양도성을 지키는 4대 관문으로 그 중요성이 중차대하다. 두실상공은 1년간 재임하면서 집무실인 좌승당(坐勝堂)을 건축하였다. 그리고 여가에 심신을 단련하는 활쏘기 장소로서 이위정(以威亭)을 만들었으며, 반공적(半公的)인 옥천정(玉泉亭)을 조성하여 원근의 인사들이 방문하는 명소가 되었다. = = = 玉泉亭(옥천정) 조성 = = = 19세기 경화사족들은 풍류를 만끽하였다. 경화사족의 한 가운데 심상규와 청송심씨 가문이 있었다. 남한산성 행궁의 종묘 좌전을 돌아 조금 올라가면 두실상공의 옥천정 시가 새겨진 작은 암벽이 우리를 반긴다. <玉川亭 - 歲丁丑(1817)作> 古松奇石閟雲扃 노송 기암 구름 속에 가려 있어 訶護千年賴地靈 지령地靈의 덕으로 천년을 지켰어라 他日欲尋閒夢處 언젠가 한가로운 꿈꿀 곳 찾으려거든 冷肰秋水玉泉亭 가을 물 서늘한 玉泉亭으로 오시게 - 斗室居士題 - 옥천정 일대는 남한산성 행궁 내에 존재했던 관설(官設) 정자터이지만, 이 못지않게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정원 문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이곳은 행궁 후원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심상규에 의해 반공적(半公的)인 정원(semi public garden)으로 조성되고 운영되었는데, 이곳을 찾거나 시를 읊은 명사들이 즐비하다. 옥천정은 남한산성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원 유적이며 반드시 보존되어야 할 중요한 유산이다.노재현 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75쪽 = = = 坐勝堂(좌승당) 건축 = = = 좌승당은 심상규가 지은 집무용 건물이다. 좌승(坐勝)이란 '앉아서도 이긴다'는 의미로 반드시 이길만한 계책을 써서 적을 물리친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또한 좌승당의 서쪽 벽에는 월문(月門)을 뚫어 한층을 올라가면 누(樓)가 되고, 유차산루(有此山樓)라는 편액을 걸었다고 한다. 좌승당 주련(柱聯)의 하나에는 "늘 전진(戰陣)에 있는 것 같이 편안한 와중에도 위급할 때를 잊지 말자(如在戰陣安不忘危)" 라고 썼다. = = = 以威亭(이위정) 조성 = = = 이위정은 심상규가 활을 쏘기 위해 만든 정자이다. 이위(以威)란 '활로써 천하를 위압할 만하지만, 활과 화살이 아닌 인의와 충용으로써도 능히 천하를 위압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이위정기'가 탁본과 함께 「중정남한지(重訂南漢誌)」에 그 내용이 전해지고 있는데, 기문은 심상규가 짓고 글씨는 김정희가 썼다. 당시 심상규가 51세, 김정희가 31세였다. 이위정기 끝부분에, "날마다 인의(仁義)와 충용(忠勇)의 길을 일으킨다면 어찌 천하를 위엄하지 못하겠는가?" 라고 설파하고 있다. = = = 남한산성 심상규 거사비 = = = 두실 심상규는 51세 때 남한산성 광주유수 겸 수어사가 되어 1년 간 재임하였다. 그 기간 동안의 선정이 있었기에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졌다. 거사비는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떠난 관리를 그리워하여 세운 비석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움이 지나쳐 눈물까지 흘린다 하여 '타루비(墮淚碑)' 라고도 하였다. 공덕비나 선정비와 같은 말이다. 비의 전면에는 '留守兼守禦使沈公象奎去思碑'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崇禎紀元後三戊寅二月 日立' 이라고 새겨져 있으니, 1818년 2월에 세웠다는 표식이다. 아마도 이임시기에 맞춰서 세워진 듯하다. = = 천생오태사(天生五太史) 심상규의 업적 = = 김조순, 남공철, 심상규, 이만수, 서영보 이 다섯 명은 순조 시대에 정계를 움직인 핵심 인물들이다. 감히 견제하기 어려운 그들의 권력에 빗대어 천생오태사(天生五太史)라고 불렸다. 1800년 정조가 죽고 순조가 왕위에 오르자 심환지의 벽파가 세력을 잡았지만, 1806년 병인경화(丙寅更化)로 벽파 세력이 제거되자 정조와 협력했던 노론 시파와 소론이 재부상했다. 이때 전면에 나선 것이 바로 정조의 신임을 받았던 천생오태사였다. = = = 국민 교과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를 만들다 = = = 1797년(정조 21년)에 심상규, 이병모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이다. 조선 전기의 통치제도나 문화 전반에 관한 재정비가 활발했던 정조 대에는『오륜행실도』가 새롭게 편찬 간행되었다. = = = 「홍재전서(弘齋全書)」 편찬 = = = 정조가 동궁 시절부터 국왕 재위기간 동안 지은 시문·윤음·교지 및 편저 등을 모아 편집한 문집이다. 1차 편찬은 1799년(정조 23년)에 이루어졌고, 2차 편찬은 1800년 정조가 승하할 때까지 약 반년 간의 저술을 덧붙인 것으로, 1801년 12월에 심상규가 주관하여 184편을 편찬하였다. = = = <건릉지장속편(健陵誌狀續編)> 편찬 = = = 정조 국장 때의 지장을 원편(原編)이라 하고, 이 책을 속편(續編)이라고 한다.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김씨의 지문(誌文)을 심상규가 지었다. = = 가계 = = 할아버지 : 심공헌 - 증 좌찬성 아버지 : 심염조 - 규장각 직제학, 황해도 관찰사, 증 영의정 * 부인 : 연안 이씨 - 판서 이면응의 딸 ** 장남 : 심정우 - 증 비서승(비서원 승지) *** 손자 : 심희순 - 양자, 심연원과 심광세의 후손인 심의필의 아들, 이조참의, 대사성, 증 홍문관 제학 = 렁궉훙 = 렁궉훙(梁國雄, Loeng4 Gwok3hung4, 1956년 3월 27일 ~ )은 홍콩의 좌익 정치가, 민주사회주의자, 마르크스주의자, 반자본주의자, 민주화운동가이자, 사회민주련선과 사오행동당의 당수이다. 그들(중국)이 말하는 사회주의는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와 파시즘을 교모히 미화하는 형태이며, 사회주의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는 중국 공산당이 천안문 사태에 대해 사과하라고 하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 무시하자 머리를 깎고 시위를 하기도 하였다. 우산혁명에도 참가하였다. = Psiphon = Psiphon은 가상사설망(VPN), 시큐어 셸(SSH), 웹 프록시 등 안전한 통신과 난독화 기술을 사용하는 자유-오픈 소스 인터넷 검열 우회 도구이다. Psiphon은 중앙적으로 관리되는 수천 개의 프록시 서버망이며 성능 지향의 단일, 멀티홉 라우팅 아키텍처를 사용한다. 특히 Psiphon은 인터넷의 적으로 간주되는 국가들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코드는 Psiphon사가 개발 및 유지보수하고 있다. = 마이클 핀리 = 마이클 하워드 핀리(, 1973년 3월 6일 ~ )는 미국의 은퇴한 농구 선수이다. 미국 프로 농구팀인 피닉스 선스와 댈러스 매버릭스 등에서 활약했다. =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제18회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는 1964년 일본 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렸다. 육상 = 분류:취소된 게임보이 컬러 게임 = = 1870년 미국 인구 조사 = 1870년 미국 인구 조사는 제9회 미국 인구 조사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이 1870년 6월 1일부터 1871년 8월 23일까지 실시한 조사이다. 1870년 인구 조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구의 상세 정보를 추가한 최초 인구 조사로,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나 노예가 자유를 얻은지 겨우 5년이 지난 시점에 이루어졌다. 총 인구 수는 38,925,598명, 그 중 상주 인구 수는 38,558,371명이며 이는 1860년 대비 22.6%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실제 인구 수가 너무 적게 추산되었다는 다수 주장으로 인해 1870년 인구 조사의 인구 추산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Munroe, James Phinney (1923) A Life of Francis Amasa Walker, Holt, p. 111 Conditions for the work were therefore so adverse that the new superintendent (Walker), with characteristic frankness, repudiated in many instances the results of the Census, denouncing them as false or misleading and pointing out the plain reasons. p. 113 When the appointments of enumerators were made in 1870 the entire lot was taken from the Republican party, and most of those in the South were negroes. Some of the negroes could not read or write, and the enumeration of the Southern population was done very badly. My judgement was that the census of 1870 erred as to the colored population between 350,000 and 400,000 100개의 모든 최대 도시들이 10,000명을 넘어선 최초의 인구 조사이다. = = 주 및 영토별 인구 = = 순위 주 인구 01 뉴욕주 4,382,759 02 펜실베이니아주 3,521,951 03 오하이오주 2,665,260 04 일리노이주 2,539,891 05 미주리주 1,721,295 06 인디애나주 1,680,637 07 매사추세츠주 1,457,351 08 켄터키주 1,321,011 09 테네시주 1,258,520 10 버지니아주 1,225,163 11 아이오와주 1,194,020 12 조지아 1,184,109 13 미시간주 1,184,059 14 노스캐롤라이나주 1,071,361 15 위스콘신주 1,054,670 16 앨라배마주 996,992 17 뉴저지주 906,096 18 미시시피주 827,922 19 텍사스주 818,579 20 메릴랜드주 780,894 21 루이지애나주 726,915 22 사우스캐롤라이나주 705,606 23 메인주 626,915 24 캘리포니아주 560,247 25 코네티컷주 537,454 26 아칸소주 484,471 27 웨스트버지니아주 442,014 28 미네소타주 439,706 29 캔자스주 364,399 30 버몬트주 330,551 31 뉴햄프셔주 318,300 32 로드아일랜드주 217,353 33 플로리다주 187,748 X 컬럼비아 특별구The District of Columbia is not a state but was created with the passage of the :en:Residence Act of 1790. 131,700 34 델라웨어주 125,015 35 네브래스카주 122,993 X 뉴멕시코주 91,874 36 오리건주 90,923 X 유타주 86,336 37 네바다주 42,491 X 콜로라도주 39,864 X 워싱턴주 23,955 X 몬태나주 20,595 X 아이다호주 14,999 X 사우스다코타주 11,776 X 애리조나주 9,658 X 와이오밍주 9,118 X 노스다코타주 2,405 = = 도시별 인구 = = 순위 도시 주 인구 지역 (2016) 01 뉴욕 뉴욕주 942,292 북동부 02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주 674,022 북동부 03 브루클린 뉴욕주 396,099 북동부 04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310,864 중서부 05 시카고 일리노이주 298,977 중서부 06 볼티모어 메릴랜드주 267,354 남부 07 보스턴 매사추세츠주 250,526 북동부 08 신시내티 오하이오주 216,239 중서부 09 뉴올리언스 루이지애나주 191,418 남부 10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 149,473 서부 11 버펄로 (뉴욕주) 뉴욕주 117,714 북동부 12 워싱턴 D.C. 워싱턴 D.C. 109,199 남부 13 뉴어크 (뉴저지주) 뉴저지주 105,059 북동부 14 루이빌 켄터키주 100,753 남부 15 클리블랜드 오하이오주 92,829 중서부 16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주 86,076 북동부 17 저지시티 뉴저지주 82,546 북동부 18 디트로이트 미시간주 79,577 중서부 19 밀워키 위스콘신주 71,440 중서부 20 올버니 (뉴욕주) 뉴욕주 69,422 북동부 21 프로비던스 로드아일랜드주 68,904 북동부 22 로체스터 (뉴욕주) 뉴욕주 62,386 북동부 23 앨러게이니 펜실베이니아주 53,180 북동부 24 리치먼드 (버지니아주) 버지니아주 51,038 남부 25 뉴헤이븐 코네티컷주 50,840 북동부 26 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48,956 남부 27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주 48,244 중서부 28 트로이 (뉴욕주) 뉴욕주 46,465 북동부 29 시러큐스 (뉴욕주) 뉴욕주 43,051 북동부 30 우스터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41,105 북동부 31 로웰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40,928 북동부 32 멤피스 (테네시주) 테네시주 40,226 남부 33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39,634 북동부 34 하트퍼드 (코네티컷주) 코네티컷주 37,180 북동부 35 스크랜턴 (펜실베이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 35,092 북동부 36 레딩 (펜실베이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 33,930 북동부 37 패터슨 (뉴저지주) 뉴저지주 33,579 북동부 38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미주리주 32,260 중서부 39 모빌 (앨라배마주) 앨라배마주 32,034 남부 40 털리도 오하이오주 31,584 중서부 41 포틀랜드 (메인주) 메인주 31,413 북동부 42 콜럼버스 (오하이오주) 오하이오주 31,274 중서부 43 윌밍턴 (델라웨어주) 델라웨어주 30,841 남부 44 데이턴 (오하이오주) 오하이오주 30,473 중서부 45 로렌스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28,921 북동부 46 유티카 (뉴욕주) 뉴욕주 28,804 북동부 47 찰스타운 매사추세츠주 28,323 북동부 48 서배너 조지아주 28,235 남부 49 린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28,233 북동부 50 폴리버 매사추세츠주 26,766 북동부 51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26,703 북동부 52 내슈빌 테네시주 25,865 남부 53 커빙턴 (켄터키주) 켄터키주 24,505 남부 54 세일럼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24,117 북동부 55 퀸시 (일리노이주) 일리노이주 24,052 중서부 56 맨체스터 (뉴햄프셔주) 뉴햄프셔주 23,536 북동부 57 해리스버그 펜실베이니아주 23,104 북동부 58 트렌턴 (뉴저지주) 뉴저지주 22,874 북동부 59 피오리아 (일리노이주) 일리노이주 22,849 중서부 60 에번즈빌 인디애나주 21,830 중서부 61 애틀랜타 조지아주 21,789 남부 62 뉴베드퍼드 매사추세츠주 21,320 북동부 63 오스위고 (뉴욕주) 뉴욕주 20,910 북동부 64 엘리자베스 (뉴저지주) 뉴저지주 20,832 북동부 65 노스프로비던스 로드아일랜드주 20,495 북동부 66 호보컨 (뉴저지주) 뉴저지주 20,297 북동부 67 랭커스터 (펜실베이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 20,233 북동부 68 포킵시 뉴욕주 20,080 북동부 69 캠던 (뉴저지주) 뉴저지주 20,045 북동부 70 대븐포트 (아이오와주) 아이오와주 20,038 중서부 71 세인트폴 (미네소타주) 미네소타주 20,030 중서부 72 이리 (펜실베이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 19,646 북동부 73 세인트조지프 (미주리주) 미주리주 19,565 중서부 74 휠링 (웨스트버지니아주) 웨스트버지니아주 19,280 남부 75 노퍽 (버지니아주) 버지니아주 19,229 남부 76 브리지포트 코네티컷주 18,969 북동부 77 피터스버그 (버지니아주) 버지니아주 18,950 남부 78 톤턴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18,629 북동부 79 첼시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 18,547 북동부 80 더뷰크 아이오와주 18,434 중서부 81 뱅고어 (메인주) 메인주 18,289 북동부 82 레번워스 (캔자스주) 캔자스주 17,873 중서부 83 포트웨인 인디애나주 17,718 중서부 84 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일리노이주 17,364 중서부 85 오번 (뉴욕주) 뉴욕주 17,225 북동부 86 뉴버그 뉴욕주 17,014 북동부 87 노리치 (코네티컷주) 코네티컷주 16,653 북동부 88 그랜드래피즈 미시간주 16,507 중서부 89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16,283 서부 90 테레호테 인디애나주 16,103 중서부 91 오마하 네브래스카주 16,083 중서부 92 윌리엄스포트 펜실베이니아주 16,030 북동부 93 엘마이라 뉴욕주 15,863 북동부 94 뉴올바니 인디애나주 15,396 중서부 95 오거스타 (조지아주) 조지아주 15,389 남부 95 글로스터 매사추세츠주 15,389 북동부 97 코호스 뉴욕주 15,357 북동부 98 뉴포트 켄터키주 15,087 남부 99 뉴브런즈윅 (뉴저지주) 뉴저지주 15,058 북동부 100 벌링턴 아이오와주 14,930 중서부 = 랫클리프 (아칸소주) = 랫클리프(Ratcliff)는 미국 아칸소주 로건군의 도시이다. 2010년 인구조사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202명이다. = 분류:후난성을 배경으로 한 작품 = = 리트임인크라이스 = 리트임인크라이스는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6.77km2, 높이는 433m, 인구는 11,381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1,700명/km2이다. 린츠에서 서쪽으로 약 70km, 잘츠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6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빌리자우역 = 빌리자우역은 스위스 루체른주에 있는 빌리자우 지자체에 있는 기차역이다. BLS AG의 표준궤 후트빌-볼후젠선의 중간 정류장이다. = 휴먼 커넥톰 프로젝트 = 휴먼 커넥톰 프로젝트(Human Connectome Project)는 사람의 커넥톰을 연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2018년 11월 16일에 공식적으로 완전히 종료되었다. 성과 중 하나로는 남성은 좌뇌와 우뇌가 독립적으로 강하게 발달한 반면 여성은 좌우를 연결하는 신경망이 강하게 발달되어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남자는 멀티태스킹에 약하고, 여자는 지도를 잘 보지 못한다는 사회적인 통념에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분류:아키타현의 시정촌별 건축물 = = 라켈 소피아 = 라켈 소피아(Raquel Sofía)는 푸에르토리코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도장 (백제) = 도장(道藏: fl. 7세기)은 백제(기원전 18년 ~ 기원후 660년) 말기의 학승(學僧)이다.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도장,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7세기경 박학영통(博學靈通)의 고승으로 관광차 일본에 건너갔다가 그 곳에 머물면서 성실론소(成實論疏) 16권을 찬술하여 일본 성실종을 성립시켰다. = 분류:카메룬의 스포츠 클럽 = = 분류:김해서중학교 동문 = = 1936년 동계 올림픽 밀리터리 패트롤 = 1936년 동계 올림픽의 밀리터리 패트롤은 1936년 2월 14일에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경기가 비공식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 참가 국가 = = * * * * * * * * * = = 결과 = = 순위 팀 기록 (엔리코 실베스트리, 루이지 페렌니, 스테파노 세르토렐리, 시스토 실리고) 2:28:35.0 (에이노 쿠바야, 올리 레메스, 칼레 아란톨라, 올리 후투넨) 2:28:49.0 (군나르 볼베리, 세트 올로프손, 요한 비크스텐, 욘 베스트베리) 2:35:24.0 4 (알베르트 바흐, 에드윈 하르트만, 프란츠 히르만, 오이겐 추르첸탈러) 2:36:19.0 5 (헤르버트 로이폴드, 요한 히블레, 헤르만 로흐뷜러, 미카엘 키르흐만) 2:36:24.0 6 (자크 파우르, 마르첼 꼬앙도, 외제너 시부에, 장 모랑) 2:40:55.0 7 (아놀드 케흐, 요제프 야우흐, 에두아르드 바제르, 요제프 린도우어) 2:43:39.0 8 (카렐 슈테이너, 요세프 마테아스코, 보후슬라프 무실, 보후밀 코소우르) 2:50:08.8 9 (붜디솨프 지트코비치, 얀 피디흐, 요제프 주베크, 아담 제프카) 2:52:27.0 = = 참조 = = 올림픽 공식 리포트 밀리터리 패트롤 * = 쿠스쿠스 (삽화가) = 쿠스쿠스는 일본의 게임 원작가로, 2007년 현재 일본의 성인용 게임 회사인 파렛트에 소속되어 있다. 전직 애니메이터 출신인 그는 레이트블랙에서 작품 1편, 라이트에서 작품 2편을, 파렛트에서 작품 3편을 맡았다. = = 담당 작품 = = Rateblack 콰이어 light 술탄 ~ 더 러브송 이스 포에버 디어 마이 프렌드 파렛트 만약 내일이 맑다면 사쿠라 슈트랏세 사쿠란보 슈트랏세 = 분류:1982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 하이-엠솔루텍 = 하이-엠솔루텍은 전자제품 기술 서비스를 주 사업으로 하는 LG전자의 계열사이다. = = 연혁 = = 2006년 시스템에어컨 엔지니어링(주) 설립 2008년 LG그룹 계열사로 편입 2010년 하이-엠솔루텍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 주요 사업 = = 시스템 에어컨 등 냉난방 공조제품에 대한 서비스 및 유지보수 제공 정수기, 공기청정기, 안마의자 등 엘지전자 렌탈/케어제품의 유지관리 제공 = 알렉세이 부덜린 = 알렉세이 부덜린(, , 1976년 4월 5일~)은 에스토니아의 유도 선수이다. 2000년 하계 올림픽 남자 하프 미들급에서 포르투갈의 누노 델카도와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박정현 (태권도인) = 박정현(朴禎賢, 1969년 ~ , 일본 오사카 출생)은 무도인, 태권도 사범으로, 국제태권도연맹(ITF) 7단사현,국제사범,국제심판원(A급),ITF경기위원이며,아시아태권도연맹(ATF) EB맴버,일본국제태권도협회(ITF-JAPAN) 이사, 태권도화랑박무관 대표이다.또한 무도무예를 연구발전시키는 문화기관인 태산무예연구소소장,박동양무도학원원장,한일전통무에인교류회사무국장이다. = = 경력 = = = = = 선수 = = = 1990년, 제1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54kg급 준우승 1991년, 제2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54kg급 우승,1단틀 우승,최우수선수상(MVP) 1992년, 제3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54kg급 우승,1단틀 우승 1993년, 제4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54kg급 준우승,2단틀 우승 1994년, 제5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63kg급 우승(세계선수권 보유자 황수일선수와 결승전대결) 1995년, 제6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63kg급 준우승 1996년, 제7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80kg급 3위 1997년, 제8회 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 맞서기 -71kg급 준우승 1990년, 제7회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캐나다 몬트리올) 맞서기-54kg급 출장 1992년, 제8회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조선 평양) 맞서기-54kg급 8위 1994년, 제9회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말레이시아 쿠아라룸풀)맞서기-63kg급 출장 1997년, 제10회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단체맞서기 출장 1999년, 제11회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단체틀 준우승 2010년, 제4회 ITF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베라루시 민스크)6단틀 준우승 2012년, 제5회 ITF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스토니아 타린)맞서기-64kg급우승,6단틀 준우승, 단체틀 우승 2014년, 제6회 ITF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타지키스탄 드샹베)맞서기-64kg급준우승,6단틀 우승, 단체틀 준우승,단체위력3위 *2016년, 제7회 ITF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이탈리아 안드리아)6단틀 우승, 단체틀 우승 *2018년, 제8회 ITF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이탈리아 안드리아)6단틀 우승(3연패), 단체틀 우승,단체맞서기3위,최우수선수상(MVP) = = = 심판 = = = *2018년 4월, ITF제9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몽골,우란바토르 20개국참가)주심(결승전주심) *2016년 3월, ITF제8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카자흐스탄,알마타 20개국참가)주심(결승전주심) *2014년 4월, ITF제7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네팔,25개국참가)주심(결승전주심) 2012년 4월, ITF제6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타지키스탄,19개국참가)주심(결승전주심) 2011년 9월, ITF제17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평양,83개국참가)대회경기위원회위원,심판원(결승전주심) 2010년 4월, ITF제5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16개국참가)심판원(결승전주심) 2009년 10월, ITF제16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러시아,80개국참가)대회경기위원회위원,심판원(결승전주심) 2008년 8월, ITF제1회전한국태권도선수권대회(대구시,5개국참가)대회경기위원회위원,심판원(결승전주심) 2008년 4월, ITF제4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카자흐스탄,15개국참가)심판원(결승전주심) 2008년 9월, ITF제8회세계청소년태권도선수권대회/제3회베테란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우즈베키스탄,60개국참가)심판원(결승전주심) 2007년 10월,국제친선 제2회ITF중국태권도선수권대회(중국북경시,5개국참가)대회경기위원회위원,심판원(결승전주심) 2007년 4월, ITF제15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슬로베니아,75개국참가)심판원(결승전주심) 2006년 7월, ITF제7회세계청소년태권도선수권대회/제2회베테란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불가리아)심판원(주심,부심) 2005년 7월, ITF제14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오스트레일리아,55개국참가)심판원(결승전주심) 2003년 11월, 최홍희장군메모리알컵ITF태권도선수권대회(캐나다 오타와시)심판원(주심,부심) 2003년 7월, ITF제13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그리스)심판원(주심,부심) 2002년 4월, ITF제2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몽골,9개국참가)심판원 2001년 7월, ITF제12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이탈리아)심판원(주심,부심) 2000년 10월, ITF제1회아시아태권도선수권대회(도쿄,14개국참가)대회경기위원회위원,심판원 = = = 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 = = 2008년10월,제1회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사무국장으로 활약.서울에서 한국의 한국전통무예총연맹(총제설적운)9개의 단체(택견,선무도,24반무예,한무도,기천문,회전무술,풍류선도,무의단공(특공무술),영가무도)와 일본무도친선사절단(단장이와모또 아끼요시,쇼도깐가라데・게이오대학가라데초대감독)과의 무예,무도를 통한 한국과 일본의 역사상 첫 무도교류회를 추진하였다. 2010년11월, 제2회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사무총장.일본의 사이다마현 고마신사와 도교게이오대학에서 진행되었다. 한국에서 택견,24반무예가 참가.일본에서 가라데,아이끼도,ITF태권도가 참가하였다. 2014년6월,제3회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일본측 사무총장으로 활약.서울에서 한국의 한국전통무예총연맹(총제박사규)10개의 단체(택견,선무도,24반무예,한무도,기천문,회전무술,풍류선도,무의단공(특공무술),영가무도,합기선)와 일본무도친선사절단(단장이와모또 아끼요시,쇼도깐가라데・게이오대학가라데초대감독)과의 무예,무도를 통한 한국과 일본의 무도교류회를 서울 여의도국회회관과 충북충주 택견전수관에서 추진. *2016년6월,제4회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일본측 사무총장으로 활약.한국에서 한국전통무예총연맹(총제 박사규)10개의 단체(택견,선무도,24반무예,한무도,기천문,회전무술,풍류도,무의단공(특공무술),영가무도,합기선)와 일본무도단(단장이와모또 아끼요시,쇼도깐가라데・게이오대학가라데초대감독)과의 무예,무도를 통한 한국과 일본의 무도교류회를 일본사이다마에서 진행.고마군건군1,300년기념행사에참가. *2018년10월,제5회한일전통무예인교류회 일본측 사무총장으로 활약.경주에서 한국의 한국전통무예총연맹(총제 정경화)7개의 단체(택견,선무도,24반무예,한무도,기천문,무의단공(특공무술),,합기선)와 일본무도친선사절단(단장 와다 고우지,쇼도깐가라데・게이오대학가라데)과의 무예,무도를 통한 한국과 일본의 무도교류회를 경주 골굴사에서 추진. = = = 특별회원(연예인) = = = 2007년 9월, 일본의 유명싱어송라이터,배우인 각트(GACKT)씨에게 정통태권도의 진수를 전수.현재 태권도2단으로서 수련을 계속하고 있다. 2008년 2월, 일본의 댕스배우인 마-크(MARK)씨에게 정통태권도의 진수를 전수. 현재 태권도1단으로서 수련을 계속하고 있다. 2010년 5월, 일본의 배우인 이노우애 마사히로(井上正大)씨에게 정통태권도의 진수를 전수.이노우애씨는 2013년 가을에 일본전국에서 방송된 영화"태권도 다마시이(テコンドー魂)"에 주역으로 출연하였다. 현재 태권도1단으로서 수련을 계속하고 있다. = = = 강사활동 = = = 2014년 10월, 경민대학교 태권도외교과에서 특별강연 진행. `21세기의 무도인을 지향하여` 2014년 1월, 일본 와세다대학문학부에서 특별강연 진행. `한국문화와 무도태권도`20세기 역사와 문화의 흐름속에 태여난 태권도의 정신속에 사랑하는 사람,가족을 지키는 정의의 정신이 깃들어있음을 설명. = = 수상 = = 2019년, 일본 사이다마현 도다시 스포츠상(장려상) 수상 *2018년, 제8회 ITF 베테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최우수선수상(MVP) *2017년, 미국의무도잡지Taekwon-Do TIMES (January.2011)에서'Masters of The Year2017'수상 *2014년, 국제태권도연맹(ITF)제24회총회(다지키스탄)에서 훌륭한사범Outstanding Instructer medal(6th August2014)수상 2010년, 미국의무도잡지Taekwon-Do TIMES (January.2011)에서'Masters of The Year2010'수상 2009년, ITF제16회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최우수심판원 'THE BEST UMPIRE OF THE TOURNAMENT'수상 1991년, ITF-JAPAN제2회전일본태권도선수권대회(도쿄)에서 최우수선수상(MVP) 수상 = = 출연 = = 1995년, 《サムライ・華麗なるテコンドー!》, CS 1996년, 《SRS・スペシャルリングサイド》, 후지테레비 1997년, 《スーパージョッキー・ガンバルマン》, 니혼테레비 1997년, 《入門サムライ道場》, CS 2008년 6월, 《おはスタ!ワンダフルスポーツ》, 테레비도쿄 2012년 7월, 《先輩ROCK YOU 心ゆさぶれ!》, 니혼테레비 = = 서적、DVD = = 1993년, 《跳ぶ,打つ,蹴る,テコンドー》, 후쿠쇼도 2001년, 《テコンドー》, 후쿠쇼도 2003년, 《テコンドーバイブル》, 후쿠쇼도 2007년, 《型を身につけるテコンドー》, 후쿠쇼도 2012년, 《SUKKARA,スッカラ》 VOL.75, 2012년 5월호, 〈Korean Links〉 Vol.50 2014년, 《月刊空手道》 VOL.534, 2014년 10월호, 후쿠쇼도,"ITF태권도 화랑박무관창립15주년기념 무도교류회2014" *2017년, "박정현 ITF태권도 입문 VOL.1,2 QUEST = 틀:철도 노선/시작 = = 분류:스페인의 포도주 = = 다치바나 다네하루 = 다치바나 다네하루(, 1812년 1월 19일 ~ 1849년 3월 6일)는 시모테도번의 2대 번주이다. 어릴적 이름은 소노조이며, 관위는 종5위하, 슈젠노카미이다. 시모테도번의 초대 번주 다치바나 다네요시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832년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이듬해 그 뒤를 이어 번주가 되었다. 재임기에 덴포 대기근이 발생하여 번이 큰 피해를 입자 구제에 힘썼다. 1849년,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아들이 없어 양자인 다치바나 다네유키가 가문을 계승했다. = 라셀레스 자작 알렉산더 라셀레스 = 라셀레스 자작 알렉산더 에드거 라셀레스(Alexander Edgar Lascelles, Viscount Lascelles)는 영국의 세습귀족(Hereditary peer)이다. 제8대 헤어우드 백작 데이비드 라셀레스와 헤어우드의 라셀레스 자작 시절의 첫째 부인인 라셀레스 자작부인 마거릿 라셀레스(Margaret Lascelles, Viscountess Lascelles)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현재 헤어우드 백작위 차기계승자이자 영국의 왕위 계승 순위 64위이다. 웨일스 공 윌리엄과는 10촌간이다. = IK 스타르트 = IK 스타르트(IK Start)는 1905년 9월 19일에 창단된 노르웨이 크리스티안산의 축구 클럽이다. = = 성적 = = 티펠리겐 우승 2회 (1978, 1980) 준우승 1회 (2005) 아데콜리겐 우승 1회 (2004) 3위 플레이오프 우승 1회 (1999)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헨리크 롭스타(2016 ~ ) 톰 스트란네가르드(2022 ~ ) = = = 역대 = = = 비토 보름구르(2022 ~ 2024) = 요아킴 안데르센 = 요아킴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1996년 5월 31일 ~ )는 덴마크의 축구 선수이며, 크리스털 팰리스에서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 = 분류:3강 틀 = = 분류: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정치 운동 =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인도인 = = 올가 브리즈기나 = 올가 아르카디예브나 브리즈기나(, , 1963년 6월 30일 ~ )는 소련의 전직 단거리달리기 선수이며, 나중에 우크라이나를 대표하였다. 페름 지방의 크라스노캄스크에서 태어난 브리기나는 보로실로브그라드의 디나모에서 훈련하였다. 400m 경주와 1600m 릴레이에 나가면서 그녀는 3개의 금메달과 1개의 은메달을 획득한 성공적인 올림픽 선수였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 팀은 3분 15.17초의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2012년 현재로 아직도 깨지지 않았다. 서울 올림픽 1600m 릴레이에서 브리즈기나는 성공적으로 플로렌스 그리피스조이너를 꺾었다. 양선수는 최종 주자로 달리면서 동시에 배턴을 이어받았다. 그리피스조이너는 브리즈기나를 가까이 따라 잡는 데 좋은 속도를 달리고나서 300m 지점에 그녀를 도전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브리즈기나가 그리피스조이너를 4m 차이로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그녀의 주자로서 44.7초 기록은 여성의 육상 역사상 가장 빨리 달린 최종 주자들 중의 하나로 여겨졌다. 브리즈기나의 400m 개인 전력 48.27초는 400m 경주에서 스포츠 사상 여성의 4번째로 최고의 결과였다. 그녀는 1985년 10월 6일 캔버라의 브루스 경기장에서 마리타 코흐가 세운 현재의 400m 세계 기록 47.60초에 이 성과를 거두었다. = 분류:1964년 노래 = = 박보영 (법조인) = 박보영(朴保泳, 1961년 3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대한민국 헌정상 세번째 여성 대법관이었다. = = 학력 = = 순천남초등학교 졸업 (1973년) 순천여자중학교 졸업 (1976년) 전주여자고등학교 졸업 (1979년) 한양대학교 법학과 졸업 (1984년)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1년수료 (1985년) = = 경력 =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여수시법원 원로판사 (2018.9 ~ ) 대법원 대법관 (2012.1. ~ 2018.1) 한국여성변호사회 회장 법원행정처 행정심판위원 여성가족부 남녀차별개선위원회 비상임위원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 서울가정법원 부장판사 (2003.2. ~ 2004.2.)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2002.2. ~ 2003.2.) 서울가정법원 단독판사 (2001.2. ~ 2002.2.)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9.2. ~ 2001.2.) 서울가정법원 배석판사 (1998.2. ~ 1999.2.) 서울지방법원 판사 (1996 ~ 1998.2)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 (1994 ~ 1996)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판사 (1992 ~ 1994) 서울민사지법 판사 (1990 ~ 1992) 서울가정법원 판사 (1989 ~ 1990) 수원지방법원 판사 (1987 ~ 1989) = = 생애 = = = = =사법시험 합격(1984년), 사법연수원 수료(1987) = = = 대학 재학 중 사법시험에 도전하여, 한양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던 해인 1984년 제26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이후 1985년 사법연수원에 제 16기로 들어가서 1987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 = =평판사 및 부장판사 시절(1987~2004.2) = = = 1987년 수원지방법원 판사에 취임하였고, 이후 서울가정법원 판사, 서울민사지법 판사,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판사,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 서울지방법원 판사, 서울고등법원 판사,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가정법원 부장판사를 거쳤다. 1988년 수원지법 근무당시 2차 사법파동에서 사법부 개편에 대한 성명서에 서명하기도 했다. 1996년에는 서울지법 민사단독판사로 일하며 경찰의 즉심 피의자에 대한 불법 구금에 제동을 거는 판결을 했다.동아일보 1996.06.28 37면 "즉심 피해자 구금 국가서 배상" 1999년에는 ‘재산분할 실태조사’ 논문을 발표해 전업주부에 대한 재산분할 비율이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을 지적해 법원의 부당한 재판 관행을 바꿔놨다.<<경향신문>> 세번째 여성대법관 후보 박보영의 삶 = = =변호사 활동 및 다양한 공익 활동(2004.2~2011) = = = 중소기업을 운영하던 남편의 사업이 어려워지자 박보영은 18년의 법관 생활을 끝내고, 변호사로 개업하였다.변호사가 된 뒤에는 여성부 남녀차별개선위원회 비상임위원, 법원행정처 행정심판위원,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 등 활발한 공익활동을 해왔다. 그리고 한국여성변호사회 회장을 맡아 다문화가정과 성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사업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변호사로 활동시 형편이 어려운 사람이 사건을 들고 오면 소장을 써주고는 돈을 받지 않고 보내기도 하였다. 또한 사무실에 가족치료사를 고용해 이혼소송 의뢰인에게 치료상담부터 받게 하였다.<<경향신문>> 세번째 여성대법관 후보 박보영의 삶]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가사분쟁에 힘을 쏟아 국내에서 손꼽히는 가사사건 전문가로 불렸으며, 이혼사건 의뢰인에게 치료 상담을 받게 하는 등 이혼제도 개선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동아일보 = = =대법관(2012.1~2018.1) = = = 양승태 대법원장이 박보영을 대법관 후보자로 대통령에게 임명제청하였고<<연합뉴스>> 새 대법관에 김용덕·박보영 임명 제청, 국회의 임명동의 절차를 거쳐국회, 김용덕·박보영 대법관 임명동의안 처리 2012년 1월 2일 대한민국의 대법관에 취임하였다.김용덕·박보영 대법관 취임…"약자·소수자 권리 보호" 이후 6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2018년 1월 1일에 퇴임하였다. (퇴임식은 이보다 앞선 2017년 12월 29일) = = =퇴임 대법관 출신 최초 원로판사 재임용(2018.9) = = = 대법원은 박보영 전 대법관을 9월 1일자로 법관에 임용하고 원로법관으로 지명했다. 박보영 전 대법관은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여수시법원 판사로서 1심 소액사건을 담당할 예정이다. = = =결혼과 이혼 = = = 박보영은 한양대 법학과 재학 중 같은 학과 학생이던 (전) 남편을 만나 연애했고, 이후 결혼까지 하였다. 부부의 금슬은 더할나위 없이 좋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남편은 속세에 대한 관심이 없어지기 시작했다. 결국 남편은 출가를 결심하고서 박보영에게 이혼 동의서에 서명을 부탁하였는데, 박보영은 말 없이 도장을 찍어줄 수밖에 없었다. 박보영은 이혼 후 혼자 세 아이들을 양육하였다. 평소에도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해 가지고 있던 '나쁜 엄마'란 정신적 부채는 이 일로 훨씬 더 무거워졌다. 이 때문에 박보영은 대법관 인사청문회와 관련된 검증동의서 작성을 주저하였다. 검증 과정에서 남편 얘기가 나오면 아직 나이 어린 막내아들에게 마음의 상처가 될 것 같아서였다.<<매일경제>> 김용덕·박보영 신임 대법관 후보자 2인은 누구 = = 수훈·수상 = =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 (2017) 자랑스러운 한양인상자랑스러운 한양인 박보영대법관등 5명 선정 = = 논문 = = 재산분할 실태조사 (1999년) = 관성 질량 = 역학에서 관성 질량(慣性質量, )은 물체의 고유한 성질 중 하나로, 물체에 힘이 주어지면 주어진 힘의 크기와 그 힘에 의한 물체의 가속도의 비다. 실험적으로, 주어진 힘의 종류와 방향에 무관하게 관성 질량은 일정하다. 물리학에서 질량을 두가지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관성 질량과 중력 질량이다. 실험적으로, 관성 질량과 중력 질량은 그 크기가 같다. 이들이 크기가 같은 이유는 일반상대론으로 설명한다. 물체에 힘을 가하면 속도가 변화된다. 속도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가속도와 주어진 힘 사이에는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비례관계를 등호관계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 비례상수가 사용되는데, 힘과 가속도 관계의 비례상수가 관성질량이다. 즉 물체의 질량을 물체가 지닌 관성의 정도라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질량을 뉴턴의 운동법칙으로 정의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이 힘과 가속도의 관계 등식은 {\vec F}=\frac{d{\vec p}}{d t}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vec p}는 운동량이다. = 분류:1356년 분쟁 = =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 = B-17 플라잉 포트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미국 육군 항공대의 주력 대형 폭격기였다. 미국 보잉이 제작했다. "4발 대형 폭격기는 둔해서 야간 폭격밖에 사용할 수 없다"라고 하는 당시의 상식을 뒤엎은 획기적인 고속 폭격기로, 애칭은 '플라잉 포트리스'(Flying Fortress; 하늘을 나는 요새)이다. 이 폭격기가 연안 방어용의 요새의 연장으로서 하늘을 날아 적 함대를 요격한다고 하는 말에서 이 애칭이 붙었다. 흔히 말하는 화력과 방어력으로부터 이 애칭이 붙었다는 것은 잘못이다. 역시 보잉사가 제작한 B-29 슈퍼포트리스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세계최초이자 유일한 원자폭탄 투하에 사용된 것으로 매우 유명한데, B-17이 30톤, B-29가 60톤의 최대이륙중량을 가졌다. B-17(30톤)이 항공모함에서 이륙할 수 있는데 비해, B-29는 커서 이륙할 수 없다. B-17는 영화 미드웨이, 진주만,맴피스벨등... 많은 2차 세계대전 영화에 출연한 전략 폭격기이다. = = 개발의 경위 = = 1934년에 미국 육군은, 당시의 주력 폭격기 마틴 B-10(쌍발 폭격기)의 후계기로서 항속력과 폭탄 탑재량을 2배로 강화한 「다발 폭격기」를 미국 내 항공기 제작사에 요구했다. 이런 요구에 보잉은 이전부터 사내에서 개발하고 있던 엔진 4기를 가지는 대형기의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시험 제작기 '모델 299'를 완성시켰다. 1935년의 제식기의 선정에서는, 모델 299는 라이벌인 더글러스 B-18(DC-2의 개조형)에 비해 압도적인 고성능을 나타내, B-17으로서 채용되었다. 그러나, 높은 가격이 문제가 되어, 첫 해 발주량은 B-18의 133기와 비해 B-17은 13기로 매우 적었다. 이 경향은 1939년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개전 후에 B-18의 성능으로는 실전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분명해져, B-17의 대량생산이 개시되었다. 덧붙여 모델 299는 일본 육군도 대형기 개발의 기술 자료로서 구입을 검토했지만, 역시 높은 가격이 걸림돌이 되어 단념하였다. 덧붙여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이전의 미국은 고립주의적 경향이 강하고, 이러한 고성능의 폭격기를 보유하는 일에 대해서는 의회와 납세자로부터의 반대가 깊었다. 그래서 '적국을 공격하기 위한 병기가 아니고, 미국 본토 방위를 위한 병기'라는 변명을 위해 '하늘을 나는 요새'라고 명명됐던 것이다. 열차포의 대체 병기로서 미국의 장대한 해안선에서 적 상륙군을 저지 및 요격한다고 하는 명목이며, 정확하게는 '하늘을 나는 연안 바리케이드'에 가까운 뉘앙스이다. 일본에 있어서는 러일 전쟁에서의 엄청난 희생을 낸 경험에서 '요새'라고 하는 것은 매우 무서운 이미지를 가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원래 요새는 국토 방위를 위해서 국경선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 = 기술적 특징 = = 당시의 상식은, 「4발 대형 폭격기는 저속으로 운동성이 나쁘고, 적의 반격이 적은 야간 폭격밖에 사용할 수 없다.」라고 하는 제1차 세계 대전 이래의 발상이 지배적이었다. 보잉은 이 상식을 뒤집을 수 있도록 획기적인 4발 주간 폭격용 폭격기를 만들어냈다. = = = = 돌기물이 없는 스마트한 기체 = = = = B-17의 기체 라인은 매우 매끄러운 곡선과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기형은 기관총 다수를 장비해 조금 거슬리는 외관을 가지지만, 기체 라인 그 자체는 유려하다. = = = = 폭격기로서 세계 최초로 배기 터빈 채용 = = = = 배기 터빈식 과급기는 엔진 배기라는 잉여 에너지를 이용하고, 엔진 내에 대량의 공기와 연료를 강제적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공기가 희박한 고공에서 피스톤 엔진의 출력을 확보하는 데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에, B-17의 고공 성능도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독일이나 일본에서는 실용화가 늦었기 때문에, 고공으로부터 침투하는 미군 폭격기의 요격에 매우 고생했다. 덧붙여 현재는 자동차에도 사용되고 있다(터보차저). = = = = 풍부한 방어 화기 = = = = 시험 제작기로 기관총 5정, 후기형의 G형에서는 13정의 브라우닝 12.7 mm 기관총을 장비하고 있었다. = = = = 우수한 방탄 장비 = = = = 기체 주요부는 방탄 장갑으로 둘러싸여져 우수한 방탄 능력·내구력을 가지고 있어 소형 화기로의 격추는 곤란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 장비가 실질적으로 유효하게 되는 것은 태평양 전쟁 개입에 전후해 생산이 개시된 E형에서부터였다. 그 이전에는 영국 공군의 폭격기인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와 비교해 뒤떨어졌었지만, E형 이후는 강화된 장비, 밀집 편대에 의한 방어 화력의 밀접화에 의해서 격추되기 어려워져, 그것과 아울러 노르덴식 폭격 조준기에 의해서 정확한 투탄이 가능했다(단, “정확한 투탄”은 이론상의 이야기이며, 실제는 강한 바람이나 적의 투탄 방해에 의해서 명중도는 높지 않았다고도 말해지고 있다). = = 활약 = = B-17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유럽에서 미군의 주력 폭격기로서 활약했다. 영국을 기지로 한 대독일에의 주간 폭격 임무에 투입되었다. 호위 전투기가 충분하지 않았던 1943년경까지는, 밀집 대형으로 「하늘을 나는 요새」상을 발휘, 독일 요격 전투기에 의해 다수의 손해를 내면서도, 루르 지방 등 독일의 공업지대를 정확하게 폭격·파괴했다(또, 안고지는 일로 한 독일 전투기대의 손해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다수였다.). 1944년 이후에는, P-51 전투기가 호위기로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어 B-17의 손해는 감소했다. 야간 폭격을 담당한 영국군의 아브로 랭카스터 폭격기와 함께, 독일의 전쟁 지속 능력을 상실시키는 주인공이 되었다. B-17과 아브로 랭카스터는 제2차 세계 대전중에 각각 약 60만 톤의 폭탄을 투하했다고 한다. 덧붙여서 B-29 슈퍼포트리스가 일본에 투하한 양은 약 17만 톤이었다. 태평양 전쟁에서는 주로 필리핀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 배치되어 개전으로부터 전쟁 중기까지 활동했다. 남동 방면에서는 라바울이나 부건빌 등의 일본군 근거지에 대한 폭격 외에도 해상 초계기로도 활약했다. 그러나, 항속 거리나 폭탄 탑재량이 뛰어난 B-24 리버레이터가 취역하면서, 1942년부터 1943년에 걸쳐 B-17 부대는 차례차례 B-24 부대로 개편되었고, 전쟁 후반에는 정찰이나 구난 임무 등에 종사하고 있는 기체를 제외한 B-17은 자취를 감추었다. = = 생산 수 = = 생산 수 버전 생산 수 내용 첫비행+ 모델 299 1 1935년 7월 28일 YB-17 13 1936년 12월 2일 YB-17A 1 1938년 4월 29일 B-17B 39 1939년 6월 27일 B-17C 38 1940년 7월 21일 B-17D 42 1941년 2월 3일 B-17E 512 1941년 9월 5일 B-17F 3,405 1942년 5월 30일 보잉 2,300 더글라스 605 베가 에어크래프트 500 B-17G 8,680 보잉 4,035 더글라스 2,395 베가 에어크래프트 2,250 총계 12,731 B-17 각 형의 합계 생산수는 12,731기인데, 그중 보잉에 의하는 것은 6,981기, 그 외에 3,000기가 더글라스, 2,750기가 록히드 산하의 베가 에어크래프트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 분류:내황초등학교 = = 분류:1841년 분쟁 = = 위버모르겐 = 위버모르겐 또는 위버모르겐닷컴은 1995년 lizvlx와 루치우스 베른하르트가 결성한 예술가 집단이다. 스위스, 오스트리아,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Adam Wishart, Regula Bochsler, Leaving Reality Behind: etoy vs eToys.com & other battles to control cyberspace, Ecco, 2003 (ISBN 978-0066210766) 두 예술가 모두 쾰른 미디어아트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활동한다. = = 작품 = = = = = NAZI~LINE = = = 나치~라인은 독일 내 신나치주의 추종자의 사회화를 돕기 위한 정부 정책이라고 홍보된 가공의 헬프라인이다. 함께 작업에 참여한 독일의 영화감독 크리스토프 쉴링겐지에프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고전 햄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극을 선보였는데, 실제로 나치주의 운동에 가담했던 인물을 배우로 등장시켜 이들의 교화를 의도했다. 작품은 중립국 지위를 획득한 스위스의 우파 극단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스위스의 우파 정당 SVP는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 = = TORTURE CLASSICS = = = TORTURE CLASSICS는 가공의 음악 앨범과 퍼모먼스 형태로 발표된 작품이다. 저스틴 비버의 Baby와 원더걸스의 2 Different Tears와 같은 음악이 수록되었다. 퍼포먼스는 대한민국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경기창작센터에서 열렸으며, 지정된 인물이 24시간 동안 강제로 노래를 듣는 형식이었다. 작품 설명은 퍼포먼스가 벌어진 대부도의 한 고아원이는 선감학원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에서 일본 제국군이 고문 행위를 벌였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 = 경력 = = 위버모르겐은 조르주 퐁피두 센터, 모마 PS1, 뉴 뮤지엄, 광주 비엔날레에서 전시에 참여하고 서펜타인 미술관과 휘트니 미술관에서 작품 제작을 의뢰받았다. 영감의 원천으로 람슈타인, 서맨사 폭스, XXX텐타시온, 올란자핀과 LSD, KFC의 코코넛 새우와 빈의 사회 운동을 꼽았다. = = 수상 = = TORTURE CLASSICS, 스위스 아트 어워드 (2011년) EKMRZ-Trilogy, ARCO/BEEP 어워드 (2009년) Amazon Noir, IBM 어워드 (2007년) Vote-Auction,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우수상 (2005년) GWEI – Google Will Eat Itself,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특별언급상 (2005년) Injunction Generator,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특별언급상 (2003년) etoy/digital hijack,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골든 니카 (1996년) = 라인강 상류 관구 = 라인강 상류 관구는 옛 상 로렌 공국 영역과 슈바벤, 알자스 지방, 사보이아의 부르군트 지역을 포함한 라인프랑켄의 상당 지역에 1500년에 세워진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 관구이다. 라인강 서부에 있는 관구의 많은 국가들은 17세기 기간에 1678/79년 네이메헌 조약에 의해서, 루이 14세 통치하의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 = 구성 = = 라인 강 상류 관구는 다음의 국가들로 이뤄졌다: 명칭 정부 유형 참고 바르 공국 1483년 이래로 로렌과 합쳐져 있었다. 바젤 주교후국 아우구스타 라우리카의 옛 교구의 후신으로서 8세기에 세워졌으며, 1000년 쯤에 부르군트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얻었고, 1527년부터 포렌트루이(프룬트루트)에 위치했다. 브레트첸하임 영주령 쾰른이 소유했었으며, 1772년에 바이에른의 칼 테어도어의 사생아 하이데크(Heydeck)의 칼 아우구스트 백작에게 주어졌고, 1774년에 제국 백작령, 1789년에는 대공령이 되었다. 콜마르 제국도시 1226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고,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가맹국이었다. 닥슈툴 영주령 플렉켄슈타인의 영주가 소유했으며, 1697년에 오에팅겐발러슈타인 가문이 획득했다. 팔켄슈타인 영주령 1456년 이래로 다운의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18년에 백국으로 승격하였고, 1667년에 로렌에게 넘어갔으며, 1782년에 외지 외스터라이히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제국도시 1220년 이래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으며, 1356년의 금인칙서에 따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선거가 열리던 곳이다. 프리트베르크 제국도시 1252년 이래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풀다 대수도원장후국 744년에 성 보니파시오가 세웠으며, 1220년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고, 1752년에 영주 주교국으로 성장한다. 아그노 제국도시 1260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가졌으며,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수도였다. 20px 하나우리히텐베르크 백국 1456년에 하나우바벤하우젠으로서 하나우 백국에서 분할되었으며, 1474년에 리히텐베르크 영주권을 상속하였고, 1736년에 헤센다름슈타트의 소유가 되었다. 20px 하나우뮌첸부르크 백국 1456년에 하나우 백국에서 분할되었으며, 1642년에 하나우리히텐베르크와 재통합되었고, 1736년에 헤센카젤의 소유가 되었다. 힌터스하임 후국 1272년 이래로 구호기사단의 소유였으며, 1548년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다. 헤르스펠트 대수도원령 736년에 성 슈투룸이 세웠으며, 775년에 샤를마뉴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대공국으로서 세속화되었고, 헤센카젤의 소유가 되었다. 헤센 방백국 1247년에 튀링겐 계승 전쟁 이후 카셀에 세워졌으며, 1567년에 헤센 방백 필립 1세의 사망으로 분열되었다. 헤센카젤 방백국 1567년에 헤센에서 분열되었으며, 1803년에 헤센 선제후국이 되었다. 헤센라인펠스 방백국 옛 카체넬른보겐 백국과 라인펠스 성을 포함한 지역으로 1567년에 헤센에서 분열되었으며, 1583년에 가계가 단절되었고, 헤센카젤의 소유가 되었다. 헤센다름슈타트 방백국 1567년에 헤센에서 분열되었으며, 1806년에 헤센 대공국이 되었다. 헤센마르부르크 방백국 1567년에 헤센에서 분열되었으며, 1604년에 가계가 단절되었고, 헤센다름슈타트에 합병되었다. 헤센홈부르크 방백국 1622년에 헤센다름슈타트의 방계 가문이며, 1768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이젠부르크뷔딩겐비어슈타인 백국 이젠부르크 백국의 일부로 1511년에 세워졌으며, 1628년에 다시 분열되었다. 20px 이젠부르크비어슈타인 백국 1628년에 이젠부르크뷔딩겐비어슈타인에서 분열되었으며, 1644년에 이젠부르크오펜바흐에 흡수되었다가, 1711년에 복원되었으며, 1744년에 대공국으로 성장했다. 이젠부르크뷔딩겐 백국 1628년에 이젠부르크뷔딩겐비어슈타인에서 분열되었다. 이젠부르크메르홀츠 백국 1673년 이젠부르크뷔딩겐에서 분열되었다. 이젠부르크베히터스바흐 백국 1673년 이젠부르크뷔딩겐에서 분열되었다. 카이저베르크 제국도시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일부였다. 쾨니히슈타인 백국 엡슈타인의 영주들이 소유했으며, 1505년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합스부르크의 막시밀리안 1세가 제국 백작으로 승격시켜주었고, 1535년에 슈톨베르크가 상속했으며, 1581년에 마인츠에게 포위를 당하기도 했다. 크리힝겐 백국 크레아뉴 인근 옛 로렌의 영지이며, 1617년에 제국백작으로 승격했고, 1697년부터 오스트프리슬란트의 대공들이 소유했으며, 1726년에 비드룬켈에 넘어간다. 란다우 제국 도시 1291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 1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으며, 1324년에 슈파이어 주교의 포위를 당했었고, 1511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막시밀리안 1세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1521년에 데카폴에 가맹했다. 20px 라이닌겐베스테르부르크 백국 1317년 이래로 옛 라이닝겐 백국에서 분리되었으며, 467년에 베스터부르크의 영주가 상속하였다. 라이닌겐다크스부르크 백국 1317년 이래로 옛 라이닝겐 백국에서 분리되었으며, 1779년에 대공령으로 성장했다. 로트링겐 공국 옛 상 로타링기아 왕국이며, 1431년에 바르의 백작 르네 당주가 획득했으며, 1735년에 프란츠 1세가 토스카나 대공국을 대신하여 로렌을 교환하였고, 1766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멘스펠덴 영주령 트리어와 나사우의 공동 공동통치령이었다. 메츠 주교후국 535년에 세워졌으며, 1357년에 룩셈부르크의 카를 4세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고,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가 점령했었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프랑스의 삼 주교국의 일부가 되었다. 메츠 제국도시 1189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가 점령했다. 뮐루즈 제국도시 1268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가맹국이였고, 1515년에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었으며, 1798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묑스테르 제국도시 1235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354년 이래로 데카폴 가맹국이었다. 나사우바일부르크 백국 1688년에 후국이 되었고, 1806년부터 나사우에 합병되었다. 나사우이츠타인 백국 1627년에 나사우바일부르크에서 분리되었으며, 1721년에 나사우오트바일러의 소유가 됐다. 나사우자르브뤼켄 백국 1381년에 세워졌으며, 1723년에 나사우오트바일러의 소유가 됐다. 나사우오트바일러 백국 1627년에 나사우자르브뤼켄에서 분리되었으며, 1728년에 나사우우징겐의 소유가 됐다. 나사우우징겐 백국 1659년에 나사우자르브뤼켄에서 분리되었으며, 1688년에 후국으로 성장, 1806년에 나사우의 일부가 됐다. 노메니 변경백국 1548년까지 메츠 주교령이 소유했으며, 1567년에 막시밀리안 2세가 변경백령으로 세웠고, 1612년에 로렌의 소유가 되었다. 오베르네 제국도시 1240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가맹국이였고, 1679년에 프랑스에 합병됐다. 오덴하임 사제장후국 1122년에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1494년 이래로 의전사제들의 제국 대학(제국교회령)이었고, 1507년에 브루흐살로 옮겼다. 올브뤼크 영주령 본래 비트가 소유했었던 니더뒤렌바흐 인근 올브뤼크 주변 영역이다. 팔츠짐머른 후국 1410년 팔츠 선제후국에서 분리되었으며, 1685년에 팔츠노이부르크가 상속하였다. 팔츠라우테른 후국 1577년에 팔츠짐머른에서 분리되었다. 팔츠츠바이브뤼켄 후국 옛 츠바이브뤼켄 백국이며, 1459년까지 팔츠짐머른가 동군연합이였고, 1734년에 팔츠비르켄펠트의 소유가 됐다. 팔츠펠덴츠 후국 옛 펠덴츠 백국이며, 1444년에 팔츠츠바이브뤼켄이 상속했다. 프륌 수도원령 752년에 단신왕 피핀이 재건하였으며, 1222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576년부터 트리어의 관리를 받았다. 라이폴츠키르헨 영주령 1300년 이래로 존재했었다. 로하임 제국도시 1303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354년부터 데카폴 가맹국이었고, 1679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삼 백국 1165년 이래로 상 삼 지역에 위치했으며, 1475년 이래로 빌트 라인백이 많은 영역을 소유했고 1499년에 분리되었으며, 분할되고 남은 영역은 1600년까지 로렌에 속했다. 삼다운 백국 1499년 이래로 삼에서 분리되었으며, 1750년에 가계가 단절되었고, 삼그룸바흐가 상속하였다. 삼그룸바흐 백국 1561년에 삼다운에서 분리되었고, 1801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삼슈타인그레바일러 백국 1668년에 삼그룹바흐에서 분리되었다. 삼삼 백국 1574년에 삼다운에서 분리되었으며, 1623년부터 대공 지위를 가졌고, 1802년부터 삼 대공령에 속했다. 삼키르부르크 백국 1499년부터 삼에서 분리되었으며, 키른에 위치했고, 1743년부터 대공 지위를 가졌고, 1802년부터 삼 대공령에 속했다. 사보이아 공국 1032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콘라트 2세가 아를 왕국의 일부인 옛 백국을 상속했으며, 1361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를 4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고, 1416년에 공국, 1720년에는 사르데냐 왕국으로 성장했다. 자인비트겐슈타인 백국 소펜하임 가문의 방계인 자인의 옛 백작들은 1361년에 비트겐슈타인 백국을 차지했고, 1607년에 분리되었다. 20px 자인비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 백국 1607년부터 자인비트겐슈타인에서 분리되었다. 20px 자인비트겐슈타인비트겐슈타인 백국 1607년부터 자인비트겐슈타인에서 분리되었으며, 1657년부터 자인비트겐호엔슈타인에 속했다. 셀레스타 제국도시 1216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354년 이래로 데카폴 가맹국이었다. 졸름스브라운펠스 백국 1258년 이래로 졸름스에서 분리되었으며, 1742년에 대공령으로 성장했다. 20px 졸름스리히 백국 1409년 이래로 졸름스(졸름스브라운펠스)의 일부였으며, 1544년부터 졸름스호엔졸름스리히에 속했고, 1792년에 대공령으로 성장했다. 졸름스라우바흐 백국 1544년부터 졸름스리히의 일부였다. 졸름스뢰델하임 백국 1607년부터 졸름스라우바흐에서 분리되었고, 1635년부터는 졸름스로델하임아센하임에서 분리되었다. 슈파이어 주교후국 614년 이전에 세워졌으며, 969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1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다. 슈파이어 제국도시 1294년에 슈파이어 주교들에게서 도시 권리를 인정받았으며, 슈파이어 의회 (슈파이어 대항의)를 포함한 50여 차례의 신성 로마 제국 의회가 열린 곳이다. 슈폰하임 백국 11세기 슈폰하임 가문에 의해 세워졌으며, 1437년 이래로 바덴 변경백과 팔츠짐머른 가문의 소유하에 들어갔다. 스트라스부르 주교후국 4세기에 세워졌으며, 982년 이래 영주 주교령이다. 스트라스부르 제국도시 1262년 이래로 제국 자유 도시 지위를 유지했다. 툴 주교후국 365년에 성 만수에토가 세웠으며, 928년에 하인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고,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에게 점령되었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의 프랑스령 삼 주교령의 일부가 되었다. 툴 제국도시 13세기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가 점령하였다. 투르크하임 제국도시 1312년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354년 이래로 데카폴의 가맹국이었다. 베르됭 영주 ㅇ주교령 346년에 세워졌으며, 997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3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으며,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에게 점령되었고,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의 프랑스령 삼 주교령의 일부가 되었다. 베르됭 제국도시 12세기 이래로 제국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552년에 프랑스의 앙리 2세가 점령하였다. 발데크 백국 1180년에 세워졌으며, '1379년에 룩셈부르크의 바츨라프 4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고, 1625년 이래로 발데크피르몬트에 속했다가, 1712년에 대공령으로 성장했다. 바르텐베르크 백국 1232년에 세워졌으며, 1428년에 리데젤 가문이 상속하였고, 1680년부터 남작령이 되었다. 베테라우 백국 950년 경에 세워졌으며, 1317년에 베터테거펠덴(Wetter-Tegerfelden) 백작의 소유가 되었다. 비상부르 제국도시 1306년 이래로 제국 자유 도시 지위를 유지했으며, 1354년 이래로 데카폴 가맹국이었고 1648년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비상부르 사제장후국 660년 경에 슈파이어 주교령에 의해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967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토 2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으며, 1546년부터 다시 슈파이어가 소유했다. 베츨라어 제국도시 1180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다. 발트그라페 백국 12세기 이래로 라인백으로서 세워졌으며, 1409년에 키른부르크 황야백령을 상속했고, 1475년에 상 삼을 획득했다. 보름스 사제장후국 614년 경에 세워졌다. 보름스 제국도시 1184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내려주었다. = = 출처 = = The list of states making up the Upper Rhenish Circle is based in part on that in the German Wikipedia article Oberrheinischer Reichskreis. = 나고야항 이탈리아무라 = 나고야항 이탈리아무라는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고야항 가든 부두 내에서 운영되고 있었던 복합 상업시설이다. 2008년 5월 7일에 파산을 발표한 후에 영업을 중지하고 같은 해 12월 4일자로 대규모 소매 점포 입지법에 의한 신고에 의해 폐지되었다.20-20(廃止):平成20年12月4日届出 名古屋港イタリア村:港区港町 名古屋市 2005년 5월 27일에 이루어진 나고야시와 이탈리아 토리노의 자매 도시 제휴의 일환으로, 2005년 4월 2일에 개업했었다. = 분류:미국-쿠웨이트 관계 = = 분류:아랍어-한국어 번역가 = 한국어 en:Category:Arabic–Korean translators = 분류:부르가스주의 지형 = = 영상가이석태 = 영상가이석태는 민어과의 물고기이다. 수심 150cm의 펄이나 모래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 부선상 = 부선상(: 1833년 ~ 1856년?)은 태평천국의 여성 관료다. 강소성 남경 출신. 어려서 부모를 잃고 올케에게 양육되었다. 경학, 부 등 학문을 익혔다. 1853년 태평천국이 남경을 점령하고 남녀 각각 과거를 실시하자 부선상이 여성 장원을 받았다. 부선상은 동왕 양수청의 비서가 되었고, 태평천국의 많은 포고령(천조전묘제도, 남녀평등, 아편금지, 전족금지 등)이 부선상의 붓끝에서 나왔다고 한다. 1856년 천경사변 이후에는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사변 중 다른 동왕부 사람 2만 명과 함께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20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2020 World Junior Short Track Speed Skating Championship)는 2020년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이탈리아 보르미오에서 열렸다. = 블루 리본 운동 = 블루 리본 운동(Blue Ribbon)은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와 인터넷 검열 반대를 주장하는 운동이다. 상징 색깔인 파랑(Blue)은 "언론의 자유의 죽음"에 대한 조의의 색이다. 블루 리본 운동에 참여하는 사이트는 블루 리본을 홈 페이지에 표시해 놓고 있다. 1995년 전자프론티어재단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2006년 9월 15일 재개된다. = 분류:안산시의 건축물 = = 요람을 흔드는 손 (1992년 영화) = 요람을 흔드는 손(The Hand That Rocks The Cradle)은 미국에서 제작된 커티스 핸슨 감독의 1992년 스릴러, 드라마 영화이다. 아나벨라 시오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데이빗 매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아나벨라 시오라 레베카 드 모네이 = = = 조연 = = = 어니 허드슨 매트 맥코이 줄리안 무어 존 드 랜시 케빈 스코슨 마델린 지마 = = 기타 = = 공동제작: 이라 할버스터트 미술: 에드워드 피소니 세트: 샌디 레이놀즈-와스코 의상: 제니퍼 본 메이로스터 배역: 주니 로우리-존슨 = 김호걸 = = = 가공 인물 = = 아현동 마님의 등장 인물 아부쟁이 얍!의 등장 인물 아부쟁이의 등장 인물 = 로마의 도로 = 로마의 도로는 고대 로마의 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Forsythe, Gary.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Page 309 로마 도로 덕분에 로마인은 군대 이동과 물자 교역, 소식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Kaszynski, William. The American Highway: The History and Culture of Roads in the United States. Jefferson, N.C.: McFarland, 2000. Page 9 로마의 도로 체계는 50,000 마일의 포장 도로와 250,000마일의 길을 포괄하였다.Gabriel, Richard A. The Great Armies of Antiquity. Westport, Conn: Praeger, 2002. Page 9.Michael Grant, History of Rome (New York: Charles Scribner, 1978), 264. 로마가 절정기에 이르렀을 때 도시를 중심으로 29개 정도의 거대한 군용 도로가 뻗어있었다. 도로를 놓기 위하여 언덕은 깎고 골짜기는 메웠다. 로마 제국은 372개의 거대 연결도로를 통하여 113개 속주로 구획되었다.Bailey, L. H., and Wilhelm Miller. Cyclopedia of American Horticulture, Comprising Suggestions for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Plants, Descriptions of the Species of Fruits, Vegetables, Flowers, and Ornantal Plants Sol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ogether with Geographical and Biographical Sketches. New York [etc.]: The Macmillan Co, 1900. Page 320. 갈리아 한 곳만 해도 21,000m의 도로가 부설되었다고 하며, 브리타니아에서는 도로 길이가 최소 4,000m라고 한다. 로마인들은 도로(via)Smith (1890). 건설에 정통하였다.Aitken, Thomas. Road Making and Maintenance: A Practical Treatise for Engineers, Surveyors, and Others. London: C. Griffin and Company, Limited, 1900. Page 1 - 5. 도로는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재화를 옮기는 수단이었다. 누구나 로마 도로로 걷거나 지나가거나 가축, 마차 등을 몰 수 있었다. 도로는 작고 거친 길, 승마길, 터널, 수레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12표법에 따르면 로마 도로의 최소 폭은 직선 구간에서 2.45m였으며, 굽은 구간에서는 4.9m였다. 로마의 도로망은 제국의 안정을 유지하고 확대하는데 중요하였다. 로마 군단은 신속하게 도로를 건설할 수 있었으며, 일부 도로는 수 천년이 지난 뒤에도 쓰인다. 고대 말기에 이러한 로마 도로는 도리어 이민족의 침략에 도움이 되기도 하였다.현재 로마제국 영향 아래에 있던 국가의 주요도로나 철도망으로 재포장해서 사용된다. = = 어원 = = 로마에서는 도로를 라틴어로 '위아'(via, 복수형: '위아이viae')라고 하였다. 이 낱말은 영어 낱말 'way'(고대 영어로는 weg), 'weigh'(고대 영어로는 "들어 올리다, 운반하다, 옮기다, 들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다. 이들 낱말은 모두 인도유럽어로 "옮기다"를 뜻하는 *wegh-에서 나온 말이다. = = 도로 체계 = = 리비우스는 로마 근처의 익숙한 몇몇 도로와 이정표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최초의 포장도로는 아피아 가도다. 이러한 언급의 연대가 맞다면, 아피아 가도는 그저 평평하게 다진 흙길보다는 좀 더 나은 수준이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가비 도로(Via Gabina, 포르센나 시대)는 기원전 500년경에, 라티움 도로(Via Latina, 코리올라누스의 시대)는 기원전 490년경, 노멘툼 도로(Via Nomentana)은 기원전 449년, 라비키 도로(Via Labicana)는 기원전 421년, 소금 도로(Via Salaria)는 기원전 361년으로 언급되어 있다. 안토니누스 도로 일람(Antonini Itinerarium)에는 로마의 도로 체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로마 제국의 한 도로 지도에서는 제국 널리 밀집한 도로망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국경을 넘어가면 도로가 전혀 없으나 혹자는 국경 밖에도 교통을 위해 보도나 흙길이 있었으리라 추측하기도 한다. = = = 법과 규정 = = = 기원전 450년경 12표법에서는 도로 폭을 직선 구간에서 2.45m로, 굽은 구간에서는 4.9m로 규정하였다. 실제 집행상으로는 이 기준과 차이가 있었다. 이 법에서는 로마인들에게 도로를 건설하고 도로가 수리 중인 경우 여행자가 사유지를 지나갈 수 있는 권리를 주었다. 도로를 건설하는 데는 빈번하게 수리할 필요가 없었으므로 이념적인 목적을 띄게 되었다. 로마법에서는 '세르위투스'(Servitus, "주장")라 하여 도로 사용권을 규정하였다. "갈 수 있는 권리"(ius eundi)로 사유지를 지나는 도보(iter)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몰 수 있는 권리"(ius agendi)로 수레를 몰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였다. 조정자(arbiter)가 결정한 적정 폭을 도로가 갖추면, 로마 도로(via)는 이 두 가지 권리의 길을 아루른다. 기준 도로 폭은 "라티투도 레기티마"(latitudo legitima) 2.4m였다. 이러한 법을 통해 특히 공화정 시대에는 공공의 영역이 개인의 영역보다 우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 = = 도로 유형 = = = = 로마 도로는 단순한 통나무길(corduroy road)에서 포장 도로까지 다양하였는데, 포장 도로의 경우 잡석을 깐 노반을 깔았으며, 밑에 층을 두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며 돌과 잡석 사이로 물이 빠져나가 진창길이 되지 않도록 막았다. 울피아누스에 따르면 도로는 세 유형이 있다고 한다. 공공 도로, 집정관 도로, 근위대 도로, 군용 도로 (Viae publicae, consulares, praetoriae or militares) 사설 도로, 시골 도로, 자갈 도로, 농업 도로 (Viae privatae, rusticae, glareae, or agrariue) 지역 도로 (Viae vicinales) = = = = 공공 도로, 집정관 도로, 근위대 도로, 군용 도로 = = = = 첫 번째 종류는 공공 도로로서 국가에서 국유지에 부설하고 유지하였다. 이러한 도로는 바다, 강, 다른 공공 도로로 이어졌다. 트라야누스 시대(A.D. 98-117)에 살았던 시쿨루스 플라쿠스(Siculus Flaccus)는 이러한 도로를 "국왕 및 공공의 도로"(viae publicae regalesque)로 불렀으며,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썼다. 공공 도로는 행정관(curator)가 부설하며, 도급자(redeptor)가 공금으로 수리하였다. 그러나 인접 토지 소유주가 계속 기여하였다. 이러한 도로에는 건설자의 이름이 붙는다. (아피아 가도, 카시우스 도로, 플라미니우스 도로 등) 로마 도로는 도로의 건설과 복구를 명령한 감찰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같은 감찰관의 이름을 붙이게 될 경우 대신 집정관의 이름을 붙였는데, 그 도로 이름에는 감찰관의 임기 날짜가 붙었다. 감찰관 임기 전에 생긴 도로나 기원을 알 수 없는 도로는 종착지 지명이나 주로 지나가는 지역의 지명을 붙였다. 감찰관이 어떤 도로를 포장ㆍ재포장 혹은 경로를 바꾸는 등 크게 수리할 경우 개칭되기도 하였다. 페르시아 왕도(아마 이는 최초의 공공 도로 체계였을 것이다)나 왕의 길은 "왕의 도로"(viae rejales)라고 불렀으며, 영국의 이크닐드 길(Icknield Way)같은 도로는 "군용 도로"(viae militariae)라고 칭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여러 가지 이유로 도로 건설과 같은 거대한 공공 사업에 정무관 외에 다른 사람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생겼다. 가이우스 그라쿠스는 호민관에 재직할 당시(기원전 123~122년) 여러 공공 도로를 포장하거나 자갈을 깔았으며, 이정표와 승마 디딤돌을 세웠다.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호민관 재직 당시 (기원전 50년) 인기를 얻기 위해 도로법(Lex Viaria)를 입안하여 자신을 5년간 도로 감독관으로 임명하였다. 카시우스 디오는 기원전 43년 제2차 삼두 정치의 강제 조치 가운데 하나로 이들이 원로원 의원으로 하여금 자비로 공공 도로를 수리하도록 강요하였다고 썼다. = = = = 사설 도로, 시골 도로, 자갈 도로, 농업 도로 = = = = 로마 도로의 두 번째 범주로는 원래 개인이 자기 땅에 건설한 도로인 사설 도로 또는 시골 도로로, 건설자는 이 도로를 공용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로는 특정 토지 소유주나 공공에 이익이 되었다. 사설 도로 중에는 공공 도로나 간선 도로에서 특정 토지나 취락으로 이어지는 도로도 있었다. 울피아누스는 이런 도로도 공공 도로로 보았다. 보조 도로인 시골 도로(viae rusticae)도 있었다. 주요 도로나 보조 도로는 둘 다 포장되거나 북아프리카의 경우처럼 자갈이 깔린 비포장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런 비포장 도로는 자갈 도로(viae glareae 또는 sternendae)라고 하였다. 보조 도로 다음으로는 흙길(viae terrenae)이 있었다. = = = = 지역 도로 = = = = 세 번째 범주는 마을이나 지방, 교차로에서 각 취락(vicus)으로 향하거나 그런 곳을 지나가는 지역 도로였다.(Viae vicinales) 이러한 도로는 간선 도로로 이어지거나 간선 도로와 전혀 이어지지 않고 다른 지역 도로와 연결되기도 하였다. 지역 도로는 원래 건설 자금이 어디서 나왔느냐에 따라서 공공 도로일 수도 있고, 사설 도로일 수도 있었다. 이러한 도로는 개인이 건설한 도로일지라도 건설자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면 공공 도로가 되었다. 시쿨루스 플라쿠스는 지역 도로에 대하여 "각지를 이어주는 공공 도로이며, 다른 공공 도로와 연결되기도 한다"(de publicis quae divertunt in agros et saepe ad alteras publicas perveniunt)고 썼다. 이런 경우 도로 수리 당국은 지방 정무관(magistri pagorum)의 몫이었다. 이들은 인접한 토지 소유주에게 지역 도로 수리에 필요한 일꾼을 징발하거나 재산에 따라 특정 구간을 자비로 수리하도록 요구할 수 있었다. = = 위치 = = = = = = 이탈리아 지역 = = = = 주요 도로 아이밀리우스 도로 (Via Aemilia) : 아리미눔에서 플라켄티아까지. 아피아 가도 (Via Appia) : 기원전 312년. 로마에서 아풀리아로. 아우렐리우스 도로 (Via Aurelia) : 기원전 241년. 로마에서 프랑스로. 카시우스 도로 (Via Cassia) : 로마에서 토스카나로. 플라미니우스 도로 (Via Flaminia) : 기원전 220년. 로마에서 아리미눔으로. 소금 도로 (Via Salaria) : 로마에서 아드리아해까지. = = = = 다른 지역 = = = = 아프리카 주요 도로 : 살라 콜로니아에서 카르타고와 알렉산드리아까지. 이집트 : 하드리아누스 도로(Via Hadriana)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 : 팅기스에서 남쪽으로 알바니아 / 마케도니아 공화국 / 그리스/ 터키' 에그나티우스 도로(Via Egnatia) : 디라키움(아드리아 해)에서 테살로니키를 거쳐 비잔티움으로. 오스트리아 / 세르비아 / 불가리아 / 터키 군사 도로(Via Militaris, 또는 Via Diagonalis나 Via Singidunum) : 중부 유럽과 비잔티움 연결. 프랑스 아그리파 도로 (Via Agrippa) 아퀴타니아 가도 (Via Aquitania) : 도미티우스 도로와 이어진 나르본에서 툴루즈와 보르도를 지나 대서양으로. 도미티아 가도 (Via Domitia) : 기원전 118년. 님에서 피레네산맥으로. 이곳 Col de Panissars에서 아우구스투스 도로와 연결된다. 로마의 길 (Voie romaine) : 됭케르크에서 노르 데파르트망의 카셀까지. 중동 페트라 로마 도로 : 1세기경 요르단의 페트라. 트라이아나 노바 가도 루마니아 철문 트라야누스 다리와 철문 도로. 트라야누스 도로 (Via Traiana) 폰투스 도로 (Via Pontica) 루마니아 / 불가리아 폰투스 도로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에메리타-아스투리카 도로(Iter ab Emerita Asturicam) : 세비야에서 히혼으로. 나중에는 은의 길(Vía de la Plata, 'plata'란 에스파냐어로 '은'을 뜻하는데, 이 경우에는 아랍어 낱말 'barata'에서 와선된 것이다.)로 불렸으며, 산티아고의 길 일부이다. 현재는 A-66번 고속도로이다. 아우구스투스 도로 (Via Augusta) : 카디스에서 피레네산맥까지. 라 혼케라 근처의 Coll de Panissars에서 도미티우스 도로와 만난다. 이 도로는 발렌시아, 타라고나(고대명 '타라코'), 바르셀로나를 지나간다. 황금의 길 (Camiño de Oro) : 레볼레도(Reboledo) 마을 근처를 지나며, 오렌세 주의 주도인 오렌세(Ourense)에서 종착한다. 알프스산맥간 도로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도로 (Via Claudia Augusta) : 기원후 47년. 알티눔에서 레셴 고개를 지나 아우크스부르크로. 나쁜 길 (Via Mala) : 밀라노에서 산 베르나르디노 고개를 거쳐 린다우로. 데키우스 길 (Via Decia) 피레네산맥간 도로 히스파니아와 갈리아를 이어주었다. 아스투리카-부르디갈라 도로(Ab Asturica Burdigalam) = 피아노 소나타 9번 (모차르트)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9번 D장조, K. 311 / 284c는 1777년 11월-12월에 작곡가가 아우크스부르크와 만하임에 머물면서 작곡한 것으로, 그의 소나타 7번 C장조 K. 309와 동시대에 작곡되었다. 작품에는 세 가지 악장이 있다. 첫 번째 악장은 소나타 형식이다. 두 번째 악장은 에피소드 구조 A–B–A–B–A– coda이다. 마지막으로, 3악장 중 가장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악장은 소나타 론도이다. = 분류:무성 영화 = = 분류:에도 시대 = = 분류:슬로베니아의 가톨릭교도 = 슬로베니아 가톨릭교도 en:Category:Slovenian Catholics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사이버韓國外國語大學校, )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사이버 대학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캠퍼스 내에 대학본부가 위치한다. 1997년 7월 학교법인 동원육영회에가 설치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멀티미디어 외국어 연구센터가 가상대학 프로그램 시범운영 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체계가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3년 11월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4년제 학사학위 과정 설립승인을 받아 2004년 3월 사이버외국어대학교로 개교하였다. 2008년 4월 현재의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 연혁 = = 2023. 05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제2교사 착공식 2022. 02 한국국제교류재단 2022~2024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교육 사업 협약 체결 2021. 07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 사업 협약 체결 2020. 12 차세대 글로벌 LMS(학습관리시스템) 구축 2020. 07 마이크로러닝센터 마이크로러닝 시범강좌 오픈 2020. 06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1호·2호 개관 2016. 0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Full-HD 스튜디오 4호 개관식 2016. 03 아시아 6개국 11개 외국어대학 ‘아시아 지역 외국어대 협의체’ 발족 2015. 12 ‘학습동기를 반영하여 번들 및 클립을 추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과목이수 관리시스템 및 과목이수관리방법’ 특허 출원 2015. 02 글로벌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 도입 2014. 05 개교 10주년 기념식 2013. 0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신축교사 준공 2012. 0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평생교육원 개원 2012. 03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개원 2012. 02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신축교사 기공식 2010. 08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모바일캠퍼스 구축 2008. 10 고등교육법 전환 최종 인가 2008. 04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2007. 06 교육인적자원부 원격대학 종합평가 전영역 우수대학 선정 2004. 03 사이버외국어대학교 개교 1997. 07 한국외국어대학교 멀티미디어 외국어 연구센터 설립 = = 교육편제 = = = = = 학부 = = = 2023년 12월 기준,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 과정에는 ▲영어학부 ▲중국어학부 ▲일본어학부 ▲한국어학부 ▲스페인어학부 ▲베트남·인도네시아학부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다문화·심리상담학부 ▲K뷰티학부 ▲마케팅·경영학부 ▲지방 행정·의회 학부 등 11개 학부가 있다. 학부 영어학부 중국어학부 일본어학부 한국어학부 스페인어학부 베트남·인도네시아학부 산업안전·주택관리학부 다문화·심리상담학부 K뷰티학부 마케팅·경영학부 지방 행정·의회 학부 = = = 대학원 = =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는 특수대학원 1개원을 운영 중에 있다. TESOL대학원 = 술 (동음이의) = 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술은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는 음료이다. *술은 장식으로 다는 여러 가닥의 실이다. *술(戌)은 지지의 열한째이다. *술은 밥 따위의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이다. = 경기지방노동위원회 = 경기지방노동위원회(京畿地方勞動委員會, )는 노동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사간의 이익 및 권리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조정·판정하여 산업평화 정착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소속기관으로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은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의, 상임위원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의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139 (율전동), SK허브블루 4층에 위치하고 있다. = 원산 (동음이의) = 원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원산시(元山市)는 대한민국 함경남도에 있는 명목상의 행정 구역이다.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원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원산도(元山島)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있는 섬이다. 위안산(圓山)은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의 역이다. 위안산(員山)은 중화민국 이란현의 향이다. 중화민국 타이베이시의회의원 허우한팅의 호는 위안산(遠山)이다. = 분류:1858년 기재된 분류군 = = 분류:670년 중국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5월 = = = 위키프로젝트:중국 = = 백:프에 노출만 되어있고 생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에 중국에 대한 문서가 많은데 논의할 공간이 없어서 이상합니다. 참가자 : 레즈큐읭 (기여) 2013년 1월 3일 (목) 12:51 (KST) 한림(瀚林) 불평과 건의 2013년 1월 10일 (목) 17:47 (KST) 중국의 샹치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원앙마 (토론) 2013년 1월 13일 (일) 11:48 (KST) Chesshole (토론) 2013년 4월 22일 (월) 08:58 (KST) 꽥꽥면 (토론) 2013년 4월 24일 (수) 22:00 (KST) Minjujuui (토론) 2013년 5월 1일 (수) 16:47 (KST) 필요한것 같네요 아드리앵 (토론 · 기여) 2013년 5월 21일 (화) 19:26 (KST) 박혁거세 (토론) 2013년 7월 1일 (월) 12:09 (KST) 유체이탈영혼 (토론) 2013년 7월 29일 (월) 17:59 (KST) 중국의 정치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쌍밤 (토론) 2013년 8월 1일 (목) 19:10 (KST) 의견 프로젝트가 출범되면 포털:중국에도 각별한 관리 부탁드립니다. :)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1월 21일 (월) 16:40 (KST) 생성합니다. Chesshole (토론) 2013년 4월 25일 (목) 16:16 (KST) 총의 없이 생성된건가요? 아드리앵 (토론 · 기여) 2013년 5월 21일 (화) 14:26 (KST) 다중 계정과 신규 사용자의 난입하고 있네요. 더 이상의 진실된 요청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요청을 막습니다. 또한 문서 생성을 막기 위해 생성을 보호하오니 특별히 생성하여야 할 이유가 있다면 백:문관에 요청해 주세요.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8월 1일 (목) 22:38 (KST) = = 위키프로젝트:고등학교 = = 일부 고등학교 문서는 정보가 부족한 글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 정보에 관한 틀이 없거나, 학교 사이트 링크가 없는 것도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그러한 고등학교 문서의 부족한 정보를 채워서 고교 진학을 위한 중학생들을 위해 고등학교 문서를 완성해주세요. 참가자 Tcfc2349 (토론) 2013년 5월 15일 (화) 23:15 (KST) 의견 = 분류:고대 지중해 세계 = = 어메이징 그레이스 =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 한국어판, 나 같은 죄인 살리신)은 영국 성공회(개신교로 분류됨) 사제인 존 뉴턴이 작사한 찬송가로 1779년에 출간하였다. 특히 미국에서 애창되며, 백파이프 오르간으로 연주된다. “grace”란 하나님의 자비, 은혜(은총)이란 의미가 있다. = = 배경 = = 미국찬송가사전(Dictionary of American Hymnology)에 따르면,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존 뉴턴의 자전적 삶을 가사화한 것이며Amazing Grace How Sweet the Sound, Dictionary of American Hymnology. Retrieved on October 31, 2009, 작곡가는 이곡을 편곡한 E.OX.well 라고도 알려 졌다.. 아일랜드 혹은 스코트랜드의 민요에 붙여 불렸다거나 19세기 미국 남부에서 작곡되었다고 하는 등 여러 설이 존재한다. 존 뉴턴은 1725년 영국 런던에서 상선을 탔었던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인 아버지와 독실한 개신교 신자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모친은 그를 성직자로 키우려 했으나, 그가 겨우 6세였을 때 모친은 결핵으로 사망한다.Martin (1950), pp. 8–9 그 후 아버지가 바다에 가 있는 몇 년 동안은 사이가 좋지 못한 계모의 손에 자랐고, 부당한 대우를 받았던 선원 학교에 한동안 다니게 된다.Newton (1824), p. 12. 11살 때부터 존 뉴턴은 상선의 선원인 아버지를 따라 도제로 배를 탔으며, 여러 곳을 다녔다. 특히 그는 흑인노예를 수송하는 소위 노예무역에 종사했다. 당시 노예로 납치된 흑인은 가축 이하의 대우를 받았고, 수송선의 위생상태가 열악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간염, 탈수증, 영양실조 등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존도 노예에 대한 이러한 대우를 당연하게 생각했지만, 1748년 5월 10일 그가 22세일 때 전기를 맞이한다. 선장이 된 그는 그의 배가 폭풍우를 만나 좌초될 위기 빠지게 된다. 이에 그는 하느님에게 기도를 드리게 된다. 모친이 독실한 그리스도 신자였어도, 이전까지 마음에서 우러난 기도는 이때가 처음이라고 한다. 배는 기적적으로 폭풍우를 벗어났으며 무사히 귀선한다. 그는 이날을 제2의 탄생일로 가로새긴다. 그 후 6년간 노예무역을 계속하지만, 노예의 처우를 비약적으로 개선했다고 한다. 1755년 존 뉴턴은 병을 이유로 하선하였고, 면학에 매진해 성공회 사제가 된다. 1772년〈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 놀라운 자비)를 썼다.Library of Congress 이 곡은 흑인 노예무역에 관여한 것을 깊이 후회하고, 그것과 상관없이 사하여 준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이 곡 외에도 존 뉴턴 사제가 작사한 찬송가가 몇 곡이 남아있다. = = 보급 = = 백인의 언어와 문자 그리고 종교(기독교), 풍습을 일부 수용함으로써 ‘문명화된 다섯 인디언 부족’이라고 평가받은 부족 중의 하나인 체로키 부족도 이 노래를 애송하였다. 1838년에 시행된 미국의 강제적인 인디언 이주는 이후 오클라호마주가 되는 지역의 인디언 보호구역에 강제로 이동시키는 정책으로 체로키는 이 과정을 ‘눈물의 길’로 불렀다. 15,000명 체로키 부족민 중 약 4,000명이 사망한 힘든 이주 도중 힘을 북돋워 주기 위해 체로키어로 번역된 이 노래가 불렸고, 이후 체로키 네이션의 애국가가 되었다.눈물의 길, 항목 참조 남북전쟁(1861년–1865년) 기간에도 이 노래는 남북 양군에 의해 불렸다.Turner, pp. 127–128. 최초로 음반으로 제작된 것은 1922년 쌔이크리드 하프 합창단(Sacred Harp Choir)의 아카펠라 판이었다. 1926년에서 1931년까지의 오케레코드(음반사)의 카탈로그에도 포함되었고, 이 판들은 블루스와 재즈가 많이 가미된 형태로 불렸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도 전통과 조상을 기억하려는 향수에 따라서 블루스와 가스펠 형태로 음반이 나왔다.Turner, pp. 154–155. 1947년 가스펠 수퍼스타인 마헬리아 잭슨이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불렀으며, 그녀의 노래는 1950년대와 1960년대를 통해 유명세를 유지하였다. 그녀는 이 노래를 카네기홀과 같은 공공 콘서트 무대에서 즐겨불렀다."Mahalia Jackson."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Supplement 9: 1971–1975. Charles Scribner's Sons, 1994. 1960년대 흑인시민권운동과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는 반전 운동에도 어김없이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불렸다. 마헬리아 잭슨은 시민권 운동의 행진가로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불렀다.Aitken, p. 236. = = 가사 = = = = = 영어 가사 = = = Amazing grace! (how sweet the sound) That sav'd a wretch like me! I once was lost, but now I am found, Was blind, but now I see. 'Twas grace that taught my heart to fear, And grace my fears reliev'd; How precious did that grace appear The hour I first believ'd! Thro' many dangers, toils, and snares, I have already come; 'Tis grace hath brought me safe thus far, And grace will lead me home. The Lord has promis'd good to me, His word my hope secures; He will my shield and portion be As long as life endures. Yes, when this flesh and heart shall fail, And mortal life shall cease; I shall possess, within the veil, A life of joy and peace. The earth shall soon dissolve like snow, The sun forbear to shine; But God, who call'd me here below, Will be forever mine. 존 뉴턴, 올니 찬송가, 1779 = = = 가사의 뜻 = = = 놀라운 은혜 (얼마나 감미로운 소리인가) 나 같은 비참한 사람을 구해 주셨네. 한 때 길을 잃었으나, 지금 인도해주시고 한 때 장님이었으나, 이제 나 보이네. 하나님의 은혜가 내 마음에 두려움을 가르치고 그리고 이러한 은혜가 공포를 덜어주네 얼마나 존귀한 은혜가 나타난 것일까, 나 처음 믿을 때. 많은 위험, 고통과 유혹을 넘어 나 이미 여기에 왔네. 이 은혜가 여기까지 나를 무사히 이끌었으니. 은혜는 나를 본향으로 인도하리라. 아, 이 육신과 마음은 쇠락할지니, 필멸의 삶을 그만두리라 나는 구속 받을지니 기쁨과 평화의 장막 아래서 이 땅은 눈녹듯이 사라질 것이며, 태양은 그 빛남을 멈출 것이나 대저 하나님의 부르심은 그 안에서 내게 영원하리라 = 분류:몬테네그로의 선거 = = 고초촌 = 고초촌(五町村) 고초촌 (기후현) - 기후현 구조군 고초촌. 현 구조시. 고초촌 (구마모토현) - 구마모토현 호타쿠군구마모토시. = 분류:가가번주 = = 분류:칠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원본 (경제) = 원본(元本) 또는 원금은 이자가 발생하는 대금이다. 일반적으로 원본이라고 할 때에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사용의 대가로 금전이나 그 밖에 다른 물건(법정과실)을 받을 수 있는 재산을 가리킨다. = KLCI = KLCI 지수(Kuala Lumpur Composite Index)는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성된 종합 주가 지수이다. 1977년 1월 1일 100포인트를 기준으로 산출되기 시작했다. = = 구성 종목 = = 다음은 KLCI를 구성하는 기업들의 목록이다. (2020년 6월 1일 기준) 기업 업계 분류 Axiata Group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CIMB Group 은행 Dialog Group 에너지 인프라, 장비 및 서비스 Digi.com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Genting Malaysia 여행 및 레저 Genting 여행 및 레저 Hap Seng consolidated 다각화 산업 Hartalega Holdings 건강관리 장비 및 서비스 Hong Leong Bank 은행 Hong Leong Financial Group 은행 IHH Healthcare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 IOI Corporation 농업 KLCC Properties 부동산 Kuala Lumpur Kepong 농업 Maxis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Malayan Banking 은행 MISC 운송 및 물류 서비스 Nestle (Malaysia) 식품 Petronas Chemicals Group 화학 Petronas Dagangan 상업 Petronas Gas 에너지 Press Metal Aluminium Holdings 금속 Public Bank 은행 PPB Group 식품 RHB Bank 은행 Sime Darby 자동차 Sime Darby Plantation 농업 Telekom Malaysia 통신 Tenaga Nasional 전기 Top Glove Corporation 건강관리 장비 및 서비스 = =역대 KLCI 지수 = = 연도 연말종가 등락률 (%) 1975 85.07 1976 91.68 7.77 1977 113.39 23.68 1978 156.22 37.77 1979 205.59 31.60 1980 366.70 78.36 1981 380.82 3.85 1982 291.45 1983 401.60 37.79 1984 303.56 1985 233.48 1986 252.43 8.12 1987 261.19 3.47 1988 357.38 36.83 1989 562.28 57.33 1990 505.92 1991 556.22 9.94 1992 643.96 15.77 1993 1275.32 98.04 1994 971.21 1995 995.17 2.47 1996 1237.96 24.40 1997 594.44 1998 586.13 1999 812.33 38.59 2000 679.64 2001 696.09 2.42 2002 646.32 2003 793.94 22.84 2004 907.43 14.29 2005 899.79 2006 1096.24 21.83 2007 1445.03 31.82 2008 876.75 2009 1272.78 45.17 2010 1518.91 19.34 2011 1530.73 0.78 2012 1688.95 10.34 2013 1866.96 10.54 2014 1761.25 2015 1692.51 2016 1641.73 2017 1796.81 9.45 2018 1690.58 2019 1588.76 2020 1627.21 2.42 2021 1567.53 2022 1495.49 2023 1454.66 = 포털:영어/관련 문서 = 나라 : 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아일랜드, 뉴질랜드, 필리핀 인물 : 윌리엄 셰익스피어 문학 : 영국 문학, 미국 문학, 캐나다 문학, 오스트레일리아 문학 = 켄투리아 민회 = 켄투리아 민회(Comitia Centuriata)는 고대 로마의 민회 중 하나이다. 군사적 단위였던 켄투리아를 사회 제도로 전환시켜 민의를 정한다는 국민위원회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했다. = =관련 항목 = = 로마의 민회 쿠리아 민회 플레브스 민회 트리부스 민회 = 루스인 = 루스인은 오늘날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의 기원이 된 민족이다. 루스인들의 기원과 정체는 상당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서유럽 학자들은 원초연대기의 기록을 보고 루스인들이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동유럽 지역으로 이주해 온 북게르만계 민족인 바랑기아인의 일파이거나, F. Donald Logan, The Vikings in History, Third Edition (New York; Oxford: Routledge, 2004), p. 184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trans. & eds. Samuel Hazzard Cross; Olgerd P. Sherbowitz-Wetzor (Cambridge MA: Medieval Academy of America, 1953), pp. 20, 233 또는 일찍이 슬라브 문화에 동화된 노르드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Logan 2005, p. 184 "The controversies over the nature of the Rus and the origins of the Russian state have bedevilled Viking studies, and indeed Russian history, for well over a century. It is historically certain that the Rus were Swedes. The evidence is incontrovertible, and that a debate still lingers at some levels of historical writing is clear evidence of the holding power of received notions. The debate over this issue - futile, embittered, tendentious, doctrinaire - served to obscure the most serious and genuine historical problem which remains: the assimilation of these Viking Rus into the Slavic people among whom they lived. The principal historical question is not whether the Rus were Scandinavians or Slavs, but, rather, how quickly these Scandinavian Rus became absorbed into Slavic life and culture." 반면에 동유럽 학계에서는 루스인들이 원초연대기가 수도원에 쓰였으며 다수 전설도 포함되어 있어 신뢰하지 못한다고 보고 북게르만족이 아닌 동슬라브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국가 = = 루스 카간국(830년경 ~ 862년) 노브고로드 루스(862년 ~ 882년) 키예프 루스(882년 ~ 1240년) 폴라츠크 공국(987년 ~ 1397년) 체르니히우 공국(988년 ~ 1402년) 페레야슬라우 공국(988년 ~ 1239년) 스몰렌스크 대공국(1054년 ~ 1508년) 랴잔 대공국(1129년 ~ 1521년) 키예프 공국(1132년 ~ 1471년) 노브고로드 공화국(1136년 ~ 1478년) * 프스코프 공화국(1348 ~ 1510) 블라디미르 대공국(1147년 ~ 1389년) 갈리치아-볼히니아(1199년 ~ 1349년) 트베리 대공국(1246년 ~ 1485년) 모스크바 대공국(1283년 ~ 1547년) = = 관련 문서 = =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루신인 바랑기아인 = 가스가노미치역 = 가스가노미치역(春日野道駅)은 일본의 철도역이다. 가스가노미치 역 (한신) 가스가노미치 역 (한큐) =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모로코에서 1988년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카메룬이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 카사블랑카 - 스타드 무함마드 V 라바트 - 프린스 물라이 압델라 스타디움 = = 예선 = = = = = 본선 진출국 = = = (개최국) (전 대회 우승국) * * * * * * = = 조별 리그 = = = = = A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1 2 0 2 1 +1 4 3 1 1 1 2 2 0 3 3 0 3 0 2 2 0 3 3 0 2 1 2 3 −1 2 알제리와 코트디부아르는 승점과 골득실이 같아 추첨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 = = B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1 2 0 4 1 +3 4 3 1 2 0 2 1 +1 4 3 1 1 1 3 1 +2 3 3 0 1 2 0 6 −6 1 = = 결선 토너먼트 = = = = = 준결승전 = = = = = = 3·4위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팀 카메룬두 번째 우승 = = 최종 순위 = =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5 3 2 0 4 1 +3 8 2 5 1 3 1 5 3 +2 5 3 5 1 3 1 4 4 0 5 4 5 1 3 1 3 3 0 5 5 3 1 1 1 3 1 +2 3 6 3 0 3 0 2 2 0 3 7 3 0 2 1 2 3 -1 2 8 3 0 1 2 0 6 -6 1 = 분류:2008년 나우루 = = 나리타 공항 = = 타라토르 = 타라토르(, , , 키프로스 )는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를 비롯한 발칸반도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오이와 요구르트로 만들며, 묽은 수프 형태가 있고, 걸쭉한 딥 형태가 있다. = = 지역별 타라토르 = = 불가리아의 타라토르는 주로 오이를 넣은 차가운 요구르트 수프를 뜻하며, 보통 요구르트에 오이와 딜, 다진 마늘, 소금을 넣고 기름(올리브유나 해바라기씨유)을 두르고 호두를 뿌려 낸다. 딜과 마늘, 호두는 빼고 만들기도 한다. 메제(전채)로 내거나, 숍스카 샐러드 등과 함께 부식으로 낸다. 특히 여름에 즐겨 먹는 음식이다. 오이 외에도 주키니호박, 셀러리악, 상추나 양상추, 파슬리, 딜, 당근, 호박 등으로 타라토르를 만들 수 있다. 물기를 제거한 여과 요구르트를 사용해 샐러드처럼 만든 것은 "백설공주 샐러드" 또는 "마른 타라토르라 부른다. 북마케도니아와 세르비아의 타라토르는 차게 한 여과 요구르트에 오이와 다진 마늘, 소금, 기름(올리브유나 해바라기씨유)를 넣어 만들며, 딜 등 허브로 향을 낸다. 수프보다 딥에 가까워, "마른 타라토르"로도 부른다. 알바니아의 타라토르는 요구르트에 마늘, 파슬리, 오이, 소금, 올리브유를 넣어 만들고, 흔히 오징어 튀김과 함께 낸다. 키프로스의 탈라투리는 여과 요구르트에 오이, 마늘, 민트나 오레가노, 올리브유를 넣어 만든다. = = 비슷한 음식 = = 타라토르와 비슷한 음식으로 터키의 자즈크와 그리스의 자지키가 있다. 터키에서는 타라토르가 "발칸반도식 자즈크"라 불리며, 오이 없이 호두, 빵, 레몬즙 등을 넣어 만든 딥을 가리키는 말인 "타라토르"와 구분된다. 아제르바이잔의 오브두크는 케피르나 요구르트 등 발효유로 만들고, 오이 외에도 고수, 딜, 바질 등 허브와 파를 넣어 만든다. 채소, 달걀, 햄 등을 섞은 것에 부어 먹기도 하며, 이것이 "캅카스 오크로시카"로 불리기도 한다. 이란의 아브 두그 히야르와 마스트 오 히야르도 오이와 발효유로 만든 음식이다. 아브 두그 히야르는 두그를 넣어 묽은 수프처럼 만든 음식이고, 마스트 오 히야르는 여과 요구르트로 걸쭉하게 만든 딥이다. 다히로 만드는 소스인 남아시아의 라이타와도 유사성이 있다. = 스테파니 파라시 = 스테파니 파라시(Stephanie Faracy, 1952년 1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마이크와 데이브는 데이트 상대가 필요해 (2016년) 스턱 (2012년) - 스텔라 역 템플 그랜딘 (2010년) 컴 백 록스타 (2010년) 플라이트플랜 (2005년) - 안나 역 사이드웨이 (2004년) 서바이빙 크리스마스 (2004년) - 레티티아 뱅라이더 역 더 조니 크로니클즈 (2002년) 꿈을 찾아서 (1996년) 호커스 포커스 (1993년) - 제니 데니슨 역 마지막 경고 (1993년) 신부 행진곡 (1989년) - 베스 역 신들의 풍차 (1988년) 야외 소동 (1988년) 데이트 소동 (1987년) - 수지 데이비스 역 = = = 텔레비전 = = = Out of Practice (2005년) 가시나무 새 (1983년) 호텔 - 시리즈 (1983년) 디비어스 메이드 시즌4 = 칼리드 (가수) = 칼리드(Khalid, 1998년 2월 11일 ~ )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BBC 사운드 오브 2018 리스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데뷔 싱글 "Location"은 빌보드 핫 100 16위를 했다. = = 음반 목록 = = American Teen (2017) Free Spirit(2019) = 고젠야마촌 = 고젠야마촌은 이바라키현 히가시이바라키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히타치오미야시에 해당한다. = = 역사 = = 1955년 2월 11일 - 이세하타촌, 노구치촌과 합병해 고젠야마촌이 성립하였다. 1956년 9월 29일 - 고젠야마촌, 나가쿠라촌과 합병해 새로운 고젠야마촌이 되었다. 2004년 10월 16일 - 가와치군 미와촌 오가와촌과 합병해 가와치군 오미야정 (당일 시로 승격해 히타치오미야시로 개칭)에 편입해 폐지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동일본 여객철도 스이군 선 (마을 내를 철도 노선은 달리고 있지 않다.가장 가까운 역은 JR 동일본 스이군선 다마가와무라 역.) = = = 도로 = = = 국도 제123호선 = 재스퍼군 (일리노이주) = 재스퍼군 또는 재스퍼 카운티(Jasper County)는 미국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9,698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9,611명이다. = 분류:2006년 해체된 단체 = = 분류:가나가와현의 정 = = 위키백과:삭제 토론/성풍속 용어 = = = :성풍속 용어 = = 삭제 신청이 저명성 부족으로 들어왔는데 제 판단으로 바로 처리하기가 모호합니다. 공동체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처리하고자 합니다. Sotiale (토론) 2013년 4월 29일 (월) 11:29 (KST) 유지합니다. 인터위키가 저명성을 검증해주는군요. Reiro (토론) 2013년 6월 8일 (토) 18:19 (KST) = DEPARTURES = 〈DEPARTURES〉(디파챠즈)는 일본의 팝 밴드 globe의 네 번째 싱글 앨범으로, 1996년 1월 1일 발매되었다. (8cm CD: AVDG-71004) 싱글에는 다른 B 사이드 곡은 딱히 없으며, 이 곡의 다른 버전들이 실려 있다. 이 노래의 작사와 작곡, 편곡 모두를 코무로 테츠야가 맡았으며, 믹싱은 데이브 포드 (Dave Ford)가 담당했다. 멤버의 얼굴이 싱글의 자켓 사진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오리콘이 조사한 정보에 따르면 약 228.8만 장을 판매해 현재까지 globe가 발표한 싱글 중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 판매량은 오리콘이 집계한 이래, 단일 싱글 판매량으로는 전체 15위에 해당하는 기록이기도 하다. 이 곡은 광고 음악으로서 두 번 사용되었다. 우선 동일본여객철도가 91년부터 지속해오고 있는 스키 여행 캠페인 "JR ski ski"의 1995-96 시즌 광고에서 먼저 사용되었으며, 2015년에는 코카콜라의 "윈터 송 보틀" 캠페인 송으로도 쓰였다. globe는 2002년 발매된 베스트 앨범 Ballads & Memories에 이 노래의 다른 편곡을 수록했는데, 이 때의 곡명은 〈DEPARTURES〉 (ARRIVAL version)이었다. 또 2015년 발매된 globe의 20주년 기념 헌정 음반 #globe20th -SPECIAL COVER BEST-에 hyde가 부른 것이 실려있다. 이 노래는 그 밖에도 많은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 되었으며, 그에 관한 정보는 아래에 기술한다. = = 리메이크 = = 〈DEPARTURES〉는 다음과 같은 아티스트에게도 리메이크 되었다. 발매연도 아티스트 수록 음반 2009년 데몬 각하 GIRL'S ROCK ~Tiara~ 2010년 Spontania 〈DEPARTURES〉 2010년 Spontania 스폰테니아 2011년 AAA PARADISE/Endless Fighters (C 타입에만 수록됨) 2012년 아카기 리에 Feel the Earth ~월드 비트 스탠더드~ 2014년 카하라 토모미 MEMORIES -Kahara Covers- = 하소동 = 하소동은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동(洞)이다. 대전광역시 동구 하소동 충청북도 제천시 하소동 = 분류:메고프리스과 = = 토니토니 쵸파 = 토니토니 쵸파(Tony Tony Chopper, トニートニ チョッパー)는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 원피스(ONE PIECE)에 나오는 등장인물이다. 악마의 열매로 인해 인간으로 변신할 수 있는 유일한 순록이며 파란 코를 가지고 있다. 동물들과 이야기할 수 있으며 극중에 카루(비비의 파트너)의 대사를 통역한 바 있다. 사람사람 열매를 먹은 덕에 3가지로 변신이 가능하며 자신이 직접 제조한 럼블 볼을 먹을 때는 변신가능한 형태가 7가지로 늘어난다. 의술은 닥터 히루루크, 닥터 쿠레하(리누)에게 전수받았으며 밀짚모자 해적단에서 선의를 맡고 있다. 현상금은 1000베리로 밀짚모자 해적단 일행 중 현상금이 제일 낮다.해군 측에서 쵸파를 밀짚모자 해적단의 반려동물로 잘못 알았기 때문이다. = = 전투 상대 = = 체스마리모 (체스 + 쿠로마리모) 처음으로 럼블 볼의 능력이 공개된 싸움. 3분 안에 끝낸다는 소리와 함께 두뇌강화로 약점을 찾아 완력강화로 승리. Mr.4, Miss.메리크리스마스, 래스 우솝의 속임수와 우솝쵸 해머 혜성의 연속 공격으로 승리. 슈라 갑자기 난입해 고잉메리호를 불태우는 슈라에 의해 패닉상태에 빠지는 바람에 전투 불가 (패배) 게다츠 하늘에서 발굽 크로스로 공격. 이때 추락한 게다츠는 아직 살아있었지만 다이얼을 이용한 추진 슈트를 역사용하는 실수를 저질러 하늘섬에서 떨어짐, 어쨌든 승리. 오움 오움을 피해 숨어보지만, 오움이 휘두른 철구름 검을 피하지 못하고 당하고 만다.(패배) 프랑키 패밀리 프랑키 하우스에 쳐들어가 프랑키 패밀리들을 모두 쓰러뜨림.(승리) 쿠마도리 아무리 기술을 써도 역부족이자 6시간 안에 럼블 볼 3개를 먹어서 자기도 제어할 수 없는 몬스터가 된다. 그래도 승리는 거두었다. Dr.호그백 호그백을 뒤에서 붙잡은 상태에서 니코 로빈의 도움으로 '로빗 쵸 수플렉스'로 호그백을 공격하려는 순간, 갑작스런 오즈의 공격에 의해 중지됨.(비김) 파시피스타(PX-4) 발굽 로제오 미쩰리로 연속 공격하지만, 파시피스타(PX-4)에게 붙잡혀 공격받으려는 순간 프랑키가 구해줌.(비김) 므슈르와포루 캐논 (와포루 + 므슈르) 럼블 볼을 먹고 완력강화로 변한 뒤 발굽로제오로 날려버림.(승리) 센토마루 샤본디 제도에서 쿠마의 도톰도톰 열매 능력에 의해 동료들이 하나씩 사라지는걸 보자 럼블 볼 3개를 먹고 패닉상태에 빠지나 쿠마의 도톰도톰 열매 능력으로 인해 사라짐.(싸우다가 사라진것이므로 무승부) 크라켄 크라켄의 공격을 이전보다 강화된 모피 강화로 막았다. 하지만 큰 싸움이 아니었기 때문에 무승부. 용궁 병사들 2년동안 계량한 럼블 볼의 새로운 강화로 물리침. (승리) 달마 땅굴속에서 함정을 만드는 달마를 2년간 더욱 강해진 뿔 강화로 땅굴속에서 달마를 공중으로 내던져버림.(승리) 도슨 거대한 폭주 상태로(2년 뒤에는 컨트롤이 가능해졌다. 다만 3분동안 커질 수 있었다.) '각제 파르메'의 기술을 선보였다. (승리) 조라 배에 몰래 들어와 숨어있던 조라의 아트아트 열매 능력으로 인해 나미, 브룩,모모노스케와 같이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된다. (패배) 빅 맘 해적단 동료들과 요격으로 승리. 보남 헤비 포인트로 변형 후, 헤비 공으로 날려버림.(승리) 샬롯 브륄레 캐럿과 같이 브륄레의 거울 능력에 당해 브륄레 몸속인 미러 월드에 갇히고 만다.(패배) 이후, 브륄레의 지붕위에 숨어있던 진짜 캐럿과 같이 럼블볼을 먹고 괴물 폭주 상태에서 브륄레와 그 일당들을 모두 쓰러뜨림.(승리) 샬롯 페로스페로 브룩과 같이 써니 호를 지키기 위해 빅 맘 부하들과 싸우는 도중, 샬롯 페로스페로 능력에 의해 몸이 사탕인간이 된다.(패배) 샬롯 스무디 스무디에게 붙잡힌 나미를 구하기 위해 스무디와 싸우지만, 어쩔 수 없는 실력차이 때문에 패배. 이후, 샬롯 오븐에게 붙잡힘. 샬롯 오븐 빅 맘 암살작전에 실패하는 동시에 샬롯 오븐에게 붙잡힘.(패배) 하지만, 니디에 의해 도망칠 수 있었다. 타나카 통과통과 열매 능력자인 타나카가 자신을 포함한 우솝, 로빈 3명에게 바닥을 이쪽저쪽 통과하면서 총을 마구 쏴댐.(패배) = 분류:시에라리온의 육상 = = 분류:사천시의 도로 = = 흥원 = 흥원은 다음을 가리킨다. 흥원(興園)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위치한 흥선대원군과 여흥부대부인의 묘이다. 흥원(興元)은 당나라 덕종 이괄의 두번째 연호이다. 흥원(興元, ? ~ 681년)은 신라의 관리이다. = Ksi (Cyrillic) = = 하나조노정 = 하나조노정은 사이타마현 북서부에 위치했던 정이다. 복수초 생산으로 전국 최대 출하액을 자랑하던 인구 1.27만 마을. 2006년 1월 1일에 (구) 후카야 시, 오카베 정, 가와모토 정과 합병해 후카야시가 되었다 = = 역사 = = 마을 이름의 유래: 요리이쵸 스에노에 존재했던 전국시대에 후지타 야스쿠니가 영유한 '하나조노 성'에서 유래되었다.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과 함께 한자와군 하나조노촌이 성립하였다. 1896년 3월 29일 - 한자와군이 하라군, 오부스마군과 함께 오사토군에 편입되었다. 1983년 6월 1일 - 하나조노촌이 정으로 승격해 하나조노정이 되었다. 2006년 1월 1일 - (구)후카야시, 오카베정, 가와모토정이 합병해 후카야시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지치부 철도 지치부 선 = = = 도로 = = = 간에쓰 자동차도 국도 140호선 국도 254호선 = 분류:스웨덴의 모델 = = 하다드 = 하다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미르 하다드: 프랑스, 이스라엘의 가수 사리트 하다드: 이스라엘의 가수 = 성수동미디어그룹 = 주식회사 성수동미디어그룹 (SSD Media Group)은 SSD HOLDINGS 의 자회사로 대한민국의 종합미디어 중소기업이다 디지털마케팅, ATL & BTL, 라이브커머스, 매니지먼트, MICE 국제회의, 전시기획, 해외콘서트, 드라마 및 영화 기획/제작/투자 사업부분이 분할된 회사이다. 전신은 주식회사 신한이며, 사모투자전문회사의 대규모 투자유치와 인수합병(M&A) 통해 사명을 주식회사 성수동미디어그룹으로 변경 하였다. 본사 사옥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7 (성수동1가) 서울숲 L-TOWER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미지사 - 캐나다 (밴쿠버) / 유럽지사 - 독일 (프랑크푸르트) 에 위치하고 있다. 자제적으로 라이브커머스와 광고제작을 위한 STUDIO 78을 성수동 사옥에 함께 위치하고 미디어콘텐츠 및 종합광고를 위한 STUDIO CHROMA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 = 프로젝트 = = - KPOP NATION in EUROPE & NORTH AMERICA KPOP NATION은 (주)성수동미디어그룹에서 자체적으로 기획, 투자, 운영하는 초대형 해외 콘서트 브랜드로 100% 한국자본으로 진출하는 최초의 Kpop Festival이다. 매년 유럽과 북미에서 스타디움급 규모로 진행 예정이며, 향후 이를 더욱 확장하여 아시아 대륙 별로 순차적으로 진행 예정이다. - K-POP FLEX in EUROPE K-POP FLEX는 (주)성수동미디어그룹과 (주)세중그룹의 투자로 (주)SBS에서 진행하는 K-POP 콘서트 브랜드이다. 2022년 5월 14일 독일 프랑크푸르트를 시작으로 영국,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K-POP FLEX를 진행한다. - ARTIST'S WORLD TOUR OPERATING K-POP 아티스트들의 해외공연, 월드투어를 기획 및 운영하며, 해외가수들을 한국에 초청하여 내한공연을 기획한다. - K-DRAMA & K-MOVIE EXIHIBITION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해외에서 성공적으로 유통 및 배급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성공적으로 판권을 수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PETOPIA FESTIVAL 판매 위주의 기존 펫 전시회를 탈피하여 반려동물과 반려가족이 모두 참여하는 진정한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있다. - SMALL LUXURY HOTEL, MARKETING & MEMBERSHIP 작지만 고급스럽고 알차게 운영하는 부티크 호텔이 OTA를 통한 예약 패턴에서 벗어나 다이렉트 예약율을 제고할 수 있는 마케팅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부티크 호텔들을 위한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 META HUMAN, PUBLISHING & MANAGENT 인플루언서 또는 셀레브리티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인간과 동일한 외형의 수 종의 메타휴먼을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MEDIA CONTENT & FILM PRODUCTION INVESTMENTS 전세계 대상으로 파급력이 높은 시나리오를 발굴하여 방송 프로그램 및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와같은 OTT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영화,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 참여하고 K-Content의 IP 확보와 함께 사업화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자체적 투자 및 다양한 콘텐츠 펀드와의 제휴를 통한 재원 확보와 함께 적극적인 투자 검토를 진행하고, 투자 집행을 하고 있다. - FILMMAKERS & REAL ESTATE 국내외 미디어 제작사와 스튜디오를 발굴하여 대규모 투자를 통한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외 부동산 투자 및 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 = 조직 = = 전략기획본부 ○ 투자사업팀 ○ 경영지원팀 ○ 재경팀 ○ 법무팀 미디어콘텐츠사업부 영화사업부 공연사업부 MICE 사업부 ATL & BTL 사업부 라이브커머스/홈쇼핑사업부 매니지먼트사업부 플랫폼개발사업부 유통사업부 신사업부 = 틀:요즘 화제 처음/2023년 6월 28일 = = 문장 (상징) = 문장(紋章, )은 국가나 가문, 단체, 개인 등을 상징하는 상징표이다. 방패휘장(防牌徽章, shield of arms)이라고도 한다. = = 문장의 발생과 형성 = = 서양에서는 이미 문장이 고대 국가 시기에 국가나 국왕의 상징(Symbol)으로 사용되었다.J.P. Brooke-Little,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London : Orbis Publishing, (1985), p.7.고대 시기가 지나고 중세 유럽에서는 십자군 원정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문장이 발생, 보급되었다. 십자군 원정 외에도 왕족이나 귀족들의 인장의 사용이나 기사들의 토너먼트에서 사용된 것김덕용, 노정민, 이현웅,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vol.13, no.1, 통권 49호 pp. 39 등 여러 발전 요인이 있다. 십자군 원정은 튀르크족의 침공에 위협을 느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군사 원조로 인해 시작되었다. 비잔티움 황제의 원조 요청을 받은 당시 로마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서유럽의 군주, 제후들에게 십자군을 결성하여 제국을 구하고 성지 예루살렘의 이교도로부터 해방시킬것을 호소하였고, 교황의 호소에 따라 십자군 원정군이 형성되게 되었다. (제1차 십자군) 1차 십자군 원정에 참가한 서유럽 기사들은 전원 회백색으로 된 갑옷으로 신체를 감싸고 얼굴을 투구로 덮었는데, 이때문에 적군과 아군을 구별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투구는 전장에서 다른 사람을 식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최영옥, 중세 서양 문장과 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학사논문. (1994), p.2.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독특한 도안과 색채로 만든 기나 군기, 문장이 등장하여 개인과 군대, 국가를 구별하는 표식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문장은 기사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방패 표면에 장식되었다.최영옥, 중세 서양 문장과 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학사논문. (1994), p.24.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문장을 라고 부르며, 문장을 나타낸 방패를 라고 하였다. 방패의 모양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고 점차 장식적으로 변했지만 보통 간단한 모양이었다.Jacqueline Feam, Discovering Heraldry, Shire Publication Ltd, (1992), p.20. 나중에는 왕족이나 귀족 이외에도 상류층이나 대학, 조합 등의 다른 단체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문장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14세기 이후 문장관이라는 직업이 생겨났다. 문장관은 왕이나 귀족의 직속 관리로 고용되어 주권으로부터 문장의 관리, 통괄, 기록 뿐만 아니라 문장 위반, 문장 다툼의 중재 및 처벌까지 위탁받았다김덕용, 노정민, 이현웅,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vol.13, no.1, 통권 49호 pp. 40 문장관의 등장으로 문장의 구성 방법이 체계화되면서, 문장과 문장을 가진 가문의 역사를 연구하는 문장학(紋章學, )이라는 학문도 나타났다.기사 계급이 몰락한 이후 문장은 지위, 계급, 직위를 과시할 수 있는 부속물을 덧붙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 = 문장의 종류 = = 문장은 본래 십자군 이후 본격화되었기 때문에 왕족, 귀족, 기사계급만이 사용하였으나, 근세에 들어 사용자의 계급범위가 넓어졌다.강림아, 이효진. (1999). 현대 서양복식에 표현된 중세 문장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44.157-158. 국가 문장 왕실 문장 도시 문장 교회 문장 성직자 문장 학교 문장 조합 문장 단체 문장 이 외에도 영주의 문장과 특별한 가문에 속하는 세습문장, 결혼에 의해 이뤄진 문장과 계승된 신분을 나타내는 문장인 가문(家紋) 및 개인 문장 등이 있었다.최영옥, 유럽 문장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 논문집 제11권, (1989). p.369. = = 문장의 구성 = = 표어() 투구장식() 화환()() 망토() 투구() 왕관() 방패() 훈장() 좌우명() 방패잡이() 지반() 표어는 스코틀랜드 문장에서 전래되었으며, 보통 제 2의 좌우명(Motto)으로 사용된다. 투구장식은 방패형 문장의 꼭대기 장식을 가리키는데김덕용, 노정민, 이현웅,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vol.13, no.1, 통권 49호 pp. 40, 모든 문장에 항상 투구장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화환은 투구장식을 받치기 위해 삽입되며, 투구 맨꼭대기에 위치한다. 보통은 기본색이나 금속으로 꾸며져 있다. 보통 화환이 문장에 들어갈 경우 문장의 뒤편으로 늘어뜨려진 망토(Mantling)를 같이 삽입한다.김덕용, 노정민, 이현웅,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vol.13, no.1, 통권 49호 pp. 40투구는 기사 시대의 영향으로 삽입하게 되었으며, 문장을 사용하는 사람의 지위나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다. 왕관은 보통 왕족들의 문장에 들어간다. 방패는 문장의 기본요소로, 각종 무늬와 색채가 들어간다. 훈장은 국가, 군주, 왕족, 단체 등이 수여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수여한 명예를 나타내는 문양이다. 좌우명은 문장의 제명을 말하며 보통 스크롤(Scroll)이라는 리본에 써넣는다. 방패잡이는 문장의 방패 양 옆에 서는 한 쌍의 부속물(보통 동식물)을 가리킨다. 지반은 방패잡이를 삽입할 경우 그 아래에 위치하며, 보통 바위나 산을 넣는다. = 분류:독일의 스피드스케이팅 = = 분류: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틀 = = 분류:뉴브런즈윅주의 문화 = = 탈레콰 = 탈레콰(Tahlequah)는 오클라호마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인구는 15,753명이다. = 분류:서울오륜초등학교 동문 = = 시바주쿠역 = 시바주쿠역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산지 센터 계절관 = = 역사 = = 1962년 5월 15일 : 개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 가미쿠마노촌 = 가미쿠마노촌(上熊野村)은 이시카와현 하쿠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프루 = 프루(Proulx, Prew)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애니 프루: 미국의 저널리스트이며 작가 오거스터스 프루: 잉글랜드의 배우 브루클린 프룰: 캐나다의 배우 다니엘 프룰: 캐나다의 영화배우 = 분류:2002년 11월 = = 분류:없어진 원자력 발전소 = = 매 = 매는 매과에 속하는 중형 맹금류이다. 해청(海靑)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23-7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였으나 환경부에 의해 최근 2급으로 하향되었다. = = 생태 = = = = = 생김새 = = = 몸길이 34-58cm, 날개편길이 80~120cm, 몸무게는 수컷이 550-750g, 암컷은 700-1,500g 정도이다. 부리가 갈고리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힘센 발에는 강한 발톱이 있다. 날개가 길고 뾰족하고 낫 모양으로 뒤로 휘어져 있으며, 부리 가장자리에 이빨과도 같은 돌기가 나 있다. 눈의 홍체는 어두운색이며 눈 가장자리에는 노란테두리로 둘러져 있어 참매와 구별된다. = = = 사냥 = = = 매는 인간의 시력보다 8배나 좋기 때문에 잘 볼 수 있으며, 힘차게 날다가 먹이를 사냥할 때 높은 곳에서 먹이를 향해 급강하하여 발로 먹이를 차거나 잡아채는데, 공중에서 시속 300km/h 이상의 속도로 자유낙하하여 먹이를 낚아채는 광경은 장관이다. 관측된 최고속도는 389km/h이다. 비둘기, 개똥지빠귀, 꿩 등의 조류가 주 먹이이나, 말매미 등 대형 곤충을 잡아먹기도 한다. 한국에서 서식하는 기간은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이다. = = = 번식 = = = 북반구에만 사는 참매와 달리 매는 전 세계에 걸쳐서 서식한다. 둥지는 바닷가의 높은 암벽 위나 움푹 들어간 곳 또는 비에 젖지 않을 만한 곳을 찾아 짓는다. 산란기는 3월 하순경부터 5월경이며 산란하는 알의 수는 3-4개인데 이틀에 하나씩 알을 낳고 암수가 같이 알을 품으며 28-29일 만에 부화한다. 새끼가 알에서 깨어난 후, 몇 주 동안은 수컷이 가족들을 먹여 살린다. 알에서 깨어나 일 년 동안 죽지 않고 살아 남은 매는 약 10~20년 이상 산다. = = 이용 = = 한국에서는 매나 참매를 훈련시켜 꿩이나 토끼를 사냥하는 전통이 있다. 매사냥(falconry)라고 부른다. 전 세계적으로는 취미로 즐기고 있으며, 몽골에서도 검독수리를 길들여 여우와 늑대를 사냥하는 전통이 있다. = 마오카정 = 마오카정은 일본이 지배하던 시기의 사할린에 있던 마을이다. 법적으로는 1949년 6월 1일, 국가 행정 조직법 시행에 따라 폐지되었다. 1941년 12월 1일, 인구는 19,193명이였다. 현재는 러시아가 사할린주 홀름스크라는 도시로 실효 지배하고 있다. = 에도 (동음이의) = 에도(Edo)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 = 지명 = = 에도: 일본 도쿄의 옛 이름. 에도성: 도쿄도 지요다구 지요다에 있는 윤곽식 평산성 에도강: 일본 간토 지방을 흐르는 강 에도주: 나이지리아의 주 = = 인명 = = 이니 에도: 나이지리아의 배우 = = 기타 = = 에도 막부: 일본사에서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에 이어 일본사에서 세 번째로 나타난 최후의 막부 에도 시대: 에도 막부가 정권을 잡은 시기 = 분류:심인중학교 동문 = = 진주고등학교 축구부 = 진주고등학교 축구부는 진주고등학교의 축구부로 경남 FC의 U-18팀이다. = = 역사 = = 2008년부터 프로축구 구단인 경남 FC의 유소년 클럽 (U-18팀)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후 추계 고등학교 축구대회 등에서 우상하는 등의 성적을 기록하며 좋은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대표적인 출신 선수로는 김준범, 이준재 등의 선수들이 있다. = 수유중학교 = 수유중학교(水踰中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2년 6월 3일 : 수유중학교 설립인가 1972년 9월 1일 : 초대 김기열 교장 부임 1973년 3월 3일 : 개교 및 입학식 1976년 2월 28일 : 제1회 졸업식 2002년 3월 1일 : 남·여 공학으로 전환 2020년 3월 1일 : 제17대 윤석구 교장 부임 2023년 2월 8일 : 제48회 졸업식(147명 남 83명, 여 64명) 총 졸업생 30,578명 2023년 3월 2일 : 제51회 입학식(5학급 122명 남 83명, 여 39명) = 분류:1954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1954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분류 종목 = 옛 보신각 동종 =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 )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1985년까지 섣달그믐 자정에 종을 울리는 행사를 하였으나 종의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오늘날 새해맞이 타종을 위해 보신각에 걸어둔 종은 성덕대왕신종의 복제품으로, 보신각 동종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 세계일보 관련기사 = = 겉모습 = = 높이 3.18미터, 지름 2.28미터, 무게는 19.66톤이며, 양식은 쌍두(雙頭) 용뉴(龍紐)로 되어 있고, 종신복(鍾身腹)에는 3조의 굵은 띠를 돌리고 있다. 또한 종구(鍾口)에는 위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조의 띠를 돌리고 있어 이것이 하대(下帶) 역할을 하는 문양대로 되어 있다.문화재청 = = 역사 = = 보신각 동종은 1468년(세조 14년)에 주조되어 정릉사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신덕왕후정릉 안에 있던 절이다.에 걸려 있었다. 이후 원각사로 옮겨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 종루로 옮겨졌다. 고종 때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되어 보신각종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문화재청 관련정보 = = 문화 = = 조선시대에는 서울의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보신각종을 타종하는 행사를 갖는다. 1985년부터는 새로 만든 종으로 타종하고 있다. = 캐피틀 = 캐피틀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캐피틀 레코드 더 캐피틀 호텔 도큐 = 그 날까지 = 〈그 날까지〉은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사쿠라자카46의 노래. 2022년 11월 5일에 사쿠라자카46의 첫 디지털 싱글이다케야키자카46 명의의 싱글 13번째(전달 한정 싱글 2곡을 포함)이다.. = = 개요 = = 케야지자카46로서의 〈누가 그 종을 울리는 것인가?〉 발매 이후 2개월 만에 발매되는 개명 후 첫 디지털 싱글이다. = 존 데일리 (신부) = 정일우(鄭日祐) 또는 존 데일리(John Vincent Daly, 요한, 1935년 11월 21일 ~ 2014년 6월 2일)는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 태어나 40년 가까이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예수회 신부이자 빈민운동가이다.1997년에 대한민국으로 귀화했다. 미국 일리노이주 출신인 정일우는 1953년 8월 8일 예수회에 입회하여 1960년 9월 예수회 신학생 신분으로 처음 한국에 왔고, 1963년 실습이 끝난 후 미국으로 돌아가 세인트루이스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뒤 1966년 사제서품을 받고, 고등학교 은사인 고(故) 바실 프라이스 신부(2004년 선종)의 영향으로 한국을 떠난 지 4년 뒤인 1967년에 다시 한국으로 와서 서강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조현, ‘평생 빈민 곁 지킨’ 정일우 신부 선종, 한겨레신문, 2014년 6월 2일 정일우 신부의 은사 프라이스 신부는 서강대학교 설립의 주역으로, 1966년 국내 최초로 노동문제연구소를 열고, 이후 34년 동안 노동자들을 위해 헌신했다. 노동자들에게 노동법과 노조활동, 단체교섭 방법 등을 가르친 우리나라 노동운동의 선구자이다.예수회 소속으로 지금까지 도시빈민 활동에 헌신하는 사제가 박문수 신부(프란시스 부크마이어,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소장)이다. 박문수 신부는 20년 동안 몸 담았던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직을 버리고 낙후 지역 주민 공동체 운동의 중심인 독립문 공동체를 세워 지역주민들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찾아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고 예수회 수련장으로 일하고 있던 정일우 신부는 그 자신에 대해 ‘복음을 입으로만 살고 있다’는 강한 의구심이 생겼다. 이에 정일우 신부는 1973년 예수회 수련장에서 물러나고 찾아 들어간 청계천 판자촌에서 평생 동지였던 ‘배달학당’ 야학 교장으로 활동하고 있던 고 제정구 선생(1944~1999, 바오로)과 처음 만났다. 이후 제정구 선생과 정일우 신부는 1975년 11월 양평동 판자촌 생활을 시작으로 철거민 집단이주 마을로 복음자리(1977년), 한독주택(1979년), 목화마을(1985년)을 건립하였다. 양평동 판자촌 일대가 재개발되면서 주거민을 이끌고 집단 이주해 조성한 공동체가 '복음자리 마을'이고, 이 복음자리 공동체에서 만든 제품이 복음자리 딸기잼이다. 1980년대는 목동, 상계동 등 강제철거에 맞서 도시빈민운동에 함께 하였다. 1985년 천주교 도시빈민회, 1987년 천주교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를 교구장 자문기구로 설립하는데 기여하였으며, 1988년 민중주거쟁취 아시아연합 설립에도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일우 신부는 1986년에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을 고 제정구 전의원과 공동으로 수상하였다. 정일우 신부는 1991년 서울 마포구 공덕동 빈민촌에 ‘한몸공동체’를 세웠다. 청소년들의 쉼터, 외국인 노동자들 쉼터, 농촌의 누룩공동체 등 예수회 사회사도직은 도시빈민, 이주노동자, 약물청소년, 아이들 공부방, 농촌 분야로 확산되었다. 1997년 대한민국으로 귀화한 정일우 신부는 도시빈민 운동이 교회와 사회에서 자리잡아 가면서 산업화 과정에서 정부의 값싼 노동력 제공과 저가 미곡정책으로 희생을 강요 당한 농촌으로 눈을 돌려 농민들을 위한 신앙과 생활 공동체인 '예수회 누룩공동체'를 충북 괴산군 삼송리에 세웠다. 정 신부는 누룩공동체의 삼송리 농부생활 8년을 마감하고, 2002년 4월 예수회 사회사도직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서울 무악동 '한몸공동체'로 다시 왔다. 그러면서 2006년까지 예수회 제3수련장을 맡았다. 정일우 신부는 2004년 70살 생일을 앞두고 63일간 지속한 단식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서울 평창동 성이냐시오집에서 요양해오다, 2014년 6월 2일 선종하였다. = = 영화 = = 2017년 내 친구 정일우 = 분류:벨파스트 = = 분류:조리법별 요리 = = 분류:크로아티아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 = = 벤치 = 벤치는 가구의 일종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에 앉을 수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지나, 간혹 돌이나 기타 재료로 특이하게 만들어진 것도 있다. 어떤 공공 장소에서는, 개인이나 단체가 벤치를 기증하기도 한다. = = 벤치의 각각 다른 종류와 특징 = = 일반적으로 벤치는 다섯 명까지 앉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피크닉 테이블은 테이블과 함께, 또한 다리가 많다. 피아노의 벤치는 한 사람만 앉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야구의 선수석도 벤치라고 한다. = 분류:벨라루스의 번역가 = = 커리 가루 = 커리가루는 남아시아의 배합 향신료이다. 일본 카레에 사용하는 것은 카레가루라고도 부른다. 태국 요리에서는 남아시아식 커리를 태국식 커리인 깽과 구분해 "까리"라 부르며, 커리가루는 퐁 까리라 불린다. = = 재료 = = 주재료는 울금, 쿠민, 깟씨, 호로파, 고추이며, 그 외에도 마늘, 생강, 회향, 아위, 캐러웨이, 계피, 정향, 겨자 씨, 카다멈(소두구, 향두구), 육두구, 봉술, 커리나무 잎, 필발, 흑후추 등을 넣어 만든다. = 분류:좌익 활동 = = 틀:행렬의 종류 = = 액트 오브 킬링 = 액트 오브 킬링(The Act of Killing)은 2012년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와르 콩고 = = = 조연 = = = 헤르만 고토 시암술 아리핀 이브라힘 시닉 유숩 칼라 하지 아니프 = = 기타 = = 공동제작: 토르스테인 그루데 = 폴락 = 폴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폴락 (영화) 시드니 폴락: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미국의 영화 감독, 제작자, 배우 부르글린데 폴락: 5종 경기를 주로 활약한 동독의 전직 육상 선수 = 치로 = 치로는 다음을 가리킨다. 치로 임모빌레: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치로 페라라: 옛 축구 선수 치로 카푸아노: 세리에 A 칼초 카타니아에서 뛰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치로 폴리토: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치로(캐릭터) 치로와 친구들의 주인공 = 분류:1814년 정치 = = 분류:동남아나톨리아 지역 출신 = = 레프숨병 = 레프숨병은 가지사슬 지방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어서 엽록소를 분해하고 생긴 가지달린 지방산인 피탄산이 축적되는 병이다. 피탄산이 축적되면 경련과 시력 저하가 생긴다. 피탄산의 축적을 막으려면 잎채소, 풀은 물론 풀을 먹고자란 고기도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면 풀을 먹은 동물의 지방에 피탄산이 축적돼있기 때문이다. = 실론가시쥐 = 실론가시쥐(Mus fernandoni)는 쥐과 생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스리랑카에서만 발견된다. = = 특징 = =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는 9~11cm이고, 꼬리 길이는 6~7cm이다. 등 쪽은 납작한 회색 가시(각각 길이 11mm)와 함께 불그스레한 회색을 띠고, 부드러운 털 때문에 불그스레한 색조를 띤다. 배 쪽은 순백색이고 많은 양의 길고 검은 털이 덮여 있다. 또한 희끄무레한 색부터 회색까지 띠고 불그스레한 갈색 색조를 띠기도 한다. 어두운 색을 띠며 비교적 크다. 주둥이 뾰족하다. 비늘 꼬리는 짙은 자주색을 띠고, 몸길이보다 길다. 앞니는 오렌지색을 띤다. = = 분포 = = 실론가시쥐는 일부 지역에서만 분포하기 때문에 "절멸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분포 지역은 스리랑카 중부 주(쿰발라하무와)와 북동부 주(쿠마나), 남부 주(함반토타 부타와, 얄라국립공원), 우바 주(모나라갈라 구 갈게) 등이다. = 2020년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20년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3월 13일부터 3월 15일까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목동아이스링크에서 개최된 45번째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이다. = 마거리트 히긴스 = 마거리트 히긴스(, 1920년 9월 3일~ 1966년 1월 3일)는 미국인 종군 기자이다. = = 경력 = = = = = 제2차 세계 대전 = = = = = = 6.25 전쟁 = = = 뉴욕 헤럴드 트리뷴 소속 종군기자로 6.25 전쟁 초창기부터 취재활동을 하였으며 이런 취재활동을 이야기를 모아 1951년 1월 'War in Korea'라는 책을 출간했다. = = 잘못 알려진 사실 = = 6.25 전쟁에서 미국 뉴욕 헤럴드 트리뷴 소속 종군기자로 활약당시 대한민국 해병대의 별명인 귀신잡는 해병 관련 표현을 자신의 기사에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러한 기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 = 수상 = = 퓰리처상: 한국 전쟁에서 종군 기자로 활약하면서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하였다. (1951년) 수교훈장 흥인장: (2010년 9월 2일) = = 대중 문화 = = 영화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에서 메간 폭스가 연기한 "매기"라는 캐릭터는 마거리트 히긴스와 마가렛 버크화이트 이렇게 실제로 한국 전쟁 당시 활동했던 미국의 여성 종군기자들을 참고해서 만든 캐릭터이다.'장사리' 메간 폭스 출연에 숨겨진 사연은? [★비하인드 = = 참고 자료 = = War in Korea 전자책 = KBS 네트워크 특선 = KBS 네트워크 특선은 KBS 본사 1TV에서 화요일~금요일 오후 1시, 수요일 밤 12시, 금요일 새벽 5시 10분에 방송되는 지역방송 프로그램이다. = = 특징 = = 한국방송공사의 9개 총국이 제작한 프로그램들을 약 3개월마다 총국별로 서로 돌아가면서 방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일 방송 시간 KBS 본사 2TV 2010년 5월 10일~12월 31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2시~2시 55분 KBS 본사 1TV 2011년 1월 3일~2012년 2월 24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4시 10분~5시 KBS 본사 1TV 2012년 3월 4일~2013년 4월 14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4시 10분~5시 KBS 본사 1TV 2012년 3월 4일~2013년 4월 14일 일요일 오전 6시 10분~7시 10분 KBS 본사 1TV 2013년 4월 27일~8월 23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4시 10분~5시 KBS 본사 1TV 2013년 4월 27일~8월 23일 토요일 오전 5시~6시 KBS 본사 1TV 2013년 8월 24일~10월 18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4시 10분~5시 KBS 본사 1TV 2013년 8월 24일~10월 18일 토요일 오전 5시 10분~6시 KBS 본사 1TV 2013년 10월 21일~2014년 4월 4일 월요일~금요일 오후 4시~4시 55분 KBS 본사 1TV 2013년 10월 21일~2014년 4월 4일 토요일 오전 5시 10분~6시 KBS 본사 1TV 2014년 4월 7일~8월 30일 월요일~금요일 오전 11시~11시 55분 KBS 본사 1TV 2014년 4월 7일~8월 30일 토요일 오전 5시 10분~6시 KBS 본사 1TV 2014년 9월 1일~2016년 3월 25일 월요일~금요일 오전 11시~11시 55분 KBS 본사 1TV 2016년 3월 28일~4월 21일 월요일~목요일 오후 1시~1시 55분 KBS 본사 1TV 2016년 4월 25일~2017년 2월 2일 월요일~목요일 오후 1시 5분~1시 55분 KBS 본사 1TV 2017년 2월 6일~5월 24일 월요일~수요일 오후 1시 5분~1시 55분 KBS 본사 1TV 2017년 5월 30일~ 매주 화요일, 수요일 오후 1시~1시 50분 KBS 본사 1TV KBS 본사 1TV KBS 본사 1TV KBS 본사 1TV = = 프로그램 = = 요일 방송국 프로그램 방송일 제작 형식 월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락 2010년 5월 10일~8월 2일 SDTV 월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락 2011년 4월 4일~7월 4일 SDTV 월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 2012년 7월 2일~8월 27일 HDTV 월요일 대구총국 도시탐험대 2010년 8월 9일~11월 8일 SDTV 월요일 춘천총국 아름다운 TV 2011년 1월 3일~3월 28일 HDTV 월요일 춘천총국 아름다운 TV 2011년 7월 11일~9월 26일 HDTV 월요일 춘천총국 아름다운 TV 2012년 1월 2일~6월 25일 HDTV 월요일 춘천총국 아름다운 세상 강원 2012년 10월 8일~2013년 4월 1일 HDTV 월요일 창원총국 경남100경 완전정복 2013년 4월 8일~2015년 1월 26일 HDTV 월요일 창원총국 촌촌촌 2015년 2월 2일~12월 28일 HDTV 월요일 창원총국 밥상의 전설 2016년 2월 15일~2017년 3월 13일 HDTV 월요일 창원총국 휴먼터치 인 2017년 3월 20일~5월 22일 HDTV 월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1년 10월 3일~10월 31일 SDTV 월요일 광주총국 명인 2011년 11월 7일~12월 12일 HDTV 월요일 대전총국 노장불패 2010년 11월 15일~12월 27일 HDTV 화요일 대전총국 노장불패 2010년 5월 11일~8월 3일 HDTV 화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0년 8월 10일~12월 28일 SDTV 화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1년 4월 5일~7월 5일 SDTV 화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락 2011년 1월 4일~3월 29일 SDTV 화요일 부산총국 숫자로 읽는 부산넘버쇼 2013년 11월 19일~2014년 6월 3일 HDTV 화요일 부산총국 뮤직 토크쇼가요 일번지 2015년 3월 10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1년 7월 12일~9월 27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2년 1월 3일~3월 27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2년 7월 3일~9월 18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3년 6월 11일~7월 16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4년 10월 22일~2015년 1월 20일 HDTV 화요일 제주총국 투맹쇼 2014년 7월 1일~10월 15일 HDTV 화요일 전주총국 더 비빔밥시리즈 2011년 10월 4일~12월 13일 HDTV 화요일 전주총국 더 비빔밥시리즈 2012년 4월 3일~6월 26일 HDTV 화요일 전주총국 더 비빔밥시리즈 2012년 9월 25일~2013년 5월 28일 HDTV 화요일 대구총국 세상을 잇는 담쟁이 2013년 7월 23일~10월 29일 HDTV 수요일 창원총국 소화제 2 2010년 5월 12일~8월 4일 SDTV 수요일 창원총국 소화제 2 2011년 1월 5일~3월 30일 SDTV 수요일 창원총국 소화제 2 2011년 10월 5일~3월 28일 SD/HD 수요일 창원총국 소화제 2 2012년 7월 4일~9월 12일 HDTV 수요일 창원총국 모자이크 2011년 6월 2일~2013년 1월 16일 HDTV 수요일 창원총국 휴먼터치 인 2017년 6월 5일~ HDTV 수요일 전주총국 달려라 영업사원 2010년 8월 11일~12월 29일 HD/SD 수요일 전주총국 더 비빔밥 2011년 4월 6일~6월 22일 HDTV 수요일 전주총국 더 비빔밥 2013년 10월 30일~2014년 4월 2일 HDTV 수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락 2011년 7월 13일~9월 28일 SDTV 수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 2012년 4월 4일~6월 27일 HDTV 수요일 부산총국 갈매기 도시 2013년 4월 10일~10월 23일 HDTV 수요일 부산총국 해양 네트워크황금바다 2013년 1월 23일~4월 5일 HDTV 수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4년 4월 9일~ HDTV 수요일 춘천총국 아마도 마지막 존재 2021년 10월 13일~ HDTV 목요일 춘천총국 아름다운 TV 2010년 5월 13일~8월 5일 목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0년 8월 12일~12월 30일 SDTV 목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3년 7월 25일~10월 17일 HDTV 목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6년 3월 31일~12월 29일 HDTV 목요일 대전총국 노장불패 2011년 1월 6일~4월 7일 HDTV 목요일 대전총국 쾌지나 충청 2011년 7월 14일~9월 1일 HDTV 목요일 대구총국 도시탐험대 2011년 4월 14일~6월 30일 HDTV 목요일 대구총국 세상을 잇는 담쟁이 2011년 10월 6일~2012년 3월 15일 HDTV 목요일 대구총국 세상을 잇는 담쟁이 2012년 7월 5일~9월 20일 HDTV 목요일 대구총국 세상을 잇는 담쟁이 2013년 1월 24일~4월 4일 HDTV 목요일 대구총국 세상을 잇는 담쟁이 2013년 6월 13일~7월 18일 HDTV 목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2년 10월 11일 HDTV 목요일 광주총국 필통 2012년 9월 20일~10월 4일 HDTV 목요일 광주총국 필통 2012년 10월 18일~2013년 1월 17일 HDTV 목요일 광주총국 필통 2013년 4월 11일~5월 30일 HDTV 목요일 광주총국 필통 2013년 10월 31일~2016년 3월 24일 HDTV 목요일 광주총국 명인 2012년 4월 5일~6월 28일 HDTV 금요일 광주총국 명인 2011년 7월 15일~11월 4일 HDTV 금요일 광주총국 남도지오그래피 2010년 5월 14일~12월 31일 HDTV 금요일 광주총국 남도지오그래피 2011년 4월 8일~7월 8일 HDTV 금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1년 1월 7일~4월 1일 SDTV 금요일 제주총국 보물섬 2015년 10월 2일~2016년 3월 25일 HDTV 금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1년 11월 11일~12월 23일 SD/HD 금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2년 4월 6일~6월 29일 HDTV 금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2년 9월 28일~10월 5일 HDTV 금요일 청주총국 아름다운 충북아름다운 사람들 2012년 10월 19일~2013년 10월 25일 HDTV 금요일 대전총국 노장불패 2012년 1월 6일~2월 17일 HDTV 금요일 대전총국 쾌지나 충청 2012년 2월 24일~3월 30일 HDTV 금요일 대전총국 쾌지나 충청 2012년 7월 6일~9월 21일 HDTV 금요일 춘천총국 사람이야기 모락모락 2013년 11월 1일~12월 12일 HDTV 금요일 대구총국 농촌탐구생활뭡니까 2015년 1월 30일~9월 25일 HDTV 토요일 광주총국 남도지오그래피 2013년 4월 27일~2014년 8월 30일 HDTV 일요일 광주총국 남도지오그래피 2013년 3월 4일~4월 20일 HDTV =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 다음 프로그램은 매주 목요일 오후 1시에 자체적으로 방영한다. 방송국 지역 프로그램 KBS경인 인천광역시 인사이드 경인 KBS경인 경기도 인사이드 경인 = 더 렛지 = 더 렛지는 2022년에 개봉한 영국의 스릴러 영화이다. 하워드 J. 포드가 감독을 톰 보일이 각본을 맡았다. 미국은 2022년 2월 18일에 대한민국은 2022년 6월 15일에 개봉되었다. = = 줄거리 = = 남자친구가 죽은지 1년된 날 남자친구와 같이 암벽등반하기로 한 곳에 소피와 함께 가게된 켈리는 숙소에서 네 남성을 만나게 되고 숙소에서 자고 다음날 암벽등반을 가려던 켈리는 소피의 계속된 요청에 결국 네 남성과 함께 저녁시간을 보내지만 먼저 숙소로 돌아가고 남겨진 소피는 조슈아에게 폭행을 당하고 도망가다가 추락하게 된다 한편 숙소에 있던 켈리는 이상한 기분에 소피를 찾으러 나오게 되고 추락한 소피를 네 남성이 죽이는 장면을 목격하고 카메라로 촬영하지만 들키게 되고 켈리는 숙소로 도망가 가방을 급하게 챙겨 암벽등반을 하는데... = = 출연진 = = = = = 주연 = = = 브리터니 애쉬워스 - 켈리 역 벤 램 - 조슈아 역 = = = 조연 = = = 네이선 웰시 - 레이놀즈 역 루이스 보이어 - 네이선 역 아나이스 파렐로 - 소피 역 데이빗 웨이맨 - 테일러 역 = 노은로 = 노은로(Noeun-ro)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현충원삼거리에서 유성구 노은동 신성네거리를 잇는 도로이다. = = 주요경유지 = = 유성구 (온천동 . 노은동 . 신성동)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비고 현충원삼거리 국도 제32호선(현충원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동 (이름없음) 노은서로노은동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노은네거리 한밭대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이름없음) 은구비남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지족네거리 은구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침신대네거리 북유성대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송림네거리 송림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이름없음) 하기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하기2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신성네거리 유성대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가정로와 직결 가정로와 직결 가정로와 직결 가정로와 직결 가정로와 직결 가정로와 직결 = = 주요 건물및 시설 = = 노은119안전센터 (노은로 101/노은동 503-6) 맘스터치 신대전노은동점 (노은로 144/지족동 905-4) CGV 유성노은 (노은로 144/지족동 905-4) GS25 대전노은역점 (노은로 144/지족동 905-4) 메가커피 MGC MGC커피 대전노은점 (노은로 158/지족동 905-1) 노은역 (노은로 161/지족동 962) SK텔레콤 대성대리점 노은점 (노은로 166/지족동 901-5) KB국민은행 노은지점 (노은로 174/지족동 901-3) 신한은행 노은지점 (노은로 178/지족동 901-2) 지족역 (노은로 273/지족동 836-6) * = 분류:기원전 690년대 출생 = = HD 164975 = = 시미언 = 시미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시미언 잭슨: 캐나다의 축구 선수 시미언 교회 또는 성 시미언 교회: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비잔틴 교회 중 하나 = 분류:휘장 그림 = __NOGALLERY__ 휘장 이미지에 대한 분류입니다. 에 의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또는 유럽 이사회 의장은 유럽 연합의 산하 기관인 유럽 연합 정상회의의 수반이다. "유럽 연합의 대통령"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국제 사회에서 유럽 연합을 대표하는 최고 직책으로 여겨진다. 1975년 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유럽 연합 이사회의 의장국의 국가원수 또는 정부수반이 6개월 동안의 직책을 수행한 뒤에 교체되는 순번의장 제도였지만 공식적인 직책은 아니었다. 2009년 12월 1일을 기해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공식적인 직책으로 격상되었으며 임기는 2년 6개월이다. 현재의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2019년 12월 1일에 취임한 벨기에 출신의 샤를 미셸이다. = = 역대 의장 = = = = = 1975년 1월 ~ 2009년 11월 = = = 연도 기간 의장 범유럽 정당 범유럽 정당 국가 1975년 1월 ~ 6월 리엄 코즈그레이브 유럽 국민당 1975년 7월 ~ 12월 알도 모로 유럽 국민당 1976년 1월 ~ 6월 가스통 토른 유럽 자유 민주 동맹 1976년 7월 ~ 12월 요프 덴 아윌 유럽 사회당 1977년 1월 ~ 6월 제임스 캘러헌 유럽 사회당 1977년 7월 ~ 12월 레오 틴데만스 유럽 국민당 1978년 1월 ~ 6월 앙케르 예르겐센 유럽 사회당 1978년 7월 ~ 12월 헬무트 슈미트 유럽 사회당 1979년 1월 ~ 6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유럽 자유 민주 동맹 1979년 7월 ~ 12월 잭 린치 유럽 진보 민주당 1979년 12월 카헐 오 호하 유럽 진보 민주당 1980년 1월 ~ 6월 프란체스코 코시가 유럽 국민당 1980년 7월 ~ 12월 피에르 베르너 유럽 국민당 1981년 1월 ~ 6월 드리스 판 아흐트 유럽 국민당 1981년 7월 ~ 12월 마거릿 대처 무소속 1982년 1월 ~ 6월 빌프리트 마르턴스 유럽 국민당 1982년 7월 ~ 9월 앙케르 예르겐센 유럽 사회당 1982년 9월 ~ 12월 포울 슐뤼테르 유럽 국민당 1983년 1월 ~ 6월 헬무트 콜 유럽 국민당 1983년 7월 ~ 12월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유럽 사회당 1984년 1월 ~ 6월 프랑수아 미테랑 유럽 사회당 1984년 7월 ~ 12월 개릿 피츠제럴드 유럽 국민당 1985년 1월 ~ 6월 베티노 크락시 유럽 사회당 1985년 7월 ~ 12월 자크 상테르 유럽 국민당 1986년 1월 ~ 6월 뤼트 뤼버르스 유럽 국민당 1986년 7월 ~ 12월 마거릿 대처 무소속 1987년 1월 ~ 6월 빌프리트 마르턴스 유럽 국민당 1987년 7월 ~ 12월 포울 슐뤼테르 유럽 국민당 1988년 1월 ~ 6월 헬무트 콜 유럽 국민당 1988년 7월 ~ 12월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유럽 사회당 1989년 1월 ~ 6월 펠리페 곤살레스 유럽 사회당 1989년 7월 ~ 12월 프랑수아 미테랑 유럽 사회당 1990년 1월 ~ 6월 카헐 오 호하 유럽 민주 동맹 1990년 7월 ~ 12월 줄리오 안드레오티 유럽 국민당 1991년 1월 ~ 6월 자크 상테르 유럽 국민당 1991년 7월 ~ 12월 뤼트 뤼버르스 유럽 국민당 1992년 1월 ~ 6월 아니발 카바쿠 실바 유럽 국민당 1992년 7월 ~ 12월 존 메이저 무소속 1993년 1월 포울 슐뤼테르 유럽 국민당 1993년 1월 ~ 6월 포울 뉘루프 라스무센 유럽 사회당 1993년 7월 ~ 12월 장뤼크 데하네 유럽 국민당 1994년 1월 ~ 6월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유럽 사회당 1994년 7월 ~ 12월 헬무트 콜 유럽 국민당 1995년 1월 ~ 5월 프랑수아 미테랑 유럽 사회당 1995년 5월 ~ 6월 자크 시라크 무소속 1995년 7월 ~ 12월 펠리페 곤살레스 유럽 사회당 1996년 1월 ~ 5월 람베르토 디니 유럽 자유 민주 동맹 1996년 5월 ~ 6월 로마노 프로디 유럽 사회당 1996년 7월 ~ 12월 존 브루턴 유럽 국민당 1997년 1월 ~ 6월 빔 코크 유럽 사회당 1997년 7월 ~ 12월 장클로드 융커 유럽 국민당 1998년 1월 ~ 6월 토니 블레어 유럽 사회당 1998년 7월 ~ 12월 빅토어 클리마 유럽 사회당 1999년 1월 ~ 6월 게르하르트 슈뢰더 유럽 사회당 1999년 7월 ~ 12월 파보 리포넨 유럽 사회당 2000년 1월 ~ 6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럽 사회당 2000년 7월 ~ 12월 자크 시라크 유럽 국민당 2001년 1월 ~ 6월 예란 페르손 유럽 사회당 2001년 7월 ~ 12월 히 버르호프스타트 유럽 자유 민주 동맹 2002년 1월 ~ 6월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유럽 국민당 2002년 7월 ~ 12월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유럽 자유 민주 동맹 2003년 1월 ~ 6월 코스타스 시미티스 유럽 사회당 2003년 7월 ~ 12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유럽 국민당 2004년 1월 ~ 6월 버티 어헌 유럽 민족 연합 2004년 7월 ~ 12월 얀 페터르 발케넨더 유럽 국민당 2005년 1월 ~ 6월 장클로드 융커 유럽 국민당 2005년 7월 ~ 12월 토니 블레어 유럽 사회당 2006년 1월 ~ 6월 볼프강 쉬셀 유럽 국민당 2006년 7월 ~ 12월 마티 반하넨 유럽 자유 민주 동맹 2007년 1월 ~ 6월 앙겔라 메르켈 유럽 국민당 2007년 7월 ~ 12월 조제 소크라트스 유럽 사회당 2008년 1월 ~ 6월 야네즈 얀샤 유럽 국민당 2008년 7월 ~ 12월 니콜라 사르코지 유럽 국민당 2009년 1월 ~ 5월 미레크 토폴라네크 유럽 보수와 개혁 연합 2009년 5월 ~ 6월 얀 피셰르 무소속 2009년 7월 ~ 11월 프레드리크 레인펠트 유럽 국민당 = = = 2009년 12월 ~ 현재 = = = 대수 사진 이름 국가 임기 임기 소속 정당 (범유럽 정당) 소속 정당 (국가) 1 헤르만 반 롬푀이 2009년 12월 1일 2014년 11월 30일 유럽 국민당 기독교민주당과 플람스 2 도날트 투스크 2014년 12월 1일 2019년 11월 30일 유럽 국민당 시민 연단 3 샤를 미셸 2019년 12월 1일 유럽 자유 민주 동맹 혁신운동 = 분류:아오모리현의 폐지된 군 = 아오모리현의 폐지된 군 분류 *폐지 폐지된 군 = 시트로박터 = 시트로박터(Citrobacter)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의 속이다. 그람 음성균이며 대장균류에 포함된다. 이 속에 포함되는 종인 시트로박터 아말로나티쿠스(C. amalonaticus), 시트로박터 코세리(C. koseri), 시트로박터 프룬디(C. freundii)는 시트르산만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하고도 생존할 수 있다. 시트로박터에 속하는 종들은 트립토판을 인돌로 변환시키는 능력, 락토스 발효 능력, 말론산염 사용 능력에 따라 분류된다. 시트로박터 코세리는 인돌 양성인 유일한 시트로박터 균이며, 동시에 락토스 발효 가능 세균이다. 시트로박터는 포스페이트 복합체를 통해 우라늄을 축적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 = 임상적 중요성 = = 시트로박터 세균들은 토양, 물, 폐수 등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사람의 창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은 드물지만, 위장관계와 배설계 질환이나 영아의 수막염과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시트로박터 프룬디 균주는 암피실린과 1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유전자인 ampC 유전자를 도입 가능하다. 그 외에도 시트로박터는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로 인해 다른 많은 항생제에도 내성을 가질 수 있다. = 잔탄검 = 잔탄검(xanthan gum)은 주로 양배추 등의 십자화과 식물에서 얻은 균에 탄수화물을 주입해 발효시켜 만든 천연혼합물이다. 포도당, 칼륨, 칼슘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품첨가제, 치약 또는 화장품 따위에 점성을 만들어 주는 천연 점증제 역할을 한다. = = 역사 = = 잔탄검(xanthan gum)은 미국 농무부의 알렌 로잘린드 진즈(Allene Rosalind Jeanes)와 그녀의 연구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60년대 초에 CP 켈코(CP Kelco 또는 J.M. Huber Corporation)가 켈잔(Kelzan)이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 생산을 시작했다.Whistler, Roy, L, and BeMiller, James N., eds Industrial Gums: 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Academic Press (1973) . 1968년 식품에 사용하도록 승인되었으며 미국, 캐나다, 유럽 국가 및 기타 여러 국가에서 E 번호 E415 및 CAS등록번호 11138-66-2로 안전한 식품 첨가물로 인정받았다. = 루다 = 루다(, 1997년 2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걸그룹 우주소녀의 멤버로 활동시 서브보컬을 맡았고, 우주소녀 쪼꼬미의 멤버로 활동하기도 했다. = = 학력 = = 서울영화초등학교(졸업) 대방중학교(졸업) 해성여자고등학교(졸업) = = 음반 목록 = = 2018 - 두니아 ost part.2 《Dreamland》 2023 - 나의 X같은 스무살 ost part.2 《Eyes On You》 = = 출연 작품 = =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2016년 엠넷 《우주 LIKE 소녀》 2017년 SBS 《게임쇼 유희낙락》 - 게스트 2018년 MBC 《두니아 처음 만난 세계》 - 고정 출연 2018년 OGN 《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 MC 2018년 엠넷 《방문교사》 - 고정 출연 2018년 KBS 《안녕하세요》 - 게스트 2019년 tvN 《놀라운 토요일》 - 게스트 2021년 SBS 《런닝맨》 - 게스트 = = = 드라마 = = = 2023년 바바요 by IHQ 《린자면옥》 2023년 웹드라마 《나의 X같은 스무살》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신인상 일밤 - 두니아 = Beat It = 〈Beat It〉은 미국의 가수 마이클 잭슨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Thriller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잭슨이 쓰고 잭슨과 퀸시 존스가 프로듀싱했다. 이전에는 잭슨이 이 장르에 관심을 보인 적이 없었지만 존스는 잭슨이 록 음악을 음반에 포함시키도록 격려했다. 잭슨은 나중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제가 록 노래를 산다면 살 만한 종류의 노래를 쓰고 싶었어요... 저는 그렇게 접근했고 아이들이 정말 즐기기를 바랐습니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대학생들도." 이 곡은 에디 반 헤일런의 기타 독주를 포함한다. 성공적인 Thriller 싱글 〈The Girl Is Mine〉과 〈Billie Jean〉에 이어, 〈Beat It〉은 1983년 2월 14일에 음반의 세 번째 싱글로 발표되었다. 이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정점을 찍었고 3주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그것은 또한 빌보드 핫 블랙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빌보드는 1983년 이 노래를 5위로 선정하였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5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7백만 장 이상이 팔린 이 음반은 역대 가장 많이 팔린 싱글곡 중 하나이다. 〈Beat It〉은 스페인과 네덜란드에서 1위에 오르며 유럽에서 1위를 차지했다. 잭슨이 음악과 춤의 힘을 통해 두 갱단을 하나로 모으는 것을 그린 〈Beat It〉 뮤직 비디오는 잭슨이 국제적인 팝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뮤직 비디오와 함께 이 싱글은 Thriller가 역대 베스트셀러 음반으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Beat It〉은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고, 인정받고, 수상하고, 축하하는 노래들 중 하나로 꼽혀왔다. 노래와 비디오 모두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Beat It〉은 1984년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과 최우수 남성 록 보컬 상, 그리고 두 개의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를 받았다. 그것은 뮤직 비디오 제작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롤링 스톤은 〈Beat It〉을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과 81번째로 훌륭한 기타 곡 중 344위에 올렸다. = = 제작 및 구성 = = 〈Beat It〉은 마이클 잭슨이 Thriller 음반을 위해 작곡했다. 프로듀서 퀸시 존스는 잭슨이 이전에는 이 장르에 관심을 보인 적이 없다고 알려졌지만, 더 낵의 〈My Sharona〉의 맥락에서 로큰롤 곡을 포함시키고 싶어했다. 잭슨은 나중에 〈Beat It〉에 대해 말했다. "저는 제가 록 노래를 산다면 살 만한 종류의 노래를 쓰고 싶었어요... 저는 그렇게 접근했고 아이들이 정말 즐기기를 바랐습니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대학생들도." 잭슨은 처음에 그의 홈 스튜디오에서 음악가들과 함께 이 노래의 데모 버전을 작업했다. 드럼 파트는 드럼 머신으로 프로그램되었고 베이스 라인은 일렉트릭 베이스 기타와 벨 랩 디지털 신시사이저 시너지 키보드를 결합한 것이었다. 이 하이브리드 베이스 스타일은 메인 레코딩 세션에서도 그대로 유지된다. 이 노래는 E ♭ 마이너의 키에서 분당 138박자의 중간 속도로 재생된다. 이 곡에서 잭슨의 음역은 B♭3 ~ A♭5이다. 첫 번째 녹음된 목소리를 듣고, 존스는 그것이 정확히 그가 찾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곡은 싱클러비어 디지털 신시사이저로 7개의 독특한 신시사이저 음표로 시작되며, 톰 발러는 이 곡의 싱클러비어 공연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도입부는 1981년 데니 재거 크리에이티브 서비스 주식회사가 처음 출판하고 싱클러비어의 제조사인 뉴 잉글랜드 디지털이 판매한 "The Incredible Sounds of Synclavier II"라는 데모 LP에서 주목된다. 이 드럼은 토토의 공동 창업자인 제프 포카로가 연주했다. 저메인 잭슨은 〈Beat It〉의 영감을 제안했고 그것의 비디오는 인디애나주 게리에서 갱 활동을 경험하는 잭슨 가족으로부터 왔다. "우리의 현관문을 통해 우리는 라이벌 갱단들 사이에서 세 번 정도 심한 소란을 피우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Beat It〉의 가사는 "인간 본성에 대한 슬픈 논평"으로 묘사되어 왔다. "마초남이 되지 말라"는 말은 잭슨이 폭력을 싫어한다는 것을 표현하는 동시에, 잭슨이 아버지 조지프의 손에 맞닥뜨린 아동 학대를 언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유산 = = 잭슨의 〈Beat It〉은 팝 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고, 인정받고, 수상하고, 유명한 곡들 중 하나로 꼽혀왔다. 노래와 비디오 모두 대중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곡은 블랙 록 음악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으며 Thriller 음반의 초석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에디 반 헤일런은 "가장 위대한 기타 솔로"를 추가해 〈Beat It〉이 역대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중 하나가 되도록 도왔다는 찬사를 받았다. 발매 직후, 〈Beat It〉은 국가도로안전위원회의 음주 운전 반대 캠페인인 "음주와 운전은 우정을 죽일 수 있다"에 포함되었다. 이 곡은 또한 반주 음반에도 포함되어 있었다. 잭슨은 선거운동을 지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백악관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레이건은 잭슨이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이 없는 생활방식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증거"라고 말했다. 나이든 젊은이들은 그것을 존경한다. 그리고 미국인들이 그의 예를 따른다면, 우리는 음주 운전의 문제를 직시할 수 있고, 우리는 마이클의 말로 〈Beat It〉을 할 수 있다." = = 곡 목록 = = 미국 7인치 싱글 "Beat It"  – 4:18 "Get on the Floor"  – 4:42 영국 7인치 싱글 "Beat It"  – 4:18 "Burn This Disco Out"  – 3:44 = 피아트 M13/40 = 피아트 M13/40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가 1940년부터 채용한 경전차다. 이름의 "M"은 당시 이탈리아군 전차 기준으로는 "Medium"을 뜻하며, 13은 중량, 40은 생산되기 시작한 해인 1940년을 뜻한다. M13/40은 피아트 L3과 피아트 L6/40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구경 47mm에 32구경장(포신 길이 약 1.5m)의 47/32 M35 전차포를 회전식 포탑에 탑재했으며, 8mm 브레다 M38 기관총 3 ~ 4정을 부무장으로 탑재했다. 이 전차는 영국의 빅커스 6톤 경전차의 영향을 받았고, M11/39 초기형에서 발전시킨 차체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는데, 실제로 M11/39는 M13/40의 생산을 위해 조기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피아트 M13/40의 생산은 1940년 3월에 시작되었으며, 그해 10월에 3개 대대가 최초로 편성되어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 식민지였던 리비아에 보내졌다. M13/40 전차의 대부분은 북아프리카에서 영국군의 반격때 파괴되었지만, 생산량의 일부는 그리스, 유고슬라비아, 몬테네그로 등에도 투입되었다. 빈약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노획한 M13/40 100여대를 재사용하기도 했다.Wizzard.com의 Carro Armato M13/40 부분 = = 기술 = = 이 전차의 설계는 당시 중전차와 경전차의 전형적인 유형이었다. 이 전차는 강철 판금을 리벳으로 고정했으며, 1940년대 기준에서 장갑은 얇았다. 차체 전면 장갑은 M11과 마찬가지로 30mm였으며, 포탑 전면은 42mm(M11은 30mm)였고, 측면이 25mm였고(M11은 15mm), 차체 하부는 6mm였다. 이로 인해 대전차지뢰의 공격에 취약했다. 차체 상부도 15mm로 매우 얇았다. 승무원은 전방 전투조종실에 있었고, 엔진실은 후방에 있었다. 전투실에는 승무원 4명이 탑승했다. 운전병, 기관총 사수 겸 무선수, 포탑부에 포수 및 차장이 탑승했다. 포탑은 2인승이었다. M13/40은 8개의 작은 바퀴와 리프-스프링 방식의 서스펜션을 채용했으며, 궤도는 매우 좁았다. 더불어 이 시스템은 산악 지형(놀라울 것도 없이 이탈리아의 지형을 고려한 것이다)에서 괜찮은 기동성을 발휘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실제 전형적인 전차 작전 지역(북아프리카 사막 지대)에서 기동성은 불만스러웠으며, 적당한 최고 속도를 내는 것도 힘들었다. 변속기는 전방에, 엔진은 차체 후방에 있었다. 엔진은 125마력 디젤 엔진이었다. M13/40에 채택된 디젤 엔진은 아직 많은 국가에서 도입되지 않은 주목할 만한 기술혁신품이었다. 디젤 엔진은 훗날 전차같은 군용 차량에 저비용, 더 긴 항속거리,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켜주었다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및 미국의 전차들도 가솔린 엔진을 많이 사용했다. 소련의 BT 전차 시리즈도 가솔린이었으나 T-34부터는 디젤 엔진이 사용되었다. 당시 일본 역시 가솔린 엔진보다 디젤 엔진 전차를 사용했다. 무장은 구경 47mm에 32구경장의 47/32 M35 전차포였다. 이 포는 당시 보병의 표준 대전차포였으며, M13/40에 탑재된 것은 이를 개량한 것이다. 이 포는 500m 거리에서 45mm 두께의 강철판을 뚫을 수 있었으며 1940년의 전차포로서는 비록 두드러진 것은 아니었어도 제법 괜찮은 성능이었다. 화력 수준은 높아서 104발의 포탄을 탑재했다. 고성능 폭약(high-explosive) 포탄의 성능은 상당히 효과적이어서 흥미있는 특징이었는데, 당시 (영국의 표준 전차포인 2파운드 포처럼)대전차 성능에 특화된 전차무장이었기 때문이다. 예비 탄약은 꽤 많이 탑재했다. 기관총은 모두 4정을 갖추었고, 동축 기관총 1정과 대공 및 근접 방어 임무를 위해 1정, 그리고 차체 전면에 (표준은 1정이었을때) 2정이 배치되었다. 2개의 잠망경이 포수와 차장을 위해 사용가능했으며, 이론상 무전기도 표준 장비로 갖추었다. = = 운용 = = 700대 이상의 최초 생산분의 M13/40이 1940년 가을 이전에 납품되었다. 이는 매월 60~70대가량 생산된 비율이었다. 이 전차들은 영국군과 싸우기 위해 북아프리카로 보내졌다. 북아프리카로 보내진 후 첫 번째 전투는 바비니 여단(Babini Brigade)에 의해 치러졌다. 이 부대는 9월 공세에는 너무 늦게 도착하여 참전할 수 없었지만, 그 다음에 12월에 벌어진 콤파스 작전(Operation Compass)에는 참전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첫 번째 전투는 데르나(Derna)에서 일어났으며, 이곳에는 막 새로 도착한 5대대가 배치되어 있었다. 근처였던 바르디아(Bardia)에도 3대대 소속 M13/40 13대가 있었다. 1941년 1월 3일 ~ 4일 사이에 벌어진 이틀 동안의 전투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은 456명을 잃었고, 이탈리아군은 45,000여 명을 잃었다. 2월 6일 ~ 7일, 영국군의 공세가 너무 깊숙이 밀고 들어와 바비니 여단은 이탈리아군이 리비아 해안을 따라 철수할 수 있도록 영국군 전선에 돌파구를 열기 위해 싸워야 했다. 이 여단이 벌인 작전은 용감했으나 전체적으로 성공하지 못했고, 모든 전차들이 영국군에 노획되었다. 여단의 마지막 6대가 지휘소 근처 영국군 진영으로 돌격했지만 영국군의 2파운드 대전차포 1문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 작전은 매우 유명한 전투였으나, 이탈리아군의 전차들은 적군 전차보다는 대전차포에 의해 많이 파괴되었다. 노획된 다수의 M11/39 및 M13/40이 디젤 연료가 고갈되고 전차들이 파괴된 1941년 봄까지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자국의 국적 마크를 그려 재활용하였다. 당시 이탈리아군의 대참사는 총체적인 것이었다. 병력 손실은 130,000여 명(대부분 벵가지와 바르디아에서 항복했다), 10개 사단, 항공기 400여대, 전차 500여대(M11 72대와 적어도 113대의 M13이 포함되었다), 화포 1,000여 문 및 차량 1,500여대를 잃었다(이것은 이탈리아군이 기계화가 덜되어있었기 때문이다) 서류상으로 M13/40은 상당히 뛰어난 전차였다. 무게는 13톤에 불과했고, 비록 장갑은 얇았지만독일군의 3호 전차는 장갑이 30mm에 불과하여 M13/40보다 얇은 편이었다, 모든 종류의 목표물을 탄약 덕분에 충분히 파괴할 수 있는 꽤 강력한 화포를 갖추고 있었으며, 탄약도 많이 갖추고 있었다(기관총탄 3,000발과 포탄 104발 탑재). 그러나 이 전차는 많은 결점을 갖고 있었다. 엔진은 신뢰성이 문제가 있었고, 이 문제는 M11도 갖고 있었는데 문제는 M13/40이 더 무겁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엔진은 늘 긴장상태였으며 속도는 느려졌다. 서스펜션과 궤도는 신뢰할 만했지만 속도는 매우 느렸고, 영국군의 마틸다 보병전차(야지 속도가 15km/h)같은 보병전차들보다 조금 더 나은 정도였다. 무장은 중전차들과 싸우기에는 충분하지 못했고 장갑의 품질은 리벳 결합이라는 제조 방식과 구조상의 결점으로 인해 절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었다. 포탑은 2명만 탑승했고 지휘관을 위한 큐폴라는 없었다. 탑재 탄약은 최초 생산분에 비해 87발까지 줄어들었지만, 무전기는 설치되었다. 탄약 문제를 안고 있는 당시 영국의 순항 전차와 보병전차들이 전체적으로 현저히 성능이 좋았다. 기술적 측면보다도 이탈리아군은 훈련이 더 부족했으며, 무전기는 설치되었지만 잦은 고장으로 사실상 없는 편이나 다름없었고, 바비니 여단은 너무 최근에 편성되었다. 이상하게도 이탈리아군의 3개 기갑사단 (아리에테, 리토리오, 켄타우로)는 1941년 봄에 여전히 이탈리아에 있었다. 그들 중 1개 사단은 그리스군과 싸우기 위해 알바니아로 보내기도 했다. 영국이 기갑사단으로 작전을 벌일 때 이탈리아군은 사단급 부대가 아닌 그 이하의 제대만 있었고 실제로 전투 준비도 되어 있지 않았다. M13은 비록 산악지형에 최적화되었지만, 북아프리카와 매우 다른 지형인 그리스에도 투입되었다. 1941년 4월에 아리에테 기갑사단 소속 M13이 토브룩 공방전에서 싸웠을때는 영국군의 마틸다 전차를 상대로 약간의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최초의 성공적 전투는 비르엘고비 전투였다. 전쟁이 시작된 이래 17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이곳에서 이탈리아군은 강력한 영국군 부대에 승리했다. 이 전투의 승리 요인은 다양하다. 아리에테 기갑사단은 포병과 보병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고, 영국은 이곳에 기갑사단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1개 기갑여단만으로 공격했기 때문이다. 또 이탈리아군은 방어진지를 고수하고 있었고, 영국군은 이들을 점령해야 했지만, 때마침 내린 폭우가 영국군의 주력 무기인 순항전차들의 고속의 기동성이라는 장점을 활용할 수 없어기 때문이기도 하다. 비록 영국군의 피해는 컸지만, 이탈리아군이 많은 전차와 포를 잃은 것에 반해 영국군의 피해가 참혹하다고 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영국군 전차대는 이탈리아군 포병대와 전투 후에 M13과 마주치자 후퇴해야만 했다. 3대의 M13을 격파하며 작은 승리를 거둔 크루세이더 순항전차는 그날 작전에 데뷔할 기회를 놓쳤는데, 이 기갑여단이 크루세이더 전차로 무장했기 때문이었다. 크루세이더 전차는 무장과 장갑에서 충분히 강하지 못했고 오직 속도만이 더 좋았다(그러나 또 다른 문제들도 있었다). 1942년 전체적으로 M13은 그리스 전역이 시작된 이래 최고의 사막전 부대를 그리스로 보내는 바람에 약화된 영국군을 상대로 제법 잘 싸웠다. 반면 이 시기에 M13은 새로운 엔진을 장착한 M14/41로 교체되었다. 에르빈 롬멜이 이집트에서 추축군을 지휘한 공세에서 이탈리아군은 약 240대 규모의 M13 및 M14를 최전선에 배치했다. 이때 영국군은 75mm 전차포를 갖춘 미국제 M3 그랜트와 57mm 전차포를 갖춘 크루세이더III으로 무장했으며 M13을 압도했다(영국 및 미국의 포는 1km 거리에서 1발로 60~70mm 장갑판을 관통했지만, M13은 2~3발을 명중시켜야 했다). 소형 47mm 전차포용으로 공급된 HEAT탄은 이론상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없었다.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전차에 모래주머니를 부착했지만, 이는 이미 힘의 부족을 드러낸 전차의 속도를 더욱 느려지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이탈리아군의 경전차들의 가치는 미국제 M4 셔먼때문에 더욱 위축되었지만 그들 중 230여대가 여전히 최전선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들은 대규모 지뢰밭을 통과하려는 전차들을 격파하려고 노력했다. 며칠 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연합군은 지뢰밭을 통과했으며 아리에테 사단을 격파했으며 그 후 리토리오 기갑사단이 추축군의 후퇴로를 엄호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켄타우로 기갑사단은 튀니지에서 싸웠으며 마지막엔 전멸했다. M13은 북아프리카 전역 마지막까지 등장했으며 이탈리아 본토에서도 운용되었다. 러시아에만 M13이 보내지지 않았다. 중전차(mediaum tank)로 설계되었지만 M13/40은 경전차 수준의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었다. M13/40은 1941년 그리스 전역과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운용되었지만, 동부 전선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동부 전선에 투입된 이탈리아군은 세모벤테 47/32와 피아트 L6/40만을 운용했다. 이탈리아군은 M13/40 시리즈의 화력 부족을 절감하고 전차대대에 세모벤테 75/18을 같이 배치하여 운용했다. 피아트 M14/41은 북아프리카에서 운용하기 위해 더 강력하고 성능이 향상된 공기 정화 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세모벤테 코만도 M40(Semovente Commando M40)은 기본적으로 포탑을 제거하고 대신에 고정된 상부 구조물을 올려놓은 M13/40으로서, 추가 무전기와 다른 통신기기를 탑재했다. M13/40 시리즈는 이탈리아가 전쟁 기간 중 M14/41같은 후기 개량형을 포함하여 3,000대 이상 생산하여 가장 많이 생산한 전차였다. 피아트 M15/42 전차는 1943년에 엔진을 교체하고 47mm / 40구경장 전차포를 탑재한 마지막 개량형이다. 세모벤테 75/18(Semovente 75/18)은 M13/40이나 M14/41의 차체를 이용하여 개발된 자주포다 = = 외부 추가 정보 = = M13/40, M14/41 M13/40 CARRO M13/40 = 바나나걸 = 바나나걸은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젝트이다. 가재발과 방시혁의 프로젝트로, 여자 보컬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주류로 취급하고 있다. 1대 바나나걸은 안수지, 2대 바나나걸은 남민설, 3대 바나나걸은 이현지, 4대는 김사은이다.〈엉덩이〉라는 곡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바나나걸은 원 소스 멀티 유즈의 효과를 위하여 여러 매체에 등장하였는데, 정규 1, 2집 음반의 홍보를 위하여 만화가 김진태의 웹툰이 연재되었으며, 2008년에는 바나나걸이라는 모바일 게임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 = 음반 목록 = = = = = 정규 음반 = = =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Banana Girl Chapter 1 발매일: 2003년 10월 30일 In Iin 엉덩이 회식 Dance Dance Dance 시간 12시 손톱 날개 Out Time (Jeppet Twin Star Mix) Ung-Dung-E (Gazaebal Stupid Trance Mix) Time (Gazaebal Ocean Blue Mix) 2 bubi-bubi 발매일: 2005년 8월 4일 부비부비 Serry 내 차를 가져가 야야야 Life Style Poison Melody 회사송 Day 엉덩이 (2005 Summer Mix) 야야야 (IS BT Sound Mix) 부비부비 (S&Q Nite Mix) 내 차를 가져가 (Club Mix) 엉덩이 (2005 Simon VS. Q Remix) 바나나 걸 (Minimix) 3 쵸콜렛 발매일: 2007년 5월 22일 콕 (Feat. 한나) 쵸콜렛 (Feat. 이현지) S (Feat. ENJEL) 마녀의 소풍 (Feat. 원혜영) Honey (Feat. 이현지) Story of Heartbreak (Feat. 주희) 라라라 (Feat. 천단비) 기분 좋은 날 (Feat. 간미연) 왜 (Feat. 김혜인) 쵸콜렛 가재발 버내너 (Remix Ver.) 엉덩이 wonder -full- eighties MIX 4 Colorful 발매일: 2008년 7월 31일 미쳐 미쳐 미쳐 Kiss Kiss BodyTalk 놀이터 꽃 Blow Ma Mind 미쳐 미쳐 미쳐 (We Made This Mix) Kiss Kiss (Re Edit) 미쳐 미쳐 미쳐 (Nogaba Mix) = = = 싱글 = = =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내 차를 가져가〉 발매일: 2006년 7월 28일 내 차를 가져가 (나이트 믹스 2006) 내 차를 가져가 (Hiphop Mix) 내 차를 가져가 (가재발 최신 클럽 믹스) 2 〈[S] summer special〉 발매일: 2007년 7월 20일 S - Summer Mix S - Gazaebal Electro Mix 2007 BananaGirl Megamix 3 〈키스해죠〉 발매일: 2008년 10월 20일 키스해죠 (Feat. 나몰라 패밀리) 꽃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은 사토 츠토무(佐島勤)의 일본의 라이트 노벨 및 온라인 소설이다. 일러스트는 이시다 카나(石田可奈)가 담당했다. = = 개요 = = 웹소설 연재 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 2008년 10월 12일부터 연재되었던 온라인 소설이다. 이 사이트에서 누계 3000만 PV 이상, 누계랭킹 1위를 달성했다. 2011년 3월 11일에는 전격문고에서 출판 예정이 발표되었다. 온라인 소설 전격문고에서 출판되는 것은 " 소드 아트 온라인 "에 이어 두 번째 사례로 온라인 소설 출판화에서 상업작가 데뷔는 전격문고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담당편집 미키 카즈마, 일러스트는 캐릭터담당 이시다 카나외에 메카닉 디자인을 지미 스톤, 컬러 코디네이터를 스에나가 야스코가 담당한다. 2012년 4월, 제1권부터 제5권까지 누적 발행부수는 120만부이다. 한국어판은 정발되지 않았다. 2014년 4월부터 TV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되고 있다. 2020년 2기 방영이 결정되었다. = = 극우·혐한 논란 = = 내용 중 한국이 중국에 병합되고마법과고교의 열등생의 세계관번역, 고려자치구가 대마도를 침공·학살한다는 내용文庫版 魔法科高校の劣等生 第7巻 P321마법과고교의 열등생의 세계관 속 연표과, 일본은 자위대가 아닌 정규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름이 일본 제국군인 점, 주인공이 TNT 20메가톤 수준의 공격으로 진해항을 날려 버렸지만 미화 일색인 내용으로 인해 극우·혐한 논란이 있는 작품이다. = = 등장인물 = = = = = 제1고교 = = = 관동 지방의 마법과고등학교, 소재지는 도쿄 서쪽 외곽. = = = = 1학년 E반 = = = = = = = = 1학년 A반 = = = = = = = = 학생회·풍기위원회 = = = = = = = 십사족관계자 = = = = = = = 십사족(十師族) = = = = = = = = = 요츠바가(四葉家) = = = = = = = = = = F.L.T. (포 리브스 테크놀러지) 관계자 = = = = = = = = 그외 인물 = = = = = 용어 = = 이츠와 미오(五輪 澪): 전 세계적으로 공표된 13명의 전략급 마법사중 한명으로 일본 정부가 대외적으로 공표한 일본내의 유일한 전략급 마법사.선천적으로 허약, 사용하는 전략급 마법의 이름은 [심연(어비스)], 반경 수십미터에서 수km에 걸쳐, 수면을 구면(球面)상태로 함몰시키는 마법. 본래는 수전 전용이지만 지하수를 가지고 발동하여 지상에 큰 피해를 주는게 가능하다고 작중 언급. 오오구로 류우야(가명): 시바 타츠야의 가명이다, 마고열을 아는 사람이라면 시바 타츠야는 모르지 않을테니 넘어가고, 그의 전략급 마법 이름은 [마테리얼 버스트], 위성과 연결된 서드 아이로 탄환을 발사한 후 탄환을 그의 능력으로 분해 한 후 에너지로 변환, 핵병기에 버금가는 파괴력을 지님. 작중 사용은 오키나와 방위전과 작열의 핼러윈 두차례. 제복도, 이 궁여지책인 추인을 때우도록, 최초부터 계획대로였다는 듯이 쭉 방치되고 있다, 라는 것이 진상이야. 생각해 보면 제복을 2종류 만드는 것도 쓸데없지……어차피 봉제까지 일관 자동 가공이니까, 한번에 만들어버리면 사이즈가 달라도 같은 디자인이 코스트도 싸고'. = = 만화 = = = =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魔法科高校の劣等生) = = = きたうみつな가 작화를 맡는 원작 스토리 라인을 따르는 만화판이다. 월간 G판타지(月刊Gファンタジー)에서 2012년 1월부터 연재. = = = 마법과고교의 우등생(魔法科高校の優等生) = = = 시바미유키의 시점에서 풀어나가는 모리 유우 작화의 스핀오프 만화다. 월간 코믹전격대왕(月刊コミック電撃大王)2012년6月호부터 연재. = 틀:요즘 화제 처음/2021년 12월 19일 =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565,098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6,236명(국내 6,173, 해외유입 63)이 늘었다. 누계가 일부 정정(-2)되었다. 제22호 태풍 라이로 인한 필리핀의 사망자 수가 208명으로 늘었다. = 이수경 (1953년) = 이수경(1953년 11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안전공학자이다.한국소방정책학회 이수경 회장 연임 확정서울산업대 안전공학과 교수 이수경씨 = = 경력 = = *2007년 1월 : 한국가스학회 회장 *2008년 8월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원장 *2010년 8월 : 한국소방정책학회회장 *2010년 8월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원장 = = 학력 = = *1977년 : 경희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1980년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석사 *1988년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박사 = = 저서 = = *「최신 가스안전공학」 동화기술, 2009. 9. *「소방설비 실무」 도서출판 아진, 2009. 4. *「가스폭발방지공학」 도서출판 아진, 2009. 3. *「신 연소공학」 동화기술, 2009. 3. *「화재시뮬레이션 실무과정」 도서출판 아진, 2008. 6. = 분류:괌의 행사 = = SAO 7500 = = 분류:칠곡군의 스포츠 시설 = = 치즈 = 치즈, 또는 건락(乾酪)은 우유, 염소젖, 양젖 또는 그 밖의 포유류의 젖으로 만든 고체 음식이다. 또한, 치즈는 원료의 종류와 제조 방법에 따라서 수백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영양소들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치즈를 만드는 대표적인 국가들로는 터키,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유럽 국가이다. 우유 중의 카세인을 응고, 발효시킨 식품.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으며, 요리에 주로 쓰인다. 대부분 소젖으로 만들지만 지역에 따라 양·물소·염소·순록·야크의 젖으로 만들기도 한다. 크게 부드러운 연질치즈, 반쯤 부드러운 반연질치즈, 단단한 경질치즈, 매우 단단한 완전경질치즈, 부스러지는 치즈 등으로 나뉜다. = = 역사 = = 치즈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섭취한 것을 시작으로 보며, 인간이 집단 생활을 하며 소나 양 등을 가축화하는 단계에서 제조 기법을 터득했으리라 추정한다. 치즈의 기원은 추정할 뿐이다. 누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기 시작했는지 증명할 수 없다. 제작 초기에는 동물의 가죽이나 내장을 용기로 사용했었으므로, 동물 내장에 담긴 동물의 젖이 내장에 있던 레닛에 의해 응유나 유청이 된 것을 우연히 발견하여 치즈로 발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치즈를 발견했다는 아랍 상인의 전설이 전해진다. 인류가 치즈를 만들었었던 흔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5500년경 제작한 여과기로 내부에서 유지방 분자를 발견했다. 오늘날의 폴란드 쿠야비 지방에서 발굴했다. 치즈에 대한 최초 기록은 기원전 3500년경에 메소포타미아 지방 점토판 문서이다. 같은 시대에 오리엔트 일대 유적에서 치즈 제조용 기구로 보이는 토기를 출토하였다. 이집트 벽화에 치즈나 버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담은 그림 등이 현재까지 남았다. 기원전 900년의 작품인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는 치즈의 제조와 관련한 묘사가 나온다. 당시의 양젖치즈 제조법을 묘사한 내용이다. 아리스토텔레스, 히포크라테스 등이 치즈를 만드는 젖과 치즈의 영양 등을 언급한 기록을 남겼다. 그리고 로마시대에는 농업학자 콜루멜라가 양의 네 번째 위에서 추출한 레닛으로 우유를 응고시켜 치즈를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다.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한 사금파리에 묻은 잔존물로 보아 7000년 전에는 서남아시아 전역, 특히 소를 치던 곳에서 낙산물을 이용하였다. 발견한 7000년전 그릇에 낙산물 흔적이 있으며, 이는 치즈보다 요구르트였을 가능성이 크다. 치즈는 유지방을 제거하는 공정 등이 필요하로 요구르트보다 후대에 발전하였다. 현재까지 발견한 최초의 치즈 제조 설비는 최초의 낙녹용 도자기가 등장하고 1000년 이후에 나타난다. 약 6000년 전 치즈 제조를 위한 새로운 그릇이 등장했다. 여기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렸고, 그릇 조각에 유지방 잔존물이 묻었다. 구멍 뚫린 그릇을 체로 사용해 젖당을 함유한 유청에서 지방이 풍부한 응유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응유 치즈를 만들었을 것이다. 서남아시아에서 낙농을 발명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유럽 최초의 신석기 농부들도 성인이 되면 젖당 내성이 사라졌을 것이다. 하지만 약 7500년 전 유럽 중부와 발칸반도 사이에서 성인도 락타아제를 생산하도록 하는 돌연변이가 생겨났다. 성인이 되어도 젖당 내성을 유지하게 해주는 이 돌연변이는 유럽 북부에 퍼져 유럽 출신 사람들의 진화적 유산이 되었다. 이것은 그들이 지금 사는 곳과는 무관하다. 이를테면 유타주에서는 성인 인구의 90퍼센트 이상이 젖당 내성을 가지고 있다. = = = 한국의 치즈 역사 = = =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우유 섭취에 관한 문헌을 찾을 수 없으나, 일본의 자료에는 백제 제국의 복상이 왕실에서 국왕에게 우유를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어 삼국시대에 한국에서도 우유를 섭취했다고 추정한다. 고려사에 고려 명종 때 연의대부 이순우의 상소문에 우유에 열을 가해 농축시킨 식품 '수'가 등장한다. 고려 우왕 때는 우유를 공급하는 '유우소'가 설치되었고 조선시대에도 내의원에서 우유로 만든 '낙죽'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70, 80세의 노인을 관리하던 기로소에서는 유락을 노인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이후 농우로부터 채취한 우유를 이용한 음식을 조선의 권력층에서는 계속 섭취하였다. 1902년 일본이 처음으로 우유 영업을 허가받았고, 프랑스인 쇼트가 본국에서 여러 마리의 젖소를 수입하여 외국인을 상대로 우유를 판매하였다. 1906년에는 한국축산주식회사가 설립되어 홀스타인 10여 마리를 수입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유제품 산업이 시작되었다. 치즈의 본격적인 생산은 1959년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 지정환(본명 디디에 세르스테반스) 신부가 1966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에서 치즈를 생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68년 프랑스에서 치즈 기술자가 방문하여 카망베르 치즈를 만들었으나 보급에 실패하였고, 1969년 지정환 신부가 직접 유럽에 3달을 머무르며 치즈 제조 기술을 배우고 와서 한국 최초로 치즈 생산에 성공했다. 1970년에는 체더 치즈를 만들었다. 이후 조선호텔과 계약이 성사되어 대량으로 납품하게 되어 치즈생산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1972년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 체더 치즈를 생산하였고, 이후 피자가 한국에 소개되자 그 수요가 늘면서 피자용 치즈가 여러 업체에서 생산되었다. = = = 프랑스의 치즈역사 = = = 로마 시대의 프랑스 부유층에서는 로끄포르와 꺙딸과 같은 치즈들을 매우 즐겼다고 한다. 로마 제국이 붕괴되면서 수천 년에 걸쳐 내려오던 고급스런 치즈의 레시피와 제조 기술들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나마 속세로부터 외진 수도원 등에서 일부 치즈의 명맥을 유지하거나 제조기술을 보전하고 발전시켜 이를 농민들에게 전수하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라고 한다. 12세기에는 농가에서도 치즈들을 만들기 시작하여 각 지방과 지역별로 토종 치즈들이 탄생되기 시작하였다. 농가에서는 주로 여성들에 의해 치즈가 만들어지고 제조노하우나 기술들이 여성들을 중심으로 축적되면서 치즈제조는 여성전용의 기술이라는 전통도 생겨나게 되었다. “치즈 종류가 246가지나 되는 나라는 통치하기 어렵다” 프랑스를 10년 간 통치한 샤를 드골이 한 말이다. 프랑스 유제품협회(CNIEL)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1200가지의 치즈가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각 지방과 지역 그리고 각 지역의 농장에 따라 특산품처럼 생산되는 치즈들이 워낙 다양하고 소젖과 양젖, 염소젖 등으로 만들어지는 전통적인 치즈들이 제조 과정과 숙성 방식 및 기간 등에 따라 분류 기준과 이름이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치즈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프랑스이다. 프랑스 사람들이 먹는 연간 치즈 량은 1인당 26㎏으로 알려지고 있다. 프랑인들의 치즈의 선호도 순위는 까망베르가 첫째이고, 그 다음은 염소젖 치즈인 쉐브르, 쥐라 지방에서 생산되는 꽁떼, 사부와 지방에서 생산되는 그뤼에르와 모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리 순이다. 반면, 프랑스에서 소비량이 가장 많은 치즈는 에망딸, 까망베르, 그리고 라끌레뜨 순으로 나타났다 치즈 생산량으로 보면 프랑스보다 미국이 훨씬 더 많은데, 미국의 경우는 자국 내에서 주로 소비된다. 치즈 수출량으로 보면 프랑스보다는 독일이 앞서지만, 수출총액 면에서는 프랑스가 세계 최고라고 한다. 그것은 치즈의 맛과 품질에서는 프랑스 치즈와 겨룰 수 있는 나라가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프랑스는 서부 유럽국가들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을 소유한 나라이면서 국토의 50% 이상이 농업용지인데다가 그 가운데 20%이상이 비옥한 토질을 갖춘 목초지로 형성되어 있다. 거기에다 온화한 기후에서 6개월 이상 젖을 생산하는 가축들을 방목으로 사육하고 있기 때문이다. = = = 영국의 치즈역사 = = = 영국을 대표하는 체다치즈 역시 전쟁과 인연이 닿아있다. 체다 치즈 자체가 2차 세계대전이 만들어낸 치즈 가공품인 것. 체다(cheddar)는 영국 남부 소머셋 지방의 마을 이름인데 마을 협곡에 수많은 동굴이 있어 치즈를 만드는데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갖추었다. 덕분에 12세기부터 이 곳에서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했는데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전쟁 물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에 통제를 받게 되면서 치즈 생산도 제한되었다. 자연산 치즈는 원유에 소량의 유기산을 첨가해 만드는데 원유 자체의 공급이 어려워지니 우유에서 버터나 치즈를 만들고 남은 액체에 방부제와 색소 등의 첨가제를 넣어 가공 치즈를 만들게 된 것이다. 가공 치즈는 동일한 양의 우유로 생산량을 대폭 늘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장기보관과 장거리 운송도 가능해 획기적인 치즈로 각광받게 되었다. 하지만 가공 치즈라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공식적인 명칭을 체다 치즈로는 표기하지 못하게 하고 체다 슬라이스 치즈라고 표기하게 했다. = = 제조 과정 = = 동물의 젖을 굳게 하여 응유를 만드는 과정이다. 대개의 경우, 유산균이 유당을 발효하면서 발생하는 유산에 의해 응유가 형성된다. 렌넷을 첨가하여 응결과정을 촉진하며, 어떠한 경우에는 식초 등의 산을 직접 가해 응유를 만들기도 한다. = = 종류 = = 치즈는 원료, 저온살균 여부, 유지방의 함유, 사용된 발효균의 종류와 숙성 과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조직 및 맛을 갖는 수천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노란색에서 붉은색에 이르는 치즈의 다양한 색깔은 아나토(annatto) 색소 때문이다. 치즈는 그 자체로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 요리에 더해져 가열되어 녹은 형태로 섭취된다. 치즈는 허기를 달래기에 적합한 좋은 여행 음식이다. 휴대하기 간편하며 잘 상하지 않고 지방, 단백질, 칼슘, 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치즈는 우유로 만들지만 간단하게 고체화되어 더 긴 저장 수명을 가지고 있다. 낙농업 지역에서 가까운 치즈 생산자들은 더 신선하고 낮은 가격의 우유, 그리고 운반 비용에 있어서 이익이 있다. 치즈의 긴 저장 수명은 시장이 더 편리하고 알맞을 때 치즈를 팔 수 있도록 해준다. 치즈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특히 프랑스는 400여가지가 넘는 다양한 종류가 생산된다. 미국이나 영국에서 생산되는 슬라이스 치즈가 있으며, 네덜란드의 하우다 치즈는 구멍이 없고 동그랗고 납작한 모양이고, 프랑스의 치즈는 작게 잘려 있다. 스위스의 에멘탈 치즈는 물레방아 바퀴 모양에 커다란 구멍이 나 있다. 그리스의 파르메산 치즈는 피자에 뿌려서 먹는 치즈 가루로 쓴다. 그 이유는 너무 단단하기 때문이다. 리코타 치즈는 모차렐라 치즈의 물을 뺄 때 물을 조금 남기고 빼면 만들 수 있다. = = = 숙성기간에 따른 분류 = = = 치즈를 숙성기간에 따라 분류하면 생치즈와 숙성치즈로 분류할 수 있다. 생치즈는 응고 후 유청만 분리해 낸 치즈로 보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다. 코티지 치즈가 대표적이고 프랑스의 뇌샤텔과 염소젖으로 만든 셰브르가 있다. 이런 치즈는 연하고, 빵에 발라 먹을 수 있으며 맛이 순하다. 유청으로 만드는 치즈인 유청치즈도 생치즈에 속하는데 이탈리아의 리코타가 대표적이다. 모차렐라와 같이 늘어나는 성질을 가진 치즈도 생치즈의 일종이다. 모차렐라 치즈는 소금물에 담가서 운송, 저장하여 피자에 사용하는데, 본래 모차렐라 치즈는 만든지 수 시간 안에 먹는게 보통이다. 인도의 파니르와 멕시코의 케소 프레스코도 생치즈에 속한다. = = = 질감에 따른 분류 = = = 치즈의 질감에 따라 연질 치즈, 반연질 치즈, 반경질 치즈, 경질 치즈로 나뉜다. 치즈의 질감은 수분의 함량에 영향을 받는데, 수분의 함량은 치즈내의 곰팡이나 숙성기간과 관련이 있다. 연질일 수록 맛이 부드럽고 경질일수록 독특한 맛이 난다. = = = 재료에 따른 분류 = = = 대부분의 치즈가 우유를 이용하여 만들지만 염소나 양의 젖을 이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프랑스의 로크포르와 이탈리아의 페코리노 로마노는 양젖으로 만든다. 그리스의 페타는 염소젖으로 만든다. 또한 모차렐라는 물소의 젖으로 만든다. 또 첨가한 물질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더블 크림 치즈는 우유와 함께 크림을 넣어서 지방 함량을 60% 정도가 되도록 한 치즈이다. = = = 숙성시키는 미생물에 따른 분류 = = = 벨벳과 페니실리움 카멤버티나 페니실리움 칸디둠 곰팡이는 백색 껍질을 만들어 질감이 부드럽고 끈적끈적한 연질 숙성 치즈를 만들어 내는데, 프랑스의 카망베르와 브리는 이런 백색 곰팡이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블루 치즈는 페니실리움 로커포티나 페니실리움 글라우컴과 같은 곰팡이를 이용하여 만든다. 숙성 중인 치즈를 꼬챙이로 찔러 공기중의 곰팡이가 들어가 자라게 만든다. 연한 녹색에서 진한 청색까지 색깔이 다양하다. 프랑스의 로크포르, 이탈리아의 고르곤졸라, 영국의 스틸튼은 각각 다른 맛과 향, 질감을 가진 블루치즈이다. 카망베르와 브리와 함께 연질 숙성 치즈로 분류하기도 한다. 브레비박테리움 리넨스를 이용해 숙성시키는 껍질을 세척한 치즈는 소금물, 맥주, 포도주, 브랜디 등에 담가서 만든다. 독일의 림브루거, 독일의 뮌스터, 스위스의 아펜젤러 등이 있다. = = 참고 자료 = = 치즈종합백과사전, 황금택 등,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2007년 4월 (국회도서관 디지털라이브러리에서 원문 제공) = 위키백과:사랑방 (기술)/2013년 7월 = = = Tech news: 2013-27 = = Latest tech news from the Wikimedia technical community. Please inform other users about these changes. Translations are available. The latest version of MediaWiki (1.22/wmf9) was added to test wikis on June 27. It will be enabled on non–Wikipedia sites on July 8, and on all Wikipedias on July 11. On Wikisource, the canonical names of the "Index" and "Page" namespaces in the Proofread Page extension are no longer localized (bug #47596). Please check scripts that depend on $wgCanonicalNamespace. A JavaScript problem caused the "" and "" tabs in the Vector skin to be moved into the drop-down menu on right-to-left wikis. The issue is now fixed and links are visible as before (bug #50196). There was a short site outage on June 28. The automated :Category: now includes broken file links inserted inside the tag (bug #50119). The Nearby feature is now enabled on Commons and shows images in a user's area. There is now a special page listing disambiguation pages for wikis that use the Disambiguator extension (bug #44040). The old version of the Article feedback tool (version 4) was removed from wikis that still used it. VisualEditor news: Many bugs that caused text to be removed or damaged have been fixed, including one related to copy-paste (bug #49816). VisualEditor now offers a visual interface to edit references. In preparation for enabling the VisualEditor on a wider scale, new documentation has been created, including a list of frequently-asked questions and a user guide with many images. Please help with translations. Several problems related to overlapping of elements with the VisualEditor toolbar have been fixed (bug #50096, #50159, #50324). TemplateData information is now displayed for templates that are added to a page (bug #49778). Section edit links now show links to both VisualEditor and the old (source) editor (bug #49666). Images are now loaded securely when using HTTPS (bug #43015). VisualEditor will be enabled for all logged-in English Wikipedia users on July 1, and for all users on July 8. From July 8, it will be possible to upload WAV and native FLAC files to Commons, and use them directly on wiki pages ([[bugzilla:49505|bug #49505]]). The Universal Language Selector will be added to the English Wikipedia on July 2, and to remaining wikis on July 9. Tech news #26 incorrectly reported that audio transcoding was added to TimedMediaHandler; it was actually statistics about audio transcoding that were added. Tech news prepared by tech ambassadors and posted by Global message delivery • Contribute • Translate • Get help • Give feedback • Subscribe or unsubscribe. 2013년 7월 1일 (월) 23:27 (KST) = = 공용분류 틀이 이상합니다 = = 공용분류 작동이 이상하게 되는데, 주오 신칸센 문서에서 변수값 없이 틀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위키데이터에서 분류명을 받아오지 못하고 위키미디어 공용 페이지가 한국어 위키백과 페이지와 똑같이 나옵니다(당연 글로벌 프로젝트인 위키미디어 공용에서는 없는 페이지라고 나오지요). 근데 소스를 봐도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콩가루 (토론) 2013년 7월 7일 (일) 16:56 (KST) = = Tech news: 2013-28 = = 최신 위키미디어 기술 커뮤니티로부터의 기술 뉴스 입니다. 다른 사용자들에게 알 수 있도록 알려주세요.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의 소프트웨어 변화: (모든 변화가 영향을 미치진 않습니다) 시각편집기 뉴스: 시각편집기 적용이 1주일 지연되었습니다. 선택된 언어판 사용자에게 7월 22일에 활성화되고, 모든 언어판에 7월 29일에 활성화됩니다. 비주얼에디터가 CAPTCHA를 무시하는 버그가 고쳐졌습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쓰는 언어판에서의 버그들 (버그 #49416, 버그 #49613, 버그 #50543)이 고쳐졌습니다. 메타위키에서의 파일 업로드는 제한되었으며, 업로더 그룹이 생겼습니다. 버그 #50287 참조. 중요도가 비상인 센트럴노티스는 숨기기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항상 보여집니다. 예정된 소프트웨어 변화: 미디어위키는 특정 문서를 PDF 문서로 만들거나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버그 50124를 수정하기 위해, 빈 미디어위키: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위키여행에서 가까운 곳 찾기 기능이 조만간 재활성화됩니다. 이메일에 더하여 알림 기능 메시지에서 차이 보기 링크를 제공합니다. 표는 앞으로 대신
을 사용하도록 될 예정입니다. (9년 된 버그 658을 고침) 모바일 위키데이터 앱의 최초의 모형이 Pragun Bhutani 에 의해 Google Summer of Code 의 일부로서 공개되었습니다. 미디어위키 코드의 최소 문서화 작업에 대한 토론이 시작되었고, 공동체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술 대사관에 의해 준비되고 글로벌 배달 서비스로 포스팅되는 기술 뉴스 • 기여하기 • 번역하기 • 도움 받기 • 피드백 • 구독/구독 해제 2013년 7월 9일 (화) 03:38 (KST) = = Template:Location mark+ = = ':en:Template:Location mark+'와 같은 틀이 있으면 좋을 것 같네요. :en:Asiana_Airlines_Flight_214#Crash에서 잔해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어판에서는 '틀:위치_지도'가 비슷해 보이네요. 케골 2013년 7월 9일 (화) 13:52 (KST) = = 영어 위키백과 편집창 = = 영어 위키백과에 설치된 소도구 같은데 이거 보셧어요(근데 어떤 소도구인지 모르겠군요)? 굳이 복잡한 위키문법을 쓰지 않아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보상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에서 편집이 가능하고 사진 첨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기존방식은 "원본 편집"버튼을 눌르면 평범한 편집 인터페이스가 보입니다. 이외에도 영어 위키백과에는 특수기능:새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새 문서를 간편하게 검토할 수 있는 도구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새 문서 피드) 언젠가는 이런 편집 인터페이스도 한국어 위키백과에 소도구 등으로 도입되지 않을까요? (물론,총의가 필요하니 모으면 말이죠). (참고로 영어 위키백과의 사용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했기에 한국어로 인터페이스가 표출 되는겁니다.) 분당선M (토론) 2013년 7월 8일 (월) 12:54 (KST) = = Tech News 번역담당 = = 누구 뽑아서 하든지 아무나 시간 나시는 분 하든지 번역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번역을 하다 말았는데 다시 할까 싶어서요. Jytim (토론) 2013년 7월 11일 (목) 01:47 (KST) = = Tech News 번역 = = 번역이 가능합니다. 위치는 m:Tech/News/Latest 입니다. 링크가 Latest이기 때문에 매주 주말에 들어가시면 새 주의 번역으로 바뀝니다. 레비ReviDiscussSUL Info 2013년 7월 15일 (월) 01:25 (KST) = = Tech News: 2013-29 = = 위키미디어 기술 공동체에서 알리는 최신 기술 소식입니다. 이 변경 사항을 다른 사용자에게 알려주세요. 더 많은 번역본도 있습니다. 최근의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 (모든 변경 사항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최신 미디어위키(1.22/wmf10)가 위키를 시험해보기 위해 7월 11일에 추가되었습니다. 비위키백과 웹사이트에는 7월 15일에, 모든 위키백과 웹사이트에는 7월 18일에 적용될 것입니다. 동음이의 확장기능이 7월 9일에 모든 위키미디어 위키에서 활성화되었습니다(bug #50174). 이를 사용하려면 __DISAMBIG__ 코드를 동음이의 틀에 추가하세요(예시 보기). The 일반 언어 선택기가 7월 9일에 나머지 모든 위키에 추가되어 Narayam과 WebFonts 확장기능을 대체하는 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CommonsDelinker 봇이 비밀번호 문제가 수정되어(bug #51016) 지금 다시 작동하고 있습니다. 시각편집기 소식: 일정에 따르면 시각편집기는 7월 15일에 영어 위키백과의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시각편집기를 대비하기 위해TemplateData를 틀에 추가해야 합니다. 사용 안내서가 있습니다. TemplateData에서 "required"로 표시되는 매개변수는 틀을 덧붙일 때 이제는 자동으로 추가됩니다(bug #50747). 사용자가 보호되거나 편집 알림이 있는 문서를 편집할 때 이제 시각편집기에 경고가 표시됩니다(bug #50415). 기타 많은 오류가 지난 2주 동안 수정되었습니다. 6월 위키미디어 기술 보고서가 발행되었으며 번역할 수 있는 요약본도 있습니다. 예정된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 전체 계정에 사용될 새로운 통합 계정 로그인 시스템이 7월 17일에 활성화될 것입니다. 사용자는 이제 로고와 함께 "로그인 성공"이라는 문서를 보는 대신에 이전에 보던 문서로 자동으로 돌아갑니다. 모든 위키에서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가 7월 18일에 변경될 것입니다. 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게 더 빨라지고 안정화될 것이며 GIF, PNG, TIFF 파일의 해상도 제한(지금 50메가픽셀)이 해제될 것입니다. 편집 태그(AbuseFilter에서 주로 사용됨)도 이제 문서 비교 시에 나타날 것입니다. Special:Tags로의 링크를 편집 요약 앞에 포함합니다. 태그 메시지에 링크를 사용하는 위키는 링크를 삭제해야 합니다. 전체 편집 필터가 지금 시험 중이며 나중에 위키에 추가될 것입니다. 위키여행 위키에서 7월 22일부터 인터위키 링크를 위해 위키데이터를 사용할 것입니다. 새로운 이미지 갤러리 디자인을 Brian Wolff가 제안했으며 의견을 제시해 주세요. 버그질라에 대한 토론IRC 토론이 7월 16일 16:00 (UTC) Freenode #wikimedia-office(time conversion)IRC 채널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기술 대사가 정리하고 전체 메시지 전송 봇이 게시하는 기술 소식• 기여하기 • 번역하기 • 도움 요청 • 의견 제시 • 구독 또는 구독 중단 2013년 7월 15일 (월) 02:38 (KST) = = 틀 설명문서 표준화 = = 시각 편집기가 월말에 기본으로 적용되게 될 예정인 것으로 압니다. 시각 편집기에서 틀을 쉽게 편집하려면 틀 데이터(도움말)를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이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되어 아예 틀 설명문서를 표준화하는 것이 보다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틀을 표준화하는 방식은 공용의 commons:Template:TemplateBox 방식을 수정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저 틀에서는 틀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 데이터의 양식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에 대해서 의견이 있다면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 Kwj2772 (msg) 2013년 7월 15일 (월) 11:22 (KST) = = 위키백과:시각편집기 = = 한국어 위키백과 편집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위키미디어 재단입니다. 몇몇 분들께서 이미 알고 계신 바와 같이, 곧 새로운 비주얼에디터(VisualEditor )가 모든 위키백과 문서에 적용되게 됩니다. 현재, 한국은 7월 29일로 사용 예정일이 잡혀 있습니다. 새 편집창은 기존의 편집창과 함께, 동시에 제공 될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 중에 새 편집창을 미리 시도해 보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환경 설정(Preferences)”으로 가셔서, “편집창”의 하단에 있는 “비주얼에디터(VisualEditor) 활성화”를 선택하신 후 저장 하시면, VE가 작동을 할 겁니다.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 또는 문제점을 찾고 있으니, 언제든지 여러분의 의견을 또는 미디어위키(MediaWiki) 에 남겨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또한 저희는 VE 문서의 번역의 도움을 주신 분들을 찾고 있습니다. 참여하실 분들은 로 와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Earley (WMF) (토론) 2013년 7월 11일 (목) 23:53 (KST) James Forrester는 담당자 이름인 것 같습니다. 원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Hi Hym411, thank you for getting in touch. I am just talking with James Forrester to make sure that that bug is fixed before deployment day. If it is not fixed, I will ask that the ko.wikipedia deployment is delayed. I will make an official reply on Korean wiki when I get an answer from him. Best regards, Patrick 메일은 허가를 받고 올립니다. 내용과 연관 없는 부분은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레비ReviDiscussSUL Info 2013년 7월 13일 (토) 09:44 (KST) If Bug 50631 is not fixed by July 29th (day of deployment), no deployment on Korean Wikipedia. He is confident it will be fixed before the date. = = 미디어위키 확장기능 = =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 순위를 미디어위키 기능으로 만들어 도입하는게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아직 자세히는 생각해보진 않았고 아이디어 수준까지만 생각해뒀지만 나중에 까먹을 것 같아서 일단 적어둡니다. Leedors (토론) 2013년 7월 16일 (화) 07:15 (KST) 여러차례 조명된 일이지만 포털의 순위는 조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조작된 광고를 인용할 이유가 있을지 조금은 의문입니다. 그러나 각 포털의 자료를 집계해서 종합순위를 통계낼수 있다면 그건 또 다른 의미가 될것 같습니다. 수고하십시오. 14.138.74.192 (토론) 2013년 8월 15일 (목) 07:43 (KST) = = 시각편집기에 위키 문법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적용되는 방법이 있습니까? = = 제가 시각편집기로 위키 문법을 입력할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자동으로 문법이 적용되는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습니다. 다만 저는 서식, 링크, 그림에 한정합니다. 아라는 다 알아 (토론) 2013년 7월 17일 (수) 18:50 (KST) = = Tech News: 2013-30 = = 최근의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 (모든 변경 사항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미디어위키 최신 판(1.22/wmf11)이 7월 18일에 위키와 mediawiki.org를 시험하기 위해 추가되었습니다. 비위키백과 사이트에서는 7월 22일에, 모든 위키백과에는 7월 25일에 활성화될 것입니다. Flow Prototype의 새 판은 Wikimedia Labs에서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시각편집기 소식: 시각편집기를 비영어 위키백과에 추가할 일정이 변경되었습니다. 독일어(de), 스페인어(es), 프랑스어(fr), 히브리어(he), 이탈리아어(it), 네덜란드어(nl), 폴란드어(pl), 러시아어(ru) 및 스웨덴어(sv) 위키백과의 로그인 사용자는 7월 24일에, 모든 사용자는 7월 29일에 시각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각편집기로 편집한 것이 편집 필터와 일치하면 이제 경고가 나타납니다(bug #50472). SpamBlacklist 메시지도 지원됩니다(bug #50826). 사용자는 이제 ... 블록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bug #47678). 사용자가 링크 끝에서 글을 쓰면 링크는 이제 그 글까지 확장됩니다. 크리어, 이누이트어 , 우르두어 언어용 자유 라이선스 글꼴이 일반 언어 선택기에 추가되었으며, 버그 #42421과 버그 #46693을 수정했습니다.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용 위키테이터 검색 플러그인을 Jeroen De Dauw가 배포하여 모질라 확장 기능 웹사이트에서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예정된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 ImageMagick 부터 VipsScaler까지 위키미디어 이미지 크기 조절 체계의 변화는(지난 주 소식지에서 언급함) 버그 #51370이 수정될 때까지 보류되었습니다. 관리자는 더 이상 기여 페이지에서 자동 차단된 IP 주소의 unblock 링크를 보지 않을 것입니다(bug #46457). 사이트 전반의 CSS에 대한 의견 요청이 MediaWiki.org에서 있었습니다. 기술 대사가 정리하고 전체 메시지 전송 봇이 게시하는 기술 소식• 기여하기 • 번역하기 • 도움 요청 • 의견 제시 • 구독 또는 구독 중단 2013년 7월 22일 (월) 06:09 (KST) = = Tech News: 2013-31 = = 위키미디어 기술 공동체에서 알리는 최신 기술 소식입니다. 이 변경 사항을 다른 사용자에게 알려주세요. 모든 변경 사항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더 많은 번역본도 있습니다. 미디어위키의 최신 판(1.22/wmf12)이 위키와 MediaWiki.org를 시험해보기 위해 7월 25일에 추가되었습니다. 위키백과를 제외한 사이트에는 7월 29일에, 모든 위키백과에는 8월 1일에 이 최신 판이 활성화될 것입니다. 위키여행이 7월 24일에 약 40분 동안 오프라인되었습니다. Pywikipediabot의 코드를 SVN에서 git으로 이전했습니다. 봇 소유자는 자신의 도구를 갱신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림과 감사하기 확장 기능이 7월 26일에 메타 위키에 추가되었습니다. 다른 위키에도 곧 추가될 것입니다. 이제 위키데이터에 편집 요약을 API를 사용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곧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될 것입니다. 모든 위키에서 대용량 PNG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가 7월 25일에 변경되었습니다. 35메가픽셀보다 큰 PNG 이미지 크기를 이제 더 빠르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새로운 웹폰트(Gentium, 옛 페르시아, Shapour)가 일반 언어 선택기에 추가될 것입니다. , , Special:MIMESearch(형식별로 파일 목록을 제공)가 미디어위키 판 1.22/wmf12와 함께 모든 위키미디어 위키에서 활성화될 것입니다(bug #13438). 멀티미디어 기능을 토론하는 메일링 리스트가 생겼습니다. 사용자들이 이 리스트에 서명하기를 바랍니다. 시각편집기 소식: 시각편집기는 7월 24일에 독일어(de), 스페인어(es), 프랑스어(fr), 히브리어(he), 이탈리아어(it), 폴란드어(pl), 러시아어(ru) 및 스웨덴어(sv) 위키백과 로그인 사용자에게 추가되었고, 7월 29일에 이들 위키의 모든 사용자에게 추가될 것입니다. 시각편집기가 베타 단계에 있는 동안 이를 완전히 비활성화할 수 있는 선택 항목이 7월 24일에 추가되었습니다. 많은 오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언어에서 수정되었습니다. 틀 편집 창에서 스크롤다운이 다시 가능합니다(bug #51739). 시각편집기가 이제 FlaggedRevisions 확장 기능과 작동합니다. (bug #49699) 사용자가 부분 편집 링크를 사용해 시각편집기를 열면 해당 단락의 제목이 편집 요약에 추가됩니다(bug #50872). 숨겨진 틀은 이제 고의든 실수든 삭제될 수 없습니다(bug #51322). 기술 대사가 정리하고 전체 메시지 전송 봇이 게시하는 기술 소식 • 기여하기 • 번역하기 • 도움 요청 • 의견 제시 • 구독 또는 구독 중단 2013년 7월 29일 (월) 05:51 (KST) = 멜람푸스 = 멜람푸스(Melampu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미타온과 페레스의 딸인 에이도메네의 아들이다. 어미 잃은 두 마리의 새끼뱀을 길러 주었더니, 뱀이 자라서 그가 잠자는 동안에 그의 귓구멍을 핥자, 모든 동물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힘을 얻었다. 게다가 알페이스강 언저리에서 아폴론을 만난 후 세계 제일의 예언자가 되었다. 그에게는 비아스라는 형이 있었는데, 그 형이 백부인 넬레우스의 외동딸 페로를 아내로 삼고자 하였다. 그런데 넬레우스는 딸에게 청혼자가 너무도 많았으므로 테세리아의 필라코스가 가지고 있는 암소를 가져오는 자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 천보초등학교 = 천보초등학교는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7년 3월 1일 덕정국민학교 옥정분교 설립 인가 1950년 4월 1일 천보국민학교로 승격 인가 1956년 3월 31일 초대 박이빈 교장 취임 1982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천보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2002년 8월 30일 학교 직원 사택 보수 2003년 10월 14일 정보도서관 개관 2004년 3월 11일 신관 8실, 식당 완공 2007년 8월 27일 과학실 현대화 사업 완료 2010년 2월 5일 신관 다목적실 완공 2011년 3월 1일 제16대 이준숙 교장 취임 2012년 2월 16일 제57회 졸업식 (총 3778명 졸업) 2013년 2월 15일 제58회 졸업식 (총 3829명 졸업) 2013년 3월 1일 제17대 신철호 교장 취임 2014년 2월 14일 제59회 졸업식 (총 3871명 졸업) 2014년 9월 23일 율정관 개관 기념식 2015년 2월 13일 제60회 졸업식(총 3918명 졸업) 2015년 3월 1일 제18대 강옥성 교장 취임 2016년 2월 12일 제61회 졸업식(총 3970명 졸업) 2017년 2월 15일 제62회 졸업식(총 4003명 졸업) 2017년 3월 2일 초등 13학급(초등12, 특수1), 유치원 1학급 편성 = 분류:바르가스주 = = 이상협 (1893년) = 이상협(李相協, 1893년 ~ 1957년 1월 14일)은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소설가이다. 호는 하몽(何夢)이며, 필명으로 백악산인(白岳山人)이 있다. = = 생애 = = 한성부에서 출생하여 관립한성법어학교를 수료하였다, 1909년에 일본에 건너가 게이오의숙 이재과에서 수학하다가 중퇴하고 1912년 귀국했다. 귀국 직후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입사하여 1918년에는 발행인 겸 편집장에 올랐다. 3·1 운동이 일어난 1919년에 매일신보에서 퇴사하고, 이듬해 창간된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 취임했다. 이때 20대 후반으로 매우 젊은 나이였다. 1923년에 간토 대지진이 일어나자 단독으로 도일하여 이 사건을 취재하기도 했고, 1924년 조선일보의 편집고문을 지내고 1926년에는 중외일보를 창간했다. 중외일보는 최남선의 시대일보를 물려받은 신문으로, 1928년 사설이 문제가 되어 무기정간을 당했다. 1928년 2월 27일 중외일보 논설위원 이정섭이 기고한 아일랜드 기행문 세계 일주 기행 - 조선에서 조선으로 필화 사건에 연루되어 이정섭과 함께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1928년 4월 4일 경성지방법원으로부터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지만 1928년 11월 2일 경성복심법원으로부터 벌금 200원을 선고받았다. 1936년부터 1940년 9월까지 매일신보 부사장 겸 이사로 재직했고 1938년 4월 29일부터 1940년 12월 30일까지 발행인으로 재직했다. 한편, 1910년대에 매일신보에 재직하면서 신소설을 연재하여 소설가로도 이름을 얻었다. 이때 집필한 작품으로는 눈물과 번안소설 해왕성이 유명하다. 통속적인 가정소설인 눈물은 많은 사랑을 받아 신파극의 인기 레퍼토리가 되었고, 특히 1938년 동양극장에서 엄미화 주연으로 공연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해왕성은 알렉상드르 뒤마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일본에서 번안한 암굴왕을 이상협이 다시 번안한 것이었다.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발행인과 부사장을 지낸 경력 외에 일제 강점기 말기에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참사를 지내고 조선임전보국단에도 가담하는 등 전쟁 체제에 협력한 행적이 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언론/출판 분야에 선정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 미군정이 시작되면서 매일신보사가 미군정에 접수되었다. 이때 이상협은 다시 부사장으로 발탁되었다. 1951년부터는 자유신문사 사장을 지냈으며, 1957년에 지병으로 사망했다. = 분류:정월 대보름 = = 분류:도야마시의 역사 = = Dies irae = Dies irae -Also sprach Zarathustra-(디에스 이레,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ディエス・イレ アルゾ・シュプラーハ・ツァラトゥストラ)는 일본의 게임 제작사 light의 성인 게임과 그것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이다. = = 줄거리 = =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5월 1일, 독일. 함락 직전이 된 수도 베를린에 성창 13 기사단(聖槍十三騎士団)이라고 불리는 자들이 있었다. 그들에게는 저들 나라의 패퇴(敗退)란 보잘것없는 일이었고 오히려 전쟁의 희생물이 된 수많은 백성들을 의문의 의식의 촉매로 제물로 삼았던 것이다. 전쟁 발발 후 그들의 존재는 역사의 어둠 속에 숨어 있었고 그 행방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리고 61년 후, 서기 2006년의 일본. 스와하라 시(諏訪原市)에 사는 평범한 학생 후지이 렌(藤井 蓮)은 절친한 친구인 유사 시로(遊佐 司狼)와 어떤 계기로 주먹 다짐의 결투를 벌였고 그 결과 만신창이가 되어 2개월이나 입원 생활을 해야 했다. 그 후 무사히 퇴원해, 소꿉친구 아야세 카즈미(綾瀬 香純)나 선배 히무로 레이아(氷室 玲愛)와 함께 원래의 학원 생활로도 돌아오고 있었다. 그러나 성탄절도 가까워진 12월의 스와하라 시에서는 사람이 참수돼 살해되는 무차별 연쇄 괴한 사건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기묘하게도 렌은 그 무렵부터 자신이 단두대에서 목을 베는 끔찍한 악몽에 가위 눌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것은 그에게 있어서 공포와 고민에 가득찬 싸움의 이야기의 전조였을 뿐이었다. 뒤집히는 일상. 암약(暗躍)하는 나치의 잔당. 거리는 전쟁터로 변하면서 상식을 초월한 부조리가 렌을 덮친다. 싸우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 앞에서 그는 평범한 생활을 되찾을 수 있을까. = 발차 = 발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케베데 발차: 에티오피아의 전직 육상 선수 아그네스 발차: 그리스 태생의 세계적인 메조소프라노 = 분류:시즈오카현의 산 = = 분류:알아흘리 사우디 FC 경기 = = 금산 양지리 팽나무 연리목 = 금산 양지리 팽나무 연리목(錦山 陽地里 팽나무 연리목)은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구석리, 양지리 노인정 인근에 있는 팽나무이다.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16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연리목(連理木)은 나무와 나무가 맞닿아 한 나무가 되는 현상이며, 금산 양지리 연리목은 부부의 사랑이 담긴 전설과 함께 팽나무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한 연리목이다. 금산읍 양지리 장동이마을에 있는 금산 양지리 팽나무 연리목 2주는 나이가 약 150년 정도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17m, 가슴높이 둘레는 굵은 줄기 1.74m, 가는 줄기 1.44m이다. = 존 샤리언 = 존 샤리언(John Sharian, 2000년 1월 1일 ~ )은 미국의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영화 감독이다. 코네티컷주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트루 스토리 (2015년) 디스커넥트 (2012년) - 로스 린드 역 3윅스투데이토나 (2011년) - 고메스 역 보이 원더 (2010년) 스테이튼 아일랜드 (2009년) 워즈 (2007년) 더 헌터 (2004년) - 안토니오 역 머시니스트 (2004년) - 이반 역 캘린더 걸스 (2003년) 드라큐라 2 - 어센션 (2003년) - 경찰관 하지 역 퍼펙트 워리어 (2000년) 24 아워 인 런던 (2000년) 디 솔저 (1999년) 라이언 일병 구하기 (1998년) 로스트 인 스페이스 (1998년) 제5원소 (1997년) 데스 머신 (1994년) = 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멕시코인 = = 틀:JR 고베선 = = 분류:보수주의 틀 = = 배링턴 D. 파커 주니어 = 배링턴 D. 파커 주니어 판사는 아래의 소송을 심리했던 사람이다. ‘작가 협회 대 하티 협동조합’, 연방 3차 755번 87쪽(2지구 2014년)은 전자화된 책에 대한, 검색이 그리고 접근권 [보장] 사용이 공정 [저작권 보장] 사용인 것을 확인한 저작권 판결이었다. 작가 협회, 다른 작가 단체들, 그리고 개인 작가들은 하티 협동조합 전자 도서관이 그들의 저작권을 구글에 의해 스캔된 책에 대한 그것의 사용을 통해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연방 법원은 2012년 10월에 원고 패소로 판결했는데, 하티 협동조합의 사용은 공정 [저작권 보장] 사용으로 허용될 수 있다고 확인하면서 말이다. 원고는 2지구에 그 판결에 대해 항소했고, 2014년에 기각되었다. 바링턴 대니얼즈 파커, 2세에 의한 의견으로, 2 지구는 접근성과 검색에 대한 공정 사용으로의, 하급심의 판단을 대체적으로 인정했는데, 원고가 도서관 소장 복사본에 대해 소송하는 원고적격을 가졌는지에 대해서만 심판하기 위해 사건을 1심으로 돌려보내면서 말이다. 남은 청구들은 2015년 1월 6일에 화해되었다. = 분류:미평가 품질 라이트 노벨 문서 = = 서경 2도 = 서경 2도(西經2度)는 본초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2도 떨어진 경선이다.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북극해, 유럽, 아프리카, 대서양, 남극해, 남극을 거쳐 남극점에 이른다. 서경 2도는 동경 178도와 이어져 지구의 둘레를 이룬다.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서경 2도선은 다음 지역을 지나간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북극해 대서양 스코틀랜드 포울라 섬 (at )의 바로 동쪽을 지남 북해 스코틀랜드 북해 스코틀랜드 애버딘 의 바로 동쪽을 지남 잉글랜드 — 베릭어폰트위드 와 버밍엄 주 서부 를 지남 영국 해협 코탕탱 반도의 바로 서쪽을 지남 섬의 바로 동쪽을 지남 대서양 비스케이만 타베르나스 사막은 좌표상 이 부근이 아닌 북위 37도에 위치하고 있음. 지중해 알보란해 대서양 남극해 남극 퀸모드랜드, 가 영유권을 주장한다. = = 더 보기 = = 서경 3도 서경 1도 서경 002도 = 틀: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금메달리스트 = = Morbid Visions = Morbid Visions는 1986년 11월 10일에 발매된 세풀투라의 음반이다. = 김을동 = 김을동(金乙東, 1945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정치인이다. 제18-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지난날 한때 경기도 광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1963년 연극배우 첫 데뷔 이후 45년이 지난 2008년 1월 21일, 연기자 분야에서 사실상 은퇴하였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號)는 소당(蔬堂)이다. = = 생애 = = 1945년 미 군정 조선 서울 종로에서 출생하였다. 주민등록 신고된 출생일은 1945년 9월 5일이나, 자신은 이는 음력 생일로 양력 1945년 10월 10일 출생이라고 주장한다.링크 1963년 서울 풍문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후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중퇴하였다. 1963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64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고 3년 후 1967년 DBS 동아방송 공채 성우 입사 1년 후 1968년 TBC 동양방송 공채 성우로 이적 입사하여 방송계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40여년 간 드라마 출연으로는 전설의 고향, 용의 눈물, 가보면 알 거야(영구와 땡분이 You'll Know When You Get There), 사랑은 지금부터 시작이야(This Is The Beginning Of Love), 영화 마파도, 카리스마 탈출기, 시트콤 김치 치즈 스마일, 드라마 반올림 3, 며느리 전성시대 등 다수 작품에서 활동했다. 또한 유동근, 박상원, 전광렬 등 연기자들에게 연기 지도를 해 준 일화도 유명하며 "김을동 사단"으로 불리었다.<연예X파일>`여장부 김을동` 연기 지도 능력 탁월 문화일보 2003년 2월 7일 1995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서울 동대문구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서울특별시에서 최다득표를 얻으며 서울시의회 의원에 당선되었으며 현직 서울시의원 재임 중 민주당 탈당하였고 끝내 1996년 제15대 총선 출마를 위해 서울시의원 사퇴하였지만 총선 낙선하였다. 2000년 4월 13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6대 총선에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자유민주연합 지역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하였으며, 2004년 4월 1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또 다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출마하였으나 재차 낙선하였다. 이후 2008년 1월 29일, 친박연대에 당무위원으로 신규 입당하여 2008년 4월 9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총선에서 친박연대의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이는 부친인 김두한 전 의원에 이은 2대째의 정계 진출이다.“반민족행위 공소시효 없다” 일요시사 2009년 7월28일 작성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SK커뮤니케이션즈의 개인 정보 3,500만 건 해킹 사고의 원인이 SK커뮤니케이션즈 내부의 보안 시스템 부실에 있음을 밝혀 내 전 국민적 관심을 집중받기도 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국감에서 정부의 콘텐츠 산업에 대한 포상 홀대와 한류 수출 대상의 제정을 촉구하고,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정부 지원의 부족과 활성화 방안을 내놓는 등 문화산업 종사자와 예술인들에게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으며, 2011년 국감 우수 의원에 선정되기도 하였다.김을동 의원, NGO국정감사 모니터단 '2011년 우수 의원' 선정 아이티뉴스 2011년11월22일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에서 24년 동안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서울특별시 송파구 병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3, 6대 재선이었던 부친 김두한 전 의원에 이은 최초 부녀 재선 국회의원으로 기록되었다.‘첫 3代 금배지’,‘6전 전승’, ‘부녀 재선’ 진기록 쏟아져 세계일보 2012년 4월 12일 2016년에 치러진 20대 총선에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남인순에게 밀리며 낙선했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1980년 10월 1일 ~ 1980년 11월 30일 TBC-TV, 1980년 12월 1일 ~ 1981년 9월 5일 KBS 1TV 일일연속극 《달동네》 1985년 KBS 1TV 대하드라마 《새벽》 1985년 KBS 1TV 특집드라마 《가시고기》 1986년 KBS 2TV 미니시리즈 《이화에 월백하고》 1988년 KBS 1TV 특집드라마 《사로잡힌 영혼》 1988년 KBS 2TV 미니시리즈 《풍객》 1990년 MBC 월화드라마《재미있는 세상》- 병숙 모 역 1991년 KBS 1TV 특집드라마 《기다리는 빛》 1991년 KBS 1TV 특집드라마 《춘보뎐》 1991년 MBC 아침드라마 《말로만 중산층》 1992년 SBS 월화드라마 《모닥불에 바친다》 1992년 KBS 2TV 미니시리즈 《적색지대》 1994년 KBS 2TV 주말연속극 《남자는 외로워》 1995년 KBS 2TV 주말연속극 《젊은이의 양지》 1995년 KBS 2TV 특집드라마 《오래된 집》 1996년 SBS 청소년드라마 《성장느낌 18세》 1996년 KBS 1TV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 1997년 SBS 일일시트콤 《OK목장》 1999년 SBS 주말극장 《파도》- 태경 모 역 2002년 KBS 2TV 특별기획드라마 《장희빈》 2006년 KBS 2TV 성장드라마 《반올림》 2007년 MBC 일일시트콤 《김치 치즈 스마일》 2007년 KBS 2TV 주말연속극 《며느리 전성시대》- 오향심 역 = = = 광고 = = = 1999년 청호나이스 빌텍 여섯개 김치독 (김치냉장고) = = 학력 = = 서울재동국민학교 졸업 풍문여자중학교 졸업 풍문여자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중퇴 = = 의정 활동 = = = = = 대표 발의 법안 = = = 2012-07-31 공공데이터의 진흥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 2012-07-26 데이터베이스산업 진흥법안 2012-07-03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대한 특별법안 2012-06-29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 =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반대 = = = 김을동 의원은 "전범국가 일본과 무엇이 급해 여론을 무시한 채 졸속으로 한일 군사협정 체결을 처리한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며 "역사성 없는 국무위원들은 퇴진하고 이명박 대통령은 한일군사협정 의결을 폐기하라"고 밝혔다. 또한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해 "국민 여론을 무시한 채, 국회가 공전 상태인 틈을 타 국무회의에서 비밀리에 협정을 처리했다"면서 "국회가 개원에 합의한 만큼, 국회에서 떳떳하게 협정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18대 국회 의정활동 = = = = = = = 대표 발의 법안 = = = = 2011-10-12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4인) 2011-10-12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4인) 2011-09-09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9-05 공공데이터베이스의 제공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1-08-25 전파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2인) 2011-08-23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1-08-0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6-15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21인) 2011-06-08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1-06-01 데이터베이스산업 진흥법안(김을동의원등 17인) 2011-05-24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5-19 남북협력기금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1-05-19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1-04-15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3-17 먹는물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0-03-30 국가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0-03-18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8인) 2010-03-18 교육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7인) 2010-02-25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0-02-03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8인) 2009-11-24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09-11-23 전통공연예술진흥법안(김을동의원등 12인) 2009-11-23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09-11-10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4인) 2009-02-26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6인) 2009-02-09 문화재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08-07-31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24인) 2011-03-14 부담금관리 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1-03-14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1-02-28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5인) 2011-02-28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5인) 2011-01-28 경찰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1-28 경찰직무 응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1-28 해양경찰청법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1-01-28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0-12-29 국가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5인) 2010-10-08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0-08-06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2인) 2010-08-06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3인) 2010-04-26 유아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0인) 2010-03-30 교육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2010-03-30 지방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김을동의원등 11인) = = 국회 시절 관련 활동 = = = = = 친일파 비판과 과거사 청산 노력 = = = 2009년 7월 20일 공식임명장을 받은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이건무 문화재청장 등이 모두 '친일 거물의 후손'이란 의혹을 제기하여, 개인 성명을 통해 "친일파 후손이 활개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도 되는 것인지, 현 정부의 역사인식 부재에 참담한 심정을 감출 수 없다"고 성토했다.'장군의 손녀' 김을동 "MB정부, 친일인사 너무해" 김완섭 등의 신종 친일파에 대해 비판하며 강력한 처벌 등을 촉구하는 등 성토했다.“민족 능멸하는 신종 매국노씨 말리겠다” 2008/08/30 브레이크뉴스 2010년 친일파 이해승이 한일강제병합에 공을 세운 대가로 작위를 받은 게 아니라며 국가가 환수한 3백억 원대 땅을 후손에게 돌려주라는 판결에 대해 역사적, 민족적 심판이 법령 해석의 이견으로 좌절되어서는 안 되며 차라리 법안 개정을 통해서라도 민족에 반하는 행위를 한 자는 끝까지 처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김을동, 친일재산 환수법 개정안 입법 연합뉴스 2011년 2월 28일“일제 작위 받았으면 모두 친일파” 법 개정 KBS 뉴스 2011년 3월 1일이해승 친일재산 환수의 길 열렸다 내일신문 2011년 5월 26일 2012년 9월 27일 발의한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19대 국회에서 통과되었다.김을동 의원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 특별법 본회의 통과 아시아뉴스통신 2012년 9월 28일 = = = 신라호텔 한복 출입 제한, 호텔들의 한식당 외면 비판 = = = 국회 상임위원회 회의에 한복을 입고 출석한 김을동은 신라호텔의 한복 출입제한을 질타했다. 또한 상위 10개 호텔 중 한식당을 경영하는 특급 호텔이 고작 4곳에 불과하다며, 특급 호텔의 한식당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김을동 "특급 호텔 맞는지"…한복 홀대 비판 SBS뉴스 2011년 4월 14일김을동 한복홀대 질타, 트위터에서도 화제 폭발 민중의 소리 2011년 4월 15일 = = = 일본 자위대 비판 = = = 2011년 8월 4일 일본이 방위백서에 독도를 명시함에 따라 유사시 자위대를 파견한다는 내부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 "전범국 일본이 침략의 망령을 드러낸 이상, 어떤 군대도 보유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일본의 침략주의 망동을 방관한다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앞에 역사적 대죄를 짓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태평양전쟁 피해 국가와의 국제 공조를 통해 일본이 다시는 침략과 군국주의의 망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을동 "日 자위대, 즉각 해체해야" 뉴시스 2011년 8월 4일 = = 가족 및 친인척 관계 = = 아버지: 김두한(국회의원) 어머니: 이재희 계모: 김부미 * 이복 여동생: 김영채 * 이복 남동생: 김경민 - 아명은 김경동 * 이복 남동생: 김현성 - 아명은 김현동 이복 고모: 김강석 이복 아버지: 김철한 이복 고모: 김석출 * 배우자: 송정웅 ** 아들: 송일국 ** 며느리: 정승연 *** 손자: 송대한, 송민국, 송만세 ** 딸: 송송이 = = 저서 = = 《김을동과 세 남자 이야기》(2011년 12월 8일 순정아이북스 ISBN 9788992337298) = = 기타 이력 = = 민주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통합민주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한나라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참주인연합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미래한국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친박연대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미래희망연대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새누리당 상임고문 겸 최고위원 바른정당 상임고문 겸 최고위원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조직본부 특보단 여성특보단장(2021년)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직능지원단 직능총괄공동지도단장(2021년 12월~202년 3월) 대한민국 헌정회 민족문화연구특별위원회 위원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고문 = = 수상 경력 = = 연도 수상 2011년 국감 우수의원 선정국회, 김을동 의원 2011년도 국정감사 우수의원 선정 기호일보 2011년 11월 22일 2011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의정대상2011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의정 대상 인민일보 해외판 2012년 1월 3일 2011년 대한민국 나눔봉사대상(조국봉사부문)대한민국나눔봉사대상 수상식 작은기쁨 2011년 11월 28일 2011년 2011년 장한어버이상 2012년 대한민국 무궁화 애국상(입법부문)제21회 대한민국 무궁화 대상 시상식 열려 뉴스쉐어 2012년 3월 7일 2012년 자랑스런 대한민국 시민 대상 - 국가유공선양 공로대상(의정공직공로부문)2012 자랑스런 대한민국 시민 대상 시상식 대한민국 시민대상 영광의 수상자들 한국문화예술신문 2012년 5월 6일 2012년 제2회 2012 대한민국정경문화인 대상 - 정치발전부문한국정경문화인협회 제2회 ‘2012 대한민국정경문화인 대상 개최 2012년 6월 30일 정경뉴스 2015년 2015 대한민국 의정대상김을동, '2015 대한민국 의정대상' 수상 2015-11-26 뉴스1 = 분류:콘돔 = = 가칠봉 전투 = 가칠봉 전투(加七峰戰鬪, 1951년 9월 4일 ~ 10월 14일)는 1951년 6월 23일 휴전회담이 제기된 이후 처음으로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확보할 목적으로 미국 19 군단장이 양구 북방의 가칠봉 일대에 5사단을 투입하여 고지를 점령하게 한 작전이다. 북한군은 27사단과 12사단을 투입하여 반격에 나섰으나, 40여일의 격전 후에 결국 한국군의 승리로 끝났다. 휴전 회담이 시작된 후 유엔군은 미국 1 해병사단과 대한민국 1해병연대를 주축으로 강원도 양구군 일대의 펀치볼 전투를 8월 30일에 시작했다. 가칠봉 전투는 펀치볼 전투와 단장의 능선 전투와 거의 동시에 시작된 전투로 이 일대를 유엔군과 한국군이 장악하기 위한 전투였다. = = 가칠봉 개요 = = 가칠봉 전방 500m에는 1,122고지(일명 김일성 고지)가 있었다. 쌍방이 차후 작전을 위해서 필히 확보해야 할 주요 고지였다. 가칠봉은 아군 전선에 너무 근접하여 포병 및 항공 화력이 불가능해서 오로지 보병 근접 전투에 의존해야 했던 전투였다. 이 때문에 미군의 화력과 항공지원에 많이 의존하던 당시 한국군 및 유엔군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인명 피해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지형적으로도 가칠봉은 해안분지의 북서쪽 분지를 둘러싸고, 외곽에는 높은 산들이 솟아 있는데, 공격자인 한국군은 낮은 지점에서 고지로 올라가며 전투를 치러야했지만, 방어자인 인민군은 지형을 이용한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적의 항공지원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올라오는 공격군을 격퇴하는 전투로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이었다. 그러나 향후 작전을 위해서 가칠봉 고지를 장악해야 했던 한국군은 공격을 시작했고, 고지의 주인이 6번이나 바뀌는 혈전을 치러야 했다. 악조건 속에서도 국군 5보병사단은 끝까지 가칠봉 일대를 고수함으로써 펀치볼 지역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 = 전투 경과 = = 5사단장 민기식 준장은 27 보병연대(연대장 유의준 대령)를 전투에 투입했다. 인민군은 2군단 27사단 예하 7연대, 14연대, 32연대와 12사단 23연대를 투입했다. 27연대는 8월 30일에 적정 정찰과 부대 배치를 완료하고, 9월 4일 공격을 개시했다. 포병 화력 지원은 사단 예하의 26포병대대가 담당했다. 한국군은 초반에 고지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으나, 인민군도 즉시 야음을 이용한 역습을 가해 고지를 탈환했다. 이렇게 6번 고지의 주인은 바뀌었고, 그 과정에서 양측은 백병전을 서슴지 않았고, 많은 손실을 입었다. 이러한 격렬한 전투 끝에 결국 가칠봉 및 주위에 연결된 고지를 완전점령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한국군은 양구군 해안 분지 일대를 완전히 차지하여 소위 펀치볼이라 불리는 북서쪽의 주요 고지를 확보했다. 반면, 인민군은 이 전투의 패배로 가칠봉에서 쌍두령 방면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type": "FeatureCollection", "features": [ { "type": "Feature", "properties": {}, "geometry": { "type": "Point", "coordinates": [ 128.12777280807498, 38.328948578903415 ] } } ] } = = 참고사항 = = 이 가칠봉은 제4땅굴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일반인의 출입이 안되는 가시지역이다. 가칠봉은 금강산의 마지막 봉우리로, 이름도 이 봉우리가 있어야 금강산 1만 2천봉이 완성된다는 뜻에서 "더할 가"를 사용했다고 한다. = = 파일의 설명 = = 원래의 :파일:조광조 묘.jpg을 파일명을 바꾸기 위해 다시 올림 = 박만순 = 박만순(朴萬順, 생몰년 모름)은 조선 말기의 판소리 명창이다. 전라북도 고부군 출신이다.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가왕(歌王) 송흥록의 수제자로 동편제 판소리의 거장이다. 세도가인 김병기의 총애를 받다가 김병기가 실권하자 대원군의 초청에도 응하지 않고 절개를 지킨 것으로 유명하다. 성격이 호탕하고 소리의 폭이 커서 8명창 직후 판소리계의 손꼽히는 명창이다. 우조를 주로 쓰고 점잖으면서도 국이 큰 소리를 했다. 춘향가 중 〈사랑가〉, 〈옥중가〉와 적벽가 중 〈화룡도〉를 잘 불렀고, 춘향가 중에서 춘향이 옥중에서 몽유하는 대목이 그의 더늠이라 한다. = = 몇몇 넘겨주기 문서 = = 다음과 같은 사유로 몇몇 '위키백과 이름공간 관련 넘겨주기 문서'를 삭제 토론에 올립니다. 위키백과:절차 - 위키백과:관리자 선거 절차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 절차, 위키백과:좋은 글 선정 절차, 위키백과:투표 절차와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합 - 위키백과:총의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문서 합치기와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출처 -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저작 - 위키백과:저작권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저작권 침해와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토, 위키백과:토론 - 위키백과: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토론 문서와 겹칠 수 있으며, 위키백과:토의 경우에는 위키백과:토막글과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편, 위키백과:편집 - 위키백과:편집 지침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편집은 과감하게, 위키백과:무의미한 편집과 겹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 위키백과:위키백과 사용자의 넘겨주기로 되어 있는데, 위키백과:사용자 권한과 겹칠 수 있습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11:13 (KST) 2주만에 정리하면 *백:절차 *백:합 *백:토 *백:토론 *백:편 *백:투표 위의 6개를 삭제하는 것입니까?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2월 24일 (목) 22:47 (KST) 위의 여섯 넘겨주기를 삭제하고 토론을 닫습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1년 3월 5일 (토) 01:29 (KST) = 분류:오스만 제국의 발칸 전쟁 관련자 = = 제6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제6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13년 2월 7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황금곰상 = = = 차일즈 포즈 - 칼린 페터 네쩌 수상 = = = 은곰상:심사위원대상 = = = 언 에피소드 인 더 라이프 오브 언 아이언 피커 - 다니스 타노비치 수상 = = = 은곰상:심사위원상 = = = 리메인즈 콰이어트 - 스테판 크리에하우스 수상 = = = 은곰상:감독상 = = = 프린스 아발란체 - 데이빗 고든 그린 수상 = = = 은곰상:여자연기자상 = = = 글로리아 - 폴리나 가르시아 수상 = = = 은곰상:남자연기자상 = = = 언 에피소드 인 더 라이프 오브 언 아이언 피커 - 나지프 무이치 수상 = = = 은곰상:각본상 = = = 서클스 - 슬로단 고르보비치 수상 = = = 은곰상:예술공헌상 = = = 하모니 레슨스 - 아지즈 잠바키예브 수상 = = = 황금곰상:단편영화상 = = = 런어웨이 - 장-베르나르 마린 수상 = = = 은곰상:알프레드 바우어상 = = = 빅+플로 쏘우 어 베어 - 드니 코테 수상 = = = 은곰상:특별언급 = = = 프라미스드 랜드 - 구스 반 산트 수상 라일라 포리 - 피아 마라이스 수상 = = = 유럽단편영화상 = = = 미스테리 - 체마 가르시아 이바라 수상 글로리아 - 세바스티안 렐리오 수상 = = = 베를린카메라상 = = = 이사벨라 로셀리니 수상 로자 폰 프라운하임 수상 리처드 링클레이터 수상 = = = GWFF 장편 데뷔상 = = = 로켓 - 킴 모돈트 수상 디 액트 오브 킬링 - 조슈아 오펜하이머 외 1명 수상 = = = GWFF 장편 데뷔상 - 특별언급 = = = 더 배틀 오브 타바토 - 호아오 비안나 수상 = = = 수정곰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 = = 베이비 블루스 - 카타르지나 로수아니에츠 수상 = = = 수정곰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작품상 = = = 더 브로큰 서클 브레이크다운 - 펠릭스 반 그뢰닝엔 수상 디 액트 오브 킬링 - 조슈아 오펜하이머 외 1명 수상 = = = 수정곰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작품상 특별언급 = = = 베이비 블루스 - 카타르지나 로수아니에츠 수상 = = = 수정곰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단편영화 = = = 래빗랜드 - 니콜라 마이다크 주니어 수상 = = = 대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 = 쇼핑 - 마크 엘비스턴 외 1명 수상 = = = 특별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 = 퍼스트 타임 - 앤더스 헤제리우스 수상 = = = 특별상(제너레이션 14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특별언급 = = = 베어풋 - 다니스 고렛 수상 = = = 수정곰상(제너레이션 K플러스) 작품상 = = = 언 에피소드 인 더 라이프 오브 언 아이언 피커 - 다니스 타노비치 수상 인샬라 - 아나이스 바르보 라발레트 수상 루츠 - 이케야 카오루 수상 = = = 대상(제너레이션 K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 = 로켓 - 킴 모돈트 수상 = = = 특별상(제너레이션 K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 = 앰버 아뮬렛 - 매튜 무어 수상 = = = 특별상(제너레이션 K플러스) 국제심사위원 - 특별언급 = = = 헤지호그스 앤드 더 시티 - 에발드 라시드 수상 = = = 테디상:심사위원상 = = = 인 더 네임 오브 -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 수상 = = = 테디상:테디특별상 = = = 언드레스 미 - 빅토르 린드그렌 수상 = = = FIPRESCI상 = = = Bambi - 세바스찬 리프쉬츠 수상 = = = FIPRESCI상:파노라마 = = = 컨커션 - 스테이시 패슨 수상 = = = FIPRESCI상:추천 = = = 차일즈 포즈 - 칼린 페터 네쩌 수상 = = = FIPRESCI상:특별추천 = = = 헬리오 오이치시카 - 세자르 오이치시카 필로 수상 = = =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 = = 인샬라 - 아나이스 바르보 라발레트 수상 = = = OCIC프로모션상 = = = 마더, 아이 러브 유 - 야니스 노드스 수상 = = = OCIC프로모션상:명예언급 = = = 새틀라이트 보이 - 카트리오나 맥켄지 수상 = = = C.I.C.A.E.상 = = = 청이 - 김정인 수상 = = = C.I.C.A.E.상:포럼 = = = 헤지호그스 앤드 더 시티 - 에발드 라시드 수상 = = = C.I.C.A.E.상:특별언급 = = = 인 블룸 - 나나 에크브티미슈빌리 수상 = = = C.I.D.A.L.C.상 = = = 록 바-카스바 - 야리브 호로위츠 수상 = = = UIP베를린상 = = = 웬 아이 쏘우 유 - 안네마리 자시르 수상 = = = 칼리가리상 = = = 더 브로큰 서클 브레이크다운 - 펠릭스 반 그뢰닝엔 수상 = = = 균형있는대화상 = = = 헬리오 오이치시카 - 세자르 오이치시카 필로 수상 = = = 볼프강 스타우트상 = = = 로켓 - 킴 모돈트 수상 = = = 페미나상 = = = 글로리아 - 세바스티안 렐리오 수상 = = = 암네스티국제영화상 = = = 어 월드 낫 아워스 - 마디 플레이펠 수상 = = = 경쟁부문 = = = 명왕성 - 신수원 수상 더 데이트 - 제니 토이보네미 수상 클로즈드 커튼 - 자파르 파나히 수상 새틀라이트 보이 - 카트리오나 맥켄지 수상 파더스 가든 - 더 러브 오브 마이 페어런츠 - 피터 리슈티 수상 인 더 네임 오브 -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 수상 인샬라 - 아나이스 바르보 라발레트 프란시스 하 - 노아 바움백 디 액트 오브 킬링 - 조슈아 오펜하이머 외 1명 백야 - 이송희일 수영장 - 카를로스 킨텔라 씽 미 더 송즈 뎃 세이 아이 러브 유: 어 콘서트 포 케이트 맥개리글 - 리암 런슨 가시꽃 - 이돈구 어 월드 낫 아워스 - 마디 플레이펠 하비, 더 포리너 - 마리아 플로렌시아 알바레즈 스테이트 194 - 댄 세턴 소 머취 워터 - 아냐 게바라 뒷담화 : 감독이 미쳤어요 - 이재용 어 폴드 인 마이 블랭켓 - 자자 루사드제 빌레이티드 - 바르바라 사라솔라-데이 돈 존스 어딕션 - 조셉 고든 레빗 러브레이스 - 롭 엡스타인 마이 시스터즈 - 라스 크라우메 록 바-카스바 - 야리브 호로위츠 더 브로큰 서클 브레이크다운 - 펠릭스 반 그뢰닝엔 네이키드 오페라 - 안젤라 크리스틸리엡 스태브 - 클레멘트 데카우딘 더 웨이팅 - 마리오 리지 어바웃 느두구 - 다비드 무뇨스 아슈라 - 코켄 에르귄 더 리버스 오브 바빌론 - 주 얀 인 프레이즈 오브 더 데이 - 오렌 아다프 비트윈 레귤래러티 앤 이레귤래러티 - 마사히로 츠타니 에코 - 메를린 플뤼겔 리메인즈 콰이어트 - 스테판 크리에하우스 프로스트 - 울루 번 하이퍼센터 - 제니아 레스니에브스키 웬 아이 워즈 어 보이, 아이 워즈 어 걸 - Ivana Todorovic 스텝 바이 스텝 - 오사마 모하메드 카와쿠 아난스 - 아코수아 아도마 오우수 런어웨이 - 장-베르나르 마린 연애놀이 - 정유미 미스터리 - 체마 가르시아 이바라 프리마트 시네마: 에이프스 에 - 레이첼 마예리 생크티티 - 아드 언드레스 미 - 빅토르 린드그렌 더 배틀 오브 타바토 - 호아오 비안나 더 사일런트 패신저 - 나카모토 히로후미 드림 걸 - 올리버 시와즈 어 시티 위딘 어 시티 - 싸이릭스 언타이틀드 - 리온틴 아비드슨 우즈시오 - 카와모토 나오토 웨일드 위민 - 에와 에인혼 외 1명 2011 12 30 - 리온틴 아비드슨 카미유 클로델, 1915 - 브루노 뒤몽 온 마이 웨이 - 엠마누엘 베르코 언 에피소드 인 더 라이프 오브 언 아이언 피커 - 다니스 타노비치 골드 - 토머스 아슬란 더 넌 - 기욤 니클루 라일라 포리 - 피아 마라이스 네세서리 데스 오브 찰리 컨트 - 프레드릭 본드 클로즈드 커튼 - 자파르 파나히 사이드 이펙트 - 스티븐 소더버그 진 - 레하 에르뎀 레드 프린세시스 - 라우라 아스토르가 탕 웡 - 콩데이 자투란라스미 디 엔드 오브 더 월드 - 페드로 피뇨 베이비 블루스 - 카타르지나 로수아니에츠 캡처링 대드 - 나카노 료타 하이드 유어 스마일링 페이스 - 다니엘 패트릭 카본 명왕성 - 신수원 쇼핑 - 루이스 서더랜드 외 1명 더 콜드 랜즈 - 톰 길로이 터치 오브 라이트 - 장영치 터프 본드 - 오스틴 펙 외 1명 애니아 - 알프레도 소데르기트 환호불가 - 양진 에스킬 & 트리니다드 - 스테판 아펠그렌 더 이터널 나이트 오브 트웰브 문스 - 프리실라 파디야 이팅 런치 - 산나 렌켄 베어풋 - 다니스 고렛 의자 - 그레인거 데이빗 데스티마카오 - 리카르도 드 포데스타 디나 앤 노엘 - 나탈리 멜라메드 외1 명 애니멀스 아이 킬드 라스트 서머 - 구스타프 다니엘손 플라이트 오브 더 퐁파두르 - 카렌 칸드하리 더 폭스 후 팔로우드 더 사운드 - 파테메 구다지 퍼스트 타임 - 앤더스 헤제리우스 나스호른 임 갈로프 - 에릭 슈미트 닌자 & 솔져 - 히라바야시 이사무 더 패키지 - 라파엘 아이다르 래빗랜드 - 니콜라 마이다크 주니어 트레핏 - 제니 토이보네미 야드버드 - 마이클 스피샤 더 이여닝 룸 - 민카 제이커슨 유 라이크 잇, 아이 러브 잇 - 제임스 본 마루시아 - 에바 페볼로비치 스텝핑 온 더 플라잉 글래스 - 유진 팬지 업사이드 다운 - 베른트 샬링 마더, 아이 러브 유 - 야니스 노드스 노노, 더 지그재그 키드 - 빈센트 발 웨스트랜드 - 소 댓 노 원 비컴스 어웨어 오브 잇 - 앤 코듀라 새틀라이트 보이 - 카트리오나 맥켄지 로켓 - 킴 모돈트 쓰리 키즈 - 조나스 디 아데스키 앰버 아뮬렛 - 매튜 무어 블랙 혼 나이트 헤론 - 미리암 디취필드 파란 우산 - 사스치카 운셀드 차하야 - 진 리 청이 - 김정인 헤지호그스 앤드 더 시티 - 에발드 라시드 해피 버스데이 - 무핸드 해를 아임 고잉 투 맘스 - 로렌 잭슨 트럭과 미트볼 - 요한 하겔백 더 몰 앳 더 씨 - 안나 카디코바 마틸드 - 비토 팰미에리 니노 아르볼 - 월도 안드레스 살가도 로사, 안나스 릴 시스 - 자넷 반 덴 브랜드 골든 망고 - 고빈다 라주 썸머 슈트 - 레베카 페니스톤-버드 마이 파더스 트럭 - 마우리시오 오사키 윈터 해즈 컴 - 바실리 실리치코프 이츠 올 소 콰이어트 - 나누크 레오폴드 번 잇 업 드자사 - 로느솜 솔로 컨커션 - 스테이시 패슨 라이프롱 - 아슬리 오즈게 인테리어. 레더 바. - 트래비스 매튜스 외 1명 카이 포 체! - 아비쉑 카푸르 루즈 유어 헤드 - 스테판 웨스터웰레 외 1명 말라다이스 - 카터 메 성스 드 루떼 - 자크 드와이옹 리칭 포 더 문 - 브루노 바레토 콜드 - 우구르 유셀 업스트림 컬러 - 쉐인 카루스 윌 유 스틸 러브 미 토모로우? - 진준림 워커스 - 호세 루이스 바예 유스 - 톰 쇼발 주리 - 김동호 투 걸스 어게인스트 더 레인 - 사오 소픽 더 727 데이즈 위드아웃 카라모 - 안자 살로모노비츠 어 싱클 샷 - 데이비드 M.로젠탈 커핑 포스 바이 데이 - 할라 로트피 컴퓨터 체스 - 앤드류 부자스키 에홀로트 - 아산나시오스 카란니콜라스 엘레바니 - 느차베니 와 루루리 바운더리 - 논따왓 눔벤차뽈 핀보스 - 해리 파트라마니스 인 블룸 - 나나 에크브티미슈빌리 에브리데이 오브젝트 - 니콜라스 폰 바커바스 헬리오 오이치시카 - 세자르 오이치시카 필로 더 이터널 리턴 오브 안토니스 파라스케바스 - 엘리나 프시코 더 도터 - 타노스 안나스토폴로스 아이 유즈드 투 비 다커 - 매튜 포터필드 아임 낫 데드 - 메디 벤 아티아 서클스 - 슬로단 고르보비치 고래마을 - 츠루오카 케이코 웬 아이 쏘우 유 - 안네마리 자시르 킬링 스트레인저스 - 야콥 세세르 쉴싱에르 다크 매터 - 마시모 다놀피 더 스트레인지 리틀 캣 - 라몬 취르허 더 미티어 - 프랑수아 들릴 포겟팅 투 노우 유 - 권령 차르... 국경위의 섬 - 수라브 사랑기 어 스트레인저 - 보보 젤식 라 파즈 - 산티아고 로사 더 플레이그 - 네우스 발루스 파월리스 - 파하드 무스타파 외 1명 만개한 벚꽃나무 아래에서 - 후나하시 아츠시 루츠 - 이케야 카오루 셜리: 비전스 오브 리얼리티 - 구스타프 도이치 시에니아브카 - 마르신 말라슈차크 스템플 패스 - 제임스 베닝 투 더 울프 - 아란 휴즈 외 1명 무인지대 - 살로메 라마스 17세의 꿈 - 수자오렌 파더스 가든 - 더 러브 오브 마이 페어런츠 - 피터 리슈티 비올라 - 마티아스 피녜이로 더 웨이트 오브 엘리펀트 - 다니엘 보르그만 포 마르크스... - 스베틀라나 바스코바 비포 미드나잇 - 리처드 링클레이터 다크 블러드 - 조지 슬루이저 어 롱 앤드 해피 라이프 - 보리스 흘레브니코프 나이트 트레인 투 리스본 - 빌 어거스트 프린스 아발란체 - 데이빗 고든 그린 하모니 레슨스 - 에미르 바이가진 빅+플로 쏘우 어 베어 - 드니 코테 인 더 네임 오브 -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 글로리아 - 세바스티안 렐리오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홍상수 파라다이스: 페이스 - 울리히 사히들 차일즈 포즈 - 칼린 페터 네쩌 프라미스드 랜드 - 구스 반 산트 크루즈 - 커크 드 미코 치랄리아 - 산티아고 길 데드 - 스벤 할파르 댄싱 위드 벨리스 - 카롤린 젠레이스 아이 윌 낫 루즈 - 산드라 카우델카 엔드 오브 타임 - 세바스찬 프릿취 프리 폴 - 스테판 라캔트 칼리포니아 - 로라 말베르크 메타모포즌 - 세바스찬 메즈 실비 - 니코 좀머 더 레버넌트 - 안드레아스 볼름 두 엄마 - 앤 조라 베라치드 더 베스트 오퍼 - 쥬세페 토르나토레 더 룩 오브 러브 - 마이클 윈터바텀 레미제라블 - 톰 후퍼 동경가족 - 야마다 요지 어시스턴스 모르텔레 - 라울 펙 골드 - 유 캔 두 모어 댄 유 씽크 - 마이클 해몬 마이 웨이 투 올림피아 - 니코 본 글라소 탑 오브 더 레이크 - 제인 캠피온 외 1명 더 스피릿 오브 '45 - 켄 로치 리뎀프션 임파서블 - 클라우스 스트리젤 외 1명 어 베이커 온 더 브레드 라인 - 한스-게오르그 울리치 외 1명 라이프 오브 레저 - 한스-게오르그 울리치 외 1명 굴뚝 청소부 - 한스-게오르그 울리치 외 1명 해피 패밀리 - 한스-게오르그 울리치 외 1명 롤랜드 클릭: 더 하트 이즈 어 헝그리 헌터 - 산드라 프레크텔 미스테리 - 체마 가르시아 이바라 = 분류:337년 = = 분류:1983년 프랑스 = = 제임스 B. 해리스 = 제임스 B. 해리스(James B. Harris, 1928년 8월 3일 ~ )는 미국의 영화 각본가, 프로듀서, 감독이다. 뉴욕시티에서 태어났으며 줄리아드 스쿨을 다니다가 영화 산업에 진출했다. 킬링 (영화), 영광의 길 (1957년 영화), 롤리타 (1962년 영화)에서 프로듀서로서 영화 감독 스탠리 큐브릭과 함께했다. 해리스의 감독 데뷔작은 냉전 스리ㄹ러 영화 베드포드 사건(1965)이다. = = 참여 작품 = = 킬링 (영화) 영광의 길 (1957년 영화) 롤리타 (1962년 영화) 베드포드 사건 텔레폰 (영화) 패스트-워킹 보일링 포인트 (1993년 영화) 블랙 달리아 (영화) = 분류:중국 무주 시대의 황제 이름을 딴 분류 = = 내털리 브라운 = 내털리 브라운(Natalie Brown, 1973년 5월 17일 ~ )은 캐나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XX (2017) 스트레인 시즌2 (2015) 하우 투 플랜 언 오지 인 어 스몰 타운 (2015) 팜므파탈의 트랩 (2013) 오프라인 (2012) 리틀 브라더 (2012) 카운셀링 (2011) 얼빈 웰쉬스 엑스터시 (2011) 소피 (2008) 첼로 (2008) 쏘우 5 (2008) 썸씽 비니스 (2007) 블랙 위도워 (2006) 대지진 10.5 2 (2006) 미국 대지진 (2005, Descent) = 최고재판소장관 = 최고재판소장관은 일본의 최고재판소의 장의 직명이다. 최고재판소 재판관 한 사람인 동시에, 사법행정 사무를 수행하는 재판관 회의를 총괄한다. = = 자격 및 임명 = = 최고재 장관의 임명 자격은 최고재 재판관의 임명자격과 같다. 그러나 관례상 최고재 재판관에서 임명되는 경우가 많고, 캐리어 재판관 가운데에서 임명되는 경우가 많다. 최고재 장관은 내각의 지명에 기초하여, 일본 천황이 국사행위로 임명한다(헌법 제6조 제2항·제79조 제1항, 재판소법 제39조 제1항, 또한 임명자격은 재판소법 제41조를 참조). 관례적으로 최고재 장관은 정년인 70세가 가까워지면, 총리에 대하여 차기 최고재 장관으로 누가 적합한지 의견을 말한다. 총리가 그 의견을 받아들이면, 각의에 따라 내각이 차기 장관을 지명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최고재 장관의 지명권은 전임 장관이 갖는다. = = 권한 = = = = = 사법권 행사에 관하여 = = = 사법권의 행사, 즉 재판소에 의한 심리에 관하여 최고재 장관은 다른 재판관과 큰 차이가 없으며, 우월적 지위를 갖지도 않는다. 이 점에 있어서 내각총리대신이 중심이 되어 다른 국무대신에 비해 큰 권한을 가지는 네각의 모습과 크게 다르다. 최고재 장관은 15명 전원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대법정의 재판장이 된다(최고재판소 재판 사무 처리 규칙 제8조 제1항). 그러나 최고재 장관은 장관의 직무 수행으로 바빠 소법정의 심리에는 대부분 관여하지 않는 관례가 이어지고 있다.(물론 소법정의 심리에 적극 참여한 장관도 있었다.) = = = 사법행정에 관하여 = = = 최고재가 사법행정 사무를 행하는 것은 재판관회의에 따르며, 최고재 장관이 이를 총괄한다. 또한 최고재 장관은 재판관회의의 의장이 된다(재판소법 제12조). = = = 기타 = = = 최고재 장관은 대외적으로 최고재를 대표한다. 또한 황실전범 제28조에 따라 당연히 황실회의의 의원이 된다. = = 역대 장관 = = 대수 이름 내각취임일 당시 내각을 기준으로 함 취임일 퇴임일 비고 초대 미부치 타다히코 가타야마 내각 1947년 8월 4일 1950년 3월 2일 2대 다나카 고타로 제3차 요시다 내각 1950년 3월 3일 1960년 10월 24일 3대 요카타 기사부로 제1차 이케다 내각 1960년 10월 25일 1966년 8월 5일 4대 요카타 마사도시 제1차 사토 내각 1966년 8월 6일 1969년 1월 10일 5대 이시다 가즈토 제2차 사토 내각 1969년 1월 11일 1973년 5월 19일 6대 무라카미 도모카즈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1973년 5월 21일 1976년 5월 24일 7대 후지바야시 에키조 미키 내각 1976년 5월 25일 1977년 8월 25일 8대 오카하라 마사오 후쿠다 다케오 내각 1977년 8월 26일 1979년 3월 31일 9대 핫토리 다카아키 제1차 오히라 내각 1979년 4월 2일 1982년 9월 30일 10대 테라다 지로 스즈키 젠코 내각 1982년 10월 1일 1985년 11월 3일 11대 야구치 코이치 제2차 나카소네 내각 1985년 11월 5일 1990년 2월 19일 12대 후사바 요시하치 제1차 가이후 내각 1990년 2월 20일 1995년 11월 7일 13대 미요시 도오루 무라야마 내각 1995년 11월 7일 1997년 10월 30일 14대 야마구치 시게루 제2차 하시모토 내각 1997년 10월 31일 2002년 11월 3일 15대 마치다 아키라 제1차 고이즈미 내각 2002년 11월 6일 2006년 10월 15일 16대 시마다 니로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2006년 10월 16일 2008년 11월 21일 17대 다키사키 히로노부 아소 내각 2008년 11월 25일 2014년 3월 31일 18대 테라다 이츠로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2014년 4월 1일 2018년 1월 8일 19대 오타니 나오토 제4차 아베 신조 내각 2018년 1월 9일 현직 = 나소군 (플로리다주) = 나소군(Nassau County)은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군이다. = 메시에 109 = 메시에 M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이다. 큰곰자리의 4개 은하 중 하나이다. 109 3992 06937 037617 = S-75 드비나 = S-75는 소비에트 연방의 파켈 기계설계국에서 설계한 고고도 지령유도식 지대공 미사일 체계이다. 1957년 처음 배치된 이래 이 체계는 역사상 가장 광범위하게 배치된 체계가 되었다. 나토에는 SA-2 가이드라인으로 보고되었다. 1960년 S-75 포대가 소련 영공에서 CIA의 U-2 정찰기를 격추하여 유명세를 탔다. 이 후 월남전에서 북베트남군이 하노이와 하이퐁을 방어하기 위해 널리 쓰여졌다. 중국에서는 HQ-1과 HQ-2라는 이름으로 생산되었고 다른국가에서도 여러 가지 개량형과 변종이 생산되었다. = = 역사 = = = = = 개발 = = = 1950년대 초, 미공군은 핵무기탑재 장거리 제트 폭격기 개발에 계속하여 박차를 가했다. 미공군은 공중급유로 B-47 스트라토제트 폭격기의 작전반경을 늘려 소련 영공깊숙히 침투하도록 배치하기에 이르렀다. 뒤이어 미공군은 B-47을 능가하는 항속거리와 폭장량을 지닌 B-52의 개발을 빠르게 개시했다. 이러한 미국 폭격기 세력의 항속거리와 속도 그리고 폭장량은 유사시 소련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소련은 신형 방공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비록 소련 방공군은 레이다로 지시되는 포대를 포함한 방대한 숫자의 대공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고고도 제트 폭격기에 대한 한계는 명백했다. 그래서,소련 방공군은 2차 대전기의 낡은 대공포 중심의 방공체계를 대체할 미사일 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1953년, 라보츠킨 설계국은 피터 그루신의 책임하에 후일 S-75로 불리는 체계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 계획은 고고도를 비행하는 저기동성의 대형 기체를 격추하는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에는 고기동성이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지 빠르고 항공기의 대응책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만 있으면 충분했다. 이 선구적인 체계의 개발과정은 몇년간 지속되었고, 1957년 마침내 그 해 모스크바의 노동절 퍼레이드에서 일반에 공개되었다. = = = 초기 배치 = = = 대규모 배치는 1957년부터 시작되었고, 수년간 많은 개량이 이루어졌다. S-75는 모스크바 근교에 배치된 S-25 베르쿠트 지대공 미사일 포대들을 대체하려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지만, 130mm KS-30과 100mm KS-19와 같은 고고도 대공포들을 대체했다. 1958년 중반에서 1964년 사이 미정보당국은 소련영내에서 600개 이상의 S-75포대를 파악했다. 이 포대들은 인구밀집지역, 산업단지와 행정시설에 밀집배치되었다. 또한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포대들이 소련 심장부로 향하는 폭격기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었다. 1960년대 중반까지 1,000개 이상의 작전포대를 배치하는 것으로 배치를 끝마쳤다. 소련 이외에, 몇몇 S-75 포대들이 1960년대 동독 주둔 소련군의 보호를 위해 동독에 전개 되었다. 차후 동체계는 대부분의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에 팔렸고 중국, 북조선, 북베트남에 공급되었다. = = = 실전 기록 = = = 1960년 소련 영공에서 프랜시스 개리 파워스의 U-2기가 격추된 U-2기 사건이 처음으로 S-75를 유명하게 만들어주었지만, S-75에 의해 처음으로 격추된 항공기는 대만의 RB-57 고고도 정찰기이다. 이 항공기는 베이징근처에 배치된 중국의 S-75포대에 의해 1959년 10월 7일에 격추되었다. 몇 년간 중화민국 공군은 RB-57 2대와 무인기 여러대 등, 몇대의 기체를 S-75에 의해 잃은 것으로 보여진다. 1960년 5월 1일, 개리 파워스의 U-2기가 예카테린부르크근처의 시험 포대 상공을 비행하던 중 격추당했다. 또한 중국의 S-75가 몇대의 대만공군이 조종하는 U-2기를 격추했다고 여겨진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사태 동안, 미국 공군의 루돌프 앤더슨 소령의 U-2기가 쿠바 영공에서 격추되었다. 1965년 당시의 북베트남은 미국의 항공세력에 완전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 소련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미국의 손에 들어가 분석 당할 위험이 컸기에 결정은 쉽지 않았지만, 몇차례의 토론 끝에 베트남인민군에 S-75 체계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포대의 준비는 그해 초에 시작되었고 미국의 정보망은 1965년 4월 5일, 그 계획을 즉시 알아챘다. 군사전략가들은 미사일 포대가 작전가능해 지기 전에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소련 기술진의 죽음이 불러올 파급을 두려워한 정치가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1965년 7월 23일, 미해군 F-4B 전투기가 격추되었다. 미국은 3일 후 아이언 핸드 작전으로 다른 포대가 작전을 개시하기 전에 공격했다. 대부분의 S-75가 하노이-하이퐁 지역에 배치되어 있었고 그리하여 정치적인 이유로 공격엔 많은 제한이 있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은 다른 포대를 다음주에 공격할 것이라고 TV에 공개했다. 베트남은 미사일을 제거하고 더미로 대체하는 동시에, 가용한 모든 대공포를 접근로에 배치했다. 이 전술은 성공하여 미국의 희생을 강요했다. 이 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특히 중동지역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이집트와 시리아는 이스라엘 공군을 방어하기 위한 방공망의 일부로 사용하여 많은 이스라엘의 항공기를 격추했다. 마지막 실전기록은 1993년 3월 19일 1992년 압하지아 전쟁 당시 그루지아의 미사일이 러시아의 Su-27 전투기를 구다우타 근처에서 격추한 것이다. 표준적인 S-75는 지상 목표물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었고, 운용자에게 어떻게 미사일을 조준하는지 교육하였다. 최근의 사진들은 이란의 S-75들이 지대지 모드로 발사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 = = 대응책과 대대응책 = = = 수년간 미국은 S-75에 대한 많은 해결책을 찾아냈다. 해군은 곧 쉬라이크 미사일을 배치하여 10월에 이 들 S-75포대에 대한 첫 공세를 개시했다. 공군은 조기경보레이다를 먹통으로 만드는 강력한 기만기를 장착한 B-66 디스트로이어 폭격기를 운용했고, 거리측정레이다에 대항한 전투기용의 작은 기만용 포드를 개발했다. 후에 S-75 사이트에 쉬라이크 미사일을 발사할 와일드 위즐기에 장착할 기만기와 ECM시스템도 개발했다. 소련과 베트남은 이러한 몇가지 전술에 적응할 수 있었다. 소련은 ECM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몇차례 레이다를 개량했다. 또한 수동 유도모드를 도입하여 기만기 자체를 록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은 또 하나의 장점을 제공했는데, 교전중에 레이다가 꺼져있을 수 있게 되어 슈라이크 미사일의 발사를 방지할 수 있었다. 게다가, 쉬라이크 미사일과 교전하기 위한 몇가지 새로운 전술도 개발되었다. 그 중 하나는 레이다를 측면으로 향하게 하고 계속해서 껏다 켰다하는 것이다. 쉬라이크가 원시적인 대방사 미사일이었기 때문에 레이다에서 방출되는 빔을 따라 일직선으로 향할 뿐이었고 도중에 신호가 소실될 경우(레이다가 꺼질 경우) 간단히 무력화되었다. 다른 하나는 "가짜 발사"로 이것은 추적 레이다가 켜져 있지만 미사일이 발사되지 않을 경우로, 이것은 미사일 운용자들이 목표가 쉬라이크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해 주었다. 만약 항공기가 발사한다면, 다른 미사일을 소모할 필요없이 위의 방법으로 무력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B-52E에 위한 효과적인 ECM 장비를 개발했다. 이 항공기는 상대적으로 적은 손실로 하노이를 공습했다.(많은 우려가 있긴하였지만, 라인백커 II 작전 참조). = = = 대체 체계 = = = 1980년대 들어, 소련 방공군은 S-75 체계를 훨씬 뛰어난 S-300 체계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수백개 포대만이 남아있고, 또한 4,600대 이상의 미사일이 러시아에 남아있지만, 이것들도 1993년 후반 현대화 개수를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피터 그루신은 S-75(SA-2) 개발로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받았다. S-300 개발로 두번째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받았다. 그만큼 두 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의미이다. S-75체계는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35개 국에서 아직도 어느정도 운용중이다. 베트남과 이집트는 280기로 가장 많은 수를 배치하였고, 북한은 270기, 폴란드는 240기를 배치하였다. 중국 또한 S-75의 자체개량형인 HQ-2를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를 배치하였다. = = 특성 = = = = = 소련의 운용 교리 = = = 소련은 표준적인 구조의 S-75 부대들을 운용하였다. S-75를 운용한 다른 국가는 이 구조를 수정하였다. 일반적인 S-75 부대는 3개의 대대를 가진 연대급 부대로 조직되어 있다. 연대 본부는 조기경보레이다를 운용하고 하위 제대와 협조하여 작전한다. 대대는 몇 개의 표적 획득 레이다를 가진 몇 개의 포대들을 가지고 있다. = = = 포대 구조 = = = = = = 미사일 = = = V-750 미사일은 고체연료 부스터와 적연소산을 산화제로 쓴 등유 연료의 적재가능한 2단계 액체 연료 추진체로 구성되어 있다. 1단 부스터는 4-5초 동안 연소하고, 그 후 주 엔진이 22 동안 연소하며 미사일을 약 마하 3까지 가속 시킨다. 1단 추진체에는 롤링 제어 목적으로 작은 조종판이 달린 끝이 잘린 4개의 커다란 삼각익 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2단 추진체 중간부근에는 끝단에 조종판을 가진 끝이 잘린 1단계 보다 작은 삼각날개가 달려있고, 더 소형의 핀들이 노즈부에 있다(대부분의 형식). 미사일은 포대의 유도 컴퓨터가 3개의 채널로 지시하는 무선 전파로 유도된다. 초기의 S-75는 전방 날개의 4개의 작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했으나 D형 이후에서는 전방과 중앙의 날개 사이에 위치한 4개의 더욱 큰 노출된 안테나로 수신한다. S-75 포대의 유도 체계는 한번에 오직 하나의 표적과 교전할 수 있으나 하나의 표적에 대해 3기의 미사일을 통제할 수 있다. 같은 표적에 대한 추가 발사는 첫 번째 일제 사격한 미사일 중 하나가 소진 되거나 전파 채널이 비게 된다면 발사가 가능하다. 미사일은 일반적으로 근접 혹은 접촉, 지령 신관을 장착한 195 kg (430 lb) 파편 탄두를 탑재하고 있다. 탄두의 폭파 위험반경은 저고도에서 65 m (215 ft)이지만, 고고도에서는 공기밀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넓은 250 m (820 ft)의 폭파 위험반경을 가진다. 미사일의 정확도는 75 m (250 ft) 정도이므로 하나의 표적에 대해 두 발의 미사일을 발사한다. SA-2E의 경우 15 킬로톤의 위력을 가진 295 kg (650 lb)의 핵탄두나 같은 무게의 통상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 미사일의 일반적인 사거리는 45 km (30 miles)이고, 최대고도는 20,000 m (60,000 ft)이다. 레이다와 유도 체계는 꽤 긴 500-1,000 m (3,000 ft)의 교전금지거리를 부과하고 있어 저고도에서도 꽤 안전하게 교전할 수 있다. S-75체계의 미사일 미사일 공장 색인 특성 V-750 1D 사거리 7 - 29 km, 고도 3000 - 23000 m V-750V 11D 사거리 7 - 29 km, 고도 3000 - 25000 m, 무게 2163 kg, 길이 10726 mm, 탄두 무게 190 kg, 지름 500 / 654 mm V-750VK 11D 개량형 미사일 V-750VM 11DM 홈온잼 기능을 가짐 V-750VM 11DU 개량형 미사일 V-750VM 11DА 개량형 미사일 V-750M 20ТD 상세히 알려진 정보가 없음 V-750SM - 상세히 알려진 정보가 없음 V-750VN 13D 사거리 7 - 29/34 km, 고도 3000 - 25000/27000 m, 길이 10841 mm - 13DА 무게 191 kg의 신형탄두 장착 V-750АK - 상세히 알려진 정보가 없음 V-753 13DM 해상용 M-2 볼호프-M (SA-N-2 가이드라인)용 미사일 V-755 20D 사거리 7 - 43 km, 고도 3000 - 30000 m, 무게 2360 - 2396 kg, 길이 10778 mm, 탄두 무게 196 kg V-755 20DP Missile for firing on passive flight-line, 사거리 능동 7 - 45 km, 수동 56 km, 고도 300 - 30000 (35000) m V-755 20DА 보증 기간이 경과한 미사일을 20DS로 개수 V-755OV 20DO 공기 샘플 수집 V-755U 20DS 저고도에서 선택적 차단 (200 m 이하), 고도 100 - 30000 / 35000 m V-755U 20DSU 저고도에서 선택적 차단 (200 m 이하) 및 발사 준비시간 단축, 고도 100 - 30000 / 35000 m V-755U 20DU 발사 준비시간 단축 V-759 5Ja23 (5V23) 사거리 6 - 56 (혹은 60 or 66) km, 고도 100 - 30000 / 35000 m, 무게 2406 kg, 길이 10806 mm, 탄두 무게 197 - 201 kg V-760 15D 핵탄두 장착 미사일 V-760V 5V29 핵탄두 장착 미사일 V-750IR - 펄스 전파 신관 V-750N - 시험용 미사일 V-750P - 시제 미사일 - 회전익 V-751 KM 시제 미사일 - 비행 정보 수집 V-752 - 시제 미사일 - 부스터가 측면에 배치 V-754 - 시제 미사일 - 반능동 유도 방식 V-757 17D 시제 미사일 - 스크램젯 - 18D 시제 미사일 - 스크램젯 V-757Kr 3M10 시제 미사일 - 2K11 크루그 (SA-4 가네프) V-758 (5 JaGG) 22D 시제 미사일 - 삼단 추진 미사일, 무게 3200 kg, 속도 4,8 M (= 1560 m/s = 5760 km/h) Korshun - 표적 미사일 RM-75MV - 표적 미사일 - 저고도 RM-75V - 표적 미사일 - 고고도 Sinitsa-23 5Ja23 표적 미사일 = = = 레이다 = = = S-75 대대는 먼저 탐지거리가 275km인 P-12(나토 코드:스푼 레스트) 조기 경보 레이다를 사용한다. P-12 레이다는 다가오는 항공기의 정보를 표젹 획득용의 SNR-75(나토 코드:팬 송) 사격통제 레이다에 넘겨주게 된다. 65 km의 추적거리를 가지는 이 레이다는 표적의 추적하고 미사일을 유도한다. SNR-75 레이다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하는 두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고도 정보를 또 다른 하나는 방위 정보를 다룬다. S-75 연대의 본부에는 P-12 레이다 이외에도 P-15(나토 코드: 플랫 페이스) 장거리 C 밴드 레이다와 PRV-11(나토 코드: 사이드 넷) 고도 측정 레이다가 사용된다. 이 레이다에서 얻은 정보는 대대의 P-12 운용자에게 전달되어 유기적인 작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초기의 S-75는 P-8(나토 코드: 나이프 레스트)라 조기경보 레이다를 사용하였지만 거의 교체되었다. 그러나 오래된 포대에선 간혹 발견되곤 한다. = = = 주요 개량형 = = = 대공미사일 체계의 개량은 일반적으로 신형 미사일, 레이다, 오퍼레이팅 콘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미사일의 개량은 미사일의 성능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른 구성 요소의 변경을 가속화 한다. 그러므로 소련이 신형 S-75를 내놓는다면 미사일의 사거리와 고도를 바쳐줄 신형 레이다가 필요하다. SA-2A; S-75 드비나( - 드비나강에서 따왔음) 팬 송-A 유도 레이다와 V-750 혹은 V-750V 미사일로 구성. 선행 개발은 1957년에 시작되었다. 미사일과 부스터의 길이는 10.6 m (34.8 ft), 부스터의 직경은 0.65 m (25.5 in), 미사일의 직경은 0.5 m (19.7 in). 발사 중량은 2287 kg (5,041 lb). 미사일의 최대 유효 사거리는 30 km (19 miles), 최소 사거리 8 km (5 miles) 50에서 25,000 m (1,500-82,000 ft) 사이의 공간을 요격. SA-N-2A; S-75M-2 볼호프-M( - 볼호프강에서 따왔음):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 드제르진스키에 장착된 해상형 버전. 일반적으로 비성공적으로 평가되며 다른 함에는 장착되지 않았다.. SA-2B; S-75 데스나( - 데스나강에서 따왔음). 이 형식은 팬 송-B 레이다와 V-750VK와 V-750VN 미사일로 구성. 두 번째 배치형, B형은 1959년에 배치되었다. 훨씬 강력한 부스터 덕택에 미사일은 10.8m로 A형 보다 훨씬 길다. SA-2B는 500 m에서 30 km (1,640-98,450 ft) 사이, 사거리 34 km (21 miles)이내의 표적과 교전 할 수 있다. SA-2C; S-75M 볼호프. 팬 송-C 레이다와 개량된 V-750M미사일이 조합된 체계. 개량된 -2B는 1961에 배치되었다. V-750M은 V-750VK/V-750VN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최대 사거리는 43 km (27 miles)로 늘었고 최소고도는 400 m (1,312 ft)로 줄었다. SA-2D; 팬 송-E 레이다와 V-750SM 미사일로 조합된 체계. V-750SM은 노즈부에 신형안테나와 기압계가 있어 구형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주모터 케이스에 몇가지 차이가 더 있다. 미사일의 길이는 10.8 m (35.4 ft)이고 S-75M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지만 무게는 2450 kg (5,400 lb)로 늘었다. 유효사거리는 43 km (27 miles), 최소사거리는 6 km (4 miles) 교전 가능 고도는 250에서 25000 m (820-82,000 ft)이다. 향상된 항공기의 ECM능력에 대항해 레이다와 안테나를 개량하여 극심한 방해 상황에서도 운용가능하도록 개량된 형식. SA-2E: 팬 송-E 레이다와 V-750AK 미사일로 구성. 로켓부는 D형과 유사하지만, 구근형 탄두부에는 구형 미사일의 전방 날개가 없다. SA-2E는 11.2 m (36.7 ft)길이에 몸체 직경은 0.5 m (19.7 in)이고 발사시 무게는 2450 kg (5,400 lb)이다. 미사일에는 지령 폭파식의 15 kt의 핵탄두나 295 kg (650 lb)의 통산 HE 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 SA-2F: 팬 송-F 레이다와 V-750SM 미사일로 구성. 베트남과 6일 전쟁에서 재밍에 의해 S-75가 완전히 무용지물이 되는 것을 보고 기존의 체계들은 광대역 신틸레이션 재밍을 무시하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레이다 체계로 재빨리 업그레이드 되었다. 유도 체계에는 실패했을 때를 대비한 광학 체계(한정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재머를 탑재한 항공기를 공격하도록 홈-온-잼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F형은 1968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그 해 말 소련에서부터 배치되기 시작되었다. 베트남에서는 1970년 후반부터 선적되었다. SA-2 FC: 중국의 최후기형. 6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으며 3개의 미사일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다. S-75M 볼가( - 볼가강에서 따왔음). 1995년 개발형. 앞서 언급한대로 많은 운용국가에서 자체적으로 개수한 형식이 다수 존재한다. HQ-1 (红旗, 홍기): 중화민국 공군 흑묘중대의 U-2기에 장착된 System-12 ECM장비에 대응하기 위한 ECCM시스템을 추가한 중국형 S-75. HQ-2: 중화민국 공군 흑묘중대에 배치된 U-2기에 장착된 System-13 ECM장비에 대응하기 위해 개량된 HQ-1. 개량된 HQ-2는 아직도 현역에 남아있다.최후기형은 115km와 80km의 다중의 목표와 동시에 추적 · 교전 할 수 있는 SJ-202 수동 위상 배열 레이다를 사용한다. 다기능 SJ-202의 적용은 단일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레이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HQ-2 방공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 시켰다. 무인표적기형은 BA-6이다. = = 북한 = = 1980년대 러시아는 S-75를 S-300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북한은 S-75 270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 S-300을 열병식에 내놓고 있다. 번개 5호라고 부른다. 북한은 2016년 4월 번개 5호로 불리는 장거리 지대공 무기를 처음 공개했다. 사거리 150 km로 사거리 45 km인 S-75 보다 3배나 길어졌다. 2019년 9월 5일, 조광무역회사 홈페이지에, 번개 5호를 5100만 달러(약 612억1000만원)에 판매중이다. 해외에 수출할 정도로 북한 국내에서 생산해, 대량생산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 추정할 수 있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 번개 5호가 등장했는데, 전문가들은 기존보다 KN-06의 이동식발사차량(TEL)이 개량된 것으로 추정했다. = = 사용국가 = = = = = 현재 = = = - 250 대 - 18 대, 퇴역예정 * * - 240 대, 파생형 Tayer el-Sabah - 최대 45 대의 발사대, 중국산 HQ-2J, 국산화한 Sayyad-1. - 약간 * - 250 대 (2008년) - 최대 270 * * * - 275 대 - 약간 * * * = = = 이전 = = = * * - 23 대 * * * * * * * * - 후계국가로 이전 - 후계국가로 이전했지만 곧 퇴역하였다 - 후계국가로 이전 = = 더 보기 = = 피터 그루신 - S-75 미사일을 개발한 소련 영웅 과학자 파켈 기계설계국 - S-75 미사일을 개발한 연구소 = 네기시 반응 = 네기시 반응 또는 네기시 커플링은 유기 합성에서의 크로스 커플링 반응 중의 하나이며 유기아연화합물과 유기할로겐화합물을 팔라듐 또는 니켈 촉매를 사용해서 축합시켜 C-C결합 생성물을 얻는 방법이다.총설: Negishi, E. Acc. Chem. Res. 1982, 15, 340-348.총설: Erdik, E. Tetrahedron 1992, 48, 9577-9648. 1977년 네기시 에이이치 등에 의해서 최초로 보고King, A. O.; Okukado, N.; Negishi, E. J. Chem. Soc., Chem. Commun. 1977, 683-684.Negishi, E.; King, A. O.; Okukado, N. J. Org. Chem. 1977, 42, 1821-1823. 됐다. 네기시는 이러한 반응의 발견에 의해서 2010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color{Red}\ce R}{-}{\color{Blue}\ce X} + {\color{Green}\ce R'}{-}\ce{Zn}{\color{Magenta}\ce X'} \ \ce{->[\ce{PdL}_n \text{ or } \ce{NiL}_n]} \ {\color{Red}\ce R}{-}{\color{Green}\ce R'} = = 특징 = = 아연상의 유기기는 아릴, 알케닐, 알키닐기 등 유기할로겐화합물은 할로겐화아릴, 알케닐, 알릴 등이 주로 쓰인다. 촉매로는 오직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등의 팔라듐 촉매가 쓰인다.실시된 사례: Negishi, E.; Takahashi, T.; King, A. O. Org. Synth. Coll. Vol. 8, p.430 (1993); Vol. 66, p.67 (1988). 관련 내용 유기아연화합물은 유기할로겐화합물과 활성화시킨 아연(0)과의 산화적 부가, 지아르킬 아연이나 할로겐화 아연을 이용한 금속 교환에 의해 관능기를 갖는 것도 조제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 커플링 반응 중에서도 기질의 적용 범위가 비교적 넓다. 또한 유기아연화합물이 일정한 반응을 지니므로 염기나 친핵체와 같은 첨가물이나 가열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 = 기구 = = 반응 기구는 팔라듐을 촉매로 하는 다른 크로스 커플링 반응과 동일하다. 먼저 유기할로겐화합물 R'-Y의 C-X 결합에 Pd(0)가 산화적 부가하여 R'-Pd(II)-Y가 되고, 이어서 유기아연화합물 R-ZnX와의 사이에 트랜스메탈화에 따라 R'-Pd(II)-R이 생성된 후에 환원적 이탈이 일어나 R-R'이 생성, 동시에 Pd(0)가 재생된다. = 마지막 사랑 (1990년 영화) = 마지막 사랑(The Sheltering Sky)은 영국에서 제작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90년 드라마 영화이다. 데브라 윙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제레미 토머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데브라 윙거 존 말코비치 = = = 조연 = = = 캠벨 스코트 질 베넷 티모시 스폴 = = 제작진 = = 원작자: 폴 볼스 프로듀서: 데니즈 오델 미술: 앤드류 샌더스 의상: 제임스 애치슨 배역: 줄리엣 테일러 = 분류:유럽의 협동조합 = = 분류:음료 관련 인물 = = 분류:피지의 올림픽 사격 참가 선수 = = 틀:삼성 라이온즈 감독 = = 박상익 (1953년) = 박상익(朴相益, 1953년 ~ )은 한국의 역사학자이다. = = 생애 = = 청주 생. 경희대 사학과 학사, 서강대 사학과 석사, 경희대 사학과 박사.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밀턴, 칼라일, 무교회주의와 김교신에 관심을 쏟고있다. 번역 문제에 관해 사회적 발언을 지속하고 있다. = = 저서 = = *『언론자유의 경전 아레오파기티카』(소나무, 1999) *『굿모닝 밀레니엄』(공저·민음사, 1999) *『번역은 반역인가』(푸른역사, 2006) : 한국출판평론상 *『밀턴 평전: 불굴의 이상주의자』(푸른역사, 2008) *『눈빛 맑은 십대에게』(공저·그물코, 2010) *『국가의 품격: 우리는 품격있는 국가에서 살고 싶다』(공저·한길사, 2010) *『나의 서양사편력 1, 2』(푸른역사, 2014) *『성서를 읽다: 역사학자가 구약성서를 공부하는 법』(유유, 2016) *『언론자유의 경전 아레오파기티카(전면개정판)』(인간사랑, 2016) *『김교신, 한국사회의 길을 묻다』(공저·홍성사, 2016) *『번역청을 설립하라』(유유, 2018) *『백년편지 1919~2019』(공저·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2019) *『박상익의 포토인문학』(정한책방, 2020) *『서양문명의 역사 I, II』(소나무, 1994) *『옥스퍼드 영국사』(공역·한울, 1997) *『근대세계체제 I』 (공역·까치, 1999) *『나는 신비주의자입니다: 헬렌 켈러의 신앙고백』(옛오늘, 2001) *『호메로스에서 돈키호테까지』(푸른역사, 2001) *토머스 칼라일, 『영웅숭배론』(한길사, 2003) *『뉴턴에서 조지 오웰까지』(푸른역사, 2004) *토머스 칼라일, 『의상철학』(한길사, 2008) *『러셀의 시선으로 세계사를 즐기다』(2011)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상)』(소나무, 2014) *『김교신 전집』(전8권, 부키, 2001~2002) = 싸이오펜 = 티오펜(, 싸이오펜)은 비대칭 치환구조의 방향족 유기 화합물로서 C4H4S의 분자식을 가진 오각형 모양의 화합물이다. 퓨란의 산소를 황으로 바꾸면 된다. 싸이오퓨란(Thiofuran)이라고도 한다. = 마리아노 곤살보 = 마리아노 곤살보 팔콘(, 1922년 3월 22일, 카탈루냐주 물례트델발례스 ~ 2007년 4월 7일, 카탈루냐 주 바르셀로나), 곡은 곤살보 3호나 카탈루냐식 이름 마리아 곤살보로 알려진 스페인의 선수로, 바르셀로나의 전 선수이다. 곤살보는 1940년대와 1950년대 초 라 리가를 주름잡던 정상급 미드필더로 손꼽혔다. 1962년 12월 7일, 바르셀로나는 페냐롤과의 헌정 경기를 치렀다. 그는 스페인 국가대표팀과 카탈루냐 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했었다. 그의 두 형 훌리오, 혹은 곤살보 1호(Gonzalvo I)는 에스파뇰에서 활약했고, 호세, 혹은 곤살보 2호(Gonzalvo II)는 바르셀로나와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 = 경력 = = = = = 클럽 경력 = = = 곤살보는 카탈루냐주 바르셀로나도 물례트델발례스 출신으로, 인근 물례트에서 축구를 시작해 에우로파에 입단했다. 그는 이후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지만 처음에 1군에 자리잡지 못했다. 그는 1941-42 시즌에 형 훌리와 함께 사라고사에서 한배를 탔고,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준우승의 성적을 거두어 라리가 승격에 일조했다. 그는 바르셀로나로 복귀해 1942년 12월 13일에 2-4로 패한 세비야와의 원정 경기에서 라리가 첫 경기를 치렀다. 그 후, 13년 동안 그는 중흥기를 맞이한 바르셀로나의 주역 선수로 활약해 모든 대회 통틀어 331번의 경기에서 56골을 터뜨렸다. 그는 안토니 라마예츠, 벨라스코, 주제프 에스콜라, 주안 세가라, 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 세사르, 라디슬라오 쿠발라, 그리고 그의 작은형 호세와 함께 바르셀로나는 5번의 라 리가를 우승했고,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도 3년 연속 석권했다. 1951년 코파 델 레이 결승전에서, 그는 레알 소시에다드에 3-0 쐐기골을 기록했다. 곤살보는 례이다와 콘달에서 한 시즌씩 활약하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 중 콘달은 본래 바르셀로나의 2군 구단이었지만, 1950년대에 독립했다. 2부 리그에서 승격을 이룩한 콘달은 잠깐 라 리가에서 활약할 당시 노장 곤살보가 합류했다. = = = 국가대표팀 경력 = = = 1946년부터 1954년까지, 곤살보는 스페인 국가대표팀 경기에 16번 출전했다. 그의 첫 스페인 국가대표팀 경기는 0-1로 패한 아일랜드와의 1946년 6월 23일 경기로, 1950년 월드컵에 자국을 대표로 출전했다. 1947년부터 1955년까지 그는 카탈루냐 대표팀 경기도 3번 출전했는데, 첫 경기는 1947년 10월 10일에 스페인에 3-1로 이긴 경기였다. 1955년 1월 26일, 그는 라디슬라오 쿠발라, 에스타니오 바소라, 그리고 초청 선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 함께 레스 코르츠 안방에서 볼로냐와의 기념 경기를 치렀다. = = 수상 = = 라리가: 1944-45, 1947-48, 1948-49, 1951-52, 1952-53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51, 1952, 1953 코파 라티나: 1949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 /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45, 1949, 1952, 1953 코파 마르티니 로시: 1952, 1953 세군다 디비시온 준우승: 1941-42 = 심형래쇼 = 심형래쇼는 심형래와 개그맨들이 출연하는 순회공연으로 개그맨과 성인가수가 출연하는 추억의 코미디와 전통가요의 콜라보레이션 버라이어티 쇼이다. 심형래 유랑극단으로 출발하여 좋은 반응을 얻어 심형래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코너 중 2018 변방의 북소리는 심포졸 심형래와 함께 개그콘서트 출연진 송영길, 곽범, 김장군이 출연하며 KBS 8기 개그맨 한상진(오동광), 김만호(오동피)의 오동광, 오동피의 만담 개그, 심형래 토크쇼, 전통가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역사 = = 2018년 3월 2일 《심형래 유랑극단》 2018년 5월 19일 《심형래쇼》 명칭 변경 = 분류:에어버스 항공기 = = 이문구 = 이문구(李文求, 1941년 4월 12일 ~ 2003년 2월 25일)는 대한민국의 소설가, 교수, 동시작가이다. = = 생애 = = 본관은 한산(韓山)이고 호는 명천(鳴川)이다. 충청남도 보령군(保寧郡) 대천면(大川面)에서 출생하였고 서라벌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소설가 김동리의 제자로 학부 생활을 했다. 1963년 단편소설 다갈라 불망비와 1966년 백결을 현대문학(現代文學)에 게재했고, 월간문학,한국문학 등의 편집장을 지냈고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을 지냈다. 2000년 9월 황충상과 더불어 종합문예문화지 문학나무를 창간했다. 2003년 2월 25일 지병으로 향년 63세로 사망했다. = = 학력 = = 서라벌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졸업 = = 주요 저서 = = [소설] 1967년 <지혈> 1968년 <이삭> 1969년 <몽금포타령> 1970년 <이 풍진 세상을> 1970년 <암소> 1972년 <장한몽> 1972년 ~ 1977년 <관촌수필> 1977년 ~ 1981년 <우리동네> 1978년 <으악새 우는 사연> 1991년 ~ 1999년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 왔다> 1995년 <장곡리 고욤나무> 1998년 <만고강산> 2000년 <줄반장 출신의 줄서기> 등 * [동시] 1983년 <개구쟁이 산복이> 1997년 <산에는 산새 물에는 물새> 등 * = 핫스프링군 = 핫스프링군 또는 핫스프링 카운티(Hot Spring County)는 미국 아칸소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2,923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3,771명이다. =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梁山 通度寺 國長生 石標)는 통도사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절 주변인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에 세운 석표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국장생 석표는 통도사를 중심으로 사방 12곳에 세워놓은 장생표다.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표시이며 절의 동남쪽 약 4km지점에 서있다. 국장생이라는 명칭은 나라의 명에 의해 건립된 장생이라는 의미로, 거친 자연석면에 글씨가 새겨져 있다. 장생은 수호신, 이정표, 경계표 등의 구실을 하고 있어 풍수지리설과 함께 민속신앙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장생은 경계표와 보호의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선종 2년(1085년)에 제작된 것으로, 나라의 통첩을 받아 세웠다는 내용이 이두문 섞인 금석문으로 새겨져 있어 국가와 사찰과의 관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통도사의 국장생 석표는 사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석으로 12기를 제작하였다고 하나 현재 2기가 확인되고 있다.울산광역시 고시 제2014 - 234호, 울산광역시 문화재 명칭 변경 고시 및 문화재 지정 예고, 울산광역시장, 2014-11-06 = = 참고 자료 = = * 국장생 석표 = 분류:1921년 러시아 = = 에피그램 = 에피그램(Epigram)은 단시(短詩)·비시(碑詩)·묘시(墓詩)·경구시(警句詩)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리스에서는 묘비나 기념비에 쓰여진 단시를 의미했으나, 로마 시대에는 풍자시의 체재를 갖춘 단어로 쓰인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포프의 풍자시, 볼테르의 경구 등이 있다. 수사학상(修辭學上)으로는 경구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 구례자연드림파크 = 구례자연드림파크는 국내 최초의 친환경유기식품클러스터로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에 총 14만 9336m2 (약 4만 5천평) 규모로 조성되어 있으며, 아이쿱생협 조합원을 위한 식품을 생산하는 각종 제조 공방들과 지원센터(레스토랑, 체험실, 영화관, 카페, 사우나, 게스트하우스, 휴센터 등)이 한 곳에 모인 복합문화단지다. 구례자연드림파크는 지난 2014년 4월 아이쿱생협 조합원과 직원, 생산자의 출자와 참여로 조성되어 공식 오픈했다. 현재 라면공방, 전분공방, 김치공방, 우리밀공방, 정육공방 등 17개 공방에서 360개 품목을 생산하고 있으며 각 제조 공방에서 원재료 관리에서부터 제조, 유통되는 모든 과정을 자체 관리하고 있다. 구례자연드림파크는 2016년 기준 고용직원 511명에 달하며, 이 중 80%이상이 구례군민에 속해 지역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구례자연드림파크 2016년 매출규모는 약 757억 원이며, 연간 총 방문자 142,074명이다. = = 현황 = = 투자 현황: 15개 법인 19개 공방 및 지원시설에 총 679억원이 투자되었다. 2014년 전분공방, RPC(도정), 오리공방 등이 완공되었고, 2015년 비어락하우스, 유정란공방, 조합원 힐링 숙박 시설 ‘자연드림 휴센터', 우유공방, 과자공방, 꼼지락공방, 선술집 루 등이 완공되었다. 생산 현황: 2012년 6월 라면공방의 완공으로 시작된 구례자연드림파크의 생산은 2013년 239억원으로 증가, 2014년 14개 생산법인에서 366억원으로 전년대비 53% 성장했다. 또한 레스토랑, 자연드림 매장 등의 매출액이 24억원으로, 총 390억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 = 공방 및 주요 생산 제품 = = 막걸리공방: 유기막걸리, 구례막걸리 유정란공방: 자연드림유정란 오리공방: 오리간장양념불고기, 오리고추양념불고기, 오리로스 정육공방: 함박스테이크, 치즈스틱, 수제등심돈까스, 햄버거패티 우리밀공방(만두): 유기고기만두, 유기채소만두., 고기만두, 물만두 우리밀공방(베이커리): 치즈드림, 호두과자, 롤케이크 김치공방: 맛김치, 동치미, 백김치, 포기김치 비어락하우스: 비어락필스너 한과공방: 유기쌀강정, 우리밀약과, 미니찹쌀약과 라면공방: 오가닉라면, 자연드림라면, 자연드림라면레드 전분공방: 요리애고소한통밀부침가루, 메밀이들어간튀김가루, 초코핫케이크가루 제분/도정공방: 자연드림백미, 자연드림현미 우유공방: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유가공품 과자공방: 미니찹쌀약과, 땅콩깨비, 검은깨두부스낵, 오란다 꼼지락공방: 기념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핸드메이드 공방 = = 구례 자연드림 락페스티벌 = = 아이쿱생협은 구례자연드림파크에서 락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2015년 총 4,000여명의 관객이 참여하였으며, 2016년 8월 27일 2번째 구례 자연드림 락페스티벌이 펼쳐져 8000여명의 관객이 참여했다. = 분류:조선의 호조참의 = = 분류:나이지리아의 영토 분쟁 = = 신코베 오리엔탈 시티 = 신코베 오리엔탈 시티는 고베시 주오구 신코베에 위치하고 있는 호텔, 전문 상가, 극장 등이 완비되어 있는 복합 상업시설이다. 그러나 지하에는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 선 및 호쿠신 급행 전철의 신코베역이 있고, 인접한 곳에는 산요 신칸센 신코베역은 3층 데크로 연결되어 있어, 교통의 장점을 하나의 세일즈 포인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1988년 정식으로 개장, 지상 37층, 지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점포 = = 코트노하코 고베(구 신코베 OPA)는 지하 3층에서 3층까지는 주로 쇼핑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지하 2층은 전관 개장중인 상태이며, 2019년 2월 17일을 기준으로 식당이나 레스토랑 같은 음식점 등 27개의 점포가 영업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전체의 약 70% 내외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2019년 7월 4일을 기준으로 하여, 오리엔탈 애브뉴가 코트노하코 고베라는 이름으로 리뉴얼시켜서 의료 몰, 극장, 토산품 가게 등이 새로이 오픈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 = = B3F = = = 구루메시티 (식료품) 르 프뤼 (100엔 숍) = = = B1F = = = 타임즈카 렌탈 (렌터카) 신 프로페셔널 (이발소) = = = 1F = = = 신코베 메디컬필렛 (의료 몰) 自家焙煎珈琲屋OB (커피집) 몬테 (유아 시설) = = = 2F = = = 마메노하타케 (콩 요리) 마스테 타지마할 (인도 요리) 파인 포레스트 어린이집 (탁아소) plug078 ( 오피스) - 2018년 2월 25일 지하 1층에서 이전 しゃぶ扇 (샤부샤부) = = = 3F = = = 어플릭 애시 (여성 시설) - 2019년 4월 16일 2층에서 이전 쥬얼 코스메틱 (보석) - 2019년 4월 16일 2층에서 이전 어돌포 도밍게스 (남녀 혼합 시설) 아시야 서포트 센터 (상담 서비스) - 2018년 9월 15일 1층에서 이전 네이로 (스테이크) 와코쿠 (육류 전문 식당) 구시카자리 (구시카쓰) 긴포라이 (홍콩 요리) 주나곤 (닭새우 전문 음식점) 카쯔야 (돈카쓰 전문 음식점) 기네야 (우동 전문점) 고베 비프관 (고베 비프) - 2019년 3월 24일 신규 개점 세븐일레븐 (편의점) - 2019년 5월 29일 신규 개점 효고현 선물 발굴옥 (토산품) - 2019년 7월 4일 신규 개점 = 포프라트구 = 포프라트구는 슬로바키아 프레쇼우주를 구성하는 13개 구 가운데 하나로 행정 중심지는 포프라트이며 면적은 1,105.38km2, 인구는 104,494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94.53명/km2이다. 프레쇼우주 서부에 위치하며 29개 지방 자치체(3개 시, 26개 마을)를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폴란드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는 케주마로크구, 레보차구, 남동쪽으로는 코시체주 스피슈스카노바베스구, 남쪽으로는 코시체주 로주냐바구, 남서쪽으로는 반스카비스트리차주 브레즈노구, 서쪽으로는 질리나주 립토우스키미쿨라시구와 접한다. = YOU (배우) = YOU(1964년 8월 29일 ~)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본명은 에하라 유키코이며, 소속사는 서클 라인이다. = = 출연 = = = = = 드라마 = = = 2001년 《기묘한 이야기 가을 특별편》 〈엄마 신발매!〉 2002년 《키사라즈 캐츠아이》 2003년 《맨하탄 러브스토리》 2008년 《오! 마이 걸!!》 2009년 《심야식당》 가자미 린코 역 2010년 《세컨드 버진》 2011년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2012년 《고잉 마이 홈》 = = = 영화 = = = 2004년 《지금, 만나러 갑니다》 2004년 《아무도 모른다》 2006년 《우쵸텐 호텔》 2006년 《7월 24일 거리의 크리스마스》 2007년 《게게게 키타로》 2008년 《걸어도 걸어도》 - 카타오카 치나미 역 = 분류:메트로-골드윈-메이어 영화 = = 퇴모산 = 퇴모산(退帽山)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양도면, 불은면, 선원면, 하점면, 송해면, 강화읍에 걸쳐있는 산이다. 해발 339m이며 홍릉이 있다. = 분류:우크라이나-헝가리 국경 = = 토로 (김동률의 음반) = 토로는 김동률의 4집 정규 앨범이다. = = 개요 = = 2003년 버클리 음악대학교를 수석 졸업한 후 발매하였다. 4집 발표 후 2004년 8월에는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콘서트 초대를 열기도 했다. 2004년 발매된 앨범은 EMI에서, 2006년 재발매된 앨범은 CJ Media에서 발매되었다. 수록곡으로는 하림이 하모니카를 연주해준 〈사랑하지 않으니까요〉, 나원주가 피아노를 연주해준 〈이제서야〉, 이소은과 듀엣으로 부른 〈욕심쟁이〉, 김정원이 피아노를 친 연주곡 〈River〉, 원티드의 김재석과 듀엣으로 부른 〈양보〉, 김정원이 피아노 세션을 맡은 〈잔향〉, 마지막 트랙에 담긴 〈고별〉등이 있다. 전곡의 작곡은 김동률이 했다. 〈고별〉, 〈다시 떠나보내다〉의 작사는 박창학이 했으며 나머지 곡의 작사는 김동률이 했다. bk!, 강호정, junø가 프로듀싱에 함께했다. 〈다시 떠나보내다〉, 〈욕심쟁이〉 외의 모든 수록곡에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참여했다. 정재일과 나원주, Sam Lee 등이 전반적인 세션에 참여했다. 피아니스트 김정원도 여러 곡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이 앨범 후에 2005년에는 10주년 콘서트였던 초대콘서트의 라이브 앨범을 발매하였다. = = 수록곡 = = 다시 떠나보내다 - 03:54 사랑하지 않으니까요 (Feat. 하림 on Harmonica) - 04:45 이제서야 - 04:17 욕심쟁이(Feat. Duet with 이소은) - 03:54 River - 02:54 잔향 - 04:43 양보(Feat. Duet with 김재석 of 원티드) - 04:43 신기루 - 02:56 Deja-vu - 04:59 청원 - 03:53 고별 - 04:53 = 와이어 (소프트웨어) = 와이어는 와이어 스위스 유한회사(Wire Swiss GmbH)에서 2014년 출시한 암호화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앱이다. iOS, 안드로이드, 윈도, 맥OS, 혹은 파이어폭스 등의 웹브라우저에서 지원된다. 메신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컨퍼런스 콜, 파일 공유, 외부 협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든 서비스는 종단간 암호화로 보호된다. = 토마스 토렌스 = 토마스 토렌스 (Thomas Torrance , 1871 ~ 1959)는 중국의 스코틀랜드 개신교 선교사였다. 그는 처음으로 중국 내지 선교부 (CIM)에서 그리고 나중에 미국 성서 공회에 파견되었다. 그는 1911년 중국 내지 선교부의 Annie Elizabeth Sharp (1883 ~ 1980)와 결혼했다. 그는 유명한 토렌스 가문의 창시자이며 그의 후손들은 20 세기의 유명한 신학자들 토마스 F 토런스와 제임스 B. 토렌스의 아버지였다. = 이우중학교 = 이우중학교(以友中學校)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2년 5월 : 학교법인 이우학원 설립허가 (경기도 교육청) 2003년 6월 : 이우고등학교 설립인가 2003년 7월 : 이우중학교 설립인가 2003년 9월 : 이우중고등학교 개교 2003년 9월 : 제1기 입학식 2003년 9월 : 초대 정광필 교장 취임 2004년 5월 : 학생회관(식당, 도서관 등) 준공 2006년 2월 : 제1기 졸업식 2007년 5월 : 들마루 완공 2016년 10월 : 더불어관 준공 2018년 3월 : 김철원 교장 취임 2018년 4월 : 학교법인 이우학원 한승수 이사장 취임 2021년 3월 : 제19기 입학식 = 르네마그리트 = = 분류:일본의 도도부현별 극장 = = 분류:대한민국의 교육청 = = 안효연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안효연: 축구인 안효연 (1983년): 스포츠심리학 박사 = = 가공 인물 = = 신의 퀴즈 4의 등장 인물 = 김지훈 = = = 실존 인물 = = = = = 스포츠 = = = = = = = 축구 = = = = 김지훈(1992.9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지훈(金志勳, 1997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지훈(2000.6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 = = 농구 = = = = 김지훈(1982.10 ~ )은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이다. 김지훈(1988 ~ )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 = = 야구 = = = = 김지훈(金志勳, 1973.9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포수이다. 김지훈(金知勳, 1992.4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김지훈(金志訓, 1993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 = = = 격투기 = = = = 김지훈(1982.1 ~ )은 대한민국의 격투기 선수이다. 김지훈(1990.9 ~ )은 대한민국의 격투기 선수이다. = = = = e스포츠 = = = = 김지훈(1992.5 ~ )은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김지훈(1986.6 ~ )은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김지훈(1990.8 ~ )은 대한민국의 스페셜포스 프로게이머이다. = = = = 기타 = = = = 김지훈(1984 ~ )은 대한민국의 체조 선수이다. 김지훈(1987 ~ )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 = 연예인 = = = 김지훈(1971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김지훈(金智勳, 1973.5 ~ 2013)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김지훈(1979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지훈(金智勳, 1981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지훈(1982.12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지훈(1988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예명은 '니화'이다. 김지훈(金智勳, 1995.2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크나큰의 멤버이다. 김지훈(1995.7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다. 김지훈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아역 배우인 지훈(2000.1 ~ )의 본명이다. 김지훈(2001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김지훈(2013 ~ )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다. 김지훈(? ~ )은 대한민국의 성악가이다. 김지훈(?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 감독이다. = = 가공 인물 = = 결혼하고 싶은 여자의 등장인물 도도솔솔라라솔의 등장인물 뷰티 인사이드의 등장인물 동갑내기 과외하기의 등장인물 Mr. 아이돌의 등장인물 해피엔드의 등장인물 유리정원의 등장인물 프렌즈의 등장인물 S.O.S 나를 구해줘의 등장인물 시선의 등장인물 = 다마쓰쿠리역 = 다마쓰쿠리역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덴노지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 = 타는 곳 = = 서일본 여객철도 1 ■ 오사카 순환선 (내선 순환) ■ 보통 교바시·오사카 방면 2 ■ 오사카 순환선 (외선 순환)   쓰루하시·덴노지 방면 오사카 지하철 1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교바시·가도마미나미 방면 2 ■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신사이바시·다이쇼 방면 = = 역 주변 = = 다마쓰쿠리 공원 다마쓰쿠리 상점가 = = 역사 = = 1895년 5월 28일: 오사카 철도 덴노지 ~ 당역간 영업 개시. 1895년 10월 17일: 당역 ~ 우메다 간 1900년 6월 6일: 오사카 철도 간사이 철도로 계승. 1907년 10월 1일: 간사이 철도 국유화.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 1932년 3월 29일: 역사 고가화. 1961년 4월 25일: 서일본 여객철도 영업 개시. 1961년 4월 20일: 화물취급정지. 1970년 2월: 역사 증축. 1987년 4월 1일: 국유철도민영화. 1996년 12월 11일: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이 영업 개시. 2003년 11월 1일: JR서일본 ICOCA 공용 개시.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행정구역명은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현재 1, 2, 3, 4, 5, 6, 7호 분이 복원이 되어 있다.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으로 더 널리 알려져있다.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5년 7월 4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백제역사유적지구(총 8개의 유적지들 중 공주지역에 2곳(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부여 4곳(관북리 유적 및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 나성))가 세계 유산 등재 심사를 최종 통과했다. 이번 세계 유산 등재는 충청권에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 2021년 9월 17일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여름 한반도 집중호우로 흙더미가 무너졌다.공산성 잠기고… ‘보물’ 신천리 삼층석탑 석축 붕괴 출처:동아일보 = = 1 ~ 4호분 = = 공주 송산리 1호분(公州 宋山里 一號墳)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에 있는, 백제 중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석실분이다. 송산리 고분군의 하나이다. 남쪽으로 면한 구릉의 사면(斜面)을 파고, 직사각형 묘실을 활석으로 쌓고 벽면에 회칠을 했는데 천장은 안으로 좁혀든(內傾) 네 벽 위에 얹은 한 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배수구(排水構)가 연문에서 시작하여 연도의 중앙을 지나 밖으로 뽑아지고 있다. 벽면에 휘장을 쳤을 것으로 여겨지는 못이 박혀 있는데 이러한 예는 함안(咸安)의 가야시대(伽倻時代) 고분에서도 볼 수 있어 서로 교류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또 전체적인 가구나 형식이 고구려의 분묘와 흡사하여 이러한 유의 고분형식이 고구려에서 시작하여 남전(南傳)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1 ~ 4호분은 백제의 굴식 돌방무덤으로 1927년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이전에 이미 도굴됐다. 조사 당시 동서방향으로 5기의 고분이 자리하고 있었다. 현재는 4기만 복원되어 있다. 벽돌로 쌓은 묘실은 가로 세로의 크기가 거의 같은 정사각형의 형태이며, 남벽의 우측에 묘실로 들어가는 통로인 널길이 달려있다. 벽면과 천장에는 백회를 발랐으며, 바닥에는 자갈을 깔았다. 조사 당시에 금제와 은제, 그리고 금동제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 = 5호분 = = 5호분은 1932년 우연히 발견되어 조사되었는데, 1~4호분과 마찬가지로 굴식 돌방무덤이다. 130cm 높이까지 벽면을 수직으로 쌓고, 그 위는 안으로 기울어지게 쌓아 천정이 돔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바닥에는 목관을 올려 놓는 관대 2개가 나란히 놓여 있었다. 조사 전에 도굴되어 토기 1점과 약간의 장신구, 그리고 관못 등이 남아 있었다. 백제의 왕이나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 = 6호분 = = 6호분은 무령왕릉과 함께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무덤으로 굴식 벽돌무덤이다. 무덤의 내부에는 벽화가 있다. 공주고보(현재의 공주고) 한문교사로 재직한 일본인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무단도굴하였다.`공주 송산리 6호분 축조자는 중국인`, 연합뉴스 = = 7호분 = = 무령왕릉(武寧王陵)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그 왕비의 능이다. 1971년 7월 7일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되어 축조연대를 분명히 제시해주었기 때문에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고 있으며, 국보로 지정된 금제관식, 금제뒤꽂이, 금제 심엽형이식(귀걸이), 지석, 석수, 청동신수경 등을 포함하여 총 2900여 점의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국립공주박물관이 대부분 보관하고 있다. 무령왕릉을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는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옛지명 : 송산리)이다. 1990년대 초기까지만 일반 방문객들은 모여서 요청하면 관리자가 동행하여 고분 안의 유리벽으로 막힌 석실 바로 앞에 고분의 벽돌 바닥면을 밟으며 가는 곳마다 사람이 죽어있었다 = 메트로노미 = 메트로노미(Metronomy)는 1999년 영국 조셉 마운트에 의해 결성된 전자음악그룹이다. 현 구성원은 조셉 마운트(작곡, 보컬, 키보드, 기타), 오스카 캐쉬(색소폰, 코러스, 기타, 키보드), 안나 프리올(드럼, 보컬), 올럭뱅가 아델레칸(베이스, 보컬)로 이루어져있다. 메트로노미의 음악은 대부분 기악을 기반으로 한 전자음악이었지만 Night Out 출시를 시작으로 보컬이 주로 된 일렉트로팝음악이 되었다. 마운트는 Metronomy의 이름으로 리믹스 앨범을 내기도 했고, 고릴라즈, 세바스찬 텔리어, 루츠 마뉴비, 프란츠 퍼디난드, 클랙슨스, 골드프랩, 더 영 나이브즈, 제로 7, 레이디트론, 케이트 내쉬, 레이디 가가, 뤼케 리 등의 노래들을 포함한다. 메트로노미는 4개의 앨범을 발매했다. Pip Paine (Pay The £5000 You Owe), Nights Out, The English Riviera 그리고 네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ove Letters은 2014년 3월 10일에 발매되었다. = =라이브 공연 = = 메트로노미는 콜드플레이, 블록 파티, CSS, 클랙슨스, 케이트 내쉬, 저스티스같은 그룹들을 보조하며 영국과 유럽 전역 투어를 했었다. 2008년 처음으로 첫 단독 투어를 돌았다. 2007년 미국과 캐나다 SXSW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오스카 캐쉬(키보드, 멜로디카, 색소폰)와 가브리엘 스태빙(키보드, 베이스 기타)로 구성되었던 2009년 4월까지, 조셉 마운트는 키보드, 보컬, 키보드를 맡았다. 스태빙이 메트로노미를 나가게 된 2009년부터 메트로노미는 메트로노미 2.0으로 알려진 구성으로 바뀌었고 스테빙이 이를 높이 샀다고 한다. 메트로노미에 전 라이트스피드 챔피언 드러머인 안나 프리올과 베이시스트 뱅가 아델레칸이 합류한다. 메트로노미의 라이브 셋리스트는 댄서블한 구성과 라이트 쇼를 포함한다. 주목할만한 점으로는 누르는 방식의 조명을 가슴에 달았던 방식이다. 이에 대해 마운트는 : "우리는 브릭튼에서 첫 공연을 했는데, 그 공연이 있기 며칠 전 나는 그 조명들을 1파운드 가게에서 발견했다. 그리곤 '우리'가 저걸 우리 티셔츠에 달고 음향과 싱크가 맞는 조명 쇼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어떤 사람들은 이걸 싫어하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와 똑같이, 어떤 사람들은 이걸 매우 즐기고 있고 이것은 순전히 재미를 위한 것이다. 메트로노미는 시드니에서 열린 필드 데이 음악 페스티벌, 오스트레일리아의 2012년 뉴 이어스 데이, 그리고 2012년 1월 투 도어 시네마 클럽, 트라이브스, 아젤리아 뱅크와 함께 한 영국 NME 어워즈 투어에서 공연했다. 2014년 3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프리마베라 사운드 페스티벌에도 참가했다. = 분류:핀란드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 분류:체코의 인구 = = 틀: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 (안정판)/R (프로그래밍 언어) = 본문으로 가기 ➔ R (프로그래밍 언어) R = 분류:누쿠페타우 환초 = = 도피자들 = 도피자들는 2018년 10월 26일에 방영한 KBS 드라마 스페셜 2018 시리즌 중 일곱 번째 작품이다. = = 줄거리 = = 행복한 꿈을 꿨는데 기억이 전혀 나지 않는다든지, 악몽을 꿨는데 너무 생생해서 진짜 같았다든지, 혹은 현실이 너무 팍팍해서 계속 잠이나 자버렸던 경험들이 있다. 꿈으로 도피함으로써 현실의 아픔을 잊어보려는 이들의 이야기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이학주 : 지욱 역 김새벽 : 세영 역 최유화 : 희주 역 김주헌 : 담당자 역 = = = 그 외 인물 = = = 최유송 임성재 서상종 김대환 김동하 = = = 특별출연 = = = 김원해 = = 시청률 = = 전국 시청률 : 1.1%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 (포털사이트 공개) = 분류:네덜란드의 배우 = = 분류:뉴질랜드의 코로나19 범유행 = = 서명원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서명원: 교육인, 정치인 서명원 (축구 선수) = = 가공 인물 = = 원 더 우먼의 등장 인물 = 심화요탑 = 심화요탑(心火曉塔)은 고려 때 설화집 <수이전>에 수록되었다는 설화이다.<대동운부군옥>에 실려 전함. "신라 선덕여왕 때 지귀(志鬼)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여왕을 깊이 사모한 끝에 병이 나서 드디어 미치고 말았다. 그는 서울로 찾아가 한번은 여왕이 절에 행차하는 길을 막아섰다. 여왕은 지귀를 인도하여 절에 들어가 불공을 드렸는데, 지귀는 너무 오랫동안 절 밖의 돌탑 아래서 여왕을 기다리다 잠이 들고 말았다. 이윽고 여왕이 분향을 끝내고 돌아가다가 탑 아래서 잠든 지귀를 보고 자기의 금팔찌를 빼어 가슴 위에 놓아 주었다. 얼마 후 잠을 깬 지귀는 여왕이 이미 돌아간 줄 알고 금팔찌를 가슴에 껴안았다. 그 때 문득 뜨거운 심화(心火)가 일어나 그의 가슴에 불이 퍼져 마침내 온몸이 타서 죽고 말았다. 그리하여 지귀의 원혼은 불귀신이 되었다." = 분류:두암초등학교 동문 = = 분류:인하대학교 = = 극한 비교 판정법 = 미적분학에서 극한 비교 판정법(極限比較判定法, )은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다. 이에 따르면, 두 양항 급수의 항의 비가 0이 아닌 실수로 수렴한다면, 두 급수의 수렴 여부는 같다. = = 정의와 증명 = = 두 실수 항 급수 \sum_{n=0}^\infty a_n과 \sum_{n=0}^\infty b_n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극한 가 존재하며, 0이 아닌 양의 실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두 급수는 둘 다 수렴하거나, 둘 다 발산한다. 이를 극한 비교 판정법이라고 한다. 극한 비교 판정법은 비교 판정법의 따름정리다. 가정에 따라, 충분히 큰 n에 대하여 이다. 특히, 충분히 큰 n에 대하여 a_n과 b_n의 부호가 같다. 따라서, 편의상 모든 n에 대하여 a_n,b_n>0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에 따라, 충분히 큰 n에 대하여 이다. 만약 \sum_{n=n_0}^\infty a_n이 수렴한다면, 비교 판정법에 따라 \sum_{n=n_0}^\infty\frac12Lb_n 역시 수렴하며, 따라서 \sum_{n=n_0}^\infty b_n은 수렴한다. 반대로, 만약 \sum_{n=n_0}^\infty b_n이 수렴한다면, \sum_{n=n_0}^\infty2Lb_n 역시 수렴하며, 비교 판정법에 따라 \sum_{n=n_0}^\infty a_n 역시 수렴한다. 즉, 두 급수의 수렴 여부는 동치다. 보다 일반적으로, 두 음이 아닌 실수 항 a_n,b_n\ge0의 급수 \sum_{n=0}^\infty a_n과 \sum_{n=0}^\infty b_n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항상 상극한과 하극한 이 존재하며, 항상 L\le L'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L'<\infty이며, \sum_{n=0}^\infty b_n이 수렴한다면, \sum_{n=0}^\infty a_n 역시 수렴한다. 만약 L>0이며, \sum_{n=0}^\infty a_n이 수렴한다면, \sum_{n=0}^\infty b_n 역시 수렴한다. 특히, 만약 0 경상대학 - 경상대학(6과 390명), 관광대학(3과 130명) 학과소속 변경 : 경상대학의 관광경영(50명), 관광개발학과(50명)를 관광대학으로, 관광대학에 호텔경영학과(40명) 신설, 예체능대학에 공예디자인학과(40명) 신설. 정원 감축 : 관광경영학과 10명, 응용미술학과 10명, 화학과 10명. 정원 증원 : 생물학과 10명, 환경공학과 10명, 전자공학과 10명. <(서울교사) 단과대학 개편> 경상대학 - 경상대학(4과 240명), 관광대학(1과 40명) 학과소속 변경 : 경상대학의 관광경영학과(40명)를 관광대학으로 변경. *1988.10.30 수원교사 기숙사 준공(5,446m2). *1988.11.30 경영행정대학원(120명 5개 학과)를 폐지하고, 행정대학원(행정학과 70명) 설치, 경영대학원 5개학과 (경영정보학과, 회계학과, 관광경영학과, 무역학과, 경영학과) 65명 설치. 교육대학원에 상업교육, 전자계산교육, 미술교육, 교육행정전공을 신설하고, 정원80명을 103명으로 증원함과 동시에 영어교육전공을 외국어교육전공으로 변경함. 대학원 석사과정에 건축공학과를 신설하여 정원 114명을 144명으로 하고, 박사과정에 회계, 토목공학, 체육학과를 신설함과 동시에 정원 56명을 87명으로 증원함. *1988.12.20 제2대 총장에 나민수 박사 취임. *1989.08.03 총장 서리에 박노우 박사 취임. *1989.09.19 제7강의동 준공(수원). *1990.07.02 제3대 총장에 박노우 박사 취임. *1990.09.04 부설교육기관으로 사회교육원 설립인가. *1991.10.22 수원교사에 2부 대학(4개 학과 60명) 설치, 지역개발, 전자계산, 산업공학, 전자공학과 신설. *1991.11.15 산업정보대학원 6개 학과(건축공학, 토목공학, 산업공학, 재료공학, 환경공학, 전자계산학과) 60명 신설. *1992.07.20 제8강의동 준공(수원). *1992.07.28 행정대학원 정원 70명을 90명으로 증원하고, 대학원 석사l과정에 응용통계, 전자계산, 산업공학과를 신설하고, 동 과정 144명을 174명으로 하며, 박사과정에 건축공학과를 신설하고 동과정 정원 105명을 115명으로 하며, 경영대학원 정원 65명을 90명으로 증원함. *1992.07.31 공과대학 교통공학(50명), 환경공학(야:30명), 재료공학(야:30명)를 신설함. 인문대학 영어영문 (20명), 경상대학 경제(5명), 경영(35명), 무역(5명), 회계(5명), 응용통계(5명)를 감원하여 예체능 대학 산업디자인(5명), 회화(10명), 공예디자인(10명), 체육(25명), 사회체육(25명)에 자체조정에 의한 증원. *1993.07.28 제4대 총장에 손종국 박사 취임. *1993.08.05 제11대 이사장에 추성수 박사 취임. *1993.09.03 관광대학 관광개발학과 10명 정원 감축. 예체능대학 공예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각 5명씩 증원됨. *1994.09.05 수원교사 공과대학에 기계공학(주:40명, 야: 40명), 화학공학(30명), 법정대학에 러시아학(야: 40명), 교정(야:40명), 경상대학에 국제통상(야:40명), 산업재산권(야:40명), 관광대학에 조리과학(야:40명)이 신설되고, 공과대학 재료공학(야), 환경공학(야)이 각 10명씩 증원됨. *1994.10.21 조형대학원(미술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공예디자인학과) 60명, 건축대학원(건축설계전공, 건축역사·이론전공, 건축기술·구조전공, 도시설계전공) 40명 신설됨. 산업정보대학원에 식품가공학과, 전자공학과가 신설되고, 교육대학원에 청소년지도교육전공, 역사교육전공을 신설하여 정원148명에서 178명으로 증원. *1995.10.18 통일안보대학원 4개 전공(북한정치경제, 안보, 정책학, 군사정책전공)30명, 국제관계대학원 4개 전공(국제언론학, 국제정치학, 북한학, 동북아전공)30명 신설 인가됨.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료공학과(30명), 전자계산학과(30명), 산업정보대학원에 생물공학과(6명) 신설됨. 경영대학원(10명), 행정대학원(10명), 건축대학원(20명) 증원됨. *1995.10.23 교육대학원에 30명이 증원되어 정원 208명이 됨. *1996.07.28 제5대 총장에 손종국 박사 취임. *1996.10.24 인문대학에 청소년학과(야:30명) 신설되고, 공과대학 기계공학과(야)에 10명 증원됨. *1996.11.02 관광산업대학원 4개 학과(관광경영학과, 레저K up학과, 호텔관리학과, 외식경영학과) 정원 20명 신설됨. 대학원 석사과정에 4개 학과(일어일문, 호텔경영, 사회복지, 식품가공학과)가 신설되고, 32명이 증원, 박사과정에 10명이 증원됨. 행정대학원에 1개 전공(보호행정전공)이 신설되고 10명이 증원되었으며, 교육대학원에 2개 전공(교육정보공학전공, 초등교육전공)이 신설되고, 30명 증원됨. 경영대학원에 물류·유통경영전공이 신설되고, 3개 전공이 명칭 변경(국제경영→글로벌 경영전공, 재무관리→재무금융경영전공, 경영정보시스템, 회계학→회계정보관리전공) 되고, 2개 전공(관광관리, 호텔 관리전공)이 소속변경(관광산업대학원으로)으로 폐지됨. 국제관계대학원에 2개 전공이 명칭 변경(동북아→동아시아전공, 북한학→한국학전공) 되고, 건축대학원 및 통일안보대학원에 각 10명씩 증원됨. *1997.10.25 정보과학대학원 5개 전공(정보처리, 정보통신, 멀티미디어, 컴퓨터 그래픽스, 응용정보통계)입학정원 50명 신설됨. 대학원 석사과정에 1개 학과(생물학과)가 신설되고 10명이 증원되었으며, 1개 학과가 명칭 변경 (식품가공학과→식품생물공학과) 되고 입학정원이 142→152명으로 증원됨 박사과정에 2개 학과(재료공학과, 산업공학과)가 신설되고 7명이 증원되어 입학정원이 60→67명으로 증원됨. 관광산업대학원에 10명이 증원되고 2개 학과가 명칭 변경(레져K up학과→레져산업학과, 외식경영학과→외식산업경영학과) 되고 입학정원이 20→30명으로 증원됨. 통일안보대학원에1개학과(북한사회복지학과)가 신설되고 10명이 증원되고, 4개 학과가 명칭 변경 (북한정치·경제전공→북한정치·경제학과, 정책학전공→정책학학과, 안보전공→안보학과, 군사정책전공→군사정책학과) 되었으며 입학 정원이 22→32명으로 증원됨. 국제관계대학원→국제대학원으로 명칭 변경되고, 2개 학과(국제통상법학과, 국제금융선물학과)가 신설, 18명이 증원되고, 4개 학과가 명칭 변경(국제언론학전공→국제언론학과, 국제정치학전공→국제정치학과, 동아시아학전공→동아시아학과, 한국학전공→한국학과) 되었으며 입학정원이 12→30명으로 증원됨. 산업정보대학원에 2개 학과(도시 및 교통공학과, 공업화학과)가 신설, 10명이 증원되고, 입학 정원이 27→37명으로 증원됨. 행정대학원에 3개 전공(환경정책, 지역경제·경영, 교통정책)이 신설되고, 10명이 증원되었으며, 입학 정원이 50→60명으로 증원됨. *1997.11.01 교육대학원에 2개 전공(기술교육, 사서교육)이 신설되고 30명이 증원되어 입학 정원이 113명에서 143명으로 증원됨. *1997.11.05 수원교사 예체능대학 미술학부(야간)에 2개 전공(미술평론학, 조각) 80명이 신설되고, 예체능 대학 체육학부(야간)에 3개 전공(체육경영, 경기지도, 경호행정) 150명이 신설되고, 인문대학 한국·동양어문학부(야간)에 1개 전공(문예창작학) 30명이 신설되고, 법정대학 사회과학부(야간)에 1개 전공(행정학) 30명이 신설되고, 경상대학 경영학부(야간)에 1개 전공(경영학) 30명이 신설되고, 경제학부(야간)에 1개 전공(응용정보통계) 30명이 신설되고, 관광대학 관광학부(야간)에 1개 전공(이벤트학) 40명이 신설되고, 공과대학 첨단산업공학부에 10명이 증원됨. 서울교사 예체능대학 예술학부(야간)에 1개 전공(다중매체영상학 40명) 신설 등 총 275명이 신설 및 자체 조정됨. 수원교사 법정대학 사회과학부(+5), 경상대학 경제학부(+10), 경영학부(+25), 공과대학 전자·기계공학부(+10), 예체능대학 체육학부(+10), 서울교사 인문대학 한국·동양어문학부(+10), 서양어문학부(+10), 법정대학 사회과학부(+5), 경상대학 경제학부(+10), 경영학부 (+70명) 등 총 165명이 자체 조정됨. - 학과명칭 변경 교통공학과→도시·교통공학전공, 재료공학과→신소재공학전공, 조리과학과→조리학 전공 - 학부분리 법정학부(165명)를 법학부(40명), 사회과학부(125명)로 분리 - 학부명칭 변경 전자계산학부→정보과학부, 전자·신소재공학부→전자·기계공학부, 일반공학부→첨단산업공학부 - 학과소속 변경 교통공학전공이 건설공학부→첨단산업공학부, 재료공학전공이 전자·신소재공학부→첨단산업공학부, 건축공학전공이 일반 공학부→건설공학부, 기계공학전공이 일반공학부→전자·기계공학부- 단과대학 소속변경 청소년학과가 인문대학→법정대학 사회과학부 *1997.11.08 개교 50주년 행사. *1997.12.22 건축대학원이 건축전문대학원으로 개편. *1998.09.09 제9강의동 준공. *1998.10.19 수원교사의 국제지역학부(야) 80→국제학부(주) 80으로 개편되고, 관광학부(야) 80→관광학부(주) 80으로 개편됨. *1998.11.02 수원교사 미술학부(야) 80→미술학부(주) 60으로 개편, 야간 20명은 서울교사 다중매체영상학부로 전환됨. *서울교사의 예술학부(야) 40→다중매체영상학부(야) 60으로 명칭 변경되고 연기전공 20, 매체전공 20, 애니메이션전공 20명을 둠. *1998.11.13 경영대학원 인사·노사관리전공+물류·유통경영전공+글로벌경영전공→경영학전공(인사조직, 세무·회계, 물류·유통, 정보·통신경영전공)으로 변경 되고, 재무·금융경영전공→재무·금융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되고, 서비스경영전공→서비스경영공학전공, 관광서비스경영전공으로, 창업 및 프랜차이징 경영전공→외식벤처창업전공, 외식서비스경영전공으로 각각 분리 개편됨. 국제대학원 국제언론학과→국제재무·회계학과, 국제정치학과→국제지역학과, 동아시아학과→국제호텔학과, 국제통상법학과→국제통상학과로 명칭 변경되고, 통일안보대학원 북한정치경제학과→통일정책학과, 안보학과→전략정보학과, 정책학과→북한관광개발학과, 군사정책학과→외교국방학과, 북한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학과로 명칭 변경되고, 관광산업대학원→관광대학원으로, 레저산업학과→관광개발학과로 명칭 변경되고,행정대학원 외교 및 안보행정전공→안보행정전공, 세법 및 부동산관리전공→부동산관리전공,사법·공안행정전공→사법행정전공으로 명칭 변경되고, 관광정책전공이 신설됨. 산업정보대학원 재료공학과→신소재공학과, 생물공학과→의학생물학과로 명칭 변경되고, 정보과학대학원 응용정보통계전공→정보관리자전공으로 명칭 변경되었음. 군위탁생정원 41명을 별도로 둠. *1999.03.11 수원캠퍼스 주간에 7개 대학(인문, 법정, 경상, 관광, 이과, 공과, 예체능), 17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인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자연과학부, 정보과학부, 건설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전자·기계공학부, 디자인공예학부, 미술학부, 체육학부),수원캠퍼스 야간에 6개 대학(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 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정보과학부, 건설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전자·기계공학부, 체육학부), 서울캠퍼스 야간에 6개 대학(인문, 법정, 경상, 관광, 공과, 예체능), 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건설공학부, 다중매체영상학부)를 3개 총괄학부(인문예술총괄학부, 사회과학총괄학부, 이공총괄학부), 1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인문학부, 교양교직학부, 디자인공예학부, 미술학부, 다중매체영상학부, 법학부, 국제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자연과학부, 정보과학부, 건설공학부, 전자·기계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체육학부)로 조정함. *1999.10.29 <정원감축 및 전공신설> - 한국동양어문학부 정원감축(-5), 서양어문학부 정원감축(-15)→인문학부 아동학전공 신설. - 자연과학부 정원감축(-30), 첨단산업공학부 정원감축(-15), 전자·기계공학부 정원감축(-5) - 서울교사 다중매체영상학부 정치매체관리학전공(20), 전자디지털음악전공(20) 신설. - 사회과학부 경찰행정학전공, 체육학부 골프지도학전공 신설. - 서울교사 건축학부 정원감축(-2) <정원증원> - 다중매체영상학부 연기전공 자체조정 증원(-10) <명칭변경> -미술학부 미술평론학전공→미술경영학전공, 조각전공→환경조각전공 - 체육학부 체육경영학전공→스포츠경영학전공, 경기지도학전공→레저스포츠학전공 경호행정학전공→경호안전학전공 - 다중매체영상학부 매체전공→다중매체전공 <학부분리> - 건설공학부 170(40) → 건축학부 60, 토목·환경공학부 110(40) *1999.11.02 대학원 석사과정 45명을 증원하여 정원 147명을 192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20명 증원하여 정원 67명을 87명으로 함.석사과정에 인문사회계열에 교정학과, 외식조리관리학과, 산업재산권학과, 국제통상학과를 신설하고, 공학계열에 도시교통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예체능계열에 사회체육과를 신설. *1999.11.02 또한 박사과정 인문사회계열에 호텔경영학과, 응용정보통계학과, 자연과학계열에 식품생물공학과, 생물학과가 신설되었고, 공학계열은 환경공학과, 전자공학과가 신설됨. 학과간 협동과정 박사과정 의학물리학과 3명을 신설함. 전문대학원의 석사과정45명 증원하여 정원 50명을 95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신설하여 17명으로 함. 건축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신설하여 12명으로 하고, 건축설계학과에 건축계획전공, 건축역사·이론전공, 도시환경전공, 컴퓨터그래픽전공 신설함. 통일안보대학원 신설하여 석사과정 45명, 박사과정 5명으로 하고 석사과정에 전략정보학과, 외교국방학과, 사회복지학과를 폐지, 북한관광개발학과→북한개발학과로 변경, 안보정책학과 신설.특수대학원 석사과정 114명 증원하여 정원 446명을 560명으로 함. 행정대학원 석사과정10명 증원하여 정원60명을 70명으로 하고, 행정학과의 안보행정, 환경정책, 교통정책, 관광정책전공을 폐지하고, 보호행정전공→교정·보호행정전공 명칭 변경하고, 사회복지전공→사회복지정책전공으로 학과변경하고, 경찰행정전공, 청소년육성정책전공, 직업상담전공 신설, 사회복지학과 신설하여 사회복지정책전공을 이관하고, 임상가족치료전공, 청소년 복지전공, 노인복지전공을 신설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70명 증원하여 정원 143명을 213명으로 하고, 외국어교육전공 폐지, 과학교육전공→과학교육전공(물리, 화학, 생물) 변경, 교육정보공학교육전공→교육정보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영어교육전공, 일어교육전공, 중국어교육전공으로 전공분리하고, 상담교육, 관광교육전공을 신설함. 산업정보대학원의 전자계산학과, 공업화학과, 식품가공학과를 폐지하고, 건축공학과→건축공학전공, 토목공학과→토목공학전공, 산업공학과→산업공학전공, 환경공학과→환경공학전공, 전자공학과→전자공학전공, 도시 및 교통공학과→도시 및 교통공학 전공, 신소재공학과→신소재공학전공, 의학생물학과→의학생물학전공 명칭 변경하고, 특성분석전공, 품질경영전공, 기계공학전공, 전파공학전공, 소방학전공을 신설함. *1999.11.02 조형대학원 석사과정 6명 증원하여 정원 24명을 30명으로 하고, 미술경영전공을 신설. 통일안보대학원을 폐지하고, 통일안보전문대학원으로 변경함. 관광대학원 석사과정 20명을 증원하여 정원 30명에서 50명으로 함. 정보과학대학원 석사과정 10명 감원하여 정원 50명을 40명으로 함. 전통예술감정대학원 신설하고 석사과정 30명으로 하여 고미술감정학과에 고미술감정전공, 문화재보존처리전공, 서화예술학과에 서예전공, 전통화전공, 공예예술학과에 옥공예전공, 도자공예전공을 설치함. *2000.02.25 소성미술관 설치. *2000.07.18 대학원 석사과정 18명 증원하여 정원 192명을 210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22명 증원하여 87명을 109명으로 함. 석사과정에 중어중문학과, 경영정보학과, 청소년학과, 한국화학과, 서양화학과를 신설하고, 박사과정에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정학과, 외식조리관리학과, 수학과, 도시·교통공학과, 기계공학과, 사회체육학과를 신설하고, 학과간 협동과정에 정보보호기술공학과를 신설, 석사과정 10명, 박사과정 5명으로 함. 전문대학원 석사과정 90명 증원하여 95명을 185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14명 증원하여 17명을 31명으로 함. 건축대학원 박사과정에 컴퓨터그래픽전공을 폐지하고 디지털건축전공을 신설함. 통일안보전문대학원 박사과정 4명 증원하여 정원 5명을 9명으로 하고, 북한학과에 북한정치·경제·법제전공, 북한사회·문화전공, 외교안보학과에 안보·군사전략전공, 외교·통일정책전공, 공공정책학과에 행정·법제·예산전공, 경찰행정·법무전공, 사회복지학과에 사회복지정책전공, 임상사회사업전공을 둠. 관광전문대학원 신설하여 석사과정 50명, 박사과정 5명으로 하고, 관광사업경영전공, 관광부동산전공, 호텔·카지노·컨벤션경영전공, 외식창업경영전공, 여행·항공·크루즈경영전공 신설.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신설하여 석사과정 40명, 박사과정 5명으로 하고 서비스경영전공, 서비스마케팅 및 컨설팅전공, 외식벤처창업경영전공, 외식컨설팅경영전공, 재무금융전공, 부동산 금융·투자전공, 관광호텔서비스전공 신설함. *2000.07.18 특수대학원 석사과정 25명을 증원하여 정원 540명을 565명으로 함.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10명 증원하여 정원 70명을 80명으로 하고, 행정학과 청소년육성정책전공, 사회복지학과 임상가족치료전공을 폐지함. 경영대학원 폐원함. 산업정보대학원 석사과정 5명 증원하여 정원 37명을 42명으로 하고 컴퓨터 보안전공 신설. 조형대학원 석사과정 10명 증원하여 정원 30명을 40명으로 하고 산업디자인학과에 전시환경디자인전공, 미술학과에 판화전공, 조각전공을 신설. 관광대학원 폐원함. 전통예술감정대학원을 전통예술대학원으로 명칭변경. 스포츠과학대학원 신설하여 석사과정 20명으로 하고, 스포츠지도전공, 레저·스포츠컨설팅전공, 스포츠재활전공, 무용공연예술전공 신설함. *2000.07.28 제6대 총장에 손종국 박사 취임. *2000.09.02 사범계대학 신설하여 유아교육학과 20명 신설, 인문학부 20명 감원으로 정원 100명에서 80명으로 함. *2000.10.10 총 정원 3,213명에서 건축학부(서울야간) BK 21관련 2명 감원하여 3,211명으로 함. <수원교사 주간> 인문학부 정원 100명을 80명으로 정원 감축함. 아동학과(20명) 폐과.사범계를 두어 유아교육학과(20명) 신설함. 국제학부 지역개발학전공을 국제관계학전공으로 명칭 변경함. 관광학부 조리학전공을 외식·조리학전공으로 명칭 변경함. <수원교사 야간> 체육학부 모집단위내 배구전공 신설. <서울교사> 다중매체영상학부를 서울야간에서 서울주간으로 변경함.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정원 38명을 BK21관련 2명 감원하여 36명으로 함. *2000.10.25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30명 증원하여 정원 213명을 243명으로 하고 공업교육전공 폐지, 전기·전자·통신전공, 기계·금속전공, 화공·섬유전공, 건설전공, 윤리교육전공, 사회교육전공, 교육방법전공을 신설하고, 일반사회교육전공→공통사회교육전공, 상업교육 *2000.10.25 전공→상업·정보교육전공, 기술교육전공→기술·가정교육전공을 명칭 변경함. *2001.03.01 수원교사에 3개 총괄학부 (인문예술총괄학부, 사회과학총괄학부, 이공총괄학부), 18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인문학부, 디자인·공예학부, 미술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학부, 관광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자연과학부, 정보과학부, 체육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전자·기계공학부)와 1개 학과(유아교육학과), 서울교사 주간에 1개 학부(다중매체영상학부)와 야간에 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가 설치되어 있고, 대학원에 석사 43개학과, 박사 33개 학과와 건축전문대학원에 석사 1전공, 박사 4전공, 통일안보전문대학원에 석사 9전공, 박사 9전공 설치. 관광전문대학원에 석사 50명, 박사 5명,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에 석사 40명, 박사 5명의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으로 행정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조형대학원, 국제대학원, 정보과학대학원, 전통예술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등 13개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으며, 경기대학교 부설 사회교육원 및 중등교원연수원이 설치· 운영되고 있음. *2001.07.26 수원교사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4년제에서 5년제로 변경함. 수원교사 주간에 국제대학 신설하여 정원20명으로 하고 국제산업정보학과를 둠. 일반대학원 석사 10명, 박사 6명 증원하여 석사 220명, 박사 115명으로 함. 통일안보전문대학원을 통일안보복지전문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석사 15명 감원하고, 박사 10명 증원하여 석사 30명, 박사 19명으로 함. 관광전문대학원 석사 20명, 박사 3명 증원하여 석사 70명, 박사 8명으로 함.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 5명 증원하여 10명으로 함. 정보과학대학원을 정보통신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함. 관광전문대학원 석사 20명, 박사 3명 증원하여 석사 70명, 박사 8명으로 하고,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 5명 증원하여 10명으로 함. 정보과학대학원을 정보통신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함. *2001.07.26 대체의학대학원 신설하여 정원 30명으로 하고 대체의학과에 면역치료전공, 수기치료전공, 식품치료전공, 정신치료전공을 둠. 학과간 협동과정 의학물리 협동과정에 석사 3명, 박사 1명을 증원하여 석사 8명, 박사 4명으로 하고, 정보보호기술공학협동과정에 석사 5명, 박사 2명 증원하여 석사 15명, 박사 7명으로 함. e-비즈니스협동과정 신설하여 석사 5명, 박사 2명으로 하고, 가상현실공학 협동과정 신설하여 석사 3명으로 함. *2001.09.08 교육대학원 7명 증원하여 250명으로 하고 한문교육전공 신설함. *2001.09.19 통일안보복지전문대학원을 정치전문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함. *2001.10.22 산업디자인연구소 설치. *2001.11.12 대체의학센타 설치. *2002.08.23 중앙도서관에 정보지원팀, 정보운영팀, 정보개발팀을 두고, 금화도서관에 학술정보팀을 둠. *2002.10.15 서양어문학부를 영어영문학부(영어영문학전공)와 유럽어문학부(독어독문학전공, 불어불문학전공)로 하고, 전자ㆍ기계공학부를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와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기계공학전공)로 분리함. 미술학부에 서예전공 신설하고 전공별(한국화/서양화/미술경영/환경조각/서예) 모집함. 디자인공예학부도 전공별(시각디자인/공업디자인/장신구디자인/도자공예) 모집함. *2002.10.30 사회복지대학원을 신설하여 정원 30명으로 함. 건축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정원 12명을 6명 감원하여 6명으로 함. 관광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정원 8명을 6명 증원하여 14명으로 함. 정보통신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40명을 10명 감원하여 30명으로 함.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20명을 10명 증원하여 30명으로 함. *2003.03.01 사회과학총괄학부를 사회총괄학부로 변경함. 사회복지대학원을 대학원 교학3팀에 편제하고, 전통예술대학원을 대학원 교학3팀에서 교학8팀으로 편제 이동함. 전통문화콘텐츠연구소, 화성학연구소, 민족사상연구소, E-비즈니스연구소 설립함. 수원교사에 3개 총괄학부(인문예술총괄학부, 사회총괄학부, 이공총괄학부), 1개 대학(국제대학)으로 20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유럽어문학부, 인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자연과학부, 정보과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전자공학부,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 디자인공예학부, 미술학부, 체육학부), 2개 학과(국제산업정보학과, 유아교육학과)와 서울교사 주간에 1개 학부(다중매체영상학부), 야간에 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가 설치됨. 서울교사에 대학원 교학1팀(대학원), 교학2팀(건축전문대학원), 교학3팀(관광전문대학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교학 4팀(정치전문대학원, 국제대학원), 교학 8팀(대체의학대학원, 전통예술대학원)으로 9개 대학원이 있고, 수원교사에 교학5팀(교육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교학6팀(행정대학원), 교학7팀(산업정보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조형대학원)으로 6개 대학원이 있다. *2003.04.14 수원캠퍼스 텔레컨벤션센터 설치. *2003.10.20 서울캠퍼스 제2컴플렉스빌딩 준공. *2003.11.24 수원시 행정구역 변경에 따른 수원캠퍼스 주소 변경.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94-6 (우443-760) *2004.02.05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220명을 20명 감원하여 200명으로, 박사과정 정원 115명을 40명 증원하여 155명으로, 학과간 협동과정 석사과정 정원 31명을 18명 감원하여 13명으로, 박사과정 정원 13명을 2명 감원하여 11명으로 함. 정치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30명을 13명 감원하여 17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정원 10명을 1명 감원하여 9명으로 함.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40명을 26명 감원하여 14명으로 하고, 박사과정 정원 19명을 1명 감원하여 18명으로 함. 관광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70명을 23명 감원하여 47명으로 함. 국제대학원의 명칭을 국제·문화대학원으로 변경하고, 석사과정 정원 30명을 5명 증원하여 30명으로 함.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30명을 7명 증원하여 37명으로 함. 산업정보대학원과 정보통신대학원을 통합하여 산업정보통신대학원으로 하고, 석사과정 정원 72명을 17명 감원하여 55명으로 함 *2004.03.26 수원캠퍼스 리서치센터 준공. *2004.04.02 대학산하기구로 산학협력단을 설치하고, 하부조직으로 산학협력팀을 둠. *2004.04.29 최상래 교수(K up실장) 총장 직무대행 위촉. *2004.11.16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200명을 4명 증원하여 204명으로 하고, 석사과정에 교육인적자원개발학과, 미디어정치학과, 디지털금융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디지털음악학과, 산업디자인학과를 박사과정에 직업학과를 신설하며, 협동과정 석사·박사과정의 정보보호기술학과를 정보보호학과로 명칭 변경함. 건축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50명을 10명 감원하여 40명으로 함.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14명을 16명 증원하여 30명으로, 박사과정 정원 9명을 1명 증원하여 10명으로 하고, 석사·박사과정에 엔터테인먼트경영전공을 신설하고, 석사·박사과정의 서비스경영전공과 서비스마케팅및컨설팅전공을 통합하여 서비스경영 및 컨설팅전공으로 외식벤처창업전공을 서비스벤처창업경영전공으로 서비스투자컨설팅 전공과 부동산금융·투자전공을 통합하여 부동산투자금융전공으로 명칭변경하고, 석사·박사과정의 관광서비스경영전공 외식컨설팅경영전공은 폐과함. 관광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정원 14명을 9명 증원하여 23명으로 함.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부동산학과 부동산투자및개발전공을 부동산투자·금융전공으로 부동산관리전공을 부동산개발·경영전공으로 직업학과 노사관계전공을 노동정책 전공으로 명칭변경함. 교육대학원 교정교육전공을 교정상담교육전공으로 명칭변경하고, 영양교육전공을 신설함. 산업정보통신대학원의 명칭을 산업정보대학원으로 변경하고, 석사과정 정원 55명을 15명 감원하여 40명으로 함. 대체의학대학원 석사과정 면역치료전공을 생체역학전공으로 명칭변경함. *2004.12.24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임시이사 6인 파견. *2005.01.25 이영수 교수(부총장) 총장직무대행 위촉. *2005.02.04 제12대 이사장에 이창복 열린우리당 강원도지부장 취임. *2005.03.01 사회과학부 교정학전공을 교정보호학전공으로, 다중매체영상학부 다중매체전공을 영상전공으로 명칭변경함. *2005.05.01 제7대 총장에 이태일 박사 취임. *2005.10.12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정원 204명을 209명으로 조정하며(조형대학원과 전통예술대학원 통합에 따른 정원 5명 전환), 석사과정의 교육인적자원개발학과를 교육정책학과로 명칭 변경. 관광전문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의 관광 e-비즈니스·문화관광컨설팅전공을 문화관광정책개발·e비즈니스 전공으로 명칭변경 함. 행정대학원 석사과정의 노동정책전공을 인적자원개발전공으로 명칭변경 함. 조형대학원(35명)과 전통예술대학원(30명)을 통합하여 미술·디자인대학원(수원 35명, 서울 25명)을 신설하고, 석사과정으로 수원캠퍼스에 미술학과(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미술경영전공, 판화전공, 조각전공), 디자인학과(시각정보디자인전공, 제품인터렉션디자인전공,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도자공예디자인전공,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서울캠퍼스에 전통예술학과(고미술감정학전공, 문화재보존학전공, 서예전공, 문인화전공), 무대디자인학과(무대디자인·특수분장전공)을 신설. 국제·문화대학원에 연기학과, 무용극학과, 연극교육학과를 신설. *2006.01.16 재무처 신설, 대외협력처가 국제교류처로 변경. *2006.03.01 총괄학부 체제를 단과대학 체제로 편제를 조정함. 수원캠퍼스에 10개 단과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경상대학, 관광대학, 국제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예술대학, 체육대학)과 21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유럽어문학부, 인문학부, 교양교직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자연과학부, 정보과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 첨단산업공학부, 전자공학부,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 디자인공예학부, 미술학부, 체육학부), 2개 학과(국제산업정보학과, 유아교육학과)와 서울캠퍼스에 주간에 1개 학부(다중매체영상학부)와 야간에 9개 학부(한국·동양어문학부, 영어영문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학부, 건축학부, 토목·환경공학부)가 설치되어 있음. 체육학부의 배구전공 폐지. 서울캠퍼스에 일반대학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건축전문대학원, 정치전문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국제·문화대학원, 대체의학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등 8개 대학원이 있고, 수원캠퍼스에 행정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미술·디자인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등 5개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음. *2006.04.28 제13대 이사장에 조순승 박사 취임. *2006.07.06 화성학연구소 폐지. *2006.09.27 일반대학원 학과간 협동과정 석사과정에 국제관계학과를 신설하고 박사과정에 산업디자인학과, 영상예술학과를 신설함. 건축전문대학원(석사과정 40명, 박사과정 6명)을 특수대학원의 건축대학원(석사과정 40명)으로 전환함. 국제·문화대학원 석사과정 5명 감원하여 정원 35명에서 30명으로 함. 대체의학대학원 석사과정 3명 감원하여 정원 30명에서 27명으로 함.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4명 감원하여 정원 80명에서 76명으로 함. 미술·디자인대학원의 서울캠퍼스 석사과정 6명 감원하여 정원 25명에서 19명으로 하고, 수원캠퍼스에 미술치료·아동미술 전공을 신설함.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과정 4명 감원하여 정원 37명에서 33명으로 함. *2007.01.05 일반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의 교정학과를 교정보호학과로 명칭 변경함. *2007.03.01 수원캠퍼스 체육대학 체육학부(야) 골프전공을 폐지하고 30명 감원하여 정원 150명에서 120명으로 함. 서울캠퍼스 법학, 행정학, 경제학, 관광경영학 전공을 야간에서 주간으로 전환함. 전공 명칭 변경(불어불문학→프랑스어문학, 산업재산권학→지식재산학, 물리학→전자물리학, 생물학→생명과학, 전자계산학→컴퓨터과학, 기계공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 시각디자인→시각정보디자인, 장신구디자인→장신구·금속디자인) *2007.10.16 일반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 전자계산학과를 컴퓨터과학과로 명칭 변경함.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의 전공 명칭 변경(서비스경영및컨설팅전공→ 서비스 경영전공, 서비스벤처창업전공 → 서비스창업및컨설팅경영전공, 보석마케팅및벤처창업전공 → 보석마케팅 및 디자인경영전공), 관광전문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의 전공 명칭 변경(문화관광정책개발·e-비즈니스전공 → 문화관광컨텐츠·리조트개발전공), 행정대학원의 전공 명칭 변경(아동청소년복지전공 → 아동·가족복지전공)하고 전공 폐지(인적자원개발전공)함. *2007.10.16 산업정보대학원을 건설·산업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전공 폐지(산업경영전공, 신소재공학전공, 환경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의학생물학전공, 정보통신·미디어전공, 인터넷소프트웨어전공)함. 국제·문화대학원을 문화예술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전공 폐지(국제금융공학과, 한국학과)하고 전공 신설(M.C.·리포터학과)함. *2008.03.01 학부 입학정원 3,179명에서 3,115명으로 64명 감원함. 수원캠퍼스 주간 24명 감원(감원-한국·동양어문학부 4명, 영어영문학부 4명, 경제학부 4명, 경영학부 8명, 관광학부 4명, 토목·환경공학부 4명 / 중원-첨단산업공학부 4명) 수원캠퍼스 야간 40명 감원(사회과학부 8명, 경제학부 3명, 경영학부 5명, 정보과학부 4명, 토목·환경공학부 4명, 첨단산업공학부 8명, 전자공학부 4명,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 4명) *2008.04.17 제14대 이사장에 안의석 변호사 취임 *2008.07.04 제15대 이사장에 이재철 변호사 취임 *2008.07.07 수원캠퍼스 예학관, 어울림관 준공 *2008.09.01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정원을 209명에서 222명으로 증원(학과간협동과정 폐지에 따른 13명 전환), 박사과정 정원 155명에서 166명으로 증원(학과간협동과정 폐지에 따른 11명 전환), 일반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 학과 명칭 변경(생물학과 → 생명과학과, 환경공학과 →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 학과간협동과정(석사과정)을 일반과정으로 전환(의학물리학과, 정보보호학과 → 산업보안학과, 국제관계학과, e-비즈니스학과), 학과간협동과정(박사과정)을 일반과정으로 전환(의학물리학과, 정보보호학과 → 산업보안학과, 영상예술학과, e-비즈니스학과, 산업디자인학과), 학과폐지(석사과정) 게임웨어학과, 환경정책학과, 디지털금융학과), 학과신설(석사과정, 박사과정) 상담교육학과, 학과신설(박사과정) 공연예술학과, 대체의학과, 관광전문대학원(석사과정, 박사과정) 전공 명칭 변경(문화관광컨텐츠·리조트개발전공 → 문화관광콘텐츠·리조트개발전공), 문화예술대학원 학과 명칭 변경(연기학과 → 연극학과), 대체의학대학원 전공 명칭 변경(생체역학전공 → 족부치료전공), 사회복지대학원 전공 명칭 변경(가족복지학전공 → 아동가족복지학전공), 교육대학원 전공 명칭 변경(교육행정전공 → 교육CEO인적자원개발전공, 평생교육전공 → 평생다문화교육전공), 미술·디자인대학원 학과 및 전공 명칭 변경(미술치료·아동미술전공 → 미술치료전공, 제품인터랙션디자인전공 → 산업디자인전공, 도자공예디자인전공 → 도예전공, 서예전공 → 서예·문자예술전공, 무대디자인학과 → 엔터테인먼트학과, 무대디자인·특수분장전공 → 특수분장전공) 전공폐지(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문인화전공) *2008.09.09 홍보관 준공 *2008.09.16 기숙사 착공 *2008.11.12 2010학년도 학부 입학정원 3,115명에서 32명 증원 교과부 재처분 *2009.03.01 직제 개편(K up처에는 전략K up팀, 평가K up팀, 예산K up팀을 두고, 입학홍보처는 입학처로 명칭 변경하고 입학K up팀, 입학관리팀을 둠. 대외협력처 대외협력팀은 대외협력홍보팀으로 확대 개편) *2009.03.01 단과대학 및 학부체제를 단과대학 및 학과체제로 편제를 조정함. 10개 단과대학 21개 학부, 2개학과에서 10개 단과대학 77개 학과체제로 변경 및 교양학부 신설, 수원주간 61개학과(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문예창작학과, 유아교육학과, 교직학과(학생정원 없음), 법학과,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정보호학과, 청소년학과, 경찰행정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세무학과, 응용정보통계학과, 경영정보학과, 국제통상학과, 지식재산학과, 관광개발학과, 외식·조리학과, 이벤트학과, 국제관계학과, 러시아학과, 국제산업정보학과, 수학과, 전자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식품생물공학과, 컴퓨터과학과,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 전자공학과, 도시·교통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화학공학과,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장신구·금속디자인학과, 도예학과, 한국화학과, 서양화학과, 미술경영학과, 환경조각학과, 서예·문자예술학과, 체육학과, 사회체육학과, 스포츠경영학과, 레저스포츠·건강학과, 경호안전학과), 수원야간 1개학과(교정보호학과(야)), 서울주간 10개학과(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 연기학과, 영상학과, 애니메이션학과, 정치매체관리학과, 전자디지털음악학과), 서울야간 5개학과(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세무학과) *2009.03.01 수원캠퍼스 16개 야간전공 주간학과로 전환(문예창작학과, 청소년학과, 행정학과, 지식재산학과, 응용정보통계학과, 경영학과, 국제통상학과, 컴퓨터과학과,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전자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스포츠경영학과, 레저스포츠·건강학과, 경호안전학과) 수원 서울캠퍼스간 학과 이동(2009학년도 신입생부터 수원캠퍼스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는 서울캠퍼스에서 신입생 모집, 서울캠퍼스 야간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는 수원캠퍼스 주간으로 신입생 모집) 단과대학 및 학과 명칭 변경(이과대학 → 자연과학대학, 회계학전공 → 회계세무학과, 환경공학전공 →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 산업공학전공 → 산업경영공학과,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전공 → 기계시스템공학과, 시각정보디자인전공 → 시각정보디자인학과, 공업디자인전공 → 산업디자인학과,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 장신구·금속디자인학과, 도자공예전공 → 도예학과, 한국화전공 → 한국화학과, 서양화전공 → 서양화학과, 환경조각전공 → 환경조각학과, 서예전공 → 서예·문자예술학과, 레저스포츠전공 → 레저스포츠·건강학과) *2009.03.18 교수연구동 준공 *2009.05.01 제8대 총장에 최호준 박사 취임 *2009.09.25 창업보육센터 증축 *2009.10.27 일반대학원(석사과정)의 학과 명칭 변경(불어불문학과 → 프랑스어문학과, 산업재산권학과 → 지식재산학과, 회계학과 → 회계세무학과, 산업공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재료공학과 → 신고재공학과)하고 국제관계학과 폐지함. 일반대학원(박사과정)의 전공 명칭 변경(회계학과 → 회계세무학과, 산업공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재료공학과 → 신소재공학과)하고 경찰행정학과와 도시방재학과 신설함. 교육대학원(석사과정)의 전공 명칭 변경(평생다문화교육전공 → 다문화교육전공)함. 행정대학원(석사과정)의 교정.보호행정전공을 폐지하고 범죄심리전공과 지방의회전공을 신설함. 문화예술대학원(석사과정)의 풍수지리학과와 국제호텔학과를 폐지함. 건설산업대학원(석사과정)의 도시및부동산개발전공을 신설함. 미술·디자인대학원(석사과정)의 입학정원을 19명에서 15명으로 4명 감원함. 대체의학대학원(석사과정)의 입학정원을 27명에서 31명으로 4명 증원함. *2009.11.23 교학1처를 교학처로 변경하고, 입학처에 입학사정관실을 신설하고, 기타기관으로 학생군사교육단을 둠. *2009.12.23 범죄과학연구센터 설립 *2010.01.15 종합강의동 준공 *2010.02.04 제2공학관 준공 *2010.03.01 학사학위과정과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을 상호 연계하는 학·석사 연계과정 신설 *2010.03.31 기숙사 재착공 *2010.08.12 제16대 이사장에 박규직 서울경제포럼 대표회장 취임 *2010.09.01 직제 개편: 본부대학(교학팀), 연구처(연구지원팀), 평가감사실(평가감사팀)을 신설함. 인적자원개발센터를 인재개발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경력개발교육팀과 취업관리지원팀을 두며, 산하기구로 국가고시실과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둠. 비서실에 비서팀과 홍보팀을 둠. 기획처에 전략기획팀과 기획예산팀을, 교무처에 교무팀과 학사기획팀을 둠. 학생지원처에 학생지원팀과 후생복지팀(후생복지센터 폐지)을 두고, 산하기구로 장애학생지원센터를 둠. 입학처에 입학사정관실과 입학팀을 둠. 대외협력처에 국제교류팀과 대외협력팀을 둠. 재무처에 재무회계팀과 자산관리팀을 둠. 여학생문화원을 양성평등문화원으로 확대 개편하고, 산하에 학생생활상담소,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센터를 둠. 국제교육원을 대외협력처 산하기구에서 부설교육기관으로 개편함. 스포츠·건강과학 연구소 설치 *2010.12.01 본부대학 융합보안학과 신설하고, 입학정원을 25명으로 함. 국제대학 러시아어문학과를 인문대학 러시아어문학과로 개편함. 사회과학대학 교정보호학과(야간)을 주간으로 전환함. 자연과학대학 컴퓨터과학과의 입학정원을 108명에서 97명으로 감축하고,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입학정원을 75명에서 68명으로 감축하며, 공과대학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 입학정원을 72명에서 65명으로 감축함. 체육대학 경호안전학과를 경호보안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함. 예술대학 정치매체관리학과(서울)를 언론미디어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함. *2010.12.29 융복합 신소재 연구소 설치 *2011.03.01 일반대학원(석사과정)의 학과 명칭 변경(미디어정치학과 → 언론미디어학과)하고 건축학과, 건축설계학과를 신설하며, 입학정원을 222명에서 262명으로 증원함. 일반대학원(박사과정)의 건축학과, 스포츠경영학과를 신설함. 건축대학원을 폐지하고, 입학정원 40명을 일반대학원으로 조정함. 교육대학원(석사과정)의 화공섬유교육전공, 윤리교육전공, 관광교육전공, 한문교육전공을 폐지함. 대체의학대학원의 족부치료전공을 폐지하고, 운동치료전공을 신설하며, 입학정원을 31명에서 36명으로 증원함. 문화예술대학원의 음악치료학과를 신설하고, 고미술감정학과, 문화재보존학과, 무대디자인·특수분장학과를 미술·디자인대학원에서 학과 이전하여 신설하며, 입학정원을 30명에서 40명으로 증원함. 미술·디자인대학원(서울)을 폐지하고, 고미술감정전공, 문화재보존학전공은 문화예술대학원으로 학과 이전하고, 특수분장전공은 무대디자인·특수분장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하여 문화예술대학원으로 이전함. 서예·문자예술전공은 미술·디자인대학원(수원)으로 전공 이전하여 신설하며, 입학정원 15명은 대체의학대학원 및 문화예술대학원으로 조정함. 미술·디자인대학원(수원)의 판화전공을 폐지함. 건설산업대학원의 반도체·디스플레이전공을 신설함. 직제 개편: 교학2처 교학팀을 폐지하고 교무처 교학팀을 신설함. *2011.02.24 감성코어 준공 *2011.03.25 학생생활연구소를 폐지함 *2011.06.29 전산정보원 전산지원팀(서울캠퍼스) 신설 *2011.07.22 사회교육원을 평생교육원으로 명칭 변경 *2011.09.01 E-스퀘어 준공 *2011.12.07 학생지원처에 학생지원팀과 장학지원팀(후생복지팀 폐지)을 두고, 산하기구로 사회봉사센터를 신설함. 부속기관으로 직장예비군연대(수원캠퍼스), 직장예비군대대(서울캠퍼스)를 신설함. *2012.03.01 일반대학원의 경찰행정학과(석·박사 과정)를 범죄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경호안전학과(석·박사 과정)를 경호보안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상담교육학과(석·박사 과정)를 상담학과로 명칭 변경함. 문화예술대학원의 M.C·리포터학과와 문화재보존학과, 무대디자인·특수분장학과를 폐지함. 사회복지대학원의 고용복지전공, 사례관리전공을 신설함. 행정대학원의 소방 및 위기관리 행정 전공을 신설하고, 경찰행정전공을 범죄수사전공으로 명칭 변경함. 미술·디자인대학원의 미술학과와 디자인학과를 폐지함. 스포츠과학대학원의 골프산업전공을 신설하고, 무용공예예술전공을 폐지함. 건축공학과를 플랜트·건축공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미술경영학과를 예술학과로 명칭 변경하며, 애니메이션학과를 애니메이션영상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건축공학과 (계약학과)야간 편입학 과정을 신설함 *2012.04.03 부속기관으로 직장예비군연대(수원캠퍼스), 직장예비군대대(서울캠퍼스)를 신설함. *2012.05.24 서울하우스 실습동 준공. *2012.07.03 리서치 기자재 창고 준공. *2012.08.28 제17대 이사장에 박승철 박사 취임. *2013.03.01 제9대 총장에 김기언 박사 취임. *2013.05.15.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신설 *2013.10.31. 대학원 직제개편: 대학원(일반), 예술대학원 및 대체의학대학원을 교학1팀,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정치전문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을 교학2팀, 행정·사회복지대학원 및 교육대학원을 교학3팀으로 통합 *2014.03.01. 대학 직제개편: 법과대학, 국제대학을 폐지하고 사회과학대학으로 통합. 사회과학대학 내에 법학부 법학과 및 국제학부 국제관계학과, 국제산업정보학과를 신설하고 이벤트학과를 관광이벤트학과로 명칭 변경 대학 정원조정: 사회과학대학 법학부 법학과(40명), 국제학부 국제관계학과(38명), 국제산업정보학과(25명) 대학원 직제개편: 행정대학원 및 사회복지대학원을 행정・사회복지대학원으로 통합하고 행정・사회복지대학원 내에 공공정책학과 공공커뮤니케이션전공을 설치, 행정학과에 일반행정전공 및 소방 및 위기관리행정전공을 설치, 사법공안학과 범죄수사ㆍ범죄심리전공을 설치, 부동산학과 부동산정책전공을 설치,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정책전공, 사회복지실천전공, 노인복지전공을 설치, 직업학과 직업상담전공을 설치함. 교육대학원에 교육정보학전공, 초등교육전공, 공통사회교육전공, 과학교육(생물)전공, 기술교육전공, 교육방법전공을 폐지함. 미술디자인대학원 및 문화예술대학원을 예술대학원으로 통합함. 예술대학원 내에 문화컨텐츠학과 독서지도전공 및 동양철학전공을 설치, 미술학과에 서양화전공, 서예ㆍ문자예술전공, 미술경영전공 및 시각디자인전공을 설치, 디자인・공예학과에 장신구ㆍ금속디자인전공 및 도예전공을 설치, 공연예술학과에 연극전공 및 무용극전공을 설치함. 스포츠과학대학원을 폐지함. 대체의학대학원 대체의학과에 미술치료전공, 음악치료전공, 스포츠재활치료전공, 복지임상치료전공을 신설함. 대학원 정원조정: 행정‧사회복지대학원(90명), 건설‧산업대학원(50명→75명), 예술대학원(50명), 대체의학대학원(40명→61명)으로 변경함. *2014.09.01. 대학원 직제개편 : 일반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의 이벤트ㆍ국제회의학과를 관광이벤트국제회의학과로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를 환경에너지공학과로 명칭변경, 교육대학원에 보건교육전공 신설 *2015.03.01. 대학 직제개편 : 본부대학을 융합교양대학으로 변경 서울캠퍼스의 8개 동일학과를 수원캠퍼스로 통합 및 정원조정 수원캠퍼스 국어국문학과(35→65), 영어영문학과(59→94), 법학부 법학과(40→76), 행정학과(62→97), 경제학과(38→76), 경영학과(129→180), 무역학과(38→73), 회계세무학과(38→68)로 정원조정 수원캠퍼스 관광개발학과(41→39), 외식·조리학과 (41→39), 관광이벤트학과 (42→41) 3개학과를 서울캠퍼스로 이전 및 정원감축 그 외 정원감축 : 수원캠퍼스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30→28), 프랑스어문학과(30→28), 일어일문학과(37→35), 중어중문학과(37→35), 사학과(40→38), 문헌정보학과(40→39), 문예창작학과(30→28), 유아교육학과(20→19), 러시아어문학과(38→35) 정원감축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30→28), 교정보호학과(61→56), 청소년학과(33→32), 국제관계학과(38→36), 국제산업정보학과(25→23) 경상대학 응용정보통계학과(68→60), 경영정보학과(35→32), 국제통상학과(40→38), 지식재산학과(40→38) 자연과학대학 수학과(42→40), 전자물리학과(42→37), 화학과(42→40), 생명과학과(42→41), 식품생물공학과(38→35), 컴퓨터과학과(97→94) 공과대학 토목공학과(72→68), 건축학과(60→55), 플랜트․건축공학과(35→34), 산업경영공학과(75→71), 환경에너지공학과(65→62), 전자공학과(81→79), 도시․교통공학과(48→44), 기계시스템공학과(71→67), 화학공학과(40→38) 예술대학 시각정보디자인학과(23→22), 산업디자인학과(23→22), 장신구 ․ 금속디자인학과(20→21), 도예학과(22→20), 한국화학과(20→19), 서양화학과(25→24), 예술학과(20→19), 환경조각학과(20→18), 서예․문자예술학과(20→18) 체육대학 체육학과(40→38), 사회체육학과(40→36), 스포츠경영학과(40→38), 레저스포츠학과(40→39), 경호보안학과(40→38) 서울캠퍼스 관광대학 관광경영학과(75→73), 호텔경영학과(39→37) 예술대학 연기학과(30→27), 영상학과(20→19), 애니메이션영상학과(20→19), 언론미디어학과(20→19), 전자디지털음악학과(20→19) (8개학과 통합 및 158명 감축)(입학정원 3,147명→2,989명으로 조정) *2015.03.16. 제18대 이사장에 손희자 이사 취임 *2015.12.24. 부속기관으로 소성학술연구원을 신설하며, 산하에 학교사연구실, 경기지역연구실, 학술지원팀을 둠 *2016.02.17. 대학본부 개편: 총장 직속기관 인재개발원을 인재개발처로 개편하고 산하에 학생역량강화센터,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둠 학생지원처 산하기구인 학생지도상담지원센터 폐지 부속기관 개편: 양성평등문화원을 대학생활상담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산하에 학생상담센터, 성평등센터를 둠 *2017.03.01. 대학 직제개편: 경상대학 국제통상학과를 폐지하고 무역학과로 통합 인문대학 유아교육학과를 유아교육과로 명칭변경 예술대학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장신구·금속디자인학과를 디자인비즈학부 시각정보디자인학과, 디자인비즈학부 산업디자인학과, 디자인비즈학부 장신구·금속디자인학과로 개편 예술대학 학과 통폐합 (도예학과, 환경조각학과→입체조형학과, 한국화학과, 서예·문자예술학과→한국화·서예학과, 서양화학과, 예술학과→서양화·미술경영학과, 언론미디어학과, 영성학과→미디어영상학과) 대학 입학정원 조정: 영어영문학과(94→93), 독어독문학과(28→27), 사학과(38→37), 문예창작학과(28→27), 법학부 법학과(97→96), 행정학과(97→96), 교정보호학과(56→55), 경영학과(180→179), 무역학과(73→111), 수학과(40→39), 화학과(40→39), 컴퓨터과학과(94→97), 신소재공학과(68→69), 입체조형학과(신설→38), 한국화·서예학과(신설→37), 서양화·미술경영학과(신설→42), 체육학과(38→37), 사회체육학과(36→35), 레저스포츠학과(39→38), 융합보안학과(25→20), 관광경영학과(73→72), 관광개발학과(39→38), 외식조리학과(39→38), 연기학과(27→26), 미디어영상학과(신설→38) 대학원 직제개편: 건설·산업대학원 : 건축공학전공을 건축·안전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대체의학대학원 문학치료전공, 임상치유요가전공 신설, 복지임상치료전공 폐지 *2016.05.11. 동아시아예술연구소를 신설함 *2016.09.09. 제19대 이사장에 박영진 이사 취임 *2017.03.01. 대학 직제개편: 단과대학 편제를 융합교양대학, 인문사회대학(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 경상대학, 관광문화대학(관광대학+예술대학(서)), 이공대학(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 예술체육대학(예술대학(수)+체육대학)으로 개편 대학 입학정원 조정: 융합보안학과를 융합교양대학에서 이공대학으로 이전 국어국문학과(65→63), 영어영문학과(93→92), 일어일문학과(35→34), 사학과(37→36), 문헌정보학과(39→38), 러시아어문학과(35→34), 법학과(75→74), 행정학과(96→94), 국제관계학과(36→35), 국제산업정보학과(23→22), 경제학과(76→74), 무역학과(111→108), 회계세무학과(68→67), 지식재산학과(38→37), 전자물리학과(37→36), 생명과학과(41→40), 식품생물공학과(35→34), 컴퓨터과학과(97→94), 토목공학과(68→65), 건축학과(55→53), 산업경영공학과(71→70), 신소재공학과(69→67), 환경에너지공학과(62→60), 전자공학과(79→77), 도시·교통공학과(44→43), 기계시스템공학과(67→66), 화학공학과(38→37), 서양화·미술경영학과(42→41), 한국화·서예학과(37→36), 스포츠경영학과(38→37), 경호보안학과(38→37) 대학원 직제개편: 일반대학원 수원 이전 및 정원 조정 건설·산업대학원 공학대학원으로 명칭변경 행정조직 개편: 비서실 내 홍보팀을 대외협력처로 이동 평가감사실 평가감사팀을 감사실 감사팀으로 변경 (평가업무 기획처로 이관) 수원캠퍼스 9개처, 서울캠퍼스 1개처를 수원캠퍼스 8개처, 서울캠퍼스 1개처로 재편(기획처, 교무처, 교육혁신처, 학생지원처, 입학처, 대외협력처, 총무처, 인재개발처, 교학처) 기획처에 평가사업팀 신설 (평가감사실의 평가 관련 업무를 기획처 평가사업팀으로 이관) 교무처와 연구처 통합 (연구처를 폐지하고 교무처에 교무팀, 연구지원팀, 학사지원팀을 둠. 학사기획팀 내 교육과정편성 업무와 교수학습개발센터는 교육혁신처로 이관) 교육혁신처 신설 (교육 프로그램 성과평가, 환류, 우수사례 확산 등을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해 교육혁신처를 신설하고, 교육혁신팀, 교수학습개발센터, 공학교육혁신센터, 교육인증관리센터, 산학연교육센터, 비교과역량지원센터를 둠) 총무처와 재무처 통합 (재무처를 폐지하고 총무처에 총무팀, 시설관리팀, 안전보건팀, 재무회계팀, 자산관리팀을 둠) 교학처에 학생지원팀 폐지 (서울 학생지원팀을 폐지하고 잔여 업무는 교학처교학팀으로 편입) 대학원 교학1팀 업무 이관 (예술대학원, 대체의학대학원 업무는 대학원교학2팀으로 이관) 공학대학원 업무를 공학대학에서 대학원 교학3팀으로 이관 공학대학 소속인 공학교육혁신센터는 교육혁신처 산하기구로 이전 중앙도서관 수원캠퍼스 정보지원팀, 정보운영팀, 정보개발팀을 정보운영팀으로 통합 전산정보원 수원캠퍼스 운영팀, 개발팀을 운영팀으로 통합하고, 서울캠퍼스 전산지원팀을 폐지보건진료소를 건강증진센터로 변경하고, 건강증진센터는 학생지원처에서, 서울분소는 교학처에서 관리하도록 함 대학생활상담원을 인재개발처 산하기구로 이전 소성학술연구원을 소성학술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기존 박물관을 소성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후 소성학술원 산하기관으로 이전 부속기관 출판부를 교무처 산하기구로 이전 *2017.06.01. 제10대 총장에 김인규 박사 취임 *2017.09.01. 1.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학과신설 : 글로벌비즈니스학과(석사), 글로벌뮤직학과(박사), 글로벌파인아트학과(박사), 건설안전학과(박사) - 학과명칭변경 : 교육정책학과 → 교육학과 2) 교육대학원 - 전공명칭변경 : 상업·정보교육전공 → 상업교육전공 3) 행정·사회복지대학원 - 학과신설 : 공공정책학과 행정법률서비스전공, 부동산·자산관리학과 금융·부동산자산관리전공 - 학과폐지 : 부동산학과 부동산정책전공 2. 행정조직 개편 1) 총장직속기구 : 홍보실(홍보팀), 평가사업단(평가사업팀) 신설 2) 대학본부 - 기획처 : 평가사업팀 삭제 (평가사업단으로 이동) - 교육혁신처 : 공학교육혁신센터 삭제 (이공대학으로 이동) - 대외협력처 : 대외협력홍보팀을 대외협력팀으로 변경 (홍보기능은 홍보실 이관) - 총무처 : 재무회계팀, 자산관리팀 삭제 (재무처로 이동) - 재무처 신설 : 재무회계팀, 자산관리팀을 둠 3) 대학 : 이공대학 산하기구로 공학교육혁신센터를 둠 *2017.10.27. 연구소 신설 : 휴먼사이언스연구소를 신설함 *2018.02.28.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양조경영학과(계약학과/석사) 폐지 *2018.03.01. 1. 대학 편제 변경 - 단과대학을 융합교양대학, 휴먼인재융합대학(인문+예술+체육), 지식정보서비스대학(경상+사회과학), 창의공과대학(공학), 융합과학 대학(자연과학), 관광문화대학(관광+미디어)으로 개편 - 융합교양대학 : 교양학부, 교직학부 + (감성SW교육센터) - 휴먼인재융합대학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문예창작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독어독문/불어불문/일어일문/러시아어문전공), 서양화․미술경영학과, 한국화․서예학과, 입체조형학과, 디자인비즈학부(시각정보디자인/산업디자인/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스포츠과학부(스포츠건강과학/레저스포츠/스포츠산업경영/시큐리티매니지먼트전공), 체육학과 + (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 - 지식정보서비스대학 : 법학과, 행정학과, 경찰행정학과, 휴먼서비스학부(사회복지/교정보호/청소년전공), 국제관계학과, 국제산업정보학과, 경제학부(경제전공/응용통계전공), 지식재산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세무․경영정보학부(회계세무/경영정보전공) - 융합과학대학 : 수학과, 전자물리학과, 화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식품생물공학전공), 컴퓨터공학부 - 창의공과대학 : 토목공학과,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도시․교통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과, 화학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전자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 (공학교육혁신센터) - 관광문화대학 : 관광경영학과, 관광개발학과, 호텔경영학과, 외식․조리학과, 관광이벤트학과, 연기학과, 애니메이션영상학과, 전자디지털음악학과, 미디어영상학과 2.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석사과정 폐지 : 문예창작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경영정보학과 - 석사과정 통합 : 서양화학과/한국화학과/환경조각학과 → 미술학과, 체육학과/사회체육학과/레저스포츠학과/스포츠경영학과 → 스포츠과학과 - 박사과정 폐지 : 일어일문학과 - 박사과정 통합 : 체육학과/사회체육학과/레저스포츠학과/스포츠경영학과 → 스포츠과학과 - 정원이동 : 박사과정 서울캠퍼스 정원 6명 수원캠퍼스로 이동 (서울 76→70, 수원 90→96) 2) 행정․사회복지대학원 - 전공명칭변경 : 행정학과 소방 및 위기관리전공 → 행정학과 소방재난안전교육․행정전공 - 학과신설 : 동양문화학과 동양문화전공 - 정원감축 : 90명 → 79명 (11명 감축) 3) 공학대학원 - 정원감축 : 75명 → 66명 (9명 감축) 4) 예술대학원 - 수원캠퍼스 예술대학원 신설 : 미술학과(서양화전공, 서예햑전공, 미술경영전공, 아동미 술지도전공), 디자인․공예학과(시각디자인전공,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도예전공) / 입학정원 20명 - 서울캠퍼스 예술대학원 학과 개편 : K-culture융합학과(K-pop전공, K-culture management전공), 공연예술학과(연극전공, 댄스씨어터전공, 동작분석심리학전공), 인터미디어학과(디지털영상전공, 프로덕션전공), 독서지도학과 3. 행정조직 개편 1) 총장직속기구 : 홍보실을 대외협력홍보실로 개편하고, 산하에 대외협력팀, 홍보팀을 둠 2) 대학본부 : 대외협력처를 국제교류처로 개편하고, 산하에 국제교류팀, 국제지원센터를 둠 3) 대학원교학팀 : 대학원교학3팀을 폐지하고, 행정사회복지대학원 교학팀, 교육대학원 교학팀, 공학대학원 교학팀, 예술대학원 교학팀을 둠 4) 부속기관 : 전산정보원 운영팀의 명칭을 전산정보원 전산운영팀으로 변경 *2018.07.26. 대학 편제 변경 - 학과(전공)명칭 변경 : 휴먼인재융합대학 글로벌어문학부 불어불문전공→프랑스어문전공 *2018.08.10. 연구소 신설 : 도시융합연구소를 신설함 *2018.09.01. 1.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정원조정 : 석사(서울 100명→90명, 수원 140명→150명), 박사(서울 70명→64명, 수원 96명→102명) - 학과신설(석사) : 주류산업경영학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학과 - 학과신설(박사) : 주류산업경영학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학과, 부동산‧자산관리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과 2) 예술대학원(서울) - 전공신설 : K-culture 융합학과 K-뷰티 전공 신설 *2019.03.01. 1. 대학원 편제 변경 1) 대학원 명칭변경 : 예술대학원(서울) → 한류문화대학원 2) 일반대학원 - 학과신설 : 동양문화학과(박사) - 학과폐지 : 생명공학과(석사, 박사) 3) 공학대학원 - 정원 10명 감원 : 66명 -> 56명 - 전공명칭변경 : 도시및부동산개발전공 → 도시재생전공, 건설재료공학전공 → 건설재료‧시공공학전공, SDM전공 → 반도체공학전공 4) 예술대학원 - 정원 10명 증원 : 20명 -> 30명 - 전공신설 : 디자인‧공예학과 공공예술디자인전공, 시각‧금속디자인전공 - 전공폐지 : 미술학과 미술경영전공, 디자인‧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 예술대학원 서울캠퍼스 폐지 5) 교육대학원 - 전공명칭변경 : 상업·정보교육전공 → 상업교육전공 6) 대체의학대학원 - 전공명칭변경 : 심리치료전공 -> 심리상담치료전공 7) 한류문화대학원 신설 (서울캠퍼스 예술대학원 폐지 후 변경) - K-culture융합학과 : K-pop전공, K-culture management전공, K-드라마전공, 월드뮤직전공 - K-뷰티학과 - 공연예술학과 - 인터미디어학과 : 디지털영상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독서지도전공, 시조창작전공 2. 행정조직 개편 - 교학처 폐지 : 교학처를 폐지하고, 서울 관리지원팀은 총무처 산하로 이관 *2019.05.07. 행정조직 개편 - 총장직속기구 : 평가사업단 산하기구로 대학기관연구센터 신설 - 대학본부 : 교육혁신처 산하기구로 교육성과관리센터 신설 - 대학 : 융합교양대학 산하기구로 진성애교양교육연구센터, 의사소통센터 신설 *2019.09.01. 1.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학과신설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박사), 나노전자융합공학과 (석사/박사) - 학과폐지 : 물리학과, 전자공학과, 산업보안학과, 미디어영상학과 2) 대체의학대학원 - 전공신설 : 동물매개자연치유전공 - 전공폐지 : 심리상담치료전공 *2019.09.10. 행정조직 개편 - 교육혁신처 산하기구인 산학연교육센터를 산학협력단 산하기구로 이관 *2020.05.18. 행정조직 개편 - 대학본부: 법무․ 노사협력실 신설 및 산하에 법무․ 노사협력팀 신설 *2020.03.01. 1. 대학 편제 변경 - 휴먼인재융합대학을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으로 분리 - 소속 및 명칭변경 : 예술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 시큐리티매니지먼트전공 → 예술체육대학 시큐리티매니지먼트학과 - 폐지 : 예술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 레저스포츠전공 폐지 2. 대학원 편제 변경 1) 행정사회복지대학원 - 신설 :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석사) 신설 - 폐지 : 공공정책학과 공공커뮤니케이션전공(석사), 공공정책학과 행정법률서비스전공(석사) 폐지 2) 한류문화대학원 - 명칭변경 : K-Culture융합학과 월드뮤직전공 → K-Culture융합학과 공연음악전공 - 폐지 : K-Culture융합학과 K-드라마전공(석사) 3) 공학대학원 - 신설 : 프롭테크 전공(석사) - 명칭변경 : 소방·도시방재전공 → 소방·방재전공(석사) 건설재료·시공전공 → 건축공학전공(석사) 품질·기술경영전공 → 서비스융합디자인공학전공(석사) - 폐지 : 반도체공학전공(석사) 4) 교육대학원 - 신설 : 소프트웨어교육전공(석사) - 폐지 : 국어교육전공(석사) *2020.05.01. 연구소 신설 : 범죄예방능동빅데이터연구소 *2020.09.01. 대학원 편제 변경 - 일반대학원 학과신설 : 공공안전빅데이터심리분석학과(석사/박사) *2021.03.01. 대학 편제 변경 - 단과대학을 진성애교양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경영대학, 융합과학대학, 창의공과대학, 관광문화대학으로 개편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독어독문전공/프랑스어문전공/일어일문전공/러시아어문전공/중어중문전공) - 예술체육대학 : FINE ARTS학부(서양화전공/미술경영전공/한국화전공/서예전공), 입체조형학과, 디자인비즈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산업디자인전공/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체육학과, 시큐리티매니지먼드학과, 스포츠과학부(스포츠건강과학전공/스포츠레저산업전공) - 사회과학대학 : 공공안전학부(법학전공/경찰행정전공/범죄교정전공/사회복지전공/청소년전공), 공공인재학부(행정학전공/국제학전공), 경제학부(경제학전공/무역학전공/지식재산전공/응용통계전공) - 소프트웨어경영대학 : AI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인공지능전공), ICT융합학부(산업경영공학전공/경영정보전공), 경영학부(경영학전공/회계세무전공/국제산업정보전공) - 융합과학대학 : 수학과, 화학과, 나노공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전공/식품생물공학전공) - 창의공과대학 :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신소재공학전공/환경에너지공학전공/화학공학전공), 스마트시티공학부(건축공학전공/토목공학전공/도시·교통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공학전공/지능형로봇전공), 건축학과, 전자공학과 - 관광문화대학 : 관광학부(관광경영전공/관광개발전공/호텔경영전공/외식․조리전공/관광이벤트전공), 연기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미디어영상학과, 실용음악학과 대학원 편제 변경 1) 대체의학대학원 - 신설 : 매체테라피전공(석사) 신설 - 명칭변경 : 임상치유요가전공 → 마인드풀코칭전공(석사) 2) 교육대학원 - 전공폐지 : 청소년지도상담교육전공(석사), 소프트웨어교육전공(석사) 행정조직 개편 - 대학본부 (1) 교무처 학사지원팀 → 교육혁신처 학사혁신팀으로 개편 (2) 교육혁신처 기존 3개센터(교육인증관리센터, 교육성과관리센터, 비교과역량지원센터) → 교육혁신처 교육성과관리센터로 통합, 산하에 교육성과팀을 둠 (3) 교육혁신처 교수학습개발센터 산하 교육개발팀 → 교수학습팀으로 명칭 변경 (4) 교육혁신처 원격교육지원센터 신설, 산하에 원격교육팀을 둠 *2021.09.01. 1. 행정조직 개편 - 행정사회복지대학원교학팀 명칭변경 : 행정사회복지대학원교학팀 → 행정복지상담대학원교학팀 2.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신설 : 글로벌파인아트학과(석사) 2) 대체의학대학원 - 명칭변경 : 수기치료전공 → 수시·동작통합치료전공(석사) 3) 행정사회복지대학원 - 명칭변경 : 행정·사회복지대학원 → 행정복지상담대학원 4) 한류문화대학원 - 신설 : 문화콘텐츠학과 한국어·문화전공(석사) - 폐지 : 인터미디어학과 디지털영상전공(석사) *2021.11.02. 1. 행정조직 개편 - 총장 직속기관 편성 : K-WITH융합교육원, 창업지원단 - 명칭변경 : 성평등센터 → 인권·성평등센터 *2022.03.01. 대학 편제 변경 - 단과대학을 진성애교양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경영대학, 융합과학대학, 창의공과대학, 관광문화대학으로 개편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독어독문전공/프랑스어문전공/일어일문전공/러시아어문전공/중어중문전공) - 예술체육대학 : FINE ARTS학부(서양화전공/미술경영전공/한국화전공/서예전공), 입체조형학과, 디자인비즈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산업디자인전공/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체육학과, 시큐리티매니지먼드학과, 스포츠과학부(스포츠건강과학전공/스포츠레저산업전공) - 사회과학대학 : 공공안전학부(법학전공/경찰행정학전공/범죄교정학전공/사회복지학전공/청소년학전공), 공공인재학부(행정학전공/국제학전공), 경제학부(경제학전공/무역학전공/지식재산학전공/응용통계학전공) - 소프트웨어경영대학 : AI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인공지능전공), ICT융합학부(산업시스템공학전공/경영정보전공), 경영학부(경영학전공/회계세무학전공/국제산업정보전공) - 융합과학대학 : 수학과, 화학과, 나노공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전공/식품생물공학전공) - 창의공과대학 :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신소재공학전공/환경에너지공학전공/화학공학전공), 스마트시티공학부(건축공학전공/건설시스템공학전공/도시·교통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공학전공/지능형로봇전공), 건축학과, 전자공학과 - 관광문화대학 : 관광학부(관광경영전공/관광개발전공/호텔경영전공/외식․조리전공/관광이벤트전공), 연기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미디어영상학과, 실용음악학과 대학원 편제 변경 1) 일반대학원 - 전공신설 : SW안전보안학과(석사, 박사) - 명칭변경 : 교정보호학과 → 범죄교정학과(석사) - 명칭변경 : 산업경영공학과 → 산업시스템공학과(석사, 박사) 2) 예술대학원 - 전공폐지 : 디자인‧공예학과 도예전공 - 명칭변경 : 미술학과 아동미술지도전공 → 미술학과 아동‧실버미술지도전공(석사) *2022.07.22. 제11대 총장에 이윤규 박사 취임 *2022.09.01. 일반대학원 편제 변경 - 전공신설 : 미술치료학과(박사) - 명칭변경 : 공공안전빅데이터심리분석학과 → 공공안전빅데이터학과(석사, 박사) - 전공 폐지 : 범죄교정학과(석사, 박사) *2023.03.01. 대학 편제 변경 - 단과대학을 진성애교양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경영대학, 융합과학대학, 창의공과대학, 관광문화대학으로 개편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독어독문전공/프랑스어문전공/일어일문전공/러시아어문전공/중어중문전공) - 예술체육대학 : FINE ARTS학부(서양화전공/미술경영전공/한국화전공/서예전공), 입체조형학과, 디자인비즈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산업디자인전공/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체육학과, 시큐리티매니지먼드학과, 스포츠과학부(스포츠건강과학전공/스포츠레저산업전공) - 사회과학대학 : 법학과, 공공안전학부(경찰행정학전공/범죄교정학전공, 휴먼서비스학부(사회복지학전공/청소년학전공), 공공인재학부(행정학전공/국제학전공), 경제학부(경제학전공/무역학전공/지식재산학전공/응용통계학전공) - 소프트웨어경영대학 : AI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인공지능전공, SW안전보안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과, 경영학부(경영학전공/회계세무학전공) - 융합과학대학 : 수학과, 화학과, 나노공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전공/식품생물공학전공) - 창의공과대학 :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신소재공학전공/화학공학전공),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스마트시티공학부(건축공학전공/도시·교통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공학전공/지능형로봇전공), 건축학과, 전자공학부(나노·반도체전공/정보통신시스템전공) - 관광문화대학 : 호텔외식경영학부(호텔경영전공/외식․조리전공), 연기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미디어영상학과, 실용음악학과, 관광개발경영학과, 관광문화콘텐츠학과 대학원 편제 변경 1) 교육대학원 - 전공신설 : 교육산업전공(석사) 2) 행정복지상담대학원 - 전공 폐지 :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 = = 역대 총장 = = = 대수 성명 임기 비고 초대 김한주 1985년 3월~1988년 8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2대 나민수 1988년 12월~1989년 8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3대 박노우 1990년 7월~1993년 7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4,5,6대 손종국 1993년 7월~2004년 5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7대 이태일 2005년 5월~2009년 4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8대 최호준 2009년 5월~2013년 1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9대 김기언 2013년 3월~2017년 2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10대 김인규 2017년 6월~2021년 5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제11대 이윤규 2022년 7월~2026년 7월 자세한 정보 링크 참고 = = 개설 대학·학과 = = 구분 캠퍼스 대학 학과 참고페이지 학부 수원 진성애교양대학 교직학부 교양학부 진성애교양교육연구센터 학부 수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문예창작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 독어독문전공 프랑스어문전공 일어일문전공 중어중문전공 러시아어문전공 학부 수원 예술체육대학 입체조형학과 체육학과 시큐리티매니지먼트학과 [디자인비즈학부] 시각정보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Fine Arts학부] 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미술경영전공 서예전공 [스포츠과학부] 스포츠건강과학전공 스포츠레저산업전공 학부 수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공공안전학부] 범죄교정심리학전공 경찰행정학전공 [휴먼서비스학부] 사회복지학전공 청소년학전공 [공공인재학부] 행정학전공 국제학전공 [경제학부] 경제학전공 무역학전공 응용통계학전공 지식재산학전공 학부 수원 소프트웨어경영대학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회계세무학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과 [AI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인공지능전공 SW안전보안전공 학부 수원 융합과학대학 수학과 화학과 [바이오융합학부] 생명과학전공 식품생물공학전공 학부 수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전자공학부] 나노ㆍ반도체전공 정보통신시스템전공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 신소재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스마트시티공학부] 건축공학전공 도시ㆍ교통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 기계공학전공 지능형로봇전공 건축안전공학과(계약학과) 공학교육혁신센터 학부 서울 관광문화대학 연기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미디어영상학과 실용음악학과 관광개발경영학과 관광문화콘텐츠학과 [호텔외식경영학부] 호텔경영전공 외식·조리전공 외식조리·관광서비스학과 구분 유형 설치유형 설치유형 참고페이지 대학원 일반 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서울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정치전문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예술대학원(서울) 대체의학대학원 한류문화대학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정치전문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예술대학원(서울) 대체의학대학원 한류문화대학원 대학원 수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교육대학원 공학대학원 예술대학원(수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교육대학원 공학대학원 예술대학원(수원) 경기대학교는 서울캠퍼스와 수원캠퍼스로 나뉜다. 서울캠퍼스의 전공은 대학본부를 수원캠퍼스로 옮긴 후부터 2000년까지 야간학부만 존재했으나, 1998년에는 연기전공 신설되었고, 2000학년도부터 다중매체영상학부의 5개의 학과인 정치매체관리학전공, 영상전공, 애니메이션전공, 전자디지털음악전공, 주간학과로 신설되었으며 그 후 관광대학, 행정학과, 법학과, 경제학과가 주간으로 전환되었다. 2016년에 서울캠퍼스에 있던 인문계열 8개 학과를 수원캠퍼스로, 수원캠퍼스의 관광계열 3개 학과를 서울캠퍼스로 통폐합시키면서 서울캠퍼스를 관광·예술 분야로 이원화하였고, 대학 직제개편을 단행해 9개 단과대학을 6개로 통폐합하였다. 2017년 4월, 대학 측에서 대학 구조조정안을 발표하고, 이사회에서 의결되면서 다시 한번 학과가 조정을 발표하자 이에 대해 학생들은 반발하고 있다. = = = 인문사회대학 = = = 인문사회대학은 수원캠퍼스에 있다. 2011년에 국제대학에 있던 러시아학과가 인문대학으로 편입되면서 러시아어문학과로 바뀌었다. 2016년에 서울캠퍼스에 있던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법학과, 행정학과가 수원캠퍼스로 통폐합되었으며, 2017년에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을 인문사회대학으로 통합하였다.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문예창작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 * 독어독문전공 * 프랑스어문전공 * 일어일문전공 * 중어중문전공 * 러시아어문전공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정보호학과 청소년학과 경찰행정학과 법학부_법학과 국제학부_국제관계학과 국제학부_국제산업정보학과 = = = 경상대학 = = = 경상대학은 수원캠퍼스에 있다. 서울캠퍼스에 있던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세무학과가 수원캠퍼스로 통폐합되었다. 경상대학 경제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세무학과 응용통계학과 경영정보학과 지식재산학과 = = = 관광문화대학 = = = 관광문화대학은 서울캠퍼스에 있다. 기존에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는 서울캠퍼스에 개설되어 있고 관광개발학과, 관광이벤트학과, 외식조리학과는 수원캠퍼스에 개설되어 있었다. 하지만 구조조정으로 2015년부터 수원캠퍼스 관광대학의 이벤트학과, 관광개발학과, 외식조리학과 등 3개 학과를 서울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17년에 관광대학과 예술대학 서울캠퍼스를 관광문화대학으로 통합하였다. 관광대학 예술대학(서)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 관광개발학과 외식·조리학과 관광이벤트학과 *외식조리과학과 연기학과 애니메이션영상학과 전자디지털음악학과 미디어영상학과 = = = 이공대학 = = = 이공대학은 수원캠퍼스에 있다. 2017년에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을 이공대학으로 통합하였다. 자연과학대학(구)자연과학대학 대학소개 공과대학 수학과 전자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식품생물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융합보안학과 건축학과 플랜트·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과 전자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도시·교통공학과 화학공학과 = = = 예술체육대학 = = = 예술체육대학은 수원캠퍼스에 있다. 2017년에 예술대학 수원캠퍼스와 체육대학을 예술체육대학으로 통합하였다. 예술대학(수)(구)예술대학 대학소개 체육대학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장신구·금속디자인학과 서양화·미술경영학과 한국화·서예학과 입체조형학과 체육학과 사회체육학과 스포츠경영학과 레저스포츠·건강학과 경호보안학과 = = = 융합교양대학 = = = 융합교양대학(본부대학)은 수원캠퍼스에 있다. 융합교양대학 교양학부 *교직학부 진성애교양교육연구센터 의사소통센터 *감성SW교육센터 = = 편의시설 = = = = = 수원캠퍼스 = = = 1 사진관 1 2 음료 자판기 3 2 그라찌에 3 위치/연락처/영업시간 종합강의동 1층 010-3209-5561 오전 9시 ~ 오후 8시 30분 9강의동 1층 011-9984-3536 오전 8시 ~ 오후 8시 7강의동 1층 010-4810-3381 오전 8시 ~ 오후 8시 = = = 서울캠퍼스 = = = 1 구내서점 1 2 구내식당 3 2 매점 3 4 복사실 4 = = 대학원 = = 대학원은 서울캠퍼스와 수원캠퍼스에 있다. 일반대학원(서울/수원) 전문대학원(서울) 특수대학원 일반대학원(서울/수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정치전문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교육대학원 공학대학원 예술대학원(서울) 대체의학대학원(서울) 한류문화대학원(서울) = 분류:인촨 허란산 FC의 축구 선수 = = 사단법인 아태평화교류협회 = 사단법인 아태평화교류협회는 대한민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염원하고 실천하는 민간단체로서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유골을 봉환하는 사업'에 목적을 두고있다.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많은 희생자 유골을 고국에 봉환,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 안치했다. 안부수 회장은 2018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를 개최하여 일본의 침략전쟁과 강제동원에 대한 반성과 배상을 촉구하고, 희생자들의 유해발굴 및 봉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비무장지대에 강제동원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세계인이 경건한 마음으로 참배하는 평화공원 조성을 위해서도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연혁 = = 2005년~2007년 : 한·일 추진위원회 구성 2007년 : 태평양전쟁 희생자 봉환위원회 출범 2009년 : (사) 한일공동 평화교류협회 설립 2012년 : (사) 아태평화교류협회로 명칭 변경 2017년 : 중국 8개소 (심양, 단동, 대련, 북경, 청도 등) 지부 설립 2018년 : 강제동원 유골봉환 스토리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발간 2019년 : 아태평화교류재단 설립 준비 2019년 : 대북지원사업자 지정 「통일부 승인」 2019년 : 아태평화정책연구원 설립 = = 행사 및 업적 = = 2009년 8월 : 일본 시즈오카광산 희생자 유골 110위 봉환 2010년 11월 : 일본 후쿠시마탄광 희생자 유골 등 31위 봉환 2012년 12월 : 일본 후쿠시마탄광 희생자 유골 등 36위 봉환 2015년 6월 : 광복 70주년 유골봉환 자료전시 행사(서울역광장)(일본 한인강제동원시설 세계문화유산등재 반대 범국민 서명운동) 2015년 7월 : 광복 70주년 유골봉환 자료전시 행사(서울역광장)(일본 한인강제동원시설 세계문화유산등재 반대 범국민 서명운동) 2015년 8월 : 광복70주년 유골봉환 자료전시 행사(국회의원회관)(대일항쟁기위원회 소장 강제동원 기록물 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 등재 범국민 서명운동) 2016년 : 서초구청 · 화성시청 유골봉환 자료 전시 행사(유골발굴, 봉환 서명운동 전개) 2018년 11월 : 제1회 2018 아시아태평양의 평화 · 번영을 위한 국제대회 개최(경기도 고양시) 2019년 7월 : 제2회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 개최 (필리핀) = = 조직도 = = = = = 아태평화교류협회장 = = = 총회 회장 고문단 자문위원회 운영위원회 정책위원회 이사회 감사 조직위원회 홍보위원회 부회장 = = 미래전략 사업본부 = = 미래전략국 = = = 사업총괄 본부 = = = 유골봉환사업부 평화공원 건립사업부 평화사업부 사무국 = = = = 평화협력단 = = = = 본부 (지회) 일본 중국 태국 필리비핀 인도네시아 호주 베트남 지부 서울지부 인천/경기지부 부산/경남지부 대전/충남지부 대구/경북지부 광주/전남지부 강원지부 충북지부 전북지부 제주지부 각 지회/지부 평화협력사업부 대외협력부 사무국 = 분류:기원전 330년대 사망 = = 우시다역 = 우시다역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우시다역 (도쿄도) 우시다역 (아이치현) = 2021 LoL KeSPA컵 선수 명단 = 다음은 2021 LoL KeSPA컵 선수 명단이다. = = LCK 챌린저스 리그 = = LCK CL(2군) 선수단 기준.T1 2군 선수단은 제외됨. 팀 탑 정글 미드 AD 캐리 서포터 후보 후보 농심 레드포스 박근우 이승복 안현서 하인성 정윤수 이장원 농심 레드포스 DnDn Sylvie FIESTA vital Peter Blessing (서포터) DWG KIA 박승규 최용혁 정지훈 조민성 윤설 강성인 DWG KIA Thanatos Lucid Pullbae Junmin Bible Saint (미드) 리브 샌드박스 안지민 함유진 강준 윤상훈 손민형 변정현 주민규 리브 샌드박스 Meaning HamBak Ten10 Ice Prove Kingkong (AD 캐리) Duro (서포터) 아프리카 프릭스 마태석 변지웅 이태영 고준영 양현민 송선규 정재훈 아프리카 프릭스 IlllIma Citrus BuLLDoG Valkyrie Minit Bull (AD 캐리) Moham (서포터) Gen.G 김동민 우주성 임현승 김수환 박준형 Gen.G Zest Winner Quid Peyz Lospa 프레딧 브리온 임성민 전어진 정성훈 가민준 김동현 강우석 프레딧 브리온 Soboro Raptor Feisty Gamin Loopy Listo (정글) 한화생명 e스포츠 장유찬 구관모 조우진 조승모 한진솔 유세민 신재윤 한화생명 e스포츠 LukaLux Seonbi Roamer Cheoni Baut Toison (탑) Lure (AD 캐리) DRX 송현민 이민규 송경진 박석현 김정훈 DRX Clear Peach SeTab Paduck Piero KT 롤스터 조현성 전준혁 이대광 양지혁 박근우 이승민 한길 KT 롤스터 Castle R JGL VicLa R adc Rebel PerfecT (탑) Way (서포터) = = LCK 아카데미 시리즈 = = 팀 탑 정글 미드 AD 캐리 서포터 쉐도우 EK 권희원 이원준 한인웅 박기환 오재현 쉐도우 EK GGul Monarca 2003 Spoon Sive 쉐도우 배틀리카 김민우 전성현 전성현 임호선 이현호 쉐도우 배틀리카 Ming9 Chloe Snail ToongE HH DKJ 최강인 장두현 임태준 문준서 오형석 DKJ Kang in Dosa Sirius Saroka Korea = = 아시아권 해외 팀 = = 팀 탑 정글 미드 AD 캐리 서포터 후보 리닝 게이밍 아카데미 왕지콘 왕하이한 류쉬춘 장톈위 쉬수예 리닝 게이밍 아카데미 Clever9 KuanG Vergil Uneasy yawang Erha (미드) 웨이보 게이밍 유스 시에종항 자오위 셰콰이 장위치 우위 웨이보 게이밍 유스 Luuuck Maggie Forse Shark Wuy Assum (AD 캐리) 헝캉 팔콘 헝캉 팔콘 Taco Lost Hong2 Whale Epoch Renhao (정글) 웨스트 포인트 e스포츠 잔 에드워드 웨스트 포인트 e스포츠 Relhia Calumnia Agrona Austerity Cresho = 인텔 8085 = 인텔 8085는 인텔이 1977년 발표한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다. 8085는 인텔 8080과 바이너리 호환성이 있었으나 하드웨어 지원이 부족해 단순하고 값싼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8085의 모델 번호 “5”는 +5V, -5V, +12V의 3가지 전원이 필요한 8080에 비해 8085는 +5V 만으로 작동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8080과 8085 프로세서는 둘 다 컴퓨터에서 CP/M 운영 체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8085는 구성 부품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마이크로컨트롤러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두 프로세서는 호환성과 좀 더 많은 기능을 가진 자일로그 Z80에게 데스크톱 컴퓨터 시장에서 밀려나게 된다. Z80은 CP/M 컴퓨터 시장의 대부분을 빼앗았으며 1980년대 초중반 가정용 컴퓨터 시장의 과반수를 차지하게 된다. 8085는 컨트롤러로서 긴 수명을 누렸다. 1970년대 말, DECtape 컨트롤러와 VT100 비디오 단말기 같은 기기에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이들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이 지속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데스크톱 컴퓨터의 제품 주기보다는 긴 것이다. = = 세부 사항 = = 8085는 폰 노이만 구조의 인텔 8080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8080과는 다르게 8비트 데이터 버스가 16비트 어드레스 버스의 하위 부분과 멀티플렉스(multiplex) 되어 있다. 8085는 6,500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으며 nMOS 회로를 사용하여 설계되었으나 나중에 “H" 버전은 HMOS라고 부르는 인텔의 향상된 nMOS 공정을 사용했다. HMOS는 원래 고속 SRAM 생산을 위해 개발된 기술이었다. 8085는 8224(클럭 제네레이터)와 8228(시스템 컨트롤러)의 기능을 통합해서 집적도를 높였다. Z80과 같이 당시의 프로세서와 비교하면 멀티플렉스 되어 있는 버스를 분리(demultiplex)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인텔의 8155, 8355, 8755 메모리는 어드레스 래치로 직접 연결이 가능했다. 그래서 8085 시스템의 대부분은 이들 칩셋으로 구성되었다. 8085는 RST 7.5, RST 6.5, RST 5.5 등 3개의 인터럽트와 TRAP이라는 NMI(Non-Maskable interrupt), INTR이라는 외부 서비스 인터럽트를 지원한다. RST n.5 인터럽트는 프로세서의 실제 핀으로 할당되어 있는데 간단한 시스템에서 별도의 인터럽트 컨트롤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8080처럼 8085도 외부의 대기 상태 신호(35번 핀, READY)를 받아 느린 메모리를 사용했으며 DMA(Direct Memory Access)는 HOLD(39번 핀)와 HLDA(38번 핀) 신호를 이용했다. 8080보다 개선된 점은 수정 진동자를 직접 연결해 내장된 클럭 제네레이터로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의 절반인 내부 클럭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6.14MHz의 수정 진동자를 연결할 경우 3.07MHz의 내부 클럭을 발생시킨다. = = = 프로그래밍 모델 = = = 8085는 더 높은 집적률과 단일 5V 전원 사용과 함께 바이너리 호환성으로 8080을 철저하게 뒤쫓았다. 8080과 8085 기본적인 명령어 집합은 컴퓨터 터미널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8008과 같았으며 이들 프로세서는 이전 프로세서 제품들과 소스 코드 호환성이 있었다. 8080은 8008 명령어에 몇 가지 유용하고 편리한 16비트 실행을 추가하였으며 8085는 8080 명령어 집합에 2개의 명령어만 추가하였다. = = = = 레지스터 = = = = 8085에는 7개의 8비트 레지스터(A, B, C, D, E, H, L)가 있는데 A는 8비트 누산기(accumulator)에서 사용되며 다른 6개는 바이트 레지스터나 특정 명령어에서 16비트 레지스터 짝(BC, DE, HL)으로 사용된다. 어떤 명령어에서는 HL 레지스터가 제한된 16비트 누산기 레지스터로도 사용된다. 또한 16비트 스택 포인터와 16비트 프로그램 카운터도 가지고 있다. = = = = 명령어 = = = = 다른 8비트 프로세서처럼 모든 명령어는 싱글 바이트로 되어 있다. 명령어 중 어떤 것은 명령어 뒤에 1 - 2 바이트의 데이터가 따라오는데 메모리 어드레스나 포트 넘버 같은 피연산자(operand)도 여기에 포함된다. 멀티 레벨 프로시져 호출과 복귀를 위한 CALL, RET 명령어를 갖추고 있으며 명령어는 스택상의 어떠한 16비트 레지스터 짝에도 저장과 복원을 할 수 있다. 또 서브루틴이 위치한 고정된 주소 1 바이트 8개(00h, 08h, 10h,...,38h)를 호출하는 명령어(RST)도 있다. 이들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 대응하는 순서대로 외부 하드웨어에서 지원할 목적이었지만 빠른 시스템 호출에도 자주 사용된다. 가장 복잡한 명령으로 XTHL이 있는데 스택 포인터를 가리키는 어드레스가 저장된 HL 레지스터의 값을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 = = = = 8비트 명령어 = = = = = 대부분의 8비트 작업은 8비트 누산기(A 레지스터)에서만 실행된다. 8비트 작업이 2개인 경우 A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 이외에 수치는 또 다른 8비트 레지스터나 HL 16비트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셀을 사용하는데 2개의 8비트 레지스터 사이의 직접 복사나 8비트 레지스터와 HL이 가리키는 메모리 셀 사이의 직접 복사도 지원한다. MOV 명령어의 정기적인 인코딩으로 인해(사용 가능한 오프코드의 1/4을 차지) 레지스터끼리 스스로 복사하는(예를 들면 MOV B,B) 중복 코드가 되는데 지연시키는 용도를 제외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HL이 가리키는 셀끼리 복사하는 것(MOV M,M)은 인터럽트나 외부 리셋이 될 때까지 실행을 정지하는 HLT 명령어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 = = = = 16비트 작동 = = = = = 8085는 8비트 프로세서지만 16비트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제한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 3개의 16비트 레지스터 짝(BC, DE, HL)이나 SP는 인접한 16비트 값을 불러와(LXI 사용) 증가나 감소(INX나 DCX 사용) 또는 HL과 덧셈(DAD 사용)할 수 있다. XCHG 명령어는 HL과 DE의 값을 바꾸는데 사용한다. HL을 HL의 값으로 더하는 것은 하나의 명령으로 16비트 레프트 시프트와 같은 결과를 갖는다. 유일한 16비트 명령어는 플래그에 영향을 미치는 DAD인데 CY(캐리)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으로 24비트나 32비트 연산을 할 수 있으며 부동소수점 연산을 하는데도 필요하다. = = = = I/O 설계 = = = = 8085는 256개의 I/O 포트를 지원하며 전용 I/O 명령어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런 I/O 맵핑 설계는 프로세서의 제한된 어드레스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식되었다. 많은 CPU 아키텍처에서 전용 I/O 명령어가 필요 없는 공통 어드레스 공간을 대신 사용하는데 이런 설계의 단점은 메모리보다 느린 주변기기 같은 특별한 하드웨어에서는 대기 상태를 추가로 넣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어떤 간단한 8080 컴퓨터에서 I/O는 실제 메모리 셀을 가리키며 사용되지 않는 I/O 명령어는 버려진다. I/O 어드레싱은 때때로 하위와 상위 어드레스 바이트가 같은 8비트 포트 어드레스를 출력할 때도 사용된다. 즉, IN 05h는 16비트 어드레스 버스에 0505h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이와 비슷한 I/O 포트 설계는 8080 호환의 자일로그 Z80과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패밀리에서도 사용되었다. = = = 개발 시스템 = = = 인텔은 8080과 8085를 위한 개발 시스템 시리즈를 판매하였는데 Personal Development System이라 불렀다. 오리지널 PDS는 CPU와 모니터, 8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는 커다란 박스였는데 ISIS 운영체제와 에뮬레이터 포드와 EPROM 프로그래머를 작동할 수 있었다. 나중에 iPDS는 작은 녹색 스크린과 5¼인치 플로피 디스크 등 좀 더 휴대성 있는 특징을 가지며 ISIS-II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었다, 또한 두 번째 8085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어서 두 CPU 간의 스크린, 키보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공유 등의 제한된 형태의 멀티프로세서 작업이 가능했다. 인텔은 8080/8085 어셈블러뿐 만 아니라 PL/M-80과 파스칼 컴파일러, EPROM 라이터 등의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도 판매하였다. = = 응용 사례 = = 8085가 다양하게 널리 사용되기 위해 MOV, ADD, SUB, JMP 등과 같은 다양한 명령어로 이루어진 명령어 셋을 제공하는데 이 명령어는 분기, 덧셈, 뺄셈, 비트연산과 비트 시프트 작업같은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작성되어 있다. 더 복잡한 작업이나 연산은 소프트웨어에서 해결해야 했다. 예를 들어 곱셈은 곱셈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수행한다. 8085 프로세서는 작은 규모의 컴퓨터에서 드물게 사용되었다. TRS-80 모델 100 시리즈에 80C85가 사용되었는데 80C85는 8085의 CMOS 버전으로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었으며 어떤 버전은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툰드라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의 CA80C85B는 추가된 명령어를 가지고 있었다. 한가지 틈새 응용 사례로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NASA와 ESA의 CRRES, Polar, FAST, Cluster, HESSI, Sojourner(rover), THEMIS 등 우주 물리학 임무에서 사용한 데이터 프로세서 기기에서 8085를 사용한 것이다. 1980년대 스위스의 SAIA 사는 PCA1 제품 라인에 8085와 8085-2를 사용했다. = = MCS-85 패밀리 = = 8085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인텔이 개발한 많은 주변 칩들이 있는데 이 칩들을 MCS-85 패밀리라 한다. 8085는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나중에 8086 프로세서도 이 칩들을 조합해서 사용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PC에는 이들 칩이 직접 사용되지는 않지만 사우스브리지라는 VLSI 칩에 이 칩들과 동등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8007 - RAM 컨트롤러 8085 - CPU 8155 - RAM+ 3 I/O 포트+타이머 8156 - RAM+ 3 I/O 포트+타이머 8185 - SRAM 8202 - DRAM 컨트롤러 8203 - DRAM 컨트롤러 8205 - 1 ~ 8 이진 디코더 8206 - 오류 검출 정정 장치 8207 - DRAM 컨트롤러 8210 - TTL To MOS 시프터 & 고전압 클럭 드라이버 8212 - 8비트 I/O 포트 8216 - 4비트 양방향 병렬 버스 드라이버 8218/8219 - 버스 컨트롤러 8222 - DRAM 리프레시 컨트롤러 8226 - 4비트 양방향 병렬 버스 드라이버 8231 - 산술 처리 유닛 8232 - 부동소수점 프로세서 8237 - DMA 컨트롤러 8251 -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 8253 - 프로그래머블 인터벌 타이머 8254 - 프로그래머블 인터벌 타이머 8255 - 프로그래머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PPI) 8256 - 멀티펑션 서포트 컨트롤러 8257 - DMA 컨트롤러 8259 - 프로그래머블 인터럽트 컨트롤러 8271 - 프로그래머블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 8272 - 싱글/더블 밀도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 8273 - 프로그래머블 HDLC/SDLC 프로토콜 컨트롤러 8274 - 멀티 프로토콜 시리얼 컨트롤러 8275 - CRT 컨트롤러 8276 - 스몰 시스템 CRT 컨트롤러 8278 - 프로그래머블 키보드 인터페이스 8279 - 키보드/디스플레이 컨트롤러 8282 - 8비트 Non-Inverting Latch with Output Buffer 8283 - 8비트 Inverting Latch with Output Buffer 8291 - GPIB Talker/Listener 8292 - GPIB 컨트롤러 8293 - GPIB 트랜시버 8294 - 데이터 암호화/암호해독 유닛 + O/P 포트 8295 -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컨트롤러 8296 - GPIB 트랜시버 8297 - GPIB 트랜시버 8355 - 16,384비트 (2048 x 8) ROM + I/O 8604 - 4096비트 (512 x 8) PROM 8702 - 2048비트 (265 x 8 ) PROM 8755 - EPROM+2 I/O 포트 = = 시뮬레이터 = = 8085 시뮬레이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오픈 소스로 GNUSim8085와 GSim85가 리눅스, 윈도우 환경에서 작동하며 프리웨어로 Win85와 Sim8085가 마이크로소프트 Win32 플랫폼에서 작동한다. = = 어드레싱 모드 = = 8085는 다이렉트 어드레싱 모드, 레지스터 어드레싱 모드, 레지스터 인다이렉트 어드레싱 모드, 이미디어트(immediate) 어드레싱 모드 등 4가지 어드레싱 모드가 있다. = 박종래 = 박종래(朴宗來, 1746년 ~ 1831년)는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반남이다. = = 생애 = =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해서 교리, 헌납, 부수찬, 수찬, 대사간을 하다 다시 순조 때 사간원대사간을 거쳐 이조참의가 되고 황해도관찰사가 된 뒤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을 거쳐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이조판서, 공조판서, 사헌부대사헌, 광주유수를 거쳐 사헌부대사헌,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의금부사, 공조판서, 예조판서, 병조판서, 의정부좌참찬을 한 뒤에 이조판서, 형조판서로 좌부빈객을 겸하고 공조판서, 판의금부사를 거쳐 판돈녕부사로 있다가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이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로 우빈객을 겸한 뒤 공조판서로 있다가 함경도관찰사가 되고 공조판서로 지중추부사를 거쳐 병조판서가 되고 이후 판중추부사, 판돈녕부사가 된다. = 가와이촌 (기후현 이비군) = 가와이촌은 기후현 이비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오노정·고도정에 해당한다.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의 제주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 = 선거구 = = 선거구 선거구역 제주시 제주시 일원 북제주군 북제주군 일원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일원 남제주군 일원 = = 개표 결과 = = = = = 제주시 = = = = = = 북제주군 = = = = = = 서귀포시·남제주군 = = = = = 당선자 = = 선거구 정당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제주시 무소속 고세진 39,239 북제주군 무소속 이기빈 24,441 서귀포시·남제주군 통일민주당 강보성 43,885 = 분류:목사 = = 칼바리 = 칼바리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칼바리(Calvary)는 골고타의 영어식 발음이다. 칼바리(Kalbarri)는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도시다. = 남자와 여자 = 남자와 여자는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상현 고애리 정선철 조혜련 = 틀:지침 목록 = = 김윤희 (1979년) = 김윤희(1979년 6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계원예술고등학교 (졸업)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2001년 KBS2 쌍둥이네 2002년 MBC 고백 2004년 KBS2 애정의 조건 2005년 SBS 사랑한다 웬수야 2005년 KBS2 걱정하지마 = = = 영화 = = = 2003년 위대한 유산 - 마담 2006년 연리지 - 호텔녀 2006년 비열한 거리 - 룸싸롱 마담 = = = 예능 = = = SBS 좋은 친구들 - 2001년 7월 22일 출연 KBS1 가족오락관 - 2001년 9월 8일, 2005년 8월 27일, 2005년 12월 3일 출연 MBC 강호동의 천생연분 - 2003년 5월 17일 출연 MBC 브레인 서바이버 - 2003년 9월 28일 출연 SBS 일요일이 좋다 X맨 - 2005년 10월 30일, 2005년 11월 6일 출연 = 가평 대원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가평 대원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加平 大願寺 石造毘盧舍那佛座像))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대원사에 있는 불상이다. 2010년 3월 23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5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현재까지 경기도내 조사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평택 심복사 불상과 안성 운수암 불상밖에 없고 나말여초에 제작된 중부지역 석불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분류:아랍인 = = 솔리헐 도시 자치구 = 솔리헐 도시 자치구는 잉글랜드 웨스트미들랜즈주에 위치한 도시 자치구로 중심 도시는 솔리헐이며 면적은 178.3km2, 인구는 209,890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1,200명/km2이다. = 분류:초월초등학교 동문 = = 인도네시아군 = 인도네시아군( - 軍, , TNI)은 인도네시아 국방부 산하에 있는 군사 조직이다. = 테레세 셰그란 = 케르스틴 잉리드 테레세 셰그란(, 1977년 4월 8일 ~ )은 스웨덴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 = 클럽 경력 = = 어린 시절에 소년들과 함께 할뢰사 IF에서 축구를 즐겼으며 12세 시절에 베베뢰드 AIF로 자리를 옮겼다. 14세 시절부터 디비시온 3 소속 클럽이던 베베뢰드 AIF 성인 팀에서 활약했고 1997년에 디비시온 1 소속 클럽이던 크리스티안스타드 DFF로 이적했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다말스벤스칸 소속 클럽이던 말뫼 FF 담(현재의 FC 로셍오르드)에서 활약하면서 팀의 다말스벤스칸 5회 우승에 공헌했다. 2011년에는 미국의 여자 축구 클럽인 스카이 블루 FC에서 활약했고 미국 여자 프로 축구 시즌이 끝난 이후에 다말스벤스칸으로 복귀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말뫼 FF 담에서 활약했다. = = 국가대표 경력 = = 1997년 10월 30일에 열린 미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처음 출전했다. 스웨덴은 이 경기에서 미국에서 3-1 승리를 기록했다.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UEFA 여자 유로 2001,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 UEFA 여자 유로 2005,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UEFA 여자 유로 2009, UEFA 여자 유로 2013,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스웨덴이 준우승을 차지했던 UEFA 여자 유로 2001,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교체 선수로 활약했고 스웨덴이 3위를 차지했던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동료 선수들의 득점을 도와줄 정도로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은 부상으로 인해 불참했다. 2007년, 2010년에는 스웨덴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에게 수여하는 디아만트볼렌을 수상했다. = = 수상 = = = = = 클럽 = = = 베베뢰드 AIF 디비시온 3 1회 우승 (1994) 크리스티안스타드 DFF 디비시온 1 1회 우승 (1997) 말뫼 FF 담 (현재의 FC 로셍오르드) 다말스벤스칸 5회 우승 (2010, 2011, 2013, 2014, 2015) 여자 스벤스카 수페르쿠펜 3회 우승 (2011, 2012, 2015) = = = 국가대표 = = = UEFA 여자 유로 2001 준우승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준우승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 4위 UEFA 여자 유로 2005 준결승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3위 UEFA 여자 유로 2013 준결승 = = = 개인 = = = 디아만트볼렌(Diamantbollen, 스웨덴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 2회 수상 (2007년, 2010년) 스웨덴 올해의 여자 축구 미드필더 2회 선정 (2007년, 2008년)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 틀:Chemboximage/설명문서 = = 야가미 소이치로 = 야가미 소이치로는 만화 데스노트의 조연이며 야가미 라이토의 아버지이다. 생년월일은 1955년 7월 12일이고 사망일은 2009년 11월 11일이다. 애니판 성우는 우치다 나오야/장광이다. = 노경은 = 노경은(盧景銀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1984년 3월 11일 ~ )은 KBO 리그 SSG 랜더스의 투수이다. = =아마추어 시절 = = 서울 성남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2년에 동산고등학교의 송은범, 광주제일고등학교의 김대우와 함께 고교 야구 투수 빅 3로 손꼽혀 MLB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받았다.다저스 "제2의 박찬호 찾아라" 한국일보, 2002년 4월 23일 작성 = =한국 프로야구 시절 = = = = =두산 베어스 시절 = = = 2003년에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나 입단 첫 해에는 어깨 부상으로 후반기에 들어와서야 1군에 올라왔다. 2004년에 구단에서 부상과 병역에 관한 마찰로 인해 임의 탈퇴 공시까지 고려됐고, 그 해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게다가 병역 비리에 연루돼 2005년에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했다.돌아온 노경은 깜짝 호투 - 쿠키뉴스 소집 해제된 후에도 넷상 마찰 등 불미스러운 사건 등을 일으켜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다. 포스트시즌에는 투수 지승민과 함께 2009년 플레이오프 때 처음으로 엔트리에 들어갔으나 등판하지 못했고, 2012년 준플레이오프에 등판하며 포스트시즌에서 처음으로 선발 등판했다. 이후 가끔씩 1군에 올라오다가 2011년에 투수진에서 대거 누수가 생겨 김강률과 함께 불펜으로 많이 등판하며 뒤늦게 두각을 드러냈다. 그의 재기에는 당시 2군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이 도움을 많이 줬다.두산 "김진욱 감독 소통력 높게 평가" - 연합뉴스 김진욱이 감독으로 부임한 2012년에는 임태훈의 부상으로 선발에 복귀해 선발승을 거뒀다.노경은, 김진욱 감독에게 바친 선발승 - 매일경제 2012년 9월 6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데뷔 첫 완봉승을 기록했고‘데뷔 첫 완봉' 노경은, 10년 만에 피운 꽃 - OSEN, 2012년 9월 19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데뷔 첫 두 자릿수 승을 거뒀다.'만년 유망주' 꼬리표 뗀 두산 노경은의 성공시대 - 마이데일리 이후 2012년 9월 26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개인 통산 2번째이자 시즌 2번째 완봉승을 기록했다.'2번째 완봉' 노경은 "'넌 다르다'는 독려, 힘이 됐다"- OSEN 그와 함께 33이닝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다가 2012년 10월 2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34이닝 연속 무실점 이닝 기록을 마감했다. 이는 프로 통산 역대 3위 기록이었다.노경은, '발'에 걸려 중단된 연속 이닝 무실점 - OSEN 그는 이 경기에서 승리를 챙기며 2012년 시즌 12승(선발 10승)을 기록했다. 2012년 롯데 자이언츠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2차전 선발로 등판했고, 경기에서 6.1이닝 6피안타, 2탈삼진, 3사사구, 1실점을 기록했다.준PO 화려한 가을 데뷔 노경은, 두산 중심 됐다 - OSEN 2013년에는 이용찬이 팔꿈치 뼛조각 수술을 받아 전력에서 이탈하고, 김선우가 부진해 니퍼트와 원투 펀치를 이뤘다. = = = =2015년 한국시리즈 = = = =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4차전에서 선발 이현호 다음으로 등판해 5.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 2016년 5월 31일 당시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고원준과 1:1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였다.롯데 고원준-두산 노경은, 전격 트레이드 합의 -마이데일리 2016년 6월 22일 KIA전에서 5이닝 4실점을 하며 이적 후 첫 승리 투수가 됐다.'노경은 선발승' 롯데, 26안타로 KIA에 18-5 승 -아시아경제 2016년 6월 28일 이적 이후 부진을 씻어내리는 6이닝 무실점 투구를 했다. 2018년 시즌 9승 6패,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으나 협상이 결렬됐다. = =호주 프로야구 시절 = = 2019년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 = =한국 프로야구 복귀 = = = = =롯데 자이언츠 복귀 = = = 2019년 시즌 후 2+1년 계약을 맺고 복귀했다. 2020년 5월 1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해 7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복귀 후 첫 승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14경기에 등판해 3승 5패를 기록했고, 10월 29일에 방출됐다. = = =SSG 랜더스 시절 = = = 2021년 시즌 후 테스트에서 합격해서 입단하였다.노경은-김재현 SSG 유니폼 입는다… 입단 테스트 합격, 공식 계약 - SPOTV = = 논란 = = 2009년 7월 3일 LG전에 선발 등판해 3이닝 3피홈런을 기록하며 패전의 빌미를 제공했다. 이전에도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성적에 은퇴 파동을 일으킨 전력이 있던 그에 대한 팬들의 감정이 호의적이지 않았고, 이에 몇몇 두산 팬들은 그의 싸이월드 미니 홈피에 악플을 달았다. 그눈 해당 팬의 미니 홈피에 찾아가 댓글을 남기며 말싸움을 벌였고, 프로 선수답지 못한 대응을 지적하는 팬들에게까지 화살을 돌린 후 카트라이더를 한다며 사라져 화제가 됐다. 7월 7일에는 그에 대한 간접적인 비아냥을 담은 현수막이 잠실에 잠시 걸렸고, 이를 두고 팬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일었다. 7월 8일에 2군으로 강등된 그는 잠시 닫았던 싸이월드 미니 홈피를 다시 열며 인터넷상에서 떠돌던 카트라이더 게임 화면에 자신의 얼굴이 합성된 사진을 메인 화면으로 걸어놓고 비꼬는 듯한 글을 올리며 전혀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일말의 동정론까지 사그라들게 만들었다. 이 사건으로 그는 '노카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노경은, “내 성공 기준은 오랜 선수 생활” - OSEN 그랬던 그를 당시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이 다잡아 준 끝에 2011년에 중간 계투로 많이 등판하고, 2012년에도 중간 계투로 등판하다가 선발 투수로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 팀 공헌도가 증가하며 이러한 시선은 줄어들었다. 2016년 5월 10일에 은퇴 의사를 밝혔다. 이에 두산 베어스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여 임의 탈퇴 공시했다.노경은 은퇴 의사... 두산도 임의탈퇴 처리 -OSEN 그런데 2016년 5월 13일에 갑자기 임의 탈퇴 공시를 철회해 달라고 요청했다.노경은 임의탈퇴 철회 요청, 두산 "빨리 결정할 것" - 스포츠서울 결국 KBO는 2016년 5월 14일에 그의 임의 탈퇴를 공식적으로 철회해 두산 베어스로 복귀했고KBO, "두산의 노경은 임의탈퇴 철회 수용" -OSEN, 이후 고원준을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에 트레이드됐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13년 WBC 국가대표팀에 발탁됐다. = = 별명 = = 위 에피소드에서 언급된 '노카트'라고 불린다. 이름을 두 글자로 줄인 '노갱'이라고 불린다. 2017년 6월 1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 측의 오더 실수로 이대호와 최준석의 포지션을 혼동해 지명타자였던 최준석이 1루 수비를 하고, 1루수였던 이대호가 덕아웃에 있으면서 4번 타자 자리에는 투수가 들어가게 됐다. 이 사건으로 투수와 타자를 겸해 월등한 활약을 펼치는 오타니 쇼헤이의 이름을 본따 '조선의 4번 투수', '노타니', '노타니 쇼헤이'라고 불렸다. = =출신 학교 = = 서울화곡초등학교 서울 성남중학교 서울 성남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03 두산 4.12 5 0 0 3 1 0 0 0.750 79 19⅔ 12 2 12 2 8 9 9 2004 두산 6.89 20 0 0 2 2 0 0 0.500 244 49⅔ 65 11 31 2 35 41 38 2007 두산 4.67 29 0 0 1 2 0 1 0.333 199 44⅓ 45 2 25 3 21 25 23 2008 두산 6.23 3 0 0 0 1 0 0 0.000 43 8⅔ 12 0 5 1 7 8 6 2009 두산 4.50 9 0 0 0 2 0 0 0.000 107 24 18 4 19 2 11 14 12 2010 두산 13.50 6 0 0 0 0 0 0 - 47 9⅓ 17 1 1 1 8 14 14 2011 두산 5.17 44 0 0 5 2 2 3 0.714 290 62⅔ 71 3 36 2 53 39 36 2012 두산 2.53 42 2 2 12 6 0 7 0.667 608 146 106 6 69 8 133 46 41 2013 두산 3.84 30 0 0 10 10 0 0 0.500 765 180⅓ 171 16 75 6 153 88 77 2014 두산 9.03 29 0 0 3 0 0 0.167 530 109⅔ 147 14 69 1 74 117 110 2015 두산 4.47 47 0 0 1 4 4 0 0.200 267 57⅓ 57 6 37 5 41 33 29 2016 롯데 6.85 22 0 0 3 12 0 0 0.200 454 9⅔ 128 13 48 5 52 79 72 2017 롯데 11.66 9 0 0 0 2 0 0 0.000 76 14⅔ 25 4 8 1 8 19 19 2018 롯데 4.08 33 0 0 9 6 0 0 0.600 547 132⅓ 127 18 30 4 89 65 60 2020 롯데 4.87 25 1 0 5 10 0 0 0.333 574 133 139 19 40 3 77 76 72 2021 롯데 7.35 14 0 0 3 5 0 0 0.373 269 56⅓ 79 11 24 4 35 50 46 2022 SSG 3.05 41 0 0 12 5 1 7 0.706 323 79⅔ 69 5 27 4 55 28 27 2023 SSG 3.58 76 0 0 9 5 2 30 0.643 357 83 78 4 40 4 65 33 33 통산 18시즌 4.99 484 3 2 78 90 10 48 0.464 5799 1306⅓ 1366 139 646 58 925 784 724 = Ŏ = = 핵원료 물질 = 핵원료 물질은 중성자에 의해 바로 핵분열이 일어나지는 않지만, 중성자 흡수를 통해 핵분열 물질로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이다. =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핵원료 물질 = = 자연에 존재하는 핵원료 물질 중 원자로 내에서의 방사를 통해 핵분열 물질로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은 다음과 같다. 토륨-232: 우라늄-233으로 변화 우라늄-234: 우라늄-235으로 변화 우라늄-238: 플루토늄-239으로 변화 원자로 내에서 생긴 인공 동위원소 중 중성자 1개 포획으로 핵분열 물질로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은 다음과 같다. 플루토늄-238: 플루토늄-239으로 변화 플루토늄-240: 플루토늄-241으로 변화 일부 악티늄족 원소는 반감기가 길어 붕괴하지 않고 핵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에 이르는 데 중성자가 2개 이상 필요하기도 하다. 플루토늄-242→아메리슘-243→퀴륨-244→퀴륨-245 우라늄-236→넵투늄-237→플루토늄-238→플루토늄-239 아메리슘-241→퀴륨-242→퀴륨-243 또는 플루토늄-238 이 원소들은 핵분열이 일어나기까지 중성자가 3개에서 4개 필요하고, 핵분열에서는 중성자가 2개에서 3개밖에 생겨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중성자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고속 중성자로에서는 핵분열이 일어나기까지 필요한 중성자가 줄어들고, 발생하는 중성자가 더 늘어나기도 한다. = = 핵원료 물질에서 핵분열 물질 생산 = = 중성자 감속재가 거의 없는 고속 중성자로는 노심 주변을 핵원료 물질로 덮거나 특수하게 처리한 연료봉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핵원료 물질보다 발생하는 핵원료 물질이 더 많게끔 설정하여 증식 원자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플루토늄-238, 플루토늄-240, 플루토늄-242가 핵원료 물질이므로, 이 원소를 핵분열시키지 못하는 열 중성자로보다 잔여 물질에 대한 염려가 적다. 우라늄-233이 플루토늄-239보다 더 핵분열이 잘 일어나므로, 열 중성자를 사용하는 증식로는 토륨 원전을 사용할 경우에만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 = 응용 = = 제안된 응용 방법 중에는 원자력 추진 우주선에 사용할 핵분열 물질을 생산하는 우주의 시설 건설이 있다. 지구에서 우주의 시설로 핵원료 물질을 수송한 다음 우주에서 핵분열 물질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지구에서 핵분열 물질을 운송할 때 발생하는 안전 문제를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다. = 김맹성 = 김맹성(金孟誠, 1374년 ~ 144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김균(金稛)의 장남이다. = = 생애 = = 아버지 김균(金稛)이 개국공신이었으므로, 음보(蔭補)로 출사했다.『세종실록』 1408년(태종 8) 장령(掌令)으로 임명되었으나, 집의(執義) 탁신(卓愼) 등과 함께 조대림(趙大臨)의 죄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임금의 노여움을 사, 탁신, 지평(持平) 이소축(李小畜)과 함께 순금사(巡禁司)에 갇혔다가 이듬해 보주(甫州)로 유배되었다.『태종실록』 이후 복직되어 세종(世宗)조에 남양부사(南陽府使)를 거쳤다가 1420년(세종 2) 집의로 임명되었는데, 같은 해 안변도호부사(安邊都護府使)로 나갔다. 1423년(세종 5) 우부대언(右副代言)에 임명되었다가, 이후 좌부대언(左副代言), 우대언(右代言), 좌대언(左代言)을 차례로 거쳤고, 1427년(세종 9)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임명되었다. 같은 달 의주선위사(義州宣慰使)로 나갔다가 10월 대사헌(大司憲)으로 옮겼다. 이듬해 2월 좌사간(左司諫) 김효정(金孝貞) 등과 함께 여러 번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죄를 청했다가 형조참판(刑曹參判)으로 좌천되었고, 같은 달 미곡(米穀)을 추징하지 않은 죄로 의금부(義禁府)에 감금되었다가 파직되었다. 6월 경창부윤(慶昌府尹)으로 복직되었고, 7월 중군동지총제(中軍同知摠制)로 옮겼으며, 또 그 이듬해 사은사(謝恩使)의 부사(副使)가 되어, 판좌군부사(判左軍府事) 이징(李澄)을 따라 명에 다녀왔다. 1431년(세종 13) 2월 이조참판(吏曹參判), 3월 함길도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를 차례로 거쳤으며, 1433년(세종 15)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서 공조참판(工曹參判) 이긍(李兢)과 함께 다시 사은사로 명에 다녀왔다. 같은 해, 그리고 이듬해 10월 두 차례 황해도도관찰사(黃海道都觀察使)에 임명되었으며, 12월 인순부윤(仁順府尹), 또 그 이듬해 4월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차례로 거쳤다. 그러나 7월 굶주린 백성들을 진휼하지 못했으므로 파직되었고, 10월 경기도도관찰사(京畿道都觀察使)로 복직되었다. 1437년(세종 19) 8월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9월 호조참판, 10월 형조참판, 이듬해 3월 이조참판, 6월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또 그 이듬해 호조판서(戶曹判書), 1441년(세종 23)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를 차례로 거쳤다. 이듬해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받지 못했으며, 1449년(세종 31) 향년 76세로 졸했다. 시호는 희경(僖敬)이다. = = 가족 관계 = = 증조 - 김기연(金起淵)『씨족원류』 : 예의판서(禮儀判書) 조부 - 김지윤(金智允) : 증(贈)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판도평의사사사(同判都評議使司事) * 아버지 - 김균(金稛, ? ~ 1398년) : 계림군(鷄林君),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 제숙공(齊肅公) * 어머니 -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 권현(權鉉)의 장녀『권렴 묘지명』 ** 부인 - 판삼사사(判三司事) 노향(盧珦)의 6녀 *** 동복 동생 - 김중성(金仲誠) :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증 병조판서(兵曹判書), 김신민(金新民)의 아버지 *** 이복 동생 - 김계성(金季誠) : 산원(散員), 증(贈) 판서(判書), 김종순(金從舜, 1405년 ~ 1483년)의 아버지 = 자바 네이티브 인터페이스 = 자바 네이티브 인터페이스(Java Native Interface, JNI)는 자바 가상 머신(JVM)위에서 실행되고 있는 자바코드가 네이티브 응용 프로그램(하드웨어와 운영 체제 플랫폼에 종속된 프로그램들) 그리고 C, C++ 그리고 어샘블리 같은 다른 언어들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들을 호출하거나 반대로 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이다. = = 예 = = = = = HelloWorld = = = make.sh #!/bin/sh openbsd 4.9 gcc 4.2.1 openjdk 1.7.0 export LD_LIBRARY_PATH=$LD_LIBRARY_PATH:. javac HelloWorld.java javah HelloWorld gcc -I${JAVA_HOME}/include -shared libHelloWorld.c -o libHelloWorld.so java HelloWorld HelloWorld.java class HelloWorld { private native void pri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HelloWorld.print; } static{ System.loadLibrary("HelloWorld"); } } HelloWorld.h /* DO NOT EDIT THIS FILE - it is machine generated */ #include /* Header for class HelloWorld */ #ifndef _Included_HelloWorld #define _Included_HelloWorld #ifdef __cplusplus extern "C" { #endif /* Class: HelloWorld Method: print Signature: ()V */ JNIEXPORT void JNICALL Java_HelloWorld_print (JNIEnv *, jobject); #ifdef __cplusplus } #endif #endif libHelloWorld.c #include #include "HelloWorld.h" JNIEXPORT void JNICALL Java_HelloWorld_print(JNIEnv *env, jobject obj) { printf("Hello World!\n"); return; } chmod +x make.sh ./make.sh = 만성질환 = 만성질환(慢性疾患)은 오래 지속되거나 차도가 늦은 건강 상태나 질병을 말한다.Chronic diseases, World Health Organization 심장병, 뇌졸중, 관절염, 만성호흡기병, 암, 비만 등이 만성 질환에 속한다. 한편 만성(慢性)은 버릇이 되다시피 하여 쉽게 고쳐지지 아니하는 상태나 성질로 특히 의학에서는 병이 급하거나 심하지도 아니하면서 쉽게 낫지도 아니하는 성질의 병명을 지칭하기도 한다. 위험 요인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지만, 식이, 생활 습관 및 대사 위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는 금연, 건강한 식단 채택, 신체 활동 증가와 같은 행동 변화로 예방할 수 있다. 사회적 결정 요인은 만성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인종/민족과 같은 사회적 요인은 만성 질환 치료에서 관찰되는 격차 의 주요 원인이다. 접근성 부족과 진료 지연은 소수자 및 서비스가 부족한 인구의 환자에게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의료에 대한 이러한 장벽은 환자 모니터링과 치료의 연속성을 복잡하게 만든다. 예방이 만성 질환의 영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조기 발견은 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임상 예방 서비스에는 질병의 존재 또는 발병 소인에 대한 스크리닝, 상담 및 감염원에 대한 예방 접종이 포함된다. 그 효과에도 불구하고 예방 서비스의 활용도는 일반적으로 일반 의료 서비스보다 낮다. 시간과 비용의 명백한 비용과 달리 예방 서비스의 이점은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나거나 개인 수준보다 사회 전체에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직접 인식하지 못한다.Kenkel DS "Prevention" "Handbook Of Health Economics" 따라서 공중 보건 프로그램은 대중을 교육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과 만성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수준(주, 연방, 민간)에서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구현은 대부분 지역 기관 및 지역 사회 기반 조직을 담당한다. = 분류:대전 방지제 = = 재활연구소 = 재활연구소(再活硏究所)는 국립재활원의 소속기관이다. 2008년 8월 7일 발족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58에 위치하고 있다. 소장은 국립재활원장이 겸임한다. = = 연혁 = = 2003년 2월: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계획에 재활연구소 설립 반영. 2008년 8월 7일: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신설. 2008년 8월 12일: 국립재활원 기본운영규정 개정. 2008년 11월: 재활연구소 개소 및 연구 실시. = = 조직 = = = = = 소장 = = = 재활표준연구과보건연구관 또는 공업연구관으로 보한다. 재활보조기술연구과 임상재활연구과 = 틀:요즘 화제 처음/2022년 10월 10일 = 사고와 재해 허리케인 줄리아가 중남미를 강타해 집중호우와 산사태 등으로 80명 이상 사망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7월 31일 = 대한민국 인천시 경인고속도로 서울 방향 가좌IC 인근에서 주행 중인 BMW 420d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였다. 브라질 북동부와 북부 지역에서 범죄 조직의 소행으로 보이는 폭동이 잇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기온이 38℃를 기록했다. = 메이드 (동음이의) = 메이드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메이드(maid) - 집안일을 시키기 위한 하인. 메이드(made) - 카드 게임 바둑이의 용어 = = 영화 = = 《》(, 2001) - 미국의 범죄 코미디 영화. 《》(, 2018) - 멕시코의 드라마 영화. 《》(2020) - 태국의 초능력 슬래셔 영화. = 온드리아 핌브레스 = 온드리아 핌브레스(Aundrea Fimbres, 1983년 6월 29일 ~ )는 미국의 가수, 댄서이다. =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경제 = = 시미즈 산성 = 시미즈 산성(清水山城)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축조한 성으로, 이 산성의 위치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마치에 소재하고 있는 시미즈산(清水山, 해발 206m)에 위치한다. 그래서 이 산성은 통상적으로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교통편으로는 이즈하라항에서 도보로 약 20분 소요된다. = = 주변 = = 반쇼인 가네이시성 = 카파 (기업) = 카파는 이탈리아의 피에몬테 주 토리노에 본사를 둔 의류 회사이자 관련 브랜드이다. 각종 스포츠 용품을 판매하고 있다. = = 스폰서 = = = = = 축구 = = = = = = = 국가대표팀 = = = = * * * = = = = 클럽 = = = = SSC 나폴리 토리노 FC US 사수올로 칼초 VfL 볼프스부르크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스포르팅 히혼 앙제 SCO SC 바스티아 애스턴 빌라 FC = = = 야구 = = = = = = = 클럽 = = = = 롯데 자이언츠 = = = 농구 = = = = = = = 클럽 = = = = 전주 KCC 이지스 = = = 풋살 = = = = = = = 클럽 = = = = 부산 카파 FC = 코에오키카세떼 = 〈코에오키카세떼〉(, 목소리를 들려줘)는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빅뱅이 일본에서 발매한 세 번째 싱글이다. 가라가라 고!!에 이어 7개월만에 발매한 음반으로 2009년 11월 4일에 발매됐으며, 한국에는 2009년 12월 2일에 정식 발매되었다. TBS의 금요 드라마 독신의 주제가로 타이업 되었다. 이 노래는 2011년 4월 RIAJ에서 휴대 전화의 디지털 다운로드 판매량으로 골드 인증을 받았다. = = 차트 순위 = = 차트 최고순위 오리콘 일간 싱글 차트 3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4 빌보드 재팬 핫 100 10 = 중앙술라웨시주 = 중앙술라웨시주는 인도네시아의 주 가운데 하나로, 술라웨시섬 중부에 위치한다. 주도는 팔루이며 인구는 2,633,402명(2010년 기준), 면적은 68,089.83km2이다. 1964년 4월 13일에 북술라웨시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북쪽으로는 고론탈로주, 남쪽으로는 남술라웨시주, 동남술라웨시주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말루쿠 제도, 서쪽으로는 마카사르 해협과 접한다. = 후지이 데루오 = 후지이 데루오(, 1964년 4월 5일 ~ )는 일본의 공학자이며, 현재 도쿄 대학 총장이다. 스위스 취리히 출신으로 전공은 응용 마이크로 유체 시스템이다. = = 주요 경력 = = 「次期総長予定者の藤井輝夫理事・副学長が会見」(2020년 10월 2일) 도쿄 대학 언론 배포 자료·약력「藤井輝夫総長 就任記者会見」(2021년 5월 17일) 도쿄 대학 언론 배포 자료 『総長経歴』,2021年,東京大学 1983년 3월 : 사립 아자부 고등학교 졸업 1988년 3월 : 도쿄 대학 공학부 선박공학과 졸업 1990년 3월 : 도쿄 대학 대학원 공학계 연구과 선박공학 전공 석사 과정 수료 1991년 4월 : 일본 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DC2, 1993년 3월까지 2년간) 1993년 3월 : 도쿄 대학 대학원 공학계 연구과 선박해양공학 전공 박사 과정 수료, 박사(공학)학위 논문 《해중 로봇의 지적 행동에 관한 연구()》(도쿄 대학, 1993년) 1993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객원 조교수(기부 연구 부문) 1994년 11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조교수 1995년 4월 : 이화학연구소 기초과학 특별연구원 1996년 4월 : 이화학연구소 화학공학연구실(동년 5월, 생화학시스템연구실로 개편) 연구원 1999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부속 해중공학연구센터 조교수 2003년 : 뇌샤텔 대학 마이크로테크놀로지연구소 객원연구원 2006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부속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국제연구센터 조교수 2007년 2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부속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국제연구센터 교수 2010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부속 마이크로나노메카트로닉스 국제연구센터 교수 2012년 4월 : 도쿄 대학 총장 보좌(2013년 3월까지) 2014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부속 통합 바이오메디컬시스템 국제연구센터 교수 2015년 4월 :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소장 2018년 4월 : 도쿄 대학 집행역·부학장 도쿄 대학 사회연계본부장 2019년 4월 : 도쿄 대학 이사·부학장 2021년 4월 : 도쿄 대학 총장(현재) = = = 학내외 직책 = = = 2005년 9월 : 문부과학성 참여(2007년 8월까지) 2007년 : LIMMS/CNRS-IIS(UMI 2820) 국제제휴연구센터 공동 디렉터(2014년까지) “CNRS”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IIS”는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의 각각 약칭이다. “LIMMS(Laboratory for Integrated Micro-Mechatronic Systems)”는 그 양쪽의 국제 공동 연구 조직(래버러토리)이다. 2017년 : 국제 학회 조직 The Chemical and Biological Microsystems Society(CBMS) President( ~ 2019년) 2017년 5월 : 과학기술·학술심의회 해양개발분과회 위원(제9기 ~ )해양개발분과회(제52회) 배부자료, 2019년 6월 : 과학기술·학술심의회 해양개발분과회장(제10기 ~ )분과회장의 선임 및 분과 회장 대리의 지명에 대해(비공개) 2021년 3월 :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 회의 의원2021년 2월 9·10일 중참 양원이 임명에 동의 ‘제204회 국회(상회)’. = = 강연·대담 = = 강연 : ‘“” (헤이세이 18년도 생연학술강연회)’ (고마바Ⅱ 리서치 캠퍼스, 2007년 1월 10일) 강연 : ‘“” (고마바 리서치 캠퍼스 공개 2010)’ (고마바Ⅱ 리서치 캠퍼스, 2010년 6월 4일) 강연 : ‘“” (제3회 심포지엄) 테마에 관한 기조 강연’ (온라인 개최, 2021년 3월 5일) 대담 : ‘“Living with AI, Going Beyond AI”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부사장 집행 임원 겸 CTO(2021년 4월부터 대표이사 사장 집행 임원 겸 CEO)와의 특별 대담’(진행: 하야시 가오리 도쿄 대학 대학원 정보학환 교수. 온라인 개최, 2021년 2월 20일) Beyond AI 연구추진기구 발족 기념 심포지엄 ‘Living with AI, Going Beyond AI’에 의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당일에는 유튜브 라이브 중계로 대담을 진행하는 모습이 방송됐다.Beyond AI 연구추진기구 발족 당시의 기구장을 후지이 데루오가 맡고 있었다. = = 기타 = = 도쿄대 총장 취임 이전부터 STEAM 교육의 의의를 제창하여 산업 경쟁력 친목회(COCN) 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생산 기술 연구소장, 부학장 등의 요직을 역임하면서 산학연계 연구협력 추진에 있어서 다이킨 공업이나 소프트뱅크 등과의 협정 체결에 주력했다. = = 에피소드 = = 2021년 4월 1일 도쿄 대학 총장으로 취임한 직후인 4월 3일부터 컨디션 저하로 자택에서 요양 생활을 하면서 이틀 후인 5일에 PCR 검사를 받았는데,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입학식에 불참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자가 격리를 거쳐 4월 16일부터 무사히 업무에 복귀했다. = 아가보디 5세 = 아가보디 5세(Aggabodhi V, 672년 ~ 732년)는 8세기 시대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람바카나 제2왕조 제2대 군주였다. = = 생애 = = 692년, 당시 20세 시절 왕태자(皇太子)로 책봉되었으며 아직 왕태자 시절이던 708년, 당시 결혼 4년차였던 아들(자녀 1남 3녀 중 둘째이자 외동아들이며 결혼 후 슬하 1녀 둔 왕손)이 콜레라로 인하여 향년 19세로 훙서(요절)하는 슬픔을 겪은 그는, 어느덧 왕태자로 피봉된지도 34년 후 726년 10월 6일, 부왕 마나바나 군주가 향년 71세로 붕어하자 보령 54세로 보위를 승계하여 등극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결국 후계자(後繼者)를 책립하지도 못한 채 732년에 당뇨병으로 인하여 향년 60세로 붕어(서거)하자 친아우 카샤파 왕제(王弟)가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구세대 귀족들한테 왕위에 추대되어 보령 59세로 보위 등극하였다. = 틀:편집 안내/묶음/틀:편집 안내 = = 익스펙토 패트로눔 = 익스펙토 패트로눔은 해리 포터에 나오는 고등 마법이다. = = 용도 = = 주로 디멘터아즈카반의 간수들들을 퇴치할 때 사용된다. 수신자에게 말을 전할 때 쓰인다. = = 패트로누스의 종류 = = = = = 해리 포터(Harry James Potter)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형상: 수사슴 = = = 론 위즐리(Ronald Weasley)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개(테리어)→수달 = = = 헤르미온느 그레인저(Hermione Granger)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형상: 수달 = = = 루나 러브굿(Luna Lovegood)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형상: 토끼 = = = 초 챙(Cho Chang)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형상: 백조 = = = 알버스 덤블도어(Albus Dumbledore)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불사조 = = = 애버포스 덤블도어(Aberforth Dumbledore)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염소 = = = 세베루스 스네이프(Severus Snape)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암사슴 = = = 제임스 포터(James Potter) = = = 언급: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수사슴 = = = 릴리 포터(Lilly Evans Potter) = = = 언급: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암사슴 = = = 돌로레스 제인 엄브릿지(Dorlores Jane Umbridge) = = = 첫 등장: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고양이 = = = 어니 맥밀란 (Ernie Macmillan) = = = 첫 등장: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형상: 멧돼지 = = = 시무스 피니건 (Seamus Finnigan) = = = 첫 등장: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형상: 여우 = = = 미네르바 맥고나걸 (Minerva Mcgonagall) = = = 형상: 고양이 = = = 킹슬리 샤클볼트 (Kinseley Shacklebolt) = = = 형상: 스라소니 = = = 님파도라 통스 (Nymphadora Tonks) = = = 형상: 산토끼→늑대 = = = 리머스 루핀 (Remus Lupin) = = = 형상: 늑대 = = = 아서 위즐리 (Arthur Weasley) = = = 형상: 족제비 = = = 지니 위즐리 (Ginny Weasley) = = = 형상: 말 = 한국청소년디자인전람회 = 한국청소년디자인전람회는 청소년들에게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창의력과 재능을 겸비한 디자인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차세대 디자인 인재로 육성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청소년 디자인 공모전이다. = = 역사 = = 1994년 6월 1일 《제1회 전국 중·고등학생 산업디자인공모전》을 개최했다. 동양권 최초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전람회였으며 총 1,157점이 출품되었고 419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같은 해 9월 제1회 전국 초등학생 산업디자인공모전에는 3,221점이 출품되어 792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처음에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를 분리해 행사를 열었지만, 질적 수준 향상과 내실화를 위해 여름방학 후인 9월 말에서 10월 초에 동시에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명칭도 공모전에서 전람회로 바꾸었다. 2000년 7회차에 초등학교 부문과 중고등학교 부문이 통합되었다. 2001년  '전국초중고등학생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한국청소년디자인전람회'로 변경하고 전국적인 디자인행사로 확대하기 위해 지방 접수를 처음 실시했다. 2009년 초에 1회부터 15회까지 수상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현황을 조사한 결과 213명 가운데 158명(74%)이 디자인학과를 졸업 하거나 재학 중이었다. 26회를 맞이한 2019년은 ‘나이에 상관없이 초·중·고등학교 재(휴)학 중인 사람’과 ‘8~19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제품디자인, 시각/정보 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 디자인, 공간/환경 디자인,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산업공예 디자인 등 7개 분야로 나누어 공모를 진행했다. 수상자는 KIDP 어워드 통합 멘토링에 참여해 역대 수상자들과 네트워킹의 기회를 갖고, 해외 주요 디자인 거점을 찾아 디자인 선진 사례를 배우는 ‘해외 디자인 견학’, 국내 최대 규모의 디자인 박람회인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 2019》에 작품을 전시하고 홍보를 지원 받는 등의 혜택을 받았다. 2020년부터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의 YOUTH 부문으로 통합되어 운영되었다. = 김사율 = 김사율(金思律, 1980년 4월 17일 ~ )은 전 KBO 리그 kt 위즈의 투수이자, 현 참 베이스볼 아카데미의 감독, KBO 리그 수원 드림즈의 총괄단장이다. 그의 사촌 동생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인 김사훈이다.김사율, "늘 고맙고 미안한 내 동생 사훈이" - OSEN = =선수 시절 = = = = =아마추어 시절 = = = 경남상고 시절 청소년 국가대표로 뽑힐 만큼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투수 송승준, 백차승과 함께 부산 지역 고교 야구계의 트로이카였으나 당시 그 3명 중 유일하게 한국에 잔류해 연고 팀에 입단했다.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 1999년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며, 주로 셋업맨 및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그러나 프로 입단 초기에는 병역 비리 사건 등으로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제리 로이스터가 감독으로 부임한 후 뒤늦게 두각을 드러냈고김사율, 감격의 가을잔치 첫 승 - 연합뉴스, 2011년에는 마무리로 좋은 활약을 보이며 5승 3패, 2홀드, 20세이브를 기록했다. 2004년에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돼 강원도 화천에서 일반 사병으로 155mm 견인포 운전병으로 복무했다. 팀에서 마무리로 등판했던 투수 중 박동희, 강상수, 외국인 선수인 애킨스에 이어 20세이브대를 기록했다.김사율, 든든한 신뢰감 유지한 롯데 마무리 - 조이뉴스24 2012년에는 30세이브대를 달성해 마무리에 정착했고, 2012년 9월 8일 한화전에서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32세이브를 기록해 팀 역사를 새로 썼다.롯데 60승 안착, 김사율 32세이브 구단 신기록 - 스포츠서울 '32세이브' 김사율 "기록 경신 영광스럽다" - 스포츠조선 그 해 34세이브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부진을 거듭하다 마무리 자리를 지키지 못했고 필승조로도 활약하지 못했다. 2014년 11월 26일 FA 우선 협상 마지막 날 제시액인 3년 13억을 거절하며 협상이 결렬됐다.롯데, FA 선수 모두 협상 결렬.. - 스포츠서울 그 뒤 박경수, 박기혁과 함께 kt 위즈로 이적하였다.KT, 김사율‧박기혁‧박경수 등 첫 FA 3명 영입 - MK스포츠 = = =kt 위즈 시절 = = = 2015년에 입단하였는데 2017년 선발로 2승을 기록했으나 2018년 10월 19일에 방출됐다.KT와 재계약 불발...베테랑 이진영 결국 은퇴 - 파이낸셜뉴스 = =야구선수 은퇴 후 = = 2019년부터 참 베이스볼 아카데미의 감독으로 활동했다. = = 출신 학교 = = 부산 감천초등학교 부산대신중학교 경남상업고등학교 = = 에피소드 = = 부산 감천초등학교 6학년 때 1992년 한국시리즈 3차전 시구를 했다. 그 해 롯데 자이언츠가 우승했고 그 뒤로부터 롯데 자이언츠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경남상업고등학교 시절 34번의 등번호를 달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1999년 롯데 자이언츠의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경남상업고등학교 시절 명성을 그대로 이어 가겠다는 마음으로 34번의 등번호를 원했으나 공교롭게도 이 해에 외국인 선수로 입단한 외야수 펠릭스 호세 또한 34번을 원해 양보했다(실제로 그와 펠릭스 호세는 친한 사이였다.6년 만에 부산 찾는 호세 "김사율 보고 싶다" - 스포츠조선). 2002년 호세의 이중 계약 파동으로 롯데 자이언츠를 떠났으나 2003년에 투수 김영수와의 트레이드로 고향 팀에 이적하게 된 SK 투수 이용훈이 자신의 등번호인 34번을 그대로 유지하기를 희망해 다시 배번을 되찾지 못했다. 이후 이용훈이 2009년에 등번호를 22번으로 바꾸며 데뷔 10년 만에 34번을 되찾았다.김사율 “10년 만에 ‘34번’ 찾았다”, 《스포츠월드》 2009년 2월 16일 하지만 2009년 시즌 후 34번은 다시 이용훈에게 넘어갔고, 그는 투수 김일엽이 썼던 55번을 받았다.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1999 롯데 7.89 11 0 0 1 3 1 0 29.2 34 8 21 0 16 26 26 2000 롯데 5.25 30 0 0 1 3 1 0 48 47 6 17 5 31 32 28 2001 롯데 5.25 35 0 0 1 1 2 2 68.2 71 9 23 3 54 37 33 2002 롯데 5.48 49 0 0 4 11 0 2 108.1 119 12 55 11 64 76 66 2003 롯데 5.45 20 0 0 1 2 0 1 36.1 42 5 15 1 15 23 22 2004 롯데 27.00 1 0 0 0 0 0 0 1 3 0 1 0 2 3 3 2007 롯데 5.40 2 0 0 0 0 0 0 1.2 3 0 1 0 0 1 1 2008 롯데 3.74 19 0 0 1 0 0 1 21.2 16 1 11 3 8 9 9 2009 롯데 9.45 8 0 0 0 0 0 1 13.1 22 4 1 1 5 15 14 2010 롯데 3.75 52 0 0 1 4 5 5 57.2 59 4 25 5 38 28 24 2011 롯데 3.26 61 0 0 5 3 20 2 66.1 60 4 22 2 54 27 24 2012 롯데 2.98 50 0 0 2 3 34 1 45.1 45 4 11 2 43 16 15 2013 롯데 4.00 35 0 0 3 7 1 3 74.1 74 11 34 2 47 35 33 2014 롯데 5.79 33 0 0 2 5 0 2 79.1 95 13 30 3 71 55 51 2015 kt 8.06 21 0 0 0 0 0 0 25.2 40 4 11 2 24 28 23 2016 kt 5.34 25 0 0 0 1 1 1 30.1 29 4 17 2 27 20 18 2017 kt 7.27 19 0 0 3 3 0 2 34.2 51 7 8 1 28 30 28 2018 kt 5.76 29 0 0 1 2 0 0 45.1 56 12 10 2 35 32 29 통산 18시즌 5.11 500 0 0 26 48 65 23 787.2 866 108 313 45 562 493 447 = 래리 포인덱스터 = 래리 포인덱스터(Larry Poindexter, 1959년 12월 16일 ~ )는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댈러스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RJ버거의 하드타임즈 시즌1 = = 영화 = = 더 하드 타임즈 오브 RJ 버거 (2010년) - 릭 버거 역 17 어게인 (2009년) 어쌔신: 닌자걸 (2008년) - 해리스 형사 역 모하비 폰 부스 (2006년) - 다렐 역 머터리얼 걸스 (2006년) S.W.A.T. 특수기동대 (2003년) - Capt. 토마스 풀러 역 포이즌 (2001년) 인트리피드 (2000년) 도로시 댄드리지 (1999년) 저지먼트 데이 (1999년) 화이트 레이븐 (1998년) 파이널 카운트 (1997년) 타임 언더 파이어 (1996년) 네이비 씰 2 (1996년) 그리드 러너 (1995년) 저주받은 정사 (1995년) - 래리 역 스케이트보드 키드 2 (1995년) 프렌즈 (1994년) 사랑의 조건 (1992년) 쉬 윌 테이크 로맨스 (1990년) 나이트 아이 (1990년) 아메리칸 닌자 2 (1987년) = 틀:User fr-0 = = 발리스 = 발리스(VALIS)는 미국의 SF소설가 필립 K. 딕의 장편소설 작품이다. 대한민국에는 필립 K. 딕 걸작선의 6권으로 출간되었다. 1974년 2월에 분홍색 광선을 맞고 막대한 양의 정보가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경험을 한 호스러버 팻(작가이자 화자인 필립 K. 딕의 분신)의 이야기이다. 현대인의 고독과 고뇌를 그려낸 작품이라는 평을 받는다. = = 줄거리 = = 1974년 2월에 분홍색 광선을 맞고 막대한 양의 정보가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경험을 한 호스러버 팻(작가이자 화자인 필립 K. 딕의 분신)의 이야기이다. 팻은 인간의 상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비 체험을 설명하기 위해서 '주해서'라는 방대한 저술을 집필하고, 친구의 자살, 자신의 이혼, 자살 시도, 정신병원 감금, 연인의 암 재발과 사망 등 차마 한 인간이 견딜 수 없을 정도의 고난을 연이어 겪으면서 더욱 '주해서'의 집필과, 분홍색 광선을 쏘아 보낸 신적인 존재의 진실에 집착한다. 급기야 그는 비합리적인 세계에 다시 태어나있을 구세주를 찾아 여행을 떠나겠다고 결심한다. = 분류:조지아 요리 = = 거짓남녀한몸 = 거짓남녀한몸(Pseudohermaphroditism) 또는 거짓남녀중간몸 , 구칭인 가성반음양(假性半陰陽)은 2차 성징이 생식샘에 따라 기대되는 성별과 차이가 나는 경우를 말한다. = 쥬리 = = = 인명 = = = = = 실존 인물 = = = 쥬리: 일본 출신의 가수. 걸 그룹 로켓펀치의 구성원 다나카 쥬리: 일본 아이돌, 배우 키무라 쥬리: 일본의 여성 성우, 나레이터 강민진: 대한민국의 정치인 = = = 가공의 인물 = = = 쥬리: 대전 격투 게임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 쥬리: 프리파라 시즌3에 나오는 여신 카토 쥬리: 디지몬 테이머즈의 히로인 = 분류:1772년 환경 = = 죽산읍내역 = 죽산읍내역(竹山邑內驛)은 경기도 안성군 죽산면 죽산리에 위치했던 안성선의 철도역이다. 안성선의 다른 역과는 달리 조선총독부관보에는 개업일시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안성선 개통 이후에 개통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흔적은 남아있지 않고 공터로 남아있다. = = 연혁 = = 1931년 6월 15일 : 영업 개시 1944년 12월 1일 : 태평양전쟁으로 안성~장호원간 선로철거로 폐역 = 동아TV = 동아TV(Donga TV)는 여성을 메인 타깃으로 한 패션 및 라이프 스타일 전문 텔레비전 채널이다. = = 연혁 = = 동아TV의 전신은 1992년 6월 세워진 (주)동아마스터비전이다. 동아TV는 20, 30대 여성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전문 유선방송이며 주요 사업은 인터넷 TV, 패션 및 미용 전문채널 TV 방송, 디지털 데이터 방송이다. 1993년 11월 (주)동아텔레비전으로 상호 변경되었는데 당시에는 동아그룹 계열이었으며 1998년 7월 최종 부도 처리된 후 같은 달 10월 31일 케이블TV 업계 최초로 방송 중단됐다. 그 후, 1999년 5월 인터파크에 인수된 한편 같은 달 27일부터 방송이 재개되었으며 같은 해 6월 국내 최초의 패션과 미용 전문 채널로 전환하였다. 2002년 3월 위성방송에 진출하였고, 2006년 1월 인터파크가 지분을 매각했다. 2007년 3월 유씨아이콜스에 매각되었으며 7월 HD 송출 및 제작을 시작하였고 같은 해 10월 헤럴드에 인수되었으며 그 해 11월 헤럴드동아TV로 상호명이 변경됐다. 이후, 2008년 2월 HMX동아TV로 상호명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3월 채널동아로 채널명과 CI가 변경됐고 2014년 6월, 개국 15년을 맞아 '비욘드동아'로 채널명 및 BI를 교체했다. 2015년 5월 헤럴드는 채널과 부대사업을 LF(대표 구본걸)에 매각했다. 그 이후 패션 컨텐츠를 기본으로 요리와 운동, 지식, 연예, 오락 등을 포괄하는 라이프스타일 여성 채널로 확대했으며 같은 해 6월 현재의 채널명으로 바뀌었다. 한편, 해당 채널에서 만든 드라마로 문화평론가 하재봉이 연출한 <블루스 하우스>가 있는데 이 작품은 드라마에 연극적 요소를 첨가해 새로운 형태의 드라마를 선보였다. = 리틀 리처드 = 리처드 웨인 페니먼(Richard Wayne Penniman, 1932년 12월 5일 ~ 2020년 5월 9일)은 미국의 음악가, 가수, 작곡가이다. 예명은 리틀 리처드(Little Richard). 생전 70년 동안 대중음악 및 문화의 거두로서 활약하였다. = = 경력 = = "로큰롤의 설계자"로 별칭되며 1950년대 중엽 활동을 시작하여 카리스마있는 쇼맨십과 정력적인 음악으로 하여 로큰롤의 개척자로 추어올려지게 되었다. 정신없이 몰아치는 피아노 연주와 쿵쾅거리는 백 비트, 고함지르는 듯한 노랫소리가 그만의 음악성. 감동적이라 할만큼의 획기적인 발성과 쏜살같은 리드미컬한 음악으로써 솔과 펑크 등 기타 대중음악 장르에도 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록에서 힙합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음악 장르의 가수 및 음악인들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리듬 앤드 블루스를 형성시키는 데에도 이바지하였다. 1955년, 리처드의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 〈Tutti Frutti〉가 나옴과 동시에 미영 양국의 팝 차트에서 크로스오버 히트를 기록하였다. 차기작되는 1956년의 〈Long Tall Sally〉는 빌보드 리듬 앤드 블루스 베스트셀링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으며 3년이 채 못 되어 15개 곡을 히트쳤다. 이 기간 동안의 그의 공연활동은 흑백 관중을 통합시키는 데 이바지하였다고 평가된다. 거듭난 기독교인으로서 로큰롤을 버린 리처드에게 1962년 홍보인 돈 아덴이 유럽에서 투어를 돌 것을 권유해왔다. 유럽에서 투어를 하는 동안 비틀즈가 리처드의 공연의 오프닝을 열었으며 리처드는 비틀즈에게 어떻게 공연할 것인가와 밴드원 폴 매카트니에 자기 특유의 보컬을 학습시켰다. 리처드는 최초의 크로스오버 흑인 가수로서 많이 거론되며 인종을 불문하여 청중에게 와닿았다. 차별정책이 완고한 와중에도 자신의 음악 및 콘서트를 활용하여 흑백 관중의 통합에 앞장섰다. 엘비스 프레슬리를 비롯하여 버디 홀리, 빌 헤일리, 제리 리 루이스, 에벌리 브라더스, 진 빈센트, 에디 코크런 등 수많은 동시대인들이 그의 곡을 커버했다. 특히 리처드의 음악과 스타일을 채용하고 1956년 자신의 앨범에서 리처드의 곡 4개를 커버한 바 있던 프레슬리는 1969년 그를 일러 "큰사람(the greatest)"이라 하기도 했다. 리처드는 숱한 기관에서 수상을 받았다. 로큰롤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였으며,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였다. 레코딩 아카데미 및 리듬 앤드 블루스 재단의 수상자이다. 2015년 대중음악의 형성에 있어 큰 역할을 수행한 것과 미국문화가 현저히 변화하던 1950년 중반 음악 차트 및 콘서트에서의 활약으로 하여 인종분리에 마침표를 찍는 데 공헌한 것이 인정되어 아프리카계미국인음악국립박물관으로부터 랩소디 & 리듬상을 수상. 2010년 〈Tutti Frutti〉가 미의회도서관 국립녹음등재소에서 "저항불가능한 리듬 위로 흐르는 특유한 보컬"이 새로운 음악 시대를 열었다 하여 등재되었다. = 머큐리-레드스톤 3호 = 머큐리-레드스톤 3호(, 또는 프리덤 7호(Freedom 7))는 미국 항공우주국의 유인 우주 비행 계획의 하나인 머큐리 계획에 있어서의 첫 유인 로켓 발사 임무이다. 호출 부호는 프리덤 7(Freedom 7)이다. 1961년 5월 5일에 발사되어 우주 공간까지의 탄도 비행에 성공했다. 이것은 미국의 첫 유인 우주선 발사가 되었다. = = 승무원 = = 앨런 셰퍼드 = = = 백업 승무원 = = = 존 글렌 = = 개요 = = 미국 항공우주국은, 유인 우주선 계획으로서 1958년부터 머큐리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 1960년부터는 레드스톤 미사일에 머큐리 우주선을 탑재한 머큐리-레드스톤 로켓이 사용된 시험이 계속되고 있었다. 1961년 1월 31일에 침팬지 햄이 탑승한 머큐리-레드스톤 2호의 발사가 성공해, 계속해서 유인 비행을 추진하게 되었다. 머큐리-레드스톤 3호에 탑재된 머큐리 우주선은 프리덤 7으로 불렸다. 1960년 12월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 도착했지만, 조종 장치의 개량 등 여러 문제 때문에 발사가 늦어져 발사 준비가 완료된 것은 1961년 5월 2일이었다. 1달쯤 전인 1961년 4월에, 소련은 보스토크 1호를 발사해 세계 최초의 유인 우주비행에 성공했다. 탑승 우주비행사의 선정은 1961년 2월 22일부터 이루어져 앨런 셰퍼드나 존 글렌 등 3명이 선발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중 최종적으로 앨런 셰퍼드가 선발되었다. 1961년 5월 2일부터 발사 대기를 해 앨런 셰퍼드가 우주선에 탑승했지만,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발사가 연기되었다. 다음 3일간도 우주선에 탑승하였으나 기상 때문에 매번 발사가 연기되었다. 1961년 5월 5일에 기상이 양호해지고 재차 발사 준비가 진행되었다. 발사는 미 동부표준시 기준 9시 34분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이루어졌다. 이 발사는 TV로 중계되었다. 머큐리-레드스톤 3호는 비행 시간 15분 22초, 최고 고도 187.42 km 의 탄도 비행을 실시하고 지상에 귀환했다. 착수 지점은 발사 장소에서 487.26 km 떨어진 대서양 해상이며, 앨런 셰퍼드 및 우주선은 헬리콥터에 의해 구조되어 항공모함 USS 레이크 챔플레인 호에 회수되었다. = = 대한민국 = = 프리덤 7호는 한국의 누리호 시험발사체와 비교된다. 머큐리-레드스톤 로켓의 무게 30톤, 프리덤 7호의 무게 1.83톤, 최고고도 187.42 km, 비행거리 487.26 km, 1961년 5월 5일 발사 누리호 시험발사체의 무게 52.1톤, 화물중량 10.5톤, 최고고도 209 km, 비행거리 429 km, 2018년 11월 28일 발사 해군 조종사인 만 37세 앨런 셰퍼드는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되어, 15분 동안의 탄도 비행을 하여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되었으며, 대서양에 우주선이 낙하산으로 떨어지고, 만재배수량 3만톤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에서 6톤 해상작전헬기가 구조했다. 미국 최초의 유인우주선 프리덤 7호는 무게 1.83톤으로, ICBM의 핵탄두가 무게 2톤 정도 되는 것을 감안하면, ICBM의 핵탄두 안에 핵폭탄을 빼고 전투기 조종사 한명을 산소통과 함께 넣은 개념이다. 만약 2018년 현재 한국에서 앨런 셰퍼드가 나온다면, 37세의 공군 조종사가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시험발사체로 발사되어, 탄도 비행을 하여 제주도 부근의 해상에 낙하산으로 떨어지면 만재배수량 2만톤의 독도함에서 10톤 해상작전헬기 KAI 마린온이 구조할 수 있다. 미국 NASA는 고도 80 km를 우주로 보며, 이 고도 이상을 비행하면 우주비행사 배지를 수여한다. 앨런 셰퍼드는 이후에 해군 소장까지 진급했다. 한국도 최초의 우주인이 공군 소장으로 진급하면, 60년만에 미국을 완전히 모방하게 된다. = = 더 보기 = = 보스토크 1호 = 달콤한 소금 = 달콤한 소금은 대한민국의 인디 밴드이다. (Sweet Salt, 달소) 특유의 목소리로 담담하게 깊은 감성을 전달하는 김정아 (14회 유재하음악경연대회 동상)와 어쿠스틱 기타, 퍼커션 및 프로듀싱을 맡고 있는 김손손으로 구성되었으며 어쿠스틱 사운드를 중심으로 따뜻하고 감성적인 음악을 들려준다. = = 멤버 = = 보컬 - 김정아 (14회 유재하음악경연대회 동상) 프로듀서 - 김손손 = = 음반목록 = = = = =앨범 = = = = = =•달콤한 소금 (2009년) = = = #Sunshine #오후에야 #다시 너의 #나 아직도 꿈꾸네 = = =•인생은 아름다워 (2010년) = = = #인생은 아름다워 #까망비 #고장난 시간 #그게 사랑 = = =•달무지개 (2011년) = = = #너를 만나러 가는 길 #Sunshine(new ver.) #잘 들어가고 있나요(feat. 조정치) #뒤척뒤척 #발라아빌루(inst.) #헤어지기 5분전(Remastered ver.) #그래도 이별은 지나간다 #그때에는 #그게 사랑 (new ver.) #프로포즈 (Remastered ver.) #Secret #Mr. Cajon(inst.) #오후에야 (Irish ver.) #그 여름날 = = =•달소나무(2014년) = = = 왜 그렇게 우린 힘들었을까 (Remasterd ver.) 계절탓이야 기다려 진다 고장난 시간 (EP ver.) 있을까 계절탓이야 (Inst.) 기다려 진다 (Inst.) 고장난 시간 (EP ver.) (Inst.) = = =싱글 = = = = = =•달콤한 소금 & 낭만유랑악단 크리스마스(2010.12.22) = = = #천사들의 노래가 #프로포즈 #다시보기 = = =•헤어지기 5분 전 (2011.2.18) = = = #헤어지기 5분전 = = =•오프더레코드 길에서 음악을 만나다 (2012.10.31) = = = #고장난 시간 (Live Ver.) #그 여름날 (Live Ver.) = = =•왜 그렇게 우린 힘들었을까 (2014.2.10) = = = #왜 그렇게 우린 힘들었을까 #왜 그렇게 우린 힘들었을까(inst.) = = =•언젠간 이 비도 그치겠죠 (2016.3.4) = = = #언젠간 이 비도 그치겠죠 #언젠간 이 비도 그치겠죠(inst.) = = =•가시나무 (2017.1.9) = = = #가시나무 = = =•잊을만하면 (2017.7.11) = = = #잊을만하면 #잊을만하면(inst.) = = =•지금 우린(2018.2.11) = = = #지금 우린(feat. 우정훈) #지금 우린(inst.) = = =·넌 지금도 충분히 빛나(2019.9.2) = = = #넌 지금도 충분히 빛나 #넌 지금도 충분히 빛나(inst.) = 모듈:Location map/data/Trøndelag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Norway Trøndelag') = 분류:2003년 태국 = = 분류:무주군의 중학교 = = 분류:1952년 동계 올림픽 노르딕복합 = = 수슬린 수 = 일반위상수학에서 수슬린 수는 위상 공간의 서로소 열린집합들의 집합족의 크기의 상한이다. 이 글에서는 수슬린 수를 비롯한 위상수학의 다양한 기수 값 불변량을 다룬다. = = 정의 = = = = = 무게 = = = 위상 공간 X의 무게 w(X)는 X의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제2 가산 공간은 w(X)\le\aleph_0인 위상 공간이다. 무게의 개념의 몇 가지 변형은 다음과 같다. 집합족의 조건 최소 크기 기호 기저 무게 w 유사 기저 유사 무게 \psi w π-기저 π-무게 \pi 망 망 무게 nw = = = = 유사 무게 = = = = 위상 공간 X의 유사 기저 또는 ψ-기저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mathcal B\subseteq\operatorname{Open}(X)이다.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x\}=\bigcap_{x\in B\in\mathcal B}B 위상 공간이 유사 기저를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T1 공간인 것이다. T1 공간 X의 유사 무게 또는 ψ-무게 \psi w(X)는 그 유사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 = = = π-무게 = = = = 위상 공간 X의 π-기저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mathcal B\subseteq\operatorname{Open}(X)이다. \operatorname{Open}(X)\setminus\{\varnothing\}의 공시작 집합이다. 즉, \varnothing\not\in\mathcal B이며, 임의의 열린집합 U\subseteq X에 대하여, 만약 U\ne\varnothing라면, B\subseteq U인 B\in\mathcal B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X의 π-무게 \pi(X)는 그 π-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 = = = 망 무게 = = = = 위상 공간 X의 망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족 \mathcal N\subseteq\mathcal P(X)이다. 임의의 열린집합 U\subseteq X에 대하여, U=\bigcup\mathcal S인 \mathcal S\subseteq\mathcal N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저는 열린집합들로 이루어진 망이다. 위상 공간 X의 망 무게 nw(X)는 그 망의 최소 크기이다. = = = 밀도 = = = 위상 공간 X의 밀도 d(X)는 X의 조밀 집합의 최소 크기이다. 분해 가능 공간은 d(X)\le\aleph_0인 위상 공간이다. = = = = 유전적 밀도 = = = = 위상 공간 X의 유전적 밀도 d^*(X) 또는 너비 z(X)의 정의는 다음 두 가지가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d^*(X)는 X의 부분 집합의 밀도의 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aleph_0을 취한다). *:d^*(X)=\max\left\{\aleph_0,\sup_{Y\subset X}d(Y)\right\} z(X)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Y\subseteq X의 크기의 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aleph_0을 취한다). 모든 상집합이 열린집합이 되는 Y 위의 정렬 전순서가 존재한다. 즉, 이다. 유한한 값을 허용할 경우 두 정의는 더 이상 동치가 아니다. 이다. d^*(X)\le z(X)의 증명. 임의의 Y\subseteq X에 대하여, d(Y)\le z(X)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초한 귀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초한 점렬 (y_\alpha)_{\alpha\kappa인 Y의 열린 덮개 \mathcal U를 고르자. 초한 귀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초한 점렬 (y_\alpha)_{\alpha<\kappa^+}\subseteq Y 및 (U_\alpha)_{\alpha<\kappa^+}\subseteq\mathcal U을 만들 수 있다. 이제, 라고 하자. Z는 자연스럽게 순서형이 \kappa^+인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룬다. 또한, Z의 임의의 하집합 은 Z의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 = = 지표 = = =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S\subseteq X의 국소 지표 \chi(S,X)는 S의 국소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위상 공간 X의 지표 \chi(X)는 모든 점의 국소 지표의 상한이다. 제1 가산 공간은 \chi(X)\le\aleph_0인 위상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족의 조건 개념 기호 국소 기저 (국소) 지표 \chi 국소 유사 기저 (국소) 유사 지표 \psi 국소 π-기저 (국소) π-지표 \pi\chi = = = = 유사 지표 = = = =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S\subseteq X의 국소 유사 기저 또는 국소 ψ-기저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mathcal B\subseteq\operatorname{Open}(X)이다.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S\subseteq X의 국소 유사 지표 또는 국소 ψ-지표 \psi(S,X)는 S의 국소 유사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T1 공간 X의 유사 지표 또는 ψ-지표 \psi(X)는 모든 점의 국소 유사 지표의 상한이다. = = = = π-지표 = = = = 위상 공간 X의 점 x\in X의 국소 π-기저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mathcal B\subseteq\operatorname{Open}(X)이다. \varnothing\not\in\mathcal B이며, x의 임의의 근방 U\ni x에 대하여, B\subseteq U인 B\in\mathcal B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X의 점 x\in X의 국소 π-지표 \pi\chi(x,X)는 x의 국소 π-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위상 공간 X의 π-지표는 \pi\chi(X)는 모든 점의 국소 π-지표의 상한이다. = = = 밀착도 = = =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S\subseteq X 및 그 폐포의 점 x\in\operatorname{cl}S에 대하여, t(x,S,X)가 x\in\operatorname{cl}T인 T\subseteq S의 최소 크기라고 하자. 위상 공간 X의 점 x\in X의 국소 밀착도는 다음과 같다. 위상 공간 X의 밀착도는 t(X)는 모든 점의 국소 밀착도의 상한이다. 가산 생성 공간은 t(X)\le\aleph_0인 위상 공간이다. = = 성질 = = 위상 공간 X이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ㄱ) c(X)\le d(X)\le\pi(X)\le w(X)\le\left|\operatorname{Open}(X)\right|\le\min\{2^{|X|},2^{nw(X)}\} (ㄴ) \max\{d(X),L(X)\}\le nw(X)\le\min\{|X|,w(X)\} (ㄷ) \max\{t(x,X),\pi\chi(x,X)\}\le\chi(x,X)\qquad(x\in X) (ㄹ) \max\{t(X),\pi\chi(X)\}\le\chi(X)\le w(X)\le|X|\chi(X) (ㅁ) \pi\chi(X)\le\pi(X)\le d(X)\pi\chi(X) (ㅂ) t(X)\le|X| (ㅅ) \left|\operatorname{RegOpen}(X)\right|\le\min\{\pi(X)^{c(X)},2^{d(X)}\} 가 전사 함수이므로 자명하다. 라고 하자. 임의의 N\in\mathcal S에 대하여 인 U_N\in\mathcal U를 고르자. 그렇다면, nw(X)\le w(X)의 증명. 모든 기저는 망을 이루므로 자명하다. t(x,X)\le\chi(x,X)의 증명. \mathcal B가 x의 국소 기저라고 하자. S\subseteq X이며 x\in\operatorname{cl}S라고 하자. 인 T\subseteq S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B\in\mathcal B에 대하여, x_B\in B\cap S를 고르자. 그렇다면, 는 위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는 열린 근방들로 이루어진 국소 기저이며, 특히 x의 국소 π-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는 x의 국소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는 X의 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는 X의 π-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정칙 닫힌집합 F\subseteq X에 대하여, 가 U\subseteq\operatorname{int}F인 \mathcal B 속의 서로소 열린집합 U\in\mathcal B들로 구성된 집합족 가운데 극대 원소인 하나라고 하자. (이는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존재하며, 선택 공리에 따라 극대 원소들 가운데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이제, 함수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E\cap D=F\cap D라면, 인 열린집합 U,V\subseteq X를 골랐을 때,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콜모고로프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ㄱ) |X|\le 2^{w(X)} X의 임의의 기저 \mathcal B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콜모고로프 조건에 따라, 함수 는 단사 함수이다. T1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ㄱ) \psi w(X)\le\min\{|X|,w(X)\}\le|X|\le\left|\operatorname{Open}(X)\right| (ㄴ) \psi(x,X)\le\chi(x,X)\qquad(x\in X) (ㄷ) \psi(X)\le\min\{\chi(X),\psi w(X)\} (ㄹ) |X|\le\min\{2^{\psi w(X)},nw(X)^{\psi(X)}\} (ㅁ) nw(X)\le\psi w(X)^{L(X)} T1 조건에 따라 x의 모든 국소 기저는 국소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는 x의 국소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B\in\mathcal B\colon x\in B\}=\{B\in\mathcal B\colon y\in B\}라면,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X의 임의의 유사 기저 \mathcal B에 대하여, 는 X의 망을 이루며, 이다. 하우스도르프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ㄱ) |X|\le\min\{2^{2^{d(X)}},d(X)^{\chi(X)}\} (ㄴ) \psi w(X)\le\min\{\left|\operatorname{RegOpen}(X)\right|,nw(X)\}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라면,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이다. (두 번째 등식은 조밀성에 따라 \operatorname{cl}U=\operatorname{cl}(U\cap D)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를 고르고, 라고 하자. 이제, 함수 를 생각하자. 자명하게 이다.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이다. 따라서, 만약 라면, 이다. 즉,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증명 끝 라고 하자. 임의의 (M,N)\in\mathcal S에 대하여, 인 열린집합 U_{(M,N)},V_{(M,N)}\subseteq X를 고르자. 그렇다면,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는 유사 기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명하게 이다.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w(X)\le\left|\operatorname{RegOpen}(X)\right|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에서, 정칙 열린집합들은 기저를 이룬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콤팩트 T1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ㄱ) nw(X)\le\psi w(X) T1 공간에 대한 명제 (ㅁ)의 증명과 유사하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psi(X)=\chi(X) 위상 공간 X 및 부분 집합 Y\subseteq X가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w(Y)\le w(X) nw(Y)\le nw(X) X가 T1 공간일 때, \psi w(Y)\le \psi w(X) \chi(Y)\le\chi(X) X가 T1 공간일 때, \psi(Y)\le\psi(X) t(Y)\le t(X) 만약 f\colon X\to Y가 닫힌 연속 전사 함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t(Y)\le t(X) = 하도낙서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또는 雒書)는 태극과 팔괘의 효시가 되는 그림이다. = = 역사 = = 하도낙서가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불확실하며 신화적인 기원만이 전해진다. 상서(尙書)에 따르면, 복희씨가 다스리고 있을 때 하수(河)에 용마가 나타났으니 그 무늬를 따라 하도(河圖)를 만들었다고 한다. 낙서는 하나라 우왕이 낙수에 있는 신성한 거북이의 등에 새겨진 모습을 보고 만들었다고 한다. 한나라 때 도참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연구했다. 오늘날에도 풍수지리나 역학 등에서 쓰인다. = = 하도 = = 하도는 열 개의 수로 되어 있다. 2, 7 3, 8 5, 10 4, 9 1, 6 = = 낙서 = = 낙서는 아홉 개의 수로 되어 있다. 4 9 2 3 5 7 8 1 6 이는 가로, 세로, 대각선 어느 줄을 따라 3개의 숫자를 더하더라도 15가 되는 마방진이다. = 함옌현 = 함옌현(한자 표기는 丛国胜 越南行政地名译名手册를 기준으로 한다.)은 베트남 동북부 지방 뚜옌꽝성의 현이다. = = 행정 구역 = = 함옌현은 1시진, 17사를 관할한다. = = =시진 = = = 떤옌 시진 (Thị trấn Tân Yên, 新安市鎭) = = =사 = = = 바익싸사 (Xã Bạch Xa, 白舍社) 방꼭사 (Xã Bằng Cốc, 憑谷社) 빈싸사 (Xã Bình Xa, 平舍社) 득닌사 (Xã Đức Ninh, 德寧社) 훙득사 (Xã Hùng Đức, 雄德社) 민전사 (Xã Minh Dân, 明民社) 민흐엉사 (Xã Minh Hương, 明鄕社) 민크엉사 (Xã Minh Khương, 明康社) 년묵사 (Xã Nhân Mục, 仁穆社) 풀르우사 (Xã Phù Lưu, 扶劉社) 타이호아사 (Xã Thái Hòa, 泰和社) 타이선사 (Xã Thái Sơn, 泰山社) 떤타인사 (Xã Tân Thành, 新城社) 타인롱사 (Xã Thành Long, 成隆社) 옌럼사 (Xã Yên Lâm, 安林社) 옌푸사 (Xã Yên Phú, 安富社) 옌투언사 (Xã Yên Thuận, 安順社) = 운양동 = 운양동(雲陽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 중앙부 중 한강 유역에 위치한 행정동이다. 이장:두훈 = 틀:2016년 하계 올림픽 이집트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이집트 남자 배구 대표팀 명단이다. 감독: 셰리프 엘셰메를리(Sherif El Shemerly) 번호 이름 출생일 키 몸무게 스파이크 높이 가로막기 높이 2015–16년 소속 팀 아부 아브드 엘라힘 (Abou Abd Elahim) 1989년 6월 3일 210cm 88kg 285cm 270cm 알 알리 아메드 아브델 나에임 (Ahmed Abdel Naeim) 1984년 8월 19일 197cm 87kg 342cm 316cm 군인 배구팀 만두흐 아드델레힘 (Mamdouh Abdelrehim) 1989년 8월 5일 207cm 90kg 338cm 325cm 군인 배구팀 아슈라프 아부엘하산 (Ashraf Abouelhassan) (주장) 1975년 5월 17일 186cm 86kg 325cm 318cm 자말렉 모하메드 타킬 (Mohamed Thakil) 1986년 7월 12일 184cm 71kg 326cm 315cm 군인 배구팀 10 모하메드 마수드 (Mohamed Masoud) 1994년 5월 1일 211cm 105kg 358cm 342cm 스무하 11 아메드 아피피 (Ahmed Afifi) 1988년 3월 30일 194cm 92kg 347cm 342cm 자말렉 12 호삼 아브달라 (Hossam Abdalla) 1988년 2월 16일 203cm 97kg 343cm 321cm 알 알리 13 모하메드 바다위 (Mohamed Badawy) 1986년 1월 11일 195cm 91kg 326cm 319cm 자말렉 14 오마르 하산 (Omar Hassan) 1991년 4월 4일 191cm 104kg 333cm 324cm 군인 배구팀 15 아메드 엘코트브 (Ahmed Elkotb) 1991년 7월 23일 197cm 80kg 328cm 318cm 알 알리 22 아메드 모하메드 (Ahmed Mohamed) (리베로) 1989년 6월 8일 188cm 89kg 군인 배구팀 = =각주 = = = 분류:에베쓰시의 역사 = = 헬라 (마블 코믹스) = 헬라는 마블 코믹스의 슈퍼빌런 캐릭터이다. 북유럽 신화의 헬을 모티브로 한 여성 캐릭터로, 신화에서는 장난의 신 로키의 딸이나, 마블 유니버스의 아스가르드에서는 오딘의 첫 자식이자 헬(헬헤임)과 니블헤임의 지배자이다. 토르에 대적하는 악당으로 등장한다. 1964년 3월 저니 인투 미스터리 102호에 처음 등장했고, 스탠 리와 잭 커비가 공동 창작하였다. = = 담당 배우 = = = = = 영화 = = = 토르: 라그나로크 (2017) - 케이트 블란쳇 = = 담당 성우 = = = = = TV 애니메이션 = = = 어벤져스(2010) - 니카 퍼터먼 어벤저스 어셈블(2013) - 버네사 마셜 = = = 장편 애니메이션 = = = 헐크 대 토르(2009) - 재니스 자우드 = 승옥 = 승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햇빛 쏟아지다의 등장인물 영웅들의 등장인물 = 분류:인도의 커피 = = 일산 대방디엠시티 = 일산 대방디엠시티는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이다. = 분류:철학 책 = = 러시아의 정치 = 러시아의 정치는 러시아 연방 이원집정부제 공화제를 기본으로 한다. 러시아의 헌법에 의하면, 러시아의 대통령이 러시아의 최고 국가원수이며, 총리가 이끄는 두마(의회)에는 다당제가 보장된다. 총리는 의회의 허락을 받아 대통령의 추천으로 임명되며, 입법권은 러시아 상원과 하원에 나뉘어 있다. 하지만 대통령의 권한이 워낙 강력하기에, 이와 같은 입법권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비에트 연방이 1991년에 붕괴된 이후, 러시아는 70년 동안의 공산주의식 정치 체제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크게 애써야만 했다. 예를 들어 입법부와 행정부의 수반들이 국가 정책 방향과 권력 분배 방식에 대하여 심각한 의견 차이를 드러냈고, 1993년 9월과 10월에 이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러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의회를 해산하기 위하여 군대를 동원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러시아의 첫 헌정 통치 기간이 끝났고, 이후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어 대통령에게 유례없을 정도로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게 되었다. 이 헌법은 1993년에 새롭게 구성된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이후 새로운 헌법과 다양한 이념을 가진 정당을 확보한 러시아의 정치는 점차 안정기를 맞게 된다. 1990년대 중반, 러시아의 지방 자치 단체들이 점차 경제력과 행정력을 확보하게 되며, 러시아의 중앙집권식 정치 구조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행정부와 입법부 사이의 갈등이 새 헌법의 제정으로 일부 약화되기는 하였으나, 두 세력은 여전히 극명한 대립을 보이며 러시아의 정치를 혼란스럽게 하였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행정부는 개혁파들로 이루어졌고, 의회의 하원에 해당하는 러시아 두마는 공산주의자들과 국가주의자들이 장악한 상태였다. = = 헌법과 국가 구조 = = 1992년과 1993년에 걸쳐,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1978년에 제정된 소련 헌법에 기반한 러시아의 헌법이 지나치게 경직적이고 자체 모순적이라고 비판하였으며, 러시아가 대통령에게 더 큰 권한을 부여하는 헌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행정부는 헌법 초안을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하였고, 입법부는 이 새 초안을 지지하는 세력과 지지하지 않는 세력으로 나뉘어 다투었다. 이후 의회는 비타협파가 승기를 잡았고, 옐친의 새 초안을 거부하였다. 이는 결국 옐친 대통령이 군대를 이용하여 의회를 해산하는 계기가 되었고, 대통령 권한을 사용하여 새로운 제헌 국회를 만들게 하였다. 정부는 헌법 초안을 신속하게 새 안건으로 부쳤고, 1993년 12월에 국민 투표를 시행하여 새 헌법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였다. 이 선거에서 58.4%가 새 헌법을 지지하여 이 헌법이 새롭게 러시아의 헌법이 된 것이다. 1993년에 새롭게 제정된 이 헌법은 러시아를 연방으로 규정하며, 민주주의, 연방주의, 법치주의에 기반한 국가임을 명시하고 있다. 국가 권력은 입법부, 행정부 및 사법부로 나뉘며, 이념과 종교의 자유가 허용되며 국교나 국가적인 이념을 만드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가 '극단주의자'라고 분류한 단체들을 강제적으로 무력 진압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며, 이 권리들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당제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며, 법률의 내용은 발효되기 전에 국민들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국제법과 조약들에 부합하는 것들이여야만 한다. 또한 러시아어가 공식적 국어로 지정되었다. = = 행정부 = = 1993년에 제정된 헌법은 대통령과 총리로 구성된 행정부를 만들었으며, 이 두 명 중 특히 대통령을 핵심 권력자로 만들었다. 이 강력한 대통령 권한은 프랑스의 드골 헌법을 모방한 것으로, 수많은 특권들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이에 더해 더 많은 특권들을 누리곤 하였다. = = = 대통령 권한 = = =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의 국내 및 대외 정책의 기본 방향을 결정하며, 국내외에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존재이다. 대통령은 입법부와의 협의를 통해 러시아 대사를 임명하고 해임하며, 외국 대사들의 신임장을 발급하며, 국제 회담을 수행하며 국제 조약에 서명할 권리가 있다. 특히 옐친 대통령은 특별 규정에 따라 1996년 6월에 종료되도록 규정된 임기를 마치고 새 헌법의 대통령 권한을 행사하여 재집권할 수 있었지만, 그를 포기하고 합법적인 절차를 따라 선출되었다. 1996년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일부 후보자들은 대통령직을 철폐할 것을 주장하며, 그 막강한 권한이 독재자와 다를 바가 없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당시 옐친 대통령은 러시아가 "수직적 권력 구조와 강한 지도력"을 원하고 내각 정부제는 행동하기보다는 무의미한 대화나 매일 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강력한 대통령 권한에 대하여 옹호하였다. 새로운 헌법에 규정된 몇몇 권한으로 대통령이 입법부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대통령은 사법적 검토 없이 법의 힘을 가진 법령과 지시를 내릴수있는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헌법에 따르면 그 문서나 다른 법률을 위반해서는 안된다. 특정 조건에서, 두마의 하원 의회는 소비에트의 상원 의회를 대통령은 국민 투표 일정(이전에 국회에 배정 된 권력)을 정하고 주법에 초안을 제출하고 연방법을 공포 하라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의 국가 구성은 20개 자치공화국과 7개 자치주 및 10개 자치관구로 구성된다. 행정은 6개 지방(크라이)과 49개 주(오블라스티)로 나뉜다. 헌법상 러시아의 대통령은 국정전반에 걸쳐 강력하고 포괄적인 권한을 부여받고 있다. 1993년 12월 12일 국민투표를 통해 공식 채택된 신(新)헌법은 프랑스의 드골 헌법을 모방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고 구 소련 시절 무소불위의 막강한 권력을 지녔던 의회의 활동영역을 크게 제한하고 있다. 즉 새헌법은 하원인 두마에 입법권과 예산심의권·조약체결권 등을 부여하고 있으나 상원인 연방회의의 승인을 반드시 거치도록 규정하였다. 또 대통령이 법률안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을 때만 이를 뒤집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통령은 총선거 실시권은 물론 국회해산권도 갖게 되어 있으며 의회의 대통령에 대한 견제는 거의 불가능해져 탄핵의 경우에 하원의원의 재적 3분의 2의 찬성으로 이를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 옐친 대통령은 1991년 11월 러시아 최고회의가 부여한 비상대권을 1년간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시장경제 정책을 추구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경제가 악화됐다. 이를 계기로 옐친은 보수파의 온상인 최고회의와 인민대표회의의 심한 견제를 받기 시작했다. 이후 옐친은 사사건건 인민대표회의와 최고회의의 견제를 받자 3권 분립을 명확히 하고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1993년 10월 의회를 해산했다. 이 과정에서 자체무장력을 갖추고 있던 의회보수파는 무력저항을 했으나 옐친은 군대를 동원해 진압했다. 동 12월에 실시된 의회 재선거에서는 보수파의 의석이 크게 줄어 옐친은 보수파를 제압했으나 많은 의석 확보에는 실패하여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가 이끄는 극우파와 공산당이 득세했다. 옐친 대통령과 인민대표회의간의 개혁정책 갈등은 1994년 10월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58.5%의 찬성으로 국민들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러시아 내에는 일당체제인 공산당 체제가 무너진 후 많은 정당들이 생겨났는데, 신헌법에 따라 1993년 12월 실시된 총선결과 러시아 하원 국가 두마선거에서는 친옐친계 예고르가이다르의 러시아의 선택당이 전체 450석 중 96석을 차지하여 최대 정당이 됐다. 그리고 극우파인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의 자유민주당이 70석, 공산당이 65석, 농민당 47석, 야블린스키연합 33석, 러시아 여성 25석, 러시아 민주당 21석, 시민동맹 18석, 민주개혁운동 8석, 존엄과 자선 3석, 러시아의 미래 1석, 기타 무소속이 30석을 차지했다. 러시아 선택당은 1994년 6월 당명을 러시아 민주선택당으로 바꿨다. 1996년 7월 3일에서 옐친은 53.8%를 득표해 승리하였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대선 후 건강악화로 1996년 11월 5일 심장수술을 받고 체르노미르딘 총리에게 전권을 일시 이양하였다. 그는 12월 23일 크렘린궁에 복귀해 리펑 중국 총리, 헬무트 콜 독일 총리 등과 회담하였는데 한편 러시아 하원은 1997년 1월말 옐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시도했으나 부결처리되었다. 1997년 1월 교사 50만명이 체불입금지급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고 3월 27일 러시아 전역에서 노동자 총파업에 200만명이 참가했다. 1999년 12월 31일 옐친 대통령이 조기 사임하였고, 2000년 5월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 듀스 비갈로 = 듀스 비갈로(Deuce Bigalow: Male Gigolo)는 미국에서 제작된 마이크 미첼 감독의 1999년 코미디 영화이다. 롭 슈나이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베리 베르날디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1999년 12월 10일 개봉되었다. 후속작인 듀스 비갈로 2는 2005년 개봉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롭 슈나이더 윌리엄 포사이스 에디 그리핀 아리자 바레이키스 오데드 페르 게일 오그레디 리차드 리엘 = = = 조연 = = = 재클린 오브라더스 빅 보이 에이미 포엘러 디나 플래티아스 = = 기타 = = 공동제작: 알렉스 시스킨 공동제작: 해리스 골드버그 미술: 앨런 오 의상: 몰리 맥기니스 배역: 마시아 로스 배역: 도나 모론그 = 프로이센 뮌스터 = 프로이센 뮌스터(Preußen Münster)는 독일의 축구 클럽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뮌스터를 연고지로 한다. 현재 3. 리가에 참가하고 있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요하네스 솅크(2023 ~ ) 세바스티안 므로프차(2023 ~ ) = = = 역대 = = = 막시밀리안 슐체 니휘스(2007 ~ 2008) = 분류:피에리아현 = = 분류:아르헨티나의 남자 축구 선수 = = 람푼 공항 = 람푼 공항은 사하 산업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이 공항은 ICAO 권고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으며, DOA의 승인을 받았다. 사하파타나 홀딩사가 운영하는 람푼 공항은 매파루앙 치앙마이 국제공항 36번 활주로의 연장 중심선에서 남쪽으로 20km(12mi) 떨어져 있다. = 군검찰 = 군검찰은 군사법원에서 검찰관의 사무를 통할하는 기관이다. = = 개요 = = 군검찰은 국방부 소속으로 군부대 내에 있는 검찰로서 일반의 검찰청에 해당한다. 고등검찰부와 보통검찰부로 나뉘고, 고등검찰부는 국방부와 각군 본부에, 보통검찰부는 보통군사법원이 설치되어 있는 부대와 편제상 장성급(將星級) 장군이 지휘하는 부대에 두도록 되어 있다(군사법원법 36조 2항). 또 각 검찰부는 각 군사법원의 관할에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각 군사법원의 관할관은 소관 군검찰사무를 관장하고, 소속 검찰관을 지휘 ·감독한다(40조). = 생인손 (드라마) = 생인손은 1986년 8월 16일부터 1986년 8월 17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8.15 특집 드라마로, 소설가 한무숙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다. 이 드라마는 구한말 이후 60년대까지 살아온 한 노비의 운명적인 삶을 그린 노비문학의 첫 TV 영상화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었고, 방송 후 노비와 상전 간의 갈등 묘사와 두 차례에 걸친 반전, 그리고 특수분장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 = 등장 인물 = = 한애경 : 언년 (표마리아) 역 - 정옥의 몸종 정혜선 : 연주 역 - 정옥의 딸 나문희 : 간난 역 - 언년과 장끼의 딸 최상훈 : 장끼 역 - 정참판댁 머슴 서갑숙 : 정옥 역 - 정참판댁 딸 남능미 : 언년어멈 역 이영범 : 간난의 아들 역 = = 수상 = = 1987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1987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1987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한애경 = 평행축 정리 = 고전역학에서 평행축 정리(平行軸定理, )란 서로 평행한 두 회전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리다. 이 정리를 써서, 한 축에서의 관성 모멘트를 알면 이와 평행한 임의의 축에서의 관성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 = 스칼라 관성 모멘트에 대한 평행축 정리 = = I_{\textrm{cm}}를 질량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라 하고, 이 축에서 거리 d만큼 평행이동된 축에 대한 새로운 관성모멘트를 I, 강체의 질량을 m이라 하자. 이 때, 스칼라 관성모멘트에 대한 평행축 정리는 다음과 같다. = = = 증명 = = = 먼저 두 회전축은 모두 z축에 평행하다고 하자. 이 때, I_{\textrm{cm}}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질량 중심을 직교좌표계의 중심으로 놓고 xy평면 상에서 새로운 회전축의 좌표를 (a, b)라 놓으면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이 되고, 새로운 관성 모멘트 I는 이 된다. 3차원 물체의 경우, 위 두 관성 모멘트의 식에서 z에 대한 항이 나오지는 않지만 강체 전체의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선 질량항과 합에서 이를 고려해야 함에 유의하자. 이제 위 식을 전개해보자. 이 식의 첫 번째 항은 I_{\textrm{cm}}에 해당하는 항이다. 두 번째 항과 세 번째 항의 경우, 원점을 질량중심으로 잡았기 때문에 0이 된다. 마지막 항의 합은 질량들을 전부 합한 것이므로 m이 된다. 따라서 아래의 평행축 정리를 얻는다. 점입자가 아닌 커다란 강체에 대해서도 시그마를 인테그랄로, 질량을 질량무한소로 바꾸면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 관성 모멘트 텐서에 대한 평행축 정리 = = 관성 모멘트 텐서에 대한 평행축 정리도 위와 약간 유사하지만 조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질량 중심을 지나는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텐서를 \mathbf{I}, 새로운 관성 모멘트 텐서를 \mathbf{I}'이라 하면 직교좌표계에서 이들의 성분에 대한 평행축 정리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mathbf{a}는 질량 중심으로부터 새로운 축을 가리키는 벡터이고 \delta_{ij}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 = = 증명 = = = 스칼라 관성 모멘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량 중심에 대한 회전축과 새로운 회전축이 평행하다 가정하고, 좌표로 이를 표현했을 때,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래 좌표 O로부터 \mathbf{a}만큼 평행이동한 새로운 좌표 O', 즉, 새로운 좌표의 원점이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한 좌표의 원점으로부터 \mathbf{a}만큼 이동된 곳에 원점을 두는 좌표라 하자. 이 때, 직교좌표계로 표현되는 새로운 좌표에서의 관성모멘트 텐서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n는 입자를 가리키는 지표, i와 j는 좌표의 성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여기에 를 대입하면 조금 복잡하지만 이를 전개하면 항이 많지만, \mathbf{a}는 상수이고, O는 질량중심이 원점인 좌표이므로 i에 관계없이 임을 활용하면 두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항이 사라지고 몇 개의 항만이 남는다. 을 얻는다. 여기서 첫 번째 합의 경우, I_{ij}가 되고 두 번째 항의 경우 \mathbf{a}는 n과 관계없는 벡터이기 때문에 m_n에 대한 합만이 되어 이부분은 전체 질량이 된다. 따라서 아래의 관성 모멘트 텐서에 대한 평행축 정리를 얻는다. = 간화결의론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저술한 책으로 불교 교리를 해설한 책이다.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간화결의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선종과 교종의 양종이 한 가지로 쟁론(爭論)이 없는 경지에 들어감을 강조하고, 선문(禪門)에 10가지 병(病)이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화두(話頭)를 수행할 때 일어나는 의심을 해결해 주는 책이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북구의회 = 이 문서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강북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강북구의회는 지역구의원 12명과 비례대표의원 2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구역 선출 의원 수 강북구 가선거구 번1동, 번2동, 수유2동, 수유3동 3 강북구 나선거구 수유1동, 우이동, 인수동 3 강북구 다선거구 삼양동, 송천동, 삼각산동 3 강북구 라선거구 미아동, 송중동, 번3동 3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더불어민주당 65,541 1 2 국민의힘 64,605 1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더불어민주당 1 곽인혜 국민의힘 1 윤성자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더불어민주당 8 1 9 국민의힘 4 1 5 = Holy Grail (음반) = Holy Grail는 2011년 6월 15일에 발매된 베르사유의 음반이다. 워너 뮤직 그룹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아랍에미리트의 스포츠인 = = 벨라도나수선속 = 벨라도나수선속(belladonna水仙屬, 학명: )은 벨라도나수선족의 단형 아족인 벨라도나수선아족(belladonna水仙亞族, 학명: )에 속하는 유일한 속이다.Pax, Ferdinand Albin.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2(5): 105. 1887[1888].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292-293. 1753. 벨라도나수선속의 학명이 "아마릴리스"이지만, 일반적으로 재배하는 관상용 아마릴리스(Hippeastrum × hybridum)는 벨라도나수선속이 아니라 같은 아과 내의 다른 속인 아마릴리스속(Hippeastrum)에 속하는 식물이다. = = 하위 분류 = = 벨라도나수선(A. belladonna L.) A. paradisicola Snijman = 일평지주 = 일평지주, 한평지주, 또는 지분 쪼개기, 토지 쪼개기는 토지 소유자가 특정 지역의 땅을 1평(약 3.3m2) 단위 이하로 쪼개 다른 인물과 나눠갖고서 등기부 상 토지명의인(소유자)를 늘리는 행위이다. 이 일을 통해 1평이나 그 이하의 단위로 쪼개진 토지는 일평공유지라고 부른다. 보통 님비나 자연환경 보호, 그 외 기타 여러 이유로 특정 사업에 대한 국가의 토지수용절차를 까다롭게 만들거나 지역 내 토지사업 반대파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주민 운동으로 일평지주 운동이 일어난다. 비슷한 운동 형태로 입목 단위로 소유권을 분할하는 ‘입목 트러스트’가 있다. 이 행위는 일본 메이지 시기 제정된 입목에 관한 법률(약칭 입목법)에 따라 입목 소유자의 승낙 없이 무단 나무 벌채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地方空港建設や愛知万博誘致等 平成9年警察白書 실제로 위의 일평지주 운동과 같은 사건이 일어났던 예시로는 나리타 공항 문제(산리즈카 투쟁) 당시 공항 건설 반대 운동,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반대 운동, 오키나와현 기지 반대 운동의 일평반전지주회 운동 등이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이러한 행동은 주로 한 건물 안에 소유자의 수를 늘려서 조합원 자격을 얻으려는 제도로 운영되어 와 사회적 문제 현상이 되어 왔다. = = 주요 사례 = = = = = 나리타 공항 = = = 산리즈카 투쟁 당시 일평지주운동은 원래 일본사회당이 추진했던 사안으로 나리타 도모미, 사사키 고조우 등 여러 사회당 의원도 참여했다. 전 신도쿄국제공항공단 부총재인 야마모토 리키조우는 “영향이 대단하였다. 사회당의 주요 의원들의 이름이 있었다. 정당까지 이런 행위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산리즈카-시바야마 지역의 일평지주 운동은 700명의 토지 공유로 시작되어 한 때 1,200명까지 늘었으나 공항공단의 토지 인수로 400여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산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반대동맹은 1983년 재분할 운동을 추진한 결과 1985년 시점에서는 토지 소유자가 약 1,400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일평지주 운동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쳐 2008년 시점에는 산리즈카 전 지역의 토지 소유자가 약 1,100명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토지 재분할 운동 당시 여러 의견 대립으로 연합공항반대동맹은 "기타하라파"와 "아쓰타파"로 분열되었다. = = = 오키나와현 기지 반대 운동 = = = 오키나와현의 주일 미군 기지에 대해 기지 내의 민간인 지주들이 연합하여 일평지주 운동을 벌인 적도 있다. 오키나와 내 미군 기지 반대 운동 단체인 "일평반전지주회"를 중심으로 미군기지 확장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일평지주 운동을 통해 기지 확장 예정지에 대해서 일평 단위로 땅을 쪼개 소유하기도 하였다. 1997년 기준 전부 합쳐 오키나와 미군 기지 내 대략 2,900명 가량이 일평지주로 기지를 위한 토지 강제 사용 법안에도 반대하고 있다. = 틀: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params": { "서기": {}, "대한민국": {}, "단기": {}, "불기": {}, "간지": {}, "황기": {}, "원기": {}, "이슬람력": {}, "힌두력": {}, "곱트 정교회력": {}, "아시리아력": {}, "페르시아력": {}, "발리 사카력": {}, "주체": {}, "민국": {}, "일본": {}, "히브리력": {}, "에티오피아": {}, "로마 숫자": {}, "이름": {} }, "paramOrder": [ "이름", "서기", "대한민국", "단기", "불기", "간지", "황기", "원기", "이슬람력", "힌두력", "곱트 정교회력", "아시리아력", "페르시아력", "발리 사카력", "주체", "민국", "일본", "히브리력", "에티오피아", "로마 숫자" ] } = 가장 큰 미술관 목록 = 미술관은 세계에서 가장 큰 건축물 유형 중 하나이다. 세계 유수의 미술관들은 여러 세월에 걸쳐 다양한 확장공사를 통해 전시공간 면적을 넓혀왔다. 다음은 전시공간 규모순 미술관 목록이다. = = 목록 = = 면적이 출처로 확인된 경우만 등재하였으며, 최소 면적은 8000m²이상으로 한정하였다. 사진 이름 국가 도시 전시면적(m2) 설립년도 루브르 박물관 파리 72,735m² 1792년 에르미타주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 66,842m²공식 홈페이지에 개지된 총면적인 100,000m²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외 전시관의 면적까지 합산한 것으로, 이 목록에서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 한정 전시면적으로 한한다. 출처는 다수의 웹사이트와 "Tourism in Russia: A Management Handbook" (p.158). 1764년 중국국가박물관 베이징 65,000m² 1959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시 58,820m² 1870년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47,700m² 1819년 바티칸 박물관 바티칸시 43,000m² 1506년 도쿄국립박물관 도쿄 38,000m² 1872년 국립 인류학 박물관 멕시코시티 33,000m² 1964년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런던 30,658m² 1852년 훔볼트 포럼 베를린 29,500m² 2020년 미술사 박물관 빈 29,000m² 1891년 upright=0.5 휴스턴 미술관 휴스턴 28,000m² 1900년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7,090m² 1909년 upright=0.5 대영박물관 런던 25,700m² 1753년 시카고 미술관 시카고 26,000m²전시공간에 65,000평방피트 확장 공간 포함 1879년 마스테츠키 아르스날 키이우 24,000m² 2006년 국립미술관 워싱턴 D.C. 25200m² 1937년 매사추세츠 현대미술관 노스애덤스 23,225m² 1999년 미술역사박물관 브뤼셀 22,000m² 1835년 보스턴 미술관 보스턴 20500m² 1870년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온타리오 19,900m² 1912년 산둥 미술관 지난 19,700m² 1977년 이스라엘 박물관 예루살렘 18,500m² 1965년 국립 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 18,000m² 2015년 미니애나폴리스 미술관 미니애나폴리스 17,500m² 1883년 M+ 가우룽 17,000m² 2021 버밍햄 미술관 버밍햄 17,000m² 1951 아르스날 (비엔날레) 베네치아 17,000m² 1895년 국립 근대미술관 파리 17,000m² 1947년 upright=0.5 오르세 미술관 파리 16,853m² 1986년 샌프란시스코 근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 15,800m² 1935년 근대미술관 뉴욕시 15,400m² 1929년 upright=0.5 덴버 미술관 덴버 15,000m² 1918년 upright=0.5 이집트 박물관 카이로 15,000m² 1902년 upright=0.5 시실로 마타라초 (비엔날레) 상파울루 15,000m² 1951년 upright=0.5 다이아:비콘 비콘 14,900m² 2003년 댈러스 미술관 댈러스 14,800m² 1903년 upright=0.5 레이나 소피아 박물관 마드리드 14,756m²옛 건물 공간과 확충된 공간 총합 면적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14,144m² 1969년 upright=0.5 디트로이트 미술관 디트로이트 14,000m² 1885년 국립신미술관 도쿄 14,000m² 2007년 국립대만미술관 타이중 13,600m² 1988년 프라하 국립 미술관 프라하 13,500m² 1796년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인디애나폴리스 13,300m² 1883년 밀워키 미술관 밀워키 13,196.4m² 1882년 upright=0.5 바이에른 국립박물관 뮌헨 13,000m² 1855년 수도박물관 베이징 13,000m² 1981년 몬트리올 미술관 몬트리올 13,000m² 1860년 upright=0.5 내셔널 갤러리 런던 13,000m²세인즈베리관의 전시공간 면적이 45만 평방피트에 달하며 (Victoria Newhouse, Towards a New Museum, 1998, Monacelli Press, p.182) 전체 면적의 대략 3분의 1에 해당된다. 1824년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19,600m² 1861년 upright=0.5 팔레 드 도쿄 파리 13,000m² 2001년 살라르 중 박물관 하이데라바드 13,000m² 1855년 upright=0.5 버지니아 미술관 리치먼드 12500m² 1934년 upright=0.5 테이트 모던 런던 12,427m² 2000년 클리블랜드 미술관 클리블랜드 12,400m² 1913년 캐나다 국립 미술관 오타와 12,400m² 1880년 온타리오 미술관 온타리오 12,400m² 1900년 함부르크 쿤스트할레 함부르크 12,000m² 1869년 upright=0.5 보이만스 판뵈닝언 미술관 로테르담 12,000m² 1849년 국립현대미술관 뉴델리 12,000m² 1954년 릴 미술궁전 릴 12,000m² 1809년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른 뮌헨 12,000m² 2002년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 암스테르담 12,000m² 1800년 upright=0.5 트레탸코프 갤러리 (크림스키 발) 모스크바 12,000m² 1985년 타이베이 미술관 타이베이시 11,700m² 1983년 뉴사우스웨일스 아트 갤러리 시드니 11,000m² 1874년 upright=0.5 카피톨리노 박물관 로마 11,000m² 1471년 upright=0.5 폰다치오네 프라다 밀라노 11,000m² 1993년 upright=0.5 구겐하임 박물관 빌바오 11,000m² 1997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11,000m² 1910년 upright=0.5 산시 역사박물관 시안 11,000m² 1991년 행거비코카 밀라노 10,900m² 2012년 upright=0.5 국립 카탈루냐 미술관 바르셀로나 10,500m² 1934년 시짱 박물관 라싸 10500m² 1999년 upright=0.5 포틀랜드 미술관 포틀랜드 10,400m² 1892년 부다페스트 미술관 부다페스트 10,300m² 1906년 upright=0.5 카니지 미술관 피츠버그 10,000m² 1896년 함부르크 반호프 베를린 10,000m² 1996년 바젤 미술관 바젤 10,000m² 1936년 MAXXI 로마 10,000m² 2010년 에지치오 박물관 로마 10,000m² 1824년 쿤스트팔라스트 박물관 뒤셀도르프 10,000m² 19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10,000m² 2013 upright=0.5 세인트루이스 미술관 세인트루이스 10,000m² 1881년 텔아비브 미술관 텔아비브 10,000m²기존 전시공간 면적은 5,000평방미터이며 확장공간까지 합치면 두 배가 된다. 1932년 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시 9613m² 1925년 스페인 국립 고고학 박물관 마드리드 9300m² 1867년 파브르 박물관 몽펠리에 9300m² 1828년 upright=0.5 바르도 국립박물관 튀니스 9,000m² 1888년 건축 문화재 전시관 파리 9,000m² 1879년 오슬로 국립미술관 오슬로 9,000m² 1842년 상하이 당대미술박물관 (비엔날레) 상하이 9,000m² 2012년 upright=0.5 스미소니언 미술관 워싱턴 D.C. 8800m² 1829년 케브랑리 박물관 파리 8,750m² 2006년 하이 미술관 애틀랜타 8,714 (93,800) 1905년 랴오닝성 박물관 선양시 8500m² 1949년 upright=0.5 피아차 스칼라 미술관 밀라노 8300m² 2011년 중국미술관 베이징 8300m² 1958년 베를린 국립회화관 베를린 8,000m² 1830년 루브르 아부다비 아부다비 8,000m² 2017년 루트비히 박물관 쾰른 8,000m² 1976년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아테네 8,000m² 1866년 베를린 신 박물관 베를린 8,000m² 1855년 프티 팔레 파리 8,000m² 1902년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 암스테르담 8,000m² 1874 = = 더 보기 = = 미술관 목록 관람객 규모순 미술관 목록 국립박물관 목록 특정인 전용 박물관 목록 = 리듬 & 플로우 = 리듬 & 플로우는 2019년 넷플릭스에서 방송된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 율리아 라그나르손 = 율리아 라그나르손(Julia Ragnarsson, 1992년 7월 30일 ~ )은 스웨덴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미드소마 (2019) 골드 랜섬 (2016) 마이 언트 인 사라제보 (2015) 틸바카 틸 브롬마 (2014) 스텝프울벤 (2014) 스톡홀름 스토리 (2013) = 전도띠 = 반도체와 부도체에서 전도띠(傳導-)란 원자가띠보다 높은 전자 에너지의 범위이다. 이 전도띠에 있는 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면 쉽게 가속할 수 있어서 전류를 흐르게 한다. = 오영안 = 오영안(吳永安)오영안 장군 추모 대전일보은 대한민국의 육군이다. (1949년 8월 19일 ~ 1996년 11월 5일) = = 생애 = = 1949년 8월19일 충북 청원군 현도면 매봉리에서 출생하였다. 1969년 2월10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를 졸업(4회) 하고, 육군 3사관학교에 입학하여 4기 출신으로 1971년 7월 육군 소위로 임관 하였다. 1996년 9월 15일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육군산악부대 기무부대장(대령)으로 침투한 북한 무장공비 소탕작전에 참가하였다. 11월 5일 인제군 용대리 연화동 계곡에서 잔당 2명과 최종적으로 교전하던 중, 연화교 위에서 공비의 도주로를 전등으로 비추다가 숨어 있던 적의 총탄에 맞아 4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96년 11월 국군 기무사령부 주체로, 장군(준장) 특진 및 충무무공훈장을 추서하고 고인의 기념탑과 추모관을 건립오영안 장군 흉상 국가보훈처했다. = 푸엔테알토 = 푸엔테알토는 칠레 산티아고 수도주 코르디예라 현의 코무나이다. = 분류:서인영의 EP = = 위키백과:관리자 가이드/보호 = 대문과 같은 중요한 문서나 문서에서 훼손 또는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해당 문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기억해야 할 점은 위키백과는 "모두가" 편집할 수 있는 백과사전이라는 것입니다. 문서의 보호는 이 원칙을 훼손하며, 따라서, 가능한 한 보호를 하지 않는 방향으로, 그리고 보호가 필요하다면 보호 기간을 최대한 짧게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호 기간은 어느 정도 타임오프를 가지면 "분쟁 당사자들이 진정"하고 협업적인 자세로 돌아올 것인가에 대한 관리자의 판단에 달려 있습니다. 1-2주간의 보호가 일반적이며, 지속적인 경우 몇 개월 단위로 보호가 집행되기도 합니다. 보호 창의 문서 보호 기록에서 과거의 보호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간의 분쟁으로 문서를 보호할 때는 쌍방 모두가 토론에 참여하도록 모든 당사자들이 문서를 편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 인증된 사용자 간의 분쟁인 경우 장기인증보호를, 장기인증된 사용자와 자동인증된 사용자 간의 분쟁은 완전보호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문서가 보호된 경우 보호된 시점의 문서 내용을 유지하지만, 사용자 간의 분쟁으로 문서가 보호되는 경우 분쟁 이전의 내용으로 문서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관리자의 보호를 수정하거나 변경할 때에 처음 보호한 관리자와 대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호와 보호 변경, 보호 해제 기록은 특:기록/protect에 기록됩니다. = = 보호 단계 = = 각 문서의 상단 "더 보기" 탭의 보호 버튼을 이용하여 보호 기능을 사용합니다. 보호 수준은 완전보호, 장기인증보호, 준보호, 비보호의 네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 = 완전보호 = = = 관리자는 이 보호 설정을 적용함으로써 관리자가 아닌 모든 사용자의 편집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편집 분쟁이 일어나는 문서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보호는 분쟁을 해결할 동안만 짧게 임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옵션: 편집: 관리자 이동: 관리자 자물쇠 색: 금색 용도: 심각한 분쟁, 많이 조회되는 문서, 또는 많이 쓰이는 틀 연쇄적 보호: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이 문서에서 사용하는 모든 틀과 끼워넣은 문서도 같이 완전보호합니다. 이 기능은 완전보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호 설정을 적용하면서 이 옵션을 활성화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 = = 장기인증보호 = = = 관리자는 이 보호 설정을 적용함으로써 가입 후 30일이 지나고 500회 이상의 편집을 한 사용자 (와 관리자, 봇)만 문서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보호는 일반적으로 준보호를 사용한 후에도 계속적으로 문서 훼손이 유입되는 문서에 적용됩니다. 옵션: 편집: 장기인증된 사용자 이동: 장기인증된 사용자 자물쇠 색: 푸른색 용도: 준보호 이후에도 문서 훼손이 발생하는 문서 = = = 준보호 = = = 관리자는 이 보호 설정을 적용함으로써 비등록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의 기여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보호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익명 사용자가 다량으로 일회성 문서 훼손을 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옵션: 편집: 자동인증된 사용자 이동: 자동인증된 사용자 자물쇠 색: 은색 용도: 신규 사용자나 익명 사용자의 다량의 문서 훼손 이 외에도 다른 보호 단계들이 있습니다. = = = 공적 행위 = = = 위키미디어 재단의 직원이 문서의 편집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 행위는 "공적 행위"라고 합니다. 이 행위가 이루어진 문서에는 틀이 삽입되어 관리자도 이 문서를 편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재단의 이 행위를 되돌리거나 이 틀을 삭제하지 마세요! 재단의 임직원만이 이 행위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메타 위키의 정책 문서를 참조하세요. 편집: 관리자(는 해당 문서를 편집할 수 있지만, 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동: 관리자(는 해당 문서를 이동할 수 있지만, 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물쇠 색: 검은색 용도: 법적 분쟁. 메타위키의 문서를 참조하세요. = = 보호 옵션 = = 보호 인터페이스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편집과 이동에 대해 보호 수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파일에서는 올리기 단계도 별도로 보호 단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통해 편집 보호 단계와 이동 (및 올리기) 보호 단계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연쇄적 보호는 본문에서 끼워넣은 문서 (틀과 사용하는 로컬 파일 포함. 공용 파일에는 보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에 대해서 본문과 같은 보호를 상속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연쇄적 보호는 완전보호 ("") 단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위 보호 단계에서는 "" 버튼을 체크할 수 없습니다. 보호 기간은 GNU 날짜 입력 형식에 의해 입력할 수 있으며, ""에서 기간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무기한 보호됩니다. 1 month, 2 weeks, 3 days, 4 hours, 5 minutes, next monday (한글은 사용 불가) 등으로도 기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ISO 8601 타임스탬프 (YYYY-MM-DDTHH:MM:SS+0900: YYYY년 MM월 DD일 HH시 MM분 SS초 (UTC로부터 9시간 앞 (=한국표준시), +0900을 지정하지 않으면 협정 세계시))로도 보호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ISO 8601 타임스탬프를 사용할 때는 1에서 9까지의 값을 입력할 때 (예를 들어 1월~9월) 반드시 앞에 0 을 붙여 01~09 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세요. 보호 시 이유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유를 기본 드롭다운에서 선택하거나 사유를 수동으로 입력할 것이 권장됩니다. 일단 문서가 보호되면, 상단 탭의 보호 버튼은 보호 설정 바꾸기로 바뀝니다. 위 그림은 보호 후 로그 화면으로, 편집(edit)과 이동(move)에 대해 모두 장기인증보호(extendedconfirmed)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자동 보호 해제 기한 (무기한)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보호된 모든 문서는 특수:Protectedpage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존재하지 않는 문서의 보호 (생성 보호) = = 생성되지 않은 문서에 대해서도 문서 보호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문서의 편집 또는 이동이 아닌 문서의 생성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호 단계는 설정할 수 없고, 연쇄 보호 또한 불가능합니다. (파일의 경우 문서의 생성과 별도로 업로드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생성보호된 문서의 목록은 특수:생성보호된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보호된 문서가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경우 생성 보호는 자동으로 사라지며, 생성된 문서를 삭제한다고 해서 생성 보호가 다시 성립되지는 않습니다. = = 보호 해제 = = 문서의 보호를 해제해야 할 때는, 상단 탭의 보호 설정 바꾸기 버튼을 사용하여 편집 및 이동 권한을 값으로 변경해 주면 보호가 해제됩니다. 이 경우에도 사유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분류:주간고속도로 제15호선 = = 분류:시간별 목록 = = 분류:핀란드의 책 = = 남종현 (1944년) = 남종현(南種鉉/南鍾鉉1944년 9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그래미의 대표이사 회장이며, 전 대한유도회 회장이다. = = 경력 = = 2013년 5월 ~ 2015년 6월: 제35대 대한유도회 회장 2013년: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 2011년 8월 ~ 2012년 12월: 제2대 강원 FC 대표이사 2002년: 한국발명기업연합회 회장 1991년 ~ 현재: 그래미 대표이사 회장 = = 상훈 = = 2008년: 금탑산업훈장 2001년: 새천년 으뜸상 대상 2000년: 제2회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 대상 1999년: 철탑산업훈장 1998년: 발명대왕상 1998년: 특허청장상 1997년: 대한민국 특허기술대전 은상 1996년: 통상산업부 장관상 *** = 젤웨거 증후군 = 젤웨거 증후근은 ‘뇌간신장 증후군’(cerebrohepatorenal syndrome)이라고도 불리는 드문 선천성 질병이다. 이 질병은 각 개인의 세포내에 있어야 할 과산화소체의 기능이 결핍되거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젤웨거 스펙트럼’ 장애라고 불리는 백색질형성장애질환 중 하나이다. 젤웨거 증후군은 스위스계 미국인 소아과 의사로서 아이오와 주립대 소아 및 유전학 교수인 한스 젤웨거(Hans Zellweger, 1909-1990년)의 연구에 의해 알려졌다. = = 증상 = = 젤웨거 증후군은 젤웨거 스펙트럼의 과산화물 생체이식 장애(PBD-ZSD)에 속하는 세 가지 과산화수소계 질환 중 하나이다. 젤웨거 스펙트럼에 포함되는 세 가지 과산화 수소계 질환 중 젤웨거 증후근 외의 또 다른 두 가지 질환은 신생아 부신유동증후군(NALD)과 유아정체증후군(IRD)인데 이 세가지 질환 중 젤웨거 증후군이 가장 심각한 질병이다. 젤웨거 증후군은 손상된 뉴런의 이동, 손상된 뉴런 위치 결정에 영향을 받고 두뇌 발달과도 관련이 있는데 특히 젤웨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마이엘린(특히 뇌)의 감소를 보인다. 마이엘린은 뇌의 신경섬유를 절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CNS(중추신경계) 기능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젤웨거 증후군 환자는 뇌와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겪게 된다. 덧붙여서 젤웨거 증후군 환자는 후 발진 센서부위의 퇴화 때문에 청력과 시력의 점진적으로 상실되는 증상을 겪을 수도 있다. 젤웨거 증후군은 또한 많은 다른 장기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자는 두개골 이상을 보일 수 있고(높은 이마, 저염소성 눈썹뼈 돌출, 내안각주름, 안면 형성저하증), 간비대증, 점상 연골형성장애, 비정상적인 눈기능, 신낭포 등의 증상을 겪는다. 젤웨거 증후군에 걸린 신생아들은 심각한 저혈압증, 발작, 무호흡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다. = = 원인 = = 젤웨거 증후군은 과산화물체의 정상적인 조립에 필요한 단백질인 과산화물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되는 기형성 열성 질환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PEX1, PEX2, PEX3, PEX5, PEX6, PEX10, PEX12, PEX14, PEX16, PEX19 또는 PEX26 유전자에서 돌연변이를 가진다. 거의 모든 경우에, 환자들은 앞에서 언급한 PEX 유전자의 활동을 비활성화하거나 크게 감소시키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과산화 기능 저하로 조직과 세포는 매우 긴 체인 지방산(VLCFA)과 보통 과산화질소에서 분해되는 브랑쉬 체인 지방산(BCFA)을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질들의 축적은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다중 기관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젤웨거 증후군 환자들은 뇌와 폐 기능에 특히 중요한 플라스마게일겐, 에테르-인스포올리핀의 부족한 수치를 보일 수 있다. = = 진단 = = PEX 유전자 배열과 관련된 유전자 검사 외에도, 생화학적 테스트는 젤위거 증후군과 다른 과염소성 질환의 진단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전형적으로 젤위거 증후군 환자들은 혈장에서 매우 긴 체인의 지방산이 상승하는 것을 보여준다. 주로 환자로부터 얻은 배양된 피부 섬유질은 매우 긴 체인 지방산, 손상된 매우 긴 체인 지방산 베타 산화, 피타닉산 알파 산화, 프리스탄산 알파 산화, 플라스마로겐 생합성 작용을 보인다. = = 치료 = = 담즙산 부족으로 인한 영향흡수 불량으로 원소식이 제안되었고, 이는 긴 체인인 트리글리세리드(LCT)에서 도출한 칼로리의 3% 미만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매우 긴 체인의 지방산 감소는 사람들이 대부분의 VLCFA를 내생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혈중 VLCFA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X-ALD 환자에게 Lorenzo의 오일 보충과 함께 식이요법 VLCFA를 줄이면 혈장 VLCFA 수준이 감소한다. 도코사헥사엔산(DHA) 합성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DHA 보충이 권장되었지만, 위약 통제 연구는 그 이후로 임상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담즙산 합성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 A, D, E, K의 지방 수용성 보충제를 권장한다. = = 예후 = = 현재 젤웨거 증후군에 대한 어떤 치료법도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료 과정도 표준이 아니다. 폐렴이나 호흡기 질환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감염을 경계해야 한다. 다른 치료법은 증상이 나타나고 뒷받침이 된다. 환자들은 보통 1년 이상 살지 못한다. = 윙드 크리처스 = 윙드 크리처스는 2008년 공개된 미국의 범죄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케이트 베킨세일 다코타 패닝 포레스트 휘태커 가이 피어스 = = = 조연 = = = 제니퍼 허드슨 조쉬 허처슨 마샬 올맨 제임스 밥슨 잭쿠이 반브룩 앤커 바트 케빈 쿠니 엠베스 데이비츠 마이클 드럼몬드 케빈 두런드 앤드류 피셀라 소렌 펄튼 지나 갈레고 테드 가르시아 트로이 가리티 월튼 고긴스 베스 그랜트 팀 귀니 잭키 얼 헤일리 그웬 홀로웨이 리 메라 일레인 로 브룩 맥켄지 헤일리 맥파랜드 제이미 맥쉐인 루 파커 랜들 파크 라라 필립스 타리너 파운시 제프 렉터 알 루치오 켄 쇼크넥 진 트리플혼 로빈 웨이거트 엘리자베스 챔버레인 조 더스틴 = = 기타 = = 공동제작: 존 J. 켈리 미술: 맥스 비스코 세트: 마리아 네이 의상: 마리 클레어 한난 배역: 니콜 아벨레라 배역: 진 맥칼디 = 다두 = 다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다두구(大肚區) 다두허((大渡河) 다두 왕국 다두정 = 제임스 맥대니얼 = 제임스 맥대니얼(James McDaniel, 1958년 3월 25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밤이 오면 (2018, Night Comes On) 새크리파이스 (2014) 홈 (2013) 머더 인 어 스몰 타운 (2013) 킹스 페이스 (2013) 유아 노바디 틸 섬바디 킬스 유 (2012) 뷰티 앤 더 브리프케이스 (2010) 씨 유 인 셉템버 (2010) 디트로이트 1-8-7 (2010) 킬러 헤어 (2009) 호스틸 메이크오버 (2009) 어스워크 (2009) 리빙 헬 (2008) 워 이글, 아칸소 (2007) 엘 코테즈 (2006) 스틸 시티 (2006) 러브 몽키 (2006) 테이큰 (2002) 선샤인 스테이트 (2002) 살인 공모 (2000) 디펜더스 2 (1998) 싸일런싱 메리 (1998) 머더 인 마인드 (1997) 위험한 진실 (1997) 스캠 - 사기 방정식 (1993) 말콤 X (1992) 엄밀한 일 (1991) 흑백 살인 (1990) 노인과 바다 (1990) 허클베리 핀의 모험 (1985) = = = 텔레비전 = = = 뉴욕경찰 24시 (1993-2001) 라스베가스 (2003-05) 커플로 살아남기 (2004-05, Life as We Know It) Conviction (2006) = 프랑수아 아라고 = 도미니크 프랑수아 장 아라고(, 1786년 2월 26일 ~ 1853년 10월 2일), 약칭 프랑수아 아라고(François Arago[fʁɑ̃swa aʁaɡa])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프리메이슨Victor SCHOELCHER Républicain et franc-maçon, Anne GIROLLET, ed. Maçonnique Française, p. 26이며, 이탈리아 카르보나리당Dictionnaire universel de la Franc-Maçonnerie By Monique Cara, Jean-Marc Cara, Marc Jode의 지지자이며 정치가이다. = = 초기 생애 및 직업 = = 아라고는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트 지방 페르피냥 근처에 있는 인구 3,000의 작은 마을 에스타겔(Estagel)"Francois Arago". The Canadian Journal. 2: 159. 1854. Retrieved 3 May 2013.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모는 에스타겔의 조폐국 재무관 프랑수아 보나방튀르 아라고(1754–1814)와 마리 아라고(1755–1845)였다. 아라고는 네 형제 중 맏이였다. 둘째 장(1788~1836)은 북아메리카로 이민하여 멕시코 군대의 장군이 되었다. 셋째 자크 에티엔 빅토르 아라고(1799–1855)는 1817년부터 1821년까지 우라니에 호를 타고 루이 드 프레이시네트가 이끄는 탐험 항해에 참여했으며, 프랑스로 돌아오면서 언론활동과 드라마에 전념했다. 넷째 에티엔 빈센트 아라고(1802–1892)는 <비라그의 상속녀>에서 소설가 발자크와 협동하는 등 1822년부터 1847년까지 주로 협동 작업을 통해 많은 드라마 소품을 쓴 것으로 알려졌다.앞에 있는 문장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현재 공용 영역에 있는 출판물에서 가져온 것이다. 확고한 군사적 취향이 있던 아라고는 페르피냥 시립대학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입학시험에 대비하여 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2년 반 만에 그는 시험에 필요한 모든 과목과 훨씬 더 많은 것을 배웠고, 툴루즈로 시험을 보러 가서 라그랑주에 대한 지식을 보여 시험관을 놀라게 했다. 1803년 말, 아라고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했지만, 그곳의 교수들은 지식을 전달하거나 교육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포병이 되고자 하였지만 1804년 푸아송의 조언과 권고를 받아들여 파리 천문대 서기가 되었다. 그는 거기서 라플라스 (Pierre-Simon Laplace)와 알게 되었고, 그의 영향력을 통해 비오(Biot)와 함께 자오선의 길이를 측정하는 임무를 받았다. 이 일은 달랑베르가 시작하여 1804년 메셍(Méchain)이 사망하자 중단되었다. 아라고와 비오는 1806년 파리를 떠나 스페인의 여러 산들을 따라 작업하였다. 그들이 탐사를 수행할 지점의 최남단인 포멘테라 섬의 위도를 결정한 후 비오는 파리로 돌아갔다. 아라고는 1미터의 정확한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1809년까지 작업을 계속했다. 비오가 떠난 후, 프랑스의 스페인 침공으로 인한 정치적 소요 때문에 탐사는 발레아레스 제도까지 확대되었고, 아라고의 활동과 갈라초 산의 정상에서 불을 피우는 것을 수상하게 여긴 주민들은 그를 침략군의 스파이로 의심했다. 주민들은 격렬하게 반응하여 1808년 6월 그를 벨베르 요새에 가두었다. 7월 28일 그는 어선을 타고 섬을 탈출했고, 위험한 항해를 한 후 8월 3일에 알제(알제리의 수도)에 도착한다. 거기서 마르세유행 선박에 탑승했으나, 8월 16일, 선박이 마르세유에 가까워질 무렵, 스페인 해적에게 잡혔다. 나머지 대원들과 함께 아라고는 로제스 끌려가 먼저 풍차에 감금되고, 그 후 요새에 갇히고, 프랑스가 그 마을을 점령하자 포로들은 팔라모스로 이송되었다. 3개월간 투옥된 후, 아라고 등은 알제 태수의 요구로 풀려났고, 다시 11월 28일 마르세유로 출항했으나 항구가 보일 무렵 북풍으로 인해 그들은 다시 아프리카 해안의 부기(Bougie)로 밀려났다. 이곳에서 배를 타고 알제로 간다면 3개월이나 되는 피곤한 여정이 된다. 그래서 아라고는 한 이슬람 사제의 안내를 받아 육로를 통해 크리스마스에 그곳에 도착했다. 알제에서 6개월을 보낸 그는 1809년 6월 21일 다시 한번 마르세유로 출항했는데, 거기서 그는 이 고생이 끝날 때까지 창고에서 단조롭고 불편하게 지냈다. 그가 창고에 있을 때 알렉산더 폰 훔볼트로부터 첫번째 편지를 받는다. 아라고의 말에 따르면 이것은 "구름 한 점 없이 40년 이상 지속되었다." = = 과학 연구 = = 아라고는 탐사 기록을 충실하게 남겼다. 그가 집으로 돌아와 처음 한 일은 파리에 있는 경도국에 그 기록물들을 보관하는 것이었다. 과학발전을 위한 모험적인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그는 스물 세살의 매우 어린 나이에 프랑스 과학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09년 말에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이사회는 해석 기하학 전공 주임인 가스파르 몽주의 후임으로 그를 선정하였다. 동시에 황제는 그를 파리 천문대의 천문학자로 임명하였는데 그가 죽을 때까지 머물렀다. 이를 계기로 1812년부터 1845년까지 그가 했던 천문학 강의는대단한 대중적 인기를 누렸다. 1818년 또는 1819년에 그는 비오와 함께 프랑스, 영국,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측지 작업을 진행했다. 그들은 스코틀랜드의 레이스(Leith)와 셰틀랜드 제도(Shetland Island)에서 초(seconds)를 측정하는 진자의 길이를 측정하였는데 이것은 스페인에서 얻어진 결과와 함께 1821년에 발표되었다. 아라고는 곧바로 경도국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약 22년 동안 연감 작성에 관여하였는데 여기에는 천문학과 기상학에 관한 중요 과학적 알림, 때로는 토목공학과에 관한 알림과 함께 아카데미 회원들의 재미있는 회고록이 실렸다. 아라고의 초기 물리학 연구는 여러 온도에서 증기의 압력과 음속에 관한 것인데 1818년에서 1822년 사이의 일이다. 자기학 관측은 대부분 1823년에서 1826년까지 이루어졌다. 아라고 회전이라고 불리는 회전 자성을 발견했고, 대부분의 물체가 자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은 마이클 패러데이에 의해 완성되고 설명되었다. 아라고는 프레넬의 광학 이론을 열렬히 지지하여, 지금은 아라고 반점으로 알려진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빛에 관한 프레넬의 파동설을 증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두 과학자는 빛의 편광에 관한 실험을 함께 수행했는데, 그로부터 에테르의 진동이 운동방향과 수직이고, 편광이 서로 직각인 두 성분으로 구성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이후 편광기의 발명과 회전 편광의 발견은 아라고 덕택이다. 그는 1812년에 최초의 편광 필터를 발명했다.Hellemans, Alexander; Bunch, Bryan (1988). The Timetables of Science. Simon & Schuster. p. 261. ISBN 0671621300. 1819년 대혜성의 꼬리로부터 편광된 빛을 발견하고는 최초로 편광기로 혜성을 관측하였다.Kolokolova, Ludmilla (2015). Polarimetry of Stars and Planetary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80. ISBN 978-1-107-04390-9. 빛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나중에 피조(1849년)와 푸코(1862년)가 실제로 구현한 방식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은 1838년에 아라고가 제안한 것인데 그는 시력이 저하되어 세부사항을 정리하거나 실험을 할 수 없었다. 실험자이자 발견자로서 아라고의 명성은 주로 푸코와 공동 발견한 맴돌이 전류(Eddy Current)에 대한 자성 연구와 이보다 더 많은 광학 연구에 의한 것이다. 그는 물, 유리, 구리 등과 같은 비철 표면 위에서 진동하도록 만들어진 자성 바늘이 진동을 유지한다면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더 빨리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발견으로 인해 그는 1825년 영국 왕립학회의 코플리 메달을 수상하였으며 계속된 연구에서 회전하는 구리 판이 그 위에 매달린 자기 바늘에 운동을 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회전 자성"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 (1824), vol. 27, page 363: "M. Arago communique verbalement les résultats de quelques expériences qu'il a faites sur l'influence que les métaux et beaucoup d'autres substances exercent sur l'aiguille aimantée, et qui a pour effet de diminuer rapidement l'amplitude des oscillations sans altérer sensiblement leur durée. Il promet, à ce sujet, un Mémoire détaillé." (아라고 씨는 금속과 많은 다른 물질들이 자기 바늘에 작용하는 영향에 대해 수행한 자신의 몇몇 실험 결과를 구두로 전달하였는데 주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진폭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는 이 주제에 대한 상세한 소논문을 보내준다고 약속하였다.)Arago (1826). ""Note concernant les Phénomènes magnétiques auxquels le mouvement donne naissance" (Note concerning magnetic phenomena that motion creates)". 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 32: 213–223.Babbage, C. and Herschel, J.W.F. (1825). "Account of the repetition of M. Arago's experiments on the magnetism manifested by various substances during the act of rot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115: 467–496. Bibcode:1825RSPT..115..467B.라고 하였지만, (1832년에 패러데이가 이것을 설명한 후Philosospical magazine 1840) 지금은 맴돌이 전류로 알려져 있다. 아라고는 또한 오로라와 자기 원소 변화 사이의 오래된 연관성을 입증했다고 할 수 있다. 1828년 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광학 분야에서 아라고는 스스로 중요한 광학적 발견을 했을 뿐만 아니라 말루스와 토마스 영의 천재성이 발휘되도록 장려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이 시기의 역사는 서로 엮여 있다. 19세기에 접어들어 적어도 세 명의 과학자는 빛의 파동설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프레넬은 파동설을 지지했는데 빛의 입자설을 주장하는 라플라스, 포아송, 비오에게 그다지 지지를 받지 못했다. 훔볼트와 아라고는 파동설을 열렬히 지지했는데 학술원은 아라고에게 그 논문에 대해 보고하도록 임명하였다. 이 일로 인해 아라고와 프레넬은 친밀한 우정을 쌓게 되었으며, 빛의 편광에 대한 더욱 근본 법칙을 찾는 연구를 함께 수행하게 되었다. 이 작업의 결과로 아라고는 편광기를 만들었는데 하늘에서 빛의 편광에 대한 몇 가지 흥미로운 관찰에 사용했다. 그는 또한 석영이 빛의 편광을 회전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Arago (1811) "Mémoire sur une modification remarquable qu'éprouvent les rayons lumineux dans leur passage à travers certains corps diaphanes et sur quelques autres nouveaux phénomènes d'optique" (광선이 특정 반투명 물질을 통과하는 동안 일어나는 놀라운 변형과 몇몇 새로운 광학 현상에 대한 회고록), Mémoires de la classe des sciences mathématiques et physiques de l'Institut Impérial de France, 1st part : 93–134. 파동설을 뒷받침하기 위한 그의 많은 기여중에 결정적 실험(experimentum crucis)이 있는데 이것은 공기, 물, 유리에서 빛의 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다. 입자설에 의하면 매질의 밀도가 커지면 광속이 빨라지지만 파동설에 의하면 반대로 느려진다. 1838년에 그는 그의 실험 장비에 대한 세부사항을 학술원에 제출하였는데 이것은 휘트스톤이 1835년에 방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중계 거울을 응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주의가 필요하고 또 1848년 혁명이 일어나기도 해서 1850년 봄이 되어서야 겨우 거의 생각을 시험할 준비가 되었다. 이때 그의 시력이 갑자기 떨어졌다. 밀도가 높은 매질에서 빛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은 그가 죽기 전에 피조(1851년)와 푸코(1849년)의 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는데 이 실험은 세부 사항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아라고의 제안에 기반한 것이다. = = 정치 및 업적 = = 항상 공화주의 형태의 자유주의를 공언하던 아라고는 1830년 피레네-오리엔트 지방(Pyrénées-Orientes Départment)의 내각의 일원으로 선출되었고, 공교육과 관련된 모든 문제, 발명가에 대한 보상, 기계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격려 등에 그의 유창한 호소력과 과학적 지식의 재능을 발휘하였다. 이때 이루어진 훌륭한 국가 사업중에서 많은 수가 아라고의 후원 덕분인데, 예를 들면, 사진을 발명한 루이 다게르에 대한 보상, 페르마와 라플라스의 책을 출판하는 보조금, 클루니 박물관의 인수, 철도 및 전신의 개발 같은 것들이다. 1839년 아라고는 이집트 라스 엘틴 궁전을 담은 첫번째 사진을 전시해서 보는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Koehler, Jeff (2015). "Capturing the Light of the Nile". Saudi Aramco World. Vol. 66 no. 6. Aramco Services Company. pp. 16–23. Retrieved 11 December 2018. 1830년에는 아라고도 천문대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내각의 일원으로서 부분 재건축과 대형 기구를 도입하는 보조금을 받아낼 수 있었다. 같은 해에 조제프 푸리에가 전에 있던 자리인 학술원 종신 서기로 뽑혔다. 아라고는 그 일에 헌신했고 친구를 사귀는 그의 능력을 바탕으로 그는 즉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종신 서기로서 사망 회원들의 역사적인 추도 연설을 하는 것은 그의 의무였다. 그리고 사고의 신속성과 타고난 재능, 행복한 문체, 폭넓은 지식은 특히 그가 의무를 잘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는 1832년 미국 예술 과학 학술원의 외국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PDF).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2 April 2011. 1834년 아라고는 에든버러에서 열린 영국 과학진흥협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다시 스코틀랜드를 방문한다. 이 시기부터 1848년까지 학술원과 천문대에서 물리학의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기며 공헌하지만 그는 조용한 생활을 유지한다. 루이 필리프 1세가 몰락하자 임시정부에 참여하기 위해 천문대를 떠난다(1848년 2월 24일). 그는 전에 한 사람에게 주어진 적 없는 두 가지 중요한 업무, 즉 해양 및 식민지 장관(1848년 2월 24일 ~ 1848년 5월 11일)과 전쟁 장관(1848년 4월 5일 ~ 1848년 5월 11일)을 맡았다. 해양 및 식민지 장관으로 있으면서 해군의 식량 배급을 향상시켰고 매질을 폐지했다. 그는 또한 온갖 종류의 정치 서약을 폐지했고 금전적 손해를 감수하면서 프랑스 식민지에서 노예제를 폐지하는데 성공했다. 1848년 5월 10일 아라고는 프랑스 공화국의 통치 기구인 행정 권력 위원회의 일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행정권력위원회 의장(1848년 5월 11일)이 되었고, 위원회의 집단 사퇴가 국민제헌의회에 제출된 1848년 6월 24일까지 임시 국가원수직을 수행하였다. 1852년 5월 초 나폴레옹 정부가 모든 직책자들에게 충성 서약을 요구하자 아라고는 완강히 거부하고 경도국 천문학자직도 사임하였다. 그러나 왕자(나폴레옹 3세)는 "그가 없으면 정부가 후회하게 되고 프랑스에 빛이 되는 선구자에게는" 예외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국 오리건 주의 그레고리 곶은 1778년 3월 12일 그 날의 성자였던 성 그레고리의 이름을 따라 쿡 선장이 명명한 것이다. 1850년 이곳은 아라고의 이름을 따라 아라고 곶으로 개칭되었다.McArthur, Lewis A.; McArthur, Lewis L. (2003) [1928]. Oregon Geographic Names (7th ed.). Portland, Oregon: Oregon Historical Society Press. p. 159. ISBN 978-0875952772. = = 말년 = = 아라고는 끝까지 한결같은 공화주의자였고, 1852년 쿠데타 이후 먼저 당뇨병을 앓고, 그 후 신장염, 그리고 수종(dropsy)으로 복잡해졌지만 그는 충성 서약을 하기보다는 천문학자직을 사임했다. 나폴레옹 3세는 이 노인이 결코 방해받지 않고 그가 좋아하는 것을 자유롭게 말하고 행하도록 내버려두라는 지시를 내렸다. 1853년 여름 의사들이 아라고에게 고향의 공기가 효과적인지 시도해 보라는 권고를 받고 동부 피레네로 갔지만 효과가 없었으며 파리에서 죽었다. 그의 무덤은 파리의 유명한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다. 아라고는 무신론자였다."근거 없는 신화를 비판하며 시간을 보냈던 그 아라고가 이제 그것들을 퍼뜨렸다. 지금 무신론자 아라고가 영혼에 대해 말했다." Theresa Levitt, The shadow of enlightenment: optical and political transparency in France, 1789–1848, page 105. = = 발자취 = = 1994년 파리 경도선을 따라 아라고의 이름이 새겨진 135개의 원형 동판(The Arago Medallions)이 설치되었다. =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단 = = 주태익 = 주태익(朱泰益, 1918년 ~ 1976년)은 극작가이다. 그의 작품경향은 인간과 종교의 문제를 테마로 하여 환락의 허무를 극화시킨다. = = 약력 = = 1918년 :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출생 1940년 : 평양신학교 예과 수료 1942년 : 백합보육원 경영 1947년 : 흥국시보를 비롯한 기독교잡지의 편집을 맡음 1948년 : 희곡과 방송극 집필 시작 1964년 : 방송작가협회 부회장 1968년 : 크리스천문학가협회 회장 1971년 : 방송윤리위원 = = 작품 = = 데뷔작품 : 희곡 《향》 중요 작품 《별》 《산타클로스선물》 《눈오는 밤》 《생명은 샘물처럼》 《성탄극 대본집》 《이이 인생이다》 《농촌극 대본집》 = 분류:대륙별 1755년 = = TGP = TGP는 다음을 의미한다. 텐센트 게이밍 플랫폼(Tencent Gaming Platform) 굿 플레이스(The Good Place): 미국의 판타지 코미디 시리즈 : 표적추적장비 = 다스부운 = 다스부운은 1118년 글라마가르 조약으로 쿠어거 무운이 반분되면서 만들어진 소왕국이다. 원래 무운의 남쪽이었으며, "다스부운"은 "남(南)무운"이라는 뜻이다. 영어식으로는 데스먼드(Desmond)라고 읽어서, 데스먼드라는 각지 지명, 인명의 유래가 되었다. 나머지 북쪽은 투어부운(북[北]무운)이라고 했다. 다스부운은 현대 아일랜드의 코크주와 케리주 전역을 점유했고, 지배 왕조는 막 카르하 모르조였다. 왕국 안에는 술라반씨, 도나반씨 등 씨족이 있었다. 12세기 말 노르만인의 아일랜드 침공 이래로 다스부운의 동쪽 절반은 앵글로노르만인들에게 정복되어 데스먼드 백국이 되었다. 다스부운 국왕 디어르마드 막 카르하는 잉글랜드 국왕 헨리 2세에게 칭신하는 대신 서쪽 절반은 건져서 반독립적 지위를 누렸다. 이후로도 다스부운은 앵글로노르만인 침략자들과 종종 전쟁을 벌였고, 1261년 칼란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독립을 이어나갔다. 1590년대의 9년 전쟁 이후에야 다스부운은 아일랜드 왕국의 일부로 완전히 복속되었다. = 분류:1497년 건축 = = 방사이군 = 방사이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방사이군 (1404)(บางไทร) 방사이군 (1413)(บางซ้าย) = 컬러풀 대구 여자 핸드볼단 = 파워풀 대구 여자 핸드볼단은 1984년 창단한 H리그 소속 핸드볼 팀이다. 문의전화번호가 필요합니다 세계일보 정찬희 010 2710 2120 = = 기록 = = 동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2017) = 틀:사용자 언급/설명문서 = = = 사용법 = = 영어 위키백과의 User link 틀과 같은 방식입니다. 한 틀에는 1명의 사용자만 언급할 수 있습니다. = = 주의사항 = = = = = 필독 = = = 가급적 {{풀기: 를 사용하지 마세요. 틀이 수정되었을 때 변경되지 않을 수 있고 오류가 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 = 기술적 제약 = = = {{답장}}과 같은 원리로 작동됩니다. 따라서 같은 기술적 제약이 존재합니다. 이하는 {{답장}}의 기술적 제약 입니다. 현재 토론 이름공간들과 이름공간에서만 작동합니다. 새 줄에 알림을 보내야 합니다. 이미 있는 줄에 서명을 다시 하고 이 틀을 써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변경 사항에는 보내는 사용자의 사용자 문서/사용자토론 문서/특수:기여/(보내는 사용자) 링크 중 하나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다른 사용자 이름을 통한 넘겨주기나 틀을 통해 끼워넣어지는 링크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IP 사용자는 알림을 받을 수 없습니다. = = 넘겨주기 = = *사용자:틀/언급 * * * * = 매디슨군 (아이오와주) = 매디슨군 또는 매디슨 카운티(Madison County)는 미국 아이오와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5,679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6,249명이다. = 분류: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 = 정수환 (1999년) = 정수환(1999년 3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11년 SBS 여름방학 특집 어린이 드라마 《도깨비 뚜구닥》 ... 병철 역 2011년 SBS 8.15특집 HD다큐드라마 《김좌진 장군》 ... 어린 두한 역 2011년 MBC 광복절 특집극 《절정》 ... 원기 역 2011년 채널CGV 《TV 방자전》 ... 몽운 역 2013년 KBS2 주말연속극 《왕가네 식구들》 ... 어린 왕돈 역 (최대철 아역) 2014년 SBS 주말 특별기획 《미녀의 탄생》 ... 어린 한민혁 역 (한상진 아역) 2015년 SBS 아침연속극 《황홀한 이웃》 ... 어린 박찬우 역 (서도영 아역) 2015년 KBS1 저녁 일일극 《가족을 지켜라》 ... 양민준 역 2015년 tvN 금토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 어린 최성재 역 (임주환 아역) 2015년 SBS 심야드라마 《심야식당》 ... 고교 철민 역 (김뢰하 아역) 2015년 E채널/드라마큐브 로드트립 공감 드라마 《라이더스: 내일을 잡아라》 ... 어린 차기준 (김동욱 아역) 2016년 tvN 월화드라마 《피리부는 사나이》 ... 어린 주성찬 (신하균 아역) 2016년 MBC 월화 특별기획 《몬스터》 ... 어린 차동수 역 (정순원 아역) 2016년 SBS 월화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 메르스 환자 역 2016년 JTBC 금토드라마 《솔로몬의 위증》 ... 박희준 역 = = = 영화 = = = 2012년 《마천루》 2013년 《친구 2》 ... 어린 용백 역 (배성종 아역) 2014년 《몬스터》 ... 어린 익상 역 (김뢰하 아역) 2014년 《남매》 2015년 《연평해전》 ... 중학생 영하 선배 역 = = 연기 외 활동 = = = = = 광고 = = = 솔라C 바이럴 시공주니어 맥도날드 투니버스 채널 갤럭시 노트4 왕뚜껑 = 야마타이국 = 야마타이국은 『삼국지(三國志)』 「위지 왜인전」과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등장하는 일본의 고대 군장국가이다. 삼국사기에는 173년(아달라 이사금 20년)에 그 왕인 히미코가 사신을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삼국사기 권2, 〈신라본기〉2, 아달라 이사금 20년(173년) 5월 3세기의 삼국지에도 야마타이국과 관련된 내용이 실려있다. 야마타이국의 현 위치는 긴키 지방 혹은 규슈 일대라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삼국지에는 239년 히미코가 사신을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만요슈나 일본서기 등에서는 쓰시마국・이키국・마츠우시로국 등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실려있다. = = 인구 = = = = = 원문 = = = = 분류:메디나주 = = 분류:바레인의 교통 시설 = = 분류:비자유 패럴림픽 자료 = = 손사막 = 손사막(孫思邈, 생년 미상 ~ 682년)은 중국 산시성 (섬서성)에서 태어나 당나라 때 도사, 의사, 연금술사, 의학자로 활동하였다. 천금요방(千金要方)과 천금익방(千金翼方)의 저자로, 의술이 대단하여 약신(藥神), 약왕(藥王)이라 불렸다. 도가에 몰두하기도 하였다. = 기원전 62년 = = = 연호 = = 전한(前漢) 원강(元康) 4년 = = 기년 = = 전한(前漢) 선제(宣帝) 12년 = 산이로 = 산이로(Sani-ro)는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산이교차로에서 해남군 산이면 달도교차로를 잇는 전라남도의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해남군 (마산면 . 산이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명량로와 직결 명량로와 직결 명량로와 직결 명량로와 직결 명량로와 직결 산이 교차로 명량로 해남군 마산면 마산면학의리 교차로 원호맹진로 해남군 마산면 반송삼거리 원금길 해남군 산이면 산이면소재지 교차로 비석길 해남군 산이면 산이면소재지 삼거리 비석길 해남군 산이면 대진교 해남군 산이면 (이름없음) 부동길 해남군 산이면 달도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관광레저로) 해남군 산이면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SK에너지 구교주유소 (산이로 334/학외리 271-7) S-OIL 금송주유소 (산이로 653/금송리 479) 농협 산이농협주유소 (산이로 1326/진산리 55-15) 대진보건진료소 (산이로 1600/대진리 426-6) 산이서초등학교 (산이로 1736/상공리 231-4) GS칼텍스 산이주유소 (산이로 2076/구성리 50) = 봉명로 = 봉명로(Bongmyeong-ro)는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삼거리에서 봉화군 명호면 도천삼거리 잇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봉화군 (봉화읍 . 명호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유곡삼거리 다덕로 봉화군 봉화읍 금봉 교차로 국도 제36호선(파인토피아로) 봉화군 봉화읍 작고개 봉화군 봉성면 봉성삼거리 상운로 봉화군 봉성면 도천삼거리 국도 제35호선(청량로) 봉화군 명호면 = = 주요 시설및 건물 = = 봉성초등학교 (봉명로 350/봉성리 526-1) 농협 봉화농협 봉성지점 (봉명로 551/봉성리 366-1) 봉화봉성우체국 (봉명로 558/봉성리 367-5) = 구면체 = 구면체(九面體)는 면이 9개인 다면체를 말한다. 구면체에 속하는 다면체는 칠각기둥, 칠각뿔대, 팔각뿔, 마지막으로 늘린 사각뿔 등이 있다. 구면체는 면의 개수로 세어볼 수 있다. N각기둥은 N+2등으로 계산가능하다 = 틀:FC 암카르 페름 선수 명단 = = 분류:탄자니아의 군사사 = = 드니 사수 응게소 = 드니 사수 응게소(, 1943년 11월 23일~)는 콩고 공화국의 정치인으로, 1997년 10월 25일부터 현재까지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을 맡고 있다. 그는 이전에 1979년부터 1992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한 적이 있으며, 처음 대통령을 올랐던 시기에 12년간 콩고 노동당 (PCT)의 일당 체제를 이끌었다. 1990년 다당 정치가 도입된 후, 1991년 국가 회의의 결과로 실권을 잃었고, 그 후에는 1992년에 열린 대통령 선거에서 파스칼 리수바에게 패했다. 그러나 5년 뒤인 1997년, 그의 군대가 1997년 내전에서 이기자 다시 대통령 직에 올랐으며,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여당 소속으로 출마해 일방적인 득표율로 또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021년 10월 Denis Sassou N'Guesso는 "Pandora Papers" 스캔들에 언급되었다.국제 언론인 컨소시엄에 따르면 Denis Sassou N'Guesso가 집권한 직후인 1998년에 회사가 Inter African Investment는 카리브해의 조세 피난처인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등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Denis Sassou N'Guesso는 그것이 문서임을 일괄적으로 부인한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89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5대 콩고 노동당 100.0% -표 1위 1992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6대 콩고 노동당 16.75% 131,346표 3위 낙선 2002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7대 콩고 노동당 89.41% 1,075,247표 1위 2009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7대 콩고 노동당 78.61% 1,055,117표 1위 2016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7대 콩고 노동당 60.19% 838,922표 1위 2021년 선거 콩고 공화국의 대통령 7대 콩고 노동당 88.40% 1,539,725표 1위 = 나카야마정 (에히메현) = 나카야마정(中山町)은 에히메현 주요지방에 있던 정이며, 이요군에 속했다. 2005년 4월 1일에, 이요시, 후타미정과 합병해 이요시의 일부가 되어 지방자치체로서의 소멸하였다. = = 지리 = = 나카야마정은 에히메현 중부 산간 마쓰야마시 중심부에서 국도 56호인 이누요리 고개를 넘어 약 27㎞ 남하한 지점에 있으며, 오슈시 중심부에서도 약 27㎞로 거의 중간에 위치한다.팔천 상류의 하나이기도 한 니카야마강 유역에 거의 해당한다. = = 역사 = = 1889년 나카야마촌이 기타군에서 시모우게나군에 편입되었다. 1897년 - 기타군 ,시모우게나군과 합병해 이요군이 되었다. 1907년 - 나카야마촌, 이즈부치촌이 합병에 의해 나카야마촌이 되었다. 1925년 - 정으로 승격해 나카야마정이 되었다. 2005년 4월 1일 - 후타미정과 합병(신설 합병)해 새롭게 이요시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시코쿠 여객철도 요산 선 = = = 도로 = = = 마쓰야마 자동차도 국도 56호선 = 헬로 임꺽정 = "헬로 임꺽정"은 198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한수 김명곤 한애경 임명성 김기주 조춘 홍성민 오승명 전인택 천호진 남포동 문창근 여수연 양택조 박상조 박용팔 김예성 임해림 나갑성 김경란 김정하 김애라 길달호 박부양 조은혜 유일문 신찬일 최재호 윤일주 박광진 김기범 홍충길 추봉 박종설 박세범 박희진 심재천 채관석 천은영 황춘수 원진 이재규 조자룡 김선도 임남순 김영규 함철훈 김정욱 박영주 김혜란 송미경 이경혜 남유리 하순옥 하동훈 주한울 이영하 (우정출연) 김추련 (우정출연) = 에드 스미스 스타디움 = 에드 스미스 스타디움(Ed Smith Stadium)은 미국 플로리다주 새러소타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MLB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스프링 트레이닝 장소이며, 과거에는 신시내티 레즈와 시카고 화이트삭스도 스프링 트레이닝 장소 사용했다. = 분류:아이치현의 역사 = = 분류:네덜란드의 남자 종합격투기 선수 = +남자 네덜란드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 = 시닥나무 = 시닥나무(Acer komarovii)는 한반도 각처 깊은 산의 숲 속에 나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10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긴 난형이고, 3-5갈래로 끝이 뾰족하다. 밑은 심장형으로 길이 5-9cm이며 뒷면 맥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가장자리에 이 모양 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붉은빛이 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노란색이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달리고, 길이는 6-8cm이다. 열매는 시과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다. = 분류:부탄의 남자 배우 = = 분류: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 = 대한민국의 EBS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분류입니다. = 고명 = 고명은 음식의 모양과 빛깔을 돋보이게 하고 음식에 맛을 더하기 위해 음식 위에 얹거나 뿌리는 것이다. 서양 요리나 음료에 장식 또는 곁들임으로 사용되는 식재료는 가니시라고도 한다. 요리에서의 가니시는 흔히 그 맛이 강하지 않고 담백하거나 부드러운 식감의 식재료를 소테하여 많이 사용한다. = = 종류 = = = = = 한식 = = = = = = 양식 = = = = = = 후식 = = = = = = 음료 = = = = 프랜서 (2001년 영화) = 프랜서(Prancer Returns)는 캐나다에서 제작된 조슈아 버틀러 감독의 2001년 영화이다. 존 코베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오스카 L. 코스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존 코베트 스테이시 에드워즈 = = = 조연 = = = 마이클 오키프 잭 팰런스 로버트 클락 헤일리 로크너 = = 기타 = = 공동제작: 니콜라스 J. 그레이 공동제작: 그레그 테일러 협력프로듀서: 주디스 크레이그 마린 미술: 제프 긴 의상: 조지아나 야히 배역: 제프리 파세로 = 삼성 싱크마스터 = 싱크마스터는 삼성전자의 모니터 브랜드(상표)이다. 1988년 삼성전자 모니터사업부(사장 윤부근)가 선보였으며, 2011년 2월부터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 2007-08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07-08년 UEFA 챔피언스리그(2007-08 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UEFA 챔피언스리그의 53번째 시즌으로, 대회 명칭이 유러피언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로 바뀐 이후의 16번째 시즌이다. 결승전은 2008년 5월 21일 모스크바에 위치한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이 대회의 우승 팀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다. = = 참가 자격 = = 53개 협회(국가)들의 76개 팀은 2007-08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여하게 된다. UEFA 점수를 바탕으로 각 팀들이 출발할 위치와 각 협회별 팀 자릿수가 결정된다. 하지만 한 협회의 팀이 4팀을 넘어갈 수는 없다. 그리고 점수가 낮은 협회라도 1개의 자리는 보장한다(리그 대회가 없는 리히텐슈타인은 제외). 올해에는 처음으로 참가하는 협회들이 있는데 얼마전 UEFA에 가입한 몬테네그로를 비롯하여 산마리노, 안도라가 그들이다. 아래에는 챔피언스리그 2007-08 시즌 예선에 관하여 개략적인 것이 적혀 있다.(국가별 팀 자릿수, 팀별 출발 위치 등) 1-3위에 랭크된 협회 (스페인, 잉글랜드, 이탈리아) - 4개 팀 4-6위에 랭크된 협회 (프랑스, 독일, 포르투갈) - 3개 팀 7-15위에 랭크된 협회 (네덜란드, 그리스, 러시아, 루마니아, 스코틀랜드, 벨기에,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 2개 팀 16위와 그 밑에 랭크된 협회 - 1개 팀 1차 예선: (28개 팀) 25-53위에 랭크된 협회의 리그 대회 우승 팀들(28팀) 2차 예선: (28개 팀) 1차 예선에서 올라온 14개 팀 17-24위에 랭크된 협회의 리그 대회 우승 팀들(8팀:불가리아, 이스라엘,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세르비아, 폴란드, 덴마크, 헝가리) 10-15위에 랭크된 협회의 리그 대회 준우승 팀들(6팀) 3차 예선: (32개 팀) 2차 예선에서 올라온 14개 팀 10-16위에 랭크된 협회의 리그 대회 우승 팀들(7팀) 7-9위에 랭크된 협회의 준우승 팀들(3팀) 1-6위에 랭크된 협회의 3위팀들(6팀) 1-3위에 랭크된 협회의 4위팀들(2팀, 이탈리아에서 4위로 마친 AC 밀란은 전 시즌 우승 팀으로서 조별 리그전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조별 리그전: (32개 팀) 전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3차 예선에서 올라온 16개 팀 1-9위에 랭크된 협회의 우승 팀들(9팀) 1-6위에 랭크된 협회의 준우승 팀들(6팀) 조별 리그전 조별 리그전 조별 리그전 조별 리그전 레알 마드리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슈투트가르트 PSV 에인트호번 바르셀로나 첼시 샬케 04 올림피아코스 인테르나치오날레 리옹 포르투 CSKA 모스크바 로마 마르세유 스포르팅 CP AC 밀란TH 3차 예선 3차 예선 3차 예선 3차 예선 세비야 툴루즈 스파르타크 디나모 키예프 발렌시아 베르더 브레멘 디나모 부쿠레슈티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AEK 아테네 셀틱 페네르바체 리버풀 아약스 안데를레흐트 취리히 아스널 벤피카 2차 예선 2차 예선 2차 예선 2차 예선 로센보르그 베이타르 예루살렘 스테아우아 슬라비아 프라하 레드 불 잘츠부르크 쾨벤하운 샤흐타르 도네츠크 베식타시 레인저스 겡크 자그웨비에 루빈 데브레첸 츠르베나 즈베즈다 레프스키 소피아 1차 예선 1차 예선 1차 예선 1차 예선 APOEL 탐페레 유나이티드 디나모 자그레브 질리나 바테 보리소브 FH 레인저스 올림피 루스타비 엘프스보리 카우나스 마르사실로크 하자르 렌케란 벤츠필스 HB 셰리프 티라스폴 사라예보 레바디아 탈린 데리 시티 F91 뒤들랑주 제타 퓨닉 린필드 티라나 무라타 아스타나 TNS 돔잘레 포베다 = = 일정 = = 이 일정은 경기와 조 추첨 등의 날짜를 보여준다. 날짜 행사 2007년 6월 29일 1차 예선과 2차 예선 조 추첨 2007년 7월 17일-18일 1차 예선, 1차전 2007년 7월 24일-25일 1차 예선, 2차전 2007년 7월 31일-8월 1일 2차 예선, 1차전 2007년 8월 3일 3차 예선 조 추첨 2007년 8월 7일-8일 2차 예선, 2차전 2007년 8월 14일-15일 3차 예선, 1차전 2007년 8월 28일-29일 3차 예선, 2차전 2007년 8월 30일 조별 리그전 조 추첨 2007년 9월 18일-19일 조별 리그전, 첫 번째 경기 2007년 10월 2일-3일 조별 리그전, 두 번째 경기 2007년 10월 23일-24일 조별 리그전, 세 번째 경기 2007년 11월 6일-7일 조별 리그전, 네 번째 경기 2007년 11월 27일-28일 조별 리그전, 다섯 번째 경기 2007년 12월 11일-12일 조별 리그전, 여섯 번째 경기 1 2007년 12월 21일 16강전 조 추첨 2008년 2월 19일-20일 16강전, 1차전 2008년 3월 4일-5일 16강전, 2차전 2008년 3월 7일 남은 경기 조 추첨 2008년 4월 1일-2일 8강전, 1차전 2008년 4월 8일-9일 8강전, 2차전 2008년 4월 22일-23일 4강전, 1차전 2008년 4월 29일-30일 4강전, 2차전 2008년 5월 21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결승전 1 D조는 AC 밀란이 12월 13일부터 16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함에 따라 여섯 번째 경기를 12월 4일에 치르게 된다. = = 예선전 = = = = = 1차 예선 = = = 조 추첨은 2007년 6월 29일 금요일 12시(현지시각, CET)에 UEFA 본부가 위치한 스위스의 니옹에서 있었다. 두 번의 추첨은 모두 UEFA 사무총장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UEFA 클럽대항전 책임자인 미셸 센테나로에 의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2007년 7월 17일부터 18일에 1차전이, 2007년 7월 24일부터 25일에 2차전이 진행되었다. = = = 2차 예선 = = = 1차 예선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조추첨이 진행되었으며, 2007년 7월 31일부터 8월 1일에 1차전이, 8월 7일부터 8일까지 2차전이 진행되었다. = = = 3차 예선 = = = 조 추첨은 역시 1,2차 예선 조 추첨처럼 UEFA 본부가 위치한 스위스의 니옹에서, 2007년 8월 3일 토요일에 있었다. UEFA 사무총장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UEFA 프로축구 이사인 조르지오 마르체티에 의해 행해졌다. 8월 14일부터 15일에 1차전이, 8월 28일부터 29일에 2차전이 진행되었다. 여기서 승리한 팀들은 조별 리그전에 진출할 수 있으며, 반면에 여기서 진 팀은 2007-08년 UEFA컵 1회전에 참여하게 된다. 한편, 안토니오 푸에르타의 사망으로 인해 세비야와 AEK 아테네의 2차전은 9월 3일로 연기되었다. = = 조별 리그 = = 조 추첨은 모나코의 그리말디 포럼에서 목요일인 2007년 8월 30일에 있었다. 페드루 핀투가 사회를 맡고 UEFA 사무총장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UEFA 클럽대항전 책임자인 미셸 센테나로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 대회의 경기들은 2007년 9월 18일부터 12월 12일까지 3개월간 진행된다. = = = 동점 처리 방법 = = = 현재 적용되는 UEFA 규칙 4장 5절에 따라, 같은 조에서 2개 이상의 팀이 동일한 승점일 경우, 다음과 같이 순위를 정한다. 서로의 경기에서 더 득점이 많은 팀. 서로의 경기에서 더 큰 점수차로 이긴 팀. 서로를 상대로 한 원정경기에서 더 득점이 많은 팀. 조 내에서의 다득점. 지난 다섯 시즌간의 성적을 비교하여 더 점수가 높은 팀. 색의 분류에 따른 그룹 일람표 각 조에서 본선 1차 결정전에 진출한 두 팀 각 조 3위로 UEFA컵 32강전에 진출하게 된 팀 각 조 4위로 이번 시즌에서 유럽 대륙 내 대회에서 완전히 탈락하게 된 팀 결과표에서, 홈팀이 왼쪽 열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경기 결과에 대한 세부 페이지는 영문으로 작성되어 있다. = = = A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포르투 6 3 2 1 8 7 +1 11 리버풀 6 3 1 2 18 5 +13 10 마르세유''''' 6 2 1 3 6 9 -3 7 베식타시'' 6 2 0 4 4 15 -11 6 = = = B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첼시 6 3 3 0 9 2 +7 12 샬케 04 6 2 2 2 5 4 +1 8 로센보르그''''' 6 2 1 3 6 10 -4 7 발렌시아'' 6 1 2 3 2 6 -4 5 = = = C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3 2 1 13 9 +4 11 올림피아코스 6 3 2 1 11 7 +4 11 베르더 브레멘''''' 6 2 0 4 8 13 -5 6 라치오'' 6 1 2 3 8 11 -3 5 = = = D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밀란 6 4 1 1 12 5 +7 13 셀틱 6 3 0 3 5 6 -1 9 벤피카''''' 6 2 1 3 5 6 -1 7 샤흐타르'' 6 2 0 4 6 11 -5 6 = = = E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바르셀로나 6 4 2 0 12 3 +9 14 리옹 6 3 1 2 11 10 +1 10 레인저스''''' 6 2 1 3 7 9 -2 7 슈투트가르트'' 6 1 0 5 7 15 -8 3 = = = F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맨체스터 UTD 6 5 1 0 13 4 +9 16 로마 6 3 2 1 11 6 +5 11 스포르팅 CP''''' 6 2 1 3 9 8 +1 7 디나모 키예프'' 6 0 0 6 4 19 -15 0 = = = G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인테르 6 5 0 1 12 4 +8 15 페네르바체 6 3 2 1 8 6 +2 11 에인트호번''''' 6 2 1 3 3 6 -3 7 C. 모스크바'' 6 0 1 5 7 14 -7 1 = = = H조 = = =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세비야 6 5 0 1 14 7 +7 15 아스널 6 4 1 1 14 4 +10 13 슬라비아''''' 6 1 2 3 5 16 -11 5 스테아우아'' 6 0 1 5 4 10 -6 1 = = 결선 토너먼트 = = = = = 16강전 = = = 첫 번째 녹아웃 라운드의 일정은 2007년 12월 21일 금요일, 12:00 (CET)에 스위스 니옹에서 결정되었다. 일정은 UEFA 임원인 데이비드 테일러(David Taylor)와 조르지오 마체티(Giorgio Marchetti)에 의해 관리되었다. 경기는 2008년 2월 19일/20일과 3월 4일/5일에 펼쳐졌다. AC 밀란과의 경기장 문제 때문에,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리버풀과의 두 번째 경기는 3월 11일에 열리게 되었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 = = 8강전 = = = 8강전의 일정은 2008년 3월 14일 금요일 13:00 CET에 스위스 니옹에서 결정되었다. 일정은 UEFA 임원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리나트 다사예프(Rinat Dasayev)에 의해 감독되었다. 첫 번째 녹아웃라운드와는 달리, 같은 국가의 팀 역시 8강전 대진상대 추첨에 포함시켰다. 첫 번째 경기는 2008년 4월 1일과 4월 2일에 열리고 두 번째 경기는 4월 8일과 4월 9일에 열리게 된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 = = 준결승전 = = = 8강전의 일정 역시 2008년 3월 14일 금요일 13:00 CET에 스위스 니옹에서 UEFA 임원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리나트 다사예프의 감독 아래 결정되었다. 준결승 경기 1차전은 2008년 4월 22일/4월 23일에 열렸으며, 2차전은 4월 29일/4월 30일에 열렸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 = = = 1차전 = = = = = = = = 2차전 = = = = = = = 결승전 = = = 2007-08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의 일정은 역시 2008년 3월 14일 금요일 13:00 CET에 스위스 니옹에서 결정되었다. 일정은 UEFA 임원인 데이비드 테일러와 리나트 다사예프에 의해 감독되었다. 리나트 다사예프는 이번 대회 결승전의 대사이기도 하다. 결승전은 2008년 5월 21일에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 우승 팀 = = 2007-08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3번째 우승 = = 득점 순위 = = 순위 이름 팀 득점 출장 시간 1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8 1062' 2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6 756' 2 페르난도 토레스 리버풀 6 906' 2 디디에 드로그바 첼시 6 1072' 2 스티븐 제라드 리버풀 6 1145' 6 리안 바벌 리버풀 5 619' 6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인테르나치오날레 5 626' 6 프레데리크 카누테 세비야 5 715' 6 라울 곤살레스 레알 마드리드 5 716' 6 데이비드 데 소우사 페네르바체 5 844' 6 디르크 카위트 리버풀 5 893' = 오피치움 = 오피치움(officium)은 다음을 의미한다. 시간 전례(Divinum Officium) 신앙교리성(Sanctum Officium) Officium (음반): 1994년 음반 = 리알토 다리 = 리알토 다리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있는 카날 그란데를 연결하는 다리 네 개중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산마르코 세스티에레 (지구)와 산폴로 세스티에레를 연결하는 이 다리는 12세기에 부교로 처음 지어진 이래로 여러 차례 재건되었으며, 오늘날 베네치아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 장연송 = 장연송(張連松, 1901년 12월 11일 함북 길주 ~ 1956년)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다. = = 약력 = = 함경북도 길주군 길상리에서 태어났다. 니혼 대학 경제과 졸업 한민당 중앙위원 과도정부입법의원 의원 한국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북되었다. 1956년 7월 2일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결성대회 참석후 지병인 심장병과 폐병이 도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같은해 11월 6일 운명하였다는 기록과 같은 해 10월 30일에 운명하였다는 기록 이 있다. = 틀:미추홀구의원 선거 = = 김예지 (1996년) = 김예지(1996년 9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다. 2020년 싱글 앨범 [닥치고 나 있어]로 정식 데뷔했다. = = 방송 = = 보이스 코리아 2020 (2020) - Top8 슈퍼밴드2 (2021) - 3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022) - 제181~185대 가왕 다시 어둠이 내리면~ 가왕석은 내 꺼야! 인디언 인형 = 충 (사주팔자) = 충(沖)은 두 천간·지지의 기운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충에는 천간 간의 충인 천간충(天干沖)과 지지 간의 충인 지지충(地支沖)이 있다. 충은 명리학에 있어서 안 좋은 영향을 주는 일이 많지만, 서로 견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 = 천간충 = = 천간충은 두 천간의 기운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천간합의 종류에 관해서는 여러 논란들이 있다. 4가지로 보는 자도 있고, 10가지로 보는 자도 있다. 우선 10가지로 보는 측에서는 각 천간마다 합 관계를 맺는 천간이 각각 존재하니, 충 관계를 맺는 천간도 각각 존재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4가지로 보는 측에서는 충이라는 것은 서로 상반되는 관계에서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천간의 경우에는 목(木)과 금(金)의 관계에서, 화(火)와 수(水)의 관계에서만 충이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천간충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이는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상극에 기반을 둬서 형성되는 거다. 극하는 천간 극받는 천간 4천간충의 인정 여부 甲 戊 × 乙 己 × 丙 庚 × 丁 辛 × 戊 壬 × 己 癸 × 庚 甲 ○ 辛 乙 ○ 壬 丙 ○ 癸 丁 ○ 위 표에 따르면 목극토, 화극금, 토극수의 관계에 있는 극은 충이 형성하지 않고, 금극목과 수극화는 서로 상반되는 오행 관계이기 때문에 충이 형성한다는 것이 4가지로 보는 측들의 입장이다. 이때, 단순한 극 관계의 경우에는 갑극무(甲剋戊), 을극기(乙剋己), 병극경(丙剋庚) 등으로 부르고, 충하는 관계의 경우에는 갑경충(甲庚沖), 을신충(乙辛沖), 병임충(丙壬沖), 정계충(丁癸沖)이라고 부른다. = = 지지충 = = 지지충은 두 지지의 기운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지지합은 총 6가지가 있다. 여기에서 눈여겨 볼 것은 생지(生支)는 생지끼리, 왕지(旺支)는 왕지끼리, 고지(庫支)는 고지끼리 충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서로 상반되는 오행에서 충하는 관계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토(土)의 경우에는 각 계절의 고지이기 때문에 서로 반대되는 계절의 고지 간에 충한다. 지지 1 지지 2 생·왕·고 子 午 왕지 丑 未 고지 寅 申 생지 卯 酉 왕지 辰 戌 고지 巳 亥 생지 명칭을 부를 때는 천간충과 마찬가지로 자오충(子午沖), 축미충(丑未沖), 인신충(寅申沖), 묘유충(卯酉沖), 진술충(辰戌沖), 사해충(巳亥沖)이라고 부른다. = 분류:구레시 출신 = = 틀:참파 = = 센순테페케 = 센순테페케는 엘살바도르 중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카바냐스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306.33km2, 높이는 820m, 인구는 41,216명(2012년 기준), 인구 밀도는 130명/km2이다. = 분류:FC 샤프하우젠의 축구 선수 = = 분류:미얀마의 정치 단체 = = Seven Deadly = Seven Deadly는 2012년 2월 27일에 발매된 UFO의 음반이다. SPV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사우스요크셔주 출신 = = 분류:그레이엄 놀런이 창작한 등장인물 = = 분류:벨기에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 분류:쿠바의 미술가 = = 분류:2월 15일 = = 타미 그림스 = 타미 그림스(Tammy Grimes, 1934년 1월 30일 ~ 2016년 10월 30일)는 미국의 가수,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린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하이 아트 (1998년) - 베라 역 트러블 온 더 코너 (1997년) 어 모던 어페어 (1995년) 여탐정 케리 (1994년) 장미빛 모자 (1989년) 미스터 노스 (1988년) 아메리카 (1986년) 제3의 공포 (1985년) 라스트 유니콘 (1982년) 음악은 멈출 수 없어 (1980년) 플레이 잇 애즈 잇 레이스 (1972년) = 디스트로이 리빌드 언틸 갓 쇼스 = 디스트로이 리빌드 언틸 갓 쇼스(Destroy Rebuild Until God Shows)은 미국의 포스트 하드코어 밴드이다. = 모듈:Location map/data/Greece North Athens = return { name = 'North Athens', top = 38.1232, bottom = 37.9729, left = 23.7394, right = 23.9656, image = 'Open street map north athens.svg' } = 분류:아시아의 왕가 = = 환절기 (영화) = "환절기"는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배종옥 : 미경 역 이원근 : 용준 역 지윤호 : 수현 역 서정연 : 희영 역 박원상 : 진규 역 박혜진 : 박씨 역 김자영 : 금선 역 백지원 : 숙정 역 김예은 : 지연 역 우지현 : 한성 역 권동호 : 경준 역 김수복 : 김 영감 역 배용근 : 수현담임 역 장세환 : 클럽남 역 이용준 : 클럽계단남 역 엄옥란 : 아줌마요보사 역 이성준 : 최 과장 역 송정현 : 어머니 역 유주원 : 어린이 역 조유정 : TV가수 역 지성은 : 외과의사 역 임근서 : 고시원총무 역 손현준 : 중년남자 역 김인권 : 이 주임 역 임미주 : 매장점원 역 미석 : 식당아저씨 역 함기훈 : 다른남자환자 역 김곤 : 낯선상주 역 이재훈 : 물리치료사역 이현준 : 고등학생 1 역 이지현 : 고등학생 2 역 정혜수 : 고등학생 3 역 = = 수상 = = 2016년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 뉴 커런츠 부문 2016년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 KNN관객상 이동은 2017년 제12회 런던한국영화제 Cinema Now 부문 2017년 Quezon Cit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QCinema) Asian Next Wave 경쟁 부문 2018년 제8회 Cambod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8년 OUTshine Film Festival (Miami, USA) 심사위원상 Jury Winner 2018년 제27회 Rainbow Reel Tokyo –Tokyo International Lesbian and Gay Film Festival = 분류:국민훈장 목련장 수훈자 = = 분류:정치 이념별 보츠와나 사람 = = 캄론 = thumb 캄론(, 1976년 2월 4일 ~ )는 미국의 랩퍼 겸 영화배우이다.그는 예명으로 'Killa Cam'이라고도 불리며,힙합그룹 디플로맷츠의 멤버이다. = = 생애 = = 그는 뉴욕에서 태어나 '맨하튼 센터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후에 친구인 짐 존스, 메이스를 만나게 된다. 그는 1990년대부터 랩퍼가 되었고, 빅 엘, 메이스와 함께,'Children Of The Corn'에 멤버였다.빅 엘이 사망한뒤에는 Notorious B.I.G와 일하기도 했었으며,그한테서 랩을 배우기도했었다. = = = 락커펠라 레코드 = = = 그는 소니레코드에서 그의 첫솔로앨범 'Confessions of Fire'를 1998년 7월에 발매한다.그의 절친한 친구메이스도 참여했으나,별로 성적이 좋지 않고,친구인 데몬 데쉬의 추천으로 2001년 락커펠라 레코드와 계약을 맺는다.그의 두 번째 앨범'Come Home With Me'는 성공적이었다.싱글인 'Hey Ma','Oh Boy'는 빌보드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고, 2003년, 주엘즈 산타나, 데몬 데쉬, 짐 존스,'프리키 제키'와 그룹'Diplomets'을 결성한다.그룹 앨범인 'Diplomatic Immunity'는 플래티넘급 앨범을 받는다.두 번째 그룹앨범은 'Diplomatic Immunity 2'는 골드를 받으며, 그들의 전성기를 갖게된다.그의 네 번째 앨범인 'Purple Haze'는 2004년 7월에 발매되며,골드를 차지한다.그러나 2005년 락커펠라 레코드의 사장인 Jay-z와의 디스와 그들의 음악적 성향때문에 락커펠라 레코드/데프잼 레코드에서 나오게된다. = = = 현재 = = = 그는 영화배우로도 데뷔하고 'Killa Season'이라는 앨범도 냈으나,인기는 점점 식어가고있다.현재 그룹'Diplomets'에 관한 일을 하지 않고,탈퇴가능성이 보인다. 현재 새 힙합레이블이자 크루인 '더 유엔'을 만들었고,'디플로맷츠 웨스트'와 함께 음악,영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 분류:슬로바키아의 유러피언 게임 메달리스트 = = 분류:바이런 하워드 감독 영화 = = 버니 이비니 이세이 = 버니 이비니 이세이(, 1992년 9월 12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선수로, 현재 뉴캐슬 제츠 소속이다. = = 어린 시절 = = 버니 이비니는 1992년 9월 12일 나이지리아에서 태어났고 어렸을 때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을 왔고 시드니 캔터부리-뱅크 타운 지역에서 자랐다. 그의 열정은 아주 어릴 때부터 분명했고, 6살 때 그는 그의 지역 클럽인 얼우드원더스에서 활동하였다. = = 축구인 경력 = = 버니 이비니는 2009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와 계약을 맺고 유소팀에 합류했다. 그해에 청소년 리그 골든 부트 상을 받았고 이비니는 2010년 2월 27일 열린 웰링턴 피닉스와의 A리그 멘 27라운드에서 1군데뷔를 하였다. 2017년 5월 9일 이비니는 밴쿠버 화이트캡스 FC에 2년+1년옵션으로 입단하였다. 이비니는 2019년 1월 20일, K리그1의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하였다. 2020년 2월, A리그 멘의 뉴캐슬 제츠로 이적했다. = = 수상 = = = = =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 = = A-리그 : 우승 (2011-2012) A-리그 챔피언십 : 우승 (2012-2013) = = = = 시드니 FC = = = = A-리그 : 우승 (2016-17) A-리그 챔피언십 : 우승 (2016-17) = 완닝시 = 완닝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의 현급시이다. 넓이는 188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80,000명이다. = = 역사 = = 완닝 시는 섬의 동쪽에 놓여있고 1996년 8월 5일에 현급시로 승격되었다. = = 기후 = = 연평균 기온은 24.4°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2000~2500mm이다. = = 경제 = = 완닝 시의 생산품으로는 커피, 후추, 고무, 쌀, 바나나, 사탕수수 등이 있다. = = 행정 구역 = = 12개 진을 관할한다. 진: 만성진, 용곤진, 산근진, 화악진, 후안진, 대무진, 동오진, 예기진, 장봉진, 북대진, 남교진, 삼경라진. = 에이다 (오클라호마주) = 에이다(Ada)는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도시로, 인구는 16,810명이다. = 라리가 1945-46 = 라리가 1945-46은 스페인 축구 1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5번째 시즌이다. 세비야가 사상 첫 리그 우승을 거두었다. = = 참가 구단 = = 구단 위치 경기장 알코야노 알코이 엘 코야오 아틀레티코 빌바오 빌바오 산 마메스 아틀레티코 아비아시온 마드리드 메트로폴리타노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레스 코르츠 카스테욘 카스테욘 데 라 플라나 카스탈리아 셀타 비고 비고 발라이도스 에스파뇰 바르셀로나 사리아 에르쿨레스 알리칸테 바르딘 무르시아 무르시아 라 콘도미나 오비에도 오비에도 부에나비스타 레알 히혼 히혼 엘 몰리논 레알 마드리드 마드리드 차마르틴 세비야 세비야 네르비온 발렌시아 발렌시아 메스타야 = = 강등 플레이오프전 = = 본경기와 재경기는 모두 바르셀로나의 몬주이크에서 열렸다. = = 득점 집계 = = 순위 이름 구단 골 1 텔모 사라 아틀레티코 빌바오 24 2 프루덴 레알 마드리드 20 2 문도 발렌시아 20 4 앙헬 카비도 오비에도 19 5 바실리오 카스테욘 15 5 호세 캄포스 세비야 15 5 파이뇨 셀타 비고 15 8 후안 아르사 세비야 14 9 앙헬 칼보 에스파뇰 13 10 세사르 로드리게스 바르셀로나 12 = 분류:재외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인 = =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2022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pring, 약칭 2022 LCK 스프링)는 LCK의 23번째 시즌이다. = = 개요 = = 주최: LCK 유한회사 주관: LCK 유한회사 후원: 우리은행, BBQ 치킨, HP OMEN, LG 울트라기어, 로지텍 G, 시크릿랩, CGV, 티파니 표어: Through the Origin & Towards the Future = = = 일정 = = = 정규 시즌 1라운드: 1월 12일 ~ 2월 18일 2라운드: 2월 18일 ~ 3월 20일 플레이오프 1라운드: 3월 23일 ~ 3월 24일 2라운드: 3월 26일 ~ 3월 27일 파이널: 4월 2일 = = = 경기장 = = = 정규 시즌 ~ PO 2라운드: 서울특별시 LOL 파크 파이널: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 = = 진행 방식 = = = 정규 시즌: 3전 2선승제(Bo3),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한 팀당 18경기를 치른다. 10팀 중 상위 1-2위팀은 PO 2라운드에, 상위 3-6위팀은 PO 1라운드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1라운드: PO 1라운드는 5전 3선승제(Bo5),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른다. 3위, 6위 팀과, 4위, 5위 팀이 맞붙는다. 승리 팀은 PO 2라운드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 PO 2라운드는 5전 3선승제(Bo5),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른다. 1위 팀이 상대할 팀을 선택한다. 2위 팀은 자동적으로 상대가 결정된다. 승리 팀은 파이널에 진출한다. 파이널: 파이널은 5전 3선승제(Bo5) 방식으로 진행된다. = = = 상금 = = = 상금은 대한민국 원 기준. 순위 상금 비고 우승 2억 준우승 1억 3위 5,000만 4위 2,500만 LCK Awards 상금 비고 정규 시즌 MVP 500만 파이널 MVP 500만 Player of The Split 200만 All-LCK First Team (5인) 각 200만 Rookie of The Year 300만 연 단위 시상Rookie of The Year와 Best Coach는 연 단위 시상 부문으로 총 600만원 규모임. 이에 따라, 스프링, 서머 시즌 상금에 각 300만원으로 합산함. (스프링 300만, 서머 300만) Best Coach 300만 연 단위 시상Rookie of The Year와 Best Coach는 연 단위 시상 부문으로 총 600만원 규모임. 이에 따라, 스프링, 서머 시즌 상금에 각 300만원으로 합산함. (스프링 300만, 서머 300만) 총 상금 총 상금 4억 = = 참가 팀 = = 팀명 비고 1 DWG KIA 2 T1 3 Gen.G 4 농심 레드포스 5 리브 샌드박스 6 광동 프릭스 7 KT 롤스터 8 한화생명 e스포츠 9 프레딧 브리온 10 DRX = = 선수 명단 = = 팀명 약칭 탑 정글 미드 AD 캐리 서포터 후보 후보 기준일 DWG KIA DK Hoya 윤용호 Canyon 김건부 ShowMaker 허수 deokdam 서대길 Kellin 김형규 Burdol 노태윤 (탑) 3월 27일 T1 T1 Zeus 최우제 Oner 문현준 Faker 이상혁 Gumayusi 이민형 Keria 류민석 Asper 김태기 (서포터) 6월 11일 Gen.G GEN Doran 최현준 Peanut 한왕호 Chovy 정지훈 Ruler 박재혁 Lehends 손시우 YoungJae 고영재 (정글) 3월 12일 농심 레드포스 NS Canna 김창동 Dread 이진혁 Bdd 곽보성 Ghost 장용준 Effort 이상호 Peter 정윤수 (서포터) 3월 19일 리브 샌드박스 LSB Dove 김재연 Croco 김동범 Clozer 이주현 Ice 윤상훈 Kael 김진홍 Howling 전호빈 (탑) Envyy 이명준 (AD) 3월 18일 광동 프릭스 KDF Kiin 김기인 Ellim 최엘림 FATE 유수혁 Teddy 박진성 Hoit 류호성 Leo 한겨레 (AD) 2월 16일 KT 롤스터 KT Rascal 김광희 Cuzz 문우찬 VicLa 이대광 Aiming 김하람 Life 김정민 GIDEON 김민성 (정글) Aria 이가을 (미드) 3월 4일 한화생명 e스포츠 HLE DuDu 이동주 OnFleek 김장겸 Karis 김홍조 SamD 이재훈 Vsta 오효성 Willer 김정현 (정글) 3월 19일 프레딧 브리온 BRO Morgan 박기태 UmTi 엄성현 Lava 김태훈 Hena 박증환 Delight 유환중 Sw0rd 최성원 (탑) Raptor 전어진 (정글) 6월 11일 DRX DRX Kingen 황성훈 Pyosik 홍창현 Zeka 김건우 Deft 김혁규 BeryL 조건희 Taeyoon 김태윤 (AD) 6월 11일 = = = 로스터 변동 = = = 날짜 팀명 이름 포지션 구분 변동 사항 비고 2월 4일 (4주) DRX 김정수 감독 로스터 말소 (코치) → (말소) - 2월 4일 (4주) DRX 신동욱 코치 직책 변동 (코치) → 감독 대행 - 2월 9일 (4주) DRX Clear 송현민 탑 긴급 콜업 - - 2월 9일 (4주) DRX Peach 이민규 정글 긴급 콜업 - - 2월 9일 (4주) DRX SeTab 송경진 미드 긴급 콜업 - - 2월 9일 (4주) DRX Jun 윤세준 서포터 긴급 콜업 - - 2월 10일 (4주) Gen.G Lospa 박준형 서포터 긴급 콜업 - - 2월 11일 (4주) 농심 레드포스 FIESTA 안현서 미드 긴급 콜업 - - 2월 11일 (4주) 농심 레드포스 vital 하인성 AD 캐리 긴급 콜업 - - 2월 11일 (4주) 농심 레드포스 Blessing 이장원 서포터 긴급 콜업 - - 2월 12일 (4주) Gen.G Lospa 박준형 서포터 긴급 콜업 - - 2월 12일 (4주) Gen.G Quid 임현승 미드 긴급 콜업 - 탑으로 출전 2월 13일 (4주) 농심 레드포스 FIESTA 안현서 미드 긴급 콜업 - - 2월 13일 (4주) 농심 레드포스 vital 하인성 AD 캐리 긴급 콜업 - - 2월 13일 (4주) 농심 레드포스 DnDn 박근우 탑 긴급 콜업 - - 2월 14일 (5주) DRX 김상수 - 직책 변동 (신규) → 감독 - 2월 14일 (5주) DRX 신동욱 감독 대행 직책 변동 (감독 대행) → 코치 - 2월 14일 (5주) 광동 프릭스 MapSSi 김도영 서포터 샌드다운 - - 2월 14일 (5주) 농심 레드포스 vital 하인성 AD 캐리 콜업 - - 2월 14일 (5주) 농심 레드포스 Ghost 장용준 AD 캐리 포지션 변경 (AD 캐리) → 서포터 - 2월 14일 (5주) 농심 레드포스 Peter 정윤수 서포터 샌드다운 - - 2월 16일 (5주) 농심 레드포스 Sylvie 이승복 정글 긴급 콜업 - - 2월 16일 (5주) Gen.G Zest 김동민 탑 긴급 콜업 - - 2월 21일 (6주) 프레딧 브리온 Raptor 전어진 정글 콜업 - - 2월 21일 (6주) 농심 레드포스 Peter 정윤수 서포터 콜업 - - 2월 21일 (6주) 농심 레드포스 Ghost 장용준 서포터 포지션 변경 (서포터) → AD 캐리 - 2월 21일 (6주) 농심 레드포스 vital 하인성 AD 캐리 샌드다운 - - 2월 24일 (6주) 한화생명 e스포츠 Cheoni 조승모 AD 캐리 긴급 콜업 - - 2월 26일 (6주) 한화생명 e스포츠 Cheoni 조승모 AD 캐리 긴급 콜업 - - 2월 26일 (6주) 한화생명 e스포츠 Seonbi 구관모 정글 긴급 콜업 - - 2월 26일 (6주) 한화생명 e스포츠 Baut 한진솔 서포터 긴급 콜업 - - 2월 28일 (7주) KT 롤스터 VicLa 이대광 미드 콜업 - - 3월 3일 (7주) Gen.G Ophelia 백진성 미드 긴급 콜업 - AD 캐리로 출전 3월 5일 (7주) Gen.G Ophelia 백진성 미드 긴급 콜업 - AD 캐리로 출전 3월 5일 (7주) Gen.G Quid 임현승 미드 긴급 콜업 - - 3월 9일 (8주) Gen.G Ophelia 백진성 미드 긴급 콜업 - - 3월 10일 (8주) 리브 샌드박스 HamBak 함유진 정글 긴급 콜업 - LCK와 LCK CL 모두 참여 가능 3월 10일 (8주) 리브 샌드박스 Ten10 강준 미드 긴급 콜업 - LCK와 LCK CL 모두 참여 가능 3월 12일 (8주) 리브 샌드박스 HamBak 함유진 정글 긴급 콜업 - - 3월 12일 (8주) 리브 샌드박스 Ten10 강준 미드 긴급 콜업 - - 3월 12일 (8주) 리브 샌드박스 Prove 손민형 서포터 긴급 콜업 - - 3월 12일 (8주) 리브 샌드박스 정명훈 2군 감독 긴급 콜업 - - 3월 12일 (8주) 리브 샌드박스 박찬호 2군 코치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Soboro 임성민 탑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Listo 강우석 정글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Feisty 정성훈 미드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Gamin 가민준 AD 캐리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Loopy 김동현 서포터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김용연 2군 코치 긴급 콜업 - - 3월 13일 (8주) 프레딧 브리온 송무현 2군 코치 긴급 콜업 - - = = 정규 시즌 = = 순위 팀 승 패 득실차 결과 비고 1 T1 18 0 +29 플레이오프 2라운드 2 Gen.G 15 3 +18 플레이오프 2라운드 3 DWG KIA 11 7 +12 플레이오프 1라운드 4 DRX 11 7 +3 플레이오프 1라운드 5 광동 프릭스 8 10 -3 플레이오프 1라운드 순위 결정전 승 6 프레딧 브리온 8 10 -3 플레이오프 1라운드 순위 결정전 패 7 KT 롤스터 7 11 -5 시즌 아웃 8 농심 레드포스 5 13 -13 시즌 아웃 9 리브 샌드박스 4 14 -19 시즌 아웃 10 한화생명 e스포츠 3 15 -19 시즌 아웃 = = 포스트시즌 = = = =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 = 순위 팀 점수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결과 순위 팀 점수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결과 3 DWG KIA 3 DK DK DK x x PO 2라운드 6 프레딧 브리온 0 DK DK DK x x 6위 순위 팀 점수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결과 순위 팀 점수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결과 4 DRX 2 KDF DRX KDF DRX KDF 5위 5 광동 프릭스 3 KDF DRX KDF DRX KDF PO 2라운드 = =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 = 플레이오프 1라운드 경기 종료 이후, 1위 T1이 상대로 5위 광동 프릭스를 선택했고, 자동으로 2위 Gen.G의 상대는 3위 DWG KIA로 결정되었다. 순위 팀 점수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결과 순위 팀 점수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결과 1 T1 3 T1 T1 T1 x x 파이널 5 광동 프릭스 0 T1 T1 T1 x x 4위 순위 팀 점수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결과 순위 팀 점수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결과 2 Gen.G 3 DK GEN DK GEN GEN 파이널 3 DWG KIA 2 DK GEN DK GEN GEN 3위 = = = 파이널 = = = 순위 팀 점수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세트 결과 결과 순위 팀 점수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결과 1 T1 3 T1 GEN T1 T1 x 우승 2 Gen.G 1 T1 GEN T1 T1 x 준우승 = = 최종 순위 = = 순위 팀명 비고 1 T1 MSI 2022 진출 2 Gen.G 3 DWG KIA 4 광동 프릭스 5 DRX 6 프레딧 브리온 7 KT 롤스터 8 농심 레드포스 9 리브 샌드박스 10 한화생명 e스포츠 = = = 챔피언십 포인트 = = = = = 특별 시상 = = = = = LCK 어워드 = = = = = = LCK 올프로팀 = = = = = 기록 = = = = = 펜타킬 = = = 소환사명 포지션 경기 챔피언 날짜 DK deokdam AD 캐리 정규 시즌 33경기 1세트DK vs KDF 아펠리오스 2022년 2월 10일 NS Ghost AD 캐리 정규 시즌 60경기 1세트 LSB vs NS 징크스 2022년 2월 27일 = = = 기타 = = = 개인 데프트의 킬 기록(2월 24일): LCK 통산 2번째 2,000킬을 기록했다. 기인의 킬 기록(3월 5일): LCK 통산 18번째 1,000킬을 기록했다. 최고 POG 포인트(3월 17일): 캐니언이 POG 포인트 1600점을 기록했다. *팀 LCK 최초 기권패(3월 16일): GEN와 BRO의 82경기가 프레딧 브리온의 선수단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기권패 처리되었다. LCK 최초 정규 시즌 전승(3월 20일): T1이 정규 시즌 18승을 기록했다. LCK 통산 최초 10회 우승 팀(4월 2일): T1은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했다. LCK 통산 최초 10회 우승 선수(4월 2일): 페이커는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했다. = = 방송 = = 한국어 캐스터 : 전용준 성승헌 해설 위원 : 강범현 강승현 김동준 이현우 아나운서 : 윤수빈 이정현 분석 위원 : 이서행 하광석 남태유 = 두 문화 = 두 문화는 영국의 과학자 겸 소설가 찰스 퍼시 스노우가 행한 영향력 있는 1959년 리드 강좌의 제목이다. 그 주제는 현대 사회의 두 문화 곧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이 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것이었다. 스노우는 교육받은 과학자이면서 성공적인 소설가로서 그 문제의 거론에 알맞은 자격이 있었다. 그 강좌는 5월 7일 케임브리지 대학교 본부 세니트 하우스에서 열렸고, 이내 두 문화와 과학 혁명으로 출판되었다. 그 강좌와 책은 스노우가 역시 "두 문화"라는 제목으로 1956년 10월 6일에 출판된 뉴 스테이츠맨 잡지에 실은 논문을 확장한 것이었다. 스노우의 강좌가 책으로 출판되자 대서양 양쪽에서 널리 읽히고 토론되었으며, 그는 마침내 두 문화와 두 번째 시각: 두 문화와 과학 혁명의 확장판(1964)을 또 다시 쓰게 되었다. 그러나 스노우의 주장에 대한 비판이 없지 않았다. 예컨대, 문학평론가 프랭크 리비스는 더 스펙테이터에서 스노우를 조롱하고 그를 과학계의 PR 맨이라고 깎아내렸다. 그러나 더 타임스 리터러리 서플먼트는 두 문화와 과학 혁명을 2차 대전 이후 서방세계의 대중적 담론에 영향을 미친 백 권의 책에 포함시켰다.The hundred most influential books since the war TLS = = 함축과 영향 = = "두 문화"는 두 입장 차이를 나타내는 간편한 표현으로서 보편적인 어휘에 포함되었다. 그 두 입장이란: 과학적 방법은 언어와 문화 속에 뿌리박혀 있다는 관점으로 인문학을 뒤덮고 더욱 더 구성주의적으로 가는 세계관, 그리고 관찰자는 편견없이 문화와 상관없이 객관적으로 자연을 관찰할 수 있다고 보는 과학적 관점. 두 입장의 이같은 양극화는 정말 20세기 후반 학계의 한 쟁점이었다. 스노우의 원래 주장은 수사학적 도구에 의존했다. 스노우 자신도 다시 생각해보고 2분법적 단정에서 약간 후퇴했다. 그의 1963년 책에서 그는 '제3 문화'의 중재 가능성에 대하여 좀 더 낙관적으로 말했다. 이 개념은 나중에 존 브록맨이 1995년 책 제3 문화: 과학 혁명을 넘어서에서 다시 꺼냈다. 스테판 콜리니는 두 문화(1993)를 다시 인쇄할 때, 세월이 스노우가 주목했던 문화의 간격을 많이 줄였지만 모두 없애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스티븐 제이 굴드의 2003년 책 고슴도치, 여우, 그리고 훈장님의 발진은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그 책은 변증법적 해석을 내세워, "두 문화"라고 하는 스노우의 개념은 과녁을 빗나갔을 뿐만 아니라 근시안적이고 해로운 시각이며, 아마 수십 년간 필요없는 담 쌓기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노우의 기본 시각은 아직도 유효한 바: 인문학자들은 과학을 많이 알지 못하고 열역학 제2법칙을 몰라도 아무렇지도 않은 한편, 과학자는 세익스피어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정말이지 그의 연극을 많이 알지 못해도 아무렇지도 않다. 이같은 간격은 "두 문화"라는 간략한 기호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것은 스노우 경 덕택이다. = = 철학적 화신 = = 사이먼 크리칠리는 대륙 철학: 짧은 개요(2001, p. 49)에서 스노우의 강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시사했다: 다시 말해서, 스노우가 말한 바는 19세기 중엽에 유행했던 논쟁을 다시 표면화시킨 것이라고 크리칠리는 지적했다. 크리칠리는 리비스가 논쟁에 기여한 바는 '악의에 찬 인신공격'이었고, 나아가 토머스 헨리 헉슬리와 매슈 아널드를 또한 인용하면서 그 논쟁은 '영국 문화사에서 잘 알려진 충돌'(ibid, p. 51)이라고 지적했다. = = 스노우 인용 = = 1930년대 어느 날 고드프리 하디가 나에게 이렇게 말해서 좀 놀란 적이 있었다: *: 요즘 "지식인"이라는 말이 어떻게 쓰이는지 주목한 적 있소? 확실히 러더포드나 에딩턴이나 디락이나 아드리안이나 나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정의가 있는 것 같소. 그거 좀 이상한 것 같지 않소? 안그렇소? 전통 문화의 기준에 비추어 고등교육을 받았다고 여겨지고 과학자들의 무식함에 대하여 신이 나서 유감을 표명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나는 여러 번 참석했다. 한두 차례 당하고 나서, 나는 그들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열역학 제2법칙을 설명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반응은 싸늘했고 또 부정적이었다. 그때 나는 "당신은 세익스피어의 이 작품을 읽었습니까?"에 해당하는 과학자 입장의 질문을 던졌을 뿐이었다. 만일 내가 보다 더 쉬운 질문, 예컨대, "당신은 읽을 수 있습니까?"에 해당하는 질문, "당신에게 질량 또는 가속도는 무슨 뜻입니까?"라고 물었다면, 고등교육을 받은 열 사람 가운데 불과 한 사람이 내가 자기와 같은 언어를 쓰고 있다고 여겼을 것이라고 이제 나는 믿는다. 현대과학의 거대한 건축물이 이렇게 높아지는데, 서양에서 가장 머리좋은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것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이 구석기 선조들의 수준이다. 기술은 [...] 요물이다. 그것은 한편 당신에게 선물을 주고, 다른 한편 당신의 등을 찌른다. = 가이에다 = 가이에다(海江田)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가이에다 반리: 일본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 가이에다 노부요시: 막말의 사쓰마번사출신으로 일본 제국의 정치인, 화족 = 신리항 (울주군) = 신리항(新里港)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에 위치한 어항이다. 2004년 9월 23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울주군청이다. = = 어항시설 = = 방파제, 물양장 = = 주요 어종 = = 멸치, 잡어 = = 주변 볼거리 = = 고리원자력발전소 = 틀:나라자료 쿠알라룸푸르 = = 퍼시픽 항공 = 퍼시픽 항공은 베트남의 저비용 항공사로 떤선녓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두고있다. = = 역사 = = 1991년 퍼시픽 항공 (Pacific Airlines)으로 설립되었다. 지난 2008년, 콴타스 항공이 주식을 인수하여 제트스타 항공과 제휴하였으며 사명을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으로 변경하였다. 당시, 베트남 정부의 외자 규제 정책으로 인해 회사명, 로고, 기체 도장 변경을 요구하였으며 2014년까지 보유 대수를 15대로 늘릴 계획이었다. 2020년, 베트남 항공이 콴타스 항공의 지분을 인수하여 사명을 창립당시의 사명인 퍼시픽 항공으로 변경하였으며 2025년까지 항공기 보유 수를 40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 = 운항 노선 = = 허브 포커스 시티 계절편 및 전세편 취항 예정 노선 단항 노선 나라 도시 공항 각주 방콕 수완나품 공항 치앙마이 치앙마이 국제공항 부온마투옷 부온마투옷 공항 껀터 껀터 국제공항 달랏 리엔크엉 국제공항 다낭 다낭 국제공항 동허이 동허이 공항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하이퐁 깟비 국제공항 호찌민 떤선녓 국제공항 나트랑 깜라인 국제공항 푸꾸옥 푸꾸옥 국제공항 쁠레이꾸 쁠레이꾸 공항 꾸이년 푸깟 공항 타인호아 토쑤언 공항 뚜이호아 뚜이호아 공항 빈 빈 국제공항 창사 창사 황화 국제공항 광저우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우한 우한 톈허 국제공항 홍콩 홍콩 국제공항 가오슝 가오슝 국제공항 타이베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마카오 마카오 국제공항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싱가포르 싱가포르 창이 공항 = = 보유 기종 = = 2020년 8월 기준으로 퍼시픽 항공은 다음의 항공기를 보유 중이다. 퍼시픽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에어버스 A320-200 15 0 180 과거의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의 항공기 합계 15 0 = 아라이 쇼타 (1988년) = 아라이 쇼타(, 1988년 11월 1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현재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에서 뛰고 있다. = 구룡로 = 구룡로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구룡로는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구룡로는 경상북도 경산시와 청도군을 잇는 도로이다. = 역사채널e = 역사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송하는 5분 정도 길이의 단편 역사 프로그램이다. 일정 기간 동안 방영한 에피소드의 내용을 모아 역사 e라는 이름의 책도 발간하는데, 2016년 12월까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서적 다섯 권이 출간되었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EBS 1TV 2011년 10월 7일 ~ 2012년 2월 24일 매주 금요일 오후 8:45 (본방송) EBS 1TV 2011년 10월 7일 ~ 2012년 8월 17일 매주 금요일 오전 12:00 (재방송) EBS 1TV 2012년 3월 2일 ~ 2012년 8월 24일 매주 금요일 오후 8:25 (본방송) EBS 1TV 2012년 8월 31일 ~ 2013년 8월 23일 매주 금요일 오후 2:00 (본방송) EBS 1TV 2012년 8월 31일 ~ 2013년 2월 22일 매주 금요일 오후 8:25 (재방송) EBS 1TV 2013년 3월 1일 ~ 2013년 8월 23일 매주 금요일 오후 7:25 (재방송) EBS 1TV 2013년 8월 30일 ~ 2014년 2월 21일 매주 금요일 오후 11:35 (재방송) EBS 1TV 2013년 8월 30일 ~ 2014년 2월 21일 매주 금요일 오후 1:05 (본방송) EBS 1TV 2014년 2월 27일 ~ 2016년 2월 25일 매주 목요일 오후 1:05 (본방송) EBS 1TV 2014년 2월 28일 ~ 2016년 8월 26일 매주 금요일 오전 12:05 (재방송) EBS 1TV 2016년 3월 3일 ~ 2017년 2월 23일 매주 목요일 오후 12:40 (본방송) EBS 1TV 2016년 8월 31일 ~ 2017년 2월 22일 매주 수요일 오후 12:40 (전주재방송) EBS 1TV 2017년 4월 29일 ~ 2018년 2월 24일 매주 토요일 오후 5:40 (본방송) = = 책 = = 《역사 e 1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북하우스, 2013년. 《역사 e 2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북하우스, 2013년. 《역사 e 3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북하우스, 2014년. 《역사 e 4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북하우스, 2016년. 《역사 e 5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북하우스, 2016년. = 분류:파라과이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 구름 조금 = 구름 조금(Partly Cloudy)은 미국에서 제작된 피터 손 감독의 2009년 애니메이션, 코미디, 가족, 판타지 영화이다. 토니 퍼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케빈 레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픽사의 장편 영화 업이 상영되기 전 극장에서 상영되었으며 DVD와 블루레이를 장식했다. 2009년 애니메이션 쇼 오브 쇼에 포함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토니 퍼실 로리 리처드슨 = 아르투르 모라이스 = 아르투르 길례르미 모라이스 구즈망 (Artur Guilherme Moraes Gusmão, 1981년 1월 25일, 레메 ~), 혹은 줄여서 아르투르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현재 프리메이라리가의 데스포르티부 아베스에서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다. 2011-12 시즌 프리메이라리가 SL 벤피카에서 전반기 우수한 활약으로, 그는 벤피카 팬으로부터 "아서왕" (Rei Artur) 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 = 클럽 경력 = = = = = 크루제이루 EC = = = 아르투르는 크루제이루 EC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그는 2006-2007 시즌에 코리치바 FC로 임대되었다."Artur joga nesta tarde" , 2007년 3월 3일. 그는 2006 시즌에 클레베르와 호드리구를 밀어내고 주전 골키퍼 자리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2007 시즌에는 에드손 바스투스가 주전 골키퍼였다. = = = 이탈리아 무대 = = = 아르투르는 2008년 1월 4일, 크루제이루 EC와의 계약이 만료된 후, AC 시에나와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Formalizzato l'acquisto di Porta. Tesserato Gusmao" , 2008년 1월 4일. 같은 해 1월 30일, 그는 AC 체세나로 임대되었다. 2008년 6월 25일, 아르투르는 AC 시에나에서 팀 동료 시모네 로리아와 함께 AS 로마로 이적하였다. AS 로마 이적에는 골키퍼 지안루카 쿠르치를 AC 체세나와의 공동 소유 계약과 미드필더 아메드 바루소의 AC 시에나 임대 이적이 포함되었다. 다니엘레 갈로파는 로마와 시에나가 공동 소유하였고, 계약 만료 후 시에나 선수가 되었다.OPERAZIONI DI MERCATO REALIZZATE ALLA DATA DEL 25 GIUGNO 2008 , .pdf 파일. 그는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의 비공식 친선경기에서 데뷔하였지만, 팀은 1-3으로 패하였다."Spalletti Left Sour By Steaua", 2008년 7월 27일. 2009년, 그는 주전 골키퍼 도니의 부상으로 줄리우 세르지우와 피에트로 피폴로 골키퍼를 제치고 주전이 되었다. 2009-10 시즌, 그는 주전 자리를 잃었고, 감독은 줄리우 세르지우를 주전으로 보그단 로본츠와 도니를 백업 골키퍼로 사용하였다. = = = 포르투갈 무대 = = = 2010년부터, 그는 포르투갈에서 활약하기 시작하였다. = = = = SC 브라가 = = = = 2010년 여름, 그는 에두아르두와 파베우 키예셰크를 잃은 SC 브라가로 이적하였다. 브라가는 큄의 부상으로 인해 마리우 펠구에이라스의 백업이었는데 UEFA 챔피언스리그 2010-11에서 조3위로 밀려 탈락하였다. 그 후, 그는 펠리페의 백업이 되었고, 마르쿠스가 그를 백업하였다. 펠리페가 12월에 브라질로 돌아간 후, 그는 주전으로 도약하였다. = = = = SL 벤피카 = = = = 2011년 5월 16일, 아르투르는 SL 벤피카와 4년 계약을 맺었다."Artur Joins Benfica", 2011년 5월 16일. = = 수상 = = 브라질 세리에 A: 2003 브라질 세리에 B: 2007 브라질 컵: 2003 미나스제라이스 주 챔피언쉽: 2003, 2004 = 나탈리 글레보바 = 나탈리 글레보바(Natalie Glebova, 1981년 11월 11일 ~ )는 러시아 출신 캐나다의 텔레비전 사회자, 작가, 댄서, 모델, 미인 대회 우승자이다. 2005년 미스 유니버스 캐나다 우승자이며 2005년 미스 유니버스에서 캐나다 대표로 참가해 우승했다. = 분류:바일레 BK의 축구 선수 = = 1961년 일본 시리즈 = 1961년 일본 시리즈는 1961년 10월 22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린 일본 프로 야구의 일본 시리즈 경기이다. 센트럴 리그 우승 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총 6차례의 접전을 펼친 끝에 퍼시픽 리그 우승팀 난카이 호크스를 누르고 4승 2패의 성적을 기록, 1955년 이후 6년 만에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 감독 = = 소속 리그 소속 감독 센트럴 리그 요미우리 자이언츠 가와카미 데쓰하루 퍼시픽 리그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 = 경기 일정 = = 1차전 : 10월 22일 2차전 : 10월 24일 3차전 : 10월 26일 4차전 : 10월 29일 5차전 : 10월 30일 6차전 : 11월 1일 = =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 = = = = = 1차전 = = = 10월 22일 - 오사카 구장 = = = 2차전 = = = 10월 24일 - 오사카 구장 = = = 3차전 = = = 10월 26일 - 고라쿠엔 구장 = = = 4차전 = = = 10월 29일 - 고라쿠엔 구장 = = = 5차전 = = = 10월 30일 - 고라쿠엔 구장 = = = 6차전 = = = 11월 1일 - 오사카 구장(연장 10회) = = 수상 선수 = = MVP·수위 타자상 : 미야모토 도시오(요미우리) 감투상 : 조 스탠카(난카이) 기능상 : 나카무라 미노루(요미우리) 우수 선수상 : 시오바라 아키라(요미우리) 최우수 투수상 : 호리모토 리쓰오(요미우리) = 노르웨이 왕세자빈 메테마리트 = 노르웨이 왕세자빈 메테마리트(, 1973년 8월 19일 ~ )는 호콘 왕세자의 아내로, 현재 노르웨이의 왕세자빈이다. 결혼하기 전의 이름은 메테마리트 셰셈 호이뷔(Mette-Marit Tjessem Høiby)였다. 호콘 왕세자와 혼전에 마피아와 관계를 가져, 마리우스 보르 호이뷔(Marius Borg Høiby)라는 아들이 있던 미혼모 여성이었다. 이 때문에 호콘 왕세자와 그녀의 결혼 문제는 노르웨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었다. 왕세자비가 된 이후에도 두 명의 아이를 더 낳아, 장녀인 잉리드 알렉산드라 공주는 현재 노르웨이의 왕위 계승 순위 서열 2위다. = 이시 = 이시는 다음을 가리킨다. 이시(李詩): 이백의 시 EC 2C = So Far Gone = So Far Gone은 다음을 의미한다. So Far Gone (믹스테이프) So Far Gone (EP) = 국도 제9호선 (일본) = 국도 제9호선은 일본 교토부 교토시 시모교구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를 잇는 총 연장 759.2 km 구간을 가진 일본의 일반 국도이다. = = 주요 경유지 = = 교토부 교토시 시모교구 - 교토 시 우쿄구 - 교토 시 니시쿄구 - 가메오카시 - 난탄시 - 후나이군 교탄바정 - 후쿠치야마시 효고현 아사고시 - 야부시 - 미카타 군 가미 정 - 미카타 군 신온센정 돗토리현 이와미군 이와미정 - 돗토리시 - 도하쿠군 유리하마정 - 도하쿠 군 호쿠에이정 - 도하쿠 군 고토우라정 - 사이하쿠군 다이센정 - 요나고시 - 사이하쿠 군 히에즈촌 - 요나고 시 시마네현 야스기시 - 마쓰에시 - 이즈모시 - 오다시 - 고쓰시 - 하마다시 - 마스다시 - 가노아시군 쓰와노정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 우베시 - 산요오노다시 - 시모노세키시 009 = 틀: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 = = 틀: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미들급 금메달리스트 = = 백혜선 = 백혜선(1965년 6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이다. = = 생애 = =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태어났으며 서울 예원학교 2학년 때에 미국으로 건너가 뉴잉글랜드음악원에서 러셀 셔먼 교수와 그의 부인 변화경 교수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991년, 세계 3대 음악 콩쿠르 중 하나인 퀸 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1989년 미국 윌리엄 카펠 국제 콩쿠르에 1위에 입상했다. 입상 직후에 뉴욕 링컨센터에서 가진 독주회에서는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세계무대 데뷔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1990년, 헬렌 하트 국제 콩쿠르에 2위위에 입상했고, 같은해 영국 리즈 국제 콩쿠르에 입상하여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1994년 6월,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피아노 부문에서 1위없는 3위에 입상하며 세계 음악계에서 다시 주목을 받았다. 당시 그녀는 한국 국적을 가진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최초의 입상자라는 기록을 함께 남겼다. 입상직후 그녀는 서울대 사상 최연소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곧바로 휴직하고 1995년부터 2년간 이탈리아 코모호의 국제음악재단이 제공하는 연구 프로그램에 최초의 여성 피아니스트로 선정되어 세계적인 대가인 피아니스트 머레이 프라이어, 알렉시스 바이젠버그, 레온 프레이셔, 후쫑, 디미트리 바쉬키레프, 로잘린 투렉 등의 지도와 수많은 연주회를 통해 더욱 성숙한 피아니스트로 성장했다. 1996년, 한국 출신의 음악가로는 네번째, 피아니스트 가운데선 첫번째로 세계 메이저 음반사인 EMI와 전속계약을 맺어 화제가 되었다. 1998년, 멘델스존의 "무언가" 등을 수록한 첫번째 음반 "데뷔"블 발매했다. 1999년, 소품 모음집 "사랑의 인사-즉흥과 변주"를 발매했다. 2002년, 일본 사이타마현 문화예술재단에 의해 현존하는 세계 100대 피아니스트로 선정되었다. 2003년, 리스트의 작품들로만 구성한 음반, "혜선 백 플레이즈 리스트-사랑의 꿈"을 발매했다. 2008년, 미국의 브리지 레이블로 첼리스트 로렌스 레서와 함께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전곡 음반을 발매했다. 2018년부터 3년 동안 롯데콘서트홀에서 "백혜선의 베토벤"으로 베토벤 소나타 전곡 및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 프로젝트를 가졌다. 2020년, 대구콘서트하우스와 대구시향 초청 "2020 시민들을 위한 대구 힐링음악회"로 코로나로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며 호평을 받았다. 같은해에 KBS교향악단과 함께 특별연주회를 가졌다. 2021년, 아트센터인천에서 "2021 작곡가 시리즈", 2021년 평창대관령음악제에 초청되어 연주회를 가졌다. 2023년 1월, 피아노 앞에 앉은 50여 년의 세월 동안 얻은 인생 내공을 담은 에세이 "나는 좌절의 스페셜리스트입니다"를 출간했다. = 분류:미쓰케시의 건축물 = = AMD 페넘 = 페넘은 미국 AMD사가 제조한 쿼드 코어/트리플 코어 데스크톱 중앙처리장치이다. 기존과 달리 K10 마이크로아키텍처로 설계되었다. = = 시리즈 번호 = = 시리즈 번호VR-Zone report , retrieved October 9, 2007 시리즈 번호VR-Zone report , retrieved October 9, 2007 시리즈 번호VR-Zone report , retrieved October 9, 2007 시리즈 번호VR-Zone report , retrieved October 9, 2007 시리즈 번호VR-Zone report , retrieved October 9, 2007 프로세서 시리즈 계열 표기 페넘 X4 쿼드 코어 (아제나-Agena) X4 9 페넘 X3 트리플 코어 (톨리먼-Toliman) X3 8 애슬론 듀얼 코어 (쿠마-Kuma) X2 7/6 애슬론 싱글 코어 (리마-Lima) 1 셈프론 싱글 코어 (스파르타-Sparta) 1 = = TLB 에러 (B2 스테핑) = = 페넘과 3세대 옵테론 프로세서의 B2 스테핑에서는 가상화 환경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시스템이 셧다운 되는 에러가 발견되었으며, TLB의 문제로 생긴 에러라는 것이 밝혀졌다. 인텔의 코어2 제품군의 콘로 B2 스테핑에서 발견된 TLB 에러와 바이오스나 운영체제등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에서는 같으나, 페넘 B2 스테핑에서 발견된 TLB 에러는 바이오스 또는 프로그램(AMD 오버드라이브)를 통해 해결은 가능하나 평균 20% 정도의 비교적 큰 성능 하락이 있어 콘로 B2 스테핑의 경우와 달리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윈도우 비스타 SP1에서는 해결된 것이 기본값이며, 마찬가지로 성능하락이 있다. AMD는 B3 스테핑에서는 성능저하 없이 오류를 해결하였다. 한편, 리눅스는 커널 패치를 통해 1% 정도의 성능 하락으로 페넘 B2 스테핑의 TLB 에러를 해결하였다.Linux kernel patch reveals TLB bug's workings - The Tech Report = = 차세대 페넘 (페넘 II) = = AMD K10.5 아키텍처로 개발되었으며, 공식적으로 페넘 II로 명명되었다. = = 제품군 = = AMD 페넘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은 제품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까지의 모든 제품군은 65nm 공정과 SSE4A의 지원, 2MB의 L3 캐시, 코어당 128KB의 L1캐시와 512KB의 L2캐시를 공통적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940핀, HT 3.0의 소켓 AM2+ 형식으로 출시된 바 있으며, 바이오스 업데이트 만으로 소켓 AM2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일부의 메인보드만이 해당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지원한다. 페넘 X2로 알려졌던 쿠마는 애슬론 X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 = 페넘 X4 시리즈 (쿼드 코어) = = = = = = = 아제나 (65 nm) = = = = = = = = = B3 스테핑 = = = = = B2 스테핑에서 발생하던 TLB 에러를 해결한 버전이다. AMD 페넘 X4 아제나 9950 블랙 에디션(2.6GHz, HT 4.0GT/s, TDP 140W, 배수제한 없음) AMD 페넘 X4 아제나 9850 블랙 에디션(2.5GHz, HT 4.0GT/s, TDP 125W, 배수제한 없음) AMD 페넘 X4 아제나 9750 (2.4GHz, HT 3.6GT/s, TDP 95/125W) AMD 페넘 X4 아제나 9650 (2.3GHz, HT 3.6GT/s, TDP 95W, OEM용으로만 공급) AMD 페넘 X4 아제나 9550 (2.2GHz, HT 3.6GT/s, TDP 95W) AMD 페넘 X4 아제나 9350e (2.0GHz, HT 3.6GT/s, TDP 65W) AMD 페넘 X4 아제나 9150e (1.8GHz, HT 3.2GT/s, TDP 65W) = = = = = B2 스테핑 = = = = = AMD 페넘 X4 아제나 9600 블랙 에디션(2.3GHz, TDP 95W, 배수제한 없음) AMD 페넘 X4 아제나 9500 (2.2GHz, TDP 95W) AMD 페넘 X4 아제나 9100e (1.8GHz, TDP 65W) = = = 페넘 X3 시리즈 (트리플 코어) = = = = = = = 톨리만 (65 nm, HT 3.6GT/s) = = = = = = = = = B3 스테핑 = = = = = B2 스테핑에서 발생하던 TLB 에러를 해결한 버전이다. AMD 페넘 X3 8750 (2.4GHz, B3, TDP 95W) AMD 페넘 X3 8650 (2.3GHz, B3, TDP 95W) AMD 페넘 X3 8450 (2.1GHz, B3, TDP 95W) = = = = = B2 스테핑 = = = = = AMD 페넘 X3 8600 (2.3GHz, B2, TDP 95W, OEM용으로만 공급) AMD 페넘 X3 8400 (2.1GHz, B2, TDP 95W, OEM용으로만 공급) = = 블랙 에디션 (Black Edition) = = 블랙 에디션은 CPU에 걸려 있는 상향 배수 조절 제한(배수락) 을 제거한 모델이다. 일반 모델과 다른 박스에 담겨있다. 90nm 윈저 코어의 애슬론 64 X2 6400+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바 있으며, 페넘 쿼드코어 제품군으로는 X4 9950과 9850, 9600, 트리플 코어 제품군으로는 X3 8750이 있다. = 외리안스 발 = 외리안스 발은 스웨덴 할름스타드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1922년 7월 30일에 개장했다. 할름스타드 BK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5,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1958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선정되었다. = 분류:멕시코의 필드하키 = = 비모순율 = 비모순율(非矛盾律, ) 또는 무모순율(無矛盾律)은 논리학의 법칙 중 하나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어느 사물에 대하여 같은 관점에서 동시에, 그것을 긍정하면서 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모순율(矛盾律,)이라고도 부른다. 명제논리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된다. 동일률, 배중률과 함께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사고법칙 중 하나이다. = = 해석 = = 앨런 블룸에 따르면, 「철학의 전제인 이성적 회화의 기반이기도 한 모순율을 명기한 최초의 예」는 플라톤의 국가(Politeia)이다. 그 중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대사에 「같은 사물이, 같은 부분에 대하여, 그리고 같은 사물과의 관련에서, 정반대의 것이 동시에 일어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가 있다.(436B)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이것은 기본적인 사고원리이며, 너무나도 기본적이기 때문에 비모순율에 반대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 인물도 비모순율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 납득시킬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여러 명제는 참(眞)이자 거짓(僞)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의 경우도 고려했다. 그리고 그런 사람에게 있어서는, 어떤 길도 메가라에 도달하는 것은 참일 터인데, 어째서 아테네에서 메가라에 갈 때에 특정한 길을 고르는 건지 묻게 된다고 한다. 비모순율은 「절대적 진리」의 검증에 자주 쓰인다. 이를테면, 기독교 등의 특정 종교들은 우주에 유일절대의 신이 있다는 신념에 기반한다. 다른 종교는 다수의 신의 존재를 주장하고 있다. 논리의 원직인 비모순율에 따르면, 다수의 신이 있거나 없거나 중 하나만이 성립하며, 양쪽이 함께 성립하는 일은 없다. = = 증명·반증불가능성에 대한 의문 = = = = 인용 = = 「비모순율을 부정하는 자는, 맞는 것과 맞지 않는 것 같지 않다고 인정할 때까지 얻어맞고, 구워지는 것이 구워지지 않는 것과 같지 않다고 인정할 때까지 구워야 한다」(이븐 시나, 중세의 철학자)Avicenna, Metaphysics, I; commenting on Aristotle, Topics I.11.105a4–5. 「같은 사물이 같은 물체에 같은 관점으로 속하면서 동시에 속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불가능하다」(아리스토텔레스,《형이상학》) = 발포 = = = 지명 = = 발포리 발포항 발파라이소 대학교의 다른 이름 발포(Valpo) = 카스타 = 카스타는 다음과 같다. 기아 카스타: 1999년 4월 15일에 출시한 기아자동차의 중형 미니밴 레티시아 카스타: 프랑스의 배우, 모델 = 정사랑 = 정사랑(2009년 8월 25일 ~)은 걸그룹 비타민의 멤버이자 아역 배우이다. = 열혈공민 = 열혈공민(熱血公民)은 홍콩의 우익 대중주의 개헌파 정당이다. 2012년 황양달이 세운 시민단체를 그 모체로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정부의 홍콩 정치 개입을 강하게 거부하며, 항의시위에 있어서도 전투적인 양상을 보인다. 중국 공산당이 무너져야 한다고 주장하며Ending the party … with thought power?, SCMP, 12 June 2014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 보라정치학원, 홍콩부흥회와 단일화하여 정송태를 당선시켰다. 이후 조직 내 유일한 의원인 정송태가 지도부를 잡고 시민단체를 정당으로 전환시켰다. 2021년 9월 3일에 해산했습니다. = 분류:중국의 남자 연극 배우 = = 타임 랩스 (동음이의) = 타임 랩스(Time lapse)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저속 촬영 타임 랩스 (영화): 2014년 영화 Time Lapse (음반): 영국의 기타리스트 스티브 해킷의 음반 Time Lapse (노래): Poppin'Party의 일곱 번째 싱글 = 틀:1928-1931년 일식 = 1928년~1931년 일식 1928년~1931년 일식 1928년~1931년 일식 1928년~1931년 일식 1928년~1931년 일식 승교점 승교점   강교점 강교점 117 1928년 5월 19일

완전일식   122 1928년 11월 12일

부분일식 127 1929년 5월 9일

완전일식   132 1929년 11월 1일

금환일식 137 1930년 4월 28일

혼성일식   142 1930년 10월 21일

완전일식 147 1931년 4월 18일

부분일식   152 1931년 10월 11일

부분일식 = 분류: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육상 = 트리니다드 토바고 육상 트리니다드 토바고 = 분류:5월 20일 = = 야생동물의 세계 = 야생동물의 세계는 ITV 경인방송에서 방송되었던 다큐멘터리 정보 프로그램이다. = 실크 (동음이의) = 실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실크(silk)는 명주를 가리키는 영어 낱말이다. 실크(cilk)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하나이다. 실크(Silk)는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캐릭터이다. 실크 (2006년 영화) 실크 (2007년 영화) 실크에어 = 릴로 브란카토 = 릴로 브란카토(Lillo Brancato Jr., 1976년 3월 30일 ~ )는 콜롬비아의 배우이다. 보고타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데드 온 어라이벌 (2017년) 새터데이 모닝 (2007년) Slingshot (2005) 서칭 포 바비 D (2005년) - 바비 역 다운타운: 어 스트리트 테일 (2004년) 더 리얼 딜 (2002년) 플루토 내쉬 (2002년) 크리스마스 (2001년) - 남편 역 인 더 샤도우 (2001년) 테이블 원 (2000년) 소프라노스 (1999년) 프러바커터 (1998년)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1998년) 크림슨 타이드 (1995년) 르네상스 맨 (1994년) - Pvt. 도니 베니테즈 역 브롱스 이야기 (1993년) - 칼로게로 - 17세 역 = 분류:스페인에 거주한 나이지리아인 =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는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외전이다. 원작의 히로인인 미사카 미코토의 시점으로 진행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줄여서 어과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 = 만화 =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의 원작 만화는 2007년 4월부터 월간 코믹 전격 대왕에서 연재중이다. 2007년 11월 10일, 만화책 제 1권이 출시되었다. = = 애니메이션 = = = = = 1기:어떤 과학의 초전차포 = = = = = = 2기:어떤 과학의 초전차포 S = = = 애니메이션 2기는 2013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총 24화 분량으로 진행되었다. 초반부는 시스터즈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반부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내용인 사일런트 파티로 구성되었다. 2기의 퀼리티는 확실히 1기에 비해 훨씬 높아졌다. 더 깔끔해진 작화와 퀼리티가 높아지고 분량도 많아진 액션씬은 좋은 흥행에 이루었고,이 작품의 원작이 되는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을 뛰어넘는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 = = 3기:어떤 과학의 초전차포 T = = = 애니메이션 3기는 2020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24화 분량으로 제작이 예정되어 있다. 초반부는 대패성제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0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해 7화가 한주 늦게 미뤄져 올라오고 8화 이후 일정이 약 1달정도 미뤄졌다. = 파르마 공작 = 파르마 공작은 이탈리아에 있던 파르마 공국(1545 - 1802, 1814 -1860)의 공작이다. = = 파르네세가 1545–1731 = = 루이지 (1545–1547) 오타비오 (1547–1586) 알레산드로 (1586–1592) 라누치오 1세 (1592–1622) 오도아르도 (1622–1646) 라누치오 2세 (1646–1694) 프란체스코 (1694–1727) 안토니오 (1727–1731) = = 부르봉가 1731-1735 = = 카를로 1세(1731-1735) = = 합스부르크가 1735–1748 = =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6세 (1735–1740)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1740–1748) = = 보르보네파르마가 1748–1803 = = 필리포 1세(1748–1765)-스페인의 펠리페 5세의 7남(8번째 자녀). 페르디난도 1세(1765–1802) = = 프랑스의 점령 1802-1814 = = 180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점령으로 공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한다. 이후 공국은 1814년에야 재건된다. 조반니자코모레기스 디 캄바케레스 카를로프란체스코 레브룬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 1814–1847 = = 마리 루이즈(1814 - 1847) = = 보르보네파르마가 1847–1860 = = 카를로 2세(1847 – 1848) 카를로 3세(1848–1854) 로베르토 1세(1854–1860) = 임정현 (프로게이머) = 임정현(1990년 12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웅진 스타즈, KT 롤스터 소속의 저그 유저였다. 아이디는 crazy-hydra이다.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위너스리그 4라운드 마지막 경기인 MBC게임 히어로와의 경기에서 0:2 의 상황에서 출전하여 4:2 로 올킬을 기록하며 생애 첫 올킬이자, 시즌 저그로 두 번째 올킬(첫 번째 올킬은 이제동)을 달성하는 파란을 보여주었다. 2011년 3월 28일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 김현우와 마찬가지로 저저전이 상당히 강해 '저그전 스페셜리스트'로 불리고 있다. 10-11 포스트시즌에서는 많이 활약을 못했지만, 새 시즌에 들어서 8승 2패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포스트시즌에서도 김성대, 고강민과 함께 중요한 경기를 많이 승리하여 KT를 3연속 결승진출에 올리는데 성공하였다. 2013년 9월 3일에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게임을 그만두게 됐음을 밝혔다. = = 방향키 컨트롤 = = 임정현은 여타 지금까지 많은 프로게이머들과 달리 방향키 컨트롤을 하는 프로게이머이다. 이미 데뷔이전부터 방향키 컨트롤로 일부 알려진 바가 있으며, 프로게이머 데뷔이후에도 방향키 컨트롤로 신예중에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인터뷰에서도 방향키 컨트롤에 대해 언급 된 바가 있다. 지난 10월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패자전에서 권수현(CJ 엔투스)을 꺾고, 최종전에서 김창희(당시 하이트 스파키즈, 현재 영구제명)를 꺾을 때 이 컨트롤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 주요 기록 = = = = = 전적 = = = 통산전적 (13.04.30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 승-패 승률 대 테란 29 13–16 44.8% 대 저그 51 29–22 56.9% 대 프로토스 34 16–18 47.1% 총합 114 58–56 50.9% = = = 수상 경력 = = = = = = = 스타크래프트 = = = = 2007년 1월 제28회 커리지매치 입상 2009년 12월 NATE MSL 2009 32강 = = = = 스타크래프트 II = = = = 2013년 2월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32강 2013년 3월 WCS 코리아 2013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II 리그 Code S 32강 2013년 5월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24강 2013년 7월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48강 = 세인츠 로우 (2006년 비디오 게임) = 세인츠 로우(Saints Row)는 2006년 8월에 발매된 세인츠 로우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이며, 볼리션이 개발하여 THQ가 유통하였다. 엑스박스 360만으로 나왔으며 당시 차세대 게임기의 HD 화면으로 즐길 수 있는 샌드박스 액션 게임이었다. 주인공이 정해진 GTA 시리즈와 달리 이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직접 주인공을 꾸밀 수 있다. 첫번째 작품이라 그런지 유일하게 주인공이 보스가 아닌 말단으로 시작한다. 갱단간의 전쟁이 주된 스토리이기 때문에 플레이 하다보면 아군 세인츠들을 불러서 전투에 데려갈 수 있다. 이 게임은 가상의 미국 내 도시인 스틸워터를 배경으로 한다. = MLB.com = MLB.com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어드밴스드 미디어가 운영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공식 웹사이트이다. MLB.com은 야구 관련 정보, 뉴스, 통계, 칼럼 등을 제공하고 있다. MLB.tv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경기를 볼 수 있는 인터넷 텔레비전이다. = 분류:브라티슬라바의 교통 = = 분류:전후 쇼와 시대의 내각 = = 이진설 = 이진설(李鎭卨, 1939년 3월 25일 ~ 2019년 2월 17일, 경북 구미)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이자 교육자, 기업인이다. 고등고시 행정과 13회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고, 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장, 공정거래실장, 재무부 제2차관보,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을 거쳐, 건설부 장관을 지냈다. 공직 퇴임 후에는 안동대학교 총장, 서울산업대학교 총장을 거쳐 센트럴시티의 회장으로 재직하였다. 2019년 2월 17일, 79세를 일기로 숨졌다. = = 학력 =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분류:수단의 대외 관계 = = 무령왕릉 석수 = 무령왕릉 석수(武寧王陵 石獸)는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석수(石獸)란 돌로 만든 동물의 상(像)으로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 전시되고 있다.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62호로 지정되었다. 발굴보고서에 재료가 응회암이라고 나오나, 확인이 필요하다. = = 개요 = =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이다. 석수(石獸)란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 무령왕릉 석수는 높이 30.8cm, 길이 49cm, 너비 22cm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입은 뭉뚝하며 입술에 붉게 칠한 흔적이 있고, 콧구멍 없는 큰 코에 눈과 귀가 있다. 머리 위엔 나뭇가지 형태의 철제 뿔이 붙어있다. 몸통 좌우, 앞·뒤 다리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날개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꼬리가 조각되어 있으며 배설 구멍이 달려 있을 정도로 사실적이다.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 = 사진 = = King Muryeong's tomb 2.jpg King Muryeong's tomb 3.jpg = 분류:1954년 건축 = = 시모무라 하쿠분 =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1954년 5월 23일 ~ )은 일본의 정치가이다. 2013년 현재 일본의 문부과학상. 중의원 의원. = = 생애 = = 일본 군마현 출신.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를 교통사고로 잃었다. 1979년 와세다대학교 교육학부를 졸업했다. 1989년 도쿄도 의원 선거 당선. 1996년 중의원 의원 첫 당선(자유민주당). 지역구는 중의원 도쿄도 제11구이다. = 찰스 에스튼 = 찰스 에스튼(, 1965년 9월 9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스윙 보트 (2008) 빅 러브 (2006) 더 오피스 1 (2005) 노바디 노우스 애니씽! (2003) 더 조니 크로니클즈 (2002) 텐 미니츠 - 트럼펫 (2002) 61* (2001) 로켓 파워 (1999) 포스트맨 (1997) 더 드류 캐리 쇼 (1995) 못말리는 번디 가족 (1987) = 분류:2018년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 = = 그라디우스 2 = 그라디우스 2(Gradius 2, Nemesis 2, Nemesis '90 Kai)는 일본 코나미사의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1987년에 제작되었다. 그라디우스의 후속작이며, MSX 전용으로 발매된 게임이다. = = 스토리 = = 악역으로 ‘베놈’이라는 인물이 추가되었다. 베놈은 그라디우스 제국의 공직자였으나 쿠데타를 일으키다 진압되어 그라디우스 성계의 행성 ‘신’(Sin)으로 추방된 후 박테리안에 의해 해방되어 그라디우스 제국과 식민지 네오 스페이스 플랜트를 공격한다. 그라디우스 제국은 이에 맞서기 위해 빅 바이퍼 계열의 신형 전투기 ‘메탈리온’을 출격시킨다. = = 간략한 게임 설명 = = = = = 파워업 = = = 파워업은 일단 처음에는 전작의 그라디우스와 같다. 그러나 스테이지를 거듭하면서 새로 얻을 수 있다. 새로 얻는 파워업 장비는 아래와 같으며, 반드시 번호 순서대로 얻게 된다. Up Laser : 수평 레이저를 위로 발사한다. 두 번 파워업하면 길어진다. Down Laser : 수평 레이저를 아래로 발사한다. Up Laser와 같은 속성이다. Napalm Missile : Missile이 강화된 무기로, 맞은 주변에 폭발이 형성된다. Replex Ring : 작은 고리형의 레이저가 일정 거리만큼 나가다가 부메랑처럼 되돌아온다. 이 파워업은 먼저 Double을 장착 중이어야 한다. Extend Laser : Laser가 강화된 무기로, 레이저 2가닥이 겹쳐서 나간다. Back Beam : 포탄이 전후방으로 동시에 발사된다. Double과 같은 속성이다. Fire Blaster : 화염이 나간다. Replex Ring이 강화된 무기로, 공격력은 강하나 사정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 = = 스테이지 = = = 스테이지 1 : 동굴 스테이지 2 : 식물 스테이지 3 : 유적 스테이지 4 : 섬 스테이지 5 : 화염 스테이지 6 : 생명체 스테이지 7 : 기지 스테이지 8부터 스테이지 13까지는 스테이지 6부터 스테이지 1까지가 역순으로 다시 나온다. 스테이지 14 : 베놈 함선 그리고, 각 스테이지별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스테이지 1부터 스테이지 5까지, 스테이지 9부터 스테이지 13까지는 보스를 처리하면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진입 후 죽지 않고 끝부분까지 가면 새로운 파워업을 얻을 수 있다. 어떤 경우는 한 번에 두 단계의 파워업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가 하면 또 어떤 경우는 파워업 단계가 7단계에 미달하여도 새로운 파워업을 얻지 못할 경우도 있다. 스테이지 3, 스테이지 6, 스테이지 8, 스테이지 11에서는 어떤 지점에 접근하면 보너스 스테이지가 나온다. = 분류:두샨베 출신 = = 비사야어군 = 비사야어군(Visayan languages)은 타갈로그어, 비콜어와 함께 중앙필리핀어군에 속하는 어군이다. 대부분의 비사야어들은 비사야 지방에서 말해지지만, 마스바테를 중심으로 한 비콜 지방에서도, 롬블론을 구성하는 루손 남부 지역의 섬들, 민다나오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민다나오 남서쪽에 위치한 술루 지방에서도 사용된다.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 주민들도 비사야어를 말한다. 30개 이상의 언어가 비사야어군을 형성한다. 가장 화자가 많은 비사야어는 중부, 동부, 서부 비사야 지방 및 민다나오 섬의 대부분 지역에서 2000만 명의 원어민이 있는 세부아노 어이다. 힐리가이논어는 서부 비사야 지역과 코타바토 지역에서 7백만명 이상이 사용하며, 와라이어는 동부 비사야 지방에서 3백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 = 명명법 = = 비사야어군의 원어민 화자, 특히 세부아노족, 힐리가이논족, 와라이족들은 그들의 언어를 고유의 이름으로 부를 뿐만 아니라, 비사야어를 뜻하는 ‘비사야’ 또는 ‘비니사야’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상호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여러 언어들이 모두 ‘비사야’로 불림에 따라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비사야 지역 외부에서 원어로 사용되고 있는 비사야어군 언어는 ‘비사야’ 또는 ‘비니사야’라는 이름으로 불리지 않는다. 부투아논어, 수리가오논어, 마스바테뇨어 화자에게, 비사야라는 용어는 보통 세부아노어를 말하는 것이다. 타우수그족이 대부분 무슬림이기 때문에, 그들은 비사야를 기독교 필리피노를 의미하는 종교적인 용어로 본다. (대체로 가까운 세부아노족이나 힐리가이논족을 가리킨다.) = = 내부 분류 = = 데이비드 조크는 비사야어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부 분류를 했다.(Zorc 1977:32).Zorc, David Paul. 주요 다섯 갈래는 남부, 세부, 중부, 반톤, 그리고 서부이다. 그러나 조크는 비사야어군이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언어들의 모임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에 더 가깝다고 지적했다. 남부 비사야어군이 가장 먼저 분화하였고 세부어군이 그 다음, 그 뒤 나머지 세 갈래의 분화가 일어났다. 롬블론 지방은 비사야어군의 주요 세 개 갈래와 더불어 현지의 롬블로마논어와 반톤어가 쓰이고 있기 때문에 비사야 지역 안에서 언어적 다양성이 가장 큰 지역이다. 아래와 같이 총 36개의 언어가 비사야어군에 속한다. 비사야어군 1. 남부 (민다나오 동부 해안지역) * 부투안-타우수그 ** 타우수그어 ** 부투아논어 * 수리가오 ** 수리가오논어 ** 탄다가논어 2. 세부 (세부, 보홀, 시키호르, 중부 비사야, 서부 레이테, 북부 민다나오, 동부 네그로스) * 세부 ** 세부아노어 *** 보홀라노 방언 3. 중부 (비사야 지방 전역) * 와라이 ** 와라이어 ** 바이바이아논어 ** 카발리안어 * 주변 ** 힐리가이논어 (또는 일롱고어) ** 반타야논어 ** 카피스논어 ** 포로하논어 ** 마스바테·소르소곤어 *** 마스바테어 *** 중앙소르소곤어 (또는 마스바테 소르소곤어) * 롬블론 (지방명과 동일) ** 롬블로마논어 4. 아시 (롬블론 지방 북서부) ** 아시어 5. 서부 * 아클란 (파나이 북부) ** 아클라논어 ** 말라이논어 * 카라이 ** 카라이아어 (파나이) * 중북부 (타블라스 섬과 민다나오 남단) ** 이논한어 (키나라이야어와 관련된 언어) * 쿠요 (파나이 서부 군도, 롬블론, 민다나오 남단) ** 라타그논어 ** 쿠요논어 * 칼루야논 ** 칼루야논어 권역어인 에스카얀어는 문법적으로 비사야어군이지만, 어휘는 비사야어군, 나아가 필리핀어군과 관련이 없다. = 2001년 한화 이글스 시즌 = 2001년 한화 이글스 시즌은 한화 이글스가 KBO 리그에 참가한 8번째 시즌으로, 빙그레 이글스 시절까지 합하면 16번째 시즌이다. 이광환 감독이 팀을 이끈 첫 시즌이며, 장종훈이 주장을 맡았다. 팀은 역대급 포스트시즌 진출 경쟁 끝에 8팀 중 정규시즌 4위에 오르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그러나 구대성의 일본 진출로 인해 마무리 자리에서 공백을 드러내어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 2전 2패로 스윕을 당하며 탈락했다. = =당시 4위 싸움 = = 순위 : 팀 (승률, 게임차) 4위 : 한화 (0.473, 18) 5위 : KIA (0.469, 18.5) 6위 : LG (0.464, 19) 7위 : SK (0.458, 20) 8위 : 롯데 (0.457, 20) = 홍승수 = 홍승수(洪承樹, 1944년 ~ 2019년 4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천문학 교육자이자 저술가 및 번역가이다. 호(號)는 관허(觀虛),'허공을 보는 사람'이라는 뜻의 자호(自號)이다. 2019년에 홍승수 교수의 배우자 고옥자 여사를 비롯한 가족이 책 인세 2억 원을 물리천문학부 관허천문학 발전기금으로 기부하였다. 고인이 평소 사용하던 호에서 발전기금 명칭을 작명하였다. 당호(堂號)는 관솔재(관솔齋), 관허재(觀虛齋), 함허재(涵虛齋).저술 활동 공간의 별칭인데, 각종 저작물에서 작가의 말 부분에 기재한 관솔재의 관솔 한자는 미확인이다. 관허재는 정년퇴직 이후에 사용한 명칭이고, 함허재는 2014년부터 거처로 삼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하당리 자택의 당호이다. = = 생애 = =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으며, 1967년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한 후, 1975년에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여러 연구 기관과 교육 기관에서 천문학 연구에 종사하였고, 1978년부터 출신 학교인 서울대학교 천문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2009년에 31년 동안의 교직 생활을 마치고 정년 퇴임하였으며, 이후 학술 활동을 계속하다 2019년에 숙환으로 별세하였다.2018년 6월 출간된 에세이집 하늘을 디디고 땅을 우러르며에 따르면 2015년경 전립샘암(전립선암) 4기 진단을 받았다. 천문학 관련 저서와 번역서 15권, 에세이 한 권을 저술 및 출간하고 78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대중 강연으로 천문학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칼 세이건의 역작(力作) 천문학 코스모스(Cosmos)를 번역 출간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 = 학력 = = 1963년, 경복고등학교 (제38회 졸업) 1967년, 서울대학교 천문기상학과 졸업 (학사)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1975년, 뉴욕 주립 대학교 대학원 (천체물리학 박사) = = 경력 = = 네덜란드 레이던(Leiden)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홍승수는 New York State 대학교를 졸업 Leiden 대학교에서의 연구생활 2년반에 서울대학교로...' 〈과학기술학회 활동약사 - 한국천문학회편〉 《과학과 기술》, 1981년. 네덜란드 하위헌스 연구소 1978년 3월 ~ 2009년 6월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천문학과 교수 (정년퇴임)대한민국 관보 제11048호(1988년 10월 6일 목요일 발행)에 따르면 1988년 10월 1일에 부교수에서 정교수가 되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천문학 연구소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 교수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 물리학 센터에서 방문 교수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초빙 교수 2009년 9월 1일 ~ 2019년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천문학부 명예교수 1992년 5월 1일 ~ 1994년 4월 30일 : 한국천문학회 회장 (제16대) 2010년 1월 ~ 2012년 12월 : 한국천문학회 부설 소남(召南)천문학사연구소천문학자 유경로(兪景老) 교수의 유지를 따라 개설된 기관이다. 유경로 교수의 호(號)가 소남(召南)이다. 소장 (제2대)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NYSC) 원장 (초대 및 제2대) 2007년 : 한국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위원장2007년 제1회 국제 천문 및 천체 물리 올림피아드 한국 대표단 단장 직책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이사 = = 수상 = = 1992년, 과학기술처 장관상 (우수 과학 도서 번역상)1991년 번역서 《대폭발(The Big Bang)》 번역으로 수상하였다. 2006년 10월, 제2회 서울대학교 교육상 대상 (올해의 교육상 대상)서울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식에서 대상 수여식이 진행되었다. 2007년 10월, 한국천문학회 제1회 소남학술상 2009년, 한국천문학회 공로상 2009년 8월, 근정포장'1978년 본교에 임용된 후 현재까지 천문학 연구와 강의를 통하여 후학 양성에 크게 기여하셨으며, 재임중 천문학과 학과장 및 한국천문학회장을 역임하였음' 〈2009년 8월말 퇴직교원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추천훈격 및 주요공적〉, 교육부 공개 자료 = = 주요 저서 = = = = = 집필 = = = 1993년, 《과학과 신앙》 (공저) 1994년, 《21세기와 자연 과학》 (공저) 1994년, 《우주 개발의 오늘과 내일》 (공저) 1995년, 《수치 천체 물리학 I》 (공저) 1996년, 《은하계의 형성과 화학적 진화》 (공저) 1997년, 《성간 매질에서의 물리 현상』 (공저) 2011년, 《감히, 아름다움》 (공저) 2017년, 《나의 코스모스》 = = = 역서 = = = 1982년, 《천문학개요》 (공역) 1991년, 《대폭발(The Big Bang)》 1993년, 《기본 천문학(Fundamental Astronomy)》 (공역, 2008년 재출간) 1997년,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서론(Introd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공역) 2004년, 《코스모스(Cosmos)》 2009년, 《우주(Universe)》 (공역) 2013년, 《지구 바깥세상 우주에는(Out of This World)》 2018년, 《날마다 천체 물리(Astrophysics for People in A Hurry)》 = = = 에세이 = = = 2018년, 《하늘을 디디고 땅을 우러르며》 = 신식 할머니 = "신식 할머니"(The Modern Grandma)는 한국에서 제작된 백호빈 감독의 1964년 드라마 영화이다. 조미령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백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조미령 남궁훈 방성자 허장강 = = = 조연 = = = 김승호 황정순 주선태 윤인자 이수련 남미리 정민 이은심 주연 장명숙 = = 기타 = = 원작자: 유호 제작부장: 최현민 촬영부: 김추남 조명: 이기섭 조명부: 안해룡 스크립터: 이수 조감독: 김호선 음향: 최형래 사운드: 손인호 미술: 박석인 현상: 성림 현상: 김형근 = 막 사이 공간 = 막 사이 공간 또는 막간 공간(膜間空間)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막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세포생물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엽록체 또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외막 사이의 영역으로 설명된다. 또한 핵막의 내막과 외막 사이의 공간을 지칭하기도 한지만, 보통은 핵 주변 공간으로 불린다. 미토콘드리아의 막 사이 공간은 호흡 및 대사 기능 조절과 같은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막 사이 공간과는 달리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은 명백한 기능이 밝혀지지 않았다. = = 미토콘드리아의 막 사이 공간 = = 미토콘드리아는 두 개의 막(미토콘드리아 내막, 미토콘드리아 외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두 개의 막은 막 사이 공간과 미토콘드리아 기질이라는 2개의 수용성 구획을 형성하게 한다.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있는 포린이라고 하는 통로 단백질은 이온과 약 5,000 달톤 이하의 작은 단백질을 막 사이 공간으로 자유롭게 확산시킨다. 이것은 막 사이 공간이 함유하고 있는 저분자와 관련하여 세포질과 화학적으로 동등하게 만든다. 대조적으로 특정 수송 단백질은 비투과성으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질러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온 및 기타 저분자를 수송하는 데 필요하다. 막 사이 공간은 또한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및 단백질을 인산화하여 세포자멸사를 개시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기질 밖으로 이동하는 ATP를 사용하는 많은 효소들을 포함한다. = = = 자리옮김 = = =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향하는 대부분의 단백질들은 세포질에서 전구체로 합성되며 내막의 자리옮김효소(TIM) 및 외막의 자리옮김효소(TOM)에 의해 미토콘드리아로 유입된다. 막 사이 공간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자리옮김에 관여한다. 육각형 복합체인 작은 TIM 샤페론이라고 불리는 전구체 단백질은 막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소수성 전구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전구체를 TIM으로 전달한다. = = = 산화적 인산화 = = = 해당과정에 의해 생성된 피루브산과 지방 분해에 의해 생성된 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포린을 통해 막 사이 공간으로 들어간다. 그런 다음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질러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운반되어 아세틸-CoA로 전환되고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간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호흡 사슬은 산화적 인산화를 수행한다.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 유비퀴논:사이토크롬 c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II),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복합체 IV)의 세 가지 효소 복합체가 전자전달을 담당한다. 양성자는 이러한 호흡 복합체들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부터 막 사이 공간으로 능동수송된다. 결과적으로 H+ 기울기(pH 기울기)와 전압 기울기(막 전위)로 인한 힘에 의해 결합되는 전기화학적 기울기가 생성된다. 막 사이 공간의 pH는 미토콘드리아 기질의 pH보다 약 0.7 단위가 낮고, 막 사이 공간 쪽의 막 전위는 미토콘드리아 기질 쪽보다 더 양전하를 띠게 된다. 막 사이 공간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까지의 이러한 전기화학적 기울기는 미토콘드리아에서 ATP를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 = = = 세포자멸사 = = = 막 사이 공간으로부터 세포질로 사이토크롬 c가 방출되면 프로카스페이스가 활성화되고 카스페이스 캐스케이드를 유발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게 된다. =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 = =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은 두께가 10~20 nm로 매우 얇다. 미토콘드리아의 막 사이 공간과는 달리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은 뚜렷한 기능이 없는 것 같다. 내막의 자리옮김효소(TIM)와 외막의 자리옮김효소(TOM)는 주로 엽록체 전구체 단백질의 자리옮김을 지원한다. 막 사이 공간에 샤페론이 관여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불확실하다. 70 kDa의 열 충격 단백질인 진핵세포의 Hsp70은 일반적으로 세포질에 국한되어 있으며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에서도 발견된다. 결과적인 가설은 Hsp70의 공동 국소화가 엽록체의 막 사이 공간 내로 그리고 막 사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단백질 전구체의 효율적인 자리옮김에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 핵막의 막 사이 공간 = = 핵막은 핵공에 의해 관통되고 종종 핵 주위 공간이라고 불리는 작은 막 사이 공간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지질 이중층 막으로 구성된다. 핵 주위 공간은 일반적으로 폭이 약 20~40 nm이다. 특정 단백질 및 효소의 핵 주위 자리옮김이 연구되었고 결과는 핵 주위 공간이 게놈의 무결성 및 유전자 조절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분류:인도네시아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 분류:641년 사망 = = 이 (괘) = 이(離)는 팔괘의 하나이다. 점괘의 형태는 이며, 첫효는 양, 제2효는 음, 제3효는 양으로 구성된다. 또는 육십사괘의 하나이며, 이위화. 이하이상으로 구성된다. = 박상현 (1981년) = 박상현(朴相賢, 1981년 2월 16일개그맨 허경환과 생년월일이 똑같다.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 게임 캐스터이다. 막상현, 막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 = 개요 = = 2005년 MBC게임에서 주최한 전문 MC 선발대회에 참가, 최우수상을 수여 받고 정식 입사하였다. 2005년 4월 ATI배 6차 MSL 서바이버 리그리그를 맡게되면서 e스포츠 캐스터로 데뷔하였다. 이후 2012년 MBC게임이 폐지가 될 때까지 게임 캐스터로 활약했다. 스타크래프트 리그 외에 스타 무한도전 등등 MBC 게임 자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도 다수 참여했으며 김철민 캐스터와 MBC게임 채널에서 캐스터계의 양대산맥을 이루었다. 2012년 2월 MBC게임의 음악 채널 변경 예정으로 인해 게임 중계가 불가능해지자, 2012년 1월 27일부터 개최되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중계진에 전격 합류하였다.'박상현 캐스터, GSTL 중계진으로 전격 합류!' 디스이즈게임 현재는 히어로즈 슈퍼리그, GSL, 테켄크래쉬를 비롯해 리그 오브 레전드, DOTA 2 등 많은 게임 중계를 하고 있다.히어로즈로 OGN 입성한 박상현 캐스터!' 데일리이스포츠 2015년 8월 9일, OGN의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중계진으로 합류했다. 2018년 1월 11일, MBC 스포츠플러스 2에서 중계하는 오버워치 리그의 캐스터로 목요일, 일요일 중계를 맡게 되었다. = = 트라비아 = = 박상현과 서바이벼 - 데뷔무대인 ATI배 서바이버 리그에서 긴장한 나머지 '서바이벼'라고 말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당시에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2006년 이윤열의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발언 이후 신한은행 S3 우승 실패 직후 이윤열이 고개를 푹 숙인 장면이 포착되면서, 별명이 '벼' 가 되기 시작하며 부각되기 시작했다. 현재 많은 스타팬들은 '서바이벼'라고 친근감있게 부르고 있다. 막상현 : 박상현의 별명으로, MBC게임 캐스터 데뷔 초창기에 서바이버 리그에서 언급했던 '저도 막 긴장이 됩니다.'의 ‘막’에서 유래되었다. 막청승 : 박상현 , 임성춘 , 이승원 해설 조합의 줄임말이다. 막병승 : 박상현 , 유병준 , 이승원 해설 조합의 줄임말이다. 안막채 : 안준영 , 박상현 , 채정원 해설 조합의 줄임말이다. 자장면 캐스터 : 유병준, 한승엽 해설이 나온 @플레이 중 3:3 팀플전에서 박상현 캐스터가 온라인에서 같이 두 해설과 같이 팀을 맺고 플레이를 하였다. 그 때 자장면을 시켜 먹고 있으면서 플레이를 하여 유병준 해설이 장난으로 '자장면 캐스터'라고 불렀는데 그 이후로 '자장면 캐스터'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졌다. 막캐 : 막상현 캐스터의 줄임말. = = 출연 작품 = = = = = 방송 = = = 《MSL》 《프로리그》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스타 무한 도전》 《유저의 취향》 《테켄 크래쉬》 《돌격 철권 히어로》 《GSL CODE S》 《GSTL》 《맹독충》 《도타2게더》 《넥슨 도타2 리그》 《넥슨 카스온라인 리그》 《네오위즈 아바리그》 《네오위즈 블랙스쿼드 BSN 리그》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PC방 토너먼트》 《트위치 테켄크래쉬》 *콩두 스타즈 리그 *헝무도 리턴즈 *헝그리 오브 더 스톰 《GSL》 *인텔 레이디스 배틀 *아프리카TV 스타리그 《LOL 멸망전》 《서든어택 멸망전》 《오버워치 BJ리그》 《배틀그라운드 멸망전》 *아프리카TV PUBG 리그 *스타 리마스터 리콜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오버워치 리그 = = = 게임 = = =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2017년) - 아나운서 = = = CF = = = 롯데칠성음료 HOT6IX = 분류:1968년 하계 올림픽 수구 = = 분류:연도별 1월 = = 분류:중국의 발명가 = = 마트비옌코 = 마트비옌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의 정치인 이호르 마트비옌코: 우크라이나의 요트 선수 = 보령경찰서 = 보령경찰서(保寧警察署, )는 충청남도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충청남도 보령시 일대를 관할한다.충청남도 보령시 시청로 100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1년 6월 15일까지는 대천로 33에 위치하였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 = = 기본 정보 = = 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로 33 우편번호: 355-770 = =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 = =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동대지구대 신설1길 53 대천3·4동, 청라면 청라치안센터 해수욕장지구대 머드로 70 대천5동, 남포면 남포치안센터 웅천파출소 웅천읍 보령남로 1421 웅천읍 주산치안센터 대천파출소 구시1길 38 대천1·2동, 주교면 주교치안센터 주포파출소 주포면 보령읍성길 80-32 주포면, 주교면, 청소면 청소치안센터 천북파출소 천북면 한궁길 8 천북면 오천파출소 오천면 소성안길 50 오천면 장고도치안센터고대도치안센터삽시도치안센터호도치안센터녹도치안센터외연도치안센터원산도치안센터 미산파출소 미산면 만수로 1129 미산면 = 수초화 = 수초화(Mylineated)는 미엘린 수초가 뉴런의 축삭돌기에 감기어, 자극의 전달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는 현상이다. = 유원규 = 유원규(柳元奎, 1952년 10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서울서부지방법원과 서울가정법원 등에서 법원장을 역임하고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 = 생애 = = 1952년에 충청남도 서산군에서 태어났다. 유원규는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제19회 사법시험 합격하였다. 제9기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치고 1979년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이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를 하다가 법원행정처 조사국 조사심의관과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쳐 1993년에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원장에 임명되어 3년동안 재직하였다. 1996년에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재판장을 하다가 사법연수원 교수를 맡았다. 부산고등법원과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거쳐 사법연수원 수석교수, 법원도서관장, 서울서부지방법원장, 서울가정법원장을 역임하였다. 2009년 2월에 법관에서 퇴직하여 법무법인 광장 대표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변호사를 하면서 2010년에 법관 징계위원회 위원, 2010년에 KBS 객원 해설위원, 2011년에 성년 후견제도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으며 선진법제포럼, 대한공중인협회 회원으로서 2014년에 대한공증인협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유원규 변호사의 선친은 민주화에 앞장선 고(故) 유현석(1927~2004) 변호사이다. = 분류: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동문 = 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동문 링컨 칼리지 동문 = 분류:중핵시별 분류 = = 모듈:Location map/data/CAN SK Pense = return { name = 'Pense No. 160', top = 50.583029, bottom = 50.297900, left = -105.323679, right = -104.875094, image = 'Pense No. 160 Coloured Map.svg', } = 수미 (우크라이나) = 수미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수미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145km2, 인구는 283,700명(2004년 기준), 인구밀도는 1,988명/km2이다. 1652년 카자크들에 의해 슬로보다 우크라이나 지역에 설립되었다. = = 자매 도시 = = 불가리아 브라차 독일 첼레 폴란드 루블린 폴란드 고주프비엘코폴스키 폴란드 자모시치 러시아 쿠르스크 러시아 벨고로드 러시아 세베로드빈스크 = 양구 개느삼 자생지 = 양구 개느삼 자생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개느삼은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일 뿐만 아니라,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의 자생지는 개느삼이 자랄 수 있는 남쪽한계선이 되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 - 남북의 천연기념물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 - 문화재청 = 분류:1966년 FIFA 월드컵 틀 = = 분류: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의 군사사 = = 분류:소녀 코믹 = = 진주 송정종택 고문서 = 진주 송정종택 고문서(晉州 松亭宗宅 古文書)은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사곡리, 진양하씨 송정종택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이다. 2002년 12월 27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83호 진주사곡리 진양하씨 송정종택소장 고문서 일괄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 = 개요 = = 진양하씨 송정종택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들로서 분재기 3건, 노비소송 관련 입안 1건, 호구 관련 고문서 9건, 토지매매문기 14건, 소지·등장·품목류 54건, 완문·절목·전령·소사·수기(수표)류 12건, 위장·만장·제문류 11건, 임명 관련 서류 및 계후입안 4건 등 모두 108점이다. 분재기는 1547년·1610년·1624년 등 모두 3건이 소장되어 있다. 16세기 이전의 분재기는 전국적으로 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를 이어 17세기 초까지의 분재기가 여러 건 같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어 가치가 있다. 노비소송 관련 입안(1635)은 분재기와 관련하여 후대에 노비가 어떻게 세전되고 어떻게 관리되고 있었는가 하는 것과 노비들이 상전들에 대항해 어떤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는가 하는 것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크기도 11m나 되어 내용이 아주 방대하다. 호구 관련 고문서는 모두 9건으로, 호구단자 8건과 준호구 1건(1721, 하윤청(河胤淸))이 보관되어 있다. 대부분 19세기의 것이지만, 18세기의 것도 3건이 있다. 현재 잔존하는 호구단자 대부분은 낱장으로 되어 있는데, 이곳에 소장되어 있는 호구단자 중 5건은 특이하게 책자식으로 되어 있어 주목된다. 토지매매문기는 모두 14건인데, 이 중에는 상전이 노비에게 토지매매를 위임하는 패자(牌子)도 2건이 있다. 17세기말의 것에서 19세기의 문서까지 다양하게 분포한다. 많은 문서가 매입자가 대각서원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대각서원 소속 토지의 문서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하륜(1347∼1416) 부자의 묘소와 관련된 오방재(梧坊齋) 문건과 하락(1530∼1592)·하항(1538∼1590)·하수일(河受一) 등 삼선생(三先生) 및 효자 하세희(1647∼1686)와 관련이 있는 산송(山訟) 문서와, 이들 사위토(祀位土)의 면세·면역 등과 관련된 소지·등장류가 상당량 존재하고 있다. 기타 이와 관련된 완문·절목·전령·초사·수기(수표)류, 그리고 위장·만장·제문류, 임명 관련 서류 및 계후입안 등 다수의 문서들이 있다. 문서 중 많은 부분은 19세기 것이지만, 17·8세기의 것도 적지 않다. 이 중에서도 정식 관원에게 내리는 차첩(差帖)이 주목된다. 죄수, 별감이나 향리 등 정식 관리가 아닌 자들에 대한 차첩은 많이 발견되지만, 정식 품계의 관원에 대한 차첩은 발견되는 경우가 희귀하다. 진주 사곡리 진양하씨 송정종택 소장 고문서 일괄은 조선시대 지방사 연구는 물론 당시 진주지역의 문화사 전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 고스티니 드보르역 = 고스티니 드보르 역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에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넵스코 바실레오스트롭스카야 선의 역이다. 1967년 11월 3일에 개통되었다. 이 역은 그리보예도프 운하와 넵스키 대로 사이의 교차점에 두 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출구는 고스티니 드보르 몰의 북쪽에 있다. 북쪽 출구는 쇼핑몰과 직접 연결되는 출입구가 있다. 또한, 이 역은 본 노선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전체에서 가장 붐비는 역 중 하나이다. = = 환승 = = 고스티니 드보르 역에서는 모스콥스코 페트로그라츠카야 선의 넵스키 프로스펙트 역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 = 구조 = = 고스티니 드보르 역사는 건축가 A.K.Andreeva, I.Moscalenko, 그리고 엔지니어 S.P.Shukin의 프로젝트에 따라 건설되었다. 역사는 넵스키 대로와 넵스키와 가든 스트리트의 모퉁이 교차점 상에 위치한다. 건물의 높은 층에는 조명 장치를 숨기고 있는 천장으로 덮인 "볼가"의 밝은 대리석이 장식되어 있다. 1917년 7월 17일 가든 거리와 넵스키 대로에서 열린 7월 시연의 주제가 전시되어 있다. 역사 건물의 천장은 노란색 금속판으로 장식되어 있다. 지하 내부는 수평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으로, 심도 56m에 위치한다. 플랫폼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08년 8월부터 2009년 8월 31일까지 역 입구로 연결되는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수에 의한 열화 및 부식으로 인한 누수 피해로 수리 작업을 위해 폐쇄되었다. 메트로스트로이는 물의 흐름을 더 잘 통제하기 위해 설계를 개조했다. 수리하는 동안 승객들은 고스티니 드보르 역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넵스키 프로스펙트 역 입구를 통하여 고스티니 드보르 쇼핑몰로 나가는 출구만을 이용해야 했다. = = 주변 명소 = = 고스티니 드보르 역 주변에는 피의 구원 사원, 카잔 대성당, 러시아 미술관 등 여러 유적지들이 가까운 곳에 있다. 2011년 아드미랄테이스카야 역이 개통되기 이전에는 예르미타시 미술관, 성 이사악 성당, 러시아 구해군성, 서머 가든, 청동기마상과 가장 가까운 역이었다. = 도키치 = 도키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옐레나 도키치 세토구치 도키치: 일본 제국의 음악가 = 구상적혈구증 = 구상적혈구증(球狀赤血球症, )은 구상적혈구가 생산되는 자가 용혈성 빈혈이다. 이 적혈구는 양면이 오목한 원판 형태가 아닌, 구 모양의 적혈구이다. 구상적혈구는 모든 용혈성 빈혈에서 어느 정도 발견된다. 유전성 구상적혈구증과 자가면역성용혈성빈혈은 오직 구상적혈구만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구상적혈구증은 대개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을 가리킨다. = 서시 (신성우의 음반) = 서시는 대한민국의 록 가수 신성우의 정규 음반 3집이다. = = 수록곡 = = 전체 편곡:이근형,이근상,신성우 = 분류:1382년 설립된 단체 = 단체 en:Category:Organizations established in 1382 = 심경섭 (공무원) = 심경섭(沈庚燮, 1896 ~ )은 대한민국의 기초단체장이다. 현재 강원도 평창,홍천,횡성,삼척,원주군수를 지냈었다. = = 생애 = = 1949년 5월 5일 ~ 1949년 11월 3일 제2대 강원도 평창군수역대 평창군수 1950년 9월 25일 ~ 1952년 10월 23일 제3대 강원도 홍천군수 1952년 10월 24일 ~ 1954년 10월 18일 제7대 강원도 횡성군수역대 횡성군수 1956년 9월 17일 ~ 1958년 8월 12일 제8대 강원도 삼척군수역대 삼척시장과 삼척군수 1958년 1월 ~ 1959년 5월 제12대 강원도 원주군수열린시장실 역대 원주군수 = 분류:1925년 과학 = = 가와사키 C-2 = 가와사키 C-2次期輸送機試作1号機の初飛行について , Ministry of Defense, January 25, 2010.는 일본의 가와사키 중공업이 개발중인 군용 수송기이다. 일본 항공자위대는 40대를 구매하려고 한다.平成21年度ライフサイクルコスト管理年次報告書 , Equipment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Office 기존의 C-130 수송기를 교체할 것이다. 일본만이 아니라, 유럽도 유럽판 C-130인 C-160을 에어버스 A400M으로 교체하려고 독자 개발 중이며, 브라질도 C-130을 대체할 중형 수송기 엠브라에르 C-390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운용 중이다. = = 개발 = = 2001년 일본 방위청은 구형인 가와가키 C-1 수송기를 교체하기 위해, 신형 수송기 구매를 결정했다. 미국 C-130J, C-17, 에어버스 A400M을 연구했는데, 모두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독자개발하기로 하였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가와사키 P-1을 개발중인 가와사키 중공업으로 개발자가 선정되었다. 엔진과 주요 부품이 함께 사용될 것이다.Aviation Week Ares Blog, 27 Jan 2010 가와사키 P-1은 P-3 오라이온을 교체하게 될 일본산 대잠초계기이다. 미국의 차기 대잠초계기 P-8 포세이돈과 성능이 비슷하며, 보잉 737 여객기와도 비슷한 크기이다. = 분류:게츠쿠 = 다음는 후지 TV 월요일 밤 9시 드라마의 속하는 문서이다. 후지 = 스테판 더 프레이 = 스테판 더 프레이(, 1992년 2월 5일 ~ )는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며, 현재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활동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 = = 페이예노르트 = = = 데 프레이는 5시즌 동안 지역의 오우데르커크 안 덴 이샬에 위치한 VV 스피릿 클럽에서 경기를 했다. 10세 때, 그는 페이예노르트의 탤런트 데이에 참석했다. 다양한 훈련 세션과 ARC와의 친선 경기를 거친 뒤, 데 프레이는 공식적으로 페이예노르트의 유소년 부서에 합류하게 되었다. VV 스피릿에서는 데 프레이가 주로 중앙 미드필더로 뛰었지만, 페이예노르트에서는 그를 수비수로 전환시켰다. 이 젊은 선수는 빠르게 자신을 발전시켰다. 페이예노르트 U15에서 뛰었던 후, 데 프레이는 U16 팀을 건너뛰고 즉시 U17 팀에서 경기를 하게 되었다. 2009년 7월 17일, 데 프레이는 페이예노르트와 2012년 여름까지 첫 번째 프로 계약을 체결했다. 데 프레이는 2009년 9월 24일에 페이예노르트의 첫 번째 팀으로 공식 데뷔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 그는 KNVB 컵 원정 경기에서 [하르케마세 보이스]와의 경기에서 58분에 켈빈 리어담 대신 투입되었다. 2009년 12월 6일, 데 프레이는 홈에서 열린 FC 흐로닝언과의 경기(3-1)에서 89분에 데니 란트자트 대신 에레디비시 데뷔를 하게 되었다. 이렇게 18세에 첫 번째 프로 시즌에서 그는 리그에서 17번의 출전을 포함해 총 21번의 출전을 했다. 2012-13 시즌에는 데 프레이가 로른 브라르의 후임으로 팀의 주장 자리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시즌에서의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자, 데 프레이는 주장 자격을 박탈당했고, 이후에는 스타 공격수 그라치아노 펠레, 그리고 부주장 요르디 클라지에에게 주장 팔찌가 넘어갔다. 전자는 질서 문제로 고민했던 펠레에게 팔찌가 넘어갔다. = = = 라치오 = = = 2014년 7월 30일, 데 프레이는 기밀로 된 이적료로 세리에 A 리그의 라치오에 합류했다. 그는 "라치오는 나를 원한다는 것을 정말로 증명했고, 이적한 것에 매우 만족한다. 이탈리아에서 더 완전한 수비수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데 프레이는 네덜란드 국가대표팀 감독 루이 반 할과 함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는 8월 24일에 열린 코파 이탈리아 3라운드에서 데뷔하였으며, 7-0으로 이긴 홈 경기에서 3번째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3부 리그인 바살노 비르투스와의 경기였다. 일주일 후, 그는 첫 번째 세리에 A 경기에서 출전했는데, 라치오는 A.C. 밀라노와의 원정 경기에서 3-1로 패했다. 9월 21일, 그는 지배적인 경기를 하고 있었던 라치오의 원정 경기에서 85분에 퇴장당했고, 2분 후에 모리시오 피닐라가 단독 득점을 통해 제노아에게 승리를 안겨주었다. 데 프레이는 2015년 5월 20일에 열린 2015 코파 이탈리아 결승에서 주벤투스와 맞붙었는데, 연장 후반 전반에서 케이타와 교체되었고 결국 2-1로 패했다. 데 프레이의 두 번째 시즌은 2015년 슈퍼코파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는데, 상하이에서 열린 경기에서 유벤투스에 2-0으로 패했다. 9월에는 국가대표팀 경기에서 무릎 부상을 입었지만, 그는 라치오 의료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에서 한 경기를 더 뛰기 위해 적격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충분한 회복을 이루지 못하고 다음 달에 수술을 받아야 했다. 11월에 그는 부상으로 인해 앞으로 6개월 동안 경기에 출전하지 못할 것으로 확정되었다. 그는 2016년 9월 11일에 열린 세리에 A 경기에서 체보와의 원정 경기에서 클럽에서의 첫 번째 골을 넣었다. 2018년 3월, 라치오의 스포팅 디렉터 이글리 타레는 데 프레이가 여름에 무료 이적으로 클럽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 = = 인터 밀란 = = = 수개월에 걸친 추측 끝에, 데 프레이는 2018년 5월 28일 인터 밀란으로 이적할 것을 발표했으며, 이적일은 7월 1일부터 시작된다고 밝혔다. 7월 11일, 그는 공식적으로 인터 밀란의 선수로 발탁되었고, 2023년 6월까지의 계약을 체결했다. 데 프레이는 6번 등번호를 받았으며, 2018년 8월 19일 개막 주간에 열린 Sassuolo와의 경기에서 인터 밀란 데뷔를 실현했다. 데 프레이는 한 주 후에 열린 홈에서의 Torino와의 경기에서 첫 번째 골을 넣으며 팀을 2-0으로 앞서갔지만, 경기는 최종적으로 2-2로 무승부로 끝났다. 2018년 9월, 데 프레이는 피오렌티나와의 홈 경기에서 100경기 출전을 달성했으며, 인터는 2-1로 승리했다. 그는 또한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처음으로 출전하여 토트넘 홋스퍼와의 개막전에서 마티아스 베시노에게 부상 시간 내 골을 어시스트하며 2-1로 홈 승리를 거두었다. 데 프레이는 결국 2018-19 UEFA 챔피언스 리그 그룹 리그의 6경기 중 5경기에 출전했으며, 인터는 조별리그에서 일찌감치 탈락하고 UEFA 유로파 리그의 노크아웃 단계로 진출하였다. 2019년 3월 14일, 유로파 리그 16강 2차전에서 데 프레이의 잘못된 공배에 의해 인터는 5분 이내에 득점을 내주고, 결국 상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게 1-0으로 패배하여 경기 1-0으로 아웃되었다. 3일 후, 데 프레이는 라이벌 밀란과의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경기에서 골을 넣으며 팀이 3-2로 승리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로써 세리에 A에서 2011-12 시즌 이후 처음으로 밀란에 대해 더블을 달성했다. 2019년 11월 9일, 2019-20 시즌에서 데 프레이는 산 시로에서 열린 헬라스 베로나와의 리그 경기에서 인터에서의 경기 출전 50경기를 달성했다. 데 프레이의 인터 밀란과의 계약은 2023년 6월에 종료된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23년 3월 23일, 더 프레이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5명의 축구선수들이 바이러스 감염 부상으로 인해 대표팀에서 하차하면서 대표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예비 명단에서 대표팀으로 소집되었다. 그러나 2일 뒤 25일, 더 프레이는 아내의 출산을 지켜보기 위해 네덜란드 대표팀의 감독 로날트 쿠만의 허락을 받아 국가대표팀에서 하차한 뒤 이탈리아로 돌아갔다. = = 경력 = = 2009년 UEFA U-17 챔피언십 국가대표 2009년 FIFA U-17 월드컵 국가대표 2013년 UEFA U-21 챔피언십 국가대표 2014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21년 UEFA 유로 국가대표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국가대표 = = 수상 = = 라치오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7 인테르나치오날레 세리에 A: 2020–21 코파 이탈리아 : 2021-22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2021 UEFA 유로파리그 준우승: 2019–20 UEFA U-17 챔피언십 : 준우승 (2009) FIFA 월드컵 : 3위 (2014) FIFA 월드컵 올스타팀 : 2014 세리에 A 최우수 수비수 : 2019-20 세리에 A 올해의 팀 : 2019-20, 2020-21 UEFA 유로파리그 시즌 스쿼드 : 2019-20 = 분류: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 = 분류:미야자키현의 경제 = = 김종진 (가수) = 김종진(金鍾辰, 1962년 1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 봄여름가을겨울의 작사, 작곡, 편곡, 기타와 보컬을 맡고 있는 대중음악가이다. 대한민국 해군 사병으로 복무하였고 아내는 배우 이승신이다. = = 약력 = = 봄여름가을겨울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텐플러스인코퍼레이티드 대표이사 서울재즈아카데미 부원장 = = 학력 = = 후암초등학교 졸업 반포중학교 졸업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학사 = = 인간 관계 = = 절친한 친구로는 장기호, 박성식과 1987년 사망한 유재하, 1990년 사망한 김현식, 2018년 사망한 전태관이 있다. 또한 한상원, 정원영, 김광민, 한영애, 김중만 등과도 친분 관계가 두터우며 똑같은 해군 홍보단 출신인 개그맨 김용만이 부친상을 당했을 때 본인을 비롯한 해군 홍보단과 김종진의 중학교 후배인 김국진 등이 김용만 부친상 당시 빈소를 방문하기도 했다. = = 활동 = = 1986 "김수철과 작은거인" 기타리스트 1987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 기타리스트 1988 "봄여름가을겨울" 결성 (김종진, 전태관) 1989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2집 《나의 아름다운 노래가 당신의 마음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면》 발표 1990 좋은 노랫말상 수상 <어떤이의 꿈> 1991 공연실황 《Live!》 발표 1992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3집 《농담, 거짓말 그리고 진실》 발표 1994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4집 《I Photograph to Remember》 발표 1995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5집 《Mystery》 발표 1996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6집 《Banana Shake》 (10주년 기념앨범, 국내최초 Enhanced CD) 발표 1998 봄여름가을겨울 베스트 앨범 《Best of the Best》 발매 1999 KBS FM 《2시가 좋아》 DJ 역임 2000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해피뉴밀레니엄》 2000장 한정 발표 2001 봄여름가을겨울 베스트 앨범 사진집 《Best of the Best》 리패키지 발매 2002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7집 《Bravo, My Life!》 발표 2003 KBS FM 《Bravo, My Life!》 DJ 역임 2004 컨텐츠 제작및 컨설팅 전문기업 (주)텐플러스인코퍼레이티드 설립 2005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I’m SSaW Dizzy》 발표 2006 월드컵 붉은악마공식응원가 《월드컵 브라보송》 선정 2007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Feel SSaW Good》 발표 2008 봄여름가을겨울 정규 8집 《아름답다, 아름다워!》 (20주년 기념앨범) 발표 2009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SSaW What?》 발표 2010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You're SSaW Vain》 발표 2011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I'm A SSaW-ul Man”발표 2012 서울재즈아카데미 원장 역임 2013 봄여름가을겨울 25주년 박스세트 《Anthology》 및 컴필레이션 《Grrrng!》 발표 2014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Silly Love SSaW-ngs》 발표 2015 스카이TV 《감성여행 섬》 Presenter 역임 2016 봄여름가을겨울 공연실황 DVD, Blu-ray 《SSaW Long》(와인콘서트 10주년 기념) 발표 2018 제27회 《서울가요대상》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2018 봄여름가을겨울 30주년 기념 헌정앨범 《친구와 우정을 지키는 방법》 발표 2019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 수상 미니앨범 Re:union with 빛과 소금 발표 2020 디지털 싱글 《보고싶은 친구》 발표 JTBC 싱어게인 심사위원 역임 2021 JTBC 《싱어게인》 심사위원 역임 = = = 드라마 = = = 2009년 KBS2 《꽃보다 남자》 - 소현섭 역 (특별출연) 17회 2011년 tvN 《버디버디》 - 우준모 역 (주조연) = = = 방송 = = = 2020년 싱어게인 2023년 아는형님 게스트 = 투쿠피타 = 투쿠피타(Tucupita)는 베네수엘라 델타아마쿠로 주의 주도로, 인구는 72,856명이다. = 린톈먀오 = 린톈먀오(, 1961년 ~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설치 미술가이자 직물 디자이너이다. 일상적인 소재의 사용으로 전통과 현대의 관계를 탐구한다. 1961년 산시성 타이위안시에서 태어난 린의 아버지는 화가이자 서예가였고 어머니는 전통 무용을 전공하여 교수하였다. 1984년에 베이징 수도 일반 대학에서 회화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88년부터  1994년까지 부르클린에서 거주하였다. 1995년에 돌아와 집을 아파트먼트 예술의 중요 공간이었던 오픈 스튜디오로 개조하였다. 린의 작품은 종종 여성에 특화된 주제를 다루며, 평론가들이 가정 생활의 표현에 초첨을 두고 그녀의 작품을 서양 여성주의 예술과 비교를 하는 반면에 그녀는 그러한 범주화를 거부한다. = 분류:기원전 464년 사망 = = 차범석 = 차범석(車凡錫, 1924년 11월 15일 ~ 2006년 6월 6일)은 대한민국의 극작가, 연극 연출가이다. 전라남도 목포 출생이다. 1948년 연희대학교 영문과를 나온 후, 목포 북교국민학교, 목포중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의 교사를 지냈고, 195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밀주가 가작으로 입선하면서 등단했다, 195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귀향이 당선되었다. 한국연극협회 이사장 및 한국예술문화총연합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청주대학교 연극영화과 전임교수로서 강단에 섰으며, 극단 ‘산하’ 대표였다. 한국 극작가 중 가장 많은 작품을 쓰고 지은 작가이고, 연출가로서도 큰 역할을 했으며, 사실주의 연극의 확립에 공헌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 작품 및 저서 = = = = = 작품 = = = 《산불》 《불모지》 《성난 기계》 《고구마》 제7희곡집《통곡의 땅》(ISBN : 8984350591) 《밀주》 《귀향》 《청기와집》 《열대어》 《장미의 성》 《이차돈의 죽음》 《새야 새야 파랑새야》 《활화산》 《학살의 숲》 《새벽길》 = = = 저서 = = =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대리인 (책)|대리인》 《새마을연극 희곡 선집》 《환상 여행》 《학이여 사랑일레라》 《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 《목포행 완행열차의 추억》 = = 상훈과 추모 = = 1962년 목포시 문화상, 1970년 제2회 대한민족문화예술상 연극부문을 수상했다. 이후 1981년「학이여 사랑일레라」로 대한민국연극제 희곡상, 1982년 대한민국예술원상, 1983년 제7회 동랑연극상, 1991년「식민지의 아침」으로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1993년 제3회 이해랑연극상, 1997년에는 서울시문화상을 각기 수상했다. = 분류:대종상 감독상 수상자 = = 분류:화이트 스타 라인의 선박 = = 청도 나들목 = 청도 나들목(Cheongdo IC)은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송읍리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의 8번 교차로이다. 국도 제25호선을 통해 청도읍, 화양읍내로 진출할 수 있다. = = 연혁 = = 2006년 1월 25일 : 중앙고속도로 대동 ~ 동대구(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 개통으로 영업 개시건설교통부공고 제2006-22호, 2006년 1월 25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송읍리 영업소: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안송읍길 27-40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 간접 연결 : 국도 제20호선 (청려로, 모강 교차로 이용)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각주 청도 (폐쇄식)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2,458 2,684 2,769 3,086 3,324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청도 (폐쇄식) 3,448 3,684 4,157 4,351 2,380 2,483 2,660 2,658 2,723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신카노역 = 신카노역은 일본 기후현 가카미가하라시에 위치한 나고야 철도 가카미가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G 1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가카미가하라 선 하행 미카키노 · 신우누마 · 이누야마 방면 2 ■ 가카미가하라 선 상행 메이테쓰기후 · (메이테쓰 기후 환승) (메이테쓰나고야 방면 = = 이용 현황 = = 2013년 기준 : 1,142명 = = 역 주변 = = 데지카라오 신사 이온 몰 가카미가하라 = 멜 깁슨의 작품 목록 = = = 영화 = = 멜 깁슨은 호주 영화 Summer City로 처음 영화에 출연했다. 삼십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멜 깁슨이 출연하거나 감독하거나 제작한 영화들은 많은 상을 받고 후보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만 25억 달러(USD)의 수익을 올렸다. 연도 제목 원제 크레디트 크레디트 크레디트 크레디트 배역 비고 연도 제목 원제 배우 감독 제작 각본 배역 비고 1977 Summer City O 스캘럽 1977 I Never Promised You a Rose Garden O 야구 선수 크레디트 미기재 1979 팀 Tim O 팀 AACTA 어워드 남우주연상 1979 매드 맥스 Mad Max O 맥스 로커탠스키 호주 선개봉 (미국1980년 개봉) 1980 필사의 사투 The Chain Reaction O 기계공 크레디트 미기재 1981 매드 맥스 2 Mad Max 2 (The Road Warrior) O 맥스 로커탠스키 1981 갈리폴리 Gallipoli O 프랭크 던 AACTA 어워드 남우주연상 1982 가장 위험한 해 The Year of Living Dangerously O 가이 해밀턴 1982 Z 특공대 Attack Force Z O 폴 켈리 대위 1984 소펠 부인 Mrs. Soffel O 에드 비들 1984 살아가는 나날들 The The River O 톰 가비 1984 바운티 호의 반란 The Bounty O 플레처 크리스천 (Fletcher Christian) 1985 매드 맥스 3 Mad Max Beyond Thunderdome O 맥스 로커탠스키 1987 리썰 웨폰 Lethal Weapon O 마틴 리그스 (Martin Riggs) 경사 1988 불타는 태양 Tequila Sunrise O 대일 "맥" 맥큐직 1989 리썰 웨폰 2 Lethal Weapon 2 O 마틴 리그스 경사 1990 전선 위의 참새 Bird on a Wire O 리처드 "릭" 자민 1990 에어 아메리카 Air America O 진 라이액 1990 햄릿 Hamlet O 햄릿 왕자 (Prince Hamlet) 1992 사랑 이야기 Forever Young O 대니얼 매코믹 대위 크레디트 미기재 (제작책임자) 1992 리썰 웨폰 3 Lethal Weapon 3 O 마틴 리그스 MTV 무비 & TV 어워드 (최고 액션 장면상 & 최고 듀오상) 1993 더 페이스 The Man Without a Face O O 저스틴 매클라우드 1994 매버릭 Maverick O 브렛 매버릭 1995 캐스퍼 Casper O 본인 카메오 출연, 크레디트 미기재 1995 포카혼타스 Pocahontas O 존 스미스 목소리 출연 1995 브레이브하트 Braveheart O O O 윌리엄 월리스 아카데미상 (감독상 & 작품상)골든 글로브상 감독상 1996 랜섬 Ransom O 톰 멀런 1997 파더스 데이 Fathers' Day O 스콧 더 바디 피어서 카메오 출연, 크레디트 미기재 1997 컨스피러시 Conspiracy Theory O 제리 플레처 1997 페어리 테일 FairyTale: A True Story O 그리피스 원사 (프랜시스의 아버지) 크레디트 미기재 1998 리썰 웨폰 4 Lethal Weapon 4 O 마틴 리그스 1999 페이백 Payback O 포터 2000 치킨 런 Chicken Run O 로키 목소리 출연 2000 패트리어트: 늪 속의 여우 The Patriot O 벤 마틴 피플스 초이스상-드라마 영화 부문 인기 남자배우상 2000 왓 위민 원트 What Women Want O 닉 마셜 2000 밀리언 달러 호텔 The Million Dollar Hotel O 잭 스키너 요원 2002 위 워 솔저스 We Were Soldiers O 핼 무어 중령 (Hal Moore) 2002 싸인 Signs O 그레이엄 헤스 신부 2003 노래하는 탐정 The Singing Detective O O 깁슨 박사 2004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The Passion of the Christ O O O 피플스 초이스상-인기 극영화상 2004 파파라치 Paparazzi O O 분노 조절 치료법 환자 크레디트 미기재 2005 레너드 코헨에 바침 Leonard Cohen: I'm Your Man O 콘서트 영화 2006 아포칼립토 Apocalypto O O O 2010 엣지 오브 다크니스 Edge of Darkness O 톰 크레이븐 2011 비버 The Beaver O 월터 블랙 2012 완전범죄 프로젝트 Get the Gringo O O O 운전수 "더 그링고" 2013 마세티 킬즈 Machete Kills O 루서 보즈 2014 익스펜더블 3 The Expendables 3 O 콘래드 스톤뱅크스 2016 블러드 파더 Blood Father O 존 링크 2016 핵소 고지 Hacksaw Ridge O 2017 대디스 홈 2 Daddy's Home 2 O 커트 메이런 2018 드래그 Dragged Across Concrete O 브렛 리지먼 2019 프로페서 앤 매드맨 The Professor and the Madman O O 제임스 머리 2020 포스 오브 네이쳐 Force of Nature O 레이 배럿 2020 산타킬러스 Fatman O 크리스 크링글 2021 리스타트 Boss Level O 클라이브 벤토 2021 FBI 덴저러스 Dangerous O 올더우드 의사 2022 에이전트 게임 Agent Game O 올슨 2022 신부가 된 복서 Father Stu O 윌리엄 "빌" 롱 미정 Berserker O = 정의윤 = 정의윤(鄭義潤, 1986년 7월 25일 ~ )은 전 KBO 리그 SSG 랜더스의 외야수, 지명타자이다. 그의 아버지는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였던 정인교이다. = =아마추어 시절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로 활동했다. = =LG 트윈스 시절 = = 2005년에 2차 1라운드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상무 야구단 입대 전까지 3년 동안 17홈런을 기록했다. = =상무 야구단 시절 = = 2008년에 입단하였다. = =LG 트윈스 복귀 = = 2010년에 복귀했다. 2014년 7월 9일 두산과의 연장전에서 끝내기 안타를 쳐 내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정의윤 끝내기, LG 연장혈투 끝 두산 제압 -스포츠조선 =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시절 = = 2015년 7월 24일 당시 LG 트윈스 소속이었던 그와 신재웅, 신동훈, SK 와이번스 소속이었던 진해수, 임훈, 여건욱과 3:3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였다.- LG,SK 정의윤-진해수 포함 3대3 트레이드 이적 후 데뷔 첫 3할 타율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에 데뷔 첫 두 자릿 수 홈런을 기록했고, 2016년 시즌에 데뷔 후 가장 많은 경기이자 전 경기인 144경기에 출전해 3할대 타율, 27홈런, 100타점을 기록했다. 2016년 시즌에 데뷔 첫 세 자릿 수 타점을 기록했다. 2017년 시즌 112경기에 출전해 3할대 타율, 15홈런, 45타점을 기록했다. 2021년 10월 31일에 방출됐다. = = 에피소드 = = 야구 팬들 사이에서 '오거정'(오승환 거르고 그)이라고 불린다. 이는 2005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3번째로 지명권이 있던 LG 트윈스가 1라운드 지명에서 오승환을 지명하지 않고 그를 지명한 것을 말한다. 삼성 라이온즈가 오승환을 지명하고 다음 지명권이 있던 KIA 타이거즈가 윤석민을 지명했고 윤석민 또한 우수한 투수로 성장해 '윤거정'이라는 말도 있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류현진 거르고 이재원', '류현진 거르고 나승현'이 있다. 2010년 LG 트윈스 플로리다 마무리 훈련 당시 인스트럭터였던 켄 그리피 시니어는 그의 타격 모습을 보며 "그를 보면 마치 젊은 시절 호세 칸세코를 연상케 한다".라는 소감을 전했다.켄 그리피 Sr "정의윤, 호세 칸세코 보는 것 같다" 2011년 LG 트윈스의 스프링캠프 당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4번 타자 출신인 기요하라 가즈히로는 그의 프리 배팅을 보면서 "정말로 후보 선수란 말인가? 믿겨지지 않는다."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기요하라, "정말로 정의윤이 후보란 말인가?" = = 출신 학교 = = 부산 신곡초등학교 (부산마린스리틀) 부산 대천중학교 부산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05 LG 0.242 106 314 41 76 10 3 8 116 42 3 1 17 4 69 6 5 2006 LG 0.259 82 239 28 62 8 1 6 90 26 1 0 13 5 39 7 3 2007 LG 0.280 88 193 22 54 8 1 3 73 20 2 2 11 0 22 7 4 2008 LG 0.192 38 78 8 15 1 0 0 16 3 0 0 8 3 13 3 1 2011 LG 0.256 93 242 13 62 9 0 0 71 23 3 2 17 4 32 7 4 2012 LG 0.283 81 233 19 66 18 1 2 92 27 2 2 13 3 34 4 3 2013 LG 0.272 116 367 42 100 15 5 5 140 47 5 4 26 8 45 10 1 2014 LG 0.264 97 261 29 69 14 0 7 104 38 5 4 21 5 40 9 1 2015 SK 0.320 91 259 38 83 14 0 14 139 51 5 0 26 9 46 6 1 2016 SK 0.311 144 576 68 179 32 1 27 294 100 2 3 25 10 76 15 5 2017 SK 0.321 112 349 44 112 16 0 15 173 45 0 1 19 9 61 11 0 2018 SK 0.272 73 217 27 59 9 0 11 101 38 1 1 19 2 29 8 1 2019 SK 0.282 110 380 44 107 24 0 13 170 59 0 0 30 6 60 9 1 2020 SK 0.241 76 187 13 45 5 1 1 55 20 0 1 12 1 38 7 0 2021 SSG 0.230 62 165 21 38 2 0 7 61 24 0 0 11 0 37 5 0 통산 15시즌 0.278 1369 4060 457 1127 185 13 119 1695 563 29 21 268 69 641 114 30 = 분류:대한민국의 시군구별 스포츠 = = 유경 (성향질후) = 유경(劉慶, ? ~ ?)은 전한 후기의 제후로, 평간경왕의 아들이다. = 확산성 밀리언아서 = 확산성 밀리언아서는 스퀘어 에닉스에서 2012년 4월 9일부터 배포하는 PS Vita,닌텐도3DS,스마트폰 전용 온라인 카드 배틀 RPG 게임이다. 한국에서는 Actozsoft(액토즈소프트)가 2012년 12월 20일부터 한글화를 통해 서비스 하였다. = =서비스 종료 = = 일본 확산성 밀리언아서가 2015년 3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2년 4월 10일,출시된지 2년11개월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모바일 스마트폰 서비스만 종료되고 PS Vita,닌텐도3DS,Amazon버전은 서비스가 유지된다. 정식 서비스 종료에 앞서 2014년 12월 27일,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으며 2015년 1월 30일에 인앱 결제가 차단됐다. 또한 스퀘어 에닉스는 서비스 종료 이후 신청자에 한해 '괴리성 밀리언 아서'의 특전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번 서비스 종료는 일본 버전만 해당하며, 한국에서 액토즈소프트를 통해 서비스중인 밀리언아서와 밀리언아서 For Kakao버전은 유지된다. 한국 버전도 서비스 종료가 발표되었다. 종료일은 2015년 10월 30일 금요일. = 옐친 테헤다 = 옐친 이그나시오 테헤다 발베르데(, 1992년 3월 17일 ~ )는 에레디아노와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는 코스타리카의 축구 선수이다. 그의 이름은 러시아의 대통령 보리스 옐친에서 따왔다. На чемпионат мира по футболу в Бразилию поедет Ельцин = = 클럽 경력 = = = = = CD 사프리사 = = = 테헤다는 2011년에 CD 사프리사에서 축구 생활을 시작했고 산 카를로스를 상대로 득점을 해냈다. 2014 시즌부터 테헤다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테헤다는 201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고, 대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 청라달튼외국인학교 =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국제도시에 위치한 외국인학교이다. 학교법인 봉덕학원이 2011년에 설립했으며, 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 중 최초로 국내 학력이 인정되는 외국인학교이다. 국내 최초로 내국인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외국인학교이며 교육의 중심은 학생이어야 한다는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개별 학생의 학습 능력과 관심, 적성 및 요구 등을 수용하고, 핀란드에서 실시하는 5학기제를 운영하며,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학력인증을 동시에 받을 수 있어, 한국을 포함한 세계 영어권 국가에 있는 대학으로의 진학이 가능하다. = = 학원역사 = = 청라달튼외국인학교(CDS)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위차한 자율형 사립 한가람 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봉덕학원이 설립하였으며, 그 학원의 설립자는 고 이봉덕 (1921~2010) 여사이다. 한국의 인재들을 교육, 육성하려는 여사의 사명은 20세기 일본 식민지와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황폐화된 조국에서 배태되었다. 1952년 문맹과 가난을 퇴치하고자 하는 절실한 사명감에서 여사는 막사를 지어 초등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1959년 이후 여사는 여성들의 경제적 지위와 노동력 제고를 위하여 봉영여자중학교,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현 영상고등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현 목동고등학교)를 차례대로 설립하였으며, 1997년 한가람 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한가람 고등학교는 학생들에게 자율권을 대폭 확대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경직된 학교 현장의 교육틀을 탈피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현재 봉덕학원은 학원 설립 이래 72,900명 이상의 학생을 교육시켜 사회로 배출하였다. 글로벌 시민으로서 미래를 살아갈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설립된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리더를 길러내기 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학교를 운영하고자 한다. 이에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미래 사회에 살아갈 국가 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의사소통 능력, 적응력 및 뛰어난 창의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또한 공동체 사회와 세계 인류에 대한 헌신과 애정을 갖춘 진정한 리더를 길러내기 위하여 노력하며, 인류의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하여 세계 평화와 문화 신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비전을 심어주고자 한다.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비영리학교법인이 운영하는 외국인학교로서 우수한 교사진과 함께 미국 뉴욕 달튼학교와 교육철학을 공유하여 달튼플랜에 입각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창의력, 적응력, 의사소통능력, 팀웍, 협동심, 리더쉽 등의 가치와 교육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 = 봉덕학원의 청라간척사업 = = 이명수(1991년 사망 당시 72세)전 봉덕학원 이사장은 부인 이봉덕(2010년 사망 당시 89세)전 이사장 외 1명(김모형 (재)서울성로원 이사장)과 함께 1964년 9월 9일 청라도 공유수면(1천275㏊) 매립면허권을 농림수산부로부터 따냈다. 사실 이명수 전 이사장의 청라도 매립면허권은 일본서 수산양식업을 배운 김옥창(2000년 사망 당시 71세)씨의 사업권을 넘겨받은 것이었다. 김옥창 씨는 이명수 전 이사장이 매립면허권을 따내기 전인 1963년 10월 25일 청라도 인근 공유수면(1천425㏊)의 매립면허를 이미 신청해 놓았다. 이명수 전 이사장은 5·16 군사정변으로 탄생한 공화당 각 지구당 개편 당시인 그해 8월 19일 서울 영등포 을(乙)구 지구당위원장으로 임명된 상태였다. 정권을 등에 업고 공사비와 공사 완료 후 토지 분배 조건을 내세워 김옥창 씨 대신 자신을 매립면허 신청자로 바꾼 것이었다. 명목은 실향민 실업 구제와 임해 양식장 조성, 인천해양대학 설립 등이었다. 미국 민간구조단체인 ‘케어(CARE)’가 미공법 480-Ⅱ에 따른 근로자조사업으로 청라도 매립사업에 밀과 옥수숫가루를 지원한 이유다. 황해도가 고향인 이봉덕 이사장은 서울, 인천 등지에서 가난의 굴레 속에서 힘들게 사는 고향사람 1000여명을 모아 이 사업의 취지를 설명한다. 그들에게 공사기간 중 생활비를 대주고 공사가 끝나면 가구당 2정보의 땅을 주기로 약속한다. 인부들은 경서동 인근에 천막이나 판잣집을 짓고 거처를 마련한다. 그들은 특별한 장비도 없이 곡괭이와 삽 그리고 지게와 손수레를 이용해 하루 10여m씩 제방을 쌓아나갔다. 그나마 세찬 조류에 밀려 아침에 나가보면 반 이상이 바다에 쓸려나갔다. 공사가 제대로 진척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상자도 속출했다. 석산 폭파 때 돌에 맞아 죽거나 떠내려가는 작업선을 건지려다 물살에 휩쓸려가는 등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인부들은 심하게 동요했고 일부는 새 일터를 찾아 인천 시내로 빠져나갔다. 이 소식을 들은 인천시는 65년부터 3년 동안 매년 700t의 밀가루를, 67년에는 쌀 400t을 지원했다. 한동안 지지부진하던 공사는 학교와 자매결연 맺은 한미76공병대의 도움으로 급진전되었다. 공병대는 불도저 3대, 트럭 5대, 크레인 2대 등 공사 장비로 물막이 작업을 돕는 한편 주한미군항만사령부에 요청, 67년 8월부터 상륙정을 동원해 매달 100대 트럭분의 돌을 실어다 주었다. 6년에 걸친 난공사 끝에 1970년 10월 700~800m짜리 물막이 공사의 끝이 눈앞에 보이는 듯했다. 그러나 준공을 불과 2개월 앞두고 건설부로부터'1년 안에 380만평을 해발 9m 높이로 추가 매립하라'는 공문이 날아온다. 백방으로 뛰면서 노력했지만 메울 흙과 장비를 마련하지 못하고 결국 공사는 중단되었다. 이 땅은 이후 우여곡절 끝에 동아그룹으로 넘어간다. 80년대에 들어서자 국내 경제는 중동건설 침체로 인해 악화 상황으로 치닫는다. 정부는'나라 밖에서 놀리는 중장비를 간척 등 매립 목적으로 국내에 들여올 땐 관세를 물리지 않는다'는 특별대책을 내놓는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리비아 대수로 공사를 끝낸 동아건설이 해결사로 나섰다. 80년 1월 3500만여㎡의 매립면허를 취득하고 6월 30일부터 공사를 시작한다. 여기에는 봉덕학원이 제방을 쌓고 물을 빼놓은 간척지도 포함되었다. 91년 1월 마침내 10여년에 걸친 대공사를 마친 이 땅은 '김포매립지' 혹은 '동아매립지'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동아는 농업용지였던 이 땅의 절반이 넘는 2000여만㎡를 수도권쓰레기매립지터로 환경부에 넘기고 남은 땅의 용도변경을 위해 그룹의 사활을 걸고 전방위 로비전을 펼친다. 그러나 농림부와 환경단체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번번이 실패하자 급기야 '마이클 잭슨' 카드를 들고 나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다. 1998년 2월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 온 마이클 잭슨을 회장 자택으로 초청해 만찬을 베풀고 다음 날 매립지 현장을 둘러보게 한다. 동아측은 그가 매립지에 대단위 위락단지 개발을 할 것이라고 발표한다. 이 계획도 진척이 되지 않으면서 자금난에 몰린 동아건설은 농업기반공사에 땅을 팔지만 2000년 11월 끝내 최종 부도처리 되고 만다. 이후 이 땅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가 되면서 오늘에 이른다. 봉덕학원은 이 땅에 대한 아쉬움이 컸는지 1993년 경서동에 청소년수련원 경인유스호스텔을 개원한다. 그러나 이 시설은 2005년에 청라지구로 편입되면서 이마저도 폐쇄된다. 달튼외국인학교의 교훈은 'Pioneer to Serve(봉사하는 개척자)'다. 봉덕학원은 달튼외국인학교 설립을 계기로 1960년대 청라에서 펼치다 잠시 접었던 개척정신을 다시 불사르고 있다. 관련 기사 = = 이사장 이옥식 여사 = = 대한민국에서 가장 추진력이 강한 교육자다. 어머니 이봉덕 여사가 세운 봉덕학원을 이어받아 교육자의 길에 들어섰다. 서울사대부고와 홍익대학교 수학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에서 교사생활을 시작했다. 서울 한가람고등학교, 인천 청라달튼학교를 설립했다. 영등포여상에서는 1999년 6월까지, 한가람고에서는 2011년 8월까지 교장으로 일했고, 이후 봉덕학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학교가 사회 변화를 이끌어나가야 한다고 믿는다. 학교는 제자리에 머물면서 학생들끼리만 경쟁시키는 교육에 반대한다. 교과교실제, 교과 선택제, 반바지에 티셔츠 교복, 직영급식 등 한국 교육을 바꾸는 획기적인 변화를 여럿 주도했고, ‘전례가 없다’는 교육계 곳곳의 저항과 타성에 맞서 싸웠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2011년 이옥식 이사장은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교교육지원본부장(1급 대우 계약직) 자리를 공모한 결과 이옥식 한가람고 교장을 본부장으로 내정, 신원조회 등을 거쳐 내주 초 인사 발령을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교교육지원본부장은 교육과정, 교원정책, 자율고 및 특목고, 유아교육 등 전국 유초중등 교육정책을 총괄하는 자리로 사립고 교원 출신이 내정된 것은 처음이며, 여성이 교과부 1급 자리를 맡은 것도 처음이어서 파격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교장은 오랫동안 교원평가, 교과교실제 등을 추진해 현장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 등이 심사과정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기만 이옥식 이사장은 과거 한가람고등학교 교장 시절,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무단 정정을 방조해 서울시교육청의 징계 대상이 된 상태에서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교육지원본부장(1급 대우 계약직)에 내정돼 논란을 낳았고, 교육과학기술부 학교교육지원본부장직을 사퇴하였다. 한겨레 - (이옥식 교장, 교과부 간부직 자진사퇴) 조선일보 - (이옥식, 학교교육지원본부장 자진 사퇴) 동아일보 - (이옥식 한가람고 교장 “교과부 본부장직 사퇴) = 1963년 에콰도르 군사평의회 = 1963년 에콰도르 군사평의회는 1963년부터 1966년까지 에콰도르를 통치한 군사정권이다. 주요 구성원은 라몬 카스트로 히혼, 마르코스 간다라 엔리케스, 루이스 카브레라 세비야, 기예르모 프레이레 포소이다. 이 군사정권이 당시 에콰도르 대통령인 카를로스 훌리오 아로세메나 몬로이를 축출한 이유는 당시 대통령이 쿠바의 지도자인 피델 카스트로를 지지하여 의회와 군부와 갈등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 정권이 통치하던 시기의 에콰도르는 국제 사회에서 쿠바 혁명을 반대하는 입장을 내세웠다. 4명의 장군에 의해 구성된 이 정권은 대대적인 개혁을 통해 지지를 얻었으나 권위주의적인 성향과 반대파에 대한 탄압 때문에 비판받았다. = 분류:유로퓸 화합물 = = 분류:여자 접영 선수 = = 카자흐 대기근 = 카자흐 대기근은 1930년대 소련 대기근의 일부로,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150만 명(최대 230만 명)이 아사한 기근이다. 그 중 130만 명이 카자흐인으로, 이 기근으로 전 세계의 카자흐인 중 38%가 죽었다. 이로써 카자흐인들은 1930년대 소련 대기근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민족이 된다. 현재 카자흐스탄에서는 당시 농업집산화 책임자였던 필리프 골로슈쵸킨의 이름을 따서 골로슈쵸킨 집단살해라고 한다.Қазақстан тарихы: Аса маңызды кезеңдері мен ғылыми мәселелері. Жалпы білім беретін мектептің қоғамдык- гуманитарлық бағытындағы 11-сыныбына арналған оқулық / М.Қойгелдиев, Ә.Төлеубаев, Ж.Қасымбаев, т.б. — Алматы: «Мектеп» баспасы, 2007. — 304 бет,суретті. 1929년에서 1932년 사이 카자흐스탄의 가축과 곡물 생산량의 3분의 1이 외부로 유출되었으며, 1930년 한 해에만 100만 톤의 식량이 도시를 부양하기 위해 농촌에서 압류되었다. 집산화 정책이 시작되기 직전 카자흐스탄에는 4050만 마리의 가축이 길러지고 있었으나 1933년 1월 1일에는 450만 마리밖에 남지 않았다. 이 기근의 결과 카자흐인의 인구는 카자흐스탄 SSR에서 38%밖에 차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카자흐스탄에서 카자흐인이 정작 소수민족이 되었다.Татимов М. Б. Социальная обусловленность демограф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Алма-Ата,1989. С.124 - "Запомнил и долю казахов в пределах своей республики - 28%. А за тридцать лет до того они составляли у себя дома уверенное большинство" = UGA = UGA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조지아 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확장 그래픽스 어레이(Ultra Graphics Array) UGA: 유 코드 내의 종결 코돈 = 분류:국립 중학교 = = SK 허브 스카이 = SK 허브 스카이에는 다음과 같은 아파트가 있다. SK 허브 스카이 (남산동) SK 허브 스카이 (온천동) = 분류:대정여자고등학교 동문 = = 화곡고등학교 = 화곡고등학교(禾谷高等學校)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내발산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8년 1월 30일 : 강서고등학교 설립 인가 1978년 3월 1일 : 초대 나채성 교장 취임 1978년 3월 1일 : 개교식 및 입학식(78학년도 신입생) 1978년 3월 1일 : 화곡고등학교로 교명변경(78.07.24 인가) 1981년 2월 10일 : 제1회 졸업식 2002년 6월 18일 : 체육관 개관 2002년 10월 11일 : 정보화 센터 개관 2003년 9월 15일 : 홍신관 개관 2010년 1월 5일 : 신관 완공 2021년 9월 1일 : 제11대 배상우 교장 취임 2023년 2월 2일 : 제43회 졸업식 = 맥다 = = 분류:고시베리아 제어 = = 리 군 (동음이의) = 리 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리군(Lie group)은 미분다양체인 위상군이다. 이임학군()은 이임학이 발견한 유한 단순군의 하나이다. 이에 대해서는 G2와 F4를 참고. = = 지명 = = = = = 미국 = = = 리군(Lee County, Lea County)은 다음 지명을 가리킨다. 리군 (앨라배마주) 리군 (아칸소주) 리군 (플로리다주) 리군 (조지아주) 리군 (일리노이주) 리군 (아이오와주) 리군 (켄터키주) 리군 (미시시피주) 리군 (노스캐롤라이나주) 리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리군 (텍사스주) 리군 (버지니아주) 리군 (뉴멕시코주) = = = 기타 = = = 리군 (태국) = 칠성산 871호 = 칠성산 871호 고분(七星山 871號 古墳)은 고구려의 왕인 태조대왕 혹은 고국천왕과 산상왕 및 동천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 분류:파리 대학교 동문 = = 분류:타로 = = 호금전 = 호금전(King Hu, 1932년 4월 29일 ~ 1997년 1월 14일)은 중화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 영화배우이다. 베이징시에서 태어났으며 타이베이시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무림객잔 (1992년) 소오강호 (1990년) 대윤회 (1984년) 천하제일 (1983년) 종신대사 (1980년) 공산영우 (1979년) 산중전기 (1979년) 충렬도 (1974년) 영춘각지풍파 (1973년) 시티 콜드 드래곤 (1970년) 희로애락 (1970년) 협녀 (1969년) 용문객잔 (1967년) 대취협 (1965년) 대지아녀 (1964년) 양산백과 축영태 (1962년) 옥당춘 (1962년) 강산미인 (1959년) 산중전기(1979년) = 아드리아누 코헤이아 = 아드리아누 코헤이아 클라루(, 1984년 10월 26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이다. 양발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풀백 뿐 아니라 미드필드에서도 활약하는 선수이다. 2010년 FC 바르셀로나에 1000만 유로의 이적료로 영입되었다. = 혀인두신경 = 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ˌɡlɒsoʊfəˈrɪn(d)ʒiəl, -ˌfærənˈdʒiːəl/) 또는 설인두신경(舌咽頭神經)은 제9뇌신경, 뇌신경 IX 또는 간단히 CN IX로도 불리고 있으며 상부 숨뇌의 측면에서 뇌줄기를 빠져나가는 뇌신경이다. 혀인두신경은 미주신경 바로 앞쪽(코에 더 가까운 방향)에 있다. 혼합신경(감각운동)이기 때문에 구심성 감각 및 원심성 운동 정보를 전달한다. 혀인두신경의 운동신경 부분은 배아 숨뇌의 기저판에서 유래하는 반면, 감각신경 부분은 두개골 신경 능선(cranial neural crest)에서 유래한다. = 중간질량 블랙홀 = 중간질량 블랙홀은 크기가 초대질량 블랙홀보다작고 항성 블랙홀보다 큰 중간급의 블랙홀이다. = = 증거 = = 중간질량 블랙홀에 대한 증거는 초대질량 블랙홀이나 항성 블랙홀에 대한 것보다 적다. 근처에 있는 은하의 일부 초발광 엑스레이 근원(Ultra-Luminous X ray Sources, ULXs)은 수백에서 수천 정도의 질량을 가진 중간질량 블랙홀로 의심되고 있다. 초발광 엑스레이 근원은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인 M82처럼 항성 생성 지역에서 관찰되는 것들이 있으며, 겉보기에도 이들 지역에서 관찰되는 젊은 성단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오직 존재가 밝혀진 중간질량 블랙홀의 동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강착원반의 광학 스펙트럼의 분석을 통한 동적 질량 측정으로, 중간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중간질량 블랙홀의 존재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로는, 중간질량 블랙홀의 궤도상에 있는 소형 잔여물에서 방출되는 중력파가 있다. 또한, 낮은 광도의 은하에서 질량이 104에서 106 정도 되는 블랙홀의 존재가 M-시그마 관계로 예측된다. 그러나 어떻게 이러한 블랙홀이 형성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매우 거대한 항성의 중력붕괴에 의해 형성된 항성 블랙홀의 일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반면에, 은하의 중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높은 밀도 등의 극단적인 조건이 부족하여 초대질량 블랙홀이 되지 못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중간질량 블랙홀의 생성에 대한 두가지 인기있는 시나리오가 있다. 첫 번째는 항성 블랙홀과 기타 소형 물체가 중력파에 의해 합쳐져서 생성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성단 내의 거대한 항성이 충돌하고 붕괴하여 중간질량 블랙홀이 되었다는 것이다. = = 발견 = = 2004년 11월에 천문학자팀에 의하여 우리 은하의 첫 번째 중간질량 블랙홀인 GCIRS 13E이 궁수자리 A*에서 3광년가량 떨어져 공전하는 것이 보고되었다.S2 and Central Black Hole 질량은 1,300 정도로, 아마 은하 중앙의 대규모 성단으로부터 떨어져나온 것으로 보이는 일곱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집단 내에 존재한다. 인근의 작은 블랙홀과 항성을 흡수하여 초대질량 블랙홀로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독일의 연구집단에 의한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는 성단의 동적 연구를 기반으로, 은하 중심 근처에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이라고 의심되고있다. 은하 중심 부근의 중간질량 블랙홀은 초대질량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는 항성의 섭동을 통해 포착할 수 있다. 2006년 1월에는 아이오와 대학의 Philip Kaaret 교수가 이끄는 팀이 NANA의 Rossi X-ray Timing Explorer를 이용하여 중간질량 블랙홀 후보에서의 준주기적인 진동을 발견하였다. 중간질량 블랙홀의 후보인 M82 X-1의 주변을 공전하는 적색 거성의 대기가 블랙홀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 Love Me Back = Love Me Back는 2011년 11월 30일에 발매된 고다 구미의 노래이다. 리듬존에 의해 발매되었다. = 위키백과:다음 글로벌 세계대백과/글로벌 세계대백과 목차/13권/3/7/2/31 = = 주춧돌 = 주춧돌, 모퉁잇돌, 코너스톤, 초석(礎石) 또는 주초(柱礎)는 조적조 기초 구조물에 비치하는 첫 돌이다. 다른 모든 돌들은 이 돌을 참고하여 비치되며 전반적인 구조물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일부 주춧돌은 특정 건물이 지어진 시기의 타임캡슐이 포함된다. = 니주쿠정 = 니주쿠정(新宿町)은 도쿄부 미나미카쓰시카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 NGC 129 = NGC 129는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 = 분류:하이라이트 = = 분류:2016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음반 = 2016년에 가온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음반들에 관한 분류 = 분류:2030년 아르헨티나 = = 비에트 정리 = 대수학에서 비에트 정리 또는 근과 계수와의 관계는 다항 방정식의 근에 대한 기본 대칭 다항식과 다항 방정식의 계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련의 공식이다. 16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프랑수아 비에트에 의해 공식이 증명되었다. = = 정의 = =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하여, n차 복소수 다항식 이 주어졌다고 하자. 대수학의 기본 정리에 따라, 이는 (중복도를 감안하면) n개의 영점 x_1,\dots,x_n\in\mathbb C를 갖는다. 비에트 정리에 따르면, 각 k\in\{1,\dots,n\}에 대하여, 영점 x_1,\dots,x_n을 k차 기본 대칭 다항식에 대입한 값은 (-1)^ka_{n-k}/a_n과 같다. 즉, 다음 n개의 등식이 성립한다. = = 증명 = = 다음 등식 양끝의 다항식의 각 x^k의 계수를 비교하면 비에트 정리를 얻는다. ={} & p(x) \\ ={} & a_n(x-x_1)\cdots(x-x_n) \\ ={} & a_n(x^n-(x_1+\cdots+x_n)x^{n-1}+\cdots+(-1)^nx_1\cdots x_n) = = 예 = = = = = 일차 방정식 = = = (일차항 계수가 0이 아닌) 복소수 계수 일차 방정식 은 유일한 복소수 해 를 가진다. 이 경우 비에트 정리는 위 등식과 일치한다. = = = 이차 방정식 = = = (이차항 계수가 0이 아닌) 복소수 계수 이차 방정식 의 (중복도를 감안한) 복소수 근을 x_1,x_2라고 하자. 이 경우 비에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 = = 삼차 방정식 = = = (삼차항 계수가 0이 아닌) 복소수 계수 삼차 방정식 의 (중복도를 감안한) 복소수 근을 x_1,x_2,x_3이라고 하자. 이 경우 비에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 = = 사차 방정식 = = = (사차항 계수가 0이 아닌) 복소수 계수 사차 방정식 의 (중복도를 감안한) 복소수 근을 x_1,x_2,x_3,x_4라고 하자. 이 경우 비에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 = 역사 = = 프랑수아 비에트가 양의 근에 대하여 증명하였다. 알베르 지라르가 일반적인 경우를 증명하였다. = 분류:고베시의 역사 = = 채백 황 = 채백 황(蔡伯 荒)은 채나라의 제3대 군주이다. 성은 희(姬). 이름이 황(荒)이다. 채중 호의 아들이다. = 분류:도쿠시마현의 축제 = = 402 = 402(사백이)는 401보다 크고 403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3, 6, 67, 134, 201, 402이다. = = 기타 = = 날짜: 4월 2일 연도: 402년 기원전 402년 4e02 402 = 미국 2달러 지폐 = 2달러 지폐는 미국의 법정 통화이다. = 사티와자 = 샤티와자 (또는 마티와자)는 기원전 14세기의 미탄니의 왕(재위 기원전 1350~기원전 1320)이었다. 샤티와자는 투슈라타 왕의 형제였다. 그의 후르족 이름은 킬리-테슙으로 그의 전임자의 사후 정치적인 혼란기에 찬탈자 슈타르나 3세가 샤티와자를 살해하려고 하였다. 샤티와자는 탈출하고 히타이트왕 수필룰리우마 1세에게 달아났다. 그는 그의 딸은 그에게 시집보내고 히타이트 군대와 돌아았다. 슈타르나 3세는 그의 부재시에 찬탈하였으나 격파되고 사티와자가 미탄니의 왕으로 설치되었다. 그 사건은 수필룰리우마와 샤티와자의 조약에 기록되어있다. = HOT 뉴스 홋카이도 = HOT 뉴스 홋카이도(ほっとニュース北海道)는 NHK 삿포로 방송국에서 제작되어 방영되고 있는 저녁 뉴스 및 정보 프로그램이다. 2014년 3월 31일에 첫 방송되었다. = = 소개 = =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저녁 6시 10분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되어 NHK 삿포로 방송국에서 제작하는데 홋카이도 지역의 소식들을 전하는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월 ~ 금 저녁 6시 10분 ~ 7시(50분) = Left to Die = Left to Die는 2008년에 발매된 오비추어리의 음반이다. 캔들라이트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 = 분류: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 분류:크로아티아의 작가 = = 분류:벨라루스의 남자 역도 선수 = = 6기 한국통신프리텔배 배달왕기전 = 6기 한국통신프리텔배 배달왕기전은 한국경제신문, 한국통신프리텔(舊 한국통신, 현 kt)가 주최 및 후원하는 한국기원 소속 전문기사로 참가한 국내 기전이다. 도전 5번기 에서는 도전자 유창혁 九단이 전기 5기 배달왕 및 통산 4회 우승자 이창호 九단단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기전 무관 탈출을 성공했다. = =대국 결과 = = 대진 연도 대국일자 승자 패자 결과 기보 1차예선 결승 1998년 2월 27일 문용직 四단 최철한 初단 202수 백 불계승 1차예선 결승 1998년 2월 27일 안조영 四단 이성재 四단 186수 백 불계승 2차예선 1회전 1998년 3월 3일 서능욱 九단 안달훈 二단 244수 백 2집반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5일 백성호 九단 박진열 七단 206수 백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이상훈(大) 二단 노영하 八단 194수 백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양재호 九단 (故)전영선 七단 224수 흑 14집반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서무상 三단 김승준 六단 101수 흑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목진석 三단 이상철 七단 149수 흑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최규병 八단 안달훈 三단 159수 흑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이동규 七단 김동엽 七단 243수 흑 11집반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6일 (故)정현산 六단 김원 六단 298수 백 반집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11일 김영환 四단 안영길 初단 99수 흑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16일 안조영 四단 김명완 三단 210수 백 불계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17일 김동면 六단 장수영 九단 269수 백 2집반승 2차예선 결승 1998년 3월 19일 최명훈 六단 정수현 九단 223수 흑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4월 24일 김영환 四단 김동면 六단 209수 흑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5월 8일 최규병 八단 (故)정현산 六단 157수 흑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5월 21일 백대현 三단 이동규 七단 238수 백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6월 12일 조한승 二단 안조영 四단 172수 백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6월 12일 서무상 三단 백성호 九단 128수 백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6월 25일 이상훈(大) 五단 조훈현 九단 278수 흑 5집반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7월 10일 양재호 九단 목진석 三단 85수 흑 불계승 본선 1회전 (16강전) 1998년 7월 20일 유창혁 九단 최명훈 六단 196수 백 불계승 준준결승전 (8강전) 1998년 7월 20일 김영환 四단 백대현 三단 264수 백 불계승 준준결승전 (8강전) 1998년 8월 10일 조한승 三단 최규병 八단 223수 흑 불계승 준준결승전 (8강전) 1998년 8월 21일 유창혁 九단 서무상 三단 163수 흑 불계승 준준결승전 (8강전) 1998년 8월 21일 이상훈(大) 五단 양재호 九단 261수 백 4집반승 준결승전 (4강전) 1998년 8월 25일 조한승 三단 김영환 四단 198수 백 불계승 준결승전 (4강전) 1998년 9월 14일 유창혁 九단 이상훈(大) 五단 183수 흑 불계승 도전자결정전 제1국 1998년 9월 30일 유창혁 九단 조한승 三단 232수 백 5집반승 도전자결정전 제2국 1998년 10월 15일 유창혁 九단 조한승 三단 191수 흑 7집반승 도전자결정전 제3국 1998년 10월 일 도전 1국 1998년 11월 11일 유창혁 九단 이창호 九단 231수 흑 불계승 도전 2국 1998년 11월 23일 이창호 九단 유창혁 九단 147수 흑 불계승 도전 3국 1998년 12월 5일 유창혁 九단 이창호 九단 95수 흑 불계승 도전 4국 1998년 12월 11일 이창호 九단 유창혁 九단 191수 흑 불계승 도전 5국 1998년 12월 21일 유창혁 九단 이창호 九단 314수 흑 7집반승 = 틀: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 = = 사토촌 (이바라키현) = 사토촌은 이바라키현 구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히타치오타시 남부에 해당한다. = 분류:의령 여씨 = = Souvenir: The Ultimate Collection = Souvenir: The Ultimate Collection은 빌리 조엘의 음반 박스 세트로 1990년 1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매되었다. 이 다섯 개의 음반 세트는 양키 스타디움 하이라이트에서의 라이브(5곡만 해당), 1985년 발매된 더블음반 Greatest Hits, Volume I & II, 1989년 발매된 음반 Storm Front, 그리고 타이틀곡 〈Souvenir〉(1974년 음반 Streetlife Serenade에 수록)과 나란히 한 인터뷰 모음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빌리 조엘의 음반 활동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음반 박스 세트는 1990년 1월 13일 ARIA Australian Top 50 Album 차트에 진입했고 3주째에 1위를 차지하여 총 18주를 유지하고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 수록곡 = = = = = 디스크 1: Live at Yankee Stadium = = = #〈Shout〉 (live) - 2:59 #〈Storm Front〉 (live) - 5:28 #〈New York State of Mind〉 (live) - 6:16 #〈I Go to Extremes〉 (live) - 4:46 #〈Piano Man〉 (live) - 6:14 = = = 디스크 2: Greatest Hits, Volume I = = = #〈Piano Man〉 - 5:36 #〈Captain Jack〉 - 7:15 #〈The Entertainer〉 - 3:38 #〈Say Goodbye to Hollywood〉 (Live) - 3:54 #〈New York State of Mind〉 - 6:02 #〈The Stranger〉 - 5:07 #〈Scenes from an Italian Restaurant〉 - 7:33 #〈Just the Way You Are〉 - 3:36 #〈Movin' Out (Anthony's Song)〉 - 3:28 #〈Only the Good Die Young〉 - 3:53 #〈She's Always a Woman〉 - 3:17 = = = 디스크 3: Greatest Hits, Volume II = = = #〈My Life〉 - 3:51 #〈Big Shot〉 - 3:45 #〈Honesty〉 - 3:51 #〈You May Be Right〉 - 4:13 #〈It's Still Rock & Roll to Me〉 - 2:55 #〈She's Got a Way〉 (Live) - 3:00 #〈Pressure〉 - 3:15 #〈Allentown〉 - 3:48 #〈Goodnight Saigon〉 - 7:00 #〈Tell Her About It〉 - 3:35 #〈Uptown Girl〉 - 3:15 #〈The Longest Time〉 - 3:36 #〈You're Only Human (Second Wind)〉 - 4:48 #〈The Night Is Still Young〉 - 5:29 = = = 디스크 4: Storm Front = = = #〈That's Not Her Style〉 - 5:10 #〈We Didn't Start the Fire〉 - 4:50 #〈The Downeaster 'Alexa'〉 - 3:44 #〈I Go to Extremes〉 - 4:23 #〈Shameless〉 - 4:26 #〈Storm Front〉 - 5:17 #〈Leningrad〉 - 4:06 #〈State of Grace〉 - 4:30 #〈When in Rome〉 - 4:50 #〈And So It Goes〉 - 3:38 = = = 디스크 5: Interview with Billy Joel = = = #〈Introduction〉 - 1:15 #〈Billy Joel Interview 1〉 - 19:23 #〈Billy Joel Interview 2〉 - 18:40 #〈Billy Joel Interview 3〉 - 9:07 #〈Souvenir〉 - 2:00 = 피후강 = 피후강(被喉綱, Phylactolaemata)은 태형동물(이끼벌레류)에 속하는 동물 강의 하나이다. 촉수관을 가진 작은 정착성 동물이며, 군체를 형성하는 것 등에서는 다른 이끼벌레류와 같지만, 촉수가 원형이 아닌 말굽형인 점 등에서 여러 가지 다르다. 그래서 이들을 피후강으로 묶고, 그 이외의 이끼벌레류를 대부분 포함하는 나후강과 대비하여 분류한다. 석회질화되어 있지 않으며 체벽근이 발달해 있고 개충끼리 체강은 연결되어 있다. 촉수관은 휴지아(statoblast)를 생성한다. 큰빗이끼벌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나후류가 거의 바다에 사는 데 비해 피후강은 대부분 민물에 산다. = = 하위 분류 = = 깃털이끼벌레목 (Plumatellida) 크리스타텔라과 (Cristatellidae) * 크리스타텔라속 (Cristatella) Cuvier, 1798 둥근총담이끼벌레과 (Fredericellidae) Allman, 1856 * 둥근총담이끼벌레속 (Fredericella) Gervais, 1838 총담이끼벌레과 (Lophopodidae) Rogick, 1935 * 아사지로이끼벌레속 (Asajirella) Oda & Mukai, 1989 * 총담이끼벌레속 (Lophopodella) Rousselet, 1904 * 로포푸스속 (Lophopus) Dumortier, 1835 깃털이끼벌레과 (Plumatellidae) * 유리이끼벌레속 (Hyalinella) Jullien, 1885 * 깃털이끼벌레속 (Plumatella) Lamarck, 1816 * 스톨렐라속 (Stolella) Annandale, 1909 * Swarupella Shrivastava, 1981 왕관이끼벌레과 (Stephanellidae) Lacourt, 1968 * 왕관이끼벌레속 (Stephanella) Oka, 1908 목 분류군 미정(incertae sedis) 빗이끼벌레과 (Pectinatellidae) * 아프린델라속 (Afrindella) Wiebach, 1964 * 빗이끼벌레속 (Pectinatella) Leidy, 1852 - 큰빗이끼벌레 포함 과 분류군 미정(incertae sedis) * Varunella Wiebach, 1974 = 분류:모잠비크의 정치 운동 = = 분류:샌프란시스코 출신 등장인물 = = 번지수가 틀렸네요 = "번지수가 틀렸네요"는 한국에서 제작된 심우섭 감독의 1968년 영화이다. 구봉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우기동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구봉서 서영춘 도금봉 = = 기타 = = 조명: 강용신 미술: 송백규 = 제임스 캔틀리 = 제임스 캔틀리 경 KBE FRCS KStJ (Sir James Cantlie, 1851년 1월 17일 ~ 1926년 5월 28일)은 영국의 외과의사다. 그는 응급처치의 선구자였는데 1875년까지만 해도 알려지지 않은 것이었다. 그 시기에는 경찰도 심각한 출혈을 막는 방법과 부목대는 방법 같은 기초 지식조차 몰랐다. 캔틀리는 또한 열대병 연구 및 퇴화와 관련된 논쟁에서도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 = = 삶 = = 캔틀리는 스코틀랜드 밴프셔(Banffshire)에서 태어났고 애버딘 대학교에서 첫 학위를 따면서 런던에 있는 체어링 크로스 병원(Charing Cross Hospital)에서 임상 훈련을 수행했다. 1877년 캔틀리는 왕립 수술 대학(Royal College of Surgeons)에서 펠로우, 그리고 체어링 크로스 병원에서 외과의사 보조가 됐다. 1886년 체어링 크로스 병원에서 외과의사가 됐다. 1888년 홍콩에서의 활동을 위해 사임했다. 그는 홍콩중국인의과대학(Hong Kong College of Medicine for Chinese)을 공동설립했는데 이는 훗날 홍콩 대학이 됐다. 홍콩중국인의과대학에서의 첫 제자들 중 한 명은 쑨원이었다. 캔틀리는 홍콩에서 나병과 여러 열대병들을 연구했다. 1894년에 전염병 사태를 맞닥뜨렸다. 1896년 연구자와 개원의로서의 격무 때문에 건강이 악화되어 런던으로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그 해에 쑨원이 캔틀리를 방문하고 청나라 측에 의해 납치됐다. 쑨원은 청나라 공사관에 감금됐고 중국으로 송환되어 처형당할 처지였지만 언론을 통해 캠페인을 한 캔틀리의 도움으로 석방됐을 뿐 아니라 영국에서 영웅이 됐다. 캔틀리는 1898년 열대의료저널(Journal of Tropical Medicine)을 창간하고 1899년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을 세웠다. 1907년 왕립 열대의료 위생학회(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ine and Hygiene)를 세웠다. 20세기 초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캔틀리는 구급차 서비스 공급과 훈련에 열중했다. 사후 하트포드셔주 코터드(Cottered)에 있는 세인트 존 침례교회에 안장됐다. 중령 케네스 캔틀리와 닐 캔틀리 경은 제임스 캔틀리의 아들이고 언론인 존 캔틀리는 제임스 캔틀리의 증손자다. = 분류:미국의 아나키스트 = = XRCD = XRCD(Extended Resolution Compact Disc)는 JVC 특허의 마스터링, 제조 공정으로, 레드북 콤팩트 디스크(CD)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1995년 처음 선보였다. XRCD의 가격은 정규 가격 CD 대비 가격이 2배나 높다. JVC는 이를 고품질의 마스터링과 제조로 인한 더 높은 비용 탓으로 돌렸다. 16비트, 44.1 kHz로 인코딩되므로 XRCD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하다. JVC는 고급 디더링 알고리즘(노이즈 셰이핑 없이)을 자사의 K2 기술에 사용하여 아날로그나 디지털 소스를 물리 디스크에 전송한다. = 분류:토니 S. 대니얼이 창작한 등장인물 = = 분류:19세기 개신교 신학자 = = 분류:1934년 환경 = = 분류:스코틀랜드에 거주한 우루과이인 =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2020)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10번째 대회이다. = = 개요 = = 참가팀 수: 22 후원: 마스터카드, OPPO, 에일리언웨어, 시크릿랩 주최/주관: 라이엇 게임즈 기념 스킨: 챔피언십 르블랑 주제가: Take Over = = = 방식 = = = 플레이-인: 메이저 최상위 2개 지역 4번 시드 2팀, 메이저 차상위 지역 3번 시드 1팀(LCK 제외), 마이너 최상위 지역 준우승팀 1팀, 나머지 마이너 지역 우승팀 6팀이 참가 그룹 스테이지: 2개 조로 나누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 각 조 1위는 메인 이벤트 직행, 각 조 2위는 녹아웃 토너먼트 결승, 각 조 3, 4위는 녹아웃 토너먼트 준결승에 진출 녹아웃 토너먼트: 5전 3선승제 메인 이벤트: 메이저 지역 12팀, 플레이-인 통과한 4팀이 참가 그룹 스테이지: 4개 조로 나누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 각 조 상위 2팀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 결승 토너먼트: 5전 3선승제 = = = 달라지는 점 = = = LMS(대만/홍콩/마카오)와 LST(동남아시아)가 PCS(대만/홍콩/마카오/동남아시아)로 통합하여 리그 수가 12개로 줄었다. 최근 2년간 상위 성적을 거둔 LPL(중국), LEC(유럽)가 4장의 시드권(그룹 스테이지 3장 + 플레이-인 1장)을 가져간다. PCS와 VCS가 2개의 시드권(그룹 스테이지 1장 + 플레이-인 1장)을 가져간다. 2020년 9월 1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VCS(베트남)의 불참하여 11개 지역, 22개팀이 출전하고, LCK(대한민국)의 시드가 그룹 스테이지 3장(1번 시드 1장 + 2번 시드 2장)으로 변경되었다. = = = 일정 = =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9월 25일 (금) ~ 28일 (월) 녹아웃 토너먼트: 9월 29일 (화) ~ 30일 (수) 메인 이벤트 그룹 스테이지 * 1주차: 10월 3일 (토) ~ 6일 (화) * 2주차: 10월 8일 (목) ~ 11일 (일) 8강: 10월 15일 (목) ~ 18일 (일) 준결승: 10월 24일 (토) ~ 25일 (일) 결승: 10월 31일 (토) = = = 경기장 = = = 플레이-인 스테이지 ~ 준결승전: 상하이 미디어 테크 스튜디오 결승전: 상하이 푸동 스타디움 = = = 상금 = = = 총 상금: 기본 상금 ($ 2,250,000) + α (크라우드 펀딩 전체 판매 수익의 25%) 우승: 총 상금의 25% 준우승: 총 상금의 17.5% 준결승: 총 상금의 9% 8강: 총 상금의 4.5% 그룹 스테이지 각 조 3위: 총 상금의 2.5% 그룹 스테이지 조 공동 3위: 총 상금의 2% (순위 결정전 없음) 그룹 스테이지 각 조 4위: 총 상금의 1.5% 플레이-인 스테이지 녹아웃 토너먼트 2라운드: 총 상금의 1% 플레이-인 스테이지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총 상금의 0.75% 플레이-인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 총 상금의 0.6% 올해 대회 불참한 VCS는 서머 시즌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 총 상금의 2.1%를 수여 = = 지역별 대표 선발전 = = = = = 출전팀 = = = 최근 2년 동안 세계 대회(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월드 챔피언십) 성적에 따라서 참가하는 단계가 나뉘었다. 볼드체는 그룹 스테이지의 1번 시드 팀이다.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 팀 약칭 리그 자격 시드 풀 탑 e스포츠 TES LPL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2020 서머 우승 1 징동 게이밍 JDG LPL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2020 챔피언십 포인트 1위 2 쑤닝 SN LPL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 중국 지역 대표 선발전 1위 2 G2 e스포츠 G2 LEC 리그 오브 레전드 유로피언 챔피언십 2020 서머 우승 1 프나틱 FNC LEC 리그 오브 레전드 유로피언 챔피언십 2020 서머 준우승 2 로그 RGE LEC 리그 오브 레전드 유로피언 챔피언십 2020 서머 3위 3 담원 게이밍 DWG LCK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2020 서머 우승 1 DRX DRX LCK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2020 챔피언십 포인트 1위 2 Gen.G GEN LCK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 대한민국 지역 대표 선발전 우승 3 팀 솔로미드 TSM LCS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2020 서머 우승 1 플라이퀘스트 FLY LCS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2020 서머 준우승 3 마치 e스포츠 MCX PCS 퍼시픽 챔피언십 시리즈 2020 서머 우승 3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 팀 약칭 리그 자격 시드 풀 LGD 게이밍 LGD LPL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0 중국 지역 대표 선발전 2위 1 매드 라이온스 MAD LEC 리그 오브 레전드 유로피언 챔피언십 2020 서머 4위 1 팀 리퀴드 TL LCS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2020 서머 3위 1 PSG 탈론 PSG PCS 퍼시픽 챔피언십 시리즈 2020 서머 준우승 1 파파라 슈퍼매시브 SUP TCL 터키 챔피언십 리그 2020 서머 우승 2 유니콘스 오브 러브 UOL LCL 리그 오브 레전드 컨티넨탈 리그 2020 서머 우승 2 레인보우7 R7 LLA 라틴 아메리카 리그 2020 클로징 우승 2 INTZ ITZ CBLOL 서킷 브라질리안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윈터 우승 2 V3 e스포츠 V3 LJL 리그 오브 레전드 일본 리그 2020 서머 우승 2 레거시 e스포츠 LGC OPL 오세아니아 프로 리그 2020 스플릿 2 우승 2 = = 플레이-인 = = = = = 그룹 스테이지 = = = = = = = A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팀 리퀴드 5 4 1 그룹 스테이지 1-2위 결정전 승 레거시 e스포츠 5 3 2 녹아웃 토너먼트 2라운드 1-2위 결정전 패 파파라 슈퍼매시브 4 2 2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매드 라이온스 5 2 3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4-5위 결정전 승 INTZ 5 1 4 탈락 4-5위 결정전 패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매드 라이온스 승 패 INTZ 1경기 2020년 9월 25일 MAD Humanoid (Mid) 레거시 e스포츠 승 패 INTZ 2경기 2020년 9월 25일 LGC Tally (Mid) 팀 리퀴드 승 패 매드 라이온스 3경기 2020년 9월 25일 TL Impact (Top) INTZ 패 승 파파라 슈퍼매시브 4경기 2020년 9월 26일 SUP Armut (Top) 파파라 슈퍼매시브 승 패 매드 라이온스 5경기 2020년 9월 26일 SUP Armut (Top) 팀 리퀴드 승 패 레거시 e스포츠 6경기 2020년 9월 26일 TL Jensen (Mid) 파파라 슈퍼매시브 패 승 팀 리퀴드 7경기 2020년 9월 28일 TL Impact (Top) 매드 라이온스 패 승 레거시 e스포츠 8경기 2020년 9월 28일 LGC Topoon (Top) INTZ 승 패 팀 리퀴드 9경기 2020년 9월 28일 ITZ Tay (Top) 레거시 e스포츠 승 패 파파라 슈퍼매시브 10경기 2020년 9월 28일 LGC Raes (AD) 매드 라이온스 승 패 INTZ 4-5위 결정전 2020년 9월 28일 MAD Humanoid (Mid) 팀 리퀴드 승 패 레거시 e스포츠 1-2위 결정전 2020년 9월 28일 TL Broxah (Jungle) = = = = B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PSG 탈론 5 4 1 그룹 스테이지 1-2위 결정전 승 유니콘스 오브 러브 5 3 2 녹아웃 토너먼트 2라운드 1-2위 결정전 패 레인보우7 4 2 2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LGD 게이밍 5 2 3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4-5위 결정전 승 V3 e스포츠 5 1 4 탈락 4-5위 결정전 패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PSG 탈론 승 패 레인보우7 1경기 2020년 9월 25일 PSG Kongyue (Jungle) LGD 게이밍 패 승 PSG 탈론 2경기 2020년 9월 25일 PSG Kaiwing (Support) 레인보우7 패 승 V3 e스포츠 3경기 2020년 9월 26일 V3 Raina (Support) V3 e스포츠 패 승 유니콘스 오브 러브 4경기 2020년 9월 26일 UOL Nomanz (Mid) LGD 게이밍 패 승 레인보우7 5경기 2020년 9월 26일 R7 Acce (Top) 유니콘스 오브 러브 승 패 PSG 탈론 6경기 2020년 9월 26일 UOL Nomanz (Mid) V3 e스포츠 패 승 LGD 게이밍 7경기 2020년 9월 27일 LGD xiye (Mid) 레인보우7 승 패 유니콘스 오브 러브 8경기 2020년 9월 27일 R7 Aloned (Mid) PSG 탈론 승 패 V3 e스포츠 9경기 2020년 9월 27일 PSG Uniboy (Mid) 유니콘스 오브 러브 승 패 LGD 게이밍 10경기 2020년 9월 27일 UOL Gadget (AD) 유니콘스 오브 러브 패 승 PSG 탈론 1-2위 결정전 2020년 9월 27일 PSG Uniboy (Mid) LGD 게이밍 승 패 V3 e스포츠 4-5위 결정전 2020년 9월 27일 LGD xiye (Mid) = = = 녹아웃 토너먼트 = = = = = = = 1라운드 = = = =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일 정 그룹 스테이지 3위 스코어 스코어 그룹 스테이지 4위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일 정 레인보우7 0 3 LGD 게이밍 LGD Mark (Support) LGD xiye (Mid) LGD Langx (Top) X X 2020년 9월 29일 파파라 슈퍼매시브 3 2 매드 라이온스 SUP KaKAO (Jungle) MAD Humanoid (Mid) SUP SnowFlower (Support) MAD Humanold (Mid) SUP Armut (Top) 2020년 9월 29일 = = = = 2라운드 = = = =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일 정 그룹 스테이지 2위 스코어 스코어 녹아웃 토너먼트 1라운드 승자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일 정 레거시 e스포츠 0 3 LGD 게이밍 LGD Langx (Top) LGD xiye (Mid) LGD xiye (Mid) X X 2020년 9월 30일 유니콘스 오브 러브 3 0 파파라 슈퍼매시브 UOL Gadget (AD) UOL Nomanz (Mid) UOL Gadget (AD) X X 2020년 9월 30일 = = 그룹 스테이지 = = = = = = A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쑤닝 7 5 2 결승 토너먼트 순위 결정전 승 G2 e스포츠 7 4 3 결승 토너먼트 순위 결정전 패 팀 리퀴드 6 3 3 탈락 마치 e스포츠 6 1 5 탈락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마치 e스포츠 승 패 팀 리퀴드 1경기 2020년 10월 4일 MCX Gemini (Jungle) G2 e스포츠 승 패 쑤닝 2경기 2020년 10월 4일 G2 Mikyx (Support) 마치 e스포츠 패 승 G2 e스포츠 3경기 2020년 10월 5일 G2 Wunder (Top) 팀 리퀴드 패 승 쑤닝 4경기 2020년 10월 5일 SN Angel (Mid) G2 e스포츠 패 승 팀 리퀴드 5경기 2020년 10월 6일 TL Jensen (Mid) 쑤닝 승 패 마치 e스포츠 6경기 2020년 10월 6일 SN huanfeng (AD) 팀 리퀴드 패 승 G2 e스포츠 7경기 2020년 10월 8일 G2 Wunder (Top) 마치 e스포츠 패 승 쑤닝 8경기 2020년 10월 8일 SN Bin (Top) G2 e스포츠 승 패 마치 e스포츠 9경기 2020년 10월 8일 G2 Caps (Mid) 쑤닝 패 승 팀 리퀴드 10경기 2020년 10월 8일 TL Tactical (AD) 팀 리퀴드 승 패 마치 e스포츠 11경기 2020년 10월 8일 TL CoreJJ (Support) 쑤닝 승 패 G2 e스포츠 12경기 2020년 10월 8일 SN Bin (Top) 쑤닝 승 패 G2 e스포츠 순위 결정전 2020년 10월 8일 SN Bin (Top) = = = = B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담원 게이밍 6 5 1 결승 토너먼트 징동 게이밍 6 4 2 결승 토너먼트 PSG 탈론 6 2 4 탈락 로그 6 1 5 탈락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로그 승 패 PSG 탈론 1경기 2020년 10월 3일 RGE Vander (Support) 담원 게이밍 승 패 징동 게이밍 2경기 2020년 10월 3일 DWG Canyon (Jungle) 로그 패 승 담원 게이밍 3경기 2020년 10월 4일 DWG Canyon (Jungle) PSG 탈론 패 승 징동 게이밍 4경기 2020년 10월 4일 JDG LvMao (Support) 담원 게이밍 승 패 PSG 탈론 5경기 2020년 10월 5일 DWG Nuguri (Top) 징동 게이밍 승 패 로그 6경기 2020년 10월 5일 JDG Zoom (Top) PSG 탈론 패 승 담원 게이밍 7경기 2020년 10월 9일 DWG Ghost (AD) 로그 패 승 징동 게이밍 8경기 2020년 10월 9일 JDG Zoom (Top) 담원 게이밍 승 패 로그 9경기 2020년 10월 9일 DWG Canyon (Jungle) 징동 게이밍 패 승 PSG 탈론 10경기 2020년 10월 9일 PSG River (Jungle) PSG 탈론 승 패 로그 11경기 2020년 10월 9일 PSG Tank (Mid) 징동 게이밍 승 패 담원 게이밍 12경기 2020년 10월 9일 JDG Zoom (Top) = = = = C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Gen.G 6 5 1 결승 토너먼트 프나틱 6 4 2 결승 토너먼트 LGD 게이밍 6 3 3 탈락 팀 솔로미드 6 0 6 탈락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Gen.G 승 패 LGD 게이밍 1경기 2020년 10월 3일 GEN Life (Support) 팀 솔로미드 패 승 프나틱 2경기 2020년 10월 3일 FNC Selfmade (Jungle) Gen.G 승 패 팀 솔로미드 3경기 2020년 10월 4일 GEN Ruler (AD) LGD 게이밍 승 패 프나틱 4경기 2020년 10월 4일 LGD Langx (Top) 프나틱 승 패 Gen.G 5경기 2020년 10월 6일 FNC Nemesis (Mid) 팀 솔로미드 패 승 LGD 게이밍 6경기 2020년 10월 6일 LGD xiye (Mid) 프나틱 승 패 팀 솔로미드 7경기 2020년 10월 10일 FNC Nemesis (Mid) LGD 게이밍 패 승 Gen.G 8경기 2020년 10월 10일 GEN Rascal (Top) 팀 솔로미드 패 승 Gen.G 9경기 2020년 10월 10일 GEN Ruler (AD) 프나틱 승 패 LGD 게이밍 10경기 2020년 10월 10일 FNC Hylissang (Support) LGD 게이밍 승 패 팀 솔로미드 11경기 2020년 10월 10일 LGD xiye (Mid) Gen.G 승 패 프나틱 12경기 2020년 10월 10일 GEN Rascal (Top) = = = = D조 = = = = 팀 경기 승 패 결과 비고 탑 e스포츠 6 5 1 결승 토너먼트 DRX 6 4 2 결승 토너먼트 플라이퀘스트 6 3 3 탈락 유니콘스 오브 러브 6 0 6 탈락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일 정 일 정 최우수 선수 블루 진영 스코어 스코어 레드 진영 매치 번호 날짜 최우수 선수 플라이퀘스트 패 승 탑 e스포츠 1경기 2020년 10월 3일 TES 369 (Top) 유니콘스 오브 러브 패 승 DRX 2경기 2020년 10월 3일 DRX Pyosik (Jungle) 플라이퀘스트 승 패 유니콘스 오브 러브 3경기 2020년 10월 5일 FLY PowerOfEvil (Mid) 탑 e스포츠 승 패 DRX 4경기 2020년 10월 5일 TES JackeyLove (AD) DRX 승 패 플라이퀘스트 5경기 2020년 10월 6일 DRX Chovy (Mid) 탑 e스포츠 승 패 유니콘스 오브 러브 6경기 2020년 10월 6일 TES 369 (Top) 플라이퀘스트 패 승 DRX 7경기 2020년 10월 11일 DRX Doran (Top) 유니콘스 오브 러브 패 승 탑 e스포츠 8경기 2020년 10월 11일 TES Karsa (Jungle) DRX 승 패 유니콘스 오브 러브 9경기 2020년 10월 11일 DRX Pyosik (Jungle) 탑 e스포츠 패 승 플라이퀘스트 10경기 2020년 10월 11일 FLY IgNar (Support) 유니콘스 오브 러브 패 승 플라이퀘스트 11경기 2020년 10월 11일 FLY WildTurtle (AD) DRX 패 승 탑 e스포츠 12경기 2020년 10월 11일 TES knight (Mid) = = 결승 토너먼트 = = = = = = 8강전 = = = =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일 정 그룹 스테이지 1위 스코어 스코어 그룹 스테이지 2위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일 정 담원 게이밍 3 0 DRX DWG BeryL (Support) DWG Nuguri (Top) DWG Nuguri (Top) X X 2020년 10월 15일 쑤닝 3 1 징동 게이밍 JDG Yagao (Mid) SN SofM (Jungle) SN Bin (Top) SN huanfeng (AD) X 2020년 10월 16일 탑 e스포츠 3 2 프나틱 FNC Hylissang (Support) FNC Hylissang (Support) TES Karsa (Jungle) TES Karsa (Jungle) TES knight (Mid) 2020년 10월 17일 Gen.G 0 3 G2 e스포츠 G2 Caps (Mid) G2 Caps (Mid) G2 Caps (Mid) X X 2020년 10월 18일 = = = = 준결승전 = = = =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일 정 8강전 4/3경기 승자 스코어 스코어 8강전 1/2경기 승자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일 정 G2 e스포츠 1 3 담원 게이밍 DWG Nuguri (Top) G2 Caps (Mid) DWG Ghost (AD) DWG BeryL (Support) X 2020년 10월 24일 탑 e스포츠 1 3 쑤닝 SN Bin (Top) TES knight (Mid) SN Bin (Top) SN Angel (Mid) X 2020년 10월 25일 = = = = 결승전 = = = =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대 진 표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세트 결과 및 최우수 선수 일 정 준결승 2경기 승자 스코어 스코어 준결승 1경기 승자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5세트 일 정 쑤닝 1 3 담원 게이밍 DWG BeryL (Support) SN Bin (Top) DWG Nuguri (Top) DWG Canyon (Jungle) X 2020년 10월 31일 = = 최종 순위 = = 상금규모 : $ 2,250,000 (기본 상금 및 크라우드 펀딩 수익의 25% 미적용) 괄호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올라온 팀들의 플레이-인 스테이지 성적 (단, 최종 성적은 그룹 스테이지부터 적용) 순위 결정전은 최종 성적에 포함되지 않는다. 순위 상금 (USD) 리그 팀명 승 패 우승 $ 562,500 LCK 담원 게이밍 14 3 준우승 $ 393,750 LPL 쑤닝 11 7 준결승에서 탈락 준결승에서 탈락 준결승에서 탈락 준결승에서 탈락 준결승에서 탈락 준결승에서 탈락 3위 $ 202,500 LPL 탑 e스포츠 10 6 4위 $ 202,500 LEC G2 e스포츠 8 6 8강전에서 탈락 8강전에서 탈락 8강전에서 탈락 8강전에서 탈락 8강전에서 탈락 8강전에서 탈락 5위 $ 101,250 LEC 프나틱 6 5 6위 $ 101,250 LCK Gen.G 5 4 7위 $ 101,250 LPL 징동 게이밍 5 5 8위 $ 101,250 LCK DRX 4 5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9위 $ 56,250 LCS 팀 리퀴드 3(4) 3(1) 9위 $ 56,250 LPL LGD 게이밍 3(8) 3(3) 9위 $ 56,250 LCS 플라이퀘스트 3 3 12위 $ 56,250 PCS PSG 탈론 2(4) 4(1) 13위 $ 33,750 PCS 마치 e스포츠 1 5 13위 $ 33,750 LEC 로그 1 5 15위 $ 33,750 LCS 팀 솔로미드 0 6 15위 $ 33,750 LCL 유니콘스 오브 러브 0(6) 6(1)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플레이-인 녹아웃 토너먼트에서 탈락 17위 $ 22,500 TCL 파파라 슈퍼매시브 5 7 18위 $ 22,500 OPL 레거시 e스포츠 3 4 19위 $ 16,875 LEC 매드 라이온스 3 6 20위 $ 16,875 LLA 레인보우7 2 5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 21위 $ 13,500 CBLOL INTZ 1 4 21위 $ 13,500 LJL V3 e스포츠 1 4 = = 기록 = = = = = 펜타킬 = = = 소환사명 포지션 경기 챔피언 날짜 SN Bin Top 결승전 2세트 SN vs DWG 피오라 2020년 10월 31일 = 분류:1210년대 = = 분류:13세기 로마 가톨릭 성직자 = = 분류:나이지리아-튀르키예 관계 = = 윤선애 = 윤선애(1983년 10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포스코에너지 소속 탁구 선수이다. 2012년 중국 마카오 아시아 선수권대회 당예서, 석하정, 박영숙, 양하은과 함께 단체전 멤버였다. = 1984-8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 = 1984-8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은 유러피언컵위너스컵의 25번째 대회이다. 에버턴이 결승전에서 라피트 빈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결승전 = = 결승전은 1985년 5월 15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스타디온 페예노르트에서 열렸다. 1984-8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 우승 에버턴1번째 우승 = 혁명적노동자협회 = 혁명적노동자협회, 약칭 혁노협(革労協)은 1969년 결성된 일본 신좌파 정파 사청동 해방파의 중심 정치조직이다. 1981년 해방파가 분열, 해체 지경에 이르면서 이후 주로 "해방파" 보다는 "혁노협"을 칭하게 되었다. 1999년에 또다시 분열했다. = 분류:도치기현의 화산 = = 분류:1848년 혁명 = = 스탠리 애덤스 = 스탠리 애덤스(Stanley Adams, 1915년 4월 7일 ~ 1977년 4월 27일)는 미국의 배우, 각본가,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연극 배우이다.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샌타모니카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더 클론스 (1973년) 노리스 테입스 (1973년) 나이트 스토커 (1972년) 섹스에 대해서 알고 싶어하는 모든 것 (1972년) 더 세븐 미니츠 (1971년) 제12순찰대 (1968년) 런던 대소동 (1967년) 사하라 특공대 (1966년) 세일즈맨의 죽음 (1966년) 배트맨 - 66년 TV 시리즈 (1966년) - 노래교실 회원 역 네바다 스미스 (1966년) 바보들의 배 (1965년) 루킹 포 러브 (1964년) 들백합 (1963년) 헤비급을 위한 진혼곡 (1962년) 미스터 에드 (1961년) 심부름 소년 (1961년) 영 사베지스 (1961년) 이오지마의 영웅 (1961년) 티파니에서 아침을 (1961년) 알래스카의 혼 (1960년) 추격 (1959년) 진 크루파 스토리 (1959년)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년) 피터 건 (1958년) 피리 부는 사나이 (1957년) 볼드 앤 브레이브 (1956년) 딜론 보안관 (1955년) = .ve = .ve는 베네수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이다. 다음 도메인들을 등록할 수 있다. .com.ve - 베네수엘라의 상업 사이트 .edu.ve - 베네수엘라의 교육 기관 .gob.ve - 베네수엘라 정부 관련 웹사이트 .mil.ve - 베네수엘라 군사 관련 웹사이트 .net.ve - 베네수엘라 네트워크 제공자 .org.ve - 베네수엘라의 단체 .info.ve - 베네수엘라의 정보 공유 사이트 .co.ve .web.ve = 구라모토역 (도쿠시마현) = 구라모토역은 일본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에 위치한 시코쿠 여객철도 도쿠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0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도쿠시마 선 아와이케다 · 아나부키 방면 1 ■ 도쿠시마 선 도쿠시마 방면 2 ■ 도쿠시마 선 도쿠시마 방면 (이 역의 상호운행 열차만) = = 이용 현황 = = 연도 하루 평균 연도 하루 평균 1995년도 691 2003년도 453 1996년도 686 2004년도 446 1997년도 657 2005년도 434 1998년도 586 2006년도 420 1999년도 514 2007년도 425 2000년도 508 2008년도 422 2001년도 511 2009년도 421 2002년도 482 2010년도 424 = = 역 주변 = = 도쿠시마 대학 구라모토 캠퍼스 의학부 치학부 약학부 질환효소학 연구센터 질환 프로테오 게놈 연구센터 원소 종합센터 도쿠시마 대학병원 도쿠시마 현립 추오병원 도쿠시마 현 종합검진센터 = 분류:1997년 라이브 음반 = = 분류:9세기 중국 = = 클로드 길링워터 = 클로드 길링워터(Claude Gillingwater, 1870년 8월 2일 ~ 1939년 11월 1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베벌리힐스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총상이다. 포리스트 론 메모리얼 파크에 매장되었다. = = 영화 = = 저스트 어라운드 더 코너 (1938년) 리틀 미스 브로드웨이 (1938년) 정복자 (1937년) 푸어 리틀 리치 걸 (1936년) 상어섬의 죄수 (1936년) 미시시피 (1935년) 두 시민 이야기 (1935년) 캡틴 헤이트 더 씨 (1934년) 키스 미 어게인 (1930년) 스타크 매드 (1929년) 오 케이! (1928년) 소공자 (1921년) = 태풍 마리아 (2018년) = 태풍 마리아 (MARIA)는 2018년의 8호 태풍이다. 태풍 마리아의 중국행으로 인해 확장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장마전선을 만주로 밀어 올리고, 티베트 고기압의 영향이 겹치며 기록적인 2018년 한국 폭염이 시작되었다. 마리아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의 이름이며, 2018년 최초로 카테고리 5등급에 도달했던 태풍이다. = = 태풍의 진행 = = 7월 4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동쪽 약 1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급발달해서, 7월 8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1,0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4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맹렬한',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북서~서북서진하면서 일본 오키나와 이시가키섬과 미야코섬 부근 해상을 7월 10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9m/s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통과하였고, 7월 11일 오전 9시 10분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4m/s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중국 푸젠성 렌장 현 황치 반도 해안에 상륙하였다. 중국 푸젠성 상륙 이후 계속 서~북서진하며 급약화되어서 7월 12일 오전 3시에 중국 푸저우 서북서쪽 약 4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 Summer Vibes = Summer Vibes은 2016년 7월 1일에 발매된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인 아스트로의 두 번째 미니 앨범이며 타이틀 곡은 '숨가빠'이다. = = 차트 = = = = = 주간 차트 = = = 차트 최고순위 (가온 앨범 차트) 4 = = = 월간 차트 = = = 차트 최고순위 (가온 앨범 차트) 8 = = = 판매량 차트 = = = 차트 수량 가온 앨범 차트 29,706+ = 분류:튀니지-프랑스 관계 = = Roy Orbison at the Rock House = Roy Orbison at the Rock House는 1961년 12월에 발매된 로이 오비슨의 음반이다. 선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로버트 월더스 = 로버트 월더스(, 1936년 9월 28일 ~ 2018년 7월 12일)는 네덜란드의 텔레비전 배우로 U.N.C.L.E., Bewitched and The Mary Tyler Moore Show와 같은 시리즈에 출연하고 U.N.C.L.E.에서 그의 역할로 유명하다. 그는 멀 오베론과 결혼했고 오드리 헵번의 오랜 파트너였다. = 오청원 = 오청원(吳清源, 고 세이겐(구레 기요하라), 우 칭위안, 1914년 6월 12일 ~ 2014년 11월 30일)은 중국 푸젠성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한 바둑 기사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국수다. 본명은 오천(吳泉, 우 취안, 구레 이즈미)이다. = = 생애 = = 일본 유학 전인, 중국 시절 ‘소년 오천(吳泉)’의 스승은 고수여(顧水如), 고수여는 북경 어느 기원에서 우연히 소년 오천의 바둑을 구경하게 되고, 소년의 재주에 반해 한판 시험기를 둔 후 제자로 삼았으며, 이후 자기집으로 출퇴근시키며 소년을 가르쳤다. 하루는 오천의 어머니가 소년과 같이 와서는 소년의 이름을 지어 주십사 요청했다. 그날은 마침 고선생의 형인 淵如(연여)가 함께 있었는데, 연여가 “샘물은 맑지(泉水是淸的)."라고 말했다. 이어 고선생이 말하기를, “샘물은 아득한 곳에서 솟아 멀리까지 흐르지(泉水是源遠流長的).”라고 말했다. 이리하여 오천은 吳淸源(오청원)이라는 또 하나의 이름이 생겼고 이후 이 이름으로 유명해지게 된다. 그는 바둑을 좋아하는 부친의 영향으로 7살 때부터 바둑을 배웠다. 1928년 어머니, 형과 함께 일본으로 이주, 세고에 겐사쿠의 문하에 들어갔다. 1934년 라이벌 기타니 미노루와 공동으로 '위기(圍棋)의 혁명 신포석법'을 발표, 1939~1941년 기타니 미노루와의 치수 고치기 십번기에서 승리해 바둑계의 1인자의 자리에 올랐다. 그 후 다른 일본 정상급 바둑 기사들과의 십번기에서도 승리해 약 20년동안 1인자의 자리를 지켰다. 1983년 은퇴하였고 문하에 린하이펑, 루이나이웨이를 뒀다. = = 국적 = = 국적과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다. 1936년 일본 국적으로 바꾸고 이름을 구레 이즈미(吳泉)로 바꿨다가 1940년 이름을 고 세이겐(吳 清源)으로 다시 바꿨다. 1946년에는 국적을 다시 중화민국으로 바꿨다. 1979년에는 다시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 = 기타 = = 오청원은 1930~1950년대 일본 정상급 바둑기사들과의 치수고치기 10번기에서 모조리 상대의 치수를 고쳤다. 치수고치기 10번기는 일본 에도 시대에 시작된 바둑계의 '끝장대결'이다. 바둑을 10번 둬서 4판 차이가 나면 치수(기력의 정도에 따라 누가 먼저 둘 것인가를 정하는 기준)를 고친다. 바둑을 둘 때 중용(中庸) 33장에 나오는 '암연이일장(闇然而日章: 군자의 도는 어두워 보이나 날로 빛난다)'을 적어넣은 휘호 부채를 들고 대국에 임했다. '살아 있는 기성(棋聖)' 또는 '20세기의 기성'이자 '현대바둑의 전설(아버지)'로 불린다. 중국 푸젠성 푸저우에는 '오청원 바둑회관'이 있다. "바둑은 조화(調和)", "묘수를 세 번 내면 진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 분류:쿠바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 = 오모리 (비디오 게임) = 오모리(OMORI)는 인디 스튜디오 오모캣이 개발한 2020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다. 오모리 웹만화 시리즈에 기반을 둔 이 게임은 2020년 12월 출시되었다. 주로 불안, 우울증 등의 개념을 특징으로 하는 이 게임은 심리적 공포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이야기 속에서 플레이어는 히키코모리 소년 써니(Sunny)와 그의 꿈 세계 또 다른 자아 오모리를 통제한다. 실제 세상과 초현실 꿈세계를 탐험하며 공포와 비밀을 극복해나간다. 소통하는 방식은 플레이어가 선택한 바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해 여러 엔딩 중 하나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게임의 턴 기반 전투 시스템은 캐릭터의 감정에 기반한 전통적이지 않은 상태 효과를 포함한다. = 월터 케이니그 = 월터 케이니그(Walter Koenig, 1936년 9월 14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노빌리티 (2015) 블루 드림 (2013) 인에일리어너블 (2008) 본 이터 (2007) 매드 카우걸 (2006) 스타 트랙 7 - 넥서스 트랙 (1994) 스타 트랙 6 - 미지의 세계 (1991) 문트랩 (1989) 스타 트랙 5 - 최후의 결전 (1989) 스타 트랙 4 - 귀환의 항로 (1986) 스타 트랙 3 - 스포크를 찾아서 (1984) 스타 트랙 2 - 칸의 분노 (1982) 스타 트랙 (1979) 스타 트렉 : 디 오리지널 시리즈 시즌1 (1966) = 디룽 = 디룽(狄龍, 적룡, 토미 탐, , , 1946년 8월 19일 ~ )은 홍콩의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 각본가, 무술가, 텔레비전 연기자이다. 초기 예명은 譚榮(탄룽, 담영)이다. = = 생애 = = 중화민국 광둥성 장먼 시 신후이 구(현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장먼 시 신후이 구)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포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훗날 만 4살 때 일가족과 함께 홍콩으로 이주했으며, 아버지의 사후 가난한 가정 환경으로 만 11살에 학업을 중단하고 식료품점에서 우유 배달, 신문 배달 등을 하며 생계를 책임졌다. 재단 훈련공으로도 일했으며, 주완에게 무술을 배웠다. 쇼 브라더스와 전속 계약을 맺으면서, 1969년 돌아온 외팔이(獨臂刀王)에 지미 왕위(王羽, Jimmy Wang Yu)의 상대역으로 출연하며 배우로서 데뷔하였다. (譚榮이라는 예명으로 카메오 출연) 동년에 狄龍(디룽, 적룡)으로 예명을 변경하며 두번째 출연작인 사각(死角)에서 처음으로 주연 배우로 출연하였다. 그는 1980년대에 쇼 브라더스를 떠났고, 1986년까지 활동이 부진했지만, 그 해 오우삼 감독의 영웅본색에 출연하며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전에 그는 미남 무술가의 이미지였지만 이후로 영웅 갱스터의 이미지를 굳히게 된다. 저우룬파(주윤발)와 함께 여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청룽(성룡)과 취권 2에서 청룽의 아버지 역으로 출연하기도 한다. 중국 남파 무술의 일종인 영춘권(詠春拳)의 고수로 알려져 있다. 그의 영춘권 실력은 그가 출연한 영화 소림사(少林寺)에서도 빛을 발휘하였다.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양문호장 -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합작 TV 드라마 신포청천 - 홍콩 TV 드라마 - 포증 역 환주격격3(황제의 딸3) - 중화인민공화국 TV 드라마 도망자 플랜 B = = = 영화 = = = 돌아온 외팔이 사각 보표 13인의 무사(십삼태보) 복수 신외팔이 쌍협 응왕 대결투 연경인 자마 대해도 전단차 흡독자 후생 초류향 초류향 2 - 편복전기 초류향 - 유령산장 다정검객무정검 냉혈십삼응 교두 취권 2 - 황기영 역 소림사 영웅본색 영웅본색2 유성어 조폭마누라 3 삼국지: 용의 부활 무협양축 검접 - 축공원 역 유오성의 7인의 암살단 당신이 필요로 하는 것은 오직 사랑 더 키드 프롬 더 빅 애플 우당탕탕 캠핑가족 = = 수상 = = 연도 시상식명 수상부문 작품명 1973년 제11회 금마장영화제 우수연기특별상(優秀演技特别獎) 자마(刺馬) 1973년 제19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우이연기상(優異演技獎) 자마(刺馬) 1979년 제25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남우주연상(演技最突出男主角) 냉혈십삼응(冷血十三鷹) 1986년 제23회 금마장영화제 남우주연상 영웅본색 2000년 제19회 홍콩 영화 금상장 남우조연상 유성어(流星語) 2007년 제12회 홍콩영화금자형장 탁월성취상(卓越成就獎) 2015년 제7회 마카오국제영화제(澳門國際電影節) 남우주연상 키드 프롬 더 빅 애플(我來自紐約) = 가변익 = 가변익(可變翼)은 비행 중에 뒤로 젖혔다가 원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비행기 날개들의 모임이다. 비행 중에 항공기의 모양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가변기하학적 항공기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가변익을 할 수 있는 항공기는 가변익기(可變翼機)라고 부른다. 가변후퇴익은 후퇴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날개이다. 직선익(straight wing)은 저속비행에 가장 효율적이지만 음속 또는 초음속 항공기에게는 날개가 접히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당 속도를 내는 대부분의 항공기들은 고정익을 갖춘 날개(후퇴익 또는 삼각익)를 갖추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들은 고속비행에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날개 설계이지만 성능 면에서는 양보가 필요하다. = = 가변익기의 정의 = = 비행 상황에 따라 날개의 상태를 변경하는 항공기를 가변익기(Variable Wing Aircraft)하는데, 보통은 가변후퇴익기를 의미한다. 저속 비행에서는 날개를 앞방향으로 펼침으로써 후퇴각을 줄임과 동시에 양력효율에다 양항비(양력하고 항력 사이의 비율)를 높혀준다. 반대로 고속 비행시에는 날개를 뒤로 접음으로써 항력하고 충격파를 줄임과 동시에 후퇴각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가변익기 하면 F-14를 제일 먼저 연상한다지만, 가변익을 적용한 기종은 의외로 많다. 미국하고 러시아의 주요 전투기 및 전폭기 중 가변익을 적용한 기종은 F-111, 토네이도, Su-17, Su-24, MiG-23 같은 전투기, 전폭기가 있다. 여기에 추가로 B-1, Tu-22M, Tu-160 같은 대형 폭격기도 있다. 한편으로는 오래된 기종이긴 하지만, 다른 형태의 가변익기도 있다. 바로 미 해군의 함재기로 운용되었단, F-8인데 특이하게도 날개가 통째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가 바뀐다. 언뜻 보면 나사가 풀려 날개가 떨어져 나가는 것럼 보이기도 하지만, 고장은 아니다. = = 가변익기의 탄생 배경 = = 냉전이 한창이던 1960~1970년대에 모든 무기체계의 설계 개념은 양쪽 진영의 대규모 전면전을 상정하였다. 군용기도 예외는 아니었기에 유사 시 공군기지가 피해를 입어도 열약한 활주로 환경에서 최대한 많은 무장을 장착하고 이륙이 가능해야 했다. 당연히 큰 양력을 낼 수 있는 날개가 필요했을 것이다. 하지만 속도하고 기동성을 중시하는 공중전 등 다른 임무도 고려해야 했다. 또 하나, 당시 주요 전술 중 하나는 적의 탐지를 피하기 위한 저고도 침투였다. 낮은 고도에서 민첩하게 날려면 날개의 후퇴각을 적절히 조절해야 했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가변익기였다. = = 효용성이 떨어진 까닭 = = 메뚜기도 여름이 한철이라는 말이 있듯이, 가변익기가 얼핏 보아서 좋을 것 같긴 하지만, 천만의 말씀. 많은 부품이 들어가는데다, 만드는 과정이 엄청 복잡한 탓에 제작 비용이 비싸다. 또 날개에 적용하는 역학하고 운영 시스템이 복잡하다. 전체적으로 기체의 무게하고 크기가 많이 나간다. 연료소모하고 유지비용 늘어나는 것은 당연지사. 운용할 때는 정비에도 손이 한 번이라도 더 가게 되며 잦은 오작동이 발생하였다. 무장 장착에도 어려움이 많아서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많았다. 아무래도 가장 큰 까닭은 전술의 변화에다 항공기술의 발전이 가변익기를 퇴출시킨 원인이다. 이제는 고양력장치, 고출력 엔진 등이 항공 기술을 향상시키면서 굳이 비싼 가변익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성능 유도 무기에다 스텔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굳이 위험한 저고도 침투 전술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어진 것도 가변익기를 퇴출시킨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 = 가변익기 목록 = = 종류 국가 클래스 역할 날짜 상태 번호 참고 Bell X-5 USA Jet Research 1951 Prototype 2 Development of the Messerschmitt P.1101 (qv) allowing sweep variation in-flight. Dassault Mirage G France Jet Fighter 1967 Prototype 3 General Dynamics F-111 USA Jet Fighter-bomber 1964 Production 563 Grumman XF10F Jaguar USA Jet Fighter 1952 Prototype 1 2nd example not flown. 그러먼 F-14 톰캣 USA Jet Fighter 1970 Production 712 Messerschmitt P.1101 Germany Jet Research 1945 Project 0 1 unfinished airframe. Wings variable to 3 pre-set positions only while on the ground. 미코얀-구레비치 MiG-23 USSR Jet Fighter 1967 Production 5,047 Mikoyan-Gurevich MiG-27 USSR Jet Attack 1970 Production 1,075 Development of the MiG-23. 파나비아 토네이도 (MRCA) International Jet Multirole 1974 Production 992 록웰 B-1 랜서 USA Jet Bomber 1974 Production 104 수호이 Su-17, 20 & 22 USSR Jet Fighter-Bomber 1966 Production 2,867 수호이 Su-24 USSR Jet Attack 1970 Production 1,400 (approx) 투폴레프 Tu-22M USSR Jet Bomber 1969 Production 497 투폴레프 Tu-160 USSR Jet Bomber 1981 Production 36 Vickers Wild Goose UK UAV Research 1950 Prototype 1 Designed by Barnes Wallis.Morpurgo, 1981. Date of first flight, p. 321. Vickers Swallow UK Jet Airliner 1957 Project 0 Designed by Barnes Wallis. Small-scale test UAV flown. Westland-Hill Pterodactyl IV UK Propeller Private 1931 Prototype 1 Variable 4.75° for trim.Lukins, A.H.; The Book of Westland Aircraft, Aircraft (Technical) Publications Ltd, 1943 or 1944. pp.68-9. = 분류:1999년 선거 = = 분류:북마케도니아의 스포츠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모듈:Inden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Inden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청각 (생물) = 청각(靑角, Codium fragile, green fleece, green sea fingers, stagsponge seaweed)은 청각과의 청각속에 속하는 조류이다. 청각의 몸 표면에는 '소낭'이라는 대롱 모양의 작은 주머니가 배열되어 있어서 피층을 이루며, 한편 소낭의 밑부분에서부터 뻗은 가지들이 서로 얽혀서 속부분을 만든다. 이 때 몸 전체는 격벽이 없이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비세포성 체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청각은 세계 각지의 연안에 분포하며, 특히 간조선 부근의 암초에 잘 발달되어 있다. 청각 무리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중요한 종류로는 구슬청각·밀청각·말청각 등이 있다. 1년생 해조류로,어린 개체가 초겨울부터 생장을 시작한다. 늦은 봄과 초가을까지 빠르게 자라지만, 늦가을부터는 생육이 더뎌지고 한겨울이 되면 죽는다. 청각은 생물 또는 건조 상태로 유통되는데, 김치에 넣기도 하고, 냉국, 무침으로 조리하거나, 효소발효액을 담가 먹기도한다. = = 명칭 = = 대한민국에서는 사슴의 뿔을 닮았다는 점에서 청각채(靑角菜)나 녹각채(鹿角菜)로 일컫는다. 일본에서는 '미루'(海松, 해송. 바다의 소나무)로 칭하며, 영어로는 '시 스태그혼'(Sea staghorn, 바다의 사슴뿔)이라고 한다. = = 각주와 참고 문헌 = = * = 분류: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에이스 전투조종사 = = Justice to Believe/아오이 이로 = JUSTICE TO BELIEVE / 아오이 이로 (アオイイロ)는 미즈키 나나의 14집 싱글이다. 2006년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 = 곡 목록 = = #Justice to Believe #(아오이 이로) #Justice to Believe (without NANA) #Aoi Iro (without NANA) = 분류:러시아의 음식점 = = 개암버섯 = 개암버섯(학명: Hypholoma lateritium)은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에 속하는 담자균의 일종이다. 식용이 가능하다. = = 특징 = = 갓크기는 35-81mm로 초기에는 반구형-반반구형이고 끝은 안쪽으로 말려 있고, 옅은 황색의 섬유질상 내피막으로 싸여있으나, 성장하면 반반구형-편평하게 퍼퍼지며, 종종 중앙부위가 다소 돌출 되어 있고, 갓 끝에 백색의 섬유질상 내피막 잔유물이 있으나 곧 소실된다. 표면은 평활하고 습할 때 점성은 있으나, 다소 흡습성이다. 황적갈색-황토적색을 띠며, 중앙 부위는 짙은 색이고 갓 끝부위에서 다소 옅은 색을 띠며, 주변부는 백색, 황백색-갓과 같은 색의 섬유상인편이 있다. 조직은 비교적 두꺼우며 항백색을 띠고, 치밀하다. 맛은 부드럽거나 다소 쓴맛이 있고 향기는 불확실하다. 주름살은 대에 완전붙은 주름살이며 약간 빽빽하고, 초기에는 담황색-황백색이나 후에 황갈색-자갈색을 띤다. 주름살끝은 백색이고 분질상이다. 대는 56-113*3.5-11.3mm고 원통형이고, 상하 굵기가 비슷하거나 상부쪽이 다소 가늘며, 종종 굽어 있다. 상부는 유백색-담황색을 띠며 다소 분질물이 있고, 하부쪽으로는 점차 황토-황적갈색을 띠며 종으로 섬유상선이 있다. 성숙하면 속이 비어 있으며, 다소 질기며 탄력성이 있고, 종종 다수의 대는 기부에서 합쳐지며, 암적갈색을 띤다. 일반적으로 턱받이는 형성하지 않는다. = = 발생시기 = = 가을에 특히 밤 주울 때 밤나무 광엽수의 고사목이나 그루터기 또는 매몰된 나무에 다수 군생한다. = = 분포 = = 한국과 동아시아, 유럽 및 북미, 중국에 분포한다. = 프랑스 왕실 구성원의 호칭 = 16세기 중반까지 프랑스 왕실 구성원들은 소유한 영지의 작위와 함께 단순히 몽세뇌르(monseigner, 전하, 저하, 합하 또는 각하)라고만 불렸다. 존칭은 14세기에 길어졌는데, 예를 들어 선량공 필리프는 "몹시 고귀하고, 몹시 강하고, 몹시 훌륭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대군 대감(Très haut, très puissant, très excellent et très magnanime prince monseigneur Philippe duc de Bourgogne)로 불렸다. 이 시기 이후부터 18세기까지는 칭호가 짧아졌으며, 유행과 왕실의 의향에 따라 세련되게 변화하였다. 앙시앵 레짐 말엽부터 프랑스 왕실 구성원들은 보통 자신의 작위명으로 불렸는데, 왕실에서의 자신들의 지위를 설명하는 유명한 표현으로도 불렸다. 프랑스 왕실은 왕족이나 방계 혈통의 가문원으로 구성되었다. 왕실 구성원의 호칭은 대체로 레츠, 생시몽, 세비녜 부인과 같은 작가들의 글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요하다. = = 프랑스 왕가 = = 16세기부터 1830년까지 프랑스 왕가는 서열순으로 왕(roi), 왕비(reine), 대비(reines douairières, 왕의 어머니 — 이전에 왕비였었고 이후 재가하지 않은 — 가운데 모후라고 불린 이를 포함한 호칭), 왕의 자식, 왕의 원자의 자식, 왕의 형제자매, 왕의 백부모 및 숙부모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이전에 단절된 계열의 왕의 딸들), 왕의 중손(衆孫), 왕의 조카 및 사촌(또는 1715년부터 1723년까지의 섭정기와 루이 15세의 전례처럼 브르타뉴식으로 종조부)으로 구성된다. 왕과 촌수로 더 떨어져 있는 방계 왕족들(종손이나 왕과 같은 항렬)은 종친(princes du sang)으로 불렸다. 이 같은 프랑스 왕가의 프랑스식 위계 서열은 프랑스의 다른 모든 가문들의 서열과 거의 동일했다. 왕(roi) 왕비(reine) 대비(reines douairières) 도팽(dauphin) 도핀(dauphine) 프랑스의 아들(fils de France) 및 그의 처, 나이순 미혼인 프랑스의 딸(filles de France, 결혼한 프랑스의 딸과 그 자식들은 부마 가문에 속하게 됨) 프랑스의 손자(petits-fils de France) 및 그의 처, 나이순 미혼인 프랑스의 손녀(les petites-filles de France, 결혼한 프랑스의 손녀와 그 자식들은 의빈(儀賓) 가문에 속하게 됨) = = = 요약 = = = = = = 일반 호칭 = = = 도팽 드 프랑스(Dauphin de France)는 프랑스의 왕세자가 사용하는 작위이다. 1350년부터 1791년, 1824년부터 1830년까지 사용되었다. 프랑스의 아들(Fils de France)은 프랑스 왕의 적자에게 내려진 칭호이다. 이 칭호는 나바라, 포르투갈, 스페인의 인판테에 대응하는 칭호이다.<회화 독해 사전>Dictionnaire de la conversation et de la lecture, 24장, 318쪽, bnf:30365300, 온라인 프랑스의 아들(Fils de France)이라는 칭호는 "프랑스 왕의 아들"(fils du roy de France 또는 fils de roy de France)이라는 형식으로 중세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칭호는 이후 도팽의 적장자와 중자(衆子)까지 일컫는 칭호로 확장되었다.1710년 3월 12일 루이 14세의 칙령 2조에 근거하여.필리프 드 몽주방Philippe de Montjouvent, <1589년부터 1848년까지 프랑스 왕가의 행사력>Éphéméride de la Maison de France de 1589 à 1848, 뒤 샤네 출판사, 1999년, 19쪽. 프랑스의 딸(Fille de France)는 프랑스 왕의 적녀에게 내려진 칭호이다. 프랑스의 자녀(Enfants de France)는 프랑스의 아들과 프랑스의 딸을 아울러 부르는 칭호이다. 프랑스의 손자(Petit-fils de France) 프랑스의 손녀(Petit-fille de France) 프랑스의 손주(Petits-enfants de France) = = = = 마담 루아얄 = = = = 마담 루아얄은 프랑스 국왕의 살아남은 딸들중 가장 나이가 많은 공주에게 내려지는 작위이다. 결혼을 하면서, 마담 루아이얄의 작위를 잃기도하며, 장녀가 죽은 경우엔 차녀가 그 작위를 이어받는다. 엘리자베트 공주, 앙리 4세의 장녀로서, 1644년에 사망하자 동생인 크리스틴 공주가 이를 이어받는다. 크리스틴 공주, 앙리 4세의 차녀. 마리 테레즈 공주, 루이 14세의 유일한 딸. 엘리자베트 공주, 루이 15세의 장녀. 마리 테레즈 공주, 도팽 루이의 장녀.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 공주, 루이 16세의 장녀이자 프랑스 혁명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녀. = = = = 무슈 = = = = 무슈는 프랑스 국왕의 가장 나이 많은 동생에게 내려지는 작위이다. 오를레앙 공작 샤를, 프랑수아 2세의 동생으로서, 후에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된다. 앙주 공작 앙리, 프랑수아 2세와 샤를 9세의 동생으로서, 샤를 9세의 뒤를 이어 왕이 된다. 앙주 공작 프랑수아, 프랑수아 2세와 샤를 9세, 앙리 3세의 동생. 오를레앙 공 가스통, 루이 13세의 동생.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루이 14세의 동생으로서 오를레앙 왕가의 창시자이다. 프로방스 백작 루이 스태니슬라스 자비에르, 루이 16세의 동생. 아르투아 백작 샤를, 루이 16세와 루이 18세의 동생. = = = = 마담 = = = = 마담은 무슈의 아내가 사용하는 작위이다. 몽팡시에 여공작 마리 드 부르봉, 오를레앙 공 가스통의 첫 아내. 로렌의 마르그리트, 오를레앙 공 가스통의 두 번째 아내. 오를레앙 공작 부인 헨리에타 앤,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의 첫 아내. 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의 두 번째 아내. 마리아 주세피나 디 사보이아 왕녀, 프로방스 백작 루이 스태니슬라스 자비에르의 아내. = = = = 마담 프르미에르 = = = = 마담 프르미에르는 루이 15세와 마리 레슈친스카 사이에서 태어난 여덞 명의 딸들에게 내려진 작위이다. 엘리자베트 공주, 다른 마담 프르미에르들과 달리 유일하게 결혼하였다. 앙리에트 공주 루이즈 공주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 빅투아르 공주 소피 공주 테레즈 공주 루이즈 마리 공주 = = = = 마담 라 도핀 = = = = 마담 라 도핀은 도팽의 아내에게 내려지는 작위이다. 마리아 아나 폰 바이에른 선제후녀, 도팽 루이의 아내. 마리 아델라이드 드 사부아 왕녀, 부르고뉴 공작 도팽 루이의 아내.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도팽 루이의 첫 아내. 작센 공녀 마리아 요제파, 도팽 루이의 두 번째 아내.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안토니아, 루이 16세의 아내. 프랑스 공주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 루이 19세의 아내. = = = 마드모아젤 = = = 마드모아젤은 무슈의 장녀에게 사용되었다. 안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 가스통의 장녀.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장녀. 안 마리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차녀로서,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이 결혼하면서 마드모아젤이 됨.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삼녀. 루이즈 안 드 부르봉, 콩데 공 루이의 사녀. 루이즈 마리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의 유일한 딸. 바틸드 도를레앙, 오를레앙 공작 루이 필리프 1세의 딸로서, 프랑스의 루이 필리프 1세의 누이. 소피 다루트아, 마리아 테레사 디 사보이아 왕녀의 장녀. = 분류:873년 출생 = = 백로술 = 백로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술이다. 알코올 도수는 40도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대동강 맥주 다음으로 잘 알려진 술이다. = = 생산 설비 = = 백로술은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강계포도술공장에서 생산한다. 1956년 4월에 세워진 이 공장은 포도주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공장으로, 백로술 외에도 인풍술, 머루술, 목련술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 수출하는 강계 포도술은 매우 향이 강렬하며 도수가 높은 술이다. = 기원전 203년 = = = 기년 = = 한왕 4년 (1월 ~ 9월) *한왕 5년 (10월 ~ 12월) = 분류:중동중학교 동문 = = 미메시스 = 미메시스는 서양 철학의 개념의 하나이다. 직역하면 모방이라는 의미이며, 이는 플라톤이 제창한, 자연계의 개체는 이데아의 모조라는 개념에서 유래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개념을 계승해, 미메시스가 인간의 본디 마음이며, 제예방법의 양식이 되고 있다고 했다. = 분류:여자 성인 모델 = = 러시안 묵시록 = 러시안 묵시록(, Countdown)은 러시아 연방에서 제작된 에브게니 라브렌티에프 감독의 2004년 액션, 모험, 범죄, 스릴러 영화이다. 알렉세이 마카로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세르게이 그리프코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제작비는 700만 달러로, 당시 러시아에서 큰 규모에 속하였다. 2004년 12월 모스크바에서 개봉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알렉세이 마카로프 루이스 롬바드 = = = 조연 = = = 바체스라프 라즈베카에프 예고르 포젠코 유리 트리로 빅토르 베르즈비츠키 존 아모스 마리야 고르프키나 오소 마리아 구에리니 제임스 데릭 = = 기타 = = 미술: 블라디미르 트라페니코프 = 백두 용암대지 = 백두 용암대지(白頭熔岩臺地)는 백두산 남동쪽의 현무암 대지이다. 제4기 홍적세(洪積世)에는 백두화산대의 열하를 따라 대략 백두산과 남동쪽 설령(雪嶺)·만탑산(萬塔山)과 거의 일직선상의 수많은 분출공(噴出孔)에서 유동성의 현무암이 대분출하였다. 그 용암류는 남북 400km, 동서 240km의 넓이를 가졌다. 즉 서쪽은 허천강(虛川江), 동쪽은 서두수(西頭水), 남쪽은 단천의 북대천(北大川) 상류, 북쪽은 중국 동북지방의 목단강(牧丹江) 계곡을 따라 닝구타(寧古塔)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현무암 용암지대를 형성하였다. 현무암층은 몇 단계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현무암의 분출 횟수, 즉 화산활동의 횟수를 나타낸다. 그 층후(層厚)는 현무암의 분출량을 나타내는데 평균 200 300m이며, 500 600m 되는 곳도 있다. 백두산 부근에는 500m 내외로서 두텁고, 주변을 향하여 가면서 점점 엷어진다. 백두산 동측 삼지연(三池淵: 둘레 2km, 깊이 3m)에서 신무성(神武城)을 지나 원지(圓池)에 이르는 사이의 고도 1,500m 지역, 반경 30km의 광막한 평탄면을 천리천평(千里千坪)이라 일컬어 왔으며, 이것이 모식적(模式的)인 용암대지의 부분이다. 그리고 곳곳에 습원(濕原)이 있는데 이는 현무암의 풍화 토양인 점토가 퇴적된 결과 빗물의 투수가 불량한 와지(窪地)에 이루어진 것이다. = 와시즈역 = 와시즈역은 일본 시즈오카현 고사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역 구조 = = 2면 3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1번선이 단식 구조이다. 두 승강장은 구름다리로 이어져 있다. 역장과 역무원이 배치된 직영역으로, 벤텐지마역, 아라이마치 역, 신조하라 역을 관리한다. = = = 승강장 = = = 1 ■ 도카이도 본선 도요하시 나고야 방면 2 ■ 도카이도 본선 하마마쓰 시즈오카 방면 3 (예비 승강장) (예비 승강장) (예비 승강장) = = 역세권 정보 = = 하마나호 국도 제301호선 = = 역사 = = 1888년 9월 1일 - 관설철도 (뒷날의 일본국유철도) 도카이도 본선 하마마쓰역 ~ 오부역 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개업. 1987년 4월 1일 - 민영화에 따라 도카이 여객철도의 소속이 되었다. 2008년 3월 1일 - TOICA의 사용이 개시되었다. = 마귀숟갈버섯목 = 마귀숟갈버섯목(Lichinales)은 자낭균류에 속하는 진균류 목의 하나이다. 마귀숟갈버섯강(Lichinomycetes)은 유일 목으로 종의 대부분이 지의류이다. 2004년에 기술되었다. 4개 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분류 = = Gloeoheppiaceae Heppiaceae Lichinaceae Peltulaceae = 모듈:Location map/data/Russia Primorsky Krai = return { name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top = 49.0, bottom = 42.0, left = 130.0, right = 140.0, image = 'Russia Primorsky Krai location map.svg' } = 아리랑 (1954년 영화) = 아리랑은 이강천 감독의 1954년작 영화이다. 허장강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 = 줄거리 = = 북괴군 치하에 들어간 영진의 집 외양간에는 미군 2명이 숨어 있었다. 그 무렵 영진네 집은 정신이상이 된 영진이 탓에 북괴군의 감시를 받던 터여서 영진 아버지가 그 미군들을 고발하려 하는데... 이영화는 1926년에 나운규 선생이 직접 각본/주연/감독을 맡 "아리랑"을 시국에 맞추어 번역/각색한 영화이다. = = 출연 = = 허장강 김재선 변기종 조진구 = = 제작 = = 감독 이강천 각본 조진구 음악 박시춘 = 알리레자 마샤예키 = 알리레자 마샤예키(علیرضا مشایخی)는 1940년에 태어난 이란의 작곡가, 지휘자이다. 페르시아 관현음악을 개척한 작곡가들중 한 명이다. = = 생애 = = 테헤란에서 태어났다. 롯폴라 모파캄 파얀이 이란 음악을 가르치고, 호세인 나세히가 작곡, 오펠리아 콤바지안이 피아노를 가르쳤다. 이후 빈에서 유학하며, 한스 옐리넥, 카를 식스케 등 밑에서 공부하였다. 빈 음악대학교를 졸업한 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서 고트프리트 미하엘 쾨니히의 강의 등을 들으며 전자 음악과 컴퓨터 음악을 공부했다. = = 음반 = = 2번 교향곡 작품번호 57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토, 작품번호 96 = 에릭 율런드 = 에릭 율런드(, 1965년 7월 12일 ~ )는 미국의 정치 자문가로, 2019년 백악관 입법관계보좌관(Director of Legislative Affairs)으로 취임하였다.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 국무부 차관 후보자로 지목되었으나 고사하였다. 오리건주 포틀랜드 출신으로 샌프란시스코 대학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 틀:Wj = = 분류:나라별 카누 대회 = = 브래드 레이더 = 브래드 레이더(Brad Raider, 1975년 4월 2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25 힐 (2011년) 어메리커나이징 쉘리 (2007년) 올드 와이브즈 테일 (2006년) - 댄 역 그리너 마운틴 (2005년) 커플링 (2003년) 스트레인지 로이어 (2001년) = 봄行 = 봄行는 2006년 3월 4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서유정 : 송영애(30세) 역 - 시사주간지 기자, 강필수 사건 담당 판사의 딸 조덕현 : 윤성근(43세) 역 - 교도관 최일화 : 강필수(45세) 역 - 사형수 1526번 이정문 : 강효준(18세) 역 - 강필수의 아들 = = = 그 외 인물 = = = 박웅 정한헌 윤진영 최성웅 김종호 반야성 손선근 전성애 김창성 이선규 = 미국국립의학도서관분류법 = 미국국립의학도서관분류법(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lassification, NLM) 시스템은 의학 및 전임상 기초과학 분야를 포괄하는 도서관 색인 시스템이다. NLM 분류는 LC(미국 의회 도서관) 분류 시스템을 따라 패턴화되었다. 즉, 알파벳 문자는 숫자로 세분화된 광범위한 주제 범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QW 279는 미생물학이나 면역학의 측면에 관한 책을 나타낸다. NLM 분류의 1자 또는 2자 알파벳 코드는 제한된 범위의 문자(QS–QZ 및 W–WZ)만 사용한다. 이를 통해 NLM 시스템은 이러한 범위 중 어느 것도 LC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으므로 더 큰 LC 코딩 방식과 공존할 수 있다. 그러나 LC 시스템에는 NLM과 겹치는 세 가지 기존 코드인 인체 해부학(QM), 미생물학(QR) 및 의학(R)이 있다. 더 이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이 세 가지 코드는 NLM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개별 일정(문자 또는 문자 쌍)의 제목은 간단한 형식(예: QW - 미생물학 및 면역학, WG - 심혈관 시스템)으로 제공되며 함께 NLM 분류에서 다루는 주제의 개요를 제공한다. 제목은 광범위하게 해석되며 생리학적 시스템, 이와 관련된 전문 분야, 주로 관련된 신체 부위 및 하위 관련 분야를 포함한다. NLM 시스템은 계층적이며 각 일정 내에서 일반적으로 기관별 구분이 우선순위를 갖는다. 각 주요 일정과 일부 하위 섹션은 사전, 지도첩, 실험실 매뉴얼 등과 같이 출판 유형별로 자료를 분류하는 일반적으로 1~49 범위의 양식 번호 그룹으로 시작된다. 주요 일정 QS-QZ, W-WY 및 WZ(WZ 220-270 범위 제외)는 1913년 이후에 출판된 작품을 분류한다. 1801~1913년에 출판된 작품에는 19세기 일정이 사용된다. WZ 220-270은 1801년 이전에 출판된 작품에 대한 세기 그룹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 분류:벨기에의 도시별 경제 = 경제 en:Category:Economies by city in Belgium = 분류:감성 컴퓨팅 = = 에티엔 카르자 = 에티엔 카르자(, 1828년 3월 28일~1906년 3월 19일)은 프랑스의 사진가, 언론인, 풍자만화가이다. Le Diogène, Le Boulevard 지(誌)를 간행했다. 유명 정치인, 작가, 예술가의 초상 및 캐리커처를 제작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1871년 10월에 찍은 아르튀르 랭보의 초상은 특히 유명하다. 대부분의 작품은 1923년 로스(Roth) 씨에게 팔린 후 행방을 알 수 없다. = 강박충동 = 강박충동(Compulsion)은 미국에서 제작된 리처드 플레이셔 감독의 1959년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1956년 소설 Compulsion에 기반을 둔다. 오손 웰즈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리처드 D. 자눅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1959년 칸 영화제에서 딘 스톡웰, 오손 웰즈, 브래드포드 딜맨은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손 웰즈 다이안 발시 = = = 조연 = = = 딘 스톡웰 브래드포드 딜만 E.G. 마샬 마틴 밀너 = = 기타 = = 의상: 찰스 르 마리 의상: 애들 팰머 = 화산역 (청단) = 화산역(花山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 있는 배천선의 철도역으로 과거 토해선에 속해 있던 때에는 내성역(來城驛)이었다. = 중일본 = 중일본은 일본을 크게 나눌 때 일본의 중앙부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주로 태평양을 접한 지역에서는 미에현에서 시즈오카현 사이를 말하며, 미에현의 우에노 분지와 시즈오카현의 누마즈시 동쪽은 제외하는 경우가 많다. 내륙에서는 기후현과 나가노현을 포함하고, 야마나시현을 제외한다. 동해 측에서는 기노메 고개에서 요네야마 고개 사이로 지칭한다. 즉 후쿠이현의 에치젠 지방에서 니가타현의 조에쓰 지방까지이다. 일본을 동일본과 서일본으로 양분할 때에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의도적으로 주부 지방(특히 태평양을 접한 지역과 내륙 지역)을 동일본이나 서일본, 혹은 미나미칸토 지방이나 기나이와 구분할 필요를 가질 때 중일본이란 표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법령 등에서 거론한 것은 아니다. 동일본이나 기타니혼과 같은 방위를 이용해 일본을 표현하는 다른 표현과 비교하면 쓰이는 일이 적다. 여기는 동북일본호, 서남일본호, 7도 메리애나호가 회합하기 때문에 지형의 배열도 복잡하고, 산지도 가장 높아 일본 알프스가 북동·서남 방향으로 배열됐다. = = 명칭에 중일본을 사용하는 기업 = = 산엔난신 지방이나 도카이 지방을 거점으로 하는 기업이 많다. 중일본고속도로주식회사(NEXCO 중일본) (영업범위가 주부 지방 외에도 간토 지방과 시가현의 일부를 포함함.) 나카니혼항공주식회사 = 분류:T.O.P의 음반 = = 이서현 (모델) = 이서현(1985년 6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겸 가수이다. 모델로 CF, 가수, 방송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 데뷔 = = 모델 오디션에 참가했는데 면접에서 노래를 해보라는 주문에 트로트 가수로 스카운 되었다. 2015년 9월 11일 싱글 낚였어요로 데뷔했다. = = 앨범 = = 2015.09.11. 싱글 《낚였어요》 수록곡 〈낚였어요〉,〈천상재회 (Jazz Ver.)〉 (장르: 트로트, 발매사: (주)오감엔터테인먼트, 기획사: J Company Entertainment Group) = = 활동 = = 모델로 시작해 요가복·수영복 브랜드를 런칭했고, 트로트 가수로 데뷔 후 내일은 미스트롯에 참가했고, MBN 실제상황 기막힌 이야기에서 배우로 활동하고 있고, 영화 및 CF도 촬영했다. 킥복싱도 하고 있다. = = 경력 = = 2016년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홍보대사 2016.12. 대한종합무술격투기협회 홍보모델 2016.12. 대한역도연맹 홍보대사 = = 수상 = = 2010년 《미스 에코 코리아》 미스 워터 2013년 《대한민국 창조문화예술》 대상 2016년 《제11회 대한민국 나눔대상》 대상 2016년 《대한민국 여성리더》 대상 = = 방송 = = = = = TV = = = 2015년 tvN 《화성인 바이러스》 '억대 연봉 볼륨녀'로 출연 KBS 2TV 《VJ특공대》 2019.03.14.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제작진이 추천한 '홍콩 아가씨'를 불렀으나 긴장해서 예선 탈락했다. 2020년 MBN 《실제상황 기막힌 이야기》 배우 출연 = = = 인터넷 = = = 2020.10.27. 숨트덕, '사차원 트로트신인가수 이서현을 소개합니다 화성인바이러스 출연, 사기당함 미쓰트롯 광탈, 모델, 배우, 사연도 많고 재능많은 이서현님!' = 스가와라 고타 = 스가와라 고타(, 1985년 5월 22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과거 도쿠시마 보르티스에서 활동하였다. = 분류:하얼빈시의 철도역 = = 분류:2002년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 캐비엥 = 캐비엥(Kavieng)은 파푸아뉴기니의 도시로 뉴아일랜드주의 주도이며 높이는 10m, 인구는 19,849명(2012년 기준)이다. 뉴아일랜드섬 북단에 위치한다. 캐비엥에 위치한 캐비엥 공항에서는 포트모르즈비, 라바울, 로렝가우를 연결하는 항공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분류:피세나과 = = 분류:이탈리아의 야전군 = = 이정민 (성우) = 이정민(1979년 5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남자 성우이다. 2015년에 KBS 공채 40기 성우로 입사하였다. 한국방송 성우극회 소속이며 단국대학교 성악과 출신. 성우인 성선녀의 제자다. = = 출연작품 = = = = = 애니메이션 = = = 꽉 잡아! (KBS) - 선종선 헬로 카봇 뱅 (SBS) - 소닉붐 고고 다이노(EBS) - 코니 = = = 외화 더빙 = = = 나치 영국 지부 SS-GB(KBS) - 스포드(제임스 노스코트) 디셉션(KBS) - 노아(아담 캐플렌) = = = 영화 애니 더빙 = = = KING OF PRISM by Pretty Rhythm *타치바나 유키노조 역 *2018.01.25 ~ (절찬 상영중) = = = 라디오 더빙 = = = = = = = KBS = = = = 소설극장 (KBS 라디오) 2015.01.17 ~ 2015.05.07 미겔 데 세르반테스 作 <돈 끼호테> 2015.05.08 ~ 2015.06.28 박민규 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2015.06.29 ~ 2015.08.15 프레드릭 배크만 作 <오베라는 남자> (루네) 2015.10.03 ~ 2015.11.26 이광수 作 <무정> 2015.11.27 ~ 2016.01.08 양귀자 作 <원미동 사람들> 中 비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젊은 인부) 2016.01.09 ~ 2016.02.24 이디스 워튼 作 <순수의 시대> (아처) 2016.02.25 ~ 2016.03.31 장강명 作 <표백> (오병권/ 재프루더) 2016.05.20 ~ 2016.06.27 강태식 作 <굿바이 동물원> (소생) KBS 무대 (KBS 라디오) 2015.02.21 <통화> (택배) 2015.03.07 <행복을 지켜드립니다> (주민) 2015.04.04 <상어가 멈춘다> (손님1) 2015.04.18 <어느 쨍한 날> (운전자) 2015.05.23 <껌 뱉지 맙시다> (점원) 2015.06.13 <햇살에 쓰는 일기> (직원) 2015.07.11 <여자 없는 남자들> (손님1) 2015.08.01 <푸르고 시린> (종복) 2015.08.15 <기적소리> (승객) 2015.08.29 <죽거나 죽이거나> (교도관) 2015.09.12 <별일 없이 산다> (경찰) 2015.09.26 <밑천 인생> (김민기 父) 2015.10.24 <그녀의 마지막 로맨스> (의사) 2015.11.14 <만삭의 세입자> (인부2) 2015.11.21 <아버지의 탄생> (일진1) 2015.12.26 <뺑, 로또, 그리고 선물> (경찰) 2016.01.02 <둥근 달이 떴습니다> (주민) 2016.01.09 <사생결단, 미스김 사건> (경비원) 2016.02.13 <이리온, 리우> (남1) 2016.02.20 <어느 곳에나 있는 여자> (한부장) 2016.02.27 <컨츄리 라디오> (김이장) 2016.03.07 <재원이는 1학년> (경비2) 2016.03.12 <곡예사의 첫사랑> (어린 재식/ 재식) 2016.03.26 <위층 남자> (아이1) 2016.04.02 <엘리트 학원 구하기> (남학생1) 2016.04.23 <삼개월 - 부제 : 나만의 그대> (자영 친구) 2016.04.30 <아르바론 몬살리나> (정씨) 2016.05.07 <위대한 이혼식> (노갑성) 2016.05.28 <폭식을 멈추는 0번째 방법> (PD) 2016.06.04 <나는 꿈꾸었다> (점주) 2016.06.11 <무능경찰 김반장> (한복) 2016.06.18 <위험한 아이> (박씨) 라디오 문학관 (KBS 라디오) 2015.02.22 전성태 作 <소풍> (성우(男)) 2015.03.08 김희선 作 <라면의 황제> (인호 父/ 남기자) 2015.03.22 해이수 作 <리키의 화원> (중견 남배우1) 2015.03.29 천정완 作 <동탯국> (남자) 2015.05.10 최지애 作 <달콤한 픽션> (운전사) 2015.05.24 송지현 作 <흔한, 가정식 백반> (집주인) 2015.06.07 정이현 作 <영영, 여름> (남자) 2015.07.12 윤이형 作 <러브 레플리카> (성우(男)) 2015.07.19 김성종 作 <1973년 여름, 베를린의 안개> (철배) 2015.07.26 이승영 作 <어떤 살인사건> (아버지) 2015.08.02 이윤돌 作 <장마가 지는 계절> (김혁중) 2015.08.09 정민철 作 <귀로> (남직원) 2015.09.20 김중혁 作 <가짜 팔로 하는 포용> (종업원) 2015.10.18 김금희 作 <조중균의 세계> (감독관) 2015.11.08 김나정 作 <어쩌다> (사람) 2015.11.15 해이수 作 <뒷모습에 아프다> (선배) 2015.11.29 윤민우 作 <원피스> (의사) 2015.12.13 장강명 作 <알바생 자르기> (쏨 싹) 2016.01.10 권여선 作 <이모> (노인) 2016.01.17 이청해 作 <어디까지 왔나> (김규식) 2016.02.07 이수경 作 <자연사 박물관> (안경남) 2016.02.14 황승욱 作 <세탁실> (상욱) 2016.02.21 김현경 作 <핀 캐리> (기자) 2016.02.28 이진원 作 <손님> (약사) 2016.03.20 정도상 作 <장씨의 어떤 하루> (사장) 2016.04.17 김덕희 作 <낫이 짖을 때> (문하생3) 2016.05.15 이효석 作 <풀잎> (윤벽도) 2016.06.05 김경욱 作 <천국의 문> (의사) 2016.06.12 이갑수 作 (잔호태/ 연예전문회사 실장) 와이파이 초한지 (KBS 라디오) 2016.05.10 2화 (남자) 2016.05.12 4화 (번오기) 2016.05.13 5화 (번오기) 2016.05.20 10화 (군사) 2016.05.24 12화 (이사) 2016.05.25 13화 (이사) 2016.05.27 15화 (이사) 2016.05.30 16화 (이사) 2016.05.31 17화 (이사) 2016.06.01 18화 (이사) 2016.06.06 21화 (병사1,2/ 남자) 2016.06.07 22화 (한신) 2016.06.08 23화 (한신) 2016.06.09 24화 (한신) 2016.06.14 27화 (부하1) 2016.06.21 32화 (죄수1) 2016.06.22 33화 (남자2)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KBS 라디오) 2015.01.22 ~ (방송중) 기타 (KBS 라디오) 2015.10.05 ~ 2015.10.09 KBS 라디오 특별기획 <부엉이 아저씨, 음악가 이야기 좀 들려주세요!> = 분류:시크 건축물 = = 김수남 (1943년) = 김수남(1943년 3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32·33·34대 예천군수를 역임했다. = 오르베텔로 = 오르베텔로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그로세토도에 있는 코무네다. 그로세토에서 남쪽으로 35km 거리에 있고, 도시 명칭과 동명의 석호에 위치해 있으며, 중요한 자연 보존 지역이다. = = 역사 = = 오르베텔로는 옛 에트루리아인들의 도시였으며, 기원전 280년경에 로마인들의 지배하에 떨어졌고, 이곳에 코사(오늘날의 안세도니아)라는 식민지를 건설했다. 중세 시대에는 14세기까지 이곳을 지배했던 알도브란데스키 가문의 소유였고, 그 후 오르비에토가 이곳을 차지했다. 피틸리아노의 오르시니 가문은과 오르비에토 간의 대립을 몇 차례 있고나서, 시에나 공화국에 점령당하였다. 16 세기 중반에는 스페인인들의 소유였던 프레시디국의 영토였고 수도였다. 이후 토스카나 대공국의 지배를 받아가, 19세기 후반에 이탈리아 통일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1927년부터 1933년 사이에 이탈로 발보의 "에어 크루즈"(air cruises)가 오르베텔로 석호에서 출발했다. = 지학순 = 지학순(池學淳, 1921년 9월 9일 ~ 1993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이며 세례명은 다니엘이다. = = 생애 = = 1921년 평안남도 중화군 중화면 청학리(현 황해북도 중화군 중화읍)에서 태어나 1934년 1월 25일에 중화천주교회에서 메리놀선교회 소속 요셉 클먼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고, 소신학교(신학 고등학교)인 서울 동성고등학교를 다녔다. 1948년 3월 함경남도 덕원에 있는 덕원신학교를 다니다가, 1950년 1월 17일 남북 분단 이후 공산 정권하의 북한에서 박해를 피해 친구인 윤공희와 함께 월남하여 서울 성신대학(지금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에 편입했다. 남한으로 탈출하던 중 체포되어 황해도 해주 감옥에 수감되었으며, 가족들은 그대로 북한에 남아 있었다. = = 성직자 생활 = = 한국 전쟁 동안에는 군인으로 동족 상잔을 겪은 뒤, 1952년 2월 제대하면서 가톨릭 신학대학에 복학했다.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은 1952년 12월 15일 피난지인 부산 대청동 성당에서 서울교구 노기남 주교로부터 사제서품을 받았다. 거제포로수용소 종군신부, 부산, 청주 등에서 본당 신부로 있다가 로마 우르바노 신학교에 유학하여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가 끝나던 1965년 원주교구가 춘천교구로부터 분리되어 창설되면서 주교 서품을 받고 천주교 원주교구의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968년에는 원주 지역사회 문화활동의 전당인 가톨릭센터를 세우는 등 천주교회 주교로 봉직하는 동안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 1970년 원주문화방송을 설립하는 데에 40% 지분을 갖고 참여하여 방송을 통한 복음 전파와 지역사회 언론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김지하 등 의식있는 청년들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원주 문화방송을 둘러싼 부정에 분개하여 1971년 10월 원주시 원동 주교좌 성당에서 사회정의 구현과 부정부패 규탄대회를 3일에 걸쳐 교구내 사제, 수도자, 평신도와 함께 열게된다. 이것은 한국 천주교회가 처음으로 주교의 지도아래 공개적, 대중적으로 사회악과 부정부패에 저항하고 나선 큰 사건이다. 이제 시야를 인권문제로 돌리게 된 그는 1972년 9월 국제사면위원회 한국위원회 이사장으로 추대되었고 10월에는 가톨릭 노동청년회, 가톨릭 평신도 도지사직 전국협의회, 가톨릭 정의평회위원회, 가톨릭 여성연합회 총재주교를 맡아 교회 안팎에서 힘없고 억눌린자의 인권옹호에 나섰다. 그는 박정희의 유신정권을 계속 비판하던 중 1974년 7월 6일 해외여행에서 돌아오다가 김포공항에서 중앙정보부에 체포되었다. 이에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7월 10일 ‘정의의 실천은 주교들의 의무’라는 성명을 내어 지지했다. 다음날 석방되어 수녀원에 연금되었으나 7월 23일 ‘유신헌법은 무효’라는 양심선언을 내외신 기자 앞에서 발표하고 다시 체포되었다. 1974년 8월 9일 징역 15년을 선고 받았으나, 주교의 체포와 투옥은 한국 천주교가 집단적으로 정의구현에 나서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1974년 10월 이른바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는데, 이를 계기로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출범하였다. 226일 동안 옥고를 치르고 1975년 2월 18일 석방된 후에도 한국 민주화의 지주로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석방 후에도 에큐메니컬 운동 단체인 ‘한국교회 사회 선교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인권옹호에 적극 나섰다. 1985년 남북한 정부의 합의에 따른 남북 이산가족 상봉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35년 만에 누이동생 지용화를 만났으며, 분단 40년 만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한국인 천주교 신부로서는 처음으로 미사를 드렸다. 1988년에는 원주 가톨릭 사회복지회를 설립했고, 1991년에는 남북한 장애인 걷기 운동 본부장을 맡는 등 사회복지에도 적극적이였다. 1993년 3월 12일 지병인 당뇨병이 악화되는 바람에 선종하였으며, 유해는 제천 배론성지 성직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선종 후 그의 뜻을 따르는 사람들이 사단법인 지학순정의평화기금을 설립하고 지학순정의평화상을 제정하였다. 4주기 추모미사와 함께 제1회 정의평화상이 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주어졌다. = = 저서 = = (경향잡지, 제62권 제1호 1970. 1월호∼제64권 제3호 1972년 3월호 연재) * * * = 영원주의 = 영원주의 (永遠主義)는 시간의 모든 부분이 동일하게 "참"이라는 시점의, 시간의 존재론적 성격에 대한 철학적 접근 방법이다. = 분류:샌디에고의 영화 = = 런 투 유 = 런 투 유(Run to You)는 다음을 의미한다. = = 영화 = = 《런 투 유》(Run 2 U): 대한민국의 2002년 영화 = = 음악 = = 《Run to You》: 플로 라이다의 노래 《Run to You》: 레드애플의 노래 《Run to You》: DJ DOC의 노래 = 분류:베트남의 해외 진출 여자 축구 선수 = = 분류:베트남 공군 = =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 세븐나이츠 레볼루션은 넷마블 넥서스에서 개발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롤플레잉 게임이다. = 틀:WW2체코슬로바키아기갑차량 = = 분류:의학 학술지 = = 틀:MSW3 Mead/설명문서 = 이 틀은 세계의 포유류 종 인용에 쓰입니다. = 분류:청양군의 행정 구역 = = 경우의 수 = 경우의 수(境遇─數, )란, 어떤 사건(일)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outcomes)를 수로 표현한 것이다. 1회의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의 가짓수를 n이라고 할 때 이 때의 경우의 수를 n이라고 한다. 경우의 수는 확률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이는 각 사건이 일어날 확률들의 관계를 알 수 있다면 경우의 수를 통해 각 확률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합의 법칙·곱의 법칙 = = 독립사건 A 또는 B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에는 합의 법칙이 이용된다. 예로, 주사위 2개를 던져서 나온 눈의 수의 합이 7 또는 8인 경우의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두 독립사건 '주사위의 합이 7이 될 경우의 수'와 '주사위의 합이 8이 될 경우의 수'의 경우의 수를 합하면 된다. 반면에 독립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에는 곱의 법칙이 이용된다. 예로, 주사위 3개를 동시에 던져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세 독립사건 '주사위를 던져서 1~6 중 하나의 숫자가 나옴'의 경우의 수를 곱하여 구할 수 있다. = = 예시 = = 주사위를 던지는 경우 그 결과는 1 이상 6 이하의 자연수로 된 눈 숫자 중 1가지가 나오게 된다. 이때 경우의 수는 6이다. 윷을 던지는 경우 그 결과는 도, 개, 걸, 윷, 모 의 5가지 중 1가지가 나오게 된다. 이때 위아래(앞뒤)가 존재하는 4개의 윷가락을 사용하므로 경우의 수는 2^4=16이다. 가위바위보를 하는 경우 그 결과는 가위, 바위, 보 의 3가지 중 1가지가 나오게 된다. 이때 경우의 수는 3이다. 동전을 던지는 경우 그 결과는 앞면, 뒷면 2가지 중 하나가 나온다. 이때 경우의 수는 2이다. = 망그로브자유꼬리박쥐 = 망그로브자유꼬리박쥐(Mormopterus cobourgianus)는 큰귀박쥐과(자유꼬리박쥐류)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북부해안자유꼬리박쥐, 서부작은자유꼬리박쥐로도 알려져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그리고 노던 준주와 퀸즐랜드주 경계 사이의 해안과 해안가 지역(해안으로부터 100km 이내)에서 발견된다.(Milne et al. 2008, McKenzie and Bullen 2012) = 분류:베네수엘라의 스키 선수 = = 포털:축구/이 주의 클럽/FC 바르셀로나 = FC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바르셀로나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은 캄프 누(98,772석)이며, 1899년에 창단되었다. 리저브 팀으로 FC 바르셀로나 아틀레틱을 두고 있다. 1928년 프리메라리가가 시작된 이후 한 번도 강등되지 않았다. 'Barça'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FC 바르셀로나의 슬로건은 "클럽, 그 이상"이다. 2006년 9월 12일, FC 바르셀로나는 유니세프와 5년간 구단 수입의 0.7%를 유니세프에 지원해 준다고 하는 내용의 계약을 하여, 기존의 유니폼 스폰서쉽의 상식을 완전히 뒤엎게 되었다. 2008-09시즌, FC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클럽 최초로 리가, 코파 델 레이,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모두 우승하여 트레블을 달성하였다. 그에 이어 2009년 말까지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UEFA 슈퍼컵, FIFA 클럽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한 해 동안 한 클럽팀이 참여 가능한 6개 대회 모두에서 우승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6관왕의 위업을 달성하며 축구 역사의 새 장을 썼다(사진). FC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에서 레알 마드리드 CF와 숙명의 라이벌이며, 두 팀 사이의 대결은 엘 클라시코라고 부른다. = 1939년 에르진잔 지진 = 1939년 에르진잔 지진은 현지 시간으로 12월 27일 오전 1시 57분 23초에 튀르키예 동부를 강타한 지진으로 모멘트 규모 7.8 Mw, 최대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XII이었다. 이는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과 함께 튀르키예에서 기록된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이보다 더 강력한 지진은 지진계 계측 이전에 일어났던 역사지진인 1668년 북아나톨리아 지진뿐이다. 이 지진은 1939년부터 1999년 사이에 북아나톨리아 단층을 따라 튀르키예에 영향을 미친 일련의 대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다. 북아나톨리아 단층대의 360킬로미터 길이 구간에서 최대 3.7 미터의 수평 변위를 동반한 지표 파열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32,968명이 사망했고 약 10만 명이 부상을 입는 등 20세기 튀르키예에서 가장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 미국의 연방 대법원장 = 미국 연방 대법원장은 미국 연방 대법원의 수장이자 재판장이다. 대법원장은 미국 연방 대법원을 이루는 9명의 판사 중 한 명이 된다. 나머지 8명은 미국의 연방 대법원 대법관이 된다. 대법원장은 미국에서 최고의 법관이며, 연방 법원에 대한 최고 행정 책임자로 활동하며 미국 법원 사무국 장관을 임명한다. 대법원장은 사법부의 대변인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연방 대법원장은 연방 대법원의 업무를 주도한다. 법정에서의 변론을 주관하고, 판결에서 법정의견 등 개별 의견의 집필자를 결정하기도 한다. 미국 대통령의 탄핵 재판은 과거에 세 번 있었는데, 그 때마다 연방 대법원장은 상원에서 탄핵심사를 관장하였다. 또한 연방 대법원장은 미국의 대통령에 취임 선서를 하게 하는 의례상의 의무를 진다. 초대 대법원장은 존 제이이다. 현재 대법원장은 존 로버츠이다. = =역대 대법원장 = = § 휴회중 임명되었지만, 1795년 12월 15일, 상원에서 임명을 거부했다.¤ 임시 배석판사로 재임하고 있었지만, 임명 당시 대법원의 업무에서 격리되어 있었다.° 배석판사에서 승격.♦ 전대통령.† 사망퇴임.‡ 2021년 기준. No 이름 초상 재임기간 재임일수 임명자 1 존 제이 1789년 9월 26일 ~ 1795년 6월 29일 2103일 조지 워싱턴 2 존 러틀리지 §, ¤ 1795년 7월 1일 ~ 1795년 12월 28일 181일 조지 워싱턴 3 올리버 엘즈워스 1796년 3월 4일 ~ 1800년 9월 30일 1670일 조지 워싱턴 4 존 마샬 1801년 1월 31일 ~ 1835년 7월 6일† 12574일 존 애덤스(연방당) 5 로저 B. 토니 1836년 3월 15일 ~ 1864년 10월 12일† 10438일 앤드루 잭슨(민주당) 6 새먼 P. 체이스 80px 1864년 12월 6일 ~ 1873년 5월 7일† 3074일 에이브러햄 링컨(공화당) 7 모리슨 웨이트 1874년 3월 4일 ~ 1888년 3월 23일† 5134일 율리시스 S. 그랜트(공화당) 8 멜빌 풀러 1888년 10월 8일 ~ 1910년 7월 4일† 7939일 그로버 클리블랜드(민주당) 9 웨드워드 D. 화이트 ° 1910년 12월 19일 ~ 1921년 5월 19일† 3805일 윌리엄 H. 태프트(공화당) 10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1921년 7월 11일 ~ 1930년 2월 3일 3130일 워런 G. 하딩(공화당) 11 찰스 E. 휴즈 ¤ 1930년 2월 24일 ~ 1941년 6월 30일 4145일 허버트 후버(공화당) 12 할란 피스커 스톤 ° 1941년 7월 3일 ~ 1946년 4월 22일† 1755일 프랭클린 D. 루즈벨트(민주당) 13 프레드 M. 빈슨 1946년 6월 24일 ~ 1953년 9월 8일† 2634일 해리 S. 트루먼(민주당) 14 얼 워렌 1953년 10월 5일 ~ 1969년 6월 23일 5741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공화당) 15 워렌 E. 버거 1969년 6월 23일 ~ 1986년 9월 26일 6305일 리처드 닉슨(공화당) 16 윌리엄 렌퀴스트 ° 1986년 9월 26일 ~ 2005년 9월 3일† 6918일 로널드 레이건(공화당) 17 존 로버츠 2005년 9월 29일 ~ 현재 일 ‡ 조지 W. 부시(공화당) = 글리제 853 = = 아나키스트 흑십자사 = 아나키스트 흑십자사(Anarchist Black Cross, 약칭 ABC)는 아나키스트 지원 조직이다. 이 그룹은 죄수들에게 정치 문헌을 제공하고, 전세계의 계급투쟁 죄수들에게 법률적, 물질적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주로 양심수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폭력을 조장한 사람들을 옹호하기를 거부하는 엠네스티와는 다르다. ABC는 아나키스트 입장에서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혁명을 촉진 시키기 위한 불법적 행위를 한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지원한다. = =ABC 그룹 목록 = = *ABC Belarus *ABC Irkutsk *ABC Moscow *ABC Nancy *ABC Mexico *ABC Rio *Solidaritaetswerkstatt (Hamburg/Germany)solidaritaetswerkstatt.noblogs.org *Portland ABC *ABC Los Angeles = 틀:비자유 비디오 게임 스크린샷/설명문서 = 이 틀은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시 파일의 설명 하단에 붙이는 저작권 태그입니다. 비디오 게임 스크린샷을 인용할 경우 사용합니다. 이 틀은 을 대신하지 않으며, 해당 파일을 이용해야 하는 근거가 부족한 파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틀을 사용한 파일은 자동으로 :분류:비자유 비디오 게임 스크린샷에 들어갑니다. = = 같이보기 = = 틀:비자유 비디오 게임 표지 틀:비자유 비디오 표지 = 청도 조씨 = 청도 조씨(淸道曺氏)는 경상북도 청도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조선에서 사직(司直)을 지낸 조중도(曺仲道)이다. = 월러스 (축구 선수) = 월러스 포르투나 도스 산토스(Wallace Fortuna dos Santos, 1994년 10월 14일 ~ ) 은 브라질의 축구선수이자, 현재 UAE 프로리그의 이티하드 칼바에서 뛰고 있다. = 정소영 (배우) = 정소영(1979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다.정소영 - 다음 인물 정보 = = 생애 = = 1979년 1월 6일 전라남도 광주시 (現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한 그는 1999년 해태제과식품 젠느 모델 선발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였고, 동년 MBC 28기 탤런트 공채 시험에 합격하여 데뷔하였다. 2002년 SBS 대하 드라마 야인시대의 박인애 역으로 출연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 = 학력 = = 1998년 ~ 2002년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학사 2011년 ~ 2013년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석사 = = 경력 = = 1999년 MBC 28기 공채 탤런트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1998년 EBS 1TV 청소년 드라마 《내일》 1998년 SBS 월화 드라마 《납량특선 8부작》 1999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미니 연작 - 봄 - 우리들의 왕따, 우리들의 왕초》 2000년 MBC 일요 아침 드라마 《눈으로 말해요》 - 유미정 역 2000년 MBC 아침 드라마 《사랑할수록》 - 송하영 역 2001년 MBC 특별기획 드라마 《홍국영》 - 우여옥 역 2001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사랑이 하고 싶다》 - 자영 역 2002년 SBS 대하 드라마 《야인시대》 - 박인애 역 2004년 SBS 대하 사극 《장길산》 - 이보현 역 2004년 MBC 일요 로맨스 극장 《단팥빵》 - 홍혜잔 역 2004년 SBS 특별기획 《매직》 - 여 비서 역 2004년 KBS 2TV 단막극 《KBS 드라마시티 - 마녀재판》 - 유상금 역 2005년 KBS 2TV 창사 특집극 《유행가가 되리》 - 유써니 역 2005년 SBS 광복 60년 SBS 대기획 《패션 70's》 - 여군 간호장교 역 2005년 SBS 드라마 스페셜 《루루공주》 - 김유미 역 2006년 MBC 주말 연속극 《진짜 진짜 좋아해》 - 고지수 역 2006년 KBS 2TV 월화 드라마 《포도밭 그 사나이》 - 강수진 역 2007년 SBS 특집 드라마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2007년 SBS 드라마 스페셜 《쩐의 전쟁 - 보너스 라운드》 - 강혜원 역 2007년 KBS 2TV 단막극 《KBS 드라마시티 - 하늘연인》 - 혜은 역 2008년 채널 CGV 럭셔리 코미디 드라마 《색시몽 리턴즈》 - 공주리 역 2008년 MBC 창사 47주년 월화 특별기획 드라마 《에덴의 동쪽》 - 민혜령 역 2008년 KBS 2TV 아침 드라마 《아내와 여자》 - 강희수 역 2009년 KBS 2TV 주말 연속극 《솔약국집 아들들》 - 송진풍의 맞선녀 역 (특별 출연) 2010년 MBC 수목 미니시리즈 《로드 넘버원》 - 유명주 역 2011년 MBC 월화 특별기획 《계백》 - 명주 역 2013년 MBC 퀸 금요 드라마 《네일샵 파리스》 - 윤태희 역 2013년 OCN 일요 드라마 《특수사건 전담반 TEN 2》 - 양선화 역 2013년 MBC 주말 연속극 《사랑해서 남주나》 - 이민영 역 2014년 OCN 일요 드라마 《귀신 보는 형사 처용》 - 최연서 / 강미수 역 2014년 OCN 일요 드라마 《신의 퀴즈 4》 - 최서연 역 2015년 KBS 1TV 특별기획 대하 드라마 《징비록》 - 인동 장씨 부인 역 2017년 KBS 2TV 저녁 주말 드라마 《황금빛 내 인생》 - 선우희 역 2018년 JTBC 금토 드라마 《스케치》 - 김선미 역 2018년 KBS 2TV 저녁 일일 드라마 《끝까지 사랑》 - 윤정빈 역 2019년 KBS 2TV 수목 드라마 《왜그래 풍상씨》 - 나애심 역 2019년 KBS 1TV 저녁 일일 드라마 《꽃길만 걸어요》 - 남지영 역 2021년 MBC 저녁 일일 드라마 《밥이 되어라》 - 김지선 역 (사진 출연) 2021년 TVING 오리지널 드라마 《마녀식당으로 오세요》 (웹 드라마) - 요양보호사 연옥 역 2022년 MBC UHD 저녁 일일 드라마 《마녀의 게임》 - 차용숙 역 2023년 KBS 2TV UHD 저녁 주말 드라마 《진짜가 나타났다!》 - 선우희 역 = = = 시트콤 = = = 2000년 MBC 주간 시트콤 《세 친구》 - 작업남 윤다훈의 터칭을 받은 순진하고 순수한 여신 정소영 역 = = = 영화 = = = 2004년 《나두야 간다》 - 연희 역 2008년 《아버지와 마리와 나》 - 최영임 역 (특별 출연) 2014년 《맛》 - 제네시스 역 2016년 《사랑은 없다》 - 수영 역 2022년 《사선》 - 김소현 역 = = = 연극 = = = 2011년 《상계동 덕분이》 - 기숙 역 (2011.03.18~2011.05.29) 2013년 《고부 전쟁》 - 며느리 김주미 역 (2013.07.06~2013.08.25) = = = 교양 = = = 2002년 SBS 《좋은 아침》 - 게스트 (2002.12.12) 2004년 MBC 《이현우 최은경의 좋은 예감》 - 게스트 (2004.10.07) 2013년 KBS 2TV 《오감만족 세상은 맛있다》 - 게스트 (2013.03.27) 2020년 채널A 《나는 몸신이다》 - 게스트 (2020.07.21) 2020년 채널A 《나는 몸신이다》 - 게스트 (2020.11.24) = = = 예능 = = = 2002년 SBS 《신동엽 김원희의 헤이헤이헤이》 - 게스트 (2002.12.03) 2003년 KBS 2TV 《해피투게더 - 쟁반노래방》 - 게스트 (2003.01.30) 2003년 MBC 《강호동의 천생연분》 - 게스트 (2003.03.01) 2004년 SBS 《일요일이 좋다 - 대결! 반전 드라마》 - 게스트 (2004.08.15) 2008년 KBS 2TV 《스타 골든벨》 - 게스트 (2008.11.15) 2009년 KBS 2TV 《스타 골든벨》 - 게스트 (2009.03.21) 2013년 SBS 《짝》 - 게스트 (2013.02.11) 2018년 KBS 2TV 《해피투게더 3》 - 게스트 (2018.02.01) = = = 라디오 = = = 2013년 MBC FM4U 《오후의 발견 스윗 소로우입니다》 - 스페셜 DJ (특별 출연) (2013.01.17) = = = 뮤직비디오 = = = 2001년 이선희 - 〈이별 소곡〉 2005년 M To M - 〈세 글자〉 2006년 SG 워너비 - 〈내사람〉 2006년 SG 워너비 - 〈느림보〉 2007년 씨야 - 〈미워요〉 2007년 FT아일랜드 - 〈천둥〉 2013년 스피드 - 〈슬픈 약속〉 = = = 광고 = = = 1999년 해태제과식품 젠느 2000년 해태제과식품 아이네트 2000년 LG전자 LG 싸이언 2000년 아로화인 2001년 부광약품 e-후레쉬 (감우성과 함께 출연) 2002년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 (이재황과 함께 출연) 2007년 대우일렉트로닉스 클라쎄 2012년 SK건설 SK 뷰 2013년 한국P&G 페브리즈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99 해태제과식품 젠느 모델 선발대회 대상 2001 MBC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홍국영 2012 제7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 패셔니스타상 = 기리이시역 = 기리이시역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3 240 2004 222 2005 214 2006 219 2007 229 2008 212 2009 200 2010 169 2011 182 = = 역 주변 = = 국도 제256호선 = = 역사 = = 1926년 12월 17일 : 이나 전기 철도의 이나야와타 - 이다 간 연신 때에 기리이시 정류장으로서 개업. 여객역. 1943년 8월 1일 : 이나 전기 철도선이 이다 선의 일부로 국유화되어, 일본국유철도가 승계. 동시에 역으로 승격해, 기리이시역으로 한다. 당시는, 도카이도 본선 하마마쓰 - 나고야 간의 각 역이나 이다 선의 각 역, 주오 본선 가미스와 - 시오지리 간의 각 역, 마쓰모토역을 발착하는 여객만 이용되었다. 1954년 12월 1일 : 도쿄도 구내의 각 역, 나가노역을 발착하는 여객도 이용가능하게 되었다. 1971년 2월 1일 : 여객 발착역의 제한을 철폐, 동시에 무인화.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 여객철도가 승계. = 베를린 (동음이의) = 베를린은 독일의 수도이며,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다. 영어권에서는 벌린이라고 발음한다. = = 드라마 = = 베를린 (드라마)(Berlin)은 2023년 스페인의 드라마이다. = = 영화 = = 베를린 (1995년 영화)(BeRLiN)은 1995년 공개된 일본의 영화이다. 베를린 (2013년 영화)(The Berlin File)은 2013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그라지 마사페라 = 그라지 마사페라(Grazi Massafera, 1982년 6월 28일 ~ )는 브라질의 배우, 미인 대회 우승자이다. = 능격-절대격 정렬 = 능격-절대격 언어(ergative-absolutive language, 能格-絶對格 言語) 또는 능격언어(能格言語, ergative language)는 문법적으로 타동사의 목적어와 자동사의 주어는 같게, 타동사의 주어는 다르게 구분되는 언어를 말한다. 이 언어에서 타동사의 주어(A)에 부여되는 격을 능격(能格), 자동사의 주어-타동사의 목적어(S-O)에 부여되는 격을 절대격(絶對格)이라고 한다. 이러한 격 편성, 즉 능격이 나타나는 격 편성이 존재하는 언어는 '능격성을 가진다'고 하는데, 능격성이 나타나는 유형은 크게 형태론적 능격성, 통사론적 능격성으로 나뉜다.Palmer F. R., 이영민 역, 문법역과 문법관계, 도서출판 역락, 2000, 18-25쪽. 이러한 언어의 예로 대표적인 것은 바스크어, 우라르투어, 후르리어, 수메르어, 티베트어 등이며, 힌디어, 파슈토어, 조지아어 등에서는 제한적인 능격성이 나타난다. = = 격 표지의 분류 = = 이 언어는 한국어, 튀르키예어, 독일어와 같은 주격-대격(nominative-accusative) 언어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를 문법적으로 동등하게,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구분하는 것과 다른 문법적 체계를 가진다. 또 S, A, O를 각각 모두 다르게 취급하는 3분법 언어(tripartite language)와도 다른 체계를 갖는다. 이 외의 중간적인 격 표지 체계로 동작성-정태성 체계(active-stative system), 직접-역류 체계(direct-inverse system), 분열 능격 체계(split ergative system) 등이 있다. 형태론적 격을 거의 표지하지 않고 어순이나 전치사에 의해서만 격을 표지하는 영어나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언어는 중립 체계로 따로 분류하기도 하며, 극히 드문 언어 유형으로 A, O에 같은 격을 부여하는 AO/S 체계도 존재한다.윤병달, 언어와 의미, 도서출판 동인, 2009, 263-267쪽. = = 예시 = = 능격-절대격 정렬을 가지는 바스크어에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모두 절대격으로서 아무런 접사가 붙지 않고,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 접사가 붙어 표현된다. 또한 힌디어 등 일부 언어에서는 주격-대격 대립과 능격-절대격 대립이 함께 존재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일부 곡용에 한하여 능격성이 나타나는 방식이다. = 최진립 = 최진립(崔震立, 1568년 ~ 1637년 1월 21일)은 조선의 무신이다. 자는 사건, 호는 잠와,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 = 생애 = = 1566년 경주에서 최신보의 아들로 태어났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우 최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4년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부장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97년 정유재란 때 결사대를 이끌고 서생포에서 왜군을 격멸하였다. 이어 권율과 함께 도산에서 대승하여 선무원종공신에 녹되었고, 훈련원정(訓練院正)을 제수받았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0년 여도만호(呂島萬戶) 겸 선전관(宣傳官)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이어 마량첨사(馬梁僉使), 경상우후(慶尙虞侯)에 제수되어 성지(城池)를 수축하고 병기를 정돈하였다. 1607년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도사(都事)를 지내고, 1614년에 경원부사(慶源府使)가 되었다. 금나라의 침입으로 명나라에서 구원병을 청하나 응하지 않았다 갑산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사면되어 가덕진 첨절제사(僉節制使)에 복직하였고, 1626년에는 경흥부사를 거쳐 공조참판을 지냈다. 1630년(인조 8년) 전라좌수사를 거쳐 경기수사에 올랐으며, 삼도수군통제사를 겸하게 되었다. 1632년에는 교동부사가 되었고, 1633년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를 거쳐 덕원부사에 제수되었다. 1634년(인조 12년)에는 전라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명으로 공주 영장으로 감사 정세규의 좌영장으로 출진하여 용인 험천에서 청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 = 사후 = = 1637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시호는 정무(貞武)이다. 경주의 숭렬사(崇烈祠), 경원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되었다. = = 저서 = = 정무공기실 貞武公紀實 2권이 있다. = = 가족 관계 = = 증조부 : 최득정 조부 : 최삼빙 부 : 최신보(崔臣輔) 형 : 최진흥(崔震興) 형 : 최진망(崔震望) 대장군 : 최진립(崔震立) * 아들 :최동량(崔東亮) ** 손자 : 최국선 제 : 육의당 최계종(崔繼宗) = = 최진립이 등장한 작품 = = 《명가》 (KBS, 2010년~2010년, 배우 : 김영철) = = 참고 자료 = = * * = 분류:은산군 출신 = = 분류: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스포츠 선수 = = 세인트 아가타 = 세인트 아가타는 미국의 공포, 스릴러 영화이다. 미국에서는 2018년 4월20일에 The Overlook Film Festival에 상영이 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20년 3월 19일에 개봉되었다. = = 출연 = = 사브리나 컨 - 메리 / 아가타 역 캐롤린 헤네시 - 원장 수녀 역 한나 피어만 - 사라 역 코트니 핼버슨 - 캐서린 역 저스틴 마일즈 - 지미 역 린제이 세임 - 도리스 역 트린 밀러 - 폴라 역 세스 마이클스 - 앤드류 신부 역 제이슨 워너 스미스 - 메리 아빠 역 사라 소메티 마이클 - 메리의 이모 역 션 플레처 - 얼 부보안관 역 마샤 프리 버거 - 수잔 수녀 역 메릴린 라이트 - 올가 수녀 역 캔디 래커 - 헬렌 수녀 역 맥시머스 머러 - 윌리엄 역 매리언 기요 - 라이트 부인 역 바비 C. 킹 - 이상한 남자 역 마일스 크랜포드 - 의사 역 = = 기타 = = 수입사 : (주)스톰픽쳐스코리아 = = 수상 목록 = = 2018년 제22회 국제판타스틱영화제 후보 월드 판타스틱 레드 2019년 제39회 판타스포르토 국제영화제 후보 프리미어 파노라마-장편영화 = 분류:교통 웹사이트 = = 나비리본 캠페인 = 나비리본 캠페인(Nabi Ribbon Campaign)은 2018년 5월 25일에 론칭한, 갑상선암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나가고 많은 갑상선암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달하고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캠페인으로, 전문적인 자문단 선생님들과 함께 진행된다. 나비리본 캠페인 공식채널에서 갑상선암 캠페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와 공식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 = 목적 = = 나비리본 캠페인은 갑상선암도 다른 암들처럼 ‘관리가 필요한 암’이라는 것을 알리고, 관심도를 높여 적절한 관리와 치료의 필요성을 전달하고자 진행되는 캠페인이다. = = 상징 = = 나비리본 캠페인 명칭 '나비'는 '갑상선'과 '희망'을 상징한다. 갑상선은 나비와 그 모습이 비슷하여 나비라고 비유되기도 하며, 또한 나비는 희망을 상징하는 생물이기도 하다. = = 로고 = = 내 손으로 갑상선 모양의 나비를 만들고, 내 몸 안에 있는 나비를 내 손으로 직접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슬로건 = = 나비리본 캠페인의 슬로건 = = 갑상선암 = = = = = 소개 = = = 우리 몸 전체에 필요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갑상선에 생긴 혹을 갑상선 결절이라 부른다. 이 결절은 양성과 악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악성 결절을 갑상선암이라고 한다. 갑상선암은 양성결절과는 다르게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지며 갑상선 주변의 다른 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 멀리 떨어진 장기로 전이 가능성이 있다. 갑상선암은 남녀 전체 암 발생 순위 3위, 남성 암 발생 순위 6위, 여성 암 발생 순위 2위로 발병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암에 비하여 비교적 치료가 쉽고 완치율이 높다는 이유로 '착한 암', '거북이 암' 등으로 불리고 있다., 국가암정보센터. 그러나 갑상선암은 병기가 진행된 경우엔 생존율이 낮으며, 치료 후에도 재발하거나 다른 장기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재발 시에는 다른 장기로의 전이 가능성도 높아지므로 초기 치료와 적극적인 추적관찰이 매우 중요하다. = = = 증상 = = = 일반적인 증상으로 갑상선 결절과 갑상선암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소견이 있으면 암의 가능성이 큽크다. 여자보다는 남자에게 발생한 결절에서 암의 가능성이 더 높다., 대한갑상선학회. 20세 이전이나 60세 이후에 발견된 종양은 암의 가능성이 높다. 결절이 주위조직과 유착되어 움직이지 않을 때 결절에 의한 압박증상, 목소리가 쉬거나 음식물 삼키기가 곤란하거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갑상선 결절과 함께 임파선(림프절)이 만져질 때 결절이 매우 딱딱하거나 최근에 갑자기 커졌을 때 가족 중에 갑상선암 환자가 있고 갑상선에서 결절이 만져질 때 = = = 종류 = = = 갑상선암은 기원된 세포의 종류나 성숙도에 따라서 분류된다. 기원된 세포의 종류에 따라 나누면 여포세포에서 기원된 암 중 비교적 분화가 잘 된 유두암과 여포암, 분화가 안 된 저분화암 및 미분화암(역형성암)이 있다. 여포세포가 아닌 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으로는 수질암과 림프암, 그리고 다른 암이 갑상선으로 전이된 전이성 암이 있다. 갑상선암 중 가장 흔한 것은 유두암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갑상선암의 97%를 차지한다. 유두암은 일반적으로 천천히 자라며 예후도 비교적 긍정적이다. 여포암은 유두암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고 40~50대에 흔히 발생한다. 미분화암(역형성암)은 전체 갑상선암의 1% 미만을 차지하며 성장속도가 빠르고 예후가 매우 나쁘며, 진단받은 후 수개월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수질암은 갑상선 수질에 생기는 암으로 전체 갑상선암의 1% 미만을 차지한다. 기타 갑상선암으로는 갑상선에 발생하는 림프종이나 다른 암종이 갑상선으로 전이된 갑상선암이 있고 유방암의 전이가 가장 많으며 폐암, 신장암의 전이가 있다. = = = 위험인자 = = = 갑상선암의 위험인자 다음과 같다., WebMD. 성별과 연령: 여성은 남성보다 갑상선암에 걸릴 확률이 3배 높다. 보통 여성은 40~50대에, 남성은 60~70대에 많이 발생한다. 남성에게서 갑상선암이 더 빨리 자라고 퍼진다. 방사선 노출: 고용량의 방사선 노출, 특히 어린 나이에 방사선 노출은 림프종과 같은 암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유전: 부모, 형제, 자매가 갑상선암이 있으면 갑상선암에 걸릴 확률이 더 높다. 요오드가 부족한 식이 유방암: 유방암 환자는 갑상선암 위험이 높을 수 있다. 비만 = = = 치료방법 = = = 갑상선암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호르몬 치료, 외부 방사선조사, 항암화학 치료, 표적치료제 치료 등이 있다.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수술이다. 수술 시 갑상선암의 종류, 크기, 환자의 나이와 병기에 따라 암이 발견된 한쪽 옆만 제거하는 일엽절제술과 전체 갑상선을 제거하는 전절제술을 시행한다. 수술 방법에는 절개술,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 다빈치 로봇 수술이 있다.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은 크기가 작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시행 가능하고 다빈치 로봇 수술은 진행된 갑상선암에서는 권장되지 않는다. 방사선 요오드 치료는 갑상선 절제 후 남아있는 암세포가 자라서 재발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한다.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해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의 농도가 높아지지 않게 하면 분화갑상선인 유두암이나 여포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외부 방사선 조사는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환자의 목이나 갑상선암 부위에 쏘는 국소적 치료법이다. 갑상선은 항암제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항암화학치료는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항암화학치료가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암의 발생과 성장, 진행에 관여하는 특정 변이 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고 억제하는 표적치료제가 전이성, 진행성 갑상선암에 사용되고 있다. = 스톡홀름 통근 열차 = 스톡홀름 통근 열차는 스웨덴 스톡홀름주의 통근 열차이다. 대 스톡홀름 지역 교통(SL)에서 관리하며, 운영은 스웨덴 철도의 자회사 스톡홀름스토그에 위탁하였다. 노선은 국가 기관 반베르케트가 소유한다. SL이 소유하는 노선에 운행하는 열차에는 이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 = 역사 = = 스톡홀름에 철도가 개통된 것은 19세기 후반이며, 지역 열차는 오래전부터 SJ에서 운행하였다가 1968년 스톡홀름 주에 운영을 위탁하였다. 이후 스톡홀름 시내 교통과 동일 요금제를 적용하였다.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고, 역을 개선하여 도시 철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스톡홀름 주변 철도 교통이 개선되었다. 단선 노선은 복선으로, 일부 복선은 복복선으로 개선되어 선로 용량이 증가하였다. 배차 간격도 점점 줄어들어 2001년부터는 대부분 역의 주간 배차 간격을 15분까지 줄였다. 마지막으로 개통한 구간은 쿵셍엔-볼스타 구간으로 2001년 개통하였고, 2006년 트베르 선과 연결을 위하여 중간역 오르스타베리 역이 개업하였다. SL에서는 2000년부터 운영을 외부에 위탁하였고, 현재 운영사는 SJ AB이다. = = 노선 = = 운행 계통 구간 시간 거리 역 수 J35 볼스타 - 베스테르하닝에 - 뉘네스함 1:44 107 km 27 J36 메르스타 - 쇠데르텔리에 C 1:21 74 km 24 J37 쇠데르텔리에 C - 그네스타 0:31 30 km 6 합계 합계 합계 200 km 50 운행 계통은 총 3가지 있다. 스톡홀름 도심으로 진입하는 노선은 J35/J36호선으로, 각각 서북부의 볼스타에서 남동부의 그네스타, 북부 메르스타에서 남서부 쇠데르텔리에를 연결한다. J37호선은 쇠데르텔리에와 그네스타를 연결하며, 총 거리는 200km이다. 베스테르하닝에 남쪽 승강장 길이와 단선 회차선 문제로 인하여 베스테르하닝에에서 환승해야 한다. 매일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야간 30분, 주간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7분 30초, 도심에서는 4분까지 배차가 줄어든다. J35호선의 베스테르하닝에 이남과 J37호선은 배차 간격이 길어서 주말에는 2시간까지 늘어난다. 모든 열차는 전역 정차이나, 출퇴근 시간 일부 열차는 일부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 역 = = 통근 열차가 운행하는 역은 총 50곳이며, 이 중 2곳은 스톡홀름 주 경계의 밖에 있다. 8곳은 장거리 열차로 환승할 수 있고, 3곳은 스톡홀름 지하철, 1곳은 트베르 선과 환승 가능하다. 일부 역은 지역 버스와의 환승 거점이다. 대부분 역은 지상에 섬식 승강장이 있는 형태이며, 출입구 1/2곳, 유인 매표소가 있다. 일부 환승역은 승강장이 여러 곳 있다. 베스테르하닝예와 쇠데르텔리에 남쪽의 역은 더 작으며, 매표소가 없어서 차내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 가장 큰 역은 스톡홀름 센트랄 역으로, 1일 통근 이용객 약 5만 4천명이다. 장거리 열차나 도시 철도와의 환승 거점이다. 가장 작은 역은 헴포사 역으로 1일 이용객 약 75명이다. 2008년 기준 이용객이 많은 역은 다음과 같다. 역 이용객 1. 스톡홀름 C 53,800 2. 스톡홀름 쇠드라 15,200 3. 엘브셰 11,700 4. 야콥스베리 10,300 5. 카를베리 10,000 6. 플레밍스베리 9,300 7. 순드뷔베리 7,800 8. 솔렌투나 7,200 9. 툼바 6,900 10. 쇠데르텔리에 C 6,800 = = 차량 = = 운행 중인 차량은 1967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된 X1,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생산된 X10, 2005년부터 반입된 X60 차량이 있다. X1과 X10 차량은 편성 길이가 50m이며, 서로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주로 2-4편성이 중련으로 운행한다. X60 차량은 편성 길이가 107m이며, 최대 2중련까지 가능하다. X1은 최고 시속 120, X10은 140, X60은 160km까지 운행할 수 있다. X60 발주 당시 일부 X1과 X10 편성의 퇴역으로 인한 차량 부족으로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X20/X23 전동차,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덴마크 DSB에서 대여한 Bn 객차,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도이체 반에서 대여한 X420 전동차를 사용하였다. Bn 객차는 1970년대에 코펜하겐-헬싱외르 간 교통에 사용되었고, 외레순 대교가 개통되고 X31K가 반입되면서 용도가 폐기되어 SL에서 14량을 매입하였다. = = 추가 확장 = = 반베르케트에서는 스톡홀름 도심을 지하로 통과하는 노선 건설을 승인하였으며 2017년 개통 예정이다. 시티 선으로 알려진 새로운 터널은 통근 열차 전용으로, 장거리 열차와 노선을 분리하게 된다. 완공되면 도심 구간의 혼잡을 줄여 줄 수 있다. 시티 선의 건설은 2008년에 시작하였다. 통근 열차 이외에도 장거리 열차를 더 많이 운행할 수 있게 된다. = 틀: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파라과이 선수 명단 = = 장 카스텍스 = 장 카스텍스(, 1965년 6월 25일 ~ )는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2020년 7월 3일부터 2022년 5월까지 프랑스의 총리로 재임했다. 2020년 7월 3일에 사임한 에두아르 필리프의 뒤를 이어 신임 총리로 임명되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2008년 선거 프라드 시장 57대 대중운동연합 42.64% 1,342표 50.37% 1,654표 1위 2012년 선거 하원의원 (피레네조리앙탈 제3선거구) 14대 대중운동연합 30.52% 14,743표 46.97% 22,550표 2위 낙선 2014년 선거 프라드 시장 57대 대중운동연합 70.19% 2,122표     1위 2015년 선거 캉통 (레피레네카탈란) 1대 공화당 42.77% 5,075표 58.30% 6,566표 1위 2020년 선거 프라드 시장 57대 공화당 75.72% 1,756표     1위 = 분류:차오양구 (베이징시)의 철도역 = = 분류:세네갈의 이슬람교 = = 최광호 = 최광호(崔光戶, 1991년 6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이세돌 도장에서 백홍석 사범에서 바둑을 배웠다. 덕영배에서 우승하고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땄다. 국무총리배 세계아마바둑선수권 한국대표로 출전하는 등 아마추어 대회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27세의 늦은 나이로 2018년 제141회 일반입단대회를 통해 입단했다. 2018년 2단을 거쳐 2019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20년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결승에서 김창훈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1년 5단으로 승단했다. = 분류:나라별 분리주의 = = 폭스땃쥐 = 폭스땃쥐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베넹과 부르키나 파소,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말리, 나이지리아, 세네갈, 수단 그리고 토고이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습윤 저지대 숲과 습윤 사바나와 농장 지대이다. = 틀:KBL 블록상 = = 모듈:Location map/data/CAN BC Capital/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CAN_BC_Capital/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장효조 = 장효조(張孝祚, 1956년 7월 6일 ~ 2011년 9월 7일)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의 외야수이자 전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이었다. 2011년 9월 7일, 부산 동아대학교병원에서 간암 투병 끝에 55세로 세상을 떠났다.스포츠 조선 - "장효조 삼성 2군 감독 별세" 그는 초년에는 불교를 믿었으나 말년에는 아들이 목사가 되며 개신교를 믿었다. 한편, 백대삼 전 KBO 심판의 처남이며 삼촌이 작곡가 길옥윤의 유일한 남동생인 최치갑 부산 조은치과 원장의 손위동서이기도 하다. = = 야구 입문 = = 부산광역시 영도구에서 태어나 부산영선초등학교현재의 부산남항초등학교이며, 2002년 부산영선초등학교와 합병했다. 3학년 때였던 10세 때 대구로 이주했다.장효조 삼성 2군 감독 어제 별세 - 한국 야구계 큰 별이 지다 야구를 시작한 때는 대구삼덕초등학교 4학년으로, 키는 작았지만 발이 빠르고 기민해 야구부 감독의 총애를 받았다. 어렸을 적부터 고된 훈련을 통해 스스로를 단련한 장효조는 대구중학교 2학년 때 서울에 살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는다.화려했으나 외로웠던 사내, 장효조, 박동희 칼럼, 2011년 9월 7일 키 174 cm, 체중 70kg에 지나지 않았던 장효조는 1972년 대구상고에 진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능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학년이었던 1973년에 각종 대회에서 맹활약을 펼치며 대구상고를 대통령배, 봉황대기, 황금사자기 정상에 올려놓았다. 특히 황금사자기에서는 14타수 6안타를 몰아치며 우수선수, 타격 1위(0.428), 최다 안타상을 받았고‘타격 달인’ 장효조“요즘 고교야구 투지 실종…잔꾀만 늘어” , 동아일보, 2007년 7월 5일 봉황대기에서도 타격왕을 수상했다. 그 해 일본과의 고교야구 친선경기를 위해 대한민국 국가대표에 선발된 장효조는 다시 맹활약하여 한국이 2승 1무로 일본을 누르는데 큰 기여를 했다. 1974년에도 대구상고를 봉황기를 우승에 올려놓으며 또다시 타격왕과 최다안타 상을 수상했고‘전설’ 장효조의 발자취, 스포츠경향, 2011년 9월 7일, 대통령배 고교야구대회에서는 5할을 기록하며 다시 타격상을 수상했다. 장효조는 그 해 출전한 네 개 고교야구대회에서 0.383라는 타율을 기록했다. 1975년 한양대학교 체육학과에 진학한 장효조는 1학년 때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고, 1976년 백호기 대회에서 0.714(14타수 10안타)라는 경이로운 타율을 기록하며 타격왕을 달성하고 4연타석 2루타를 쳐 내는 등 크게 성장할 선수로 큰 기대를 모았다. = = 프로 야구 경력 = = 실업 팀 포항제철에 입단하였다가 경리단에서 병역을 마친 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첫 해부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프로 적응기가 필요하다는 전망을 비웃듯 1군 92경기에서 타율 3할 6푼 9리(1위), 18홈런(공위), 22도루(4위), 장타율 6할 1푼 8리(1위), 출루율 4할 7푼 5리(1위)로 천재성을 입증했다.김은진, '장효조, 최동원 불멸의 야구 천재' <<주간경향>>, 2011, 9, 27 1983년 5월에 8연타석 안타에 3연타석 홈런을 때려 내며 타율이 0.414까지 치솟았다. 이는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이며, 1983년 시즌 내내 0.380 이상의 고타율을 기록하였으나, 막판에 약간 부진하여 0.369의 타율로 시즌을 마감했다. 삼성 라이온즈의 대표적 프랜차이즈 스타로 활약하며 '타격의 달인', '안타 제조기'등의 명성을 얻었다. 1985 시즌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을 이끈 주역이기도 하다.일간 스포츠 - 2010년 4월 기사 "OB의 재구성 - 삼성 역대 최고 타선" 그는 기자들 가운데서 '장효조가 치지 않는 볼은 볼이다','장효조는 배트를 거꾸로 잡아도 3할은 친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정도로 선구안이 뛰어났으며, 그의 컨택트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하지만 그는 타격실력에 비하여 형편없는 수비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삼성이 졌던 여러 원인 중에 장효조의 캐치 미스가 있었다. 물론 그렇지만 해설자들이 평가하기로 그는 약한 어깨이긴 하지만 유격수나 2루수가 커트 안하고 홈까지 직선으로 갈 만큼 놀라운 송구 정확도를 보였다. 타격 면에서는 우리나라 유일의 4할 타자 백인천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유일한 선수이다. 이후, 1988년에는 트레이드설에 휩싸인 데다 연봉 협상 문제로 구단과 자주 이견을 보인 것 탓인지 선수협 파동 직후 같은 해 12월 21일 좌완 투수 장태수와 함께 외야수 김용철과 투수 이문한을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에 트레이드되었는데 이적 후에는 지명타자로 뛰었으며 홀수 해에만 3할대 타율을 기록하는 등 그야말로 '격년제 징크스'를 겪었다. 이는 최동원과 김시진 등이 트레이드된 후 한 달 후의 일이었다. 1989년 1월 삼성 라이온즈에서 롯데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될 때 연봉 5,600만 원에 계약한 바 있다. 대구상고 후배였던 이정훈이 1991년의 그를 평가하기를 '장효조 선배는 늘 경기 후 밤에 맥주를 2캔 마시고 자는 습관이 있었다. 하지만 나와 타격왕 경쟁을 하면서 그 맥주를 끊고 밤새 연습을 하더라'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그 해에 0.347의 타율을 기록하며 2년만에 타율 3할대를 달성했고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프로 데뷔 9년만에 처음으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맛본 후 은퇴를 선언했다. 그가 삼성 라이온즈에서 지녔던 등번호 10번은 그가 팀을 떠난 뒤 1993년에 입단한 양준혁이 달기도 했는데, 양준혁은 그와 동일하게 좌타자이면서 타격왕을 네 차례나 수상하였다. 네 차례의 타격왕 수상은 역대 타격왕 최다 수상 횟수이다. 두 선수의 통산 타율은 각각 장효조 0.331와 양준혁 0.316로서 한국 프로 야구 통산 타율 1위와 2위의 성적이다. 이에 따라 삼성 구단과 팬들은 등번호 10번이야말로 삼성 팀 내에서 가장 타율이 높은 타자가 물려받는 등번호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스포츠 서울 - 2007년 9월 기사 "이래서 내가 타격왕 해야 한다, 사연 있는 타격왕 전쟁"한국일보 - 2009년 9월 기사 "등번호엔 가치관 · 꿈 · 사연이…" 일간 스포츠 - 2010년 7월 기사 "숫자로 본 양준혁 데뷔 이후 줄곧 썼던 등번호는?" 2011년 KBO 리그 30년 레전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 = 사망 = = 레전드 올스타 행사가 있기 며칠 전에 몸에 이상을 느낀 그는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은 결과, 간암과 위암이 동시에 발견되어 2군 투수코치 양일환에게 2군 감독직을 넘겼다. 이후 부산으로 내려가 동아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2011년 9월 7일 오전 7시 30분 55세의 나이로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영락공원의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주일 후인 9월 14일에는 국내 최고의 선발 투수로 꼽혔던 전 롯데 자이언츠 투수 최동원도 대장암 투병 끝에 53세로 별세해 2011년 9월에만 한국프로야구계에서 2개의 큰 별이 떨어지고 말았다. 2011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아들 장의태 씨가 시구를 했다. = = 출신 학교 = =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75학번 대구상업고등학교 대구중학교 대구삼덕초등학교 = = 주요 기록 = = 진한 바탕은 KBO 리그 최초 기록임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수 타석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각주 최소 타석 1000안타 92.8.13 롯데 사직 쌍방울 951 3606 36세 1개월 7일 역대 4번째 = = 통산 기록 = = 연도 소속 나이 출장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루타 병살타 몸맞 희타 희플 고4 1983 삼성 28 92 386 317 61 117 19 3 18 62 22 2 58 39 .369 .475 .618 1.093 196 1 6 0 5 6 1984 삼성 29 89 365 309 56 100 19 7 7 44 8 8 49 25 .324 .424 .498 .923 154 2 5 0 2 8 1985 삼성 30 107 422 346 66 128 24 1 11 65 17 8 57 23 .370 .467 .543 1.010 188 6 4 8 6 6 1986 삼성 31 95 367 304 55 100 20 2 6 41 16 7 59 30 .329 .436 .467 .903 142 6 1 0 3 7 1987 삼성 32 88 335 284 51 110 16 4 2 58 7 4 41 26 .387 .461 .493 .954 140 1 3 1 6 3 1988 삼성 33 96 334 283 41 89 12 2 4 35 5 5 49 27 .314 .419 .413 .833 117 2 2 0 0 0 1989 롯데 34 94 393 333 40 101 8 3 1 31 12 15 56 30 .303 .407 .354 .762 118 2 3 0 1 0 1990 롯데 35 96 364 324 36 89 13 4 1 22 8 4 34 33 .275 .347 .349 .696 113 5 2 4 0 0 1991 롯데 36 122 424 346 56 120 17 10 4 54 11 7 70 31 .347 .452 .488 .941 169 4 0 2 4 6 1992 롯데 37 82 242 204 23 54 9 0 0 25 3 1 33 25 .265 .365 .309 .674 63 2 1 1 3 1 KBO 통산 : 10년 KBO 통산 : 10년 KBO 통산 : 10년 961 3632 3050 485 1008 157 36 54 437 109 61 506 289 .459 .886 1400 31 27 16 30 37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82년 ~ 85년까지 한국 프로야구 출루율 계산법에서 희생 플라이는 제외하였다. 현재의 출루율 계산법으로 83년 ~ 85년까지 장효조의 시즌 출루율은 각각 .469 .422 .460 이 되겠지만 당시의 기준으로 표기함 = 분류:남미 국가 연합 회원국 = = 장쯔펑 = 장쯔펑(, 2001년 8월 27일 ~ )는 중국의 배우이다. 2019년 CCTV 선정 "포스트 95년 사소화단"(95后四小花旦)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 춘천 신매리 유적 = 춘천 신매리 유적(春川 新梅里 遺蹟)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 북한강 옆의 충적대지에 형성된 취락유적이다. 2007년 11월 14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8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춘천신매리유적은 북한강 옆의 충적대지에 형성된 취락유적으로 1981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처음 발굴조사 한 이후 한림대학교박물관, 강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한 지속적인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하여 신석기~삼국시대에 이르는 주거지와 무덤이 밀집 분포된 복합유적으로 확인된다. 특히 지난 1996년 신매대교 접속도로 개설을 위한 발굴조사에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유적으로는 이른 시기에 속하는 주거지와 유물들이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기를 달리하는 주거지와 유물들이 출토되어 우리나라 동북지역과 한강유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 = 참고 자료 = = * * 신매리 유적 = 포털:요즘 화제/스포츠/2010년 6월 = = = 2010년 6월 29일 = =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결과 0(승부차기 5:3)0 1:0 = = 2010년 6월 28일 = =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결과 2:1 3:0 = = 2010년 6월 27일 = =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결과 4:1 3:1 = = 2010년 6월 26일 = =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결과 2:1 2:1 = = 2010년 6월 25일 = = 2010년 FIFA 월드컵 G조 경기 결과 3:0 0:0 * 이 경기 결과까지 브라질과 포르투갈이 16강에 진출하고 코트디부아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탈락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H조 경기 결과 2:1 0:0 * 이 경기 결과까지 스페인과 칠레가 16강에 진출하고 스위스와 온두라스는 탈락하였다. = = 2010년 6월 24일 = = 2010년 FIFA 월드컵 E조 경기 결과 3:1 2:1 * 이 경기 결과까지 네덜란드와 일본이 16강에 진출하고 덴마크와 카메룬은 탈락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F조 경기 결과 3:2 0:0 * 이 경기 결과까지 파라과이와 슬로바키아가 16강에 진출하고 뉴질랜드와 이탈리아는 탈락하였다. = = 2010년 6월 23일 = = 2010년 FIFA 월드컵 C조 경기 결과 1:0 1:0 * 이 경기 결과까지 미국과 잉글랜드가 16강에 진출하고 슬로베니아와 알제리는 탈락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D조 경기 결과 1:0 2:1 * 이 경기 결과까지 독일과 가나가 16강에 진출하고 오스트레일리아와 세르비아는 탈락하였다. = = 2010년 6월 22일 = = 2010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 결과 1:0 2:1 * 이 경기 결과까지 우루과이와 멕시코가 16강에 진출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프랑스는 탈락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B조 경기 결과 2:0 2:2 * 이 경기 결과까지 아르헨티나와 대한민국이 16강에 진출하고 그리스와 나이지리아는 탈락하였다. = = 2010년 6월 21일 = = 2010년 FIFA 월드컵 G조 경기 결과 7:0 2010년 FIFA 월드컵 H조 경기 결과 2:0 1:0 * 이 경기 결과까지 스페인과 칠레가 16강에 진출하고 스위스와 온두라스는 탈락하였다. = = 2010년 6월 20일 = = 2010년 FIFA 월드컵 F조 경기 결과 2:0 1:1 2010년 FIFA 월드컵 G조 경기 결과 3:1 = = 2010년 6월 19일 = = 2010년 FIFA 월드컵 D조 경기 결과 1:1 2010년 FIFA 월드컵 E조 경기 결과 1:0 2:1 = = 2010년 6월 18일 = = 2010년 FIFA 월드컵 C조 경기 결과 2:2 0:0 2010년 FIFA 월드컵 D조 경기 결과 1:0 = = 2010년 6월 17일 = = 2010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 결과 2:0 2010년 FIFA 월드컵 B조 경기 결과 4:1 2:1 = = 2010년 6월 16일 = = 2010년 FIFA 월드컵 H조 경기 결과 1:0 1:0 2010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 결과 3:0 = = 2010년 6월 15일 = = 2010년 FIFA 월드컵 F조 경기 결과 1:1 2010년 FIFA 월드컵 G조 경기 결과 2:1 0:0 = = 2010년 6월 14일 = = 2010년 FIFA 월드컵 E조 경기 결과 2:0 1:0 2010년 FIFA 월드컵 F조 경기 결과 1:1 = = 2010년 6월 13일 = = 2010년 FIFA 월드컵 C조 경기 결과 1:0 2010년 FIFA 월드컵 D조 경기 결과 4:0 1:0 = = 2010년 6월 12일 = = 2010년 FIFA 월드컵 B조 경기 결과 2:0 1:0 2010년 FIFA 월드컵 C조 경기 결과 1:1 = = 2010년 6월 11일 = = 2010년 FIFA 월드컵이 개막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 결과 1:1 0:0 = 막스 플랑크 과학 수학 연구소 = 막스 플랑크 과학 수학 연구소 (Max Planck Institute for Mathematics in the Sciences, MPI MiS)는 막스 플랑크 협회에 속하는 연구 기관의 하나로 라이프치히에 소재하고 있다. 1996년 3월 1일에 설립된 이 연구소는 자연 과학, 특히 물리학, 생물학, 화학 및 재료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수학을 적용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 연구 그룹 = = 비선형 대수 ( Bernd Sturmfels ), 패턴 형성, 에너지 풍경 및 스케일링 법칙 ( Felix Otto ), 리만 기하학, 켈러 다양체 및 대수 기하학, 신경망 ( Jürgen Jost ), 인지 시스템의 정보 이론(Nihat Ay) 확률 편미분 방정식(Benjamin Gess) 수학 소프트웨어(Michael Joswig) 조합 대수 기하학(Mateusz Michałek) 딥러닝 이론(Guido Montúfar) PDE의 강성과 유연성(Angkana Rüland) 진화의 구조(Matteo Smerlak) 텐서 및 최적화(André Uschmajew) 이 연구소는 라이프치히를 응용 수학 연구의 주요 장소로 만든 광범위한 방문자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MPI MiS는 ERCOM(유럽 수학 연구 센터)의 회원이다. = 분류:독일-시리아 관계 = = 분류:스포츠 정보 틀 = = 서로3로 = 서로3로(Seoro3-ro)는 인천광역시 서구 아라동 검단신도시예미지퍼스트포레아파트 905동 앞과 검단신도시대광로제비앙아파트 앞을 잇는 도로이다. = = 연혁 = = 2020년 4월 20일: 도로명으로 서로3로를 고시 2021년: 개통 = = 주요 경유지 = = 서구 (아라동)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인천해든초등학교 (인천광역시 서구 서로3로 60) 인천한별초등학교 (인천광역시 서구 서로3로 201) = 11월 19일 =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한다. = = 사건 = = 461년 - 서로마 제국의 리비우스 세베루스가 플라비우스 리키메르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다. 1408년 - 조선 태종 8년 아패법(牙牌法) 제정 1435년 - 조선 세종 17년 상정소(詳定所) 폐지 1442년 - 조선 세종 24년 왜인과의 무역제도를 개정 1444년 - 조선 세종 26년 역대실록을 춘추관·충주·성주·전주의 사고에 분장 1507년 - 조선 중종 2년 사관(史官)의 정청(政廳) 입참(入參)을 허용. *1598년 - 조선 선조 31년 노량해전 1863년 - 남북 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연설을 하다. 1882년 - 조선 고종 19년 유학 김영효(金永孝)·이은우(李殷雨)·강기형(姜基馨), 8도에 병영 설치 상소 1926년 - 대영제국 밸푸어 선언 (1926년) 1980년 - 대한항공 015편 착륙 사고 발생. = = 문화 = = 1629년 - 조선 인조 7년 교서관, 《소학》 200권 인출,간행. 1964년 - 프랑스의 시사주간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첫 발간. 2021년 -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이 발매되었다. = = 탄생 = = 1462년 - 제104대 일본의 천황 고카시와바라 천황. (~1529년) 1600년 - 영국의 국왕 찰스 1세. (~1649년) 1831년 - 미국의 제20대 대통령 제임스 A. 가필드. (~1881년) 1833년 - 독일의 철학자 빌헬름 딜타이. (~1911년) 1875년 - 러시아 혁명가 미하일 칼리닌. (~1946년) 1900년 -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라프렌티예프. (~1980년) 1909년 - 미국의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 (~2005년) 1916년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강동근. (~2004년) 1917년 - 인도의 정치가 인디라 간디. (~1984년) 1920년 - 미국의 배우 진 티어니. (~1991년) 1925년 - 폴란드 출신의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 (~2017년) 1933년 - 미국의 앵커 래리 킹. (~2021년) 1934년 소련과 러시아의 전직 축구 선수 겸 축구 감독 발렌틴 이바노프. (~2011년) 스웨덴의 축구인 쿠르트 함린. (~2024년) 1935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조석래. 미국의 기업인 잭 웰치. (~2020년) 1938년 - 미국의 언론 재벌, 기업가 테드 터너. 1941년 - 불가리아의 육상 선수 이반카 흐리스토바. (~2022년) 1942년 -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 캘빈 클라인. 1947년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윤형주. 1954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병수. 1957년 - 대한민국의 성우 홍영란. 1959년 - 미국의 배우 앨리슨 재니. 1960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휘향. 1961년 - 미국의 배우 멕 라이언. 1962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 미국의 배우 조디 포스터. 1963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재천. 1965년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랑 블랑. 1966년 - 미국의 배우, 무술가 제이슨 스콧 리. 1970년 대한민국의 성우 이소영. 대한민국의 성우 이영아. 1971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홍우태. 197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윤해영. 1973년 대한민국의 기업가 이원술. 대한민국의 게임해설자 김태형. 일본의 각본가, 일러스트레이터, 소설가 용기사07. 1975년 - 일본의 작곡가 사토 나오유키. 1976년 캐나다의 배우 로빈 던.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권용관.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시바타 준. 미국의 기업인 잭 도시. 1977년 - 대한민국의 성우 박희은. 1979년 미국의 영화 감독 배리 젱킨스.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형식. 말레아시아의 가수 리자 하님. 1980년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훈.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소냐. 1981년 대한민국의 힙합 디스크자키 DJ 투컷 (에픽하이). 대한민국의 배우 윤아정. 1982년 - 북한의 인권운동가 신동혁. 1983년 미국의 배우 애덤 드라이버. 일본의 이종격투기 선수 사토 다쿠미. 1984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영명. 1987년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원.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청훈 (LG 트윈스). 미국의 배우 서맨사 푸터먼. 1988년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도시. 1989년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방소윤.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성악가 조민규. 199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규원. 1992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제임스 타코우스키. 1993년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켈리 제이만. 스페인의 축구 선수 수소. 대한민국의 가수 한윤성.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한이재. 1996년 - 미국의 배구 선수 셰리단 앳킨슨. 1997년 - 대한민국의 가수 류수정 (러블리즈). 1999년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박준영. 2000년 - 대한민국의 가수 고원 (이달의 소녀). 2001년 중국의 가수 자오자루이. 일본의 래퍼 시느 하느리상. 2002년 - 일본의 배우 코미야 리오. 2005년 - 대한민국의 래퍼 김종섭. = = = 미상 = = = *대한민국의 가수 수정. = = 사망 = = 498년 - 제50대의 교황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 1577년 -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마쓰나가 히사히데. (1510년~) 1598년 - 조선시대 중기의 삼도수군통제사 충무공 이순신. (1545년~) 1665년 - 프랑스의 화가 니콜라 푸생. (1594년~) 1828년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 (1797년~) 1947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전명운. (1884년~) 1959년 - 미국의 심리학자 에드워드 톨먼. (1886년~) 1970년 -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 안드레이 예료멘코. (1892년~) 1987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삼성그룹의 창업자 이병철. (1910년~) 2009년 - 대한민국의 모델 김다울. (1989년~) 2015년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혜정. (1941년~) 2017년 - 미국의 살인마 찰스 맨슨. (1934년~) 2017년 - 체코의 테니스 선수 야나 노보트나. (1968년~) 2019년 - 대한민국의 군인 강기천. (1927년~) 2022년 - 이탈리아의 음악가 니코 피덴코. (1933년~) 2022년 - 미국의 영화배우 제이슨 데이비드 프랭크. (1973년~) 2023년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박동룡. (1940년~) 2023년 - 잉글랜드의 영화배우 조스 애클랜드. (1928년~) 2023년 - 미국의 제39대 영부인 로절린 카터. (1927년~) = = 기념일 = = 세계 화장실의 날(WTD) 국제 남성의 날(IMD) 아동학대 예방의 날 푸에르토리코 발견 기념일: 푸에르토리코 = 분류:베트남의 사장교 = = K-POP (음악 그룹) = 케이팝 또는 K-POP은 대한민국의 댄스 그룹이다. 2001년 반일감정을 담은 1집의 "0.5"라는 노래로 가요계에 데뷔했으며 후속곡으로 "그림자" "Game" 등으로 활동했으나 큰 인지도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2집에서 "신기루" 와 "젊음"으로 활동, 특히 "젊음" 은 방송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서 인지도를 꽤 얻게되었다. 2004년 2년여 만에 나온 3집은 기존의 댄스 팝 장르의 노래보다 발라드 장르의 노래를 많이 넣었다. 그 결과 타이틀곡 "추억의 향기"는 온라인차트 상위권에 올라왔다. 멤버들의 군입대 등의 이유로 팀은 3집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했다가, 이후 해체했다. = = 이전 구성원 = = 이름 소개 주민 본명 : 김주민 생년월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 순천향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포지션 : 리더, 메인댄서, 리드래퍼,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01년 ~ 2005년 동화 본명 : 김범석 생년월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학력 :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01년 ~ 2005년 영원 본명 : 이현구 생년월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포지션 : 메인보컬 활동기간 : 2001년 ~ 2005년 유빈 본명 : 이인호 생년월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 수원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포지션 : 서브래퍼, 서브보컬 활동기간 : 2001년 ~ 2005년 우현 본명 : 김시훈 생년월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 백제예술대학교 포지션 : 리드보컬 활동기간 : 2001년 ~ 2005년 = = 음반 목록 = = = = = 앨범 = = = K' POP (2001년) CU@K-POP 2 (2002년) Memories (2004년) = 발더스 게이트 II: 쓰론 오브 바알 = 발더스 게이트 II: 쓰론 오브 바알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발더스 게이트 II: 섀도스 오브 암 (2000)의 확장팩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및 매킨토시 플랫폼으로 제작돼 2001년 6월 출시됐다. 주내용으로 게임 내에 다중 레벨의 던전 '감시자의 굴'을 추가하며 본편의 이야기를 완결시킨 것이 특징이다. 그 외 캐릭터 레벨 상한 상향, 새 장비, 개량된 그래픽 게임 엔진, 신 직업 및 관련 마법 추가가 있다. 2001년 9월에 드루 카피신이 집필한 소설판이 출판됐다. 2013년에 출시된 리메이크 발더스 게이트 II: 인핸스드 에디션에 본편과 함께 수록됐다. = = 반응 = = = = = 평론 = = = 발더스 게이트 II: 쓰론 오브 바알은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88/100점을 기록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 = 흥행 = = = 미국 NPD 인텔렉트의 컴퓨터 게임 판매 순위표에서 쓰론 오브 바알는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5위를 기록했다. 이후 2주차에 7위, 3주차에 10위를 기록했다. = = 참조 = = = = = 내용주 = = = = = = 각주 = = = = 마술학교 = 마술학교는 2017년 9월 11일부터 2017년 9월 29일까지 JTBC에서 방영된 웹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박진영 : 이나라 역 닉쿤 : 준 역 - 레지던트 의사 윤박 : 제이 역 - 마술사 강윤제 : 이성 역 - 천체물리학박사 신은수 : 한이슬 역 - 마술사 · 댄서 · 타로리더 박규영 : 우리 역 - 영화감독 지망생 남성준 : 김종만 역 - 마술사 = = = 특별출연 = = = 류승수 : 한선생 역 - 마술사 박주형 : 케이 역 - 제이의 형. 마술사 윤정수 류원 손건우 지숙 노을 김민수 정호철 윤효동 = = 뮤직 비디오 = = 연도 Artist 제목 작품명 공급사 2017 마틴 스미스 *마틴스미스 〈내일의 날씨〉 (마술학교 OST) (M/V) JTBC 마술학교 지니뮤직 박민주 *박민주 〈열쇠〉 (마술학교 OST) (M/V) = = 촬영지 = = 충북대학교 동작대교 = 프린스턴 데이 스쿨 = 프린스턴 데이 스쿨(Princeton Day School)은 미국 뉴 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사립 12년제 초중고등학교이다. = = 개교 = = 이 학교는 1899년에 첫 개교되었다. = = 트리비아 = = 대한민국의 여성 프리랜서 아나운서 신아영이 1999년 이 학교를 수료한 바 있고, 캐나다의 래퍼 데이지 유(유정안)가 2011년 이 학교를 수료한 바 있다. = 조로 밀약설 = 조로밀약설(朝露密約說)은 조선 말 청과 일본 제국 양국의 세력을 견제하고 왕실의 보호를 위하여 러시아 제국의 협력을 얻으려던 전후 2차에 걸친 비밀 교섭이다. 이 교섭으로 인해 조선과 러시아 제국 양국이 동맹을 맺을 수 있었으나, 청, 일본 제국이 저지하였고, 이 사건을 계기로 1885년 대영 제국이 러시아 제국을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점령 했다가(일명 거문도 사건) 1887년 영•러 양국의 합의로 결국 대영 제국이 거문도에서 철수 하였다. = = 제1차 교섭 = = 러시아는 1884년(고종 21) 한러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급속도로 조선에 대한 세력을 확대해갔다. 그러던 중 갑신정변으로 인해 청·일 양국의 정세가 험악해지자 조선 조정은 불안을 느끼고 러시아와의 접근을 꾀하게 됐다. 이에 1884년(고종 21) 조정의 일부 친러파는 묄렌도르프를 중계로 하여 러시아 정부에 보호를 요청하는 비밀 교섭을 시작하였다. 그동안의 경위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부 일본 측 사료에 따른 것이며, 또한 그 기사의 내용이 모두 일치되지 않아서 확실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이 사실이 폭로되자 국제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켜 묄렌도르프는 면직(免職)되고 청·일 양국은 흥선대원군을 다시 귀환시켜 친러파인 민씨 일파의 세력과 맞서게 하였다. = = 제2차 교섭 = = 그동안 청나라는 원세개를 주한 총리(駐韓總理)로 임명하여 내정을 적극적으로 간섭하고 한편 대원군을 입국시켜 민씨 일파에 위협을 주었다. 이러한 사태에 당황한 척신(戚臣)들은 또다시 러시아와의 접촉을 꾀하여 새로 부임한 러시아 공사 베베르(Waeber : 韋具)에게 보호를 요구하고 군함의 파견까지 간청하였다. 이에 베베르가 문서를 요구하자 민비 등은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部事) 심순택(沈舜澤)의 명의로 문서를 만들어 국보(國寶)와 총리대신의 도서(圖書 : 도장)까지 날인해 보냈다. 이러한 교섭에 대하여 미리부터 반대하던 민영익은 사태의 진전을 우려하여 원세개에 통고하니 문제는 또다시 중대해졌다. 이 사건은 명의로 문서에 날인한 심순택 자신도 모르는 일이었고 한편 러시아 정부도 이를 부인하였으나 원세개는 이를 중대시하여 임금의 폐위를 주장하기까지 하는 강경책을 썼다. 그러나 청나라 정부의 사정으로 폐위는 실현되지 않고 밀약설을 추진한 조존두(趙存斗) 등의 유배(流配)로 사건을 일단락 지었다. = = 기타 = = 밀약과는 별도로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이 러시아 황제에게 1904년 8월 15일자로 편지를 보내 일본제국의 침략에 대해 밝히면서 동맹을 촉구하기도 했다. 당시 러시아에서는 고종의 요청을 황제에게 상주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러시아는 조선을 무시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분류:유럽의 다이빙 = = 2010년 동계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 = 2010년 동계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이다. = = 메달 집계 = = = = = 종목별 메달 수 = = = 종목 합계 = = = 메달리스트 = = = 메달 이름 종목 세부 종목 스벤 크라머르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0m 마르크 타위터르트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500m 이레인 뷔스트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500m 니콜리엔 사웨르브레예이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앙뜨네 게리슨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 라우린 반 리에슨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 밥 데용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 얀 블록하위선스벤 크라머르시몬 카위퍼스마르크 타위터르트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 = =종목별 성적 = = = = = 봅슬레이 = = = 선수 세부 종목 1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2차 시기 3차 시기 3차 시기 4차 시기 4차 시기 합계 합계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에드빈 판 칼커시브렌 얀스마 남자 2인승 52.37 14 52.83 13 52.63 17 52.62 16 3:30.45 16 에스머 캄푸이스티너 페인스트라 여자 2인승 53.81 9 53.59 10 54.09 12 53.65 6 3:35.14 8 에드빈 판 칼커시브렌 얀스마아르놀트 판 칼커티모시 벡 남자 4인승 WD WD WD WD WD WD WD WD WD WD = = = 쇼트트랙 = = = 선수 종목 예선 예선 준준결선 준준결선 준결선 준결선 결과 결과 선수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닐스 케르스홀트 500m 42.180 2 Q 42.128 4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닐스 케르스홀트 1500m 2:46.222 5 ADV 2:16.352 7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싱키 크네흐트 500m 44.448 4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싱키 크네흐트 1000m 1:25.449 2 Q 1:26.176 3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싱키 크네흐트 1500m 2:14.862 2 Q 2:13.870 5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선수 종목 예선 예선 준준결선 준준결선 준결선 준결선 결과 결과 선수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안니타 판 도른 500m 44.751 3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안니타 판 도른 1000m 1:31.516 2 Q 1:32.067 3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리스베트 마우 아삼 500m 45.135 4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리스베트 마우 아삼 1000m – DSQ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요린 터 모르스 500m 45.120 3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요린 터 모르스 1000m – DSQ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안니타 판 도른리스베트 마우 아삼요린 터 모르스산너 판 케르크호프마이케 포스 3000m 계주 4:16.520 3 QB 4:16.120 4 = = = 스노보드 = = = 선수 종목 예선 예선 예선 준결선 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결선 선수 종목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1차시기 2차시기 순위 돌프 판 더 발 하프파이프 14.5 11.8 18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선수 종목 예선 예선 16강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선수 종목 기록 순위 상대기록 상대기록 상대기록 상대기록 순위 평행대회전 1:23.18 2 Q W +17.98 W +0.30 W DNF W +0.23 = = = 스피드 스케이팅 = = = 선수 세부 종목 1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2차 시기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얀 보스 500m 36.149 31 36.111 29 72.26 29 얀 보스 1000m 1:10.29 12 시몬 카위퍼스 500m 35.662 23 35.669 20 71.33 20 시몬 카위퍼스 1000m 1:09.65 6 시몬 카위퍼스 1500m 1:46.76 7 로날트 뮐더르 500m 35.155 11 35.146 10 70.30 11 얀 스메켄스 500m 35.160 12 35.051 4 70.21 6 스테판 흐로타위스 1000m 1:09.45 4 스테판 흐로타위스 1500m 1:48.03 16 마르크 타위터르트 1000m 1:09.48 5 마르크 타위터르트 1500m 1:45.57 스벤 크라머르 1500m 1:47.40 13 스벤 크라머르 5000m 6:14.60 스벤 크라머르 10000m DSQ – 얀 블록하위선 5000m 6:26.30 9 밥 데용 5000m 6:19.02 5 밥 데용 10000m 13:06.73 아르연 판 더르 키프트 10000m 13:33.37 9 세부 종목 선수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세부 종목 선수 상대/기록 상대/기록 상대/기록 최종 순위 팀 추월 얀 블록하위선스벤 크라머르시몬 카위퍼스마르크 타위터르트 스웨덴3:44.25 Q 미국3:43.11 QB 노르웨이3:39.95 선수 세부 종목 1차 시기 1차 시기 2차 시기 2차 시기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마르호트 부르 500m 38.511 4 38.365 4 76.87 4 마르호트 부르 1000m 1:16.94 6 마르호트 부르 1500m 1:58.10 4 앙뜨네 게리슨 500m 97.952 36 38.709 9 136.66 35 앙뜨네 게리슨 1000m 1:16.58 앙뜨네 게리슨 1500m 1:58.46 7 라우린 반 리에슨 500m 39.302 21 38.845 15 78.15 19 라우린 반 리에슨 1000m 1:16.72 라우린 반 리에슨 1500m 1:59.79 17 테이셔 우네마 500m 38.892 14 38.869 17 77.76 15 이레인 뷔스트 1000m 1:17.28 8 이레인 뷔스트 1500m 1:56.89 이레인 뷔스트 3000m 4:08.09 7 레나터 흐루네볼트 3000m 4:11.25 10 디아너 팔켄부르흐 3000m 4:11.71 11 요린 포르하위스 5000m 7:13.27 10 엘마 더프리스 5000m 7:16.68 11 세부 종목 선수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세부 종목 선수 상대/기록 상대/기록 상대/기록 최종 순위 팀 추월 레나터 흐루네볼트이레인 뷔스트디아너 팔켄부르흐요린 포르하위스 독일3:03.38 QC 캐나다3:02.04 6 = 분류:2022년 코스타리카 = = 분류:마가다 국왕 = = 분류:케냐 틀 = = 캄포트주 = 캄포트주는 캄보디아 남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캄포트이며 인구는 585,110명(2008년 기준), 면적은 4,873km2, 인구밀도는 120.1명/km2이다. = 틀:코로나바이러스 = = 모스토트레스트 = 모스토트레스트는 러시아의 건설사이다. 주 사업으로 도로, 철도, 교량 및 고속도로 등의 인프라 구축과 기타 엔지니어링 건설에 주력하고 있다. = 분류:한국 전쟁 참전 군인 = = 루마코 = 루마코는 칠레 아라우카니아 주 마예코 현의 코무나이다. = 무당개구리과 = 무당개구리과(Bombinatoridae)는 개구리목 원와아목에 속하는 양서류과의 하나이다. 2개의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종 = = 납작머리개구리속 (Barbourula) 필리핀납작머리개구리 (Barbourula busuangensis) 보르네오섬납작머리개구리 (Barbourula kalimantanensis) 무당개구리속 (Bombina) Bombina bombina (Linnaeus, 1761) Bombina lichuanensis Ye and Fei, 1993 Bombina fortinuptialis Tian & Wu, 1978 Bombina microdeladigitora Liu, Hu & Yang, 1960 Bombina maxima (Boulenger, 1905)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Bombina pachypus (Bonaparte, 1838) 봄비나 바리에가타 (Bombina variegata) (Linnaeus, 1758) = 분류:영국의 전쟁 드라마 영화 = = 토탈 오버도스 = 토탈 오버도스(Total Overdose: A Gunslinger's Tale in Mexico)는 데드라인 게임스가 개발하고 SCi 게임스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2, 엑스박스 (콘솔)용으로 배급한 오픈 월드 3인칭 슈팅 비디오 게임이다. 이 게임은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특히 대전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그래픽스와 스토리라인 부분에서는 종종 비판을 받았다. = 분류:브루클린 네츠 = = 강릉 올림픽 선수촌 및 미디어촌 = 강릉 선수촌 및 미디어촌(Gangneung Olympic and Media Village)은 2018 동계 올림픽 빙상 종목에 참가하는 국가대표 선수들과 각국의 기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건립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조성한 강릉시 유천택지 지구 내에 2017년까지 건설되었다. 선수촌은 총 922세대의 8개동이며, 지상 22층 ~ 25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디어촌은 5단지는 1,054세대의 5개동, 6단지는 1,144세대의 13개동, 7단지는 363세대의 5개동, 총 2,561세대의 23개동이며, 지상 16층 ~ 25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회가 끝난 후에는 일반인들에게 공급되어, 현재 'LH 선수촌/미디어촌 아파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분류:에콰도르의 남자 = = 분류:1880년 폴란드 = =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韓國國學進興院, The Korean Studies Institute설립 당시에는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KSAC)라는 영어 명칭을 썼고, 2013년에 CI 변경과 함께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ACKS)라는 영어 명칭을 썼다가 현재의 영어 명칭으로 바뀌었다.)은 전통문화유산의 조사연구를 통해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정신적 좌표를 확립하기 위하여 설립된 경상북도청 산하 공직유관단체이자 재단법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국내 3대 공립 한국학 연구 및 자료보존수집기관으로 여겨진다. '국학자료의 보존 및 연구.보급.확산의 중심기관'이라는 비전 아래 국학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여 국학의 세계화, 현대화, 실용화, 정보화,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상북도지사가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에 위치하고 있다. = = 설립근거 = = 법률: 민법 제32조 조례: 재단법인 한국국학진흥원 설립 밑 지원조례 (경상북도 조례 제3071호) = = 연혁 = = 1995년 12월 7일 법인설립허가 1995년 12월 26일 법인설립등기 1996년 3월 7일 설치사무소 개소. 이의근 초대이사장 취임. 조동걸 초대원장 취임 1998년 1월 21일 정동호 제2대 원장 취임 2000년 7월 30일 유교문화 종합정보DB 구축 착수 및 검색 서비스 개시 2001년 8월 1일 심우영 제3대 원장 취임 2001년 10월 5일 홍익의 집(본관)개관 2001년 12월 7일 국학자료 최초 수탁(능성구씨 백담종택) 2002년 9월 27일 제1회 한국학 학술대회 개최('한국 금석문의 세계') 2002년 12월 30일 제1회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개최('국내외 한국학 자료의 보존실태와 전망') 2003년 10월 1일 목판 10만장 수집운동 선포 2004년 3월 10일 고전국역자양성과정 개설 2004년 4월 30일 국학자료 수집 10만 점 달성 2005년 7월 15일 장판각 준공 2005년 8월 1일 심우영 제4대 원장 취임 2006년 6월 20일 유교문화박물관 개관 2006년 6월 24일 국학자료 수집 20만 점 달성 2006년 7월 1일 김관용 제2대 이사장 취임 2006년 11월 24일 유교목판 수집 5만장 달성 2007년 5월 3일 국학문화회관 개관 2008년 6월 30일 통합과정(석· 박사)운영 협약 2008년 10월 27일 국립안동대학교와 고전국역자양성과정 학연활동 2008년 10월 27일 제27회 세종문화상 수상(민족문화 부문) 2009년 1월 5일 설립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재정(경상북도 조례 제3701) 2009년 2월 12일 부설 한국인성교육연수원 설립 2009년 8월 1일 김병일 제5대 원장 취임 2010년 11월 20일 국학자료 수집 30만 점 달성 2010년 12월 24일 국학문화회관 강의동 준공 2012년 3월 5일 한문교육원 연수부(대구강원) 개원 2012년 8월 1일 김병일 제6대 원장 취임 2012년 11월 19일 현판전시실 개관 2012년 12월 31일 수장고 확충공사 준공 2013년 12월 20일 2013 이야기할머니 전국대회 개최 2014년 9월 22일 이용두 제7대 원장 취임 2014년 10월 14일 국학자료 수집 40만 점 달성 2015년 8월 1일 이용두 제8대 원장 취임 2015년 10월 10일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한국의 유교책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2016년 5월 19일 한국의 편액,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등재 2017년 10월 31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2017년 11월 11일 유교문화교류관(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7)운영 2018년 1월 1일 연수부, 국학문화회관 통합하여 "인문정신연수원"으로 개편 2018년 5월 30일 만인의 청원 만인소,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등재 2018년 6월 18일 국학자료 수집 50만 점 달성 2018년 9월 21일 조현재 제9대 원장 취임 2019년 12월 13일 세계기록유산전시체험관 준공 *2020년 1월 1일 <기관혁신 2020> 조직 개편 시행 *2020년 1월 1일 국학진흥 청년 일자리 창출사업 추진(총200억/10년) *2020년 3월 3일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1차 운영 *2020년 7월 7일 세계기록유산전시체험관 개관 *2020년 8월 24일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2차 운영 *2020년 8월 31일 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수관수막설비타워 설치) *2020년 9월 28일 2020년 사랑나눔 사회공헌대상 수상(고용노동부장관상) *2020년 11월 6일 「안동시 재단법인 한국국학진흥원 지원 조례」 개정(제1562호) *2020년 11월 20일 호계서원(한국국학진흥원 내) 복설 고유제 *2020년 11월 30일 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CCTV형 불꽃감지기) *2020년 12월 2일 국비 200억원 최초 달성(2021년 예산) *2020년 12월 28일 「민간기록문화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 발의 *2020년 12월 31일 경상북도지사 기관 표창(출자출연기관 발전유공) *2020년 12월 31일 국학자료 562,538점 수집 *2021년 1월 1일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4,000명 활동 *2021년 1월 1일 국학진흥 실버일자리 사업 추진 *2021년 1월 6일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3차 운영 *2021년 3월 29일 정종섭 제10대 원장 취임 *2021년 4월 16일 행정안전부장관 기관 표창(코로나19 방역) *2021년 7월 15일 국학30비전 선포식 *2021년 12월 24일 경상북도지사 기관 표창(코로나19 방역) *2021년 12월 31일 국학자료 583,617점 수집 = = 조직 = = = = = 이사장 = = =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 = = = 원장 = = = 정종섭 = = = = 이사회 = = = =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권순태 (안동대총장) 권기창 (안동시장) 김상철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 이희범 (경북문화재단 대표이사) 김복희 (여중군자장계향선양회장) 박영석 (前 대구MBC사장) 김강욱 (변호사김강욱법률사무소) 이규식 (現 세무사) 윤시오 (前 포항시 교원총연합회장) = = = 부원장 = = = 배성길 = = = = 국학미래본부 = = = = 기획정책팀 전략홍보팀 = = = = 국학진흥본부 = = = = 연구사업팀 고전국역팀 이야기할머니사업단 한국국학연구소 = = = = 국학기반본부 = = = = 국학자료팀 콘텐츠정보팀 유교문화박물관 기록유산센터 목판·기록문화연구소 = = = = 경영지원실 = = = = 총무인사팀 *재무회계팀 *시설운영팀 = = = = 인문정신연수원 = = = = 연수기획팀 운영홍보팀 한문교육원 훈민정음 뿌리사업단 프로젝트 사업팀 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팀 = = 부설 기관 = = = = = = 한문교육원 = = = = 안동강원 대구강원 = = 국학자료 수집보존 = = 민간 소장 국학자료를 자연적 멸실과 인위적 훼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소장자의 소유권을 보장하고 관리권만 위임받는 ‘기탁’에 의한 방식으로 자료의 조사ㆍ수집사업을 수행한다. = = = = 조사수집 = = = = 기탁된 국학자료는 숙달된 소양을 갖춘 전문인력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분류ㆍ정리되어 국학연구의 토대로 활용된다. 국학자료 수집현황 <2023.06.30 기준> 구분 고서 고문서 목판 현판 서화 기타 합계 수량 195,406 356,034 66,718 1,375 5,757 4,191 629,481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유교책판,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 기록유산 (한국의 편액, 만인의 청원 만인소, 내방가사) 지정문화재 현황: 국보 1건 (제132호 징비록), 보물 19건 1,855점, 국가등록문화재 1건 691점, 대구ㆍ경북유형문화재 34건 3,020점, 경북문화재자료 8건 347점 = = = = 국학자료 정리 = = = = 자료 정리 업무의 과학화를 위해 소장 자료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든 자료는 자료당 30여개의 관련 정보가 DB로 빠짐없이 구축되며, 이를 토대로 기탁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목록 작성과 주요 자료에 대한 영인 및 상세 해제 등의 작업이 진행된다. = = = = 소장자료 종합관리시스템 = = = = 자료의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보존을 위한 전용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양질의 정보 검색 편의를 제공한다. = = = = 목록집 = = = = 매년도 기탁된 자료를 정리하여 다음해에 국학자료목록집으로 발간하며, 다량기탁자의 경우 다량기탁목록집을 발간한다. = = = = 자료집 및 해제집 = = = = 기탁된 자료 가운데 보존이나 연구 가치가 뛰어난 것은 영인하여 자료집으로 발간하고, 특히 문집은 상세 해제집으로 내용이 정리되어 학계와 일반인에게 보급된다. = = = 국학자료 보존 = = = 고서와 고문서를 보관하는 수장고와 목판을 전문적으로 보관하는 장판각을 운영함으로써 기탁 자료 보존에 만전을 기한다. = = = = 수장고 = = = = 종이가 대부분인 기록문화재의 특성을 감안하여 자료의 변질과 훼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최첨단 시설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화재시 자동으로 분출되는 소화가스는 자료에 무해한 환경 친화적인 물질이다. 이와 함께 외기 도입형 환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국학자료를 보관하는데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 = = 유교목판 보존 = = = 수집된 목판의 과학적인 보존을 위해 첨단보존 시설을 갖춘 목판 전용 수장시설인 장판각을 운영한다. = = = = 장판각 = = = = 온ㆍ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창문과 항온ㆍ항습기를 연중 가동하여 온ㆍ습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미세한 연기까지 잡아내는 고감도 화재감지기와 나무가 재질인 목판의 재료적 특성을 감안한 가스분사식 소화시설을 갖추는 등 선진적인 목판 수장환경을 제공한다. = = = 기탁홍보 및 소장자료 특별전 개최 = = = 다량기탁문중 선양 특별전과 문화사적 가치가 높은 문중유물을 대상으로 한 정기기획전을 개최하고, 유관 기관과의 전시 교류를 통하여 자료기탁 활성화와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한다. = = = 유교목판 조사연구 및 세계기록유산 등재 = = = 조선시대 민간 인쇄 출판문화의 꽃인 유교목판을 조사 수집하여 목판의 문화사적 가치를 발굴하고 학술연구 성과를 축척하는 한편, 우리 인쇄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였다. 2015년 10월 10일, 한국의 유교책판은 출판문화사적 측면에서 그 탁월한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유교책판·이산가족 생방송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2보)연합뉴스2015년 10월 10일 = = 국학연구 = = 기탁된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유학을 중심으로 국학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계획을 수립 추진하며, 국내외 유관 기관들과의 교류협력을 활성화함으로써 국학연구의 전문화와 세계화를 지향한다. = = = 기획연구 = = = 국학연구 기반 구축과 지평 확대를 위해 소장 자료의 성격과 사료적 특성에 맞춘 기획연구를 수행한다. = = = 지방학연구 = = = 기관 소재지인 안동지역의 유교문화유산을 특수성과 보편성의 두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차원에서 수행하는 비교문화연구 = = = 학술대회 = = = 국학 관련 연구주제의 지속적인 발굴과 연구성과의 대중화를 위하여 원내 연구진과 국내외 연구진들이 참여하는 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 = = 연구프로그램 = = = 시의성을 바탕으로 실용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연구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고 성과를 학계와 일반에 보급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 = 학술교류 = = = 국학연구의 전문화와 세계화를 위하여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과 학술교류협정을 맺고 학술정보 공유와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 = 연구 및 교양도서 발간 = = = 국학자료를 대중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한 연구서 및 교양서를 제작한다. = = 고전국역 = = 기록유산에 담겨 있는 조상의 삶과 지혜를 오늘에 되살리기 위해 국학자료를 국역하고, 이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양성에 힘을 기울여 민족문화 계승에 힘을 보탠다. = = = 기탁자료 국역 = = = 조선시대 선현들의 문집과 일기류 국역을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역사를 복원하는 데 필요한 일차 사료를 확보함은 물론, 한국형 스토리텔리의 원천 소재를 제공한다. = = = 한문교육원 운영 = = = 국학자료의 체계적인 정리와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을 위하여 부설 한문교육원을 통하여 고도의 한문 해독능력을 갖춘 국역 전문가를 집중 양성한다. = = 국학자료의 정보화 및 활용 = = = = = 국학자료 DB 및 아카이브 구축 = = = 소장자료 DB화를 통해 기탁자와 연구자들의 검색편의를 갖추고, 특히 생활사 연구의 보고인 조선시대 민간 편찬 일기류 DB를 날짜별, 공간별, 주제별로 구축함으로써 국학자료 전산화에 앞서 나갑니다 = = = = 전통과기록 = = = = 전통문화의 대중화, 전통문화 통합검색 사이트 = = = = 유교문화 포털 - 유교넷 운영 = = = = 한국국학진흥원이 개발한 DB와 콘텐츠를 하나로 모아 종합적인 서비를 제공하는 유교문화 포털사이트로서, 전통기록유산을 비롯하여 유교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멀티미디어와 콘텐츠를 일괄 제공한다. = = =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자료 검색 = = =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자료의 검색 및 원문 이미지 열람, 복사 신청 등을 할 수 있다. 단, 현재 원문 이미지 열람은 고문서에 한해서만 가능하며, 미등록된 원문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 = = = 전통문화아카이브 제공 = = = = = = = 목판아카이브 = = = = 조선시대 간행 문집 인쇄의 원형인 목판 아카이브, 세계기록유산인 유교책판 또한 만나볼 수 있다. = = = = 한국의 편액 = = = =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편액을 심층 분석한 아카이브 = = = = 선인의 일상생활, 일기 = = = = 조선시대 일기자료는 선조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내밀한 기록자료 = = = = 디지털 하회마을 = = = = 사이버에서 만나는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 = = = = 조선의 전통건축 = = = = 사이버 선비문화체험관, 선버의 일상을 만나다. = = = = 만인소 = = = =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만인소를 직접 볼 수 있는 아카이브 = = = = 내방가사 아카이브 = = = =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향유한 문화인 내방가사를 아카이브로 구축하였다. = = = = 디지털 종가제례문화 = = = = 전국 100개 종가의 불천위 제례 및 제례 음식에 대한 자료를 아카이브로 구축하여 서비스 제공 = = = 전통문화콘텐츠 = = = = = = = 전통문화 창작 콘퍼런스 = = = = 역사분야 원천 자료 보유기관과 공동으로 국학의 대중화와 현대화를 위해 매년 콘퍼런스 개최 창작자와 연구자가 함께 전통문화자원의 발굴과 확산을 논의하는 장 마련 = = = = 조선시대 일기, 해리포터를 꿈꾸다 - 스토리 테마파크 = = = = 조선시대 민간에서 편찬된 일기류를 국역 가공하여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문화선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소재로 제공한다. 예비 창작자(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형 공모전 진행 창작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 문화콘텐츠 산업을 선도하는 콘텐츠 생산 = = = = 옛문서 생활사박물관 = = = =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한 조선시대 및 근대시기 옛문서를 통해 선인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이버 박물관 = = = = 유교문화관 = = =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기록자료 중에서 심미적 가치와 교육적 효과가 뛰어난 자료를 선정해 유교문화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축한 서비스 = = = = 조선의 교육 = = = = 유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내용을 전반적으로 개관하기 위해서 개발된 콘텐츠 = = = = 조선의 가례 = = = = 가례 아카이브는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의 전통 의례 문화를 가장 핵심적인 사례(四禮)의 실제 모습에서 찾고자 구축된 콘텐츠 = = = = 사행록 역사기행 = = = = ‘조선 사신들의 눈으로 본 세계와 문화’라는 주제 아래 중국을 다녀온 사신들의 기행문인 사행록(使行錄)을 활용하여 조선시대의 외교와 국제교류에 대하여 디지털콘텐츠로 재현 = = 교육연수 = =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하여 선현들이 남긴 삶의 지혜를 바탕으로 덕성 지성 감성이 어우러진 전문가 교육 및 인성함양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와 함께 기관 소재지의 지정학적 이점을 살려 한국유교문화 현장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 = = 전통문화 체험연수 프로그램 = = = 민족의 정서와 혼이 배어있는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연수 프로그램 운영으로 통하여 한국문화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도모한다. = = = 국학교양강좌 = = = 현장학습과 함께 전통사상을 깊이 있게 소개하는 교양강좌를 운영하여 현대인의 삶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 =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 = 삶의 경험과 지혜가 풍부한 여성 어르신들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로 선발 양성하여 우리의 옛이야기와 선현들의 미담을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직접 들려줌으로써 미래세대의 인성함양과 전통문화의 세대간 전승을 돕는다. = = 유교문화박물관 = = 우수한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고 국학자료 기탁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에서 설립된 국내 유일의 '[유교]'전문박물관을 운영한다. 우리 전통문화의 중심을 이루는 유교문화의 폭과 깊이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과 풍부한 볼거리를 꾸준히 발굴하여 전시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 나간다. = = = 상설전시실 = = = 일상의 의례에서부터 국가 경영에 이르기까지 우리 전통문화의 중심을 이루었던 유교문화의 진수를 8개의 전시실에서 오롯이 담아내고 있다. = = = 기탁문중특별전 및 정기기획전 = = = 기탁된 문중유물 가운데 자료적 가치가 높은 유물을 소개하는 특별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재인식과 국학자료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 = = 박물관 체험프로그램 = = = 지역주민과 문화 소외지역 청소년들에게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 찾아가는 어린이 박물관 > 을 비롯한 다양한 박물관 프로그램 운영한다. 상설체험프로그램 고서만들기, 금박책갈피 만들기, 편지지 만들기, 목판인쇄 등 = = = 관람안내 = = = 관람시간: 9:00 ~ 17:30 매표시간: 관람개시 시간부터 관람종료 1시간 전 휴관일: 매주 월요일(공휴일 제외) , 1월 1일, 설날, 추석 = = 세계기록유산전시체험관 = =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한 세계기록유산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고 관람객에게 쾌적한 전시관람 환경을 제공한다. *관람시간: 9:00 ~ 17:30 매표시간: 관람개시 시간부터 관람종료 1시간 전 휴관일: 매주 월요일(공휴일 제외) , 1월 1일, 설날, 추석 = = 인문정신연수원 = = 전통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가치관을 수립하기 위한 인성함양을 목적으로 건립된 연수시설로서, 자체 연수 프로그램과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된다. = = = 시설현황 = = = 숙박시설: 300여명 수용 호텔+콘도형 강의실: 일반강의실, 분임토의실, 강의실 겸 연회장 회의실 및 편의시설 등 = 논산 염술재 = 논산 염술재(論山 念述齋)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용담현령과 남원진관병마절제도위 등을 역임하고 이조판서를 증직 贈職 받은 사계 김장생의 5세손인 김진망 金鎭望(1659-1720)의 재실이다. 2010년 12월 30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0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논산 염술재는 용담현령과 남원진관병마절제도위 등을 역임하고 이조판서를 증직 贈職 받은 사계 김장생의 5세손인 김진망 金鎭望(1659-1720)의 재실이다. 死後 자손들에 의하여 연산면 임리 구산에 건립된 것인데, 최초 창건연대는 정확하지 않고, 현재 상량에 “숭정후을미 崇禎後乙未”라는 연기의 “乙未”는 1894년 동학농민 때 소실된 것을 고종 32년(1895년 경)에 다시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솟을삼문의 정면에 염술재가 있고, 그 오른쪽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고직사 庫直舍가 서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염술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一자형 평면으로 되어 있고 평면구성은 정면 4칸 중 왼쪽 2칸에는 온돌방을, 오른쪽 2칸에는 우물마루를 깐 대청이며, 앞에는 모두 툇마루를 달았다. 구조는 자연석으로 높게 쌓은 기단 위에 다시 장대석 외벌대를 둘렀다. 그 기단 위 앞에는 조선 중기 무렵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공이 잘 된 네모뿔 형 주초석을 놓고 네모난 모양 기둥을 세웠으나 뒤에는 덤벙 주초석을 놓고 네모난 모양 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생략한 채 간결한 민도리집으로 꾸몄으며, 가구는 1고주 5량집으로서 종량상부 중앙에 제형대공을 설치하여 종도리와 함께 지붕하중을 받고 있으며,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건물 정면에 염술재 현판이 걸려 있고, 종도리 한단에 “숭정후을미구월사일사시상량연좌신향 崇禎後乙未九月四日巳時上樑寅坐申向”이라는 상량문이 있다. 건물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건물의 평면 형식이 논산지방의 재실에서 볼 수 있는 정면 4칸으로 구서되어 있으며, 상량문이 있어 건축양식상 고종 32년경인 1895년에 다시 건립한 재실로 보이고 있어, 유교문화자원 및 역사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분류:21세기 보츠와나 사람 = = 분류:김현정의 음반 = = 중앙로 (과천 서울) = 중앙로(Jungang-ro)는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갈현삼거리와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선암 나들목을 잇는 도로이다. 관문사거리에서 선암 나들목까지 국도 제47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과천동 관문사거리에서 우면동 선암 나들목까지는 이전에 선바위길이나 선암로로 불렸다. = = 연혁 =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중앙로를 고시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2009년 7월 10일. = = 경유지 = = 과천시 (갈현동 · 원문동 · 중앙동 · 별양동 · 과천동) 서초구 우면동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갈현삼거리 국도 제47호선(과천대로) 과천시 갈현동 우정병원삼거리 별양로 과천시 갈현동 교육원삼거리 교육원로 과천시 갈현동 과천청사사거리(정부과천청사역) 청사로코오롱로 과천시 서:중앙동동:별양동 소방서삼거리 통영로 과천시 서:중앙동동:별양동 도서관삼거리 별양로 과천시 서:중앙동동:별양동 부림교앞 교차로 관문로부림로 과천시 중앙동 관문사거리(관문지하차도) 국도 제47호선(과천대로) 과천시 과천동 국도 제47호선 구간 선암삼거리(선바위역) 경마공원대로 과천시 과천동 국도 제47호선 구간 송동교 서울특별시 서초구 국도 제47호선 구간 선암 교차로 지방도 제309호선(봉담과천로)(우면산로)태봉로강남순환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국도 제47호선 구간 양재대로와 직결 양재대로와 직결 양재대로와 직결 양재대로와 직결 양재대로와 직결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24) 갈현동주민센터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28) 정부과천청사역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지하100) 관문체육공원, 관문실내체육관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294) 선바위역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지하440) = 골풀 = 골풀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Juncus decipiens이다. = = 분포 = = 한국·중국·타이완·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 = 특징 = = 높이는 1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가로 뻗으며 마디 사이는 짧고 줄기는 원기둥꼴이며 납작하다. 잎은 없고 줄기의 하부에 비늘조각 모양의 암갈색 잎집이 있을 뿐이다. 꽃은 다수화로서 성기게 나고 맨 아래 꽃턱잎은 원기둥꼴로 곧게 서며 끝이 날카롭고 길이는 약 10~25cm이며 줄기와 같다. 꽃이 작고 3개의 수술은 꽃뚜껑보다 짧고 꽃밥은 꽃실과 거의 같은 길이다. 꽃은 갈록색으로서 5-6월에 핀다. = = 이용 = = 줄기는 어레미를 만드는 데 쓰고 골 속은 약용한다. = 원혁 = 원혁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원혁(1988~)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원혁(元奕, 2002~) - 대한민국의 가수. = 틀:전역상자 브르타뉴 계승전쟁 = = 틀:축구단 세파한 = = 분류:1955년 북아메리카 = =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 =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은 베트남 하노이 꺼우저이 군에 있는 박물관이다. 1997년 11월 12일 개관하였으며, 54개의 소수 종족의 생활, 민속 등을 지도, 모형, 비디오 등을 통하여 소개 및 전시하고 있다. = 자메이카 (퀸스) = 자메이카(Jamaica)는 뉴욕 퀸스의 한 지역이다. 1656년, 네덜란드 통치하의 뉴네덜란드에 영국인에 의해 세워진 마을이다. 퀸스 지역 중에서도 가장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민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뿐만 아니라 서인도 제도, 인도, 아랍, 푸에르토리코 이민자도 많다. 자메이카와는 아무 상관 없다. 1664년 이 지역의 지배권을 획득한 영국인들은이 땅에 그 북쪽 해안에 살고 있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이름이며, 델라웨어어에서 비버를 의미하는 자메코(Jameco)라는 이름을 붙였다. 인구는 216,866명이다. 관내에 교통의 요지인 자메이카 스테이션이 있다. = = 교육 = = 뉴욕시 교육청 August Martin High School Thomas A. Edison Vocational and Technical High School Hillcrest High School Campus Magnet High School (formerly Andrew Jackson High School Jamaica High School - The New York City Landmarks Preservation Commission designated the building an official landmark on March 24, 2009 Queens High School for the Sciences at York College Queens Gateway to Health Sciences Secondary School High School for Law Enforcement and Public Safety The Young Women's Leadership School of Queens York Early College Academy 퀸스 도서관 Main Library Baisley Park Library South Jamaica Library = = 출신 인물 = = 도널드 트럼프 50센트 스콧 이언 = 머치디퍼런트 = 머치디퍼런트는 2008년 스웨덴, 웁살라에서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다. 이 회사는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일인칭 슈팅 게임에서 많은 수의 플레이어를 기록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 세계 기록 = = 일인칭 슈팅 게임에서 많은 수의 동시 접속자로 세워진 세계 기록은 2012 1월 29일 스웨덴, 웁살라에서 세워졌으며, Guinness World Records Gamer's Edition에서 인증되었다. 전 세계에서 999명의 유저가 동시 접속하여 세운 이 기록은 머치디퍼런트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네트워킹 기술로 세워졌다. = = 멀티 플레이 네트워크 기술 = = 머치디퍼런트는 유니티(게임 엔진)에서 개발이 가능한 온라인 게임을 위한 네트워크 서버 엔진을 개발하고 판매하고 있다. 유니티 파크 스위트라고 이름 지어진 이 엔진은 다양한 게임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 대의적 시민성 = = 요료법 = 요료법(尿療法)은 소변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민간 요법의 하나이다. 자신의 소변을 마시고 자신의 소변으로 자신의 피부 또는 잇몸을 마사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약 또는 미용 목적으로 인간의 소변을 사용하는 것이다. 소변 요법의 유익한 건강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 분류:1964년 펜싱 = = 셀레늄 (소프트웨어) = 셀레늄(Selenium)은 웹 애플리케이션 자동화 및 테스트를 위한 포터블 프레임워크이다. 셀레늄은 테스트 스크립트 언어를 학습할 필요 없이 기능 테스트를 만들기 위한 플레이백 도구를 제공한다. (셀례늄 IDE) C 샤프, 그루비, 자바, 펄, PHP, 파이썬, 루비, 스칼라 등 수많은 유명 프로그래밍 언어들에서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테스트 도메인 특화 언어(Selenese)를 제공한다. 이 테스트들은 현대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수행이 가능하다. 셀레늄은 윈도우, 리눅스, macOS 플랫폼에서 디플로이된다. 아파치 2.0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웹 개발자는 무료로 다운로드, 사용할 수 있다. = = 예시 = = = = = = =Python = = = = =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ommon.by import By from selenium.webdriver.common.keys import Keys from selenium.webdriver.support.ui import WebDriverWait from selenium.webdriver.support.expected_conditions import presence_of_element_located #This example requires Selenium WebDriver 3.13 or newer with webdriver.Firefox as driver: wait = WebDriverWait(driver, 10) driver.get(" ") driver.find_element(By.NAME, "q").send_keys("cheese" + Keys.RETURN) first_result = wait.until(presence_of_element_located((By.CSS_SELECTOR, "h3"))) print(first_result.get_attribute("textContent")) = = = = =Java = = = = = import org.openqa.selenium.By; import org.openqa.selenium.Keys; import org.openqa.selenium.WebDriver; import org.openqa.selenium.WebElement; import org.openqa.selenium.firefox.FirefoxDriver; import org.openqa.selenium.support.ui.WebDriverWait; import static org.openqa.selenium.support.ui.ExpectedConditions.presenceOfElementLocated; import java.time.Duration; public class HelloSeleniu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ebDriver driver = new FirefoxDriver; WebDriverWait wait = new WebDriverWait(driver, Duration.ofSeconds(10)); try { driver.get(" "); driver.findElement(By.name("q")).sendKeys("cheese" + Keys.ENTER); WebElement firstResult = wait.until(presenceOfElementLocated(By.cssSelector("h3"))); System.out.println(firstResult.getAttribute("textContent")); } finally { driver.quit; } } } = = = = =C# = = = = = using System; using OpenQA.Selenium; using OpenQA.Selenium.Firefox; using OpenQA.Selenium.Support.UI; class HelloSelenium { static void Main { using(IWebDriver driver = new FirefoxDriver) { WebDriverWait wait = new WebDriverWait(driver, TimeSpan.FromSeconds(10)); driver.Navigate.GoToUrl(" "); driver.FindElement(By.Name("q")).SendKeys("cheese" + Keys.Enter); wait.Until(webDriver => webDriver.FindElement(By.CssSelector("h3")).Displayed); IWebElement firstResult = driver.FindElement(By.CssSelector("h3")); Console.WriteLine(firstResult.GetAttribute("textContent")); } } } = 김우근 = 김우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김우근(金宇根, 1896 ~ 1968)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김우근(金禹根, 1921 ~ )은 상공부 차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김우근(1982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김우근(金宇根, 1956 ~ )은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틀:고양이과 = = 데르자빈 = 데르자빈은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가브릴라 데르자빈: 러시아의 시인의 한 명 콘스탄틴 데르자빈: 러시아의 비평가, 작가 미하일 데르자빈: 소련, 러시아의 배우 = 분류:카메룬의 공항 = = 교황 비오 9세 = 교황 비오 9세는 제255대 교황(재위: 1846년 6월 16일 ~ 1878년 2월 7일)이다. 본명은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이다. 비오 9세는 1846년 6월 16일부터 1878년 2월 7일까지 총 32년간 교황좌에 머물렀으며, 현재 기독교 역사상 성 베드로 다음으로 가장 오래 재위한 교황이다. 또한 교황령이 이탈리아 왕국에 강제 병합당할 당시에 재위하던 교황이기도 하다. 1869년에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황 무류성과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를 교의로 확정하였다. 2000년 시복되었다.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459.....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시복식은 2000년 9월 3일 거행되었다. = = 생애 초기와 성직 생활 = =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라티는 1792년 5월 13일 이탈리아의 아드리아 해변에 위치한 작은 도시 세니갈리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귀족 집안으로 아버지는 지롤라모 데이 콘티 페라티였다. 조반니 마리아 마스터가 페라티는 볼테라의 경건한 하느님의 어머니 대학과 로마에서 수학하였다. 1814년 신학생이 된 그는 고향 세니갈리아에서 프랑스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교황 비오 7세를 알현하였다. 1815년 교황의 귀족 근위대에 입대하였으나, 얼마 안가 간질성장애로 퇴역하였다. 이후 치료 후 건강을 회복한 마스타이 페라티는 비오 7세를 알현하였는데, 그가 자신의 지속적인 신학 공부를 칭찬하며 북돋아주자 감격하여 그의 발 앞에 부복하였다. 1819년 4월 10일 마스타이 페라티는 사제 수품을 받았다.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된 그는 로마의 타타 조반니 학교의 학장으로 부임하였다. 1823년과 1825년에 마스터가 페라티는 칠레 주재 교황대사 조반니 무치 몬시뇰과 페루 주재 교황대사 브래들리 카네 몬시뇰의 보좌신부로 파견되어 남아메리카에서의 포교 활동을 도왔다. 비오 7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 교황 레오 12세는 그를 로마의 산미켈레 병원의 원장과 산타마리아 인 비아 라타 성당의 의전사제로 임명하였다. 1827년 레오 12세는 마스타이 페라티 신부를 스폴레토의 대주교로 임명하였다. 그때 마스터가 페라티의 나이는 35세였다. 다음해에 이몰라의 대주교로 전보된 그는 1839년 인 펙토레(in pectore) 추기경으로 지명되었으며, 1841840년 산티 마르첼리노 에 피에트로 본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스폴레토와 이몰라의 교구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그는 해당 교구의 교육 개선과 자선 사업을 통한 사제 양성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교도소를 방문재소자 죄수들과 만남을 가졌으며 길거리 아이들을 여러 방면으로 도와주기도 하였다. = = 교황 선출 =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1831-1846)가 선종함에 따라 1846년 새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교황 선거인 콘클라베가 열렸다. 당시 이탈리아는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많은 비(非)이탈리아인 추기경들은 콘클라베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총 62명의 비이탈리아인 추기경 가운데 겨우 46명만 참석했을 뿐이었다. 설상가상 1846년 콘클라베에서는 보수적인 성향의 추기경들과 자유주의적 성향의 추기경들 간에 파벌이 나뉘어 난관에 봉착하였다. 보수주의 세력이 지지한 후보자는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때 국무원장을 지낸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이었으며, 자유주의 세력이 지지한 후보자는 파스칼레 톰마소 기지 추기경이었다. 결국 1846년 6월 16일 새 교황을 뽑기 위한 두 번째 투표일 날, 54세의 마스타이 페라티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마스타이 페라티 추기경은 매력적인 후보자로 반성직자주의자들이나 카르보나리당에 속한 이들조차 그를 존경하여 우정의 표시로 선물을 주거나 도움을 준 사례들이 있을 정도로 열정적이고 감성적인 사람이었다. 마스타이 페라티 추기경은 또한 이탈리아 애국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마스터가 페라티는 자신의 교황으로서의 이름을 비오 9세로 명명하였는데, 이는 자신이 어린 시절에 간질성장애인인 자신이 사제 서품을 받을 수 있게 격려해 준 비오 7세(1800-1823)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그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서였다. 비오 9세의 대관식은 1846년 6월 21일에 거행되었다. = = 교황 = = 교황 비오 9세의 선출 소식에 이탈리아는 물론 유럽 전체의 많은 민족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은 일제히 그의 선출을 반기며 환영하였다.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까지 마스타이 페라티는 대중에게 이름이 그리 잘 알려져 있는 사람도 아니었고,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에 특별한 공로를 세운 적도 없었으며, 또한 자유주의적 성향의 발언을 한 적도 없었지만, 곧 사람들 사이에서 그의 이름은 널리 알려졌으며 인기가 무섭게 치솟았다. 한 예로, 아펜니노 지방에서는 비오 9세의 교황 선출 소식이 전해진 다음부터 20개월 동안이나 “교황 성하, 만수무강하소서!”라는 외침을 종종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In den nächsten zwanzig Monaten war Pius IX. der populärste Mann der Halbinsel; des Rufes „Evviva Pio nono!” war kein Ende mehr. (Seppelt –Löffle: Papstgeschichte, München 1933, 408.) 비오 9세는 외부로부터의 정치적인 영향 없이 당당하게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인생 최고의 황금기에 있었다. 그는 신심이 깊고 진보적이었으며, 지적이었으며, 점잖았으며, 친화적이었고, 모든 사람에게 열린 마음을 갖고 있었다. = = = 대외관계 = = = 교황 비오 9세는 교황령을 마지막으로 통치한 교황이기도 하다. 교황령의 국가원수로서 그는 3백만 명이 넘는 국민을 다스렸으며, 다른 나라들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나라는 이탈리아였는데, 이탈리아는 1870년에 교황령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무력으로 침공해 점령하였다. = = = = 이탈리아 = = = = 비오 9세는 감당하기에 매우 벅찬 과제를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역사상 가장 길었던 교황 재위기간(33년) 동안 그를 지배했던 큰일은 이탈리아를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기 위한 ‘부흥 운동(리소르지멘토)’이다. 프랑스 혁명은 이탈리아 반도에 자유의 열기와 통일의 열망을 고취시켰다. 비오 9세는 교황좌에 오르자마자 관대한 처사의 일환으로, 그리고 교황령 내의 정치적 압력에 의해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정치 사범들의 전면 사면을 대대적으로 단행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고문으로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인 조반니 코르볼리 부시 주교를 임명하고 라므네의 제자였던 벤투라 신부에게 호의를 보였다. 1846년 11월 9일 칙서 Qui pluribus를 통해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16세가 단죄한 자유주의에 대하여 근본적인 원리들을 갱신하였다. 그는 그의 전임자들과는 다른 길을 걸었고 교황령의 더 큰 자유와 정치적인 새 질서에 따른 정당한 요구를 채우려고 애썼다. 이에 유럽의 모든 자유주의자들은 환호하며 비오 9세를 칭송하였다. 그러나 이 당시의 비오 9세는 자신의 이러한 일련의 행동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향후 어떠한 정치적 파장을 몰고 올지 아직 깨닫지 못하였다. 석방된 혁명주의자들은 곧바로 자신들의 이전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탈리아의 애국주의적 집단들은 비오 9세가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입헌주의 정부뿐만이 아니라, 이탈리아인들의 단일화와 이탈리아 북부 지방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한 오스트리아 제국에 대항한 해방 전쟁을 추구하였으며, 여기에 교황도 동참하기를 요구하였다. 결국 비오 9세의 양보는 이들의 열망에 불을 지펴 교회측에 더 큰 요구사항을 주장하게 만들었을 뿐이었다. 1848년 초, 서유럽 전체에 혁명의 움직임이 곳곳에 휘몰아치기 시작하였다.1848: Year of Revolution, Michael Rapport 이탈리아 역시 여러 군소국가들이 해방을 위한 대(對)오스트리아 전쟁을 계획했으나, 당시 비오 9세는 교황은 단순한 이탈리아 내의 군주가 아니라 보편 교회의 수장으로서 국가 관계를 초월하는 위치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거부하였다. 이는 당시 민족주의적 사고방식이 팽배하였던 이탈리아에서 대세를 완전히 거스르는 행동이었다.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교황이 이탈리아를 배반했다고 외쳐댔다. 그리하여 급진주의적 성향의 주세페 마치니와 그의 추종자들은 교황 정치를 전복하기 위한 음모를 치밀하게 꾸몄으며, 1848년 11월 15일 계획을 실행에 옮겨 교황령의 초대 총리 로시를 암살하고, 다음날 스위스 근위대로부터 무기를 빼앗아 무장을 해제시키고, 교황을 바티칸 궁전에 감금하였다.Schmidlin 35 그리고 1849년 1월 로마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본당 신부로 변장하고 가까스로 로마를 빠져나와 양시칠리아 왕국의 가에타로 피신한 비오 9세는 일련의 음모에 가담한 관련자 전원을 파문하는 것으로 응수하였다.Piux IX, Roberto De Mattei, Page 33 그리고 1850년 4월 12일 프랑스 원정군의 도움을 받아 로마로 귀환하였다. 그리고 봉기에 가담한 자들을 모두 감옥에 가두어 버렸다. 처음에는 비오 9세도 자유주의자들을 신뢰하고 그들을 호의적으로 대했지만, 이 사건을 겪은 이후 그들에게 완전히 등을 돌리게 되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민족주의와 자유주의가 득세하면 전통적인 사회와 도덕적이며 종교적인 질서가 무너질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비오 9세는 바티칸에서 로마 시내의 퀴리날레 궁전으로 거처를 옮겼다. 퀴리날레 궁전은 과거 로마 황제들이 거주했던 곳이었다. 비오 9세는 1850년 9월 10일 교황령의 통치구조를 개혁하였으며, 같은해 10월 28일에는 재정체제를 개혁하였다. 그리고 자유주의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철회하고, 엄격한 보수주의자인 국무장관 자코모 안토넬리의 손에 정치권력을 위임했다. = = = = = 교황령의 종식 = = = = = 한편 카보우르는 이탈리아 내의 자유로운 정책 실현과 오스트리아로부터의 독립, 피에몬테 정부의 패권 장악과 이탈리아 전 영토에 대한 국가 통일을 쟁취하고자 우선적으로 민주적 통합론자와 영국 등 반(反)교황청 세력과 밀착하여 교황령을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하려는 정책을 실시하면서 교황청과 맞서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로마의 병합을 위해 정교 분리 이론을 주장하였다.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1860년 9월 18일 카스텔피다르도 전투와 같은 해 9월 30일 안코나에서 치른 전투에서 교황군을 격퇴한 후 로마와 라티움을 제외한 모든 교황의 영토를 점령하였다. 1866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교황 보장법을 승인하였다. 교황 보장법은 교황청이 세속적 지배권을 이탈리아 왕국에 양도하는 대신, 이탈리아 왕국 영토 내의 독립적 존재로서 종교적 사명에 대한 자유로운 활동을 교황청에 보장해 주고 이탈리아 왕국은 교황청에 연금을 제공한다는 것을 주요골자로 하고 있었다. 또한 수도원 제도의 병폐를 비판하면서 교회 행정에 계속해서 관여하였고, 1866년 7월에는 수도원 해산에 관한 법률, 종교단체 재산의 국유화, 성직자들의 재산 몰수와 매각 등에 관해 교황청과 교섭하고자 하였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의 제안에 비오 9세는 1871년 5월 15일 이탈리아 왕국에게 정복한 교황령 영토를 다시 반환할 것을 요구한 회칙 Ubi nos를 반포함으로써 단호하게 거부하였다. = = = = = 정복당한 교황청 = = = = =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오스트리아와 빌라프란카 휴전협정을 조인하자마자, 이탈리아 통일파와 맞서서 로마와 그 주위 영토를 수호하는 데 뛰어들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스당 전투에서 참패하고 말았고(1870년 9월 2일), 그 틈을 타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1870년 9월 20일에 로마를 점령했다.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457 그리고 통일 이탈리아 왕국은 로마를 새로운 수도로 정하고 교황의 세속권을 모두 빼앗아 버렸다. 여기서 로마 문제가 대두한다. 교황 비오 9세는 이탈리아와의 모든 화해의 시도를 거부했고, ‘바티칸의 포로’를 자처했다. 이리하여 1천여 년을 존속하였던 교황령은, 한 세기도 안 되는 세월동안 무려 네 차례나 뺏고 뺏기다가(1799년, 1809년, 1849년, 1870년) 결국은 영원히 역사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교황권으로서는, 속권을 상실한 것이 오히려 정치적 구속에서 해방되는 절호의 기회였다. 비오 9세의 유쾌한 성품, 진실한 신앙심, 여기에 교황이 희생자라는 생각이 동정심을 불러일으켜 신자들에게서 새로운 감정이 솟아났으니, 바로 교황에 대한 헌신의 마음이다. 이후로 사람들은 사도들의 무덤을 참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교황을 보러 로마에 갔다.교황의 역사 - 도시에서 세계로, Francesco Chioraro/Gérard Bessière, 김주경 역, 시공사, 1998, 92페이지. 교황령의 종말로 교황은 외적·정치적 세력을 잃은 반면, 자유로운 보편적 교황직의 내적·도덕적 영향력을 증대할 수 있었다. = = = = 오스트리아 = = = = 1848년 혁명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가톨릭교회에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동시에 가져왔다. 긍정적인 요소로 교회는 이제 국가의 강압적인 지배로부터 벗어나게 되었으며, 비오 9세는 이에 대해 환영하였다. 부정적인 요소로는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도 반가톨릭 성향의 자유주의자들이 세력을 구성하여 1870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1855년에 바티칸과 맺은 조약을 파기하도록 압력을 넣은 정치적 움직임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오스트리아는 1866년에 이미 가톨릭 계열 학교들의 자유 및 시민 결혼 금지에 관한 몇 개의 조항을 무효화하였다. = = = = 독일 = = = = 교황청과 독일 제국의 우호 관계는 한동안 지속되다가 1870년 독일 제국의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교황의 무류성 선포가 국가의 존립을 위태롭게 한다는 이유로 문화투쟁을 전개하면서 독일 가톨릭교회가 큰 피해를 당하였다. 그리하여 1872년에는 예수회를 비롯하여 여러 수도회가 추방되고 신학교와 기숙사가 폐쇄되는 등 교회 활동을 구속하는 여러 법령이 제정되었다. = = = = 영국 = = = = 영국종교개혁으로 성공회가 형성된 16세기 이래 로마 가톨릭교회는 잉글랜드를 선교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황 비오 9세는 1850년 9월 29일 교서 보편 교회(Universalis Ecclesiae)를 반포하였다. 그는 영국인 가톨릭 성직자 니콜라스 와이즈먼을 추기경에 임명함과 동시에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비롯하여 서더크, 리버풀, 뉴포트, 플리머스, 버밍엄, 노샘프턴 등지에 12개의 교구를 회복시킴으로써 영국의 가톨릭 교계제도를 부활시켰다. 가톨릭 교세가 다시 확장될 것을 우려한 개신교도들은 이를 ‘교황의 침략’으로 간주하고 거리 곳곳에서 과격한 가두시위를 벌였다. 1851년 8월 2일 영국 의회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내의 어떠한 가톨릭 교구도 기존에 있던 성공회 교구와 같은 교구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위반시에는 징역형과 벌금형을 부과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 = = = 네덜란드 = = = = 1848년 네덜란드 공화국 정부가 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제정함으로써 가톨릭 신자들은 오랜 박해 끝에 자유를 얻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비오 9세는 위트레흐트 대교구와 하를렘, 덴보스, 브레다, 루르몬트 등 네 곳에 가톨릭 교구를 신설하였다. 사태가 곧 진정되기는 했지만, 교황의 이러한 조치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네덜란드에서도 반가톨릭 정서를 표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 = 캐나다 = = = = 비오 9세의 치세에 캐나다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교세가 크게 증가하여, 처음에는 네 곳의 교구로 시작하였던 캐나다 교회가 1874년에는 21개의 교구에 1,340채의 성당과 1,620명의 사제를 보유하게 되었다. = = = = 미국 = = = = 1875년 3월 15일 비오 9세는 최초의 미국인 추기경으로 존 맥클로스키를 임명하였다. 비오 9세는 스스로 ‘명예로운 미 합중국 대통령(Honorable President of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제퍼슨 데이비스 앞으로 서신을 보냈는데, 일부 역사학계에서는 이를 미국이 받은 최초의 국제적 인증으로 보고 있다.Google Books. Jefferson Davis: The Man and His Hour Escrito by William C. Davis = = = = 조선 = = = = 1847년 조선 천주교회 제3대 대목구장이었던 페레올 주교는 천주교 박해를 통하여 숨져간 수많은 조선 순교자들의 거룩한 죽음을 알려 그들을 시복 대상에 오르게 할 목적으로 1847년 김대건(안드레아) 신부 등 조선 순교자들의 전기를 작성하여 로마 교황청에 제출하였다. 기록을 전해받은 교황청은 이례적으로 조선 순교자들을 대우했다. 비오 9세는 정부로부터 박해를 받는 조선 천주교회를 배려해서, 시복 절차에 필요한 최초 심리를 페레올 주교의 기록으로써 대신할 수 있도록 조처를 내린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 순교자들의 시복 수속이 정식으로 접수되었고, 결국 1857년 비오 9세는 조선 순교자 82명을 가경자로 선포하였다. 1866년 조선에서 병인박해가 발생하자 그해 12월 19일자 서한을 통해 조선 교우들을 위로하고, 박해를 받는 이들에게 위로와 언약된 보상을 상기시켰다. 이 서한에서 교황은 그 무서운 순교의 소식을 들을 때 침통해진다고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 = 교황령 통치 = = 비오 9세는 1846년에 선출된 후부터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로마가 함락당한 1870년까지 교황령을 통치한 국가원수였다. 그의 통치는 세속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따라서 종종 ‘왕’이라는 호칭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1848년 혁명 이전까지만 해도 비오 9세는 로스미니와 같이 정치 문제와 경제 질서에 관한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과 자연법, 인권문제를 결부시키는 창의적이고 새로운 주장을 펼친 사상가들의 조언을 받을 정도로 가장 열렬한 개혁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혁명 이후 그의 정치 개혁과 사법 개혁은 전반적으로 1850년 법을 골자로 한, 최소주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 = = 교황령 개혁 = = = 교황좌에 오른 후 비오 9세는 곧장 광범위한 규모로 정치 개혁을 도입함으로써 전 유럽의 자유주의자들이 그에게 박수를 보냈다. 비오 9세는 먼저 철도의 건설과 로마 시가지 곳곳에 가로등을 설치하는 일부터 착수하였다. 그리고 선진 농업기술 기관을 세우고 농부들이 그곳에서 교육을 받게 함으로써 농업 기술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교회 모임에 유다인들에게 억지로 참석을 요구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시키고 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자선사업에 적극 나섰다. 비오 9세는 몸소 청빈한 삶을 실천함으로써 가난한 이들에게 보다 많은 것을 돌아가게 하였다. 그는 사면 교령에 서명함으로써 모든 정치범들을 대거 석방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그 밖의 보수적인 군주들을 충격에 빠트리기도 하였다. 비오 9세는 교황에 선출한지 1년 만에 교황령의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평신도들로 구성된 의회를 구성하였다. 비오 9세의 이러한 행보는 개신교 정치가마저 탄복하며 “교황은 뉴욕과 런던, 베를린의 통치자들의 모범이다.”라면서 갈채를 보냈을 정도였다. = = = 정부 조직 = = = 교황령의 정부 조직은 교황을 필두로 성직자와 세속인으로 양분되어 구성되었다. 세속인 또는 평신도는 6,850명이고 성직자는 300명으로 평신도가 성직자보다 월등히 그 수가 많았다. 그렇지만, 성직자가 모든 업무 처리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었으며, 어느 분야든지 직장에 취직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본당 신부의 평가서를 꼭 제출해야만 했다. = = = 경제 = = = 비오 9세 시대 교황령의 재정 관리는 전적으로 평신도의 손에 맡겨졌다. 교황령의 예산과 재정 관리는 비오 9세 치세 이전부터 비판적인 대상이었으며, 그의 재위 기간에도 끝나지 않았다. 1850년 비오 9세는 20개 주 지방에 경제에 대한 지식이 박학다식한 네 명의 평신도로 구성된 재정위원회를 설립하였다. = = = 상업과 무역 = = = 비오 9세는 교황령의 주요 수출 품목인 양모와 비단 등의 물품들을 만드는 장인들에게 각종 이권을 부여하고 몸소 포상을 내려 생산 및 교역을 장려하여 생산 및 교역을 장려하는데 체계적인 노력을 한 공로를 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비오 9세는 도로, 항만, 교각, 항구 등을 건설하였으며, 교황령에서 이탈리아 북부까지 긴 철도를 놓음으로써 수송체계를 향상시켰다. 교황의 이러한 정책으로 북부 이탈리아인들이 중부 및 남부 이탈리아인들에 비해서 현대적인 운송수단을 더 숙달하게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더 부유해지게 되었다. = = = 사법 = = = 교황령의 사법제도는 이탈리아의 나머지 국가들의 사법제도와는 달리 수많은 비난을 받기 쉬운 체제였다. 법률 서적, 각종 법 기준, 적정 고소 판례들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여 재판의 편파성을 야기했다. 교황령을 포함한 이탈리아 전역에서는 마피아 같은 범죄 집단들이 강도와 살인 등의 범죄행위를 마음대로 자행하면서 여러 지역에서 교역과 여행객들을 위협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 = = 군사 = = = 교황령의 군대는 모병제였다. 로마의 검은 귀족들은 군복무를 회피하였으며, 일반 시민들도 괜찮은 급료와 승진의 기회가 충분히 주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대에 지원하기를 꺼려했다. 결국 어쩔 수 없이 교황령의 군대는 특이하게도 거의 외국인들로 구성되었다. 교황군의 유일한 전력은 아니지만 주된 전력은 역시 스위스 근위대였다. 1859년 당시 교황군의 군사 수는 약 15,000명에 달하였다. = = = 교육 = = = 비오 9세는 교육 분야에서 전통적인 가톨릭 교육을 중점으로 두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초급 및 중급 자연과학은 자연스럽게 경시되는 경향이 생겨났다. 교황령에서는 교육이 국민의 의무사항이 아니었는데, 그 이유를 다른 나라와 비교해봤을 때 낮은 교육 기준 탓으로 돌리는 시각도 있다. 중등 교육은 사교육 내지는 가톨릭교회의 교육기관과 수도원에서 받을 수 있었다. = = = 예술 = = = 비오 9세는 전임 교황들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일에 앞장섰다. 그는 연극에 대한 검열을 다소 완화시켜 극단 예술이 대중문화에 뿌리 내리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비오 9세는 또한 미술, 건축, 조각, 음악, 금 세공, 구리 세공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많은 특혜를 주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가 예술 분야에 이토록 많은 기여를 한 것은 가톨릭 성당들을 염두에 두어서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로마를 포함한 교황령 지역의 성당 상당수가 혁신 및 개선되었다. = = = 복원과 발굴 = = = 비오 9세는 담, 분수, 거리, 교량 등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건축물들을 복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로마 시대 부지의 발굴을 지시했으며, 그 덕분에 몇 가지 중요한 발견들을 할 수 있었다. 비오 9세는 콜로세움이 붕괴할 위험에 직면하자 즉시 보강 공사를 지시하였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대량으로 묻혀 있는 카타콤바 발굴에 엄청난 인력과 금액이 소모되었으며, 이를 위해 비오 9세는 교황청 고고학 위원회를 1853년에 발족하였다. = = = 종교 = = = 교황령의 통치자인 교황은 가톨릭교회의 종교 지도자이기도 하였다. 그러한 연유로 기본적으로 가톨릭교회와 가톨릭 신자들이 다른 종교 신자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혜와 나은 대접을 받을 수 있었다. 1853년 교황령 볼로냐에서 6세의 에드가르도 모르타라라는 한 유대인 소년과 관련한 소동이 일어났다. 교황령 경찰의 조사에 따르면, 모르타라 집안의 그리스도인 하녀가 병에 걸린 이 소년을 돌보다가 하느님의 자비를 받을 수 있게 하려고 가톨릭 세례를 받도록 했다는 것이다. 당시 법률상으로는 그리스도인이 유대교 집안에서 양육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년의 부모도 예외일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비오 9세는 유대인 소년을 교황청에 데려오도록 지시하였으며, 유대인 소년은 나중에 가톨릭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훗날 에드가르도는 “부모님은 나에게 집으로 돌아가자며 눈물로 호소하고 회유했으나, 내가 초자연적 은총의 힘을 목격했다는 사실 외에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실낱같은 욕망도 보이지 않았다.”고 회고하였다. = = = 유대인 소년 납치 사건 = = = 하지만 이 사건에 대해 게리 윌스는 그의 저서교황의 죄에서는 비오 9세가 6살짜리 유태인 아이를 납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황이 납치사건에 개입하게 된 것은 이 유태인 어린이가 그리스도인으로부터 세례를 받았기 때문. 당시 교황으로서는 그리스도교에 무관심한 유대인 부모에게 그리스도인 아이를 맡겨 키우게 할 수 없었던 것이다. ‘납치 사건’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1864년에는 유대인 부모의 허락없이 세례를 받은 9살 소년이 교황의 명령에 의해 부모로부터 강제로 떼어졌다. 그럼에서 불구하고 가톨릭의 역사는 비오 9세를 ‘19세기 최고의 교황’ ‘인내심이 많은 교황’으로 기록하고 있다고 이책은 비판했다. 이 사건에 대해 세계적 가톨릭 신학자인 한스 큉 역시 그의 저서 가톨릭의 역사에서 비오 9세가 유대인 소년을 종교적인 이유로 납치해 냉혹하게 가톨릭 방식으로 양육했다고 주장했다.한스 큉 가톨릭의 역사 (을유문화사,P 230) = = 교회 통치 = = = = = 중앙집권화 = = = 교황령의 종식은 비오 9세의 오랜 재위기간을 통틀어서 가장 중요한 사건 가운데 하나였다. 비오 9세가 교회 안에서 발휘한 지도력은 로마의 권력과 교황권이 점점 더 중앙집권화가 되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비록 그의 정치적 소견이나 정책들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의 개인적 삶에 대해서만큼은 조금도 비판의 여지가 없었다. 소박함과 검소한 삶으로 평생을 살았던 그는 만인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비오 9세는 전임자들보다 더 강론을 많이 하였으며 전 세계의 모든 주교들에게 관심을 많이 기울였다. 그가 소집한 제1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하여 교황권은 한층 더 강화되었으며, 이는 교회사의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 = = 교회의 권익 보호 = = = 비오 9세의 교회 정책은 교회의 권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일변되었다. 그는 러시아 제국 및 오스만 제국과 같은 이교도 국가에서는 가톨릭 신자들이 신앙의 자유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이탈리아와 독일, 프랑스 같은 나라에서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어가던 반가톨릭주의를 공격하였다. = = 신학 = = 교황 비오 9세는 교회의 가르침을 정의하며 내리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자신의 교황으로서의 역할에 매우 철두철미하였다. 그는 살아생전에 총 38편의 회칙을 반포하였다. 1864년 12월 8일에는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배척돼야 할 80개의 오류를 총괄한 오류표(Syllabus)를 모든 주교들에게 보냈다. 여기에서 범신론과 계몽주의, 실증주의, 나아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등을 포함해 특히 근대적인 자유주의와 진보주의가 예리하게 배척됐다. = = = 마리아론 = = = 교황 비오 9세는 성모 마리아에 대하여 강한 신심을 갖고 있었으며, 동시대의 신학자들과 더불어 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에 핵심적인 공헌을 하였다. 1854년 12월 8일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가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가톨릭교회의 교의로 장엄하게 공식 선포됐다. 무염시태(無染始胎)라고도 하는 원죄 없는 잉태는 말 그대로 오염되지 않고 수태되었다는 뜻으로, 성모 마리아가 다른 인간들과는 달리 태중에서부터 원죄의 물듦이 없이 잉태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리아가 인간적인 부모들을 통해 자연적으로 출생되었지만, 장차 하느님의 아들을 낳을 어머니가 되기 위하여 하느님으로부터 그 위대한 임무에 합당한 은혜를 받아 잉태된 첫 순간부터 인류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가 세울 공로를 미리 입어 원죄에 조금도 물듦이 없이 보호받아 태어났다는 것이다. 즉 모든 사람은 나면서부터 원죄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유일무이하게 마리아만이 원죄에 물듦이 없이 태어났다는 것이다. 성모 무염시태 교리는 1854년에 비로소 생긴 교리가 아니라 초대 교회 때부터 의심 없이 믿어온 교리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 이 교리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생겨나자 비오 9세가 성모 무염시태 교리를 교의로 선포한 것이다. 하느님의 아들의 거처가 될 수 있는 자격조건을 갖추려면 마리아가 흠도 티도 없이 아무런 죄에 물들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이 성모 무염시태 교의의 출발점이다. 마리아의 무염시태 특전은 마리아가 그리스도의 어머니로서 그리스도와 온전히 일치하여 있음을 드러낸다. 비오 9세 교황은 형언할 수 없는 하느님(Ineffabilis Deus)이라는 회칙에서 이렇게 선언하였다. 비오 9세의 원죄 없이 잉태된 마리아 교의 선포를 기념하기 위하여 스페인 광장에 높이 30m의 무염시태 기념비가 세워졌다. = = = 제1차 바티칸 공의회 = = = 1869년 6월 29일 비오 9세는 바티칸에서 공의회 개최를 정식으로 발표했으며, 12월 2일 제1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막되었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당시 교회에 위협을 주던 세속주의 사조들의 문제부터 먼저 다루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서 1870년 4월 24일 만장일치로 통과된 가톨릭 신앙에 관한 교의헌장 하느님의 아들(Dei Filius)은 창조주, 삼위일체, 천주 강생, 계시, 신앙과 이성 등의 정통 교리를 제시했고 이러한 교리를 거부하는 유물론, 합리주의, 범신론, 이신론, 합리주의적 성서관, 회의론, 자유주의 신학과 같은 사상들을 오류로 단죄했다. 이후 공의회에서는 교황 무류성에 대한 의제가 채택됐고 교황은 이 의안을 교회에 관한 헌장에서 다루도록 지시했다. 이에 대해 대다수의 주교들은 찬성했으나 일부 주교들은 시기상으로 부적절하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마침내 1870년 7월 18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실시된 표결을 통해 교황의 무류성과 수위권 교리를 담은 교회에 관한 헌장 영원한 목자(Pastor Aeternus)가 533대 2로 승인됐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최종 표결을 통해 결정된 이 내용은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이며 그리스도의 대리자, 교회의 최고 권위자로서 교황은 전 교회와 각 교구에 대해 완전히 정상적이고 직접적인 주교권, 즉 전체 교회의 주교로서의 교황이 지니는 수위권을 지닌다는 것이다. 아울러 교황이 직무의 소유자로서(ex cathedra) 전체 교회를 위해 신앙이나 도덕에 관한 문제에 최종 결정을 내린다면 그것은 그 자체로서(ex sese) 그르칠 수 없다는 무류성의 교리를 포함하고 있었다. 교황의 무류성과 수위권을 선언한 공의회의 결정에 대해 독일의 일부 주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주교들이 수용함에 따라 교황권은 더욱 강력해져 중앙집권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됐다. 이로써 교회 안에서는 13세기부터 내려 오던 공의회 우위설과 갈리아주의가 내세웠던 국교회 사상이 사라지게 됐다. 또 교황령의 붕괴와 함께 교황의 속권은 상실됐으나 그 영적인 권위는 오히려 더욱 강화됐고 교황은 이제 세속 군주가 아니라 세상 안에서는 정신적 지도자로 교회 안에서는 절대적인 영적 지도자로서의 자리를 확고히 굳혔다. 하지만 이 교리 결정이 이뤄진 직후 공의회는 갑자기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보불 전쟁(1870~1871)이 일어나 많은 공의회 교부들이 귀국해야 했으며, 1870년 9월 20일 로마가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점령됨으로써 공의회를 계속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교황의 수위권이 정립됐으나 주교직과의 관계는 정확히 규정되지 않았고 단체성보다 수위성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보다 충분한 논의가 이뤄졌어야 했지만 결국 유럽의 혼란으로 더 이상 논의되지 못한 채 공의회는 폐막됐고 이 문제는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와서야 다뤄지게 된다. = = 말년과 죽음 = = 비오 9세는 그의 오랜 숙적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보다 오래 살아 그가 1878년 1월 사망하는 것도 보았다. 그는 왕의 죽음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왕에게 내린 파문을 즉시 해제하고 그 밖의 다른 모든 종교적 차별들로부터 사면해 주었다. 그리고 왕이 죽은 지 한 달 뒤인 1878년 2월 7일 오후 5시 40분, 비오 9세도 시종들과 함께 묵주기도를 바치던 중 간질이 발작하면서 발생한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선종하였다.Schmidlin 100–102 1868년부터 교황은 처음에는 안면단독, 그 다음에는 양쪽 다리 부위의 개방성 궤양에 시달렸다.see Martina III, and 이렇듯 몸이 편찮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일 자신이 직접 미사를 집전하겠다고 고집하였다. 1877년 여름철의 극심한 열기는 그의 병세를 더욱 악화시켰다. 비오 9세는 몇 차례 고통스러운 수술을 받았으며, 놀라운 인내심으로 그것들을 참고 이겨냈다. 그는 자신의 서재에서 추기경들의 알현을 받으면서 마지막 주를 보냈다.Schmidlin 101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날인 12월 8일, 그의 몸 상태는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을 정도로 많이 호전되었다. 다음해 2월, 비오 9세는 자신의 첫 영성체 75주년을 기념하는 미사를 다시 똑바로 서서 집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1878년 2월 4일부로 기관지염, 낙상, 고열 등으로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로마 대리구장 추기경이 사람들에게 비오 9세의 쾌유를 기원하는 타종과 기도를 요청했을 때도 비오 9세 자신은 스스로 언제나 웃음을 잃지 않았으며 “그대는 내가 하늘나라에 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가 보군.”이라면서 농담도 곧잘 하였다. 교황의 주치의는 그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하였다.Schmidlin 102 교황 비오 9세는 1878년 2월 7일 85세의 나이에 선종하였다. 그가 숨을 거두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유언은 “내가 사랑하는 교회를 부디 거룩하게 잘 지켜주시오."였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의 지하 묘소에 안장되었다가 1881년 7월 13일 밤에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으로 이장하기 위한 행렬이 출발했다. 이때 한 무리의 반(反)성직주의 성향의 폭도들이 몰려와 돌을 던지고, 독성의 말을 하며, 저주를 하고, 음란한 노래를 부르는 등 급작스러운 시위를 전개하였다. 교황의 유해를 옮기는 행렬에 참여한 신자들은 묵주기도로 이에 대응하였다. 교황의 유해를 옮기는 행렬이 테베레 강에 이르렀을 때, 폭도들이 또다시 몰려와 교황의 유해가 든 관을 강 속에 던져버리려고 시도하였다. 결국 소식을 듣고 긴급하게 출동한 민병대가 현장에 도착하고 나서야 소요는 가까스로 진정되었으며, 비오 9세는 마지막 모욕을 간신히 면할 수 있었다.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J.N.D. Kelly, Oxford 1987 p.310. = = 시복 = = 교황 비오 9세의 시복은 초창기부터 이탈리아 정부의 강력한 반대로 난관에 부딪혔다. 1907년 2월 11일에 그의 시복 조사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세 차례나 지연과 재개를 반복하였다. 이탈리아 정부는 1878년 이래 비오 9세의 시복을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러한 이탈리아 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1985년 7월 6일 비오 9세의 ‘영웅적인 덕행들’을 인정하고 그를 가경자로 선포하였다. 비오 9세의 교회에 대한 한없는 사랑, 사제직과 선교사들에 대한 사랑과 깊은 존중심이 그의 뛰어난 덕행들로서 언급되었다. 한 프랑스인 수녀가 치유된 것이 비오 9세의 전구에 의한 기적으로 간주되고 있었는데, 1986년 1월 15일에 의사들의 위원회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그리고 2000년 9월 3일 요한 바오로 2세는 비오 9세를 복자로 선포하였다. 이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가진 시복식에는 비오 9세 뿐만이 아니라 교황 요한 23세, 이탈리아의 주교 토마소 레기오, 프랑스의 사제 기욤 조제프 샤미나드, 아일랜드 베네딕토회의 대수도원장 골룸바 마르미온 등도 포함되었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시복식에 참여한 약 10만 명의 신자들에게 강론을 통해 비오 9세에 대해 “자신의 직무에 충실했으며, 하느님과 영적인 가치를 무엇보다 우위에 두었다.”면서 “그분은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증오와 비방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웨이군 장비 = = 해안면 = 해안면(亥安面)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의 면이다. = = 역사 = = 원래 양구군에 속했다. 1954년 11월 17일 :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으로 인제군에 이관되었다. 1963년 1월 1일 : 인제군 서화면에 합면되었다. 1973년 7월 1일 : 양구군 동면으로 편입되었고, 동면 해안출장소가 설치되었다.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1983년 2월 15일 : 해안면이 복원되었다. = = 마을의 유래 = = 한국전쟁 정전 후 1956년 피난민정착사업의 일환인 재건촌 조성으로 100세대씩 입주한 농민들의 개척에 의해 마을의 틀이 만들어졌다. 한국전쟁의 격전 중 해안을 바라본 종군기자가 이 지역의 움푹 패인 지형에서 따와 펀치볼(Punch Bowl)이라 부른 것이 유명해져 미국에서는 펀치볼(Punchbowl)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 = 이름의 유래 = = 해안은 돼지해(亥)자 편안할 안(安)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여 지고 있다. 그 당시 해안은 해자를 바다해(海)를 썼으며 해안 분지에는 주민들이 밖에 나가지 못할 정도로 뱀이 많았다고 한다. 조선시대초에 해안 주민이 시제를 지내면서 유명하신 스님 한분을 모시게 되었는데 그 스님에게 지역사정을 소상히 말하고 뱀을 없앨 방도를 구하니 그 스님이 뱀과는 상극인 돼지를 말하며 바다해(海)자를 돼지해(亥)자로 바꾸어 쓰면 되겠다고 일러주었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 해안을 돼지해(亥)자로 고치고 마을에는 돼지를 많이 기르게 되었으며 그 후 신기하게도 뱀이 없어져서 주민들이 집밖 출입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고 전하여지며, 현재도 해안 지역에는 높은 산을 제하고는 평지에 뱀이 거의 없다고 하여 이러한 이야기에 사실감을 더하고 있다. = = 지리 = = 해안면은 분지 하나가 1개면을 이루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이 분지는 대암산(1,304 m), 도솔산(1,148 m), 대우산(1,179 m)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동서 거리는 8.5 km, 남북은 7 km, 분지 바닥의 평균 표고는 400 m의 거의 완벽한 원을 그리고 있다. 해안면의 물은 인제군 서화면으로 빠져나간다. 면의 북쪽은 한반도 비무장지대이며, 명목상 인제군 서화면에 속하는 좁은 폭의 비무장지대를 지나면 군사분계선과 접한다. = = 행정 구역 = = 법정리 한자명 행정리 비고 만대리 萬垈里 만대리 오유리 五柳里 오유1리, 오유2리 월산리 月山里 - 거주 인구 없음 이현리 泥峴里 - 거주 인구 없음 현리 縣里 현1리, 현2리, 현3리 면사무소 소재지 후리 後里 - 거주 인구 없음 = = 문화, 관광 = = = = = 통일관 = = = 양구군에서 직영하는 양구통일관에는 북한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생활용품, 수출품과 사진 등을 상설 전시하고 있다. = = = 양구전쟁기념관 = = = 한국전쟁시 양구지역에서 치열했던 도솔산, 대우산, 피의능선, 백석산, 펀치볼, 가칠봉, 단장의능선, 949고지, 크리스마스고지 전투 등 9개전투를 총망라 전투사를 재조명하고 선열들의 희생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것은 물론이고, 전후 세대들에게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일깨워주는 호국의 전당으로 활용하고자 건립하였다. 그리팅맨은 유영호이 만든 조각상이다. = = = 을지전망대 = = = 을지전망대는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양구 동북방 27 km, 군사분계선으로부터 약 1 km 남쪽지점 해안분지를 이루고 있는 가칠봉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 = = 제4땅굴 = = = 제4땅굴은 1990년 3월 3일 발견되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내부 관람용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 = 교육 = = = = = 초등학교 = = = 해안초등학교 : 해안면 현리 소재. = = = 중학교 = = = 해안중학교 : 해안면 현리 소재. = 후안 1세 = 후안 1세(Juan I) 주앙 1세(1358년 - 1433년)는 포르투갈의 10대 왕이다. 후안 1세(1358년 - 1390년)는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왕이다. = 천안신부초등학교 = 천안신부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6년 9월 2일: 개교 2021년 1월 12일: 제25회 132명 졸업 2021년 3월 1일: 26학급(다문화 1학급) 편성 = 이배영 (역도 선수) = 이배영(李培永, 1979년 12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지도자이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라이트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현재는 역도 국가대표팀의 코치다. = = 경력 = = 순창군 유등면에서 태어났다. 현역 시절 체급은 69kg급이었으며,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아테네 올림픽 역도 69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전병관이 획득한 금메달 이후 12년 만에 대한민국 남자 역도에서 나온 메달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하였으나, 경기 도중 다리 경련을 일으켜 실격당해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때에는 문화방송(MBC)의 역도 해설위원으로 마이크를 잡았다. 2011년에 종합 은메달을 획득한 전국체전을 마지막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015년부터 역도 국가대표팀 코치를 맡았으며 현재 종로구청 여자 역도단 감독을 맡고 있다. = = 개인사 = = 역도 선수인 시선희와 결혼하여 아들 이민혁을 두었다. = = 선수 경력 = = 2009.01 ~ 2011 아산시청 2008 ~ 베이징올림픽 역도 국가대표선수 2004 ~ 아테네올림픽 역도 국가대표선수 2002 ~ 2008.12 경상북도개발공사 2000 ~ 시드니올림픽 역도 국가대표선수 = = 수상 = = 2008년 제89회 전국체육대회 역도 남자일반부 69kg급 합계 금메달 2008년 제89회 전국체육대회 역도 남자일반부 69kg급 용상 금메달 2008년 제89회 전국체육대회 역도 남자일반부 69kg급 인상 금메달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69kg급 은메달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 = 영화 = = 2009년 영화 《킹콩을 들다》 - 협회 관계자 역 (특별출연) = 김지민 (희극인) = 김지민(金智珉, 1984년 11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며 본관은 강릉이다. = = 학력 = = 동해중앙초등학교 (졸업) 묵호여자중학교 (졸업) | 김지민 중학교 졸업사진 교복은 묵호여중실제교복이다 북평여자고등학교 (졸업) 수원여자대학교 미용예술과 전문학사 (졸업) = = 경력 = = 2006년 KBS 21기 공채 개그맨 = = 방송 활동 = = 연도 프로그램 2006 KBS2 《개그콘서트》 〈폭탄스〉예쁜 퀸카 역 〈연인〉착한 여자친구 역 KBS2 《개그사냥》 KBS2 《웃는 얼굴로 돌아보라》 2007 KBS2 《개그콘서트》 〈불청객들〉 〈내 인생에 작업 걸었네〉 KBS2 《웃음충전소》 〈계층공감 OLD&형님〉 《폭소클럽 2》 〈연애남녀〉 EBS 《사진잘찍는법》 20092010(게스트로만 잠깐출연) KBS2 2009.2월 7일스타 골든벨https://web.archive.org/web/20211028060210/https://filecast.co.kr/www/contents/file_view/1643206 2010년 OGN 양민이 뿔났다 -2010. 12월 23일, 12월 30일 2011 KBS2 《개그콘서트》 〈9시쯤 뉴스〉경제부 엘리트 기자 (실제로는 매우 무식하다) 〈슈퍼스타KBS〉뽕 브라더스 중 예쁜 여자, 미스코리아 〈그땐 그랬지〉소미 할머니의 젊은시절 ComedyTV 크게 될 스타 KBS1 《KBS 스페셜》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 2011.12.18(박나래와 같이 출연) 2012 KBS2 《개그콘서트》 〈테러 진압 아이리스〉 〈불편한 진실〉뻔한 드라마의 여자 주인공 역 〈거지의 품격〉거지가 쫓아다니는 행인 역 〈감수성〉궁녀 역 〈그들만의 스타〉(당신이 한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 KBS2 《개그 월드컵》(1월 24일) KBS2 《사랑과 전쟁》(7월 6일) : 카메오 KBS2 《해피투게더 시즌3》(11월 8일) QTV 《텐미닛 박스》(11월 12일~) : 게스트 SBS 《도전 1000곡》 - 222회 (11월 18일) : 게스트 (장두석과 같이 출연) tvN 《롤러코스터 시즌 2》 (12월 16일) KBS2 《김승우의 승승장구》(12월 18일) : 몰래온 손님 KBS2 《KBS 연예대상》(12월 22일) : 코미디 우수상 (여) 수상 2013 KBS2 《개그콘서트》 〈불편한 진실〉오글거리는 드라마 여주인공 역 〈거지의 품격〉거지가 쫓아다니는 행인 역 〈뿜 엔터테인먼트〉 연기파 배우 역 〈트러블 과외〉 무식한자매 역 당신이 한번도 보지못한 개그콘서트) tvN 《롤러코스터3, 꼬꼬댁교실》 KBS2 《해피투게더 시즌3》(1월 10일)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1월 21일) : 게스트 KBS2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2월 15일~) : 고정 (불편한 가족 딸 역) JTBC 《연예특종》(2월 15일) KBS2 《세대공감 토요일》(3월 9일) : 게스트 KBS2 《1 대 100》(3월 26일) : 게스트 QTV 《죽 쑤는 여자 죽지 않는 남자》(4월 9일) : 게스트 KBS1 《힘내요 미스터 김》(4월 25일) : 카메오 (김태평 맞선녀 역) JTBC 《히든 싱어》(4월 27일) : 게스트 KBS2 《이야기쇼 두드림》(5월 4일) : 갑툭튀 KBS2 《출발드림팀 시즌 2》(5월 19일) : 게스트 KBS2 《위기탈출 넘버원》(6월 24일) : 게스트 QTV 《어럽쇼》(6월 26일)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시즌3》(8월 8일) : 게스트 (신보라와 1+1로 같이 출연) QTV 《신동엽과 순위 정하는 여자》(8월 15일~11월 7일) : 고정 KBS1 《한국방송대상》(9월 3일) : 뿜 엔터테인먼트 무대, 코미디언상 후보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9월 16일) : 게스트 KBS2 《해피선데이 맘마미아》(9월 22일) : 게스트(첫째언니의 자녀와출연) KBS2 《위기탈출 넘버원》(9월 23일) : 게스트 KBS2 《세대공감 토요일》(9월 28일) : 게스트 MBC 《세바퀴》(9월 28일) : 게스트 KBS2 《맘마미아》(10월 30일 ~ ) : 고정 KBS2 《여성판 인간의 조건》(10월 19일, 10월 26일, 11월 1일) : 휴대전화와 쓰레기 없이 살기 SBS 《도전 1000곡》 - 272회 (11월 3일)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시즌3》(11월 7일) : 게스트 JTBC 《마녀사냥》(11월 29일) : 게스트 tvN 《백만장자 게임 마이턴》(12월 9일) : 게스트 MBC 《무한도전》(12월 14일) : 게스트 JTBC 《송년특집 매직 쇼쇼쇼》(12월 29일) : 게스트 2014 KBS2 《개그콘서트》 〈뿜 엔터테인먼트〉 2%부족하고 무식한 꽃미녀 연기파 배우 역<먹방 나올때 대역쓰라고 한다. 예 애먹었다를 살찐다고 대역쓰는 것> 〈사건의 전말〉광녀 역 〈어른들을 위한 동화〉떡장수 역 〈쉰 밀회〉김희애 역 KBS1 《KBS 창작동요대회》(2월 15일) : MC KBS2 《해피투게더 시즌3》(1월 2일) : 게스트 JTBC 《마녀사냥》(1월 17일) : 게스트 KBS2 《여성판 인간의 조건》 :고정출연 MBC 《세바퀴》 : 게스트 KBS2 《위기탈출 넘버원》(3월 10일) : 게스트 MBC 에브리원 《우리집에 연예인이 산다》 KBS2 《역지사지 토크쇼 - 대변인들 (파일럿)》: 패널 비욘드동아 《김지민의 라이킹》(4월 5일~8월 23일) : MC KBS2 《위기탈출 넘버원》(4월 7일~2016.2.29) : MC 온스타일 《겟 잇 뷰티》(5월 7일~) : MC Y-STAR 《부부감별쇼 리얼리?》(5월 27일, 6월 3일) : 게스트 KBS2 《당신이 한번도 보지못한 개그콘서트》(9월 9일)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시즌3》(10월 31일) : 게스트 MBC 《해피타임》(12월 7일 ~ 2016.4.3) : MC 2015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1월 5일) : 게스트 KBS2 《개그콘서트》 〈은밀하게 연애하게〉보미의 선배 역 〈알포인트〉처녀귀신 역 〈나는 킬러다〉홍일점킬러(단신킬러) 역 JTBC 《나홀로 연애중 - 남자특집》(3월 28일 ~ 4월 4일) : 게스트 SBS 《가면》 : 김연수 역 tvN 《콩트 앤 더 시티》 KBS1 《온드림 스쿨》 - (9월 5일)삼척편 온 스타일 《프리티어벤져스》 MBC 세상을 바꾸는 퀴즈 315회 게스트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 2》 SBS 《런닝맨》 x맨 12.20~12.27 2016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1월 2일)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2월 25일, 10월 20일) : 게스트 JTBC 《김제동의 톡투유 - 걱정 말아요! 그대》 (3월 27일) : 게스트 SBS 《정글의 법칙》 : 파푸아 뉴기니 편 올'리브 《원나잇 푸드트립》 MBC 드라마넷 《취향저격: 뷰티플러스 시즌 1》 KBS2 《어느날 갑자기 외.개.인》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 3》 SBS 《토요일이 좋다 백종원의 3대 천왕》 채널A 《개밥 주는 남자》 (8월 19일) : 게스트 MBC Every1 《리턴 투 컴퍼니》 MBC 드라마넷 《취향저격: 뷰티플러스 시즌 2》 tvN 《예능인력소》 (12월 5일) 게스트 MBC Every1 《비디오스타》 (12월 20일) 게스트 KBS2 《배틀트립》 31화(가고싶지민경) 2017년 KBS2 《완벽한 아내》 특별출연 TV 조선 《배달왔습니다》 KBS2 《개그콘서트-봉숭아학당》 싼티나 〈YOLO 민박〉옥분할매 tvN 《쿨까당》 패널 KBS2 《생존의법칙》 추석특집(10.3) 《화장대를 부탁해3》 패널 KBS WORLD 《더 뷰티》 SBS 《런닝맨》:11.19 KBS2 《김생민의 영수증》 : 11.26(1회 게스트) 매일방송 《비행소녀》 KBS 2TV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 12.9 주먹이운다 진행자(특별출연 박나래와 같이 출연)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313회 특별출연 2018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내꽃길은 내가깐다(1.10) KBS 《해피투게더》 (1월 11일, 7월 19일) - 게스트(랜선여친, 소라찜) KBS 《1%의 우정》 (곽정은과 공동출연) KBS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4월 16일) - 게스트 한국낚시채널 《釣仙美女三銃士》 MBC 《뷰티,촌에가다》 MBC 에브리원 《비디오스타》 KBS 조이 《얼큰한여자들》 MBC 에브리원 《할 말 있어, 오늘》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나도 어디서 꿀리진 않어 할리우드 꿀벌 - 참가자 tvN 《수미네 반찬》 - 게스트 SBS 《복수가 돌아왔다》 : 복수에게 대리먹방시킨사람(특별출연) MBC 대장금이 보고있다(특별출연) JTBC 《내연애의 기억》 2019년 SBS 《설날 특집 요즘 가족 -조카면 족하다?》(둘째언니의 아들과출연) 매일방송 《알토란》 SBS 플러스 《렌트채널 님은 부재중》 -슈앤트리 팀 TV조선 임정둥이의 기억 CH U 유드피아(조승연) 코미디TV 할매야 학교가자 JTBC2 악플의 밤 - 게스트 채널A 개밥 주는 남자 - 개묘한 여행 MBC 《MBC 스페셜》 경성음식 야사 (이승윤과 출연) tvN 《뭐든지 프렌즈》 - 게스트 (3회)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甲乙戰爭(9.18) TV 조선 《이사야사》-10회 tvN 《코미디빅리그》 수상한택시,위험한초대 모비딕 악마는 란제리를 입는다,쇼핑앤더 시티 2020년 etn 《언니스투어 시즌2》 (강유미와 출연 KBS Joy 《셀럽뷰티》 tvN 《코미디빅리그》 위험한초대 슈퍼스타 김용명, 산넘어산,아빠는 못말려(아들친구),이지와뽈롤로ㅡ안나는 원더우먼 (분신_ 《내 생애 값진 선택 2》 SBS 《런닝맨》:4.5 M.net 《퀴즈와 음악사이》 SBS 러브FM 허지웅쇼(4월 29일 게스트) TvN 미래수업 KBS1《다큐 인사이트》- 개그우먼 KBS 1TV 6.25전쟁 70주년 특집 어느 재외동포의 헌신-나는 조국을 위해 싸웠다 KBS 2TV 《개는 훌륭하다》- 게스트 (12회) JTBC우리, 사랑했을까 -2회 게스트 NQQ 《위플레이 시즌2》- 게스트 (11회-송가인과출연 ) SBS 《TV 동물농장》-스페셜MC (993회, 994회) SBS Plus 러브샷 네이버 나우 대나무 숲에 외치는 비밀 게스트 2021년 *뿡숭아학당 1월 13일 *코빅 -연애 면허 시험장(강사 김쌤) KBS Joy 《썰바이벌》 MBC every1 《달려라 댕댕이》 JTBC1호가 될순 없어 -2회 게스트 *업글언니 *인생카페 돈앤독-ONCE 채널A TV 주치의 닥터 지바고 MC *똑똑해짐 -썰코치 *골프전야 SBS골 때리는 그녀들 KBS 1TV 신장개업 운동맛집(10.13). JTBC 쿡킹 참가자 MBC 에브리원 대한외국인 (164회 12.1) 2022년 MBN 《Battle inthe box》 MBC 《구해줘 홈즈》 148회 게스트 SBS 《하우스 대역전》 SBS PLUS 《open run》 MBC every1 《순수한 라이프》 MBC every1 《장미의 전쟁》 tvN 《줄 서는 식당》 - 특별 MC tvN 《도레미 마켓》 (7월 2일) *백반기행 (7월 15일 160회) SBS 《미우새》 7월 10일,7월 17일 채널S 《김구라의 라떼9》 (7월 27일) IHQ 킹받는법정 MBN 《camping in love》 채널A 새집은 처음이라 1.5 2023년 2023년 |JTBC 《아는형님》 (1월 14일,1월 21일) KBS2 《배틀트립2》(2월 11일, 2월 18일) EBS 1TV 오구오구 내새끼 내레이션 SBS PLUS 리얼로맨스고소한남녀 SBS 음악 여행: 플레이리스트 KBS2 일타 만물상점 TV조선 조선의 사랑꾼 = = 영화 출연 = = 《더 자이언트》 ... 녹순이 (목소리) 역 《럭키》 ... 팩녀(편집) 역 = = 드라마 출연 = = 2020년 JTBC 수목드라마 《우리, 사랑했을까》 ... 천억만의 북콘서트 진행자 역 2022년 KBS2 주말드라마 《현재는 아름다워》 ... 재판 원고 역 (특별출연) = = 라디오 = = KBS 2FM 《이소라의 가요광장》: 고정게스트 SBS 파워FM 《김창렬의 올드스쿨》: 고정게스트 KBS 2FM 《유인나의 볼륨을 높여요》: 임시 DJ (2014년 8월 1일~8월 3일, 9월 19일~9월 22일) MBC 표준FM 《별이 빛나는 밤에》: 고정게스트 SBS 러브FM 《언니네라디오》: 임시DJ(2018년 1월 29일 김숙대타) SBS 파워FM 《펀펀투데이》: 임시DJ(2018년 2월 19일~2월 24일) = = 유행어 = = = = =개그콘서트 = = = 알아요. - <9시쯤뉴스> 이 그지가 - <거지의 품격> 그 드라마 제가 할게요., 느낌 아니까!, 살쪄!, 나만 튀어보이게!, 어? 이건 뭐에요?, 잠깐만 사장님, 나 ~하는 거 몰라요? - <뿜 엔터테인먼트> 말 좀 한번에 좀 알아 들어요. - <사건의 전말> 뭐지? - <쉰밀회> 아인이 빨리 보고싶다! - <쉰밀회> 어머! 어머! 어머!, 두번의 실패는 없다. - <나는 킬러다> 아니 뭣들 하는거에요? - <욜로민박> 저걸 믿고 60 평생을 살았는데 - <욜로민박> 어디서 개수작이야! - <욜로민박> = = 광고 = = SK텔링크 국제전화 00700 롯데칠성음료 청하 하이로드 폰 - 김원효와 출연 LG유플러스 - 김민교와 출연 맥키스 진격삼국 직방 코코톡스 DTV KOREA 실내안테나 - 김준호·송해와 출연 농심켈로그 스페셜K 고스트게임즈 삼국무신 세종사이버대학교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 설현·지민와 출연 휴온스발효허니부쉬 LG생활건강 페리오펌핑치약 - 아내, 김준호, 박나래, 홍인규 등으로 출연 4ye 다이아몬드 쿠션 강화농특산물 = = 홍보대사, 기타활동 = = 제18대 대통령 취임식 진행자 정부 3.0 홍보대사 환경부 미세먼지 7가지 행동요령송(주부, 학생, 소년, 노인 4역) 인스타뷰티(InstaBeauty) 카피소드 우한TV-Hi漂亮 = = 수상 = = 연도 수상 내역 2006년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여자 신인상 2012년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여자 우수상 2013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개그부문 최우수상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여자 최우수상 2014년 제26회 《한국PD대상》 출연자상 코미디언부문 제20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희극인상 《KBS 연예대상》 쇼/오락부문 여자 최우수상 2015년 제52회 저축의 날 대통령 표창 2017년 제25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예능부문 여자 우수상 = 범관 = 범관(范寬)은 북송 초기의 산수화가이다. 이름은 중정(中正), 자(字)는 중립(仲立)이며, 산시(陜西) 화원(華原) 사람으로, 대범하고 침착한 성격으로 해서 ‘범관(范寬)’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원망(遠望)하더라도 좌외(座外)를 떠나지 않고 발밑으로부터 솟아오른 듯한 거대한 주산(主山)을 화면의 중앙에 배치하고, 5대(代)의 형호(荊浩)·관동(關同)의 당조(唐朝) 이래의 전통적인 화풍을 계승하였다고 간주된다. 산림(山林) 중에 종일 정좌(正坐)하고, 귀가 후에는 일실(一室)에 틀어박혀 마음으로 체득한 이미지에 따라서 제작하는 ‘흉중(胸中)의 구학(丘壑)’의 작화태도(作畵態度)는 범관으로부터 유래된다고 한다. = 분류:카타르 항공 = = 화원중학교 여자 축구부 = 화원중학교 여자축구단은 대한민국의 중학교 여자 축구단이다. = = 시즌별 개요 = = 시즌 대회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순위 1991 전국중고등학교축구선수권대회 4 1 0 0 1 1 2 -1 4강 = 윌리엄 C. 캠벨 (과학자) = 윌리엄 세실 캠벨(, 1930년 6월 28일 ~ ) 박사는 아일랜드의 생화학자, 기생충학자이다. 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다. = = 학력 = = 1948년 ~ 1952년:더블린대학교 트리니티칼리지 동물학 (학사) 1952년 ~ 1957년:위스콘신 대학교 기생충학 (박사) = = 생애 = = 캠벨은 1930년 아일랜드 더니골주 래멀턴에서 농장 공급자로 일하던 R.J. 캠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52년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동물학 1등급 학위를 받았고, 1957년에는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7년부터 1990년까지는 치료 연구를 위해 머크 연구소에 합류했고, 1984년부터 1990년까지는 시금 연구와 개발에 대한 수석 과학자 및 지휘자를 맡았다. 1962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2002년에는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일원으로 뽑혔다. 캠벨 박사님과 오무라 사토시 박사는 회충 기생으로 인한 감염을 막는 치료 연구로 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다른 수상자 한 명은 말라리아 치료 연구로 수상한 투유유) 캠벨 박사님은 195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어니스트 월턴 박사 이후 두 번째로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 아일랜드 과학자가 되었다. = 틀:Chembox NIOSH (set)/formatPocketGuideLink/설명문서 = =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 =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은 영국의 시인, 사상가, 디자이너인 윌리엄 모리스(1834년 - 1896년)가 주도한 디자인 운동이다. 미술공예운동 또는 예술 수공예 운동이라고도 한다. 1880년대부터 시작했다. 빅토리아 시대, 산업혁명의 결과로 대량생산에 따른 값은 싸지만 품질이 조악한 상품이 대거 유통되기 시작되었다. 모리스는 이러한 상황을 비판하며 중세의 수작업으로 돌아가 생활과 예술을 통일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해 모리스 상회를 설립하여 장식을 한 서적(켈름스코트 프레스)이나 인테리어 제품(벽지나 가구, 스테인드글라스) 등을 제작했다. 모리스 상회의 제품은 그러나 값이 비쌌던지라 결국 유복한 계층밖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럼에도 생활과 예술을 일치시키고자 했던 모리스의 사상은 각국에 큰 자극을 주어 아르 누보, 빈 분리파, 유겐트슈틸 등 각국 미술운동에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권진 = 권진(權軫, 1357년 공민왕 6년~1435년 세종 17년)은 고려 말기 경상도 의창현령, 조선 전기 찬성,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 = 생애 = =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호는 독수와(獨樹窩)이다. 아버지는 감찰규정(監察糾正) 권희정(權希正)이다. = 도시마구 = 도시마구는 일본 도쿄도에 있는 특별구의 하나이다. 비록 구라는 명칭을 쓰지만 하나의 시로 여겨진다. 구청은 이케부쿠로에 위치하며 도시마의 상업과 오락의 중심지이다. = = 지리 = = 도쿄 구부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네리마구, 이타바시구, 기타구와 접하고 남쪽으로 신주쿠구, 분쿄구와 접한다. 도시마 구의 총 면적은 13.01 km2이고 완만한 대지에 놓여있으며 고저의 차는 28m이다. 도시마의 48%가 주거 지역이고 20%가 상업과 공공 지역이다. = = 역사 = = 구는 1947년 3월 15일에 설립되었다. = = 인구 = = 구의 인구는 1965년에 37만 명으로 정점에 달했다가 이후 차츰 감소하였다. 2005년 12월에 구의 추정 인구는 252,011명이었고 최근에는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낮에는 통근자들의 유입으로 주간 인구는 약 43만 명이다. 외국인의 수는 15,516명으로 전체의 6.16%를 차지해 도쿄에서 가장 국제적인 구 중 하나였다. 외국인 인구 중 56%가 재일 중국인이었고 20%가 재일 한국인이었으며 재일 필리핀인이 그 뒤를 이었다. = = 경제 = = 세이유 그룹과 서점 체인인 리브로의 본사가 도시마에 있다. = = 교육 = = 가쿠슈인 대학 도쿄 음악대학 릿쿄 대학 다이쇼 대학 동경복지대학 = = 교통 = = = = = 철도 = = = 도시마 구의 철도 교통의 중심은 이케부쿠로역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사이쿄 선 쇼난 신주쿠 라인 야마노테 선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도쿄 도 교통국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6호선(미타 선) : (분쿄구) - 스가모 - 니시스가모 - (이타바시구) 아라카와 선 도쿄 지하철 도쿄 지하철 4호선(마루노우치 선) : (분쿄구) - 이케부쿠로 유라쿠초 선 난보쿠 선 = = 주요 인물 = = 마츠모토 준 = 1989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제55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1989년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작품상 = = = 나의 왼발 헨리 5세 - 케네스 브래너 수상 = = = 감독상 = = = 적 그리고 사랑 이야기 - 폴 마줄스키 수상 = = = 각본상 = = = 드러그스토어 카우보이 - 구스 반 산트 수상 드러그스토어 카우보이 - Daniel Yost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사랑의 행로 - 미셸 파이퍼 수상 = = = 남우주연상 = = = 나의 왼발 - 다니엘 데이 루이스 수상 = = = 여우조연상 = = = 적 그리고 사랑 이야기 - 레나 올린 수상 = = = 남우조연상 = = = 범죄와 비행 - 앨런 알다 수상 = = = 촬영상 = = = 똑바로 살아라 - 어니스트 R. 딕커슨 수상 = = = 다큐멘터리상 = = = 로저와 나 = = = 외국영화상 = = = 여자 이야기 = 분류:동굴성 사지동물 = = 제니퍼 여 넬슨 = 여인영(, 1972년 6월 13일 ~ )은 미국인 영화 감독이다. 쿵푸 팬더 2의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 Daydream Nation = Daydream Nation는 1988년 10월에 발매된 소닉 유스의 음반이다. = 손 오브 비스트 = = 분류:일본의 도시별 마천루 목록 = = 이세복 = 이세복(李世福, 1695년 ~ 1786년)은 조선 후기의 종친이다. 노론 백도(白徒) 중 한명으로, 임인사화(壬寅士禍, 임인옥사)에 연좌되었다. = = 생애 = = 본관은 전주, 휘는 세복(世福)이다. 덕흥대원군의 6대손이며, 제14대 선조의 백형 왕손 호성원종2등공신(扈聖原從二等功臣) 의헌공(懿獻公) 현록대부(顯祿大夫)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5대손이고, 종실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 증 현록대부(顯祿大夫) 당은군(唐恩君) 이인령(李引齡)의 현손이며, 종실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 증 정의대부(正義大夫) 응천군(凝川君) 이돈(李潡)의 증손이고, 통덕랑(通德郞) 증 이조판서(吏曺判書) 이석한(李錫漢)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연풍 현감(延豐縣監) 이홍수(李弘遂)이며, 어머니는 군수(郡守) 함안인(咸安人) 조봉원(趙逢源)의 딸로 의인 함안조씨(宜人 咸安趙氏)이다. 부인은 청송심씨(靑松沈氏)와 신평인(新平人) 이태형(李泰亨)의 딸로 신평이씨(新平李氏)이다. 연풍 현감의 홍수의 아들로 1695년(숙종 21) 11월 6일 탄생하였다. 노론의 백도(白徒)의 한명으로,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의 대립으로 일어난 임인사화(壬寅士禍) 때 숙부 충정공 이홍술(李弘述)과 5촌 조카(종질從姪) 도정궁 사손(嗣孫) 이명좌(李明佐)와 연좌되어 1722년(경종 2) 국청(鞫廳)에서 옥(獄)에 하옥되고, 이해 9월 12일 이세복은 조송(趙松)의 생질(甥姪)이며, 이홍술(李弘術)과는 삼촌 숙질(三寸叔姪)이 된다. 두 번째 형문(刑問)을 받으며 곤장 6도(度)만에 바른 대로 공초(供招)하기를, “지친(至親)인 까닭에 그 맡겼던 은자(銀子)를 전하여 줄 즈음에 과연 사환(使喚)한 일이 있었습니다. 지난해 12월 24일과 25일 사이에 이명좌(李明佐, 도정궁 사손(嗣孫))가 벽장(壁莊)에서 은화(銀貨) 2백 냥을 내어 그의 종 구음법응(九音法應)에게 봉하여 주고, 또 저로 하여금 데리고 가게 하면서 저에게 말하기를, ‘육현(陸玄)의 일은 이제 장차 현덕명(玄德明)을 잡아서 묻는다고 하는데, 잡언(雜言)의 폐해가 있을까 두려우니, 너는 이 은화(銀貨)를 너의 외숙(外叔)에게 전해 주고, 현덕명에게 뇌물(賂物)을 주어 꾀어내도록 하라.’고 하므로, 제가 과연 그 말에 의하여 그 은화(銀貨)를 조송에게 전하여 주었습니다. 금년 4월 이후에 적삼촌(嫡三寸)이 국청(鞫廳)에 옮겨 갇혔으므로 제가 이명좌와 연결하여 같이 의막(依幕)에 갔더니, 그때에 장세상이 바야흐로 국청에 들어갔었습니다. 이명좌가 마음으로 그윽이 근심하여 저에게 말하기를, ‘지난번에 너로 하여금 조송에게 전하게 한 은자(銀子)는 현덕명에게 보낸 물건이 아니고, 그 실제로는 장세상에게 들여 보낸 것이다.’ 하였는데, 이 일은 대개 종조(從祖)를 위하여 앙화(殃禍)를 늦추려는 계책으로서, 내간(內間)에서 주선(周旋)하게 하고자 한 것이며, 시사(時事)에도 또한 대답한 바가 없지 않은 까닭이었습니다. 이제 국옥(鞫獄)이 바야흐로 벌어져 혹 드러날 단서가 없지 않으니, 진실로 매우 염려스럽습니다. 제가 전에 가져갔던 은자(銀子)가 과연 장세상에게 쓴 것임을 비로소 알았으니, 교통하며 정상(情狀)을 알았던 죄(罪)를 지만(遲晩)합니다.”하니, 1등을 감하여 장(杖) 1백에 유(流) 3천 리에 처하였다.경종 9권, 2년(1722 임인 / 청 강희(康熙) 61년) 9월 12일(갑오) 2번째기사 이해 9월 14일 정언(正言) 조익명(趙翼命)이 아뢰기를, “간원에서 이세복(李世福)을 감사(減死)하여 절도(絶島)에 정배(定配)하기를 계청하였습니다.”하니, 경종이 이르기를, “번거롭게 하지 말라.”하였다. 이해 9월 17일 계속 유배 할 것을 주청하자 할 수 없이 경종은 이해 9월 18일 흥양현(興陽縣)의 나로도(羅老島)에 유배하도록 하였다. 영조 즉위 후 1725년(영조 1) 3월 6일 연좌되었던 친척 이명회(李明會, 도정궁 사손)·이명익(李明翼)·이홍매(李弘邁)·이홍선(李弘選)·이세유(李世裕) 등과 같이 신설(伸雪)되고, 의망(擬望)하라 하여 모두 서용(敍用)되었다. 1786년(정조 10) 12월 20일 향년 92세로 별세하여 적성현 내면 무산 을좌로 장사지냈다. = = 가족관계 = = 증조부: 종실 응천군 이돈(凝川君 李潡, 1579년 ~ 1617년),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 조부: 이석한(李錫漢, 1614년-1677년) 아버지: 이홍수(李弘遂, 1669년-1723), 임인사화 연좌. 어머니: 의인 함안조씨(宜人 咸安趙氏), 군수(郡守) 함안인(咸安人) 조봉원(趙逢源)의 딸. 1부인: 청송심씨(靑松沈氏, 1695년-1714년) 2부인: 신평이씨(新平李氏, 1732년-1802년), 신평인(新平人) 이태형(李泰亨)의 딸. 아들: 이명일(李明一, 1716년-1802년) = 분류:몰디브의 스포츠인 = = 캐니어닝 = 캐니어닝은 계곡 (캐니언)에서 급류를 타고 내려가는 스포츠이다. = 길천리 = 길천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길천리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길천리 = 분류:1800년 회화 작품 = = 스카이랜더 아카데미 = 스카이랜더 아카데미(Skylanders Academy)는 비디오 게임 시리즈 Skylanders를 기반으로 팀투(TeamTO)와 액티비전 블리자드 스튜디오가 제작한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다. 첫 번째 시즌은 2016년 10월 28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다. = = 등장 캐릭터 = = 스파이로 (배역: 저스틴 롱) 다크 스파이로 (배역: 제이슨 리터) 이럽터 (배역: 조너선 뱅크스) 닌자 엘프 (배역: 애슐리 티스데일) 이언 스승 (배역: 크리스 다이아먼토폴로스) 팝 피즈 (배역: 보브캣 골드스웨이트) 페퍼 잭 (배역: 존 디마지오) 제트백 (배역: 그레그 엘리스) 울프 갱 (배역: 제임스 헷필드) 캐오스 (배역: 리처드 스티븐 호비츠) 글럼생스 (배역: 놈 맥도널드) = = 에피소드 = = = = = 시리즈 개요 = = = = = = 시즌 1 = = = = 분류:네덜란드의 프로레슬링 = = 분류:연도별 세팍타크로 = = 새크라멘토 리퍼블릭 FC = 새크라멘토 리퍼블릭 FC(Sacramento Republic Football Club)는 유나이티드 사커 리그에 소속된 미국의 프로축구단으로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를 연고지로 하고 있으며 파파 머피스 파크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22시즌부터 메이저 리그 사커에 참가할 예정이다. = = 역대 홈경기장 = = 경기장 사용기간 장소 팀명 비고 파파 머피스 파크 2014년~현재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새크라멘토 리퍼블릭 FC 보니 필드 (2014년~2017년) 레일야즈 스타디움 2023년~미래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새크라멘토 리퍼블릭 FC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라파엘 하우레기(2020 ~ ) 러셀 시스론(2023 ~ ) 로드리고 로페즈(2014 ~ 2015, 2020, 2022 ~ ) 케코(2022 ~ ) = = 메이저 리그 사커 제휴팀 = = 없음 = 셰자룽 (축구 선수) = 셰자룽(, , 1999년 9월 4일~)은 홍콩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현재 홍콩 프리미어리그의 다푸 FC 소속으로 뛰고 있다. = 국제간호협의회 = 국제간호협의회(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國際看護協議會, 약칭 ICN)는 국제적 간호사 단체이다. 사상·종교·정치를 초월한 순수한 전문단체이다. 1899년 영국의 펜위크(Bedford Fenwick) 여사에 의해 창설되었고,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각 회원 협회가 자국의 간호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조언·원조 등을 한다. 한 주권국에서 한 회원국만을 인정하며 그 나라의 간호교육 기준, 간호업무의 수준, 직업윤리의 상황을 회원국 자격 심사의 골자로 삼는다. 2012년 기준 135개국의 정회원국이 있으며, 이 회원국의 130만 명이 넘는 모든 회원들은 자동적으로 ICN 회원이 되며, 회원은 4년마다 열리는 국제 대회에 참석할 권한이 있다. = 남방가재과 = 남방가재과(Parastacidae)는 남반구에서 발견되는 민물 가재과의 하나이다. 이 과는 일종의 곤드와나 분포를 보여주며, 현존하는 종은 남아메리카와 마다가스카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그리고 뉴기니에 분포하고, 남극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 = 하위 속 = = Aenigmastacus Astacoides Astacopsis Cherax Engaeus Engaewa Euastacus Geocherax Gramastacus Paranephrops Parastacoides Parastacus Samastacus Tenuibranchiurus Virilastacus = 허긴스 = 허긴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윌리엄 허긴스(William Huggins, 1824 - 1910) : 영국의 천문학자 찰스 브렌턴 허긴스(Charles B. Huggins, 1901 - 1997) : 미국의 의학자 = 정산면 = 정산면(定山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청양군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광생리 남천리 내초리 대박리 덕성리 마치리 백곡리 서정리 송학리 신덕리 역촌리 와촌리 용두리 천장리 학암리 해남리 = 천년고도 = 천년고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경주 하노이 = 여객수송률 = 여객수송률(Passenger load factor), 간단하게 수송률(load factor)은 항공편, 여객 철도, 시외버스 등의 대중교통에서 사용하는 설비 가동률이다. 이 수치는 교통사업자에게 좌석점유율 및 운임 수익 계산을 편리하게 해준다. 국제 항공 운송 협회에 따르면, 2013년 전 세계 여객 항공 산업의 평균 여객수송률은 79.5%였다. = = 계산 예 = = 여객수송률은 현재 점유중인 승객-km를 이용 가능한 좌석-km로 나눈 비율인 무차원 상수이다. 예를 들어, 한 항공사가 각각 200km를 여행하는 100석의 정기 항공편을 5편 만들었는데, 각각의 비행편이 60장 팔렸다고 하자. 그러면 여객수송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따라서 이날 항공편이 60,000 승객-km에 100,000 좌석-km를 여행할 때 전체적인 여객수송률은 0.6(60%)이다. = 분류:흑자체 글꼴 = 이 분류에는 텍스투라, 프락투어, 로툰다, 슈바바허 종류를 포함한 흑자체 글꼴이 포함되어 있다. = 자기만의 인생 = 자기만의 인생(Vivre sa vie : film en douze tableaux)은 1962년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이다. 1962 베네치아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 수상작이다. = = 줄거리 = = 배우가 되기를 꿈꾸지만 점점 매춘의 세계에 빠져드는 나나의 이야기를 12편의 단편을 통해 보여준다. = = 스탭 = = 시나리오 - 장뤼크 고다르, 마르셀 사코트 음악 - 미셸 르그랑 사진 - 라울 쿠타르 편집 - 장뤼크 고다르, 아녜스 기유모 나나 - 아나 카리나 = = 출연 = = = = = 주연 = = = 안나 카리나 사디 레보트 안드레 S. 라바르트 = = = 조연 = = = 피터 카소비츠 폴 파벨 헨리 아탈 라스즐로 스자보 = = 기타 = = 원작자: 마르셀 사코트 의상: 크리스티앙 파지 = = 수상 = = 1962년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상 = 분류:미국의 군별 도시 = = 분류:토막글급 마카오 문서 = = 완위안시 = 완위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다저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4065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90,000명이다. = = 기후 = = 연평균 기온은 14.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이다. = = 행정 구역 = = 12개 진, 40개 향을 관할한다. 진: 太平镇, 青花镇, 旧院镇, 罗文镇, 河口镇, 草坝镇, 竹峪镇, 大竹镇, 黄钟镇, 官渡镇, 白沙镇, 沙滩镇. 향: 茶垭乡, 长石乡, 白羊乡, 铁矿乡, 固军乡, 井溪乡, 堰塘乡, 蜂桶乡, 花楼乡, 长坝乡, 曾家乡, 大沙乡, 秦河乡, 庙垭乡, 鹰背乡, 石窝乡, 玉带乡, 新店乡, 魏家乡, 柳黄乡, 溪口乡, 永宁乡, 虹桥乡, 康乐乡, 白果乡, 钟停乡, 庙子乡, 紫溪乡, 庙坡乡, 梨树乡, 皮窝乡, 丝罗乡, 罐坝乡, 石人乡, 赵塘乡, 中坪乡, 八台乡, 花萼乡, 曹家乡, 石塘乡. = 틀:Freedesktop.org = = 덴랴쿠 = 덴랴쿠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다. 전후 : 덴교(天慶) 이후 - 덴토쿠() 이전. 시기 : 947년 ~ 956년 천황 : 무라카미 천황 = = 개원 = = 덴교 10년 4월 22일(율리우스력 947년 5월 15일)에 개원하여 덴랴쿠 11년 10월 27일(율리우스력 957년 11월 21일) 덴토쿠로 개원되었다. = = 출전 = = 『논어』의 「天之暦數在爾躬」에서 출전했다. = = 덴랴쿠 시기에 일어난 일 = = 원년 4월 26일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모로스케 형제가 좌대신・우대신으로 승진하였다. 이로써 아버지인 관백 겸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와 함께 태정관(太政官)의 윗자리를 독점하게 되었다. 6월 26일 : 세이사이타이쇼군()으로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해적단을 토벌한 공을 세웠던 참의() 겸 민부경() 후지와라 노 다다부미가 사망했다. 3년 8월 14일 : 914년(엔기 14년) 이래 오랫동안 태정관의 수장이었던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사망하여, 데이신코(貞信公)란 시호가 추증되었다. 9월 29일 : 요제이 상황이 사망하였다. 요제이 상황이 상황 자리에 65년간 재위한 기간은 일본사에서는 1위로, 2위인 레이제이 천황의 기간에 비해 월등히 길다. 4년 무라가미 천황과 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큰딸 후지와라노 안시 사이에서 노리히라 친왕이 태어나다. 노리히라 친왕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태자가 되었으며, 이후 레이제이 천황으로 즉위한다. = = 서력과의 대조표 = = 덴랴쿠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기(西紀) 947년 948년 949년 950년 951년 952년 953년 954년 955년 956년 간지(干支)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덴랴쿠 11년 서기(西紀) 957년 간지(干支) 정사(丁巳) = 틀:서울특별시의 중학교 = = 강릉중앙고등학교 축구부 = 강릉중앙고등학교 축구부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축구부이다. 강릉중앙고등학교가 운영하는 U-18 축구부이며, 1935년에 창단되었다. = = 시즌별 성적 = = 시즌 대회 승점 순위 1989 춘계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 40 = 조독 수호 통상 조약 = 조독 수호 통상 조약(朝獨修好通商條約) 또는 대조선국 대덕국 통상 조약(大朝鮮國大德國通商條約)은 1883년 11월 26일 조선과 독일 제국 사이에 체결된 통상조약이다. 이 조약이 기록된 3권(한문판, 영문판, 독문판)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10호이다. = = 배경 = = 독일이 조선과 교섭을 시작한 것은 1870년(고종 7년)부터로, 당시 일본 도쿄 주재 독일 대리공사 본 브란트(Von Brandt)는 조선에 들어와 통상을 교섭하려 했으나 쇄국정책을 고집하고 있던 조선 정부는 이를 거절하였다. 그 후 1882년(고종 19년) 미국이 조선과 통상조약의 체결이 성공되고 조선과 영국간에 수교가 진전되자, 당시 주청(駐淸) 독일공사로 전근되었던 폰 브란트는 북양아문의 서리직례총독(署理直隸總督)(직례(直隸) 총독서리) 장수성(張樹聲)을 찾아 영국공사 파크스의 전례대로 조·미조약에 따르겠다는 전제 아래 소개장을 받았다. 1882년 6월 30일에 인천에 당도하여 청국도원인 마건충(馬建忠)의 알선으로 조선의 전권대신 조영하(趙寧夏)·부관 김홍집(金弘集) 등과 교섭, 1883년(고종 20년) 14관(款)에 걸친 조·독수호통상조약에 조인하였다. 조독 수호 통상 조약과 3관(款)의 부속통상장정, 3관의 세칙장정·세칙· 3관의 선후속약에 조인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 조약은 비준을 얻지 못하였고, 1883년 11월 26일 독일전권대신 주(駐)요코하마 독일총영사 에드워드 잡페(Edward Zappe)와 조선전권대신 민영목간의 수정을 거친 뒤, 이듬해 음력 10월 27일 정식으로 조인되어 1884년 11월 8일에 서울에서 비준이 교환되었다. 조약의 중요한 내용은 우호 관계의 유지, 최혜국 대우, 선박의 왕래 및 관세 규정, 치외법권의 인정, 밀무역의 금지, 특권에 대한 균등한 참여 등으로 이에 따라 1884년(고종 21년)에는 독일 총영사가 부임하였다. = = 내용 = = ≪대조선국대덕국통상조약≫은 고종 21년(1884) 11월 18일 조선과 독일 사이에 수교된 전문 13조의 통상조약문으로 조덕통상조약(朝德修好通商條約), 부속통상장정(附續通商章 程), 세칙(稅則), 세칙장정(稅則章程), 선후속조(善後續條)의 한문 필사본 1책 32장(국립귀 647, 청구기호 0234-2-16), 영문(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ermany and Corea) 필사본 1책 45장(귀 649, 청구기호 0234-2-18). 독어(Freundschafts-und-Handels-Vertrag-Zwischen dem Deutschen Reich und Korea) 필사본 1책 45장(귀 648, 청구기호 0234-2-17)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조약의 중요 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조미통상조약에 비하여 유리한 점은 첫째, 외교사절과 영사는 조선 내를 자유로이 여행할 수 있고, 조선은 그들의 여행을 보호할 것. 둘째, 조선인의 도망범인은 독일관청이 체포하여 조선측에 인도하여야 하며, 조선 관헌은 함부로 독일상선과 주택에 침입하는 것을 불허한다. 셋째, 부산·인천·원산·양화진을 독일 상민의 무역에 개항할 것. 넷째, 개항장에서 독일상민은 신교의 자유를 가질 것. 다섯째, 독일상민은 일정한 행정구역에서는 여행권이 없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을 것. 여섯째, 독일군함은 개항장 여부를 불문하고 조선 내 어디든지 정박하고 또 선원의 상륙을 허용할 것 등이다. 이 조약 역시 조영조약과 마찬가지로 조선에 불리한 점이 많았다. 이 조약의 본문은 13조인데, 제1조는 양국간의 평화·친교·생명과 재산의 보호, 조약 당사국과 제삼국간의 분쟁에 관한 조정건 등 2개항, 제2조는 양국의 외교 대표 임명과 주재 등에 관련한 3개항, 제3조는 조선에 머무는 독일인의 생명 과 재산에 미치는 재판 관할권을 독일 재판당국에 위임하는 사항과 관련된 10개항, 제4조는 인천·원산·부산·양화진의 개항에 관련한 7개항, 제5조는 각국이 무역하는 상품의 관세에 대한 8개항, 제6조는 밀수입 상품에 대한 벌금에 관한 조항, 제7조는 양국 선박 중 난파선의 구조와 보호에 관한 5개항, 제8조는 양국의 군함이 각 항구에 입항할 때 그 처리와 관련한 4개항, 제9조는 양국의 교사와 통역의 임명과 학문교류에 관한 2개항, 제10조는 본 조약 실시일로부터 영국인의 특권면제와 수출입 관세에 관계되는 이권 등에 관한 사항, 제11조는 본 조약은 10년간의 유효성을 인정한 조항, 제12조는 본 조약은 독일문·영문·중국어로 작성할 것과 독일이 조선에 발송하는 일체의 공용통신에는 중국문 역문을 첨부할 것 등에 관한 2개항, 제13조는 서명·조인에 관한 비준서는 가능한 한 1년 이내에 서울에서 교환하기로 약정한 조항이다. 부속통상장정은 3조로 되어 있는데, 제1조는 선박의 출입항 수속에 관한 7개항, 제2조는 하물의 양육(揚陸) 적재 및 납세에 관한 10개항, 제3조는 세관 수입 보호에 관한 5개항으로 되어 있다. 세칙장정은 3조인데, 제1조는 수입품의 가격계산은 생산지에서의 원가에 운임 과 보험 등의 비용을 부가한 것을 기초로 할 것, 제2조는 관세납부는 일본은원(日本銀圓) 혹은 멕시코은화(墨西哥銀貨)로 할 것, 제3조는 세율의 종가세는 양국관할관청의 협정에 의하여 가급적 종양세로 한다. 세칙은 진구화(進口貨: Import Tariff)와 출구화(出口貨: Export Tariff)로 나누었다. 진구화는 6등급으로 나누어 제1등 면세화물, 제2등 치백추오화물(値百抽五貨物), 제3등 치백추칠오화물(値百抽七五貨物), 제4등 치백추십화물(値百抽十貨物) 제5등 치백추이십화물(値百抽二十貨物), 제6등 위금화물(違禁貨物)로 하였고, 출구세는 제1등 면세화물과 제2등 치백추오화물(値百抽五貨物)로 나누어 규정하였다. 선후속약(Protocol)은 이 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전권사절이 기재한 부록의 3조항이다. 제1조항은 이 조약의 제3조에 관하여 선언된 내용으로, 조선에 있어서 독일 국민에 대한 치외법권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고, 제2조는 제4조에 관하여 선언된 내용으로 중국정부가 차후 한성에서 상업개설에 관한 허여된 권리를 양도한다면, 동일한 조건에서 어떤 타국의 국민에게 조선정부가 승인하지 않는 조건에서 독일국민에 대하여 요구하지 않을 것임을 약속한 것이다. 제3조는 제13조에 관하여 선언된 내용으로 현 의정서는 조약과 동시에 실시하며 조약이 비준되는 순간부터 유효하고, 현 의정서는 독·영·중의 3개국 문서로 작성한다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 황산초등학교 (경남) = 황산초등학교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8년 1월 10일 황산초등학교 설립인가(30학급) 2008년 3월 1일 황산초등학교 개교(24학급 636명) 2008년 3월 1일 초대 김영길 교장 취임 2009년 9월 14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교원능력개발평가 시범학교(하반기) 2010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금연 솔선수범학교 운영 2010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2009개정교육과정 지역중심학교 2010년 9월 1일 제2대 신홍재 교장 취임 2010년 12월 8일 경상남도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2010년 12월 15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학력향상 우수학교 선정 2010년 12월 23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화 우수학교 선정 2011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Safe School 정책연구학교 운영 2011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주5일수업제 시범학교 운영 2011년 12월 8일 교육과학기술부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2011년 12월 12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학력향상 우수학교 선정 2011년 12월 30일 재난대응 안전한국 훈련 우수기관 소방방재청장 표창 2012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IPTV시범학교 운영 2012년 3월 1일 창의경영학교(사교육절감형) 운영 2012년 11월 13일 소방안전교육 우수기관 경상남도지사 표창 2012년 11월 30일 학교건강증진사업 경연대회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2012년 12월 13일 경남교육모델학교 꿈나르미 학교 선정 2012년 12월 31일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선정 2013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교육과정(인성교육) 정책연구학교 운영 2013년 3월 1일 창의경영학교(사교육절감형) 운영 2013년 3월 1일 경남교육모델학교 꿈나르미 학교 운영 2013년 4월 10일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교육부 벤치마킹 우수학교 선정 2013년 10월 7일 2013 교육장기 초·중학생 육상대회 종합우승 2013년 12월 3일 2013 대한민국인성교육실천한마당 참가(12월 3일~5일, 서울 aT센터) 2013년 12월 4일 2013 경상남도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2013년 12월 23일 학년군별 인성교육프로그램 우수프로그램 교육부 인증 2014년 2월 19일 제6회 졸업장 수여식 176명 졸업(총 976명) 2014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교육과정(인성교육) 정책연구학교 운영 2014년 3월 1일 창의경영학교(사교육절감형) 운영 2014년 3월 21일 창의경영학교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패 수상 2014년 7월 17일 2014 대한민국 행복학교박람회 전시학교 참가(7월 17일~19일, 일산 KINTEX) 2014년 10월 23일 EBS 행복한 교육세상 <행복교과서로 자라는 인성-황산초등학교> 방영 2014년 12월 4일 2014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 수상 = 분류:심리 드라마 영화 = = 분류:줄다리기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덮개 (위상수학) = 수학에서 덮개는 합집합이 전체 집합인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이다. = = 정의 = = 집합 X의 덮개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족 \mathcal C\subseteq\mathcal P(X)이다. X의 덮개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집합 X의 덮개 \mathcal C의 부분 덮개 \mathcal D는 \mathcal D\subseteq\mathcal C인 X의 덮개이다. 유한 덮개는 유한 집합인 덮개이다. 가산 덮개는 가산 집합인 덮개이다. 집합 X의 덮개 \mathcal C\in\operatorname{Cover}(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점별 유한 덮개(點別有限-, )라고 한다.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C\in\mathcal C\colon C\ni x\}는 유한 집합이다. = = = 세분 = = = 두 덮개 \mathcal C,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만약 임의의 C'\in\mathcal C'에 대하여 C'\subseteq C\in\mathcal C가 존재한다면, \mathcal C'을 \mathcal C의 세분 이라고 하고, \mathcal C'\lesssim\mathcal C으로 표기한다. 이는 X의 덮개들의 집합 위의 원순서를 이룬다. = = = 성형 세분 = = = X의 덮개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부분 집합 S\subseteq X의 \mathcal C-별은 다음과 같다. 덮개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mathcal C의 성형 폐포 를 정의하자. 이 역시 X의 덮개를 이룬다. 두 덮개 \mathcal C,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만약 \mathcal C'^\star\lesssim\mathcal C라면, \mathcal C'을 \mathcal C의 성형 세분(星形細分, )이라고 한다. 덮개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mathcal C의 무게 중심 폐포 를 정의하자. 이 역시 X의 덮개를 이룬다. 두 덮개 \mathcal C, \mathcal C'가 주어졌을 때, 만약 \mathcal C'^{\operatorname{b}}\lesssim\mathcal C라면, \mathcal C'을 \mathcal C의 무게 중심 세분(-中心細分, )이라고 한다. = = 성질 = = = = = 함자성 = = = 임의의 덮개 \mathcal C, \mathcal C'에 대하여, 이라면 이다. 즉, 원순서 집합 (\operatorname{Cover}(X),\lesssim)을 작은 범주로 간주하였을 때, 는 함자를 이룬다. = = = 함의 관계 = = = 집합 X 위의 덮개 \mathcal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같은 집합 위의 두 덮개 \mathcal C, \mathcal C'에 대하여, 만약 \mathcal C'이 \mathcal C의 부분 덮개라면 \mathcal C'은 \mathcal C의 세분이다. 만약 \mathcal C'이 \mathcal C의 성형 세분이라면 \mathcal C'은 \mathcal C의 무게 중심 세분이다. 만약 \mathcal C'이 \mathcal C의 무게 중심 세분이라면 \mathcal C'은 \mathcal C의 세분이다. 만약 \mathcal C'이 \mathcal C의 무게 중심 세분의 무게 중심 세분이라면 \mathcal C'은 \mathcal C의 성형 세분이다. 즉,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무게 중심 세분의 무게 중심 세분 ⇒ 성형 세분 ⇒ 무게 중심 세분 ⇒ 세분 ⇑ 부분 덮개 = = = 반사성 = = = 부분 덮개 관계는 부분 순서를 이룬다. 세분 관계는 일반적으로 부분 순서가 아니지만 항상 원순서를 이룬다. 그러나 성형 세분 관계와 무게 중심 세분 관계는 일반적으로 반사 관계가 아니므로 원순서가 아니다. 집합 X 위의 임의의 덮개 \mathcal C\in\operatorname{Cover}(X)에 대하여 이다. 집합 X 위의 덮개 \mathcal C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 \mathcal C^\star\lesssim\mathcal C이다. 서로소이다. 즉, 임의의 C,D\in\mathcal C에 대하여 C\ne D라면 C\cap D=\varnothing이다. 집합 X 위의 덮개 \mathcal C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 \mathcal C^{\operatorname{b}}\lesssim\mathcal C이다. 임의의 부분 집합 \mathcal D\subseteq\mathcal C에 대하여, 만약 \bigcap\mathcal D\ne\varnothing이라면, \mathcal D는 상계 \mathcal C\ni\bar D\supseteq\bigcup\mathcal D를 갖는다. = = = 유한 집합의 덮개 = = = 크기 n의 유한 집합의 덮개의 수는 다음과 같다. 이는 항상 짝수인데, 이는 항상 공집합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덮개들의 집합 \operatorname{Cover}(X)은 부분 덮개 관계에 대하여 부분 순서 집합 (\operatorname{Cover}(X),\subseteq)을 이룬다. 그 극소 원소 가운데, 크기가 k인 것들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textstyle\binom nk는 이항 계수이며, \textstyle\{{n\atop k}\}는 제2종 스털링 수이다. 그 값들은 다음과 같다. n╲k 1 2 3 4 5 6 7 8 1 1 2 1 1 3 1 6 1 4 1 25 22 1 5 1 90 305 65 1 6 1 301 3410 2540 171 1 7 1 966 33621 77350 17066 420 1 8 1 3025 305382 2022951 1298346 100814 988 1 = = 응용 = = = = = 콤팩트 공간 = = = 집합 X가 위상 공간의 구조를 가질 때, X의 열린 덮개는 열린집합만으로 구성된 덮개이다. 위상 공간 X의 열린 덮개 \mathcal U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mathcal U를 국소 유한 열린 덮개라고 한다.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U\in\mathcal U\colon V\cap U\ne\varnothing\}가 유한 집합인 근방 V\ni x가 존재한다. 콤팩트성에 관련된 위상 공간의 다양한 개념들을 "모든 열린 덮개는 ~을 갖는다"의 꼴로 정의할 수 있다. 개념 정의: 모든 열린 덮개가 ~를 가진다. 콤팩트 공간 유한 부분 덮개 (또는 유한 열린 세분) 린델뢰프 공간 가산 부분 덮개 파라콤팩트 공간 국소 유한 열린 세분 메조콤팩트 공간 콤팩트 유한(compact finite) 열린 세분 메타콤팩트 공간 점별 유한 열린 세분 직교 콤팩트 공간 내부 보존(interior preserving) 열린 세분 하우스도르프 공간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모든 열린 덮개는 열린 성형 세분을 갖는다. 모든 열린 덮개는 열린 무게 중심 세분을 갖는다. = = = 균등 공간 = = = 균등 공간의 개념은 성형 세분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 = = = 체흐 코호몰로지 = = = 열린 덮개가 주어진 위상 공간 위의, 아벨 군 값의 층에 대하여, 체흐 코호몰로지라는 코호몰로지 이론을 정의할 수 있다. 만약 열린 덮개가 충분히 섬세하다면, 이는 층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 = 예 = = = = = 분할 = = = 임의의 집합 X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덮개를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둘 다 부분 덮개 관계에 대하여 극소 원소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X의 집합의 분할은 항상 덮개를 이루며, 이는 부분 덮개 관계에 대하여 극소 원소이다. = = = 거리 공간 = = = 거리 공간 (X,\operatorname{dist}_X)에서, 임의의 양의 실수 \epsilon>0에 대하여 덮개 를 정의하자. 여기서 는 거리 공간의 지름을 뜻한다. 그렇다면,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에 대하여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아르한겔스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고바야시 다카유키 = 고바야시 다카유키(小林鷹之, 1974년 11월 29일 ~ 일본 지바현 이치카와시)는 일본의 정치인이며 자유민주당 소속의 중의원 (4선)이다. 지역구는 지바현 제2구이다. = 분류:대륙별 등산 = = 분류:토막글급 그리스 문서 = = 구이정 = 구이정(久井町)은 히로시마현 미쓰기군에 존재했던 정이다. 2005년 3월 22일에 미하라시 가모군, 다이와정, 도요타군 혼고정과 함께 합병해 미하라시에 이관됨에 따라 소멸하였다. = = 역사 = = 1954년 - 3촌이 대등합병해 구이정이 되었다. (당시인구는 9.050명) 2005년 - 미하라시, 가모군 다이와정, 도요타군 혼고정과 함께 합병해 미하라시 구이정이 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 = 분류:폴란드에 관한 목록 = = NHK 뉴스 오하요 시마네 = NHK 뉴스 오하요 시마네(おはよう島根)는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제작되어 NHK 마쓰에 방송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아침 뉴스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소개 = = NHK 뉴스 오하요 시마네(おはよう島根)은 매주 월 ~ 금 오전 7시 45분부터 8시까지 15분 동안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출근 시간 시마네 현의 소식을 전하는 로컬 뉴스 프로그램인데 매년 2월 22일 다케시마의 날이 되면 평소와 다름없이 소식을 한다. = = 방송 시간 = = 매주 월 ~ 금 오전 7시 45분 ~ 8시(15분) 7시 45분 ~ 51분까지 NHK 마쓰에 방송국 아나운서가 진행 * 이후 7시 51분부터 8시까지는 주코쿠 지방과 산인 지방을 관리하고 있는 NHK 히로시마 방송국에서 NHK 뉴스 오하요 히로시마의 아나운서가 진행을 한다. = 분류:고마쓰시마시의 철도역 = = 2 데이즈 인 뉴욕 = 2 데이즈 인 뉴욕(2 Days in New York)은 2012년 공개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줄리 델피 크리스 록 = = = 조연 = = = 알렉시아 랜도 알렉상드르 나혼 알버트 델피 케이트 버튼 딜란 베이커 맬린다 윌리엄스 알렉스 마넷 펀 밴두 타렌 루스 릴리 = = 기타 = = 프로듀서: 스콧 플랭클린 프로듀서: 울프 이스라엘 프로듀서: 크리스토페 마조디에르 프로듀서: 장-자끄 나이라 프로듀서: 허버트 토인트 의상: 레베카 호프허 섭외: 제시카 켈리 섭외: 수잔느 스미스 = 석경당 = 진 고조 석경당(晉高祖 石敬瑭, 892년 3월 30일(음력 2월 28일) ~ 942년 7월 28일(음력 6월 13일))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진의 초대 황제이다. 후진은 오대십국 시대 중반기의 세 왕조를 이룬 사타 계열의 세 세습 왕조(후당・후진・후한) 중에서 두번째 왕조였다. 절일은 천화절(天和節)이다. = = 생애 = = 출신은 사타족(沙陀)으로 타이위안(太原)에 거주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아버지 석소옹(石紹雍)은 이극용(李克用)을 정벌한 공에 의해서, 명주자사(洺州刺史, 명주는 현재의 허베이성)로 임명되었다. 어린 시절에 이사원(李嗣源, 후당 명종)에 인정받아 사위가 되었다. 동광 4년(926년)의 위주(魏州) 방위를 맡았고, 석경당은 이사원과 함께 변주(汴州)로 이동하였고, 그 후 낙양을 공격했다. 이사원이 즉위한 후, 석경당은 보의(保義), 선무(宣武), 하동(河東) 지방의 절도사를 역임하였다. 그 후, 이종가(李從珂)가 이종후를 폐위하여 황제로 즉위하면서, 석경당의 세력을 경계하게 되어, 천평군 절도사(天平軍節度使)로 좌천되었다. 그 후, 국내의 반란에 틈을 타서 거란족을 이용하여 황제를 자칭한 후에, 거란족의 군사를 이용해 936년에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後晉)을 건국했다. 즉위 후에 연운십육주를 요나라에 바치고 매년 30만필의 비단을 조공하는 조약을 맺어, 석경당보다 10세 연하의 야율덕광을 「아버지 황제」라고 칭하고, 스스로를 「아들 황제」라고 칭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방식에 불만을 가진 안중영(安重榮)과 경연광(景延廣)등의 세력과 굴욕적이지만 현 상태를 유지하여 그 동안 국력을 안정시켜 이어가자는 상유한(桑維翰)의 세력이 격렬하게 대립했다. 후에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인 유지원(劉知遠)이 토욕혼(吐谷渾)에게 투항을 하였기 때문에, 자주 거란으로부터 문책을 받아 942년에 분사하였다. = = 후세의 평가 = = 석경당은 황제의 지위를 얻기 위해 요나라에 종속한 것도 모자라 연운 16주의 영토를 거란(요나라)에 내주었고, 후세에 특히 민족주의가 높아진 근대에 매국노의 전형으로 남송의 진회(秦檜) 등과 함께 비난을 받았다. = = 존호, 시호, 묘호, 능호 = = 존호는 요나라에 받은 존호로영무명의황제(英武明義皇帝)이다. 시호는 성문장무명덕효황제(聖文章武明德孝皇帝)이며, 묘호는 고조(高祖)이며, 능호는 현릉(顯陵)이다. = = 가족 관계 = = = = = 조부모와 부모 = = = 조부 : 예조(睿祖) 효평황제(孝平皇帝) 석욱(石昱) 조모 : 효평헌황후(孝平獻皇后) 미씨(米氏) 부친 : 헌조(憲祖) 효원황제(孝元皇帝) 석소옹(石紹雍) 모친 : 효원의황후(孝元懿皇后) 하씨(何氏) = = = 형제 = = = 송왕(宋王) 석경유(石敬儒) - 석중귀의 부친. 석중귀 즉위 후 송왕으로 추봉됨. = = = 후비 = = =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황후(皇后) 이씨(李氏) 영녕공주(永寧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황태후(皇太后) 941년 ~ 942년 ? ~ 950년 = = = 황자 = = =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담왕(郯王) 석중윤(石重胤) ? ~ 936년 섬왕(剡王) 2 괵왕(虢王) 석중영(石重英) ? ~ 936년 3 초왕(楚王) 석중신(石重信) 918년 ~ 937년 황후 이씨 기왕(沂王) 4 수왕(壽王) 석중예(石重乂) 919년 ~ 937년 5 기왕(夔王) 석중진(石重進) 6 진왕(陳王) 석중고(石重杲) 7 석중예(石重睿) = = = 양자 = = = 제왕(齊王) 석중귀(石重貴) - 석경당의 조카. 후진 제2대 황제 출제(出帝). = = 기년 = = 고조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서력(西曆) 936년 937년 938년 939년 940년 941년 942년 간지(干支)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연호(年號) 천복(天福)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 = 출전, 주해 및 참고 자료 = = = 통일 콩고 = 통일 콩고란 여러 구성민족과 민족언어, 공용어(프랑스어)를 공유하는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이 통일하자는 민족통일주의 개념이다. 두 국가는 각각 다른 나라 (프랑스와 벨기에)의 식민 지배를 받아 서로 다른 국가로 갈라졌다.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2016년 1월 12일부터 1월 30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2번째 AFC U-23 챔피언십이다.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이 폐지되면서 이번 대회부터 처음으로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부문 예선전을 겸하여 치러진다. 1, 2, 3위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 토너먼트는 모두 도하에 위치한 4곳의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도하 도하 도하 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레크위야 SC 홈 구장)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알아라비 SC 홈 구장)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알사드 SC 홈 구장) 카타르 SC 스타디움(카타르 SC 홈 구장) 수용인원: 12,000 수용인원: 18,000 수용인원: 15,000 수용인원: 15,000 = = 예선 = = = = = 본선 진출팀 = = = 국가 진출 자격 진출 확정 날짜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개최국 2014년 11월 28일 첫 출전 지역 예선 A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B조 1위 2015년 5월 20일 1회 (2013) 지역 예선 C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D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E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F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G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H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I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J조 1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G조 2위 2015년 3월 31일 첫 출전 지역 예선 C조 2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I조 2위 2015년 3월 31일 첫 출전 지역 예선 D조 2위 2015년 3월 31일 1회 (2013) 지역 예선 E조 2위 2015년 5월 20일 1회 (2013) = = 시드 배정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조 추첨은 2015년 9월 12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 시드 배정은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사전 추첨을 통해서 (7위)은 포트 2번으로, (8위)는 포트 3번으로 결정되었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개최국)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2위) (14위) (15위) (첫 출전) (첫 출전) = = 조별 리그 = =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 = = A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3 3 0 0 9 4 +5 9 3 2 0 1 6 4 +2 6 3 1 0 2 5 7 -2 3 3 0 0 3 4 9 -5 0 = = = B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3 3 0 0 7 1 +6 9 3 0 2 1 5 6 -1 2 3 0 2 1 5 6 -1 2 3 0 2 1 3 7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2 0 2 0 5 5 0 2 2 0 2 0 4 4 0 2 2 0 2 0 3 3 0 2 = = = C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3 2 1 0 8 2 +6 7 3 2 1 0 6 3 +3 7 3 1 0 2 6 6 0 3 3 0 0 3 1 10 -9 0 = = = D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3 2 1 0 4 2 +2 7 3 1 2 0 3 1 +2 5 3 1 1 1 2 1 +1 4 3 0 0 3 3 8 -5 0 = = 결선 토너먼트 = = = = = 8강전 = =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 = = 준결승전 = = =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 = = 3·4위전 = = =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 = = 결승전 = =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 = 우승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일본1번째 우승 = = 최종 순위 = =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V1) 6 6 0 0 15 4 +11 18 2 6 4 1 1 14 6 +8 13 3 6 4 1 1 12 7 +5 13 4 6 4 0 2 13 10 +3 12 5 4 2 1 1 5 5 0 7 6 4 2 0 2 6 7 -1 6 7 4 1 2 1 3 2 +1 5 8 4 0 2 2 6 8 -2 2 9 3 1 1 1 2 1 +1 4 10 3 1 0 2 6 6 0 3 11 3 1 0 2 5 7 -2 3 12 3 0 2 1 5 6 -1 2 13 3 0 2 1 3 7 -4 2 14 3 0 0 3 4 9 -5 0 15 3 0 0 3 3 8 -5 0 16 3 0 0 3 1 10 -9 0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 =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국 (남자)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우승)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준우승)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3위) = 틀:캐나다의 마천루 = = 분류:리히텐슈타인 후작부인 = = 쫄병 수첩 2 = "쫄병 수첩 2"(Soldier Note 2)는 한국에서 제작된 하주택 감독의 1990년 드라마, 코미디 영화이다. 전호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완배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전호진 이상운 이혜진 = = = 조연 = = = 조형기 하상훈 유병환 김흥석 오성우 최성 신찬일 나갑성 문철재 김진선 이상아 김경란 최은영 이형균 김정택 황진 임현정 문경화 = = 기타 = = 원작자: 김인성 제작부장: 송재문 촬영부: 김진철 촬영부: 이동욱 촬영부: 이용길 촬영부: 정덕진 조명: 이승구 조명부: 김인규 조명부: 임재국 조명부: 이전우 조명부: 황명식 스틸: 권순미 스틸: 양형석 조감독: 고진아 스크립터: 최구용 스크립터: 김천광 녹음: 김병수 미술: 김일우 소품: 김호숙 소품: 박채신 현상: 세방현상소 효과: 양대호 = 공용 = 공용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공용(共用)은 같이 사용한다는 뜻이다. 공용(功用)은 불교 용어 중 하나이다. 위키미디어 공용 = 분류:아트 팝 음악가 = = 분류:캐나다에 거주한 우크라이나인 = = 분류:사회 계급을 소재로 한 작품 = = 민디 프로젝트 = 민디 프로젝트(The Mindy Project)는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텔레비전 시리즈이다. 2012년 9월 25일부터 2015년 3월 24일까지 FOX에서 방영되었으며, 2015년 9월 15일부터 2017년 11월 14일까지는 훌루에서 방영하였다. 주인공이기도 한 민디 캘링이 기획했다. = = 캐스트 = = 민디 캘링 - Mindy Lahiri 크리스 메시나 - Danny Castellano 에드 윅스 - Jeremy Reed 애나 캠프 - Gwen Grandy 조 자먼 - Betsy Putch 어맨다 세튼 - Shauna Dicanio 스티븐 토볼로스키 - Marc Shulman = 북삼초등학교 (강원) = 북삼초등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8.09.01 북삼심상소학교 설립 1946.01.24 북삼공립국민학교로 인가 1946.02.07 개교 1948.06.23 제1회 졸업식 거행 1950.05.25 구 북삼동사무소 뒤로 학교를 옮김 1986.01.26 현 위치로 신축 이전 2002.03.01 44(1)학급 편성, 유치원 1학급 2002.08.02 18(1)학급 편성, 청운초등학교 분리(29학급) 2008.03.01 강원도교육청지정 발명교육 연구학교 운영(2008. 3. 1~2010. 2. 28) 2009.12.31 2009년 강원도 교육활동 유공학교 표창(공교육 내실화 분야) 2010.08.20 제32회 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학교단체상(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수상 2011.10.13 북삼관 개관 2012.09.01 김형문 교장선생님 부임 2013.02.15 제66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8,723명) 2013.03.01 13(1) 학급 편성, 유치원 1학급 2014.02.13 제67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8,790명) 2014.03.01 13(1)학급 편성, 유치원 1학급 2014.09.01 박성수 교장선생님 부임 = 브레스트주 = 브레스트주는 벨라루스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브레스트이며 면적은 32,700km2, 인구는 1,439,500명(2006년 기준)이다. 북쪽으로는 흐로드나 주, 동쪽으로는 민스크 주, 호멜 주와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우크라이나, 서쪽으로는 폴란드와 국경을 접한다. = 국도 제323호선 = 국도 제323호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국도 제323호선 (일본) : 일본의 일반 국도 국도 제323호선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반 국도 = Peach Hips = 피치 힙스(Peach Hips)는 미츠이시 코토노, 히사카와 아야, 토미자와 미치에, 시노하라 에미, 후카미 리카가 세일러문 캐릭터를 담당하고 있을 때 음악 활동을 한 그룹이다. = 사랑해, 말순씨 = "사랑해, 말순씨"는 200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문소리 : 김말순 역 이재응 : 광호 역 윤진서 : 은숙 역 김동영 : 철호 역 강민휘 : 재명 역 박유선 : 혜숙 역 박명신 : 재명 모 역 이칸희 : 상수 모 역 손봉기 : 정훈 역 임형균 : 상수 역 두완섭 : 아이 1 역 강동민 : 아이 2 역 이상협 : 아이 3 역 장인범 : 아이 4 역 민복기 : 담임선생님 역 장재용 : 지도부선생님 역 신삼봉 : 간호학원원장 역 손영순 : 외할머니 역 신동환 : 터미널직원 역 성열석 : 술받는군인 역 장해숙 : 계원아줌마 1 역 김은영 : 계원아줌마 2 역 전수지 : 은행 여직원 역 이진선 : 버스안여고생 역 김민순 : 미용보조사 역 최효준 : 은숙남자친구 역 진현우 : 수학선생님 역 문성애 : 음악선생님 역 김대홍 : 사진사 역 최재호 : 앰블런스직원 1 역 최규용 : 앰블런스직원 2 역 허명행 : 괴한 1 역 지중현 : 괴한 2 역 서준하 : 괴한 3 역 최규진 : 광호대역 역 김봉근 : 교감선생님 역 (특별출연) 이한위 : 체육선생님 역 (특별출연) = 분류:별량초등학교 동문 = = 티에리 = 티에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티에리 앙리: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전 축구 감독 멜라니 티에리: 프랑스의 배우 티에리 랭쿠: 프랑스의 스쿼시 선수 티에리 아르보가스트: 프랑스의 영화 촬영 기사 티에리 레: 프랑스의 유도 선수 라모우 티에리 소쿠주: 카메룬의 종합격투기 선수 티에리 뇌비크: 프랑스의 배우 티에리 프레몽: 프랑스의 배우 티에리 레미트: 프랑스의 배우 = 모노폴리 = 모노폴리(Monopoly)는 다음의 뜻을 나타낸다. 독점을 뜻하는 영단어이다. = = 지명 = = 모노폴리(Monopoli)는 이탈리아 풀리아 주 바리 현에 위치한 코무네이다. = = 예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 = 모노폴리(Monopoly)는 보드 게임의 한 종류이다. 《모노폴리》(Monopoly)는 2006년 개봉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 음악 = = = Monopoly (싱글): 노기자카46의 34번째 싱글 Monopoly (노래): 아리아나 그란데의 2019년 노래 = 분류:품질별 튀르키예 문서 = = 트로이츠키 행정구 = 트로이츠키 행정구는 모스크바의 행정구이다. 2012년 7월 1일 설치되었다. = 24비트 = 컴퓨터 구조에서 24비트 정수, 메모리 주소, 다른 데이터 장치들은 24 비트 너비의 영역을 갖는다. 또, 24비트 CPU, ALU 구조는 이러한 크기의 레지스터,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 1964년에 발표한 IBM 시스템/360은 24비트 어드레싱에 32비트 일반 레지스터와 산술 기능을 갖춘 매우 유명한 컴퓨터 시스템이었다. 1980년대 초에 24비트 어드레싱과 16비트 일반 레지스터 및 산술 기능을 사용한 인텔 80286 프로세서를 갖춘 IBM PC/AT와 24비트 어드레싱에 32비트 레지스터를 사용한 모토로라 68000 프로세서를 갖춘 애플 매킨토시 128k를 비롯하여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게 되었다. = 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종교 = = 세스트룬섬 = 세스트룬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면적은 15.1km2, 인구는 48명(2011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자다르주에 속하며 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이다. = 분류:1888년 8월 = = 분류:기원전 260년대 사망 = = 초안:유전자 총 = 유전공학에서 유전자 건 또는 생물입자 전달 시스템은 외래 DNA(전이유전자), RNA 또는 단백질을 세포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희미한 금속의 입자에 관심 있는 유전자를 코팅하고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젝타일(미세발사체)을 기계적 힘을 사용하여 세포에 발사함으로써 원하는 유전 정보의 통합을 원하는 세포에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젝타일로 DNA를 전달하는 기법은 종종 '생물학적 발사'를 의미하는 'biolistics'라고도 불립니다. 이 장치는 거의 모든 유형의 세포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핵의 변형에만 제한되지 않습니다. 또한 플라스티드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세포소기관도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 = 유전자 총 디자인 = = 유전자 총은 원래 밀도 높은 텅스텐 입자를 발사하기 위해 수정된 Crosman 공기권총이었습니다. 이것은 1983년부터 1986년 사이에 Cornell University의 John C Sanford, Ed Wolf, Nelson Allen과 DuPont의 Ted Klein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원래의 대상은 큰 세포 크기 때문에 선택된 양파였으며, 이 장치는 DNA 전사가 올바르게 삽입되면 신호를 중계할 마커 유전자로 입자를 코팅하여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양파 세포 내에서 마커 유전자의 표현이 관찰됨으로써 유전적 변형이 나타났습니다. 가장 초기의 맞춤 제작 유전자 총(넬슨 앨런에 의해 제작)은 22구경 못총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22구경 더글라스 총열을 따라 폴리에틸렌 실린더(탄환)를 추진했습니다. 유전자 소재로 코팅된 텅스텐 분말의 작은 방울을 탄환 위에 놓고 아래쪽의 페트리 접시로 쏘았습니다. 탄환이 페트리 판 아래의 디스크에 용접되고, 유전자 소재가 샘플 중앙의 황폐화와 주변의 좋은 변형의 반지로 무너진 도넛 효과를 갖게 되어 샘플로 뿌려졌습니다. 총은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있으며 발사할 때 진공 상태에서 있었습니다. 초기 디자인은 미국 뉴욕 이사카의 Mecklenburg Road에 있던 현지 기계 작업장인 Rumsey-Loomis에 의해 제한된 생산에 투입되었습니다. Biolistics, Inc는 샘플 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헬륨을 비 폭발성 추진제로 사용하고 다중 디스크 충돌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한 개선 사항을 갖춘 업데이트된 장치의 제조 및 배포 권리를 Dupont에 판매했습니다. 금 및 은과 같은 다른 무거운 금속들도 텅스텐 발사체 운반체에 비해 낮은 세포 독성 때문에 선호되는 금으로 유전자 소재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 = 생물학적 구조물 설계 = = 생물학적 변환은 목표 세포에 DNA 구성 요소라 알려진 기능적 DNA 조각의 통합을 포함합니다. 유전자 구성 요소는 대상 생물체 내에서 제대로된 표현을 위한 필요한 모든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DNA 카세트입니다. 변환 절차의 원하는 결과에 따라 유전자 구성 요소의 디자인이 다를 수 있지만, 모든 구성 요소는 대게 프로모터 서열, 종결자 서열, 관심의 유전자 및 리포터 유전자의 조합을 포함합니다. - 프로모터 프로모터는 유전자의 표현 위치와 크기를 제어하며 유전자의 "핸들 및 가속 페달" 역할을 합니다. 프로모터는 DNA 구성 요소 내에서 관심의 유전자 앞에 위치하며, 실험실 설계를 통해 트랜스젠 표현을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 꽃양배추 모자이크 바이러스에서 나온 35S 프로모터는 식물 내에서 강인한 지속적인 유전자 표현을 가져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모터의 예입니다. - 터미네이터 터미네이터 서열은 올바른 유전자 표현을 위해 필요하며, DNA 구성 요소 내에서 관심 유전자의 코딩 지역 뒤에 위치합니다. 생물 볼리스틱 변형에 사용되는 흔한 터미네이터는 Agrobacterium tumefaciens에서 파생된 NOS 터미네이터입니다. 이 터미네이터가 유전자 변형 식물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무단으로 사용된 GE 작물을 감시하기 위해 식품 공급 내에서 그 존재를 감지하는 전략이 개발되었습니다. - 리포터 유전자 선택 가능한 마커를 부호화하는 유전자는 DNA 구성 요소 내에서 흔한 요소이며, 올바르게 변형된 세포를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선택된 마커는 변형되는 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개는 카나마이신, 히그로마이신 B, 또는 글리포세이트와 같은 특정 제초제 또는 항생제에 대한 해독 능력을 부여하는 유전자일 것입니다. - 추가 요소 DNA 구성 요소의 선택적 구성 요소에는 대상 게놈에서 구성 요소를 제어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cre-lox 서열과 같은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는 주요 관심 유전자와 함께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 요소 개발자에 의해 선택됩니다. = = 애플리케이션 = = 유전자 총은 주로 식물 세포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인간 및 다른 동물에서도 많은 잠재력이 있습니다. = = = 식물 = = = 유전자 총의 대상은 종종 무정형의 식물 세포 조직 또는 젤 매체 위에서 자라는 미숙한 배아의 집단이며, 이는 페트리 접시에 있습니다. DNA로 코팅된 금 입자가 세포에 전달된 후, DNA는 전사(transcription)를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되며 때로는 식물 염색체에 통합될 수 있습니다('안정된' 변형). 전달된 DNA 구성 요소가 선택 가능한 마커를 포함하고 있다면, 안정적으로 변형된 세포는 조직 문화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되어 배양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달된 DNA 구성 요소가 항생제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면, 안정적으로 변형된 세포는 조직 문화 매체에 그 항생제나 제초제를 포함하여 선택될 수 있습니다. 변형된 세포는 식생과 지베렐린과 같은 일련의 식물 호르몬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각각은 나누어지고 전체 식물의 조직화되고 전문화된 조직 세포로 분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체 재생 능력을 전분화 능력(totipotency)이라고 합니다. 성공적으로 변형된 세포에서 기원한 새 식물은 유전적으로 새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유전자 총의 사용은 식물 세포에 DNA를 삽입하기 위해 Agrobacterium tumefaciens와 그 Ti 플라스미드의 사용과 대비될 수 있습니다. 다른 종에서의 다양한 변형 방법에 대해서는 변형(transformation)을 참조하십시오. = = = 인간과 다른 동물 = = = 유전자 총은 DNA 백신을 전달하는데도 사용되었습니다. 유전자 총을 사용하여 특히 DRG 뉴런인 쥐의 뉴런에 플라스미드를 전달하는 방법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영향을 연구하는 약리학적 선행 연구로도 사용됩니다. 유전자 총은 배양된 조직의 세포 부분 집합을 표시하는 데 일반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형광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플라스미드로 세포를 형질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 총은 세포에 다양한 생체 염료를 전달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유전자 총 폭격은 또한 Caenorhabditis elegans를 형질 전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미세 주입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 장점 = = 생물학은 유전자 수정의 다양한 방법으로 입증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변형에 저항하는 작물, 예를 들면 곡물류를 공학적으로 개조하는 데 선호됩니다. 특히, Bt 옥수수는 바이올리스틱스의 결과물입니다. 플라스티드 변형은 또한 입자 폭격과 함께 다른 현재 기술, 예를 들면 Agrobacterium 매개 변형과 비교할 때 큰 성공을 보았습니다. 후자는 벡터를 타겟팅하고 엽록체에서 안정적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또한, 유전자 총을 사용하여 삽입된 전사 유전자가 엽록체에서 침묵되는 보고는 없습니다. 또한, 유전자 총을 한 번 발사함으로써 숙련된 기술자는 특정 종에서 두 개의 변형된 생물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특정 조직을 현장에서 수정할 수 있게 했지만, 이는 대량의 세포를 손상시키고 조직의 세포 일부만 변형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 = 한계 = = 생물학은 대상 세포에 DNA를 무작위로 도입합니다. 따라서 DNA는 핵,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 또는 다른 유전체, 또는 그 어떤 조합으로든 세포에 존재하는 어떤 유전체든 변형될 수 있습니다. 비록 적절한 구조물 설계가 이를 완화할 수 있겠지만, DNA 구조물의 다양한 템플릿의 전달 및 통합은 확실한 가능성입니다, 결과적으로 삽입된 유전자의 잠재적인 다양한 표현 수준과 복사 수를 초래합니다. 이는 구조물들이 다른 구조물로부터 유전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일부는 전사 유전자를 전혀 가지지 않고 다른 일부는 여러 복사본을 가지게 됩니다; 삽입된 구조물의 복사 수는 삽입된 유전자의 복사 수와 얼마나 많이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진핵 구조물은 유사한 유전적 시퀀스 없이 유전자가 유전체에 통합되는 부정확한 재결합에 의존하므로, 동질적 재결합이 아닌 이유로 그들은 유전체 내의 특정 위치를 대상으로 할 수 없습니다. 단, 전사 유전자가 유전체 편집 시약과 함께 동반 전달되는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 슈퍼아이돌 시즌2 = 슈퍼아이돌 시즌2는 MBC M에서 2016년 3월 8일부터 2016년 5월 31일까지 방송되었던 TV 프로그램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활동할 아이돌을 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 아프리카TV (기업) = 아프리카TV는 대한민국의 1인미디어 플랫폼 기업이다. 정찬용 대표이사 체제이다. 현재 인터넷 방송국 아프리카TV를 운영하고 있다. 1994년 보안서비스 업체인 (주)윈스테크넷으로 창립되었다. 2011년 1월, 나우콤 보안-인터넷사업부분(SNIPER IPS/IDS, SNIPER DDX, SNIPER WAF, SNIPER WMS, SNIPER ESM, SecureCast, iTMS, TSMA, 등 종합 보안솔루션을 서비스) 기업분할하기로 했으며, 같은 해 6월에는 문용식 사장이 민주당 유비쿼터스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임, 김윤영 전 CFO가 대표이사에 취임하고 문용식 사장은 이사회 의장으로 물러났다. 7월, 제타미디어로 일부 사업(PD박스, 클럽박스)이 분사하고 12월에 서수길 신임 대표이사 선임되었다. 2013년 3월에는 나우콤에서 아프리카TV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 서비스 = = = = = 인터넷 사업 = = = 아프리카TV = 분류:코크레인씨 = = 유존 (남곡후) = 유존(劉尊, ? ~ ?)은 전한 말기의 제후로, 청하강왕의 증손이다. = 다함께 찬양해 = 다함께 찬양해는 다음세대 K-워십의 주역들과의 토크와 찬양을 통해 한국교회의 영적회복과 찬양의 부흥을 꾀하는 CTS기독교TV의 찬양 프로그램이다. = 분류:시대별 부대 및 편성 = = 바둥현 = 바둥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후베이 성의 서쪽에 위치하고 장강(창강)이 현을 통과하며 싼샤의 하나인 우샤의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 넓이는 335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490,000명이다. 도시는 장강 수로의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동쪽의 싼샤 댐의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되었다. 바둥 현의 대부분은 범람선 위에 있어 창강 주변의 다른 마을에 비해 원래의 마을이 더 많이 남아있게 되었다. 소규모 갱의 석탄 채굴은 농업과 더불어 이 지역의 주요 상업 활동이다. 또한 마을의 동쪽 강안에 큰 시멘트 공장이 있어 주요한 오염원이 되고 있다. 바둥 현의 농촌 인구는 중국 내륙의 다른 지역들처럼 과거 20년 동안 중요한 변화를 보였다. 1980년대에 중국정부의 산아 제한 정책은 기대 이상의 결과를 낳아 출생률이 급감하였고 사람들의 태도를 변화시켜 많은 부부들이 자녀를 한 명 이상 두지 않게 되었다. 여행의 자유와 다른 지역에서의 노동은 노동자들을 해안 지역으로 대이동하게 하였다. 나이든 사람들은 마을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고 노동자들은 종종 아이들 때문에 돌아오기도 하나 대체적으로 그들이 일하는 공장으로 다시 돌아간다. 결과적으로 바둥의 많은 마을들은 위축되었고 산지의 계단식 농지들은 버려지게 되었다. = = 행정 구역 = = 10개 진, 2개 향을 관할한다. 진: 信陵镇, 东瀼口镇, 沿渡河镇, 官渡河镇, 茶店子镇, 绿葱坡镇, 大支坪镇, 野三关镇, 清太坪镇, 水布垭镇. 향: 溪丘湾乡, 金果坪乡. = 분류:원형교육학 = = 분류:부일중학교 (인천) 동문 = = 핸즈 = 핸즈(Hands, Hans)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핸즈(Hands)는 손의 영단어 hand의 복수형이다. = = 음악 = = Hands (리틀 부츠의 음반) Hands (코다 쿠미의 노래) = = 인명 = = 마리나 핸즈: 프랑스의 배우 핸즈 허텔: 기업가이자 법조인(국제변호사) 출신의 미국·푸에르토리코 외교관 겸 정치가 = 분류:캐나다의 농구 감독 = = 분류:1836년 미국의 선거 = = 에런 슈로더 = 에런 해럴드 슈로더(Aaron Harold Schroeder, 1926년 9월 7일 ~ 2009년 12월 2일)는 미국계 작곡가, 음악 출판인이다. 1926년 9월 7일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뉴욕 시에서 피오렐로 H. 라과디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Obituary, Los Angeles Times, December 5, 2009 2,000곡이 넘는 곡을 지었으며 이 중 17곡은 엘비스 프레슬리가 녹음했다. 전 세계적인 히트곡 〈It's Now or Never〉의 저자로 가장 저명하고 그 외에도 J. 레슬리 맥퍼랜드와 〈Stuck on You〉 (1960)를, 월리 골드와 〈Good Luck Charm〉 (1962)을, 시드니 위치와 〈A Big Hunk o' Love〉 (1959)을 작곡하기도 했다. 독립 음반사 뮤직코어 레코드를 설립하고 진 피트니의 매니저로 종사하고 프랭크 시나트라, 냇 킹 콜, 로이 오비슨 등 가수의 곡을 작곡한 경력도 있다. 병환에 따른 합병증으로 엥글우드의 릴리언 부스 액터 홈에서 향년 83세로 사망했다.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폴리네시아 = 영어 위키백과의 폴리네시아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 = Top-importance Polynesia articles (23/41) = = :en:American Samoa (140+) → 아메리칸사모아 :en:Austral Islands (50+) → 오스트랄 제도 :en:British Western Pacific Territories (14) :en:Decolonisation of Oceania (3) :en:Gambier Islands (40+) → 강비에 제도 :en:Henry Puna (19) :en:Lapita culture (25) :en:Leeward Islands (Society Islands) (29) :en:Marquesas Islands (70+) → 마르키즈 제도 :en:Native Hawaiians (30+) :en:Pacific Community (19) → 태평양 공동체 :en:Pacific Islands Forum (30+) → 태평양 제도 포럼 :en:Polynesian culture (5) :en:Polynesian navigation (11) :en:Polynesian Triangle (25) → 폴리네시아 삼각형 :en:Society Islands (60+) → 소시에테 제도 :en:Tokelau (120+) → 토켈라우 :en:Tuamotus (60+) → 투아모투 제도 :en:Tuʻi Tonga Empire (26) → 통가 제국 :en:Tuiloma Neroni Slade (6) :en:Wallis and Futuna (120+) → 왈리스 푸투나 :en:Windward Islands (Society Islands) (28) :en:Women in Oceania (2) = = High-importance Polynesia articles (133/151) = = :en:1769 transit of Venus observed from Tahiti (3) :en:2006 Nukuʻalofa riots (6) :en:2009 Samoa earthquake and tsunami (21) → 2009년 사모아 지진 :en:Adamstown, Pitcairn Islands (70+) → 애덤스타운 (핏케언 제도) :en:Afaese Manoa (9) :en:Aitutaki (30+) :en:Albert Henry (politician) (11) :en:Albert Wendt (14) :en:Alofi (80+) → 알로피 :en:American Samoa Fono (12) :en:American Samoa House of Representatives (4) :en:Annexation of the Leeward Islands by France (2) :en:Apia (120+) → 아피아 :en:Assembly of French Polynesia (16) :en:Avarua (70+) → 아바루아 :en:British people (50+) → 영국인 :en:Climate change in Tuvalu (2) :en:Constitution of Samoa (3) :en:Cook Islanders (11) :en:Cook Islands Māori (30+) :en:Culture of Samoa (5) :en:Culture of Tonga (4) :en:Culture of Wallis and Futuna (3) :en:Cyclone Nancy (2) :en:Dalton Tagelagi (15) :en:Economy of American Samoa (4) :en:Economy of Tuvalu (9) :en:Fiamē Mataʻafa Faumuina Mulinuʻu II (10) :en:Fiamē Naomi Mataʻafa (29) :en:Fongafale (30+) :en:Foua Toloa (5) :en:Funafuti Conservation Area (4) :en:Futunan language (21) :en:Gaston Flosse (14) :en:Geography of Niue (11) :en:Geography of Samoa (12) :en:Geography of the Cook Islands (11) → 쿡 제도의 지리 :en:Geography of Tonga (11) :en:Geography of Tuvalu (10) :en:Haʻapai (26) → 하파이 제도 :en:Hawaii–Tahiti relations (2) :en:Head of Government of Tokelau (5) :en:History of American Samoa (6) :en:History of Oceania (30+) :en:History of Samoa (16) :en:History of the Cook Islands (11) :en: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10) :en:History of Tonga (16) :en:History of Tuvalu (16) :en:Huahine (30+) :en:Jaiyah Saelua (10) :en:Junior Seau (12) :en:Kingdom of Tahiti (13) :en:King's Representative (5) :en:Lakalaka (18) :en:Legislative Assembly of Samoa (14) :en:Legislative Assembly of Tonga (21) → 통가 의회 :en:Malietoa (5) :en:Malietoa Tanumafili II (30+) :en:Mana (Oceanian cultures) (30+) → 마나 :en:Mangarevan narrative (2) :en:Maohi (4) :en:Māori mythology (19) :en:Māui (23) :en:Mau movement (10) :en:Music of Tuvalu (4) :en:Nanumanga (30+) → 나누망가섬 :en:Niua Islands (21) → 니우아 제도 :en:Niue Assembly (11) → 니우에 의회 :en:Niue Constitution Act (7) :en:Niulakita (30+) → 니울라키타섬 :en:Niutao (30+) → 니우타오섬 :en:Nivaleta Iloai (2) :en:Nukuʻalofa (100+) → 누쿠알로파 :en:Nukulaelae (30+) → 누쿨라엘라에 환초 :en:Nukunuku (8) :en:O le Ao o le Malo (28) :en:Oscar Temaru (22) → 오스카르 테마루 :en:Pacific Islander (16) :en:Pago Pago (80+) → 팡오팡오 :en:Palmyra Atoll (70+) → 팔미라 환초 :en:Papeete (80+) → 파페에테 :en:Parliament of the Cook Islands (9) :en:Parliament of Tuvalu (14) :en:Peter Tali Coleman (9) :en:Politics of American Samoa (3) :en:Politics of French Polynesia (5) :en:Politics of Niue (2) :en:Politics of Samoa (8) :en:Politics of Tokelau (4) :en:Politics of Tonga (4) :en:Politics of Tuvalu (8) :en:Politics of Wallis and Futuna (2) :en:Polynesian mythology (17) :en:Pouvanaa a Oopa (9) :en:Prime Minister of Samoa (21) :en:Prime Minister of the Cook Islands (17) :en:Prime Minister of Tuvalu (22) :en:Rarotonga (40+) → 라로통가섬 :en:Samoans (25) :en:Saufatu Sopoanga (18) :en:Savaiʻi (50+) → 사바이섬 :en:Secretary General of the Pacific Islands Forum Secretariat (2) :en:Speaker of the Parliament of Tuvalu (2) :en:Tahitian language (70+) → 타히티어 :en:Tahitian pearl (8) :en:Tahitians (17) :en:Tangata manu (15) :en:Teraupo'o (2) :en:Territorial Assembly of Wallis and Futuna (7) :en:Tēvita ʻUnga (9) :en:Thomas Davis (Cook Islands politician) (8) :en:Toaripi Lauti (17) :en:Tokelauan people (5) :en:Toke Talagi (20) → 토케 탈라기 :en:Tongan language (80+) → 통가어 :en:Tongatapu (40+) → 통가타푸섬 :en:Tonga Trench (30+) :en:Tuarii (2) :en:Tui Ātua Tupua Tamasese Efi (30+) → 투푸아 에피 :en:Tuilaʻepa Saʻilele Malielegaoi (40+) → 투일라에파 사일렐레 말리엘레가오이 :en:Tupua Tamasese Lealofi III (3) :en:Tutuila (40+) → 투투일라섬 :en:Tuvaluan language (50+) → 투발루어 :en:Uini Atonio (7) :en: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30+) → 사우스퍼시픽 대학교 :en:Vaitupu (30+) → 바이투푸섬 :en:Vavaʻu (28) → 바바우 제도 :en:Victor Brial (3) :en:Waka (canoe) (14) :en:Wallisian language (26) :en:Western Samoa Trust Territory (7) :en:Women in Hawaii (2) 폴리네시아 = 올챙이 = 올챙이는 개구리목 따위의 양서류의 삶의 순환 속에서 전적으로 물의 유생을 두루 일컫는 낱말이다. 올창이가 역행동화(움라우트)현상으로 올챙이로 바뀌었는데, 표준어로 인정받고 있다. 동물성, 식물성 먹이를 먹고 자란다. 논을 비롯한 연못에서 볼 수 있다. 미꾸라지, 게아재비, 학배기(잠자리 애벌레) 등이 올챙이의 천적이다.연못엔 올챙이, 나무엔 다람쥐… ‘도심 속 낙원’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그밖의 올챙이의 천적으로는 물방개가 있다. 몸은 원모양에 가깝고 다리는 없으며 꼬리가 발달해 있다. 몸은 머리와 배, 그리고 꼬리로 구별할 수 있지만 머리와 배는 눈으로 쉽게 구별하기 힘들다. 배는 크게 부풀어 올라와 있다. 꼬리는 좌우로부터 납작하고 끝이 날카롭다. 올챙이는 전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먹으며, 민간 설화에 언급될뿐 아니라 고대 이집트 숫자의 기호로도 사용된다. = = 기르기 = = 알이 깨면 어항의 물을 3-4cm 정도의 깊이가 되게 한다. 알에서 막 깨어난 올챙이는 먹이가 필요 없다. 그리고 덩치가 커지면 데친 시금치나 가다랭이포, 닭간 따위를 잘게 썰어서 준다. 2-3일에 한 번은 살아 있는 파리, 장구벌레, 물벼룩 등을 준다. 배설물이나 먹다 남긴 먹이를 치워 어항을 깨끗하게 해 주어야 한다. 한 어항에서 기르는 올챙이의 숫자는 10마리 정도가 적당하다. = 자모시치 = 자모시치는 폴란드 남동부 루블린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30.34km2, 인구는 63,6511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200명/km2, 높이는 212m이다. 1580년 폴란드의 귀족 얀 자모이스키에 의해 신설되었으며 이탈리아의 건축가 베르나르도 모란도가 설계한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들이 남아 있다. 자모시치 구 시가지는 1992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 자매 도시 = = 바르데요우 러프버러 슈베비슈할 수미 조우크바 = 석간주묘 = 석간주묘(石間硃墓, )는 핀란드 고고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망자의 시체나 무덤을 석간주로 칠하는 매장양식을 말한다. 핀란드에서 석간주가 이런 용도로 사용된 것은 중석기 내지 신석기 시대부터였으며, 금속기 시대까지도 일부 지속되었다. 석간주 자체는 구석기 시대부터 전세계적으로 암면화의 물감 용도로 사용되었다. = 분류:위키백과 삭제 정책 = = 숀 패리스 = 숀 패리스(Sean Faris, 1982년 3월 25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익스트림 파이트 클럽 - 포터 역 알 카포네: 스카페이스의 전설 - 잭 맥건 역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는 독일 베를린의 네 번째 자치구이다. 2001년 베를린 행정 구역 개편으로 과거의 샤를로텐부르크구와 빌머스도르프구가 합쳐져서 형성되었다. 베를린에서 도시화가 많이 이루어진 지역이자 발달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베를린에서 매출액이 가장 많은 상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구에 있는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큰 공과대학교에 속한다.TU9 – Excellence in Engineering and the Natural Sciences – Made in Germany. TU9, abgerufen am 29. Juni 2017. 쿠르퓌르스텐담 거리에는 유럽 영화상을 시상하는 유럽 영화 아카데미가 있다. = = 역사 = = 과거의 리첸부르크(Lietzenburg, 과거 이름: Lietzow) 지역에 조피 샤를로테 공녀의 이름을 딴 샤를로텐부르크성이 지어졌고 1705년 독립시 샤를로텐부르크가 설립되었다. 1920년 베를린 대확장 이전까지 샤를로텐부르크는 프로이센 왕국의 가장 부유한 도시였다. 과거의 빌머스도르프구와 현재의 빌머스도르프동은 1220년에 설립되었다. 18세기 중반 베를린 시민들이 당시의 도이치빌머스도르프(Deutsch-Wilmersdorf)에 농지 및 가옥을 구입하여 진출하고 여름 별장을 건설하면서 발전했다. 1907년 4월 1일 텔토군에서 독립하여 독립시가 되었다. 1912년에는 베를린빌머스도르프(Berlin-Wilmersdorf)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20년 10월 1일 베를린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는 2001년 1월 1일 과거 서베를린의 샤를로텐부르크구와 빌머스도르프구가 합쳐져서 생겼다. 현재 동의 구조는 2004년에 완성되었다. = = 지리 = = 쿠르퓌르스텐담 일대는 시티 웨스트(City West)라고도 불리며 베를린의 양대 도심 중 하나이다. 베를린 공과대학교, 베를린 예술대학교, 도이체 오퍼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메세 베를린 등의 시설이 있다. = = = 주거지 = = = 빌머스도르프, 샤를로텐부르크, 할렌제동은 인구 밀도가 높으며, 그루네발트동은 베를린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동이다. 그루네발트동에는 전체 구 인구 중 3%만 거주하지만 전체 면적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이 중 약 85%는 사람이 살지 않는 그루네발트 숲과 수면이다. 구 인구 중 3분의 2는 샤를로텐부르크 및 빌머스도르프동에 거주한다. 할렌제동은 한자피어텔동(Hansaviertel)에 이어서 베를린에서 면적이 두 번째로 작은 동이지만, 그루네발트동은 베를린에서 가장 넓은 동이다. = = = 동 = =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는 7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 면적(km2) 인구2019년 12월 31일 인구 밀도(명/km2) 지도 0401 샤를로텐부르크(Charlottenburg) 샤를로텐부르크 구시가(Altstadt Charlottenburg) 비츨레벤(Witzleben) 클라우제너플라츠(Klausenerplatz) 칼로스베르더(Kalowswerder) 리초(Lietzow) 0402 빌머스도르프(Wilmersdorf) 귄첼키츠(Güntzelkiez) 라인가우피어텔(Rheingauviertel) 퀸스틀러콜로니(Künstlerkolonie) 0403 슈마르겐도르프(Schmargendorf) 0404 그루네발트(Grunewald) 0405 베스트엔트(Westend) 필렌콜로니 베스트엔트(Villenkolonie Westend) 노이베스트엔트(Neu-Westend) 피헬스베르크(Pichelsberg) 룰레벤(Ruhleben) 지들룽 아이히캄프(Siedlung Eichkamp) 지들룽 헤어슈트라세(Siedlung Heerstraße) 0406 샤를로텐부르크노르트(Charlottenburg-Nord) 융페른하이데(Jungfernheide) 파울헤르츠지들룽(Paul-Hertz-Siedlung) 플뢰첸제(Plötzensee) 그로스지들룽 지멘스슈타트(Großsiedlung Siemensstadt) 0407 할렌제(Halensee) = = = = 샤를로텐부르크 = = = = 샤를로텐부르크동은 샤를로텐부르크 구시가와 샤를로텐부르크성 및 시티 웨스트 지역을 포함한다. 시티 웨스트 지역은 과거 초피어텔(Zooviertel)로 불렸으며 양차 대전 전간기에 Neuer Westen으로도 불렸다. 베를린 동물원역 근처에서 시작하는 쿠르퓌르스텐담 거리는 베를린 서부의 부도심으로 기능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큰 피해를 입었으며, 카이저 빌헬름 기념 교회는 전쟁에 의해서 파괴된 모습을 유적으로 보존하고 있다. 전쟁의 피해를 적게 입은 샤를로텐부르크의 북부와 서부는 전쟁 이전의 모습을 상대적으로 잘 보존하고 있다. = = = = 샤를로텐부르크노르트 = = = = 샤를로텐부르크동의 북부 지역은 2004년에 동으로 독립했다. 나머지 샤를로텐부르크 지역과는 다르게 대규모 주거 지구로 개발되었고, 베를린 북부의 산업 시설과도 연계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주택 부족으로 인하여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이 동의 융페른하이데 공원(Volkspark Jungfernheide)은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 = = = 베스트엔트 = = = = 1860년대에 대도시 샤를로텐부르크의 농촌 지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에는 주거지와 상업지가 혼합된 서베를린의 일반적인 도시 구조로 개발되었다. 1936년 하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하여 나치 집권기에 대형 경기장을 설립하였다. 1957년 국제 건축 박람회(Internationale Bauausstellung) Interbau 1957의 출품작으로 르 코르뷔지에의 코르뷔지에하우스(Corbusierhaus)가 건축되었다. = = = = 빌머스도르프 = = = = 빌머스도르프동은 과거 빌머스도르프구의 중심지를 기반으로 한다. 동의 중심지는 도시 계획자 요한 안톤 빌헬름 폰 카르스텐(Johann Anton Wilhelm von Carstenn)이 설계한 형태를 따르며, 중심지에 분데스알레(Bundesallee) 대로를 끼고 파자넨 광장(Fasanenplatz), 뉘른베르크 광장(Nürnberger Platz), 프라크 광장(Prager Platz), 니콜스부르크 광장(Nikolsburger Platz)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이다. 분데스알레 대로의 동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었으며, 이후 재개발되어 과거 도시 구조와는 달라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자동차 친화적 도시 구조로 개발되면서 카르스텐 도형의 구조 일부가 사라졌다. 분데스알레 서쪽의 파자넨 광장과 니콜스부르크 광장은 개발 당시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지리적인 중심지는 빌머스도르프 공원(Volkspark Wilmersdorf)의 북쪽에 있는 빌헬름스아우에(Wilhelmsaue)이며, 신고딕 양식 교회와 빌머스도르프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인 쇨러 성(Schoeler-Schlösschen)가 위치해 있다. 빌머스도르프 공원은 1915년에 빌머스도르프 호의 물을 뺀 자리에 형성되었다. 빌머스도르프동의 남쪽 지역은 라인가우피어텔(Rheingauviertel) 및 퀸스틀러콜로니(Künstlerkolonie)이다. 라인가우피어텔 지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영국식 농촌 형태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퀸스틀러콜로니 지역은 1920년대에 베를린의 문화 예술가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과거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 = = = 할렌제 = = = = 그루네발트 숲에 있는 할렌제(Halensee)에서 이름을 따 왔다. 단독 및 다세대 주택으로 구성된 주거 지구로 개발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10월 혁명을 피해서 이주한 러시아인이 정착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파괴를 복구하면서 다르게 개발되었다. 폭격으로 파괴된 지역에는 공공 주택이 들어섰고 이후에는 사무실과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그루네발트 및 슈마르겐도르프동과는 도로 및 철도를 통해서 분리되어 있으며, 쿠르퓌르스텐담이 동을 남북으로 분단한다. = = = = 슈마르겐도르프 = = = = AVUS와 그루네발트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과거의 소도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과거의 슈마르겐도르프 구청은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서 호적사무소(Standesamt)로 개편되었고 베를린에 거주했던 유명 인사의 결혼식 장소로 알려져 있다. = = = = 그루네발트 = = = =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루네발트 숲을 포함하고 있다. 1880년대에 설립된 이후 베를린의 부촌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루네발트 지역은 교외지의 단독 주택으로 개발되어 있다. 멘델스존 궁(Palais Mendelssohn)은 1960년대에 개축되어 현재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사관 및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대사관저가 위치해 있다. 그루네발트역은 1941년부터 베를린 유대인들을 중부유럽의 절멸 수용소 및 강제 수용소로 실어 나르는 중심지로 기능했으며, 1988년 이 역에 세워진 17번 승강장 기념물(Mahnmal Gleis 17)이 기념하고 있다. = = 인구 =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는 도시화가 이뤄진 지역이다. 2019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343,592명, 전체 면적은 64.7제곱킬로미터이다. 인구 민도는 제곱킬로미터당 5,309명이다. 2016년 12월 31일 기준 외국인 비율은 24.4%이며, 외국계 독일인을 포함한 인구는 40.4%이다. 2019년 11월 기준 실업률은 7.3%이며 199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6년 12월 31일 기준 평균 연령은 45.5세이다.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인구 연도 인구 2001 310,760 2002 309,487 2003 308,855 2004 308,541 2005 308,902 2006 309,421 2007 310,064 2001년 이후 인구 구성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통계청의 인구 자료를 사용한다.Melderechtlich registrierte Einwohner am Ort der Hauptwohnung nach Bezirken 1991 bis 2019 외국계 독일인을 포함한 인구 구성(2017년)Einwohnerinnen und Einwohner im Land Berlin am 31. Dezember 2017 (PDF; 2,3 MB). Statistik Berlin-Brandenburg. Abgerufen am 5. März 2020. 외국계 독일인을 포함한 인구 구성(2017년)Einwohnerinnen und Einwohner im Land Berlin am 31. Dezember 2017 (PDF; 2,3 MB). Statistik Berlin-Brandenburg. Abgerufen am 5. März 2020. 독일계 독일인 59.6%(201,815) 외국계 독일인 16.0%(54,286) 외국인 24.4%(82,730) EU 출신 외국인(폴란드, 이탈리아, 프랑스 등) 14.2%(48,007) 중동 출신 외국인(터키, 이란, 시리아 등) 10.3%(34,949) 구소련 출신 외국인(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5.2%(17,557) 구유고 출신 외국인(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2.6%(8,930) 미국 출신 외국인 1.3%(4,480) = = 경제 = = = = = 공공기관 및 협회 = = = 베를린 증권거래소(Börse Berlin) 베를린 상공회의소(IHK Berlin)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방송 독일 연금관리청 연방(Deutsche Rentenversicherung Bund) 연합 연방협의회(Gemeinsamer Bundesausschuss), 연방보험의사협회(Kassenärztliche Bundesvereinigung), 연방 의사회(Bundesärztekammer) 독일 연방물리기술청(Physikalisch-Technische Bundesanstalt) = = = 소매 = = = 쿠르퓌르스텐담: 독일의 유명한 쇼핑 거리이자 구의 경제적 중심지 빌머스도르프가(Wilmersdorfer Straße): 베를린의 최초 보행자 전용 구역 = = = 기업 = =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에는 약 28,000개의 기업이 등록되어 있으며 베를린에서 두 번째로 많다. Alba Group: 쓰레기 처리 및 재활용 Deutsche Wohnen: 부동산 Zeitfracht: 운송업 Cornelsen Verlag: 교과서 출판사 Königliche Porzellan-Manufaktur Berlin: 도자기 제조사 Strato Finleap, 핀테크Fintech-Hub in Berlin:Wo früher Konten verwaltet wurden, Der Tagesspiegel vom 27. Juli 2017, abgerufen am 28. Oktober 2020. = = = 박람회 = = = 메세 베를린에서는 국제 녹색 주간(Internationale Grüne Woche),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 이노트랜스 등 각종 박람회가 열린다. = = 교통 = = = = = 도로 = = = 아우토반 100호선, 111호선, 115호선 및 연방국도 2호선, 5호선이 구를 통과한다. = = = 자전거 도로 = = = 슈프레 자전거 도로(Spreeradweg) 및 유럽 자전거 도로 R1이 구를 통과한다. = = = 철도 = = = 베를린 S반 S3, S5, S7, S9, S41, S42, S45, S46 및 U반 U1, U2, U3, U7, U9 노선이 구를 통과한다. = = 정치 = = = = = 구청장 = = = 현재 행정 구역에서의 구청장만 기술한다. 임기 이름 정당 2000년–2001년 안드레아스 슈타츠코프스키(Andreas Statzkowski) CDU 2001년–2011년 모니카 티멘(Monika Thiemen) SPD 2011년 이후 라인하르트 나우만(Reinhard Naumann) SPD = = = 구의회 구성 = = = 2016년 9월 18일 선거 결과로 선출된 구의회 구성은 다음과 같다.Wahlen zur Bezirksverordnetenversammlung 2016 정당 의석 수 SPD 15 CDU 13 Grüne 12 FDP 6 AfD 5 Linke 4 합계 55 = = = 자매결연 도시 = = =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만하임, 1962년 5월 28일(샤를로텐부르크) 트렌토, 1966년 5월 11일(샤를로텐부르크) 오르예후다, 1966년(샤를로텐부르크) 아펠도른, 1968년 1월 5일(빌머스도르프) 글라드삭세 시, 1968년 1월 5일(빌머스도르프) 민덴, 1968년 1월 5일(빌머스도르프) 런던 루이셤 구, 1968년 3월 19일(샤를로텐부르크) 런던 서턴 구, 1968년 4월 18일(빌머스도르프) 스플리트, 1970년 5월 5일(빌머스도르프) 포르히하임군, 1972년 8월 23일(빌머스도르프) 바트이부르크, 1980년 11월 10일(샤를로텐부르크) 카르미엘(Karmi’el), 1985년 1월 16일(빌머스도르프) 발트에크프랑켄베르크군, 1988년 11월 26일(샤를로텐부르크) 키예프 페체르스크구, 1991년 2월 21일(빌머스도르프) 마르부르크비덴코프군, 1991년 4월 18일(샤를로텐부르크) 라인가우타우누스군, 1991년 6월 20일(빌머스도르프) 쿨름바흐군, 1991년 8월 23일(빌머스도르프) 가니, 1992년(빌머스도르프) 미엥지제치(Międzyrzecz), 1993년 6월 11일(빌머스도르프) 린츠, 1998년 6월 9일(샤를로텐부르크) 부다페스트 제5구, 1998년 6월 9일(샤를로텐부르크) = = 교육 = = = = = 대학교 = = = 베를린 공과대학교 베를린 예술대학교 bbw 전문대학교 ESCP 유럽 German open Business School SRH 전문대학교 베를린 토우로 컬리지 베를린(Touro College Berlin) Berlin School Of Creative Leadership = = 문화 = = 유럽 영화 아카데미 = = = 박물관 = = = 브뢰한 박물관(Bröhan-Museum): 아르 누보, 아르 데코, 기능주의 박물관 C/O 베를린, 사진 전시회 베를린 시립박물관: 베르크그륀 박물관: 파블로 피카소, 알베르토 자코메티, 파울 클레, 앙리 마티스 작품 소장 사진 박물관/헬무트 뉴턴 재단 샤르프-게르스텐베르크 소장품(Sammlung Scharf-Gerstenberg) 기프스포르메라이(Gipsformerei) = 분류:1942년 폐지 = = 천곡사 (포항시) = 천곡사(泉谷寺)는 경상북도 포항시의 도음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포항 북구 흥해읍 학천리의 협곡 사이 숲 속에 있다. 영곡사(靈谷寺)라고 불리기도 한다. 포항 앞바다 영일만과 호미곶이 내려다보여 전망이 아름답다. 천곡사는 신라 시대에 자장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건 설화에 따르면 피부병을 앓던 선덕여왕이 천곡사가 있는 동해안 천곡령(泉谷嶺)의 약수에 목욕하고 완쾌한 뒤, 병이 나은 것에 감사해 하면서 자장에게 명하여 지어진 절이라고 한다. 절 이름도 천곡령에서 따왔고, 절 안에는 선덕여왕이 목욕한 곳으로 전해지는 우물 석정(石井)이 남아 있다. 가뭄이 심할 때도 석정에서는 맑고 영험한 물이 샘솟았다는 전설이 있다. 이후 오랫동안 기록에 등장하지 않아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전란이 있을 때마다 전쟁 피해를 자주 겪어 여러 차례 폐사되었다. 일제강점기까지는 13동의 건물을 보유한 대형 사찰이었으나, 한국 전쟁을 거친 뒤 부도탑과 석주, 건물 몇 채만 남은 작은 절이 되었다. = = 소장 문화재 = = 포항 천곡사 관음전 석조보살좌상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0호 = 분류:네팔의 종교 = = 분류:스위스의 항구 도시 = = 분류:대륙별 기원전 16세기 = = 문효진 = 문효진(1962년 10월 17일 ~ 2008년 5월 10일)은 통일교 창시자 문선명의 장남(실제로는 3남)이다. 마약중독으로 인해 후계자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작곡 실력은 매우 뛰어나서 그가 작곡한 헤비메탈 장르의 음악 들은 평가가 좋다.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 시랜드 공국의 국기 = 마이크로네이션인 시랜드 공국의 국기는 검은색 삼각형에서 대각선 흰색 줄무늬로 분리된 빨간색 삼각형으로 구성된다. 이 깃발은 1967년 9월 2일에 만들어졌다. = 안드레아 발디니 = 안드레아 발디니(, 1985년 12월 19일 ~ )는 이탈리아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플뢰레이다. = = 생애 = = 발디니는 2006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의 개인 부문 결승전에서 페터 요피히에게 14-15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다음 해, 2007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대회에서도 9-15로 요피히에게 또다시 패하였다. 2008년 8월 1일, 발디니는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며 대회 참가 자격을 박탈당하였다. 그를 대신하여 이 대회에서 안드레아 카사라가 출전하였다. 그 다음 해, 발디니는 혐의가 풀린 후 국제대회에 다시 참가하였고, 플로브디프에서 열린 유럽선수권 대회에서 2관왕을 차지하였다. 이 유럽선수권 개인전에서 그는 요피히를 8강에서 떨구었다. 2009년 10월 3일, 그는 세계 정상에 올랐다. 발디니는 8강전에서 팀동료 카사라를 15-14, 준결승전에서 러시아의 아르템 세도프를 15-6, 결승전에서 중국의 즈쥔을 15-11로 이겼다. 시상대에서 그는 밥 딜란의 "허리케인" 가사가 쓰인 이탈리아 국기를 펼쳤다. 2010년 7월, 그는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유럽선수권 대회에서 2관왕을 차지하였다. = 쳇 = 쳇은 다음을 뜻한다. 쳇 베이커: 미국의 재즈 음악가이자 트럼펫 연주가 쳇 앳킨스: 미국의 음악가, 보컬리스트 = 박예영 = 박예영(1989년 8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박예영-다음인물정보 = = 학력 = = 배화여자중학교 (졸업) 진명여자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영화학과 (졸업) = = 출연작 = = = = = 영화 = = = 《아이》 (2021년) - 헤드선생님 역 《세이레》 (2020년, 단편) - 아내 역 《버티고》 (2019년, 장편) - 예담 역 《레오》 (2019년, 단편) - 은애 역 《뺑반》 (2019년, 장편) - 여정 역 《너는 결코 서둘지 말라》 (2018년, 장편) - 초연 역 《인사3팀의 캡슐커피》 (2018년, 단편) - 김민주 역 《녹음》 (2017년, 단편) - 수연 역 《마이 케미컬 러브》 (2017년, 단편) - 선주 역 《장기왕: 가락시장 레볼루션》 (2017년, 장편) - 두희 역 《갈래》 (2016년, 단편) - 나 역 《여고생》 (2016년, 장편) - 은영 역 《그리고 가을이 왔다》 (2015년, 단편) - 지선 역 《소셜포비아》 (2015년, 장편) - 하영동기 역 《단편선》 (2013년, 단편) 《월동준비》 (2013년, 단편) - 재인 역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9 tvN 어비스 간호사 2020 KBS2 영혼수선공 허민영 2021 KBS2 대박부동산 이성실 2021 tvN 갯마을 차차차 왕지원 2021 JTBC 구경이 윤재영 2022 쿠팡플레이 안나 지원 2022 ENA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 조지영 12부작 2024 tvN 세작, 매혹된 자들 동상궁 16부작 = 분류:WWE 러 = = 수르트 (동음이의) = 수르트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이다. 수르투르(Surtur)는 토성의 위성이다. 수르트(Surt)는 이오에 위치한 화산이다. 수르투르(Surtur)는 마블 코믹스의 만화책에서 등장하는 가상의 악마이다. = 라만 루커 = 라만 루커(, 1971년 10월 6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더 좋은 남자는 없다 (2018년) 의대생들 (2016년) 사우스 오브 헬 (2015년) 더 맨 인 3B (2015년) 블랙 커피 (2014년) 내가 왜 결혼했을까? 2 (2010년) - 트로이 역 더 그레이티스트 송 (2009년) - 트렌트 역 볼 돈 라이 (2008년) 미트 더 브라운즈 (2008, Meet the Browns) 내가 왜 결혼했을까? (2007년) - 트로이 역 그린 리프 = = = 텔레비전 = = = The Temptations (1998) - 지미 루핀 역 Meet the Browns (2009-11) - 윌 역 = 이하라 야스히데 = 이하라 야스히데 (1973년 3월 8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교토 퍼플 상가, 사간 도스, 쇼난 벨마레에서 활동하였다. = 리앤 라 하바스 = 리앤 라 하바스(Lianne La Havas, 1989년 8월 23일 ~ )는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 음반 목록 = = Is Your Love Big Enough? (2012) Blood (2015) Lianne La Havas (2020) = 태인초등학교 (전북) = 서블롭피쉬 국민학교는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11년 9월 25일 태인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설립인가 6월 30일 1922년 5월 2일 6년제 연장(남자수업연한) 1926년 3월 25일 6년제 연장(여자수업연한) 1938년 4월 1일 태인제일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년 4월 1일 태인중앙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46년 5월 31일 태인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태인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2002년 3월 1일 보림초등학교 통합 2007년 3월 1일 오봉초등학교 통합 2011년 9월 24일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2015년 9월 1일 제34대 이명재 교장 취임 2019년 1월 4일 제106회 졸업(총인원 11,777명) 2019년 3월 1일 7학급 편성 = 분류:1204년 사망 = = 캉디드 = 캉디드(Candide, ou l'Optimisme)는 프랑스의 작가 볼테르가 1759년에 쓴 철학적 풍자 소설이다. 당시의 지배 계급이었던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와 종교재판소 등 성직자들의 부패상을 묘사해 큰 파문을 일으킨 작품이다. = = 개요 = = 당대에 논란이 되고 있던 철학사상을 염두에 두고 쓴 볼테르의 철학소설이다. 볼테르는 ‘순박한’ 캉디드를 통해 당시의 정치, 철학, 종교 등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삶에 회의를 느낄 수밖에 없는 역경을 겪으면서도 낙천주의자 캉디드가 추구했던 행복은 많은 논점을 던지고 있다. = = 해설 = = 캉디드, ‘순진한’, ‘순박한’이란 이름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이 소설은 작가 볼테르의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에서는 대단한 문제작이며 훌륭한 작품으로 최근에도 많은 연구 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세상을 낙천주의로 볼 것인가 아니면 비관주의로 볼 것인가를 화두로 던지고, 끝까지 이 두 이데올로기의 반복을 기저에 깔고 있다. 이는 당대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던 철학사상을 염두에 두고 쓴 소설인 것이다. 우선 이 작품은 주인공 캉디드를 내세워서 낙천주의로 출발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작가는 우선은 낙천주의, 즉 당대에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던 철학적 논쟁 중에서 라이프니츠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오히려 라이프니츠의 틀에 박힌 듯한 낙천주의를 공격한 것일까? 반대로 비관주의 또는 염세주의의 편에 가담하려는 것일까? 아니면 그 중간쯤에 위치하는 제 3의 철학을 택할 것인가? 아마도 그 대답은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시점에서야 알게 될 것이다. 캉디드, 그는 이름의 뜻처럼 순진하기 이를 데 없다. 소위 말하면 세상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사람이다. 그런 그의 여정을 추적하는 것 자체가 흥미를 유발하고 때로는 어처구니없는 어리석음에 실소를 자아내게도 한다. 그러면서 그는 어렸을 적에 배운 낙천주의를 유지한다. = = 줄거리 = = 매우 유순하고 고지식하고 순박한 소년 캉디드는 웨스트팔리아의 툰더 텐 트롱크 남작의 성에서 자라게 된다. 그는 남작의 아들 및 그의 누이동생 퀴네공드 양과 함께 팡글로스 선생으로부터 교육을 받게 되는데, 이 선생은 ‘세상은 최선으로 되어있다’(Tout est pour le mieux)는 것을 증명해 보이곤 했다. 요컨대 “세상과 인생의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악이나 반가치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현실의 세계와 인생을 최선의 것으로 보는 주의” 말이다. 비록 현실은 괴롭다 치자! 그래도 미래는 분명 즐겁고 희망적으로 볼 수 있다는 생각의 낙천관은 무리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캉디드의 삶으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그러나 우리의 캉디드가 남작으로부터 퀴네공드 양을 사랑한다는 의심을 받고 성에서 쫓겨나, 불가리아 군대에 들어가는 일,네덜란드에서 착한 재침례교도를 만난 일, 아메리카에서 겪는 일, 등 그가 만나는 일들은 최선의 상태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악, 최악으로 되어있다는 인상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가 가는 곳은 엘도라도를 제외하고는 어디나 낙천적인 모습들보다는 추한 모습이며 악한 모습들로 가득 차있다. 군인도, 거룩해야할 종교계의 신부들의 모습도 추악한 모습들뿐이다. 어디에나 정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불의와 사기, 평화가 아니라 싸움이나 전쟁만이 즐비하다. 뿐만 아니라 자연에서 발생하는 지진 같은 것 그가 가는 곳 어디나 불행의 요소, 즉 비관적인 요소들만이 등장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가 만나는 사람들도 그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의 하는 일을 막거나 방해하는 사람들, 그에게 도움이 되기는커녕, 사기를 치고, 속이고 핍박을 가하는 사람들이며, 그가 어깨를 기대어 쉴 수 있는 사람은 없고 오히려 그에게 의지하려는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들뿐이다. 그뿐인가? 착하디착하고, 순진하기 이를 데 없는 우리의 주인공 캉디드는 본의 아니게 가톨릭 종교재판소 판사를 죽이기도 하고 예수회 신부를 칼로 찌르고 도망치기도 하고, 원숭이를 죽이기도 한다. 어디에 가나 속고 사기를 당하고, 고통을 당하며 도무지 되는 일이라곤 전혀 없다. 그야말로 그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이 세상은 저주받은 세상이며 최악으로 구성된 비관적인 세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이제는 그에게는 그토록 존경하는 팡글로스 선생이 가르쳐준 낙천주의 철학을 버리는 일만이 남아있다. 이제 그 일을 부추기기 위한 존재로 마르탱이 비관주의 또는 염세주의를 들고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일까? 그러면 이제 우리의 주인공 ‘캉디드’는 “세계 및 인생을 추악하고 괴로운 것으로 보며, 진보나 개선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철학”의 편에 서야하는 것일까? 그러나 우리의 순진한 주인공은 낙천주의를 증명해 보이기 위하여 여러 사람을 만나기도 하지만 모두가 비관적인 일뿐이다. 심지어 그의 주변 인물들이나, 잊혔던 인물들이 다시 나타나지만 그들 역시, 그들의 경험담 역시 온갖 추악한 일들뿐이다. 결국 선과 악으로 대별되는 마음의 싸움에서 악의 편을 들어주는 것이 신의 섭리라면 이제는 이 세상을 비관주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하지만 거기서 그는 팡글로스를 다시 만난다. 팡글로스의 모습은 변했으나 여전히 낙천적이다. 그래서 낙천주의는 유보되지만 이후에도 당하는 일마다 비관적인 상황들뿐이다. 그러면 이 소설은 낙천주의를 비판하고 비관주의를 옹호하는 것일까? 하지만 이 소설은 어떤 철학의 편을 드러내지 않고, 독자에게 그 판단을 유보하며 끝을 맺고 있다. = 분류:195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 바이올린 소나타 6번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6번 가장조 작품번호 30-1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세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번호 30 세트 중 첫 번째 작품이다. = = 작곡 = = 1801년에서 1802년에 걸쳐서 다른 두 바이올린 소나타(7번 다단조 작품 번호 30, 2와 8번 사장조 작품 번호 30, 3)와 함께 작곡되었다. 베토벤은 그의 청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1802년 4월부터 10월까지 빈의 바로 외곽에 있는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 하일리겐슈타트에 머물렀는데, 3월과 5월 사이에 작품 번호 30의 대부분의 작업을 완료했다. 이것은 베토벤이 자신의 청력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했던 베토벤의 삶에서 충격적인 순간에 만든 작품 임을 뜻한다. = = 출판 및 헌정 = = 1803년에 7번 다단조 작품 번호 30-1과 8번 사장조 작품 번호 30-3과 함께 Trois Sonates pour le piano-forte avec accompagnement de violon ("바이올린을 동반한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세 개의 소나타")라는 제목으로 빈의 Kunst und Industrie-Comptoir ("예술과 산업 상점")를 통해 출판되었다. 헌정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에게 이루어졌다. = = 음악 = = 작품 번호 30은 베토벤이 작품 번호 30의 첫 번째에 만연해 있는 온건함의 매력으로부터 상상될 수 있는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작품, 강력한 영웅 교향곡을 스케치 하기 시작한 1802년부터 유래되고 있다. 그러나 두 작품은 오프닝 주제에서 작품 구성 과정에서의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소나타에서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이 그 소재를 공유하는데, 피아노의 각 부분은 그 자체로 분리된 요소이다. 이것은 실제로 세 가닥의 멜로디 소재가 작품 안에서 서로 얽히고 한데 어우러져 일관성 있는 전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영웅 교향곡에서도 첼로, 바이올린 및 관악기는 모두 복잡한 첫 번째 주제에 개별적인 멜로디 가닥을 제공한다. 매혹적으로 아름다운 느린 악장은 세도막 형식으로서 바깥 부분은 부점 리듬으로 구분되고 안쪽 부분은 반주에서 세 쌍의 잔 물결이 잔잔하게 물결 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마지막 악장은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교대로 주제의 멜로디 가닥을 선보이는 주제와 변주곡 세트이다. = = 반응 = = 소나타 작품 번호 30, 1은 라이프치히의 Allgemeine Musikischen Zeitung ("일반음악신문')에서의 리뷰에서 일상적으로 언급되었다. 한 평론가는 "첫 번째 악장은 후기 작품에서 특히 접할 수 있는 아름다운 생각의 흐름은 아니다. 중간 악장은 우울한 성격을 지닌 그의 아름다운 아다지오 중 하나이며, 전적으로 베토벤의 최고에 합당할 수 있다. 반면에 최종 악장은 완전히 성공하지 못했다."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비판에 맞서 베토벤은 그의 출판인 호프 마이스터에게 die Leipziger Ochsen ("라이프 치히의 옥센")에 대한 글을 썼다: "그들이 말하는 것을 허락해야 합니다. 그들이 속삭인다고 해서 아무도 불멸을 만들지 않을 것이고 아무도 불멸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 악장 구성 = =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며 연주 시간은 약 21분 정도가 소요된다. 다음의 7번 및 8번과는 달리 잔잔함이 전 악장을 덮고 있다. = = = 1악장. 알레그로 (가장조) = = = 3/4 박자, 소나타 형식, 연주 시간은 6분 정도가 소요된다. 16분 음표가 붙은 특징적인 주제. 옥타브 주법과 제주가 많은 알레그로 악장으로서 차분한 연주가 적절하다. = = = 2악장. 아다지오 몰토 에스프레시보 (라장조) = = = 2/4 박자, 단순 론도 형식, 연주 시간은 7분 정도가 소요된다. 바이올린이 부점 리듬에 의해 봄바람의 화창한 모양의 분위기를 낸다. 주제는 바이올린으로 도입되며 "A-A-G-Fis-Fis-Fis-Fis-Fis-Fis-Fis"의 단순한 것이다. 악장 전체의 구조는 A-B-A-C-A 의 다섯도막 형식에 종결구를 부가한 것이다. 중간부는 짧지만 같은 주조(라단조)로 바뀌어 단조롭지 않다. = = = 3악장. 알레그레토 콘 바리아지오니 (가장조) = = = 2/2 박자, 변주곡 형식, 연주 시간은 8분 정도이다. 주제와 그에 따른 여섯 개의 변주로 구성된 변주곡으로, 크게 보았을 때 장식변주곡에 해당한다. 바이올린의 "E - A - Cis - Ais - H - H - A - Gis - Fis - Gis - A"의 주제를 피아노 알베르티 베이스가 지원하며, 변주곡의 주제는 구조적으로 A-A'-B-B' 의 구성으로, 각 부분은 여덟마디씩 총 서른두마디인 단순 두도막 형식을 갖는다. A 부분과 B 부분은 바이올린이 주된 선율을 담당하고, A'와 B'는 역할을 바꾸어 피아노가 주된 선율을 연주, 두 악기가 여덟마디씩 교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원래 이 최종 악장은 크로이처 소나타의 그 것, 타란텔라가 될 예정이었다. = 케빈 코리건 = 케빈 코리건(Kevin Corrigan, 1969년 3월 27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디파티드 = 분류:미국 육군의 규모별 부대 = = 심무도 = 심무도 Korea Simmudo Association는 시흥시의 송판공 노사가 만든 무술이다. 1999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된 심무도라는 단어는 "군심의 길"을 의미한다.Simmudo USA Website , Grandmaster Song Biography = 분류: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 = = 쓰시마 오메가국 = 쓰시마 오메가국은 나가사키현 가미아가타군 가미아가타정 오마스(현재의 쓰시마시 가미아가타초 오마스)에 설치되어 있던 을 위한 송신국이다. 관리하고 있는 곳은 해상보안청이었다. 또한 이 탑의 정식 명칭은 쓰시마 오메가국 송신용 철탑이라고 하나, 약칭으로 표현한다면, "오메가 전파 철탑"이나 "오메가 타워", "오메가 탑"이라고도 표현된다. 해체되기 직전 당시의 이 탑의 높이는 454.83 미터로, 일본 최고의 건조물로 등극하게 되어 있던 내력을 가진 바 있다. 현재 높은 건조물은 2010년에 완공되었던 지상 461m 높이의 도쿄 스카이트리이지만 과거 일본 최고 높이의 구조물을 갈아치운 셈이다. = = 연혁 = = 1970년 (쇼와 45년) 10월 : 건설 공사 개시 1974년 (쇼와 49년) 9월 : 철탑 및 공중선 공사 완료 1975년 (쇼와 50년) 5월 : 운용 개시 1998년 (헤이세이 10년) 9월 하순 : 폐국. 사유는 GPS의 보급이 주요 원인으로 드러남. 1999년 (헤이세이 11년) 1월 : 해체 개시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하순 : 해체 완료 = 말레이 = 말레이(Malay)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말레이시아 말레이 반도 - 동남아시아의 반도 말레이 제도 - 동남아시아의 제도 말레이어 - 말레이 지역의 주요 언어 말레이인 - 말레이 지역의 주요 민족 = 분류:말레이시아계 독일인 = = 분류:196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참가 선수 = = 분류:다카마쓰시의 지리 = = 까치수염 = 까치수염은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중국·일본·만주에 분포한다. = = 생태 = = 높이 50-100cm이다. 원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끝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며 선상(線上) 긴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점차 좁아져서 밑부분이 잎자루처럼 되지만 잎자루는 없고, 가장자리와 뒷면에 털과 내선점이 있으며 표면에도 흔히 털이 있다. 꽃은 백색으로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옆으로 굽은 꽃차례가 달린다. 꽃받침잎은 좁은 달걀꼴 타원형이며 끝이 뭉툭하다. 꽃잎은 좁고 긴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4배 정도 길다. 씨방은 1개, 삭과는 둥글며 적갈색으로 익고, 어린순은 먹는다. = = 재배 및 관리 = = 반그늘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습기만 충분히 공급되면 양지에서도 견딘다. 습기가 많고 비옥한 땅에 심으면 땅속줄기가 마구 자라서 이웃 식물을 물리친다. 번식은 봄·가을에 포기나누기로 하는데, 씨뿌리기로도 쉽게 번식시킬 수 있다.윤경은·한국식물화가협회,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2012년, 200쪽 = = 이용 = =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고, 독특한 꽃 모양을 보기 위해 정원에 많이 심는다. 특히 그늘 때문에 고민하는 정원에 적격이다. = 틀:럭비 유니온 리그 = = 삭싯 웨추파폰 = 삭싯 웨추파폰(, 1984년 1월 20일 ~ )은 또 삭싯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태국의 가수이다. 주요 노래는 Don't Be Curious가 대표적이다. 다만 해당 곡은 TV 동물농장, 걸어서 세계속으로에서도 소개되었다. = 멜빈 퍼비스 = 멜빈 퍼비스(Melvin Purvis, 1903년 10월 24일 ~ 1960년 2월 29일)는 미국의 사법당국자이자 연방수사국 요원 및 대리인이다. 신체가 163cm이기도 구성되어 있어, 이른바 "리틀 멜"이라는 별칭이 붙은 퍼비스는 , 존 딜린저, 찰스 아서 플로이드 등 수많은 은행강도들을 체포하거나 살해한 인물들을 인솔한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현지 사법 당국이 그의 높은 인지도를 반발했다. 또한 퍼비스는 자신이 찰스 아서 플로이드를 한 손으로 죽였다고 주장하였고, 다른 사람들은 플로이드가 이미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했으며, 심지어 퍼비스가 플로이드의 정보 제공이 거부당했다는 이유로 즉사 명령을 내린 것으로 결론지었다. = = 어린 시절 = = 퍼비스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에서 담배 농부이자 사업가인 멜빈 호레이스 퍼비스(1869~1938)와 제니 엘리자베스(Janie Elizabeth, 1874~1927) 사이에서 태어났다.South Carolina Death Records, 1821-1955; "Melvin H Purvis Sr."; died on 16 January 1938. = = 죽음 = = 1960년 2월 29일, 멜빈 퍼비스는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을 때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플로렌스에 소재하고 있는 한 자택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FBI에서 물러났을 때 동료 요원들이 그에게 준 권총에서 총성이 발사되었던 흔적이 있었으며, 공식 검시관의 보고서에 의하면 사망하는 원인이 따로 표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FBI는 그의 죽음을 조사한 결과 자살로 결론지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퍼비스는 추적자 총알을 추출하려다가 실수로 자살했던 것으로 포착되어 있다. 그리고 사망 당시 나이는 56세이다.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One Account of the Death of Pretty Boy Floyd * * J. Edgar Hoover: The Man and the Secrets, by Curt Gentry (1991). Official and Confidential: The Secret Life of J. Edgar Hoover, by Anthony Summers, Putnam (1993). *FBI Records: The Vault - Melvin Purvi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June 12, 2018 Dillinger, The Hidden Truth-Reloaded: Gangster's and G-Men of the Great Depression, by Tony Stewart, Lulu Publishing (2010). = 틀:체육인 정보/개인기록 =
}} = 틀:User kk-1 = = 분류:스웨덴의 체조 = = 변곡점 = 미적분학에서 변곡점(變曲點, inflection point) 또는 만곡점은 곡선이 오목에서 볼록으로 변하는 지점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굴곡의 방향이 바뀌는 자리(위치) 또는 지점이다. 곡률이 사라지지만 부호를 변경하지 않는 점은 기복점(起伏點, undulation point)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대수 기하학에서 변곡점은 접선이 곡선을 만나는 지점이 약간 더 일반적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변곡점에서의 접선은 적어도 3차, 변곡점의 접선의 방향이 바뀌는 곡선을 만나려면 적어도 4차 이상이어야 한다. = = 참고 = = (매스월드) http://mathworld.wolfram.com/InflectionPoint.html = 뉴욕 코믹콘 = 뉴욕 코믹콘은 뉴욕시에서 개최하는 서양 만화, 그래픽 노블, 아니메, 일본 만화, 비디오 게임, 코스튬 플레이, 장난감, 영화 및 텔레비전 등을 다루는 종합 동인 행사이다. 2006년 리드팝이 처음 개최했다. = = 역사 = = 첫 행사는 2006년 제이컵 K.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됐다.Thomases, Martha (September 7, 2008). "Interview: Harry N. Abrams’ Charles Kochman". ComicMix. 주최측 리드 익즈비션스은 2006년까지는 견본시 관련 대행을 위주로 하여 동인 행사 경험이 미숙해 인원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여, 본전시장 정원 10,000명을 훨씬 뛰어넘는 참가인원이 몰리게 됐다.Comics in Context #123: NY Comic-Con 2006, IGN, March 6, 2006. Retrieved 2012-2-28. 2020년 행사는 본래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앞선 8월 주최측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우려로 현장행사를 취소하기로 발표했다. 대신 이를 대체하는 온라인 행사 '뉴욕 코믹콘 X MCM 코믹콘 메타버스'가 해당 날짜에 개최됐다. = = 동부 코스프레 챔피언십 = = 동부 코스프레 챔피언십 은 2014년부터 개최한 뉴욕 코믹콘의 코스프레 경연대회이다. 리드팝의 국제 행사 크라운 코스프레 챕피언십 일정에 포함된 관행 행사이다. 상위 3명은 상금을 수여받으며 1위는 동부 챔피언으로 인정받아 시카고 코믹 & 엔터테인먼트 엑스포 결승전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 코스프레는 다음 네 항목에 따라 평가받는다. 재단 (Neddlework) 무장 (Armor) FX (애니매트로닉스, 보철 등 특수 효과 포함) 주목도 (Larger than Life) = = = 수상자 = = = Year 1st 2nd 3rd 2014 Michael Wong (드래곤 라이더) Julian "PhazonJuke" Keller (맨 오브 스틸 – 조드 장군) Adrián Santiago Aroche (젤다의 전설 – 스컬키드) 2015 Thomas DePetrillo (마블 코믹스 – 헐크버스터 아이언맨) Sarah Jean "PepperMonster" Maefs (마블 코믹스 – 아스가르드의 안젤라) Adrián Santiago Aroche (젤다의 전설 – 가논돌프) 2016 Rachel "Lucky Grim" Sanderson (사키조 삽화 – 프라우) outLAW2LK (볼트론: 전설의 수호자 – 볼트론) David "Cap Santiago" Santiago (폴아웃 – 방랑자) 2017 Jacqueline "Alchemical Cosplay" Collins (파이널 판타지 XIV – 점성술사) Mike "Unorthodox Design" Cameron (폴아웃 – 오르키쉬 웨이스트랜드) Cowbutt Crunchies (사키조 삽화 – 세라핌) = 분류:독일의 에너지 = = 분류:1902년 기재된 포유류 = = 분류:종교별 지도자 = = 1938년 11월 21일 일식 = 1938년 11월 21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다. 지구가 달의 반그림자를 지날 때 일어난다. 1938-11-21 1938-11-21 일식 1938-11-21 일식 = 최병권 = 최병권(1913년 12월 6일~1990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3·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틀:색 상자 = = 고르기아스 = 고르기아스(, 기원전 485년 경 ~ 기원전 385년 경)는 시칠리아 레온티노이 출신의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이자 철학자, 웅변가이다. 프로타고라스와 함께 1세대 소피스트를 형성하였다. 몇몇 고전학자는 그가 단지 몇 살만 어렸을 뿐인데도 엠페도클레스의 제자였다고 보고한다. "다른 소피스트들과 마찬가지로 고르기아스 또한 여러 도시에서 수행하면서 올림피아와 델포이에 있는 범그리스의 중심지에서 대중에게 그의 기술을 선보이며 떠돌아다녔다. 고르기아스의 강연에서 특이한 면은 청중으로부터 여러 질문을 받고 즉석에서 대답하는 것이었다." 비록 그의 철학을 묘사하는 정도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때때로 그는 허무주의자 고르기아스라고 불린다. 그의 인식에 대한 주된 주장은 그가 수사학을 그의 고향인 시칠리아에서 아티케로 전파하고 아티케 방언을 산문체의 언어로 전파하는 데에 기여한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만물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설령 존재한다고 해도 인식할 수 없다. 만약 인식한다 하여도 타인에게 말할 수 없다"는 일종의 허무주의적 경향이 그의 근본 사상으로, 이것은 당시 잦은 전쟁으로 참혹해진 희랍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데에 플라톤 철학의 동기가 있다. 저서 중에 〈팔라메데스론〉, 〈헬레네론〉, 〈비존재론〉, 〈화평론〉 등이 유명하다. = = 생애 = = 고르기아스는 스파르타 수사학의 고향이라고 불리는 시칠리아의 그리스 식민지인 레온티노이에서 태어났다. 고르기아스에게는 카르만티데스라고 불리는 아버지와 헤로디코스라는 이름의 형제, 그리고 델피에서 고르기아스에게 조각상을 헌정한 누이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McComiskey, Bruce. Gorgias and the New Sophistic Rhetoric. Carbondale and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1. 고르기아스가 시라쿠사의 공격에 대항하여 아테네의 방어를 요청하기 위하여 아테네로 파견된 때인 기원전 427년에는 이미 60세 정도였다. 그 이후 고르기아스는 그의 웅변 방식이 인기를 얻고 공연과 수사학 강의에서 수익을 올리자 아테네에 정착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그의 제자 중에는 이소크라테스도 있었다고 한다.Aristotle, fr. 130 Rose = Quintilian 3.1.13. 어떠한 주제에 대해서도 논할 수 있는 그에 능력으로 존경을 얻었으며 신전에 안치할 자신의 조각상을 주문할 만큼의 부를 축적하였다. 고르기아스의 "델피의 연설" 이후 그리스인들은 그의 황금 조각상을 델피의 아폴론 신전에 세웠다. 고르기아스는 108세까지 살았다고 정평이 나있으며, 테살리아 라리사에서 죽었다.Matsen, Patricia P. Philip Rollinson and Marion Sousa. Readings from Classical Rhetoric, Illinoi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0. = = 허무주의 = = 몇몇 학자가 비존재에 대한 그의 이론을 존재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하기 때문에Higgins, C. Francis. "Gorgia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17 October 2013. 고르기아스는 허무주의자로 불린다.J. Radford Thomson (1887). A dictionary of philosophy in the words of philosophers. Reeves and Turner. p. 225. 허무주의는 모든 가치는 근거가 없으며 아무것도 인식될 수 없고 아무것도 언어로 전달될 수 없다는 믿음이다. 이는 존재를 부정하는 비관주의와 급진적인 회의주의와도 관련이 있다.Pratt, Alan. "Nihil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17 October 2013 고르기아스의 철학에서 모든 것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는 저작 비존재에 관하여에서 3개의 주장을 제시한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더라도 인식되지 않는다. 인식되더라도 언어로 전달되거나 해석되지 않는다. 이 주장은 한 번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고르기아스가 최초로 작성했다는 증거는 없다.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언급과 위(僞)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멜리소스, 크세노파네스, 고르기아스에 대하여을 통하여 이것이 고르기아스의 주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뿐이다.McComiskey, Bruce (1997). "Gorgias, "On Non-Existence": Sextus Empiricus, "Against the Logicians" 1.65-87, Translated from the Greek Text in Hermann Diels's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Philosophy and rhetoric 30 (1): 45. Retrieved 31 October 2013 = 라리가 2015-16 = 라리가 2015-16(, 협찬사의 이름을 따 리가 BBVA로도 불림)은 스페인 축구 1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85번째 시즌이다. 바르셀로나는 전 시즌 우승 구단이다. 이 시즌은 2015년 8월 21일에 시작되어 2016년 5월 15일에 막을 내렸다. 바르셀로나는 그라나다와의 최종전에서 3-0으로 이기면서 통산 24번째 우승이자 2년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루이스 수아레스는 40골로 트로페오 피치치의 주인공이 되었는데, 그는 2008-09 시즌 이래 리오넬 메시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외에 최다 득점자로 등극한 첫 선수였다. = = 참가 구단 = = = = = 참가 구단의 변동 = = = 총 20개 구단이 리그에 참가했는데, 이 중 17개 구단은 2014-15 시즌에 참가했던 구단들이며, 나머지 3개 구단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구단들이다. 승격한 세 구단들 중 둘은 세군다 디비시온을 우승하거나 준우승한 구단들이고 (베티스와 스포르팅 히혼), 나머지 한 구단은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한 구단(라스 팔마스)이다. 반면 알메리아와 코르도바는 1부 리그에서 각각 2년, 1년 만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엘체는 행정조치에 따라 리그를 13위로 마무리하고도 강등당했다. 리그 규정에 따라 리그를 18위로 마무리한 에이바르가 라 리가에 잔류하게 되었다. 베티스는 세군다 디비시온을 우승한 구단으로 2015년 5월 24일에 알코르콘을 3-0으로 완파하고 가장 먼저 승격을 확정 지어 1년 만에 라 리가로 복귀했다. 2015년 6월 7일, 스포르팅 히혼은 최종전 끝에 베티스를 3-0으로 이기고 최종전을 비겨 2위 자리를 내준 지로나를 따돌려 승격 직행권을 손에 넣었다. 스포르팅 히혼은 3년 만에 1부 리그 무대에 복귀했다. 라스 팔마스는 2015년 6월 21일에 사라고사와의 결선 플레이오프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격했다. 라스 팔마스는 1차전 원정 경기에서 1-3으로 패했지만, 2차전에서 2-0 완승을 거두며 역전에 성공해 13년 만의 1부 리그행에 성공했다. 라스 팔마스는 마요르카가 2012-13 시즌을 끝으로 강등당한 이래 1부 리그에 참가하는 본토 밖의 구단이 되었다. 라스 팔마스는 1부 리그 무대에 돌아오기 전까지 13년 중 2년을 3부 리그인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보내기도 했다. = = = 구단별 구장 위치 = = = 다음 구단들이 2015-16 시즌 라 리가에 참가했다: 구단 연고지 경기장 관중수 아틀레틱 빌바오 빌바오 산 마메스 53,289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마드리드 비센테 칼데론 54,907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캄 노우 99,354 베티스 세비야 베니토 비야마린 52,500 셀타 비고 비고 발라이도스 30,000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리아소르 34,600 에이바르 에이바르 이푸루아 6,267 에스파뇰 바르셀로나 RCDE 스타디움 40,500 헤타페 헤타페 콜리세움 알폰소 페레스 17,393 그라나다 그라나다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 23,156 라스 팔마스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그란 카나리아 32,150 레반테 발렌시아 발렌시아 시립 경기장 26,354 말라가 말라가 라 로살레다 30,044 라요 바예카노 마드리드 바예카스 14,708 레알 마드리드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85,454 레알 소시에다드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32,076 세비야 세비야 산체스 피스후안 42,500 스포르팅 히혼 히혼 엘 몰리논 29,029 발렌시아 발렌시아 메스타야 55,000 비야레알 비야레알 엘 마드리갈 24,890 = = = 자치주별 구단 = = = 자치주 구단 수 구단 1 안달루시아 4 베티스, 그라나다, 말라가, 세비야 1 마드리드 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헤타페, 라요 바예카노, 레알 마드리드 3 바스크 3 아틀레틱 빌바오, 에이바르 레알 소시에다드 3 발렌시아 3 레반테, 발렌시아, 비야레알 5 카탈루냐 2 바르셀로나, 에스파뇰 5 갈리시아 2 셀타 비고, 데포르티보 7 아스투리아스 1 스포르팅 히혼 7 카나리아 제도 1 라스 팔마스 = = = 구단 인사 및 협찬사 = = = 구단 감독 주장 유니폼 제작사 협찬사 아틀레틱 빌바오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카를로스 구르페기 나이키 쿠차은행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디에고 시메오네 가비 나이키 플러스500, 아제르바이잔, 화웨이 바르셀로나 루이스 엔리케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나이키 카타르 항공, UNICEF, 베코 베티스 구스타보 포예트 호르헤 몰리나 아디다스 UED 스포츠, 위코 셀타 비고 에두아르도 베리소 우고 마요 아디다스 시트로엥, 아방카, 에스트레야 갈리시아 데포르티보 빅토르 산체스 마누엘 파블로 로토 에스트레야 갈리시아, 아방카, 西甲欢乐多 에이바르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다니 가르시아 푸마 AVIA, 위코 에스파뇰 콘스탄틴 글커 하비 로페스 호마 라스타르 헤타페 후안 에스나이데르 페드로 레온 호마 테크노카사 그룹 그라나다 호세 곤살레스 디에고 마인스 호마 솔버 스포츠 캐피털 라스 팔마스 키케 세티엔 다비드 가르시아 아체르비스 그란 카나리아 레반테 루비 후안프란 나이키 이스트 유나이티드 말라가 하비 그라시아 두다 나이키 없음 라요 바예카노 파코 헤메스 다비드 코베뇨 켈미 QBAO닷컴, 네비르 레알 마드리드 지네딘 지단 세르히오 라모스 아디다스 에미레이트 항공 레알 소시에다드 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 샤비 프리에토 아디다스 QBAO닷컴, 쿠차은행 세비야 우나이 에메리 호세 안토니오 레예스 뉴 발란스 없음 스포르팅 히혼 아벨라르도 페르난데스 알베르토 로라 카파 히혼, 텔레케이블, 아스투리아스 산악 소 발렌시아 파코 아예스타란 파코 알카세르 아디다스 비인스포츠 비야레알 마르셀리노 브루노 소리아노 엑스테프 파메사 도자기 = = = 감독 교체 = = = 구단 해임 감독 해임 사유 해임 일자 리그 순위 취임 감독 취임 일자 레알 마드리드 카를로 안첼로티 경질 2015년 5월 25일 개막 전 라파엘 베니테스 2015년 6월 3일 헤타페 파블로 프랑코 경질 2015년 6월 1일 개막 전 프란 에스크리바 2015년 6월 26일 에이바르 가이스카 가리타노 상호 계약 해지 2015년 6월 30일 개막 전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2015년 6월 30일 라스 팔마스 파코 에레라 경질 2015년 10월 19일 19위 키케 세티엔 2015년 10월 19일 레반테 루카스 알카라스 경질 2015년 10월 26일 20위 루비 2015년 10월 27일 레알 소시에다드 데이비드 모이스 경질 2015년 11월 9일 16위 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 2015년 11월 9일 발렌시아 누누 이스피리투 산투 사임 2015년 11월 29일 9위 게리 네빌 2015년 12월 2일 에스파뇰 세르히오 곤살레스 경질 2015년 12월 14일 12위 콘스탄틴 글커 2015년 12월 14일 레알 마드리드 라파엘 베니테스 경질 2016년 1월 4일 3위 지네딘 지단 2016년 1월 4일 베티스 페페 멜 경질 2016년 1월 10일 15위 후안 메리노 (감독 대행) 2016년 2월 3일 그라나다 호세 라몬 산도발 경질 2016년 2월 22일 20위 호세 곤살레스 2016년 2월 22일 발렌시아 게리 네빌 경질 2016년 3월 30일 14위 파코 아예스타란 2016년 3월 30일 헤타페 프란 에스크리바 경질 2016년 4월 11일 19위 후안 에스나이데르 2016년 4월 12일 베티스 후안 메리노 대행 기간 만료 2016년 5월 9일 14위 구스타보 포예트 2016년 5월 9일 = = 리그 결과 = = = = = 시즌 요약 = = = 2016년 5월 14일, 바르셀로나는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에서 벌어진 그라나다와의 최종전을 3-0으로 이기면서 2년 연속 우승이자 통산 24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레알 마드리드는 막판에 12경기 연승의 기록을 세우고도 승점 1점 차이로 바르셀로나에 밀려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바르셀로나와 승점 3점 차이로 3위로 리그를 마감했는데, 레반테와의 37번째 리그 경기에서 패하면서 한 경기를 남겨놓고 리그 우승 경쟁에서 탈락했다. 레반테는 말라가와의 2016년 5월 2일 경기에서 1-3으로 패하면서 산술적으로 세군다 디비시온 강등이 확정된 첫 구단이었다. 2016년 5월 15일, 스포르팅 히혼은 비야레알을 2-0으로 이기는 와중에 헤타페가 베티스에게 패하면서 1부 리그 잔류를 확정지었고, 헤타페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라 리가에서 강등당했다. 라요 바예카노도 최종전에서 승리를 쟁취하고도 강등의 쓴맛을 보았다. = = = 최종 순위 = = = = = = 우승 = = = 라 리가2015-16 우승 바르셀로나24번째 우승 = = = 순위 변동표 = = = 다음 순위 변동표는 매 라운드가 끝난 후의 구단들 순위를 나타낸다. 시간대에 따른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연기된 경기는 본래 경기가 치러진 시점에 반영되지 않으나, 최종전에만 반영된다. 예를 들어 13라운드 경기 일정이 16라운드와 17라운드 사이에 치러진 경우, 연기된 경기 결과는 16라운드의 순위 변동표에 반영된다. 구단 \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바르셀로나 5 4 1 1 5 2 4 3 2 2 1 1 1 1 1 1 1 2 2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레알 마드리드 10 5 2 2 1 3 2 1 1 1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2 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 3 6 5 4 5 5 4 3 4 3 2 2 2 2 2 2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3 3 비야레알 7 6 4 3 3 1 1 5 5 5 5 4 6 5 5 5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아틀레틱 빌바오 17 20 10 13 15 17 13 14 12 8 8 9 7 7 9 7 7 6 8 9 8 6 6 7 8 7 7 6 6 7 6 6 5 5 6 5 6 5 셀타 비고 2 1 3 4 2 4 3 2 4 3 4 5 4 4 4 4 5 5 5 5 5 7 7 8 6 6 6 7 7 5 5 5 6 6 5 6 5 6 세비야 13 17 18 20 20 16 12 13 8 11 10 11 10 10 7 8 8 9 7 7 7 5 5 5 5 5 5 5 5 6 7 7 7 7 7 7 7 7 말라가 9 15 15 18 19 18 17 17 16 17 17 20 18 17 16 13 11 11 10 12 12 10 10 11 12 11 11 12 9 8 8 8 8 9 10 8 8 8 레알 소시에다드 11 11 16 17 11 12 16 16 15 16 16 14 15 13 13 14 14 15 14 13 15 13 11 10 9 9 10 9 10 11 10 9 9 10 12 11 9 9 베티스 6 18 9 11 14 10 8 10 10 13 11 12 11 11 11 11 12 14 15 15 14 14 13 14 13 13 13 10 11 13 14 13 14 12 13 13 14 10 라스 팔마스 19 14 13 16 12 14 19 19 18 19 18 18 19 20 19 19 16 16 16 16 18 16 18 18 18 17 15 15 15 15 12 10 11 13 9 10 10 11 발렌시아 15 10 8 7 10 8 9 8 9 7 7 7 9 8 8 9 10 10 11 11 11 12 14 12 11 12 9 11 12 14 15 14 12 8 8 9 11 12 에스파뇰 4 8 12 8 6 9 10 9 11 10 13 10 12 12 12 12 13 12 13 14 13 15 17 17 16 14 14 14 14 12 13 15 15 15 15 14 15 13 에이바르 1 2 5 6 8 7 7 7 7 6 6 6 8 9 10 10 9 8 6 6 6 8 8 6 7 8 8 8 8 9 9 11 10 11 11 12 12 14 데포르티보 8 9 7 9 7 6 6 6 6 9 9 8 5 6 6 6 6 7 9 8 9 9 9 9 10 10 12 13 13 10 11 12 13 14 14 15 13 15 그라나다 20 7 11 15 18 20 20 20 19 18 19 17 17 18 17 17 18 17 17 17 16 18 19 19 20 19 18 18 17 17 17 17 17 17 17 16 16 16 스포르팅 히혼 14 12 17 10 13 15 11 12 17 12 14 15 16 14 14 16 17 18 18 19 19 17 16 16 17 18 19 19 19 19 18 18 18 18 18 18 18 17 라요 바예카노 12 16 19 12 9 11 15 15 14 15 12 13 14 16 18 18 19 19 19 18 17 19 15 15 15 16 16 17 16 16 16 16 16 16 16 17 19 18 헤타페 18 19 20 14 17 13 14 11 13 14 15 16 13 15 15 15 15 13 12 10 10 11 12 13 14 15 17 16 18 18 19 19 20 19 19 19 17 19 레반테 16 13 14 19 16 19 18 18 20 20 20 19 20 19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19 20 20 20 20 20 20 20 19 20 20 20 20 20 출처: BD푸트볼 선두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전 진출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 유로파리그 3차 예선전 진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 = = 경기 결과 = = = = = 시즌 통계 = = = = = 득점 = = = 시즌 1호골: 살바 세비야 (에스파뇰 vs 헤타페, 2015년 8월 22일) 시즌 마지막 골: 알바로 메드란 (헤타페 vs 베티스, 2016년 5월 15일) = = = 득점 집계 = = = 순위 이름 골 구단 1 루이스 수아레스 40 바르셀로나 2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35 레알 마드리드 3 리오넬 메시 26 바르셀로나 4 카림 벤제마 24 레알 마드리드 4 네이마르 24 바르셀로나 6 앙투안 그리즈만 2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7 아리츠 아두리스 20 아틀레틱 빌바오 8 가레스 베일 19 레알 마드리드 8 루벤 카스트로 19 베티스 10 보르하 바스톤 18 에이바르 = = = 도움 집계 = = = 순위 이름 도움 구단 1 리오넬 메시 16 바르셀로나 1 루이스 수아레스 16 바르셀로나 3 코케 1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 네이마르 12 바르셀로나 5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1 레알 마드리드 6 마르코 아센시오 10 에스파뇰 6 가레스 베일 10 레알 마드리드 6 토니 크로스 10 레알 마드리드 6 로베르토 솔다도 10 비야레알 10 호나탄 비에라 9 라스 팔마스 = = = 트로페오 사모라 = = = 마르카지는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트로페오 사모라를 수상했다. 이 상의 수상 자격을 얻으려면 최소 28경기 이상 출전해야 하며, 1경기 출전을 인정받으려면 해당 경기를 60분 이상 출전해야 했다. 순위 이름 실점 경기 실점률 구단 1 얀 오블라크 18 38 0.47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 클라우디오 브라보 22 32 0.69 바르셀로나 3 알퐁스 아레올라 26 32 0.81 비야레알 4 케일러 나바스 28 34 0.82 레알 마드리드 5 고르카 이라이소스 37 36 1.03 아틀레틱 빌바오 = = = 해트트릭 목록 = = = 선수 구단 상대 결과 날짜 주석 크리스티아누 호날두5 레알 마드리드 에스파뇰 6–0 (원) 2015년 9월 12일 리포트 이마놀 아기레체 레알 소시에다드 그라나다 3–0 (원) 2015년 9월 22일 리포트 샤를리스 말라가 레알 소시에다드 3–1 (안) 2015년 10월 3일 리포트 네이마르4 바르셀로나 라요 바예카노 5–2 (안) 2015년 10월 17일 리포트 케뱅 가메이로 세비야 헤타페 5–0 (안) 2015년 10월 24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에이바르 3–1 (안) 2015년 10월 25일 리포트 아리츠 아두리스 아틀레틱 빌바오 라요 바예카노 3–0 (원) 2015년 11월 29일 리포트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스포르팅 히혼 라스 팔마스 3–1 (안) 2015년 12월 6일 리포트 가레스 베일4 레알 마드리드 라요 바예카노 10–2 (안) 2015년 12월 20일 리포트 카림 벤제마 레알 마드리드 라요 바예카노 10–2 (안) 2015년 12월 20일 리포트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그라나다 4–0 (안) 2016년 1월 9일 리포트 가레스 베일 레알 마드리드 데포르티보 5–0 (안) 2016년 1월 9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아틀레틱 빌바오 6–0 (안) 2016년 1월 17일 리포트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스포르팅 히혼 레알 소시에다드 5–1 (안) 2016년 1월 22일 리포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에스파뇰 6–0 (안) 2016년 1월 31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셀타 비고 6–1 (안) 2016년 2월 14일 리포트 아리츠 아두리스 아틀레틱 빌바오 데포르티보 4–1 (안) 2016년 3월 2일 리포트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라요 바예카노 5–1 (원) 2016년 3월 3일 리포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4 레알 마드리드 셀타 비고 7–1 (안) 2016년 3월 5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4 바르셀로나 데포르티보 8–0 (원) 2016년 4월 20일 리포트 파코 알카세르 발렌시아 에이바르 4–0 (안) 2016년 4월 20일 리포트 유세프 엘-아라비 그라나다 레반테 5–1 (안) 2016년 4월 21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4 바르셀로나 스포르팅 히혼 6–0 (안) 2016년 4월 23일 리포트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그라나다 3–0 (원) 2016년 5월 14일 리포트 4 해당 경기에서 4골 기록5 해당 경기에서 5골 기록(안) – 안방 경기; (원) – 원정 경기 = = = 징계 = = = 출처: 최다 경고 구단: 그라나다 (136회) 최다 경고 선수: 루벤 페레스 (그라나다, 17회) 최다 퇴장 구단: 라요 바예카노 (10회) 최다 퇴장 선수: 7명 (각 2회) 아이타미 아르틸레스 (라스 팔마스), 구스타보 카브랄 (셀타 비고), 나초 카세스 (스포르팅 히혼), 데이베르송 (레반테), 세르히오 라모스 (레알 마드리드), 빅토르 산체스 (에스파뇰), 시망 (레반테) = = = 기타 = = = 최다 승리 - 바르셀로나 (29승) 최소 승리 - 데포르티보, 레반테 (8승) 최다 무승부 - 데포르티보 (18무) 최소 무승부 - 바르셀로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무) 최다 패배 - 레반테 (22패) 최소 패배 - 레알 마드리드 (4패) 최다 득점 - 바르셀로나 (112골) 최소 득점 - 베티스 (34골) 최다 실점 - 에스파뇰 (74골) 최소 실점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8골) = = = 관중 통계 = = = 순위 구단 1 바르셀로나 1,486,763 98,902 65,531 78,251 +0.8% 2 레알 마드리드 1,286,433 80,148 61,564 67,707 −7.8% 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820,812 51,933 29,737 43,201 −7.2% 4 아틀레틱 빌바오 797,268 47,785 37,552 41,961 +3.3% 5 발렌시아 709,329 47,217 27,876 37,333 −14.8% 6 베티스 686,700 46,061 24,879 36,142 +18.0%1 7 세비야 646,007 40,395 21,915 34,000 +9.3% 8 스포르팅 히혼 440,723 28,140 19,536 23,196 +20.1%1 9 데포르티보 437,148 29,666 16,185 23,008 +8.1% 10 라스 팔마스 402,922 28,414 15,819 21,206 +32.4%1 11 말라가 401,292 28,290 13,909 21,121 −5.1% 12 레알 소시에다드 386,468 27,484 12,755 20,340 −8.0% 13 에스파뇰 348,353 27,395 12,461 18,334 −1.9% 14 셀타 비고 342,272 24,519 13,584 18,014 −5.9% 15 비야레알 318,573 23,450 12,843 16,767 +5.0% 16 그라나다 301,361 20,552 12,711 15,861 −3.8% 17 레반테 259,258 22,424 9,225 13,645 −10.6% 18 라요 바예카노 218,308 13,775 9,301 11,490 +8.1% 19 헤타페 138,861 12,772 4,532 7,308 −0.7% 20 에이바르 98,868 5,941 4,215 5,204 +8.9% 리그 합계 10,527,719 98,902 4,215 27,705 +3.6% = = 라리가 시상식 = = = = = 연간 = = = 라 리가의 리그 사무국인 스페인 프로축구연맹(LFP)은 라리가 시상식을 실시하여 시즌의 최우수 선수와 감독을 선정했다. 수상 부문 수상자 최우수 선수 앙투안 그리즈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최우수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최우수 골키퍼 얀 오블라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최우수 수비수 디에고 고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최우수 미드필더 루카 모드리치 (레알 마드리드) 최우수 공격수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 = = 월간 = = = 월 이달의 감독 이달의 감독 이달의 선수 이달의 선수 주 월 감독 구단 선수 구단 주 9월 마르셀리노 비야레알 놀리토 셀타 비고 Marcelino wins Liga BBVA Manager of the Month for September ; LFP.es 2015년 10월 5일: Nolito named liga BBVA player of the month for September ; LFP.es 2015년 10월 1일 10월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아틀레틱 빌바오 보르하 바스톤 에이바르 Borja Bastón named Liga BBVA Player of the Month for October ; LFP.es 2015년 11월 5일 11월 디에고 시메오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네이마르 바르셀로나 Diego Simeone named Liga BBVA Manager of the Month for November ; LFP.es 2015년 12월 8일Neymar named Liga BBVA Player of the Month for November ; LFP.es 2015년 12월 8일 12월 하비 그라시아 말라가 루카스 페레스 데포르티보 Lucas Pérez, mejor jugador de la Liga BBVA en diciembre; LaLiga.es, 2016년 1월 8일 (스페인어); LaLiga.es, 2016년 1월 12일 (스페인어) 1월 우나이 에메리 세비야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Unai Emery, Liga BBVA manager of the month for January ; LFP.es, 2016년 2월 12일Messi named Liga BBVA Player of the Month for January ; LFP.es 2016년 2월 12일 2월 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 레알 소시에다드 미쿠 라요 바예카노 Eusebio Sacristan named Liga BBVA Manager of the Month for February ; LFP.es, 2016년 3월 4일Miku named Liga BBVA Player of the Month for February ; LFP.es, 2016년 3월 4일 3월 키케 세티엔 라스 팔마스 아리츠 아두리스 아틀레틱 빌바오 4월 지네딘 지단 레알 마드리드 코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5월 루이스 엔리케 바르셀로나 루이스 수아레스 바르셀로나 = = 중계권 = = 텔레포니카는 스페인의 2015-16 시즌 독점 중계 계약을 맺었다. 스카이 스포츠는 영국에서 비인스포츠는 영국, 캐나다, MENA, 프랑스, 그리고 중동의 중계권을 가져갔다. 대한민국은 인터넷 중계 외에 KBSN 스포츠가 중계권 계약을 맺었다. = 정윤돈 = 정윤돈(1984년 6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사가이다. = 분류: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 Illinois (음반) = “Illinois”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수프얀 스티븐스의 다섯 번째 정규 음반으로 2005년 7월 4일 발매되었다. = = 작곡 및 작사 = = = = = 음악 = = = 22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는 “Illinois”에는 일리노이주와 관련된 노래들과 중간중간 가사가 없는 간주곡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인디 포크, 인디 팝, 인디 록, 포크 록, 안티 포크, 챔버 포크, Lo-Fi를 포함해 많은 장르로 분류되고 있고, 비평가들은 음반에서 드러난 스티븐스의 스타일이 스티브 라이히,, 대니얼슨, 닐 영, 닉 드레이크와 데스 캡 포 큐티 등의 음악가와 비슷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음악 내에서 많은 관현악적인 편곡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각각 다른 악기로 한 부분을 여러 번 녹음한 뒤 합치는 멀티트랙 레코딩 기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스티븐스는 플루트, 오보에 등 12개가 넘는 악기를 혼자서 녹음하였다. 롤링 스톤은 "이 음반은 고등학교 악단, 쇼 튠과 앰비언트적인 전자 음악에서부터 시작됐을 것이다; 우리는 스티븐스가 음악 내의 긴 악기 구절에서의 메아리치는 효과를 애용하는 것을 보니 스티브 라이히의 “Music for 18 Musicians”가 그의 집안에서 자주 들리는 음반이라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Illinois”의 음악적인 영향을 요약하였다. 스티븐스가 가지고 있던 클래식과 바로크 음악이 편곡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 스티븐스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에드바르 그리그와 같은 음악가와 더불어 현대 클래식 음악 작곡가인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등이 영감을 주었다고 밝혔다. 또한 스티븐스는 동적인 효과를 위하여 박자표의 변화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가령 ‘Come On! Feel the Illinoise!’는 5분의 4박자로 시작하지만 노래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4분의 4박자로 바뀐다. = = = 가사 = = = 전작 “Michigan”에서 미시건주와 관련된 주제가 가사에 많이 들어간 것과 마찬가지로 “Illinois”는 일리노이주에 관한 여러 언급이 존재한다. ‘Concerning the UFO Sighting Near Highland, Illinois’는 2000년 일리노이주의 하이랜드에서 어느 경찰이 밤에 UFO를 보았다는 사실을 토대로 만든 곡이며, ‘Come On! Feel the Illinoise!’는 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만국 박람회를 소재로 한 노래이다. ‘John Wayne Gacy, Jr.’은 1970년대 미국의 살인마 존 웨인 게이시와 피해자에서 시작해 자신의 내면을 비난하는 주제로 바뀐다. 스티븐스는 2009년 페이스트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우리 모두가 게이시가 했던 일을 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Jacksonville’은 앤드루 잭슨이 아닌 A.W. 잭슨이라는 가상의 흑인 설교자에서 이름이 붙여졌다고 가정한 채 노래를 부르고 있으며, ‘They Are Night Zombies!! They Are Neighbors!! They Have Come Back from the Dead!! Ahhhh!’는 일리노이주의 유령 도시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고, ‘The Tallest Man, the Broadest Shoulders’는 역사상 가장 키가 큰 인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오른 로버트 워들로에 관해 노래한다. 이외에도 칼 샌드버그, 스티븐 A. 더글러스, 솔 벨로, 메리 토드 링컨 등의 인물이나 피오리아와 같은 일리노이주의 지명이 언급된다. “Illinois”는 미국의 주에 관한 콘셉트 음반이지만, 스티븐스는 기독교 신자로서 음반 내에 기독교와 성경과 관련된 주제를 녹여냈다. 스티븐스는 이전부터, 특히 2004년에 발표한 “Seven Swans”에서 종교적인 주제에 관한 음악을 만들고 녹음해왔고, 인터뷰나 공개 석상에서 직접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노래를 통해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Decatur, or, Round of Applause for Your Stepmother!’에서는 "It's the great I Am"이라는 가사가 존재하는데, 이는 모세가 출애굽기 3장 14절에서 신에게 이름을 물었을 때 신이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고 대답한 것에서 따온 것이다. ‘Casimir Pulaski Day’에서는 카지미에시 푸와스키의 날을 노래함과 동시에 성경을 공부하면서 회복을 기원했음에도 골암으로 연인이 사망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스티븐스는 신에게 질문을 한다. ‘The Man of Metropolis Steals Our Heart’는 슈퍼맨을 그리스도 형상으로 설정하였으며, ‘The Seer's Tower’에도 요한의 묵시록과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더 추상적인 암시가 등장한다. ‘The Predatory Wasp of the Palisades Is Out to Get Us!’의 가사에서는 동성애적인 가사를 간접적으로 언급하였고, 일부는 이를 기독교와 관련시키기도 하였다. = = 표지 = = 표지의 디자인과 그림은 디브야 스리니바산이 맡았다. 그림에는 스티븐스 자신을 포함하여 궐련을 물고 있는 남성과 시어스 타워, UFO, 염소, 블랙 호크, 존 웨인 게이시, 에이브러햄 링컨과 메리 토드 링컨 등 일리노이주와 관련된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 워싱턴 포스트와 타임은 남성을 알 카포네라고 언급하였다. 염소에 대해서는 스티븐스가 CMJ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염소의 저주의 의미가 담겨있다고 이야기했다. 표지 위에는 “SUFJAN STEVENS invites you to: Come on feel the ILLINOISE”라는 문구가 써 있다. 이는 슬레이드의 노래 ‘Cum on Feel the Noize’에서 따온 것으로, 발음을 비슷하게 하기 위해 E를 추가하였다. 페이스트는 2000년대 최고의 음반 표지로 선정하였으며, PLUG 인디펜던트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음반 표지 부문을 수상하였다. 음반이 발매된 직후 DC 코믹스가 표지에 그려진 슈퍼맨으로 인해 애스매틱 키티에게 정지명령을 보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지만 애스매틱 키티는 중단명령이 없었으며, 레이블의 변호사들이 DC 코믹스가 사용을 반대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온 경고라고 밝혔다. 2005년 6월 30일, 애스매틱 키티의 배급사 시크리틀리 캐나디안은 소매업자들에게 음반의 판매를 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지만 물량은 회수되지 않았고, 결국 DC 코믹스가 이미 제작이 완료된 음반에 한해서 사용을 허락하면서 판매가 다시 진행됐다. 한편 이후에 만들어진 음반에서는 슈퍼맨의 그림이 지워졌다. 표지가 변경된 직후 슈퍼맨이 그려진 음반의 복사본이 이베이에서 75달러에 판매되었다. 2005년 11월 22일에 발매된 LP판에는 슈퍼맨 대신 풍선 스티커가 그려졌으며, 이후의 CD 등 다른 인쇄물에서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10주년 기념 바이닐 재발매 버전에는 마블 캐릭터인 블루 마블이 그려졌다. = = 투어 = = 스티븐스는 본래 한 번의 여름 축제에 출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라이브 공연을 가질 할 계획이 없었으나 음반의 발매가 이뤄지고 2주가 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홍보를 위해 북아메리카 투어를 시작하였다. 홍보를 위해 TV에 출연하는 것 보다는 공연 자체에 집중하였던 투어에는 8명에서 10명 정도로 구성된 일리노이즈메이커스라는 이름의 현악기 세션이 스티븐스와 동행하였다. 일부 공연에서는 로라 베어스와 애스매틱 키티와 계약을 하기도 한 리즈 제인스 및 “Illinois”를 작업할 때 참여했던 마이 브라이티스트 다이아몬드의 샤라 노바가 오프닝 공연자로 참여했다. 2006년 9월부터 11월까지는 유럽의 도시에서 투어를 개최하였다. 2006년에 열린 공연에서 스티븐스와 일리노이즈메이커스는 일리노이 대학교를 주제로 한 나비 정장과 새의 날개를 달고 공연을 하였다. 롤링 스톤의 데인 스미스는 "1시간 30분 동안 새로운 선율로 가득찬 공연을 보여주었다"고 호평하였다. 더 뮤직 위 트러스트의 스콧 D. 루이스는 "그가 엘리엇 스미스가 되고 싶은지 리처드 로저스가 되고 싶은지 결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관중들의 반응으로 보건대 팬들은 두 명이 모두 섞인 그를 좋아하는 것 같다"고 언급하였고, 빌보드는 스티븐스와 밴드가 왕과 여왕처럼 느껴졌다고 표현하며 "스티브 라이히같은 미니멀리스트와 펭귄 카페 오케스트라 같은 기발한 연주를 교묘하게 다룬다"고 이야기했다. 닉 카투치는 스핀에 쓴 기사에서 "공연의 장엄한 모순이 인도주의적 성사로 거듭났다"고 묘사하였다. = = 평가 = = “Illinois”는 음악 평단으로부터 폭넓은 찬사를 받았다. 주요 매체의 리뷰를 모아 점수를 매기는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는 40개의 리뷰를 토대로 100점 만점에 평균 90점이 매겨졌다. 이는 2015년에 발매한 “Carrie & Lowell”과 함께 스티븐스가 발매한 정규 음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작품이다.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빌리지 보이스에 쓴 리뷰에서 A−를 주었다. 로버트는 음반 내에서의 대위법과 곡 사이사이에 들어간 짧은 노래가 들어간 것에 긍정적인 평을 하였으며, 매우 고무적인 작품이라고 언급하였다. 피치포크에 글을 기고한 어맨다 페트루시크는 "곡 사이를 연결해주는 짧은 연주곡과 그 뒤에 파묻힌 좋은 노래들로 빚어진 21개의 트랙"이라고 표현하며 "이론과 실행 두 가지 면에서 모두 흠잡을 데 없이 편곡된 미국 헌정곡의 모음집"이라고 묘사하였다. 스핀에서 음반을 평론한 윌 허메스는 라이언 애덤스 & 더 카디널스의 “Cold Roses”와 함께 리뷰를 하며 "애덤스가 벤투라의 고속도로에서 영감을 추구하였다면 스티븐스는 아스팔트와 조금 멀리 떨어진 여행을 하고 있다"고 비유하며 "누군가 '우리는 미국이 되었는가?'라고 물으면 대통령의 타운 홀 미팅보다 더 설득력 있는 답변을 내줄 것이다"라고 호평하고 A−로 평가하였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스티브 호크맨은 "스티븐스가 '어서 와서 일리노이를 느껴봐'라고 말하며 우리를 초대한 것이 너무 강렬하여 어니 뱅크스와 칩 트릭을 언급하지 않은 점도 용서할 수 있다"며 만점을 주었다. 가디언의 데이브 심슨은 “Illinois”에 대해 "브라이언 이노가 프로듀싱한 폴리포닉 스프리처럼 웅장하면서도 친숙하게 들리는 악기들이 가득 찬 상태로 포장한 음반"이라고 표현하였으며, 디 A.V. 클럽의 앤디 바타글리아는 스티븐스가 이 음반을 통해 인디 록 분야에서의 최고의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성장하였다고 호평하였다. 언컷의 앤디 길은 단지 음반에 관련된 것을 조사하거나 만드는 것 외에도 스티븐스가 대부분의 파트를 직접 맡았다는 부분을 언급하며 "대단한 업적"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슬랜트 매거진의 조너선 키프는 만점을 주며 "다음 48장의 주 관련 음반이 이런 질을 유지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만 스티븐스는 이런 장기적인 기대를 정당화할 수 있게 하는 몇 안 되는 음악가"라고 극찬하였다. 롤링 스톤의 롭 셰필드는 “Seven Swans”의 종교적 느낌을 가져왔고, 숨소리가 섞인 듯한 목소리에 대해선 “After the Gold Rush” 당시의 닐 영이 연상된다고 말하며 별 네 개를 주었다. 인디펜던트는 "스티븐스가 발매한 다른 대부분의 음반을 소박하고 편협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고 글을 썼다. 오스틴 크로니클의 멜라니 호프트는 음반을 서사시라고 표현하며 "스티븐스의 개인사와 국가사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및 합창을 하는 듯한 편곡과 감성적인 가사를 엮어낸다"고 호평하며 별 네 개를 주었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B+를 주었고, 글로켄슈필, 플루트, 슬레이벨과 같은 악기의 사용에 대해 기이하고 마법처럼 들리기까지 한다며 "텍사스주에서는 무얼 할 것인지 빨리 보고 싶다"고 언급하였다. 올뮤직의 제임스 크리스토퍼 몽거는 "스티븐스가 허튼소리나 하는 판매원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꽤 좋은 물건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였고, NME의 팀 존즈는 현재까지 스티븐스의 최고작이라고 말하며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귀중한 음악의 모음"이라고 이야기하며 각각 별 네 개와 10점 중 8점을 주었다. 워싱턴 포스트의 캐서린 P. 루이스는 “Illinois”의 강점은 주의 역사에 대한 철저한 조사보다는 서사적인 가사와 정교한 편곡에 있다고 말하였다. 뉴욕 타임스의 존 파렐레스는 "아무리 정교하게 쌓아올렸다고 하지만, 결코 순수하지 않은 낙관론에 감동하여 집에서 만든 것처럼 들린다"고 쓰며 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 = 수상 및 순위 = = = 음반이 극찬을 받음에 따라 여러 매체에서는 연말 또는 연대말 결산 목록에 “Illinois”를 선정하였다. 메타크리틱에서는 2005년에 발매한 음반 중 마이 모닝 재킷의 “Z”와 함께 9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음반이 되었다. 매년 미국 전역의 음악 평론가들이 순위를 매겨 이를 다시 합산해 다시 순위를 매기는 패즈 & 잡에서는 1747포인트를 얻으면서 카니예 웨스트의 “Late Registration”과 M.I.A.의 “Arular” 다음인 3위로 선정되었다. 여러 매체의 음반 순위 목록을 모아 다시 순위를 내는 웹사이트 어클레임드 뮤직에서는 2005년 음반, 2000년대 음반, 역대 최고의 음반 순위에서 각각 1위, 7위, 95위로 순위가 매겨졌다. 쇼트리스트 뮤직 프라이즈에서는 뉴 판테온 어워드에서 함께 후보로 오른 아케이드 파이어의 “Funeral”과 피오나 애플의 “Extraordinary Machine” 등을 꺾고 수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로버트 다이머리가 편찬한 책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도 선정되었다. “Illinois”의 연말 및 연대말 결산 순위 매체 주제 순위 출처 가디언 OMM 선정 10년간 최고의 음반 50장 28 더 라인 오브 베스트 핏 TLOBF 선정 10년간의 음반 4 디 A.V. 클럽 10년간 최고의 음반 50장 30 롤링 스톤 2005년 최고의 음반 50장 9 롤링 스톤 2000년대 최고의 음반 100장 78 비츠 퍼 미닛 2000년대 최고의 음반 29 빌보드 2005년 비평가 & 예술가의 선정작 6 빌보드 빌보드 비평가 선정 10년간 최고의 음반 12 선데이 타임스 10년간 최고의 팝 음악과 록 음악 13 스핀 2005년 최고의 음반 40장 8 스핀 최근 30년간 최고의 음반 300장 198 스핀 최근 35년간 최고의 음반 35장 20 스타일러스 매거진 우리가 사랑한 2005년에 발매한 50장의 음반 10 스타일러스 매거진 스타일러스의 10년간 최고의 음반 72 스테이트 스테이트 선정 10년간 최고의 음반 11 슬랜트 매거진 2000년대 최고의 음반 100장 9 언컷 언컷 선정 10년간 최고의 음반 150장 30 워싱턴 시티 페이퍼 시티 페이퍼의 2005년 톱 20 8 컨시퀀스 2000년대 최고의 음반 100장 17 클래시 클래시 선정 최고의 음반 100장 (2004-2014) 20 클래시 클래시 선정 가장 위대한 음반 50장 (2004-2009) 20 팝매터스 2005년 최고의 음반 50장 2 팝매터스 2000년대 최고의 음반 100장 14 페이스트 2000년대 최고의 음반 1 페이스트 역대 최고의 인디 포크 음반 100장 1 피치포크 2005년 최고의 음반 50장 1 피치포크 2010년대 최고의 음반 200장 16 NME NME 선정 2005년 최고의 음반과 트랙 7 NME 10년간 가장 위대한 음반 100장 17 NME 역대 가장 위대한 음반 138 NPR 10년간 가장 중요한 작품 50장 ― 줄표(―)는 순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줄표(―)는 순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줄표(―)는 순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줄표(―)는 순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상업적 성과 = = “Illinois”는 발매 후 일부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빌보드 200에서는 첫 주에 121위로 데뷔하였으며, 총 8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 또한 빌보드가 집계하는 히트시커스 음반 차트와 인디펜던트 음반 차트에 각각 1위와 4위를 기록하고 32주와 39주 동안 차트에 진입하였다. 인디펜던트 음반 연말 차트에서는 41위에 올랐다. 이외에 오스트레일리아와 네덜란드, 노르웨이의 음반 차트에 각각 86위, 80위, 34위를 기록하였다. 음반은 발매 후 첫 주 동안 9천 장이 판매되었으며, 그 중에 20%는 온라인으로 판매되었다. 2주 후에는 미국 내에서 만 5천 장이 넘게 판매되었다. 이후 2005년 10월에 빌보드에선 6만 5천장이 판매되었다는 사실을 기사에 기재하였고, 그 다음달 옵저버에서는 음반 판매량이 10만이 넘었다고 언급하였다. 2009년 말 페이스트가 스티븐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음반의 판매량이 30만 장을 넘어섰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였다. 시간이 지나 2017년 8월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에서는 음반의 판매량이 50만이 넘은 것을 의미하는 골드를 인증하였다. 영국 축음기 협회에서는 2013년 영국 내 판매고가 6만을 넘어서면서 실버를 인증해주었다. = = 참여진 = = 크레딧은 “Illinois”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하였다. 수프얀 스티븐스 –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월리처, 베이스 기타, 드럼, 전기 기타, 오보에, 알토 색소폰, 플루트, 밴조, 글로켄슈필, 아코디언, 비브라폰, 리코더 (알토,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테너), 카시오톤, 슬레이벨, 셰이커, 탬버린, 트라이앵글, 전기 오르간, 보컬, 편곡, 엔지니어링, 녹음, 프로듀싱 일리노이즈메이커 콰이어 – 코러스 및 박수 톰 이튼 제니퍼 후버 카트리나 컨스 – 코러스 베시 록 타라 맥도넬 줄리앤 카니 – 바이올린 알란 두시스 – 마스터링 존 갤러웨이 – 리믹스 말라 한센 – 비올라 마리아 벨라 제퍼스 – 첼로 제임스 맥알리스터 – 드럼, 드럼 엔지니어링 크레이크 몬토로 트럽펫, 코러스 롭 무스 – 바이올린 맷 모건 – 코러스 대니얼 스미스 – 코러스 엘린 스미스 – 코러스 디브야 스리니바산 – 그림 샤라 워든 – 코러스 = = 차트 = = “Illinois”의 주간 차트 순위 차트 (2005) 최고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ARIA) 86 오스트레일리아 히트시커스 음반 (ARIA) 3 네덜란드 음반 (앨범 톱 100) 80 노르웨이 음반 (VG-리스타) 34 미국 빌보드 200 121 미국 히트시커스 음반 (빌보드) 1 미국 인디펜던트 음반 (빌보드) 4 “Illinois”의 연말 차트 순위 차트 순위 미국 인디펜던트 음반 (빌보드) 41 = 분류:CP 메리다의 축구 선수 = = 분류:1956년 야구 = = 충주경찰서 = 충주경찰서(忠州警察署, )는 충청북도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일대를 관할한다. 충청북도 충주시 예성로 218(교현동)에 위치하고 있다. 서장은 총경으로 보한다. = = 기본 정보 = =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예성로 218(교현동) 우편번호: 27379 = = 관할 파출소 및 지구대 = = 충주경찰서는 5개 지구대와 5개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충청북도지방경찰청과 경찰서의 조직 및 사무분장규칙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치안센터 중앙지구대 중앙로 109 성내충인동, 용산동, 연수동 일부, 교현안림동 일부, 교현2동 일부, 호암직동 일부 연수지구대 연수서편2길 8 목행용탄동, 금름칠금동, 연수동 일부, 봉방동 일부, 교현안림동 일부, 교현2동 일부 호암지구대 중원대로 3394 문화동, 지현동, 호암직동 일부, 달천동 일부, 봉방동 일부, 교현2동 일부 서충주지구대 대소원면 대소로 134 대소원면, 주덕읍, 달천동 일부 주덕치안센터 엄정지구대 엄정면 내창로 179 엄정면, 소태면, 산척면 소태치안센터산척치안센터 수안보파출소 수안보면 온천중앙길 6 수안보면, 살미면 살미치안센터 가금파출소 가금면 중앙탑길 251 가금면 금가파출소 금가면 강수로 351 금가면, 동량면 동량치안센터 앙성파출소 앙성면 가곡로 1029 앙성면 중앙탑파출소 중앙탑면 중앙탑길 241 중앙탑면, 노은면 노은치안센터 = = 논란 = = 2009년 6월 27일에 음주단속을 하던 도중 경찰관이 팔을 비틀렸다고 주장해 동승자와 운전자에게 유죄가 선고되었으나, 이후 경찰이 허위로 사건을 조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분류:대륙별 야구 = =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4월 재보궐선거 4월 재보궐선거 실시일 2007년 4월 25일 수요일 총 56개 선거구 국회의원: 3명 기초단체장: 6명 광역의원: 9명 기초의원: 38명 12월 재보궐선거 12월 재보궐선거 실시일 2007년 12월 19일 수요일 선거 내용 총 54개 선거구 기초단체장: 13명 교육감: 4명 광역의원: 12명 기초의원: 25명 비고 제17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 실시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2007년에 치러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이다. 4월 25일과 12월 19일에 치러졌다. 12월 재보궐 선거는 제17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실시되었다. = = 4월 25일 재보궐선거 = = = = = 개요 = = = 투표일: 2007년 4월 25일(수) 06:00~20:00 투표내용: 총 56개 선거구 국회의원: 3명 기초단체장: 6명 광역의원 9명 기초의원 38명 = = = 선거구역 및 사유 = = = = = = = 국회의원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구논회 대전 서구 을 사망 보궐선거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안병엽 경기 화성시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국회의원 민주당 한화갑 전남 무안군·신안군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 = = = 기초단체장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서울 양천구청장 한나라당 이훈구 서울 양천구 사직 보궐선거 경기 동두천시장 한나라당 최용수 경기 동두천시 사직 보궐선거 경기 양평군수 무소속 한택수 경기 양평군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 가평군수 무소속 양재수 경기 가평군 당선무효 재선거 충남 서산시장 열린우리당 조규선 충남 서산시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봉화군수 한나라당 김희문 경북 봉화군 당선무효 재선거 = = = = 광역의원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서울특별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신영선 송파구 제4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대구광역시의회의원 한나라당 강황 서구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광역시의회의원 민주당 서채원 남구 제1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도의회의원 한나라당 이헌원 안산시 제5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도의회의원 한나라당 육도수 가평군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충청남도의회의원 국민중심당 유태식 금산군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전라남도의회의원 민주당 김상봉 나주시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상남도의회의원 한나라당 이동호 고성군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원 한나라당 김경민 제주도 제29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 = = = 기초의원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서울 광진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오한출 광진구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서울 강서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조석환 강서구 사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서울 강동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이육재 강동구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동구의회의원 한나라당 김진홍 동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영도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이영희 영도구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남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장두익 남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남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이덕식 남구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사하구의회의원 열린우리당 변종계 사하구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대구 수성구의회의원 한나라당 이영술 수성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인천 남동구의회의원 한나라당 국중일 남동구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인천 서구의회의원 열린우리당 김인두 서구 마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 서구의회의원 민주당 김경오 서구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 서구의회의원 민주당 강신만 서구 가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광주 서구의회의원 민주당 나정숙 서구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 남구의회의원 민주당 박상길 남구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대전 중구의회의원 한나라당 김영호 중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대전 서구의회의원 열린우리당 김동섭 서구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울산 동구의회의원 무소속 천기옥 동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 안성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윤국한 안성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충북 괴산군의회의원 한나라당 이석록 괴산군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충남 금산군의회의원 국민중심당 전연석 금산군 다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전북 정읍시의회의원 민주당 이흥로 정읍시 바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전북 순창군의회의원 민주당 김종섭 순창군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무소속 박옥심 여수시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전남 순천시의회의원 민주당 안세찬 순천시 마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포항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최술식 포항시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영주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이방춘 영주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영천시의회의원 열린우리당 이무남 영천시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경산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전병욱 경산시 다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경북 청도군의회의원 한나라당 박순봉 청도군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북 성주군의회의원 한나라당 김한곤 성주군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마산시의회의원 한나라당 김이근 마산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진해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신상섭 진해시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고성군의회의원 한나라당 공점식 고성군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함안군의회의원 한나라당 배재성 함안군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양산시의회의원 한나라당 서근식 양산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남 거창군의회의원 무소속 오병권 거창군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 = = 투표율 = = = 총 선거인수: 420,195명 총 투표자수: 140,383명 투표율: 33.8% 정당별 당선자(국회의원/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 = = 개표 결과 = = = = = = = 국회의원 = = = = = = = 당선인 = = = = = = = 국회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대전 서구 을 국민중심당 심대평 39,858 경기 화성시 한나라당 고희선 26,408 전남 무안군·신안군 민주당 김홍업 24,053 = = = = 기초단체장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양천구청장 무소속 추재엽 동두천시장 무소속 오세창 양평군수 무소속 김선교 가평군수 무소속 이진용 서산시장 한나라당 유상곤 봉화군수 무소속 엄태항 = = = = 광역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송파구 제4선거구 한나라당 강감창 서구 제2선거구 무소속 서중현 남구 제1선거구 무소속 강도석 안산시 제5선거구 무소속 윤화섭 가평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박창석 금산군 제2선거구 무소속 박찬중 나주시 제2선거구 무소속 나종석 고성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심진표 제주도 제29선거구 무소속 김도웅 = = = = 기초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광진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양윤환 강서구 사선거구 무소속 이명호 강동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김용철 동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박충남 영도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김상홍 남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박영근 남구 다선거구 한나라당 오은택 사하구 다선거구 한나라당 김성오 남구 가선거구 한나라당 김승교 수성구 나선거구 무소속 이병욱 남동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한종학 서구 마선거구 한나라당 임동주 서구 가선거구 민주당 장재성 서구 가선거구 민주당 오향섭 서구 다선거구 민주당 김복일 남구 다선거구 민주당 이병조 중구 나선거구 국민중심당 김병규 서구 다선거구 국민중심당 유봉권 동구 나선거구 무소속 박우신 안성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홍영환 괴산군 가선거구 무소속 지백만 금산군 다선거구 한나라당 최명수 정읍시 바선거구 열린우리당 박일 순창군 다선거구 무소속 공수현 여수시 다선거구 민주당 유우준 순천시 마선거구 민주당 유혜숙 포항시 다선거구 무소속 김진율 영주시 가선거구 무소속 한일선 영천시 라선거구 무소속 이상근 경산시 다선거구 한나라당 허개열 청도군 가선거구 무소속 예규대 성주군 다선거구 한나라당 이수경 마산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강용범 진해시 나선거구 한나라당 유원석 고성군 라선거구 한나라당 최계몽 함안군 라선거구 무소속 김현수 양산시 가선거구 무소속 박인 거창군 나선거구 무소속 임종귀 = = = 선거 결과 = = = = = = = 국회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대전 서구 을 열린우리당 구논회 국민중심당 심대평 경기 화성시 열린우리당 안병엽 한나라당 고희선 전남 무안군·신안군 민주당 한화갑 민주당 김홍업 = = = = 기초단체장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양천구청장 한나라당 이훈구 무소속 추재엽 동두천시장 한나라당 최용수 무소속 오세창 양평군수 무소속 한택수 무소속 김선교 가평군수 무소속 양재수 무소속 이진용 서산시장 열린우리당 조규선 한나라당 유상곤 봉화군수 한나라당 김희문 무소속 엄태항 = = = = 광역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송파구 제4선거구 한나라당 신영선 한나라당 강감창 서구 제2선거구 한나라당 강황 무소속 서중현 남구 제1선거구 민주당 서채원 무소속 강도석 안산시 제5선거구 한나라당 이헌원 무소속 윤화섭 가평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육도수 한나라당 박창석 금산군 제2선거구 국민중심당 유태식 무소속 박찬중 나주시 제2선거구 민주당 김상봉 무소속 나종석 고성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이동호 한나라당 심진표 제주도 29선거구 한나라당 김경민 무소속 김도웅 = = = = 기초의원 = = = = = = 12월 19일 재보궐선거 = = = = = 개요 = = = 투표일: 2007년 12월 19일 투표내용: 기초단체장 13, 교육감 4 , 광역의원 12 , 기초의원 25 제17대 대선과 동시에 실시되었다. = = = 선거구역 및 사유 = = = = = = = 기초단체장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서울 강서구청장 한나라당 김도현 서울 강서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 중구청장 무소속 이인준 부산 중구 당선무효 재선거 안양시장 한나라당 신중대 경기 안양시 당선무효 재선거 연기군수 국민중심당 이기봉 충남 연기군 당선무효 재선거 부안군수 민주당 이병학 전북 부안군 당선무효 재선거 장성군수 무소속 유두석 전남 장성군 당선무효 재선거 장흥군수 무소속 김인규 전남 장흥군 당선무효 재선거 해남군수 민주당 박희현 전남 해남군 사직 보궐선거 영천시장 한나라당 손이목 경북 영천시 당선무효 재선거 청도군수 한나라당 이원동 경북 청도군 당선무효 재선거 청송군수 한나라당 윤경희 경북 청송군 당선무효 재선거 창녕군수 무소속 하종근 경남 창녕군 사직 보궐선거 함안군수 무소속 진석규 경남 함안군 당선무효 재선거 = = = = 광역의원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서울특별시의원 한나라당 한기웅 은평구 제1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부산광역시의원 한나라당 이상은 사하구 제4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인천광역시의원 한나라당 최종귀 부평구 제4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광역시의원 민주당 서인봉 동구 제1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광주광역시의원 민주당 이상동 북구 제3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대전광역시의원 한나라당 장문철 동구 제3선거구 피선거권 상실 보궐선거 주민등록을 대전광역시 밖으로 옮겨 퇴직 경기도의원 한나라당 윤석송 의정부시 제4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도의원 한나라당 정홍자 안양시 제3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기도의원 한나라당 이종률 이천시 제2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전라북도의원 대통합민주신당 김선곤 부안군 제2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경상북도의원 한나라당 김동인 청도군 제2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경상남도의원 한나라당 임창호 함양군 제1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 = = = 기초의원 = = = = 직책 정당 정당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용산구의원 대통합민주신당 박홍엽 용산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도봉구의원 대통합민주신당 홍국표 도봉구 나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은평구의원 대통합민주신당 강창수 은평구 다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부산진구의원 한나라당 박수용 부산진구 다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금정구의원 한나라당 박상규 금정구 마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인천 중구의원 한나라당 공상오 중구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남동구의원 대통합민주신당 채종철 남동구 마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계양구의원 한나라당 박기춘 계양구 라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수원시의원 한나라당 차긍호 수원시 사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안산시의원 한나라당 김석훈 안산시 바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고양시의원 대통합민주신당 최경식 고양시 마선거구 사직 보궐선거 화성시의원 한나라당 계춘석 화성시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용인시의원 한나라당 김영린 용인시 바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김포시의원 한나라당 이용준 김포시 가선거구 의원직 상실 보궐선거 원주시의원 한나라당 구자춘 원주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영월군의원 대통합민주신당 승춘배 영월군 나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제천시의원 대통합민주신당 이광주 제천시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나주시의원 중도통합민주당 김덕수 나주시 가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영암군의원 중도통합민주당 조광호 영암군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영광군의원 무소속 김삼차 영광군 나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함평군의원 민주당 김백용 함평군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안동시의원 무소속 김성구 안동시 마선거구 사망 보궐선거 영주시의원 한나라당 이재창 영주시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밀양시의원 한나라당 이동수 밀양시 라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의령군의원 한나라당 양재수 의령군 가선거구 당선무효 재선거 = = = = 교육감 = = = = 직책 전임자 선거구 선거 사유 선거 종류 비고 울산광역시교육감 김석기 울산광역시 당선무효 교육감 재선거 충청북도교육감 충청북도 임기만료 교육감 선거 경상남도교육감 경상남도 임기만료 교육감 선거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제주특별자치도 신설 교육감 선거 = = = 개표 결과 = = = = = = = 기초단체장 = = = = = = = 정당별 당선자 = = = ※'정당명: 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순으로 표기한다. = = = 당선인 = = = = = = = 교육감 = = = = 울산광역시교육감: 김상만 충청북도교육감: 이기용 경상남도교육감: 권정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양성언 = = = = 기초단체장 = = = = 선거구 기호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서울 강서구청장 2 한나라당 김재현 104,728 부산 중구청장 2 한나라당 김은숙 14,681 안양시장 2 한나라당 이필운 187,970 연기군수 5 국민중심당 최준섭 17,835 부안군수 1 대통합민주신당 김호수 17,168 장성군수 7 무소속 이청 11,787 장흥군수 1 대통합민주신당 이명흠 11,486 해남군수 1 대통합민주신당 김충식 18,435 영천시장 6 무소속 김영석 14,686 청도군수 9 무소속 정한태 10,014 청송군수 2 한나라당 한동수 9,541 함안군수 6 무소속 조영규 14,003 창녕군수 9 무소속 김충식 16,067 = = = = 광역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은평구 제1선거구 한나라당 유희숙 24,230 사하구 제4선거구 한나라당 신숙희 31,075 부평구 제4선거구 한나라당 최만용 27,448 동구 제1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양혜령 15,517 북구 제3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전우근 14,417 동구 제3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양승근 11,464 의정부시 제4선거구 한나라당 박형국 26,002 안양시 제3선거구 한나라당 임영신 25,306 이천시 제2선거구 한나라당 임진혁 16,986 부안군 제2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조병서 8,333 청도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이준호 무투표 당선 함양군 제1선거구 무소속 문정섭 4,187 = = = = 기초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당선자 득표수 득표율 비고 용산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김상근 8,489 도봉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서종태 18,959 은평구 다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김미경 15,946 부산진구 다선거구 한나라당 박미점 무투표 당선 금정구 마선거구 한나라당 박병철 무투표 당선 중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김재기 4,908 남동구 마선거구 한나라당 이인교 25,323 계양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민윤홍 19,945 수원시 사선거구 한나라당 홍기동 21,115 안산시 바선거구 한나라당 정진교 11,440 고양시 마선거구 한나라당 최근덕 12,705 화성시 라선거구 한나라당 배용귀 무투표 당선 용인시 바선거구 한나라당 이윤규 29,310 김포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황금상 19,026 원주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이준희 5,319 영월군 나선거구 한나라당 박연호 3,915 제천시 라선거구 한나라당 김병룡 3,085 나주시 가선거구 무소속 김종운 5,692 영암군 라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김영환 4,369 영광군 나선거구 무소속 장기소 3,866 함평군 가선거구 무소속 정창우 4,048 안동시 마선거구 한나라당 권기익 2,740 영주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이중호 6,722 밀양시 라선거구 한나라당 지정곤 5,235 의령군 가선거구 한나라당 김상규 2,430 = = = 선거 결과 = = = = = = = 교육감 = = = = 선거구 전임자 당선자 울산광역시교육감 김석기 김상만 충청북도교육감 이기용 경상남도교육감 권정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양성언 = = = = 기초단체장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서울 강서구청장 한나라당 김도현 한나라당 김재현 부산 중구청장 무소속 이인준 한나라당 김은숙 안양시장 한나라당 신중대 한나라당 이필운 연기군수 국민중심당 이기봉 국민중심당 최준섭 부안군수 민주당 이병학 대통합민주신당 김호수 장성군수 무소속 유두석 무소속 이청 장흥군수 무소속 김인규 대통합민주신당 이명흠 해남군수 민주당 박희현 대통합민주신당 김충식 영천시장 한나라당 손이목 무소속 김영석 청도군수 한나라당 이원동 무소속 정한태 청송군수 한나라당 윤경희 한나라당 한동수 창녕군수 무소속 하종근 무소속 조영규 함안군수 무소속 진석규 무소속 김충식 = = = = 광역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은평구 제1선거구 한나라당 한기웅 한나라당 유희숙 사하구 제1선거구 한나라당 이상은 한나라당 신숙희 부평구 제4선거구 한나라당 최종귀 한나라당 최만용 동구 제1선거구 민주당 서인봉 대통합민주신당 양혜령 북구 제3선거구 민주당 이상동 대통합민주신당 전우근 동구 제3선거구 한나라당 장문철 대통합민주신당 양승근 의정부시 제4선거구 한나라당 윤석송 한나라당 박형국 안양시 제3선거구 한나라당 정홍자 한나라당 임영신 이천시 제2선거구 한나라당 이종률 한나라당 임진혁 부안군 제2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김선곤 대통합민주신당 조병서 청도군 제2선거구 한나라당 김동인 한나라당 이준호 함양군 제1선거구 한나라당 임창호 무소속 문정섭 = = = = 기초의원 = = = = 선거구 정당 정당 전임자 정당 정당 당선자 용산구 나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박홍엽 한나라당 김상근 도봉구 나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홍국표 한나라당 서종태 은평구 다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강창수 대통합민주신당 김미경 부산진구 다선거구 한나라당 박수용 한나라당 박미점 금정구 마선거구 한나라당 박상규 한나라당 박병철 중구 나선거구 한나라당 공상오 한나라당 김재기 남동구 마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채종철 한나라당 이인교 계양구 라선거구 한나라당 박기춘 한나라당 민윤홍 수원시 사선거구 한나라당 차긍호 한나라당 홍기동 안산시 바선거구 한나라당 김석훈 한나라당 정진교 고양시 마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최경식 한나라당 최근덕 화성시 라선거구 한나라당 계춘석 한나라당 배용귀 용인시 바선거구 한나라당 김영린 한나라당 이윤규 김포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이용준 한나라당 황금상 원주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구자춘 한나라당 이준희 영월군 나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송춘배 한나라당 박연호 제천시 라선거구 대통합민주신당 이광주 한나라당 김병룡 나주시 가선거구 중도통합민주당 김덕수 무소속 김종운 영암군 라선거구 중도통합민주당 조광호 대통합민주신당 김영환 영광군 나선거구 무소속 김삼차 무소속 장기소 함평군 가선거구 민주당 김백용 무소속 정창우 안동시 마선거구 무소속 김성구 한나라당 권기익 영주시 가선거구 한나라당 이재창 한나라당 이중호 밀양시 라선거구 한나라당 이동수 한나라당 지정곤 의령군 가선거구 한나라당 양재수 한나라당 김상규 = 쇼텔 = 쇼텔(shotel)은 아비시니아(고대 에티오피아)의 검이다. 날 부분이 S자로 구부러져 있으며, 그 중에는 갈고리 모양으로 심하게 구부러진 것도 있다. 양쪽 날로 구성되어 있고, 그 크기는 손잡이에서 날끝까지 75cm, 폭은 1.5cm, 무게는 1.4 ~ 1.6kg이다. 손잡이는 목재로 간소하게 만들어져 있으나, 쥐는 손을 보호하도록 고안되어 있지는 않다. 쇼텔은 방패를 들고 있는 사람을 옆으로 치고 휘두르는 데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상처를 입힌다. 또한, 양쪽 날일 뿐만 아니라, 구부러져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검처럼 베기 공격에 적당하다.이치카와 사다하루, 무기와 방어구 / 서양편, 도서출판 들녘, 2000.11.15. 56쪽 이 검이 지니는 독창적인 모양은 사실 매우 현실적인 발상에서 탄생되었다. 방패를 지닌 적에 대하여, 그 방패를 피하면서 공격할 수 있도록 날을 구부러지게 만든 것이다. 이렇듯 절묘한 검이 창출해낸 공격 수단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계속해서 공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독창적인 모양 때문에 칼집에 집어넣을 수 없어 이를 지니는 사람은 그대로 허리에 차고 다녀야 한다. 그 때문에 오히려 적에게 발견되어 그 효과를 반감시킨 경우도 많았다.이치카와 사다하루, 무기와 방어구 / 서양편, 도서출판 들녘, 2000.11.15. 57쪽 = 분류:아칸소주 출신 야구 선수 = = 분류:페루의 훈장 = = 원평초등학교 (경남) = 원평초등학교는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3.06.07 통영군 원평공립국민학교 개교 1996.03.01 원평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9.09.01 해간분교장, 장문초등학교 폐교로 본교 편입 2003.03.01 어의분교장 폐교로 본교 편입 2014.03.01 지도분교장 폐교로 본교 편입 = 모듈:Location map/data/Ukraine Lugansk Oblas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kraine_Lugansk_Oblas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보컬로이드 = 보컬로이드는 별다른 성우 없이 프로그램이 노래를 부를 수 있게 하기 위해 야마하가 제작한 음성 합성 프로그램이다. 이름은 '발성'을 뜻하는 ''과 ‘~와 닮은’, ‘~와 비슷한’을 뜻하는 접미사 ''를 합쳐 만들어졌다. 일본에서의 공식 약칭은 보카로이다. 음표와 가사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성우가 녹음한 음절 조각을 합성해 음악을 만드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많은 작품들이 니코니코 동화나 유튜브 등의 사이트에 업로드되고 있다. 2022년 기준, 보컬로이드의 최신 버전은 2018년 7월 12일 출시된 VOCALOID5이다. = = 원리 = = 보컬로이드는 실제 사람 목소리에서 수록한 목소리를 ‘가수 라이브러리’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음표 정보가 입력되면 ‘합성 엔진’에서 총 생성한다. 또한, 사람의 목소리에 근접하게 하기 위하여, 강약이나 비브라토, 숨소리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더하여 사실적인 보컬로 노래한다. 이 보컬로이드 엔진과 캐릭터 음성, 일반 가수 라이브러리의 조합으로 수많은 소프트웨어가 2004년부터 발매되고 있다. 보컬로이드를 통해 지금까지 보컬 파트를 녹음하여 완성시킨 DTM 제작이 실제 사람의 목소리를 녹음하지 않고도 컴퓨터만으로 음악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VOCALOID2 엔진까지는 반주가 없는 목소리만 만들 수 있었지만, VOCALOID3 엔진부터는 반주 데이터를 넣어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 = 구성 = = 보컬로이드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사나 멜로디 등을 입력하는 '스코어 에디터', 음성 소편을 수록한 '가성 라이브러리', 음성 소편을 연결하여 가성을 합성하는 '합성 엔진'으로 구성된다. 스코어 에디터에 입력된 정보를 합성 엔진으로 보내 합성 엔진이 가성 라이브러리에서 적절한 음성 조각을 골라 연결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 = = 스코어 에디터 = = = 스코어 에디터는 사용자가 음표나 멜로디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일본어 라이브러리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로마자를 사용하여 가사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영어 라이브러리는 특정 영어 단어를 입력하면 내부 발음 사전에 의해 자동으로 발음 기호로 변환된다. 발음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단어의 경우 직접 발음 기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VOCALOID3부터는 한국어, 중국어도 지원된다. 다만 한국어 라이브러리는 한글만 가능하고 로마자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 = = 가성 라이브러리 = = = 가성 라이브러리에는 음절별로 나뉘어진 음성 조각이 있다. 이 음성 조각은 성우에게 단어나 문장을 읽게 한 뒤 음절별로 나누어 만들어지며, 라이선스는 야마하에서 가지고 있다. = = = 합성 엔진 = = = 합성 엔진은 스코어 에디터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가성 라이브러리에서 적절한 음성 조각을 골라 주파수, 피치 등을 조절하여 음성을 합성한다. = = 버전 = = 2003년 2월에 발표된 보컬로이드 엔진이다. 영어와 일본어 총 2개의 언어를 지원한다/ 2007년 1월에 발표된 보컬로이드 엔진이다. 같은 해 6월부터 2011년 4월까지 PowerFX, 크립톤 퓨처 미디어, ZERO-G, 주식회사 인터넷, AHS, 야마하, 큔 뮤직에서 VOCALOID2 제품 22개를 출시하였다. 영어와 일본어를 지원한다. 기존 보컬로이드에서 합성 엔진이 완전히 교체되었으며, 에디터의 인터페이스도 개선되었다. 야마하가 2011년 10월 21일에 발매한 보컬로이드 엔진이다. VOCALOID2와 크게 달라진 점은 없으며, 목소리와 반주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언어는 기존 일본어, 영어뿐만 아닌 한국어, 중국어, 스페인어를 지원한다. VOCALOID3 에디터는 총 4가지가 있는데, “VOCALOID3 Editor”와, “Tiny VOCALOID3 Editor”, “VOCALOID Editor for Cubase”, “VOCALOID Editor for Cubase NEO”가 있다. Tiny VOCALOID3 Editor는 라이브러리에 동봉 되어있는 보컬 에디터인데, VOCALOID3 Editor에 비하여 기능이 한정되어 있다. 17소절만 이용 가능하며 오직 1트랙만 사용 가능하다. VOCALOID Editor for Cubase는 2013년 1월 출시된 윈도우 전용의 VOCALOID3 에디터이고, VOCALOID Editor for Cubase NEO는 같은 해 8월 출시된 VOCALOID3 에디터이다. VOCALOID Editor for Cubase NEO는 Windows뿐만 아닌 Mac OS에도 대응한다. 지금은 판매하지 않는다. 2014년 11월 20일에 발표된 보컬로이드 엔진이다. 기존 VOCALOID3에서 품질이 향상되었으며 새로운 기능인 '그로울(Growl)', '리얼타임 레코딩(Realtime Recording)', '피치 렌더링(Pitch Rendering)', '피치 스냅 모드(Pitch Snap Mode)', '크로스 신세시스(Cross Synthesis)'가 추가되었다. 같은 해 12월 17일에 기본 에디터인 VOCALOID4 Editor와 큐베이스 대응 에디터인 VOCALOID4 Editor for Cubase, 그리고 VOCALOID4 대응 라이브러리 VY1V4가 동시에 발매되었다. 크립톤 퓨처 미디어에서 제작한 보컬로이드 에디터이다. 2013년 2월 15일 출시되었던 KAITO V3와 같은 해 8월 31일에 출시된 하츠네 미쿠 V3에서 사용할 수 있다. Windows와 Mac OS X에 대응한다. 2018년 7월 12일에 발표된 보컬로이드 엔진이다. 인터페이스가 개선되었으며, 첫 번째 라이브러리는 하루노 소라이다. = = 보컬로이드의 제품 목록 = = = = VocaListener = = VocaListener(보카리스너)는 노래를 입력해서 VOCALOID의 매개 변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줄여서 보카리스라고 불린다. 입력된 노래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정해, 합성된 보컬로이드의 가창과 원래의 가창을 비교하면서 파라미터의 재조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원본(그리고 인간의 목소리)과 유사한 노래를 얻을 수 있다. 원본을 따라서 가창의 음높이나 가창 스타일을 조정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어 유저의 조정 실력이 낮은 경우나 유저가 조정할 수 없는 표현도 자동으로 조정한다. = 분류:크로아티아의 활동가 = = 기름녹새치 = 기름녹새치는 돛새치목 돛새치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하외이에서 이 물고기는 a'u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태평양에서 녹새치는 1930년대 타히티섬의 저자 제인 그레이가 잡은 바 있다. = = 분포 = = 이 종들은 태평양, 인도양의 열대, 아열대 수역을 통해 볼 수 있다. 가장 열대 지역에 위치한 새치종으로 간주된다.Izumi Nakamura Billfish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marlins, sailfishes, spearfishes and swordfishes known to date FAO species catalogue. Vol.5. = = 개요 = = 녹새치의 최대 길이는 500센티미터에 이를 수 있으나, 평균 길이는 약 350 센티미터이다. 무게는 약 170 킬로그램에 이를 수 있다. = = 생물학 = = 번식 장소는 여름에 인도양, 태평양 지역이다. 남반구에서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주변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녹새치는 매우 이주성이 높은 종이다. 부리를 사용하여 먹이에 상처를 입힌다. = 분류:캠던 (뉴저지주) 출신 = = 부부사라 베이셰날리예바 = 부부사라 베이셰날리예바(, 1926년 9월 15일 ~ 1973년 5월 11일)는 키르기스스탄의 발레 무용수이다. = = 생애 = = 키르기스스탄 추이주에 위치한 보론촙카(현재의 타시테베) 마을에서 태어났다. 러시아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바가노바 발레 학교에서 러시아의 발레리나인 아그리피나 바가노바의 제자가 되었고 나중에 모스크바에 위치한 볼쇼이 극장에서 데뷔하게 된다. 1944년에는 키르기스스탄에서 제작된 발레 촐폰에 출연했으며 이를 계기로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프리마돈나로 여겨지게 된다. 1959년에는 영화로 제작된 촐폰에서도 출연했고 나중에 키르기스스탄 국립 발레 학교에서 발레 강사 겸 교수로 근무하게 된다. 1973년 5월 11일에 키르기스스탄 프룬제(현재의 비슈케크)에서 향년 4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키르기스스탄의 5 솜 지폐에는 그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고 비슈케크에 위치한 키르기스스탄 오페라 발레 극장에는 그의 동상이 건립되어 있다. = 틀:윤석열 가계도 = 가계도는 윤석열의 가계도를 중심으로 하며, 법상 직계존비속인 현조까지의 가계도를 작성한다. 더 자세한 윤석열의 가계도에 대한 내용은 윤석열의 가족 문서를 참고한다. = 분류:유니언 신학교 교수 = = 내가 날 부를 때 = 내가 나를 부를 때(我的姐姐, Sister)는 중국에서 제작된 인뤄신 감독의 2021년 드라마 영화이다. 장쯔펑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2021년 4월 2일 중국에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장쯔펑의 연기 부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장쯔펑 샤오양 주원원 양정강 김요원 = 분류:말라위의 행정 구역 틀 = = 분류:홍천군수 = = 초안:루안 로드리게스 = Luan Rodrigues(한국어: 루안 로드리게스, 1996년 7월 16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 = 직업 = = 2015년에 Esporte Clube Comercial de Campo Grande 팀에 합류했다. 2017년에 Novoperário Futebol Clube de Campo Grande 에 합류했다. 2019년 Luverdense Esporte Clube de Lucas do Rio Verde 에 합류했다. 2020년 Aquidauanense Futebol Clube de Aquidauana 에 스트라이커로 합류했다. 2021년 Sport Club São Paulo do Rio Grande do Sul에 스트라이커로 합류했으며 12월에는 팀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1년 12월, 그가 2022년을 위해 Clube do Remo de Belém 팀과 스트라이커 로 고용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22년 1월 18일, 3경기 후, 클럽에서 방출되었다고 발표되었다. = 이밴절린 애덤스 = 이벤절린 스미스 애덤스(Evangeline Smith Adams, 1868년 2월 8일 오전 8시 30분 ~ 1932년 11월 10일 또는 12일)은 뉴욕주에 기반을 둔 10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잘 알려진 미국의 점성가이다. 그녀는 한 점성술 컨설턴트 사업의 번영을 이루었고, 법정에서 그녀의 점성술 실천을 성공적으로 변호하여 폭넓은 명성을 얻었으며, 점성술: 당신의 태양이 비치는 자리(Astrology: Your Place in the Sun), 1927과 점성술: 별들 중에 당신의 자리(Astrology: Your Place Among the Stars), 1930 그리고 그녀의 자서전 하늘의 그릇(The Bowl of Heaven), 1926를 포함하는 점성술에 대한 인기 서적들을 저술하였다.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가 그녀의 점성술 서적들을 대필하는 동안, 애덤스는 크로울리 본인의 점성술 서적 점성술의 일반적 실천(The General Practice of Astrology)에 대한 기여자로 정평났다. 그녀는 "미국 최초의 슈퍼스타 점성가"로 묘사되었다.David G. Bromley, The Future of New Religious Movements, p.50. Mercer University Press, 1987. . = = 생애 = = 애덤스는 1859년 2월 8일에 뉴저지주 저지시티의 보수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참조: Crowley, Aleister ed. Hymenaeus Beta The General Principles of Astrology page xx Editor's Introduction, footnote 2 for details of the controversies concerning her year of birth. On her arrest in 1923 she reported her age as 50, suggesting she was born c.1873. Public records, however, show that she was born in 1859. "Age adjustments by women were an accepted practice in the period".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15개월 되던 때에 죽었다. 애덤스는 전업 점성가로 일하기 전에, 그녀의 고용주로 알려진 로드씨와 약혼했다. 그녀가 전하기를 그녀는 처음에 그를 사랑했지만, 그를 향한 마음은 사그라졌고 이내 파혼했다고 한다.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그녀는 에마 바이올라 셰리든 프라이(교사이자 기자, 극작가 그리고 여성 참정권론자)와 친구로 지냈다.Ohles, Frederik, Shirley M. Ohles, and John G. Ramsay. 1997. Biographical Dictionary of American Educators. Westport, CT: Greenwood Press. pp. 119–120. Leonard, John William, Editor-in-Chief. 1914. Woman's Who's Who of Ame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contemporary women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14–1915. New York: The American Commonwealth Company. p. 311. 1929년 윌스트리트 대폭락으로 치닫던 동안에도 그녀의 점성술 소식지에 대한 수천만의 구독자들은 그녀의 조언에 따라 주식투자에 임했다. The Crash of 1929, PBS American Experience 이밴절린 애덤스는 1932년에 죽었다. = = 점성술의 실천과 논쟁 = = 애덤스가 서적들을 출판하며, 인기 매체에 그녀의 단평을 알리는데 몰두하면서부터 그녀의 경력은 끝나기 시작했다. 그녀의 경력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그녀는 대면이나 우편을 통한 자문에 의한 그녀의 점성술 실천 사업을 번영케 했다. 그러함은 여러 명의 조수와 속기사를 고용하게 만들었다.Crowley, Aleister ed. Hymenaeus Beta The General Principles of Astrology page xxi Editor's Introduction 몇 년 동안, 애덤스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를 대필 작가로 고용했다. 그들의 사업 관계는 크로울리의 점성술의 일반 원리(General Principles of Astrology)에 대하여 "누가 그것의 진짜 작가인가"에 대한 저작권 문제를 야기하여, 결국 험악한 것이 되었다. (그 저서의 저작권 문제는 크로울리에 기인하지만, 애덤스의 기여도 인정하는 것으로 해결되었다.)Crowley, Aleister ed. Hymenaeus Beta The General Principles of Astrology. The Editor's Introduction details the controversy and how it was settled to the consent of both party's estates. 1911년과 1914년 그리고 1923년에 애덤스는 뉴욕주에서 운세 예언의 죄목으로 세 차례 구속되었다.그 당시에, 점성술의 실천은 합법적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기소한 모든 재판은 기각되었고, 특히 1914년 5월의 공판은 그녀가 판사에게 그의 출생 정보로 그의 아들에 대한 성격을 점성학적 해석으로 설명해준 이래, 판사의 그녀의 기술에 대한 칭찬과 "완전한 범법 행위"에 대한 무죄 판결로 인해 유명세를 탔다. = 분류:웨스트버지니아주의 섹슈얼리티 = = 하마다 야스카즈 = 하마다 야스카즈(, 1955년 10월 21일 ~)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의 중의원 의원이다. 아소 내각의 방위대신을 지냈으며, 아버지 하마다 고이치(浜田幸一)는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지바현의 훗쓰시에서 태어나, 센슈 대학을 졸업하고, 1993년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첫 당선되었다. 2008년 아소 내각의 방위대신에 임명돼, 첫 입각하였다. = 센고쿠역 = 센고쿠역은 일본 도쿄도 분쿄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역 구조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 개찰구는 2개소이다. = = = 승강장 = = = 1 미타 선 오테마치・메구로・히요시 방면 2 미타 선 스가모・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 = 역 주변 = = 리쿠기엔(六義園) 도쿄 도립 고이시카와 고등학교 무라타 여중・고등학교 일본의사회관 도요 대학(東洋大学) 고마고메 경찰서 분쿄 그린코트 동양문고 국도 제17호선 = = 역사 = = 1972년 6월 30일: 영업 개시. 1978년 7월 1일: 6호선을 미타 선으로 노선명 변경. = 분류:헤드마르크주의 도시 = = 도니 판 더 베이크 = 도니 판 더 베이크(Donny van de Beek, 1997년 4월 18일~)는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며 현재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소속이다. = = 초기 생애 = = 판 더 베이크의 부친은 아약스의 열렬한 팬이였기 때문에 판 더 베이크는 5살 때부터 축구 경기장에 가게 되었다. 이후 그의 아버지가 뛰었던 지역팀 페인스허 보이스 아카데미에서 축구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2014년 8월에 그는 아약스 유소년 아카데미에 3년 계약을 맺고 D팀에 배속되었다.2015년 1월 27일에는 2018년 중반까지 구단에 머물기 위해 계약 연장에 서명했다. = = 구단 경력 = = = = = 아약스 = = = 2015년 1월, 스파르타 로테르담과의 경기를 앞두고 용 아약스 소속으로 성인팀 데뷔전을 처렀다. 이후 그는 ADO 덴하흐과의 경기에서 아약스의 1군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지만 경기에는 출전하지는 못했다. 2015년 11월, 셀틱 FC와의 UEFA 유로파리그 경기에 소집되어 출전하면서 아약스 1군 데뷔전을 치렀고, 경기 이후 인터뷰에서 "아름답다"고 말하며 "경기를 잘 해냈다. 경기가 계속 왔다 갔다 해서 물론 힘들었다. 그래도 잘했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셀틱과의 경기 3일 뒤에 열린 PEC 즈볼러와의 경기에도 출전하면서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12월 10일에 열린 몰데 FK와의 유로파 리그 경기에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16-17시즌을 앞두고 아약스는 새로운 감독으로 페터르 보스를 선임했다. 페터르 감독은 도니 판 더 베이크를 중용하려고 했으며 PAOK FC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을 앞두고 도니 판 더 베이크를 소집 명단에 포함시켰으며 도니 판 더 베이크는 PAOK와의 예선 1차전을 뛰었다. 2017-18시즌 OGC 니스와의 챔피언스리그 예선 경기에서 1,2차전 모두 득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팀은 원정다득점 규칙에 의해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7년 11월 18일 도니 판 더 베이크는 NAC 브레다와의 에레데비시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해 팀의 8-0 승리를 이끌었다. 2018-19시즌 도니 판 더 베이크는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1차전 AEK 아테네와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 도니 판 더 베이크의 활약은 팀이 대회 토너먼트에 진출하고서도 이어졌다. 8강 2차전에서 도니 판 더 베이크는 전반 34분 득점을 기록하며 2-1승리를 이루어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이끄는 유벤투스 FC를 무너뜨렸다. 이에 그치지 않고 4강 1차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토트넘 홋스퍼 FC를 1-0으로 침몰시켰다. 하지만 팀은 2차전에서 2-3으로 패해 4강에서 탈락했다. 2020-21시즌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Donny van de Beek: Man Utd sign Ajax midfielder for £35m = = 국가대표팀 경력 = = = = = 연령별 대표팀 = = = 판 더 베이크는 네덜란드의 17세 이하, 19세 이하, 20세 이하 및 21세 이하 대표팀 소속으로 뛰었다. 2013년 9월 11일에는 네덜란드 U-17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속으로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또한 이후 2014년 UEFA 유럽 선수권대회에 출전해 네덜란드의 대회 준우승에 기여했다. = = = A 대표팀 = = = 2017년 11월 24일 도니 판 더 베이크는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경기에 출전하면서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020년 10월 14일, UEFA 네이션스리그의 이탈리아와의 원정 경기에서 첫 A매치 골을 기록했으며, 팀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 수상 = = = = = 팀 = = = = = = = AFC 아약스 = = = = 에레디비시 우승: 2018-19 KNVB컵 우승: 2018-19 요한 크라위프 스할 우승: 2019 = = = = 네덜란드 U-17 = = = =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4 = 안토노프 An-225 = 안토노프 An-225는 소련의 항공기 제작사 안토노프가 개발한 화물기로 항공기 중 가장 컸었다. 1988년 생산된 이래 단 한 대밖에 제작되지 않았다. 2004년 세계에서 가장 큰 항공기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었다. 하지만 An-225는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인하여 2022년 2월 28일 뼈대만 남기고 파괴되었다. = = 역사 = = 소련이 우주왕복선 부란을 수송하기 위해 개발한 수송기이다. 1988년 11월 21일 처음 비행하였다. 1989년 3월 22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 상공에서 3시간 반 동안 비행했는데 이륙 중량 50만 8200kg, 화물 15만 6300kg으로 2,000km의 일주 코스를 고도 1만 2340m에서 시속 813km의 속도로 비행하면서 한꺼번에 106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90년 영국에서 개최된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날아왔을 때 그 엄청난 크기에 관중들이 압도되었다고 한다. 이륙 최대 중량은 600톤에 이르는데 이것은 보잉 747의 이륙 최대 중량보다 200톤이나 더 무거운 것이다. 단 한 대만 생산되었으며 우크라이나의 안토노프 항공에서 운영한다. 안토노프는 민간 수송기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지만 운용 비용이 너무 비싸 2012년까지 한 건의 수주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2월 28일 An-225가 호스토멜 공항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인해 파괴되었다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트위터에서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파괴된 An-225를 다시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우크로보론프롬사는 파괴된 AN-225를 복원하는 데 30억달러(약 3조6,200억원) 이상의 비용과 5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 = 사항 = = 소련 최대의 항공기 제작사인 안토노프가 기존의 4개 제트 엔진이 달린 수송기 안토노프 An-124의 주날개를 15m, 동체를 7m 연장하고, 꼬리날개를 쌍수직 꼬리날개로 개조했다. 폭 88.4m, 길이 84m, 높이 18.1m, 주날개면적 905m2, 최대 탑재량 25만kg, 이륙최대중량 60만kg의 항공사상 최대의 수송기로 순항속도는 시속 700∼850km, 항속거리는 4,500km이며, 승무원은 6명까지 탑승, 엔진은 ZMKB 엔진 6기를 사용한다. = = 호칭 = = An-225 므리야라고 불리는데, 므리야는 우크라이나어로 꿈이라는 뜻이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서는 카자크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 = 한국 방문 = = 2012년 1월 7일, 항공기가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여 여러 화물을 전해 주고 돌아갔다. = = 갤러리 = = AN225down.jpg An-225-manchester-2006.jpg Buran on An-225 (Le Bourget 1989) 1.JPEG An-225 Mriya.jpg Antonov 225 passing over Birmingham - 2020-08-02 - Andy Mabbett - 04 (cropped).jpg 50 днів активного спротиву окупанту 05.jpg = 야릉그레이프 = 야릉그레이프는 노르드 신화의 신 토르의 무쇠로 된 장갑이다. 신 에다에서 야릉그레이프와 묠니르, 메깅요르드가 토르의 세가지 보물이라고 한다. 〈길피가 말하기를〉 제20장에 따르면, 드베르그가 묠니르를 만들던 도중 쉬파리(변신한 로키)에 눈을 쏘이는 바람에 망치 손잡이가 짧아졌고, 때문에 토르는 묠니르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야릉그레이브를 꼭 껴야 한다. = = 참고 자료 = =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 틀:핸드볼 국가대표팀 선수 = = 시작 메뉴 = 시작 메뉴는 윈도우 95 이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 체제에 탑재되어 있는 메뉴이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른 작업들을 수행하는 중심점으로 작업 표시줄 왼쪽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표시된다. 전통적으로, 시작 메뉴는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더 나아가 최근에 열어본 문서들의 목록을 제공하고, 파일을 찾거나, 도움말과 시스템 설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중에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업데이트되면서 "내 문서", "즐겨찾기"(브라우저 북마크) 등의 특수한 폴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기능이 보강되었다. 윈도우 XP의 시작 메뉴에서는 각종 "내 문서"의 폴더("내 음악"과 "내 그림" 포함)를 포함할 만큼 확장되었고 "내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도 이전 버전과 달리 다른 곳에서 시작 메뉴에 이식되었다. 기술적인 면에서, 시작 메뉴는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이든지 탐색하여 열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작 메뉴는 사용이 능숙한 사용자들까지 프로그램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해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 체제의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초보자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윈도의 각 버전에서 시작 메뉴를 보다 활용해 왔다. 이를테면, 윈도우 XP에서는, Program Files와 Windows 폴더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폴더의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시작 메뉴를 통해 보호된 폴더 안의 파일에 접근하는 것은 예외로 되어 있다. 넓은 면에서, 시작 메뉴는 프로그램, 문서, 시스템 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단일 지점이자 다른 운영 체제와 달리 프로그램(예 : 찾기 메뉴 또는 프로그램 메뉴), 파일(예: 하드 드라이브 또는 파일 캐비닛 아이콘), 시스템 설정(예: 제어판 메뉴 또는 시스템 도구 모음)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윈도우 8 버전에 접어들면서 타일 모양의 시작 화면에 밀려 시작 메뉴의 기능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았다가 윈도우 10에서 윈도 8의 타일 모양 시작 화면이 혼합된 형태로 부활했다. = = 역사 = = 윈도의 초기 버전에서 MS-DOS 실행(MS-DOS Executive)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파일 관리와 프로그램 메뉴 기능을 제공했다. 마침내 프로그램 메뉴의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관리자와 더불어, 윈도우 3.0에서 파일 관리자와 프로그램 관리자로 프로그램들이 바뀌었다. 프로그램 관리자는 창이 꽉 들어찬, 다시 말해 효과적으로 온 화면을 쓰게 했던 응용 프로그램이었다. 단순한 다중 문서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졌는데 사용자들이 프로그램 그룹을 열고 프로그램과 연결된 바로 가기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게 했다. 윈도우 95는 프로그램 관리자의 역할이 시작 메뉴로 전환된 첫 버전이었으며 프로그램 관리자가 팝업 메뉴에 모여 있어서 어느 때나 접근할 수가 있었다. 프로그램 관리자를 넘어 장점이 부각되었다. 이를테면, 다른 그룹들 안에서 그룹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기능, 그리고 프로그램 파일 및 문서 파일의 항목을 끌어서 시작 단추에 놓음으로써 시작 메뉴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들 수 있다. 윈도우 비스타 이전에는 시작 버튼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로고와 함께 "시작"이라는 문자가 있었으나 윈도 비스타부터 "시작" 문자는 없어지고 대신 동그란 파란색 "진줏빛" 윈도 로고만 남게 되었다. 윈도우 7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고전 시작 메뉴가 완전히 제거되었다는 점이다. 또, 윈도 비스타에서 두 개의 전원 관련 버튼이 있었던 것이 윈도 7에서는 하나만 있다. 시작 메뉴의 항목들은 점프 리스트를 지원한다.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키를 누르고 와 를 함께 눌러서 시작 메뉴를 감출 수 있다. 그러나 2012년 10월 윈도우 8 버전에서부터 타일 모양의 시작 화면이 등장함에 따라 17년 동안 유지되어온 시작 메뉴가 사라지게 되었다. 따라서 윈도우 8 버전 이후로는 시작 메뉴가 아예 없고, 대신 타일 모양의 시작 화면이 나타난다. 윈도우 8.1부터는 시작 버튼이 다시 생기지만, 이는 기존 윈도 8의 타일 메뉴로 연결된다. 그러나 윈도 10에서는 윈도우 7의 시작 메뉴에 윈도 8의 타일 메뉴가 접목된 형태로 시작 메뉴가 완전히 부활하게 된다. = = 이동식 운영 체제 = = 시작 메뉴는 윈도우 CE와 윈도우 모바일에도 존재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특정한 스마트폰을 위한 윈도우 모바일 버전인 윈도 모바일 스탠다드에서 시작 메뉴를 불러 내면 응용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만들어 내지 않고 별도의 아이콘 화면을 만들어 낸다. 윈도 모바일 스탠다드 운영 체제와 함께 윈도 CE에서 시작 메뉴는 기본적으로 화면 맨 아래에 있지만 윈도 모바일 클래식과 프로페셔널에서는 화면 맨 위에 위치한다. = = 문서화되지 않은 기능 = = 윈도 운영 체제 대부분의 면과 같이 시작 메뉴의 문서화되지 않은 기능과 개인 설정의 기회가 있다. 이를테면, 이전 시작 메뉴(Classic Start Menu) 방식에서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시작 버튼으로 끌어 놓으면 가장 높은 수준의 시작 메뉴 항목이 만들어진다. 키보드의 바로 가는 키가 할당된 시작 메뉴 폴더 위의 바로 가기 아이콘은 윈도 환경을 통해 반응한다. 대표적인 유틸리티인 TweakUI는 다른 여러 개인 설정을 제공하는데 시작 메뉴의 반응과 창 애니메이션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고급 사용자를 위한 핵을 제공한다. = It's Time = It's Time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It's Time (마이클 부블레의 음반) It's Time (노래) It's Time (EP) = 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선수 명단 틀 = 하계 올림픽 농구 선수 명단 농구 선수 명단 틀 선수 명단 틀 = 분류:계룡시의 축구 경기장 = 축구 경기장 축구 경기장 계룡시 계룡시 = 에드먼드 랜돌프 =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Edmund Jennings Randolph, (1753년 8월 10일 ~ 1813년 9월 12일)은 미국의 변호사, 버지니아의 7대 주지사, 2대 국무부 장관, 미국 초대 변호사 회장을 역임했다. = = 생애 = = 에드먼드 랜돌프는 버지니아 식민지 윌리엄스버그 타제웰 홀에서 태어나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에서 법률을 배웠다. 대학 졸업 후 그는 아버지 존 랜돌프 법률 사무소에서 변호사를 시작했다. 1775년 미국 독립 전쟁 이 시작되자 랜돌프의 동료들은 대부분 영국에 귀국했지만, 에드먼드는 조지 워싱턴 장군의 부관으로 대륙군에 참가했다. 삼촌 페이튼 랜돌프가 죽을 때 토지의 지정 유언 집행자로 지명된 그는 버지니아에 갔다. 그곳에서 그는 제헌 회의에 대표로 선발되었다. 이후 윌리엄스버그의 시장, 그 후에 새로운 주 정부에서 초대 주 법무 장관을 지냈다. 랜돌프는 1779년에 대륙 회의에 대표로 뽑혀 1782까지 같은 업무를 맡았다. 이 기간에 그는 개인적인 사법 문제를 처리, 특히 조지 워싱턴을 위한 수많은 법적 문제를 처리했다. 랜돌프는 1786년에 버지니아의 주지사로 선정되어 같은 해 애너폴리스 협정에 대표단을 이끌고 버지니아 안을 도입했다. 그 후 그는 헌법 제정 회의에 대표로 노예의 수입에 반대하고 중앙 정부의 강한 의향 아래 국가의 다양한 부분에서 세 명의 최고 행정관 계획을 주장했다. 또한 그는 "세부위원회"의 멤버로, 헌법의 최종 버전을 완성하는 작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랜돌프는 헌법의 발효에 따른 정치 형태가 불충분한 견제와 균형에 연결된다고 생각하고 최종 서명을 거절하면서 1787년 10월에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그는 1788년 당시 채용의 필요성을 느끼고 비준했다. 그는 1789년 9월 법무 장관에 임명되었다. 토머스 제퍼슨과 알렉산더 해밀턴의 불화 속에서 그는 중립적 입장을 유지했다. 제퍼슨이 1793년에 국무 장관을 사임했을 때, 그는 그 뒤를 이어 제 2대 국무 장관에 취임했다. 같은 기간 동안 그는 프랑스와 영국의 이익 사이에서 양측의 경멸을 받으면서도 엄격한 중립을 유지했다. 랜돌프는 1794년에 런던에 존 제이를 파견할 때 직무 지침을 말했지만 그것은 무시되었다. 제이가 체결한 조약은 랜돌프에 프랑스와 연방당 모두 진정하게 했지만, 대부분은 실패했다. 그의 국무 장관의 임기 종료 직전에 핑크니 조약의 협상은 끝났다. 프랑스 서한을 방해한 스캔들은 랜돌프의 뇌물 수수를 암시하여 1795년 8월 사직으로 이어졌다고 하지만, 그것을 증명하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사직 후 그는 버지니아로 돌아 변호사를 재개했다. 그가 다룬 유명한 사건은 1807년 애런 버의 반역 재판에서 변호사였다. 1813년 9월 12일, 랜돌프는 마비증세로 고통을 받다가 버지니아 클라크 카운티 밀우드 근처 친구의 집인 너대니얼 버웰의 카터 홀에서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근처의 버웰 가족 묘지 오울드 채펄에 묻혔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786년 선거 버지니아 주지사 7대 연방주의자당 100.00% 1표 1위 1787년 선거 버지니아 주지사 7대 연방주의자당 100.00% 1표 1위 = 분류:인도네시아의 항의행동 = = 분류:안동시의 축구단 = = 분류:영국 사람 = = 깃카와 모토하루 = 깃카와/모리 모토하루(, 1530년 ~ 1586년)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모리 료센(毛利両川)의 한 사람이다. 깃카와 구니쓰네(吉川国経)의 외손자이자, 모리 모토나리의 차남. 본성은 오에 씨(大江氏, 후의 후지와라씨(藤原氏)). 모친은 깃카와 구니쓰네의 딸로, 이러한 관계로부터 덴분(天文) 19년(1550년)에 부친 모토나리의 정략에 의해 깃카와 오키쓰네(吉川興経)를 은거시키고, 깃카와 가문의 양자가 되어 깃카와 가문을 잇게 된다. 깃카와 씨는 후지와라 씨의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御家人)으로서 스루가(駿河)에서 많은 전공을 세워, 아키(安芸)에 영지를 얻었으며, 무로마치 시대에는 도사(土佐)의 분군슈고(分郡守護)로 임명되기도 했던 명문가이다. 모리 료센의 한 사람으로서, 동생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와 함께 모리 가문 융성의 발판을 쌓아올린 명장이다. 주로 산인(山陰) 방면의 사령관으로서 공헌하였다. 평생 76번의 전투에 임하여, 64번의 승리를 거두고, 한 번도 진 적 없는 무장이라고 전해지고 있다.실제로는 갓산토다 성 전투(月山富田城の戦い)에서의 아키아게 히사이에(秋上久家)와 고로자카 전투(降露坂) 등, 패배한 전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것은 중국의 오기(呉起)의 전적과 가까운 것으로, 그 전적을 베껴온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 = 인물·일화 = = 모토하루라는 이름은 아키국에 토착한 모리 가문의 세력 확대를 위해 절치부심했던 선조 모리 모토하루(毛利元春)에서 따온 것이다. 여기서도 부친 모토나리가 모토하루에게 건 기대를 엿볼 수 있다. 부친 모토나리도 모토하루의 용맹을 두고 “나는 싸움으로는 모토하루에게 미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모토나리는 모토하루가 단지 용맹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간파하고 있어, “눈은 동남쪽을 보면서, 마음은 서북쪽에 있다”“眼東南を見て、心西北にあり”라고 평했다고 한다. 추한 외모로 소문난 구마가이 노부나오(熊谷信直)의 딸을 처로 맞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용맹하기로 유명했던 구마가이 노부나오의 세력을 같은 편으로 삼기 위한 정략 결혼이었다고는 하나, 그 한편으로는 스스로 여색을 탐하지 않도록 경계하기 위해서였다고도 한다. 덧붙여 부부 관계는 원만하여, 모토하루와 정실 사이에는 깃카와 모토나가(吉川元長)와 깃카와 히로이에(吉川広家), 깃카와 모토우지(毛利元氏) 등 여러 자식을 두었다. 단, 다케다 미쓰카즈(武田光和)에게 시집간 구마가이 노부나오의 여동생은 절세의 미인으로 알려져 있어이 여동생이 아키 다케다 가문에서 이혼당한 것이 구마가이 가문이 아키 다케다 가문을 배신하는 원인이 되었다., 숙모와 조카의 외모가 그렇게까지 달랐을까 하는 의문점도 있어, 정말 추한 외모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모토하루는 전투 통산 전적이 76전 64승 12무로 실로 불패의 맹장이었다고 전해진다. 더욱이 아마고 가문 토벌의 진중에서 《태평기》 40권을 필사하여 현존하는 《깃카와 본 태평기(吉川本太平記)》로 전해지고 있어, 지용을 겸비한 명장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불패의 무장이라고 불리던 모토하루였으나, 제 2차 갓산토다 성 전투 때 시오타니구치(塩谷口)를 공격하려던 중에 자우스야마(茶臼山)에서 잠복하고 있던 아마고 가문의 무장 아키아게 히사이에(秋上久家)의 기습공격으로 패주한 적이 있다. 단 이는 국지전으로, 전체적인 전황으로 모리 군이 갓산토다 성을 함락시켜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패배로 치지 않는 견해도 있다.모리 모토나리도 이 성이 난공불락이라는 사실을 숙지하고 있어 무리한 공격은 금지하고 있었다. 어렸을 때, 동생 다카카게와 눈싸움을 벌였다. 이 때, 모토하루는 스스로 동료 5명을 이끌고 거칠게 돌격하여 승리하였으나, 다음 싸움에서는 다카카게의 유인책에 넘어가 측면을 돌파당하여 패했다고 한다. 하시바 히데요시와 하시즈가와(橋津川)에서 대치하였을 때, 모토하루는 하시즈가와의 다리를 끊고 배수진을 쳤다. 이 때문에 히데요시는 “죽음을 각오한 병사는 당해낼 수 없다”고 두려워하며 철수하였다고 한다. 또한, 히데요시의 가신 미야베 게이준(宮部継潤)은 “깃카와가 있는 한, 모리의 무운은 쇠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평했다고 한다. 모토하루는 자신이 앓고 있는 병(화농성 염증)에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구로다 요시타카가 자신을 위하여 준비한 연어 요리를 거절하는 것은 무례한 짓이라고 여겨 먹었으나, 이 때문에 증세가 악화되어 사망하였다고 한다. 이것은 모토하루의 굳은 의리를 나타내는 에피소드로 자주 거론된다. 히데요시의 주고쿠 전선 철수 때, 실제로 추격을 진언한 것은 장남 모토나가와 3남 히로이에로, 모토하루 자신은 주군 데루모토와 동생 다카카게와 마찬가지로 히데요시의 추격에 반대하였다고 전해진다. = 분류:대한민국의 역사 소설 = = 위키프로젝트:남아메리카 = __NOTOC__ __NOEDITSECTION__ 남아메리카 = 오태훈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오태훈: 아나운서 오태훈 (게임 개발자) = = 가공 인물 = = 언니가 간다의 등장 인물 = 분류:우크라이나의 로마 가톨릭 성당 = = 각시탈 (드라마) = 각시탈은 2012년 5월 30일부터 2012년 9월 6일까지 방송 되었던 KBS 2TV HD 특별기획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주원: 이강토 (李江土), 이영 (李永)이강토의 어릴 적 이름, 사토 히로시 (佐藤宏), 2대 각시탈 역(아역 김우석) - 구한말의 충신 이선의 차남. 어머니를 죽인 기무라 켄지에게 응징하고 있는 각시탈에게 총을 쏘지만 각시탈의 정체가 자신의 친형인 이강산이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형을 죽인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오열했다. 이후 백건에게 무예를 연마받아 형인 강산을 대신해서 각시탈이 된다. 일본 순사와 각시탈 사이에 이중 생활을 하면서 기무라 슌지에 의해 수차례의 위기를 겪지만 목담사리를 잡은 경험으로 위기에서 벗어난다. 조선인을 극도로 싫어하는 무라야마에 의해 직위가 강등되고, 기무라 슌지와 채홍주에 의해 각시탈로 밝혀진다. 종로 경찰서 무기고를 털다가 기무라 슌지에 의해 체포되지만 안섭과 진홍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조영근과 박인삼을 죽이고 나서 아버지 이선의 원수인 기무라 타로와 우에노 히데키를 살해한다. 동진 결사대 요새에서 목단과 결혼하나 목단이 슌지가 강토를 저격 하려다 실패해 암살 당하자 오열한다. 결혼식장은 아수라장이 된다. 그러나 백건의 도움으로 일을 계속한다. 진세연: 오목단 역(아역 김현수)(†) - 담사리의 딸, 극동 서커스 단원. 어릴 적 별칭은 분이. 세례명은 에스더다. 강토의 첫 사랑이다. 어릴 적에 도련님 (이영, 훗날 이강토)과 헤어질 때, 나중에 서로 알아볼 수 있는 징표로 단검을 건네받고 지금까지 항상 지니고 다닌다. 각시탈이 이강토인 것을 알고나서는 이전의 이강토에 대한 악의로 가득찼던 마음을 돌리고, 이강토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다. 기무라 슌지가 각시탈의 존재를 알았다는 것을 이강토에게 알려준다. 동진 결사대 요새에서 이강토와 결혼식을 올리던 중 슌지가 강토에게 일격을 가하고 강토를 대신해서 총알에 맞아 암살 당했다. 박기웅: 기무라 슌지 (木村 俊二) 역 (아역 이병준)(†) - 종로 경찰서장 기무라 타로의 차남. 사무라이 아비의 아들로 태어난 숙명으로 검은 배웠으나 스스로 검을 버리고 조선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길을 택했지만, 이후 형의 죽음을 계기로 순사로 변한다. 각시탈을 잡기 위해 노력을 하지만 실패만 계속해 각시탈에 대한 악으로 가득찼다. 그러나 친구이자 부하인 이강토의 행적을 보고 각시탈일 것이라고 의심을 하기 시작했다. 각시탈을 잡기 위해 동진의 참모인 송 기자를 검찰 호송하는 것을 미끼로 각시탈이 이강토임을 밝혀낸다. 이후 이강토와의 친구 관계를 청산하고 적으로 돌아선다. 국방 헌금을 강탈당하는 등 계속되는 이강토의 거짓 정보에 속았다가 종로 경찰서 무기고를 털 것으로 예상하고 급습하여 이강토를 체포하는데 성공하지만 안섭과 진홍에 의해 또 다시 놓친다. 아버지가 각시탈에 의해 살해되자 복수를 다짐하며 동진 결사대의 아지트를 급습한다. 마지막엔 실수로 자신이 사랑하던 목단을 잘못 저격한 후 자책감에 권총으로 자살한다. 한채아: 우에노 리에 (上野 理恵), 채홍주 역 - "라라"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가수이자 일본 극우 단체 키쇼카이의 일원. 양반 지주의 외동딸로 태어났으나, 독립 자금을 후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독립군에게 아버지가 죽임을 당하자 생모 마저 충격으로 사망하고 부리던 하인들이 집에 불을 질러서 집안이 풍비박산나고 만다. 이후 19살 때부터 관기 일을 하다가 우에노 히데키의 눈에 들어 그의 양녀가 되었고 이때부터 '우에노 리에 (上野 理恵)'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우에노 히데키가 주로 일본에 있어 키쇼카이 경성지부에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강토를 짝사랑하였으나 그가 각시탈임을 알고 갈등한다. 키쇼카이가 이강토의 정체를 안 뒤 우에노 히데키에게 살해를 당할 뻔 했지만 이강토와 호위 무사 가츠야마에 의해 살아남는다. 마지막 회에서 가츠야마에게 자신의 본명을 말해주고 어딘가로 떠난다. = = = 강토의 주변 인물 = = = 신현준: 이강산(李江山), 이인 (李仁)이강산의 어릴 적 이름, 1대 각시탈 역(아역 윤홍빈) (†) - 이선의 장남이자 이강토의 형으로 고종의 망명을 꾀하다 무참히 살해된 아비를 대신해서 집안을 일으킬 요량으로 경성제국대학교 법대에 진학했지만 독서회 사건에 연루되어 모진 고문 끝에 바보가 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일본 순사들을 속이기 위한 계략이었으며 바보 행세로 감옥을 탈출한 뒤 각시탈이 되어 조선인들을 구해준다. 6부에서 어머니 한씨를 죽인 기무라 켄지에게 복수하다가 동생 강토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1회~6회 특별출연) 송옥숙: 한씨 역(†) - 강산, 강토의 어머니. 독립 자금을 모으기 위해 전 재산을 팔아버린 남편 덕에 생활고가 해일처럼 덮쳤을 때에도, 아들 강토의 친일 행위 때문에 종로시장 상인들한테 멸시 당할 때에도 견뎌냈다. 그러나 각시탈의 정체가 이강산인 것을 안 기무라 켄지의 공격을 막다가 총에 맞아 사망했다.(1회~6회 특별출연) 이일재: 이선 역(†) - 강산, 강토의 아버지. 삼한갑족의 자손으로 태어나 일신의 영달과 가족의 안위보다는 오직 나라 걱정밖에 하지 않았던 진정한 선비이다. 전 재산을 팔아서 모은 600억의 독립 자금을 손에 쥔 채 여섯 명의 동지와 함께 고종의 망명을 꾀했으나 그를 제외한 모든 동지들이 변절해버려 홀로 죽임을 당하는 비운의 충신이다.(1회~4회 특별출연) 전현: 백건 역 - 이선의 호위 무사이며 조선 최고의 무사. 다정한 성격이며 각시탈(이강산, 이강토)의 스승이다. 고종의 망명을 꾀했던 이선이 동지들의 배신으로 홀로 죽임을 당하자 이선을 지켜내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함께 이선의 가족들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사형장에서 목담사리를 차량을 이용해 탈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후에도 계속 각시탈을 도와준다. = = = 목단의 주변 인물 = = = 전노민: 목담사리 역(†) - 목단의 아버지. 노비 출신의 의병장으로 일경의 간담을 서늘케 하는 무장 독립군. 늘 지명 수배 1순위지만 잡히기만 하면 그야말로 신출귀몰. 탈출의 명수다. 벌써 6번을 잡혔다가 7번째 탈출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조선 총독부 합방 축하 행사에서 폭탄을 던지기 직전 기무라 슌지에 의해 붙잡히지만 사형장에서 이강토, 적파, 백건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한다. 양백을 모시고 오기 위해 경성을 떠났다가 양백과 함께 경성에 잠입한다. 아지트가 발각되어 양백으로 위장하여 일본 순사와의 추격 중 총탄에 맞아 붙잡히려는 순간 자결한다. 이재유를 모델로 한 캐릭터다. 손병호: 조 단장 (조동주) 역(†) - 극동 서커스단의 단장. 일본 순사들 몰래 독립 운동 지원을 하고 있다. 이강토와 오목단의 결혼식에서 일본 경찰을 막다 슌지 손에 사망한다. 이경실: 오동년 역(†) - 극동 서커스단의 단원. 억척스런 아줌마 같지만 시집 온 첫날밤에 소박맞은 후로 줄곧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아왔다고 한다. 12년 전 엄마 없는 목단을 호적에 들여 친딸처럼 보살펴주었다. 목담사리 사형장에서 목담사리 사형집행을 방해하려다 기무라 슌지의 총에 맞고 죽는다. 이병준: 신난다 역 - 극동서커스단의 단원. 인생에 하도 어려움이 많아 난다(難多)라는 예명을 스스로 붙였다. 겁이 많아 앞에 나서는 것을 꺼려한다. 손여은: 엄선화 역 - 오목단의 가장 가까운 친구로 목단을 친언니처럼 무척 따른다. 위안부로 끌려가면서 각시탈(이강토)이 일본 순사와 싸울때 위안부로 끌려가는 여성들을 탈출시킨다. 오목단이 동진 결사대 대원인 김득수를 만나게 하는데 일조를 한다. 터울이 큰 남동생 창수가 있다. 순진하고 착하고 김득수를 좋아한다. 서윤아: 함계순 역 - 극동 서커스단의 단원이지만 실은 화려한 생활을 꿈꾸며 엔젤 클럽에 들어가기 위해 어떤 수단도 가리지 않는다. 일제 경찰로부터 극동 서커스단의 오목단 감시라는 임무를 맡아 스파이 생활로 받는 보수로 호위호식하고 있는 친일 매국노이다. 하지만 오목단의 감시를 소홀히 하여 기무라 슌지에게 물고문을 당해 두려움을 가졌으며, 일본군 학도병으로 강제 징집된 동생 민규가 살아 돌아와서 동진 결사대 대원으로 입대하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동진 결사대의 활동에 일조한다. 김유진: 황부용 역 - 극동 서커스단 단원 박하늘: 윤소화 역 - 극동 서커스단 단원 ?: 엄창수 역 - 엄선화의 남동생 반민정: 안나 (적파) 역(†) - 평안남도 맹산의 소굴에서 남자들이 하기 어려웠다던 독립 운동을 진두 지휘한 전투사 출신. 거사를 위해 목담사리와 부부로 위장하고 경성에 잠입한다. 사형장에서 목담사리를 탈출시키는데 성공하지만 기무라 슌지의 총에 맞아 현장에 잡혔고, 고문 중 이강토가 보는 앞에서 유언을 남기고 혀를 깨물어 자결한다. 김인호: 장 동지 역 (†) - 목담사리 사형장에서 각시탈을 쓰고 자폭을 했다. 이도훈: 윤 동지 역 (†) - 서대문 형무소로 이송되는 담사리를 탈출시키려다 일본 순사가 쏜 총에 맞아 죽는다. 김영훈: 박 동지 (박근수) 역(†) - 엔젤 클럽에서 이강토를 살해하려다 실패하여 고문을 받고 있는 중 각시탈(이강토)의 도움으로 탈출하려다 기무라 슌지의 총에 맞아 죽는다. 김명곤: 양백 역(21부~) - 상해 임시 정부 국무령. 한인 애국단 수장으로, 60만 원현재 가치 약 198억 원의 현상금이 걸린, 그야말로 독립 투쟁의 중심. 조선 내 무장 독립 투쟁을 준비하고 있는 동진을 직접 만나러 담사리와 함께 경성에 잠입한다. 아지트가 들통나 급습을 받지만 동진과 수하들의 도움으로 상해로 돌아간다.김구를 모델로 한 캐릭터다. 은유: 진홍 역(21부~) (†) - 양백의 수하. 국방 헌금과 종로 경찰서 내 무기고에 있는 무기를 빼돌리고, 이강토가 기무라 슌지에게 붙잡혀 고문받고 있을 때 탈출시킨다. 아름다운 미모와 강력한 무력을 두루 갖춘 인재. 김지민: 안섭 역(21부~) - 양백의 수하. 각시탈(이강토)과 함께 송 기자 탈출을 도움. 호적부를 불태우고, 일본군에 쓰일 헌금을 빼돌린다. 박보검: 함민규 역(26부~) - 계순의 남동생. 전문학교를 다니다 학도병에 끌려가기 직전 동진 결사대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동진 결사대에 입대한다. 일본군과 순사들의 급습에서 살아남아 동진 결사대의 잔존 세력과 함께 만세 운동에 참여한다. = = = 슌지의 주변 인물 = = = 천호진: 기무라 타로 (木村 太郎) 역(†) - 종로 경찰서장. 켄지, 슌지 형제의 아버지. 13~14부 초반에서 한일 합방 기념식 폭탄 테러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조선 총독으로부터 종로 경찰서장 직에서 파면당한다. 콘노 고지가 죽은 후 우에노 히데키가 와다 료를 협박하여 조선 총독부 경무국장에 임명된다. 경무국장이 되고 나서 위안부 모집, 창씨 개명, 징병제에 직접 관여한다. 자신의 부하였던 이강토가 이선의 아들 이영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이강토와의 마지막 결투에서 압도적으로 패하여 살해된다. 박주형: 기무라 켄지 (木村 健二) 역(†) - 종로 경찰서 경부. 슌지의 형, 기무라 타로의 장남. 6부에서 복수심에 불탄 각시탈(이강토)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1회~6회 특별출연) 주부진: 순이의 할머니 역 - 기무라 타로 집안의 유모. 켄지, 슌지 형제를 어렸을 때부터 보살폈다. 타로가 평양에 있던 시절 병에 걸려 쫓겨날 뻔할 때 슌지가 아버지 타로의 검을 팔아서 받은 돈으로 치료를 받아 살아났다. 친어머니를 일찍 여읜 슌지에게는 사실상 어머니나 다를바 없는 인물이다. 이슬비예명 '가원'이란 이름을 사용했다 : 심순이 역(20부~21부) - 유모의 손녀로 간호부를 모집하는 말에 속아 위안부로 가게 되었다 = = = 홍주의 주변 인물 = = = 전국환: 우에노 히데키 (上野 秀樹) 역(†) - 일본 최고의 극우 단체 키쇼카이의 회장이자 아스카 호텔의 소유자이며, 채홍주의 양아버지이다. 겉보기에는 평범한 노인 같지만 사실은 잔인하고 사악하기 그지없는 인물이며 엄청난 재력가이고, 강산, 강토의 아버지 이선을 죽음으로 몰고 간 장본인이다. 키쇼카이 회원들과 용병들이 각시탈에 의해 계속 죽임을 당하고 채홍주마저 실패하자 분노한다. 마지막엔 결국 각시탈(이강토)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안형준: 가츠야마 준 (勝山準) 역 - 채홍주의 호위 무사이며 긴페이와 함께 일본 최고의 무사이다. 각시탈과 막상막하의 무술 실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시탈의 라이벌이다. 여러 차례 각시탈과 대결하며 존재감을 드러냈으나 21부에서 독립군인 안섭과의 싸움에서 지는 허무한 모습도 보여준다. (사실은 가츠야마가 더 강하다). 홍주의 호위를 전담하는 무사이지만 자신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는 홍주를 진심으로 짝사랑하고 있다. 마지막엔 우에노 회장이 각시탈(이강토)에 인해 죽은 뒤 채홍주와 작별하게 된다. 브루스 칸: 긴페이 가토 (加藤) 역(†) - 우에노 회장의 잔인한 호위 무사로, 일본 최고의 검객이자 최고의 무사라 불린다. 우에노 히데키의 명령으로 퇴근하는 콘노 고지와 수행하던 순사를 잔인하게 살해한다. 기무라 슌지의 요청으로 각시탈이 이강토임을 밝히기 위해 투입되며 처음엔 각시탈과의 전투에서 압도적으로 각시탈을 패배 시키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나중에는 간발의 차로 각시탈에게 쓰러진다. 마지막에는 우에노 회장의 명령으로 홍주를 죽이려다 가츠야마와 각시탈(이강토)에게 죽임을 당한다. = = = 종로 경찰서 = = = 김응수: 콘노 고지 (紺野 浩二) 역(†) - 조선 총독부 경무국장. 조선인에 대한 편견 없이 실력대로 기용하고 능력 있는 강토를 총애 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와다 료의 고향 (조슈)후배이자 동경 제국 대학교 후배이다. 기무라 타로를 종로 경찰서장에서 파면 시킨 후 종로 경찰서장직을 겸임 한다. 퇴근하던 중 긴페이 가토에 의해 살해당한다. 윤봉길: 아베 신지 (阿部 愼司) 역 - 종로 경찰서 순사이며 이강토의 부하. 일본인들에게 부당하게 억압 당하는 조선인들을 볼 때마다 연민이 넘치는 정이 많은 순사다. 유난히 이강토를 잘 따르며, 순사 답지 않게 성격이 순하다. 후에 종로 경찰서에 대항하는 독립군들을 총살하는데 투입된다. 윤진호: 고이소 타다노부 (小磯 忠信) 역 - 기무라 켄지의 부하. 야비하고 비열하며 자신보다 잘 나가는 강토를 용납 못해 끝까지 강토를 괴롭힌다. 무라야마에 의해 이강토를 몰아내고 그 자리에 앉는다. 여호민: 유시 이시다 (油志石田) 역(15부~22부) (†) - 이강토를 감시하기 위해 기무라 슌지의 지시로 고이소 타다노부가 불러온 일본 순사. 이후 이강토 감시는 줄어들고 종로 경찰서 위안부 호송 업무를 담당한다. 동진의 참모인 송 기자를 호송하는 도중 안섭이 쏜 총에 맞아 죽는다. 김명수: 무라야마 요시오 (村山 義雄) 역(19부~28부) - 기무라 타로가 파면당한 이후 공석이 된 경찰서장에 임명되는 군인 출신. 총리 대신 암살에 연루되었지만 무죄를 받았다. 조선인을 극도로 증오하는 잔인하고 포악한 인물로 임명되자마자 백의 단속을 강화하고 각시탈을 잡기 위해 혈안이 된다. 또한 조선인 이강토가 경찰 간부로 재직 중인 것을 이해하지 못해 그를 항상 괴롭힌다. 최웅: 카카와 오자키 (香川 尾崎) 역 - 종로 경찰서 순사. 이시다가 죽은 후 이강토를 감시한다. 이주현: 타케다 산죠 (武田 山上) 역 - 종로 경찰서 순사 = = = 엔젤 클럽 = = = 지서윤: 타샤 역 - 클럽 엔젤의 마담이자 경영자. 비밀리에 양백과 동진을 돕는 인물이다. 이 사실을 노상엽이 기무라 슌지에게 발각돼서 고문 끝에 비밀을 누설하자 엔젤 클럽의 문을 닫고 사라진다. 백재진: 봉 실장 역 - 클럽 엔젤의 관리실장 최대훈: 이해석 역(†) - 일본명 미나미 타마오 (南珠緖). 직업은 영화 감독. 고종의 친척인 이시용의 장남. 타샤의 거짓 사랑과 이시용에 의해 중추원 참의, 키쇼카이 회원이 되는 것을 거부하여 일본군에 쓰일 국방 헌금 전달을 타샤에게 발설하고 자살로 독립 운동에 기여한다. 장준유: 메리 역 - 클럽 엔젤의 딴스 걸 이재원: 노상엽 역 - 클럽 엔젤의 웨이터 오은호: 수지 역 - 클럽 엔젤의 딴스 걸. 경성 최고의 댄서 양희윤: 제니 역 - 클럽 엔젤의 딴스 걸. 앤젤클럽 댄서 중 막내 = = = 키쇼카이 경성지부 회원 = = = 권태원: 최명섭 역(†) - 경성지법 판사. 만주 지역에서 "권수정"이라는 이름의 첩보원으로 활약할 때 이선을 제 손으로 직접 죽인 인물. 담사리에게 사형을 선고했다가 각시탈(이강산)에게 죽임을 당한다. (특별출연) 김규철: 우병준 역 - 조선 총독부 부설 병원장. 이태왕의 주치의였다가 이선을 배신한 후, 우에노의 입김으로 총독부 부설 병원장이 된 인물. 이후 마지막 화까지 안 죽었다. 안석환: 이시용 (李施溶) 역(†) - 고종의 친척. 중추원 참의이자 왕족 (백작). 조선 중앙일보 사장이 되려고 했으나 주주의 반대로 되지 못한다. 아들 이해석을 중추원 참의와 키쇼카이 회원으로 만들기 위해 조선 총독부에 비행기를 헌납한다. 그러나 국방 헌금 전달 실패의 책임을 지고 긴페이 가토한테 처형 당한다. 김태영: 박인삼 역(†) - 경성일보 사장. 박성모의 아버지. 이전 한일 합방을 축하하는 기사를 실어 각시탈에게 경고를 받았으나 동진 선생의 이름을 빌려 위안부를 옹호하는 호외를 발행하였다가 각시탈에게 죽임을 당한다. 방중현: 박성모 역 - 경성일보 기자. 경성일보 박인삼 사장의 아들이다. 박인삼의 죽음으로 경성일보 사장과 키쇼카이 회원이 된다. 김정난: 이화경 역(†) - 왕족 이시용의 후처. 국방 헌금 전달 실패의 책임을 지고 가츠야마한태 처형 당한다. 고인범: 조영근 역(†) - 조일은행 두취(은행장). 각시탈(이강토)에게 한 번 잡혀 굴욕을 당했으나 또 다시 부정을 저지르고 결국 10부에서 각시탈에게 죽임을 당한다. = = = 그 외 반일 인물 = = = 박성웅: 동진 역 (22부~28부) - 조선 중앙일보 前 사장. 불령선인으로 낙인이 찍혀 시찰 대상이다. 조선 내에서 독립 운동을 하는 동진 결사대 대장이고 조선 내 무장 독립 투쟁을 준비하고 있다. 여운형을 모델로 한 캐릭터다. 최대철: 송 기자 역(21부~28부) - 조선 중앙일보 기자. 동진의 참모. 정자옥 양복점에서 태극기를 몰래 만들어 김득수에게 전달. 일장기를 제거한 사진을 실어 종로 경찰서에 압송. 검찰에 호송 중 각시탈(이강토)과 안섭의 도움으로 탈출 김방원: 김득수 역 - 동진 결사대 요원. 종로 시장 떡장수의 아들로 조선의 영웅 각시탈을 존경하고 일제 앞잡이인 이강토(물론 과거의 일이었다)를 증오하는 청년. 상인들을 괴롭히는 순사들에게 짱돌이라도 던져야 속이 시원한 청년이다. 각시탈(이강토)에게 동진을 만나게 해주는 가교 역할을 한다. 호적부를 불태우는 중 기무라 슌지에 의해 붙잡히기도 하지만 다시 탈출하며 이강토가 각시탈임을 알고 나서는 적극적으로 이강토를 도와서 기무라 슌지의 방해 공작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양백과 동진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하면서 만난 선화를 좋아한다. 최윤준: 송 사장 역 - 경성여관 사장 양재원: 배만성 역 - 종로시장 상인 김추월: 득수 엄마 역 - 종로시장 떡장수 길금성: 남성헌 역(21부) - 조선 권투 챔피언 민준현: 박 사장 역(†) - 정자옥 양복점 사장. 양백에게 아지트를 제공하지만 기무라 슌지의 수사로 탄로가 나 고문 받는 도중에 죽고 만다. = = = 그 외 친일 인물 = = = 송민형: 와다 료 (和田 龍) 역 - 조선 총독. 콘노 고지의 고향(조슈) 선배이자 동경 제국 대학교 선배이다. 한수아: 카네코 역 - 총독 비서관 강기화: 마사코 (雅子 역) - 금화정 기생. 금화정에서 조 두취를 모시는 것이 원인이 되어 이강토가 접근한다. = = = 그 외 인물 = = = 임영란 신신범: 노인 역 - 백의 단속으로 고이소 타다노부에게 맞는 노인 손선근 이태검: 사사키 역 - 종로 경찰서 前 순사 유옥주 : 준이 엄마 역 김효명 : 종로시장 상인 역 장태민 천성훈 이성주 : 준이 아버지 역 주동희 : 웨이터 역 김나연 서승원 박현심 이두석 박원석 이은 이태영 황윤희 정현석 : 집배원 역 박성균 박규점 김성훈 : 의사 역 장남영 안여진 백건우 = = = 아역 = = = 김형규 송의준 오병현 한현규 허정범 : 노인의 손자 역 = = = 특별 출연 = = = 장광: 중추원 참의 역(17부) 김기현: 현 의원 역(18부~) 홍여진: 현의원 부인 역(18부~) 장남열: 위안부 남자 모집책 역 곽여진: 위안부 여자 모집책 역 = = 시청률 = =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 TNmS 시청률 AGB 시청률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AGB 시청률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30일 12.6% 12.8% 12.7% 13.3% 제2회 5월 31일 12.4% 13.3% 12.4% 12.9% 제3회 6월 6일 13.3% 14.5% 13.6% 13.9% 제4회 6월 7일 14.8% 14.9% 15.6% 16.7% 제5회 6월 13일 13.8% 14.1% 14.5% 15.4% 제6회 6월 14일 15.5% 16.3% 15.0% 15.7% 제7회 6월 20일 15.3% 15.5% 15.5% 16.5% 제8회 6월 21일 15.4% 15.0% 15.5% 16.3% 제9회 6월 27일 14.7% 13.9% 14.8% 15.2% 제10회 6월 28일 15.9% 15.3% 14.6% 15.0% 제11회 7월 4일 17.6% 17.2% 14.8% 15.8% 제12회 7월 5일 16.5% 15.6% 14.0% 14.0% 제13회 7월 11일 16.7% 15.6% 14.4% 14.4% 제14회 7월 12일 17.3% 16.3% 16.3% 17.5% 제15회 7월 18일 17.2% 16.8% 15.2% 16.7% 제16회 7월 19일 18.1% 17.3% 16.8% 18.2% 제17회 7월 25일 16.7% 16.8% 15.6% 16.3% 제18회 8월 1일 16.9% 16.3% 18.0% 18.2% 제19회 8월 8일 19.3% 18.8% 18.3% 18.2% 제20회 8월 9일 20.6% 20.6% 19.5% 19.8% 제21회 8월 15일 22.6% 23.1% 19.4% 18.8% 제22회 8월 16일 21.9% 22.4% 19.7% 19.5% 제23회 8월 22일 22.2% 22.4% 19.8% 19.5% 제24회 8월 23일 22.3% 22.9% 20.3% 20.2% 제25회 8월 29일 19.4% 19.4% 20.4% 20.6% 제26회 8월 30일 22.8% 22.9% 21.4% 21.7% 제27회 9월 5일 24.3% 26.1% 21.5% 21.9% 제28회 9월 6일 27.3% 27.7% 22.9% 23.2% 평균 시청률 평균 시청률 18.0% 18.0% 16.9% 17.3% = = OST = = = = = Part.1 = = = = = = Part.2 = = = = = = Part.3 = = = = = = Part.4 = = = = = = Part.5 = = = = = = Vol.1 = = = = = DVD = = = = = 각시탈 일반판 = = = 감독: 윤성식 출연자: 주원,진세연,박기웅,한채아,신현준 (외) 장 르: TV드라마 액션 상영시간: 1일 06:25:01 화면: WIDE SCREEN 제작년도: 2012 언어: KOREAN 자막: ENGLISH 음향: DOLBY DIGITAL 2.0 STEREO 제작: KBS 미디어(부메랑모션픽쳐스) 발매일: 2013년 4월 2일 포스터 촬영 + 배우 + 현장 인터뷰 + 메이킹 영상 Disc 01: 1회~3회 Disc 02: 4회~6회 Disc 03: 7회~9회 Disc 04: 10회~12회 Disc 05: 13회~15회 Disc 06: 16회~18회 Disc 07: 19회~21회 Disc 08: 22회~24회 Disc 09: 25회~27회 Disc 10: 28회/(부가영상) = = 결방 및 연장 사유 = = 2012년 7월 3일: 각시탈 방영 분량이 당초 24부작 종영할 예정이었지만,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4회 추가 연장되어 28부작으로 확정되었다. 2012년 7월 26일: 2012 런던 올림픽 남자 축구 <대한민국 vs 멕시코> 중계방송으로 결방되었다. 2012년 8월 2일: 2012 런던 올림픽 양궁 여자 개인 중계방송으로 결방되었다. 2012년 8월 9일: 런던올림픽 리듬체조 후프,볼 손연재 방송시간이 늦춰 밤 10시 5분 연장방송 시작하였다. = = 감독판 방영 = = 2012년 9월 30일 KBS 드라마 채널에서 KBS 드라마본부의 윤성식 PD가 480분 6부작으로 편집한〈각시탈 리미티드 - 최고의 순간 480분〉을 방영하였다. 2014년 8월 15일 광복절에 KBS 드라마 채널에서 재방송하였다. = = 원작 만화와의 비교 = = 만화에서는 여자 주인공과 러브라인이 없으나, 드라마에서는 러브라인이 등장한다.각시탈은 일제 때 '쾌걸 조로' 2012년 5월 18일 조선일보 원작에서는 각시탈이 무기를 사용하지 않으나, 드라마에서는 무기로 쇠퉁소를 사용한다. 이것은 허영만의 〈쇠퉁소〉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과 드라마 모두 각시탈이 낮에는 일본 순사로 활동하는 이중 생활을 한다. 다만 허영만의 〈쇠퉁소〉는 일본 순사 이강토가 쇠퉁소를 죽이고 이를 후회하면서 순사를 그만두는 설정으로 나온다. 원작과 드라마 모두 각시탈이 독립운동가의 아들이다. 다만 드라마에서는 가족이 모두 죽고 집이 불타 없어진다. 이는 허영만의 〈쇠퉁소〉의 쇠퉁소가 가족이 없는 고아라는 설정을 사용했다고 보여진다.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 = = 버스 추락사고와 향후 조치 논란 = = = 2012년 4월 18일 오전 5시 35분에 촬영버스가 경남 합천영상테마파크로 이동하던 중 합천군 대병면 하금마을 인근 1026호 지방도에서 도로옆 3m 아래 논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보조출연자 한명이 사망하고 버스운전사를 비롯한 30명이 부상당했다.각시탈 촬영버스 사고, 1명 사망 30명 중경상…촬영일정 취소 서울신문 2012년 4월 18일 5월 22일 사망한 보조출연자의 유가족은 방송국앞에서 대책방안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유가족은 “남편이 죽고 KBS 측은 언론에 유족들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향후 조치에 사력을 다 한다고 했는데 말만 번지르르하다. 모르는 사람은 우리가 대단한 보상과 위로를 받은 줄 알 거다”라고 말하며, 억울하다. 언론 플레이로 사람을 두 번 죽이고 있다”고 시위에 나선 배경을 전했다.각시탈’ 유가족 시위 “언론플레이, 사람 두 번 죽여” 스타투데이 2012년 5월 22일 5월 23일 드라마 각시탈의 제작발표회에서 사망한 보조출연자의 가족이 대책방안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였다.<각시탈> 사고 유족 "아빠에게 해줄 수 있는 게 이것밖에" 2012년 5월 28일 오마이뉴스 2012년 8월 29일 사망한 보조출연자의 유족 측은 '각시탈 최종회에서 보조출연자 애도 자막을 촉구한다. 성의를 보여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9월 6일 마지막회 시작 무렵에 애도의 자막을 내보냈다. 한편 2012년 KBS연기대상에서 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상을 받은 각시탈의 주원은 수상소감을 전하면서 불의의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보조 출연자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 대해 위로하는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우수연기상 수상자 주원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보조출연자 분의 명복을 빌며... = = = 한류에 부정적 이유로 캐스팅 어려움 = = = 드라마 각시탈은 장혁 등 7명을 거쳐 신인급이었던 주원에게 역할이 주어졌다. 항일을 소재로 한 것에 대한 부담으로 한류 배우들이 거절한 것에 대하여 한 동안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주원은 드라마 데뷔작인 제빵왕 김탁구와 <각시탈> 이후에 출연한 <7급 공무원> <굿 닥터>가 일본 등에서 인기를 얻어 팬미팅이나 콘서트 등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어 <각시탈> 드라마를 한다고 해서 일본에서의 활동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증명되기도 했다. = = = 경쟁 드라마 비하 논란 = = = 드라마 각시탈의 홍보를 위해 개설된 트위터의 지기는 5월 28일 배우 소지섭 팬이라 SBS '유령'을 볼 예정인 친구와 내기했다는 한 네티즌의 글에 "소지섭이요? 여심으로 따지면 대한민국 지존이죠. 그런데 요즘 누가 드라마 배우 따라 보나요"라며 "저랑 가까운 女님도 소지섭, 김선아님 광팬인데 각시탈 안 보면 유령 취급하고 아이두 아이두? 곡소리 나게 해준댔어요"라고 말했다. 5월 29일에는 김선아가 출연하는 MBC '아이두 아이두'를 보려는 엄마와 TV 쟁탈전을 벌일 것이라는 또다른 네티즌에게 "가정의 화목을 위해 각시탈은 본방사수, 아이구 아이구는 재방 부탁드려요"라며 타사 드라마 제목을 바꿔 언급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의 질타가 잇자 "저의 의도와는 다르게 뜻이 전달된 것 같다. 스스로 애정이 너무 지나쳤던 것 같다"라며 "많이 자제하고 주의하고 있다. 애정이 과해서 그랬다고 이해해주시고 저도 신경 써서 트윗하도록 하겠다"라고 사과했다.'각시탈' 트위터의 경쟁작 비교 홍보 눈살…네티즌 지적 빗발 2012년 5월 30일디시뉴스 = = = 사망 유가족 모욕 벌금형 = = = 조연 배우 사망 사고와 관련하여 댓글을 단 사람에 대하여 모욕, 명예훼손죄로 벌금형 선고 = = 참고 사항 = = 만화가 허영만의 1974년 만화 《각시탈》을 원작을 극화한 작품이므로, 지상파 3사의 수목극 중 시청률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한 역대 최대 기록이다. 일본 경찰의 동정복(검은색)과 하정복(흰색)을 드라마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하정복만 입는 것으로 묘사된다. 군인 출신이 임명되는 조선 총독이 경찰 제복을 입고 우스꽝스럽게 묘사된다. = = 수상 경력 = = 2012년 11월 1일 제 6회 임종국 선생 기념 사업회 임종국상 사회 부문: 유현미 작가 (극본)그러나 드라마 후반부터 자문이라는 명분으로 등장하는 민족문제연구소는 동단체이다. 2012년 3월 7일 제1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액션 스턴트상: 각시탈 2012년 12월 31일 KBS 연기대상 인기상, 장편 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주원 여자 신인 연기상: 진세연 남자 조연 연기상: 박기웅 2013년 3월 7일 제 13회 대한민국 국회 대상 올해의 드라마 상: 각시탈 = = 경쟁 프로그램 = = MBC 수목미니시리즈 《아이 두 아이 두》 MBC 수목미니시리즈 《아랑 사또전》 SBS 드라마스페셜 《유령》 SBS 드라마스페셜 《아름다운 그대에게》 = 샤리아 = 샤리아는 이슬람교의 율법이며 규범 체계(規範體系)이다. 샤리아는 꾸란과 하디스에 나오는 규칙들과 원리들이며 그 후 판례들과 율법으로 편찬되어 샤리아가 되었다. 샤리아는 이슬람의 기본법으로 이슬람 공동체의 헌법이며 신적인 뜻을 삶의 모든 정황에 적용한 것이다. 신이 정해준 계시법(啓示法)으로서 종교적 의무, 개인과 사회생활, 상업, 형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 율법 관념에서는 세속적인 법 영역과 종교적인 의무 관념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사회규범은 무엇보다도 종교적 의무관념 그 자체이다. 모든 행위는 다음과 같은 5분법(五分法)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다. 의무적인 행위 권장되는 행위 시비를 문책하지 않는 행위 비판을 받지만 금지할 수 없는 행위 금지된 행위 이슬람 법의 근원은 꾸란과 하디스이며 이를 종합한 것은 이즈마이고, 계시의 본문과 해석의 적용은 이즈마에 따르며 이즈마가 판단 기준이 된다. 이와 같이 이슬람 법 체계가 학문적으로 확립된 것은 이슬람력 3세기였으며, 이후 법 체계로서 새로운 원칙의 도입은 없었다. 이 이슬람법의 법관(法官)은 '카디'라고 하며 점차 세속적 권력 아래 놓이게 되어서 결국 세속적 권력의지에 밀착되어 간다. 세속적 권력을 위한 세속법은 일반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후대에 와서 '카눈'이라고 하는 일정한 법 영역(法領域)을 갖게 되었다. 또한 세속적 권력은 '마라림 법정(法廷)'을 가지고 자기의 재판 기구로 삼는다. 샤리아에 종속되는 법 체계로는 지방적 관습법인 '아다' 내지 '우르프'가 있어 왔다. 이 샤리아에 관한 학문이 법학(피크)이라고 일컬어지고 법학자 '파키'가 샤리아의 전문 해석자였다. '파키'라는 말은 라틴어 'jurisprudens'의 역어로 추정된다. 법관인 '카디'는 '파키'의 자격을 갖춘 자를 말한다. 오늘날 이슬람 세계에 속하는 많은 국가들에서 유럽식 체제와 함께 법률의 근원이 되고 있다. 현대의 이슬람법은 신분법에 주로 많이 남아 있으며 특히 민법전(民法典)에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고전적인 샤리아 관행 중 일부는 현대적 관점에서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를 포함한다고 여겨진다. 그들 중 일부는 전쟁 범죄 또는 인도에 반하는 범죄로 간주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샤리아의 해석에 따르면 종교 전쟁에서 민간인을 노예, 첩 등 전리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지하드 용사들의 자연스러운 권리로 간주되었다. = = 리사라 = = 다음은 가장 일반화된 법학서의 하나인, 마리키 법학파의 이븐 아비 사이드가 편찬한 <리사라>(Al-Risalah, 要綱)의 목차이다(전 45장). 제1장 신학적 문제, 제2장~24장 종교적 의무, 제25장~27장 희사(喜捨), 제28장 순례, 제29장 제물·수렵·할례·금지된 음식, 제30장 지하드, 제31장 서약, 제32장∼33장 혼인·이혼·별거수당, 제34장 매매계약, 제35장 유산·담보·차금(借金)·불법취득, 제37장 살상·형벌, 제38장 증인, 제39장 상속법, 제40장 각종 종교적 의무, 제41장 할례·삭발·의복, 제42장 음식, 제43장 사회적 규칙·코란 독송(讀誦), 제44장 의술·주부(呪符)·노예에 대한 관용, 제45장 꿈·노름 등. = 분류:2세기 군사사 = = 주와라 = 주와라는 리비아 북서부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누카트알함스 주의 주도이다. = 로베르트 구스타프손 = 섬네일 로베르트 구스타프손(, 1964년 12월 20일 ~ )은 스웨덴의 배우이다. 카트리네홀름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돈 떼먹고 도망친 101세 노인 (2016년) 모란 오크 토비아스 - 더 무비 (2016년) 크리스마스 이즈 커밍 아웃 (2015년) 창문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2013년) - 알란 칼슨 역 포 섀드 오브 브라운 (2004년) - 크리스터/요한 역 일루시브 트랙스 (2003년) 글렌 킬링 파 그랜드 (2000년) 알프레드 (1995년) 수네스 썸머 (1993년) - 레페 역 드림 하우스 (1993년) 페리스 휠 (1993년) - 칼버그 역 언더그라운드 시크릿 (1991년) = 론 브라운 = 로널드 하먼 (론) 브라운(Ronald Harmon (Ron) Brown, 1941년 8월 1일 ~ 1996년 4월 3일)은 미국의 민주당 정치인이었다. 그는 빌 클린턴 대통령의 첫 기간 동안 30대 상무 장관을 지냈다. 이것에 대비하여 그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주석이었다. 그는 이 직위들을 지키는 데 첫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그는 1996년 크로아티아에서 일어난 항공 사고에서 34명과 더불어 추락사하였다. = = 초기 생애와 정치 경력 = = 워싱턴 D.C.의 중산층 계급 집안에서 태어나 뉴욕 할렘에서 자라왔다.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사회와 박애주의적 조직 잭 앤드 질 오브 아메리카의 회원이었다. 브라운은 헌터 칼리지 초등학교와 로즈 예비 학교를 다녔다. 그의 부친은 브라운과 그의 가족이 또한 살았던 할렘에서 테레자 호텔을 경영하였다. 그의 가장 친한 친구 존 R. 네일러는 그가 로즈에서 학생이었던 동안 펜트하우스로 이주해 들어갔다. 네일러는 로즈 예비 학교를 다녔던 다른 몇몇의 흑인 학생들 중의 하나였다. 어린이로서 브라운은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를 향하여 처음으로 목표가 되는 것들 중의 하나인 펩시 콜라의 광고에 나왔다. 미들버리 칼리지 재학 중에 브라운은 대학생 친목회 시그마 피 엡실론 (Sigma Phi Epsilon)의 첫 아프리카계 미국인 회원이 되었다. 미들버리 졸업 후, 브라운은 1962년 미국 육군의 소위로서 예비역 장교 훈련단을 통하여 임명되었으며 동년에 앨마 애링턴에게 결혼하였다. 독일과 캘리포니아주에서 복무 순회 후에 대한민국으로 임시로 배치된 그는 1967년 대위로서 군사 복무를 떠났다. 그러고나서 브라운은 미국에서 지도적인 경제적 동등 단체인 국가 도시 연맹에 가입하였다. 그동안 브라운은 세인트 존스 대학교에 있는 로스쿨에 입학하여 1970년 학위를 취득하였다. = = 민주당에서 상승 = = 1976년까지 브라운은 국가 도시 연맹의 프로그램과 정사를 위한 부국장으로 승진되었다. 하지만 그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추구한 상원 에드워드 M. 케네디를 위한 캠페인 차장으로 일하는 데 1979년 사임하였다. 브라운은 변호사와 섭외인으로서 워싱턴 D.C.의 로펌 패턴 보그스에 의하여 기용되었다. 1988년 5월 브라운은 제시 잭슨에 의하여 애틀랜타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 대회에서 잭슨의 대회 팀의 우두머리를 맡는 데 임명되었다. 브라운은 몇몇의 다른 경험을 가진 당의 소식통들과 더불어 잭슨의 대회 운영으로 임명되었다. 6월까지 브라운이 또한 잭슨의 선거 운동을 실행하고 있었다는 것이 명백하였다. = = 민주당 전국위원회 주석 = = 1989년 2월 10일 브라운은 민주당 전국위원회의 주석으로 선출되었고, 성공적인 1992년 민주당 전당 대회와 빌 클린턴의 성공적인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실행한 것에서 완전한 역할을 하였다. = = 상무장관 = = 그러고나서 클린턴 대통령은 1993년 브라운을 30대 상무 장관으로 앉혔다. 클린턴의 가장 높은 우선순위는 외교가 아닌 경제를 뒷받침하는 것이었고 브라운은 결과들을 낳았다.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이스라엘, 서안 지구, 가자, 이집트, 러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아일랜드, 인도와 세네갈로 기업인, 비지니스맨과 재정가들의 사절단들을 지도하였다. 그는 전체의 승객들이 추락사했을 때 크로아티아로 가는 도중에 교역 임무를 지도하고 있었다. 자신의 재직 기간 동안 브라운은 상무부 교역 사절 논란에 연루되었다. = = 브라운에 대한 비판 = = 내니게이트 스캔들이 일어난 동안 브라운은 불법 이민자였던 자신의 하녀를 위하여 자신이 세금을 내는 데 실패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미국인의 40 퍼센트는 브라운의 사임을 요구하였으나 그는 사임하지 않았다. 1996년 자신의 교역 임무가 있기 전에 브라운은 클린턴의 재선 운동을 위하여 기금을 모으는 데 교역 임무를 위하여 이용된 항공기에 좌석 판매에 연루되었다. 1993년 브라운은 자신이 베트남에 대한 금수 조치를 해제할 것에 베트남 비지니스맨 응우옌반하오로부터 70만 달러를 수락했다고 주장되었다. = = 사망 = = 1996년 4월 3일 브라운이 공식 교역 임무에 있었을 때 브라운과 뉴욕 타임스의 프랑크푸르트 국장 너새니얼 C. 내시를 포함한 다른 34명의 사람들을 실은 미국 공군의 보잉 T-43기가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 공항으로 접근에 산허리로 들어가 충돌하였다. 공군은 조종의 실책과 부족하게 디자인된 상륙 접근으로 충돌을 속성하였다. 충돌에 관한 추측은 많은 정부 은폐와 부패에 대한 독립적인 변호인에 의하여 조사 아래 놓인 브라운에 크게 기반으로 음모론을 포함하였다. 특정 관심사는 브라운이 클린턴 행정부를 대표하여 베트남으로 갔던 여행이었다. 브라운은 미국과 전 공산주의 적국 사이에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하여 제안을 하였다. 당시 전미 흑인 지위 향상 협회의 우두머리 크웨이시 음푸네와 의회적 흑인 간부회의의 여성 의장 맥신 월터스 하원을 포함한 어떤 사람들은 브라운의 사망에 관한 의심스러운 상황에 연방 공무원들에게 더 많은 자료를 의문하는 데 이렇게 썼다. "살인 혐의에 대한 대응으로 브라운의 시체가 추락사 장면에서 회복되었을 때 의사들이 시초적으로 원형 상처에 의하여 의아했던 것을 병리학 연구소가 인정하였다. 법의 병리학자는 그러고나서 다른이들을 상담하고 광범위한 X-레이를 찍어 우리는 머리에 생긴 무뚝뚝한 힘의 부상을 넘어 모든 것을 절대적으로 배제하였습니다." 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 = 영예와 유산 = = 1996년 4월 5일 클린턴 대통령과 영부인 힐러리 클린턴 여사는 추락사한 브라운과 다른이들을 기리며 사우스론에 언덕에 하얀 층층 나무를 심었다. 2001년 1월 8일 조지 W. 부시가 취임하기 12일 전에 브라운은 사후 클린턴 대통령에 의하여 대통령 시민 훈장이 수여되었다. 훈장은 부인 앨마 여사에 의하여 수락되었다. 클린턴 대통령은 또한 기업의 리더십과 책임을 위하여 론 브라운 상을 설립하였다. 컨퍼런스 보드는 민간 자금 지원을 관리한다. 미국 상무부도 또한 그의 영예에 해마다의 로널드 H.브라운 미국의 혁신가 상을 발표한다. 많은 장학금과 프로그램들이 브라운을 영예하는 데 설립되어 왔다. 세인트 존스 대학교 로스쿨은 기념에 로널드 H. 브라운 민권·경제 개발 센터를 설립하였다. 로널드 H. 브라운 연구비는 과학·기술에서 수련 연구를 추구하는 데 미들버리 칼리지에서 많은 학생들에게 수여되었고 1996년 브라운의 영예에 론 브라운 학문 프로그램이 뛰어난 약속의 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위하여 장학금, 서비스 기회와 리더십 경험들을 제공하는 데 설립되었다. 두브로브니크에 추모실은 로널드 브라운 기념관에 설치되었다. 그것은 손님 노트는 물론 추락사한 피해자들의 초상화들을 나타낸다. 미국 해양대기청 함대에서 가장 큰 함선인 NOAA 로널드 H. 브라운호는 그가 사망한지 얼마 후에 그의 공공 서비스의 영예에 이름이 지어졌다.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와 컨스티튜션 애비뉴 사이에 14번가의 단면은 론 브라운 웨이로 다시 이름이 지어졌다. 2011년 3월 뉴욕에 있는 유엔 건물로 새로운 미국의 미션 센터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클린턴 전 대통령과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수전 라이스가 연설한 식전에서 브라운의 영예에 이름이 지어지고 봉납되었다. 1997년 워싱턴 D.C.에 있는 대니얼 C. 로퍼 학교는 브라운의 영예에 로널드 H. 브라운 중학교로 다시 이름이 지어졌다. 학교는 2013년 폐교되었고 그 건물은 2016년 로널드 브라운 칼리지 예비 고등 학교로 다시 개장되었다. 그의 아들 마이클 브라운은 2008년 컬럼비아 특별구의 평의회에 선출되었다. 그는 2012년 자신의 재선 운동을 패하였고, 후에 비밀요원들로부터 뇌물을 받아들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징역 39개월을 선고받았다. = 운연천로 = 운연천로(Unyeoncheon-ro)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에서 운연동까지 연결하는 인천광역시의 도로로, 총 연장은 1.924 km이다. 이름이 유래된 것은 운연천이라는 이름을 지명하여 제명되었다. = = 역사 = = 2014년 7월 25일 : 도로명으로 운연천로를 고시 = = 주요 경유지 = = 남동구 서창2동 - 운연동 = = 접촉하는 도로 = = 만의골로 수인로 운연로 매소홀로 서창방산로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인천서창엘에이치14단지 (운연천로 9/서창동 744) 인천서창꿈에그린 (운연천로 11/서창동 745) = = 철도 연계역 = = : 운연역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24년 12월 = = 분류:콩고 공화국의 대외 관계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암군의회 = 다음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영암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영암군의회는 지역구의원 8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영암군 가선거구 영암읍, 덕진면, 금정면 2 영암군 나선거구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2 영암군 다선거구 삼호읍 2 영암군 라선거구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영암군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무투표 당선이 결정되었다.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민주당 1 유영란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민주당 7 1 8 민주노동당 1 0 1 = 샘 스카버 = 샘 스카버(Sam Scarber, 1949년 6월 24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컷! (2014년) 사일런트 베넘 (2009년) 조지 부시 고즈 투 헤븐 (2006년) - 샘 역 다크 하트 (2006년) 사우스사이드 (2003년) - 플레처 형사 역 러브 앤 블릿 (2002년) 쉐이크다운 (2002년) 소울키퍼 (2001년) 이레이저 (1996년) 죽음의 워터프론트 (1995년) 로봇 워즈 (1993년) 바로워 (1991년) 공포의 그림자 (1990년) 죽음의 총성 (1989년) 영혼의 목걸이 (1989년) 어게인스트 (1984년) 탐정수첩 (1983년) 카리브해의 비밀 (1983년) 치어스 (1982년) 꿈꾸는 낙원 (1978년) = 머리 헤드 = 머리 헤드(Murray Head, 본명은 머리 시필드 세인트 조지 헤드(Murray Seafield Saint-George Head), 1946년 3월 5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 및 가수이다. = = 생애 = = 1966년 영국 영화 The family way의 조연으로 영화배우 첫 데뷔하였고 1972년 가수로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73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고 1999년 프랑스 영화 Les enfants du siècle로 영화 각본가 데뷔하였다. 그는 보통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OST 작품인 Superstar라는 곡의 오리지널 원곡 가수로 널리 잘 알려져 있다. = 대중구역 = 대중구역(大衆區域, )은 이탈리아의 중도우파, 기독교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다. 이탈리아 대의원과 상원에 의석 수를 가지고 있다. = = 현재 제휴중인 정당 = = 정당 이념 대표 신중도우파 (NCD) 보수주의 안젤리노 알파노 중도연합 (UdC) 기독교민주주의 피에르 페르디난도 카시니 = 분류:패럴림픽 이집트 선수단 = = 분류:한탄강의 댐 = = 박정규 (야구 선수) = 박정규(朴正圭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1983년 4월 17일 ~ )는 KBO 리그 전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 = 출신학교 = = 청주내덕초등학교 청주중학교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경희대학교 = 체르케스 = 체르케스는 북캅카스에 있는 나라이다. 크림반도와 접경하며 흑해 북동쪽에 존재했었다. 체르케스인들의 옛 거주지이다. = = 명칭 = = 체르케스를 뜻하는 영어 명칭 Circassia는 아디게인들을 칭하는 튀르키예어 명칭인 체르케스 (Cherkess, 현대 튀르키예어: Çerkes)의 라틴어화된 형태이며, 본래는 체르케스를 방문한 15세기 중세 시대의 제노바인 상인들과 탐험가들에게서 유래했다.Latham, R. G. Descriptive Ethnology. London, J. Van Voorst, 1859. p. 50.Latham, R. G. Elements of Comparative Philology. London, Walton and Maberly, 1862. p. 279. 체르케스라는 명칭은 전통적으로 이웃한 튀르크족 (주로 크림 타타르족Taitbout, De Marigny. Three Voyages in the Black Sea to the Coast of Circassia. London, 1837. pp. 5–6.과 튀르키예인Guthrie, William, James Ferguson, and John Knox. A New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ommercial Grammar and Present State of the Several Kingdoms of the World ... Philadelphia, Johnson & Warner, 1815. P. 549.)들이 아디게인들에게 적용했던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또다른 옛 명칭은 고대 그리스의 지식인 스트라본이 묘사하길 직스 또는 지고이였다. 15세기 말에 제노바 탐험가 및 민족학자 조르조 인테리아노가 체르케스와 이곳 주민들의 자세한 서술을 썼다.Biblioteca Italiana.Vita de' Zichi chiamati Ciarcassi di G. Interiano = = 지리 = = 체르케스는 동유럽의 흑해의 북동쪽 해안 인근에 위치했었다. 러시아의 캅카스 정복 이전 (1763년–1864년) 이 지역은 완전히 비옥한 고원과 캅카스의 북서쪽 스텝 지대를 차지하고 있었다. 체르케스의 최대 확장 범위는 타만반도 서쪽에서 동쪽으로 오늘날의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모즈도크까지였다. 역사적으로 체르케스는 오늘날의 크라스노다르 지방 남쪽 지방 절반과 아디게야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일부, 스타브로폴 지방을 차지했었고, 북쪽으로는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체르케스를 분리시킨 쿠반 강을 접하고 있었다. 소치는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그들의 전통적인 수도 도시로 여기고 있다.Home thoughts from abroad: Circassians mourn the past—and organise for the future. 이코노미스트. 2012-05-26. 체르케스인들에 따르면,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단지는 1864년 러시아인들에게 패배한 체르케스인들의 많은 무덤들이 있는 지역에 지어졌다고 한다.Spelen zijn op massagraven. 네덜란드 방송 재단 2014-02-03 = = 역사 = = 1237년 – 역사가 라시드웃딘의 《페르시아어 연대기》에서 체르케스의 왕 투카르가 몽골족에 맞서다가 전사했다고 기록했다.Рашид ад-Дин.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М.-Л., 1952. Т. 2. С. 39 1333년 - 교황 요한 22세가 지키아(체르케스)의 왕 베르자흐타 (Верзахта)에게 아디게인 (체르케스인)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는데 도움을 준 것에 대해 감사의 서한을 보냈다.Колли Л. Кафа в период владения ею банком св. Георгия (1454—1475) // Известия Таврической Ученой Архивной комиссии. № 47. Симферополь, 1912. С. 86 베르자흐타의 권력과 지위는 매우 높았고 그 예로 체르케스의 모든 군주들이 그를 따라 로마 가톨릭 신앙을 가졌다. *1471 – 체르케스의 통치자와 카파(페오도시야)의 통치자 사이에 조약이 체결됐다.Kressel R. Ph. The Administration of Caffa under the Uffizio di San Giorgio. University of Wisconsin, 1966. P. 396 이 조약으로 지키아는 카파에 많은 양의 곡물을 공급했다. 이 지역은 미모의 여성들로 유명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과 페르시아의 샤들과 혼인하여 하렘에서 영향력 있는 자리를 가졌다. 이 지역의 인구 대다수는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이후인 19세기 말에 그들의 조국에서 이웃한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당했다. 오늘날에 약 700,000만명만이 현재의 러시아에 속하는 옛 체르케스 지역에 남아있다. 2010년 러시아의 인구조사에서 718,727명의 체르케스계인 중 516,826명이 카바르딘인이고 124,835명이 아디게인, 73,184명이 체르케스인, 3,882명이 샵수그인이라고 기록했다. 체르케스인의 대다수는 터키 (1,400,000 – 6,000,000명)에 거주하고 있다.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이란, 레바논, 세르비아, 이집트, 팔레스타인과 같은 다른 나라에도 체르케스인이 거주하지만 적은 것으로 구분된다. 체르케스 민족주의는 최근에 생겨났으며 그들의 본래 고향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인구 = = 러시아와 소련의 통치하에서 체르케스계인 (그외 다른 민족)들에 대한 인종적, 부족적 구분이 촉진되어, 체르케스계인들 (아디게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샵수그인)들에게 일부 다른 통계학적인 명칭을 사용하게 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체르케스 민족 국가의 개념과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 러시아 인구조사에서 체르케스인 (아디제인)이라는 이름으로 합치려는 노력이 있다. 체르케스 디아스포라의 대다수들은 이미 자신들을 "체르케스인"이라고 칭하는 경향이 있다. = 분류:삼덕초등학교 (부산) 동문 = = 콘라딘 = 콘라트 (5세) 또는 흔히 소년, 작은 아이의 뜻으로 콘라딘(, , 1252년 3월 25일 – 1268년 10월 29일)은 슈바벤 공작(콘라트 4세로, 재위:1254–1268), 예루살렘의 왕(콘라드 3세로, 재위:1254–1268), 그리고 시칠리아 왕(코라도 2세로, 재위:1254–1258)이었다.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일원으로 콘라트 4세와 비텔스바흐의 엘리자베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 강가애 = 강가애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다. 강가애(1989년 ~ )는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강가애(1990년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오하이오급 잠수함 = = 2015년 9월 그리스 총선거 = 2015년 9월 그리스 총선거는 그리스의 입법부인 의회를 구성하는 의원을 전면 개편하기 위해 실시되는 선거로 2015년 9월 20일에 행해졌다. = 틀:1986년 FIFA 월드컵 폴란드 선수 명단 = = 함수 포인터 = 함수 포인터 (function pointer)는 3세대 프로그래밍 언어(PL/I, 코볼, 포트란, dBASE dBL, 그리고 C)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C++과 D)에서 지원되는 포인터의 한 종류이다. 데이터 값을 가리키는 대신, 함수 포인터는 메모리 내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를 가리킨다. 역참조될 때, 함수 포인터는 가리키는 함수를 보통의 함수 호출처럼 작동시키고 인자를 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함수가 고정된 이름이나 주소를 사용해서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변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호출되기 때문에 또한 "간접" 호출로도 알려져 있다. 함수 포인터들은 런타임 값들에 기반해 함수를 골라서 실행하게 하는 간단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코드를 간소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 간단한 함수 포인터들 = = 함수(또는 서브루틴) 포인터의 간단한 구현은 실행 가능한 메모리 안에서 변수가 함수의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이다. C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이 방식으로 함수 포인터를 구현한다. 이러한 포인터들은 일반적으로 현대 언어들보다는 타입이 안전하지 않다. 현대 언어들은 함수의 반환 값의 자료형과 함수에 대한 매개변수의 자료형 정보처럼, 함수 포인터 변수와 자료형 정보가 더 관련있기 때문이다. = = = C 예제 = = = 다음의 C 프로그램은 함수 포인터의 두가지 사용을 보여준다. func1은 하나의 더블형 매개변수를 가지며 다른 더블형을 반환하고, 센티미터를 인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func2는 정수형 그리고 상수 문자 배열에 대한 포인터를 가지며 문자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하고, 문자 배열에서 주어진 문자의 첫 번째 발생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하는 문자열 라이브러리 함수의 역할을 한다. #include /* for printf */ #include /* for strchr */ double cm_to_inches(double cm) { return cm / 2.54; } int main(void) { double (*func1)(double) = cm_to_inches; char * (*func2)(const char *, int) = strchr; printf("%f %s", func1(15.0), func2("Wikipedia", 'p')); /* prints "5.905512 pedia" */ return 0; } 다음의 프로그램은 함수 포인터를 두 함수들(sin or cos) 중 하나를 다른 함수(compute_sum, 함수의 리만 적분의 근사치를 계산한다)에서 간접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이 프로그램은 main 함수가 함수 compute_sum를 두 번 호출함으로써 작동하며, 처음 라이브러리 함수 sin에 대한 포인터를 전달하고, 두번째에는 cos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함수 compute_sum는 자신의 함수 포인터 funcp를 여러 번 역참조하고, 작동된 함수 결과들을 더하고 결과인 sum을 반환하면서, 두 함수들 중 하나를 간접적으로 호출한다. 두 sum들은 main에 의해 표준 출력에 써진다. #include #include // Function taking a function pointer as an argument double compute_sum(double (*funcp)(double), double lo, double hi) { double sum = 0.0; // Add values returned by the pointed-to function '*funcp' for (int i = 0; i <= 100; i++) { double x, y; // Use the function pointer 'funcp' to invoke the function x = i / 100.0 * (hi - lo) + lo; y = (*funcp)(x); sum += y; } return sum / 101.0; } int main(void) { double (*fp)(double); // Function pointer double sum; // Use 'sin' as the pointed-to function fp = sin; sum = compute_sum(fp, 0.0, 1.0); printf("sum(sin): %f\n", sum); // Use 'cos' as the pointed-to function fp = cos; sum = compute_sum(fp, 0.0, 1.0); printf("sum(cos): %f\n", sum); return 0; } = = 기능자 (Functor) = = 기능자, 또는 함수 객체들은 함수 포인터와 비슷하며,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능자는 객체가 함수 호출과 같은 구문을 사용하는 표현에서 사용될 수 있게 허용함으로써 함수 호출 연산자를 구현하는 클래스 타입의 객체이다. 기능자들은 간단한 함수 포인터들보다 더 강력한데, 그들 자신의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래머가 클로저를 에뮬레이트하게 한다. 이것들은 또한 멤버 함수를 콜백 함수로 사용해야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콜백 함수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pure" 객체 지향 언어들은 함수 포인터를 지원하지 않는다. 단일 멤버 함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참조를 사용해서 몇몇 비슷한 것이 구현되어있을 수 있다. C#과 비주얼 베이직 닷넷 같은 언어들은 위임으로 안전한 타입의 함수 포인터를 구현한다. 1급 함수(first-class function)를 지원하는 다른 언어에서, 함수들은 데이터로 여겨지며 전달, 반환 그리고 다른 함수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어서 함수 포인터에 대한 필요를 없애준다. 함수를 호출하기 위한 함수 포인터의 확장적인 사용은 현대 프로세서에서 코드의 느려짐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어디로 분기해야할지를 알아내는 분기 예측(런타임 시에 함수 포인터의 값에 의존한다)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 = 메소드 포인터 = = C++은 객체 지향적이어서, 클래스는 메소드들을 가질 수 있다. 정적이 아닌 멤버 함수(인스턴스 메소드)들은 암묵적인 매개변수(this 포인터)를 가지는데 이것은 동작하는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여서, 객체의 타입은 반드시 함수 포인터의 타입의 한 부분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그 후 메소드는 연산자 .* 또는 ->* (각각 객체 또는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위한)를 사용함으로써 그 클래스의 객체로 사용된다. C와 C++에서 비록 함수 포인터가 간단한 주소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sizeof(Fx)==sizeof(void *), C++에서 멤버 포인터들은 가상 상속을 다루기 위해서 종종 "뚱뚱한 포인터"로 구현된다(일반적으로 간단한 함수 포인터의 크기에 비해 두세배). = = C++에서 = = C++은 "함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함수를 다른 함수로 인자로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왜냐하면 이것들은 역참조돼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 Pointer to functions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add(int first, int second) { return first + second; } int subtract(int first, int second) { return first - second; } int operation(int first, int second, int (*functocall)(int, int)) { return (*functocall)(first, second); } int main { int a, b; int (*plus)(int, int) = add; int (*minus)(int, int) = subtract; a = operation(7, 5, plus); b = operation(20, a, minus); cout << "a = " << a << " and b = " << b << endl; return 0; } 대안으로, C++ 표준 라이브러리 클래스 템플릿 std::function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의 인스턴스는 함수 객체이다. #include #include static double derivative(const std::function &f, double x0, double eps) { double eps2 = eps / 2; double lo = x0 - eps2; double hi = x0 + eps2; return (f(hi) - f(lo)) / eps; } static double f(double x) { return x * x; } int main { double x = 1; std::cout << "d/dx(x ^ 2) [@ x = " << x << "] = " << derivative(f, x, 1e-5) << std::endl; return 0; } = = C++에서 멤버 함수들에 대한 포인터 = = 이것이 C++이 클래스나 구조체의 멤버 함수들을 다룰 때 어떻게 함수 포인터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방법이다. 이것들은 객체 포인터나 this 호출을 사용해서 작동된다. 이들은 당신이 오직 그 클래스의 멤버들만을 호출할 수 있을 때 타입 안전하다. 다음의 예시는 멤버 함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위한 typedef의 사용을 보여준다. 정적 멤버 함수들을 가리키는 함수 포인터들은 대개 포인터나 this 호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C' 스타일로 만들어진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Foo { public: int add(int i, int j) { return i+j; } int mult(int i, int j) { return i*j; } static int negate(int i) { return -i; } }; int bar1(int i, int j, Foo* pFoo, int(Foo::*pfn)(int,int)) { return (pFoo->*pfn)(i,j); } typedef int(Foo::*Foo_pfn)(int,int); int bar2(int i, int j, Foo* pFoo, Foo_pfn pfn) { return (pFoo->*pfn)(i,j); } typedef int(*PFN)(int); int bar3(int i, PFN pfn) { return pfn(i); } int main { Foo foo; cout << "Foo::add(2,4) = " << bar1(2,4, &foo, &Foo::add) << endl; cout << "Foo::mult(3,5) = " << bar2(3,5, &foo, &Foo::mult) << endl; cout << "Foo::negate(6) = " << bar3(6, &Foo::negate) << endl; return 0; } = 카운트다운 (동음이의) = 카운트다운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카운트다운: 숫자를 줄여가면서 세는 것 카운트다운 (비디오 게임): 1990년 비디오 게임 카운트다운 (책) = = 방송 = = 카운트다운 위드 키스 올버먼: 미국의 평일 종합 시사 보도, 토론 및 논평 프로그램 카운트다운: 영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 카운트다운: 대한민국의 예능 텔레비전 프로그램 카운트 다운 TV: 일본의 TV 프로그램 = = 음악 = = 엠 카운트다운 COUNTDOWN (EXO의 음반) Count Down: 하마사키 아유미의 음반 Rock 'n' Roll Circus의 노래 Countdown: 더 블랙 키스의 음반 The Big Come Up의 노래 Countdown: 존 콜트레인의 음반 Giant Steps의 노래 = = 영화·드라마 = = 《카운트다운》(, 1968) - 미국의 영화. 《카운트다운》(, 2004) - 러시아의 액션 영화. 《》(, 2007~2008) - 스페인의 경찰 스릴러 드라마. 《카운트다운》(2011) - 대한민국의 영화. 《》(, 2012) - 태국의 스릴러 영화. 《》(, 2016) - 미국의 액션 영화. 《카운트다운》(, 2019) - 미국의 공포 영화. = 블랙 불릿 = 블랙 불릿(, , "검은 총알")은 칸자키 시덴의 라이트 노벨이다. 일러스트는 우카이 사키가 담당하였다. 전격 문고에서 기간 7권까지 발행되었다. 2014년 4월부터 동년 7월까지 도쿄 MX, AT-X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애니맥스에서도 방영되었다. = = 등장인물 = = 사토미 렌타로(里見 蓮太郎, さとみ れんたろう) 아이하라 엔쥬(藍原 延珠, あいはら えんじゅ) 텐도 키사라(天童 木更, てんどう きさら) 티나 스프라우트(Tina Sprout, ティナ・スプラウト) = = 용어 = = 가스트레아(Gastrea, ガストレア) = 사랑하고 있습니까? = 사랑하고 있습니까는 202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줄거리 = = 시대가 바뀌어도 인간 본연의 사랑에 대한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로맨스 멜로 영화이다. = = 캐스팅 = = 성훈 : 승재 역 김소은 : 소정 역 이판도 : 기혁 역 김소혜 : 안나 역 김선웅 : 병오 역 편보승 : 옆집 남자 역 이정우 : 뒷집 남자 역 정용필 : 대리기사 역 임재근 : 화내는 손님 역 최지훈 : 일본 관계자 역 신주연 : 아주머니 역 김정화 : 여자 행인 역 손이슬 : 여자 손님 1 역 임진향 : 여자 손님 2 역 윤성우 : 배달원 역 김기현 : 구급대원 역 정근채 : 인쇄소 사장 역 알렉스 : 공원 남자 역 (우정출연) 홍성숙 : 간병인 역 (우정출연) 임준혁 : 포차 남 역 (우정출연) 신정윤 : 헌팅 남 역 (우정출연) 전미선 : 소정 모 / 할머니 역 (특별출연) = 분류:케임브리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정대훈 (야구 선수) = 정대훈(鄭大訓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 1985년 3월 8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국내에서 가장 낮은 릴리스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싱커와 슬라이더, 낙차 큰 커브를 구사한다. = =한화 이글스 시절 = = 동의대학교를 졸업하고 2008년 2차 5라운드 지명을 받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였다. 2008년 2경기에 등판하여 2.2이닝 1탈삼진을 기록했고, 이듬해 빗길에 미끄러지는 교통사고를 당해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 =경찰 야구단 시절 = = 재활을 마친 후 2010년에 입대하였으며 2년 간 2군 87경기에 등판하여 13승 2패 2세이브 9홀드 평균자책 4.70을 기록했다. = =한화 이글스 복귀 = = 2012년 제대 후 1군에 복귀하여 셋업맨 역할을 맡았다. 2013년 9월 16일 KIA 타이거즈전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한화 정대훈, 29살에 거둔 '눈물의 첫 승' 스토리- OSEN 정재원과 함께 팀내 잠수함 2인방으로 불렸다. = = 출신 학교 = = 하단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상업고등학교 동의대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08 한화 0.00 2 0 0 0 0 0 0 - 11 2.2 3 0 2 0 1 0 0 2012 한화 5.23 16 0 0 0 0 0 2 - 42 10.1 4 2 5 3 6 6 6 2013 한화 3.60 13 0 0 2 0 0 1 1.000 72 15 17 0 8 4 2 6 6 2014 한화 7.23 34 0 0 3 2 1 0 0.600 204 42.1 64 4 14 9 14 38 34 2015 한화 4.75 51 0 0 1 1 0 2 0.500 162 36 44 4 14 5 12 21 19 2016 한화 4.89 36 0 0 1 0 0 0 1.000 171 38.2 47 3 10 1 26 24 21 통산 6시즌 5.34 152 0 0 7 3 1 5 0.700 663 145 179 13 53 22 61 95 86 = 분류:튀니지의 남자 육상 선수 = = 세구치 다쿠야 = 세구치 다쿠야(1988년 11월 30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J1리그의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뛰고 있다. = 분류:크로아티아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인 = = 틀:알레르기 = = 분류:시에라리온의 스포츠에 관한 틀 = = 930 MBC 뉴스 전북권뉴스 = 930 MBC 뉴스 전북권뉴스는 전주MBC TV에서 매주 평일 오전 9시 35분에 방송 중인 전북 지역 아침 준 뉴스 프로그램이다. = = 개요 = = 전주MBC 930 뉴스로 읽는다. = = 앵커 = = 황인찬 전주MBC 아나운서 = = 편성 변경 = = 2024년 2월 20일 : 오전 9시 55분부터 MBC TV 《중계 방송 국회 교섭 단체 대표 연설 - 더불어민주당》 편성으로 인해 오전 9시 45분으로 편성 변경 2024년 2월 21일 : 오전 9시 55분부터 MBC TV 《중계 방송 국회 교섭 단체 대표 연설 - 국민의힘》 편성으로 인해 오전 9시 45분으로 편성 변경 2024년 2월 22일 : 오전 9시 55분부터 MBC TV 《중계 방송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직 선거 정책 토론회》 편성으로 인해 오전 9시 45분으로 편성 변경 = = 결방 사유 = = 2024년 2월 12일 : MBC TV 《설 특선 영화 - 인생은 아름다워》 편성으로 인해 결방 = = 경쟁 프로그램 = = KBS 930 뉴스 전북 (KBS 전주 1TV) = SU-85 = SU-85 구축전차(Samohodnaya ustanovka 85)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사용된 소비에트 연방의 구축전차로, T-34 중형전차의 차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초기 소련 구축전차는 SU-122처럼 돌격포이거나, 구축전차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SU-85의 경우 후자에 속했다. 또한 "85"라는 숫자는 주포의 구경을 의미하며, 85mm M1939 대공포에서 따온 숫자이다. SU-85는 1943년에 양산을 시작하여 1944년까지 생산이 지속되었고, 전후 냉전 시대인 195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 = 개발 역사 = =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T-34나 KV-1 같은 소련 전차는 독일 전차의 어떤 종류도 공격할 수 있는 적절한 화력을 가지고 있었다. 1942년 가을부터 소련군은 독일군의 신형 전차인 티거 1을 상대해야 했다. 티거의 경우 T-34와 KV 전차들에 사용되던 76.2mm 포로는 안전한 거리에서 관통하기에 장갑이 너무 두꺼웠다. 소련 사령부는 5호 전차 판터의 개발 소식을 들었는데, 판터 전차는 티거 전차보다 더 두꺼운 장갑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이 두 전차는 모두 독일 전차의 디자인 측면에서 발전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1943년 7월까지 판터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독일 차량의 새로운 세대가 등장했다는 것은 소련군 역시 그들의 기갑 편제에 새롭고 더 강력한 주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1943년 5월, 새로운 대공포에 대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군 계획자들은 바실리 그라빈 대령과 표도르 페트로프의 계획안을 바탕으로 85mm 대공포를 대전차포로 개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페트로프의 계획안은 D-5 85mm포를 양산하는 데 기여했다. T-34나 KV-1 주포에는 너무 컸지만 SU-122 자주포의 차체는 무기의 기동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이 주포의 형태로 인해 기획자들은 SU-85를 D-5S라 부르려고 했으며, S는 자주포를 의미했다. 우랄마쉬의 생산공장은 초기 계획안을 반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르마시의 행정부가 생산을 설득했고, 새로운 전차가 양산에 들어갔다. 이후 망원 조준경이 장착되거나 방탄 방패가 부착된 자주포가 개발되었다. 이 전차는 SU-85-II로 불렸다. = 김유미 (1990년) = 김유미(1990년 4월 26일 ~ )는 2012년 미스코리아 진(眞) 출신의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건국대학교 영화과 학사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14년 KBS2 월화드라마 《내일도 칸타빌레》 ... 채도경 역 (조연) 2015년 엠넷 뮤직드라마 《칠전팔기 구해라》 ... 쥬디 킴 역 (특별출연) 2015년 MBC 일일연속극 《최고의 연인》 ... 강세란 역 (조연) 2017년 MBC 수목드라마 《자체발광 오피스》 ... 이효리 역 (조연) = = = 뮤직비디오 = = = 2014년 토이 - ‪세 사람 2015년 2PM - 우리집 = 메르세데스-벤츠 M30 엔진 = 메르세데스-M23 엔진은 메르세데스-벤츠에서 1934년부터 1939년까지 생산했던 자연 흡기 1.5리터 4기통 직렬 가솔린 엔진이다. = = 탑재 차량 = = 메르세데스-벤츠 150 (W30) = The Fly (노래) = The Fly는 1991년 10월 1일에 발매된 U2의 노래이다. 아일랜드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순천시 (전라남도)의 역사 = = 효문 = 효문은 다음을 의미한다. 효문왕(孝文王):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의 왕 효문황후: 전한 문제의 황후이며 전한 경제의 어머니 = = 지명 = = 효문길: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지역 울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지역 효문1로 효문2로 효문동: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 효문역 = 서던 리프테일 게코 = 서던 리프테일 게코(southern leaf-tailed gecko)는 다음을 의미한다: 남방잎꼬리도마뱀붙이 넓적꼬리도마뱀붙이 = 분류:1961년 5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