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우교통 = 범우교통(凡宇交通)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마을버스 운수업체이며 대표는 오성택이다. 계열사는 범양버스가 있다. = = 차고지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성로 44 (양정동) = = 노선 = = 부산진구 12번 *부산진구 12-1번 부산진구 2번 부산진구 1번 = 고산병 = 고산병(高山病, altitude sickness)이란 높은 지대에서 저산소 상태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환경 증후군을 말한다. 통상 2,400m 이상의 높은 산에 올랐을 때 공기 중 산소 농도가 옅어져서 호흡할 수 있는 산소 농도가 옅어짐에 따라 신체조직 내에서 저산소 혈증이 발생하는 게 원인이다. 이에 대해 생리적 보상반응이 발생하는데, 호흡량과 횟수를 증가시켜 부족한 산소량을 보충하고, 혈액을 많이 순환시키며, 뇌의 혈관을 확장하여 뇌에 많은 혈액이 흐르도록 한다. 호흡 곤란, 두통, 어지럼증, 거식증, 탈진, 수면 장애, 운동 실조, 손발이 붓는 등의 증상들도 생길 수 있다. 증상 발현은 산의 높이, 등산 속도, 평소 건강 등과 연관성이 있다. 심하면 뇌부종이나 폐부종을 일으켜 죽을 수도 있으므로 고산병의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은 신속한 하산이다. 영어로는 Mountain sickness, altitude sickness, acute mountain sickness (AMS), altitude illness, hypobaropathy, soroche 등으로도 부른다. 원인은 고지대의 희박한 산소와 탈수이다. 하루 동안 등산 높이와 발생 비율을 보면 1500– 2,000m (5,000– 6,500ft)에는 문제가 없고 2,500m (8,000ft)에서는 20%, 3,000m (10,000ft)에서는 40%, 4,000m 이상에서는 60~70%의 비율로 고산병이 발생한다. 악화 요인은 과로, 부적절한 수액 보충, 저온, 술, 진정제가 있으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상승 속도, 도달한 최고 높이, 잠을 잘 때의 고도 등이 있다. 위험인자는 모든 고산 여행자들은 위험하면 일반적으로는 나이, 신체적 상태, 기왕 병력, 이전의 고산 경험과 일반적으로는 관련이 없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 이전의 고산병이 있다면 다시 생길 가능성이 큰 사람들도 있다. 이는 아직 이견이 있는 내용이다. 고산병의 감수성은 유전적 차이 탓에 개인적으로 다양하다. = = 원인 = = 대체로 2,400m 이상의 높은 산에 올랐을 때 산소 결핍 상태에 빠져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고지대의 공기 중 산소농도가 떨어지고 산소분압이 감소하여 폐의 가스교환을 통한 동맥 내 혈액에 녹아든 산소가 줄어들게 되어 신체조직 내에서 저산소 혈증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정상적인 보상반응을 순응이라 하는데, 상대적으로 숨을 많이 쉬어 부족한 산소량을 보충하고, 산소함유량이 저하된 혈액을 많이 순환시키며, 뇌의 혈관을 확장하여 뇌에 많은 혈액이 흐르도록 한다. 하지만 생리적 적응 한계는 산소농도가 16% 정도일 때이며,[네이버 지식백과] 산소 [Oxygen] (사진으로 이해하는 원소의 모든 것, 2015. 11. 1., 잭 챌리너, 곽영직)......대기 중에 포함된 산소의 대부분은 이원자분자(O2) 상태로 존재하며 건조한 공기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은 변화가 심하므로 대기 중 원소의 비율은 수증기를 뺀 건조한 공기에서 측정한다. 이보다 옅은 농도에서는 생체적 보상이 더는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여 산소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네이버 지식백과] 고산병 [high-altitude medical proble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순응력은 사람마다 다르며, 저산소의 강도나 등산 속도, 고지대에서의 신체 활동량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순응은 등산 시작 후 수분 이내에 시작되지만, 완전한 순응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수 주가 걸릴 수도 있다. 순응이 잘 안된 사람이 2,000m 이상의 고도를 등반할 때 저산소 혈증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이다. 발생하는 정확한 기전은 모르지만, 저산소 혈증에 의해 유발된 과도한 관류 압력과 모세혈관 압력, 그리고 머리와 허파의 미세혈관 누출 등 탓인 잘못된 체액 조절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른 이유로는 혈중 탄산염 저하에 따른 pH 증가도 원인 중 하나이다. 적은 산소로 뇌에서 호흡량을 증가시키게 하려고 조절작용으로 폐의 분당 호흡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가 체내에서 많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피의 pH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 = 증상 = = 주요 증상으로서는 호흡 곤란, 두통, 어지럼증, 거식증, 탈진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손발이 붓거나 수면 장애, 운동 실조 등의 증상들도 생길 수 있다. 저산소 상태로 6-12시간 있으면 발병하고,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마치 술에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45일 후에는 자연 소실한다. 그러나 중증은 고지 뇌부종이나 고지 폐부종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다양한 증상들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난다. 증상 발현의 빈도는 높이, 속도, 평소 건강(건강한 사람이 더 많이 발생) 등과 연관성이 있다. 이전의 고산병 발생 여부와 관계는 없다고 하기도 하고, 이전에 생겼다면 다시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하기도 한다. = = 고산병 분류 = = 고산병의 분류는 급성 등산 병, 고산 뇌부종, 고산 폐부종 등으로 나눈다. 급성 등산 병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2,000m (6,500ft)에서부터 나타날 수 있다. 가벼운 뇌부종으로 두통이 생기고 다른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경증 고산병 Mild form of AMS의 증상은 손, 발, 얼굴의 부종, 두통, 안과 증상으로 Retinal hemorrhages가 있다. 이것은 2,700m에서도 발생하며 5천m 이상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보통은 무증상이며(황반에 나고 빨리 하산하면 사라진다. 만성 고산병 Chronic mountain sickness (Monge's disease)는 장기간 고산 지역 거주자에게 발생하며 하산해도 회복 속도가 느리고 고산으로 올라가면 재발한다. 중증은 고산 폐부종, 뇌부종이 있다. 고산 폐부종은 대부분 고산병 탓인 사망 원인이 된다. 초기 증상은 dyspnea, 운동 내성 감소, 마른기침 Persistent dry cough. 속발 증상은 Pink or bloody sputum, respiratory distress 징후 및 검사 소견으로는 cyanosis, tachycardia, tachypnea, low-grade fever (< 38.5 °C) Focal or diffuse rales 24~96시간에 2,500m 높이 이상 빨리 오를 때 보통 발생.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도 낮은 고도에 짧게 머문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고산 뇌부종은 보통 수 시간에서 수일 사이에 발생하는 저산소 혈증으로 인체의 신경 체액 및 혈 역학적 반응의 결과이다. 중추신경계와 폐에서 말초 혈압상승, 말초 유출 capillary leakage로 뇌의 부종, 폐의 부종 유발하게 된다. 만약 완전 혼수 coma가 일단 발생하면 치료해도 대부분 뇌 이탈 brain herniation으로 사망한다. = = 예방 대책 = = *1. 혈액 중의 산소 포화도는 소형의 펄스 옥시미터를 사용해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면 산소 결핍증으로 이행하기 전에 예방책을 세울 수 있다. *2. 의도적으로 빈호흡을 한다. *3. ACE-inhibitors가 예방에 도움이 된다. 산성혈증을 유도하여 빈호흡을 유도하여 저산소 혈증을 완화하게 한다. *4.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이산화탄소 발생 > 빈호흡)을 먹어야 한다. *5. 음료수를 많이 마시고, 술이나 수면제를 먹지 말아야 한다. 술과 수면제는 호흡억제제(respiratory depressants)로 작용하여 호흡 요구량 감소, 빈호흡을 하지 않게 만든다. *6. 등반하면서 의식적으로 숨을 깊게 빨리 쉬는 방법도 좋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고도순화, 적응하는 방법이다. 아래와 같다. = = = 고도순화 = = = 고지순화(高地馴化) 고산적응(高山適應)이라고도 한다. 천천히 등산하여 하루에 100m 이하 등반하고 잠을 자는 높이가 중요하다. 낮은 곳에서 잠을 잔다. = = 치료 = = 중등도일 때 mild or moderate AMS는 등산 중지, 활동 제한 (reduce exertion until symptoms resolve), 수액, 진통제, 약물 투여 acetazolamide 등을 투여한다. 가장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는 아세타졸아마이드다. 심한 경우 severe symptoms : HAPE and HACE에는 즉시 하산. 산소, 약물, 가압 요법을 한다. 약물치료는 산소, 아세타졸아마이드, 즉 이뇨제를 사용하여 alkalic Diuresis를 유도하여 pH를 감소시켜서 빈 호흡이 되게 한다. 스테로이드 성분인 덱사메타손은 폐부종이 있으면 모세혈관의 투과성과 사이토카인 등의 분비에 영향을 주어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세타졸아마이드보다 예방 효과는 떨어진다. 하루 20mg을 투여한다. 니페디핀은 폐부종 예방에 사용하고 수마트립탄도 사용할 수 있다. myo-inositol trispyrophosphate (ITPP)는 연구 중인 약물이다. chewed coca leaves, root tissue of Radix rhodiola(Chinese and Tibetan traditional medicine), 물을 많이 마신다. 고혈압 억제 및 산방 아세타졸아마이드는 탄산수소염, bicarbonate를 배출하게 한다. 신장(kidney)에서 Carbonic anhydrase(CA)를 차단하여 bicarbonate diuresis를 일으켜 대사성 산증 상태로 만들므로 중탄산이 배출되면 혈액은 산성화된다. 혈액의 산성화는 호흡성 보상을 하게 만든다. 대사성 산증의 호흡성 보상은 환기를 자극한다. 이러한 적응은 정상적으로도 일어나지만, 아세타졸아마이드는 더 빨리 일어나게 한다. 치료보다는 예방적으로, 적응이 빨리 되게 해준다. 펄스 옥시미터로 산소 부족이 확인되면, 근본적인 치료는 저지대로 이동하는 것이다. 중증은 즉시 집중적 치료가 필요하다. = = 참고, 적응 기전 = = = = = 적응 한계 = = = 생리적 적응 한계는 높이와 산소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높이에 따른 적응 시간을 보면 3천m (10,000ft) 정도는 며칠 정도 있으면 적응하고 더 높으면 적응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나 한계가 있다. 즉 5,100m (17,000ft) 이상의 높이는 적응할 수 없는 고도이다. 공기 중 산소농도가 16% 정도가 한계치이며, 이보다 옅은 농도에서는 생체적 보상이 더는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여 산소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 = = 적응 기전 = = = 고도순화(High altitude acclimatization) 저산소 저기압 상태에 적응하기는 수일에서 수개월 걸린다. 이 중에서 환기 적응(ventilatory acclimatization) 과정은 저산소 혈증으로 oxygen sensing cells in the carotid body 탓인 분당 환기량 증가가 가장 중요한 즉각적인 반응이며 이어서 PCO2 감소로 호흡성 알칼리증이 생기고 있는 뇌의 호흡 센터에 작용하여 과환기를 막고, 신장의 보상 반응 시작하여 bicarbonate ion 배출하며 이에 따라 pH 저하하여 pH 정상화 및 다시 과환기가 생기며 약 4일 정도 걸쳐 일어난다. 이러한 적응은 acetazolamide를 투여로 증진할 수 있다. 만약 Carotid body response가 부적절하면 적응이 어렵다. 심장의 적응을 보면 Cardiac output increases initially 초기에 심박출량 증가하는 데 우선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increased sympathetic activity, 휴식기 심장 박동 및 심박출량, 혈압이 증가한다. 저산소 혈증은 Hypoxia 폐순환 혈관 수축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환기/관류 matching과 가스 교환(gas exchange) 증가 하나 폐고혈압 발생하여 고산 폐부종 및 우심부전 유발할 수 있다. 뇌의 적응을 보면 뇌 혈류는 즉각적으로 증가, 보통 1주 내 정상화되고 두통과의 연관성은 불명확하다. 적혈구량과 내성이 증가하여 RBC mass and tolerance 적응을 돕는다. 그 기전은 최초에는 고도 배뇨 및 체액 이동 altitude diuresis and fluid shifts로 혈구 농축, 혹은 혈색소 농축이 일어나며 hemoconcentration 이어서 erythropoietin 증가하여 적혈구도 RBC 증가하고 알칼리 혈증으로 산소-혈색소 곡선이 좌편위가 일어난다. leftward shift of the oxyhemoglobin dissociation curve 수면 적응을 보면 자주 깨게 되나 일정 고도에서는 수일 내에 호전되며 2,700m 이상에서는 Cheyne-Stokes respiration을 하면서 적응하게 된다. = 미궁 이야기 = 미궁 이야기(迷宮物語 ラビリンス: Neo-Tokyo)는 일본에서 제작된 오토모 가츠히로 감독의 1987년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프로젝트 팀 아르고스와 매드하우스가 제작한 SF 옴니버스 영화이다. 1987년 9월 25일 도쿄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 그녀의 은밀한 사랑 일기 = 그녀의 은밀한 사랑 일기(フィーメイル, Female, 피메일)는 일본에서 제작된 옴니버스 영화이다. 하세가와 쿄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한 유명 일본 작가의 짧은 스토리에 기반을 두며 한 여성의 성의 본연에 초점을 두고 있다. = = 출연 = = = = = 주연 = = = 하세가와 쿄코 이시다 에리 오오츠카 치히로 오츠카 네네 타카오카 사키 = = 내용 = = 다음과 같이 5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피치 태양이 보이는 곳까지 밤 아래 여신의 발 뒤꿈치 비단벌레 = 분류:바하마에서 활동한 축구 선수 = = 학산중학교 (대구) = 학산중학교(鶴山中學交)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1년 3월 11일 : 학산중학교 설립인가(인가 학급 수 30학급) 1992년 3월 1일 : 초대 서관섭 교장 취임 1992년 3월 4일 : 개교 및 첫 입학식(10학급 556명 입학) 1995년 2월 11일 : 제1회 졸업식(졸업생 수 549명) 1996년 9월 20일 : 교기 창단(레슬링) 2006년 8월 25일 : 운동장 우레탄 트랙 및 다목적 경기장 준공 2014년 2월 10일 : 학교교지 '학누리' 창간호 발행 2016년 10월 24일 : 다목적 강당(학산관) 완공 2019년 2월 28일 : 급식실 현대화 사업 완성 2021년 9월 1일 : 제13대 최정란 교장 취임 2022년 1월 4일 : 제28회 졸업식(졸업생수 85명, 누계 7,507명) 2022년 3월 2일 : 제31회 신입생 126명 입학(6학급) = 아베 도시유키 = 아베 도시유키 (1974년 8월 1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가시마 앤틀러스, CFZ, 우라와 레즈, 베갈타 센다이,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활동하였다. =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2018 African Nations Championship)은 2018년 1월 13일부터 2월 4일까지 모로코에서 개최된 5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이다. = = 개최국 선정 = =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원래 2016년 2월에 케냐를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개최국으로 선정했지만 2017년 9월에 케냐의 개최 준비 부족을 이유로 케냐의 대회 개최권을 박탈하고 해당 대회의 개최국을 새로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마감 시한인 2017년 9월 30일까지 적도 기니, 에티오피아, 모로코가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고 밝혔지만 에티오피아는 에티오피아 축구 협회가 정부의 보증을 받지 못하여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17년 10월에 소집된 긴급위원회에서 모로코를 새로운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 = 예선 = = = = = 본선 진출 = = = 권역 진출 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 * CAF 지역 1 (북부) CAF 지역 2 (서부 A) CAF 지역 3 (서부 B) CAF 지역 4 (중부) CAF 지역 5 (중동부) ** CAF 지역 6 (남부) (*) 모로코는 케냐를 대신할 개최국으로 지정됨에 따라 북부 지역 예선 승자에서 개최국으로 본선 진출 자격이 변경되었다. (**) 르완다는 케냐의 자리를 대신하기 위한 중동부 지역 예선 특별 플레이오프에서 에티오피아에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 = 조별 리그 = = = = = A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7 1 +6 7 3 2 1 0 3 1 +2 7 3 1 0 2 3 5 -2 3 3 0 0 3 0 6 -6 0 = = = B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6 2 +4 7 3 2 1 0 3 1 +2 7 3 0 1 2 1 4 -3 1 3 0 1 2 0 3 -3 1 = = = C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4 1 +3 7 3 2 0 1 4 1 +3 6 3 1 1 1 1 0 +1 4 3 0 0 3 1 7 -6 0 = = = D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3 0 +3 7 3 1 2 0 1 0 +1 5 3 0 2 1 1 3 -2 2 3 0 1 2 1 3 -2 1 = = 결선 토너먼트 = = = = = 8강전 = = = = = = 준결승전 = = = = = = 3·4위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우승 모로코1번째 우승 = 임용제도 = 임용제도(任用制度)는 정부 조직에서 공무원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공무원의 선발을 위한 시험을 임용시험(任用試驗)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에서 공무원의 임용은 실적주의에 입각하여 시험성적·근무성적 기타 능력의 실증에 의하여 행함을 그 원칙으로 한다. 공무원직 결원의 보충은 신규채용·승진임용·강임·전직 또는 전보의 방법에 의하는데, 공무원의 신규채용은 원칙적으로 공개경쟁시험에 의하나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특별채용시험에 의할 수 있다. 공개경쟁에 의한 채용시험은 평등의 원칙에 지배되며 시험실시기관은 원칙적으로 총무처장관·국회사무처·법원 행정처이다. 계급간 승진임용은 근무성적 평정·경력평정 기타 능력의 실증에 의하는데 5급공무원(事務官)에의 승진임용은 승진시험에 의한다. = = 대한민국의 임용시험 = = 공무원 임용시험: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 고용되어 직무에 종사하는 경력직공무원 임용후보자를 선발한다. 교사 임용시험: 국공립학교 교사를 선발한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국공립 중등학교 교사를 선발한다. 사법시험: 별정직 공무원인 사법연수생을 선발하였다. 현재 폐지되었다. = 분류:이탈리아의 헌법학자 = = 부타 (음식) = 부타는 부탄의 메밀국수 요리이다. 압면 방식으로 뽑아낸 메밀국수에 파, 고추, 달걀을 기름에 볶아 만든 소스를 붓고, 향신료와 소금을 넣어 비벼 먹는다. 우유나 버터밀크를 부어 국물국수로 즐기기도 한다. = 분류:1930년 중국 = = 분류:아프리카의 박물관 = = 에스타니슬라오 = 에스타니슬라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에스타니슬라오 피게라스: 스페인의 정치인 = 분류: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틀 = = 순응 = 순응(順應, )은 개별 생물체가 환경 변화(예: 고도, 온도, 습도, 광주기, pH의 변화 등)에 적응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순응은 단기간(몇 시간에서 몇 주)에 생물체의 일생 내에서(여러 세대에 걸쳐 일어나는 적응과 비교) 일어난다. 이것은 불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고(예: 등산가가 몇 시간 또는 몇 일에 걸쳐 높은 고도에 적응할 때) 털갈이를 하는 포유류처럼 주기적인 과정의 일부를 지칭할 수도 있다. 생물체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형태학적, 행동적, 물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2009) “Acclimatisation” (n.d.) The Unabridged Hutchinson Encyclopedia Retrieved November 5 2009 from 새로운 환경에 순응할 수 있는 능력은 여러 종에서 잘 알려져 있지만, 연구자들은 생물체가 어떻게 그리고 왜 그러한 방식에 순응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알지 못한다. = 분류:세기별 공무원 = = Like a Rolling Stone = 〈Like a Rolling Stone〉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이 1965년에 작곡한 곡으로,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명곡 중 하나이다. 이 대립적인 가사는 1965년 6월 딜런이 쓴 시구의 연장선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때 그는 힘든 잉글랜드 투어로 지쳐 돌아왔다. 딜런은 이 초고를 4개의 시와 합창으로 압축했다. 〈Like a Rolling Stone〉은 몇 주 후에 다음 음반 Highway 61 Revisited의 일부로 녹음되었다. 이틀간의 어려운 사전 제작 기간 동안 딜런은 트리플 미터에서 성공하지 못한 채 데모된 곡의 진수를 찾기 위해 애썼다. 록 음악 형식으로 시도했을 때 돌파구가 마련되었고, 신인 세션 음악가인 알 쿠퍼가 트랙이 알려진 오르간 리프를 즉흥적으로 연주했다. 그러나 컬럼비아 레코드는 이 곡의 길이 6분이 넘는 곡과 헤비 일렉트릭 사운드에 모두 불만을 품고 발매에 주저했다. 한 달 후에야 새로운 인기 음악 클럽에 복사본이 유출되고 영향력 있는 DJ들로부터 이 노래가 싱글로 발매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라디오 방송국들은 이런 롱 트랙을 하기를 꺼렸지만, 〈Like a Rolling Stone〉은 미국 빌보드 차트 2위(캐시박스 1위)에 오르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비평가들은 이 트랙이 다른 음악적 요소들과 젊고 냉소적인 딜런의 목소리, 그리고 "How does it feel?(그 느낌은 어떠니?)"라는 질문의 직접성이 포크 가수에서 록 스타로 딜런의 이미지 변신을 완성시켰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컴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전후의 대중음악의 지위 리뷰 집계자 호평 뮤직에 따르면, 〈Like a Rolling Stone〉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은 찬사를 받은 곡이다. 롤링 스톤은 이 곡을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에서 1위로 선정했다. 이 곡은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와 롤링 스톤스부터 더 웨일러스와 그린 데이까지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커버해 왔다. 2014년 경매에서 딜런의 직접 작사는 인기 있는 음악 원고의 세계 기록인 200만 달러를 받았다. = 전국빈민연합 = 전국빈민연합(全國貧民聯合, 약칭 전빈련)은 1989년 11월 11일 전국노점상연합회와 철거민협의회 등 빈민운동 단체가 연합해서 결성한 대한민국 비정부 단체이다. = = 배경 = =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도 들어 도시 환경정비를 시행하게 되었고, 특히 1983년 국제 의원 연맹 총회, 1988년 서울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준비하면서 대대적인 노점 단속에 대응하여 노점상연합회가 결집되었다. 또한 도시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강제 철거에 대처하기 위한 철거민협의회가 서울을 중심으로 결성되기 시작했다. 1988년에 들어와서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서철협과 전국노점상연합회, 천주교도시빈민회, 기독교빈민협의회 등이 도시빈민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였고, 이 활동을 통해 전국빈민연합의 결성 기반이 마련되었다. 결성과정에서 지역탁아소연합, 일용건설노동조합추진위원회가 함께 참여했지만, 서철협과 전국노점상연합회, 일용건설노동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단체들은 자신들의 조직 성격상 참여를 보류했다. = = 결성 = = 1989년 11월 11일 서철협과 전국노점상연합회의 주도하에 전국빈민연합(전빈련. 상임의장 양연수)이 결성되었다. 전빈련의 목표는 주거, 직업, 교육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결성선언문에서, “첫째, 도시빈민이 고립분산적으로 철거문제, 노점상 문제에만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대열로 교육 복지 의료의 문제까지 통일적으로 요구하고 관철시켜가는 중심조직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둘째, 현재 빈민투쟁의 선봉격인 노점상과 철거민을 중심으로 모든 빈민대중들을 조직하는 구심체이다. 셋째, 도시빈민 정치세력화의 중심체로 발전하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과 의의를 수행하는 대중조직은 전국노점상연합회나 서울철거민협의회 또는 천주교도시빈민회, 기독교빈민협의회 등 6개 단체가 모이는 것이 아니라 그 단체를 중심으로 결집된 대중들이 모이는 것이어야 한다”라고 결성 의의를 밝혔다. = = 조직 = = *1999년 양연수 (상임의장), 남경남 (공동의장), 양해동 (집행위원장) *2008년 김흥현 (상임의장), 이필두 (공동의장, 전국노점상총연합 의장), 심호섭 (공동의장, 빈민해방철거민연합 의장), 유의선 (정책위원장) *김혜경 (고문) = = 활동 = = *1999년 4월 22일 서울역 광장에서 전국빈민연합 출범식을 개최 *2003년 12월 20일 청계천 복원공사에 따른 노점상, 영세상인, 철거민 등 빈민 생존권 쟁취 투쟁 중 김흥현 의장 중부경찰서 연행 *2006년 5월 29일 서울시청 앞에서 동대문운동장 철거 반대, 뉴타운 개발 전면 재검토 기자회견 *2006년 10월 16일 전국빈민대회 개최(FTA 저지 등 7대 과제) *2008년 2월 29일 다양한 진보신당 정치세력화에 동참하기 위해 민주노동당 탈당, 3월 2일 진보신당 발기 *2011년 5월 31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진보진영과 연석회의를 개최하고 새로운 진보신당에 참여하기로 최종합의 *2011년 10월13일 대표자 진보신당에서 탈당 선언문 발표 = FMOD = FMOD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 위치한 파이어라이트 테크놀로지스에서 만든 음향 미들웨어이다. 버전 3.75 이후로 FMOD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라이브러리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저수준 사운드 엔진이다. FMOD 이벤트 시스템(), FMOD 디자이너로 만들어진 추상적인 사운드 컨텐츠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반 프로그래밍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FMOD 디자이너(), 사운드 디자이너를 위한 툴로 음악의 재생과 복잡한 사운드 이벤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 지원 환경 및 포맷 =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OS X 리눅스 엑스박스 360 플레이스테이션 2 플레이스테이션 3 PSP NGP Wii 3DS iOS 안드로이드 FMOD는 현재 AIFF, ASF, ASX, DLS, FLAC, FSB (FMOD 샘플 뱅크 포맷), IT, M3U, MIDI, MOD, MP2, MP3, Vorbis, PLS, S3M, VAG (PS2/PSP용 포맷), WAV, WAX (윈도 미디어 오디오 리다이렉터), WMA, XM, XMA (Xbox 360 전용)등 RAW 오디오 데이터를 지원한다. = = 라이선스 = = 현재 아래와 같은 라이선스 계약을 할 수 있다: FMOD 비상업 라이선스(, FMOD를 이용하여 비상업적인 용도로 소프트웨어를 개발되었고 앞으로도 상업적인 용도로 판매되지 않으면 라이선스 계약비용을 제외하여 무료로 제공된다. FMOD 상업 라이선스(, 상업적인 소프트웨어나 게임에 FMOD를 이용한다면 플랫폼 개수에 맞게 라이선스 계약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FMOD 캐주얼 라이선스(, 상업적인 소프트웨어나 게임으로 개발되어 엑스박스 아케이드,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WiiWare, 윈도 및 맥 OS X에서 다운로드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이 라이선스가 적용되어 계약비용이 부가된다. MP3 라이선스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MP3를 사용하여 개발할 경우에는 톰슨 회사와 접촉하여 따로 라이선스를 계약해야만 한다. PS3 개발자는 소니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제공하는 "셀 SDK MP3 디코더"를 사용하면 되므로 4.27.00 이후 버전에서 MP3 사용권한은 무료로 제공된다. = = 엔진 내장 = = 아래와 같이 다른 회사의 엔진에 서드파트너십 계약으로 통합, 탑재되어 제공되고 있다. 개러지게임스 - 토크 게임 엔진 밸브 코퍼레이션 - 소스 엔진 빅월드 - 빅월드 테크놀로지 스케일폼 코퍼레이션 - 스케일폼 아이디어 파브릭크 Plc. - 히어로엔진 에픽 게임스 - 언리얼 엔진 3 유니티 테크놀로지스 - 유니티 하복/트리니지 - 비전 = 티루파티 = 티루파티(Tirupati)는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의 치투르 디스트릭트의 도시이다. 이 도시는 벤카테슈와라 사원과 그 밖의 역사적 사찰들의 중요한 성지의 본고장이므로 안드라프라데시주의 종교적 수도로 불린다.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수는 287,588명으로,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 9번째로 인구수가 많다. = 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하키 경기 틀 = = 마르크 리 = 마르크 리(, 1969년 ~ )는 스위스 출신의 미디어작가이다. = = 생애 = = 그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작품을 통해 문화적, 창조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서 인터텟의 구조와 체계, 작동방식, 그리고 그것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관계를 언급한다. = = 전시 작품 = = 그는 주요한 미디어아트 전시회들인 독일 칼스루헤의 ZKM, 베를린의 Transmediale, 뉴욕의 New Museum, 린츠의 Ars Electronica, 세비아의 현대미술아트비엔날레, 바젤의 Viper와 Shift , 모스크바의 Read_Me Festival, 델리의 CeC, 도쿄의 ICC,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서울국립현대미술관 개관식등에서 전시회를 갖은 바 있다. = 분류:1982년 대만 = = 분류:1880년 영국 = = 분류:법화계 불교도 =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 슈바르츠윗수염박쥐(Myotis martiniquensi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바베이도스와 마르티니크에서 발견된다. = = 특징 = = 작은 박쥐로 전체 몸길이가 75~88mm이고 전완장이 34.9~38.1mm, 꼬리 길이가 34~41mm이다. 발 길이는 7~9mm, 귀 길이는 12~16mm이다.Timm RM & Genoways HH, West Indian Mammals from the Albert Schwarts Collection: Biologic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in Scientific Papers. Natural History Museum, The University of Kansas, vol. 29, 2003, pp. 1 47. 털은 짧고 양털처럼 부드럽다. 등쪽은 갈색이지만 배쪽은 갈색빛 노랑이다. 귀는 길고 좁으며 삼각형 모양이고 끝이 둥글다. = = 생태 = = 동굴과 건물 안쪽에서 생활한다. 먹이는 곤충이다. 바베이도스에서 4월과 6월, 7월, 9월말, 10월초에 새끼를 배거나 젖을 먹이는 어미가 포획되고 번식 주기는 계절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소앤틸리스 제도의 마르티니크와 그레나다, 바베이도스 섬들에 알려져 있다. 숲과 사람 거주 지역에서 서식한다. = = 아종 = = 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M. m. martiniquensis - 마르티니크 M. m. nyctor (LaVal & Schwartz, 1975) - 바베이도스와 그레나다 = 분류:FC 기후의 축구 감독 = = 소마 요시타네 = 소마 요시타네(そうま よした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소마 요시타네() 소마 요시타네는 가마쿠라 시대 소마 가문의 2대 당주이다. 소마 요시타네는 센고쿠 시대 소마 가문의 16대 당주이다. 소마 요시타네는 소마 나카무라 번의 2대 번주이다. 소마 요시타네()는 소마 나카무라 번의 9대 번주이다. = 후주청년역 = 후주청년역(厚州靑年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김형직군 고읍로동자구에 위치한 북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 = 연혁 = = 1987년 11월 27일북부철길 일부완공, 동아일보, 1987.12.1 작성 : 운봉 - 자성, 후주청년 - 혜산청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북한지리정보: 운수지리 - 북부 철길 건설, 1988, CNC 북한학술정보 1988년 8월 3일 : 자성 - 후주청년 구간 개통북부철길 1단계공사완료, 경향신문, 1988.8.10 작성 = 분류:1524년 기독교 = = 보더랜드 (영화) = "보더랜드"는 2024년 개봉 예정인 미국의 SF 액션 코미디 영화이다. 일라이 로스가 감독을 맡았으며, 동명 비디오 게임 시리즈을 원작으로 한다. = = 출연 = = 케이트 블란쳇 - 릴리스 케빈 하트 - 롤런드 잭 블랙 - 클랩트랩 제이미 리 커티스 - 퍼트리샤 태니스 박사 아리아나 그린블랫 - 타이니 티나 플로리안 문테아누 - 크리크 헤일리 베넷 에드가르 라미레스 - 아틀라스 올리비에 리히터스 - 크롬 저니나 거반카 - 녹스 사령관 지나 거숀 - 매드 목시 샤이엔 잭슨 - 제이컵스 찰스 바발롤라 - 해머록 벤저민 바이런 데이비스 - 마커스 스티븐 보이어 - 스쿠터 리안 레드먼드 - 엘리 보비 리 - 래리 = 홈파티 = 홈파티 또는 하우스 파티는 집에 친구나 지인을 불러서 하는 잔치를 말한다. = = 개요 = = 집에 여러 친구와 지인, 동료 등을 불러 술과 음식을 제공한다. 주로 바비큐 등으로 대접한다. 기본적으로 미국과 유럽 등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패션 잡지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도 자주 거론되고 있다. = 소규 = 소규란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다. 소규(蕭樛, ? ~ 552년) 소규(蕭巋, 542년 ~ 585년) = 분류:2011년 튀르키예 = = 분류:1864년 5월 = = 분류:센에마른주의 캉통 = = 분류:우루과이의 축구 심판 = = 크리스 카터 (각본가) = 크리스 카터(, 1957년 10월 13일 ~ )는 미국의 각본가이다. = 로드 오브 카오스 = 로드 오브 카오스(Lords of Chaos)는 스웨덴에서 제작된 조나스 애커룬드 감독의 2018년 드라마, 공포, 스릴러 영화이다. 로리 컬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로리 컬킨 에모리 코헨 안토니 데 라 토레 스카이 페레이라 = = = 조연 = = = 잭 킬머 = 카멜레온자리 = 카멜레온자리(Chamaeleon )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이다. 적도 이북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별자리이다. = = 별과 천체 = = 1999년, 카멜레온자리 η (η Chamaeleontis) 주변에서 산개성단이 발견되었다. 이 성단은 카멜레온자리 에타 성단 또는 'Mamajek 1'으로 불렸는데, 약 8백만 년 정도 되었고, 지구로부터 316광년 떨어져 있다. 카멜레온자리에는 분자 구름(카멜레온자리 암흑 성운)을 포함하고 있는데, 질량이 작은 T Tauri(황소자리) 별들을 생성한다. 이 성운 복합체(cloud complex)는 지구로부터 약 400 ~ 600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수천 배의 기체와 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 = 신화와 역사 = = 두 명의 탐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에 의해 1600년경에 고안되고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된 12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17세기에 만들어졌으므로, 관련된 신화는 없다. = 한국도농문화교류협회 = 한국도농문화교류협회는 도시와 농어촌 청소년의 향후 문화교류와 현장체험학습 등을 통하여 도시와 농어촌간의 문화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2009년 12월 15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197, 2층 (갈마동)에 있다. = 모붙임 = 마늘모붙임 또는 모붙임은 붙임의 한 종류이자 마늘모 행마로 상대의 돌에 붙이는 수법이다. = 모드 샤롱 = 모드 샤롱(, 1993년 4월 28일 ~ )은 캐나다의 역도 선수이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들급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라스베이거스의 신문 = = 분류:인도네시아의 농업 =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교황 하드리아노 2세와 로마 황제 바실리오스가 콘스탄티누폴리스 총대주교직 임명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했다. 여기서 이전 황제 미하일이 해임시킨 총대주교 이그나티오스가 복직되고 미하일이 임명한 총대주교 포티오스가 해임되었다. 또 이 자리에서는 성상(聖像)에 대한 엄격한 숭배를 재확인하였다. = 고씨삼강문 = 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은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삼강문이다. 1985년 2월 25일 광주광역시의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삼강문은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旌閭)이다. 이 삼강문은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국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1533~1592)과 그 가족 6명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1844년에 건립한 이 건물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려의 건축 양식으로 평면은 정면 4칸, 측면 1칸으로 맞배지붕이다. = = 참고 자료 = = * * = 분류:K7리그 김천 축구단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분류:베트남의 레슬링 = = 틀:시리즈 개요/특별 = scope="row" style="background:;width:10px;" = 틀:Bfidb 이름 = / - BFI 영화 & TV 데이터베이스 = 분류:앤디 쿠버트가 창작한 등장인물 = = 방일홍 = 방일홍(方一弘, 1933년 3월 1일 ~ 2017년 8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이다. 제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현재 대영문화사 사장이다.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이며, 본관은 온양이다. = = 학력 =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 = 경력 = = 한나라당 국책자문위원 *대한민국헌정회 이사 *경향신문사 제1기 공채기자 시험합격, 정치부차장 기획위원 *民政黨 윤보선대통령후보 중앙선거대책본부 대변인 *6대국회 내무분과 간사위원, 예결위원 *6ㆍ3사태 국회여야시국수습위원회 야당대표 *야당통합(民政黨ㆍ민주당) 전권대표, 민중당(통합야당) 창당 운영위원, *당무위원 *APU한국대표, 일본창립총회 참석, 제20차 UN총회참석 *신민당 출판국장, 대변인, 민주전선편집인 *신민당 김대중 대통령후보 중앙선거대책본부 대변인 *건강생활(주)대표이사, 사장, 월간건강생활 발행인 *대영문화(주)대표이사, 사장 = = 출처 = = *대한민국 헌정회 = 분류:푸에르토리코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 반피엘드 = 반피엘드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에 위치한 도시로 높이는 16m, 인구는 223,898명(2001년 기준)이다. 아르헨티나의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남쪽으로 14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분류:괴수를 소재로 한 작품 = = 분류:수단의 산 = = 시디 울드 셰이크 압달라히 = 시디 울드 셰이크 압달라히(, 1938년~2020년 11월 22일)는 모리타니의 정치인으로 2007년 4월 19일부터 2008년 8월 6일까지 모리타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2007년 모리타니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약 53%의 득표율모리타니 대통령 압달라히 당선, 서울신문, 이순녀 기자, 2007년 3월 27일 작성함, 2011년 7월 31일 확인함로 당선되었다. 그 후 2008년에 일어난 모리타니 쿠데타로 인해 대통령직에서 축출되었다.모리타니 쿠데타 지도자, 대선 출마 시사,뉴시스,유세진 기자,2008년 8월 11일 작성함,2011년 7월 31일 확인함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2007년 선거 모리타니의 대통령 7대 무소속 24.80% 183,726표 52.85% 373,520표 1위 = ZAM = ZAM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ZAM: 삼보앙가 국제공항의 IATA 드 ZAM: 잠비아의 IOC 국가 코드 = 분류:상하이시의 미술관 = = 분류:보통 중요도 컴퓨터 과학 문서 = = 분류:증평군축구협회 = = 분류:한국의 침례교도 = = 김규진 (배우) = 김규진(1984년 1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교수이다.김규진 - 다음 인물 정보 = = 생애 = = 2009년에 SBS 11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선발되었다. = = 학력 = = 2003년 ~ 2009년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학사 2013년 ~ 2017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 연기과 석사 2017년 ~ 2019년 로열 센트럴 스쿨오브 스피치앤드 드라마 Actor Training and Coaching 석사 2021년 ~ 202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응용예술학과 박사 = = 경력 = = 극단 뫔 대표 SBS 11기 공채 탤런트 로열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 논문 지도교수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겸임교수 상해 오로라대학교 동양영화대학 객원교수 가천대학교, 건국대학교,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경희대학교, 극동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한국연극치료협회, 한국공연예술치료협회 연극심리상담사 = = 출연 = = = = = 방송 = = = = = = = 드라마 = = = = 2009년 SBS 《스타일》 - 남봉우 역 2009년 SBS 《아버지의 집》 2010년 SBS 《제중원》 - 칠복 역 2010년 SBS 플러스 《키스 앤 더 시티》 2010년 SBS 《웃어요, 엄마》 2010년~2011년 SBS 《괜찮아, 아빠딸》 - 심병천 역 2011년 SBS 《마이더스》 2011년 SBS 《내게 거짓말을 해봐》 - 규진 역 2011년 SBS 《폼나게 살거야》 2012년 SBS 《드라마의 제왕》 - 안성모 역 2013년 SBS 《잘 키운 딸 하나》 - 김영호 실장 역 = = = 공연 = = = = = = = 연극 = = = = 2016년 《모두에 맞서는 모든 사람들》 2017년 《바다 한가운데서》 2021년 《인간에 대한 단상》 2021년 《마음에 대한 단상》 2022년 《갈매기》 2023년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 틀:요즘 화제 처음/2022년 8월 10일 = 보건과 환경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20,845,973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151,792명(국내 151,177, 해외유입 615)이 늘었다. 사회 대한민국의 진실화해위원회가 휴전 후 황해도에서 북파공작원에 의해 남한으로 납치된 김주삼씨의 납치 피해 사실을 인정해 김주삼씨가 최초로 공인된 납남자가 되었다. = GCC = GCC는 다음을 가리킨다. 걸프 협력 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NU 컴파일러 모음(GNU Compiler Collection) = = 교육 = = 그로브 시티 칼리지(Grove City College) = = 과학 및 기술 = = 전체적 탄소 주기(Global carbon cycle) 당질 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 GCC: 아미노산 알라닌의 코돈 = = 단체 = = 기가델리 초콜릿 컴퍼니(Ghirardelli Chocolate Company) 그레이스 커뮤니티 교회(Grace Community Church) = = 기타 = = 그린즈버러 콜리시엄 콤플렉스(Greensboro Coliseum Complex) 정부 제작 콘텐츠(Government Created Contents) = 스타트피페 = 스타트피페는 노르웨이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의 이름이다. 나라의 북쪽에 있는 북해의 가스전과 노르웨이의 가스운반로를 연결한다. = = 역사 = = 스타트피페는 스타토일사가 설치하였으며 개발안은 노르웨이 의회(Storting)로부터 1981년 6월에 승인을 받았다. 1985년 3월 25일에 Statfjord에서 시작되는 리치가스(rich gas)용 가스관이 운영을 시작하였고, 1985년 10월 15일에는 Kårstø로부터 Ekofisk 가스전을 잇는 건성가스(dry gas)용 가스관이 운영을 시작하였다. = 분류:중화인민공화국 프로 야구 틀 = = MTK = MTK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MTK 부다페스트 FC(MTK Hungaria FC) 미디어텍(MediaTek) (Main-Taunus-Kreis): 독일의 지역 = 코모로 제도 = 코모로 제도는 마다가스카르 섬과 아프리카 대륙 사이에 놓인 인도양의 섬이다. 그랑드코모르섬, 모엘리섬, 앙주앙섬, 마요트섬의 네 섬과 주위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치적으로 코모로 제도는 두 체제로 나뉘어 있다. 코모로 연방. 독립국 마요트 — 프랑스의 해외 영토 코모로 연방은 북쪽의 세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앙주앙과 모엘리는 1997년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였고, 이 독립 선언은 이후에 철회되었다. = 분류:북극 원주민 = = 틀:디트로이트 레드윙스 1997-98 NHL 챔피언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3주 = = = 존나싫은173편성 무기한 차단 요청 = = * 의 다중 계정입니다. 175.197.33.228 (토론) 2017년 6월 5일 (월) 08:15 (KST) = = 사용자:Neoalpha 차단 요청 =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및 연천 구타사망 사고 등의 여러 문서를 반달했으며 특히 반달 사유로 내민 코멘트에 "좆무"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 타 사이트와의 불화까지 조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차단을 신청합니다.121.141.180.235 (토론) 2017년 6월 5일 (월) 14:05 (KST) = = 보민궁궐 = = 사:보민개 등의 다중 계정: 자신을 계속 왕이라고 우깁니다. 덧붙이자면 미디어위키토론:titleblacklist 참고 바랍니다. 또한 사:보민개 등의 다중 계정의 방해 편집을 막기 위하여 사:보민개와 사토:보민개 문서를 준보호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6월 5일 (월) 20:03 (KST) = = 211.36.157.109 긴급 차단 요청 = = * 차단 신청을 할 수 밖에 없는 요청입니다. 해당 IP는 맨 위에 작성한 존나싫은173편성 무기한 차단 요청에서 언급된 의 다중 및 우회 IP로 또다시 등재 할 수 없는 장난성 문서 생성을 한게 확인되었고, 또다시 전처럼 삭제 신청 틀을 제거까지 하고 있습니다. 증거 1 증거 2 임일섭 삭제 기록 박정숙 (미용사) 삭제 기록 어제는 로 나타나 장난성 문서 양산을 했을 뿐만 아니라 계정까지 생성해서 문서마다 반달 반복한게 확인되었고, 해당 IP로도 다중 계정을 생성해 반달할 가능성이 커서 차단이 꼭 이행되야합니다. 구체적인 사유는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2주 182.216.55.0/24 차단 요청와 같습니다. 117.111.21.227 편집 필터 기록 -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존나싫은173편성 편집 필터 기록 -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182.216.55.186 편집 필터 기록 -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3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12:44 (KST) = = 218.234.250.37 긴급 차단 요청 = = * 기여 패턴 등을 보면 예전에 SKT IP로 장난 반복하다 차단된 인물의 다중 IP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3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4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13:27 (KST) = = 다중 계정 및 IP 차단 요청 = = * * * * * 다중 계정 검사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0주때도 요청을 작성한적이 있는데, 또 이 요청을 작성하는 사유는 이해당사자로 추정되는 계정이 또다시 백:다중 & 백:동원 위반하는 행위가 발견되었고, 계정을 생성한 사용자가 계속해서 비로그인 상태로 활동하는게 확인되었고, 토론란을 통한 설명에도 전혀 계정으로 활동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계정 생성한 이전부터 계속 백:다중 & 백:동원 위반하는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되었듯이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을 통해 동일인물임이 밝혀졌고, 더이상 백:선의로 볼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전부터 해당 인물은 다중 계정 및 IP를 악용 반복한 사용자입니다. 5개의 계정 및 IP를 다중 계정 악용 등으로 차단 요청하며, 다른 2개(주숙명 & 주택현)의 계정의 경우 다중 계정에 해당되어 무기한 차단 부탁드립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14:59 (KST) 증거 끝까지 자신의 행위에 대해 뻔뻔함을 보이고 있고,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을 통해 동일인물이 들어났음에도 계속해서 다중 계정 및 IP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21:17 (KST) 삭제 토론 편집 내역 다중 계정 검사 요청때 언급한대로 패턴 자체가 100%일치하며, 백:다중 & 백:동원 위반을 하고 있습니다. 210.113.104.247 (토론) 2017년 6월 7일 (수) 10:43 (KST) = = 223.62.8.149 차단 요청 = = * 욕설 작성 증거 차단 회피자라는 증거 몇시간전에 차단된 와 동일인물이며, 이제는 편집 요약 및 토론란에 인신 공격 & 욕설까지 한게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16:29 (KST) 추가 요청합니다. * 가 차단되자 다른 우회 IP로 훼손을 반복하고 있고, 편집 요악에 욕까지 작성한게 확인되었습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16:38 (KST) = = 121.167.127.51 & 122.42.53.171 차단 요청 = = * * 121.167.127.51의 기여 & 121.167.127.51 편집 필터 기록 - 장난성 넘겨주기 반복 생성 증거 1 122.42.53.171의 기여 & 122.42.53.171 편집 필터 기록 - 장난성 넘겨주기 반복 생성 증거 2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2주 211.36.0.0/24 긴급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2주 차단회피 IP 차단 요청때 차단된 인물의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토론란에 장난 및 장난성 넘겨주기 등이 생성된게 확인되었고, 각각 차단 기록도 있으며, 차단이 필요합니다. 210.113.104.146 (토론) 2017년 6월 6일 (화) 21:12 (KST) = = 117.111.6.240 차단 요청 = = * 의 다중 및 우회 IP로 또다시 등재 할 수 없는 장난성 문서 생성(진성욱 (선생님) & 여시호 (선생님) & 박정숙 (미용사) & 강혜라 (선생님))을 한게 확인되었고, 철도 관련 문서까지 훼손한게 확인되었습니다. 진성욱 (선생님) 삭제 기록 여시호 (선생님) 삭제 기록 지금 기여 없어도 위 요청들을 보신다면 반드시 차단이 이행되야 합니다.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247 (토론) 2017년 6월 7일 (수) 10:36 (KST) 추가 요청합니다.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에서 훼손된 기여로 되돌린 IP가 발견되었고, 의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210.113.104.247 (토론) 2017년 6월 7일 (수) 14:44 (KST) = = 브레인스톰 = = * 실시간 문서 훼손 반복. 편집 패턴을 봐선 하우투비즈의 다중 계정으로 추정됩니다. — Jeresy, 2017년 6월 7일 (수) 19:41 (KST) = = 211.178.215.27 제재 요청 = = * 두 판 사이의 차이 중 하단의 '분류 편집' 참조. 특수:차이/18885243 특수:차이/18885218 특수:차이/18885137 특수:차이/18871732 특수:차이/18871616 특수:차이/18871578 편집강행에 대한 거듭된 주의에도 불구하고 편집강행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제재를 요청합니다. 메이 (토론) 2017년 6월 7일 (수) 21:12 (KST) = = 118.42.4.5, 61.80.3.125, 143.77.180.12 의 제제 요청 = = * * * 편집내용을 보면 유독 북한 관련 문서에 악의적 및 독자성 편집에 주력하고있습니다. Yoyoma88 (토론) 2017년 6월 7일 (수) 23:02 (KST) = = 119.56.135.4 긴급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1주 113.59.134.0/24 차단 요청때 차단된 인물의 다중 IP 우회 IP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오윤아 문서에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 작성 증거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고주원 문서에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 작성 증거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해당 IP의 기여를 확인해본 결과 매일 밤낮없이 허위 편집으로 반달 반복하는게 확인되었고, 계속해서 장난 및 허위 편집을 남발하고 있습니다. 다시 나타나 훼손할 가능성이 큰만큼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반복 및 차단 회피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210.113.104.129 (토론) 2017년 6월 8일 (목) 11:40 (KST) = = 180.66.51.15 긴급 차단 요청 = = * 재요청합니다. 차단 풀린 이후에도 또 문서마다 허위 편집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8주 180.66.51.15 긴급 차단 요청 출연한적도 없는 박찬환을 출연했다고 허위 편집 반복 작성 증거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구가의 서 & 최고다 이순신 문서에 이랬다 저랬다 식의 기여만 봐도 해당 사용자는 문서 대부분에 알고 작성하는 사용자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허위 편집 반복 증거 1 허위 편집 반복 증거 2 허위 편집 반복 증거 3 허위 편집 반복 증거 4 알고 작성하는게 아닌 고의로 허위 편집하는 사용자이며, 전보다 더 엄중한 제재 부탁드립니다. 175.197.32.15 (토론) 2017년 6월 9일 (금) 15:09 (KST) = = 180.92.80.95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7주#상습적으로 나타나서 허위 편집을 반복하는 IP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1주#118.139.198.91 차단 요청때 차단된 인물의 우회 IP입니다. 김포교통 편집 내역 - 이전부터 동일인물에 의한 훼손이 자주 반복된 문서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그 외에도 생성된 문서(엠씨류 & 최혜령)도 보면 확인되지도 않는 장난 섞인 식으로 작성된 내용들일 뿐만 아니라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음악) 미달에 속하는 인물들입니다.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하며 생성된 문서 대량 삭제 부탁드립니다. 116.120.228.35 (토론) 2017년 6월 9일 (금) 22:23 (KST) = = 사:IRTC1010 차단 요청 = = * 사:IRTC1015의 사칭 계정이며 기아 옵티마 등 차량 문서에 상습적으로 훼손 행위를 일삼는 IP 사용자가 생성한 계정. 커뷰 (토론) 2017년 6월 10일 (토) 01:13 (KST) = = 143.77.180.69 제재 요청 = = * 편집으로 보아 IP 143.77.180.12 사용자의 차단 회피로 보입니다. 검토 후 제재를 바랍니다. 메이 (토론) 2017년 6월 10일 (토) 09:52 (KST) = = 175.194.99.242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4주 175.194.99.242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7주 175.194.99.242 차단 요청 2번 차단을 받은 이후에도 또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 문서 훼손 반복 증거 2 문서 훼손 반복 증거 3 문서 훼손 반복 증거 4 문서 훼손 반복 증거 5 문서 훼손 반복 증거 6 문서 훼손 반복 증거 7 문서 훼손 반복 증거 8 문서 훼손 반복 증거 9 2주일 차단이 아닌 장기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222 (토론) 2017년 6월 10일 (토) 20:11 (KST) = = 113.10.54.31 및 그 다중계정 차단 요청 = = * * * * * 지난주 요청(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2주#다중 계정 및 IP 차단 요청) 재검토 부탁드립니다. 박세미 문서 편집 내역 박세미 (배우) 문서 편집 내역 윤진솔 문서 편집 내역 결론을 말하면 를 차단하는것 밖에 없습니다. 해당 IP로 계속 다중 계정을 양산하고, 백:다중 위반을 반복하서 문서 훼손까지 하고 있어 차단이 필요합니다. 122.42.193.33 (토론) 2017년 6월 11일 (일) 13:48 (KST) 증거 1 증거 2 그리고 해당 문서 토론란에도 토론 아닌 내용 작성 빈복을 하고 있습니다. 요청을 작성하는 사유가 하나 더 있다면 최근 보호된 박세미의 편집 내역을 살펴봐 주십시오. 거기에 및 그 다중 계정의 장난이 반복된걸 알 수 있습니다. 122.42.193.33 (토론) 2017년 6월 11일 (일) 14:10 (KST) = = 122뭐시기 씨발새끼 무기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 계정 및 백:반달 & 백:방해 등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이전에 라는 계정으로 나타난적 있던 인물과 동일인물입니다. 122.42.193.33 (토론) 2017년 6월 11일 (일) 13:54 (KST) = = 사:Jjw 차단 요청 = = * 편파적인 내용 삽입을 통해 미필적고의에 의한 문서훼손을 행함. = = 사용자:쥐에쓰삼성래미안자이 = = 가입하자 마자 문서 훼손 반복 Jjw (토론) 2017년 6월 11일 (일) 17:24 (KST) 인신 공격 증거 제가 이 발언을 45분 전에 다 써야 할 것을 개인 사정으로 뒤늦게 이 발언을 올립니다. —Jerrykim306 토론기여 2017년 6월 11일 (일) 18:33 (KST) = = Hsh1sh17 = = * 몇번째 요청인지 모르겠네요. 꼭 좀 차단 부탁드립니다. 계속 출처 없는 정보를 음악 그룹 문서에 기입하는가 하면 음악 그룹 문서의 사진을 임의로 없애는 등 반달을 반복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7년 6월 11일 (일) 23:28 (KST) = 서서평 = 서서평(徐舒平, 1880년 9월 26일 ~ 1934년 6월 26일)은 독일 출신의 미국 선교사이다. 본명은 엘리자베스 요한나 셰핑(Elisabeth Johanna Shepping 또는 Johanna Elisabeth Schepping)이다. 셰핑(Schepping)은 이디시아어로 샘에서 무엇을 끌어내다(Shep), 그로부터 큰 기쁨을 얻고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뜻이다. = = 생애 = = = = = 어린 시절 = = = 1880년 9월 26일 독일 비스바덴 프랑켄 거리(Frankenstrase) 정원 막사(Gartenhause)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안나 셰핑(Anna Schepping, 혼인명 Schepping Schneider)이다. 3세일 때 어머니가 미국 뉴욕으로 홀로 이민가고, 조부모에게 맡겨진다. 할아버지는 안드레아스 셰핑(Andreas Schepping), 할머니는 엘리자베스 화버(Elisabeth Faber 혼인명 Elisabeth Schepping)이다. 9세에 할머니를 잃고, 주소가 적힌 쪽지 한 장을 들고 엄마를 찾아 미국으로 떠난다. 가톨릭 미션 스쿨에서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성마가병원 간호전문학교를 졸업한다. 뉴욕시립병원 실습하던 중 동료 간호사를 따라 장로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개신교로의 전향을 결심한다. 유대인 요양소, 이탈리아 이민자 수용소 등에서 봉사활동을 하였으며 간호전문학교 졸업후 브루클린주 이시병원에서 근무한다. 1904년 뉴욕 성서교사훈련학교(Bible Teacher Training School)의 여행자를 돕는 선교회(Traveler's Aid Missionary)에서 1년 동안 봉사하였다. 1911년 졸업 이후 동료 선교사에게서 조선에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길에 버려질 정도라서 의료 봉사가 절실하다는 말을 듣고, 한국 선교를 지원한다. 1912년, 미국 남장로교 해외선교부 모집에 지원하여 간호선교사로 파송을 받는다. 어머니의 신앙인 가톨릭을 따르지 않고 개신교로 개종했기 때문에 집에서 쫓겨났다. 3세 때, 10대 때, 마지막으로 40대에 어머니에게 모두 세 차례 버림당한다. 어린 시절이 불우했지만 바람, 햇살, 숲과 함께 자랐다고 고백했다. 빗속에서 춤추는 것을 좋아했다. = = = 선교사 생활 = = = 1912년 2월 20일 한국으로 파송된다. 여객선 S.S.Korea호를 타고 20여 일 여행 끝에 한국에 도착한다. 광주선교부 제중원(원장 우월순)의 간호사로서 병원과 주일학교를 돕는다. 한국어를 배우고, 옥양목 저고리와 검정 통치마를 입었으며, 남자 검정 고무신을 신고, 된장국을 좋아했다. 온전한 조선인이 되고자 했고, 평생 독신으로 살며, 미국으로 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평생 가족처럼 지낸 입양아로 박해라, 문안식, 문천식이 있다. 32세인 1912년부터 1934년 54세로 소천하기까지 22년 동안 일제점령기에 의료혜택을 받지 못했던 광주의 궁핍한 지역을 중심으로 제주와 추자도 등에서 간호선교사로 활동하였다. 미혼모, 고아, 한센인, 노숙인 등 가난하고 병약한 많은 사람을 보살폈다. ‘나환자의 어머니’라 불릴 정도였다. 임금 대부분을 빈민과 병자, 여성을 위해 사용했다. 입양하여 키운 고아가 14명, 오갈 곳 없는 과부를 가족처럼 품어 집에서 같이 지낸 사람이 38명이다. 광주 양림동에서는 여성의 자립을 위해 양잠업을 지도했다. 뽕나무를 더 심고 시설을 세우기 위해 미국에 기금을 요청했다. 제주에서는 여성의 자립을 위해 고사리 채취를 도왔다. 임종 때에는 자신의 시신을 의학용으로 기부하였다. 장례에 자신의 세운 이일학교의 학생이 운구 행렬을 이루고 그 뒤로 수많은 여성이 소복을 입고 뒤따랐다. 광주 최초의 시민사회장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 = 관련 작품 = = = = = 영화 = = = 《서서평, 천천히 평온하게》 2017년 | 다큐멘터리 | 2017.04.26 개봉 | 78분 | 전체 관람가 | 감독 홍주연 | 출연 하정우, 윤안나, 안은새, 정혜윤 = = = 책 = = = 《조선의 작은 예수 서서평(천천히 평온하게)》 백춘성 저 《조선을 섬긴 행복 (서서평의 사랑과 인생)》 양창삼 저 《그대 행복한가요? (행복을 잃고 살아가는 바보들에게 주는 서서평의 편지)》 (양국주 저 《조선을 섬긴 행복 (서서평의 사랑과 인생)》 양창삼(대학교수) 저 《천국에서 만납시다 (선교사 서서평 일대기)》 백춘성 저 | 대한간호협회 《목포 기독교 이야기 (목포 기독교 120년사 초기)》 김양호 저 《바보야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야 (엘리제 쉐핑 이야기)》 양국주 저 《더러는 옥토에 떨어지는 눈물이고저》 임형태 저 《행복한 만남 (믿음의 다음 세대를 세우고자 하는 꿈과 비전)》 김호진 저 《자작나무 (김상배 세번째 시집)》 김상배 저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임희모 저 《참으로 해방된 평신도》 폴 스티븐스 저 《본향을 떠나 약속의 땅으로》 한일장신대학교 정년퇴임기념논문집 발간위원회 저 《시온의 빛고을 광주》 백춘성 저 《빛과 소금(2017년 4월호)》 두란노 편집부 저 《광주 1백년 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박선홍 저 《호남사람 이야기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역사인물 150)》 남성숙 저 = 융춘 (동음이의) = 융춘은 다음을 가리킨다. 융춘역 융춘현 랑융춘 = 분류:K7리그 홍성 = = 분류:베트남의 성별 지형 = = 셸리 마시 = 셸리 마시는 사우스 파크에 나오는 가상의 캐릭터이고, 랜디와 샤론 마시 부부의 딸이자, 스탠 마시의 누나기도 하다. 또한 그녀는 마빈 마시의 손녀이기도 하다. 셸리의 목소리는 메리 케이 버그만이 하였으나, 그녀가 죽고난 뒤에 그녀의 목소리는 모나 마쉘과, 엘리자 슈나이더가 연기했다. = = 생김새 = = 셸리는 흰 셔츠에다가 분홍 바지를 입고 있다. 그녀에게는 다른 사람과 얼굴이 다른데, 그건 그녀의 치열 교정기구 때문이다. 그녀는 특별하게 편도선이 부은 것 같은 소리를 낸다. 그리고 그녀는 긴 밤색 머리가 있고, 보통 화난 얼굴을 하고 있다. = = 짜증 = = 셸리는 다소 폭력적이고, 침착이 매우 짧고, 보통 스탠을 매우 괴롭힌다. 특별히 "An Elephant Makes Love to a Pig" 에피소드에서 셸리는 스탠을 집어들어서 마루바닥이나, 찬장에다가 던져버린다. 그리고 다른 이유로 그녀는 그녀 몸무게의 3배 이상나가는 피아노를 들어서, 그의 동생에게 던지게 된다. 그녀는 가끔씩 동생의 검은눈을 갖고 싶어한다. 그러나, 스탠이 부모님에게 누나보고 괴롭히지 말아달라고 할때마다, 부모님들은 스탠을 믿어주지 않는다. 이 행동은 아마도 잠정적으로 그녀의 초라한 외관에서 비롯된 낮은 자부심때문인것 같다. 셸리는 또한 매우 폭력적인데, 그 이유로 그녀의 남자친구가 셸리가 너무 폭력적이라서 그녀를 차버렸기 때문에 어찌해야할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그녀가 덜 폭력적이었다면, 그녀의 남자친구는 계속 그녀의 곁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 = 관계 = = "Cat Orgy" 에피소드에서, 셸리는 22살 먹고 자기 밴드가 있는 스카일러라는 친구와 데이트를 한다. 스카일러는 셸리와 성관계를 맺길 원하지만, 결국에는 그녀와 헤어지게 된다. 셸리는 그에게 화가나서 그가 돌보던 카트먼과 짜고 복수를 하게 된다. 카트먼은 그가 가장 아끼는 기타를 부숴버리게 된다. 스카일러는 화가나서 다시 오게 되지만, 카트먼은 고양이 먹이를 스카일러에게 던지게 되고, 고양이들은 카트먼의 고양이를 따라서 그에게 돌진하게 되고, 그는 두려움에 도망치게 된다. = = 취미 = = 셸리의 취미 중에 하나는 텔레비전을 보는 것이다. 그녀가 제일 좋아하는 프로그램은 버피와 뱀파이어와 프렌즈이다. 그녀는 또 러셀 크로의 팬이기도 한데, 그러나 그녀가 제일 좋아하는 오락거리는 스탠을 괴롭히는 것이다. 셸리는 또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음반을 즐겨 듣는다. = = 셸리가 특출하게 나온 에피소드 = = An Elephant Makes Love to a Pig - 셸리는 스탠을 괴롭히게 되고(심지어 복제 스탠까지 던지게 된다), 여기서 특별하게 그가 학교에서 검은 눈으로 변하게 된다. Cat Orgy - 셸리는 유성우 파티에 간 카트먼 엄마 대신에 카트먼을 돌보게 된다. The New Terrance and Phillip Movie Trailer - 셸리는 애들이 새로나오는 테렌스와 필립 영화 트레일러를 보는것을 막는다. Pre-School - 유치원때 클라리지 선생님께 끔찍한 사고를 안겨준 클라리지 선생님을 불태운 누명으로 트랜트 보옛이 잡혀들어가게 되고, 트랜트 보옛은 그들에게 진실을 말하라고 하고, 그들을 고문하러 간다. 애들은 셸리에게 자신들의 안전을 지켜달라고 요청하게 된다. Mr. Hankey's Christmas Classics - 셸리는 I Saw Three Ships을 부르는데, 그녀가 노래를 부를 때 뒤에서 방해한 스탠과 카일에게 피아노를 던진다. = 분류:유엔 주재 차드 대사 = = 트랙터 = 트랙터는 높은 토크를 천천히 전달할 목적으로 설계된 차량이며, 농업, 건설, 공항, 트레일러, 기계, 항공기 등을 끄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 용어 = = 이 용어는 "끌다"라는 뜻의 라틴어 trahere에서 유래하였다.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4th ed.). Boston and New York: Houghton Mifflin. pp. 1829. . . 대한민국에서는 영어 낱말 tractor를 가져와 "트랙터"로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러시아어 낱말 трактор(뜨락떠르)에서 가져와 "뜨락또르"로 사용하고 있다. = = 정의 = =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아르헨티나, 독일 등에서는 트랙터라는 낱말은 일반적으로 농장에 쓰이는 트랙터를 일컬으며 "트랙터"라는 낱말 자체가 대중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차량를 뜻할 수도 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이 낱말은 견인 트레일러와 트럭의 로드 트랙터 부분을 가리키기도 한다. = = 종류 = = 인력이나 가축의 힘에 대신하여 여러 가지 작업기를 움직이고 또는 견인하는 농업용 트랙터에는 작업 중 탈 수 있는 대형과 작업인이 걸으면서 조작하는 소형의 보행형 트랙터가 있다. 보행형 트랙터는 여러 가지 작업기를 견인하기만 하는 견인형(trailer), 경운용의 장치를 동력회전시키는 구동형, 그 쌍방을 겸하고 있는 겸용형의 3종으로 나눈다. 구동형은 경기(耕起)와 쇄토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능률이 높다. 견인형은 경기·쇄토·시비·파종·중경(中耕)·제초·방제·수확·운반 등 많은 작업에 이용할 수 있으나 경기·쇄토의 능률은 전자보다는 약간 뒤떨어진다. 겸용형은 용도가 넓으며 동시에 작업능률도 높다. 굴삭기의 경우처럼, 바퀴형 트랙터와 궤도형 트랙터로 구분하기도 한다. 궤도형은 바퀴 대신 무한궤도가 두 줄 달린 트랙터로, 주로 건설 현장에서 흙을 나를 때 쓰인다. = 분류:위키프로젝트 프랑스 = = 기아 K4 = 기아 K4(Kia K4)는 기아의 중국에서만 판매되는 전략 차종으로, K3와 K5의 중간에 위치하는 K4는 현대 미스트라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형제 차종이다. = = 1세대 = = 2014년에 개최된 베이징 모터쇼에서 쇼 카가 처음 선보였고, 양산형은 같은 해 9월에 선보였다. 2018년 페이스리프트함과 동시에 Cachet라는 서브네임이 붙었다. 2021년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 분류:예금보험 = = 분류:스웨덴의 전자 기업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진군의회 = 다음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울진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울진군의회는 지역구의원 10명을 선출했다. = 틀:대한민국의 시도별 상징 = = 차양박쥐 = 차양박쥐(Sphaeronycteris toxophyllum)는 주걱박쥐과에 속하는 열대 남아메리카 박쥐의 일종이다. 차양박쥐속(Sphaeronycteris)의 유일종이다. 차양박쥐가 일부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가까운 종은 작은흰어깨박쥐와 주름얼굴박쥐로 간주되고 있다. = = 특징 = = 차양박쥐는 머리부터 몸까지 몸길이는 52~63mm이다. 회색빛 갈색 털을 갖고 있으며, 몸 앞쪽으로는 색이 연해지고, 하체는 회색 또는 갈색이 도는 색을 띠며 양 어깨와 귀 바로 아래에 흰 반점이 있다. 둥근 머리에 짧고 털이 없는 주둥이, 넓은 입 그리고 밖으로 튀어 나온 황금빛 갈색 눈을 갖고 있다. 귀는 삼각형 모양이고 이주는 좁다. 가장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지만, 통용명의 유래가 된 "차양"은 다른 어떤 박쥐 종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구조이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차양박쥐는 베네수엘라 전역과 콜롬비아 동부 그리고 에콰도르 동부와 페루, 브라질 서부, 볼리비아를 포함한 아마존 분지 동부와 인근 지역에 걸쳐 발견된다. 알려진 아종은 없다. 열대 우림부터 산지 운무림까지의 숲 서식지에 분포하며, 안데스산맥 동부 경사면을 따라 해수면과 해발 3000m 사이에서 서식한다. 자연 서식지는 울창한 숲이지만, 농경지와 도시 지역에서 포획되기도 한다. = 분류:북아일랜드의 문화 = = 서연우 (2007년) = 서연우(2007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연기 활동 = = = = = 드라마 = = = 2012년 KBS2 월화드라마 《빅》 ... 토끼 역 = 분류:상태별 토고 사람 = 토고 en:Category:Togolese people by status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은 체코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체코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된다. 동유럽의 강호로 손꼽히는 팀들 중의 하나로 1920년 8월 28일 세르비아와의 19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1라운드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제네랄리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 국제 대회 경력 = = = = = FIFA 월드컵 = = = 월드컵 본선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을 포함해 9번 출전하여 이 중 1934년과 1962년 대회에서 각각 이탈리아와 브라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고 1938년과 1990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체코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월드컵 본선은 2006년 대회가 전부이며 첫 경기인 미국전에서는 3-0으로 승리했으나 이후 가나와 이탈리아에게 연달아 0-2로 패하면서 1승 2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후 체코의 월드컵 본선 출전은 전무한 상태이다. =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 유로 대회 본선에는 10번 출전하여 1976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9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4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리며 동유럽의 강호다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후 2012년 대회와 2020년 대회 8강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유로 대회 본선에서는 이렇다할 성적을 보여주지 못한 채 계속 조별리그에 머물렀다. = =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 컨페드컵 출전은 UEFA 유로 1996 우승팀인 독일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해당 대회 준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1997년 대회가 유일함에도 불구하고 2승 1무 2패의 성적으로 3위에 입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 = = 하계 올림픽 = = = 올림픽 본선에는 U-23 대표팀 전적을 비롯해 6번 출전하여 금메달 1개(1980년), 은메달 1개(1964년)를 획득했고 처음으로 참가했던 1920년 대회에서는 3승 1패의 호성적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벨기에와의 결승전 경기 도중 심판의 편파 판정에 불만을 품은 벨기에의 카렐 슈타이너 선수가 퇴장당한 후 벨기에 훌리건들의 난동으로 전반 40분경 경기를 중단한 채 밖으로 나가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결국 실격처리됨과 동시에 메달을 수여받지 못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00년 대회에서는 2무 1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 = = UEFA 네이션스리그 = = = = = = = 2018-19 리그 B = = = = 첫 시즌 리그 B에 편입된 체코는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와 함께 1조에 편성되었다. 이후 우크라이나와의 첫 경기에서 1-2로 패했고 슬로바키아와의 2연전에서는 모두 승리(2차전 1-0 승, 3차전 2-1 승)했지만 우크라이나와의 최종전에서 또 다시 0-1로 패하며 2승 2패·조 2위로 첫 시즌을 마쳤다. = = 국제대회 기록 = = = = = FIFA 월드컵 = = =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3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3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5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5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5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0 5 1 4 16 6 16 200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2 6 2 4 20 10 20 2006년 조별리그 20위 3 1 0 2 3 4 3 14 11 0 3 37 12 33 2010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0 4 4 2 17 6 16 2014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0 4 3 3 13 9 15 201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0 4 3 3 17 10 15 202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9 4 2 3 14 10 14 합계 9회 진출(9/21) 준우승(2회) 33 12 5 16 47 49 41 138 74 29 35 264 117 251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9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5위 (유럽 8위) =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6년 준우승 2위 6 2 2 2 7 8 8 10 6 3 1 21 6 21 2000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3 3 3 10 10 0 0 26 5 30 2004년 4강 3위 5 4 0 1 10 5 12 8 7 1 0 23 5 22 2008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4 6 3 12 9 2 1 27 5 29 2012년 8강 6위 4 2 0 2 4 6 6 10 6 1 3 15 8 19 2016년 조별리그 21위 3 0 1 2 2 5 1 10 7 1 2 19 14 22 2020년 8강 6위 5 2 1 2 6 4 7 8 5 0 3 13 11 15 합계 10회 진출(10/16) 우승(1회) 37 15 7 15 48 47 52 124 81 21 22 251 102 264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8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위 = =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95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97년 4강 3위 5 2 1 2 10 7 7 1999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1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3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5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9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13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17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합계 1회 진출(1/10) 4강(3위 1회) 5 2 1 2 10 7 7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7위 = = = 하계 올림픽 = = =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2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2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3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5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5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2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76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4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88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2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96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0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조별리그 14위 3 0 2 1 5 6 2 2004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8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12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16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합계 6회 진출(6/22) 금메달(1회) 25 14 6 5 65 22 48 = = 현재 선수 명단 = = 다음은 UEFA 유로 2020을 위해 선발된 26명의 최종 스쿼드이다. 출장 수와 골 수는 2021년 6월 4일 전 이후 기록이다. 출처: = = 최근 대표팀 경기 결과와 일정 = = = = = 2022년 = = = = = = 2023년 = = = = = 유명 선수 = = 미로슬라프 카들레츠 (1987-1997) 토마시 스쿠라비 (1989-1994) 파벨 쿠카 (1990-2001) 파트리크 베르게르 (1994-2001) 파벨 네드베트 (1994-2006) 카렐 포보르스키 (1994-2006) 파벨 스르니체크 (1994-2001)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1994-2005) 얀 콜레르 (1999-2009) 마레크 얀쿨로프스키 (2000-2009) 토마시 로시츠키 (2000-2016) 밀란 바로시 (2001-2012) 페트르 체흐 (2002-2016) 야로슬라프 플라실 (2004-2016) = 양주 (쓰촨성) = 양주(梁州)는 현재의 쓰촨성 동부 지역과 한중 분지, 충칭 시 일대에 존재한 중국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으로 조위가 촉한을 멸망시킨 뒤 익주에서 분리 신설했다. 서위가 점령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성한이 점령한 시기를 제외하면 남북조 시대에 남조가 차지했다. 치소는 조위 때는 면양(沔陽), 서진 때는 남정(南鄭)이었다. = = 행정 구역 = = = = = 서진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양주 = = = 한중군(漢中郡) · 재동군(梓潼郡) · 광한군(廣漢郡) · 신도군(新都郡) · 부릉군(涪陵郡) · 파서군(巴西郡) · 파동군(巴東郡) = = = 유송송서 37권 지 제27 주군지 3 양주 = = = 한중군(漢中郡) · 위흥군(魏興郡) · 신흥군(新興郡) · 신성군(新城郡) · 상용군(上庸郡) · 진수군(晉壽郡) · 신파군(新巴郡) · 북파서군(北巴西郡) · 북음평군(北陰平郡) · 남음평군(南陰平郡) · 파거군(巴渠郡) · 회안군(懷安郡) · 송희군(宋熙郡) · 백수군(白水郡) · 남상락군(南上洛郡) · 안강군(安康郡) · 남탕거군(南宕渠郡) = = = 남제 = = = 한중군(漢中郡) · 위흥군(魏興郡) · 신흥군(新興郡) · 남신성군(南新城郡) · 상용군(上庸郡) · 진수군(晉壽郡) · 화양군(華陽郡) · 신파군(新巴郡) · 북파서군(北巴西郡) · 파거군(巴渠郡) · 회안군(懷安郡) · 송희군(宋熙郡) · 백수군(白水郡) · 남상락군(南上洛郡) · 북상락군(北上洛郡) · 안강군(安康郡) · 남탕거군(南宕渠郡) = = = 수 = = = 한중시 참조. = 2003년 태풍 = 2003년에는 1월 18일에 제1호 태풍 야난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 태풍 발생 개수가 26.7개인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태풍 이름 뒤에 (제명)이 붙은 이름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극심하거나, 또는 허리케인 및 사이클론의 이름과 중복되거나, 타 자연재해를 연상시킨다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최종 심사를 거쳐 태풍 이름 140개에서 제거가 된 것으로 더 이상 사용할 일이 없는 태풍 이름입니다.라는 뜻이다. = = 통계 = = 이 문서에서는 2003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03년에는 1월 18일에 제1호 태풍 야냔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 태풍 발생 개수가 26.7개인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 = = 월별 태풍 발생 개수 = = = 2003년 기록과 30년 평균 기록의 비교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3년 (누적) 0(0) 0(0) 0(0) 0(0) 1(1) 1(2) 3(5) 7(12) 3(15) 4(19) 2(21) 2(23) 30년 평균국가태풍센터 자료실 - 내습빈도 1971년~2000년 (누적) 0.5(0.5) 0.1(0.6) 0.4(1.0) 0.8(1.8) 1.0(2.8) 1.7(4.5) 4.0(8.5) 5.5(14.0) 5.0(19.0) 3.9(22.9) 2.5(25.4) 1.3(26.7) 2003년에는 2개의 태풍이 대한민국 및 필리핀에 직접영향을 주었으며 총 21개의 태풍이 발생하였고, 8월에 활동이 가장 잦았다. = = 활동한 태풍 = = = = = 제1호 태풍 야냔(제명) = = = = = = 제2호 태풍 구지라 = = = = = = 제3호 태풍 찬홈 = = = = = = 제4호 태풍 린파 = = = = = = 제5호 태풍 낭카 = = = = = 제6호 태풍 소델로 = = === 제7호 태풍 임부도 = = = = = = 제8호 태풍 곤파스 = = = = = = 제9호 태풍 모라콧 = = = = = = 제10호 태풍 아타우 = = = = = = 제11호 태풍 밤코(밤꼬) = = = = = = 제12호 태풍 카눈 = = = = = = 제13호 태풍 두지앤(두쥐안) = = = = = = 제14호 태풍 매미(제명) = = = MAEMI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곤충 매미에서 온 이름이다. 피해가 너무 심각해 제명되었다. = = = 제15호 태풍 초이완 = = = = = = 제16호 태풍 곳푸 = = = = = = 제17호 태풍 켓사나 = = = 제발 바꿔주세요 그리고 바꾸는 기능 나쁘게 쓴 사람들 차단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또 바꿔지게 하면 바로 고쳐주세여 = = = 제18호 태풍 파마 = = = = = = 제19호 멀로(말로) = = = = = = 제20호 태풍 네파탁 = = = = = = 제21호 태풍 루핏 = = = = 분류:스틸리 댄의 음반 = = 켄네스 레이 = 켄네스 리 레이(Kenneth Lee Lay, 1942년 4월 15일~2006년 7월 5일)는 미국의 침례회 목사의 아들이자 사업가로 SK와 합작사를 운영했었던 악명높은 ENRON 의 창립자이자 CEO이자 회장이었다. 그는 1987년부터 제프리 스킬링, 앤드류 패스토우와 같이 2001년에 그 당시까지 가장 큰 파산으로 풀린 분식회계 스캔들 에 깊이 관여했다. 당시 그는 엔론 내부고발자 증언인 "아서 앤더슨 사의 조언을 무시하고 타 회계법인으로 돌려 새 회계감사를 받아야 한다"를 묵살하고 Dynergy에 매각을 추진했으나 레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고 결국 그는 대배심에 의해 기소되었고 재판 에서 10건의 증권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렇게 레이는 당당히 비난받으며 2006년 7월 예정된 선고를 3개월 남기고고 콜로라도주의 애스펀 근처에 있는 자택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사망했다. 예비 부검 결과 그는 관상동맥질환 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로인해 후술할 결과로 엔론 3인방 중 유일하게 법적 처벌을 피했다. 그의 죽음은 공소권 없음으로 인한 판결을 초래했다.United States v. Lay, Criminal Action No. H-04-0025, 456 F.Supp.2d 869 (S.D. Tex. 2006), at . 레이는 "부실 관리 및 부정직(특히 분식회계)"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심의 유산"을 남겼고 겨우 계열사 ECRC가 인도에 있는 에너지 사업장을 통해 열심히 채권을 상환하고 있다. 대침체가 일어난 직후인 2009년에 portportio.com 에 게시된 목록에서 Lay는 역사상 세 번째로 최악의 미국 CEO로 선정되었고 제플리 스킬링은 징역 14년에 과태료 4500만 달러를 부과받았으며 앤드류 패스토우는 징역 6년에 2380만 달러를 몰수당했다. 그와 제프 스킬링의 행동은 "리더십, 거버넌스 및 책임의 기준"과 관련하여 후속적이고 근본적인 기업 개혁(ex.가족친화경영, 미국에서의 금산분리, ESG 경영, etc...)의 촉매제가 되었다. 레이는 미국에서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CEO 중 한 명이었다. 1998년~2001년 사이에 그는 2억 2천만 달러 이상의 현금과 그와 관계자들의 엔론 주식을 모아 170만 주를 매각했지만Multiple sources: 스킬링은 모 실시간 TV 뉴스 인터뷰에서 "감사합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A***ole, A***ole"이라는 말실수를 터트리고 말았으며 결국 2006년 재판에서 그는 당사 주식이 그의 재산의 약 90%를 차지했으며 당시 순자산이 25만 달러의 적자였다고 주장했다.후술할 파생상품 관련 부도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다만 최근들어서는 엔론 파산 및 그의 죽음이 엔론의 분식회계 자체가 아닌 기후 및 기후 변화 관련 파생상품 때문이라는 의혹이 있다. 사실 다른 파생상품과 달리 기후 및 기후변화은 현물 자체가 없으며 이로 인한 적자 발생이 산발적으로 발생했다. 한편 제프리 스킬링은 석방 이후 현재 NFT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 분류:IVE = = 틀:Respond = = 분류:직업별 아이티의 남자 = = 김승수 (1965년) = 김승수(金承洙, 1965년 7월 5일~)는 공무원 출신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이다. = = 학력 = = 1971~1977: 대구봉덕초등학교 졸업 1977~1980: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졸업 1980~1983: 영신고등학교 졸업 1983~1987: 영남대학교 행정학 학사 2002~2004: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 = 경력 = = 1988: 제32회 행정고시 합격 2006.02~2007.08: 행정자치부 지방혁신관리팀 팀장 2007.08~2008.02: 행정자치부 자치행정팀 팀장 2008.07~2010.12: 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참사관 2011.02~2013.03: 대통령실 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 2013.04~2014.10: 경상북도청 기획조정실 실장 2014.11~2015.11: 행정자치부 창조정부기획관 2015.11~2018.08: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2018.08~2019.12: 자치분권위원회 기획단장 2020.05~2020.09: 미래통합당 원내부대표 2020.09~2021.04: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2020.09~2024.01: 국민의힘 대구 북구 을 당협위원장 2020.09~: 국민의힘 호남 동행 국회의원 발대식 명예의원(전라북도 전주시) 2020.10~: 국민의힘 약자와의 동행위원회 정책동행분과 위원 2020.11~: 국민의힘 정책조정위원회 제6조정부위원장(교육·과방·문체 분야) 2021.11~2022.01: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위원회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위원 2021.12~2022.01: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 민생회복정책추진단 정부혁신정책지원본부장 2021.12~2022.01: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조직총괄본부 대구지역본부장 2021.12~2022.03: 국민의힘 대구를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약자와의동행본부장 2021.01~2022.03: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본부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위원회 약자와동행위원회 위원 2022.01~2022.02: 국민의힘 3·9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 2022.03~2022.05: 국민의힘 경북도당 6·1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023.07~: 국민의힘 약자와의동행위원회 교육문화분과 위원장 = = = 의정 활동 = = = 2020.05~: 제21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을, 미래통합당) 2020.07~2021.09: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20.07: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 2020.07: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2020.07~: 모빌리티 포럼 구성의원 2020.07~: 혁신 4.0 연구포럼 연구책임의원 2021.07~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 위원 2021.09~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장 2021.11~2022.05: 제21대 국회 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별위원회 위원 2022.07~: 제21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체육관광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 2023.02~: 제21대 국회 인구위기 특별위원회 위원 2023.06~2023.07: 제21대 국회 대법관(권영준·서경환) 임명 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 침푸이 = 침푸이는 일본의 애니메이션으로,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작품이다. 2008년에 대한민국의 만화 채널 투니버스를 통해서 방영된 적이 있다. 등장인물 대부분이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들에서 성별만 바뀐 형태이다. 완결되기 전 작가인 후지코 F. 후지오가 사망해 결말이 밝혀지지 않았다. = 시미즈 카오리 = 시미즈 카오리(, 1983년 5월 21일 ~ )는 일본의 성우이다. 소속은 프리. 도쿄도 출신. = = 출연작 = = = = = TV 애니메이션 = = = serial experiments lain (이와쿠라 레인)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미야시타 토카/부기팝) 성계의 전기II (에크류아) 후르츠 바스켓 (미나가와 모토코) 지구방위가족 (다이치 노조미) 이누야샤 (유카, 아스카) 스트라토스 4 (도이 시즈하) 정들면 고향 코스모스장 (노키쿠 아사카) 신혼합체 고단나 (루우 루) 스쿨럼블 (타카노 아키라)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봄~ (니죠 노리코) 선생님의 시간 (나카야마 치나츠) 현시연 (사사하라 게이코) 극상생도회 (긴가 쿠온)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A'S(시그넘) 슈퍼로봇대전 오리지널 제너레이션(라미아 라브레스) 아이돌마스터 XENOGLOSSIA (기사라기 치하야) 러키☆스타(타무라 히요리)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Striker'S(시그넘, 미제트 크로벨) 스케치북 ~full color's~ (카미야 셋카) 노기자카 하루카의 비밀 (사쿠라자카 하즈키) 스페셜 에이 (타키시마 메구미, 어릴 적 케이) 마리아님이 보고계셔 4th (니죠 노리코) 파이 브레인 신의 퍼즐 (이토 노노하) = = = OVA = = = 에일리언 9(카와무라 쿠미) 선생님의 시간 GOLD(나카야마 치나츠) 성계의 전기III (에크류아) 스트라토스4 ADVANCE (도이 시즈하) 슈퍼로봇대전 OVA (라미아 라비레스) 전투요정소녀 도와줘! 메이브쨩 (실피드)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3rd Serise (니죠 노리코) = = = 게임 = = = 그로우 랜서3(미셸 리드부르크) 바이오쇼크(리틀 시스터) 슈퍼로봇대전 OG 외전(라미아 라브레스) 무한의 프론티어 슈퍼로봇대전 OG 사가(아셴 브레이델) 슈퍼로봇대전 A포터블 (라미아 라브레스) = = = 외화/드라마 = = = 대장금 (홍이) = = = 라디오 = = = 스크란☆차모임!() (라디오 오사카,분카방송) 스크란 2학기 위크엔드() : 후쿠이 유카리와 공동 진행. (온센) RADIO LEMON ANGEL PROJECT : 시호노 료와 공동 진행. (온센) 아르고노트 채널 : 이시카와 유이, 아라이 사토미와 공동 진행. 아니타마닷컴 마루나게() : 우에다 카나와 공동 진행. (라디오 칸사이) = 루나 러브굿 = 루나 러브굿은 해리 포터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해리 포터보다 한 학년 아래로, 래번클로 소속이다. 주황색 순무 귀걸이를 하고 다니는 등 독특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약간 특이한 사고방식과 언행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대체로 이상한 사람 혹은 미친 사람으로 취급당하는 일이 많지만, 그녀는 다른 사람들을 그다치 개의치 않는다. 래번클로 기숙사 소속이지만 래번클로에는 전혀 친구가 없으며, 해리 포터와 네빌 롱바텀,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지니 위즐리, 론 위즐리의 친구이다. 아버지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은 잡지 이러쿵 저러쿵의 편집장이다. 이러쿵 저러쿵에는 황당무계한 내용이 실리는 경우가 많지만, 러브굿 가족은 잡지를 진지하게 믿는다. 나중에 뉴트 스캐맨더의 손자인 롤프 스캐맨더와 결혼하여 쌍둥이 아들인 롤란 스캐맨더와 라이산더 스캐맨더의 어머니가 된다. 그녀의 눈에는 죽음을 경험한 자들만이 볼 수 있는 아픔을 느끼는 특별한 재능이 있는데, 독특하며 신비로운 분위기가 무척이나 잘 맞아 기이한 느낌을 준다. 루나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영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에서 루나의 역할은 이반나 린치가 맡았다. 롤링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이반나 린치가 이 역할에 완벽하다고 표현하였다. 그 = 윈체스터 (버지니아주) = 윈체스터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는 26,203명이다. = 에블린 퍼치 = 에블린 펄 퍼치(Evelyn Pearl Furtsch, 1914년 4월 17일 ~ 2015년 3월 5일)는 미국의 여자 육상 선수이다.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육상 여자 400m 릴레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육상 종목 메달리스트 마지막 생존자였다. 101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샌타애나에서 사망하였다. = 분류:존 딜린저 = = 분류:1988년 기술 = = 한자치 = 한자치(, 1999년 7월 3일 ~ )은 중국의 축구 선수이다. = 오늘도 형제는 평화롭다 = 오늘도 형제는 평화롭다는 작가 GIMS가 제작한 네이버 완결 웹툰이며 웹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매주 수요일과 일요일에 연재되어 2017년 2월 18일부터 2017년 8월 9일까지 연재된 웹툰이다. = 분류: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관련자 = = 분류:이탈리아의 오벨리스크 = = 엔트르 엘 아모르 이 엘 오디오 = 엔트르 엘 아모르 이 엘 오디오은 2002년 방영된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 1942: 언노운 배틀 = 1942: 언노운 배틀는 2019년 12월에 개봉한 러시아의 전쟁 영화이다. 이고르 카피로브가 감독을 맡았다. 러시아는 2019년 12월 5일에 대한민국은 2020년 7월 29일에 개봉되었다. = = 출연진 = = 세르게이 자코브 - 중대 사령관 역 이반 바타레프 - 카트세프 역 알렉산드르 버카로프 - 시소에프 역 표토르 로가체프 - 블라슈크 역 이고르 그라부조프 - 주르킨 역 = = 수입사 = = 조이앤시네마 = 회남서로 = 회남서로(淮南西路)는 송나라가 설치한 로 중 하나로 지금의 화이허 이남 ~ 장강 이북 안후이성 지역을 통치했다. 정강의 변 이전에는 1부 7주 2군을, 이후에는 2부 6주 4군을 통치했다.송사 권88 지리지 4 회남서로 = = 행정 구역 = = = = = 수춘부(壽春府) = = = = = = 여주(廬州) = = = 망급주로 보신군절도(保信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108년(대관 2년), 급이 망급으로 격상되었다. 과거 회남서로 병마검할의 치소가 있었는데, 1128년(건염 2년) 본로안무사를 겸하게 되었다. 소흥초에 치소를 소현으로 옮겼다. 1166년(건도 2년)부터 1169년(건도 5년)까지 화주의 민정을 담당했다. 숭녕연간에는 83,056호, 178,359명이 살았다. 견직물, 밀랍, 석두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합비현 合肥縣 허페이 시 上 북송의 명재상 포청천의 고향이다. 포청천은 사후 고향인 합비에 묻혔다. 서성현 舒城縣 루안 시 수청 현 下 양현 梁縣 허페이 시 페이둥 현 양원진(梁园鎭) 中 소흥 32년 효종의 이름을 피해 신현(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 = = 기주(蘄州) = = = 망급주로 군명은 기춘군이고 방어가 파견되었다. 건염초 금나라에 점령되었다가 1135년(소흥 5년) 수복되었다. 1260년(경정 원년), 치소를 용기(龍磯)에 두었다. 숭녕 연간에는 114,097호, 193,116명이 살았다. 모시, 대나무로 짠 돗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기춘현 蘄春縣 황강 시 치춘 현 望 가희 원년 치소가 되었다가 경정 2년 태화문 바깥에 치소를 두었다. 기수현 蘄水縣 황강 시 시수이 현 望 광제현 廣濟縣 황강 시 우쉐 시 望 황매현 黃梅縣 황강 시 황메이 현 上 나전현 羅田縣 황강 시 뤄톈 현 동 대평산충 근처 원우 8년 기수현 석교를 나전현으로 승격시켰다. 원우 8년 기수현 석교를 나전현으로 승격시켰다. = = =화주(和州) = = = = = = 안경부(安慶府) = = = 군명은 동안군(同安郡)이고 덕경군절도(德慶軍節度)가 파견되었다. 960년(건륭 원년), 본래 단련이 파견된 본주를 방어로 고쳤고 1115년에 덕경군이라는 군명이 하사되었다. 건염 연간에 서, 기진무사(舒, 蘄鎮撫使)가 설치되었다. 1133년, 서주, 황주, 기주의 3개 주를 강남서로안무사절제(江南西路安撫司節制)에게 맡겼다. 1147년 안경군(安慶軍)으로 군명이 바뀌었다. 1195년(경원 원년), 영종의 이름을 피하면서 안경부로 승격되었다. 1236년(단평 3년), 나찰주(羅刹洲)로 치소를 옮겼다가 또 양착주(楊槎洲)로 옮겨졌다. 1260년, 선성을 개축했다. 과거 연강제에 속했던 곳에 사사(使司)를 두었다. 숭녕 연간에는 128,350호, 341,866명이 살았다. 백술(白術)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회녕현 懷寧縣 안칭 시 첸산 현 上 동성현 桐城縣 안칭 시 퉁청 시 上 숙송현 宿松縣 안칭 시 쑤쑹 현 上 망강현 望江縣 안칭 시 왕장 현 上 태호현 太湖縣 안칭 시 타이후 현 上 동안감 同安監 희녕 8년 설치된 동전제조장이다. 희녕 8년 설치된 동전제조장이다. = = = 호주(濠州) = = = 상급주로 군명은 종리군이다. 단련이 배치되었다. 건도 초에 수오당(戍藕塘)으로 옮겼다가 1211년(가정 4년) 정원현(定遠縣)을 설치했다. 숭녕 연간에는 64,570호, 153,457명이 살았다. 견직물과 조어(糟魚)를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종리현 鐘離縣 추저우 시 펑양 현 임회진 동고성 望 정원현 定遠縣 추저우 시 딩위안 현 望 = = = 광주(光州) = = = 상급주로 군명은 익양군이다. 광산군절도(光山軍節度)가 파견되었다. 과거 군사주였으나 선화 원년 군명이 하사되었다. 1158년, 태자 광영(光瑛)의 이름을 피하여 장주(蔣州)로 개명되었다. 1237년(가희 원년) 내란으로 인해 치소가 금강태(金剛台)로 옮겨졌다가 이후 복구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12,268호, 156,460명이 살았다. 석두, 갈포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정성현 定城縣 신양 시 황촨 현 上 고시현 固始縣 신양 시 구스 현 望 광산현 光山縣 신양 시 광산 현 中下 태자의 휘로 인해 사우현(期思縣)으로 개명되었다가 이후 복원되었다. 선거현 仙居縣 신양 시 뤄산 현 동남 中下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 = = = 황주(黃州) = = = 하급주로 군명은 제안군(齊安郡)이다. 군사가 파견되었다. 건염 시기 연강제치부사사(沿江制置副使司)가 통치했다. 숭녕 연간에는 86,953호, 135,916명이 살았다. 모시, 연교(連翹)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황강현 黃岡縣 황강 시 望 황피현 黃陂縣 우한시 황피 구 上 1236년, 청산기(青山磯)에 치소를 두었다. 마성현 麻城縣 황강 시 마청 시 中 1236년, 십자산(什子山)에 치소를 옮겼다. = = = 무위군(無爲君) = = = 하급주와 급이 같다. 태평흥국 3년, 여주 소현 무위진에 군을 세우고 소현과 여강현으로 소속시켰다. 건염 2년, 금나라가 들어왔다가 수복되었다. 경정 3년, 소현을 진소군(鎭巢軍)으로 승격시켰다. 숭녕 연간에는 60,138호, 112,199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무위현 無為縣 우후 시 우웨이 현 望 희녕 3년, 소현과 여강현에서 분리신설했다. 소현 巢縣 차오후 시 望 지도 2년, 성곽 아래로 치소를 옮겼다가 1135년 폐지했다. 1136년 복구되었고 1141년 여주에 소속되었다. 1142년 다시 본군으로 이관었다. 1262년, 군으로 승격되었고 연강제치사사(沿江制置使司)가 설치되었다. 여강현 廬江縣 허페이 시 루장 현 望 곤산반장(昆山礬場)이 있다. = 분류:싱가포르의 배우 = = 분류: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 분류:1995년 사망 = = 라슈타트 = 라슈타트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카를스루에 현 라슈타트 군에 있는 도시이다. 카를스루에에서 남서쪽으로 22 km, 바덴바덴에서 북쪽으로 12 km 떨어진 곳에 있다. 라슈타트 군의 최대 도시이자 군청 소재지이다. 17세기 말 프랑스군에 의해 파괴된 후 18세기에 바덴바덴 변경백의 거주도시로 확장되었으며, 스페인 계승 전쟁을 종결짓는 라슈타트 조약의 체결장소가 되었다. 19세기에는 독일 연방의 연방요새가 지어져 1848년 독일 혁명 때 중요 장소 중 하나였으며 20세기 말엽에는 국경방어도시였다. Rastatt-Residenzschloss-32-Parkseite-2018-gje.jpg Rastatt-Residenzschloss-20-2016-gje.jpg Rastatt-Stadtmuseum-02-2018-gje.jpg Tete-a-tete-2018-120-Alexanderkirche-gje.jpg Rastatt-Alexanderkirche-160-rechte Seite-gje.jpg Tete-a-tete-2018-360-Brauerei Franz-gje.jpg Rastatt-Schloss Favorite-Hauptfassade-02-2017-gje.jpg Rastatt-Schloss Favorite-Parkfassade-22-2001-gje.jpg = 신현호 (축구인) = 신현호(申鉉浩, 1953년 9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및 축구 지도자이다. = = 클럽 경력 = = 포항제철 축구단, 충의 축구단, 할렐루야 축구단 등에서 활약하였으며 구단 운영 방침에 대한 반발 때문에 1982년 4월 29일 이영무 김철용 박민재 조병득과 함께 할렐루야 축구단을 퇴단했으나 다음 해인 1983년 8월 할렐루야 축구단으로 돌아왔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1980년 AFC 아시안컵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 = = 지도자 경력 = = 이후 할렐루야 축구단, 숭실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지도자 생활을 이어갔다. = 상명대학교 = 상명대학교(祥明大學校, )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서울캠퍼스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천안캠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원화캠퍼스로 모두 본교이다. 1937년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을 시작으로 1965년 상명여자사범대학이 개교하였다. 이후 1985년에 천안캠퍼스를 개설, 1987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여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1996년에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며 상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상명대학교에는 총 10개의 단과대학이 있다. 서울캠퍼스에 인문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경영경제대학 · 융합공과대학 · 예술문화대학, 천안캠퍼스에 디자인대학 · 예술대학 · 글로벌인문학부대학 · 융합기술대학 · 공과대학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 교육대학원 · 복지상담대학원 · 경영대학원 · 문화기술대학원 · 예술디자인대학원이 있다. 양 캠퍼스는 각각 인문사회∙과학과 예술∙공학계열 학제로 구성되어 있다. 약칭으로 Sangmyung University의 이니셜인 SMU를 사용한다. = = 연혁 = = 1937년 12월 1일단 현재 상명대학교의 개교 기념일은 5월 17일이다.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 1939년 2월 28일 상명실천여학교로 교명 변경 1945년 7월 15일 재단법인 상명학원 설립 1965년 3월 5일 상명여자사범대학 개교 1966년 2월 12일 부속초등학교, 부속유치원인가 1966년 11월 17일 부속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1966년 12월 29일 부속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 1983년 3월 1일 사범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 상명여자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5년 3월 1일 캠퍼스 일부 이전 및 천안캠퍼스 개설 1986년 11월 6일 종합대학으로 승격, 상명여자대학교로 교명 변경 1996년 3월 1일 남녀 공학으로 전환, 상명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1년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1년 9월 5일 작성. = = 역대 총장 및 이사장 = = = = = 상명학원 이사장 = = = 제 1대 조동식(1954년 7월 ~ 1970년 4월) 제 2대 김영훈(1970년 4월 ~ 1973년 3월) 제 3대 신봉조(1973년 3월 ~ 1980년 10월) 제 4대 배상명(1980년 4월 ~ 1986년 1월) 제 5대 이준방(1986년 1월 ~ 1987년 3월) 제 6대 곽종원(1987년 3월 ~ 1989년 1월) 제 7대 문남식(1989년 1월 ~ 1989년 6월) 제 8대 방정복(1989년 6월 ~ 1991년 3월) 제 9대 신봉조(1991년 3월 ~ 1992년 12월) 제 10대 이준방(1992년 12월 ~ 2021년 11월) 제 11대 구기헌(2021년 11월 ~ 2022년 3월) 제 12대 강태범(2022년 3월 ~ ) = = = 상명대학교 총장 = = = 제 1대 방정복(1987년 3월 ~ 1988년 11월) 제 2대 김양수(1988년 11월 ~ 1991년 4월) 제 3대 방정복(1991년 4월 ~ 1995년 4월) 제 4대 방정복(1995년 4월 ~ 1999년 3월) 제 5대 방정복(1999년 4월 ~ 1999년 9월) 제 6대 서명덕(1999년 11월 ~ 2003년 11월) 제 7대 서명덕(2003년 11월 ~ 2008년 4월) 제 8대 이현청(2008년 4월 ~ 2011년 9월) 제 9대 강태범(2011년 9월 ~ 2013년 9월) 제 10대 구기헌(2013년 9월 ~ 2017년 9월) 제 11대 백웅기(2017년 9월 ~ 2021년 9월) 제 12대 홍성태(2021년 9월 ~ ) = = 위치 = =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천안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 31 평창동캠퍼스 (서울캠퍼스 생활관 · 상명대학교 박물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433 동숭동캠퍼스 (예술디자인센터 · 예술디자인대학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길 1-38 상명수련원: 충청남도 보령시 석서1길 59번지 = = 캠퍼스 시설 = = = = = 서울캠퍼스 = = = 서울캠퍼스는 언덕이 유명할 정도로 학교부지가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로 인해 밀레니엄관 옆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있다. 인근에 역사유적지인 세검정과 자하문이 있기 때문에 세검정 교정, 자하 교정이라고도 불린다. 서울캠퍼스에 가는 길에 기숙사인 상명행복생활관이 있다. = = = = 식당시설 = = = = 4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 식품영양학과에서 운영하는 식당 1곳, 카페 시설 2곳이다.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은 미래백년관 5층에 위치한다. 식품영약학과에서 운영하는 식당, 안다미로는 월해관 2층에 위치한다. 카페 시설은 블루포트와 KB카페드림이 있다. 블루포트는 미래백년관 지하 1층에 위치하며 KB카페드림은 중앙교수회관 1층에 위치한다. = = = 천안캠퍼스 = = = 천안캠퍼스는 제9회 자연환경대상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으며 캠퍼스내에는 무대미술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학생과 교수들이 제작한 독도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 = = = 식당시설 = = = = 5곳의 식당 시설이 있다. 학생 식당 1곳, 학생 및 교직원 식당 1곳, 카페 시설 3곳이 있다. 학생 식당은 학생회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생 및 교직원 식당은 한누리관 9층에 위치하고 있다. 카페 시설은 현재(2017) 팬도로시, 일반카페가 입점하고 있으며 학생생활관 2층(일반카페), 디자인대학관 1층・2층(팬도로시), 한누리관 1층(팬도로시)가 위치한다. = = = = 편의/복지 시설 = = = = 금융관련 시설로는 우리은행, 국민은행, 우체국 등 총 3개의 ATM이 있다. 복지 시설은 학생회관에 안경점, 미용실, 기념품점, 문구점이 있다. 기타시설로는 편의점 3곳, 복사실, 화방, 휴식터 등이 있으며 편의점은 계당관 1층 (세븐일레븐), 상록관 1층(CU), 학생생활관 2층(세븐일레븐)에 위치하고, 복사실은 학술정보관 2층, 화방은 디자인대학관 1층, 휴식터는 학술정보관, 송백관,독도조형물, 학생회관, 한누리관, 디자인대학관 등등 캠퍼스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 = = 평창동캠퍼스 = = = 평창동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하며 상명대학교 박물관과 서울캠퍼스 학생생활관인 스뮤하우스(SMU HOUSE)가 있다. = = = 동숭동캠퍼스 = = = 동숭동캠퍼스(예술디자인센터)는 2001년 학산기술도서관을 인수하여 개설하였다. 현재 이곳은 예술디자인대학원의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술·디자인 계열 학생들의 졸업전시회나 상명대학교가 지원하는 전시회의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캠퍼스내의 상명아트홀에서는 다양한 연극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 = = 교육편제 = = = = = 학제 구성 = = = 상명대학교는 캠퍼스간 학제가 이원화되어 있다. 캠퍼스간 전과 및 복수전공, 전공, 교양수업, 계절학기 수강이 가능하다. (해당 캠퍼스에서 각각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이 다른 캠퍼스 전공 중에서 제2, 3전공을 선택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캠퍼스 간 전과도 동일계열 전공으로 가능) = = = 학부 = = = 10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학생정원(괄호는 재학생)은 총 11,286(13,113)이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 4,170(5,261), 예∙체능계열 3,556(3,865), 자연과학계열 2,148(2,471), 공학계열 1,455(1,515) 순으로 구성되어있다. = = = = 개편된 교육편제(2018년) = = = = ※ 융합공과대학 전기전자컴퓨터학부는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 = 상명대학교 총학생회 = = = = = = 서울캠퍼스 = = = = 현재(2022) 서울캠퍼스에는 총학생회가 구성되어 있지않다. = = = = 천안캠퍼스 = = = = 2020년 위드 총학생회가 있었지만 부정적 여론 형성으로 인해 2021년 투표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보이콧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현재(2021년 기준) 총학생회 부재 상태로 있다. (2021) = = 상명대학교 체육단 = = 현재 상명대학교 소속의 체육단은 농구, 태권도, 사격 3개 종목이 있다. 태권도단은 서울캠퍼스를 근거지로, 농구단과 사격단은 천안캠퍼스를 근거지로 하고 있다. = = 국제교류 = = = = = = = 자매 결연 대학 = = = = = 중화권: Minzu University of China(중국),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대만) 등 109개 대학 일본: Ritsumeikan University 등 15개 대학 아시아(중화권, 일본 제외): University of Delhi(인도) 등 71개 대학 유럽 : Northumbria University, University of Manchester(영국) 등 6개국 27개 대학 북중미 : 미국 뉴욕주립대 (Stony Brook), School of Visual Arts 등 3개국 59개 대학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 RMIT 등 호주 3개 대학, 아프리카 4개국 5개 대학 = = 마스코트 = = 수뭉이수뭉이는 2021년 11월 29일에 공식적으로 데뷔했다. 수뭉이는 상명대학교 캐릭터 공모전에서 선정된 캐릭터로 상명대학교의 상징 동물인 사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수뭉이의 뿔은 상명의 'ㅅ'과 'ㅁ'을 표현한 부분이 '수무'로 보인다고 하여 캐릭터의 동글동글한 외형을 반영해 'ㅇ' 받침을 추가했다. 수뭉이는 상명대학교 불어교육과 14학번 학생이 대학생 전용 애플리케이션 에브리타임을 통해 이름을 추천받아 정했다. 창작자는 수뭉이를 통해 상명대학교 이미지를 제고하고 대외적으로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홍보활동을 해보고 싶다고 한다. 인터뷰 전문: = 커클랜드레이크 = 커클랜드레이크(Kirkland Lake)는 온타리오주의 도시이다. 인구는 8,493명(2011)이다. = 틀:파라과이의 공항 = = 로버트 메리휴 애덤스 = 로버트 메리휴 애덤스(, 1937년생)는 형이상학, 종교, 도덕의 미국의 분석철학자다. 애덤스는 1937년 9월 8일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1990년대 초 클라크 도덕철학과 형이상학 교수로 예일대학으로 옮기기 전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여러 해 동안 가르쳤다. 2004년 예일대를 은퇴하고 영국 옥스포드 대학에서 시간제 강의를 했다. 역사가로서 애덤스는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와 라이프니츠를 연구했다. 형이상학에서 애덤스는 형이상학에서 실재론을 옹호하고 소위 가능한 세계의 본질에 대한 플라톤주의를 옹호한다. = 사가리카 (미사일) = K-15 미사일 또는 사가리카 미사일은 인도의 사거리 700 km인 탄도 미사일이다. = = 역사 = = 유엔 상임이사국 5개국 이외에는 최초의 SSBN인 아리한트급 잠수함에 12발이 장착된다. 수직발사관이 4개인데, 발사관 1개에서 3발이 하나의 캡슐에 담겨서 동시에 발사된다. K-15 미사일은 1990년대 후반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잠수함용 VLS 개발사업은 프로젝트 420으로 불렸으며, 2001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2008년까지 7회 시험발사되었다. 그 중 4번은 최대사거리 발사였다. 2008년 2월 26일, 비샤카파트남 해안의 수중 50 m의 바지선에서 발사되었다. 2008년 11월 12일, 사가리카 지상발사형 버전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2012년 3월 11일, 최대사거리 시험발사를 했다. 2013년 1월 27일, 12번째이자 마지막 시험발사를 했다. 2015년 11월 25일, INS 아리한트 잠수함에서 사가리카 미사일을 시험발사했다. 위키백과 언어판 별로 정보에 차이가 있다. 독일어판에는, 1991년 개발하여 2008년에 실전배치되었으며, 길이 18 m, 직경 1.8 m, 무게 17 톤, 속도 마하 6, 사거리 750 km, 500 kt 핵탄두라고 설명하고 있다. = = 더 보기 = = 아리한트급 잠수함 = 판토마 전광석화 = 판토마 전광석화(Fantomas Se Dechaine)는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안드레 헌벨 감독의 1965년 모험, 코미디, 범죄, 판타지 영화이다. 장 마라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판토마스 영화 삼부작 중 2번째 작품에 해당하며 유럽과 소련에서 매우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미국과 일본에서도 성공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장 마라이 루이스 드 푸네스 = = = 조연 = = = 밀레느 드몽죠 자크 디남 로베르 달방 헨리 아탈 도미니크 자르디 자크 마린 맥스 몬타본 진 미쳐드 미노 도로 아르투로 도미니치 앙트완 마린 밥 러릭 필립 카스텔리 로저 루몬트 레이몽 펠르그랭 = = 제작진 = = 각색: 피에르 푸코 원작자: 피에르 수베스트레 원작자: 마르셀 알레인 프로듀서: 알렝 프와레 세트: 맥스 더이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13년 12월/영어 = }} 2013-12 영어 2013-12 = 분류:산마리노의 올림픽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 = = 바스크 조국과 자유 = 바스크 조국과 자유는 바스크의 민족주의 분리주의자 조직이었다. 1959년에 창설되어, 처음에는 전통 문화를 옹호하는 단체에서 시작하여 바스크의 독립을 요구하는 준군사조직으로 발전했다. 2010년 활동 정지를 선언하고 2018년 공식적으로 해산하였다. = = 역사 = = = = = 배경 = = = ETA는 스페인의 군사독재자로서 유럽의 마지막 전체주의 정권으로 불린 프란시스코 프랑코 총통 시대(1939년-1975년)에 맞선 학생 저항운동이었다. 프랑코 군사독재정권은 반공주의, 반 분리주의에 따라 지배하였으므로 바스크의 말과 고유문화를 탄압하였으며, 독재에 항의하는 지식인들을 고문하였다. 이러한 폭력으로 바스크의 민족주의는 불붙었으며, ETA도 쿠바 혁명, 알제리 독립 전쟁의 영향으로 사회주의적, 혁명적인 정치노선을 걷게 되었다. 프랑코의 죽음으로 군사독재가 끝나고 민주화된 이후에도 ETA의 분리주의 곧 독립 국가 건설주장과 헌법에 의해 분리주의를 반대하는 스페인 헌법 2조는 대립하고 있다.한겨레 21 2010년 9월 27일, 제827호 ETA:비폭력 독립의 오래된 미래를 택하다./김순배 기자p.88-90 = = = 수감 = = = 1968년부터 정부 인사와 ETA에 따르면 ETA는 40여년 동안 820명 이상을 살해했고, 100명 넘는 사람을 불구로 만들었으며 수십 명을 납치했다고 한다. 미국, 캐나다, 유럽 연합, 스페인, 프랑스 당국은 ETA을 테러 집단으로 규정하고 있다. 700명이 넘는 ETA 출신 수감자가 스페인, 프랑스나 다른 국가 교도소에 투옥되어 있다. = = = 휴전 선언 = = = 프랑코 군사 독재 정권에 맞선 ETA의 테러는 민족을 위한 헌신, 민주화운동으로 여겨졌지만, 폭력은 민중들의 지지를 잃게 할 뿐이라는 내부해석에 따라 ETA에서도 2010년 9월 5일에 "갈등의 민주적 해결을 찾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1981년 이후 휴전선언을 11번이나 약속했을 뿐더러, 분리주의를 고집하여 갈등은 해결될지는 알 수 없다. 2017년 4월 7일 ETA는 모든 총기와 폭발물을 전부 반납하고 비무장을 선언했다. 이로써 ETA는 결성된 지 58년 만에 비무장 단체가 되었다. = = 모토 = = ETA의 모토는 "둘을 지켜라"인데, 이것은 ETA의 상징에 나오는 뱀(정치를 의미)과 뱀이 둘러 감은 도끼(무장 투쟁을 의미)을 말한다. = = 바스크 조국과 자유의 활동 = = 바스크 조국과 자유는 스페인에 대한 테러를 하고 있고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1986년 국방성에 포탄공격을 가하였고 1987년에는 바르셀로나 지하 주차장을 폭파 시키는 등의 폭력투쟁을 펼치고 있다. = 분류:헨리 4세 (희곡) = = 뷔르츠부르거 키커스 = 뷔르츠부르거 키커스는 독일 바이에른주 뷔르츠부르크를 연고지로 한 축구 클럽이다. 뷔르츠부르거 키커스는 제2차 세계대전까지도 바이에른 뮌헨, 뉘른베르크 등이 속했던 바이에른 지역 내 최상위 리그에서 경쟁했지만 종전 후에는 1977-78 시즌 2. 분데스리가 승격을 제외하고 3부 리그에 머물렀고 80년대에는 4부 리그, 90년대에는 5부 리그, 2000년대에는 7부 리그까지 떨어지기도 하는 등 대부분 아마추어 리그에서 경쟁했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다니엘 헤겔레(2018 ~ ) 막시밀리안 차이저(2022 ~ ) = = = 역대 = = = 라르스 디츠(2020 ~ 2022) 크리스티안 슈트로디크(2021 ~ 2022) 클레멘스 쇼펜하우어(2014 ~ 2017) 파트리크 바이라우흐(2016 ~ 2017) = 2007년 선댄스 영화제 = 제23회 선댄스 영화제는 2007년 1월 18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심사위원대상(미국 드라마) = = = 아버지 - 크리스토퍼 잘라 수상 두번째 사랑 - 김진아 어드리프트 인 맨해탄 - 알프레도 드 빌라 브로큰 잉글리쉬 - 조 R. 카사베티스 포 시트 투 더 윈드 - Sterlin Harjo 굿 라이프 - 스티븐 베라 조슈아 - 조지 래틀리프 온 더 로드 위드 쥬다스 - JJ Lask 더 풀 - 크리스 스미스 로켓 사이언스 - 제프리 블리츠 스노우 엔젤 - 데이빗 고든 그린 스타팅 아웃 인 더 이브닝 - 앤드류 와그너 티스 - 밋첼 릭텐스타인 하운드독 - 데보라 캠프마이어 웨폰스 - 애덤 발라 로그 = = = 심사위원대상(미국 다큐멘터리) = = = 만다 발라 - 제이슨 콘 수상 배니시드 - 마코 윌리엄스 체이싱 고스트 - 링컨 루치티 크레이지 러브 - 댄 클로리스 에브리씽스 쿨 - 다니엘 B. 골드 외 1명 포 더 버블 텔스 미 소 - 다니엘 G. 카슬레이크 아부 그레이브 수용소의 영혼들 - 로리 케네디 걸 27 - 데이빗 스텐 히어 앤 나우 - 아이린 테일러 브로드스키 내 아이는 저것을 그릴 수 있었다 - 아미르 바-레브 남경 - 빌 구텐타그 외 1명 끝이 안보인다 - 찰스 퍼거슨 프로타고니스트 - 제시카 유 워 댄스 - 숀 파인 외 1명 화이트 라이트/블랙 레인 - 스티븐 오카자키 동물원 - 로빈슨 드버 = = = 심사위원대상(월드시네마 드라마틱) = = = 내가 살던 키부츠 - 드로 샤울 수상 아내의 애인을 만나다 - 김태식 피터 팬의 공식 - 조창호 블레임 잇 온 피델 - 줄리 가브라스 드레인드 - 헤이토르 달리아 이글 대 샤크 - 타이카 와이티티 에즈라 - 뉴턴 I. 아두아카 고스츠 - 닉 브룸필드 하우 이즈 유어 피시 투데이? - 구오 시아루 하우 쉬 무브 - 이안 이크밸 라시드 오스트로브 - 파벨 룽긴 카닥 - 피터 브로센 외 1명 유산 - 겔라 바브루아니 외 1명 나이트 버팔로 - Jorge Hernandez Aldana 노이즈 - 매튜 세빌 원스 - 존 카니 드림 오브 더스트 - 로렌트 샐게스 = = = 심사위원대상(월드시네마 다큐멘터리) = = = 행복의 적들 - 에바 물바드 외 1명 수상 Bajo Juarez - 알레한드라 산체즈 외 1명 코카레로 - 알레한드로 랜디스 꿈의 동지들 - 울리 가울케 푸른 눈의 평양 시민 - 대니얼 고든 핫 하우스 - 시몬 도턴 달의 그늘에서 - Christopher Riley 조 스트럼머 - 줄리엔 템플 매뉴팩처 랜스케이프 - 제니퍼 베이치월 모너스터리 - 페르닐레 로제 그론자에르 온 어 타이트롭 - 페트 롬 Three Comrades - 마샤 노비코바 베리 브리티시 갱스터 - 도널 맥킨타이어 VHS - Kahloucha - 네지브 벨카디 웰컴 유로파 - 브루노 울머 = = = 관객상 - 단편 = = = 굿바이 그레이스 - 제임스 C. 스트로즈 수상 = = = 단편영화 부문 = = = 외박 - 이종윤 = = = 미드나잇 = = = 내 친구 파이도 - 앤드류 커리 피니싱 더 게임 - 저스틴 린 잇 이즈 파인. 에브리띵 이즈 파인! - 크리스핀 글로버 외 1명 시그널 - 데이빗 브룩크너 Sk8 라이프 - Wyeth Clarkson 스마일리 페이스 - 그렉 아라키 더 텐 - 데이빗 웨인 우리는 이방인이다 - M. 닷 스트레인지 = = = 프리미어 = = = 아메리칸 크라임 - 토미 오하버 어웨이 프롬 허 - 사라 폴리 블랙 스네이크 모운 - 크레이그 브로워 챕터 27 - J.P. 쉐퍼 시카고 10 - 브렛 모겐 클럽랜드 - 체리 노랜 굿 나잇 - 제이크 팰트로 킹 오브 캘리포니아 - 마이크 카힐 롱포드 - 톰 후퍼 더 나인스 - 존 오거스트 레저렉팅 더 챔프 - 로드 루리 세비지스 - 타마라 젠킨스 나의 판타스틱 데뷔작 - 가스 제닝스 춤추는 나의 베아트리체 - 안토니오 반데라스 트레이드 - 마르코 크레즈페인트너 이어 오브 더 독 - 마이크 화이트 = = = 스펙트럼 = = = 엔젤-A - 뤽 베송 무시시 - 오토모 가츠히로 다크 매터 - 첸 시-젱 데디케이션 - 저스틴 디록스 내가 찍은 그녀는 최고의 슈퍼스타 - 톰 디칠로 데블 케임 온 호스백 - 릭키 스턴 외 1명 엑스퍼드 - 세실리아 미니우치 페이 그림 - 할 하틀리 젊은 여자 - 안드레아 슈타카 더 고겟터 - Martin Hynes 그레이트 월드 오브 사운드 - 크레이그 조벨 이프 아이 해드 노운 아이 워즈 어 지니어스 - 도미니크 워트샤프터 인터뷰 - 스티브 부세미 로 앤 비홀드 - 잭 갓쉘 언더 더 쎄임 문 - 패트리시아 리건 미스 나바조 - 빌리 루더 붉은 길 - 안드리아 아놀드 리프라이즈 - 요아킴 트리에 세이브 미 - 로버트 캐리 투리 - 아우라에우스 솔리토 언포신 - 로라 던 웨이트리스 - 에이드리언느 쉘리 워더스 알 매니 - 존 엘스 물고기 공주 - 데이빗 캐플란 = = = 뉴 프론티어 = = = 어 저니 댓 워즌트 - 피에르 휴이게 마지막 밥상 - 노경태 오프스크린 - 크리스토퍼 부 팬텀 러브 - 니나 멩키스 슬립스트림 - 안소니 홉킨스 지단, 21세기의 초상 - 더글러스 고든 외 1명 = = = 선댄스 컬렉션 = = = 리버스 엣지 - 팀 헌터 X - 더 언허드 뮤직 - W.T. 모건 = = = 스페셜 스크리닝 = = = 라스트 밈지 - 로버트 샤이 오티즘 에브리 데이 - 로렌 티에리 = 분류:미야즈번 사람 = = 분류:미네시의 교통 = = 2018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 2018년 아시안 게임의 개최지 선정에는 총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먼저 베트남의 하노이가 차기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나 경제난을 이유로 유치를 철회하였고,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가 팔렘방과 공동 개최하는 것으로 다시 선정되었다. 첫번째 선정 당시, 차기 아시안게임 대회는 기존의 4년 주기대로 2018년 대회가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09년 7월 3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총회에서 2020년 하계 올림픽이 열리기 1년 전으로 개최시기를 조정하기로 결정을 내리면서 '2019년 아시안 게임'으로 바뀌었다. 2019년 아시안게임의 유치전에서는 총 세 곳의 도시가 최종후보로 선정되었다. 베트남의 하노이,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인도네시아의 수라바야였는데, 2012년 11월 8일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총회에서 두바이가 막판에 후보 도시 신청을 철회하면서 하노이와 수라바야 중에서 투표를 치르게 되었다. 투표 결과 하노이가 수라바야를 두 배 이상에 달하는 격차로 누르고 차기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4년 4월 17일 베트남 정부가 재정난을 이유로 아시안게임 개최권을 평의회 측에 반납하였다. 이에 평의회는 2014년 9월 19일 인천광역시에서 회의를 열고, 대회 개최 희망국 가운데 인도네시아를 차기 개최국으로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최시기가 2019년에서 다시 2018년으로 되돌아왔는데 이는 같은 해에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 부담을 느낀 인도네시아 측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인도네시아 내부의 개최도시 협의를 거쳐, 2018년 아시안 게임의 개최지를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팔렘방으로 최종 선정하게 되었다. = =1차 선정 = = = = =최종 투표 = = = 아시아올림픽평의회가 최종적으로 압축한 후보 도시는 하노이, 수라바야, 두바이의 총 세 도시였다. 2012년 11월 8일 마카오 총회에서 최종 투표가 이뤄졌는데, 두바이는 후보 도시 신청을 철회하고 하노이와 수라바야만 남아 투표를 진행한 결과 하노이가 29대 14로 차기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2018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투표 2018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투표 2018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 선정 투표 도시 국가 득표 하노이 29 수라바야 14 = = =후보 도시 = = = 도시 국가 NOC 결과 하노이 베트남 올림픽 위원회 선정 베트남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가 인천으로 결정된 이후부터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에 도전하겠다고 밝히고, 2011년 6월 7일 아시안게임 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베트남은 200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9년 실내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고 최근에는 2016년 해변 아시안 게임을 유치한 바 있었다.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 시의 도시기반시설 정비에 1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보장함에 따라 최우수 후보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가 인천으로 결정된 이후부터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에 도전하겠다고 밝히고, 2011년 6월 7일 아시안게임 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베트남은 200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9년 실내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고 최근에는 2016년 해변 아시안 게임을 유치한 바 있었다.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 시의 도시기반시설 정비에 1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보장함에 따라 최우수 후보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가 인천으로 결정된 이후부터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에 도전하겠다고 밝히고, 2011년 6월 7일 아시안게임 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베트남은 200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9년 실내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고 최근에는 2016년 해변 아시안 게임을 유치한 바 있었다.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 시의 도시기반시설 정비에 1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보장함에 따라 최우수 후보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가 인천으로 결정된 이후부터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에 도전하겠다고 밝히고, 2011년 6월 7일 아시안게임 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 베트남은 200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9년 실내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고 최근에는 2016년 해변 아시안 게임을 유치한 바 있었다.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 시의 도시기반시설 정비에 1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보장함에 따라 최우수 후보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수라바야 인도네시아 올림픽 위원회 탈락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측에서 먼저 아시안게임 유치를 권유하고 지지함에 따라 유치전에 나서게 되었다. 수라바야는 수도 자카르타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인구는 270만 명에 달한다.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었다. 탈락 후 인도네시아 대표위원들은 하노이의 선정 배후에 중국의 영향력이 작용했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측에서 먼저 아시안게임 유치를 권유하고 지지함에 따라 유치전에 나서게 되었다. 수라바야는 수도 자카르타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인구는 270만 명에 달한다.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었다. 탈락 후 인도네시아 대표위원들은 하노이의 선정 배후에 중국의 영향력이 작용했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측에서 먼저 아시안게임 유치를 권유하고 지지함에 따라 유치전에 나서게 되었다. 수라바야는 수도 자카르타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인구는 270만 명에 달한다.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었다. 탈락 후 인도네시아 대표위원들은 하노이의 선정 배후에 중국의 영향력이 작용했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측에서 먼저 아시안게임 유치를 권유하고 지지함에 따라 유치전에 나서게 되었다. 수라바야는 수도 자카르타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인구는 270만 명에 달한다.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치러낸 경력이 있었다. 탈락 후 인도네시아 대표위원들은 하노이의 선정 배후에 중국의 영향력이 작용했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 = =후보 도시 철회 = = = 도시 국가 NOC 결과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올림픽 위원회 철회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장 아흐마드 알파하드 알아흐메드 알사바는 두바이가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 후보 도시로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바이의 아시안게임 유치 도전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이후로 이번이 두번째였다. 그러나 총회 당일날 투표 직전에 차기 대회 유치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유치신청을 철회하였다. 엄연히 최종후보로 추려진 도시가 투표에서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해 OCA 부의장은 "후보 도시가 최종 신청을 하였느냐만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표에서 빠진다는 개념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장 아흐마드 알파하드 알아흐메드 알사바는 두바이가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 후보 도시로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바이의 아시안게임 유치 도전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이후로 이번이 두번째였다. 그러나 총회 당일날 투표 직전에 차기 대회 유치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유치신청을 철회하였다. 엄연히 최종후보로 추려진 도시가 투표에서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해 OCA 부의장은 "후보 도시가 최종 신청을 하였느냐만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표에서 빠진다는 개념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장 아흐마드 알파하드 알아흐메드 알사바는 두바이가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 후보 도시로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바이의 아시안게임 유치 도전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이후로 이번이 두번째였다. 그러나 총회 당일날 투표 직전에 차기 대회 유치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유치신청을 철회하였다. 엄연히 최종후보로 추려진 도시가 투표에서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해 OCA 부의장은 "후보 도시가 최종 신청을 하였느냐만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표에서 빠진다는 개념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장 아흐마드 알파하드 알아흐메드 알사바는 두바이가 2018년 아시안 게임 유치 후보 도시로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바이의 아시안게임 유치 도전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이후로 이번이 두번째였다. 그러나 총회 당일날 투표 직전에 차기 대회 유치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유치신청을 철회하였다. 엄연히 최종후보로 추려진 도시가 투표에서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와 관련해 OCA 부의장은 "후보 도시가 최종 신청을 하였느냐만을 고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표에서 빠진다는 개념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 = =그 밖에 후보로 거론된 도시 = = = – 2009년 동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차기 아시안게임 유치 의사를 밝히고 정부 측에서 유치관련 예산까지 편성하였으나, 2011년 1월 14일 홍콩 입법회에서 정부 제출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유치 계획이 백지화됐다. 무산 이후 당국은 2023년 아시안 게임 유치 도전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뉴델리 - 아시안 게임 유치에 관심을 보였지만, 2010년 코먼웰스 게임과 관련된 부패 혐의 제기에 따라 2010년 8월 2일 인도 당국이 유치 계획을 철회하였다. 쿠알라룸푸르 - 2010년 1월 유치 신청서를 제출하였으나 예산 문제를 이유로 2010년 9월 신청을 철회했다. 타이베이 - 2010년 8월 18일 하우룽빈 타이베이 시장이 아시안 게임 유치 신청을 선언하였지만 2012년 3월에 신청을 철회하였다. = = =우려와 유치 철회 = = = 역대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투입 예산 역대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투입 예산 역대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투입 예산 연도 도시 예산규모 2002년 부산 29억 달러 2006년 도하 28억 달러 2010년 광저우 200억 달러 2014년 인천 16억 달러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30억 달러 확정된 것으로 보였던 하노이 아시안 게임에 먹구름을 끼게 한 것은 바로 예산 문제였다. 2014년 3월, 베트남 국회에서 아시안게임 개최 예산으로 책정되었던 1억 5000만 달러가 역대 대회 예산과 비교했을 때 과연 현실성 있는 예산인지에 대해 처음으로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와 더불어 200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당시 지어진 경기장 여러 곳이 지역 대회 외에는 그다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지적되었다. 베트남 올림픽 위원회의 하꽝두 전 회장은 아시안게임 유치가 베트남의 관광객 증대를 불러오진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2014년 4월 11일 브엉빅탕 체육훈련부 장관은 대회 준비에 활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은 현재 약 80%이며. 대회예산은 1억 5000만 달러로도 충분히 치러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선수촌은 짓지 않는 대신에 하노이 시내의 호텔, 기숙사, 주택가 등을 활용해 선수들과 임원들에게 제공할 것이라는 대책을 내세웠다. 그러나 베트남 내부에서는 경제 부처를 중심으로 아시안게임 개최를 위한 인프라의 미비, 과도한 예산에 대한 우려 등으로 회의론이 끊이질 않았으며, 정부가 제시한 예산규모보다 2배 이상 들어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설상가상으로 세계은행은 베트남의 아시안 게임 개최 인프라 구축에 대해서는 대출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확인하기도 했다. 결국 2014년 4월 17일 응우옌떤중 총리는 아시안게임 유치를 공식적으로 철회할 것을 선언하였다. 유치 철회에 대한 이유로는 시설 미비와 경제 불황을 주된 이유로 거론하고, 대회에 필요한 경기장과 시설 건설을 감당할 여력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베트남 내부에서는 국민 대다수가 해당 결정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OCA 측은 베트남 정부의 결정에 대해 이해한다면서, 유치 철회에 대한 위약금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2차 선정 = = = = =최종 선정 = = = 2014년 7월 25일 쿠웨이트시티에서 열린 OCA 총회에서 차기 아시안게임 대회 개최 후보 도시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로 선정하였다. 자카르타 외에 공동 개최도시로 팔렘방도 선정되었다. 잘 갖춰진 스포츠 시설과 적절한 교통망, 호텔과 숙박시설 등이 선정 이유로 꼽혔다. 다만 개최시점은 기존의 2019년에서 2018년으로 1년 앞당겨지게 되었는데, 이는 하필 2019년에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어 온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선거에만 관심을 집중할 것을 우려했던 인도네시아 측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자카르타 시의 경기시설을 신축하고 보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그렇게 많이 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하였다. 인도네시아의 아시안게임 유치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이 마지막으로, 그 당시에도 자카르타 시에서 대회를 유치하였다. = = =후보 도시 = = = 유치 철회 직후, OCA는 하노이를 대신할 유치국가로 인도네시아, 중국, 아랍에미리트 등을 후보로 거론하였다. 그밖에도 여러 국가가 유치에 관심을 보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유치전에 나서지 않았고, 인도네시아만 유일 후보국으로 남았다. 유일후보가 결정된 이후 OCA가 추가 신청을 다시 받는 과정에서 필리핀이 유치의사를 밝히기는 하였으나, 9월에 열린 총회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팔렘방 공동개최로 최종 확정되었다. = = = =유치 후보로 나선 국가 = = = = – 1차 투표에서 후보로 나선 인도네시아는 이번에도 대회 유치에 관심을 표했으며, 개최국으로 선정된다면 기꺼이 치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강력한 대체 유치 후보국으로 떠올랐다. 인도네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리타 수보오 위원장이 5년 내로 준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 들고, 새로 들어서는 정부가 유치계획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기도 하였으나, 대선 직후 조코 위도도 대통령 당선인이 "유치 가능성은 99%"라고 밝힘으로서 인도네시아의 아시안게임 유치계획에는 순항이 예상되었다.이전 투표에서 후보 도시로 나섰던 수라바야는 2021년 청소년 아시안 게임을 준비하고 있다는 이유로 잠정 후보 도시에서 제외됐다.2014년 5월 웨이지종 부의장을 단장으로 한 OCA 대표단이 자카르타와 반둥, 팔렘방을 각각 방문하여 대체 후보 도시로서의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대표단의 의견에 따르면 자카르타가 유일하게 아시안게임 대회의 기술적 요건을 모두 충족했으며, 팔렘방은 스포츠시설이 충분치 않은 것으로 고려됐다. 또 웨이 단장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인도네시아보다 더 나은 조건을 갖춘 경쟁국이 없기 때문에, 인도네시아가 여전히 유력 후보국으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반둥 시 역시 대회 개최에 관심을 표했는데, 최근에 서자바 주에서 2016년 인도네시아 전국체전 개최를 위해 새 경기장을 신축하고 있다는 점과 연계된 것이었다. 7월 15일에는 인도네시아 청소년스포츠부 측 인사와 알렉스 노에르딘 남수마트라 주지사 간의 회담이 진행됐다. 팔렘방 시가 대회 유치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자리였다. 필요하다면 자카르타가 공동개최 도시로 지원할 수 있다는 발언도 나왔다.2014년 7월 25일 쿠웨이트시티에서 열린 OCA 총회에서 자카르타는 차기 아시안게임 개최지 단독후보로 지명되었다. 팔렘방은 자카르타의 보조 개최도시로 나서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최 시기를 당초 2019년에서 2018년으로 다시 앞당겼는데 2019년에 인도네시아 대선이 치러진다는 이유와, 자카르타의 대회준비에는 그렇게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자카르타 단독으로 개최한 경력이 있다. –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는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을 계기로 난징을 방문할 당시 OCA 측에 유치신청 의사를 밝혔고, 2014년 8월 20일에 아시안 게임 유치신청서를 OCA 측에 공식 제출하였다. 개최도시에 대해서는 필리핀 올림픽위원회와 필리핀 체육위원회 모두 마닐라 북부 보카우에에 위치한 스포츠단지인 '시우다드 데 빅토리아'를 고려하였다. 시우다드 데 빅토리아는 수용규모 55,000석의 필리핀 아레나와 25,000석의 필리핀 스포츠 스타디움, 필리핀 스포츠 센터 (수영과 실내종목) 등의 시설을 갖춘 종합단지였다. 보카우에 외에도 마닐라 근교의 일부 경기장을 활용할 것이며, 필요하다면 200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를 치렀던 라구나 주와 서네그로스 주의 경기장까지 유치 장소로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필리핀 체육위원회의 리치에 가르시아 회장은 대회 준비에 4~5년이면 충분한 시간이라며, 또 중앙정부와 민간부문에서 전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대회 유치가 가능하다고도 말했다. 필리핀이 대회를 유치한다면 1954년 아시안 게임 이래 65년 만에, 1919년 극동 선수권 대회 이래 100년만에 유치하는 것이 되는 셈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강력 후보였던 인도네시아에 밀려 개최지로 지명되지 못했고,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를 대신 유치하게 되었다. = = = =유치를 고려만 한 국가 = = = = – 타이베이시 체육국은 아시안게임보다는 다른 국제대회 유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고, 신베이시는 2023년 아시안 게임 유치에 나선 상황이었다. 한편 가오슝시가 2019년 아시안 게임 유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그 가능성을 따지기 위해선 한달 정도 더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으나, 결론적으로는 없던 일이 되었다. – 5년이라는 단시간 안에 대회를 유치하는 것은 개최비용이 높아질 것을 우려, OCA 측의 예산지원을 조건으로 대회 유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소년체육부 장관이 아시안게임 유치 가능성을 부인하고 201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가 최우선이라고 밝힘에 따라 없던 일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개최비용 감량을 위해 말레이시아가 싱가포르와 아시안게임을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 = = =유치 계획을 취소한 국가 = = = = – 유치 의사를 밝히고 정부 승인을 대기하다 때를 놓치고 말았다. 우선 인도가 아시안게임 대회를 유치하게 된다면 인도 정부가 인도 올림픽 협회의 재정권을 대신 행사하고, 인도올림픽위원회는 대회조직 기능만 맡게 한다는 방침이 내려졌다. 이는 2010년 영연방 대회 부패 스캔들을 계기로 이뤄진 조치였다. 인도 내 후보 도시로는 뉴델리가 고려됐다. 그러나 새정부 출범 시기에 유치신청 결정이 이뤄진 게 문제였다. 2014년 5월 12일 인도올림픽협회는 인도 정부의 지원 없이는 대회 유치신청 제출 기한인 2014년 7월 1일까지 제때 마무리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총선 직후 출범하는 새정부가 그 같은 중대한 사안을 빨리 결정하기란 절대로 쉽지 않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협회측은 짧은 시한 내에 정부의 승인을 받기 위해 분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도는 이전에 아시안게임을 두 차례 유치한 바 있다. 1951년 대회와 1982년 대회를 유치하였으며 두 대회 모두 델리에서 열렸다. OCA 측은 후보신청 마감기한을 2014년 7월 7일로 연장하기까지 하였으나,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의 접견이 무산되면서 결국 협회 측이 유치 신청계획을 자진 취소하였다. = = = =유치에 관심이 없었던 국가 = = = = – 비록 맨 처음에 후보국으로 거론되기는 하였지만, 그 뒤로 본격적인 유치 계획이 세워진 적이 없었다. 중국올림픽위원회 측에 내부 지시가 내려졌다든지 OCA 측이 접촉해 온다던지 하는 움직임도 이뤄진 적이 없었다. 유치 의사를 밝힌 지자체도 전무했다. 한 중국 소식통에서 OCA가 중국 측의 협력을 요청할 경우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을 지른 난징 시에서 유치권을 넘겨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 유일했다. 중국이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것은 2010년 아시안 게임 당시 광저우에서 유치한 것이 마지막이었다. – 아시안게임 대회조직 인력과 경력이 부족했던 탓에 그닥 관심이 없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과 2019년 럭비 월드컵 준비에 집중한다는 이유로 유치할 의사가 없었다. – 201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를 1년 남겨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응서미앙 싱가포르 올림픽위원장이 직접 유치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 준비시간이 5년 밖에 안 된다는 점을 들어 아시안게임 유치에 난색을 표했다. = 분류:장소별 사람 목록 = = 에릭 (가수) = 에릭(Eric, , 1979년 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배우이며, 보이 그룹 신화의 리더이다. = = 학력 = = 서울대치초등학교 (졸업) Parks J.H-Sunnt Hills High School (졸업)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학사) = = 생애 = = 에릭(문정혁)은 1979년 2월 16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서 1남 2녀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입학은 했으나 바로 몇 개월 후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미국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미국에서 캐스팅되어 한국으로 귀국해 SM 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생이 되었다. 그는 연습생이었을 때 앤디와 같이 S.E.S. 1집 수록곡인 'I'm your girl' 랩 피쳐링을 하였으며, S.E.S.와 같이 무대에 오르기도 하였다. 에릭은 1998년에 신화에서 영어 랩을 담당하는 이국적인 외모 이미지로 데뷔를 하였다. 비해서 어려보이는 동안외모를 유지하고 있다. 가족으로는 부모님(에릭의 아버지의 고향이 평양시라고 한다.), 누나 2명, 에릭이다. = = 방송 = = = = = 드라마 = = = 2003년 MBC 《나는 달린다》 ... 신상식 역 (조연) 2004년 MBC 《불새》 ... 서정민 역 (주연) 2005년 MBC 《신입사원》 ... 강호 역 (주연) 2006년 MBC 《늑대》 ... 배대철 역 (미종영 작품) (주연) 2006년 SBS 《무적의 낙하산 요원》 ... 최강 역 (주연) 2007년 MBC 《케 세라 세라》 ... 강태주 역 (주연) 2008년 KBS2 《최강칠우》 ... 최칠우 역 (주연) 2011년 KBS2 《스파이 명월》 ... 강우 역 (주연) 2014년 KBS2 《연애의 발견》 ... 강태하 역 (주연) 2016년 tvN 《또! 오해영》 ... 박도경 역 (주연) 2018년 tvN 《계룡선녀전》 ... 개구리 목소리 역 (특별출연) 2020년 채널A 《유별나! 문셰프》 ... 문승모 역 (주연) 2020년 MBC 《나를 사랑한 스파이》 ... 전지훈 역 (주연) = = = 영화 = = = 2005년 《달콤한 인생》 ... 태구 역 (특별출연) 2005년 《6월의 일기》 ... 김동욱 역 (주연) = = = 예능 = = = 2005년 SBS 《강호동의 연애편지》 2005년 SBS 《X-Man:반전드라마》 2012년 - 2013년 JTBC 《신화방송》 2016년 tvN 《삼시세끼 어촌편 3》 2017년 tvN 《삼시세끼 바다목장》 2019년 tvN 《현지에서 먹힐까? 시즌 3》 2019년 MBC Every 1 《세빌리아의 이발사》 = = 광고 = = 2003년 지오다노, KT 메가패스, 로레알 2004년 KT 메가패스, BON, 플러스 마이너스, 삼성 애니콜, JT, 롯데제과 빈츠, 도미노 피자 2005년 삼성 애니콜, 현대 아반떼, 비발디 파크, NII, 린나이 코리아, 도미노 피자, 롯데삼강 구구단, CJ스팸 2006년 삼성 애니콜, CJ스팸, UGIZ, BASSO 2007년 UGIZ, 코카콜라 제로, It's SKIN 2016년 장미쉘바스키아, 한국오츠카 우르오스, CJ비비고(육개장, 만두등), 농심 보글보글 부대찌개라면 2017년 리니지2 레볼루션, 장미쉘바스키아, 한국오츠카 우르오스, 쉐보레 스파크 = = 수상 내역 = = 연도 수상 내역 2004년 2004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MBC 연기대상》 인기상 2005년 제4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제4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2006년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연기상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 《SBS 연기대상》 살신성인상 2014년 《KBS 연기대상》 네티즌상 《KBS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정유미) 《KBS 연기대상》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2016년 《tvN 10주년 어워즈》로코킹상 = 제주지방검찰청 = 제주지방검찰청(濟州地方檢察廳)은 제주지방법원에 대응하여 항소사건에 대한 소송 유지 및 항고사건 처리와 행정소송을 비롯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사건을 수행하고 진행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 소속의 특별지방행정기관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남광북5길 3에 위치하고 있다. = = 연혁 = = 1945년 10월 12일 제주지방법원 검사국 설치 제주시 삼도1동 1045-1 1947년 1월 1일 제주지방검찰청으로 개칭 1949년 1월 1일 서기과, 회계과, 수사과 설치 1962년 8월 20일 사무국 설치 1962년 9월 3일 서기과,회계과 폐지하고 사건과 설치 1967년 10월 26일 서무과 설치 1972년 12월 23일 신청사 준공(연건평 875평, 대지 1,818평) 제주시 이도2동 950-1 1972년 12월 24일 신청사로 이전 1989년 1월 27일 부장검사 설치 1990년 10월 29일 집행과 설치 1997년 3월 1일 형사 제2부장검사 설치 1999년 8월 15일 신청사 준공 이전 (연건평 3,368평, 대지 2,577평) 제주시 이도2동 950-1 2014년 8월 13일 제주지검장 김수창 공연음란혐의로 체포됨. 2014년 8월 22일 김수창 혐의 인정 및 자수 = = 조직 = = = = =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 = 형사 제1부 형사 제2부 형사 제3부 사무국 총무과 사건과 집행과 수사과 = = 관할 구역 = = 2시: 제주시, 서귀포시 = = 역대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 제 1 대 양홍기 1945년 10월 11일 ~ 1947년 7월 10일 제 2 대 박종훈 1947년 7월 11일 ~ 1948년 7월 8일 제 3 대 양홍기 1948년 7월 9일 ~ 1949년 7월 10일 제 4 대 김형숙 1949년 7월 11일 ~ 1950년 7월 17일 제 5 대 원복범 1950년 7월 18일 ~ 1951년 9월 18일 제 6 대 윤준영 1951년 9월 19일 ~ 1952년 7월 17일 제 7 대 허만호 1952년 7월 18일 ~ 1954년 5월 4일 제 8 대 김창욱 1954년 5월 5일 ~ 1955년 6월 10일 제 9 대 주운화 1955년 7월 21일 ~ 1955년 10월 26일 제 10 대 원택연 1955년 10월 29일 ~ 1960년 5월 26일 제 11 대 강용권 1960년 5월 27일 ~ 1960년 6월 30일 제 12 대 유태영 1960년 7월 1일 ~ 1960년 9월 23일 제 13 대 이선중 1960년 9월 24일 ~ 1961년 4월 10일 제 14 대 송의근 1961년 4월 11일 ~ 1962년 4월 10일 제 15 대 최찬식 1962년 4월 11일 ~ 1964년 3월 16일 제 16 대 강의석 1964년 3월 17일 ~ 1965년 9월 30일 제 17 대 김병기 1965년 10월 1일 ~ 1967년 10월 12일 제 18 대 이근수 1967년 10월 13일 ~ 1969년 4월 30일 제 19 대 이택규1969년 5월 1일 ~ 1970년 8월 3일 제 20 대 김병영 1970년 8월 4일 ~ 1971년 8월 25일 제 21 대 장석례 1971년 8월 26일 ~ 1973년 4월 5일 제 22 대 염경환 1973년 4월 6일 ~1976년 2월 28일 제 23 대 정창훈 1976년 3월 1일 ~1977년 2월 16일 제 24 대 김달형 1977년 2월 17일 ~ 1978년 2월 10일 제 25 대 류태선 1978년 2월 11일 ~ 1980년 6월 8일 제 26 대 신현정 1980년 6월 9일 ~ 1980년 7월 9일 제 27 대 송병철 1980년 7월 28일 ~ 1981년 4월 26일 제 28 대 김양균 1981년 4월 28일 ~ 1982년 6월 17일 제 29 대 허은도 1982년 6월 18일 ~ 1983년 7월 31일 제 30 대 조성욱 1983년 8월 1일 ~ 1985년 3월 4일 제 31 대 김형표 1985년 3월 5일 ~ 1986년 5월 1일 제 32 대 변재일 (법조인) 1986년 5월 2일 ~ 1987년 6월 7일 제 33 대 정성진 1987년 6월 8일 ~ 1988년 8월 24일 제 34 대 김기석 1988년 8월 25일 ~1990년 3월 26일 제 35 대 김택수 (법조인) 1990년 3월 27일 ~ 1991년 7월 31일 제 36 대 신창언 1991년 8월 1일 ~ 1992년 7월 28일 제 37 대 최명선 1992년 7월 29일 ~ 1993년 3월 16일 제 38 대 이원성 1993년 3월 17일 ~ 1993년 9월 20일 제 39 대 김병학 1993년 9월 21일 ~ 1994년 9월 15일 제 40 대 이재신 1994년 9월 16일 ~ 1995년 9월 19일 제 41 대 이광수 1995년 9월 20일 ~ 1997년 1월 22일 제 42 대 박주환 1997년 1월 23일 ~1997년 8월 13일 제 43 대 한광수 1997년 8월 14일 ~ 1999년 6월 8일 제 44 대 김영진 1999년 6월 9일 ~ 2000년 7월 14일 제 45 대 조규정 2000년 7월 15일 ~ 2001년 5월 30일 제 46 대 윤종남 2001년 5월 31일 ~ 2002년 2월 7일 제 47 대 김진관 2002년 2월 8일 ~ 2002년 7월 3일 제 48 대 김상희 2002년 7월 9일 ~ 2003년 3월 12일 제 49 대 채수철 2003년 3월 13일 ~ 2004년 5월 31일 제 50 대 명동성 2004년 6월 1일 ~ 2005년 4월 7일 제 51 대 경대수 2005년 4월 8일 ~ 2006년 2월 5일 제 52 대 김상봉 2006년 2월 6일 ~ 2007년 3월 4일 제 53 대 정진영 2007년 3월 5일 ~ 2008년 3월 10일 제 54 대 박영관 2008년 3월 11일 ~ 2009년 1월 18일 제 55 대 김정기 2009년 1월 19일 ~ 2009년 8월 11일 제 56 대 이득홍 2009년 8월 12일 ~ 2010년 7월 14일 제 57 대 이건리 2010년 7월 15일 ~2011년 8월 21일 제 58 대 박성재 2011년 8월 22일 ~2012년 7월 17일 제 59 대 백종수 2012년 7월 18일 ~ 2013년 4월 9일 제 60 대 이명재 (법조인) 2013년 4월 10일 ~ 2013년 12월 23일 제 61 대 김수창 2013년 12월 24일 ~ 2014년 8월 20일 제 62 대 박정식 2014년 8월 25일 ~ 2015년 2월 10일 제 63 대 조희진 2015년 2월 11일 ~ 2015년 12월 23일 제 64 대 이석환 2015년 12월 24일 ~ 2017년 7월 31일 제 65 대 윤웅걸 2017년 8월 1일 ~ 2018년 6월 21일 제 66 대 송삼현 2018년 6월 22일 ~ 2019년 7월 30일 제 67 대 조재연 2019년 7월 31일 ~ 2020년 1월 12일 제 68 대 박찬호 2020년 1월 13일 ~ 2021년 6월 10일 제 69 대 이원석 2021년 6월 11일 ~ 2022년 5월 22일 제 70 대 박종근 2022년 5월 23일 ~ 2022년 6월 26일 제 71 대 이근수 2022년 6월 27일 ~ 2023년 7월 14일 직무대리 강대권 2023년 7월 14일 ~ 2023년 9월 6일 제 72 대 노만석 2023년 9월 7일 ~ = = 사건·사고 및 논란 = = = = = 김수창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음란 행위 사건 = = = = = = 대한민국 최초 여성 지방검찰청 검사장 배출 = = = 2015년 2월 11일 법무부는 검사장급 이상 검찰 고위간부 46명에 대한 승진 및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에 사법연수원 19기 조희진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를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전보해 1948년 대한민국 검찰 창설 이래 67년 만에 최초의 여성 지방검찰청 검사장이 배출되었다.'여성 최초' 조희진 제주지검장 취임아주경제2015년 2월 11일 진순현 기자사상 첫 여성 지검장…제주지검장 조희진 임명뉴스12015년 2월 6일 성도현 기자 이에 대해 법무부는 “조희진 검사장은 검찰 내에서 여성검사들의 역할과 위상을 대표하면서 롤모델의 역할을 충실히 해 왔으며, 일선 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서도 그 능력과 경험을 십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최초 여성 지검장 ‘조희진’ 여성검사 롤모델…서울중앙지검장 박성재로이슈2015년 2월 7일 신종철 기자‘검찰 역사를 다시 쓰다’… 제주지검장에 임명된 조희진 여성신문2015년 2월 7일 박길자 기자 조희진 제주지방검철청 검사장은 취임식을 마친 뒤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여성 최초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다녀 부담스럽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여성 기관장에 중용돼 책임이 무겁다. 모두에게 귀감이 되는 지방검찰청 검사장이 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그녀는 1990년 검사에 임용됐다. 조배숙 전 국회의원, 임숙경 변호사가 1982년 여검사로 임용됐지만 4~5년 만에 판사로 전직해 여검사가 전무했던 시절이었다. 당시 많은 법조인들이 “여자가 검찰에서 버틸 수 있겠느냐”고 했으나 그녀는 사법연수원 19기 여성 가운데 홀로 검찰에 지원했다.검찰서 늘 '여성 1호'였던 조희진 검사장 첫 여성 지검장에 올라조선일보2015년 2월 6일 전수용 기자최초 여성 지검장은 제주에서, 조희진 차장검사이슈제주2015년 2월 7일 이동훈 기자역사상 첫 여성 지검장 조희진…제주지검 총지휘아시아경제2015년 2월 6일 이혜영 기자 한편 2015년 기준으로 여성검사는 전체 검사의 약 26.8%인 530명이다.여다(女多)의 제주에 전국 최초 여성 지검장 온다제주도민일보2015년 2월 7일 김영하 기자 = 미셸 페이지 = 미셸 페이지(, 1987년 1월 19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여러 드라마에 조단역으로 출연했다. 텍사스주 포트워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더 파티 이즈 오버 (2015년) 로그 리버 (2012년) - 마라 역 스매쉬 (2012년) 스크랩 (2011년) - 에바 역 센서드 (2009년) - 타라 역 커쉬 (2007년) 서브라임 (2007년) 나는 누가 날 죽였는지 알고 있다 (2007년) 위험한 독신녀 2 (2005년) 미스 에이전트 2: 라스베가스 잠입사건 (2005년) = 마이애미 바이스 = 마이애미 바이스는 1984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된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미국의 범죄 드라마로 마이클 만이 제작하고 NBC를 통해 방영되었다. = 분류:뉴멕시코주의 과학 박물관 = = 띠아오만 공주 = 띠아오만 공주는 2005년에 방영된 총 36부작 중화인민공화국의 드라마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전역에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면서 호평받았다. = = 출연진 = = 장나라 : 사도정 역 소유붕 : 주윤 역 포뢰 : 안녕공주 역 여행 : 백운비 역 진수려 : 문미아 역 홍흔 왕강 고로 장입위 = IVI = IVI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국제 백신 연구소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vehicle infotainment) = 정운택 = 정운택(鄭雲宅, 1975년 7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선교사이다.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본관은 광주(光州)이다. = = 생애 = = 광주 정씨(光州 鄭氏) 동백공종(東伯公宗) 선무랑공파(宣務郞公派) 연문(연門) 재선가(載璇家) 23세손이며, 후술할 족보명이 영(永)자 항렬을 쓴다. 족보명은 정영택(鄭永宅)이며, 본명인 정운택(鄭雲宅)은 자(字)라고 기재되어 있다. 경상북도 안동 출생이다. '1987년 3월' 북아메리카 미국으로 이민 하여 북아메리카 미국 로스엔젤레스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다. '1994년 1월' 아시아 대한민국 대구직할시로 돌아온뒤 아시아 대한민국 안동시 연극배우 첫 데뷔이전 하여 자리 옮기고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95년 3월 뮤지컬배우 데뷔하였으며 2000년 영화 《타가 킹》의 조연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다. '2001년' 곽경택 감독의 영화 《친구》의 조연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하였고, 《두사부일체》 등에서도 활약했다. 2013년 정운택 데뷔 마지막으로 무려 19년만에 마감 마무리 막을내리고 마치고 종료 받았다. 더이상은 데뷔 하지 않는다. = = 출연작 = = = = = 영화 = = = 2017년 《지렁이》마지막 2015년 《약장수》 - 영재 아들 역 마지막 2013년 《슈퍼맨 강보상》 - 염재희 역 마지막 2009년 《유감스러운 도시》 - 문동식 역 2008년 《4요일》 - 강준희 역 2006년 《플러쉬》 - 스파이크 더빙 목소리 역 2005년 《투사부일체》 - 대가리 역 2002년 《보스 상륙 작전》 - 태훈 역 2002년 《뚫어야 산다》 - 쌍칼 역 '2001년' 《두사부일체》 - 대가리 역 '2001년' 《친구》 - 김중호 역 = = = TV 드라마 = = = 2016년 KBS1 다문화 특집 드라마 《반짝반짝 작은 별》 - 윤수 역 마지막 2011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포세이돈》 - 이충식 역 마지막 2008년 SBS 드라마 스페셜 《스타의 연인》 - 전병준 역 2008년 SBS 창사특집극 《압록강은 흐른다》 - 원식 역 2007년 SBS 대기획 《로비스트》 - 호텔 벨보이 역 '2001년' KBS2 주말드라마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1999년' MBC 일일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 = = 연극 = = = '1994년 1월' 아시아 대한민국 대구직할시로 돌아온뒤 아시아 대한민국 안동시 연극배우 첫 데뷔이전 하여 자리 옭기고 첫 데뷔하였다. 아시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베니스의 상인》 = = 에피소드와 해프닝 = = 2006년 9월 1일 채널CGV에서 방송된 '정경순의 영화잡담'에 출연해 광주 정씨(光州 鄭氏)로 배우 선배인 정보석이 자신의 조카뻘이라고 인터뷰 한 적이 있다. = = 논란 관련 사태 = = 2011년 정운택은 식당 옆자리에 앉아 있던 사람한테 귀뺨을 때리며 입건됐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2년 뒤인 2013년에는 운전 도중 무단횡단을 하던 시민과 시비가 붙었는데, 당시 지난날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면허 취소된 상태에서 운전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비난을 받았다. 또 2년 뒤 2015년에는 대리기사 류 모를 서울 논현동 길거리에서 구둣발로 차는 등 폭행하여 100만원 벌금형 처분을 받았다. 이후 2016년 악극 아시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불효자는 웁니다》시즌2로 마지막 복귀했고 이후 16년 연하 신인 배우 김민채와 2017년 8월 결혼할 예정이었지만, 6월 파혼했다. = = 수상 = = 2002년 제3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친구 = 분류:지의류 종 = = 마리오 스포츠 믹스 = 마리오 스포츠 믹스(Mario Sports Mix)는 스퀘어 에닉스가 개발하고 닌텐도가 Wii용으로 배급한 스포츠 비디오 게임이다. 2010년 11월 25일 일본에서, 2011년 초에 다른 지역에서 출시되었다. 배구, 아이스하키, 피구, 농구를 즐길 수 있다. 이 게임의 캐릭터들과 지역들은 대체로 마리오 시리즈에서 가져온 것으로, 일부 게스트들은 스퀘어 에닉스의 파이널 판타지와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게임들에서 가져왔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Mii 캐릭터들 중 하나로 즐길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다. = 바이퍼 (마담 하이드라) = 바이퍼 (마담 하이드라)는 본명이 오펠리아 사르킨산으로 마블 코믹스의 악당이다. 그녀는 어벤저스와 엑스맨의 적이며 히드라의 수장이다. = = 생애 = = 오펠리아 사르킨산은 중유럽 헝가리에서 고아로 자란 아이였다. 그녀의 얼굴의 일부는 치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때 긁힌 자국이 남아있었다. 그녀는 12살 무렵 히드라에게 붙잡혀 크라켄에 의해 구출되었다. 22살에 그녀는 크라켄의 가장 훌륭한 학생이 되었다.Secret Warriors #15 그녀는 이후 히드라의 계급사회 안으로 진입하게 되었고 S.H.I.E.L.D.로 알려진 조직과 캡틴 아메리카 등과 빈번하게 충돌하게 되었다. 그녀는 마담 하이드라라는 암호명을 가지고 히드라의 지도자로 등장했고, 캡틴 아메리카를 잡은 후 뉴욕 시의 수자원을 오염시키려고 했다.Captain America #110 그녀는 캡틴 아메리카를 잡기 위한 함정으로 릭 존스를 잡았다.Captain America #111 그리고 그녀는 가스를 뿌려 어벤저스를 굴복시킨 후 캡틴 아메리카와 충돌했다. 그러나 그녀는 캡틴 아메리카와 릭 존스가 미사일을 피하고 자신은 폭사했다.Captain America #113 이후 이는 스페이스 팬텀이 그녀와 장소를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Avengers #107 그녀는 히드라와 깊은 연관이 있었다.Captain America #170 (February, 1974) 마담 히드라는 바이퍼라 불리는 요르단 스트라이크를 도와주었고, 그를 암살한 후 그 암호명을 채택한 후 서펀트 스쿼드의 리더가 되었다.Captain America #180 (December 1974) 새로운 바이퍼가 되어 그녀는 록슨 정유사의 CEO인 휴 존스를 납치하여 그를 서펀트 크라운으로 만들려고 했다. 그녀는 노매드, 네이머와 다시 전투를 벌였다. 바이퍼는 S.H.I.E.L.D.의 헬리캐리어를 장악한 후, 그것을 미국 의사당에 충돌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녀는 부메랑과 실버 사무라이를 행동대장으로 삼고 스파이더맨, 닉 퓨리, 블랙 위도우, 샹치와 싸움을 벌였다.Marvel Team-Up #83-85 바이퍼는 이후 실버 사무라이를 그녀의 작전대장으로 삼고 미카엘 크레머를 납치하려고 했다. 바이퍼는 처음으로 스파이더우먼과 싸웠고, 그녀가 메리엄 드류라고 확신했다. 드류는 스파이더우먼의 어머니로 1931년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엄은 이후 치톤과 연합하여 장수의 삶을 누리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퍼는 50년 간 치톤을 통해 살아남았다고 입증하며 치톤을 제거하여 스파이더우먼을 살려주었다.스파이더우먼 #42-#44 (February - June, 1982) 실버 사무라이를 고용한 후 바이퍼는 다시 뉴 뮤턴트들과 싸움을 벌였다.New Mutants #5-6 그녀의 많은 테러 활동을 통해 그녀는 서펀트 소사이어티의 통제권을 획득하려고 했다. 이후 이들은 서펀트 소사이어티의 주도권을 두고 충돌했고, 바이퍼는 코브라와 붐스랑, 코퍼헤드를 보내 워싱턴 DC의 수도시설을 오염시켰다. 바이퍼는 대통령과 백악관을 혼란에 빠뜨렸고, 캡틴 아메리카와 다시 충돌했다.Captain America #341-344 그녀는 코브라에 의해 배신을 당해 캡틴 아메리카에 붙잡혔지만 감옥을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그녀는 이후 약물 중독을 통해 뱀 뮤타젠을 만들었고 퍼니셔와 싸우기도 했다.Punisher Annual #2Daredevil Annual #4 = 분류:20세기 콩고 공화국 사람 = 20 콩고 공화국 사람 콩고 공화국 en:Category:20th-century Republic of the Congo people = 프라이타크 = 프라이타크(Freytag)는 다음을 의미한다. 구스타프 프라이타크: 독일의 소설가, 극작가 프라이타크의 피라미드 게오르그 프라이타크: 독일의 문헌학자 = 분류:위키백과 문서 훼손 대응 교육자 = 문서 훼손 대응 교육을 하는 사용자들의 명단입니다. = 기븐 = 기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기븐 (만화): 일본의 만화 셰이 기븐: 아일랜드의 전 축구 선수 = 마카 (동음이의) = 마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카: 페루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인 십자화과 두해살이풀 마카 (태수령) 켄 마카: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 = 십이이십면체 = 십이이십면체는 정십이면체의 쌍대다면체인 정이십면체의 중간이다. 면의 수는 역시나 32개이지만, 모서리의 수는 60개, 꼭짓점은 30개 뿐이다. 정십이면체의 꼭짓점이나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을 모서리의 1/2 정도 깎아서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비틀어 붙인 오각둥근지붕으로 볼 수 있다. = 비틀어 붙인 두 오각둥근지붕 = = 공식 = = 한 모서리의 길이가 a인 십이이십면체의 겉넓이 A와 부피 V는 다음과 같다. = = 비슷한 다면체 = = 정십이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정이십면체 = 스티븐 블룸 = 스티븐 블룸(, 1960년 4월 28일 ~ )은 미국의 성우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의 스파이크 슈피겔 역, GTO의 오니즈카 선생 역, 미국 애니메이션 코라의 전설의 아몬 역, 트랜스포머 프라임의 스타스크림 역이 대표작이다. 또 울버린의 전담 성우이다. = = 성우 출연작 목록 = = = = = 일본 TV 애니메이션 = = = 연도 제목 영어 제목 배역 비고 1992-93 강식장갑 가이버 Guyver Bio Booster Armor 마키시마 아기토 데뷔작 1999 카우보이 비밥 Cowboy Bebop 스파이크 슈피겔 2000-03 디지몬 테이머즈 Digimon: Digital Monsters 길몬 2001-03 빅O The Big O 로저 스미스 2001 바람의 검심 Rurouni Kenshin 시시오 마코토 데이비드 루커스 명의 2001 괴도 세인트 테일 Saint Tail 하네오카 겐이치로 2002 GTO Great Teacher Onizuka 오니즈카 에이키치 2003 마호로매틱 Mahoromatic 류가 도 2003 쵸비츠 Chobits 우에다 히로야스 데이비드 루커스 명의 2003 라스트 엑자일 Last Exile 빈센트 알제이 2004 건그레이브 Gungrave 밸러드버드 리 앤드루 워튼 명의 2005-09 나루토 Naruto 모모치 자부자, 오로치마루 텔레비전 영화 2007-08 블러드+ Blood+ 모지스 2008 천원돌파 그렌라간 Gurren Lagann 리런 리트너 2009- 나루토 질풍전 Naruto Shippuden 오로치마루 2011 듀라라라!! Durarara!! 가도카 교헤이 2011 울버린 Marvel Anime: Wolverine 미카게 기쿄 2011-12 엑스맨 Marvel Anime: X-Men 울버린 2012 블레이드 Marvel Anime: Blade 미카게 기쿄 2013 타이거 & 버니 Tiger & Bunny 제이크 마르티네스 = = = 미국 TV 애니메이션 = = = 연도 제목 영어 제목 배역 비고 2004-06 마법소녀 위치 W.I.T.C.H. 2005-08 벤10 Ben 10 빌객스, 히트블래스트, 고스트프리크 2008-09 스파이더맨 vs. 최강의 적 The Spectacular Spider-Man 그린 고블린, 카멜레온 2008-09 울버린과 엑스맨 Wolverine and the X-Men 울버린 2009 지아이조: 결단 G.I. Joe: Resolute 듀크, 로드블록 2001 슈퍼 히어로 스쿼드 The Super Hero Squad Show 울버린, 어보미네이션 데이비드 루커스 명의 2010 배트맨 용감무쌍 Batman: The Brave and the Bold 히트 웨이브, 캡틴 콜드 "Requiem for a Scarlet Speedster" 에피소드 2010-12 어벤져스 Avengers: Earth's Mightiest Heroes 로건, 레드 스컬, 베타 레이 빌 외 2010-13 트랜스포머 프라임 Transformers: Prime 스타스크림, 봄쇼크 외 2011-12 영 저스티스 Young Justice 버티고 백작, 루디 웨스트 2011 트랜스포머 레스큐봇 Transformers: Rescue Bots 히트웨이브 2012-14 코라의 전설 The Legend of Korra 아몬 2012-14 얼티밋 스파이더맨 Ultimate Spider-Man 울버린, 비틀, 닥 샘슨 외 2012 벤10: 옴니버스 Ben 10: Omniverse 빌객스 2013-15 헐크와 스매시 요원들 Hulk and the Agents of S.M.A.S.H. 사우론, 울버린, 레커 2014 스타워즈 반란군 Star Wars Rebels 제브 2014 돌연변이 특공대 닌자 거북이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스피드 데몬 "Race with the Demon!" 에피소드 출연 = = = 비디오 애니메이션 = = = 연도 제목 영어 제목 배역 비고 2002 카우보이 비밥 천국의 문 Cowboy Bebop: The Movie 스파이크 스피겔 2005 디지몬 테이머즈: 모험자들의 전쟁 Digimon Tamers: Battle of Adventurers 길몬, 그라우몬 2005 디지몬 테이머즈: 폭주 디지몬 특급 Digimon Tamers: Runaway Locomon 길몬 2006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Final Fantasy VII: Advent Children 빈센트 밸런타인 2009 헐크 대 울버린 Hulk Vs 울버린 2010 단테스 인페르노 Dante's Inferno: An Animated Epic 루시퍼 2010 DC 쇼케이스: 그린 애로우 DC Showcase: Green Arrow 버티고 백작 2011 올스타 슈퍼맨 All-Star Superman 아틀라스 2013 Lego Batman: The Movie – DC Super Heroes Unite 베인, 펭귄 2013 저스티스 리그: 플래시포인트 패러독스 Justice League: The Flashpoint Paradox 렉스 루터 2013 트랜스포머 프라임 비스트헌터: 프레데콘 라이징 Transformers Prime Beast Hunters: Predacons Rising 스타스크림, 다크스틸 2013 Lego Marvel Super Heroes: Maximum Overload 울버린 2014 저스티스 리그: 워 Justice League: War 다크사이드 2014 저스티스 리그: 아틀란티스의 왕좌 Justice League: Throne of Atlantis 렉스 루터 = = = 비디오 게임 = = = 연도 제목 영어 제목 배역 비고 2003 스폰: 아마겟돈 Spawn: Armageddon 바이얼레이터 2003 미션 임파서블: 수르마 작전 Mission: Impossible – Operation Surma 이선 헌트 2004 엑스맨 레전드 X-Men Legends 울버린 2005 퍼니셔 The Punisher 불스아이, 맷 머독 2005 갓 오브 워 God of War 아레스 2005 엑스맨 레전드 2: 라이즈 오브 아포칼립스 X-Men Legends II: Rise of Apocalypse 울버린, 오메가 레드 2006 엑스맨: 공식 게임 X-Men: The Official Game 제이슨 스트라이커 2006 캐리비안의 해적: 잭 스패로우의 전설 Pirates of the Caribbean: The Legend of Jack Sparrow 블랙 스모크 제임스, 깁스 2007 고스트 라이더 Ghost Rider 복수 2007 스파이더맨 3 Spider-Man 3 라이노 2008 스파이더맨: 웹 오브 쉐도우 Spider-Man: Web of Shadows 울버린 2009-11 워해머 40,000: 돈 오브 워 2 Warhammer 40,000: Dawn of War II 사이러스 2009 엑스맨 탄생: 울버린 X-Men Origins: Wolverine 웨이드 윌슨, 켈리 상원의원 2009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 G.I. Joe: The Rise of Cobra 궁 호, 아이언 그리네이더 2009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Batman: Arkham Asylum 킬러 크록 2010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Transformers: War for Cybertron 내레이션, 바리케이드 2010 타이탄 Clash of the Titans 에우사이비오스, 칼리보스 2010 배트맨 더 브레이브 Batman: The Brave and the Bold – The Videogame 캡틴 콜드, 히트웨이브 2010 스파이더맨: 섀터드 디멘션 Spider-Man: Shattered Dimensions 홉고블린, 벌처 2011 마블 대 캡콤 3 Marvel vs. Capcom 3: Fate of Two Worlds 울버린, 태스크마스터 2011 토르: 천둥의 신 Thor: God of Thunder 울리크 2011 그린 랜턴: 라이즈 오브 맨헌터 Green Lantern: Rise of the Manhunters 아몬 수르 2011 트랜스포머 3 Transformers: Dark of the Moon 스타스크림 2011 캡틴 아메리카: 슈퍼 솔저 Captain America: Super Soldier 하인리히 제모 남작 2011 엑스맨: 데스티니 X-Men: Destiny 울버린, 파이로 2011 스파이더맨: 엣지 오브 타임 Spider-Man: Edge of Time 안티베놈 2011 스타워즈: 구 공화국 Star Wars: The Old Republic 안드로니코스 레벨, 데스마크 남작 2012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 Lego Batman 2: DC Superheroes 펭귄, 베인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The Amazing Spider-Man 리저드 2012 트랜스포머: 폴 오브 사이버트론 Transformers: Fall of Cybertron 샤프샷, 쇼크웨이브, 스윈들 2012 마블 어벤저스: 배틀 포 어스 Marvel Avengers: Battle for Earth 울버린, 주시자 우아투 2012 트랜스포머 프라임 Transformers Prime: The Game 스타스크림 2013 갓 오브 워: 어센션 God of War: Ascension 아레스 2013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StarCraft II: Heart of the Swarm 아바투르 2013 마블 히어로즈 Marvel Heroes 울버린, 로켓 라쿤, 미스터 시니스터, 태스크마스터, 사우론 2013 데드풀 Deadpool 울버린 2013 레고 마블 슈퍼 히어로즈 Lego Marvel Super Heroes 울버린, 그린 고블린 2013 배트맨: 아캄 오리진 Batman: Arkham Origins 일렉트로큐셔너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The Amazing Spider-Man 2 사냥꾼 크레이븐 2013 인피닛 크라이시스 Infinite Crisis 렉스 루터 2015 모탈 컴뱃 X Mortal Kombat X 서브제로, 렙타일, 보라이초 2016 배트맨: 텔테일 시리즈 Batman: The Telltale Series 레이디 아캄, 블록버스터 = = 영화 = = 2018년 범블비 - 휠잭 역 = 분류:뉴질랜드의 행사 = = 분류:니카라과의 여성 = = 분류:2002년 이스라엘 = = 분류:일본어 컴퓨팅 = = 모듈:Location map/data/Denmark Central Denmark Regio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Denmark_Central_Denmark_Regio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루마니아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인권운동가 = 잣기름 = = = 쓰임새 = = 한국에서는 백자주를 담글 때 쓴다. = 분류:알제리 하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다카이시시 = 다카이시시는 일본 오사카 만에 면한 오사카부의 중남부에 위치한 시이다. 오사카 부내의 시로서는 후지이데라시(8.89km2)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좁지만 임해부는 석유 콤비나트(combinat), 내륙부는 주택 지역으로서 발전하고 있다. 방재나 육아 지원 등에 힘을 쓰고 있어 살기 좋은 마을 조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 지리 = = 다카이시 시는 오사카 부의 센슈 지역의 북부(센보쿠)에 위치하고 북쪽과 동쪽은 사카이시(니시구)에, 남쪽은 이즈미시와 이즈미오쓰시에 각각 인접해있고 서쪽은 오사카 만에 접하고 있다. 시역의 거의 전역이 평탄하고 동서 6.1km, 남북 4.1km이며 시역 11.35km2의 면적의 작은 시이다. 교통망은 오사카 부도 204호계 한난선, 국도 26호선, 오사카 부도 30호 오사카 이즈미 센난 선, 한신 고속 4호 만안선 등의 주요 도로와 함께 난카이 본선과 JR 한와 선이라고 하는 2개의 철도 노선이 남북으로 달리고 있다. 또 하고로모 역, 다카이시 역, 도노키역의 세 역으로부터 오사카 시 중심부까지 소요 시간은 약 20분이고 간사이 국제공항에서도 20여km로 가까워 온난한 기후와 함께 편리하고 살기 좋은 주택지로서 발전하고 있다.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오도리 군 다카이시 촌이 성립하였다. 1896년 4월 1일 : 센보쿠 군이 성립하였다. 1915년 4월 1일 : 정으로 승격해 센보쿠 군 다카이시 정이 되었다. 1953년 4월 1일 : 센보쿠 군 도리시 촌을 편입하였다. 1966년 11월 1일 : 시로 승격해 다카이시 시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다카시노하마 선 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 = = = 도로 = = = 한신 고속도로 국도 제26호선 = 반복문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반복문은 제어문중 하나로, 프로그램 소스 코드내에서 특정한 부분의 코드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문이다.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는 '구조화 프로그램 정리'(structed program theorem)에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순차실행문(sequence), 조건문(selection), 반복문(repetition)으로 구성된 3개의 서브프로그램(subprogram) 유형을 필연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 = 예 = = for 루프 또는 while 루프등은 반복문들의 일종이다. 한편 for 루프는 while 루프와 같은 다른 반복문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해당 루프에 연계된 루프 변수가 존재하며, 그 변수의 증감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별도의 문법 구문을 추가로 할애한 점이 강점이다. = = 참고 =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Notes on Structured Programming 레드햇리눅스Ver5.2 사이버출판사 송창훈1999 - 6장 쉘스크립트작성과활용 (structured theorem)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Карело-Финская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Карело-Финская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국장)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부터 1956년까지 존재했던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이다. = = 역사 = =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면서 러시아 연방에 속해있던 나라들은 러시아로부터 독립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핀란드 역시 러시아의 통치를 받고 있던 영토 중 하나였으며, 러시아 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적군과 러시아로부터 독립하자는 백군이 대립, 백군이 승리하면서 러시아로부터 독립한다. 이 과정에서 내전에서 패배한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로 망명하게 되었다. 1939년 소련은 나치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으면서 양측이 옛날 잃었던 영토를 서로 합병하는 것에 승인했다. 이 조약으로 독일은 폴란드의 독일땅을 다시 회복할 수 있었으며, 소련은 러시아 제국 시절의 영토였던 폴란드의 동부와 발트 3국, 베사라비아(지금의 몰도바), 핀란드를 다시 소련으로 병합할 계획이었다. 소련은 정치적으로 핀란드를 점령할 명분을 얻기 위해 1940년 3월 31일 핀란드의 공산주의자들로 하여금 카렐리야 지역에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웠다. 소련은 카렐리야-핀란드 공화국을 핀란드의 정식 정부로 인정하고 핀란드를 다시 병합하려고 했으나, 겨울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소련은 핀란드를 포기하게 되었다. 대신 소련은 보상으로 획득한 핀란드의 영토와 자신들이 세운 핀란드 민주 공화국 정부를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공화국에 합병시키는 것으로 전쟁을 마무리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핀란드 정부는 소련에 중립을 지킬 것을 약속했고, 따라서 소련 정부는 카렐리야-핀란드 공화국 정부는 정치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게 되었다. 1956년 카렐리야-핀란드 공화국은 러시아 공화국에 흡수되어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으며, 1991년 11월 13일 소련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러시아 연방의 카렐리야 공화국이 되었다. 카렐리야 인과 핀란드 인은 이 공화국에서 10% 미만의 소수 민족이었다. = STEREO = STEREO는 NASA의 태양 조사 프로젝트이다. 2대의 조사 위성을 태양 궤도에 올려 놓고 코로나의 분출 (CME) 등을 입체적으로 조사한다. =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잭 더 리퍼 = = 충청북도농산사업소 = 충청북도농산사업소(忠淸北道農産事業所)은 지방자치법 제114조에 따라 농산물 원종 및 우량잠종의 생산·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설치된 충청북도청 소속기관이다. = 분류:안도라의 동물상 = = 분류:레드벨벳의 음반 = = 폴 송 = 폴 송(1983년 10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다. 2015년 싱글 앨범 [내꺼 (She`s Mine)]로 데뷔했다. = = 방송 = = 히든싱어 1 (2012) 시즌 1 바비킴편 준우승 시즌 1 왕중왕전 5위 = = 음반 = = 내꺼 (She's Mine) (2015) 좋은 사람 OST Part.25 (2016) 사랑 뺏기 (2016) 우리 갑순이 OST Part.20 (2017) 우리 갑순이 OST (2017) 러블리가스펠 Live Ver.1 폴 송 (2019) = = 공연 = = 히든7스페셜 콘서트 - 부산 (2016) 그리고 꿈꾸다 (2016) 폴송 조현민 박민규의 그리고꿈꾸다 - 청주 (2016) 폴송 콘서트 (2016) 폴송 콘서트 7th story (2017) = 2016년 후반기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 2016년 후반기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는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의 11번째 대회로 지역 대회는 2016년 5월 21일부터 6월 25일까지 진행되었고 왕중왕전은 7월 4일부터 7월 15일까지 진행됐다. 결승전에서 덕수고등학교가 서울고등학교에 7-4로 승리하면서 6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강준혁이 최우수선수에 선정됐다. = = 지역 대회 = = = = =영남 · 제주 = = = = = = =경상 A = = = = 순위 학교 경기 승 패 1 경북고등학교 5 4 1 2 포항제철고등학교 5 3 2 3 대구고등학교 5 3 2 4 상원고등학교 5 2 3 5 경주고등학교 5 2 3 6 글로벌선진학교 5 0 5 = = = =경상 B = = = = 순위 학교 경기 승 패 1 마산용마고등학교 6 5 1 2 마산고등학교 6 4 2 3 김해고등학교 6 4 2 4 물금고등학교 6 2 4 5 울산공업고등학교 6 1 5 = = 왕중왕전 = = 제71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 바즈겐 = 바즈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바즈겐 사르키샨: 아르메니아의 군인, 정치인 바즈겐 마누캰: 아르메니아의 정치인이자 전 총리 = 대한민국 헌법 제6호 = 대한민국 헌법 제6호(大韓民國憲法第六號)는 1962년 12월 26일 대한민국 헌법 제5호가 전부 개정되고 국민투표로 개정된 최초의 헌법이다.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한 이래로 5번째로 개정한 헌법이다.) = 스네이크 (영화) = 스네이크(Sssssss)는 미국에서 제작된 버나드 L. 코왈스키 감독의 1973년 공포, SF, 스릴러 영화이다. 스트로더 마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다니엘 C. 스트리페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스트로더 마틴 더크 베네딕트 = = = 조연 = = = 헤더 멘지스 리차드 B. 슐 팀 오코너 잭 깅 캐슬린 킹 렙 브라운 테드 그로스먼 찰스 실 레이 발라드 브렌단 번즈 릭 베크너 짐 드럼 에드 맥크레디 프랭크 코왈스키 랠프 몽고메리 마이클 마스터스 펠릭스 실라 노블 크레이그 = ANTLR = 컴퓨터 기반 언어 인식에서 ANTLR(앤틀러, Another Tool For Language Recognition)는 구문 분석을 위해 LL(*)을 사용하는 파서 발생기이다. ANTLR은 1989년 처음 개발된 PCCTS(Purdue Compiler Construction Tool Set)의 뒤를 이으며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유지보수는 샌프란시스코 대학교의 Terence Parr 교수가 맡고 있다. = = 예 = = 다음의 예에서 ANTLR의 파서는 "1 + 2 + 3"의 식의 합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 Common options, for example, the target language options { language = "CSharp"; } // Followed by the parser class SumParser extends Parser; options { k = 1; // Parser Lookahead: 1 Token } // Definition of an expression statement: INTEGER (PLUS^ INTEGER)*; // Here is the Lexer class SumLexer extends Lexer; options { k = 1; // Lexer Lookahead: 1 characters } PLUS: '+'; DIGIT: ('0'..'9'); INTEGER: (DIGIT)+; 다음의 나열은 프로그램 내 파서 호출을 증명한다: TextReader reader; // (...) Fill TextReader with character SumLexer lexer = new SumLexer(reader); SumParser parser = new SumParser(lexer); parser.expression; = 중립적 시각 = 중립적 시각(Neutral point of view)이란 다음을 뜻한다. 객관성 (과학): 진실을 밝히기 위해 편향이나 감정, 가짜 믿음에서 벗어나는 것 중립성 (철학): 분쟁의 한쪽 편에 서지 않는 것 = 틀:S61 = = 캐리 피셔 = 캐리 프랜시스 피셔(, 1956년 10월 21일 ~ 2016년 12월 27일)는 미국의 배우, 작가, 프로듀서, 그리고 유머 작가다. 그녀는 가수 에디 피셔와 배우 데비 레이놀즈의 딸로, 스타워즈 영화 시리즈에서 레아 공주 역을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녀가 참여한 영화로는 바람둥이 미용사(1975), 블루스 브라더스(1980), 한나와 그 자매들(1986), 유령마을(1989),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1989) 등이 있다. 피셔는 또한 Edge of Postcards와 같은 자신의 반자서전 소설, 이와 동명의 영화 각본을 비롯하여 자전적인 논픽션 책 Wishful Drinking을 쓰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1인 연극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캐리는 다른 작가의 대본을 검토하는 대본 개작 전문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후에 자신의 정신 건강 및 마약 중독에 대한 경험을 대중에게 털어놓아 호평을 받았다. 2016년 12월 27일, 4일 전부터 진행하던 대서양 횡단 비행 중 심장 마비로 인해 향년 60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 = 출연 작품 = = 스타 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 스타 워즈 에피소드 5: 제국의 역습 스타 워즈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 스타 워즈 에피소드 7: 깨어난 포스 스타 워즈 에피소드 8: 라스트 제다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 레아 역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스크림 3 미녀삼총사 : 맥시멈 스피드 섹스 앤 더 시티 위즈 = 분류:카타르의 구단별 남자 축구 선수 = = 일람 = 일람은 이란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일람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166,478명(2005년 기준)이다. 카비르쿠브 산맥과 접하며 이라크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시아파 쿠르드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 분류:노바라의 건축물 = = 타임 슬립 (동음이의) = 타임 슬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타임 슬립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서로 연결된 타임라인 타임슬립 : 드래그 레이싱에서 차량의 소요 시간, 최고 속도, 운전자의 반응 시간의 기록 Time Slip (콘서트 투어) Time Slip (음반) = 히로사키역 = 히로사키역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 고난 철도의 철도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고난 철도 고난 선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역 구조 및 타는 곳 = = = = = 동일본 여객철도 = = =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 · 2 · 3 ■ 오우 본선 (하행) 가와베 · 나미오카 · 신아오모리 · 아오모리 방면 1 · 2 · 3 ■ 오우 본선 (상행) 오와니온센 · 오다테 · 아키타 방면 1 · 2 · 3 ■ 고노 선 고쇼가와라 · 아지가사와 · 후카우라 방면 = = = 고난 철도 = = = 두단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 · 2 ■ 고난 선 히라카 · 구로이시 방면 = = 화물역 = = 일본화물철도의 역은, 여객역 중앙 입구 북쪽에 있다. 1면 2선의 컨테이너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 여러 개의 유치선이 이설되어 있다. 하역선은, 역의 발착선이 있던 아오모리 역 방면의 서쪽으로 늘어진 인상선으로 들어가, 역 방면으로 돌아오는 곳에 분기하고 있다. 영업 창구의 JR 화물 히로사키 영업소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역 업무 · 구내 입환 작업은 하치노헤 임해 철도에서 위탁하고 있다. 화물 열차는, 하루 1회 왕복의 고속 화물 열차가 아오모리 신호장 방면으로의 사이로 운행하고 있다. 오다테역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나, 전용 화물 열차의 발착은 없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4,578 2001 4,446 2002 4,433 2003 4,483 2004 4,398 2005 4,424 2006 4,426 2007 4,425 2008 4,333 2009 4,231 2010 4,348 2011 4,442 2012 4,489 2013 4,641 = = 역 주변 = = 아오이모리 신용금고 · 아오모리 은행 히로사키에키마에 지점 FM 아오모리 히로사키 지사 동일본 여객철도 히로사키 종합 사무소 닛폰 통운 히로사키 지점 히로사키 시립 병원 동일본 여객철도 히로사키 운수구 = 분류:중세 통화 = = 마노에우 = 마노에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노에우 메시아스 시우바 카르발류: 브라질의 축구 선수 세르지우 마노에우: 브라질의 축구 선수 = 민기 = = = 실존 인물 = = 민기(閔箕, 1504~1568)는 조선 중종~명종대의 문신이다. 민기(閔機, 1568~1641)는 조선 선조~인조 시대의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증조부이다. 민기(1987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민기는 대한민국의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프로게이머인 런민기의 본명이다. = = 가공 인물 = = 동네의 영웅의 등장인물 동안미녀의 등장인물 연인들의 등장인물 연인의 등장인물 환상거탑의 등장인물 달콤한 인생의 등장인물 파파로티의 등장인물 막걸스의 등장인물 커튼콜의 등장인물 당신이 잠든 사이에의 등장인물 용루각: 비정도시의 등장인물 밤의 열기 속으로의 등장인물 나는 공무원이다의 등장인물 꿈꾸는 식물의 등장인물 개 같은 것들의 등장인물 군사통제구역 팔이공지대의 등장인물 Dr. 러브의 등장인물 그 남자가 수상하다의 등장인물 유혹의 등장인물 = 분류:670년대 출생 = = 분류:무공훈장 (대한민국) 외국인 수훈자 = = 루시 딕슨 = 루시 딕슨(Lucy Dixon, 1989년 8월 9일 ~ )은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커넥틱스 버추얼 게임 스테이션 = 버추얼 게임 스테이션(, VGS)은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게임들이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틱스가 개발한 에뮬레이터이다. 1999년에 매킨토시용으로 첫 출시되었다. VGS는 MAME가 개발하였다. 재컴파일 CPU 에뮬레이터는 에릭 트라우트가 작성하였다.Aaron's Computing History, The Connectix Era = = 개요 = =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가 인기의 정점을 찍을 당시 출시된 버추얼 게임 스테이션은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최신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풀 스피드로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던 최초의 플레이스테이션 에뮬레이터였으며 다수의 플레이스테이션 게임들을 지원한 최초의 에뮬레이터이기도 하였다. 오리지널 아이맥 G3/233 MHz 시스템에서 풀 스피드로 실행된다고 광고되었으며(내장된 ATi 그래픽 하드웨어에 의존) 일부의 경우 200 MHz 604e 시스템에서도 적절하게 구동될 수 있었다. 이 제품의 영향력은 꽤 컸는데, 규모가 매우 작았던 당시 매킨토시 게임 라이브러리의 그룹이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전반으로 확대될 수준이었다. 그래픽은 전체 화면에서 풀 스피드로 실행이 가능했다. 여러 플레이스테이션 타입의 핸드 컨트롤러는 VGS에서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판매되었다. 듀얼쇽 포스-피드백을 받거나 라이트건을 사용하는 기능은 빠져있었다. VGS는 처음에 NTSC 기반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용으로 출시되었다가 나중에 PAL 기반 게임용 버전이 출시되었다. PS1처럼 선별된 VGS 시스템용으로 출시된 게임들만 구동이 가능했고 복제판 게임은 동작하지 않았으나 해커 커뮤니티가 모드칩 버전을 출시하는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버전 1.1과 1.2의 VGS는 이 모드의 동작을 더 어렵게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VGS는 매우 인기를 끌었는데, 그 이유는 플레이스테이션 가격의 절반이었던데다가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VGS는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로 포팅되었다. Bleem!과 같은 다른 에뮬레이터와의 경쟁으로 인해 인기도가 조금 더 낮았지만 더 나은 호환성을 제공하였다. 소니는 VGS를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커넥틱스에 저작권 침해로 법적 소송을 냈다.*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 (200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v. Connectix Corporation, 203 F.3d 596 (9th Cir. 2000). Accessed online on August 29, 2006. 이 케이스는 커넥틱스의 승리로 끝이 났지만 소니의 일시적 법원 금지 명령으로 인해 커넥틱스는 당시 소프트웨어를 판매할 수 없었다. 그 이후로 머지 않아 소니는 커넥틱스로부터 VGS를 인수하여 제품은 지속되지 못했다. 그때까지 플레이스테이션 2가 거의 출시될 즈음이었고 오리지널 플레이스테이션은 정점을 찍던 상황이었고 사람들은 차세대 콘솔을 기대하고 있었다.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는 12번째로 열리는 이탈리아 축구 리그의 최상위 대회이며, 본 시즌은 에 시작하여 에 종료했다. 우승구단은 이며, 두 번째 우승을 거두었다. 원래는 전통적 우승 타이틀인 "캄피오네 디탈리아"(이탈리아 챔피언)이 수여되지 않았다. 위 타이틀은 병행 리그였던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에 부여됐고, 본 시즌 우승 구단에게는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탈리아"(이탈리아 연방 챔피언)이라는 신생 타이틀이 주어졌다. 외국 국적의 구단진과 선수들로 구성된 풋볼 클럽들이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참가를 보이콧 함으로 인해 (추후에 FIGC가 되는)FIF는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리그의 철폐와 더불어 연방 챔피언인 프로 베르첼리를 하나뿐인 챔피언으로 인정하기에 이른다. = = 시즌 = = 본 토너먼트 대회는 페데라치오네 이탈리아나 델 풋볼(FIF)에서 주최한 열두 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다. = = = 소식 = = =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베네치아가 최초로 리그에 참가했다. = = = 구성 = = = 이번 대회는 홈-어웨이의 방식이 유지되고, 각 네 지역에서 예선을 가져 지역 대표가 전국 단위의 결선에 진출하는 구성이 유지됐으며, 새롭게 베네토 지역 대표 구단이 참가한다. = = = 대회 = = = = = = = 두 리그 = = = = 외국인들에게 열린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와 그렇지 않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라는 두 개의 병행 대회를 만드며 외국인 선수 출장 제약을 건 FIF의 시도는 1908시즌을 혼란스럽게 만들었고 외국 선수들에게서 '이탈리아 챔피언' 타이틀을 위해 경쟁할 권리를 앗아가고, 강제적으로 덜 알려진 "페데랄레 챔피언" 타이틀 쟁탈전으로 내몰았다는 연맹 결정에 이의를 제기한 밀란, 토리노, 제노아 구단의 참가 철회로 이어졌다. 1908년 9월 위 구단과 연맹 간의 중재 회의가 밀라노에서 열렸고, 두 대회 간의 법률상 차이를 없애기 위해 두 대회 명을 각각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나치오날레"(이탈리아 국내 리그)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페데랄레"(이탈리아 연방 리그)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1908년 11월 회합에서 반대파가 제안한 리그명 변경안은 기각됐으며 지난시즌 형식과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이러한 연맹의 모욕에 대한 풋볼 클럽의 대응은 좀더 전략적으로 바뀌었다. 지난 시즌에 했던 것과 정반대의 행동을 취했다. 그들은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에 전부 참가하여 페데랄레 대회를 부각되게 함과 동시에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불참은 유지하여 대중에게 이탈리아노 대회를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전략을 취했고, 연맹과의 두번째 힘싸움을 내년으로 늦췄다. = = = = 지역 예선 = = = = 원래 첫 번째 경기가 1월 10일에 열렸고 제노아가 2-1로 승리를 거뒀고 그 다음주 2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제노아가 본선 진출권을 가져가는 듯 했다. 하지만 FIF에서 불현듯 기술적 오류라는 이유로 1월 10일 경기를 무효화했고, 2월 7일에 재경기를 잡았고, 재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2월 21일 결정전에서 제노아가 승리를 거둬갔다. 심지어 피에몬테 지역 예선 최종 결정전 또한 취소와 연기로 점철됐다. 1차전이 1월 31일에 열렸고 프로 베르첼리가 후반 비스콘티와 프레시아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챙겼으나 토리노 선수단이 경기 주심이 경기 종료 6분 전에 휘슬을 불었다는 기술적 오류를 이유로 FIF에 경기 무효를 항의했다. 그리고 이 항의가 받아들여지면서 재경기가 2월 7일에 베르첼리에서 열렸고 백색군단 프로 베르첼리가 다시 승리했다. 2차전은 1월 31일 1차전 경기 무효의 이유로 2월 14일로 연기가 됐고, 토리노를 덮친 강설과 이탈리아 총선 유세 기간과 겹치면서 1차전 후 1달이 넘어선 3월 14일에야 2차전을 치렀다. = = = = 결선 = = = = 지난 시즌 저항의 의미로 참가를 철회했던 풋볼 클럽들이 캄피오나노 페데랄레에 참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승리는 오직 이탈리아인들로만 구성된 프로 베르첼리에게 돌아갔다. 프로 베르첼리는 소위 '국제적인 척하는' 구단으로 불린 외국인 선수들이 있는 풋볼 클럽들의 불참에 힘입어 지난 시즌 우승을 거뒀었다. 프로 베르첼리는 모든 국적의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페데랄레 대회에서 오직 국내 선수들만으로 이뤄진 선수단으로 승리를 거두며 그 위용을 뽐냈다. 자국민에게만 열린 대회에 대한 연맹의 편애는 작은 구단들이 점차 많은 경험을 쌓게 만들었고, 국제적인 척하는 구단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만이 예선을 통과할 수 있었다. 예선은 본래 2월 7일까지 마치고 전국 본선이 2월 14일에 시작하여 3월 7일에 끝나기로 되어있었으나, 폭설로 인한 경기 연기와 FIF가 경기 무효라 판단하여 경기 취소와 재경기를 진행하는 등의 악재가 발생하며 지역 예선이 길어졌다.라 스템파에 따르면 결선의 원 일정은 아래와 같다.: *2월 14일: 롬바르디아 챔피언-베네토 챔피언 *2월 21일: 리구리아 챔피언-피에몬체 챔피언 경기와 롬바르디아 챔피언-베네토 챔피언 전국 단위의 본선은 베네토에 위치한 구단이 참가하게 되면서 네 구단에 맞게 재설계됐다. 하지만 베네치아는 토리노, 밀라노, 제노아를 묶어 부르는 '공업 삼각지대'의 축구단의 현실과 맞닥뜨릴 준비가 돼 있지 못했다. 밀라네세에게 총 18골을 실점하며 고비를 마셨다. 는 전년도 챔피언인 프로 베르첼리에게 패배했고, 결승전은 지난 시즌 결선에서 '이탈리아 챔피언'자리를 두고 대결을 펼쳤던 와 가 다시 올라왔다. 이번 우승은 피에몬테 지역에서 올라온 밀라네세가 거두었으며, '페데랄레 챔피언'(캄피오네 페데랄레) 타이틀과 코파 오베르티 차카리아스 컵이 수여됐다. 이 후, '국제적인 척하는' 구단들의 방해활동과 더불어 프로 베르첼리 구단 마저도 외면한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가 흥행에 실패를 하며 (현 FIGC) FIF는 '이탈리아노 챔피언'인 유벤투스를 대체하여 프로 베르첼리를 '이탈리아 챔피언'으로 인정했다. = = = = 리그 재결합 = = = = 1909년 연맹 회의가 열렸고 두 페데랄레와 이탈리아노 리그를 단일 리그로 통합하고, 두 개의 타이틀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1910년 이 후에는 두 타이틀 또한 하나로 통합됐다. 이와 더불어 FIGC는 유벤투스가 얻은 1908년 페데랄레 챔피언과 유벤투스와 프로 베르첼리가 얻은 1909, 1910년 이탈리아노 챔피언을 비공인하기로 한다. = = 참가 구단 = = = = = 리구리아 = = = 구단 도시 지난 시즌 제노바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결선 3위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결승전 진출(비공인) 제노바 전 시즌 불참 = = = 롬바르디아 = = = 구단 도시 지난 시즌 밀라노 첫 참가 밀라노 전 시즌 불참 밀라노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결선 2위 = = = 피에몬테 = = = 구단 도시 지난 시즌 토리노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피에몬테 예선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우승(비공인) 토리노 전 시즌 불참 베르첼리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우승 = = = 베네토 = = = 구단 도시 지난 시즌 베네치아 첫 참가 = = 리구리아 예선 = = = = = 결과 = = = 가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 진출. = = 롬바르디아 예선 = = = = = 순위 = = = 범례 : = = = 경기 결과 = = = = = = = 일정 = = = = 1월 10일 3-2 밀란-인테르 1월 10일 휴식: US 밀라네세 1월 24일 0-2 인테르-US 밀라네세 1월 24일 휴식: 밀란 = = 피에몬테 예선 = = = = = 1차 시 예선 = = = = = = 2차 주 예선 = = = = = = 결과 = = = 가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 진출. = =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 = = = = = 결과 = = = 가 결승전 진출. = = 롬바르디아-베네토 준결승전 = = = = = 결과 = = = 가 결승전 진출. = = 결승전 = = = = = 결과 = = = 1909 연방 챔피언 (FIF가 추후에 이탈리아 챔피언으로 인정함) = = = 우승 주역 = = = 포메이션 (2-3-5) 선수 (포지션) 조반니 인노첸티 안젤로 비나스키 주세페 세르베토 구이도 아라 주세페 밀라노 I 피에트로 레오네 펠리체 밀라노 II 카를로 코르나 빈첸초 프레시아 안니발레 비스콘티 카를로 람피니 I = 어시스트 (농구) = 어시스트(assist) 또는 도움은 농구에서 선수가 팀 동료에게 볼을 넘김으로써 팀 동료가 필드골에 의해 득점을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어시스트는 필드 골에 의한 점수로 직접 이어지는 방식으로 팀 동료에게 공을 패스하는 선수에게 귀속된다. 이는 그들이 바스켓에서 "어시스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비 골 텐딩으로 인해 바구니가 주어질 때도 어시스트로 기록된다. 패서가 어시스트를 받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는 약간의 판단이 필요하다. 패스를 받은 선수가 짧은 거리 동안 공을 드리블한 후 골대를 만들어도 패서에게 어시스트가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어시스트의 원래 정의에는 이러한 상황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대별 어시스트 통계를 비교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이다. 득점 직전의 패스만이 어시스트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아이스하키와 같은 다른 스포츠와 달리 필드 골당 하나 이상의 어시스트를 기록할 수 없다. 슛팅 파울과 자유투 득점으로 이어진 패스는 NBA에서는 어시스트로 간주되지 않지만 FIBA 플레이에서는 어시스트로 간주된다. (최소한 자유투가 한 번 이상 이루어진 자유투 세트당 하나의 어시스트만 부여됨) 포인트 가드는 그들의 역할이 주로 패서와 볼 핸들러의 역할이기 때문에 게임당 가장 많은 어시스트(apg)를 얻는 경향이 있다. 센터는 어시스트를 적게 받는 경향이 있지만 플로어 존재감과 코트 시야가 좋은 센터는 어시스트를 통해 팀을 압도할 수 있다. 키 안에 있기 때문에 센터는 득점 지역에서 "접시" 및 기타 짧은 패스를 위한 최적의 각도와 최적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 NBA 센터 니콜라 조키치(Nikola Jokić)는 어시스트와 플레이메이킹 부문에서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다. 센터 윌드 챔벌레인(Center Wilt Chamberlain)은 1968년 총 어시스트에서 NBA를 이끌었다. 전 NBA 센터인 하킴 올라주원(Hakeem Olajuwon)과 같이 내부 득점 능력을 갖춘 강력한 센터도 효과적인 어시스턴트가 될 수 있다. NBA 단일 게임 어시스트 팀 기록은 1978년 12월 26일 밀워키 벅스가 보유한 53개이다. NBA 단일 게임 어시스트 개인 기록은 1990년 12월 30일 올랜도 매직의 스콧 스킬레스(Scott Skiles)가 보유한 30개이다. 대부분의 커리어 어시스트에 대한 NBA 기록은 15,806으로 존 스톡턴(John Stockton)이 보유하고 있다. 스톡턴은 또한 1989-1990 정규 시즌 동안 14.5로 게임당 NBA 단일 시즌 어시스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NBA 역사상 게임당 평균 어시스트 최고 기록은 매직 존슨이 보유하고 있으며 게임당 11.2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고 있다. = 샐리 (라인프렌즈) = 샐리는 라인프렌즈에서 제작한 동물 캐릭터이다. 모태는 병아리이며 암컷이다. 애니메이션 라인타운 성우는 에노모토 아츠코(일본판) / 우정신(한국판)이며 출동! 레인저스 성우는 배수빈이다. = = 개요 = = 라인프렌즈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귀엽게 보이지만 한 번 화나면 빡치고 무서운 성격으로 돌변한다. 거칠고 다혈질적이지만 가끔은 의젓한 소리를 할 때도 있다.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도 엉뚱하고 괴짜같은 행동으로 날릴 때가 있다. = = 특징 = = 입술과 발 모양때문에 오리라는 일설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병아리였음이 인정되었다. 예전 네이버 블로그 라인 캐릭터 스티커상에서도 코니가 한 손에 닭다리를 들면서 또 한 손으로 샐리의 머리를 잡으며 입맛을 다시고 있고 샐리가 떠는 모습의 스티커가 나오기도 하여서 사실상 병아리임이 인정되었다. = 분류:위덕대학교 교수 = = 빠른맥 = 빠른맥(tachycardia) 혹은 빈맥(頻脈)은 심장이 빨리 뛰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소아는 성인에 비해 심박수가 빨라 정상 심박수 기준이 다르며, 성인의 경우 1분에 95회 이상이면 일단 빠른맥으로 추정한다. 출혈이나, 심장의 이상, 혹은 심각한 질병이 있어 위험할 때는 거의 심장이 빨리 뛰게 된다. 이외에 심장 자체의 문제로 빈맥이 생겨도 위험하다. 특히 심실세동은 즉각 치료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하다. = = 진단 = = 나이별 빠른맥의 절단값은 표준화되어 있으며, 그 절단값은 아래와 같다:Custer JW, Rau RE, eds. Johns Hopkins: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ed. Philadelphia, PA: Mosby Elsevier Inc; 2008. Data also available through eMedicine: Pediatrics, Tachycardia. 1–2일: 빠른맥 > 159 bpm(분당 맥박수) 3–6일: 빠른맥 >166 bpm 1–3주: 빠른맥 >182 bpm 1–2개월: 빠른맥 >179 bpm 3–5개월: 빠른맥 >186 bpm 6–11개월: 빠른맥 >169 bpm 1–2년: 빠른맥 >151 bpm 3–4년: 빠른맥 >137 bpm 5–7년: 빠른맥 >133 bpm 8–11년: 빠른맥 >130 bpm 12–15년: 빠른맥 >119 bpm >15년 – 성인: 빠른맥 >100 bpm = 암파라 = 암파라는 스리랑카 동부주 암파라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분류:1825년 기재된 포유류 = = FM 98.9 = FM 98.9는 원주MBC FM4U에서 매일 오후 4시부터 저녁 6시까지 방송했던 논스톱 BGM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1986년 8월 28일 원주MBC FM4U 개국과 함께 첫방송되어 2003년 4월 13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 분류:스페인 주재 인도 대사 = = 기념물 = 기념물(紀念物)은 특정한 사람, 사건 등을 기념하기 위해 보존하는 물건이다. = 틀:축구단 고스타레시 풀라드 = = 분류:브릿팝 = = 반다이 = 주식회사 반다이는 일본의 완구 회사이다. 현재는 반다이 남코 홀딩스의 자회사이다. = = 더 보기 = = :en:Bandai Museum :en:Mugen Puchipuchi Family Fun Fitness Pad 건담 닌텐도 다카라토미 플라스틱모델 = 도그스포츠 = 도그스포츠는 개를 이용하거나 개가 참여하는 스포츠이다. = 분류:뉴저지 데블스 = = 2018년 8월 누벨칼레도니 지진 = 2018년 8월 누벨칼레도니 지진은 2018년 8월 29일 프랑스 누벨칼레도니 섬 서쪽 해상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7.1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바누아투 레나켈에 최대 27cm, 누벨칼레도니 오뉜 강 지역에 최대 26cm의 지진 해일이 덮쳤다. 오스트레일리아판과 태평양판의 판 경계간 지진으로 추정된다. 바누아투 및 누벨칼레도니, 피지 지역에 쓰나미경보가 발령되었다가 해제되었다. 9월 10일엔 모멘트 규모 M6.3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여진으로 인한 쓰나미나 피해는 없었다. = 밀헴 코타즈 = 밀헴 코타즈(Milhem Cortaz, 1972년 12월 6일 ~ )는 브라질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상파울루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더 인티머씨 오브 스트레인저 (2018년) 하이 익스펙테이션스 (2016년) 알레마오 (2014년) 블루 블러드 (2014년) 울프 앳 더 도어 (2013년) - 베르나르도 역 더 고릴라 (2012년) 아만하 넌카 마이스 (2011년) 보카 (2010년) 엘리트 스쿼드 2 (2010년) - 코로넬 파비우 역 룰라, 브라질의 아들 (2009년) 악의 화신 (2008년) 플라스틱 시티 (2008년) 낫 바이 찬스 (2007년) 엘리트 스쿼드 (2007년) 드레인드 (2006년) 저니 투 더 엔드 오브 더 나잇 (2006년) - 로드리게즈 역 니나 (2004년) 카란디루 (2003년) = 김진권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김진권: 법조인 진권: 가수 (본명: 김진권) = = 가공 인물 = = 견: 버려진 아이들의 등장 인물 = 우추이구 = 우추이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이춘 시의 행정구역이다. = = 행정 구역 = = 向阳街道, 曙光街道, 解放经营所, 昆仑气林场, 开源林场, 么河经营所, 冲锋经营所, 翠峦河经营所, 抚育河经营所, 尖山河经营所博雅地名网 > 黑龙江 > 伊春市 = 분류:1975년 북베트남 = = 식스60 = 식스60(, 식스식스티)는 2008년 결성된 뉴질랜드의 5인조 밴드이다. = = 내력 = = 2010년 8월 10일에 발매한 싱글 "Rise Up 2.0"이 뉴질랜드 싱글 차트에서 5위를 차지했다. 4주째 차트에서 사라졌다가 2010년 12월에 다시 차트에 진입하고 10주째 1위를 차지했다. 2011년 10월 10일에 발매 한 앨범 Six60이 뉴질랜드의 앨범 차트 첫 등장 1위를 차지했다. = 분류:파포스 FC = =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북제주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제주도 제주시와 북제주군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제주시 선거구와 북제주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제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63년 민주공화당 임병수 1967년 민주공화당 양정규 1971년 민주공화당 홍병철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 = = 파엔차 = 섬네일 파엔차(Faenza)는 볼로냐에서 남동쪽으로 5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에밀리아로마냐주 라벤나도의 코무네이자 이탈리아의 도시이다. 파엔차는 마욜리카 유리 토기의 역사적인 제조지역이다. 아펜니노 이남 첫 언덕들의 끝자락에 위치한 파엔차는 포도원을 포함한 농업 지역에 둘러싸여 있다. 주변의 사모기아강과 라몬강의 푸른 계곡들에 수많은 18~19세기의 집이 있다. = = 자매 도시 = = 프랑스 베르주라크 오스트리아 그문덴 중국 징더전시 그리스 마로우시 크로아티아 리예카 독일 슈베비쉬그뮌트 스페인 탈라베라데라레이나 루마니아 티미쇼아라 일본 도키시 = 이근석 = 이근석(李根晳, 1917년 1월 17일 ~ 1950년 7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일본식 이름은 아오키 모토미쓰(青木根晳, 청목근석)이다. 그는 대한민국 공군 창설자 중 한 명이었으며 한국 전쟁 당시 전사했다. = = 생애 = = 그는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 청산면 구원리 출생으로 어려서부터 끝없는 하늘에 대한 동경과 함께 비행사에 대한 꿈을 품어왔는데 1933년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있는 구마다니(態谷) 비행학교에 소년비행병 제2기생으로 입교한 이근석은 쾌활하고 과단성 있는 호남아로 명성을 떨쳤고 뿐만 아니라 진취성과 적극성을 겸비한 학생으로서 평판이 높았다. 또한 민족적인 울분으로 일본인에게 지지 않으려는 자존심이 그의 모든 처신에 잠복해 있었으며, 천재적이라 할 만큼 뛰어난 조종사로서의 재능은 그를 가장 우수한 학생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그의 조종술은 교내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담당교관은 그를 비행술의 천재라 칭할 정도였다. 1934년 만주사변에서 구마다니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요시오카(吉岡) 전투비행부대로 배속되었는데, 당시 요시오카 전투비행부대는 육군항공부대 중에서도 최정예의 조종사들로 구성된 부대였다. 첫 출격부터 적기를 격추하는 전과를 올린 그의 조종술은 부대의 정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77전대에 배속, 랑군 비행장 폭격에 참여했다가 영국군 67비행대 소속 부르스터 버팔로 전투기에게 격추당해 포로가 된다. 포로가 되기까지 올린 전과는 18대 혹은 23대 격추이다. 포로 생활을 하며 다른 일본군 포로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며, 설욕을 다짐했었다고 한다. 영국군 포로 수용소에서 일어난 항명 사건에도 가담했던 것으로 보인다. 해방 후 공군 창설에 주력해 최용덕(崔用德), 김정렬(金貞烈), 이영무(李永茂), 장덕창(張德昌), 박범집(朴範集), 김영환(金英煥) 등과 함께 공군 창설 7인 간부의 일원으로 이 과정에 참여하여 마침내 1946년 4월 1일 최초의 항공부대가 조선경비대 내에 창설되었다. 1948년 수색의 조선경비대 보병학교를 거쳐 5월 14일 태능의 경비사관학교를 간부후보생 1기로 졸업, 육군 소위로 임명된 그는 육군항공 총감부와 육군항공기지사령부에서 비행단장으로 근무한 후 1949년 7월 육군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1949년 10월 육군으로부터 공군이 독립됨과 동시에 이근석은 새로이 창설된 공군사관학교의 초대 교장으로 임명되어 공군의 간성을 육성하는데 이바지하였다. 1950년 5월 공군 비행단장에 임명되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F-51전투기 인수단장의 자격으로 도일(渡日)하여 미 극동공군이 양도한 10대의 최신 전투기를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F-51기를 인수하여 귀국해 1950년 7월 3일 작전명령 제25호에 의거 대한민국 공군 사상 최초의 전투기 출격을 감행하였으며, 7월 4일에도 작전수행을 위해 출격해 임무를 수행하던 중 안양 상공에서 지상의 목표를 향한 저고도 급강하 공격 도중, 일본군 시절에 조종하던 Ki-27과 달리 중량이 무겁던 F-51전투기의 특성을 미쳐 파악못해 결국 상승을 실패함과 동시에 지면에 그대로 추락해서 전사한다. 이에 대해서 당시 대한민국 공군을 지원하던 미국의 딘 헤스 소령은 저서에서 "미군기를 과거에 다수 격추시켰었다는 자신감에 배움에 있어서 회의적이었다."고 회상하며 "능숙한 조종사가 어처구니 없이 희생되었다."고 적었다. 사후 1951년 9월 19일 태극무공훈장과 함께 공군 대령에서 공군 준장으로 특진이 추서되었으며, 뒤이어 미국 정부로부터 특수비행훈장을 증여받았다. 유해는 1957년 4월 28일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 장군묘역 1-2에 안장되었다. = 분류:미국의 시대사 = = 분류:옥스퍼드 대학교의 도서관 = = Super Summer = 〈Super Summer〉(수퍼 서머, )는 일본의 걸 그룹 NiziU의 첫 번째 디지털 싱글이다. 2021년 7월 5일에 Epic Record Japan에서 발매됐다. 코카콜라 “이 순간이, 나.” Summer편의 광고 음악에 사용되고 있다. = = 개요 = = 두 번째 싱글 〈Take a picture / Poppin' Shakin'〉로부터 약 3개월 만의 신곡 발매이다. 데뷔하고나서 첫 디지털 싱글이다. 2021년 7월 2일 저녁 8시에 디지털 싱글 발매가 발표되었으며, 사전 예약을 시작했다. = = 차트 성적 = = 2021년 7월 14일(집계 기간: 2021년 7월 5일 ~ 7월 11일)에 공개된 빌보드 재팬 차트 Download Songs에서 첫 등장으로 3위(22,101DL)를 기록했다. 또, 주간 5,338,736회 재생으로 스트리밍 13위를 기록했으며, 종합 차트 JAPAN HOT 100에서는 8위로 처음 차트인하였다. = = = 주간 차트 = = = 차트 (2021년) 최고순위 일본 (Billboard Japan Hot 100) 8 일본 (Billboard Japan Download Songs) 3 일본 (Billboard Japan Streaming Songs) 13 일본 (오리콘 디지털 싱글) 3 = 틀:전북특별자치도의원 선거 = = 스티븐 휘테커 = 스티븐 고든 휘태커(Steven Gordon Whittaker, 1984년 6월 16일 ~ )는 스코틀랜드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포지션은 라이트 백이었으며, 현재는 플리트우드 타운 FC의 수석 코치이다. = 분류:1801년 한국 = = 분류:당나라의 도독 = = 미디어위키:Gadget-section-modules = = All We Know Is Falling = All We Know Is Falling는 2005년 7월 26일에 발매된 파라모어의 음반이다. 퓨얼드 바이 라멘에 의해 발매되었다. = Lollipop (빅뱅과 2NE1의 노래) = 〈Lollipop〉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빅뱅과 2NE1이 LG전자의 핸드폰 제품 싸이언 롤리팝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 된 싱글 음반이다.Lee, Duna. '여자빅뱅' CF통해 모습 공개한다 ("Female Big Bang" First Shown Through Commercial) . uKopia. March 26, 2009. Retrieved May 6, 2009. 노래 제목은 1958년에 히트한 줄리어스 딕슨과 버벌리 로스가 작사한 "Lollipop"에서 따왔다. 이 곡은 Mnet 음악 차트에서 4주 연속 1위를 포함해 각종 음원 포털 사이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Kim, Hyeong-woo. 빅뱅-2NE1 ‘롤리팝’ 엠넷차트 4주연속 1위 기염 (Big Bang-2NE1 "Lollipop" M-Net 4-Week #1) . Joins.com/Newsen. April 28, 2009. Retrieved May 6, 2009. 2009년 3월 27일 YG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되었다. "Lollipop"은 2NE1의 비공식 데뷔 싱글으로, 그들의 정식 데뷔 싱글은 아니다.빅뱅에 숟가락 얹은 ‘2NE1’ 성공할 수 있을까? (Big Bang's Helping Hand for 2NE1; Can They Succeed?) . Kukinews. April 14, 2009. Retrieved April 22, 2009. 이 곡은 CM송에도 불구하고 국내 모든 음원차트 1위를 석권하며 가온 월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3,300,000의 디지털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엄청난 히트를 쳤으며, 각종 패러디와 롤리팝 패션을 유행시키는 등 문화현상으로 발전하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 = 프로모션 = = 이 곡은 LG전자의 핸드폰 브랜드 싸이언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 되었다. 대한민국의 오프라인 차트와 온라인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YG의 2010년 콘서트 투어에서 첫 공연 되었다. = = 뮤직 비디오 = = 이 뮤직 비디오는 서현승 감독이 맡아 2009년 3월 첫주에 제작 되었고, 무지개와 멀티 컬러 배경에서 두 그룹이 함께 춤을 추는 식으로 촬영 되었다. 비하인드 씬 버전은 이후 2009년 5월 2일에 공개되었다. = 분류:1916년 설립 = = 캐시드럴시티 = 캐시드럴시티, 줄여서 캣 시티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군에 위치한 휴양 도시로, 콜로라도 사막의 코첼라 밸리 내에 위치하여 있다. = 분류:마이오세 아시아의 생물 = 마이오세의 아시아 생물 분류 생물 아시아 *1 en:Category:Miocene life of Asia = 분류:남에게주의 스포츠 = = 분류:스리랑카의 업종별 기업 = = 분류:비디오 게임의 보스 캐릭터 = = 예고편 = 예고편(豫告篇) 또는 트레일러(trailer)는 장차 영화관에 상영할 예정인 장편 영화를 위한 광고이다. 트레일러라는 용어는 "뒷따라다니는 것"을 뜻하는데, 본래 장편 극영화의 상영 끝부분에 해당 영상이 뒤따르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는데 관객들이 영화가 끝나면 바로 자리를 뜨면 전혀 홍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영화 예고편은 현재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 그리고 인터넷과 모바일 장치를 통해 대중화되어 있다. 연간 온라인으로 감상되는 100억 개의 비디오 가운데 뉴스와 사용자 제작 동영상에 이어 영화 예고편이 3위를 차지한다. 또, 예고편 포맷은 텔레비전 쇼, 비디오 게임, 책, 영화 이벤트/콘서트를 위한 프로모션 도구로서 채택되고 있다. = = 역사 = = 미국 영화 극장의 최초의 예고편은 1913년 11월에 있었으며, Marcus Loew 극장 체인의 광고 관리자 Nils Granlund가 브로드웨이의 윈터 가든 극장에서 열리는 뮤지컬 아가씨들 멋대로(The Pleasure Seekers)를 위한 짧은 프로모션 필름을 제작하였다. = 분류:바베이도스-캐나다 관계 = = 레드 윙스 항공 = 레드 윙스 항공은 러시아의 전세 항공사로 본사는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해 있으며 허브 공항은 도모데도보 국제공항이 있다. = = 역사 = = 1999년 VARZ-400이 설립되었다. VARZ는 브누코보 항공기 복구 작업을 의미한다. 2001년 항공 400으로 사명을 변경 했다가 2007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최근에 경영 일환으로 에어버스 A320-200, 에어버스 A321-200을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Red Wings considers A321s as suitable A320s prove elusive, in Flight International, abgerufen 24. August 2008 = = 운항 노선 = = 2017년 6월 기준으로 현재 레드 윙스 항공은 허브 공항인 모스크바에 위치한 브누코보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여객 및 화물 항공편 및 지중해 지역의 다양한 목적지로 전세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 = 보유 기종 = = = = = 현재 보유 중인 기종 = = = 2021년 1월 기준으로 레드 윙스 항공은 다음과 같이 보유하고 있다. 레드 윙스 항공의 보유 기종 에어버스 A320-200 4 0 0 180 180 에어버스 A321-200 11 0 0 220 220 보잉 777-200ER 1 2 TBA TBA TBA 이르쿠트 MC-21-300 0 16 TBA TBA TBA 2021년부터 도입 예정 수호이 슈퍼제트 100-95 4 56 0 100 100 합계 20 74 = = = 퇴역 기종 = = = 일류신 Il-76 투폴레프 Tu-154 투폴레프 Tu-204-100 투폴레프 Tu-204-100B 투폴레프 Tu-214 = = 사건 및 사고 = = 레드 윙스 항공 9268편 = 분류: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화기 = = 오페라 스타 2012 = 오페라 스타 2012는 tvN에서 2012년 2월 10일부터 2012년 3월 16일까지 방송되었던 TV 프로그램이다. 대한민국 가수들이 오페라 아리아에 도전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 = 결과 = = 순위 이름 예명 소속사 소속그룹 1위 박기영 前Moonlight Purple Play, 前로엔, 前믹스팩토리 2위 손호영 SHY 비트인터렉티브,前스톤뮤직, 前스윙, 前MMO, 前iHQ god, HoooW Top4(3위) 박용규 박지헌 JS, 前해피페이스, 前스타제국 V.O.S Top4(4위) 박지윤 박지윤크리에이티브, 前미스틱, 前JYP, 前태원 Top5 김종서 GPM, 前앤에이취이엠쥐, 前스타토리 前부활, 前시나위, 前카리스마, 前작은하늘, 前김종서밴드 Top6 홍성미 다나 前SM 천상지희더그레이스, 천상지희다나&선데이 Top7 정순원 더 원 매니지먼트누리 前스페이스A Top8 이주희 주희 (가수) 디스이즈잇, 前YMC, 前빅히트, 前쏘스뮤직 에이트 = 제이슨 마즈든 = 제이슨 마즈든(Jason Marsdan, 1975년 1월 3일 ~ )은 미국의 남성 성우이다. = = 출연작 = = = = = TV 애니메이션 = = = 가필드-마법의 샘물-노멀 구피 무비-맥스 구피무비 X게임 대소동-맥스 릴로 & 스티치 TV-줌비 (실험체 622호) 미키의 크리스마스 선물-맥스 배트맨-파이어플라이 킴 파서블-필릭스 랜턴 틴 타이탄-레드 스타 하우스 오브 마우스-맥스 = = = 극장용 애니메이션 = =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하쿠 라이온 킹 2-코부 = 분류:우루과이의 광장 = = 유로비전 영 뮤지션스 = 유로비전 영 뮤지션스는 유럽 방송 연맹이 2년마다 개최하는 유럽 음악 경연회이다. = 틀:위치 지도 포르투갈 마데이라 제도 = = 동강리 = 동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동강리(東江里)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동강리(東江里)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동강리(東江里)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棟江里) 경기도 개풍군 중면 동강리(東江里)는 개풍군의 리였으며, 일부 지역이 대한민국에 수복되었다. = 전영진 = 전영진은 쿠바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사이다.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으며,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매부이다. = 전주시의 국회의원 = = = 행정구역 변천 = = 1945년 8월 15일 전라북도 전주부 1949년 8월 15일 전라북도 전주시 1957년 11월 6일 완주군 초포면·우전면이 전주시에 편입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이 전주시에 편입 1989년 5월 1일 구제 실시로 완산구·덕진구 설치 = = 전주시의 역대 국회의원 = = 대수 이름 소속정당 임기 선거구역 제1대 신성균(申性均) 무소속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전주부 일원(제1선거구) 제2대 박정근(朴定根) 무소속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전주시 일원(제1선거구) 제3대 이철승(李哲承) 무소속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전주시 일원(제1선거구) 제4대 유청(柳靑) 민주당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전주시 갑(제1선거구): 경원동1,2,3가 풍남동1,2,3가 전동1,2,3가 교동1,2,3가 중노송동1,2가, 남노송동 서노송동 인후동1,2가 금암동1,2가 덕진동1,2가 우아동 호성동 전미동 송천동 제4대 이철승(李哲承) 민주당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전주시 을(제2선거구): 중앙동1,2,3,4가 다가동1,2,3,4가 고사동1,2가 태평동1,2가 동완산동1,2가 서완산동1,2가 동서학동 서서학동 중화산동1,2가 진배동 서신동 평화동 삼천동 효자동 팔복동 제5대민의원 유청(柳靑) 민주당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전주시 갑(제1선거구): 경원동1,2,3가·풍남동1,2,3가·전동1,2,3가·교동1,2가·중노송동1,2가·남노송동·서노송동·인후동1,2가·금암동·덕진동1,2가·우아동1,2,3가·호성동1,2,3가·전미동1,2가·송천동1,2가 제5대민의원 이철승(李哲承) 민주당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전주시 을(제2선거구): 중앙동1,2,3,4가·다가동1,2,3,4가·고사동1,2가·태평동1,2가·동완산동1,2가·서완산동1,2가·동서학동1,2가·서서학동·중화산동1,2가·진북동·서신동·평화동1,2,3가·삼천동1,2,3가·효자동1,2,3가·팔복동1,2,3가 제6대 유청(柳靑) 민정당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전주시 일원(제1선거구) 제7대 김용진(金容鎭) 민주공화당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전주시 일원(제1선거구) 제8대 이철승(李哲承) 신민당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전주시 일원(제1선거구) 제9대 이철승(李哲承) 신민당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9대 유기정(柳琦諪) 민주공화당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0대 이철승(李哲承)1980년 7월 4일 사직하였다. 신민당 1979년 3월 12일 - 1980년 7월 4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0대 유기정(柳琦諪)1980년 10월 4일 사직하였다. 민주공화당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4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1대 임방현(林芳鉉) 민주정의당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1대 김태식(金台植) 민주한국당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2대 이철승(李哲承) 신한민주당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2대 임방현(林芳鉉) 민주정의당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전주시·완주군 일원(제1선거구) 제13대 오탄(吳坦) 평화민주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전주시 갑: 풍남동,교동,중노송1가동,중노송2가동,남노송동,서노송동,동서학동,서서학동,인후1가동,인후2가동,인후3가동,금암1동,금암2동,우아동,호성동,전미동,평화동,송천동,남고동 제13대 손주항(孫周恒) 평화민주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전주시 을: 중앙동,경원동,전동,다가동,고사동,태평1가동,태평2가동,진북1동,진북2동,동완산동,서완산동,중화산동,서신동,팔복동,덕진동,삼천동,효자동,조촌동,동산동 = 검붉은코끼리땃쥐 = 검붉은코끼리땃쥐 (Rhynchocyon petersi) 또는 검붉은센지는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16종의 코끼리땃쥐의 일종이다. 큰코코끼리땃쥐속의 다른 종들처럼, 비교적 크며, 다 자라면 몸길이가 평균 약 28 cm, 몸무게가 450-700g 정도가 된다. 케냐와 탄자니아의 토착종이다. 먹이는 곤충(딱정벌레, 흰개미, 개미 등)과 거미 등이며, 나무 열매나 씨앗도 보조적으로 먹는다. = KinKi Kids = KinKi Kids(킨키 키즈, )는 도모토 코이치, 도모토 츠요시의 2명으로 구성된 자니스 사무소 소속의 남성 아이돌 듀오이다. 소속 레코드 회사는 자니스 엔터테인먼트. 약칭은 킨키, KinKi. = = 멤버 = = 도모토 코이치 (堂本光一, 1979년 1월 1일 ~ , B형, 효고현 아시야시 출신) 도모토 츠요시 (堂本剛, 1979년 4월 10일 ~ , AB형, 나라현 나라시 출신) = = 개요 = = 일본의 대형 프로덕션 회사인 쟈니스 사무소 소속 아이돌 그룹이다. 소속사 사상 처음으로 결성 된 듀오 그룹이며, 역시 처음으로 킨키 지방 출신의 구성원으로만 이루어진 그룹이다. 2명 모두 같은 1979년(쇼와 54년)에 태어난 동갑이지만, 도모토 코이치가 1월 1일생이므로 도모토 츠요시보다 한 학년 위가 된다. 2명의 성은 〈堂本도모토〉로 같지만 친척관계는 없고, 완전한 남남이다. 또한, 같은 성씨의 2명을 붙인 것은 의도적이 아닌 우연이다. KinKi Kids의 표기는 K는 모두 대문자(KinKi Kids)이다. 그런데, KinKi라고 하는 단어는 영어권에서는 Kinky(변태)와 어감이 비슷하여, 오해를 받기도 한다. 팬클럽의 회원 번호는, 1번이 코이치, 2번이 츠요시다. = = 경력 = = = = = 결성부터 CD 데뷔까지 = = = 1991년 5월 5일, 코이치와 츠요시는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열린 히카루GENJI의 콘서트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둘은 모두 자발적으로 사무소에 입소한 것이 아닌. 누나가 이력서를 마음대로 쟈니스 사무소에 보내서에 의한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1992년 8월 23일, 처음으로 아이돌 잡지『Myojo』의 취재를 받아 1992년 11월호에서 "칸사이에서 온 신입생"으로 소개되었다. 정식으로 그룹명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쟈니즈 칸사이조〉, 〈도모토 브라더즈〉, 〈W도모토〉등의 이름들이 사용되었다. TOKIO의 나가세 토모야와 V6의 이노하라 요시히코까지 4명으로 한 〈지팡구〉 결성의 소문도 있었지만, 1992년 12월 31일 방송된 제43회 NHK 홍백가합전에서 SMAP의 백댄서로 출연했을 때, 〈KANZAI BOYA(칸사이 보야)〉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그리고, 나카이 마사히로가 사회보는 키스 했어? SMAP 제1회 방송(1993년 4월 4일)에서, 정식으로 “KinKi Kids”라는 이름이 결정되었다. 또한, 오늘날과 같이“K”의 문자가 모두 대문자로 통일된 것은, 1994년 말부터이다. 1994년 12월 31일에는, 일본 무도관에서 퍼스트 콘서트를 열었다. 1996년 10월부터는 동시에 5개의 TV 정규 프로그램이 편성되는 등, 순식간에 안방극장에 침투하였다. 또한, 1996년제47회 NHK 홍백가합전에서는, 사무소의 대선배인 콘도 마사히코의 스테이지에 등장하여, 〈ミッドナイト・シャッフル(미드나이트 셔플)〉의 첫 부분을 KinKi Kids가 노래부르는 깜짝 연출이 이루어졌다. = = = CD 데뷔 = = = 1997년 5월 29일, 쟈니즈 사무소가 음반 회사인 쟈니스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고 그 첫 번째 아티스트로 KinKi Kids가 데뷔하기로 결정하였다. 아카사카에 있는 도요카와 이나리 신사에서 공식 데뷔 기자회견이 열렸다. 기자회견 영상이 신주쿠역 동쪽 출구 앞 아르타 비전과 시부야역 하치 앞 사거리의 아스트로 비전 등 총 5곳에서 방영되었으며, 무려 3000만엔에 달하는 비용을 사용하였다. 1997년 7월 21일, 싱글 〈硝子の少年 (유리의 소년)〉과, 앨범 A album의 동시 발매로 CD 데뷔하였다. 발매와 동시에 오리콘 차트 1위를 하였으며, 밀리언 셀러를 달성했다. 〈유리의 소년〉은 오리콘 조사에서 매출 178만장, 쟈니스 엔터테인먼트 발표에 의하면 출하량 262만장을 기록하였다. 또한, 1971년 134만장의 매출을 기록한 코야나기 루미코의 わたしの城下町 (나의 성 아랫마을)의 판매량을 26년 만에 경신하여 아이돌 가수의 데뷔 싱글 최다 매상을 기록하였다. 최종적으로 1997년도 연간 싱글 매상 2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1998년 3월 26일 열린 제70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의 입장 행진곡으로 채택되었다. = = = 1990년대 = = = 1997년 11월 12일, 2번째 싱글인 〈愛されるより 愛したい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고 싶어)〉가 164만장의 매상을 기록하였고, 1998년 7월 29일, 4번째 싱글〈全部だきしめて/青の時代 (전부 껴안고/청의 시대)〉가 116만장의 매상을 기록하였다. 또한 1999년 5월 26일 발매된 7번째 싱글 〈フラワー (플라워)〉로, 총 4개의 밀리언 셀러 음반을 기록하였다. 쟈니즈 엔터테인먼트 발표에 의하면, 데뷔 이래로 출하 매수에서는 싱글 11개 연속 밀리언 셀러이다. 1997년 12월 1일과 1995년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의 자선 활동으로서 1997년 당시까지 데뷔하고 있던 TOKIO·V6·KinKi Kids가, 합체 해 J-FRIENDS를 결성하였다. 지진 재해 발생 당시의 초등학교 1학년이 의무 교육을 끝내는 2003년 3월까지 6년간 활동하였다. J-FRIENDS가 발매한 싱글과 미니 앨범은, 모두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 1999년에는, 제50회 NHK 홍백가합전의 노래 사이의 코너에서 게스트로서 〈フラワー (플라워)〉를 불렀다. 다만, 데뷔 이래로 정식으로 NHK 홍백가합전 출장이 없었다. 이것은, 매년 연말에 쟈니스 사무소의 소속 가수들의 공연인 쟈니스 카운트다운 라이브가 있기 때문이다. KinKi Kids의 홍백가합전 출장은 2016년 제67회 NHK 홍백가합전에서 백조(白組) 소속으로써 처음 이루어진다. 한편, 음악 활동 이외에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사회에서도 활약하였다. 특히 1996년 10월 5일부터 방영되었던 LOVE LOVEあいしてる (LOVE LOVE 사랑해)에서는, 요시다 타쿠로나 THE ALFEE의 사카자키 코노스케의 지도로 기타연주를 배우게 되었고, 많은 뮤지션과의 친교가 깊어져 KinKi Kids의 음악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00년 3월 8일 발매된 9번째 싱글 〈好きになってく 愛してく (좋아하게 돼 사랑하게 돼)〉에서는 일본의 아이돌 가수으로써 처음으로 스스로의 작사·작곡에 의한 음반으로의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 = = = 2000년대 = = = 2001년 2월 7일 발매된 11번째 싱글 〈ボクの背中には羽根がある (내 등에는 날개가 있어)〉가 92만장의 매상을 기록하였으며 2001년 연간 싱글 매상 8위를 기록하였다. 2001년 11월 14일 발매된 13번째 싱글 〈Hey! みんな元気かい? (Hey! 모두 잘 지내?)〉에는 도모토 츠요시가 작사하고 도모토 코이치가 작곡한 愛のかたまり (사랑의 덩어리)가 수록되어 있는데, 2007년 발매된 베스트 앨범 39를 통해 팬이 좋아하는 곡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04년 12월 22일에는 20번째 싱글 〈Anniversary〉와 베스트 앨범 KinKi Single Selection II을 동시에 발매하여 두 번째로 싱글과 앨범 동시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 2006년 11월 29일 발매된 24번째 싱글 〈Harmony of December〉이 30만장의 매상을 기록하여 24개 싱글 연속 매상 30만장을 기록하였다. 2007년 데뷔 10주년을 맞이하였다. 7월 18일, KinKi Kids의 CD 데뷔 10주년을 기념으로 베스트 앨범 39가 발매되었다. 앨범 이름인 39는 감사를 뜻하는 Thank You를 뜻하는데 일본어로 39를 각각 읽으면 3(さん), 9(きゅう)로 Thank You 영어발음과 비슷하기에 붙여졌다. = = = 2010년대 = = = 연말 행사가 되고 있는 도쿄 돔에서의 공연은, 2015년 1월 1일까지 총 51차례의 공연이 되어, 단독 아티스트에 의한 최다 공연 기록 수를 갱신했다. 2017년, 데뷔 20주년을 맞이 하였다. 6월 19일, 도모토 츠요시가 돌발성 난청의 투병 사실을 알렸다. 12월 6일에는 KinKi Kids의 4번째 베스트 앨범인 〈The BEST〉를 발매하였다. 이를 통해 이른바 「KinKi Kids 20th Anniversary キャンペーン (킨키 키즈 20주년 캠페인)」을 마무리하였다. 또한, 17만장의 매상으로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여 앨범 통산 19번째 1위 작품을 기록하였다. 이는 1위 B'z의 28작품, 2위 마츠토야 유미의 23작품, 3위 하마사키 아유미의 20작품에 다음 가는 기록이다. 2018년 1월 24일, 39번째 싱글인〈Topaz Love/DESTINY〉를 발매하였는데, 이는 오랜만에 자신들이 직접 작사 작곡한 싱글이다. 데뷔 싱글로부터 39작 연속으로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 2018년 7월 25일 23번째 영상 작품인〈KinKi Kids CONCERT 20.2.21 -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을 발매하였다. 이로써 통산 17번째 DVD 1위로, 역대 단독 2위에 해당한다. 2018년 12월 19일, 40번째 싱글〈会いたい、会いたい、会えない。〉를 발매하였다. 이 노래는 쥬얼리 브랜드 "Bijoude" CM송으로 사용되었으며, 쿠보타 토시노부가 직접 작사 작곡하였다. 〈会いたい、会いたい、会えない。〉역시 초동 판매 1위를 달성 함으로써, 데뷔 싱글로부터 40작품 연속으로 차트 1위를 기록해 자신들이 갖고 있던 기네스 세계 기록을 다시 갱신하였다. 이것은, 아일랜드의 그룹, 웨스트라이프를 뛰어넘는 세계 최고 기록이다. 데뷔 이래로 2018년 12월까지 싱글 40개, 앨범 20개를 발매하여 대략 300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이는 SMAP, 아라시, 마츠다 세이코에 이은 일본 역대 아이돌 음반 판매량 4위에 해당한다. 2020년 6월 17일, 42번째 싱글〈KANZAI BOYA〉를 발매하였다. 도모토 츠요시가 직접 작사와 작곡을 한 곡으로, KANZAI BOYA는 듀오 명이 KinKi Kids로 정해지기 전, 자니 키타가와 사장이 지어준 이름이다. 〈KANZAI BOYA〉역시 초동 판매 1위를 달성 함으로써, 데뷔 싱글로부터 42작품 연속으로 차트 1위를 기록해 자신들이 갖고 있던 기네스 세계 기록을 다시한번 갱신하였다. 한편, 당초 발매일은 도모토 코이치와 도모토 츠요시가 처음 만났던 5월 5일로 예정되어있었으나, 일본 정부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을 둘러싼 비상사태 선포에 대응해 발매일이 6월 17일로 연기되었다. = = 여담 = = = = = 작사 작곡에 대해 = = = 두 사람 모두 직곡 활동을 하지만, KinKi Kids 명의로 발표하는 두 명의 오리지널 곡(공동 작곡도 포함)은 적다. 이것은 각각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본인들이 직접 작사와 작곡을 한 곡은 솔로앨범으로 발표하기 때문이다. 솔로 활동의 악곡 대부분은, 본인들이 직접 제작한 곡이다. 다만, 주로 도모토 코이치는 작곡을 하고, 도모토 츠요시는 작사를 많이 한다. = = = 작품의 발매 간격에 대해 = = = 2006년부터 KinKi Kids로서의 작품(특히 싱글 작품)의 발매 간격이 길어지고 있다. 다만, 2006년에는 서로의 솔로 활동이 끝난 시점이 비슷하였기 때문에, 4개월 간격으로 싱글 작품을 발매하였다. 이는, 서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본격화하였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으로 KinKi Kids로서의 활동과 솔로 활동이 시기적으로 겹치지 않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현재까지 가장 싱글 발매 간격이 길었던 것은 2012년 1월 11일 발매한 32번째 싱글 〈変わったかたちの石 (특이한 모양의 돌)〉부터 2013년 10월 23일 발매된 33번째 싱글 〈まだ涙にならない悲しみが/恋は匂へと散りぬるを (아직 눈물이 되지 않은 슬픔이/향기로운 사랑도 언젠가 지는 법)〉까지의 약 1년 9개월 12일이며, 최단 싱글 발매 간격은, 2003년 6월 18일 발매된 17번째 싱글 〈心に夢を君には愛を/ギラ☆ギラ (마음에 꿈을 너에게는 사랑을/반짝☆반짝)〉부터 2003년 8월 13일 발매된 18번째 싱글 〈薄荷キャンディー (박하사탕)〉까지의 1개월 26일간이다. = = = 춤에 대해 = = = 쟈니스 주니어 활동 시절부터 노래할 때는 거의 춤을 같이 추고 있어 소년대나 SMAP 등의 대선배의 곡들을 커버하여 격렬한 댄스 넘버(어레인지)가 많았다. 2002년 중반 이후, 2005년의 〈ビロードの闇 (비로도의 어둠)〉까지 약 3년간, 댄스 동작이 없었다. 그 후에도 싱글 곡에서는 발라드 혹은 미디엄 발라드를 중심으로 노래를 불렀다. 따라서 텔레비전에서는 춤출 기회가 감소했지만, 본인들의 콘서트에서는 변함없이 댄스를 보여주고 있다. = = = 콘서트의 MC = = = KinKi Kids 콘서트의 가장 큰 특징은, MC(토크)가 긴 것이다. 원래대로라면 짧아야 할 오프닝 멘트에서도 거의 30분은 말한다. 또한 3시간의 공연 가운데, 대화만으로도 1시간 반가량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MC가 너무 길어서 쟈니스 사무소의 관계자에게 혼나거나, 콘서트 담당자 요시다 켄에게 농담 섞인 불평을 듣기도 하였다. 본인들도 자각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길어지는 2번째 멘트에서는 스스로 관객을 앉게 한다. 특히 관객과의 소통보다도 두명이서 끊임없는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 더 많다. 한편, 쟈니스 카운트다운 라이브와 같이 연말 연시에 행해지는 콘서트에서는, 설날에 스테이지상에서 코이치의 생일을 축하하는 것이 전통이 되고 있다. = = 음반 목록 = = = = = 싱글 = = = 작품 발매일 타이틀 의미 최고 순위 초동 판매량 누적 판매량 비고 1 1997년 7월 21일 유리의 소년 1위 315,330 장 1,793,011 장 밀리언 셀러 2 1997년 11월 12일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고 싶어 1위 504,830 장 1,644,776 장 밀리언 셀러 3 1998년 4월 22일 제트코스터 로맨스 1위 500,030 장 944,500 장 4 1998년 7월 29일 전부 껴안고/청의 시대 1위 451,450 장 1,159,578 장 밀리언 셀러 5 1998년 12월 9일 Happy Happy Greeting/신데렐라 크리스마스 1위 404,340 장 614,713 장 6 1999년 2월 24일 그만두지 마,PURE 1위 354,790 장 652,622 장 7 1999년 5월 26일 플라워 1위 368,170 장 1,046,333 장 밀리언 셀러 8 1999년 10월 6일 비의 Melody/to Heart 1위 470,143 장 852,173 장 9 2000년 3월 8일 좋아하게 돼 사랑하게 돼/KinKi의 의욕충만송 1위 363,180 장 525,980 장 10 2000년 6월 21일 여름의 왕/이제 너 이외 사랑할 수 없어 1위 365,250 장 874,827장 11 2001년 2월 7일 내 등에는 날개가 있어 1위 411,820 장 919,560 장 12 2001년 5월 23일 정열 1위 375,410 장 595,015 장 13 2001년 11월 14일 Hey! 모두 잘 지내? 1위 260,250 장 418,690장 14 2002년 5월 2일 슬픔 블루 1위 208,340 장 329,610 장 15 2002년 10월 23일 solitude ~진실의 이별~ 1위 213,870 장 328,362 장 16 2003년 4월 9일 영원의 BLOODS 1위 245,045 장 362,497 장 17 2003년 6월 18일 마음에 꿈을 너에게는 사랑을/반짝☆반짝 1위 214,178 장 300,609 장 18 2003년 8월 13일 박하사탕 1위 260,885 장 388,024 장 19 2004년 1월 15일 있지, 힘낼게. 1위 223,241 장 326,791 장 20 2004년 12월 22일 Anniversary Anniversary 1위 355,439 장 525,905 장 21 2005년 6월 15일 비로도의 어둠 1위 260,901 장 319,120 장 22 2005년 12월 21일 SNOW! SNOW! SNOW! SNOW! SNOW! SNOW! 1위 230,384 장 317,397 장 23 2006년 7월 26일 여름 모양 1위 238,868 장 310,516 장 24 2006년 11월 29일 Harmony of December Harmony of December 1위 265,207 장 300,338 장 25 2007년 4월 25일 BRAND NEW SONG BRAND NEW SONG 1위 180,534 장 223.332 장 26 2007년 9월 12일 영원히 1위 190,495 장 229,746 장 27 2008년 8월 27일 Secret Code Secret Code 1위 187,268 장 224,608 장 28 2009년 1월 28일 약속 1위 171,412 장 210,510 장 29 2009년 10월 28일 스완송 1위 160,407 장 186,904 장 30 2010년 12월 1일 Family ~하나가 되는 것 1위 165,406 장 190,932 장 31 2011년 6월 15일 Time Time 1위 150,661 장 171,068 장 32 2012년 1월 11일 특이한 모양의 돌 1위 123,475 장 147,508 장 33 2013년 10월 23일 아직 눈물이 되지 않은 슬픔이/향기로운 사랑도 언젠가 지는 법 1위 178,348 장 203,642 장 34 2014년 11월 12일 열쇠 없는 상자 1위 152,412 장 173,191 장 35 2015년 11월 18일 꿈을 꾸면 상처받는 일도 있어 1위 154,552 장 173,634 장 36 2016년 7월 20일 장미와 태양 1위 193,334 장 211,800 장 37 2016년 11월 2일 길은 손수 꿈의 꽃 1위 175,503 장 191,290 장 38 2017년 7월 12일 The Red Light 1위 200,257 장 217,701 장 39 2018년 1월 24일 토파즈 러브/데스티니 1위 198,361 장 220,268 장 40 2018년 12월 19일 보고 싶어, 보고 싶어, 그럴 수 없어. 1위 180,050 장 197,475 장 41 2019년 12월 4일 빛의 기색 1위 171,602 장 188,856 장 42 2020년 6월 17일 KANZAI BOYA 1위 187,254 장 200,989 장 43 2021년 7월 21일 アン/ペア 언/페어 1위 44 2022년 3월 16일 高純度romance 고순도romance 1위 45 2022년 7월 27일 Amazing Love Amazing Love 1위 46 2023년 1월 18일 The Story of Us The Story of Us 1위 = = = 앨범 =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순위 판매량 RIAJ 인증 1 1997년 7월 21일 A album 1위 1,030,850 장 밀리언 2 1998년 8월 12일 B album 1위 867,465 장 밀리언 3 1999년 8월 4일 C album 1위 812,640 장 더블 플래티넘(구) 4 2000년 12월 13일 D album 1위 506,200 장 플래티넘(구) 5 2001년 7월 25일 E album 1위 523,380 장 플래티넘(구) 6 2002년 12월 26일 F album 2위 399,659 장 플래티넘(구) 7 2003년 10월 22일 G album -24/7- 1위 323,699 장 플래티넘 8 2005년 11월 16일 H album -H・A・N・D- 1위 314,539 장 플래티넘 9 2006년 12월 13일 I album -iD- 1위 288,093 장 플래티넘 10 2007년 11월 14일 Ø 1위 236,136 장 플래티넘 11 2009년 12월 9일 J album 1위 207,582 장 골드 12 2011년 11월 9일 K album 1위 181,458 장 골드 13 2013년 12월 4일 L album 1위 160,339 장 골드 14 2014년 12월 10일 M album 1위 154,747 장 골드 15 2016년 9월 21일 N album 1위 151,376 장 골드 16 2020년 12월 23일 O album 1위 144,064 장 골드 = = = 베스트 앨범 =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순위 판매량 RIAJ 인증 1 2000년 5월 17일 KinKi Single Selection 1위 1,252,873 장 트리플 플래티넘(구) 2 2004년 12월 22일 KinKi Single Selection II 1위 544,874 장 더블 플래티넘 3 2007년 7월 18일 39 1위 455,612 장 더블 플래티넘 4 2017년 1월 6일 Ballad Selection 1위 158,931 장 골드 5 2017년 12월 6일 The BEST 1위 229,393 장 플래티넘 = = = 그 외의 앨범 = = = # 발매일 타이틀 최고순위 판매량 1 2000년 7월 19일 KinKi KaraoKe Single Selection 28위 18,550 장 = = = 영상 작품 = = = 발매일 타이틀 발매 형태 최고 순위 비고 1 1995년 7월 23일 KiNKi KiDS with 35LIVEKiNKi KiDS with 35만명 팬 세기의 LIVE VHS 2 1996년 4월 19일 KinKi Kids'96 1996.1.13 yoyogi white theater VHS FC 회원 만의 기간 한정 통판 판매. 3 1997년 6월 12일 KinKi Kids'97 LAWSON PRESENTS VHS 로손에서 기간 한정 판매. 4 1998년 5월 20일 us VHS / DVD 복각판 DVD는 2007년 12월 26일 발매. 5 1999년 4월 21일 KinKi Kids 3 days Panic! at TOKYO DOME '98-'99 VHS / DVD 복각판 DVD는 2007년 12월 26일 발매. 6 2001년 4월 25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1 VHS VHS와 DVD 양쪽 발매는 처음. DVD는 VHS 〈KinKi KISS Single Selection 1〉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2〉 양쪽 내용에 더해, 특전 영상 있음. 6 2001년 4월 25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2 VHS VHS와 DVD 양쪽 발매는 처음. DVD는 VHS 〈KinKi KISS Single Selection 1〉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2〉 양쪽 내용에 더해, 특전 영상 있음. 6 2001년 5월 9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DVD DVD 종합:1위 VHS와 DVD 양쪽 발매는 처음. DVD는 VHS 〈KinKi KISS Single Selection 1〉과 〈KinKi KISS Single Selection 2〉 양쪽 내용에 더해, 특전 영상 있음. 7 2001년 9월 5일 〜KinKi Kids Returns! 2001 Concert Tour in Taipei〜풍운 재기 킨키 키즈 2001 타이페이 콘서트 ~KinKi Kids Returns! 2001 Concert Tour in Taipei~ DVD / VHS DVD 종합:1위 8 2002년 1월 9일 -ISM DVD / VHS DVD 종합:1위 9 2003년 12월 3일 KinKi Kids Dome F Concert 〜Fun Fan Forever〜 DVD / VHS DVD 종합:1위 10 2004년 7월 14일 KinKi KISS 3 Single Selection VHS VHS로의 발매는 이 작품으로 마지막이 된다. 10 2004년 7월 14일 KinKi KISS 2 Single Selection DVD DVD 종합:1위 VHS로의 발매는 이 작품으로 마지막이 된다. 11 2005년 8월 3일 KinKi Kids Dome Tour 2004-2005 -Font De Anniversary.- DVD DVD 종합:1위 12 2008년 6월 18일 We are φn' 39!! and U? KinKi Kids Live in DOME 07-08 DVD DVD 종합:1위 13 2009년 9월 30일 KinKi you DVD] DVD DVD 종합:2위 14 2010년 8월 11일 KinKi Kids concert tour J DVD / BD DVD 종합:1위
(DVD 음악:1위) BD판은, 2012년 7월 18일에 발매되었다. 15 2011년 7월 27일 KinKi Kids 2010-2011 KinKi Kids 2010-2011 ~너도 도모토 FAMILY~ DVD / BD DVD 종합:1위
(BD 음악:1위) 16 2012년 7월 18일 King・KinKi Kids 2011-2012 DVD / BD DVD 종합:1위
(DVD 음악:1위)
BD 종합:2위 17 2013년 8월 7일 KinKi Kids Concert -Thank you for 15years- 2012-2013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18 2014년 10월 22일 KinKi Kids concert 2013-2014「L」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19 2015년 8월 26일 KinKi Kids Concert 「Memories & Moments」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20 2016년 8월 10일 2015-2016 Concert KinKi Kids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21 2017년 7월 12일 We are KinKi Kids Dome Concert 2016-2017 TSUYOSHI & YOU & KOICHI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22 2018년 4월 11일 MTV Unplugged: KinKi Kids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23 2018년 7월 25일 KinKi Kids CONCERT 20.2.21-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통산 17편 DVD 1위로 역대 단독 2위 24 2020년 11월 11일 KinKi Kids Concert Tour 2019-2020 ThanKs 2 YOU DVD / BD DVD 종합:1위
BD 종합:1위 통산 18편 DVD 1위 = = = 재발반 = = = 〈비의 Melody/to Heart〉 12cm CD화 (2002년 2월 20일) 〈좋아하게 돼 사랑하게 돼/KinKi의 의욕충만송〉 12cm CD화 (2004년 1월 20일) 1st ~ 7th 싱글(〈유리의 소년〉,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고 싶어〉, 〈제트코스터 로망스〉, 〈전부 껴안고/청의 시대〉, 〈Happy Happy Greeting/신데렐라 크리스마스〉, 〈그만두지 마,PURE〉, 〈플라워〉) 12cm CD화 (2007년 12월 26일) = = 출연 = = = = = 드라마 = = = 인간·실격 (1994년 7월 8일 ~ 1994년 9월 23일, TBS) 어린시절 (1996년 4월12일 ~ 1996년 6월 28일, TBS) 우리들의 용기 미만도시 (1997년 10월 18일 ~ 1997년 12월 20일, 닛폰 TV) 맛하 브이로쿠 특별 드라마 노려진 〈big〉 대작전 (2000년 6월 29일, 후지 TV) 데릴사위2003 제6화 (2003년 5월 22일, 후지 TV) 우리들의 용기 미만도시 2017 (ぼくらの勇気 未満都市 2017) = = = 버라이어티 = = = 키스 했어? SMAP (1993년 4월 4일 ~ 1996년 9월 24일, ABC TV) 가요 빙빙 하우스 (1993년 8월 8일 ~ 1994년 8월 21일, TV 아사히) 아이돌 온 스테이지 (1993년 10월 10일 ~ 1997년 3월 30일, NHK BS2) 초인 돗지볼 전설 (1994년 10월 17일 ~ 1994년 12월 12일, 칸사이 TV) 언제나 빛나는 아이돌들 (1994년 11월 19일, 칸사이 TV) 소레이케 킨키 대모험 (1996년 4월 7일 ~ 1996년 9월 29일, 닛폰 TV) 소레이케 킨키 대방송 (1996년 10월 6일 ~ 1998년 3월 29일, 닛폰 TV) 지면 안돼!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3월 17일, 후지 TV) Toki-kin 급행 좋아해! 좋아한당게 (1996년 10월 16일 ~ 1997년 3월 12일, TBS) 바리킨7 현자의 전략 (1996년 10월 17일 ~ 1997년 9월 11일, TBS) LOVE LOVE 사랑해 (1996년 10월 19일 ~ 2001년 3월 31일, 후지 TV) 스타 돗키리 대작전 (1997년 4월 12일 ~ 1997년 9월 15일, 후지 TV) Gyu! 끌어안고 싶어! (1998년 4월 5일 ~ 1998년 9월 27일, 닛폰 TV) KinKi Kids의 Gyu! (1998년 10월 4일 ~ 1999년 9월 26일, 닛폰 TV) 도모토 형제→신 도모토 형제 (2001년 4월 8일 ~ 2014년 9월 28일, 후지 TV) KinKi Kids의 붕부붕 (2014년 10월 ~ , 후지 TV) = = = 라디오 = = = KinKi Kids 돈나몬야! (분카 방송) KinKi Kids 킨키라 킨키 월드 (1995년 ~ 2007년 9월, 닛폰 방송) = = = 콘서트 = = = 연도 공연 일자 형태 타이틀 공연 규모 회장 비고 1994년~ 1995년 12월 31일 ~ 1월 29일 투어 Kick off '95 3곳 15공연 일본무도관, 도쿄 후생 연금 회관,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 일본무도관에서의 추가 공연이 결정. 추가 공연의 2주 전에, 쟈니 키타가와에 의해 알았다고 한다. 1995년 3월 30일~ 5월 7일 투어 Kick off '95 SECOND CONCERT 4곳 7공연 일본무도관,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1995년 7월 23일~ 7월 31일 이벤트 〈여름이다! 축제다! 어린이 카니발〉 KinKi Kids 미니 라이브 1곳 8공연 뉴타카나와 프린스 호텔 〈비천〉 동 이벤트의 일환으로 행해진 미니 콘서트 1995년 8월 3일~ 8월 30일 투어 Kick off '95 SUMMER 7곳 14공연 홋카이도 후생 연금 회관, 센다이 선플라자,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후쿠오카 선팰리스, 나가사키 시 공회당 아직 CD 데뷔의 예정도 없었던 상태에서 행해진, 첫 전국 투어. 1995년~ 1996년 12월 26일~ 1월 14일 투어 킨키라킨니 にKinKi Kids '96 3곳 19공연 요요기 화이트 시어터,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1996년 1월 28일~ 2월 10일 이벤트 로손 presents "KinKi Kids '96" 7곳 7공연 홋카이도 후생 연금 회관, 센다이 선팰리스,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센추리 홀, 오사카 성 홀, 히로시마 우편 저금 홀, 큐슈 후생 연금 회관 로손의 현상(懸賞)에 의한 무료 콘서트 1996년 4월 6일~ 5월 8일 투어 KinKi Na"GO"ya "TO"kyo 3카SHOW (참가하자) 3곳 9공연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1996년 7월 24일~ 8월 31일 투어 KinKi Kids '96 여름이다! 전원 집합! 8곳 35공연 홋카이도 후생 연금 회관, 센다이 선플라자,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이시카와 후생 연금 회관, 오사카 성 홀, 히로시마 후생 연금 회관, 큐슈 후생 연금 회관 1996년~ 1997년 12월 26일~ 1월 7일 투어 SHOW 〈갓츠!〉 SHOW 3곳 13공연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이 투어부터, 1월 1일(코이치의 생일)에 콘서트가 행해지는 것이 항례가 된다. 1997년 2월 1일~ 2월 16일 이벤트 로손 presents 〈KinKi Kids '97〉 5곳 5공연 센다이 선플라자, 요코하마 아레나, 아이치 후생 연금 회관, 오사카 성 홀, 히로시마 후생 연금 회관 로손의 현상(懸賞)에 의한 무료 콘서트. 이 공연은, 로손 한정 발매로 비디오 판매되었다. 1997년 3월 25일~ 5월 5일 투어 KINKI Kiss In Dream Spring SHOW 3곳 15공연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1997년 7월 29일~ 8월 28일 투어 A so Bo Concert 3곳 16공연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CD 데뷔 후, 첫 콘서트 투어 1997년 8월 9일~ 8월 15일 무대 개장 행사 특별 공연 쟈니즈 판타지 〈kyo to kyo〉 1곳 23공연 교토·시어터 1200 동 회장에서 개최된 롱 런 공연 〈kyo to kyo〉의, 개장 행사 공연으로서 개최 1997년~ 1998년 12월 24일~ 1월 15일 투어 HAPPY HAPPY DATE 3곳 20공연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다카라즈카 극장 공연은, 동 회장을 개장하기 때문에, 다카라즈카 가극단 최종 공연부터 회장 해체일까지의 2주간에, 동 사무소 소속 탤런트가 매일 바뀌는 것으로 콘서트를 행해, 일환으로 행해져, 내용도 나고야, 오사카 공연 서로 다르다. 1997년 12월 31일 이벤트 쟈니즈 카운트다운 라이브 1곳 1공연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동 이벤트에서 처음으로, J-FRIENDS로서 무대에 선다 1998년 1월 18일 이벤트 쟈니즈 축제 in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파이널 스테이지 1곳 2공연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최종일에, 동 사무소의 탤런트가 다수 출연해 행해진 이벤트 1998년 1월 24일~ 2월 22일 이벤트 로손 presents 〈KinKi Kids '98〉 4곳 8공연 홋카이도 후생 연금 회관, 센다이 선플라자, 히로시마 후생 연금 회관, 큐슈 후생 연금 회관 로손의 현상(懸賞)에 의한 무료 콘서트. 겨울 투어에서 개최되지 않았던 도시를 중심으로 개최 1998년 5월 2일~ 5월 5일 단발 콘서트 HAPPY HAPPY DATE (추가 공연) 1곳 8공연 요코하마 아레나 겨울에 나고야, 오사카에서 행해진 공연과 같은 내용을, 추가 공연으로서 요코하마에서 개최 1998년 7월 23일~ 8월 31일 투어 Johnny's Summer Concert '98 「KinKi Kids」 6곳 29공연 마코마나이 옥외 경기장, 야마가타 시 총합 스포츠 센터,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오사카 성 홀, 후쿠오카 국제 센터 첫 야외 콘서트를, 삿포로에서 개최 1998년~ 1999년 12월 22일~ 1월 1일 투어 Johnny's Winter Consert '98〜'99 〈KinKi Kids〉 2곳 8공연 도쿄 돔, 오사카 성 홀 첫 돔 공연을 개최. 오사카와 도쿄 서로 내용이 다르다. 1998년 12월 31일 이벤트 J-FRIENDS 카운트다운 콘서트 〈Asia Biggest Countdown in Dome〉 1곳 1공연 도쿄 돔 이 공연부터, 도쿄 돔에서의 카운트다운 콘서트가 항례가 되었다. 1999년 7월 20일~ 8월 30일 투어 Johnny's Summer Concert '99 〈KinKi Kids〉 9곳 29공연 마코마나이 옥외 경기장, 센다이 그랜디 21, 요코하마 아레나, 나고야 레인보우 홀, 하마마츠 아레나, 고후 아이 멧세, 오사카 성 홀,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마린 멧세 후쿠오카 1999년 12월 26일~ 12월 31일 투어 Dome Concert in ○○(○○는, TOKYO 또는 OSAKA) 2곳 5공연 도쿄 돔, 오사카 돔 1999년 12월 31일 이벤트 J-FRIENDS MILLENNIUM in TOKYO DOME 1곳 1공연 도쿄 돔 2000년 1월 1일 단발 콘서트+공개 이벤트 KinKi Kids DOME CONCERT 〈LOVELOVE2000 in TOKYODOME〉 1곳 1공연 도쿄 돔 킨키 키즈가 출연하고 있던 TV 프로그램 〈LOVE LOVE 사랑해〉의 공개 생중계도 겸하여 행해진, 이벤트 색이 강했던 콘서트 2000년 2월 22일~ 2월 27일 해외 투어 1st ASIAN TOUR KinKi Kids MILLENNIUM CONCERT in ○○(○○는, TAIPEI 또는 HONGKONG) 2곳 5공연 타이완·타이페이 남항 101, 홍콩 컨벤션 센터 첫 해외 공연 2000년 7월 26일~ 9월 17일 투어 KinKi Kids Selection Stadium Tour “King of SUMMER 2000” 12곳 30공연 마코마나이 옥외 경기장, 아키타 오다테 수해 돔, 야마가타 시 총합 스포츠 센터, 센다이 시 체육관, 요코하마 스타디움, 트윈 멧세 시즈오카, 이시카와 현 산업 전시관 4호관, 나고야 돔, 오사카 돔,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카가와 현 현민 홀(그랜드), 후쿠오카 돔 〈Selection Stadiam Tour〉로 되어 있지만, 순수한 스타디움 투어는 아니다. 나고야 돔, 후쿠오카 돔에서의 공연은, 본 투어가 처음이다. 9월 16일의 요코하마 스타디움 공연은 호우때문에 공연 도중 중지가 되어, 관객이 퇴장하는 것을 둘이 스테이지 위에서 지켜 보았다. 2000년~ 2001년 12월 23일~ 1월 1일 투어 Dohmoto Dome de Daininki KinKi Kids concert 2000~2001 2곳 6공연 도쿄 돔, 오사카 돔 2000년 12월 31일 이벤트 J-FRIENDS COUNTDOWN FROM TOKYO 1곳 1공연 도쿄 돔 2001년 5월 8일~ 5월 13일 해외 투어 KinKi Kids Returns! 2001 Concert Tour in ○○(○○는, 타이페이 또는 홍콩) 2곳 6공연 타이완·타이페이 수퍼 돔, 홍콩 콜로세움 2001년 8월 15일~ 8월 30일 필름 콘서트 후루사토 E 후레아이 album 캠페인 ~연말연시의 돔 콘서트 전에 KinKi가 당신의 거리에 온다~ 11곳 32공연 홋카이도 후생 연금 회관(쯔요시), 아오모리 문화 회관(쯔요시), 요코하마 아레나(둘), 니이가타 테르사(쯔요시), 시즈오카 시민 문화 회관(코이치), 나고야 센추리 홀(코이치), 교토 회관 제1홀(코이치),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코이치), 히로시마 후생 연금 회관(코이치), 타카마츠 시민 회관(코이치), 후쿠오카 선팰리스(쯔요시) 5th 앨범 E album의 구입 특전으로, 응모권을 보내면 추첨으로 초대된 첫 필름 콘서트. 각각의 회장에서는, 둘 중 누군가가 온다고 하는 것으로, 공연 당일에 본인의 회장에 의해 처음으로 알게되는 것이다(요코하마만, 둘). 회장명의 뒤에, 누가 왔는지 기재. 2001년~ 2002년 12월 27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DOME CONCERT “모두 잘 지내?” 2곳 6공연 도쿄 돔, 오사카 돔 2001년 12월 31일 이벤트 J-FRIENDS COUNTDOWN in TOKYO 1곳 1공연 도쿄 돔 2002년~ 2003년 12월 26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DOME F Concert ~Fun Fan Forever~ 2곳 6공연 도쿄 돔, 오사카 돔 스테이지를 정면으로, 오른쪽이 코이치 스테이지, 왼쪽이 쯔요시 스테이지, 중앙이 KinKi 스테이지의 트리플 스테이지로, 돔 콘서트가 아니고는 획기적인 스테이지로 공연을 실시. 2002년 12월 31일 이벤트 J-FRIENDS COUNTDOWN in TOKYO DOME 2002 1곳 1공연 도쿄 돔 J-FRIENDS로서는, 마지막 카운트다운 콘서트 2003년 5월 25일~ 6월 8일 투어 KinKi Kids DOME F Concert ~Fun Fan Forever 영원의 BLOODS~ (추가 공연) 3곳 7공연 삿포로 돔, 나고야 돔, 후쿠오카 돔 겨울에 행해진 투어가 대호평을 받아, 많은 팬에 의해 〈콘서트를 DVD로 발매해줬으면 좋겠다.〉라는 요망에 의해 결정된 추가 공연. 겨울과 맞춰 5대 돔을 제패. 삿포로 돔에서의 공연은, 본 투어가 처음이다. 2003년~ 2004년 12월 13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24/7 G Tour 4곳 9공연 도쿄 돔, 나고야 돔, 오사카 돔, 후쿠오카 돔 이 투어를 경계로, 〈최대한 적은 인원 수로, 스테이지의 연출을 행하고 싶다〉라는 의향에 의해, 지금까지 백으로 춤췄던 쟈니즈 Jr.의 출연 인원 수를 삭감(이후의 공연은, 기본적으로 MA, A.B.C. 이외의 쟈니즈 Jr.의 출연은 행해지지 않음). 스테이지의 세트나 연출을 아주 심플한 내용으로 하며, 〈연출에는 의지하지 않고, 우리들의 춤이나 노래로 어디까지 표현 될 것인가.〉라고 하는, 새로운 도전을 시험해 본 투어가 되었다. 2003년 12월 31일 이벤트 Johnny's Starship Countdown 1곳 1공연 도쿄 돔 이 연도부터, 카운트다운 콘서트는, 동 사무소 소속 그룹이 다수 출연하는 이벤트가 된다. 2004년~ 2005년 12월 18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DOME TOUR ~font de Anniversary~ 4곳 9공연 도쿄 돔, 나고야 돔, 오사카 돔, 후쿠오카 돔 이 투어를 처음으로, 생 밴드와 생 스트링스의 연주로 공연이 행해져, 이후 이 스타일이 정착하는 것이 된다. 지금까지 발매한 싱글 곡을 발매순으로, 메들리도 섞어 전곡 피로되었다. 2004년 12월 31일 이벤트 Johnny's BIG SUPRISE Countdown 1곳 1공연 도쿄 돔 2005년 7월 17일 이벤트 도모토 브라더스 밴드 퍼스트 라이브 1곳 1공연 도쿄·오다이바 야외 특설 킨키 키즈가 출연하고 있는 음악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신 도모토 형제〉의 기획으로, 2만인을 무료 초대해 행해진, 스페셜 라이브. 2005년~ 2006년 12월 24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H TOUR~Have A Nice Day~ 2곳 6공연 도쿄 돔, 오사카 돔 스테이지에서는 산을 바탕으로 한 세트가 설치되어, 조명등의 변화에 의해 빙산이나 화산 등, 다양한 산의 표정을 연출했다. 또, 6월 13일 밤에 도쿄·신궁 외원의 성덕 기념 회화관에서, Sg 〈비로도의 어둠〉 발표 이벤트로 행해진 워터 스크린(회화관 앞에 100톤의 물을 분사해 만든(높이 20미터, 폭 50미터) 스크린에 영상을 비춰 낸다)도, 재현되었다. 이 공연 이후, 2008년의 투어까지, 쟈니즈 Jr.의 출연은 MA만이 되었다. 2005년 12월 31일 이벤트 보지 않으면 손해 SONG 〈PRIDE 걸고 쟈니즈 가합전〉 at TOKYO DOME since 1998 1곳 1공연 도쿄 돔 2006년 8월 1일 이벤트 도모토 브라더스 밴드 세컨드 라이브 1곳 1공연 Zepp Tokyo 음악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신 도모토 형제〉의 기획으로 2,000명을 무료 초대해 행해진, 스페셜 라이브. 이 때에, 밴드의 오리지널로 만든 신곡으로 〈Music of Life〉가 발표되었다. 입장자에게는, 손수건과 부채를 선물했다. 2006년~ 2007년 12월 25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CONCERT TOUR 2006~2007 Harmony of Winter -iD- 2곳 5공연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2007년에 CD 데뷔 10주년을 맞이해, 데뷔 전에 악곡 발표된 〈FRIENDS〉가 오랜만에 피로되었다. 2006년 12월 31일 이벤트 쟈니즈 카운트다운 2006-2007 1곳 1공연 도쿄 돔 2007년 7월 22일 이벤트 KinKi Kids 10th Anniversary in TOKYO DOME 1곳 1공연 도쿄 돔 데뷔 10주년을 기념해 행해진 팬 감사 이벤트. 이 공연에서, 도쿄 돔 최다 관객 수를 갱신했다(약 6만 7천명). 또, 10년 전의 데뷔일익도 한 이벤트 전날에는, 동 회장에서 기네스 표창식이 행해졌다. 2007년~ 2008년 12월 23일~ 1월 1일 투어 We are Ø'n39!!AND U ?KinKi Kids Live in DOME 07~08 2곳 6공연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이 공연에서, 도쿄 돔에서의 공연을 10년 연속 30회 행해, 단독 아티스트에 의한 최다 공연 횟수를 갱신했다(현재도 기록을 갱신중). 〈종래의 스테이지에서도, 회장의 관객분들께 균등하게 즐길 수 있도록.〉이라고, 콘서트로서는 첫 센터 스테이지를 채용. 게다가 설날 공연은, 공연 시간이 4시간이라고 하는 긴 시간의 공연이 되었다. 2007년 12월 31일 이벤트 10년째야! 보지 않으면 손해 SONG 쟈니즈 카운트다운 가합전 1곳 1공연 도쿄 돔 2008년~ 2009년 7월 21일~ 1월 1일 투어 킨키 키즈 긴급 전국 투어KinKi you 콘서트.(12월 31일 공연만 〈KinKi Kids CountDown Concert 2008-2009 in KinKi〉) 15곳 33공연 홋카이 도립 총합 체육 센터 키타에루, 핫 하우스 수퍼 아레나, 도쿄 돔, 토키 멧세 니이가타 컨벤션 센터, 나가노 빅 해트, 선 돔 후쿠이, 시즈오카 에코파 아레나, 닛폰 가이시 스포츠 플라자 가이시 홀, 쿄세라 돔 오사카,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마린 멧세 후쿠오카, 오이타 비컨 플라자 컨벤션 홀, 가고시마 아레나 8년 만에, 여름에 개최·전국에서 개최되는 콘서트 투어. 2009년~ 2010년 12월 18일~ 1월 11일 투어 KinKi Kids CONCERT TOUR J 4곳 10공연 홋카이 도립 총합 체육 센터 키타에루,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마린 멧세 후쿠오카 2009년 12월 31일 이벤트 소리 질러! 쟈니즈 호랑이권 동서 돔 10만명 집합!! 초호화 해넘기기 가합전!! 1곳 1공연 도쿄 돔 2010년~ 2011년 12월 8일~ 1월 10일 투어 KinKi Kids 2010 - 2011 ~너도 도모토 FAMILY~ 4곳 10공연 홋카이 도립 총합 체육 센터 키타에루,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마린 멧세 후쿠오카 〈너도 도모토 FAMILY〉의 작명자는, 쟈니 키타가와. 2010년 12월 31일 이벤트 뛰어라! 쟈니즈 폭풍우를 부르는 섣달그믐날 가합이다 편!! 1곳 1공연 도쿄 돔 2011년~ 2012년 12월 25일~ 1월 1일 투어 King・KinKi Kids 2011 - 2012 2곳 5공연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2011년 12월 31일 이벤트 유타치 와버려! 쟈니즈 동서 돔 해넘기기 가합전! 1곳 1공연 도쿄 돔 2012년~ 2013년 12월 23일~ 1월 1일 투어 KinKi Kids Concert Thank you for 15 years 2012-2013 2곳 5공연 도쿄 돔, 쿄세라 돔 오사카 2012년 12월 31일 이벤트 헤이세이 25!! 15년째야! 보지 않으면 손해 SONG 쟈니즈 해넘기기 생방송 1곳 1공연 도쿄 돔 사회는 CD 데뷔 15주년을 맞은 KinKi Kids. = 춘천고등학교 축구부 = 춘천고등학교 축구단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 있는 축구단이다. 춘천고등학교가 운영하는 U-18 축구단이며, 1981년에 창단되었다. = = 시즌별 성적 = = 시즌 대회 승점 순위 1989 춘계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 40 = 모에화 = 모에화 또는 모에 의인화는 애니메이션 및 만화에서 모에 요소들이 인간이 아닌 물체, 개념, 현상 등에게 주어지는 형태의 의인화이다. 일반적인 의인화와는 약간 다르게, 이 경우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모습 등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인간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소년·소녀나 미형의 모습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모에 요소들에 더해, 모에화는 의인화 이전의 대상을 모습을 강조하기 위한 장신구들도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인물들은, 주로 코스프레 형식으로, 무생물 및 상품을 표현하기 위해 그려진다. 모에화는 (종종 풍자적인 의미에서의)인물의 성격과 여러 대상을 작위적으로 귀엽게 만드는 데에서 유머를 준다. 모에화는 오타쿠 문화 내에서 매우 흔하다. 많은 모에 의인화들이 동인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초기 2채널이나 후타바☆채널 등 일본의 인터넷 포럼들에서의 토론의 결과로서 만들어졌다. 모에화 유행은 동인 서클들과 애니메이션 및 만화에서 무생물이 의인화된 등장인물들이 나오면서 확산되었다. = 레콜레타 = 레콜레타(Recoleta)는 다음을 가리킨다. 레콜레타 (칠레): 칠레 산티아고 수도주 산티아고 현의 코무나 레콜레타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북동쪽에 있는 바리오 = 틀:IPA-bg = = 분류:태보 = = 스케치 (소프트웨어) = 스케치(Sketch)는 네덜란드 회사 스케치 B.V에서 개발한 macOS용 벡터 그래픽 편집기이다. = = 기능 = = 프로토타입 *콜라보레이션 = = 경쟁 소프트웨어 = = 피그마 어도비 에이디 = 피에르 부르디외 = 피에르 부르디외(, 1930년 8월 1일 ~ 2002년 1월 23일)는 프랑스의 사회학자이다. 사회학을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기술하는 학문'으로 파악하였으며, 신자유주의를 비판하였다. 알제리 사회학, 재생산, 구별짓기, 호모 아카데미쿠스, 텔레비전에 대하여, 경제학의 구조 등의 저서를 남겼다. 그가 제창한 아비투스의 개념은 유명하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참여 지식인이며,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과 프랑스 최고 학술기관인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학 교수로, 1930년 프랑스 남부 베아른의 작은 농촌 마을에서 태어났다. 파리의 명문 루이 르 그랑 고등학교를 거쳐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25세 때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하였다. 이어 지방 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알제리대학 조교로 근무하면서 저술 활동을 시작해 1958년, 첫번째인저서알제리 사회학을 발표하고, 34세에 파리 고등실천학교 학과장으로 부임하였다. 1968년 유럽사회학센터를 설립하고 사회학연구를 발행하기 시작, 이 잡지에 활발한 연구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른바 '부르디외 학파'를 형성하고, 이때부터 사회학을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기술하는 학문'으로 파악하는 한편, 후기 구조주의 입장에서 구조와 행위의 관계를 설명하는 입장을 취했다. 즉 사회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을 고수하면서, 사회학적 방법론과는 거리가 먼 문화예술 현상에도 관심을 가지고 미학적 인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어가는 방식 등에 관한 저서를 잇달아 발표했다. 1970년에는 학교의 독립성과 중립성이 환상에 불과하다는 내용을 다루면서 구조와 행위의 통합을 꾀한 역저 재생산을 출간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51세 때인 1981년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취임한 이후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는 틈틈이 현실 참여에도 앞장서 텔레비전에 출연해 언론 기자들을 비판하고, 실업자들을 지지하며, 문명 파괴 반대 운동에도 참여하는 등 행동하는 지식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 신자유주의자들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들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범세계적인 지식인 연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상속자들(1964), 재생산(1970),실천이론 개요(1972), 구별짓기(1979), 실천감각(1980),호모 아카데미쿠스(1984), 국가귀족(1989), 텔레비전에 대하여(1996), 맞불(1998), 경제학의 구조(2000) 등이 있다. 사후 콜레주드프랑스 강의록이 연속 출간되었으며, 생전 기획한 총서 '소우주'는 부르디외 자신의 개별 장들에 대한 분석을 종합해 장이론의 사회학적 분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소우주: 장의 이론(2022)가 첫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대산문화재단 초청으로 2000년 9월 26일부터 3일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2000 서울 국제문학 포럼'에 문학비평가이자 문학사회학자인 파스칼 카사노바와 함께 참가하기도 하였다. 그 무렵,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의 정치학 교수인 베르트랑 정(한국명 정성배)과의 대담이 한 중앙일간지에 특집으로 실리기도 했다. = = 이론 = = 상징적 폭력 피에르 부르디외의 저서 <<구별짓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별짓기』는 8개의 장과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프랑스가 대혁명을 거친 후 20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귀족적 사회제도를 유지하고 있다는 총체적인 비판을 가한다. 2장과 3장에서는 사회변동의 방법론을 설명하고, 사회학에서 일상 세계를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인 문화분석의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구별짓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현대사회에서 계급의 위치와 그들의 행위를 설명하고 있는 5, 6, 7장의 계급론이다(5장은 지배계급론, 6장은 중간계급론, 7장은 피지배계급론이다). 8장은 문화분석의 사례를 정치적 영역에 적용한 경우이다. 프랑스 사람들이 자신의 계급적 기반과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것, 예컨대 노동자들이 보수 정당에 표를 던지는 경우가 현대 정치에서 대단히 큰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설명하는 데 부르디외의 해석은 큰 실마리를 준다. 『구별짓기』의 마지막 결론 부분은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많아 대단히 전문적 지식을 요구한다. 그러나 그의 결론을 1장과 연결지어 해석해보면, 결국 프랑스가 자유·평등·형제애를 기본이념으로 하여 혁명을 이루어낸 후 지금까지 200년이 지났건만 현대사회가 과연 이러한 이념들을 제대로 실현했는가는 대단히 의문스러우며, 여전히 보이지 않는 불평등이 사회 곳곳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불평등 상태가 과거와는 달리 문화적 생활양식을 통해 개인의 무의식과 습관을 지배하고 있으며, 바로 이러한 연유로 해서 현대사회의 권력관계가 쉽게 가시화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부르디외가 주장하는 상징적 폭력의 실체이다. 우리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문화권력의 그물망에서 평등의 실체를 망각하고 계급적 불평등에 익숙한 채 살아가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2004.3.30, ㈜살림출판사 장 이론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르디외의 이론 속에 장 개념이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되는 계기는 1966년에 발표한 「지적 장과 창조적 기획」이라는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지적 작품의 창조성은 작가의 순수한 기획이라기보다는 작가가 속한 사회적 요구와 제약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즉,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과 맺는 관계는 '사회적 관계의 체계'에 의해, 더 정확하게는 '지적 장의 구조 내에서 창작자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창조적 지식이나 예술작품들은 장 안에 있는 행위자들의 상대적 위치와 장을 지배하는 구조적 규칙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지식이나 예술작품들은 학자나 예술가가 속한 사회의 속성과 구조의 규칙들에 따라 일정한 형태를 띠고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위 예술가들은 자신이 속한 계급적 위치에 따라 일정한 교육 과정을 밟게 되며, 이것은 그들에게 공통된 아비투스를 갖도록 유도한다. 그런데 이것은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예술품이나 지식을 대하는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무의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이것을 근거로 문화재에 대한 가치 판단이 결정된다. 부르디외에 따르면, 사회는 개인이나 집단들의 무질서한 집합체이거나 계급들의 위계화된 피라미드이기보다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장들이 접합된 다차원의 위치공간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 안에서 개인들은 자신이 점유한 위치에 따라 상이한 행동전략을 펼치게 된다. 이때 행위자들의 위치는 보유자본의 총량과 그 총량의 내부구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윤을 확보할 수 있는 자본의 개념은 현대사회에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확대될 수 있다. 첫째, 경제자본 : 돈으로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소유권의 형식 속에 제도화되어 있는 이 자본은 생산의 상이한 요소등(토지, 공장, 노동력 등)과 '각종 재화들(자산, 수입, 소유물 등)로 구성된다. 둘째, 정보자본 : 여기에는 문화자본이 포함된다. 정보자본은 받아들여진 정보를 구조화하고 알 수 있게 해주는 각종 정보와 성향의 저장물(stock)이다. 문화자본은 가족에 의해 전수되거나 교육체계에 의해 생산되는데, 대개 세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먼저 자연스러운 말투나 몸짓처럼 지속적인 성향으로서 '체화된(incorporé)' 상태이다. 다음으로 책, 미술품 등의 다양한 문화재화로서 '대상화된' 상태이다. 끝으로 자격을 부여하는 승인 형식의 '제도화된' 상태이다. 셋째, 사회(관계)자본 : 한 개인이나 집단이 동원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연줄과 관계망으로서 정의되는 이 자본은 예를 들면, 귀족이라는 명칭 안에 제도화될 수 있다. 이 자본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관계를 만들고 관리하는 '사교성의 노동(초대, 집단적 오락, 클럽에의 가입 등)'이 요구된다.《네이버 지식백과》>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2004.3.30, ㈜살림출판사 아비투스(habitus) 아비투스(habitus)란 특정한 환경에 의해 형성된 성향, 사고, 인지, 판단과 행동체계를 의미한다. 집단 내에 존재하는 동질적 특정과 집단 간에 존재하는 배타적 이질성으로 계급구성원들의 문화적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 = 주요 저서 = = 《알제리의 사회학》(1958) 《상속자들》(1964) 《재생산》(1970) 《실천이론의 개요》(1972) 《구별짓기》(1979) 《실천감각》(1980) 《호모 아카데미쿠스》(1984) 《국가귀족》(1989) 《텔레비전에 대하여》(1996) 《맞불》(1998) 《경제학의 구조》(2000) = 제임스 루소 = 제임스 루소(James Russo, 1953년 4월 23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장고: 분노의 추적자 - 디키 스펙 역 파이널 킬 - 밥 역 = 유야케단단 = 유야케단단은 일본 도쿄도 아라카와구 3초메 10·13·14번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고양이 마을이다. 그러나 닛포리역 방면에서 야나카 긴자 상점가로 내려가는 언덕 또는 계단으로 내려오게 되면, 고텐자카가 보인다. 그래서 고텐자카의 연장 선상에 해당되는 장소 또는 구역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계단의 경사는 15도로 다소 엄격하지 않아, 높낮이의 차이는 겨우 4m에 이르고 있는 반면, 계단의 개수는 36개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40계단과 비슷하다. 폭은 4.4m, 길이 역시 15m에 이를 정도로 경사면이 느슨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일대에서는 도쿄도 도심에서 보기가 매우 드문 고양이 마을로 손을 꼽히게 된다. = = 무대를 다룬 작품 = = 극장 애니메이션 : = 주차 브레이크 = 주차 브레이크또는 사이드 브레이크( side brake)는 주차할 때 차량을 움직이지 않게 해주는 제동장치이다. 비상 상황으로 인한 긴급 제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주차 브레이크는 이륜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풀링 매커니즘에 연결된다. 대부분의 차량에서 주차 브레이크는 후륜에서 채워지며, 주차 브레이크가 채워져 있는 동안에는 정지 마찰력이 감소된다. = = 개요 = = 소형 차량의 경우, 주차 브레이크는 원래 긴급 제동(예를 들어 풋 브레이크가 유압을 소실하거나 기타 기능 이상으로 인해 완전히 고장이 난 경우)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 = 종류 = = 핸드(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 손으로 당기면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되고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리면 해제된다. 생산 단가가 적게 들어가며, 기계식이다. 중형급 미만의 승용차하고 소형 상용차에 많이 사용된다. 케이블 파킹식 : 운전석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방식으로, 당기면 체결, 해제 시에는 손잡이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7~90년대에 생산되었던 트럭, 버스 토요타 코로나 모델에 적용되었으며, 현재는 주차된 상태에서도 저절로 해체되는 고장이 잦아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풋(족동식) 주차 브레이크 : 발로 밟아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본래는 중형급 이상의 고급 승용차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캐스퍼나 레이 등의 경차에도 이 방식을 이용한다. 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왼쪽에 있으며, 핸드(수동식) 주차 브레이크하고 같은 기계식이다. 체결 및 해제 시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계기판)부의 릴리즈 노브 또는 플로어(차의 내부 바닥) 콘솔부에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밟아서 조작하므로 수동식보다 조작이 간편하지만 체결 여부의 확인이 어려우며, 초보자에게는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일렉트로닉(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인데, 기어 레버를 P레인지에서 다른 레인지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해제되며, 다시 P레인지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체결된다. 하지만 전자식이라 생산 단가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에어 브레이크 : 주로 트럭이나 버스 같은 대형 차량에 많이 사용되며, 공기가 빠지는 소리와 함께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된다. = 안드레우 폰타스 = 안드레우 폰타스 프라( Prat, 1989년 11월 14일 ~) 또는 앤드류 폰타스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이다. 2008년에 스페인 U-19 청소년대표, 2009년 스페인 U-20 청소년대표으로 활약했으며 현재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 스포팅 캔자스시티에서 센터백로 뛰고있다. = 할리데이비슨 스포스터 = 할리데이비슨 스포스터(스포츠터)(Harley-Davidson Sportster)는 미국의 모터사이클 제조 회사 할리데이비슨의 모터사이클 시리즈명이다. 1957년에 초기형을 시판한 이후 스포티한 주행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할리데이비슨의 라인 업 내에서는 스포스터 패밀리라고 부르고 있다. = = 특징 = = 누구라도 스포티한 주행을 충실할 수 있게 개성적인 라인 업과 저가격으로 인기의 차종이다. 스포스터 자체는 1952년에 등장하고 있지만, 1957년에 K모델로서 등장한 것은 사이드밸브 엔진에 55m3인치 OHV엔진과 트랜스미션과 일체형인 "에볼루션 엔진"을 탑재하고 폭도 억제하고 있는 디자인이 되었다. 중량도 가볍고 시트의 높이도 낮기 때문에 할리데이비슨의 입문자나 여성들도 운전하기 쉽다. 현재는 883cc와 1200cc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 = 스포스터(스포츠터) 패밀리 = = 스포스터-1957년에 등장한 최초의 스포스터. 1958년에는 저압축의 XL, 고압축의의 XLH, 보안부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마그네토 점화의 저압축의 XLC, 고압축의 XLCH가 탄생. 1959년에는 XL, XLH, 보안부품장착의 XLCH만이 된다. 1960년에는 XL도 없어져 XLH와 XLCH만이 되고, 배터리 점화와 디스트리뷰터의 XLH, 배터리레스로 마그네토 점화의 XLCH가 된다. 1967년에는 XLH만큼 셀이 붙고, 1970년에는 XLCH도 XLH와 같이 배터리 점화와 디스트리뷰터가 된다. XLCR XR750 XR750TT XR1000 XR1200 XR1200X XL1200N(스포스터1200 나잇스터) XL1200L(스포스터1200 로우) XL1200C(스포스터1200 커스텀) XL1200S(스포스터1200 스포츠) XL1200R(스포스터1200 로드스터) XLH1100(1987년 모델로부터 등장) XL883N(스포스터883아이언) XL883L(스포스터883로우) XL883R(스포스터883R) XL883C XLH883(1987년 모델부터 등장. 변속기는 4단으로 현재의 스포스터보다 적다.) XLH883허거 = 무평 = 무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무평 (북제): 중국 북제(北齊) 후주(後主) 고위(高緯)의 두 번째 연호 무평로: 순천시 해룡면 율촌교차로에서 왕조동 순천 나들목을 이어 주는 도로 무평현: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룽옌시의 현급 행정구역 = NW = NW 또는 Nw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네트워크(network) 핵전쟁(Nuclear warfare) 노스웨스트 항공(Northwest Airlines) 북서쪽(Northwest) 나이서스 라이터(Nisus Writer) = 비에트리술마레 = 비에트리술마레는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살레르노도에 있는 코무네이다. 아말피 해안을 드라이브를 시작하기 편리하여 관광객들에게 인기있는 방문지다. 이곳은 아말피 해안의 첫 마을이 될 수도 있고 마지막 마을이 될 수도 있으며 이곳의 주민들은 "아말피의 첫 번째 진주"라고 부르는걸 좋아한다. = 위키백과:사랑방 (기술)/2014년 6월 = = = 조사 확장기능 도입 = = 미디어위키 페이지를 산책하던 도중 조사 확장기능을 발견했습니다. 이 확장기능은 조사를 자동으로 붙여줍니다. 예시로 Output: 를 이렇게 됩니다. 이 기능이 도입되면 틀 같은데 쓰기 좋을 것 같습니다.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조사를 정해 주니까 굳이 수동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겠죠. 한번 도입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 콩가루 (토론) 2014년 6월 1일 (일) 00:37 (KST) 이미 쓰이는 루아 모듈도 있습니다. 모듈:Hangul 참고. 틀:다른 뜻 넘어옴 등 다수 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ChongDae (토론) 2014년 6월 13일 (금) 13:57 (KST) 지금은 확장 기능과 루아 모듈 등으로 구현되어 있는 한글 조사 처리 기능을 아예 미디어위키 코어에 구현할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devunt (talk) 2014년 6월 13일 (금) 15:57 (KST) — by 레비ReviDiscussSUL Info at 2014년 7월 6일 (일) 21:37 (KST) = 분류:UUUM = = 다블라트 보보노프 = 다블라트 후스니디노비치 보보노프(, , 1997년 6월 7일~)는 우즈베키스탄의 유도 선수이다. 그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90kg 종목에서 동메달 중 하나를 획득했다. 그는 뒤셀도르프 2020년 유도 그랜드슬램 90kg급 금메달을 흭득했다.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2년 파리 유도 그랜드슬램에서 자신의 종목에서 동메달 중 하나를 획득했다. = 분류:사용자 tl = tl Tagalog.아래 사용자는 타갈로그어를 합니다. tl = 어깨결림 = 어깨결림은 통증을 수반하는 근골격계 증상들의 흔한 이유들 중 하나이다. 어깨는 체내의 가장 많이 움직이는 관절이지만, 허용되는 움직임 범위가 좁기 때문에 불안정한 관절이기도 하다. 이 불안정성은 관절 손상의 가능성을 드높이며 조직이 파괴되어 더 이상 기능조차 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기도 한다. = 스트로베리 패닉! = 스트로베리 패닉!(, Strawberry Panic!)은 기미노 사쿠라코 작화의 일본의 라이트 노벨 시리즈이다. 등장인물 간 레즈비언 관계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원 아티스트는 마키 치토세이며 일본 만화와 라이트 노벨의 제작이 시작되었을 때 다쿠미 나무치에게 아티스트 업무가 인계되었다. 전격 G's 매거진에 처음 기고되면서 6개월만에 시리즈의 성공이 가시화되자 팬의 수가 증가하였다. 이후 만화와 라이트 노벨 모두 인기를 반영하였다. = 나리분지 = 나리분지(羅里盆地)는 울릉도에 중북부에 있는 분지로, 성인봉의 북쪽에 있다. 이곳은 성인봉의 화산 폭발로 만들어졌으며, 칼데라이다. 500만 년 전에 강력한 분화로 인해 성인봉을 중심으로 울릉도가 형성되었고, 그 후 봉우리 아랫 부분이 함몰되어 나리분지가 생겨났다."울릉도는 死화산 아닌 현재진행형 生화산" 동아일보, 2014.4.25. 지금은 나리분지 안에서 사람들이 거주하고 농사를 짓고 있다. = 리서우신 = 리서우신이라는 이름은 가진 인물은 다음과 같다. 리서우신(李守信, 이수신, 1892 ~ 1970)은 중국 청나라에서 출생한 몽골 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다. 리서우신(李守信, 이수신, 1954 ~ )은 대학 교수를 거쳐 외교관을 지낸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다. = 조성목 = 조성목(2001년 6월 4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대전 출생으로, 2007년 뮤지컬 꼬마 빅뱅을 통하여 데뷔하였다. 이후 EBS 방송사에서 긴 시간동안 활약하였다. = = 출연작 = = = = = 뮤지컬 = = = 2008년 《마인》 = = = = = = 방송 = = = = = = 2007년 《꼬마 빅뱅》 = = = 영화 = = = 2012년 《엘리노의 비밀》 - 엘리노 역 2013년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2 》 - 어린 플린트역 2014년 《두근두근 내 인생》 - 한아름 역 2016년 《주토피아》 - 어린 기디온 그레이 역 = = = TV 시리즈 = = = 2013년 EBS 《TV로 보는 원작 동화》 = = = TV 프로그램 = = = 2009년 EBS 《생방송 톡! 톡! 보니하니》 2009년 EBS 《다큐동화 달팽이》 2009년 EBS 《키득키득 실험실》 2011년 EBS 《방귀대장 뿡뿡이》 2012년 EBS 《통통가족》 2012년 투니버스 《슈퍼 히어로》 2012년 대교어린이TV 《클래식 친구 부니부니》 2013년 EBS 《꼬마 철학자 휴고》 = = = = = = 사물놀이 = = = = = = 2022년 소리마니 《소마의 세포들》 - 유미 역, 영남 2023년 소리마니 《패짱과 함께》 - 비나리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10월 7일 =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브라질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가 실시되었다. 사회자유당(PSL)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46.03%의 득표율로 1위, 노동자당(PT)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가 득표율 29.28%로 2위를 기록하였다.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없어, 1위와 2위 후보를 대상으로 오는 10월 28일 2차 투표(결선 투표)를 치르게 된다. 고양 저유소 휘발유 탱크 폭발 사고: 오전 11시에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에 위치한 대한송유관공사 경인지사 고양저유소의 휘발유 탱크에서 유증기 폭발로 대형화재가 발생하였다. = 샤토시농 (캉파뉴) = 샤토시농(, 정식 명칭: 샤토시농 (캉파뉴)(Château-Chinon (Campagne))은 프랑스 부르고뉴 니에브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28.39km2, 인구는 617명(2008년 기준), 인구 밀도는 22명/km2이다. = 분류:1920년 = = 아스판디야로프 칸 = 아스판디야로프 칸(, 1871년 ~ 1918년)은 우즈베크족의 12번째 통치자이자 히바 칸국의 54번째 칸이다.Веселовский Н. И. Очерк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Хивинском ханстве. — СПб., 1877. — с. 244 = = 생애 = = 1910년 아버지이자 선대 히바 칸국의 칸인 무함마드 라힘 2세가 사망한 이후 아스판디야로프 칸이 히바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 그의 아버지와는 달리 그에게는 특별한 운이 있지는 않았다. 자신이 통치하던 시기에는 국가의 주요 역할은 계몽으로써 국무총리 이슬람 효자와 함께 계몽운동을 펼쳤다. 그는 히바 도시에 공장, 병원, 약국, 우체국, 전신국, 세속 학교 등을 건립하는 사업도 펼쳤다. 1908년부터 1910년 사이 이슬람 효자는 이찬 칼라 남동쪽에 작은 마드라사로 구성된 히바에서 가장 높은 첨탑을 지었다. 이슬람 효자는 아스판디야로프 칸이 죽은 이후 나중에 죽었다.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는 성 스태니슬라우스와 성 안나 훈장을 받았다. 이후, 1910년 칸은 러시아 제국에게 장군 칭호를 받았다. 1911년 그는 차르의 수행원이 되었다. 1913년에는 니콜라이 2세에게 "왕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러시아 본토에서 일어난 2월 혁명은 히바 칸국에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1917년 4월 5일 말라도흐비니치라는 사람이 칸에게 여러 가지 개혁을 하라는 요구를 한다. 이 요구에서는 칸에게 입법 등의 행정기구를 만들고 집회권을 보장, 의회 설치 등의 여러 개혁문을 발표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칸의 권력은 약해졌으며 이 의회 의장으로는 보보아훈 사리모프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 상황이 불안해지면서 반동 세력이 우세해졌다. 그 결과, 칸 정부는 개혁 취소 선언을 하면서 말라도흐비니치의 개혁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히바 칸국은 주나드 칸 투르크멘 지도자가 칸국 군대 지휘관이 되면서 곧 모든 권력이 그로 쏠리게 되었다. = = 문화 정책 = = 히바 도시 내에서는 아스판디야로프 칸의 재위 동안 새로운 마누라사와 사원을 건축했다. 또한, 누루넬라 베이 궁전이라고 하는 몇 가지 홀과 현대식 방, 러시아의 모더니즘 장식으로 이루어진 현대식 왕궁을 건축했다. 또한, 샹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제국 도자기 공장에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용 도자기를 주문하기도 했다. 또한, 최초의 우즈베크인 영화감독인 후데이베르겐 데바네이는 1910년 아스판디야로프 칸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으면서 최초의 우즈베키스탄 영화를 만들었다. = = 죽음 = = 1918년 아스판디야로프 칸은 누루렐라 베이 궁전에서 주나드 칸의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살해당했고, 이후 주나드 칸의 동생인 사이드 압둘라 칸이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나드 칸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 틀:위치 지도 티에라델푸에고 제도 = 티에라델푸에고 제도 티에라델푸에고 제도 = 광저우 지하철 4호선 = 광저우 지하철 4호선(广州地铁4号线)은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 있는 톈허 구의황춘 역(黃村站)에서 난사구의 진저우 역(金洲站)까지를 연결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이다. 광저우 지하철 종합 공사가 운영한다. = = 개요 = = 광저우 지하철 4호선은 광저우 전체 지하철 중 5호선과 함께 리니어 모터를 사용한 차량이다. 리니어 모터는 회전 운동 대신에 직선 운동을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자기부상열차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최대 경사가 55 ‰가 있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이 방식을 채용하였다. 차량은 가와사키 중공업이 제작을 맡았으며,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을 채택한 노선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이다. 단독 / ATO(자동 열차 운전 장치) 운전을 실시하도 있다.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 도어를 완비하였다. = = 역사 = = 2015년 12월 28일 :췽쉥역 개통 2010년 9월 25일 : 체베이난 역 - 황춘 역 구간 개통 2009년 12월 28일 : 완성웨이 역 - 체베이난 역 구간 개통 2007년 7월 28일 : 황거 역 - 진저우 역 구간 개통 2006년 12월 30일 : 씬자오 역 - 황그 역 개통 (관챠오, 칭셩은 제외) 2005년 12월 26일 :완성웨이 역 - 진자오 역 구간 개통 = = 사용 차량 = = 광저우 지하철 4호선에 편성된 4량 차량 = = 노선 정보 =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 43.6 km (미개통 구간 제외) 궤간: 1435mm (표준궤) 역 수 : 16 역 (미개통 역 제외) 복선 구간: 전 노선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1500V 셋째 궤조 방식) 차량 기지: 신자오 차량 기지 지상 구간 : 관차오역 ~진저우 역 구간 주행 방향: 우측 통행 = = 역 목록 = = 배경색 ■ 부분에 기울임체로 쓰여진 역명은 아직 공사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구간이다. 역명 중국어 영어표기 영업거리 환승 위치 황춘 역 Huangcun 호선(공사중) 톈허 처베이 역 Chebei 호선(공사중) 톈허 차베이 남역 Chebeinan 0.0 호선 톈허 완성웨이 역 Wanshengwei 3.8 호선 하이주 관저우 역 Guanzhou 하이주 대학성 북역 Higher Education Mega Center North 판위 대학성 남역 Higher Education Mega Center South 호선 판위 신짜오 역 Xinzao 판위 관차오 역 Guanqiao 미개통 판위 스치 역 Shiqi 판위 하이방 역 Haibang 호선(공사중) 판위 디충 역 Dichong 판위 동충 역 Dongchong 판위 칭성 역 Qingsheng 판위 황거치처청 역 Huangge Auto Town 난사 황거 역 Huangge 난사 자오먼 역 Jiaomen 난사 진저우 역 Jinzhou 43.6 난사 페이사자오 역 Feishajiao 난사 광룽 역 Guanglong 난사 다충 역 Dachong 난사 탕컹 역 Tangkeng 난사 난헝 역 Nanheng 난사 난사커윈강 역 Nansha Passenger Port 난사 = 분류:항공사에 관한 틀 = =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위원회/투표/200904 = 본래 사용자:mhha님도 같이 입후보하였으나, 선거시작전 후보직을 사퇴하였기에 사용자:심현우님 단독으로 선거를 시작하겠습니다. = 유하주 = = = 음반 = = 2014년 Again 2016년 완전 좋아 = 분류:2014년 인도네시아 = =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스노보드 참가 선수 = = 분류:여성과 죽음 = = 유럽 고속도로 852호선 = 유럽 고속도로 852호선(E852)은 북마케도니아의 오흐리드에서 알바니아의 티라나 국경지대까지 이어주는 총연장 134km의 거리를 가진 국제 E-road 간선도로망이다. 그러나 이 도로는 본래부터 총 연장이 29km였으나 얼마 못가 134km까지 100km 이상 연장시켰던 것으로 나와 있다. = = 주요 경유지 = = : 오흐리드 - 스트루가 - / 국경선 알바니아 국경 * SH3 : 리브라주드 - 엘바산 - 티라나 = 록히드 마틴 X-33 = X-33은 록히드마틴과 NASA가 1990년대 SLI 계획에 편입해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하다가 2001년 2월 취소한 단발 궤도선이다. 벤처스타 이전에 발의되었던 단발 궤도선으로, X-33의 개발이 지연되며 X-33의 문제를 알게 되어 벤처스타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하려고 했다. = = 역사와 제작 배경 = = 1994년, NASA는 SLI 계획에 편입해 개발할 로켓을 정했다. 이 계획의 목표는 저가 발사체 개발과 새로운 로켓 개발이었다. 이 계획의 목표에 따라 최종 후보작으로 이 로켓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뒤 개발사는 록히드마틴, NASA, 로크웰이었다. 그리고 NASA가 922만 달러, 록히드마틴이 357만 달러를 부담하고, 1999년 첫 비행, 2005년 페이로드 발사가 계획되었다. 그리고 3개의 설계도와 디자인을 각 개발사가 제출하여 록히드마틴의 설계도와 디자인이 선출되었다. 하지만 에어로스파이크 엔진과 연료 탱크 문제로 인해서 계속 발목이 잡히고벤처스타도 이 엔진 때문에 발목이 잡혀서 취소된다. 결국 이 로켓의 계획은 2001년 2월 취소된다. 이후 이 로켓의 개발 자료는 X-34와 벤처스타에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나중에 록히드마틴은 2009년 2m 모델을 만들어 실험하지만 실패한다. = = 지원, 개발, 투자 = = NASA 록히드마틴 로크웰 = 레클리노모나스속 = 레클리노모나스속(Reclinomonas)은 작은 원생생물 속의 일종으로 박테리아를 먹이로 취한다. 엑스카바타 하위 분류군의 일종으로 분류한다. = 기독교민주당 아펠 = 기독교민주당 아펠은 1973년에 설립된 네덜란드의 기독교 민주당이다. 아펠은 네덜란드어로 "호소, 애원"을 뜻한다. = 분류:칼푸르니우스 씨족 = = 자본의 본원 축적 = 자본의 본원 축적(資本 本源蓄積, , ) 또는 자본의 원시 축적은 봉건사회가 해체해 자본제 사회가 성립하는 과정에서의 생산 양식의 변화를 가리킨다. = = 개요 = = 자본제 사회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상품 경제가 성립하기 위한 상품 생산의 존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생산수단과 노동력을 구입해 잉여가치를 착취하는 자본가의 존재 노동력을 팔 수 있는 무산 계급의 존재 가 필요하다. 봉건사회의 해체에 의해, 양계급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형예로서 영국에서는 요먼이 인클로저에 의해서 해체되어 다수가 토지라는 생산수단을 잃어 임금노동자가 되어, 자본주의적 생산의 기초가 쌓아 올려졌다. 그리고 이 과정은 산업혁명에 의해서 완료했다. = 박종훈 (1773년) = 박종훈(朴宗薰, 1773년 ~ 1841년)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좌의정을 지냈다. 본관은 반남. 자는 순가(舜可), 호는 두계(荳溪),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 생애 = =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고 순조 때 검교대교, 각신, 대촉, 승지, 성균관대사성, 함흥부위유사, 보덕, 사헌부대사헌, 경기도관찰사, 홍문관부제학, 규장각직제학, 전라도관찰사, 이조참판, 우부빈객, 홍문관제학, 한성부판윤, 우빈객, 예문관제학, 대사헌, 형조판서, 좌빈객,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평안도관찰사, 규장각제학, 좌부빈객, 우빈객, 병조판서, 사헌부대사헌, 좌빈객, 홍문관제학,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형조판서, 이조판서, 공조판서,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우빈객, 예문관제학, 원임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의정부우참찬, 한성부판윤, 판의금부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우부빈객, 함경도관찰사, 좌빈객, 형조판서, 홍문관제학, 이조판서, 예조판서, 판의금부사, 우의정을 거쳐 헌종 때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이 되고 판중추부사로 치사했다. = 제7기동군단 = 제7기동군단(第七機動軍團, )은 지상작전사령부 예하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며, 상징명칭은 북진선봉부대(北進先鋒部隊)이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유일하게 공격임무만을 맡는 기동부대로서 유사시 북한으로 진격하게 된다. = = 개요 = = 육군의 제7기동군단은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이다. 군단 구성 부대 전체가 기계화되어 있다. 7군단은 현재의 작전계획 5027에서는 일부 임무가 변경되었다고 하나, 원래는 적이 서부전선 쪽 ‘하이웨이 1’ 축선과 ‘철원-문산’ 축선을 파고들 때 전열을 재정비한 뒤 공지합동전술 및 기동전술로 적의 종심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는 부대다. 때문에 대부분의 육군 군단에는 ‘특공연대’가 있지만 7군단에는 헬기에 탑승해 적 종심을 타격한 뒤 교두보 구축 역할을 맡는 ‘강습대대’가 있다. 여기다 주한미군의 제2보병사단도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전시지휘체계에서는 한국군의 7군단에 배속돼 함께 싸우게 된다. 즉 북한과의 전면전 발생 시 초기에 증원되는 인 미국 육군 제18공수군단과 본토의 항공여단 등의 도움을 받아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징이 하나 있다면 기동군단이라서 주요 직위자의 군사특기가 보병과 기갑이 혼재되어 있다. 일례로 김근태가 군단장이던 시절 주요지휘부에서는 참모장(오정석)과 주임원사가 기갑 병과였다. = = 역사 = = 군단은 처음에는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로서 창설되었다. 제1, 2유격여단을 배속받았으며, 같은 달 31일 강원도 삼척시로 이동하였다. 이후, 강원도 동해안부터 경상북도 일부지역을 경비하였다. 같은 해 8월 18일, 제1, 2유격여단이 특수전사령부로 전속하여 동해안경비사령부를 떠났다. 1982년 8월, 서수를 부여받아 제7군단으로 개편되고 이듬해 1983년 작전계획 5027-04를 기반으로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임무가 바뀌어 공격에만 주력하는 기동군단으로 선택되었다. 그에 따라 경기도 이천시로 옮겨갔으며, 수도기계화보병사단과 제20기계화보병사단을 예속받았다. 2021년 1월 1일, 제2신속대응사단은 제2작전사령부의 제201, 203특공여단을 전속받아 신속전개군이자 공중강습부대가 되었다. = = 사건사고 = = 1992년 2월 14일 오전 9시 45분경,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상림리 마을 뒷편에 있는 삼정산 7부 능선에 육군 204항공대 소속 UH­-1H 헬리콥터 1대가 추락하였다. 군단장과 군단 참모진등 7명이 사망하고, 헬기 조종사 이지성 소령과 부조종사 이수호 대위 등 3명은 중상을 입고 국군병원으로 후송됐다. 군단장 이현부 중장은 부대 순시를 위해 강원도 홍천에서 포항 방향으로 헬기로 이동 중이었다. 도중 테일로터 프로펠러가 떨어져 나가면서 균형을 잃고 마을 과수원으로 추락하였다. 안전띠를 벗어던지고 군단장을 살리기 위해 겹겹이 얼싸안아 충격완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부조종사 이수호 대위는 헬기가 폭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배터리를 떼어내려 했으며, 조종사 이지성 대위는 끝까지 조종간을 잡고 착륙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헬기는 완전히 부셔졌고 떨어져 나간 테일로터는 500m가량 떨어진 논밭에서 발견되었다. 2월 16일 3야전군 사령부에서 영결식을 마친 뒤, 이현부 중장은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이튿날 군단 참모 6명은 대전광역시 국립묘지에 안정되었고, 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故 이현부 중장(50, 육사 20기) - 군단장 故 허정봉 대령(49, 학군 13기) - 작전참모 故 이원일 대령(50, 학군 11기) - 군수참모 故 노용건 대령(진)(1992년 2월 3주차 진급예정이었음, 40, 육사 30기) - 감찰참모. 군단 작전참모 허정봉 대령 이임 전 군단에 배속되고 보직을 받음. 故 한황진 소령(32, 육사 38기?) - 비서실장 故 서상권 중위(25, 육사 45기) - 부관 故 조규성 상병(22) - 승무원 故 이지성 대위(35, 3사 15기) - 조종사(사고 당시에는 중상을 입고 살았지만 1개월 후 사고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이수호 대위(진)(27, 학군 26기) - 부조종사 문기남 상병(22) - 승무원 2002년 2월 10일 서울특별시 국립묘지와 이튿날 2월 14일 수도사단에서 군단장 사고사 10주기 추모식이 시행되었다 = = 편성 = = = = = 현재 = = = 제517방공대대가 2008년에 창설되었다. 2016년 군개편으로 제8, 11, 26사단이 군단으로 전속되었다. 2018년에 26사단이 해체되고, 2019년에는 20사단이 해체되었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 제2신속대응사단 "노도" 제8기동사단 "오뚜기" 제11기동사단 "화랑" 제7공병여단 제7포병여단 제17항공단 제107정보통신단 통신운용대대 제771통신대대 제1강습대대 제2강습대대 제17화생방대대 제517방공대대 제7경비대대 = = = 이전 = = = 제1유격여단; 1969년 1월 18일, 창설. ~ 8월 18일, 특수전사령부로 전속. 제2유격여단; 1969년 2월 17일, 창설. ~ 8월 18일, 특수전사령부로 전속. 제88여단; 1975년 8월 1일, 창설. ~ 1982년 8월 16일, 제1해안전투단과 병합. 제56연대 제58연대; 1982년 8월 16일, 제22보병사단으로 전속. 제1해안전투단; 1974년 ~ 1982년 8월 16일, 제88여단과 병합. 제68훈련단; 1975년 8월 1일 ~ 1987년, 사단화. 제707특공연대; 제7강습대대로 축소 제7강습대대; 제1강습대대, 제2강습대대로 개편 = = 계보 = =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 1974년, 동해안방어사령부 1982년 8월 16일, 제7군단 1983년, 제7기동군단 = = 역대 군단장 = = 제7기동군단, 군단장 계급 성명 임관 취임일 이임일 최종 보직 참고 1 소장 강원채 육사 5기 1969년 1월 18일 - 19 중장 이현부 육사 20기 1991년 12월 1992년 2월 14일 재직 중 순직 23 중장 김장수 육사 27기 2001년 2003년 4월 육군참모총장(대장), 국방부장관 24 중장 김병관 육사 28기 2003년 4월 2005년 4월 한미연합 부사령관(대장) 25 중장 김근태 육사 30기 2005년 4월 2006년 12월 4일 제1야전군 사령관(대장) 26 중장 김영후 육사 31기 2006년 12월 4일 2008년 11월 11일 27 중장 박성규 3사 10기 2008년 11월 11일 2010년 6월 28일 제1야전군 사령관(대장) 28 중장 이준구 육사 34기 2010년 6월 28일 2011년 11월 29 중장 임국선 학군 17기 2011년 11월 2013년 4월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중장) 30 중장 박찬주 육사 37기 2013년 4월 2014년 10월 14일 2작전사령부 사령관(대장) 31 중장 장재환 육사 39기 2014년 10월 14일 2016년 4월 29일 교육사령부 사령관(중장) 32 중장 이종섭 육사 40기 2016년 4월 29일 2017년 9월 합동참모차장(중장) 33 중장 이정기 육사 41기 2017년 9월 2018년 12월 육군항공작전사령관(중장) 34 중장 윤의철 육사 43기 2018년 12월 2019년 11월 합동참모차장(중장) 보직해임성 인사조치. 35 중장 허강수 3사 23기 2019년 11월 2022년 6월 제7기동군단장 3년(2019년 ~ 2022년) 동안 보직. 36 중장 고현석 학군 29기 2022년 6월 2023년 4월 37 중장 김호복 3사 27기 2023년 4월 현재 = 아카데미 각본상 = 아카데미 각본상(Academy Award for Writing Original Screenplay)은 아카데미상 종류의 하나로, 각본이 잘 된 작품에게 수여된다. = = 수상자와 후보자 = = = = = 1940년대 = = = 연도 작품 작가 1940 1940 위대한 맥긴티 프레스턴 스터지스 1940 엔젤스 오버 브로드웨이 벤 헥트 1940 에를리히 박사의 마법의 탄환 노먼 번사이드 하인즈 헤럴드 존 휴스턴 1940 해외 특파원 찰스 베넷조앤 해리슨 1940 위대한 독재자 찰리 채플린 1941 1941 시민 케인 허먼 J. 맹키위츠오슨 웰스 1941 데블 앤 미스 존스 노먼 크래스나 1941 요크 상사 해리 챈들리애벰 핀클존 휴스턴하워드 코흐 1941 톨, 다크 앤 핸섬 칼 턴버그대럴 웨어 1941 톰, 딕 앤 해리 폴 자리코 1942 1942 우먼 오브 더 이어 마이클 캐닌링 라드너 주니어 1942 원 오브 아워 에어크래프트 이즈 미씽 마이클 파월 에머릭 프레스버거 1942 모로코 가는 길 프랭크 버틀러돈 하트먼 1942 웨이크 아일랜드 W. R. 버넷프랭크 버틀러 1942 더 워 어게인스트 미시스 해들리 조지 오펜하이머 1943 1943 프린세스 오루크 노먼 크라스나 1943 에어 포스 더들리 니컬스 1943 토린호의 운명 노엘 코워드 1943 노스 스타 릴리언 헬먼 1943 소 프라우들리 위 해일! 앨런 스콧 1944 1944 윌슨 러마 트로티 1944 정복 영웅의 환영 프레스턴 스터지스 1944 모간 크리크의 기적 프레스턴 스터지스 1944 자매와 수병 리처드 코널글레이디스 레먼 1944 죽음의 전투기 제롬 케이디 1945 1945 마리-루이즈 리하르트 슈바이처 1945 딜린저 필립 요던 1945 뮤직포 밀리언스 마일스 코널리 1945 솔티 오로키 밀턴 홈스 1945 왓 넥스트, 코포랄 하그로브? 해리 커니츠 1946 1946 베일 속의 사랑 뮤리얼 박스시드니 박스 1946 블루 달리아 레이먼드 챈들러 1946 천국의 아이들 자크 프레베르 1946 오명 벤 헥트 1946 유토피아로 가는 길 노먼 파나마멜빈 프랭크 1947 1947 독신남 시드니 셸던 1947 육체와 영혼 에이브러햄 폴론스키 1947 이중 생활 루스 고든가슨 캐닌 1947 살인광 시대 찰리 채플린 1947 구두닦이 세르조 아미데이아돌포 프란치C. G. 비올라체사레 차바티니 1948Instead of the categories "Original Screenplay and "Screenplay", it was combined into one category, called "Screenplay", the award was given to The Treasure of the Sierra Madre adapted from the novel of same name 1948Instead of the categories "Original Screenplay and "Screenplay", it was combined into one category, called "Screenplay", the award was given to The Treasure of the Sierra Madre adapted from the novel of same name — —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배틀그라운드 로버트 피로시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졸슨 스토리 2 시드니 뷰크먼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전화의 저편 앨프리드 헤이스 페데리코 펠리니 세르조 아미데이 마르셀로 팔리에로 로베르토 로셀리니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핌리코행 여권 T. E. B. 클라크 1949In 194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더 콰이엇 원 헬렌 레빗재니스 로브시드니 마이어스 = = = 195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1950 1950 선셋 대로 찰스 브래킷D.M. 마시먼, Jr.빌리 와일더 1950 아담의 갈빗대 루스 고든, 가슨 캐닌 1950 케이지드 버지니아 켈로그 버나드 C. 쇼언필드 1950 맨 칼 포먼 1950 노 웨이 아웃 조지프 L. 맹키위츠레서 새뮤얼스 1951 1951 파리의 미국인 앨런 제이 러너 1951 비장의 술수 빌리 와일더레서 새뮤얼스월터 뉴먼 1951 다윗과 밧세바 필립 던 1951 고 포 브로크! 로버트 피로시 1951 웰 클래런스 그린러셀 라우스 1952 1952 라벤더 힐 몹 T. E. B. 클라크 1952 아토믹 시티 시드니 보엠 1952 소리의 장벽 테런스 래티건 1952 팻과 마이크 루스 고든가슨 캐닌 1952 혁명아 자파타 존 스타인벡 1953 1953 타이타닉의 최후 찰스 브래킷리처드 브린월터 라이쉬 1953 밴드 웨곤 베티 컴덴아돌프 그린 1953 사막의 대진격 리처드 브린 1953 운명의 박차 샘 롤프해럴드 잭 블룸 1953 테이크 더 하이 그라운드! 밀러드 코프먼 1954 1954 워터프론트 버드 슐버그 1954 맨발의 콘테샤 조지프 L. 맹키위츠 1954 제네비에브 윌리엄 로즈 1954 글렌 밀러 스토리 밸런타인 데이비스오스카 브로드니 1954 노크 온 우드 노먼 파나마멜빈 프랭크 1955 1955 중단된 멜로디 소냐 레비엔윌리엄 루드위그 1955 빌리 밋첼의 군사법원 밀턴 스펄링에밋 래버리 1955 언제나 맑음 베티 콤든아돌프 그린 1955 윌로씨의 휴가 자크 타티앙리 마르케 1955 세븐 리틀 포이스 멜빈 셰블슨잭 로즈 1956 1956 빨간 풍선 앨버트 라모리스 1956 볼드 앤 브레이브 로버트 루인 1956 줄리 앤드루 L. 스톤 1956 길 페데리코 펠리니툴리오 피넬리 1956 레이디킬러 윌리엄 로즈 1957 1957 디자이닝 우먼 조지 웰스 1957 화니 페이스 레너드 거쉬 1957 천의 얼굴을 가진 사나이 랠프 휠라이트 R. l 이반 고프 벤 로버츠 1957 가슴에 빛나는 별 바니 슬레이터 조엘 케인 더들리 니컬스 1957 비텔로니 페데리코 펠리니 엔니오 플라이아노 툴리오 피넬리 1958 1958 흑과 백 네이선 E. 더글러스Upon request of his widow and upon recommendation of the Writers Branch Executive Committee, the Board of Governors voted to restore the name of Nedrick Young to the nomination and award presented to 네이선 E. 더글러스, which was a pseudonym for Mr. Young during the blacklisting period.해럴드 제이컵 스미스 1958 여신 패디 차옙스키 1958 하우스보트 멜빌 셰블슨잭 로즈 1958 대결 제임스 에드워드 그랜트 윌리엄 바워스 1958 선생님의 애완 동물 페이 캐닌마이클 캐닌 1959 1959 필로우 토크 클래런스 그린 모리스 리치린 러셀 라우스 스탠리 샤피로 1959 400번의 구타 프랑수아 트뤼포 마르셀 무시 1959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어네스트 리먼 1959 오퍼레이션 페티코트 폴 킹 조지프 스톤 스탠리 샤피로 모리스 리치린 1959 산딸기 잉마르 베리만 = = = 196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1960 1960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I. A. L. 다이아몬드빌리 와일더 1960 분노의 침묵 브라이언 포브스 브라이언 리처드 그레그슨 마이클 크레이그 1960 팩츠 오브 라이프 노먼 파나마멜빈 프랭크 1960 히로시마 내 사랑 마르그리트 뒤라스 1960 일요일은 참으세요 쥘 다생 1961 1961 초원의 빛 윌리엄 인지 1961 병사의 발라드 발렌틴 요쇼프그레고리 추크라이 1961 달콤한 인생 페데리코 펠리니 툴리오 피넬리 엔니오 플라이아노 브루넬리오 론디 1961 로베라의 장군 세르조 아미데이 디에고 파비 인드로 폰타넬리 1961 연인이여 돌아오라 스탠트 샤피로폴 헤닝 1962 1962 이혼 - 이탈리언 스타일 엔니오 데콘치니피에트로 게르미알프레도 잔네티 1962 프로이트 찰스 커프먼 볼프강 라인하르트 1962 지난 해 마리앙바드에서 알랭 롭-그릴레 1962 댓 터치 오브 밍크 스탠리 샤피로네이트 모내스터 1962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잉마르 베리만 1963 1963 서부 개척사 제임스 웨브 1963 8½ 페데리코 펠리니 엔니오 플라이아노 툴리오 피넬리 브루넬리오 론디 1963 아메리카 아메리카 엘리아 카잔 1963 나폴리에서의 4일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내니 루이 바스코 프라톨리니 카를로 베르나리 1963 러브 위드 더 프로퍼 스트레인저 아널드 슐먼 1964 1964 파더 구즈 피터 스톤프랭크 탈로프 1964 하드 데이즈 나이트 앨런 오웬 1964 원 포테이토, 투 포테이토 래피얼 헤이스 오빌 H. 햄프턴 1964 동지 아게노레 인크로치 ("Age")푸리오 카르펠리마리오 모니첼리 1964 리오에서 온 사나이 장폴 라프노아리안 므누슈킨다니엘 불랑제필리프 드 브로카 1965 1965 달링 프레더릭 래피얼 1965 카사노바 아게노레 인크로치 ("Age")푸리오 카르펠리마리오 모니첼리토니노 게라조르조 살비오니수소 체키 다미코 1965 럭키 레이디 잭 데이비스켄 애너킨 1965 대열차 작전 프랜시스 코언프랭크 데이비스 1965 쉘부르의 우산 자크 데미 1966 1966 남과 여 클로드 를루슈 피에르 위터회벤 1966 욕망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토니노 게라 에드워드 본드 1966 포춘 쿠키 빌리 와일더I. A. L. 다이아몬드 1966 카슘 공방전 로버트 아드레이 1966 네이키드 프레이 클리프 존스턴존 피터스 1967 1967 초대받지 않은 손님 윌리엄 로즈 1967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데이비드 뉴먼로버트 벤턴 1967 디보스 아메리칸 스타일 로버트 코프먼 노먼 리어 1967 전쟁은 끝났다 호르헤 셈프룬 1967 언제나 둘이서 프레더릭 래피얼 1968 1968 프로듀서 멜 브룩스 1968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스탠리 큐브릭아서 C. 클라크 1968 알제리 전투 프랭코 솔리나스길로 폰테코보 1968 얼굴들 존 카사베티스 1968 핫 밀리언스 아이라 월릭피터 유스티노프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내일을 향해 쏴라 윌리엄 골드먼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파트너 체인지 폴 마저스키래리 터커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 니콜라 바달루코 엔리코 메디올리 루키노 비스콘티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이지 라이더 피터 폰다데니스 호퍼테리 서던 1969(42회차)In 1969, the category was renamed: "Story and Screenplay - based on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와일드 번치 웰론 그린 로이 N. 시크너 샘 페킨파 = = = 197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1970 1970 패튼 대전차 군단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에드먼드 H. 노스 1970 잃어버린 전주곡 "아드리앵 조이스" Bob Rafelson 1970 죠 노먼 웩슬러 1970 러브스토리 에리히 세갈 1970 모드의 집에서 하룻밤 에릭 로메르 1971 1971 종합병원 패디 차옙스키 1971 완전범죄 엘리오 페트리우고 피로 1971 콜걸 앤디 루이스데이비드 루이스 1971 42년의 여름 헤르만 로셔 1971 사랑의 여로 퍼넬러피 질리엇 1972 1972 후보자 제러미 라너 1972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루이스 부뉴엘장클로드 카리에르 1972 레이디 싱스 더 블루스 테런스 매클로이크리스 클라크수잰 더패스 1972 마음의 속삭임 루이 말 1972 젊은 날의 처칠 칼 포먼 1973 1973 스팅 데이비드 S. 워드 1973 청춘 낙서 조지 루커스글로리아 캐츠윌러드 휴익 1973 외침과 속삭임 잉마르 베리만 1973 호랑이를 구하라 스티브 셰건 1973 주말의 사랑 멜빈 프랭크 잭 로즈 1974 1974 차이나타운 로버트 타운 1974 엘리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 로버트 게첼 1974 컨버세이션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1974 아메리카의 밤 프랑수아 트뤼포장 루이 리샤르수잔느 쉬프만 1974 해리와 톤토 폴 마저스키조시 그린펠드 1975 1975 뜨거운 오후 프랭크 피어슨 1975 나는 기억한다 페데리코 펠리니 토니노 게라 1975 그리고 지금 나의 사랑 클로드 를루슈피에를 위터회벤 1975 라이스 마이파더 톨드 미 테드 앨런 1975 바람둥이 미용사 로버트 타운워런 비티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네트워크 패디 차옙스키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사촌들 장-샤를 타셸라 대니엘 톰슨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프론트 월터 번스타인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록키 실베스터 스탤론 1976(49회차)In 1976,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 Based on factual material or on story material not previously published or produced" 7인의 미녀 리나 베르트뮐러 1977 1977 애니 홀 우디 앨런마셜 브리크먼 1977 굿바이 걸 닐 사이먼 1977 살인 연극 로버트 벤턴 1977 스타 워즈 조지 루커스 1977 터닝 포인트 아서 로렌츠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귀향 로버트 C. 존스 월도 솔트 낸시 다우드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가을 소나타 잉마르 베리만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디어 헌터 데릭 워시번 마이클 치미노 데릭 워시번 루이스 가핑클 퀸 K. 레데커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인테리어 우디 앨런 1978(51회차)In 1978, the category was renamed: "Screenplay written directly for the screen" 독신녀 에리카 폴 마저스키 1979 1979 브레이킹 어웨이 스티브 테시히 1979 재즈는 나의 인생 로버트 앨런 아서 밥 포스 1979 용감한 변호사 밸러리 커틴배리 레빈슨 1979 차이나 신드롬 마이크 그레이T. S. 쿡제임스 브리지스 1979 맨하탄 우디 앨런마셜 브리크먼 = = = 198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1980 1980 멜빈과 하워드 보 골드먼 1980 도전 W. D. 릭터 아서 A. 로스 1980 페임 크리스토퍼 고어 1980 내 미국 삼촌 장 그뤼오앙리 라보리 1980 벤자민 일등병 낸시 마이어스찰스 샤이어하비 밀러 1981 1981 불의 전차 콜린 웰랜드 1981 선택 커트 뤼트케 1981 미스터 아더 스티브 고든 1981 아틀란틱 시티 존 구에르 1981 레즈 워런 비티트레버 그리피스 1982 1982 간디 존 브릴리 1982 청춘의 양지 배리 레빈슨 1982 E.T. 멜리사 매티슨 1982 사관과 신사 더글러스 데이 스튜어트 1982 투씨 래리 겔바트 머레이 시스갈 돈 맥과이어 1983 1983 텐더 머시스 호턴 푸트 1983 새로운 탄생 로런스 캐스던바바라 베네덱 1983 화니와 알렉산더 잉마르 베리만 1983 실크우드 노라 에프런엘리스 앨런 1983 위험한 게임 로렌스 라스커월터 F. 파크스 1984 1984 마음의 고향 로버트 벤턴 1984 비버리 힐스 캅 대니얼 페트리 주니어 대닐로 바흐 1984 브로드웨이의 대니 로즈 우디 앨런 1984 엘 노트 그레고리 노바 앤나 토마스 1984 스플래시 로웰 갠즈 배벌루 맨들 브루스 제이 프리드먼 브라이언 그레이저 1985 1985 위트니스 윌리엄 켈리 얼 월리스 패멀라 월리스 1985 백 투 더 퓨처 로버트 저메키스밥 게일 1985 브라질 테리 길리엄톰 스토파드찰스 매큔 1985 오피셜 스토리 루이스 푸엔소아이다 보르트니크 1985 카이로의 붉은 장미 우디 앨런 1986 1986 한나와 그 자매들 우디 앨런 1986 크로커다일 던디 폴 호건 켄 섀디 존 코넬 1986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 하니프 쿠레이시 1986 플래툰 올리버 스톤 1986 살바도르 올리버 스톤리처드 보일 1987 1987 문스트럭 존 패트릭 섄리 1987 굿바이 칠드런 루이 말 1987 브로드캐스트 뉴스 제임스 L. 브룩스 1987 희망과 영광 존 부어먼 1987 라디오 데이즈 우디 앨런 1988 1988 레인 맨 로널드 베이스 배리 모로 1988 빅 개리 로스앤 스필버그 1988 19번째 남자 론 셸턴 1988 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존 클리스 찰스 크릭턴 1988 허공에의 질주 나오미 포너 1989 1989 죽은 시인의 사회 톰 슐만 1989 범죄와 비행 우디 앨런 1989 똑바로 살아라 스파이크 리 1989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스티븐 소더버그 1989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노라 에프런 = = = 199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1990 1990 사랑과 영혼 브루스 조엘 루빈 1990 중년의 위기 우디 앨런 1990 아발론 배리 레빈슨 1990 그린 카드 피터 위어 1990 메트로폴리탄 윗 스틸만 1991 1991 델마와 루이스 캘리 쿠리 1991 보이즈 앤 후드 존 싱글턴 1991 벅시 제임스 토백 1991 피셔 킹 리처드 라그라브네스 1991 그랜드 캐년 로런스 캐스던멕 캐스던 1992 1992 크라잉 게임 닐 조던 1992 부부 일기 우디 앨런 1992 로렌조 오일 닉 엔라이트조지 밀러 1992 패션 피쉬 존 세일스 1992 용서받지 못한 자 데이비드 웹 피플즈 1993 1993 피아노 제인 캠피언 1993 데이브 개리 로스 1993 사선에서 제프 맥과이어 1993 필라델피아 론 니스워너 1993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제프 아치 노라 에프론 데이비드 S. 와드 1994 1994 펄프 픽션 쿠엔틴 타란티노 로저 아바리 1994 브로드웨이를 쏴라 우디 앨런더글라스 맥그래스 1994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리처드 커티스 1994 천상의 피조물 피터 잭슨프랜 월시 1994 세가지 색 제3편 - 레드/박애 크시슈토프 키에실로프스키크시슈토프 피에시에비치 1995 1995 유주얼 서스펙트 크리스토퍼 매쿼리 1995 브레이브하트 랜들 웰러스 1995 마이티 아프로디테 우디 앨런 1995 닉슨 스티븐 J. 리블크리스토퍼 윌킨슨올리버 스톤 1995 토이 스토리 조스 위던 앤드루 스탠턴 조엘 코언 알렉 소코로브 존 래시터 피트 닥터 조 랜프트 1996 1996 파고 조엘 코언이선 코언 1996 제리 맥과이어 캐머런 크로 1996 론 스타 존 슬레이브스 1996 비밀과 거짓말 마이크 리 1996 샤인 잔 사디 스콧 힉스 1997 1997 굿 윌 헌팅 벤 애플렉맷 데이먼 1997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마크 앤드러스 제임스 L. 브룩스 1997 부기 나이트 폴 토머스 앤더슨 1997 해리 파괴하기 우디 앨런 1997 풀 몬티 사이먼 보포이 1998 1998 셰익스피어 인 러브 마크 노먼톰 스토파드 1998 불워스 워런 비티 제러미 픽서 1998 인생은 아름다워 로베르토 베니니빈첸초 세라미 1998 라이언 일병 구하기 로버트 로댓 1998 트루먼 쇼 앤드루 니콜 1999 1999 아메리칸 뷰티 앨런 볼 1999 존 말코비치 되기 찰리 카프먼 1999 매그놀리아 폴 토머스 앤더슨 1999 식스 센스 M. 나이트 샤말란 1999 뒤죽박죽 마이크 리 = = = 200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2000 2000 올모스트 페이머스 캐머런 크로 2000 빌리 엘리어트 리 홀 2000 에린 브로코비치 수재나 그랜트 2000 글래디에이터 데이비드 프란조니 존 로건 윌리엄 니컬슨 2000 유 캔 카운트 온 미 케네스 로너건 2001 2001 고스포드 파크 줄리언 펠로스 2001 아멜리에 장피에르 죄네 기욤 로랑 2001 메멘토 크리스토퍼 놀런 조너선 놀런 2001 몬스터 볼 밀로 애디카윌 로코스 2001 로얄 테넌바움 웨스 앤더슨오언 윌슨 2002 2002 그녀에게 페드로 알모도바르 2002 파 프롬 헤븐 토드 헤인스 2002 갱스 오브 뉴욕 제이 콕스 케네스 로너건 스티븐 제일리언 2002 나의 그리스식 웨딩 니아 발다로스 2002 이 투 마마 알폰소 쿠아론카를로스 쿠아론 2003 2003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소피아 코폴라 2003 야만인의 침략 데니 아르캉 2003 더티 프리티 씽 스티븐 나이트 2003 니모를 찾아서 앤드루 스탠턴 밥 피터슨 데이비드 레이놀즈 2003 천사의 아이들 짐 셰리던커스틴 셰리던나오미 셰리던 2004 2004 이터널 선샤인 피에르 비스무트 미셸 공드리 찰리 카프먼 2004 에비에이터 존 로건 2004 호텔 르완다 테리 조지케이어 피어슨 2004 인크레더블 브래드 버드 2004 베라 드레이크 마이크 리 2005 2005 크래쉬 폴 해기스 바비 모레스코 2005 굿 나잇 앤 굿 럭 조지 클루니그랜트 헤슬로브 2005 매치 포인트 우디 앨런 2005 오징어와 고래 노아 바움백 2005 시리아나 스티븐 개건 2006 2006 리틀 미스 선샤인 마이클 안트 2006 바벨 기예르모 아리아가 2006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폴 해기스 야마시타 아이리스 2006 판의 미로 기예르모 델 토로 2006 더 퀸 피터 모건 2007 2007 주노 디아블로 코디 2007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그녀 낸시 올리버 2007 마이클 클레이튼 토니 길로이 2007 라따뚜이 브래드 버드 2007 세비지스 타마라 젠킨스 2008 2008 밀크 더스틴 랜스 블랙 2008 프로즌 리버 코트니 헌트 2008 해피 고 럭키 마이크 리 2008 킬러들의 도시 마틴 맥도나 2008 '월-E 앤드루 스탠턴 짐 리어든 피터 닥터 2009 2009 허트 로커 마크 볼 2009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쿠엔틴 타란티노 2009 메신저 알레산드로 카몬오렌 무버만 2009 시리어스 맨 조엘 코언이선 코언 2009 업 밥 피터슨 피트 닥터 토머스 매카시 = = = 201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2010 2010 킹스 스피치 데이비드 세이들러 2010 어나더 이어 마이크 리 2010 파이터 스콧 실버 폴 타마시 에릭 존슨 키이스 도링턴 2010 인셉션 크리스토퍼 놀런 2010 에브리바디 올라잇 리사 촐로덴코스튜어트 블럼버그 2011 2011 미드나잇 인 파리 우디 앨런 2011 아티스트 미셸 하자나비시우스 2011 내 여자친구의 결혼식 크리스틴 위그애니 머멀로 2011 마진 콜: 24시간, 조작된 진실 J. C. 챈더 2011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아시가르 파르하디 2012(85회차) 2012(85회차) 장고: 분노의 추적자 쿠엔틴 타란티노 2012(85회차) 아무르 미하엘 하네케 2012(85회차) 플라이트 존 거틴즈 2012(85회차) 문라이즈 킹덤 웨스 앤더슨로만 코폴라 2012(85회차) 제로 다크 서티 마크 볼 2013(86회차) 2013(86회차) 그녀 스파이크 존즈 2013(86회차) 아메리칸 허슬 에릭 워런 싱어데이비드 O. 러셀 2013(86회차) 블루 재스민 우디 앨런 2013(86회차)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크레이그 보튼 멜리사 월랙 2013(86회차) 네브래스카 밥 넬슨 2014(87회차) 2014(87회차) 버드맨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니콜라스 자코보네 알렉산더 드널라리스 주니어 아르만도 보 2014(87회차) 보이후드 리처드 링클레이터 2014(87회차) 폭스캐처 E. 맥스 프라이댄 퓨터먼 2014(87회차)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웨스 앤더슨 휴고 귀네스 2014(87회차) 나이트크롤러 댄 길로이 2015(88회차) 2015(88회차) 스포트라이트 톰 매카시 조시 싱어 2015(88회차) 스파이 브릿지 맷 차먼 이선 코언 조엘 코언 2015(88회차) 엑스 마키나 앨릭스 갈랜드 2015(88회차) 인사이드 아웃 피트 닥터 멕 러포브 조시 쿨리 로니 델카르멘 2015(88회차) 스트레이트 아웃 오브 컴턴 조너선 허먼 앤드리아 벌로프 S. 리 새비지 앨런 웽커스 2016(89회차) 2016(89회차) 맨체스터 바이 더 씨 케네스 로너건 2016(89회차) 20세기 여인들 마이크 밀스 2016(89회차) 라라랜드 데이미언 셔젤 2016(89회차) 로스트 인 더스트 테일러 셰리던 2016(89회차) 더 랍스터 요르고스 란티모스 에프티미스 필리푸 2017(90회차) 2017(90회차) 겟 아웃 조던 필 2017(90회차) 빅 식 에밀리 V. 고든 쿠마일 난지아니 2017(90회차) 레이디 버드 그레타 거윅 2017(90회차)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기예르모 델 토로 버네사 테일러 2017(90회차) 쓰리 빌보드 마틴 맥도나 2018(91회차) 2018(91회차) 그린 북 브라이언 커리 피터 패럴리 닉 발레롱가 2018(91회차)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데보라 데이비스 토니 맥너마라 2018(91회차) 퍼스트 리폼드 폴 슈레이더 2018(91회차) 로마 알폰소 쿠아론 2018(91회차) 바이스 애덤 매케이 2019(92회차) 2019(92회차) 기생충 봉준호 한진원 2019(92회차) 나이브스 아웃 라이언 존슨 2019(92회차) 결혼 이야기 노아 바움백 2019(92회차) 1917 샘 멘데스 크리스티 윌슨케언스 2019(92회차)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쿠엔틴 타란티노 = = = 2020년대 = = = 연도 작품 각본가 2020/21 2020/21 프라미싱 영 우먼 에머럴드 피넬 2020/21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윌 버슨 샤카 킹 키스 루커스 케니 루커스 2020/21 미나리 정이삭 2020/21 사운드 오브 메탈 에이브러햄 마더 데리어스 마더 데릭 시언프랜스 2020/21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아론 소킨 2021 2021 벨파스트 케네스 브래나 2021 돈 룩 업 애덤 매케이 데이비드 시로타 2021 킹 리차드 잭 베일린 2021 리코리쉬 피자 폴 토머스 앤더슨 2021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 에스킬 복트 요아킴 트리에르 2022 2022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다니엘 콴 다니엘 샤이너트 2022 이니셰린의 밴시 마틴 맥도나 2022 파벨만스 토니 쿠슈너 스티븐 스필버그 2022 타르 토드 필드 2022 슬픔의 삼각형 루벤 외스틀룬드 = 효과 목록 = = = ㄱ = = 강유전체 거대자기저항 건 효과 검은 방울 효과 고령 임신 곤도 효과 과잉정당화 효과 광전 효과 굴뚝 효과 굴뚝 효과 근접효과 (전자기학) 근접효과 (초전도) 기억 효과 기회적 동성애 = = ㄴ = = 나비 효과 낙수 효과 네른스트 효과 네트워크 효과 눈덩이 효과 = = ㄷ = = 단어 우월 효과 더닝-크루거 효과 델린저 현상 도미노 효과 도시 열섬 효과 도플러 효과 도플러 효과 드하스-판알펜 효과 디드로 효과 = = ㄹ = =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라르젠 효과 로빈후드 효과 링겔만 효과 = = ㅁ = = 마그누스 효과 마이스너 효과 마이클 크라이튼 마차 바퀴 효과 마찰전기 마태 효과 마태 효과 만발효과 말름퀴스트 효과 맥거크 효과 모계 영향 유전 모링 효과 미완성 효과 = = ㅂ = = 바넘 효과 바넘 효과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방관자 효과 방사성 붕괴 베르누이 방정식 베블런재 베스테르마르크 효과 벤추리 효과 보어 효과 부메랑 효과 부바/키키 효과 부작용 (컴퓨터 과학) 부작용 브래들리 효과 비너스 효과 비펠드-브라운 효과 비활성 전자쌍 효과 = = ㅅ = = 사이먼 효과 사회적 촉진 서열 위치 효과 성형작약탄 속물 효과 쇄도 효과 슈브니코프-드하스 효과 슈타르크 효과 스트라이샌드 효과 스트루프 효과 스핀 홀 효과 슬래시닷 효과 시각 효과 심슨 효과 심슨 효과 = = ㅇ = = 아로노프-봄 효과 아인슈타인-드 하스 효과 앵커링 야르콥스키 효과 양자 홀 효과 언루 효과 연잎 효과 열 홀 효과 열전 효과 열전자 방출 오기억 오제 효과 온실 효과 왈런드 효과 운동생리학 윔블던 효과 음펨바 효과 음향효과 이케아 효과 원인과 효과 일라이자 효과 = = ㅈ = = 자기 선속 고정 자기광 커 효과 스레숄드 효과 적목 현상 정보 사일로 제3자 효과 제이만 효과 제이만 효과 조지프슨 효과 = = ㅊ = = 창시자 효과 채찍효과 체렌코프 효과 체렌코프 효과 = = ㅋ = = 카시미르 효과 칵테일 파티 효과 커 효과 케임브리지 공작부인 캐서린 코리올리 효과 콤프턴 산란 쿨리지 효과 = = ㅌ = = 탈자 효과 특수 효과 틴들 효과 = = ㅍ = = 파이어니어 변칙 패러데이 효과 편승 효과 포인팅-로버트슨 효과 표피효과 푸르키네 효과 플러시보 플린 효과 피구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필리프 레나르트 필립스 곡선 = = ㅎ = = 호손 효과 홀 효과 회절 후광 효과 후지와라 효과 = 분류:1936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 = 분류:1834년 설립된 정당 = = 빅토르 안 = 빅토르 안(, 귀화 전: 안현수(安賢洙), 1985년 11월 23일~)은 은퇴한 대한민국 태생의 러시아 쇼트트랙 선수이다. 현재 쇼트트랙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2006년 동계 올림픽 3관왕, 2014년 동계 올림픽 3관왕으로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에서 최다인 6개의 금메달을 보유하고 있으며, 쇼트트랙 역사상 유일하게 동계 올림픽 전종목을 석권한 선수이다.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6회 종합 우승자(2003-2007, 2014)로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20개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선수권 남자부 최다 타이틀 소유자이다. 대한민국 국적일 당시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면서 쇼트트랙 선수 최초로 한 번의 올림픽에서 전종목 메달을 땄고,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를 5연속 제패하면서 쇼트트랙 황제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하지만 그와 그의 주변에서 계속 진행되던 빙상계의 파벌 갈등과 여러 사건들, 2008년 초 부상, 2009년부터 2010년 국가대표 선발전과 관련된 방식, 시기, 사건 등의 잡음들과 논란들이 계속되었고, 2010년 소속 팀의 해체 이후 안현수를 원하는 국내 빙상계의 팀은 없었다.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힘들었던 그는 2011년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하고, 빅토르 안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로 귀화하였다. 러시아 국가대표로 활동하면서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면서 올림픽에서만 총 8개의 메달을 따며 미국의 아폴로 안톤 오노와 남자부 쇼트트랙 최다 메달 타이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이어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하면서 남자 쇼트트랙 선수로는 최초로 세계선수권 6회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선수 생활을 지속하다가 2020년 4월 은퇴를 선언했다. 쇼트트랙 최다 올림픽 금메달(6개)과 세계선수권 최다 종합 우승(6회), 남자부 최다 세계선수권 타이틀 기록과 선수 시절 보여준 최고의 테크니컬 스케이팅으로 쇼트트랙을 한단계 발전시켰다고 평가받는 역대 최고의 선수라고 평가받고 있다. = = 학력 = = 명지초등학교 졸업 명지중학교 졸업 신목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과 졸업 = = 타이틀 = = 선수 시절 그가 획득한 공식적인 국제대회 타이틀 성적은 총합 123개이다. 올림픽 금메달 6개,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 6번 포함 20개의 타이틀, 세계 팀 선수권 타이틀 2개, 유럽선수권 우승 타이틀 8개, 아시안게임 금메달 5개, 유니버시아드 3개, 주니어 세계선수권 4개, 그리고 월드컵 8번 우승기록과 (종합 우승 2번과 개인거리 종목 우승 6번) 67개의 월드컵 시리즈 금메달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기록을 모두 합한다면 234번의 포디움 기록을 가지고 있다.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 최다 금메달 6개 보유자 세계선수권 6회 종합 우승자 전종목 올림픽 우승자 한 올림픽에서 전종목 메달을 딴 최초의 쇼트트랙 선수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부 최다 메달 8개 보유자 세계선수권 쇼트트랙 남자부 최다 타이틀 20개 보유자 월드컵 2시즌 종합 우승 월드컵 랭킹 최다 포디움 24회 월드컵 남자부 최다 타이틀 보유자 (75개 = 금메달 67개+ 종목랭킹 1위 8회) 유럽 선수권 종합우승 타이틀과 아시안게임 우승 타이틀을 가진 유일한 선수 = = 생애 = = = = = 어린 시절 = = = 빅토르 안, 안현수는 1985년 3월 19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채지훈의 스케이팅을 보고 영감을 받았고, 명지초등학교 2학년 때 빙상교실에서 스케이트를 시작해 1996년 전국 남녀 학생 종별 대회에서 종합 우승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는 아침 저녁으로 훈련을 하였으며, 당시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에 출전하기도 하였다. 한일 교환 경기로 일본에서 스피드 스케이트 대회가 열렸을 때 대회에 출전해 3등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명지중학교 시절 본격적으로 선수생활을 시작으로 동계체전 3연패를 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신목고등학교 진학 후 그는 전국 고등부 1위를 차지한다. = = = 2002년 동계 올림픽 = = = 2002년 1월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1000m와 1500m에서 1위를 하면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를 지켜본 전명규 감독의 특별 추천과 그를 국가대표 팀에 추천했었던 연맹 지도부에 의해 당시 부상당한 선수 이재경 대신, 선발전에 참가하지도 않았던 안현수는 히든카드로 2002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다. 당시 164cm 53kg의 외소한 체격, 만 16세에 불과했지만 처음 출전한 세계 규모의 국제 대회에서 1000m에 결승까지 진출했으며, 결승 마지막 바퀴까지 아폴로 앤턴 오노, 리자쥔, 마티유 투르코트 등의 유명 선수들과 선두를 다투었다. 하지만, 오노와 리자쥔의 몸싸움을 피해 추월 하고 있을 때 리자쥔이 미끄러지면서 안현수의 스케이트를 건드렸으며, 오노가 안현수의 다리를 손으로 건드리면서, 중심을 잃으면서 미끄러졌고, 오노와 마티외 투르코트까지 휩쓸려 연쇄충돌이 일어났다. 충돌이후 다른 선수들이 메달의 획득을 위해 정신없이 움직였던 것에 비해, 국제무대 경험이 전무했던 안현수의 반응은 느렸고, 4위로 들어와서 메달을 놓쳤다. 이후 2002년 4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1000 m에서 은메달 획득과 슈퍼파이널 3000 m에서 2위를 하면서 준우승을 하였고 5000 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김동성의 뒤를 잇는 선수로 주목받았다. = = = 2002 - 2005년, 전성기의 시작 = = = 2002년 동계 올림픽 대회 다음 시즌인 2002-2003 시즌부터 그는 대한민국과 세계의 각종 대회를 석권하기 시작했다. 2002년 10월 춘천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 500 m, 1000 m, 1500 m, 3000 m를 모두 석권하고, 이듬해 2003년 일본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3관왕,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에서 종합 우승을 하면서, 역대 최고 선수의 시작을 알렸다. 2003-2004 ISU 쇼트트랙 월드컵 시리즈 종합 우승,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에서는 500 m를 제외한 모든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 하였으며, 다음해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전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면서, 세계선수권 남자부 유일의 종합 3연패 우승을 기록 하였다. 또한, 2003-2004 시즌에 기록한 1500 m와 3000 m의 세계신기록은 무려 8년동안 유지되었다. = = = 2005년 대한 빙상연맹과의 갈등 = = = = = = =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폭행 사건 = = = = 2005년 1월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는 안현수 구타 사건이 일어난다. 당시 안현수는 오른쪽 눈에 멍이 든 얼굴로 시상식에 올랐다. 순위를 양보하지 않아 경기 뒤 “뭐가 그리 잘났냐, 건방지다”라며 폭언 하고 폭행을 한 선배 선수에게는 징계가 내려졌다. 그리고 이 일로 유니버시아드를 책임졌던 윤재명 감독은 당시 제기된 승부조작 논란과 폭행파문 방조 책임으로 3월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이후 감독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하지만 비한국체대 파 연맹 간부들은 폭행으로 퇴출 당한 선수로부터 국가대표 복귀와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금전을 받은것이 확인되어 경찰에 입건되기까지 하였으며, 이사건은 한개인의 폭행이나 일탈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2004년 - 2005년 - 2006년 빙상계의 파벌 갈등으로 연결 이어졌다. 안현수는 2005년 당시, 국가대표팀 입단을 거부하고, 대한빙상연맹 지도층과 대립을 하게된다. 이는 안현수가 러시아 국가대표 빅토르 안으로 2014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이후, 대중의 빙상연맹 책임 문제로 다시 제기되었고, 폭행을 한 당사자로 거론된 선수는 세간에 퍼진 8시간의 폭행과 구금과 자신에 대한 여러 말들은 루머이며, 단지 선후배 사이의 훈계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2015년 빅토르 안은 MBC 휴먼다큐 사랑에 나와 자신과 후배가 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 = = = 2005년 대한빙상연맹 지도층과의 갈등 = = = = 빙상연맹은 2005년 7월 토리노 올림픽을 위해, 윤재명 감독을 다시 재선임 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2004년, 2005년 쇼트트랙 대표팀 구타 사건의 중심에 있던 안현수와 최은경, 그리고 그외 학부모들은 기자회견까지 하면서 이에 대해 반대하였다. 2005년 7월 14일 여자대표팀 전재수 코치(한국체대 출신), 안현수, 최은경 등 학부모, 코치들이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이 승부조작과 구타 방조로 해임된 윤재명 코치를 대표팀 감독으로 임명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대한 빙상 연맹 지도자들의 총 사퇴를 요구 했고, 안현수와 최은경은 대표팀 입단 거부와 2006년 토리노 올림픽 불참을 선언하였다. 2005년 7월 28일 윤재명 감독의 임명은 취소되었다. 하지만, 연맹 지도부의 사퇴를 요구했던 전재수 코치는 여자팀 코치직에서 해고되고 6개월 자격 출전 정지를 받았다. 이로써 남자대표팀은 단국대 출신 송재근 코치가 여자대표팀은 남자대표팀을 이끈 한국체대 출신 박세우 코치로 지명되었다. 전재수 코치의 해임에 반대한 안현수는 당시 한국체육대학교에 자퇴서까지 제출하고 캐나다 유학을 간다고 할 정도로 갈등은 최악으로 향하였고, 안현수는 전지훈련까지 거부하였다. 이사건으로 한국체대와 비 한국체대의 파벌 갈등은 극대화 되었다. = = = 2006년 동계 올림픽 = = = 2006년 이탈리아 피에몬테주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는 1000m, 1500m, 5000m 계주에서 금메달,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 쇼트트랙 사상 처음으로 전종목에서 메달을 땄다. 또한 2006년 동계 올림픽 참가한 남자 선수 중 가장 많은 메달을 목에 걸었고, 대한민국의 스포츠 선수로는 올림픽 대회에서 한 번에 가장 많은 메달을 딴 선수로 기록되었다. 1000 m와 5000 m 계주는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 대미를 장식한것은 5000 m 계주였다. 그는 마지막 2바퀴를 남기고 최후의 주자로 바통을 이어받았다. 팔라벨라 빙상장에 `파이널 랩(final lap)'을 알리는 종소리가 울려퍼지자 안현수는 폭발적인 스퍼트로 캐나다 완벽하게 추월 대역전극을 펼치면서 마지막 코너를 올림픽 기록을 세우면서 1위로 들어왔다. 14년만의 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계주 금메달이었다. 2006년 3월 안현수는 전 세계 스포츠선수를 대상으로 선정한 미국 스포츠 아카데미 2월의 선수에 올라가 토리노 동계올림픽 최고 스타임을 공인받는다. 그는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었으며, 쇼트트랙 황제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올림픽 이후에도 안현수의 기량은 역대 최고임을 그대로 증명하였다. 2006년 미국 미니애폴리스 세계 선수권 대회 에서 1000 m와 1500 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4연패 종합 우승을 하게된다. 하지만, 그가 영광의 성적을 기록하던 그 시기 한국체대와 비 한국체대 소속간의 파벌갈등은 극심하였다. 한국체육대학교 소속이었던 안현수는 여기에 연루되어 곤란을 겪었다. 이러한 심정을 빙상연맹 이사로 있는 이진성의 미니홈피에 "파벌싸움이 너무 커져서 선수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며, 전부였던 스케이트를 그만두고 싶을 정도이다."..."처음 시작이 어디인지 끝은 어디일지 모르는 이런 상황에 휘말리고 싶지 않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 = = 2007년 세계선수권 5연패 = = = 2007년 이탈리아 밀라노 세계 선수권대회에서 모든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 종합 우승을 차지하면서, 기록적으로 5년 연속 세계 선수권을 제패하였다. 그리고 그는 대한빙상연맹으로부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07년 중국 장춘 아시안게임에서도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였으며, 2007-08년 시즌 초반에도 안현수는 월드컵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는 등 계속하여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며 좋은 성적을 냈었다. 명실상부하게 세계 최고의 쇼트트랙 선수가 된 안현수는 한국체육대학교 졸업을 앞두고 쇼트트랙 선수로는 역대 최고 계약금 2억과 그당시 파격적인 3년동안 5억이라는 연봉으로 성남시청에 입단했다. = = = 2008년 초, 부상 = = = 2008년 1월 16일 태릉국가대표선수촌에서 훈련 도중 펜스에 충돌하는 바람에 무릎 부상을 입었다. 얼음이 파인곳에 스케이트날이 들어갔고 넘어졌는데 무릎이 펜스에 부딪쳤다. 충격 흡수를 해야 하는 펜스는 선수의 부상을 대비해 쿠션을 해야했지만, 물기를 머금고 돌덩이처럼 딱딱하게 얼어 충격을 완화해주기는커녕 심각한 부상을 입혔다. 정밀 진단 결과 무릎 관절 앞부분의 뼈인 슬개골 골절로 확인되었으며, 선수생명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지만 재활에 두세 달이 걸릴 것으로 진단되었다. 남은 시즌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치료와 재활에 전념했다. 하지만, 부상의 회복은 처음 예상보다 많이 느렸고, 그는 15개월 동안 4번의 수술을 해야만 했다. 그리고 부상에서 회복이 되지 못한 2009년 4월에 열린 2009-10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종합 순위 7위로 대표팀에서 탈락하면서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한 그는, 올림픽 기간 중에 열린 2010년 전국동계체육대회에 출전, 1500m, 3000m 개인과 3000m 계주 부문에서 우승, 3관왕을 차지하였다. = = = 한국체대 비 한국체대 파벌싸움 = = = = = = = 개요 = = = = 당시 빙상계 파벌 싸움은 외형적으로는 한국체대와 비 한국체대의 양상으로 거론되었다. 하지만, 그 속내는 훨씬 복잡했다. 1990년대 빙상계 1세대 지도자들의 권력 싸움, 빙상계의 자행되던 금품 비리 문제, 폭행, 승부조작과 자신들이 지도하는 선수들과 다른 선수들을 갈라놓는 등 여러문제들이 제자들로 이어졌고, 그것은 그들에게 어렸을때부터 지도받은 선수들이 휘말리고 서로를 견제하고, 피해를 받을수 밖에 없게 되는 상황을 만들었다. = = = = 2001- 2003년 = = = = 안현수가 2002년 국가대표가 되었을 당시 빙상계는 대학입시 특기생 비리 사건이 터진 바로 직후였다. 2001년 2월 28일 경희대 출신, 전 한국체육대학교 이모 교수는 체육 특기생 선발과정에서 학부모들에게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었고, 3년형이 선고되었다. 2002년 3월 한국체대 빙상부 학생들은 선배 교수를 구속시킨 전감독을 받아들일수 없다 하면서 시위를 하였다. 이 사건은 한국체대 전명규 교수가 학부모와 빙상 지도자사이의 금품 비리를 없앤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한국체대와 비 한국체대의 빙상 파벌의 분리의 시작중 하나의 사건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속에서 안현수는 전명규 교수의 특별 추천으로 2002년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로 개인전에 출전하였고, 2003년 6월 안현수는 다른 대학교들의 교수직 보장 등 파격적인 조건들에도 불구하고 전명규 교수가 있는, 한국체육대학 입학을 결정하면서 완전한 한국체대와 전명규 교수라인의 대표 얼굴로 분류되었다. = = = = 2003 - 2005년 = = = = 안현수의 전성기가 시작되었을 2003-2004년, 빙상계의 갈등과 지도자들의 선수 폭행과 전횡은 심각했다. 국가대표 선발전 판정 실격 논란으로 장철수 심판 이사와 유태욱 경기 이사가 지목되었고, 여자국가대표팀 폭행논란으로 이준호 코치가 사임하였다. 2004년 9월에는 김기훈 코치가 선수들에게 스케이트날을 강매하였다는 비한체대쪽 선수들의 폭로로 사임하였다. 2004년 11월에는 교체된 최광복(단국대 출신)과 김소희 (계명대출신) 코치진의 상습구타에 못이겨서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여자대표팀 선수 6명의 선수촌 무단 이탈 사건이 일어났다. 코치진은 박세우(한국체대 출신), 전재목(단국대 출신)으로 변경되었다. 여자 쇼트트랙 코치진 교체이후 딱 2달뒤, 2005년 1월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는 안현수 구타 사건이 일어난다. 이 일로 윤재명 감독 은 당시 제기된 승부조작 논란과 폭행파문 책임으로 3월 세계 팀 선수권 이후 감독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리고 윤재명 감독대신 2006년 토리노 올림픽을 위해 남자팀 코치에 김기훈이 재선임 되었으며, 여자팀에는 전재수 코치가 임명된다. 그러나 1차 선발전이 끝난 이후 2005년 4월 안현수를 제외한 비한국체대 출신인 나머지 7명의 선수들이 선수촌 입촌을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그들은 "주인공은 정해져있다. 특정선수를 편애하는 감독은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재입촌 하고서도 학부모 7명은 선수촌에서 소란을 피워서 결국 김기훈은 "더이상 이런 선수들을 가르칠 수 없다" 며 사임한다. 김기훈은 이에대해 2018년 인터뷰로 언급하였는데, "안현수만 특별히 더 가르친 건 아니다. 대표팀에서 모든 선수를 똑같이 지도했는데 안현수가 더 자주 나를 찾아왔다."고 말하였다. = = = = 2005 - 2006년 = = = = 빙상연맹은 2005년 7월 윤재명 감독을 총감독으로 재선임하려 했지만, 안현수 등의 반대로 선임이 되지 않았으며, 빙상연맹 지도부의 사퇴를 주장했던 전재수 코치는 오히려 빙상연맹에서 징계를 받게 되었다. 결국 안현수는 비한국체대 남자 선수들과 송재근 코치가 있던 남자대표팀이 아닌 여자팀에서 훈련을 해야 할 정도로 곤란을 겪었다. 이런 안현수를 도와주었던 것은 한국체대 후배 이승훈과 연세대 성시백이었다. 2005년 당시 안현수는 한국체대 자퇴서를 제출하고 캐나다 유학을 가려고 하기까지 하였고, 2006년에도 쇼트트랙을 그만 두려고 할 정도로 당시의 파벌 갈등은 극단으로 향하였다. 2014년 빙상계 일부에서는 이에 대해 회자했는데, “2005년과 2006년 사이 안현수의 마음은 이미 국내를 떠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와 반대로 여자팀은 한국체대 코치진인 박세우와 진선유의 갈등이 있었고, 진선유를 견제하라는 지시를 폭로한 한국체대 변천사와 진선유는 비한국체대 파벌인 남자대표팀에서 훈련을 해야만 하였다. = = = = 2006년 = = = = 토리노 올림픽 때 안현수는 계주에서 완벽한 막판 대 역전극을 보여주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러나 당시 다른 선수들은 따로 모여 비한체대 파벌지도자인 이준호 해설위원에게 절을 하는 세레모니를 하였고, 안현수 혼자 박세우 코치에게 가 있는 보기도 힘든 특이한 광경이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는 일어났다. 안현수와 이호석은 중학교 때부터 같이 운동을 했고, 신목고 1년 선후배 사이로 선수촌에서 한 방을 썼던 친한 사이였다. 귀화이후에도, 2014년 올림픽이후에도 이호석과 안현수의 사이는 좋았다. 하지만, 파벌 갈등과 지도자들의 이간질은 당시 선수들의 사이를 갈라놓았다. 같은 파벌이 아니면 밥도 따로 먹고 서로 대화도 없었다. 올림픽에서는 안현수가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한 순간 한국 팀 내에서는 희비가 엇갈렸다. 그리고 안현수 본인은 금메달을 땄고 군면제도 받았기 때문에 '계주는 열심히 안탈것이다.', '메달 따는 것을 포기할 것이다'라는 얘기들도 돌았으며, 급기야는 2006년 올림픽에서 이준호 해설이 발단이 된 아름다운 양보라는 소리와 그로 인한 언론의 보도로 안현수와 이호석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안현수는 운동 선수로서 저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고도 많은 비난을 받고, 양보했다는 말을 듣고...누가 4년에 한번 열리는 올림픽에서...인생에 한번 올까 말까 하는 경기에서 양보를 합니까"라고 억울해 했으며, 그는 또 "저는 금메달을 따고도 속상해 했고 양보가 아니란 걸 보여주기 위해 남은 경기 열심히 준비했다"고 하기까지 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이호석도 이후 인터뷰들에서 "양보를 한적이 없다." 라고 하였으나 파벌로 인한 오해로 당시 선수들의 사이는 악화되었다. 이것은 2006년 세계선수권 3000 m 충돌과 안현수의 아버지의 빙상연맹 부회장 폭행사건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안현수는 이호석, 오세종과 세계선수권 3000 m 슈퍼파이널에서 충돌하였고, 안현수의 아버지 안기원씨는 "선수들과 코치가 짜고 안현수가 우승 하는 것을 막으려고 하였다."고 주장하며 공항에서 빙상연맹 김형범 부회장을 폭행하였다. 뉴스화면들로 그대로 보도된 이 공항사건은 파벌문제와 함께 언론과 세간을 시끄럽게 하였고, 이로인해 빙상연맹은 2006년 4월 5일 상벌위원회를 열어 선수단 징계를 검토한다고 하였다. 2006년 4월 26일, 상벌위원회는 안현수, 이호석, 오세종 모두 고의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내었다. 세계쇼트트랙선수권대회 3,000m 결승 당시 이호석과 안현수의 충돌장면에 대해 "100여 번 이상 비디오를 재생한 결과 고의적인 충돌이 아니었으며, 안현수의 스케이트 앞날이 빙판에 걸리면서 이호석과 부딪혔고, 오세종 역시 캐나다 선수의 반칙으로 밀리면서 안현수와 충돌하였다고 하였다. 단, 2006년 5월 18일 빙상연맹은 안현수의 아버지 안기원씨에게 1년 간 빙상연맹 주최 대회 출입금지 근신 처분 학부모 징계를 내린다. = = = = 2006 - 2007 = = = = '한국체대 - 비 한국체대' 간의 파벌 다툼으로 고심하던 빙상연맹은 '개인 코치제' 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으나, 이는 서로의 파벌에 따라 선수들이 더욱 나눠지게 되었다. 그 당시 안현수의 개인 코치는 전명규였다. 빙상계의 갈등은 내내 시끄러웠지만 항상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따오면 좋은 결과로 무마됐다. 당시 안현수의 모든 부분에서 전명규 교수는 관여하고 있었다. 실업팀에 들어가는 대신, 대학원에 입학해 안현수의 진로를 모색할것이라고 전명규는 당시 언론에 밝혔다. 그러나 안현수는 성남시청을 선택했다. 안기원씨와 빙상계 한편, 그리고 언론에서는 성남시청에 입단한 이후 전명규와 한국체대 파벌과 사이가 멀어졌다고 주장 및 보도하였다. 이후 빅토르 안의 귀화논쟁에서 대한빙상연맹과 전명규 교수는 계속 거론되었다. = = = 2010년 대한빙상경기연맹과 양대 파벌 빙상계와의 갈등 = = = = = = = 2010년 벤쿠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 승부조작 파문 = = = = 2010년 3월 안현수의 아버지 안기원씨는 벤쿠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 승부조작 파문을 폭로하였다. 그리고 빙상계를 움직이는 유라인(유태욱)과 전라인(전명규)이라는 빙상계 양대 파벌을 언론에 공개하였다. 안현수의 아버지가 2010년 벤쿠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 승부조작 사건을 폭로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았다. 이정수의 가족들은 이정수가 발목 부상을 당하지 않았음에도 발목 부상을 이유로 세계선수권 개인전 종목 출전을 못했음을 알게된다. 이정수의 아버지는 당시 국가대표 대표팀의 선수를 지냈던 권수현 선수의 아버지인 권금중에게 이 사건을 알렸고 그들은 대한체육회 조사위에 대한빙상연맹에 대한 감사를 신청하기를 결정하고, 사건의 조사를 위해 200명의 사람들에게 서명을 받았다. 하지만, 대한체육회 조사위에 감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300명 이상이 필요했다. 그들은 영향력이 있는 안현수의 팬 카페에 안현수의 아버지가 이 사건을 써서 공개해주길 요청한다. 안현수의 아버지 주변에서는 아들을 위해서 사건을 밝히지 마라 했으나 결론적으로 이 사건은 한국 사회와 대중들에게 완전하게 공개된다. 2010년 승부조작 사건의 파문은 수개월동안 지속되었다. 대한빙상연맹은 이정수와 김성일 선수가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언론에 공개한다. 그리고 선수들의 자의로 각서가 써졌다고 반박하였다. 이정수, 곽윤기 전재목 코치 그리고 성시백까지 서로간에 진실게임이 벌어졌다. 결론적으로 연관된 선수 이정수, 곽윤기는 6개월 징계를 먹었고, 김기훈 코치는 3년, 전재목 코치는 영구 징계, 송재근, 최광복 코치진들은 1년 자격정지를 당하였다. 빙상연맹 지도부들은 모두 사퇴해야했다. 벤쿠버 승부조작 사건의 폭로는 안현수의 의사와 상관이 없이 진행되었으나 의도치 않게 양대 파벌 내부고발자가 되어 버린 이 파장은 안현수를 향했다. 국가대표 선발전이 연기되었고, 기초 군사훈련 시기와 겹쳤던 안현수는 훈련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 그리고 선발전 연기 결정이 안현수를 견제하기위해, 혹은 안기원씨가 폭로한 승부조작 사건 보복차원에서 이뤄졌다는 의혹들이 당시 제기되었다. 그리고 파벌과 관련된 잡음과 논란은 계속 제기되었다. 아래는 2010년 당시의 상황을 언급한 언론 보도들이다. = = = = 2010년 당시 안현수와 빙상계의 관계 언론 보도 = = = = < 2010년 3월 중앙일보 > 2010년 당시 다수 빙상인들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2010년 2월 올림픽에 나설 선수들을 10개월 전인 2009년 4월에 뽑은 이유가 석연치 않다" 실제 미국과 중국은 2009년 12월에 선발전을 치렀다.....한국이 지난해 4월에 서둘러, 그것도 단 한 차례 선발전으로 끝낸 것은 안현수(25)와 진선유(22)를 배제시키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빙상인들은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이 부상 중에 선발전을 치르는 바람에 둘은 태극마크를 다는 데 실패했다. ....실업팀 진출을 두고 빙상연맹 핵심 인사가 희망하는 팀으로 가지 않았기 때문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수군거림이 여기저기서 나왔다. < 2010년 4월 MBN > 토리노올림픽 3관왕인 안현수는 파벌 수장의 뜻을 어겨 밴쿠버올림픽 출전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는 뒷말이 무성했습니다. < 2010년 4월 조선일보, 경인일보 > 대한빙상경기연맹이 지난 9일 갑작스럽게 쇼트트랙 대표선발전(4월23~24일 개최 예정)을 9월로 연기했다.하지만 선발전을 준비해왔던 일부 선수들과 쇼트트랙 팬들이 연맹의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안현수(성남시청)와 이정수(단국대) 등 일부 선수들과 코치들은 선발전 연기를 철회해 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안현수가 내달 기초군사훈련을 받기 위해 한 달 동안 입영해야 하는 상황에서 9월로 대표선발전이 미뤄지면 훈련 시간과 컨디션 회복 시간이 부족해 최상의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용인시청의 소속 선수가 발목을 다쳐 대표선발전에 제대로 나설 수 없는 상황에서 대표선발전 연기는 용인시청 선수들을 봐주려는 빙상연맹 수뇌부의 의도가 깔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용인시청 코치는 유태욱 빙상연맹 부회장이다. < 2014년 2월 시사저널 > 대다수 종목은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을 여러 차례 치르고 마지막 선발전의 배점을 가장 높게 매겨 평가한다. 쇼트트랙 역시 과거 올림픽 선발전을 두 차례 치렀다. 그러나 당시 대한빙상연맹은 올림픽을 10개월 앞둔 4월, 단 한 차례의 선발전만으로 출전 선수를 확정지었다. 안현수 선수가 부상에서 미처 회복되기 전이었다. 선발된 대표 선수들은 모두 비 한국체대 출신이거나 재학생이었다. < 2018년 2월 28일 미니어스 임재훈의 스포토픽 > 사실 빅토르 안이 러시아로 귀화를 결심하게 되는 과정에서 여러 일들이 있었다. 부상과 재활 문제도 있었고, 소속팀이던 성남시청이 해체되기도 했고, 국가대표 선발전을 치르는 방식과 관련, 논란도 있었다. < 2022년 2월 YTN > 전 빙상연맹 관계자(익명), 국적을 옮긴다는 게 단 한 가지 이유로 옮길 수는 없는 거잖아요. 그게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그 이유가 한 가지가 있지 않을 까라는 생각을 하죠. 왜냐하면 그 당시에 제가 알기에는 현수한테 우호적이었던 팀들은 없는 걸로 알고 있었거든요. = = = = 성남 시청 해체 = = = = 빙상연맹은 2010년 국가대표 선발전을 쇼트트랙에서는 드문 '타임레이스' 방식으로 치르기로 하였다.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위가 아닌 개인 기록 순으로 국가대표를 선발한 것이다. 그러나 '타임 레이스 방식'은 몸싸움이 심한 쇼트트랙 경기 능력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경기운영 능력이 뛰어나지만, 부상을 당해 회복중인 안현수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게 바꾼 보복성 선발 방식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결국, 2010년 9월 타임레이스 방식으로 치러진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해 2010 - 2011년 시즌 국가대표로 선발되지 못했다. 이후 대한빙상경기연맹은 2011년 - 2012년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은 다시 4월에 치를 것이라고 해, 안현수는 이에 대한 대비를 한다. 그러던 중 소속팀인 성남시는 2010년 7월 12일 판교특별회계에서 악화된 지방 재정으로 인해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고, 그것의 여파로 2010년 12월 30일 부로 소속 15개 체육팀 중 하키, 펜싱, 육상 3종목을 제외한 모든 팀을 해체하면서 빙상팀을 해체하기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안현수가 갈 곳은 없었다. 국내 어느 팀도 안현수를 스카우트하지 않았다. 당시 한국 빙상계에서 안현수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선수였다. = = = 2010 - 2011 시즌, 쇼트트랙 해설위원 = = = 2010 - 2011시즌에는 SBS 스포츠 쇼트트랙 해설위원을 하였다. 쇼트트랙 월드컵 시리즈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를 해설하였다. = = = 러시아 귀화 = = = 러시아는 2009년부터 안현수에게 관심을 가지고 영입제안을 하고 있었다. 2009년과 2010년 국가대표 선발전 방식과 관련된 논란 중에 러시아와 일본, 미국 등 다른 나라들에서 귀화와 영입제안이 들어왔던 것이었다. 국제 빙상 연맹 (ISU) 규정에 따라 다른 나라의 대표로 뛸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현지에서 1년간 거주한 뒤 체류국가 빙상연맹 동의를 받아 국적을 신청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현지에서 1년간 거주한 뒤 양국 빙상연맹의 합의에 의해 체류국가가 국적 획득 여부에 상관없이 대표자격을 부여하는경우이다. 하지만 대한빙상경기연맹은 안현수의 러시아 대표팀 이적에 합의할 이유가 없였으며, 결국 귀화밖에 없었다. 이런 과정중 러시아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은 소속팀인 성남시청 쇼트트랙 팀의 해체였다. 안현수는 새로 옮길 소속팀을 찾지 못하였고, 해체된 이후에도 소속팀 없이 홀로 훈련해야만 했다. 결국 한국에서 더 이상 선수로서 생활이 힘들다고 생각한 그는 새로운 여건에서 운동할 수 있는 러시아로 진출하기로 결정하였다. 2011년 2월 전국동계체육대회에 출전하여 3000 m 금메달 1개, 1500 m와 계주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한다. 그리고 2011년 4월 국가대표 선발전 500 m에서 1위를 하여 마지막 한국에서의 우승 타이틀을 획득하게된다. 국가대표 선발전 결과는 공동 4위, 하지만 3000 m에서 순위가 밀리면서 5위로 국가대표 자격은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미 선발전이 열리기전 4월 11일 발탁되어도 태극마크를 달지 않을 것이라고 러시아행을 언론에 밝히고 뛰었으며, 국가대표 선발전은 한국에서의 마지막 고별 무대였다. 미국 협회의 영입제안도 마지막까지 고려했으나, 미국의 시민권 취득 과정과 이주 문제에 비해 러시아 정부가 관심을 가졌던 빅토르 안의 러시아 시민권 취득은 아주 아주 쉬웠으며, 재정적 지원을 약속하였다. 2014년 당시 뉴욕 타임스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특히 안현수 영입에 관심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그는 2011년 6월 러시아로 이주하였고, 8월 귀화 수속을 밟았다. 8월 17일 자신의 미니홈피를 통해 팬들에게 심경을 토로하였으며, 그리고 귀화에 앞서 2011년 7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자신의 남은 연금을 일시불로 수령하였다. 귀화와 동시에 '승리'를 뜻하는 영어 '빅토리(victory)'와 러시아에서 명성을 떨친 고려인 빅토르 초이 처럼 유명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빅토르 안으로 개명한다. 2011년 12월 28일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안현수의 러시아 국적 취득을 인정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하면서 그는 정식으로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으며 이중 국적이 허용되지 않는 대한민국 국적법에 의해 그의 대한민국 국적은 자동 소멸되었다. 당시 한국 언론을 통해 공개된 빅토르 안의 기본 연봉은 12만 달러 였으며 그외 생활비를 지원받았고 러시아어 개인 교사를 제공하였다. 그의 재활과 훈련을 위해 성남시청의 황익환 코치를 빅토르 안의 전담 개인 코치로 초빙하였고 심리적 안정을 위해 부인 우나리의 러시아 국가대표팀 선수촌 아파트 생활 보장과 대표팀 임원 명단에 포함시켜주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 자리도 약속하였다. 빅토르 안은 2015년 MBC '휴먼 다큐 사랑'에서 러시아 귀화 직전, 러시아 빙상연맹에 "이 선수는 한국에서 문제가 많은 선수이니 절대로 받아들이시면 안된다."는 한국 빙상관계자의 압력이 있었다는 것을 밝힌다. 안현수의 러시아 출국 직전 인터뷰 "전 한국체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여자대표팀을 이끄는 박세우 코치 밑에서 훈련했어요. 숙소도, 밥도 저 혼자 먹었어요. 하지만 여자대표팀에서 훈련할 수가 없잖아요. 그런데 빙상연맹에서 올림픽 1주일 전에, 따로 훈련하지 말고 남자대표팀으로 들어가서 훈련하라고 지시하더라고요. 대표팀 선수들과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혼자 지낸다고 생각해보세요. 왕따를 당했다기 보단 그냥 서로 말을 안 하고 지냈던 거예요.""토리노 올림픽 때가 최고로 심했어요. 외국 선수들은 한국팀 상황이 너무 이상하다고 수군거리더라고요. 계주에서 마지막 주자였던 제가 1위로 들어오니까 아주 ‘잠시’ 대표팀 선수들이 부둥켜안고 환호성을 질렀었죠. 그러다 슬며시 머쓱해진 거예요. 말도 안 했던 선수들끼리 부둥켜안고 있으니 웃긴 거였죠. 결국 전 박 코치님한테로 가고 나머지 선수들은 송 선생님과 기쁨을 나눴어요. 솔직히 선수들과는 악감정이 없어요. 우리가 무슨 죄인가요? 모두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줄 긋기에서 선수들만 희생하는 거죠.""전 이제 눈치 안 보고 살고 싶어요. 지금까지 한국에서 할 만큼 했다고 생각해요. 전 제 가슴에 어느 나라 국기가 달리든 크게 상관 안 해요.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니까요." (2011년 4월 26일) 귀화 직전 안현수의 미니홈피 글 "좋아하고, 하고 싶어하는 운동을 조금 더 나은 환경에서 마음 편히 집중해서 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됐다.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나의 선택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도 각오하고 있었다.""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응원해주셔서 내가 짊어지고 가야할 짐들을 덜 수 있었다. 내 선택에 대해 후회가 없도록 하겠다.""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쇼트트랙 선수가 되겠다." (2011년 8월 17일) = = = 2011년 러시아에서 한국인 코치진들과의 갈등 = = = 빅토르 안이 러시아 행을 결정하기 전 이미 미국쇼트트랙을 이끌었던 지미장 (장권옥) 감독이 총 감독으로 2010년부터 러시아 대표팀을 이끌고 있었다. 그렇기에 당시 빅토르 안의 러시아 귀화에 지미장 감독이 관여되어 있다는 추측도 나왔으나 2010년 그는 "개인적으로 안현수가 국내에서 성공하기 바란다. 한국의 슈퍼스타인 안현수를 등에 업고 러시아에서 성공할 생각은 없다." 라면서 이런 소문들을 일축했었으며, 2011년 당시 안현수 측에서도 지미장 감독이 아닌 러시아 연맹과의 협의로 진출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미장 감독의 2011년 8월 러시아 매체 소베스키 스포르트 와의 인터뷰를 본다면, 안현수와 지미장 감독의 관계가 나빴다고는 볼수는 없다. 저는 2002년부터 안현수를 알고 있었고 어떤 코치에게 물어봐도 저와 같은 모든 사람들이 그에 대해 가장 높은 평가를 내릴 것입니다. 그가 러시아 팀과 보낸 첫 달에 이미 우리는 큰 진전을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그의 기술, 그의 자세를 모방하려고합니다. 나는 안현수를 러시아 팀의 진정한 "롤 모델"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 지미장 감독의 2011년 8월 인터뷰 > 2011년 8월 러시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자, 빅토르 안과 2014년 동계 올림픽 5000 m 계주 팀 메이트 였던 루슬란 자하로프는 그에 대해 소베스키 스포르트에 이렇게 말을 하였다. "안현수는 멋진 사람이고 매우 사교적입니다....개인적으로 쇼트트랙에서 이런 선수는 본 적이 없다. 그는 5번 종합 챔피언입니다. 아무도 그의 업적을 다시금 이룰수는 없을 것입니다....무엇보다 그는 독특한 근육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언어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안은 쇼트트랙을 위해 만들어진 것 같다. 멀리서 보면 날아가는 것 같다." 2011년 10월 러시아 빙상연맹은 안현수를 남겨놓고 지미장 감독과 최광복 코치 등 한국인 코치들과 스태프들를 해고한다. 당시 러시아에서 한국인 코치진들을 해고한 이유는 언론보도에 따르면 다음과 같았다. 1. 지미장 감독을 영입한 러시아 지도부 세력과 반대파 사이의 지도부 갈등2. 부상과 건강 문제로 능력 있는 선수들을 잃을 수 있는 위험에 처했었다. 훈련 방식을 바꿔달라는 우리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한국 전문가들은 쇼트트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스케이트 장비 준비 비법을 러시아 코치들에겐 절대 알려주지 않았다.4.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선수들을 자신들에게 종속시키고 코치단을 독재화하려 시도했다. 당시 코치진들이 해임이 된 사건은 러시아 선수를 '체벌' 했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실제로 안현수만 빼고 모두 물갈이 되면서 2011년 초 러시아로 넘어온 안현수가 한국식 강훈련을 다시 받는 것을 꺼려한 탓이라는 설이 파다했다. 이 사건과 이후 부인 우나리의 부탁과 러시아의 초청으로 빅토르 안의 재활과 개인 코치를 위해 러시아로 갔던 황익환 감독의 증언으로 인해 러시아 한국인 코치진들과 빅토르 안의 갈등이 확인되었고, 그로 인해 러시아 코치직에서 해임 된후, 2014년 소치 올림픽 때 한국 여자 팀을 맡았던 최광복 코치가 2004년 여자 쇼트트랙 구타사건 재조명과 빅토르 안과의 악연이 조명되어 비난을 받았으나 여자 팀의 선전으로 대한체육회는 체육상 시상식에서 지도 부문 수상자로 최 코치를 선정한다. 처음에는 체력보다는 마음을 치료하는 게 급선무였다. '넌 이미 많은 걸 해봤고 해왔던 길을 다시 가기 때문에 그 길을 처음 가는 선수보다 더 나을 것' 이라고 자신감을 심어줬다. 대화를 나누면서 현수한테 상처가 많다는 걸 알게 됐다. 러시아 귀화 후 러시아대표팀을 이끌던 당시 한국인 감독, 코치들과 묘한 신경전을 벌였던 모양이다. 같은 한국인들이고 빙상계 사제지간이라 러시아대표팀에 한국인 지도자가 있는 게 더 많은 도움이 될 줄 알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 황익환 감독의 2012년 12월 인터뷰 > 한국인 감독이 있을 때, 현수는 '조교' 로 분해 열심히 앞에서 스케이트를 타며 선수들을 이끌었다고 하더라. 현수는 러시아로 가기 전에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뛴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500미터 1등을 차지했었다. 즉 몸 상태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6개월 만에 만난 현수는 최악의 슬럼프 상태에 빠져 있었다. 기가 막혀서 말이 안 나올 정도였다. 그때 서로 붙들고 많이 울었던 것 같다. 러시아연맹에서 그들을 퇴출시킨 후에도 현수는 한동안 그 상처에서 쉽게 헤어 나오지 못했다. < 황익환 감독의 2014년 2월 인터뷰 > = = = 제2의 전성기 = = = 러시아에 귀화한 빅토르 안은 2011-2012 시즌 러시아 쇼트트랙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으며, 2012년 2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 계주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약 4년 만에 국제 대회에 복귀하였다. 이어 2012-2013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 종합 2위로 러시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개인전 출전권을 획득 하였고, 2012년 10월 캘거리에서 열린 1차 월드컵에서 1000m 금메달을 따면서 부상 이후 약 5년 만에 첫 국제대회 메달을 목에 걸게 되었다. 그리고 2012년 12월 종합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 챔피언 자리에 오른다. 2013년 1월 스웨덴 말뫼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에서 1000 m 은메달 500 m 동메달 5000 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3년 3월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500m와 5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러시아 쇼트트랙 선수로는 처음으로 세계 선수권에서 메달을 획득하게된다. 유럽선수권과 세계선수권 메달 획득을 한 빅토르 안은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명예 러시아 체육 명장 칭호를 수여 받는다. 그리고 2013-2014 시즌 월드컵 종합 랭킹 2위, 500m 랭킹 1위로 월드컵을 마무리한 빅토르 안은 2014년 1월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유럽선수권에서 4관왕에 오르며 올림픽 청신호를 보냈다. = = = 2014년 동계 올림픽 = = = 2월 10일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년 동계 올림픽 개인 1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8년 만에 올림픽 메달을 땄다. 이 메달은 러시아가 최초로 쇼트트랙에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이었다. 그리고 2014년 2월 15일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전에서 빅토르 안은 금메달을 확정한 후 빙판에 무릎 꿇어 입맞춤을 한다. 그는 겨울올림픽 역사상 2개 국적으로 각각 금메달을 차지한 역대 최초의 선수가 됐다. 그리고 이날만 특별히 마련된 '운석' 금메달의 주인공이기도 하였다. 2014년 중앙일보의 한 기고문은 그의 조국을 아이스링크라고 하였다. 22일 500m, 5000m 계주 경기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한다. 러시아에 금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안기며 2006년 동계 올림픽 이후로 다시 한번 3관왕의 기록과 전종목 메달 석권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쇼트트랙 사상 최초로 동계 올림픽 전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되었으며, 총 8개의 올림픽 메달로 미국의 아폴로 안톤 오노와 남자부 쇼트트랙 최다 메달 타이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올림픽이 끝나고 미국 NBC는 빅토르 안을 올림픽 최고 MVP로 선정한다. 당시 빅토르 안은 대회 기간동안의 인터뷰들과 2월 22일 기자회견을 통해 아버지가 너무 많은 말을 했고, 자신과 의견이 다르며, 한국 선수들과 부딪치는 기사가 나가는 것을 원치않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성남 시청 실업 팀이 해체된이후 그를 원하는 국내 팀들이 없었는데, 쇼트트랙을 하고 싶었고, 올림픽에 나가고 싶었으며 러시아 귀화는 자신을 위한 선택이라고 하였다. 당시 제기된 국가대표 선발전과 관련된 불이익에 대한 의혹들을 부정하였으며 아버지, 언론, 빙상계 일각에서 거론한 파벌문제와 관련하여 파벌싸움은 있었으나 그게 자신이 귀화를 결정한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라고 밝힌다. 이어 2014년 3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1000m 1위, 3000m 슈퍼 파이널 3위를 기록하고 500m, 1500m, 5000m 계주에서 4위를 기록해 6번째 종합우승이자 7년만의 종합우승을 거머쥐면서 중국의 양양(A)와 함께 세계선수권 최다 우승의 기록을 세우게된다. 빅토르 안의 2014년 소치 올림픽 당시 인터뷰와 기자회견 "한국 선수들과 불편할 게 없는데 자꾸 언론들이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 같다. 아버지가 너무 많은 인터뷰를 했다. 그런 부분에 대해 나와 의견충돌이 있었다. 내가 말하지 않은 게 자꾸 부풀려졌다. 아버지가 나를 너무 아끼는 마음으로 한 것 같다. 그러나 내가 피해를 보는 부분도 있었다. 2008년 무릎을 다쳤고 그 부상 여파로 1년 동안 4번 수술을 받았다. 밴쿠버올림픽 선발전에 앞서 한 달 밖에 운동하지 못했다. 한국 룰에 맞춰 준비하는데 시간이 부족했다.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특혜를 누릴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파벌은 있었지만 그게 내가 귀화를 결정한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다. 내가 분명히 말했듯이 제가 정말 좋아하는 쇼트트랙을 하고 싶었고 나를 믿어주는 곳에서 마음 편히 운동하기 위해서 온 것이다. 한국에서 나 때문에 시끄러워지는 거 나도 원치 않는다. 한국선수들과 부딪히는 기사가 나가는 것도 아쉽다.""2010년 12월 성남시청이 해체된 뒤 나를 원하는 국내 팀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 올림픽에 나가고 싶었고, 러시아행은 나를 위한 선택이었다. 지금도 내 결정에 후회하지 않으며 나에게 이런 기회를 준 러시아에 고맙다." = = = 러시아 귀화이후 한국 빙상계와의 관계 = = = 파벌 논란으로 복잡한 관계 속에서도 실제 빅토르 안은 한국대표 팀 시절에도 귀화이후 러시아 대표 팀 시절에도 한국선수들과 사이는 좋은 편이었다. 그는 한국 선수들과의 문제는 없다고 여러번 인터뷰 및 언론에 공개 하였으며, 일부 선수들과는 개인적인 친분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2017년 10월 러시아 빙상연맹은 러시아 매체 스포츠 익스프레스(Sport-Express)에 이렇게 언급하였다. "빅토르 안은 한국과 연맹에서 여전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의 도움으로 서울에서 준비가 수월했습니다." = = = = 귀화와 파벌 논쟁 = = = = 2014년 올림픽 당시 그의 금메달이 확정된 직후 대한 빙상연맹 홈페이지는 폭주하는 항의 글로 마비가 됐다. 2004년 여자쇼트트랙 코치진 최광복 - 김소희의 여자 선수들 폭행사건은 10년만에 재조명 되었고, 러시아에서의 빅토르 안과 최광복 코치와의 악연도 조명되었다. 그리고 전명규 교수의 블로그는 비난글들로 도배되었다. 올림픽 이후 전명규 교수는 성적 부진을 이유로 빙상연맹 부회장 직에서 내려온다. 당시 이와 관련해서 빙상계 한편에서는 안현수는 선, 빙상연맹은 악이라는 시선은 자제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왔고, 현재의 그가 최고의 선수가 될수 있었던 밑바탕은 전명규 교수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기사들도 나오기도 하였다. 2014년 올림픽 당시 빅토르 안은 귀화의 결정적 원인은 파벌이 아니며, 아버지와 자신의 의견은 다르다고 하였으나,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제기된 팀추월 노선영 - 김보름 빙상 파벌 논란 때도 다시 2006년 토리노 올림픽 전후의 파벌 문제, 러시아 귀화는 전명규 교수와의 관계가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는 쟁점들이 언론들을 통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논쟁에 관련하여 2018년 2월 22일 국회의원 안민석은 CBS 김현정 앵커의 뉴스쇼에서 "안현수 선수가 한국에 와서 훈련을 했을 때 한국체대 빙상장에서 했거든요. 한국체대 빙상장에서 했다는 거는 전명규 감독 부회장의 허락이 있었다는 얘기거든요." 그가 전명규 교수와 사이가 좋지 않다면 한국체대 빙상장에서 훈련을 할 수 없다면서 귀화의 원인이 전명규 때문인지 파벌때문인지 아닌지는 안현수 본인이 이야기 해야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2월 28일 안민석은 빅토르 안의 문자 메세지를 공개하면서, 귀화는 전명규 교수 때문이 아니라고 하였다. 2019년 2월 빅토르 안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성남시청 소속일 때는 입장이 애매해 전명규 교수와 연락을 하지 못하였으나, 2013년 3월 헝가리 세계선수권 대회 에서 인사를 드렸고, 그이후로 전명규 교수와 자신과의 사이는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당시 언론에서 제기 되었던 한국체대 플레잉 코치 부임과 전명규 교수가 빙상계 기득권 유지를 위해 파급력이 큰 빅토르 안을 기용한 것이라는 일부 빙상인들의 주장과 논란에 대해서도 어린선수들과 훈련하면서, 아이들의 스케이트 날을 종종 갈아주었던 것이 왜 문제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대답하였다. = = = = 2022년 3월 빅토르 안의 인터뷰 = = = = 빅토르 안의 러시아 귀화 이유에 대해서는 수년동안 각자의 여러 주장들이 나왔고 여러 논쟁들과 언론보도들이 있었다. 단, 2022년 빙상 관계자들은 "당시 빙상계의 파벌 논란 속에 부상과 팀 해체까지 겹친 상황에서 어느 하나를 꼭 집어 원인을 찾기는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여러 논쟁 속에서 빅토르 안은 2022년 3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밝힌다. "당시 소속팀인 성남시청 빙상팀이 재정 문제로 해체됐고, 난 부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며 "당시 이런 나를 받아줄 팀은 없었다. 성적이 안 좋았고, 나를 둘러싼 시끄러운 이슈가 많았기 때문" "이때 러시아에서 좋은 제안을 했고, 진정성을 느껴 선택했다". "난 국내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지 않았고, 대한빙상경기연맹과 불편한 관계도 아니었다"라며 "일부에서 제기하는 파벌 논란으로 귀화를 선택한 것도 절대 아니다" (2022년 3월 20일) = = = 2014년 이후 = = = 빅토르 안은 올림픽 이전 한국에서 이미 혼인신고를 했던 우나리와 결혼식을 올렸으며, 결혼 2년차에 득녀하였다. 딸의 이름은 제인이다. 학교 수업 및 러시아 연방 도시들에서 마스터 클래스 행사에 참석하였고, 선수생활을 하면서 코칭을 겸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예프는 “안현수는 2019-20시즌을 마치고 은퇴를 선언할 때까지 훈련 계획과 주행 전술 수립 등 선수단 내부에서 황제 같은 절대적인 존재였다”고 증언했다. 빅토르 안은 실제로 ' 선수 겸 코치' 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선수들에게 전하고 자신의 전술을 그들과 공유했습니다. 우리 쇼트트랙 역사에 큰 흔적을 남겼습니다. <2018년 9월 스베틀라나 추로바 러시아 국영매체 리아 노보스티> 2015년 유럽선수권에서 500m와 5000 m 계주 금메달 획득 및 준우승을 하고, ISU 월드컵에서도 꾸준히 입상하면서 국제무대에서 선수활동을 지속하였으나, 계속되는 무릎 통증으로 이후 기량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수술을 받으면 경력이 위태로워질 거라고 판단 병원 치료와 재활을 위해 2015-16 시즌을 쉬었고, 2016년 세계선수권은 불참 하였다.이때 부인 우나리의 임신과 출산으로 한국에 입국하여 훈련하기 시작하면서 모교 한국체대에서 훈련하는 모습이 이후 언론을 통해 여러차례 보도되었다. 특히 2016년 3월에는 〈자랑스러운 한국체대〉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016년 7월에는 러시아 올림픽 챔피언 명예의 전당에 19번째 별로 입성한다. 2016-2017 시즌 복귀 이후 2017년 유럽선수권에서 500m 동메달과 5000 m 계주 은메달을, 2017년 세계선수권에서 3000m 슈퍼파이널 3위, 2018년 유럽 선수권에서 500m 은메달과 5000 m 계주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쇼트트랙 선수로서는 상당히 많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후략할 러시아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에 휘말리면서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하였다. = = =2018년 평창 올림픽 출전불가와 논란 = =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었던 선수생활 막바지에 러시아 도핑 스캔들에 연루된다. 원래 빅토르 안은 맥라렌 보고서 명단에 없었기에 개인 자격으로 출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8년 1월 올림픽을 단 두 주 남겨둔 시점에서 출전불가 명단에 올라갔으며, 빅토르 안은 CAS 제소를 하였으나 결백을 입증하기엔 시간은 부족했고, 올림픽 출전은 허락되지 않았다. 당시 국내의 한 언론사는 빅토르 안은 금지약물 검사에 적발된 것이 아닌 '의심되는 대상'으로 막바지에 올라간것이라고 단정지을수 없다고 조심스럽게 언급하였다. IOC는 빅토르 안이 어떤 경로로 어떤 이유에서 이름이 올라갔는지 함구하였고, 확실하게 결론을 내지 않고 종료하였다. IOC 의장인 발레리 푸르네이론은 "초청명단에 없다해서 반드시 그 선수가 도핑을 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 처분이 그들의 성실성에 의문을 제기해서는 안 됩니다." IOC는 초청되지않은 선수들에 대해 추가 조사 절차가 진행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하고 싶습니다."라는 입장을 내었다. 모국에서 열리는 2018년 동계 올림픽 출전이 무산된 것 외에 빅토르 안에 대한 대한 추가 징계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의 입상 기록들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ISU 차원의 자격중지도 없었다. 국제 경기에 계속 출전하였으며, 2022년 베이징 올림픽 중국 국가대표 테크니컬 코치 겸 수석코치로 올림픽 참가도 허락되었다. 하지만, 이 일은 도핑 의혹이라는 꼬리표를 남기게 되었다. 빅토르 안은 2022년 3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준다면 속이라도 시원할텐데 IOC가 알려주지 않았다"면서, “만약 내게 도핑 문제가 있다면 그동안 쌓아온 국제대회 입상 기록이 기록이 무효화 되고,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 = = 은퇴 = = = 2018년 러시아 코치직과 고문 제안을 거절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다음, 2017-2018년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특별출연, 2018-2019년 MBC 진짜 사나이 300에 메인 멤버로 출연하고 MBC 방송연예대상 시상식에도 참석하면서 방송생활을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었으나, 모교에서 지도자 생활을 준비하고 있었다는 것이 한 언론을 통해서 알려졌다. 2019년 2월에는 은퇴를 번복하고 2019-2020 시즌 선수로 복귀했다.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1차와 4차 월드컵에서 개인전 500m, 1000m에서 은메달 2개, 혼성계주와 남자 5000m 계주에서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면서 러시아 팀을 이끌며 2022년 베이징 올림픽을 준비했으며, 2020년 3월 서울에서 개최되기로 한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무기한 연기가 되었고, 결국 대회는 취소되었다. 2020년 4월 27일 빅토르 안은 고질적인 무릎 통증과 추가적인 부상으로 현역 생활을 더이상 유지할 수 없음을 밝히며 은퇴를 선언하고, 지도자의 길을 갈 것이라고 발표한다. 안현수, 빅토르 안 은퇴 성명 저는 2019-20시즌이 오랜 선수 생활의 끝임을 알리고자 합니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도 은퇴한다는 실감이 나지 않네요. 지금까지 쇼트트랙 선수로서 저를 지지하고 사랑해준 모든 팬에게 마지막으로 진심 어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아시다시피 무릎 통증은 고질이 됐습니다. 언제부턴가 한번 대회에 출전하고 나면 회복과 치료, 재활에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훈련과 경기 준비에 전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무릎뿐 아니라 다른 부상도 하나둘 생기면서 국제대회에 출전할 몸을 만들기가 점점 더 어려워졌습니다. 동기부여만 가지고 경쟁력 있는 현역 생활을 이어가기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2002년에는 한국 대표팀에서, 최연소로 국가대표로 뛰기 시작했고, 지금은 러시아 대표팀에서 뛰면서 세계 쇼트트랙 최고령 선수가 되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훈련을 많이 했고, 제 자신도 이렇게 오랫동안 스포츠 활동을 계속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안현수도 빅토르 안도 쇼트트랙이 있기에 존재합니다.저는 쇼트트랙 선수로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저는 앞으로 언제나 쇼트트랙 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어디에 있든 제 영혼의 일부는 러시아에 남아있을 것입니다. 고마웠습니다.저는 이제 현역 생활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길을 가려고 합니다. (2020년 4월 27일) = = =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 = = 2018년부터 중국은 왕멍의 주도하에 빅토르 안에게 집요하게 국가대표 코치직 러브콜을 보내왔었다. 2018년에 요청을 한 번 거절했던 빅토르 안은 2019-2020 시즌 종료 후 이를 수락했고,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종료된 2022년 2월까지 중국 국가대표 테크니컬 코치겸 수석 코치로 활동을 하였다. 한국 언론보도들에 따르면, 연봉은 300만 위완(중국 위완화)으로 한화 5억 6천만원 정도로 알려졌다. 빅토르 안의 코칭 방식은 직접 스케이트를 타면서 지도함으로써 선수들이 스텝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빅토르 안을 엄격하고 좋은 지도자라고 평가를 내렸다. 올림픽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경기에서 중국 선수들이 실격을 받지 않고, 남자 1000m 준결승전에서 한국 선수들이 실격을 받은 것과 관련해 판정 논란이 거세지자, 많은 한국 네티즌들의 분노가 중국 코치를 맡고 있는 빅토르 안에게 향했다. 반대로 중국 매체들은 빅토르 안을 전설의 거성으로 표현하고 경쟁자에서 제자와 스승으로 다시 만난 우다징과 빅토르 안의 관계를 집중 보도하는 등, 빅토르 안은 베이징 올림픽 기간 중 한중 스포츠 갈등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2018-2020년 코치직과 감독직을 제안했던 러시아에서는 빅토르 안에 대해 '선수 시절 대표팀에 매우 확실하고 유익한 도움을 줬다. 지금은 중국을 가르치고 있어 안타깝다.'라면서 2026년 밀라노 올림픽을 위해 다시금 지도자 영입을 제안할거라는 의사를 밝혔다. 올림픽 기간 동안 인터뷰를 모두 거절한 그는 3월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판정 논란에 대한 심경을 밝혔다. "힘든 상황을 내색하고 싶진 않았다. 무책임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한 그는 "쇼트트랙 종목 특성상 판정 문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며 "기록 스포츠가 아니기 때문에 접촉이 일어날 수밖에 없고, 이에 심판 판정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고, "모든 선수는 판정 문제에 관해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경기에 임하지만, 경기하다 보면 예상과 다른 상황이 발생하곤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무분별한 비난이 이어진 것과 관련해, "불현듯 내가 쇼트트랙을 포기하면 이런 논란이 끝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라며 "그동안 내 열정과 경기를 보고 응원해주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예상치 못한 일들이 비난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가슴 아팠다"고 말했다.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한국은 내가 가장 오랫동안 선수 생활을 하고 사랑받았던 곳"이라며 "만약 어떤 위치, 어떤 자리든 기회가 주어진다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것이며, 쇼트트랙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 수훈과 명예대사 = = 2016년 7월 : 러시아 올림픽 챔피언, 19번째 별로 명예의 전당 입성 2016년 3월 : 〈자랑스러운 한국체대인 상〉 수상 2014년 9월 : GQ 러시아판 '올해의 선수' 선정 2014년 6월 : 한국-러시아 상호 방문의 해' 명예홍보대사로 위촉 2014년 2월 : '블라디미르 푸틴'으로부터 《조국공헌 훈장》 4급 수훈 2014년 2월 : 러시아 국방부로부터 《군사 협력 강화 메달》 수훈 2014년 2월 : NBC로부터 〈MVP 최우수 선수〉 선정 2013년 3월 :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명예 러시아 체육 명장》 칭호 수여 2009년 3월 : 국민체육진흥공단 홍보대사로 위촉 2008년 8월 : 2008 베이징 올림픽, 웹사이트 명예의 전당 입성. 전이경과 함께 2008년 3월 : 아시아체육기자 '남자 단체상' 수상 2008년 1월 : 대한빙상경기연맹으로부터 〈MVP 최우수 선수〉로 선정 2006년 10월 : 2014년 평창 동계 올림픽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 진선유와 함께 2006년 2월 : 미국 스포츠 아카데미 '이달의 선수' 선정 2006년 1월 : 제 11회 스포츠조선 코카콜라 체육대상, '우수선수상' 수상 = = 방송 활동 = = 2010-2011 시즌 : SBS 스포츠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활동. 2018년 9월 21일 - 2019년 1월 25일 : MBC 예능 진짜 사나이 300 출연 2017년 10월 15일부터 - 2018년 9월 2일 : 슈퍼맨이 돌아왔다 202 - 204회, 237회, 241회에 제인이 아빠로 특별출연 2017년 7월 26일 : 현장토크쇼 TAXI 488회, 부인 우나리와 함께 출연 2015년 5월 11일-18일 : MBC 휴먼다큐 사랑 44-45회, 부인 우나리와 함께 출연 2014년 - 2016년 : 러시아 심야 토크쇼 Evening Urgant(Вечерний Ургант) S3.90회, S4.104회, S5.157회 출연 2006년 3월 5일 : SBS TV <한수진의 선데이클릭> 49회, 진선유와 함께 게스트 출연 = = 광고와 화보 = = 팔도 도시락 라면 러시아 광고모델 삼성 갤럭시 A 러시아 광고모델 경동나비엔 러시아 광고 모델 2015년 9월 : MAXIM 러시아판 화보촬영과 인터뷰(한국판은 2016년 1월호) 2014년 9월 : GQ '러시아판 올해의 선수 선정 기념 화보 촬영과 인터뷰 2006년 2월 : 타임지 아시아판 표지에 등장하였다. = = 그외 활동 = = 2022년 11월 3일 :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딴, 빅토르 안 컵 «Кубок Виктора Ана» 참가 선수들에게 영상인사 2020년 8월 : 한-러 수교 30주년 축하 메세지 영상 참여 2019년 2월 : 러시아 올림픽 메달리스트 포토세션에 참가 2018년 7월 : 사하 공화국 초청 마스터 클래스 행사에 참여 2018년 6월 : 블라디미르 푸틴과 문재인 대통령과의 크렘린 대궁전에 있는 그라노비타야홀 만찬 자리 참석 2015년 9월 : 투바 공화국 정부 쇼트트랙 학교 프로젝트의 메인 코디네이터로 참여 2014년 12월 : 모스크바 유치원 어린이 행사에 산타클로스로 참여 2014년 9월 12월 : 모스크바 학교 수업 행사에 참여 2014년 8월 21일 : 신우철과 변천사의 지목으로 러시아에서 아이스 버킷 챌린지에 동참하였고, 아내 우나리가 좋아하는 김연우를 지목하였다. 2014년 6월 : 안타스포츠(Anta Sports) 러시아 진출 행사 참석 2014년 5월 31일: 러시아 쇼트트랙 자선경매 팬들과 만남 행사에 참석 2010년 1월 22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소외계층 어린이를 대상으로한 스케이팅 지도 체험행사에 참여 2006년 12월 16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야외 아이스 링크장에서 안현수와 진선유가 함께하는 팬 사인회 및 기념행사가 열렸다. 2006년 4월 22일 : 수협은행 주최로 소년소녀가장 등 태릉국가대표선수촌에 초청하여 사인회 및 스케이트 강습 체험 행사 참여 2006년 4월 9일 : 기아 쏘렌토 마케팅 지원 행사와 사인회 행사에 참여 2006년 3월 12일 : K리그 개막전 시축 2006년 3월 9일 : 조흥-신한은행, 일일지점장 행사, 사인회 및 경매 기부 행사 참여 2006년 3월 8일 : 한라대학교 팬 사인회 행사 참여 2006년 1월 13일 : 태릉국가대표선수촌 훈련 개시식에서 선수 대표로 선서를 하였다. = = 수상 기록 = = = = = 올림픽 결과 = = = 대회 날짜 순위 종목 영상 2002년 동계 올림픽 솔트레이크 시티 2002. 02.13 ~ 02.23 13위 1500 m 2002년 동계 올림픽 솔트레이크 시티 2002. 02.13 ~ 02.23 4위 1000 m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2006.02.13 1. 1500 m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2006.02.19 1. 1000 m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2006.02.26 3. 500 m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2006.02.26 1. 5000 m 계주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2014.02.10 3. 1500 m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2014.02.15 1. 1000 m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2014.02.22 1. 500 m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2014.02.22 1. 5000 m 계주 = = = = 올림픽 기록 OR 보유 = = = = 종목 OR 대회 1000 m 전,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5000m 계주 전, 2006년 동계 올림픽 토리노 5000m 계주 전, 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 = = = 세계 선수권 = = = 6회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 챔피언 세계 선수권 타이틀 20개 (3000 m 슈퍼파이널 2개 포함) 세계 선수권 금메달 18개, 팀 세계선수권 타이틀 2개 종목 금 은 동 포디움 종합 6 x 1 x 7 500 m 1 x 2 x 3 1000 m 4 x 3 x 7 1500 m 4 x 1 x 5 3000 m (2) (3) (2) (7) 개인 14 x 5 x 3 x 22 (29) 계주 4 x 2 x 6 합계 18 (20) 7 (10) 3 (5) 28 (35) 종합 포인트와 메달 날짜 대회 개최지 메달 종목 2002. 04.05~04.07 2002 몬트리올 2.(42 P) 종합 2002. 04.05~04.07 2002 몬트리올 2. 1000 m 2002. 04.05~04.07 2002 몬트리올 2. 3000 m 2002. 04.05~04.07 2002 몬트리올 1. 5000m 계주 2003. 03.19~03.21 2003 바르샤바 1.(89 P) 종합 2003. 03.19~03.21 2003 바르샤바 2. 1000 m 2003. 03.19~03.21 2003 바르샤바 1. 1500 m 2003. 03.19~03.21 2003 바르샤바 1. 3000 m 2003. 03.19~03.21 2003 바르샤바 1. 5000m 계주 2004. 04.19~04.21. 2004 예테보리 1.(102 P) 종합 2004. 04.19~04.21. 2004 예테보리 1. 1000 m 2004. 04.19~04.21. 2004 예테보리 1. 1500 m 2004. 04.19~04.21. 2004 예테보리 1. 3000 m 2004. 04.19~04.21. 2004 예테보리 1. 5000 m 계주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1.(89 P) 종합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3. 500 m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2. 1000 m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1. 1500 m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2. 3000 m 2005. 03.05~03.06 2005 베이징 2. 5000 m 계주 2006. 03.29~03.31 2006 미니애폴리스 1.(68 P) 종합 2006. 03.29~03.31 2006 미니애폴리스 1. 1000 m 2006. 03.29~03.31 2006 미니애폴리스 1. 1500 m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1.(81 P) 종합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3. 500 m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1. 1000 m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3. 1500 m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2. 3000 m 2007. 03.09~03.11 2007 밀라노 1. 5000 m 계주 2013. 03.14~03.16 2013 데브레첸 6.(23 P) 종합 2013. 03.14~03.16 2013 데브레첸 2. 500 m 2013. 03.14~03.16 2013 데브레첸 7. 3000 m 2013. 03.14~03.16 2013 데브레첸 2. 5000 m 계주 2014. 03.14~03.16 2014 몬트리올 1.(63 P) 종합 2014. 03.14~03.16 2014 몬트리올 4. 500 m 2014. 03.14~03.16 2014 몬트리올 1. 1000 m 2014. 03.14~03.16 2014 몬트리올 4. 1500 m 2014. 03.14~03.16 2014 몬트리올 3. 3000 m 2017. 03.10~03.12 2017 7.(23 P) 종합 2017. 03.10~03.12 2017 7. 500 m 2017. 03.10~03.12 2017 4. 1500 m 2017. 03.10~03.12 2017 3. 3000 m 2017. 03.10~03.12 2017 팀 세계 선수권 대회 팀 팀 팀 팀 팀 팀 날짜 대회, 개최지 메달 2002.03.29~03.30 팀 선수권 2002 밀워키 3. 2003.03.15~03.16 팀 선수권 2003 소피아 2. 2004.03.13~03.14 팀 선수권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1. 2005.03.05~03.06 팀 선수권 2005 춘천 2. 2006.03.25~03.26 팀 선수권 2006 몬트리올 1. 2007.03.17~03.18 팀 선수권 2007 부다페스트 2. = = = 월드컵 성적 = = = 월드컵 랭킹 월드컵 랭킹 월드컵 랭킹 월드컵 랭킹 월드컵 랭킹 종목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랭킹 2 3 1 6 500 m 랭킹 2 1 1 4 1000 m 랭킹 2 4 1 7 1500 m 랭킹 2 4 1 7 랭킹 8 12 4 24 월드컵 메달 월드컵 메달 월드컵 메달 월드컵 메달 월드컵 메달 종목 금 은 동 포디움 종합 7 3 5 15 500 m 6 4 2 12 1000 m 13 10 5 28 1500 m 16 7 5 28 3000 m 6 6 2 14 개인전 48 30 19 97 계주 19 7 6 32 메달 67 x 37 x 25 x 129 합계 75 x 49 x 29 x 153 월드컵 랭킹 포디움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02-03 2위 3위 3위 2위 2003-04 1위 2위 1위 1위 2004-05 3위 - 2위 2위 2005-06 1위 1위 2위 1위 2007-08 2위 - 1위 2위 2012-13 - - 2위 2위 2013-14 2위 1위 2위 3위 포디움 6 4 7 7 합계 24 24 24 24 = = = 국제 대회 포디움 = = =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올림픽, 세계선수권을 제외한 국제대회 메달 목록 No. 날짜 대회 메달 종목 1 2002.01.06~01.08 2002 세계 주니어 선수권 춘천 1. 종합 2 2002.01.06~01.08 2002 세계 주니어 선수권 춘천 1. 1000m 3 2002.01.06~01.08 2002 세계 주니어 선수권 춘천 1. 1500m 4 2002.01.06~01.08 2002 세계 주니어 선수권 춘천 3. 1500m S.F. 5 2002.01.06~01.08 2002 세계 주니어 선수권 춘천 1. 2000m 계주 6 2002.10.18~10.20 2002-03 ISU 월드컵 춘천 종합 7 2002.10.18~10.20 2002-03 ISU 월드컵 춘천 500m 8 2002.10.18~10.20 2002-03 ISU 월드컵 춘천 1000m 9 2002.10.18~10.20 2002-03 ISU 월드컵 춘천 1500m 10 2002.10.18~10.20 2002-03 ISU 월드컵 춘천 3000m S.F. 11 2002.10.25~10.27 2002-03 ISU 월드컵 베이징 1500m 12 2002.10.25~10.27 2002-03 ISU 월드컵 베이징 3000m S.F. 13 2002.11.29~12.01 2002-03 ISU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 종합 14 2002.11.29~12.01 2002-03 ISU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 1500m 15 2002.11.29~12.01 2002-03 ISU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 3000m S.F. 16 2002.11.29~12.01 2002-03 ISU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 5000m 계주 17 2002.12.06~12.08 2002-03 ISU 월드컵 보르미오 종합 18 2002.12.06~12.08 2002-03 ISU 월드컵 보르미오 1000m 19 2002.12.06~12.08 2002-03 ISU 월드컵 보르미오 3000m S.F. 20 2003.02.06~02.07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오모리 1. 1000m 21 2003.02.06~02.07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오모리 1. 1500m 22 2003.02.06~02.07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오모리 1. 5000m 계주 23 2003.10.17~10.19 2003-04 ISU 월드컵 캘거리 종합 24 2003.10.17~10.19 2003-04 ISU 월드컵 캘거리 1000m 25 2003.10.17~10.19 2003-04 ISU 월드컵 캘거리 1500m 26 2003.10.17~10.19 2003-04 ISU 월드컵 캘거리 3000m S.F. 27 2003.10.17~10.19 2003-04 ISU 월드컵 캘거리 5000m 계주 28 2003.10.23~10.25 2003-04 ISU 월드컵 미시간 종합 29 2003.10.23~10.25 2003-04 ISU 월드컵 미시간 500m 30 2003.10.23~10.25 2003-04 ISU 월드컵 미시간 1000m 31 2003.10.23~10.25 2003-04 ISU 월드컵 미시간 1500m 32 2003.10.23~10.25 2003-04 ISU 월드컵 미시간 5000m 계주 33 2003.11.28~11.30 2003-04 ISU 월드컵 전주 종합 34 2003.11.28~11.30 2003-04 ISU 월드컵 전주 1500m 35 2003.11.28~11.30 2003-04 ISU 월드컵 전주 3000m S.F. 36 2003.11.28~11.30 2003-04 ISU 월드컵 전주 5000m 계주 37 2003.12.05~12.07 2003-04 ISU 월드컵 베이징 종합 38 2003.12.05~12.07 2003-04 ISU 월드컵 베이징 1000m 39 2003.12.05~12.07 2003-04 ISU 월드컵 베이징 1500m 40 2003.12.05~12.07 2003-04 ISU 월드컵 베이징 3000m S.F. 41 2003.12.05~12.07 2003-04 ISU 월드컵 베이징 5000m 계주 42 2004.02.06~02.08 2003-04 ISU 월드컵 믈라다볼레슬라프 종합 43 2004.02.06~02.08 2003-04 ISU 월드컵 믈라다볼레슬라프 1000m 44 2004.02.06~02.08 2003-04 ISU 월드컵 믈라다볼레슬라프 1500m 45 2004.02.06~02.08 2003-04 ISU 월드컵 믈라다볼레슬라프 3000m S.F. 46 2004.10.22~10.24 2004-05 ISU 월드컵 하얼빈 종합 47 2004.10.22~10.24 2004-05 ISU 월드컵 하얼빈 1000m 48 2004.10.22~10.24 2004-05 ISU 월드컵 하얼빈 1500m 49 2004.10.22~10.24 2004-05 ISU 월드컵 하얼빈 3000m S.F. 50 2004.10.22~10.24 2004-05 ISU 월드컵 하얼빈 5000m 계주 51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종합 52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500m 53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1000m 54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1500m 55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3000m S.F. 56 2004.10.29~10.31 2004-05 ISU 월드컵 베이징 5000m 계주 57 2005.01.19~01.22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인스부르크 3. 1000m 58 2005.01.19~01.22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인스부르크 1. 1500m 59 2005.01.19~01.22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인스부르크 1. 3000m S.F. 60 2005.01.19~01.22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인스부르크 1. 5000m 계주 61 2005.02.04~02.06 2004-05 ISU 월드컵 부다페스트 1500m 62 2005.02.10~02.12 2004-05 ISU 월드컵 스피슈스카노바베스 종합 63 2005.02.10~02.12 2004-05 ISU 월드컵 스피슈스카노바베스 1000m 64 2005.02.10~02.12 2004-05 ISU 월드컵 스피슈스카노바베스 3000m S.F. 65 2005.02.10~02.12 2004-05 ISU 월드컵 스피슈스카노바베스 5000m 계주 66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종합 67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500m 68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1000m 69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1500m 70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3000m S.F. 71 2005.09.30~10.02 2005-06 ISU 월드컵 항저우 5000m 계주 72 2005.10.07~10.09 2005-06 ISU 월드컵 서울 종합 73 2005.10.07~10.09 2005-06 ISU 월드컵 서울 1000m 74 2005.10.07~10.09 2005-06 ISU 월드컵 서울 1500m 75 2005.10.07~10.09 2005-06 ISU 월드컵 서울 3000m S.F. 76 2005.10.07~10.09 2005-06 ISU 월드컵 서울 5000m 계주 77 2005.11.11~11.13 2005-06 ISU 월드컵 보르미오 종합 78 2005.11.11~11.13 2005-06 ISU 월드컵 보르미오 500m 79 2005.11.11~11.13 2005-06 ISU 월드컵 보르미오 3000m S.F. 80 2005.11.11~11.13 2005-06 ISU 월드컵 보르미오 5000m 계주 81 2005.11.18~11.20 2005-06 ISU 월드컵 헤이그 종합 82 2005.11.18~11.20 2005-06 ISU 월드컵 헤이그 500m 83 2005.11.18~11.20 2005-06 ISU 월드컵 헤이그 1000m 84 2005.11.18~11.20 2005-06 ISU 월드컵 헤이그 1500m 85 2005.11.18~11.20 2005-06 ISU 월드컵 헤이그 5000m 계주 86 2006.10.20~10.22 2006-07 ISU 월드컵 창춘 1000m 87 2006.10.20~10.22 2006-07 ISU 월드컵 창춘 1500m 88 2006.10.20~10.22 2006-07 ISU 월드컵 창춘 5000m 계주 89 2006.10.27~10.29 2006-07 ISU 월드컵 전주 1000m 90 2006.10.27~10.29 2006-07 ISU 월드컵 전주 1500m 91 2006.10.27~10.29 2006-07 ISU 월드컵 전주 5000m 계주 92 2006.12.01~12.03 2006-07 ISU 월드컵 사그네 1000m 93 2006.12.01~12.03 2006-07 ISU 월드컵 사그네 5000m 계주 94 2006.12.08~12.10 2006-07 ISU 월드컵 몬트리올 1500m (1) 95 2006.12.08~12.10 2006-07 ISU 월드컵 몬트리올 1500m (2) 96 2006.12.08~12.10 2006-07 ISU 월드컵 몬트리올 5000m 계주 97 2007.01.29~01.31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창춘 1. 1000m 98 2007.01.29~01.31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창춘 2. 1500m 99 2007.01.29~01.31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창춘 1. 5000m 계주 100 2007.10.19~10.21 2007-08 ISU 월드컵 하얼빈 1000m 101 2007.10.19~10.21 2007-08 ISU 월드컵 하얼빈 1500m 102 2007.10.19~10.21 2007-08 ISU 월드컵 하얼빈 5000m 계주 103 2007.10.26~10.28 2007-08 ISU 월드컵 고베 1000m 104 2007.10.26~10.28 2007-08 ISU 월드컵 고베 1500m 105 2007.10.26~10.28 2007-08 ISU 월드컵 고베 5000 m 계주 106 2007.11.23~11.25 2007-08 ISU 월드컵 헤이렌베인 1000m 107 2007.11.23~11.25 2007-08 ISU 월드컵 헤이렌베인 1500m 108 2007.11.23~11.25 2007-08 ISU 월드컵 헤이렌베인 5000m 계주 109 2007.11.30~12.02 2007-08 ISU 월드컵 토리노 1000m 110 2007.11.30~12.02 2007-08 ISU 월드컵 토리노 1500m 111 2007.11.30~12.02 2007-08 ISU 월드컵 토리노 5000m 계주 112 2012.10.19~10.21 2012-13 ISU 월드컵 캘거리 1000m 113 2012.10.19~10.21 2012-13 ISU 월드컵 캘거리 5000m 계주 114 2012.11.30~12.02 2012-13 ISU 월드컵 나고야 1000m 115 2012.12.07~12.09 2012-13 ISU 월드컵 상하이 1000m 116 2012.12.07~12.09 2012-13 ISU 월드컵 상하이 1500m 117 2013.01.18~01.20 2013 유럽 선수권 말뫼 3. 500m 118 2013.01.18~01.20 2013 유럽 선수권 말뫼 2. 1000m 119 2013.01.18~01.20 2013 유럽 선수권 말뫼 1. 5000m 계주 120 2013.02.01~02.03 2012-13 ISU 월드컵 소치 5000m 계주 121 2013.02.08~02.10 2012-13 ISU 월드컵 드레스덴 1000m 122 2013.02.08~02.10 2012-13 ISU 월드컵 드레스덴 1500m 123 2013.02.08~02.10 2012-13 ISU 월드컵 드레스덴 5000m 계주 124 2013.09.26~09.29 2013-14 ISU 월드컵 상하이 1500m 125 2013.10.03~10.06 2013-14 ISU 월드컵 서울 500m 126 2013.10.03~10.06 2013-14 ISU 월드컵 서울 1000m 127 2013.10.03~10.06 2013-14 ISU 월드컵 서울 1500m 128 2013.11.07~11.10 2013-14 ISU 월드컵 토리노 500m 129 2013.11.07~11.10 2013-14 ISU 월드컵 토리노 1000m 130 2013.11.07~11.10 2013-14 ISU 월드컵 토리노 5000m 계주 131 2013.11.14~11.17 2013-14 ISU 월드컵 콜롬나 500m 132 2013.11.14~11.17 2013-14 ISU 월드컵 콜롬나 1500m 133 2013.11.14~11.17 2013-14 ISU 월드컵 콜롬나 5000m 계주 134 2014.01.17~01.19 2014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1. 종합 135 2014.01.17~01.19 2014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1. 500m 136 2014.01.17~01.19 2014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1. 1000m 137 2014.01.17~01.19 2014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1. 3000m S.F. 138 2014.01.17~01.19 2014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1. 5000m 계주 139 2014.11.07~11.09 2014-15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1000m 140 2014.11.07~11.09 2014-15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5000m 계주 141 2015.01.23~1.25 2015 유럽 선수권 도르드레흐트 2. 종합 142 2015.01.23~1.25 2015 유럽 선수권 도르드레흐트 1. 500m 143 2015.01.23~1.25 2015 유럽 선수권 도르드레흐트 2. 3000m S.F 144 2015.01.23~1.25 2015 유럽 선수권 도르드레흐트 1. 5000m 계주 145 2015.02.13~02.15 2014-15 ISU 월드컵 에르주름 1000m 146 2015.02.13~02.15 2014-15 ISU 월드컵 에르주름 1500m 147 2016.11.04~11.06 2016-17 ISU 월드컵 캘거리 500m 148 2016.12.09~12.11 2016-17 ISU 월드컵 상하이 500m 149 2017.01.13~01.15 2017 유럽 선수권 토리노 3. 500m 150 2017.01.13~01.15 2017 유럽 선수권 토리노 2. 5000m 계주 151 2017.02.03~02.05 2016-17 ISU 월드컵 드레스덴 5000m 계주 152 2017.02.10~02.12 2016-17 ISU 월드컵 민스크 5000 m 계주 153 2018.01.12~01.14 2018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2. 500m 154 2018.01.12~01.14 2018 유럽 선수권 드레스덴 2. 5000m 계주 155 2019.09.13~09.15 2019 RSU 러시안 컵 콜롬나 1000m 156 2019.09.13~09.15 2019 RSU 러시안 컵 콜롬나 2000 m 혼성계주 157 2019.09.13~09.15 2019 RSU 러시안 컵 콜롬나 종합 158 2019.11.01~11.03 2019-20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500m 159 2019.11.01~11.03 2019-20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1000m 160 2019.11.01~11.03 2019-20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2000m 혼성계주 161 2019.11.01~11.03 2019-20 ISU 월드컵 솔트레이크시티 5000m 계주 162 2019.12.06~12.08 2019-20 ISU 월드컵 상하이 2000m 혼성계주 163 2019.12.06~12.08 2019-20 ISU 월드컵 상하이 5000m 계주 = = = 국내 대회 포디움 = = = 빅토르 안(안현수)의 대한민국 과 러시아 내셔널 경기 메달 목록 선수로 국내 대회 (1996~2011) 선수로 국내 대회 (1996~2011) 선수로 국내 대회 (1996~2011) 선수로 국내 대회 (1996~2011) 선수로 국내 대회 (1996~2011) 날짜 대회 메달 종목 명지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1996.02.16 1996 전국 동계 체육대회 1500 m 1996.04.09~10 1996 전국 학생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500 m 1996.04.09~10 1996 전국 학생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1500 m 1996.04.09~10 1996 전국 학생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1997.02.03 1997 전국 동계 체육대회 1000 m 1998.02.26 1998 전국 동계 체육대회 1500 m 1998.02.28 1998 전국 동계 체육대회 2000 m 1999.02.12 1999 전국 동계 체육대회 1000 m 명지중학교 명지중학교 명지중학교 명지중학교 명지중학교 1999.02.12 1999 전국 동계 체육대회 3000 m 2000.02.16 2000 전국 동계 체육대회 3000 m 2001.02.22 2001 전국 동계 체육대회 500 m 2001.02.23 2001 전국 동계 체육대회 1000 m 신목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2002.04.18 2002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1500 m 2003.04.01 2003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1500 m 2003.04.01 2003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500 m 2003.04.02 2003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3000 m 2003.04.02 2003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종합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2005.09.09 2005-06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평가전 1500 m 2005.09.09 2005-06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평가전 500 m 2005.09.09 2005-06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평가전 종합 2006.04.15 2006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1500 m 2006.04.16 2006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3000 m 2006.04.16 2006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 선수권대회 종합 2006.09.27 2006-07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 1000m 2006.09.27 2006-07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 종합 2007.01.06 2007 회장배 전국 남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대회 500 m 2007.01.06 2007 회장배 전국 남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대회 1000 m 2007.02.22 2007 전국 동계 체육대회 1500 m 2007.02.22 2007 전국 동계 체육대회 1000 m 2007.02.24 2007 전국 동계 체육대회 3000m 계주 성남시청 성남시청 성남시청 성남시청 성남시청 2009.10.18 2009 회장배 전국 남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대회 3000 m 계주 2010.02.22 2010 전국 동계 체육대회 1500m 2010.02.02 2010 전국 동계 체육대회 3000m 2010.02.02 2010 전국 동계 체육대회 5000 m 계주 - - - - - 2011.02.14 2011 전국 동계 체육대회 3000 m 2011.02.14 2011 전국 동계 체육대회 1500 m 2011.02.16 2011 전국 동계 체육대회 5000m 계주 2011.03.25 2011 전국남녀 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1500 m 2011.03.26 2011 전국남녀 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500 m 2011.03.27 2011 전국남녀 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1000 m 2011.03.27 2011 전국남녀 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3000 m 2011.03.27 2011 전국남녀 종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2011.04.16 2011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선수권대회 500 m 선수로 국내 대회 (2012~2019) 선수로 국내 대회 (2012~2019) 선수로 국내 대회 (2012~2019) 선수로 국내 대회 (2012~2019) 선수로 국내 대회 (2012~2019) CSKA 모스크바 CSKA 모스크바 CSKA 모스크바 CSKA 모스크바 CSKA 모스크바 2012.03.21~23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1000m 2012.03.21~23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1500m 2012.03.21~23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3000m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500m(1)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500m(2)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1000m(2)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1500m(1)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1500m(2)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종합 2012.09.27~30 2012 내셔널 리그 러시아 컵 노보고르스크 5000m 계주 2012.12.19~21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소치 1000m 2012.12.19~21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소치 1500m 2012.12.19~21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소치 3000m 2012.12.19~21 2012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소치 종합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500m (1)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500m(2)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1)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2)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500m(1)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500m(2) 2014.10.16~18 2014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종합 2014.12.27~29 2014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1000m 2014.12.27~29 2014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1500m 2014.12.27~29 2014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3000m 2014.12.27~29 2014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5000m 계주 2014.12.27~29 2014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콜롬나 종합 2016.09.09~11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1500m 2016.09.09~11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500m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500m(1)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500m(2)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500m(1)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500m(2)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1)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2) 2016.09.23~25 2016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종합 2016.12.27~29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노보고르스크 500m 2016.12.27~29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노보고르스크 1000m 2016.12.27~29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노보고르스크 1500m 2016.12.27~29 2016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노보고르스크 종합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500m (1)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500m (2)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1000m(1)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1500m(1)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1500m(2) 2017.08.11~13 2017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노보고르스크 종합 2018.3.31~4.1 2018 러시아 선수권 대회 상트페테르부르크 500m 2018.3.31~4.1 2018 러시아 선수권 대회 상트페테르부르크 1000m 2018.3.31~4.1 2018 러시아 선수권 대회 상트페테르부르크 1500m 2018.3.31~4.1 2018 러시아 선수권 대회 상트페테르부르크 5000m 계주 2019.09.27~29 2019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1) 2019.09.27~29 2019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000m(2) 2019.09.27~29 2019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1500m 2019.09.27~29 2019 내셔널 리그 러시아 스케이팅 유니온 컵 콜롬나 종합 = = 개인 최고 기록 = = 종목 기록 날짜 장소 기타 500m 39초 961 2019. 01. 18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1000m 1분 23초 487 2013. 11. 10 이탈리아 토리노 1500m 2분 10초 639 전 2003. 10. 24 미국 마켓 3000m 4분 32초 646 전 2003. 12. 07 중국 베이징 = 198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198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198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본선 진출을 위해 개최국인 나이지리아와 전 대회 우승국인 가나를 제외한 아프리카에 속한 팀들이 겨루는 대회이다. = 철학물 = 철학물 (哲學物)은 작품의 상당 부분이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철학으로 해결 질문의 종류의 토론에 전념하는 허구 작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과 사회의 역할, 생명, 윤리 또는 도덕의 목적, 인간의 삶 속에서 예술의 역할과 지식의 개발에 경험이나 이성의 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철학적 소설 작품은 SF,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물과 교양 소설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여 아이디어의 소위 소설을 포함한다. 수법은 단순히 인간 생활의 곤란 및 어두운 부분을 설명하는 정상 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 Take the "A" Train = 〈Take the "A" Train〉은 듀크 엘링턴 오케스트라의 대표곡이었던 빌리 스트레이혼의 재즈 스탠더드이다. = = 상과 영예 = = 1999년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는 NPR의 음악 편집자들이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100개의 미국 음악 작품을 편집하고자 했던 "NPR 100"에 이 노래를 포함시켰다. = 켈티베리아인 = 켈티베리아인(Celtiberians)은 기원전에 이베리아반도 중부와 동부에 살았던 켈트족 집단이다. 이들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켈티베리아어를 사용하면서 이베리아 문자를 수용해 기록에 사용했다. 고고학적으로 켈티베리아인의 유물은 중앙유럽 켈트와 많은 연관성이 있지만 할슈타트 문화나 라텐 문화와 구분되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켈티베리아인"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고대에도 현대에도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에브로 강을 경계로 인도유럽어족인 켈티베리아인들과 비인도유럽어족 사용 부족들이 나뉘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경계가 불확실하다. 많은 학자들은 아레바키 부족, 펠렌도네스 부족, 벨라이스코스 부족, 티티 부족, 루소네스 부족을 켈티베리아인의 범주에 넣고 있으며, 학자에 따라 베로네스 부족, 바카에이 부족, 카르페타니 부족, 로베타니 부족, 올카데스 부족, 루소네스 부족을 넣기도 한다. = 백세누리쇼 = 백세누리쇼는 TV조선의 교양 프로그램이다. 2019년 12월 11일 ~ 매주 (수) 19:00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전하는 신개념 건강 강연쇼 = 분류:대륙별 1799년 = = 중앙기독초등학교 = 중앙기독초등학교(中央基督初等學校)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목사 겸 언론인 김장환이 설립하였다. = = 학교 연혁 = = 1992년 11월 19일 : 학교 법인 중앙학원 승인, 초대 이사장 취임 1993년 3월 15일 : 중앙국민학교 시설 사업 시행 계획 승인 1994년 1월 21일 : 중앙국민학교 설립 인가 1994년 5월 14일 : 개교 1994년 7월 12일 : 중앙국민학교 교사 헌당예배 1995년 1월 1일 : 제 1대 교장 취임 1995년 7월 5일 : 중앙기독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1996년 3월 1일 : 중앙기독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6년 5월 2일 : 특수학급 2학급 인가 총 26 학급 편성 1997년 2월 14일 : 제 1회 졸업예배 1997년 9월 10일 : 제 2대 교장 취임 1998년 2월 20일 : 제 2회 졸업예배 1999년 2월 20일 : 제 3회 졸업예배 2000년 2월 14일 : 제 4회 졸업예배 2000년 7월 29일 : 특수학급 1학급 인가 2000년 12월 5일 : 총 27학급 편성 2001년 2월 17일 : 제 2대 이사장 취임 2002년 2월 9일 : 제 5회 졸업예배 2003년 2월 22일 : 제 6회 졸업예배 2003년 11월 1일 : 제 7회 졸업예배 2004년 2월 12일 : 제 3대 이사장 취임 2004년 5월 15일 : 제 8회 졸업예배 2004년 9월 4일 : 개교 10주년 기념 바자회 2004년 12월 17일 : 제 3대 교장 취임 2005년 2월 3일 : 개교 10주년 기념 열매축제 2005년 4월 3일 : 제 9회 졸업예배 2005년 5월 27일 : 신관 건축 기공 예배, 신관 기초석 예배 2006년 2월 9일 : 제 10회 졸업예배 2006년 9월 30일 : 신관 준공예배 2006년 12월 6일 : 6학급 인가 2006년 12월 19일 : 중앙기독유치원 원명 변경 2007년 2월 8일 : 제 11회 졸업예배 2007년 3월 5일 : 중앙기독중학교 개교 2007년 11월 21일 : 제 4대 이사장 취임 2008년 2월 13일 : 제 12회 졸업예배 2009년 2월 12일 : 제 13회 졸업예배 2010년 2월 11일 : 제 14회 졸업예배 2010년 2월 11일 : 제 1회 중앙기독중학교 졸업예배 2010년 11월 25일 : ICEC 개최 2011년 2월 10일 : 제 15회 졸업예배 2011년 5월 3일 : 제 5대 이사장 취임 2011년 12월 1일 : 제 4대 교장 취임 2012년 2월 9일 : 제 16회 졸업예배 2013년 2월 9일 : 제 17회 졸업예배 2014년 2월 6일 : 제 18회 졸업예배 2014년 10월 8일 : 개교 20주년 기념 축제 2015년 2월 5일 : 제 19회 졸업예배 2016년 2월 4일 : 제 20회 졸업예배 2016년 3월 2일 : 제 5대 교장 취임 2016년 10월 21일 : 이음관 기공식 2017년 2월 9일 : 제 21회 졸업예배 2019년 2월 8일 : 제 23회 졸업예배 = 신해생갑회지도 = 신해생갑회지도(辛亥生甲會之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풍속화이다. 1990년 9월 2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4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명종 6년(1551) 신해년에 태어난 3명의 동갑내기 생일 잔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가로 57.0cm, 세로 88.9cm의 크기의 이 그림은 전체적으로 상·중·하 3단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단에는 ‘신해생갑회지도(辛亥生甲會之圖)’라는 제목이 쓰여 있고, 중단에는 주인공 3명과 잔치에 참석한 사람, 시중드는 사람 등 모두 9명이 빼어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묘사되어 있다. 하단에는 계회에 참석한 이대기, 정인준, 홍순 3명의 관직·성명·본관 등을 기록한 글과 계회의 내용 및 감상을 적고 있다. 중단의 계회 장면은 16세기 초에 유행한 안견파의 화풍의 짧은 선이나 점으로 나타내는 단선점준이 구사되어 있으며, 흑백의 대조도 강하게 묘사되어 있다. 또한 인물을 작게 표현하고 자연묘사에 중점을 두어 전반적으로 17세기 작품이면서도 16세기의 화풍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인조 4년(1626)에 그려진 이 그림은 풍속화적인 성격을 가지면서 문인들의 생활단면을 묘사하고 있어 당시 양반들의 생활 일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제작연대도 확실하여 회화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 삼칠로 = 삼칠로(Samchil-ro)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구성사거리와 칠북면 검단2교를 잇는 경상남도의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함안군 (칠원읍 - 칠서면 - 칠북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구성사거리 국도 제5호선(경남대로) 함안군 칠원읍 지방도 제1041호선 구간 칠원삼거리 구성길 함안군 칠원읍 지방도 제1041호선 구간 용산사거리 지방도 제1041호선(원서로)운무로 함안군 칠원읍 지방도 제1041호선 구간 칠원입구삼거리 용산2길 함안군 칠원읍 원서교 함안군 칠원읍 원서교 함안군 칠서면 산성삼거리 함의로 함안군 칠서면 무릉사거리 유성로칠성로 함안군 칠서면 천릉교 함안군 칠서면 다래들고개 함안군 칠서면 공단사거리 지방도 제1021호선(대부로)공단안길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21호선 구간 계내삼거리 계내1길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21호선 구간 이룡삼거리 지방도 제1021호선지방도 제1040호선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21, 1040호선 구간 돌고개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칠성중학교칠서초등학교 이룡분교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이룡 교차로 국도 제5호선(경남대로) 함안군 칠서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소랑교 함안군 칠북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이름 없음) 온천로 함안군 칠북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검단2교 함안군 칠북면 지방도 제1040호선 구간 단내로와 직결 단내로와 직결 단내로와 직결 단내로와 직결 단내로와 직결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농협 삼칠농협주유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삼칠로 129) 경남은행 칠원지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삼칠로 148) 기아자동차 칠원대리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삼칠로 172) GS25 함안삼칠로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삼칠로 191) 이마트24 함안칠서IC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305) GS칼텍스 청남제2주유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306) SK에너지 칠서주유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313) CU 칠서공단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849) 농협 삼칠농협 용성지점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1281) 이룡보건진료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1306) 칠서우체국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1315) = 구시가타촌 (이바라키현) = 구시가타촌은 이바라키현 다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히타치시 북부에 해당한다. = 분류:뉴욕주의 버스 교통 = = 도미카와촌 (도야마현) = 도미카와촌은 도야마현 네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야마시에 해당한다. = 틀:19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 = 진관 = 진관(, 1049년∼1100년)은 송나라의 시인이다. = = 생애 = = 진관은 자(字)가 소유[少游: 처음에는 태허(太虛)를 썼으나 37세 때 바꾸었음]고, 호(號)는 회해거사(淮海居士)로 양주(揚州) 고우(高郵: 지금의 강소성 고우) 사람이다. 그는 송(宋) 인종(仁宗) 황우(皇祐) 원년(1049)에 중소 관료 가정에서 태어났다. 조부 승의공(承議公)은 일찍이 남강(南康)에서 관직을 지냈고, 숙부 진정(秦定)은 회계위(會稽尉)·강남동로전운판관(江南東路轉運判官)·지호주(知濠州) 등의 관직을 지냈다. 진관은 어려서부터 어머니를 모시고 집 안에서 지냈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과 별로 교제가 없었으며, 평시에는 다만 책을 빌려 열심히 읽고 문장을 학습할 따름이었다. 그와 같은 생활은 그의 성격을 유약하게 만들어 급기야 이후의 정치적 풍파와 그의 시(詩)·사(詞) 속에 그러한 성격이 반영된다. 학문을 연마하며 조용하게 성장기를 보낸 진관은 영종(英宗) 치평(治平) 4년(1067) 열아홉 살 때 담주(潭州) 영향주부(寧鄕主簿) 서성보(徐成甫)의 장녀 문미(文美)와 결혼했다. 진관은 당시 구양수(歐陽修)에 이어 문단의 영수로 떠오른 소식을 흠모해 그의 문하로 들어가 배우기를 희망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던 중, 희령(熙寧) 7년(1074) 27세 때 진관은 소식이 항주(杭州)에서 밀주(密州)로 가는 도중 양주(揚州)에 들른다는 말을 듣고 소식이 묵을 절의 벽에다 미리 시 한 수를 적어놓았다. 소식이 그 시를 보고 내심 감탄해 마지않았는데, 나중에 손각이 와서 진관의 시와 사 수백 편을 보여주자 크게 감동해 “절의 벽에 시를 쓴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이군요”라고 하고는 진관과 친교를 맺었다고 한다. 원풍(元豊) 원년(1078) 진관은 경사(京師)에 가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해 귀가했다. 이것이 벼슬길에 있어서 첫 번째 좌절이었는데, 그 실패로 말미암아 <엄관명(掩關銘)>을 짓고 한동안 집 안에 들어앉아 독서로 소일했다. 얼마 후 그는 소식을 경모하는 마음에 팽성(彭城)으로 가 그를 방문했다. 그때 소식은 서주의 수재(水災)를 다스리고 나서 황루(黃樓)를 지은 참이라 그에게 <황루부(黃樓賦)>를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그가 작품을 완성하고 보여주자 소식은 그를 칭찬해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의 재능을 지니고 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진관은 당대의 대문호요 정치가였던 소식과 왕안석의 인정을 받았지만 과거 시험에 누차 낙방한 탓에 의기소침해서인지 1085년, 마소유(馬少游)라는 위인에게 공감해 자(字)를 소유(少游)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해에 진관은 뜻밖에도 과거 시험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다. 이후 당파 싸움으로 소식이 실각됨과 동시에 항주(杭州), 침주(郴州), 횡주(橫州), 뇌주(雷州) 등지로 좌천되었다가, 휘종(徽宗)이 즉위하자 사면되어 돌아오는 도중에 등주(藤州)에서 죽었다. 고문(古文)과 시에 능하였고 특히 사(詞)에 뛰어났다. 시문집 ≪회해집(淮海集)≫(40권)과 그 ≪후집(後集)≫(6권), 사집(詞集)으로 ≪회해장단구(淮海長短句)≫(3권) 등이 있다. = = 작품세계 = = 진관은 현존하는 작품이 110수 정도로 유영이나 소식처럼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않는다. 또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등 문학사적 공로가 큰 작가도 아니다. 하지만 전대(前代) 완약사(婉約詞)를 이어 받아 그 장점을 극대화해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고 함축적이면서도 정(情)과 운치가 뛰어난 신형의 사풍(詞風)을 창조했다. 따라서 그의 사를 감상할 때는 정이 뛰어나다는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 단지 연정(戀情)과 염정(艶情)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신세지정(身世之情)과 폄적지정(貶謫之情)도 포함된다. 진관 사는 ‘신세지감을 염정 속에 합병해 넣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전대의 완약사를 능가하게 된 현저한 특징인 것이다. 만남·이별·원망의 내용으로 염정을 표현한 초기 완약사는 유영에 이르러 작자의 나그네 심정이 담기며 그 경계가 확장되었다. 이어 진관에 이르러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부분적인 질적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자신의 신세와 운명에 관련된 쓸쓸하고 슬픈 감정을 염정의 주제와 결함시킴으로써 낡은 몸뚱이 속에 새로운 혈액을 주입하게 된 것이다. 짧은 편폭의 소령(小令)에 담겨 있는 ‘뛰어난 운치’도 뛰어나지만, 더욱 주목할 것은 소령의 운치를 만사장조(慢詞長調)에 옮겨놓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소령의 문아함을 이용해 유영 만사의 저속함을 바로잡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소령의 함축성을 이용해 유영 만사의 직설적인 표현을 보완하는 데 성공했다. 장점으로 단점을 보충하고 우아함으로 저속함을 구제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부드러우며, 우아한 사람과 통속적인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풍격과 미감을 갖춰 완약사의 대표 작가로 우뚝 설 수 있었다. = = 서지 정보 = = 송용준 역, 2009년, 지만지, = 주령구 = 주령구(酒令具)는 1975년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정사각형 면 6개와 점추이 육각형 면 8개로 이루어진 14면체 주사위이다. 각 면에는 다양한 벌칙이 적혀 있어 신라인들의 음주 습관의 풍류를 보여주고 있다. 출토된 진품은 유물 보존 처리 도중 불타버렸고, 복제품만 남아있다. = = 발굴 경위 = = 주령구는 동궁과 월지에서 1975년 발견되었다. 당시 경주시는 방치되어있던 월지(당시 안압지)를 1974년 11월부터 정화사업을 통해 깨끗이 정리하기 시작한다. 이 때 경주사적관리소가 담당하여 호수 중심부에 2 m 가량의 트렌치를 내고 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조사 도중 12월 16일에 명문 기와 등 다량의 신라시대 유물이 드러나게 되고, 문화재위원회 및 문화재 관리국에 이를 보고하여 경주고적발굴단이 1975년 3월 24일부터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한다. 발굴조사는 크게 연못에 대한 조사와 연못 주변 건물지 조사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주령구는 동해 6월 연못 서쪽 호안 석축 바닥에서 출토되었는데, 면에 새겨진 글씨를 판독한 결과 연회에서 궁중놀이에 사용한 주사위였음을 알게 되어 '술과 관련된 명령을 내리는 도구'라는 의미의 주령구(酒令具)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연못에 대한 발굴조사는 1975년 3월 24일부터 다음 해인 1976년 3월 25일까지 만 1년간 지속되었으며, 연못 주변 건물지 발굴조사는 1976년 5월 10일부터 그 해 12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이 때의 발굴 내역은 1978년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로 출판되었다. = = 벌칙 = = 음진대소 (飮盡大笑)- 술 한잔 다 마시고 큰 소리로 웃기 삼잔일거 (三盞一去)- 한번에 술 석잔 마시기 또는 술 석잔 마시고 한 걸음 걷기 자창자음 (自唱自飮)- 혼자 노래 부르고 술 마시기 금성작무 (禁聲作舞)- 술 마신뒤 소리 내지 않고 춤 추기 중인타비 (衆人打鼻)- 여러 사람이 코 때리기 유범공과 (有犯空過)- 여러 사람이 덤벼들어 장난쳐도 가만 있기 추물막방 (醜物莫放)- 더러워도 버리지 않기 양잔즉방 (兩盞則放)- 술 두잔이면 쏟아버리기 곡비즉진 (曲臂則盡)- 팔을 구부린 채 술 다 마시기 임의청가 (任意請歌)- 마음대로 사람을 지목해 노래 청하기 농면공과 (弄面孔過)- 얼굴을 간질려도 가만히 있기 월경일곡 (月鏡一曲)- '월경'이라는 노래 부르기 공영시과 (空詠詩過)- 시 한수 읊기 자창괴래만 (自唱怪來晩)- '괴래만'이라는 노래 부르기 = = 모양 = = 정사각형 면의 면적은 6.25평방센티미터, 육각형 면의 면적은 6.265평방센티미터로 확률이 거의 1/14로 균등하게 되어 있다. 재질은 참나무이다. = 아서스: 리치왕의 탄생 = 아서스: 리치 왕의 탄생은 미국 출시판인 Arthas: Rise of the Lich King의 번역본으로 스타 트렉이나 워크래프트 소설 등을 집필한 크리스티 골든이 집필한 판타지 소설이다. 줄거리는 주인공 아서스 메네실이 9살일 때 스톰윈드가 무너지는 소식을 통보받는 것으로 시작하며 아서스가 워크래프트 III: 프로즌 쓰론의 결말이기도 한 넬쥴과 합체되는 장면으로 끝나게 된다. 책에는 워크래프트 III: 레인 오브 카오스의 휴먼 캠페인과 워크래프트 III: 프로즌 쓰론의 스콜지 캠페인에 등장했던 스토리를 아서스의 관점으로 집필하고, 아서스 메네실과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또한 켈타스 선스트라이더와의 삼각관계나 그 외의 여러 가지 아서스의 인간적인 면 등, 게임 스토리 상에 나오지 않았던 부분 등을 집필하면서 리치 왕이 된 아서스가 악인이 아니였던 시절을 해설하고 있으며, 그가 어떻게 악인이 되었는가의 과정을 잘 집필하였다. 워크래프트 III: 레인 오브 카오스나 워크래프트 III: 프로즌 쓰론의 캠페인을 플레이 할 때보다 더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 목차 = = 1부 모든 것을 가진 소년 시작하는 이야기: 꿈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2부 눈부신 여인 그 사이의 이야기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제16장 3부 어둠의 여왕 제17장 제18장 제19장 제20장 제21장 제22장 제23장 제24장 마치는 이야기: 리치 왕 = = 줄거리 = = 아래의 줄거리는 이해를 위한 간단한 줄거리 요약이다. 테러너스 2세의 외아들이자 로데론 왕국의 후계자인 왕자 아서스 메네실이 발니르 농장에서 평민이였던 자림 발니르와 놀다가 몇 년 후에 자신의 탄생과정을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때, 스톰윈드가 함락되고 스톰윈드의 왕자 바리안 린(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에서 바리안 왕으로 등장)이 로데론으로 피난을 오고 인간 연합이 승리하며 전쟁이 끝난다. 그리고 그 당시 카즈 모단 대륙의 임금인 마그니 브론즈비어드의 큰동생 무라딘 브론즈비어드와 만나서 그에게 무술을 배우고, 쿨 티라스의 수장인 델린 프라우드무어의 딸인 제이나 프라우드무어를 연인으로 두고 쿠엘탈라스 대륙의 왕인 아나스타리안 선스트라이더의 아들인 켈타스 선스트라이더와 경쟁을 하고, 성인이 되어 은빛 성기사단에 입대한다. 아서스는 로데론에 퍼진 언데드 저주를 조사하며 생기는 들끓는 분노로 그의 본성은 점점 타락해져가며, 저주의 원인인 언데드 스콜지의 말가니스를 쫓는다. 아서스는 저주가 퍼지고 있는 로데론의 대도시인 스트라솔름을 파괴해야한다고 주장하면서, 은빛 성기사단의 단장인 우서와 뜻을 달리하게 되어 우서는 그의 태도에 실망하여 떠나고, 제이나도 그의 곁을 떠난다. 결국 저주가 퍼진 스트라솔름을 자신의 손으로 파괴하고, 저주를 받고 언데드가 된 백성들을 말살시킨다. 달아난 말가니스를 추격하기 위해 아서스는 노스렌드 대륙으로 향하고 우연히 만난 무라딘로부터 예로부터 노스렌드에 서리한이라는 칼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결국 찾아내 무라딘을 희생시키며 서리한을 손에 넣는다. 말가니스를 죽이는데 성공하지만, 결국 메이는 타락하고 아버지를 죽이며 자신의 고향을 짓밟는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네쥴의 영혼이 갇혀있는 얼음을 서리한으로 내려쳐 산산조각 내고, 넬쥴의 영혼이 깃든 투구를 씀으로서 타락한 아서스는 그의 영혼과 공존하며 제 2대 리치 왕이 된다. 그리고 자신의 정신세계에서 마지막 남은 인간성인 마시어스 레넷(Matthias Lehner. 아서스 메네실(Arthas Menethil)의 아나그램)과 네쥴을 서리한으로 베고, 정수를 획득함으로써 진정한 리치왕이 된다. = 분류:669년 출생 = = 분류:독일 육군 군인 = = 분류:미국에 거주한 시에라리온인 = = 휴먼 (영화) = 휴먼(Human)은 프랑스에서 제작된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감독의 2015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유엔 본부의 1,000명의 관객 앞에서 초연된 최초의 영화이며, 여기에는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이 포함되었다. 영화의 확장판이 유튜브를 통해 세 부분으로 나뉘어 무료로 공식 공개되었다. = KBS 영상실록 = KBS 영상실록(-映像實錄)은 한해의 주요한 사실이나 사건을 시간별로 나열해 돌아보는 KBS 기획 제작국에서 제작하는 기록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 = 방송 개요 = = 한국이 독립 후 군정기였던 1945년부터 영상을 모아 제작하였으며, 이 후에도 매해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방영은 한해의 마지막 주에 KBS 1TV를 통해 방송된다.2003년 이후에는 국내편과 국제편을 나눠어져 있다. = = 타이틀 변천사 = = = = = 정규 시즌 = = =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연도(회차) 내레이션 비고 1기 광복 50주년 연속기획 영상실록 1995년 7월 31일 ~ 1995년 10월 27일 1945 ~ 1994년 (50회) 표영준 다음날 자정(子正) 방송됐다. 2기 대한민국 50년 특별기획 영상실록 1998년 8월 3일 ~ 1998년 8월 21일 1948 ~ 1997년 (50회) 표영준 3기 광복 60주년 특별기획 영상실록 2005년 1월 2일 ~ 2005년 10월 30일 1945 ~ 1987년 (43회) 배창복 1988년~2004년편 알 수 없는 이유로 종영하였다. = = = 비정기(연말특집) = = = 회차(연도) 타이틀 방송 일자 내레이션 풀영상 비고 1회(1995년) 영상실록 1995 1995년 12월 31일 표영준 2회(1996년) 영상실록 1996 1996년 12월 30일 표영준 3회(1997년) 영상실록 1997 1997년 12월 31일 표영준 4회(1998년) 영상실록 1998 1998년 12월 30일 표영준 1999년편 방송 자료가 누락되었기에 수록되지 않는다. 5회(2000년) 영상실록 2000 2000년 12월 31일 정용실 6회(2001년) 영상실록 2001 2001년 12월 31일 정용실 7회(2002년) 영상실록 2002 대한민국 제1편 : 월드컵 신화를 만들다 2002년 12월 30일 - 7회(2002년) 영상실록 2002 대한민국 제2편 : 국민참여 정치를 바꾸다 2002년 12월 31일 김도현 8회(2003년) 영상실록 지구촌 2003 2003년 12월 30일 여성 8회(2003년) 영상실록 대한민국 2003 2003년 12월 31일 표영준 9회(2004년) 영상실록, 월드 2004 2004년 12월 31일 정용실 9회(2004년) 영상실록, 대한민국 2004 2004년 12월 31일 정용실 10회(2005년) 영상실록 지구촌 2005 2005년 12월 30일 정용실 10회(2005년) 영상실록 대한민국 2005 2005년 12월 31일 고재균 11회(2006년) 영상실록 2006 뒤돌아 본 지구촌 2006년 12월 31일 홍소연, 이상호 11회(2006년) 영상실록 2006 되돌아 본 대한민국 2006년 12월 31일 배창복 12회(2007년) 영상실록 2007 지구촌 2007년 12월 30일 이규원 12회(2007년) 영상실록 2007 대한민국 2007년 12월 31일 고재균 13회(2008년) 영상실록 2008 지구촌 2008년 12월 31일 이규원 HD 13회(2008년) 영상실록 2008 대한민국 2008년 12월 31일 미상 HD 14회(2009년) 영상실록 2009 지구촌 2009년 12월 26일 HD 14회(2009년) 영상실록 2009 대한민국 2009년 12월 31일 한상권 HD 15회(2010년) 영상실록 2010 지구촌 2010년 12월 30일 HD 15회(2010년) 영상실록 2010 대한민국 2010년 12월 31일 미상 HD 16회(2011년) 영상실록 2011 대한민국 2011년 12월 31일 미상 HD 17회(2012년) 영상실록 2012 지구촌 2012년 12월 26일 HD 17회(2012년) 영상실록 2012 대한민국 2012년 12월 31일 미상 HD 18회(2013년) 영상실록 2013 지구촌 2013년 12월 30일 18회(2013년) 영상실록 2013 대한민국 2013년 12월 31일 미상 19회(2014년) 영상실록 2014 대한민국 2014년 12월 31일 미상 19회(2014년) 영상실록 2014 세계는 2014년 12월 31일 미상 20회(2015년) 영상실록 2015 세계는 2015년 12월 30일 미상 20회(2015년) 영상실록 2015 대한민국 2015년 12월 31일 미상 21회(2016년) 영상실록 2016 해외편 2016년 12월 30일 미상 21회(2016년) 영상실록 2016 국내편 2016년 12월 31일 배창복 22회(2017년) 영상실록 2017 국제편 2017년 12월 30일 미상 22회(2017년) 영상실록 2017 국내편 2017년 12월 31일 미상 VOD 미지원 상태로 인권 보호 차원, 출연진과 제작진 요청의 저작권 보호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23회(2018년) 영상실록 2018 국제편 2018년 12월 29일 미상 23회(2018년) 영상실록 2018 국내편 2018년 12월 29일 미상 wavve 소장 24회(2019년) 영상실록 2019 국제편 2019년 12월 29일 김지원 24회(2019년) 영상실록 2019 국내편 2019년 12월 30일 김지원 ● 25회(2020년) 영상실록 2020 국제편 2020년 12월 29일 미상 ● 25회(2020년) 영상실록 2020 국내편 2020년 12월 30일 미상 ● 26회(2021년) 영상실록 2021 국제편 2021년 12월 30일 박노원 26회(2021년) 영상실록 2021 국내편 2021년 12월 31일 박노원 ● 27회(2022년) 영상실록 2022 국내편 2022년 12월 30일 박노원 27회(2022년) 영상실록 2022 국제편 2022년 12월 31일 박노원 28회(2023년) 영상실록 2023 국제편 2023년 12월 30일 28회(2023년) 영상실록 2023 국내편 2023년 12월 31일 = 훌리안 카스트로 = 훌리안 카스트로(, 1974년 9월 16일 ~ )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치카나 정치 행동가 어머니 마리아 "로지" 카스트로(Maria "Rosie" Castro)와 수학 교사이자 정치 행동가였던 아버지 제시 거즈먼(Jessie Guzman)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일란성 쌍둥이 형인 호아킨 카스트로(Joaquin Castro)는 2013년부터 텍사스주의 민주당 하원의원을 역임하고 있다. 1996년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정치과학 및 커뮤니케이션 학사 학위를, 하버드 로스쿨에서 2000년 법무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 샌안토니오 시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어 2005년까지 역임하였다. 2005년 샌안토니오 시장 선거에서 낙선하였고, 2009년 같은 선거에서 당선한 이후, 2011년, 2013년 선거에서 거듭 당선하였다. 2012년 9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오바마를 지지하는 기조연설을 하였는데, 히스패닉 계열로는 최초의 연설자였다.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제의를 수락하여, 2014년 7월부터 연방 정부의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2019년 1월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경선 출마를 선언하였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2001년 선거 시의원 (샌안토니오 제7선거구) 107대 무소속 61.76% 7,070표     1위 2003년 선거 시의원 (샌안토니오 제7선거구) 108대 무소속 100.00% 2,005표     1위 2005년 선거 샌안토니오 시장 59대 무소속 41.99% 47,893표 48.53% 63,001표 2위 낙선 2009년 선거 샌안토니오 시장 60대 무소속 56.23% 42,745표     1위 2011년 선거 샌안토니오 시장 60대 무소속 81.44% 34,309표     1위 2013년 선거 샌안토니오 시장 60대 무소속 66.51% 29,449표     1위 = 분류:국가별 지진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분류:웨일스의 록 드럼 연주자 = = 분류:덴마크의 과학자 =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당 = = 분류:지류 = = 분류:해리스버그의 교통 = = 세티 1세 = 세티 1세는 고대 이집트 제19왕조 제2대 파라오( 재위:기원전 1302년 ~ 기원전 1290년)이다. = 분류:미국의 도로 교량 = = 진입 장벽 = 경제의 경쟁 이론에서 진입 장벽 또는 경제 진입 장벽은 기존 사업자가 가지고 있지 않거나 지지하지 않거나 개입할 필요가 없는 시장에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다.When Are Sunk Costs Barriers to Entry? alternate link = = 특징 = = 새롭게 창출되어야 할 시장 중 중요한 부분이 있거나 급한 경우 또는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면 자유 진입이 중요시되어야 하나, 신규 진입을 할 때 장애물이 생기게 되면서 사업할 때 막히는 경우가 있다. 단적인 예로 보면 지역 난방을 개별 난방으로 전환되는 사업이라던가 24시간 자유자재 생활하게 되어 있어야 할 조건이 불리한 경우,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이후 일본으로부터 신규 원자재 도입 시 특정된 업체들예를 들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이 있다.에 직접 납품하게 될 재료가 필요하게 되면 당연히 넣어야 하는 조건이 있어야 한다. 그래도 안된다면 제3국으로 수출시킬 때 일본의 동의 없이 일본이 아닌 업체에 조달해야 하는 대체재를 바꿀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와 같은 원자재와 같이 긴요하게 공급되어야 할 필요 재료들을 직접 반입시킬 때 막히는 형태를 가진 나비 효과와도 이와 비슷한 연관성이 있다. 그 외에도 같은 조건만 제약된 형태로 생활하게 되어 있는 식으로만 사용하여도 진입 장벽이 적용될 수도 있게 된다. 끝으로 게임에서도 진입 장벽을 적용받는 경우가 있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성공하게 되어 있는 사례는 포켓몬스터가 유일하다. = 분류:국도 제38호선 (일본) = = 전구 = 전구는 다음을 가리킨다. 전구 (조명기구) 백열전구 전구 (전쟁) 전구 (가톨릭) 전구 (의학) = 명봉리 = 명봉리(鳴鳳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명봉리 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 와카미야역 = 와카미야역은 일본 후쿠시마현 가와누마군 아이즈반게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다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16 2001 14 2002 16 2003 14 2004 14 = = 역 주변 = = 반에쓰 자동차도 니쓰루 간이 휴게소 = = 역사 = = 1934년 11월 1일 : 개업. 여객 취급만. 1945년 6월 10일 : 휴업. 1946년 6월 10일 : 영업 재개.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 홀리엔젤몬 = 홀리엔젤몬(HOLYANGEMON, ホーリーエンジェモン)은 디지털 몬스터에 나오는 가공의 생명체이며 완전체의 대천사형 디지몬이다. 필살기는 천국의 문 (헤븐즈 게이트)이다. 원판이름은 홀리엔제몬이다. 성우 : 데이브 맥 로우/유동균(디지몬 어드벤처) 정미숙(파워 디지몬) = = 소개 = = 엔제몬이 초진화한 모습. =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鄭種 敵愾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물이다. 2014년 9월 2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예고문화재청공고제2014-250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예고,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340호, 101면, 2014-9-2 절차를 거쳐, 2014년 10월 20일 대한민국의 보물 1835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4-103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369호, 48면, 2014-10-20 = = 개요 = = = = = 정종 적개공신교서 = = = 정종 적개공신 교서(鄭種 敵愾功臣 敎書)는 1467년에 발급된 매우 이른 시기의 문서로서 공신의 녹훈 사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교서는 1467년(세조 13) 5월에 함길도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1467년(세조 13) 11월에 정종(鄭種)에게 내린 것이다. 적개공신은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신하들을 공로에 따라 3등으로 나누어 모두 45명을 녹훈하였는데, 1등은 이준(李浚) 등 10명, 2등은 김국광(金國光) 등 23명, 3등은 이준(李溥) 등 12명이다. 정종은 3등 공신에 책록되었다. = = = 정종 무과홍패 = = = 정종 무과홍패(鄭種 武科紅牌)는 1442년 발급된 이른 시기의 교지로서 무과 급제 교지 가운데 발급 시기가 앞서는 귀중한 자료로 보인다. 특히 조선시대 고신(告身)의 서식이 왕지(王旨)에서 교지(敎旨)로 바뀌는 시기에 발급된 교지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 지정 사유 = = 따라서 정종 종손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두 건의 유물은 중요한 고문서 자료(古文書 資料)라는 점에서 일괄 국가문화재(보물)로 지정 관리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 = 요하네스 케플러 = 요하네스 케플러(,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독일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이자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이었다. = = 초기 생애 = = 케플러는 1571년 12월 27일, 바일데어슈타트의 제국자유도시(현재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에 속하고 슈튜트가르트 중심부에서 30km 서쪽으로 떨어져 있는 동네)에서 칠삭둥이 미숙아로 태어났다. 케플러 본인이 어른이 되고 나서 계산한 바에 따르면 부모가 결혼한 다음 날 오전 4시 47분에 자신이 잉태되었다고 한다. 할아버지 제발트는 그곳 읍의 장이었지만 케플러가 태어날 즈음에는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아버지 하인리히는 보수가 불확실한 용병 일로 돈을 벌었고 케플러가 다섯 살 때 집을 나가버렸는데 80년 전쟁 당시 네덜란드 전선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관집 딸이었던 어머니 카탈리나 굴덴만은 치료사이자 약재상이었는데 이것 때문에 나중에 마녀로 몰리게 된다. 이르게 태어난 케플러는 병약하지만 영리한 아이였고 외할아버지의 여관에 묵는 사람들을 굉장한 수학적 재능으로 놀라게 하곤 했다카스파, 케플러, 29쪽 ~ 36쪽; 코너, 케플러의 마녀, 23쪽 ~ 46쪽; 슈피로, 케플러의 추측, 33쪽 ~ 34쪽. 케플러는 여섯 살 때 1577년 대혜성을 목격했으며 후에 그 일을 여섯 살에 있었던 일을 회상하며에서 "나는 1577년의 혜성에 대해 많이 들었고 어머니께서는 그것을 보기 위해 나를 데리고 높은 장소로 올라가셨다"라고 회고했다. 10살 때 그는 또다른 천문학 현상인 1580년 월식을 관찰하였고 후에 월식을 보기 위해 “밖으로 불려가서” 달이 “약간 붉은 색이 된 것”을 보았다고 회고했다쾨슬러, 몽유병자들, 234쪽, translated from Kepler's family horoscope. 케플러는 어려서부터 천문학을 알게 되었고 평생에 걸쳐 천문학에 사랑을 쏟았다. 그러나 유년 시절에 천연두를 앓은 바람에 병약한 신체와 불구의 손을 가지게 되었고 시력도 악화되어 관측 능력에 결함이 생겼다.카스파, 케플러, 36쪽 ~ 38쪽; 코너, 케플러의 마녀, 25쪽 ~ 27쪽 케플러는 뷔르템베르크의 지방 귀족들이 레온베르크에 세운 영재학교에 들어갔다. 케플러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었지만 부모에게 물려받은 고약한 성격 탓에 친구가 없었다. 훗날 케플러의 자서전에서 이 시절을 묘사한 대목은 끝도 없이 “누군가와 싸웠다, 누군가가 자신을 미워했다”는 내용들로 가득 차 있다. 케플러는 어려서부터 잔병치레가 잦았고 심기증 환자기도 했다.슈피로, 위의 책, 34쪽 ~ 35쪽 1589년, 초등 학교, 라틴어 중등 학교, 뷔르템베르크의 국영 개신교 신학교를 거친 뒤 케플러는 튀빙겐 대학교에 신학 학생으로 들어가 비투스 뮐러 밑에서 철학을 공부했다.제임스 A. 코너, 케플러의 마녀 (2004년), 58쪽 교과 과정 중에는 수학과 천문학도 있었다. 그는 자신이 굉장한 실력의 수학도임을 증명했고 능숙한 점성술사라는 평판을 들었으며 동년배 학생들에게 별점을 쳐주곤 했다. 대학의 수학 교수였던 미하엘 매스틀린의 지도를 받으며 케플러는 행성운동에 관하여 개신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프톨레마이오스설과 일부 제자들에게만 개인적으로 가르쳤던 코페르니쿠스설 양쪽을 모두 배웠다. 그는 이 시점부터 코페르니쿠스주의자가 되었다. 학생들 간에 토론이 벌어지면 케플러는 이론적인 관점과 신학적인 관점 모두에서 지동설을 옹호했고 태양이 우주를 움직이는 주요한 원천이라고 주장했다.로버트 S. 웨스트만, 저널 포 더 히스토리 오브 애스트로노미 32호 〈케플러의 물리학-점성학적 문제〉 (2001년) 227쪽 ~ 236쪽 목사가 되겠다는 바람에도 불구하고 학업의 막바지에 이르러 케플러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개신교 학교(그라츠 대학의 전신)의 수학과 천문학 교사 자리로 천거되었다. 그는 1594년 4월 나이 23세 때 그 자리를 받아들였다.카스파, 케플러, 38쪽 ~ 52쪽; 코너, 케플러의 마녀, 49쪽 ~ 69쪽. 하지만 케플러는 훌륭한 학자이긴 했어도 훌륭한 교육자는 되지 못했다. 목소리는 웅얼거렸고 빈번히 강의 주제를 벗어나 옆길로 빠졌으며 그라츠에서의 두 번째 해에는 수강생이 한 명도 없었을 정도로 지루한 강의였다고 한다. = = 그라츠 (1594년 ~ 1600년) = = = = = 우주구조의 신비 = = = 케플러의 첫 주요 천문학 연구 우주구조의 신비는 코페르니쿠스 설을 옹호한 최초의 출판물이다. 케플러는 그라츠에서 선생을 하고 있을 때인 1595년 7월 19일에 토성과 목성의 궁도대에서의 주기적인 합을 증명해 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다각형들이 서로 안에 갇혀 우주의 기하학적 기반이라고 생각한 확실한 비율로 원에 내접하고 외접한다고 생각했다. 천문 관측 결과와 들어맞는 다각형들의 배열을 찾는 데 실패하자, 케플러는 입체 다면체로 실험을 시작했다. 케플러는 다섯 개의 플라톤의 다면체들이 구형의 천구Celestial spheres. 프톨레미 등의 고대 천동설주의자들이 생각한 물리적 실체로서의 천구로, 현대 천문학에서의 천구(Celestial sphere)와는 다른 의미다. 행성들이 각각 하나의 천구에 해당되며, 그 천구들은 양파 껍질 모양으로 겹쳐져 있는 구조이다.에 각각 내접하고 외접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입체들은 각각 다른 입체의 안에 있는 구 안에 있음으로, 당시까지 알려져 있던 여섯 개의 행성들―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그리고 토성에 상응되는 6개의 포개진 겹을 형성하는데, 이 입방체들은 안에서 밖으로 순서대로 정팔면체, 정이십면체, 정십이면체, 정사면체, 정육면체이다카스파, 케플러, 60쪽 ~ 65쪽; see also: 베커와 골드스타인, 〈케플러 천문학의 신학적 기초〉. 케플러가 이렇게 정다면체와 행성을 연결해서 추측한 배경에는 정다면체의 종류도 유한하다는 사실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케플러는 행성이 여섯 개 뿐(적어도 케플러가 살던 시대에는)인 까닭이 정다면체가 다섯 개 뿐이기 때문이라고 결론내렸고, 정다면체에서 행성의 구들을 유지하는 투명 구조물을 찾아냈다고 확신했다. 케플러는 이 이론을 ‘코스모스의 신비’라고 불렀다. 그는 정다면체와 행성 간 거리의 관계가 ‘신의 손’을 의미한다고 굳게 믿었다. 제목에 나타냈듯이원래 제목은 우주의 신비를 담은 우주 구조론의 선구자: 기하학의 다섯 정다면체를 통해 고찰한 천구의 놀라운 비례와 천체의 숫자·크기·운동 주기의 자세한 원인에 대한 증명이다., 케플러는 자신이 우주에 대한 신의 기하학적인 계획상을 알아냈다고 생각했다. 코페르니쿠스 체계에 대한 케플러의 믿음의 대부분은 우주 자체가 신의 이미지이며 태양이 성부, 항성 천구가 성자, 그 사이의 우주 공간이 성령이라는, 케플러의 물리적인 것과 영적인 것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신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우주구조의 신비의 첫 번째 원고는 지동설을 천동설에 유리한 것으로 보이는 성경의 구절들과 조화시키는 데 광범위한 장(章)을 할애했다베커와 골드스타인, 〈케플러 천문학의 신학적 기초〉 99쪽 ~ 103쪽, 112쪽 ~ 113쪽. 스승 미하엘 매스틀린의 도움으로, 케플러는 성경 주해를 제거하고, 케플러 자신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포함한 코페르니쿠스 체계에 대한 좀 더 간단하고, 좀 더 이해하기 쉬운 묘사를 추가한 원고 출판에 대한 튀빙겐 대학교 이사회의 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 우주구조의 신비는 1596년에 출판되었고, 케플러는 1597년에 그 사본을 저명한 천문학자들과 후원자들에게 보내기 시작했다. 책이 널리 읽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로써 케플러는 고도로 숙련된 천문학자로서의 명성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후원을 받기 위해 그라츠에서 자신의 직위를 관리하는 사람들은 물론, 강력한 후원자들을 향해 감정이 넘쳐 흐르는 헌정사를 쓰기도 했다카스파, 케플러, 65쪽 ~ 71쪽. 이후 나중의 연구에서 세부적인 내용들을 수정할 작정이었지만, 케플러는 우주구조의 신비의 플라톤 다면체 우주론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 후 케플러의 주요한 천문학 연구들은 보다 정밀한 내, 외부의 구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해 행성 궤도의 이심률을 계산하는 등, 오직 이 이론을 발전시키는 것에만 의미를 두었다. 케플러는 우주구조의 신비의 초판 출간 이후 25년 동안 주석을 달아, 1621년에 확장된 두 번째 판을 출판했는데, 첫 번째 판의 한배 반 정도의 길이였다필드, 케플러의 기하학적 우주론, IV장 p 73ff. 케플러는 뷔르템베르크 공작에게 이 우주론의 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재정 지원을 요청하는 연구 제안서를 제출했다. 케플러는 은과 보석으로 모형을 만들어, 다른 사람들도 거룩한 기하학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게 하고 여차하면 공작의 잔으로도 쓸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제안서는 값싸게 종이로 먼저 만들어 보라는 충고와 함께 퇴짜를 맞았다. = = = 바바라 뮐러와의 결혼 = = = 1595년 12월, 케플러는 23살의 딸 딸린 과부 바바라 뮐러를 소개받고 연애하기 시작했다. 뮐러는 전남편의 재산들을 상속받게 되어 있었고, 경제적으로 유복한 방앗간 주인의 딸이었다. 그녀의 아버지 욥스트는 케플러의 신분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결혼을 반대했다. 케플러는 할아버지의 신분을 물려받긴 했지만 그의 가난은 신분과 어울리지 않았다. 욥스트는 케플러가 우주구조의 신비작업을 마치고 나자 마음이 누그러졌으나 케플러가 책 출판의 세세한 일에 신경을 쓰는 동안 약혼은 거의 파기 직전까지 갔다. 그러나 약혼이 성사되도록 도왔던 교회 사람들이 뮐러에게 약속을 지키라고 압력을 넣었고 뮐러와 케플러는 1597년 4월 27일 결혼했다카스파, 케플러, 71쪽 ~ 75쪽.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케플러는 두 아이(하인리히와 수잔나)를 얻었으나 둘 다 어렸을 때 죽고 말았다. 1602년 그들은 딸 수잔나를 낳았고 1604년 아들 프리드리히를, 1607년 아들 루트비히를 낳았다코너, 케플러의 마녀, 89쪽 ~ 100쪽, 114쪽 ~ 116쪽; 카스파, 케플러, 75쪽 ~ 77쪽. = = = 우주구조의 신비의 발송 = = = 우주구조의 신비의 출판과 그라츠 학교 장학사들의 찬성에 따라 케플러는 연구를 연장 및 부연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그는 4개의 책을 더 쓰려고 했다. 그 중 하나는 고정된 우주의 외관(태양과 붙박이별들)에 대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행성과 그 운동에 대한 것, 다른 것은 행성의 물리적 특성과 지리적 특징(특히 지구에 초점을 맞추어)의 구성에 대한 것이었으며, 마지막은 하늘(천국)이 지구에 미치는 대기광학적·기상학적·점성술적인 영향에 대한 것이었다카스파, 케플러, 85쪽 ~ 86쪽. 또한 그는 많은 천문학자들에게 우주구조의 신비를 보내 의견을 구했다. 마구잡이로 여러 곳으로 발송한 책들 중 두 권이 어찌어찌해서 이름 없는 수학 선생의 손에 들어갔다. 그 선생은 케플러에게 "나도 코페르니쿠스를 지지하지만, 물리적인 증거가 없기 때문에 아직 논리의 타당성을 증명할 수 없다."라는 답장을 보냈는데, 이 사람이 바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였다.뵐켈, 박영준 역, 행성운동과 케플러, 바다출판사, 62 ~ 64쪽. 책을 받은 과학자들 중에는 루돌프 2세의 제국 수학자이자 튀코 브라헤의 숙적인 라이마루스 우르소도 있었다. = = = 신우주설 제창자 논쟁 = = = 1598년, 오래간만에 편지를 보낸 매스틀린 선생은 우르소의 책은 무가치한 표절품이라고 충고했는데도 우르소와 엮이고 말았다고 케플러를 심하게 꾸짖었다. 우르소는 당시 튀코 체계지구를 제외한 다른 행성들은 태양의 주위를 돌고, 태양이 또 지구의 주위를 돈다는 우주론.를 누가 제창했느냐의 문제로 튀코와 싸우고 있었다. 우르소는 튀코와의 싸움에서 케플러를 인질 삼을 흑심을 품고 있었다. 케플러는 멋도 모르고 우르소에게 “가설이 마음에 듭니다”라는 편지를 보냈고, 우르소는 튀코와의 논쟁에서 자신의 우선권을 추구하기 위해서 자기 저서 천문학적 가설에 대하여에서 케플러의 알랑거리는 편지들을 재출판하였다뵐켈, 위의 책 65쪽. 이 책에서 우르소는 튀코를 근거없이 비난했고, 참다못한 튀코는 우르소의 책을 마구 찾아내 불태워버렸다. 그런 사정을 몰랐던 케플러는 순진하게 튀코에게 자신의 책을 보냈다. 튀코는 ‘남을 중상모략하는 범죄나 다름없는 책’에 자신의 편지가 이용당한 사실을 케플러가 알 리가 없다고 생각했다. 튀코는 튀코대로 우르소에 대한 소송에 케플러의 언질을 이용할 계획이었다.뵐켈, 위의 책 67 ~ 68쪽 이러한 오점에도 불구하고, 튀코 또한 케플러의 이론에 대해 다소 신랄하지만 이치에 맞는 비판을 시작으로 케플러와 서신을 왕래하기 시작했다. 반대자들 중 한 명으로서 튀코는 케플러가 코페르니쿠스의 부정확한 수치 자료를 가져다 쓴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 편지들을 통해, 튀코와 케플러는 월면 현상에 대한 이야기 및 코페르니쿠스설과 그 신학적 생존 가능성 등 광범위한 천문학 문제들을 토론했다. 그러나 튀코의 데이터보다 정확한 자료가 없었기에 케플러는 이 많은 쟁점들을 제대로 다뤄 볼 방법이 없었다카스파, 케플러, 86쪽 ~ 89쪽. 대신, 케플러는 연대학과 〈조화〉, 즉 음악과 수학과 물리학계의 수비학적 관계와 점성학적 중요성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지구가 영혼(후에 태양이 어떻게 행성운동의 원인이 되는지 설명하려고 했을 때 케플러가 사용한 도구)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점성술적 에스펙트와 천문학적 거리를 날씨와 다른 지구의 현상들에 결합한 이론을 만들어냈다카스파, 케플러, 89쪽 ~ 100쪽. 그러나 1599년, 사용 가능한 자료들의 부정확함 때문에 케플러는 또다시 자기 연구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관측 결과와 자기 이론이 맞지 않자 가설의 거창함에 빠져 있던 케플러가 내린 결론은 코페르니쿠스의 관측값이 틀렸다는 것이었다. 케플러는 누구보다 정확한 관측 자료를 자랑하던 튀코를 만날 필요성을 절감했다. 마침 같은 시기 주변 환경이 종교적으로 불안해진 것도 그라츠에서 케플러가 계속 일하는 것을 위협하는 이유가 되었다. 그라츠를 지배하던 대공은 가톨릭을 교조적으로 신봉하는 사람이었는데, 이 때문에 개신교도들은 권력 밖으로 밀려났다. 가톨릭을 믿지 않으면 수입의 1할을 벌금으로 내거나 추방당해야 했다. 그 해 12월, 튀코가 케플러를 프라하로 초대했다. 1600년 1월 1일(초대장을 받기도 전에), 케플러는 튀코의 후원이 있다면 이 철학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케플러 자신의 사회적·경제적인 문제들도 해결될 것이라는 희망에 부풀어 프라하로 출발했다. = = 프라하 (1600년 ~ 1612년) = = = = = 튀코 브라헤와의 연구 = = = 이 즈음 튀코는 우르소와의 추한 싸움에서 승리하고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 수학자가 되어 있었다. “우르소는 불명예인으로 낙인찍히고 참수될 것이다”라는 판결이 나왔고 우르소는 프라하에서 도망쳤다. 하지만 1600년 10월 16일 이미 건강이 악화되어 있던 우르소는 처벌을 받기도 전에 죽고 말았다.뵐켈, 위의 책 73쪽 1600년 4월 4일 케플러는 튀코의 새 관측소가 세워지던, 프라하에서 50km 정도 떨어진 베나트키나트이제로우에서 튀코 브라헤와 그의 조수 프란츠 텡나겔과 롱고몬타누스를 만났다. 케플러는 두 달 이상 손님으로 머물렀고 튀코의 화성 관측 일부를 분석했다. 튀코는 자신의 자료를 철저히 극비에 부쳤지만 케플러의 이론 지식에 감동을 받아 곧 자료 입수를 허락했다. 케플러는 자기 저서 우주구조의 신비의 이론을 튀코의 화성 관측 자료에 기반하여 증명하려 했으나 집에서 작업하기 위한 자료 복사본을 가져가는 허락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 작업에는 이후 2년의 시간이 걸린다. 요하네스 예세니우스의 도움으로 케플러는 정규직을 얻기 위해 튀코와 협상을 시도했으나 협상은 격한 싸움 끝에 깨지고, 4월 6일 케플러는 프라하로 가버렸다. 케플러와 튀코는 곧 화해하고 마침내 봉급과 주거 생활에 대해 합의를 보았다. 6월, 케플러는 가족들을 데리러 그라츠의 집으로 돌아갔다.카스파, 케플러, 100쪽 ~ 108쪽 케플러와 튀코는 가깝지만 호의적인 관계는 아니었는데 처음 만났을 때부터 튀코가 죽을 때까지 싸우고 화해하고를 밥 먹듯이 반복했다.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튀코의 주변에는 늘 조수, 아첨꾼, 식객들로 북적거렸고 이들은 시골에서 온 촌뜨기 학자인 케플러를 놀려댔다. 튀코 역시 잠재적 경쟁자인 케플러에게 조금씩 볼 수 있도록 해줬을 뿐 쉽게 자료 전체를 넘겨주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튀코는 케플러가 우르소의 끄나풀이 아닐까 의심하는 눈치였다.뵐켈, 위의 책 82쪽 튀코에게 바로 돌아가겠다는 케플러에게 그라츠에서의 정치적, 종교적 어려움이 찬물을 끼얹었다. 천문학 연구를 계속하고 싶은 희망으로 케플러는 페르디난트 대공의 수학자로 임용되고자 하였다.카스파, 케플러, 108쪽 ~ 111쪽 이를 위해 케플러는 달의 운동에 대한, 힘에 바탕한 이론을 제안한 소론(지구 안에 달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있다In Terra inest virtus, quae Lunam ciet)을 써서 페르디난트에게 헌정했다.카스파, 케플러, 110쪽 그러나 뜻밖에도 페르디난트 본인이 개신교도들의 추방에 앞장섰고, 케플러는 총 61명의 추방자들 중 15번째로 추방당했다.뵐켈, 위의 책 88쪽 페르디난트 아래에서 일하는 데에는 실패했으나, 이 소론은 월식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했다. 이 방법은 7월 10일 그라츠에서의 월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관측은 비텔로를 보완한 천문학의 광학적 측면에 대한 해설에서 완성한, 광학 법칙을 탐구하는 데에 기초를 형성했다. 1600년 8월 2일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기를 거부한 뒤 케플러 가족은 그라츠에서 추방당했다. 몇달 뒤 돌아온 케플러는 나머지 식구들을 데리고 프라하로 떠났다. 한편 튀코의 연구진에도 변화가 생겼다. 튀코의 그늘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롱고몬타누스는 덴마크로 돌아갔고 요하네스 뮐러도 떠났으며 텡나겔은 튀코의 딸 엘리자베스와 결혼한 뒤 홀란트(네덜란드)로 가버렸다. 결국 남은 연구원은 튀코와 케플러뿐이었다.뵐켈, 위의 책 91 ~ 93쪽 1601년의 대부분 동안 케플러는 튀코의 직접 도움을 받았는데 그 대가로 튀코는 케플러에게 행성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고 (이제는 고인이 된) 경쟁자 우르소에게 불리한 내용의 논문을 쓰는 일을 시켰다.카스파, 케플러, 111쪽 ~ 122쪽 케플러는 스승 매스틀린에게 보낸 편지에서 “튀코는 좋은 사람이지만 유치하고 변덕스럽다”, “우르소를 반박하는 글을 쓰는 일 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라면서 불평을 늘어놓았다. 이 당시 케플러가 쓰던 우르수스에 대한 튀코의 방어는 튀코가 죽자 미완성인 채로 방치되었고 1858년에야 출판되었다. 9월 튀코는 에라스무스 라인홀드의 프로이센 목록을 대체하기 위해 황제에게 제출한 새로운 프로젝트 루돌프 표의 공동 작업자로 케플러를 임명했다.사실, 남은 연구원이 케플러 뿐이었기 때문에 다른 수가 없었다. 1601년 10월 13일 케플러는 달과 토성, 화성을 관측하고 있었다. 같은 시각 튀코는 로젠버그 남작이 베푼 만찬에 놀러 가 포도주를 과음했는데 예의를 차리느라 화장실에 가지 않고 오랫동안 오줌을 참다가 방광염에 걸렸다. 하지만 음식과 음주를 자제하라는 충고를 듣지 않아 병이 악화되었고, 이내 정신을 잃고 발작적인 흥분 상태에 빠졌다. 튀코는 자신이 곧 죽을 것을 알고는 케플러를 불러 튀코 체계의 연구에 전념해 달라고 유언했다. 그리고 죽기 직전에 혼수상태에서 “이렇게 허무하게 죽다니, 날 살려 줘, 날 살려 주게.”뵐켈, 위의 책 96쪽 “내 삶이 헛되지 않게 하소서. 내가 헛된 삶을 살았다고 하지 않게 하소서!”하는 독백을 되풀이하더니 결국 튀코는 1601년 10월 24일에 어이없게 사망하고 말았다. 이틀 뒤 케플러는 튀코가 완성하지 못한 작업을 완성하는 책임을 지고 튀코의 후임으로 제국 수학자에 임명되었고 튀코의 관측 자료가 없다고 완강하게 발뺌하는 튀코의 유족들에게 관측자료를 받아내는 일을 해야 했다. 한편 이듬해 돌아온 텡나겔은 튀코 유족들을 대표해 유족들의 몫을 요구했다.뵐켈, 위의 책 98쪽 그 결과 튀코의 자료들을 사용하기 위해 저작권을 협상하느라 작업물 두 가지의 출판이 4년 지체되었다. 케플러는 그 뒤 11년 동안 황실 수학자로서 일생 중 가장 생산적으로 지냈다. = = = 신성 로마 제국의 루돌프 2세 = = = 궁정 수학자로서 케플러의 주요 업무는 루돌프 황제에게 별점을 쳐주는 일이었다. 케플러는 당대의 점성술사들이 정밀하게 미래를 예측하거나 구체적인 사건을 예언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고 회의적으로 바라보았지만 튀빙겐에서 공부할 시절부터 동료들이나 가족, 후원자들에게 천궁도로 상세하게 점을 쳐주곤 했다. 또한 황제는 정치적으로 곤경에 처했을 때도 케플러의 별점을 구했다. 하지만 케플러의 충고들은 별보다는 상식에 기반한 것이었다. 루돌프는 자신의 황궁에 소속된 학자들(셀 수 없이 많은 연금술사들도 포함해서)의 연구에 상당히 흥미가 있었고 물론 케플러가 물리학, 천문학 연구를 지속하도록 도와 주었다.카스파, 케플러, 149쪽 ~ 153쪽 프라하에서는 로마 가톨릭과 우트라퀴스트가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종교였다. 하지만 황궁에서 일하던 케플러의 지위 덕분에 케플러의 루터교적 신념은 방해받지 않을 수 있었다. 황제는 케플러 가족에게 ‘명목상으로는’ 충분한 보수를 제공했지만 황실 금고가 한도를 넘게 어려워졌기 때문에 케플러는 재정적 의무를 위해 충분한 돈을 손에 넣으려면 계속해서 애를 써야 했다.카스파, 케플러, 146쪽 ~ 148쪽, 159쪽 ~ 177쪽 쉽게 말해 프라하 황궁에서 황제가 준다는 돈은 상징적인 숫자에 불과했으며 실제로 수령하기 전까지는 믿을 수가 없었다. 케플러는 튀코의 후임으로 임명되면서 루돌프 황제에게 2만 플로린이 돈은 당시 보헤미아 부동산의 절반을 모조리 살 수 있는 거금이었다.의 하사금을 약속 받았지만 실제로는 한 푼도 받지 못했으며 연봉 500플로린을 받는 데도 어려움을 겪었다.뵐켈, 위의 책 97쪽 케플러의 임금은 3명의 황제(루돌프, 마티아스, 페르디난트)를 거치면서 이런 식으로 꾸준히 체불되어 페르디난트 2세 때는 밀린 봉급이 1만 2천 플로린에 달했다.뵐켈, 위의 책 201쪽 한편, 바바라와 함께한 가정 생활은 이러한 재정적 문제 때문에 그리 유쾌하지 못했다. 둘은 종종 싸우기도 하였고, 바바라의 발작적인 질병으로 고통을 겪었다. 바바라는 높은 계급 출신은 아니었지만 시골의 상류층 집안의 딸이었던 만큼 남편의 가난한 직업을 이해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경멸하기까지 했다. 케플러는 또 케플러 나름대로 “아내를 나무라기보다 내 손가락을 깨무는 편이 더 낫다.”는 말을 했다. 하지만 황궁 생활 덕분에 케플러는 요하네스 마태우스 바커 본 바켄펠스, 요스트 뷔르기, 데이비드 파브리시우스 등의 다른 저명한 학자들과 접촉할 수 있었고 천문학 연구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 = = 비텔로를 보완한 천문학의 광학적 측면에 대한 해설 = = = 케플러는 튀코의 화성 관측 자료 분석을 계속하면서 루돌프 표 목록화를 천천히 시작했다. 한편, 그는 1600년에 펴낸 달에 대한 논문에서 광학 법칙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그 당시 월식과 일식은 예상치 못한 그림자의 크기, 개기 월식때 붉게 물드는 달, 개기 일식 때 태양을 둘러싼 이상한 빛 등 정체불명의 현상으로 생각되었다. 대기 굴절과 관련된 이슈들은 〈모든〉 천문학적 관찰에 응용되었다. 케플러는 1603년 대부분의 시간을 광학적 이론에 쏟았으며, 이 때문에 다른 연구들을 잠시 멈추었다. 연구 결과 나온 원고는 1604년 1월 1일에 황제에게 헌정되었고, 그 이름은 비텔로를 보완한 천문학의 광학적 측면에 대한 해설이다. 이 책에서 케플러는 빛의 밝기를 좌우하는 역제곱 법칙, 평면 거울과 곡면 거울에서의 반사 현상,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그리고 시차나 육안상의 천체의 크기 같은 광학의 천문학적 의미를 설명했다. 또한 케플러는 자신의 광학 연구를 인간의 눈에까지 연장했고, 망막 위의 수정체 때문에 이미지들이 상하좌우 반전되어 투영된다는 것을 인지한 최초의 신경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케플러는 이미지가 반전된다는 사실을 광학의 범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딜레마의 해결책을 딱히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다만 영혼의 어떤 작용으로 인해 이미지가 뇌 속에 들어가서 바로잡혀진다고 생각했다Finger, "Origins of Neuroscience," 74쪽.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본래 케플러는 이것을 몇주동안 써서 간단한 논문으로 내려고 했다. 하지만 한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습관 때문에 450페이지에 이르는 대작이 되고 말았다뵐켈, 위의 책 100쪽 비텔로를 보완한 천문학의 광학적 측면에 대한 해설은 굴절의 법칙에 대해서는 부족함이 있었지만 현대 광학의 기초로 평가받고 있다.카스파, 케플러, 142쪽 ~ 146쪽 = = = 1604년 초신성 = = = 1604년 10월, 새로운 밝은 항성(SN 1604)이 나타났지만 케플러는 자기 눈으로 확인할 때까지 그 소식을 믿지 않았다. 케플러는 그 항성을 체계적으로 관측하기 시작했다. 그 초신성은 밤 하늘에서 가장 밝은 금성보다 약간 덜 밝았으며, 일 년 이상이나 관측되었다. 점성술적으로, 1603년은 수상궁의 시작 및 약 800년 주기의 대회합(목성과 토성의 합) 기간의 시작으로 지정된 해였다. 점성가들은 앞에서 말한 두 기간을 샤를마뉴의 등장(약 800년 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약 1600년 전)과 관련시켰고, 이로부터 새로운 황제가 등장한다는 식의 역사적 사건이 발생하리라고 추측했다. 케플러가 2년 뒤에 이 새로운 항성을 자기 저서 뱀주인자리의 발 부분에 있는 신성에서 기술한 것은, 황제를 위한 황실 수학자이자 점성술사로서 이러한 정황을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케플러 본인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점성술적인 역사적 순환 해석에 대해 회의적이었고, 대신 항성의 천문학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이 논문에 항성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는 것, 항성의 기원에 대한 추측, 시차를 잴 수 없었다는 점이 이 천체가 항성이라는 사실을 증명한다는 것케플러 초신성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당시 관측 기술로 천구상에서의 위치 변동량을 측정하기가 곤란했다., 더 나아가 하늘(천국)은 영원불변한다는(아리스토텔레스 때부터 이어져 온 천구가 완벽하고 불변하다는 생각) 교리에 대한 의심 등을 기록했다. 새로운 항성의 탄생은 곧 하늘(천국)이 변화하는 존재임을 암시하는 것이었다카스파, 케플러, 153쪽 ~ 157쪽. = = = 신천문학―타원궤도의 법칙,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 = = = 두 행성운동법칙이 포함된 신천문학에서 절정에 달한 심화된 연구는, 튀코의 지도하에 화성의 궤도에 관한 분석적 검토로 시작되었다. 코페르니쿠스가 자기 이론에서 무시했던 수학적 요소인 상응점을 이용하여, 케플러는 화성 궤도의 여러 근사치를 계산하고 계산하고 또 계산하여 마침내 튀코의 관측 결과와 2분(평균적인 측정 오류) 범위 내에서 거의 일치하는 모형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그는 이 부정확한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모형이 특정 지점에서는 관측 결과와 8분이나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케플러는 전통적인 수학적 천문학 방법의 광범한 배열을 따랐다가 실패하자 관측 결과에 타원 궤도를 대입하는 데 착수했다카스파, 케플러, 123쪽 ~ 128쪽. 케플러는 우주를 종교적인 관점으로, 태양이 하나님 아버지의 상징이며 태양계 기동력의 원천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케플러는 자석에 관해서(1600년)에 나온 지구의 자기적에 대한 윌리엄 길버트의 이론과 광학에 유추하여 자신의 연구를 이끌어 냈다. 케플러는 행성이 태양에 가깝고 멀리 갈수록 운동이 빨라지고 느려지기 때문에 움직이는 힘(또는 움직이는 생명)On motive species, see: Lindberg, "The Genesis of Kepler's Theory of Light," 38쪽 ~ 40쪽 이 태양에 의해 퍼져나가며, 멀어질수록 약화된다고 생각했다"Kepler's decision to base his causal explanation of planetary motion on a distance-velocity law, rather than on uniform circular motions of compounded spheres, marks a major shift from ancient to modern conceptions of science.... [Kepler] had begun with physical principles and had then derived a trajectory from it, rather than simply constructing new models. In other words, even before discovering the area law, Kepler had abandoned uniform circular motion as a physical principle." Peter Barker and Bernard R. Goldstein, "Distance and Velocity in Kepler's Astronomy", Annals of Science, 51 (1994): 59-73, at p. 60.쿠아레, 천문학적 혁명, 199쪽 ~ 202쪽. 이 가정은 천문학적 체계를 부활시킬 수학적 관계를 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원일점과 지구와 화성의 근일점 측정에 바탕하여 행성의 운동 비율은 태양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을 알아냈다. 궤도 주기를 통해 이 관계를 입증했지만, 이는 대규모의 계산을 필요로 했다. 이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1602년 말에 케플러는 기하학적 관점에서 계산을 다음과 같이 재공식화했다. “행성과 태양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선분이 같은 시간 동안 쓸고 지나가는 면적은 행성과 태양 사이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같다.” 이것이 제2 법칙,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이었다카스파, 케플러, 129쪽 ~ 132쪽. 그러고 나서 케플러는 기하학적 비율법을 사용하여 화성의 전체 궤도 계산에 착수했으며, 화성 궤도가 알 모양임을 확신했다. 거의 40여 번에 달하는 실패 끝에, 마침내 1605년 초에 케플러는 전대의 천문학자들이 못 보고 지나친, 해답이 되기에는 너무 간단하다고 여겨졌던 타원에 대한 생각을 우연히 떠올렸다. 타원형의 궤도가 화성 관측 자료에 들어맞는 것을 확인하자, 그는 즉시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공전한다.” 이것이 제1 법칙, 타원궤도의 법칙이었다. 케플러는 계산할 때 조수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화성 외의 천체에도 수학적 분석을 하지는 않았다. 그해 말경, 그는 신천문학의 원고를 완성했으나, 튀코의 관측 결과를 사용한 것에 대한 튀코의 유족들과의 법적 분쟁으로 인해 1611년까지 출판하지 않았다카스파, 케플러, 131쪽 ~ 140쪽; 쿠아레, 천문학적 혁명, 277쪽 ~ 279쪽. = = = 굴절광학, 꿈 원고와 다른 작업들―케플러의 추측 = = = 신천문학이 완성됨에 따라, 여러 해 동안 케플러의 연구 중 대부분은 루돌프 표의 준비와, 목록에 바탕한 추산 위치표(행성과 항성의 위치에 대한 예측)의 포괄적인 집합에 맞춰져 있었다(하지만 많은 해가 지나도 둘 다 완성되지 않았다). 또 케플러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조반니 안토니오 마치니와 협력하려고 시도했는데, 이것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케플러의 작업 중 몇은 연대학(특히 예수가 살던 시대에 일어난 사건들의 날짜 기입)과 점성학(특히 대참사에 관한 연극 같은 예언을 하는 로슬린 등의 사람들에 대한 비판)과 함께 다루어졌다카스파, 케플러, 178쪽 ~ 181쪽. 한편, 케플러는 1608년에 한 무명의 귀족에게 별점을 쳐 줬다. 그의 사주는 “민첩하고, 명민하며, 근면하고, 평범한 일에 한눈팔지 않으며, 자신의 목표를 향해 용맹 정진할 것이며, 영광에 대단히 목말라하고 현세의 명예와 권력을 탐식할 것이며 그 결과 스스로 공개적·비공개적 적들을 숱하게 만들 것이나, 그 모든 적들을 대부분 극복하고 정복할 것이다”라고 나왔다. 이 무명의 귀족은 이후 출세가도를 달렸으며, 이 사람이 바로 후일 케플러의 새로운 후원자가 되는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이었다.뵐켈, 위의 책 202쪽 케플러와 로슬린은 출판물을 통해 서로의 이론을 공격하거나 공격에 대해 반격했으며, 그 와중에 치료사 필리프 베살리우스는 점성술(그 중에서도 특히 로슬린의 것)을 완전히 부정하는 저작을 출판했다. 케플러는 점성술을 지나치게 옹호하는 이론과, 다른 한편으로 점성술을 지나치게 비하하는 현실을 목도했고, 여기에 응하여 제삼자의 개입(Tertius Interveniens원래 제목은 Tertius Interveniens, das ist Warnung an etliche Theologos, Medicos vnd Philosophos, sonderlich D. Philippum Feselium, dass sie bey billicher Verwerffung der Sternguckerischen Aberglauben nict das Kindt mit dem Badt aussschütten vnd hiermit jhrer Profession vnwissendt zuwider handlen이다.)을 썼다. 이 작업은 일단 표면적으로는 반목하는 학자들간을 중재하는 것이었으나, 이외에도 행성과 인간의 영혼간에 일어나는 상호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가설과, 점성술의 가치에 대한 케플러의 총체적인 관점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카스파, 케플러, 181쪽 ~ 185쪽. 케플러는 행성의 배열이 인간과 자연에 영향을 미친다고 진지하게 믿기도 했지만, 점성술이 “어리석은 자들에게 미신을 조장하는” 위험한 것이라고 회의적으로 생각한 인물이었다.뵐켈, 위의 책 43쪽 1610년의 첫 번째 달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강력한 기능을 지닌 신형 망원경을 이용, 목성의 주위를 돌고 있는 4개의 위성 가니메데, 칼리스토, 이오, 유로파를 발견하였다. 갈릴레오는 시데레우스 눈치우스(Sidereus Nuncius;〈별세계의 사자〉라는 뜻)를 출판하면서 자기 관측 결과의 신빙성을 강화하기 위해 케플러의 자문을 구하였다. 케플러는 별의 메신저와의 대화(Dissertatio cum Nuncio Sidereo)를 통해 매우 열심히 대답해 주었다. 그는 갈릴레오의 관측을 보증하였고, 갈릴레오의 발견이 뜻하고 암시하는 바와 망원경 이용의 추측 범위를 우주론과 점성술 뿐만 아니라 천문학과 광학에까지 확대하자고 제안하였다. 그 해가 지나고, 케플러는 달을 망원경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관측, 목성의 위성에 대한 해설(Narratio de Jovis Satellitibus)을 출판하여 갈릴레오의 이론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갈릴레오는 신천문학에 대해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았고, 케플러는 실망하였다카스파, 케플러, 192쪽 ~ 197쪽. 당시 천문학자들은 목성의 위성들이 실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원경이 만들어낸 허상에 불과하다고 공격했다. 갈릴레오는 케플러의 보증으로 자신을 겨냥한 이런 비판들을 모두 꺾어 버릴 수 있었지만 케플러는 고맙다는 인사말 한 마디도 들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케플러는 갈릴레오의 무례에 불만을 표시하지 않았고 갈릴레오는 천문학 이론의 개혁을 이룬 케플러의 업적에 아무런 관심도 기울이지 않았다뵐켈, 위의 책 118쪽 무례하게도 보이는 갈릴레오의 이런 반응에는 다른 속사정이 있었을 것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1577년 대혜성에 대해 튀코는 혜성이 엄연한 천체라고 주장한 데 비해서 갈릴레오는 혜성이 시각적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훗날 케플러는 혜성에 관한 연구에서 튀코를 지지했는데 매스틀린은 갈릴레오에게 한방 먹였다면서 케플러를 축하해 주었다. 비판에 익숙하지 않았던 갈릴레오가 케플러의 이런 태도를 위협으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갈릴레오가 망원경을 이용한 발견을 했다는 사실을 들은 뒤 케플러도 쾰른의 에른스트 공작에게서 빌린 망원경을 이용하여 광학 망원경에 대한 이론상·실험상의 연구를 시작했다.쾨슬러, 몽유병자들 384쪽 그 결과로서 1610년 9월에는 굴절광학( Dioptrice)의 원고가 완성되었고 1611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케플러는 양면 볼록 렌즈로 된 수렴 렌즈와 양면 오목 렌즈로 된 발산 렌즈에 대한 이론적 근거, 이 렌즈들이 갈릴레오식 망원경을 구성하는 원리, 실상과 허상의 개념, 정립상과 도립상, 확대 및 축소에 따른 초점 거리의 결과까지 설명했다. 또한 케플러는 볼록 렌즈 두 장을 사용하여 갈릴레오의 볼록 렌즈 - 오목 렌즈 결합보다 높은 배율을 낼 수 있는 망원경을 구상하였는데 이것이 케플러식 망원경으로 오늘날의 굴절식 천체 망원경의 모태이다.카스파, 케플러, 198쪽 ~ 202쪽 1611년을 전후하여, 케플러는 꿈(Somnium)으로 (사후에) 출판될 원고를 배포하고 다녔다.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와중에 사라져 버린 이 원고는 환상적인 달나라 여행을 그리고 있다. 이 이야기는 일부는 우화였고 일부는 자전적이었으며 일부는 행성간 여행에 대한 논문이었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과학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후일 소설 속 서술자의 어머니가 악마들과 어울려 지내다 우주 여행의 의미를 알게 된다는 부분으로 인해 왜곡된 해석은 케플러의 어머니가 마녀 재판에 끌려가는 결과를 낳았는데 결국 무죄가 입증되고 나자 케플러는 이야기에 과학적 정보(특히 월면 지리학에 관한)는 물론 이야기의 속뜻이 무엇을 비유한 것인지까지 설명하는 223개의 주석을 달았는데 본문보다도 길었다.리어, 케플러의 꿈, 1쪽 ~ 78쪽 1590년대 말경에 영국의 월터 롤리 경은 부하 토머스 해리엇에게 포탄 무더기가 쌓인 모양을 보고 포탄의 개수를 알아낼 수 있는 공식을 만들라고 요구했다. 해리엇은 거기서 더 나아가 포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쌓을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했다.슈피로, 위의 책, 17쪽 해리엇은 이 문제를 가지고 고심하다가 당시 최고의 수학자로 명성을 날리던 케플러에게 편지를 보냈다.슈피로, 위의 책, 19쪽 해리엇의 편지를 받은 케플러는 가장 밀도가 높게 구를 쌓는 방법은 시장 상인들이 과일을 쌓을 때처럼 육방 밀집 쌓기를 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슈피로, 위의 책, 23쪽 1611년 새해 선물로 케플러는 친구이자 오랜 후원자 마태우스 바커 폰 바켄펠스 남작을 위해 육각형 눈송이에 관하여(Strena Seu de Nive Sexangula)라는 제목의 짧은 소논문을 지었다. 케플러는 이 소논문에서 눈송이의 육방정계 구조를 연구하고 그것을 원자론의 물리적 근거로 해석했으며 구를 가장 촘촘하게 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마지막 것이 후에 케플러의 추측이라고 알려진 것으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함께 수백년 동안 수학적 난제로 남았다.Schneer, 〈Kepler's New Year's Gift of a Snowflake〉, 531쪽 ~ 545쪽 육각형 눈송이에 관하여는 케플러의 다른 방대한 저작들에 비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 책은 결정체나 식물의 형태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한 최초의 시도였기에 충분히 중요하다.슈피로, 위의 책, 47쪽 오갈 데 없는 피난자 신세로 프라하를 찾은 지 11년 만에 케플러는 학계를 이끄는 정상급 과학자로 성장해 있었다. 튀코의 후계자라는 위상과 계속해서 묵직한 책들을 내놓은 이력은 케플러가 천문학에 대해 모르는 것이 없는 박학다식한 인물이라는 인상을 심어 주었다. 하지만 케플러의 황금기는 오래 가지 못했는데, 후원자 루돌프 황제가 미쳐가고 있었던 것이다. 황제는 편집증에 정신 착란까지 보였고, 황제의 무능으로 신성 로마 제국과 합스부르크 왕가는 위기에 처했다. 1606년 4월부터 합스부르크 왕가 인사들은 황제를 몰아내고 황제의 동생 마티아스를 황제로 세울 음모를 꾸몄다.뵐켈, 위의 책 120쪽 = = = 개인적, 정치적 문제 = = = 1611년, 프라하의 정치·종교적 불안은 곪아 터질 지경으로 악화되었다. 건강이 악화되어 가던 후원자 루돌프 황제는 동생 마티아스의 강요에 의해 보헤미아 왕의 자리를 포기했다카스파, 케플러, 202쪽 ~ 204쪽. 또한 그 해에 아내 바바라가 홍반열에 걸려, 발작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바바라가 회복되어 갈 즈음, 세 자식들이 모조리 천연두에 걸려,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가 사망했다. 아들이 죽자 케플러는 뷔르템베르크와 파도바의 후원자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뷔르템베르크의 튀빙겐 대학교에서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과 협화신조에 배치되는 케플러의 칼뱅주의적 반대론을 염려하여 케플러의 귀환을 방해했다. 파도바 대학교에서는 공석(空席)이 된 수학 교수직에 전임 갈릴레오의 추천으로 케플러를 임용하려 했다. 그러나 케플러는 가족들은 도이칠란트에 머무르게 하는 대신, 자신은 린츠에서 선생 자리 및 지역 수학자직을 알아보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여행을 떠났다. 케플러가 가족과 떨어진 사이 바바라의 병이 재발했고 그녀는 케플러가 돌아온 직후 사망했다코너, 케플러의 마녀, 222쪽 ~ 226쪽; 카스파, 케플러, 204쪽 ~ 207쪽. 케플러는 정치적 대변동, 종교적 불안, 가정의 비극(아내의 유산에 대한 법적 분쟁) 등의 요인으로 더이상 연구를 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린츠로의 이사를 연기했고 1612년 초에 루돌프 황제가 사망할 때까지 프라하에 잔류했다. 대신 케플러는 연대학 원고 전원시의 역사를 초기의 연구와 조화되도록 결합했다. 마티아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물려받은 뒤 케플러의 궁정 수학자로서의 지위(급료도 포함된다)를 재차 보장하였으나 그가 린츠로 옮겨 가 살 수 있도록 허락했다카스파, 케플러, 208쪽 ~ 211쪽. = = 린츠 (1612년 ~ 1626년) = = 린츠에서 루돌프 표 외에 케플러에게 주어진 기본적 책무는 지역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과 점성술, 천문학적 용역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린츠에서의 초기 몇 년 동안 프라하에서의 시절에 비해 재정적 안전과 종교적 자유를 누렸지만, 종교적 양심을 이유로 소속된 정통주의적 루터교회에 의해 성만찬에 참여할 권리를 박탈당하였고,뵐켈, 위의 책 130쪽 이후 결국 루터교와 결별했다.뵐켈, 위의 책 131 ~ 132쪽 린츠에서의 첫 저서는 예수 탄생에 대한 보충 논문 진실한 1년에 대해, 영원한 하느님의 아들의 성모 마리아의 자궁에서 나온 인간으로서의 성격(De vero Anno, quo aeternus Dei Filius humanam naturam in Utero benedictae Virginis Mariae assumpsit)으로, 1613년에 출판했다. 또한 그는 그레고리오 교황의 개량 달력을 도이칠란트의 개신교 국가들에서 받아들일지의 심의에도 참여했다. 또한 같은 해 그는 포도주 통과 같은 용기의 부피를 측정하는 수학 논문 포도주통의 신계량법을 썼으나 이 논문은 1615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카스파, 케플러, 209쪽 ~ 220쪽, 227쪽 ~ 240쪽. = = = 루터교와의 결별 = = = 케플러는 린츠에 도착한 즉시 튀빙겐 신학교 동창이었던 주목사 다니엘 히츨러에게 종교모임을 요청했다. 그러나 며칠간 모임을 가진 뒤, 케플러는 루터교의 엄격한 신앙고백에 서명하기를 거부했고 히츨러는 케플러를 쫓아내 버렸다. 케플러는 슈투트가르트의 종교의회에 이 사건을 청원했다. 그러나 종교의회는 히츨러를 두둔하는 모욕스러운 편지와 함께 케플러의 청원을 기각했다. 케플러는 기분이 나빴지만 말썽을 일으키기 싫어서 이 일을 더이상 거론하지 않았다. 케플러는 루터교, 개혁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두루 기독교적인 믿음을 형성해 주는 요소들을 하나하나 이끌어 냈다. 다른 루터교도들은 이것을 근거로 케플러를 이단자로 지목하여 고소했다. 케플러는 “진리는 하나인데 세 종파로 찢겨 서로 비참하게 싸우는 게 가슴 아플 따름이다”라고 대답했다. 이런 신념은 의심, 비난, 협박으로 돌아왔다. 기독교인들끼리 교단의 차이로 분열하고 대립하는 양상은 선교에 지장을 준다는 반성에 따라 교회 일치 운동이 시작된 현대에서야 그의 주장은 전혀 이상할 게 없지만, 그가 살던 시대에는 너무 진보적인 주장이었다. 1617년, 케플러는 튀빙겐의 신학 교수 마티아스 하펜레퍼를 방문해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하펜레퍼는 케플러와 교환한 편지를 신학교수회와 종교의회에 제출했다. 1619년 7월 31일에 “오류투성이 허상을 버리고 겸손한 믿음으로 신성한 진리를 받아들여라”는 공식 평결이 나왔다. 결국 케플러는 자신의 신학적인 신념으로 인해 루터교와 완전히 결별했다. = = = 재혼 = = = 1613년 10월 30일, 43살의 케플러는 25살의 수잔나 로이팅어와 재혼하였는데, 청혼 과정이 상당히 독특했다. 연애에 서툴러 구혼 상대를 쉽게 찾지 못하던 케플러는 신부가 될만한 여성을 이름이 아닌 자신이 정한 후보 번호로 평가하였다. 후보는 1번에서 11번까지였으며 쉽게 마음을 정하지 못했던 케플러의 서툰 구혼 솜씨는 당시 린츠 시민들의 가십거리가 되었다. 그러는 와중에 케플러는 용기를 내어 가장 마음에 들어한 5번 후보, 로이팅어에게 청혼하여 결혼에 성공하였다.뵐켈, 위의 책 133 ~ 135쪽 케플러는 로이팅어를 “겸허한 성실, 살림 솜씨, 근면함, 의붓자식들에 대한 사랑으로 나를 이겨낸 여자”라고 표현하였다.Quotation from Connor, Kepler's Witch, p 252, translated from an October 23, 1613 letter from Kepler to an anonymous nobleman 재혼 초에 얻은 세 아이들(마르가레타 레기나, 카탈리나, 세발트)은 모두 어렸을 때 죽고 말았지만 이후에 낳은 세 아이는(1621년생 초르둘라, 1623년생 프리드마르, 1625년생 힐데베르트) 어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카스파, 케플러, 220쪽 ~ 223쪽; 코너, 케플러의 마녀, 251쪽 ~ 254쪽 이후 부인 수잔나에 대한 이야기는 더이상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지만 케플러의 결혼생활은 행복했던 것으로 보인다.뵐켈, 위의 책 136쪽 = = = 포도주통의 신계량법―구분구적법 = = = 린츠에서 케플러가 처음 쓴 책은 포도주통의 신계량법(Nova stereometria doliorum vinariorum)이다. 케플러는 마티아스 황제의 부름을 받아 도나우강을 따라 레겐스부르크로 가던 도중, 강둑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포도주통처럼 경계가 지어져 있는 것을 보고 그 부피를 수학적으로 증명하려고 했다. 케플러는 통의 표면이 직선이 아니기 때문에 얇은 판을 무한히 겹쳐 놓은 것과 대략 같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모든 물체의 부피를 계산하는 데 이 방법과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뵐켈, 위의 책 137쪽 연구 결과 나온 책의 원제는 〈포도주통을 이용한 구적법과 부피 측정법〉이라는 다소 우스꽝스러운 이름이었다. 책은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고 출판업자들도 나서지 않아 케플러는 인쇄공 요하네스 플랑크를 직접 린츠로 데려와 1615년에 출판했다. 린츠의 대의원회는 이 책에 별다른 인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계약서대로 루돌프 표과 지도 제작에나 집중하라고 충고했다. 케플러는 원추 곡선이 만들어 내는 원, 타원, 포물선 등의 도형에 이를 일반화하려고 했다. 정밀성은 다소 떨어졌지만 이 책은 17세기 적분학의 기초가 되었다. = = = 코페르니쿠스 천문학 개요 = = = 신천문학의 완성 이후로, 케플러는 천문학 책을 만들려는 마음을 먹고 있었다카스파, 케플러, 239쪽 ~ 240쪽, 293쪽 ~ 300쪽. 1615년 그는 코페르니쿠스 천문학 개요의 처음 세 권을 완성했고 이후 4권은 1620년에, 그리고 5 ~ 7권은 1621년에 출판하였다. 케플러의 이 책은 타원궤도의 법칙의 결정판으로 지동설을 연상시키는 제목에도 불구하고 케플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업이 되었다. 이 책은 행성운동의 세 법칙의 모든 것을 품고 있었으며 천체운동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였다.Gingerich, "Kepler, Johannes" from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302쪽 ~ 304쪽 그러나 이 책에서 (앞의 두 행성운동법칙을 노골적으로 달과 목성의 주요 위성들에까지 확대 해석하긴 했지만) 어떻게 관측 자료로부터 타원형 궤도를 결론지었는지에 설명하지는 않았다.Wolf, A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Philosophy, 140쪽 ~ 141쪽; Pannekoek, A History of Astronomy, 252쪽 루돌프 표과 관련된 추산 위치표의 속편으로 케플러는 점성술 달력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이 매우 인기 있어 다른 연구를 하는 데의 비용까지 충당해 주었다.(특히 황실 금고에서 받아야 할 봉급이 체불되었을 때) 1617년에서 1624년까지 6년간 케플러는 이 달력에서 행성의 위치와 날씨 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건까지 예측하였다. 후자인 정치적 예측은 종종 정확하게 들어맞았는데 이는 케플러가 당시의 정치적, 신학적 긴장 상태를 잘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624년에 이르는 기간까지 주변의 긴장 상황은 그 정도가 심해져 갔고 예언 자체의 모호함 때문에 케플러는 정치적으로 곤란한 위치에 처했다. 그라츠에서는 케플러의 달력이 공개적으로 불태워지기까지 했다.카스파, 케플러, 239쪽, 300쪽 ~ 301쪽, 307쪽 ~ 308쪽 = = = 어머니의 마녀 재판 = = = = = = 마녀사냥 = = = 1615년 케플러의 동생 크리스토프와 금융적으로 분쟁 관계에 있던 우르술라 라인볼트라는 여자는 케플러의 어머니 카타리나가 사악한 술수로 자신을 병들게 했다고 주장했다.카스파, 케플러, 240쪽 ~ 264쪽; 코너, 케플러의 마녀, 1장, 11장 ~ 13장; 리어, 케플러의 꿈, 21쪽 ~ 39쪽 라인볼트는 임신한 아이를 지우기 위해 약물을 복용했다가 탈이 났다. 그녀는 자기 병이 뷔르템베르크 궁정 이발사이자 외과의사인 자기 오빠의 엉터리 처방 때문이 아니라 3년 반 전에 카타리나가 지어준 약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해 8월, 카타리나는 작은아들 크리스토프와 마을 목사인 사위 게오르크의 도움으로 라인볼트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뵐켈, 위의 책 166 ~ 167쪽 이때쯤 케플러의 꿈이 알려졌는데, 그 소설에서 주인공의 어머니가 악령을 부리는 노파라는 설정이 화근이었다. 며칠 뒤에는 문제를 더욱 꼬이게 하는 일이 발생했다. 카타리나가 한 소녀와 좁은 길에서 마주쳤고 카타리나는 소녀의 옷을 털어 주었다. 그러자 소녀는 “부인이 내 팔을 쳤고, 그 다음부터 팔이 점점 더 아프더니 감각도 없고 움직일 수도 없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소녀는 라인볼트 집안에 빚이 있던 할러 집안의 딸이었다. 라인볼트의 오빠의 친구였던 레온베르크 법원 집행관 아인호른은 소녀의 팔에 난 타박상을 “마녀의 손자국”이라고 밝히며 이 사건을 슈투트가르트 고등 종교 평의회로 올려 보냈다. 카타리나는 린츠의 아들 집으로 황급히 몸을 피했고 케플러는 직접 재판에 개입하기로 했다.뵐켈, 위의 책 168 ~ 171쪽 = = = 어머니의 자기변호 = = = 1620년 7월, 라인볼트 일가는 공작을 통해 사건을 형사 사건화했다. 종교 평의회는 카타리나의 체포와 심문, 고문을 명령했다.뵐켈, 위의 책 174쪽 결국 카타리나는 한밤중에 빨래 통에 처박혀 끌려갔다. 이 당시 중부 유럽에서 마녀 재판은 상대적으로 일반적인 일이었다. 특히 카타리나는 심술궂은 노파였는데 말참견으로 권력가들의 심기를 건드리기 일쑤였는데다 수면제와 환각제를 몰래 팔기까지 했다. 때문에 케플러는 어머니가 투옥된 것은 어느 정도 자업자득이라고 생각했다. 1620년 8월 초부터 카타리나는 14개월 동안 투옥당했다. 그러나 고발자들은 그녀가 케플러의 꿈에 나오는 약품을 혼합하고 악령을 사역하여 그 도움을 받는다는 잘못되고 헛된 소문 외에 확실한 물증은 아예 없었다. 거기다 서둘러 뷔르템베르크로 달려온 케플러가 주민들이 걸린 질병 등의 과학적 이유를 찾으려 동분서주했다. 튀빙겐 대학교 법학부에 소속되어 있던 동창 베솔트도 케플러를 도왔다. 하지만 케플러와 베솔트가 아무리 노력해도 증거불충분 이상의 판결을 기대할 수는 없었다. 카타리나는 구두(口頭) 고문에 처해졌다.뵐켈, 위의 책 176쪽 집행관 아울버는 카타리나에게 고문 기구들을 내보이며 이실직고하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카타리나는 혐의를 부인하고 자신의 결백은 자신이 죽은 후 하나님께서 증명해 주실 것이라고 발악했다. 그러더니 그녀는 몸을 수그려 주기도문을 외웠다. 고문의 위협 속에서도 혐의를 부인한 증언이 참고가 되어 마침내 혐의가 기각되었다.뵐켈, 위의 책 177 ~ 179쪽 1621년 10월 3일 카타리나는 대가를 충분히 치렀다는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으나 시름시름 앓다가 6개월 후 사망하였다. = = = = 연구 = = = =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케플러는 "조화 이론"에 대한 연구를 뒤로 미루었는데, 이 연구의 결과물이 1619년 출판된 세계의 조화이다. = = = 세계의 조화―조화의 법칙 = = = 케플러는 어머니가 마녀로 몰린 어처구니없는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이리저리 다니던 도중 기분 전환용으로 빈센조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 수학자이자 음악가.의 고대와 현대 음악과의 대화라는 책을 들고 다녔다. 여기서 빈센조는 피타고라스의 조화에 대한 이론을 옹호했다.뵐켈, 위의 책 143쪽 케플러는 ‘조화’라고 하는 세계의 수학적 규칙을 찾으려 했고, 기하학에 감명을 받아 “기하학적 물체가 전 우주의 모형을 떠오르게 하였다”고 했다카스파, 케플러, 265쪽 ~ 266쪽, 세계의 조화에서 번역한 인용구. 세계의 조화에서 케플러는 자연계, 특히 천문학적, 점성학적인 면에서의 자연계의 조화를 음악적 관점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세계의 조화의 중심 설정은 피타고라스, 프톨레미 등 많은 케플러 이전의 천문학자들이 연구했던 〈천체의 음악〉이나 〈천상의 음악〉 이었는데, 세계의 조화의 출판 직후에 케플러는 비슷한 때에 독자적으로 조화 이론을 출판했던 로버트 플루드와 선취권 논쟁에 휩싸였다카스파, 케플러, 264쪽 ~ 266쪽, 290쪽 ~ 293쪽. 케플러는 케플러의 다면체라고 알려진 형태들까지 포함하여 정다각형와 정다면체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여기서부터 케플러는 자신의 조화 분석을 음질에서 기인하는 조화가 천체의 영혼에 의해 만들어지며, 점성술의 경우에는 이 음질과 인간의 영혼이 상호작용한다고 음악, 기상학, 점성술에까지 확장했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제5권)에서 케플러는 행성운동에 대해 특히 궤도 진입 최저 속도와 태양에서의 궤도 거리의 관계를 다루었다. 비슷한 관계들은 다른 천문학자들도 사용한 바 있지만 케플러는 튀코의 관측 자료와 자신의 천문학 이론으로 훨씬 더 정밀하게 다루었으며 물리적인 중요성을 부여했다카스파, 케플러, 266쪽 ~ 290쪽. 다른 많은 조화 가운데 케플러는 오늘날 행성운동의 제3법칙으로 알려져 있는 것을 명료하게 표현했다. 그는 〈행성의 공전주기의 제곱은 궤도의 장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라는 것을 (거의) 발견하기까지 많은 조합들을 시도했다. 그러나 천체역학의 넓은 의미에서 이 순수한 운동학적 법칙은 1660년대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후 원심력에 대한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새로운 법칙이 결합되어, 이 법칙은 아이작 뉴턴, 에드먼드 핼리와 크리스토퍼 렌과 로버트 훅이(아마도) 태양과 그 행성들 간의 중력적 인력이 그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추측을 독립적으로 증명하도록 도와주었다웨스트폴, Never at Rest, 143쪽, 152쪽, 402쪽 ~ 403쪽; 툴민과 굿필드, The Fabric of the Heavens, 248쪽; De Gandt, 〈Force and Geometry in Newton's Principia〉, 제2장; 울프,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Philosophy, 150쪽; 웨스트폴, The Construction of Modern Science, 제7 ~ 제8장. 여기서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근본 원인이 자기력과 비슷한 어떤 성격의 것이라고 제안했다. 물론 중력·만유인력과 자기력은 다르지만 케플러는 그 개념을 예견한 것이다. 한편 케플러는 겸손한 사람은 아니라서 자신의 발견을 “신의 환희”, “열광의 도가니”라는 식으로 자화자찬했다. = = = 30년 전쟁의 시작 = = = 케플러는 1621년 12월에 린츠로 돌아왔다. 그러나 그 당시 유럽의 정치적 상황은 급격히 변하고 있었다. = = = = 투척사건 = = = = 1618년, 체코 프라하에서 성난 개신교도 대의원들이 프라하 황궁을 덮쳐 가톨릭 교도 집정관 두 명을 황궁 창밖으로 집어 던지는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이 발생했다.뵐켈, 위의 책 158쪽 1619년에는 마티아스 황제가 서거하고 근본주의 성향의 가톨릭 교도 페르디난트 대공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이어받았으며, 그 결과 1621년 6월 27일, 프라하에서 케플러의 오랜 벗 예세니우스를 포함한 27명의 개신교도들이 페르디난트 2세황제에 의해 사형당했다. 예세니우스는 혀를 잘린 다음 사지가 찢겨 죽었다. 사형수들의 목은 경고의 의미로 썩어질 때까지 10년간 전시되었다.뵐켈, 위의 책 180쪽 이것이 유럽 최초의 세계대전이었던 30년 전쟁의 시작이었다. = = = = 제국의 수학자 = = = = 케플러가 살던 린츠도 프라하만큼은 아니었지만 유럽 전역을 뒤덮은 광신에 휩쓸렸다. 케플러를 루터교회에서 쫓아냈던 다니엘 히츨러도 감옥에 끌려갔다. 하지만 독실한 개신교도였던 케플러는 루터교와 결별한 후 개신교도들에게 거부당하는 입장이었고 제국 수학자라는 신분 덕분에 다른 개신교도들이 박해받는 상황에서도 안전했다. 오히려 1621년 12월 30일에는 페르디난트 황제가 자신을 제국 수학자로 공식 임명하자 케플러는 깜짝 놀랐다.뵐켈, 위의 책 182쪽 = = 말년 (1626년 ~ 1630년) = = = = = 루돌프 표 = = = 마침내 1623년 케플러는 루돌프 표(전 후원자이던 루돌프 2세의 이름을 딴 것)를 완성했고 이 표는 당대에 그 자신의 주저로 여겨졌다. 이것은 브라헤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행성의 운동을 예측한 천문표였다. 그러나 황제의 출판 요구와 튀코 브라헤의 유족들과의 합의 때문에 1627년까지 인쇄되지 못했다. 또한 30년 전쟁의 근원이기도 했던 그동안의 종교적 긴장 상태는 다시 한번 케플러 가족들을 위험으로 몰아넣었다. 1625년, 가톨릭 개혁자들은 케플러의 장서들을 봉인해 버렸으며, 1626년에는 린츠 시가 공격당해 케플러는 그가 루돌프 표의 인쇄물을 자비로 편집하던 울름으로 옮겨갔다.카스파, 케플러, 308쪽 ~ 328쪽 루돌프 표를 완성시켰으니, 이제 신교도인 자신은 쫓겨나겠다고 생각했던 케플러는 프라하 황궁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환영해 주자 깜짝 놀랐다.뵐켈, 위의 책 199쪽 황제는 케플러를 정중하게 맞이했다. 케플러가 지난여름 황제의 칙령으로 자신이 이미 해직된 줄 알고 있었다고 하자 황제는 웃으면서 해직은커녕 25년간 연구에 힘쓴 대가로 4천 플로린제국 수학자 10년치 봉급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을 하사했다. 물론 케플러는 프라하 황궁에서의 돈은 상징적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제 알고 있었다. 지금껏 밀린 봉급만 1만 2천 플로린이었다. 전쟁통에 신성 로마 제국의 지급 명령서는 부도 수표나 다름 없었다.뵐켈, 위의 책 205쪽 더구나 페르디난트 황제는 케플러를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고 했다. 케플러는 당시 출세가도를 달리던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공작의 땅으로 가기로 했다. = = = 발렌슈타인과의 인연 = = = 전쟁 때문에 케플러는 후원자를 모두 잃었다. 비주류라는 이유로 루터교에서 쫓겨났던 케플러는 이번에는 루터교에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가톨릭의 박해를 받았다. 1628년, 발렌슈타인 장군이 지휘하던 페르디난트 황제 군대가 승리하자, 가톨릭으로 개종하기 싫었던 케플러는 발렌슈타인의 땅으로 갔다. 발렌슈타인은 어떤 종파든 기독교이기만 하면 모두 용인했다. 케플러는 종교 문제에서 자기 안전을 도모해야 했고, 발렌슈타인은 석학인 케플러를 휘하에 두어 자신이 학문과 과학을 아끼는 교양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선전하려고 했다.뵐켈, 위의 책 203쪽 20년 전 프라하에서 별점을 봐 주었던 케플러를 다시 만난 발렌슈타인은 다시 한번 정확하게 점을 봐 달라고 요구했는데, 새로 본 별점에서 1634년에 ‘무시무시한 흉조’가 들어 있었다.우연의 일치인지, 발렌슈타인은 1634년에 황제에게 버림받고 살해당한다. 발렌슈타인은 케플러의 점성술 자문을 듣고자 했지만, 케플러는 권력자의 점성술 자문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자리를 맡으려고 하지 않았고 발렌슈타인과 모종의 타협을 했다. 케플러는 행성의 위치 정보만 제공하고, 그 해석은 발렌슈타인의 개인 점성술사 기안바티스타 제노가 담당했다. 한편, 페르디난트 황제는 체불된 케플러의 봉급 1만 1817 플로린 문제를 발렌슈타인이 알아서 해결하라고 맡겨 버렸다. = = = 죽음 = = = 말년에 케플러는 돈 독촉을 위한 여행에 시간을 대부분 쏟았다. 프라하에서부터 린츠, 울름, 사간(Sagan)으로 옮겨 다녔다. 이즈음 사간에서 반개혁 정책이 시작되어 케플러는 경제적인 문제에 정신적 충격까지 받아야 했다.뵐켈, 위의 책 206 ~ 207쪽 케플러는 고독감을 달래려고 스트라스부르의 친구 마티아스 베르게너와 서신으로 왕래했다. 이 과정에서 베르게너는 케플러의 딸 수산나의 결혼 중매인으로 나섰고 수산나는 1630년 3월 12일에 야콥 바르타쉬와 결혼했다. 바르타쉬는 루돌프 표을 기초로 천문력을 출간한 최초의 인물이었다.뵐켈, 위의 책 208쪽 또 그해 4월 초에는 매우 긴 주석을 단 꿈 개정판 출판 작업을 시작했다. 그런데 자금 사정이 또다시 악화되었다. 오스트리아 북부에서 투자하기로 한 3500 플로린이 1년이 지나도록 들어오지 않았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케플러에게 린츠로 직접 찾아오라고 했다. 또한 발렌슈타인이 제국군 최고 사령관에서 해임되는 바람에 밀린 제국 수학자 봉급 1만 2천 플로린의 수령이 불투명해졌다.뵐켈, 위의 책 216쪽 케플러는 1630년 10월 8일에 다시 여행을 떠났다. 린츠에 들러서 돈 독촉을 하고 라이프치히 도서전에 들러 재고 도서를 처리하고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1630년 7선제후 회의에 직접 참석해 정치적 세태를 지켜보는 것이 여행의 목적이었다.뵐켈, 위의 책 217쪽 케플러는 린츠, 라이프치히, 뉘른베르크를 거쳐 11월 2일에 레겐스부르크에 도착하였지만 차가운 가을 바람을 맞으며 여행한 것이 화근이 되어 병이 들었다. 처음에는 가벼운 병인 줄 알았으나 고열이 덮치고 섬망 상태에 빠지는 등 상태가 악화되었다. 죽기 직전 케플러는 곁에 있던 목사에게 자신은 개신교와 가톨릭을 화해시키려고 최선을 다했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자 목사는 그것은 예수와 사탄을 화해시키려는 발상이라고 대꾸했다.뵐켈, 위의 책 218쪽 케플러는 1630년 11월 15일 사망하여 레겐스부르크 성벽 밖의 성 베드로 개신교 묘지에 묻혔고 그날 저녁 하늘에서 유성이 떨어졌다.(유성우가 내렸다고도 한다) 선제후 회의를 위해 모인 신성 로마 제국의 명망가들이 장례식에 참석했다.뵐켈, 위의 책 219쪽 케플러의 비문은 “어제는 하늘을 재더니, 오늘 나는 어둠을 재고 있다. 나는 뜻을 하늘로 뻗쳤지만 육신은 땅에 남는구나.”였다. 그러나 30년 전쟁 와중에 스웨덴의 구스타프 아돌프 왕 군대에게 묘지가 훼손되어 무덤마저 사라졌다.카스파, 케플러, 332쪽 ~ 351쪽, 355쪽 ~ 361쪽 = = 케플러의 이론에 대한 평가 = = 케플러의 법칙은 바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나 르네 데카르트 같은 석학들마저 케플러의 신천문학을 깡그리 무시했으며 케플러의 스승 미하엘 매스틀린을 포함한 천문학자들은 케플러가 물리학을 천문학에 대입하려던 시도를 마땅찮게 여겼다.For a detailed study of the reception of Kepler's astronomy see Wilbur Applebaum, "Keplerian Astronomy after Kepler: Researches and Problems," History of Science, 34(1996): 451-504.쿠아레, 천문학적 혁명, 362쪽 ~ 364쪽노스, 천문학과 우주론의 역사, 355쪽 ~ 360쪽 여러 천문학자들은 케플러의 이론과 그 응용물을 천체 관측을 통해 검증했다. 금성과 수성이 정상적으로 관측될 수 없는 상황 하에 이 두 행성의 일면통과 두 번으로 이론의 민감한 점을 시험할 수 있었다. 1631년 11월 7일의 수성 일면통과의 경우에 케플러는 수성에 대한 변수가 극단적으로 불확실하기 때문에 일면통과 예정일보다 일찍 찾아보라고 관측자들에게 충고했다. 피에르 가상디는 예정된 날짜에 일면통과를 관측했으며 이것은 케플러의 예측을 확증했다.앨버트 반 헬덴, 〈1631년 수성 일면통과의 중요성〉, 천문학사에 대한 저널, 7호 (1976년): 1쪽 ~ 10쪽. 이 관측은 최초의 수성 일면통과 관측이었다. 그러나 금성 일면통과 관측 시도는 거의 한 달 뒤였고 루돌프 표의 부정확성에 기인하여 실패했다. 가상디는 당시 금성 일면통과가 파리를 포함한 유럽 대부분에서 볼 수 없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1639년 금성 일면통과를 관측한 제러마이아 호록스는 케플러의 모형의 변수를 조절하기 위해 자기의 관측 결과를 사용했으며, 일면통과 관측을 위한 기계장치를 만들었다. 그는 케플러의 학설을 옹호하는 단체를 남겼다앨런 챔프먼, 〈제러마이아 호록스, 금성 일면통과, 그리고 17세기 초기 영국의 신천문학〉,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1호 (1990년): 333쪽 ~ 357쪽.노스, 천문학과 우주론의 역사, 348쪽 ~ 349쪽Wilbur Applebaum과 Robert Hatch, "Boulliau, Mercator, and Horrock's Venus in sole visa: Three Unpublished Letters," 천문학사에 대한 저널, 14호 (1983년): 166쪽 ~ 179쪽. 한편 케플러는 다른 16 ~ 17세기의 천문학자들처럼 근대에 비해 고대의 천문학이 조잡하다는 것을 강조했는데 스티븐 샤핀은 이것이 고대의 진리가 수 세기 동안 모방자와 주석자를 거치며 손상되었다고 생각한 인문주의의 영향이라고 말한다. 샤핀에 의하면 케플러의 이런 사상은 루돌프 표의 권두화로 사용된 유명한 판화 작품에서도 잘 드러난다. 판화에서 천문학의 여신 신전 뒤쪽에는 투박하고 구조적인 양식의 기둥이 고대 천문학의 조잡함을 드러내고 있고 신전의 앞에 있는 코페르니쿠스와 튀코는 이오니아식·코린트식의 우아한 기둥 옆에 서 있다. 케플러는 인문주의자면서도 열성적인 플라톤주의자였는데 그의 최초의 학설인 ‘코스모스의 신비’론에서 이런 점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케플러의 대표적 저서 중 하나인 코페르니쿠스 천문학 개요는 유럽 곳곳의 천문학자들이 읽었고 이것이 케플러가 죽은 뒤 그의 아이디어들이 퍼지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 1630년과 1650년 사이에 이 책은 천문학 교본에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며, 천문학의 기반을 타원궤도로 전환시켰다.징거리치, "Kepler, Johannes" from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302쪽 ~ 304쪽 과학사가 제임스 R. 뵐켈은 케플러의 업적이 갈릴레오의 업적보다 천문학적으로 더욱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케플러는 행성운동법칙 제3법칙을 연구할 당시 지구에 적용되는 측정 가능한 물리 법칙, 즉 정량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법칙들이 천체들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점을 간파했고 이로써 인류사 최초로 천체 운동에서 신비주의가 배제되었다. 또한 케플러는 권력자와 권위자만이 지식을 안전하게 맡을 수 있다고 생각한 튀코와는 대조적으로 대학교에서 천문학을 강의했고 천문학 서적을 출판했으며 SF 소설을 쓰는 등 과학의 대중화에도 힘썼다. 케플러는 꿈에서 지구의 자전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지동설을 부정하는 대중에게 지구 자전은 “가능한 일이고 멋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것”임을 알리려고 애썼다. 물론 케플러는 세이건, 도킨스, 굴드 등 현대의 과학저술가들만큼 과학 대중화에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하지만 세이건은 튀코에서 케플러에 이르는 한 세대 사이에 과학자들이 대중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평가했다. 케플러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도 발휘했는데 그는 미래의 하늘에 “천상의 바람을 잘 탈 수 있는 돛단배”들이 날아다니고 우주 공간이 “우주의 광막함을 두려워하지 않는 탐험가들”로 그득할 것이며 “용기 있는 인간은 무한한 공간으로 진출할 것이다.”라고 했다. 막스 크루제는 이 말을 우주 여행에 대한 통찰로 해석했다. = = 역사적·문화적 영향 = = 케플러는 천문학과 자연철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철학과 과학의 사학사에서 매우 중대한 인물이다. 케플러와 그의 운동 법칙은 장 몽투클라의 수학의 역사(1758년)와 장밥티스트조지프 들랑브르의 근대 천문학의 역사(1821년) 같은 초기 천문학 사학의 중심에 있었다. 이런 계몽주의 사고방식으로 쓰인 사서들은 무신론·불신자들과 케플러 사이에 펼쳐진 철학적, 종교적 논쟁을 다루었지만 이후의 낭만적 자연철학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케플러의 성공에 중심을 두고 생각했다. 윌리엄 휴얼은 자기 저서 귀납적 과학의 역사(History of the Inductive Sciences, 1837년)에서 케플러를 귀납적인 과학 천재의 전형으로 평가했다. 휴얼은 이후 귀납적 과학의 철학(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s, 1840년)에서는 가장 진보된 형태의 과학적 방법을 구현한 화신으로 케플러를 치켜세웠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케플러의 원고들(예카테리나 대제가 구입했다)을 최초로 광범위하게 연구한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아펠트는 케플러를 '과학 혁명의 열쇠'라고 강하게 주장했으며 케플러의 수학 연구와 그의 심미적 감수성, 통합된 사고 시스템의 일부로서의 신학과 물리학적 아이디어를 보고 케플러의 인생과 연구를 최초로 확장해 분석하였다.Jardine, 〈쿠아레의 케플러/케플러의 쿠아레〉, 363쪽 ~ 367쪽 현대로 접어든 19세기 후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케플러 저작들이 번역되어 대중에게 보급되었다. 케플러 전집의 조직적인 출판은 1937년에 시작되어 최근에 이르러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으며 막스 카스파의 케플러 일대기는 1948년에 출판되었다.징거리치, 카스파의 케플러 서설, 3쪽 ~ 4쪽 한편, 알렉상드르 쿠아레의 케플러를 다룬 저작은 아펠트의 뒤에, 케플러의 우주론과 그 영향에 대한 역사적 해석의 주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쿠아레를 비롯하여 많은 과학사 분야의 제1세대 전문가들은 〈과학 혁명〉이라는 개념을 과학사의 중심 사건으로, 케플러는 그 혁명의 중심 인물로 묘사하였다.Jardine, 〈쿠아레의 케플러/케플러의 쿠아레〉 367쪽 ~ 372쪽; 샤핀, 과학 혁명, 1쪽 ~ 2쪽 과학 혁명에서 케플러의 위치에 대한 논쟁으로, 철학적이고 대중적인 평가는 매우 다양해졌다. 가장 영향력 있는 관련 서적 중 하나인 아서 쾨슬러의 몽유병자들(The Sleepwalkers, 1959년)에서 케플러는 의심할 나위 없는 과학 혁명의 영웅(지성적인 면 뿐만 아니라 도덕적, 신학적으로도)으로 그려진다스티븐 툴민, 몽유병자들 서평, The Journal of Philosophy 59권, no. 18 (1962년), 500쪽 ~ 503쪽. 찰스 샌더스 퍼스, 노우드 러셀 핸슨, 스티븐 툴민, 칼 포퍼 같은 영향력 있는 과학철학자는 재삼재사 케플러를 연구한다. 통약불가능성, 유추적 추론, 반증 가능성, 그 외 많은 철학적 개념을 케플러의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분석심리학과 과학 수사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에 케플러와 로버트 플러드 사이에 있던 선취권 분쟁을 이용했다.파울리, 〈The Influence of Archetypical Ideas〉 존 반빌의 가공의 역사 소설 케플러(Kepler, 1981년)는 쾨슬러의 논픽션 내러티브의 자세한 기술과 과학철학의 테마를 다수 답사했는데윌리엄 도너휴, 〈소설가의 케플러〉, 저널 포 더 히스토리 오브 애스트로노미, 13권 (1982년), 135쪽 ~ 136쪽; 〈Dancing the grave dance: Science, art and religion in John Banville's Kepler〉, English Studies, 86권, no. 5 (2005년 10월), 424쪽 ~ 438쪽 이것보다 더욱 가공적인 것은 최근에 쓰인 논픽션 하늘의 음모(Heavenly Intrigue, 2004년)로 케플러가 튀코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튀코를 살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Marcelo Gleiser, "Kepler in the Dock", review of Gilder and Gilder's Heavenly Intrigue, 저널 포 더 히스토리 오브 애스트로노미, 35권, pt. 4 (2004년), 487쪽 ~ 489쪽 한편 오스트리아에서 많은 역사적 유산을 남긴 케플러는 가장 유명한 은제 기념주화 중 하나인 10유로 요하네스 케플러 은화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이 기념주화는 2002년 9월 10일에 주조되었다. 케플러는 한스 울리히 폰 에겐베르크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었고 에겐베르크 성의 축조와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은화 앞면에는 이 에겐베르크 성이 있고 은화의 뒷면에는 케플러의 초상화가 있다. 뒷면의 케플러 초상화 앞에는 우주구조의 신비에 나오는 구와 다면체가 겹쳐진 모형이 있다. 2009년, 미국 항공우주국은 케플러의 천문학에 대한 기여를 기리기 위해 우주 망원경에 케플러의 이름을 붙였다. 이것이 케플러 계획이다. 뉴질랜드의 피오르랜드 국립 공원에는 케플러의 이름이 붙은 산맥이 있는데 케플러 산맥이라고 불리며 산맥을 관통하는 산책로 이름 역시 케플러 트랙이다. 이렇듯 이제 케플러는 과학의 현대화와 그 이전의 인물들의 아이콘이자 대중적인 이미지로 자리잡았다. 과학의 대중화에 힘쓴 저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케플러를 “마음에 드는 환상보다 냉혹한 현실의 진리를 선택한 최초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최후의 과학적 점성술사칼 세이건, 코스모스, 3부: 〈지상과 천상의 하모니〉, 115쪽에서 인용. “인류사에서 마지막으로 나타난 과학적 점성술사가 우리가 만난 최초의 천체물리학자였던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 = 저작 = = 우주구조의 신비 (Mysterium cosmographicum , 1596년) 비텔로를 보완한 천문학의 광학적 측면에 대한 해설 (Ad Vitellionem Paralipomena, Quibus Astronomiae Pars Optica Traditur, 1604년) 뱀주인자리의 발 부분에 있는 신성 (De Stella nova in pede Serpentarii, 1604년) 신천문학 (Astronomia nova, 1609년) 제3자의 개입 (Tertius Interveniens, 1610년) 별의 메신저와의 대화 (Dissertatio cum Nuncio Sidereo, 1610년) 굴절광학 (Dioptrice, 1611년) 육각형 눈송이에 관하여 (De nive sexangula, 1611년) 진실한 1년에 대해, 영원한 신의 아들의 성모 마리아의 자궁에서 나온 인간으로서의 성격 (De vero Anno, quo aeternus Dei Filius humanam naturam in Utero benedictae Virginis Mariae assumpsit, 1613년) 전원시의 역사 (Eclogae Chronicae, 1615년) 포도주통의 신계량법 (Nova stereometria doliorum vinariorum, 1615년) 코페르니쿠스 천문학 개요 (Epitome astronomiae Copernicanae, 1618년 ~ 1621년) 세계의 조화 (Harmonice Mundi, 1619년) 우주구조의 신비 제2판 (Mysterium cosmographicum, 1621년) 루돌프 표 (Tabulae Rudolphinae, 1627년) 꿈 (Somnium, 1634년) = 부안 (연호) = 부안( / 1592년 11월 ~ 12월)은 베트남 막 왕조(莫朝)의 감국(監國) 막또안(莫全)의 연호이다. 부안 원년(1592년) 12월, 당안왕(唐安王) 막낀찌(莫敬止)가 자립후 칭제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다. 이후, 막낀지의 세력이 확장되면서 막 왕조의 감국인 막또안이 감국을 거두고 스스로 물러나게 된다. = = 개원 = = 홍닌(洪寧) 2년 11월 25일임진년(壬辰年) 11월 신사일(辛巳日)(1592년 12월 28일)에 막또안이 감국으로 임명되며, 연호를 부안(武安)으로 개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속편(本紀續編) 2 - 여황조기(黎皇朝紀) 8《대월통사》(大越通史) 역신열전(逆臣列傳)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부안(武安) 원년(1592년) 12월에 막낀찌의 칭제 후, 연호를 바오딘(寶定)으로 개원함. = = 연대 대조표 = = 부안 원년 서기(西紀) 1592년 간지(干支) 임진(壬辰) 후 레 왕조(後黎朝) 꽝흥(光興)15년 명(明) 만력(萬曆)20년 = = 동시대 연호 = = = = = 베트남 = = = 꽝흥(光興) (1578년 ~ 1599년) = = = 중국 = = = 만력(萬曆) (1573년 ~ 1620년) = = = 일본 = = = 분로쿠(文祿) (1592년 ~ 1596년) = 모듈:Location map/data/Scotland Moray = return { name = 'Moray', top = 57.75, bottom = 57.05, left = -3.8, right = -2.55, image = 'Moray UK location map.svg', image1 = 'Moray UK relief location map.jpg' } = 이용규 (가수) = 이용규(李勇揆, , 1954년 7월 16일 ~ 2021년 3월 3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보컬 팝 음악 그룹 코리아나의 구성원이었다. 호(號)는 옥헌(沃櫶)·우롱(雨瀧)·부룡(釜龍). 경상남도 부산에서 출생하였고 경기도 인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서울에서 성장하였으며 1962년 2월, 미8군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보컬 음악 그룹 〈코리아나〉의 보컬리스트로 데뷔하여 가수 활약하였다. = = 학력 = = 1962년 서울숭덕국민학교 중퇴 1965년 중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 = = 이외 약력 = = 새정치국민회의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1995년 12월~1996년 6월) 새천년민주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2000년 10월~2001년 1월) 기독사랑실천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2005년 11월~2006년 2월) 기독자유민주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2014년 1월~2014년 3월) 기독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2015년 1월~2015년 3월) = 쇼카 = 쇼카(正嘉, しょうか)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다. 전후 : 고겐(康元) 이후 - 쇼겐(正元) 이전. 시기 : 1257년 ~ 1258년 천황 : 고후카쿠사 천황 쇼군 : 가마쿠라 막부의 무네타카 친왕 싯켄 : 호조 나가토키 = = 개원(改元) = = 고겐 2년 3월 14일(율리우스력 1257년 3월 31일), 개원. 쇼카 3년 3월 26일(율리우스력 1259년 4월 20일), 쇼겐으로 개원된다. = = 출전 = = 『예문유취』의 「採秦漢之舊儀,肇元正之嘉會。」 = = 쇼카 시기에 일어난 일 = = = = 서력과의 대조표 = = 쇼카 원년 2년 3년 서력 1257년 1258년 1259년 간지 정사 무오 기미 = 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의 반란 = = 타타르 공화국의 행정 구역 = 다음은 타타르 공화국의 행정 구역에 관한 설명이다. *도시 카잔 (Казань) (수도) *구 **아비아스트로이텔니 구 (Авиастроительный) **키롭스키 구 (Кировский) **모스콥스키 구 (Московский) **노보사비놉스키 구 (Ново-Савиновский) **프리볼시스키 구 (Приволжский) **소베츠키 구 (Советский) **바히톱스키 구 (Вахитовский) 알메티옙스크 (Альметьевск) 아즈나카예보 (Азнакаево) 바블리 (Бавлы) 부굴마 (Бугульма) 부인스크 (Буинск) 치스토폴 (Чистополь) 레니노고르스크 (Лениногорск) 나베레주니예첼니 (Набережные Челны) 니즈네캄스크 (Нижнекамск) 누를라트 (Нурлат) 옐라부가 (Елабуга) 자인스크 (Заинск) 젤레노돌스크 (Зеленодольск) *군 아그리스키군 (Агрызский) * 아그리스 (Агрыз) 악수바옙스키군 (Аксубаевский) * 악수바예보 (Аксубаево) 악타니시스키군 (Актанышский) 알렉세옙스키군 (Алексеевский) * 알렉세옙스코예 (Алексеевское) 알케옙스키군 (Алкеевский) 알메티옙스키군 (Альметьевский) * 니즈냐야막타마 (Нижняя Мактама) 아파톱스키군 (Апастовский) * 아파스토보 (Апастово) 아르스키군 (Арский) * 아르스크 (Арск) 아트닌스키군 (Атнинский) 아즈나카옙스키군 (Азнакаевский) * 악튜빈스키 (Актюбинский) 발타신스키군 (Балтасинский) * 발타시 (Балтаси) 바블린스키군 (Бавлинский) 부굴민스키군 (Бугульминский) * 카라바시 (Карабаш) 부인스키군 (Буинский) 체렘샨스키군 (Черемшанский) 치스토폴스키군 (Чистопольский) 드로시사놉스키군 (Дрожжановский) 캄스코우스틴스키군 (Камско-Устьинский) * 캄스코예우스티예 (Камское Устье) * 쿠이비솁스키자톤 (Куйбышевский Затон) * 테니셰보 (Тенишево) 카이비츠키군 (Кайбитский) 쿠크모르스키군 (Кукморский) * 쿠크모르 (Кукмор) 라이솁스키군 (Лаишевский) * 라이셰보 (Лаишево) 레니노고르스키군 (Лениногорский) 마마디시스키군 (Мамадышский) * 마마디시 (Мамадыш) 멘델레옙스키군 (Менделеевский) * 멘델레옙스크 (Менделеевск) 멘젤린스키군 (Мензелинский) * 멘젤린스크 (Мензелинск) 무슬류몹스키군 (Муслюмовский) 니즈네캄스키군 (Нижнекамский) * 캄스키예폴랴니 (Камские Поляны) 노보셰시민스키군 (Новошешминский) 누를라츠키군 (Нурлатский) 페스트레친스키군 (Пестречинский) 리브노슬로보츠키군 (Рыбно-Слободский) * 리브나야슬로보다 (Рыбная Слобода) 사빈스키군 (Сабинский) * 보가티예사비 (Богатые Сабы) 사르마놉스키군 (Сармановский) * 잘릴 (Джалиль) 스파스키군 (Спасский) * 볼가르 (Болгар) 테튜시스키군 (Тетюшский) * 테튜시 (Тетюши) 투카옙스키군 (Тукаевский) 튤라친스키군 (Тюлячинский) 베르흐네우슬론스키군 (Верхнеуслонский) 비소코고르스키군 (Высокогорский) 옐라부시스키군 (Елабужский) 유타진스키군 (Ютазинский) * 우루수 (Уруссу) 자인스키군 (Заинский) 젤레노돌스키군 (Зеленодольский) * 니즈니예뱌조비예 (Нижние Вязовые) * 바실례보 (Васильево) = 망각의 삶 = 망각의 삶(Living In Oblivion)은 미국에서 제작된 톰 디칠로 감독의 1995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스티브 부세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마르쿠스 비시디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영화는 톰 디칠로 감독에 대해 1995년 선대스 영화제에서 Waldo Salt Screenwriting 상을 받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스티브 부세미 캐서린 키너 더모트 멀로니 다니엘 본 제넥 = = = 조연 = = = 제임스 르그로스 리카 마르덴스 피터 딘클리지 케빈 코리건 힐러리 길포드 로버트 와이트먼 톰 자무시 매튜 그레이스 노먼 필스 로리 탠 친 = = 기타 = = 공동제작: 메레디스 잼스키 협력프로듀서: 제인 길 협력프로듀서: 더모트 멀로니 협력프로듀서: 다니엘 본 제넥 미술: 스테파니 캐롤 미술: 테레즈 드프레즈 의상: 엘렌 루터 배역: 마샤 슐먼 = 미스터 스케핑튼 = 미스터 스케핑튼(Mr. Skeffington)은 미국에서 제작된 빈센트 셔만 감독의 1944년 드라마,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베티 데이비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줄리어스 엡스타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베티 데이비스 클로드 레인스 = = = 조연 = = = 월터 아벨 조지 컬러리스 리처드 워링 로버트 쉐인 존 알렉산더 제롬 코원 도로시 피터슨 = = 제작진 = = 미술: 로버트 M. 하스 의상: 오리 켈리 = 캐세이퍼시픽 항공 700Z편 폭파 사건 = 캐세이퍼시픽 항공 700Z편 폭파 사건은 1972년 6월 15일 싱가포르 창이 공항을 출발한 항공편이다. 이륙 당일 남베트남 상공을 지나가는 순간 항공기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해 추락,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당시 피의자로 한 승객의 약혼자가 체포됐으나, 범행을 입증하지 못하고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 된 후 현재까지 진범이 잡히지 않아 미해결 사건으로 남아있다. = = 사건의 개요 = = 1972년 6월 15일, 싱가포르 - 방콕 - 홍콩 노선을 운행한 캐세이퍼시픽 항공 700Z편은 방콕을 이륙하여 남베트남 중앙 고원 상공 8840m 피트를 순항 속도 648km 비행하고 있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군의 북베트남 폭격이나 베트콩 소탕에 가기 위해 군용 항공기에 우선하고 있었다. 따라서이 민간 항공기의 회랑과 같은기도를 통과하는 민간 항공기는 승무원이 밖을 감시하는 것이었다. 현지 시간 오후 2시경에 700Z편이 갑자기 공중 폭발을 일으켜, 사이공 (지금의 호치민시)에서 300Km 떨어진 쁠레이꾸의 한 정글에 추락했다. 따라서 여객기에 탑승하고 있던 승무원 10명, 승객 71명을 포함 81명 전원이 사망했다. 승객은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일본인 17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중 12명은 동남아 연수 여행에서 귀국하던 군마현의 프로판 가스 판매 업체 일행이고 모두 군마 현내 업계의 중진들이었다. = = 사고 원인 = = 당초 미 공군 기의 오발과 어떤 불행한 원인에 따라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격추 됐다고 볼 수 있었다. 사실, 사고 발생시 부근에 미국 군사 기밀이 7기가 비행하고 미국 군사 기밀을 위해 북베트남이 발사한 지대공 미사일에 맞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었다. 게다가 추락 현장은 최전선 전투 지역이며, 미군 주도의 수색 활동도 어려웠다. 또한 항공을 포함한 남행에서 유럽과 동아시아를 연결하는기도는 모든 인도 차이나 반도 상공을 통과하고 있었지만, 그것까지 추락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군사적 충돌 사고 원인의 의혹이 있었다. 그러나 사고 원인 조사 결과 폭발은 기체 외부의 요인이 아니라 기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내에서 발생한 파편이 바깥쪽으로 튄 흔적이 발견 되었기 때문에이다. 화물칸에 설치되고 폭탄이 폭발하고 그 충격으로 기내에서 튀어나온 좌석이 수직 꼬리 날개 와 우익을 파괴하고 컨트롤 케이블을 손상 시켰기 때문에 조종 불능에 빠져 추락했다고 단정했다. = = 피의자 = = 태국 수사 기관은 약혼자인 여성과 딸을 살해하고 보험금 을 사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녀의 가방에 폭탄을 장치 피의자로 남성을 체포했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2년 후 석방했다. 따라서 이 사건의 진상에 대해서는 아직도 알 수 없다. = 분류:대한민국의 비영리 단체 = = 산자연학교 = 산자연학교는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위치한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의 각종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3년 : 오산자연학교 개교 2007년 : 산자연학교 개교(초등학교 과정) 2009년 : 중학교 과정 개설 2010년 : 초대교장 정홍규(아우구스티노) 신부 취임 2012년 : 고등학교 과정 개설 2014년 : 학력인정 (중학교 과정만 운영) 2015년 : 제1회 졸업 = 후렛샤 = 후렛샤는 한국의 플래시애니 1세대 작가이다. 주요 작품은, 그레이트후렛샤이며 일부작품이외에 대부분의 작품을 헤두락에 공개하고 있다. = = 작품 목록 = = 그레이트후렛샤 세상은랄랄라 랑카스 청춘CD 게임인생극장 쾌남김태퐐 악령도 간장선생 갤럭시크라이시스 효자 홍삼남전 즐겨요 이 기분 = = 이력 = = 2013년 6월 18일 머니투데이 웹툰으로 그레이트 후렛샤 부활 (매주 화,수 연재) 2014년 8월 5일 네이버 웹툰으로 빙의 (완결) http://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632330 현재 멜랑꼴리 G스팟캐스트에 절찬 출연중. https://itunes.apple.com/us/podcast/id908878175 팟캐스트 후라이에 특별출연 http://www.podbbang.com/ch/6482?e=21592590 = 긴급 명령 (영화) = 긴급 명령는 1994년에 공개된 미국의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 = = = = = MBC (2000년 2월 5일) = = = 양지운 - 잭 라이언 (해리슨 포드) 신성호 - 로페즈 (조아큄 드 알메이다) 최성우 - 캐시 라이언 (앤 아처) 이종혁 - 에스코베도 (미구엘 샌도발) 김용식 - 그리어 국장 (제임스 얼 존스) 황일청 김태훈 홍승옥 조향이 안장혁 안지환 최원형 김영선 이철용 정남 최석필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최수진 = 이슬람 다와당 = 이슬람 다와당은 이라크의 정치조직으로 시아파 주요 정당 중 하나이다. 이슬람 다와당은 2005년 이라크 제헌의회 선거를 위해 이라크 이슬람혁명최고위원회(SCIRI) 및 다른 시아파 조직들과 연대하여 유나이티드 이라크연맹(UIA)을 결성하였다. 알다와는 의사 이브라힘 알자파리가 이끌고 있는데, 그는 현재 이라크의 국무총리 자리에 앉아 있다. 알다와는 1950년대 말에 일단의 시아파 지도자들에 의해 창설되었는데, 무크타다 알사드르의 아저씨인 모하마드 바키르 알사드르가 두드러진 역할을 하였다. 이 당은 공산주의 및 당시 이라크에서 지배적이던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같은 무신론자들에 맞서 싸우기 위해 설립되었다. 시아파에 의해 설립되고 주도되었지만, 알다와는 수니파 이슬람주의 조직들과 밀접히 협력했으며 수니파 조직원들이 적지 않았다. 알다와는 1970년대에 이라크 정부에 대항한 무장 투쟁을 벌이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들은 이란의 이슬람 혁명을 지지했으며, 반대로 이란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는데 이란-이라크 전쟁 기간 중 특히 그러했다. 이러한 협력에도 불구하고 알사드르가 꿈꾸었던 이슬람 공화국은 호메이니의 그것과는 크게 달랐다. 호메이니와 SCIRI가 국가 권력이 울레마에 남아있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데 반해, 알다와는 권력이 움마에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지지했다. = = 연표 = = 1974년 : 바트주의 혁명 법원이 75명의 알다와 당원을 체포하고 사형을 언도하다. 1975년 : 마라드 알라스라고 불리는 나자프에서 카르발라로의 성지순례가 정부에 의해 취소되다. 1977년 : 2월에 Safar Intifada가 발생: 알다와는 정부가 금지함에도 불구하고 마라드 알라스를 강행하였고, 행사는 경찰의 공격을 받다. 1979년 : 이란 혁명. 알다와가 무장하부조직을 창설하다. 이는 후에 샤히드 알사드르라고 불리게 된다 1980년 : 3월 30일 이라크 혁명군사위원회가 소급해서 알다와를 금지하고 당원은 사형으로 다스렸다. 이달에만 96명의 알다와 당원이 처형되었다고 일컬어진다. 1981년 : 4월 1일 알다와는 당시 외무 장관이던 타리크 아지즈를 암살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다 1981년 : 4월 9일 아야톨라 모하마드 바키르 알사드르와 그의 누이 아미나 사드르 빈트 알후다가 체포되어 처형되다. 1982년 : 알다와가 사담 후세인을 암살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다. 후세인 정권에 의해 알 다와에 대한 극심한 탄압이 자행되다. 많은 이들이 이란으로 도피했으며 그곳에서 SCIRI와 경쟁하는 처지가 되다. 1987년 : 사담의 차량행렬을 공격하여 암살하려는 알다와의 시도가 다시금 실패하다. 1996년 : 알다와는 사담의 아들 우다이를 암살하려 했다고 전한다. 2003년 : 2003년의 이라크 침공 후, 알다와가 돌아오다. 나시리야에 자리를 잡고 지금도 그 도시를 운영, 통제하고 있다. = 분류:영천 이씨 (이능간) = = 김환희 = 김환희(金歡熙, 2002년 8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서울공연초등학교 (졸업) 공릉중학교 (졸업)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컨벤션영어과 (졸업)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재학) = = 배우 활동 = = 6살 때인 2008년 SBS 드라마 불한당으로 데뷔했고, 2016년 영화 곡성에서 주인공 종구(곽도원 분)의 딸 효진 역으로 전라도 사투리로 "뭣이 중헌디"란 유행어를 탄생시키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곡성>의 중한 아역 배우 김환희 우먼조선. 2016년 7월 12일김환희 "도원 아빠·소연 엄마 추석 잘 보내세요!" 스타뉴스. 2016년 9월 14일 = = 연기 활동 = = = = = 드라마 = = = 2008년 SBS 드라마 스페셜 《불한당》 ... 장유진 역 (2008년 1월 2일 ~ 2월 28일) 2008년~2009년 MBC 일일연속극 《사랑해, 울지마》 ... 임윤지 역 (2008년 11월 17일 ~ 2009년 5월 22일)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천하무적 이평강》 ... 이평온 역 (2009년 11월 9일 ~ 12월 29일) 2010년 MBC 단막극 《MBC 일요 드라마 극장 - 조은지 패밀리》 ... 조은지 역 (2010년 10월 17일) 2011년 KBS2 주말연속극 《사랑을 믿어요》 ... 김란이 역 (2011년 1월 1일 ~ 7월 31일)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기쁜 우리 젊은 날》 ... 달래 역 (2011년 8월 28일) 2011년~2012년 KBS1 일일연속극 《당신뿐이야》 ... 윤이랑 역 (2011년 11월 7일 ~ 2012년 5월 4일) 2011년~2012년 MBN 일일시트콤 《왔어 왔어 제대로 왔어》 ... 주리 역 (2011년 12월 5일 ~ 2012년 3월 2일) 2011년 KBS1 단막극 《HD TV문학관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옥희 역 (2011년 12월 8일) 2012년 tvN 미니시리즈 《응답하라 1997》 ... 어린 성시원 역(정은지 아역) 2012년 KBS2 미니시리즈 《울랄라 부부》 ... 이백호의 딸 역 2013년 KBS2 주말연속극 《최고다 이순신》 ... 한우주 역 (2013년 3월 9일 ~ 8월 25일) 2014년 SBS 특별기획 《엔젤 아이즈》 ... 보람 역 (19화~20화, 2014년 6월 14일 ~ 6월 15일) 2015년 tvN 금토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 채희 역 (특별출연, 2015년 7월 25일) 2016년 KBS2 수목드라마 《공항 가는 길》 ... 박효은 역 (2016년 9월 21일 ~ 11월 10일) 2017년 웹드라마 《복수노트》 ... 정덕희 역 2018년 KBS2 월화드라마 《우리가 만난 기적》 ... 송지수 역 2019년 JTBC 금토드라마 《아름다운 세상》 ... 박수호 역 2020년 JTBC 월화드라마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 임휘 역 2021년 MBC 수목드라마 《목표가 생겼다》 ... 이소현 역 = = = 영화 = = = 연도 제목 배역 감독 비고 2011 파란만장 2013 전국노래자랑 문보리 이종필 2016 곡성 전효진 나홍진 2018 여중생A 장미래 이경섭 첫 단독주연 영화 2022 안녕하세요 박수미 차봉주 = = 연기 외 활동 = = = = = MC = = = 2016년 제4회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MC = = = 예능 프로그램 = = = 《해피투게더 시즌3》'믿고 보는 아이들' 특집 (KBS2, 2016년 7월 7일) 《무한도전》(MBC, 2016년 9월 10일) = = 수상 경력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KBS 연기대상 여자 청소년 연기상 당신뿐이야 2016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상 여자 신인상 곡성 2016 제37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곡성 2016 제53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곡성 2016 KBS 연기대상 여자 청소년 연기상 공항 가는 길 2017 제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곡성 2017 제37회 황금촬영상 아역상 곡성 2018 KBS 연기대상 여자 청소년 연기상 우리가 만난 기적 2021 MBC 연기대상 단막극 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목표가 생겼다 = 보조자 = 보조자, 보조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보조자(補助者): 거들어 주는 사람(조수) 보험보조자 점유보조자 이행보조자 행정보조자 법률사무 보조원 헌병보조원 보조자 (기독교): 사제를 보좌하는 성직자 = 에밀리 홉하우스 = 에밀리 홉하우스(Emily Hobhouse, 1860년 4월 9일 - 1926년 6월 8일)은 영국의 여성 반전운동가이며 박애적 복지운동가이다. 그녀는 제2차 보어전쟁중에 생긴 남아프리카의 영국강제수용소의 참상을 고발하고 보어족 여성과 어린이를 위해 대중 운동을 펼쳤으며 제1차 세계대전에서도 박애적 활동을 벌였다. = = 초기의 삶 = = 에밀리 홉하우스는 성공회 사제(Anglican Rector)의 딸로 태어났으며, 영국 콘월이 고향이다. 20세때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이후 14년간 병약한 아버지를 돌보았다. 1895년 아버지가 별세하자, 미국 미네소타주로 갔고 거기서 광부들을 위한 복지운동을 벌였다. 이후 1898년에 손댄 사업에서 실패 하자 영국으로 돌아왔다. = = 제2차 보어 전쟁 = = 1899년 제2차 보어전쟁이 터지자 자유당의원인 레너드 코트니가 홉하우스를 그가 회장으로 있던 남아프리카 화해 위원회의 여성조직 담당으로 임명한다. 이때 그녀는 영국군의 대게릴라작전 즉, 적들의 활동지역을 소각하는 작전 때문에 많은 보어인 어린이와 여성들이 곤란에 처해있으며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1900년 12월 7일, 홉하우스는 남아프르카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구호 모금을 조직하고 남아프리카로 이를 전달하기 위해 떠나게 된다. 처음에는 포트 엘리자베스에 있는 강제수용소만 있는 줄알았으나 당시 남아프리카에는 34개의 강제 수용소가 있었다. 1901년 1월 24일 홉하우스는 블로엠폰테인의 수용소에 도착하고 거기에서 보게 된 참상에 충격을 받게 된다. 비누는 사치품이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퍼붓는 비를 맞았으며, 병이나 굶주림으로 죽어가거나 죽었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들이었다. 홍역, 폐렴, 설사병(이질)등의 병들이 수용소에 만연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으며 모든 천막에서 하나 이상의 환자가 있었고 대부분은 어린이였다. 이후 홉하우스는 노발스폰트, 알리왈 노스, 스프링폰테인, 킴벌리와 오렌지 리버에 있는 수용소도 방문하여 구호활동을 펼치게 된다. 홉하우스가 영국으로 귀국하자 영국 정부와 언론들이 적을 돕는 다는 이유로 비난을 했지만 가디언지는 에밀리 홉하우스의 이야기를 실었다. 언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그녀는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고 보다 많은 구호 자금을 얻어내는데 성공하게 된다. 영국 정부는 결국 밀리센트 포셋이 이끄는 포셋 위원회가 홉하우스가 고발한 참상을 조사하고 개선하도록 하는 데 동의하게 된다. 그러나 위원회에 그녀의 참가는 허락되지 않았다. 1901년 케이프타운으로 돌아온 홉하우스는 입국이 허락되지 않았으며 5일후 다시 돌아가야만했는데, 그 이유는 설명되지 않았다. 홉하우스는 프랑스로 건너가 그녀가 본 전쟁에 대해 <<전쟁의 예봉과 그것이 떨어지는 곳>>이라는 책을 썼다. 보어전쟁이 영국의 승리로 끝난후 1903년 홉하우스는 남아프리카에 다시 방문할 수 있게 된다. 거기서 보어인 여성들의 자활을 돕기 위해 재봉과 수예를 가르쳤다. 이후 악화된 건강으로 1908년 영국으로 돌아왔다. = = 이후의 삶 = = 홉하우스는 제1차 세계대전을 반대하는 운동에 앞장섰다. 이 전쟁이후 홉하우스의 조직의 노력으로 중부유럽에서 수천명의 어린이와 여성들이 매일 식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남아프리카는 그녀의 노력을 후원하였다. 그녀는 이러한 박애주의적 인류애의 실천을 한 공로로 남아프리카로부터 명예시민으로 선정되었다. 홉하우스는 1926년에 런던에서 별세하였으며 그녀의 유해는 강제수용소가 있었던 블로엠폰테인에 세워진 국가 여성 기념탑에 안장되었다. 남아프리카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홉하우스 마을이 있으며 남아프리카 정부는 그녀를 기려 잠수함 한척을 "에밀리 홉하우스"함으로 명명하였다. = 위키백과:사랑방/2022년 제27주 = = = 통신사 IP를 지속적으로 차단하는 조치 = = 요즘들어 통신사 IP 중 일부(2001:02D8 대역, 2001:4430 대역 등)에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과 관련하여 차단 조치가 내려지는 일이 매우 잦습니다. 차단 시간도 점점 길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과 차단 사이의 인터벌도 길게는 며칠에서부터 짧게는 몇 시간 이내에 재차단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렇게 되면 사실상 통피 단기 차단이라는 기존의 암묵의 룰을 깨고 장기 차단에 가까운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11월 1일 위키백과 소식에 올라온 포르투갈어 위키백과의 모든 IP 편집 차단 소식과 같이, 포르투갈어 위키백과의 경우 85%의 문서 훼손이 IP 편집자에게서 나타나고 있고, 결국 모든 안티 문서 훼손 체계를 사용하더라도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 판단하여 모든 IP의 편집을 영구 차단하게 되었습니다. 'IP도 사람입니다'라는 캐치프라이즈에는 아직까지 동의하는 의견이나, 그 중 통신사 대역과 관련하여 기존 위키백과 사용자에 대한 심각한 인신공격, 명예훼손, 장난 및 반달이 꾸준히 일어나고, 그로 인해 관리자의 부담이 커져 장기간 차단을 조치해야 할 것이 불가피하다면 장기간 혹은 영구 차단도 가능하도록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도 말이 단기 차단이지 사실상 장기 차단까지 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해당 대역 차단을 맡고 계신 위키백과 관리자 님께도 이에 대해 의견을 여쭙겠습니다. José Carioca (talk) 2022년 7월 4일 (월) 13:50 (KST) = = Wiki Loves Pride 온라인 에디터톤의 주목할 만한 문서 = = 6월 20일부터 7월 19일까지 진행되고 있는 Wiki Love Pride 온라인 에디터톤에서 어떤 문서가 새로 탄생하였을까요? 오늘의 주목할 만한 문서는 기나ㅏㄴ님이 작성한 논바이너리 젠더의 법적 인정 문서입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논바이러니 젠더에 속하는 사람들의 법적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개인이 정부를 상대로 한 법적 소송으로 성별란에 X로 표기될 권리를 찾는데서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몇몇 나라에서는 트랜스젠더, 간성 등의 다양한 논바이러니 성별을 가진 사람들이 원하는 경우에는 여권이나 신분증의 성별란에 X라고 표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LGBT 문화나 권리 운동 등의 이슈에 대한 정보를 확장하고, 더해 나갈 수 있습니다. Wiki Loves Pride 온라인 에디터톤에 참여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논바이너리 젠더의 법적 인정 읽어보기 Wiki Love Pride 온라인 에디터톤 방문 하기 이강철 (WMKR) (토론) 2022년 7월 4일 (월) 14:54 (KST) = = 60만 기념 로고 토론 참여 요청 = = 위키백과:사랑방/2022년_제25주#60만_문서_기념_로고_공모전(?) 토론 참여를 요청합니다. 의견 요청에도 올려놨지만 사람이 너무 없어서 그런지 참여율이 저조하네요. na (토론) 2022년 7월 5일 (화) 09:00 (KST) = = Growth team newsletter #21 = = Welcome to the twenty-first newsletter from the Growth team! = = = New project: Positive reinforcement = = = The Growth team started a new project: Positive reinforcement. We want newcomers to understand there is an interest in regularly editing Wikipedia, and we want to improve new editor retention. We asked users from Arabic, Bangla, Czech and French Wikipedia about their feedback. Some people participated at mediawiki.org as well. We summarized the initial feedback gathered from these community discussions, along with how we plan to iterate based on that feedback. The first Positive Reinforcement idea is a redesign of the impact module: incorporating stats, graphs, and other contribution information. This idea received the widest support, and we plan to start our work based on the design illustrated on the side. Please let us know what you think of this project, in any language. = = = For mentors = = = *We have worked on two new features, to inform them about the mentorship: In the Mentor module, we now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nature of the mentors/newcomer relationship and the fact that talk pages are public. We now allow newcomers to opt-in and opt-out of mentorship. = = = Scaling = = = "Add a link" available at more wikis ― Add a link feature has been deployed to more wikis: . This is part of the progressive deployment of this tool to more Wikipedias. The communities can configure locally how this feature works. "Add an image" available at more wikis ― Add an image feature will be deployed to more wikis: . These communities will be able to configure locally how this feature works. = = = Suggested edits = = = Selecting topics ― We have created an "AND" filter to the list of topics at Special:Homepage. This way, newcomers can decide to select very specific topics ("Transportation" AND "Asia") or to have a broader selection ("Transportation" OR "Asia"). At the moment this feature is tested at pilot wikis. Changes for Add a link ― We have built several improvements that came from community discussion and from data analysis. They will be available soon at the wikis. Algorithm improvements ― The algorithm now avoids recommending links in sections that usually don't have links and for first names. Also, it now limits each article to only having three link suggestions by default (limited to the highest accuracy suggestions of all the available ones in the article). User experience improvements ― We added a confirmation dialog when a user exits out of suggestion mode prior to making changes. We also improved post-edit dialog experience and allow newcomers to browse through task suggestions from the post-edit dialog. Community configuration ― We allow communities to set a maximum number of links per article via Special:EditGrowthConfig. Future change for Add a link feature ― We will suggest underlinked articles in priority. Patrolling suggested edits ― Some users at Arabic Wikipedia, Spanish Wikipedia, and Russian Wikipedia told us that "Add a link" and "Add an image" edits can be challenging to patrol. We are now brainstorming improvements to help address this challenge. We have already some ideas and we started some work to address this challenge. If you have any thoughts to add about the challenges of reviewing these tasks or how we should improve these tasks further, please let us know, in any language. = = = Community configuration = = = Communities can configure how the features work, using Special:EditGrowthConfig. Communities can set the maximum number of "add an image" suggested tasks a newcomer can complete daily. Future change: allow communities to customize the "add a link" quality gate threshold easily, using Special:EditGrowthConfig. Growth team's newsletter prepared by the Growth team and posted by bot • Give feedback • Subscribe or unsubscribe. 2022년 7월 5일 (화) 22:03 (KST) = = 벡터 2022 스킨 관련 = = 오늘 벡터 2022 스킨을 사용하시는 분들께서는 뭔가 바뀐 것을 체감할 수 있을껍니다. 원래는 탭(문서, 편집 등 버튼)이 제목 위에 있었는데 지금은 제목 아래에 있습니다. 이는 유용성, 가독성과 미네르바 스킨과의 통일 등을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벡터 2022 스킨에만 적용되었으며 벡터 레거시 (2010) 스킨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na (토론) 2022년 7월 6일 (수) 12:14 (KST) = = Wiki Love Pride 포토 콘테스트 진행 알림 = = Wiki Love Pride 포토 콘테스트가 7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콘테스트는 대한민국의 LGBT 문화와 권리 운동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고, 공유하는 행사로 사진 초보나 전문가 누구나 환영합니다. 지금 페이지에서 참가 방법 안내 비디오를 보고, 콘테스트에 참여해 보세요! Wiki Love Pride 포토 콘테스트 둘러보기 이강철 (WMKR) (토론) 2022년 7월 6일 (수) 17:29 (KST) = = 영어 위키백과의 인기 유머 문서: 위키백과:종말급 사건 관리 정책! = = 영어 위키백과에서 유명한 종말급 사건 관리 정책 문서를 이제 한국어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2009년 4월 1일, 만우절 장난으로 처음 만들어졌던 이 문서는 꽤 놀랄만한 퀄리티를 자랑하며 "종말"이라는 살벌한 이벤트를 다루고 있는데요. 크게 중요한 문서는 아니지만 웬지 SCP 재단에 위키백과를 섞은듯한 참신한 문서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특별히 전문 용어가 꽤 있는 편이라 오류가 걱정되네요. 특별히 데이터 등 용어 번역이 어려웠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컴퓨터 관련해서 지식이 있는 분들은 한번 검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Takipoint123 (💬) 2022년 7월 9일 (토) 18:09 (KST) = = 토르: 러브 앤 썬더가 상영중입니다. = = 아... 일전에 번역은 어느 정도 해 두었는데 위백에는 본 사람이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혹여나 극장가신 분들은 줄거리라도 적어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Reiro (토론) 2022년 7월 10일 (일) 01:54 (KST) = 분류:홋카이도를 배경으로 한 소설 = = 분류:A등급 e스포츠 문서 = = 분류:2016년 텔레비전 시즌 = = 분류:슈롭셔주의 스포츠 = = 틀:중국 슈퍼리그 2019 시즌 = = 분류:1984년 크로스컨트리 스키 = = 수정 뉴턴 역학 = 수정 뉴턴 역학(Modified Newtonian Dynamics, MOND)는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수정한 이론이다.. . . = = 개요 = = 수정 뉴턴 역학은 암흑물질없이 회전하는 은하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1983년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모르더하이 밀그롬이 처음 제안했다. 뉴턴의 중력 이론에 따르면 행성의 공전 속도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느려진다. 그러나 은하 원반의 회전을 도플러 효과로 측정한 결과 공전 속도는 느려지지 않고 일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은하의 질량 분포가 태양계와 달리 일정하지 않더라도 질량 중심에서 공전 속도는 빨라져야 한다. 천문학자들은 암흑물질을 도입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관측불가능한 영역에 분포하는 물질의 질량이 은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밀그롬의 생각은 달랐다. 밀그롬은 암흑물질없이 은하의 회전을 설명하려 했다. = = 텐서-벡터-스칼라 중력 = = 수정 뉴턴 역학이 뉴턴 역학의 근사가 적용되는 구간에서 올바르다면, 상대성이론이 적용되는 속도가 빠른 상황에 맞는 일반화가 있어야 한다.(상대성이론은 은하적 거리 이내에서 매우 정확한 것이 실험결과 밝혀진 이론이므로)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제이콥 베켄슈타인은 텐서-벡터-스칼라 중력을 발표하여 수정 뉴턴 역학을 일반화시켰다. = = 참고 자료 = = 기술적: Scholarpedia entry on the subject written by Mordehai Milgrom Modified Newtonian Dynamics: Observational Phenomenology and Relativistic Extensions, Famaey, McGaugh, 16 Dec 2011, updated 20 May 2012 A Tale of Two Paradigms: the Mutual Incommensurability of LCDM and MOND, McGaugh, 29 Apr 2014, updated 17 May 2014 MOND Theory, Milgrom, 30 Apr 2014, updated 31 Aug 2014 Galaxies as simple dynamical systems: observational data disfavor dark matter and stochastic star formation, Kroupa, 18 Jun 2014 Modified Gravity and Cosmology, Clifton, 13 Jun 2011, updated 12 Mar 2012 Alternatives to Dark Matter and Dark Energy, Mannheim, 12 May 2005, updated 1 Aug 2005 인기: MOND: time for a change of mind?, Milgrom, 26 Aug 2009 "Dark matter" doubters not silenced yet , World Science, 2 Aug 2007 Does Dark Matter Really Exist? , Milgrom, Scientific American, Aug 2002 Dark matter critics focus on details, ignore big picture, Lee, 14 Nov 2012 = 분류:1842년 환경 = = 플래티넘 만년필 = 플래티넘만년필주식회사은 일본에 설립된 필기류 회사이다. 일본어 표기로는 '푸라치나'로 쓴다. = = 특징 = = 1919년 나카타 신이치가 오카야마현에서 수입 만년필 판매업을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만년필 제작소를 설립하여 통신판매 사업을 벌였고, 1942년 플래티넘만년필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주력 상품은 만년필이나 외에도 제도용 샤프, 볼펜 등을 생산한다. = 레크리에이션 파크 (피츠버그) = 레크리에이션 파크(Recreation Park)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과거 MLB 피츠버그 앨러게니스의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 분류:슈코더르 = = 제니게바 = 제니게바는 일본의 NTV에서 2009년 1월 17일부터 - 2009년 3월 14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9시 ~ 9시 54분까지 방영된 TV 드라마이다. 총 9회, 첫회는 15분을 추가하여 방송하였다(21:00-22:09). HDTV영상으로도 방송, 주연은 마츠야마 켄이치松ケン今度は「銭ゲバ」個性的キャラ怪演. = = 개요 = = 조지 아키야마가 1970-71년 주간소년 선데이에 연재한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였다. 드라마 각본은 원작의 내용을 대체로 그대로 표현하였지만, 몇몇 장면의 설정은 원작이 발표된 1970년대를 재현한 것이 아니고, 파견이라는 설정 등은 2009년 현재의 모습을 현저하게 반영시켰다. 등장 인물은 드라마로 거의 새로 만든 인물이 많다. 또, 주인공 후타로 왼쪽 눈에 있는 상처는, 원작에서는 선천적인 것으로 붙은 것이지만, 드라마에서는 어릴 적에 아버지에게 받은 폭력으로 생긴 것으로 설정하였다. 캐치프레이즈는 〈돈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하지즈라 金のためなら、なんでもするズラ〉. = = 캐스팅 = = = = = 등장 인물 = = = 하기노와 카나에의 아들. 초등학교 5학년. 식당 〈이즈야〉의 주인. 후타로가 노노무라 가족 모두로 친하게 지냈었지만, 조카·신이치의 사건을 계기로 돈의 힘에 굴복하게 된다. 야스히코의 아내. 야스히코의 여동생. 야스히코의 딸. 8화에서, 후타로에게 자신의 가족이 진 빚을 갚아달라며 자신의 몸을 후타로에게 팔고자 그를 데리고 러브호텔로 이끌기도 한다. 야스히코의 조카로, 유카의 오빠. 생김새는 후타로와 아주 비슷하지만, 얼굴에 상처가 없는 것이 차이점. 일을 크게 벌이는 성격으로, 가족에게 있어서 골칫덩어리다. 후타로의 어머니, 가마고리 켄조의 아내. 남편 켄조를 대신해 수산시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생계를 유지해 가고 있다. 가난 때문에 병 치료를 받지 못하고 죽음. 후타로의 아버지. 말버릇은 “와~우 わーお”. 결혼 초기, 회사에 근무하고 있었지만, 사내에서 불상사로 해고된다. 그 이후로 일에 대한 의욕을 잃어, 술과 여자에게 빠져 방탕한 생활을 보내고 있다. 사장이 된 후타로에게 현금 10억엔을 건네 받지만 주체하지 못하고, 갑부의 허무함을 깨닫지만, 정작 아들인 후타로에게는 가르쳐주지 않는다. = = = 게스트 = = = = = = 그 외의 게스트 = = = = = = 주된 무대 = = = = = 스태프 = = 원작:죠지 아키야마 〈제니게바〉 각본:오카다 요시카즈 음악:카네코 타카히로 사운드 디자인:이시이 카즈유키 기술:사사키 슈헤이 각본 협력:네모토 논지 프로듀서:카와노 히데히로, 난바 토시아키(AXON) 연출:오오타니 타로, 카리야마 슌스케 제작 협력:토탈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Total Media Communication) 제작 프로덕션:AXON 제작/방송:NTV = = 관련 음반 = = = = = 주제곡 = = = かりゆし58 《さよなら》(레이블 : LD&K Records) = = = Original Sound Tracks = = = Main Theme Trumpet Confession~懺悔 Main Theme Of Zeni Geba(銭ゲバのテーマ) Elegance(緑のテーマ) Doubt~猜疑心 Izuya Duet Transparency Dub Piano~透明 A Matter Of Quartet Requiem~鎮魂歌 Runaway~逃走 Mother~優しさ Melancholy~哀愁のテーマ On-the-spot~事件現場 Ease~安らぎ Confusion~葛藤 Negative(茜のテーマ) Investigation~捜査 Izuya New Orleans Murder~殺人 Transparency Harp~透明ⅱ Back Stabbers~裏切り者のテーマ Sadness~悲しみ Mother Harp~優しさⅱ = = 시청률 = = 화차 방송일 스토리 타이틀 시청률 제1화 2009년1월17일 사랑을 주세요...돈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하는 녀석이즈라!!(愛をください…金のためなら何でもするズラ!!) 12.0% 제2화 2009년1월24일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愛は金で買えるズラ!!!!) 11.3% 제3화 2009년1월31일 함정! 아름다운 마음이 갖고 싶은 녀석이즈라(罠! 美しい心が欲しいズラ) 9.0% 제4화 2009년2월7일 내 가족은 엄마뿐이즈라(僕の家族は母さんだけズラ) 10.7% 제5화 2009년2월14일 우정도 사랑도 필요없즈라(友情も愛も必要ないズラ…) 10.1% 제6화 2009년2월21일 체포...돈이 부른 불행이즈라(逮捕…金が招いた不幸ズラ) 10.2% 제7화 2009년2월28일 목숨의 가격도 결국 돈이즈라...(命の値段も結局金ズラか…) 8.7% 제8화 2009년3월7일 악은 조용히 죽어가즈라(悪は静かに死んでやるズラ) 6.4% 최종화 2009년3월14일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이즈라?(幸せはどこにあるズラ?) 10.5%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평균시청률 9.9% (일본 간토 지방 비디오 리서치 조사 기준) = = ‘즈라’의 사용 = = 후타로가 자주 입버릇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즈라 ズラ’이다. 주로 후타로는 이것을 말 끝에 붙인다. 캐치 카피에 〈金のためなら、何でもするズラ〉처럼 말이다. 이 즈라는 일본 중부지방이자 후타로가 유년 시절 살았던 시즈오카 현의 이즈 반도 지방에서 사용하는 방언이다. 한국으로 치면 전라도에서 ‘~~지라 ’하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하지만 이 즈라의 방언은 올바른 사용법이 아니고, 더군다나 후타로처럼 20대의 청년이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현재 일본에서도 이 즈라라는 방언을 사용하는 연령은 60세 이상의 연장자 가운데에서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 = 기타 = = 제4화에서 미도리가 자택의 뒷마당에 묻힌 시체를 파낼 때 나온, ‘へのへのもへじ’의 낙서는, 원작자 죠지 아키야마가 직접 그린거다. 평균 시청률은 같은 방송사 가운데에서는 2007년 《수험의 신》 이후로 처음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드라마 내용의 문제가 되어서, 코카콜라를 제외한 5개의 제공 회사가 제공을 중단하고, 3화부터는 코카콜라만 제공을 협찬한다. 일본 TV갤럭시상 TV 부문 월간상 수상. = = DVD 발매 = = 제니게바 DVD-BOX(2009년 5월 22일 발매) = 분류: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 = 1975년에 상과대학이 폐지되고, 종전 상과대학 예하의 학과들중에 경영학과가 경영대학이라는 단과대학으로 독립하였다. (1975년 이후의) 경영학과 경영대학 = 분류:양고기 = = 이상준 (축구 선수) = 이상준(1999년 10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수비수로 현재 진주시민축구단 소속이다. = = 클럽팀 경력 = = 부산 아이파크의 유스팀을 두루 거친 이상준은 2018시즌을 앞두고 부산에 콜업이 되었다.프로축구 부산, 이상준 등 신인 3명 계약…민영기 코치 선임 2022시즌을 앞두고 진주시민축구단으로 임대되었다.#진주시민축구단 #k4리그 = = 국가대표 경력 = = 2019년 FIFA U-20 월드컵 최종명단에 포함되었다. 포르투갈과의 조별예선 1차전에서 교체 투입되었다. 하지만 팀의 1-0 패배를 막지는 못했다. = = 수상 = = = = = 팀 = = = FIFA U-20 월드컵 준우승: 2019 = 분류:2014년 요르단 = = 분류:모험 영화 등장인물 = = 분류:아부다비의 문화 = = 분류:루마니아의 전쟁 영화 = = 분류:로마 가톨릭 주교 = = 삼송도서관 = 삼송도서관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소재의 시립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14년 12월 23일 개관. = = 시설현황 = = 3층: 열람실, 시청각실, 교양교실, 쉼터 2층: 종합자료실1, 종합자료실2, 디지털자료실, 동아리방 1층: 어린이자료실, 연속간행물실, 수서정리실 지하1층: 주차장, 기계실, 전기실 = = 이용 안내 = = 열람실: 3월~10월 07:00 ~ 23:00 / 11월~2월 08:00 ~ 23:00 종합자료실: 월~금 09:00 ~ 22:00 / 토~일 09:00 ~ 18:00 어린이자료실: 매일 09:00 ~ 18:00 연속간행물실(정기간행물실): 매일 09:00 ~ 18:00 디지털자료실(정보검색실): 월~금 09:00 ~ 22:00 / 토~일 09:00 ~ 18:00 매월 첫 번째, 세 번째 월요일 = SC4 = SC4는 다음을 뜻한다. 오카프구의 ISO 3166-2:SC 코드 SC-04 SC4: 세균 문 심시티 4(SimCity 4): 2003년 컴퓨터 게임 슈퍼 캐슬바니아 IV(Super Castlevania IV): 1991년 비디오 게임 = 플로랑 루암바 = 플로랑 루암바(Florent Rouamba, 1986년 12월 31일 ~ )는 부르키나파소 태생의 축구 선수이다. = 패트릭 라이언 (육상 선수) = 패트릭 ("팻") 제임스 라이언(Patrick ("Pat") James Ryan, 1881년 1월 4일 ~ 1964년 2월 13일)은 아일랜드 출신의 미국 해머던지기 선수로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 가장 큰 우승 차이로 그 종목의 승리를 거두었다. 1913년 36년간 보유된 첫 세계 기록을 세웠고 40년간 미국 기록으로 남아있었다. = = 생애 = = 아일랜드 리머릭주 올드 팰리스에서 태어난 라이언은 1902년 위대한 선수 톰 킬리를 꺾고 해머던지기의 첫 타이틀을 우승하였다. 1910년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1911년 AAU 선수권에서 3위를 한 후, 1912년에 2위를 하면서 향상시키고 1913년에 타이틀을 우승하였다. 1918년 미국 군대와 함께 유럽에서 있었던 것을 제외하고 그는 1921년 은퇴할 때까지 매년 AAU 타이틀을 우승하였다. 뉴욕에 있는 동안에 라이언은 시초에 노동 직공장으로 일하다가 경찰국에 가입하였으며, 아일랜드계 미국인 육상 클럽과 뉴욕 육상 클럽의 회원이 되었다.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을 위한 시민권을 설립하지 않아 참가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듬해 별난 소방관 경기에서 189 피트, 6.5 인치(57.77m)의 IAAF의 첫 공식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20년 올림픽에 나가는 기회를 얻은 라이언은 스웨덴의 요한 린드를 거의 15 피트나 꺾고, 가장 넓은 차이로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여 타이틀을 우승하였다. 그는 현재 중지된 종목인 56lb 던지기에서 은메달을 따기고 하였다. 1924년 아일랜드로 귀국하여 가족의 농장을 인계하였으며, 1964년 자신의 고향에서 사망할 때까지 거기에 남아있었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釜山 都市鐵道 1號線)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의 다대포해수욕장역과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노포동의 노포역을 잇는 부산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 고유색은 ●선명한 주황이다. 종래 시행되었던 도시철도건설조례에 의하면 중앙선도 병기되었으나, 조례의 폐지로 중앙선이라는 노선명은 삭제되었다.조례 제2조에 의하면 중앙선(1호선), 동서선(2호선), 아시아드선(3호선), 반송선(4호선)으로 되어있었다. 이들은 해당 조례의 폐지로 별도로 규정되지 않는다. 다대포, 하단교차로, 자갈치시장, 부산역, 범일동, 서면교차로, 부산광역시청, 연산교차로, 내성교차로, 부산대학교,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 부산의 주요거점을 통과하여 이용객이 많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또 다른 특징은 많은 역의 개찰구가 승강장 마다 별개로 분리되어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 할 수 없는 역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40개 역 중에서 다대포항역~사하역, 동대신역~남포역, 도시철도 부산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도시철도 부전역, 명륜역~노포역까지 총 28개 역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고, 다대포해수욕장역, 괴정역~서대신역, 중앙역, 부산진역, 범내골역, 서면역, 양정역~동래역까지 나머지 13개 역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하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 = 연혁 = = 1981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지하철 건설본부(현 부산교통공사) 출범 1981년 6월 23일 : 1단계 노포역~범내골역 구간 착공 1983년 7월 28일 :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 착공 1984년 8월 14일 : 3단계 중앙역~서대신역 구간 착공 1985년 7월 19일 : 1단계 범어사역~범내골역 구간 개통 1986년 12월 19일 : 범어사역~노포역 구간 개통 1987년 5월 15일 :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구간 개통 1988년 5월 19일 : 3단계 일부 중앙역~토성역 구간 개통 1990년 2월 28일 : 3단계 잔여 토성역~서대신역 구간 개통 1990년 7월 24일 : 4단계 연장 서대신역~신평역 구간 착공 1994년 6월 23일 : 4단계 연장 서대신역~신평역 구간 개통 1999년 6월 30일 : 서면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5년 11월 28일 : 연산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3호선) 2009년 11월 20일 : 5단계 연장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착공 2010년 3월 1일 : 1호선 역명 개편(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역에서 '동' 삭제. 그리고 교대역과 부산대역 2개역을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역명 변경) 2011년 3월 30일 : 동래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4호선) 2016년 12월 30일 : 교대역 환승 개통(동해선 광역전철) 2017년 4월 20일 : 5단계 연장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 개통 = = 운영 = = = = = 운행 = = = 1호선의 열차는 노포행, 다대포해수욕장행으로 운행한다. 서면역에서 2호선으로, 연산역에서 3호선으로, 교대역에서 동해선으로, 동래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평상시 : 다대포해수욕장·신평발 노포행/노포발 다대포해수욕장행 상행선(다대포해수욕장 방향)의 경우 평상시에는 모두 다대포해수욕장행으로 운행하다가 다음 날 첫차 출발 시각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막차 시간대에만 신평역에 종착한다. 첫차 : 신평발 노포·다대포해수욕장행 막차 : 노포발 신평행 중간 시·종착역의 경우 상행선(다대포해수욕장 방향)은 신평역심야 막차만 종착하며, 노포발 신평행 열차가 1편성 운행한다.이다. 그러나 대부분 열차는 다대포해수욕장행과 노포행을 반복하여 운행한다. 오전 5시 이후와 오후 11시 이후의 심야 시간대에는 환승 승객의 편의를 위해 2호선과의 환승역인 서면역, 3호선과의 환승역인 연산역에서 열차가 3분간 정차한다. = = = 1호선의 운임 = = = 1호선의 운임은 부산 도시철도의 운임 체계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성인 카드 기준으로 10 km 이내는 1,300원, 10 km 초과는 1,500원의 운임이 부과된다. = = = 도시철도 역사(驛舍) = = = 1호선은 언덕이나 하천 아래를 거의 지나지 않으므로 역사가 그리 깊지 않은 편이다. 특히 교대역의 경우 지하 1층에 승강장이 위치한다. 다만 서대신역과 대티역은 대티고개를 지나고 있어서 승강장이 깊은 편에 속한다. 신평역, 온천천 위를 지나는 동래역~구서역 구간은 지상, 나머지 구간은 지하역으로 건설되었으며, 노포역은 2호선의 동원역이나 4호선의 반여농산물시장역 등과 구조가 비슷한 반지하역으로 건설되었다. 중구, 서구, 사하구 구간의 역들은 자갈치역, 사하역, 당리역, 신평역, 동매역, 장림역, 다대포해수욕장역 등을 제외하면 모두 곡선 승강장이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역 번호 : 기점역인 다대포해수욕장역의 095번으로 시작하여 종점역인 노포역의 134번까지 순서대로 1씩 늘어난다. 3호선 개통 이전까지는 과거 기점이었던 신평역을 1번으로 시작하여 종착역 노포역 34번까지 1씩 늘어난 방식으로 매겨졌다. 원래대로라면 다대포해수욕장역부터 노포역까지 역번을 5 또는 6씩 올려 노포역을 139번이나 140번으로 바꾸어야 하나, 부산교통공사의 예산 문제로 실행하지 못하고 101번 이하를 두 자리 수로 내린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또한, 다대포해수욕장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상행, 노포역 방면으로 간 열차는 하행이다. 3자리 역 번호에서 100의 자리 숫자는 노선 번호, 10의 자리 숫자와 1의 자리 숫자는 역 번호다. = = = 운용되는 차량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운용하고 있다. 스테인레스 외장에 주황색 띠가 둘러진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전동차의 길이는 17m· 폭은 2.75m이고 양 끝 칸은 113명·중간 칸에는 124명이 승차 정원이다. 대한민국의 다른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한 면에 3개의 출입문(3비차)을 가지고 있어 좌석이 많은 편이다. 현재 8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다. 전동차 수량 : 2018년 4월 20일 기준으로 10량 01편성으로 72편성· 총 48량이며, 보통 같으면 추후 10량 1편성 증결이 가능하겠으나, 현재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10량 기준으로 설치되고, 다대포 연장선 승강장이 10량 기준으로 건설되면서 더 이상의 증결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전동차는 두 차례에 걸쳐 반입되었는데, 1단계 개통에선 다대포에서 부산역까진 해상 선박 수송으로, 부산역에서 동래역까진 경부선과 동해남부선 철도로 이동한 다음 노포차량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운반하였다. 또한 2단계 개통에선 부산진역과 도시철도 부산진역 사이의 연결선을 통하여 이동하였다. 현재 노포차량기지와 신평차량기지에서 검수를 담당하고 있다. 노포차량사업소 : 1000호대 중 48개 편성·총 480량/중·경검수 담당 신평차량사업소 : 1000호대 중 48개 편성·총 480량/경검수 담당 = = = 1호선과 2호선의 운행계통 관계 = = = 다대포 연장선이 개통되면 현재 2호선 호포·양산행 계통처럼 신평·다대포해수욕장행 계통으로 나누어질 것으로 보였다. 실제로도 부산교통공사측에서 신평·다대포해수욕장행 비율을 1:1로 운행하려고 하였으나, 2017년 4월에 개정된 시간표에 따르면 2호선과 달리 계통이 따로 분리되지 않고 밤 시간에 신평행 막차 1회 운행한 거 외엔 전부 다대포해수욕장행으로 운행한다. 또 신평발 다대포해수욕장행 열차가 신설되었다. 그래서 하행선(노포 방향) 첫차는 신평역에서 출발하며, 다대포해수욕장발 열차는 2번째 열차부터 시작된다. 2호선의 경우 평시에도 하행선(양산 방향) 중간중간에 호포차량기지 입고 열차를 호포행으로 운영하는 반면, 1호선은 상행선(다대포해수욕장 방향) 중간중간에 신평행을 끼워 놓지 않은 것이 대조적이다. 다만, 3호선이 개통하기 전은 막차 시간 대에 노포발 서대신행, 신평발 부산진행이 있으며, 부산진역에 주박한 열차는 다음 날 부산진발 신평행으로, 서대신역 주박 열차는 서대신발 노포행으로 운행했던 선례가 있다. = = 스크린도어 설치 = = 2016년 6월 30일에 신평역, 당리역, 사하역, 서대신역, 동대신역, 노포역 등에도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가 완료되면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 일부 역 승강장 천장 교체 = = 최근에 일부 역 승강장 천장도 교체되었으며, 현재 당리역, 초량역, 범일역, 서면역, 양정역, 연산역, 교대역, 남산역 등이 교체되었다. = = 역 목록 = = 역번호 역명 역명 역명 역명 접속 노선 역간거리 누적거리 소재지 소재지 역번호 한글 로마자 일본어 한자 접속 노선 역간거리 누적거리 소재지 소재지 095 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 Dadaepo Beach 多大浦海水浴場 多大浦海水浴场 - 0.0 부산광역시 사하구 096 다대포항(우리원병원) Dadaepo Harbor 多大浦港 多大浦港 1.6 1.6 부산광역시 사하구 097 낫개 Natgae ナッケ 纳溉 1.3 2.9 부산광역시 사하구 098 신장림(하나병원) Sinjangnim 新長林 新长林 1.1 3.7 부산광역시 사하구 099 장림 Jangnim 長林 长林 0.8 4.8 부산광역시 사하구 100 동매(강동병원) Dongmae トンメ 东嵋 1.5 6.3 부산광역시 사하구 101 신평 Sinpyeong 新平 新平 1.6 7.9 부산광역시 사하구 102 하단(아트몰링) Hadan 下端 下端 1.6 9.5 부산광역시 사하구 103 당리(사하구청) Dangni 堂里 堂里 0.8 10.3 부산광역시 사하구 104 사하 Saha 沙下 沙下 0.9 11.2 부산광역시 사하구 105 괴정 Goejeong 槐亭 槐亭 0.9 12.1 부산광역시 사하구 106 대티 Daeti 大峙 大峙 0.8 12.9 부산광역시 사하구 107 서대신 Seodaesin 西大新 西大新 1.4 14.3 부산광역시 서구 108 동대신 Dongdaesin 東大新 东大新 0.7 15.0 부산광역시 서구 109 토성 Toseong 土城 土城 1.2 16.2 부산광역시 서구 110 자갈치 Jagalchi チャガルチ 札嘎其 1.0 17.2 부산광역시 중구 111 남포(해동병원) Nampo 南浦 南浦 0.7 17.9 부산광역시 중구 112 중앙 Jungang 中央 中央 0.9 18.8 부산광역시 중구 113 부산역 Busan Station 釜山駅 釜山站 경부선경부고속선 1.1 19.9 부산광역시 동구 114 초량 Choryang 草梁 草梁 0.8 20.7 부산광역시 동구 115 부산진(동구청) Busanjin 釜山鎮 釜山镇 0.8 21.5 부산광역시 동구 116 좌천 Jwacheon 佐川 佐川 1.0 22.5 부산광역시 동구 117 범일 Beomil 凡一 凡一 0.9 23.4 부산광역시 동구 118 범내골 Beomnaegol ポムネゴル 凡内谷 0.8 24.2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119 서면 Seomyeon 西面 西面 1.2 25.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120 부전(부산시민공원·송상현광장) Bujeon 釜田 釜田 동해선부전선 0.6 26.0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121 양정 Yangjeong 楊亭 杨亭 1.4 27.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122 시청(연제) City Hall 市庁 市厅 0.8 28.2 부산광역시 연제구 123 연산 Yeonsan 蓮山 莲山 0.9 29.1 부산광역시 연제구 124 교대 Busan Nat'l Univ. of Edu. 釜山教育大学 釜山教育大学 1.0 30.1 부산광역시 연제구 125 동래(한국건강관리협회) Dongnae 東莱 东莱 1.2 31.3 부산광역시 동래구 126 명륜 Myeongnyun 明倫 明伦 0.8 32.1 부산광역시 동래구 127 온천장 Oncheonjang 溫泉場 温泉场 1.0 33.1 부산광역시 동래구 128 부산대 Pusan Nat'l Univ. 釜山大学 釜山大学 1.1 34.2 부산광역시 금정구 129 장전 Jangjeon 長箭 长箭 1.0 35.2 부산광역시 금정구 130 구서 Guseo 久瑞 久瑞 1.1 36.3 부산광역시 금정구 131 두실 Dusil 斗実 斗实 1.0 37.3 부산광역시 금정구 132 남산 Namsan 南山 南山 1.0 38.3 부산광역시 금정구 133 범어사 Beomeosa 梵魚寺 梵鱼寺 0.9 39.2 부산광역시 금정구 134 노포(종합버스터미널) Nopo 老圃 老圃 1.2 40.4 부산광역시 금정구 2010년 2월 24일에 개최된 4호선 역명 제정을 위한 2차 역명심의위원회에서 1호선의 '동'으로 끝나는 15개 역명 끝의 동을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부산대학앞역을 부산대역, 교대앞역을 교대역으로 개명하기로 하였다. = = 도시철도 건설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모두 5단계에 걸쳐 완성되었다. 01단계는 범어사역에서 범내골역까지, 2단계는 범내골역에서 중앙역까지, 3단계는 중앙역에서 서대신역까지, 4단계는 서대신역에서 신평역까지, 5단계는 신평역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완성되었다. = = = 1단계: 노포역~범내골역 = = = 1단계는 범어사역에서 범내골역까지의 구간이며, 부산 도시철도 중 초창기에 먼저 개통되었다. 금정구와 동래구 등지에서 서면역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해 주는 이 구간은 1985년 7월 19일에 개통되었다. 다만 노포역은 1단계 연장 개통 당시 같이 개통하지 않고 노포차량사업소 내 역사 설치 공사가 끝나고 1986년 12월 19일에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엔 노포동역~범내골역이었다. = = = 2단계: 범내골역~중앙역 = = = 2단계는 범내골역에서 중앙역까지의 구간이다. 범천동과 영도 입구까지 이어진 이 구간은 1987년 5월 15일에 개통되었다. 당시엔 범내골역~중앙동역이었다. = = = 3단계: 중앙역~서대신역 = = = 3단계는 일부 구간과 잔여 구간과 나누어져 있는데, 일부 구간인 중앙역에서 토성역까지 이어진 이 구간은 1988년 5월 19일에 개통되었고, 잔여 구간인 토성역부터 서대신역까지 이어진 이 구간은 1990년 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당시엔 중앙동역~서대신동역이었다. = = = 4단계: 서대신역~신평역 = = = 4단계는 서대신역에서 신평역까지 이어진 이 구간은 1994년 6월 23일에 개통되었다. 이 부분은 서대신역을 제외하고 사하구가 차지하며 연장 개통된 구간에 해당된다. 당시엔 서대신동역~신평역이었다. = = = 5단계: 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 = = = 5단계는 신평역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이어진 이 구간은 2017년 4월 20일에 개통되었다. 일명 다대선(多大線)이라고 한다. 6개 역이 신설되었으며, 그 역명은 신평역부터 차례대로 동매, 장림, 신장림, 낫개, 다대포항, 다대포해수욕장이다.도시철도 1호선 다대구간 역명 확정, 부산광역시, 2016년 1월 20일 작성. 부산광역시는 예전부터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고 도로교통의 정체가 심각한 다대동 지역의 궤도계 교통수단의 도입을 구상하고 있다. 초기엔 경전철을 신평역에서 환승하도록 하여 신규 경전철 노선을 건설하기로 계획했다가 최종적으로 1호선을 연장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렇게 되면 환승에 따른 불편함이 생기지 않게 되며 다대포 방향 종점에선 북쪽 종점인 노포역에서 76분 정도면 닿을 수 있게 된다. 도시철도의 건설은 국비와 시비가 함께 투입된 사업인만큼, 대한민국 정부 부처(국토해양부, 현 국토교통부)의 타당성조사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부산광역시의 주도로 건설 계획이 진행 중이던 2003년 9월은 기획예산처(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의 미흡으로 장기사업과제로 분류돼 사업 추진이 보류된 적이 있다.B/C 0.81 부산광역시청 보도자료 그러나 2004년부터 사업이 재추진되어 기획예산처는 2004년 11월 12일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하고 한국개발연구원에 조사용역을 의뢰하였다. 이에 2005년에 있던 한국개발연구원의 조사용역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옴에 따라 예산이 반영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 6월은 기본계획이 최종 확정되었다. 따라서 2009년 9월에 실시계획을 완료하여 11월 20일부터 착공하여 2013년 말에 최종 개통하여 운영할 예정이었다. 건설하게 되는 노선은 기존 1호선의 기점인 신평역에서 장림을 거쳐 다대포해수욕장역에 이르는 7.98km의 구간이며, 모두 6개 역이 건설된다.부산 도시철도 '다대선' 착공..2013년말 완공 연합뉴스2009년 11월 20일 그러나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기준으로 1호선 다대포 연장 구간의 건설기간이 2013년 하반기에서 2017년 상반기로 연기되었다. 2013년 2월에 건축공사 착공에 들어갔으며, 그 해 11월에 궤도공사가 진행되었다. = = 노후화로 인한 문제점 = = 현재의 안전 규정은 선로의 총 운행 하중이 5억톤일 때 선로를 교체하여야 한다고 한다. 1단계 구간의 선로 운행 하중이 4억 9천만톤에 임박하였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선로를 교체하여야 하며, 2단계 구간도 교체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신호 설비 역시 법적 내구 연한이 임박하고 있어서 동시에 교체되어야 한다. 1호선 지상 구간의 구조물이 태풍과 해풍의 영향으로 강도와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고 진단되었고,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도 부식된 상태다. 이에 대하여 부산교통공사 측은 선로 교체 등 문제는 예산 문제로 인하여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동차의 내구연한 문제는 도시철도법이 개정되면서 최장 40년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해결하였고, 구서역~동래역 구간의 방음벽도 현재 교체 공사가 완료된 상태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121편성, 125편성, 130~131편성, 133~134편성, 139편성, 142편성, 145편성 등 일부 편성이 기존 사이리스터제 쵸퍼 소자에서 현대로템 VVVF-IGBT 소자로 교체가 완료되어 운행 중이다. 하지만 2009년 내구연한 5년 연장 확정 및 2012년 내구연한 제도가 아예 폐지되면서 더 이상의 추가 도입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3년 부산교통공사에서 다대포 연장개통 대비용 신차 6편성의 예산이 반영, 확정되어 별 문제가 없다면 즉시 차량 구매 절차에 들어갈 수도 있다고 한다. 2014년 6월 2일 부산교통공사는 다대포 연장에 대비한 신형 전동차의 차량은 차세대 전동차인 AUTS를 기반으로 제작 된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나온 차량은 한국형 표준 전동차 기반에 부분적으로 AUTS의 기술이 적용된 형태 디자인을 최종 확정하였다. 시제품은 2014년 9월에 만들어졌으며, 2015년 하반기부터 2016년 3월까지 6편성의 전동차 제작을 완료하였으며, 신차 구입에 꼭 필요한 예산 문제로 인한 재원이 부족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대차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비 지원을 호소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146~151편성 등 신차 도입이 추가되어 운행 중이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중구의회 = 다음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서울 중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중구의회는 지역구의원 8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중구 가선거구 소공동, 명동, 을지로동, 광희동, 신당제1동, 중림동 2 중구 나선거구 신당제5동, 신당제6동, 황학동 2 중구 다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신당제2동 2 중구 라선거구 신당제3동, 신당제4동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한나라당 34,300 1 2 열린우리당 19,577 0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한나라당 1 김연선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한나라당 5 1 6 열린우리당 3 0 3 = 틀:존 휴스턴 = = 지지거 = 지지거는 이야기의 각 장면을 그린 그림들을 겹쳐놓고, 그 그림을 한 장씩 꺼내 보여주면서 구연사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식으로 진행하는, 일본의 지거적 예능이다. 주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메이지 시대 이후로 존재한 입회(立絵)식 지지거와 세계 대공황 이후 입화가 쇠퇴하고 탄생한 평회(平絵)식 지지거로 나뉘는데, 오늘날 단순히 "지지거"라 하면 평회식 지지거를 가리킨다. = 분류:콩피에뉴 = = 조니 위어 = 존 가빈 조니 위어(, 1984년 7월 2일 ~ )는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 기본정보 = = 생년월일: 키: 175cm (5'9") 가족: 부모님, 남동생 출생지: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 카운티 좋아하는 선수: 예브게니 플루셴코, 김연아, 이리나 슬루츠카야, 토트미아니나 마리닌 등. 코치: 갈리나 지메스카야, 빅토르 페트렌코 안무가: 니나 페트렌코, 파예 키타리에바, 데니스 페추코프, 데이비드 윌슨 ISU 공인 개인 최고 기록 쇼트프로그램: 84.60 (2009 그랑프리 파이널) 프리스케이팅: 152.75 (2009 그랑프리 파이널) 총점: 237.35 (2009 그랑프리 파이널) = = 인물 = = 조니 위어는 피겨 선수로는 다소 늦은 나이인 12세에 피겨에 입문했다. 그러나 점프에 두각을 보여, 더블악셀 점프를 일주일 만에 습득했다고 한다. 피겨 시작 전에는 승마를 한 적이 있었다. 승마로 펜실베이니아 주의 챔피언도 했었다. 어린 시절부터 러시아를 좋아하여, 2007년에는 외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이에 대한 공로상을 받기도 했다. 패션 모델의 경험도 있으며 2007-08 시즌과 2008-2009 시즌의 의상은 스스로 디자인했다. Gregory/Petukhov의 2007/2008 의상도 디자인해 주었다. = = 스케이팅 기술 = = 조니 위어는 '트리플악셀(3회전반바퀴)' 점프에서 좋은 가산점을 얻고 있다. 또한 3회전-3회전 컴비네이션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3회전 룹' 점프는 본인 스스로 싫어하는 점프라고 밝힌 바 있다. 연습 때에는 4회전-3회전-2회전의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한 적 있지만, 아직 공식 국제 경기에서는 성공한 적 없다. 2008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4회전 토룹을 시도하였으나 회전부족 판정을 받았다. 위어는 3회전 플립 점프의 도약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올바른 플립 점프는 스케이트의 안쪽 엣지로 도약하여 점프를 해야 하지만, 위어는 점프 직전에 스케이트의 바깥쪽 엣지로 바꾸고 점프를 한다. 그러나 2007년 5월, ISU(국제빙상연맹)에서 강화된 규칙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점프를 엄격하게 단속한다는 규정이 수록되어, 2007-08시즌부터는 잘못된 에지의 플립 점프에 감점이 실시되었다. 이로 인해, 2007-08시즌에서는 세계 선수권에서 '잘못된 점프 도약' 판정을 받았다. = = 주요 대회 기록 = = 대회/시즌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동계올림픽 5 6 세계선수권 5 4 7 8 3 4대륙 선수권 4 미국 선수권 3 N. 4 J. 5 J. 6 5 기권 1 1 1 3 2 5 그랑프리 파이널 기권 기권 4 3 3 NHK 트로피 기권 1 2 2 스케이트 아메리카 2 로스텔레콤 컵 2 3 2 1 4 컵 오브 차이나 1 스케이트 캐나다 7 7 3 트로피 에릭 봉파르 4 1 주니어 세계선수권 1 주니어 그랑프리 중국 2 주니어 그랑프리 프랑스 6 주니어 그랑프리 노르웨이 2 주니어 그랑프리 체코 7 주니어 그랑프리 슬로바키아 1 핀란디아 트로피 2 트리글라브 트로피 2 N. N : 노비스 부문 (만 13세 이하), J : 주니어 부문(만 13세 이상) = 분류:핀란드의 성소수자 음악가 = = 분류:부일초등학교 동문 = = 분류:이스라엘의 축구에 관한 틀 = = 유성여자고등학교 (대전) = 유성여자고등학교(儒城女子高等學校)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3년 6월 20일 : 학교법인 해광학원 설립인가, 홍광표 이사장 취임 1974년 1월 5일 : 유성여자고등학교(학년당 3학급, 계 9학급) 설립인가 1974년 1월 14일 : 초대 신구영 교장 취임 1974년 3월 7일 : 유성여자고등학교 개교 및 입학식 1977년 1월 15일 : 제1회 졸업식(168명) 2016년 6월 30일 : 제3대 윤여웅 이사장 취임 2017년 3월 1일 : 학교법인 정훈학원(법인명 변경) 2017년 3월 1일 : 학년당 8학급 계 24학급 감축 2019년 3월 1일 : 제10대 김선형 교장 취임 2022년 1월 27일 : 제46회 졸업식(185명) 거행, 총 15,438명 졸업 2022년 3월 2일 : 제49회 입학식 = 분류:스코틀랜드 신화 = = 위키백과:자신의 저작물 기부하기 = 많은 사람들이 위키백과에 자신의 저작물을 "기부"하고자 합니다. 이런 저작물에는 글이나 논문 등의 어문 저작물도 있고 사진이나 그림 등의 사진 저작물도 있습니다. 이런 저작물은 이미 웹사이트나 다른 매체를 통해 공개된 저작물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들 저작물이 위키백과에 적합한 자료일 수도 있고, 아니면 부적합한 자료일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저작물 기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 = 위키백과에 저작물을 기부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 = 위키백과는 전 세계 사람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웹 기반의 다언어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이 운영하고 있으며, 위키로 만들어져 있어 누구든지 ‘편집’을 눌러서 내용을 고칠 수 있으며, 목적에 관계없이 사용이 자유로운 자유 콘텐츠 프로젝트입니다. 위키백과에 저작물을 기부하는 것이 위키백과에게 저작물의 독점적 사용권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원저작자로서의 모든 권리를 가지지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 3.0)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의 비독점적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을 허가하는 것입니다. 위키백과에 저작물을 기부하면서 '이 자료는 위키백과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든지 '이 정보의 수정을 금지합니다' 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2차 저작물은 영리적 목적을 포함해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교육적 이용이나 비영리적 이용만 허용하는 자료는 기부할 수 없습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의 이용 규약에서는 CC-BY-SA 또는 CC-BY-SA와 호환되는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타인의 글이나, 다른 사람과의 공동 저작물을 GFDL과의 호환성을 검토할 필요 없이 가지고 오는 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글은 CC BY-SA와 GFDL로 배포하는 데에 동의하여야 합니다. 기부한 저작물은 위키백과 공동체에 의해 지속적으로 편집되고 고쳐질 것입니다. 내용이 추가되거나 삭제되고, 배치가 바뀌며, 그림이 더해진다거나, 여러 문서로 나뉘고, 다른 언어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정은 원래 당신의 기대를 벗어날 수 있습니다. 당신의 기여는 문서 역사의 일부로 영원히 남아 보존됩니다. 위키백과의 라이선스 정책은 당신의 저작물에 대한 기여를 인정하며, 동시에 다른 사용자가 저작물을 수정하는 것에 대해 제한을 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 편집의 자유는 당신 역시 이 개선된 결과물을 CC-BY-SA와 GFDL 라이선스 하에서 당신의 웹사이트나 원 저작물에 다시 반영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만약 기부한 저작물이 변경없이 온전한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 위키백과의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문헌도 살펴보세요. = = 위키백과가 기부를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있나요? = = = = =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기부할 수는 없습니다. = = = 당신이 위키백과에 올린 자료의 저작권자가 아니라면, 당신은 위키백과에 저작물을 올릴 권리가 없습니다! 위키백과는 저작물을 사용함에 있어 저작권에 사소한 의문점도 없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본인이 자료를 올렸다 하더라도, 제3자가 보기엔 저작권 침해로 보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자료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글을 쓸 수 있고, 계정 등록 시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기에, 위키백과 사용자가 저작권자 본인임을 증명할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자신이 올린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 사유로 삭제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저작권자의 저작권을 지키기 위한 일이었음을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웹사이트의 내용을 자유롭게 재배포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웹사이트가 퍼블릭 도메인, 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와 호환되는 카피레프트 라이선스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 혹은 콘텐츠 사용에 대한 명시적인 허락을 얻지 않았다면, 다른 웹사이트의 내용을 위키백과에 복사하여 올리지 말아주세요. 다른 사람과 함께 만든 공동 저작물이거나, 기업이나 관공서, 단체 등에서 작성한 업무상 저작물의 경우, 당신이 작성한 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저작권이 없거나 혼자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자신에게 저작권이 귀속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조직 내에서 만든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조직 내에서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먼저 조직 내부에서 확인과 검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당신이 직접 혼자 작성한 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출판권 등의 일부 권리가 출판사에 있을 수 있습니다. 공모전 등의 응모작일 경우에도 일부 권리가 주최측에 양도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당신의 저작물을 위키백과에 기부할 수 없습니다. = = = 위키백과는 모든 정보의 집합소가 아닙니다. = = = 위키백과는 모든 정보의 집합소가 아닙니다. 먼저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를 읽어보세요. 일반적으로 백과사전에 등재될 기준이 안 되는 항목은 싣지 않습니다. 당신의 학교 동아리나 인터넷 동호회에 관한 항목은 대개는 싣기 어렵습니다. 출처가 확실하고 중립적 시각에서 기술된 백과사전다운 글이라면 언제나 환영합니다. 대개의 웹사이트에 실린 내용은 출처와 중립적 시각 등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합니다. 이런 글은 그대로 복사해서 올리는 것보다 문장의 표현을 다듬어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 = = 위키백과는 독자 연구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 = 위키백과는 새롭거나 검증되지 않은 연구 결과를 올리는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의 입장은 "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올리려는 내용이 다른 곳에 발표되지 않은 최신의 내용을 담고 있다면, 우선 다른 곳을 찾아보세요.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책이나 위키배움터도 살펴보세요. = = 내가 찍은 사진을 기부하려 합니다. = = 당신이 찍은 사진의 위키백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면, 위키미디어 공용에 [ 올려주세요].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우선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린 파일은 위키백과를 포함한 다른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올리기 전에 우선 그림의 저작권 표시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당신이 직접 찍은 사진이라면, 다음 라이선스를 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 저작권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을 허락하는 경우. (비영리(NC)나 변경금지(ND) 제한이 있는 파일은 올릴 수 없습니다. : 저작권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에 따라 이용을 허락하는 경우. 또는 : 저작권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나, 아무런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을 허락하는 경우. 영리적 이용이나 변경 등에 대한 제한을 하는 경우는 올릴 수 없습니다. 또는 :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하는 경우. 저작물은 여러 라이선스를 동시에 채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 중 필요에 따라 한 라이선스 조건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올릴 때, 라이선스 외에도 사진에 대한 설명과 출처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적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 이미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저작물의 복사를 허락하고자 합니다. = = 이미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저작물의 복사를 허락하는 방법은 저작물이 올라온 웹사이트 상에 그 허락 문구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카피레프트"라고 알려진 공지를 추가하면 됩니다. 해당 공지는 당신의 웹사이트(혹은 그 일부)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GFDL)로 공개하거나, 혹은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면 됩니다. 만약 위키백과나 다른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당신이 만든 사진이나 문서 등의 콘텐츠를 사용하길 원하나, 웹사이트 내에 라이선스 조항을 추가하는 것은 피하고자 한다면, 다음 절차를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 = 지식공유 프로젝트는 무엇입니까? = = 어떤 단체나 기업은 자신들이 소유한 정보(각종 문헌, 사진, 미디어 등)들을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쉽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어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정보들을 위키백과에 기부하고자 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위와 같은 좋은 뜻을 가진 단체나 기업의 정보를 공개·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지식공유 프로젝트라고 합니다. 혹시나 위키백과에 익숙하지 않아 기부가 망설여진다면 다른 위키백과 사용자에게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위키미디어 운동의 확산과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한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쪽으로 연락을 주셔도 됩니다. = = 함께 보기 = = 위키백과:저작권 위키백과:지식공유 프로젝트 Commons:OTRS/ko(열린 자료 허가요청체계) = 서당초등학교 = 서당초등학교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2년 2월 11일 서당국민학교 설립인가 1993년 4월 1일 서당국민학교 개교(26학급) 1994년 2월 15일 제1회 졸업생(262명) 1996년 3월 1일 서당초등학교로 개명 1998년 3월 1일 성남교육청 창의성교육 시범 학교 2001년 3월 1일 35학급 편성 2004년 3월 1일 제4대 장신현 교장 부임 2007년 9월 1일 제5대 엄정원 교장 부임 2008년 2월 16일 제15회 졸업식 2008년 3월 1일 35학급 편성 2009년 2월 17일 제16회 졸업식 2009년 3월 1일 33학급 편성 2009년 3월 17일 34학급 편성 2010년 2월 11일 제17회 졸업식(268명) 2010년 3월 1일 34학급 편성 2011년 2월 17일 제18회 졸업식(237명) 2011년 3월 1일 33학급 편성 2011년 9월 1일 제6대 이도섭 교장 부임 2012년 2월 14일 제19회 졸업식(203명)(총 5,392명 졸업) 2012년 3월 1일 35학급 편성 2013년 9월 1일 제7대 조명순 교장 부임 2014년 3월 24일 33학급 편성 *2016년 2월 제23회 졸업식 = 최성훈 (야구 선수) = 최성훈(崔成勳, 1989년 10월 11일 ~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이다. = =아마추어 시절 = = 경기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8년 8월 18일 제 37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6강전에서 부산고를 상대로 9이닝 3볼넷, 16탈삼진을 기록하며 고교 통산 15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봉황대기에서는 통산 4번째 노히트 노런으로 1980년 선동열 이후 27년 만에 달성된 기록이었다.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해 경희대학교에 입학했다. 하지만 부상으로 2학년 때까지 경기에 제대로 출전하지 못했고, 3학년 때는 토미 존 수술까지 받으며 전력에서 완전 배제됐다. 경희대 4학년 때인 2011년에는 기량을 회복했고, 8경기에 선발 등판해 4승 2패, 45탈삼진, 평균자책점 1.36을 기록했다. 201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2라운드 7순위(전체 16순위)로 지명됐고, 졸업 전에 2011년 야구 월드컵에 참가했다. = =LG 트윈스 시절 = = 2012년에 입단하였다. 2012년 4월 28일 롯데전에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1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됐다. 5월 2일 한화전에서 6이닝 2실점 QS를 기록하며 데뷔 첫 선발 승을 거뒀다.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시즌 37경기에 등판해 73.1이닝 5승 6패, 2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신인왕 후보에 올랐으나 3표를 받는데 그쳤다. 2013년에는 어깨와 햄스트링 부상이 겹쳐 확대 엔트리가 시행된 9월 1일에서야 1군에 합류했다. 4경기 출전에 그친 채 시즌을 마쳤고, 이후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했다. 2016년에 개막 엔트리에 포함됐지만 전반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시즌 28경기에 등판해 22.2이닝 2승 1패, 4홀드, 7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7년 8월 3일 롯데전에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시즌 32경기에 등판해 22이닝 3홀드, 1세이브,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주로 원 포인트 릴리프로 24경기에 등판해 16.2이닝 3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후반기에 부상으로 시즌 아웃됐다.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 2024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이적하였다. = = 출신 학교 = = 서울가동초등학교 잠신중학교 경기고등학교 경희대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2 LG 4.42 37 0 0 5 6 0 2 0.455 331 73⅓ 85 5 30 4 23 39 36 2013 LG 4.50 4 0 0 0 0 0 0 - 12 2 4 1 0 1 2 1 1 2016 LG 7.15 28 0 0 2 1 0 4 0.667 112 22⅔ 35 1 11 0 8 22 18 2017 LG 4.09 32 0 0 0 0 1 3 - 108 22 25 2 11 4 16 12 10 2018 LG 3.78 24 0 0 0 0 0 3 - 74 16⅔ 17 4 9 1 14 7 7 2020 LG 3.51 48 0 0 0 0 0 2 - 145 33⅓ 36 1 16 1 24 13 13 2021 LG 2.43 46 0 0 1 1 0 3 0.500 179 40⅔ 40 2 19 1 33 14 11 2022 LG 2.16 45 0 0 0 0 0 6 - 139 33⅓ 23 1 13 3 22 10 8 2023 LG 15.00 5 0 0 0 0 1 0 - 17 3 7 0 1 0 2 5 6 통산 9시즌 3.97 269 0 0 8 8 2 23 0.500 1117 247 272 17 110 15 144 123 109 = 올레그 에레민 = 올레그 에레민(, 1967년 10월 28일 ~ )는 러시아 출신의 축구 선수이다. K리그에서 등록명은 이레마를 사용하였는데 일본으로 떠난 라데의 대체자로 영입된 미하일이 고질적인 허벅지 부상 탓인지 3경기 만에 퇴출되어 대타로 들어왔으나 함량 미달 탓인지 4경기 만에 퇴출됐다. = 도라에몽 노비타의 남해대모험 = 도라에몽 노비타의 남해대모험은 일본에서 1998년 3월 7일에 개봉했다. 한국에서는 2017년 5월16일에 방영되었다. 한국판은 진구의 바다대모험으로 방영을 했다. = = 등장인물 : 녹음성우 = = 도라에몽 : 오오야마 노부요 노비타 : 오오하라 요리코 시즈카 : 노무라 미치코 자이언 : 타테카베 카즈야 스네오 : 키모츠키 카네타 = 퓨어베이직 = 퓨어베이직(PureBasic)은 베이직 기반의 상업적으로 배포된 절차적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통합 개발 환경으로, 판타지 소프트웨어가 윈도우 32/64비트, 리눅스 32/64비트, macOS를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아미가 버전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개발이 중단되어 일부 포팅은 오픈 소스로 공개된 상태이다. 최초의 윈도우용 퓨어베이직 릴리스는 2000년 12월 17일에 출시되었다. 이후로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퓨어베이직은 수명 라이선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웹사이트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1998년에 등록한 최초의 퓨어베이직 사용자는 새로운 업데이트에 대한 무료 접근 권한이 있으며 이 점은 앞으로도 바뀌지 않는다.FAQ, lifetime licence details 퓨어베이직은 x86, x86-64, 파워PC, 680x0 명령 집합에 대해 직접 컴파일하며 표준 시스템 라이브러리를 넘어 런타임 라이브러리가 불필요한 조그마한 독립형 실행 파일과 DLL을 생성한다. 플랫폼 특화 API를 사용하지 않고 개발한 프로그램들은 수정 절차 없이 또는 수정이 거의 없이 동일 소스 파일을 가지고 쉽게 빌드가 가능하다. = 명릉 (원성왕후) = 명릉(明陵)은 고려 제8대 현종의 제3비인 원성왕후 김씨의 능이다. 현재 능의 위치는 알 수 없다. = 어나더 라운드 = 어나더 라운드는 2020년 개봉한 덴마크의 드라마 영화이다. 토마스 빈터베르가 감독과 공동각본을 맡았다. 2020년 칸 영화제에 공식 초청되었다. 2021년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국제장편영화상을 수상하였다. = = 출연진 = = = = = 주연 = = = 마스 미켈센 - 마르틴 역 토마스 보 라르센 - 톰뮈 역 망누스 밀랑 - 니콜라이 역 라르스 란테 - 페테르 역 = = = 조연 = = = 마리아 보네비 - 아니카 역 헬레네 라인가르드 노이만 - 아말리에 역 수세 볼 - 교장 역 알베르트 루드베크 린드하르트 - 세바스티안 역 마르틴 그레이스 로젠탈 - 오베르티예네르 역 프레데리크 빈테르 라스무센 - 말테 역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자메이카 = 영어 위키백과의 자메이카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 = Top-importance Jamaica articles (26/30) = = :en:Alexander Bustamante (20) :en:Alpha Boys' School (3) :en:Baptist War (10) :en:Bluefields Beach (2) :en:Constitution of Jamaica (4) :en:Culture of Jamaica (10) :en:Elections in Jamaica (4) :en:First Maroon War (8) :en:Football in Jamaica (3) :en:Foreign relations of Jamaica (4) :en:Jamaica at the 2008 Summer Olympics (20) :en:Jamaica, Land We Love (40+) → 자메이카의 국가 :en:Jamaican English (18) :en:Jamaican Maroons (8) :en:Judiciary of Jamaica (2) :en:Kingston, Jamaica (130+) → 킹스턴 (자메이카) :en:Norman Manley (15) :en:Order of Distinction (8) :en:Order of the National Hero (Jamaica) (14) :en:Parishes of Jamaica (18) :en:Parliament of Jamaica (14) :en:Perry Henzell (5) :en:Politics of Jamaica (11) :en:Prostitution in Jamaica (3) :en:Religion in Jamaica (5) :en:Ska (60+) → 스카 = = High-importance Jamaica articles (79/92) = = :en:1907 Kingston earthquake (5) :en:2010 Kingston unrest (6) :en:2016 Jamaican general election (10) :en:Alexander Lindsay, 6th Earl of Balcarres (6) :en:Alia Atkinson (17) :en:Cabinet of Jamaica (3) :en:Christianity in Jamaica (2) :en:Christopher Coke (10) :en:Clifford Campbell (11) :en:Cockpit Country (3) :en:Colony of Jamaica (13) :en:Cornwall County, Jamaica (24) → 콘월주 (자메이카) :en:Donald Keith Duncan (3) :en:Donald Sangster (16) :en:Dub music (30+) → 덥 음악 :en:Dunn's River Falls (13) → 던스리버 폭포 :en:Edward Seaga (22) :en:Elleston Wakeland Stadium (2) :en:Elsa Goveia (7) :en:Evan Jones (writer) (4) :en:Florizel Glasspole (12) :en:G. C. Foster (2) :en:Gladys Bustamante (2) :en:Gleaner Company (2) :en:Gwendolyn Spencer (2) :en:Hanover Parish (26) → 해노버구 :en:Heather Little-White (5) :en:Hugh Shearer (19) :en:Independence of Jamaica (5) :en:ISO 3166-2:JM (22) :en:Iyaric (5) :en:Jamaican Patois (40+) → 자메이카 파트와 :en:Jamaicans (14) :en:Jamaica Province of the Moravian Church (3) :en:Kingston Harbour (8) :en:Manchester Parish (25) → 맨체스터구 :en:Maureen Warner-Lewis (3) :en:Michael Manley (29) → 마이클 맨리 :en:Mico University College (2) :en:Middlesex County, Jamaica (22) → 미들섹스주 (자메이카) :en:Ministry of National Security (Jamaica) (2) :en:Mona, Jamaica (6) :en:Munro College (2) :en:Music of Jamaica (8) :en:National Gallery of Jamaica (4) :en:National Heroes Park (4) :en:Negril (17) :en:Norman Manley International Airport (27) → 노먼 맨리 국제공항 :en:Patrick Allen (governor-general) (25) :en:Paulette Wilson (4) :en:P. J. Patterson (26) :en:Plantain Garden River (4) :en:Port Antonio (20) :en:Port Royal (30+) → 포트로열 :en:Prime Minister of Jamaica (18) → 자메이카의 총리 :en:Prince Buster (25) :en:Rude boy (21) :en:Saint Andrew Parish, Jamaica (23) → 세인트앤드루구 (자메이카) :en:Saint Ann Parish (25) → 세인트앤구 :en:Saint Catherine Parish (24) → 세인트캐서린구 :en:Saint James Parish, Jamaica (25) → 세인트제임스구 (자메이카) :en:Saint Mary Parish, Jamaica (22) → 세인트메리구 (자메이카) :en:Samuel Sharpe (10) :en:Shabba Ranks (17) :en:Sheila Dorothy King (3) :en:Shirley Miller (3) :en:Ska punk (30+) → 스카 펑크 :en:Spanish Town (30+) → 스패니시타운 :en:Sport in Jamaica (2) :en:Surrey County, Jamaica (23) → 서리주 (자메이카) :en:The Gleaner (3) :en:Toasting (Jamaican music) (7) :en:Trelawny Parish (28) → 트렐로니구 :en:Trenchtown (12) :en:University of Technology, Jamaica (7) :en:Visa policy of Jamaica (4) :en:White River (Jamaica) (2) :en:William Knibb (3) :en:Yellowman (15) 자메이카 = 틀:1998년 FIFA 월드컵 이란 선수 명단 = = 프레스바이플 = 프레스바이플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이다. 2011년 12월 11일에 첫 기사를 내는 것으로 시험 운영에 들어가 2012년 2월 1일에 정식 창간되었다. SNS를 기반으로 하는 매체로서, '프레스바이플(pressbyple)'은 '프레스 바이 더 피플(press by the people)'의 약자로 '시민들에 의한 매체'를 표방하였다.정재수. 소셜네트워크 기반 ‘프레스바이플’ 창간. 미디어오늘. 2012년 2월 6일. 프레스바이플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서 형성되는 정치·경제·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의견들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뉴스 기사 댓글과 토론사이트 등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취재하고 보도한다. 프레스바이플의 사장은 허성관 전 해양수산부, 행정자치부 장관으로, 인적 구성은 노무현 정부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다. 회장은 언론인 김종철이며, 박정원 '아이러브이해찬' 초대 회장이 편집위원 및 기조실장을 맡아 운영하였다. <재단법인 광장>, <복지국가 소사이어티>,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 협의회>, <한국작가회의>, <문학 in>, <역사 정의를 위한 민주행동>, <노무현재단 뉴스브리핑팀>, <사단법인 사회디자인연구소>, <레디앙> 등 주로 민주·개혁·진보 진영의 연구소와 언론 등에서 프레스바이플에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콘텐츠 제공에 함께하는 인사에는 편집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는 강기석 등을 포함하여 다수가 있다. = = 출판 = = *프레스바이플 편집국. 졸라 청춘. 프레스바이플. 2012년 6월 24일. *김종철. 박근혜 바로보기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2년 8월 13일. ISBN 4808996903727 *김종철. 박근혜 바로보기. 프레스바이플. 2012년 8월 25일. *프레스바이플 편집국. 졸라 청춘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2년 8월 27일. ISBN 4808996903734 *이해찬·유시민 외. 기억하는 자의 광주. 프레스바이플. 2012년 9월 7일. *이해찬·유시민 외. 기억하는 자의 광주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2년 9월 7일. ISBN 4808996903741 *윤개굴. 잉여인간을 위한 위안서. 프레스바이플. 2012년 11월 13일. ISBN 4808997293414 *임형찬. 정치하지 마라. 프레스바이플. 2012년 12월 3일. ISBN 4808996903758 *김종철. 장준하는 누구인가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2년 12월 26일. ISBN 4808996903765 *한종수, 홍기원. 3·1 민주올레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2월 22일. ISBN 4808998861032 *한종수.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 - 공자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3월 19일. ISBN 4808998861018 *한종수, 홍기원. 4.19 민주올레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4월 26일. ISBN 4808998861025 *한종수.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 - 체 게바라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11월 8일. ISBN 4808998861001 *한종수.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 - 호찌민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11월 8일. ISBN 4808996903796 *한종수.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 - 사도 성바오로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11월 8일. ISBN 4808996903789 *한종수.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 사마천 _ 전자책. 프레스바이플. 2013년 11월 8일. ISBN 4808996903772 = 미켈레 다 체세나 = 미켈레 다 체세나(: 1270년경-1342년 11월 29일)는 이탈리아인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신학자였다. 프란치스코회 총봉사자를 역임했다. 청빈 논쟁에서 복음적 청빈을 옹호하여 교황 요한 22세와 대립했다. 미켈레의 초년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출신지는 체세나이고, 프란치스코회에 입회한 뒤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하고 1316년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볼로냐에서 신학을 강의하고 경전과 명제집에 여러 주석을 달았다.Donovan, Stephen. "Michael of Cesena."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0.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1 January 2020 1316년 5월 31일 나폴리에서 열린 프란치스코회 총회에서 궐석이었던 미켈레가 총봉사자로 선출되었다. 미켈레는 즉시 아시시로 가서 수도회 회칙을 개정하기 위한 총회를 소집했다. 볼로냐로 돌아온 미켈레는 1316년 8월 21일 『그라비 쿠아 프레모르』라는 글을 발표했다. 미켈레의 이 글을 비롯한 청빈 문제에 관한 문건들에 대응하기 위해 요한 22세는 1317년 10월 7일 칙서 「Quorumdam exigit」를 발표하여 전임 교황 니콜라오 3세의 「Exiit qui seminat」(1279년 8월 13일), 클레멘스 5세의 「Exivi de paradiso」(1312년 5월 6일)에 재론의 여지가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이 칙서를 통해 요한 22세는 프란치스코회 영성파에게 그만 반항하고 교회 상부에 복종하라고 명령했다. 미켈레는 프란치스코회 총봉사자로서 처음에는 영성파를 설득할 수 없는 과격파라고 생각하고 그들을 탄압하는 문제에서 교황에게 동의했다. 하지만 교황칙서가 프란치스코회 회칙의 핵심 부분을 건드렸기 때문에, 프란치스코회 내부는 적지 않은 혼란에 휩싸였다. 이보다 앞서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프란치스코 본회와 영성파 사이의 불화를 잠재우기 위해 프란치스코회에 주어진 모든 재산은 교황청의 소유이고, 프란치스코회 수도사들은 그것을 받아 사용할 뿐이라고 판시했었다. 니콜라오 3세가 그것을 재확인했는데, 요한 22세가 번복한 것이다. 요한 22세는 사용권과 소유권이 실질적으로 같은 것인데 수도사들이 멀쩡히 입고 먹는 것들의 소유권이 교황에게 있다고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은 우스꽝스러운 일이라며, 프란치스코회의 재산의 소유권을 교황이 떠맡기를 거부함으로써 프란치스코회 수도사들이 소유를 받아들일 것을 강제했다. 미켈레와 그 지지자들은 프란치스코회는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모범을 따르기 위해 엄격한 무소유 노선을 택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그들은 더 나아가 교회 전체가 그 모범을 따라 재산을 가지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Brackney, William H., Historical Dictionary of Radical Christianity, Scarecrow Press, 2012, p. 131 그리하여 이 논쟁은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사유적으로나 공유적으로나 아무런 재산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이 가톨릭 신앙과 일치하는지 아닌지(즉, 이단인지 아닌지)에 대한 사변적 신학논쟁으로 번져갔다. 1321년 나르본 논쟁에서 도미니코회 이단심문관 장 드 본느는 미켈레 등 프란치스코회의 주장이 이단이라고 주장했고, 베렝가르 드 페르피냥은 미켈레의 주장이 전임 교황들의 칙서와 어긋나는 바가 없다고 반박했다. 요한 22세 당시 제기된 이 문제는 재산의 지배권(dominion)과 사용권(use)을 구분함으로써 모순을 해결하려는 추가적인 시도였다. 이 논리에 따르면 그리스도와 사도들은 지배권으로서의 재산은 무소유했고, 사용권으로서의 재산만 소유한 것이었다. 요한 22세는 1322년 3월 26일 칙서에서 「Quorumdam exigit」는 전임 교황들의 칙서를 해석하려는 의도였을 뿐이라며, 그 의미를 곡해하려는 자는 파문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페루자에서 소집된 프란체스코회 총회는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지상의 재화를 소유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이 이단이 아닐 뿐 아니라, 그것이 기독교의 참된 교리라고 결정했다. 논쟁이 가라앉지 않고 계속되던 1327년, 요한 22세가 미켈레를 아비뇽으로 소환했다. 미켈레는 꾀병을 부리며 지체했으나 결국 아비뇽으로 갔고, 거기 붙잡혀서 아비농을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 때문에 미켈레는 이듬해(1328년) 5월 볼로냐에서 소집된 총회에 참석할 수 없었다. 미켈레는 부재중이었고, 또한 교황특사단이 그의 재선출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켈레는 총봉사자로 재선출되었다. 미켈레는 오컴의 윌리엄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고, 많은 성직자들과 공후들이 교황에게 미켈레를 옹호하는 서한을 써 보냈다. 이듬해, 미켈레, 오컴을 비롯한 프란치스코회 고위 수도사들은 아비뇽 교황청에서 탈주했다. 그들은 나폴리 국왕 로베르 1세 당주에게 가려고 했으나, 폭풍 때문에 에그모르트로 회항했다. 에그모르트항에서 프란치스코 수도사들은 신성로마황제 루트비히 4세의 부하들이 모는 배를 타고 피사로 갔다. 피사에 도착한 미켈레 등은 루트비히 4세와 합류했고, 루트비히 4세는 교황 요한 22세의 폐위를 선언했다. 요한 22세는 미켈레를 파문했다. 1329년, 요한 22세는 프란치스코회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고, 그해 6월 11일 프란치스코회 총회는 베르트랑 드 라 투르 추기경이 동석한 자리에서 미켈레, 오컴을 비롯해 요한 22세에게 반항한 이들의 저술과 행동을 비난하는 결의를 채택하고, 게랄두스 오도니스를 새로운 총봉사자로 선출했다. 격노한 미켈레는 루트비히 4세에게 의탁하기 위해 독일로 망명했다. 1331년 4월 25일 페르피냥 총회에서 미켈레는 완전히 수도회에서 제명되었고, 궐석으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미켈레는 끊임없이 복음적 청빈을 주장하는 투쟁을 이어가는 것으로 여생을 보냈고, 요한 22세 사후 신임 교황 베네딕토 12세에게 재심을 청구하기도 했다. 미켈레는 1338년 뮌헨에서 죽었고, 그곳의 프란치스코회 수녀원에 묻혔다. 1359년 복권되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22년 2월 10일 =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1,185,361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54,122명(국내 54,034, 해외유입 88)이 늘었다. 처음으로 일 확진자 수가 5만 명을 넘었다. 2월 5일(36,362명) 3만 명을 넘고, 2월 9일(49,567명) 4만 명을 넘은데 이은 것이다. 영국의 웨일스 공 찰스(찰스 왕세자)가 두 번째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찰스공은 2020년 3월에도 확진되었었다. = 분류:고베 대학 동문 = = 영산재 = 영산재는 대한민국의 불교 의식으로 사람이 죽은 지 49일이 되는 날 영혼을 극락으로 천도하는 천도재의 한 형태이다. 2009년 9월 30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4차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됐다. = = 개요 = = 1973년 11월 5일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영산재는 해마다 시연되는 행사이며, 이 영산재 보존을 위해 봉원사에서 영산재보존회를 만들었으며, 보유자는 범패 부분 김인식(법명 구해)이다. 옥천범음대학을 함께 두어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영산재는 괘불 앞에서 찬불의식을 괘불이운(掛佛移運)으로부터 시작된다. 괘불은 정면 한가운데 걸고 그 앞에 불단을 세운다. 그 다음은 영혼이 생전에 지은 죄를 씻어내는 관욕 의식을 진행한다. 이 의식이 끝나면, 부처에게 공양을 드리고, 이후 사람들의 보다 구체적인 소원을 아뢰는 축원문을 낭독한다. 보통 매년 6월의 첫째주에 연간 정기 공연이 시작되며, 2010년 6월 6일에 정기 공연이 있다. = =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 = 영산재는 제사의 한 형태로,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행한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을 오늘날에 재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불교 천도의례 중 대표적인 제사로 일명 ‘영산작법’이라고도 한다.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 영산재는 제단이 만들어지는 곳을 상징화하기 위해 야외에 영산회상도를 내다 거는 것으로 시작한다. 신앙의 대상을 절 밖에서 모셔오는 행렬의식을 하는데, 이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해금, 북, 장구, 거문고 등의 각종 악기가 연주되고, 바라춤·나비춤·법고춤 등을 춘다. 신앙의 대상을 옮긴 후에는 여러 가지 예를 갖추어 소망을 기원하며 영혼에게 제사를 지낸다. 마지막으로 신앙의 대상을 돌려보내는 봉송의례를 하는데 제단이 세워진 곳에서 모든 대중이 열을 지어 돌면서 독경 등을 행한다. 예전에는 사흘 낮과 밤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규모가 축소되어 하루동안 이루어진다. 영산재는 전통문화의 하나로,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 부처님의 참진리를 깨달아 번뇌와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지에 이르게 하고 공연이 아닌 대중이 참여하는 장엄한 불교의식으로서 가치가 있다. = = 불교 음악 = = 이 의식을 진행하는 동안 범패(梵唄), 화청(和唱) 등을 연주하며,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을 춘다. 이러한 요소들은 우리 전통민속음악과 민속 무용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산재는 주로 태고종에서 전해 내려오며 매년 서울 봉원사에서 영산재를 거행한다. = 분류:화학 = = 분류:나고미정 = = 분류:타이거 마스크 = = 분류:안도라라벨랴의 스포츠 = = 포스팅 시스템 = 포스팅 시스템(posting system)은 프로야구 선수가 메이저 리그에 진출할 경우, 이적을 할 수 있는 제도 중 하나이다. = = 한국프로야구 포스팅 시스템 = = FA가 아닌 선수가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소속구단의 동의가 필요한데, 소속구단은 포스팅을 행사하여 돈을 받고 선수를 이적시킬 수 있다. 단 한국프로야구에서 포스팅 시스템의 자격이 있는 선수는 1군에서 7시즌이상 FA자격일수를 채운 선수로 제한하고 있다. 초창기 포스팅은 가장 많은 이적금액을 제출한 MLB 1구단이 낙찰하는 방식이었지만 제도에 수정이 가해져 현재는 포스팅 신청을 하면 메이저리그 30개 구단과 선수가 자유롭게 협상하여 계약이 이루어지면 보장 연봉 총액에 따라 원소속팀에 정해진 비율을 이적료로 지급한다. = = = 경쟁입찰방식 = = = 연도 이름 소속구단 낙찰구단 낙찰금액 비고 1998 이상훈 LG 트윈스 보스턴 레드삭스 60만 달러 소속팀에서 이적거부 2002 진필중 두산 베어스 응찰구단 없음 무산 2002 진필중 두산 베어스 비공개 2만 5천 달러 소속팀에서 이적거부 2002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비공개 65만 달러 소속팀에서 이적거부 2009 최향남 롯데 자이언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01달러 이적 (마이너리그 계약) 2012 류현진 한화 이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573만 7737달러 33센트 이적 2014 양현종 KIA 타이거즈 텍사스 레인저스 비공개 소속팀에서 이적거부 2014 김광현 SK 와이번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만 달러 무산 2014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피츠버그 파이리츠 500만 2015달러 이적 2015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미네소타 트윈스 1285만 달러 이적 2015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응찰구단 없음 무산 2015 황재균 롯데 자이언츠 응찰구단 없음 무산 = = = 선수연봉총액 양도금 연동방식 = = = 연도 이름 소속구단 계약구단 양도금액 비고 2019 김광현 SK 와이번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60만 달러 이적 2019 김재환 두산 베어스 계약구단 없음 무산 2020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552만 5000달러 이적 2020 나성범 NC 다이노스 계약구단 없음 무산 2023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882만 5000달러 이적 = = 일본프로야구 포스팅 시스템 = = KBO와 달리 NPB는 선수가 단 1시즌만 소속팀에서 플레이 했더라도 구단이 허락만 하면 포스팅을 행사할 수 있다. 초창기 포스팅은 가장 많은 이적금액을 제출한 MLB 1구단이 낙찰하는 방식이었지만 제도에 수정이 가해져 현재는 포스팅 신청을 하면 메이저리그 30개 구단과 선수가 자유롭게 협상하여 계약이 이루어지면 보장 연봉 총액에 따라 원소속팀에 정해진 비율을 이적료로 지급한다. = = = 경쟁입찰방식 = = = 연도 이름 소속구단 낙찰구단 낙찰금액 비고 2000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블루웨이브 시애틀 매리너스 1312만 5000달러 이적 2001 이시이 가즈히사 야쿠르트 스왈로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126만 4055달러 이적 2006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즈 보스턴 레드삭스 5111만 1111달러 11센트 이적 2006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왈로스 탬파베이 레이스 450만 달러 이적 2006 이가와 게이 한신 타이거스 뉴욕 양키스 2600만 194달러 이적 2010 니시오카 쓰요시 지바 롯데 마린스 미네소타 트윈스 532만 9000달러 이적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스왈로스 밀워키 브루어스 250만 달러 이적 2011 다르빗슈 유 니혼햄 파이터스 텍사스 레인저스 5170만 3411달러 이적 = = = 선수연봉총액 양도금 연동방식 = = = 연도 이름 소속구단 계약구단 양도금액 비고 2018 기쿠치 유세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시애틀 매리너스 1027만 5000달러 이적 2021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카고 컵스 1462만 5000달러 이적 2022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버펄로스 보스턴 레드삭스 1537만 5000달러 이적 = 분류:일본의 축구 더비 = = 골뱅이 (동음이의) = 골뱅이에는 다음 뜻이 있다. 고둥류 조개를 부르는 말로, 어느 종을 가리키는지는 문맥과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다. 큰구슬우렁이(Polinices didyma) — 골뱅이무침 등에 쓰이는 골뱅이. 수염고둥(Cymatium parthenopeum) — 표준어로 ‘골뱅이’로 불리는 종. 다슬기 달팽이 우렁이 《골뱅이》는 기호 @을 대한민국에서 부르는 말이다. 《@골뱅이》는 SBS에서 방영된 청춘시트콤이다. = 분류:안성시 = = 뉴군 = 뉴군은 일본 후쿠이현의 군이다. 이하 1정으로 구성된다. 에치젠정() 사바에시, 에치젠시의 서쪽에 위치하고 동해에 접하고 있다. = = 군역 = = 1878년 행정 구역으로 출범할 당시의 군역은 위의 1정과 다음 구역에 해당한다. 후쿠이시의 일부 사바에시의 일부 에치젠시의 일부 = = 역사 = = 메이지 정부가 군제를 시행하면서 폐번치현 이전의 에치젠국 남서부에 해당하는 뉴군의 북쪽을 뉴군, 남쪽을 난조군으로 분할해 탄생했다. 원래는 현재의 구역 외에 후쿠이시의 남서부, 사바에시 및 에치젠시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아래의 정촌이 발족.(23촌) 아사히촌(朝日村): 현 에치젠정 다치마치촌(立待村): 현 사바에시 요시카와촌(吉川村): 현 사바에시 오카야마촌(岡山村): 현 사바에시 요시노촌(吉野村): 현 에치젠시 오무시촌(大虫村): 현 에치젠시 미야자키촌(宮崎村): 현 에치젠정 시라야마촌(白山村): 현 에치젠시 시로사키촌(城崎村): 현 에치젠정 시카우라촌(四ヶ浦村): 현 에치젠정 가미미사키촌(上岬村): 현 에치젠정 고시노촌(越廼村): 현 후쿠이시 시모미사키촌(下岬村): 현 후쿠이시 구니미촌(国見村): 현 후쿠이시 덴가촌(殿下村): 현 후쿠이시 오타촌(織田村): 현 에치젠정 하기노촌(萩野村): 현 에치젠정 도키와촌(常磐村): 현 에치젠정 이토촌(糸生村): 현 에치젠정 시즈촌(志津村): 현 후쿠이시 니시아고촌(西安居村): 현 후쿠이시 미카타촌(三方村): 현 후쿠이시 아마쓰촌(天津村): 현 후쿠이시 1891년 9월 1일 - 오카야마촌이 개칭하여 유타카촌(豊村)이 됨. 1907년 8월 1일 - 시카우라촌·가미미사키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시카우라촌이 발족.(22촌) 1946년 8월 1일 - 시카우라촌이 정제 시행으로 시카우라정(四ヶ浦町)이 됨.(1정 21촌) 10월 1일 - 아사히촌이 정제 시행으로 아사히정(朝日町)이 됨.(2정 20촌) 1950년) 1월 1일 - 요시노촌이 다케후시(현 에치젠시)에 편입.(2정 19촌) 11월 30일 - 오무시촌이 다케후시에 편입.(2정 18촌) 1951년 4월 1일 - 오타촌·하기노촌 및 도키와촌의 일부가 합병하여, 새로이 오타촌이 발족. 도키와촌의 잔여부가 아사히정에 편입.(2정 16촌) 11월 1일 - 오타촌이 정제 시행으로 오타정(織田町)이 됨.(3정 15촌) 1952년 7월 7일 - 고시노촌·시모미사키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고시노촌이 발족.(3정 14촌) 1954년 8월 1일 - 니시아고촌이 후쿠이시에 편입.(3정 13촌) 1955년 1월 15일 - 요시카와촌·다치마치촌·유타카촌이 이마다테군 사바에정·신메이정·나카가와촌·가타카미촌과 합병하여 사바에시(鯖江市)가 발족, 군에서 이탈.(3정 10촌) 3월 1일 - 시카우라정·시로사키촌이 합병하여, 에치젠정(越前町)이 발족.(3정 9촌) 3월 31일 - 아사히정·이토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아사히정이 발족.(3정 8촌) 7월 28일 - 아마쓰촌·시즈촌·미카타촌이 합병하여, 시미즈정(清水町)이 발족.(4정 5촌) 1959년 2월 1일 - 구니미촌이 후쿠이시에 편입.(4정 4촌) 8월 1일 - 시라야마촌이 다케후시에 편입.(4정 3촌) 1963년 4월 1일 - 덴가촌이 후쿠이시에 편입.(4정 2촌) 2005년 2월 1일 - 에치젠정·아사히정·오타정·미야자키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에치젠정이 발족.(2정 1촌) 2006년 2월 1일 - 시미즈정·고시노촌이 후쿠이시에 편입.(1정) = 분류:수후미 = = 학자보험 = 학자보험(學資保險)은 어린이보험의 한 형태로서 생존급부금이나 만기보험금으로 입학금˙학비등의 교육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보험을 말한다. = 분류:인터넷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 김흥수 (스키점프 선수) = 김흥수(金興洙, 1980년 10월 4일~)는 대한민국의 스키점프 선수, 지도자이다. = = 생애와 경력 =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으로 설천초등학교, 설천중학교, 무주고등학교, 한국체육대학교를 졸업했다. 무주고 2학년 때인 1998년에 일본 나가노시에서 열린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종목에 참가하였다. 이 대회는 대한민국 선수가 올림픽 스키점프에 처음으로 참가한 대회이며, 노멀힐에서 61위, 라지힐에서 62위를 기록했다. 1999년 1월에는 슬로바키아의 포프라트에서 열린 199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여 노멀힐 16위를 기록했다. 그해 9월에는 일본 나가노시의 하쿠바촌에서 열린 그랑프리에서 최흥철, 최용직, 김현기와 함께 라지힐 단체전에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이후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않다가 2001년 2월에 폴란드 자코파네에서 열린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 노멀힐 단체전에서 최흥철, 최용직, 김현기와 함께 슬로베니아 팀의 뒤를 이어 2위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김흥수의 유일한 국제 대회 메달이다. 2002년 8월에는 독일의 오버슈트도르프에서 열린 컨티넨탈컵 라지힐 단체전에 강칠구, 최용직, 김현기와 함께 출전하여 12위를 기록했다. 2003년 1월에는 이탈리아의 타르비시오에서 열린 200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노멀힐 36위, 라지힐 35위에 올랐다. 이후 군 입대로 인해 선수 생활을 마쳤으며, 2007년에 요헨 다네베르크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스키점프 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그는 2012년에 후임인 볼프강 하르트만으로 교체될 때까지 감독으로 일했으며, 2016년에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종목 스포츠 매니저로 부임하였다. 이후에도 코치로 활약하여 시정헌, 조성우 등의 스키점프 선수를 육성했다. = 2010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예선 = 2010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예선은 2010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본선에 진출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된 예선이다. = =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 = = = = = A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7 2 +5 3 2 1 0 1 10 2 +8 0 2 0 0 2 1 14 -13 = = = B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4 0 +4 3 2 1 0 1 2 3 -1 0 2 1 0 1 1 4 -3 = = 카리브 해 지역 예선 = = = = = 1차 예선 = = = = = = = A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3 0 +3 3 2 1 0 1 1 2 -1 0 2 0 0 2 0 2 -2 = = = = B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13 0 +13 3 2 1 0 1 2 7 -5 0 2 0 0 2 0 8 -8 = = = = C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9 1 +8 3 2 1 0 1 4 3 +1 0 2 0 0 2 1 10 -9 = = = = D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7 1 +6 3 2 1 0 1 4 3 +1 0 2 0 0 2 1 8 -7 = = = = E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6 2 2 0 0 7 0 +7 3 2 1 0 1 2 3 -1 0 2 0 0 2 0 6 -6 = = = 2차 예선 = = = = = = = F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14 1 +13 6 3 2 0 1 11 3 +8 3 3 1 0 2 4 11 -7 0 3 0 0 3 4 18 -14 = = = = G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9 1 +8 6 3 2 0 1 10 7 +3 3 3 1 0 2 11 6 +5 0 3 0 0 3 2 18 -16 = = = = 플레이오프 = = = = = 사크섬 = 사크섬(, 사크어: )은 영국 채널 제도의 건지섬 근처에 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5.2 km2이며, 2002년 당시의 인구는 610명이다. 자동차가 없고, 교통 수단은 마차, 경운기 등이다. 공항 또한 없으며 선박편으로 외부와 연결된다. = = 정치 = = 이 섬은 "유럽 최후의 봉건 영지"로 불렸다. 사크섬의 영주는 사크 섬 정부의 수장이다. 1974년 존 마이클 뷰몬트가 22대 영주에 즉위했다. 건지섬의 관할 하에 있는 섬이지만, 독자적인 법률 및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2008년에 사상 처음으로 선거를 실시하기 이전에는 섬의 의회는 지주계급이 독점하여 왔으나, 2008년 최초로 민주적인 선거를 시행하여, 이후 전 주민에 의한 자치가 시작되었다. = 브라우닝 = 브라우닝(Browning)은 다음을 가리킨다. = = 지명 = = 브라우닝 (일리노이주) 브라우닝 (몬태나주) 브라우닝 (위스콘신주) 브라우닝 (미주리주) = = 인명 = = 앨런 브라우닝 : 영국 배우 크리스토퍼 브라우닝 : 미국 역사가 데이비드 브라우닝 : 미국의 올림픽 다이버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 : 영국 시인, 로버트 브라우닝의 아내 에밀리 브라우닝 : 호주 배우 프레더릭 브라우닝 : 영국 군인 존 브라우닝 : 미국 화기 발명가 조너선 브라우닝 : 미국 개척자, 화기 발명가(존 브라우닝의 아버지) 커트 브라우닝 : 캐나다 스케이터 마틴 브라우닝 : 경제학 교수 모리스 브라우닝 : 영국 배우 마일스 브라우닝 : 미국 군인 로버트 브라우닝 : 영국 시인 토드 브라우닝 : 미국의 영화 감독, 공포 영화 개척자 밸 A. 브라우닝 : 미국 화기 발명가, 산업가(존 브라우닝의 아들) 타이어스 브라우닝: 잉글랜드(중국 귀화)의 축구 선수 크리스 브라우닝: 미국의 배우 로건 브라우닝: 미국의 배우, 댄서 = = 기타 = = 브라우닝 무기 회사 : 존 브라우닝이 설립한 회사 브라우닝 기관총 :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기관총 = 루벤 라구스 = 에른스트 루벤 라구스(: 1896년 10월 12일 – 1959년 7월 15일)는 핀란드의 군인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왕립 프로이센 제27엽병대대에 의용병으로 입대, 집단지도자까지 달았다. 핀란드 독립 이후 겨울전쟁에서 카렐리야 지협의 보급 담당을 책임졌다. 계속전쟁 때는 엽병여단 여단장, 기갑사단 사단장을 역입했다. 1941년 7월 22일 만네르헤임 십자장의 첫 수훈자가 되었다. 1947년 중장 계급으로 예편했고 1959년 죽었다. = Ashes to Ashes = Ashes to Ashes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 = 음악 = = Ashes to Ashes: 조 샘플의 1990년 음반 Ashes to Ashes: 자우림의 음반 Ashes to Ashes: 데이비드 보위의 1982년 노래 Ashes to Ashes: 스티브 얼의 음반 Jerusalem의 노래 = = 드라마 = = 애시스 투 애시스: BBC 드라마 = 베이코 = 베이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베이코 하쿨리넨: 핀란드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자 바이애슬론 선수 베이코 후흐타넨: 핀란드의 기계 체조 선수 베이코 캉코넨: 핀란드의 전직 스키 점프 선수 = 우게치 카스하 = 우게치 카스카(烏格齊哈什哈, 키릴 문자:Үхэрчин хашха, Ügeči qašqa, ? ~ 1402년? 1410년? 1415년?) 또는 부랴트 우게치(布里牙特 烏格齊 Буряад Үгэчи)는 몽골 오이라트부의 추장들 중 한 명으로 부랴트 출신이라는 설이 있다. 명사, 명실록 등 명나라의 사서에서는 '몽케 테무르'(蒙哥帖木兒 Мөнхтөмөр)로 표기된다. 일설에는 북원의 대칸 울루그 테무르 칸 굴리치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이 있으나, 울루그 테무르 칸은 페르시아어 사서에 의하면 오고타이 칸 가문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카스카'는 몽골어로 '울타리'라는 뜻이다. '카스카'(Үгч хашха)라는 별칭이 있었다. 1399년 오이라트부 초로스 씨족의 태위 고하이가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에게 살해된 것에 불만을 품은 고하이의 아들 승상 바툴라(마흐무드)와 짜고 니굴세그치 칸 엘베그를 암살했다. 그리고 엘베그의 궁정 재산을 차지하고, 곧 군 테무르 칸을 옹립했다. 그는 14세기 후반~15세기 초 오이라트의 몽골에 대한 통치를 확립했다. = = 생애 = = 그의 정확한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우게치는 서몽골 오이라트부의 일부를 다스리는 지도자였으나, 부랴트 출신이었다. 오이라트부의 하나인 옹구트(克咚古特)부 출신 설, 케레이트족 출신 설 등이 있다. 키르기스부 출신 설도 있다. 일설에는 그를 굴리치 울루그 테무르 칸과 동일 인물로 보는 설이 있으나, 굴리치 울루그 테무르는 오고타이 칸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우게치는 오이라트부의 지도자 고하이 태위의 아들로, 바툴라(마하부) 칭상의 형제라는 설도 있다. 1399년 태위 고하이가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을 부추겨, 하루구추크 홍타이지를 죽이고 그의 처 올제이투 카툰을 차지했다. 복수심에 불탄 올제이투 카툰은 고하이가 자신을 겁탈하려 했다고 무고했고, 이에 격노한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은 고하이를 추격하여 죽였다. 우게치는 자신의 권한이 침탈당했다고 보고, 고하이가 니굴세그치 칸에게 살해된 것에 불만을 품은 고하이의 아들 승상 바툴라와 짜고 1399년 정변을 일으켰다. 우게치는 니굴세그치 칸을 암살하고, 그의 궁정 재산을 차지했다. 우게치는 몽골 전역을 차지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군 테무르 칸을 옹립했다. 몽골원류와 저자 불명의 알탄 톱치(алтан товч ,ᠠᠯᠲᠠᠨ ᠲᠣᠪᠴᠢ, 한자로는 황금사로 번역된다.)에 비슷한 내용이 전해지고 있다. 알탄 톱치에는 니굴세그치 칸의 딸 사무르 공주는 등장하지 않는다. 1403년 몽골의 칸을 자처한 부냐시리(울제이테무르 칸)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명사에 의하면 몽케 테무르, 즉 우게치 사후 오이라트부는 마하무, 태평, 바툴라 등이 공동 통치했다고 한다. 명나라의 황제 영락제는 오이라트의 지도자 우게시를 몽골 전체의 새로운 통치자로 인정했다. 오이라트부 형제 태사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동부 몽골의 왕공족들은 군 테무르 토고간 칸을 내세웠다.몽골원류에는 15세기 초 황금씨족이 아닌 인물인 우게치 카스카가 대칸위를 찬탈했다는 기록이 있다. 명사에는 '굴리치'로 나타난다. 몽골원류에 의하면 1410년 우게치 카스카 사후 그 아들인 태평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몽골원류와 명사 사이에 기록의 차이가 있다. 일설에는 1415년까지도 생존했으며 우게치가 오이라트의 승상(칭상) 바툴라를 암살했다는 설이 있다.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4-75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4-75은 현재 코파 델 레이로 알려진 스페인의 축구 컵대회의 71번째 시즌이다. 이 대회는 1974년 10월 30일에 시작되어 1975년 7월 5일에 열린 결승전으로 막을 내렸다. = = 1라운드 = = 투델라노, 게르니카, 하엔, 그리고 카라방첼은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 = 4라운드 = = 마요르카와 베티스는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 = 결승전 =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4-75 시즌 레알 마드리드13번째 우승 = 남아시아수염박쥐 = 남아시아수염박쥐 또는 네팔윗수염박쥐(Myotis muricola)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모식 산지는 네팔이다. = = 특징 = = 작은 박쥐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34.7~48mm, 전완장은 32.3~36.4mm이다. 꼬리 길이는 30.9~41.3mm, 발 길이는 4~7mm, 귀 길이는 10.3~12.7mm이고 몸무게는 최대 5.1g이다. 털은 부드럽고 무성하다. 등 쪽은 갈색부터 회색까지 다양하고 피부 근처의 털 색은 검지만, 배 쪽은 연한 갈색이다. = = 아종 = = M. m. muricola - -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말레이반도, 하이난섬, 수마트라섬, 시포라, 북파가이섬, 자와섬, 발리섬, 롬복섬, 숨바섬, 숨바와섬, 플로레스섬, 렘바타섬, 판타르, 티모르섬, 보르네오섬, 붕우란 제도. M. m. browni - 술라웨시섬 톰스윗수염박쥐 (M. m. caliginosus) - 현재는 별도의 수브미토돈속으로 분류. M. m. herrei - 필리핀 제도의 루손섬과 레이테섬, 마리피리섬, 네그로스섬, 팔라완섬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M. m. latirostris) - 현재 별도의 수브미토돈속으로 분류. 무핑윗수염박쥐 (M. m. moupinensis) - 현재 별도의 수브미토돈속으로 분류. M. m. niasensis - 니아스섬 M. m. patriciae - 민다나오섬 = 분류:파키스탄의 대량 살인 = = 윌리엄스군 (오하이오주) = 윌리엄스군 또는 윌리엄스 카운티(Williams County)는 미국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7,642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36,692명이다. = 웨스턴 시드니 스타디움 = 웨스턴 시드니 스타디움(Western Sydney Stadium)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경기장이다. 코먼웰스 뱅크(Commonwealth Bank)가 경기장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면서 코먼뱅크 스타디움(CommBank Stadium)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패러매타 위치해 있다. A리그에 소속되어 있는 팀인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 기록 = = = = =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 = 날짜 팀 1 스코어 팀 2 라운드 2020년 2월 13일 style="text-align:right;" 1 - 1 style="text-align:left;" B조 = 아드리안 반덴버그 = 아드리안 반덴버그(, 1954년 1월 31일 ~ )는 네덜란드의 록 기타리스트로, 1980년대 후반 화이트스네이크에서 성공적인 기타리스트 중 한 명과 1981년에 시작한 밴드 반덴버그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13년, 아드리안은 반덴버그스 문킹스라는 새로운 밴드를 결성했고 2014년 초에 발매된 새 음반을 녹음했다. = = 초기 생애 = =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태어난 아드리안 판 덴 베르흐는 원래 1978년에 셀프 타이틀 음반을 발표한 밴드인 네덜란드 밴드 티저의 리드 기타리스트였다. 이 밴드는 미국의 기타리스트 제이크 E. 리가 참여했던 미국 밴드 티저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나서 그는 1980년대에 세 장의 음반을 낸 Vandenberg, Heading for a Storm 그리고 Alibi라는 자신의 밴드를 시작했다. 그들은 거의 틀림없이 기타 레이어와 하모니를 보완하는 발라드 곡인 〈Burning Heart〉와 Heading for a Storm 음반의 〈Friday Night〉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은 1982년 말 영국의 미하엘 쉥커 그룹, 1983년 키스 등 광범위한 투어를 했다. = = 경력 = = = = = 화이트스네이크 = = = 아드리안 반 덴 베르크는 원래 1980년대 초에 화이트스네이크에 합류할 것을 요청받았는데, 그의 기타 실력뿐만 아니라 작곡 재능과 밴드 리더로서의 능력으로 데이비드 커버데일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는 처음에는 자신의 밴드 반덴버그와 그들의 톱 40 히트곡인 〈Burning Heart〉의 성공으로 인해 거절했다. 그러나 1986년 음반 회사의 압력으로 인해 점점 더 상업적이 되고 그들의 성공은 정체기에 접어들었고, 그는 마음이 누그러졌고 마침내 화이트스네이크의 커버데일에 합류하기로 동의하며 반덴버그를 해체했다. 처음에 그는 세션 음악가로 고용되어 커버데일에 의해 원래 밴드 멤버들의 대량 생산 후에 그들의 동명 음반 Whitesnake(유럽에서는 1987로 알려져 있다)를 완성하는 것을 도왔다. 그는 그들의 1위 히트곡인 〈Here I Go Again〉에 솔로를 기여했지만 기타리스트 존 사이크스는 음반에서 다른 모든 리드 및 리듬 기타를 연주했다. 매우 성공적인 월드 투어와 MTV에서 그들의 3개의 비디오에 대한 광범위한 방송 후에, 반덴버그는 후속 음반인 Slip of the Tongue의 모든 음악을 공동 작곡했다. 부상 때문에 그는 음반 녹음을 할 수 없었고, 그래서 커버데일은 스티브 바이를 고용하여 리드 기타와 리듬 기타를 모두 녹음하게 했다. 반 덴 베르크는 음반을 지지하는 투어를 위해 바이와 함께 더블 기타 역할을 하며 밴드와 함께 연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치유되었다. 1990년 화이트스네이크가 해체된 후, 그는 1994년 Whitesnake's Greatest Hits 재결합/투어와 같은 다른 화이트스네이크의 화신으로 돌아왔다. 그는 다시 한번 커버데일과 함께 1997년 음반 Restless Heart의 곡을 공동 작곡했다. 이번에, 그는 그의 잘 알려진 록/메탈 신 고전주의적인 협곡을 외면하고 본래의 주요 영향력인 지미 헨드릭스를 향하여 이 헐벗은 블루스 음반에서 모든 기타를 연주했다. 그는 또한 커버데일과 함께 화이트스네이크의 언플러그드 어쿠스틱 음반인 Starkers in Tokyo를 공동 작업했다. 화이트스네이크 이후, 그는 전 리틀 시저 가수 론 영과 아드리안의 전 화이트스네이크 밴드 동료 베이시스트 루디 사조와 드러머 토미 알드리지도 참여한 밴드 매닉 에덴에서 연주했다. 그 밴드는 아드리안이 1994년 화이트스네이크의 Great Hits 재결합/투어에 참가했을 때 해체되었다. 그는 그 이후 다시 화가로 돌아왔고 Heading for a Storm과 Alibi 음반의 커버 아트를 창조한 뛰어난 에어브러시 예술가이다. 화이트스네이크는 반 덴 베르크의 고향인 네덜란드에서 연주했을 때, 2008년 6월 네이메헌에서 열린 애로우 록 페스티벌에서 깜짝 게스트로 출연했고, 그곳에서 그는 〈Here I Go Again〉의 현재 라인업에 합류했다. 그는 또한 2011년 스웨덴 록 페스티벌에서 버니 마즈든과 함께 그들과 함께 연주했다. = = = 2011년~2013년 = = = 2011년 기준으로, 아드리안 반 덴 베르크는 고향인 엔스헤데에서 온 네덜란드 축구팀 FC 트벤터를 위해 〈A Number One〉이라는 곡을 쓰고 녹음했다. 반덴버그라는 닉네임으로 싱글 음반을 발매했다는 사실로 인해 논란이 곧 뒤따랐다. 1980년대 아드리안의 다른 (전) 멤버들은 아드리안의 이름 없이 "반덴버그"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그 결과 소송이 일어났다. 법정에서, 아드리안은 "반덴버그"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권리를 그가 가지고 있다고 선언하는 최종 결정으로 승소했다. Adrian Vandenberg has the rights to use the bandname Vandenberg = = 음반 목록 = = = = = 반덴버그 = = = Vandenberg (1982년) Heading for a Storm (1983년) Alibi (1985년) = = = 화이트스네이크 = = = Whitesnake (1987년) Slip of the Tongue (1989년) Restless Heart (1997년) = 주신문 = 주신문(主訊問)은 증인을 신청한 당사자가 최초로 행하는 신문을 의미한다민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161조의 2항.. 직접신문이라고도 하는데, 주신문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유도신문이 금지된다. 주신문에 있어서는 신문자와 증인은 우호관계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증인이 신문자의 암시에 영합하는 진술을 할 가능성이 있고 또 영합하는 진술을 하였는가를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프란시스코 호세 카마라사 = 프란시스코 '파코' 호세 카마라사 카스테야르(, 1967년 9월 27일, 스페인 라펠부뇰 ~ )는 스페인의 축구 선수였다. 주 포지션은 중앙 수비수였다. 프란시스코 호세 카마라사는 1987년 발렌시아 CF에 입단한 후 줄곧 한 팀에서만 뛰며, 통산 267경기에 나와 7골을 넣었다.Players - Profile of Camarasa (Francisco José Camarasa Castellar) 1999년에는 코파 델 레이와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우승하기도 하였다.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14경기에 출전하였으며, 2000년 6월 은퇴하였다. = 서울동부보호관찰소 = 서울동부보호관찰소(서울東部保護觀察所)는 법원으로부터 보호관찰을 조건으로 가석방된 사람들에 대하여 보호관찰을 실시하고, 사회봉사 및 수강명령 등을 통해 범죄예방 및 건전한 사회복귀를 지원하여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소속기관이다. 서울동부보호관찰소장은 서기관으로 보한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509에 위치하고 있다. = = 연혁 = = 2005년 1월 17일 서울보호관찰소동부지소 개청 2007년 7월 23일 서울동부보호관찰소 본소 승격 = = 관할 구역 = =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송파구 = 틀:공산주의 = = 분류:J.말루셀리 푸치보우 = = 라파엘 베르헤스 = 라파엘 베르헤스 마르틴(, 1971년 1월 21일, 안달루시아 주 코르도바 ~)은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좌측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이후 감독일에 종사했다. = = 클럽 경력 = = 베르헤스는 안달루시아 주 코르도바 출신으로, 인근 하부 리그의 코르도바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1991-92 시즌을 앞두고, 그는 테네리페로 이적해 2년 동안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에서 라 리가 경기를 뛰었다. 1993년에 셀타 비고로 이적한 베르헤스는 이후 200경기 넘게 갈리시아 연고 구단의 리그 경기에 출전해 7번 골망을 흔들었다. 그러나, 그는 막판 2년 동안 고질적인 부상 재발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베르헤스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스페인 선수단 일원으로 안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2골을 기록했는데, 한 골은 가나와의 경기에서 기록했다. = = 감독 경력 = = 베르헤스는 2005년에 코르도바 B의 감독으로서 감독일을 시작했다. 그는 이어서 알메리아의2군 등의 하위권 구단을 지도했었다. 2012년 6월 14일, 베르헤스는 코르도바의 1군 감독이 되어 라요 바예카노로 떠난 파코 헤메스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이듬해 4월 7일에 해임되었고, 당시 리그 순위는 9위였다. 베르헤스는 2014-15 시즌과 2016-17 시즌에는 순서대로 3부 리그의 하엔과 로그로녜스 감독을 역임했다. 그 후, 그는 인도네시아 리그 1로 건너가 미트라 쿠카르와 바닥 람풍을 이끌었다. = = 수상 = = 하계 올림픽: 1992 = 분류: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 = = 드미트로프 = 드미트로프 (러시아어; Дмитров)는 모스크바 주에 있는 도시이름이다. 모스크바에서는 북쪽으로 64km에 위치해 있다. 야흐로마 강이 흐르고, 모스크바 운하가 위치해 있다. 볼가 강으로 가는 통로를 연결시켜 준다. = = 도시 정보 = = 시간대: UTC+3 (모스크바 시간대) 인구: 6만2,219명 (2002년); 6만1,500명 (2004년). = = 자매 도시 = = 버클리 :en:Maryina Horka 르브니차 알메러 피춘다 레제크네 = 러시아 항공우주 방위군 = 러시아 항공우주방위군은 러시아 항공우주군의 대기권내 공역 방어와 유도탄 방어, 인공위성 운영과 우주 감시를 맡은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하위분과이다. = = 역사 = = 2011년 12월 1일, 우주군이 항공우주 방위군으로 이름을 변경하여 기존 여러개로 나뉘어 관리되던 관련 산업들을 하나의 중심성으로 융합하여 관리하고 있다.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를 관리한다. = = 조직 구조 = = 항공우주방위군이 해체되기 이전에 소속하였던 조직은 다음과 같다: 우주사령부 제153 티토프 우주시설주요시험통제소, 모스크바주 크라스노즈나멘스크 제820 미사일공격경보(SPRN), Solnechnogorsk 제821 주요우주감시소(SKKP), 모스크바주 노긴스크-9 * 두네이-3U 레이더 * 크로나 우주 recognition station,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젤렌추크스카야 * 크로나-N,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나홋카 * 이동식 Момент 우주감시단지 * 오크노, 타지키스탄 * 오크노-S,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항공우주방위사령부 , 모스크바주 푸시키노 제4미사일방어여단, 돌로고프룬디 제5미사일방어여단, 비드노예 제6미사일방어여단, 르제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쿠라 미사일 시험장 = 군산자양중학교 = 군산자양중학교(群山紫養中學校)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1년 1월 16일 : 옥구서중학교 설립인가 1971년 3월 5일 : 옥구서중학교 6학급 개교 1999년 3월 1일 : 군산자양중학교로 교명 변경 2020년 9월 1일 : 제20대 안경호 교장 부임 2021년 1월 15일 : 제48회 졸업 (25명, 총계 11,033명) 2021년 3월 2일 : 신입생 20명 입학 = 이렌 = 이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렌 졸리오퀴리: 프랑스 파리 출생의 원자물리학자 이렌 자코브: 프랑스와 스위스의 배우 이렌 갈터: 이탈리아의 배우 = 분류:2. 리가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 = = 잿 나이트 = 재티아 "잿" 나이트(Zatyiah "Zat" Knight, 1980년 5월 2일 ~ )는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중앙 수비수이며 키가 198cm에 달하는 장신 수비수였다. = = 경력 = = = = = 클럽 = = = 과거 풀럼(1999년~2007년)과 피터버러 유나이티드(임대 이적, 2000년), 애스턴 빌라(2007년~2009년) 소속으로 뛴 적이 있었으며 현재는 볼턴 원더러스 소속으로 뛰고 있다. = = = 국가대표 = = = 2005년 5월 28일에 열린 미국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면서 잉글랜드 대표팀에 데뷔했으며 5월 31일에 열린 콜롬비아와의 친선 경기에서도 출전했다. = 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단체 = = 김효수 = 김효수(1982년 8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서울예술대학 무용과 = = 출연작 = = = = = 영화 = = = 《트릭》 (2016년) - 시위대 남 1 역 《란제리 살인사건》 (2015년) - 윤용일 역 《멜로》 (2014년) - 지훈 역 《미스터 고》 (2013년) - 두산 중견수 역 《투혼》 (2011년) 《시크릿》 (2009년) 《R2B: 리턴투베이스》 (2012년) = = = 드라마 = = = 《서촌일기》 (웹드라마, 2015년) - 효수 역 《젊은이의 양지》 (KBS2, 1995년) - 대풍 역 = = = 연극 = = = 《수안보》 (2014년) - 박영규 역 《오빠 나랑 사귈래요》 (2013년) 《안진사가 죽었다》 (2012년) 《궤도열차》 (2010년) - 경찰서장 열차 기관장 김동진 김경식 역 《누가 왕의 학사를 죽였나》 (2009년) - 사령 역 《누가 왕의 학사를 죽였는가?》 (2008년) - 사령 나인 겸사복 역 = 분류:리히텐슈타인 틀 = = 이양우 선생 묘 및 신도비 = 이양우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대심리에 있다. 1989년 7월 18일 양평군의 향토유적 제3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신도비는 이양우 묘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순종 2년(1908) 7월에 건립된 것으로 비문은 이우면(李愚冕)이 짓고, 윤용구(尹用求)가 글씨를 썼다. 신도비의 석재는 단백석으로, 높이 170cm, 폭 61cm, 두께 35cm 규모이다. 또한, 삼거리에서 묘소로 들어오는 어귀에는 완풍대군(完豊大君)의 부인(夫人)인 남평 문씨(南平 文氏)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의 신단(神壇)이 모셔진 흥애단(興愛壇)이 위치하고 있다. = Rodeo (음반) = Rodeo는 미국의 힙합 가수 트래비스 스콧의 첫번째 정규 음반이다. 이 음반은 그랜드 허슬 레코드, 에픽 레코드에서 2015년 9월 4일 발매되었다. 쿠아보, 퓨처, 2 체인즈, 주시 J, 위켄드, 스웨 리, 치프 키프, 카니예 웨스트, 저스틴 비버, 영 서그, 토로 이 모아가 피쳐링 진으로 참여하였다. 음반 발매 전 그는 "3500"와 "Antidote" 총 두개의 싱글을 발표하였고, 음반 발매 후 빌보드 200 차트에서 3위, 빌보드 랩 음반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 = 수록곡 = = signifies an additional producer. signifies a co-producer. "Pornography" features uncredited vocals by T.I. "Wasted" features uncredited vocals by T.I. and the late Pimp C. "Apple Pie" features uncredited vocals by T.I. "Ok Alright" features uncredited vocals by SZA. 제목 샘플링한 노래 아티스트 1 Pornography "Expectation" ACHE 4 Wasted "Let Your Life Be Free" T. Zchien, The Johnny 5 90210 "Fonky Thang'" Dells 8 Piss on Your Grave "Machine Gun" Jimi Hendrix 9 Antidote "All I Need" Lee Fields 12 Flying High "Slide" Slave = = 차트 = = 차트 (2015) 최고 순위 뉴질랜드 앨범 (RMNZ) 22 영국 알앤비 앨범 (OCC) 4 = 디스코스 (소프트웨어) = 디스코스(Discourse)는 2013년 제프 앳우드, 로빈 워드, 샘 새프론이 만든 오픈 소스 인터넷 포럼, 메일링 리스트 관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 디스코스는 퍼스트 라운드 캐피털과 그레이록 파트너스로부터 펀딩을 받았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Ember.js와 루비 온 레일즈로 개발되었다. PostgreSQL은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역할을 한다. 사용성 측면에서 디스코스는 무한 스크롤링, 실시간 업데이트, 링크 확장, 드래그 앤드 드롭 첨부 파일 등 대형 소셜 네트워크에 의해 최근 대중화된 기능들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포럼 소프트웨어와 구별한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에 언급된 목표는 개선된 포럼 소프트웨어를 통해 온라인 토론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것보다는 사회적인 것이다. = 고색동 코잡이놀이 및 도당 = 고색동 코잡이놀이 및 도당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에서 행해지는 놀이이다. 2003년 11월 27일 수원시의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고색동 코잡이놀이의 유래는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신라시대 이전부터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1796년 수원화성 축성 이후 양반계층과 평민계층인 농민이 모두 모여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일년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고 액을 막으며 동네의 평안과 마을의 풍년을 기리는 줄다리기로 이어졌다. 일제강점기 및 1980년대까지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명맥이 끊겼다가 1995년 동민 및 청년회를 중심으로 복원하여 현재는 「코잡이놀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오고 있다. 고색동 코잡이놀이 및 도당 = 참게과 = 참게과(Varunidae)는 십각목에 속하는 게의 한 과이다. 분류학적으로 바위게상과에 속하고 5개 아과에 36개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분류 = = 납작등게아과 (Asthenognathinae) 납작등게속 (Asthenognathus) 비단게아과 (Cyclograpsinae) Austrohelice 갯게속 (Chasmagnathus) 비단게속 (Cyclograpsus) 수동방게속 (Helicana) 방게속 (Helice) Helograpsus Metaplax Neohelice Paragrapsus Parahelice 남방방게속 (Pseudohelice) 납작게아과 (Gaeticinae) 납작게속 (Gaetice) Gopkittisak 큰애기비단게속 (Sestrostoma) Thalassograpsinae Thalassograpsus 참게아과 (Varuninae) 애기비단게속 (Acmaeopleura) Brachynotus Cyrtograpsus 참게속 (Eriocheir) Grapsodius 풀게속 (Hemigrapsus) 애기참게속 (Neoeriocheir) Noarograpsus Orcovita Otognathon Parapyxidognathus Platyeriocheir Pseudogaetice Pseudograpsus Ptychognathus Pyxidognathus Scutumara Tetragrapsus Utica Varuna = 사보이양배추 = 사보이양배추는 배추속의 재배종 식물이다. 양배추보다 봉오리가 더 넓게 퍼져 있고, 잎은 부드러우며 쭈글쭈글하게 주름이 졌다. = = 이름 = = 프랑스 사부아 지역의 영어식 이름인 "사보이"를 따서 이름 붙여졌다. = = 재배 = = 한국에서는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재배한다. = 분류:경기 중 사망한 자동차 경주 선수 = = 윌리엄 4세 = 윌리엄 4세(, 1765년 8월 21일 ~ 1837년 6월 20일)는 영국의 왕(재위 1830년 6월 26일 ~ 1837년 6월 20일)으로, 하노버 왕가가 배출한 다섯 번째 군주이다. 본명은 윌리엄 헨리 (William Henry)이며, 즉위 전에는 클래런스와 세인트앤드루스 공작 윌리엄 (Prince William, Duke of Clarence and St Andrews)으로 불렸다. 조지 3세와 샬럿 소피아의 세 번째 아들이다. 자녀가 없어서 왕위는 그의 동생 켄트 공작 에드워드의 장녀 빅토리아에게로 넘어갔다. 단, 딸의 상속권을 인정하지 않던 하노버 공국은 프랑크 족때부터 전해지던 살리카 법을 근거로 그의 다섯째 동생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를 추대했다. 그의 서자들 중의 한명은 후일 영국 총리가 되는 존 메이저의 처가쪽 선조가 된다. = = 생애 = = = = = 즉위 이전 = = = 윌리엄은 1765년 8월 21일 런던에서 조지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3살에 영국 해군에 입대한 경력이 있던 덕에 훗날 항해왕(Sailor King)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로드니 제독 지휘하에 일반 사병로서 근무한 윌리엄 왕자는 미국 독립전쟁에 참전하였고 대 에스파냐 전쟁에도 참전하였다. 당시 그는 에스파냐 해군의 깃발을 빼앗아 조지 3세에게 헌상하였다. 이 당시 호레이쇼 넬슨 자작과 친교를 맺게 된다. 나중에 해군 제독이라는 칭호를 얻게 되지만, 단순한 명예직에 지나지 않았다. 윌리엄은 여성 관계가 미숙했던 형들(조지 4세와 프레데릭 오거스터스)과는 달리 아일랜드인 희극 여배우 도로시아 조단과 20년 가까이 부부처럼 생활하여 10명의 자녀들을 두었으며, 자녀들에게 자신의 작위였던 클래런스 공작에서 착안한 클래런스의 아들이라는 뜻의 피츠클래런스(FitzClarence)라는 성을 부여하였다. 1818년 7월 11일, 작센마이닝겐 공작 게오르크 1세의 딸 아델레이드 공주와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어려서 죽었다. = = = 즉위 이후 = = = 1830년, 형 조지 4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대관식 따위는 아무래도 좋다는 발언을 하여 측근들을 당황하게 하였지만, 화려하게 하지 않고 검소하게 치른다는 조건하에 마지못해 대관식 거행을 받아들였다. 65살이라는 고령의 나이에 왕이 되었지만, 청년기에 런던을 자유롭게 돌아다닌 것처럼 시종조차 대동하지 않고 거리를 활보하는 행위를 멈추지 않았다. 길거리를 거닐다가 우연히 왕과 마주친 런던 시민들은 기뻐하며 왕에게 다가가 그와 악수를 하거나 말을 걸거나 하였다. 당연히 윌리엄의 인기는 매우 높아졌다. 윌리엄 4세의 치세 동안, 지방 정부의 민주화와 대영제국 내의 아동노동법 제한 및 노예제도 폐지 등의 사회개혁이 이루어졌는데, 그가 이룬 가장 중요한 정치적 업적은 1832년의 선거법 개정이었다. 왕족 및 귀족의 권한을 크게 축소시킨다는 내용을 담은 이 개정법은 당연히 영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1832년 5월, 러시아, 프랑스 그리고 영국이라는 세 열강국 간의 회의가 영국 런던에서 열렸다. 이 런던 회의는 그리스에 안정적인 정부를 성립하기 위해 모인 국제 회의였다. 이 협상으로 바이에른 왕자 오토를 임금으로 세워 그리스 왕국이 성립하였다. 윌리엄 4세는 부왕이나 형만큼 정치에 간섭하지는 않았지만, 1834년에 의회의 의사를 거스르고 수상을 임명했다. 이후, 영국 정치에서 의회의 의사를 거스르고 수상을 임명한 군주는 없다. 1837년, 윈저 성에서 간경변으로 서거하였다. = = = 사후 = = = 윌리엄 4세에게는 정실에게서는 딸만 두 명이 있었으나 요절했고, 아들은 없었다. 대신 정부들에게서 서자들이 있었다. 이 중 문스터 백작인 조지 피츠클래런스의 후손인 문스터 백작가와 아우구스트 피츠클래런스의 남자 후손들이 현재까지 전하고 있다. 그의 서자들은 하노버라는 성씨 대신 피츠클래런스 가문이라 칭하게 된다. 그의 서자들 중의 한명은 후일 영국 총리가 되는 존 메이저의 처가쪽 선조가 된다. 정실 자녀가 없었으므로 왕위 계승권은 동생 켄트 공작의 장녀 빅토리아에게로 이어졌다. 그러나 독일의 영지였던 하노버 왕국에서는 딸의 상속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하노버 왕국에서는 그의 다섯째 동생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윌리엄 4세는 영국의 왕으로서 하노버의 왕을 겸임한 마지막 국왕이었다. 그의 죽음과 함께 영국과 하노버 왕국의 동군연합 관계는 끝난다. = 옆구리와 허벅지 = 옆구리와 허벅지는 2007년 1월 13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이상우 : 이준호(30대 중반) 역 - 작가 유혜정 : 김경미(30대 중반) 역 박유선 : 이솔(7세) 역 - 준호와 경미의 딸 방은희 : 홍은희(30대 중반) 역 = = = 그 외 인물 = = = 이미지 이인철 남포동 이승형 윤희주 최범호 최재형 반야성 유재익 = 제2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제2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77년 6월 24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황금곰상 = = = 고양 - 라리사 셰피트코 수상 = = = 은곰상:심사위원대상 = = = 앵커라이트 -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즈 수상 = = = 은곰상:심사위원상 = = = 피닉스 - 피터 글리고로프스키 수상 에튀드 위버 아이네 프로브 - 에발드 쇼름 수상 = = = 은곰상 = = = 스트레인지 마스커레이드 - 팔 샌더 수상 브릭레이어즈 - 호르헤 폰즈 수상 = = = 은곰상:여자연기자상 = = = 살인 연극 - 릴리 톰린 수상 = = = 은곰상:남자연기자상 = = = 블랙 리터 - 마뉴엘 구티에레즈 아라곤 수상 = = = 황금곰상:단편영화상 = = = 오르트스프레임드...원하프트 버말스 메인저 랜드스트레이브 - 헤다 린느버그 외 1명 수상 = 축산기업중앙회 = 축산기업중앙회는 식육산업 발전에 관한 위생시설의 개선과 기술향상을 도모하여 국민보건 및 국내 식육산업발전에 기여 목적으로 1965년 12월 21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2가 3동 19-31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식육산업 발전 및 위생시설 개선에 관한 사항 회원의 경영지도 및 복리증진에 관한 사항 식육 및 부산물의 공동판매 알선 식육운송차량의 공동운행 회원과 식육판매업 종사자 및 임직원의 교육에 관한 사항 국가기관이 위탁하는 교육 및 조사 연구사업 납세 및 금고업무에 관한 사항 = 집회의 자유 = 집회의 자유(集會의 自由, )는 인권으로서의 자유권의 일종이며, 어느 특정한 의제에 찬성하는 집단이 정부 등의 제한을 받지 않고 특정한 장소에 모이는 자유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표현의 자유의 일종으로 이해되고 보호된다. 다만 일반적인 표현의 자유와 달리 집회의 자유는 조직화되거나 권력을 가진 집단에 의해 공중의 이익이 침해되는 문제가 있어 법률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 = 나라별 집회와 결사의 자유 = =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의 헌법에서 "집회와 결사의 자유"와 관련하여 규정하고 있는 바는 아래와 같다. 헌법이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 등의 법률 상에는 집회 또는 결사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대법원 판결대법원, 83도2528에 따르면, 집회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특정한 목적 아래 일시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라 한다. 헌법 21조 2항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헌법 자체에서 집회에 대한 '허가'를 금지하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과 독일 뿐이지만, 이 조항은 집회의 자유가 장식적 기본권으로 후퇴했던 역사에 대한 반성적인 의미에서 이뤄진 헌법적 결단으로 이해되고 있다.헌법재판소, 2008헌가25 이 헌법 조항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한 때 집시법에 명시되었던 야간 옥외집회에 대한 허가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렸다. 집시법에 따르면 시위는 "도로, 광장, 공원 등 일반인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를 행진하거나 위력 또는 기세를 보여, 불특정한 여러 사람의 의견에 영향을 주거나 제압을 가하는 행위"를 말한다. 하지만 집시법의 각 조항에서는 집회와 시위 간에 거의 구분을 두지 않고 있다. = = = = 헌법재판소 판례 = = = = = = = = = 옥외집회의 사전신고의무제 사건 = = = = = 옥외집회의 사전신고의무제 사건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등 위헌소원 등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 = = = = = 관련 조문 = = = = = = 제19조 (벌칙) 제6조 (옥외집회 및 시위의 신고 등) (1) 옥외집회나 시위를 주최하려는 자는 그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 모두를 적은 신고서를 옥외집회나 시위를 시작하기 720시간 전부터 48시간 전에 관할 경찰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옥외집회 또는 시위 장소가 두 곳 이상의 경찰서의 관할에 속하는 경우에는 관할 지방경찰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하고, 두 곳 이상의 지방경찰청 관할에 속하는 경우에는 주최지를 관할하는 지방경찰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제13조 (적용의 배제) 학문, 예술, 체육, 종교, 의식, 친목, 오락, 관혼상제(冠婚喪祭) 및 국경행사(國慶行事)에 관한 집회에는 제6조부터 제12조까지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 = = = = = 이유 = = = = = = 1) 심판대상조항의 신고사항은 여러 옥외집회·시위가 경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고, 질서유지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정보이다. 옥외집회·시위에 대한 사전신고 이후 기재사항의 보완, 금지통고 및 이의절차 등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하여 늦어도 집회가 개최되기 48시간 전까지 사전신고를 하도록 규정한 것이 지나치다고 볼 수 없다. 2) 헌법 제21조 제1항을 기초로 하여 심판대상조항을 보면, 미리 계획도 되었고 주최자도 있지만 집회시위법이 요구하는 시간 내에 신고를 할 수 없는 옥외집회인 이른바 '긴급집회'의 경우에는 신고가능성이 존재하는 즉시 신고하여야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신고 가능한 즉시 신고한 긴급집회의 경우에까지 심판대상조항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이 과잉금지원칙에 위배하여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지 아니한다. 3) 이에 대하여는 심판대상조항 중 긴급집회에 관한 부분이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고 심판대상조항이 과잉형벌에 해당한다는 이정미, 김이수, 이진성, 강일원 재판관의 반대의견이 있다. = = = = = 야간 옥외시위금지 사건 = = = = = 야간 옥외시위금지 사건(2014.3.27. 2010헌가2, 2012헌가13등)은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판례로 재판관 6(한정위헌):3(전부위헌) 의견으로 한정위헌 결정했다. 헌재가 "집시법 제23조를 해가 진후부터 같은 날 24시까지 시위에 적용하는 한 위헌"이라고 결정해, 앞으로 해가 진후부터 같은 날 24시까지 시위가 가능해졌다. = = = = = = 이유 = = = = = = 재판부는 "낮 시간이 짧은 동절기 평일의 경우, 직장인이나 학생은 사실상 시위를 주최하거나 참가할 수 없게 되는데, 이는 집회의 자유를 실질적으로 박탈하거나 명목상의 것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밝혔다. 다만 "24시 이후의 시위를 금지할 것인지는 국민의 법 감정과 우리나라의 시위 현황과 실정에 따라 입법자가 결정할 여지를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 = = = = 집회신고서의 반려 사건 = = = = = 집회신고서의 반려 사건은 민원서류 반려 위헌확인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 = = = = = 사실관계 = = = = = = 청구인 노동조합은 옥외집회를 개최하겠다는 집회신고를 하고, 그 접수증을 교부받았는데 피청구인은 ○○생명 인사지원실이 같은 일시에 제출한 옥외집회신고서 상의 옥외집회와 집회 시간 및 장소가 경합되어 상호방해 및 충돌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2007. 3.27. 청구인과 ○○생명인사지원실이 제출한 두 신고서 모두를 반려조치하자 이에 청구인들은 위 반려조치가 집회의 자유 등을 침해한다면서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다.황도수, 2008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2)헌법 법률신문 2009-03-12] = = = = = = 결론 = = = = = = 위헌확인 = = = = = = 이유 = = = = = =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집회의 자유는 법률에 의하여만 일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반려행위는 법률의 근거없이 청구인들의 집해외 자유를 침해한 것으로서 헌법상 법률유보원칙에 위반된다. 헌법재판소 판례 2008.5.29. 2007헌마712[위헌확인] = = = 캐나다 = = = 캐나다의 헌법은 집회의 자유를 마그나 카르타 이래 존재한 정돈된 자유(ordered liberty)로서 보장한다. 캐나다 헌법의 권리 장전(bill of rights)인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제2조는 아래와 같이 집회의 자유를 본질적 자유(fundamental freedom)로서 보장한다. = = = 미국 = = = 미국 수정 헌법 1조에서는 "또 의회는 언론·출판의 자유 또는 국민들이 평화적으로 집회를 할 수 있는 권리와 고충 처리를 정부에 청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법을 제정하여서는 아니된다"며 집회의 자유를 보장했다. 결사의 자유는 헌법에 명시되어있지 않으나,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는 1958년 "NAACP 대 앨라배마 주" 판결을 통해 결사의 자유가 인간의 기본권임을 인정했다. = 리사 수 = 리사 추팡 수(, , 1969년 11월 7일 ~ )는 대만계 미국인 엔지니어, 기업인이자 전자공학자이다. 현재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의 사장, CEO이다. = = 생애 = = 대만 타이난시에서 태어나 2살 무렵에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98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입학하여 전자공학을 전공하였으며, 1991년 석사 학위를, 1994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리사수'를 아십니까? 몰락한 AMD를 살려 낸, 전설이 될 '리사 수'의 일대기 = = 경력 = = 1994년 6월 ~ 1995년 2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1995년 2월 ~ 2007년: IBM 2007년 6월 ~ 2011년 12월: Freescale Semiconductor 2012년 1월 ~ 현재: AMD = 하야시촌 (니가타현) = 하야시촌은 니가타현 나카칸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니가타시 미나미구에 해당한다. = 분류:캐나다의 외국인 축구 감독 = = 틀:원소 정보/나트륨 = = 조영은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조영은: 포항여고출신의 배구선수 = = 가공 인물 = = 서울 1945의 등장 인물 드라마의 제왕의 등장 인물 학교 3의 등장 인물 = 수나사 = 수나사(male thread) 또는 볼트(bolt)는 바깥쪽에 나사선이 새겨진 나사이다. 대개 원기둥 또는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 숫놈 나사의 어원에서 숫나사로 불렸다. = = 볼트 접합 = =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 = =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 = = 볼트 접합은 전단 접합,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으며, 지압 파괴도 있다. = = 볼트 종류와 등급 = =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을 정한다. 예를 들어 F10T(M20)과 같이 표기한다.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 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을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 볼트 등급 볼트 호칭 공칭 단면적(mm²) 설계볼트장력 T0(kN) F8T M16 201 84 F8T M20 314 132 F8T M22 380 160 F8T M24 453 190 F10T M16 201 106 F10T M20 314 165 F10T M22 380 200 F10T M24 453 237 F13T M16 201 137 F13T M20 314 214 F13T M22 380 259 F13T M24 453 308 = = 볼트 구멍 = = 고장력 볼트의 구경과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 치수가 정해진다. 단위는 mm이다. 표준구멍에 대하여, M16, M20, M22 볼트는 구멍 크기를 2mm 더 크게 해주고, M24, M27, M30 볼트는 구멍 크기를 3mm 더 크게 해 준다.건축구조기준 일부개정안(KS 반영), 353쪽산업표준심의회, (2010년 개정)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지름(KS B ISO 273) 3쪽 고장력볼트 호칭 표준 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 M16 18 20 18X22 18X40 M20 22 24 22X26 22X50 M22 24 28 24X30 24X55 M24 27 30 27X32 27X60 M27 30 35 30X37 30X67 M30 33 38 33X40 33X75 = =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 = = 1개의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강도는 접합의 종류가 마찰접합인지, 지압접합인지 등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계미끄럼강도,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 = = = 설계미끄럼강도 = = = 설계미끄럼강도 \phi R_n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1.0 & \text{표 준 구 멍 또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 0.85 & \text{대 형 구 멍 또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 0.70 & \text{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 만약 마찰접합에서 인장력을 받아 고장력볼트의 장력이 감소할 경우, 위에서 계산한 설계미끄럼강도에 k_s=1-\frac{T_u}{T_0 N_b}를 곱하여 강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기서 Nb는 인장력을 받는 고장력볼트 수, Tu는 소요인장강도(kN)이다. = = =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 = = Fu는 계수하중이라고 할 때,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F_{nt}=0.75F_u (N/mm^2) & \text{(공 칭 인 장 강 도 )} \\ F_{nv}=0.5F_u (N/mm^2) & \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 \\ F_{nv}=0.4F_u (N/mm^2) & \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 = = =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 = = 강도한계상태의 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볼트구멍이 지압 상태가 되는 경우, 고장력볼트 구멍에 대한 지압강도를 검토해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개정에 따라 마찰접합에서도 지압접합 관련 강도를 검토하게 되었다. 여기서 d는 고장력볼트의 공칭직경(mm), Fu는 피접합재의 공칭인장강도(N/mm²), Lc는 하중 작용 방향 볼트구멍 사이 순간격(mm), 그리고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 끝까지의 거리(mm), 즉 두 경우의 Lc 모두에 대해 검토해준다. t는 피접합재의 두께(mm)를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 고장력 볼트 구멍 하나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phi R_n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구멍이 여러개인 경우 Lc에 의해 구분된 구멍 하나당 설계지압강도에 해당 구멍의 개수를 곱하여 더해서 최종적으로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를 구한다. 1.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될 경우 2.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 = =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 = = = F_{nt}'을 전단력을 고려한 공칭인장강도(N/mm²), F_{nt}, F_{nv}를 공칭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N/mm²), f_v를 소요전단응력(N/mm²)이라고 한다면,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의 설계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 대진 (명나라) = 대진(戴進)은 자(字)는 문진(文進), 호는 정암(靜庵), 첸탕(錢塘) 사람이다. 선덕화원(宣德畵院)에 등용되어 명조(明朝) 제일의 명성을 얻었으나, 동료의 시샘을 받아 추방된 후 궁한 가운데 사망하였다고 전해진다. 절파(浙派)의 원조로 지목되며, 화원(畵院)의 화풍을 결정지웠다고 한다. = 파스칼 베이가 = 파스칼 베이가(, , 1842년 4월 9일 ~ 1906년 7월 12일)는 스페인의 음악가이다. 갈리시아 지방에서 주로 활동하였고, 그에 관련된 수많은 음악들을 작곡하였다. 그 예로, 갈리시아의 국가인 소나무가 대표적이다. = 분류:네레트바강 = = 훈제육 = 훈제고기란 적색육이나 생선을 훈제한 고기를 뜻하며, 선사 시대 당시부터 상하기 쉬운 풍부한 단백질이 함유된 고기를 장기간 동안 보존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훈제고기는 제조 과정에서 맛의 풍미를 더해 주는 특징이 있으며, 현대에는 훈제고기를 만들기 이전 탈수 및 페놀류 등을 이용한 살균 작업을 거친다. 선사 시대 당시 세계의 각종 문명에서 생선을 건조시키는 도중 파리를 쫓기 위해 불을 피워 연기를 냈으며, 이후 연기를 이용해 음식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대표적인 훈제고기로는 바비큐가 있다. = 분류:서프로이센 = = 웨스턴 유나이티드 FC = 웨스턴 유나이티드 FC(Western United FC)는 오스트레일리아의 A리그 소속 프로축구단으로 빅토리아주 멜버른의 서부 지역을 연고로 한다. 2019-20 시즌부터 A리그에 참가했다. 홈 경기장은 마르스 스타디움과 GMHBA 스타디움이다. = = 역사 = = 2018년 12월 13일 A리그 가입이 확정되어 2019-20 시즌부터 참가하게 되었으며, 첫 두 시즌동안에는 질롱의 카르디니아 파크를 이용할 예정이다. 그 후로는 타르네이트의 훈련장을 보수공사하여 새로운 경기장으로 쓸 예정이며, 공사는 2021년에 끝마칠 예정이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노아 보틱(2021 ~ ) 조쉬 리스돈(2019 ~ ) 니키타 루카비츠야(2023 ~ ) = = = 역대 = = = 코너 채프먼(2019) = = 역대 감독 = = 존 알로이지(2021 ~ ) * = 키시 요스케 = 키시 요스케(, 1993년 7월 2일 ~)는 일본의 배우이다. 2017년 우주전대 큐레인저에서 스팅거 역으로 출연했다. 고등학교 친구는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에서 타카오 노엘 역의 모토키 세이야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심계원장 = = 분류:부권제 = = 모노의 신님 코코타마 = 모노의 신님 코코타마/물건의 엔젤 코코밍은 반다이에 의한 여아용 하우스 인형 장난감을 소재로 한 "코코밍 시리즈"의 제3편. 2019년 10월 4일부터 2020년 2월 21일까지 유튜브에서 착신했던 웹 애니메이션이다. = = 개요 = = 전작인 반짝반짝 해피★ 열려라! 코코밍에 이은 2019년 8월 29일에 발표 된 여아용 하우스 인형 완구 "코코밍 시리즈" 제3탄이자, 첫 웹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에그엔젤 코코밍』과 『열려라! 코코밍』에 등장했던 코코타마들이 모두 등장한다. 지상파 방송인 전 2편과 달리 유튜브 채널에서 인터넷 전송 전용. = = 목소리 출연 = = 여민정 - 럭키밍 방연지 - 멜로밍 양정화 - 지니밍 조현정 - 키키밍 은정 - 뽀띠밍 장은숙 - 포포밍 강시현 - 샤미밍 김하영 - 리린밍 안현서 - 루루밍 이재현 - 리본 배정미 - 쿠우밍 배주영 - 티프밍 우정신 - 러닝밍 장예나 - 레이밍 = = 웹 애니메이션 = = = = = 제작진 = = = 원안 - 반다이 감독 - 닛타 노리오 제작 데스크 - 마에카와 유카 제작 진행 - Yeonji Song(1~2, 6화), 마에하라 유이(3~5화) 무정 (7~12화) 애니 제작 - OLM 촬영 - OLM 배경 -스튜디오 파인 우드 녹음 스튜디오 - 프로 센 스튜디오 음향 제작 - HALF HP STUDIO 편집 - 제이 필름비디오, 이마지카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YOSHIOKA, 코코타마 제작 위원회 = = = 오프닝 테마 = = = = = = 착신 목록 = = = 회차 제목 공개 일자(YouTube) 제1회 찾아냈다! 2019년 10월 4일 제2회 무엇에서 태어났을까? 2019년 10월 4일 제3회 일찍 일어나고 싶어! 2019년 10월 4일 제4회 남김없이 먹자! 2019년 11월 15일 제5회 목욕물로 쓱싹쓱싹 2019년 11월 15일 제6회 병원이 그렇게 무서워? 2019년 11월 15일 제7회 나의 멋진 집? 2019년 12월 20일 제8회 남자의 승부인 것이다! 2019년 12월 20일 제9회 코코밍 활동 레츠고! 2019년 12월 20일 제10회 정리해서 즐겁다! 2020년 2월 21일 제11회 밖에는 위험이 잔뜩! 2020년 2월 21일 최종회(12) 마음의 언어 2020년 2월 21일 = 다마데역 (나라현) = 다마데역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역 구조 = = 1면 1선의 단식 승강장을 보유한 지상 간이역으로, 정류소로 취급되고 있다. 별도의 역사는 없다. 승강장은 최대 6량의 열차까지 수용할 수 있다. = = 역세권 정보 = = 고안 천황릉 = = 역사 = = 1989년 3월 11일 - 서일본 여객철도 와카야마 선 고세 ~ 와키가미 사이에 신설되었다. = 분류:자메이카의 남자 배우 = = 분류:캔버라의 문화 = = 모듈:ArtworkInfo = local p = {} local entity = mw.wikibase.getEntityObject function p.getLabel(frame) local lang = frame.args[1] or 'ko' local id = mw.wikibase.getEntityIdForCurrentPage local label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 lang ) return label end function p.startTime(qid , key)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qid] local startTime = valueTable[key].qualifiers.P580[1].datavalue.value.time startTime = string.match(startTime, '+(%d+)-') return startTime end function p.endTime(qid , key)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qid] local endTime = valueTable[key].qualifiers.P582[1].datavalue.value.time endTime = string.match(endTime, '+(%d+)-') return endTime end function p.pointInTime(qid , key)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qid] if valueTable[key].qualifiers == nil then return nil elseif valueTable[key].qualifiers['P585'] == nil then return nil end local pointInTime = valueTable[key].qualifiers.P585[1].datavalue.value.time pointInTime = string.match(pointInTime, '+(%d+)-') return pointInTime end function p.listOfOwners(frame) local qid = frame.args[1]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qid] local str local i = 1 local startTime, endTime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if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 == nil then return nil end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local pointInTime = p.pointInTime(qid , key)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i == 1 then if valueTable[key].qualifiers then if (valueTable[key].qualifiers.P580 and valueTable[key].qualifiers.P582) then startTime = p.startTime(qid , key) endTime = p.end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d - %d)", koPage, item, startTime, endTime) else str = string.format("%s (%d - %d)", id, item, startTime, endTime) end elseif valueTable[key].qualifiers.P580 then startTime = p.start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d - )", koPage, item, startTime) else str = string.format("%s (%d - )", id, item, startTime) end elseif valueTable[key].qualifiers.P582 then endTime = p.end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 - %d)", koPage, item, endTime) else str = string.format("%s ( - %d)", id, item, endTime)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 .. item .. '' else str = "' .. item .. '' end end elseif pointInTime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d)", koPage, item, pointInTime) else str = string.format("%s (%d)", id, item, pointInTime)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 .. item .. '' else str = "' .. item .. '' end end else if valueTable[key].qualifiers then if (valueTable[key].qualifiers.P580 and valueTable[key].qualifiers.P582) then startTime = p.startTime(qid , key) endTime = p.end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 (%d - %d)", koPage, item, startTime, endTime) else item = string.format("%s (%d - %d)", id, item, startTime, endTime) end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lseif valueTable[key].qualifiers.P580 then startTime = p.start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 (%d - )", koPage, item, startTime) else item = string.format("%s (%d - )", id, item, startTime) end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lseif valueTable[key].qualifiers.P582 then endTime = p.endTime(qid , key)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 ( - %d)", koPage, item, endTime) else item = string.format("%s ( - %d)", id, item, endTime) end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s", str, koPage, item) else str = string.format("%s%s", str, id, item) end end elseif pointInTime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 (%d)", koPage, item, pointInTime) else item = string.format("%s (%d)", id, item, pointInTime) end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s", str, koPage, item) else str = string.format("%s%s", str, id, item) end end end i = i + 1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meterialUsed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186'] local str = '' local str1 = '' local str2 = ''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label = mw.wikibase.getLabel(id) if valueTable[key].qualifiers then local qualifiers = valueTable[key].qualifiers for qkey in pairs(qualifiers) do if qualifiers[qkey][1].datavalue.value.id == 'Q861259' then if str1 == then str1 = label else str1 = string.format("%s %s", str1, label) end end end else if str1 == then str2 = label else str2 = string.format("%s %s", str2, label) end end end if str1 == then str = str2 else str = string.format("%s에 %s", str1, str2)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Filename(frame) local property if frame.args[1] == nil then property = 'P18' else property = frame.args[1] end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name name = valueTable[1].mainsnak.datavalue.value return name end function p.getLists(frame) local property = frame.args[1]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local num = frame.args['num']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i == 1 then if (check ~= nil) and (page ~= nil) then str = '' .. item .. '' else str = '' .. item .. '' end else if (check ~= nil) and (page ~= nil) then str = str .. ', ' .. item .. '' else str = str .. ', ' .. item .. '' end end i = i + 1 if num ~= nil and num == (i - 1) then break end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NotableWorks local property = 'P800'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i == 1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 .. item .. '' else str = '' .. item .. ''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 .. ', ' .. item .. '' else str = str .. ', ' .. item .. '' end end i = i+1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Awords local property = 'P166'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local pointInTime = p.pointInTime(property , key)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i == 1 then if pointInTime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 .. item .. '' else str = '' .. item .. ''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 .. item .. ' (' .. pointInTime .. ')' else str = '' .. item .. ' (' .. pointInTime .. ')' end end else if pointInTime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 .. '' .. item .. '' else str = str .. '' .. item .. ''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 .. '' .. item .. ' (' .. pointInTime .. ')' else str = str .. '' .. item .. ' (' .. pointInTime .. ')' end end end i = i+1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Parents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22'] local valueTable2 = entity.claims['P25'] local str = '' if valueTable ~= nil then if not valueTable[1].mainsnak.datavalue then return nil end local id = valueTable[1].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and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부)", koPage, item) elseif item ~= nil then str = string.format("%s(부)", id, item) end if valueTable2 ~= nil then id = valueTable2[1].mainsnak.datavalue.value.id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모)", koPage, item)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lseif item ~= nil then item = string.format("%s(모)", id, item) str = string.format("%s%s", str, item) end end end elseif valueTable2 ~= nil then id = valueTable2[1].mainsnak.datavalue.value.id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and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모)", koPage, item) elseif item ~= nil then str = string.format("%s(모)", id, item)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Relatives(frame) local property if frame.args[1] ~= nil then property = frame.args[1] else property = 'P1038' end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if valueTable ~= nil then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local id2 local typeOfKinship if valueTable[key].qualifiers ~= nil then id2 = valueTable[key].qualifiers.P1039[1].datavalue.value.id typeOfKinship = mw.wikibase.getLabelByLang( id2, 'ko' ) else typeOfKinship = nil en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tem ~= nil then if i == 1 then if typeOfKinship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s)", koPage, item, typeOfKinship) else str = string.format("%s (%s)", id, item, typeOfKinship)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 koPage, item) else str = string.format("%s", id, item) end end else if typeOfKinship ~= nil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s (%s)", str, koPage, item, typeOfKinship) else str = string.format("%s%s (%s)",str, id, item, typeOfKinship)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ing.format("%s%s", str, koPage, item) else str = string.format("%s%s", str, id, item) end end end end i = i + 1 end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Gallery local property = 'P800'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koCheck, item = mw.wikibase.getLabelByLang( id, 'ko' ) local koPage = mw.wikibase.getSitelink(id)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local rawname = mw.wikibase.getEntityObject(id).claims['P18'] if rawname ~= nil then local fileName = rawname[1].mainsnak.datavalue.value if i == 1 then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else if item ~= nil then else str = string.format("\nFile:%s", fileName) end end else if (koCheck ~= nil) and (koPage ~= nil) then str = str .. item else if item ~= nil then str = str .. item else item = string.format("\nFile:%s", fileName) str = str .. item end end end i = i+1 end end if i == 1 then return nil else str = str .. "\n" end return str end function p.getGalleryTest local property = 'P800' local valueTable = entity.claims[property] local str = '' local i = 1 if valueTable == nil then return nil end for key in ipairs(valueTable) do local id = valueTable[key].mainsnak.datavalue.value.id local rawname = mw.wikibase.getEntityObject(id).claims['P18'] if rawname ~= nil then local fileName = rawname[1].mainsnak.datavalue.value if item == nil then item = mw.wikibase.getLabel( id ) end if i == 1 then str = fileName else str = str .. '' .. fileName end i = i+1 end end return str end return p = 분류: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분류:타키투스 = = 도요쓰정 = 도요쓰정(豊津町)은 후쿠오카현 동부에 위치했던 미야코군의 정이였다. 2006년 3월 20일, 사이가와정·가쓰야마정과 합병해 미야코정이 되었다. = = 역사 = = 마을 안에서는 구석기 시대,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분 시대의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분젠국의 국부(國府)터와 고쿠분지(国分寺)터도 발견되어 분젠국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66년, 조슈번의 제2차 조슈 정벌로 공격을 받은 오쿠라번이 오쿠라성에 불을 지르고 성에서 철수했다. 이후 고쿠라번은 현재의 도요쓰정에 번청을 신설했고, 1871년 폐번으로 도요츠현의 현청이 설치되었으나, 같은 해에 고쿠라현에 편입되었고, 이후 고쿠라현이 후쿠오카현에 편입되면서 후쿠오카현에 편입되었다. 1876년 일어난 아키즈키의 난에서 전장이 되었다. 이때 전사한 사족의 무덤은 현재 '아키즈키당 전사의 무덤'으로 남아 있다.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도요쓰촌, 세쓰마루촌, 하라이고촌이 성립하였다. 1943년 4월 10일 - 도요쓰촌, 세쓰마루촌이 대등합병해, 새롭게 도요쓰촌이 성립하였다. 1955년 3월 1일 - 도요쓰촌, 하라이고촌이 대등합병해, 도요쓰촌이 성립하였다. 2006년 3월 20일 - 사이가와정·가쓰야마정과 대등합병해, 미야코정이 성립해, 도요쓰정은 소멸하였다. = = 교통 = = = = = 철도 = = = 헤이세이치쿠호 철도 다가와 선 = = = 도로 = = = 국도 10호선 국도 496호선 = 분류:조지 버나드 쇼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 149년 = = = 연호 = = 후한(後漢) 건화(建和) 3년 = = 기년 = = 후한(後漢) 환제(桓帝) 3년 신라(新羅) 일성 이사금(逸聖泥師今) 16년 고구려(高句麗) 차대왕(次大王) 4년 백제(百濟) 개루왕(蓋婁王) 22년 = = 탄생 = = 사마의의 아버지 사마방 = 분류:체코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우야나기촌 = 우야나기촌(植柳村)은 구마모토현 야쓰시로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분류:화산암 = =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위원회/투표/Dmthoth = = 틀:중국 황후 (서하) =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15년 9월/그림 = }} 2015-09 그림 2015-09 = 분류:토고의 이슬람교 = = 고독한 미식가 (중국의 드라마) = 고독한 미식가 중국판는 2015년 5월 28일부터 8월 13일까지 방영된 중국의 드라마이다. 쿠스미 마사유키 원작, 타니구치 지로 작화의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 = 출연진 = = 우랑(伍郎)/우랑의 아버지 - 조문선(趙文瑄, 젊은 시기 - (阿本), 아역기 - 위언천(余彦宸)) = = = 게스트 = = = 란번(藍本) - (李志希)《孤独的美食家》赵文瑄当吃货大叔 一道菜吃六七遍 란샤오번(藍小本) - (林逸欣) 란즈위안(藍致遠) - (勾峰) 차이바(蔡爸) - (黃泰安) 아저(阿哲) - (陸廷威) 웨이터 - (孟遠) 리보난(李伯男) - (張國柱, 젊은 시기 - 샤오위(小煜)) 장화이산(張懷山) / 장쓰난(張思南) - 김종현 (뉴이스트) 화이산의 여자친구 - (余妮) 한방점 가게 주인 - (趙正平) 한방점 점원 - 최민기 (뉴이스트) 귀부인 -(張以琳) 수위안(淑媛) - (高蕾雅) 타이난에서 온 여자 - (范曉安) 타이난에서 온 여자의 딸 - (廖珮妤) 찰스 - (陳建州) 우졘궈(吳建國) - (李天柱) 샤오메이(小美)- (傅小芸) 샤오차이(小蔡) - (斯辰) 우리징(吳麗靜) - (瑤涵沂) 천한성(陳翰生) - (陳乃榮) 린전리(林珍麗) - (安唯綾) 장빙다(張炳達)- (卜學亮, 제7화) 팡메이(胖妹) - (小甜甜) 천자룽(陳嘉容) - (陸明君) 터치 / 아동 시기의 자룽 - (許亞琦) 젊은 시기의 아웨이(阿偉) - (宏正, 第12話) 황즈챵(黃志强) - (王自强) 샤오라이(小賴) - (賴杰宏) 샹자오제제(香蕉姊姊)- (翁寧謙) 샤오팡(小胖) - (曾威豪) 팡팡(方方) - (陳司翰) 천신이(陳欣宜) - (周采詩) 노병 - (乾德門) 빙빙제(冰冰姐) - (蕭瑤) 레드필드 가수1 - (白靜宜) 레드필드 가수2 - (郭文頤) 린즈하오(林志豪) - (修杰楷) 천수이(陳淑儀) - (張琴) 우랑의 어머니 - (胡佩蓮) 서오허오즈(瘦猴子) - (小炳) 바오자터오(爆炸頭) - (紀竣崴) 웨이터 - (李宜柏) 매직의자의 주인 - (畢志剛) 이장(里長) - (朱陸豪) 라오가오(老高) - (陳勝在) 쑹샤오웨이(宋小薇) - 추신이(邱欣怡, SNH48) 만터우(饅頭) - (劉長鳴) 바오루궈(包蘆粿) - (唐復德) 스쯔터우(獅子頭) - (王德生) 장라이언(張萊恩) - 태보(太保, 젊은 기 - (沈威年)) 류샤오덩(劉曉燈) - (湯志偉, 젊은 기 - (周詠軒)) 라디엔의 아내 - 가라오케의 가수 - (金美滿) 위런제(余人傑) - (屈中恆) 런제의 아내 - (夏如芝) 간호사 - (廖曉彤) 샤오샤오빈(小小彬) - 미니빈(迷你彬) - 아웨이(阿偉) - 고첩(高捷) 아웨이의 아내 - (張倩) = = 방송 일자 = = 방송일 각회 부제목 위치 데뷔 음식 맹매완전유대만(萌妹玩转游台湾)위치를 설명 1 재즈 트리오 2 일정에 따라 노인 3 천금방(千金方) 4 아빠의 볶음밥 5 타피오카 밀크티 6 성장의 흔적 7 스포트라이트 아래에서 꿈 8 수신 거부 9 오래되지 않은 정 10 토마토와 커피 11 미식 비디오 12 영원한 친구 = 모아저축은행 = 모아저축은행은 대한민국의 저축은행이다. 본사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고 분당, 일산, 평촌, 부천, 수원 등에 지점이 있다. 1971년 인천에서 개업한 항도권업이 전신인데 1982년 한서상호신용금고로 이름을 바꿨다. 2002년 상호신용금고가 상호저축은행으로 바뀌면서 한서상호저축은행으로 바뀌었고 2006년 모아저축은행으로 이름을 바꿨다. = 모듈:Location map/data/JR Tadami Line = return { name = '다다미선', top = 37.6498, bottom = 37.1512, left = 138.84, right = 140.19, image = 'Linemap of Tadami Line with Stations.svg' } = 얀나 후르메린타 = 얀나마리 후르메린타(, 1981년 12월 20일 ~ )는 핀란드의 가수이다. = 분류:문화별 종교 = = 분류:1988년 쇼트트랙 = = 오상직 = 오상직(1925년 4월 18일~1992년 12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5·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모듈:Location map/data/Sri Lanka Chavakachcheri/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Sri_Lanka_Chavakachcheri/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세타역 (구마모토현) = 세타역은 일본 구마모토현 기쿠치군 오즈정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호히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호히 본선 (상행) 히고오즈 · 구마모토 방면 2 ■ 호히 본선 (하행) 아소 방면 = = 역 주변 = = 국도 제57호선 = = 역사 = = 1916년 11월 11일 : 철도원이 개업. 1922년 9월 : 현재 위치로 이전. 1983년 11월 30일 : 무인화.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규슈 여객철도가 승계. = 틀:용자리 = = 몽골청치시기 = 몽골청치시기는 1635년 2월 26일 몽골 제국의 대칸이자 차하르부의 칸 에제이 콩고르가 청나라에 항복한 때로부터 1911년 몽골 혁명으로 1911년 12월 29일 청나라에서 독립, 복드 칸이 즉위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청나라 강희제와 준가르 칸국의 갈단 칸의 자오모도 전투에서 청나라가 승리한 1696년 6월 12일을 청나라 식민지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외할하의 자사그투칸부, 세첸칸부, 코토고이드부, 사인노얀칸부, 투시예트칸부는 1635년 청나라에 형식적인 투항 후 조공을 바쳤으나, 강희제가 준가르 칸국을 격파한 이후 외할하부의 3개 아이막은 청나라에 복속되었다. 그럼에도 외할하부는 내몽골과 달리 청나라로부터 반 독립상태를 유지했다.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의회 = 다음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사하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사하구의회는 지역구의원 30명을 선출했다. = 팔콘과 윈터 솔져 = 팔콘과 윈터 솔져는 디즈니+에서 2021년 3월부터 방영된 미국의 액션, 슈퍼히어로 드라마이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페이즈 4에 포함된다. = = 출연진 = = 앤서니 매키 - 샘 윌슨 / 팔콘 역 세바스티안 스탄 - 버키 반즈 역 / 윈터 솔져 역 다니엘 브륄 - 헬무트 제모 남작 역 에밀리 밴캠프 - 샤론 카터 역 와이엇 러셀 - 존 워커 역 조르주 생 피에르 - 조르주 바트록 역 = = 한국판 성우진 = = 박영재 - 샘 윌슨 / 팔콘(앤서니 매키) 정성훈 - 버키 반즈 / 윈터 솔저(세바스티안 스탄) 이현 - 존 워커(와이엇 러셀) 조현정 - 샤론 카터(에밀리 밴캠프) 강은애 - 칼리(에린 켈리먼) 전진아 - 사라 윌슨(아데페로 오두예) 박노식 - 토레스(대니 라미레스) / 공무원(빈스 피사니) 윤용식 - 헬무트 제모(다니엘 브륄) 정의한 - 르마 호스킨스(크레 베넷) 김무규 - 아사야(칼 럼블리) 소정환 - 배트록(조르주 생피에르) 신범식 - 도비치(데즈먼드 치암) 원에스더 - 아요(플로렌스 카숨바) / 셀비(이멜다 코르코란) 문선희 - 레이너 박사(에이미 아퀴노) 김채하 - 올리비아 워커(개브리엘 빈들로스) 이미나 - 발렌티나(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김승태 - 제임스 로즈(돈 치들) = 분류:스위스의 미술가 = = 틀:2022년 동계 올림픽 일정 =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개/폐회식 개/폐회식 노르딕복합 노르딕복합 1 1 1 3 루지 루지 1 1 1 1 4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1 1 1 1 1 2 1 1 1 1 11 봅슬레이 봅슬레이 1 1 1 1 4 쇼트트랙 쇼트트랙 1 2 1 1 2 2 9 스노보드 스노보드 1 1 2 1 2 1 1 2 11 스켈레톤 스켈레톤 1 1 2 스키점프 스키점프 1 1 1 1 1 5 1 1 1 1 1 1 1 1 2 1 1 2 14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 1 1 2 알파인스키 알파인스키 1 1 1 1 1 1 1 1 1 1 1 11 컬링 컬링 1 1 1 3 크로스컨트리 크로스컨트리 1 1 2 1 1 1 1 2 1 1 12 프리스타일 프리스타일 1 1 1 1 1 2 1 1 1 2 1 13 피겨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1 1 1 1 1 5 일별 메달 수 일별 메달 수 0 0 0 6 7 8 10 6 8 7 6 7 5 9 7 6 4 9 4 109 누적 합계 누적 합계 0 0 0 6 13 21 31 37 45 52 58 65 70 79 86 92 96 105 109 109 2022년2월 2022년2월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총 메달 수 = 강경식 (1936년) = 강경식(姜慶植, 1936년 5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 주요 이력 = = 경상북도 문경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상북도 영풍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대표적인 대한민국 경제행정관료 중 한 사람이다. 1977년 12년 ~ 1982년 1월에 경제기획원 차관보를 지내면서 김재익 청와대 경제수석 등과 함께 안정, 자율, 개방을 모토로 하는 경제 안정화 정책을 주도하였다. 1982년 1월 - 1982년 6월 재무부 차관, 1982년 6월 - 1983년 10월 재무부 장관에 재직하면서 금융실명제를 추진했으나 정계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1997년 3월 재정경제원 장관 및 경제부총리가 되어 기아부도사태의 처리, 금융개혁법안 통과에 매달렸지만 모두 실패하였고 결국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을 맞이하게 되었다. IMF의 개입은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추진했지만 실패했던 시장주의적 금융, 기업, 노동개혁을 단기간에 가능하게 하였다. 그는 제12,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 외환위기 직무유기 논란 = = 강경식은 경제부총리로서 1997년 11월 외환위기가 IMF 구제금융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대통령(김영삼)에게 보고하지 않아, 외환위기의 실상을 축소 보고해 환란을 초래한 직무유기 죄로 기소되었다. 2004년 5월 27일 대법원은 무죄를 확정했다. = = 미디어에서 = = 엄효섭 - 2018년 영화 《국가부도의 날》극 중에서는 전 경제수석이라고 표기되었다. = 엘도라도넓적코박쥐 = 엘도라도넓적코박쥐(Platyrrhinus aurarius)는 주걱박쥐과(신세계잎코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기아나와 수리남, 브라질 북부 그리고 베네수엘라 남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 분류:2004년 폭발 = = 제42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제42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2008년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목동 야구장에서 열렸다. 대회 우승은 덕수고등학교가 차지했다. = = 참가 고교 = = ※ 강조된 고등학교는 작년 우승 팀 자격으로 참가한 고등학교임. 서울 지역 부산 지역 인천 지역 광주 지역 대구 지역 대전 지역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북 지역 충남 지역 전북 지역 전남 지역 경북 지역 경남 지역 제주 지역 = = 경기 결과 = = = = = 1회전 = = = 제1경기 : 화순고등학교 vs 서울고등학교 (4월 25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화순고 0 0 0 0 0 0 1 3 0 4 서울고 1 0 0 0 1 0 3 5 X 10 승리투수 : 최성민 (서울고) 패전투수 : 최성락 (화순고) 제2경기 : 충훈고등학교 vs 천안북일고등학교 (4월 25일 15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충훈고 0 0 0 0 0 0 0 천안북일고 5 1 0 0 3 1 10 승리투수 : 고원준 (천안북일고) 패전투수 : 정찬호 (충훈고) 6회 콜드 게임 제3경기 : 경남고등학교 vs 중앙고등학교 (4월 25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10 득점 중앙고 0 0 0 2 0 0 0 0 0 1 3 경남고 0 0 0 0 0 0 0 2 0 0 2 승리투수 : 허목 (중앙고) 패전투수 : 박민규 (경남고) 중앙고 허목, 완투승 제4경기 : 경기고등학교 vs 대전고등학교 (4월 26일 10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기고 0 0 0 0 0 1 1 7 9 대전고 0 0 0 1 0 0 0 0 1 승리투수 : 오지환 (경기고) 패전투수 : 김근호 (대전고) 8회 콜드 게임 제5경기 : 군산상업고등학교 vs 인창고등학교 (4월 26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군산상고 0 0 1 0 0 0 0 0 0 1 인창고 0 1 1 1 0 0 0 0 X 3 승리투수 : 김태훈 (인창고) 패전투수 : 조보빈 (군산상고) 제6경기 : 장충고등학교 vs 세광고등학교 (4월 26일 15시 30분) 1 2 3 4 5 6 7 8 9 10 득점 장충고 1 0 0 0 0 0 0 0 0 1 2 세광고 0 0 0 1 0 0 0 0 0 0 1 승리투수 : 김준완 (장충고) 패전투수 : 김선기 (세광고) 제7경기 :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vs 덕수고등학교 (4월 26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구미전자공고 0 0 0 0 1 0 0 0 0 1 덕수고 0 0 0 0 3 1 0 0 X 4 승리투수 : 성영훈 (덕수고) 패전투수 : 서성민 (구미전자공고) 제8경기 : 광주제일고등학교 vs 용마고등학교 (4월 27일 10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광주일고 2 0 1 4 0 0 1 0 0 7 용마고 0 0 0 0 0 0 1 0 0 1 승리투수 : 양영웅 (광주일고) 패전투수 : 조정민 (용마고) 제9경기 : 경북고등학교 vs 청원고등학교 (4월 27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북고 0 0 0 4 0 0 0 3 0 7 청원고 0 0 0 0 0 0 6 0 0 6 승리투수 : 이상민 (경북고) 패전투수 : 심규범 (청원고) = = = 2회전 = = = 제1경기 : 개성고등학교 vs 서울고등학교 (4월 27일 15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개성고 0 0 0 0 0 0 0 0 0 0 서울고 0 3 0 1 0 0 0 0 X 4 승리투수 : 안성무 (서울고) 패전투수 : 이현민 (개성고) 서울고 안성무, 3피안타 3피사사구 7탈삼진 완봉승 제2경기 : 광주진흥고등학교 vs 중앙고등학교 (4월 28일 10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진흥고 0 0 1 0 0 3 0 0 1 5 중앙고 0 1 0 0 0 0 0 0 0 1 승리투수 : 김정훈 (진흥고) 패전투수 : 허목 (중앙고) 제3경기 : 천안북일고등학교 vs 휘문고등학교 (4월 28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천안북일고 0 0 0 0 0 0 0 6 0 6 휘문고 0 0 0 0 1 0 0 0 0 1 승리투수 : 김성안 (천안북일고) 패전투수 : 허준혁 (휘문고) 제4경기 : 원주고등학교 vs 경기고등학교 (4월 28일 15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원주고 0 0 0 0 0 0 경기고 3 1 8 0 X 12 승리투수 : 강봉현 (경기고) 패전투수 : 정병현 (원주고) 5회 콜드 게임 제5경기 : 덕수고등학교 vs 인천고등학교 (4월 28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덕수고 2 0 0 0 0 0 0 1 6 9 인천고 0 0 0 0 0 0 0 0 1 1 승리투수 : 서두원 (덕수고) 패전투수 : 강지광 (인천고) 제6경기 : 인창고등학교 vs 광주제일고등학교 (4월 29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인창고 1 0 0 0 0 0 0 0 0 1 광주일고 2 0 3 1 0 0 0 0 X 6 승리투수 : 장민제 (광주일고) 패전투수 : 장성열 (인창고) 제7경기 : 경북고등학교 vs 제주고등학교 (4월 29일 15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북고 0 0 0 0 0 3 4 7 제주고 0 0 0 0 0 0 0 0 승리투수 : 이성민 (경북고) 패전투수 : 이준희 (제주고) 7회 콜드 게임 제8경기 : 장충고등학교 vs 배명고등학교 (4월 29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장충고 3 0 0 0 1 1 0 0 0 5 배명고 1 0 0 2 0 0 3 1 X 7 승리투수 : 홍영현 (배명고) 패전투수 : 강윤구 (장충고) 홈런 : 강인균 (8회 솔로, 배명고) = = = 8강전 = = = 제1경기 : 천안북일고등학교 vs 서울고등학교 (4월 30일 15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천안북일고 1 2 0 0 0 0 0 0 3 서울고 3 0 1 3 0 0 1 2 10 승리투수 : 전인환 (서울고) 패전투수 : 윤강민 (천안북일고) 8회 콜드 게임 제2경기 : 덕수고등학교 vs 광주진흥고등학교 (4월 30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덕수고 0 0 1 0 0 0 2 0 0 3 진흥고 0 0 0 0 0 0 0 0 0 0 승리투수 : 손정욱 (덕수고) 패전투수 : 김정훈 (진흥고) 홈런 : 김경도 (7회 2점, 덕수고) 제3경기 : 경북고등학교 vs 경기고등학교 (5월 1일 15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북고 0 0 0 3 0 0 0 0 0 3 경기고 0 0 0 0 1 1 2 0 X 4 승리투수 : 오지환 (경기고) 패전투수 : 이상민 (경북고) 홈런 : 오지환 (6회 솔로, 경기고) 제4경기 : 배명고등학교 vs 광주제일고등학교 (5월 1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득점 배명고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 3 광주일고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1 승리투수 : 홍영현 (배명고) 패전투수 : 장민재 (광주일고) 15회말까지 치른 후 서스펜디드(일시 정지) 경기 선언, 16회초는 5월 2일 14시 00분부터 속개되었다. = = = 준결승전 = = = 제1경기 : 서울고등학교 vs 덕수고등학교 (5월 2일 15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서울고 1 0 0 0 0 0 0 0 0 1 덕수고 0 0 0 0 0 0 1 6 X 7 승리투수 : 성영훈 (덕수고) 패전투수 : 전인환 (서울고) 제2경기 : 경기고등학교 vs 배명고등학교 (5월 2일 18시 3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기고 0 0 2 0 2 0 0 0 0 4 배명고 0 0 0 0 0 0 1 0 0 1 승리투수 : 오지환 (경기고) 패전투수 : 곽무균 (배명고) = = = 결승전 = = = 제42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 : 경기고등학교 vs 덕수고등학교 (5월 3일 13시 00분) 1 2 3 4 5 6 7 8 9 득점 경기고 0 0 0 0 0 0 0 0 0 0 덕수고 0 1 0 0 0 0 0 0 X 1 승리투수 : 성영훈 (덕수고) 패전투수 : 노민호 (서울고) = = 대회 최종 결과 = = 부문 수상자 소속고교 포지션, 학년 비고 우승 - 덕수고 - - 준우승 - 경기고 - - 최우수선수상 성영훈 덕수고 투수, 3학년 - 우수투수상 손정욱 덕수고 투수, 3학년 - 감투상 오지환 경기고 유격수, 3학년 - 수훈상 양종민 덕수고 유격수, 3학년 - 미기상 나경민 덕수고 외야수, 2학년 - 타격상 안치홍 서울고 유격수, 3학년 14타수 7안타(.500) 타격상 강인균 배명고 내야수, 3학년 16타수 8안타(.500) 타격상 김동빈 서울고 내야수, 2학년 14타수 7안타(.500) 최다타점 김동빈 서울고 내야수, 2학년 8타점 최타안타 강인균 배명고 내야수, 3학년 8안타 최다홈런 강인균 배명고 내야수, 3학년 1홈런 도루상 임경모 경기고 좌익수, 3학년 4도루 감독상 정윤진 덕수고 - - 지도상 김창배 덕수고 - - 공로상 이인원 덕수고 - - = 만인만색 역사공작단 = 만인만색 역사공작단은 역사학을 주제로 방송하는 한국어 팟캐스트이다. 2016년 4월 16일에 첫 에피소드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방송하고 있다. 2015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당시 조직되었던 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 소속의 연구자들이 역사학의 대중화를 표방하며 시작하였다. = = 특징 = = 방송의 목표는 역사학의 대중화이며, 2016년 4월 16일 〈국정교과서 비긴즈〉로 첫 방송을 시작했다. 패널과 게스트들은 대부분 닉네임으로 활동하며, 본인들의 전공이나 연구, 관심사를 소재로 방송을 진행한다. 팟캐스트의 주된 소재는 한국사 전반이나, 역사 소재의 영화나 드라마, 소설 등 대중문화 비평이나 세계사를 소재로 방송하는 경우도 있다. 방송의 내용 일부를 책으로 엮은 만인만색 역사공작단이 서해문집에서 2021년 1월 10일에 출간되었다. = = 주요 기획 코너 = = 팟캐스트 커피내리는서재 문제적연구자 인:싸 = 대전지방국세청 정보화센터 = 대전지방국세청 정보화센터는 대한민국 국세청 대전지방국세청 소속기관으로 대구지방국세청, 광주지방국세청에 이어 3번째로 개소하여 30∼4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대전지방국세청, 전국서 3번째 '정보화센터' 오픈디트뉴스242009년 12월 8일 조대서 시민기자대전지방국세청 정보화센터 오픈대전일보2009년 12월 9일 백운희 기자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신용협동조합중앙회 13층에 위치해 있다. = = 연혁 = = 2009년 12월 8일 대전지방국세청 정보화센터 개소 = = 주요 업무 = = 신고서 입력 및 오류 정정 등 전산 입력 업무 통합 관리 = 에이리언 오브 더 딥 = 에이리언 오브 더 딥(Aliens Of The Deep)는 2005년에 개봉한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제임스 카메론 파멜라 콘라드 다나 피구에로아 로레타 히달고 마야 톨스토이 = 리액트 = 리액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리액트: 페이스북에서 나온 사용자 인터페이스 빌드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ReactOS: 오픈 소스 운영 체제 Re-ACT: 1995년 발매된 OLIVIA의 2번째 싱글 = Der nette Mann = Der nette Mann은 독일 하드록 밴드 뵈제 옹켈츠의 정규 1집이다. = = 트랙리스트 = = 제목 길이 1 Frankreich '84 2:41 2 Fußball + Gewalt 3:22 3 Der nette Mann 2:58 4 Deutschland 3:11 5 Singen und Tanzen 2:34 6 Mädchen 2:22 7 Tanz auf deinem Grab 2:14 8 Dr. Martens Beat 2:05 9 Vereint 3:01 10 Freibier 3:27 11 Stolz 2:34 12 = 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 운두령 = 운두령(雲頭嶺)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과 홍천군 내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높이는 해발 1086m로 현재 대한민국 국도 최고 지점이다. 국도 제31호선(양구~기장)이 통과하며 운두령 북동쪽에는 계방산, 남쪽에는 이승복기념관이 있다. 한강기맥(오대산~두물머리)이 통과한다. = 카이어필리 = 카이어필리(Caerphilly)는 웨일스 카이어필리 자치시의 도시로, 인구는 30,388명이다. = 라진구역 = 라진구역(羅津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북동부 끝자락 북태평양 조선동해의 라선특별시의 한 구역이다. 관북 지방에 위치해 있으며 라선특별시 남부에 위치한다. 이 구역의 북쪽은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에 걸쳐있다. = = 행정구역 = = 14동 2리로 구성되어 있다. *관곡동(寬谷洞) *남산동(南山洞) *동명동(東明洞) *신안동(新安洞) *신해동(新海洞) *신흥동(新興洞) *안주동(安住洞) *안화동(安和洞) *역전동(驛前洞) *유현동(踰峴洞) *지경동(地境洞) *창평동(倉坪洞) *청계동(淸溪洞) *해방동(解放洞) *무창리(武倉里) *후창리(厚倉里) = = 교통 = = 라진역은 평양-라진을 연결하는 평라선과 청암-라진을 연결하는 함북선의 종착지이다. 하산라진철도는 1959년 개장하였으며 라진항과 러시아 하산을 잇는다. 강은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에 자연적으로 걸쳐있다. 이 철도는 2008~2013년 새로 개장되었다. 새로 개장된 노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하산까지의 석탄 운반은 2014년 여름 시작되었다. = 아이 엠 히어 (2014년 영화) = 아이 엠 히어는 2014년 공개된 독일과 덴마크의 합작 드라마 영화이다. = = 출연 = = 킴 베이싱어 - 마리아 역 조던 프렌티스 - 페티 역 = 청도향교 = 청도향교(淸道鄕校)은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있는 향교이다.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0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선조 1년(1568)에 고평동에 세웠던 것을 영조 10년(1734)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었다. 화양향교라고도 부른다. 향교 내의 건물로는 사당 출입문인 내삼문,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 등이 있다. 그런데 건물 배치 중 일반적으로 명륜당이 앞에 있고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가 아니라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우에 놓여 있어 특이하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청도향교는 특이한 건물 배치를 가진 유서 깊은 향교이다. = 튀르크귀쥐 뮌헨 = 튀르크귀쥐 뮌헨(Türkgücü München e.V.)은 바이에른주 뮌헨을 연고로 하는 독일의 축구 클럽이다. 뮌헨 '독일의 튀르키예인'에 기반을 둔 이 클럽은 2009년 Türkischer SV 1975 München과 ATA Spor München의 합병으로 창단되었다. Türkischer SV 1975는 2001년에 SV Türk Gücü München이 파산했을 때 뒤를 이어 SV Türk Gücü München을 계승했다. Türk Gücü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강력한 3부 리그의 팀이었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위날 토순(2018 ~ ) = 기원전 253년 = = 40 이어스 인 더 메이킹: 더 매직 뮤직 무비 = 40 이어스 인 더 메이킹: 더 매직 뮤직 무비(40 Years in the Making: The Magic Music Movie)는 미국에서 제작된 리 아론손 감독의 2017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2017년 우드스톡 영화제(Woodstock Film Festival)에서 전 세계 처음으로 초연되었다. 2017년 나파 밸리 영화제에도 등장하였으며 2018년에는 볼더 국제 영화제, 더 리치몬드 영화제, 인텐던스 영화제 등에도 등장하였다. 2018년 8월 3일, 뉴욕시의 빌리지 이스트에 극장 데뷔를 하였다. = 틀:경민학원 = = 리비아의 수반 목록 = 이 문서는 1951년 리비아가 독립한 이래 리비아의 정부 수반 목록이다. 독립한 이래 1951년부터 1977년까지는 총리가, 1977년부터 2011년까지는 총인민위원회 서기장이, 2011년부터는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의 총리가 정부 수반의 역할을 하고 있다. = = 리비아의 정부 수반 = = Mil 군인 n-p 무소속 NPD 정의건설당 재임 기간 이미지 이름 출신 및 소속 비고 리비아 왕국 리비아 왕국 리비아 왕국 리비아 왕국 리비아 왕국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al-Mamlakat al-Lībiyya)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al-Mamlakat al-Lībiyya)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al-Mamlakat al-Lībiyya)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al-Mamlakat al-Lībiyya)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al-Mamlakat al-Lībiyya) 1951년 3월 29일 ~ 1954년 2월 19일 60px 마무드 알문타시르, 총리 n-p 1번째 1954년 2월 19일 ~ 1954년 4월 12일 무하마드 샤키즐리, 총리 n-p 1954년 4월 12일 ~ 1957년 5월 26일 무스타파 벤 할림, 총리 n-p 1957년 5월 26일 ~ 1960년 10월 17일 60px 압둘 마지드 쿠바르, 총리 n-p 1960년 10월 17일 ~ 1963년 3월 19일 무하마드 오스만 사이드, 총리 n-p 1963년 3월 19일 ~ 1964년 1월 20일 모히에딘 피키니, 총리 n-p 1964년 1월 20일 ~ 1965년 3월 20일 60px 마무드 알문타시르, 총리 n-p 2번째 1965년 3월 20일 ~ 1967년 7월 2일 후세인 마지크, 총리 n-p 1967년 7월 2일 ~ 1967년 10월 25일 압둘 카디르 알바드리, 총리 n-p 1967년 10월 25일 ~ 1968년 9월 4일 압둘 하미드 알바쿠시, 총리 n-p 1968년 9월 4일 ~ 1969년 8월 31일 와니스 알카다피, 총리 n-p 1969년 쿠데타로 축출. 리비아 아랍 공화국 리비아 아랍 공화국 리비아 아랍 공화국 리비아 아랍 공화국 리비아 아랍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Al-Jumhuriyya al-`Arabiyyah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Al-Jumhuriyya al-`Arabiyyah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Al-Jumhuriyya al-`Arabiyyah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Al-Jumhuriyya al-`Arabiyyah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Al-Jumhuriyya al-`Arabiyyah al-Lībiyya) 1969년 9월 8일 ~ 1970년 1월 16일 마무드 술라이만 알마그리비, 총리 n-p 1970년 1월 16일 ~ 1972년 7월 16일 무아마르 알카다피, 총리 Mil/n-p 1972년 7월 16일 ~ 1977년 3월 2일 압데살람 잘루드, 총리 Mil/n-p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 (Al-Jamāhīriyya al-`Arabiyya al-Lībiyya aš-Ša'biyya al-Ištirākiyya al-`Uẓmā) 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 (Al-Jamāhīriyya al-`Arabiyya al-Lībiyya aš-Ša'biyya al-Ištirākiyya al-`Uẓmā) 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 (Al-Jamāhīriyya al-`Arabiyya al-Lībiyya aš-Ša'biyya al-Ištirākiyya al-`Uẓmā) 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 (Al-Jamāhīriyya al-`Arabiyya al-Lībiyya aš-Ša'biyya al-Ištirākiyya al-`Uẓmā) الجماهيرية العربية الليبية الشعبية الإشتراكية العظمى (Al-Jamāhīriyya al-`Arabiyya al-Lībiyya aš-Ša'biyya al-Ištirākiyya al-`Uẓmā) 1977년 3월 2일 ~ 1979년 3월 2일 압둘 아티 알오베이드,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1979년 3월 2일 ~ 1984년 2월 16일 자달라 아주즈 아트탈히,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첫 번째 1984년 2월 16일 ~ 1986년 3월 3일 무하마드 아즈자루크 라잡,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1986년 3월 3일 ~ 1987년 3월 1일 자달라 아주즈 아트탈히,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두 번째 1987년 3월 1일 ~ 1990년 10월 7일 우마르 무스타파 알문타시르,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1990년 10월 7일 ~ 1994년 1월 29일 아부제드 오마르 도르다,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1994년 1월 29일 ~ 1997년 12월 29일 압둘 마지드 알카우드,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1997년 12월 29일 ~ 2000년 3월 1일 무하마드 아마드 알망구시,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2000년 3월 1일 ~ 2003년 6월 14일 임바레크 샤메크,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2003년 6월 14일 ~ 2006년 3월 5일 슈크리 가넴,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2006년 3월 5일 ~ 2011년 8월 23일 바그다디 마흐무디, 총인민위원회 서기장 n-p 2011년 3월 5일부터 논쟁 리비아 공화국 리비아 공화국 리비아 공화국 리비아 공화국 리비아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알줌후리야 알리비야, al-Jumhūriyya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알줌후리야 알리비야, al-Jumhūriyya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알줌후리야 알리비야, al-Jumhūriyya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알줌후리야 알리비야, al-Jumhūriyya al-Lībiyya)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알줌후리야 알리비야, al-Jumhūriyya al-Lībiyya) 2011년 3월 5일 ~ 2011년 3월 23일 마무드 지브릴, 과도국가위원회 집행위원회 위원장 n-p 벵가지에서의 반기 2011년 3월 23일 ~ 2011년 10월 23일 마무드 지브릴, 과도국가위원회 임시 총리 n-p 벵가지에서의 반기 2011년 10월 23일 ~ 2011년 10월 24일 알리 타르후니, 임시 총리 n-p 2011년 11월 24일 ~ 2012년 11월 14일 압두라힘 엘키브, 임시 총리 n-p 2012년 11월 14일 ~ 2014년 3월 11일 알리 자이단, 총리 NPD 2014년 3월 11일 ~ 2021년 3월 15일 압둘라 알타니, 총리 n-p 2014년 5월 23일 ~ 2014년 6월 9일 아메드 마이텍, 임시 총리 n-p 2014년 9월 6일 ~ 2015년 3월 31일 오마르 알하시, 임시 신제헌의회 총리 n-p 2015년 3월 31일 ~ 2016년 4월 5일 할리파 알가위, 임시 신제헌의회 총리 n-p 2016년 4월 5일 ~ 2021년 3월 15일 파예즈 알사라지, 총리 n-p 2016년 10월 14일 ~ 2017년 3월 16일 할리파 알가위, 임시 신제헌의회 총리 n-p 2021년 3월 15일 ~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총리 n-p = 이화연 = = = 가공 인물 = = 왔다! 장보리의 등장 인물 내게 남은 사랑을의 등장 인물 = 조의석 = 조의석(1976년 1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25세이던 2002년, 일단 뛰어 로 데뷔하여 국내 최연소 장편영화 데뷔감독으로 주목 받았다. = = 학력 =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1기 = = 작품 목록 = = 연도 작품명 담당 비고 1999 위 캔 쉐어 어 토일릿 촬영 단편영화 1999 만수야 그동안 잘 있었느냐? 촬영 단편영화 1999 앨리스와 사랑에 빠지다 촬영 단편영화 1999 환타 트로피칼 감독, 촬영 단편영화 2000 플란다스의 개 촬영 2000 싸이코 드라마 조연 단편영화 2002 일단 뛰어 감독, 각본 2006 조용한 세상 감독, 각본 2013 감시자들 감독, 각본 2016 마스터 감독, 각본 = = 수상 경력 및 후보 = = 연도 작품 시상식 부문 결과 2002 일단 뛰어 제6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메이드 인 코리아 출품 2002 환타 트로피칼 제4회 미쟝센단편영화제 프로그래머 스펙트럼 출품 2014 감시자들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 오픈 시네마 출품 2014 감시자들 제24회 스톡홀름영화제 아시아 이미지 출품 2014 감시자들 제33회 하와이국제영화제 한국영화 부문 출품 2014 감시자들 제22회 부일영화상 각본상 2014 감시자들 제38회 토론토국제영화제 갈라스 부문 출품 2014 감시자들 제32회 샌프란시스코 국제 아시안 아메리칸 영화제 갈라 프레젠테이션 출품 2014 감시자들 제13회 뉴욕 아시아 영화제 떠오르는 아시아스타상 2014 감시자들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감독상 2014 감시자들 제9회 런던한국영화제 K-포커스 출품 2014 감시자들 제32회 브뤼셀 판타스틱 영화제 오피셜 셀렉션 출품 2014 감시자들 제32회 브뤼셀 판타스틱 영화제 스릴러 상 2014 감시자들 제15회 뉴포트비치 영화제 스포트라이트 출품 2014 감시자들 제16회 우디네 극동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2014 감시자들 제29회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 국제경쟁 = 헨리 모즐리 (기술자) = 헨리 모즐리(Henry Maudslay, 1771년 8월 22일 ~ 1831년 2월 14일)는 영국의 기술자이자 발명가이다. 공작 기계의 아버지로 불린다. = 분류:2007년 프로레슬링 =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역사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2018년 기준 부르즈 할리파이다. 부르즈 할리파 이전에는 루언 대성당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과 같은 여러 건물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마천루는 1884년에 시카고에서 발명되었다. 백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항상 미국에 있었고 뉴욕시는 86년, 시카고는 30년을 축적했다. 단지 한세기 (1885년 ~ 1998년) 후에 구별은 동반구로 이동했다. 말레이시아는 1998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Petronas Twin Towers)를 건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짓는 미국의 기록을 깨뜨린 최초의 국가였다. 지난 2004년 타이베이 101에 상실하기 전에 6년 동안 기록을 세웠다. 상업용 마천루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가장 높은 건물이 기독교 교회 / 대성당이었던 시대가 있었다. 이 시간 이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무엇인지 결론적으로 밝힐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기원전 280년경)는 매우 크지만 그 높이는 알려지지 않았다. 수천년 동안의 피라미드는 이집트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피라미드는 건물로 간주되지 않다. = = 용어의 정의 = = = = = "건물"의 의미 = = =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초기 건축물은 기자의 피라미드가 있는 이집트 피라미드로 원래 높이는 146.5미터(481 피트)이며 3,800년이 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조 구조물이다. 1300년 링컨 대성당 건설까지 높았다. 그때부터 워싱턴 기념비 (1884년 출장)의 완성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교회 또는 대성당이었다. 나중에, 에펠탑과, 나중에, 일부 라디오 마스트와 텔레비전 탑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구조이지만, 일부는 정기적으로 거주하거나 점거한다는 의미에서 건물이 아니다. 정기적으로 거주하거나 점거한다는 의미에서 "건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무엇인지 결정할 때 이해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영리 국제기구 고층 건물 및 도시 서식지 (CTBUH) 협의회는 고층 건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기준을 유지하며 "건물"을 "주거용 또는 사업용으로 설계된 (A) 구조"로 정의한다. "제조 목적"과 "바닥을 가지고 있다." 키가 큰 교회와 대성당은 중층을 차지한다. 낮은 지역은 규칙적으로 거주하지만 높이의 대부분은 그렇지 않은 종탑과 첨탑에 있다. 교회 또는 대성당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라는 칭호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의 "건물"또는 단순한 "구조"인지 여부는 정의의 주관적인 문제다. = = = 높이의 결정 = = = 시카고에 있는 CTBUH 위원회는 높이가 다른 건물의 높이를 결정하는 세 가지 기준을 사용한다.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층의 높이"는 하나의 기준이며 "건물의 일부에 대한 높이"는 또 다른 것이지만 CTBUH에서 사용되는 기본 기준은 "건물의 건축상의 높이"다. 여기에는 첨탑이 포함된다. 그러나 안테나, 돛대 또는 기둥이 아니다. = = 가장 높은 건물 (13세기 ~ 1901년) = = = = = 교회와 성당 = = = 13세기부터 1901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항상 교회 또는 성당이었다. 13세기에 첨탑이있는 올드 세인트 폴 성당이 완성되었다. 14세기 초에 완성 된 링컨 대성당 (Lincoln Cathedral)의 중부 첨탑이 그것을 능가했다. 1549년에 이 첨탑은 무너졌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지위가 더 짧고 짧은 건물에 의해 유지되는 긴 연속을 시작했다. 링컨 대성당의 첨탑의 붕괴에 다음 세인트 메리 교회의 슈트 랄 준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1647년, 성모 마리아의 종탑이 타 버려 짧은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1890년 울름 교회당(Ulm Minster)이 완공 되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링컨 대성당의 원래 형상을 뛰어 넘은 건물로 다시 건축되었다. 더 긴년 명칭 위치 높이 증가 13세기 ~ 1300년 올드 세인트 폴 대성당* 런던 1.7% 1300년 ~ 1549년 링컨 대성당* 링컨 6.7% 1549년 ~ 1647년 성 메리 교회 슈트랄준트 -5.8% 1647년 ~ 1874년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스트라스부르 -6.3% 1874년 ~ 1876년 성 니콜라스 성당 함부르크 3.4% 1876년 ~ 1880년 루앙 대성당 루앙 2.6% 1880년 ~ 1890년 쾰른 대성당 쾰른 4.1% 1890년 ~ 1901년 울름 대성당* 울름 2.6% - 건축물 중 건축물 중 가장 높은 건물을 지었을 때 기록을 세운다. 링컨 대성당의 높이가 160m(524피트)인 곳은 대부분의 출처에서 받아 들여지지만, 일부 의원은 논쟁을 벌이고 있다.Haughton, Brian(2007),Hidden History: Lost Civilizations, Secret Knowledge, and Ancient Mysteries,p.167Michael Woods, Mary B. Woods(2009),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p.41Darwin Porter, Danforth Prince(2010), Frommer's England 2010,p.588Mary Jane Taber(1905), The cathedrals of England: an account of some of thei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p.100A Brief History of the World's Tallest Buildings Time magazine 첨탑의 완성일은 일부 출처에 의해 1300년이 아니라 1311년으로 주어진다. 또한 1561년에 번개에 의해 파괴된 올드 세인트 폴 대성당의 첨탑의 높이 149m(489피트)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토리노 시에 위치한 몰레 안토넬리아나는 1889년에 완공되었으며 높이 167.5m(5백50피트)이다. 그러나, 구조의 상부는 1953년의 토네이도에 의해 파괴되고 재건되었다. (일부 소스에 의해 항) 원래 첨탑 위로가 167.5미터인 경우, 안토 넬리 대 건축물 1889년에서 1908년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을 수 있다. = = = 고층 빌딩 = = = 19세기에는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철제 또는 강철 내부 구조 (외벽 대신)를 사용하여 시카고에서 새로운 종류의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 건물 중 더 큰 건물을 고층 건물이라고 한다. 시카고의 주택 보험 빌딩(Home Insurance Building)은 철골 구조를 사용하여 혁신을 이룬 세계 최초의 초고층 건물이다. 이 설계 기능은 전 세계의 고층 건물에서 표준이 된다. 가장 높은 고층 건물이었던 건물들이다. 그러나 여전히 가장 높은 교회나 성당보다 짧았다. 더 긴년 명칭 위치 높이 증가 1884년 ~ 1890년 홈 인슈어런스 빌딩 시카고 6.15% 1890년 ~ 1894년 뉴욕 월드 빌딩 뉴욕 136.92% 1894년 ~ 1895년 맨해튼 생명보험 빌딩 뉴욕 7.14% 1895년 ~ 1899년 밀워키 시청 밀워키 7.27% 1899년 ~ 1908년 파크 로우 빌딩 뉴욕 10.17% = = 가장 높은 건물 (1901년부터) = = 울름 교회당보다 더 높은 여러 개의 고층 건물 은 1901년에 완성되었다. 필라델피아 시청 167m(548ft) 및 Anton Antoniana 167.5m(550ft)이다. 그러나 두꺼운 외벽으로 다른 초고층 건물과 비슷한 높이의 건물처럼 지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들 중 어느 것도 대부분의 정의에 의해 초고층 건물이 아니었다. 더 긴년 명칭 위치 높이 증가 1901년 ~ 1908년 필라델피아 시청 필라델피아 3.4% 1908년 ~ 1909년 싱어 빌딩 뉴욕 시 11.7% 1909년 ~ 1913년 메트로폴리탄 생명 타워 뉴욕 14.36% 1913년 ~ 1930년 울워스 빌딩 뉴욕 12.95% 1930년 뱅크 오브 맨해튼 트러스트 빌딩 뉴욕 17.43% 1930년 ~ 1931년 크라이슬러 빌딩 뉴욕 13.04% 1931년 ~ 1972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뉴욕 19.1% 1972년 ~ 1974년 세계 무역 센터 뉴욕 9.45% 1974년 ~ 1998년 시어스 타워 시카고 6% 1998년 ~ 2004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쿠알라룸푸르 2.24% 2004년 ~ 2010년 타이베이 101 타이베이 12.68% 2010년 ~ 부르즈 할리파 두바이 62.61% 가장 높은 건물 목록은 고층 건물 및 도시 서식지 (CTBUH)에 대한 협의회의 기본 척도, 가장 높은 건축 요소에 대한 측정 기준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기준은 다른 목록을 생성한다. 상하이 세계금융센터(Shanghai World Financial Centre)는 위의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2008년 타이베이 101을 능가하여 가장 높은 점유 플로어가있는 건물이 되었다. 가장 높은 팁(안테나 포함)의 기준을 사용하여 뉴욕 시의 세계 무역 센터는 1972년부터 2000년까지 시카고의 시어스 타워(이미 세계 무역 센터보다 높은 점유 플로어를 가짐)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건물의 안테나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팁을 제공하도록 확장되었다.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가 2010년까지 완수한 페트로나스 타워(Petronas Towers)와 타이베이 101 (Taipei 101)이다. 부르즈 할리파 (Burj Khalifa)는 2010년 이래 어떤 기준으로도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그것은 가장 높은 건축 요소, 팁 및 점령 층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지어진 646.38미터(2,120.7 피트)의 바르샤바 라디오 마스트를 능가하는 가장 큰 구조의 구조물이다. 1884년 워싱턴 기념비가 완성된 이래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 아니었다. 예외는 크라이슬러 빌딩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에펠탑을 능가하는 1930-1954년 (오클라호마 에 있는 그리핀 TV타워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인 방송 마스트에 의해 차례로 능가), 2010년에 부르즈 할리파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 = 차트 = = = = = 1870년 ~ 현재 = = = = = 고층 건물 고도 증가의 역사 = = 19세기 시카고에서 주택 보험 빌딩을 건설한 후 뉴욕 시에 있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Empire State Building )이 뒤이어 크라이슬러 빌딩(Chrysler Building)을 건설하면서 마천루 높이의 증가가 시작되었다. 크라이슬러 빌딩은 300미터(984피트)의 장벽을 뛰어 넘은 세계 최초의 건물이었으며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100개 이상의 층이있는 최초의 건물이었다. 그것은 381미터(1,250피트)에 서 있으며 102층이 있다. 그 다음으로 높은 마천루는 1971년에 완공된 세계 무역 센터(World Trade Centre)였다. 북쪽 타워는 417m(368ft), 남쪽은 415m(362ft)이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높이보다36m(118ft) 높았다. 그로부터 2년 후 시어스 타워(Sears Tower)는 세계 무역 센터 높이를 25미터(82피트)를 넘으며 110층으로 442m(1,450ft)로 시카고에 지어졌다. 페트로나스 타워(Petronas Towers)는 시어스 타워(Sears Tower)보다 10m 높은 높이이며452m(1,483ft) 높이에 각각 88층으로 나뉜다. 2004년 타이베이 101 건설은 101층으로 509m (1,670ft)에 달하며 세계최고 높이의 고충건물 이 되었다.이전 기록 보유자인 페트로나스 타워(Petronas Towers)보다 59미터 (194피트) 더 높다.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는 타이베이 101의 높이보다 2009년 319미터(1,047피트) 높아 약60% 더 높아졌다. 여러 마천루 기록이 깨졌으며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한다. 부르즈 할리파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의 기록을 깨뜨렸다. 참고 : CTBUH는 건물이 300미터 (984피트) 이상인 경우 건물을 수퍼 볼트로 정의한다.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CTBUH Criteria for Defining and Measuring Tall Buildings. 2009 = = 위치별 슈퍼 고층 빌딩의 역사 = = 북미 지역에서 발생한 초기 초고층 빌딩 붐 이후, 북미 지역의 수많은 고층 건물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개의 건물을 지배했다. 1930년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개의 건물 중 99개가 북미에 위치해있었다. 앞으로이 비율은 22%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아메리카에 있는 마천루의 우세는 19세기 북아메리카에서 시작된 진전까지 마침내 따라 잡고 있는 세계의 다른 지역, 특히 아시아에서 마천루 건설의 건축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Petronas Twin Towers) 건설로 시작하여 초고층 마천루가 증가했다. 현재 세계 100대 높이에 아시아 (중동 포함)에 60개의 건물이 있다. 그러나 마천루 건설은 여전히 미국에서 널리 퍼져 있다. = = 고층 건물의 사용 증가 = = 마천루 붐 이후 세계의 대부분의 마천루는 주로 사무실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930년에서 2000년까지 오피스 타워의 비율은 86%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지만 미래에는 46%로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개의 건물 중 절반 이상이 사무용 타워였으며 대다수가 주거용 및 복합 용도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10개 중 4개와 세계에서 가장 높은 50개 중 28개가 주로 사무실로 사용된다. 혼합 사용 고층 빌딩은 둘 이상의 기능 (용도)을 포함하며, 각 기능은 타워의 전체 공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자동차 공원 및 기계 공장 공간과 같은 지원 구역은 혼합 사용 상태에 기여하지 않다. 호텔 및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는 고층 빌딩은 일반적으로 더 작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개의 고층 빌딩 가운데 그 유형의 초고층 고층 빌딩이 몇 개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주거 건물인 432 파크 애비뉴이다. 세계에 있는 몇몇 마천루 호텔 및 고층 빌딩이 있다. 에미레이트 파크 타워 호텔 & 스파 로즈 타워와 부르즈 알 아랍(Burj Al Arab) 얹어 아웃 에미레이트 타워 호텔 & 스파는 현재있는 동안, 서 있는 세 개의 초고층 호텔이다. = 분류:세르비아의 어린이 배우 =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 줄여서 MMOFPS)은 인터넷을 통해 많은 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의 하나로, 보통의 일인칭 슈팅 게임과는 다르게 지속되는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대표적인 MMOFPS로는 월드 워 II 온라인과 플래닛사이드 2가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헉슬리가 만들어졌는데, 헉슬리는 현재 완전히 망해버렸다. = 분류:알바니아어 = = 천일의 앤 불린 = 천일의 앤 불린은 필리파 그레고리의 2002년 소설이다. = 분류:홍콩의 남자 배우 = = 틀:아소르스 제도 표 = = 찰스 댄스 = 찰스 댄스(, 1946년 10월 10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자 각본가, 영화 감독이다. 댄스는 관료나 악당 역을 주로 연기하였다. 그가 찬사를 받은 배역으로는 라스트 액션 히어로의 베네딕트, 에이리언 3의 조나단 클레맨스 박사, Sky One이 제작한 테리 프래쳇의 Going Postal한국 DVD명 판타스틱 우체국에서 해브록 베티나리경, HBO의 왕좌의 게임에서의 타이윈 라니스터 등이 있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에디 머피의 골든 차일드 에이리언 3 언더월드: 블러드 워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 조나 앨런 역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 아서 역 = = = 영화 = =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로렌스 워그레이 역 = = = 텔레비전 = = = Terry Pratchett's Going Postal (2010) - 해브록 베티나리 경 역 = = 서훈 = = 2006년 대영 제국 훈장 4등급(OBE) 수훈 = 워터하우스잎코박쥐 = 워터하우스잎코박쥐(Macrotus waterhousii)는 주걱박쥐과(신세계잎코박쥐류)에 속하는 큰귀박쥐의 일종이다. 바하마와 케이맨 제도,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과테말라, 아이티, 자메이카, 멕시코 그리고 푸에르토리코에서 발견되며, 멕시코 소노라부터 히달고 지역까지, 남쪽으로 과테말라 그리고 대앤틸리스 제도(푸에르토 리코 포함)과 바하마 지역에 분포한다.Murray, Kevin L., Theodore H. Fleming, Michael S. Gaines, and Dean A. Williams. "Characterization of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or Two Species of Phyllostomid Bats from the Greater Antilles (Erophylla Sezekorni and Macrotus Waterhousii)." Molecular Ecology Resources 8 (2008): 596-98. Print. = 분류:벌루니스트 = = 분류:일본의 고고학자 = = 분류:온두라스의 외국인 스포츠 선수 = = Glamorous = Glamorous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Glamorous (퍼기의 노래) Glamorous (나탈리아의 노래) = 분류:마하라슈트라주의 문화 = = 분류:앙골라 요리 = = UMF 그린다비크 = UMF 그린다비크는 아이슬란드 그린다비크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랜드스반카데일딘에서 활동하고 있다. = = 성적 = = 아이슬란드 리그컵 우승 1회 (2000)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오스카 외른 회익손(2023 ~ ) = 흑석리역 = 흑석리역(Heukseok-ri station, 黑石里驛)은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이다. 인근 시멘트 공장 전용선이 부설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내에 위치해 있으나, 여객 취급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인근에 시멘트 사일로가 있어, 화물취급 및 신호와 운전 취급을 하고 있다. 하루에 약 2편의 화물열차가 왕복착발한다. 이 역은 충청권 광역철도의 정차역으로 계획되고 있다. = = 역사 = = 1935년 6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295호, 1935년 5월 15일. 1945년 6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39호, 1945년 5월 30일. 1975년 7월 25일 : 현재 위치로 역사 이전 및 역사 신축 1977년 5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철도청고시 제7호 , 1977년 4월 23일. 1983년 2월 1일 : 수소화물 취급 중지철도청고시 제1호, 1983년 1월 31일. 1989년 11월 12일 : 한일시멘트 전용선 부설 1991년 4월 20일 : 벌크양회 화물 한 화물 취급 지정철도청고시 제11호, 제12호, 1991년 4월 20일. 1993년 4월 15일 : 비둘기호 승차권 발매 중지(차내취급) 2008년 12월 1일 : 여객 취급 중지 = 브루스 큘릭 = 브루스 큘릭(Bruce Kulick, 1953년 12월 12일 ~ )는 미국의 음악가이다. = 월산재 = 월산재(月山齋)은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7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월산재는 영광 김씨들이 중심이 되어 후손들의 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조선 순조 4년(1824)에 지은 건물이다. 사당인 용강자, 강당인 월산재, 내삼문, 외삼문, 관리사, 창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가장 윗부분에 용강사가 있고 아래로 월산재가 있으며 월산재 앞으로 관리사와 창고가 대칭으로 자리잡고 있다. 고종 19년(1882)에 사림들이 지은 용강사는 나옹 김광범·우수당 김성범·죽옹 김정서·우수 김상범·학남 김정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앞면 3칸·옆면 1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규모가 큰 편인 월산재는 앞면 6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현재는 강당으로 쓰인다. = 분류:Dpkg = = 틀:만화애니 정보/CD드라마 = 이 틀의 사용법과 인수에 대해서는 틀:만화애니 정보를 보십시오. CD드라마 { "description": "", "paramOrder": [ "제목", "원작", "각본", "연출", "미디어", "발매원", "발매일", "수록시간", "라벨", "제작", "판매원", "매수", "화수", "그 외", "저작권" ], "params": { "제목": { "label": "제목", "type": "string" }, "원작": { "label": "원작", "type": "string" }, "제작": { "label": "제작", "type": "string" }, "미디어": { "label": "미디어", "type": "string" }, "각본": { "label": "각본", "type": "string" }, "연출": { "label": "연츌", "type": "string" }, "발매일": { "label": "발매일", "type": "string" }, "발매원": { "label": "발매원", "type": "string" }, "판매원": { "label": "판매원", "type": "string" }, "라벨": { "label": "라벨", "type": "string" }, "수록시간": { "label": "수록시간", "type": "string" }, "화수": { "label": "화수", "type": "string" }, "매수": { "label": "매수", "type": "string" }, "그 외": { "label": "그 외", "type": "string" }, "저작권": { "label": "저작권", "type": "string" } } } = 모듈:Location map/data/Morocco = return { name = '모로코', top = 36.25, bottom = 27.3, left = -13.55, right = -0.6, image = 'Morocco location map.svg', image1 = 'Morocco relief location map.jpg' } = 메탈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 = 메탈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는 팽이를 소재로 한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다. = = 줄거리 = = 은하들 전설 블레이더와 네메시스의 싸움에서 몇년 후. 세계는 막 부흥하고 베이블레이드 역시 새로운 시대를 맞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은하를 동경하는 최강의 블레이더를 목표로 흑은 제로는 과거 은하들이 있던 거리에 왔다. 그러나 거기에 은하는 없고 내일의 최강 블레이더를 목표로 강호가 쏠렸다.신형 제로 지 스타디움의 취급에 익숙하지 않아 고전하는 제로이지만 타고난 끈기와 천성의 육감으로 공략법을 이해하는 승리하고 갔다. = = 등장 팽이 = = 이프레이드(イフレイド) (어택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사라만다(サラマンダ) (밸런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오로자(オロジャ) (스태미너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피닉(フェニック) (어택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리바이저(リヴァイザー) (디펜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그리프(グリフ) (밸런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크라켄(キラーケン) (디펜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드래곤(ドラグーン) (어택 타입) (좌회전)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가골(ガーゴル) (어택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골렘(ゴレイム) (디펜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베기라도스(ベギラドス) (스태미너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겐블(ゲンブル) (스태미너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지라고(ジラーゴ) (어택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와이번(ワイヴァング) (스태미너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페가수스(ペガサス) (어택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바하무디아(バハムディア) (밸런스 타입) (첫등장: TV 시리즈(2012년)) (TV 시리즈의 최종보스) 화이거(ホワイガー) (어택 타입) (첫등장: OVA(2013년)) 가루다스(ガルダス) (디펜스 타입) (첫등장: OVA(2013년)) 펜리르(ヴァンリル) (밸런스 타입) (첫등장: OVA(2013년)) (OVA의 최종보스) = = 특이 사항 = = 메탈파이트 베이블레이드의 속편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20년 1월 20일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향후 2025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감축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화학적 분해가 불가능한 비닐봉투를 주요 도시의 슈퍼마켓이나 쇼핑몰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관련 계획도 발표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중 하나인 자금성 안에서 자동차를 세워둔 채로 찍은 인증 사진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공개되며 논란이 되었다. 사진을 찍어올린 여성은 훙싼다이(紅三代, 혁명 원로 2세대 훙얼다이의 자녀, 사위, 며느리 등)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대법원: 대법원은 김명수 대법원장이 오는 3월 4일 퇴임하는 조희대 대법관의 후임자에 노태악 서울지검 부장판사를 최종 후보자로 선출, 문재인 대통령에 임명을 제청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에 첫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방역 당국은 입국검역 과정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에서 입국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35세 여성이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분류:1835년 기재된 분류군 = = 시구 (자이시) = 시구는 중화민국 자이시의 시할구이다. 넓이는 30.9061km2이고, 인구는 2015년 8월 기준으로 147,563명이다. = = 지리 = = 자이 시의 서쪽에 위치하고 북쪽으로 민슝 향, 서쪽으로 타이바오 시, 남쪽으로 수이상 향, 동남쪽으로 중푸 향과 접한다. = = 교통 = =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 아리산 삼림철로 = 분류:웨일스의 스포츠 시설 = = 곤을동환해장성 = 곤을동환해장성(곤을동環海長城)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환해장성이다. 1998년 1월 7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49-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만리장성’이라 부르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곤을동 환해장성의 성벽 길이는 약 140m이다. 성벽은 바깥쪽으로 배가 부른 형태로, 성 위에는 총이나 활을 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여장이 있다. = 나오야 = 나오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스다 나오야: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퍼시픽 리그인 지바 롯데 마린스의 소속 선수(투수) 우라타 나오야: 일본의 가수 기쿠치 나오야: 알비렉스 니가타 소속의 프로 축구 선수 시모카와 나오야 시가 나오야: 일본의 소설가 고모토 나오야: 일본의 배우 마츠오카 나오야: 일본의 음악가로서, 라틴풍이 가미된 일본식 재즈와 퓨전 음악의 작곡가이자 편곡가, 피아니스트 곤도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사에키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세노오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다무라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나가이 나오야: 막말의 다이묘이며 일본 제국의 화족 후쿠모리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이시가미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우메다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후지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카네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시바무라 나오야: 일본의 축구 선수 오가와 나오야: 일본의 이종격투기선수 = 분류:한국의 나무 = = 분류:바레인이 참가한 군사 작전 = = 분류:바스크의 여자 배우 = = Rosetta (음반) = Rosetta는 2016년 9월 23일에 발매된 반젤리스의 음반이다. 데카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 = = 분류:국립공주박물관 소장품 = = 줄나비아과 = 줄나비는 네발나비과 줄나비아과에 속하는 나비의 총칭이다. = = 한반도의 줄나비 = = 왕줄나비 (Limenitis populi) Linnaeus, 1758 줄나비 (Limenitis camilla) Linnaeus, 1764 굵은줄나비 (Limenitis sydyi) Lederer, 1853 참줄나비 (Limenitis moltrechti) Kardakoff, 1928 참줄사촌나비 (Limenitis amphyssa) Ménétriès, 1859 (참줄나비사촌) 제이줄나비 (Limenitis doerriesi) Staudinger, 1892 제일줄나비 (Limenitis helmanni) Lederer, 1853 제삼줄나비 (Limenitis homeyeri) Tancré, 1891 홍줄나비 (Seokia pratti) Leech, 1890 애기세줄나비 (Neptis sappho) Pallas, 1771 세줄나비 (Neptis philyra) Ménétriès, 1858 참세줄나비 (Neptis philyroides) Staudinger, 1887 두줄나비 (Neptis rivularis) Scopoli, 1763 별박이세줄나비 (Neptis pryeri) Butler, 1871 개마별박이세줄나비 (Neptis andetria) Fruhstorfer, 1912 높은산세줄나비 (Neptis speyeri) Staudinger, 1887 왕세줄나비 (Neptis alwina) Bremer and Grey, 1853 산황세줄나비 (Aldania themis) Leech, 1890 (설악산황세줄나비) 황세줄나비 (Aldania thisbe) Ménétriès, 1859 북방황세줄나비 (Aldania deliquata) Stichel, 1909 (중국황세줄나비) 어리세줄나비 (Aldania raddei) Bremer, 1861 = 한국종축개량협회 = 한국종축개량협회는 가축의 우량한 혈통을 보존 ·보급하여 형질의 개량과 능력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임을 목적으로 1969년 5월 2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3동 1516-5, 축산회관 내에 있다. = = 주요 사업 = = 가축의 혈통등록에 관한 사업 가축의 심사에 관한 사업 가축의 능력검정에 관한 사업 가축의 개량에 관한 연구, 조사사업 우량종축의 보급알선 사업 정부가 위촉하는 사업 기술지도사업 및 교육사업 가축의 정액혈통확인에 관한 사업 가축육종지도사업 기타 본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 = 분류:리틀 시저스 = = 분류:알샤하니아 SC의 축구 감독 = = 크리스 브런트 = 크리스토퍼 브런트(Christopher Brunt, 1984년 12월 14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은 북아일랜드 출신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왼쪽 윙어 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 비산7동 (대구) = = 틀:To USD/data/1984 = = =Examples = = = =References = = * = 박상권 (1971년) = 박상권(1971년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기업인이다. = = 학력 = = 화곡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 = = 경력 = = 1997년 : MBC 보도본부 기자 MBC 사회부 법조팀 기자 MBC 정치부 기자 2011년 8월 : MBC 보도본부 국제부 파리특파원 2017년 12월 ~ 2018년 11월 : MBC 뉴미디어뉴스국 마봉춘미디어랩부장 2018년 11월 ~ 2020년 2월 : MBC 디지털뉴스에디터 디지털뉴스제작팀장 2020년 2월 ~ 2021년 2월 : MBC 사장 비서실장 2021년 2월 ~ :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 전무(팀장) = = 텔레비전 = = MBC 뉴스투데이 (평일) - 2007년 7월 2일 ~ 2011년 5월 27일 MBC 뉴스데스크 (평일) - 2013년 11월 18일 ~ 2014년 5월 9일, 2015년 8월 3일 ~ 8월 7일, 2016년 1월 1일, 2016년 7월 25일 ~ 7월 29일, 2016년 8월 4일 ~ 8월 19일, 2016년 9월 26일 MBC 뉴스데스크 (주말) - 2014년 5월 17일 ~ 2015년 4월 19일, 2015년 5월 2일 ~ 2016년 6월 19일, 2016년 7월 2일 ~ 2016년 12월 11일 = 분류: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구 = = 흥해남산초등학교 = 흥해남산초등학교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5.09.01 흥해남산초등학교 설립 인가 1998.03.01 개교(30학급) 2004.02.13 다목적교실 (강당) 준공 2010.10.19 경상북도교육청 지정 IPTV 시범학교 운영보고 2010.12.20 영어체험교실 개관 2011.09.01 Wee-class 개관 2012.02.28 급식소 증축 2012.12.27 인성교육실천우수학교 교육과학기술부장관표창 수상 2013.05.03 인조잔디 구장 개장 2013.12.31 학교평가 최우수 2014.03.01 지역동동 수학-과학 융함 영재학급 개설 2014.09.01 제8대 강세원교장 취임 2015.02.13 제17회 82명 졸업(졸업생 총 2321명) 2015.03.01 16학급 편성(특수학급 1학급 포함) 2019.03.01 초곡초등학교 개교와 함께 분리 이관 = WWE 백래시 = 백래시(Backlash)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 퍼 뷰이다. 2003년 6월부터 WWE는 브랜드 분리의 일한으로 브랜드별 페이 퍼 뷰를 진행했다. 따라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러의 단독 페이퍼뷰로 진행하였다가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RAW와 스맥다운 이 합동으로 페이 퍼 뷰를 진행하였고, 2009년을 마지막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2016년 5년만에 다시 브랜드 분리가 이뤄진 후 스맥다운 PPV로 7년만에 부활했다. 2018년에는 9년만에 공동 브랜드 PPV로 진행된다. = = 백래시 개최지 = =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1999년 4월 25일 프로비던스 프로비던스 시빅 센터 10,939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vs. 더락 (WWE 챔피언십, 노 홀즈 바아드 매치) 2000년 4월 30일 워싱턴 D.C. MCI 센터 19,101 트리플 H vs. 더락 (WWE 챔피언십) 2001년 4월 29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5,592 더 투맨 파워 트립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WWE 챔피언) & 트리플 H(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 vs. 더 브라더스 오브 디스트럭션 (케인 & 디 언더테이커(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 (WWE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워너 테크 올 태그팀 매치) 2002년 4월 21일 캔자스시티 캠퍼 아레나 12,489 트리플 H vs. 헐리우드 헐크 호건 (WWE 챔피언십) 2003년 4월 27일 우스터 우스터 센트럼 10,000 골드버그 vs. 더락 2004년 4월 18일 에드먼턴 렉셀 플레이스 13,000 크리스 벤와 vs. 숀 마이클스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5년 5월 1일 맨체스터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아레나 14,000 바티스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6년 4월 30일 렉싱턴 럽 아레나 14,000 존 시나 vs. 트리플 H vs. 에지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7년 4월 29일 애틀랜타 필립스 아레나 14,500 존 시나 vs. 에지 vs. 랜디 오턴 vs. 숀 마이클스 (WWE 챔피언십, 페이탈 4-웨이 매치) 2008년 4월 27일 볼티모어 퍼스트 매리너 아레나 11,277 랜디 오턴 vs. 트리플 H vs. 존 시나 vs.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WWE 챔피언십, 페이탈 4-웨이 매치) 2009년 4월 26일 프로비던스 던킨 도너츠 센터 8,357 존 시나 vs. 에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라스트맨 스탠딩 매치) 2016년 9월 11일 리치먼드 리치먼드 콜리시엄 7,000 딘 앰브로스 vs. A.J. 스타일스 (WWE 챔피언십) 2017년 5월 21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0,000 랜디 오턴 vs. 진더 마할 (WWE 챔피언십) 2018년 5월 6일 뉴어크 프루덴셜 센터 14,724 로만 레인즈 vs. 사모아 조 2020년 6월 14일 올랜도 WWE 퍼포먼스 센터 무관중 경기 에지 vs. 랜디 오턴 2021년 5월 16일 탬파 잉링 센터 무관중 경기 로만 레인즈 vs. 세자로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2022년 5월 8일 프로비던스 던킨 도너츠 센터 8,050 드루 매킨타이어 & RK-Bro (랜디 오턴 & 리들) vs. 블러드라인 (로만 레인즈 & 디 우소스 (지미 우소 & 제이 우소)) 2023년 5월 6일 산후안 호세 미겔 아그레로트 콜리시엄 17,944 브록 레스너 vs. 코디 로즈 2024년 5월 4일 데신샤르피외 LDLC 아레나 =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주관하는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가대항전으로 이 대회는 FIFA U-20 월드컵의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한다. = = 역대 대회 = =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CONCACAF 유스 토너먼트 (CONCACAF Youth Tournaments)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3위 4위 1962년 1964년 1970년 1973년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결승: 멕시코 2 - 0 과테말라, 3·4위전: 쿠바 2 - 0 캐나다 1974년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1 - 0 쿠바 1976년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결승: 멕시코 0 - 0 (승부차기 4 - 3) 온두라스, 3·4위전: 미국 1 - 0 과테말라 1978년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결승: 멕시코 1 - 0 캐나다, 3·4위전: 온두라스 2 - 1 코스타리카 1980년 , ,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결승: 멕시코 2 - 0 미국 1982년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결승: 온두라스 1 - 0 미국, 코스타리카 3 - 2 과테말라 1984년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결승: 멕시코 2 - 1 캐나다, 엘살바도르 4 - 2 미국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FIFA U-20 월드컵 CONCACAF 예선 토너먼트 (FIFA U-20 World Cup qualifying tournament) 연도 개최국 우승 우승 준우승 준우승 1998년 (A조) 1998년 (B조) 2001년 (A조) 2001년 (B조) 2003년 (A조) 2003년 (B조) 2005년 (A조) 2005년 (B조) 2007년 (A조) 2007년 (B조)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CONCACAF U-20 선수권 대회 (CONCACAF U-20 Championship)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3위 4위 2009년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결승: 코스타리카 3 - 0 미국, 3·4위전: 온두라스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2011년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결승: 멕시코 3 - 1 코스타리카, 3·4위전: 과테말라 0 - 0 (연장, 승부차기 7 - 6) 파나마 2013년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결승: 멕시코 3 - 1 (연장) 미국, 3·4위전: 엘살바도르 1 - 0 쿠바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플레이오프 승리 팀 플레이오프 승리 팀 2015년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결승: 멕시코 1 - 1 (연장, 승부차기 4 - 2) 파나마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결선 조별 리그 2위 팀 결선 조별 리그 2위 팀 2017년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결승: 미국 0 - 0 (연장, 승부차기 5 - 3) 온두라스 2018년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결승: 미국 2 - 0 멕시코 = 중국의 사진 = 중국의 사진의 역사는 유럽 사진가들이 마카오에 도착했던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대에 서양 사진가들은 해안 항구 도시에 스튜디오를 세웠지만 곧 중국인 조수와 지역 경쟁이 모든 지역으로 퍼졌다. 19세기 말까지 모든 주요 도시에는 중국 중산층이 가족 행사를 위해 초상화를 찍을 수 있는 사진 스튜디오가 있었다. 서양과 중국의 사진가들은 평범한 거리 생활, 주요 전쟁, 저명한 인물을 기록했다. 부유한 중국인들은 사진을 취미로 삼았다. 황태후는 그녀의 초상화를 반복적으로 찍었다. 20세기에는 세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사진이 레크리에이션, 기록 보관, 신문 및 잡지 저널리즘, 정치 선전, 미술사진 촬영에 사용되었다. = 데이버 버나디크 = 데이버 버나디크(, 1980년 1월 5일 ~ )는 크로아티아의 물리학자, 정치인이다. 2016년 11월 이래 사회민주당(이하 사민당)의 대표이자 야권대표직을 겸임하고 있으며, 대표 선출 이전에는 공동부대표, 사민당 자그레브 시당위원장, 사민당 청년위원장을 지냈다. 그는 또한 1번 선거구의 4선 국회의원이다. = 영학정 = 영학정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관광지로 양궁장 및 국궁장, 정자를 모두 이르는 말이다. = = 개요 = = 영학정은 크게 정자와 안양천 변의 양궁시설과 국궁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이 정자를 "영학정"이라고 칭하나 궁도장을 모두 포함하여 이르기도 한다. 영학정 내 궁도장이 있던 자리는 과거에 군사 훈련장이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우리동 명소 - 영학정 , 목1동주민센터 = = 관광 = = 영학정에 있는 정자에서 안양천을 바라보면 안양천의 자연 모습과 건너편 목동 일대 빌딩숲이 조화를 이루어 볼 수 있는 경치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영학정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서울의 48곳의 명소 중 하나로 선정되어 있다.서울시관광정보 - 영학정 = = 궁도장 = = 영학정의 궁도장은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국궁장과 양궁 시설을 모두 갖춘 곳이다.[新택리지밝은 태양과 맑은 냇물이 있는 곳, 서울 양천], 경향신문, 2013년 6월 27일 작성. 이 곳에서는 서울특별시에서 유일하게 일반인도 양궁을 배울 수 있으며 일일체험도 가능하다. 유료로 양궁을 체험해 볼 수 있으며 장비 및 시설을 제공받을 수 있다.양궁은 도대체 어디서 배우나요? 일반인은 쉽지않네!, 노컷뉴스, 2008년 8월 16일 작성. 또한 아마추어 양궁 동호회도 운영하고 있어 일반인도 취미로 즐길 수 있게 하고 있다.도심속 올림픽 체험 `이색명소`, 디지털타임스, 2012년 7월 29일 작성. 단, 국궁에 대해서는 일일체험을 실시하지 않는다. = 분류:조이드 시리즈 = = 하루히정 = 하루히정은 일본 아이치현 서부의 니시카스가이군에 존재했던 정이다. 오와리 지방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2009년 10월 1일에 기요스시에 편입될 때까지는 일본에서 제일 면적이 작은 정인 것과 동시에 아이치 현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자치체였다. = = 지리 = = 노비평야의 중부에 있고 고조강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종단하고 있다. = = 인접한 자치체 = = 나고야시 니시구 기요스시 기타나고야시 이나자와시 = = 역사 = = 1906년 - 하루히 촌()이 성립하였다. 1990년 - 하루히 정으로 승격하였다. 2009년 10월 1일 - 인접한 기요스 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 교통 = = = = = 도로 = = = 나고야 고속도로 국도 22호선 국도 302호선 = = = 철도 = = = 정에는 철도역은 없다. 기요스역이 가깝다. = 분류:용감한 형제가 작곡한 노래 = = 아산시의회 = 아산시의회는 충청남도 아산시 지역을 관할하는 기초의회이다. = 틀:소야 종합진흥국 = = 도로시 그린 = 도로시 그린(Dorothy Green, 1920년 1월 12일 ~ 2008년 5월 8일)은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더 영 앤 더 레스트리스 (1973년) 6백만 달러의 사나이 (1973년) 닥터 웰비 (1969년) 아이언 사이드 (1967년) 잇 해펀드 앳 더 월드 페어 (1963년) 나의 세 아들 (1960년) 보난자 (1959년) 선셋 77번가 (1958년) 페리 메이슨 (1957년) 헬렌 모건 스토리 (1957년) 딜론 보안관 (1955년) 심판 (1955년) 디즈니랜드 (1954년) - 미시즈 타운스 역 뎀 (1954년) 빅 히트 (1953년) = 풍암리 = 풍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근남면 풍암리(豊巖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豊岩里)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풍암리(豊岩里)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풍암리(風巖里) = 수원광교박물관 = 수원광교박물관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박물관이다. 수원광교박물관은 광교신도시 조성 시 출토되었던 유물들을 중심으로 광교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광교 역사문화실'과 한국 현대사의 정치·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기증사료가 전시된 '소강 민관식실', 충무공 이순신과 독도를 포함한 영토 관련 그리고 일제 침략사에 관한 다양한 기증유물로 이루어진 '사운 이종학실'로 구성되어 있다. 수원광교박물관은 심온선생묘와 혜령군 묘 등의 역사유적지와 함께 광교 역사공원 내에 위치하여 배움과 휴식을 동시에 취할 수 있는 120만 수원시민의 문화공간이다. = = 연혁 = = 2011.05.16 수원광교박물관 공간 배치계획 수립 2012.05.31 수원광교박물관 착공 2012.10.11 수원광교박물관 준공 2013.10.28 시설물 인수인계 2014.03.07 수원광교박물관 개관 = = 시설 현황 = = *1층: 안내데스크, 광교 역사문화실, 어린이체험실, 카페테리아, 화장실, 다목적실, 사무실 *2층: 소강실, 사운실, 휴게공간, 화장실, 수유실 = =관람 안내 = =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매표시간: 오전 9시 ~ 오후 5시 (관람종료 1시간전) 휴관일 *매달 첫째 월요일에만 휴관 *그밖에 시장이 정하는 휴관일 = 다네이치역 = 다네이치역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292 2001 249 2002 230 2003 208 2004 198 2005 202 2006 205 2007 192 2008 179 2009 166 2010 155 2011 2012 158 2013 173 2014 173 2015 172 = = 역 주변 = = 국도 제45호선 히로노 정청 다네이치 청사 히로노 정립 다네이치 역사 민속 자료관 히로노 정립 문화회관 다네이치 해변 공원 = = 역사 = = 1924년 11월 10일 : 혼하치노헤 역 - 당 역간 개통과 동시에 개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2004년 10월 16일 : 교환 설비를 철거해, 단선 승강장 1면 1선이 됨. 동시에 운행 취급, 당직 근무가 폐지되어, 새벽 야간 역무원 부재로 됨. 2005년 12월 10일 : 다네이치 역장이 폐지되어, 구지 역장 관리하에 함. 2006년 3월 : 업무 위탁화. 2011년 3월 11일 : 오후에 발생했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이에 의한 지진 해일의 영향으로 열차 발착이 폐지. 8월 8일 : 하시카미역 - 당 역 간 운행 재개. 2012년 3월 17일 : 당 역 - 구지 역 간 운행 재개. = NGC 112 = NGC 112는 안드로메다자리 방향에 있는 나선 은하이다. = 분류:남송의 관료 = = 교황 클레멘스 14세 = 교황 클레멘스 14세(라틴어: Clemens PP. XIV, 이탈리아어: Papa Clemente XIV)는 제249대 교황(재위: 1769년 5월 19일 - 1774년 9월 22일)이다. 세속명은 조반니 빈첸초 안토니오 간가넬리(이탈리아어: Giovanni Vincenzo Antonio Ganganelli)이다. = = 생애 = = 1705년 10월 31일 이탈리아 리미니 근처에서 외과의사와 귀족 여인 사이에 태어난 그는 리미니에서 예수회식 교육을 받고 콘벤투알 수도회에 입회하여 로마의 성 보나벤투라 학원에서 교육을 받고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철학과 신학을 가르쳤다. 예수회의 추천으로 성 보나벤투라 학원의 원장이 되었고 밀라노에서는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를 공경하여 1743년 신학변론을 발표하여 그에게 헌정하였다.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추기경이 되었다. 프랑스와 에스파냐의 지지를 받아 콘클라베에서 교황에 당선되었다. = = 예수회의 해산 = = 그가 한때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를 공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예수회 탄압에 대하여 4년간 결정적인 단안을 내리지 않았다. 포르투갈, 에스파냐, 프랑스 등 세계 각국에서 들어온 추방 청원과 양자택일로써 수도회를 새롭게 개혁하거나 당시 총장 로렌초 리치 사제가 사망하면 총장을 선출하지 못하게 하고 점차적으로 해산시키자는 문헌을 접하였다. 해산 준비 단계로서 교황은 교서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교황령 안에서 누리던 예수회의 특권을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주교들은 그들에게 강론과 고해성사권을 박탈하였다. 예수회원들은 세계 각 지역에서 추방되었다. 포르투갈에서는 추방된 예수회원들에게 클레멘스 13세의 명령에 의해 주어진 연금이 박탈되었다. 1769년에는 십자가의 성 바오로가 창설한 예수 고난회(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극히 거룩한 십자가와 고난의 맨발 성직 수도회)를 정식으로 최종 승인했다. 클레멘스 14세가 1773년 6월 9일에 서명한 칙서 에 의해 예수회 소유의 학원 266개, 신학교 103개, 거주지 88개를 포함한 1만 1천 명의 회원들이 강제로 추방당하고 말았다. 그 해 9월 23일 예수회원들은 모조리 산탄젤로 성에 끌려가 감금되었다. 클레멘스 14세는 역사적으로 성전 기사단 등이 교황청에 의해 해산된 것처럼 예수회를 해산한다고 발표하였다. 예수회를 변호하는 어떤 변론이나 반대도 금지되었다. = 분류:뮤직 비디오 감독 = = 허주 = 허주(許周, 1359년 ~ 1440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하양(河陽). 자는 백방(伯方)·백공(伯公)이다. 할아버지는 도관정랑(都官正郎) 허윤창(許允昌)이고,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허귀룡(許貴龍)이며, 어머니는 통례부사(通禮副使) 이길(李吉)의 딸이다. = = 생애 = =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해 전법정랑(典法正郎)에 오르고, 1385년(우왕 11)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성을 쌓았다. 1388년 지안성군사·장령을 거쳐, 1390년 공부총랑(工部摠郎)·경기우도염문계정사(京畿右道廉問計定使)로서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전제개혁에 참가하였다. 1392년 조선이 개국되자 내부경(內府卿)에 임명되었는데, 그의 인척들이 고위 관직을 점유함으로써 조선의 거족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1397년(태조 6) 사헌중승(司憲中丞)을 겸직하고, 그 해에 노비변정도감도청사가 되어 노비 소유에 대한 소송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하였다. 1399년(정종 1) 노비변정도감이 폐지되자, 판사수감사(判司水監事)·지형조사(知刑曹事)를 역임하였다. 1401년(태종 1)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로서 경상도안렴출척사(慶尙道按廉黜陟事)가 되었으나, 새로 개간된 토지 상황을 잘 파악하지 못해 이듬해 양주에 유배되었다. 1405년 형조참의를 거쳐, 이듬해 호조좌참의 판홍주사가 되었다가 병으로 사임하였다. 그러다가 1409년 전라도관찰사, 이듬해 참지의정부사·한성부윤·경기도관찰사 등을 지낸 뒤 병으로 사직하였다. 1416년 개성유후사유후로 복직되고, 1418년(세종 즉위년) 판한성부사로 재직 중 다시 병으로 사퇴하였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성품이 강직해 공사를 분명하게 처리하였다. 또한 가법(家法)이 엄격해 사당의 모든 행사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좇아 행하였다. 시호는 간숙(簡肅)이다. = = 가족 관계 = = 조부: 허윤창(許允昌) 아버지: 허귀룡(許貴龍) 어머니: 흥양 이씨(興陽李氏), 이길(李吉)의 딸 동생: 허조(許稠) 동생: 허척(許倜) 여동생: 조안평(趙安平)에게 출가 부인: 합천 이씨(陜川李氏), 이원상(李元樀)의 딸 * 아들: 허성(許誠) * 딸: 권순(權循)에 출가 = 반응성 = 화학에서 반응성(反應性, )은 화학 물질이 자체적인 물질 또는 다른 물질과 함께 자극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통해 전체적인 에너지를 방출하는 화학적 성질이다. 반응성은 다음을 가리킨다. 단일 물질의 화학적 반응 2개 이상의 물질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화학적 반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모든 종류의 화학 물질의 반응성 연구에 적용되는 방법론 이러한 과정을 관찰하는 데에 사용되는 실험적인 방법 이러한 과정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한 이론들 단일 물질(반응 물질)의 화학 반응도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포함한다. 분해 다른 반응 물질 또는 반응 물질의 원자를 추가하여 새로운 물질을 형성함 2개 이상의 다른 반응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2개 이상의 물질을 형성함 물질의 화학 반응도는 서로 다른 물질이 반응하는 다양한 상황(온도, 압력, 촉매의 존재를 포함하는 조건)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반응하는 물질의 다양성 반응의 평형점 (즉, 모든 반응의 범위) 반응 속도 반응도라는 용어는 화학적 안정성과 화학적 호환성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재외공관 목록 = 아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재외공관 목록이다. = = 아프리카 = = : 트리폴리 (대사관) : 카이로 (대사관) = = 아메리카 = = : 워싱턴 D.C. (대사관), 시카고 (총영사관) : 오타와 (대사관) = = 아시아 = = : 쿠알라룸푸르 (대사관) : 리야드 (대사관) : 아부다비 (대사관) : 암만 (대사관) : 테헤란 (대사관) : 텔아비브 (대사관) : 뉴델리 (대사관) : 자카르타 (대사관) : 도쿄도 (대사관) : 베이징시 (대사관) : 도하 (대사관) : 쿠웨이트시티 (대사관) : 앙카라 (대사관), 이스탄불 (총영사관), 이즈미르 (영사관) : 이슬라마바드 (대사관) = = 유럽 = = : 아테네 (대사관) : 헤이그 (대사관) : 오슬로 (대사관) : 코펜하겐 (대사관) : 베를린 (대사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총영사관), 뮌헨 (총영사관), 슈투트가르트 (총영사관) : 모스크바 (대사관) : 부쿠레슈티 (대사관) : 스코페 (대사관) : 포드고리차 (대사관) : 바티칸 시국 (대사관) : 브뤼셀 (대사관) : 소피아 (대사관) : 베오그라드 (대사관) : 스톡홀름 (대사관) : 베른 (대사관) : 마드리드 (대사관) : 류블랴나 (대사관) : 런던 (대사관) : 빈 (대사관) : 로마 (대사관), 밀라노 (총영사관) : 프라하 (대사관) : 자그레브 (대사관) : 바르샤바 (대사관) : 파리 (대사관) : 부다페스트 (대사관) = = 오세아니아 = = : 캔버라 (대사관) = = 대표부 = = EU, NATO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 대표부: 브뤼셀 UN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 대표부: 뉴욕, 제네바 유럽 평의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 대표부: 스트라스부르 유럽 안보 협력 기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 대표부: 빈 = 분류:피보나치 수 = = 전용 콘솔 = 전용 콘솔은 비디오 게임 콘솔의 한 종류로, 콘솔의 내장된 비디오 게임만 플레이할 수 있고 롬 카트리지, 디스크, 다운로드 등의 게임 저장매체 입력장치가 없는 콘솔이다. 전용 콘솔은 하나 이상의 내장 비디오 게임 또는 게임으로 제한되는 비디오 게임 콘솔이며 ROM 카트리지, 디스크, 다운로드 또는 기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배포되는 추가 게임에는 적합하지 않다. 전용 콘솔은 ROM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2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로 점진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1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 = 역사 = = 초기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대부분은 전용 콘솔이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퐁(Pong) 및 다수의 모방품이었다. 이후의 거의 모든 콘솔과 달리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CPU가 소프트웨어 일부를 실행하는 컴퓨터)가 아니라 하드와이어 게임 로직을 포함하고 있다. 1970년대 중반, 페어차일드 채널 F(Fairchild Channel F)로 시작하는 ROM 카트리지 기반 시스템은 아타리 2600의 성공으로 인해 2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아케이드 시리즈는 1983년 비디오 게임이 폭락할 때까지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 시장에서 계속해서 작은 존재를 유지했다. NES 이후 ROM 카트리지 기반 콘솔은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CD 기반 콘솔이 두각을 나타낼 때까지 1990년대 중반과 후반 국내 시장을 지배했다. = 약대역 = 약대역(若大驛)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했던 김포선의 철도역으로,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역터조차 남아 있지 않다. 부천시 약대동 부천아이파크아파트(구 약대주공아파트 자리)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틀:일본의 재외공관 = = AID = AID는 다음을 뜻한다. 신체통합정체성장애(Amputee identity disorder) 정자 기증(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자가 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 = 분류:캐나다의 연예인 = = 분류:1239년 사망 = = 분류:몬태나주의 스포츠 시설 = = 윤간 (1561년) = 윤간(尹侃, 1561년 ~ ?)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자 은자이다. 자(字)는 사행(士行),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광해군의 궁궐 재건축 사업의 실무자의 한 사람이었다. 광해군의 궁궐 영건 사업 때 선수도감에서 낭청으로 활동하면서 주로 공홍도 지역의 쌀과 콩을 한성으로 운반하는 일 및, 와서별제로 기와 담당 실무를 맡아보았다. 그러나 도감 낭청직 재직 시 권력남용과 사사로운 보복행위, 와서 별제 당시 창고의 무명 73동 40필을 잃어버린 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1618년 대북당의 주도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 및 서궁(西宮, 덕수궁)에 유폐하는 폐비 논의가 나오자 그는 판관(判官)으로 논의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이서와 함께 인목대비 폐비를 반대했다는 밀고를 받고 관직을 사퇴했다가 후에 복직했다. 1620년(광해군 12년) 군기감 판관이 되고, 풍덕군수로 나갔다가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 후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으나 그해 다시 풍덕군수로 제수되었다. = = 생애 = = 1561년(명종 16년)에 한성에서 태어났으며 선교랑(宣敎郞) 행사옹원참봉(行司饔院參奉)과 판관을 지낸 윤제현(尹齊賢)의 아들이다. 그는 소정공 윤번의 8대손으로, 고조부는 문정왕후의 친정아버지 윤지임이고, 증조부는 윤원필이다. 윤원형, 윤원로는 그의 종증조부였다. 조선 세조비 정희왕후는 7대 대고모이고, 중종의 제3계비 문정왕후는 증대고모가 된다. 또한 윤지임과 8촌 간인 대윤의 윤임이나 장경왕후 역시 그의 일가였다. 1589년(선조 22년)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3등(三等)으로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그뒤 관직에 나갔다. 광해군이 임진왜란 때 불탄 궁궐의 재건사업을 추진하자, 1615년(광해군 7년) 선수도감(繕修都監)의 임시 감역관(監役官)이 되고, 그해 9월 겸낭청직에 임명되어 공홍도의 쌀과 콩을 한성부의 영건도감으로 운반하는 감독 운반으로 파견되었다. 1616년(광해군 8년) 2월 와서별좌(瓦署別坐)가 되자 이조와 병조에 상피해야 될 인척이 근무하여 사헌부로부터 지적을 당하였다. 그러나 광해군은 그에게 선수도감 실(實) 감역관직을 제수했다. 이후 사헌부에서 계속 그의 임명을 개차할 것을 차자를 올렸지만 광해군이 듣지 않았다. 그해 2월 28일 오히려 광해군이 그와, 또 논란의 대상이 된 윤시준 등을 같이 가자하자 사헌부에서 이를 지적했지만 듣지 않았다. 1517년(광해군 10년) 7월부터 1618년 대북당의 주도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 및 서궁(西宮, 덕수궁)에 유폐하는 폐비 논의가 나오자 그는 판관(判官)으로 폐비논의 정청(庭請)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누군가 그가 완풍군 이서(完豊君 李曙) 등과 함께 인목대비 폐비론에 반대하였다는 무고를 받고, 관직을 사퇴하고 귀향하였다. 이후 후학 양성에 주력하였다. 1620년(광해군 12년) 군기 판관(軍器判官)에 제수되어 나갔다. 그해 5월 28일 사헌부로부터 선수도감 낭청 재직 오랫동안 도감의 낭청으로 있으면서 범람한 일을 많이 하였고, 도감의 위세를 빙자하여 사사로운 원수를 갚았으며, 하리(下吏)에게 비용을 마련하도록 독촉하여 술과 안주를 성대하게 마련한 일로 탄핵을 받기도 했다. 1620년(광해군 12년) 6월 5일, 전에 번와소 재직 시 1617년과 1618년에 번와소 창고에 보관한 무명 4백 4동 4필 반 중, 무명 73동 40필을 잃어버려 신 궁궐 영건도감으로부터 번와소의 임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탄핵을 받았으나, 광해군이 마음을 다하여 직무를 보고 있는데 불행하게도 논박을 당해 어쩔수 없다며 일단 체직시켰다. 영건도감에서는 무명 분실은 그가 한 짓이라 의심하였으나 광해군이 일단 무마시켰다. 그러나 거듭된 논핵으로 1620년(광해군 12년) 7월 25일 광해군은 전교를 내려, 그가 단지 나랏일에 마음을 쏟은 정성만을 알 뿐 제멋대로 방자하게 굴면서 거리낌 없이 한 죄는 보지 못하였다며 추고를 명하였다. 그뒤 풍덕군수(豊德郡守)로 나갔다가 1623년(광해군 15년) 3월 인조반정 후 완풍군(完豊君) 이서(李曙)로부터 전해받았지만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으나 그해 4월 다시 풍덕군수로 제수되었다. 1635년 사망설과 1644년 사망설이 있으나 불확실하다. = = 가족 관계 = = 증조부 : 윤원필(尹元弼, 1496년 ~ 1547년) 할아버지 : 윤회(尹繪) 아버지 : 윤제현(尹齊賢) 부인 : 초계변씨, 현감 변기(卞琪)의 딸 아들 : 윤상민(尹商民, 1583년 ~ ?), 부여현감 아들 : 윤상민(尹商銓), 초명은 상준(商俊) = 분류:이창시 출신 = = 틀:축구단 안산 할렐루야 = = 안성 = 안성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안성시(安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있는 도시이다. 안성동(安城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안성시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안성면(安城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안성(安省, 1344년 ∼ 142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27조 = 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27조는 청구를 병합한 경우의 소송목적의 값에 대한 민사소송법조문이다. = = 해설 = = = = =합산의 원칙 예외 = = = 하나의 소로써 여러개의 청구를 한 경우라도 경제적 이익이 같거나 중복되는 때에는 합산하지 않으며, 중복이 되는 범위 내에서 흡수되고 그 중 다액인 청구가액을 소가로 한다. 1개의 청구가 다른 청구의 수단에 지나지 아니할 때에는 그 가액은 소가에 산입하지 않고 목적인 인도청구만이 소가가 된다. 주된 청구와 그 부대목적인 과실, 손해배상금, 위약금, 비용의 청구는 별개의 소송물이나, 이 두 가지를 1개의 소로써 청구하는 때에는 부대청구의 가액은 소가에 산입하지 않는다. = = 판례 = = 소액사건심판법의 적용 대상인 소액사건에 해당하는 여부는 제소당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므로 병합심리로 그 소가 합산액이 소액사건의 소가를 초과하였다고 하여도 소액사건임에는 변함이 없어 소액 3조 각호 소정의 사유가 있는 때에 한하여 상고를 할 수 있다91다20579 = 켈미스 = 켈미스는 벨기에 왈롱 지역 리에주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8.12km2, 인구는 10,874명(2012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600명/km2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에 속한다. 1816년부터 1919년까지 존재했던 중립 모레스네의 수도였던 곳이다. = 가이즈시 = 가이즈시는 기후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거의 전역이 해발 0미터 지대이며 윤중 지대로서 유명하다. = = 인접한 자치체 = = 북:하시마시, 요로군 요로정, 안파치군 와노우치정 서:미에현 이나베시 동:아이치현 아이사이시, 이나자와시 남:미에현 구와나시 = = 역사 = = 2005년 3월 28일 - 가이즈 군의 3정(가이즈 정, 난노 정, 히라타 정)이 합병해 시로 승격하였다. = = 교통 = = = = = 철도 = = = 요로 철도 요로 선 = = = 도로 = = = 국도 제258호선 = 빅토리아 포잇 = 빅토리아 포잇(Victoria Foyt, 1958년 1월 1일 ~ )은 미국의 배우, 소설가, 각본가, 영화배우이다. = = 영화 = = 고잉 쇼핑 (2005년) - 홀리 역 라스트 썸머 인 더 햄튼 (1995년) - 우나 하트 역 = 틀:뉴욕 필하모닉의 상임 지휘자 = = 분류:돈바스 전쟁 영화 = = 남영덕 나들목 = 남영덕 나들목(S.Yeonhdeok IC)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에 설치될 예정인 동해고속도로의 교차로이다.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 = 연혁 = = 2017년 1월 13일 : 나들목 신설을 위해 영덕군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남정면 장사리 일원을 남영덕 나들목으로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7-29호, 2017년 1월 13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 = 접속하는 도로 = = 회리길 = 분류:조지아의 스키 선수 = = 멕시코 혁명 = 멕시코 혁명은 1910년 멕시코에서 장기집권하던 포르피리오 디아스에 대항하여 프란시스코 I. 마데로가 반란을 일으키면서 시작된 무장 투쟁이다. 멕시코 혁명은 사회주의, 자유주의, 아나키즘, 인민주의, 토지 균분론 운동 등 다양한 사상이 활동하였다. 혁명은 체제에 대한 반란에서 시작하여 여러 편이 갈린 내전으로 발전하였다. 대립이 계속되다 1917년 멕시코 헌법이 통과되었다. 멕시코 혁명은 대개 1920년까지 지속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1920년대에도 산발적으로 소요가 이어졌다. 또 크리스테로 전쟁(Guerra Cristera)으로 다시 유혈 낭자한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멕시코 혁명으로 말미암아 1929년 국민혁명당이 결성되었다.(1949년에 '제도혁명당'으로 개칭) 제도혁명당은 2000년 멕시코 총선 때까지 권력을 장악하였다. = =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통치 (1876년 ~ 1910년) = = 1872년 베니토 후아레스가 죽은 뒤,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멕시코의 지도자 자리를 원하였다. 동맹 관계였던 두 사람은 푸에블라 전투에서 프랑스에 대항하여 싸웠으나, 일단 후아레스가 집권하자 디아스는 그를 몰아내려 하였다. 디아스는 1876년에 대통령직에 올라 통치를 시작하였고, 프란시스코 I. 마데로가 1911년에 대통령직에 취임하기 전 1910년까지 멕시코를 다스렸다. 디아스 정권은 그가 산업과 근대화의 진보를 이루었으나, 그로 말미암아 인권과 자유주의적 개혁을 희생한 것으로 기억된다.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권력을 줄이기 위해 일하였으며, 상당한 교회 소유 재산을 몰수하였다. 1876년에서 1910년까지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부 시대는 '포르피리아토(Porfiriato)'라고 한다. 디아스는 대통령직 연임을 금지하는 엄격한 “재선거 없는” 정책을 내놓았다. 그가 첫 임기를 마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을 때 이 규칙을 따랐으며, 그의 수하였던 마누엘 곤살레스가 뒤를 이었다. 새 대통령 시기는 부패와 국정 무능력으로 얼룩졌다. 디아스가 다음 선거에 출마하자 그는 곤살레스를 대체할 인물로 환영받았다. 디아스는 이후 선거에서 자기 편의대로 자신의 "재선거 없는" 슬로건을 무시하였으며, 매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출마하였다. 디아스는 반대하는 사람들에 경보를 울린 독재자가 되었다. 암살단과 '루랄레스'(Rurales)라는 군대 조직과 통하여, 디아스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투표하도록 겁박하였다. 이 방식이 통하지 않는 경우, 그는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투표를 조작하였다. 디아스는 대통령에 재임하기 위하여 무력을 쓰는 것이 헌법에 위반됨을 알고 있었으나, 멕시코는 아직 스스로 통치할 능력이 없으며, 자신만이 멕시코에서 무엇이 최선인지를 안다며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였다. 디아스 대통령 시대에 산업이 촉진되고 국내에 평화가 회복되었으나, 극도로 착취에 시달리던 노동자 계층, 농부, 소작인이 희생된 결과였다. 포르피리아토 시대에 경제는 대약진을 이루었는데, 특히 공장, 도로, 댐, 제조업, 더 좋은 농장 같은 건설의 장려를 통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도시 프롤레타리아가 등장하였으며 외국 자본이 유입되었다. (외자는 주로 미국에서 들어왔지만, 디아스가 권력 유지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주로 대영 제국과 독일 등 유럽의 투자를 통하여 미국의 영향을 완화한 덕분인 측면도 있었다.) 이렇듯 진보를 이룬 이면에는 그 대가도 치러야 했는데, 포르피리아토 시대에는 출판의 자유 같은 시민적 자유가 멈추었기 때문이다.Alba, Victor. The Horizon Concise History of Mexico pg. 116 커져가던 미국의 영향력은 디아스 정권 내내 문제가 되었는데, 멕시코-미국 전쟁을 끝내며 체결한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으로 멕시코의 상당한 영토(현재 멕시코 할양지로 알려진 영토)를 미국에 할양한데다, 이후에는 개즈던 매입으로 상당한 자국 영토를 미국에 팔아넘긴 탓이었다. 부, 권력, 교육 기회는 소수의 유럽계 가문에 집중되었으며, 이들은 막대한 자산을 보유하였다. 멕시코 사람 대부분은 토지가 없었다. 그리고 대부분 영국, 프랑스, 미국 출신의 외국계 회사들이 멕시코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디아스는 이전의 지도자들이 추진하던 토지 개혁을 바꾸었다. 디아스의 새로운 토지법으로 말미암아 후아레스 같은 지도자들의 모든 노력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게 되었다. 어떤 소작인이나 농부도 법적 권리 문서 없이는 자신이 보유한 토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었다. 속수무책이었던 소농들은 분노하였다. 그리하여 프란시스코 I. 마데로, 판초 비야,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등 여러 지도자들이 디아스에 대항한 반란을 일으켜 결국은 멕시코 혁명으로 이어졌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포르피리아토 시대가 끝나는 1911년을 멕시코 혁명의 시작점으로 잡고 있다. 1908년 디아스는 미국의 언론인 제임스 크릴먼과 인터뷰를 하면서, 멕시코는 민주주의와 선거를 이룰 준비가 되어 있으며 다른 후보자들이 대통령직에 오를 수 있도록 자신이 물러날 준비가 되었노라고 밝혔다.McLynn, Frank. Villa and Zapata pg. 24Womack, John. 'Zapata and the Mexican Revolution pg. 10Johnson, William. 'Heroic Mexico pg. 41 점점 "늙고 경솔"해진 디아스는 그가 유럽에서 은퇴할 것이며 대통령직을 더 젊은 사람에게 넘기겠다는 계획을 했다. 이로 인하여 생긴 반대 때문에, 디아스는 그의 임기 중간에 후계를 준비하려는 요량으로 1910년에 마지막으로 다시 출마하기로 결심하였다. 마데로는 1910년에 디아스에 반대하여 대선에 출마하기로 하였다. 디아스는 이전에 7번의 선거에서 했던 것처럼 선거를 조작할 수 있을리라 생각하였다. 디아스와 달리, 마데로는 대통령 곁에서 보필하는 다른 인사들에게 기대를 했었다. 그러나 디아스는 마데로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1910년 선거 날에 그를 수감했다. 디아스는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했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혁명의 첫 불씨를 당겼다. = = 프란시스코 I. 마데로의 시대 (1911년 ~ 1913년) = = 1910년 북서부 코아우일라주에 부유한 가문 출신의 청년 프란시스코 I. 마데로가 디아스에 반대하여 대통령 후보로 다음 선거에 출마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아스는 마데로의 승리를 막고자 그를 투옥하였고, 그 뒤 자신을 승리자로 선언하였다. 마데로는 곧 탈옥하였으며, 미국 텍사스의 샌 안토니오로 도주하여 잠시 지냈다. 1910년 10월 5일에, 마데로는 산 루이스 포토시의 계획으로 불린 "감옥에서 보낸 편지"를 간행하였으며, "자유 선거와 재선거 반대"를 주요 표어로 삼았다. 이 글에서는 디아스 정권을 불법으로 선언하였으며, 포르피리아토를 전복하기 위하여 反디아스 반란을 촉구하였는데, 반란은 11월 20일에 시작한다고 썼다. 마데로의 서한은 주요한 사회경제적 혁명 계획은 아니었으나, 여러 소외된 멕시코인들에게 변화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였다. 마데로의 모호한 농지 개혁 약속은 멕시코 전역의 수많은 소작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디아스를 실각시키기 위하여 이들에게서 상당한 필요한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주로 원주민 소작농의 지지로, 마데로 군대는 디아스 군대와 싸웠으며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다. 디아스 군대는 점차 멕시코의 지배력을 잃었으며 그의 행정부는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디아스를 몰아내려는 열망이 큰 나머지 수많은 원주민들과 다른 지도자들이 마데로를 지지하고 그의 편에서 싸웠다. 1910년 후반, 마데로의 서한에 응하여 혁명 운동이 터져나왔다.북쪽에서는 아브라암 곤살레스 지사와 함께 파스쿠알 오로스코는 강력한 군사 연합을 조직하여 멕시칼리와 치와와를 점령하였는데, 이들은 마데로와 별다른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승리로 판초 비야 등 다른 군사 및 정치 연대가 고무되었다. 마데로가 바란 바와 달리, 오로스코와 비야는 싸웠으며 리오그란데강 너머 텍사스의 엘 파소와 접경한 시우다드 후아레스를 점령하였다. 1911년 5월 21일, 마데로는 무력한 연방 군대를 무찌르고, 디아스와 시우다드 후아레스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서 디아스는 통치권을 이양하며, 마데로가 그 뒤를 잇도록 규정하였다. 새 선거를 강조한 마데로는 1911년 말 선거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하였다. 일부 지지자들은 그가 대통령직을 바로 인계하여 즉각적인 개혁을 실시하지 않아 나약하게 보인 데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마데로는 자유 민주주의 체제를 세웠으며, 오로스코나 비야, 사파타와 같은 대중적인 지도자들과 미국의 지지를 받았다. 마데로는 나약한 지도자였으며 집권 중에 급속도로 상당한 지지를 잃었다. 더욱 급진적인 혁명가들과 디아스 시절에 선출된 인기 없는 의회를 비롯한 보수적인 반혁명 세력 양측 모두를 분노하게 하였다. 그가 토지 개혁 입법을 거부하면서 사파타와 관계가 끊어졌는데, 사파타는 "대농장주(hacendados)가 빼앗은" 토지의 반환을 요구하는 아얄라 계획을 발표하였다. 얼마 뒤에 오로스코도 마데로 정부에서 이탈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마데로가 더 나은 노동 시간, 임금, 노동 여건을 요구하는 사회 개혁을 거부하자, 오로스코는 콜로라도스 (Colorados, "붉은 깃발 부대")라 불리던 오로스키스타 군대(orozquistas)를 조직하였다. 마데로를 지지하던 농촌 노동 계층은 이제 사파타와 오로스코를 지지하며 무기를 들었다. 마데로에 대한 대중의 지지는 급격히 떨어졌다. 마데로가 지도자로 있던 시기는 짧았다. 그는 권좌에 올랐을 때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였는데, 우에르타는 대통령을 배신하였다. 우에르타가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1913년 마데로는 사임을 강요받았다. 마데로와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은 1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암살당하였다. 마데로의 암살로 멕시코는 분열되었으나, 그는 혁명의 순교자로 추앙받게 된다. = =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시대 (1913년 ~ 1914년) = = 1913년 초, 군대를 지휘했던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마데로를 권좌에서 제거하기 위해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 펠릭스 디아스, 베르나르도 레예스와 공모하였다. 비극의 열흘 (La decena trágica)은 열흘 동안 우에르타의 연방군과 디아스의 보수파 반란군이 가짜로 싸운 산발적인 전투였다. 우에르타와 펠릭스 디아스, 헨리 레인 윌슨이 만나 "대사관 협정"을 체결하여 마데로를 몰아내고 우에르타를 대통령으로 옹립하기로 정하면서 열흘간의 교전이 끝났다. 우에르타가 권력을 얻고 대통령이 되자, 세계의 강대국 대부분은 그를 합법적인 지도자로 승인하였다. 그러나 미국 신임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우에르타 정부 승인을 거부하였다. 우드로 윌슨과 국무장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헨리 레인 윌슨을 미국 대사에서 경질하고, 스웨덴계 미국인, 존 린드를 후임으로 임명하였다. 브라이언, 윌슨 대통령과 여러 멕시코인들은 우에르타가 멕시코 헌법을 위반하고 불법적으로 대통령직을 빼앗은 자로 여겼다. 코아우일라주 출신의 정치가이자 목장주인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미국의 비밀 지원을 받으며 자신의 세력을 '헌법주의자'라 칭하면서 우에르타에 대항하는 데 앞장 섰다. 1913년 3월 26일에 카란사는 우에르타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고 두 파벌간에 선전 포고를 촉구한 과달루페 계획을 출판하였다. 비야, 사파타, 카란카, 알바로 오브레곤 같은 지도자들은 우에르타에 반대하여 싸웠다. 1914년 4월, 우에르타에 대한 반대는 미국이 베라크루스 항구를 점령하면서 독일의 무기, 자금 지원이 끊기면서 정점에 이르렀다. 7월 말, 상황이 우에르타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그는 공직에서 물러나 이 상황은 후에르타를 악화시켰다. 그는 관직을 사퇴하고 푸에르토 멕시코로 피신하였다. = = = 유산 = = = 우에르타가 사퇴한 뒤, 그는 재기를 위하여 스페인으로 갔다. 우에르타는 나중에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또다른 반혁명을 일으키고자 멕시코로 귀국하였다. 권좌에 있을 당시 우에르타를 지지했던 독일은 그를 유럽에서 일으킨 전쟁(제1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독일 정부의 목표대로 우에르타가 멕시코의 지도자로 재기한다면, 후방에서 미국의 주의를 흩뜨릴 수 있어 유럽 전선에서 독일이 유리하게 되었을 것이었다. 우에르타는 미국으로 가서 멕시코의 또다른 혁명을 위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독일 정부는 그에게 자금을 대고 조언을 해주었다. 미국 정부와 새로이 선출된 멕시코 대통령 카란사는 우에르타의 도착을 우려하였다. 그들은 우에르타를 감시하고, 멕시코 입국을 막고자 하였다. 미국 정부와 카란사는 또다른 반혁명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랐다. 우에르타는 멕시코로 재입국하지 못하고 죽었다. 그는 텍사스 엘패소의 국경에서 미국 정부에 제지를 당하였으며, 그곳에서 가택 연금을 당하였다. 그는 1916년 초에 죽었다. = = 판초 비야 (1911년 ~ 1920년) = = 호세 도로테오 아란고 아람불라는 프란시스코 "판초" 비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멕시코 북부 두랑고주 출신이었다. 그는 멕시코 혁명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의 비야파 군대(Villistas)를 이끌고 판초 비야는 마데로 운동의 진중에 합류하였다. 그는 1911년 시우다드 후아레스 공격(이 전투로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이 전복되고 마데로가 권좌에 올랐다)과 셀라야 전투 등 여러 전투에서 비야파 군대를 이끌었다. 1911년,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비야를 자신의 고위 군 지휘관으로 임명하였다. 이 시기에 우에르타와 비야는 서로 경쟁하게 된다. 1912년에 비야의 부하들이 말 한 필을 강탈하고 비야가 그 말을 자기 것으로 삼기로 하자, 우에르타는 불복종 혐의로 비야의 처형을 명령하였다. 마데로 대통령의 형제인 라울 마데로가 이에 중재하여 비야를 구명하였다. 멕시코 시에 구금되어 있던 비야는 미국으로 탈출하였다. 마데로 대통령이 암살된 직후에 비야는 동료 무리를 이끌고 우에르타와 싸우고자 귀국하였다. 1913년에 이들 무리는 북부 사단(División del Norte)이 되었다. 비야가 지휘한 이 군대에는 미국인 대원도 많았다. 비야와 북부 사단은 카란사와 오브레곤과 함께 우에르타 독재 정권에 저항하였다. 비야와 카란사는 서로 목표가 달랐다. 비야는 혁명을 계속하고자 하였기에 그는 카란사의 적이 된다. 1914년, 카란사가 집권한 뒤, 카란사에 반대하는 비야와 다른 혁명주의자 들은 아과스칼리엔테스 회의로 만났다. 이 회합에서 에울라리오 구티에레스를 내세워 카란사를 몰아내었다. 1914년 겨울에 비야와 사파타의 군대는 멕시코 시를 점령하였다. 구티에레스와 시민에 대한 비야의 처우는 온건파들을 격분시켜, 1915년 판초 비야는 쫓겨났다. 1915년, 비야는 혁명동안 셀라야 전투에서 4월 6일 ~ 7일까지와 4월 13일 ~ 15일의 가장 중요한 두 번의 전투에 참여했다. 오브레곤은 혁명 중 가장 피투성이었던 전투 중 하나인, 셀라야 전투에서 비야를 패배시켰다. 카란자는 전쟁의 승리자와 권력으로서 나타났다. 짧은 기간 뒤, 미국은 카란사를 멕시코의 대통령으로서 인정했다. 1916년, 3월 9일, 비야는 비야는 미국-멕시코 국경을 가로질러 비야의 군대에게 쓸모없었던 셀라야 전투에서 이용된 무기를 팔었던 무기 거래상에 반하는 복수 시도로, 콜롬부스(뉴멕시코주)를 급습했다. 이 공격 동안, 비야의 부하 90명 뿐만 아니라 18명의 미국인들이 죽었다. 멕시코의 공격을 직면하여 (주로 허스트 신문이 주도한) 대중 의견에 압박을 받은, 미국 대통령 윌슨은 비야를 붙잡기 위한 실패한 추적에 존 J. 퍼싱과 10,000명의 미국 병사를 보냈다. 그것은 가혹한 원정으로서 알려진 상태이다. 비야를 추적한 지 1년 뒤, 퍼싱은 수색을 그만두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 원정군의 명령이 주어졌다. 미국의 조정은 서쪽 치와와산맥까지 제한을 두었다. 군사 작전에서 미국의 군대가 비행기를 사용한 최초의 시간이었다. 중재에도 불구하고, 셀라야 전투의 손실은 카란사와 소노라주 장군들의 권력 상승을 뜻했다. 1920년, (소노라인들 중 한 명인) 오브레곤은 마침내 비야와 합의에 도달했고, 비야는 그 무장 군대로부터 은퇴했다. 1923년 비야는 파랄을 자동차로 여행하는 동안 발포로 인해 암살당했다. 1920년 합읠 위반한 그 행위는 가상의 비야의 대통령 후보 선출을 두려워했던 소노라인이 명령한 절박함이었다. = =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1914년 ~ 1920년) = = 우에르타 정부의 전복 후, 베누스티아노 카란사가 1914년에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915년에 비야와 사파타에 의해 멕시코 시티로 쫓겨났었지만, 후에 사회와 농업 개혁 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해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그는 1917년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변혁을 가져온 대량 학살을 제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카란사는 새로운 헌법속으로 반발하는 사회적 요구의 태반을 채택함에 따라 평화를 가져오기 위한 시도로 헌법 군대 (Constitutional Army)를 구성했다. 그는 마지못해 이 요구의 대다수를 새로운 1917년 멕시코 헌법 속에 짜 넣었다. 이 사회주의 헌법은 외국인의 자원 소유, 조직화된 노동 법전, 교육에 있어 로마 가톨릭 교회의 역할, 토지 개혁을 제시했다. 대통령직에 있는 동안 그는 그를 위하여 집회와 유세 지지를 한 그의 개인 비서이자 최측근, 헤르밀라 갈린도 데 토페테에 의존했다. 그녀의 프로파간다 (propaganda)를 통해 그는 여성, 노동자, 영세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카란자는 또한 그의 비서가 여성의 질적 향상을 위한 법안 통과를 하도록 지원했다. 그는 변화를 도와 멕시코 내의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개혁했다.Mirande, Alfredo; Enriquez, Evangelina. (1981). La Chicana: The Mexican-American Woman.United Stat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17–219. ISBN 022653100, 9780226531601 그의 노력이 훌륭했을지라도, 카란자는 1917년 헌번안에 그 개혁들의 대다수를 시행하기 위해 충분히 장시간 권좌에 머무를 수 없었다. 그의 병 때문에 권력의 보다 큰 분권이 있었다. 그는 전쟁과 해군의 대신으로서 오브레곤 장군을 지명했다. 1920년, 다른 주요한 장군들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와 아돌포 데 라 후에르타와 함께 오브레곤은 아구아 프리에타 계획 하에 카란자에 대항하는 반란을 이끌었다. 그들의 군대는 1920년, 5월 21일 카란사를 암살했다. = = 에밀리아노 사파타 (1910년 ~ 1919년) = = 에밀리아노 사파타 살라사르는 멕시코 혁명에 있어 거물이었다. 그는 눈에 띄는 멕시코 국가 영웅들 중 한명으로 여겨진다.: "에밀리아노 사파타"로 불리는 마을, 거리, 주택 계획들이 전국에 걸쳐 흔하다. 그의 인물상은 멕시코 페소에서 사용된 상태이다. 사람들은 장기간 에밀리아노 자파타와 그의 추종자들에 관하여 다른 측면을 취했다. 상당은 그들을 무법자로 간주하지만 나머지에게 그들은 영세민을 위하여 일했던 진정한 혁명주의자들이었다. 대통령 포르피리오 디아스와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사파타를 계집질 하는 사람, 야만인, 테러리스트, 무법자로 불렀다. 보수적인 미디어는 사파타에게 "남쪽의 아틸라"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 영세민과 토착 멕시코인들은 사파타를 인민주의자 전투 슬로건 "땅과 자유" (Tierra y Libertad)가 토지 개혁을 위한 아얄라 계획에서 고심하여 만들어냈던 실제에 도움되는 혁명당원으로서 칭찬했다. 그는 남부 멕시코에 있는 영세민들의 정치적이며 경제적인 해방을 위해 싸웠었다. 사파타는 정교한 매복의 상황속에서 파블로 곤잘레스와 그의 보좌관 헤수스 과하르도에 의해 1919년에 죽임을 당했다. 과하르도는 사파타 쪽으로 전향하길 원하는 구실 하에 만남을 가졌었다. 그 만남에서, 곤잘레스 부하는 사파타를 암살했다. = = = 사파티스타스 = = = 사파티스타는 원래 사파타가 대략 1910년에 창설한 혁명 게릴라전 운동의 구성원을 언급했었다. 그의 남자유군 (Ejército Libertador del Sur)은 멕시코 혁명동안 농업 용지의 재분배를 위해 싸웠었다. 사파타, 그의 군대, 판초 비야를 수반한 동맹군은 멕시코에서의 토지 개혁을 위해 싸웠다. 특히 그들은 유럽인 후손의 부유한 엘리트에게 땅을 거의 빼앗겼던 멕시코의 아메리카 토착민 인구를 위하여 공동체 토지 권리를 세우길 원했다. 사파타 지지자들의 대다수는 모렐로스주와 주변 지역 출신의 토착 영세민들이었다. 하지만 도시 지역 출신의 지식인들은 또한 사파티스타스에 가입해서 그들의 운동에 있어 특히 사파티스타 대망의 구조와 의사소통을 포함하는 상당한 부분을 수행했다. 자파나는 모렐로스에서 유일하게 몇 년간의 제한된 교육을 받았었다. 교육받은 지지자들은 그의 정치적인 목적을 표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 도시 지식인들은 "도시 소년들"로서 알려졌으며 탁월한 젊은 남성들이었다. 그들은 호기심, 공감, 야망을 포함하는 많은 이유로 사파티스타스에 가입했다. 사파타는 지식인들이 정치 전략에 관한 일을 한다라는 사실에 동의했지만, 그는 사파티스타 관념을 공포하는데 있어 주요한 역할을 했다. 그 도시 소년들은 또한 의료를 제공했으며, 사파티스타 관념을 지지자들에게 진척시키고 알리는데 도움을 주었고, 토지 개혁을 위한 계획을 만들었으며, 정부 군대에 의해 파괴된 마을을 재건하는데 있어 조력했으며, 성명을 작성했고, 사파타에서 다른 혁명주의 지도자들까지 메시지를 보냈었다. 사파타의 단짝 오틸리오 몬타노는 가장 두드러진 도시 소년들 중 하나였다. 혁명 전, 몬타노는 교수였다. 혁명 동안 그는 사파티스모를 가르쳤으며, 시민들을 모집했고, 토지 개혁을 위한 알라야 계획]을 썼다. 다른 잘 알려진 도시 소년들은 아브라함 마르티네스, 마누엘 팔라폭스, 안토니오 디아스 소토이 감마, 파블로 토레스 부르고스, 길라도 마가나, 돌로레스 지메네스 이 무로, 엔리케 비야, 게나로 아메스콰였다. = = = 사파티스타 여성들 = = = 많은 여성들이 사파티스타스와 관계되었고 그들을 지지했다. 사파타의 정치적 야망과 투쟁이 보통 지역적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그들의 가정 출신의 사파티스타 군인들을 도울 수 있었다. 혁명의 초기부터 복무했던 여성 사파티스타 군일들 또한 있었다. 1911년, 7월 12일에 사파타가 대통령 마데로와 만났을 때, 그는 그의 군대를 동반했었다. 이 군대 사이에 장교들을 포함하는 여성 군인들이 있었다. 또한 상당한 여성들이 그 혁명전과 동안에 무리를 이끌었다. 여성들은 죽은 가족 구성원을 위한 복수나 침입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 때문에 군인으로서 사파티스타스에 가입했다. 아마도 가장 대중적인 사파티스타 여성 군인은 사령관 이었던 마가리타 네리였다. 여성들은 사파티스타 군인들로서 용감히 싸웠으며 상당수가 전투에서 죽었다. 많은 생존자들이 남자의 옷을 계속 입었으며 혁명 종식 후 장기간 권총을 휴대했다. 대령 마리아 데 라 루스 에스피노사 바레라는 멕시코 혁명의 퇴역 군인으로서 연금과 관련하여 복무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던 소수의 사람들 중 하나였다. = = 농지개혁 = = 포르피리아토 아래, 시골 영세민들은 대부분 고통을 겪었다. 그 제도는 농업 인력에게 대부분의 땅의 손실을 초래했던 토지의 큰 구획을 몰수했다. 1883년 외국의 회사에게 275만 헥타아르 이상의 소유권을 넘겨주었던 토지법이 통과했다. 1894년까지, 모든 멕시코인 땅의 5 에이커 중 하나가 외국인 세력이 소유하게 되었다. 많은 부유한 가구들은 또한 큰 사유지를 소유하면서 땅없는 시골 영세민들이 사실상 노예로서 그 토지에서 일하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910년 혁명의 시점에서, 대략 시골 인구의 절반이 플랜테이션에서 살거나 일을 하였다. = = 혁명 속의 여성들 = = 10여 년 동안 근거없는 이야기들이 멕시코의 여성들을 수동적으로 멕시코 혁명에 아주 작게 기여한 것처럼 묘사했다. 멕시코의 여성들은 사실상 멕시코 혁명에 있어 활발한 참여자였으며 그들의 연루는 멕시코 사회를 형성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가져왔다. 그들은 정치에 관여하면서, 혁명론자의 신문을 만들었으며, 교사, 간호사로 일했으며, 그들은 무기를 팔고 밀수입했으며 심지어 전장에서 싸웠었다. 혁명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 참여자들 중 상당은 솔다데라스(Soldaderas), 전투에서 전투까지 남성을 수반했던 여성 전사(female fighter)였다. 그러나, 솔다데라스와 여성 전사는 같지 않다. 첫째로, 솔다데라스 혹은 비전투 종군자(camp follower)는 혁명 군대와 함께 이동했던 큰 규모의 여성 그룹이었다. 이 여성들은 요리, 부상자를 간호하고, 옷을 빨며, 식품과 물품을 찾아다녔으며, 적에게 간첩역할을 했으며, 무기를 밀수입하는 것 같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 여성없이, 군의 생존은 남성들에게 매우 어려웠을지 모른다. 솔다데라스가 되었던 여성들의 동기는 다양했다. 상당이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있었기 때문에 합류했으며, 여성들은 그것이 의무였다라고 느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성들은 장시간 홀로 남겨되길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장에서 그들의 남편을 수행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끊임없는 강간의 공포속에 있었으며, 따라서 그들의 남편과 이동하는 것이 더 안전했고 솔다데라의 고난을 인내했다.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제외한, 거의 모든 군대가 그들과 함께 이동했던 큰 규모의 솔다데라스의 수가 있었다. 비록 그의 군대가 여성 군인을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여성들은 비전투 종군자로서 사파타의 군대와 함께 이동하지 않았었다. 대부분의 부분에서 사파타의 군대를 도왔던 여성들은 근처에서 이동하면서 물품을 군대에 공급했다. 솔다데라스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사파타와 실로 다른이들이 싫어했던 이유는 그들의 동행이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여성들은 막대한 물량을 휴대했으며 신속하게 부대를 움직여 뒤떨어지지 않게 할 수 없었다. 솔다데라스는 보통이 아닌 상황을 제외하고 군대를 견딜 수 없었으며, 그들은 거의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이 임무를 수행했던 여성 전사들이 있었다. 1913년 다양한 파벌 가운데 200여명 가량의 산재한 여성 전사들이 있었다. 그들은 간첩 같은 임무를 수행했지만 거의 전장에서 그들의 용맹은 알려지지 않았다. 실제로, 그들의 업적에 기인하여 페트라 헤레라와 마리아 카데나 같은 소수의 여성들이 대령의 계급까지 승진하였다. 솔다데라스와 여성 전사들은 혁명 내내 멕시코들의 경애를 받았으며 그들의 상은 라 아델리타 같은 코리도스 (corridos)를 통해 낭만적으로 변모했다. 이 코리도스들이 여성들의 용맹과 혁명 정신을 묘사하는 동시에, 그들은 여전히 여자친구, 부인, 애인이 되는 여성의 주요한 역할을 표현했다. 1915년 경 전장에서 남성을 수반하는 여성의 수가 혁명의 주요한 교전이 종결에 오고있음에 따라 줄어들기 시작했다. 차례로, 무장 군대가 재편성되었고 수를 감소시켰다. 제일 먼저 솔라데라스를 무일푼으로 고향이나 도시에 강제로 돌려보냈다. 소수의 여성 전사들이 정부로부터 펜션을 받았지만 대부분은 빈곤속에 죽음을 맞이했다. 많은 여성들은 또한 매춘부로 일하기를 강요당했다. 혁명 내내 행했던 여성들의 다른 중요한 역할은 조직에서 여성의 집단 모집이었다. 반 재선거 클럽에서 혁명론자 신문까지, 여성들은 항상 혁명의 목소리를 제공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항상 반성직자주의 혁명적인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었다. 1917년 헌법의 반성직자 측면이 문화적인 혁명을 창조하기 위한 시도로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칼레스 (1924년 ~ 1928년)아래 시행되었을 때, 여성은 강하게 반응했었다. 교회는 언제나 없어서는 안될 여성의 삶의 일부였었고, 그래서 반성직자 국가 활동에 대한 반응으로 여성들은 유니온 데 다마스 카톨리카스 데 멕시코 (다마스) 같은 기구에 가입했다. 예를 들어, 다마스는 고아원, 감옥을 방문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그들은 종교적인 훈련을 위하여 소규모의 그룹을 조직했으며, 그들은 그곳의 행동에 반대하여 국가와 민족 회의에 탄원과 편지를 썼다. 그러나, 그들의 저항은 공식적으로 항상 해결되지 않았었다. 이따금 큰 규모의 이 여성 그룹이 교회의 입구에서 물리적으로 군대에 저항했다. 이 큰 대립의 최초는 사크레드 가족 교회였다. 한 여성 그룹이 군인들이 명령한것에 떠나기를 거부했고 물 호스로 공격을 받았다. 여성들은 돌을 가지고 뒷편에서 싸웠으며 그 후 재편성하기 위해 흩어졌다. 한 시간 후 5000명의 여성들이 주지사의 궁전에 항의하기 위해 행진했으며 다시 한번 격렬하게 공격을 받았다. 대립 속에 비슷한 상황의 여성들이 성직자들에게 설교를 하도록 그들의 집을 개방한 것으로 인해 체포와 구금을 직면했다. 종교 (Las Reliosas)는 반성직자 혼돈의 시기 동안 지하로 향했다. 많은 이들이 미국으로 달아났다;나머지는 가족과 친구의 집에 숨거나 군인과 함께 이동했다. 그들이 갔던 어느곳이나, 그들은 종교 서비스를 제공했다. 교회 속에 여성의 체제는 다른 점에서 기회를 얻지 못했을지라도, 행정 경험을 얻기 위한 수단과 정치적으로 진보하는 기술을 여성들에게 주었다. 여성들은 내부의 그들의 집에서 사회까지 교육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주로 질서, 영양, 위생의 도시 모델을 모방하길 원했던 여성들에게 현대성과 개선의 생각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다. 선생님들이 가르쳤던 내용은 홀로 가르침을 받았던 여성들에게 국한되지 않았었다. 교육의 매개 변수들은 SEP가 만든 학교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선생님들이 그들 자신의 삶으로부터 알게 된 내용의 주입이었으며 사회와 학교 관계자 사이에서 부닥쳤다. 가정의 삶을 개선시키 위해 도움을 줬던 학교 내의 두가지 기초적 변화가 있었다.:땅에서 허리 단계까지 접종과 마음의 상승. 사람들이 접종의 혜택을 알림으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전염병으로부터 생존했다. 마음선의 상승은 더 위생적이며 노동 절약적 이었다. 시골 멕시코에서 이 기초적 개선 외에, 선생님들은 혁명적인 멕시코 시민권을 확고히하는 거대한 역할을 했다. = = 미국의 개입 = = 멕시코와 미국의 관계는 종종 격렬하곤했다. 멕시코의 독립 움직임 동안, 미국은 멕시코의 폭도들이 독립을 성취하는데 있어 지원하면서, 정당화 수단으로서 먼로주의를 이용했다. 아구스틴 데 이투르비데와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같은 독재자들의 통치와 함께, 미국-멕시코 관계는 나빠졌다. 자유주의 대통령 베니토 후아레스가 민주주의 멕시코 사회를 위한 그의 비망록과 함께 권력을 잡았을 때, 대통령 링컨은 개인적으로 그를 격찬했으며 후아레스가 황제 막시밀리안 1세를 전복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지원세력을 보내주었다. 미국 시민전쟁 동안의 이 지원은 링컨의 암살에 뒤따른 대변동과 함께 끝을 맺었다. 후아레스의 죽음 후, 멕시코는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지배 하의 독재 정부로 귀속하였다. 20세기의 전환점에 거대 회사를 포함하는 미국 업자들은 멕시코 땅의 약 27 퍼센트를 소유했다. 1910년이 되자 미국의 산업 투자는 45%였으며, 멕시코의 국정에 개입하기 위해 대통령 태프트와 윌슨을 압박했다. 경제적이며 정치적인 이유 둘 다로, 미국 정부는 전체적으로 권력을 쥐고 있는 그 사람을 지원했다 (대통령 윌슨은 우에르타의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 암살을 비난했다). 혁명 동안 두 차례, 미국은 멕시코로 군대를 보냈다. 그 최초의 시기는 1914년에 일어난 이피랑가 사건 동안 이었다. 미국 첩보원들이 독일 상선 이피랑가가 우에르타에게 불법 무기를 건내주는 것을 발견했을 때, 대통령 윌슨은 베라크루스 항에 그 배가 정박하는 것을 멈추도록 군대에 명령했다. 그는 멕시코에 전쟁을 선포하지 않았었다. 미국 군대는 당시 베라크루스에 우에르타 군대에 대항하여 소규모 접전을 했다. 윌슨을 격노하게 했던, 이피랑가는 또다른 항구에 정박하도록 처리되었다. ABC 국가가 중재해서 미국 군대가 멕시코 땅을 떠났지만, 그 사건은 이미 긴장된 미국-멕시코 관계에 더해졌다. 1916년, 콜럼버스(뉴멕시코주)에서 판초 비야의 급습으로 인한 16명의 미국 시민의 죽음에 대한 보복으로, 대통령 윌슨은 비야를 잡기 위해 준장 존 J. 퍼싱을 멕시코로 보냈다. 비야는 북멕시코의 산에 깊히 자리잡은 상태였으며 미국 군대에 의해 잡히기에 너무도 그 땅을 잘 알았었다. 준장 퍼싱은 그 임무를 그만둘것을 명령했으며 미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 사건은 팽팽한 미국-멕시코 관계에 또 손상을 입혔으며 멕시코의 반 미국인 감정을 더 강하게 자라도록 야기시켰다. = = 혁명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 = = 1876년에서 1911년까지 시기 동안, 로마 가톨릭교회와 멕시코 정부 사이의 관계는 안정적이었다.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그가 미국의 확장주의 위협에 대해 걱정한 이래로 로마 가톨릭교회과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러나,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로마 가톨릭 교회를 완벽히 지지하지 않았다. 대통령 임기 전에, 디아스는 교회 소유의 재산의 큰 면적을 몰수 한것 같은, 반 성직자 정책을 시행한 후아레스 통치를 지원했었다. 1917년 새헌법이 통과되자 가톨릭 교회의 재산권(당시 1억8000만 페소, 멕시코 국가의 부의 4분의 3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을 부정하고, 교육에 있어 교회의 개입을 금지하고, 성직자의 재산을 국유화했다. 이에 가톨릭 교회가 크게 반발하고 새헌법에 불복종 운동을 전개했다. 혁명정부는 예수회의 추방으로 맞섰다. 그러자 가톨릭 교회는 크리스테로 전쟁을 일으켜 저항한다.라틴아메리카연구 제14권 제2호 <멕시코혁명과 종교> = 이회 (법가) = 이회(李悝: 기원전 455년, 산서성 윈청시 샤현 - 기원전 395년)는 법가의 인물로 위나라의 문후(魏文侯)를 받들어 부국강병의 실적을 올렸다. 전국 7웅(七雄) 가운데 가장 먼저 발전한 나라는 위였다. 위의 문후(文侯)는 이회(李)와 서문표(西文豹)를 등용하여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는 한편, 오기(吳起)·악양(樂羊) 등의 장군을 기용하여 영토를 확대했다. = 직산 최씨 = 직산 최씨(稷山崔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에서 여진정벌에 공을 세워 동지추밀원사, 형부상서, 판삼사사, 참지정사, 문하시랑 평장사 등을 지낸 최홍재(崔弘宰)이다. = 볼장식따오기 = 볼장식따오기는 사다새목 저어새과 따오기아과에 속한 물새이다. = 노균목 = 노균목(露菌目, Peronosporales)은 난균류 목의 일종이다. 일부는 노균병(露菌病, downy mildew)의 원인균이다. = = 하위 과 = = 흰녹균과 또는 흰녹가루병균과 (Albuginaceae) - 흰녹균목 (Albuginale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노균과 또는 노균병균과 (Peronosporaceae) 부패균과 또는 역병균과 (Pythiaceae) - 부패균목 또는 부패곰팡이목 (Pythiale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광명광덕초등학교 축구부 = 광명광덕초등학교 축구단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에 있었던 축구 선수단이다. 광명광덕초등학교가 운영했던 U-12 축구 선수단이며, 1997년에 창단되고 2017년에 해단되었다. = = 시즌별 성적 = = 시즌 대회 승점 순위 2000 금석배 전국초등학생축구대회 58 2 1 0 1 7 4 +3 32강 = 신녕초등학교 = 신녕초등학교는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이현빈이 학교 인수함 = 말티즈 = 말티즈 혹은 몰티즈는 개 품종 중 하나이다. '몰티즈'란 이름은 이 개가 지중해의 몰타 섬이 원산지여서 붙여졌다는게 정설이지만, 지중해의 멜리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몸무게는 2~3kg이 평균이지만 큰 종의 경우 5kg까지 된다. 온몸이 순백색의 길고 부드러운 명주실 같은 털로 덮인 매우 아름다운 개로, 새까만 코끝과 어두운 색의 눈이 순백색의 털이 돋보인다. 지중해의 몰타섬이 원산이라고 하여 이 이름이 붙여졌으나, 사실의 기록이나 전승은 전혀 없고 기원도 뚜렷하지 않다. 몰티즈의 원산지가 이탈리아라는 의견도 있다. 1800년 무렵에는 유럽 전역과 미국에 널리 알려졌으며, 아름다운 모습과 온화하고 높은 지능을 지녀 애완용으로 널리 사육되었다. 평균 수명은 15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 = 역사 = = 고대의 이 품종은 여러 세기동안 여러 가지 이름의 종류로 알려져 왔다. 라틴어로 "카니스 멜리타우스"라고 원래 불려 왔으며, 영어로는 "에인션트 도그 오브 몰타(Ancient dog of malta)", "로만 레이디즈 도그(Roman ladies' dog)", "몰티즈 라이언 도그(Maltese lion dog)"로도 잘 알려져 있다. 흔한 최초의 이름인 코키(Cokie)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960년대 중반 미국 동부해안지역에서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견종은 비슷한 견종인 비숑(Bichon)으로 잘못 불려 왔으나 같은 종은 아니다. 아메리칸 커널 클럽(The Kennel Club)이 공식적으로 19세기에 이 종에 "몰티즈"라는 이름을 정착시키기 시작했다. 몰티즈는 스위스 호수 근처에서 발견된 스피츠(Spitz) 종류의 개에서 유래되었고, 다양한 시도의 사육으로 작은 크기에 이르게 되었다. 티베탄 테리어(Tibetan Terrier)와 연관하여 아시아에서 시작된 종이라는 가설도 있다. 그러나 정확한 근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개는 유목민들을 통해 중동을 거쳐 유럽으로 넘어 갔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는 이 초기 몰티즈가 이 품종의 특징을 얻기 전까지 쥐나 토끼같은 설치류들을 관리하는 데에 이용되었다고 믿는다. = = 설명 = = 몰티즈는 1954년 이탈리아의 후원단체를 통해 국제애견협회인 FCI(Fédé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e) 품종으로 인정되었다. 최근 FCI 기준은 1989년 11월 27일이며, 이탈리아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것은 1998년 4월 6일이다. 몰티즈는 스탠리 코렌의 똑똑한 개 순위 중 59위로(총 79마리), 명령을 따를 줄 아는 품종에 속한다. = = = 외형 = = = 둥근 머리, 짧은 주둥이, 까만코와 갈색 눈이 특징이다. 몸통은 작고 길이는 키와 비슷하다. 귀는 긴 털과 함께 쳐져있고, 약간 어두운 피부색을 가졌다. 햇빛에 노출이 적은 경우, 코의 색이 바래거나 분홍색 혹은 밝은 갈색으로 변할 수 있으나 햇빛을 쐼으로써 종종 다시 검은색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코의 색은 대부분 유전이기 때문에 자외선 여부와 상관 없이 부모견과 비슷한 색상을 띄게 된다. = = = = 털 = = = = 몰티즈는 길고 비단 같은 털을 가지고 있다. 종종 구불거리는 털을 갖기도 하나 관리가 잘못되는 경우가 많다.The coat is single, that is, without undercoat. It hangs long, flat, and silky over the sides of the body almost, if not quite, to the ground. The long head-hair may be tied up in a topknot or it may be left hanging. Any suggestion of kinkiness, curliness, or woolly texture is objectionable. Color, pure white. Light lemon on the ears is permissible, but not desirable. 순백색의 하얀 털색이 기준이지만, 옅은 상아색이나, 약간의 레몬색이 섞이는 등의 털 색상은 일부가 기준상 허용되기도 한다. 약간 요크셔 테리어 같은 외형이 순종. 일부의 사람들은 짧은 털을 선호하는데, 털을 전부 밀어버리거나, 2.5cm 이하의 길이로 짧게 깎아내는 퍼피컷이 흔한 미용 방법이다. = = = = 크기 = = = = 무게는 보통 어떤 기준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범위가 다르다. 아메리칸 커널 클럽은 1.8-3.2kg로 보고 있으며, 1.8-2.7kg의 무게를 선호한다. 유럽에서는 조금 더 무거운 3-4kg 정도의 몰티즈를 선호한다. 높이는 보통 18-30cm 정도이다. = = = 걸음걸이 = = = AKC 기준에 의하면 몰티즈는 경쾌하고 부드럽게 움직인다. 걸을 때 앞다리는 쭉 뻗고 어깨는 편하게, 관절부분은 닫히는 형태이다. 뒷다리는 일렬로 따라 움직인다. 몰티즈는 관절이 약하여 매우 조심해야 한다. 걸음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개 관절에 문제가 발생해서 그렇다. = = = 성격 = = = 몰티즈는 반려용으로, 매우 활발하고 생기 발랄하다. 심지어 나이가 들어도 자신의 에너지와 장난스러움은 유지된다. 아이들을 자신의 라이벌로 생각하고 대드는 경향이 있으니 서열 정하기 훈련에 신경을 써야 한다.Siegal, Matthew Margolis, and Tara Darling, Simon and Schuster, 2002. 몰티즈는 집에서 매우 활발하며, 작은 공간에서도 잘 적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품종은 아파트나 작은 집 등 도시 거주자에 매우 적합하다.Planet dog: a doglopedia by Harry Choron, Houghton Mifflin, 2005. 일부 몰티즈는 분리불안 증세로 고생하기도 한다. 2010년 the Korean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와 Quarantine Service 조사에 의하면, 1월부터 8월 사이에 1,208마리의 몰티즈가 유기되었으며, 이는 몰티즈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유기되는 품종으로 이끌었다. = = 관리 = = 몰티즈는 밑털(속털)이 없고, 실내에서 길러진다. 비슷한 종류인 푸들이나 비숑 프리제같이 저자극성 동물로 간주되어 개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편이다. 눈물자국을 예방하기 위해서 눈 주변은 자주 깨끗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개는 자주 씻기지 않는 것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일주일에 한 번 목욕을 시키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나, 털이 길어도 3주에 한 번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1~2개월에 한 번정도 주기적인 관리는 애완용 개의 털을 윤기있게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일부 사람들은 몰티즈를 강아지의 모습으로 보이게 하려고 퍼피컷(puppy cut)을 많이 한다. 간혹 도그쇼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경우 윤기를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털을 감아놨다가 쇼 직전에 빗어서 원래 길이대로 풀어내기도 한다. 집안에서 소변을 한 후에 주인에게 찾아가서 자신의 몸을 닦아달라고 표시를 하기도 한다. 몰티즈는 눈물자국으로도 유명하다. 눈 주변의 약간 붉은 듯한 색의 눈물자국은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눈물자국을 지우기 위해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특별히 만들어진 액체나 가루를 따듯한 물에 적셔 눈물자국 부분을 빗겨 준다. 펫샵에서 구할 수 있다. 몰티즈는 역재채기를 할 수도 있다. 역재채기는 컥컥대거나 경적 같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심하게 흥분하거나 알러지 반응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기도 하는데 생명의 위협을 가할 정도로 위험하지는 않다. 몰티즈는 종종 치아관련 문제를 겪는 편인데, 나이가 들면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균에 감염된 치아가 빠질 수 있다. 치아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부드려운 칫솔과 개 전용 치약으로 주기적으로 이를 닦아 주는 것이 좋다. 몸 아래에 혹이 생기는 경우도 종종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 = 자궁축농증 = = 몰티즈에게 자주 나타나는 질병으로는 자궁축농증이 있다. 증상은 다음과 같다. 물을 허겁지겁 매우 많이 먹는다. 물을 너무 많이 마셔 소변을 많이 배출한다. 생식기에서 노란물이 나온다.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코가 마르고 갈라진다. 먹은 걸 토한다. 눈에 띄게 식욕이 없다. 좋아하던 음식도 먹지 않는다. 사람이 집에 와도 크게 반기지 않는다. 자꾸 구석에 혼자 있으려고 한다 딱히 아프게 한 것 같지 않은데 만지려고 하면 비명을 지르면서 물려고 한다. 근처만 가도 짖고 문다 = = 갤러리 = = 몰티즈청명호수마을2단지.jpg = = 기타 = = 기원전부터 이미 그리스나 로마의 귀부인들이 길러, 애완동물로서 오랜 역사를 가진 개이며, 지중해의 섬나라 몰타에서 유입된 개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중해에 있는 다른 섬인 시칠리아의 '멜리타'라는 마을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몰티즈의 성품은 몹시 까다로우나, 세련되고 충실하다. 주인에게 충실한 이들은 모든 사람들과 친밀하게 지낸다. 이들의 눈같이 희고 부드러운 털은 밑털이 없으므로, 연례적인 털갈이 문제가 크지는 않지만, 털이 엉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자주 빗어 주어야 한다. 이들의 꼬리는 본래의 길이대로 우아하게 등 뒤로 말려있다. 몰티즈의 새끼는 작고 흰 털이 있으며 3개월까지는 어미젖을 먹이는 게 좋고 3개월 후부터 어미와 떨어져도 된다. 몰티즈의 교배와 임신은 암컷은 2년 정도 후(2번째 생리 이후)부터 하는게 좋다. 임신은 60일에서 65일정도 된다. = 분류:310년대 = = 모듈:ISO 3166/data/SY = return { lang = "ar", ["DI"] = {name="Damascus",isoname="Dimashq",altnames={"Damascus Governorate"}}, ["DR"] = {name="Daraa",isoname="Dar'ā",altnames={"Daraa Governorate"}}, ["DY"] = {name="Deir ez-Zor",isoname="Dayr az Zawr",altnames={"Deir ez-Zor Governorate"}}, ["HA"] = {name="Hasaka",isoname="Al Ḩasakah",altnames={"Hasaka Governorate"}}, ["HI"] = {name="Homs",isoname="Ḩimş",altnames={"Homs Governorate"}}, ["HL"] = {name="Aleppo",isoname="Ḩalab",altnames={"Aleppo Governorate"}}, ["HM"] = {name="Hama",isoname="Ḩamāh",altnames={"Hama Governorate"}}, ["ID"] = {name="Idlib",isoname="Idlib",altnames={"Idlib Governorate"}}, ["LA"] = {name="Latakia",isoname="Al Lādhiqīyah",altnames={"Latakia Governorate"}}, ["QU"] = {name="Quneitra",isoname="Al Qunayţirah",altnames={"Quneitra Governorate"}}, ["RA"] = {name="Raqqa",isoname="Ar Raqqah",altnames={"Raqqa Governorate"}}, ["RD"] = {name="Rif Dimashq",isoname="Rīf Dimashq",altnames={"Rif Dimashq Governorate"}}, ["SU"] = {name="As-Suwayda",isoname="As Suwaydā'",altnames={"As-Suwayda Governorate"}}, ["TA"] = {name="Tartus",isoname="Ţarţūs",altnames={"Tartus Governorate"}} } = 분류:신파시스트 = = 분류:1903년 설립된 기업 = = 분류:짐바브웨의 부통령 = = 룸베크 = 룸베크(Rumbek)는 남수단의 도시로, 서레이크스 주(행정 구역 개편 이전에는 레이크스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32,100명(2011년 기준), 높이는 해발 420m이다. 주바(남수단의 수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제2차 수단 내전 이후부터 남수단의 임시 수도로 남아 있었다. = 트리하우스 = 트리하우스(Tree house)는 살아있는 나무를 건축 상 기초로 활용하는 사람을 위한 주택이다. 본래는 영구적인 거주 또는 창고로 건축된 것이다. 인도네시아와 중남미 등 열대 우림 지대에서 현지인의 저택으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파푸아 섬의 코로와이 족은 트리하우스를 짓고 나무 위에서 생활을하는 대표적인 민족이며, 트리하우스를 만들어 나무 위에서 생활을 하는 이유는 적대 관계에 있는 다른 민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 하동중학교 = 하동중학교(河東中學校)는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7년 2월 21일 : 개교식, 초대 정우석 교장 취임 1948년 7월 30일 : 하동중학교 설치 인가(6학급) 1951년 9월 1일 : 3년제 중학교로 개편 1980년 3월 1일 : 하동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 1995년 3월 1일 : 하동중학교로 교명 변경 2001년 2월 24일 : 학칙 변경 (9학급) 2005년 4월 21일 : 신관 준공 및 입교식 2023년 2월 9일 : 제75회 졸업식(45명) 졸업생 총 14,261명 2023년 9월 1일 : 제20대 류용만 교장 취임 = 분류:766년 = = 틀:올림픽 아이스스톡 = = 쿠바 = 쿠바 공화국, 약칭 쿠바는 북아메리카의 카리브 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며, 수도는 아바나이다. = = 개요 = = 윈드워드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는 히스파니올라섬에 있는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이, 케이만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케이만 제도와 자메이카가, 플로리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미국 플로리다주가 있다. 수도는 아바나이다. 지리적으로는 북아메리카에 포함되지만, 광의의 중앙아메리카에도 포함된다.「아메리카 합중국의 뒷마당」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뒷마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요로에 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성립한 공산주의 정권을 기념하여 「카리브에 떠오르는 붉은 섬」이라고 형용되기도 한다. 체 게바라가 참여한 쿠바 혁명으로 피델 카스트로가 집권한 이래 현재까지 공산주의 국가로서 미국의 경제 봉쇄로 경제의 어려움을 자립 경제 체제로 버티면서 미국과 대립하고 있었으나 2014년 12월 18일 국교정상화 선언을 했다. 1961년 자본주의 체제에서 공산주의 체제로 바뀌었으며, 냉전 시기인 1991년까지 중남미의 수많은 사회주의 혁명의 주요 지원 국가였다. 쿠바 섬은 카리브해의 진주라고 불리면서 세계인들에게 동경의 섬으로 알려진 곳이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쿠바〉 = = 역사 = = = = = 식민지 시대 = = = 쿠바에는 수천 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사람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해방투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 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 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베일레르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 중에 폭발한 사고(메인호 사건)(후에 미국의 자작극으로 확인되었다.)를 구실로 미국이 일으킨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 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 = = 군인들과 바티스타의 독재 = = =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 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자유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해졌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 = = 공산주의 독재 = = = 1959년 카스트로가 정권을 장악하여 쿠바는 공산화되었다. 피델 카스트로는 집권한 이 후 쿠바 내 미국 자산을 모두 국유화하였고, 이에 미국은 강력반발하며 보복으로 1961년 1월 3일 국교를 단절하고 대사관을 폐쇄하였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공산화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 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공산당 군벌들을 원조했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정부군을 지원하였다.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쿠바의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차원의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쿠바에 제재를 가했다. 카스트로정권에 반대하여 수감된 양심수가 500명에 이른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로부터 인권 침해로 비난받아 왔다. 2008년, 피델 카스트로의 건강악화를 이유로 친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새로운 국가평의회장직을 계승했다. 2014년 12월 18일, 쿠바는 적대적인 관계였던 미국과 국교정상화를 했다. 2016년 11월 28일에 마침내 피델 카스트로는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 지리 = = = 쿠바는 카리브해 북쪽에 있으며 주변으로 카리브해, 멕시코만, 대서양에 둘러싸여 있다. 쿠바 북쪽으론 미합중국 플로리다주와 바하마, 동쪽으로는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 아이티, 서쪽에는 멕시코의 유카탄반도, 남쪽으로는 케이맨 제도와 자메이카와 이웃하고 있다. 쿠바는 카리브 해의 군도로, 쿠바는 주요 섬이다. 주변의 섬들을 네 가지로 분류하는데 콜로라도스 제도, 사바나 카마구에이 제도, 하르디네스 데 라 레이나 제도, 카나레오스 제도이다. 쿠바 본섬은 면적이 105,006 제곱킬로미터로 국토의 대부분을 이루며, 길이는 1,233km에 이르는 세계에서 17번째로 큰 섬이다. 쿠바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은 남서쪽의 이슬라 데 라 후벤투드(젊음의 섬)으로 그 면적은 3,056 제곱킬로미터이다. 쿠바의 총 면적은 110,860 제곱킬로미터이다. 쿠바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2050년이 되면 국토의 6%가 바다에 잠긴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본섬은 대부분 평탄하거나 구릉이 있는 평야이다. 섬 남동쪽 끝에는 가파른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이 있는데, 가장 높은 곳은 피코 레알 델 투르키노 산(높이 1,975m)이다. = = = 기후 = = = 이 곳의 기후는 열대에 속하지만, 연중 부는 북동쪽의 무역풍으로 온화하다. 일반적으로(지역차가 있지만) 11월에서 4월까지는 건기이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이다. 평균 기온은 1월에는 21 °C, 7월에는 27 °C이다. 카리브 해는 기온이 따뜻한 데다 쿠바 섬이 멕시코 만 입구에 자리잡고 있어서 허리케인 이 지나갈 때가 많다. 허리케인은 9월과 10월에 자주 일어난다. = = = 천연 자원 = = = 쿠바의 가장 중요한 광물 자원은 니켈이다. 쿠바는 러시아 다음으로 니켈 매장량이 많다.The Mineral Industry of Cuba (1997), Ivette E. Torres 캐나다의 에너지 기업인 쉐리트 인터내셔널(Sherritt International) 사는 모아에 거대한 니켈 광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다른 주요 자원으로는 니켈 채굴로 나오는 부산물인 코발트가 있다. 쿠바는 세계에서 정제한 코발트 생산량이 다섯 번째로 많은 나라이다. = = 정치 = = 쿠바의 정치 체제는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국가원수는 국가평의회 의장과 국무위원회 의장을 겸하며 현재 미겔 디아스카넬(임기 5년)이다. 국가평의회는 인민 주권 민족 회의가 폐회 중일 때 입법 기능을 수행하고, 국무위원회는 행정을 담당한다. 국가평의회와 국무위원회의 구성원은 인민 주권 민족 회의(Asamblea Nacional del Poder Popular)에서 선출한다. 입법권은 5년 임기인 609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되는 인민 주권 민족 회의가 행사한다. 사법권을 행사하는 최고의 기관은 쿠바 최고 인민 법원(Tribunal Supremo Popular)이다. 쿠바에는 다양한 정당들이 존재하지만, 후보를 지명하거나 선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허락된 정당은 "쿠바 공산당"(PCC) 이외에는 없다. 쿠바의 수도는 아바나이며, 쿠바에는 14개의 주와 1개의 특별구역의 행정구역이 있다. 쿠바는 대단히 군사화 된 국가이며 국가 자원의 큰 부분을 군대의 설립과 유지를 지원하기 위하여 할애하였다. 쿠바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지의 전쟁을 지원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반면, 미국과는 2014년 12월 18일 1961년 국교가 단절된 이후 53년 만에 국교를 정상화하였다. 미국은 수개월 내에 쿠바의 아바나에 대사관을 재개관하기로 하고 여행, 송금 제한 완화와 미국 금융기관이 쿠바 계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재 수위를 낮추기로 했다. 대한민국과는 2005년 KOTRA 무역관이 개관하였고, 현재 연간 5000여 명이 쿠바를 방문하는 등 민간차원에서는 차질 없는 교류를 하고 있었으며 2024년 2월 14일 수교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60년에 수교하였다. = = = 행정 구역 = = = 쿠바의 행정 구역 쿠바에는 15개 주(provincia)와 특별구역(이슬라 데 라 후벤투드)와 관타나모만 해군기지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여섯 지방으로 피나르 델 리오(Pinar del Río), 아바나(Habana), 마탄사스(Matanzas), 라스 비야스(Las Villas), 카마궤이(Camagüey), 오리엔테(Oriente)로 나누었다. 현재 행정 구역은 쿠바 독립 전쟁 당시 에스파냐의 군사 지역과 매우 유사하다. 쿠바의 주는 여러 시군(municipio)으로 세분된다. = = 경제 = = 쿠바 정부는 정부가 대규모로 통제하는 계획경제를 조직하는 데에 공산주의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 생산수단의 대부분은 정부가 소유·운영하며, 정부가 대부분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기업의 인력 분담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1981년 공공부분이 91.8%, 사기업이 8.2%의 인력을 고용한 것에 비하여, 2006년에는 공공부분이 78%, 사기업이 22%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자본 투자는 제한적이며 정부가 승인하여야 가능하다. 게다가, 쿠바 사람을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은 쿠바 정부에 임금을 지급하고, 쿠바 정부가 다시 해당 근로자에게 쿠바 페소로 임금을 지급한다. 쿠바 정부는 이론적으로는 계급 특권을 부정하는 입장이지만, 공산당원 또는 정부에 권력을 가진 자에 대한 우대가 존재한다. 교통, 직업, 주거, 대학 교육 그리고 보다 우수한 보건 혜택을 받는 것은 정부나 또는 공산당 내에서 신분을 가져야 가능하다.Cuba's Repressive Machinery 1980년대 말부터 쿠바의 국가 운영 경제에 대한 소련의 보조금이 고갈되기 시작하였다. 소련이 붕괴되기 전까지 쿠바에게 소련은 수출의 보호무역 시장이었고 많은 경제 원조의 주역이었다. 소련은 쿠바산 사탕수수를 시장보다 높은 가격에 사 주었고 석유를 시장보다 낮은 가격에 쿠바에 공급해 주었다. 한때 쿠바가 소련으로부터 받는 보조금은 60억 달러에 달하였다. 이 보조금이 사라지자 쿠바의 경제는 "페리오도 에스페시알 엔 티엠포 데 파즈"(Período especial en tiempo de paz)라 불리는 급속한 경기불황에 직면하였다. 1992년에는 미국이 쿠바에 대한 엠바고를 더욱 강화하였다. 일부에서는 이것이 쿠바 사람들의 삶의 질을 1년 내에 위기 상황으로 몰아가는 데에 일조했다고 보고 있다. 쿠바는 1인당 실질 GDP가 약 2만 달러에 달하지만, 엄청난 고환율 정책으로 인해 쿠바 페소화가 비정상적으로 자국내에선 고평가되어 있고, 국제 화폐 기준에서는 매우 저평가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수치이다. 전문가들은 쿠바의 1인당 명목 GDP를 약 7천 달러로 예상하며, 쿠바 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의 경우는 싼값에 거래되지만 수입 물품의 가격은 상상을 초월한 상태이다.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다른 공산주의·후(後)공산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쿠바는 소련의 원조의 종결을 벌충하여 식량, 소비재, 서비스 산업의 부족을 완화시킬 제한적인 자유 시장 수단을 취하였다. 이러한 수단들은 일부 소매와 경공업 분야에서의 자체적인 고용과 기업계에서 미국 달러 사용의 합법화, 그리고 관광 산업의 육성을 포함한다. 1996년, 관광산업은 사탕수수 산업을 제치고, 쿠바가 경화(硬貨)를 벌어들이는 가장 큰 자원이 되었다. 쿠바는 최근 10년간 카리브해 지역의 관광산업에 있어서 시장점유율을 3배나 올려놓았다. 이것은 관광산업의 인프라에 많은 투자를 한 결과이며, 이러한 성장율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농업 = = = 쿠바의 경제에서 기본은 사탕수수 생산이다. 사탕수수 재배 면적은 부침땅의 4분의 1을 차지하며 사탕수수는 수출총액의 80~85%를 차지한다. 설탕 수출량의 4분의 3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사탕수수의 생산은 국민총생산의 25%를 차지한다. 아바나 시가는 세계 최고품 담배로 주요 수출품이다. 그밖에 벼, 옥수수, 콩, 땅콩, 감자, 귤, 커피, 레몬, 코코아, 파인애플, 목화, 채소류 등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다. 농업협동화와 저수지건설이 힘차게 추진되고 있다. 축산물은 이 나라 농업의 2대 부문의 하나이다. 혁명 전의 플랜테이션이나 대지주 경작지는 전부 공산주의 혁명이후 정부에 의해 토지개혁이 시행되어 국유농장이나 소농(小農)의 경작지가 되었다. 1990년대 소련의 몰락과 미국의 봉쇄 정책으로 유기농업이 시작되었다. 쿠바는 사탕수수를 위주로 한 대량생산 시스템을 포기하고 소와 유기질 비료를 이용한 협동농장 중심의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하였다. = = = 목축업 = = = 주요 짐승은 닭, 소, 돼지 등이다. 수산업에서는 왕새우잡이가 유명하여 생산량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 = = 공업 = = = 공업에서 기본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탕공업이며 기타 채취, 전력, 야금, 세멘트, 화학, 원유가공 등 중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주요지하자원은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동, 크로뮴, 보크사이트 등이다. 주요수출품은 사탕수수, 니켈을 비롯한 광물류, 잎담배(시가)와 그 가공제품, 커피, 물고기 제품 등이며 주요수입품은 기계, 식료, 원유, 강재, 화학제품 등이다. 철도 및 자동차, 해상 운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 무역 = = = 2006년 기준으로 쿠바의 주요 수출 상대국은 베네수엘라(13.39%), 스페인(7.66%), 독일(5.66%), 미국(4.46%)이다. 주요 수입 상대국은 베네수엘라(12.82%), 스페인(4.14%), 러시아(3.17%), 볼리비아(1.59%)이다. 2006년 기준으로 총수출액은 2,980백만 달러, 총수입액은 10,174백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시가 제품(213,218천 달러), 기타 의약품(178,905천 달러), 무인 항공기(88,625천 달러), 페니실린 등 의약품(38,131천 달러), 금속(38,016천 달러)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디젤유(450.232천 달러), 냉장고(281,446천 달러), 형광등(169,650천 달러), 쌀가루(152,997천 달러), 냉동 닭고기(105,213천 달러)이다.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orldbank = = 사회 = = 국내 총생산의 10%를 투자하는 무상교육과 7%를 투자하는 무상의료 시스템은 오직 공공선의 목적으로 굴러간다. 쿠바에는 학생이 10명 이하인 학교가 2천여 개에 달하고, 의사들의 수준은 미국에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쿠바 국민은 전체가 배급 수첩을 소지하고 있으며, 매일 배급을 받는다. 과거에는 외국의 초청이 없는 한 해외로 출국할 수 없었으나 최근 여권만 있으면 출국할 수 있도록 법이 바뀌었다. = = = 인구와 주민 = = = 이 나라는 500여 년 전에 스페인 사람들이 원주민 인디오를 학살했기 때문에 백인 정착자와 흑인 이주민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주민의 인종 구성은 물라토가 37%, 유럽계 백인이 51% (주로 스페인계), 흑인 11%, 중국계 1% 인 것으로 추정되며 그 외에도 메스티소가 있다. 쿠바 정부는 인종별 통계는 인종차별로 연결된다는 이유로 인종별 통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추계 값은 점차 혼혈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02년 쿠바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쿠바의 총인구는 1117만7743명 이고 이 중 남성이 559만7233명, 여성이 558만0510명이었다. 인종별로 보면, 백인이 727만1926명, 메스티소 및 물라토가 277만8923명, 흑인이 112만6894명이었다. 인구 통계에 대한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마이애미 대학교의 쿠바와 쿠바-미국 연구소(The Institute for Cuban and Cuban-American Studies)는 62%가 흑인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백인이 65.05%로 나타났었다. 국제 소수자 인권 연대(The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는 아프리카-쿠바 혼혈인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혁명 전후의 빈약한 자료와 체계적인 연구의 결핍으로 인하여 여전히 의문인 상태라고 말한다. 쿠바의 인구에서 아프리카 출신의 후손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33.9%에서 62%로 매우 다양하다. 쿠바의 주민은 매우 복잡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점점 흑인계의 인구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백인과 메스티소가 사회의 중심세력을 이루고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종족간의 결혼도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종족의 통합을 지향하는 추세다. 백인의 선조들은 스페인 사람과 다양한 라틴 아메리카 출신들이다. 18세기, 19세기 그리고 20세기 초반에 카나리아 사람, 카탈란 사람, 안달루시아 사람, 갈리시아 사람 그 밖에 다른 스페인 사람들은 쿠바 이주의 거대한 물결을 이루었다. 그 밖에도 아일랜드인, 영국인, 프랑스인, 이탈리아인, 포르투갈인, 러시아인, 전쟁 전 이민 온 일본계 등 아시아인 등 다양한 인종들이 쿠바에서 살고 있다. 아프리카-쿠바 혼혈인들의 선조는 주로 콩고에서 건너왔다. 20세기 동안 있었던 이민은 쿠바의 인구 특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03년에서 1933년 사이에 72만 명의 스페인 사람, 19만 명의 아이티 사람, 12만 명의 자메이카 사람, 기타 약간의 미국 사람, 중국 사람 등의 이민이 있었다.福井英一郎(編)『世界地理15 ラテンアメリカII』朝倉書店、1978年 1959년 쿠바 혁명을 통해 이뤄진 현 정부의 정책에 따라 라틴 아메리카 국가별,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인류에 기반 전통적 계급 사회는 파괴되고 많은 백인 유산 계층과 중산층이 미국 플로리다와 서유럽으로 망명했다. 쿠바는 또한 비 쿠바인의 피신처이기도 한데,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수천 명의 북부 아프리카 출신의 10대 및 소아 난민들도 존재한다. 쿠바의 출산율(2006년, 1천명 당 9.88명)은 서반구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쿠바 전체의 인구는 1961년의 약 7백만 명에서 현재의 1100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율은 지난 수십 년간 둔화되었다. 그리고 2006년부터는 증가율이 낮아지기 시작하였다. 2006년의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43명이다. 이러한 출산율의 하락은 서반구에서는 가장 큰 것이다. 쿠바에서 이혼은 자유로우며 1996년에 1천명당 58.6명이 이혼하였다. (캐리비안 지역 평균 35명, 라틴 아메리카 평균 27명, 유럽 평균 48명과 비교된다.) 피임율은 약 79%인데, 이 수치는 서반구의 상위 1/3에 속한다. = = = 언어 = = = 현재 공용어는 스페인어(쿠바 방식의 스페인어)이다. 하지만 관광 산업에 주력하고 있는 미국 본토에 가까운 곳, 그리고 공교육의 보급률이 높다는 점 때문에, 호텔, 레스토랑, 그리고 도심 등에서는 영어(보통 자메이카에서 넘어온 사람도 사용한다.)가 통한다. 구 소련 해체 전에는 러시아어도 공용어로 추가되었다. 러시아어는 쿠바의 대도시에서 사용된다. 또한, 아이티에서 이주한 주민은 아이티어(아이티식의 독특한 크레올 언어.)를 사용하며,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인구도 있는 편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사용하는 언어는 스페인어로 통하며, 영어, 아이티어는 소수가 사용하기 따름이다. = = = 교육 = = = 카스트로는 쿠바가 미국의 반식민지가 되었던 것은 미국의 선전을 국민들이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국력을 교육에 집중하였다. 1959년 쿠바혁명 이후 카스트로 정권은 교육 사회 복지 부문에 대한 투자 비율을 강화하고 관련 예산이 국가 예산의 16%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농촌의 문맹률이 크게 하락하였고 대학을 포함한 모든 교육은 무료로 제공한다. 유치원을 거쳐 예비학교 1년,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은 의무교육(obligatorio)이며 이후 고등학교, 대학교로 이어진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급을 20명으로 하거나, 서브티쳐(sub-teacher)를 도입하고 있다. 고등학교 과정은 크게 직업교육을 목적으로 한 실업계고등학교,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한 인문계고등학교, 예술고, 체육고로 나뉜다.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모두 교복을 입으며, 학년에 따라, 기숙사 여부에 따라, 전공에 따라 교복의 색과 무늬가 달라진다. 특히 농촌에서 높았던 문맹률 일소 운동을 전개하여 문맹률이 낮아졌다.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문자해독률은 99.8%이며 이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와 함께 라틴 아메리카 최고 수준이다. 또 국민의 대다수는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 1728년에 개교한 아바나 대학 등이 꼽힌다. 2001~2002년 기준으로 19만 1262명의 학생이 고등 교육을 받았다. 또한 쿠바는 학교 교육에서 스포츠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야구는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필수 과목으로 도입했고 쿠바 최고의 인기 스포츠다. = = = 인권 = = = 쿠바 정부는 고문, 자의적인 구금, 불공정한 재판 그리고, 사법절차에 의하지 않은 처형 {일명, 엘 파레돈("El Paredón")} 등을 포함한 수많은 인권 유린으로 지탄을 받고 있다. 휴먼 라이트 워치는 이 정권이 거의 모든 정치적인 반대를 탄압하고 표현·회합·사생활·정치적 운동의 자유와 적법절차의 원칙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앰네스티나 휴먼 라이트 워치 같은 인권 단체는 쿠바 양심수에 대한 보고서를 발행했다. 국경 없는 기자회는 2008년의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쿠바를 최하위권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국경 없는 기자회는 쿠바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공동으로 "세계에서 첫 번째로 언론인을 많이 투옥하는 나라"라고 간주한다. 쿠바 반정부 단체 하얀 옷의 여자들은 2005년 유럽 의회에서 사하로프상을 수상했다. 쿠바는 수많은 반체제 인사들을 투옥하였다. 유명 인사로는 페드로 루이스 보이텔(Pedro Luis Boitel), 마르타 베아트리즈 로케(Marta Beatriz Roque), 라울 리베로(Raúl Rivero), 마누엘 바즈케즈 포르탈(Manuel Vázquez Portal), 엑토르 마세다 구티에레즈(Héctor Maseda Gutiérrez), 호세 루이즈 가르시아 페레즈(Jorge Luis García Pérez), 기에르모 파리냐스(Guillermo Fariñas)가 있다. 휴먼 라이트 워치는 투옥된 정치범의 숫자가 매우 축소되어 발표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휴먼 라이트 워치에 따르면, 정치범들은 다른 죄수들과 함께 수준 이하이며 비위생적인 조건의 감옥에 투옥되고 있다. 그 밖에도 블로그를 통해서 쿠바 소식을 생생히 전하는 요아니 산체스(Yoani Sánchez)와 같은 경우는 매우 엄격한 감시를 받고 있다. 쿠바 국민들은 정부 허가(하지만 극히 드물다) 없이는 쿠바를 떠나거나 돌아올 수 없다. 쿠바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비슷한 광범위한 검열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경 없는 기자회의 2008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최하위 순위를 보였다. 검열은 쿠바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제한한다. 언론매체는 정부에 의해 통제된다. 쿠바의 매체는 공산당의 혁명 지도부에서 관할하며, "선전 전략을 발전시키고 협조 한다.". 당국은 인터넷을 "21세기의 큰 질병"이라 부른다. 컴퓨터 소유가 금지되어 컴퓨터 보유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 인터넷을 이용할 권리는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허가되며, 이들도 감시받는다. 불법적인 인터넷 연결은 징역 5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 = = = 의료 = = = 1959년 쿠바혁명 이후 쿠바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의료를 시행하였다. 일차의료기관(Primary Health Care)을 중시하는 의료 제도를 채택하여 독특한 사회 복지 정책과 함께 "쿠바 모델"로 유명하다. 쿠바에는 '가정의 제도'가 있어 지역 주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등 예방진료를 담당한다. 가정 의사는 의사가 환자를 방문하여 돌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종합의료기관(폴리클리닉)은 1차 진료기관으로 모든 진료과목과 전문의를 보유하고 있다. 최종 진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이 있고 이는 종합수술 및 입원이 가능한 병실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쿠바 라틴아메리카 의과대학에서는 미국인을 포함하여 유학생을 무료로 받는다. 의사들은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오지에서 수년간 의료 봉사활동을 한다. 쿠바는 재해가 발생한 해외에 의사를 파견하고 있다. 이것은 마이클 무어 감독의 영화 식코에서 소개되기도 하였다. 베네수엘라와 의사-석유 교환 협정으로 베네수엘라의 바리오 아덴트로 미션에 의료인력과 설비를 제공하고 석유를 받고 있다. = = 문화 = = 쿠바 국민의 대부분이 스페인이나 아프리카로부터 이민을 왔기 때문에, 쿠바의 문화는 스페인과 아프리카, 특히 요루바(현재의 나이지리아)의 전통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그것들이 혼합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국민의 영화 감상이 번성한 나라이기도 하다. = = = 종교 = = = 쿠바 혁명으로 공산주의 국가가 된 후 쿠바정부는 종교를 탄압했으나, 현재는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무교가 인구의 55%에 달한다. 스페인 식민의 영향으로 쿠바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이고 쿠바 혁명 이전에 인구의 70% 이상이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다.(1957년) 그러나 카스트로 정권 아래 신자 수는 약 40%까지 감소하고, 종교 활동이 반혁명 활동으로 간주되지 않을 필요성 때문에 현재도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교는 정부의 제한을 받고 있다. 다른 종교로는 장로교 등의 개신교, 여호와의 증인, 유대교, 그리고 기독교와 아프리카 요루바족의 전통종교가 섞인 혼합 종교인 산테리아(Santería)도 민중 종교로 존재한다. 동부 지역에서는 아이티에서 온 이민자의 영향으로 부두교 신자도 있다.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특별하게도, 일본에서 발상된 창가학회도 존재한다. = = = = 기독교 = = = = 쿠바의 국교는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이지만, 개신교도 소수 존재한다. 정부에서 허가하면 야외에서 종교 집회를 열 수 있으며, 개신교인쿠바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에 비해 소수이지만, 장로교, 침례교 등의 교파들이 있다.과 가톨릭교회 신자 모두 사실상 쿠바 공산당(1961년 결성)에 당원으로 가입할 수 있게 하는 등 종교정책은 혁명초기에 비해 많이 온건화되었다. 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회선교에 따른 것이다. 그 증거로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1982년 발행된 국제복음주의학생회(IFES)의 소식지In-Touch와의 인터뷰에서 쿠바의 공산당원들은 아무런 대가없이 사회선교를 실천하는 가톨릭교회 수녀들을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당시 카스트로 의장의 가톨릭교회에 대한 호의적 발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쿠바의 모든 공산당원이여, 쿠바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들을 보시오. 우리 공산당원들이 해야 할 자선활동을 아무런 대가 없이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들이 하고 있습니다. 모든 공산당원들은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들을 본 받으시오." 하나님 나라의 신학으로 읽는 사도행전1권-4강_정사와 권세를 굴복 시키는 부활 예수의 증인들(사도행전 4장), 김회권 지음, 복있는 사람 p.162 가톨릭교회와 일반적인 개신교들을 제외한 교파로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 소속 쿠바 성공회가 있다. = = = 음악 = = = 쿠바 음악은 스페인계와 아프리카계의 음악이 융합해 태어난 것을 기반으로 여러 요소가 서로 섞여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라틴 음악의 중추적인 존재이다. 미국의 재즈 등과 함께 20세기의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쿠바 음악은 스페인의 기타와 아프리카의 북을 조합한 요루바계 문화의 영향이 강한 룸바(Rumba)나 손(Son)이 있다. 그 외에도, 대중음악으로서, 트로바나 댄 손과 같이 유럽 음악의 요소가 비교적 강하게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음악은 유로쿠바 음악, 아바네라(Habanera)와 아프로쿠바 음악인 룸바, 볼레로, 맘보, 차차차 등이 있다. 19 세기에 프랑스의 비제가 아바네라 리듬을 받아들인 때부터 쿠바 음악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는데, 쿠바 음악은 먼저 1930년에 송(son)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193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로 확산되었다. 1959년 쿠바 혁명 후, 미국과 국교가 단절되고, 또한 경제봉쇄 때문에 쿠바 음악이 세계로 확장되는 경로가 좁아졌다. 그러나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영향력이 지속되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는 혁명 이후 쿠바에서 젊은 세대의 운동으로 일어난 누에바 토로바가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사회 현상이라고 할 정도의 인기와 영향력을 얻었다. 또한 아프리카풍 리듬 감각과 소련과의 연계에 의하여 고전적인 기술 체계가 반영된 재즈 연주자의 수준은 아주 높았고 1970년대 후반에 그래미상을 받은 이라케레(Irakere), 1990년대 한 시대를 풍미했던 곤사로 루발카바, 추초 발데스(Chucho Valdés, 이라케레의 리더) 등 다양하고 수준 높은 뮤지션을 낳고 있다. 냉전 후 1990년대가 되면서, 로스 반 반(Los Van Van), 아달베르토 알바레즈 이 수 손(Adalberto Alvarez y su Son) 등 뉴욕 살사의 감각도 받아들인 그룹이 속속 등장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유럽 등에서 강연하는 연주가도 증가하였다. 1990년대 말에는 노년의 뮤지션을 다루었던 영화(1998년의 빔 벤더스(Wim Wenders) 감독의 작품,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기도 하였고, 경제봉쇄가 계속되던 중에도, 미국계 대형 레코드 회사가 차례로 쿠바의 음악가와 계약하고, 일본에 와서 하는 공연도 증가하는 등, 쿠바 붐이라고 불려도 좋을 정도의 활황을 보이고 있다. 쿠바의 국가는 바야모 행진곡(La Bayamesa)이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Carlos Manuel de Céspedes)가 작곡하였으며, 공식 국가로 제정된 해는 1902년이다. = = = 영화 = = = 쿠바는 라틴 아메리카의 영화 대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에 비해 제작 편수는 적지만 열악한 제작 여건에도 불구하고 질적으로 매우 우수한 영화들을 만들어 왔다. 혁명 정부가 1959년 세운 ICAIC(쿠바 예술, 영화 위원회)의 지원, 기획하에 영화가 제작되어 왔다. 유명한 영화인으로는 저개발의 기억(Memorias del subdesarrollo, 1968년), 딸기와 초콜릿(Fresa y Chocolate, 1993년)의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Tomás Gutiérrez Alea) 감독, 움베르토 솔라스(Humberto Solas), 인생은 휘파람을 부는 것(La vida es silbar, 1998년),아바나 조곡(Suite Habana, 2003년)의 페르난도 페레스(Fernando Pérez)를 들 수 있다. = = = 관광 = = = 카리브해에 떠 있는 붉은 섬이라는 별명을 가진 쿠바는 에스파냐와 아프리카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진 나라이다. = = = = 헤밍웨이 박물관 = = = = 헤밍웨이 박물관(Museo Momerial 'Ernest Hemingway')은 아바나에서 멀지 않은 곳에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살았던 집에 있다. 1928년 헤밍웨이가 쿠바를 방문한 후 줄곧 머물며 '노인과 바다' 등의 작품을 쓴 곳으로 내부는 당시의 상태를 보존하고 있으며 '노인과 바다'책이 있는 방, 타이프라이터, 동물박제, 9,000권의 장서가 보관되어 있다. = = = = 혁명 박물관 = = = = 혁명 박물관(Museo de la Revol cion)은 1920∼1960년에는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현재 혁명관련 사진자료와 무기가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으로 박물관 광장에는 카스트로가 반혁명파의 배를 침몰시킨 전차 Memorial Granma가 전시되어 있다. = = = 요리 = = = 쿠바 요리는 스페인, 카리브해, 아프리카 영향을 다양하게 받아서 섞였다. 또한, 스페인과 미국의 영향이 강하여, 쌀, 콩, 돼지고기를 많이 사용한다. 쿠바 요리는 특이하게도 스페인과 아프리카식 요리법을 자국에 도입한 한편 타국과는 다른 독특한 향이 많이 나타나서 자국의 향취를 풍긴다. 적기는 하지만 수도 아바나를 중심으로 중국 요리의 영향이 나타난다. 역사적 이유로 오래전부터 쿠바 본섬을 비롯해 지역적으로 인구 분포는 상당히 불균형적이다. 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은 사탕수수 농장에서 상당 부분 기용됐지만 지금도 도시 내부에서는 소수 인구를 차지한다. 담배 플랜테이션과 땅콩 재배 인구도 많다. 쿠바요리는 멕시코 요리와 상당한 연관이 있으며 미국과 유럽 관광객이 많아서 특히 더 다양하다. 라틴 아메리카 요리와 미국 요리가 지니던 특색과는 또 다른 묘미가 있다고들 한다. = = 외교 관계 = = = = = = 대한 관계 = = = = 멕시코, 과테말라 등지에서 일하던 대한민국 농민들이 쿠바로 이주해 에네켄 농장에서 강제노동을 하였다. 그 후 한국 전쟁 때 쿠바의 경제 원조를 지원받기도 하였으나, 쿠바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지금까지 외교관계가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멕시코 주재 대사관에서 비공식적으로 쿠바와의 교류를 담당하고 있다. 반면, 비슷한 이념을 가진 북한과는 수교하였다. 중국이 대만과 단교한 나라들과 일제히 수교하고 있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쿠바와 대한민국의 외교 관계를 맺겠다는 계획을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되지만, 앞으로 대한민국이 쿠바와의 외교 관계를 수립할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2024년 2월 14일, 한국 주유엔 대표부는 쿠바와 양국 유엔대표부 사이 외교 공한(公翰·공적 편지) 교환을 통해 양국 간 외교 및 영사 관계를 수립했다고 밝혔다. = = = = 대 베네수엘라 관계 = = = = 쿠바는 미국, 서방 세계와의 경제 제재를 받을 정도로 고통을 주게 되자 기회를 타산지석으로 삼는 나라가 베네수엘라 뿐이다. 베네수엘라는 석유를 돈줄 역할로 쓰면서 쿠바에 석유를 무상으로 공급하고, 쿠바는 반대로 설탕을 베네수엘라에게 이익을 챙기려는 본심이 있다. = = = = 대 캐나다 관계 = = = = 캐나다는 동방 정책을 취하기 위해 대한민국, 미국, 이스라엘, 옛 서독 등과 달리 쿠바와의 외교 관계는 계속 유지중에 있으며, 캐나다에서 쿠바로 건널 때 미국의 동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 등 외교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각종 단점들도 물론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 기타 국가와의 관계 = = = = 쿠바는 한국과 달리 일본, 중화인민공화국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야구를 일본 프로 야구에 파견시켜서 선수를 배출하는 자격 조건도 충족되어 있고 중국은 미국과의 사이가 틀어지자 미국과 달리 쿠바와는 거의 친한 편이기도 하다. 또한 스페인의 경우 식민지 시절의 정신을 그대로 남아 있어 스페인이 쿠바에 와인, 올리브 등을 수출시킬 정도로 쿠바인들의 매력을 높일 수 있는 기준이 있다. 또한 러시아의 경우, 카스트로 정권 수립 이후 소련에 문을 두드리기 시작한 시절부터 지금까지 돈독한 사이를 가지고 있고, 쿠바 미사일 위기가 불어닥칠 때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과의 악연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 면 (봉상) = 면(免, ? ~ ?)은 전한 초기의 관료이다. ‘면’은 이름자로, 성씨는 알 수 없다. 왕선겸(王先謙)은 문제 때의 거기장군 영면과 동일인물로 추정하였다. = = 행적 = = 혜제 7년(기원전 188), 봉상에 임명되었다. = = 출전 = = 반고, 《한서》 권19하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下 = 토토 = 토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토토어 토토 (나이지리아) 토토칼초 마법사 토토 = = 기업 = = TOTO (기업): 세계 최대의 변기 및 세면기 생산업체 = = 음악 = = 토토 (밴드): 197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 밴드 Toto (음반): 미국의 록 밴드 토토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 = 광개토대왕의 전쟁 = 광개토대왕의 전쟁은 광개토대왕이 백제와 가야, 왜 연합군과 전쟁하여 신라를 구원하고 북쪽과 서쪽으로 진격하여 동부여, 거란, 숙신을 정벌하고 후연과 북위와 싸운 전쟁이다. 연호는 영락이다 = 분류:미국 위치 지도 틀 = = 분류:몬테네그로의 지질 = = 드래곤 스타디움 = 드래곤 스타디움(Dragon Stadium)은 미국의 다목적 경기장이다. 텍사스주 사우스레이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 MLS의 참가 클럽 댈러스 번의 홈 경기장이다. = 아이오이역 (효고현) = 아이오이역(, あいおいえき)은 일본 효고현 아이오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역 구조 = = 1층에 재래선 승강장, 2층에 개찰구와 대합실, 3층에 신칸센용 고가 승강장이 있으며 재래선 부분만 교상역사 형태를 취하고 있다. 신칸센 개찰구는 재래선 개찰구와 같이 사용한다. 이코카 및 제휴 교통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 = = 재래선 = = = 단식과 섬식이 섞인 복합형 승강장으로 2면 3선의 지상역이다. 1번선은 산요 본선 하행선, 2번선은 산요 본선 중선, 3번선은 산요 본선 상행선이다. 다만 아코 선 선로는 1번선에서만 분기되기 때문에 아코 선에서의 상행 열차는 3번선으로 입선할 수 없다. 따라서 아코 선으로 입선하는 열차는 하행은 1·2번선, 상행은 2번선에 발착하도록 되어 있다. 신칸센 접속역이지만 하쿠토 호와 같은 모든 특급 열차가 통과한다. 1 ■ 산요 본선 통과용 2 ■ 산요 본선 히메지 오사카 방면 (아코 선 직통) 2 ■ 아코 선 반슈아코 방면 3 ■ 산요 본선 가미고리 오카야마 방면 (회차) = = = 신칸센 = = = 상대식 승강장으로 2면 2선의 고가 승강장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에 통과선 2개가 설치되어 있다. 11 ■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 하카타· 가고시마 방면 12 ■ 산요 신칸센 신오사카 도쿄 방면 = = 역사 = = 1890년 7월 10일: 다쓰노 ~ 우네 간의 연장에 따라 나바 역으로서 신설개업하였다. 1906년 12월 1일: 국유화에 따라 일본국유철도 소속이 되었다.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으로 산요 본선의 소속이 되었다. 1942년 10월 1일: 아이오이 역으로 개칭되었다. 1951년 12월 12일: 아코 선의 개업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1972년 3월 15일: 산요 신칸센 신오사카역 ~ 오카야마역 간 개업에 따라 신칸센 환승역이 되었다. 1987년 4월 1일: 민영화에 따라 서일본 여객철도의 소속이 된다. 2003년 11월 1일: 이코카의 사용이 개시되었다. = 분류:1927년 설립 = = 심현정 = 심현정은 대한민국의 영화음악 작곡가이다. = = 학력 = = 연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대학교 영상음악 · 작곡 석사과정을 졸업했다.심현정 바이오그래피 = = 음악 작품 = = 《아마존의 눈물》 《아프리카의 눈물》 《북극의 눈물》 《올드보이》 《그 해 여름》 《아저씨》 《늑대소년》 《피끓는 청춘》 = = 수상 = = 2004년 - 제3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음악상 〈올드보이〉 2007년 - 제15회 춘사영화상 음악상 〈그 해 여름〉 2010년 -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음악상 〈아저씨〉 2010년 - 제19회 부일영화상 음악상 〈아저씨〉 2010년 - 제6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음악상 〈아저씨〉 2010년 - 제37회 한국방송대상 음악상 〈아저씨〉 =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는 호빗 삼부작의 두 번째 영화이며, 윙넛필름스와 뉴 라인 시네마,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가 공동 제작한 영화이다. 2013년에 워너브라더스 배급해 공개되었으며, 전작과 반지의 제왕 삼부작과 같이 피터 잭슨이 감독을 맡았다. J. R. R. 톨킨의 소설 호빗을 원작으로 한다. 원래는 2부작으로 계획이 되었으나, 스마우그에 대한 분량이 늘어나면서 원래 계획된 2부작 사이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영화는 참나무방패 소린과 난쟁이 13명, 빌보 배긴스, 간달프가 스마우그로부터 뺏긴 에레보르를 되찾으러 떠나는 모험을 그리고 있다. 또한 참나무방패 소린과 난쟁이들이 아조그를 복수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영화는 초당 48프레임의 프로젝션 속도로 3D로 동시에 촬영 되었으며, 주요 촬영은 뉴질랜드와 파인우드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 추가 촬영은 2013년 5월 내내 이루어졌다.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는 2013년 12월 2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초연되었으며 2013년 12월 11일 일반 극장과 IMAX 극장에서 국제적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전 세계 박스 오피스에서 9억 5,9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여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와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을 제치고 2013년 네 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가 되었다. = = 배역 = = 마틴 프리먼 - 빌보 배긴스 역 이언 매켈런 - 회색의 간달프 역 리처드 아미티지 - 참나무방패 소린 역 베네딕트 컴버배치 - 스마우그 역 올랜도 블룸 - 레골라스 역 에반젤린 릴리 - 타우리엘 역 루크 에번스 - 궁수 바드 역 리 페이스 - 스란두일 역 스티븐 프라이 - 호수 마을의 영주 역 그레이엄 맥타비시 - 드왈린 역 켄 스톳 - 발린 역 에이단 터너 - 킬리 역 딘 오고먼 - 필리 역 마크 해들로 - 도리 역 제드 브로피 - 노리 역 애덤 브라운 - 오리 역 존 캘런 - 오인 역 피터 햄블턴 - 글로인 역 윌리엄 커처 - 비푸르 역 제임스 네즈빗 - 보푸르 역 스티븐 헌터 - 봄부르 역 미카엘 페르스브란트 - 베오른 역 실베스터 매코이 - 갈색의 라다가스트 역 크레이그 홀 - 갈리온 역 라이언 게이지 - 알프리드 역 존 벨 - 배인 역 마크 밋친슨 - 브라가 역 마누 베넷 - 아조그 역 로렌스 마코아르 - 볼그 역 벤자민 미첼 - 나르주그 역 댈러스 바넷 - 빌 퍼니 역 = 분류:우루과이의 종합 스포츠 클럽 = = HIP 27288 = = PCC-773 부천 = PCC-773 부천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포항급 초계함 중 하나이다. = 그림 형제 (동음이의) = 그림 형제는 독일의 야코프 그림(Jacob Grimm)과 빌헬름 그림(Wilhelm Grimm) 형제이며, 다른 뜻으로는 다음이 있다. 《그림 형제: 마르바덴 숲의 전설》(The Brothers Grimm)은 2005년 미국의 영화이다. 《그림 형제》(Grimm)는 2011년 미국의 TV 시리즈이다. 그림 형제 (만화): 마블코믹스의 슈퍼빌런 그림 형제 (텔레비전 프로그램): 2023년 대한민국의 tvN 예능 프로그램이다. = 분류:1893년 스포츠 = = 오토 딕스 = 오토 딕스(Otto Dix, 1891년 ∼1969년)은 독일의 화가이다. = = 생애 = = 오토 딕스는 라이프치히 교외의 게라에서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장식화가로서의 교육을 받아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에 종군하였고, 1922년에서 1925년까지 뒤셀도르프 미술 학교에서 수학했다. 그의 초기 회화는 후기 인상파의 흐름에 따라 그 테마는 전쟁 체험에 입각하였다. 1926년 드레스덴 미술학교에서 교직에 종사했으며 이 무렵 다다이즘을 거쳐 신즉물주의의 진영으로 들어간 그의 그림에는 사회의 부정·퇴폐·악덕·암흑 속에서 꿈틀거리는 인간의 비참, 추악을 박진(迫眞)한 묘사력으로 추구하였다. 딕스는 이 착안점과 기법을 발전시켜 마치 종교개혁의 한 가운데서 활약한 독일 르네상스의 거장(巨匠)들과 같이 윤리적 발언을 배경으로 하는 독특한 화풍(畵風)을 세워 나갔고, 그가 '프롤레타리아의 크타라나하'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었다. 나치스 시대가 되어 드레스덴 미술학교의 교직에서 추방당하여 박해와 궁핍을 견디어 내지 않으면 안 되는 처지였지만 전후에는 표현주의에 접근한 종교화와 풍경화의 건전한 작품을 제작하다가, 1969년 보덴 호반의 콘스탄츠에서 사망하였다. =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2013년 6월 = = = 차단 회피 IP 대역 차단 = = 강 (성씨), 진 시황제 문서와 관련하여, 욕설/인신공격, 사용자 문서 및 일반 문서 토론의 토론 무시 후 편집 강행 반복 등을 이유로 다음의 IP를 1개월 차단합니다. (1.245.202.0/24) ted (토론) 2013년 6월 7일 (금) 12:04 (KST) = = 중앙대학교 관련 IP 대역 = = 며칠 전 중앙대학교 페이지를 훼손하고 토론에 응하지 않는 등으로 다음 사용자를 일정 기간 차단한 적이 있습니다: * * * 특히 165.194.0.0/16은 중앙대학교에서 쓰는 대역이어서,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13년 6월 7일 (금) 16:51 (KST) = = 미디어위키:Protectedpagetext = = 영어판의 같은 내용을 사용자:관인생략/작업실 04에서 번역해 오류가 없는지 확인차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로그아웃한 상태에서 준보호/보호된 문서를 확인해 보시고 맞게 번역이 되었는지, 잘못 출력되는 부분은 없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ps. 미디어위키:Protectedinterface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 18일 (화) 00:30 (KST) = = 대역차단 알림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3년 6월#동일 IP 계정 차단 요청에 따라 14.63.145.0/24 14.63.146.0/24 14.63.148.0/24 대역을 2주일간 차단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Sotiale (토론) 2013년 6월 21일 (금) 16:29 (KST) = = 문서 보호/보호 해제 요청 분할 = = 백:문서 관리 요청에서 문서의 보호/보호 해제만을 별도로 받는 공간인 위키백과:문서 보호 요청을 출범시키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위키백과토론:문서 관리 요청#요청 페이지의 분할에 의견 남겨주세요.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 26일 (수) 12:30 (KST) = 에어포항 = 에어포항은 대한민국의 소형항공운송사업자였다. = = 개요 = = 대한민국의 소형항공운송사업자로, 포항공항을 거점으로 7월에 운항증명(AOC)을 국토교통부로부터 승인받아 포항~김포 노선 시작으로 2017년 10월부터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처음 계획된 자본금 100억에서 50억을 더 늘려서 경영의 안정화를 기하기로 했는데 10월 17일에 자본금 150억 확보가 완료되어 12월 초에 국토교통부의 운항증명을 받고, 12월 말에 취항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 한국의 전자회사인 동화전자공업(주)과 중국의 동화서성투자유한공사가 투자하고 동화컨소시엄에서 운영하며, 포항시와 경상북도에서 각 20억원씩을 출자하며 한중합작 형식으로 100억원을 51:49로 투입하였다. 최근 한중관계 악화와 사드 보복으로 인해 무산될 위기에 있으나 소형항공운송사업자의 경우 등록제이므로 AOC만 받으면 되기에 자본만 충분하다면 설립이 가능하다. 결국 사드 보복 여파로 중국에서 투자를 보류하면서 동화컨소시엄에서 100% 출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미 2월부터 캐나다 봄바디어 항공기술교육기관에서 조종사와 정비사 등을 보내 훈련하고 있는 중이라고 하며 신규 채용 공고를 내보냈다. 10월부터 운행하기로 했으나, 12월로 미뤄지고 2018년 2월 7일 포항∼김포 하루 2차례, 포항∼제주 구간을 하루 2차례 운항한다. 2018년 2월 7일 에어포항이 정식신규취항을 하였다. 2018년 10월 계속되는 경영난에 대주주가 교체되고 에어포항은 12월 1일부터 포항∼김포 노선에 이어 12월 10일부터 포항∼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할 예정이다.또한 보유 중인 비행기 2대가 2007년부터 생산이 중단된 CRJ-200 기종으로 정비부품을 공급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2019년 3월까지 에어버스 A319 3대를 도입해 비행기를 교체를 하려고 했었다.현재 대주주인 베스트에어라인은 에어포항 전 대주주인 동화전자공업주식회사로부터 주식 85%를 사들여 경영권 인수를 마치고 대표이사를 진주원씨로 변경했지만 12월 3일 현재 베스트에어라인측은 3개월 이상 밀린 에어포항 직원들의 임금체불은 여전히 해결하지 않은 채 대부분의 직원을 해고 또는 대기발령조치했다. 결국 2019년 5월 운항증명이 무력화됨에따라 재운항은 불가능해졌다. = = 역사 = = = = = 2010년대 = = = = = = = 2016년 = = = = 6월: 에어포항 설립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에 대한 MOA체결 12월: 포항시 지역항공사 사업파트너 선정 = = = = 2017년 = = = = 1월: 에어포항(주) 법인 설립 5월 24일: 1호기 도입 (봄바디어 CRJ-200LR, HL8203) = = = = 2018년 = = = = 1월 5일: 2호기 도입 (봄바디어 CRJ-200ER, HL8298) 2월 3일: 취항기념식 개최 2월 7일 포항 - 서울(김포) 신규취항 포항 - 제주 신규취항 12월 1일 포항 - 서울(김포) 운항중단 12월 10일 포항 - 제주 운항중단 = = = = 2019년 = = = = 5월: 1호기 송출 (봄바디어 CRJ-200LR, HL8203) 5월: 운항증명 효력 상실 판정 = = = 2020년대 = = = = = = = 2020년 = = = = 3월: 2호기 송출 (봄바디어 CRJ-200ER, HL8298) = = 과거 운항노선 = = 도시 공항IATA 공항ICAO 공항 이름 주석 및 비고 운항 횟수 일 3회 운항, 포항공항 발 일 2회 운항, 포항공항 발 허브 = = 보유 기종 = = 에어포항은 폐업 전까지 다음과 같이 보유하고 있었다. = = = 보유 기종 = = = 에어포항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봄바디어 CRJ-200LR 1 0 50 구.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항공기. 봄바디어 CRJ-200ER 1 0 50 구. J-에어 항공기 합계 2 0 = 틀:ChemID = - ChemIDplus 데이터베이스분류:화학에 관한 틀 = 분류:차티스가르주의 지형 = =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坐像)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선운사에 있는, 고려 말~조선 초에 유행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으로, 특히 불교회화에서 많이 그려진 도상이다. 2019년 6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31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9-7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및 변경), 제19531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6. 26. / 604 페이지 / 922.4KB = = 개요 = =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고려 말~조선 초에 유행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으로, 특히 불교회화에서 많이 그려진 도상이다. 온화한 표정과 불룩한 입술, 양쪽에서 드리워져서 여의두(如意頭) 형태로 마무리 진 띠 장식, 둥근 보주(寶珠)를 든 모습, 그리고 가슴에 들려진 띠 매듭 등은 고려 말기 보살상 양식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 지장보살좌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비례와 띠로 묶어 주름잡은 섬세한 두건의 표현 등이 조형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주를 든 두건 지장의 정확한 도상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여말 선초의 지장 신앙 및 지장도상 연구에 귀중한 사례이다. 이 시기 금동과 목조로 제작된 지장보살상은 몇 점이 전하고 있으나, 석조로 제작된 지장보살 중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한 사례는 참당암 지장보살좌상이 거의 유일하다. 대좌의 경우 보살상과 함께 조성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상․중․하대를 완전하게 갖추고 있고 가늘고 긴 형태, 여의두문(如意頭文)이 새겨진 안상(眼象) 등에서 고려 중기의 시대적 특징이 뚜렷하므로 함께 보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할 가치가 있다. = = 참고 자료 = = *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분류:여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 HD 29712 = = Let There Be Eve...Ruff Ryders' First Lady = Let There Be Eve...Ruff Ryders' First Lady는 1999년 9월 14일에 발매된 이브의 음반이다. 러프 라이더스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매되었다. = 퍼스 와일드캐츠 = 퍼스 와일드캐츠(Perth Wildcats)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퍼스를 연고지로 하는 NBL 소속 프로 농구 팀이다. 홈경기장은 퍼스 아레나이다. = 지평로 = 지평로(Jipyeong-ro)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지평로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도로이다. 지평로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도로이다. = 데인인 = 데인인(Danes)은 북유럽의 철기 시대와 바이킹 시대 기간에 오늘날의 덴마크 영토와 스웨덴 남부 스카네란드 지역들을 포함한 스칸디나비아반도 남쪽에 살았던 북게르만족의 일파이며, 덴마크 왕국의 기초를 세웠다. 이들이 세운 국가의 명칭은 고대 저지 독일어로 "데인인들의 변경"인 덴마크 변경을 의미한다고 여겨지며, 아이더강과 슐라이강 사이에 있는 데인인들의 남쪽 경계인 대네비아케를 나타낸다. = = 기원 = = 데인인의 기원은 확실치 않지만, 몇몇 사료들과 문서들이 데인인들을 나타내고 고고학 분야에서도 이들에 대해서 밝히고 있으며, 데인인들의 문화, 신앙, 조직 구성, 삶의 방식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데인인들은 요르다네스의 게티카 (551년), 프로코피우스의 저서,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의 저서 등의 언급과 함께 6세기에 사료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들은 고대 노르드어 (dǫnsk tunga)를 구사했으며, 이 언어를 노르웨이와 스웨덴, 그 이후에는 아이슬란드 지역의 사람들과도 공유했다. 요르다네스가 자신의 저서에서 스칸드자에 대해 묘사할 때, 다니(Dani)인들이 Suetidi ("스웨덴인")들과 같은 족속이며 헤룰리이족을 몰아내고 그들의 땅을 차지했다고 말한다. 고대 영어 시 원반여행자와 베오울프와 더불어 이후의 스칸디나비아의 작가들 (주로 삭소 그라마티쿠스 ( 1200))의 저서들은 데인인들에 대해 쓰여진 고유의 문헌의 일부를 제공한다. 12세기 작가 Sven Aggesen에 따르면, 신화적 인물이자 왕 단이 데인인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 문화 = = = = = 언어 = = = 데인인들은 바이킹 시대가 끝날 무렵에 고대 노르드어로 발전한 원시 노르드어를 사용했다. 스칸디나비아의 과거와 동시대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데인인들은 룬 문자로 기록을 했지만, 룬돌과 목공품 및 무기, 보석 같은 물건들에 새긴 것을 제외하고 문헌적 기록을 남기지 않는 등, 그렇게 눈에 띄게 사용하지는 않았다. = = = 종교 = = = 과거와 동시대 스칸디나비아인들처럼, 데인인들은 노르드 신앙을 숭배했다. 대략 500년경에, 점차 숭배가 늘어나던 토르, 오딘, 프레이야 등 몇몇을 제외한 노르드 신앙의 신들 다수가 과거의 중요성을 상실했다. 바이킹 시대인 10세기 기간에, 데인인들은 몇몇 룬돌, 문서, 교회 건물 등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수용했다. 새로운 기독교의 영향력이 바이킹 시대 후기 동안 데인인들의 미술, 보석, 장례 풍습에 나타났지만, 그 진행 속도는 빠르지도 않고 분명하지도 않았으며 노르드 신앙의 옛 관습들이 여러 측면에서 행해지는 것이 유지되었다.Described in "Hvad troede de på?" 베오울프 같은 일부 사료들은 덴마크 내 매우 이른 시기의 아리우스파 존재를 강조하지만, 이 자료가 후대에 내용이 추가된 것인지 또는 실제로 철기 시대 데인인들 사이에서 초창기 게르만의 기독교화를 반영하는 것인지는 많은 세월 학계의 깊은 논쟁의 거리다. 덴마크에서 사자에 둘러싸인 다니엘을 묘사한, 빠르면 500년대에 만들어진 몇몇 고고학 유물들이 출토됨에 따라, 데인인들이 아리우스교 문화에 대한 지식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 = 철기 시대 = = 북유럽 철기 시대 때, 데인인들은 오늘날 덴마크 및 스코네 지역을 포함한 오늘날 스웨덴 남부 지역, 오늘날 북독일 지역인 슐레스비히 지역들을 터전으로 삼았다. 슐레스비히 지역에서 데인인들은 자신들의 영토 남쪽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데네비어캐라는 거대한 요새시설을 건설했다. 이 시설은 몇 차례 확장되었고, 또한 철기 시대 이후에도 확장이 이뤄졌다. 6세기 무렵까지, 윌란반도는 게르만계 부족 중 하나인 유트족들의 본거지로 묘사되었다. 원반여행자는 철기 시대 데인인들과 관련하여 두 세명의 신화적 왕들을 언급하며, 이들은 바다의 데인인들을 다스린 시가르와 데인인들과 앵글족들을 다스린 오파이다. 수 세기 뒤에, 삭소는 단 왕부터 시작하여, 처음으로 데인인들이 신화적 왕들의 모든 가계들을 기록했다. 삭소의 문서들이 덴마크의 역사에 대한 처음으로 기록된 문헌 자료였기에, 따라서 데인인들과 삭소의 문서 출처들은 거의 대부분이 남아있던 전설이나 민속 설화, 구담 같은 것들이었다. 데인인들의 왕궁터와 수도는 셸란섬 인근의 Lejre에 있고 이후에 스쿌둥 왕조가 다스리던 Lejre 왕국을 구성했다. = = 바이킹 시대 = = 8세기가 시작되면서, 데인인들은 자신들의 영토에 Hedeby, 리베, 오르후스, 비보르 등을 포함한 무역 도시 건설에 착수했고 오덴세, 올보르 등의 기존 도시들도 확장을 하였다. Hedeby는 빠르게 성장하여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고 이후 11세기 중엽에 파괴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약 800년경에, 데인인들은 유럽의 해안과 강을 가로질러 장기간의 잘 조직된 약탈 활동을 시작했다. 몇몇 약탈 활동은 데인인 정착자 후손들이 한 것들이며, 이 시기에 잉글랜드의 데인로와 아일랜드의 교외지역 및 새롭게 세워진 정착지, 네덜란드와 프랑스 북부 등 스칸디나비아 외부의 많은 지역들에 데인인들이 정착했다. 11세기 초, 크누트 대왕 (1035년 사망)은 덴마크, 잉글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남부 및 북부 독일 일부 지역으로 구성된 방대한 북해 제국을 근 20년을 다스렸다.북독일 지역에서, 북해 제국에 포함되는, 현재 우리가 아는 지역들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과 뤼겐섬이 있다. 10세기 동안에 데인인들의 왕궁은 Lejre에서 윌란반도 중부의 옐링으로 옮겨졌고, 덴마크 왕국의 토대를 이뤘다. = = = 데인로 = = = 브리튼 제도에서, 데인인들은 786년에 세 척의 바이킹 배를 이끌고 도싯주의 포틀랜드섬에 상륙하여, 그곳에서 마주친 지방행정관과 수행원들을 살해했다.F. Donald Logan: The Vikings in History, p.22-24, Taylor & Francis (2005).도싯주의 바이킹들은 아마 노르웨이 출신일지도 모르며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는 불분명하고, 786-793년 사이에 일어났다. See "The Vikings in History". 793년에, 린디스판 수도원에서 바이킹들의 공격 및 약탈이 일어났지만이 바이킹들은 노르웨이 출신이다. 835년까지 잉글랜드에서 약탈 활동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다. 835년에, 데인인들은 잉글랜드 남동쪽 쉐피섬을 공격하고 영구 야영지를 세웠고 동앵글리아에서 할프단 라그나르손과 무뼈의 이바르 형제가 겨울을 보내던 865년부터 섬에 정착하였다. 할프단과 이바르는 북쪽으로 이동해 867년에 노섬브리아와 더불어 요크를 점령했다. 특이한 법의 지배 체계인 데인로는 곧 이들이 정착한 지역에 도입되었고 그곳에서 수 세기간 지역 문화를 형성했다. 데인로 문화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남아있다.Flores Historiarum: Rogeri de Wendover, Chronica sive flores historiarum, pp. 298–9. ed. H. Coxe, Rolls Series, 84 (4 vols, 1841–42) = = = 아일랜드 = = = 데인인들은 795년 Rathlin섬에서, 아일랜드에 처음으로 도착했고, 그 이후에 약탈 및 롱포트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무역 정착지 건설에 착수했다. 바이킹 시대 기간에, 데인인들은 더블린 (Dyflin), 코크, 워터퍼드 (Veðrafjǫrðr), 리머릭 (Hlymrekr) 등의 많은 해안 도시들을 세웠고 데인인 정착자들도 뒤따랐다. 다음 두 세기 동안에 토착 아일랜드 씨족들과 소규모 접전 및 회전들이 있었고, 데인인들은 때로는 아일랜드 씨족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클론타르프 전투가 일어난 1014년에, 바이킹들은 마침내 패배했고 남은 데인인 정착자들은 점차 아일랜드인들과 동화되었다. = = = 프리슬란트 = = = 바이킹들은 현재 네덜란드와 독일의 일부인 프리슬란트에 800년에 처음으로 출현했고, 이때 데인인들은 해안 도시들을 약탈했고 이후에 교역 도시 도레스타트는 잦은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기에, 프리슬란트는 프랑크인들의 지배를 받았고 9세기 중반에, 데인인 족장 로리크는 네덜란드의 서부 지역 일부를 봉토로 부여받고 그곳에 정착했다."Viking Trade and Settlement in Continental Western Europ" - Frisia in Carolingian Times (Egge Knol), p. 43ff 참조 데인인들은 투르의 그레고리우스 (538–594년)가 데인인의 왕 Chlochilaichus가 6세기 초에 당시 프랑크의 영토였던 프리슬란트를 침입하던 동안에 전사했다고 언급하면서, 훨씬 이전부터 프리슬란트와 연관되어 있을 것이다. = = = 프랑스 = = = 현재 프랑스를 구성하는 곳에 대한 최초로 알려진 바이킹 침략은 아키텐 해안가에서 교전이 발생한 799년에 일어났다. 820년 센강에서 일어난 첫 공격을 포함한, 주로 덴마크 지역 출신의 호전적인 바이킹들과 몇 차례 소규모 산전들이 기록되었지만, 834년이 되어서야 프랑스 내에서 바이킹의 활동이 거대한 규모로 이뤄졌다. 같은 해에, 데인인들은 이 당시 유럽의 소금 교역 중심지였던 누아르무티에섬에 영구 거점을 마련하고, 루아르 계곡으로 대규모 원정대를 보냈다. 다수의 대규모 약탈이 서유럽 해안가와 내륙의 강가를 가로질러 이후 수 십 년 동안 일어났다. 900년대가 시작할 때, 바이킹들은 루앙 인근의 센강 하류 지역에 야영지 및 거점들을 세웠다. 이 무자비한 약탈을 막거나 수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으로, 카롤루스 3세 심플렉스는 911년에 바이킹 족장 롤로와 생클레르쉬레프트에서 조약을 맺고, 롤로와 그의 데인인 부하들에게 현재 노르망디라고 알려진 지역에 대한 권한을 부여했다. 이 조약은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스스로 그 곳에 정착하게끔 했고 다음 몇 세기 동안에, 노르만 문화가 노르망디에서 발생했다.롤로 그 자체는 노르웨이 출신인 것이 유력하고 노르망디에 정착한 이들은 데인인들인 것만은 아니었다. "A History of the Vikings" 참조."Viking Trade and Settlement in Continental Western Europe" 참조. = = 사료 = = 데인인들을 언급하는 사료들은 다음이 있다: 원반여행자 베오울프. 이 시는 대략 500년경 Lejre에서 일어난 사건을 묘사하며 원본은 이 사건 직후에 쓰였을 것이다. 삭소 그라마티쿠스: "데인인의 사적" 12세기에 쓰임. = = 출처 및 참고 서적 = = * Mads Lidegaard (2004): "Hvad troede de på? – religiøse tanker i oldtid og vikingetid" [What did they believe in? – religious thoughts in ancient times and the Viking Age], Gyldendal, Mads Lidegaard (1915–2006) was a prolific writer, teacher and theologian from Denmark. * = 분류:병가의 인물 = = 틀:나라자료 생 투알 = = 투와이스 본 = 투와이스 본은 2012년 공개된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페넬로페 크루즈 에밀 허쉬 = = = 조연 = = = 아드난 해스커빅 사데트 악소이 미라 풀란 피에트로 카스텔리토 제인 버킨 세르지오 카스텔리토 이사벨 아드리아니 브랑코 듀릭 비니시오 마치오니 소냐 베이노빅 후안 카를로스 벨리도 루나 미조빅 루카 드 피리포 브루노 아만도 에미나 무프틱 스벤 메드베섹 메디하 무스리오빅 = = 기타 = = 프로듀서: 세르지오 카스텔리토 공동제작: 알바로 오거스틴 공동제작: 지스라인 바로이스 공동제작: 페르난도 보베라 공동제작: 페넬로페 크루즈 공동제작: 사이먼 드 산티아고 공동제작: 제이미 오티즈 드 아르티나노 라인PD: 구이도 드 로렌티스 조감독: 알렉산드로 파스쿠쪼 미술: 프란체스코 프리게리 세트: 도나토 티엡포 시각효과: 스테파노 마리노니 의상: 소누 미쉬라 배역: 로라 무치노 = 분류:한국의 공작 = = 199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다음은 199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 = 목록 = = 13월의 겨울 B타임의 정사 2 B타임의 정사 3 가슴달린 남자 가위여자 개그특공대 로봇트윈스 거부하는 몸짓으로 저 하늘을 검은 모자 그 섬에 가고 싶다 그 여자, 그 남자 그대품에 아카시아 향기 금병풍월 꾼사냥 꿈의 정사 내가 성에 관해 알고 있는 몇가지 이야기들 내마음에는 악어가 산다 대명 도색부인 돈황제 뜨거운 비 러브호텔 비상구 로맨스 황제 매춘 3 모스크바에서 온 S여인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무정의 제3부두 물랭루즈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배꼽위에 여자 백백교 백한번째 프로포즈 벗어버린 사슬 복카치오 '93 불꽃 슛 통키 비 오는 날 수채화 2 비상구가 없다 뽕띠 사라는 유죄 사라의 계절 사랑의 종합병원 사랑하고 싶은 여자 결혼하고 싶은 여자 살어리랏다 서울 엠마누엘 서편제 성인스 세상 끝의 향기 소녀 18세 신혼여행 특공대 씨내리 아담이 눈뜰 때 아침이 오면 그대 이름으로 암흑가의 무소속 애마부인 8 애마부인 9 야망의 대륙 에로스 에미의 들 여자아리랑 여자의 시대는 끝나지 않는다 여자의 일생 연인들의 멜로디 영구와 공룡 쮸쮸 영웅들의 날개짓 오렌지나라 웨스턴 애비뉴 이혼녀 짧은 여행의 끝 차이나타운 2 참견은 노 ~사랑은 오예~ 첫사랑 키드캅 투캅스 화엄경 홧김에? = = 참고 자료 = = *KOFIC 영화데이터베이스 = H-IIA = H-IIA(H-2A)는 정지궤도 위성을 발사할 목적으로 기존의 H-2를 개량한, 일본의 액체연료기반 중형발사체이다. H-2를 전체적으로 재설계하였다. JAXA의 이전 조직 NASDA와 JAXA에서 주관하며,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제작되었다. 사실상 기술적으로 안정화된 일본의 첫번째 자국산 로켓이다. 2001년에 최초로 발사되었다. H-2 개발에 있어서, 1단 엔진 개발의 노하우가 전혀 없었던 일본은, 미국의 J-2 계열 엔진의 국산화를 시도했던 것으로 보이나, 취급이 까다로운 액체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며, 다단연소사이클 방식으로 작동하는, 당시 최고 성능의 엔진을 개발(제작)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개발만으로 10년이나 걸렸다. 이는 결국 실패하였다. 설계 미스에 의한 엔진의 터보펌프 이상으로, 로켓의 비행중 추락으로 이어졌다. 상단인 LE-5는 납땜 실수로 엔진에 불이 붙기도 하였다. 결국, 폭등하는 개발비와, 기술적 안정화 실패로 인하여 H-2는 퇴역하였다. 이후 미국산 등의 부품 및 기술원조를 토대로 기술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 H-2A이다. 주력 1단 엔진 LE-7A는, 기술적으로 불안정한 엔진 LE-7을, 미국의 기술원조를 토대로 개량한 것으로 추측된다. 1단 산화제 및 연료탱크는 독일 MT 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하고, 2단 산화제 및 연료탱크는 미국 보잉사가 공급한다. 고체연료부스터(SRB)는 미국 티오콜(현재는 노스럽그루먼)이 공급하는 캐스터120(SR-118)이다. 이는 소형 고체발사체 엡실론 로켓의 1단 고체로켓모터로도 사용된다. 소형 보조 고체연료부스터(SSB) 역시 티오콜(노스럽그루먼)이 공급하는 캐스터4이다. 매우 고가였기 때문에 수입을 멈추었다. "고비용 저효율"은 일본의 우주산업 및 방위산업이 오랫동안 지적 받아온 고질적인 문제점이다. 개발 및 제작비용을 낮추기 위한 생산 방식으로는 보이나, 이러한 생산 방식의 H-2A/B는, 사실상 일본의 "자국산" 로켓이라고 부르기는 애매하다. 타국 기준으로는, 자국산 로켓으로 간주하지 않을 소지도 충분히 있다. 일본에서는 차기 주력 로켓 H3 형을 개발하여 2023년 이후 쏘아 올릴 예정이지만, H3 형 로켓의 개발에 성공해도 몇 개의 정찰 위성과 과학 관측 위성은 H-2A 로켓으로 쏘아 올릴 예정이다아사히 신문20200911기사. 2023년 기준으로 일본의 주력 발사체이다. = = 제원 = = *발사능력 LEO: *202: 10,000 kg *2022: 10,740 kg *2024: 11,730 kg *204: 15,000 kg SSO: *202: 3,600 kg (여름) - 4,400kg (겨울) GTO (표준): 궤도 경사각 28.5°, 근점 250km ΔV to GSO 1,830 m/s: *202: 4,100 kg *2022: 4,500 kg *2024: 5,000 kg *204: 6,000 kg GTO (Long-coast): 궤도 경사각 20°, 근점 3,000km ΔV to GSO 1,500 m/s: *202: 1,700 kg (TF1 - F28) - 2,900kg (F29 -) *204: 2,300 kg (TF1 - F28) - 4,600kg (F29 -) = = 발사 기록 = = 날짜(UTC) 비행 버전 탑재체 결과 2001년 8월 29일 07:00:00 TF1 H2A202 VEP 2 LRE 성공 2002년 2월 4일 02:45:00 TF2 H2A2024 VEP 3 MDS-1 (Tsubasa) DASH 성공 2002년 9월 10일 08:20:00 F3 H2A2024 USERS DRTS (Kodama) 성공 2002년 12월 14일 01:31:00 F4 H2A202 ADEOS 2 (Midori 2) WEOS (Kanta-kun) FedSat 1 Micro LabSat 1 성공 2003년 3월 28일 01:27:00 F5 H2A2024 IGS-Optical 1 IGS-Radar 1 성공 2003년 11월 29일 04:33:00 F6 H2A2024 IGS-Optical 2 IGS-Radar 2 실패 2005년 2월 26일 09:25:00 F7 H2A2022 MTSat-1R (Himawari 6) 성공 2006년 1월 24일 01:33:00 F8 H2A2022 ALOS (Daichi) 성공 2006년 2월 18일 06:27:00 F9 H2A2024 MTSat-2 (Himawari 7) 성공 2006년 9월 11일 04:35:00 F10 H2A202 IGS-Optical 2 성공 2006년 12월 18일 06:32:00 F11 H2A204 ETS-VIII (Kiku 8) 성공 2007년 2월 24일 04:41:00 F12 H2A2024 IGS-Radar 2 IGS-Experimentally Optical 3 성공 2007년 9월 14일 01:31:01 F13 H2A2022 SELENE (가구야) 성공 2008년 2월 23일 08:55:00 F14 H2A2024 WINDS (기즈나) 성공 2009년 1월 23일 3:54:00 F15 H2A202 GOSAT (Ibuki) SDS-1 STARS (Kūkai) KKS-1 (Kiseki) PRISM (Hitomi) Sohla-1 (Maido 1) SORUNSAT-1 (Kagayaki) Sprite-Sat (Raijin) 성공 2009년 11월 28일 1:21:00 F16 H2A202 IGS-Optical 3 성공 2010년 5월 21일 21:58:22 F17 H2A202 PLANET-C (아카츠키) IKAROS UNITEC-1 (신엔) WASEDA-SAT2 네가이☆″ K-SAT (Hayato) 성공 2010년 9월 11일 11:17:00 F18 H2A202 QZS-1 (Michibiki) 성공 2011년 9월 23일 04:36:50 F19 H2A202 IGS-Optical 4 성공 2011년 12월 12일 01:21:00 F20 H2A202 IGS-Radar 3 성공 2012년 5월 17일 16:39:00 F21 H2A202 GCOM-W1 (Shizuku) KOMPSAT-3 (아리랑 3호) SDS-4 HORYU-2 성공 2013년 1월 27일 04:40:00 F22 H2A202 IGS-Rader 4 IGS-Experimentally Optical 5 성공 2014년 2월 28일 12:37:00 F23 H2A202 GPM SindaiSat (Ginrei) STARS-II TeikyoSat-3 ITF-1 OPUSAT INVADER KSAT2 성공 2014년 5월 24일 21:05:14 F24 H2A202 ALOS2 (Daichi2) SPROUT RISING-2 UNIFORM-1 SOCRATES 성공 2014년 10월 7일 05:16:00 F25 H2A202 히마와리 8호 성공 2014년 12월 3일 04:22:04 F26 H2A202 Hayabusa2 Shin'en 2 ARTSAT2-DESPATCH PROCYON 성공 2015년 2월 1일 01:21:00 F27 H2A202 IGS-Rader Spare 성공 2015년 3월 26일 01:21:00 F28 H2A202 IGS-Optical 5 성공 2015년 11월 24일 06:50:00 F29 H2A204 Telstar 12 Vantage 성공 2016년 2월 17일 08:45:00Jaxa,PressRelease,F30 F30 H2A202 ASTRO-H (Hitomi) Horyu4 ChubuSat-2 ChubuSat-3 성공 2016년 11월 2일 06:20:00jaxa PressRelease,F31 F31 H2A202 히마와리 9호 성공 2017년 1월 24일 07:44:00Jaxa,PressRelease,F32 F32 H2A204 기라메키 2호 성공 2017년 3월 17일 01:20:00Jaxa,PressRelease,F33 F33 H2A202 IGS-Rader 5 성공 2017년 6월 1일 00:17:46Jaxa,PressRelease,F34 F34 H2A202 QZS-2 (Michibiki2호) 성공 2017년 8월 19일 05:29:00Jaxa,PressRelease,F35 F35 H2A204 QZS-3 (Michibiki3호) 성공 2017년 10월 9일 22:01:37Jaxa,PressRelease,F36 F36 H2A202 QZS-4 (Michibiki4호) 성공 2017년 12월 23일 01:26:22Jaxa,PressRelease,F37 F37 H2A202 GCOM-C (Shikisai) SLATS (Tsubame) 성공 2018년 2월 27일 04:34:00Jaxa,PressRelease,F38 F38 H2A202 IGS-Optical 6 성공 2018년 6월 12일 04:20:00Jaxa,PressRelease,F39 F39 H2A202 IGS-Rader 6 성공 2018년 10월 29일 04:08:00Jaxa,PressRelease,F40 F40 H2A202 GOSAT-2 (Ibuki-2호) KhalifaSat 소형위성×4 성공 2020년 2월 9일 01:34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Release,F41 F41 H2A202 IGS-Optical 7 성공 2020년 7월 19일 21:58:14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Release,F42 F42 H2A202 아말 (화성 탐사선) 성공 2020년 11월 29일 07:25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NewsRelease,F43 F43 H2A202 광 데이터 중계위성 성공 2021년 10월 26일 02:19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NewsRelease,F44 F44 H2A202 QZS-1후계기 성공 2021년 12월 22일 15:32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 INFORMATION,F45 F45 H2A204 Inmarsat-6 F1 성공 2023년 1월 26일 10:50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 INFORMATION,F46 F46 H2A202 IGS-Radar 7 성공 = = = 발사 예정 = = = 날짜 탑재체 2022년 4월 - 2023년 3월 X 선 천문 위성 대체 기계 (XRISM) 소형 달 착륙선 실증기 (SLIM) 2023년 4월 - IGS-Optical 8 2023년 4월 - IGS-Radar 8 2023년 4월 - 온실 가스 관측 기술 위성 3 호기 "이부키 3 호 '(GOSAT-3) = = 더 보기 = = 하야부사 (우주선) 일본의 항공우주개발 연혁 = 분류:승호군 = = 서일고등학교 (대전) = 서일고등학교(西一高等學校)는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2년 4월 19일 : 학교법인 석봉학원 설립인가, 염종건 이사장 취임 1982년 10월 23일 : 서일상업고등학교 24학급 인가, 초대 류승권 교장 취임 1983년 3월 10일 : 개교 및 입학식 1986년 9월 27일 : 서일고등학교 개편 인가 1996년 4월 23일 : 24학급에서 30학급 증설 인가 2007년 10월 17일 : 제2대 염성수 이사장 취임 2015년 3월 3일 : 제6대 김오중 교장 취임 2021년 1월 12일 : 제36회 졸업식 (총 졸업생 12,779명, 제36회 185명) 2021년 3월 2일 : 제39회 입학식 (190명) = 분류:불가리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 분류:우루과이계 아랍인 = = 분류:발레아레스 제도의 지리 = = 응우옌르 = 응우옌르(Nguyễn Lữ), 작위는 동딘브엉(Đông Định vương),1754년 ~ 1787년)은 떠이선 왕조의 군주 응우옌냑의 남동생이다. = 스미카 스미레 = 스미카 스미레은 타카나시 미츠바의 일본 만화이다. 2016년에 TV 아사히 계열에서 키리타니 미레이 주연으로 드라마화됐다. = = 줄거리 = = 키사라기 스미는 엄격한 친부를 거스르지 못하고 어렸을 때부터 집 일을 도와줬으며, 할머니를 간호와 가사를 위해서 고등학교를 중퇴, 머지않아 부모 간호를 계속하고 사랑을 모른 채로 60세가 됐다. 친모가 사망하고 드디어 자신만의 시간이 생겼다고 해도 뭘 하고 싶은지를 몰랐다. 친모 사진을 찾고 있던 키사라기 스미는 어렸을 때 자신이 무서워해서 친모가 치웠던 제비붓꽃과 검은 고양이가 그려진 낡은 병풍을 찾는다. 테두리에 손이 베이며, 그림에 피가 튀어버리지만 지워진다. 잘못본 것이라고 잘못본 것이라고 생각한 키사라기 스미였지만 그 날 밤에 병풍에서 나타난 검은 고양이는 레이라는 이름으로 남자의 얼굴로 모습을 바꾸고 봉인을 풀어준 주인 키사라기 스미의 소원을 이뤄준다고 했다. 레이로부터 생기를 나눠받고 60세에서 17세 여자 고등학생으로 젊어진 스미는 키사라기 스미레라는 이름을 갖게 되며 가까운 고등학교로 전입한다. 레이의 도움을 받으면서 청춘을 구가하는 스미레는 반 친구인 마시로 유세이와 사귀게 되며 첫 남녀교제에 마음이 설레였다. 어느날, 유세이의 집에서 개의 출산할 때 같이 있던 스미레가 말한 어떤 말로 마시로가의 창고에 있던 병풍에서 요염한 여성 시로유키가 나타난다. 그 병풍은 레이의 병풍과 한 쌍을 이루는 레이의 약혼자가 봉인되어 있던 것이였다. 시로유키는 약혼자인 자신보다 스미레를 우선시하는 레이에 초조함을 느끼면서도 레미를 따라서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 마시로가의 가정부가 된다. 시간이 흐르고 스미레는 3학년이 된다. 대학 진학을 결정한 스미레는 유세이와 함께 수험 공부를 한다. 유세이가 지망 대학 합격이 정해지고 머지않아 연락이 두절돼서 걱정된 스미레가 집에 전화해서 유세이가 입원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유세이의 검사 결과는 희귀한 심장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대로는 유세이가 살아갈 수 없을 것을 알게 된 스미레는 레이가 자신을 위해서 나눠준 생기를 유세이게 주고 싶다고 한다. 시로유키는 기를 유세이에게 주면 스미레는 다시 60세로 돌아가는데 그래도 좋냐고 물어보는데... = = 등장 인물 = = 키사라기 스미() / 키사라기 스미레() 레이() 마시로 유세이() 요시노고 치아키() 코사카 아리사() 후쿠야() 오구라() 유키시로() = = 드라마 = = 스미카 스미레: 45세 젊어진 여자는 2016년 2월 5일부터 3월 25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11시 15분부터 12시 15분까지 방송하는 TV 아사히의 드라마이다(단, 일부 지역에서는 방송 시간이 다르다마이니치 방송(ABC)은 토요일(금요일 심야) 오전 12시 24분부터 1시 24분까지, 시즈오카 아시히 TV(SATV)는 금요일 오후 11시 45분부터 12시 45분까지이다.). 키리타니 미레이가 주연이다. = = = 등장 인물 = = = = = = = 주요 인물 = = = = 스미카 스미레 역 : 키리타니 미레이 - 스미카 스미레의 20세 모습, 츠바키오카 대학의 쿠로사키 세미나 소속 스미카 스미 (65세) 역 : 마츠자카 케이코(아역 : 신타 마키) 레이 역 : 오이카와 미츠히로 - 요괴 고양이 마시로 유세이 : 마치다 케이타 - 츠바키오카 대학 2학년 아마노 소운() 역 : 코히나타 후미요 - 주지 스님 = = = = 츠바키오카 대학 쿠로사키 세미나 = = = = 코사키 아리사 역 : 미즈사와 에레나 츠지이 켄토() 역 : 타케우치 료마 요시노고 치아키 역 : 아키모토 사야카 카토 나나() 역 : 코이케 리나 - 코사키 아리사의 친구 쿠로사키 아키오() 역 : 코스다 야스토 - 교수 오우라 레나() 역 : 타니가와 리사코 - 코사키 아리사의 친구 니시하라 미오() 역 : 코마키 마코 - 1학년 = = = = 그 외 = = = = 아마노 케이와() 역 : 타카스기 마히로 - 아마노 소운의 아들 시로유키 역 : 코니시 마나미 - 요괴 고양이, 레이의 약혼녀 카노 료() 역 : 카지타니 모모코 - 아마노 케이와의 여자친구 오구라 토미코() 역 : 타카하시 히토미 - 카시라기의 이웃 요시다 요시에() 역 : 타테이 료코 - 스미의 고등학생 시절까지의 소꿉친구 카츠타 히토시() 역 : 야베 켄지 카와노 유키코() 역 : 니시하라 아키 - 스미레의 회사 선배 쿠리하라 토모카() 역 : 야마다 안나 - 학생 사이온지 레이카() 역 : 마츠나가 히로코 - 마시로 유세이의 맞선 상대 미야기 마리나() 역 : 이토 카즈에 - 대여배우 주리 크리스 크로스 키즈 토루 츠지 시노부 사쿠라이 히지리 카에츠 케이토 마나카 노아 츠츠이 에리나 아키야마 유지 이케다 유나 우라노 토모야 오카 타츠야 사사키 시호 나가타 하야토 하세가와 타쿠미 무라카미 요헤이 바바 료마 타케다 코헤이 = = = 스태프 = = = 원작 - 타카나시 미츠바 각본 - 후루야 카즈나오, 시마다 우레하 음악 - 이케 요시히로 주제가 - 하타 모토히로 〈제비꽃〉(Ariola Japan / Augusta Records) 내레이션 - 야마자키 타케히코 병풍 그림 - 야마자키 유미 스턴트 코디네이트 - 다이도지 토시노리 홍보 - 나오키 마나미 편성 - 이다 소, 이시다 나호코 스케줄 - 카와무라 나오키 연출 보조 - 후지타 토모히로 예고 PR - 미야오카 타로 프로듀서 보조 - 칸다 에미이 아키코, 사사키 유미코 제너럴 프로듀서 - 요코치 이쿠에이 (TV 아사히) 프로듀서 - 오에 타츠키 (TV 아사히), 진츠 츠토무 (MMJ) 연출 - 이마이 카즈히사 (MMJ), 코마츠 타카시 (MMJ), 미야오카 타로 제작 - TV 아사히, MMJ = = = 방송 일정 = = = 화수 날짜 날짜 부제목 화수 TV 아사히 채널W 부제목 제1화 2월 5일 2월 17일 제2화 2월 12일 2월 24일 제3화 2월 19일 3월 2일 제4화 2월 26일 3월 9일 제5화 3월 4일 3월 16일 제6화 3월 11일 3월 23일 제7화 3월 18일 3월 30일 제8화 3월 25일 4월 6일 = = = 원작 만화와 다른 점 = = = 스미의 나이는 65세, 스미레의 나이는 20세 여대생이다. 그래서, 젊어져서 편입하는 것은 고등학교가 아닌 어렸을 때 합격했던 대학교로 변경됐다. 또, 스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도 합격했지만 집 안의 사정으로 입학할 수 없게 된 설정이다. 레의 봉인이 완전히 풀리지 않았기 때문에 자시(오후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 동안은 젊어지기 전의 원래 모습이 되는 드라마 오리지널 설정이 들어갔으며 스미와 스미레가 빈번하게 번갈아가며 등장한다(원작에는 그런 요소는 없다). 아마노 소운과 아마노 케이와, 카노 료는 드라마에만 등장하는 오리지널 캐릭터이며 그들의 활약 에피소드도 추가되어 있다. 회사를 들어가도 시로유키는 독신이다. (원작에서는 시로유키는 결혼 후 쌍둥이를 출산하고 있다. ) 드라마 7화까지로 스토리가 원작을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드라마 8화는 원작을 살린 드라마 오리지널 스토리이다. 원작에서는 대학 진학을 학비를 만들기 위해서 고등학교 졸업 시에 스미가 살고 있던 집을 매각했는데 회사를 들어가서는 스미레는 임대 아파트에 살고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집을 매각시키지 않고 회사를 들어가도 스미레는 생가에서 계속 살고 있다. = 분류:엘살바도르의 축구 리그 = = 이언 볼 = {{음악가 정보 }} 이언 토머스 볼Ball biodata, swedishcharts.com; accessed 10 August 2014(, 1975년 10월 19일 ~ 현재)"It was Ball's 33rd birthday" , 19 October 2008; accessed 10 August 2014.은 잉글랜드의 음악가로, 인디 록 밴드 고메즈의 보컬이자 기타리스트 멤버로 유명하다. 현재 두 개의 솔로 음반을 냈으며, 14명이 속해있는 슈퍼그룹 오퍼레이션 알로하에서도 같은 고메즈의 멤버인 올리 피콕과 함께 음반에 참여하였다.Operation Aloha (album)Gomez listing , 53degrees.net; accessed 10 August 2014. = = 디스코그래피 = = 《Who Goes There》 (2007) 《Unfold Yourself》 (2013)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종목은 2000년 9월 13일부터 9월 28일까지 진행되었다. = = 진출국 = = 오스트레일리아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다.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서 8강전에 진출했던 8개 팀들 가운데 7개 팀은 자동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FIFA 여자 월드컵 준결승전에 진출했던 미국, 중국, 브라질, 노르웨이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탈락했던 팀들 가운데 성적이 좋은 3개 팀인 나이지리아, 독일, 스웨덴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 * * * * * * * = = 조별 리그 = = = = = E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3 0 0 6 1 +5 9 3 2 0 1 5 3 +2 6 3 0 1 2 1 4 -3 1 3 0 1 2 2 6 -4 1 = = = F조 =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3 2 1 0 6 2 +4 7 3 2 0 1 5 4 +1 6 3 1 1 1 5 4 +1 4 3 0 0 3 3 9 -6 0 = = 결선 토너먼트 = = = = = 준결승전 = = = = = = 3·4위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우승 팀 노르웨이1번째 우승 = 틀:안동시 = = 2011년 고정임기 의회법 = 2011년 고정임기 의회법 (Fixed-term Parliaments Act 2011, c. 14)은 영국 의회에 관한 법으로 웨스트민스터 의회에 고정임기 선거를 도입했다. 법 조항에 근거하여 2015년부터 매 5년마다 의회 선거가 열려야 한다. 고정임기 의회법은 2011년 9월 15일에 여왕의 재가를 받았다. 고정임기 의회제는 사전에 일찍이 설정된 일정에 따라 총선을 정규적으로 치루도록 하는 것으로, 2010년 총선 이후 조인된 보수-자민 연합협약에 담긴 사항 중 하나였다. = = 배경 = = 이 법이 통과되기 전까지 영국 의회는 국왕 특권에 따른 국왕의 선언으로 해산이 이뤄질 수 있었다. 즉, 원래는 영국 국왕이 의회의 해산 시기를 결정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영국 국왕은 총리의 건의에 따라서만 행동에 나서게 되었고, 19세기에 이르면서부터는 총선 시기를 조정하는 막대한 권한이 '사실상' 총리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1715년 칠년법은 영국 의회를 소집된 지 7년 뒤에 임기가 끝나도록 했으며, 이 임기는 1911년 의회법을 통해 5년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당시 소집된 의회의 임기 연장 특별법이 제정됐던 때만 제외하면, 영국 의회는 임기 종료 전마다 매번 국왕이 해산했기 때문에 법령 최대 기간을 채운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이 최대 기간 5년은 의회 임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총선 사이의 간격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010년 총선은 2005년 총선을 치른 지 5년 하고도 하루 뒤에 치러졌지만, 1992년 총선은 1992년 4월 9일에 열렸으나 그 다음 총선은 1997년 5월 1일이 되어서야 치러졌다. = = 조항 = = 고정임기 의회법 제 3조 1항은 처음엔 의회가 총선 투표일로부터 평일 기준 14일 전에 자동으로 해산되어야 한다고 밝혀놓고 있었다. 이 부분은 곧이어 2013년 선거등록 관리법을 통해 평일 25일 전으로 개정됐다. 제 1조는 선거일에 관한 조항으로, 2015년 5월 7일을 시작으로 이전 총선으로부터 매 5년이 되는 해의 5월 첫째 주 목요일로 명시했다. 영국 총리는 제 1조 5항에 근거한 행정위임입법 시행령을 통해 총선일이 해당 날짜로부터 두 달 뒤까지 연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 행정위임입법은 양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2조에서도 이 5년 기간이 끝나기 전에 조기 총선을 치룰 수 있는 경우를 두 가지로 명시해 놓았다. 하원에서 "본 의회는 여왕 폐하의 정부에 신임하지 않음"이라 의결한 경우. 다만 하원에서 곧바로 "본 의회는 여왕 폐하의 정부를 신임함"이라고 다시 의결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그 두번째 신임 의결은 처음 불신임 의결이 이뤄진 날로부터 14일 내에 이뤄져야 한다. 하원에서 의석 정원에 3분의 2 (공석 포함)의 찬성으로 "조기 의회 총선거를 치룰 것"이라 의결한 경우. 이 두 가지 경우에 해당되면 국왕이 (총리의 추천에 따라) 새 선거일을 지정 포고한다. 그런 다음 의회는 그 선거일로부터 평일 25일 전에 해산된다. 고정임기 의회법은 소수당 정부가 들어설 때 신임공급 협약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과거보다 더욱 안정되게 만들었다. 공급 철회, 개원연설 및 그밖의 중요 의정활동 불가, 내각 전체가 아닌 총리 대상의 불신임 표결 등, 이전에 정부가 실권을 잃도록 만들었던 일들도 사라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제 3조 2항은 조기 총선이든 평상시의 총선이든 그에 대비한 자동 해산을 제외하고 "의회는 그 밖의 다른 경우로 해산되지 아니한다"고 명시했다. 이로써 고정임기 의회법은 그간 전통으로 이어져온 의회를 해산시키는 국왕 특권을 없애고, 국왕 특권과 관련된 여타 법령은 물론 1715년 칠년법도 폐지하게 되었다. = = = 검토 = = = 제 7조 4항부터 6항까지는 법의 이행을 검사하고 적절한 경우에는 개정이나 폐지를 권고할 위원회를 설치할 의무가 총리에게 있다고 밝혀 놓았다. 이 위원회는 2020년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립되어야 하며 그 위원 중 절반은 하원 의원이어야 한다. = = 논의 = = 하원에 법안이 발의됐을 때, 닉 클레그 당시 부총리는 "총리께서 의회가 해산될 날을 설정하려고 다음 총선일을 고르고 선택할 권한은 내려놓고 있는데, 영국 정치에선 정말 처음 있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처음에 여당 쪽에서는 해산에 필요한 의원수를 정원의 55%로 하는 "보강된 과반"으로 하자고 제안했으나 법에 반영되지는 못했다. 법에 있는 5년 임기를 4년으로 한정하자는 개정안도 노동당, 플라이드 컴리,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지지를 받았으나 부결됐다. 다만 제 4조에서 스코틀랜드 의회의 총선일이 영국 총선일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날짜를 2015년 5월 7일에서 2016년 5월 5일로 연기했다. = = 더 보기 = = 인민 협약 입법 회기 = 틀:다국어 표기2/설명문서 = 이 곳을 지우고 틀의 기초적인 정의 등을 작성하세요. __TOC__ = = 사용법 = = {{다국어 표기2 }} = 바이오니클 4 - 전설의 부활 = 바이오니클 4 - 전설의 부활(Bionicle: The Legend Reborn)은 미국에서 제작된 마크 밸도 감독의 2009년 애니메이션, 액션, 모험, SF 영화이다. 디 브래들리 베이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크리스티 스캔랜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디 브래들리 베이커 제프 베넷 = = = 조연 = = = 짐 커밍스 마이클 돈 마크 페미그리에티 데이빗 레이슈어 아민 쉬머만 말라 소콜로프 프레드 타타시오르 제임스 아놀드 테일러 = = 제작진 = = Line PD: 데니스 에드워즈 배역: 헤이디 클레인 = 효양도서관 = 효양도서관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시립 도서관이다. 현 보유 도서는 119,685권 2021년 3월 31일 기준이다. = = 연혁 = = 2014년 3월 31일 개관 = = 이용 안내 = = 종합자료실: 평일 09:00~20:00 / 토·일요일 09:00~18:00 디지털자료실: 평일 09:00~20:00 / 토·일요일 09:00~18:00 노트북열람실: 평일 09:00~20:00 / 토·일요일 09:00~18:00 어린이자료실: 매일 09:00~18:00 일반열람실: 매일 08:00~23:00 정기휴관일: 매주 금요일 및 법정 공휴일 (단, 금요일의 경우 일반열람실 개방) 임시휴관일: 도서의 정리, 점검 및 내부수리 등 필요한 사유가 있는 경우 = 조정권 = 조정권(趙鼎權, 1949년 2월 22일 ~ 2017년 11월 8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서울 출생이며, 1970년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녹원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을 수상하였으며, 시집 비를 바라보는 일곱가지 마음의 형태,시편 등을 출간했다. 2017년 11월 8일, 68세를 일기로 숨졌다. = = 상훈 = = 조정권은 다음의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1985년 녹원문학상 1987년 한국시인협회상 1991년 김수영문학상 1992년 소월시문학상 1994년 현대문학상 2006년 김달진문학상 2011년 목월문학상 = 이치마루 미즈키 = 이치마루 미즈키(1997년 5월 8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J1리그의 감바 오사카에서 뛰고 있다. = 포 퀸 = 포 퀸(faux queen)은 주로 드래그 퀸(drag queen) 역할을 하는 여성들을 의미한다. 드래그 퀸은 대부분 남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남자들은 여장을 하여 여성성을 과하게 부각시키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 등을 풍자하는 일을 한다. 포 퀸은 남자가 아닌 여자가 이 일을 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포 퀸들은 퍼포먼스 아티스트들이며 주로 LGBTQ 단체 등과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성적 편견을 깨기 위해 활동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바이오 퀸(bio queen), 디바 퀸(diva queen) 등이 있다. 드래그 퀸들은 게이, 즉 동성애 문화와 많은 관련이 있는데, 그런 이유 때문에 포 퀸들은 오랜 시간 드래그 문화에서 배척받아 왔다. 그러나 드래그의 인기가 높아지며(대표적으로 에미상 수상 리얼리티 쇼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RuPaul's Drag Race가 있다) 포 퀸들의 영역도 차츰 넓어지고 있다. = 분류:우즈베키스탄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 분류:1989년 불가리아 = = 이달용 (1948년) = 이달용(1948년 4월 28일 경기도 평택 - )은 한국의 금융인이다. 외환은행부행장과 은행장 직무대행을 역임했다. = = 학력 및 경력 = = = = = 학력 = = = 서울대학교 철학 학사 = = = 경력 = = = 2002년 하나은행 방카슈랑스 준비위원장 부행장보 2002년 한국외환은행 부행장(CFO) 2003년 한국외환은행 기획담당 부행장 2003년 ~ 2004년 한국외환은행 은행장 직무대행 2004년 1월 ~ 2004년 4월 한국외환은행 부행장(CFO) = 각시취 = 각시취(Saussurea pulchella)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 = 이름 = = 신부의 상징색이 붉은 계열이다 보니, 각시취의 짙은 분홍·자주·보랏빛 예쁜 꽃을 보고 각시를 붙였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흔히 ‘각시’는 각시수련, 각시붓꽃, 각시원추리 등의 쓰임을 볼 때 작고 연약하고 예쁜 풀꽃에 붙이는데, 각시취는 키도 크고 튼튼해 보이는 점이 좀 다르다. ‘취’는 나물을 뜻하는데, ‘채’(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학명 역시 아름다운 또는 귀여운 취라는 뜻이다. 잎에 털이 있어서 참솜나물이라는 별명도 있으며, 구화풍모국, 미미풍모국, 각씨취, 나래취라고도 부른다. = = 분포 = = 한국·일본·중국 북동부·동시베리아·사할린 등지에 퍼져 있으며,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산다. = = 생태 = = 줄기 높이는 30~150cm로 곧게 자라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 달린 잎과 밑동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진다.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가 15cm 정도로 긴 타원형이며 깃꼴로 6~10쌍씩 갈라진다. 양면에 털이 나고, 뒷면에는 액이 나오는 점이 있다. 8~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자주색 꽃이 피는데, 총포는 지름 10mm 정도로 둥글고, 총포조각 앞쪽은 막질로 담홍색 부속체가 있다. 화관의 길이는 11~13mm이며, 산방상이다. 열매는 10~11월경에 달리고 자줏빛이 돌며 길이가 0.7~0.8cm 정도 되는 갓털이 두줄로 있다. 수과로 길이 3.5~4.5mm이고 자주색이 돈다. = = = 비슷한 식물 = = = 비슷한 풀로 흰색 꽃이 피는 흰각시취(Saussurea pulchella for. albiflora), 원줄기에 날개가 없고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가는각시취(Saussurea pulchella for. lineariloba)가 있다. = = 쓰임새 = = 참취, 수리취, 분취처럼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도 쓰이는데 식물체 전체를 말려 관절염, 설사, 타박상 등에 처방한다. 기다란 줄기, 아름다운 꽃색, 긴 개화 기간을 감안하면 관상용 식물로도 유망하다. 지상부를 ‘미화풍모국’(美花風毛菊)이라 부르며, 약으로 쓴다. 성미는 쓰고(苦), 매우며(辛), 차다(寒). 통증을 그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며 열을 내리는 데 효능이 있다. = = 관리 및 번식법 = = 관리법 : 토양이 비옥한 화단에 심는다.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번식법 : 11월에 받은 종자를 이듬해 봄 화단에 뿌린다.정연옥·박노복·곽준수·정숙진, <<야생화도감[가을편]>>, 푸른행복, 2009년, 25쪽 = 립서비스 (음악 그룹) = 립서비스는 대한민국의 걸 그룹이다. 그러나 2016년 이후 아무런 활동이 없다가 2017년에 해체 했다. = = 음반 목록 = = 리얼리티 (2014) 돈비싸 (2014) 유치뽕 (2014) 봄 되면 어쩌나 (2015) 오늘부터 사랑해 (2015, 오늘부터 사랑해 OST) Hello (2016) = = 수상 및 후보 = = 2014년 제22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K-POP 신인상 = 자넨 = 자넨은 스위스 베른주에 있는 자치체이다. 오버지멘탈-자넨구의 수도이다. = Anthology: Through the Years = Anthology: Through the Years는 2000년 10월 31일에 발매된 톰 페티의 음반이다. MCA Inc.에 의해 발매되었다. = 방하리 = 방하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芳荷里)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방하리(方下里)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芳下里) = 티파티 운동 = 티파티 운동은 2009년 미국에 여러 길거리 시위에서 시작한 보수주의 정치 운동이다. 이 운동의 이름은 보스턴 차 사건의 영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미국의 진보성향 시민단체인 무브온과는 대립되는 입장이다. 보스턴 티 파티를 시민 저항운동으로 규정하고 이들 '티 파티' 단체 회원들은 자신들이 시민 저항운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의료보험 개혁정책에 반발하여 등장했고, 주요 지지세력은 미국 남부/중부 지방이다. = = 사상 = = 티파티 운동가들은 개인, 작은 정부, 미국 역사의 가치와 전통 존중 등을 강조한다. 이들은 큰 정부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정부가 부과하는 제약들이 작아지기를 바란다. 그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는 복지라는 명목으로 중산층, 부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행위가 부자들을 강탈하고 중산층을 지배와 예속에 영원히 제약시키는 행동으로 귀결된다고 보는 것이다. = = 대표적인 인물 = = 대표적인 티파티 운동가로는 세라 페일린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전국민 의료보험, 사회 보장 제도 등을 비롯한 복지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 = 비판과 논란 = = = = = 인종차별주의 논란 = = = 티파티 운동은 인종차별 활동으로 인해 비판받고 있다. 미국의 진보성향 단체들과 언론들은 티파티가 인종차별 단체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그들은 2009년 당시 티파티 단체의 회원인 로버트슨 데일이 "깜둥이"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있었다는 것을 들고 있다. 티파티 단체 지역 지도자 중 한 명인 마크 윌리엄스는 '유색인'(Colored People)이라는 용어를 거리낌없이 사용하고 "우리(흑인)는 해방을 바라지 않았다. 자유란 일하고 보상받을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이건 우리가 요구한 게 아니다"로 편지로 주장하여 티파티 본회에서 퇴출되었다. = = = 티파티 운동가 측의 반박 = = = 티파티 측은 이 단체는 인종차별 단체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티파티에 비록 극소수이지만 흑인 회원이 있으며 그들은 단지 "더 적은 세금을 위해 참가한다"고 해명했다. = = = 모순적 행보와 관련된 비판 = = = 티 파티 운동은 자유지상주의를 외치면서 모순적이게도 세속주의를 강력히 반대하며, 미국은 기독교적인 나라라고 주장하며, 기독교적 전통을 유지하려고 한다고 지적받은 바 있다. = = = 무분별한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 = = 티파티 회원들의 극단적인 신자유주의 성향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고, 이들의 주장은 경제적 평등을 심각하게 훼손하기 때문에 극우 단체라고 비판받은바 있다. = 고래 (노래) = 고래는 대한민국의 개그맨 겸 가수인 박명수와 그룹 카라의 멤버 니콜, 그리고 작곡가 그룹 이트라이브가 함께한 프로젝트 그룹 "명콜드라이브"의 첫 번째 싱글이다. = 김선령 = 김선령은 대한민국의 촬영 감독이다. 2004년 미국영화연구소 American Film Institute (AFI), 촬영 석사(Master of Fine Arts in Cinematography)를 졸업했다. 국내 최초로 무압축 하드디스크 촬영 방식을 도입한 영화로 첫 커리어를 시작했다. = = 작품 = = = = = 촬영 = = = 영화 <노무현입니다> 촬영감독/ 2017 영화 <나는 증인이다> 촬영감독/ 중국/ 2016 BBC 다큐 촬영감독/영국/2016 3D 단편영화 <소년병> 촬영감독/ 2015 영화 <남자사용설명서> 촬영감독/ 2012 EBS다큐프라임 <서양음악기행, 음악기행> 6부작/ 촬영감독/ 2013-2015 디스커버리 채널 촬영감독/2011 BBC 다큐 촬영감독/영국/2007-2010 영화 <블라인드> 제2촬영감독/ 2011 디스커버리 채널 촬영감독/ 이란/ 2008 영화 <마음이...> 촬영감독/ 2006 EBS <한국독립운동사> 10부작 / 촬영감독 / 2005 아리랑 TV <미스터리 아시아 - 닌자, 관상> 감독 & 촬영감독/ 2004 JTBC <전체관람가> 4회 - <랄라랜드> 촬영감독 / 2017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영화 촬영감독 / 2018 = = 이력 = =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CGK) 공동대표 한국영화진흥위원회 기술자문위원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영상예술대학 초빙교수 (2014. 3. - 2017. 8.)동서대학교 영화과 김선령 교수 부산국제영화제 Asian Film Academy (AFA) 촬영수퍼바이저 (2005-2015) 한-ASEAN 차세대영화인재육성사업(FLY2016) 촬영강사 (2016) 한국영화아카데미 초빙교수 (2006 - 2012)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2008 -2014) 서강대 영상대학원 "촬영의 이론과 실제" 초빙교수 (2011 -2012) C47 post studio DI 수퍼바이저 및 컬러리스트 (2009 -2010) 제일기획/삼성영상사업단 Q채널 연출PD (1993 -1999) = 이광현 (펜싱 선수) = 이광현(李侊炫, 1993년 8월 17일~)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플뢰레이다. 2016년 중국 그랑프리에서 남자 개인전 은메달, 대만 타이페이에서 개최된 201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였고, 2018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남자 개인전 동메달 획득,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하였고,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남자 플러레 단체전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자카르타에 이은 아시안게임 2연패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 화덕헌 = 화덕헌(化德獻, 1965년 8월 8일~)은 대한민국의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원이다. = = 학력 = =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졸업 = = 경력 = = 사진 작가 진보신당 부산시당 해운대구 당원협의회 부위원장 2010.07~2014.06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회 의원 2010.07~2012.07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2010.07~2012.07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회 전반기 주민도시보건위원회 위원 2010.07~2012.07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2.07~2014.06 제6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회 후반기 기획관광행정위원회 위원 노동당 부산시당 이문열 책반환운동 기획자 해운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영위원 메아리 도서관 관장 해운대 바다상점 출판 자원 재사용 디자이너 = = 수상 = = 2010 오늘의 작가상 수상 2017 최우수마을기업(행정자치부 장관상) 수상 = 분류:1165년 출생 = = 왕림로 = 왕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신림면 세곡삼거리에서 고창군 성내면 용전삼거리를 잇는 8,380km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고창군 (신림면 . 성내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세곡삼거리 국도 제23호선(고인돌대로) 고창군 신림면 신림교 고창군 신림면 용전삼거리 지방도 제747호선(낙산로) 고창군 성내면 밤고개로와 직결 밤고개로와 직결 밤고개로와 직결 밤고개로와 직결 밤고개로와 직결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자 = = 니키부촌 = 니키부촌(二木生村)은 에히메현 니시우와군에 설치된 촌이다. = 기원전 213년 = = = 기년 = = 진(秦) 시황제(始皇帝) 34년 = 분류:1555년 군사사 = = 기장역 = 기장역(Gijang station, 機張驛)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동해선의 철도역이다. 광역전철이 운행되며, 모든 무궁화호, ITX-마음이 정차한다. 동해선 복선전철화 사업에 의하여 역사를 태화강 방면으로 약간 이전하였다. 관사 건물은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 역사 = = 1934년 12월 16일 : 동해남부선 해운대 ~ 좌천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19호, 1934년 12월 12일. 1935년 12월 16일 : 보통역으로 승격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08호 1952년 12월 22일 : 공비 내습으로 인해 역사 전소 1957년 5월 10일 : 역사 신축 착공 1957년 7월 31일 : 역사 신축 준공 1994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3-63, 64호 2001년 12월 23일 : 구 역사 개·보수 2006년 11월 15일 : 화물 취급 중지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00호, 2006년 9월 28일 2013년 12월 2일 : 수영 ~ 기장 간 이설사업 개통으로 인해 영업거리를 부산진 기점 30.3 km로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52호 , 2013년 11월 7일. 2016년 6월 27일 : 신 역사 완공으로 역사 이전 2016년 7월 20일 : 구 역사 철거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으로 편입, 영업거리를 부산진 기점 29.6 km로 변경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 2016년 4월 29일., 광역전철 개통 및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21년 12월 28일 보통역으로 승격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 개시 = = 역 구조 =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하며 외선으로는 (1,4번) 일반열차를 취급하고 내선으로는 (2,3번) 광역전철과 통과열차를 취급한다. *반대편횡단: 불가능 = = = 승강장 = = = 광역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신해운대(동해선)/↑ 오시리아(광역전철 동해선) 43 21 태화강(동해선) ↓/일광(광역전철 동해선) ↓ 1 동해선 ITX-마음무궁화호 태화강경주포항동대구강릉청량리 방면 2 동해선 일광남창덕하태화강 방면 3 동해선 오시리아신해운대교대부전 방면 4 동해선 ITX-마음무궁화호 신해운대부전 방면 = = 역 주변 = = 기장중학교 기장군청 기장시장 = = 승차량 변동 = = 역 노선 역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주 석 역 노선 역 노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주 석 동해선 승차 2,063 2,701 3,022 3,329 2,582 2,790 3,378 동해선 하차 1,837 2,597 2,899 3,158 2,484 2,727 3,292 = 분류:벨리즈의 경제 = = 부르캉브레스 아롱디스망 = 부르캉브레스 아롱디스망은 론알프 레지옹의 앵 데파르트망에 있는 프랑스의 아롱디스망이다. 14개의 캉통과 217개의 코뮌이 있다. = = 행정 구역 = = = = = 캉통 = = = 부르캉브레스 아롱디스망에 속해 있는 캉통은 다음과 같다. 2015년에 개편되었다. 아티냐 부르캉브레스 1 부르캉브레스 2 세제리아 샤티용쉬르샬라론 라니외 (일부) 메지미외 미리벨 퐁댕 (일부) 르플롱주 생테티엔뒤부아 트레부 빌라르르동브 보나 = = = 코뮌 = = = 부르캉브레스 아롱디스망에 속해 있는 코뮌과 INSEE 코드는 다음과 같다. 라베르즈망클레망시아 (01001) 앙베리외앙동브 (01005) 아르비니 (01016) 아르쉬르포르망 (01021) 에니에르쉬르손 (01023) 아티냐 (01024) 바제라빌 (01025) 바제르샤텔 (01026) 발랑 (01027) 바냉 (01028) 부퐁 (01029) 보르가르 (01030) 벨리뇌 (01032) 베니 (01038) 베레지아 (01040) 베 (01042) 베노 (01043) 비리외 (01045) 비지아 (01046) 보아메리아리냐 (01245) 라부아스 (01049) 부아세 (01050) 불리뉴 (01052) 부르캉브레스 (01053) 부르생크리스토프 (01054) 보즈 (01057) 브레솔 (01062) 뷔엘라 (01065) 세르틴 (01069) 세제리아 (01072) 샬라몽 (01074) 샬렝 (01075) 샤넹 (01083) 샤노샤트네 (01084) 라샤펠뒤샤틀라르 (01085) 샤르노즈쉬랭 (01088) 샤트네 (01090) 샤티용라팔뤼 (01092) 샤티용쉬르샬라론 (01093) 샤반쉬르레수즈 (01094) 샤베리아 (01096) 슈브루 (01102) 시브리외 (01105) 시즈 (01106) 콜리니 (01108) 콩데시아 (01113) 콩프랑송 (01115) 코르모랑슈쉬르손 (01123) 코르모 (01124) 코르베시아 (01125) 쿠르망구 (01127) 쿠르트 (01128) 크랑 (01129) 크랑쉬르레수즈 (01130) 크로테 (01134) 크뤼지유레메피야 (01136) 퀴르시아동갈롱 (01139) 퀴르타퐁 (01140) 다뇌 (01142) 도마르탱 (01144) 동피에르쉬르샬라론 (01146) 동피에르쉬르베일 (01145) 동쉬르 (01147) 드롱 (01150) 드뤼야 (01151) 에트레즈 (01154) 파라망 (01156) 파렝 (01157) 페이양 (01159) 푸아시아 (01163) 프랑슐렝 (01165) 프랑 (01166) 가르네랑 (01167) 주뉘유 (01169) 고레오 (01175) 그랑코랑 (01177) 그리에주 (01179) 귀에렝 (01183) 오트쿠르로마네슈 (01184) 일리아 (01188) 자상리오티에 (01194) 자스롱 (01195) 자야 (01196) 주르낭 (01197) 즈와이유 (01198) 레즈 (01203) 라페루즈 (01207) 랑 (01211) 르셰루 (01212) 뤼르시 (01225) 말라프레타즈 (01229) 망트네몽랭 (01230) 망지아 (01231) 마르보즈 (01232) 마를류 (01235) 마르소나 (01236) 마슈 (01238) 메이요나 (01241) 메시미쉬르손 (01243) 멕시미외 (01244) 메제리아 (01246) 미오네 (01248) 미리벨 (01249) 미제리외 (01250) 모녜넹 (01252) 몽타냐 (01254) 몽소 (01258) 몽세 (01259) 르몽텔리에 (01260) 몽튜 (01261) 몽뤼엘 (01262) 몽멜쉬르손 (01263) 몽트라콜 (01264) 몽트르벨랑브레스 (01266) 뇌빌르담 (01272) 뇌빌쉬랭 (01273) 네롱 (01275) 니에로즈 (01276) 니비뉴에쉬랑 (01095) 오장 (01284) 파르슈 (01285) 페로나 (01289) 페루주 (01290) 페렉스 (01291) 페쥬쉬르손 (01295) 피라주 (01296) 피제 (01297) 르플랑테 (01299) 폴리아 (01301) 퐁댕 (01304) 퐁드보 (01305) 퐁드벨 (01306) 퓌이야 (01309) 프리에 (01314) 라마스 (01317) 랑세 (01318) 를르방 (01319) 르플롱주 (01320) 르보나 (01321) 레리외 (01322) 레수즈 (01323) 리니외르프랑 (01325) 로망 (01328) 생탕드레드바제 (01332) 생탕드레드코시 (01333) 생탕드레뒤리아 (01334) 생탕드레르부슈 (01335) 생탕드레쉬르비외종 (01336) 생베니뉴 (01337) 생베르나르 (01339) 생시르쉬르망통 (01343) 생드니레부르 (01344) 생디디에도시아 (01346) 생디디에드포르망 (01347) 생디디에쉬르샬라론 (01348) 생트크루아 (01342) 생트외페미 (01353) 생텔루아 (01349) 생트올리브 (01382) 생테티엔뒤부아 (01350) 생테티엔쉬르샬라론 (01351) 생테티엔쉬르레수즈 (01352) 생주니쉬르망통 (01355) 생조르주쉬르르농 (01356) 생제라맹쉬르르농 (01359) 생장드니오 (01361) 생장드튀리뇌 (01362) 생장쉬르레수즈 (01364) 생장쉬르벨 (01365) 생쥘리앙쉬르레수즈 (01367) 생쥘리앙쉬르벨 (01368) 생쥐스트 (01369) 생로랑쉬르손 (01370) 생마르셀 (01371) 생마르탱뒤몽 (01374) 생마르탱르샤텔 (01375) 생모리스드베노 (01376) 생모리스드구르당 (01378) 생니지에르부슈 (01380) 생니지에르데제르 (01381) 생폴드바라 (01383) 생레미 (01385) 생쉴피스 (01387) 생트리비에드쿠르트 (01388) 생트리비에쉬르무아냥 (01389) 살라브르 (01391) 상드랑 (01393) 사비뇌 (01398) 세르모예 (01402) 세르바 (01405) 세르비나 (01406) 시망드르쉬르쉬랑 (01408) 쉴리나 (01412) 틸 (01418) 투아세 (01420) 투시아 (01422) 투시외 (01423) 트라모예 (01424) 라트랑클리에르 (01425) 트레부 (01427) 발렝 (01428) 발르베르몽 (01426) 방뎅 (01429) 바랑봉 (01430) 베르종 (01432) 베르누 (01433) 베르세유 (01434) 베스쿠르 (01437) 베진 (01439) 비야르레동브 (01443) 빌모티에 (01445) 빌뇌브 (01446) 비예르베르쉬르 (01447) 비예트쉬랭 (01449) 비이외로브몰롱 (01450) 비리아 (01451) 보나 (01457) = 도게쓰교 = 도게쓰 교는 일본의 교토부 교토시의 가쓰라강 위에 가설되어 있는 다리이다. 다리는 가쓰라강 좌안 (북쪽)과 나카노시마 공원 사이에 있는 다리로, 우쿄구에 속한다. 다리의 길이 155m이며 폭 12.2m이다. 교토부도 29호 우타노아라시야마야마다 선의 일부에 해당한다. =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2018 Africa Women Cup of Nations)은 2018년 11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 가나에서 열린 13번째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이다. 이 대회는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며, 1위부터 3위까지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 = 예선 = = 적도 기니는 원래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으로부터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2017년 7월에 열린 아프리카 축구 연맹 긴급위원회가 이러한 결정을 취소했지만 국제 축구 연맹(FIFA)은 적도 기니의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를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이에 따라 적도 기니는 대회 결과에 관계 없이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가 금지되었다. = = = 1차 예선 = = = = = = 2차 예선 = = = 적도 기니는 케냐와의 2차 예선 경기에서 1, 2차전 합계 3-2(1차전 1-2, 2차전 2-0)를 기록하면서 본선에 진출했지만 적도 기니가 케냐와의 2차 예선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을 확인한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2018년 10월 17일에 적도 기니를 실격 처리하기로 결정하면서 케냐가 대신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2018년 11월 7일에 해당 결정을 번복하면서 적도 기니가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 = 본선 = = = = = 본선 진출 팀 = = = (개최국) * * * * * * * = = = 시드 배정 = = =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본선 조 추첨은 2018년 10월 21일 가나 아크라에서 진행되었다. 가나는 A조, 나이지리아는 B조에 각각 배정되었으며 나머지 6개 팀은 2012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6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시드 배정 팀 포트 1 포트 2 (개최국, A1에 배정됨) (지난 대회 우승 팀, B1에 배정됨) * (*) 케냐는 본선 조 추첨 이후에 적도 기니로 대체되었다. = = = 조별 리그 = = = = = = = A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7 3 2 1 0 6 2 +4 6 3 2 0 1 6 5 +1 4 3 1 1 1 3 3 0 0 3 0 0 3 2 7 -5 = = = = B조 =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7 3 2 1 0 9 2 +7 6 3 2 0 1 10 1 +9 4 3 1 1 1 6 5 +1 0 3 0 0 3 1 18 -17 = = = 결선 토너먼트 = = = = = = = 준결승전 = = = = = = = = 3·4위전 = = = = = = = = 결승전 = = = = = = = 우승 = = =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나이지리아11번째 우승 = 분류:2001년 콜롬비아 = = 분류:이란족 유목민 = = 분류:482년 사망 = = 당우리 = 당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당우리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당우리 = 분류:유니버시아드 유도 참가 선수 = = 청나라의 문화 = 청나라의 문화에 대해 설명한다. 이민족 지배자인 청조는 방대한 한족 지배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때문에 중국의 전통문화와 여러 제도를 답습하고 한족의 협력을 얻어 지배체제를 확립코자 하였다. 특히 한족의 지식인층을 회유하여 관심을 정치와 사회문제로부터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서 그들을 동원하여 대편찬 사업을 추진하였다. 강희 연간의 『강희자전(康熙字典)』, 옹정의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건륭의 『사고전서(四庫全書)』는 그렇게 하여 생긴 것이다. 한편 반청적(反淸的)이라 판단한 사상에는 용서 없는 탄압을 가하여 이른바 문자의 옥을 일으켰다. 실증주의(實證主義)에 투철한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인 고증학(考證學)은 이미 명대에 시작을 보았지만 청조의 사상 탄압은 한인 학자로 하여금 더욱더 고증학으로 나아가게 하여 정치문제로부터 도피시켰다. 그러나 고증학은 그 자신 일종의 과학적 객관주의이며, 서양 과학문명의 영향도 더해져 학문의 전분야에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가령 실제의 측량으로 제작된 황여전람도(皇與全覽圖) 등은 이러한 학풍의 소산인 것이다. 또한 청대에는 소설과 희곡의 발달이 한층 더 현저하여 『홍루몽(紅樓夢)』 『유림외사(儒林外史)』 『요재지이(聊齊志異)』 등 걸작이 나왔고, 희곡도 풍성하게 연출되었다. 회화에서는 중국의 전통적 기법 외에 카스틸리오네에 의하여 서양의 화법(畵法)이 받아들여졌고, 건축은 원명원(圓明園)과 같이 베르사유 궁전에도 비길 만한 것이 건설되었다. 또 가톨릭의 중국 포교와 관련되어 전례(典禮) 문제가 일어났으나 그것을 계기로 유럽에 중국 문화가 들어가게 되어 중국 연구열을 높였다. = =전례 문제 = = 명나라 중엽부터 유럽인은 동양 무역의 융성에 따라 가톨릭 선교사의 중국 내조(來朝)도 성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위정자는 선교사가 가진 학술과 기능만을 필요로 하고 종교는 바라지 않았기 때문에 포교(布敎)는 극히 곤란하였다. 청조에는 강희제가 선교사에게 관대하여 신자도 불었으나 포교의 자유를 허락한 것은 아니었고, 특히 전례 문제가 일어나자 포교에 큰 제한을 가하였다. 전례, 즉 중국 전통의 조상 제례(祭禮)와 공자(孔子) 숭배 등의 여러 의식에 대하여 가톨릭 신자가 여기에 참가하는 것을 인정한 예수회와 인정하지 않는 도미니크파 등 다른 가톨릭 교파간에 논쟁이 일어났는데 이것이 전례 문제이다. 양파의 배후에는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의 양국 대립이 있었고, 또한 논쟁은 드디어 부인파(否認派)의 입장을 고수한 로마 교황과 전례에 참가를 인정하는 조건에서만 포교를 허락한다는 강희제와의 충돌로까지 진전했다. 옹정·건륭 시대에는 금교(禁敎)의 방향이 한층 더 강화되었다. = =중국 문화의 서점 = = 강희 중엽, 즉 전례 문제의 분쟁이 일어난 무렵을 계기로 하여 유럽인의 중국에 대한 관심이 깊어져 지금까지와는 반대로 중국 문화가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하여 유럽으로 전해져서 유럽의 중국 연구열이 높아졌다. 특히 중국에서 활동하는 선교사 가운데 프랑스인이 많았다는 점과 루이 14세의 극동에 대한 관심이 강했다는 점으로서, 유럽의 중국 연구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확대되었다. 당시 유럽에 전해진 중국의 하늘(天)에 대한 관념이나 주자학(朱子學) 등은 볼테르나 몽테스키외 등 계몽사상가의 반(反)그리스도교 사상에 이용되었다. 또한 중국의 농본주의(農本主義)는 케네의 중농(重農)주의에 영향을 주었고, 과거제도는 영국의 고등문관 시험제도의 근본이 되었다고 전한다. 중국의 사상이나 제도뿐만 아니라 역사나 지리도 소개되었고, 또한 미술·공예·건축·정원 등도 영향을 어느 정도 유럽에 미쳤다. 장식에 뛰어난 로코코식 표현 등은 대표적인 것이다.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바다어미 = = 분류:나카카쓰시카군 = = 8th Wonder = 8th Wonder는 1981년에 발매된 슈거힐 갱의 음반이다. = 병목 (동음이의) = 병목(甁-)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병의 윗부분 병목 현상 병목 (공학) - 일반적인 병목 현상. 특히 공학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병목 (교통) - 교통 정체 병목 현상 개체군 병목현상 = 분류:화학 정보 틀 = = 연세언론인상 = 연세언론인상은 연세대학교 출신의 언론인의 모임인 연세언론인회에서 주관하여 매년 대상자를 선정하며 차기년도 신년인사회를 겸해 열리는 동문 언론인 초청의 밤 행사인 '연세 언론인의 밤'에서 시상하는 언론상이다. = = 역대 수상자 = = 연도 수상자 2001년 1회 이규태 조선일보 논설고문 2001년 1회 김동건 KBS 아나운서 2002년 2회 표재순 연세대 영상대학원 교수 2002년 2회 신동식 한국여성언론인연합 대표 2002년 2회 이정훈 수지 김 살해 은폐 조작사건'을 6년에 걸쳐 추적보도한 동아일보 신동아팀 기자 2003년 3회`연세 언론인상'에 최종률ㆍ김운라씨 최종률 40여년간 언론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한 한국ABC협회장(전 경향신문사장) 2003년 3회`연세 언론인상'에 최종률ㆍ김운라씨 김운라 여성으로서 방송사 지방 총국장에 첫 선임된 KBS 창원방송국 총국장 2004년 4회 김영일 전 국민일보회장 2004년 4회 서정우 한국언론인연합회 회장 2004년 4회 정혜정 MBC 앵커 2005년 5회 신상민 한국경제신문 대표이사 2005년 5회 홍은희 중앙일보 논설위원 겸 한국여기자협회 회장 2005년 5회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2006년 6회 이진동 `X파일' 미림팀 도청 공작을 특종보도한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 2006년 6회 최춘애 한국방송공사 글로벌센터장 2006년 6회 김영석 한국언론인학회장 2007년 7회 정구종 동아닷컴 사장 2007년 7회 신연숙 서울신문 편집국 문화담당 대기자 2007년 7회 손범수 아나운서 2008년 8회김기서 연합뉴스 사장 등 연세언론인상 수상 김기서 연합뉴스 사장 2008년 8회김기서 연합뉴스 사장 등 연세언론인상 수상 차인태 경기대 교수(전 제주MBC 사장) 2008년 8회김기서 연합뉴스 사장 등 연세언론인상 수상 이규민 동아일보 21C평화연구소장(전 동아일보 편집국장) 2008년 8회김기서 연합뉴스 사장 등 연세언론인상 수상 이정옥 KBS 국장급 연구위원 2009년 9회 이병규 문화일보 사장 2009년 9회 이화순 스포츠 조선 문화경제팀장 2009년 9회 신완수 SBS 제작위원 2010년 10회 이흥주 희망복지방송(전 KBS방송편성본부장) 사장 2010년 10회 어경택 전 동아일보 편집국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2010년 10회 신세미 문화일보 문화부장 2011년 11회 장명호 한국방송인회 부회장 2011년 11회 김수길 중앙일보 부발행인 2011년 11회 한수진 SBS 보도제작부 차장 2012년 12회 최현수 국민일보 정치부 군사전문기자 2012년 12회 민경욱 KBS 보도본부‘뉴스9’앵커 2013년 13회 오명철 동아일보 국장급 전문기자 2013년 13회 서수민 KBS 예능국 CP 2014년 14회4일'연세언론인의 밤' 행사…'연세언론인상'이준희 한국일보 부사장 이준희 한국일보 부사장 2014년 14회4일'연세언론인의 밤' 행사…'연세언론인상'이준희 한국일보 부사장 정용실 KBS 아나운서 2015년 김교준 중앙일보 부발행인 겸 편집인 2015년 나영석 CJ E&M PD 2016년 조명식 디지털타임스 대표이사 2016년 임수민 KBS아나운서 2017년 장해랑 EBS사장 2017년 양상우 한겨레신문사장 = 분류:서던 유나이티드 FC = = 분류:독일의 근대사 = = 분류:영국의 해상강도 = = 티볼리 공원 = 티볼리 공원은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놀이공원이다. 코펜하겐 중앙역 건너편에 위치해 있는 어른들을 위한 공원이며 덴마크에서 가장 큰 놀이공원이다. 1843년 8월 15일에 도시의 해자 바깥에 개장해 도시가 팽창하면서 도심에 위치하게 됐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테마 파크 중 하나로, 월트 디즈니가 디즈니 랜드를 설계할 때 영감을 받은 곳으로도 알려졌다. 공원 안에는 갖가지 문화 시설, 야외 음악당, 극장, 놀이기구가 있다. 가장 유명한 놀이기구 중 하나는 1914년에 생긴 목재 롤러코스터로, 지금도 직원이 탑승해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밤에는 수천개의 조명에 한번에 불이 들어와 장관을 이룬다. = 금오초등학교 (충남) = 금오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4.05.20 예산금오공립국민학교 개교 1948.06.01 금오국민학교로 개칭 1957.11.11 주교국민학교 분리 1994.06.12 신관(산성리) 교사로 이사 완료 1995.02.25 병설유치원 인가 1996.03.01 금오초등학교로 개칭 2015.02.12 제67회 졸업식(총 8,582명) 2015.03.01 34학급(일반학급 33, 특수학급 1), 병설유치원 2학급 편성 = 분류:휘문고등보통학교 동문 = = 틀:메르세데스-벤츠의 차량 = = 분류:웰터급 권투 선수 = = 호찌민시 미술관 = 호찌민시 미술관은 베트남 호찌민시에 있는 박물관이다. 노란색과 흰색이 어우러진 외관의 프랑스식 건축물로, 1층은 모던 아트 갤러리가 있고, 2층과 3층은 고대 미술품과 정치적 색채가 짙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 틀:위키미디어 주제 = 다음 위키미디어 재단 자매 프로젝트는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제공합니다: = 토고의 재외공관 목록 = 토고의 재외공관 목록은 토고 주재 대사관을 각국에 상주시켜 놓는 것을 의미하며 토고의 재외공관을 나열한 목록이다. = = 아프리카 = = : 킨샤사 (대사관) : 아디스아바바 (대사관) : 리브르빌 (대사관) : 아크라 (대사관) : 트리폴리 (대사관) : 아부자 (대사관) : 프리토리아 (대사관) = = 아메리카 = = : 브라질리아 (대사관) : 오타와 (대사관) : 워싱턴 D.C. (대사관) = = 아시아 = = : 베이징시 (대사관) : 뉴델리 (대사관) : 도쿄도 (대사관) : 쿠웨이트시티 (대사관) : 앙카라 (대사관) = = 유럽 = = : 브뤼셀 (대사관) : 파리 (대사관) : 베를린 (대사관) : 런던 (대사관) = = 대표부 = = EU 토고 정부 대표부 : 브뤼셀 UN 토고 정부 대표부 : 뉴욕 아프리카 연합 토고 정부 대표부 : 아디스아바바 = 분류:횡성군의 역사 = = 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 = = 이카루스 (2017년 영화) = 이카루스(Icarus)는 미국에서 제작된 브라이언 포겔 감독의 2017년 다큐멘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포겔이 그리고리 롯첸코프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의 도움을 요청해 국제적인 도핑 스캔들을 겪으며 아마추어 사이클 경주에서 우승할 수 있는 도핑 옵션을 탐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2017년 1월 20일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되었으며 미국 다큐멘터리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넷플릭스는 배급권을 인수한 뒤 2017년 8월 4일 전 세계에 이카루스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제90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역 = 하네다공항 제3터미널역[ 게이큐선 6개 역의 이름이 2020년 3월 14일(토) 변경됩니다]은,일본 도쿄도 오타구에 있는 게이힌 급행 전철과도쿄 모노레일의 철도역이다. 게이큐의 역번호는 KK16이다. 도쿄 모노레일의 역번호는 MO 08이다. = = 승강장 = = = = = 게이힌 급행 전철 = = =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예정이다. 1 15px 게이큐 공항선 전 열차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 행 = = = 도쿄 모노레일 = = =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선 하네다 공항 제1터미널하네다 공항 제2터미널 방면 2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선 유통 센터덴노즈 아일모노레일 하마마쓰초 방면 = = 역 주변 = = 도쿄 국제공항 국제선 터미널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 국제선 빌딩역 = = 역사 = = 2010년 10월 21일: 영업 개시. 2020년 3월 14일: 하네다공항 여객 터미널 빌딩의 명칭 변경에 따라, 양노선의 역명을 「하네다공항 제3터미널역」으로 개칭. = = 갤러리 = = = = = 게이큐선 = = = = = = 도쿄 모노레일 = = = = LATAM 칠레의 운항 노선 = 아래는 LATAM 칠레의 취항지 목록으로 자회사인 LATAM 아르헨티나, LATAM 페루, LATAM 에콰도르, LATAM 콜롬비아도 포함된다.(2012년 1월 현재) = = 운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서남아시아 = = = = * 텔아비브 - 벤구리온 국제공항 - (2018년 9월 12일 신규취항) = = = 유럽 = = = = = = = 서유럽 = = = =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 = = = 남유럽 = = = = * 마드리드 -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 = 아메리카 = = = = = = = 북아메리카 = = = = * 뉴욕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로스엔젤레스 -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 마이애미 - 마이애미 국제공항 * 멕시코시티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 캉쿤 - 캉쿤 국제공항 = = = = 남아메리카 = = = = * 라파스 - 엘알토 국제공항 산타크루스데라시에라 - 비루비루 국제공항 * 리우데자네이루 -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플로리아노폴리스 - 에르씰리오 루즈 국제공항 계절편 * 부에노스아이레스 * 미니스토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LATAM 아르헨티나 허브) * 아에로파르케 호르헤뉴베리 국제공항 - (LATAM 아르헨티나 허브) 리오가제고스 - 리오가제고스 국제공항 멘도사 - 엘 프레미오 국제공항 산 후안 - 도밍고 사르미엔토 국제공항 살타 - 마르틴 미겔 데 구에메스 국제공항 우수아이아 - 우수아이아 말비나스 아르헨티나스 국제공항 코르도바 - 인헤니에로 아에로나르띠꼬 엠브로시오 L.V. 타라벨라 국제공항 * 키토 - 마리스칼 수크레 국제공항 과야킬 - 호세 호아킨 올메도 국제공항 * 몬테비데오 - 카라스코 국제공항 푼타델에스테 - 카티안 델 콘비타 카리오스 A. 코르비오 국제공항 계절편 * 산티아고 - 코르도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즈 국제공항 - (LATAM 칠레 메인 허브) 아리카 - 치콜카 국제공항 안토파가스타 - 세로 모레노 국제공항 이키케 - 디고 아라키나 국제공항 칼라마 - 엘로하 국제공항 콘셉시온 - 카리엘 수르 국제공항 발마세다 - 발마세다 공항 코파포 - 데지에르토 델 아타카마 공항 푸에르토몬트 - 엘 떼뿌알 국제공항 푼타아레나스 - 푼타아레나스 국제공항 라세레나 - 라 플로리다 공항 발디비아 - 피쵸 공항 발마세다 - 발마세다 공항 오소르노 - 카냘 바호 칼로 훗 시바트 공항 테무코 - 마쿠후 공항 * 보고타 - 엘도라도 국제공항 - (LATAM 콜롬비아 허브) * 스탠리 - RAF 마운트 플레전트 * 리마 - 호르헤차베스 국제공항 - (LATAM 페루 허브) = = = 카리브해 = = = * 푼타카나 - 푼타카나 국제공항 * 아바나 -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 = = = 오세아니아 = = = * 시드니 -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국제공항 멜버른 - 멜버른 공항 * 오클랜드 - 오클랜드 국제공항 령 이스터 섬 이스터 섬 - 마타베리 국제공항 * 파페에테 - 파 국제공항 = = 과거 취항지 = = = = = 유럽 = = = = = = = 남유럽 = = = = *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 = = 남유럽 = = = = * 밀라노 -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 = = = 아메리카 = = = = = = = 북아메리카 = = = = * 샌프란시스코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 토론토 -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 파나마시티 - 토쿠멘 국제공항 = = = = 남아메리카 = = = = * 카라카스 -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 * 브라질리아 -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살바도르데바이아 - 데푸타두 루이스 에두아르두 마갈량이스 국제공항 * 로사리오 - 로사리오 이스라스 말비나스 국제공항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 테니티드 루스 카델리아 국제공항 * 릴리코 - 릴리코 토르카 공항 바예나르 - 바예나르 공항 알토팔레나 - 알토팔레나 공항 엘살바도르 - 리카르도 가르시아 포사다 공항 오바예 - 오바예 공항 칠란 - 칠란 엘카르멘 공항 포르베니르 - 푸엔테스 마르티네즈 공항 푸에르토윌리엄스 - 가디아마리아나 자르나투 공항 * 카르타헤나 - 라파엘 뉴녜즈 국제공항 * 아순시온 - 실비오 페티로시 국제공항 = = = = 카리브해 = = = = * 몬테고베이 - 노먼 맨리 국제공항 = 분류:정당별 러시아의 정치인 = = 분류:844년 = = 분류:가와치국의 씨족 = = 이브 (예멘) = 이브는 예멘의 도시로 이브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160,000명(2005년 기준)이다. 모카에서 북동쪽으로 약 117km, 사나에서 남쪽으로 약 194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김한별 (농구 선수) = 김한별(미국명: 킴벌리 로버슨, 1986년 11월 21일 ~ )은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를 졸업한 한국계 미국인 농구 선수이다. 현재 WKBL 부산 BNK 썸에서 뛰고 있다. 자신의 신장보다 큰 팔길이(190 cm)를 갖고 있다. = = 경력 = = 인디애나 대학 시절 가드와 포워드로 뛰었다. 2005년 인디애나주 고교 베스트5에 선정되었으며 대학 4학년때 이던 NCAA 2008-09시즌에 1경기 평균 출전시간 30분 출장에 10득점 4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2009년 6월 5일 WKBL의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에 입단했다. 2019년 1월 23일 부천 KEB하나은행과의 홈 경기에서 11 득점, 13 리바운드, 10 스틸을 기록하며 개인 첫 트리플더블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선수로는 처음 스틸로 기록한 트리플더블이다. = = 사생활 = = 혼혈 선수로, 흑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김성자 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2011년 11월, 우수인재로 선정되어 특별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여자 농구 선수로는 처음으로 귀화한 선수다. 2012년 2월, 농구계의 큰 별이 되라는 뜻의 한글 이름인 김한별로 개명 신청을 하였다. 동생인 미셸 로벌슨(한국명 : 김한비)도 농구 선수로, 2012년 WKBL 부천 하나외환에 입단하기도 하였다. = = 수상 = = = = = 국가대표팀 = = = 2018년 아시안 게임 농구 여자 – 은메달 = = = 클럽 = = = WKBL 챔피언: = = = 개인 = = = WKBL 챔피언 결정전 MVP: WKBL 2점 야투상: WKBL 스틸상: WKBL 신인선수상: = = 기록 = = 리그 1위 기록 = 분류:인장에 관한 죄 = = 키아울레쥐땃쥐 = 키아울레쥐땃쥐(Myosorex kihaulei)는 진무맹장목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탄자니아의 토착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습윤 산지 숲과 농장 등이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 = 분류:인피니트의 일원 = = 분류:공주금학초등학교 동문 = = 다테야마촌 (도야마현) = 다테야마촌은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다테야마정에 해당한다. = 모듈:ISO 3166/data/SV = return { lang = "es", ["AH"] = {name="Ahuachapán"}, ["CA"] = {name="Cabañas"}, ["CH"] = {name="Chalatenango"}, ["CU"] = {name="Cuscatlán"}, ["LI"] = {name="La Libertad"}, ["MO"] = {name="Morazán"}, ["PA"] = {name="La Paz"}, ["SA"] = {name="Santa Ana"}, ["SM"] = {name="San Miguel"}, ["SO"] = {name="Sonsonate"}, ["SS"] = {name="San Salvador"}, ["SV"] = {name="San Vicente"}, ["UN"] = {name="La Unión"}, ["US"] = {name="Usulután"} } = 비축전지 = 비축전지(備蓄電池, )는 전지를 구성하는 양극, 음극, 전해질과 같은 구성 원소들을 분리해서 보관하고 있다가 전지를 써야 할 때 즉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십 년 이상의 긴 시간 동안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제작된다. = 모듈:Uses Wikidata/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Uses_Wikidata/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빌 헤이더 = 빌 헤이더(Bill Hader, 1978년 6월 7일 ~ )는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 제작자, 연출가이다. = =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허니문 크래셔 (2006) 사고친 후에 (2007) 핫 로드 (2007) 슈퍼배드 (2007) 파인애플 익스프레스 (2008) 트로픽 썬더 (2008)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2008) 어드벤처랜드 (2009) 박물관이 살아있다 2 (2009) 서기 1년 (2009) 아이스 에이지 3: 공룡시대 (2009) - 목소리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2009) - 목소리 스콧 필그림 (2010) 황당한 외계인: 폴 (2011) 빨간 모자의 진실 2 (2011) - 목소리 맨 인 블랙 3 (2012) 디스 이즈 40 (2012) 슈퍼노바 지구 탈출기 (2013) - 목소리 몬스터 대학교 (2013) - 목소리 스타트렉 다크니스 (2013) - 목소리 출연 터보 (2013) - 목소리 더 투 두 리스트 (2013) - 주연, 총제작자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2 (2013) - 목소리 그녀 (2013) - 목소리 출연 스켈리턴 트윈스 (2014) 엘리노어 릭비 (2014) 22 점프 스트리트 (2014) 엑시덴탈 러브 (2015)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 (2015) 인사이드 아웃 (2015) - 소심 역 (목소리, 각본 참여) 매기스 플랜 (2015) 라일리의 첫번째 데이트? (2015) - 목소리 앵그리버드 더 무비 (2016) - 목소리 팝스타: 네버 스탑 네버 스토핑 (2016) 도리를 찾아서 (2016) - 목소리 마이 리틀 자이언트 (2016) - 목소리 소시지 파티 (2016) - 목소리 파워레인져스: 더 비기닝 (2017) - 목소리 출연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 - JP 스팸리 역 (목소리) 토이 스토리 4 (2019) - 목소리 앵그리 버드 2: 독수리 왕국의 침공 (2019) - 목소리 그것: 두 번째 이야기 (2019) 노엘 (2019) 아담스 패밀리 2 (2021) - 목소리 버즈 라이트이어 (2022) - 목소리 보 이즈 어프레이드 (2023) = = = 텔레비전 = = =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2005-13) 배리 (2018-23) - 공동 창작자, 연출가, 작가, 총제작자 = = = 뮤직비디오 = = = 더 론리 아일랜드의 "Like a Boss" (2009) 더 론리 아일랜드의 "Great Day" (2010) 뉴 포르노그래퍼스의 "Moves" (2011) 스티브 마틴의 "Caroline" (2017) = 분류:기원전 430년대 = = 분류:위스콘신주 출신 작가 = =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 = 여수절도사안숙사적비(麗水節度使安潚事蹟碑)는 전라남도 여수시 연등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다. 1998년 8월 13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0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사적비란 어떠한 사건이나 사업에 관련된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한 비로, 인물의 행적에 관해 기록해 놓은 것도 넓은 의미에서는 사적비에 속하는데, 이 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안숙의 공적을 적고 있다. 안숙은 조선 정조 21년(1797)에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순조 즉위년(1800)에는 황해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순조 8년(1808)에는 전라좌도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으며, 함경북도절도사를 거쳐 황해도수군절도사를 지내는 등 여러 도의 절도사가 되어 군사업무와 수비 등에 힘을 다하였다. 이 비는 순조 9년(1809) 호남좌수사로 부임해 온 안숙이 관아의 성을 수리하고, 특히 가뭄으로 고통당하던 백성들을 구하는데 온갖 노력을 다하였던 일과, 이곳에 있던 거북선을 충무공 때의 도면을 참고하여 새로이 복원한 것, 환곡의 폐단을 지적하여 바로잡아 주었던 일 등 그가 이루어놓은 여러 공적을 기리고자 세워놓은 것이다. 비각안에 모셔둔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으로, 비몸 앞면에는 ‘절도사 안숙 사적비’라는 비의 이름을 세로로 새겼다. 한줄에 50자 정도씩 13줄을 새긴 비문은 절충 김이각이 글을 짓고, 유학 정집원이 글씨를 쓴 것으로, 안숙의 행적에 관해 자세히 적어놓고 있다. 순조 23년(1823)에 세운 비로, 그 비문은 조선 후기 당시의 사회사나 제도사 뿐만 아니라, 좌수영이나 지방사의 연구를 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분류:나라별 태자 = 현재 "태자"가 영어 위키백과의 "Prince" 인터위키로 연결되어 있지만, Prince 는 문화권이나 국가, 맥락에 따라 왕자, 대공, 후작, 친왕 등으로 제각각 번역될 수 있습니다. = 원효암 = 원효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원효암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1-1번지 천성산(千聖山)에 소재한, 종교단체인 대한불교조계종에 소속된 절. 원효암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촌리 산70-1번지에 소재한, 종교단체인 대한불교조계종에 소속된 절 원효암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382번지에 소재한, 종교단체인 대한불교조계종 소속된 절. 원효암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진악로 428 (금산군 향토유적 제55호) = 코트디부아르 국가 올림픽 위원회 = 코트디부아르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코트디부아르를 대표하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이다. IOC 코드는 CIV이다. 본부는 아비장에 있으며 아프리카 국가 올림픽 위원회 연합에 소속되어 있다. 1962년에 설립되었으며 1963년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올림픽, 올아프리카 게임을 비롯한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는 코트디부아르의 선수들을 대표한다. = 분류:러시아의 올림픽 핸드볼 참가 선수 = = 전염성해면상뇌병증 = 전염성해면상뇌병증(傳染性]海綿狀腦病症,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은 포유동물의 뇌가 프리온(prion)이라는 단백질이 이상 증식하여 스폰지처럼 되어 알츠하이머 증상과 유사한 증상과 전신 경련을 일으키고 끝내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병이다. 불치병으로, 2007년 일본 기후 대학 연구팀이 프리온 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GN8' 인자를 발견하는 등 진단과 치료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프리온 병은 일반적으로 프리온 입자를 받아들인 후 수 년 내에 발병하나, 수 십년후 발병할 수도 있다. 프리온이 일으키는 병은 소의 광우병(MCD/BSE), 양의 진전병(scrapie), 인간의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vCJD), 쿠루병(kuru) 등이 있다. = 분류:이탈리아의 옛 취락 = = 한송희 (1982년) = 한송희(, 1982년 5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 = 출연작 = = = = = 방송 = = = 웃찾사 (SBS) 급식왕 (유튜브) = 분류:중국의 고고학 박물관 = = 분류: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 분류:2015년 농구 틀 = = 분류:잉글리시 풋볼 리그 심판 = = 대정서초등학교 = 대정서초등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0년 4월 29일 : 대정교 일과 분교장 설립(2학급) 1968년 12월 17일 : 대정서초등학교 인가(6학급) 1969년 4월 26일 : 개교 1992년 3월 19일 : 유치원 교실 신축 2014년 9월 1일 : 제16대 현정열 교장 부임 2015년 2월 13일 : 제46회 졸업 (누계 1954명) = Tattoos & Scars = Tattoos & Scars는 몽고메리 젠트리의 첫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컬럼비아 내슈빌을 통해 1999년 발매되었다. 미국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 트랙리스트 = = "Hillbilly Shoes" (Bobby Taylor, Mike Geiger, Woody Mullis) - 3:13 "Trying to Survive" (Stephony Smith, Kevin Brandt) - 3:50 "Lonely and Gone" (Bill McCorvey, Dave Gibson, Greg Crowe) - 3:19 "Self Made Man" (Wynn Varble, Jay Knowles) - 3:35 "Daddy Won't Sell the Farm" (Robin Branda, Steve Fox) - 4:18 "If a Broken Heart Could Kill" (Rick Ferrell, Steve Clark) - 3:19 "I've Loved a Lot More Than I've Hurt" (Max D. Barnes) - 3:14 "Didn't Your Mama Tell Ya" (Stewart Harris, Clay Davidson) - 3:26 "Trouble Is" (Porter Howell, Sam Gay) - 3:09 "Tattoos & Scars" (Tony Lane) - 3:59 "All Night Long" (Charlie Daniels, Joel "Taz" DiGregorio, Jack Gavin, Charlie Hayward, Bruce Ray Brown) - 3:33 = 분류:청량중학교 (인천) 동문 = = 분류:1656년 예술 = = 분류:1952년 철도 교통 = = 협동조합주의 = 협동조합주의(協同組合主義, ) 또는 조합주의(組合主義, )는 협동조합으로 사회 조직을 구성하고자 하는 집산주의적 사상이다. 조합주의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대기업의 횡포를 막고 시장 부패와 파업으로 인한 사회 혼란을 막을 수 있다. 즉, 조합주의는 국가 기구의 적극적 중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노동자와 사용자의 이해관계를 각각 대변하는 집단이 노·사·정 3자의 정치적 교환에 참여하는 과정이다. 이는 국가가 노동조합과 자본가의 관계를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대단위 노조와 자본가의 합의가 가능하도록 적극 개입하거나 사법적 제재를 가하는 것이다. 다만 조합주의는 경제적인 뜻으로만 해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매우 광범위한 이론이다. 위 설명대로 조합주의는 경제적으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좌익 조합주의에서는 국가, 노동자, 자본가의 권위가 동등한 상태에서 경제적, 사회적 순환을 이루는 상태를 주장하는 이론이기도 하다. 그 예로 생디칼리슴은 노사 협조보다도 계급 투쟁과 적극적인 파업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를 붕괴하고, 사회주의 사회생디칼리슴이 의미하는 사회주의 사회는 공산주의자들이 의미하는 사회주의 사회와는 다름를 건설하려는 골자가 있지만, 여기서 경제력의 원동력이자 사회적 권한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동자들의 결집체인 '노동조합'은 자본가 및 정부와 대등한 위치에서 서로 입장을 도출해 서로의 이익을 챙기는 협동조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생디칼리슴에서 의미하는 조합주의란, 진보적인 조합주의의 사회, 경제적 뜻과 매우 일치하다. 그들은 자본가, 국가보다 노동자의 사회적 권위가 매우 낮다고 판단하여, 직접 행동을 통해 조합주의를 구상하려 한다. 주로 사회주의자들이 응용하는 이러한 조합주의는 종종 '좌익 조합주의' 또는 '사회주의적 조합주의'로 불린다. 우익 조합주의는 전형적인 파시즘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20세기 유럽에서 파시즘 국가들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양방에 대한 대안으로서 협동조합주의를 채택하였는데, 자유시장에 반대하는 집산주의 사상이면서도 계급 투쟁이 아닌 계급 간 화합을 주장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자본가와 노동자를 모두 민족이라는 이름 하에 국가의 통제에 두고 국가의 역할을 최대한 강조하여 애국심과 민족주의를 고취하려는 목적에 걸맞았기 때문이다. = = 단점 = = 조합주의는 자본과 노동을 통제하여, 기업의 독주와 불필요한 파업 사태를 막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회에서 막대한 자본력을 가진 자본가들의 영향력을 제어하지 못할 때 정경유착이 심화될 수 있으며, 이런 관계에서 국가는 노사관계를 통제하는 일련의 형식적 처분을 내리면서도 일방적으로 노동자에게 희생을 강요할 수 있다. 혹은 더 나아갈 경우 조합주의가 국가의 독재의 도구로 활용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이런 단점은 주로 우익 조합주의에서 많이 나타났고, 파시스트 국가나 독재국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 연구 = = 노사관계에 대한 연구는 세계시장의 변화가 한 국가의 경제주체를 보호하고 사회보장권과 근로기본권을 증진시키고 방어하기 위한 집단적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져왔다. 조합주의에 관한 연구는 세계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수출지향적 성장 전략에서 정부와 이익집단들이 어떻게 협상을 통해 의견을 조율해왔는가를 다루었다. 피터 카첸슈타인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이루어진 유럽의 7개 국가의 산업정책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조합주의하의 정치와 경제가 어떻게 세계적인 변화에 대해 유연하고 제도화된 대응전략을 채택해왔는지에 대해 연구했다. 이 대응전략은 국제 무역의 국소적인 자유화와 국내적인 보상 즉, 경제 변화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의 배분을 공약으로 하는 복지정책으로 대표된다. 카첸슈타인은 이 7개 국가의 조합주의의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대외적인 대응전략의 전개에 따라 사회보장권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정책 환류는 경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카첸슈타인은 보상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정책상의 차이점들이 서로 상호의존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반면 요스타 에스핑 안더르슨은 사회보장권과 관련한 복지 정책이 일단 제도화되면 변화시키기 어렵고 세계경제의 주요한 변화와도 상당한 시간을 두고 변화해나간다는 점에 주목했다. 경제학자들의 주장대로 임금이 경직적이라면 사회보장으로부터 나오는 재정적 지원의 변화는 더욱 경직되어 있기 때문에 복지국가에서 복지 정책을 축소하려면 이에 대한 재협상은 더 어려울 것으로 본 것이다. = = 참고 자료 = = * 협동조합주의 = 아이히만 쇼 = 아이히만 쇼(The Eichmann Show)는 영국에서 제작된 폴 앤드류 윌리엄스 감독의 2015년 드라마 영화이다. 마틴 프리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로렌스 보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TV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틴 프리먼 : 밀턴 프루트만 역 안소니 라파글리아 : 레오 허위츠 역 벤 로이드 휴즈 : 알렌 로젠탈 역 = = = 조연 = = = 니콜라스 우더슨 : 야코보 요닐로비치 역 안나 루이즈 플로우먼 :제인 허워츠 역 레베카 프론트 : 칼라토스 파에즈 역 앤디 나이맨 : 데이빗 랜더 역 딜란 에드워즈 : 로이 세드웰 역 에드 버치 : 밀렉 네벨 역 벤 아디스 : 론 헌츠맨 역 나다니엘 글리드 : 토미 허워츠 역 베이토타스 마티네이티스 : 아돌프 아이히만 역 저스틴 셀링거 : 데이빗 아라드 역 조라 비숍 : 에바 프럭트먼 역 = = = 단역 = = = 넬 무니 : 여 기자 역 이안 포터 : 남 기자 역 우리엘 에밀 폴락 : 남자 통역사 역 (목소리) 모웨나 뱅스 : 여자 통역사 역 (목소리) 사뮤엘 웨스트 : 나레이터 역 (목소리) = = 기타 = = 수입 : 위드라이언픽쳐스 = = 수상 = = 2015년 제1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비전 익스프레스 2015년 제52회 금마장 파노라마 = 분류:가수 분해 효소 = = 요계관방지도 = 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병풍이다. 2008년 3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42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8-19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및 지정번호변경, 문화재청장, 2008-03-12 = = 개요 = = 규장각 소장 요계관방지도는 1706년(숙종 32)에 노론대신 이이명(李頤命, 1658-1722)이 제작하여 왕에게 올린 것으로, 관방지도의 백미로 뽑힌다. '요계(遼薊)'는 요동과 북경지방을 가리키는데, 요동에서 북경에 이르는 군사형세도를 그린 지도라는 뜻이다. 이이명은 1705년에 청 나라 사신으로 다녀오는 길에 구입해온 주승필람(籌勝必覽) 속에 들어 있는 '요계관방도'와, 동행한 화사를 시켜 모사한 '산동해방지도(山東海防地圖)'에 우리나라 관방의 중요한 부분을 합하여 이 지도를 제작하였다. 10폭 병풍이란 대폭의 화면에 펼쳐진 치밀한 구성력과 강직하면서도 세련된 필묘(筆妙), 청록산수기법으로 표현된 산악의 장식적인 효과는 지도에 예술성을 더해 준다. 지도사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회화성도 뛰어난 작품이다. = CELPE-Bras = CELPE-Bras는 외국인을 위한 브라질 포르투갈어 검정 시험으로 브라질 교육부에서 개발하였다. 대한민국은 2015년 3월 부산외국어대학교가 공식 시행기관으로 선정되며 시험이 시작되었다. = 분류:성소수자 위키백과 사용자 = = 쉬망 선언 = 슈만 선언(Schuman Declaration)은 프랑스 외무장관 로베르 쉬망이 1950년 5월 9일의 한 기자회견에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서유럽의 석탄 철강산업을 초국가적 가구하에 통합할 것을 제창하였다. 이 자리에서 그는 "그와 같은 계획의 채택이 유럽 연방(European Federation)을 향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오랫동안 전쟁물자의 생산에 맡겨져 왔던 지역들의 운명을 변경시키게 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쉬망의 설계는 결국 영국이 불참한 가운데 1951년에 실현되었다. 즉, 1951년 4월 18일 ECSC(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설립조약이 파리에서 서명되어 그 이듬해 1952년 7월 25일에 발효하였다. 서명국은 베네룩스 3국과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였다. = Leave Before the Lights Come On = Leave Before the Lights Come On는 2006년 8월 14일에 발매된 악틱 몽키즈의 노래이다. = 알래스카 철도 = 알래스카 철도는 남쪽의 슈어드와 휘티어가 있는 알래스카만에서 북쪽의 페어뱅크스까지 연결되어있는 이급철도 (Class II railroad)이다. 화물과 승객 둘 다 운송한다. 1914년 설립된 알래스카 철도는 1985년까지 연방 정부가 운행하던 것을 알래스카 주가 사들였다. = = 역사 = = 1903년 : 알래스카 중앙 철도회사 (영어:Alaska Central Railway)가 슈워드에 첫 번째 철도를 건설했다. 1907년 ~ 1910년 : 1907년 알래스카 중앙 철도회사가 파산했으며 알래스카 북철도회사 (영어:Alaska Northern Railway Co.)로 재편성했다. 슈워드에서 컨크릭(영어:Kern Creek)까지 철도를 확장했다. 1914년 3월 12일 : 미국 국회가 슈워드에서 페어뱅크스까지 건설과 운영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는 데 동의했다. 추정된 건설 자금이 3500만 달러였다. 1915년 : 6월에 쉽크릭(영어:Ship Creek)을 끼고 앵커리지가 철도 건설 마을로서 탄생되었다. 1917년 : 철도 노동자들이 4,500여 명에 달했다. 1940년 ~ 1943년 : 2차세계대전이 커다란 수익을 가져왔다. 1943년 : 휘티어 행 2개의 터널이 츄각 산맥을 통과하여 건설되었다. 새로운 앵커리지 승객 정류장이 12월에 완성되었다. 1944년 : 휘터어가 두 번째 철도 창구로서 개장한다. 디젤 기관차가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기 시작한다. 대체과정은 마지막 증기 기관차가 팔린 1966년에 완성되었다. 전후 : 국회가 1억 달러 갱생 프로그램을 승인한다. 1947년 10월 18일 : 앵커리지와 페어뱅크스사이 품질이 향상된 승객 서비스로 운행을 한다 1964년 3월 27일 : 지진으로부터 철도 피해가 3천만 달러로 추산되었다. 앵커리지에서 페어뱅크스까지 화물운송 공급이 4월 6일에 회복되었으며, 승객 운행은 4월 11일, 휘티어에 화물 운송공급이 4월 20일 다시 시작되었다. 1985년 1월 5일 : 알래스카 철도가 알래스카 주의 재산이 되었다. 1993년 : 알래스카 철도 회사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 200개의 오래된 궤도차를 퇴역시켰다. 2003년 : 알래스카 철도 역사에 있어 가장 성공적인 해였다. 1조450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으며 가장 적은 직원이 다쳤다. 철도 사고가 전국 평균보다 매우 적었던 해이다. = = 노선 = = = = = 알래스카 철도 개략 = = = = = = 각 역의 운영 정보 = = = 역\운영 여름철 겨울철 비고 앵커리지 매일 오전 5:00 ~ 오후 4:00 월요일 ~ 금요일 (오전 9:00 ~ 오후 4:00) 토요일 (오전 7:00 ~ 오후 2:30) 와실라 직원비상주 직원비상주 와실라 상공회의소에 임대됨 타키트나 매일 오전 9:30 ~ 오후 6:00 직원비상주.건물닫힘 데날리 파크 매일 오전 9:30 ~ 오후 5:30 직원비상주.건물닫힘 페어뱅크스 매일 오전 6:30 ~ 오후 3:00 월요일 ~ 목요일 (오전 7:00 ~ 오후 3:00) 금요일,토요일,공휴일 닫음 저드우드 직원비상주 이용불가함 슈워드 매일 오전 10:00 ~ 오후 7:00 이용불가함 휘티어 시설없음 시설없음 하얀 천막 하차 = 분류:루마니아의 농업 = = 분류:1979년 2월 = = 위키백과:삭제 토론/2017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 선수들 = = = 2017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 선수들 = = ▶ 장기 미완료 토론에 대하여 '총의 없음' 으로 종결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메이 (토론) 2017년 7월 12일 (수) 14:24 (KST) 1차 지명 선수들은 이미 여러 대회에서 경력과 능력을 인정받은 선수들로 1군에서 한두경기만 뛴 무명 선수보다 중요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김태현 (야구 선수), 이원준 (야구 선수), 김병현 (1998년), 장지훈, 최동현, 조병욱, 유승철, 고우석 (1998년), 윤성빈에 대해 삭제 토론에 회부합니다. Solonom (토론) 2016년 8월 25일 (목) 16:22 (KST) 삭제토론에 회부된 일부 선수들의 경우 대부분 아직도 기록이 없습니다. 유승철의 기록 - 증거 1 & 증거 2 윤성빈의 기록 - 증거 1 & 증거 2 조병욱의 기록 - 증거 1 & 증거 2 김병현의 기록 - 증거 1 & 증거 2 이원준의 기록 - 증거 1 & 증거 2 210.113.104.196 (토론) 2017년 6월 30일 (금) 11:28 (KST) ▶ 장기 미완료 토론에 대하여 '총의 없음' 으로 종결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메이 (토론) 2017년 7월 12일 (수) 14:24 (KST) = 이풍 (촉한) = 이풍(李豊, ? ~ ?)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이엄의 아들이다. = = 사적 = = 건흥 8년(230년), 조진이 쳐들어와 제갈량이 이엄을 강주에서 한중으로 옮겨 주둔하게 하면서, 제갈량에게서 강주 도독군으로 임명돼 아버지의 뒷일을 맡았다.진수, 삼국지 권40 유팽요이유위양전 건흥 9년(231년), 아버지 이엄이 군량 수송에 차질을 빚자 수작을 부려 제갈량이 죄를 받게 하려고 했으나 들통나 면직되고 자동으로 유배갔으며, 이풍은 병권을 빼앗기고 종사중랑이 되어 장완과 함께 승상부의 일을 보았다.상거, 화양국지 유후주지 훗날, 이풍의 관직은 주제태수에 이르렀다. = 분류:웨스트버지니아주의 정치 = = 모듈:Location map/data/USA Kansas = return { name = '캔자스주', top = 40.2, bottom = 36.8, left = -102.3, right = -94.4, image = 'USA Kansas location map.svg' } = 분류:이와미정 = = 틀:RCFN = = 헨리군 (조지아주) = 헨리군 또는 헨리 카운티(Henry County)는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203,922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34,561명이다. = PIE = PIE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 language) 패시픽 인터넷 익스체인지(Pacific Internet Exchange) 팬 아일랜드 고속도로(Pan Island Expressway) 세인트피터스버그-클리어워터 국제공항(St. Petersburg-Clearwater International Airport)의 IATA 부호 포켓 인터넷 익스플로러(Pocket Internet Explorer) 파이(Pie) = 원원 = 원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원원(原猿): 원원류 = = 가공 인물 = = 첸더더의 결혼이야기의 등장인물 행복원의 등장인물 = 틀:유럽 연합 회원국의 국가 원수 = = 리처드 로버 = 리처드 로버(Richard Rober, 1910년 5월 14일 ~ 1952년 5월 26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로체스터에서 태어났으며 샌타모니카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교통사고이다. = = 영화 = = 오 헨리 단편집 (1952년) 파더스 리틀 디버덴드 (1951년) - 폴리스 서전트 역 톨 타겟 (1951년) 웰 (1951년) 애니 넘버 캔 플레이 (1949년) = 아트로파테네 = 아트로파테네 (Atropatene, , ) 혹은 메디아 아트로파테네(Media Atropatene)는 페르시아인 사트라프 아트로파테스가 기원전 323년경에 세운 고대 왕국이다. 오늘날 이란 북부에 있었던 아트로파테네는 서기 1세기까지 아트로파테스의 후손들이 다스리다가 파르티아의 아르사케스 왕조로 대체되었다.; ; 226년에 사산 제국에 정복되어, 마르즈반 ("변경백")이 다스리는 속주가 되었다. 아트로파테네는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재위: 기원전 336년-323년)의 일시적인 지배를 받았던 시기를 제외하면 아케메네스 왕조부터 아랍의 정복 때까지 지속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유일한 지역이었다. 아트로파테네의 명칭은 이란에 있는 옛 아제르바이잔 지방의 명칭에 대한 명목상의 전신이기도 하다. = = 명칭 = = 스트라본에 의하면, 아트로파테네라는 이름은 아케메네스 왕조의 태수 중 한 명인 아트로파테스의 이름에서 전래했다. 그가 ‘지리학’에 기록한 것에 따르면, 메디아는 두 지역으로 나뉜다. 그 중 한 곳은 엑타바나]]를 중심지로 하며, 대메디아로 불린다. 나머지 한 곳은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라 불리며, 대메디아의 일부였던 이 지역을 마케도니아인들에게 복속되는 것을 막아낸 태수 아트로파테스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아트로파테스의 이름에서 비롯한 아트로파테네, 아트로파티오스 메디아(Atropatios Mēdia), 트로파테네(Tropatene), 아투르파타칸(Aturpatakan), 아다르바이얀(Adarbayjan) 등의 이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명칭들이 다양한 사료들에서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중세 아랍 지리학자들은 이 명칭을 ‘불의 수호자’를 뜻하는 아도르바도르(Adorbador, 성직자의 이름)와 연관시킨 또다른 형태를 나타냈다. = = 역사 = = 기원전 331년 아카메네스 왕조의 지배자 다리우스 3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 간의 가우가멜라 전투가 일어난 당시에 메디아인, 알바니아인, 사카인, 카두시인 들은 아트로파테스의 군대 소속으로 아케메네스의 왕중왕의 군대와 함께 싸웠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승리와 아케메네스 제국의 몰락으로 결정난 이 전쟁이 종전된 후, 아트로파테스는 알렉산드로스에게 충성을 표했다. 기원전 328-327년에, 알렉산드로스는 그를 메디아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기원전 323 년에 알렉산드로스가 사망한 후, 마케도니아 제국의 정복지는 바빌론 회의에 따라 디아도코이들에게 분할되었다. 옛 아케메네스 왕조의 메디아 사트라프령은 두 지역으로 나뉘었는데 남쪽의 대메디아[메디아 마그나(Media Magna)]는 알렉산드로스의 호위병 중 한 명인 페이톤에게 할당됐다. 마티에네의 어느 정도 태수령에 속했던 북쪽의 소메디아는 아케메네스 왕조 시절 모든 메디아 지역의 태수이자 알렉산드로스의 지정 상속자의 섭정인 페르디카스의 장인이던 아트로파테스 휘하의 ‘메디아 아트로파테네’가 되었다. 얼마 안 있어, 아트로파테스는 셀레우코스에게 충성을 표하는 걸 거부하고,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를 독립 국가로 만들었다. 안티오코스 3세 (재위 기원전 223-187년)가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동방 지역에서 세워진 국가들 중 하나인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권력을 장악했고, 기원전 223년에 아트로파테네 공격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에 따라서, 아트로파테네의 왕 아르타바잔은 셀레우코스의 우위를 인정하고 종속국이 되는 한편, 내부적으로 자주권은 보존되었다... 이와 같은 시간에, 로마 제국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동방 지역에서 자신들의 힘을 행사하려 했으며, 마그네시야 전투에서 셀레우코스가 기원전 190년에 로마군에 패하기에 이르렀다. 이러자, 파르티아와 아트로파테네는 로마를 자신들의 독립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고 이에 따라 로마에 대항한 분쟁들에서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38년에 로마와 파르티아 간의 전투가 벌어졌는데, 로마군이 승리를 거뒀고 로마의 장군 안토니우스는 아트로파테네의 중요 도시들 중 하나인 프라스파(Fraaspa)를 기원전 36년에 공격했다. 도시는 강력한 방어시설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장기간의 봉쇄 끝에, 안토니우스는 대략 3만5천여 명의 병력을 잃고 철수하였다. 아트로파테네를 합병하려던 파르티아의 시도에 직면하자, 아트로파테네는 로마와의 친선 관계를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기원전 20년에 즉위한 아리오바르잔 2세은 대략 10년간 로마에서 거주하기도 했다. 아트로파테네를 창건한 아트로파테스 왕조는 수세기간을 왕국을 다스리게 되는데, 처음에는 독립적으로 하다가 그 다음부터는 아르사케스 왕조 (이들은 아트로파테네를 Aturpatakan이라 불렀다)의 봉신으로 있었다. 이들 왕조는 이후에 아르사케스 가문으로 대체된다. 파르티아 역사의 후반기에, 파르티아 제국은 쇠퇴하고 있었고, 이란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권이 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란학자 Touraj Daryaee는 파르티아의 왕 볼로가세스 5세의 치세(재위: 191-208년)가 “‘아르사케스 왕조 역사의 전환점’이며, 이 당시에 아르사케스 왕조의 많은 명성을 잃었다”라고 주장했다. 아트로파테네 사람들 (귀족과 평민 모두)은 페르시아계 사산 가문의 대공 아르다시르 1세 (재위: 224-242년)가 볼로가세스 5세의 아들인 아르타바누스 4세(재위: 216-224년)와 싸울 때, 사산 가문과 동맹을 맺었다. 226년에, 아트로파테네는 아르다시르 1세가 호르모즈드간 전투에서 아르타바누스 4세를 패배시키고 전사시켜낸 후, 약간의 저항 끝에 그에게 항복했다. 아르다시르 1세와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샤푸르 1세 (재위: 240-270년)는 살마스 인근 바위 부조에 표현되어 있는데, 아마 사산 제국의 아트로파테네 정복을 기념한 것으로 추정한다. 아트로파테네의 귀족들은 대부분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강력한 국가를 바랐기에 사산 왕조들과 협력했을 것이다. 독실하지 않았던 아르사케스 왕조한테 소외감을 느꼈을 수 있던 사제 계층들도 조로아스터교와 연관성이 있던 사산 가문을 지지했을 수 있다. = = 조로아스터교 = = 조로아스터교의 오랜 역사는 아베스타의 지리적 지식에 관한 결여 및 조로아스터교의 선지자 자라투스트라의 출생지에 관한 불확실성을 불러 일으켰다. 이 결과로, 특정 지역들의 주장들이 꽤나 쉽게 간단히 등장하였고, 적절한 뒷받침이 함께하여, 심지어는 동의를 얻게 되었다. 이런 점은 자라투스트라가 실제로 출생했던 동방 지역보다는 아트로파테네가 그의 출생지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했다. = = 수도 = = 아트로파테네에 있던 주요 아케메네스 시기 중심지는 간자크 (메디아어로는 보배를 의미하는 ‘Ganzaka’)였으며, 아트로파테스와 그의 계승자들의 수도 역할을 했었을 것이다. 간자크는 우르미아 호수 인근의 비옥한 지역에 있었으며, 오늘날 미안도압과 가까웠다. 도시와 주변 일대는 많은 이란인들이 입지했을 것이지만, 그것에 비해서 아트로파테네인 대다수는 기원전 3세기 이전까지는 완전한 이란화가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다. = = 유산 = = 아트로파테네는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재위: 기원전 336년-323년)의 일시적인 지배를 받았던 시기를 제외하면 아케메네스 왕조부터 아랍의 정복 때까지 지속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유일한 지역이었다. 아트로파테스 왕조 시절, 이 지역은 성공적으로 조로아스터교가 높은 지위를 얻었는데, 이런 점은 파르티아인들의 전통보다 메디아인들의 전통을 선호했던 사산 왕조의 군주들 시기에도 이어졌을 것이다. = = 통치자 목록 = = 아트로파테네의 왕들이 수세기를 다스리기는 했으나, 그들 중에 일부만이 알려져 있다. 또한 통치 기간도 불확실하다. 이름 재위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가문 아트로파테스 재위: 기원전 323년 아르타바자네스 재위: 기원전 221년 미트리다테스 1세 재위: 기원전 67년 다리우스 1세 재위: 기원전 65년 아리오바르자네스 1세 재위: 기원전 59년 아르타바스데스 1세 재위: ???–기원전 30년 아신날루스 재위: 기원전 30년 아리오바르자네스 2세 재위: 기원전 28/20년-서기 4년 아르타바스데스 2세 재위: 4-6년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아르타바누스 재위: ???-12년 보노네스 재위: 12-51년 파코루스 재위: 51-???년 = 슈츠 (동음이의) = 슈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슈츠: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방영된 드라마 슈츠 (대한민국의 드라마) 슈츠 (일본의 드라마) 슈츠 (영화) = 에바라촌 = 에바라촌(荏原村) 에바라촌 (오카야마현) - 오카야마현 시쓰키군 에바라촌. 현 이바라시의 일부 에바라촌 (에히메현) - 에히메현 온센군 에바라촌. 현 마쓰야마시의 일부 = The Taylor Swift Holiday Collection = “The Taylor Swift Holiday Collection”(Sounds of the Season: The Taylor Swift Holiday Collections)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테일러 스위프트의 크리스마스 EP이다. 2007년 10월 14일 빅 머신 레코드를 통하여 발매되었으며, 미국과 온라인에서 타깃 스토어를 통해 구매가 가능하였다. 2007년 연말 시즌을 노려서 제작된 한정 반매지만, 2008년 12월 2일에 아이튠즈와 아마존에서, 그리고 2009년 10월에 타겟 스토어에서 재발매되었다. “The Taylor Swift Holiday Collection”은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럴과 같은 곡을 커버한 것과 ‘Christmases When You Were Mine’과 ‘Christmas Must Be Something More’까지 두 개의 스위프트가 쓴 컨트리 팝 장르의 곡이 포함되어 있다. 음악 평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 상업적으로도 미국의 빌보드 200 차트에서 20위를 찍고, 홀리데이 음반 차트에서 1위를 찍으면서 성공하였다. = = 트랙 리스트 = = 모든 트랙은 네이선 채프먼이 프로듀싱하였다. = = 차트 = = = = =주간 차트 = = = 차트 (2007–11) 최고순위 미국 톱 컨트리 음반 (빌보드) 14 미국 톱 홀리데이 음반 (빌보드) 1 = = =연말 차트 = = = 차트 (2010) 순위 미국 빌보드 200 70 차트 (2011) 순위 미국 빌보드 200 193 = 황북초등학교 = 황북초등학교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신화길 81-20 (신화리)에 있었던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36년 7월 2일 황화공립보통학교 부설 황북간이학교 개설 1943년 3월 1일 황북공립국민학교 승격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로 편입 1983년 1월 6일 병설유치원 인가 1996년 3월 1일 황북초등학교로 개칭 1999년 9월 1일 연무중앙초등학교로 통합 = 분류:기원전 3세기 여자 통치자 = = 분류:팔레스타인의 도시 = = 크로스노군 (루부시주) = 크로스노군은 폴란드 루부시주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크로스노오잔스키에이며 면적은 1,390km2, 인구는 55,018명(2019년 6월 30일 기준), 인구 밀도는 40명/km2이다. 북서쪽으로는 스우비체군, 북쪽으로는 술렝친군, 북동쪽으로는 시비에보진군, 남쪽으로는 지엘로나구라군, 자리군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독일과 국경을 접한다. 7개 지방 자치체(1개 도시, 1개 도시형 농촌, 5개 농촌)를 관할한다. = 화순 개천사 부도군 = 개천사 부도군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개천사에 있는 승탑이다. 2005년 1월 15일 화순군의 향토문화유산 제24호로 지정되었다. 개천사 부도군 = 스톤 (2013년 영화) = 스톤은 2013년에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조동인 : 민수 역 김뢰하 : 남해 역 박원상 : 인걸 역 명계남 : 송원장 역 박민규 : 광팔 역 손종학 : 종태 역 조지환 : 상식 역 허준석 : 천수 역 김동곤 : 용배 역 소희정 : 경자 역 송석호 : 민수 선배(마공) 역 김영춘 : 본방꾼사내 역 조세래 : 상춘 역 한여울 : 도박장 여 알바 역 오광록 : 이수 역 박효준 : 광팔후배 역 백승철 : 대행사채무사장 역 한국진 : 포기각서채무남 역 차승호 : 영길부하 1 역 오화열 : 종태파 역 조민수 : 이태삼 역 (특별출연) 김영삼 : 바둑티비 해설자 역 (특별출연) 강나연 : 바둑티비 진행자 역 (특별출연) 김남훈 : (특별출연) = 분류:안드로스탄 = = Devils & Dust = Devils & Dust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열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며, 그의 세 번째 어쿠스틱 음반 (Nebraska와 The Ghost of Tom Joad에 이어)이다. 그것은 2005년 4월 25일 유럽에서, 그리고 2005년 4월 26일 미국에서 발매되었다. 그것은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 = = 배경 = = 스프링스틴은 Devils & Dust의 많은 노래들이 1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에 대해 매우 개방적이었다. 스프링스틴은 사우스사이드 조니가 1991년에 발매된 그의 음반 Better Days에 사용하기 위해 〈All the Way Home〉을 작사, 작곡했다. 〈Long Time Comin'〉과 〈The Hitter〉는 1996년 스프링스틴의 Ghost of Tom Joad Tour의 솔로에서 작곡되고 공연되었다. 〈Devils & Dust〉도 이전에 작곡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2003년 여름부터 그 이듬해까지 The Rising Tour에서 사운드 체크에 참여했다. (스프링스틴은 적어도 한 번의 보트 포 체인지 쇼의 세트리스트에 〈Devils & Dust〉가 있었지만, 마지막 순간에 〈Star Spangled Banner〉의 12현 기타를 연주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나중에 그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발매할 것이다.) = = 발매 및 홍보 = = Devils & Dust는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갈채를 받았다. 2005년 3월 28일, 타이틀곡은 AOLmusic.com에서 독점적인 "퍼스트 리스닝"으로 소개되었다. 다음날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에서 구매하기 위해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또한 듀얼디스크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이렇게 하면 정규 음반이 디스크의 한쪽에, 5.1 서라운드 사운드와 비디오와 같은 특수 콘텐츠가 DVD 형식으로 디스크의 다른 쪽에 배치된다. DVD에는 스프링스틴이 〈Devils & Dust〉, 〈Long Time Comin'〉, 〈Reno〉, 〈All I'm Thinkin' About〉, 〈Matamoros Banks〉의 작사, 작곡에 대해 공연하고 논평하는 것이 수록되어 있다. 노래 가사는 노래방 스타일의 서라운드 사운드 부분의 재생과 함께 제공된다. 스프링스틴의 솔로 Devils & Dust Tour는 음반 발매와 동시에 시작되었다. 마케팅은 성공적이었다. 스프링스틴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7번째 1위와 4번째 1위를 차지했고, 이전에 발표되지 않은 콘텐츠만을 수록한 음반으로는 두 번째이자 E 스트리트 밴드 없이 첫 번째 음반이었다. 그러나 초기 발매 기간이 지나자 판매가 잠잠해졌고, 2006년 2월 미국에서 골드 등급을 획득하여 2008년 11월 현재 65만 장이 팔렸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브루스 스프링스틴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그로브스 = 그로브스는 다음을 의미한다. 레슬리 그로브스: 미국의 육군 군인 더 그로브스: 잉글랜드 요크 지역 그로브스 (텍사스주): 미국의 도시 = 틀:유사과학 정보 = = 스톤 로지스 = 스톤 로지스(The Stone Roses)는 1983년 맨체스터에서 결성된 영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이다. 매드체스터 무브먼트의 선구자들 가운데 하나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였다. 전성기 구성원으로는 보컬 이언 브라운, 기타 연주자 존 스콰이어, 베이스 연주자 개리 "매니" 모운필드, 드럼 연주자 알란 "레니" 렌이 있다. 데뷔 음반 The Stone Roses를 1989년에 발매했다. 이 음반은 밴드 성공의 시작이 되었으며 많은 비평가들이 영국의 가장 훌륭한 음반들 가운데 하나로 꼽으며 찬사를 받았다. 이 때 밴드는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하며 성공의 가도를 걷기 시작한다. 2013년 6월에는 셰인 메도우스가 감독한 밴드의 재결성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 스톤 로지스: 메이드 오브 스톤이 개봉하였다. = = 음악 스타일과 영향 = = 스톤 로지스는 개러지 록, 노던 록, 펑크 록과 비틀즈, 롤링 스톤스, 비치 보이스, 버즈, 조니 마, 지미 헨드릭스, 레드 제플린, 지저스 앤 메리 체인, 소닉 유스, 섹스 피스톨스, 더 클래시 등의 음악가에게 영향을 받았다. 밴드는 애시드 하우스 리듬과 기타 팝 사운드를 섞은 얼터너티브 록 스타일인 매드체스터의 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또 밴드는 다른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오아시스의 노엘 갤러거는 인터뷰에서 "〈Sally Cinnamon〉을 처음 듣고 이건 나의 운명이구나 라고 느꼈다."라고 밝혔으며 리암 갤러거 또한 스톤 로지스의 공연을 보고 음악가가 되는데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다. = = 음반 목록 = = 《The Stone Roses》 (1989년) 《Second Coming》 (1994년) = = 밴드 멤버 = = ImageSize = width:850 height:350 PlotArea = left:150 bottom:120 top:0 right:20 Alignbars = justify DateFormat = dd/mm/yyyy Period = from:01/01/1983 till:24/06/2017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format:yyyy Legend = orientation:vertical position:bottom columns:3 ScaleMajor = increment:2 start:1983 ScaleMinor = increment:1 start:1983 Colors = id:voc value:red legend:Vocals id:bv value:pink legend:Backing_vocals id:lg value:teal legend:Lead_guitar id:rg value:brightgreen legend:Rhythm_guitar id:key value:purple legend:Keyboards id:b value:blue legend:Bass id:dr value:orange legend:Drums id:p value:claret legend:Percussion id:d value:yellow legend:Dancing id:alb value:black legend:Album_release LineData = at:01/04/1989 layer:back at:05/12/1994 PlotData = width:11 textcolor:pink align:left anchor:from shift:(10,–4) bar:Ian Brown from:start till:01/10/1996 color:voc bar:Ian Brown from:18/10/2011 till:end color:voc bar:Ian Brown from:start till:01/10/1996 color:p width:3 bar:Ian Brown from:18/10/2011 till:end color:p width:3 bar:John Squire from:start till:01/04/1996 color:lg bar:John Squire from:18/10/2011 till:end color:lg bar:John Squire from:01/06/1986 till:01/04/1996 color:rg width:7 bar:John Squire from:18/10/2011 till:end color:rg width:7 bar:John Squire from:start till:01/04/1996 color:bv width:3 bar:John Squire from:18/10/2011 till:end color:bv width:3 bar:Aziz Ibrahim from:01/04/1996 till:01/10/1996 color:lg bar:Aziz Ibrahim from:01/04/1996 till:01/10/1996 color:rg width:3 bar:Andy Couzens from:start till:01/06/1986 color:rg bar:Andy Couzens from:start till:01/06/1986 color:bv width:3 bar:Nigel Ippinson from:01/04/1995 till:01/10/1996 color:key bar:Nigel Ippinson from:01/04/1995 till:01/10/1996 color:bv width:3 bar:Pete Garner from:start till:01/07/1987 color:b bar:Rob Hampson from:01/07/1987 till:01/11/1987 color:b bar:Mani (Gary Mounfield) from:01/11/1987 till:01/10/1996 color:b bar:Mani (Gary Mounfield) from:18/10/2011 till:end color:b bar:Simon Wolstencroft from:start till:01/05/1984 color:dr bar:Reni (Alan Wren) from:01/05/1984 till:01/03/1995 color:dr bar:Reni (Alan Wren) from:18/10/2011 till:end color:dr bar:Reni (Alan Wren) from:01/05/1984 till:01/03/1995 color:p width:7 bar:Reni (Alan Wren) from:18/10/2011 till:end color:p width:7 bar:Reni (Alan Wren) from:01/05/1984 till:01/03/1995 color:bv width:3 bar:Reni (Alan Wren) from:18/10/2011 till:end color:bv width:3 bar:Robbie Maddix from:01/03/1995 till:01/10/1996 color:dr bar:Robbie Maddix from:01/03/1995 till:01/10/1996 color:bv width:3 bar:Cressa from:19/06/1989 till:19/12/1989 color:d = 분류:하와이 신화 = = 와이어 기록 = 와이어 기록은 초창기의 자기 기록 기술의 하나로, 가느다란 강철 철사 위에 자기 기록이 이루어지는 소리 기록의 아날로그 형태이다.Morton (1998) (journal article). = = 역사 = = 1898년 발데마르 포울센이 발명하였으며, 이 기계를 전자식 녹음기라고 이름을 붙였다. 1900년에 전자식 녹음기를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하여 대상을 받았다. 그 이후 1929년 루이스 블래트너가 이 아이디어를 이용해 똑같은 방식으로 녹음하는 블래트너폰을 만들었으나, 30분을 녹음하기 위해서는 3 km의 강철 와이어가 필요하여, 효율적이지 못하여 일반적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1928년 자기 테이프가 개발된 후에는 매우 빠른 속도로 시장에서 사라졌다. = = 원리 = = 원통에는 기록을 위한 강철선이 감겨 있으며, 원통은 녹음기에 연결돼 있는 전자석을 지나가게 되어 녹음기에 지나가는 소리에 의해 강철선이 자화해 녹음이 되며, 다시 강철선이 감게되면 스피커에 연결된 전자석이 지나가게 되어 소리가 재생되게 된다. = 분류:벨기에의 법률가 = = 분류:소설 = = 분류:타이중시의 단체 = = 하야토 (동음이의) = 하야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하야토: 사쓰마, 오스미(현재의 가고시마현 일대) 등지에 살았던 소수민족 = = 인명 = = = = = 실존 인물 = = = 이케다 하야토: 일본의 대장성 관료이자 정치가 사카모토 하야토: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이치하라 하야토: 일본의 배우 데라하라 하야토: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누쿠이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다카기 하야토: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나카무라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스즈키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이케가야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미네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치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하시모토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사사키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카나카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미치우에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나카마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야노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카모토 하야토: 일본의 축구 선수 = = = 가공의 인물 = = = 고쿠데라 하야토: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 카자미 하야토: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의 등장인물 리키: 시간탐험대의 주인공의 일본판 이름 신도 하야토(神童はやと) = 탐닉성 행동 = 탐닉성 행동이란 보수작용과 보강작용을 동시에 일으키는 행동, 즉 그 행동을 하면 할수록 계속 더 하고 싶어지는(즉 탐닉을 일으키는) 행동이다. 탐닉성 행동으로 인한 탐닉을 행동탐닉이라고 한다. 탐닉성 행동과 강박적 행동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다. 어떤 행동이 탐닉을 불러일으키려면 그것에 대한 보상작용이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강박장애는 보상이 굳이 주어지지 않아도 그 행동을 하려는 충동을 받는다. = 분류:폴란드의 올림픽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 = = 틀:켈트어파 = = 마르타 토레혼 = 마르타 토레혼 모야(, 1990년 2월 27일 ~ )는 스페인의 여자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수비수이며, 현재 스페인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메니나의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소속이다. 14세 시절에 RCD 에스파뇰에 입단하면서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메니나 무대에 데뷔했으며 2013년에 FC 바르셀로나 페메니로 이적했다. UEFA 여자 유로 2013,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UEFA 여자 유로 2017,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고,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이후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 = 수상 = = RCD 에스파뇰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메니나 1회 우승 (2005-06) 코파 데 라 레이나 4회 우승 (2005-06, 2008-09, 2009-10, 2011-12) 코파 카탈루냐 4회 우승 (2004-05, 2005-06, 2006-07, 2007-08) FC 바르셀로나 페메니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메니나 2회 우승 (2013-14, 2014-15) 코파 데 라 레이나 3회 우승 (2013-14, 2016-17, 2017-18) 코파 카탈루냐 3회 우승 (2014-15, 2015-16, 2016-17) = 왈테르 가르가노 = 왈테르 가르가노(, 1984년 7월 23일 ~ )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 = 클럽 경력 = = 2012년 8월 SSC 나폴리에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로 임대 이적했다. = = 수상 = = 다누비오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2회 : 2004, 2006-07 SSC 나폴리 코파 이탈리아 : 2011-12 코파 아메리카 : 우승 (2011), 4위 (200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4위 (2013) FIFA 월드컵 : 4위 (2010) = 분류:영국의 여자 프로레슬러 = = 모가디슈 (영화) = 모가디슈는 2021년 7월 28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류승완 감독의 작품으로, 7월 21일 개봉하였다. 영화는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대한민국과 북한 공관 직원들의 수도 모가디슈 탈출 실화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다. 배우 김윤석(한신성 대사 역), 조인성(강대진 참사관 역), 허준호(림용수 대사 역), 구교환(태준기 참사관 역), 김소진(김명희 역), 정만식(공수철 서기관 역) 등이 출연하였다. 모가디슈는 2019년 10월 말부터 2020년 2월 중순, 약 4개월 여를 아프리카에서 촬영하였다. 모로코 에사우이라에서 대부분의 촬영이 진행되었으며, 대통령궁 씬은 카사블랑카에서 찍었다. 대한민국 영화를 아프리카에서 촬영한 것은 1997년 개봉한 최민수, 이영애 주연의 인샬라 이후 24년 만으로, 모든 촬영을 진행하는, 이른바 올로케이션으로는 처음이다. 이슬람 문화권으로 소말리아와 비슷한 환경에, 안정적 치안과 촬영 인프라가 촬영지 선택 이유로 고려되었다. 2021년 8월 6일 초청과 동시에 북미(미국·캐나다)에서 개봉하였으며, 전 세계 50여개 국에서 동시 개봉한 바 있다. 대한민국 개봉 17일째인 8월 13일 정오, 코로나19 범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2021년 개봉작 중 대한민국 영화로는 처음으로 누적 관객 수 200만 명을 넘어섰다. = = 캐스팅 = = 김윤석: 한신성 역(실존인물: 강신성) 조인성: 강대진 역 허준호: 림용수 역(실존인물: 김용수) 구교환: 태준기 역(실존인물: 태준기) 김소진: 김명희 역 정만식: 공수철 역 김재화: 조수진 역 박경혜: 박지은 역 박명신: 배영숙 역 한철우: 채강식 역 주보비: 백화시 역 안세호: 장리철 역 이진희: 원미숙 역 최경훈: 량형곤 서기관 역 이화정: 장윤화 역 정병두: 리철진 무관 역 이나연: 채민서 역 김동화: 량효민 역 장지후: 림지후 역 유연석: 장한준 역 앤드류 나간가 키마니: 솨마 역 피터 카와: 칼릴 역 알렉스 키누시아 무티가: 핫산 역 윤경호: 안기부 요원 역 = = 수상목록 = =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 최우수 작품상(모가디슈)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 각본상(이기철, 류승완)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 촬영상(최영환)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 음악상(방준석) 2021년 제30회 부일영화상 남자 올해의 스타상(조인성) 2021년 제42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상(모가디슈) 2021년 제42회 청룡영화상 감독상(류승완) 2021년 제42회 청룡영화상 미술상(김보묵) 2021년 제42회 청룡영화상 최다관객상(모가디슈) 2022년 제5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모가디슈) 2022년 제5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예술상(최영환 촬영감독) 2022년 제5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류승완) 2022년 춘사영화제 기술상 (최영환) = 분류:칠레의 도시별 스포츠 = = 분류:201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 와이오밍군 (펜실베이니아주) = 와이오밍군 또는 와이오밍 카운티(Wyoming County)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28,276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7,046명이다. = 분류:899년 사망 = = 이상철 (1859년) = 이상철(李象喆, 1883년 음력 11월 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초기의 관료이다. 본명은 이문섭(李文燮)이나 1902년에 개명했다. = = 생애 = = 본관은 전주이며, 어릴 때부터 한학을 공부했다. 1896년에 판임관 6등으로 조폐 기관인 전환국 주사로 근무하는 등 대한제국 말기에 재무 관료로 일했다. 전환국에서 근무하면서 1900년에는 판임관 2등과 품계 6품으로 승진하였으며, 이듬해 판임관 1등이 되었다. 1904년에 전환국 기사가 되었다가 탁지부 인쇄국으로 이동하였다. 1905년에 정3품으로 승급하였다. 탁지부 인쇄국 사업과에서 정3품 기사로 근무하다가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맞았다. 한일 병합으로 조선총독부 체제가 출범하면서 총독부 관리로 이동하였고, 1911년 3월에 전라북도 용담군 군수로 발탁되었다. 1914년 3월에 총독부가 대한제국 출신 군수들을 대거 정리했을 때 면직되어, 총독부 군수로는 약 3년 동안 재직했다. 퇴관 당시 종7위에 서위되어 있었으며, 용담군수로 있던 1912년에 한국병합기념장도 수여받은 바 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에 포함되었다. = 하울의 움직이는 성 (영화) = 『하울의 움직이는 성』 은 2004년에 개봉한 일본의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감독은 미야자키 하야오, 제작은 스즈키 도시오이다.다음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웨일스 작가 다이애나 윈 존스의 동명 판타지 소설을 원작으로 하지만, 많은 부분이 각색되었다. 원작에는 없는 내용이나, 미야자키 하야오가 감독한 애니메이션에는 곳곳에 전쟁에 대한 이미지가 등장하며, 따라서 일부 평론가는 이 애니메이션이 전쟁을 반대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고 보기도 한다. = = 줄거리 = = 가업을 물려받아 모자 가게를 운영하는 소피는 영업을 마치고 동생 레티를 만나러 간다. 도중에 병사들에게 둘러싸여 곤란을 겪을 때, 매력적인 마법사 하울이 나타나 그녀를 구해준다. 검은 고무인간들에게 쫓기게 되자, 하울은 하늘을 날아서 소피를 목적지에 데려다준다. 소피는 그에게 푹 빠져 버린다. 그리고 그날 밤 하울을 노리고 있던 악명 높은 ‘황야의 마녀’가 소피 앞에 나타나, 소피의 모습을 90살의 할머니로 바꾸어 버린다. 더 이상 가게에 있을 수 없게 된 소피는 저주를 풀기 위해 마을을 떠난다. 황무지로 향하던 중 순무 대가리를 끼운 허수아비가 고꾸라져 있는 걸 보고 바로세워준다. 순무 허수아비는 보답으로 소피가 짚을 지팡이를 건네고, 하울의 움직이는 성으로 소피를 인도해준다. 성 안에는 하울의 어린 제자 마르클과, 하울과 계약하고 성을 움직이게 하는 불꽃 악마 캘시퍼가 있었다. 캘시퍼는 소피를 보자 자신과 하울의 계약의 수수께끼를 풀고 자기를 자유롭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하울이 성에 돌아오자 소피는 새로 온 청소부로 자신을 소개하고 성에 머물게 된다. 그 무렵 나라는 이웃 왕국과 전쟁을 시작하고 있었고, 국왕이 전쟁에 필요한 마녀와 마법사들을 불러 모은다. 그렇지만 하울은 자기는 너무 겁쟁이라면서 대신 소피를 자기 어머니로 꾸며 보낸다. 국왕의 성으로 가는 길에 소피는 황야의 마녀와 다시 마주친다. 그런데 마녀는 왕실 마법사이자 하울의 스승인 설리먼의 함정에 빠져, 젊어지는 마법을 빼앗기고 원래의 모습인 사리분별 못하는 노파로 변해 버린다. 설리먼이 국가에 협력하지 않으면 하울의 마법도 빼앗겠다고 협박하자, 소피는 하울을 옹호하며 설리먼의 요구를 거절한다. 그때 하울이 국왕으로 변신해서 나타나서는 소피를 비행선에 태워 탈출시킨다. 소피는 하울로부터 길을 가리키는 반지를 받고, 노파가 된 황야의 마녀와 설리먼의 개 힌을 데리고 움직이는 성으로 간다. 싸움을 마치고 돌아온 하울은 설리먼으로부터 숨기 위해 성을 마법으로 바꾸어 소피의 옛 집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란은 계속되었고, 하울은 소피를 지키겠다며 마침내 전쟁에 나선다. 설리먼은 소피의 어머니를 이용해 성이 있는 위치를 알아내고 군대를 보내 습격하게 한다. 소피는 난로에서 캘시퍼를 꺼내어 성을 붕괴시킨다는 결단을 내린다. 그리고 하울을 구하러 가기 위해, 캘시퍼를 꼬드겨 머리카락을 주고 힘을 얻게 한다. 그런데 황야의 마녀가 이때 캘시퍼가 하울의 심장을 품고 있음을 알아보고 캘시퍼를 끌어 안는다. 이에 소피는 엉겁결에 물을 끼얹어 버린다. 그러자 캘시퍼는 마력을 잃고 그들이 타고 있던 성은 두동강나서, 소피는 힌과 함께 고립되고 만다. 협곡 밑에서 소피의 반지가 빛나고, 반지가 알려준 길은 과거로 통했다. 그곳에는 어릴 적의 하울이 유성우가 되어 내린 캘시퍼를 만나 심장을 주고 계약하는 광경이 펼쳐져 있었다. 소피는 ‘반드시 만나러 갈 테니, 미래에서 기다려’라는 말을 외치면서 현재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어느 순간 소피의 저주는 풀려 백발의 소녀가 되어 있다. 현재에서 하울은 의식불명의 모습으로 변해 정신을 잃고 쓰러져 있었다. 소피는 마녀를 달래어 캘시퍼를 돌려 받고, 그를 하울의 몸에 집어 넣는다. 캘시퍼는 자유로운 유성이 되어 날아가고 하울은 정신을 차린다. 캘시퍼가 떠나자 성의 잔해가 무너지고 모두는 추락할 뻔하지만, 순무 허수아비가 나타나 모두를 구해준다. 소피가 순무에게 감사의 키스를 해주자 순무의 저주가 풀려 이웃나라 왕자의 모습이 된다. 왕자는 조국으로 돌아가 전쟁을 멈추겠다고 말하고, 그 장면을 힌을 통해 보고 있던 설리먼 또한 전쟁을 끝내겠다고 이야기한다. 곧 모두에게 정이 든 캘시퍼가 되돌아온다. 소피와 하울과 모두는 새로 만들어진 움직이는 성을 타고 하늘로 날아간다. = = 등장 인물 = = 하울 - 원작에서의 이름은 하울 젱킨스 이름은 필요한 만큼 만든다. 펜드레건, 젱킨스 또한 하울의 다른 이름이다. 소피 - 집의 가업을 물려받아 모자가게를 한다 황야의 마녀의 저주로 90세의 노인이 된다. 황야의 마녀- 하울과 대립하는 관계이다 캘시퍼(일본이름:카루시파) - 악마이며, 하울의 심장이다. 마르클(일본이름:마르크르) - 하울과 같이 사는 마법사 꼬마아이이다. 마담 설리먼 - 하울의 스승이며, 왕실 전속 마법사이다. 순무머리 허수아비(무대가리) - 저주에 걸려있던 이웃나라 왕자이다. 국왕 - 왕실의 꼭두각시이다. = = 성우진 = = 배역 일본어 성우 한국어 성우 영어 성우 소피 바이쇼 치에코 손정아 에밀리 모티머(소녀)진 시먼스(할머니) 하울 기무라 타쿠야 김영선 크리스찬 베일 황야의 마녀 미와 아키히로 성선녀 로런 버콜 캘시퍼 가슈인 타츠야 엄상현 빌리 크리스털 마르클 카미키 류노스케 김서영 조시 허처슨 레티 카즈키 야요이 바다 제나 멀론 패니 야소카와 마유노 김옥경 마리 데번 국왕 오오츠카 아키오 양석정 마크 실버먼 설리먼 가토 하루코 최문자 블라이스 대너 힌 하라다 다이지로 불명 디 브래들리 베이커 순무 오이즈미 요 전광주 크리스핀 프리먼 = = OST = = 배급 : 포니 캐년 코리아(주) 발매년도 : 2004년 아티스트 : 히사이시 조 타이틀곡 - 인생의 회전목마(人生のメリ-ゴ-ランド) 명랑한 경기병 공중산책 고동 황무지의 마녀 방랑하는 소피 마법의 문 풀리지 않는 저주 대청소 별의 호수로 조용한 상념 빗속에서 허영과 우정 90세의 소녀 설리먼의 마법진→성으로의 귀환 비밀의 동굴 이사 꽃의 정원 뛰어! 사랑이야 패밀리 전쟁의 사랑 탈출 소피의 성 별을 삼킨 소년 세계의 약속(世界の約束) = 밀 (동음이의) = 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밀은 밀속(Triticum) 식물의 낟알이다. 밀(T. aestivum)은 벼과의 식물이다. 밀(mill)은 십분의 일 센트를 나타내는 화폐의 단위이다. 밀(mil)은 전선의 지름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천분의 일 인치이다. 밀(mil)은 밀리리터를 나타낸다. 밀(mil)은 각도의 단위로서, 원둘레의 6400분의 일이다. = = 인명 = =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은 영국의 사상가이다. 제임스 밀(James Mill)은 스코틀랜드의 역사가, 경제학자, 철학자이다. 밀 에스파너: 아일랜드 신화에서 아일랜드섬의 마지막 도래인이며 오늘날의 게일인의 조상 민족인 밀레시안의 중시조라고 하는 인물 믹 밀: 미국의 힙합 가수 미하일 밀: 소비에트의 항공우주공학자 = 테드 마크랜드 = 테드 마크랜드(Ted Markland, 1933년 1월 15일 ~ 2011년 12월 18일)는 미국의 연극 배우, 영화배우이다. 미국에서 태어났으며 유카밸리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스위치 킬러 (1997년) 라스트 맨 스탠딩 (1996년) 보난자 (1995년) 블러드 링 2 (1995년) 와일드 빌 (1995년) 라이브 피스트 (1993년) 아메리칸 킥복서 2 (1993년) 레인저 (1990년) 48시간 2 (1990년) 뒤로 가는 남과 여 (1989년) 범죄와의 전쟁 (1988년) 분노의 눈동자 (1986년) A 특공대 - TV시리즈 (1983년) 내일은 태양 (1981년) 달리는 사이먼 (1981년) 원더 네바다 (1979년) 해저드 마을의 듀크 가족 (1979년) 불타는 서부 - 78년 시리즈 (1978년) 두 얼굴의 사나이 - 시리즈 (1978년) 파이팅 매드 (1976년)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975년) 울자나스 레이드 (1972년) 하이어드 핸드 (1971년) 캐넌 목장 (1967년) 위스키 전쟁 (1965년) 서부의 파라딘 (1957년) = 분류:클로켓 고등학교 동문 = = 분류:1864년 대량 살인 = = 국도 제160호선 (일본) = 국도 제160호선은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와 도야마현 다카오카시를 이어주는 일본의 일반 국도로, 총 연장은 45.3 km이다.실제 연장, 현도 등도 동일하다. 다만 중용 연장 등은 없다. = = 개요 = = 대다수의 구간을 도야마만이나 나다우라만을 통과시키고 있는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만을 사이에 두고 다테야마산이 선명하게 보이는 것부터 노토 다테야마 시사이드 라인이라는 애칭을 부여하고 있다. = = = 노선 정보 = = = 일반 국도의 노선을 지정하고 있는 정령에 의거한 기종점 및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기점 : 이시카와현 나나오시 (가와라마치 교차로 = 국도 제159호선, 국도 제249호선과의 기점) 종점 : 도야마현 다카오카시 (요쓰야IC = 국도 제8호선과의 기점) 중요한 경과지 : 히미시 총 연장 : 45.3 km도야마현 26.2km, 이시카와현 19.1km로 각각 이룬다. 중용 연장 : 없음 실제 연장 : 45.3 km 현도 : 45.3 km도야마현 26.2 km, 이시카와현 19.1km로 각각 이룬다. 신도 : 없음 구도 : 없음 지정 구간 : 나나오시 가와라마치 18번지 - 다카오카시 요쓰야 855-1번지 = = 역사 = = 1953년 5월 18일 : 2급 국도 160호 나나오 다카오카 선(나나오시 - 다카오카시)으로 지정 시행 1965년 4월 1일 : 1, 2급의 구분을 없애고 일반 국도 160호선으로 전환 = = 노선 개황 = = 노선 개황상 도로 시설로는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에 소재하고 있는 미치노에키인 가 유일하다. = = 지리 = = = = = 통과하는 지자체 = = = 이시카와현 나나오시 도야마현 히미시 - 다카오카시 = = = 통과하는 도로 = = = 국도 제159호선 국도 제249호선 국도 제415호선 국도 제8호선 ※종점에서 약 400m의 서쪽으로 직진하면 의 종점이 있다. = 분류:어사일럼 레코드 음반 = = 쓰쿠모가미 = 쓰쿠모가미는 일본에 전해져 내려오는 민간신앙으로 시간이 지나 오래된 물건에 신이나 정령이 깃든 것들의 총칭이다. = = 개요 = = 쓰쿠모의〈付喪〉는 아테지로 바른 것은 〈九十九〉이다. 이 구십구는 〈오랜 시간(99년)이나 경험〉〈여러 다양한 만물(99종류)〉등을 상징하며, 또한 神 대신에 髪(둘다 발음이 가미로 같다.)를 붙여 九十九髪이라고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발(髪)〉은 〈백발〉을 가리키며,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이나 경험등을 뜻한다. 즉 쓰쿠모가미란 〈여러 가지 다양한 만물이 오랜시간이나 경험을 거쳐 신에 이른 물건〉이란 뜻이다. = = 배경 = = 일본의 고신도(古神道)에서는 고대부터 삼라만상에 야오요로즈의 신이 깃든다는 애니미즘적인 세계관이 정착하여, 그 특징 중의 하나로 〈카미사비〉라는 말이 오래전부터 쓰였으며, 오랫동안 살아온 것이나, 오래된 것은 그만큼 신성하며 성스러운 것이라 여겨졌었다. 구체적인 것으로, 히모로기나 이와쿠라 신앙이 있으며, 오래된 거목이나 돌에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금줄을 둘러 그것을 신체(神體)로 믿고 있다. 쓰쿠모가미가 깃드는 의체도 삼라만상이며, 인공적인 물건(도구)나 건축물 외에도, 동식물이나 자연의 산과 강에까지 이른다. 쓰쿠모가미는 반드시 사람에게 복을 가져다 주는 것만은 아니며 재앙을 초래하기도 하며, 요괴로 전해지는 것도 많다. 일본에는 쓰쿠모가미와 마찬가지로 만들어진 뒤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건재한 물건이나 생물에는 영혼이 깃든다는 관습이나 가치관이 보편적이며, 신에게는 악함과 선함이 공존한다는 신도의 개념에 따라 그것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지은 탑이나 무덤, 공양탑도 일본 각지에 다수 존재한다. = 강민기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크루시픽스 크릭의 본명 = = 가공 인물 = = 강민기: 개와 늑대의 시간의 등장인물 강민기: 태양은 가득히 (2000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강민기: 결혼합시다 (2002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강민기: 커튼콜 (2016년 영화)의 등장인물 = 휘플 = 휘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조지 호이트 휘플: 미국의 병리학자, 생물학자, 의학자 휘플 지수: 미국의 인구학자 조지 챈들러 휘플(1866–1924)이 제안한 연령 통계 오류 계산법 = 분류:헵세투스과 = = 그레이스 파파야 = 그레이스 파파야(Gray's Papaya)는 맨해튼 웨스트사이드 두 곳에 위치한 핫도그 체인 가게이다. 24시간 영업한다. 그레이스 파파야는 비싸지 않고, 좋은 품질의 핫도그로 유명하다. "파파야"는 가게에서 파는 파파야 음료를 뜻한다. 핫도그 말고도, 오렌지, 포도, 피냐 콜라다, 코코넛 샴페인 (무알코올), 바나나 다이키리 (무알코올) 과일 음료를 팔고 있다. 파파야는 전 파트너 파파야 킹의 폴 그레이(Paul Gray)에 의해 1973년 설립되었다. 이 가게는 많은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데, 대표적으로 섹스 앤 더 시티의 2002년 에피소드 "Plus One is the Loneliest Number"에 등장한다. = 마하마두 은디아예 = 마하마두 봄바 은디아예(Mahamadou Bamba N'Diaye, 1990년 7월 21일 ~ )는 말리의 축구 선수이다. = 신수동 (사천시) = 신수동(新樹洞)은 사천시의 법정동으로 신수도 본섬과 아두섬등 그 부속도서를 관할한다. 행정동 상으로는 동서동에 속하지만, 사천시청 신수출장소에서 신수동 지역의 여러 행정사무를 처리한다. = = 역사 = = *1918년 삼천포면 신수도리 *1931년 삼천포읍 신수도리 *1956년 삼천포시 신수동 *1995년 5월 1일: 행정동 신수동 폐지, 신수동 관할 신수출장소 설치삼천포시 조례 제1448호(1995년 5월 1일 시행) = = 천연기념물 = = 신수동의 섬인 아두섬에 있는 사천 아두섬 공룡화석 산지는 천연기념물이다. = 인터내셔널월드인코리아 = = = 소개 = = 인터내셔널월드인코리아(IWIK, International World in Korea)는 주한 외국인들과 한국 청년들로 구성된 비정부 비영리 단체이다. 세계 다양한 문화의 사람들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모임을 조성해 다문화 인식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다양한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확산하고 국제교류를 활성화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을 증진하고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를 위해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 = 설립 = = IWIK는 2012년 주한 외국인들을 위한 소규모 교류 활동으로 시작되었고, 그 이후 전 세계 회원들이 참여하는 국제 교류 기구로 성장했다. 2018년 초 설립자인 김아솔(Sol Kim)은 '한국어 배우기 & 언어 교류'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북 커뮤니티를 만들어 현재 회원 23만명이 있는 페이스북 그룹으로 성장시켰다. 커뮤니티 회원들과 함께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과 국제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 활동 = = 이 커뮤니티는 그동안 수많은 단체와 대사관, 정부 등과 협력하여 여러 활동을 펼쳤지만, 2021년 1월부터 '인터내셔널월드인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 단체는 김아솔을 비롯한 해외 리더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리더들이 각기 다른 프로젝트와 캠페인을 담당하고 있다. = = = 봉사활동 = = = IWIK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는 것이다. IWIK의 봉사활동은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구성원들이 참여하고 싶은 활동이나 협력하고 싶은 커뮤니티에 대해 논의한 후 기획팀이 필요한 준비를 한다. 이러한 활동 중 일부는 환경 보호, 노인, 어린이, 노숙자, 동물 보호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부분의 봉사활동은 IWIK가 주관하고 진행하는 반면,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위해 다른 기관과 협력하는 경우도 있다. = = = 문화교류 프로그램 = = = IWIK가 세계 각지에서 온 외국인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IWIK의 구성원들은 다른 문화와 사람들에 대한 특별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회의나 활동, 행아웃 시간 동안 비공식적인 문화·언어 교류가 이루어지는 것을 외에도, IWIK는 외국인들이 한국인에게 자신의 나라와 문화를 소개하는 문화 교류 행사를 준비하며, 서로 반대로 진행하기도 한다. 터키와 한국의 문화 교류 행사와 몇몇 대사관의 대사 및 외교관들이 가족들과 함께 참여한 2022년 설 행사가 그 예이다. = = = 캠페인 = = = 2021년 가을, IWIK는 기획회의의 한 회원의 아이디어에 따라 서울시 노숙인들을 위한 겨울 옷 모으기 운동을 시작했다. 서울노숙인시설협회에 손을 내밀어 상황을 살피고 그에 따른 준비를 한 후, 이 캠페인은 주한 덴마크와 필리핀 대사관은 물론 단체 회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겨울 의류 여러 박스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2022년, IWIK는 세계시민의식의 개념을 홍보하고, 이 중요한 운동에 대한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동지 단체들과 협력하여 UN-SDG에 기여하기 위한 글로벌 캠페인을 시작했다. = = = 기타활동 = = = 시장실 초청으로 20명의 IWIK 회원들이 경상남도 함양군을 방문하여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한국 최초 놀이공원 서울랜드 초청으로 방문해 외국인들에게 알리고 있다.서울시관광재단의 초청으로 7명의 IWIK 회원들이 빛초롱축제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 = 목적 = = 이 단체의 목적은 봉사활동, 문화교류활동, 캠페인 외에도 대한민국 청년과 외국인 간의 언어교류 지원, 다문화 인식 개선, 국내 외국인들의 빠른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이다. 정부 기관 및 대사관이 국제 교류에 참여하고 있다. = 분류:마오밍시의 행정 구역 = = 할례 = 할례(割禮) 또는 포경수술(包莖手術, )은 인간의 음경에서 포피를 제거하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시술에서는 포피(fore skin)를 열고 유착을 제거하며 포피(fore skin)를 귀두(glans)에서 분리한다. 바빌로니아인, 아시리아인을 제외한 셈계(系) 제민족 및 이집트인에게 일반적인 음경(陰莖)의 포피절제(包皮切除) 의식이자, 포피를 제거해 귀두를 강제로 노출시키는 행위이다. 환상절제술(環狀切除術)이라고도 부르며 영어로, 서컴시전(Circumcision)이라고 부른다. 기원적(起源的)으로는 결혼을 앞둔 남성으로서의 생리적 이유, 혹은 사회 성원(成員)으로서의 자격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유대인에 있어서는 어느 시기에 생후 8일째 되는 유아에게 시술하도록 개정되어 신(神) 야훼(Jahweh, 여호와)와 이스라엘 민족간에 체결된 '계약의 표징'으로 해석되었다.글로벌세계대백과 포경은 귀두가 포피로 덮여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포피의 후퇴나 발기시 등 필요에 따라 귀두가 노출되는 경우를 가성포경, 제 원인으로 포피를 후퇴시켜도 귀두가 제대로 노출되지 않거나 무리해서 노출시킬 경우 심한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를 진성포경이라 한다. = = 단어의 의미 = = 한자 문화권의 국가인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성서에 기술되는 circumcisio(라틴어), circumcision(영어)의 번역어로 "할례(割禮)"가 채용됐다. 이후 한자 문화권에서 의학적 의미로 한국과 일본에서는 포경수술(包莖手術,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어권에서는 포피환절술, 포피환절수술, 포피수술, 할포피수술, 할포피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영어 circumcision은 남성의 음경포피를 절제하는 것이다. 종교적 행위는 있지만 종교적 행위 여부는 불문하고 의료행위(포경수술)도 포함된다.다만 genital cutting(직역 성기 절단)도 "할례"라고 말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남성의 circumcision(male genital cutting)과 여성기 절제(female genital cutting)가 포함된다. 여성 할례를 female circumcision(여자 할례)이라고 하지만 circumcision은 종교적 배경이 다르다는 등의 이유로 이 표현에 반대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여성 할례는 이슬람권 등에서 보이지만 현대에서는 악습이라고 비판되는 일이 많다. 또한 근래에는 남성기의 할례도 아동 학대나 남성 차별이라고 하면서 반대하는 것도 많아졌다. = = 역사와 종교적 배경 = = = = = 헤로도토스의 기록 = = = 헤로도토스(기원전 484년경 ~ 기원전 425년경)의 "역사" 내용 중에서 "다른 나라 사람들은 성기를 타고난 그대로 두는데, 이집트인은 할례를 한다. 전 세계에서 콜키스인과 이집트인과 에티오피아인만이 예로부터 할례를 행하고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 = = 유대교 = = = 창세기 17장 9~14절에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 후손들에게 지킬 언약으로서, 남자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유대교에서는 이 전통을 이어받는다. 또, 창세기 34장에는 하몰의 아들 세겜이 야곱의 딸 디나를 강간한 이후, 야곱의 아들들은 할례를 받은 자가 아니면 딸을 줄 수 없다고 대답하고, 거기에 응해 세겜 일가가 할례를 받은 3일 후에 고통에 고생하고 있는 중에 야곱의 두 아들(시메온, 레위)이 습격해 세겜 일가를 몰살한 기록이 있다. 이 때부터 당시의 할례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만큼이 며칠에 걸쳐 강한 아픔을 동반하고 있었던 것으로 헤아려진다. = = = 예수의 할례 = = = 대다수의 기독교에서는 12월 25일이 예수의 탄신기념일(성탄절)이므로, 8일 뒤에 할례를 행하는 유대인의 관습에 의해 1월 1일이 예수가 할례를 받은 날이다. 예수가 할례를 받은 날을 "그리스도 할례축일"라고 한다. = = = 기독교의 포교 = = = 기독교의 성립 후, 유대인 이외의 이방인에 대하여 전도를 행할 때에, 할례를 받지 않은, 개종한 이방인에 대하여 할례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가 큰 문제가 되었다. 바울은 "예수의 가르침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할례는 필요 없다"고 주장했지만, 교단 내에서는 할례를 해야 한다고 하는 강한 비판도 있었다.사도행전 15:1-29, 로마서 2:25-2:29, 콜로사이서 2:11 등 성경은 모든 신자의 할례는 마음에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처음부터 하나님께서 언약의 확증을 위해 허락하신 할례는 결국 영적 할례를 가르치시기 위한 수단이며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진짜 할례는 마음에 하는 것이다.(로마서 2:29) 그러므로 할례의 유무에 따라 신자여부를 구분할 수 없는 것이 가르치는 바이다. 성경은 결코 외모로 인간을 판단하지 않는다. 이는 누군가의 학벌이나, 지위, 성별이나 인종의 차이가 구원의 여부를 판가름 할 수 없다는 기본 원칙을 잊어선 안될 것이다. 단, 바울도 한편으로는 제자의 디모데(아버지가 그리스인으로서 할례를 받지 않고 있었다)에 대하여 할례를 하고 있지만, 이것은 유대인을 전도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였다고 한다. 만일 개종 시에 할례가 강요되었다면, 기독교의 포교방법도 상당 부분 달라있었을 것으로 보인다.(할례를 행하지 않는 그리스인과 로마인은 할례의 풍습을 몹시 싫어하고 있었다.) = = = 이슬람교 = = = 이슬람교의 코란에는 특별한 규정은 없지만, 하디스에서 이에 대한 기재가 있다. 전설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해석은 일정하지 않지만, 이슬람교의 남아는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전통적으로 행하여 왔다. 시기는 태어난지 7일째에 행할 경우부터, 10~12세경까지 경우 등이 있다. 연령이 높을수록 성인으로서 예의에 가까워졌다고 여겨진다. 할례는 이발사, 수술에 익숙한 사람이 행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대개 외과의사가 행하고 있다. 할례를 행한 것을 지역적으로 축하하는 습관이 있다. 할례를 행하지 않고 있는 사람이 성인이 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했을 경우는 해석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강제는 아니지만 될 수 있는 한 할례를 행하는 편이 낫다고 여겨진다. = = 효과 = = = = = HIV = = = 아프리카에서 실시된 3개의 무작위 통제시험에 의하면 2년동안 이성간 성접촉에 의한 HIV감염률이 38%에서 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세계보건기구는 HIV 예방을 위해 HIV 감염 비율이 높은 지역에 포경수술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포경수술은 HIV를 예방하는 부분적인 방법으로, 콘돔을 착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수단이라고 말하였다. 2015년의 메타분석 또한 HIV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인 근거는 포피에 있는 랑거한스세포가 HIV의 주요 표적이기 때문이고, 포경수술을 하지 않았을 경우 감염된 분비물이 생존할만한 폐쇄된 환경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동성간 성접촉에 의한 HIV감염률 감소에 대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 = = = 음경암 = = = 2011년 체계적인 검토에 의하면 음경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할례율이 높은 유대인들의 음경암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 = = 부작용 = = 포경수술 후 드물게 출혈, 감염, 과도한 포피제거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 = 성적감각 = = 성적감각과 관련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성적감각이 감소했다는 논문과 향상되었다는 논문, 관련이 없다는 논문이 나오고 있다. 2013년 체계적인 검토에 따르면 성적감각에 영향이 없다고 한다.미국 소아과 학회는 2012년 성명발표에서 포경수술이 성적감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 = 시행 국가 = = = = = 동아시아 = = = * * * * * 필리핀은 미국과 이슬람교의 영향(필리핀의 대부분 지역은 미국의 영향, 필리핀 남부지방의 경우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포경수술 비율이 높으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포경수술 비율이 높다. 하지만 싱가포르는 10%이하이며, 말레이시아는 60%이다. 한국은 광복기 이전의 경우는 전혀 없었으나 광복 직후 미미하던 한국의 포경수술 시행률은 계속 증가하여 2000년에는 8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치는 40대 이하의 한국전쟁 이후 세대 및 저연령층 남성층으로 한정할 때는 비율이 의외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폭발적으로 성장한 개신교 근본주의 세력이나 미국의 영향으로 인해 포경수술 또한 자연히 무조건 좋은 것으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남성의 성감대를 죽이는 수술이라 불필요한다는 입장과 위생을 위해선 하는 것이 좋다는 입장이 맞서고있다. 2020년, 조사에 의하면 만 20세 대한민국 남성의 포경수술 비율은 20% 내외이다. = = = 유럽 = = = * * * * 반면, 유럽과 일본, 비 이슬람교 아프리카국가, 비 이슬람교 아시아국가, 중남미 등에서는 매우 적다. 미국을 제외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다른 앵글로색슨계 국가들도 상대적으로 시술률이 낮다. = = =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 = =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또한 이슬람교나 유대교의 영향으로 인해 포경수술이나 할례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국가의 대부분은, 국민들을 기준으로 이슬람교나 유대교도의 비율이 지극히 높다. = = = 아프리카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는 이슬람교 비율이 높으며, 성인식으로 할례를 행하는 나라도 있다. = = = 아메리카 = = = * 기독교도가 약 8할을 차지하는 미국에서는 종교적 이유가 아닌, 위생상의 이유와 어린이, 청소년의 자위행위를 막는다는 이유로 19세기 말로부터 포경수술이 이루어졌다. 또 의료종사자 가운데 할례를 하는 종교 (주로 유대교)를 믿는 이들이 많아서 포피절제에 거부감을 느끼는 정도가 덜한 것도 한 원인이다. 1990년대까지는 태어난 남아의 대부분이 출생 직후 포경수술을 받았다. 미국의 병원에서 출산한 일본남아의 포경수술을 권장하는 일도 많았다. 그러나 위생상의 필요성은 희박함이 나타나게 되어 수술 자체도 비인도적이다는 견해가 강하여 1998년에 소아과 학회에서 포피 절제를 권장하지 않는 가이드 라인이 제출됐다. 이를 받고 포경수술을 받는 남자는 미국 전역에서 감소했다. 그러나 2012년 그들은 다시 추천 하기 시작했다. = = = 오세아니아 = = = 의 원주민인 어보리진은 통상의 할례에 더해서 음경의 하부, 즉 요도까지 절개하는 요도할례를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http://www.adelaidenow.com.au/news/south-australia/to-snip-or-not-to-snip-sydney-university-emeritus-professor-brian-morris-claims-circumcision-should-be-a-routine-procedure-for-boys/news-story/4489fbaafee69bcaec6e46b0d8f8bbff = = 기타 = = 포경수술의 포경이 고래를 잡는 행위를 뜻하는 한자어 포경(捕鯨)과 동음이의어 관계여서 대한민국에서는 고래잡이와 고래사냥이라는 속칭이 있다. = 탠디 그래픽스 어댑터 = 탠디 그래픽스 어댑터(Tandy Graphics Adapter, TGA, 탠디 그래픽스)는 IBM PC 호환 제품의 탠디 1000 시리즈에 대한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으로, IBM PCjr의 비디오 하위 시스템과 호환되지만 그 자체로 표준이 되었다. = = PCjr 그래픽 = = 탠디 1000 시리즈는 1984년에 IBM PCjr의 복제품으로 시작되어 기존 PCjr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을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그래픽 하위 시스템은 대부분 호환된다. 1983년에 출시된 PCjr은 IBM의 비디오 게이트 어레이(이후의 비디오 그래픽 어레이와 혼동하지 말 것) 및 MC6845 CRTC를 기반으로 구축된 그래픽 하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CGA(컬러 그래픽 어댑터)의 기능을 확장하여 각 화면 모드의 색상 수를 늘린다. CGA의 2색 모드는 4가지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4색 모드는 16가지 색상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탠디 1000은 PCjr보다 훨씬 더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공유 하드웨어 기능은 IBM보다 탠디 브랜드와 더 관련이 있었다. 탠디 그래픽 하위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이름은 없지만(탠디 설명서에서는 이를 "비디오 시스템 로직"이라고 함) 일반적인 용어로는 TGA라고 한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경우 TGA를 설명하는 이 문서의 정보는 PCjr 비디오 하위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EGA는 결국 IBM 호환 제품에서 TGA 그래픽의 상위 세트를 제공하지만 TGA용으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는 EGA 카드와 호환되지 않는다. = 분류:독일-라트비아 관계 = = 분류:세르비아의 희극 = = 분류:조정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그라살코비흐궁 = 그라살코비흐 궁전는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관저로서 슬로바키아 대주교가 여름에 머무는 궁정 옆에 있다. 로코코 양식(후대 바로크 양식)으로서 프랑스식 정원이 딸려 있다. 1760년에 안탈 그라살코비흐 백작(Count Antal Grassalkovich)의 명령으로 시작된 건축물로써 당시엔 슬로바키아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영토였으므로 제국의 사무국 용도로 쓰려고 만들었다. 그래서 백작의 이름을 따서 부르고 있다. 바로크 음악의 중심이었으며 요제프 하이든은 그의 수많은 곡을 이곳에서 초연하기도 하였다. 백작은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총애를 받고 있었으므로 수많은 연회와 파티가 이곳에서 열렸다. 하이든은 오케스트라를 연주하면서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이 결혼할 때 축하곡을 연주하기도 하였다. 1939년-1945년까지 궁전은 슬로바키아 공화국 초대 대통령의 관저였다. 공산권에 속해있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의 준 관저로 사용되었다. 1950년 선구자의 집으로 명칭을 바꾸면서 주변 아이들의 보호 센터로도 이용되었다. 1990년대 재건축 사업을 벌이면서 1996년 9월 30일부터 슬로바키아 대통령의 관저로 쓰이게 되었다. 궁전 인근의 큰 공원은 대중에 공개되어 있다. =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 =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는 1981년부터 운행하고 있는 도쿄 메트로 (이전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의 전동차이다. = = 개요 = = 1980년부터 생산이 되었고 1981년에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 이 열차는 도쿄 지하철 6000계 전동차, 도쿄 지하철 7000계 전동차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열차로 이 모델과 유사한 편이다. 1994년까지 19편성이 도입되었고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도큐차량제조에서 제작되었다. 2004년에 VVVF 인버터 제어 IGBT 개조 작업을 시작했다. 2016년에 LED 행선지로 교체했다. = = 편성 = =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편성으로 구성하고 있다. = = = 개조 이전 = = = 호차 1 2 3 4 5 6 7 8 9 10 명칭 CT1 M1 M2' M1 Mc2 Tc1 T2' M1 M2 CT2 번호 8100 8200 8300 8400 8500 8600 8700 8800 8900 8000 2호차, 4호차, 8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 = = 개조 이후 = = = 호차 1 2 3 4 5 6 7 8 9 10 명칭 CT1 M1 T3 M1 Mc2 Tc1 T2' M1 M2 CT2 번호 8100 8200 8300 8400 8500 8600 8700 8800 8900 8000 2호차, 4호차, 8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 = 현황 = =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도입 시기 개조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801 편성 1981년, 1994년 2006년 운행 중 802 편성 1981년, 1994년 2006년 2023년 803 편성 1981년, 1994년 2005년 2021년 804 편성 1981년, 1994년 2010년 운행 중 805 편성 1981년, 1994년 2009년 2022년 806 편성 1981년~1982년, 1994년 2005년 운행 중 807 편성 1982년, 1994년 2008년 2021년 808 편성 1982년, 1988년 2011년 2022년 809 편성 1982년, 1988년 2004년 운행 중 810 편성 1990년 2015년 운행 중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1 편성 1988년 2009년 2021년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2 편성 1987년 2012년 2022년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3 편성 1987년 2009년 2022년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4 편성 1987년 2014년 2022년 10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5 편성 1987년, 1988년 2014년 운행 중 8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6 편성 1987년, 1988년 2011년 운행 중 8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7 편성 1987년, 1988년 2013년 2022년 8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8 편성 1987년, 1988년 2010년 운행 중 8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819 편성 1987년, 1988년 2014년 2022년 8량 상태로 도입되었다. = 요짐보 = 요짐보(用心棒, Yojimbo)는 일본에서 제작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61년 액션, 범죄, 드라마, 스릴러 영화이다. 미후네 도시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키쿠시마 류조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미후네 도시로 토우노 에이지로 후지와라 카마타리 = = = 조연 = = = 시무라 타카시 카와즈 세이자부로 야마다 이스즈 타치카와 히로시 사잔카 큐 나카다이 타츠야 카토 다이수케 사와무라 이키오 니시무라 코우 츠키야 요시오 츠카사 요코 후지타 스스무 = = 기타 = = 미술: 무라키 요시로 의상: 무라키 요시로 = 대명준 = 대명준(大明俊, ?~?)은 발해의 왕자이다. = = 생애 = = 발해의 사신으로서 832년과 837년 당나라에 파견되었다. = = 참고 자료 = = 《구당서》 = 쓰보에촌 (니가타현) = 쓰보에촌은 니가타현 기타칸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다이나이시에 해당한다. =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 =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학명: Hoolock leuconedys)는 긴팔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이다. 이 종은 미얀마 친드윈 강 동부와 중국 윈난성 남서부에서 발견된다. = = 분류 = = 무트닉(Mootnick)과 그로브스(Groves)는 부노피테쿠스속(Bunopithecus)이라는 이름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밝히고, 훌록속(Hoolock)이라는 새로운 속으로 분류하였다. 이 속은, 이전에는 아종으로 생각되었던 2개의 독특한 종 Hoolock hoolock과 Hoolock leuconedys를 포함하여 논쟁이 되었었다. = 까치내로 (청양군) = 까치내로(Kkachinae-ro)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장평사거리에서 대치면 주정삼거리까지 연결하는 도로아다. = = 주요 경유지 = = 청양군 (장평면 . 대치면) = = 노선경로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장평사거리 국도 제39호선(충의로) 청양군 장평면 (이름없음) 지방도 제723호선(화산로) 청양군 장평면 지천교 청양군 장평면 지천사거리 지천로도림로 청양군 장평면 작천교 청양군 장평면 제1장곡교 청양군 장평면 장곡교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입구 교차로 지천구곡로 청양군 대치면 서닝고개 청양군 대치면 주정교 청양군 대치면 주정삼거리 칠갑산로 청양군 대치면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장평119지역대 (까치내로 17/중추리 513-9) = 탐미사리 = 탐미사리는 핀란드 우시마 지역에 있던 도시로 면적은 1,873.38km2, 인구는 14,754명(2008년 12월 31일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20.3명/km2이다. 2009년 1월 1일을 기해 카리스(Karis), 포흐야(Pohja)와 함께 라세보리(Raseborg)라는 이름의 지방 자치체로 통합되면서 소멸되었다. 전체 인구 가운데 81%는 스웨덴어를, 17%는 핀란드어를 구사했다. =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에 시리아의 오론테스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의 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다. 기원전 323년에 대왕의 사후에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의 결정을 수정한 것이었다. = 하재훈 (야구 선수) = 하재훈(河載勲, 1990년 10월 29일 ~ )은 KBO 리그 SSG 랜더스의 외야수이다. = =미국 프로야구 시절 = = 2008년 고등학교 3학년 때 시카고 컵스와 계약을 맺고 미국에 진출했다. 2010년에 포수 전향을 시도했으나 다시 외야수로 전향했다. = =일본 독립야구 시절 = = 2016년에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에 입단하였다. = =일본 프로야구 시절 = = 2016년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였다. 그에 앞서 김기태가 1997년 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 여부를 타진했으나 좌타자가 필요없다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측의 의견으로 인해 무산됐다. = =일본 독립야구 복귀 = = 2017년에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에 복귀하였다. = =한국 프로야구 시절 = = = =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시절 = = = 2019년에 입단하였다. 2019년 시즌에 36세이브를 달성하며 세이브왕을 달성했다. 그러나 2020년 시즌에는 블론 세이브를 6개나 기록하고 6월 22일에 1군에서 말소됐다. 부상으로 인해 2021년 시즌 후 외야수로 전향했다. = =호주 프로야구 시절 = = 2022년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 = = 주요 기록 = = = = = NPB = = = 첫 출장 : 2016년 6월 8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회전(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8번 중견수 선발 출장 첫 안타 : 2016년 6월 9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3회전(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3회말 미마 마나부 상대 안타 첫 타점 : 2016년 6월 10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회전(QVC 마린필드), 2회초 와쿠이 히데아키 상대 적시 2타점 2루타 = = 등번호 = = '2' (2016년,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 '00' (2016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3' (2019년 ~ 현재,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 2022년 ~ 2023년, 질롱 코리아) = = 출신 학교 = = 경남 양덕초등학교 마산동중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투수 기록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9 SK 1.98 61 0 0 5 3 36 3 0.625 245 59 47 1 26 1 64 13 13 2020 SK 7.62 15 0 0 1 1 4 0 0.500 66 13 19 2 8 0 10 13 11 통산 2시즌 3.00 76 0 0 6 4 40 3 0.600 311 72 66 3 34 1 74 26 24 타자 기록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20 SK -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021 SSG -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022 SSG 0.215 60 107 18 23 6 1 6 49 13 1 0 4 1 40 0 1 2023 SSG 0.303 77 201 35 61 10 1 7 94 35 11 0 19 5 53 0 2 통산 4시즌 0.273 140 308 53 84 16 2 13 143 53 12 0 6 93 0 0 3 = 분류:2018년 권투 = = 추부중학교 = 추부중학교(秋富中學校)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5년 4월 27일 : 공립중학교 인가 (6학급) 1955년 4월 28일 : 추부중학교 개교 1981년 2월 6일 : 학칙 변경 21학급 인가 2000년 3월 1일 : 특수학급 1학급 인가 2002년 12월 22일 : 본관 · 증개축 준공 2003년 2월 7일 : 다목적 강당 준공 2020년 9월 1일 : 제23대 김진구 교장 취임 2021년 1월 12일 : 제65회 졸업식 43명 졸업 (총 졸업생 인원 10,421명) 2021년 3월 2일 : 2021학년도 신입생 43명 입학 2022년 3월 1일 : 제24대 김한기 교장 취임 = 최규선 = 최규선(崔圭善, 1960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전라남도 나주 출신. 최규선 회장은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 보좌역 출신으로 (주)썬코어, (주)썬테크놀로지스(썬텍)의 대표이사 회장이다. 그러다 배임 횡령으로 9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중이며 상고심을 준비하고 있다. 2015년에는 코스닥 상장회사인 (주)루보를 인수하였으며 사명을 (주)썬코어로 변경하고 대표이사, 회장이 되었다. (주)썬코어의 사업으로는 자동차 부품 제조 및 판매와 전기자동차 및 ESS 이차 전지 생산 및 판매, 그리고 무인경비 시스템 개발 및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다. 아울러 2016년에는 (주)썬테크놀로지스의 대표이사가 되었으며 (주)썬테크놀로지스는 철강 산업에 필요한 압연 제조 공정의 핵심 부품인 주조 압연롤 전문 생산 업체로 일부 대형롤뿐만 아니라 중, 소형롤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와 현대종합제철등에 제품을 판매하는등 국내 압연롤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동남아, 중동, 인도, 유럽 등 해외 20여개국에도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최규선 회장은 김대중 前대통령 정부시절부터 국내외의 최고위 재계, 정계 인사들과의 인맥이 출중하여 영국의 토니블레어 前수상, 사우디의 알왈리드 왕자,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이라크 탈라바니 대통령, 호주 밥 호크 前수상 등과 친분이 두터우며 지난 2016년 5월 16일에는 사우디 알 왈리드 왕자의 방한을 주선하였고 5월 18일에는 알 왈리드 왕자와 함께 중국 국무원 리커창 총리를 중국 권력의 심장부인 중난하이(中南海)에서 면담하였다. 또한 2016년 9월 3일에는 당시 일본 국빈 방문중이었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이자 국방장관인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와 만찬을 겸한 회동을 하였다. 아울러 최규선 회장이 경영하는 방산업체인 도담시스템스와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간의 업무협약을 맺기로 하였다. 그러나 2016년 11월 24일, 2013년 7월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아오던 최회장의 또 다른 회사인 (주)유아이에너지 배임/횡령 사건 선고심에서 법정구속된다. = = 이력 = = *2018년 1월 배임횡령으로 9년 선고 받고 복역 중 2016년 3월 썬테크놀로지스(썬텍) 대표이사 2015년 7월 (주)도담시스템스 대표이사겸 회장 2007년 10월 ~ 2013년 12월 현대P&C 회장 = = 수상 = = 한국언론인협회 선정 '2016 올해의 공감경영 미래성장 CEO' TV조선 선정 '2016 글로벌 경영대상' = 분류:스위스의 식물원 = = NGC 200 = NGC 200은 물고기자리에 위치한 나선은하이다. 1790년 12월 25일,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다. = 분류:진주시의 교통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17주 = = = 영변 30메가와트 원자로 = = 영변 30메가와트 원자로에 심각한 반달행위가 있었습니다. 관련 삭제자들을 영구차단해 주십시오. 124.197.135.201 (토론) 2014년 4월 21일 (월) 07:18 (KST) = = 사:Wikiline 제제 요청 = = * 인신공격을 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4월 21일 (월) 21:23 (KST) = = 사용자:Hwangjy9 무기한 차단 요청 = = * = = 사용자:Johanna3372 차단 요청 = = * 일전에 사:RedMosQ님께 말씀드렸던 내용입니다만, 인신공격을 한 후 사과를 요구했으나 사과하지 않았고, 이후 마리아의 구원방주문서에서 특정 종교의 편에 서서 비중립적 편집을 관철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를 되돌리는 과정에서 인신공격이 발생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04:17 (KST) = = 125.178.177.158 차단 요청 = = * 지난 3월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의 상습 훼손행위로 인해 문서 자체가 준보호까지 간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서 준보호가 풀리기 무섭게 또 훼손행위를 하네요.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를 장기간 차단해줄 것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12:50 (KST) = = 지오메트리 대시문서 훼손자 긴급 차단 요청 = = * * * 실시간으로 훼손이 이루어지네요 커뷰 (토론) 2014년 4월 27일 (일) 20:16 (KST) = 분류:노론 시파 = = 김봉성 = (, 1962년 11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였다. = 분류:후쿠시마현의 시정촌사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 = thumb 대외경제성(對外經濟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내외 무역, 수출, 수입 업무를 관장하는 내각 중앙 행정기관이다. 무역 외에도 외국자본 유치, 각 지방의 경제개발특구 개발 사무를 관장한다. = = 연혁 = = 1948년 9월 2일 - 무역성 설치 대내외무역성 설립 1958년 9월 26일 - 대내외무역성 폐지, 무역성 내 대내외무역위원회로 흡수 2014년 6월 18일 - 무역성과 합영투자위원회, 국가경제개발위원회를 통합하여 '대외경제성' 신설 = = 조직과 업무 = = = = = 산하 외청 = = = 무역은행 = = 조직 = = 국가경제개발위원회 (1948.12. ~ 1957) 국제기구총국 국가경제개발총국(? ~ 1998.10) 합영투자위원회 대내외무역위원회 조선국제무역촉진위원회 합영투자위원회 아주국 국가경제개발위원회 (1998.10~ ) 합영투자위원회(2010.07.~) = = 역대 상, 부상 = = = = = 역대 상 = = = 임해 : 1958년 9월 26일 ~ 황태성 : ? ~ 1961년, 서리, 무역성 부상 겸직 리일경 : 1962년 10월 23일 ~ 1966년 계응태 : 1967년 12월 ~ 1970년 계응태 : 1970년 ~ 1972년 12월 계응태 : 1972년 12월 ~ 1977년 1월, 무역부장, 76.12 부총리 겸직 계응태 : 1977년 1월 ~ 1981년 5월, 경공업위원장 전출 강정모 : 1998년 9월 1일 ~ 1999년 12월 리광근 : 1999년 12월 ~ 2004년 4월, 종합설비수출입회사 사장 림경만 : 2004년 4월 ~ 2008년 3월 리룡남 : 2008년 ~ 2016년 9월 김영재 : 2016년 9월 ~ 2021년 1월 윤정호 : 2021년 1월 ~ = = = 역대 부상 = = = 박영빈 : 김광 : 황태성 : ? ~ 1961년, 무역상 서리 겸직 계응태 : 1962년 2월 ~ 1967년 12월(1967년 4월부터 무역촉진위 위원장 겸직) 리일경 : ? ~ 1962년 10월 23일 김봉익 : 1998년 9월 2일 ~ 리룡남 : 2001년 3월 ~ 2004년 10월 김영재 : 2001년 5월 ~ 2004년 10월, 2002년부터 조선국제무역촉진위원회 위원장 겸직 리룡남 : 2004년 10월 ~ 2008년 3월, 조선국제무역촉진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직 김룡술 : 1999년 12월 ~ 김영재 : 2004년 10월 ~ 2006년 9월, 주러시아 공화국 대사 전출 오룡철 : 2012년 ~ = = = 역대 부부상 = = = 계응태 : 1961년 12월 ~ 1962년 2월, 무역촉진위 부위원장 겸직 김동명 : 1999년 12월 ~ 김봉익 : 1999년 12월 ~ = = = 역대 합영투자위원회 위원장 = = = 리광근 : 2010년 8월 ~ 2014년 6월 18일, 대외경제성에 통합으로 인한 해임 = = 산하 기관 = = 일반제품 수입공사 락원무역상사 대련무역대표부 평양종합설비수출입회사 은별무역회사 합영투자위원회 = = = 기타 = = = 해양무역회사 (수산성, 상업성과 공동 운영) 매봉무역총국 량각기술무역총국 먼바다어업총국 향산지도국 능라회사 = 분류:대한민국 여성가족부 = = .bn = .bn은 브루나이의 인터넷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다. 이 도메인은 Telekom Brunei Berhad (TelBru)에 의해 관리된다. 다음과 같은 2차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다. .com.bn .edu.bn .org.bn .net.bn = 테오도어 볼프 (지질학자) = 테오도어 볼프(Theodor Wolf, 1841년 2월 13일~1924년 6월 22일)은 독일의 박물학자로 갈라파고스 제도를 연구했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울프 섬와 울프 산은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 = 루시퍼티티 = 루시퍼티티(Callicebus lucifer)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 남아메리카의 브라질과 콜롬비아, 에콰도르 그리고 페루에서 발견된다. = 분류:2022년 아시안 게임 체조 참가 선수 = = Reprise 1990–1999 = Reprise 1990–1999는 그리스의 음악가 반젤리스의 앨범이다. = = 트랙 목록 = = Bon Voyage 2:15 Dreams Of Surf 2:39 Opening 0:56 Conquest Of Paradise 4:43 Monastery Of La Rabida 3:44 Come To Me 4:25 Light And Shadow 3:48 Fields Of Coral 3:35 Movement 5 3:40 Movement 6 4:44 West Across The Ocean Sea 2:55 Theme From "Bitter Moon" 3:42 Rachel's Song 4:22 Movement 4 6:30 Psalmus Ode 4:41 Dawn 4:43 Prelude 4:36 = 불고기 (영화) = 불고기는 재일 동포 영화 감독 구수연이 한국의 불고기를 소재로 만든 2007년 영화이다. 타무라 타카히로의 유작이기도 하다. = = 줄거리 = = 어릴 적 어머니의 비밀 소스로 만든 깻잎을 즐겨 먹고 자란 두 형제는 어머니의 갑작스런 죽음 이후로 헤어졌다. 그 후 형인 토라오는 한국식 고기 요리로 대결을 벌이는 TV 프로그램 야키니쿠 배틀 로얄의 최강자인 갈비구이 요리사로, 동생 타츠지는 곱창의 달인 한노인 밑에서 요리 견습생으로 소박하게 살고 있다. 토라오의 레스토랑 체인이 한노인과 타츠지의 식당을 무너뜨리기 위해 음모를 꾸미면서 형과 동생은 조금씩 서로에게 다가가지만 결국 최고의 불고기 요리사를 놓고 대결하게 된다. = = 출연진 = = 타쓰지(마쓰다 류헤이) 요리(야마다 유) 한노인(타무라 타카히로) 토라오(아라타) 토라오(호랑이 왕)회장(모모이 카오리) 회장의 부하(타구치 토모로오) 야키니쿠 배틀 로얄 사회자(타케우치 리키) 야키니쿠 배틀 로얄 리포터(마에다 아이) 불고기 식당의 고객(무슈 카마야쓰) 야키니쿠 배틀 로얄 심사원장(쯔가와 마사히코) 야키니쿠 배틀 로얄 심사원(핫토리 유키오) 토리오의 요리 어시스턴트(야자와 신) 요리 평론가(릴리 프랭키) = 분류:나라별 기술 박물관 = = 두오모 = 두오모는 이탈리아어로 이탈리아의 도시를 대표하는 성당을 의미한다. 대부분 대성당을 의미한다. 하느님의 집을 의미하는 라틴어 Domus가 어원으로, 하느님의 집을 의미한다. 대성당을 의미하는 카테드랄레라고 표기하는 지역도 있다. 두오모(Duomo)는 바로 돔(Dome)을 뜻한다. 두오모 근처에는 항상 시청이나 중요한 행정 관서가 있다. = = 명칭의 기원 = = 기원전 62년 피에솔레인들이 공화정을 전복하려 했던 카틸리나(Lucius Sergius Catilina)를 지지하자 로마에서는 피에솔라와 멀지 않은 곳에 새롭게 군사적 거점을 건설하고자 했는데, 기원전 59년 집정관으로 당선된 카이사르(Gaius Iulius Caesar)는 이러한 역할에 더해 은퇴 군인들이 정착할 수 있는 터전을 함께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이러한 그의 목표에 맞추어 '플로렌티아(Florentia)'가 새롭게 건설되었는데, 이를 오늘날 피렌체의 기원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카이사르에 의해 새롭게 건설된 마을에 플로렌티아라는 이름이 붙게된 역사적인 맥락은 카이사르는 이 도시를 자신의 이름을 따 카이시리아라고 부르고 싶어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를 경계한 원로원은 이 의견을 거부했고 결국 이 도시의 이름은 이곳에서 피에솔레인들에게 살해당했던 카이사르의 부장 피오리노(플로리아누스)에게서 유래하게 된다. 한편 빌라니는 이 지역에 "꽃이 풍성했기에 붙은 이름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는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꽃에 비견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로마의 시민들이 이 도시에 넘쳐났다는 의미에서 프롤렌티아라는 도시의 이름이 붙었을 수도 있다"고 역설한다. 꽃과 관련되어 있긴 하지만 조금 다른 견해도 있다. 이 도시가 로마 신화 속 꽃의 여신인 플로라르 기념하는 봄축제(Ludi Florales 또는 Floralia)시기에 건설된 것에서 유래한다는 해석이다. 이 해석대로라면 피렌체의 건설은 봄 축제기간인 4월 28일에서 5월 3일에 즈음한 시점이었을 것이다. 물론 그 어느 것도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우나 도시의 기원을 꽃과 관련해 해석하는 견해가 다수 발견된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피렌체의 문장이 백합꽃인 것, 이 도시의 상징이 두오모(Duomo)의 공식 이름이 꽃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인 것도 이와 관련되어 있다. 그것은 꽃의 이미지, 즉 만개하는 번영의 이미지를 구현하려했던 피렌체인들의 노력을 담고 있다는 추측도 있다. = = 외부 장식 = = = = = 서측 천장 = = = 거대한 서쪽 전선은 6개의 레세네(적용된 스트립) 에 의해 5개 부분으로 나뉘며 , 각 부분은 조각상이 있는 장막으로 덮여 있다. 파사드에는 중앙에 장미, 마스크 및 별 모티프로 장식된 로마의 골동품 천장에서 영감을 받은 모티브로 프레임이 된 큰 장미 창이 있는 여러 개의 멀리언이 있는 창문이 있다. = = 인테리어 = = 교회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수도가 있는 팔각형 기둥과 바로크 양식의 수도가 있는 원형 기둥으로 분리된 본당과 두 개의 통로가 있다. 그것은 큰 후진으로 끝나고 통로로 열리는 일련의 예배당이 있다. 벽 장식은 압도적으로 바로크 양식이다. 다른 작품으로는 Matteo da Campione의 합창단, Andrea Appiani 의 중앙 제단 , Giuseppe Meda 와 Giuseppe Arcimboldi 의 노회 및 트랜셉트 프레스코화가 있다 . = = = Transects = = = Giuseppe Meda, 1558)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트랜셉트의 내부 머리 장식이 인상이다. = = = 예배당 = = = 바로크, 로코코 사이의 롬바르드 비 유적 문화 연구를 위한 전망대를 구성하는 건물 내부를 표시하는 것은 18세기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 = = 재무부 = = = 오른쪽 수랑에는 롬바르디아의 철관 , 약 500점의 후기 골동품 상아 시인과 뮤즈 두 폭 그림 , 국제적으로 중요한 후기 골동품 및 초기 중세 작품 컬렉션이 있는 재무부가 있는 세르페로 박물관 입구가 있다. Theodelinda 자신이 기탁한 다양한 종류의 것. 여기에는 중세 예술의 떠오르는 도상학의 증거인 성지의 작은 금속 6세기 앰플이 포함되며 , 그중에 는 중세 와 그 이후에 표준이 될 예술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심과 예수의 탄생 을 다룬 최초 의 묘사가 포함된다. Bobbio 만에서만 볼 수 있는 소장품도 존재한다. 도서관은 오래되고 중요한 채색 원고를 소장하고 있다. = 황지의 봄 = 황지의 봄은 1989년 3월 10일에 방영한 KBS 드라마게임이다. = = 줄거리 = = 연숙은 남편 만호가 막장에 들어간 뒤 사고 사이렌 소리만 나면 히스테리를 일으키다가 결국 아들 준기와 남편을 남겨둔 채 도시로 떠난다. 탄광촌의 광업소 노조위원장인 만호는 광원들을 대변해 막장환경개선과 산업재해예방 등 이익옹호를 위해 열심히 일하며 아내가 떠난 1년째 아들 중기와 단둘이 살아가고 있다. 연숙은 다른 곳에다 생활기반을 잡아두고 아들을 데려가려고 다시 돌아온다. 만호는 다시 돌아온 아내에게 쌀쌀맞은 태도로 대하지만, 속으론 존폐위기에 놓은 광업소와 막장생활에 지칠 대로 지쳐 아내와 자식을 데리고 그곳을 떠나려 한다. 하지만 광원들이 반발하고 나서자 아내에게 아들을 데리고 떠나라고 말한다. 연숙은 아내와 자식을 사랑하면서도 책임감에 떠나지 못하는 이런 남편의 심중을 헤아리고 남편의 도시락을 싼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정운용 : 박만호 역 연운경 : 연숙 역 강태기 : 최씨 역 정서임 김상훈 김을동 = = = 그 외 인물 = = = 최명수 김하림 김창봉 신종섭 심우창 곽정희 권오균 이필수 김경미 최용욱 여운국 김기수 : 준기 역 - 만호와 연숙의 아들 = = 토론 = = 진행자 : 김재원 = 분류:영국의 자치 = = 수촌리 = 수촌리(水村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촌리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수촌리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수촌리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수촌리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수촌리 = 분류:네덜란드의 올림픽 참가 선수 = = Rise of the Tyrant = Rise of the Tyrant는 2005년에 발매된 아치 에너미의 음반이다. = 틀:포뮬러 원 프로젝트 = 위키프로젝트:포뮬러 원이 다루는 범위 안에 있는 문서의 토론 문서 상단에 붙입니다. = 음력 10월 19일 = 음력 10월 19일은 음력 10월의 19번째 날이다. = = 사건 = = 2014년 - 일간베스트 저장소 이용 전력이 있는 고등학생이 전북 익산시 신동성당에서 열린 신은미 토크 콘서트 도중 인화물질이 담긴 사제폭탄을 투척하는 테러 행위를 벌임.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의 한 도금공장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되어서 49명이 부상을 입었다. = = 문화 = = 2014년 - 대한민국과 베트남이 자유무역협정을 타결하였다. = =기념일, 연중행사 = = 10월19일여순사건(여수,순천) = 엘라 그라소 = 엘라 로자 조반나 올리바 탐부시 그라소(Ella Rosa Giovanna Oliva Tambussi Grasso, 1919년 5월 10일 ~ 1981년 2월 5일)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코네티컷주지사를 지냈다. 그녀는 남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력으로 당선된 첫 번째 여성 주지사로, 코네티컷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이기도 하다. 주지사를 맡기 전에는 주의원과 연방 하원의원, 주무장관을 거치는 등 오랫동안 코네티컷주 지역 정계에서 활동했다. 코네티컷주는 물론 미국 내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지병으로 인해 조기 퇴임하였다. = = 초기 생애 = = 코네티컷주 윈저락스에서 엘라 로자 조반나 올리바 탐부시라는 본명으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 제임스 탐부시와 마리아 올리바는 교육을 높이 평가하여 엘라가 사립 학교들에서 수학하는 데 가능하게 만든 이탈리아 이민자들이었다. 그녀는 세인트메리 학교와 윈저에 있는 채피 학교에서 수학하였고, 마운트 홀리오크 칼리지로 장학금을 받아 1940년 문학사, 그리고 1942년 경제학과 사회학에서 석사를 받았다. 자신이 공직에 들어가야 할 자신의 교육적 경험들에 의하여 납득된 그라소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 동안 코네티컷주 전쟁 인력 위원회와 근무하였다. 1942년 그녀는 토머스 그라소와 결혼하였고 부부는 2명의 자식들 - 수잰과 제임스를 두었다. = = 정치 경력 = = 코네티컷주 민주당을 위하여 그라소의 업무는 1943년에 시작되었다. 그녀는 1952년 자신의 고향 윈저락스로부터 코네티컷주 연방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54년에 재선되어 1957년까지 지냈다. 2년 후에 그녀는 코네티컷주 주무장관이 되어 그 직위에 12년 동안 보유하여 1835년 이래 여러 주무장관들보다 더욱 오래 지냈다. 1970년 그라소는 주지사를 위하여 나간 공화당의 토머스 메스킬에 의하여 비워진 제6 의회 지구를 위하여 나갔다. 그녀는 그 선거에서 공화당원 리처드 킬번을 꺾었고 1972년에 재선되었다. 그녀는 하원의 보훈부 위원회와 하원 교육·노동 위원회에 근무하였다. 자신의 고향 주에서 숙고적인 영향에 익숙한 그라소는 워싱턴 D. C.에서 새로운 입법자들을 사실상 무력으로 놓은 제도에 의하여 좌절하였고 1974년 안으로 주지사 경주에서 메스킬을 도전하는 아이디어로 수용하였다. 민주당 안에서 그녀의 주요 상대는 주의 법무장관 하트퍼드의 로버트 킬리언이었으나 하트퍼드 예비 선거에서 거의 2,000개의 투표 차이에 의하여 킬리언에 그라소의 승리는 그녀의 후보직을 자랑하였다. 킬리언과 그녀의 관계가 쉽지 않은 것이었어도 통합 측정으로 그라소는 킬리언을 자신의 러닝메이트로서 공천 후보에 놓는 데 민주당 의장 존 베일리의 타협으로 동의하였다. 훗날의 주지사 윌리엄 A. 오닐은 그녀의 선거 운동 관리자를 지냈다. 공화당원들은 그라소에 반대하는 데 하원 로버트 스틸을 후보 지명하였으나 그녀는 203,321개의 투표에 의하여 이겼다. 11월 선거에서 그녀의 승리는 민주당원들에 의하여 주 사무소를 완전히 휩쓴 일부였던 것 뿐만 아니였으나 그들은 또한 총회의 통치를 얻기도 하였다. = = 83대 코네티컷주지사 = = 그라소는 1975년 1월 8일 코네티컷주지사 직을 차지하였고 거의 즉시 "힘든 고객"의 이미지를 잡았다. 주지사로서 그녀의 기록은 그녀의 행정부로 실습 접근을 논증한다. 그녀는 업무에 중독되었고 자신의 측근이 똑같은 헌신과 강도와 함께 수행하기를 기대하였으며 어쩌다 그녀는 회의를 위하여 주의사당으로 즉시 그들을 데려가는 데 아침 일찍이 측근을 부르려고 하였다. 그녀는 시초적으로 4년 일찍이 메스킬이 주지사직을 택하였을 때 그를 직면한 그 비슷한 문제들을 향하였다. 그녀는 나가는 메스킬 행정부로부터 7백만 달러 빚을 물려받아 어떤 엄숙하고 인기없는 운동들을 만드는 데 자신을 강요하였다. 자신의 선거 운동에서 약속한 사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기금 없이 그녀는 자신의 5년간 직무 동안 서서히 움직이는 데 선택하여 몇몇 만의 입법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였다. 입법은 소비자들을 돕는 데 통과되었고 코네티컷주를 위한 정보공개법은 법률이 되었다. 판매세는 7 퍼센트로 상승되었다. 아직도 예산 부족이 자랐으나 민주당 의장 존 베일리의 지도 목표에 이어 그녀는 주의 소득세의 이행을 지속적으로 반대하였다. 그라소는그해 12월 입법의 특별 회의를 소집하였고, 베테랑의 기금 활용을 제안하여 같은 봉급을 위하여 더많은 시간을 일하는 데 주의 고용주들을 요청하였다. 총회가 그녀의 제안들과 함께 협동하는 데 거부했을 때 그라소는 크리스마스 겨우 전에 주의 505명의 고용주들을 해고하였다. 1976년 코네티컷주는 주의 추첨 분배를 시작하였다. 주의 가솔린세에서 증가, 향상된 경제와 주의 기금들의 현명한 사용과 더불어 이것은 결국 코네티컷주에게 예산 잉여를 주었다. 결과로서 해고된 주의 고용주들의 대부분이 다시 기용되었다. 그라소는 아직도 부정적 이미지로부터 고통을 겪었으나 도시와 타운들에 증가된 원조와 어떤 사업세의 축소와 합친 예산 균형을 이루는 그녀의 능력은 그라소의 대중의 인식을 향상시켰다. 국내 정치 장면에 그라소의 이름은 1976년 선거에서 대통령 혹은 부통령을 위한 가능한 후보로서 언급되었다. 헨리 M. 잭슨의 초기 성원자인 그녀는 그해 6월 지미 카터에게 자신의 성원을 전향하면서 자신을 숙고적인 정치적 당황으로부터 자신을 건저냈다. 그라소는 그해 7월 민주당 전당 대회에서 합동 의장을 맡았다. 카터가 자신의 내각으로 혹은 이탈리아 주재 미국 대사로서 그라소를 임명하려는 소문이 돌았으나 그라소는 주지사로서 또다른 기간을 위하여 나가는 데 자신의 의지를 이미 공고하였다. 1978년 2월 폭풍설이 코네티컷을 쳐 며칠동안 주를 무력하게 만들었다. 그라소는 코네티컷 주병 부대 본부로 가서 주의 시민들을 회복하는 도움을 주는 데 작전들에서 개인적 관심을 가졌다. 대중들은 이제 그 일이 정치인 뿐만 아닌 주지사로서 사전 예방적이며, 돌보고 인정 많은 여성을 가졌다고 믿었다. 동시에 그라소는 위기가 일어난 동안 부지사 로버트 킬리언을 지정하지 않음으로서 그의 정치적 주식을 최소화하는 데 시도하였다. 그해 여름에 민주당원들은 그라소와 함께 공천 후보에 부지사를 위한 자신들의 후보로서 윌리엄 A. 오닐을 후보 지명하였다. "Mother Ella"로서 그라소의 새로운 이미지는 1978년에 그녀가 쉽게 재선을 이기는 도움을 주어 공화당 도전자 로널드 새러신을 190,794개의 투표들에 의하여 꺾었다. 이 큰 승리는 그녀의 정치적 예민과 이제 그녀의 엄청남 호소 둘다에 증거였다. 그라소는 자신의 2번째 기간의 시작에 완전한 명령에 있었다. 충성적 민주당원들은 상하원 둘다를 통치하였다. 큰 잉여가 지속되었고 그녀는 이전에 약속한 어떤 분야들에서 사회 지출을 늘일 수 있었다. 그라소의 도시 활동 프로그램은 주택 공급, 대중 교통, 보육과 노인들에 목표를 삼은 돈과 함께 주에서 빈곤 지역들의 필요성으로 기금들을 지도하였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은 주의 경제를 해치고, 겨울에 빈민들을 위하여 난방을 위한 주의 원조를 요구한 유류 파동에 의하여 특정이 지어졌다. 증가한 주정부의 운영비용과 함께 이것은 몇년의 세월에 처음으로 세금 인상을 요구하는 데 그라소를 강요하였다. 1979년 여름에 휘발유 부족도 또한 그녀의 리더십 능력을 시험하였다. 번호판에 기초를 둔 홀수/짝수 배급의 다루기 쉬운 제도는 비장과 장기적 경향들을 쉽게 하는 데 설립되었다. 그녀는 주병 부대 본부에서 긴급 휘발유 센터를 개장하였다. 국내 수준에서 그라소는 에너지 문제들을 논의하는 데 캠프데이비드로 불려진 첫 주지사들 중의 하나였으며 카터의 1980년 재선 운동에서 가능한 러닝메이트로서 언급되었다. 그러나 코네티컷주의 경제 상태와 그라소의 개인적 건강은 둘다 그해 더욱 나빠졌다. 상승하는 데 에너지 비용들과 증가한 실업이 1억 2천 8백만 달러의 수익 격차로 공헌하였다. 다른 세금들에 인상들은 물론 국가에서 가장 높은 중에 하나인 판매세에서 7과 1 절반의 퍼센트로 인상을 위하여 그라소는 선택할 여지가 없었다. 3월 그녀는 암과 진단되었고 세월이 지나면서 그녀의 상태는 더욱 나빠졌다. 그녀의 암이 퍼지고 있던 것을 알고, 코네티컷주의 주민들에게 자신의 서비스에 걱정하고 코네티컷 주의 주민들이 받을 자격이 있는 방식에서 주지사로서 기능할 수 없으을 느꼈던 그라소는 12월 초순에 자신의 주지사직으로부터 사임할 것을 공고하였다. 그녀의 사임은 그해 12월 31일 효과가 있었고 부지사 윌리엄 A. 오닐이 그녀를 대체하는 데 즉시 선서되었다. 임시 상원 조지프 폴리소는 부지사로서 선서하였다. = = 사망과 유산 = = 1981년 2월 5일 그라소는 61세의 나이에 난소암으로 하트퍼드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그녀의 시신은 24 시간 동안 주의사당에 그 상태로 누워 있어 양당의 공무원과 정치인들에 의하여 애도되었다. 그녀는 고향 윈저락스에 있는 세인트메리 묘지에 안장되었다. 코네티컷주의 주민들은 다수의 방향들에 그라소 주지사의 공헌들로 명예를 주었다. 윈저락스에서 엘라 그라소 고속도로 (루트 75)를 포함하여 몇몇의 코네티컷주 공동체들에서 거리들이 그녀의 이름을 땄다. 그로턴과 스트랫퍼드에서 주의 시설들이 그녀의 이름을 땄다. 그라소는 민간 자금에 만들어진 자신의 동상이 주의사당의 남부 주랑현관 위에 벽감에 세워졌을 때 코네티컷주가 둘 수 있었던 최고의 명예들 중의 하나를 받았다. 코네티컷주의 가장 저명한 지도자들의 동상들 만이 주랑현관에 있고, 그라소의 동상은 그렇게 놓이는 데 첫 여성이었다. 윈저락스에 있는 엘라 그라소의 생가는 거기에 그녀가 소유한 2개의 집과 더불어 아직도 서있다. 그 전부는 개인의 손에 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70년 선거 하원의원 (코네티컷 제6선거구) 92대 민주당 51.07% 96,969표 1위 1972년 선거 하원의원 (코네티컷 제6선거구) 93대 민주당 60.19% 140,290표 1위 1974년 선거 코네티컷 주지사 83대 민주당 58.35% 643,490표 1위 1978년 선거 코네티컷 주지사 83대 민주당 59.15% 613,109표 1위 = 거짓말 (드라마) = 거짓말은 1998년 3월 30일부터 1998년 6월 2일까지 방송되었던 KBS 2TV 월화 드라마였는데 시청자들을 흡입하는 서사구조가 약했다는 지적이 있었고 황신혜가 주성우 역에 거론되기도 하였으나 영화 촬영 등의 이유로 고사했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배종옥: 주성우 역(33세, 인테리어 토탈 매니저) 유호정: 정은수 역(27세, 공예가, 갤러리 '착한 생각' 운영) 이성재: 서준희 역(27세, 인테리어 토털 디자이너) 김상중: 이동진 역(27세, 사건 담당 신문기자) = = = 주변 인물 = = = 윤여정: 윤영희 역(53세, 성우 모) 주현: 주현철 역(55세, 신문사 편집부장. 칼럼니스트) 추상미: 세미 역(23세, 거리 부랑아) 김태우: 장어 역(25세, 거리 부랑아) 김동주: 하숙 역 = = = 그 외 = = = 안해숙: 유란 역 양희경: 송선주 역 손현주: 김재석 역 한진희: 산부인과의 역 우현주 정종준: 임 과장 역 신현탁: 이형민 역 정성모 이상숙 = = 참고 사항 = = 최초로 "폐인 매니아 드라마"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그 모임은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노희경 "'드라마 폐인' 양산? 금세 식을 줄 알았는데…" 2010년 2월 24일 세계일보 이동진 역의 김상중이 담배를 피우는 장면이 나오는데 김상중이 흡연하는 장면은 《거짓말》 뿐 아니라 KBS 2TV 수목 드라마 《그대 나를 부를 때》에도 나왔으며 그리하여 그는 1998년 "올해의 흡연 탤런트"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SBS 월화 드라마 《바람의 노래》, MBC 월화 드라마 《세상 끝까지》와 시청률이 크게 증가하자 본 프로그램 시청률이 조금씩 감소된 상태 당초 16부작으로 기획했지만 4부작으로 더 늘려 20회까지 연장 방송·편성되었다. = 셉티메니아 대공국 = 셉티메니아 대공국(Septimania, French: Septimanie)는 서기 5세기 경 프랑크 왕국 서남부 이브레아 반도 근처에 존재하던 유대인 자치국이었다. 형식적으로는 서고트 왕국과 프랑크 왕국의 속령이었으나 자치권이 보장되었으며 셉티메니아의 초기 통치자들 중에는 메로빙거 왕조 출신 낫세인 1세 등도 있었다. 셉티메니아는 750년대 피핀 3세에 의해 정벌되어 멸망하였다. = = 관련 자료 = = Bernard Bachrach|Bachrach, Bernard S. Merovingian Military Organization, 481–751.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1. Collins, Roger. The Arab Conquest of Spain, 710–97.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Collins, Roger. Visigothic Spain, 409–711. Blackwell Publishing, 2004. James, Edward. "Septimania and its Frontier: An Archaeological Approach." Visigothic Spain: New Approaches. Edward James (ed). Oxford: Clarendon Press, 1980. Lewis, Archibald Ross. The Development of Southern French and Catalan Society, 718–1050.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1965. McKenna, Stephen. Paganism and Pagan Survivals in Spain up to the Fall of the Visigothic Kingdom.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38. Thompson, E. A. The Goths in Spain. Oxford: Clarendon Press, 1969. Zuckerman, Arthur J. A Jewish Princedom in Feudal France 768-900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65, 1972 []. = 분류:직업별 유럽 사람 = = 분류:부전나비과 = = 분류:뉴질랜드의 무술 = = 나라현 제3구 = 나라현 제3구(奈良県 第3区)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1994년 공직선거법으로 신설되었다. = = 지역 = = 야마토타카다시 가시하라시 사쿠라이시 고조시 고세시 가쓰라기시 우다시 우다군 다카이치군 요시노군 = 분류:동음이의어 학교 = 동일한 표기 명칭의 학교에 관한 분류. * 학교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30주 = = = 223.33.132.130 차단 요청 = = *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27주에 작성된 요청 자체가 처리되지 않아 해당 IP에서 여전히 반달은 끊이질 않고 있고, 로 반달 반복한 인물과 동일인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3일 (월) 11:51 (KST) = = 211.108.129.72 차단 요청 = = * 이사용자는 전북 현대 모터스 모터스 문서를 훼손해서 정지된 한사용자로 지금사용하고 있는 계정은 차단을 피하기위한 계정입니다. 즉시 차단하여 주십시오> 58.140.201.26 (토론) 2018년 7월 23일 (월) 12:05 (KST) = = 175.223.2.181 및 다중 IP 긴급차단요청. = = * * * * * * * * * * * 위에 관리 요청글을 올렸었는데 자꾸 다른 IP로 바꿔가면서 지속적으로 문서 훼손질하고있습니다. 긴급차단 요청합니다.Dltdjtejs (토론) 2018년 7월 23일 (월) 22:41 (KST) = = Jhkwon2338 = = 한국창조과학회 문서에서 지속적인 문서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해당 계정은 문서훼손 이외에는 편집 역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위키백과:비주류의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계정의 이 문서 편집을 제한해주셨으면합니다.  >O– >O– >O–  Neuro Sum (토론 기여) 2018년 7월 23일 (월) 23:13 (KST) = = 220.84.81.111, 121.158.213.243, 119.195.83.239 차단 긴급 요청 = = * * * 이 사용자는 지속적인 나이 훼손으로 차단인 사용자가 회피용으로 쓰고있는 IP들도 보입니다. 긴급 차단 요청합니다.Karakhoms (토론) 2018년 7월 24일 (화) 03:48 (KST) = = 비밀번호 공개 99007 = = * 백:계정 위반. 95016maphack 2018년 7월 24일 (화) 17:53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1 (KST) = = 김민지와 라디오 = = * 차단 회피 목적 계정. 95016maphack 2018년 7월 24일 (화) 18:39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3 (KST) = = ‎서희연선생과 구 301편성 무기한 차단 요청 = = * 차단 회피 계정.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5일 (수) 15:59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3 (KST) = = 182.216.55.238‎ 차단 요청 = = * 182.216.55.238‎의 기여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26주에 작성한 IP 대역 차단 요청 자체가 계속 안되고 있고, 그럼 이 요청 처리는 가능한가해서 작성했습니다. 해당 IP에서 계속 기여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위에 작성되있는 김민지와 라디오 & ‎‎서희연선생과 구 301편성 무기한 차단 요청이 처리된다 해도 또 다중계정 양산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P로도 반달을 반복하기 때문에 해당 IP를 차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5일 (수) 16:05 (KST) = = 사:반달쟁이 차단 요청 = = * 문서 훼손하네요 jangg8962·User Talk·Contribution 2018년 7월 25일 (수) 16:31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4 (KST) = = 125 141 9 135 정신병자 무기한 차단 요청 = = * 방금 최근 바뀜을 통해 생성된것이 확인되었고,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부적절 및 비방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6일 (목) 11:55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5 (KST) = = 110.70.54.251 = = 차단신청이요 jangg8962·User Talk·Contribution 2018년 7월 27일 (금) 17:17 (KST) = = 사용자:Cyberdoomslayer 1개월 이상 차단 요청 = = 작작 좀 하시길 바랍니다 라는 인신 공격 사용 이 의견을 2018년 7월 27일 (금) 22:58‎ 에 작성한 사용자는 ‎2001:2d8:e140:bbb7::c16:10a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고려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 = 청안영민 무기한 차단 요청 = = * 모든 공개기록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님 사칭 계정입니다.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8일 (토) 11:43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5 (KST) = = Shinsungwang 무기한 차단 요청 = = * 차단 회피 계정.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8일 (토) 12:02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6 (KST) = = 문서 만들기 기록 무기한 차단 요청 = = * 차단 회피 계정. 125.141.9.135 (토론) 2018년 7월 28일 (토) 12:34 (KST) 무기한 차단되었네요.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1:17 (KST) = = 문경재 긴급 차단 요청 = = * 이 사용자는 SBS 뉴스쇼가 SBS 8 뉴스의 전신이라며 SBS 8 뉴스 문서를 훼손했습니다. 참고 그래서 문경재를 차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문서는 제가 되돌렸습니다. MetaashZX (토론) 2018년 7월 28일 (토) 12:47 (KST) = = 사용자:Bonafide2004의 차단 재검토 관련 = = 과거 토론을 서핑하다가 우연히 접속하였는데, 2014년 차단되었던 사용자:Bonafide2004님이 본인의 토론란에 차단 재검토를 요청하신 사실이 발견되어 관리자 분들께 상기코자 요청을 드립니다. 보나피데님의 반응이 있으시다면 차단 재검토 절차에 돌입해도 좋지 싶습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9일 (일) 02:25 (KST) 아울러 :분류:차단 재검토 요청 공간에 들어가 있는 사용자들 역시 관리자 분들께서 어느 정도 단도리를 지어주셨으면 합니다. (장난 등을 목적으로 만든 계정의 재검토라 영양가가 없기는 하다만) 2년 가까이 방치된 재검토 틀 역시 존재하기 때문에 기각이나 검토 등을 해 주시는 것도 나쁘지 않지 싶네요.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9일 (일) 02:30 (KST) = = Won8981 차단 요청 = = Won8981 차단 요청합니다. 제가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에 구 315편성부터 내장개 개조를 받았으니까 구 315편성부터 1985년 반입분이라고 썼어요. 인터넷 뒤지다 보면 아시겠지만 구 301~314편성은 1984년 반입분이라서 내장재 개조가 전혀 안되어있구요~ 구 315편성부터는 1985년 반입분이라서 내장재 개조가 되어있어요. [틀린 증거] [한 맞는 글] 사진 링크는 따로 안걸겠습니다. 쳐보면 나오니까~ 이렇게 찾아보면 뻔히 나오는걸 제가 알려줬는데도 이 사용자는 제 말을 무시하였습니다. 우선 좀 엄청 길게 차단 넣어주시고, 또 이런일이 생기면 그땐 무기한 부탁드립니다. 2018년 7월 29일 (일) 12:12 (KST) 이 의견을 2018년 7월 29일 (일) 12:12(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182.216.55.238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특수:차이/021898414 = = 우지겸 무기한 차단 요청 = = 차단 회피 계정이므로 무기한 차단 요청합니다. 닭고기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2:40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무기한 차단되었음을 확인, 완료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9:21 (KST) = = 1224219462에게내리는선물 무기한 차단 요청 = = *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부적절 및 비방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22.42.194.62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2:52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무기한 차단되었음을 확인, 완료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9:20 (KST) = = 루루슈비브리타니아가명령한다네놈들은죽어라 차단 해제 = = 차단 해제 요청 합니다. 거부하면 엄마 없음 Lelouch Vi Britannia 2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6:35 (KST) 해제 이유 없으며, 요청 계정은 무기한 차단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9:19 (KST) = = 사용자:MirsonK 긴급 차단 요청 = = 독자연구, 토론 불응, 총의 없는 특정 단어의 일관적 변경 등을 사유로 긴급 차단요청합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9일 (일) 16:45 (KST) 일단 철회 및 보류해두겠습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9일 (일) 19:11 (KST) = = 사용자:심성황제 긴급 차단 요청 = = 더 할 말이 없군요 trainholic (T, C) 2018년 7월 29일 (일) 17:16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무기한 차단되었음을 확인, 완료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19:10 (KST) = = 사용자:술집 개 요요마 팔팔 차단 요청 = = * 계정명이 사용자:‎Yoyoma88 님을 비하한 것으로 보입니다. 黑흑메기Sjsws1078 (토론) 2018년 7월 29일 (일) 20:28 (KST) = = 대량 삭제 반복 ip 차단 요청 = = 과거에 2시간 차단 이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무 이유 없이 대량 삭제를 반복하고 있음. 이 의견을 2018년 7월 29일 (일) 21:03(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GNWN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특수:차이/21901109 서명은 편집창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르거나, 자신이 남긴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한 후 ~~~~을 삽입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 = 만드는사람 재차단 요청 = = 2018년 7월 15일에 같은 사유로 차단된 만드는사람 사용자가 다시 연예인 문서에 출처가 확인된 한자를 계속 지우고 있습니다. *전소민(특수:차이/21915412) *이요원(특수:차이/21915320) *김태희(특수:차이/21915903) Braveattack (토론) 2018년 8월 2일 (목) 12:43 (KST) = 분류:콤마게네 왕국 = = 만프레트 로멜 = 만프레트 롬멜(, 1928년 12월 24일 ~ 2013년 11월 7일)은 독일의 정치인이다. 에르빈 롬멜의 아들이다. 기민련(CDU) 당원으로 활동했고, 1974년부터 1996년까지 슈투트가르트 시장을 지냈다. 적군파(RAF) 테러리스트 안드레아스 바더(Andreas Baader)와 구드룬 엔슬린(Gudrun Ensslin)이 자살하자 매장지점에 대해 격렬한 논쟁이 일자 만프레트 롬멜은 엔슬린의 가족의 부탁으로 도르할렌 공동묘지에 자리를 마련해 주었으며 자신의 당에서까지 공격을 받았다. = 모길료프현 = 모길료프현은 1772년부터 1919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현으로 현도는 마힐료우(모길료프)이며 면적은 48,682km2, 인구는 1,686,764명(1897년 당시 기준)이다. 현재의 벨라루스 마힐료우주 동부, 호멜주 동부에 걸쳐 있었다. 1802년 벨라루스현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 고성 옥천사 제석천도 = 고성 옥천사 제석천도(固城 玉泉寺 帝釋天圖)는 경상남도 고성군 옥천사에 있는 제석천도이다. 2017년 11월 3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618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고시제2017-485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7-11-30 = = 개요 = = 고성 옥천사 제석천도는 화면 중앙에 의자에 앉은 형태의 제석천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묘사된 신중도 형식 및 배경에 5폭 병풍이 묘사된 것이라든지 천녀들이 보개와 일산을 쥐고 시립한 모습 등에서 18세기 신중도 양식의 일면을 잘 간직한 작품이다. 특히 화승 임평의 화풍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불화일 뿐만 아니라 신중도로서는 제법 앞선 시기인 1781년에 조성된 화격이 높은 불화이다. = 데일리 스타 = 데일리 스타는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이다. 1978년 창간되었고, 자매신문인 데일리 스타 선데이는 2002년에 생겼다. 2018년 이후로 데일리 미러, 데일리 익스프레스와 같이 리치 plc 소속이다. 정치 풍자와 기이한 뉴스 등 진지하지 않은 보도들로 잘 알려져 있다. = 가스학교 = 미국 육군 가스학교는 1917년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에 첫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 미국 국립 육군 화생방 전술 교육기관이다. = = 역사 = = 1917년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에 미국 육군 가스화생방 전술학교로 첫 개교되었으며 이듬해 1918년 미국 육군 화생방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고 3년 후 1921년 미국 육군 가스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분교 = = 1924년 미국 육군 가스학교의 분교로써 미국 육군 과학전학교가 미국 워싱턴에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이듬해 1925년 미국 육군 가스학교의 분교로써 미국 육군 화공학교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에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학교 동문 = = 육군 가스 육군 육군 육군 = 기흥역 = 기흥역(Giheung station, 器興驛) 또는 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Giheung (Baek Namjoon Art Center) station, 器興(白南準아트센터)驛)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용인 경전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역의 병기역명이며 15분 거리에 있다. 현재 용인 경전철의 기점이다. 용인 경전철은 이 역부터 전대·에버랜드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 위에는 신갈천이 지나간다. = = 역사 = = 2011년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 ~ 기흥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683호, 2011년 11월 23일.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784호, 2011년 12월 21일.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39.5km로 변경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 2012년 9월 18일. 2012년 12월 1일 : 분당선 기흥 ~ 망포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 2012년 12월 말 : 분당선 부역명 '백남준아트센터' 부기 시작 2013년 4월 17일 : 용인 경전철 역명을 구갈역(백남준아트센터)에서 기흥역(백남준아트센터)로 변경용인시 공고 제2013-744호같은 역 다른 명칭…기흥역·구갈역 '기흥역' 통일 2013년 4월 26일 : 용인 경전철 기흥 ~ 전대·에버랜드 구간 개통 2013년 11월 30일 : 분당선 급행열차 운행 개시 2014년 1월 9일 : 분당선-용인 경전철간 상호 환승 통로 개통 = = 역 구조 = = 수인·분당선의 경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갖추어져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역은 용인 경전철 개통 이후 양쪽 모두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이 역에서 급행이 완행을 추월한다. 용인 경전철의 경우 3면 2선의 터미널형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가운데 승강장에서 승차를 하며, 왼쪽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현재 오른쪽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으며,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열차 1대가 유치되어 있다. 정식 환승 통로는 2014년 1월에 완공되었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 = 수인분당선 승강장 = = = ↑ 신갈 43 21 상갈 ↓ 1·2 상갈망포수원시청수원인천 방면 3·4 신갈서현모란선정릉왕십리 방면 = = = 용인 경전철 승강장 = = = 시·종착역 당역종착 하행  미사용 ↓ 강남대 당역종착 당역종착 열차 하행 전대·에버랜드 방면 미사용 = = 역 주변 = = 강남대학교 구갈초등학교 신갈고등학교 백남준아트센터 기흥구청 수원 CC 구갈동 AK&기흥점 = = 이용객 변동 = = 201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1년 1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노선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각주 분당선 승차 미개통 3,737 6,179 7,531 9,931 7,712 7,671 7,751 8,868 10,845 7,613 7,893 9,249 분당선 하차 미개통 4,450 6,112 7,550 9,998 7,576 7,547 7,773 8,933 10,956 7,701 8,107 9,542 = 분류:장애물 경주 텔레비전 게임 쇼 = = 부유방 = 부유방(Accessory breast, Polymastia)은 원래 있어야 하는 유방 수보다 더 많이 유방이 생기는 질환이다. 추가로 생긴 유방에는 유두나 유륜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인간 남성에게 나타나는 격세유전의 한 형태이기도 하며 치료하지 않아도 대체로 무해하다. 근래 들어 이 질환이 있는 수많은 여성들이 미적인 이유로 성형외과수술을 받아 이 유방들을 제거한다. = = 참고 자료 = = A Paper on the Appearance of Multiple Mammaries in Humans, R. Eghardt, Oxford University Press (1923) Weird Diseases, B. Hargreaves and M. Wallette, Emu Publishing (2007) = 분류:품질별 닥터 후 문서 = = 꿈 (1990년 일본 영화) = 꿈(夢, Dreams)은 미국에서 제작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90년 드라마, 판타지 영화이다. 테라오 아키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마이크 Y. 이노우에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영화는 구로사와 아키라가 반복적으로 꾸었던 실제 꿈에서 영향을 받았다. 1990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 출연 = = = = = 주연 = = = 테라오 아키라 바이쇼 미츠코 네기시 토시에 하라다 미에코 = = = 조연 = = = 이사키 미츠노리 나카노 토시히코 즈시 요시타카 이가와 히사시 이카리야 쵸스케 류 치슈 마틴 스코세이지 유이 마사유키 = = 기타 = = 협력프로듀서: 이이즈미 세이키치 협력프로듀서: 앨런 H. 리버트 미술: 무라키 요시로 미술: 아키라 사쿠라기 의상: 와다 에미 = 분류:966년 국제 관계 = = 하도항 = 하도항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도항은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사덕리에 있는 소규모 어항이다. 하도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어촌정주어항이다. = 분류:말레이시아의 농업 = = 스티브 바이 = 스티브 바이(, 1960년 6월 6일 ~ )는 미국의 기타리스트,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이다. 그래미 어워드 3회 수상자이자 15회 후보였던 바이는 1978년 프랭크 자파의 편곡자로 음악 경력을 시작했고 1980년부터 1983년까지 자파의 밴드에서 활동했다. 그는 1983년에 솔로 활동을 시작했고 현재까지 8장의 솔로 음반을 발매했다. 그는 알카트라즈, 데이비드 리 로스, 화이트스네이크와 함께 녹음하고 투어했으며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메리 J. 블라이즈, 스파이널 탭, 그리고 오지 오스본과 같은 가수들과 함께 녹음했다. 또한 바이는 라이브 전용 공연인 G3, 자파 플레이즈 자파, 익스피리언스 헨드릭스 투어, 헤드라인 국제 투어 등과 함께 투어를 했다. 바이는 "매우 개인주의적인 연주자"이자 "1980년대에 전면에 등장한 헤비 록과 메탈의 거장" 세대의 일부로 묘사되어 왔다. 그는 1984년에 첫 솔로 음반인 Flex-Able을 발매했고, 그의 가장 성공적인 음반인 Passion and Warfare (1990년)는 "80년대 가장 부유하고 최고의 하드 록 기타-비르투오소 음반"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기타 월드 잡지에 의해 "10번째로 위대한 기타리스트"로 뽑혔고 1,500만 장 이상의 음반을 팔았다. = = 초기 생애 = =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후손인 스티브 바이는 1960년 6월 6일 뉴욕주 칼 플레이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요한과 테레사 바이의 넷째 아들이다. 그는 음악에 대한 그의 첫 경험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5살 때 피아노 쪽으로 걸어가서 음을 쳤더니 오른쪽은 음이 높아지고 왼쪽은 음이 낮아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그 순간, 저는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저는 음악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그것이 이론적인 관점에서 작용했는지에 대한 본능적인 깨달음으로 넘쳐났습니다. 음악의 모든 언어는 매우 명백했습니다. 저는 또한 음악을 창조하는 것이 무한한 개인적 표현이라는 것을 수 년 동안 더 깊어졌던 것을 즉시, 본능적으로, 그리고 분명하게 이해했습니다. 저는 제가 이것을 할 수 있고, 음악을 만들 수 있으며, 제가 원하는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년 후, 6살 때, 바이는 기타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저는 초등학교 강당에서 기타를 연주하는 9살짜리 소년을 보았고, 그것이 제가 가졌던 또 다른 깨달음이었어요. 이 악기는 처음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그 기타를 보고 이 아이가 연주하는 것을 보았을 때, 저는 본능적으로 제가 언젠가 기타를 연주하게 될 것이라는 것과 그것이 제 악기일 것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제가 어떻게 알았는지 묻지 마세요, 그냥 알았어요. 제가 본 것 중 가장 멋진 것이었어요." 어린 아이였을 때, 바이는 그의 부모님이 들었던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그가 "음악적 각성"이라고 인용한 한 음반은 1961년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오리지널 영화 사운드 트랙이었다. 11살 때, 바이는 컨템포러리 록과 그 시대의 프로그레시브 음악을 접했고, 12살 때 레드 제플린의 〈Heartbreaker〉의 기타 솔로를 듣고 기타를 연주하기로 결심했다. 1973년, 바이는 뉴욕 출신의 동료 조 새트리아니로부터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고 고등학교 내내 지역 밴드(오하이오 익스프레스, 서커스, 그리고 레이지)에서 연주했다. 바이는 지미 페이지, 브라이언 메이, 리치 블랙모어, 제프 벡, 지미 헨드릭스, 재즈 퓨전 기타리스트 앨런 홀즈워스, 알 디 미올라 같은 예술가들을 그 시대의 주요한 영향 중 하나로 꼽는다. 1978년, 작곡과 이론에 대한 그의 관심을 더 추구하기 위해, 바이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버클리 음대에 다녔다. 버클리 대학에 있는 동안, 바이는 프랭크 자파에서 전사자로 일하기 시작했고, 4학기 중반에 캘리포니아주로 건너가 자파의 세션과 투어 아티스트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또한 바이는 버클리 대학에서 미래의 배우자 피아 마이오코를 만났고, 그 이후로 함께 지내왔다. 그들은 두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2003년, 바이는 버클리로부터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스타일 및 영향력 = = 13살 때, 그의 첫 기타를 구입하고 뉴욕 출신의 동료 조 새트리아니로부터 첫 레슨을 받기 시작한 후, 바이는 연습의 규율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하루에 10시간에서 15시간 연습 일정의 엄격하고 체계적인 훈련으로 구성된 바이의 연습 일과는 그의 남은 경력 동안 그의 직업 윤리의 기초가 되었다. 프랭크 자파에 의해 고용되는 동안, 바이는 매우 리드미컬하게 복잡한 음악을 녹음하고 연주했는데, 만약 느리고 완벽하다면, 어떤 음악도 연주될 수 있다고 믿었다. 바이의 첫 번째 솔로 음반인 Flex-Able은 1984년에 솔로 가수로서 그의 경력을 시작했다. 이 음반이 녹음된 기간 동안, 바이는 프랭크 자파의 밴드에서 그의 이전 재임에 큰 영향을 받았다. 원래 발매될 의도가 없었던 Flex-Able은 바이의 문체의 절충적인 성격에서 특정한 창조적인 "변덕"과 "각"의 자유를 표현했다. 바이의 두 번째 솔로 음반인 Passion and Warfare는 좀 더 성숙하고 진화한 "시그니처" 스타일을 표현했지만, 바이의 향후 발매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칠 어떤 제약 없는 영감의 자유를 유지했다. 그의 영감에 대해 말하면서, 바이는 그가 The Story of Light의 9번째 트랙 〈Weeping China Doll〉에 녹음하여 사용한 그의 스튜디오 밖의 울타리에 밀어올린 꽃으로부터도 여러 가지 형태가 떠오른다고 말했다. 지속적으로 영감을 받은 것은 아니라고 표현하면서, 바이는 그가 "음악적 명상"이라고 부르는 개념을 사용하여 그가 "울트라 존"이라고 부르는 의식 상태로 들어간다. 이 비판적이지 않은 마음의 틀 안에서, 바이는 음악적인 아이디어의 형태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영감의 순간들을 위해, 바이는 그가 그의 전체 경력 동안 모은 수천 개의 노래 아이디어의 조각들을 모아 만든 "인피니티 쉘프"라고 부르는 것을 만들었다. 이러한 난해한 원칙들은 많은 다른 정보들 중에서 바이가 그의 에일리언 기타 시크릿츠 마스터클래스에서 가르친다. 바이의 연주 스타일은 그의 음악에 특화된 기타 기술(양손 두드림, 얼터너티브 피킹, 레가토, 하이브리드 피킹, 스위프 피킹, 와미바 곡예, 원형 비브라토 등)과 다양한 녹음 기술을 사용한다. = = 주목할 만한 공헌 = = = = = 프랭크 자파와 함께 작업 = = = 프랭크 자파의 필사가로서, 바이는 리듬 음악의 표기법에 대한 다양한 개념화를 사용하여 자파의 가장 리드미컬하게 복잡한 음악 중 일부를 녹음했다. 바이는 "소재를 옮겨 적으면서, 저는 종종 제가 전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표기 장치와 구조를 생각해내기 위해 제 상상력의 직관적인 영역에 도달하게 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나는 곧 많은 현대 작곡가들이 이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다양한 자파 음반의 바이의 기타와 드럼으로 구성된 "프랭크 자파 기타 북"에서 볼 수 있다. 바이는 1980년부터 1983년까지 자파와 함께 순회공연을 하며 당시 자파의 밴드와 함께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이 음악을 선곡했다. = = = 에일리언 기타 시크릿츠 마스터클래스 = = = 삶과 음악계에서 자신의 경험을 가르치고 공유하는 모습을 항상 즐겼던 바이는 2006년 투어 마스터클래스인 "에일리언 기타 시크릿츠" 시리즈를 시작했다. 이 강좌에서는 바이는 자신의 음악계 경험에 대한 공개 토론회를 열고 성공을 이해하는 핵심 원칙과 연극에 대해 설명한다. 백 트랙(종종 그와 함께 잼을 하기 위해 클래스 참석자들을 초대함), 질문에 답하고, 기타 기법의 핵심 포인트를 분명하게 표현하며, 더 중요한 것은 기술을 넘어 연극에서 보다 심오한 난해한 원리들로 나아간다. 바이는 기타/음악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그의 인생과 경력의 모든 분야에서 그를 도왔던 어떤 개념들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바이는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예를 사용하여 마스터 클래스 참가자들과 이러한 개념을 쉽게 공유하며, 자신의 생각의 자기 비판적 성격을 확인하는 진행 과정을 파고든다. 바이는 자신의 불안감과 자기 의심에 대한 생각을 순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과 운동을 설명하고, 최고 수준의 참가자들이 그들 자신의 삶에서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종종 유럽, 남미, 러시아를 통해 마스터 클래스 투어를 시작하는 바이는 이 진행 중인 일련의 수업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로 간주한다. = = = 이븐타이드 H3000 울트라-하모니저 = = = 기타 효과 제조업체 이븐타이드는 1980년대 중반 바이의 H3000 효과 유닛에 대한 독특한 아이디어를 기여하기 위해 바이에 접근했다. 바이는 유닛에서 사용되었고 기타 효과 프로세서의 표준 알고리즘이 된 디아토닉 피치 변경과 다중 음성 조화 같은 많은 구체적인 개념을 제안했다. = = 사생활 = = 1990년대 후반부터 바이는 가족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의 엔시노에 거주해왔다. 바이는 밴드 빅슨의 베이시스트였던 피아 마이오코와 결혼했는데(1984년 영화 하드바디스에서 볼 수 있는), 그는 줄리안과 파이어 바이라는 두 아이를 두고 있다. 바이는 또한 채식주의자이고 양봉가이며, 정기적으로 엔시노 사유지에 있는 벌집을 돌본다. = = 음반 목록 = = = = = 스튜디오 음반 = = = *Flex-Able (1984년) *Passion and Warfare (1990년) *Sex & Religion (1993년) *Fire Garden (1996년) *Flex-Able Leftovers (1998년) *The Ultra Zone (1999년) *Real Illusions: Reflections (2005년) *The Story of Light (2012년) *Modern Primitive (2016년) *Inviolate (2022년) = 분류:사용자 sr-1 = sr-1 Српски-1.아래 사용자는 간단한 세르비아어를 합니다. = 1981년 대한민국의 영화 = 다음은 1981년에 대한민국의 영화에 관한 서술한다. = = 흥행 주요 기록 = = 흥행 당시에 방화 1위는 〈자유부인〉이 관객수 28만7천명을 넘었다. 따라서 관객동원율은 외화가 늘고, 방화가 줄었다. = = 이벤트 및 수상 = = 제18회 한국 연극 영화 TV 예술상 제21회 대종상 영화제 제2회 한국영화평론가상 제6회 황금촬영상 = 전상국 = 전상국(全商國, 1940년 3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40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문리대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행〉이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강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동인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등 수상하였으며, 작품으로 하늘 아래 그 자리,외등,늪에서 바람이 등이 있다. 현실과 역사를 넘나들며 귀환 구조와 전쟁으로 인한 실향 의식과 삶의 뿌리찾기 의식을 깊이있게 탐구하고 있다. 현재 김유정문학상 심사위원이자 협회장, 김유정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역임 중이다. = = 작품 목록 = = = = = 장편 소설 = = = 《늪에서의 바람이》 《불타는 산》 《길》 《유정의 사랑》 《애비》 = = = 단편 소설 = = = 1963년 〈동행〉 1975년 〈할아버지 묻힌 날〉 1975년 〈돼지새끼들의 울음〉 1976년 〈악동시절〉 1976년 〈껍데기 벗기〉 1976년 〈사형〉 1978년 〈고려장〉 1978년 〈하늘 아래 그 자리〉 1978년 〈침묵의 눈〉 1979년 〈우리들의 날개〉 1979년 〈아베의 가족〉 1979년 〈외등〉 1980년 〈우상의 눈물〉 1980년 〈여름의 껍질〉 1981년 〈외딴 길〉 1982년 〈술래 눈뜨다〉 1985년 〈그늘무늬〉 1986년 〈음지의 눈〉 1986년 〈먹이그물〉 1987년 〈썩지 아니할 씨〉 1987년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1988년 〈투석〉 1989년 〈사이코 시대〉 1992년 〈거울의 알리바이〉 = = = 작품집 = = = 《바람난 마을》 () 《하늘 아래 그 자리》 《아베의 가족》 () 《우상의 눈물》 () 《우리들의 날개》 《외등》 《형벌의 집》 《우리시대의 온달》 《온 생애의 한순간》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사이코》 《우리 때는》 《남이섬》 《소년, 소녀를 만나다》- 전상국 외 8명 공저 《다시 봄 봄》 - 전상국 외 5명 공저 = = = 기타 = = = 《물은 스스로 길을 낸다》 ()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 () 《당신도 소설을 쓸 수 있다》 《우리가 보는 마지막 풍경》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소설 창작 강의》 《전상국의 즐거운 마음으로 글쓰기》 《춘천산 이야기》 《춘천 사는 이야기》 《기억과 기억들》 - 전상국 외 4명 공저 = 미래의 악장 = 미래의 악장은 중국의 걸 그룹 SNH48의 열아홉 반째 EP이다. 타이틀 곡의 센터 포지션은 SNH48 팀SII 다이멍과 팀NII 이자아이가 맡았다. = = 선발 멤버 = = = = = 미래의 악장 = = = (센터: 다이멍, 이자아이) 팀SII: 다이멍, 장윈, 모한 팀NII: 허샤오위, 셰니, 이자아이, 장이 팀HII : 페이친위안, 훙페이윈, 쑨전니, 완리나, 쉬양위줘, 장신 팀X : 리자오, 쑹신란, 왕샤오자, 양빙이, 장단싼 = = = Eyes on me = = = BEJ48 팀B : 천메이쥔, 후샤오후이, 톈수리, 옌밍쥔 BEJ48 팀E : 리나, 리샹, 뤄쉐리, 마위링, 장샤오잉, 양이판 BEJ48 팀J : 팡레이, 런신이, 왕위쉬안, 예먀오먀오, 양예, 장화이진 = = = 포옹해결 = = = GNZ48 팀G : 천커, 천위치, 셰레이레이, 장충위 GNZ48 팀NIII : 천신위, 펑자시, 류리페이, 류첸첸, 루징, 탕리자, 샤오원링, 슝신야오, 정단니, 쭤징위안 GNZ48 팀Z : 왕중이, 왕쓰웨 = = = 사랑의 암호 = = = SHY48 팀SIII : 푸쯔치, 한자러, 젠루이징, 라이쯔시, 류나, 왕스멍, 양윈한, 자오자루이 SHY48 팀HIII : 둥쓰자, 가오즈셴, 런위칭, 정제리 = = = 질주하는 미래 = = = CKG48 팀C : 바이신위, 레이위샤오, 리언루이, 마오이한, 멍웨, 란웨이, 차오위전, 왕멍주, 왕위보, 우한치, 쭤신 CKG48 팀K : 덩첸, 리위쉬안, 린수칭, 우징징, 우쉐위 = = = 나의 세상에는 네가 있기에 = = = 팀SII: 모한 팀NII: 이자아이 팀HII : 셰니 팀X : 양빙이 팀XII : 페이친위안 = 이온 (동음이의) = 이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온(Ion)은 전하를 띠는 원자 또는 분자를 이른다. 이온(Ion)은 그리스 신화의 인물이다. 이온(Ion)은 이온 (신화)을 주제로 한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이다. 이온(Ion)은 플라톤의 대화편이다. 이온(ION, 본명: 박진희, 1993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이온은 현대자동차가 인도에서 만든 차이다. 이온 그룹(ÆON)은 일본의 기업 집단이다. 이온 드라이카: 루마니아의 레슬링 선수 이온 크러치우네스쿠: 루마니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축구 심판 이온 인쿨레츠: 몰도바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이온 크레안거: 루마니아의 문학가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루마니아 공산주의 시절의 정치인 이온 일리에스쿠: 루마니아의 정치인 이온 안토네스쿠: 루마니아의 군인이자 권위주의 정치인 = 분류:외레브로주의 도시 = = 분류:미국의 종교사 = = 목동자리 공동 = 목동자리 공동(Boötes void) 또는 거대 공동(Great void)Science News Galaxy map reveals the limits of cosmic structure Ron Cowen August 12, 2000은 매우 거대하고 공과 비슷한 모양을 띠는 우주의 지역이다. 매우 적은 은하들을 포함한다. 이 공동은 목동자리 부근에 있기 때문에 목동자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공동의 중심의 위치는 대략 적경 , 적위 이다. = = 설명 = = 직경은 2억 5천만 광년(가시 우주의 직경의 0.27%)에 가깝고, 부피는 약 236,000 Mpc3이다. 목동자리 공동은 우주에서 발견된 공동 중 가장 거대한 것 중 하나다. 그래서 가끔씩 초공동(Supervoid)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목동자리 공동의 발견은 은하 적색편이 조사의 일부분으로써 1981년 로버트 커쉬너 등에 의해 보고되었다. 목동자리 공동의 중심은 지구로부터 약 7억 광년 떨어져있다. 곧 다른 천문학자들은 공동에 포함된 소수의 은하들을 발견했다. 1987년에 J. 무디, 로버트 커쉬너, G. 맥컬파인, S. 그레고리는 그들이 목동자리 공동 안에서 찾은 여덟 개의 은하들을 발표했다. 1988년 M. 슈트라우스와 존 허츠라는 더 멀리있는 세 은하를 발견했고, 그렉 알더링과 G. 보던, 로버트 P. 커쉬너, 론 마르츠케는 1989년 14개의 은하의 발견을 발표했다. 1997년에 목동자리 공동에는 60개의 은하가 알려지게 되었다. 천문학자 그렉 알더링은 "만약 우리 은하가 목동자리 공동의 중심에 있었다면, 우리는 1960년대까지 다른 은하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공동의 규모를 표현하였다. 헤라클레스자리 초은하단은 목동자리 공동의 가장자리 근처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 = 기원 = = 목동자리 공동의 존재와 Λ-CDM 모형에서의 우주론적 진화 사이의 불일치는 분명하게 없다."Cosmic_Voids" Retrieved on June 10, 2013 비눗방울이 합쳐져 거대한 비눗방울을 형성하는 것처럼 목동자리 공동은 작은 공동의 병합으로 형성되었다고 이론화되었다. 이는 공동의 중심부에서 퍼져나가고 있는 관 모양의 영역에 존재하는 소수의 은하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 우메지마역 = 우메지마역은 일본 도쿄도 아다치구에 있는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역이다. 역 번호는 TS 12이다. = = 역사 = = 1924년 10월 1일: 영업 개시. 1968년 3월: 고가화. 1995년 10월 10일: 하행 승강장의 에스컬레이터 공용 개시. 1996년 3월 22일: 상행 승강장의 에스컬레이터 공용 개시. 4월 26일: 엘리베이터 공용 개시. 2012년 3월 15일: 발차 멜로디를 도입. 3월 17일: TS 12의 역 번호 도입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탄생!" . 도부 철도(2012년 2월 9일). 2012년 3월 17일 열람.. = = 역 구조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고가역이다. 용지 너비가 좁아 기타센주 방향에 상행 승강장, 니시아라이 방향으로 하행 승강장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변칙 타입이다. 완행선에만 승강장이 있고 바깥을 급행선이 달린다.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는 상하행 양쪽 플랫폼 사이(역의 중앙 부분에 맞닿는 장소)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곳은 두 승강장에서 최후부 차량이 도착하는 곳이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 본 역 이용자는 항상 진행 방향에서 보고 맨 뒤 차량에 집중하기 쉬운 경향에 있다. 고가화가 완성된 때는 상하행 승강장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지만, 1996년에 개수 공사가 진행되고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을 때 두 승강장이 서로 일체가 되어, 상하행 승강장 사이 왕래가 가능했었다. 고가화 전에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사에서 상하행 플랫폼이 독립했었다. 역 출입구는 구 닛코 가도에 접하고 있다. 화장실은 1층 개찰 내에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일환으로 휠체어와 오스토 메이트 등의 이용에 대응하는 다기능 화장실도 병설되어 있다. 과거 2번 선 승강장에서는 철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소였지만, 트러블이 다발했기 때문에 촬영 금지를 나타내는 간판이 게시되어 있다. = = = 승강장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1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상행 기타센주・도쿄 스카이트리・아사쿠사・ 히비야 선 나카메구로 방면 2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하행 니시아라이・다케노쓰카・기타코시가야・가스카베・도부 도부쓰코엔・ 닛코 선 미나미쿠리하시 방면 = = 역 주변 = = 구 중앙부에 위치한 아다치 구청의 근처역이기도 하다. 구청은 동쪽으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위치한다. 아다치 구립 벨몬트 공원 도쿄 소방청 아다치 소방서 아다치 구청 아다치 구 주오혼초 구민 사무소 아다치 보건소 생활 위생과 주오혼초 보건 종합 센터 도쿄 도립 아다치 고등학교 아다치 구립 제4 중학교 아다치 우메지마 우체국 엘 소피아 아다치 구 남녀 참가 플라자 아다치 구 우메다 구민 사무소 아다치 구 소비자 센터 우메다 지역 학습 센터 아다치 우메다 우체국 우메다 어린이 집 우메다 주구 센터 아다치 구립 우메다 도서관(옛, 중앙 도서관) 쇼핑 타운 카리브 우메다 병원 일본기독교단 아다치우메다 교회 아다치 구립 제9 중학교 아다치 구립 우메지마 초등학교 = 신정아 게이트 = 신정아 게이트는 대한민국의 미술가 신정아가 참여정부 시절 학력을 위조하고 각종 공직과 미술 후원 단체, 교육자로 활동한 것에 대한 의혹이다. = = 개요 = = 성곡미술관의 큐레이터와 동국대학교 조교수, 2008 광주 비엔날레 심사위원과 각종 단체의 이력에 신정아는 1994년 캔자스대에서 서양화와 판화로 학사학위(BFA)를, 1995년 같은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2005년 예일대에서 미술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기재하였으나University Prof. Forges Degrees 실제로는 중경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캔자스대(미국 The University of Kansas 서양화)학부과정을 중퇴하였다. 2007년 본인은 다소 비 정상적인 방법(학습튜터고용, 대리출석)으로 캔자스대 학ㆍ석사, 예일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주장했지만 재판과정에서도 학위취득 사실이 확인되지 않아, 이 사건 이후로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학위 검증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그가 이러한 학력위조를 할 수 있었던 배경과 그 배후에 대한 의혹이 여러 번 제기되어 왔다. 노무현 정부 당시 변양균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부적절한 관계였다는 등의 가십성기사가 쏟아졌고, 변 실장은 9월 10일 사임, 신씨는 2007년 7월 16일 미국으로 도피 잠적하였다. 9월 16일 돌아온 신씨는 공항에서 사문서 위조 및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대기하고 있던 검찰 수사관들에게 바로 연행되어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서 조사받았다. 조사내용은 예일대학교 박사학위의 진위 여부와, 동국대학교 교수 임용 및 광주 비엔날레 총감독 선임 과정에서 변양균(58) 전 청와대 정책실장에게 청탁을 했는지의 여부였으며, 검찰은 미국도피경력(2007년 7월)이 있고, 증거를 인멸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체포영장을 신청하였다. 그러나 9월 18일 서울 서부지법은 도주 및 증거 인멸의 가능성이 없다며 검찰의 영장을 기각하였다.신정아 영장 기각… "도주·증거인멸 우려없다" - 한국일보 그 이후 횡령 등의 혐의가 추가로 드러나 10월 9일 구속영장이 재차 청구되고, 11일 영장실질심사에서 변양균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함께 구속이 결정되어 영등포구치소에 수감되었다. 이후 18개월 만인 2009년 4월 10일 보석으로 풀려났다.당시 언론에서 보도했던 여러 가지 의혹 중에서 유죄로 확정된 부분은 일부일 뿐이라고, 신정아는 자서전 4001에서 적고 있다. 2007년 12월 27일 동국대는 예일대에서 신정아씨의 "미술사 박사학위 학력 확인 팩스"가 진본이라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팩스'자체는 허위가 아닌 예일대에서 보낸 것이 맞다는 것을 뜻하고, 이에 예일대는 동국대에 사과를 표한다. 하지만 '팩스'가 진본이라는 것이고 신정아씨의 박사학위는 허위였음이 밝혀졌다.신재우 기자, "동국대, 예일대가 보낸 학력 팩스는 진본", 연합뉴스, 2007. 12. 2 이 과정에서 그가 어떻게 학위 위조와 사칭을 하고도 발각되지 않았는가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방부에서도 신정아와 마찬가지의 학력위조 사례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학사사관에서 학력위조로 합격하여 임관하거나 무관후보생으로 교육중에 있는 전 현직 장교 및 후보생들 중에 학력위조자 23명(42기 2명 - 예비역, 44기 5명 - 대위(진), 46기 3명 - 중위, 48기 5명 - 소위, 이상 현역, 50기 8명 - 후보생)을 적발했다. 이들은 필리핀 모처의 모 대학에서 발급한 학위를 이용하여 임관하였으며 필리핀 체류기간이 학위를 취득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점을 이상히 여겨 뒷조사 끝에 적발했다. 결국 국방부는 이들에 대해 이미 전역한 42기는 형사 처벌, 현역 장교 신분인 44기~48기는 임관 무효처분 및 현역병 입영 처리, 아직 후보생인 50기에 대해서는 퇴교 조치했다.'가짜학위' 학사장교 무더기 적발 또한 정부 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학력 위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어 고학력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 대한 학력 검증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열흘 만에 4백건 문의…학력 불신 확산! YTN 2007년 8월 16일 학력위조가 밝혀진 사람들 중에서 형사처벌 받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 사건으로 장수천과 나라종금 사건에 이어 참여정부의 도덕성에 타격을 주었다. = = 기타 = = 2011년 자신의 수감번호였던 4001을 제목으로 내세운 에세이를 출간, 고백형 에세이라는 장르로 자신과 연관되어 있던 많은 사건들을 언급했다. 이후 사회지도층 및 연예인들에 대한 각종 학위와 학력에 대한 의혹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윤석화, 정덕희 등의 학력위조 파문으로 확산되었다. =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Project management software)는 리소스 도구를 계획, 조직,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고 리소스 추산치를 만드는 소프트웨어이다.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PMS : Project Management System)은 프로젝트의 정량적인 성과 및 진행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젝트 진행 현황과 성과물의 체계적인 관리 뿐만 아니라 시스템화를 통한 프로젝트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활동은 작업계획, 위험도(리스크) 평가, 작업 완료를 위한 자원 추정, 작업 조직, 인적/물적 자원 획득, 업무 할당, 활동지시, 프로젝트 집행 제어, 진전보고, 결과 분석을 포함한다. = 29세기 = 29세기는 2801년부터 2900년까지이다. = 인선왕후 =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1월 30일(음력 1618년 12월 25일) ~ 1674년 3월 20일(음력 2월 24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왕후이자 현종의 모후이다. = = 생애 = = = = = 탄생과 가계 = = = 1618년(광해군 10년) 12월 25일, 경기도 안산(현 시흥시)에서 아버지 신풍부원군 장유(張維)와 어머니 영가부부인 김이순(金二順)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인선왕후 지문〉 본관은 덕수이며, 시조는 고려 충렬왕 때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원나라에서 귀화한 위구르인 장순룡이다. 어머니 영가부부인은 김상용의 딸이며 척화파 김상헌의 조카이다. 김상용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가 함락될 위기에 놓이자 화약에 불을 붙여 순절하였다.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1637년 명 숭정(崇禎) 10년) 1월 22일 (임술) 전 의정부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이 죽었다. 난리 초기에 김상용이 상의 분부에 따라 먼저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적의 형세가 이미 급박해지자 분사(分司)에 들어가 자결하려고 하였다. 이에 성의 남문루(南門樓)에 올라가 앞에 화약을 장치한 뒤 좌우를 물러가게 하고 불 속에 뛰어들어 타죽었는데, 그의 손자 한 명과 노복 한 명이 따라 죽었다. 남편 효종과는 성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성종 └─→    경명군    → 이연환 →    김극효    →    김상용    →    영가부부인    →    인선왕후 = = = 군부인 시절 = = = 1631년(인조 9년) 9월 13일, 인조의 둘째 아들인 봉림대군(효종)과 가례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에 봉해졌다.승정원일기 33책 (탈초본 2책) 인조 9년(1631년 명 숭정(崇禎) 4년) 9월 13일 (갑신) 봉림대군(鳳林大君)의 길례(吉禮)를 이현궁(梨峴宮)에서 거행하였다.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이듬해 강화도가 함락되면서 강화 조약의 조건으로 남편인 봉림대군을 따라 청나라 심양에서 9년간 인질 생활을 하였다.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1637년 명 숭정(崇禎) 10년) 2월 8일 (무인) 구왕이 철군하면서 왕세자와 빈궁, 봉림대군과 부인을 데려가자 전송하다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가 급서하자 인조의 명에 의해 봉림대군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장씨 또한 세자빈에 책봉되었다.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1645년 청 순치(順治) 2년) 9월 27일 (을해) 봉림대군을 왕세자로, 부인 장씨를 세자빈으로 책봉하다 = = = 왕비 · 왕대비 시절 = = = 1649년 인조가 승하하고 효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아들 현종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었고, 1661년(현종 2년), 효숙왕대비(孝肅王大妃)의 존호를 받았다. 현종과 인선왕후는 여러 해에 걸쳐 자주 온천에 행차하였는데, 1669년(현종 10년) 3월에는 약 한달 동안 온양온천에 머물렀다. 이때 현종과 명성왕후를 비롯하여 네 공주(숙안, 숙명, 숙휘, 숙경공주)도 함께 행차하였다.현종실록 16권, 현종 10년(1669년 청 강희(康熙) 8년) 3월 15일 (무신) 왕대비·중궁·공주들과 함께 온양으로 행차하다 상이 왕대비를 받들고 온양 온천으로 행차하는데, 중궁이 따르고 네 공주가 배행하였다. 인선왕후는 딸들과 한글로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숙명공주와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의 일부가 신한첩에 수록되어있다. = = = 최후 = = = = = = = 시호 및 능묘 = = = = 1674년(현종 15년) 2월 24일 새벽, 경덕궁 회상전에서 사망하였다.현종개수실록 27권, 현종 15년(1674년 청 강희(康熙) 13년) 2월 24일 (무오) 축시에 왕대비 장씨가 승하하다 축시에 왕대비 장씨가 경덕궁(慶德宮=경희궁) 회상전(會祥殿)에서 승하하였다. 인선왕후의 사망일을 현종실록은 2월 23일로, 현종개수실록과 승정원일기는 2월 24일로 기록하고 있다.승정원일기 238책 (탈초본 12책) 현종 15년(1674년 청 강희(康熙) 13년) 2월 24일 (임오) ○ 사경오점에 왕대비가 승하하였다. 시호는 인선(仁宣)이며, 사랑을 베풀고 의리에 승복하는 것을 일러 인(仁), 성스럽고 착함이 널리 알려진 것을 일러 선(宣)이라 하였다. 존호와 휘호를 합친 정식 시호는 효숙정범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貞範敬烈明獻仁宣王后)이다. 능은 경기도 여주의 영릉(寧陵)으로 남편인 효종과 함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릉의 방식으로 묻혀있다. 인선왕후는 딸들과 한글로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숙명공주와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의 일부가 신한첩에 수록되어있다. = = = = 예송논쟁 = = = = 인선왕후가 승하하자,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장렬왕후)가 며느리의 상중에 얼마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를 두고 서인과 남인간에 논쟁이 일어났다. 서인은 기년복(1년복)으로 정했다가 대공복(9개월 복)으로 수정하였는데, 남인이 대공복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기년복(1년복)을 주장하였다. 현종은 서인의 주장을 물리치고 남인의 기년복을 채택하여 경신환국때까지 남인이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 = 가족 관계 = = 1619년 1월 30일 (1618년 음력 12월 25일) 경기도 시흥    조선의 왕비       인선왕후 장씨   仁宣王后 張氏 1674년 3월 20일 (음력 2월 24일) (55세) 한성부 경덕궁 회상전 = = 인선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 = = = = 드라마 = = = 《대명》 (KBS, 1981년, 배우:원미경) 《마의》 (MBC, 2012년~2013년, 배우:김혜선)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JTBC, 2013년, 배우:이문정) = 이자민 = 이자민(1987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백제예술대학 방송연예학과 중퇴 = = 연기 활동 = = = = = 드라마 = = = 2013년 SBS 아침연속극 《당신의 여자》 ... 윤서정 역 2013년 SBS 월화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 ... 연홍 역 = = = 영화 = = = 2012년 《통통한 혁명》 ... 규리 역 2012년 《공모자들》 ... 응급실 간호사 역 2019년 《밤의 문이 열린다》 ... 유지연 역 = 제3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제3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1976년의 최고의 영화를 기리기 위해 1977년 3월 24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 = = = = 작품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수상 = = = 데이빗 린 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밀로스 포먼 수상 = = = 칼 포먼 상 = = = 벅시 말론 - 조디 포스터 수상 택시 드라이버 - 조디 포스터 수상 = = = 남우주연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잭 니콜슨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루이스 플레처 수상 = = = 남우조연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브래드 듀리프 수상 = = = 여우조연상 = = = 벅시 말론 - 조디 포스터 수상 택시 드라이버 - 조디 포스터 수상 = = = 각본상 = = = 벅시 말론 - 앨런 파커 수상 = = = 편집상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 리처드 추 수상 = = = 촬영상 = = = 행잉록에서의 소풍 - 러셀 보이드 수상 = = = 음향상 = = = 벅시 말론 - Les Wiggins 수상 = = = 의상상 = = = O 후작 부인 - Moidele Bickel 수상 = = = 프로덕션디자인상 = = = 벅시 말론 - 제프리 커크랜드 수상 = = = 안소니 아스퀴스상 = = = 택시 드라이버 - 버나드 허만 수상 = = = 특별상 = = = Anthony Searle 수상 = 콘스탄틴 글커 = 콘스탄틴 글커(, 1972년 3월 8일, 부쿠레슈티 ~)는 루마니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가장 최근 지휘한 구단은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하젬이다. 그는 수비형과 중앙 미드필더로 모두 능했고, 멀리서 공을 쏠 수 있었으며,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시절에 처음으로 이름을 널리 알렸다. 그는 이후 스페인에서 10년 넘는 세월을 보내며 스페인 주요 리그 도합 318번의 경기에 출전했는데, 에스파뇰을 비롯해 스페인의 5개 구단을 거쳤다. 글커는 또한 루마니아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2번의 월드컵과 2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고, 총 68번의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다. 감독으로서 그는 스테아우아와 에스파뇰을 모두 지도했었다. = = 선수 경력 = = = = = 클럽 = = = 부쿠레슈티 출신인 글커는 16세의 나이로 3부 리그의 프로그레술 부쿠레슈티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불과 1년 후, 그는 리가 I의 하위권 아르제슈 피테슈티로 이적해 첫 시즌에 4경기 출전했고, 이어서 루마니아 U-21 국가대표팀에 승선했다. 1년 더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31경기 출전, 2골) 글커는 국내 거함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로 이적해 기량이 더욱 올랐다: 1년차에 그는 26경기 출전하여 5골 넣었다. 글커는 2년 동안 스테아우아에서 더 활약했는데, 그동안 도합 13골을 추가했다. 쿠파 로므니에이를 우승하고 200번이 넘는 공식 경기에 출전한 그는 스페인으로 건너가 이후 11년을 활약했다. 그가 처음 스페인에 발을 디딘 곳은 발레아레스 제도의 마요르카로, 그는 한 시즌 동안 13골을 득점해(구단 공동 득점 1위) 라 리가 승격의 선봉장 역할을 했다. 그는 이후 바르셀로나 연고의 에스파뇰에서도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고, 3년차에는 코파 델 레이 우승도 거두었다. 2001년 여름, 글커는 비야레알로 이적했지만, 2년차 중반에 전력 외로 밀려났고, 그 결과 세군다 디비시온의 사라고사로 임대되어, 아라곤 연고 구단이 1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하는데 큰 공을 세웠는데, 그는 출전하는 경기마다 모두 선발로 출전했다. 글커는 2부 리그의 알메리아에서도 안정적인 활약을 3년 더 이어나갔는데, 마지막 해에는 40번의 경기에 출전했고, 그는 1년 뒤에 안달루시아 연고 구단의 역사적인 1부 리그 승격에 동행하지는 못했다. 그는 2005년에 3년 만의 국가대표팀 차출에 성공했으며, 2006년 6월에 34세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 = = 국가대표팀 경력 = = = 글커는 1993년 9월 22일자 이스라엘과의 친선경기에서 루마니아 성인 국가대표팀 신고식을 치렀다. 1994년 월드컵에도 차출되 3경기를 뛰었는데, 그는 미국과의 조별 리그 경기를 시작으로 극적인 3-2 승리를 거둔 아르헨티나와의 16강전과 승부차기 끝에 석패한 스웨덴과의 8강전에 출전했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글커는 루마니아 국가대표팀 경기에 40번 넘게 출전했는데, 그는 도리넬 문테아누와 함께 중원을 맡았다. 1998년 월드컵 예선전에서 루마니아는 10번의 예선 조 경기를 무패로 통과했는데, 이 과정에 37골을 득점했고, 무승부도 단 1무만을 허용했으며, 그도 2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월드컵과 유로 2000에서는 모든 경기에 글커가 출전했지만, 각각 16강전과 8강전에서 패하는 초라한 성적을 거두었다. = =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루마니아의 점수이며, 점수 열은 글커의 득점 당시 경기의 점수 상황이다.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최종결과 대회 1. 1996년 4월 24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겐체아 5–0 5–0 친선경기 2. 1996년 8월 31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겐체아 3–0 3–0 1998년 월드컵 예선전 3. 1997년 8월 20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겐체아 2–0 4–2 1998년 월드컵 예선전 4. 1997년 9월 10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겐체아 3–0 4–0 1998년 월드컵 예선전 = = 감독 경력 = = 선수 시절 말년을 보냈던 알메리아에서 감독일을 시작한 글커는 2009-10 시즌에 4부 리그의 알메리아 2군 감독을 맡았다. 그는 2010년 1월 19일에 성적 부진을 사유로 경질되었다. 2013년 8월 20일, 글커는 루마니아 U-17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14년 6월에 게약이 만료되어 같은 달에 리그 우승을 거둔 FCSB와 2년 계약을 맺고 라우렌치누 레게캄프의 바통을 이어받았고, 1년차이자 마지막 해에 국내 2관왕을 달성했다. 2015년 12월 14일, 글커는 전 동료 세르히오를 대신해 에스파뇰 감독이 되었다. 그가 맡은 첫 경기는 2-1로 이긴 레반테와의 코파 델 레이 경기였다.(합계 3-2 승리) 이듬해 5월 27일, 앵무새 군단을 이끌고 13위의 리그 성적을 거둔 후, 그는 계약을 갱신하지 않았다. 글커는 2016년 10월 19일에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타아원 감독이 되었다. 그 다음 해, 그는 같은 리그 소속의 알 파이하 감독이 되었다. 에스파뇰은 9번의 경기에서 단 1승을 거두며 강등권에 뒤처지는 위기에 빠졌고, 그는 2017년 11월 7일에 해임되었다. 2019년 3월 6일, 글커는 유럽 무대로 복귀해 작년 덴마크 수페르리가 꼴찌였던 바일레에 입단했다. 바일레는 그의 지도 하에 2019-20 시즌 2부 리그를 우승했고, 이듬해에는 1부 리그에 잔류했다. 그는 2021년 5월, 이사진과의 불화로 사표를 제출했다. 글커는 엘데르를 경질하여 공석이 된 알-하젬의 후임 감독으로 2021년 12월 10일에 취임하며 사우디 1부 리그로 복귀했고, 2022년 2월 21일, 그는 상호 계약 해지로 구단을 떠났다. = = 수상 = = = = = 선수 = = = 리가 I: 1992–93, 1993–94, 1994–95, 1995–96 쿠파 로므니에이: 1991–92, 1995–96 수페르쿠파 로므니에이: 1994, 1995 코파 델 레이: 1999–2000 = = = 감독 = = = 리그 I: 2014–15 쿠파 로므니에이: 2014–15 쿠파 리기: 2014–15 수페르쿠파 로므니에이 준우승: 2014 덴마크 1부 리그: 2019–20 = = 감독 통계 = = 2022년 2월 21일 기준콘스탄틴 글커 프로파일 - Soccerway 구단 취임 해임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기록 구단 취임 해임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율 % 루마니아 U-17 2013년 8월 20일 2014년 6월 1일 13 5 5 3 17 10 +7 38.46 FCSB 2014년 6월 1일 2015년 6월 1일 58 37 8 13 110 53 +57 63.79 에스파뇰 2015년 12월 14일 2016년 6월 1일 25 8 5 12 28 53 −25 32.00 알-타아원 2016년 10월 16일 2017년 3월 20일 21 10 3 8 23 24 −1 47.62 알-파이하 2017년 5월 20일 2017년 11월 7일 18 3 7 8 3 7 −4 16.67 바일레 2019년 3월 6일 2021년 6월 30일 82 36 23 23 139 107 +32 43.90 알-하젬 2021년 12월 6일 2022년 2월 21일 9 1 0 8 6 11 −5 11.11 합계 합계 합계 210 97 44 69 316 265 +51 46.19 =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위원회/투표/NuvieK = =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 =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프랑스의 해외 영토중 하나인 마르티니크의 축구팀으로 프랑스 축구 협회의 지부 중 하나인 마르티니크 축구 리그에서 관리한다. 프랑스 축구 협회의 일부분이므로 FIFA 주관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으나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대회들에는 참가 가능하다. 1931년 2월 11일 바베이도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다. = = 국제 대회 경력 = = = = = CONCACAF 골드컵 = = = 골드컵 본선에는 2021년 대회를 비롯해 6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2002년 대회에서 8강 진출의 돌풍을 일으켰고 그 이후에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다만 2013년과 2017년 그리고 2019년 대회 본선에서 각각 캐나다, 니카라과, 쿠바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 = = CONCACAF 네이션스리그 = = = = = = = 2019-20 리그 A = = = =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위로 리그 A에 편입된 마르티니크는 온두라스, 트리니다드토바고와 함께 C조에 배정되었다. 이후 트리니다드토바고와의 첫 2연전에서 모두 무승부(1차전 1-1 무, 2차전 2-2 무)를 거두었고 온두라스와의 2연전에서는 1무 1패(3차전 0-1 패, 4차전 1-1 무)에 그쳤지만 3무 1패·조 2위로 통산 6번째이자 3회 연속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 = = 카리브컵 = = = 카리브컵에는 14번 출전해서 199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듬해인 199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4강에도 5번 올랐다. 그리고 1990년 대회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대회 도중 일어난 쿠데타 시도와 설상가상으로 허리케인 '아서'까지 겹치면서 대회 일정을 모두 소화하지 못한 채 귀국해야만 했다. = = 기타 국제 대회 경력 = = 카리브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3번 참가하여 2번의 대회(1983년, 1985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88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0년 루트르메컵에서도 정상에 올랐다. = = CONCACAF 골드컵 (본선) = =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5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7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9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1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3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7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81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85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89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91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3년 조별리그 8위 3 0 1 2 3 14 1 1996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0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2년 8강 6위 3 1 1 1 2 3 4 2003년 조별리그 12위 2 0 0 2 0 3 0 2005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7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9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1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3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2 4 3 2015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9년 조별리그 12위 3 1 0 2 5 7 3 2021년 ? ?위 ? ? ? ? ? ? ? 합계 6회 진출(6/15) 8강(1회) 17 6 3 11 16 37 14 순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 = = CONCACAF 골드컵 (예선) = = =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5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7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9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1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3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7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1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5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9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91년 5 2 1 2 8 5 7 1993년 7 5 2 0 14 5 17 1996년 3 1 1 1 5 4 4 1998년 6 5 0 1 19 5 15 2000년 6 3 0 3 14 14 9 2002년 8 5 1 2 16 9 16 2003년 8 4 1 3 21 16 13 2005년 5 1 2 2 5 5 5 2007년 9 5 1 3 7 12 16 2009년 5 3 1 1 10 6 10 2011년 3 0 1 2 1 3 1 2013년 11 5 5 1 34 10 20 2015년 9 5 3 1 19 11 18 2017년 8 5 1 2 18 5 16 2019년 4 4 0 0 10 2 12 2021년 4 0 3 1 4 5 3 합계 101 53 23 25 205 117 182 = = 카리브컵 = =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89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0년 결승진출 2 1 1 0 4 2 4 1991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4 2 4 1992년 4강 3위 5 2 1 2 10 6 7 1993년 우승 1위 5 3 2 0 8 3 11 1994년 준우승 2위 5 3 1 1 12 10 10 1995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6년 4강 3위 5 2 1 2 6 4 7 1997년 조별리그 5위 2 1 0 1 2 3 3 1998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7 8 3 1999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1년 4강 3위 5 3 0 2 6 8 9 2005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7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4 8 3 200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0년 조별리그 7위 3 0 1 2 1 3 1 2012년 4강 4위 5 2 2 1 5 3 8 2014년 조별리그 6위 3 1 1 1 3 4 4 2017년 4강 4위 2 0 0 2 1 3 0 합계 14회 진출(14/19) 우승(1회) 51 21 11 19 73 67 74 = = 주요 선수 = = 조르디 셀렝 세바스티앙 크레노아 다니엘 에렐르 스테판 아볼 크리스토프 주공 카를 비툴랭 = 리스치 = 리스치(1990년 5월 27일 ~)는 중국의 가수, 배우다. = = 방송 = = 열혈남아 (2008) - 5위 = 투자족 = 투자족은 중국에서 전체 인구 8백만이 넘는 소수민족 중 6번째로 많은 소수민족이다. 주로 후난성, 후베이성, 구이저우성 그리고 충칭시 등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투자어로 자기 명칭은 "토착민"을 의미하는 '비지카'이며, 중국어 명칭 '토가(투자)' 또한 "토착 주민"을 뜻하는 말이다. 이는 이주하여 들어온 한족을 가리키는 객가(客家)와 대비되는 표현이다. = = 기원 = = 그 기원에 관해 다양한 가설이 있으나 고대 파나라(巴)의 후예라는 설이 유력하다. 파나라는 기원전 600~400년에 이들이 살던 지역에서 흥하다가 기원전 316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하였다. = = 그 외 = = 토가족에서는 여자가 결혼할 남자를 선택하는데,여자는 결혼하고 싶은 남자의 발을 밟는다.이때 남자가 결혼을 수락한다는 의미로 여자의 발을 밟는다.하지만 결혼하기를 원치 않는다면 남자는 많은 돈운 지불해야한다.만약 남자가 지불할 수 없다면 오랫동안 일해야 한다.이 프로포즈 방식은 국제사회에서 논란이 되기도 한다. = 도이란시 = 도이란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남동부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노브도이란이며 면적은 129.16km2, 인구는 3,426명(2002년 기준)이다. 서쪽으로는 보그단치 시, 북쪽으로는 발란도보 시와 접하며 동쪽과 남쪽으로는 그리스와 국경을 접한다. = 치다 = 치다는 다음을 가리킨다. 치다 아사미: 자유형을 주종목으로 하는 일본의 수영 선수 치다 켄타: 일본의 플뢰레 펜싱 선수 =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 = 레이크 폰차트레인 코즈웨이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폰차트레인 호 위를 지나는 38.44km의 교량이다. = 분류:말와 수바다르 = = 분류:모로코-프랑스 관계 = = 분류:장필순 = = 헬렌 플린트 = 헬렌 플린트(Helen Flint, 1898년 1월 14일 ~ 1967년 9월 9일)는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이다. 시카고에서 태어났으며 워싱턴 D.C.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바다의 거인 (1937년) 하층민 (1936년) 소공자 (1936년) 분노 (1936년) 다우팅 토머스 (1935년) - 넬리 펠 역 황무지 (1935년) = 분류:그리스-캐나다 관계 = = 분류:영국의 교통장관 = = 분류:2018년 컴퓨팅 = = 단테스피크 = = 초거대퀘이사군 = 초거대퀘이사군(, Huge-LQG)은 거대퀘이사군으로 불리는, 73개의 퀘이사로 구성된 실존 구조이거나, 유사구조이다. 길이가 약 40억 광년이다. 구조에 관한 몇가지 문제점이 있긴 해도, 초거대퀘이사군은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밝혀진 것 중 가장 크고 무거운 구조로써 발견되었다. = = 발견 = = 2013년 1월 11일, 영국 프레스턴의 센트럴 랭크셔 대학교의 로저 G. 클로즈는 동료들과 함께 사자자리 부근에서 퀘이사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음을 발표했다. 이들은 하늘의 주요 다중영상 촬영과 분광학적 적색편이 탐사인, 슬론 디지털 전천 탐사의 DR7QSO 목록의 데이터를 이용했다. 이들은 이 군집이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밝혀진 것 중 가장 거대한 구조라고 발표했다. 이 구조는 두 달의 검증 과정을 거쳐 발표되기 전인, 2012년 11월에 처음 발견되었다. 이 구조의 발표에 관한 뉴스는 세계적으로 뻗어나갔고, 과학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 = 특징 = = 초거대퀘이사군은 최대 길이가 약 1.24 Gpc으로, 다른 부분은 370~640 Mpc인 것으로 추정되었고, 73개의 퀘이사를 포함하고 있다. 퀘이사는 물질을 흡수하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으로 추정되는, 매우 밝은 활동은하핵이다. 퀘이사는 우주에서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우주에서 물질의 과밀집을 찾는데 이용될 수 있다. 초거대퀘이사군은 약 6.1×1018 M☉의 속박질량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거대퀘이사군은, 지구로부터 9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음을 의미하는, 평균 적색편이가 1.27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U1.27으로 이름 붙여졌었다. = = 우주 원리 = = 이 구조에 관한 클로즈의 초기 발표에서, 그는 구조가 우주 원리를 부정한다고 보도했다. 우주 원리는 우주가 충분히 큰 규모에서, 거의 균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우주에서 다른 영역들 사이의 물질의 밀도와 같은 수치들의 통계적인 변동이 매우 적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균질성 규모를 초월하는 변동을 충분히 작다고 여길 수 있는 각각의 정의가 존재한다. 그리고 적당한 정의의 사용은 글의 맥락에 달려있다. 자스완트 야다프(Jaswant Yadav) 등은 우주의 프랙탈 차원에 기반하여 균질성 규모의 정의를 주장했는데, 이 정의에 따라서, 그들은 우주의 균질성 규모의 최대 한계가 260/h Mpc라고 결론지었다. 일부 연구는 이 정의에 따른 균질성 규모의 값을 측정하기 위한 시도로 70~130/h Mpc 범위에 이르는 값을 발견했다.Hogg, D.W. et al., (2005년 5월) "밝은 적색 은하를 통해 입증된 우주의 균질성". 천체물리학 저널 624: 54–58. arXiv:astro-ph/0411197. Bibcode:2005ApJ...624...54H. doi:10.1086/429084.Scrimgeour, Morag I. et al., (2012년 5월) "WiggleZ 암흑에너지 탐사: 대규모 우주의 균질성으로의 이동".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425 (1): 116–134. arXiv:1205.6812. Bibcode: 2012MNRAS.425...116S. doi: 10.1111/j.1365-2966.2012.21402.x.Nadathur, Seshadri, (2013년 7월) "잡음으로 보이는 패턴: 균질성을 위반하지 않는 기가파섹규모의 '구조'".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발행. arXiv:1306.1700. Bibcode: 2013MNRAS.tmp.1690N. doi: 10.1093/mnras/stt1028. 2003년에 발견된 슬론 장성은 길이가 423 Mpc이고, 위에서 정의된 균질성 규모보다 약간 크다. 초거대퀘이사군은 야다프 등의 균질성 규모의 최대 한계보다 세 배 길고, 폭은 그 두 배이다. 따라서 이는 거대 규모의 우주에 관한 우리의 이해에 대해 도전하기 위한 주장이었다. 그러나, 장거리 상관관계의 존재 때문에, 이는 균질성 규모보다 더 큰 규모만큼 확장된 우주에서, 은하 분포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Gaite, Jose, Dominguez, Alvaro and Perez-Mercader, Juan (August 1999) "은하의 프랙탈 분포 및 균질성 이동". 천체물리학 저널 522: L5–L8. arXiv:astroph/9812132. Bibcode: 1999ApJ...522L...5G. doi: 10.1086/312204. = = 논쟁 = = 빌레필트 대학교의 세샤드리 나다투르(Seshadri Nadathur)는 초거대퀘이사군에 관해 좀 더 전반적인 연구를 했다. 더 자세한 연구 후에, 그는 클로즈가 거대군집에 관해 주장한 것과 반대로 새로 만든 지도에서 초거대퀘이사군 부근에서 퀘이사의 명확한 군집이 없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지도는 실제로 클로즈가 만든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 영역에 있는 모든 퀘이사를 포함했다. 퀘이사의 데이터에 관한 많은 통계적 연구를 행하고, 초거대퀘이사군의 구성원에서의 극단적인 변화를 찾고, 군집에서 변수의 작은 변화를 찾은 후에 그는 퀘이사의 무작위 조합으로부터 초거대퀘이사군 크기의 군집이 명확히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을 측정했다. 그는 클로즈가 연구한 것과 동일한 크기의 10,000 개의 영역을 준비했고, 하늘에 있는 실제 퀘이사와 동일한 위치통계의 무작위로 분포된 퀘이사를 채워넣었다. 데이터는 야다프 등의 균질성 규모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었고 따라서 우주원리에 대한 도전은 없었다. 또한 연구는 하늘에서 다른 퀘이사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면서 초거대퀘이사군을 발견하는데 사용했던 클로즈의 통계적 알고리즘으로 초거대퀘이사군과 동일한 천 개 이상의 군집을 만들었다. 퀘이사가 우주의 밀한 영역에 해당하긴 하지만, 하늘의 모든 퀘이사가 균일하게 분포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즉, 수백만 광년당 하나의 퀘이사가 엄청난 구조를 만든다는 것은 매우 신빙성 없다. 따라서 나다투르가 발견한 군집과 함께, 초거대퀘이사군의 발견은 거짓양성 발견, 또는 구조 발견의 오류로 불리며, 최종적으로 초거대퀘이사군이 실존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결론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로즈 등은 구조의 실존성을 독자적으로 뒷받침하는 Mg II 흡수체(한 번 이온화된 마그네슘 가스, 먼 은하를 탐사하는데 흔히 사용된다)의 동시 존재를 발견했다. Mg II 가스는 초거대퀘이사군이 거짓양성 발견보다는 질량의 과대측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반대 논문에 의한 논란이 없다. 몇몇 의문점이 구조의 발견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그 영역에서 클로즈가 어떻게 퀘이사의 군집을 관측한 것인지도, 그가 어떻게 그 영역에서 퀘이사의 어떤 상관관계를 발견한 것인지도 아니다. 이 구조 뿐만 아니라 다른 거대퀘이사군도 실존 구조가 전혀 아닌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다. 초거대퀘이사군의 실존성에 관한 뒷받침은 Hutsemékers 등의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2014년 9월, 이들은 초거대퀘이사군의 퀘이사의 편광을 측정하여 500 Mpc보다 큰 규모에서 편광 벡터의 "주목할 만한 연관성"을 발견했다. = 분류:핀란드의 개신교도 = = 꽃가마 = 꽃가마는 결혼식에서 신부를 태우기 위해 화려하게 장식한 가마를 말한다. 다음 뜻으로도 쓰인다. 꽃가마 (영화)(1966) 꽃가마 (드라마)(1982~1983) = 한뫼초등학교 = 한뫼초등학교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5년 3월 2일 개교 =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 = 인천계산초등학교 = 인천계산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5년 12월 26일 인천계산초등학교 설립인가 1987년 3월 6일 인천계산초등학교 개교(14학급 편성) 1987년 3월 6일 초대 이득우 교장 부임 1997년 8월 7일 급식소 준공 및 교실 4실 마무리 공사 1997년 11월 26일 시축 12개 교실 증축 2005년 3월 1일 인천해서초등학교 분리 및 남자 양궁부 창단 2006년 11월 22일 전자도서관 개관식 및 학습결과물 전시회 2007년 8월 31일 천정형 냉난방기 설치 및 천정 텍스 공자 준공 2007년 9월 15일 과학실험실 조성 현대화 사업 완료 2008년 2월 19일 제18회 졸업식 203명(누계 6,562명) 2008년 3월 1일 33학급 편성 (일반: 31학급, 특수: 2학급) 2009년 3월 1일 31학급 편성 (일반: 29학급, 특수: 2학급) 2010년 3월 1일 28학급 편성 (일반: 26학급, 특수: 2학급) 2011년 3월 1일 25학급 편성 (일반: 23학급, 특수: 2학급) 2012년 3월 1일 제11대 김경환 교장 취임 2012년 3월 1일 23학급 편성(특수2학급) 2013년 2월 15일 제23회 졸업식 2013년 3월 1일 22학급 편성(일반: 20학급, 특수: 2학급) 2013년 3월 2일 배움터 지킴이실 설치 2013년 10월 7일 나래꿈터 개관(신관 3층 리모델링) 2013년 11월 20일 제1회 계산꿈나무축제 2014년 2월 14일 제24회 졸업식 2014년 3월 1일 21학급 편성(일반: 19학급, 특수: 2학급) 2015년 10월 20일 숲교실 개관식 2016년 2월 5일 제26회 졸업식 2016년 3월 1일 18학급편성(일반 17학급, 특수 1학급) 2016년 3월 1일 제12대 이지훈 교장 취임 2016년 3월 2일 2016학년도 입학식(남 22명, 여 19명, 계 41명) 2016년 9월 30일 계산 한마음 체육대회 2016년 12월 20일 실외 양궁장 개관 2017년 2월 10일 제27회 졸업(70명 누계: 7,623명) 2017년 3월 1일 17학급 편성(일반 16학급, 특수 1학급) = 분류:2010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 D가군 = 수학에서 D가군은 미분 연산자들의 환에 대한 가군층이다. 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추상화이며, 또한 평탄한 코쥘 접속을 갖춘 벡터 다발의 일반화이다. = = 정의 = = X가 표수 0인 체 k에 대한 비특이 대수다양체라고 하고, X 위의 정칙함수들의 층을 \mathcal O_X라고 하자. 또한, X 위의 (대수적) 벡터장들로 생성되는 \mathcal O_X-가군층 \mathcal D_X를 생각하자. 이는 미분 연산자들로 간주할 수 있다. X 위의 D가군 (\mathcal M,\nabla)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mathcal O_X-가군층 \mathcal M k-선형사상 \nabla\colon\mathcal D_X\to\operatorname{End}(M), v\mapsto\nabla_v 이는 다음과 같은 공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모든 \mathcal O_X의 단면 f, \mathcal M의 단면 m, X 위의 벡터장 u,v에 대하여, (\mathcal O_X-선형성) \nabla_{fv}m=f(\nabla_vm) (곱 규칙) \nabla_v(fm)=(\nabla_vf)m+f\nabla_vm (리 괄호에 대한 준동형) \nabla_{[u,v]}=[\nabla_v,\nabla_v] = = 예 = = 국소 자유 가군층은 벡터 다발로 여길 수 있으며, 국소 자유 가군층인 D가군은 단순히 평탄한 코쥘 접속이 주어진 벡터 다발이다. 복소 아핀 공간 \mathbb C^n 위의 함수 공간 F가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면, F는 D가군을 이룬다. F는 덧셈 및 곱셈에 대하여 닫혀 있다. \mathbb C[x_1,\dots,x_n]\subset F. 즉, F는 모든 다항함수를 포함한다. F는 미분에 대하여 닫혀 있다. = = =선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응하는 D가군 = = = 로 정의되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 을 생각해 보자. 그렇다면, 이 편미분 방정식에 대응되는 D가군은 D로 생성되는 \mathcal D_{\mathbb C^n}의 아이디얼 (D)에 대한 몫환 이다. 이 경우, D가군을 이루는 어떤 함수 공간 F 속에서, 의 해들의 공간은 과 같다. = 파이퍼 페라보 = 파이퍼 페라보(, 1976년 10월 3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코요테 어글리등에 출연했다. = = 출연 작품 = = 코요테 어글리 슬랩 허, 쉬즈 프렌치 케이브 메이즈 헌터: 살인곰의 습격 엔젤 해즈 폴른(Angel Has Fallen) = 분류:캄보디아의 정치적 억압 = = 소 요시자네 = 소 요시자네(宗義真)는 쓰시마 후추번의 3대 번주이다. = = 생애 = = 간에이(寛永) 16년(1639년) 11월 18일, 2대 번주 요시나리(義成)의 장남으로써 태어났다. 메이레키(明暦) 원년(1655년) 6월, 종4위하 하리마노카미(播磨守)로 서위되어 임관하였다. 메이레키 3년(1657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가독을 상속받았다. 이때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명된다. 번을 다스림에 있어 번주 요시자네는 오오우라 미쓰토모(大浦光友)를 등용해서 석재(借財) 정리, 대조선 교역 확대, 간몬 검지(寛文検地)에 의한 지방지행제(地方知行制)에서 장전지행제(蔵前知行制)로의 이행, 간몬(寛文) 4년(1664년)의 균전제 실시와 이에 따른 세금 제도 개혁, 새로운 토지 개발, 쓰시마 은산(対馬銀山)의 생산량 증가, 조카마치(城下町)나 후추 항(府中港)의 정비와 확대, 번교(藩校)라 불리는 쓰시마 후추번의 번사와 그 자제들을 가르치는 학교를 짓는 등 번내 정치의 기초를 완전히 다졌다. 이러한 쓰시마 후추번의 전성기를 쌓아올림으로써 번의 격식은 10만 석에 버금가는 지위로까지 상승하였다(쓰시마 후추번의 실질 고쿠다카는 1만 석 정도였으나 교역 수지가 확대된 것이 고려된다), 간몬 12년(1671년) 쓰시마 섬 서부의 아소 만(浅茅湾)에서 동부 해안가로 이어지는 운하 오오후나코시세토(大船越瀬戸)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개혁, 특히 지행제도 개혁은 쓰시마 후추번의 가신단의 불만을 샀고, 간몬 5년(1665년) 2월에 오오우라 미쓰토모가 사형에 처해졌다. 겐로쿠 2년(1689년) 5월에는 기노시타 준안의 제자로 준안의 추천을 받아 쓰시마 후추번에 채용된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州)가 쓰시마 후추번에 부임해 번의 문교(文教)나 대조선 외교문서를 전담하는 진문역(真文役)이 되었다. 겐로쿠 5년(1692년) 6월 27일에 차남 요시쓰구(義倫)에게 가독을 넘겨주고 은거하였으나 그 뒤로도 번내 정치의 실권은 그에게 있었다. 하지만 만년에 요시자네가 요절하고 조선과의 울릉도 쟁계 문제로 교섭에 차질이 빚어지게 되어 조선과의 교역량 수지도 감퇴하는 등의 악조건이 겹쳐 쓰시마 후추번의 쇠퇴가 시작되었다. 겐로쿠 12년(1699년)에는 재정 재건을 위해 가신에 대한 지행석상(知行借上)을 행하였다. 요시자네 사후 넷째 아들 요시미치(義方)를 새로운 번주로 옹립하고 자신은 겐로쿠 15년(1702년) 8월 7일에 사망할 때까지 번의 실권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향년 64세. 아메노모리 호슈의 교린제성에는 그의 계명을 따서 덴류인 공(天竜院殿)이라 부르고 있다. = 분류:미국의 여자 레슬링 선수 = = 학력고사 = 학력고사(學力考査)는 대학입학 학력고사(大學入學 學力考査)라고 불리는 교육제도로 1982학년도 대학입시부터 1993학년도 대학입시까지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시험이다. 현재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한 시험이었으므로, 학력고사는 사실상 대학 입학을 위한 시험이었다. 대학입학학력고사는 4지선다형 지식암기형 문제가 너무 많다는 비판으로 인해 1994학년도부터는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변경되었다. = = 구성 = = 대학입학 학력고사는 필기시험 320점, 체력장 20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 = 1982~1986학년도 = = = 당시에는 문이과 외에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도 응시과목이 달랐다. = = = 1987~1992학년도 = = = 제4차 교육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인문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Ⅰ한문한문Ⅰ 포함 국어Ⅱ 영어듣기 평가 포함 수학ⅠˑⅡ-1 국사현재의 한국사 국민윤리현재의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ⅠˑⅡ현재의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 지리Ⅰ·Ⅱ현재의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현재의 동아시아사를 포함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20 60 55 25 25 20+20 (택2) 20+20 (택2) 20+20 (택2)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제2외국어는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실업은 농업, 공업, 상업, 수산업, 가사 (가사는 여학생 전용 교과). 상위권 대학에서는 제2외국어에 가산점을 주거나 지정하였으므로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은 제2외국어를 주로 선택하였다. 20 자연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Ⅰ 영어 수학ⅠˑⅡ현재의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2 국사 국민윤리 사회Ⅰ 지리Ⅰ 세계사세계사는 다른 사회과목과 달리 Ⅰ(공통)과 Ⅱ(심화)로 나뉘어 있지 않은데 이는 Ⅰ과 Ⅱ가 통합된 것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과생은 선택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단 세계사 시험문제의 난이도는 인문계와 자연계가 달랐으며, 동아시아사의 비중이 매우 적었다. 물리Ⅰ·Ⅱ 화학Ⅰ·Ⅱ 생물Ⅰ·Ⅱ 지구과학Ⅰ·Ⅱ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60 75 25 25 20 (택1) 20 (택1) 20 (택1)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그러나 물리와 화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그러나 물리와 화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그러나 물리와 화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그러나 물리와 화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가능. 20 (택1) 20 예체능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Ⅰ 영어 수학ⅠˑⅡ-1 국사 국민윤리 사회Ⅰ 지리Ⅰ 세계사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체육 음악 미술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60 55 25 25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40 (택1) 40 (택1) 40 (택1) 20 (택1) 20 1교시 (90분) : 국어Ⅰ, 국사 2교시 (인문·자연 110분, 예체능 90분) : 수학, 사회 3교시 (90분) : 영어, 제2외국어 및 실업 4교시 (100분) 인문계 : 국민윤리, 국어Ⅱ, 과학 자연계 : 국민윤리, 과학 예체능계 : 국민윤리, 예체능, 과학 = = = 1993학년도 = = = 제5차 교육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인문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한문上 포함 문학·문법·작문 영어듣기 평가 포함 일반수학수학Ⅰ 국사현재의 한국사 국민윤리현재의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정치경제사회문화 한국지리세계지리 세계사현재의 동아시아사를 포함 과학Ⅰ上현재의 생명과학Ⅰ 과학Ⅰ下현재의 지구과학Ⅰ 과학Ⅱ上현재의 물리Ⅰ 과학Ⅱ下현재의 화학Ⅰ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20 60 55 25 25 20+20 (택2) 20+20 (택2) 20+20 (택2)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제2외국어는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실업은 농업, 공업, 상업, 수산업, 가사, 정보산업. 20 자연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 영어 일반수학수학Ⅱ 국사 국민윤리 정치경제 한국지리 세계사 물리과학Ⅱ上 포함 화학과학Ⅱ下 포함 생물과학Ⅰ上 포함 지구과학과학Ⅰ下 포함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60 75 25 25 20 (택1) 20 (택1) 20 (택1)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20+20 (택2)단 물리 또는 화학 반드시 포함, 생물과 지구과학을 모두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 20 (택1) 20 예체능계 필수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선택 기타 과목 국어 영어 일반수학수학Ⅰ 국사 국민윤리 정치경제 한국지리 세계사 과학Ⅰ上 과학Ⅰ下 과학Ⅱ上 과학Ⅱ下 체육 음악 미술 제2외국어 및 실업 체력장 배점 55 60 55 25 25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20 (택1) 40 (택1) 40 (택1) 40 (택1) 20 (택1) 20 1교시 (90분) : 국어, 국사 2교시 (인문·자연 110분, 예체능 90분) : 수학, 사회 3교시 (90분) : 영어, 제2외국어 및 실업 4교시 (100분) 인문계 : 국민윤리, 문학·문법·작문, 과학 자연계 : 국민윤리, 과학 예체능계 : 국민윤리, 예체능, 과학 = = = 기타 사항 = = = 1982학년도부터 1985학년도 학력고사에서는 영어가 필수과목은 아니었으며 외국어 선택과목 중 하나였다. 그 때문에 몇몇 학생들이 영어를 선택하지 않고 점수획득이 쉬운 일어, 독어, 불어 등을 선택하여 당시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1988학년도 학력고사부터는 주관식이 30% 출제되었으며 선지원후시험제도로 일부 변경되었다. 선지원 후시험 제도 시행시 제2외국어와 실업을 통틀어 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일부 10여 곳의 상위권 대학(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등)은 전체 계열 또는 인문/사회 계열 등 일부 계열의 경우, 제2외국어를 선택한 수험생에 한해 지원 가능하였고, 실업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지원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시험을 준비한 수험생들은 제2외국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 전형은 전기, 후기로 나뉘어 있었으며 전기대 학력고사는 12월에, 후기대 학력고사는 1월에 시험을 보았다. 당시에는 대한민국이 중화민국(대만)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어 시험지에는 문자를 정체자중국 대륙에서는 번체자라고도 한다.로 표기하였고, 발음은 주음 부호와 한어 병음을 병기하였다. 예체능계는 사회, 과학 중 하나만 선택하고 국어Ⅱ(1993학년도에는 문학·문법·작문)를 제외했으며 나머지 40점은 체육, 음악, 미술의 이론 시험으로 채워졌다. 이외에도 전문대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은 국어, 수학, 영어, 국사, 국민윤리만 응시하였으며, 총 250점 만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연도별 학력고사 시행일 = = 전기대 기준. 후기대 학력고사는 1월에 치렀다. 1982학년도 - 1981년 11월 24일 화요일 1983학년도 - 1982년 12월 2일 목요일 1984학년도 - 1983년 11월 22일 화요일 1985학년도 - 1984년 11월 23일 금요일 1986학년도 - 1985년 11월 20일 수요일 1987학년도 - 1986년 11월 20일 목요일 1988학년도 - 1987년 12월 22일 화요일 1989학년도 - 1988년 12월 16일 금요일 1990학년도 - 1989년 12월 15일 금요일 1991학년도 - 1990년 12월 18일 화요일 1992학년도 - 1991년 12월 17일 화요일 1993학년도 - 1992년 12월 22일 화요일 = = 참고 자료 = =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국정 국사교과서 비판(윤종영, 대학입학 학력고사),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저, 역사비평사(2000년, 336~339p) = 서울 기원사 독성도 = 서울 기원사 독성도(서울 祈願寺 獨聖圖)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기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09년 3월 5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8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청록산수 화법으로 그려진 소나무 아래 앉아있는 빈두로존자(賓頭盧尊者)를 그린 독성도(獨聖圖)이다. 빈두로존자는 16나한을 대표하는 신앙의 대상으로 석가모니불의 정법을 수호하며, 중생을 제도하는 역할을 맡은 나한으로서 독성(獨聖)이라고도 불린다. 그 모습은 흔히 눈썹이 길게 늘어진 노인으로 표현된다. 화면의 중앙에는 흰 눈썹 가닥이 길게 아래로 늘어진 빈두로존자가 시선을 오른쪽으로 향한 채 오른쪽 어깨를 비스듬히 기울이고, 오른손을 무릎에 놓은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 뒤에는 광배가 표현되었고 몸에 입은 붉은 가사는 왼쪽 어깨 아래로 흘러내려 뼈가 드러나는 앙상한 가슴이 보이며 그 아래로 녹색 법의를 받쳐 입었다. 가사의 끝단에는 화문(花文)이 장식되어 있는데 적색·녹색의 복식과 더불어 매우 화려하다. 존자의 오른편에는 고목둥치가 있고 그 위에 세발향로가 올려져 있다. 소나무 그늘 위에는 흰 구름이 펼쳐지고 그 사이로 푸른 하늘과 붉은 태양이 조금 드러나 있다. 화면의 우측 하단의 화기(畵記)는 푸른 안료로 덧칠되어 전체를 판독하기 어렵지만 “공양(供養)”, “원(圓)” 등의 몇 자는 알아볼 수 있다. 이 불화는 전체적으로 화기가 훼손되어 조성시기 및 화원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적색과 녹색을 주조로 백색과 청색을 함께 사용하는, 19세기 중반 이후 불화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색채감과 짜임새 있는 구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 참고 자료 = = * 기원사 독성도 = 분류:독일의 수학자 = = Barbra Streisand's Greatest Hits = Barbra Streisand's Greatest Hits는 1970년 1월에 발매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음반이다.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덕적중학교 = 덕적중학교(德積中學校)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3년 5월 1일 : 덕적공립보통학교 개교 1949년 6월 3일 : 덕적고등공민학교 인가 1955년 4월 27일 : 덕적중학교 설립인가 1955년 7월 10일 : 덕적중학교 개교 1955년 7월 10일 : 덕적중학교 개교 1957년 2월 15일 : 초대 지승만 교장 취임 1958년 3월 8일 : 덕적중학교 제1회 졸업(30명) 1979년 11월 2일 : 덕적고등학교 설립인가 1980년 3월 4일 : 덕적고등학교 개교 1996년 3월 1일 : 덕적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1997년 12월 3일 : 본관 건물 개축 1999년 3월 1일 : 덕적 초ㆍ중ㆍ고 통합운영 2001년 12월 1일 : 강당 및 교직원 신관사, 테니스코트 준공 2013년 3월 1일 : 인천광역시교육청지청 통합운영학교 연구학교 운영 2022년 1월 4일 : 중학교 제65회, 고등학교 제40회(중 7명, 고 6명 졸업) 2022년 3월 1일 : 중학교 제35대 박현숙 교장 취임 2022년 3월 2일 : 중학교 9명, 고등학교 10명 입학 = 집결호 = 집결호((번역 : 집결 소리), (공식 영어 제목))는 2007년 제작된 중국의 영화이다. 중국 출신의 펑샤오강 감독이 국공 내전과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양진위안의 단편 소설 『소송』(官司)를 원작으로 하여 영화로 제작했다. 타이완의 금마장, 홍콩 영화 금상장, 중국의 금계백화장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제12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고, ㈜성원아이컴에서 수입하여 이듬해인 2008년 3월 6일에 극장 개봉하였다. 강제규 감독의 태극기 휘날리며의 특수효과팀이 이 영화의 제작에 참여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 = 배역 = = 장한위 : 구쯔더 역 덩차오 : 자오얼더우 역 위안원캉 : 왕진춘 역 탕옌 : 쑨구이친 역 필 존스 : 미군 대위 역 리천 : 류 비서 역 = = = 특별출연 = = = 후쥔 : 류저수이 (139단 단장) 역 런촨 : 9연대 지도원 = = 스탭 = = 감독 : 펑샤오강 원작 : 양진위안 - 《소송》(官司) 제작 : 펑샤오강, 장징, 왕중쥔, 쉬펑러, 류옌어 기획 : 천궈푸, 왕중레이 각색 : 류헝 촬영 : 위웨 음악 : 왕리광 편집 : 류먀오먀오 음향 : 왕단룽, 김석원 미술 : 자오징, 장춘허 특수효과 : 필 존스, 정도안, 신재호 무술 감독 : 박주천 = = 기타 = = 영화 내용 중 1951년 한국 전쟁에 참전한 주인공 구쯔더(장한위)가 중국 인민지원군으로 참전해 강원도 횡성군에서 우리 국군으로 위장해 미군과 싸우는 장면이 삽입됐다.PIFF 개막작 ‘집결호’, '중공군이 본 6.25는?' 관심 - 네이버 뉴스 = = 수상 기록 = = 제29회 중국 백화장 최우수작품상, 감독상(펑샤오강), 남우주연상(장한위), 남우조연상(덩차오) 수상 제27 회 중국 금계장 최우수작품상, 감독상(펑샤오강), 촬영상(위웨), 음악상(왕리광) 수상 제45회 금마장 남우주연상(장한위), 각색상(류헝) 수상 제28회 홍콩 금상장 영화제최우수아시아영화상 수상 = = 해외 수출 = = = = = 대한민국 = = = 제목 : 집결호 개봉 : 2008년 3월 6일 관람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 125분 수입 : ㈜성원아이컴 배급 : ㈜시네마서비스 저작권 보호 대행 : 다운로더, SPA, 법무법인 화우 홈페이지 : https://web.archive.org/web/20081224022707/http://www.assembly2008.com/ = = = 타이완 = = = 개봉 : 2008년 8월 1일 = = = 일본 = = = 개봉 : 2009년 1월 17일 = 분류:반려견 = = 3차원 인쇄 = 3차원 인쇄(三次元印刷, )는 연속적인 계층의 물질을 뿌리면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제조 기술이다. additive manufacturing이라고도 한다. 3차원 프린터는 밀링 또는 절삭이 아닌, 기존 잉크젯 프린터에서 쓰이는 것과 유사한 적층 방식으로 입체물로 제작하는 장치를 말하며,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만들 수 있는 형태가 다양하고 다른 제조 기술에 비해 사용하기 쉽다."3D Printer Technology – Animation of layering". Create It Real. Retrieved 2012-01-31. 단점으로는 현재 기술로는 제작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과,"속도·품질 문제 해결했다" HP 휘트먼, 3D 프린터 언급 - CIO코리아, Mar 20, 2014 적층 구조로 인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위험한 총기와 같은 물건을 마음대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 지식재산권을 침해할 수도 있다는 점 등이 있다. 3차원 인쇄 기술은 제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제조 기술의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제 3의 산업혁명이 온다, 3D 프린터 / YTN 사이언스 Dec 30, 2013 = = 역사 = = 1981년 일본 나고야시 공업 연구소의 고다마 히데오(小玉秀男)가 처음 이론화했고 1986년 미국의 찰스 훌(Charles W.Hull)이 특허를 얻어 설립한 3D 시스템스(3D Systems)사에서 처음으로 제품화하였다.김영준의 3D프린터의 세계 : (6) 3D프린팅 역사 제대로 알기, IT동아 90년대 금속 3D 프린팅 기술도 개발되었고 200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국내 언론에도 3D 프린터가 보도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 기업도 3D 프린터를 개발하였다. = = 3D 프린터의 안전성 문제 = = 3D 프린터의 발달로 인해 3D 프린팅의 건강 및 안전 문제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2017년 유럽 안전청 (European Safety Agency for Work)은 3D 인쇄와 관련된 프로세스 및 자료, 산업 안전 기술의 함의를 논의하고 위험 요소를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룬 논문을 출간했다. 대부분의 논의 대상은 가스 및 특정 물질의 노출정도이다. 특히 나노 물질, 정전기, 움직이는 부품 및 압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NIOSH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연구에 따르면 융합 필라멘트의 입자 방출은 인쇄가 시작된 후 몇 분 후 최고점에 이르렀으며 인쇄가 끝난 지 100 분 후에 기준선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융합 된 필라멘트 프린터의 배출물에는 수많은 초 미세 입자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 배출물의 독성은 입자의 크기, 화학적 성질 및 방출 입자의 양 및 원료에 따라 다르다. VOC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눈, 코, 목구멍의 통증을 유발하며, 두통, 조정 능력 상실, 메스꺼움 및 천식과도 관련이 있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융합 필라멘트 프린팅에 사용되는 탄소 나노 튜브 및 탄소 나노 섬유는 나노 입자 크기에서 염증, 육아종 및 폐 섬유증을 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탄소 나노 입자 배출 및 분말 금속을 사용하는 공정은 가연성이 높으며 분진 폭발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융합 필라멘트 인쇄에 사용된 금속 분말로 인한 폭발로 심각한 부상을 입은 사례도 발견된 일이 있다.또한 기타 안전 문제로는 UV 램프 및 인쇄 헤드의 발열 문제, UV 램프의 고전압, 자외선 및 움직이는 부품으로 인한 기계적 부상의 가능성이 있다.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험 요인은 인쇄 작업이 끝난 후 처리 작업에서부터 존재한다. 이러한 후처리 활동에는 인쇄 된 형상을 수정하기위한 드릴링, 밀링 또는 선삭과 같은 일반적인 감산(subtractive) 제조기술 뿐만 아니라 화학약욕, 샌딩 (sanding), 연마 또는 표면 마감을 정련하기위한 증기 노출도 포함된다. 마스크 또는 보호경과 같이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인쇄된 작업물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호흡기에 흡입되거나 눈에 상해해 입힐 수 있는 입자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 = 3D 프린터의 다양한 활용분야 = = 3D프린터의 실제 개발된 사례를 보자면 여성경찰보호복 패턴을 개발하는데 쓰였는데 이는 3D프린터가 아니어도 개발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옷의 패턴개발에 많은 발전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하나를 보자면 용접이나 정형외과 분야에서도 3D프린팅 기술을 유용하게 사용을 할 수 있다 건축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 = 작동 원리 = = = = = 종류 = = = 일반적으로 가공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굳혀가며 한 층씩 쌓는 방식이다. 비교적 복잡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제작과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완성품의 표면 처리를 위해 후처리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절삭제조(subtractive manufacturing) - 재료를 공구로 깎아가며 모양을 만드는 방식으로, 공구의 모양과 절삭 방법에 따라 만들 수 있는 기하 형태에 한계가 있다. 3차원 인쇄는 적층제조 방식에 속한다. = = = 제작 프로세싱 = = = 모델링(modeling): 일반적으로 CAD 또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완성하며, 3D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다. CAD와 기기 간의 표준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STL 파일 형식이다. 3D 스캐너로 생성된 파일은 보통 PLY 파일 형식을 쓴다. 프린팅(printing): 기계가 모델링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면을 이용해 물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STL파일을 읽어들여 CAD모델에서의 가상적인 단면을 만들어내 액체나 분말등의 재료의 연속적인 층을 생성한다. 인쇄 과정은 사용 방법과 모델의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몇 시간에서 며칠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후처리(post-processing): 인쇄된 결과물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 마무리 공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사포로 연마하거나, 색칠하거나, 인쇄된 파트들을 조립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 = = 해상도 = = = 3D 프린터는 기존 잉크젯과 동일한 구동 방식을 이용해 적층 방식으로 찍으므로, XY축 해상도와 함께 각 층의 두께로 해상도가 정해진다. 즉 한 층의 두께와 XY축의 해상도를 dpi(dots per inch)로 표현하게 된다. 2013년 현재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한 층에 100µm정도 되고 어떤 기기들은 16µm정도까지도 표현하기도 한다. XY해상도는 50~100µm정도이다. = = 사회적 영향 = = 3D 프린터의 보급이 제 4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이유는, 기계 절삭 및 성형 등 기존의 생산 방식을 탈피하여 일괄된 방식으로 어떤 형태의 제품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치과 등의 의료 분야는 물론, 각종 가정용품을 비롯해 자동차나 비행기 등에 쓰이는 기계장치도 3D 프린터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다. 이미 자동차 업계에서는 엔진 등 핵심 부품을 3D 프린터로 만들어내는 공정을 연구하고 있다.[IP노믹스]롤스로이스, 3D프린터로 자동차 엔진 만드나, 전자신문 Jun 2, 2014 3D 프린터는 이론상 어떠한 물건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살상용 무기도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총기 등의 규제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하기에 정부차원에서 개인용 3D 프린터에 관한 안전지침을 만들어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2013년 5월 4일 미국에서는 디펜스 디스트리뷰티드라는 회사가 세계 최초로 3D 프린터로 제작한 권총의 시험 발사를 성공시켜 주목받았다. 이 회사는 3D 프린터 권총의 설계도면을 온라인에 공개했고, 이것이 논란이 되자 미국 국무부는 설계도면의 공개를 금지했다. 그러나 이미 다운로드 횟수는 10만건을 돌파한 후였다.'3D 프린터 권총' 설계도면 온라인 공개…인기 폭발, SBS 2013.05.10 14:37 2014년 일본에서는 3D 프린터로 찍어낸 권총을 5정 제조하여 소지하고 있던 대학 직원이 경찰에 체포되는 사건이 있었다.3D프린터로 살상용 권총 제조, 일본사회 충격 - 비즈니스포스트 May 9, 201 일본은 총기 소유가 불법이기 때문에 사회에 미친 충격은 더 컸다. = = 관련 기업 = = 3D 프린터를 생산하는 관련기업으로는 나스닥 상장기업인 미국의 스트라타시스(Stratasys)가 업계 선두로 알려져 있다.[스마트클라우드쇼] 스트라타시스 3D프린터 세계1위 비결은, 조선비즈, 2013.08.03 그 외에 뉴욕거래소 상장기업인 3D 시스템즈(3D Systems) 등의 회사가 미국에서 잘 알려진 3D 프린터 관련 기업이다. 3D 프린터는 기존의 프린터 업계 강자인 HP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며, 2013년경부터 시장 진출을 선언해왔다. HP의 멕 휘트먼 CEO는 기존 3D프린터의 느린 속도 문제를 포함한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여 자사의 제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2014년 발표한 바 있다."6월 발표설은 오류" HP, 3D 프린터 관련 CEO 발언 정정, CIO코리아 2014.03.25 2014년 미국에서 설립된 카본3D社에서 기존의 적층구조 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형식의 3차원 인쇄방식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폴리머가 빛을 만나면 굳고 산소를 만났을 때에는 굳는 현상이 방해받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기술개발자인 조셉 드시몬 교수는 이 기술을 'CLIP'이라고 명명하였다.Carbon (company), Wikipedia = = 관련 공정 = = 유형 기술 물질 압출 가공(extrusion) 압출 적층 조형(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열가소성 수지 (e.g. PLA, ABS),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eutectic metals(공융 금속), edible materials(식용 물질) 실(Wire) Electron Beam Freeform Fabrication) (EBF3) 대부분의 금속 합금 알갱이(Granular)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LS) 대부분의 금속 합금 알갱이(Granular)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티타늄 합금들 알갱이(Granular) 선택적 레이저 용해(Selective laser melting) (SLM) 티타늄 합금, 코발트 크롬 합금(Cobalt Chrome alloys),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알갱이(Granular) 선택적 열 소결(Selective heat sintering) (SHS) 열가소성 수지 분말(Thermoplastic powder) 알갱이(Granular)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열가소성 수지, 금속 분말, 세라믹 분말 잉크젯 헤드와 분말 상자기반 3D 프린팅([Powder bed and inkjet head 3d printing), 석고기반 3D 프린팅 Plaster-based 3D printing (PP) 석고 적층(Laminated) 적층 제조 방식(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LOM) 종이, 금속박, 플라스틱 필름 광 중합(Light polymerised) 광경화수지 조형방식(Stereolithography) (SLA) 광경화성 수지(photopolymer) 광 중합(Light polymerised) 마스크 투영 이미지 경화(Digital Light Processing) (DLP) 광경화성 수지(photopolymer) = 분류:2세기 국제 관계 = = 제임스 립턴 = 제임스 립턴(James Lipton, 1926년 9월 19일 ~ 2020년 3월 2일)은 미국의 배우이다. 1994년부터 2018년까지 토크쇼 인사이드 디 액터스 스튜디오의 진행자를 맡았다. 2020년 3월 2일, 방광암으로 자택에서 숨졌다. = = 출연 작품 = = 이고르와 귀여운 몬스터 이바 (2008) 볼트 (2008)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크레이그 퍼거슨 (2005) 그녀는 요술쟁이 (2005) 지미 키멜 라이브! (2003) 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 (2003) 콜드 스쿼드 (1998) 코파카바나 (1985) 가딩 라이트 (1952) = 제51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제51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2017년 7월 23일부터 8월 5일까지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렸고, 중앙일보와 일간스포츠, 대한야구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서울고등학교가 경남고등학교를 13-9로 이기고 대통령배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 = 참가 고교 = = ※강조된 고등학교는 작년 우승 팀 자격으로 참가한 고등학교임. 서울 지역 부산 지역 인천 지역 광주 지역 대구 지역 대전 지역 울산 지역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북 지역 충남 지역 전북 지역 전남 지역 경북 지역 경남 지역 제주 지역 = = 경기 결과 = = 1회전 (41강) 1회전 (41강) 1회전 (41강) 부전승 승리 패배 중앙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물금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인상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영선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효천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대전제일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영문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진영고등학교 글로벌선진학교 2회전 (32강) 2회전 (32강) 2회전 (32강) 승리 패배 물금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인상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영선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대전제일고등학교 순천효천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 = 개인상 수상자 명단 = = 부문 수상자 소속고교 포지션 비고 최우수선수상 강백호 서울고 포수 - 우수투수상 주승우 서울고 투수 - 감투상 최민준 경남고 투수 - 수훈상 정문근 서울고 중견수 - 미기상 양승혁 서울고 유격수 - 타격상 강백호 서울고 포수 21타수 10안타(.476) 최다타점 권영호 경남고 중견수 12타점 최다안타 김현민 경남고 지명타자 11타점 최다홈런 송승환 서울고 1루수 2홈런 최다도루 김민기 덕수고 2루수 6도루 감독상 유정민 서울고 감독 - = 다린 하지티 = 다린 하지티(, 1981년 4월 17일 ~ )는 레바논의 가수이다. = 삼국기 =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다. 한국 방송역사상 삼국시대를 다룬 최초의 TV드라마이다. 이전까지 사극에서 야외 세트 촬영은 경기도 용인에 있는 한국민속촌에서 촬영이 대부분이었으나 이 작품에서는 삼국 시대의 세트가 필요로 하였기에, 한국민속촌 외에 야외 세트장을 최초로 조성하여 촬영을 하였다는 큰 의의도 있다. 삼국이 존립하던 시기부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까지 시대에 흐름을 집중 조명하였다. KBS에서 방송하는 내용과 동일하다는 책 커버를 달고 방송 시점과 거의 동일한 시기에 삼국기라는 소설책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 = 등장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서인석 : 김유신 역 조경환 : 연개소문 역 유동근 : 계백 역 = = = 신라 = = = 박 웅 : 진평왕 역 김혜정 : 선덕여왕 역 유루나 : 진덕여왕 역 송영창 : 태종 무열왕 역 정형기 : 문무왕 역 이정웅 : 김용춘 역 엄유신 : 만명부인 역 최석구 : 김인문 역 서 학 : 원효 역 박주미 : 요석공주 역 윤문식 : 조미압 역 강인기 : 원술랑 역 선동혁 : 죽죽 역 최병학 : 비담 역 이동주: 염종 역 강민호 : 알천 역 김기복 : 변품, 김품일 역 김준혁 : 관창 역 이기열 : 천존 역 권혁호 : 김품석 역 전병옥 : 차웅 역 이징허 : 자장 역 김서라 : 천관녀 역 김수일 : 원광 역 김정균 : 금일 역 고진학 : 진춘 역 이지형 : 온군해 역 이운우 : 미오랑 역 고진학 : 지심 역 이기열 : 환술 역 = = = 가야 = = = 김진해 : 김서현 역 허기호 : 김흠순 역 박현숙 : 김보희 역 김보미 : 김문희 역 이광수 : 반굴 역 = = = 고구려 = = = 양영준 : 영류왕 역 서영진 : 보장왕 역 김길호 : 을지문덕 역 김하균 : 대걸걸중상 역 임 혁 : 양만춘 역 함석훈 : 연태조 역 김영기 : 연정토 역 김성효 : 연남생 역 구한승 : 연남건 역 김용준 : 연남산 역 박영목 : 선도해 역 김진태 : 흑벌무 역 백인철 : 계진 역 이경표 : 소야 역 김현주 : 초은 역 이기철: 고사계 역 김영인 : 팔만 → 검모잠 역 박희진: 구만 역 박 현 : 해미 역 반석진: 장대하 역 반문섭: 고정언 역 김창봉: 염종 역 유종근 : 마겸 역 = = = 백제 = = = 최정훈 : 무왕 역 길용우 : 의자왕 역 최수지 : 의자왕비 / 신라 첩자 금화 1인2역 최헌철 : 귀실복신 역 조재현 : 풍왕 역 이경영 : 부여융 역 김갑수 : 성충 역 김주영 : 윤충 역 심우창 : 흥수 역 김성일 : 임자 역 김시원 : 충상 역 차기환 : 상영 역 김백수 : 의직 역 이한승 : 도침 역 (해음대사) 손호균 : 지수신 역 이덕희: 아랑 역 서상익 : 덕고 역 이대로 : 사택적덕 역 오승명 : 중신식자 역 박진성 : 좌백 역 오성렬 : 천복 역 허길자 : 무옥 역 이영재 : 두평 역 오수민 : 연주 역 백수련 : 계백의 모 역 = = = 발해 = = = 임선택 : 발해 고왕 역 = = = 당 = = = 임병기: 당 태종 역 김해권: 장손무기 역 장순국: 설필하력 역 김윤형: 소정방 역 이 영: 방현령 역 권병길: 상리현장 역 정종준: 이적 역 여운국: 유인원 역 이한수: 흑치상지 역 = = = 왜 = = = 홍륜의 : 조메이 천황 역 김수연 : 고교쿠 천황(보황녀) 역 이광기 : 덴지 천황 역 안승훈 : 후지와라노 가마타리(강달) 역 박진성 : 사에키노 무라지코마로(좌백) 역 안대용 : 소가노 에미시 역 김영선 : 소가노 이루카 역 조재훈 : 소가노 마리세 역 양재성 : 야마시로노 오오에 역 박용식 : 민존자 역 이승호 권오성 윤덕용 : 거사부 역 = = 참고 사항 = = 극적 긴장과 박진감이 부족하여 시청자들한테 재미를 주지 못했으며 역사 복원에서 사실과 허구가 무분별하게 뒤섞였다는 등의 혹평을 받아야 했다. *첫회부터 일요일 오후 7시 50분에 방영되어 경쟁작 MBC <사랑이 뭐길래>에 의해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이 프로그램 종영 후에도 시청률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재방송(2TV 일요일 오전 10시) 당시에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1993년 4월 3일부터 토요일 밤 9시 40분으로 시간대가 변경됐는데 1993년 4월 17일에 종합편(41~50)이 편성되었으며 같은 달 10일 사실상 끝이 났다. *집필자 유현종 작가가 제주도에서 해당 드라마를 촬영하던 중, 탐라국의 촌장을 맡았던 연기자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하자 대타로 출연했다. 부산 범어사 소속 이정허 스님이 해당 드라마를 통해 TV 출연을 하기도 했다. 조경환 (연개소문 역)은 사업실패 탓인지 1992년 12월 해당 작품에서 중도하차했다. = 서울 본원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 = 서울 본원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 本願精寺 木造地藏菩薩坐像)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본원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01년 9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36호 본원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本願精寺 木造地藏菩薩坐像)로 지정되었다가서울특별시고시제2001-301호, 서울특별시문화재지정및보호구역일부해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2359호, 9면, 2001-09-20, 2009년 6월 4일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지장보살)로 변경 고지되었다.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21호,서울특별시 지정 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2912호, 22-30면, 2009-06-04 = = 개요 = = 본원정사 명부전에 모셔져 있는 나무로 만든 지장보살상이다. 이 지장보살상은 삼각산 태고사에 있었는데 한국전쟁 때 태고사에 불이 나 본원정사로 옮겨졌다고 전한다. 고개를 약간 숙이고 앉아 있는 이 지장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얼굴이 다소 넓적하고 큰 느낌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단정하면서도 균형이 잘 잡혀 있어 안정감을 준다. 이마가 넓고 두 귀가 크게 표현된 얼굴에 머리는 민머리 형태를 하고 있다. 몸체가 그다지 큰 편은 아니지만 양감이 잘 표현되었다. 두 어깨를 모두 감싼 옷은 자연스러운 옷주름을 만들면서 흘러 내려 온몸을 감싸고 있다. 특히, 오른쪽 어깨 위에서 흘러내린 옷자락이 팔에 걸쳤다가 다시 아래 입은 옷의 속으로 끼워져 있다. 지장보살좌상의 손부분은 원래의 것이 불에 타 다시 갈아 끼운 것이다. 전체적인 형태와 앉은 자세, 옷자락의 세부 표현 및 착의법, 양감표현, 목조 재질이나 나무를 깎은 수법, 복장유물을 넣었던 구멍을 막은 기법 등의 면에서 18세기 초기 불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목조지장보살좌상은 규모나 조각 수법, 양식적인 특징 등은 조선 후기 목조각을 대표할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 = 참고 자료 = = *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지장보살) 본원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 = 틀:대한민국 국민권익위원회 = = 분류:원나라가 참전한 전쟁 = = 분류:이스라엘의 음악 산업 = = 바람 바람 바람 (1983년 영화) = "바람 바람 바람"은 1983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박일 최민희 남궁원 김동현 하재영 진봉진 박암 박영란 최병철 김유미 전유성 박기량 이성구 임성포 박종설 이기영 주상호 길달호 홍성연 김화란 김기종 박예숙 = 대한민국 형법 제241조 = 대한민국 형법 제241조는 간통죄에 관한 대한민국 형법의 규정이었다. 이 규정은 2015년 2월 26일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하여 효력을 상실하였고, 2016년 1월 6일 형법에서 삭제되었다. = = 판례 = = 강간의 피해자가 배우자 있는 자인 경우 그 성관계는 피해자의 자의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강간 피해자에게 따로 간통죄가 성립할 수는 없고, 가해자도 강간죄의 죄책을 지는 외에 강간 피해자의 배우자가 상간자라고 하여 고소한 데 따른 간통죄의 죄책을 지지는 않는다대법원 2013도5893 간통죄는 각 성교행위 마다 1개의 간통죄가 성립하므로 배우자의 고소 또는 고소의 취소는 당해 간통사실에만 그 효력이 미치고 일부의 간통행위에 대하여 배우자의 고소 또는 고소의 최소가 있는 경우에도 그 고소 또는 고소의 취소는 다른 간통행위에는 그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는 것이며 상간자를 달리하여 간통행위를 한 경우에도 고소 및 고소의 취소는 다른 상간자에게는 그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80도1310 고소를 제기함에 있어 범죄사실이 특정되어야 할 것이나 그 특정의 정도는 고소인의 의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범죄사실을 지정하여 범인의 처벌을 구하고 있는 것인가를 확정할 수만 있으면 되는 것이고 고소인 자신이 직접 범행의 일시, 장소와 방법 등까지 구체적으로 상세히 지적하여 그 범죄사실을 특정할 필요까지는 없다84도50 남편이 아내를 상대로 제기한 이혼소송의 항소심에서 승소하였으나 아내가 이에 불복 상고하여 그 판결이 확정되지 아니한 상태에 있었다면 아내가 간통을 종용하였다고 볼 수 없고, 아내가 재판상 이혼원인에 해당하는 부정한 행위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아내의 간통죄 고소가 위법하다고 볼 수도 없다2002도2312 친고죄의 경우 ‘범인을 알게 된다’ 함은 범행의 일시, 장소까지 구체적으로 알 필요는 없으나 범인이 누구인지 특정할 수 있을 정도로 알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2001도7142 [1] 범죄사실을 안다는 것은 친고죄에 해당하는 범죄의 피해가 있었다는 사실관계에 관하여 확정적인 인식이 있음을 말한다 [2] 처가 상간자와의 성관계가 강간당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상간자를 강간죄로 고소한 사건이 검찰에서 혐의없음 처분된 경우 그때 고소인은 간통사실을 알았다고 보아야 한다2001도3106 간통의 일시, 장소 등 간통죄의 구성요건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게 된 때 비로소 범인을 안 것으로 보게 되는 것은 아니다99도576, 87도1114 고소 당시 제기한 이혼소송의 소장이 각하된 경우에는 최초부터 이혼소송을 제기하지 아니한 것과 같다94도774 이혼심판 청구가 각하된 후에 다시 동일한 원인으로 이혼심판청구를 제기하였다고 하더라도 간통죄의 공소제기 요건에 생긴 흠결은 보정될 수 없다81도2391 이혼심판청구 각하 일자가 간통사건의 제2심 판결선고 후라 하더라도 간통고소는 소급하여 유효조건을 결한 것이 된다75도1489 협의이혼의 확인을 받고 이혼신고를 하기 전에 한 고소는 효력이 없으나, 그후 협의이혼신고를 하였다면 위 고소는 그때부터 유효한 고소가 된다86도482 고소 당시에는 피고인만이 고소인을 상대로 이혼심판 청구를 하였을 뿐이고, 고소인은 이 사건 공소가 제기된 후에 비로소 피고인을 상대로 이혼심판 청구를 한 경우 고소인의 고소는 부적법하다82도2074 이혼소송이 취하된 경우에는 최초부터 이혼소송을 제기하지 않은 것과 같게 되어 간통고소는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한다85도1744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2항에 의하여 고소를 취소한 것으로 간주되는 이혼소송의 취하는 그것에 의하여 혼인관계를 해소하려는 의사가 철회되어 결과적으로 혼인관계가 존속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일 뿐, 배우자가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 그 소송 외에서 협의이혼 등의 방법으로 혼인 해소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어 더 이상 이혼소송을 유지할 실익이 없어 이혼소송을 취하한 경우까지 의미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고, 이러한 경우 간통고소는 ‘이혼소송의 계속’과 선택적 관계에 있는 ‘혼인관계의 부존재’라는 고소의 유효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 여전히 유효하게 존속한다 - 공소외인의 남편인 고소인이 2006. 4. 4. 원심법원에서 협의이혼의사 확인을 받은 다음, 같은 날 14:55경 이혼신고를 하고 16:45경 원심법원에 이혼소송을 취하한다는 내용의 소취하서를 제출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혼소송이 취하되기 이전에 이미 협의이혼의 효력이 발생하였으므로, 이 사건 간통고소는 여전히 유효하게 존속하고 있다고 판단2006도7939 외국에서 거행된 혼인이 그 외국법이 정하는 방식에 따라 거행된 경우 혼인은 유효하게 성립된 것이고, 호적법에 따른 신고가 없는 경우에도 간통죄의 '배우자'에 해당한다83도41 고소인이 일방적으로 혼인신고를 하고 간통고소한 경우, 그 혼인신고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없어 간통고소는 부적법하다83도431 고소인이 시기와 종기를 정하여 기간을 특정하고 있는 이상 그 기간 중의 어떤 간통행위에 대하여 특히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기간 중의 모든 범죄행위에 대하여 처벌을 희망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2000도930, 90도603, 99도4123 무단가출한 피고인이 소외인과 동거하고 있음을 목격하고 고소한 경우 가출시부터 동거목격시까지의 모든 간통행위를 고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90도603 ‘1983. 1. 1. 초부터 1984. 1. 15까지 수회에 걸쳐 서울 용산구 지하실에서 갑과 간통하였다’는 고소는 1983. 12.15. 서울 중구 순화동 36-2 소재 상회에서 간통하였다는 공소사실에 대한 적법한 고소라고 볼 수 없다84도2971 1974. 4. 2. 간통하였다는 부분은 공소사실이 특정되었으나 그 뒷부분, 즉 '1972. 5. 중순경부터 1974. 4. 3경까지 한00의 셋방등지에서 회수불상 간음하였다'는 부분은 구체적인 범죄사실의 기재가 없어 그 효력이 없다75도346 간통죄의 유서는 첫째, 배우자의 간통사실을 확실하게 알면서 자발적으로 한 것이어야 하고, 둘째, 그와 같은 간통사실에도 불구하고 혼인관계를 지속시키려는 진실한 의사가 명백하고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2001도7142, 99도826, 99도2149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는 경우에는 법률적으로 혼인관계가 존속한다고 하더라도 간통 종용의 의사표시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러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는 비록 잠정적․임시적․조건적으로 이혼의사가 쌍방으로부터 표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간통 종용에 해당하지 않는다2000도868 고소인이 피고인의 이혼청구에 응할 수 없다고 다투는 한편, 피고인의 이 사건 이전의 간통을 이유로 이혼을 청구하는 반소를 제기하였다면, 이는 혼인관계 파탄의 책임이 피고인에게 있음이 인정됨을 조건으로 이혼의 의사를 표명한 것일뿐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97도2245 당사자의 언행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보아 혼인당사자 쌍방이 더 이상 혼인관계를 유지할 의사가 없었던 사정이 인정되고, 어느 일방의 이혼요구에 상대방이 진정으로 응낙하는 언행을 보이는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인정할 수 있다95도2819 협의이혼 의사확인 신청서를 작성한 이후에도 부부관계를 지속하면서 협의이혼 의사확인을 받는 등의 후속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채 지내왔고, 그 후 고소인에게 이혼을 요구하였으나 고소인이 응하지 아니한 경우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98도4483 고소인이 간통을 이유로 제기한 이혼소송의 심리기일에 피고인의 소송대리인이 간통사실을 인정하고 이혼에 응하기로 진술하였다면 그때 명백한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90도1188 고소인이 이혼심판청구의 반소를 제기하면서 피고소인의 이혼청구에 응할 수 없다고 다투는 경우에는 다른 이성과의 정교관계가 있어도 묵인한다는 의사가 포함된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2000도868 간통죄의 고소 이후 이혼 등 청구의 소가 계속중에 피고소인과 동침한 사실만으로는 간통행위를 유서하였다고 볼 수 없다2000도868 간통고소 이후 자녀들을 돌보기 위하여 별거한 피고인과 다시 거주하고 있는 경우 간통에 대하여 유서를 하였다고 볼 수 없다2000도930 배우자의 간통사실을 알고 난 후 그 상대방으로부터 배우자를 더 이상 만나지 않으면 모든 것을 끝내겠다는 합의각서를 받은 경우, 간통의 유서에 해당한다99도2149 피고소인들이 수년간 동거하면서 간통하고 있음을 고소인이 알면서 특별한 의사표시나 행동을 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한 사정만으로는 고소인이 위 간통을 묵시적으로 유서하였다고 볼 수 없다99도826 1,000,000원을 지급하면 간통행위를 없었던 것으로 하여 줄 수도 있다고 하였으나 피고인이 500,000원을 지급하려 하자 고소인이 거절한 사실이 있었다면 고소인이 간통행위를 유서하였다고 볼 수 없다90도2044 피고인을 상대로 이혼심판청구를 하였다고 하여 간통을 종용 또는 유서하였다고 볼 수 없다89도501 합의이혼서를 작성하려고 한 사실만이 있을 뿐, 완전한 합의이혼서가 작성되지 않은 경우 간통 종용의 의사표시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83도2504 배우자와 사실상 동거하지 않고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사정은 간통죄의 성립에 아무런 소장이 없다79도1848 부부싸움을 한 끝에 이혼하기로 합의하고 그 이튿날 가재도구를 챙겨 서로 헤어진 경우, 위 이혼합의에는 간통 종용의 의사표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77도2701 일시 동거한 사실만 가지고서는 이혼심판이 청구되어 있는 이 사건의 경우에 있어서 간통을 유서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73도227 협의 이혼신고서에 서명날인 한 경우 이혼의 효력은 생기지 않으나, 그 이혼의 의사표시에는 간통 종용의 의사표시가 포함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68도859 간통죄는 직접적인 물적 증거나 증인의 존재를 기대하기가 극히 어렵다 할 것이어서, 범행의 전후 정황에 관한 제반 간접증거들을 종합하여 경험칙상 범행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을 때에는 이를 유죄로 인정하여야 한다2001도7142, 97도974 성인 남녀가 심야에 여관에 함께 투숙하였고, 투숙한지 1시간 30분가량 지난 뒤에 남자는 팬티만을 입고 있었고 여자는 팬티와 브라우스만을 입고 있었으며 방바닥에 구겨진 화장지가 널려 있었다면 간통한 것으로 보는 것이 경험칙에 비추어 상당하다97도974 피고인이 간통사실을 자백하고 있는 사건에서, 간통범행 일시경에 피고인의 가출과 외박이 잦아 의심을 하게 되었다는 고소인의 진술은 자백을 보강할 보강증거가 될 수 있다83도686 강제집행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허위의 이혼신고를 한 것으로 인정하려면 누구나 납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응 일시나마 법률상 이혼을 할 의사가 있었다고 인정함이 상당하다75도1712 배우자 있는 자들이 상대방에게도 배우자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서로 간통하는 이른바 이중간통의 경우에는 쌍방 모두 형법 제241조 전문과 후문에 해당하게 되고, 이는 상상적경합의 관계에 있는 것인바, 검사가 수죄 중 갑을 간통자로, 을을 상간자로 하여서만 공소를 제기하였더라도 그 공소제기의 효력은 갑, 을이 각각 간통과 동시에 상간한 수죄의 전부에 미친다89도1317 = = = 이혼의 합의와 간통의 종용 = = = 혼인 당사자가 더 이상 혼인관계를 지속할 의사가 없고 이혼의사의 명백한 합치가 있는 경우에는, 비록 법률적으로 혼인관계가 존속한다고 하더라도 간통에 대한 사전동의인 종용에 관한 의사표시가 그 합의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그러한 명백한 합의가 없는 경우에는 비록 잠정적, 임시적, 조건적으로 이혼의사가 쌍방으로부터 표출되어 있다 하더라도 간통종용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90도1188. = = = '유서'의 의미 = = = 유서는 명시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묵시적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을 표현하는 어떤 행동이나 의사의 표시가 유서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첫째 배우자의 간통사실을 확실하게 알면서 자발적으로 한 것이어야 하고, 둘째 그와 같은 간통사실에도 불구하고 혼인관계를 지속시키려는 진실한 의사가 명백하고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외면적인 용서의 표현이나 용서를 하겠다는 약속만으로는 유서를 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다91도2049. 배우자의 객관적인 의사표시, 즉 "용서해 줄테니 자백하라"고 말한 것만으로는 간통을 유서한 때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91도2049 = 위키백과:삭제 토론/한국인의 도박 = = = :한국인의 도박 = = 사:Neoalpha님께서 독자연구를 이유로 삭제 신청을 하셨는데 이 문서가 완전히 독자연구인지 의문이고, 삭제될 만한 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고자 삭제 토론을 엽니다. 랩소디인뮤직 (토론) 2014년 1월 17일 (금) 15:43 (KST) = 포털:과학/알찬 글/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이론은 태양계의 탄생부터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하여 그 과정을 이론으로 정립한 것이다. 태양계 생성 이론은 수세기에 걸쳐 발전했지만, 근대적 이론의 틀을 갖춘 것은 18세기에 이르러서였다. 1950년대에 우주 시대가 열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외계행성이 본격적으로 발견되면서, 태양계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기존 이론들은 도전을 받게 되었고, 동시에 더욱 다듬어지게 된다. 지구로 전송된 바깥 세계에 대한 정보는 태양계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촉진시켰다. 동시에 핵물리학의 발전은 항성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켰고, 항성의 탄생 및 궁극적 최후에 관한 이론 수립에 기여하게 된다. 현재의 태양계 형성 이론은 성운 이론으로 이는 에마누엘 스베덴보리가 1734년 제시한 학설로 이후 1755년 이마누엘 칸트가 보충하고 범위를 확장시켰다. 1796년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유사한 이론을 독자적으로 수립했다. = 틀:센잔선 = =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 = 게오르크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 1831년 2월 24일 ~ 1899년 2월 6일)는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독일 제국의 2대 총리를 역임하였다. 카프리비는 1890년부터 1894년까지 총리를 지냈으며, 이 사이에 산업화와 상업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런 자유주의 움직임은 융커와 같은 보수 세력의 반발을 불렀으며 그는 중앙당의 지원을 통해 방어하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책과 상반된 정책을 대체로 추진하였다. = 분류:오만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분류:몬트리올의 교육 = = 클레망 마로 = 클레망 마로(Clément Marot, 1496-1544)는 16세기 프랑스 시인이다. 비록 그 작품은 중세 프랑스 문학 전통의 연장선에 있으나, 불문학사의 첫 근대적 대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 = 생애 = = 상인의 아들로, 그다지 교양있는 출생배경은 아니었다. 프랑수아 1세와 마르게리트 드 나바르의 궁정의 일원이었으나,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에 호의적이었기 때문에 결국에는 옥살이를 하고 스위스와 이탈리아로 추방당하게 되었다. = = 작품 = = 다양한 새로운 시 형식을 프랑스에 소개하였다. 서간시(épître) - 편지의 형태를 띤 시로, 총 10수가 전하며, 명료한 문체에 마디가 없으며 평탄운(AABB)이다. 묘비명(épitaphe) – 2행의 짧은 십음절시로, 비장한 문체를 띠나 개중에는 웃음을 주는 것도 있다. 소네트(sonnet) -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시 형식. 비가(悲歌, élégie) - 주로 사랑을 노래한 슬픈 시로, 십음절 혹은 알렉상드랭시다. 그 외에 발라드, 롱도, 세속가곡(chanson) 등 중세의 형식도 많이 이용했다. 1526년 여성문제로 샤틀레 감옥에 부당하게 수감된 경험을 바탕으로 풍자시 <지옥>(l'Enfer)을 썼으며, 여체의 각 부분을 미화하는 블라종도 작시하였다. 1532년에 전집 <아돌레상스 클레망틴>(Adolescence clémentine)이 출간. = 해룡 나들목 = 해룡 나들목(Haeryong IC)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에 설치된 남해고속도로의 9번 교차로(나들목)이며, 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와 월전 ~ 세풍간 도로가 만나는 지점이다.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구간의 종점은 해룡 나들목에서 순천 방향으로 0.22 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이로 인하여 이 나들목 번호의 다음 나들목 번호인 서순천 나들목을 비롯한 호남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는 남해고속도로 순천 ~ 부산 구간과의 직접 접속 및 연결이 되지 않으며, 대신 월전 ~ 세풍간 도로를 통해 남해고속도로 순천 ~ 부산 구간의 광양 나들목 및 순천완주고속도로의 동순천 나들목과 간접 연결된다. 영암 방향 진출과 순천 방향 진입만 가능하다. = = 연혁 = = 2012년 4월 27일 :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개시국토해양부공고 제2012-542호, 2012년 4월 26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 = 접속하는 도로 = = 엑스포대로 (국도 제1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충무공로 (국도 제1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 성소수자 사회 = 성소수자 사회(性少數者社會, LGBT community)는 성소수자 및 성소수자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집단과 성소수자의 문화 또는 성소수자 운동 관련 조직이나 하위 문화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는 공통 문화와 사회 운동에 의해 결합된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개인의 느슨하게 정의된 그룹이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자부심, 다양성, 개성 및 성적 취향을 존중한다. LGBT 활동가와 사회학자들은 LGBT 커뮤니티 구축을 더 큰 사회에 존재하는 이성애주의, 동성애혐오증, 양성애혐오, 트랜스젠더 혐오증, 성차별주의, 순응주의적 압력에 대한 균형추로 본다. 프라이드 또는 때로는 게이 프라이드라는 용어는 LGBT 커뮤니티의 정체성과 집단적 힘을 표현한다. 프라이드 퍼레이드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에 대한 사용과 시연의 대표적인 예를 제공한다. LGBT 커뮤니티는 정치적 성향이 다양하다.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인 모든 사람이 자신을 LGBT 커뮤니티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LGBT 커뮤니티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는 그룹에는 게이 마을, LGBT 권리 단체, 회사의 LGBT 직원 그룹, 학교 및 대학교의 LGBT 학생 그룹, LGBT를 지지하는 종교 그룹이 포함된다. LGBT 커뮤니티는 전 세계 다양한 장소에서 LGBT 권리를 홍보하는 민권 운동을 조직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동시에, 더 넓은 사회의 유명 인사들이 특정 지역의 이러한 조직에 강력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GBT 옹호자이자 연예인인 마돈나는 "저는 전 세계의 많은 프라이드 행사에서 공연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결코 뉴욕시를 거절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기원전 제9천년기 = 기원전 제9천년기는 기원전 9000년부터 기원전 8001년까지이다. 농업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통해 퍼져나갔으며 도자기의 사용이 광범위해졌다. 예리코와 같은 대형 거주지들이 소금과 부싯돌 무역길을 통해 성장하였다. = = 사건 = = 기원전 9000년 경: 괴베클리 테페의 건설. 기원전 8800년 경: 클로비스 문화의 소멸. 기원전 8750년 경: 울릉도 화산의 분화. (VEI 5) 기원전 8500년 경: 케냐 나타루크에서 전쟁이 발발함. 기원전 8500년 경: 배링 육교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소멸됨. 기원전 8300년 경: 극동에서 농업이 시작됨. 기원전 8230년 경: 그림스뵈튼 화산의 분화. (VEI 6) 기원전 8130년 경: 타우포 화산의 분화. (VEI 5) 기원전 8000년 경: 구리의 사용. = 분류:친목단체 = = 분류:불가리아계 미국인 = = 사미리 = 사미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사미리(沙美里)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사미리(思美里) = 곤여전도 = 〈곤여 전도〉(坤輿全圖)는 벨기에 출신 예수회 선교사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가 평사도법(平射圖法)으로 동반구와 서반구를 나누어 그린 최초의 양반구형 세계지도이다. 마테오 리치가 만든 타원형식 도법의 〈곤여만국전도〉와는 다르며, 현재 〈곤여전도〉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곤여전도 목판”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 역사 = = 〈곤여전도〉는 원래 1674년 페르비스트가 북경에서 그 초판을 제작·출판하였다. 1856년에 광동(廣東)에서 재판이 간행되었다. 1674년에 제작된 〈곤여전도〉는 1721년 북경에 사신으로 다녀온 유척기가 들여왔다. 한국에는 현재 〈곤여전도〉는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중국 북경판이 8폭 병풍으로 제작된 것이 남아 있고, 규장각에는 설명부를 제외한 지도 부분 6개의 목판이 남아 있다. 이것은 1674년에 제작된 원본은 아니며, 1856년의 중국 광동 판을 바탕으로 조선에서 다시 제작한 것이다. = = 목판 지도 = = 이 지도는 목판본이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현재도 상당수 전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목판 자체도 설명문을 제외한 지도 부분이 보물 제882호로 지정되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존되어 있다.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곤여전도 목판은 페르비스트가 1674년 북경에서 판각한 〈곤여전도〉를 바탕으로 주기 위치가 약간 변경되었을 뿐 내용은 그대로 두고 1860년(철종 11년)에 다시금 펴낸 것이다. 목판은 3쪽 양면으로 된 6판면이다. 그러나 서반구와 동반구가 들어 있는 지도 부분은 완전히 남아 있는 반면, 양쪽에 지진, 인물, 강과 하천, 산악 등에 대한 해설 부분의 목판이 빠져 있다. 목판 1폭의 크기는 가로 68.7센티미터, 세로 177.5센티미터이고, 지도 부분은 가로 51센티미터, 세로 144센티미터이다. = = 형식 = = 모두 8폭이며, 각 폭의 가로×세로 크기는 196.0×48.0cm이다. 지도는 6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반구도가 각각 3폭씩에 걸쳐 표현되어 있고, 1폭과 8폭에 남북극, 지구형체, 지진, 인물, 강산 등 천문·자연 지리적 설명문이 있다. 남방 대륙과 대양주는 양반구도에 모두 걸쳐져 있으며, 남북아메리카는 2~4폭의 서반구에,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대륙은 5~7폭의 동반구에 들어 있다. 지도 여백에 〈회입곤여만국전도〉에서처럼 상상의 동물과 탐험선 등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 대륙별로 간단한 색(色)을 넣어 효과를 노린 점도 특이하다. = = 시각적인 효과 = = 양반구도로 되어 있는 〈곤여전도〉는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중원 대륙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중화관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부분에서도 시각적인 효과가 확인된다. 〈곤여만국전도〉나 〈천하도지도〉와는 달리 〈곤여전도〉에서 동아시아는 동반구의 한쪽 귀퉁이에 자리잡고 있을 뿐이다. 한영우, 안휘준, 배우성(1999), 우리 옛 지도와 그 아름다움, 151~154쪽. = 전주세계소리축제 = 전주세계소리축제(全州世界─祝祭,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는 한국의 전통음악인 판소리를 근간으로 세계 음악을 한 자리에서 즐기는 세계음악예술제를 표방하고 있으며 2001년을 시작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서 매년 열리고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회에서 주최하며 영국의 월드뮤직 전문지 송라인즈(Songlines)가 선정한 ‘국제페스티벌 베스트 25’에 4년 연속(2012~2015) 선정되었으며 전 세계 월드뮤직 평론가와 저널리스트 등으로 구성된 '트랜스글로벌월드뮤직차트(이하 TWMC)에서 2년 연속(2018~2019) 세계 1위를 차지하며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축제로 인정받았다. = = 조직위원장 = = 2001년 제1회 천이두 2002년 제2회 천이두 2003년 제3회 천이두 2004년 제4회 안숙선 2005년 제5회 안숙선 2006년 제6회 안숙선 2007년 제7회 안숙선 2008년 제8회 안숙선 2009년 제9회 김명곤 2010년 제10회 김한 2012년 제11회 김한 2013년 제12회 김한 2014년 제13회 김한 2015년 제14회 김한 2016년 제15회 김한 2017년 제16회 김한 2018년 제17회 김한 2019년 제18회 김한 2020년 제19회 김한 2021년 제20회 김한 2022년 제21회 김한 2023년 제22회 이왕준 = = 행사 기간 및 행사주제 = = 연도 회차 주제 기간 참가팀 2001년 1 소리사랑 온누리에 2001년 10월 13일 ~ 10월 21일(10일간) 15개국 142개팀 2002년 2 목소리(Voice) 2002년 8월 24일 ~ 9월 1일(8일간) 16개국 156개팀 2003년 3 소리, 길, 만남 2003년 9월 27일 ~ 10월 5일(10일간) 14개국 172개팀 2004년 4 소리! 경계를 넘다! 2004년 10월 16일 ~ 10월 22일(7일간) 14개국 190개팀 2005년 5 난(亂), 민(民), 협률(協律) 2005년 9월 27일 ~ 10월 3일(7일간) 25개국 190개팀 2006년 6 소리, 놀이 2006년 9월 16일 ~ 9월 24일(9일간) 22개국 184개팀 2007년 7 소리, 몸짓 2007년 10월 6일 ~ 10월 14일(9일간) 10개국 131개팀 2008년 8 소리,오락 2008년 9월 26일 ~ 10월 4일(9일간) 16개국 280팀 2009년 - - 신종플루로 인해 축제 취소 - 2010년 9 시간을 넘는 소리, 세대를 잇는 감동 2010년 10월 1일 ~ 10월 5일(5일간) 9개국 3,200명 2011년 10 이리 오너라 Up Go 놀자 2011년 9월 30일 ~ 10월 4일(5일간) 9개국 1,616명 2012년 11 소리 한 상 가득 2012년 9월 13일 ~ 9월 17일(5일간) 18개국 1,529명 2013년 12 아리아리랑 소리소리랑 2013년 10월 2일 ~ 10월 6일(5일간) 37개국 2,834명 2014년 13 대마디 대장단 2014년 10월 8일 ~ 10월 12일(5일간) 29개국 1,300여명 2015년 14 소리 Big Party 2015년 10월 7일 ~ 10월 11일(5일간) 28개국 1,300여명 2016년 15 세상의 모든 소리 2016년 9월 29일 ~ 10월 3일(5일간) 28개국 1,300여명 2017년 16 때깔 나는 소리 2017년 9월 20일 ~ 9월 24일(5일간) 28개국 165여회 2018년 17 소리 판타지 2018년 10월 3일 ~ 10월 7일(5일간) 18개국 154여회 2019년 18 바람, 소리 2019년 10월 2일 ~ 10월 6일(5일간) 20개국 132여회 2020년 19 _잇다 2020년 9월 16일 ~ 9월 20일(5일간) 2021년 20 소리#20 2021년 9월 29일 ~ 10월 3일(5일간) 2022년 21 더늠(20+1) 2022년 9월 16일 ~ 9월 25일(10일간) 2023년 22 상생과 회복(Coexistence and Resilience) 2023년 9월 15일 ~ 9월 24일(10일간) = 분류:우주 개발 프로젝트 참가자 = = 틀:위키프로젝트 토막글 참가자 = = 근명중학교 = 근명중학교(槿明中學校)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2년 3월 14일 : 재단법인 “근명학교” 설립인가 1962년 3월 14일 : 초대 이사장 사태현 선생 취임 1962년 3월 17일 : 근명중학교 설립인가 (각 학년 2학급) 1963년 3월 10일 : 초대 교장 이종범 선생 취임 1972년 9월 1일 : 본관 7교실 증축 1973년 3월 1일 : “근명여자중학교” 로 교명 변경 1986년 10월 15일 : 별관 9교실 증축 1993년 9월 4일 : 제4대 이사장 김종규 선생 취임 2004년 3월 1일 : 5층 40개 교실 신건물로 이전 2006년 5월 1일 : 특별교실 신축 (시청각실, 도서실, 과학실) 2009년 3월 1일 : 남녀공학 2009년 3월 1일 : 2학급 감축(1학년 8학급 남녀합반, 2학년 7학급, 3학년 10학급) 총 25학급 2019년 3월 1일 : 제14대 교장 김병식 선생 취임 2021년 3월 1일 : 총 21학급 편성(1학년 6학급, 2학년 8학급, 3학년 7학급) = 틀: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 경기 E2 = The purpose of this template is to collect source text used in several articles in one place, in order to minimize maintenance and storage space. This is the gold medal game in the 2016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 of the 2016 Summer Olympics. The template is typically used in the articles covering the involved nations' participation in the Games, and in the article covering the tournament as a whole. The template takes one parameter: bgc (background color, no default value). = 모듈:Location map/data/Hong Kong/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Hong_Kong/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온대 우림 = 온대 우림(溫帶雨林, temperate rainforest)은 온대 가운데 우량이 많은 지역에 형성되는 식생, 또는 그 지역이다. 온대강우림이라고도 불린다. = = 정의 = = 북아메리카의 온대 우림에 대한 Alaback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 JASRAC상 = JASRAC상은 일본음악저작권협회 (JASRAC) 가 주최하는 음악상이다. 1983년 창설되었다. = 분류:프랑스령 기아나의 종목별 스포츠 선수 =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 = = 분류:골프 영화 = = 세페우스자리 델타 =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세페우스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828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변광성이다. 이 별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 별로, 1784년 영국의 존 구드리케가 변광성의 성질이 있음을 발견했다. 여러 세페이드 변광성들 중에서도 델타는 여러 가지 특징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이다. = = 관측 역사 = = 18세기 말까지 과학계에 알려진 변광성은 고작 여섯 개에 불과했다. 당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피곳은 자신의 친구 존 구드릭과 함께 숨겨진 변광성들을 찾는 작업에 착수했다. 1784년 구드릭은 알골과 독수리자리 에타가 변광성의 성질을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 한 달 뒤 9월 그는 세페우스자리의 델타별이 변광성임을 최초로 발견했다. 이후 델타별과 유사한 밝기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변광성들이 계속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변광성들은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이름을 따서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1912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은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변광 주기와 광도 사이에 매우 정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고 이를 광도-주기 관계로 정리했다. 이 발견은 우주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있어 획기적인 전기가 되었으며, 광도와 주기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통해 세페이드 변광성은 아주 멀리 떨어진 천체의 거리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길잡이로 자리매김했다. = = 물리적 특징 = = 델타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이며 매우 규칙적인 변광 주기를 보여준다. 구체적인 변광 주기는 5.36627일로, 겉보기 밝기는 가장 밝을 때 + 3.5부터 어두워질 때 + 4.3까지 변한다.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다소 가파르게 밝기가 상승했다가 완만한 속도로 어두워진다.(이는 델타뿐 아니라 대다수의 세페이드 변광성들이 보여주는 특징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광도가 높아질수록 변광 주기가 길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어떤 세페이드의 주기를 알면 그 별의 광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관측자가 지구로부터 세페이드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데 필요한 것은 겉보기 등급 하나면 충분하다. 시직경을 통해 계산한 델타의 실제 크기는 천문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수준의 결과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레이니 연구진(1995년)은 태양 반경의 41.5배, 기렌 연구진(1999년)은 43.8배, Caccin(1981년)은 42.4배로 잡았다. 이 중 레이니의 결과를 이용하여 이 별과 지구 간 거리를 구하면 828 ± 98광년이 나온다. 세페우스자리 델타 주위에는 별주위외피층(CSE)이 존재한다.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밝은 본체 외에 어두운 천체 델타 B, C 둘을 거느리고 있다. 세페우스자리 델타 B는 주성 A 근처에 있지만 실제로는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은, 서로 관계 없는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 또다른 동반 천체 C의 질량은 태양의 4배 정도이며, 질량은 델타보다 작아서 주성에 비해 진화 속도가 느리다. 밤하늘에서 델타로부터 약 41초각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주성으로부터 약 12,000 천문단위 떨어져 있다. C와 주성 A는 B와는 달리 중력으로 서로 묶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C의 밝기는 태양의 500배 정도이며, 우리 눈에는 7.5등급의 밝기로 보인다(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분광형은 시리우스나 베가와 비슷한 A0이다. 1968년 비트리첸코는 C가 주성 A(밝은 초거성)와 중력으로 묶여 있는, 계(系)의 구성원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C는 시선 속도가 빠른 속도로 요동치고 있었으나, 광전관측 결과 식(蝕) 현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C는 분광쌍성이지만 식쌍성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C가 A로부터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지만, C의 공전 궤도가 우리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놓여 있지 않음을 뜻한다. = = 관측 = =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초심자들이 관측하기가 가장 쉬운 변광성이다. 델타를 훌륭한 관측 대상으로 만드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델타는 밝기가 변하는 전 기간 동안의 과정을 전부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밝다. 광공해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 도심지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변광 주기가 짧다. 밝기 변화 주기가 며칠 정도로 짧아서 초심자들이 관측 결과를 신속하게 내놓을 수 있다. 반면 다른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주기가 세페우스자리 델타보다 길기 때문에 초심자들이 관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준성들이 비교적 좁은 시야각 내에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 한눈에 밝기를 비교, 기록하기 쉽다. 델타는 북반구 하늘에서 천정에 가깝기 때문에 북위 58도 위로 거주하는 관측자 눈으로 볼 때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다. 따라서 관측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근처에 관측을 방해할만한 밝은 천체가 없다.또 다른 대표적인 세페이드 변광성 메크부다의 경우 황도 근처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달이 종종 가려 세페우스자리 델타만큼 안정적인 관측 시간을 확보할 수 없다. = 분류:명나라의 분쟁 = = 진봉 = 진봉은 다음을 의미한다. 천제루 쩐퐁 = 사랑은 아무나 하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사랑은 아무나 하나는 TV조선에서 방송한 예능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세계 오지 마을 속 한국인 부부, 기상천외한 러브 스토리의 국제결혼 부부 등 세계 속 한국인 부부들의 생생한 삶을 담은 '다큐적 접근'과 이들을 직접 찾아가 보는 '리얼리티 형식'을 가미한 예능 프로그램 "국제 결혼은 낯설다!? NOPE~! 100쌍의 부부 중 7쌍은 국제 결혼인 요즘, 국제 부부가 결혼의 로망으로 꼽히고 있다는 사실~!! 국경을 뛰어넘는 공감대는 물론, 차별화된 국제 부부들만의 스토리를 들어본다!" = = 방송 일정 = = 방송 채널 시즌제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TV CHOSUN 1기 2017년 9월 9일 ~ 2018년 8월 18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10분 ~ 10시 40분 48부작 TV CHOSUN 2기 2023년 8월 26일 ~ 2023년 9월 16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40분 ~ 12시 12부작 TV CHOSUN 2기 2023년 10월 16일 ~ 2023년 12월 11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 11시 20분 12부작 = = 에피소드 목록 = = = = = 시즌 1 = = = 방송 회차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방송 회차 1번 아이템 2번 아이템 3번 아이템 1~4회 5~6회 7회 8회 9회 10회 11~12회 13회 14회 15~17회 18~20회 21회 22회 신주아 23~24회 25~26회 27~28회 29~30회 31~32회 33회 34회 35회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43회 44회 45회 46~47회 48회 = = = 시즌 2 = = = 방송 회차 방송일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국가별 방송 회차 방송일 1번 아이템 2번 아이템 3번 아이템 1회 2023년 8월 26일 미국 대가족 부부 2회 9월 2일 이옥주 3회 9월 16일 4회 10월 16일 5회 10월 23일 6회 10월 30일 7회 11월 6일 8회 11월 13일 9회 11월 20일 10회 11월 27일 11회 12월 4일 12회 12월 11일 = = 결방 = = 2023년 9월 9일 : 《U-23 아시안컵 최종예선전 대한민국 vs 키르기스스탄》 경기 편성으로 결방.‘트랄랄라’ ‘퍼펙트라이프’ 축구 중계 여파로 오늘(6일) 결방 2023년 9월 23일 : 항저우 아시안 게임 개회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 9월 30일 ~ 2023년 10월 7일 : 추석연휴 및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 10월 14일 : TV조선 슈퍼 콘서트 편성으로 인한 결방. = 카카오그룹 = 카카오그룹(KakaoGroup)은 카카오가 2013년 출시한 모바일 그룹 SNS이다. 2015년 1월, 카카오는 폐쇄형SNS의 강화에 나서며 카카오그룹 서비스의 PC웹버전을 14일에 출시하였다. 또한, 카카오그룹 서비스 업데이트를 통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펑그룹 서비스를 선보였다. 그리고 2018년 4월 27일에 서버를 종료했다. 복구 날짜기간은 2018 3월28일~2018 6월 28일이다. = 토크쇼, 회전목마 = 토크쇼, 회전목마는 대한민국의 KBS에 1995년 9월 4일부터 1996년 5월 6일까지 방송된 교양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부부생활을 통해 일어났던 애중의 순가, 역경을 사랑으로 이겨낸 사례 등 가부장적 사회통념에서 화목한 가정을 일구어 낸 어머니의 참모습을 솔직하게 돌아켜 보며 가정의 소중함을 일 깨우고, 바람직한 부부상을 제시하는 휴먼 토크쇼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KBS 2TV - 1995년 9월 4일(9월 5일) ~ 1996년 5월 6일(5월 7일) : 매주 월요일 밤 12시 ~ 12시 50분 = 189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 189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순으로 매긴 각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의 목록이다. = = 메달 집계 = = 다음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한 표로,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의 수 순서로 랭킹을 매긴다. 금은동의 수가 모두 동률일 경우, 같은 순위가 되고 IOC 국가 부호의 알파벳 순으로 목록에 표시한다. 주최국인 그리스는 연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당시의 메달 집계 기준으로는 1위에게 은메달, 2위에게 동메달, 3위에게는 아무것도 수여하지 않았으나 아래의 표는 현재의 메달 산정 방식을 따른 것이다. = 분류:자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 모계 영향 유전 = 모계 영향 유전(, Maternal Effect Genes; MEG)은 어머니의 유전자형에 따라 자식의 표현형이 결정되는 유전현상이다. 이는 mRNA나 단백질에 의해 일어나는 특정 유전현상은 수정란에 mRNA나 단백질과 같은 세포질을 제공하는 것이 어머니의 생식세포인 난자이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일어나는 유전현상으로 모계 유전(Maternal Inheritance)이 있다. = 레오 오르티즈 = 레오나르두 "레오" 레치 오르티즈(, 1996년 1월 3일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현재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의 레드불 브라간치누에서 센터백으로 활약하고 있다. = 분류:윈엔터테인먼트 소속 = = 분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 = 격암유록 = 격암유록(格菴遺錄, )은 1977년에 처음 소개되고 1987년에 처음 번역되어 출간된 한국의 역사서이자 예언서로, 총 6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명종 때의 예언가 격암 남사고(1509년~1571년)가 어린 시절 ‘신인(神人)’을 만나 전수받았다고 주장되고 있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서는 검토할 가치가 없는 위서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정용인 기자, "커버스토리 : 대한민국 대표 예언서 ② 격암유록", 주간경향, 2009년 2월 3일 작성. 현재 전해지는 것은 1977년 이도은(李桃隱, 본명 이용세, 1907년~1998년)이 필사, 기증한 것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 내용 = = 세론시(世論視), 계룡론(鷄龍論), 궁을가(弓乙歌), 은비가(隱秘歌), 출장론(出將論), 승지론(勝地論) 등 60여 장의 논(論)과 가(歌)로 구성되어 있다. 역학·풍수·천문·복서 등의 원리를 이용해 한반도의 미래를 기록하였다. 임진왜란, 동학 농민 운동, 한일 병합 조약 뿐 아니라 한반도의 해방과 분단, 한국 전쟁,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등 역사적 사건뿐 아니라 이승만, 박정희 등 한국의 역사적 인물의 행적을 정확히 예언하고 있어 "450년 만에 신비의 베일을 벗는 민족의 경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13년 이 책의 번역본을 재출간한 도서출판 좋은땅은 2012년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가 대통령에 당선된 사실과 관련해 "박 씨 성을 가진 여성 지도자가 등장해 분열되어 있던 동서를 화합한다"는 이 책의 내용을 홍보 포인트로 삼았다. 여성 대통령 탄생 예견한 책 '격암유록' = = 출간 경위 = = 이도은은 1944년 초 지인인 김길환으로부터 일심교에서 가져온 고서 한 권을 받았으며, 이를 자신의 손으로 직접 필사했다고 하나,이완교, "주역과 격암유록", 아름다운사람들, 2008년 출간. . p.18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울 사는 지주(地主) 이영부(李永富)로부터 받았다고도 하고, 지인(知人)인 김길환(金吉煥)으로부터 일심교에서 가져온 《제화대전(濟和大典)》을 받아 그 안의 《해인경(海印經)》과 《신화경(神化經)》을 인용하였다고 하나,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 格庵遺錄 ; 三易大經 ; 大巡典經合本. 趙聖紀 註解, 太宗出版社, 1977년 7월 10일. 이후 이도은은 전도관(천부교)에 귀의하였는데, 1977년 전도관 총재 박태선의 명령에 따라 원래의 필사본은 불태우고, 몰래 재필한 필사본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했다고 하나, 기증된 필사본 외에 천부교 내부에서 실제 박태선이 그러한 명령을 내렸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1987년 신유승(辛侑承)이 총 3권으로 된 한국어 번역본을 세종출판공사를 통해 처음 출간하였다."격암유록 (신유승 역)", 《매일경제》, 1987년 4월 23일 작성. = = 위서 논란 = = 격암유록 위서 논란은 1995년 김하원(1958년~ , )이 <위대한 가짜 예언서 격암유록>(95.5 만다라)이란 책을 출간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각종 비결서 및 격암유록을 연구했다는 김하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로 격암유록을 위서로 단언한다. 격암유록에 사용된 한자어는 일본식 한자어가 많다. 철학(哲學), 공산(共産), 원자(原子) 등 기껏해야 만들어진 지 100여 년 밖에 안 되는 한자 조어가 등장한다. 책의 일부 내용이 한문 성경을 그대로 옮겨왔다. 국립도서관 고서 코너에 있다는 원본이라는 것이 국립도서관에 입고된 것은 겨우 1977년의 일이다. 또한 그는 "한학과 음양오행, 주역원리를 꿰뚫어야 비결서를 쓰거나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파자 등 몇 가지 원리를 이해하고 고등학교 수준의 한자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면 누구나 비결서를 조작할 수 있다"고 말하며,정용인 기자, "커버스토리 : 우리는 왜 예언서에 끌리는가", 주간경향, 2009년 2월 3일 작성. 격암유록의 조작 가능성을 뒷받침하였다. 김하원은 2004년 위 책의 개정증보판인 격암유록은 가짜 정감록은 엉터리 송하비결은?(2004. 4 도서출판 인언)을 펴내 격암유록 뿐 아니라 정감록도 허구맹랑한 예언서이고, 2000년대 초까지 새로 발굴된 예언서로 세간에 회자되고 있던 <송하비결>도 조작된 예언서라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문화방송에서도 1995년 9월 PD수첩을 통해 김하원의 책 내용을 바탕으로 격암유록의 진위를 파헤치기도 했다. = = 학계의 입장 = = 오늘날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거로 격암유록을 위서로 간주하고 있다. 남사고가 직접 쓴 원본이 발견되지 않고 필사본만이 발견되어 1977년이 되어서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었다. 한자 표기법 일부가 현대어로 되어 있고, 일부 내용에 기독교의 성경을 베낀 흔적이 있다. 한국에 성경이 처음 전래된 것은 남사고가 죽은 지 200년 이상이 지난 19세기 초반이다. 특정 종교인과 종교 단체를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표현이 빈번하게 등장한다. = = 신흥종교에서의 인용 = = * 영생교의 창시자 조희성은 격암유록 중 "'불로불사'(不老不死)를 가지고 올 한 사람인 '정진인'(鄭眞人) 또는 '정도령'(鄭道令/正道令)이 나타나는데 이 사람은 한반도에서 출현한다."[사유와 성찰 박근혜 숭배 현상과 대중의 절망], 경향신문는 내용을 근거로 스스로를 정도령이라 호칭하며 이를 교리적 근거로 삼기도 하였다. = 서현우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서현우: 대한민국의 배우 = = 가공 인물 = = 우리 헤어졌어요의 등장 인물 아줌마의 등장 인물 = 슈말칼덴 동맹 = 슈말칼덴 동맹이란, 1531년 독일지방의 개신교 제후들과 도시들이 로마 가톨릭교회의 탄압에 저항하여 자기 방위를 위해 튜빙겐 지방의 슈말칼덴이라는 곳에서 결성한 동맹을 말한다. = = 역사 = = ‘슈말칼덴’이란 명칭은 동맹을 체결한 독일 튜빙겐 지역의 도시 슈말칼덴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탄압으로부터 종교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군사적 행동을 취했던 최초의 동맹이다. 이 동맹의 지도자는 헤센의 관용공 필리프(Philip)와 작센의 요한 프리드리히 1세였다. 그밖에 초창기에 회원으로 가입한 국가로는 브라운슈바이크·안할트·만스펠트·마크데부르크·브레멘·스트라스부르·울름이 있다. 이에 대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슈말칼덴 동맹의 토벌을 결의했고, 이듬해에 슈말칼덴 전쟁이 발발하였다. 한때는 슈말칼덴 동맹 내의 의견 불일치와 작센 공의 배신등으로 동맹은 패하고 해체되었다. 그러나, 작센 공이 다시 태도를 바꾸어 동맹에 가담하는 한편, 프랑스의 원조에 힘입어 세력을 회복해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체결하였다. = 틀:알바니아의 대통령 = = 서인국 = 서인국(徐仁國, 1987년 10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서인국은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에서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3학년 때(1996년), 가수 김정민의 슬픈 언약식 무대를 보고 가수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2009년 슈퍼스타K 초대 우승을 차지하며 가수로 데뷔하였고, 2012년 KBS 드라마 사랑비를 통해 연기자로 데뷔해 가수이자 배우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17년 3월 28일 경기도 연천군 5사단 신병교육대에 입소했으나, 좌측 발목 거골의 골연골병변 진단을 받고 귀가 조치를 받아 퇴소했다. 재차 병역 의무 이행의 의지를 밝히고 2017년 4월 27일 재검사를 받았으나, 병무청으로부터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고 2017년 6월 5일 대구 중앙신체검사소로 이동하여 정밀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최종 5급 판정을 받고 병역이 면제됐다. 2017년 8월 계약이 만료된 후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를 떠나 비에스컴퍼니로 이적했다. 2019년 8월 제이스타즈엔터테인먼트와 비에스컴퍼니의 합병으로 스토리제이컴퍼니가 설립됨으로 인해 소속사가 스토리제이컴퍼니로 변경됨. = = 학력 = = 여천초등학교 (졸업) 학성중학교 (졸업) 울산공업고등학교 로봇자동화기계과 (졸업) 세한대학교 실용음악학 학사 경희사이버대학교 정보통신학과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 석사 백석대학교 음악대학원 실용음악학 (석사과정) = = 활동 = = = = = 2009년 ~ 현재 : 가수 = = = 2009년 Mnet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 1에 출연해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혜택으로 2009년 MAMA에 출연해 스페셜 무대를 선보였으며 2009년 10월 27일 데뷔곡 부른다를 발매해 음원차트 1위를 휩쓸었고 2009년 DMA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다. 2009년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맺고 2010년 5월 6일 미니 앨범 Just Beginning을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했다. 데뷔곡인 사랑해U는 발매 즉시 '서인국 대란'을 만들며 각종 음원차트 1위를 휩쓸었고 발매 2주만에 엠카운트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후 리팩 음반 애기야, 디지털 싱글 〈BROKEN〉, 〈Shake It Up〉, 〈너땜에 못살아〉, 〈너 라는 계절〉, 〈봄 타나봐〉, 〈BeBe〉, 〈함께 걸어〉, 미니앨범 Perfect Fit, 싱글앨범 웃다 울다, 듀엣곡 〈이별남녀〉, 〈슬픈 거짓말〉등을 발표하였다. 그 외에도 프로젝트 싱글 〈TAKE〉, 〈Love Again〉, 피처링곡 〈새로고침〉, 〈줄래〉,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소속가수들과 2010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 캐롤 〈Christmas Time〉, 〈모두에게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니까〉, 〈겨울고백〉, 〈사랑난로〉등을 발매했고, OST 〈운명(바보처럼)〉, 〈All for you〉, 〈우리 사랑 이대로〉,〈겁도 없이〉, <돌아오는 길〉,〈꽃〉, 〈별, 우리〉를 발매했다. 꾸준히 음악 작업을 하며 다양한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2010년 김광석 추모콘서트 전국투어에 20대 가수로는 유일하게 참여해 대구, 부산, 대전, 전주 등에서 공연했다. 12월 26일, 가수 박정현과 함께 듀엣 콘서트인 2010 센티멘탈시티 박정현, 서인국을 열었다. 2012년 7월,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회사 아빙 (Irving ENT)과 일본 내 매니지먼트 계약을 맺었고 2013년 4월, 싱글음반 〈Fly Away〉로 일본데뷔를 했다. 2013년 10월 발매된 두번째 싱글 〈We Can Dance Tonight〉의 자켓 사진을 세계적인 사진작가 니나가와 미카가 담당해 월간 서인국x니나가와 미카 사진집을 발매했고 사진전도 개최했다. 2014년 1월에는 일본 첫 정규앨범을 발매했고 제28회 일본 골든디스크 베스트3신인상을 수상했다. 2013년 4월, 웃다 울다를 발표하며 슈퍼스타K 출신 최초로 공중파3사 음악방송에 출연하였고 12월 지아와의 듀엣곡 〈이별남녀〉로 음원사이트를 올킬하고 공중파 3사 음악방송 1위 후보에 올랐으며 가온차트어워드에서 12월 음원상을 수상하며 가수로서의 저력을 입증했다. 2013년 12월 첫 단독콘서트인 〈서프라인국〉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013년 한 리서치회사에서 조사한 오디션 출신 중 최고의 스타를 뽑는 설문조사에서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고 이후 오디션 출신 스타 설문조사에서 연이어 상위권에 오르며 오디션이 배출한 최고의 스타로 인정받고 있다. 2016년 12월 31일 첫 단독 콘서트 개최 후 약 3년 만에 단독콘서트인 〈Mint Chocolate〉콘서트를 개최하였으며, 2018년에는 팬콘서트 〈雪[설]:레임-함께할 우리 계절〉을 열었고, 2019년 데뷔 10주년을 기념한 콘서트 〈S#33 / Take10〉을 열며 가수로서도 꾸준한 행보를 걷고 있다. 2021년 5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방영된 tvN 월화드라마 어느 날 우리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의 OST인 〈아득한 먼 훗날 우리가〉의 작곡, 작사 및 노래를 맡았으며, 음원은 2021년 6월 22일에 발매되었다. = = = 2012년 ~ 현재 : 배우 = = = 2012년 1월 뮤지컬 광화문 연가의 주인공 강현우 역에 캐스팅 되어 뮤지컬 배우로 데뷔해 안정된 연기력과 발성, 뛰어난 가창력으로 호평을 받았다. 2011년 9월 윤석호 PD가 연출하는 KBS 드라마 사랑비 김창모 역에 캐스팅되며 슈퍼스타K 출신 최초로 정극 연기자로 데뷔했다. 사랑비가 방영된 후 신인답지 않은 뛰어난 연기력으로 호평을 받았고‘사랑비’ 서인국, ‘감초’탈 쓴 미친 존재감 리뷰스타 2012-04-04 인기에 힘입어 예정에 없던 사랑비의 현대 장면에 재등장, 김창모의 조카인 김전설을 연기했고 이로써 연기자로서 성공적인 데뷔식을 마쳤다. 2012년 5월 사랑비의 OST를 통해 서인국의 첫 자작곡인 〈운명(바보처럼)〉을 발표했다. 2012년 6월 신원호 PD가 연출하는 tvN의 시추에이션 드라마 응답하라 1997의 남자주인공인 윤윤제 역에 캐스팅되었다. 서인국의 첫 주연작으로 7월 24일 첫방송 되자마자 훈훈한 외모와 뛰어난 연기력으로 호평이 쏟아졌고'응답하라 1997' 서인국, 순정남 매력으로 女心 잡았다조이뉴스24 2012-07-25 "만나지마까" "확인" "친구?지랄하네" 등 명대사를 탄생시키며 시청자들을 윤제앓이에 빠지게 했다.[Dr.앓 왜 저에게는 <응답하라 1997>의 윤제가 없는 거죠?] 텐아시아 2012-08-08 사랑비에 이어 응답하라 1997까지 안정된 연기력을 선보여 오디션가수의 한계를 뛰어넘어 배우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배우' 서인국의 급성장, 오디션스타 한계 넘었다 티브이데일리 2012-08-02 극 중 커플인 에이핑크 정은지와 함께 듀엣 프로젝트 음원을 발매해 음원사이트 1위를 차지하며 가수로서의 입지도 굳혔다. 9월 18일 방영된 응답하라 1997마지막 편은 평균 시청률 7.55%, 최고 시청률 9.47%를 기록하며 케이블TV에서 방송된 자체 제작 드라마 가운데 역대 최고 시청률 기록을 세웠다. 서인국은 대세로 등극하며 영화, 드라마, CF 등 전방위에 걸친 러브콜을 받았다. 2012년 9월, MBC 주말드라마 아들녀석들의 막내아들 유승기 역에 캐스팅되었고 윤윤제와 상반된 바람둥이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연기자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012년 10월 케이윌의 '이러지마 제발' 뮤직비디오에 남자주인공으로 출연해 씨스타의 다솜, 안재현과 호흡을 맞췄는데 서인국의 폭풍오열 연기와 반전스토리로 주목을 받았다. 이 뮤직비디오를 본 한류팬들이 유투브를 통해 다양한 반응을 올려 화제를 모았다. 2012년 제6회 코리아드라마어워즈 남자신인상과 베스트커플상, 2012 Mnet MAMA 베스트 OST상, 2012 K 드라마 어워즈 라이징스타상, 베스트 OST상, 베스트 커플상 등 3관왕, 2012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OST상, 가온차트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등을 수상했고 2012 MBC 연기대상 남자신인상, KBS 연기대상 남자신인상, 2013 제4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상 후보에 올랐다. Mnet SIA가 선정한 2012년을 빛낸 10대 스타일 아이콘, 남성패션잡지 GQ코리아가 선정한 2012년 Man of the year 올해의 남자들 16인지큐 코리아가 뽑은 가장 철저하고 정직했던 '올해의 남자들'스타데일리뉴스 2012-11-21, 2012년 조이뉴스가 선정한 2012 핫스타 8인 중 1인창간8년 김수현부터 싸이까지…2012 연예계 달군 핫스타8조이뉴스 2012-11-01,2012년 드라마 속 최고의 커플2012 시청자 가슴에 불지른 방화범 8人조이뉴스 2012-11-01 등에 선정되며 2012년 첫사랑앓이 열풍을 이끈 주역으로 인정받았다.2012 안방극장, '첫사랑앓이'에 빠졌다조이뉴스 2012-11-01 2013년 8월, SBS 수목드라마 주군의 태양에서 공효진을 짝사랑하는 보안팀장 강우 역을 연기했다. 서인국이 부른 드라마 OST는 음원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강우 역으로 2013년 SBS 연기대상에서 신인상을 받았으며 시상식 축하무대에서 레미제라블의 OST One Day More를 열창했다. 2013년 수영 영화 노브레싱의 주인공인 천재 수영선수 원일 역에 캐스팅되며 영화 배우로 데뷔했고 이종석, 유리와 호흡을 맞췄다. 영화 노브레싱의 개봉 전에 스페셜 웹툰이 제작되어 화제를 모았으며 첫 주연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이끌어가는 서인국의 연기력에 호평이 이어졌다.서인국은 언제 이렇게 컸나? 서인국의 영화 '노브레싱'미디어스 2013-10-31 2013년 응답하라 1997의 후속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카메오로 등장, 윤윤제역을 연기하며 다시 한번 사람들을 '윤제앓이'에 빠져들게 했다. 2014년 tvN 월화드라마 고교처세왕의 타이틀롤을 맡아 이민석과 이형석 1인 2역을 연기하며 매회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극 중 100% 애드립으로 소화한 장면들, 이하나와의 깁스키스신 등 뛰어난 연기력과 여심을 설레게 하는 로코연기로 연이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서인국이 직접 부른 OST〈돌아오는 길〉도 큰 사랑을 받았다.서인국, 어떻게 원톱배우로 우뚝 섰나 뉴스1 2014-08-11 2014년 KBS2 수목드라마 왕의 얼굴의 남자주인공인 광해역에 캐스팅되며 공중파 미니시리즈 원톱 주연자리를 따냈고 안정적인 연기력을 선보이며 드라마를 이끌어 2014 KBS 연기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15년 KBS2 월화드라마 너를 기억해에서 매력적이지만 고독적인 천재 프로파일러 이현 역을 연기하며 연기 변신을 선보였다. 2016년 OCN 금토드라마 38사기동대의 천재 사기꾼 양정도 역을 연기하며 다양한 캐릭터를 선보였고 OCN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는 또 한번의 기록을 세웠다.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의 남자주인공인 루이(강지성) 역으로 출연해 대형견을 의인화한듯한 전무후무한 멍뭉이 캐릭터로 큰 사랑을 받았다. 서인국의 활약으로 쇼핑왕 루이는 시청률이 두배 이상 오르고 동시간대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러한 활약을 인정받아 2016 MBC 연기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고 대상후보에 올랐다. 2018년 5월 동명의 일본드라마가 원작인 작품 하늘에서 내리는 1억개의 별에 캐스팅 확정되어 10월 중 tvN을 통해 브라운관에 복귀한다. 고교처세왕부터 인연을 이어온 유제원 감독의 작품으로 서인국은 여기서 수제맥주 양조장 제1조수 김무영 역으로 무심한듯 하지만 어린아이와 같은 천진난만함을 가진 인물로, 사랑을 게임으로 생각하는 차가운 양면성을 가진 인물을 맡아 연기했다. 2019년 유하 감독의 영화 파이프라인 촬영을 마쳤다. 2020년 12월 어느 날 우리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에 캐스팅 확정되어 2021년 상반기에 tvN을 통해 2년 반만에 드라마로 복귀한다.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개의 별연출에 참여하고 (아는 것은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를 연출한 권영일 감독과 드라마뷰티인사이드를 제작한 임메아리 작가가 의기투합한 작품으로 그는 여기서 '멸망'이라는 역할을 맡았다. 멸망은 신과 인간의 중간관리자로 소년의 아름다움과 깊은 눈매에서 드러나는 메마름을 가진 존재로서, 지독한 운명에 끼어든 뜻 밖의 삶에 자신의 연민과 사랑을 바치게 되는 특별한 존재로 출연하게 된다. = = = 2010년 ~ 현재 : 광고 및 방송 = = = 2010년 KBS2 해피선데이 - 남자의 자격 합창단으로 출연하였고 2013년 MBC 나 혼자 산다에 고정출연하였다. 2013년 KBS 연예대상에서 MC를 맡았다. 유니온베이, 어스앤뎀, 이젠벅, 보스트로 등의 의류 광고 모델, NH생명보험 등의 금융 광고 모델, 예감, 스팸, 훌랄라치킨 등의 식품 광고 모델, 프렌치카페 로스터리 등 음료 광고 모델, 백만장자 퍼즐여행 등의 게임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네파 이젠벅은 2013년 런칭 때부터 4년간 모델로 활동하며 이젠벅=서인국이란 이미지를 각인시켰고 광고에서 착용한 제품들을 연이어 완판시키며 브랜드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이젠벅 = 서인국'되나, 이젠벅, 서인국과 4년째 모델계약스포츠서울 2016-01-28. 2013년에는 삼성 갤럭시노트의 광고 모델로 발탁되어'대세' 서인국, 영화·드라마 이어 CF접수…'톱스타 다됐네' 스포츠서울 2013-01-21 장진 감독이 연출한 삼성 갤럭시노트 데이 크리에이티브쇼 서울 공연에서 차승원과 함께 공동주연을 맡아 공연했다.노트, 크리에이터를 만나다 ② 가수 겸 배우 서인국, 중앙일보 2013-01-08 쇼에서 부른 노래 '세상에 소리쳐'는 좋은 반응을 얻어 음원으로 만들어져 무료 배포되었다.서인국을 울린 애절한 발라드는? 다빈크의 '세상에 소리쳐' 영상 화제스포츠조선연예 2013-02-13 2010년 대한민국 해양영토 대장정 홍보대사로 발탁되어 주제가를 불렀으며 2013년 고향인 울산지방경찰청의 홍보대사로 발탁되었다. 2014년 부산에서 열리는 ITU전권회의의 홍보대사로 발탁되어 2012년부터 홍보활동을 했으며 2014년 코리아브랜드&한류상품박람회(KBEE) 홍보대사, 2015년 백석대학교 대학원 홍보대사로 활동했다. = = 음반 목록 = = = = = 활동 음반 = = = 연도 발매일 분류 음반명 타이틀곡 MV 2009년 10월 27일 EP 부른다 부른다 MV 2010년 5월 6일 EP Just Beginning 사랑해U MV 2010년 8월 10일 스페셜앨범 애기야 애기야 2011년 3월 31일 디싱 〈BROKEN〉 Broken MV 2011년 8월 11일 디싱 〈Shake It Up (서인국의 노래)〉 Shake It Up MV 2012년 4월 12일 EP Perfect Fit 밀고 당겨줘 MV 2013년 4월 11일 싱글 웃다 울다 웃다 울다 MV = = = 비활동 디싱 = = = 연도 발매일 프로젝트명(음반명) 곡명 MV 2009년 10월 30일 슈퍼스타K 주제곡 달려와 2010년 11월 22일 KT 프로젝트 Take MV 2011년 12월 14일 멜론 프로젝트 〈Take#1 - Vol.3〉 Love Again MV 2013년 2월 4일 〈Y.Bird From Jellyfish〉 너땜에 못살아 MV 2013년 2월 6일 갤럭시노트데이 주제곡 세상에 소리쳐 MV 2013년 12월 2일 〈이별남녀〉 이별남녀 (with 지아) 2014년 2월 18일 〈CS Numbers〉 슬픈거짓말 (with DK) 2014년 5월14일 〈봄 타나봐〉 봄 타나봐 MV 2016년 3월 8일 〈너 라는 계절〉 너 라는 계절 MV 2016년 12월 28일 〈BeBe〉 BeBe MV 2017년 3월 27일 〈함께 걸어〉 함께 걸어, 민트초콜릿 MV = = = OST = = = 연도 방송사 드라마 OST파트 발매일 곡명 MV 2012년 KBS2 사랑비 Part2 5월 29일 운명 2012년 tvN 응답하라 1997 Part1 8월 28일 All For You (with 정은지) MV 2012년 tvN 응답하라 1997 Part2 9월 4일 우리 사랑 이대로 (with 정은지) MV 2013년 SBS 주군의 태양 Part7 9월 17일 겁도 없이 MV 2014년 tvN 고교처세왕 Part4 7월 21일 돌아오는 길 MV 2017년 tvN 내일 그대와 Part1 2월 11일 꽃 2018년 tvN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 개의 별 Part2 11월 8일 별, 우리 (with 정소민) MV 2021년 tvN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 Part7 6월 22일 아득한 먼 훗날 우리가 MV = = = 참여 음반 = = = 연도 발매일 음반명 곡명 참여가수 MV 2009년 12월 18일 Love Love 슈퍼스타K1 Top10 MV 2010년 1월 10일 Director's Cut 새로고침 린 MV 2010년 10월 15일 G20캠페인음반Let's Go Let's Go 손담비, 아이유 등 MV 2010년 12월 6일 Jelly Christmas Christmas Time 성시경, 박효신 등 MV 2010년 12월 13일 박효신 6집Gift - Part 2 〈러브 바리스타〉 with 박효신 2011년 12월 2일 Jelly Christmas 2011 모두에게 크리스마스 성시경, 브라이언 등 MV 2012년 6월 15일 รักซะ โฟนลิ้ง KPN MV 2012년 12월 6일 Jelly Christmas 2012 크리스마스니까 성시경, 박효신 등 MV 2013년 5월 13일 줄래 스윙스 MV 2013년 12월 10일 Jelly Christmas 2013 겨울고백 성시경, 박효신 등 MV 2015년 12월 15일 Jelly Christmas 2015 사랑난로 빅스, 박윤하 등 MV 2016년 12월 2일 OMG 더블케이 MV 2016년 12월 13일 Jelly Christmas 2016 니가 내려와 빅스, 박윤하 등 = = = 일본 음반 = = = 연도 발매일 분류 음반명 타이틀곡 MV 2013년 4월 24일 싱글 Fly Away Fly Away MV 2013년 10월 16일 싱글 We Can Dance Tonight We Can Dance Tonight MV 2014년 1월 15일 정규 Everlasting Everlasting Love MV 2014년 6월 25일 EP Hug もう、会えなくて。 MV 2015년 2월 25일 베스트앨범 Last Song Last Song MV = = 공연 = = = = = 뮤지컬 = = = 연도 공연일 공연명 장소 캐릭터 공연횟수 2012년 2월 15일~3월 11일 광화문 연가 LG 아트센터 강현우 16회 = = = 단독콘서트 = = = 연도 공연명 장소 공연일정 기타 2013년 서프라인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 12월 28일(토) 오후 7시 12월 29일(일) 오후 6시 첫 단독콘서트 2016년 MINT CHOCOLATE YES24 LIVEHALL 12월 31일(토) 오후 10시 2018년 [설] 雪 : 레임 -함께할 우리 계절 YES24 LIVEHALL 12월 8일(토) 오후 6시 12월 9일(일) 오후 5시 팬콘서트 (팬미팅+미니콘서트) 2019년 S#33/TAKE10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대극장 12월 28일(토) 오후 6시 데뷔 10주년 기념 콘서트 = = = 합동콘서트 = = = 연도 공연명 장소 공연일정 2010년 2010 센티멘탈시티 박정현 그리고 서인국 잠실 체조경기장 12월 26일(일) 오후 6시 = = = 참가공연 = = = 연도 공연일 공연명 장소 2009년 11월 21일 MAMA 잠실 실내체육관 2010년 1월 23일~4월 3일 김광석 추모콘서트 전국투어 대구,부산,대전,전주 2010년 8월 28일 Let's Start 나눔콘서트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2011년 5월 28일 드림콘서트 상암 월드컵경기장 2011년 7월 16일 롯데 배너콘서트 멜론악스홀 2011년 9월 6일 텐텐클럽 입맞춤콘서트 홍익대 상상마당 2011년 10월 3일 한류드림콘서트 경주 시민운동장 2012년 4월 19일 재능기부나눔콘서트 용산 아트홀 대극장 2012년 8월 15일 슈퍼스타K4 개막식 콘서트 잠실 실내체육관 2012년 9월 12일 K-POP 미라클 나이트 도쿄 제프 다이버시티 2012년 10월 13일 시월에 난지 한강공원 2013년 1월 22일 삼성 갤럭시노트데이 크리에이티브쇼 코엑스 전시홀 2013년 11월 15일 무한톡 콘서트5 SKT타워 SUPEX HALL 2013년 11월 25일 한중가요제 베이징 스타파크 2014년 8월 15일 슈퍼스타K6 올스타 콘서트 잠실 실내체육관 2015년 11월 4일 한중가요제 베이징 스타파크 = = 연기활동 = = = = = 드라마 = = = 2012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사랑비》 ... 김창모 역 2012년 tvN 화요 미니시리즈 《응답하라 1997》 ... 윤윤제 역 2012년 MBC 주말드라마 《아들녀석들》 ... 유승기 역 2013년 SBS 드라마스페셜 《주군의 태양》 ... 강우 역 2014년 Drama Cube 웹 드라마 《어떤 안녕》 ... 안영모 역 2014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고교처세왕》 ... 이민석 / 이현석 역 2015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왕의 얼굴》 ... 광해군(이혼) 역 2015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너를 기억해》 ... 이현(데이빗 리) 역 2016년 OCN 금토 미니시리즈 《38사기동대》 ... 양정도 역 2016년 MBC 수목 미니시리즈 《쇼핑왕 루이》 ... 강지성(루이) 역 2018년 tvN 수목 미니시리즈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 개의 별》 ... 김무영(강선호) 역 2021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 ... 멸망(김사람) 역 2022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미남당》 ... 남한준 역 2023년 TVING 드라마 《이재, 곧 죽습니다》 ... 최이재 역 = = = 영화 = = = 연도 작품명 캐릭터 캐릭터설명 기타 2013년 노브레싱 조원일 1996년생, 18세, 천재수영선수 2021년 파이프라인 강세돌 핀돌이 2022년 늑대사냥 종두 2023년 소년들 이재석 = = = 까메오 = = = 연도 방송사 제목 캐릭터 캐릭터설명 기타 2013년 tvN 응답하라 1994 윤윤제 판사 16,17화 특별출연 2015년 tvN 오 나의 귀신님 에드워드 서 유학파 허세 셰프 16화 까메오 2019년 tvN 어비스 외계인 특별출연 2021년 tvN 나빌레라 황희 스타 발레리노 카메오 = = 그외 방송 활동 = = = = = 뮤직비디오 = = = 연도 가수 곡명 MV 2012년 케이윌 이러지마 제발 MV 2012년 조문근 그냥 걸었어 MV 2013년 폰 다시는,포에버 MV 2014년 멜로디데이 어떤안녕 MV = = = 예능 = = = 연도 방송사 제목 방송 기간 코너 (기수) 2009년 Mnet 슈퍼스타 K 1 2009년 Mnet 슈퍼스타K:끝나지 않은 이야기 2009년 SBS 김정은의 초콜릿 77,89,111회 2010 KBS2 해피선데이 - 남자의 자격 남격합창단 2013 MBC 나 혼자 산다 1회~14회, 26회 출연 2015 SBS 정글의 법칙 18기 인도차이나 2015 JTBC 마리와 나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27기 몽골 2021년 SBS 미운우리새끼 243회 = = = MC = = = 연도 방송사 제목 방송 기간 2013년 KBS2 KBS 연예대상 12월 21일 2014년 KBS2 KBS 연기대상 12월 31일 2015년 KBS2 케이팝 월드 페스티벌 = = = 라디오 = = =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코너 2009년 SBS 최화정의 파워타임 심리 브레이크 2010년 SBS 스윗소로우의 텐텐클럽 선곡여왕 2010년 MBC 박경림의 별이 빛나는 밤에 별밤 공개방송 화요일의 남자 2010년 MBC 현영의 뮤직파티 님좀짱인듯 2010년 SBS 박소현의 러브게임 선데이극장 2011년 SBS 최화정의 파워타임 심리남녀 2012년 SBS 정선희의 오늘같은밤 달아달아댓글 = = 모델 및 홍보활동 = = = = = 광고 = = = 연도 기업명 브랜드명 종류 2010년 신성통상 유니온베이 캐주얼의류 2011년 신성통상 유니온베이 캐주얼의류 2012년 더휴컴퍼니 어스앤뎀 캐주얼의류 2013년 네이버 지식쇼핑 온라인 쇼핑몰 2013년 삼성 갤럭시 노트 휴대전화 2013년 NH농협 NH농협생명 금융 2013년 네파 이젠벅 아웃도어 2014년 디엔에이 서울 백만장자 퍼즐여행 for Kakao 모바일게임 2014년 오리온 예감 스낵 2014년 CJ제일제당 스팸 식품 2014년 네파 이젠벅 아웃도어 2015년 파크랜드 보스트로 남성정장 2015년 네파 이젠벅 아웃도어 2016년 파크랜드 보스트로 남성정장 2016년 네파 이젠벅 아웃도어 2016년 훌랄라 훌랄라치킨, 홍춘천닭갈비, 마미쿡 프랜차이즈 치킨 외 2017년 한입원바이트 한입onebite 디저트 2017년 라피스 센시블레 마크&로스 안경 2017년 훌랄라 훌랄라치킨, 홍춘천닭갈비, 마미쿡 프랜차이즈 치킨 외 2019년 남양유업 프렌치카페 로스터리 음료 2021년 플라리움 메크아레나 게임 = = = 화보 = = = 연도 발행월 잡지명 2009년 11월 ELLE 2010년 12월 MOVIE WEEK 2011년 9월 Singles 2012년 6월 GQ 2012년 9월 1st Look 2012년 10월 Nylon, allure, ELLE girl, Esquire 2012년 11월 DAZED, marie claire, VOGUE girl, ELLE, CeCi, @star1 2012년 12월 GQ 2013년 1월 COSMOPOLITAN, HIGH CUT 2013년 2월 Style 조선 2013년 3월 VOGUE girl 2013년 4월 Kwave 2013년 9월 Men'sHealth 2013년 10월 cine21 2013년 12월 STARAZ 2014년 2월 BNT 2014년 7월 InStyle 2014년 9월 marie claire 2014년 10월 CeCi, allure 2015년 10월 CeCi, marie claire, Nylon 2015년 11월 Esquire 2016년 1월 The Celebrity 2016년 6월 1st Look 2016년 10월 GRAZIA, DAZED, ARENA HOMME+ 2017년 1월 woman sense 2017년 2월 ARENA HOMME+ 2021년 4월 ELLE, GQ 2021년 6월 marie claire 2021년 7월 SPOTLiGHT CHINA = = = 홍보대사 = = = 연도 홍보대사 홍보자료 2010년 제3회 대한민국 해양영토 대장정 홍보대사 홍보주제가 2012년~2014년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전권회의 홍보대사 공식영상 2013년~2015년 울산지방경찰청 홍보대사 및 명예경찰 공식영상1 공식영상2 2014년 코리아브랜드&한류상품박람회(KBEE) 홍보대사 기사영상 2015년 백석대학교 대학원 홍보대사 기사영상 = = 수상 목록 = = = = = 수상 및 후보 = = = 연도 날짜 시상식 부문 결과 작품 2009년 10월 9일 Mnet 슈퍼스타K 1 최종우승서인국, 조문근 제치고 '슈퍼스타K'의 최종 우승자로 선정아시아경제 2009-10-10 2009년 12월 13일 제40회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10월의 Rookie Of The Month “부른다” 2010년 3월 1일 2009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남자 신인상'싸이월드 어워즈' 신인상, 2NE1-서인국-알리 수상의 영광! TV데일리 2010-03-01 “부른다” 2012년 10월 2일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상서인국, 코리아드라마어워즈 男신인상 '대세 입증'스타뉴스 2012-10-02 사랑비 2012년 10월 2일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with 정은지)'응칠커플' 서인국·정은지, 드라마 최고커플 등극머니투데이 2012-10-02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0월 25일 제5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스타일 아이콘 본상'2012 SIA' 서인국-정은지, '10대 스타일 아이콘' 공동수상TV리포트 2012-10-25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1월 30일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베스트 OST상'MAMA' 서인국&정은지, 베스트 OST상 "인국오빠 감사"OSEN 2012-11-30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2월 8일 제1회 K-드라마 스타 어워즈 라이징 스타상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2월 8일 제1회 K-드라마 스타 어워즈 베스트 OST상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2월 8일 제1회 K-드라마 스타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with 정은지)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2년 12월 14일 제4회 멜론 뮤직 어워드 뮤직 스타일상 OST부문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3년 2월 13일 제2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부문 9월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3년 4월 26일 제1회 미국 드라마피버 어워드 올해 최고의 키스신상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3년 4월 26일 제1회 미국 드라마피버 어워드 올해 최고의 이뤄질 수 없는 안타까운 커플상 (with 호야)DramaFever Award 공식동영상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3년 5월 9일 제49회 백상예술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TV부문 응답하라1997 “All for You” 2013년 12월 31일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주군의 태양 2014년 2월 12일 제3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 12월 부문 “이별남녀” 2014년 2월 27일 제28회 일본 골드디스크 베스트3뉴아티스트상공식사이트 “Fly Away” 2014년 10월 1일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우수상 고교처세왕 2014년 12월 31일 KBS 연기대상 우수 연기상 중편드라마 부문 수목드라마왕의 얼굴 2014년 12월 31일 KBS 연기대상 신인 연기상공식동영상 수목드라마왕의 얼굴 2015년 10월 9일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우수상 너를 기억해 2015년 12월 31일 KBS 연기대상 우수 연기상 미니시리즈 남자 부문 너를 기억해 2016년 10월 9일 tvN10 Awards made in tvN상 드라마 남자 부문공식동영상 응답하라 1997 2016년 10월 9일 tvN10 Awards 베스트키스상 (with 정은지)공식동영상 응답하라 1997 2016년 11월 16일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베스트 스타상 드라마 부문 쇼핑왕 루이 2016년 11월 21일 제11회 아시아 드라마 콘퍼런스 아시아 문화 교류 특별 표창 38사기동대, 쇼핑왕 루이 2016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대상 쇼핑왕 루이 2016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 부분 남자 우수연기상 쇼핑왕 루이 2016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with 남지현) 쇼핑왕 루이 2019년 5월 31일 제14회 숨피 어워즈 올해의 배우상 남자부문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 개의 별 2019년 5월 31일 제14회 숨피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 개의 별 2022년 11월 25일 제43회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늑대사냥 2022년 12월 13일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 부문 베스트 아티스트상 미남당 2022 12월 31일 2022년 K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 (with 오연서) 미남당 = = = 가요 프로그램 1위 = = = 연도 수상 내역 (총 2회) 2010년 (총 1회) 사랑해 U (총 1회) 5월 20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서인국, '엠카운트다운' 첫 1위 "고마워요"스타뉴스 2010-05-20 2012년 (총 1회) All For You (with 정은지 Of 에이핑크) (총 1회) 9월 19일 KM 《뮤직 트라이앵글》 1위Mnet 공식동영상 = 틀:1930년 FIFA 월드컵 멕시코 선수 명단 = = 수린 = 수린은 다음을 가리킨다. 수린주는 태국의 주이다. 수린은 태국 수린 주의 주도이다. 수린구는 중화민국 신베이 시의 구이다. 수린은 물을 찾는 불위의 여자의 등장인물이다. = 세르게이 카타난도프 = 세르게이 레오니도비치 카타난도프(, 1955년 4월 21일 - )는 카렐리야 공화국의 대통령이다. 카타난도프는 1955년 4월 21일 카렐리야의 수도였던 페트로자보츠크에서 태어났다. 토목기사학을 전공했다. 1990년, 1998년에 페트로자보츠크의 시장으로 선출되었고 1998년에 카렐리야 공화국의 총리로 선출되었다. 2002년 5월부터, 카렐리야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 삼국지 13 = 삼국지 13(,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XIII)은 코에이의 삼국지 전략 게임 시리즈의 13번째 설치본이다. 2016년 1월 28일에 플레이스테이션 4, 플레이스테이션 3, 엑스박스 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으로 일본에서 출시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PC에서 임포트 또는 구매가 가능하지만 이전작처럼 처음부터 영어를 지원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시리즈의 30주년을 기념하여 이 게임의 지역화된 버전이 플레이스테이션 4와 PC용으로 2016년 7월에 출시되었다. 전통적인 캠페인 모드, 그리고 게임의 매카닉에 대해 플레이어에게 가르쳐주는 히어로 모드, 이렇게 2가지 모드가 들어있다. 업그레이드판 파워업 키트가 엑스박스 원용으로 2017년 2월 16일 디지털로 일본에서만 출시된다. 영어판은 엑스박스 원을 통해 2017년 4월 출시되었다. = 종려나무 숲 = 종려나무 숲은 200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이 영화는 당초 KBS와 충무로가 손잡고 야심차게 만드는 5편의 영화에 속했지만 이경영(최 선장 역)이 KBS 심의규정 청소년 성보호법에 따라 2002년 8월 16일 이후 KBS 출연금지 연예인으로 분류되어 무산될 뻔 했으나 제작사 측이 고심 끝에 KBS의 투자를 반납한 이후 극장 상영으로 포맷이 변경되었으며 2005년 부천국제판타스틱 영화제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 = = 줄거리 = = 단 한번의 스침... 여자, 남자의 욕망으로 사랑이 다치다 젊고 능력있는 변호사 김인서(김민종 扮)는 대학의 특강요청으로 강릉행 버스에 오르는데, 문득 그를 쫓아온 여자, 최성주(이아현 扮)를 발견한다. 그녀는 엊저녁 그와 선을 본 당당하고 매력적인 커리어 우먼. 하지만 적극적인 성주에 대쉬에도 의외로 인서는 담담하기만 하고...오히려 겨울의 풍광처럼 우울한 얼굴로 자신의 묻어둔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2년전, 특허권 업무차 거제도 조선소로 오게 된 인서. 그는 도착하던 날, 족구를 통해 노동자들과 친분을 쌓던 중, 조선소의 현장직 노동자, 트랜스포터 화연(김유미 扮)을 알게 된다. 인서는 거친 야생 속에 숨겨진 그녀의 때묻지 않은 순수와 매력에 강렬한 욕망을 느끼게 되고, 장난처럼 그녀에게 접근한다. 1년만 사귀자는 인서의 농담 같은 제안이 화연의 마음을 다치게 하고, 회식자리에서 화연은 감정을 주체 못해 만취하게 된다. 술에 취한 그녀를 바래다주게 된 인서. 화연을 등에 업고, 그녀의 집이 있는 공고지의 언덕을 힘겹게 오른다. 이국적인 종려나무가 산을 뒤덮고 있는 바닷가의 쓸쓸한 외딴집. 그곳에 외롭게 살고 있는 세 여인. 화연과 할머니, 그리고 중풍에 걸린 화연의 어머니. 할머니는 인서를 반갑게 맞아주고, 인서는 언덕을 가득 메운 종려나무 숲에 대해 묻는다. 돌아오지 않은 사랑을 기다리며 한없는 그리움으로 숲이 되어버린 종려나무. 종려나무 숲에 얽힌 세 여자의 비밀스럽고도 가슴 시린 이야기에 귀 기울이던 인서는 문득 화연을 향한 사랑으로 가슴이 먹먹해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엄마나 할머니처럼 부질없는 사랑을 기다리며 살지는 않겠노라고, 종려나무 숲을 태워버리고 말거라는 증오에 찬 화연의 가슴은 인서를 받아들이지 않고, 결국 인서는 화연을 섬에 남겨두고, 도망치듯 서울로 향한다. 인서는 과연 화연을 잊을 수 있을까? '종려나무 숲'은 과연 그들의 진정한 사랑을 이뤄줄 수 있을까? = = 캐스팅 = = 김민종 : 김인서 역 김유미 : 화연 / 정순 역 조은숙 : 봉애 역 김영기 : 상봉 역 이아현 : 성주 역 이경영 : 최 선장 역 석정만 : 인서 부 역 정영금 : 인서 모 역 고진명 : 사장 역 이기현 : 여비서 역 정경섭 : 남비서 역 고영춘 : 성주운전사 역 신현탁 : 꼽추 역 구본임 : 무당 역 백승철 : 작업반장 역 송대영 : 과장 역 김영범 : 이사 1 역 남기주 : 이사 2 역 유영복 : 이사 3 역 박광덕 : 갑판장 역 박정호 : 김항사 역 조상헌 : 선원 역 김규형 : 선원 역 서용찬 : 박 부장 역 김은서 : 어린 화연 역 홍석연 : 위원장 역 윤기도 : 신발가게주인 역 이영희 : 장터여자 역 박영 : 노인 1 역 문성기 : 노인 2 역 권해일 : 교수 역 김성태 : 설계실장 역 장용대 : 고속버스안사람들 역 조은정 : 고속버스안사람들 역 함규현 : 고속버스안사람들 역 이병혁 : 고속버스안사람들 역 전용길 : 고속버스안사람들 역 김영춘 : 택시기사 역 = 발몬토네 = 발몬토네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로마현에 위치한 코무네다. 로마로부터 남동쪽 45km 거리에 있다. = = 자매 도시 = = 베니파이오 바일레르지메르베르크 = 데인 도끼 = 데인 도끼(Dane Axe)는 전투도끼의 초기 형태이며, 유럽의 바이킹 시대와 초기 중세 시대 사이에 있던 전환기에 주로 사용되었다. 다른 명칭으로는 잉글리시 롱 엑스, 대니시 엑스, 손잡이 도끼 등이 있다. = = 구조 = = 삽화와 현존하는 유물들 등 대부분의 도끼들은 얀 페테슨의 유형 분류 체계에 따라 L 타입 또는 M 타입에 속하는 데인도끼 종류에 들어간다. 두 유형은 비트 (Bit) 부분의 토(toe)와 힐 (Heel) 양쪽에 뚜렷한 뿔들 (horns)이 있는 넓고 얇은 날로 이루어져 있다. 절단면은 다양하며, 보통 20-30 cm 사이이다. L 유형의 날은 비트의 토 부분이 뛰어난 절단 능력을 위해 앞쪽으로 기울어진 것과 함께 좀 더 작은 편에 속하는 경향이다. 후기의 M 유형 날은 토와 힐이 균형을 이루고 전반적으로 크다. 도끼날 자체는 꽤나 가볍고 아주 얇게 주조되어서, 이러한 점들 때문에 절단하는 데 뛰어났다. 도끼날의 상단 몸체 두께는 2mm만큼이나 얇다. 많은 데인 도끼들은 강도를 늘리고 더욱 날카롭게 하기 위해 높은 비율의 탄소강으로 이뤄진, 대체로 보강된 비트로 이뤄져 있다. 평균 무게는 1에서 2kg 사이이다. 긴 유형의 데인 도끼는 목공용 도끼보다는 클리버와 좀더 공통점이 있다. 이 복잡한 (얇게 주조되고 날 근처가 더 단단한 유형의 철로 결합한)구조는 파괴적인 절단 능력을 가진, 날카롭고 빠른 무기를 만들어냈다. 삽화를 근거로, 지위를 상징하는 용도로 쓰인 데인 도끼가 1.5에서 1.7m만큼이나 길었을 수도 있지만, 전투 용도의 긴도끼의 자루 길이는 평균적으로 대략 0.9에서 1.2m이었다. 이러한 도끼들은 은으로 된 상감이 있기도 했고 전투 용도의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철제 도끼날이 흔하게 없기도 했다. 현존하는 예시들에는 보통 화려하게 장식된, 놋쇠 자루 덮개가 있으며, 이는 아마 도끼의 머리를 자루에 고정시키주었을 뿐만 아니라 치열한 전투에서 자루의 끝 부분을 보호해주었을 것이다. 물푸레나무와 오크나무가 항항 폴암류에 사용된 주재료였기에, 이 목제류들이 자루의 용도로 가장 주재료였을 것이다. = = 역사 = = 10-11세기 내내, 데인 도끼는 바이킹의 영향력이 강했던 잉글랜드, 아일랜드, 노르망디 등 스칸디나비아 외부 지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옛 사료들은 데인 도끼를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허스칼 같은 이 시기의 엘리트 전사들의 무기로 묘사한다. 잉글랜드 왕위를 향한 정복왕 윌리엄의 여정을 담은 기록인 바이외 태피스트리에서, 데인 도끼는 잘 무장한 허스칼들만이 전적으로 거의 휘두른다. 이 허스칼들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해럴드 2세의 호위병의 중심을 형성했다. 아마 에드워드 왕의 것으로 보이는, 데인 도끼가 해럴드가 왕위에 오르기 전, 그에게 전해졌다. 바이외 태피스트리는 또한 노르만 기사의 말의 머리를 한번에 잘라내는 허스칼을 묘사하기도 했다. 데인 도끼는 바랑기아 근위대들이 사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근위대들이 들고 다니는 도끼"를 뜻하는 펠레키포로스 포루라 라고도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한 10세기 콘스탄티노플의 상아 브로치는 최소한 사용자만한 길이의 도끼를 들고 있는 바랑기안 근위대를 묘사하고 있다. 이름에서 스칸디나비아적인 유산을 띠고는 있으나, 데인 도끼는 도끼가 비록 검만큼의 지위는 아니었지만 기사에 어울리는 무기라는 인정을 받으며, 12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자루가 대략 만큼 늘어나면서 보병들의 폴암으로 널리 사용되기도 시작했다.이에 대한 예시는 마치에요프스키 성서의 삽화 참조 13, 14세기는 또한 도끼날 역시도 길어지고, 후방의 뿔이 자루에 닿을 만큼 커지는 형태 변화를 겪었다. 길어진 무기들, 특히나 길어진 도끼날과 결합된 경우는 잉글랜드에선 스파스라고 했다. 일부에선 이 무기가 할버드의 선조격이라고도 생각한다. 데인 도끼의 사용이 14세기에 계속되는 한편, 갑옷을 관통하는 후방 스파이크와 자루의 앞뒤로 창과 같은 스파이크가 있는 도끼가 좀 더 흔해졌고, 마침내 15세기에 폴액스로 발전하게 되었다.Miles & Paddock, op.cit. p.69 단순한 데인 도끼는 16세기 스코클랜드 서부와 아일랜드에서 사용이 계속되었다. 아일랜드에서, 데인 도끼는 갤로글래스 용병들과 특히나 연관되어 있다. = = 도끼와 관련된 유명 인물 = = 스티클레스타드 전투 이후, 데인 도끼는 성 올라프의 상징이 되었고 노르웨이의 국장에서 여전히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도끼는 그 사용 자체를 나타내기보다는, 올라프의 순교를 암시하는 것이다. 잉글랜드의 왕 스티븐은 1141년의 링컨 전투에서 데인 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 기록에서 말하길, 그의 검이 부러지자 도끼를 사용했다고 하고 또다른 기록에선 도끼가 부러진 후에 검을 사용했다고 말한다. 사자심왕 리처드는 비록 그 언급이 때로는 적합한 민족 영웅으로 심하게 과장되기는 했지만, 빅토리아 시대 때 거대한 전투 도끼를 휘두른 것으로 종종 기록되었다: "그가 무덤에서 조용히 있던 지 오랜 세월이 흐른 후, 강력한 도끼 머리가 잉글랜드 파운드로 20 파운드 무게의 잉글랜드 철로 된, 그의 무시무시한 전투 도끼는..." - 찰스 디킨스의 영국사 산책.디킨스는 여기서 제프리 초서의 기사 이야기에서 "20 파운드의 스파스"를 갖고 하는 전투가 벌어지는, 아테네의 테세우스 토너먼트를 참고 문헌으로 댔다 하지만 리처드는 야파의 부조에서 데인 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묘사되었다.Old French Continuation of William of Tyre, in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Sources in Translation, ed. Peter W. Edbury, p. 117. 조프루아 드 뤼지냥이 데인 도끼와 연관된 또다른 유명한 십자군이다. 스코틀랜드의 왕 로버트 브루스는 배넉번 전투에서 데인 도끼의 한번의 일격으로 헨리 드 보운을 전사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이 일격은 드 보운의 투구를 쪼개고 두개골이 열리며 도끼의 자루가 부러질 정도로 강했다. 14세기에, 데인 도끼의 사용이 장 프루아사르의 연대기에서 1356년 푸아티에 전투에서 사용한 프랑스의 왕 장 2세, 1388년 오터번 전투에서 사용한 제임스 더글러스 등 점차 언급되었다. 브르타뉴인들은 전투에서 도끼들을 휘두른 베르트랑 뒤 게스클랭과 올리비에 드 클리송 등 명백히 도끼 사용자들로 언급되었다. 이 경우엔, 이때 쓰인 무기가 데인 도끼였는지 아니면 폴액스의 프로토타입인지는 확실치 않다. = = 참고 서적 = = "A Warrior with a 'Danish Axe' in a Byzantine Ivory Panel" —Article by Peter Beatson in Gouden Hoorn: Tijdschrift over Byzantium/Golden Horn: Journal of Byzantium 8(1) (2000) = 빌헬름 게제니우스 =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빌헬름 게제니우스(Heinrich Friedrich Wilhelm Gesenius, 1786년 2월 3일 - 1842년 10월 23일)는 독일의 동양학자이며 루터교도로서 성경비평학자이다. 야웨와 같은 단어인 신명사문자의 발음을 구축한 탁월한 학자였다. 독일 하노버 노르트하우젠 출생으로 히브리어와 셈어 연구에 큰 기여를 했다.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하인리히 헨커(Heinrich Henke)에게 수학하였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요한 고프리 아이익혼(Johann Gottfried Eichhorn) , 토마스 크리스챤 타이키센(Thomas Christian Tychsen)으로부터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뒤, 1811년에 할레 대학교 신학 교수가 되었다. 인도 게르만 언어학에서 발전된 현대 문헌학적 접근 방법을 셈어 연구에 도입하는 기여를 했고, 또 당시 알려져 있던 페니키아인의 비문을 수집, 판독함으로써 셈족의 비문 연구에 기초를 닦았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이러한 연구의 산물로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과 <히브리어 문법>이 있다. = 페르페투아 은쿼차 = 페르페투아 이제오마 은쿼차(, 1976년 1월 3일 ~ )는 나이지리아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이자 현 클레멘스네스 IF(Clemensnäs IF)의 코치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 = 클럽 경력 = =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다말스벤스칸과 엘리레탄을 오가던 스웨덴의 여자 축구 클럽인 순나노 SK에서 활약했다. 선수 생활에서 은퇴한 이후에는 스웨덴에 정착하면서 스웨덴 시민권을 취득했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열린 7차례의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에 참가했으며 2004년, 2005년, 2010년, 2011년에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아프리카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다. 4차례의 FIFA 여자 월드컵(2003년, 2007년, 2011년, 2015년), 3차례의 하계 올림픽(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케뱅 가메이로 = 케뱅 가메이로(, 1987년 5월 9일 ~ )는 프랑스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현재 RC 스트라스부르에서 뛰고 있다. 2004년 프로 팀 RC 스트라스부르에 입단했으며, 2004-05 시즌에 데뷔해 UEFA 컵에도 참가했다. 세 시즌 후 2008년 FC 로리앙으로 이적했고, FC 로리앙은 그의 도움에 힘입어 2009-10 시즌에 팀 역사상 리그 1 최고 순위인 7위를 기록했다. 2011년 파리 생제르맹 FC로 이적했다. 그 팀에서 두 시즌간 활약 후 세비야 FC로 이적했다. 이적 첫 시즌 가메이로는 리그 11골을 기록하며 맹활약 중이다. = = 클럽 경력 = = = = = RC 스트라스부르 = = = 가메이로는 그가 살던 지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청소년 클럽들에서 뛰다가 2004년 RC 스트라스부르에 입단했다. 가메이로는 2005년 9월 10일 파리 생제르맹 FC전에서 데뷔했고, 팀은 0-1로 패했다. 2005년 12월 14일에는 UEFA 컵 데뷔 경기인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전에 0-2로 지고 있는 상황에 교체 출전했는데, 두 골을 넣으며 무승부를 이끌었고, RC 스트라스부르는 조별 예선을 통과했다. 2006년 2월 4일에는 RC 랑스전에 출전해 첫 리그 1 득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무릎 부상을 잎어 6개월 동안 경기를 뛸 수 없게 되었고, 팀은 리그 2로 강등당했다. 가메이로는 2006년 9월 19일 쿠프 드 라 리그 경기인 AJ 오세르 전에서 복귀했다. 팀은 리그 2 3위를 기록해 승격을 확정지었다. 2007-08 시즌 가메이로는 처음으로 풀 시즌을 소화했으며, 총 36경기에서 6골을 넣었다. 그러나 2004-05 시즌에 팀은 다시 리그 2로 강등당했고, 가메이로는 이적을 추진하게 됐다. = = = FC 로리앙 = = = 올랭피크 마르세유가 가메이로에게 강한 관심을 보였지만, 2008년 6월 17일 가메이로는 300만 유로의 이적료로 FC 로리앙과 4년 계약을 맺었다. 가메이로의 등번호는 9번이었고, 팀의 핵심 공격수로 자리잡았다. 2008년 8월 9일 르망 FC전에서 FC 로리앙 데뷔전을 가졌으며, 2주 뒤 발랑시엔 FC전에서 첫 득점을 기록했다. 가메이로는 총 39경기에 나와 13골을 넣었으며, FC 로리앙은 팀 역사상 리그 1 최고 순위와 동률인 10위를 기록했다. 가메이로는 2009년 8월 8일 2009-10 시즌 첫 경기인 릴 OSC전에서 득점을 기록했다. 10월 28일 그르노블 푸트 38전에서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넣으며 2-2 무승부에 기여했고, FC 로리앙은 5위로 올라섰다. 그는 계속해서 득점을 올렸고, 많은 분석가들은 가메이로를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에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3월 3일 스페인과의 친선 경기 전에 부상으로 인해 국가대표팀에 선발될 수는 없었다. 2009-10 시즌에 FC 로리앙은 팀 역사상 리그 1 최고 순위인 7위를 기록했다. 2011년 1월 가메이로는 여러 이적 소문의 주인공이 됐고, 1월 4일 발렌시아 CF와 계약에 합의했다는 소문이 떠돌았다. 그러나 소문에도 불구하고 FC 로리앙 회장 르와 페리는 발렌시아 CF가 이적료를 제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한달 뒤 프랑스 언론들은 FC 로리앙이 보르도의 이적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했지만, 보르도의 관계자는 가메이로가 발렌시아 CF에서 뛰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결국 가메이로는 FC 로리앙에 남았다. 무성한 이적 소문에도 불구하고 가메이로는 계속해서 골을 넣었다. 2011년 2월 19일 보르도 전에서는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5-1 승리를 견인했다. = = = 파리 생제르맹 FC = = = 2011년 6월 10일 언론은 파리 생제르맹 FC가 가메이로의 이적에 대해 FC 로리앙과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틀 뒤 메디컬 테스트를 통과한 후 1100만 유로의 이적료로 파리 생제르맹 FC로 이적했다. 가메이로는 2011년 8월 6일 FC 로리앙 전에서 팀 데뷔 경기를 가졌고, 0-1로 졌다. 일주일 뒤 스타드 렌 FC 전에서는 데뷔골을 넣었다. = = = 세비야 FC = = = 2013년 7월 25일, 1000만 유로의 이적료로 스페인의 세비야 FC로 이적했다. 2014년 4월까지 가메이로는 리그 31경기 11골을 기록중이다. = = 수상 경력 = = = = = 클럽 = = = 파리 생제르맹 FC (2011 ~ 2013) 리그 1 : 2012-13 세비야 FC (2013 ~ 2016) UEFA 유로파 리그 : 2013-14 , 2014-15 , 2015-16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6 ~ 2018) UEFA 유로파 리그 : 2017-18 발렌시아 CF (2018 ~ ) 코파 델 레이 : 2018-19 = = = 개인 = = = UEFA 유로파 리그 시즌의 스쿼드 : 2015-16 = = 국가대표팀 경력 = = 가메이로는 프랑스 U-18, 프랑스 U-20, 프랑스 U-21 대표팀을 거쳤다. 가메이로는 포르투갈계 프랑스인이기 때문에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뛸 수도 있었고, 2009년 포르투갈 감독 카를루스 케이루스는 가메이로를 국가대표팀으로 발탁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메이로는 자신과 포르투갈은 별다른 관계가 없으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뛰고 싶다고 말했다. 가메이로는 2010년 8월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뽑혔고, 벨라루스전에서 데뷔했다. 6월 6일 우크라이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첫 골을 기록하며 4-1 승리에 기여했다. = 틀:아시안게임국기그림/설명문서 = = 분류:인터퀄 = = 워런 얼 버거 = = 개들의 도시 = 개들의 도시는 한국에서 제작된 오정택 감독의 2022년 액션, 범죄 영화이다. 조계형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조계형 : 훈이 역 지대한 : 준기 역 전재형 : 대기 역 민성욱 : 영태 역 = = = 조연 & 단역 = = = 이화시 : 은숙 역 장솜이 : 정화 역 조덕제 : 용대 역 이호수 : 민상 역 이상훈 : 윤석 역 선우 : 젊은 은숙 역 박민상 : 어린 훈이 역 이해니 : 어린 소정 역 김태형 : 재떨이 역 허린 : 준기 조직원 1 역 유태건 : 준기 조직원 2 역 김동규 : 준기 조직원 3 역 이근호 : 준기 조직원 4 역 전윤석 : 준기 조직원 5 역 이한종 : 준기 조직원 6 역 김민혁 : 준기 조직원 7 역 이중재 : 짝대기 역 권일 : 데자뷰 아빠 역 이미소 : 데자뷰 엄마 역 김도해 : 데자뷰 아이 역 서용진 : 생선 단속반원 1 역 이환 : 생선 단속반원 2 역 안중권 : 추파남 역 김은주 : 양재 도박녀 역 노기홍 : 양재 도박남 1 역 이장원 : 양재 도박남 2 역 금동현 : 양재 도박남 3 역 전수환 : 양재 도박남 4 역 이상렬 : 양재 도박남 5 역 김정인 : 양재 도박남 6 역 권세연 : 양재 도박남 7 역 김태우 : 양재 도박남 8 역 문인건 : 양재 도박남 9 역 이규진 : 양재 도박남 10 역 이영석 : 양재 도박남 11 역 김민범 : 정육점 주인 역 정대용 : 집주인 역 한수현 : 편의점 직원 역 이라 : 직업 소개소 직원 역 이정찬 : 직업 소개소 도박남 1 역 김재일 : 직업 소개소 도박남 2 역 이상훈 : 직업 소개소 도박남 3 역 김성수 : 흡연 단속원 1 역 이종혁 : 흡연 단속원 2 역 서혜진 : 순경 역 안상훈 : 안 경장 역 이유진 : 아이스크림 매장 직원 역 육장미 : 아이스크림 매장 손님 1 역 박예진 : 아이스크림 매장 손님 2 역 한지희 : 카페 손님 1 역 정민교 : 카페 손님 2 역 김한상 : 채무자 1 역 송원석 : 채무자 2 역 이치성 : 채무자 3 역 조수봉 : 던지기 사내 역 이정찬 : 박 선장 역 장재승 : 체포 형사 1 역 이진원 : 체포 형사 2 역 하수진 : 간호사 1 역 김영 : 응급 의사 1 역 김규리 : 응급 간호사 1 역 장수지 : 응급 간호사 2 역 정지민 : 응급 간호사 3 역 이승권 : 응급실 환자 1 역 김수옥 : 응급실 환자 2 역 박종우 : 응급실 보호자 역 = 박환생 = 박환생(1915년 5월 7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신토스역 = 신토스역은 일본 사가현 도스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이며, 규슈 신칸센, 나가사키 본선의 정차역이다. 규슈 신칸센 구간을 통틀어 사가 현에 자리잡은 신칸센 정차역은 현재 신토스 역만 존재한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4선, 나가사키 본선의 경우 2면 2선이다. 인근에는 사가 현 경마장과 현재 건립중이 규슈 국립 중입자선 암치료 센터가 있다. = = 승강장 = = = = = 규슈 신칸센 = = = 11・12 규슈 신칸센 (상행) 하카타・신오사카 방면 13・14 규슈 신칸센 (하행) 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방면 = = = 재래선 = = = 1 ■ 나가사키 본선 (상행) 도스・하카타 방면 2 ■ 나가사키 본선 (하행) 사가・히젠야마구치・나가사키・사세보・하우스텐보스 = = 역 주변 = = 사가 경마장 토스 시 육상 경기장 규슈 국립 중입자 암센터 = 레나 크리스텐센 = 레나 크리스텐센(, 1978년 12월 2일 ~ )은 태국의 덴마크계 가수, 배우이다. = 분류:댄스스포츠 선수 = = 코만도: 라스트 액션 히어로 = 코만도: 라스트 액션 히어로는 2020년에 공개된 미국의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베론 웰스 - 바렛 트랜스포메드 역 엘리 라몬트 - 존 베르만 역 (박사) = = = 조연 = = = 존 맨트릭스 - 존 맨트릭스 역 제이슨 칠튼 - 배럿 역 케이시 새미 - 체니 맨트릭스 역 리차드 도드웰 - 커비 역 (장군) = = 기타 = = 수입 : 도키엔터테인먼트 = 최수한 = 최수한(1997년 8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3년 KBS1 TV소설 찔레꽃으로 데뷔하였다. = = 학력 = = 현산초등학교 (전학) → 서울청량초등학교 (졸업) 일산동중학교 (졸업)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졸업) 인하대학교 (재학) = = 연기 활동 = = = = = 드라마 = = = 2003년 KBS1 TV소설 《찔레꽃》 2004년 KBS2 미니시리즈 《오!필승 봉순영》 2005년 MBC 대하드라마 《신돈》 ... 세자 역 2005년 MBC 미니시리즈 《신입사원》 2005년 MBC 주말연속극 《떨리는 가슴》 2005년 SBS 금요드라마 《꽃보다 여자》 2006년 MBC 미니시리즈 《궁》 ... 어린 이신 역 2006년 KBS2 단막극 《드라마시티 - 자장가 부르는 아기》 ... 하늘 역 2006년 KBS1 TV소설 《고향역》 2007년 MBC 주말연속극 《문희》 ... 문희의 아들, 하늘 역 2007년 SBS 대하드라마 《왕과 나》 ... 어린 김자원 역 2008년 KBS2 미니시리즈 《쾌도 홍길동》 ... 어린 이창휘 역 2008년 SBS 드라마 스페셜 《바람의 화원》 ... 어린 정조 역 2008년 KBS2 미니시리즈 《최강칠우》 ... 어린 최칠우 역 2009년 KBS2 대하드라마 《천추태후》 ... 대량원군 왕순(현종) 역 2009년 KBS2 대하드라마 《전설의 고향 - 조용한 마을》 ... 효엽 역 2009년 MBC 미니시리즈 《2009 외인구단》 ... 조상구 아들 역 2010년 KBS1 대하드라마 《거상 김만덕》 ... 강산역 2010년 MBC 대하드라마 《동이》 ... 어린 게둬라 역 2011년 SBS 미니시리즈 《무사 백동수》 ... 어린 이산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총리와 나》 ... 권우리 역 2014년 OCN 《리셋》 ... 어린 우진 역 2014년 OCN 《닥터프로스트》 ... 어린 문성현 역 2015년 SBS 월화드라마 《펀치》 ... 어린 박정환 역 2015년 SBS 수목드라마 《하이드 지킬 나》 ... 어린 로빈 역 2015년 JTBC 미니시리즈 《순정에 반하다》 ... 어린 마동욱 역 2016년 SBS 주말드라마 《그래, 그런거야》 ... 나재현 역 2016년 네이버 TV 웹드라마 《얘네들 MONEY?!》 ... 은경태 역 2017년 SBS 수목드라마 《다시 만난 세계》 ... 어린 차태훈 역 2006년 후지TV 《무지개를 이은 왕비》 ... 어린 영친왕 역 = = = 영화 = = = 2005년 《레드 아이》 ... 어린 진규 역 2007년 《전설의 고향》 ... 어린 현식 역 2007년 《검은 집》 ... 어린 준오 역 2014년 《플라이하이》 ... 광렬 역 2015년 《소수의견》 ... 박신우 역 2017년 《포크레인》 ... 선임하사 아들 역 = 분류:연예기획사 = = 휘경동 = 휘경동(徽慶洞)은 서울특별시의 동대문구에 위치한 동의 명칭이다. = = 개요 = = 휘경동은 조선시대 말기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의 묘소 휘경원(徽慶園)이 있는 데에서 유래된다. 수빈 박씨는 판돈령부사 박준원의 셋째딸로 태어났다. 정조 11년 왕실의 후사를 잇기 위한 후궁 간택에 차점이었고 삼간에 명원으로 뽑혔다. 궁호는 가순궁. 이어서 정조 14년 6월에는 원자(후일의 순조)가 창덕궁 집복헌에서 탄생하니 조정이 기뻐하였다. 정조 24년에는 원자가 세자에 책봉되고, 그 해 6월 왕이 승하하니 왕위를 계승하였는데 이 때 순조의 나이 겨우 11세이었다. 때문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였지만, 생모인 수빈의 부조도 컸던 것이다. 수빈 박씨는 1822년 순조 22년 세상을 떠났다. 순조는 양주군 배봉산 아래 휘경동 산 7∼8번지를 묘역으로 정하고, 1823년 순조23년 2월 27일을 택하여 장례식을 거행하였으며 묘소를 ‘휘경’(徽慶)으로 하였던 것이다. 그 뒤로 순조는 세자를 데리고 자주 이곳 휘경원에 거동하니, 당시 한적한 마을이던 휘경원 일대는 세상에 널리 알려지고 이름도 ‘휘경원’ 또는 ‘휘경리’로 불렀다. 땅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한 휘경동은 처음에는 휘경원으로 부르다가 차츰 휘경리, 휘경동 등으로 고쳤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 남면(지금의 양주군 남면과 전혀 다른 지역이었다.) 휘경리였다. 훗날 고양주면 휘경리로 바뀌었고 인접한 전농리, 청량리 일부지역 역시 이에 해당됐으며, 1894년 갑오개혁 때에는 동서 인창동 동소문 외계 휘경원으로, 1936년 4월 1일 경성부 확장에 따라 경기도에서 경성부로 편입되면서 ‘휘경정’으로 칭하였고, 1943년 6월 10일 구제 실시로 동대문구에 속하게 되었다. 광복후 일제식 동명을 우리 고유의 명칭으로 고칠 때 ‘휘경원’을 현재 명칭인 ‘휘경동’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다. 1980년 7월 1일 인구의 증가로 면목동의 일부를 포함시켜 휘경2동이 분동되었다.휘경동 동명 유래 및 연혁, 2012년 6월 25일 확인 = = 교육 = = 서울휘경초등학교 휘경중학교 휘경여자중학교 휘경여자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휘봉고등학교 삼육보건대학 = = 교통 = = * 회기역 * 회기역 = = 의료기관 = = 삼육서울병원 = 틀:일본어 = = 2015 = 2015(이천십오)는 2014보다 크고 2016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5, 13, 31, 65, 155, 403, 2015이다. = = 기타 = = 연도: 2015년 2e03 2015 = 분류:CD 베라크루스 = = 분류:완도군의 육상 경기장 = 육상 경기장 육상 경기장 완도군 완도군 = 스코필드 (유타주) = 스코필드는 미국 유타주 카본 군의 도시이다. = FC 아로카 = 푸테볼 클루베 데 아로카(,F.C. Arouca), 는 포르투갈 아로카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이다. 현재 포로투갈의 리가 프로에 참가중이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라파 무히카(2022 ~ ) 크리스토 곤살레스(2023 ~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몬테로 루비오(2023 ~ ) = = = 역대 = = = 레안드루 조아킹 히베이루(2015 ~ 2016) = 사랑한다고 말해봤니? = 사랑한다고 말해봤니?는 2000년 MBC에서 방영한 드라마로, 대한민국 최초의 HDTV용 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정준 : 김상훈 역 김민선 : 이수연 역 소지섭 : 박경민 역 이계인 정한헌 최범호 함신영 서령 정소영 = 하노버주 (1946년) = 하노버주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북서부에 새로 생긴 주이다. 독일이 패전하자 영국이 이 지역을 관리하면서, 과거 프로이센 자유주의 하위 지방이었던 하노버 주를 분리시켜 1946년 하나의 독립된 주로 만들었다. 이는 하노버가 프로이센에 병합되기 전, 독립된 왕국이었음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독립된 하노버 주는 같은 해인 1946년 다시 행정 구역이 변동됨으로써 1년도 안 되어 소멸한다. 이 주는 다른 여러 주들과 합쳐져서 니더작센주가 되었다. 니더작센 주의 지방이 된 하노버는 연방주의 주도가 된다. = = 역사 =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이 이 지역을 신탁통치하게 되었다. 영국 군정은 1946년 8월 23일의 법령 46호를 통하여 영국 군정 관할 지역 내에 있는 기존의 프로이센 주를 해체하고 보다 작은 여러 개의 독립된 주로 재창설하기로 결정했다. 하노버 주도 이 때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었다. 초대 주총리로 힌리히 빌헬름 코프(Hinrich Wilhelm Kopf)가 취임했다. 그러나 1946년 11월 1일 영국 군정은 하노버 주와 올덴부르크 주, 샤움부르크리페 주, 브라운슈바이크 주를 통합해 니더작센주를 창설한다. 이 결정은 각 주 총리들의 뜻이 반영된 것이었다. 코프 주총리도 니더작센 주의 창설을 위한 논의에 참여했다. 이로써 하노버 주는 폐지되었다. = = 지리 = = 하노버 주의 영역은 옛 하노버 왕국의 영역과 거의 일치했다. 이는 현재의 니더작센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노버 왕국의 영역 가운데, 영국의 관할지역이 아니었던 부분(소련의 관할지역)은 제외되었다. = 분류:리히텐슈타인의 해외 진출 스포츠 선수 = = 분류:네덜란드의 물리학자 = = 분류:노보시비르스크주의 지형 = = 분류:우타시나이시의 건축물 = = 호야 카르노사 = 호야 카르노사 호야 카르노사 생물 분류 생물 분류 계 식물계 강 관다발식물 강 속씨식물 강 진정쌍떡잎식물 강 국화군 목 용담목 과 협죽도과 아과 박주가리아과 속 호야 학명 학명 Hoya carnosa(L.f.) R.Br. (1810) Hoya carnosa(L.f.) R.Br. (1810) 호야 카르노사(일반명:porcelainflower 또는 wax plant, 학명:Hoya carnosa)는 협죽도과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호야 속에 속하는 동아시아 와 호주가 원산의 다양한 호야 종 중 하나이다. 매력적인 광택의 잎과 달콤한 향의 꽂을 감상하기 위해 키우는 실내용화초이다. 호야는 일반 화분과 걸이용 화분에서도 잘 자란다. 호야 카르노사는 200년 이상 재배되어 왔으며 다양한 잎 모양이나 꽃 색깔의 재배품종이 생겨났다. = = 설명 = = 호야 카르노사는 매끄럽고 옅은 회색의 밋밋한 표면을 가진 약간의 즙이 있는 싹을 만들며 덩굴 형태로 자란다. 다년생 잎은 약 1~1.5cm 길이의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에서 세로로 긴 타원형 또는 하트 모양이다. 잎은 약간 즙이 많고 다육질의 표면에는 밀랍 같은 광택이 난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폭 3-5cm, 길이 3.5-13cm이며 잎자루는 길이 1-1.5cm 정도이다. 방추 모양의 열매는 크기가 6~10×0.5~1.5cm이다.Focke Albers, Ulli Meve (ed.): Succulent Encyclopedia. Asclepiadaceae (milkweed plants) . Eugen Ulmer, Stuttgart 2002, , p 150 = 지카요시 = 지카요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히라이와 지카요시: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며 도쿠가와 씨의 중신 호리 지카요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다이묘 이코마 지카요시: 일본 에도 시대의 하타모토 마쓰다이라 지카요시 호리 지카요시 = 브라운군 (일리노이주) = 브라운군 또는 브라운 카운티(Brown County)는 미국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6,937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6,556명이다. = 지족역 = 지족(침신대)역(Jijok (Chimshin University) station, 智足(浸神大)驛)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 있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이다. 인근에 침례신학대학교가 있다. 지상 1층에 대합실과 출입구가, 지하 1층에 승강장이 있다. 유상병기역명은 침신대이다. = = 연혁 = = 2003년 7월 25일 : 지족(침신대)역으로 역명 확정대전광역시고시 제2003-105호, 2003년 7월 25일. 2007년 4월 17일 : 2단계 (정부청사 ~ 반석)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역 구조 = =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 = 승강장 = = = 노은 ↑ 하 상 ↓ 반석 상행 노은유성온천대전역판암 방면 하행 반석 방면 승강장 번호는 없다. = = 역 정보 = = 판암역, 대동역과 함께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서 단 셋뿐인 곡선 승강장이다. 곡선의 여파로 인하여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 역 주변 = = 역 인근에 롯데마트 노은점이 있으며, 노은택지개발 2지구가 있고,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인접해 있다. 북대전세무서 롯데마트 노은점 KB국민은행 콜센터 대전극동방송 농협중앙회 노은중앙지점 노은2동 행정복지센터 노은도서관 송림마을 2~4단지 침례신학대학교 대전하기초등학교 대전하기중학교 대전지족초등학교 대전반석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 경남 아너스빌 인앤인 클래식 노은 브리젠힐스 원광사 하기동 성당 대전유성경찰서 = = 역사 = = 2007년 4월 1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제 2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승차량 변동 = = 역 노선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1일 평균 승차 인원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경영공시 역 노선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호선 미개통 2,030 2,377 2,656 2,769 3,000 3,091 3,088 3,122 3,010 1호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호선 2,980 2,960 2,849 2,817 = 분류:니더작센주 출신 스포츠인 = = 분류:황간 견씨 = = 모듈:Location map/data/Los Angeles/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Los_Angeles/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젤코 밀리노비치 = 젤코 밀리노비치(, 1969년 10월 12일 ~)는 슬로베니아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두 번의 메이저 대회에 참여했었다 (UEFA 유로 2000, 2002년 FIFA 월드컵). 류블랴나에서 태어난 밀리노비치는, 지역의 NK 슬로반 (NK Slovan) 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1990-1991 시즌에는 NK 올림피야 (NK Olimpija) 로 이적해 세 번의 슬로베니아 1부 리그 우승과 한 번의 슬로베니아 컵 우승을 경험하였다. 후에 NK 류블랴나 (NK Ljubljana), NK 마리보르에서 뛰었으며, 마리보르에서 두 번의 슬로베니아 1부 리그 우승과 한 번의 슬로베니아 컵 우승을 경험하였다. 1998년에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LASK 린츠로 이적해 주전 수비수로 두 시즌 간 활약했으나, 2000년에 이적한 그라처 AK에서는 주전 확보에 실패하였다. 2001년, 감독의 권유로 일본 J리그의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로 자리를 옮겼고, 4년 동안 119경기에서 11골을 넣었다. 2004년, 오스트리아 2부 리그로 강등된 LASK 린츠에 복귀했으며, 이비차 오심 감독의 지휘 아래 2부 리그 우승을 기록하면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였다. 2007년, NK 베지그라드 (NK Bežigrad)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38경기에 출전해 3골을 넣었으며, UEFA 유로 2000과 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바 있다. = 분류:고성군 (경상남도)의 어항 = = 앙리르네 르노르망 = 앙리르네 르노르망(Henri-René Lenormand, 1882년 5월 3일 ~ 1951년 2월 16일)은 프랑스의 극작가다. 작곡가의 아들로 파리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대전 전부터 시·소설을 쓰고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을 각색하고 그 밖에 몇 개의 희곡을 발표했으나, 성공을 얻은 것은 1919년 피토에프에 의해 상연된 <세월은 꿈> 이후의 일이었다. 이어 <낙오자의 무리> <꿈을 먹는 것> 등 심층 심리를 파헤치고 사람의 마음 구석에 있는 격렬한 마음의 투쟁을 그려냈다. = 매리 조 카틀렛 = 메리 조 캐틀렛(Mary Jo Catlett, 1938년 9월 2일 ~ )는 미국의 배우, 성우이다. 덴버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럭키 스티프 (2015년) 스폰지밥3D (2015년) - Mrs.퍼프 역 캐롤 채닝: 라저 댄 라이프 (2012년) - 본인 역 앤더슨 크로스 (2010년) 하우 투 비 어 시리얼 킬러 (2008년) 벤치워머스 (2006년) 포카혼타스 2 (1998년) 미이라의 전설 (1997년) 두 미 페이버 (1997년) 시리얼 맘 (1994년) 증인 (1990년) 오하라의 아내 (1982년) 비치 걸스 (1982년) 베스트 리틀 호하우스 인 텍사스 (1982년) 우정의 마이애미 (1980년) 챔프 (1979년) - 조시 역 프러쉬 (1977년) = = = 텔레비전 = = = 매시 (1976-78) 꿈꾸는 낙원 (1978) 신나는 개구쟁이 (1982-86) 보글보글 스폰지 밥 (1999-현재) - 퍼프 부인 역 (목소리) 댓츠 소 레이븐 (2004-05) 아메리칸 대드! (2007) - 목소리 = 분류:구조공학 = = 가족 농장 = 가족 농장은 일반적으로 가족이 소유 또는 운영하는 농장을 말한다. 가족 농장은 가족간의 유산으로 이어지는 재산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특정단체나 기업 등과는 다른 형태로 운영된다. 가족 농장은 국가 간 농업 전통과 역사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언어나 문화에 따라서 다른 관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가족 농장 규모가 제한적이지 않으나, 브라질에서는 가족 농장의 정의는 한 가족 구성원에 의해 운영되는 소규모 농장으로 제한된다. 전 세계에 농장은 대략 5억 7천만개 정도로 추정되며, 그 중 5억개가 가족에 의해 관리되는 가족 농장이다. = 분류: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문화 = = 죽음의 성물 = 죽음의 성물은 조앤 롤링의 소설 「해리 포터」에 등장하는 사물들이다. = = 기원 = = 죽음의 성물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에서 나온 시집인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 중 하나인 「삼 형제 이야기」에 나온다. = = 성물 = = = = = 딱총나무 지팡이 = = = 세상에서 가장 강하다는 지팡이이지만 피를 불러온다. 삼형제중 첫째인 안티오크 피브렐이 소유했었다. = = = = 딱총나무 지팡이를 소유한 사람 = = = = 에머릭 → 에그베르트, 고데롯 → 히어워드, 바르나바 데버릴 → 로지어스 → 그레고로비치 → 그린델왈드 → 덤블도어 → 말포이→ 해리 포터->이후 책에서는 해리가 원래 사용하던 서양호랑가시나무 지팡이를 고치는데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나오지만 영화에서는 파괴되는것으로 나온다. = = = 부활의 돌 = = =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에서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완전한 사람을 불러내지 못한다. 삼 형제중 둘째인 카드모스 피브렐이 소유했다. = = = = 부활의 돌을 소유한 사람 = = = = 곤트 가문 → 볼드모트 (호크룩스로 만들어 숨겨둠) → 덤블도어 → 해리포터 → 호그와트 금지된 숲 어딘가에 분실 = = = 투명 망토 = = = 몸을 숨길 수 있으며 어떠한 마법으로도 투명 망토를 꿰뚫어 볼 수 없다. 단, 앨러스터 무디의 마법의 눈은 투명 망토를 꿰뚫어 볼 수 있다. 삼 형제 중 셋째인 이그노투스 피브렐이 소유했었다. 이그노투스 피브렐 가문의 가보다. = = = = 투명 망토를 소유한 사람 = = = = 이그노투스 피브렐 → 이그노투스 피브렐의 후손들 → 제임스 포터 → 해리 포터 → 제임스 포터 2세 = 화성 지질학 = 화성 지질학은 화성에 대한 물리적 특성, 부조, 구성, 역사와 화성에 영향을 미쳤거나 현재도 계속 미치고 있는 모든 현상에 관한 과학적 연구를 포함한다. 지구 지질학과 유사하지만, 행성학에서 지질학이라는 용어는 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데, 이는 행성과 위성의 암석권을 연구하며 지구물리학, 지구화학, 광물학, 측지학, 지도학 등의 영역까지 포함한다. 그리스어 아레스(화성)에서 유래한 동의어인 Areology(화성학)이라는 용어가 종종 쓰일 때도 있다. 화성 지질학은 비교적 역사가 짧은 학문으로 1965년 7월 14일 우주탐사선 매리너 4호의 화성 첫 비행을 계기로 이 자기장이 미약하고 달의 표면을 연상케 하는 분화구 표면과 희박한 대기, 그리고 대기압 약 600 파스칼에 지상 평균 온도 210켈빈 (섭씨 마이너스 63도)인 행성을 발견했다. 그러나 화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는 1971년 11월 13일 매리너 9호 탐사선과 함께 시작되었다. 처음으로 지구 외의 다른 행성 궤도에 오른 탐사선인 매리너 9호는 화소당 100m에서 1km 사이의 해상도로 전체 화성 표면을 지도화하였다. 이 지도 덕분에 화성의 모든 주요 지질 구조, 거대한 화산 대산괴와 매리너 계곡 (매리너 계획과 매리너 9호에서 따온 이름)이라 불리는 계곡계를 밝혀냈다. 그 후 1970년대 말의 바이킹 계획, 1980년대 말의 포보스 계획, 1990년대의 마스 글로벌 서베이어와 마스 패스파인더 임무를 통해 이 "붉은 행성"에 대한 지식을 넓혀갔다. 궤도선인 2001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위성, 마스 익스프레스, 그리고 피닉스 착륙선으로 보완된 지상 기반 화성탐사 로버 스피릿 및 오퍼튜니티는 진정한 화성 지질학 연구를 위한 길을 열었다. 2012년에는 미국 화성 과학 연구소(Mars Science Laboratory)와 러시아의 포보스-그룬트 임무가 함께 계속 진행되었는데, 이 포보스-그룬트는 태양풍과 화성의 대기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의 작은 위성 잉훠 1호를 싣고 있었다. 이 밖에도, 과거 또는 현재 외생물의 흔적을 찾기 위해 지상을 분석한 유럽의 이동 로봇 엑소마스 (오로라 계획, Aurora Programme)임무가 있으며, 나사(미국 항공 우주국)와 유럽 우주국이 연합해 수백 그램의 화성 토양 샘플을 지구로 가져온 화성샘플 회수 임무 (Mars Sample Return)가 있다. 행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행성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오늘날 화성은 한때 지구 자기장으로 둘러싸인 지질학적으로 매우 활동적이고 풍부한 행성으로 인식되며, 그 당시 두꺼운 대기와 다량의 (다소) 산성인 액체 물을 가졌던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화성의 핵은 완전히는 아닐지라도 본질적으로 여전히 액체이고, 일부 화산이 일시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배제되고 있지는 않다. = = 물리적 환경 = = 태양에서 시작하는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인 화성은 지구형 행성이다. 크기는 지구의 반만하고 거의 10배는 덜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지면은 우리 행성보다 약간 작다 (144.8 대 148.9 백만 평방 킬로미터). 여기서 중력은 지구의 3분의 1인 반면, 솔(sol)이라고 하는 화성의 태양일의 길이는 지구의 낮의 길이보다 40분 적다. 화성은 지구보다 태양에서 1.5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위치에 따라 우리 행성보다 2~3배 적은 태양 에너지를 받는다. 또한 우리보다 150배 이상 밀도가 낮은 화성의 대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 온실 효과가 발생되는데, 이렇게 약한 태양 방사 조도로 인해 화성의 평균 온도가 −60 도 미만이다. 아래 표에서 화성과 지구 사이의 일부 물리적 매개변수 값을 비교할 수 있다. : 속성 화성에서의 값 지구에서의 값 % 화성/ 지구 반경 3 396.2 ± 0.1 km 6 378.1 km 53.3 % 극반경 3 376.2 ± 0.1 km 6 356.8 km 53.1 % 지면 144 798 500 km2 510 072 000 km2 28.4 % 부피 1.631 8×1011 km3 1.083 207 3×1012 km3 15.1 % 질량 6.418 5×1023 kg 5.973 6×1024 kg 10.7 % 평균 밀도 3 933.5 ± 0.4 kg/m3 5 515 kg/m3 71.3 % 적도에서의 표면중력 3.711 m/s2 9.780 327 m/s2 37.9 % 탈출속도 5 027 m/s 11 186 m/s 44.9 % 자전주기 1.025 956 75 d ≈ 88 642,663 s 86 164.098 903 691 s 102.9 % 태양시 1 sol ≈ 1.027 491 25 d ≈ 88 775.244 s 1 d = 86 400 s 102.75 % 자전축 기울기 25.19° 23.439 281° - 본드 반사도 0.25 0.29 - 기하학적 반사도 0.15 0.367 - 궤도 장반경 227 939 100 km 149 597 887.5 km 152.4 % 궤도이심률 0.093 315 0.016 710 219 558.4 % 공전주기 668.599 1 sols ≈ 686.971 d 365.256 366 d 188.1 % 원일점 249 209 300 km 152 097 701 km 163.8 % 근일점 206 669 000 km 147 098 074 km 140.5 % 태양 방사조도 492 à 715 W/m2 1 321 à 1 413 W/m2 - 지상 평균 온도 −63°C ≈ 210 K 14°C ≈ 287 K - 최고기온 20°C ≈ 293 K 58°C ≈ 331 K - 최저기온 −133°C ≈ 140 K −89°C ≈ 184 K - 2012년 8월 5일 화성에 착륙한 NASA 큐리오시티 탐사선은 게일 분화구 온도가 상온인 것을 (정확한 온도 값: 276K, 약 3도) 밝혀냈다.Propos recueillis auprès de John Grotzinger, scientifique de la mission à l'Institut de technologie de Californie (Caltech), à Pasadena 화성은 지구보다 약 10배 덜 무겁지만 달보다는 10배 더 무거운데, 화성의 표면은 이 두 행성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달의 분화구를 연상시키는 충돌 분화구로 가득 찬 지형이 있는 반면, 지각의 변동 및 기후 때문에 형성된 화산, 균열, 계곡, 암석, 사구 및 암석을 포함하여 지구와 같은 모습도 있다. 풍부한 구름이 순환하는 얇은 화성의 대기에는 때때로 행성 전체를 뒤덮을만한 먼지 폭풍이 자주 있는 특별한 기상을 가지고 있다. 지구보다 5배 더 뚜렷한 궤도 이심률은 매우 중요한 계절적 비대칭의 원인으로 북반구에서 가장 긴 계절인 봄(198.6일)은 가장 짧은 계절(가을, 146.6일)보다 35.5% 초과하는데, 이는 지구와 비교하자면 가장 긴 계절인 여름은 겨울 기간보다 5% 더 길뿐이다. 이러한 특징은 여름에 남부 극지방 만년설이 북극 극지방 만년설보다 훨씬 더 많이 축소되는 이유를 설명하기도 한다. = = 연대기 = = 화성 지질학은 북반구의 희박안 분화 저지대와 남반구의 고도로 분화된 고지대의 화성 이분법으로 특징지어진다. 한 지역의 나이가 분화율(분화구 계산, crater counting) 의 증가함수라는 경험적 원리에 따라, 세 가지 주요 화성 지형은 일찍이 화성 지질 역사의 세 가지 특징적인 시기에 연결되었으며, 각 시기는 그때의 전형적인 지역의 이름에 따라 명명되었다. 노아키아 시대 (노아키스 테라(Noachis Terra)에서 따옴)는 남반구의 가장 오래된 지형에 해당하며 이는 46억년 전 화성 형성 이후, 하르트만 & 뉴쿰 척도(Échelle de Hartmann & NeukumEchelle)에 의거하여, 37억년 전까지를 (하지만 하르트만 표준에 의하면 35억년) 의미한다. 당시의 화성은 두꺼운 대기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 덕에 압력과 온실효과로 많은 양의 액체 물로 인한 수권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본다. 이 시대의 마지막 무렵은 41억~38억년 전으로 후기 대폭격의 소행성 영향과 특히 타르시스 부근의 강렬한 화산 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헤스페리아 시대(헤스페리아 평원(Hesperia Planum) 이름에서 따옴)는 하르트만 & 뉴쿰 척도에서 정의한 37억~32억년 전의 지형과 (그러나 하르트만 표준에서는 35억년~18억년 사이) 상응하는데 이곳에서 화산 활동이 잦은 이유로 용암류와 황산 퇴적물이 발견된다. 자기장은 노아키아 시대 말년에 사라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태양풍이 화성의 대기를 부식시키는 현상을 가져왔다. 또한 온도와 압력이 크게 떨어지기 시작했을 것이고, 그 결과 액체 상태의 물은 이 행성 표면에 영구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 아마조니안 시대(아마조니스 평원(Amazonis Plantia) 따라 붙여진 이름)는 하르트만 & 뉴쿰 척도에서 32억년전 이후의 지형을 일컫는다 (하르트만 표준에서는 18억년 이후). 이곳은 확실히 분화구가 적으며 주로 북반구에 (행성 기준치보다 낮은 고도) 위치하고 있다. 이 시대 동안에 강도는 잃었지만 화산 활동은 계속되었을 것으로 본다. 큰 활동은 네 번으로 마지막 발생은 1억 년 전에 일어났고, 일부 다른 화산 지형은 고작 몇백만년 전에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풍에 의한 대기의 침식은 압력이 611.73 파스칼인 물의 삼중점 부근에서 안정될 때까지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되었을 것이다. 아마조니안 지형의 지질 구조는 화성 환경의 극단적인 건조에 큰 영향을 받은 모습으로 수권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환경은 지표면의 특정한 부근에서 불연속적이고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액체 상태의 물을 완전히 없애진 못했다. 오늘날 이 세 시대의 연대기는 여전히 매우 불확실한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성 주변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탐사선에 의해 표면에서 관찰된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세 지질학적 시대 (또는 누대)를 나누는 두 개의 모델 하르트만 & 뉴쿰 척도와 하르트만 표준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ImageSize = width:800 height:100 PlotArea = width:720 height:53 left:65 bottom:20 AlignBars = justify Colors = id:yellow value:rgb(1,1,0.7) # light yellow id:purple value:rgb(1,0.7,1) # light purple id:red value:rgb(1,0.7,0.7) # light red id:black value:black Period = from:-4500 till: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500 start:-4500 ScaleMinor = unit:year increment:100 start:-4500 Define $markred = text:"*" textcolor:red shift:(0,3) fontsize:10 PlotData= align:center textcolor:black fontsize:8 mark:(line,black) width:25 shift:(0,-5) bar:Hartmann from:-1800 till: end text:Amazonian shift:(0,1.8) color: purple from:-3500 till: -1800 text:Hesperian color: yellow from:start till: -3500 text:Noachian color: red bar:Hartmann&Neukum fontsize:8 from:-3200 till: end text:Amazonian shift:(0,1.5) color: purple from:-3700 till: -3200 text:Hesperian color: yellow from: start till: -3700 text:Noachian color:red 2004년부터 광물학에 기반한 척도 또한 사용되고 있다. (*LHB = Late Heavy Bombardment, 후기 대폭격) ImageSize = width:800 height:100 PlotArea = width:720 height:53 left:65 bottom:20 AlignBars = justify Colors = id:yellow value:rgb(1,1,0.7) # light yellow id:purple value:rgb(1,0.7,1) # light purple id:red value:rgb(1,0.7,0.7) # light red id:green value:rgb(0.7,1,0.7) # light green id:black value:black Period = from:-4500 till: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500 start:-4500 ScaleMinor = unit:year increment:100 start:-4500 Define $markred = text:"*" textcolor:red shift:(0,3) fontsize:10 PlotData= align:center textcolor:black fontsize:8 mark:(line,black) width:25 shift:(0,-5) bar:Eon from:-3600 till: end text:Siderikan shift:(0,1.8) color: purple from:-4000 till: -3600 text:Theiikian color: yellow from:-4200 till: -4000 text:LHB color: green from:start till: -4200 text:Phyllocian color: red bar:Epoch fontsize:8 from:-3500 till: end text:Amazonian shift:(0,1.5) color: purple from:-4000 till: -3500 text:Hesperian color: yellow from: start till: -4000 text:[Noachian] color:red = = 주요 지질 형성 = = 1970년대 초 매리너 9호가 찍은 이 행성의 첫 사진에서부터 주요 화성 지질학적 특징들이 확인되었다:Masursky, Harold. "An overview of geological results from Mariner 9."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78.20 (1973): 4009-4030. 두 개의 서로 매우 다른 반구들, 북쪽의 넓고 매끄러운 평야 지형과 분화구로 가득찬 고원, 여섯개의 큰 충돌구, 두 개의 거대한 화산 , 태양계에서 유일한 크기인 협곡계 흐르는 물 때문에 형성된 모양들 등이 확인되었다.McCauley, John F., et al. "Preliminary Mariner 9 report on the geology of Mars." Icarus 17.2 (1972): 289-327. = = = 분화구 및 충격 분지 = = = = 2028년 7월 22일 일식 = 2028년 7월 22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다. 개기일식은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커서 태양을 다 가릴 수 있을 때 일어난다. 개기일식은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 가능하며,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2028-07-22 2028-07-22 일식 2028-07-22 일식 = 분류:캄보디아의 종목별 스포츠 = = 분류:1861년 건축 =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7호)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七~十)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해 있는 불경이다. 또한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은 2005년 1월 7일에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 26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표지는 없는 상태이나 권미에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第十'으로 되어 있어 책명을 알 수 있다. 권7의 10장부터 권10까지의 1책만 전한다. '자비도량참법'은 죽은자의 영혼을 천도하는데 쓰이는 불교의 의식집으로 彌勒佛의 夢感에 따른 자비도량을 梁武帝때 고승들이 찬수한 것으로 전한다. 이 책은 상교심정한 10권짜리 정본을 바탕으로 하여 1370년에 판각인출한 것을 그 후 조선시대에 중간한 것으로 보인다. = 바레인 항공 = 바레인 항공은 바레인의 저비용 항공사로 총 17개 노선을 취항하고 있다. 본사는 바레인 무하라크 위치해 있으며 2007년에 설립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허브 공항으로 바레인 국제공항이 있다. = = 보유 기종 = = 2012년 4월 기준으로 바레인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4.5년이다.Bahrain Air fleet list at planespotters.net 바레인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승객 승객 기종 대수 주문 J Y 합계 에어버스 A319-100 2 0 12 120 126 에어버스 A320-200 2 0 12 150 162 합계 4 0 = 분류:스위스의 판타지 영화 = = 애널라이즈 디스 = 애널라이즈 디스는 1999년에 개봉한 미국 갱스터, 코미디 영화이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 = = = = = SBS (2006년 2월 11일) = = = 양지운 - 폴 비티(로버트 드 니로) 오세홍 - 벤 소벨(빌리 크리스탈) 손정아 - 로라 (리사 쿠드로) 김정호 - 젤리 (조 비터렐리) 한상혁 - 프리모 (채즈 팰민테리) 권혁수 - 지미 (리처드 C. 카스텔라노) 김태훈 - 도미니크 (바트 탠그레디) 이연희 - 캐롤린 (몰리 샤논) 김영선 - 카를로 망가노 (레오 로시) 김관진 김소형 윤복성 최한 임주현 = = = KBS (2014년 5월 23일) = = = 양지운 - 폴 비티(로버트 드 니로) 오세홍 - 벤 소벨(빌리 크리스탈) 은미 - 로라 맥나마라 소벨(리사 쿠드로) 노민 - 젤리(조 비터렐리) 이봉준 - 살바토르 마시엘로(팻 쿠퍼) 이재용 - 프리모 시돈(채즈 팰민테리) 오인성 - 지미 부츠(리처드 C. 카스텔라노) / 스콧 맥나마라(아이라 윌러) 홍진욱 - 이삭 소벨(빌 메이시) / 도미니크 마네타(바트 탠그레디) 오인실 - 캐롤라인(몰리 샤논) 박영재 - 카를로 망가노(레오 로시) 남도형 - 니키 쉬버스(맥스 카셀라) 양유진 - 마이클 소벨(카일 사비히) 탁원정 - 슐만(아시프 맨드비) = 초안: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목록 = 다음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더불어민주당의 후보 목록이다. = = 지역구 = = = = = 서울특별시 = = = 선거구 후보 공천 형태 주요 경력 광진구 을 고민정 단수공천 제21대 국회의원 서초구 을 홍익표 단수공천 제19·20·21대 국회의원 = = = 부산광역시 = = = = = = 대구광역시 = = = = = = 인천광역시 = = = = = = 광주광역시 = = = = = = 대전광역시 = = = = = = 울산광역시 = = = = = = 세종특별자치시 = = = = = = 경기도 = = = = = = 강원특별자치도 = = = = = = 충청북도 = = = = = = 충청남도 = = = = = = 전북특별자치도 = = = = = = 전라남도 = = = = = = 경상북도 = = = = = = 경상남도 = = = = = = 제주특별자치도 = = = = 봉상균 = 봉상균(奉相均, 1932년 9월 10일 ~ 2017년 4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본관은 하음이다. 영화 감독 봉준호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 = 생애 = = 1951년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했으며 1959년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응용미술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문화공보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미술실장으로 근무했다. 1965년부터 1977년까지 계명대학교에서 미술대학 객원 교수로 근무했으며 1968년에는 일본 도쿄 학예 대학 산하 구성학 연구실에서 교환 교수로 근무했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대구상공회의소 전문위원, 경상북도 대구시 건축자문위원을 역임했고 1970년에는 한국디자인포장센터에서 연구상무이사로 근무했다. 1970년부터 1978년까지 효성여자대학교(현재의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미술대학 교수로 근무했으며 1977년부터 1979년까지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과 석사 과정을 이수했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 영남대학교에서 미술대학·대학원 교수로 근무했고 미국 시러큐스 대학교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과를 이수했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한국디자인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82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조형대학 교수로 근무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디자인진흥원 전문위원을 역임했으며 1994년에는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를 설립하고 이사장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조형대학 명예교수로 근무했다. 1965년부터 2009년까지 12회에 걸쳐 개인전을 개최했고 1970년부터 2009년까지 열린 9차례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2012년에는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부터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 사생활 = = 봉상균은 소설가 박태원의 딸이기도 한 박소영과의 사이에서 2남 2녀(첫째 아들 봉준수, 첫째 딸 봉지희, 둘째 딸 봉지영, 둘째 아들 봉준호)를 두었다. 봉상균의 첫째 아들인 봉준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근무했고 봉상균의 둘째 아들인 봉준호는 영화 감독으로 활동했다. 봉상균의 첫째 딸인 봉지희는 패션 디자이너로 활동했으며 연성대학교에서 패션스타일리스트과 교수로 근무했다. = = 저서 = = 1988년 ~ 1990년 《기초 디자인》 (조형사) 1991년 《레이아웃 기법》 (조형사) 1991년 《현대 문양 디자인》 (조형사) 1992년 《한국의 전통색》 (KBS 한국방송공사·색채연구소 프로젝트) 1993년 《세계 심볼마크와 로고 도감》 (디자인오피스) = = 수상 = = 1952년: 대통령 표창 수훈 (한국 전쟁 참전 기념) 1953년: 화랑무공훈장 수훈 1998년: 대통령 표창 수훈 (교육자 정년 퇴임 기념) 2003년: 근정포장 수훈 *2012년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 헌액 = 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항 = = 마진수도 = 마진수도(馬津水道)는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장산도와 마진도 사이에 있는 수도이다. = = 해양지명 = = 제정 해양지명 : 마진수도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1313호, 2009년 12월 31일, 국토해양부장관, 대한민국 관보 대표위치(WGS-84) : 34°37´33.4˝N, 126°11´19.5˝E 범위 : 전남 신안군 장산면 장산도와 마진도 사이 길이 약 4 km, 폭 약 0.6-1.5km의 수도 = 분류:리투아니아의 종교 = = 폭주 = 폭주는 다음을 의미한다. 폭주(暴走): 무모한 주루를 의미하는 야구 용어 폭주(暴注): 폭설(설사)을 의미하는 의학 용어 폭주(暴酒): 술을 많이 마심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경기도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경기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 = 개표 결과 = = = = = 수원시 장안구 = = = = = = 수원시 권선구 = = = = = = 수원시 팔달구 = = = = = = 수원시 영통구 = = = = = = 성남시 수정구 = = = = = = 성남시 중원구 = = = = = = 성남시 분당구 = = = = = = 의정부시 = = = = = = 안양시 만안구 = = = = = = 안양시 동안구 = = = = = = 부천시 = = = = = = 광명시 = = = = = = 평택시 = = = = = = 양주시 = = = = = = 동두천시 = = = = = = 안산시 상록구 = = = = = = 안산시 단원구 = = = = = = 고양시 덕양구 = = = = = = 고양시 일산동구 = = = = = = 고양시 일산서구 = = = = = = 과천시 = = = = = = 의왕시 = = = = = = 구리시 = = = = = = 남양주시 = = = = = = 오산시 = = = = = = 화성시 = = = = = = 시흥시 = = = = = = 군포시 = = = = = = 하남시 = = = = = = 파주시 = = = = = = 여주시 = = = = = = 이천시 = = = = = = 용인시 처인구 = = = = = = 용인시 수지구 = = = = = = 용인시 기흥구 = = = = = = 안성시 = = = = = = 김포시 = = = = = = 광주시 = = = = = = 포천시 = = = = = = 연천군 = = = = = = 양평군 = = = = = = 가평군 = = = = = 전체 결과 =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2.0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경기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문재인 후보는 2위를 차지한 안철수 후보와 약 20%p 차이를 기록하면서 완전히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민주당계 정당은 이로써 16대 대선 이후 15년만에 경기도에서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2.91%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홍준표 후보와 적은 차이를 보이면서 경합을 펼쳤으나 여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2위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20.75%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홍준표 후보는 20%를 갓넘기는 득표율에 머무르면서 경기도에서 참패를 거두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6.92%의 득표율로 4위에 자리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6.84%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5위를 차지했다. = = = 주요 후보 결과 = = = 지역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수원시 장안구 81,392 (42.79%) 37,143 (19.52%) 43,344 (22.78%) 13,774 (7.24%) 13,660 (7.18%) 수원시 권선구 95,263 (43.05%) 42,801 (19.34%) 51,061 (23.07%) 15,482 (6.99%) 15,573 (7.03%) 수원시 팔달구 49,814 (40.50%) 27,782 (22.59%) 28,228 (22.95%) 8,218 (6.68%) 8,315 (6.76%) 수원시 영통구 105,181 (47.88%) 33,354 (15.18%) 46,872 (21.33%) 18,468 (8.40%) 15,086 (6.86%) 성남시 수정구 63,867 (42.90%) 28,395 (19.07%) 36,752 (24.69%) 9,315 (6.25%) 9,649 (6.48%) 성남시 중원구 62,729 (42.89%) 27,896 (19.07%) 36,512 (24.96%) 8,502 (5.81%) 9,599 (6.56%) 성남시 분당구 139,853 (41.47%) 71,332 (21.15%) 74,040 (21.95%) 30,351 (9.00%) 20,415 (6.05%) 의정부시 110,580 (41.03%) 57,027 (21.16%) 65,003 (24.12%) 17,254 (6.40%) 18,284 (6.78%) 안양시 만안구 70,454 (42.08%) 35,189 (21.02%) 38,671 (23.10%) 10,990 (6.56%) 11,275 (6.73%) 안양시 동안구 101,278 (44.03%) 43,072 (18.72%) 51,966 (22.59%) 17,577 (7.64%) 15,294 (6.64%) 부천시 239,697 (44.23%) 100,544 (18.55%) 128,297 (23.67%) 34,085 (6.29%) 36,775 (6.78%) 광명시 97,959 (44.91%) 39,081 (17.91%) 51,958 (23.82%) 13,835 (6.34%) 14,345 (6.57%) 평택시 104,574 (38.37%) 62,827 (23.05%) 64,057 (23.50%) 19,321 (7.08%) 20,128 (7.38%) 양주시 46,286 (38.33%) 29,739 (24.63%) 28,469 (23.58%) 7,602 (6.29%) 7,921 (6.56%) 동두천시 19,444 (35.22%) 15,733 (28.50%) 12,808 (23.20%) 3,201 (5.79%) 3,662 (6.63%) 안산시 상록구 98,564 (43.74%) 39,723 (17.62%) 55,067 (24.43%) 14,307 (6.34%) 16,558 (7.34%) 안산시 단원구 80,771 (43.30%) 33,862 (18.15%) 45,779 (24.54%) 11,938 (6.40%) 13,251 (7.10%) 고양시 덕양구 120,063 (41.95%) 55,157 (19.27%) 61,581 (21.51%) 18,038 (6.30%) 30,094 (10.51%) 고양시 일산동구 81,622 (43.47%) 34,980 (18.63%) 41,166 (21.92%) 13,989 (7.45%) 15,308 (8.15%) 고양시 일산서구 85,919 (44.73%) 35,147 (18.29%) 41,563 (21.63%) 13,991 (7.28%) 14,764 (7.68%) 과천시 16,528 (40.64%) 9,055 (22.26%) 8,736 (21.48%) 3,354 (8.24%) 2,814 (6.92%) 의왕시 43,869 (42.36%) 21,218 (20.48%) 23,602 (22.79%) 7,575 (7.31%) 6,902 (6.66%) 구리시 51,181 (41.59%) 26,113 (21.22%) 28,698 (23.32%) 8,167 (6.63%) 8,386 (6.81%) 남양주시 165,079 (41.61%) 86,026 (21.68%) 92,048 (23.20%) 25,471 (6.42%) 26,319 (6.63%) 오산시 52,358 (44.29%) 21,829 (18.46%) 27,201 (23.01%) 7,893 (6.67%) 8,415 (7.11%) 화성시 176,940 (45.99%) 69,014 (17.93%) 84,967 (22.08%) 26,194 (6.80%) 25,910 (6.73%) 시흥시 103,732 (43.52%) 43,248 (18.14%) 58,119 (24.38%) 14,846 (6.22%) 17,127 (7.18%) 군포시 82,551 (44.50%) 34,784 (18.75%) 41,883 (22.57%) 12,884 (6.94%) 12,595 (6.79%) 하남시 57,298 (41.38%) 31,793 (22.96%) 30,999 (22.39%) 9,680 (6.99%) 8,135 (5.87%) 파주시 107,148 (41.88%) 55,347 (21.63%) 54,921 (21.46%) 16,819 (6.57%) 20,208 (7.89%) 여주시 20,474 (31.32%) 21,581 (33.01%) 14,545 (22.25%) 3,936 (6.02%) 4,387 (6.71%) 이천시 44,109 (36.39%) 33,301 (27.47%) 26,695 (22.02%) 7,913 (6.52%) 8,489 (7.00%) 용인시 처인구 50,423 (37.56%) 33,153 (24.69%) 32,027 (23.86%) 8,707 (6.48%) 9,227 (6.87%) 용인시 수지구 95,325 (42.36%) 50,229 (22.32%) 47,125 (20.94%) 18,555 (8.24%) 13,042 (5.79%) 용인시 기흥구 116,017 (44.49%) 53,405 (20.47%) 55,393 (21.24%) 18,992 (7.28%) 16,026 (6.14%) 안성시 39,380 (37.14%) 26,693 (25.17%) 25,193 (23.76%) 6,427 (6.06%) 7,651 (7.21%) 김포시 93,697 (41.75%) 48,490 (21.61%) 51,081 (22.76%) 15,614 (6.95%) 14,517 (6.47%) 광주시 80,175 (40.38%) 45,030(22.68%) 46,829 (23.59%) 12,629 (6.36%) 12,860 (6.47%) 포천시 27,632 (30.67%) 28,030 (31.11%) 22,505 (24.98%) 5,781 (6.41%) 5,529 (6.13%) 연천군 8,384 (29.46%) 9,557 (33.59%) 6,805 (23.91%) 1,901 (6.68%) 1,581 (5.55%) 양평군 21,329 (30.18%) 24,800 (35.09%) 15,653 (22.14%) 4,216 (5.96%) 4,194 (5.93%) 가평군 10,873 (28.17%) 13,865 (35.93%) 9,089 (23.55%) 2,231 (5.78%) 2,103 (5.44%)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경기도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문재인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연천군과 가평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도 모두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보수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성남시 분당구, 과천시 등에서도 2위 후보와 큰 격차를 벌리면서 압승을 거두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전 지역에서 20%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경기도 전체적으로 고른 득표율을 보였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포천시, 가평군 등 경기도 외곽의 일부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는데 성공했다. 다만 고영시, 부천시, 광명시 등 경기도의 서부 지역에서는 10%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심한 부진을 겪었으며 수원시 영통구에서는 15.18%의 득표율로 최저 득표율을 얻기도 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5~7%대 득표율을 차지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지역구인 고양시 덕양구에서는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5~7%대의 득표율을 차지했다. 다만 유승민 후보는 수원시 영통구, 과천시, 용인시 수지구 등에서는 8%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선전했으며 성남시 분당구에서는 9.00%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최고 득표율을 달성했다. = 드래그 킹 = 드래그 킹(Drag king)은 성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남성적인 드랙을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마초 남성을 표현하는 일이 많고 엘비스 프레슬리처럼 남자 유명인처럼 꾸미기도 한다. = = 유명 인물 = = 머리 힐 = 분류:퍼지 논리 = = 돈바스 (영화) = 돈바스(Donbass)는 루마니아에서 제작된 세르게이 로즈니차 감독의 2018년 드라마 영화이다. 발레리우 안드리우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발레리우 안드리우타 보리스 카모르진 세르게이 콜레소프 = 고강초등학교 = 고강초등학교는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8년 2월 6일 = 임다 = 임다(, 1992년 2월 24일 ~ )는 아프리카TV BJ 겸 유튜브 임다TV운영자이다. 오프닝은 '아재개그 넘버 원 BJ임~다!'이다. 재밌는 입담과 유머 개그 로 인기를 끌었다. 2016년땐 오버워치 아프리카 BJ였으며,임품명품, 교복대회,삼행시, 임다를 그려라, 임다를 웃겨라, 임다 성대모사 등등 많은주제의 작은 대회를 주최해 시청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을 하며 토크온을 하고, 먹방 컨텐츠를 많이 업로드 했다. 현재 구독자 수는 뒷광고 논란 때문에 147만명으로 급격히 감소하다가 비공개로 전환했다가 다시 복귀해 영상들 일부를 공개 전환하고 구독자를 비공개로 하고 있다가 유튜브의 구독자 비공개 설정이 없어지게 따라서 구독자 수가 공개되었다. 2020년 12월 16일에 복귀하여 현재까지 방송을 하고 있다. = = 논란 = = = = = 유튜브 뒷광고 폭로 및 의료법 위반 논란 = = = 2020년 8월 8일 유튜브의 모든 영상을 비공개하였고, 아프리카TV 게시판을 삭제했다. 특히 의료와 관련된 광고 때문에 의료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 2020년 8월 12일에 유튜브에 사과영상이 올라왔다.최근 유튜브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 분류:보지푸리어 = = 분류:정치 이념별 핀란드 사람 = = The Lion and the Cobra = The Lion and the Cobra는 1987년 11월 4일에 발매된 시네이드 오코너의 음반이다. = 분류:의학 기술 = = 대한제분 = 대한제분(大韓製粉)은 1952년에 설립된 이래 제분업 및 소맥분 판매업 등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코스피 상장 기업이다. 곰표 브랜드가 유명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곰표 밀가루를 비롯하여 국수, 파스타 류와 튀김가루, 부침가루 등의 프리믹스 제품이 있다. 대한제분의 소맥분 시장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26%이다. 대한민국의 제분 산업은 시설 과잉과 소비 침체 등으로 어려운 상황이며 업체간 경쟁도 거세다. = = 역사 = = 1952년 12월 25일 설립한 후, 1970년 11월 25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했다. 대한제분은 밀가루 생산 뿐 아니라 빵을 직접 만드는 베이커리 사업에도 진출하기 위해 2012년 호텔신라의 자회사 보나비가 운영하던 베이커리 브랜드 아티제를 인수했다.삼성그룹의 비주력 사업 정리·매각의 역사 연합뉴스, 2014년 11월 26일 곰표 밀가루는 동네 빵집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브랜드였는데, 대형 베이커리를 인수하면서 동네 빵집들의 반발이 거세었다. 이에 경쟁업체인 한국제분과 동아원이 동네 빵집들을 상대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기도 했다.대한제분, 아띠제 인수가 절실했던 이유, 머니위크 May 11, 2012 = = 연혁 = = 1952년: 주식회사의 형태로 창립 1957년: 신관제분공장 신축 1970년: 대한사료공업(주) 인수,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상장 1971년: 대한싸이로(주) 설립 (미국 PIFCO사와 합작 투자) 1979년: 한국 보덴(주) 설립 (미국 BORDEN INC사와 합작 투자) 1985년: 프리믹스 제품 생산개시 1986년: 프리믹스 제품 일본 수출개시 1996년: 종합연구소 설립, 해외사무소 설치 1998년: 프리믹스 공장 신축 2001년: 신극동제분 인수, 부산공장 준공 2004년: 인천공장 준공 2006년: 부산공장 준공 2007년: 인천 프리믹스 공장 준공 2008년: 인천공장 물류자동화창고 신축 2012년: (주)보나비 (아티제) 인수 2016년: 신 CI변경 = = 역대 임원 = = = = = 명예회장 = = = 이종각 (2018년 ~ 2022년 2월) = = = 회장 = = = 이종각 (2009년 ~ 2018년) = = = 대표이사 회장 = = = 이한원(1969년 ~ 1978년) 이수남(1978년 ~ 1982년) 이종각(1978년 ~ 2009년) 이건영(2009년 ~ 현재) = = = 대표이사 사장 = = = 이한원 (1952년 ~ 1969년) 이종구 (1969년 ~ 1977년) 김정석 (1977년 ~ 1984년) 김종성 (1984년 ~ 1997년) 장석재 (1997년 ~ 2003년) 이정희 (2003년 ~ 2012년) 송영석 (2012년 ~ 2016년) = = 버핏 = = 2007년 워렌 버핏이 한국 방문 당시 한국 주식을 샀다고 밝힌 기업이다. 버핏은 신영증권, 대한제분, 한국전력, INI스틸(현 현대제철), 기아차 등을 샀으나, 포스코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 주식은 이미 모두 처분했다고 밝혔다. = 틀:Six = SIX: 분류:스위스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 =사용방법 = = * = 내 미래의 남편/유성 보이 = 내 미래의 남편/유성 보이(私の未来のだんな様/流星ボーイ)는 2009년 11월 11일 발매된 Berryz코보의 21번째 싱글이다. = = 트랙리스트 = = 내 미래의 남편 (私の未来のだんな様) 유성 보이 (流星ボーイ) #* 애니메이션 이나즈마 일레븐의 엔딩 #* 게임 이나즈마 일레븐 3의 주제가 내 미래의 남편 (私の未来のだんな様) (Instrumental) 유성 보이 (流星ボーイ) (Instrumental) = 휴먼 리소스 머신 = 휴먼 리소스 머신(Human Resource Machine)은 2015년에 투모로우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한 퍼즐 비디오 게임이다. 휴먼 리소스 머신은 사무실에서 벌어지는 미결 서류함과 기결 서류함 사이를 움직이는 종업원과 어셈블리어 형식과 하버드 아키텍처, 누산기 등의 개념을 차용하였다., 그리고 제목은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을 비꼬았으며, 플레이어는 아바타를 움직여 여러 퍼즐에 담긴 프로그램을 짜서 특정하게 일을 마무리 시켜야 한다. = =게임 플레이 = = 휴먼 리소스 머신은 총 40개의 프로그램으로 나뉘며, 각각은 플레이어의 아바타가 1년동안 회사에서 근무한 것으로 처리된다. 이 각각의 퍼즐에서 플레이어는 상사가 시키는대로 미결 서류함의 내용을 기결 서류함에 넣어야 한다. 플레이어에겐 어셈블리어의 간단한 동작들이 주어진다. = =개발 = = 휴먼 리소스 머신은 Kyle Gabler, Allan Blomquist 그리고 Kyle Gray가 설립한 투모로우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게임이다. Kyle Gabler는 이 게임을 가리켜 이전 작들과 같은 게임화를 다루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월드 오브 구(2D Boy 아래서 Kyle Gabler과 Ron Carmel이 개발)에서는 훅 법칙의 컨셉을 게임 아이디어 접목시켰으며, 리틀 인퍼르노에서는 게임 세계에서 시간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었다. 개발팀은 컴퓨터에서 쓰이는 기초적인 원리를 게임화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기초로 삼았다. = = 더 보기 = = 스페이스챔 TIS-100 = Beast of Burden = 〈Beast of Burden〉은 1978년 음반 Some Girls에 수록된 영국의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곡이다. 2004년, 롤링 스톤은 이 곡의 435위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에 선정했고, 역사상 가장 위대한 로큰롤 노래에 433위를 기록했다. = 衣 = 옷의(옷衣)은 한자 부수의 하나.'被', '複' 따위에 쓰일 때는 자형이 衤으로, 명칭은 옷의변(옷衣邊)으로 바뀐다. = = 衤과의 차이점 = = = = = 의미상의 차이 = = = 衤 부수에 속하는 한자는 보통 시간과 관련이 있고, 옷의변 부수에 속하는 한자는 몸이나 옷이 등과 관련이 있다. 衣의 예 : 裝(꾸밀 장), 製(지을 제), 表(겉 표) 등 옷衣변의 예 : 補(기울 보), 被(이불 피), 褙(소적삼 배) 등 = = = 형태상의 차이 = = = 옷의변(글자의 왼쪽)이나 발(글자의 아래쪽)로 사용되고, 보일시(示)는 방(글자의 오른쪽)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는 示가 부수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같다. 社(모일 사) = 土(흙 토) + 示 被(이불 피) = 皮(가죽 피) + 衣(→衤 ) + 又(또 우) 다만, 다음과 같은 예외사항이 있다. 票(표 표)와 祭(제사 제)의 示의 변으로 쓰였지만 옷의변이 아니다. 服(옷 복)의 경우 변으로 쓰인 月은 舟(배 주)의 변형이다. 하지만 月부에 속한다. 裡(속 이{리})의 衤는 방으로 쓰였지만 옷의변이다. = = 옥편에서 찾는 방법 = = 衣부에서 찾으면 변형되지 않은 衣부의 글자와 함께 들어 있다. = = 참고사항 = = 옷의변을 오른쪽으로 기울여 쓴 글자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服(옷 복)이 있다. 服은 衣(→기울인 衤) + 月(달 월)로된 글자이다. 그러나 이런 형태가 포함된 글자의 부수는 衣도 衤도 아닌 다른 부수이다. = 셀프 (프로그래밍 언어) = 셀프(Self)는 프로토타입 개념 기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셀프는 객체에 대한 프로토타입 기반 접근 외에도 동적 타이핑과 JIT 컴파일을 사용하는 스몰토크의 방언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 1990년대에 언어 디자인을 위한 실험적인 테스트 시스템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2006년, 셀프는 Klein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온전히 셀프로 작성된 셀프 가상 머신이었다 최신 버전은 2017년 5월 출시된 2017.1이다. 여러 JIT 컴파일 기법들이 셀프 연구에 개척되고 개선되었는데, 이는 최적화된 C의 최소 절반의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상당히 하이 레벨의 객체 지향 언어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셀프 개발 중 다수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기법들은 나중에 자바의 핫스팟 가상 머신에 적용되었다. 어느 시점부터 스몰토크의 한 버전은 셀프로 구현되었다. JIT를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 역사 = = 셀프는 제록스 PARC에서 일하던 David Ungar와 랜덜 스미스에 의해 1986년 대부분 개발되었다. = = 추가 문헌 = = Published papers on Self * = 강정구 (학자) = 강정구(姜禎求, 1945년 3월 18일 ~ , 경상남도 창녕군 출생)는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다.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후학을 양성하면서 통일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 = 학력 = = 부산고등학교 동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학위 템플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캠퍼스 대학원 사회학 석사 학위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캠퍼스 대학원 사회학 박사 학위 = = 경력 = = 1988년 ~ 2010년: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회장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공동의장 베트남진실위원회 대표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지도위원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서울지회장 = = 생애 = =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에 진학하였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무역회사에서 10여 년을 일하다, 아내가 공부하고 있던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미국 템플대학교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의 박사학위논문은 번역되어 '좌절된 사회 혁명: 미 점령하의 남한, 필리핀과 북한 비교연구'(1989, 열음사)라는 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귀국 후인 1988년부터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2010년 '나의 삶 나의 학문 - 냉전 성역 허물기와 평화통일만들기'란 주제의 고별 강연을 끝으로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하였다.강정구 교수는?…통일운동 앞장선 진보 사회학자(경향신문) 2006년 5월 26일자 1990년대에도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사회단체 활동으로는 1998년‘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공동의장에 피선되었고, 1999년부터 ‘베트남진실위원회’ 공동대표로 재직하고 있으며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의 지도위원,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의 서울지회장,민가협 양심수후원회 감사등을 역임하였다. 현 평통사 부설 평화통일연구소 소장으로, 한반도 평화협정(안)을 여러 연구자들과 함께 만들었다 = = = 대외활동 = = = = = = = 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 시절 = = = = 2001년 8월 17일 8·15 축전 때 만경대에 들러 방명록에 '만경대 정신 이어받아 통일 위업 이룩하자.'라고 써 친북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 방명록으로 말미암아 그는 국가보안법상의 찬양고무죄에 저촉돼 구속 기소되었다가 보석으로 풀려났다. 2005년 7월 27일 그는 데일리서프라이즈에 기고한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라는 글에서 이라고 기고함으로써 또다시 친북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에 당시 검찰은 그를 또다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 수사하려고 했다. 그러나 천정배 법무부 장관이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검찰에 대해 수사지휘권을 발동해 검찰 총장에게 불구속 수사를 하게 함으로써 구속하지 못했다. 김종빈 검찰 총장은 이에 반발하여 사임했다. 그가 기고한 글로 인해 친북 논란이 일고, 결국 검찰에 기소까지 되자 동국대학교는 2006년 2월 8일자로 그를 직위 해제하여 교수직은 유지하지만 강의는 배정받지 않고 있다. 2005년 10월 강정구는 '극우 수구단체에서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비판하였으며, '학술 자유의 걸림돌로 보통 사람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학문신비주의'를 예로 들면서 "민중과 결합하지 않고 고고만 엘리트로서 그들만의 고준담론을 펼쳐서는 안된다"고 비판 하였다. [쿠키뉴스]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2006년 3월 8일 동국대학교 교정에서 야외천막 강연을 준비하였다가 국민행동본부·자유넷·자유수호국민운동 등 10여개 보수단체 소속회원들의 물리적 충돌로 무산되고 장소를 이동하여 강연하였다.때리고, 부수고... 폭력으로 무산된 천막강의 - 오마이뉴스 언론 활동으로는 한겨레 신문과 데일리 서프라이즈 등에 기고활동을 하였다. = = 논란 = = = = = 공산주의 발언 논란 = = = 2005년 9월 30일 한반도 정세 토론회에서 "6·25전쟁은 통일 내전 광복 후 공산주의를 택했어야 했다"는 발언을 했다. 또한 "6·25전쟁에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으면 한 달 안에 전쟁은 끝났고 인명 피해는 1만 명 이하였을 것"이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 발언에 대해 보수진영뿐만 아니라 일부 진보진영에서도 6.25전쟁의 책임을 도외시한 위험한 주장"이라는 비판을 받았다.‘강정구 발언’ 논란…일부 진보진영도 “姜교수 아주 위험" 동아일보 이에 대해 강정구는 민주노동당 인터넷 기관지 판갈이에 실은 칼럼을 통해 “진보 진영의 비판은 얼치기”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강교수가 속한 동국대는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학생 모두를 친북반미로 몰아 사회 진출을 막을 것이냐는 계속된 항의 등으로 암담함을 느낀다"며 강교수 발언에 유감의 뜻을 표했다동국大 "강교수 발언 심히 유감" 한국일보 이에 대해 강원용은 2005년 10월 20일 특별 기자회견에서 "대학교수가 대한민국 땅에서 해서는 안 될 말을 했다. 미군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전쟁도 빨리 끝나고 통일도 됐을 것이라는 주장을 북한에서는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6·25전쟁 때 시골에서 구덩이를 파고 거기 숨어서 지냈다.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해 들어온다는 소식에 그때 구덩이 속에 함께 있던 사람들이 일시에 일어서서 춤을 췄다. 이런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 대한민국 땅에서는 그렇게 말할 수 없는 것이다."라며 강정구를 비판했다.('정체성 혼란' 한국號 어디로 가나)강원용 목사에게 듣는다 동아일보 2005년 10월 20일자 = = = 친일파 문제 논란 = = = 2005년 9월 30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주최 토론회에서 "한·미동맹이 없었다면 친일파 후예들이 정치사에 발붙일 수 없었다"고 하였다.조순형 “부친 조병옥박사 친일파 매도… 姜교수 고소” 동아일보 2005-10-17일자 기사 그리고 친일파후예의 대표적 사례로 조 전 대표와 박관용(朴寬用) 전 국회의장,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 열린우리당 신기남(辛基南) 의원 등을 언급했다. 조병옥 등이 친일파로 언급되자, 2005년 10월 16일 조병옥의 아들, 국회의원 조순형은 강정구를 부친인 유석 조병옥(維石 趙炳玉) 박사를 친일파로 거론한 동국대 강정구 교수를 사자(死者)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하겠다고 언론에 발표, '조병옥 선생 기념사업회'와 함께 17일 제출할 고소장에서 "고 조병옥 박사는 일제강점기에 광주학생 항일운동과 흥사단사건 등으로 5년여의 옥고를 치러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며 "강 교수의 허위 발언으로 그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언론에 발표했다. = = = 미국 주적 논란 = = = 인터넷신문 ‘데일리서프라이즈’에 올린 기고문에서 “북한이 한반도 전쟁의 주범이나 주적이 아니라 미국이 바로 주범이고 주적”이라며 “전쟁주범이면서 주적인 미국에게 한미동맹과 한미공조 운운하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도둑에게 곳간 열쇠를 맡기는 것과 같은 자살행위”라고 주장해 논란이 일었다.강정구 "한국의 주적은 미국" '망언' :: 네이버 뉴스 = = = 심야토론 사생활 보도 논란 = = = 2005년 10월 14일 'KBS 심야토론'에서 한 패널이 한 발언에 대해 강정구의 배우자가 생방송 도중 전화를 걸어 사과를 요구하였다.姜교수 부인 방송중 사과 요구 놓고 논란 동아일보 2005-10-17 14일 밤 방송된 'KBS 심야토론'의 '강정구 교수 사법처리 논란' 편에서 패널 중한 명으로 참여한 강용석 변호사는 강 교수 두 아들의 직업과 군 경력을 두고 비판적인 견해를 내놓았다. 토론에서 변호사 강용석은 미국에서 로스쿨을 졸업하고 로펌(법률회사)에 다니는 강정구의 장남을 지목하며 "강 교수의 큰아들이 다니는 로펌은 강 교수의 시각에서 보면 미제국주의와 자본주의를 전파하는 첨병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고, 카투사에서 군복무한 둘째 아들에 대해서는 "'미국은 학살자'라면서 둘째 아들은 왜 카투사에 보냈느냐"며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강정구의 배우자는 제작진에게 전화를 걸어 "(강 변호사의 발언은)명백한 인신공격"이라면서 "사과하지 않으면 소송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진행자 정관용은 이런 내용을 강용석에게 전했지만 강용석은 사과할 뜻이 없다고 밝혔다. = = = 법원의 판결 = = = 2006년 5월 26일 법원은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 했다. 6·25 통일전쟁론’을 편 데 대해 법원은 “북한의 대남 적화혁명론에 동조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주장에 해당한다. 자극적 표현으로 국가의 존립과 안전을 해칠 수 있는 선동적 표현을 한 데 대해 엄격한 사법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심판했다.‘강정구 적화혁명론’과 법원의 유죄선고 문화일보 이에 대해 보수단체는 더 강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진보단체는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면서 충돌을 빚었다.강정구 교수 집행유예…법원밖에서 진보보수 단체 실랑이 쿠키뉴스 2007년 11월 13일에 내려진 항소심에서도 법원은 같은 판결을 내렸다.강정구 동국대 교수 항소심도 집유3년 :: 네이버 뉴스 = = 기타 = = 한국의 1990년·2000년대의 대표적 반공 논객인 조갑제(趙甲濟)와 부산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강정구-조갑제, 알고보니 부산高 동기동창 동아일보 2005년 10월 14일자 기사극과 극은 통한다? 조갑제-강정구 알고보니 고교 동창 중앙일보 2005년 10월 24일자 기사 한국기독교장로회 향린교회에 출석하였다. = = 저서 = = 분단과 전쟁의 한국현대사 현대 한국사회의 이해와 전망/한울, 2000 우리에게 미국은 무엇인가 민족의 생명권과 통일/당대, 2002. = 틀:대한민국의 채권법 = = 섹스 스캔들 = 섹스 스캔들은 폴란드에서 제작된 마리아 사도프스카 감독의 2021년 드라마,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줄리오 베루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줄리오 베루티 파울리나 갈라즈카 카타르지나 피구라 = 아르메니아의 파르타마시리스 = 파르타마시리스(Parthamasiris) 또는 파르타마시르 (Partamasir), 파르토마시리스(ParthomasirisMommsen, Th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from Caesar to Domitian, p. 66, 114년 사망)는 파르티아의 왕족으로, 로마의 위성국 시절이던 아르메니아의 왕이었다. 파르타마시리스는 파르티아의 왕 파코로스 2세와 이름 불명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3 형제 중 한 명이었다.Potts, Araby the Blest: Studies in Arabian Archaeology, p. 151 아버지를 통해 그는 파르티아 왕가의 일원이었고 따라서 아르메니아의 아르사케스 왕조와도 친척 관계였다.Farrokh, Shadows in the Desert: Ancient Persia at War, pp. 159-8 아르메니아 왕위에 오르기 이전 그의 생애에 대해선 알려진 것은 없다. 113년에, 파르타마시리스의 숙부인 오스로에스 1세가 그의 형제 악시다레스를 아르메니아 왕위에서 내쫓고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와 전쟁을 피함과 동시에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웠다.Potts, Araby the Blest: Studies in Arabian Archaeology, pp. 150 & 151Yarshater,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 p. 87 악시다레스는 로마와의 협의 없이 숙부에 의해서 아르메니아 왕위에서 내쫓겼는데 이는 트라야누스가 오스로에스 1세의 행동을 파르티아가 전쟁을 걸어온 것으로 보게 하였다.Bunson,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p. 303 군대와 같이 트라야누스가 파르티아로 진격할 때, 그는 파르타마시리스와 접견을 했었다. 파르타마시리스는 아르메니아 왕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을 바랐지만, 그러나 트라야누스가 그의 이야기를 듣고 왕위를 유지시켜달라는 요청을 거절하면서 그의 바람은 거부되었다.Bunson,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p. 313 파르타마시리스의 요청을 거부한 뒤, 트라야누스는 아르메니아를 로마의 속주로 합병했다. 트라야누스는 파르타마시리스를 파르티아에 있는 그의 고향으로 돌려보냈고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 군사 작전을 이어나갔다. 파르타마시리스는 되돌아가던 중에, 행방불명되고 마는데 역사가 Ehsan Yarshater는 트라야누스가 파르타마시리스의 살해를 명령했을 수 있다며 추측하였다.Yarshater,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 p. 88 = 분류:2017년 K7리그 고창 경기장 = = 분류:2001년 기재된 파충류 = = 분류:세이셸의 항공사 = = 타피오 라우타바라 = 카이 타피오 라우타바라(, 1915년 3월 8일 ~ 1979년 9월 25일)는 핀란드의 육상 선수이자, 가수와 배우이기도 하였다. 노키아에서 미혼모에게 태어난 라우타바라는 몇몇의 스포츠에서 선수, 그리고 가수와 배우로서 명성을 얻었다. 학교를 마친 후에 해군에 입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육군으로 옮겨 전선에서 싸우는 데 2년을 보냈다. 전쟁이 끝난 후, 라우타바라는 창던지기 선수로서 경연에 나갔으며,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거기에 추가로 1946년 유럽 선수권 3위를 하고, 5회의 국내 챔피언(1944~45, 1947~49)이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최고의 양궁 선수였으며, 1958년 세계 단체 선수권을 우승한 핀란드 팀에 속하였고 1955년 국내 양궁 챔피언이었다. 라우타바라는 자신의 노래와 연기로 핀란드에서 최고로 기억되는 편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에 핀란드 순회 공연을 가져 300개 이상의 노래들을 녹음하였다. 전쟁이 끝나자 그는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연기하기 시작하고 20개 이상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1979년 9월 25일 반타에 있는 티쿠릴라 수영 센터에서 미끄러져 쓰러진 그는 바닥에 자신의 머리를 부딪치고 말았다. 그는 바로 병원으로 바로 옮겨졌지만 가벼운 부상으로 여긴 병원 측의 오판으로 간단한 조치만 받고 퇴원하였으나 다음 날 밤에 헬싱키의 자택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 = 화승총 = 화승총(火繩銃, , )은 불이 붙은 화승을 점화구에 갖다 대어 총알을 발사하는 총이다. 화승식 총은 개인용 화기에서 최초로 사용된 화기 작동 방식으로, 서양의 아쿼버스, 일본의 종자도총 등이 이 방식을 사용했다. 이후 부싯돌을 사용하는 수발총으로 대체되었다. = = 역사 = = 화승총은 15세기 중반 유럽에서 출현했다. 화승식 격발 방식을 설명한 최초의 문헌은 1475년의 것이며, 그보다 40여년 전에는 용두의 개념도 출현해 있었다.Petzal, David E., and Bourjaily, Phil, with Fenson, Brad. The Total Gun Manual (Canadian edition) (San Francisco: WeldonOwen, 2014), p.5 16세기에 이르자 화승총은 유럽 전역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한편 David Nicolle는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군단이 1440년대부터 화승총을 사용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증명되지 않은 주장이다. Robert Elgood은 15세기 오스만과 이탈리아에서 아르퀘부스를 사용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핸드 캐논을 의미하는 것일 뿐 화승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 역시 화승총이 1470년대에 독일에서 개발되었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Firearms of the Islamic world in the Tareq Rajab Museum, Kuwait By Robert Elgood 1526년에는 개량된 화승식 머스킷이 바부르에 의해 인도에 전해졌다. 중국은 화약과 화기를 최초로 발명한 나라로, 유럽인들은 중국에서 사용된 원시적인 핸드 캐넌을 개량하여 화승식 메커니즘을 개발했다. 하지만 화승총의 개념은 포르투갈인들을 통해 중국에 전해졌다. 16세기에 중국에 도착한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중국에 전해진 화승총은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The defences of Macau: forts, ships and weapons over 450 years, Richard J. Garrett,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0 P.4 화승총은 1543년 포르투갈인들을 통해 최초로 일본에 소개되어 종자도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Olof G. Lidin,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NIAS Press, 2002 P.1-14 종자도총은 인도 고아의 병기창에서 제조된 완발식 화승총(Snap Matchlock)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The bewitched gun : the introduction of the firearm in the Far East by the Portuguese, by Rainer Daehnhardt 1994 P.26 일본인들은 이 당시 칼날 등에 쓰이는 단강(鍛鋼)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력을 소지하고 있었기에 강화된 황동 용수철을 화승총에 즐겨 사용했다. ‘종자도총’이라는 이름은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타고 있던 정크가 폭풍으로 표류한 섬, 종자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섬의 영주 다네가시마 토키타카(1528년 ~ 1579년)은 포르투갈인들에게 두 정의 화승총을 선물받고 도검 제작자들에게 명해 그 화기 작동 방식과 총신을 복제하도록 했다. 종자도총은 불과 몇년 만에 일본의 전쟁 형태를 바꿔 버렸다. = = 문제점 = = 불을 붙여야 하다 보니 화상과 폭발의 위험이 있었다. 바람이 많이 불 때는 화약이 날라가거나, 심지가 움직여서 사수의 안면부하고 손등에 화상을 입는 일도 적지 않았다. 화약이 안에 내장되어 있어 안에서 폭발하며 총기에 파손이 잦았다. 심지어 비가 내리면 화약이 빗물에 젓어 장전하기가 매우 어렵다. = = 종류 = = 뇌관총 수석총 종자도총 조총 아쿼버스 머스킷 = E. 가와시마 = = 분류:벌 문장 = = 남해 운곡사 = 남해 운곡사(南海 雲谷祠)는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에 있는, 당곡 정희보 선생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1호 운곡사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 = 개요 = = 당곡 정희보 선생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당곡 정희보 선생은 정주학을 깊이 연구한 대학자로 벼슬길을 마다하고 후진양성에 노력한 분이다. 조선 철종 4년(1853)에 세운 이 건물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해체되었다가 고종 11년(1874)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 문화방송 목금드라마 = 문화방송 목금드라마는 문화방송에서 목요일과 금요일 밤 10시대에 방송되었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MBC TV 1981년 4월 2일 ~ 1982년 2월 11일 매주 목 밤 10시 5분 85분 MBC TV 1982년 2월 18일 ~ 1983년 3월 11일 매주 목,금 밤 9시 50분 45분 MBC TV 1983년 3월 31일 ~ 1983년 10월 28일 매주 목,금 밤 10시 10분 60분 MBC TV = = 작품 리스트 = = 《제1공화국》 : 1981년 4월 2일 ~ 1982년 2월 11일 (목요일만 방영) 《장희빈》 : 1982년 2월 18일 ~ 1982년 4월 30일 (전체 방송 기간 : 1981년 10월 5일 ~ 1982년 4월 30일. 여기부터 목 · 금요일 방영) 《서궁마마》 : 1982년 5월 6일 ~ 1982년 7월 30일 《은장도》 : 1982년 8월 5일 ~ 1982년 10월 29일 《황진이》 : 1982년 11월 4일 ~ 1983년 3월 11일 《추동궁 마마》 : 1983년 3월 31일 ~ 1983년 7월 1일 《뿌리깊은 나무》 : 1983년 7월 8일 ~ 1983년 10월 28일 (전체 방송 기간 : 1983년 7월 8일 ~ 1983년 12월 12일) 《엄마의 방》 : 1985년 5월 2일 ~ 1985년 5월 31일 (전체 방송 기간 : 1985년 1월 9일 ~ 1985년 5월 31일) 《억새풀》 : 1985년 6월 6일 ~ 1985년 10월 18일 (전체 방송 기간 : 1985년 6월 6일 ~ 1985년 12월 26일) * = 케르겔렌 제도 = 케르겔렌 제도(, 공식명칭 Archipel des Kerguelen 또는 Archipel Kerguelen)는 데솔라숑 제도(Desolation Islands)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남인도양의 군도(群島)로, 케르겔렌 해대(Kerguelen Plateau) 위에 솟아 있다. 아델리랜드(남극 조약에 따라 국제적으로는 인정받지 못함), 크로제 제도, 암스테르담섬, 생폴섬 등과 함께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을 이룬다.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의 다른 지역처럼 원주민은 전혀 없고 50~100명 정도의 프랑스 과학자, 기술자, 연구자들만이 상시 거주한다.Sea Level Measurement and Analysis in the Western Indian Ocean, UNSECO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섬에서 남동쪽으로 450km 정도 떨어진 지점에는 오스트레일리아령 무인도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가 있다. 중심지는 포르토프랑셰(Port-aux-Français)로, 과학 연구동과 실험실, 병원, 도서관, 체육관, 술집(pub), 성당 등의 시설이 있다. 본섬인 그랑테르(Grande Terre)섬은 면적 6,675km2이며, 그 주위에 3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면적은 7,215km2이다. 기후는 거칠고 냉량하며, 연중 강한 바람이 잦다. 그러나 북반구의 비슷한 위도에 있는 알래스카나 알류샨 제도처럼 추위가 혹독하지는 않다. 공항은 없으며 외부와의 모든 연락은 선박편을 이용해야 한다. 이 섬은 1772년 2월 12일 브르타뉴 출신의 항해자 Yves-Joseph de Kerguelen-Trémarec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다음날 Charles de Boisguehenneuc이 이 섬에 상륙하여 프랑스 왕령에 속함을 선포하였다. = 분류:MacOS API = OS X에는 수많은 API 및 프레임워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 항저우 스파크 = 항저우 스파크는 중국의 e스포츠팀으로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를 연고로 하고 있으며 현재 오버워치 리그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 지구 소속이다. = = 주요 성적 = = 오버워치 리그 2019 스테이지 2 4강 플레이오프 오버워치 리그 2019 스테이지 3 8강 플레이오프 오버워치 리그 2019 통합 4위 ESM-OW 상하이 마스터즈 인비테이셔널 2019 4강 오버워치 리그 2020 5월 난투 아시아 6강 플레이오프 오버워치 리그 2020 서머 쇼다운 아시아 6강 플레이오프 오버워치 리그 2020 카운트다운컵 아시아 준우승 = = 선수 명단 = = 감독 : 황지섭 코치 : 천충싼 이름 아이디 포지션 김경보 GodsB DPS 강재환 Adora DPS 천기현 Ado DPS 박민호 Architect DPS 쉬추린 Guxue TANK 박성욱 Ria TANK 송상현 SASIN TANK 유성준 QoQ TANK 류지밍 M1ka SUPPORT 박호진 iDK SUPPORT 퉁샤오둥 ColdesT SUPPORT 윤희창 BEBE SUPPORT = 분류:1941년 유럽 = = 분류:폴란드의 인구 = = 뒤벤도르프 = 뒤벤도르프는 스위스 취리히주에 있는 우스터구에 있는 자치체이다. 스위스 취리히 근교에 있는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30,000명이다. 취리히, 빈터투어, 우스터에 이어 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 소말리아의 경제 = 소말리아의 경제는 20년간의 내전에도 불구하고 주로 가축, 해외로부터의 송금/돈 및 통신에 기반을 둔 비공식 경제로 살아남았다. 소말리아는 유엔에 의해 후진국으로 분류되며, 소말리아 인구의 대다수가 생계를 위해 농업과 가축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 공식 통계가 부족한 데다 최근 내전까지 겹치면서 경제 규모나 성장률을 가늠하기 어렵다. 1994년 CIA는 구매력 평가에서 GDP를 33억 달러로 추정했다. 2001년에는 41억 달러로 추정되었다. CIA는 2009년까지 PPP GDP가 57억3100만 달러까지 성장했으며, 실질 성장률은 2.6%로 예상된다고 추정했다. 2014년 국제 통화 기금(IMF)은 1차 부문과 2차 부문의 성장에 따라 경제활동이 3.7% 확대된 것으로 추정했다. 2007년 영국 상공회의소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부문은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성장을 경험했다. 대부분의 서비스와 산업 부문이 정부가 운영하던 내전 이전과 달리 상업 활동에 대한 실질적 민간 투자는 측정되지는 않았지만 있었다. 이것은 소말리아 디아스포라에 의해 대부분 자금이 지원되었고 무역과 마케팅, 송금 서비스, 교통, 통신, 수산 장비, 항공, 통신, 교육, 보건, 건설, 호텔을 포함한다. 유엔 개발 계획(UNDP) 소말리아에 따르면 소말리아는 2012년 현재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개발지표와 0.285의 "놀랍도록 낮은" 인간 개발 지수(HDI)를 가지고 있다. 비교 가능한 자료가 있다면 이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 중 하나일 것이며 소말리아에 존재하는 상당한 불평등에 대해 조정했을 때 HDI는 더 낮다. 대통합민주신당은 "갈등의 주요 요인인 상이한 사회 집단에 걸친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말리아의 경제는 전통적인 생산과 현대적인 생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차 현대적인 산업 기술로 전환되고 있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인구의 약 80%가 염소, 양, 낙타, 소를 키우는 유목 또는 반유목 목회자이다. 유목민들은 또한 그들의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나뭇진과 껌을 모은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소말리아 경제는 소말리아 내전에 수반된 국가 실패의 결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유주의자인 피터 리슨을 포함한 일부 경제학자들은 소말리아가 약탈적이었기 때문에 국가의 붕괴가 실제로 경제적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해왔다. = = 경제지표 = = 아프리카 개발 은행에 따르면 소말리아는 "경제 및 사회 기초 통계가 심각하게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소말리아의 국가 실패 이전에도 종종 신뢰할 수 없었지만, 내전과 제도 붕괴로 인해 이러한 상황은 악화되었다. 세계은행은 소말리아의 국내총생산(GDP)이 1990년 9억1700만 달러, 2014년 총인구가 1342만 명이었으나 2018년 현재 1500만 명으로 증가해 이후 전체 인구가 약 12% 증가했다고 보고 있다. 세계은행은 2018년 연간 GDP를 괌, 키르기스스탄과 비슷한 62억 달러로 추산하고 저소득 국가로 분류했다. 유엔 통계국은 2005년 23억1600만 달러, 2010년 10억7100만 달러에 비해 2012년 GDP는 13억3600만 달러라고 발표했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세계은행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소말리아의 1인당 GDP는 230달러로 1990년에 비해 실질적으로는 소폭 감소했다. 2012년 인간 개발 보고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평균 GDP가 1인당 1,300달러인 것에 비해 1인당 GDP는 284달러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1인당 GDP 수치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낮은 수치이다. 인구의 약 43%가 하루에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도시 지역의 약 24%, 농촌 지역의 약 54%가 생활하고 있다. 유엔 개발 계획(UNDP)에 따르면 소말리아는 2012년 현재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개발지표와 0.285의 "놀랍도록 낮은" 인간 개발 지수(HDI)를 가지고 있다. 비교 가능한 자료가 있다면 이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 중 하나일 것이며 소말리아에 존재하는 상당한 불평등에 대해 조정했을 때 HDI는 더 낮다. 대통합민주신당은 "갈등의 주요 요인인 상이한 사회 집단에 걸친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은 1971년 소말리아 개발정책위원회가 이런 식으로 국가를 분류하기 시작한 이래 소말리아를 최빈국으로 분류해 왔다. 소말리아에 파견된 국제 통화 기금(IMF)은 2014년 GDP 성장률이 3.7%, CPI 인플레이션이 -71.10%로 추정된다고 보고했다. 보고서는 소말리아의 안보 상황이 완만하게 개선되고 가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중기 경제 성장률은 평균 5%가 되어야 하지만, "성장은 빈곤과 성 격차를 해소하기에 불충분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말리아 인구의 73%가 2016년 빈곤선 이하로 살고 있다. = = 국가 실패 및 경제 복지 = = 세계은행에 따르면 1988년 내전이 발발한 지 2년 만에 소말리아 국가기관이 붕괴되고 "경제 사회 기반시설과 자산 대부분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2003년 이 은행은 국가와 기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말리아 민간 부문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했지만, "투자, 훈련된 인력 부족, 규칙과 규정, 공통 기준 및 품질 관리를 시행하기 위한 관련 법률 및 규제 프레임워크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의 부문이 현재 정체 상태에 있거나 성장을 방해받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공식적인 금융 서비스 및 규제 기관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내 저축액을 투자에 활용하고 장려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측은 국가기관의 부족이 국제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을 막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 = 농업 = = 농업은 가장 중요한 경제 분야이다. 이는 GDP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동력의 65%를 고용하고 있다. 가축은 GDP에 약 40%, 수출 수익의 50% 이상을 기여한다. 다른 주요 수출품은 생선, 숯, 바나나이며 설탕, 수수, 옥수수는 국내 시장을 위한 제품이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물자 수입은 연간 약 4억6000만 달러에 달하며 1991년 내전이 시작되기 전까지 총수입액을 회복하고 이를 넘어서기도 했다. 연간 약 2억 7천만 달러에 달하는 수출도 전쟁 전 총 수출 수준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연간 약 1억 9천만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무역적자는 소말리아인들이 디아스포라에서 보낸 송금액이 훨씬 초과해 수입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아라비아 반도 근처에 위치해 있다는 장점 때문에 소말리아 무역업자들은 페르시아만 아랍 가축과 육류 시장에서 호주의 전통적인 지배력에 도전하기 시작했으며 매우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동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축산물 수출 인프라를 구축하고 아랍에미리트(UAE)가 대규모 농지를 매입하는 등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들이 이 지역에 대한 전략적 투자에 나섰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의 어선들은 북부 푼틀란드 지역에서 상업적인 어업협정을 체결했다. 2012년 소말리아가 300만 마리의 양을 수출하면서 중동으로의 실황 수출은 200만 마리였던 호주 수출을 추월했다. 오스트레일리아 농업자원경제국에 따르면 호주 가축 수출의 99%가 중동으로 향하고 있다. 그러나 2006년 이후 "아프리카와 동유럽의 양 수출로 인한 수출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10% 감소하였다. 2014년 50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이 수출돼 2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웃 소말릴란드에는 소말리아어로 "세일라드"로 알려진 아프리카의 뿔의 가장 큰 축산물 시장도 위치해 있으며, 부라오와 이로웨 시장에서는 매일 1만 마리나 되는 양과 염소가 판매되고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베르베라 항을 통해 걸프만으로 출하된다. 시장은 아프리카의 뿔 전역에서 온 가축을 취급한다. 유향과 몰약은 소말리아의 중요한 수출품이다. 에티오피아, 케냐와 함께 소말리아는 세계 3대 제품 공급국 중 하나이다. = = 제조업 = = 농산물의 가공을 기반으로 하는 중간 산업 부문은 소말리아 GDP의 10%를 차지한다. 1991년 내전 발발 전, 약 53개의 국영 중소기업과 대형 제조업체가 무너지고 뒤이은 분쟁으로 인해 남은 많은 산업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주로 소말리아 디아스포라의 상당한 현지 투자의 결과로, 이러한 소규모 공장들 중 다수가 다시 문을 열었고 새로운 공장들이 만들어졌다. 후자는 북쪽에 있는 생선 통조림과 육가공 공장을 비롯해 파스타, 광천수, 과자, 비닐봉지, 가죽과 가죽, 세제 및 비누, 알루미늄, 폼 매트리스와 베개, 어선, 포장, 석가공 등을 제조하는 모가디슈 지역 약 25개 공장이다. 특히 2001년 보사소, 하르게이사, 모가디슈 등지에서 경공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경제에 대한 기업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모가디슈에 830만 달러 규모의 코카콜라 병용 공장이 문을 열었고 소말리아 각 선거구에서 투자자들이 몰려들었다.Amid Somalia's troubles, Coca-Cola hangs on - Africa & Middle East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제너럴 모터스, 돌 푸드 컴퍼니 등의 해외 투자 유치도 다양한 분야로 이어졌다. = = 항공 산업 = = 내전이 시작된 후 소말리 항공의 모든 운항은 1991년에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World of Information (Firm), Africa Review, (World of Information: 2003), p.299. 2014년까지 6개 이상의 소말리아 소유 민간 운송업체들이 그 격차를 메우고 있었다. 다알로 항공, 주바 항공, 아프리카 익스프레스 항공, 동아프리카 540, 센트럴 에어, 하자라 등이 이 중 하나였다. 다알로와 주바는 2015년 아프리카 항공 동맹으로 통합됐다.Regional airlines merge as Somali airspace draws competition, AlArabiya.net, 17 February 2015 2012년과 2013년 소말리 항공의 재취항 준비 보고에도 불구하고, 2015년 2월 다알로 항공과 주바 항공의 합병을 논의한 알 아라비야 보도에 따르면 1991년 소말리아 항공의 사망 이후 공식적인 소말리아 국적 항공사는 없었다고 한다. = = 건설 =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은 2015년 모가디슈의 보안 여건 개선 결과 모가디슈에 새로운 기반시설 건설과 기존에 버려진 빌라 수리 작업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중앙정보국의 월드 팩트북은 소말리아의 다른 지역으로 개발이 확산되지 않았으며, 모가디슈의 기업들에게는 보안이 주요 관심사라고 밝히고 있다. = = 통신 및 미디어 = = 소말리아의 통신 시스템은 1991년에 일어난 전투 중에 파괴되었다. 2010년까지 다양한 새로운 통신 회사들이 이러한 누락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었다. 소말리아 기업가들이 자금을 지원하고 대한민국, 중국, 유럽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이 신생 통신회사들은 대륙의 다른 지역에서는 구할 수 없는 저렴한 휴대 전화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은 휴대폰을 통해 송금 및 기타 은행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싸움으로 인해 회사들의 운영은 제약을 받았다.Telecom Firms Thrive in Somalia Despite War, Shattered Economy – The Wall Street Journal 2004년, 유선전화의 설치 시간은 3일이었고, 남쪽의 케냐에서는 대기자 명단이 여러 해였다. 2004년 인터뷰에 응한 통신사들은 "모든 것이 보안에서 비롯된다"는 효과적인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절박하다"고 말했다. 현재 1,000명당 약 25개의 간선이 있으며, 전화선(텔레밀도)의 지역 가용성은 인접 국가보다 높아 인접한 에티오피아보다 3배나 높다. 소말리아의 대표적인 통신회사로는 골리스 텔레콤 그룹, 호르무드 텔레콤, 소마폰, 네이션링크, 넷코, 텔레콤, 소말리아 텔레콤 그룹이 있다. 호르무드 텔레콤만 해도 연간 약 4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경쟁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 기업 중 3곳은 2005년 가격을 설정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상호 연결성 계약을 체결했다. 2010년 보고서는 소말리아 통신 산업의 확대가 소말리아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가장 분명한 신호 중 하나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2005년 현재 20개의 소말리아 신문사, 12개의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 그리고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들이 있다.Somalia - 2003 Annual Report – Reporters Without Borders = = 금융 = = 소말리아 중앙은행은 소말리아의 공식 통화 당국이다. 금융관리 측면에서는 통화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업무를 모두 떠맡는 과정에 있다.Central Bank of Somalia - Monetary policy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2013년 소말리아 중앙은행이 "적절한 인적, 물적, 재정자원이 부족해 장애인이지만 통화정책을 장악하고 새로운 통화를 발행하면 인플레이션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당시 소말릴란드에는 중앙은행도 있었지만, 주요 역할은 정부에 대한 국고 역할을 하고 화폐를 발행하는 것이었다. 현지 통화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기 때문에, 미국 달러는 소말리아 실링과 함께 교환 수단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달러화에도 불구하고 소말리아 실링의 대량 발행은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완전히 통제하고 민간부문이 도입한 현재 유통중인 통화를 대체할 때 인플레이션 환경을 끝낼 것이라고 말한다. 소말리아는 1991년 내전 발발 이후 2009년 소말리아 중앙은행이 재설립된 이후 15년 이상 중앙통화권한이 없었다. 은행 간 이체가 불가능해 비공식 은행망 역할을 해온 사금송금사업자(MTO)가 부상했다.Central Bank of Somalia - Payment system 이들 송금회사(하왈라)는 소말리아에서 대규모 산업이 되었으며, 소말리아에서는 매년 16억 달러가 송금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후자는 다하브쉬일, 카란 익스프레스, 무스타크발, 아말 익스프레스, 카아 익스프레스, 호단 글로벌, 올림픽, 아마나 익스프레스, 이프틴 익스프레스, 타와칼 익스프레스 등이다. 대부분은 소말리아 송금 부문을 규제하는 상위 조직인 소말리아 송금 협회 또는 그 전신인 소말리아 금융 서비스 협회의 신임 회원이다. 소말리아는 송금 의존도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은 나라이다. 대부분의 송금은 소말리아에 본사를 둔 소말리아에 있는 친척들에게 보내진다. 이는 소말리아 경제의 20~50%를 차지한다. 다합실은 알바라카트가 비운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소말리아 송금업자 중 가장 큰 회사이다. 이 회사는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144개국에 걸쳐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영국에만 130개 지점, 소말리아에 130개 지점, 두바이에 1개 지점을 포함하여 전 세계에 400개 지점을 두고 있다. 이 회사는 국제 기구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개인 모두에게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란 익스프레스는 다합실에 이어 소말리아계 최대 자금 이체 기업이다. 이 회사는 런던과 두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175개 요원, 소말리아 66개 요원, 런던에 64개 요원 등이며, 자선기금 송금에는 아무런 비용도 청구하지 않고 있다. 무스타크발은 소말리아에서 8명의 요원과 영국에서 49명의 요원으로 세 번째로 유명한 소말리아 MTO이다. 다합실, 카란 익스프레스와 마찬가지로 국제적으로도 눈에 띄는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재건된 소말리아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책임을 전적으로 떠맡고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일부 송금업체들은 가까운 미래에 본격적인 상업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 인가를 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공식 수표까지 국가 결제 체계를 확대해 국내 거시경제 경영에서 통화정책 활용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치안이 크게 개선되면서 소말리아 주재원들은 투자 기회를 얻기 위해 소말리아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약간의 외국인 투자와 함께, 자금의 유입은 소말리아 실링의 가치가 상당히 증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2014년 3월까지 환율은 지난 12개월 동안 미국 달러 대비 60% 가까이 상승했다. 소말리아 실링은 블룸버그가 거래한 세계 통화 175개 중 가장 강세를 보였으며, 같은 기간 다음으로 강세를 보인 세계 통화보다 50% 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 = 증권거래소 = = 소말리아 증권거래소(SSE)는 소말리아의 국가 거래소이다. 유엔 주재 소말리아 대사이자 유엔 상임이사국 부대표인 이드 모하메드가 2012년 설립했다. SSE는 소말리아에서 현재 진행 중인 분쟁 후 재건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소말리아 소유의 기업과 글로벌 기업 모두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2년 8월 SSE는 나이로비 증권거래소(NSE)와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양해각서(MOU)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계약서에는 적절한 전문 지식과 지원이 포함된다. 소말리아의 초기 주식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샤리아를 준수하는 수쿠크 채권과 할랄 주식도 거래의 일부로 구상되고 있다. 소말리아 증권거래소는 2014년 11월 현재 소말리아 모가디슈, 키스마요 등 도시중심지에 행정사무소를 설립하고 있다. 이 거래소는 2015년에 공식적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당초, 금융 서비스, 통신, 교통 부문의 소말리아 소유의 7개 회사가 향후 글로벌 투자를 위해 그들의 지분을 상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천연자원 = = 소말리아에는 우라늄, 철광석, 주석, 석고, 보크사이트, 구리, 소금, 천연가스 등 수많은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호주와 중국 석유회사들은 호주에서 석유와 다른 천연자원을 찾는 허가를 받았다. 시드니에 상장된 레인지 리소스는 북부의 푼틀란드가 50억배럴(790×106m3)에서 100억배럴(1.6×109m3)의 석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결과로 소말리아 석유 회사는 연방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 유엔 지질학자들은 소말리아에서 주요 우라늄 매장량과 다른 희귀 광물 매장량도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세계 최대 규모로, 업계 전문가들은 이 매장량이 당시 알려진 우라늄 매장량 80만 톤의 25% 이상이라고 추정했다. 1984년 소말리아 IUREP 오리엔테이션 사절단은 소말리아에 5,000톤의 우라늄이 합리적으로 보장된 자원(RAR), 11,000톤의 우라늄 추정 추가 자원(EAR), 그리고 사암과 석탄 매장량에서 최대 15만톤의 우라늄 투기 자원(SR)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소말리아는 동시에 세계 주요 우라늄 공급국으로 발전했으며, 미국, 아랍에미리트, 이탈리아, 브라질 광물업체들이 우라늄 추출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링크 천연자원은 중부 지역의 천연자원과 관련이 있으며, 킬리만자로 캐피탈은 우라늄 탐사를 포함한 1,161,400에이커 암사스코리올아프고이 블록에 지분을 가지고 있다. 우라늄 외에도 희토류 원소이자 값비싼 광물인 이트륨의 불특정량도 국내에서 발견됐다. = = 에너지 = = 2010년 중반 소말리아 경제계는 향후 5년 동안 국가 가스 및 전기 산업에 1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 압둘라히 후세인 초국가 산업 전기 가스 회사 이사는 이번 투자 전략으로 1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새로운 회사는 무역, 금융, 보안, 통신 분야의 5개 소말리아 기업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다. 1단계 사업은 창업 6개월 만에 시작돼 청년들이 경제 분야와 지역사회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훈련했다. 2단계는 2011년 중후반부터 시작돼 어업, 농업, 축산업, 광산업용 경제특구에 공장이 들어섰다. 2012년, 파롤 행정부는 푼틀란드와 소말리아에서의 첫 공식 석유 탐사 프로젝트에 청신호를 보냈다.Somalia: President Farole returns to Puntland 캐나다 석유회사 아프리카 오일과 파트너인 레인지 리소스가 주도한 올해 3월 푼틀란드 다루어 블록의 샤빌-1 우물을 처음 시추해 석유를 성공적으로 생산했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소말리아가 재건 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경제는 내전 이전의 수준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소말리아의 미개발 천연자원으로 인해 성장과 발전의 가속화가 예상된다. = 1997년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 제3회 FINA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97년 4월 17일에서 20일까지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렸다. = = 나라별 메달 집계 = = 1 9 2 8 19 2 6 5 2 13 3 3 3 1 7 4 2 6 5 13 5 2 5 5 12 6 2 - - 2 6 2 - - 2 6 2 - - 2 9 1 1 4 6 10 1 1 - 2 11 1 - - 1 11 1 - - 1 13 - 3 1 4 14 - 1 1 2 14 - 1 1 2 14 - 1 1 2 17 - 1 - 1 17 - 1 - 1 17 - 1 - 1 20 - - 1 1 20 - - 1 1 20 - - 1 1 = = 경기 결과 = = = = = 남자 = = = 종목 금 금 은 은 동 동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50m 프란시스코 산체스 21초 80 마크 포스터 22초 03 리카르도 부스케츠 22초 17 100m 프란시스코 산체스 47초 86 구스타부 보르지스 48초 16 마이클 클림 48초 21 200m 구스타부 보르지스 트렌트 브레이 라르스 콘라트 400m 야코브 카르스텐센 채드 카빈 그랜트 해켓 1500m 그랜트 해켓 외르크 호프만 그레임 스미스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100m 라르스 프뢸란데르 51초 95 제프 휴길 51초 99 마이클 클림 52초 02 200m 제임스 힉먼 Denys Sylant'yev 스콧 굿맨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100m 네이세르 벤트 52초 77 브라이언 레터러 53초 06 에이드리언 래들리 53초 36 200m 네이세르 벤트 왕웨이 Vladimir Selkov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100m 파트리크 이삭손 59초 99 스타니슬라프 로푸호프 옌스 크루파 200m Alexander Goukov 안드레이 코르네예프 옌스 크루파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200m 매슈 던 크리스티안 켈러 Ron Karnaugh 400m 매슈 던 셰쉬펑 크리스티안 켈러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400m 라르스 콘라트 크리스티나 트뢰거 Alexander Lüderitz 아이모 하이만 Fredrik Letzler Anders Holmertz Ola Fagerstrand 라르스 프뢸란데르 마이클 클림 스콧 로건 리처드 업턴 제프리 잉글리시 계영 800m 마이클 클림 그랜트 해켓 빌 커비 매슈 던 WR Anders Lyrbring Anders Holmertz 라르스 프뢸란데르 Fredrik Letzler 폴 파머 앤드루 클레이턴 마크 스티븐스 제임스 솔터 혼계영 400m 에이드리언 래들리 필 로저스 제프 휴길 마이클 클림 WR Vladimir Selkov 스타니슬라프 로푸호프 데니스 판크라토프 로만 에고로프 RE 마틴 해리스 리처드 메이슨 제임스 힉먼 마크 포스터 = = = 여자 = = = 종목 금 금 은 은 동 동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자유형 50m 잔드라 푈커 24초 70 WR 제니 톰프슨 24초 78 러징이 24초 83 100m 제니 톰프슨 53초 46 잔드라 푈커 53초 50 러징이 53초 72 200m 클라우디아 폴 WR 윈녠 마르티나 모라우코바 400m 클라우디아 폴 WR Natasha Bowron 케르스틴 킬가스 800m Natasha Bowron 케르스틴 킬가스 Carla Geurts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접영 100m 제니 톰프슨 57초 79 WR 차이후이줴 57초 92 미스티 하이먼 57초 95 200m 류리민 가시마 히토미 미스티 하이먼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배영 100m 루둥화 59초 75 천옌 미스티 하이먼 200m 천옌 미스티 하이먼 리아 오버스타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평영 100m 크리스티 엘럼 Alicja Pęczak Svetlana Bondarenko 200m 크리스티 엘럼 Larisa Lacusta Alicja Pęczak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혼계영 200m Louise Karlsson 마르티나 모라우코바 수 롤프 400m 에마 존슨 Sabine Herbst Joanne Malar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 혼계영 계영 400m 러징이 Na Chao 잉산 Yin Nian WR Simone Osygus 안톄 부슈슐테 카트린 마이스너 잔드라 푈커 RE 요한나 셰베리 Louise Karlsson 말린 스반스트룀 테레세 알스함마르 계영 800m Lu Na Wang Yin Nian 천옌 Ying Shan WR 요한나 셰베리 Josefin Lillhage Louise Jöhncke 말린 닐손 줄리아 그레빌 Natasha Bowron Lise Mackie 에마 존슨 혼계영 400m 루둥화 Xue Han 차이후이줴 러징이 리아 오버스타 어맨다 비어드 미스티 하이먼 제니 톰프슨 메러디스 스미스 크리스티 엘럼 앤절라 케네디 세라 라이언 = 토머스 헌트 모건 = 토머스 헌트 모건(, 1866년 9월 25일 ~ 1945년 12월 4일)은 미국의 생물학자로, 초파리에서의 유전적 전달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1933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 어린 시절과 대학 생활 = = 모건은 1866년 미국 켄터키주의 렉싱턴에서 태어났다. 부친인 찰튼 헌트 모건은 영사였으며, 숙부인 존 헌트 모건은 남북전쟁 동안 남부동맹군의 장군이었다. 모건은 어릴 때부터 자연사에 흥미를 보였다. 1886년에는 후에 켄터키 대학교가 된 켄터키 주립 대학교에서 동물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그 뒤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들어가 생물학으로 대학원 과정을 밟았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는 형태학자이자 발생학자인 윌리엄 키스 브룩스 밑에서 공부했으며, 1890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뒤 브린모어 대학교의 교수가 되기까지 1년 간 그곳에서 지냈다. = = 발생학 실험 = = 1893년에 모건은 발생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험적 방법을 적용했다. 그는 발생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과적 사건들을 밝혀내기 위해 할구(초기 배세포)에서 배가 형성되는 문제, 유핵난세포와 무핵난세포의 수정문제 등을 검토했다. 1904년 브린모어 대학교에서 자신이 가르치던 대학원생인 샘슨과 결혼하였다. 같은 해 컬럼비아 대학교의 실험동물학 교수직을 받아들여 그 뒤 24년간에 걸쳐 중요한 유전적 연구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했다 19세기 말에 활동하던 대부분의 발생학자나 많은 생물학자들이 그렇듯이 모건도 다윈의 진화론은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했다. 생물체의 복잡한 적응 현상을 사소하고 우연적인 변이가 축적되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더욱이 다윈은 초기의 가설적 이론인 판게네시스를 제외하고는 변이의 기원과 전말을 설명하는 유전 메커니즘을 전혀 제시하지 못했던 것이다. 모건은 진화 그 자체는 사실이라고 믿었으나,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없으므로 다윈이 제시한 자연선택의 메커니즘은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보았다. 모건은 멘델의 이론과 염색체설에 대해서 아주 다른 형태로 반대했다. 위의 두 이론은 세포 안에 발생과정을 조절하는 어떤 유전적 단위나 물질적 실체가 있다고 가정하여 이를 가지고 생물학적인 현상을 설명하려고 했으나, 그에게 있어 이러한 이론은 18세기와 19세기 초기 발생학을 좌우한 전성설(난자와 정자 내에 완전하게 자란 성체가 축소된 형태로 들어 있다는 학설)과 아주 흡사한 것일 뿐이었다. 그는 염색체가 유전현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은 받아들였으나, 염색체 하나하나가 특정한 유전형질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1909년부터 1년간 주장했다. 또한 그는 멘델의 이론이 순전히 가설적이라고 주장했다. 비록 멘델의 이론이 교배의 결과를 설명하고 심지어 예측까지 할 수 있다고 해도 유전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과정을 설명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각각의 염색체 쌍이 분리되는 것과 각각의 염색체가 멘델주의자들의 설명대로 서로 다른 난자와 정자로 들어간다는 것만으로 두 과정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가 보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었다.. = = 초파리 연구 = = 모건은 1908년부터 초파리의 교배를 통한 연구를 시작했다. 1909년 자신이 기르던 초파리 중에서 작지만 불연속적인 변이, 즉 수컷 1마리가 흰눈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호기심이 발동한 모건은 이 초파리를 정상(눈이 붉음)인 암컷과 교배시켰는데, 그 결과 나온 초파리(F1)는 모두 붉은 눈을 하고 있었다. 다시 F1의 초파리들끼리 교배를 시켰더니 제2대(F2)의 초파리들 중 몇몇은 흰 눈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수컷이었다. 이 신기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모건은 한성(반성) 형질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며, 이러한 형질은 암컷의 X염색체의 한 부분이 발현되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다른 유전적 변이 중에서도 많은 경우가 반성으로 밝혀졌는데, 일반적으로 반성 형질들은 모두 함께 유전되므로 X염색체가 여러 개의 유전적 단위나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는 덴마크의 식물학자 빌헬름 요한센이 1909년에 도입한 유전자 개념을 채택하고, 유전자는 염색체 위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교배실험과 세포학 상의 증거를 보고 멘델의 이론과 염색체설이 모두 설명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 모건은 두 이론에 대한 회의를 버림으로써 자신의 명예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 컬럼비아 대학 출신들인 스터티번트, 브리지스, 멀러 등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모건은 초파리 연구를 포괄적인 유전이론으로 발전시켰다. 이 연구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멘델주의자들이 말하는 유전자가 선상의 염색체 '지도'에서 특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는 세포학적인 연구를 계속하여 지도상의 위치가 염색체상의 실제 위치와 정확히 일치됨을 보였으며, 이는 멘델의 유전요소가 염색체 구조에 물리적 토대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가 되었다. 1915년 모건·스터티번트·브리지·멀러 등은 이 연구의 초기 결과를 요약한〈멘델 유전의 메커니즘 The Mechanism of Mendelian Heredity〉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1916년 무렵에는 모건도 다윈 이론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1928년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에 생물학과를 개설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또한 그 대학의 생물학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코로나 델 마르에 해양연구소를 세우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뒤 그는 박사과정에 있는 사람 및 대학원생들을 포함한 그의 동료들과 함께 계속해서 염색체 유전설의 여러 면을 정교하게 발전시켜 나갔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의 연구생활을 끝낼 무렵부터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로 옮긴 뒤 한동안은 초파리 연구에서 벗어나 초기의 관심사였던 실험발생학을 연구했다. 유전학과 발생학 사이에 이론적 연결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나, 그 연결을 명백히 보이고 그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 = 수상 = = 1924년 모건은 다윈 메달을 받았으며, 1933년에는 초파리에서의 유전적 전달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1939년에는 그가 외국인 회원으로 소속되어 있던 런던의 왕립학회에서 코플리 메달을 받았다. 1927년에서 1931년까지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을 지냈으며, 1930년에는 미국 과학진흥협회 회장, 1932년에는 제6차 국제유전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1945년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 교황 알렉산데르 7세(라틴어: Alexander PP. VII, 이탈리아어: Papa Alessandro VII)는 제237대 교황(재위: 1655년 4월 7일 - 1667년 5월 22일)이다. 본명은 파비오 키지(이탈리아어: Fabio Chigi)이다. = = 생애 = = = = = 생애 초기 = = = 시에나 태생인 파비오 키지는 저명한 은행가 집안인 키지 가문의 일원으로 교황 바오로 5세의 조카의 아들에 해당한다.George L. Williams, 114. 가정 교사였던 그는 시에나 대학교에서 철학과 법학, 신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파비오의 형 마리오는 티베리오 델라 키아라의 딸 베아트리체와 혼인하여 슬하에 네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 중 플라비오(1631-1693)는 1657년 4월 9일 숙부인 교황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파비오의 또 다른 형 아우구스토 키지(1595-1651)는 옴필리아 델라 치아이아(1614-1640)와 혼인해 파르네세 공작 아고스티노 키지의 부모로서 혈통을 이어갔다. 파비오의 누이 오노라타 미난넬리는 피르마노 비키와 혼인하여 안토니오를 낳았다. 안토니오는 몬탈키노의 주교와 오시모의 주교를 거쳐 숙부인 교황에 의해 1657년 4월 9일 인 펙토레 추기경에 임명됐으며, 1659년 11월 10일 공개적으로 발표되어 서임됐다.Lorenzo Grottanelli, "La regina Cristina di Svezia in Roma," La Rassegna nazionale 50 (Firenze 1889), 225-253, at p. 250. = = = 교황의 외교관 = = = 1627년 그는 페라라에서 교황 특사 보좌로 경력을 시작해 추기경 두 사람의 추천을 받아 몰타의 이단심문관에 임명됐다.V. Borg, Fabio Chigi, Apostolic Delegate in Malta, 1634-1639. An edition of his official correspondence (Città del Vaticano: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1967). 키지는 1634년 12월 사제 서품을 받았다. 1635년 1월 8일 키지는 이탈리나 남부에 있는 나르도의 주교에 임명됐으며, 같은 해 7월 1일Patritius Gauchat,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Tomus IV, editio altera (Monasterii 1935), p. 257, and note 5. 몰타의 주교 미구엘 후안 발라구에르 카마라사의 집전 아래 주교 서품을 받았다."Pope Alexander VII - Fabio Chigi" Catholic-Hierarchy.org. David M. Cheney. 1652년 5월 13일 키지는 이몰라의 주교로 주교좌를 옮겼다. 키지 주교는 1639년 6월 11일 쾰른에 교황 대사로 파견되어 1651년까지 재직했다. 쾰른에서 대사로 있는 동안 그는 1642년 교황 우르바노 8세가 교황 칙서 탁월함(In eminenti)을 발표해 이퍼르의 주교 코르넬리우스 얀센의 저서 아우구스티노를 이단으로 단죄한 것을 지지하였다.Joseph Bergin, Church, Society and Religious Change in France, 1580-1730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9), pp. 396-404.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키지 주교와 그 밖의 교회 인사들은 가톨릭교회에서 이단자로 간주한 이들과 협상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래서 협상은 베스트발렌의 두 도시인 오스나브뤼크와 뮌스터에서 중재자들이 가톨릭 대표단과 개신교 대표단 사이를 오고다니며 협상을 이루어냈다. 결국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자 키지는 교황청을 대표해서 이에 항의했다.Derek Croxton and Anuschka Tischer, The Peace of Westphalia : a historical dictionary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2002).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도 직접 나서서 베스트팔렌 조약을 무가치하고 법적 효력이 없으며 부당하고 치명적이며 타락했으며 어리석고 의미와 결과가 허무하다고 평가했다.Kalevi Jaakko Holsti, Peace and War: Armed Conflicts and International Order, 1648-198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p. 25.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된 결과 30년 전쟁(1618–1648)이 종식되었으며,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힘의 균형이 정립되었다. = = 국무원장과 추기경 = =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키지를 로마로 다시 불러들였다. 1651년 12월 인노첸시오 10세는 키지를 교황청 국무원장에 임명했다.Salvador Miranda, Biographical notes on Fabio Chigi . Retrieved; 2016-03-19. 그리고 1652년 2월 19일 키지를 추기경에 임명했으며, 같은 해 3월 12일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했다.Gauchat, p. 30. = = 재위기간 = = = = = 교황 선출 = = = 1655년 1월 1일 인노첸시오 10세가 선종한 후, 키지 추기경은 스페인파의 지지를 받아 1655년 4월 7일 콘클라베 개시 8일째 되는 날, 교황으로 선출되어 알렉산데르 7세가 되었다.J. P. Adams, Sede Vacante 1655. Retrieved: 2016-03-19. = = = 족벌주의 = = = 추기경들은 그가 전임 교황들과는 달리 족벌주의 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알렉산데르 7세는 집권 첫 해에 검소하게 살았으며, 자신의 일가친척마저 로마를 방문하는 것 자체를 허락하지 않았다. 동시대 인물로 알렉산데르 7세가 선출된 후 로마를 방문한 존 바그레이브는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위 글은 영국 성공회 캔터베리 대성당 참사회장의 조카이자 개신교 목회자였던 사람이 쓴 것이기 때문에 실제와는 달리 매우 과장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1656년 4월 24일 알렉산데르 7세가 추기경회의에서 자신의 형제들과 조카들이 로마에 있는 자신을 도와주러 올 것이라고 발표했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의 조카 플라비오 키지는 추기경에 서임됐다. 교황령의 행정 및 교회 분야의 주요 요직은 알렉산데르 7세의 일가 친척들이 독차지했으며, 알렉산데르 7세의 치세는 바로크 시대 교황들의 치세 가운데 족벌주의가 가장 뿌리 깊었다. = = = 로마의 도시 및 건축 사업 = = = 많은 교황들이 로마의 도시 계획 사업을 실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교황 율리오 2세와 교황 식스토 5세이다. 하지만 알렉산데르 7세 때 있었던 수많은 도시 재개발은 범위와 규모 면에서 다양했을 뿐만 아니라 고대와 현대, 성과 속이 공존하는 로마의 품격에 걸맞도록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알렉산데르 7세의 도시 계획의 핵심은 공연장 또는 극장이라는 개념으로 로마의 위엄과 가톨릭교회의 중심지라는 명성에 걸맞는 웅장한 장소 내지는 대표적인 건축물을 세우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 앞 성 베드로 광장 양식을 본따서 그보다 규모는 작지만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성당을 짓고 그 앞에 광장을 조성했다. 알렉산데르 7세의 재위기간 동안 실행되었던 다양한 도시 건축 계획들은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가 판화로 기록을 남겼으며, 1655년 초판이 출판되었다. 이들 판화들은 조반니 자코모 데 로시에 의해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복된 통치 아래 오늘날 로마 건물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연장(Il Nuovo Teatro delle fabriche et edificij in prospettiva di Roma moderna sotto il felice pontificato di N.S. Alessandro VII.)이라는 제목의 판본들로 출판되었다. 그가 선호한 건축가는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잔 갈레아초 베르니니였지만,Charles Avery, Bernini: Genius of the Baroque (London: Thames & Hudson, 1997). Franco Mormando,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화가이자 건축가인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에게도 건축 의뢰를 하였다. 로마의 3대 바로크 건축가들 중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만이 알렉산데르 7세 재위기간 동안 별다른 작품 활동을 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알렉산데르 7세가 보기에 보로미니의 건축 양식이 괴팍한 데다가 보로미니가 이미 세상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는 점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알렉산데르 7세의 가문 일족들은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을 가문의 문장으로 장식하는 등 보로미니에게 의뢰를 많이 했다.Anthony Blunt, Borromini (Cambridge, Mas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esp. pp. 111 ff. 알렉산데르 7세는 개인적으로 도시 계획과 건축 계획에 관심이 많았으며, 자신의 일기장에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의 재위기간 중에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성당과 코르소 거리, 콜론나 광장과 이에 딸린 건물들이 건축되었다. 아울러 포폴로 문과 포폴로 광장,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 성 베드로 광장,Dorothy Metzger Habel, "When All of Rome was Under Construction": The Building Process in Baroque Rome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13), pp. 85-132.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 스칼라 레지아 등 바티칸 궁전과 성 베드로 대성전의 내부 장식물들, 퀴리날레 궁전의 일부 부분, 미네르바 광장의 오벨리스크와 코끼리상, 키지 궁전Rossella Vodret Adamo, Palazzo Chigi (Milan: Electa, 2001).에 대한 재시공이 단행되었다. = = = 제사 문화 허용 = = = 1656년 3월 23일, 교령을 통하여 중국 전통 의례에 중국인 신자가 참가하는 것을 허용했다.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423 이는 중국에 있는 예수화 선교사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조치였다. 그러나 그의 이런 조치는 후대의 교황인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1715년 청나라의 전례인 공자숭배와 제사문화를 금하는 회칙을 내림으로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434 혼란이 발생하게 되었다. 청나라는 천주교 선교활동을 금지시켰으며 조선에서는 병인박해를 비롯한 6차례에 걸친 천주교 박해 사건으로 수많은 순교의 피를 흘리게 만들었다. 이런 혼란과 불행은 1939년 교황 비오 12세가 동방의 조상숭배는 우상숭배가 아니라고 칙서를 발표할 때까지 계속되었다.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26 = = 대외 관계 = = = = = 스웨덴 = = = 알렉산데르 7세의 재위기간 중에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1632-1654)이 가톨릭으로 회심했다. 크리스티나는 왕위에서 스스로 물러난 후 로마에 와서 거처를 마련했으며, 1655년 크리스마스에 교황으로부터 직접 세례성사를 받았다. = = = 프랑스 = = = 알렉산데르 7세는 프랑스 왕 루이 14세의 조언자인 쥘 마자랭 추기경과의 지속적으로 알력을 벌였다. 마자랭은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는 협상 동안 교황청의 뜻을 거스르고 갈리아 교회의 특권을 주장했다. 콘클라베 중에 그는 키지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는 것에 반대했지만, 결국 막판에 어쩔 수 없이 그를 타협안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마자랭은 자신이 살아있는 동안 루이 14세가 알렉산데르 7세에 대한 순명의 의미로 통상적으로 하는 로마에 외교 대사를 파견하는 것을 가로막았으며, 그동안 교황령과의 외교적 업무는 일반적으로 교황과 사이가 좋지 않은 추기경들이 수행했다. 1662년 역시 교황과 적대적인 관계였던 듀크 드 크르키가 대사로 임명됐다. 그는 외교 대사에게 전통적으로 주어져 왔던 망명 권한을 남용하여 교황령과 프랑스 사이에 정치적 갈등을 촉발시켰다. 이는 결국 알렉산데르 7세 때 일시적으로 아비뇽이 프랑스로 귀속되고 1664년 굴욕적인 내용의 피사 조약을 맺는 결과를 낳았다.Paul Sonnino, Louis XIV's View of the Papacy (1661-1667) (Berkeley-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p. 53. = = = 스페인과 포르투갈 = = = 알렉산데르 7세는 1640년에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포르투갈에 반대하여 포르투갈에 대한 스페인의 권리 주장을 지지하였다. = = 예수회와 얀센주의 = = 알렉산데르 7세는 예수회를 총애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크레타섬을 지키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자 교황은 그에 대한 보답으로 1606년 베네치아가 추방한 예수회원들의 입국을 재허용한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또한 그가 교황 인노첸시오 10세의 조언자였던 시절에 얀센주의를 논박한 예수회의 활동을 강력하게 지지했던 것을 계속 이어나갔다. 프랑스의 얀센주의자들은 코르넬리우스 얀센이 집필한 책인 아우구스티노에는 1653년에 문제점이 지적되어 단죄받은 내용이 실제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알렉산데르 7세는 1656년 10월 16일 교황 칙서 거룩하고 복된 베드로좌로서(Ad Sanctam Beati Petri Sedem)를 발표하여 소르본 대학교의 신학자들이 얀센의 책에서 발췌한 은총과 인간 의지와의 관계에 대한 다섯 가지 명제를 제시하며 실제로 그 내용이 들어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그는 얀센주의자들을 색출하고 교회에서 추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랑스에 신앙 고백문을 보내 모든 사제가 서명하도록 했다. = = 죽음 = = 알렉산데르 7세는 1667년에 선종했으며, 베르니니가 그를 위해 장관을 이룰 정도로 화려한 무덤을 제작했다. 이 무덤은 문 위에 금으로 제작된 모래시계를 들고 있는 해골상으로 유명하다. 알렉산데르 7세의 뒤를 이어 교황 클레멘스 9세가 선출되었다. = = 활동 = = 알렉산데르 7세는 정무를 보는 것을 싫어하고 문학과 철학을 좋아했다. 그의 라틴어 시집은 1656년 Philomathi Labores Juveniles라는 제목으로 프랑스 파리에 출판되었다. 도시 개발을 장려하기도 한 그는 도로를 정돈하고 확장하기 위해 가옥들을 철거하는 등 로마의 전반적인 도시 수준을 개선시켰다. 도시 개발을 통해 그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를 후원했다. 베르니니는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과 키지 가문 출신 추기경들의 명의본당들을 장식하고 스칼라 레지아, 바티칸 대성전의 성 베드로좌 등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는 성 베드로 광장의 사방을 회랑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설계해 완공했다. 알렉산데르 7세는 태양중심설 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권위 있는 문헌 중 하나를 작성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의 단죄받은 저서들을 새로이 포함된 금서 목록(Index Librorum Prohibitorum Alexandri VII Pontificis Maximi jussu editus)을 발행했다. 따라서 알렉산데르 7세는 태양중심설에 대해 명백히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알렉산데르 7세 사후에도 금서 목록은 여러 번 개정되었다.Joseph Hebers, Index of Prohibited Books 알렉산데르 7세는 1661년 12월 8일 사도적 헌장 모든 교회들의 관심(Sollicitudo omnium Ecclesiarum)에서 “마리아의 영혼은 인류의 구세주이신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미리 입어, 그녀의 영혼이 창조되어 그 육체에 주부(注賦)되는 첫 순간에 원죄의 더러움에서 미리 깨끗이 보호되었음을 알아 이러한 의미로 그녀의 축일을 장엄한 예절로 경하하며 거행하고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지극히 복되신 하느님의 어머니 동정녀 마리아께 대한 신심은 참으로 오래다.”라고 말함으로써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교리를 제시했다. 이는 훗날 교황 비오 9세가 형언할 수 없는 하느님(Ineffabilis Deus)을 통해 무류성에 따라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를 교의로 선포했을 때 한 말과 거의 일맥상통한다. 실제로 형언할 수 없는 하느님 제8항에서 비오 9세는 알렉산데르 7세의 말을 인용했다. = 트레이시 라이언 = 트레이시 라이언(Tracy Ryan, 1971년 2월 8일 ~ )은 캐나다의 배우이다. 키치너 (온타리오 주)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컴백 시즌 (2006년) 뷰티 비트레이드 (2002년) 포비든 (2002년) 나이트 클럽 (2001년) 보디가드 (2001년) 헐리우드 섹스 판타지 (2001년) 패스트 레인 투 베가스 (2000년) 헐리우드 신스 (2000년) 웹 오브 시덕션 (1999년) = 공동불법행위 = 공동불법행위란 여러 사람이 같이 행한 불법행위를 말한다. = 마커스 콜린스 = 마커스 콜린스(, 1988년 5월 15일 ~ )는 잉글랜드의 가수이다. = 분류:남성의류 = = 송광호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송광호: 정치인 송광호 (프로게이머) = = 가공 인물 = = 솔약국집 아들들의 등장 인물 닥터 깽의 등장 인물 = 설원 (신라) = 설원(薛原, 549년 ~ 606년) 또는 설화랑(薛花郞)은 최초의 화랑 국선이자 제7대 풍월주이다. = = 가족 관계 = = = = = 선대 = = = 아버지 : 설성(薛成) 어머니 : 금진부인 김씨(金珍夫人 金氏) = = = 부인과 후손 = = = 부인 : 준화낭주 김씨(俊華娘主 金氏) 아들 : 설웅(薛雄) 아들 : 잉피(仍皮) *손자 : 설담날 *손부 : 포회 조씨 **증손자 : 원효대사 딸 : 정금낭주(淨金郎主) 부인 : 개원낭주 김씨(開元娘主 金氏) 아들 : 충죽(忠竹) 아들 : 선죽(善竹) 딸 : 개?(開?) 딸 : 개천(開川) 딸 : 선월(善月) 딸 : 양월(良月) 정인 : 미실궁주 김씨(美室宮主 金氏) 아들 : 보종(寶宗) - 제16대 풍월주 정인 : 준모(俊毛) 딸 : 미모낭주 설씨 * 손녀 : 유모부인(柔毛夫人) : 호림공의 부인 * 손녀 : 영모부인(令毛夫人) : 김유신의 부인 정인 : 후만(厚滿) 후단(厚丹) = = 관련 작품 = = = = = 드라마 = = = 《선덕여왕》(MBC, 2009년, 배우:전노민) = 스피네테 = 스피네테는 이탈리아 몰리세주 캄포바소도의 코무네다. 캄포바소로부터 서쪽 15km 거리에 있다. = 분류:국민공회 의원 = = 온바라역 = 온바라역은 일본 시마네현 오치군 미사토 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1985 66 1992 44 1993 38 1994 42 1995 44 1996 45 1997 39 1998 33 1999 29 2000 27 2001 21 2002 20 2003 18 2004 10 2005 9 2006 5 2007 4 2008 2 2009 3 2010 2 2011 3 2012 5 2013 3 = = 역사 = = 1935년 12월 2일 : 산코 선의 이와미카와모토 역 - 이와미야나제 역 간 연장에 의해 개업. 1955년 3월 31일 : 산코미나미 선 개업에 의해, 종래의 산코 선이 산코키타 선으로 개칭되면서 이 역도 그 소속이 됨. 1975년 8월 31일 : 이 역을 포함한 고쓰 역 ~ 미요시 역 간의 전 구간 개통으로 산코키타 선이 현재의 산코 선의 일부가 되면서, 이 역도 산코 선 소속이 됨.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2018년 4월 1일 : 산코 선의 폐선에 따라 역의 영업 업무 종료. = 하워드 마크스 = 섬네일 하워드 마크스(Howard Marks, 본명: 데니스 하워드 마크스, Dennis Howard Marks, 1945년 8월 13일 – 2016년 4월 10일)는 웨일스의 마약 밀수업자이자 세간의 이목을 끄는 법원 소송을 통해 국제 대마초 밀수업자로 악명을 얻은 작가였다. 전성기에 그는 30톤에 달하는 약물을 밀수입했다고 주장했으며 CIA, IRA, MI6, 마피아 등 다양한 그룹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는 결국 미국마약단속국(American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에 의해 유죄판결을 받고 25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7년의 복역을 마치고 1995년 4월에 석방되었다. 그는 최대 43개의 가명을 가지고 있었지만 유죄 판결을 받은 살인자 도널드 나이스로부터 여권을 구입한 후 "미스터 나이스"(Mr Nice)로 알려지게 되었다. 감옥에서 석방된 후 그는 베스트셀러 자서전 '미스터 나이스'를 출판하고 마약법 개정을 위해 공개적으로 캠페인을 벌였다. = 분류:1979년 환경 = = 분류:주간 영 매거진의 만화 = = 제4회 시네마 디지털 서울 = 제4회 시네마 디지털 서울은 2010년 8월 18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레드카멜레온상 = = = 겨울방학 - 리홍치 수상 = = = 블루카멜레온상 = = = 미요코 - 츠보타 요시후미 수상 = = = 그린카멜레온상 = = = 나를 찔러 봐 - 리우 지앤 수상 = = = 화이트카멜레온상 = = = 미완성생활사 - 총 펑 수상 = = = 무비꼴라쥬상 = = = 애니멀 타운 - 전규환 수상 미요코 - 츠보타 요시후미 수상 = = = 버터플라이상 = = =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 장철수 수상 숨 - 함경록 수상 괴물 - 류성규 수상 = = = 아시아경쟁 = = = 여덟 번의 감정 - 성지혜 개미촌 - 가오 원동 크로싱 마운틴 - 양 루이 전도 - 맥희인 점술가 - 쉬 통 천국에서의 일주일 - 왕 유린 이토록 어두운 밤 - 고이데 유타카 살아남아라 - 로샨느 새드나타 탱글 - 리우 용홍 우울과 매혹 - 하이더 라시드 너와 엄마와 카우보이 - 이나바 유스케 = = = 버터플라이 = = = 간증 - 박수민 저주의 기간 - 허정 짐승의 끝 - 조성희 계몽영화 - 박동훈 고양이 입속으로 뛰어들다 - 최진성 화성에 가다 - 고은기 에너지 보존의 법칙 - 구본환 척추측만 - 조현철 레인보우 - 신수원 암초가 있는 곳 - 이상일 ●REC - 소준문 = = = 퍼스펙티브 = = = 컨텐트 - 크리스토퍼 페팃 마녀의 관 - 박진성 하하하 - 홍상수 이름 없는 남자 - 왕빙 당신과 걸어가며 - 이시이 유야 13분 만에 마스터하는 홍콩영화사 - 프룻 첸 공교롭게도 하필이면 - 맥희인 찹쌀볶음밥 - 구예도 그녀의 허술한 정보 - 리스키 리우 바람의 마타사부로: 구로사와 기요시의 낭독기행 - 구로사와 기요시 폐허의 예수: 아오야마 신지의 낭독기행 - 아오야마 신지 다시 사랑에 빠지다 - 먼로 퍼거슨 나의 친구 조이스 - 먼로 퍼거슨 타틀린의 탑 - 테오도르 위셰브 모래밭 위의 전쟁 - 트레이시 디어 환상 여행 - 샘 비펀드 외 1명 일차원적 인간 - 테오도르 위셰브 노인과 달 - 폴 모스타드 샹플랭의 기억 속으로 - 장-프랑수아 풀리오 메이킹 오브 샹플랭의 기억 속으로 - 제이슨 리 외 1명 탐욕 - 알리 사데기아니 피젼: 임파서블 - 루카스 마르텔 전원 코드는 늘어나지 않는다 - 루크 랜들 Mr. 산소 - 크리스토퍼 헨드릭스 공책 위의 영화관 - 피터 W. 앨런 행복한 방아쇠 - 자비에 로페즈-뒤프리 사랑도 통신이 되나요? - 린제이 올리베어즈 스틸 라이프 - 마티유 제라드 춤추는 다이버 - 패리스 메브로이디스 심포니 - 오수형 뛰어! - 틸 노박 종이 상자에서 나온 아우디 - 러셀 브룩 외 1명 마켓을 비교하세요 - 대런 월쉬 카툰 포럼 트레일러 - 레기나 벨커 외 1명 슈트트가르트국제실험영화제: 컬러플로 - 제바스티안 노촌 외 2명 슈트트가르트국제실험영화제: 드랍 - 고트프리트 멘토 인시던트 앳 타워 37 - 크리스 페리 딤섬 - 진섭 금 마감은 닥쳐오고 - 방야오 리우 월드사커 위닝일레븐 2009 - 후지타 고 미인 - 치차오 마오 갱단의 이름은 컬러즈 - 나카무라 아키라 캣쉿원 - 사사하라 카즈야 애벌레의 연금 생활 - 필립 엥스트롬 OLM 디지털 작품집 - 미이케 다카시 엿보기 인생 - 모리 료이치 아스트로 보이 - 아톰의 귀환 - 데이빗 보워스 철권 6 블러드라인 리벨리온 - 아이하라 카와무라 4차원 세계의 대포들 - 엘리 스베르들로브 어쌔신 크리드 2 - 이스트반 조르코치 스타 워즈: 클론 전쟁 - 데이브 필로니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 네이던 매덤즈 외 1명 폼페이 최후의 날 - 조엘 델-버진 ILM 이브닝 시어터 픽사, 도쿄에 가다 - 존 라세터 = = = CinDi 익스트림 = = = 가면 - 스티븐 퀘이 외 1명 섬머타임 - 주앙 디아스 가와세 나오미의 서신교환 - 이사키 라쿠에스타 외 1명 분미 아저씨께 보내는 편지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0116643225059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삶의 조건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우리 어머니의 정원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창문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아시아의 유령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에메랄드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뱀파이어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빛을 찾는 사람들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 = = CinDi 올나잇 = = = 아무도 페르시안 고양이를 모른다 - 바흐만 고바디 살인의 연쇄 - 온드레이 스바틀레나 척추신경증 - 크리스 랜드레스 4차원 부엌 - 프리트 텐더 센코롤: 괴물을 키우는 소년 - 우키 아츠야 대지의 낙오자들 - 피코그래프 테크노타이즈: 에디트와 나 - 알렉사 게직 = = = 디지털 복원 = = = 두만강아 잘 있거라 - 임권택 = 로런스 올리비에상 = 로런스 올리비에상(Laurence Olivier Award)은 그 해에 상연된 뛰어난 연극, 오페라와 배우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매년 2월에 실시되며, 영국 버전의 토니상이라고도 한다. 로런스 올리비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1976년 처음 실시되었다. = 고림중학교 = 고림중학교(古林中學校)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7년 1월 8일 : 고림중학교 27학급 설립 인가 2007년 3월 1일 : 개교(6학급) 2007년 3월 1일 : 초대 정영희 교장 취임 2007년 3월 2일 : 제1회 입학식(218명) 2010년 2월 11일 : 제1회 졸업식(205명) 2017년 9월 1일 : 제5대 강은구 교장 취임 2021년 1월 15일 : 제12회 졸업장 수여식(277명, 총 3,667명) 2021년 3월 2일 : 제15회 입학식(279명) = 분류:인도의 희극 = =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Eugen von Böhm-Bawerk, 1851년 오스트리아 제국 브르노 ~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람사흐)는 오스트리아의 정치가·경제학자이다. 하이델베르크·라이프치히·예나 대학에서 법학·경제학을 공부하였다. 그 후 빈 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1895년 이후 3차례에 걸쳐 재무상을 지냈다. 한계 효용 가치설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이자론에 대한 시차제(時差制)를 주장하여 크게 이름을 떨쳤다. 또한 마르크스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주요 저서 자본 및 자본의 이자, 경제적 재가치의 기초 이론 등이 있다. = 존 버드 섬너 = 존 버드 섬너(John Bird Sumner, 1780년 ~ 1862년)는 캔터베리 대주교이다. = 분류:데이먼 알반의 노래 = = 분류:리스본의 문화 = = 이혜천 = 이혜천(李惠踐, 1979년 3월 12일 ~ )은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전 멜버른 에이시스의 투수이다. = = 한국 프로야구 시절 = = = = =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시절 = = = 부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8년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 1998년 9월 2일 현대전에서 1군 무대에 처음으로 등판한 후, 2006년 4월 27일 롯데전에서 최연소 500경기 출전을 기록(27세 1개월 15일)했다. 도하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였으나 동메달에 그쳤고, 이듬해에는 허리 디스크 수술로 인해 병역 면제 판정을 받았지만 재활로 인해 정규 시즌에는 불참하고 2007년 한국시리즈에만 출전했다.두산 이혜천, 불펜피칭서 합격점 - 마이데일리 2008년 시즌에서는 선발로 등판했다. 한편, 1999년 선발로만 2승을 거두어 1992년 이진(2선발승) 이후 7년 만에 베어스에서 선발로만 2승을 기록한 투수가 됐으며 그 뒤에 2001년 4선발승 2005년 7선발승 2006년 8선발승 2008년 7선발승을 거두었는데 이진에 앞선 베어스 좌투수 2선발승 이상 투수였던 구동우는 데뷔 첫 해인 1989년 2선발승, 1990년 6선발승을 기록했으나 한오종(88년 4선발승) (1990년 쌍방울 이적) 윤석환 (1991년 삼성 이적) 이진(방위복무)(89년 3선발승 92년 2선발승) 등의 공백 탓인지 1991년 정식 감독 취임한 이재우 감독에 의해 마구잡이로 혹사당하여 1990년 이후 하락세를 걸어 1994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이재우 감독은 1991년 초반에 잠깐 1위를 했지만 구동우를 마구잡이로 투입시킨 것 외에도 중반의 11연패 뿐 아니라 장호연의 연봉 재계약 문제-부상 등으로 투수진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한 탓인지 최하위로 처지자 1991년 시즌 도중 중도 사퇴했다. = = 일본 프로야구 시절 = = =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절 = = = 2008년 시즌이 끝난 후,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 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2년 계약을 맺었으며, 등번호는 '49'번으로 배정받았다. 2년간 1승 2패, 1세이브, 1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고 계약 만료 후 방출됐다. = = 한국 프로야구 복귀 = = = = = 두산 베어스로 복귀 = = = 야쿠르트에서 방출된 후 2010년 12월 8일 친정 팀 두산 베어스와 계약금 6억원, 연봉 3억 5,000만원, 옵션 1억 5,000만원 등 총액 12억원에 계약하며 복귀하였다. 그러나 1군 32경기에 나와 1승 4패, 1세이브, 4홀드, 6점대 평균자책점에 그쳤고, 2011년 7월에 수비 연습 도중 펑고 타구에 맞아 왼 손등에 골절상을 당해 시즌을 마감했다. 이후에도 부진이 이어졌으며 2013년에는 1군 13경기에 등판하여 1패, 11점대 평균자책점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 = = NC 다이노스 시절 = = = = = = = 2014년 시즌 = = = =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014년 2차 드래프트를 통하여 NC 다이노스의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NC, 2차 드래프트서 이혜천·김성계·심재윤 영입 - 경남신문 10월 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4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73번째 통산 1000이닝을 달성하였다.이혜천, 역대 73번째 1000이닝 달성 - 뉴스원팀이 승리하면서 이 경기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 = = = 준플레이오프 = = = = 준플레이오프 2경기에서 1 1/3이닝 3피안타 2볼넷 1사구 3실점을 기록하였다. 방어율 경기수 승 패 세이브 홀드 완투 완봉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삼진 실점 자책 비고 20.25 2 0 0 0 0 0 0 1 1/3 3 0 2 1 1 3 3 2015년 시즌 연봉에서 10% 삭감된 9,000만원에 합의하였다.NC 다이노스 연봉 계약 완료…나성범 2억2000만원·박민우 9500만원 - 아주경제 = = = = 2015년 시즌 = = = = 9월 13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해 2/3이닝 1피안타 1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 등판으로 개인 통산 700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이 기록은 역대 7번째 기록이었다.NC 이혜천, 역대 7번째 700경기 등판 - OSEN 시즌 종료 후 KBO 리그 은퇴를 선언하였다. = = 호주 프로야구 시절 = = = = = 애들레이드 바이트 시절 = = = 2016년에 입단하였다. = = = 멜버른 에이시스 시절 = = = 2017년에 입단하였다. = = 투구 분석 = = 이혜천의 투구폼은 던지기도 어려운 좌완 쓰리퀴터 투수다.좌완 투수로는 비교적 빠른 140 km 대 중후반, 최고구속 154 km 정도의 직구를 던진다. 특히 사이드암에 가까운 독특한 투구 폼을 가지고있다. 빠른 구속에 비해 제구력이 매우 부족하였다. 타석에 선 타자마저도 당황시키는 매우 불안정한 제구력을 가졌는데 이것이 오히려 타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김기태, 양준혁, 이승엽 등 정상급 좌타자에게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였다. = = 별명 = = 좋지 않은 피칭을 보였을 때 ‘이핵천’, ‘12억 화염 방사기’, 이혜천재지변LG·두산 ‘닮은꼴 부진’ - 경향신문,‘혜르노빌’동병상련의 3강, 우승 키워드는 ‘불펜’ - 미디어스 등으로 불린다. = = 연봉 = = 연도 연봉 인상율(%) 비고 2012년 2억 5,000만원 0 2013년 2억원 -20 2014년 1억원 -50 2015년 9,000만원 -10 = = 출신 학교 = = 대연초등학교 대천중학교 부산상업고등학교 = = 등번호 = = = = = KBO = = = '59' (1998년 ~ 2008년, 2012년 ~ 2015년) '49' (2011년) = = = NPB = = = '49' (2009년 ~ 2010년) = = 주요 기록 = = 출장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타자 경기 결과 기타 각주 1경기 출장 1998. 9. 2 두산 베어스 도원 현대 유니콘스 500경기 출장 2006. 4. 27 두산 베어스 잠실 롯데 자이언츠 역대 13번째 600경기 출장 2012. 4. 28 두산 베어스 잠실 KIA 타이거즈 역대 11번째 700경기 출장 2015. 9. 13 NC 다이노스 마산 SK 와이번스 역대 7번째 이닝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타자 경기 결과 종전 기록 기타 각주 통산 1000 이닝 2014. 10. 9 NC 다이노스 대구 삼성 라이온즈 9 - 4 김광현 역대 73번째 = = 연도별 성적 = = 연도 소속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死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평균자책점 비고 1998년 OB 15 0 0 0 0 0 0 .000 43 10.1 5 0 6 0 1 9 2 2 1.74 1999년 두산 77 1 1 8 4 0 0 .667 540 119.0 119 11 70 2 9 98 69 63 4.76 2000년 두산 78 0 0 5 6 1 11 .455 384 84.1 88 9 50 3 4 76 51 47 5.02 2001년 두산 53 0 0 9 6 3 6 .600 631 141.2 152 17 72 2 3 107 72 57 3.62 2002년 두산 78 0 0 2 4 1 12 .333 352 79.0 72 7 46 3 9 75 46 41 4.67 2003년 두산 83 0 0 5 3 0 11 .625 250 55.0 46 4 37 2 5 36 27 24 3.93 2004년 두산 79 0 0 2 2 1 12 .500 235 52.0 52 5 31 0 3 35 35 34 5.88 2005년 두산 30 1 1 7 4 0 3 .636 479 109.1 105 10 54 1 7 59 58 48 3.95 2006년 두산 32 0 0 8 6 0 1 .571 594 142.0 119 4 56 0 12 104 52 44 2.79 도하 아시안 게임 대표 선수 2008년 두산 34 0 0 7 5 0 0 .583 482 109.1 110 14 43 0 13 83 59 57 4.69 2009년 야쿠르트 42 0 0 1 1 1 12 .500 164 37.0 42 3 14 2 2 27 15 15 3.65 2010년 야쿠르트 19 0 0 0 1 0 5 .000 73 17.2 11 4 7 0 1 18 10 10 5.09 2011년 두산 32 0 0 1 4 1 4 .200 152 34.0 31 2 17 0 4 30 27 24 6.35 2012년 두산 48 0 0 1 3 0 7 .250 179 38.2 42 2 21 0 5 25 33 32 7.45 2014년 NC 00 0 0 0 0 0 0 .000 000 00.0 00 0 00 0 0 000 00 00 0.00 KBO : 13년 KBO : 13년 639 2 2 55 47 7 67 .539 4321 973.2 941 85 503 15 75 737 531 473 4.37 NPB : 2년 NPB : 2년 61 0 0 1 2 1 17 .333 237 54.2 53 7 21 2 3 45 25 25 4.12 2012년 기준. OB는 1999년에 두산 베어스로 구단명을 변경. = 분류:11세기 한국 사람 = = 귀납의 문제 = 귀납의 문제는 고전적인 철학적 의미에서 이해되는 지식의 증가, 즉 단순한 관찰의 집합에서 벗어난 지식의 증가에 대한 정당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이다. 이는 다음 과정에 대한 정당화가 부족함을 보여준다. 해당 집합의 특정 객체에 대한 몇 가지 관찰을 기반으로 객체 집합의 속성에 대해 일반화 또는 미래의 일련의 사건이 항상 과거와 같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제하는 것. 전통적인 귀납주의 견해는 일상 생활에서 또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주장 된 모든 경험적 법칙이 어떤 형태의 추론을 통해 정당화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는 많은 철학자들이 그러한 정당성을 찾으려고 했지만 그들의 제안이 다른 사람들에게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C. D. 브로드는 귀납은 과학의 영광이자 철학의 스캔들이라고 말했다. 대조적으로, 칼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는 귀납적 정당화가 과학에서 결코 사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대신 과학이 가설을 추측하고 결과를 연역적으로 계산 한 다음 경험적으로 반증하려고 시도하는 절차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제안했다. 귀납의 문제는 데이비드 흄에 의해 제시되었지만, 피론주의 학파의 헬레니즘 철학 및 차르바카 학파의 인도 철학 또한 이와 비슷한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 = 문제의 공식화 = = 귀납적 추론에서, 사람들은 일련의 관찰을 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주장을 추론한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이 월요일 오전 8시에 그녀의 개를 산책시킨다는 일련의 관찰을 통해, 그녀가 다음 주 월요일에도 같은 행동을 할 것이라는 것을 추론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다음 주 월요일 그 여자가 시장을 거니는 것은 단지 일련의 관찰에 덧붙여 그녀가 매주 월요일 시장을 거닐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 우선, 관측 횟수와 상관없이, 여성이 월요일 아침 8시에 항상 시장을 거닐고 있는 것은 확실치 않다. 사실, 데이비드 흄은 과거가 미래를 예측한다는 가정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이 "더 가능성 있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둘째, 관찰 자체는 귀납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귀납적 추론의 타당성을 확립하지 못한다. = = = 넬슨 굿맨의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 = = = 넬슨 굿맨은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에서 귀납의 문제에 대한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굿맨은 새로운 술어 "초랑"를 제안했다. 어떤 것은 그것이 특정한 시간 t 이전에 초록색으로 관찰된 적이 있거나 또는 과학적인 일반적인 가설에 따라 관찰된 경우에만 진실한 것이고, 그 시간 이후에 관찰된 경우 파랑의 색이다. 귀납의 "새로운" 문제는, 우리가 지금까지 보아온 모든 에메랄드들이 초록색과 초랑색이기 때문에, 왜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 초록색 에메랄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여기서 제기된 문제는 동일한 조건에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유인이 진실과 거짓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많은 초록색 에메랄드의 관찰을 감안할 때 공통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모든 에메랄드가 초록색이라고 귀납적으로 추론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시간 t 이후에도 그가 발견 할 에메랄드가 초록색일 것이라고 믿는다). 초록색 에메랄드에 대한 동일한 관찰 자료가 주어지면 술어 "초랑"를 사용하는 사람은 지금까지 초록색 에메랄드만 관찰 했음에도 불구하고 t 이후에 관찰 될 모든 에메랄드가 파랑의 색일 것이라고 귀납적으로 추론한다. 굿맨은 우리가 파란색과 초록색의 관점에서 초랑을 정의했기 때문에 술어 "초랑"이 술어 "초록"보다 더 복잡해 보인다고 지적한다. 굿맨은 어떤 과학적인 가설을 선호하느냐는 우리 언어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 호카이 = 호카이(行器/外居, ほかい) 혹은 신토코(아이누어 シントコ)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까지 음식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 용기로 칠기의 일종이다.옻칠의 문화사 P.192-196아이누 문화 저널 노트 P.140-164 = = 개요 = = 호카이는 지름 3,40㎝ 내외의 원통형으로 3~4개의 다리와 뚜껑을 가진 칠기다. 이름이 된 호카이「ほかい」는 축하하다라는 호카우「ほかう」의 명사형으로 원래 신사나 절에서 음식인 신찬(神饌)을 바칠때 사용하는 그릇이었다. 이후 공물 외에도 소풍이나 행사나갈 때 음식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어 소풍 그릇「行楽の器」이라는 이름이 호카이(行器)로 정착한 것이다. 이후 밖에 나갈때 쓰는 그릇「外に居る際の器」이 줄어들어 「外居」라는 한자로도 표기하게 되었다. 들고 이동할 때는 뚜껑을 다리에 잘 묶은 뒤 멜대(天秤棒)로 고정하여 들고다녔다. 호카이는 이미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중세 풍속이 기록된 『春日権現験記』에 두 사람이 멜대를 이용해 운반중인 그림이 남아있다. 이 시대의 호카이는 목재를 휘는 것이 어려웠던 것인지 형태가 간소하다. 근세 이후 민간에서 출산이나 환갑 축하를 위해 팥밥과 만두를 호카이에 담기 시작했다. 호카이는 집안의 품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후 무늬를 복잡하게 넣는등 여러 기교가 생겨났다.물건과 인간의 문화사 75 곡 물 P.146-148 나가노현 사쿠시 근처에서는 호카이(혹은 호케이)라 부르는 풍습이 있었다. 장례식 참여자들이 호카이에 백미나 쌀가루 등을 넣고 부의금과 함께 영전에 바치는 것이었다. 꼭 호카이에 넣지 않고 종이봉투에 담았더라도 호카이라고 불렀다.사쿠시 뜻 편찬위원회 편찬 「사쿠시 뜻 민속 편에 "사쿠시 뜻 간행위원회, 1990년, 754 페이지. 이렇게 모인 쌀 등을 호케조에(行器添, ホケーゾエ)라고 불렀다.사쿠시 뜻 편찬위원회 편찬 「사쿠시 뜻 민속 편 아래 "사쿠시 뜻 간행위원회, 1990년, 1346 페이지. = = 아이누 문화 = = 근세 이후 홋카이도와 사할린섬의 아이누 사람들은 본토에서 유입된 이탄키(椀), 옷치케(膳/折敷), 에투눗푸(片口, エトゥヌップ), 에츄시(湯桶, エチュシ) 등을 보물(宝物, イコロ)이라 부르며 소중히 다루었다. 그중 신토코가 가장 중요시되었다.옻칠의 문화사 P.192-196 제사(先祖供養, イオマンテ/イチャルパ)나 집을 처음 지을때(新築祝い, チセイノミ)처럼 중요한 행사에서는 신토코를 행사용기로 사용했고 도부로쿠(トノト)라는 술을 담가 카무이 신에게 바친 뒤 손님들과 나눠마셨다. 신토코는 보물이지만 답례품이기도 했으며 종종 마을의 소규모 재판(談判/裁判, チャランケ)에서 질 경우 배상품으로 시용되기도 했다. 아이누 사회에서는 칠기류를 많이 소유한 집이 사냥운이 좋거나 장사수완이 좋은 집으로 간주되었고 인덕이 있는 집으로 보았다. 특히 신토코의 숫자는 그 집의 품격을 나타냈다.아이누 문화 저널 노트 P.140-164 = 분류: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 제1대 후드 자작 새뮤얼 후드 = 제1대 후드 자작 새뮤얼 후드(Samuel Hood, 1st Viscount Hood, 1724년 12월 12일 ~ 1816년 1월 27일)는 영국 해군의 장교이다. 하급 장교였을 때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 참여했다. 1757년 7년 전쟁 때에는 오디에르네 만에서 프랑스 해군을 추격해 사략선 2척을 포획하기도 했다. 그는 북아메리카 및 서인도 제도 함대의 고위사령부에 소속되었고, 곧 리워드 섬 함대의 사령부에 소속되어 1782년 4월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모나 패시지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포츠머스 함대의 사령관이 되었고, 제1해군경에 취임한 다음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 지중해 함대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 = 초기 생애 = = = = = 유년기 = = = 소메르세트의 버틀라이 영국 국교회 주교였던 새뮤얼 후드와 메리 호스킨스의 아들로 태어났다.Burke's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Hood, Viscount" 1740년 토마스 스미스 대위가 플리머스 항구로 돌아가던 중 배가 난파되어 버틀라이에 머무르게 되었다. 새뮤얼 후드 주교는 그를 구해주고 그 날 밤 그에게 환대를 해주었다. 새뮤얼과 그의 형 알렉산더는 스미스 대위의 바다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고무되어, 자신들이 해군에 지원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했다. 형제의 부모는 아들들이 해군에 입대하길 원하지 않았는데, 아들들이 익사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P. Acland - Hood. Butleigh Parish News Feb 1989 = = = 초기 경력 = = = 새뮤얼은 1741년 영국 해군에 입대했다. 그는 장교 후보생으로써 제1대 로드니 남작 조지 브리지스 로드니와 함께 HMS 러들로에 탑승했으며 1746년 대위로 진급했다.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 당시에 그는 북해에서 복무할 기회를 얻었다. 1754년, 그는 슬루프형 포함인 HMS 자메이카 (1744)의 지휘를 맡아 북아메리카 함대에서 복무했다. 1756년 7월, 북아메리카 함대에서 복무 중이던 그는 HMS 라이블리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 = = 7년 전쟁 = = = 1756년 7년 전쟁이 발발했을 때, 해군은 급속하게 확장 중이었고, 이는 후드에게 큰 기회가 되었다. 그 해 말 후드는 대령 함장으로 진급했고, 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1757년, 일시적으로 의 지휘를 맡게 된 그는 프랑스 함선들을 오디에르네 만까지 밀어붙여 2척의 사략선을 포획하는데 성공했다. 그의 용기는 해군 본부의 호의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고, 그는 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1759년, 그가 의 함장이 되었을 때, 그는 프랑스 순양함 벨로네를 맹렬한 공격 끝에 항복시켰다. 전쟁 기간 동안, 그의 복무 지역은 영국 해협 전체에 걸쳐 있었다. 1759년 그는 로드니 남작과 함께 르아브르 기습에 참전해 영국 침공을 계획하던 프랑스군의 주요 수송선을 격침시켰다. 그는 1767년 7월 북아메리카 및 서인도 제도 함대에 임명되었다. 1770년 10월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1771년 햄프셔 캐서링튼 마을의 캐서링튼 하우스의 건축을 담당했다. 1778년, 일반적인 과정으로는 그의 복무 경력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그는 포츠머스 항구의 국장 및 왕립 해군사관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 = 미국 독립 전쟁 = = 1778년 조지 3세의 포츠머스 방문 당시 후드는 남작이 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은 영국 해군 및 대중에게 인기가 없었다. 제1해군경이었던 샌드위치 남작 휘하에서 복무하기를 꺼렸다. 당시 서인도 제도 함대를 지휘 중이었던 로드니 제독은 그의 부하들로부터 적절한 지원에 대한 부족을 불평했고, 그 자신도 불평으로 인해 고발당했다. 신뢰할 수 있는 함장들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군 본부는 1780년 9월 26일 후드를 해군 소장으로 진급시켰고, 그를 서인도 제도에 파견해 그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던 로드니 남작 휘하에서 복무시키게 했다. 1781년 1월 후드와 로드니는 기함 에서 합류했고,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날 때까지 서인도 제도와 북아메리카 해안에서 복무했다. 그가 로드니 남작과 조화롭게 일할 것이라는 기대는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그들의 서신에서는 친근한 용어가 쓰여지지 않았지만, 후드는 항상 그의 임무를 수행했고 매우 유능하여 사령부에서 그를 퇴출하려는 시도도 없었다. 1781년 전역 당시 영국군이 저지른 실수는 로드니가 후드의 충고를 무시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 = = 체사피크 만 해전 = = = 로드니가 건강 문제로 1781년 가을 영국으로 철수하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허리케인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 북아메리카 해안의 함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후드는 토마스 그레이브스 제독과 만났지만 체사피크 만 해전에서 프랑수아 조세프 파울 드 그라세가 이끄는 프랑스 해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패배했고, 이로 인해 요크타운 전투에서 고립된 영국군을 구해낼 수 없었다. 그가 서인도 제도로 돌아왔을 때, 그는 영국으로 간 로드니 남작 때문에 잠시 리워드 섬 함대의 사령관으로써 독립된 지휘권을 부여받았다. 드 그라세는 세인트키츠 섬과 네비스 섬에 주둔한 영국군을 공격했다. 1782년 1월 후드는 이 섬이 점령되는 것을 막지 못했지만, 연속적인 용기 있는 행동 덕분에 프랑스 함대는 세인트키츠의 바스테르 정박지에서 빠져나왔고, 영국 해군은 이들을 크게 격파했다. = = = 생 섬 전투 = = = 1782년 4월 12일, 후드는 로드니가 지휘하는 영국 함대에 참여해 자메이카 침공을 계획 중이던 프랑스-스페인 연합함대를 공격했다. 체사피크 만에서 승리를 거둔 프랑스 지휘관 드 그라세가 포로로 잡혀 영국으로 이송되었다.Harvey p.530 = = = 모나 패시지 전투 = = = 1782년 4월 19일 후드는 그의 함대를 이끌고 모나 패시지까지 적군을 추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모나 패시지에서 영국군은 프랑스군을 완전히 격멸시켰다. 카리브해에서 복무하는 동안 후드는 허레이쇼 넬슨을 알게 되었고, 이후 그는 넬슨의 멘토가 되었다.Lambert p.13 후드는 넬슨의 삼촌인 모리스 서클링과도 친분이 있었다. 1782년 후드는 넬슨을 뉴욕에서 해군 장교로 복무 중이던 클래런스 공작을 소개시켜 주었다.Lambert p.14 = = = 평화 조약 = = = 후드는 1782년 9월 캐서링턴의 후드 남작이라는 아일랜드 귀족 호칭을 받았다. 평화 기간 동안 그는 1784년 웨스트민스터 구 선거에서 당선되어 영국 의회에 입성했다. 당시 그는 윌리엄 피트 정부의 지지자였다. 그는 1786년 포츠머스 함대의 사령관이었고, 1787년 9월 24일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지만, 1789년 포츠머스 사령부에서 은퇴했다. 그는 1788년 총리의 형제였던 제2대 채텀 공작 존 피트 휘하에서 해군 본부 위원회의 위원장이 되었고, 1789년 8월 제1해군경이 되었다.Rodger, p. 69 그는 1792년 6월 포츠머스 함대 사령관에 다시 임명되었다. = = 프랑스 혁명 = = = = = 툴롱 방어전 = = = 프랑스 혁명 전쟁의 발발 직후, 후드는 1793년 2월 지중해 함대의 사령관이 되었다. 1793년 8월 프랑스 왕당파와 다른 반혁명파 세력은 툴롱을 장악하고 후드를 초대했으며, 후드의 함대는 도시를 봉쇄 중이었다. 후드는 런던의 해군 본부의 지시 없이 항구를 장악하기 위해 툴롱으로 이동했다. 영국군이 툴롱으로 이동한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툴롱이 파리의 프랑스 공화정부에 대항하는 거점이 되기를 희망한 것이 그 첫째고 58척의 프랑스 지중해 함대를 보유하는 것이 두번째 이유였다. 후드는 스페인과 사르데냐 왕국의 협조 하에 툴롱을 장악했다. 하지만 그 해 12월, 유기적으로 협조하지 못한 연합군은 프랑스 공화파에 의해 도시를 잃고 축출되었다. 후드는 혁명주의자들의 손에 함대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랑스 함선들을 태울 것을 지시했다. = = = 코르시카 = = = 후드는 이후 코르시카 점령에 참여했다. 1세기 이전에 코르시카 섬은 프랑스에 의해 정복되었지만, 25년 전 코르시카 공화국의 지도자였던 파스콸레 파올리는 영국 왕의 이름으로 영국군의 섬 점령을 허용했다. 코르시카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조지 3세의 연방 체제에 편입되었다. 코르시카의 점령이 효과를 발휘하는 동안, 툴롱에 주둔한 해군은 그들이 함대를 파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 해 10월 그는 해군 본부 또는 국방부와의 오해로 인한 결과로 영국으로 소환되었지만,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후드는 지중해 함대에서 소환되었고,Freeman, p. 145 1794년 4월 12일 그는 제독으로 진급하였다. = = 이후 경력 = = 새뮤얼 후드는 1796년 연간 £2000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휘틀리의 후드 자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 그는 그리니치 병원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고, 1816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 그는 웨스터민스터에서 1784년부터 1788년까지, 그리고 1790년부터 1796년까지 토리당 당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1816년 1월 27일 그리니치에서 사망했고 그리니치 병원 묘지에 묻혔다. = 우간다의 역사 = 우간다의 역사는 우간다 공화국이 성립되기 전에 현재의 우간다 영토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역사와 우간다가 성립된 후의 그 나라의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구석기 시대의 증거는 인간이 적어도 50,000년 동안 우간다에 거주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간다의 숲은 아마도 중앙수단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농사를 짓기 위해 점차 개간되었다. 1894년, 우간다는 대영 제국의 보호국이 되었고, 1962년 영국은 에드워드 무테사 왈루젬베를 우간다의 초대 대통령으로 만들었다. 이디 아민은 1971년 밀턴 오보테를 폐위시키고 우간다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1979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의 결과로 축출될 때까지 그 직위를 차지했다. 다른 지도자들의 연속 이후, 요웨리 무세베니는 1986년에 권력을 잡았고 그 이후로 우간다를 이끌어 왔다. = = 식민지 이전 시대 = = 우간다에서 인간이 활동했다는 구석기 시대의 증거는 적어도 5만 년에서 아마도 10만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빅토리아호 주변의 카게라강 계곡, 주로 은소네지 주변에서 발견된 아슐의 석기들에서 볼 수 있다.East Africa Living Encyclopedia 점차적으로 숲을 개간한 경작자들은 아마도 반투어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었고, 그들의 느리지만 무자비한 팽창은 점차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들은 또한 염소와 닭을 길렀고, 기원전 400년 경에는 소 몇 마리를 길렀을 것이다. 농업에 대한 지식과 철분 단조 기술의 사용은 그들이 땅을 개간하고 훨씬 더 많은 정착민들을 먹여 살릴 수 있게 해주었다. 그들은 접근성이 낮은 산으로 이주한 원주민 수렵채집단의 작은 무리를 대체했다.Rita M. Byrnes, ed. Uganda: A Country Study. Washington: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1990. p. 4 한편 서기 1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탄자니아 서부에서 반투어군을 사용하는 야금업자들이 예열된 강제 드래그 용광로에서 중급 탄소강을 생산하기 위해 철 제련 작업을 완료했다. 이러한 개발의 대부분은 현대 우간다 국경의 남서쪽에서 이루어졌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철이 채굴되어 우간다의 많은 지역에서 제련되었다. = = 보호령 (1894년~1961년) = = 1890년대에 영국령 인도에서 온 32,000명의 노동자가 우간다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계약된 노동 계약에 따라 동아프리카로 고용되었다. 살아남은 대부분의 인도인들은 집으로 돌아갔지만, 6,724명이 동아프리카에 남기로 결정했다. 그 후, 일부는 무역업자가 되어 면직물과 의복 소매업을 장악했다. 1900년부터 1920년까지 빅토리아호 북쪽 해안을 따라 우간다 남부에서 일어난 수면병 유행으로 25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 = 초기 독립 우간다 (1962년~1971년) = = 영국은 1961년 3월 1일 우간다의 독립을 승인했다. 민주당의 베네딕토 키와누카가 초대 총리가 되었다. 밀턴 오보테는 1962년 4월에 총리로 선출되었고 우간다는 1962년 10월에 공화국이 되어 영연방 회원 자격을 유지하였다. 이후 몇 년 동안 중앙집권국가의 지지자들은 느슨한 연방과 부족에 기반을 둔 지역 왕국을 위한 강력한 역할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싸웠다. 1966년 2월 밀턴 오보테 총리가 헌법을 정지하고 모든 정부 권력을 장악하면서 정치 공작은 최고조에 달했다. 1967년 9월, 새 헌법은 우간다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대통령에게 더 큰 권한을 부여했으며 전통적인 왕국을 폐지했다. = = 이디 아민 정권 (1971년~1979년) = = 1971년 1월 25일 군사 쿠데타 이후 오보테는 권좌에서 물러났고 독재자 이디 아민이 우간다를 장악했다. 아민은 이후 8년 동안 군부와 함께 우간다를 통치했고"A Country Study: Uganda",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그의 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우간다 내에서 대량 학살을 수행했다. 1972년, 이른바 "아프리카화" 정책에 따라, 영국 여권을 가진 약 4만 명의 인도인들이 우간다를 떠날 수 밖에 없었다. 약 7,000명의 사람들이 캐나다에 정착하도록 초대되었지만, 제한된 수의 사람들만이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2006년 인구 조사에서는 3,300명의 우간다 출신이 캐나다에 있다고 보고했다. 기업가적 소수 인도인의 손실은 우간다의 경제를 파탄에 빠뜨렸다."UK Indians taking care of business", The Age (8 March 2006). Retrieved 24 March 2013. 아민의 8년 통치는 경제적 쇠퇴, 사회적 붕괴, 그리고 엄청난 인권 침해를 낳았다. 우간다 북부의 아촐리족과 랑고족은 오보테를 지지했고 군대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아민의 정치적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 1978년 국제 법률가 위원회는 아민의 공포 정치 기간 동안 10만 명 이상의 우간다인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했다. 일부 당국은 아민 독재 정권의 일부를 기록한 2006년 영화 라스트 킹의 마지막에 인용된 통계치인 3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했다. 아민의 만행은 1977년 그의 전직 장관들 중 한 명인 헨리 켐바에 의해 쓰여진 A State of Blood라는 책에서 생생하게 묘사되었다. 아민의 통치는 우간다 망명자들의 도움을 받은 탄자니아 군대가 우간다를 침공한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이후 끝났다. 이 분쟁은 우간다 국경 근처에 무투쿨라 근방에 캠프를 둔 우간다 망명자들이 연루된 국경 분쟁에서 시작되었다. 이 결과 우간다군은 탄자니아를 공격했고, 1978년 10월 탄자니아 인민방위군은 우간다 망명자들의 지원을 받아 우간다를 침공했다. 아민의 군대는 리비아군의 도움을 받았지만, 1979년 4월 11일, 수도 캄팔라를 점령하고 아민은 남은 군대를 이끌고 리비아로 도망쳤다. = = 1979년 이후 우간다 = = 아민이 축출된 후, 우간다 민족해방전선은 유수프 룰레를 대통령으로, 예레미아 루카스 오피라를 UNLF 사무총장으로 임시 정부를 구성했다. 이 정부는 장관제를 채택하고 국가 협의 위원회라고 알려진 준의회 기관을 만들었다. 국가 자문 위원회(NCC)와 룰 내각은 크게 다른 정치적 견해를 반영했다. 1979년 6월, 대통령 권한의 범위에 대한 논쟁이 있은 후, NCC는 룰레를 고드프리 비나이사로 교체하였다. 임시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계속되는 논쟁에서 비나이사는 1980년 5월에 해임되었다. 그 후, 우간다는 파울로 무왕가를 위원장으로 하는 군사 위원회에 의해 통치되었다. 1980년 12월 선거에서 밀턴 오보테의 지도 하에 UPC가 다시 집권하게 되었고, 무왕가가 부통령을 맡았다. 오보테 치하에서 치안 부대는 세계 최악의 인권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요웨리 무세베니가 이끄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노력으로, 그들은 특히 캄팔라 북부의 루베로 지역에서 국가의 상당 부분을 황폐화시켰다. 소위 "부시 전쟁"이라고 불리는 반란은 요웨리 무세베니의 지도 아래 국민 저항군과 앤드루 카야이라가 이끄는 연방민주운동(NRA)을 포함한 다른 반군 단체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 분쟁 동안 군대는 비전투원들에 대한 대량 살해를 수행했다.Henry Wasswa, “Uganda's first prime minister, and two-time president, dead at 80,” Associated Press, 10 October 2005 1985년 7월 27일, 바질리오 올라라오켈로 중장이 지휘하는 육군 여단이 캄팔라를 점령하고 군사 정부를 수립하면서 오보테는 전복되었다. 오보테는 잠비아로 망명했다. 전 국방군 사령관 장군이 이끄는 새 정권. 티토 오켈로(올라라오켈로 중장과는 관계가 없음)는 무세베니의 반란군과 협상을 시작했으며 인권 존중을 개선하고 부족간의 경쟁을 종식시키며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동안 오켈로 정부가 NRA의 지지를 무너뜨리려는 시도로 잔혹한 반란을 감행하면서 대규모 인권침해가 이어졌다. 오켈로 정부와 NRA 간의 협상은 1985년 가을 나이로비에서 케냐의 대통령 대니얼 아랍 모이가 휴전을 모색하고 우간다의 연립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1985년 말 휴전에 동의했지만, NRA는 전투를 계속했고 1986년 1월 말 캄팔라와 그 나라를 점령했고, 오켈로의 군대는 수단 북부로 도망쳤다. 무세베니의 군대는 무세베니를 대통령으로 하는 정부를 조직했다. 집권 후, 무세베니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정치적 집단인 국민저항운동(NRM)이 지배한 정부는 대체로 이전 정부의 인권 유린에 종지부를 찍고, 실질적인 정치적 자유화와 일반 언론의 자유를 시작했으며, 국제 통화 기금, 세계은행, 기부국 정부와의 협의 후, 광범위한 경제 개혁을 시행했다. 그러나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우간다의 대통령 무세베니 정부에 대항하여 다양한 반란 단체들이 내전을 벌였다. 서부 및 중부 지역도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전투가 북쪽과 동쪽에서 벌어졌다. 가장 중요한 저항 세력은 우간다 인민민주군(UPDA), 우간다 인민군(UPA), 앨리스 아우마의 성령운동(HSM), 조제프 코니의 군대(나중에 주의 저항군이 되었다)였다. 1996년 우간다는 제1차 콩고 전쟁에서 자이르의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를 무너뜨리고 반란 지도자 로랑데지레 카빌라를 지지했다. = = = 21세기 = = = 1998년과 2003년 사이에, 우간다 인민방위군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제2차 콩고 전쟁에 연루되었다. 우간다는 콩고 해방 운동과 콩고 민주 운동의 일부 파벌과 같은 반정부 단체들을 계속 지원하고 있다. = 분류:공청단 = = 분류:시에라리온의 반란자 = = 군서초등학교 (경기) = 군서초등학교는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7년 2월 1일: 설립인가 1947년 7월 18일: 군서국민학교 개교(정왕리 산139) = 불굴사 = 불굴사(佛窟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 불굴사길 205에 위치해 있는 절이다. 신라 신문왕 10년(690년)에 창건된 천년고찰이나 원효대사가 발심해 처음 수행하여 불굴사가 더 유명해진 계기가 되었다. 현재의 불굴사는 조계종 10교구본사 은해사 말사이다.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50여채의 건물과 12암자 등을 갖춘 큰 절이었다. 보물 제 429호 삼층석탑, 그 뒤의 극락보전, 조선 후기 건축물 약사보전, 관음전이 함께 위치한다. = 버펄로 바이슨스 (AHL) = 버펄로 바이슨스(Buffalo Bisons)는 미국 뉴욕주 버펄로를 연고지로 하는 1940년부터 1970년까지 AHL 소속되었던 아이스 하키팀이다. 1971년 연고지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신시내티 스워즈)로 이전했다. = = 역대 홈경기장 = = 버펄로 바이슨스 버펄로 바이슨스 버펄로 바이슨스 버펄로 바이슨스 버펄로 바이슨스 경기장 사용기간 수용인원 장소 비고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1940년~1970년 14,337명 뉴욕주 버펄로 = 분류:김재일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김재일이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노미오와 줄리엣 = 노미오와 줄리엣은 2011년 개봉한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레드가(家)'와 '블루가'로 나뉜 난쟁이 정원사들의 대립을 그린 작품이다. = = 출연진 = = 에밀리 블런트/지연 - 줄리엣 역 (목소리) 제임스 맥어보이/이준 - 노미오 역 (목소리) 마이클 케인 - 레드브릭 역 (목소리) 매기 스미스 - 블루버리 역 (목소리) 제이슨 스타뎀 / 최석필 - 티볼트 역 (목소리) 애슐리 젠슨 / 정주리 - 나네테 역 (목소리) 맷 루커스- 배니 역 (목소리) 오지 오스본 - 폰 역 (목소리) 짐 커밍스 - 페더스톤 역 (목소리) 패트릭 스튜어트/김기현 - 빌 셰익스피어 역 (목소리) = 센트럴 파크 = { "type": "FeatureCollection", "features": [ { "type": "Feature", "properties": { "marker-symbol": "marker", "marker-color": "f00", "marker-size": "small", "title":"Maps Team" }, "geometry": { "type": "Point", "coordinates": [ -73.9635,40.7881 ] } } ] } 센트럴 파크는 미국 뉴욕주 뉴욕 맨해튼에 있는 도시 중심부의 공원이다. 해마다 2,500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으며 미국 전역을 통틀어 가장 많은 사람이 찾는 공원으로 꼽힌다. 뿐만 아니라 영화나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공원의 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센트럴 파크를 유명 장소가 되는 데 일조하였다. 공원 전체의 관할은 개인 비영리단체인 센트럴 파크 관리위(the Central Park Conservancy)에서 담당하며 뉴욕시와 함께 관리한다. 공원은 북쪽으로 서부 110번 가(West 110th Street), 남쪽으로 서부 59번 가(West 59th Street), 서쪽으로 센트럴 파크 서부(Central Park West) 동쪽으로 5번 가(Fifth Avenue)에 접해 있다. 한편 공원 주변에 있는 건물들의 모습이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센트럴 파크는 브루클린의 프로스펙트 공원(Brooklyn's Prospect Park) 공사를 함께 했던 디자이너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와 건축가 칼베르트 바우스(Calvert Vaux)가 디자인하였다. 대개 공원들이 자연 경관을 그대로 두고 있다. 센트럴 파크 또한 그러하다. 공원에는 인공 호수와 연못, 여러개의 산책로, 2개의 아이스링크, 동물원, 정원, 야생동물 보호구역, 넓은 자연림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 원형극장이 있어 여름마다 셰익스피어 축제가 열린다. 공원은 아이들의 놀이터가 될 뿐만 아니라 운동 경기를 위해서도 유용한 공간이다. 철새들이 쉬며 머물고 가는 곳이기도 하여 새 연구자들이 자주 이 공원을 찾는다고 한다. 공원 주위의 10km 내외는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 자전거를 타거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이들로 붐빈다. 이로 인해 주말과 저녁 7시 이후로는 공원 주변의 차량 통행이 전면 금지된다. = = 복지공원 = = 한편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는 센트럴 파크를 조성해야할 필요성에 대해서 '지금 이곳(센트럴파크)에 공원을 만들지 않는다면, 100년 후에는 이 넓이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공공복지를 위한 공원의 사회적 가치와 이의 구현이 얼마나 절실하게 도시생활에 필수적인가를 언급한바있다. 이후 많은 도시설계가들에 의해서 센트럴 파크는 본격적인 현대 도시 공원의 시초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그는 1859년 발표된 “센트럴파크 설명문(Description of the Central Park)”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공원의 주요 목적은 건강한 레크레이션을 즐길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도시에 사는 모든 계층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 공원은 부자와 가난한 사람, 젊은이와 노인, 포악한 사람과 고결한 사람 모두에게 건강한 오락을 제공해야 한다.'Frederick Law Olmsted, “Description of the Central Park,” Central Park Commission, Second Annual Report, 1859(Jan.), The Paper of Frederick Law Olmsted Vol.3 Creating Centural Park 1857-1861, pp.212-213. = = 역사 = = 센트럴 파크는 처음으로 1853년에 778에이커(315 헥타르)의 공원으로 승인되었다. 1857년 경관 설계자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와 건축가 및 조경 디자이너 칼베르트 바우스(Calvert Vaux)가 "Greensward Plan"이라는 계획을 가지고 공원을 설계하기위한 디자인 공모전에서 우승했다. 건설은 같은 해에 시작되었고, 공원의 첫 번째 지역은 1858년 후반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센트럴 파크의 북쪽 끝에 있는 추가 토지는 1859년에 구입되었으며, 이후 부분 개장으로 계속해서 추가 공개되었으며 공원은 1876년에 완공되었다. = = 센트럴 파크를 무대로 한 작품 = = 마다가스카의 펭귄 어둠속에 나홀로 어거스트 러쉬 Crysis 2 클로버필드 스튜어트 리틀 섹스 앤 더 시티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고질라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다이하드 3 박물관이 살아있다! 퍼니셔 동쪽의 에덴 마법에 걸린 사랑 나 홀로 집에 2 마다가스카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발토 존윅 = = 참고 = = (공원조성을 위한 패러다임의 변화 - 건강관리를 위한 공원 조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관학회지 9(1): 2017. 6 - Byeon, Jae-Sang)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의 공원관에 나타난 복지 개념-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2015. 2. 김민주)http://s-space.snu.ac.kr/handle/10371/125472 (구글맵-센트럴파크)https://www.google.co.kr/maps/place/%EC%84%BC%ED%8A%B8%EB%9F%B4+%ED%8C%8C%ED%81%AC/@40.7828687,-73.9675491,17z/data=!3m1!4b1!4m5!3m4!1s0x89c2589a018531e3:0xb9df1f7387a94119!8m2!3d40.7828647!4d-73.9653551?hl=ko (오픈스트리트맵-센트럴파크)https://www.openstreetmap.org/way/427818536#map=13/40.7865/-73.9354 (센트럴파크 공식홈페이지-역사)http://www.centralparknyc.org/visit/park-history.html = 분류:캄보디아의 음악 = = 연상초등학교 화원분교 = 연상초등학교 화원분교는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화원리 산137-2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2.03.01 녹전국민학교 화원분교장 설립인가 1969.03.01 화원국민학교로 승격 1989.03.01 연상국민학교 화원분교장으로 격하 1996.03.01 연상초등학교 화원분교로 개칭 1999.03.01 폐교 = 동변리 = 동변리(東邊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동변리 = 히라이촌 (니가타현) = 히라이촌은 니가타현 가리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가시와자키시에 해당한다. = 위치토족 = 위치토족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이다. 19세기 미국 남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부족이었다. = 분류:에스토니아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 분류:지중해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골도 = 골도(骨島)는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에 있는 섬이다.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 = 특정도서 = = 골도에는 30년 내외의 곰솔군락과 콩짜개 덩굴이 발달하고, 보호종인 새홀리기가 서식하고 있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 제141호 면적 : 74,700m2 지번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산월리 산149, 산150 = 주천초등학교 (강원) = 주천초등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19년 11월 1일 주천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주천공립심상소학교로 명칭 변경 *1941년 4월 1일 주천공립국민학교로 명칭 변경 *1996년 3월 1일 주천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1999년 3월 1일 판운초등학교 통폐합 *2000년 3월 1일 금룡초등학교, 도천초등학교 통폐합 *2007년 3월 1일 금마초등학교 통폐합 *2019년 3월 1일 제36대 신동훈 교장 취임 *2019년 11월 1일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 *2019년 12월 31일 제99회 졸업식 거행(총 7,580명) *2020년 3월 1일 초등7학급(특수1), 유치원 3학급 편성,운영 *2021년 1월 6일 제100회 졸업(7,593명) *2021년 3월 1일 초등7학급(특수 1), 유치원 2학급 편성(1학급 감축) = Two Worlds = Two Worlds는 2000년에 발매된 ATB의 음반이다. 버브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학도의용군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대한민국 학도의용군들이 참전한 전투와 작전이다. = 분류:737년 사망 = = 매니저 (프로레슬링) = 프로레슬링에서 매니저란 일반적인 프로스포츠와 엔터테이먼트의 매니저 역할에서 해당선수의 경기에서 승리를 도와주는 일이 추가된다. 예를 들면 쟈니 나이트로, 조이 머큐리, 멜리나 페레즈의 MNM인 경우 매니저인 멜리나는 선수들이 위험에 처해 있을 때 일시적인 방어막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들이 경기를 가질 때 상대선수를 방해하거나 핀 폴을 할 때 손이나 다리를 잡아주면서 핀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레슬러의 승리를 도와준다. = 강민석 (1968년) = 강민석(본명 : 강원석, 1968년 9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1년 KBS 14기 공채 탤런트로 선발되었다.강민석-다음인물정보 = = 경력 = = FTV 자문위원 KBS 탤런트실 운영위원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정도전》 (KBS1, 2014년) - 조영무 역 《거상 김만덕》 (KBS1, 2010년) - 칠복 역 《대왕세종》 (KBS1, 2008년) - 임할라 역 《현장기록형사》 (MBC, 2006년) - 각종단역 《서울1945》 (KBS1, 2006년) - 군사법원판사 역 《제5공화국》 (MBS, 2005년) 《토지》 (SBS, 2004년) 《해신》 (KBS2, 2004년) 《불멸의 이순신》 (KBS1, 2004년) - 이광악 역 《영웅시대》 (MBC, 2004년) 《장길산》 (SBS, 2004년) 《왕의 여자》 (SBS, 2003년) 《장희빈》 (KBS2, 2002년) - 업동 역 《상도》 (MBC, 2001년) 《순정》 (KBS2, 2001년) 《쿨》 (KBS2, 2001년) 《명성황후》 (KBS2, 2001년) 《꽃밭에서》 (KBS2, 2001년) 《여인천하》 (SBS, 2001년) - 모가비와 도박을 한 사내 역 《이것이인생이다》 (KBS1 , 2001년) 《천둥소리》 (KBS2, 2000년) 《덕이》 (SBS, 2000년) 《태조 왕건》 (KBS1, 2000년) - 왕건 대전내관/고려 부장 역 《만남》 (KBS2, 1999년) 《종이학》 (KBS2, 1998년) 《왕과 비》 (KBS1, 1998년) 《그대 나를 부를 때》 (KBS2, 1997년) 《용의 눈물》 (KBS1, 1996년) 《머나먼 나라》 (KBS2, 1996년) 《첫사랑》 (KBS2, 1996년) - 왕기 수하 역 《바람의 아들》 (KBS2, 1995년) 《젊은이의 양지》 (KBS2, 1995년) 《길》 (KBS2, 1995년) 《춘향전》 (KBS1, 1994년) 《딸부잣집》 (KBS2, 1994년) - 권소령의 학교 선배 역 《3일의 약속》 (KBS2, 1991년) = 분류:나라별 골프 단체 = = 반피아과 = 반피아과(Banffidae)는 반피아목(Banfiata)의 유일한 과로, 반포조아(Banfozoa)라고도 알려져 있다. 반피아속, 헤테로모푸스속, 스키멜라속을 포함하고 있다. 반피아과는 다른 고충동물의 7개의 분절된 후체를 가지고 있는데, 반피아과의 경우 7개보다 더 많은 분절된 후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고충동물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분류:이즈 제도의 역사 = = 틀:나라자료 세르비아 왕국 = = 분류:일본의 선거 틀 = = 하이창구 = 하이창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샤먼시의 6개 현급 행정구역 중 하나이다. 넓이는 155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10,000명이다. = = 역사 = = 1989년에 중국 중앙 정부는 타이완의 거물급 사업가인 왕융칭을 위한 석유화학 투자구역을 하이창 구에 설치했다. 이후 하이창은 수출을 위한 농업과 공업 기반을 갖춘 세계 수준의 항구로 발전하였다. = = 지리 = = 하이창구 투자구역은 주룽강 북서쪽 기슭의 하구이자 샤먼섬의 서쪽에 위치해있다. 서쪽 강가에는 10m 깊이의 얕은 물과 함께 5km의 해안선이 있다. 하이창구는 870m 길이로 뻗어있는 하이창 대교를 통해 샤먼섬과 연결된다. = = 경제 = = 하이창 투자구는 고도의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외국인 투자를 활발히 유치하고 있다. 특히 전자, 제조, 석유화학, 기계, 정밀 화학, 건자재, 생물 공학, 제약 산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 = 행정 구역 = = 2개 가도, 1개 진을 관할한다. 가도: 해창 가도(海滄街道), 신양 가도(新阳街道). 진: 동부진(東孚鎭). = 야스히데 = 야스히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훈야노 야스히데: 일본 헤이안 시대의 시인 마쓰이 야스히데: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로주 마쓰다이라 야스히데: 다나구라 번의 4대 번주이자, 가와고에 번의 초대 번주 이하라 야스히데: 일본의 축구 선수 = 몬페라토 변경백국 = 몬페라토 변경백국 또는 몬페라토 후국은 중세에 이탈리아 왕국의 변경백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구성국이였다. 변경백국은 1574년에 몬페라토 공국으로 승격되었다. 본래 950년에 베렌가리오 2세가 세운 서 리구리아 변경백국(Marca Liguriae Occidentalis)의 일부였으나, 몬페라토 지역은 그의 사위 알레라모를 위한 변경백(marca Aleramica)이 세워졌다. 알레라모와 그의 가문의 가장 이르고 정확한 기록과 961년 그라차노 수도원의 문서에서 발견되어 전해졌다. 오토 1세가 961년에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베렌가리오 2세를 대체한 후, 오토 1세는 그의 전임자인 베렌가리오 2세와 아를의 우고의 방식처럼 이탈리아의 많은 영지들을 재정립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이탈리아 북서쪽에 세 개의 변경백국을 재조직하였다. 서 리구리아는 알레라모에게 돌려주고 동 리구리아 또는 마르카 얀벤시스(marca Januensis)를 오베르토 1세에게 주었고, 토리노를 아르두이노 글라브리오의 변경백으로 만들었다. 알레라모의 후손들은 12세기의 라니에리 델 몬페라토 변경백 시대까지는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았다. 1133년에 라니에리의 아들 굴리엘모 5세 변경백은 콘라트 3세의 배다른 자매 바벤베르크의 주디타와 결혼하여, 그의 가문의 위신이 급속히 올라갔다. 그는 콘라트와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이탈리아 정책에 참여하였고, 그의 후계자들에게 기벨린 전례를 마련하였으며, 그의 아들들과 함께 십자군에 참여하였다. 코라도 1세는 이탈리아 북부의 귀족이며, 제3차 십자군의 주요 참여자 중 한 명이였다. 그는 1190년 11월 24일 결혼을 통해 사실상의 예루살렘의 왕이였으며, 공식적으론 그가 죽기 며칠전인 1192년에 왕으로 선출됐었다. 그는 또한 1191년부터 몬페라토 변경백이기도 하였다. 보니파초 1세 변경백은 제4차 십자군의 지도자였고 그리스의 라틴 제국 중 하나인 테살로니카 왕국을 세웠다. 테살로니카를 재통합한 보니파초의 그리스인 아들인 데메트리우스는 보니파초의 이탈리아 후계자가 되었다. 13세기에 몬페라토는 보니파초 2세와 굴리엘모 7세 시기에 구엘프와 기벨린 세력 사이에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했다. 몬페라토는 독립을 하려던 아스티와 알레산드리아 코무네를 상대로 몇번의 긴 전쟁을 벌였고 이탈리아 북부에 영향력을 뻗치던 앙주 세력에 맞서기 위해 새롭게 창설된 롬바르디아 동맹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 당시에 몬페라토의 수도는 변경백의 권력의 중심지인 키바소였다. 1305년 마지막 알레라미치 가문의 변경백이 사망하고 영토가 축소해지던 동안인 1533년까지 그리스의 황가인 팔라이올로고스 가문이 이어받았다. 1533년에 몬페라토는 카를 5세 지배하의 스페인에게 공격당하여 1536년에 저명한 곤차가 가문 출신인 페데리코 2세 곤차가가 몬페라토 변경백 자리를 이어받는다. 그의 아들 굴리엘모 곤차가는 1574년에 몬페라토 공작으로 직위가 상승되었고 변경백국으로서의 독립성은 사라졌지만, 이미 영토가 두 개로 쪼개쪄, 이탈리아 르네상스 국가로 엄청난 변화를 겪은 후였다. = 야마모토 렌 = 야마모토 렌(1997년 5월 13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명나라의 부마 = = SNK = 주식회사 SNK는 일본의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작사이다. 현 SNK 게임 브랜드와 아케이드 및 가정용 게임 플랫폼 네오지오의 소유사이다. 대표작으로 격투 게임 시리즈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아랑전설, 용호의 권, 사무라이 쇼다운 등이 있고 그 외에 이카리 워리어즈, 메탈슬러그 등 각종 장르를 망라하는 아케이드 게임들을 출시했다. 1973년 카와사키 에이키치가 창립한 회사 신일본기획이 시초로, 이후 1981년 경부터 비공식적으로 약칭인 'SNK'를 이름으로 사용하다 1986년에 공식 사명으로 변경했다. 1990년 네오지오 아케이드 기판을 제작해 배급한 것을 시작으로 1990년대 전반에 걸쳐 전세계에 아케이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수출했다. 2001년 재정난으로 파산을 신청했고 직후 카와사키가 설립한 회사 플레이모어가 SNK의 자산을 물려받아 제작을 계속했다. 2003년에 다시 사명을 SNK 플레이모어로 바꾸면서 콘솔 및 PC 게임과 파치슬롯으로 시장을 확장했다. 2016년 12월 1일에는 다시 이름에서 '플레이모어'가 사라진 원사명으로 복귀했다. = = 역사 = = = = = 1973–1981: 신일본기획 = = = 1973년 일본의 기업가 카와사키 에이키치가 신일본기획을 설립하면서 SNK의 역사가 시작됐다. 1978년에 주식회사로 전환했으며 당시 선풍을 끌던 아케이드 게임 붐을 타 비디오 게임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1980년 경에 신일본기획은 자사의 영어 철자를 딴 'SNK'를 브랜드명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SNK가 이 때에 개발한 게임으로는 종형 슈팅 게임 오즈마 워즈 (1979)와 미로 게임 사파리 랠리 (1980)가 있으며, 미국 배급사 센추리를 통해 배급한 횡형 슈팅 게임 뱅가드 (1981)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다. 1981년에는 SNK 일렉트로닉스 코퍼레이션 (SNK Electronics Corporation)이라는 이름의 공식 미국 지사를 설립했다. = = = 1986–2001: 주식회사 SNK = = = 1986년 4월 공식적으로 사명을 SNK로 변경했다. 1986년 11월 미국 지사였던 SNK 일렉트로닉스 코퍼레이션은 SNK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SNK Corporation of America)로 사명을 변경하고 지사 위치를 캘리포니아 서니베일로 옮겼다. 1988년 3월 SNK 본사는 오사카 스이타시의 건물로 이사했다. 이 시점에서 SNK 일본 본사는 아케이드를 위주로 한 게임 개발 및 라이센싱 사업을 주력으로 삼기 시작했다. 1979년부터 1986년까지 SNK는 23종의 자사 개발 아케이드 게임들을 제작해 판매했다. 이 당시 대표작으로는 매드 크래셔 (1984), 알파 미션 (1985), 아테나 (1986)가 있다. 이 중 아테나는 오락실에서의 인기로 1987년 패밀리 컴퓨터로 이식됐다. 이 시기 SNK 최고의 히트작은 1986년 런 앤 건 게임 이카리 워리어즈로, 이후 각종 배급사들이 라이센스를 구입해 패밀리 컴퓨터, 아타리 2600, 아타리 7800, 코모도어 64, 코모도어 아미가, 암스트래드 CPC, 애플 II, ZX 스펙트럼 등 각종 가정용 게임기 및 컴퓨터로 이식판이 출시됐다. 이후 후속작 빅토리 로드와 이카리 III가 연달아 출시됐다. 그리고 이 시기에 SNK는 게임이라면 닥치는 대로 만들어내기 시작했으며 장르를 가리지 않고 마구 만들어 냈다. 심지어는 스포츠 게임인 골드 메달리스트를 만들기도 했다. 1983년 북미에서의 비디오 게임 시장 위기는 일본에도 여파가 미쳤는데, 이 때 SNK는 가정용 게임기 제작사 닌텐도와의 계약으로 패밀리 컴퓨터 기종의 서드파티 개발사가 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토런스에 두 번째 미국 지사 SNK 홈 엔터테인먼트 (SNK Home Entertainment)를 설립해 자사의 가정용 게임들을 북미에 수출했다. 이 당시 존 로는 SNK 북미 지사장직을 그만두고 배급사 트레이드웨스트를 차렸기 때문에, 당시 아시아 외 지역의 네오지오 판매에 기여한 폴 제이콥스가 북미 SNK 지사장을 뒤이어 맡게 됐다. SNK의 패밀리 컴퓨터 이식작이 공전의 인기를 누리자 가정용 게임기를 겨냥해 제작된 SNK 게임들도 개발하게 됐다는데, 이 당시 패밀리 컴퓨터로 발매된 SNK 게임으로 베이스볼 스타즈 (1989)와 크리스탈리스 (1990)가 있다. 1989년부터 북미 시장에 세가의 메가 드라이브 (북미 명칭 세가 제네시스)와 허드슨 소프트의 PC 엔진 (터보그래픽스16) 두 기종이 발매했고, 1991년에는 닌텐도가 뒤따라 슈퍼 패미컴 (슈퍼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출시했지만, SNK는 가정용 게임기 제조사들이 서로 앞다퉈 독점작을 출시해 선점율을 노리는 이른바 '콘솔 전쟁'에는 참여하지 않고 아케이드 시장에 머물렀다. 대신 롬스타나 타카라와 같은 서드파티 회사들이 SNK 게임의 라이센스를 획득해 가정용 이식판을 개발해 출시했다. 1988년, SNK는 아케이드용으로 쓰일 모듈 캐비넷을 고안했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아케이드 기판마다 하나의 게임만 포함해 발매해서 오락실 운여자가 게임을 교체하기 위해선 캐비넷 내부를 완전히 바꾸거나 타 게임에 맞는 캐비넷 자체를 구입해야 했다. SNK가 제작한 네오지오 멀티 비디오 시스템 (네오지오 MVS)은 게임이 든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장착해 한 캐비넷 안에 여러 개의 게임을 동시에 넣을 수 있었다. 네오지오 시스템은 1990년 캐비넷 종류에 따라 하나, 둘, 넷, 혹은 여섯 개의 게임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정식으로 발매됐다. 네오지오 시스템을 가진 오락실 운영자는 게임 카트리지를 시스템에서 빼고 꽂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게임을 오락실에 도입할 수 있었다. MVS에 쓰이는 게임 카트리지는 당시 평균 게임 가격의 절반인 미화 $500로, 저렴한 가격과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간소한 캐비넷 디자인으로 환영을 받아, 네오지오 MVS 기판 및 캐비넷은 곧 SNK 최고의 판매제품이 됐다. 본래 아케이드용으로 출시됐던 네오지오 시스템은 이후 SNK의 제품군으로 확장돼, MVS의 가정용 제품판인 네오지오 어드밴스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네오지오 AES)이 뒤이어 발매됐다. AES는 본래 호텔에서 대여할 수 있는 제한적인 방식으로만 출시됐으나 이후 소비자층의 수요가 치솟으면서 가정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정식 발매했다. 당시 미화 $599로 판매됐던 네오지오 AES는 다른 가정용 게임기와 비교했을 때 소비자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으나 그에 합당할만큼 상당히 미려한 그래픽과 풍성한 소리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었다. 이외에 SNK가 발매한 기종으로 네오지오 시스템의 게임을 CD 포맷에 담는 네오지오 CD, 3D 그래픽을 지원하는 하이퍼 네오지오 64, 휴대용 게임기 네오지오 포켓과 네오지오 포켓 컬러가 있었다. SNK는 자사의 게임기종 이외에 타사의 게임기에도 사업을 벌여,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과 세가의 세가 새턴 및 드림캐스트 등에도 전용 게임을 출시했다. 그리고 그 동안 게임이라면 닥치는 대로 만들어냈던 과거를 활용하기로 했는데 그 동안 만들었던 게임들 중 일부를 합친 격투 게임을 만들기로 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게임이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 게임인 KOF 94이며, 이 게임은 대전격투게임에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한편 1990년대 후반, SNK의 주력이었던 2D 대전 격투 게임 시장이 하향세에 접어들기 시작했다. SNK의 가정용 제품 네오지오 CD과 3D 아케이드 기판 하이퍼 네오지오 64 모두 저조한 성적을 거두고, 휴대용 게임기 네오지오 포켓 컬러는 닌텐도의 게임보이 컬러에 밀려 저조한 점유율을 보였다. 이후 SNK 경영부가 요코하마 코스모월드에서 주최한 '네오지오 월드 도쿄 베이사이드' 사업 또한 상업적 실패를 기록했다. = = = 2001-2003: 파산 및 플레이모어 = = = 2000년부터 격투 게임과 아케이드 시장이 축소돼 기업 경영이 악화됐다. 2000년 1월에는 파친코 제작 회사 아르제가 인수해 SNK 게임에 기반한 파친코 기계들을 발매했다. 불투명한 회사의 미래로 종업자 대부분이 캡콤과 딤프스를 포함한 타 일본 게임 개발사로 이직했으며, 남은 직원들은 자회사 브레자소프트를 결성해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1같은 게임 제작을 이어나갔다. 창업자 카와사키 에이키치는 2001년 8월 1일 SNK에서 분리해 플레이모어를 설립했다. 2001년 10월 30일, SNK가 공식적으로 파산을 신청했으며 자사의 IP들을 경매에 올렸다. 이 당시 일부 한국 기업들이 라이센스를 획득했는데,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1와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2를 배급한 이오리스와 메탈슬러그 4 (2002)를 제작해 발매한 메가 엔터프라이즈가 이들에 해당한다. 2001년 10월 30일, 카와사키 에이키치의 회사 플레이모어가 경매에서 성공해 SNK의 IP를 다시 획득했으며 구 SNK 직원들이 세운 브레자소프트, 네오지오 게임을 개발했던 노이즈 팩토리, 1980년대 후반부터 SNK와 협력했던 ADK 등을 흡수해 개발인원을 확보했다. 2002년 10월, 카와사키는 아르제가 플레이모어가 SNK를 다시 인수한 이후에도 SNK의 자산을 이용한 게임들을 제작했다는 이유로 620억 엔의 보상금을 요구하는 저작권 침해 소송을 걸었다. 2004년 도쿄 법원이 플레이모어의 주장을 받아들여 플레이모어에게 562억 엔의 보상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2003년 7월 아즈레로부터 SNK 명의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해 사명을 'SNK 플레이모어'로 변경했다. = = = 2003-2016: SNK 플레이모어 = = = 2003년 말 SNK 플레이모어는 네오지오 지원 중단을 발표하고 사미의 아토미스웨이브같은 타사의 아케이드 기판 위주로 제작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2004년, SNK 플레이모어는 파칭코 슬롯머신 제작 승인을 공식적으로 받아 이듬해인 2005년을 시작으로 메탈슬러그와 같은 기존 게임에 기반하거나 드래곤 갈같은 신규 IP를 활용한 파칭코 제작에 약 10년 동안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2006년 9월에 열린 도쿄 게임 쇼에서 아토미스웨이브 기판으로 게임을 제작하는 것을 중지하고 대신 타이토의 타입 X2 플랫폼으로 아케이드 게임을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외에 콘솔 및 휴대용 게임기로 전용 게임을 개발해, 플레이스테이션 2, 닌텐도 DS, 휴대 전화를 포함한 플랫폼으로 다수 게임을 발매했다. 이 때 출시한 타이틀로 플레이스테이션 2로 발매한 네오지오 게임 합본 네오지오 온라인 컬렉션이나 3D 격투 게임 KOF: 맥시멈 임팩트이 있다. 2007년 아랑전설 스페셜을 시작으로 SNK 플레이모어 USA는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로 게임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닌텐도의 디지털 플랫폼 버추얼 콘솔을 통해서도 아랑전설, 용호의 권, 월드 히어로즈와 같은 자사의 네오지오 게임들을 출시했다. 2007년에는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판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을 출시했으며 닌텐도 DS로 성인용 게임 프랜차이즈 두근두근 마녀 신판!을 제작했다. 2009년 시리즈 내의 그래픽을 HD로 강화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I를 출시했으나 부족한 컨텐츠로 인해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2010년에 발매된 후속작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II는 전작과는 대조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2009년부터 SNK는 모바일 게임을 다수 제작했으며 일부 게임들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 기반 회사에 판권을 판매해 제작됐다. 2012년 12월, SNK 플레이모어는 휴대용으로 제작된 복각 콘솔 네오지오 X를 출시했다. 그러나 2013년 10월 2일, 제조사였던 톰모와 판권 계약을 파기하면서 1년도 채 지나기 전에 콘솔 제작이 중단됐다. 톰모 측은 원래 계약기간이 2016년까지였다고 밝히며 계약 내의 사항을 모두 준수해 문제가 없었다며 해당 결정에 공개 서면으로 항의했다. 2013년 6월, 로마에 위치한 비디오 게임 박물관 VIGAMUS에 SNK의 역사를 다루는 전시전이 개최됐다. 케이 야마모토, 토미타 키요지, 에이스케 오구라 등 SNK 소속 개발자들이 해당 전시전에 참가해 인터뷰에 응했으며 오구라는 박물관 전시를 위한 삽화 두 장을 그렸다. = = = 2016-현재: 해외의 지분 인수 및 브랜드 복귀 = = = 2015년 3월, 홍콩의 게임 회사 Leyou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특출난 일본 게임 개발사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명시했다. 이후 8월, 중국 웹 및 모바일 게임사 37게임스와 자산관리사 오리엔트 보안이 서로 협력해 Leyou의 자회사 레도 밀레니엄에 합작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합작투자를 통해 Ledo는 카와사키의 SNK 주식 81.25%를 6350만 달러에 구입했다. 해당 거래에 대한 의도에 대해선 마블 엔터테인먼트가 IP를 관리하는 방식을 본받아 SNK 플레이모어의 지적 자산에 대한 권리를 획득하고 개발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으며, 이후 비디오 게임, 만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병합한 대형 프랜차이즈를 창조할 것을 계획했다. 거래 완료 후, SNK 플레이모어는 아케이드 및 콘솔 게임 대신 파치슬롯과 모바일 게임 위주로 제작했던 기존의 회사 방침을 폐지했다. 2015년에 SNK 플레이모어는 파치슬롯 시장에서 이탈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콘솔 및 모바일 게임에 집중할 것임을 명시했다. 또한 마이 시라누이, 하오마루, 나코루루, 타치바나 우쿄 등 자사 캐릭터 판권 대여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앞서 언급한 SNK 캐릭터들은 왕자영요를 포함한 모바일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에 찬조출연했다. 2016년 4월 25일, SNK는 공식적으로 '플레이모어'를 사명에서 제거할 것임을 알리고 SNK의 화려한 게임 역사로의 귀환에 대한 포부로 과거의 슬로건 "The Future is Now"를 다시 채택했다. 2016년 12월 1일, SNK 플레이모어서 SNK로의 법적 사명 변경이 완료됐다. 2020년 11월, 사우디 아라비아의 황자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가 소유한 비영리 법인 Misk 파운데이션의 자회사 일렉트로닉 게임 개발사 (EGDC)가 SNK의 주식 지분 33.3%를 획득했으며, 이후 17.7%를 추가로 구매해 SNK에 대한 영업권을 소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자회사 및 관련 회사 = = SNK 엔터테인먼트 – 2016년 2월 비디오 게임을 포함한 디지털 전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설립. SNK USA 코퍼레이션 – 북미 지역의 애니메이션 및 소프트웨어 배급사. SNK-테로 게임스 – 태국의 애니메이션 및 소프트웨어 배급사. SNK 홍콩 –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판촉과 캐릭터 판권 계약 담당. SNK 베이징 = = = 이전 = = = ADK – 전 네오지오 전용 게임 개발사. 2003년 파산 후 SNK가 판권 구입. 노이즈 팩토리 – 이전에 SNK가 소유했던 게임 개발사. 브레자소프트 유메코보 = = 개발 작품 = = SNK는 게임 개발 초기인 1980년대에는 이카리 워리어즈, 뱅가드, 사이코 솔저 등의 슈팅 게임들을 주로 제작했으나, 1990년에 자사의 아케이드 기판 및 가정용 콘솔인 네오지오를 출시한 후 1991년에 해당 기종으로 발매한 아랑전설을 시작으로 1990년대 전체에 걸쳐 아케이드용 대전 격투 게임 시리즈를 배급했다. 또한 SNK의 자회사가 제작한 1990년대 대표작으로 나즈카 코퍼레이션의 메탈슬러그, ADK의 트윙클 스타 스프라이츠가 있다. 2001년 파산 이후 2003년 다시 SNK 플레이모어로 재설립 이후, 아토미스웨이브 및 NESiCAxLive같은 타사 아케이드 장치와 콘솔을 위주로 격투 게임 제작을 이었으며, 그 이외에 파치슬롯 및 모바일 게임으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 = = 개발한 게임 = = = 《아랑전설》 《용호의 권》 《사무라이 쇼다운》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메탈슬러그》 《월화의 검사》 《이카리》 《사이코 솔저》 《버닝 파이트》 = = = 개발한 콘솔 및 기판 = = = 네오 지오 하이퍼 네오지오 64 네오지오 포켓 네오지오 포켓 컬러 = 안양양지초등학교 = 안양양지초등학교는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8.02.06 양지초등학교 설립 인가 1989.03.01 18학급 개교 1994.10.07 시 지정 환경교육 시범학교 공개 1999.10.19 시 지정 현장체험학습 발표 2011.03.01~2012.02 도 지정 예절학습장 운영 2011.03.01 혁신교육지구 지정 2012.02.15 제22회 졸업식(3,351명) 2012.03.01 2012학년도 19(1)학급 편성 2013.03.01 2013학년도 19(1)학급 편성 2014.09.01 제12대 전인섭 교장 취임 2015.02.13 제25회 졸업식(3,614명) 2015.03.01 안양희망창조 학교 선정 2015.03.02 2014학년도 18(1)학급 편성 = 분류:인덕원초등학교 동문 = = 글로스터 공작부인 비르기트 = 글로스터 공작부인 비르기트(Birgitte, Duchess of Gloucester, GCVO, DStJ, CD, 1946년 6월 20일 ~ )는 덴마크 출신의 영국의 왕가 일원이다.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의 부인으로 3명의 자녀가 있다. = 아이 러브 유, 베스 쿠퍼 = 아이 러브 유, 베스 쿠퍼(I Love You, Beth Cooper)는 미국에서 제작된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의 2009년 코미디 영화이다. 헤이든 파네티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마크 러드클리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래리 도일의 소설 I Love You, Beth Cooper에 기반을 둔다. = = 출연 = = = = = 주연 = = = 헤이든 파네티어 폴 러스트 잭 카펜터 = = = 조연 = = = 앨런 럭 로렌 런던 숀 로버츠 로렌 스톰 안나 매 루트리지 앤드리아 세비지 마리 아브게로폴로스 매기 마 팻 핀 브렌단 페니 조쉬 에머슨 자레드 키소 다리엔 프로보스트 브랜던 바턴 존 J. 걸라이예츠 에밀리 테넌트 신시아 스티븐슨 = = 기타 = = 원작자: 래리 도일 미술: 하워드 커밍스 세트: 메리-루 스토리 의상: 카렌 L. 매튜스 배역: 하이크 브랜드스타터 배역: 자넷 허쉔슨 배역: 제인 젠킨스 배역: 미쉘 루윗 배역: 코린 메이어스 = 분류:2000년대 유행 = = 분류:대한민국의 전쟁 드라마 영화 = = 분류:대월 사람 = = 분류:페론주의 = = 베일리 라이트 = 베일리 콜린 라이트(Bailey Colin Wright, 1992년 7월 28일 ~ )는 호주의 축구 선수로 현재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의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에서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다. = = 선수 경력 = = 잉글랜드의 프레스턴 노스 엔드에서 프로 데뷔했다. = 틀:게르만어파 = = 분류:LG그룹 = = 꿀맛 (1961년 영화) = 꿀맛(A Taste Of Honey)은 영국에서 제작된 토니 리처드슨 감독의 1961년 드라마 영화이다. 동명의 희극을 각색한 영화이다. 도라 브라이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토니 리차드슨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도라 브라이언 로버트 스티븐스 = = = 조연 = = = 리타 터싱햄 머레이 멜빈 폴 댄쿠아 마이클 빌턴 유니스 블랙 데이빗 볼리버 존 해리슨 허버트 스미스 = = 기타 = = 원작자: 셸라 딜래니 = 안덕초등학교 (경북) = 안덕초등학교는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소재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5년 4월 1일 안덕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안덕공립심상소학교칙령 제103호 (1938년 3월 3일)로 개칭 1941년 4월 1일 안덕공립국민학교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로 개칭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3년 3월 1일 신성국민학교 통합 1996년 3월 1일 안덕초등학교로 개칭법률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7년 3월 1일 현남초등학교 통합 1999년 9월 1일 지소분교장 개설 2000년 3월 1일 지소분교장 통합 2018년 3월 1일 제32대 최병찬 교장 부임 2020년 2월 14일 제83회 졸업식(총 4,443명) = = 학교 상징 = = 교화(校花) - 작약 : 아름다운 작약 꽃처럼 교정에서 열심히 배워서 앞날의 희망을 가꾸어 나가는 안덕어린이이다. 교목(校木) - 향나무 : 향나무처럼 추우나 더우나 변함없는 자태로 성장하고, 학교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 안덕어린이이다. = 분류:시리아의 업종별 기업 = = 블랙번위드다언 = 블랙번위드다언은 잉글랜드 랭커셔주에 위치한 단일 자치구로 중심 도시는 블랙번이며 면적은 137.0km2, 인구는 146,743명(2014년 기준)이다. 1998년 4월 1일에 신설되었다. = 분류:한국의 텔레비전 = = 도나텔라 피노키아로 = 도나텔라 피노키아로(Donatella Finocchiaro, 1970년 11월 16일 ~ )는 이탈리아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카프리 레볼루션 (2018) 튜리파니, 러브, 아너 앤 어 바이시클 (2017) 원하는 대로 (2017) 혼자서 (2015) 미오 파파 (2014) 워 스토리 (2014) 마리나 (2013) 매뉴얼 오브 러브 3 (2011) 안데이터 리토노 (2011) 온 더 웨이 홈 (2011) 테라페르마 (2011) 로스트 키스 (2010) 소렐레 마이 (2010) 리허설 포 어 시칠리안 트래지디 (2009) 더 스위트 앤 더 비터 (2007) 뷔페 (2007) 돈 메이크 애니 플란스 포 투나잇 (2006) 웨딩 디렉터 (2006) 안젤라 (2002) = 헝난현 = 헝난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헝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2621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06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22개 진, 3개 향을 관할한다. 진: 云集镇, 向阳镇, 廖田镇, 茶市镇, 冠市镇, 江口镇, 宝盖镇, 花桥镇, 铁丝塘镇, 泉溪镇, 洪山镇, 三塘镇, 谭子山镇, 鸡笼镇, 泉湖镇, 柞市镇, 茅市镇, 硫市镇, 栗江镇, 近尾洲镇, 车江镇, 咸塘镇. 향: 相市乡, 洲市乡, 松江乡. = 스트리트홀 = 스트리트홀은 대한민국의 여성 4인조 밴드이다. 이 음악 그룹은 잔혹하고 어지러운 가사와 더불어 "예쁜척하는 걸밴드는 가라. 순결하고 타락한 그녀들의 함성. 인간의 잔혹한 본성에 귀기울여 보자."라는 문구로 소개된다. = 분류:키르기스스탄의 남자 사격 선수 = = 임현철 = 임현철(林鉉澈, 1967년 2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제6대 울산광역시의원이고, 제4·5대 울산광역시 남구의원이었다. = = 학력 = = 강남국민학교 졸업 울산학성중학교 졸업 울산공업고등학교 졸업 울산과학대학교 졸업 영산대학교 졸업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행정학 석사 졸업 = = 경력 = = 처용로타리클럽 봉사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울산시당 남구 지구당 봉사회 회장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통정회 부회장 삼산산업개발 대표이사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본동 지구토지구획정리조합 상무 삼산 체육회 감사 울산광역시 남구 명예구민 감사관 남부 의용 소방대 대원 울산광역시 새마을남구지회 이사회 총무 삼산 새마을금고 이사 여천천 시민모인 회원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울산광역시 남구협의회 위원 삼산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중앙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울산시당 남구 을 청년위원장 2006.07 ~ 2010.06 제4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의원 2006.07 ~ 2008.07 제4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전반기 내무위원회 위원 2006.07 ~ 2008.07 제4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2006.07 ~ 2008.07 제4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8.07 ~ 2010.06 제4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후반기 건설환경위원회 위원 2010.07 ~ 2014.04 제5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의원 2010.07 ~ 2012.07 제5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전반기 건설환경위원회 위원장 2012.07 ~ 2014.04 제5대 울산광역시 남구의회 후반기 의장 2014.07 ~ 2018.06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2014.07 ~ 2016.07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 환경복지위원회 위원 2016.07 ~ 2018.06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2016.07 ~ 2018.06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2016.07 ~ 2018.06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 수상 = = 2014 의정봉사상 = 엘리슨 문 = 엘리슨 문(Allison Munn, 1974년 10월 7일 ~ )는 미국의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배우이다. 컬럼비아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원 트리 힐 9 원 트리 힐 8 원 트리 힐 7 원 트리 힐 6 카풀러스 = = 영화 = = 카풀러스 (2007년) 엘리자베스타운 (2005년) 원 트리 힐 (2003년) 로컬 보이즈 (2002년) 화이트 올랜더 (2002년) 요절복통 70 쇼 (1998년) - 캐롤라인 역 = 위키백과:복구 토론/2020년 2분기 = = = 가로세로연구소 문서 복구 필요 = = 많은 이슈와 논란의 중심에 있던 단체로, 백:저명성을 충족합니다. 편향성 문제와 상관 없이 각종 여러가지 커다란 사회적 논란의 주체였다는 이유 하나로 등재 조건을 충분히 만족합니다. 편향성 문제로 삭제돼야 한다면 각 정당 문서도 죄다 삭제돼야 하는 모순이 생기죠. Gate of Catastrophe (토론) 2020년 4월 5일 (일) 03:18 (KST) 찬성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0.90.247.18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보람튜브 문서 복구 필요 = = 많은 이슈와 논란의 중심에 있던 단체로, 백:저명성을 충족합니다. 처음에는 짧지만 장난스러운 내용은 없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삭제된 버전이 현재의 나무위키 판의 도입부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복구하지 않고 새로 만드는 게 안전할듯 싶습니다. ChongDae (토론) 2020년 6월 11일 (목) 16:58 (KST) = = русский язык = = 다른 언어판에서도 대한민국이 south korea로 넘겨주기 되어있는 것처럼, 원어 넘겨주기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와정말대단하다 (토론) 2020년 6월 7일 (일) 19:56 (KST) 다른 언어판(=영어판)의 규칙은 한국어판에서 적용되지 않습니다. ChongDae (토론) 2020년 6월 11일 (목) 16:59 (KST) = = 기 '삭제신청'이 성립되지 않은 뒤의 '삭제신청' = = 당해 문서가 이미 위키백과문서삭제신청이 있은 뒤에 삭제신청제기표기를 한 이후에 또다른 삭제신청이 있을 수 없게 된 후 이번에 다시 신청되었다는 점에 대하여 당해 문서에 대한 토론절차가 없고, 기존 위키백과이용자들에 의한 준동의 바(이용자 메x, 이용자 버x 등)가 심함이 있다. 그 들의 초안과 중복이라는 사유에 대하여 토론하도록 그 들을 강제할 것.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IMDEUS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두 공간에서 복구 토론이 진행되어 논의가 분산될 여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종결로 처리합니다. 호로조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23:01 (KST) = = 부령(부안)김씨 = = 초안:부안 김씨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토론이 아닌 맹목적인 공격 행위는 더 이상 좌시하지 아니하고 법률의 처벌을 구하겠다. 부끄러움 없이 주장할 수 있다면 이름을 걸고 말하라.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ikekh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토론이 아닌 맹목적인 배척은 지식의 전달과 발전의 저해요소이며 위키백과의 취지와도 어긋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ikekh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삭제의 이유가 불명확하며, 어느 부분이 왜 삭제의 이유가 되는지 고지가 없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ikekh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부안김씨와 부령(부안)김씨는 동관으로서 종친회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명칭은 부령(부안)김씨입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부령(부안)김씨'의 위키백과를 복구하고 현재 초안으로 작성된 '부안김씨'는 삭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령(부안)김씨' 문서 복구 후 내용을 가다듬고자 합니다. — 이 의견은 Likekhm (토론)님이 2020년 7월 21일 (화) 15:17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복구 토론의 진행을 위해 초안 이름공간에 해당 문서를 복구합니다. 호로조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23:02 (KST) = = 위키백과:기본방침 문서 복구 = = 편집권 남용, 편집 요약 불량 등 차단 정책이 있는 위키백과:기본방침 문서를 복구해야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tarkingk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왜요 왜 복구 하지 말아야돼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tarkingk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tarkingk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위키백과에서도 차단 정책을 강화해야합니다. 그래서 나무위키것을 도입했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tarkingk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그런 문서는 총의나 토론 등으로 합의된 내용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기본 방침 문서는 Starkingka님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반대합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6월 20일 (토) 14:28 (KST) 여러 사람들이 오랜시간 편집한 내용인데 특정인의 기준으로 일괄하여 삭제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면 적시하여 토론을 하고 해당 부분에 한하여 수정하거나 이견을 표시하면 충분합니다. 나무위키의 지침을 위키백과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를 동일시하는 것이며 어떤 지침인지, 그 지침이 위키백과에도 적용되는지 고지하지 않았습니다. 명백히 지침을 어긴 부분이 있다면 해당 부분을 수정하면 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ikekh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삭제된 위키백과:기본방침 문서를 검토한 결과, 위키백과의 다섯 원칙(과 저작권)에 위반되는 내용 (나무위키의 문서 무단 게재)이 확인되므로 이 문서는 복구될 수 없습니다. 로 종결합니다. — regards, Revi 2020년 6월 23일 (화) 01:27 (KST) 그런데 왜 넘겨주기로 합니까? 나무위키:기본방침은 관리자가 만들었는데 말입니다. 넘겨주기로 하는것은 좀 아닌것인것 같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 = 쿠키런:오븐브레이크의 캐릭터 복구하면 안되나요 = = 저는 이 문서를 다른 게임의 캐릭터 목록을 보고 만든것입니다.이 문서가 정책과 지침에 맞지 않는다면 다른 게임 캐릭터의 문서도 삭제될 수 있는건가요? 쿠키맛 용감 (토론) 2020년 6월 21일 (일) 20:47 (KST) 총의 없음. 삭제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존합니다. 호로조 (토론) 2022년 5월 12일 (목) 23:06 (KST) =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 하위 6개 문서 =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수영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젠더학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남아시아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남성문제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번역학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보드게임 ChongDae라는 관리자가 삭제한 6개 미번역 문서 목록에 대해 복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는 ChongDae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3.38.18.20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Chongdae님, 관련 문서목록이 원 문서에 병합되어 있나요? - Ellif (토론) 2020년 6월 30일 (화) 04:26 (KST) 봇으로 자동 유지보수되는 파일만 모아놓은 곳입니다. 개인적으로 수동으로 작업하는 파일이라면 사용자 문서 하위로 옮겨드리겠습니다. ChongDae (토론) 2022년 9월 5일 (월) 10:37 (KST) = 볼프의 법칙 = 울프의 법칙은 독일의 외과 의사 율리우스 볼프(Julius Wolff, 1836-1902)에 의해 발견된 이론으로, 건강한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가해지는 부담이나 충격에 따라 변형된다는 이론이다. 뼈에 지속적으로 충격이나 부담이 가해지면, 뼈는 이에 적응하기 위해 더욱 단단하고 강해진다. 뼈의 내부 구성 조직인 골소주는 외부 충격에 의해 두꺼워지며, 뼈의 외부 조직 역시 이에 따라 변형된다. 반면 뼈에 가해지는 부담이 줄어들면, 뼈는 다시 약해지는데, 이는 뼈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발되는 신진대사의 수고를 덜기 위한 것이다. = 분류:아일랜드 공화주의 = = 분류:영국-체코 관계 = = 니시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은 일본 사가현 다케오시의 다케오온센역에서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나가사키 역까지 운행하는 신칸센이다. 2008년에 착공이 시작되어 2022년 9월 23일에 개업했다. = = 개요 = =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에 의거한 신칸센 철도로서 처음 계획된 3개 노선 중 하나이다. 1973년에 정비 계획이 결정된 5개 노선(소위 '정비 신칸센') 중 하나로, 정비 계획이 결정된 이후 사가현의 경로 선정, 정비 방법, 공사 비용 문제로 난항을 겪은 끝에, 2008년에 이사하야역 인근에 착공식을 갖추었고 공사가 진행되었다. 당초 다케오 온센 ~ 나가사키 구간만 신칸센 선로를 새로 건설하고, 다케오 온센 이북 구간에 재래선을 그대로 유지하고 궤간가변에 대응하는 신칸센 열차를 개발해 두 구간을 운행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그러나 궤간가변에 대응하는 열차가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고, 2022년 9월 23일에 개통을 목적으로 다케오 온센 이북 구간에 열차 환승을 위해 릴레이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큐슈여객철도는 차량과 정비여건 개선에도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선로 용량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면서 궤간가변열차 도입을 포기하고 신칸센 규격에 맞게 건설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 = = 노선 정보 = = = 영업 거리: 66.0 km 역 수: 5 궤간: 1,435 mm 복선화 구간: 전 구간 전철화 구간: 전 구간 교류 25,000V (60 Hz) 최고 속도: 260km = = 역 목록 = = * 표가 붙인 역 명칭은 2020년 11월 26일에 명칭이 최종 확정되었다. 역 이름 가모메 일본어 이름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다케오 온센 ● 사세보 선 사가현 다케오시 우레시노 온센* ◆ 사가현 우레시노시 신오무라* ◆ 오무라 선 나가사키현 오무라시 이사하야 ● 나가사키 본선, 오무라 선시마바라 철도 시마바라 철도선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 나가사키 ● 나가사키 본선, 나가사키 전기 궤도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 = 각 역의 구조 = = = 각 역 구내 배선 및 승강장 형식을 표로 나타낸다. 원칙적으로 모든 열차가 정차하여 통과 열차가 없는 역에서는 "2면 4선"의 구내 배선이 기본이다. 즉, 섬식 승강장을 2면 배치하여 정류장은 상하선에 각각 2개소, 총 4곳을 두는 구조이다. 상하선 모두 각각 2개의 열차가 동시에 정차 가능하고, 상호 환승이 가능한 배선이다. 통과 열차가 있는 역에서는, 본선(통과선)에 직접 승강장을 두지 않고, 본선과는 별도로 대피선을 설치한 후에 승강장을 두는 구조가 기본이다. 이는 승강장의 이용객과 고속으로 통과하는 열차 사이에 거리를 확보하여 풍압 등에 의한 사고를 막기 위한 목적이다. 역 구내 배선 및 승강장 형식 배선 분류 2면2선+기존선 1면1선 2면2선 2면4선 (종착역) 구내도 해당역 다케오 온센 우레시노 온센, 신오무라, 이사하야 나가사키 = = 차량 = = 니시큐슈 신칸센의 역대 운행 차량 차량 최고 속도(단위 : km/h) 최고 속도(단위 : km/h)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차량 가모메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N700S계 260 260 2022년 운행 중 = = 운행 형태 = = 열차 등급 다케오 온센 우레시노 온센 신오무라 이사하야 나가사키 가모메 ● ■ ■ ● ●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정차;■=일부 정차;↔=통과 = = = 열차 등급 = = = = = = = 가모메 = = = = 가모메는 2022년에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갈매기를 뜻하는 니시큐슈 신칸센의 단일 열차 등급이므로, 차량 정비 및 검수는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오무라 차량 관리실에서 담당하고 있다. = = 역사 = = 2020년 10월 28일 - N700S계 8000번대 도입 확정 및 다케오 온센 ~ 나가사키 구간 개통 시 열차 명칭도 가모메()로 확정. 11월 26일 - 우레시노 온센, 신오무라 역명 확정. 2021년 4월 28일 - 나가사키 루트의 노선 명칭인 니시큐슈 신칸센()이 확정. 7월 28일 - 차량 디자인이 첫 공개. 9월 4일 - 다케오 온센 - 나가사키 선로 연결이 완공. 2022년 1월 10일 : 첫 편성인 N700S계 8000번대 Y1 편성 도입. 9월 23일 : 개통. = 안방준 =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다. 초명은 삼문(三文),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峯)·우산(牛山)·빙호자(氷壺子)·우산병복(牛山病覆)·은봉암(隱峰菴)·매환옹(買還翁)·대우암(大愚庵)·왈천거사(曰川居士)이며,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전라남도 보성군 출신.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는 호남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광해군 때 그를 등용하려 하였으나 사양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관직에 여러번 제수되었으나 서인 편향의 조정에 출사를 거부하고 후학 양성에 매진하다가 병자호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을 이끌고 청나라 군사와 맞서 싸웠다. 효종 때 유일로 천거되어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 후 사헌부 장령 등을 거쳐 공조참의에 이르렀다. 당색으로는 서인으로, 김집과 함께 김육의 대동법을 반대하였다. 호남지방의 저명한 성리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사후 1657년(효종 8) 가선대부 이조참판, 1813년(순조 13)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821년(순조 21) 문강(文康)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삼원기사 三寃記事,기묘유적노랄수사 己卯遺蹟老辣瀡辭,사우감계록 師友鑑戒錄,혼정편록 混定編錄,매환문답 買還問答, 임진왜란 때의 의병 활약상인 항의신편 抗義新編, 이대원전 李大源傳, 호남의병록 湖南義兵錄 등의 저서를 남겼다. = = 은봉 안방준 연보 = = 1573년(선조 6) 11월 20일에 보성군 오야리(梧野里, 보성읍 우산리)에서 태어남. 1583년(선조 16, 11세) 이황(李滉)의 제자 박광전(朴光前)에게 배움. 1586년(선조 19, 14세) 고경명(高敬命)의 제자 박종정(朴宗挺)에게 배움. 1589년(선조 22, 17세) 경주 정씨(慶州鄭氏) 정승복(鄭承復)의 딸과 혼인함. 1591년(선조 24, 19세)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학문에 정진함. 1592년(선조 25, 20세) 임진왜란에 박광전·임계영(任啓英) 의병막하에서 종사관 정사제(鄭思悌)와 안방준이 참모로 활동함. 1596년(선조 29, 24세) 제2차 진주성 전투를 기록한 진주서사(晉州敍事)를 집필함. 1613년(광해군 5, 41세) 조헌(趙憲)의 항의신편(抗義新編)을 편찬함. 1614년(광해군 6, 42세) 광해군 때 북인당의 폭정을 피해 보성 소뫼(牛山)으로 낙향하여 우산전사(牛山田舍)에서 강학을 시작함. 1616년(광해군 8, 44세) 호남의록(湖南義錄)을 집필함. 1622년(광해군 14, 50세) 조헌(趙憲)의 〈동환봉사(東還封事)〉를 편찬하여 간행함. 1625년(인조 3, 53세) 오수도 찰방(獒樹道察訪)에 임명되어 19일 동안 있다가 사퇴함. 사직하고 돌아온 뒤로 한양에 발걸음을 끊음. 1627년(인조 5, 55세) 정묘호란에 창의하여 호남 의병장으로 출병함. 1632년(인조 10, 60세) 스승 성혼(成渾)의 위학지방(爲學之方)을 간행함. 1635년(인조 13, 63세) 능주 매화정(梅花亭)에 터를 잡고, 당쟁자료를 모아 혼정편록(混定編錄)을 편찬함. 1636년(인조 14, 64세) 병자호란에 창의하여 수백 명을 이끌고 여산까지 진군함. 성혼과 이이(李珥)를 변론하는 장문의 상소를 지음. 1640년(인조 18, 68세) 상소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시국을 비판함. 1641년(인조 19, 69세) 동복 용안(龍岸)에서 강학을 펼쳐 다수의 제자를 배출함. 1642년(인조 20, 70세) 기묘유적(己卯遺蹟)을 편찬하여 기묘사화의 전말을 정리함. 1643년(인조 21, 71세) 〈기축기사(己丑記事)〉·〈우산답문(牛山答問)〉을 지음. 1646년(인조 24, 74세) 매화정에 은봉정사(隱峯精舍)를 짓고 다수의 제자를 양성함. 1647년(인조 25, 75세) 은봉정사를 찾은 송시열(宋時烈)에게 〈충효전가서(忠孝傳家序)〉를 지어줌. 1652년(인조 30, 80세) 상소하여 김육(金堉)의 대동법(大同法)을 반대하고, 유민(流民)의 추쇄(推刷)를 파해 주기를 청함. 1653년(효종 4, 81세) 공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 1654년(효종 5, 82세) 11월 13일 은봉정사에서 세상을 떠남. 1656년(효종 7) 능주의 유생들이 도산사(道山祠)를 세움. 1657년(효종 8) 보성의 유생들이 대계서원(大溪書院)을 세움. 1670년(현종 11) 호남 유생들이 동복(同福)의 도원서원(道源書院)을 세움. 1687년(숙종 13) 도원서원에 사액(賜額)을 받음. 1704년(숙종 30) 대계서원에 사액(賜額)을 받음. 1773년(영조 49) 대계서원에서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을 간행함. 1821년(순조 21) 문강공(文康公) 시호를 받음. 1864년(고종 1) 대계서원에서 목활자로 은봉전서(隱峰全書)를 중간함. = = 생애 = = = = = 생애 초반 = = =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안중관(安重寬)이며, 처는 경주 정씨 판관 정승복(鄭承復)의 딸이다. 고려 말에 그의 10대조 안원형(安元衡)이 문하시중을 지내고 죽성군(竹城君)에 봉작된 뒤 그의 가계에는 대소 벼슬아치 여러 명이 쏟아져나왔다. 그의 5대조 안민(安民)은 무과에 합격하였으나 세조때 이시애의 난에 순절하고 훈련원 참군(訓練院參軍)에 추증되었다. 그런데 안민이 처가인 전라남도 보성(寶城)에 정착한 이래 그의 가계는 보성에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고조인 안범(安範)은 현감을 지냈고, 할아버지 안축 (조선)(安舳)은 목사(牧使)를 지냈다. 안축은 중종 때 과거에 합격한 이래 많은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나가지 않고 김인후(金麟厚), 임억령(林億齡)과 함께 어울려 친하게 지냈는데, 일명 '호남의 세 높은 선비'(湖南三高)란 별명을 받기도 했다. = = = 성리학 수학 = = = 안축에게는 중관(重寬)·중홍(重洪)·중돈(重敦)의 세 아들이 있었는데, 원래 안방준은 장남인 중관의 둘째 아들이었으나 숙부 안중돈이 과거 시험 도중 갑자기 급서(急逝)하였기에 사후 그의 양자로 입양가게 되었다. 일찍이 박광전(朴光前)·박종정(朴宗挺)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안방준은 11세 때 퇴계 이황의 제자인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 1526~1597)의 문하에 나가서 성리학을 처음 배웠다. 박광전은 퇴계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학행이 뛰어나 선조 때 광해군이 왕자 시절 사부를 지내기도 했다. 그 뒤 14세 때 매형이었던 난계(蘭溪) 박종정(朴宗挺, 1555~1597)의 문하에서 출입하여 수학하였다. 이때부터 안방준의 학문은 대체로 서인 계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첫 스승인 박광전은 동인 계열로 퇴계 이황의 문인이었지만 매형인 박종정은 서인 당원이었다. 그 뒤 매형 박종정의 영향으로 1591년 경기도 파주의 성혼선생을 찾아가게 된다. 그런데 나중에 안방준이 성혼(成渾)의 뒤를 이을 탁월한 인재라고 평할 만큼 성혼과 관련이 있었다. = = = 청년기 = = = 1591년선조 24) 경기도 파산(坡山)으로 유학, 우계 성혼(成渾)의 문하에 찾아가 성혼의 문인이 되어 수학하였다. 지기(志氣)가 강확하고 절의를 숭상하여 포은 정몽주(鄭夢周)와 조헌을 가장 숭배, 이들의 호에서 포은의 은과 중봉의 봉, 각각 한자를 따서 자기의 호를 은봉이라 지었다. 다른 호는 우산이었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인 보성으로 내려가 옛 스승 박광전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교전하였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을 우대하는 정책을 펴던 이이첨(李爾瞻) 등이 그의 명성을 듣고 그를 여러번 찾아와 기용하려 하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1614년(광해군 6) 보성 북쪽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을 교육하였다. 일찍부터 성리학에 전념하여 호남지방의 저명한 성리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그 뒤 광해군 조정의 출사 요청을 모두 거절한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집권하자 동문이며 성혼 문하에 있을 때부터 교유가 깊던 공신 김류 등에게 글을 보내 당쟁을 버리고 인재를 등용하여 공사의 구별을 분명히 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는 서인 우계 성혼, 송강 정철(鄭澈), 조헌(趙憲) 등의 문하에 출입했던 서인계 사람이었으나 벼슬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초연하였다. = = = 인조 반정 이후 = = = 1623년 인조 즉위 초에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되고 이후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 학문에 전념하였다. 1625년에는 사포서 별제, 오수도 찰방(獒樹道察訪) 등을 제수받았으나 역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정묘호란이 터지자 격문을 돌려 전라도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병자호란이 터지자 역시 의병을 일으켜 여진족 군대와 교전했다. 조헌을 추모하여 항의신편 抗義新編을 출간했는데 서인의 묵재 이귀(李貴)는 이를 읽고 깊이 감동하여 인조에게 국가에서 이를 영인과 간행, 중외에 반사(頒賜)할 것을 건의하여 보급하였다. 이후 학문 연구와 후학 교육을 하며 당론을 중단하고 폭넓은 인재 중용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렸다. 인조 후반에 전생서주부·찰방·좌랑 등을 제수받았으나 서인 내부의 분파 갈등과 소현세자 사건 등에 염증을 느껴 나아가지 않고 사양과 거절을 반복했다. 거듭 상소하여 당쟁을 중단하고 시정(時政)을 개혁할 것을 논하였고 임진왜란, 병자호란 후 절의 추승활동을 하였다. = = = 출사와 생애 후반 = = = 효종이 즉위한 뒤 지방의 유일(遺逸)로 선우협(鮮于浹)·최온(崔蘊)·조극선(趙克善)·권시(權諰)·이유태(李惟泰) 등과 함께 좌의정 조익(趙翼)의 천거를 받아 1649년(효종 원년) 공조 좌랑, 사헌부지평, 1651년(효종 2년) 사헌부장령, 1653년(효종 4)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임명되었지만 출사하지 않고 거듭 상소하여 시정(時政)을 논하였다. 1652년(효종 3년) 안방준은 김자점(金自點)이 광양(光陽)에 유배된 뒤로 여러 번 편지를 보내와서 몇차례 왕복 서찰을 보낸적이 있다면서 스스로 죄를 받겠다는 상소를 하였다. 그 해 5월 효종에게 상소하여 우의정 김육(金堉)이 ‘경기도에 실시하고 있는 대동법(大同法)을 먼저 호서 지방에 시험하고 다음으로 양남(兩南)에 실시하자’는 대동법의 확장 실시에 대해서 여러 대신들은 백성들의 부역을 가볍게 하고 국가의 재정(財政)을 풍부하게 할 것이라 여겼을 것이나 지금 삼남 지방은 계속되는 흉년으로 좀도둑이 들끓고, 난리를 겪고 난 뒤 유랑민들이 산으로 들어가 총으로 짐승을 잡아 생계를 이어가는 자가 수도 없이 많아져서, 백성들이 원망과 배반감으로 가득찬 것이 국가의 커다란 걱정인데도, 조정의 신하들은 서울에서 실시할 때 이미 인심을 잃은 대동법만이 오늘날의 제일가는 계책으로 여긴다며 반대했고, 또한 무차별한 유민의 추쇄(推刷)로 인해 유민이 발생하는 이유를 고려하지 않고 추쇄의 명령만 내리면 오히려 더 깊은 곳으로 숨게 된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했다. 80 평생을 주로 초야에서 보내면서 시종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들어오고 나갈 때를 명확히 하였고, 학문적 경향과 처신에 있어서 절의(義節)을 높이 숭상했다. 일찍이 이이, 성혼, 정철, 조헌 등 서인계 인사들을 사후에 변론했고, 우암 송시열 등에게 존장으로 대우를 받아 정치적으로 서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명재(明齋) 윤증(尹拯)의 생각은 달랐다. "'붕당을 혁파하자[破朋黨]’라는 세 글자를 자신의 소임으로 삼고서 항상 입으로 말하고 글로 쓰면서 오직 이 세 글자를 천명하는 일에 죽을 때까지 부지런히 노력했던 분"이라며 칭송했다. 시문도 많이 남겼는데 그의 시문은 은봉전서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들의 활약상과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환경을 서술한 항의신편 抗義新編·이대원전·호남의병록 湖南義兵錄과 당쟁에 관련된 자료인 삼원기사 三寃記事, 사우감계록 師友鑑戒錄, 혼정록 混定錄, 혼정편록 混定編錄, 매환문답, 기묘유적노랄수사 등의 저서를 남겼다. 그의 편저들은 의병사·당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 = 사후 = = = 1657년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이 그를 포상할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고, 1658년 동춘당 송준길의 증직 상소를 올려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송준길은 그의 도학과 사림이 서원을 건립하여 제향하게 된 사유를 아뢰고 '조정에서도 마땅히 증직하여 포상해야 할 것입니다'하여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던 것이다. 인조반정 공신인 서인 김류, 김자점, 이귀 등과도 친분이 있었고, 비공신인 산림계열 서인 학자인 성문준(成文濬), 송시열, 송준길(宋浚吉) 등과 두루 친교가 있어 서인 집권하에서는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학자로 조정에 여러번 천거되었다. 그러나 관직은 사양할 때와 나갈 때가 있었고 병자호란 이후는 거의 벼슬을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다시 이조판서 겸 성균관 좨주에 추증되었고, 순조 때 문강(文康)의 시호가 내려졌다. 전남 보성의 대계서원(大溪書院), 화순 동복의 도원서원(道原書院), 능주의 도산사(道山祠) 등에 배향되었다. 1691년(숙종 17) 남인이 집권했을 때 한때 호남인 정무서(鄭武瑞) 등의 소청에 의하여 그의 사우(祠宇)가 한때 철거되기도 했다. 그는 정철과 함께 서인과 남인 정권의 시각과 입장차이에 따라 상반되는 평가가 내려져 포폄이 반복되기도 하였다. = = 저서 = = 임진·정유왜란과 관련된 저술 : 「진주서사(晋州敍事)」·「임정충절사적(壬丁忠節事蹟)」·「삼원기사(三寃記事)」·「호남의록(湖南義錄)」·「백사론임진제장사변(白沙論壬辰諸將士辨)」·「부산기사(釜山記事)」·「노량기사(露梁記事)」·「임진기사(壬辰記事)」등. * 『은봉야사별록(隱峯野史別錄)』: 은봉이 1627년에 임진·정유왜란과 관련된 저술 속에서 특별히 「임진기사(壬辰記事)」·「노량기사(露梁記事)」·「진주서사(晋州敍事)」등 세 편의 글을 뽑아 편찬한 책이다. 은봉 사후인 1663년 고흥향교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는데, 일본에서도 이 책을 입수하여 읽어오다가 1849년 와타나베(渡邊)가 유호이재(有乎爾齋)에서 재차 간행하여 일본 사회에 유포했다. 이를 가영본(嘉永本)이라 부른다. 일본인들을 「은봉야사별록」을 통해 임진·정유왜란의 전말(顚末)을 상세히 고찰하려고 했을 뿐 아니라, 조선인의 충절(忠節)을 본보기로 삼아 자국인에 대한 정신교육을 하려고 했다. 그만큼 이 책의 사료적 가치는 매우 비중이 높다. 이 책은 1996년에 성균관대 이상익(李相益,1964년생)·최영성(崔英成,1962년생) 교수에 의해 번역되어 한국학계에 소개된 바 있다. 사림정신을 고취한 저술 : 『기묘유적(己卯遺蹟)』·『항의신편(抗義新編)』·「사우감계(師友鑑戒)」·「우산답문 (牛山答問)」등. 동서 분당과 관련된 저술 : 『혼정편록(混定編錄)』·「기축기사(己丑記事)」·「매환문답(買還問答)」등. = = 관련 문화재 = =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3호 = = 가족 = = 고조부 : 안범(安範, 1460~1523) - 1483년 생원. 1507년(중종 2)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 청안(淸安)‧진안(鎭安)‧예안(禮安) 세 고을의 현감으로 선정을 베풀어 ‘안삼안(安三安)’으로 불림. 고조모 : 천안전씨(天安全氏) - 상장(上將) 전유정(全有貞)의 따님. 증조부 : 안수륜(安秀崙, 1483~1517) - 1507년 진사, 1516년 문과,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의정부 사록(議政府司錄). 증조모 : 거창신씨(居昌愼氏) - 무과 급제 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신난동(愼蘭仝)의 따님.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신자건(愼自健, 1443~1527)의 손녀. * 조부 : 안축 (조선)(安舳, 1500~1572) - 호는 둔암(鈍庵), 1531년 생원·진사, 1542년 문과,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나주목사, 남원도호부사. * 조모 : 도강김씨(道康金氏) - 생원 김약회(金若晦, 1481~?)의 따님이고, 외조부는 송연손(宋演孫, 1460~1508)인데 중종이 잠저에 있을 때 사부(師傅)였다. ** 숙부(양부) : 안중돈(安重敦, 1541~1565) - 숙부이자 양부. 1561년 생원·진사 합격 ** 남원양씨(南原梁氏) - 양윤순(梁允純)의 따님이고, 어머니 거창신씨(居昌愼氏)는 중종의 비 단경왕후(端敬王后, 1478~1557)의 당질이고 동생이 명종의 후궁 귀인신씨(貴人愼氏)이다. **** 부인 : 경주정씨(慶州鄭氏, 1571~1642) - 함흥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 1520∼1580)의 따님으로 어머니는연안김씨(延安金氏)는 김엽(金燁)의 따님이다. ***** 장남 : 안후지(安厚之, 1590~1664) - 호는 송음(松陰). 좌승지(左承旨)에 증직. ***** 자부 : 창녕성씨(昌寧成氏, 1591~1627) - 성혼(成渾, 1535~1598)의 손녀이고 성문준(成文濬, 1559~1626)의 따님. ****** 손자 : 안전(安峑, 1614~1686) - 호는 소와(邵窩), 1614년 진사, 송화현감(松禾縣監). ****** 손부 : 전주이씨(全州李氏, 1612~1699) - 사복시정(司僕寺正) 이구(李坵)의 따님. ******* 증손자 : 안두상(安斗相, 1636~1723) - 호는 낙빈당(樂貧堂), 통정대부(通政大夫)·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 증손부 : 원주이씨(原州李氏, 1638~1699) -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이빈(李彬, 1597~?)의 따님. ******* 증손자 : 안익상(安翼相, 1638~1672) - 통덕랑(通德郞) ******* 증손부 : 풍천임씨(豊川任氏) - 장사랑(將仕郎) 임방(任昉)의 따님. ******* 증손서 : 오수석(吳壽錫) ******* 증손서 : 고응천(高應天) - 본관은 제주(濟州). 고세혁(高世爀)의 아들 ****** 손자 : 안음(安崟, 1622~1685) - 호는 송촌(松村)·퇴우(退憂), 1657년 생원,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 1등에 녹훈. 통정대부(通政大夫) 행병조참지(行兵曺參知) ****** 손부 : 해남윤씨(海南尹氏) 윤호영(尹好英, 1620~1673) - 윤유방(尹惟方)의 따님. ******* 증손자 : 안민상(安敏相) - 익위(翊衛) ******* 증손서 : 최여천(崔與天) - 별제(別提) ******* 증손서 : 노찬(盧燦) - 감역(監役) ******* 증손서 : 임관(林洸) - 직장(直長) ******* 증손서 : 이태래(李泰來) - 본관은 원주(原州[舊]), 참봉(參奉). 지평 이빈(李彬, 1597~?)의 손자, 완은(涴隱) 이담로(李聃老, 1627~1701)의 아들 ******** 아들 : 이언렬(李彦烈, 1680~1719) - 1713년 생원, 1714년 문과,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 아들 : 이언길(李彦吉, 1684~?) - 1729년 생원 ******** 아들 : 이언술(李彦述) ******** 아들 : 이언철(李彦喆) ******* 증손서 : 임신(林藎) - 사과(司果) ****** 손부(후실) - 미상 ******* 증손자(庶) : 안기상(安箕相) - 교위(校尉) ****** 손자 : 안회(安𡼾, 1627~1668) - 1651년 무과, 호남수군우후(湖南水軍虞候), 형조좌랑(刑曹佐郞). ****** 손부 : 해주최씨(海州崔氏, 1628~1672) - 통덕랑(通德郞) 최정(崔湞)의 따님. ******* 증손자 : 안수상(安壽相, 1665~1729) - 동복현감(同福縣監). ******* 증손부 : 평산신씨(平山申氏) - 어모장군(禦侮將軍) 신남수(申楠壽)의 따님이고 전라도병마절도사 평해군(平海君) 신만(申漫, 1679~?)의 누나. ******* 증손부 : 조양임씨(兆陽林氏) ******* 증손서 : 오대관(吳大寬, 1656~?) -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덕양(德陽). 1687년 생원, 성균관전적 오이규(吳以奎, 1608~1653)의 손자이고 통덕랑(通德郞) 오영석(吳永錫)의 아들. ****** 손녀 : 죽산안씨(竹山安氏, 1611~1678) ****** 손서 : 민팽령(閔彭齡, 1614~1668) - 본관은 여흥(驪興), 월파(月坡). 봉사(奉事) 민희(閔禧)의 손자이고 사헌부집의 민여관(閔汝寬)의 아들. ****** 손서 : 윤상필(尹商弼) - 본관은 해남(海南), 윤선창(尹善昌)의 아들. ****** 손서 : 최처후(崔處厚) ***** 자부(후실) : 광주이씨(廣州李氏, 1606~1684) - 이금수(李錦樹)의 따님 ****** 손자 : 안영(安岺, 1650~1730) ***** ***** 차남 : 안신지(安愼之, 1592~1671) - 선교랑(宣敎郞) ***** 자부 : 참봉(參奉) 조무(趙懋)의 딸 ****** 손자 : 안희(安𡼎, 1614~1680) - 호는 회정와(晦靜窩). ****** 손부 : 해미백씨(海美白氏) - 송호(松湖) 백진남(白振南, 1564-1618)의 손녀이고 월주(月洲) 백상현(白尙賢, 1595~?)의 따님 ****** 손자 : 안유(安嵛) ****** 손자 : 안필(安{山畢}) ****** 손자 : 안밀(安峚) ****** 손서 : 이징원(李徵遠) ****** 손서 : 양지항(梁之沆) - 본관은 제주(濟州), 양위남(梁渭南, 1574~1633)의 손자이고 양우전(梁禹甸)의 아들. ****** 손서 : 양지한(梁之漢) ***** ***** 삼남 : 안심지(安審之, 1600~1655) - 선교랑(宣敎郞) ***** 자부 : 여흥민씨(驪興閔氏) - 민사종(閔嗣宗)의 손녀이고 봉사(奉事) 민희(閔禧)의 따님. ****** 손자 : 안규(安{山奎}) ****** 손자 : 안성(安{山成}) ****** 손서 : 홍명기(洪命基) ***** ***** 사남 : 안익지(安益之, 1608~1687) - 선교랑(宣敎郞) ***** 자부 : 봉사(奉事) 김의명(金義鳴)의 딸 ****** 손자 : 안순(安{山旬}) ****** 손자 : 안언(安{山彦}) ****** 손서 : 이진(李瑱) ****** 손서 : 양우주(梁禹疇) - 본관은 제주(濟州). 양도남(梁道南, 1607~1667)의 아들. ******* 외증손자 : 양득중(梁得中, 1665~1742) - 호는 덕촌(德村), 동부승지(同副承旨). ******* 외증손자 : 양영중(梁瑩中) ******* 외증손서 : 임규석(林圭錫) ******* 외증손서 : 조도명(趙道命) ****** 손서 : 오수(吳需) - 본관은 나주(羅州) ******* 외증손자 : 오만적(吳萬績) ******* 외증손자 : 오재적(吳再績) ******* 외증손서 : 안만승(安晩升, 1680~1732) - 이병재(理病齋) 안여해(安汝諧, 1657~1691)의 아들 ****** 손서 : 최동보(崔東寶) ***** ***** 오남 : 안일지(安逸之, 1613~1643) - 선교랑(宣敎郞) ***** 자부 : 신평송씨(新平宋氏) - 송익(宋杙, 1600~?)의 따님. ****** 손자 : 안참(安嵾) ******* 증손자 : 안직상(安稷相) ******* 증손자 : 안치상(安致相) ******* 증손서 : 오흥적(吳興績) ******* 증손서 : 장이당(張以堂) ******* 증손서 : 백수규(白受珪) ******* 증손서 : 정상익(鄭相益) ****** 손자 : 안위(安崴, 1639~1701) ****** 손부 : 광산이씨(光山李氏) - 선교랑(宣敎郎) 이율(李嵂)의 따님. ******* 증손자 : 안후상(安後相, 1665~1726) - 호는 매계(梅溪). ******* 증손부 : 창녕조씨(昌寧曺氏) - 조이태(曺爾泰)의 따님. ******* 증손부 : 밀양박씨(密陽朴氏) - 박세중(朴世中)의 따님. ******* 증손부 : 광산김씨(光山金氏) - 김평(金枰)의 따님. ******* 증손서 : 이운시(李耘時) - 본관은 전주(全州) ******* 증손서 : 이태개(李泰開) - 본관은 성주(星州) ****** 손부(후실) : 진주하씨(晉州河氏) ******* 증손자 : 안제상(安濟相) ******* 증손자 : 안내상(安鼐相) ******* 증손자 : 안택상(安宅相) ******* 증손자 : 안동상(安東相) ******* 증손자 : 안여상(安藜相) ******* 증손서 : 김창구(金昌九) ******* 증손서 : 문이채(文以采) ****** 손서 : 박세형(朴世亨) - 본관은 진원(珍原), 만포(晩圃) 박근효(朴根孝, 1550~1607)의 손자이고 동계(東溪) 박춘장(朴春長, 1595~1664)의 아들 ****** 손서 : 양창호(梁昌灝) ****** 손서 : 최세첨(崔世瞻) ***** 사위 : 정창서(鄭昌瑞) - 본관은 서산(瑞山), 용양위부사용(龍驤衛副司勇) ****** 외손자 : 정동오(鄭東五, 1622~?) - 1666년 진사. ****** 외손자 : 정동규(鄭東奎) ***** 사위 : 양일남(梁一南) - 본관은 제주(濟州), 통덕랑(通德郞) ****** 외손자 : 양우성(梁禹成)/양우규(梁禹規) ****** 외손자 : 양우급(梁禹及) - 1651년 무과,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외손서 : 백광시(白光時) ***** 사위 : 조정유(曺挺有, 1611~1650) - 본관은 창녕(昌寧). 선교랑(宣敎郞). 부친은 조욱(曺煜, 1592∼1672)이고 조부는 생원 조수성(曺守誠, 1570~1644)이다. ****** 외손자 : 조선행(曺善行) *** *** 생부 : 안중관(安重寬, 1524~1605)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영의정 윤두수(尹斗壽, 1533~1601)가 처조카. *** 전부인 : 성주현씨(星州玄氏) - 부사직(副司直) 현윤명(玄允明)의 따님 **** 형 : 안방선(安邦善, 1543~1588) - 창신교위(彰信校尉) **** 형수 : 문의박씨(文義朴氏) - 수사(水使) 박해(朴海)의 따님 ***** 조카 : 안효립(安孝立) ****** 증손자 : 안욱(安彧, 1595~1644) ***** 조카 : 안제립(安悌立) - 무과에 급제하여 판관(判官). ***** 조카 : 안충립(安忠立) - 무과에 급제하여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 초계군수(草溪郡守). ***** 질부 : 고흥유씨(高興柳氏) - 유몽사(柳夢獅)의 따님.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조카 ***** 조카 : 안신립(安信立, 1578~1666) -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 ***** 질부 : 함양박씨(咸陽朴氏) - 참봉(參奉) 박계성(朴繼成)의 따님 ***** 질부 : 여양진씨(驪陽陳氏) -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 진순신(陳舜臣)의 따님 **** 매형 : 남언강(南彦絳) - 본관은 의령(宜寧) **** 매형 : 신중경(愼重慶) - 본관 거창(居昌) **** 매형 : 박종정(朴宗挺, 1555∼1597) - 본관 함양(咸陽), 1576년 진사 **** 매형 : 이영남(李英男) - 본관은 광주(廣州) ***** 생질 : 이정발(李廷發) - 본관은 예안(禮安), 통덕랑(通德郞). ****** 생질손 : 이유량(李惟樑, 1618~?) - 1657년 생원 ****** 생질손 : 이유강(李惟橿, 1621~?) - 1652년 생원 ****** 생질손 : 이유장(李惟樟, 1625~1701) - 1660년 진사, 공조좌랑(工曹佐郞). ****** 생질손 : 이유방(李惟枋) *** 후부인(생모) : 진원박씨(珍原朴氏) - 박이경(朴而儆)의 따님. 1513년 진사 박균(朴囷)의 손녀. **** 차남 : 안방준(安邦俊) - 숙부 안중돈(安重敦, 1541~1565)의 양자가 됨 **** 매제 : 이근(李根, 1577~?) - 본관은 전의(全義), 1606년 무과, 주부(主簿). ***** 생질 : 최계헌(崔繼憲, 1590~1643) - 본관은 해주(海州) **** 매제 : 송격(宋格 - 본관 신평(新平). ***** 생질 : 홍종문(洪鍾聞, 1605~?) - 본관은 풍산(豊山), 1657년 문과. **** 매제 : 김원(金院) *** *** 숙부 : 안중홍(安重洪, 1531~1597) - 호는 동암(冬岩), 헌릉 참봉(獻陵參奉). *** 숙모 : 원주원씨(原州元氏) 원천상(元天祥, 1532~?) - 원언보(元彦輔, 1499~?)의 따님. 원균(元均, 1540~1597)의 친척이었다. **** 종제 : 안방열(安邦說, 1592~1609) **** 종매부: 신흡(申潝) - 본관은 고령(高靈), ***** 조카 : 신상심(申尙深) ***** 조카 : 신상용(申尙溶, 1577~1618) - 호는 칠휴당(七休堂) ***** 질부 : 태원안씨(太原安氏)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안곡(安鵠, 1534~1626)의 따님. **** 종매부 : 설호룡(薛虎龍) - 본관은 순창(淳昌) **** 종매부: 윤강중(尹剛中) - 본관 해남(海南), 생원 윤효정(尹孝貞, 1476~1543)의 손자이고 강원감사 윤복(尹復, 1512~1577)의 장남. ***** 조카 : 윤유겸(尹唯謙) - 1618년 진사.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재종숙. ***** 조카 : 윤유익(尹唯益) **** 종매부 : 윤욱(尹頊) - 본관은 함안(咸安), 윤승서(尹承緖)의 장남. *** *** 고숙(姑叔) : 이유창(李惟昌) - 본관 광주(廣州), 충의위(忠義衛). 안수잠(安秀岑)의 사위 이유번(李惟蕃)의 동생. **** 내종사촌 : 이윤남(李允男) **** 내종사촌 : 이신남(李信男) **** 내종사촌 : 이의남(李義男) **** 내종사촌 : 이기남(李奇男, 1567~?) - 1585년 생원 **** 내종사촌 : 이태남(李泰男) - 현령(縣令) * * 종조부 : 안정(安艇) - 자 강빈(江賓), 호 손암(遜庵), 선무랑(宣務郞) * 종조모 : 광주이씨(廣州李氏) : 군수(郡守) 이지분(李之蕡)의 딸 ** 당숙(양자) : 안중묵(安重默) :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자 기현(基賢), 호 동애(桐崖), 생부 안의(安艤) ** 당숙모 : 청풍김씨(淸風金氏) : 충의위(忠義衛) 김홍한(金弘漢)의 딸 종증조부 : 안수잠(安秀岑, 1486~?) - 1507년 생원 진사에 합격. 1522년 문과에 급제. 합천군수(陜川郡守). 종증조모 : 태종의 서6남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 1412~1465)의 손녀이고, 화성군(花城君) 이감(李堪)의 따님이다. * 재종대고숙(사위) : 이유번(李惟蕃) - 본관은 광주(廣州), 전라도관찰사 이세정(李世貞, 1461~1528)의 손자이고 이수완(李秀莞, 1500~1572)의 차남. ** 재종고숙(사위) : 양천회(梁千會, 1563~1591) - 본관은 제주(濟州), 1588년 생원. 종증조부 : 안수금(安秀嶔, 1488~1542) - 1513년 무과 급제. 안동판관(安東判官), 운산군수(雲山郡守). 종증조모 : 전주이씨(全州李氏) 이탁문(李托文, 1494~?) - 세조의 서1남 덕원군(德原君) 이서(李曙, 1449~1498)의 따님이다. * 재종조부 : 안의(安艤, 1512~1563) * 재종조모 : 상주박씨(尙州朴氏) - 박매(朴梅)의 따님. ** 재종숙 : 안중무(安重武) ** 재종숙 : 안중위(安重威) - 숙부의 양자 ** 재종숙 : 안중묵(安重默, 1556~1607) - 호는 동애(桐崖). 안정(安艇)의 양자가 됨. * 재종조부 : 안박(安舶) * 재종조모 : 광주이씨(廣州李氏) - 이부(李敷)의 따님. ** 재종숙(양자) : 안중위(安重威) * 재종조부 : 안항(安航) * 재종조모 : 장흥조씨(長興曺氏) - 만호(萬戶) 조세덕(曺世德)의 따님. ** 재종고모 : 안효생(安孝生) ** 재종고숙 : 백승종(白承宗) - 본관은 해미(海美) *** 아들 : 백민준(白民俊, 1568~?) - 1603년 무과 *** 아들 : 백민수(白民秀, 1577~?) - 1603년 무과 *** 아들 : 백민각(白民覺) ** 재종고모 : 안업이(安業伊) ** 재종고숙 : 박근효(朴根孝, 1550~1607) - 본관은 진원(珍原), 1591년 진사,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 1526~1597)의 장남 *** 아들 : 박세형(朴世亨) *** 사위 : 최홍유(崔弘有) - 본관은 해주(해주), 통덕랑(通德郞), 최경장(崔慶長)의 아들. * 재종조부 : 안방(安舫) * 재종조모 : 나주염씨(羅州廉氏) - 염호(廉浩)의 따님. ** 재종고모 : 안금개(安金介) ** 재종고숙 : 문영개(文英凱, 1565~1620) - 본관은 남평(南平), 문위지(文緯地)의 아들, 생부는 진사 문위세(文緯世, 1534~1600).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 재종대고모 : 안예종(安禮琮) * 재종대고숙 : 정승복(鄭承復, 1520∼1580) - 본관은 경주(慶州), 1544년·1546년 무과, 함흥판관(咸興判官). ** 아들 : 정사안(鄭思安) ** 아들 : 정사익(鄭思翊) - 부사직(副司直) *** 손자 : 정돈(鄭惇) - 사직(司直) *** 손부 : 해주최씨(海州崔氏) - 병사(兵使) 최경회(崔慶會, 1532~1593)의 따님. **** 증손자 : 정지추(鄭之推, 1580~1630) - 1615년 생원. **** 증손자 : 정지수(鄭之授) - 정빈(鄭𢣐)의 양자가 됨. *** 손자 : 정빈(鄭𢣐, 1566~1640) - 아산현감(牙山縣監). *** 손부 : 순창조씨(淳昌趙氏) - 습독(習讀) 조윤련(趙潤璉)의 따님. **** 증손자(양자) : 정지수(鄭之授, 1586~1629) - 1612년 생원 *** 손자 : 정순(鄭恂) - 직장(直長) * 재종대고모 : 안의종(安義琮) * 재종대고숙 : 정유일(鄭惟一) - 본관은 하동(河東), 충의위(忠義衛) ** 아들 : 정임(鄭任) ** 아들 : 정교(鄭僑) ** 아들 : 정간(鄭侃) ** 아들 : 정길(鄭佶, 1566~1619) - 1606년 생원, 호는 난곡(蘭谷). * 재종대고모 : 안임종(安任琮) * 재종대고숙 : 문위지(文緯地) - 본관은 남평(南平). ** 아들(양자) : 문영개(文英凱, 1565~1620) -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생부는 진사 문위세(文緯世, 1534~1600) ** ** 장인 : 정승복(鄭承服) = = 기타 = = 평생을 주로 초야에서 보내면서 시종 성리학에 침잠하였으나 일찍이 서인 성혼, 정철, 조헌의 제자가 되고 그들, 특히 조헌을 추종하여 정치적 성향은 서인편에 섰다. 왕조실록에 의하면 그는 성품이 강개하고 절의있는 인물로 평가된다. 졸기에 의하면 "그는 성품이 강개(慷慨)하고 절의를 숭상하였다. 평생토록 포은(圃隱) 정몽주(鄭蒙周)와 중봉(重峰) 조헌(趙憲)을 사모하여 은봉(隱峰)이라고 스스로 호(號)를 붙였다. 비록 시골에 물러나 세상일에 뜻을 두지 않았으나 여러차례 항소(抗疏)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었다. 부름을 받았으나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붕당에 반대하고 당파싸움을 비판하였으나 그럼에도 서인쪽을 주로 두둔, 변호하였다. = 분류:서흥군 출신 = = 윤대성 = 윤대성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윤대성(1939년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윤대성(1974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인이다. 윤대성 (극작가) = 분류:유기 팔라듐 화합물 = = 분류:음모 = = 1174년 = = = 연호 = = 남송(南宋) 순희(淳熙) 원년 금(金) 대정(大定) 14년 일본(日本) 조안() 4년 서하(西夏) 건우(乾祐) 5년 리 왕조(李朝) 찐롱바오응(正隆寶應) 12년 / 티엔깜찌바오(天感至寶) 원년 = = 기년 = = 남송(南宋) 효종(孝宗) 12년 금(金) 세종(世宗) 14년 고려(高麗) 명종(明宗) 4년 서하(西夏) 인종(仁宗) 35년 리 왕조(李朝) 영종(英宗) 37년 = = 사망 = = 5월 15일 - 누르 앗 딘 : 제2차 십자군~제3차 십자군 원정시 이슬람의 지도자.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이준의(李俊儀) * = 김동희 (1985년) = 김동희(金東熙, 1985년 10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전남 장흥 출신으로 허장회 바둑도장에서 수학했다. 2003년 제95회 입단대회를 통해 입단했으며 2004년 제4기 오스람코리아배 본선에 진출했다. 2005년 제15기 비씨카드배 신인왕전 준우승을 차지하고 12월에 2단으로 승단하였다. 2006년 제16기 비씨카드배 본선과 제10기 SK가스배 본선, 제11회 LG배 세계기왕전 본선에 각각 진출했다. 2011년 3단에 이어 2017년 4단으로 승단했다. 2018년 입단한 김동희 초단과 동명이인이다. = 모듈:Adjacent stations/Taiwan Railways = local x = "%1 station" local y = "%1 railway station (Taiwan)" local p = { ["system title"] = "타이완 철로", ["system icon"] = "", ["system color"] = "090980", ["station format"] = { "%1 railway station", ["Banqiao"] = x, ["Nangang"] = x, ["Qiaotou"] = x, ["Songshan"] = x, ["Dadu"] = y, ["Dali"] = y, ["Fuzhou"] = y, ["Gushan"] = y, ["Heping"] = y, ["Ji'an"] = y, ["Minzu"] = y, ["Nanjing"] = y, ["Shicheng"] = y, ["Taiyuan"] = y, ["Tai'an"] = y, ["Xinzhuang"] = y, ["Yongkang"] = y, ["Yongle"] = y, ["Kaohsiung"] = "Kaohsiung Main Station", ["Sci-tech Museum"] =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railway station", ["Taipei"] = "Taipei Main Station", ["Xinzuoying"] = "Zuoying HSR station", ["Zhongli, Yilan"] = "Zhongli" }, ["lines"] = { ["_default"] = { ["title"] = "%1 line", ["color"] = "090980" }, ["Pingxi"] = { ["left terminus"] = "Sandiaoling", ["right terminus"] = "Jingtong" }, ["Liujia"] = { ["left terminus"] = "Zhuzhong", ["right terminus"] = "Liujia" }, ["Coastal"] = { ["title"] = "Western Trunk line (coastal)", ["left terminus"] = "Zhunan", ["right terminus"] = "Changhua" }, ["Western Trunk"] = { ["left terminus"] = "Keelung", ["right terminus"] = "Pingtung" }, ["Neiwan"] = { ["left terminus"] = "Hsinchu", ["right terminus"] = "Neiwan", }, ["Chengzhui"] = { ["title"] = "Western Trunk line", ["circular"] = true, ["right terminus"] = "via Chengzhui line" }, ["South-link"] = { ["left terminus"] = "Pingtung", ["right terminus"] = "Taitung" }, ["Eastern Trunk"] = { ["left terminus"] = "Badu", ["right terminus"] = "Taitung", ["types"] = { ["Su'ao"] = { ["title"] = "Su'ao branch", ["left terminus"] = "Su'aoxin", ["right terminus"] = "Su'ao", }, }, }, ["Shen'ao"] = { ["left terminus"] = "Ruifang", ["right terminus"] = "Badouzi" }, ["Shalun"] = { ["left terminus"] = "Zhongzhou", ["right terminus"] = "Shalun" }, ["Jiji"] = { ["left terminus"] = "Ershui", ["right terminus"] = "Checheng" }, ["Former Mountain"] = { ["left terminus"] = "Sanyi", ["right terminus"] = "Houli" } }, ["aliases"] = { ["hualien–taitung"] = "Eastern Trunk", ["taitung"] = "Eastern Trunk", ["yilan"] = "Eastern Trunk", ["north-link"] = "Eastern Trunk", ["west coast"] = "Western Trunk", ["taichung"] = "Western Trunk", ["pingtung"] = "South-link" } } return p = 징옌현 = 징옌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러산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841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410,000명이다. = = 기후 = = 연평균 기온은 17.4°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028mm이다. = = 행정 구역 = = 10개 진, 17개 향을 관할한다. 진: 研城镇, 马踏镇, 竹园镇, 研经镇, 周坡镇, 千佛镇, 王村镇, 三江镇, 东林镇, 磨池镇. 향: 集益乡, 纯复乡, 三教乡, 高滩乡, 宝五乡, 四合乡, 黄钵乡, 胜泉乡, 门坎乡, 石牛乡, 高凤乡, 金峰乡, 分全乡, 镇阳乡, 天云乡, 乌抛乡, 大佛乡. = 분류:1679년 신성 로마 제국 = = 가구야마촌 = 가구야마촌(香久山村, かぐやまむら) 가구야마촌 (아이치현) - 아이치현 아이치군 가구야마촌. 현 닛신시. 가구야마촌 (나라현) - 나라현 시키군 가구야마촌. 현 사쿠라이시·가시하라시. = 노미 아쓰시 = 노미 아쓰시(, 1979년 5월 28일 ~ )는 전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투수)이다. = = 인물 = = = = = 프로 입단 전 = = = 효고현 이즈시 군 이즈시 정(현재의 도요오카시) 출신으로 돗토리조호쿠 고등학교 보통과 체육 코스를 다니면서 2학년 때 하계 돗토리 대회(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돗토리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그 후 추계 현 대회(추계 돗토리 현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고 추계 주고쿠 지구 대회(주고쿠 지구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도 4강까지 올랐지만 이듬해 봄에 열린 제69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는 발탁되지 못했다. 3학년 때는 춘계 현 대회(춘계 돗토리 현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고 여름에는 2차전 상대인 돗토리니시 고등학교에게 패했다. 고교 시절에는 가와구치 도모야, 이가와 게이와 함께 ‘고교생 좌완 3인방’이라고 불렸다. 고교 졸업 후 오사카 가스에 입사해서 야구부에 소속돼 있었으나 잦은 부상 탓에 열렬한 오사카 가스의 팬들조차 노미의 모습을 거의 볼 수 없어서 ‘환상의 투수’라는 소리까지 나왔다.훗날 본인은 “5년차 되는 해까지 해보고 안 되면 은퇴해서 회사에 다니자는 생각을 진지하게 했다”라고 당시를 회고했다(슈칸 베이스볼의 기사를 참조함). 입사 5년째인 2003년부터 조금씩 등판수를 늘려가다가 그 해 11월에 열린 사회인 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에서는 좋은 성적을 남겼고 결승전에서 닛산 자동차와 맞대결을 펼쳤지만 연장 11회에 이토 유키에게 끝내기 적시타를 허용하는 바람에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4년에는 훗날 프로에서 팀 동료가 되는 와타나베 료, 구보 야스토모 등과 함께 제22회 할렘 베이스볼 위크 일본 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었고 그 후 일본 선수권에서는 노무라 가쓰야 감독이 이끄는 시닥스전에서 노마구치 다카히코와 투수전을 펼친 끝에 팀 승리를 이끌었다. JFE 서일본과의 결승전에서는 팀의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했지만 연장 15회에 결승 솔로 홈런을 맞아 2년 연속 준우승에만 머물러야 했다. 2004년 가을에 열린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는 한신 타이거스에 자유 획득 범위로서 입단했다. = = = 프로 입단 후 = = = = = = = 2005년 ~ 2006년 = = = = 2005년에는 즉시 전력의 기대대로 시즌 개막을 1군에서 맞이할 수 있었지만 여름에 들어서면서 부진에 시달려 2군에 내려갔다. 그 후 1군에 다시 올라왔지만 시즌 평균 자책점은 5점 대에 머물렀다. 2군에서는 10경기에서 38이닝을 던져 탈삼진 41개, 피안타 22개, 볼넷 15개, WHIP 0.97, 평균 자책점 1.42를 기록했다. 이듬해 2006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교류전까지 무릎 수술로 전력에서 제외된 제프 윌리엄스를 대신해 좌완 중간 계투로서 기용되었다. 개막 10경기 중 팀은 4패를 기록했지만 그 중 3패는 노미의 구원 실패에 따른 패전이었다는 진기록도 나왔다. 윌리엄스가 복귀하면서 2군으로 내려가 2군에서도 6경기에 등판했지만 평균 자책점 3.60을 기록하는 등 뚜렷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하와이 윈터 리그에 파견되어 충분한 성적을 남겼다. = = = = 2007년 = = = = 이가와의 메이저 리그 이적으로 생긴 구멍을 메워줄 것으로 기대돼 선발 로테이션 투수로 출발했지만 4월이 끝나기까지 5경기에서 1승 3패라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중간 계투로 배치 전환되었다. 그러나 중간 계투로 뛰면서도 등판할 때마다 거의 매번 안타를 허용하는 등 불안정한 투구가 계속돼 5월 27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 1이닝 5실점이라는 초라한 성적을 낸 것을 계기로 다시 2군에 내려갔다. 이 경기에서는 후쿠우라 가즈야에게 팀으로서는 3개째의 몸에 맞는 볼을 주었는데 그 뒤 지바 롯데의 후지타 소이치가 가네모토 도모아키에게 몸에 맞는 볼을 던진 것이 그에 대한 보복으로 간주되는 바람에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소동을 일으킨 사실도 겹쳐 기술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자신의 미숙함을 통감하고 한동안은 다시 일어서지 못했다. 그 후, 8월 중순에 선발 로테이션으로 1군에 복귀하여 4경기에서 한 차례의 완투를 비롯해 3승을 올리는 호투를 선보였지만 9월 11일에 4회 도중 7실점을 내주며 강판된 이후에는 두 차례 선발 등판해서도 5회까지 공을 던지지 못한 채로 시즌을 마감했다. 2군에서는 7경기에 등판해 팀의 최고 기록과 타이 기록에 해당되는 리그 2위인 6승을 기록하여 평균 자책점 2.51, 43이닝에 37개의 탈삼진을 기록, 피안타 35개, 볼넷 15개에 WHIP 1.12로 안정된 투구 내용을 보여주었다. = = = = 2008년 = = = = 중간 계투로 시작했지만 5월 7일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알렉스 라미레스에게 홈런성 타구(맨 앞줄에 있던 관객이 타구를 손으로 막아 심판진의 협의 하에 결국 2루타가 되었다)를 맞는 등 성적은 오르지 못하고 11경기에 등판하여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단 한 번도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는 암울한 시즌을 보냈다. 2군에서는 29경기에 등판해 5승(리그 6위), 11세이브(리그 2위이자 팀내 1위), 52개의 탈삼진(리그 5위)에 평균 자책점 0.83, WHIP도 0.90을 기록, 피안타나 볼넷 면에서도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 = = = 2009년 = = = = 같은 좌완 투수인 이와타 미노루 등 투수진에 부상자가 나온 영향으로 개막 이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들어갔다. 6월까지는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승리보다는 패전 투수가 되는 경우가 많았고 7월 4일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는 5회 도중 4실점을 기록하여 패전 투수가 되어 그 후 3경기는 구원으로 등판하게 되었다. 7월 19일의 요미우리전에서는 다시 선발로 나서 9이닝 동안 2피안타 무실점, 12개의 탈삼진으로 승리 투수가 된 이후에 등판한 11경기에서 모두 선발로 나와 9승 2패의 안정적인 투구를 계속해 프로 데뷔 이후 최초로 규정 투구 이닝에 도달, 리그 9위인 총 165이닝을 던졌다. 그 외에도 평균 자책점 2.62(리그 4위)에 13승, 154개의 탈삼진(리그 2위) 등 모두 팀내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그 해 요미우리전에서 우쓰미 데쓰야를 상대로 4경기 연속으로 승리했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상대로 7경기에 등판하여 4승과 평균 자책점 1.45를 기록하는 등의 선전을 보였다. = = = = 2010년 = = = = 5월 2일의 요미우리전에서 주루 도중에 왼발을 다쳐 경기 도중 교체되었는데 오른발 설상골이 박리 골절되었다는 진단을 받아 등록이 말소되었다. 9월 9일 주니치 드래곤스전에서 복귀, 7이닝 2실점 10개의 탈삼진으로 자신의 부활을 알렸고 그 후 이틀, 그리고 닷새를 쉬고 등판해 9월 18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요미우리전에서 7이닝 무실점의 호투를 보여 4월 24일 이래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 9월 29일의 요미우리전에서는 6이닝 1실점으로 시즌 6승째를 기록함과 동시에 작년 7월부터 계속되는 요미우리를 상대로 7연승을 달성했다. 한신의 투수로서는 1979년 고바야시 시게루가 달성한 8연승 기록에 이은 단독 2위의 기록이다.‘맹호 데이터 센터’, 닛칸 스포츠, 2010년 9월 27일자 이 성적이 높은 평가를 받아 9월에 자신으로서는 처음으로 월간 MVP에 선정되었고 최종적으로는 8승 무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 = = = 2011년 = = = = 4월 12일의 히로시마전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아 7이닝 3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 4월 19일의 요미우리전(1차전)에서는 구단 타이 기록인 7타자 연속 삼진을 기록했다. 5월 3일의 요미우리전(4차전)에서는 9이닝을 완투, 3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어 2009년부터 계속되는 정규 시즌의 요미우리를 상대로 한 연승 기록을 구단 1위 타이 기록인 8연승으로 늘렸으나 6월 26일 요미우리전(9차전)에서는 5이닝 3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어 요미우리전에서의 연승 기록은 8연승에서 멈췄다. 또한 이 시즌은 호투하면서도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기가 많아 승패 수가 비슷한 상황이 후반기까지 이어졌으나 시즌 종반에 가서 승수를 늘리는 등 최종적으로는 12승을 기록했다. 투구 이닝도 자신으로서는 처음으로 200이닝에 도달했다. 탈삼진 부문에서도 히로시마의 마에다 겐타와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리그 2위인 186개의 탈삼진을 기록하여 마에다에게는 미치지 못했다. = = = = 2012년 = = = = 3월 30일의 개막전에서 2년 연속으로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다. 시즌 초반에는 좋은 기세였으나 시즌 중반에는 특히 자신있어 했던 요미우리를 상대로 3연패를 당하는 등 극심한 부진에 시달렸다. 시즌 후반부터 컨디션을 회복해 9월에는 4경기에서 3승 1패, 평균 자책점 0.55의 성적으로 구단이 선정하는 월간 MVP를 석권할 정도의 활약을 보였고 최종적으로는 2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거뒀다. 최종전에서 첫 회에 등판해 스기우치 도시야와 함께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차지했다. - 닛칸 스포츠, 2012년 10월 10일 시즌 종료 후에는 마무리 투수로의 전향에 대한 얘기도 나돌았는데 최종적으로는 구보 야스토모로 결정했고 계약 갱신에서는 2,000만 엔이 늘어난 1억 2,000만 엔으로 서명했다. = = = = 2013년 = = = = 그 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출전한 관계로 개막전을 피했다. 4월에 손톱이 깨지는 부상이 있었지만 5월 6일에 가사하라 쇼키로부터 프로 데뷔 첫 홈런을 때려냈다. 노미는 타격 연습을 자주 하고 있었는데 가네모토 도모아키에 의하면, 이전에 “하나라도 좋으니 홈런을 쳐 보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본인도 홈런을 날렸던 것에 대해 “야구 인생, 프로로 1개는 치고 싶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또, 이 경기에서는 완투승을 달성하여 투타로서 대활약을 펼쳤다. - 스포니치, 2013년 5월 7일 - 닛칸 스포츠, 2013년 5월 6일 와다 유타카 감독도 “오늘 경기는 노미 밖에 없었다. 던지는 것도, 치는 것도 에이스다운 투구를 해 주었다”라고 극찬했다. - 스포니치, 2013년 5월 6일 = = = =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 = = = 2013년에는 시즌 개막에 앞서 개최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팀 동료인 도리타니 다카시(내야수)와 함께 일본 대표팀의 최종 등록 멤버(28명)로 발탁되었다. 도쿄 돔에서 개최된 2라운드에서는 대표 합숙에서부터 좋은 컨디션으로 대만전의 선발로 기용되었다. 2회말까지는 호투했지만 3회말에 갑자기 제구가 흐트러지면서 2사 만루 상황에서 밀어내기 볼넷으로 선제점을 허용했다. 결국 2와 3분의 2이닝, 1자책점을 남기며 교체되었다(경기는 연장 10회말에 4대 3으로 일본이 승리). 그 후 일본 대표팀은 2라운드를 1위로 올라서여 3연속으로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노미는 결승 라운드, 준결승전인 푸에르토리코전(샌프란시스코 AT&T 파크)에 있어서 1점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6회초에서 두 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그러나 7회초 무사 1루 상황에서 알렉스 리오스에게 2점 홈런을 허용하고 강판돼(1과 3분의 0이닝, 2자책점) 일본 대표팀도 1대 3으로 패했다. = = 플레이 스타일 = = 스리쿼터의 와인드업 투구법에서 던지는 평균 구속 140 km/h,2012 프로 야구 올 사진 선수 명감, 일본 스포츠 기획 출판사, 2012년, p.144. 최고 속도 151 km/h의 속구, 슬라이더, 포크볼을 축으로 슈트, 체인지업을 섞어 통산 탈삼진률이 8.18을 나타낼 정도로 탈삼진이 많다. 2008년까지는 힘에 의존하는 폼으로 던지고 있었지만 2009년부터는 제대로 어깨를 돌리는 것을 의식한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은 폼으로 변경하였다.주간 프로 야구 데이터 파일 20호, 베이스볼 매거진사, 잡지 27745-8/31, p.10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돗토리조호쿠 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오사카 가스 한신 타이거스(2005년 ~ 2020년) 오릭스 버펄로스(2021년 ~ 2022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 = 타이틀 = = = = 최다 탈삼진 : 1회(2012년) = = = = 수상 = = = = 월간 MVP : 4회(2010년 9월, 2011년 10월, 2013년 5월, 2013년 6월) JA 전농 Go·Go상 : 1회(최다 탈삼진상 : 2009년 5월) 올스타전 감투 선수상 : 1회(2012년 제1차전)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수 선수상 : 1회(2013년) = = = 개인 기록 = = = = = = = 투수 기록 = = = = 첫 등판·첫 선발 : 2005년 4월 3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3차전(오사카 돔), 4이닝 5실점 첫 탈삼진 : 상동, 1회초에 아오키 노리치카로부터 첫 승리·첫 선발 승리 : 2005년 4월 24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6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5와 2/3이닝 2실점 첫 완투 승리 : 2005년 5월 8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3차전(삿포로 돔), 9이닝 1실점 첫 홀드 : 2005년 10월 1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첫 완봉 승리 : 2007년 8월 1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6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 = = = 타격 기록 = = = = 첫 타점 : 2005년 9월 2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6회초에 사타케 겐타로부터 2루 땅볼 사이에 기록 첫 안타 : 2009년 4월 4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말에 요시노리로부터 좌전 안타 첫 홈런 : 2013년 5월 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도쿄 돔), 6회초에 가사하라 쇼키로부터 우월 솔로 홈런 = = = = 기타 = = = = 올스타전 출장 : 2회(2012년, 2013년) = = = 등번호 = = = 14(2005년 ~ 2020년) 26(2021년 ~ 2022년)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2005년 한신 16 12 1 0 0 4 1 0 1 .800 293 64.2 78 10 27 0 1 64 3 0 40 40 5.57 1.62 2006년 한신 38 2 0 0 0 2 4 0 8 .333 210 47.0 49 4 16 0 3 46 2 0 27 26 4.98 1.38 2007년 한신 23 13 1 1 1 4 4 0 2 .500 330 74.0 79 7 30 1 4 51 2 0 39 36 4.38 1.47 2008년 한신 11 1 0 0 0 0 0 0 0 54 11.1 15 1 6 0 0 10 1 0 6 6 4.76 1.85 2009년 한신 28 25 1 1 0 13 9 0 0 .591 675 165.0 142 11 44 1 5 154 3 1 61 48 2.62 1.13 2010년 한신 12 10 0 0 0 8 0 0 0 1.000 267 62.1 63 3 13 2 5 57 2 0 23 18 2.60 1.27 2011년 한신 29 28 5 1 1 12 9 0 1 .571 799 200.1 151 8 55 5 6 186 3 0 59 56 2.52 1.03 2012년 한신 29 27 3 2 1 10 10 0 0 .500 737 182.0 157 14 37 2 3 172 5 0 61 49 2.42 1.07 통산 : 8년 통산 : 8년 186 108 11 5 3 53 37 0 12 .589 3365 806.2 734 58 228 11 27 740 21 1 316 279 3.11 1.19 2012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마트리체 = 마트리체는 이탈리아 몰리세주 캄포바소도의 코무네다. 캄포바소로부터 북동쪽 7km 거리에 있다. 20세기가 시작하면서 이곳의 거주민들이 대거 미국으로 이주를 갔다. =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 =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는 문화방송에서 1982년부터 1985년까지, 그리고 1991년에 방영된 드라마 시리즈이며,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우리의 인물 한국사를 정립해서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기획 의도로 만들어졌다. = = 시리즈 목록 = = 시즌 제목 인물 극본 연출 방송 기간 방송 횟수 비고 제1화 한 단재 신채호 김기팔 고석만 1982년 8월 14일 ~ 1982년 8월 15일 2부작 8.15 특집 제2화 광대가 동리 신재효 이은성 김종학 1983년 3월 23일 ~ 1983년 3월 25일 3부작 신춘 특집 제3화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임충 김종학 1983년 8월 22일 ~ 1983년 8월 24일 4부작 여름 특집 제4화 고산자 김정호 고산자 김정호 이은성 김종학 1983년 11월 28일 ~ 1983년 11월 29일 2부작 창사 22주년 특집 제5화 추사 김정희 추사 김정희 임충 최종수 1984년 4월 12일 ~ 1984년 4월 13일 2부작 제6화 백선행 백선행 김기팔 고석만 1985년 3월 4일 2부작 제7화 양주골 김성태 김성태 김상렬 고석만 1985년 9월 22일 1부작 제8화 춘사 나운규 춘사 나운규 김광림 이은규 1991년 8월 14일 ~ 1991년 8월 15일 2부작 8.15 특집 = 분류:아이슬란드의 어린이 음악가 = = 성운 (동음이의) = 성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성운(Nebula)은 성간 물질과 수소로 이루어진 구름이다. = = 실존 인물 = = 성운(成雲, ? ~ 1528)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성운(成運, 1497 ~ 1579)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시인이다. = = 가공 인물 = = 호박꽃 순정의 등장인물 세자매의 등장인물 피어썸의 등장인물 = 분류:알리칸테의 건축물 = = 분류:말리의 정치 운동 = = 틀:위키백과 사용자/관리자/설명문서 = 이 곳을 지우고 틀의 기초적인 정의 등을 작성하세요. __TOC__ = = 인수 = = : 한국어 위키백과를 대신할 문서 링크입니다. : 과 함께 언어 코드를 넣어주세요. = 박남옥 = 박남옥(朴南玉, 1923년 ~ 2017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났으며, 이화여전을 중퇴하였다. 1944년 대구에서 잠시 신문 기자를 지내다가 사직 후 서울로 다시 상경하였다. 1955년에 영화 미망인을 발표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영화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 = 생애 = = 박남옥은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났다. 포목상을 하던 아버지 박태섭과 어머니 이두리 사이의 십남매 가운데 세째였다.한국 최초 여성감독 박남옥의 생애 , 문화웹진 대문 박남옥은 어려서부터 다재 다능한 면모를 보였으며 특히 체육에 뛰어났다.여성 영화인들② - 박남옥 감독, 한국 최초 여성 영화감독 , 씨네21, 2018년 10월 3일 1936년 경북여학교에 입학한 뒤 육상부에 들어가 높이뛰기, 투포환 등의 종목에 출전하였다. 1938·39년 전조선육상선수권대회에 투포환 선수로 출전하여 3회 연속 조선 신기록을 기록하며 우승하였다.김은주의 시선 -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의 꿈, 연합뉴스, 2018년 2월 22일 박남옥은 계속하여 육상선수를 하고 싶었으나 부모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어려서부터 미술을 좋아한 박남옥은 우에노미술학교(현 도쿄미술대학)에 입학하고 싶었으나 학교에서는 졸업후 교사가 되는 내량여고사(현 나라여자대학) 외에는 추천장을 써주지 않았다. 몰래 준비하였던 우에노미술학교의 입학서류가 학교로 배송되자 문제가 생겼고 박남옥은 유학을 포기하고 1943년 이화여전 가사과에 입학하였다. 1943년 동아일보의 대학입시 합격자 명단에 박남옥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박남옥은 이화여전 시절 기숙사에 살면서 시간이 날 때마다 영화를 보았다. 훗날 감명 깊게 본 영화로 베를린 올림픽을 기록한 레니 리펜슈탈의 올림피아를 꼽았다.강인한 여성의 모험 - 갓난 딸을 들춰업고 큐싸인을 외치다, 한국일보, 2016년 5월 29일 장대한 다큐멘터리를 여성이 만들었다는 것에 큰 충격과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투포환선수 출신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 인터뷰365, 2008년 9월 24일 이화여전에 다니던 박남옥은 부모가 결혼을 강요하자 학교를 중퇴하고 미술을 배우기 위해 일본으로 밀항하였다가 배가 좌초되어 일본의 수용소에 수감되기도 하였다. 이후 대구매일신문에서 기자로 근무하였다.삶과 추억 - 한국의 첫 여성감독 박남옥씨 , 미주중앙일보, 2017년 4월 12일 박남옥은 일제시기 일본어로 발간되던 영화 잡지였던 신영화에 실린 영화배우 김신재의 인터뷰에 매료되어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박남옥은 김신재가 출연한 모든 작품의 스틸 사진을 모으고 편지를 써 보내는 열성 팬이었다. 박남옥은 대구매일신문에서도 영화 관련 기사를 작성하는 일을 하였다. 그러나 일제 말 학교 교육은 한국어를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에 맞춤법을 지키는 것이 힘들었다고 한다. 해방이 되자 다시 서울에 간 박남옥은 친구의 남편인 윤용규(그는 1949년 마음의 고향을 감독한 뒤 월북하였다.)의 소개로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에 입사하였고 꿈에도 그리던 김신재와 직접 만나 친분을 쌓게 되었다. 박남옥은 최인규의 자유만세(1946년) 후반 작업에 합류하였다. 편집조수로 일하던 박남옥은 신경균의 새로운 맹서 스크립터를 맡으며 영화 경력을 쌓았다. 광희동촬영소에서 일하던 그는 또 다시 부모의 반대에 부딛혀 귀향하게 되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박남옥은 국방부 촬영대에 들어가 다시 영화 작업을 하게 되었다. 1953년 함께 종군영화를 만들던 이보라와 결혼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다시 서울로 올라간 박남옥은 1954년 딸 이경주를 낳은 지 사흘만에 지인들과 술자리를 갖은 자리에서 전쟁중에 남편을 잃은 아내에 대한 영화를 만들자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박남옥은 시나리오를 맡기고 촬영, 배우의 섭외와 같은 일을 진행하면서 출판사를 하던 친언니에게 영화 제작 비용을 빌렸다. 박남옥은 아기를 업고 15명이 되는 스테프의 식사를 직접 차리면서 영화를 제작하였다.온몸으로 시대를 밀고 간 첫 여성들, 박남옥과 노라노, 한겨레, 2017년 11월 2일 미망인은 1955년 12월 10일에 개봉하였다. 박남옥은 "영화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나는 예술을 논했지만, 막상 영화 제작에 들어가니 아이를 업고 기저귀 가방을 들고 반년을 미친년처럼 이리 저리 뛰며 보냈다"고 회상하였다. 서울 중앙극장에서 개봉한 미망인은 불과 3일만에 간판을 내리고 말았다. 박남옥은 영화의 실패와 이혼이 겹쳐 한동안 몸져 누웠다. 1957년 부모가 대구 생활을 청산하고 서울로 올라 온 뒤 함께 살았으며 언니가 운영하던 동아출판사에 근무하였다. 1959년 박남옥은 영화잡지 씨네마팬을 제작하며 다시 영화를 만들 뜻을 보였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1992년 미국으로 이주하였으며 2017년 4월 8일 별세하였다. = = 작품 = = 미망인이 제작된 시기는 전쟁 직후여서 제대로 된 제작 환경을 갖출 수가 없었다. 박남옥은 제작자이자 '밥차 아줌마' 노릇까지 하며 영화를 제작하였다. 미망인의 배급사 이름이 〈자매영화사〉가 된 것은 언니에게 제작비를 빌렸기 때문이다. 박남옥은 영화의 제작 과정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많은 차별을 받았다. 녹음실은 녹음을 거부하기 일쑤였고 완성후에도 상영관을 잡을 수 없었다. 당시 상업영화는 이미 35 mm 카메라로 제작되던 데 반해 16 mm 로 촬영된 미망인은 대중적이지 않다는 이유도 있었다. 영화는 미려한 몽타쥬 기법으로 관심을 받았으나 흥행은 극히 저조하여 3일만에 막을 내렸다. 잊혀졌던 박남옥의 미망인은 1997년 제1회 서울여성영화제를 계기로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으로 재조명되어 개막초청작으로 상영된 것이다. 박남옥의 별세를 계기로 서울여성영화제는 2008년 한시적으로 수여하였던 박남옥영화상을 2017년 다시 제정하여 해마다 수상하기로 하였다.서울국제여성영화제, 한국 최초 여성감독 '박남옥 영화상' 부활·제정, 중앙일보, 2017년 5월 22일 영화는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여성이 남편의 친구로부터 도움을 받아 삶을 유지하면서 겪는 애환을 신파적 구조로 그리고 있다. 영화의 네거티브 필름에서 결말부는 소실되었다. = 소르본 = 소르본(Sorbonne)은 프랑스 파리 5구에 위치한 카르티에 라탱에 자리잡은 건물로, 파리시에서 소유한 건축물이다. 소르본은 13세기 성왕 루이 9세의 전속 신부이자 신학자로, 파리 대학교의 콜레주 드 소르본(collège de Sorbonne)을 창립한 로베르 드 소르봉의 이름에서 따온 명칭이다. 콜레주 드 소르본은 신학을 담당하던 대학으로, 로베르 드 소르봉은 이 대학의 목표를 "합의적인, 도덕적인, 학구적인 좋은 사회에서 살기"로 정의했다. 소르본이라는 명칭은 환유적으로 1200년부터 1793년까지의 앙시앵 레짐기의 구 파리 대학교, 이후 1896년부터 1971년까지의 파리 대학교, 그리고 19세기 존속한 옛 파리 이학부(1811년)와 파리 문학부(1808년)을 일컫는데 쓰인다. 바로크 양식의 파사드는 1642년 완공된 생트-위르쉴 예배당의 파사드이다. 생트-위르쉴 예배당은 정교분리법으로 인하여 세속적으로 쓰이게 되어, 지금은 접견과 전시 용도로 쓰인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894년 6월 23일 피에르 드 쿠베르탱에 의하여 소르본에서 창립하였다. 소르본은 파리 아카데미 대학구 본부와 파리 전 대학교 사무국이 위치해있다. 소르본은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소르본, 파리 제3대학교 소르본 누벨, 소르본 대학의 건물로 쓰인다. 소르본 도서관은 범대학적 도서관(파리 제1,3,4,5,6대학교)으로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소르본이 그 관리를 맡는다. 소르본 예배당은 1887년 2월 10일부로 역사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강당(과 다른 교실 및 응접실)은 1975년 9월 30일부로 역사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건물 전체(파사드와 지붕) 역시 1975년 9월 30일부로 역사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로베르 드 소르봉의 신학 대학 건설부터 리슐리외의 재건축까지 = = = = 리슐리외 교장의 건물 재건축 = = = = 19세기의 소르본, 파리 이학부, 문학부, 신학부의 소재지로서 = = = = 앙리-폴 네노의 신 소르본 = = = = 소르본 분열되다 : 68년 5월 이후 = = = 모듈:Location map/data/Rwanda/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Rwanda/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보건재해 = 도미니카 공화국 보건재해 보건재해 도미니카 공화국 = 분류:프랑스의 시 = = 오션스 = = = 영화 = = 오션스 (영화 시리즈) 오션스 (영화) 오션스: 문어구출대작전 = = 스포츠 = = 나고야 오션스 = 동차 = 동차(動車)는 객차 또는 화차가 스스로 동력원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는 철도 차량이다. 동차는 철도차량의 하부 또는 바닥 위 부분에 동력 장치를 탑재하고, 또 나머지 공간에 화물이나 승객을 적재하도록 만들어진, 자기 추진력을 가진 철도차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하와 승객을 취급하지 않고 오로지 동력 공급만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차와는 구분된다. 동차 역시 동력원은 인력이나 축력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이들은 마차 철도 등으로 구분한다. 동차는 크게 동력원과 구성 방식에 따라서 나눈다. = =동력 방식에 의한 분류 = = 동차를 동력방식으로 구분하는 경우 크게 증기 동차, 디젤 동차, 전기동차 등으로 나누어 다룬다. = = =증기 동차 = = = 증기 동차는 목탄, 석탄 또는 유류 등 연료를 연소시켜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증기의 압력으로 피스톤의 운동에너지를 통해 운행하는 가장 고전적인 철도차량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로는 파시형 증기기관차가 대표적인 증기동차이다. 증기 동차는 동차의 극초기를 구성한 차량으로서, 더 이전의 연원으로는 증기 버스 등에 그 맥이 이어진다 할 수 있다. 증기 기관차와 달리, 더 낮은 출력을 바탕으로, 한 대의 차량으로 운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량이 적거나, 승강장이나 기관고 등 시설 공간을 충분히 얻기 어려운 노선에 주로 이용되었다. 이 방식은 비교적 부피가 커서 실제 동차화의 이익이 크지 않고 차량을 여럿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서, 이후에 내연기관이나 전기동력 등 대체기술이 등장하게 되자 빠르게 도태되어 1930년 경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운 형식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당시 1량 단위로 몇 대의 차량이 일본 및 독일에서 수입되어 투입되었으나, 승차감이 나쁘고 성능이 떨어져 금방 도태되었다고 한다. 증기동차는 대개의 나라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차량이 아니기에, 특별히 형식이나 구성에 따른 세부 분류를 두지 않는다. = = =디젤 동차 = = = 디젤 동차는 내연기관을 사용하여 그 동력을 얻는 동차의 통칭이다. 주로 가솔린 기관, 디젤 기관, 또는 가스터빈 등을 채용하고 있다. 내연기관을 철도에 응용하려는 노력은 기관차보다 이 동차 분야에서 빠르게 적용되었는데, 초기의 내연기관들은 대개 그 출력이 열악할뿐더러, 동력 전달 장치 역시 대개 조악한 수준이어서 기관차와 같은 중후장대한 차량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내연 동차의 초기에는 경량에 출력면에서 유리한 가솔린 기관이 널리 이용되었으며, 그 동력 전달 방식은 대개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와 별반 차이가 없는 기계식 전달을 그 주 방식으로 하였다. 이후, 유체식 동력 전달 방식이나 전기식 동력 전달 방식이 실용화되면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었으며, 특히 총괄제어가 적용되면서 내연 동차의 적용범위는 크게 확산될 수 있었다. 한국의 현업에서 내연 동차가 이용된 것은 일제강점기 당시였다. 당시 각지에 세워진 사설 철도들이 일본으로부터 도입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들이 존재하였는데, 이것을 그 기원으로 대개 본다. 이들 차량들은 이후 수 차례에 걸친 국유화로 인해 대개 국유철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이들 차량의 노후화로 인해 일본으로부터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등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내연 동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내연 동차의 분류는 동력원의 방식과 구동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동력원 방식에 따른 분류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구동 방식에 따른 분류 기계식 액압식 또는 유체식 전기식 = = =전기동차 = = = 전기동차 또는 전동차는 널리 말할 경우 전기를 그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통칭하나, 실질적으로 내연 동차 중 전기식 구동을 채택하는 차량과의 혼란의 우려가 있어, 외부로부터 급전을 받아 운행하는 동차로 이하 그 의미를 한정하여 서술한다. 전동차는 미국 등지에서 사용된 노면 전차에 사용된 전기식 차량을 그 원형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이들 전기 동차들은 기존 철도보다는,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던 도시 내의 마차 철도를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도시 지역의 사정상, 시설적 한계로 인해 대개 기관차 운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전기동차는 상당한 메리트가 있었다. 이후, 이를 일반 철도 노선이나 지하철에서 사용하게 되면서 철도의 주요 차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특히 대량 수송이 필요하고, 역 공간의 부족이 점차 현실화되면서, 또한 차량의 고가감속화가 요구되면서 전기 동차의 입지는 크게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전동차 도입은 대한제국 시기의 서울전차이다. 당시 동대문에 발전소를 설치하고, 그 전기의 주요 활용처로 노면 전차의 전기운전을 계획, 1898년에 개업한 노면 전차이다. 이후, 철도 노선에 본격적인 적용은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의 부대사업인 금강산선에 의한 것이다. 당시, 금강산전기철도는 북한강 수계 상에 발전소의 건설과 함께, 그 전력의 주요 활용처로 금강산선을 계획하여, 노선의 1차개통 시에 이를 적용하였다. 해방 이후의 전기운전은 한동안 서울과 부산의 노면전차로 한정되어 오다가, 1974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인선 및 경부선 서울~수원 간이 전철화 되면서 다시 전기 동차의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전동차는 사용하는 전력의 종류, 급전 방식, 전동기 제어 방식 등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류한다. *전력의 종류에 따른 구분 직류형 전기 동차 교류형 전기 동차 *저주파수 교류형 *상용 교류형 *3상 교류형 *급전 방식에 따른 구분 가공가선 강체가선 전력궤조식 * 제3궤조 * 제4궤조 *전동기 제어 방식에 따른 구분 : 상호 배타적 구분이 아님 탭제어식 계자제어식 약계자제어식 저항제어식 직병렬제어식 초퍼 제어식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VVVF) *전압형 *전류형 = = =기타 동력방식 = = = 기타 동력 방식으로는 하이브리드식, 전지식이 존재한다. 하이브리드식 동차는 보통 디젤 전기식 동차에 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회로상에 탑재하여, 그 동력원으로 내연기관과 전지 어느 한쪽이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기관차를 의미한다. 최근의 환경적 문제나 연료비 절감을 위해 도입된 방식으로, 일본 등지에서 개발되어, 현재 실용화 초기 다계에 이르고 있다. 전지식 동차는 차체에 전지를 탑재하여 이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동차이다. 대개 이들 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나, 일각에서는 연료 전지를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전지식 동차는 대개 가동시간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공기 오염 문제가 전무하기 때문에, 지하철 등지에서 작업용의 모터 카 용도로 이용되는 예가 많다. 한국에서는 근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구성 방식에 따른 분류 = = 동차는 그 구성의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분된다. 우선, 한국이나 일본 등지에서는 이러한 구분방식을 사용하지 않지만, 총괄제어가 적용되느냐 적용되지 않느냐에 따라서 구분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즉, 이러한 기능이 없다면 단동차(Railcar, Single-unit)로 구분하고, 이러한 기능이 있다면 다련 동차(Multiple-unit) 내지 동력분산식 열차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는 대개의 동차들은 대개 총괄제어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구별의 이익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현재의 철도사업 일선에서도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또한, 특히 다련 동차의 경우 동력원의 배치 방법에 따라서도 여러가지고 구분한다. 크게, 전후동력형 또는 동력 집중식 배치, 부분 동력 분산식 배치(이른바 MT편성), 그리고 완전 동력분산식 배치(M편성 또는 전M편성) 등이 존재한다. 이는, 동력을 차량 양 끝단이나 차량 중간에 위치한 차량 한 두대에 집중하여 배치하느냐, 아니면 모든 차량에 골고루 분산 배치하느냐 등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동력의 분산 정도는 효율이나 현업의 필요성에 따라 가변하게 된다. 한편으로, 각 차량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도, 동력장치를 차량의 바닥 아래에 배치하느냐(상하기기형), 바닥 위에 격실을 두어 배치하느냐를 구분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바닥 아래에 배치하는 방식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방진이나 방음에 어려움이 있고, 정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며, 바닥 위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그 반대로 정비성에서 유리하고, 진동과 방음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대신 그만큼 유효 바닥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적재량 또는 정원이 감소하고, 여러 차량을 연결해야 할 경우 융통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근래, 노면전차 차량이나 경전철 차량에서 제기되는 방식이지만, 인버터 등의 일부 기기를 차량의 지붕 위에 올리는 방식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기관차와 유사하게 운전이나 선구 특성에 따라 구분하는 예도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차량한계나 궤간이 다른 구간 용의 차량이나, 급구배 또는 급곡선 구간, 또는 랙레일과 같은 특수한 인프라가 설치된 구간에 맞는 전용의 동차를 적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아프트 선구용의 동차나, 협궤 동차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김태식 (권투 선수) = 김태식(1956년 7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복싱 선수다. 프로복싱 통산전적은 17승(13KO) 3패. 별명 '돌주먹'. = = 생애 = = 1956년 강원도 명주군 묵호읍(현 동해시)에서 태어났다. 1977년 9월 30일 프로복싱에 데뷔했다. 1980년 2월 17일 서울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에서 루이스 이바라를 2회 KO로 꺾고 세계챔피언이 됐다. 1980년 12월 LA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1981년 8월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지만 멕시코의 안토니오 아벨라에게 2회 KO패했다. 1982년 9월 4일 대구에서 알베르토 라미레스와 재기전에서 판정승을 거뒀지만, 경기후 뇌수술을 받았고,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한 채 은퇴했다. 2007년 5월 김태식 복싱짐 관장이 됐다. = = 일화 = = 1977년 9월 30일 프로복싱 데뷔전에서는 3회 KO패를 당했다. 전성기의 훅은 일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넬 아로살과 경기에서 턱이 부서졌다. 은퇴후 면목동에서 고깃집을 운영했다. = 분류:인도네시아의 야구 대회 = = 분류:1084년 정치 = 정치 en:Category:1084 in politics = 분류:그래픽 파일 포맷 = =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조지아어: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 사카르트벨로스 사브초타 소치알리스투리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Грузин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그루진스카야 소베츠카야 소치알리스티체스카야 레스푸블리카*)은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이었다. 러시아어로는 Грузинская ССР(그루진스카야 에스에스에르)라고 불렸다. = = 당 서기장 = = 1938-1941 필리프 마하라제 1941-1946 기오르기 스투루아 1946-1952 V. 고구아 = = 역사 = = 1921년 2월 25일에서 1922년 3월 12일까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가입했다. 1936년 12월 5일까지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함께 자카프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이루었다. = = 문화 = = 현재의 조지아와 같거나 비슷한 문화를 갖고 있지만,종교 생활 면에서 다르다.이전에는 비교적 자유로운 종교 생활을 할 수 있으나,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종교행위가 보다 억압받았다. = 동양교통 (전남) = 동양교통(東洋交通)은 전라남도 여수시의 시내버스 운수업체이다. = = 운행 노선 = = = = = 시내버스 = = = 시내버스 노선에는 모두 타 업체와 함께 공동 배차에 참여하고 있으며, 주로 시내 노선(10개 노선)를 비롯해 화양, 율촌·소라, 삼일, 쌍봉, 돌산방면은 광우시내2022년 개편으로 여수 시내버스 32번 단독 운행, 330번 1회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오동운수, 여수여객과 함께 10일 간격으로 순환하면서 배차에 참여하고 있다. = = = 마을버스 = = = 마을버스 노선은 210번과 220번을 단독으로 운행중이다. = = 보유 차량 = = 그린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렉시티 = 분류:아일랜드의 수영 선수 = = 호메오박스 = 호메오박스는 신체 기관의 분화에 관여하는 약 180개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물, 곰팡이, 식물, 그리고 수많은 단세포 진핵생물에서 해부학적 발달 패턴의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 내에서 발견되었다. 호메오박스 유전자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DNA와 결합하는 특징적인 단백질 접힘 구조를 공유하는 전사인자인 호메오도메인(homeodomain) 단백질 생성물을 암호화한다. 호메오도메인 단백질은 초기 배아 발달 중 유전자 발현과 세포 분화를 조절하므로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달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호메오시스(homeosis)는 초파리의 머리에 있는 더듬이가 다리로 대체되는 경우처럼 별개의 신체 부위를 완전히 대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윌리엄 베이트슨이 만든 용어이다. homeobox와 homeodomain이라는 단어의 "homeo-" 접두사는 이 돌연변이 표현형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표현형은 이러한 유전자 중 일부가 동물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관찰된다. 호메오박스 도메인은 다수의 초파리 동종 단백질과 분할 단백질에서 처음 확인되었지만, 현재는 척추동물을 포함한 많은 다른 동물에서도 잘 보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종류 = = = = =Hox 유전자 = = = Hox 유전자는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위 집합으로, Hox라는 이름 자체가 HOmeoboX에서 온 것이다. 그들은 전후 축을 따라 배아 영역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후생 동물 유전자이다. 최초의 척추동물 Hox 유전자는 1984년 Edward De Robertis와 동료들에 의해 Xenopus에서 분리되었다. 이 유전자 세트에 대한 주요 관심은 유전체에서의 독특한 행동과 배열에서 비롯된다. Hox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조직화된 클러스터에서 발견된다. 클러스터 내 Hox 유전자의 선형 순서는 발달 중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발현되는 순서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 현상을 공선성(colinearity)이라고 한다. 이러한 호메오틱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배아 발달 동안 신체 분절의 변위를 유발한다. 이것을 엑토피아(ectopia)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한 유전자가 손실되면 분절이 더 앞쪽으로 발달하는 반면, 기능의 획득으로 이어지는 돌연변이는 분절이 더 뒤쪽으로 발달하게 한다. 유명한 예는 Drosophila의 Antennapedia와 bithorax로 각각 더듬이 대신 다리의 발달과 복제된 흉부 발달을 유발할 수 있다. 척추동물에서 4개의 파라로그 클러스터(paralog cluster)는 기능면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지만, 여러 다른 파생 기능도 획득했다. 혹스 유전자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HoxA, HoxD는 팔다리 축을 따라 세그먼트 ID를 지정한다. Hox 계열의 특정 구성원은 ECM의 기질 분해, 인테그린과 구성요소의 변화를 조정함으로써 혈관 재구성, 혈관신생과 질병에 연루되어 있다. HoxA5는 죽상동맥경화증과 관련이 있다. HoxD3, HoxB3은 각각 EC에서 b3, α5 인테그린, Efna1을 상향 조절하는 전침습성 혈관 신생 유전자이다. HoxA3는 MMP14, uPAR을 상향 조절하여 내피 세포(EC) 이동을 유도한다. 반대로 HoxD10과 HoxA5는 각각 TIMP1을 상향 조절하고, uPAR, MMP14를 하향 조절한다. 또한 Tsp2를 상향 조절/VEGFR2, Efna1, Hif1alpha, COX-2를 하향 조절하여 EC를 이동 시키며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부착 접합부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HoxA5는 또한 PTEN의 하향 조절에 의해 종양 억제 인자 p53과 Akt1을 상향 조절한다. HoxA5의 억제는 혈관종 성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HoxA5는 유전자 발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므로 유방암 세포주에서 유도되면 300개 이하 유전자가 상향 조절된다. HoxA5 단백질 전달 도메인 과발현은 HUVEC에 결합하는 TNF알파 유도성 단핵구의 억제에 의해 나타나는 염증을 예방한다. = = =LIM 유전자 = = = LIM 유전자는 특징 도메인이 처음 확인된 3개의 단백질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명명되었다. 2개의 아미노산, 시스테인, 히스티딘이 풍부한 LIM 도메인과 호메오도메인을 암호화한다. LIM 도메인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서 기능하고 아연 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LIM 도메인 단백질은 세포질과 핵 모두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세포골격 재형성, 국소 접착 부위, 단백질 복합체의 지지체, 전사 인자로 기능한다. = = =Pax 유전자 = = = 대부분의 Pax 유전자는 호메오박스와 결합 특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DNA에 결합하는 짝을 이루는 도메인을 포함하지만, 일부 Pax 유전자는 호메오박스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잃었다. Pax 유전자는 배아 분할, 신경계 발달, 전두엽 생성, 골격 발달, 얼굴 구조 형성에 기능한다. Pax 6은 안구 발달의 최종조절자이므로 유전자가 시신경 소포, 후속 안구 구조의 발달에 필요하다. = = =POU 유전자 = = = POU 영역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호메오도메인과 두 개의 HTH(나선-회전-나선) 모티프를 포함하고 DNA에 결합하는 별도의 구조적으로 상동성인 POU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두 도메인은 DNA 나선 주위로 늘어나기에 충분히 긴 유연한 루프로 연결되어 두 도메인이 대상 DNA의 반대쪽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공통 서열 5'-ATGCAAAT-3을 가진 8개 염기 세그먼트를 집합적으로 덮는다. POU 단백질의 개별 도메인은 DNA에 약하게만 결합하지만 연결될 때 강한 서열 특이적 친화성을 가진다. POU 도메인 자체는 박테리오파지, 특히 람다 파지에서 발현되는 억제인자와 상당한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다. = =식물 호메오박스 유전자 = = 동물에서와 같이 식물 호메오박스 유전자는 전형적인 60개 아미노산 길이의 DNA 결합 호메오도메인을 암호화하거나, TALE(3개의 아미노산 루프 확장)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경우 63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비정형 호메오도메인을 암호화한다. 보존된 인트론-엑손 구조와 고유한 코도메인 아키텍처에 따라 HD-ZIP I ~ IV, BEL, KNOX, PLINC, WOX, PHD, DDT, NDX, LD, SAWADEE, PINTOX의 14가지 고유한 클래스로 그룹화되었다. 코도메인(codomain)의 보존은 TALE / 비 TALE 호메오도메인 단백질에 대한 일반적인 진핵생물 조상을 시사한다. = =인간 호메오박스 유전자 = = 이름 염색체 유전자 HOXA (또는 HOX1) 7번 염색체 HOXA1, HOXA2, HOXA3, HOXA4, HOXA5, HOXA6, HOXA7, HOXA9, HOXA10, HOXA11, HOXA13 HOXB 17번 염색체 HOXB1, HOXB2, HOXB3, HOXB4, HOXB5, HOXB6, HOXB7, HOXB8, HOXB9, HOXB13 HOXC 12번 염색체 HOXC4, HOXC5, HOXC6, HOXC8, HOXC9, HOXC10, HOXC11, HOXC12, HOXC13 HOXD 2번 염색체 HOXD1, HOXD3, HOXD4, HOXD8, HOXD9, HOXD10, HOXD11, HOXD12, HOXD13 ParaHox 유전자는 네 가지 영역에서 유사하게 발견된다. 여기에는 CDX1, CDX2, CDX4가 포함된다. GSX1, GSX2, PDX1. Hox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유전자에는 EVX1, EVX2가 포함된다. GBX1, GBX2; MEOX1, MEOX2, MNX1, 일부 "MetaHox"로 간주되는 NK-유사(NKL) 유전자는 Hox-유사 유전자와 함께 큰 ANTP-유사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인간에게는 DLX1, DLX2, DLX3, DLX4, DLX5, DLX6과 같은 말단 없는(distal-less)호메오박스가 있다. Dlx 유전자는 신경계와 팔다리의 발달에 관여한다. 이들은 NK 유사 유전자의 하위 집합으로 간주된다. 비정형 호메오도메인에 대한 인간 TALE(3개의 아미노산 루프 확장) 호메오박스 유전자는 60개 아미노산이 아닌 63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이는 IRX1, IRX2, IRX3, IRX4, IRX5, IRX6; MEIS1, MEIS2, MEIS3; MKX; PBX1, PBX2, PBX3, PBX4; PKNOX1, PKNOX2; TGIF1, TGIF2, TGIF2LX, TGIF2LY이다. 또한 인간은 다음과 같은 호메오박스 유전자와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영문 위키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번역하지 않았다. LIM-class: ISL1, ISL2; LHX1, LHX2, LHX3, LHX4, LHX5, LHX6, LHX8, LHX9; LMX1A, LMX1B POU-class: HDX; POU1F1; POU2F1; POU2F2; POU2F3; POU3F1; POU3F2; POU3F3; POU3F4; POU4F1; POU4F2; POU4F3; POU5F1; POU5F1P1; POU5F1P4; POU5F2; POU6F1; and POU6F2 CERS-class: LASS2, LASS3, LASS4, LASS5, LASS6; HNF-class: HMBOX1; HNF1A, HNF1B; SINE-class: SIX1, SIX2, SIX3, SIX4, SIX5, SIX6 CUT-class: ONECUT1, ONECUT2, ONECUT3; CUX1, CUX2; SATB1, SATB2; ZF-class: ADNP, ADNP2; TSHZ1, TSHZ2, TSHZ3; ZEB1, ZEB2; ZFHX2, ZFHX3, ZFHX4; ZHX1, HOMEZ; PRD-class: ALX1 (CART1), ALX3, ALX4; ARGFX; ARX; DMBX1; DPRX; DRGX; DUXA, DUXB, DUX (1, 2, 3, 4, 4c, 5); ESX1; GSC, GSC2; HESX1; HOPX; ISX; LEUTX; MIXL1; NOBOX; OTP; OTX1, OTX2, CRX; PAX2, PAX3, PAX4, PAX5, PAX6, PAX7, PAX8; PHOX2A, PHOX2B; PITX1, PITX2, PITX3; PROP1; PRRX1, PRRX2; RAX, RAX2; RHOXF1, RHOXF2/2B; SEBOX; SHOX, SHOX2; TPRX1; UNCX; VSX1, VSX2 NKL-class: BARHL1, BARHL2; BARX1, BARX2; BSX; DBX1, DBX2; EMX1, EMX2; EN1, EN2; HHEX; HLX1; LBX1, LBX2; MSX1, MSX2; NANOG; NOTO; TLX1, TLX2, TLX3; TSHZ1, TSHZ2, TSHZ3; VAX1, VAX2, VENTX; Nkx: NKX2-1, NKX2-4; NKX2-2, NKX2-8; NKX3-1, NKX3-2; NKX2-3, NKX2-5, NKX2-6; HMX1, HMX2, HMX3; NKX6-1; NKX6-2; NKX6-3; ^ Grouped as Lmx 1/5, 2/9, 3/4, and 6/8. ^ Grouped as Six 1/2, 3/6, and 4/5. ^ Questionable, per ^ The Pax genes. Grouped as Pax2/5/8, Pax3/7, and Pax4/6. ^ Nk4. ^ Nk5. = 지식채집프로젝트 베짱이 = 지식채집프로젝트 베짱이는 KBS 2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개요 = = 세상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지만 바쁘고 시간이 없는 당신을 위한 짧고 쉬운 지식다큐.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비고 KBS 2TV 2019년 7월 16일 ~ 2019년 10월 15일 매주 화요일 밤 11:10 ~ 12:05 55분 독립 편성 독립 편성 = = 내레이션 = = 이광용 김지원 서정익 (성우) = = 방영 목록 = = 회차 방송일 제목 (부제) 시청률 1회 2019년 7월 16일 1. 후쿠시마는 안전한가? 2. 아폴로 11호 3. 촌철살인의 정치인, 노회찬을 그리다 1.7% 2회 2019년 7월 23일 1. BTS의 Another Story 2. 디지털포렌식의 정체는? 3. 여성들의 핸드백, 허스토리 1.9% 3회 2019년 7월 30일 1. 첨단 소재가 뭐길래? 2. 촌스러움의 진화, 뉴트로! 3. 폭염의 사회학 0.9% 4회 2019년 8월 6일 1. 일본이 말하지 않는 후쿠시마의 진실 2. 한일청구권협정이 뭐길래?! 3. 2019 플라스틱 쓰레기의 경고 1.6% 5회 2019년 8월 13일 1. 남북의 메신저, 광복절 경축사 2. 모기전쟁 3.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1.4% 6회 2019년 8월 20일 1. 나는 한국인의 아내입니다 2. SNS 카.페.인. 우울증 3. 역사의 책임, 일본인이 말하다 1.2% 7회 2019년 8월 27일 1. 이모티콘, 감정대리를 부탁해 2. 반려견 고령화 3. 고기 없는 고기? 대체 육(肉) 1% 8회 2019년 9월 3일 1. 조국 딜레마 2. 맥주, 세상을 바꾸다 1.8% 9회 2019년 9월 10일 1. 논란의 베스트셀러, 반일종족주의 2. 한일 무역전쟁, 일본은 지금 3. 자물쇠의 비밀 1.8% 10회 2019년 9월 24일 1. 후쿠시마 피난민의 고백 2. 청년작가 정상규 3. 한반도의 지진 시계, 지금 몇 시인가 0.9% 11회 2019년 10월 1일 1. 2019 대한민국 트로트에 빠지다 2. 야생동물이 아스팔트 위에 선 이유는? 3. 소유보다 경험! 구독하며 산다 1.4% 12회 2019년 10월 8일 1. 감시자를 감시하라, 검찰개혁 2. 분양가 상한제 3. 우연하고 위대한 발견, 매장문화재 1.4% 13회 2019년 10월 15일 1. 금보다 비싼 종자 2. 개,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다 3. 30년 미제를 풀다, 과학수사 1.3% = = 편성 변경 및 참고사항 = = 2019년 9월 17일 :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 분류:품질별 생명체 문서 = = 효창공원 = 효창 공원(孝昌公園)은 원래 5살 어린 나이에 죽은 정조의 첫째 아들 문효세자와 몇달 후 죽은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의 무덤으로 효창원(孝昌園)이었으나, 두 무덤은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 당하고, 이름도 효창공원이 되었다. 현재는 김구의 묘소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이동녕, 군사부장 조성환, 비서부장 차이석의 묘소와, 윤봉길·이봉창·백정기의 묘소 등 임시정부 요인들의 묘지가 있다. = = 역사 = = 원래는 지금의 공원형태가 아닌 송림(松林)이 우거지고 인적도 드물었던 곳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조선왕실의 묘역으로, 정조의 맏아들로 태어나 왕세자로 책봉받았으나 일찍이 요절한 문효세자의 무덤이 있었다. 당시에는 '효창원' (孝昌園)이라 불렀다. 같은 묘역에는 정조의 후궁이자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 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의 묘, 숙의 박씨의 소생인 영온옹주의 묘 등이 있었다. 1894년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 300여명이 효창원 앞 송림 내의 선혜청 (宣惠廳)의 창고였던 만리창이 있던 곳에 야영을 하며 숲이 파헤쳐지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일제에 의해 '구(舊)용산고지' 라 불리며 일본군이 숙영목적과 독립군 토벌 및 소탕작전 등을 펼쳤던 비밀작전지로도 사용되었으며, 문효세자의 묘 등을 경기도 고양의 서삼릉으로 이전하면서 1940년 조선총독부 고시 제208호에 의해 '효창공원'이 되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일본군 숙영지가 철거되어 1946년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등 삼의사의 유해 및 이동녕, 조성환, 차이석 등의 3인 유해가, 1949년 7월에는 백범 김구의 유해가 이 공원 묘역에 안장되었으며, 1989년 사적 330호로 지정되었다. 2002년에는 주변에 백범기념관이 건립되기도 했다. 또한 원효대사 동상, 반공기념탑, 효창운동장이 있다. 1956년 정부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묘를 이장하고 효창운동장을 건립하겠다는 발표를 하자 6월 9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김두한 의원은 "선열에 대해서는 물질보다 추모의 정신으로 보답해야 만큼 우선 정부는 분묘에 대한 모든 절차를 결정한 후에 운동장 설비공사에 착수했어야 할 것이라." 말하고 "효창공원의 선열 묘지는 성묘이다. 이 성묘를 함부로 파서 헐어 트리는 것은 생명을 조국광복에 바친 선열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피력하였다. 공사중지건의안은 여야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효창공원 공사중지를 건의 국회선열묘존엄성강조 1956년 6월 10일 동아일보효창공원문제논의 1956년 6월 10일 경향신문 그러나 효창운동장의 공사는 강행되었고, 1960년에는 운동장이 준공되기에 이르렀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전 대통령 역시 골프장을 만들려는 공사를 시도하다 저지당하고, 1969년에는 효창공원에 반공투사 위령탑, 1972년에는 김구의 묘 옆에 노인회서울시연합회와 대한노인회중앙회 시설을 세웠다. = = 주변 및 근린시설 = = = = = 백범 김구의 묘 = = = 1949년 6월 백범 김구가 암살되면서 국민장을 통해 김구의 유해가 안장된 묘소로서 백범기념관 위쪽에 위치해 있다. = = = 삼의사묘 = = = 1946년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의사(義士) 3인의 유해를 안장한 묘소로서 3개의 묘소와 비석이 있다. 이 3의사 묘 옆에 유일하게 유골이 없는 가묘(假墓)가 있는데 이는 안중근 의사를 위해 남겨놓은 가묘로서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게 되어 국내로 봉환될 경우 이 가묘에 공식 안장할 예정이다. 이 가묘에는 비석이 설치되었다. = = = 임정 요인의 묘 = = =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인 이동녕, 조성환, 차이석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는 묘소이며 삼의사묘와 마찬가지로 3개의 묘소와 비석이 세워져 있다. = = 참고 자료 = = * 효창공원 - 서울의 공원 = 분류:코스타리카의 경연회 = = 우우르 보랄 = 우우르 보랄(, 1982년 4월 14일 ~ )은 터키의 전 축구 선수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윙어였다. 그는 지난 UEFA 유로 2008 준결승전에서 독일을 상대로 선제골을 기록했었다. = = 수상 = = 쉬페르리그 : 2006-07, 2010-11 쉬페르 쿠파 : 2007, 2009 UEFA 유로 2008 4강 = 천지웅심 : 아마게돈 = 천지웅심 : 아마게돈(天地雄心: Armageddon)은 홍콩에서 제작된 진가상 감독의 1997년 영화이다. 유덕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유덕화 이가흔 = = = 조연 = = = 황추생 곡덕소 여미고 추정 엽광검 여요상 = 캠핑클럽 = 캠핑클럽은 JTBC에서 방영되었던 예능 프로그램이며, 음악 그룹 핑클의 완전체이자 4명의 멤버(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가 여행과 관찰을 통해 결합하는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데뷔 21주년을 맞은, 1세대 아이돌 핑클. 그녀들의 특별한 캠핑이 시작된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JTBC 2019년 7월 14일 ~ 2019년 9월 29일 매주 일요일 밤 9:00 ~ 10:50 8회, 10회 방송 분량 120분간 연장하였다. = = 에피소드 목록 = = = = = 본회차 = = = 캠핑클럽 정박지 캠핑클럽 정박지 캠핑클럽 정박지 캠핑클럽 정박지 첫번째 용담섬바위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두번째 화랑의 언덕 경상북도 경주시 산내면 세번째 구산해변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마지막번째 법흥계곡솔밭캠프장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지도 지도 지도 지도 회차 방송일 일정 여행 장소 경로 비고 1회 2019년7월 14일 1일차 공주역캠핑의 서막 → 용담섬바위시설 관리자 허가를 받고, 재정비 운영을 하지 않는다 2회 7월 21일 2일차 용담섬바위카누 체험 (이효리, 이진 동반) →점심 제공 (무주IC 만남의 광장) 화랑의 언덕경주 OK 그린 청소년 수련원 내에 있다. 3회 7월 28일 2일차 화랑의 언덕자전거 체험 (핑클 완전체) → 경주 시내 투어콜택시, 스쿠터 대여, 롤러장(CM스포츠타운) rowspan=3 자전거 대여 신청자 (이효리) 3회 7월 28일 3일차 화랑의 언덕자전거 체험 (핑클 완전체) → 경주 시내 투어콜택시, 스쿠터 대여, 롤러장(CM스포츠타운) 4회 8월 4일 3일차 경주 시내 투어빨래방, 스쿠터 반납, 황리단길, 콜택시 → 화랑의 언덕 4회 8월 4일 4일차 화랑의 언덕 →점심 제공 (흥해읍 대성한식)구산해변 5회 8월 11일 4일차 구산해변 rowspan=6 5회 8월 11일 5일차 구산해변 5회 8월 11일 5일차 구산해변 척산시장 (이효리, 이진 동반) 6회 8월 18일 5일차 구산해변 삼륜 바이크 체험 (탑승자 : 성유리, 탑승 손님 : 이진 ~ 이효리 ~ 옥주현) 6회 8월 18일 5일차 구산해변 빔 프로젝터 (핑클 레전드 영상) 7회 8월 25일 5일차 구산해변 빔 프로젝터 (핑클 레전드 영상) 7회 8월 25일 6일차 구산해변 → 법흥계곡 8회 9월 1일 6일차 법흥계곡 rowspan=2 8회 9월 1일 7일차 법흥계곡 9회 9월 8일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10회 9월 22일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다시 만난 핑클캠핑 일정을 마쳤기에 캠핑카 차량은 운영하지 않는다. 10회 9월 22일 특별 이벤트 / 스포츠 오디세이 / 스페셜 스테이지 특별 이벤트 / 스포츠 오디세이 / 스페셜 스테이지 특별 이벤트 / 스포츠 오디세이 / 스페셜 스테이지 실제 9월 14일에 열렸던 포천 백로주캠핑장 촬영 장소가 있다. (CAMP Fin.K.L LOVE) 11회(감독판) 9월 29일 미방송분 미방송분 미방송분 = = = 스포츠 오디세이 = = = 사회자 : 이수근 최종점수 최종점수 최종점수 최종점수 화이트팀(성유리) 1위 320점 레드팀(이효리) 2위 230점 블랙팀(옥주현) 3위 150점 블루팀(이진) 4위 70점 응원 구호대결 팀별 구호 이름 레드팀 항상~ 우리가 이길 거야~ 화이트팀 우윳빛깔 성유리 블랙팀 새카맣게~ 태우자고! 약속해줘! 블루팀 골반 리더 이진 만만세! 2인 3각 화이트팀 레드팀 블랙팀 블루팀 1등 2등 3등 4등 훌라후프 넘치기 (단위 : 성공갯수) 화이트팀 레드팀 블랙팀 블루팀 19개 19개 16개 10개 = = = 스페셜 스테이지 무대곡 = = = 노래 제목 작사 작곡 편곡 풀영상 풀영상 풀영상 풀영상 비고 노래 제목 작사 작곡 편곡 홈페이지 네이버TV 카카오TV 유튜브 비고 〈Blue Rain〉 이승호 신인수 전준규, 고태영 〈당신은 모르실거야〉 길옥윤 길옥윤 류형섭, 고태영 〈루비(淚悲): 슬픈 눈물〉 이재경 최준영 고태영 〈내 남자친구에게〉 김영아 김석찬, 전준규, 김성윤 김석찬, 전준규, 김성윤 〈남아있는 노래처럼〉 핑클 김현철 김현철 〈영원한 사랑〉 김영아 주태영 조성진, 고태영 앙코르 = = = 솔밭 노래방 = = = 선곡 제목 아티스트(원곡) 노래 비고 〈이브의 경고〉 박미경 핑클 완전체 〈그땐 그랬지〉 카니발 이효리, 성유리 〈보라빛 향기〉 강수진 이진 〈산다는 건 다 그런게 아니겠니〉 여행스케치 이효리 〈Hero〉 머라이어 캐리 옥주현 = = = 그 시절 핑클 각자에게 보내는 말 = = = = = 시청률 = =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1 7월 14일 4.186% 2 7월 21일 4.608% 3 7월 28일 4 8월 4일 3.468% 5 8월 11일 4.081% 6 8월 18일 3.901% 7 8월 25일 3.098% 8 9월 1일 3.381% 9 9월 8일 4.050% 10 9월 22일 4.028% 11 9월 29일 = = 결방 사유 = = 2019년 9월 15일 : 추석특집 《고민을 입력하세요 - GOSTOP》 편성 관계로 결방. = = 참고 사항 = = 핑클이 14년만에 완전체로서 출연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의 타이틀 곡은 홍혜림의 〈여긴 숲〉이다. 핑클 멤버들 가운데 결혼을 한 멤버는 이효리, 이진, 성유리이고, 옥주현은 아직 미혼이다. 방송 이후에 수련원 시설 사유지를 캠핑장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운영 재정비 기간에는 시설 관리자 허가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 프로그램의 연출을 맡은 마건영 PD와 윤신혜 작가는 본 프로그램의 방송전 이효리가 출연한 효리네 민박을 담당한 바 있다. 방송 직후 5% 안팎의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였다.ATAM은 5회 방송분 시청률 5.83% 최고점을 찍었다. 현재까지 촬영했던 여행지로는 강원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전남 신안 우전해변, 충남 태안 신두리 해안시구, 인천 소래 습지 생태공원 등이 있다. 한국관광공사에서한국관광공사 원주 본사가 아닌 서울센터 장소가 있다. 2019년 8월 26일부터 9월 15일까지 캠핑클럽 사진전을 개최하였다. 2019년 9월 12일과 9월 13일은 캠핑클럽 몰아보기 방송분으로 편성되었다. 〈핑클과 팬들의 특별한 만남〉은 당초 2019년 9월 7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제13호 태풍 링링의 여파로 인하여, 일주일간 보류되다가 9월 14일로 연기되어 해당 날짜에 열게 되었고 공연에는 핑클 팬들 100명이 참석하였다. 14년만에 디지털 싱글의 신곡 〈남아있는 노래처럼〉을 2019년 9월 22일에 발매하였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2019년 8월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14위로 선정하였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2019년 9월 예능 프로그램 브랜드평판 3위로 선정하였다. CJ ENM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2019년 9월 4주(9월 23일 ~ 9월 29일) 콘텐츠 영향력 지수(CONTENT POWER INDEX) 비드라마 종합순위 1위로 선정했으며, 252.2점을 받았다고 한다. = 금곡초등학교 (경남) = 금곡초등학교는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두문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23년 9월 10일 금곡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금곡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년 4월 1일 금곡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48년 6월 20일 두문국민학교 분립 1949년 12월 15일 검암국민학교 분립 1986년 3월 3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1년 3월 1일 검암분교장 편입 1996년 3월 1일 금곡초등학교 개칭 1997년 9월 1일 검암분교장 통폐합 2009년 3월 1일 금곡·두문초등학교 통·폐합. 두문초등학교 위치로 이전 2010년 2월 12일 다목적 강당 및 급식소 개관 2011년 10월 20일 글벗누리 도서관 개관 2014년 2월 17일 초등돌봄교실 증축 2016년 8월 16일 안전한 과학실험실 환경개선 사업 2018년 2월 13일 제93회 졸업(졸업생 6명, 누계 4084명) 2018년 3월 1일 제29대 강동숙 교장 부임 = 코시 판정법 = 코시 판정법은 다음을 가리킨다. 근판정법 코시 응집판정법 적분판정법 코시 수렴 판정법 = 머턴 = 머턴(Merton, Murton)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머턴(Mutton)은 다 자란 양을 도축해 만든 양고기를 뜻한다. 머턴 밀러(Merton Miller, 1923 ~ 2000)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토머스 머턴(Thomas Merton, 1915 ~ 1968)은 미국의 신학자이다. 맷 머턴(Matt Murton, 1981 ~ )은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 분류:클램프 = = 틀:대한민국의 재외공관 = = 분류:안나카시의 교육 = = 서울신묵초등학교 = 서울신묵초등학교(서울新墨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일로286길 46 (묵동)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85년 5월 7일: 서울신묵국민학교로 개교 1996년 3월 2일: 서울신묵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2005년 10월 13일: 신묵 어린이 미술관 '아띠' 개관 2009년 8월 31일: 신축 건물로 이사 2009년 12월 17일: 개축교사 준공 2016년 3월 1일: 서울형 혁신학교 신규지정 = 우펑구 = 우펑구는 중화민국 타이중시의 시할구이다. 넓이는 98.0779km2이고, 인구는 2015년 8월 기준으로 64,544명이다. = = 지리 = = 우펑 구는 타이중시의 남단에 위치하고 다리 구, 타이핑 구, 우르 구, 난터우 현 차오툰 진, 궈싱 향, 장화 현 팡위안 향과 접한다. 향 동부는 산지이고 서부는 타이중 분지의 일부이다. 열대 계절풍 기후로서 연평균 기온은 19.4°C, 연평균 강수량은 1,400~1,665mm이다. = = 교육 = = 아시아 대학 차오양 과기대학 = = 관광 = = 921지진교육원구 = = 교통 = = 포모사 고속공로(국도 3호선) 타이중 환선(국도 4호선) 중헝 고속공로(국도 6호선) = 분류:세이난 전쟁 = = 볼거리바이러스 = 볼거리바이러스(Mumps orthorubulavirus, MuV)는 볼거리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볼거리는 귀밑샘, 침샘 및 다른 상피 조직의 비대증으로 진단할 수 있기도 하나, 더욱 정밀한 진단을 위해서 바이러스 검출, 볼거리 특이 항체 검출, 혈청 아밀라아제 측정을 이용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피로감, 두통, 식욕저하, 미열, 침샘의 비대가 있다. 또한 볼거리는 또한 근육통, 청력 저하, 수막염, 췌장염, 고환염, 난소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심지어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상기한 증상 중 여러가지가 나타나나, 증상이 거의 없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연 상태에서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며, 주로 환자와의 접촉이나 비말 혹은 오염된 물체와 접촉 함으로써 전염된다. 중추신경계의 뇌실막에 감염되기도 한다. 최근 몇 년 사이에도 유행 사례가 나타나지만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바이러스다. 한 번 볼거리를 앓은 환자는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시 볼거리에 걸리지 않는다. 볼거리바이러스는 2018년까지만 해도 루불라바이러스속(rubulavirus)에 속하였으나, 해당 속이이 아과로 승격됨에 따라 오르소루불라바이러스속(Orthorubulavirus)으로 새로 분류된다. = = 형태학과 유전형 = = 거친 구형의 작은 외피로 둘러싸여 있으며 120에서 450nm의 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파라믹소바이러스의 공통적 특징이다.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다. 바이러스 입자는 외피와 리보핵단백질 복합체(RNP)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이 복합체는 유전체인 단일가닥 선형 RNA를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NP)가 RNA 중합효소 복합체와 함께 둘러싸고 있는 형태인데, 이 중합효소 복합체는 다시 큰(L) 부속단위와 인단백질(P) 부속단위로 나눌 수 있다. 대략 2,000개의 NP 분자들이 250개의 P 부속단위와 25개의 L 부속단위와 함께 유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리보핵단백질 구조는 비리온을 고르게 둘러싸고있는 기질(M) 단백질을 통해 바이러스 외피와 상호작용한다. 볼거리바이러스의 외피는 숙주세포의 세포막에서 기원한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있다. 많은 수의 당단백질이 외피에 붙어서 바이러스가 숙주에 침입하고 나오는 것을 돕는데, 이 바이러스의 당단백질로는 헤마글루티닌 뉴라미니다아제(HN)와 융합 단백질(F), 그리고 작은 소수성 단백질(SH)이 있다. 유전형은 12개가 존재하며 각각 A에서 N까지의 알파벳으로 표시한다. 유전형은 작은 소수성 단백질(SH)의 유전자 서열로 구분한다. 항원형은 단 하나만 존재한다. = = 예방접종 = = 백신으로 사용되는 바이러스주(strain)로는 제릴 린, L-Zagreb, Rubini, Urabe주가 있다. 12개월에서 15개월 사이의 유아들에게는 MMR(measles-mumps-rubella, 홍역 볼거리 풍진)백신을 주로 접종하며, 4세에서 6세 사이의 아이들에게는 수두(varicella) 백신을 추가해 MMRV백신을 접종한다. 백신을 한 번 맞는 경우에는 예방효과가 78%(49~91%)에서 그치는 반면, 두 번 접종하는 경우에는 88%(31~95%)의 예방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지만, 일부 경우에서는 경미한 발진과 미열, 일시적인 관절통이 관찰되었다. = 피에르 부비에 = 피에르 부비에(Pierre Bouvier, 1979년 5월 9일 ~ )는 캐나다의 음악가로, 심플 플랜의 리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 스카이 익스프레스 = 스카이 익스프레스는 러시아의 저비용 항공사로 본사는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해 있으며 2006년에 설립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허브 공항으로 브누코보 국제공항이 있다. = = 역사 = = 2006년에 항공사는 컨소시엄 업체와 합작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당시 크라스 에어의 CEO로 활동했던 보리스 아브모비치가 이 회사의 대표가 되었고 알티마 파트너와 다른 사람이 경영했다. 2007년 1월 29일에 최초로 취항하기 시작하면서 모스크바에서 소치간 국내선이 취항했다. 러시아에서 제일 유일한 저비용 항공사로 알려져 있지만 20일 만에 아비아노바 항공이 운항이 중단된 데 이어 2011년 10월 29일에 운항 중지를 발표 하면서 사실상 회사가 소멸되고 말았다. 현재 모든 항공기는 쿠반 항공으로 넘어갔다. = = 보유 기종 = = 2011년 11월 기준으로 당시 스카이 익스프레스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17.7년이다. 기종 대수 주문 승객 에어버스 A319 3 0 156Aviaport digest 보잉 737-300 2 0 148 보잉 737-500 5 0 132 합계 10 1 = 실내 무술 아시안 게임 = 실내 무술 아시안 게임은 2013년부터 시작되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가입국들의 실내, 무술 운동 경기 대회이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됐던 실내 아시안 게임과 2009년에 진행됐던 무술 아시안 게임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 = 역대 대회 목록 = = 연도 개최지 1위 2위 3위 2013 인천 2017 아시가바트 2021 방콕 / 촌부리 = = = 실내 아시안 게임 = = = 연도 개최지 1위 2위 3위 2005 방콕 2007 마카오 2009 하노이 2011년 실내 아시안 게임은 카타르의 도하에서 개최하기로 했으나 취소되었다. = = = 무술 아시안 게임 = = = 연도 개최지 1위 2위 3위 2009 방콕 = 감로암 = 감로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감로암 - 서울특별시 종로구 충신동 15번지 (조계종) 감로암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 1동 239번지 (조계종) 감로암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5번지 (조계종) = 칸스 = 칸스(Carnes, Karns, Karnes)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라이언 칸스: 미국의 배우 로스코 칸스: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토드 칸스: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제이 칸스: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 크리스 헴스워스 = 크리스 헴스워스(, 1983년 8월 11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세계관의 토르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리엄의 형이며 루크의 동생이다. = = 출연 작품 = = 연도 영화 배역 비고 2009 스타트렉: 더 비기닝 조지 커크 2009 퍼펙트 겟어웨이 케일 2010 캐쉬 샘 팰런 2010 올리 클러블러슈터프 vs 더 나치스 채드 2011 토르: 천둥의 신 토르 2012 어벤져스 토르 2012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헌츠맨 2012 캐빈 인 더 우즈 커트 2012 레드 던 제드 에커트 2013 스타트렉 다크니스 조지 커크 목소리 출연 2013 러시: 더 라이벌 제임스 헌트 2013 토르: 다크 월드 토르 2015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토르 2015 하트 오브 더 씨 오웬 체이스 2015 블랙코드 니콜라스 해서웨이 2015 베케이션 스톤 크랜달 2016 헌츠맨: 윈터스 워 헌츠맨 2016 고스트버스터즈 케빈 2016 팀 토르 토르 단편 2016 닥터 스트레인지 토르 카메오 2016 팀 토르: 파트 2 토르 단편 2017 토르: 라그나로크 토르 2018 12 솔져스 미치 넬슨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토르 2018 배드 타임즈: 엘 로얄에서 생긴 일 빌리 리 2019 어벤져스: 엔드게임 토르 2019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 요원 H 2020 익스트랙션 타일러 레이크 제작에도 참여 2022 스파이더헤드 압네스티 2022 토르: 러브 앤 썬더 토르 2024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미정 익스트랙션 2 타일러 레이크 제작에도 참여 = = 수상 = = 2012년 제14회 틴 초이스 어워드 - 섬버무비스타 남자배우상 《어벤져스》《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2013년 제39회 피플 초이스 어워드 - 액션무비 스타상 《어벤져스》《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2013년 제22회 MTV 무비 어워드 - 베스트 싸움상 《어벤져스》 = 청룡동 (서울) = 청룡동(靑龍洞)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행정동이다. = = 역사 = = = = = 지명 유래 = = = 동명은 서림동과의 경계에 있는 청룡산에서 유래하였다. 이 ‘청룡’은 서울청룡초등학교 등의 이름으로도 쓰이고 있다. = = = 연혁 = = = 1978년 10월 10일 : 봉천4동에서 분동 1980년 7월 1일 : 행정구역 변경으로 남부순환로 북측30여 가옥이 신림본동의 관할 1980년 12월 31일 : 구획정리가 완료되어 일부 지번이 현재의 지번으로 변경 1990년 10월 7일 : 신림본동 관할의 2개반 30여 가구 편입 2008년 9월 1일 : 봉천4동과 봉천8동이 통합하여 청룡동으로 동명칭 변경청룡동 유래 및 현황, 2012년 6월 20일 확인 = = 교육 = = 서울청룡초등학교 서울관악초등학교 봉림중학교 서울문영여자중학교 서울문영여자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영락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영락체육고등학교 영락자연과학고등학교 = 야수 (2006년 영화) = "야수"는 2006년 1월 12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느와르 영화이다. = = 캐스팅 = = 권상우 : 장도영 역 유지태 : 오진우 역 손병호 : 유강진 역 이주실 : 도영 모 역 강성진 : 조영철 역 정원중 : 부장검사 역 김윤석 : 주현태 역 안길강 : 양기택 역 이한위 : 방계장 역 강승원 : 홍재근 역 최령 : 배광춘 역 문정희 : 윤정민 역 이중문 : 이동직 역 김준배 : 부산 허 사장 역 이재구 : 강 수사관 역 박진우 : 박 수사관 역 류성현 : 호송관 역 김만기 : 고영배 역 조진웅 : 구룡파 조직원 역 오세홍 : 판사 역 박혁권 : 동료 형사 역 조석현 : 동료 검사 역 고정주 : 유강진 아내 역 설지윤 : 박용식 아내 역 이갑선 : 구룡파 조직원 역 고창석 : 구룡파 어깨 역 박준철 : 검찰 출입기자 역 엄지원 : 강주희 역 (특별출연) 최덕문 : 박 검사 역 (특별출연) 조성하 : 재판 검사 역 (특별출연) = 독안룡 마사무네 = 독안룡 마사무네는 1987년 1월 4일부터 12월 13일까지 일본방송협회에서 제작한 대하드라마으로 대하드라마 시리즈의 25번째 작품이다. 방영횟수는 총 50회이다. 주인공은 센고쿠 시대 말기에 활약하여 후일 에도 막부의 다이묘에 오른 센다이번의 다이묘 다테 마사무네이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대하드라마는 기존의 중세나 근세를 다루는 대신, 근대에 주목하였고 이때문에 1984년에는 쇼와 전기를 다룬 산하가 불탄다, 1985년에는 메이지 중후반을 다룬 봄의 파도, 그리고 1986년에는 태평양 전쟁 종전부터 당시인 1986년까지를 다룬 생명을 방송하였으나, 1987년부터 다시 본래의 노선으로 돌아왔다. 평균 시청률은 39.7%로 역대 대하드라마 중 가장 높은 평균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최고 시청률 또한 47.8%로 아코 낭인, 다케다 신겐에 이어 3위이다. = = 출연 = = = = = 다테 가 = = = 다테 마사무네: 와타나베 켄 다테 테루무네(마사무네의 아버지): 키타오오지 킨야 호슌인(마사무네의 어머니): 이와시타 시마 메고히메(마사무네의 정실): 사쿠라다 준코 다테 하루무네(마사무네의 할아버지): 카네코 노부오 네코고젠(마사무네의 측실): 아키요시 쿠미코 이로하히메: 사와구치 야스코 다테 시게자네: 미우라 토모카즈 다테 사네모토: 류 라이타 카타쿠라 코주로: 사이고 테루히코 = = = 모가미 가 = = = 모가미 요시아키: 하라다 요시오 모가미 요시모리: 이마후쿠 마사오 = = = 센고쿠의 다이묘와 그 주변 = = = = = = = 도요토미 가 = = = = 도요토미 히데요시: 카츠 신타로 고다이인: 야치구사 카오루 요도도노: 히구치 카나코 도요토미 히데츠구: 진나이 타카노리 이시다 미츠나리: 오쿠다 에이지 마에다 토시이에: 오오키 미노루 사나다 유키무라: 와카바야시 고 = = = = 도쿠가와 가 = = = = 도쿠가와 이에야스: 츠가와 마사히코 도쿠가와 히데타다: 카츠노 히로시 도쿠가와 이에미츠: 타쿠마 신 마츠다이라 타다테루: 사나다 히로유키 = 독일연방철도 = 독일연방철도(Deutsche Bundesbahn, DB)는 1948년 9월 7일 DRG(Deutsche Reichsbahn-Gesellschaft)의 후속으로서 완전히 새로 설립된 서독(FRG)의 국가 철도이다. 독일의 재통일 시점까지 서독의 국가 철도로 남아있다가 동독 독일연방철도(DR)와 합병되면서 1994년 1월 1일 독일철도가 설립되었다. = 팬아메리칸 야구 연맹 = 팬아메리칸 야구 연맹(, COPABE)은 아메리카의 야구 연맹이다. 총 27개국이 가맹되어 있다. = = 가맹국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영란 (동음이의) = 영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영란(英蘭): 영국의 구성국 중 하나인 잉글랜드의 음역어 = = 가공 인물 = = 포세이돈의 등장인물 아내의 등장인물 신사의 품격의 등장인물 그대는 별의 등장인물 꽃섬의 등장인물 허브의 등장인물 나청렴의원 납치사건의 등장인물 킬리만자로의 등장인물 비 개인 오후를 좋아하세요?의 등장인물 수상한 이웃의 등장인물 질주의 등장인물 팁 2의 등장인물 혼자뜨는 달의 등장인물 천사의 숨소리의 등장인물 바리데기의 등장인물 = 가남역 = 가남역(Ganam station, 加南驛)은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에 위치한 중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 = 연혁 = = 2021년 11월 17일: 철도거리표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5호, 2021년 11월 17일. 2021년 12월 31일 :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역 구조 =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나, 복선화를 대비해 2면 4선으로 설계하였다.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 = 승강장 = = = ↑부발 12 34 감곡장호원↓ 1 중부내륙선 KTX 판교 방면 2 중부내륙선 KTX 충주 방면 = = 역 주변 = = 도보로 15분 거리에 가남읍 시내가 위치해 있다. = 분류:미국 주재 일본 대사 = = 분류:대구공업고등학교 축구부의 축구 감독 = = MID = MID는 다음과 같은 3글자 약자이다. = = 컴퓨터 및 전자기기 = = MID -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lie Internet Device)의 약자.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이다. mid -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 표준 미디 파일의 확장자로 사용된다. 때로는 midi로도 쓰며 확장자 mid와 midi는 서로 동일하다. 다중 인터페이스 선언(Multiple interface declaration) = = 의학 및 생물학 = = 혈관성 치매(Multi-infarct dementia) 단핵구(Monocyte) = = 기타 = = 중모음(Mid vowel) 미드필더(Midfielder) 러시아 외무부(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 = 저지 드레드 (2012년 영화) = 저지 드레드(Dredd)는 2012년 개봉한 SF 액션 영화이다. 저지 드레드를 원작으로 하며, 1995년 개봉한 동명의 영화의 리부트 영화이며 일정 부분의 설정을 가져왔다. = = 캐스팅 = = 칼 어번 - 저지 드레드 올리비아 설비 - 저지 카산드라 앤더슨 레나 헤디 - 마마 우드 해리스 - 케이 = 동구 (울산광역시) = 동구(東區)는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다. 동구 대부분의 지역을 방어가 많이 잡히는 항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방어진'으로 칭하기도 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조선소인 현대중공업과 자회사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해 있다. = = 역사 = = = = = 구의 역사 = = = 신라시대 현재의 북구 강동동에 치소를 둔 율포현(栗浦縣)의 일부였다. 율포현은 757년에 동진현(東津縣)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흥례부(興禮府)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수로진의 의미로 방어진(防禦陣)이라 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방어가 많이 잡히는 나루터라는 의미로 방어진(魴魚津)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 사복시 관할의 목장을 두고 방어진목장(魴魚津牧場)이라 하였다. 울산에 면리제가 시행되면서 동면 유등포리, 현종 대에는 유포면(柳浦面, 북구 강동동)에 속해 있다가 숙종 대에 목장 관할 구역을 분리해 동면(東面)이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동면사무소를 서부동에 두었다. 1914년 4월 1일 9개리로 개편하였다. 개편 전 개편 후 방어동(方魚洞), 상화잠동(上花岑洞), 하화잠동(下花岑洞) 방어리(方魚里) 월산동(月山洞) 일산리(日山里) 월산동(月山洞) 화정리(華亭里) 전하동(田下洞), 월산동(月山洞) 일부 전하리(田下里) 미포리(尾浦里), 동부동(東部洞) 일부 미포리(尾浦里) 서부동(西部洞), 대편동(大片洞) 서부리(西部里) 동부동(東部洞) 동부리(東部里) 주전동(朱田洞) 주전리(朱田里) 염포동(鹽浦洞), 심청동(深淸洞) 염포리(鹽浦里) 1925년 12월 6일 면사무소를 방어리로 이전하였다. 1931년 4월 1일 동면을 방어진면(方魚津面)으로 개칭하였다.조선총독부령 제12호 (1930년 12월 1일 공포)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方魚津邑)으로 승격하였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방어진읍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면서 울산시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울산시 조례 제2호 (1962년 5월 30일 공포)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방어진출장소 관할 구역에 5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염포동은 병영출장소 관할이 되었다.울산시 조례 제310호 행정동 법정동 방어동(方漁洞) 방어동(方漁洞) 일산동(日山洞) 일산동(日山洞), 화정동(華亭洞) 전하동(田下洞) 전하동(田下洞), 미포동(尾浦洞) 남목동(南牧洞) 동부동(東部洞), 서부동(西部洞) 주전동(朱田洞) 주전동(朱田洞) 1979년 1월 1일 남목동을 남목1동과 남목2동으로 분동하였다.울산시 조례 제597호(1978년 12월 30일 공포) 1983년 5월 1일 전하동을 전하1동과 전하2동으로 분동하였다.울산시 조례 제914호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중구에 편입되어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울산시 조례 제1083호 1985년 8월 10일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시 직할 방어진출장소로 승격하였다.울산시 조례 제1104호(1985년 8월 3일 공포) 1985년 10월 15일 일산동을 일산동과 화정동으로 분동하였다.울산시 조례 제1115호(1985년 10월 4일 공포)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하였다.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1992년 1월 20일 화정동을 화정동과 대송동으로 분동하였다.울산시 조례 제1536호(1992년 1월 6일 공포) 1995년 3월 2일 전하2동을 전하2동과 전하3동으로, 남목1동을 남목1동과 남목3동으로 분동하였다.울산시 조례 제157호 1995년 8월 22일 동구청 소재지를 방어동 413-1번지現 방어동 행정복지센터 위치.에서 화정동 222번지로 이전하였다.울산시 조례 제183호(1992.8.22공포)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동구 자치구 출범, 중구 염포동이 동구에 편입되었다.법률 제5234호 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1996년 12월 31일 공포) 1998년 3월 1일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되었다.대통령령 제15652호(1998년 2월 24일 공포) 1998년 10월 1일 주전동을 남목3동에 편입하였다.동구 조례 제105호 2009년 1월 1일 전하3동을 전하2동에 편입하였다.동구 조례 제446호(2008년 12월 11일 공포) = = = 신라왕과 일산동 = = = 일산동(日山洞)의 지명은 본래 일산(日傘)이었다. 日傘의 뜻은 햇빛을 막는 큰 양산이라는 뜻으로 신라왕이 여름에 일산해수욕장 일대를 찾아 큰 일산을 쓰고 놀았다고 하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일산해수욕장 우측에 있는 대왕암 공원은 문무 대왕의 왕비가 문무 대왕이 호국의 뜻을 갖고 경주 양남 대왕암에 묻힌 것을 따라 묻힌 곳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 = = 동축사 = = = 삼국유사에는 573년 인도 아소카왕이 보낸 편지와 황금, 황철을 실은 배가 아곡현(신라 시대 울산의 지명) 사포 지역에 도착했다고 돼있다. 아소카왕의 바람대로 신라왕은 황금, 황철로 장륙존상을 만들어 황룡사에 모셨다. 모형으로 만든 불상은 아곡현의 한 마른 언덕 지역(마골산)에 절을 짓고 모셨다. 이 절이 동축사라고 한다. '동축'은 동쪽의 인도라는 뜻으로 아소카왕이 다스리는 나라가 '서축'이라면 신라는 동쪽의 인도 즉 동축이라는 인식이 담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 = = 지리 = = 동해안을 끼고 내려오는 동부산지괴의 동대산맥 여러 산들 가운데 마골산이 동구 지역의 주산이 된다. 이 마골산과 엇비슷한 높이의 연봉들이 동구 지역의 서쪽과 북쪽을 병풍처럼 두르면서 방어진 반도를 이루었다가, 동해로 침몰하게 된다. 그리고 동구 지역은 산지가 53%로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산으로부터 바다까지의 거리도 짧다. 동구 지역의 산들은 오랫동안에 걸친 외부의 침식을 받아 산세가 가파르거나 험하지 않고 완만하여 구릉지대를 연상시킨다. 동구 지역은 길게 뻗은 산자락의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하천의 길이가 짧고, 폭도 좁다. 여기에다 낮은 지대는 거의가 공장이나 주거지로 변모하면서 그나마 몇 개 흐르던 하천마저 거의 복개되고 말아, 동구 지역 주민들은 강이나 하천의 존재를 거의 못 느끼지 못하지만, 넓은 동해 바다를 품고 살아가고 있다.2011년 통계연보 , 토지 및 기후, 2012년 8월 5일 확인 = = 정치·행정 = = = = = 구청장 = = = = = = 국회의원 = = = 현재 동구의 국회의원은 권명호이다. = = = 광역의원 = = = 경상남도 울산시 동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3명을 선출하고 있다. = = 행정 구역 = =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은 9개동 210통 1,352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36.03km2로 시의 3.4%를 차지한다. 울산 동구의 인구는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67,951세대 183,587명이다.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2015년 1월 12일 확인 시전체 15.63%를 차지하는데 비해서 면적은 좁은 편이며, 그나마 전체 면적의 36.6%에 해당하는 13.19km2가 개발제한구역이다.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방어동 方魚洞 6.03 17,230 45,729 일산동 日山洞 2.08 3,690 7,786 화정동 華亭洞 1.30 7,535 18,511 대송동 大松洞 2.53 5,683 15,290 전하1동 田下1洞 5.13 6,955 18,319 전하2동 田下2洞 1.00 8,337 24,522 남목1동 南牧1洞 4.99 4,136 11,648 남목2동 南牧2洞 4.37 9,241 26,967 남목3동 南牧3洞 8.59 5,144 14,815 동구 東區 36.02 67,951 183,587 = = 인구 = = 연도 총인구 ; 1990년 168,389명 1995년 191,733명 2000년 182,658명 2005년 177,005명 2010년 164,051명 2015년 176,851명 = = 교육 기관 = = 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동부캠퍼스 = = = 기업체 = = =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현대제철 현대자동차 = = 자매 결연 = = 지역 & 국가 도시 도시 경기도 군포시(2021년) 광주광역시 서구(1999년) = 안대희 = 안대희(安大熙, 1955년 3월 3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대법관을 역임하였다. 육군 군법무관 대위로 전역하였으며, 지난날 서울고등검찰청 형사부장·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 등을 지냈다.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 = 생애 = = 서울 경기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 법학과 재학 중 17회 사법시험에 최연소 합격하였다. 사법시험 동기로는 노무현 前 대통령과 전효숙 前 헌법재판소 재판관, 김능환 前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등이 있다. 이후 군 법무관을 마친 뒤 25세에 최연소로 검사에 임용되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2·3부장을 거쳐, 대검찰청 중앙수사본부 과장을 2번 역임하였다. 2006년 대법관이 되었고 2012년 퇴임하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박 대통령 당선 이후 차기정부 주요 직책에 임명될 것이란 세간의 예상과 달리 아무 직도 맡지 않았으나, 2014년 국무총리 후보자로 내정되었다. 그러나 전관예우 의혹 등이 불거지고 논란이 계속되자 사퇴하였고., 법무법인 평안의 대표변호사로 활동하다가 2016년 총선에 예비 후보로 등록하였다. = = 경력 = = 부산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졸업 부산중학교 전학 숭문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법과대학 법학과 중퇴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 최연소 합격 (노무현 대통령과 동기) 1980년 검사 임용 1982년 프랑스 국립사법관 학교 수료 2000년 ~ 2001년 6월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지청장 2001년 6월 ~ 2002년 8월 서울고등검찰청 형사부 부장검사 2002년 8월 ~ 2003년 3월 부산고등검찰청 차장검사 2003년 3월 ~ 2004년 6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부장 2004년 6월 ~ 2005년 4월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2005년 4월 ~ 2006년 7월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2006년 7월 ~ 2012년 7월 대법관 2012년 8월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위원장 2013년 3월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2013년 7월 변호사안대희법률사무소 변호사 2013년 11월 ~ 2013년 12월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회 위원장 2014년 11월 법무법인 평안 대표변호사 2016년 ~ 법무법인 평안 고문변호사 2016년 1월 ~ 2016년 4월 새누리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새누리당 당무위원 자유한국당 당무위원 겸 법무특임위원 미래통합당 당무위원 2021년 3월 ~ : 푸른저축은행 사외이사 여시재 이사 국민의힘 당무위원 2022년 12월 ~ :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상임고문 = = 출생과 성장 = = 안대희는 경남 함안군에서 출생하였다. 부산중학교재학 중 B급 학생이었던 안대희의 성실하지 못한 생활을 우려한 부모님의 손에 이끌려 서울로 전학가게 된다. 경기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고 스무 살, 17회 사법시험에 최연소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7기로 수료하고 군 법무관을 마친 뒤 25세에 검사가 되어 '소년검사'라는 별명도 이때 생겼다. 일찍 사시에 합격하는 바람에 최종학력은 서울대 법학과 3학년 중퇴이다. = = 검사 시절 = = 안대희는 최연소로 검사에 임용된 이후 대검찰청 중앙수사본부 1, 3과장과 서울중앙지검 특수 1, 2, 3부장을 거친 후, 대검찰청 중수부장까지 거친 우리나라 검찰의 대표적인 특수통 검사이다.안대희 총리 내정, 현역 의원 줄줄이 구속했던 '특수통' 검사출신. The Fact 라이프, 2014년 5월 23일 마포갑 노웅래 의원은 안대희에 대하여 "공안검사의 칼날을 휘둘렀던 경험"이 있다고 주장하였다.노웅래, 안대희 마포갑 도전 환영..."안대희 전 대법관 당당히 나서라", 일요신문, 2016년 1월 15일 = = = 나라종금 사건 = = = 나라종금 사건은 퇴출위기에 몰린 나라종금이 노 대통령의 측근인 안희정에게 생수회사의 채무변제 방식으로 3억90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하는 등 정·관계 로비를 벌인 사건이다. 이 사건 등으로 기소된 안희정은 2004년 대법원에서 징역 1년에 추징금 4억9000만원의 유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당시 대검 중수부장이던 안대희는 나라종금사건을 수사하며 대통령의 측근들을 줄줄이 구속하였다. = = = 대선자금 수사 = = = 안대희는 2003~2004년 대검 중수부장 재직시 불법 대선자금 수사를 진두지휘, 검찰 수사의 상징적 인물로 떠올랐다. 정치권의 일부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야를 가리지 않는 원칙적인 수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김용철은 당시 중수부장이던 안대희가 자신이 겪은 가장 청렴하고 능력 있고 강직한 검사인데, 2002년 대통령선거 때에 삼성그룹의 비자금이 한나라당에 전해진 것을 알고도 덮었다고 주장했다. = = 대법관 시절 = = 안대희는 검사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에서 대법관을 역임하였다. 재판연구관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외부 인사가 대법관으로 영입되는 경우를 선호하지 않는다고 하나, 안대희는 특이하게도 판사들 사이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아서 존경받았다고 한다.상고심 사건 보고 월 100여건...휴일도 반납 '살인적 업무', 세계일보, 2016년 1월 23일 = = = 론스타, 외환카드 주가조작 사건 = = = 2011년 3월 대법원이 '허위 감자설 유포'를 통한 주가조작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유회원 론스타코리아 대표에 대해 사실상 유죄를 선고하면서 5년에 걸친 법정 공방은 검찰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이로 인해 외환은행 매각 작업을 빨리 마무리짓고 자금을 회수해 한국을 떠나려던 론스타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외국계 금융사의 주가조작에 대해 유죄가 인정된 첫 번째 판결이란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당시 대법관은 안대희이다. = = 논란 = = = = = 전관예우 = = = 2006년 대법관에 임명될 때, 인사청문회에서 전관예우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을 받고 "변호사는 적정 보수에 대해 생각해야 하고 검사는 사회적 우대에 대한 환상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던 안대희는"'변호사 적정 보수' 얘기했던 안대희" YTN 5월 27일 대법관 퇴임 이후였던 2013년 7월 서울시 용산구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뒤 연말까지 5개월간 16억여원을 챙긴거나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에 위촉되고도 나이스홀딩스의 법인세 취소소송 항소심 변론 등을 맡은 사실로 인하여 2014년 5월 22일 국무총리로 지정되면서 전관예우 논란이 커졌다."안대희, 전관예우 의혹 비켜갈 수 없다" 중앙일보 2014년 5월 27일 그러자 5월 26일 국회에 임명동의안이 제출되는 때에 맞춰 "국민정서에 비춰봐도 너무 많은 액수"라며 "변호사 활동으로 늘어난 재산 11억여원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했다."안대희 총리 후보자 "개인적으로 생각해도 너무 많다" 중앙일보 5월 27일 국무총리에 지명되기 직전에 4억 7천만원을 기부했다. 하지만 논란이 사그러지지 않자 국무총리 후보에서 사퇴하면서 "제가 공직에 있을 때 전관예우를 해준적이 없기 때문에 전관예우를 받을 생각도 하지 않았고, 전관예우라는 오해와 비난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행동 하나하나 조심했다."고 주장하면서안대희 "전관예우, 하지도 받으려고도 않았다" 해명 이데일리 2014. 5. 28. 자신이 변호한 대법원 상고사건을 언급하며 "100페이지가 넘는 상고이유서를 다 직접 썼고, 서명만 한 일은 한번도 없다. 이는 전관예우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해명했지만 박지원 의원은 “국세청 세무조사 감독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었다. 그러면서 법인세 취소사건, 이 조세사건을 수임했다고 하면 현직의 예우를 받은 것이다"고 주장했다."박지원, 안대희 전관예우?.. 현직예우 받았다" 머니투데이 5월 27일 그러나 노무현 정권에서 대법원장에 임명된 이용훈 전 대법원장이 60억 원의 수임료를 받는 등 고위 법관 출신들의 고질적인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안대희, 1주일만에 국무총리 사퇴" YTN, 2014. 5. 28."안대희, 전관예우, 기부시점 등 논란만 10여개" 충청일보 2014. 5. 28. = = = '기획 기부', '매관매직' 논란 = = = 안대희는 2013년 5개월간 벌어들인 수익 16억여원 중 4억여원을 4월16일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을 위해 낸 기부했다고 했으나, 기부시점과 관련하여 '3억원의 기부 시점이 총리 지명과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또다시 제기되었다. 안대희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홍원 총리가 사퇴의사를 밝힌 4월 27일 즈음인 4월 말에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기부를 할 수 있느냐"고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문의를 한 후 5월 중순에 기부를 하였다."단독! 안대희, 총리물망 시점에 세월호 3억 기부" 한겨레신문 2014년 5월 26일"안대희, 총리 지명 앞서 3억 기부…인사청문회 대비?" JTBC 2014년 5월 27일"안대희 후보 '11억 사회환원'… 총리내정 직전 3억 부랴부랴 기부" 이투데이 2014년 5월 27일"安 후보자, 번 돈 내놓는다고 공직 적폐 척결 자격 생기겠나" 조선일보 2014년 5월 27일 그러나 안대희는 이에 대하여 총리 지명과 무관하게 기부하였다고 밝혔다."안대희 후보자, 3억 기부시점 논란..."총리 지명과 무관"" MBN뉴스, 2014. 5. 28. = = = 부동산 관련 의혹 = = = 안대희는 1978년부터 1985년까지 7년사이에 수색동-갈현동-수색동-팔판동-효제동-도곡동-압구정동 등으로 주소지를 13차례 옮겼으며, 그 뒤로도 강남과 강북을 오가며 7개월에 한 번꼴로 주소지가 바뀌었다는 주장이 있다."安 후보자 부인, 2001·2007년 자녀만 데리고 주소지 옮겨" 조선일보 2014년 5월 27일 또한 2013년 10월 11일 서울 중구 회현동에 있는 남산롯데캐슬아이리스 주상복합 아파트(257m2)를 매입하며 실거래가액이 12억5,000만원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풀려 16억2,000만원을 거래가액으로 신고함으로써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에 대한 법규를 위반했다고 주장이 제기되었다."안대희 후보자, '남산 주상복합' 실거래가 위반 의혹" 노컷뉴스 2014년 5월 27일 = = 국회의원 출마 = = 안대희는 2016년 1월 19일 서울 마포구갑 선거구에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선거 예비후보로 등록한 뒤,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나 노웅래 후보에게 패했다. = 분류:가공의 자살한 사람 = = 모듈:Location map/data/Idaho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USA Idaho') = 분류:스페인의 태권도 대회 = = 댄 퀘일 = 제임스 댄포드 "댄" 퀘일(, 1947년 2월 4일 ~ )은 미국의 정치인이다. 공화당 소속으로, 제44대 부통령을 지냈다.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태어났다. 인디애나 주와 애리조나주의 여러 신문을 소유한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했다. 디포 대학교와 인디애나 대학교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집안에서 하는 신문사의 경영에 참여하다 정계와 인연을 맺어 1976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80년에는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1981년부터 상원의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젊은 나이에 첫 번째 하원의원 선거 및 상원의원 선거에서 노련한 상대 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 1986년 상원의원에 다시 당선되었고, 이 해의 선거에서는 전반적으로 민주당이 우세한 가운데 승리하여 더욱 입지를 굳혔다. 대체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보인 젊은 의원으로 관심을 끌었다. 그런 이유로 1988년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조지 H. W. 부시 대통령 후보의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고, 선거에서 승리했다. 그 이듬해 부통령에 취임했고, 당시 그의 나이는 만 41세에 불과했다. 세계 여러 나라를 방문하는 등 활발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젊은 나이에 부통령으로 취임해 경험 미숙이라는 비난을 들었으며, 말실수가 잦아 구설에 오르는 일이 많았다. 이로 인해 코미디 프로에서 풍자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됐고, 1991년 노벨상을 패러디한 이그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한 초등학교를 방문했다가 감자의 스펠링을 potato가 아닌 potatoe라 했다가 망신을 당한 일도 특히 유명하다. 이로 인해 젊고 개혁적인 이미지를 상실하고 실수가 잦으며 경험이 부족한 정치인으로 낙인찍힌 그는 인기가 떨어져 부시 대통령에게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했고, 1992년 선거에서 재선에 실패한 뒤 이듬해 부통령 직에서 물러났다. 퇴임 후 정계 복귀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했으나 복귀하지 않았으며 투자 회사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76년 선거 하원의원 (인디애나 제4선거구) 95대 공화당 54.38% 107,762표 1위 1978년 선거 하원의원 (인디애나 제4선거구) 96대 공화당 64.36% 80,527표 1위 1980년 선거 상원의원 (인디애나 제3부) 97대 공화당 53.79% 1,182,414표 1위 1986년 선거 상원의원 (인디애나 제3부) 100대 공화당 60.57% 936,143표 1위 1988년 선거 미국의 부통령 44대 공화당 53.37% 48,886,597표 (426명) 1위 1992년 선거 미국의 부통령 45대 공화당 37.45% 39,104,550표 (168명) 2위 낙선 = 분류:포르투갈의 스포츠 역사 = = 남궁염 = 남궁염(南宮炎, 1888년 3월 17일 ~ 1961년 11월 29일, 미국명 데이비드 남궁(David Y. Namkoong))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외교관이다. 대한인동지회 뉴욕시 지부의 지부장이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부터 1960년 6월까지 제1대 뉴욕 한국 총영사관 총영사를 역임하였다. = = 생애 = = = = = 유학과 독립운동 = = = 남궁염은 1888년 3월 17일 한성부 정동에서 남궁억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어려서 배재학당에서 영어를 배우고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개화파 인사 박영효의 주선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고학으로 버지니아주 랜돌프 매건 대학을 다녔다. 랜돌프 매건 대학에 재학 중 우연히 이승만을 만나 독립운동에 몸을 던졌다. 미국 유학 중 남궁염은 1921년 북미한인학생회(北美韓人學生會) 대표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청원서를 제출하였으며 같은 해 미국 뉴욕에서 이승만(李承晩), 이용직(李容稷) 등과 함께 조국광복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 조직을 결성하였다. 또한 허정, 이기붕 등과 함께 동지회의 뉴욕 지부의 결성에도 참여하였다. 192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歐美委員部) 위원으로 피선되었고, 1924년 구미위원부의 임시 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재미한인들에게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였다. 1928년에는 허정, 이기붕 등과 함께 삼일신보사(三一申報社)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1933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뉴욕지부 대표후보로 활동하였다. 1938년 일시 귀국하여 충청북도 제천군 금성면의 삼화성광산(三火星鑛山)을 운영하다가 다시 미국으로 출국하였다. 1941년 다시 구미위원부 위원에 재선임되고 1942년 이후 북미동지회(北美同志會) 총부장,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경제위원을 역임하면서 재미 한인사회의 단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 = = 외교관, 교민단체 활동 = = = 남궁염은 이승만의 독립운동 뒷바라지와 함께 뉴욕동지회를 꾸려나가기도 하였다. 1945년 8월 해방이 되고 그해 10월 이승만이 귀국하자 동지회 뉴욕지부를 지도하였으며, 이승만이 대통령에 당선되었을 때도 남들처럼 귀국하지 않고 뉴욕 한인회를 지도하였다. 정부 수립 직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특별히 뉴욕총영사가 되어 활동했다."정부인사발령", 동아일보 1949년 2월 23일자 1면, 정치면 한편 그의 부인 우조안본명 우복자는 하와이 호놀룰루의 한인 동지회의 지부장이 되었다. 정부 수립 이후에도 매년 하순 혹은 가을에 개최되는 미국내 한인대회에 반드시 참석하였다. 그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일체의 비용을 받지 못하였으나 자신이 활동비를 조달하고 영사관 건물을 마련하였다. 가난한 나라의 청빈한 외교관이었으나 한인 교민들의 정착에 크게 기여하였다. 1955년 7월 8일에는 외자청(外資廳) 겸임 이사관(兼任理事官)에 임명되었다."정부인사발령", 경향신문 1955년 7월 8일자 1면, 정치면 1960년 4.19가 터지자 이승만의 사퇴 후 그해 6월 그도 총영사직을 사직하고 하와이로 은퇴하였다. 사직서는 그해 7월 14일에 수리되었다. 심장병으로 고생하다가 1961년 11월 29일에 사망하였다.뉴욕한인 이야기/ 남궁염 초대 뉴욕총영사 미주한국일보 = = = 사후 = = = 그의 시신은 화장되어 74년에 환국하였다. 유골은 강원도 홍천 선영에 묻혔다. 201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아들 준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미우주항공국 리서치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었고 딸 혜원(54)은 아시아개발은행에 근무하던 민병휘와 결혼, 필리핀 마닐라에서 인터내셔널 스쿨의 카운슬러로 있었다. 아들 진은 미농무성 산림국 육종고문으로 있으면서 당시 노스 캐롤라이나 주립대학 임목육종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남궁영(南宮泳), 조선왕조에 중추부도사(都事) 역임 할머니 : 덕수 이씨(德水 李氏) 아버지 : 남궁억(南宮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 호는 한서(翰西) 어머니 : 양혜덕(梁惠德, 1866년 9월 13일 - 1937년 1월 20일 여동생 : 남궁자경(, 다른 이름은 남궁삼인(南宮三仁), 1896년 - ) 매제 :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윤치호의 아들 * 외조카: 윤용구(尹龍求, 1919년 2월 16일 - ?) * 외조카: 윤정구(尹鼎求, 1927년 - , 기업인·고려원양(주) 전무 역임) * 외조카: 윤명구(尹明求, 1930년 - ?) * 외조카딸: 윤자희, 음악인 * 외조카딸: 윤정희 * 조카사위: 채동규(蔡東圭, 1917년 - 2003년 12월 18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2대 학장, 대한약학회 회장 역임 * 외조카딸: 윤성희(1929년 - ) * 조카사위: 원석연(元錫淵, 1922년 - 2003년 11월 5일, 화가) 부인 : 우조앤(1899년 - ?) 아들 : 남궁준(1924년 - ) 딸 : 남궁혜원(1930년 - ) 아들 : 남궁진 = = 기타 = = 랜돌프 매건 대학 재학 중, 그는 이승만에게서 당시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의학부 학생이던 우복자를 소개받아 교제, 1924년 8월 20일, 뉴욕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승만은 우복자의 친정 아버지 우흥태와 YMCA 시절부터 친한 사이였으며, 후일 그의 중매를 했던 것이다. 결혼식 때도 신부의 아버지가 결혼식 직전에 이미 귀국을 하여 다시 나오기 힘들자, 이승만이 아버지 우흥태를 대리하여 신부를 데리고 입장했다 한다. 그녀 또한 1919년 필라델피아 한인대회에도 미국 유학생 신분으로 참가하여 이미 예전부터 이승만과의 친분이 있었다. 그와 같은 인연으로 남궁염은 이승만을 장인처럼 대우하였고 이승만은 이후로도 뉴욕을 방문할 때마다 거의 남궁염의 집에 들러서 묵었으며 이승만을 할아버지처럼 따랐던 남궁염의 자녀들과 허드슨 강변에서 종종 낚시도 했다 한다. 그의 부인 우복자는 이승만이 자신의 약혼자인 프란체스카를 오스트리아에서 뉴욕으로 데려오던 날, 이승만과 함께 마중을 나가기도하고 결혼식에서 신부 들러리를 서기도하며 틈이 날 때마다 조선 사회에 대한 코치를 해주기도 했다. = 아일랜드계 왕국 목록 = 본 문서는 중세 초기부터 1169년-72년 노르만인의 침공 때까지 에린(아일랜드섬)에 존재한 게일계 왕국들을 나열하는 목록이다. 오랜 세월 동안 에린은 셀 수 없이 많은 씨족 단위의 영토 내지 소왕국들(투어허라고 한다)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 투어허는 자원 획득을 위해 항쟁하면서 성장과 쇠퇴를 반복했다. 그리고 이 투어허들을 제후국으로 부리는 5대 왕국(북쪽의 울라, 서쪽의 코나크타, 남동쪽의 라긴, 남쪽의 무운, 중앙의 미데)이 있었다. 5대 왕국 위에 명목상의 에린 전체의 지배자인 지고왕이 존재했으나 점차 유명무실해져 노르만인이 침공해온 12세기에 단절되었다. 노르만인의 침공 이후 아일랜드섬의 대부분은 아일랜드 영지에 귀속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게일계 왕조의 지배를 유지했다. 1350년 노르만인의 지배가 약화되기 시작하자 "게일의 재기"가 일어났고 1500년이 되면 아일랜드 의회의 영향력이 유지되는 곳은 안 팔 지역(더블린 일대)만 남게 되었다. 1541년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아일랜드 왕국을 건국과 자신이 그 국왕임을 선포하고 아일랜드 정복을 개시했다. 잉글랜드는 멜리폰트 조약의 준수를 거부했고 그 결과 백작들의 도피가 발생, 게일계 군주들이 아일랜드섬을 지배하던 시대는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 = = 울라 = = 오늘날의 얼스터에 해당한다. = = = 극초기 = = = 다리니: 오늘날의 티론, 아마, 다운주. 이베르니인의 지파일 가능성이 있다. 에르디니: 오늘날의 퍼매너 주. 로보그디: 오늘날의 앤트림, 런던데리주. 후대의 달리어타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베니크니: 오늘날의 더니골주. 볼룬티: 오늘날의 아마, 다운, 모니건, 캐번주. 아마 이들이 훗날 울라로 불리게 되었을 것이다. = = = 초기 기독교 = = = 아르기알라 또는 오르기알라 아르히르 카르프러 드로마 클리어브 케넬 코날(티르 코날) 케넬 노간(티르 오간) 코날러 무르헴네 크리흐너 달 나라디 달 피어타크 달 리어타 다르트라거 다르트라거 콘인시 어일너 이 에하크 코보 북(北) 이 넬 울라 = = = 12세기 이후 = = = 동브레프너 = = 미데 = = = = = 극초기 = = = 에브다니, 에블라니, 블라니: 동일한 존재를 달리 부르는 명칭의 변형들로 추정 = = = 초기 기독교 = = = 키어나크타 남(南) 이 넬 = = 라긴 = = 오늘날의 렌스터에 해당한다. = = = 극초기 = = = 브리간테스: 오늘날의 웩스퍼드주 남부. 북(北)브리튼인이라고도 했다. 브리이드 여신과 관련될 가능성 있음. 카우코이: 오늘날의 더블린 일대. 코리온디: 오늘날의 웩스퍼드 주 북부. 메나피: 오늘날의 위클로주. 골인이라고도 했다. 메나피라는 이름은 훨씬 북쪽에 떨어져 있지만 퍼매너 및 모네건과 관련이 있다. 오스라거 = = = 초기 기독교 = = = 이 켄셀라그 이 두늘랑거 = = = 12세기 이후 = = = 라긴 왕국 = = 무운 = = 오늘날의 먼스터에 해당한다. = = = 극초기 = = = 강가니 또는 콘카니: 오늘날의 리머릭, 클레어 주. 웨일스에도 살았다 하며 프톨레미는 흘린 반도를 "강가니 곶"이라고 불렀다. 이베르니: 오늘날의 코크주. 루케니: 오늘날의 케리, 리머릭 주. 우스디아이, 우디아이, 보디아이: 오늘날의 워터퍼드, 코크 주. 후대의 오스라거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우테르니: 오늘날의 코크 주 벨라보리 또는 벨라브리: 오늘날의 케리 주 = = = 초기 기독교 = = = 빌그 코르쿠 바스킨드 코르쿠 디브너 코르쿠 리그더 다리너 데르그티너 데시 오가나크터 에란 이어르무만 마르티너 무스크라거 이 피드겐티 이 리어한 = = = 12세기 이후 = = = 다스부운 투어부운 = = 코나크타 = = 오늘날의 코노트에 해당한다. = = = 극초기 = = = 아우테이니: 오늘날의 골웨이주. 나그나타에: 오늘날의 메이요, 슬라이고주. "올 네크마크트()"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코케드 올 네크마크트는 코나크타의 고대 이름이다. = = = 초기 기독교 = = = 아그너 또는 이 피어크라크 아그너 프레프너 콘마크너 마라 코나크타 코르코 모가 델브너 델브너 누어다트 델브너 티르 가 로커 피르 돔난 이 마너 키넬라 마 리그 민티르 무르카더 실 안므카거 실 미르다크 키르 소거운 이 피어크라크 = = = 12세기 이후 = = = 서브레프너 = = 참고 자료 = = Bhreathnach, Edel (ed.), The Kingship and Landscape of Tara. Four Courts Press for The Discovery Programme. 2005. Byrne, Francis J., Irish Kings and High-Kings. Four Courts Press. 3rd edition, 2001. Charles-Edwards, T.M., Early Christian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Curley, Walter J.P., Vanishing Kingdoms: The Irish Chiefs and their Families. Dublin: Lilliput Press. 2004. Dillon, Myles, The Cycles of the Kings. Oxford. 1946. / Four Courts Press. Revised edition, 1995. Duffy, Seán (ed.), Medieval Ireland: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 Keating, Geoffrey, with David Comyn and Patrick S. Dinneen (trans.), The History of Ireland by Geoffrey Keating. 4 Vols. London: David Nutt for the Irish Texts Society. 1902-14. MacKillop, James,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1998. Koch, John T. (ed.),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5 volumes or single ebook. ABC-CLIO. 2006. Lalor, Brian, The Encyclopedia of Ireland. Yale University Press. 2003. Mac Niocaill, Gearóid, Ireland before the Vikings. Dublin: Gill and Macmillan. 1972. Meyer, Kuno (ed.), "The Laud Genealogies and Tribal Histories", in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8. Halle/Saale, Max Niemeyer. 1912. Pages 291-338. Ó Corráin, Donnchadh (ed.), Genealogies from Rawlinson B 502 University College, Cork: Corpus of Electronic Texts. 1997. Ó Corráin, Donnchadh, Ireland before the Normans. Dublin: Gill and Macmillan. 1972. O'Donovan, John (ed. and tr.), Annala Rioghachta Eireann. Annals of the Kingdom of Ireland by the Four Masters,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Year 1616. 7 vols. Royal Irish Academy. Dublin. 1848-51. 2nd edition, 1856. O'Rahilly, Thomas F.,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Rynne, Etienne (ed.), North Munster Studies: Essays in Commemoration of Monsignor Michael Moloney. Limerick. 1967. Sproule, David, "Origins of the Éoganachta", in Ériu 35 (1984): pp. 31–37. = 비활성 기체 = 비활성 기체(非活性氣體) 혹은 불활성 기체(不活性氣體), 희가스(稀gas), 귀족 기체(noble gas)는 화학 계열로 주기율표의 18족 원소를 말한다. 최외각 전자가 모두 차 있는 이러한 원소들은 전자를 주고 받기 힘들기 때문에 화학결합을 하기 어렵다. (예외로 Xe는 산소, 할로젠 등과 반응한다.) 주기 원소 이름 원소 기호 (번호) 원자 질량 녹는점 (K) 끓는점 (K) 1 헬륨 He (2) 4.002602(2) (2.5 메가파스칼에서 0.95) 4.22 2 네온 Ne (10) 20.1797(6) 24.56 27.07 3 아르곤 Ar (18) 39.948(1) 83.80 87.30 4 크립톤 Kr (36) 83.798(2) 115.79 119.93 5 제논 Xe (54) 131.293(6) 161.4 165.03 6 라돈 Rn (86) (220) 202 211.3 7 오가네손 Og (118) (294) ? ? = Fables of the Reconstruction = Fables of the Reconstruction은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R.E.M.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1985년 6월 10일 I.R.S.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프로듀서 조 보이드와 함께 런던의 리빙스턴 스튜디오에서 세션이 열리며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녹음된 첫 번째 음반이다. 이 음반은 더 어둡고 더 어두운 사운드와 남부 고딕물 테마와 캐릭터에서 그려진 가사를 보여준다. 게다가, 현악기와 금관악기 편곡, 밴조를 포함하여 더 다양한 악기들이 활용된다. 많은 평론가들이 Fables of the Reconstruction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은 긍정적이었고, 포크적인 요소와 어두운 음색에 주목했다. 돌이켜보면, 이 음반은 또한 과도기적인 음반으로 간주되어 밴드의 초기 작업의 사운드와 모호한 주제를 유지하는 동시에 그들의 이후 음반에 존재할 음향 악기에 대한 실험을 암시했다. 이 음반의 판매량은 R.E.M.의 증가하는 인기를 반영하며, 미국에서 30위 안에 진입한 그들의 두 번째 음반이 되었고, 영국에서 40위 안에 든 최초의 음반이 되었다. 이후 1991년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그 어떤 싱글도 주류 차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Driver 8〉은 그 이후로 R.E.M.의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많이 커버된 곡들 중 하나가 되었다. = = 제작 = = 돈 딕슨과 미치 이스터와 함께 그들의 첫 두 음반인 Murmur (1983년)와 Reckoning (1984년)을 작업한 후, R.E.M.은 다음 음반을 위해 다른 프로듀서와 함께 작업하기로 결정했다. 이 음반의 제작을 고려하고 있는 사람들에는 반 다이크 파크스, 휴 패덤(폴리스와 제네시스와 같은 연기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던), 엘리엇 매저(닐 영과 작업한 것으로 유명한) 그리고 엘비스 코스텔로가 포함되어 있다. 파크스는 재건 시대 이후의 시기에 미국 남부에서 인기가 있었던 엉클 리머스 민담을 기반으로 한 음반 Jump! (1984년)를 최근에 발매한 리드 보컬리스트 마이클 스타이프의 첫 번째 선택이었다. 이 때문에, 스차이프는 파크스가 남부 주제와 스토리텔링 전통에 비슷하게 중점을 둔 그가 쓴 자료에 적합할 것이라고 느꼈다. 밴드는 고민 끝에 런던에 기반을 둔 프로듀서 조 보이드와 함께 작업하기로 결정했다. 밴드의 기타리스트 피터 벅은 특히 닉 드레이크, 페어포트 컨벤션, 리처드 앤 린다 톰슨과 같은 포크 록 밴드와의 작업으로 유명한 보이드와 함께 작업하기를 원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그들의 첫 두 음반을 녹음한 후, 밴드는 대신 리빙스턴 스튜디오에서 음반을 녹음하기 위해 런던으로 날아갔다. 조건은 밴드가 메이페어 거주지에서 스튜디오로 긴 통근 시간을 보낸 것보다 이상적이지 못했고, 벅은 나중에 "눈이 내리지 않는 매일 비가 왔습니다"라고 회상했다. 보도에 따르면 보이드의 직업 윤리는 세부 사항에 대한 그의 정확한 관심이 이전 두 음반에서 사용된 더 즉흥적인 접근 방식과 대조를 이루었기 때문에 밴드와 긴장을 일으켰다. 딕슨과 이스터는 밴드가 공연의 에너지와 자발성을 일부 제거했다고 느끼는 대신 노래를 섞고 리믹스하는 데 몇 시간을 보낸 보이드와 대조적으로 밴드가 실험하도록 격려하는 동시에 빠르게 작업했다. 보이드는 이후 이 음반의 녹음 기간을 "내 인생에서 최고의 시기는 아니다"라고 표현하는 한편, 당시 밴드 내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내가 함께 작업했던 대부분의 그룹들보다 더 잘 지내는 것 같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R.E.M.의 믹싱 접근 방식이 다른 곡들과 비교했을 때 독특하다고 느꼈다. "음반을 섞을 때, 전통적으로 가수는 그의 목소리가 더 커지기를 원하고, 기타리스트는 "기타를 쳐라"라고 말하고, 베이시스트는 '베이스 파트를 더 펀치력 있게 만들 수 없을까?'라고 말합니다. R.E.M.과 함께, 모든 사람들은 그들 자신이 거절당하기를 원했습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빌 베리, 피터 벅, 마이크 밀스 그리고 마이클 스타이프가 작사/작곡하였다. = 분류:일본어-한국어 번역가 = 한국어 en:Category:Japanese–Korean translators = 분류:남양주시의 아파트 = = 윤찬수 = 윤찬수(1986년 2월 16일~ )는 KBO 리그 전 LG 트윈스의 선수이다. 2009년 4분기 상무 야구단에 합격하여 2년간 병역의무를 이행한 후 원 소속팀인 LG 트윈스로 복귀하였고 2011년 가을 방출되었다. 2012년 5월 26일 새벽 국군체육부대 소속 시절 친분을 쌓은 승부조작의 장본인이자 전 프로 축구 선수인 김동현과 함께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한 빌라 주차장에서 귀가하던 부녀자를 납치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현재 윤찬수는 공범인 김동현과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하여  배심원 다수 평결로 공모를 인정하지 않고 김동현 강도 부분만 인정했으나 법원은 유죄를 인정했다. 항소심과 상고심을 거쳐2013년 1월 17일,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3년이 확정됐다. 같은 날 김동현도 징역 3년이 확정되었다.`특수강도' 前국가대표 축구선수 김동현 법정구속(서울중앙지법2012고합732) 지금 현재 대구에서 윤선우라는 이름으로 활보하고 있다.(토토,안마시술소,등등) = 라마강 = 라마강은 러시아 모스크바주와 트베리주를 흐르는 강이다. 유역 길이는 139km 이고, 유역 면적은 2,330km이다. 라마 강은 11월부터 밑에서부터 얼고 이듬해 3~4월 정도에 풀린다. 역사적으로는 이 강은 볼가강과 모스크바강의 수로 역할을 대신했다. 12세기부터 라마 강의 도시는 볼로콜람스크이다. = 자유보수주의 정당 목록 = 이 문서는 세계의 자유보수주의 정당들의 목록이다. 자유보수주의 정당들은 보통 중도우파 성향을 지닌다. = = 지역별 자유보수주의 정당 = = = = = 아시아 = = = 신아제르바이잔당 부흥당 국민민주당 통합민족전선 중국 국민당 친민당 자유당 = = = 유럽 = = = 신민주주의당 우파당 보수인민당 우니온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통합당 우파 연합 민주자유당 진보전선 자유민주당 신플람스 연맹 시민자유당 온건당 국민당 독립당 피너 게일 알바니아 민주당 보수당 포르차 이탈리아 시민민주당 TOP 09 사회민주당 동맹당 공화당 국민연합당 = = = 아프리카 = = = 신애국당 = = = 북아메라카 = = = 공화당 보수당 = = = 중·남아메리카 = = = 국가진보당 민주당 민주중도연합 제안공화당 통일공화당 국민당 국민당 노동당 국민혁신 사회민족통일당 = = = 오세아니아 = = = 뉴질랜드 국민당 오스트레일리아 보수연립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 퀸즐랜드 자유국민당 지역자유당 = = 기타 = = 지역정당은 따로 표기 예: 스코틀랜드 국민당은 영국의 정당이지만 스코틀랜드 지역정당이기 때문에 "ㅇ" 항목이 아닌 "ㅅ" 항목에 표기한다. 타이완은 중화민국으로 표기 대륙별로 분류, 대륙 내 자유보수주의 정당이 존재하는 국가의 순서는 가나다 순으로 분류하되 정당은 그 나라의 인기, 의석수로 분류 = 쉐도우 (1982년 영화) = 쉐도우는 1982년 개봉한 이탈리아의 잘로 영화이다. 다리오 아르젠토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소니 프란시오사 미렐라 단젤로 줄리아노 젬마 = = = 조연 = = = 존 스타이너 라라 웬델 존 색슨 다리아 니콜로디 미렐라 밴티 엔니오 지로라미 마리노 마스 풀비오 민고지 잔파올로 사카롤라 = = 기타 = = 미술: 쥬세페 바산 = 아스테리스크 (PBX) = 아스테리스크(Asterisk)는 사설 교환기(PBX)의 소프트웨어 구현체이다. 적절한 전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아스테리스크는 고객 전화 세트, 공중 교환 전화망(PSTN) 도착지,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망의 장치나 서비스 등 전기통신 종단점 간 통화를 확립하고 통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아스테리스크'라는 이름은 DTMF(Dual-tone multi-frequency signaling)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신호를 위해 쓰이는, 본 뜻인 별표(*) 기호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스테리스크는 1999년 오늘날 Sangoma Technologies Corporation의 한 부서인 Digium의 마크 스펜서가 개발하였다. 원래 리눅스용으로 설계되었다가,The README for version 0.1.0 states: "Currently, the Asterisk Open Source PBX is only known to run on the Linux OS, although it may be portable to other UNIX-like operating systems as well." See here 지금은 NetBSD, OpenBSD, FreeBSD, macOS, 솔라리스를 포함한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며 OpenWrt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에 설치가 가능하다.AstLinux: Boot via USB Flash Storage = 201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1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은 2019년 9월 14일부터 9월 29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13번째 FIVB 배구 월드컵이다. 개최국 일본을 비롯해 대한민국 등 12개 나라가 참가하는 이 대회는 리그전으로 진행되며 각 경기는 요코하마, 삿포로, 하마마쓰, 토야마, 오사카에서 분산해 개최된다. = = 자격 = = 국제 배구 연맹 세계 순위중 각 대륙별 상위 2개팀, 총 12개 팀이 자격을 획득하였다. 세르비아는 2018년 세계 선수권 챔피언으로서, 일본은 주최국으로서 자격을 획득하여 유럽 배구 연맹(CEV)과 아시아 배구 연맹(AVC)은 출전국이 3곳이다. 201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출전 자격 획득 2018년 세계 선수권 챔피언 및 주최국 순위 팀 2015 월드컵 2016 올림픽 2017 월드그랑프리 2018 세계 선수권 총점 기타 1 90 90 42 100 322 2018년 세계 선수권 챔피언, 유럽 배구 연맹(CEV) 2 100 100 40 80 320 아시아 배구 연맹(AVC) 1순위 3 80 80 38 58 256 북·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배구 연맹(NORCECA) 1순위 4 50 50 50 50 200 남아메리카 배구 연맹(CSV) 1순위 5 70 50 28 50 198 유럽 배구 연맹(CEV) 1순위 6 50 50 32 58 190 주최국, 아시아 배구 연맹(AVC) 7 0 70 38 70 178 유럽 배구 연맹(CEV) 2순위 8 0 30 45 90 165 9 40 50 18 30 138 아시아 배구 연맹(AVC) 2순위 10 30 3 30 45 108 북·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배구 연맹(NORCECA) 2순위 11 25 30 8 30 93 남아메리카 배구 연맹(CSV) 2순위 12 0 3 24 45 72 13 0 20 14 36 70 14 0 3 26 36 65 15 0 2 17 40 59 16 0 0 15 40 55 17 0 20 2 25 47 아프리카 배구 연맹(CAVB) 1순위 18 0 2 12 30 44 19 0 2 22 18 42 20 5 0 2 30 37 아프리카 배구 연맹(CAVB) 2순위 = = 명단 = = 201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선수 명단 = = 장소 = = 도시 경기장 수용 인원 요코하마 요코하마 아레나 17,000 하마마쓰시 하마마쓰 아레나 5,000 삿포로 홋카이도 종합 체육센터 7,000 도야마시 도야마시 체육관 5,000 오사카 오사카 시립 중앙 체육관 8,000 오사카 오사카 부립 체육회관 5,000 = = 결과 = = 모든 시간은 일본 시각(한국 시각과 같음). = = = 1라운드 = = = = = = = A조 - 요코하마 = = = = = = = = B조 - 하마마쓰 = = = = = = = 2라운드 = = = = = = = A조 - 삿포로 = = = = = = = = B조 - 토야마 = = = = = = = 3라운드 = = = = = 최종 순위 = = 순위 팀 4 5 6 7 8 9 10 11 12 = = 개인상 = = 최우수선수 베스트 세터 베스트 레프트 베스트 센터 베스트 라이트 베스트 리베로 = = 관련문서 = = 2019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리페츠크주 = 리페츠크주는 러시아의 주이다. 1954년 1월 6일에 만들어졌다. 중심지는 리페츠크이다. 면적은 24,100 km2이고, 인구는 121만3,499명 (2002년)이다. = = 지리 = = 랴잔주 (NE), 탐보프주 (E), 보로네시주 (S), 쿠르스크주 (SW), 오룔주 (W), 툴라주 (NW)와 접해 있다. = = = 시간대 = = = 모스크바 시간대 (MSK/MSD)와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 = 행정 구역 = = = = = 군 = = = 차플리긴스키군 (Чаплыгинский) 단콥스키군 (Данковский) 도브린스키군 (Добринский) 도브롭스키군 (Добровский) 돌고루콥스키군 (Долгоруковский) 그랴진스키군 (Грязинский) 이즈말콥스키군 (Измалковский) 흘레벤스키군 (Хлевенский) 크라스닌스키군 (Краснинский) 레베댠스키군 (Лебедянский) 레프톨스톱스키군 (Лев-Толстовский) 리페츠키군 (Липецкий) 스타노블랸스키군 (Становлянский) 테르분스키군 (Тербунский) 우스만스키군 (Усманский) 볼롭스키군 (Воловский) 옐레츠키군 (Елецкий) 자돈스키군 (Задонский) = = 경제 = = 리페츠크주의 주도 리페츠크에는 러시아의 4대 철강회사 중 하나인 노볼리페츠크 스틸의 본사가 있다. = = 민족 = = 리페츠크는 대부분의 주민이 러시아인이다. 민족 2002년도의 인구 수 (*) 러시아인 1162,9 우크라이나인 13,4 아르메니아인 5,4 아제르바이잔인 3,4 집시 3,1 벨라루스인 2,7 타타르족 1,8 몰도바인 1,3 독일인 1,1 조지아인 1,0 = 모듈:ISO 3166/data/TK/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ISO_3166/data/TK/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198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 분류:충무군 절도사 (오) = = 그을음병 = 그을음병(sooty mold)은 클라도스포리움, 알터나리아 등의 속들을 아우르는, 각기 다른 자낭균류로 인해 발생하는 병이다. 식물과 식물의 열매뿐 아니라 울타리, 정원 가구, 돌, 심지어는 차와 같은 주변 물체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을음병 그 자체는 식물에 위해를 주는 경우 식물에 미치는 영향도가 크지는 않다. 이 병이 곤충 감염을 동반하고 있을 경우에는 치료가 바람직하다. = = 개요 = = 그을음병은 각기 다른 수많은 균류의 모임이다. 식물이나 식물의 열매, 주변 물체에 시커멓게 달라붙는다. = =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식물 = = 그을음병은 아잘레아, 가르데니아, 동백나무, 배롱나무, 월계수와 같은 관상용 식물들의 잎에 흔히 볼 수 있다. 피칸이나 히커리 나무 아래에 위치한 식물들은 그을음병에 취약한데, 그 까닭은 단물을 분비하는 곤충들이 종종 이러한 나무들에 거하기 때문이다. 단물은 주위 및 하층 식물에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따금씩 귤류가 달라붙는 달콤한 분비물을 분비할 수 있는데, 그을음병은 이들 위에 발전할 수 있다. = 보은 김진묵 송덕비 및 비각 = 보은 김진묵 송덕비 및 비각(報恩 金振默 頌德碑 및 碑閣)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월송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송덕비와 비각이다. 2003년 4월 11일 충청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9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송덕비는 조선 말기 용계(龍溪) 김진묵(金振默)의 덕을 기리기 위해 개국(開國) 539년, 즉 1930년에 설치한 비이다. 비문은 부제학(副提學) 정만조(鄭萬朝)가 짓고 판돈영(判敦寧) 윤용구(尹用求)가 썼으며 비각 서문은 윤명학(尹命學)이 지었다. 건립연대가 얼마 안되었으나 비석 건립연호를 개국(開國)으로 사용한 것이 매우 특이한 사례이다. 후대에 각자(刻字)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로서는 확인할 수 없다. 비의 규모는 높이 155 cm, 폭 60cm의 오석이다. 1932년에 건립한 비각은 8.68m2 규모로 전면 1칸, 측면 1칸으로 목조기둥에 팔작지붕의 기와집으로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우 수려하다. 1932년경에 지어진 건축 중에는 건축적인 형태가 매우 균형이 잡혀 있으며, 건축의 각 부재의 사용도 건실한 자재를 사용하였고 가구의 수법은 매우 정교한 기교가 엿보인다. 근대 건축 중에서 전통적인 건축형식을 갖춘 건축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 규모와 건축양식면에서 우수하며, 내부 상단 벽면에 16개의 벽화가 그려져 있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벽화는 비문을 쓴 윤용구(1853∼1939)가 그렸을 가능성이 있는데 윤용구는 해서와 행서에 능하고 난과 대를 잘 그렸다. 비각 좌측면 현판은 임신년(壬申年, 1932)에 윤명학이 쓴 것으로 일본 연호 ‘소화(昭和)’를 사용하지 않고 고갑자(古甲子)를 사용하였다. 이는 일본 연호 사용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김진묵의 자는 성학(聖學)이고 호는 용계(龍溪), 본관은 김해이다. 조선 철종 10년(1859) 보은에서 출생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모범이 되었으며, 구한말 잦은 수해와 병란으로 백성이 도탄에 빠지자 곡식을 나누어 주어 빈민구제에 앞장서 주민들이 그 덕을 기리어 송덕비를 건립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진묵은 내부(內府)와 외서(外署)의 벼슬을 역임하였으며, 목릉(穆陵, 선조(宣組)의 릉)을 다시 축조하고 비서승(秘書丞)에 올랐다. 일제시대에 건립된 건축물로 규모, 양식 등이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고 근대로 들어서는 과도기의 건축물로 건축적인 기교나 수법은 매우 가치가 있다. = 임성주 = 임성주(任聖周, 1711년 ~ 1788년)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 청풍 출신.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저서에 녹문집(鹿門集)이 있고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했다. 그의 사상을 주기설이라 할 때 주기설이란 표현은 단순히 "모든 것을 이(理)와 기(氣)로 설명하되 이보다 기에 좀더 치중하여 설명한다"는 의미로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기만으로 설명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로, 그의 철학설은 주기설이라기보다 유기설(唯氣說)이라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이 우주는 기로 충만되어 있으며, '하나의 기가 모든 현상(許多造化)을 이룩한다. 인간을 포함한 만물이 모두 이 하나의 기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현상 세계(萬象)야 말로 하나의 기가 수만 가지로 나뉜 상태'(氣一分殊)라 한다. 하나의 기가 수많은 종류의 사물을 이루게 되는 것은 기의 승강(升降)·비양(飛攘)·감우(感遇)·응취(凝聚)하는 성질 때문이다. 하나의 기가 이러한 성질로 작용함으로써 대소(大小)·정편(正偏)·강유(剛柔)·청탁(淸濁)한 이른바 천차만별의 사물을 이룬다고 한다. 그의 기의 작용을 '기의 성정(性情)'이라 부르면서, 그것을 또 자연이연(自然而然)한 것으로 본다. 사람들은 기 이외에 따로이라는 것이 있는 듯이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한다. 도(道)라든가 이는 바로 기의 자연함(此自然處) 이 외의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는 이를 기의 '작용(作用)'의 질서를 보는 것이다. 이를 별개의 실재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는 '기를 가리켜 이'라 하더라도 무방하다고 한다. 여기서 그의 유기론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주리론(主理論)에 의하면 악(惡)의 현상은 기 때문이며 선(善)의 현상은 이 때문이다. 선한 본성의 본구(本具)를 믿으며, 그 본성이 또한 선의 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주리설이다. 그러나 그에 의하면 그렇지 않다. 인성(人性)의 선 역시 기 또는 기질(氣質)의 선 때문이며 성(性) 자체가 기질을 고려 않고서는 생각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로지 기의 청탁(淸濁)·편전(偏全)이 인간의 현우(賢愚)를 결정지을 뿐 아니라 선악의 행위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임성주의 유기론(唯氣論)이라 할 수 있는 주기설은 우주관으로부터 심성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고 있다. 그러나 임성주의 사상에 대하여 극력 반대하고 또 혹평한 사람은 오희상(吳熙常)이었다. = 분류:미나미큐슈시의 철도역 = = MAU = MAU는 다음과 같다. 무사시노 미술대학(Musashino Art University) 우크라이나 국제항공의 약자 해병상륙대(Marine Amphibious Unit), 함대해병군에서 공지기병대 최소단위인 해병원정대의 옛 용어. = 분류:독일의 남자 원반던지기 선수 = = 철도역 = 철도역(鐵道驛), 또는 정차장(停車場)은 열차가 정차하는 장소이다. 철도 선로 주변에 승강장 등 약간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만든다. = = 구조상의 분류 = = 철도역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구분한다. = = = 지상역, 고가역 = = = 지상역은 역이 지상에 입지하여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인 역의 형태이다. 고가역이 아닌 지상역의 예로는 도시 철도에서 장암역 등이 있다. 고가역은 지상에 직접 역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가 선로로 역이 구성된 경우를 말하며, 도시 철도에서 흔하다. 고가역은 지상역과의 엄밀한 분류상의 종류이며, 엄밀히 구분하지 않는다면 고가역도 지상역이다. = = = 지하역 = = = 도시 철도처럼 지하 선로에 설치된 역을 지하역이라고 한다. 역시 전철역에 흔하며, 광명역도 주변 지형보다 아래에 선로가 있으므로 지하역이다. = = = 반지하역 = = = 지상과 지하의 경계면(지면)에 역이 있는 경우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한양대역, 부산 지하철 1호선의 노포역이 대표적이다. = = = 선상역 = = = 지상역이나 고가역의 경우, 역의 본 건물이 선로 위에 입지한 경우 선상역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선로 위에 역사가 있다 하여 선상역(線上驛)이라는 명칭을 흔히 쓰지만김천~밀양 대구권 광역철도망 129km 건설 서울신문, 2009년 2월 10일 (일부 내용), 일본에서는 교상역이라는 명칭을 쓴다. 서울역과 동대구역이 대표적이다. = = = 선하역 = = = 선상역과 반대로, 역의 건물이 선로보다 아래에 입지한 경우를 선하역이라고 한다. 서광주역, 서천역, 여천역, 반성역이 그 예다. = = 업무 내용에 따른 분류 = = 철도역에서는 크게 운전 취급, 여객 취급, 화물 취급, 기타 차량의 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 = 보통역 = = = 보통역은 운전 취급(입환, 분기 및 합류, 대피 등), 여객 취급, 화물 및 소화물 취급 등 철도역에서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역을 의미하며, 이런 업무의 책임자로서 역장이 배치된다. 협의로 정의할 경우 세 업무가 모두 이루어지는 역을 말한다. = = = 여객역 = = = 여객역은 화물 및 소화물 취급이 없는 역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화물 취급의 비중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운전 취급과 여객 취급을 모두 수행하는 역을 보통역으로 보기도 한다. 여객역 중에서 운전 취급이 없는 역의 경우, 그 이용객 규모와 관계없이 간이역으로 정의하나, 경원선 도봉산역처럼 간이역이면서 운전 취급을 하는 역도 간혹 있다. 또한, 여객역 중 특히 도시 철도나 광역 철도를 전담하여 처리하도록 시설이 구비된 곳을 전철역으로 구분한다. = = = 화물역 = = = 특히 여객 취급이 없이, 화물만을 전담하여 처리하는 역을 의미한다. 화물 취급을 위해서는 운전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보통역의 위상을 가진다. 대한민국에는 부산진역, 부산신항역, 도담역, 도안역, 소이역, 옥계역, 안인역, 흑석리역, 황등역, 하남역, 회덕역, 입석리역, 동산역, 동익산역, 가천역, 청천역, 매포역, 노령역, 오봉역, 흥국사역, 적량역, 태금역, 괴동역, 온산역 등이 있다. = = = 조차장 및 차량기지 = = = 여객과 화물 취급이 없이, 운전 취급, 그 중에서도 입환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곳을 의미한다. 개중 전동차와 같이, 운행 전 별도의 열차 조성작업 없이 운행하는 고정 편성 열차를 유치, 점검하는 곳을 따로 차량기지로 호칭한다. 우리나라에는 대전조차장역, 제천조차장역이 있다. = = = 신호장 및 신호소 = = = 운전 취급의 일부, 즉 교행과 대피만을 수행할 경우 신호장, 분기와 합류만을 취급할 경우 신호소라고 부른다. 최근, 철도의 CTC화로 인하여 별도로 신호소를 편제하는 경우는 없으며, 이 경우 선로 상에서 분기와 합류가 일어나는 곳을 도중분기 혹은 분기점으로 칭한다. = = 역장 지위에 따른 분류 = = 역의 등급이라고도 한다. 역장의 직제상의 직급에 따라 구분한다. 과거 철도청 시절에는 역장의 공무원 직급에 따라, 3급역부터 6급역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등급은 역의 규모(특히 지휘총괄의 범위)와 기능에 따라서 부여가 되며, 또한 의전상의 필요에 따라서 부여되기도 하였다. = = = 관리역 = = = 과거 3급(부이사관), 4급(서기관) 역에 해당하며, 현재 1급역, 2급역에 상당한다. 한국철도공사 출범 이후에는 그룹대표역으로 칭해졌으나, 최근에 다시 관리역으로 호칭이 변경되었다. 관리역은 산하의 각 보통역을 관할하는 역으로, 대개 해당 지역에서 운전 취급상의 거점이거나, 여객이나 화물의 취급량이 큰 역인 경우가 많다. = = = 보통역 = = = 과거 5급(사무관) 및 6급(주사) 역에 해당하며, 현재의 3급역에 상당한다. 운전 취급 업무가 부가되어 있으며, 대개 여객과 화물 취급이 존재하며, 역무원과 역장이 배치되는 역을 의미한다. 보통역은 인근의 무인역(무배치간이역)을 관리한다. = = = 간이역 = = = 과거 6급 역에 해당하며, 현재 3급 역에 상당한다. 운전 취급이 없으나, 역무원이 배치될 만큼 여객이 발생하는 역을 의미한다. = = = 무인역 = = = 역무원이 없는 역으로, 따라서 역장도 없다. 임시승강장 및 간이역 중 무배치간이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종종 보통역이나 배치간이역이 쇠퇴하여 역무원 및 역장이 철수, 무인역이 되기도 한다. = = 구조 = = 철도역은 기본적으로 역의 본 건물을 기본으로, 선로시설물, 여객 및 화물의 취급설비, 기타 편의시설로 이루어진다. = = = 본 건물 = = = 철도역이 수행하는 각 업무를 위하여 만들어지는 건물이며, 특히 역장 이하 각 직원이 근무하는 시설물이다. 역의 각 시설을 칭할 경우 역의 본 건물을 기준으로 명칭을 정한다(승강장 번호, 선로 번호 등).선상역이나 선하역의 경우 주 출입구 방면을 기준으로 한다 = = = 선로 시설물 = = = 역에는 다양한 선로 시설물들이 있으며, 각각 소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역의 본 건물을 기준으로 하여 순번으로 명칭을 붙이나, 필요에 따라서 기능을 기준하여 이름을 붙이거나 이 둘을 혼용하여 붙이기도 한다. 본선 부본선 : 열차의 발착 시, 본선에 부대하여 사용하는 선로. 열차의 교행이나 추월 시 대피선으로 쓰거나, 교호 발착시 본선의 부수용도로 사용한다. 대피선 : 부본선 중 특히 열차의 대피에 사용하는 선로. 측선 화물측선 : 화물의 취급, 차량 입환 또는 유치에 사용하는 선로. 입환선(또는 분류선) : 차량의 입환, 분류에 사용하는 선로. 안전측선 : 단선 혹은 합류역의 경우 차량의 과주(오버런)으로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짧은 선로. * 피난선 : 긴 하구배에서 차량이 굴러내릴 경우 역을 돌파해 나가지 않고 정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선로. 기회선(또는 기주선) : 열차의 착발, 차량의 입환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기관차가 각 측선이나 본선을 피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선로. = = = 여객 및 화물 취급설비 = = = 승강장 적하장 : 화물의 적하를 위해 설치된 장소. 화물의 종류에 따라 취급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 추가로 설치된다. 크레인 펌프 : 액상 화물의 취급에 사용한다. 하탄장 : 무개화차 등에 적재된 석탄을 쏟아내리는 설비. 컨베이어 벨트 지게차 로더 = = = 편의시설 = = = 구내건널목 계단 및 과선교, 지하통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역 구내 상업시설 = Majestic (감마 레이의 음반) = Majestic는 2005년에 발매된 감마 레이의 음반이다. 생츄어리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이학영 = 이학영(李學永, 1952년 4월 16일~)은 정치인이다. 시민운동가 출신으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의회에 진출했으며이학영 "이종걸, 필리버스터하다가 쓰러져야 했다". 오마이뉴스. 2016년 3월 3일., 제21대 총선에 당선하여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 = 생애 = = 순창농림고등학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학창시절에는 516장학재단의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 시절까지는 사실 자신에게 장학금을 준 박정희 대통령을 존경하던 소년이었다고 한다. 원래 어릴적 꿈은 시인이었다가 고교시절에 공무원이나 군인이 되어 가족들을 부양하는 것으로 목표를 바꾸게 되었다고 하는데, 결국은 대학에 가서 3학년때 학생회장이 되고 학생운동을 하게 되다가 국가권력에 핍박받게 되면서 그뒤로 계속 운동권 인생의 길을 걷게 되었다.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의 주모자 중 일인으로서, 무장공산혁명을 수행하기 위한 자금 확보의 일환으로 민가에 침입해 집단 강도행위를 하다, 이를 저지하던 경비원을 칼로 상해한 혐의로 구속된 경력이 있다. 노무현 대통령 집권기에, 이를 민주화를 위한 강도행위로 인정하여 사면하였다. 다만 강도상해 혐의와 관련하여 당시 실제 경비원을 다치게 만든 건 그가 아니었다는 증언이 나중에 나왔다. 19대 총선 때 사건 당사자 중 한 사람이 사건 당시에 칼로 찌른 사람은 다른 사람이었다고 증언한 것. 이학영 본인도 후일 "사건 당시 현장에서 나만 붙잡혔기 때문에 도망친 다른 동료들을 보호하려고 모두 내가 한 일이라고 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학생운동은 의도치 않은 계기에서 시작하게 되었는데 평소 데모같은 것에도 별 관심도 없이 학교를 다녔다가 학생운동을 하는 친구를 잘 알고 있었다는 이유로 국가안전기획부에서 억울하게 붙잡혀서 고문을 당한 것이 학생운동에 입문하게 된 계기였다고 한다. 가난한 집안을 부양하기 위해서 공무원을 꿈꾸면서 학생운동을 멀리했던 시절, 다른 남학생들이 죄다 학생운동을 하다가 붙잡혀 가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학생회장을 떠맡았는데, 이 때문에 수사관에 잡혀가 각목으로 구타를 당하고 손발과 손가락을 묶고 얼굴에 수건을 씌워서 물고문을 당하고 구속까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풀려난 후 국가로부터 배신을 당했다는 생각에 혼자 통곡했다고. 이 사실은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 때 본인이 밝히면서 널리 알려졌다. 1984년 '실천문학'으로 등단하였다. 당시도 사회운동 중이라서 조카의 이름으로 등단했다고 한다. = = 학력 = = 1965년 풍산국민학교 졸업 1968년 순창중학교 졸업 1971년 순창농림고등학교 졸업 1985년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1996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1998년 순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과정 수료) 2006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NGO학(박사과정 수료) = = 경력 = = 2000~2003 순천YMCA 사무총장 2003~2011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이사,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이사 2005~2011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 희망제작소 이사 2006~2009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집행위원장 2008~2011 시민사회단체엽대회의 상임공동대표 2009~2011 노무현재단 이사 2014.08~2015.1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대외협력위원회 위원장 2015.12~2018.10: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 2017.02~2018.08: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 2017.04~2017.05: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후보 국민주권공동선거대책위원회 을지로민생본부 공동본부장 2018.09~2020.08: 더불어민주당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 2021.04~2021.05: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 2021.05~: 더불어민주당 반도체기술특별위원회 고문 2022.12~: 더불어민주당 당무감사원 원장 = = = 의정 활동 = = = 2012.05~2016.05: 제19대 국회의원(경기 군포시,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2012.07~2013.05: 제19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2013.05~2016.05: 제19대 국회 전반기,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2016.05~2020.05: 제20대 국회의원(경기 군포시 을, 더불어민주당) 2016.06~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간사 2017.06~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8.07~2020.05: 제20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2020.05~: 제21대 국회의원(경기 군포시, 더불어민주당) 2020.06~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 2022.07~2023.12: 제21대 국회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2022.07~2023.05: 제21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2.07~: 제21대 국회 민생경제안정 특별위원회 위원 2023.12~2023.12: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2023.12~: 제21대 국회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 전과 = = 강도상해: 징역 3년 6월 - 1979년 10월 4일 선고 국가보안법위반, 반공법위반: 징역 5년, 자격정지 5년 - 1980년 5월 2일 선고, 1988년 12월 21일 특별사면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 벌금 100만원 - 2000년 7월 7일 선고, 2003년 8월 15일 특별복권 = = 상훈 = = *1991년: 계간문예 신인상 *1992년: 농민 문학상 = 분류:이집트의 연쇄살인자 = =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 =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Innocence of Muslims)는 2012년 6월에 공개된 유튜브 동영상으로 무슬림의 순진함이라고 번역되어 불리기도 한다. 미국에서 제작된 13여 분의 동영상이며, 종교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이슬람교를 모욕하는 내용이라며 2012년 9월 11일 이집트 카이로와 리비아 벵가지에서 미국 대사관 습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 분류:지느러미발과 = = 분류:상습범 = = 분류:1991년 중국 = = 분류:몬테네그로의 정당 = = 분류:카보베르데의 총리 = = 분류:핀란드의 육군 원수 = = 분류:블랑디유 히로사키 FC의 축구 선수 = = = 라이선스 = = en:File:Sabal Tongmun code.jpg.jpg = 분류:말레이시아-튀르키예 관계 = = 분류:기독교 젊은 지구 창조론자 = = 분류:마이오세 아프리카의 생물 = 마이오세의 아프리카 생물 분류 생물 아프리카 *1 en:Category:Miocene life of Africa = 폴 코언 = 폴 조지프 코언(, , 1934년 4월 2일 ~ 2007년 3월 23일)은 미국의 수학자이다. 집합론의 미제인 연속체 가설을 표준적인 수학 공리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 = 생애 = = 1934년 4월 2일 미국 뉴저지주 롱비치에서 태어났고, 브루클린에서 자랐다. 코언 가족은 폴란드 유대인 출신이었다. 16세 때 스타이비선트 영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브루클린 칼리지를 1950년~1953년 동안, 총 2년 동안 다녔다. 학사 학위를 수여받지 않고, 바로 시카고 대학교에 대학원생으로 입학하였고, 1954년에 석사 학위를, 1958년에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박사 논문 주제는 실해석학이었다. 1958년~1959년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1959년~1961년에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 있다가, 1961년에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후 집합론과 논리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1963년에 강제법이라는 새로운 수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일반화 연속체 가설이나 선택 공리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으로부터 증명되지 않음을, 즉 독립적임을 증명했다. 이 문제는 힐베르트의 23문제의 1번 문제이기도 했다. 이에 대한 공로로 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2007년 3월 23일에 향년 74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서 사망하였다. = 분류:아베르브라우가 = = 도쿠가와 하루사다 (1751년) = 도쿠가와 하루사다/하루나리(, 1751년 12월 23일 ~ 1827년 3월 17일)는 에도 시대 고산쿄 중 히토쓰바시가의 제2대 당주이다. 에도 막부 제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손자이며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는 하루사다의 장남이다. = 분류:1961년 영화제 = = 윤국영 = 윤국영(1990년 2월 7일 ~)은 NC 다이노스의 전 야구 선수다. = = 출신 학교 = = 내발산 초등학교 주엽고등학교 한민학교 = 레이블 (컴퓨터 과학)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레이블은 소스 코드 안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련의 문자열이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레이블은 식별자의 형태를 취하며, 그 다음에 구두점이 온다. (예: 콜론) 수많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레이블의 목적은 GOTO 문의 도착지로서 활동하기 위해 존재한다. 어셈블리어에서 레이블은 주소 연산이 가능한 모든 위치에 사용할 수 있다. (예: JMP 또는 MOV 명령어) 이는 파스칼 및 파생 언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포트란, 베이직 등의 일부 언어들은 숫자 레이블을 지원한다. 또, 레이블은 컴파일된 일련의 문들로 향하는 진입점(엔트리 포인트)을 식별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예: 디버그 중에) = = C = = C에서 레이블은 코드 안의 문을 식별한다. 하나의 문은 여러 레이블이 있을 수 있다. 레이블은 코드의 위치를 가리키며 레이블에 도달한다고 하여 실제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 함수 레이블 = = = 함수 레이블은 식별자로 구성되며 그 뒤 콜론이 온다. 이러한 각각의 레이블은 함수의 문을 가리키며 식별자는 해당 함수에서 고유해야 한다. 다른 함수들은 레이블에 동일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이블 식별자는 자신만의 이름공간을 점유하며 같은 이름의 변수와 함수를 레이블로 가질 수 있다. void foo(int number) { if (number < 0) goto error; bar(number); return; error: fprintf(stderr, "유효하지 않은 숫자입니다!\n"); } 여기서 "error"가 레이블이다. goto 문을 사용하면 코드 안의 레이블 문으로 건너뛸 수 있다. goto 이후 프로그램 실행은 레이블 뒤의 문으로 계속 이어나간다. = = = 스위치 레이블 = = = 스위치 문에는 두 종류의 레이블을 추가할 수 있다. 케이스 레이블은 키워드 case로 이루어지며 그 다음에 정수를 평가하는 식이 따라온다. 기본 레이블은 키워드 default로 구성된다. 케이스 레이블은 정수값을 코드 안의 문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스위치 문에 도달하면 프로그램 실행은 스위치의 괄호 안의 값과 일치하는 값의 케이스 레이블 이후의 문으로 계속 이어나간다. 기본 레이블이 없으면 프로그램 실행은 스위치 문 이후로 계속 이어나간다. switch (die) { default: printf("invalid\n"); break; case 1: case 3: case 5: printf("홀수\n"); break; case 2: case 4: case 6: printf("짝수\n"); break; } 단일 switch 문 안에서 각 케이스 레이블에 연결된 정수는 고유해야 한다. 기본(default) 문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스위치 안에서 레이블의 순서는 제약이 없다. 케이스 레이블 값이 정수에 대해 평가를 요구하는 것은 컴파일러에게 최적화를 위한 더 많은 여지를 주기 위해서이다. = = 예시 = = = = = 자바스크립트 = = = top: //Label the outermost for-loop. for (var i = 0; i < 4; i++) { for (var j = 0; j < 4; j++) { if (j === 3 && i === 2) { alert("i=" + i + ", j=" + j); //i=2, j=3 break top; } } } alert("i=" + i + ", j=" + j); //i=2, j=3 = 분류:UEFA 대회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안기천로 = 안기천로(安奇川路)는 경상북도 안동시 금곡동 태화오거리에서 안동시 태화동을 연결하는 도로이다. 안동 시가지를 흐르던 하천이었던 안기천을 복개하여 건설한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안동서부초등학교 *서구동 주민센터 *영가교 교차로 경상북도립안동도서관 육사로 = = 주요 교차도로 = = 제비원로 서동문로 육사로 = 에오스족 = 에오스족은 소행성대 바깥쪽에 있는 큰 소행성족으로, K형 소행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에오스족은 과거 소행성 충돌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모천체는 221 에오스이다. = = 발견 = = 1918년 예일 대학교의 천문학자 히라야마 기요쓰구는 소행성의 궤도 이심률과 경사를 분석하던 도중 소행성 일부가 뭉쳐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에오스족을 포함해 소행성족 3개를 처음으로 분류하였다. 당시 에오스족의 구성원은 소행성 19개였으며, 1993년 기준 289개까지 증가하였다. = = 궤도 = = 에오스족은 궤도 긴반지름이 2.99 ~ 3.03 AU, 궤도 이심률이 0.01 ~ 0.13, 궤도 이심률이 8°~ 12° 사이로, 현재 알려진 구성원은 4,400개 가량이다. 2.96 AU 지점과 3.03 AU 지점에는 각각 목성과 7:3, 9:4 궤도 공명이 일어나 에오스족의 분산을 제한하고 있다. 에오스족의 궤도 성질을 통해 추정한 나이는 10 ~ 20억 년 가량이다. = = 성질 = = 히라야마는 소행성족이 모천체가 충돌 사건을 겪으면서 생성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현재의 관측 결과와도 부합한다. 에오스족의 분광 관측 결과 소행성 간의 스펙트럼이 거의 유사하였으며, 일부 다른 경우는 모천체가 행성 분화를 겪으며 천체 안쪽으로 무거운 물질이 모이며 일어난 조성 변화로 추정된다. 충돌 이후 각 소행성은 각각 우주 풍화를 겪었다. 에오스족의 소행성은 S형 소행성과 유사한 성질을 보이나, 적외선 대역에서 S형과 차이를 보여, 새로이 K형 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운석으로는 CO3나 CV3 정상구립운석으로 추정된다. 에오스족과 궤도가 유사하나 스펙트럼 상의 특징이 다른 소행성들은 단순한 침입자로 여기고 있다. 충돌 후 생긴 모든 파편이 현재 에오스족의 궤도에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분광 관측에서 9:4 공명 지점에 같은 분광형을 보이는 소행성이 있으며, 에오스족에 있는 소행성보다 젊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에오스족 소행성의 자전 주기는 무작위적으로, 다른 천체들과 연속적으로 충돌을 겪으며 변화한 것으로 보이며, 컴퓨터 모형을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 모천체의 자전 주기는 1 ~ 3일 가량으로 추정된다. 자전 주기의 분산을 통해 추정한 에오스족의 나이는 태양계 자체의 나이와 거의 같다. 컴퓨터 모형 분석 결과 가장 가능성이 높은 상황은 모천체의 10분의 1 정도 질량의 천체가 충돌하여 두 천체가 황도면에서 이탈한 상황으로, 이 때 모천체의 추정 지름은 240 km이며 소행성족의 나이는 11억 년이다. = = 구성원 = = 에오스족에 속하는 대표적인 소행성으로는 이름의 유래가 된 221 에오스가 있다. = 늘해랑 = 늘해랑(, 1989년 10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현재 거주지는 서울특별시이다. = = 학력 = = 백제예술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졸업 = = 데뷔 = = 2011년 오지혜 싱글 앨범 "괜찮으면" = = 음반 = = 2011년 오지혜 The First Single Album '괜찮으면' 2016년 데뷔의 조각 Part 1 `담담한 내심장` 2017년 데뷔의 조각 Part 2 `왜이리` 2017년 임준우 'Only you (Feat. 늘해랑, Uye4)' 2020년 EP `사랑의 조각` = = 가족 관계 = = 언니 : 강소리 = 벨스 (동음이의) = 벨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벨스: 오스트리아의 도시 오토 벨스: 독일의 정치가 브로큰 벨스: 미국의 인디 록 밴드 베네딕트 벨스: 독일과 스위스의 소설가 = 틀:J1리그 2019 시즌 = = 세계개혁신학회 = 세계개혁신학회 (世界改革神學會, International Reformed Theological Institute, 약어 IRTI)는 장 칼뱅의 신학과 개혁신학의 유산을 이어받아 전 세계의 개혁신학자들이 1995년 발족한 세계적인 전문 신학회이다.International Reformed Theological Institute 창립자는 네덜란드의 브람 판 더 베크 박사였다. 한국에서 2005년 국제대회가 서울교회에서 모였다.세계개혁신학회 학술대회 한국서 2년마다 다양한 국가에서 대회를 갖는다. 현재 회장은 네덜란드의 Pieter Vos이다. 학회지는 The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JRT)이다. = =역대 장소 = = Visegrad/Hungary (1995) Stellenbosch/South Africa (1997) Doorn/The Netherlands (1999) Princeton/USA (2001) Bogor/Indonesia (2003) Seoul/South Korea (2005) Kolozsvár (Cluj-Napoca)/Romania (2007) Aix-en-Provence/France (2009) Potchefstroom/South Africa (2011) Sárospatak/Hungary (2013) New Brunswick/USA (2015) Lutheran Theological Seminar/Hong Kong (2017) Amsterdam/Netherlands (2019) = 에릭 곤잘레스 = 에릭 곤잘레스(Erich Gonzales, 1990년 9월 20일 ~ )는 필리핀의 배우, 사회자, 모델이다. = 분류:기원전 587년 사망 = = 재지 아이비 = JAZ 또는 Jazzy Ivy(, Michael Kim, 1982년 1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힙합 가수이다. Rivers Crew와 Nu Soul Classic, Last Poets Avenue, Zulu Nation Corea 등의 크루 활동을 하였고, 데뷔 이래 각나그네, Superman IVY 등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소속 레이블이 자신이 세운 JAZZVIL Records이다. = = 더 보기 = = *"JAZZY IVY'S DIMENSIONS & EXTENSIONS: ZULU NATION'S TRUE SCHOOL RADIO" *"JAZZY IVY'S DIMENSIONS & EXTENSIONS: PERFORMANCE @ EODUB, NY" - 2009년 그의 뉴욕에서의 활동을 담은 영상 = 틀:고속도로 제29호선 = = 양순호 = = = 가공 인물 = = 증인 (2019년 영화)의 등장 인물 웬 아이가 보았네의 등장 인물 = 장기 = 장기(將棋)는 홍과 청(또는 한나라와 초나라) 두 편으로 나뉘어 각 16개의 기물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의 입장에서 작전을 구상, 수행하여 상대편의 왕을 잡는 추상 전략 보드 게임이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특히 옌볜 조선족 자치주), 일본 등 각국에서 주로 한민족들이 즐기고 있다. 장기를 다른나라의 보드 게임과 구분을 할 때는,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장기(韓國將棋)라고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 일본에서는 조선장기(朝鮮將棋)라고 부른다. 또한 고려 시절에 장기가 흥행하였다고 하여 고려장기(高麗將棋)라고도 간혹 부른다. 2009년 10월, 중국 하얼빈에서 최초로 국제 장기 기전인 세계인 장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장기"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는 장기 이외에 고대 인도의 보드게임 차투랑가에서 유래된 체스, 샹치, 쇼기, 막룩 등을 지칭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이들 게임은 특정한 움직임을 가진 기물을 차례로 움직이고 상대 왕 또는 장군을 잡아 대국을 마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나라에도 마찬가지로 이런 차투랑가계 게임들을 자국식 명칭으로 칭하기도 하며, 예를 들어 영어권에서는 한국 장기를 코리안 체스(Korean Chess)로 지칭하기도 한다. = = 장기의 역사 = = 한사군 시절에 수많은 한족들이 한반도에 이주해 오면서 그들의 초한전을 모티브로한 장기를 퍼뜨렸다는 설이 널리 퍼져있다. 한민족들이 이 초한전을 가상하여 한국 체질에 맞는 장기로 연구하고 개량하여 지금 한민족이 두고 있는 장기로 발전시켰다고 한다.김지환, 필승 장기강좌, 서림문화사, 2001년, . 반면에 장기가 북부여 이전에 한국에서 만들어졌으며, 발해와신라의 모양을 한(漢)과 초(楚)로 바꿈과 동시에, 한국의 민속놀이가 중국 놀이로 왜곡되어 전달되었다는 주장정덕형, 코리아 장기, 서림문화사, 2003년, . 도 있으나, 정설로 인정 받지는 못하였다. 또한 기원전 약 2천 년 무렵 인도에서 비롯하여 동양으로 전파되어 장기가 되고 서양으로 전파되어 체스가 되었다는 설도 있고, 중국 송나라 때 고려에 전해진 후 약간의 변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장기의 원조인 인도의 차투랑가가 발생한 시기를 A.D.6세기로, 이것이 중국으로 전래된 시기를 A.D.8세기 무렵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기 때문에 장기의 한반도 전래를 한사군 무렵으로 올려보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 = = 장기에 관한 기록 = = 장기에 관한 문헌으로는 고사서(古史書)인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장기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 개로왕과 승 도림(道琳)이 바둑을 둔 얘기를 쓴 가운데 개로왕이 '박혁(博奕)' 즉 바둑과 장기를 즐겼다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이 '박혁'은 오늘날의 장기를 말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여러 가지 보드게임을 지칭하는 용어일 가능성이 크다. 또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에는 상희(象戱)라는 이름 아래 조선 세종의 중신 김석정(金石亭)과 김예몽(金禮蒙)이 상희대국(象戱對局)을 하였다고 나와 있다. 세조실록에도 또한 상희(象戱)라는 이름 아래 장기에 얽힌 이야기가 소개되었고, 중종 때의 문신(文臣) 삼도예찰사인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遣閑雜錄)에 보면 비로소 “장기”라는 말이 나온다. 이밖에도 선조 때 장유(張維)의 계곡집(谿谷集)제3권 잡저(雜著) 76수 상희지(象戱志)에 보면 장기의 정의와 장기판의 길, 기물의 구실, 기물의 자리, 기물의 행마, 승부와 빅 등 장기 이론에 관해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기록에 남아 있는 장기의 명수(名手)로는 식소록(識小錄)에 전하는 금강산 백전암(白田庵)의 지암대사(智巖大師)가 있고 어우야담(於于野談)에 소개된 종실 서천령(西川令)이 특히 유명하여 “서천령 수법”이라는 장기의 묘법을 남겼다고 한다. = = 장기판과 기물 = = 장기를 두기 위해서는 장기판과 기물(장기알)이 있어야 한다. 기물은 장기에 모든 알을 말한다. 장기의 기물(棋物)은 각각 대국자마다 궁 1개, 차 2개, 포 2개, 마 2개, 상 2개, 사 2개, 졸(병) 5개로 16개씩, 총 32개의 기물을 가지고 두게 된다. 장기 기물은 한(漢)나라와 초(楚)나라로 나뉜다. 장기의 기물에는 한자 한글자가 표기되어 있으며, 이중 한나라는 빨간색에 해서체로, 초나라는 파란색 또는 녹색에 초서체로 표기되어 있다. 장기판은 가로선이 10개, 세로선이 9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90개의 교차점이 있다. 장기 기물은 이 장기판의 교차점 상에 배치하고 대국을 시작하며, 이동할 때도 교차점 상에서 이동한다. = = = 장기의 행마법 = = = 항상 초나라가 먼저 이동한 후, 선수는 번갈아가면서 1개의 기물을 이동한다. 단, 한나라가 특정 기물을 떼어 놓고 시작하는 접장기는 한나라가 먼저 둔다. 진영 결정은 보통 실력과 연령에 따라 결정을 하며, 예를 들어 숙련자와 연장자가 한나라를 잡는 경우가 보통이다. 정식 장기 대회에서는 주머니 안에 각각 한나라, 초나라 표기를 넣어서 양 대국자가 선택하거나, 비공식 대국에서도 한 선수가 한 손에 한 손에 졸, 다른 손에 병을 숨기고 상대가 선택하도록 하는 등 무작위로 결정된다. 상대방의 궁을 잡거나, 외통수에 걸리게 하면 승리한다. 각 기물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은 다음과 같다. 아래 판에서 각 진영 색깔의 점은 해당 기물이 이동할 수 있는 자리를 나타낸다. 각 기물들의 행마법 궁과 사 차 포 궁((宮). 장(將)이라고도 함) 및 사(士)는 중앙에 있는 궁성 내에서만 자유로이 모든 방향으로 한 칸씩 다닐 수 있으나, 궁성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차(車)는 장애물만 없으면 직선으로 전후좌우 또는 궁성의 간선(間線)을 타고 어디든 칸수에 제한이 없이 마음대로 다닐 수가 있다(단, 다른 기물을 넘어 다닐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도가 가장 높다. 차와 포를 아울러 부르는 단어인 ‘차포’(車包)는 가장 중요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포(包)는 차와 같이 전후좌우 이동과 궁성 안에서의 간선 이동이 가능하긴 하나, 혼자서는 절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반드시 다른 기물을 하나만 넘어서 이동하여야 한다. 넘는 기물이 상대의 기물이든 자신의 기물이든 상관이 없다. 단, 같은 포끼리는 서로 넘을 수가 없으며, 또 서로 취할 수도 없다. 포는 단독으로는 움직일 수 없는 기물이다. 마 상 병/졸 마(馬)는 날일(日)자 행마로, 일보 전진한 후 대각선으로 좌나 우로 한 칸을 갈 수 있다. 단, 일보 전진하는 자리에 장애물을 멱이라고 하는데, 즉 멱이 있으면 갈 수 없다. 상(象)은 쓸용(用)자 행마로, 일보 전진한 후 대각선으로 좌나 우로 두 칸을 갈 수 있다. 마와 마찬가지로, 이동 경로에 멱이 있으면 갈 수가 없다. 졸(卒)과 병(兵)은 한 칸씩 앞으로나 옆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며, 뒤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대방의 궁성에 있을 경우 궁성의 간선을 타고 대각선으로도 한 칸 움직일 수 있다. = = 장군과 멍군 및 빅장 = = 상대편의 왕을 잡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공격할 때 부르는 수를 “장군”이라 한다. 흔히 줄여서 “장”이라고도 부른다. *상으로 장군을 하면 "상장",포로 장군을 치면 "포장", 차로 장군을 치면 "차장", 마로 장군을 치면 "마장"이라고도 부른다. 왕이 공격을 받았을 때 피하거나 막으면서 대응하는 수를 "포멍군”이라 한다. 흔히 줄여서 “멍”이라고도 부른다. 장군을 했는데 상대방이 멍군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이를 “외통장군” 또는 “외통수”라 한다. 형세가 매우 불리한 자가 왕과 왕이 마주 보면서 비김을 청하는 장군 수를 “빅장”이라 한다. 이런 경우, 피하거나 막지 않으면 빅장이 성립이 되어 비기거나 기물 점수로 승부를 가리게 된다.참고로 차는 13,포는 7,마는 5, 상 과 사는 3, 졸병은 2이고 한은 후수이므로 1.5점의 덤이 주어지며 왕은 점수가 없다. 경우에 따라 빅장을 인정하지 않고 두기도 한다. = = 장기판 차림 = = = = = 선후수 가리기 = = = 기물을 배치하기 전에 선후수(先後手)를 가려야 하는데, 기력이 비슷한 경우 예로부터 노홍소청(老紅少靑)이라 하여 연장자가 홍을 가지고 두는 것으로 인식 되어 있으나, 프로기사 간의 공식 대국 같은 경우, 두 개의 복 주머니중 저단자가 하나를 먼저 선택하고 고단자가 나중에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복 주머니안의 초(楚)를 가지면 선수로 두고 한(漢)을 가지면 후수로 둔다. 만약 두 대국자가 단수가 같은 경우, 입단년도가 늦은사람이 먼저 선택한다. = = = 기물 차리기 = = = 선후수(先後手)가 가려지면, 일반적으로 서로 기물을 차리면서 원하는 위치로 마와 상의 자리를 바꾼다. 그러나 점수제가 적용되는 프로 공식 대국이나 아마추어 대회의 경우에는 한이 먼저 차리고 초가 나중에 차린다. 기물을 장기판에 차릴 때 궁(장)부터 올려 놓는다. 궁은 궁성의 한가운데에 놓는다. 졸·병은 4선의 끝 지점에서 반대쪽 끝 지점까지 한 점씩 띄어서 늘어 놓고 포는 3선의 양쪽 끝에서 한 점씩 떨어진 지점에 놓는다. (장기판을 보면 졸·병과 포를 놓는 자리가 화점(花點)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기물은 모두 1선에 놓는다. 차는 양쪽 끝에 놓고 사는 궁의 양 옆에서 한 칸 뒤로 빼서 놓으며 차와 사 사이는 마와 상으로 채운다. 이 때, 마와 상은 양쪽에 각각 하나씩 차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네 가지의 차림이 가능하며, 각 차림의 명칭은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왼상 차림과 오른상 차림은 다른말로 "귀마"라고도 하며 안상 차림은 "원앙마"라고도 하고 바깥상 차림은 "양귀마"라고도 불린다. 왼상 차림 오른상 차림 안상 차림 바깥상 차림 주의할 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위 4개의 차림 및 “기동차”라는 차림이 하나 더 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차이점을 참고 바랍니다. = = = = 맞장기와 접장기 = = = = 장기를 둘 때 모든 기물을 차려놓고 두는 경우와 어느 한 쪽이 하나 이상의 기물을 떼어 놓고 두는 경우가 있다. 전자를 맞장기라 하고 후자를 접장기라 한다. 접장기는 주로 기력의 차이가 심한 사람이 두며, 일반적으로 기력이 높은 쪽에서 한을 잡고 뗀 다음에 먼저 둔다. 또, 기력의 차이에 따라 졸병·상·마·사·포 등 궁을 제외한 기물 중에서 뗄 기물을 고를 수 있다. 그러나 졸병을 떼고 접장기를 둘 경우 졸병을 뗀 쪽이 불리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 차와 상의 기동로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관용구 중에 중요한 것이 빠졌다는 의미로 ‘차포를 떼다’라는 표현이 있다. 차와 포는 매우 중요한 기물이므로 이들을 떼는 경우 상대방이 매우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 = 대국 방식 = =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승부제 방식과 점수제 방식이 있다. = = = 승부제 = = = 일반적으로 두어지는 승부제 방식은, 서로 이길 수가 없는 기물이 남았거나, 빅장 또는 반복수(계속 같은 모양으로 반복이 되는 수)일 경우, 비긴다. = = = 점수제 = = = 단판으로 승부를 가려야 하는 토너먼트 등의 공식 대국에서는 장기협회에서 정한 점수제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총 대국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승부가 나지 않았을 경우 각각 궁을 제외한 남은 기물의 합산 점수를 계산하여 점수가 더 많은 대국자가 승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각 기물의 점수는 다음과 같다. 기물 후수(後手) 점수 13 7 5 3 3 2 후수 1.5점 후수의 경우 1.5점이 덤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초기 점수의 합은 한은 73.5점, 초는 72점이 된다. 소수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승부 방지용이다. 점수제 방식에서는 기물을 하나라도 한쪽이 취했을 경우 대국 초반부터 빅장을 부를 수가 있는데, 빅장이 성립되면 그 자리에서 바로 남은 기물의 점수로 승부를 가리게 된다. 동일한 수를 반복하는 경우 기물의 총 점수가 각각 30점 미만일 경우에만 동일한 수 두기가 가능하며, 동일한 수를 뒀을 경우 이 또한 점수로 승패를 가린다.(반복수와 동일한 수는 약간의 개념차이가 있음) 서로 소삼능(小三能)등 이길 수 없는 기물이 남을 때까지 대국이 진행되거나, 총 대국 시간이 모두 지났을 경우에도 남은 기물의 합산 점수로 승패를 가린다. } = = 좌표 표기법 = = 과거에는 좌표를 표기할 때 가로선은 한자로 (一,二,…,九,十) 세로선은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좌표 표기는 사용하기에 너무 불편하여 개정되었다. 현재 대한장기협회에서 개정(3차 개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장기판의 좌표 표기법은 모두 숫자로 표기한다. 가로선은 각각 위에서부터 아래로 1부터 0까지 표기되어 있고, 세로줄은 각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부터 9까지 표기되어 있다. 가로선과 세로줄이 만나는 교차점을 읽을 때, 가로선을 먼저 읽은 후 세로줄을 나중에 읽는다. 예를 들어, 초와 한의 궁이 처음 차려지는 좌표 위치는 각각 95와 25이다. 기보를 작성할 때는, 기물의 움직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기물이 이동하기 전의 좌표와 움직인 기물의 명칭, 그리고 기물이 움직인 후의 좌표를 차례로 적는다. 예를 들어, 만약 03에 있는 마가 84로 움직일 때에는 “03 馬 84”로 표기한다. = = 포진의 종류 = = 포진을 나누는 법은 크게 두가지로, 2분법과 5분법이 있다. 하지만 이 두가지 방법으로는 천궁포진(天宮布陣)첫 수에 궁을 궁성의 위쪽 귀(천궁)에 올리는 이색포진으로, 농포 공격이 주를 이루는 포진이다. 천궁포진으로 가장 유명한 기사는 정갑진 프로로, KBS 장기왕전에서 이 포진으로 승리한 바가 있다.과 같은 특이한 포진들을 전부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 = = 2분법 = = = 2분법은 궁성의 면(面)궁성 중앙의 바로 위를 뜻한다.에 무슨 기물이 위치하느냐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으로, 총 2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일부 기사들은 이 방법으로 포진을 구분한다.김응술 9단이 실전 묘수풀이 프로그램에서 2분법으로 포진을 구분한 적이 있다. 면포포진(面包布陣) : 면에 포가 위치하는 형태로 원앙마, 귀마, 양귀마, 양귀상의 4가지가 존재한다. 면상포진(面象布陣) : 면에 상이 위치하는 형태이다. = = = 5분법 = = = 5분법의 경우 이정석, 임제민 프로를 비롯한 여러 장기 고수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정립된 5가지 포진이다. 이 포진들은 각종 서적과 구전을 통하여 1950년대 중후반에 비로소 정립되었다. 귀마(귀馬) 원앙마(鴛鴦馬) 양귀마(兩귀馬) 처음엔 왼상차림이나 오른상차림으로 시작한다. 궁성의 한쪽 귀(모서리)에 마가 하나 위치한다고 하여 귀마라고 한다. 안상차림으로 시작한다. 부부 금술 좋기로 유명한 원앙새에 비유하여 마와 마끼리 서로 호응하며 지켜주는 포진이라고 하여 원앙마라고 한다. 바깥상차림으로 시작한다. 궁성의 양쪽 귀(모서리)에 마가 둘 모두 위치하므로 양귀마라고 부른다. 이 경우 가운데 포진한 졸병이 상대방의 포에게 잡힐 확률이 높아 다른 포진법에 비해 비교적 위험하다. 면상(面象) 양귀상(兩귀象) 처음엔 왼상차림이나 오른상차림, 또는 간혹 바깥상차림으로 시작한다. 궁성에 면에 포가 오는 대신에 상을 놓는다 하여 면상이라고 부른다. 이 포진은 양포를 활용하여 교란시키는 장기이다. 안상차림으로 시작한다. 양사를 올려 멱을 해소한 후에 궁성의 양쪽 귀(모서리)에 상이 둘 모두 위치하여 양귀상이라고 부른다. 이 포진은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나 만들어지면 아주 강력하다. 그런데 양상의 길이 막히면 소용이 없다. = = 장기의 특징 = = 한국 장기는 주요 다른 나라의 장기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빅장이라는 독특한 규칙이 있다. 대국이 시작하기 전에 마와 상의 자리를 대국자의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한수쉼”이라는 규칙이 존재한다. 기물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 궁의 움직임이 한정되어 있다. 기물의 모양이 모두 같은 모양으로 되어있다. 멱이라는 개념이 있다. = =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차이점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만 쓰이는 기동차장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기 두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아주 거의 같으나 아주 미세한 차이점이 있다. 대한민국은 장기 기물이 한자로만 쓰여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글로 쓰여 있는 기물과 한자로 쓰여 있는 기물로 두 가지가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처음 장기 기물을 차릴 때 상이 양쪽 맨 끝에 있고 차가 양사 옆에서 시작하는 차림인 ‘기동차장기’가 가능하다. 위의 그림의 차림을 대한민국에서는 왼상차림이라 부르지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오른상장기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궁이 공격을 받을때는 "장군", 장군을 피했을 때는 "멍군"이라고 부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각각 "장훈" 또는 "멍훈"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궁과 궁끼리 서로 마주 볼때는 "빅장"이라고 부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궁장"이라고 부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장기의 기물인 "마"의 명칭을 "말"로 표기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대한민국에서 부르는 왼상차림과 오른상차림과는 정반대이다. 예컨대 대한민국에서는 상마상마(象馬象馬)가 양상이 모두 왼쪽에 있다 하여 왼상차림이라고 부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오른쪽에 있는 상이 궁성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하여 오른상장기라고 부른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판차림의 대한 명칭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판차림의 명칭 그림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왼상차림 오른상장기 오른상차림 왼상장기 안상차림 안상장기 또는 량등상장기 바깥상차림 량귀마장기 x 기동차장기 = = = 샹치와의 차이점 = = = 장기는 중국의 보드 게임인 샹치(象棋)와 언뜻 보기엔 많이 비슷해 보이나, 큰 차이점도 두루 있는데 그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구분 장기 샹치 선수(先手) 초나라(楚)가 먼저 둔다. 수(帥)가 먼저 둔다.(붉은색) 판 가운데 사이에 강의 유무 없다. 있다. 그리고 졸병과 상(象)의 행마법이 강과 관계가 있다. 기물의 모양 팔각형 원형 기물의 글씨 표기 양쪽 면 한쪽 면에만 기물의 크기 각각 다르다. 장이 가장 크게 되어 있고 졸병과 사는 가장 작으며 나머지 기물은 중간 크기이다. 모두 동일하다. 기물을 차릴 때의 마(馬)와 상(象)의 처음 위치 자기가 하고싶은 대로 바꿀 수가 있다. 무조건 자리가 마상상마로 정해져 있다. 상(象)의 움직임과 쓰임새 쓸용(用)자로 다니며 상대방 진영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밭전(田)자로 다니므로 대각선 두 칸으로만 움직이며, 강을 건널 수가 없어 상대방 진영으로의 진출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샹치에서는 상도 사와 마찬가지로 방어전용 기물이 된다. 병(兵)과 졸(卒)의 움직임 처음부터 움직임이 좌우 전진이 모두 가능하며, 상대방 궁성 안에 진입하면 간선을 따라 비스듬히 전진할 수도 있다. 처음엔 무조건 전진만 가능하며, 강을 건넌 후부터 좌우로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 궁성 안으로 진입하더라도 간선을 다닐 수 없다. 처음에 기물을 차릴 때의 궁의 위치 궁성 중앙에 놓고 대국을 시작한다. 맨 밑에 놓고 시작한다. 궁과 사의 움직임 두 기물 모두 궁성 안에서 선의 방향을 따라 마음대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궁은 직선으로만 다닐 수 있고, 사는 간선으로만 다닐 수 있다. 한수쉼 마땅히 움직일 것이 없을 땐 한수 쉬어 상대에게 다음수를 넘길 수 있다. 한수쉼이 없으며 둘 수 있는 곳이 없을 때는 지게 된다. 궁이 상대방 궁을 직접 잡기 불가능하다.간혹 빅장을 수락할 때 자신의 궁이 궁성을 뛰어넘어 상대방 궁을 직접 잡는 것으로 그 의사를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상대방 궁이 자신의 궁과 같은 세로줄에 있고 사이에 다른 기물이 없어서 마주 보는 상태이면 차처럼 넘어서 잡을 수 있다. 궁과 궁 사이에 기물이 없이 마주 보게 될 때 빅장이 되며 받아주면 비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왕장(왕끼리는 서로 장군)이므로 마주볼 수가 없다. (먼저 마주보는 쪽이 패배를 자초하게 됨.) 포의 움직임 무슨일이 있어도 반드시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야 한다. 단독으로 움직일 수 없다. 움직일 땐 차처럼 다니고 기물을 취할 때만 뛰어넘어 먹으며, 간선을 타고 움직일 수 없다.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다. 포끼리의 움직임 제한 포끼리 취할 수가 없고 뛰어넘을 수도 없다. 포끼리 취할 수가 있고 뛰어넘을 수도 있다. 궁성 안에서 간선으로 다닐 수 있는 기물 궁과 사뿐만 아니라 졸병과 차와 포도 가능 사밖에 없다. 각 대국자의 기물 색깔 적색과 녹색 흑색과 홍색 궁(宮)의 표기 漢(한)과 楚(초) 將(장)과 帥(수) 상의 표기 象한국어 한자 새김은 '코끼리 상'. 象한국어 한자 새김은 '코끼리 상' / 相한국어 한자 새김은 '서로 상' 포의 표기 包한국어 한자 새김은 '쌀 포'. 砲한국어 한자 새김은 '돌쇠뇌 포' / 炮한국어 한자 새김은 '통째로 구울 포'이나 현대 중국어에서는 이런 의미가 사라지고 '砲'의 동자(同字)로 취급한다. 궁과 졸병을 제외한 양 진영의 기물 표기 차이 글자는 같으나 글씨체의 차이가 있다.(한나라 기물은 해서체(楷書體) 초나라 기물은 초서체(草書體)로 표기됨) 글씨체는 같으나 글자가 약간씩 다르다.(차:車-俥, 포:砲-炮, 마:馬-傌, 상:象-相, 사:士-仕) 가로선과 세로줄의 간격 차이 세로줄 사이의 간격이 가로선 사이의 간격보다 조금 더 넓다. 때문에 세로줄과 가로선으로 생긴 칸이 약간 옆으로 넓은 직사각형의 모양이 된다. 둘 다 같다. 때문에 세로줄과 가로선으로 생긴 칸이 정사각형의 모양이 된다. = = 참고 자료 = = 이재춘, 《장기의 이론과 실제》, 서림문화사, 2000년, . * = 분류:1283년 군사사 = 군사사 en:Category:1283 in military history = 분류:1965년 8월 = = 분류:캐나다의 스포츠 대회 = = 김영일 (1942년) = 김영일(金榮馹, 1942년 7월 7일 ~ )은 서울지검 3차장 검사와 청와대 민정·사정수석 등을 거쳐 정계에 들어온 대한민국의 검찰출신 법조인, 정치가이다. 경남 김해 칠산리 출신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참고로 '6공의 황태자’로 불리게 된 박철언(朴哲彦)과는 경북중학교, 서울대학교 법대, 사시8회 동기동창이다.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서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총 10년간을 사정비서관, 특명사정반 반장, 민정수석비서관 그리고 사정수석비서관으로 역임하였다. 청와대 근무시절 고위공직자의 인사스크린을 담당, 대통령이 개각 등 용병할 때마다 의견을 제시했다. 그 당시 대통령 친.인척과 고위공직자의 신상을 줄줄이 외울 정도여서 '움직이는 인물사전'으로 불렸다. 1992년부터 제14대 국회의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그리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3선을 연임하였다. = = 생애 = = 1942년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칠산리에서 태어났다. 김해 칠산초등학교, 대구 경북중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박철언과는 경북중학교 때부터 친구였으며 실제 같은 경북고 동창회 소속이기도 하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부산지검, 서울지검에서 검사로 근무하였다. 전두환 정권 때 정격 발탁되어 1982년부터 서울고검 검사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로 파견되어 사정비서관으로 근무하였다. 이때부터 박철언(朴哲彦)과 함께 청와대 비서관으로써 급속히 권력을 키워나갔으며 실세의 한 사람으로도 불렸다. 두 사람 다 사법시험 8회 출신으로 그때부터 검찰 안팎에서는 ‘검사들에 대한 인사권은 8기생에게 있다’는 이야기가 정설(定說)처럼 퍼졌다. 1987년엔 청와대 사정비서관 겸 부장검사에서 서울지검 3차장으로 승진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검사장 승진을 앞둔 고참 부장검사가 차지하는 자리인데 그당시 8기 가까운 선배들을 제친 것이다. 검찰의 반발이 심했고 괴문서가 나돌았다. 그는 그당시 청와대 근무로 인해 차장 직무를 수행하지도 못했고 그 자리는 상당기간 공석이 돼 있었다.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특명사정반장 겸 서울중앙지검 3차장을 거쳐 민정수석비서관에 임명됐다가 20일 만에 초대 사정수석비서관으로 이동했다. 이 당시 검찰, 안기부, 경찰에서 올리는 고급공무원에 대한 정보보고는 金비서관실에서 종합, 정리, 보존됐으며, 노태우 대통령은 3급 이상 정부 고위직 인사를 임명할 때 김영일 사정수석이 관리하는 인사관계 정보 자료를 참고하고, 종종 직접 그의 평가를 듣기도 했다. 이름이 바깥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그 당시 김영일(金榮馹) 수석은 고급공무원 사회에서는 가장 두려운 존재로 인식이 되었으며 '6공의 칼'로 불렸다. 사정수석으로 1992년까지 역임, 1982년부터 대통령 비서관으로 총 10년을 역임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학봉 대신 민주자유당 공천을 받아 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해당 선거에서 이학봉의 부인 이설혜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1995년 민주자유당 정세분석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남도 김해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신한국당에서 정세분석위원장, 제1정책조정위원장, 기획조정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8년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에 임명되었다. 2002년 한나라당 지명직 당무위원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건설교통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한나라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제16대 대통령 선거 패배 후 당시 선거대책위원장으로서 불법으로 정치자금을 수수하였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이에 2003년 10월26일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선대본부장을 맡았던 사람으로서 (최돈웅 100억원) 사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나서 2004년 1월 10일 수감되었다. 그후 2004년 12월 24일 대법원 (주심 강신욱 대법관)는 기업들로부터 불법 대선자금을 모금한 혐의로 기소된 김영일 전 한나라당 의원에 대한 상고심에서 징역 2년에 추징금 11억516만 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인이 최돈웅 전 의원과 서정우 변호사, 이재현 전 재정국장 등과 공모, 기업체들로부터 구 정치자금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방법으로 정치자금을 받음으로써 한나라당에 불법 정치자금이 들어가게 된 사실 등을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고 밝혔다. 2005년 5월 18일엔 사면설이 나오자 "국민이 용서하지 않는다"며 "한나라당은 정부·여당의 사면 복권을 거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2005년 5월 30일 가석방으로 풀려나고 그해 8월 15일 특별사면된다. = = 평가 = = 청와대 민정.사정수석 등을 거쳐 정계에 투신한 율사 출신의 3선 의원으로 기획.판단능력이 돋보인다는 평. 차분하고 치밀한 성격으로 일처리가 뛰어나고, 청와대에 오래 근무해 정치 감각도 뛰어나다는 평가. 청와대 근무시절 10년간 사정업무만 외곬으로 맡아왔다. 그 당시 대통령 친.인척과 고위공직자의 신상을 줄줄이 외울 정도여서 '움직이는 인물사전'으로 불렸다. 전두환 대통령과 노태우 대통령 둘 모두에게 총애를 받았고 중용되었다. 여담으로 전대통령이 노정권 3년차에 백담사에서 하산 할 때 '청와대공식특사'로 막후에서 협의, 조율함. 14, 15, 16대 국회의원으로 일하면서 5, 6공에 이어 문민정부에 이르기까지 3대의 대통령에 걸쳐 두터운 신뢰를 한 몸에 받았다. 그러나 6공 때 박철언 안기부장 특보와 함께 근무한 인연으로 핵심 요직에 중용되지 못하는 '피해'를 봤다는 이야기도 있다. 97년 대선 선대위 기획부본부장 그리고 이른바 ‘측근 7인방’으로 이회창 후보를 가까이서 도왔고 2002년엔 대선전의 사령탑인 중앙선거대책본부 총괄본부장에 발탁될정도로 기획력과 조직장악력이 뛰어나고 이회창(李會昌) 대통령 후보의 신임이 두터웠다. 이회창 후보의 당선시 정권인수위원장 및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내정된걸로 거론되고 있었다. 서울대 법대, 검사, 청와대 등 엘리트 코스를 거치며 승승장구해 심지가 그리 강하지 않다는 평도 있다. = = 학력 = = 김해 칠산초등학교 졸업 경북중학교 졸업 경북대사대부고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 = 경력 = = 제8회 사법시험 합격 (1967년) 육군 법무관 대검 검찰연구관 겸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사정비서관 겸 서울지검 특수2부장 청와대 대통령 민정비서관(사정담당) 겸 서울지검 제3차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특명사정반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 (1990년 12월 27일 ~ 1992년 2월 6일) 제14대 국회의원(경남 김해시·군) 민주자유당 제15대 국회의원(경남 김해) 신한국당 신한국당 정세분석위원장 신한국당 제1정책조정위원장 신한국당 기획조정위원장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 한나라당 당무위원 제16대 국회의원(경남 김해) 한나라당 국회 건설교통위원장 한나라당 사무총장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본부 총괄본부장 = = 상훈 = = 홍조근정훈장 황조근정훈장 공부하는 의원상 = 식 (천문) = 식(蝕, eclipse, )은 천문학에서 한 천체가 다른 천체를 가리거나 그 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부분식과 구분하기 위해 개기(皆旣) 또는 개기식(皆旣蝕)이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월식, 일식 등으로 사용된다. = HIP 61941 = = 분류:직업별 팔레스타인의 남자 = = 분류:서울 양천구의 법정동 = = 보톡스 (음악 그룹) = = = 방송 = = 쇼킹 나이트 (2023) - Top20 = = 음반 = = MBN Y2K 댄스 가요제 <쇼킹나이트> 1회 (2023) MBN Y2K 댄스 가요제 <쇼킹나이트> 5회 (2023) 날려버려 (2023) = 김천휴게소 = 김천휴게소(金泉休憩所, Gimcheon Service Area)은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신촌리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부산기점에서 194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양방향 모두 휴게소가 존재한다. 2010년에 추풍령휴게소와 칠곡휴게소 간의 거리가 멀어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완공되었다. 서울 방향 휴게소의 주소는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경부고속도로 194, 부산 방향의 주소는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경부고속도로 193이다. = = 시설 = = = = = 서울 방향 = = = 현금인출기 브랜드매장 : 던킨도너츠 *경정비소 : 없음 *화물휴게소 : 있음 정유사 : 알뜰주유소, 현대오일뱅크(LPG) 대표음식 : 부대찌개 = = = 부산 방향 = = = 현금인출기 브랜드매장 : 던킨도너츠 *경정비소 : 없음 *화물휴게소 : 있음 *정유사 : 알뜰주유소, GS칼텍스(LPG) 대표음식 : 고추장불고기 = = 전후 = = 김천 나들목 ← 김천휴게소 ← 동김천 나들목 추풍령휴게소 ← 김천휴게소 ← 칠곡휴게소 김천 나들목 → 김천휴게소 → 동김천 나들목 추풍령휴게소 → 김천휴게소 → 칠곡휴게소 = 광대나물 =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은 꿀풀과에 속한 두해살이풀이다. 유라시아 원산인 구귀화식물이며, 한대 지역에서 온대 지역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빛이 잘 드는 비옥한 땅에서 자란다. = = 특징 = = 높이는 10-30cm이고, 원줄기는 가늘고 네모지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생긴다. 잎은 마주나는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고, 반면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톱니가 있는 반원형이며 양쪽에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4-5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가 돌려나듯 모여 나온다. 꽃부리는 윗입술이 앞으로 약간 굽고, 아랫입술이 3개로 갈라진다. 수슬은 2개는 길고 2개는 짧은 두긴수술이다. 광대나물의 씨는 싹이 잘 트고 오래 생존하며 바람, 비, 동물을 통해 퍼져나간다. = = 쓰임새 = =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민간에서 지혈제로 이용한다. = 틀:빌보드Encode/F = = 모듈:Location map/data/Brazil Santa Maria paleontological sites/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Brazil_Santa_Maria_paleontological_sites/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금융리스업 = 금융리스업이란 금융리스이용자가 선정한 기계, 시설, 그 밖의 재산(이하 이 장에서 "금융리스물건"이라 한다)을 제3자(이하 이 장에서 "공급자"라 한다)로부터 취득하거나 대여 받아 금융리스이용자에게 이용하게 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상법 제168조의2(금융리스업의 의의). = = 조문 = = 2) 제168조의3(금융리스업자와 금융리스이용자의 의무) ① 금융리스업자는 금융리스이용자가 금융리스계약에서 정한 시기에 금융리스계약에 적합한 금융리스물건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 금융리스이용자는 제1항에 따라 금융리스물건을 수령함과 동시에 금융리스료를 지급하여야 한다. ③ 금융리스물건수령증을 발급한 경우에는 제1항의 금융리스계약 당사자 사이에 적합한 금융리스물건이 수령된 것으로 추정한다. ④ 금융리스이용자는 금융리스물건을 수령한 이후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금융리스물건을 유지 및 관리하여야 한다. 3) 제168조의4(공급자의 의무) ① 금융리스물건의 공급자는 공급계약에서 정한 시기에 그 물건을 금융리스이용자에게 인도하여야 한다. ② 금융리스물건이 공급계약에서 정한 시기와 내용에 따라 공급되지 아니한 경우 금융리스이용자는 공급자에게 직접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공급계약의 내용에 적합한 금융리스물건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다. ③ 금융리스업자는 금융리스이용자가 제2항의 권리를 행사하는 데 필요한 협력을 하여야 한다. 4) 제168조의5(금융리스계약의 해지) ① 금융리스이용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금융리스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금융리스업자는 잔존 금융리스료 상당액의 일시 지급 또는 금융리스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금융리스업자의 청구는 금융리스업자의 금융리스이용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③ 금융리스이용자는 중대한 사정변경으로 인하여 금융리스물건을 계속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3개월 전에 예고하고 금융리스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리스이용자는 계약의 해지로 인하여 금융리스업자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 댈러스 카이클 = 댈러스 카이클(Dallas Keuchel, 1988년 1월 1일 ~ )은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이다. 2012년에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였다. 2014년 그는 골드 글러브 상과 필딩 바이블 상을 둘다 수상하였다. 다음해 그는 201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경기에서 아메리칸 리그를 위한 출발 투수로 임명되었고, 자신의 2번째 골드 글러브 상과 필딩 바이블 상들에 추가로 사이 영 상을 수상하였다. 2016년 그는 3연속 골드 글러브 상을 수상하였다. = = 아마추어 경력 = =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태어난 카이클은 비숍 켈리 고등학교에서 수학하여 야구 팀을 주립 선수권으로 지도하였다. 그러고나서 카이클은 아칸소 대학교에서 수학하여 아칸소 레이저백스 야구 팀을 위하여 대학 야구를 하였다. 그는 신입생으로서 5.88, 2학년생으로서 4.58, 그리고 주니어로서 3.92의 평균자책점을 등록하였다. 2009년 시즌 동안 카이클은 금요일 밤의 에이스로서 레이저백스를 지도하였다. 5월에 들어간 카이클은 앤서니 레나도와 4위의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를 꺾기 전에 6 승 1 패의 기록을 가졌다. 카이클은 8.1 이닝을 투구하고 4개의 득점 만을 허용하였다. 이어진 주에 레이저백스는 21위의 앨라배마 대학교에게 2 대 1로 패하였다. 최종의 정규 시즌 시리즈는 바움 스타디움에서 드루 포메란즈와 9위의 올미스를 상대로였다. 레이저백스는 카이클의 마지막 정규 시즌 시작에서 4개의 오류를 일그키고 그는 패배와 함께 터치아웃 되어 7 승 3 패의 기록과 함께 정규 시즌을 끝냈다. = = 프로 경력 = = = = = 마이너 리그 = = = 아칸소 대학교에서 자신의 주니어 해의 이후에 휴스턴 애스트로스는 200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의 7번째 라운드에서 카이클을 선발하였다. 그는 애스트로스와 함께 계약을 맺고 클래스 A 쇼트 시즌 뉴욕-펜 리그의 트라이시티 밸리캐츠와 함께 자신의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2.70의 평균자책점을 가졌다. 그는 클래스 A 진보적 캘리포니아 리그의 랭카스터 제트호크스와 함께 2010년 시즌을 시작하였다. 3.36의 평균자책점을 매긴 후, 애스트로스는 7월 그가 시즌의 나머지를 위하여 4.70의 평균자책점을 가진 클래스 AA 텍사스 리그의 코퍼스 크리스티 훅스로 진급시켰다. 그는 2011년 시즌을 코퍼스 크리스티와 시작하고 3.17의 평균자책점을 투구한 후 자신이 7.50의 평균자책점과 분투한 클래스 AAA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오클라호마시티 레드호크스로 진급을 받았다. =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 = = = 2012 ~ 14 = = = = 카이클은 2012년 시즌을 오클라호마시티와 시작하였다. 카이클은 그해 6월 17일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자신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데뷔를 하였다. 자신의 2번째 출발에서 그는 완료의 경기를 투구하였다. 카이클은 스트라이크아웃(38개)보다 더 많이 타자를 1루로 걸어가는 데 허용(39개)하는 동안 시작된 16개의 경기들에서 5.27의 평균자책점과 함께 그해의 시즌을 끝냈다. 2014년 카이클은 올스타 브레이크에서 9 승 5 패의 기록과 3.20의 평균자책점을 가졌고 그해 메이저 리그 올스타 겨기에서 최종적 아메리칸 리그 명단을 위한 최종 선수였다. 그는 12 승 9 패의 기록과 2.93의 평균자책점과 시즌을 끝냈다. 자신의 강한 방어로 카이클은 골드 글러브 상과 필딩 바이블 상을 둘다 수상하였다. = = = = 2015년:사이 영 상 = = = = 2015년 4월 카이클은 시작된 5개의 경기들에서 3 승 0 패의 기록과 0.73의 평균자책점으로 투구하였다. 그는 "이번달의 아메리칸 리그 투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6개의 출발 경기들에서 자신이 4 승 1 패의 기록과 2.62의 평균자책점으로 투구한 5월에 "이번달의 아메리칸 리그 투수"로서 명예를 얻었다. 카이클은 그해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경기에서 아메리칸 리그 명단에 선발되었고 아메리칸 리그의 선발 투수로서 선택되었다. 그는 6개의 선발 경기에서 4 승 1 패의 기록과 1.9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후, 8월에 자신의 3번째 "이번달의 아메리칸 리그 투수" 상을 수상하였다. 카이클은 미니트 메이드 파크에서 15 승 0 패의 기록과 함께 2015년 시즌을 끝내 적어도 14개의 우승과 함께 홈구장에서 무패 기록과 함께 끝내는 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첫 선수가 되었다. 그해 그의 전체기록은 20승 8패였고, 2.48의 평균자책점과 216개의 삼진을 거뒀다. 카이클은 3일의 휴식에 2015년 아메리칸 와일드 카드 경기부터 시작하여 승리하였다. 10월 11일 그는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의 3번째 경기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4 대 2로 꺾어 전진의 하나의 경기 안에 애스트로스를 옮기는 데 추구하였다. 5번째 경기에서 카이클은 8번째 이닝에서 2일간 휴식 만에 구원 등판하였고, 로열스가 경기와 시리즈를 우승하는데 보유한 7대2로 자신들의 지도를 넓히면서 3점 홈런을 항복하였다. 시즌에 이어 카이클은 사이 영 상, 골든 글러브 상, 필딩 바이블 상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최고의 왼손잡이 투수에게 주어진 워런 스판 상을 수상하였다. 카이클은 사이 영 상을 수상하는데 3번째 애스트로스 선수가 되었으며, 마이크 스콧과 로저 클레멘스는 각각 1986년과 2004년 내셔널 리그 명예를 얻었다. = = = = 2017년:월드 시리즈 우승 = = = = 카이클은 6개의 출발 경기에 5 승 0 패의 기록과 1.21의 평균자책점을 매긴 후, 4월에 자신의 경력 4번째 "이번달의 아메리칸 리그 투수" 상을 수상하면서 2017년 시즌을 근시작하였다. 그는 44와 2/3의 투구된 이닝에 6개의 득점들을 허용하였다. 그는 4개를 우승하는 데 첫 애스트로스의 투수가 되었으며, J. R. 리처드는 3개를 우승한 다른 애스트로스의 투수였다. 카이클은 최소한 4개를 우승한 활동적 투수들로서 바톨로 콜론, 펠릭스 에르난데스와 저스틴 벌랜더에게 가입하였다. 그는 7 승 0 패의 기록과 1.84의 평균자책점과 함께 시즌을 시작하는 데 진행하였지만 5월 20일 그는 자신의 목에 격통 신경으로 인하여 10일간 부상자 명단에 놓였다. 6월 8일 카이클은 지속적인 목의 비통으로 다시 부상자 명단에 놓였다. 그는 마이애미에 있는 말린스 파크에서 열린 올스타 경기에 나오는 데 선발되었다. 그 일은 그의 2번째 경력 선발이었다. 카이클은 14 승 5 패의 기록과 2.90의 평균자책점과 함께 23개의 출발을 만들어 2017년을 끝냈다. 애스트로스는 101 승 61 패의 기록과 함께 아메리칸 리그 서부 디비전을 우승하고, 또한 2017년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기도 하였다. = 분류:베트남의 지방 = = 후안 알론소 = 후안 아델라르페 알론소(; 1927년 12월 13일, 바스크 지방 온다리비아 ~ 1994년 9월 8일, 바스크 지방 온다리비아)는 후아니토 알론소로도 알려진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로, 레알 마드리드에서 골키퍼로 활약하였고, 1955-56 시즌, 1956-57 시즌, 그리고 1957-58 시즌의 유러피언컵 우승 주역이다. 그는 스페인 국가대표팀 경기에 2번 출전하기도 했다. 또한 알론소는 1954-55 시즌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였다. = = 수상 = = = = = 클럽 = = = 라 리가: 1953–54, 1954–55, 1956–57, 1957–58 유러피언컵: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 = = 개인 = = =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 1954–55 = 금정사 = 금정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금정사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성리 180-2에 있는 사찰 금정사 -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7-79에 있는 사찰 금정사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669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 금정사 -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천촌리 852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 = 시즈오카 지진 = 시즈오카 지진은 일본의 시즈오카현 중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다. = = 1917년 시즈오카 지진 = = 1917년의 시즈오카 지진 은 1917년 5월 18일에 시즈오카현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 규모는 M6.3.国立天文台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P.796 ISBN 978-4-621-30560-7 이 지진으로 2명이 사망했다. = = 1935년 시즈오카 지진 = = 1935년의 시즈오카 지진 은 1935년 7월 11일에 시즈오카시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이다.平成25年12月地震・火山月報(防災編) 気象庁1935年および1965年の静岡地震による東海地震の発生時期への影響 木村一洋・前田憲二・弘瀬冬樹 験震時報73巻 pp.165-168 지진 규모는 M6.4.国立天文台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P.797 ISBN 978-4-621-30560-7 시즈오카시에서 진도6을 기록했다. 이 지진으로 9명이 사망했다.静岡県に被害をもたらした主な地震と日本で近年おきた主な地震 - 静岡県 = = 1965년 시즈오카 지진 = = 1965년의 시즈오카 지진 은 1935년 4월 20일에 시즈오카현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 규모는 M6.1. 이 지진으로 2명이 사망했다.国立天文台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P.801 ISBN 978-4-621-30560-7 = 분류:셀린 디옹 = = 분류:그리스-칠레 관계 = = 분류:메이저 리그 사커 시즌 = = 리차드 탠 = 리차드 탠(Richard Tanne, 1985년 2월 4일 ~ )은 미국의 영화 감독, 배우,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이다. 리빙스턴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사우스사이드 위드 유 (2016년) 워스트 프렌즈 (2014년) - 제이크 역 더 브레이크업 다이어리 (2013년) 박스드 인 (2011년) - 토미 역 미스치프 나이트 (2011년) 변종샤크 (2011년) - 타일러 역 2001 매니악스 (2005년) = 분류:20세기 일식 = = 분류:미국의 없어진 축구단 = = 분류:일본의 도도부현별 단체 = = 통영 용화사 보광전 = 통영 용화사 보광전(統營 龍華寺 普光殿)은 경상남도 통영시 봉평동 용화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5년 11월 14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49호 용화사 보광전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 = 개요 = = 용화사는 조선 광해군 8년(1616) 성화선사가 세운 절로 광해군 14년(1622) 폭풍우로 허물어진 것을 다시 세워 천택사라 불렀다고 한다. 그 뒤 인조 6년(1628) 다시 화재로 타버린 것을 행선선사가 자리를 옮겨 짓고 용화사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아미타삼존불을 모신 보광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지붕선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안쪽은 복잡하고 장식이 많은 천장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공간이 넓게 트여있다. = 분류:류큐 제도 = = 최영도 (정치인) = 최영도(? ~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이다. = = 경력 = =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 = 기타 = =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당시에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 견 (성씨) = 견은 한국의 성씨이다. 견(甄)씨는 중국식 성씨를 차용한 성씨이고, 견(堅)씨는 고려 개국과 관련이 있다. = = 견(甄)씨 = = = = = 황간 견씨 / 상주 견씨 = = = 황간 견씨는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 867~938)을 시조로 한다. 상주 견씨의 시조 아자개(阿慈介)의 맏아들로 견훤은 원래 이씨(李氏)였는데 후에 견으로 성을 고쳤다고 한다. = = = 전주 견씨 = = = 견훤의 후손으로 전한다. 견의 한문 발음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가지이고, 병음은 전(Zhen)이다. 본래 진이었다가 견으로 변한 것이 아니라, 李을 두음법칙으로 이로 쓰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甄의 발음은 견과 진으로 발음할 수 있다. 견훤의 후손이 지었다는 이제가기(李啼家記)에서 견훤은 신라 진흥왕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진흥왕의 후손 가운데 원선의 아들이 아자개라고 되어 있고, 삼국유사는 이러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동사강목에서는 진훤 이름 앞 글자의 음이 진(眞)이라고 주장과 함께 고대 한국에서는 甄(견)은 견 보다는 진으로 발음 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견(甄)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가지 발음으로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병음은 전(Zhen), 진(Jian)인데, 중국에서 Jian로 발음되는 성씨는 Jin으로 발음되는 성씨와 혼용 사례가 있다. 견(甄)씨가 현재 별로 없기 때문에 견훤의 후손이 대부분 견씨을 유지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 = 견(堅)씨 = = 견(堅, Jian)씨의 시조는 견권(堅權)으로 선조는 전하지 않는다. 본관은 천녕 단본이다. = = = 천녕 견씨 = = = 견권(堅權)은 고려 개국공신 2등이 되었고, 말갈족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고, 견훤, 박술희를 대동하여 후백제 신검을 공격하여 멸망시겼다. = 라돈 동위 원소 = 라돈은 원자량 193에서 231 사이에 총 39개의 동위 원소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가장 안정한 것은 3.823일의 반감기를 가지는 222Rn이다. 218Rn, 219Rn, 220Rn, 222Rn의 네 가지 동위 원소는 자연에 미량 존재하며, 각각 218At, 223Ra, 224Ra, 226Ra의 붕괴 생성물이다. 218Rn과 222Rn는 238U 붕괴 계열의 중간 생성 물질이며, 219Rn는 235U의 붕괴 계열, 220Rn은 232Th의 붕괴 계열 상에 각각 위치한다. = = 표 = = 핵종기호 과거 명칭 Z(p) 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 붕괴방식 이성질핵 전이 붕괴생성물 핵스핀 전형적동위 원소구성비(몰 분율) 자연적구성비변동 범위(몰 분율) 핵종기호 과거 명칭 들뜬 에너지 들뜬 에너지 들뜬 에너지 반감기 붕괴방식 이성질핵 전이 붕괴생성물 핵스핀 전형적동위 원소구성비(몰 분율) 자연적구성비변동 범위(몰 분율) 195Rn 86 109 195.00544(5) 6 ms 3/2-# 195mRn 50(50) keV 50(50) keV 50(50) keV 6 ms 13/2+# 196Rn 86 110 196.002115(16) 4.7(11) ms[4.4(+13-9) ms] α 192Po 0+ 196Rn 86 110 196.002115(16) 4.7(11) ms[4.4(+13-9) ms] β+ (드묾) 196At 0+ 197Rn 86 111 197.00158(7) 66(16) ms[65(+25-14) ms] α 193Po 3/2-# 197Rn 86 111 197.00158(7) 66(16) ms[65(+25-14) ms] β+ (드묾) 197At 3/2-# 197mRn 200(60)# keV 200(60)# keV 200(60)# keV 21(5) ms[19(+8-4) ms] α 193Po (13/2+) 197mRn 200(60)# keV 200(60)# keV 200(60)# keV 21(5) ms[19(+8-4) ms] β+ (드묾) 197At (13/2+) 198Rn 86 112 197.998679(14) 65(3) ms α (99%) 194Po 0+ 198Rn 86 112 197.998679(14) 65(3) ms β+ (1%) 198At 0+ 199Rn 86 113 198.99837(7) 620(30) ms α (94%) 195Po 3/2-# 199Rn 86 113 198.99837(7) 620(30) ms β+ (6%) 199At 3/2-# 199mRn 180(70) keV 180(70) keV 180(70) keV 320(20) ms α (97%) 195Po 13/2+# 199mRn 180(70) keV 180(70) keV 180(70) keV 320(20) ms β+ (3%) 199At 13/2+# 200Rn 86 114 199.995699(14) 0.96(3) s α (98%) 196Po 0+ 200Rn 86 114 199.995699(14) 0.96(3) s β+ (2%) 200At 0+ 201Rn 86 115 200.99563(8) 7.0(4) s α (80%) 197Po (3/2-) 201Rn 86 115 200.99563(8) 7.0(4) s β+ (20%) 201At (3/2-) 201mRn 280(90)# keV 280(90)# keV 280(90)# keV 3.8(1) s α (90%) 197Po (13/2+) 201mRn 280(90)# keV 280(90)# keV 280(90)# keV 3.8(1) s β+ (10%) 201At (13/2+) 201mRn 280(90)# keV 280(90)# keV 280(90)# keV 3.8(1) s IT (<1%) 201Rn (13/2+) 202Rn 86 116 201.993263(19) 9.94(18) s α (85%) 198Po 0+ 202Rn 86 116 201.993263(19) 9.94(18) s β+ (15%) 202At 0+ 203Rn 86 117 202.993387(25) 44.2(16) s α (66%) 199Po (3/2-) 203Rn 86 117 202.993387(25) 44.2(16) s β+ (34%) 203At (3/2-) 203mRn 363(4) keV 363(4) keV 363(4) keV 26.7(5) s α (80%) 199Po 13/2(+) 203mRn 363(4) keV 363(4) keV 363(4) keV 26.7(5) s β+ (20%) 203At 13/2(+) 204Rn 86 118 203.991429(16) 1.17(18) min α (73%) 200Po 0+ 204Rn 86 118 203.991429(16) 1.17(18) min β+ (27%) 204At 0+ 205Rn 86 119 204.99172(5) 170(4) s β+ (77%) 205At 5/2- 205Rn 86 119 204.99172(5) 170(4) s α (23%) 201Po 5/2- 206Rn 86 120 205.990214(16) 5.67(17) min α (62%) 202Po 0+ 206Rn 86 120 205.990214(16) 5.67(17) min β+ (38%) 206At 0+ 207Rn 86 121 206.990734(28) 9.25(17) min β+ (79%) 207At 5/2- 207Rn 86 121 206.990734(28) 9.25(17) min α (21%) 203Po 5/2- 207mRn 899.0(10) keV 899.0(10) keV 899.0(10) keV 181(18) µs (13/2+) 208Rn 86 122 207.989642(12) 24.35(14) min α (62%) 204Po 0+ 208Rn 86 122 207.989642(12) 24.35(14) min β+ (38%) 208At 0+ 209Rn 86 123 208.990415(21) 28.5(10) min β+ (83%) 209At 5/2- 209Rn 86 123 208.990415(21) 28.5(10) min α (17%) 205Po 5/2- 209m1Rn 1173.98(13) keV 1173.98(13) keV 1173.98(13) keV 13.4(13) µs 13/2+ 209m2Rn 3636.78(23) keV 3636.78(23) keV 3636.78(23) keV 3.0(3) µs (35/2+) 210Rn 86 124 209.989696(9) 2.4(1) h α (96%) 206Po 0+ 210Rn 86 124 209.989696(9) 2.4(1) h β+ (4%) 210At 0+ 210m1Rn 1690(15) keV 1690(15) keV 1690(15) keV 644(40) ns 8+# 210m2Rn 3837(15) keV 3837(15) keV 3837(15) keV 1.06(5) µs (17)- 210m3Rn 6493(15) keV 6493(15) keV 6493(15) keV 1.04(7) µs (22)+ 211Rn 86 125 210.990601(7) 14.6(2) h α (72.6%) 207Po 1/2- 211Rn 86 125 210.990601(7) 14.6(2) h β+ (27.4%) 211At 1/2- 212Rn 86 126 211.990704(3) 23.9(12) min α 208Po 0+ 212Rn 86 126 211.990704(3) 23.9(12) min β+β+ (드묾) 212Po 0+ 213Rn 86 127 212.993883(6) 19.5(1) ms α 209Po (9/2+) 214Rn 86 128 213.995363(10) 0.27(2) µs α 210Po 0+ 214Rn 86 128 213.995363(10) 0.27(2) µs β+β+ (드묾) 214Po 0+ 214mRn 4595.4 keV 4595.4 keV 4595.4 keV 245(30) ns (22+) 215Rn 86 129 214.998745(8) 2.30(10) µs α 211Po 9/2+ 216Rn 86 130 216.000274(8) 45(5) µs α 212Po 0+ 217Rn 86 131 217.003928(5) 0.54(5) ms α 213Po 9/2+ 218Rn 86 132 218.0056013(25) 35(5) ms α 214Po 0+ 미량238U의 중간 붕괴 생성물 219Rn 악티논악티늄 붕괴물 86 133 219.0094802(27) 3.96(1) s α 215Po 5/2+ 미량235U의 중간 붕괴 생성물 220Rn 토론토륨 붕괴물 86 134 220.0113940(24) 55.6(1) s α 216Po 0+ 미량232Th의 중간 붕괴 생성물 220Rn 토론토륨 붕괴물 86 134 220.0113940(24) 55.6(1) s β-β- (드묾) 220Ra 0+ 미량232Th의 중간 붕괴 생성물 221Rn 86 135 221.015537(6) 25.7(5) min β- (78%) 221Fr 7/2(+) 221Rn 86 135 221.015537(6) 25.7(5) min α (22%) 217Po 7/2(+) 222Rn 라돈여기서 원소 이름 라돈을 따온 것이다.라듐 붕괴물에마논니톤 86 136 222.0175777(25) 3.8235(3) d α 218Po 0+ 미량 223Rn 86 137 223.02179(32)# 24.3(4) min β- 223Fr 7/2 224Rn 86 138 224.02409(32)# 107(3) min β- 224Fr 0+ 225Rn 86 139 225.02844(32)# 4.66(4) min β- 225Fr 7/2- 226Rn 86 140 226.03089(43)# 7.4(1) min β- 226Fr 0+ 227Rn 86 141 227.03541(45)# 20.8(7) s β- 227Fr 5/2(+#) 228Rn 86 142 228.03799(44)# 65(2) s β- 228Fr 0+ 229Rn 86 143 229.0426536(141) 12 s = 청호컴넷 = 청호컴넷(Chungho Comnet)은 1977년 설립된 금융사무기기 제조기업이다. 주 사업은 금융자동화기기 공급, 자동화기기 운영관리, 스캐너 및 네트워크장비 서비스, 조립 임가공, 환경관련 RFID 등이다. 2011년 5월 FKM과 합병하며 국내 ATM 시장에서 노틸러스효성, LG CNS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효성-LG' 양강구도, 특이했던 올해 금융ATM 시장…내년엔? 디지털데일리, 2013년 12월 29일 = = 연혁 = = = = = 1970년대 = = = 1977년 10월 13일 청호실업 주식회사 설립 = 만프레디 (동음이의) = = = 인명 = = 만프레디: 시칠리아 왕 아스토레 2세 만프레디: 1439년부터 이몰라의 군주이자 1443년부터 파엔차의 군주 구이단토니오 만프레디: 15세기 초에 파엔차와 이몰라의 군주 갈레오토 만프레디: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파엔차의 군주 카를로 2세 만프레디: 이탈리아 북부에 있는 파엔차의 군주 타데오 만프레디: 1448년부터 1473년까지의 이몰라의 군주 발레리오 마시모 만프레디: 이탈리아의 고고학자, 역사학자, 작가, 텔레비전 진행자 아스토레 3세 만프레디: 북부 이탈리아에 위치한 파엔차의 영주 = 분류:에어 베를린 = = 초안:메리 모리세이 = 메리 모리세이 1949년생(73~74세) 비버튼, 오리건, 미국 주목할만한 작품 꿈의 분야 만들기(도서) 위대함보다 작지 않다(도서) 새로운 생각: 실천적 영성(책) 어릴 때부터 국제 활동에 적극적이었던 Morrissey는 1995년에 글로벌 신사상 협회를 발족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Spiritual Center Offers New Program." Chicago Tribune, 11 Aug 2011, Page 7 "AGNT Leadership Council". web.archive.org. Retrieved September 27, 2021 1997년에 그녀는 Mahatma Gandhi 의 손자인 Arun Gandhi와 함께 비폭력 조직을 위한 국제 시즌을 시작했다. "Exploring the Sacred," The World (Coos Bay, Oregon), 17 Jul 2006, Page 6 2019년 1월부터 전 세계에서 비폭력 시즌을 기념했다. Titus, John and Bev (January 30, 2019). "Season for Nonviolence begins 5th season". Urbana Daily Citizen. Retrieved October 2, 2021 = = 인도주의적 활동과 활동 = = = = Living Enrichment Center 문제 = = = = 서적 = = = = = 꿈의 분야 만들기 (1996) = = = = = = No Less Than Greatness (2001)커플 👫 = = = = = = 다른 저서 = = = = = 미디어 출연 = = 라디오에서 Morrissey는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방송을 사용했다. Quarles, Crystal. "A Spiritual Coach Making a Difference In The World Through Radio." Pensacola News Journal, 24 Feb 2008, Page 41 "Mary Manin Morrissey". Unity Online Radio. Retrieved October 2, 2021 The Honolulu Advertiser, 18 Aug 2000, Page 51 그녀는 Bob Proctor와 함께 The Eleven Forgotten Laws를 포함하여 많은 오디오 프로그램을 녹음했다. 그녀의 2016년 TEDx 강연인 The Hidden Code For Transforming Dreams Into Reality는 YouTube 에서 백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 = 노트 = = "영적 센터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카고 트리뷴, 2011년 8월 11일, 7페이지 카터, 앤드류. "Walston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The Marion Star - USA Today Network, 2020년 2월 18일, 페이지 A3 "Exploring the Sacred," The World(Coos Bay, Oregon), 2006년 7월 17일, 6페이지 "종교 서평: Bantam Books $22.95(282p) ISBN 978-0-553-10214-7 저자 Mary Manin Morrissey의 꿈의 분야 구축". PublishersWeekly.com. 2021년 10월 4일에 검색함 New Perspective, The Sacramento Bee, 1999년 6월 5일, 2페이지 "논픽션 서평: 위대함보다 작지 않음: 불완전한 관계에서 완벽한 사랑 찾기 by Mary Manin Morrissey, 저자 . Bantam $23.95 (288p) ISBN 978-0-553-10653-4". PublishersWeekly.com. 2021년 10월 4일에 검색함 다이어, 웨인. "Mary Manin Morrissey, Building Your Field of Dreams의 저자" The Los Angeles Times, 1997년 3월 13일 "AGNT 리더십 위원회". web.archive.org. 2021년 9월 27일에 검색함 디도, 존, 베브(2019년 1월 30일). "비폭력 시즌 5번째 시즌 시작". 어바나 데일리 시티즌. 2021년 10월 2일에 검색함 "새로운 생각이 그녀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설명하는 장관", The Gettysburg Times, 1999년 6월 16일, 8페이지 "종교: 목사는 '새로운 생각'이 그녀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설명한다." Citizens' Voice, 2000년 3월 29일, 23페이지 미첼, 메리 E. (2014). 영적 마음 치유를 위한 실무자 핸드북. 레드 휠/바이저/코나리. pp. 23장. ISBN 978-0-917849-34-3 및 wikipedia.org/wiki/Special:BookSources/978-0-917849-34-3 New Perspective, The Sacramento Bee, 1999년 6월 5일, 페이지 H1 스미스, 산드라 린지(2014). 생활의 주간 지혜의 정원. 레드 휠/바이저/코나리. ISBN 978-0-917849-36-7 및 /Red_Wheel/Weiser/Conari 및 모리세이, 메리 마닌(2002). 위대함 그 이상: 진정한 사랑을 가능하게 하는 일곱 가지 영적 원리 랜덤 하우스 출판 그룹. ISBN 978-0-553-89694-7 Awakened Dreams, The Desert Sun, 1999년 4월 23일, 15페이지 "대안: Mary Manin Morrissey 목사가 영적 성장에 대해 이야기하다", Chicago Tribune, 2001년 9월 28일, 133페이지 위대함 못지않게: 진정한 사랑을 만드는 일곱 가지 영적 원리, Mary Manin Morrissey, p. 277 "Love Is Left and Lives Are Change: Spokane Spiritual Center", The Spokesman-Review, 1998년 12월 19일, 73페이지 마틴-버크, 엘리자베스. "Spiritual Life Center Counts Down to Planned Workshop" The Press-Tribune (Roseville, California) 2000년 9월 8일, 6면 허바드, 바바라 막스 (2010). 의식적 진화: 우리의 사회적 잠재력의 힘을 일깨우다. 신세계도서관. ISBN 978-1-57731-281-9 및 /New_World_Library 및 "변혁 리더십 위원회 - 회원 공개 프로필". www.transformationalleadershipcouncil.com. 2021년 10월 2일 검색됨 패터슨, 미셸 (2014). 여성이 세상을 바꾼다: 잠재력을 계발하고 성공을 달성한 주목할만한 여성. 벤벨라 북스. 피. 101. ISBN 978-1-939529-17-6 및 BenBella_Books 및 킵, 마스틴 (2017). 당신의 힘을 요구하십시오. 헤이 하우스. pp. 34일. ISBN 978-1-4019-4955-6. 및 및 .org/wiki/Special:BookSources/978-1- = 분류:어린이를 소재로 한 영화 = = 여수문화방송 = 여수문화방송주식회사(麗水文化放送株式會社), (약칭 여수MBC)는 전남동부지역과 서부경남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사이다. = = 연혁 = = = = = 1960년대 = = = 1968년 8월 5일 : 무선국 가허가 = = = 1970년대 = = = 1970년 7월 24일 : 남해방송주식회사 설립 등기 1970년 8월 27일 : 남해방송(주), AM개국(여수시 중앙동) 1971년 10월 1일 : 여수문화방송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대표이사 회장 안성수 취임, 대표이사 사장 윤덕병 취임. 1975년 9월 27일 : 사옥 준공 (여수시 교동 596-2) = = = 1980년대 = = = 1980년 2월 28일 : 대표이사 사장 박문백 취임 1984년 8월 : TV 중계소 개소 (여수:구봉산/ 순천:천황산) 1985년 8월 27일 : 음악FM 개국 (주파수 98.3 ㎒, 출력 2㎾) 1986년 2월 : TVR 5개소 개소 1987년 11월 21일 : TV 개국, 지역 TV-Local 방송을 시작 1988년 2월 : 표준FM방송 개국 (주파수 100.7 ㎒, 출력 1㎾) 1988년 6월 : TVR 5개소 개소 = = = 1990년대 = = = 1991년 11월 15일 : 現 사옥신축 (여수시 문수동 101-1, 문수로 135) (부지 13,000평, 건물 1,600평, 지상5층, 지하 1층) 1993년 6월 : 순천시 행동에 라디오 스튜디오 개설 1993년 7월 : 일본 KBC 규슈 아사히방송 우호협력협정 체결 1994년 2월 : 중국 웨이하이전시대 교류 개시 1994년 7월 : TV 중계차 도입, 신속한 현장 생방송 체제 구축 1995년 7월 : 중국 웨이하이전시대 우호협정 조인식 1995년 12월 : 순천시 조례동에 TV 스튜디오 개설, 라디오 스튜디오 이전 1996년 11월 : AM송신소 자동화 시스템 구축 1998년 3월 : 회사 Homepage open 1998년 11월 : 현사옥내에 야외 공연장 준공 (야외음악회 등 각종 행사 개최, 현장 생방송 장소로 활용) = = = 2000년대 = = = 2000년 8월 : TV 주조 제작시설과 송출실로 분리 2002년 6월 : 마이로스 시스템 도입 (라디오 디지털) 2002년 6월 14일 : 표준FM 주파수 변경 (100.7 ㎒ → 100.3 ㎒) 2002년 8월 : 난시청해소를 위한 유선방송시스템 구축 (거문도, 구승주지역) 2004년 9월 : 표준FM 방송 송신점 변경 (천황산 → 남산) 2005년 12월 : DTV 개국 2006년 8월 : TV 방송 보조국 채널 변경 이설 (순천 천황산(Ch7) → 남산(Ch43)) 2007년 11월 : 여수 구봉산 표준 FM 송출 (주파수 107.1 ㎒, 출력 100W) 2008년 3월 : TV부조 HD시스템 구축 = = = 2010년대 = = = 2010년 12월 : 망운산 중계소 신설 2011년 9월 : 망운산 DMB 중계소 준공(7ACH, 출력 2KW) 2012년 4월 : HDTV 중계차 도입 2012년 5월 : MBC투어클럽 및 캠핑사업 출범 2012년 10월 30일 : 아날로그 방송 종료 2013년 6월 12일 : 전라권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완료. 2014년 1월 : MB구봉산 송신소 자동송출 시스템 구축 2014년 9월 : HD중계차 및 방송요원 2014 인천아시안게임 중계 참여 2014년 10월 18일 : 광주·목포·여수 주말 뉴스데스크 통합 편성 시작 2016년 9월 : 망운산 표준 FM 송출 (주파수 101.3㎒, 출력 100 W) = = = 2020년대 = = = 2022년 9월 8일 - AM 라디오 운용 일시 휴지(1080kHz, 10kW). FM방송 전환. 2023년 3월 8일 - AM 라디오 송출 종료(1080kHz, 10kW). = = 본사·지사 소재지 = = 우59700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35 우57971 전라남도 순천시 백연길 111 순천농협 6층 = = TV방송 = = 1984년 8월 여수 구봉산에 TV중계소가 설치된 후, 1987년 11월 21일 TV 연주소를 갖추고 여수문화방송의 TV방송이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전남 동부지역과 서부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 = = 프로그램 = = = 프로그램명 방송시간 편성시간 진행 MBC 뉴스투데이 전남동부권 월~금 30분 07:20 ~ 07:50 송유라 MBC 뉴스데스크 전남동부권 월~금 20분 일 15분 20:25 ~ 20:45(금 20:00 ~ 20:20) 20:20 ~ 20:35 박성언 (월-목), 김단비(금) (평일) 무작위 (일요일) 생방송 전국시대 다큐에세이 여기 이 사람 MBC토론 - 갑론을박 MBC가요베스트 어영차 바다야 (목포MBC 제작) TV특강 문화공감 통 이것이! 백세건강 시청자가 만드는 TV 지리산의 선물 사람,산 (울산MBC 제작) 오매! 전라도 (광주MBC 제작) 코미디파티 (전주MBC 제작) 문화콘서트 난장 (광주MBC 제작) = = = 방송 송출 시설망 = = = 호출부호 : HLAT-DTV 가상채널 : 11-1 송신소 UHD UHD HD HD 송신소 위치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구봉산 송신소 준비중 준비중 CH 26 1㎾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망운산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16 1㎾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여수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41 2W 전남 여수시 봉산동 427-5 쌍봉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51 20W 전남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산201-1 남산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14 90W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순천서면 소출력 준비중 준비중 CH 14 0.05W 전남 순천시 서면 동산리 옥룡 소출력 준비중 준비중 CH 14 0.05W 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쌍암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41 5W 전남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산62 고흥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22 20W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산58-1 녹동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36 20W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산237 비봉산 도화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26 20W 전남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 산113 시루봉 포두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20 5W 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산311 벌교 중계소 준비중 준비중 CH 35 20W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준비중 준비중 준비중 준비중 호출부호 : HLAT-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구봉산 송신소 CH 28 5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여수 중계소 CH 41 10W 전남 여수시 봉산동 427-5 쌍봉 중계소 CH 45 100W 전남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산201-1 광양 중계소 CH 21 500W 전남 광양시 마동 산80-8 가야산 남산 중계소 CH 43 500W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쌍암 중계소 CH 45 10W 전남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산62 벌교 중계소 CH 39 100W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 = 라디오방송 = = 1970년 8월 27일 남해방송(NBC)으로 AM라디오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85년 8월 27일에는 음악FM, 1988년 2월에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였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전남동부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 = = 프로그램 = = = = = = = 여수MBC 라디오 = = = =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신나는 오후 매일 115분 양성화 1분 건강상식 매일 1분 박성언 MBC 정오종합뉴스 월~금 5분 송유라 라디오전망대 월~금 55분 이용선 MBC 15시 뉴스 월~금 5분 송유라 MBC 17시 뉴스 매일 5분 송유라 = = = = 여수MBC FM4U = = = =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음악식당 평일 120분 박성언 1분 건강상식 매일 1분 박성언, 이용선 정오의 희망곡 = = = 방송 송출 시설망 = = = 여수MBC 라디오 여수MBC 라디오 여수MBC 라디오 여수MBC 라디오 여수MBC 라디오 여수MBC 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방송구역 남산 송신소 FM 100.3㎒ 1㎾ HLAT-SFM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순천시 일원, 여수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구봉산 송신소 FM 107.1㎒ 100W HLAT-SFM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망운산 중계소 FM 101.3㎒ 100W HLAT-SFM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광양시 일원, 여수시 일부, 순천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하동군 일부,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방송구역 구봉산 송신소 FM 98.3㎒ 2㎾ HLAT-FM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보성군 일부, 구례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 = 시보 멘트 = = 표준FM 100.3, 107.1MHz HLAT-SFM 여수문화방송입니다. FM 98.3MHz HLAT-FM 여수MBC FM4U입니다. = = 지상파DMB방송 = =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등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광주전남전북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 = 소속 방송인 = = = = = 편성제작팀 = = = 안정희 송민교 김지홍 김순호 이동신 = = = 영상제작팀 = = = 박찬호 국장 송정혁 차장 배준식 영상기자 정은용 영상기자 = = = CG = = = 김경원 최윤정 김상오 = = = 여수mbc 보도부 = = = 김종태 센터장 최우식 국장 김주희 국장 문형철 차장 김단비 기자 유민호 기자 최황지 기자 = = = 아나운서 = = = 이용선 박성언 송유라 = = = MC & 리포터 = = = 박종일 강현주 양성화 황태진 김병철 김지연 이미지 임나현 백장미 = = 역대 연중캠페인 = = 2014년 ~ 2015년: 새로운 희망 MBC와 함께 2016년 ~ 2018년: 여러분의 열정, MBC가 응원합니다. 2019년 ~ 2023년: 밝은 미래 좋은 세상 MBC가 함께합니다. 2024년: 로컬 퍼스트 지역이 미래다. = = 본점 및 지점 현황 = = 본점: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35 (문수동) 광양시네마플러스: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순광로 466 = TFU = TFU는 다음을 뜻한다. 하나 되는 세 고백서(Three Forms of Unity) * 스타워즈: 포스 언리쉬드(Star Wars: The Force Unleashed) = 2023년 5월 = __NOTOC__ = 포털:요즘 화제 = = 틀:평북선 = = 분류:영주시의 고등학교 = = 투영법 = 투영법(投影法)은 입체적인 물체를 평면 상에 그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각 분야에 있어서의 투영법은 다음 글들을 참조하라. 미술 : 투영법 (미술) 지리 : 지도 투영법 수학 : 투영법 (수학) = 틀:나라자료 부천 = = 노동자평의회 = 노동자평의회(勞動者評議會, , , )는 특정 직장 또는 회사, 예컨대 공장, 학교, 농장, 기업, 은행, 시장, 빌딩 등과 같은 장소에서 그 직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집단적으로 운영하는, 임시적 가역적 대표위임을 원칙으로 하는 정치경제조직이다. 노동자평의회 체제 하에서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의제가 무엇이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한다. 위임된 대표자는 노동자들 자신들 가운데에서 선출된다. 대표자가 그 권한을 배반했을 경우 즉시 퇴진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대표자는 자주 교체되는 것을 상정한다. 노동자들을 감독하는 관리자는 따로 없으며, 모든 결정권한과 조직은 대표자 시스템에 달려 있다. 보다 큰 규모로 보면 이렇게 선출된 단일 직장의 대표자들이 보다 상위 평의회의 구성원으로서 그 대표자를 선출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하다 보면 해당 국가의 해당 산업 전체를 운영하는 최고 대표자까지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체제 하에서 결정 권한은 노동자들 스스로의 의제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로 전달된다. 이는 상명하복을 원칙으로 하는 관료제와 정반대 성격을 나타낸다. 소비에트 연방의 "소비에트"는 러시아어로 "평의회"라는 뜻으로, 본래 이러한 노동자평의회의 일종이었다. 그러나 소련에서는 혁명과 내전을 거치면서 공산당 관료제가 평의회를 장악하게 되었고, 국호에 이름을 올린 "소비에트"는 정작 유명무실해지고 말았다. = 분류:대구 달서구의 고등학교 = = 분류:부룬디의 육상 = = 서보민 = 서보민은 다음을 가리킨다. 서보민(1989 ~ )은 KBO 리그 전 NC 다이노스의 선수이다. 서보민(1990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프랑스의 법철학자 = = 틀:K7리그 태백 = = 분류:카자흐스탄 공산당의 정치인 = = 칼 크로퍼드 = 칼 데몬트 크로퍼드(, 1981년 8월 5일 ~ )는 미국출신의 야구 선수이자 현재는 무소속이다. 주로 좌익수로 경기에 나오며, 빠른 발을 이용해서 50개의 도루를 기록한 시즌이 5번이나 되며, 현역 선수 중에 가장 많은 통산 120개의 3루타를 기록하고 있다. = = 경력 = = = = = 메이저 리그 이전 = = = 어렸을 때 살던 곳에는 주위에 불량한 아이들이 많았지만, 현재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선수인 마이클 본의 아버지인 레이가 아이들을 야구를 하도록 이끌면서 범죄자는 되지 않았다. 이것에 크로퍼드는 감사하고 있으며, 당시 팀메이트였던 마이클 본과도 친하다. UCLA는 농구선수로, 네브래스카 대학은 풋볼선수로 장학금을 제시했지만 크로퍼드는 야구를 선택했다. = = = 탬파베이 레이스 = = = 1999년에 있었던 MLB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로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에게 지명을 받아 입단하며, 2002년 7월 20일에 있었던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서 구단사상 최연소(당시)로 메이저 리그데뷔를 이룬다. 데뷔전에서는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하며,시즌에서는 .259의 타율과, 9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2003년에는 개막전에서 1번타자로 나오지만, 6월에는 월간타율이 2할 5푼을 밑돌면서 1번타자 자리에서 나오게 된다. 하지만, 7월에는 3할을 넘는 타율을 기록한다. 시즌에서는 리그에서 가장 많은 55개의 도루를 기록하였으며, 메이저 리그 역사상 4번째로 젊은 나이로 도루 타이틀을 따낸다. 2004년에는 자신의 커리어에서 가장 많은 59개의 도루와 19개의 3루타를 기록하였으며,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에 나오기도 한다. 또, 시즌이 끝난 뒤에는 미일 올스타전에 메이저 리그 선수로 나가기도 한다.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는 2005년에 개막전이 시작하기 전인 4월 1일에 총액 3,100만 달러에 계약을 6년 연장한다(2009년과 2010년은 구단 옵션). 9월이후에는 .371의 타율을 기록하며 시즌에서 .301를 기록한다. 이것은 자신에게 있어서 첫 3할 타율 기록이었다. 2006년에는 전년부터 있었던 손목 통증을 견디면서 개막전을 맞이하였으며, 결국 4월에 .269의 타율을 기록한다. 하지만, 5월부터 컨디션을 끌어올리며 시즌에서는 18개의 홈런과 .305의 타율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3할 타율을 기록한다. 2008년에는 오른손 중지를 부상당하며 8월 10일에 자신에게 있어서 처음으로 부상자 리스트에 올라간다. 하지만, 팀이 앞서 나가는 것을 보고 조기에 복귀했으며, 포스트 시즌에서 5번 타자로 나와서 활약했다. 2009년 5월 3일에 있었던 보스턴 레드삭스전에서 1경기에 6개의 도루를 성공시키며 메이저 리그 기록과 타이를 이룬다. 이것은 1900년 이후에는 1996년에 에릭 영이 기록한 이후 4명째(5번째)이며, 1개만 더 기록했다면 메이저 리그 기록이 될 수 있었다. 3번째로 올스타전에 나왔으며, 7회 수비에서 브래드 호프의 홈런성 타구를 호수비로 잡아내며 올스타전 MVP를 따낸다. 2010년에는 2년 연속으로 3할 타율을 기록했으며, 자신에게 있어서 가장 많은 110개의 득점을 기록한다. 또, 3루타는 13개를 기록하며 4년만에 1위를 차지했으며, 자신의 커리어에서 가장 많은 19개의 홈런, 90개의 타점, .851의 OPS를 기록한다. 성적면에서 훌륭한 시즌을 보낸 후 시즌이 끝난 뒤인 11월 1일에 FA가 된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2010년 12월 11일에 보스턴 레드삭스와 총액 1억 4,200만 달러에 7년 계약을 맺는다. 하지만, 시즌 중 한번도 20홈런을 친적이 없는 타자 중에서는 최고액이라는 것과, 켄 그리피 주니어와 버넌 웰스 등 인공 잔디 구장을 홈으로 오래 사용한 후 대형계약을 맺는 외야수들은 부상에 시달리는 것이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영입하며 반대의 목소리도 많았다. 2011년에는 새로운 곳에서 시즌을 맞이했지만, 극도의 부진에 빠지고 만다. 개막 할 당시에는 1번타자로 나왔지만, 후에 6번타자까지 내려간다. 또, 와일드 카드가 걸린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는 9회말 2사 2루 동점 상황에서 좌익수방면으로 날아온 공을 슬라이딩 캐치(워낙 잡기 어려운 공이었다)하며 잡으려 했지만 공을 떨어뜨리며(기록은 안타) 2루 주자가 들어오고, 팀은 끝내기 패배를 당한다. 결국, 그 날 친정팀인 탬파베이 레이스는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끝내기 승리를 거두며 팀의 와일드 카드는 날아갔다. 시즌 성적은 .255의 타율과 11개의 홈런, 18개의 도루를 기록했는데, .255는 자신에게 있어서 최저의 타율이었으며, 주전으로 뛴 후 처음으로 20개의 도루를 넘기지 못하는 등 좋지 않은 시즌을 보낸다. 2012년에는 개막전부터 부상자 리스트에 올랐으며, 복귀를 노리고 재활을 하던중에 또 부상을 당한다. 또, 7월 16일에 복귀하여 통증을 참으며 경기에 나왔지만, 왼쪽 팔꿈치에 토미 존 수술을 받게되며 남은 시즌을 전부 다 날리게 된다. 결국 이 해에는 31경기밖에 나오지 못했고, 시즌이 끝난 후에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하게 되며 보스턴 레드삭스의 칼 크로퍼드 영입은 대실패로 끝난다. =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시즌이 진행 중이던 2012년 8월 25일에 조쉬 베켓, 애드리안 곤잘레스, 닉 푼토와 현금을 합쳐서 제임스 로니, 이반 데 헤수스, 앨런 웹스터, 그리고 후일 지명 선수 2명과 트레이드되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하게 된다. 이적을 한 후에는 토미 존 수술을 받은 것 때문에 경기에 나오지 못한다. 2013년에는 개막 로스터에 들어갔지만 4월 30일에 햄스트링 부상으로 인해 빠지게 된다. 5월에는 복귀 했지만 6월 2일에 햄스트링이 재발하며 6월 3일에 15일 부상자 리스트에 오르며 7월 5일에 복귀한다. 시즌에서는 116경기에 나와서 6개의 홈런, 31개의 타점, 15개의 도루와 .283의 타율을 기록한다. 2014년에는 주전 좌익수로 개막전부터 44경기를 연속으로 나오지만, 5월 28일에 왼쪽 발목이 부상을 당하면서 부상자 리스트에 오른다. 그 후, 7월 11일에 다시 복귀하며 7월 14일부터 선발로 경기에 나선다. 시즌에서는 .300의 타율을 기록하였으며, 23개의 도루를 성공시키며 4년만에 20개의 도루를 달성한다. 2015년에는 69경기에 출전(43경기 선발)해 2할6푼5리(181타석 48안타)만을 기록하고, 4홈런 16타점 및 10개의 도루를 달성하였다. 2016 시즌에는 30경기에 출전(21경기 선발)해 타율 1할8푼5리(81타수 15안타) 0홈런 6타점만을 기록하였다. 6월 5일 다저스에서 결국 시즌 중 지명할당하면서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됐다. 크로퍼드를 대신해서 오스틴 반스가 트리플 A에서 콜업되었다. 크로퍼드는 올 시즌 잔여 연봉이 약 $13,606,557이며, 2017년 잔여 연봉은 약 $21,857,142이다. 지명할당 후 앞으로 10일간 다른 구단에서 클레임을 할 경우 다저스는 크로퍼드를 클레임을 건 구단에 트레이드 할 수 있고, 다른 구단의 클레임이 없으면 10일 후에 다저스는 크로퍼드를 마이너로 보낼지 방출할지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아마 크로퍼드를 방출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남은 계약은 모두 다저스 측에서 부담을 해야 한다. 일단 방출 당하면 메이저리그 최소 연봉($507,500)으로 영입 협상이 가능해지므로 그의 성적과 잔여 연봉을 고려하면 굳이 클레임을 걸어서 그를 트레이드 할 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 수상 경력 = = 도루 1위 4회 : 2003년, 2004년, 2006년, 2007년 3루타 1위 4회 : 2004년, 2005년, 2006년, 2010년 골든글러브 1회 : 2010년 실버 슬러거 1회 : 2010년 필딩 바이블 어워드 : 2006년, 2008년, 2009년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 선출 4회 : 2004년, 2007년, 2009년, 2010년 메이저 리그 올스타 MVP : 2009년 = = 연도별 타격 성적 = = 2002년 TB 63 278 259 23 67 11 6 2 96 30 9 5 6 1 9 0 3 41 0 .259 .290 .371 .661 2003년 TB 151 661 630 80 177 18 9 5 228 54 55 10 1 3 26 4 1 102 5 .281 .309 .362 .671 2004년 TB 152 672 626 104 185 26 19 11 282 55 59 15 4 6 35 2 1 81 2 .296 .331 .450 .781 2005년 TB 156 687 644 101 194 33 15 15 302 81 46 8 5 6 27 1 5 84 11 .301 .331 .469 .800 2006년 TB 151 653 600 89 183 20 16 18 289 77 58 9 9 2 37 3 4 85 8 .305 .348 .482 .830 2007년 TB 143 627 584 93 184 37 9 11 272 80 50 10 1 2 32 5 5 112 11 .315 .355 .466 .820 2008년 TB 109 482 443 69 121 12 10 8 177 57 25 7 0 5 30 1 2 60 10 .273 .319 .400 .718 2009년 TB 156 672 606 96 185 28 8 15 274 68 60 16 2 5 51 1 8 99 7 .305 .364 .452 .816 2010년 TB 154 663 600 110 184 30 13 19 297 90 47 10 3 5 46 3 3 104 2 .307 .356 .495 .851 2011년 BOS 130 539 506 65 129 29 7 11 205 56 18 6 2 4 23 1 3 104 7 .255 .289 .405 .694 2012년 BOS 31 125 117 23 33 10 2 3 56 19 5 0 1 2 3 0 2 22 1 .282 .306 .479 .785 2013년 LAD 116 469 435 62 123 30 3 6 177 31 15 4 0 2 28 2 3 66 4 .283 .329 .407 .736 2014년 LAD 105 370 343 56 103 14 3 8 147 46 23 6 0 4 16 0 6 55 5 .300 .339 .429 .767 통산:13년 통산:13년 1617 6898 6393 971 1868 298 120 132 2802 744 470 106 34 47 363 23 46 1015 73 .292 .332 .438 .771 2014시즌 종료 기준 각년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분류:이집트 분수 = = 탤론 = 탤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T-38 탤론 탤론 (데이터베이스) = 미원 (조미료) = 미원은 대상에서 1956년에 출시한 조미료로, 일본 아지노모도에서 유래되었다. 사탕수수를 발효해서 만든 조미료이며, 성분은 글루탐산 나트륨이다. 임대홍 창업주가 일본으로 건너가서 조미료 제조법을 배운 후, 1956년에 첫 출시하여 제품 로고도 그릇에서 신선로 형태로 바뀌었으며, 현재도 장수하고 있는 상품이다. = = 광고 = = 과거에 미원 광고의 주 모델인 김지미, 고두심, 현재 슈퍼주니어 출신 아이돌 김희철이 미원 광고의 주 모델이다. 미원의 '미필적선의'가 광고 컨셉이다. = = 논란 = = 1960년에 미국에서 처음 제기되었던 'MSG 유해 논란'이 1990년대 초 대한민국에서도 불거졌다. 무첨가 마케팅이 촉발한 MSG 유해 논란이 현재까지 남아 있긴 하지만, 점차 부정적 인식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는 추세다. = 안정리 사건 = = 이스트하트퍼드셔 = 이스트하트퍼드셔는 잉글랜드 하트퍼드셔주에 위치한 비도시 자치구로 중심 도시는 비숍스스토트퍼드이며 인구는 143,021명(2014년 기준), 면적은 475.69km2이다. = 마호 해변 = 마호 해변은 카리브 제도의 세인트마틴 섬 남부, 네덜란드령인 신트마르턴에 위치한 해변이다.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이 근접해 있어서 항공기들이 이착륙하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 분류:서울숭미초등학교 동문 = = 분류:대륙별 200년 = = 분류:영국의 남자 라디오 배우 = = 분류:토산 김씨 = = 분류:팬아메리칸 게임 핸드볼 = = 태평로1가 = 태평로1가는 대한민국의 다음 지역에 위치한 법정동 이름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1가 = 액티브 스크립팅 = 액티브 스크립팅(Active Scripting, 공식적으로 ActiveX Scripting으로도 알려져 있음)은 윈도우에 쓰이는 기술이며 구성 요소 기반의 스크립팅 지원을 제공한다. COM(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OLE 자동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COM 모듈의 형태로 추가적인 스크립팅 엔진을 설치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액티브 스크립팅 기술은 1996년에 처음 선을 보였다. 이를테면 1996년 8월에 공개된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3.0과 1996년 12월에 공개된 인터넷 정보 서비스 3.0 제품에 포함되어 있었다. = 김제 금산사 노주 = 김제 금산사 노주(金堤 金山寺 露柱)는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용도를 알 수 없는 돌 조각상이다.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대한민국의 보물 제22호로 지정되어 있다. = = 개요 = = 이 석조 건조물은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유물이나 그 형태가 방형의 연화대처럼 조성된 특이한 석조물임에 착안하여 노주라고 부르고 있다.현지 안내문 인용 석조 건조물의 구조는 상, 중, 하 삼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단마다 안상과 화형문 그리 귀와 앙련(仰蓮), 복련(覆蓮) 등이 화려하고 다양하게 조각되어 있다. 특히 상대성 위에는 일반 석탑의 상륜부와 유사한 양식이 조각되어 있는데, 상륜부가 원형이며 보주 사에는 간주 형식인 것이 매우 특이하다. 연봉형인 보주의 조상기법으로 보아 고려 초기의 작품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분류:벤질아이소퀴놀린 = = 운명의 룰렛을 돌리며 = 〈운명의 룰렛을 돌리며〉는 일본의 밴드 ZARD의 25번째 싱글 앨범으로, 1998년 9월 17일 발매되었다. (8cm CD: JBDJ-1041) 곡의 작사는 사카이 이즈미가, 작곡은 쿠리바야시 세이이치로가, 편곡은 이케다 다이스케가 맡았다. 이 곡은 ZARD의 곡 중에서 가장 많은 편곡이 존재하는 노래 중 하나인데, 1998년 4월 후루이 히로히토가 곡의 첫 편곡을 한 뒤로, 모두 18개의 타입이 만들어졌다. 이케다 다이스케가 3번째 편집을 하며 후루이의 것보다 템포와 곡의 사이즈를 변경했는데, 여기에 좀더 템포와 사이즈를 바꾼 뒤, 간주를 편곡한 뒤 소절을 잘라낸다던가, 인트로를 스페인 풍으로 변경하는 등의 편집을 마친 13번째 타입에, 사카이 이즈미가 드럼의 음색을 바꿔 넣자는 제안이 수용된 '13-2 타입'으로 싱글이 발매되었다. 이런 작업으로 인해 원래 9월 9일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본인들이 납득할만한 곡이 나오지 않아서 발매일자를 17일로 연기하기도 했다. (제 1판의 자켓에는 발매일이 9월 9일로 표기되어 있다.) 이 곡은 TV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의 주제가로도 사용되었다. 한편 2016년, ZARD와 같은 음반제작사에 소속된 La PomPon이 이 곡을 리메이크 했으며, 리메이크 곡 역시 명탐정 코난에 삽입되었다. B사이드 곡은 〈소녀 시절로 되돌아간 것처럼〉이며, 작곡은 사카이 이즈미가, 작곡은 오노 아이카가, 편곡은 이케다 다이스케가 맡았다. 오노 아이카가 ZARD에게 작곡해준 첫 번째 곡이며, 1998년 1월 작곡이 완료되었다. (1998년 2월, 오노는 한 달만에 41번째 싱글 A사이드 곡인 〈슬퍼하는 만큼 그대가 좋아요〉를 작곡하기도 했다.) 싱글은 오리콘 주간 싱글차트에서 1위에 올랐고, 9주간 차트에 머물렀다. = 분류:아일랜드의 스키 = 아일랜드 스키 아일랜드 en:Category:Skiing in Ireland =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는 과도기적 위치였던 러시아 헌법에 근거하여, 그리고 1991년 러시아연방 대통령 선거로 당선된 보리스 옐친의 퇴임이 예정됨에 따라 계획되었다. 1996년 6월 16일과 7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치러졌다. 새로 형성된 러시아의 선거 역사에 있어 당선자 결정을 위해 투표를 두 차례 거친 최초이자 유일한 대통령 선거가 되었다. 이 선거에서 후보자들은 처음으로 이미지메이커와 선거 매니저를 적극적으로 도입했고, 후보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타들이 선거유세를 다녔다. 유력한 후보는 현직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과 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당수 겐나디 주가노프였다. 나머지 후보들 중 "제3의 후보"로 부를만한 지지표를 얻은 사람은 없었으며, 이들 중 가장 주목할만한 후보는 러시아 연방군 중장 알렉산드르 레베디였다. 그는 1차 투표에서 3위를 차지한 다음 날, 러시아안보회의 서기로 임명된다. 이는 그가 지지자들에게 현 대통령의 지지를 부탁한 후의 일이었다. 2차 투표에서는 옐친이 승리했으며, 53% 이상의 표를 얻었다. 취임식은 1996년 8월 9일 국립 크렘린궁에서 진행되었다. 해당 선거는 지금까지도 러시아 사회에서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는 (흑색선전을 포함한) 여론조작 기술의 사용, 막대한 선거비용의 지출 , 선거법 위반 혐의, 그리고 선거결과 조작에 대한 비판과 관련되어 있다. = = 선거 이전 상황 = = 대통령 선거일은 연방평의회의 1995년 11월 15일 결정으로 확정되었다. 1995년 12월 17일에는 국가두마 상원의원 선거가 있었다. 1위는 러시아연방공산당이(22.3% 157석), 2위는 자유민주당이, 3위는 현 대통령을 지지하는 정치운동단체 우리 집 러시아가(10.1%, 45석) 차지했다. 옐친의 지지도는 1991년 대통령 선거에서 분명 높았으나, 그의 임기동안 대폭 하락했다. 이는 대통령이 러시아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지지도는 경제개혁, 범죄율 증가, 임금과 연금 지불의 지연, 그리고 체첸 전쟁으로 3-5%에서 8-9%를 오갔다. 국가두마 선거에 있어 '중립주의자'들의 패배는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 큰 영향을 끼쳐, 옐친의 강성 지지층마저 그의 재집권 가능여부에 의심을 표할 정도였다. 대통령 선거의 유력 후보자는 러시아공산당의 당수 겐나디 주가노프로 여겨졌으며, 그의 선거 프로그램은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1996년 2월에 실시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인구의 약 30%가 러시아공산당측 후보를 완전히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약 33%는 부분적으로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1996년 2월 정치학자 알렉산드르 치프코는 "니자비시마야 가제타"에 낸 기고문을 통해 대통령 선거를 취소할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적절한 후보의 부재와 주가노프와 옐친 가운데 하나를 선택했을 때 따라올 파국적 결말을 그 근거로 했다. 옐친에게는 세 개의 선택지가 있었다. 전통적인 시나리오를 따라, '집권당 선거본부'의 준비성을 믿고 선거를 진행하는 것. 특수한 상황임을 근거로 대통령 선거를 취소하는 것. 서방 정치모델로 구성한 캠페인을 따라 옐친의 당선에 관심이 있는 올리가르히들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 것. 3월 15일 국가두마는 소련의 해체에 관한 조약인 벨라베자 조약의 일부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려, CIS와 발트 국가의 지도자들의 항의를 자아냈다. 옐친은 이 결정을 공산주의자들의 반란 시도로 규정하여 국가두마를 해체, 대통령 선거를 1998년으로 연기시키고(경호실장 알렉산드르 코르자코프의 조언을 따름), 러시아연방공산당의 활동을 금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전국에 긴급상황을 선언하고 군 병력을 투입한다는 이 조치는 공산주의자의 지도 하에 민중봉기가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는 선택이었다. 3월 18일,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올렉 소스코베츠, 니콜라이 이고로프와 옐친의 선거운동 관계자들은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여기서 소스코비츠를 필두로 한 대다수는 선거를 취소할 것을 주장했으나, 옐친의 딸 타티야나 디야첸코는 아나톨리 쿨리코프와 아나톨리 추바이스의 의견을 들을 것을 설득했다. 몇 시간동안 이어진 회의 이후 옐친은 결국 선거를 제기간에 실시한다는 결정을 내린다. = = 선거운동의 시작 = = 1996년 새해 전야, 후보자 지지 서명수집이 시작되었다. 등록에는 최소 백만 명의 서명이 필요했다. 각 정당과 각 후보자(무소속인 경우)의 캠페인 비용은 미화 3백만불을 초과하지 않아야 했다. 추바이스는 이 금액이 "진지하지 못하다"고 말했으며, 세르게이 리솝스키는 모든 서비스의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자금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캠페인은 5월 14일에 시작되었다. 각 후보자들에게는 30분동안 무료로 방송시간이 제공되었으며, 추가로 매 분마다 8천5백달러에서 3만5천달러까지의 비용이 청구되었다. 러시아 역사상 최초의 대통령 후보자 토론이 프로그램 "아진 나 아진"의 8개 에피소드로 방영되었다. 방송에는 스뱌토슬라프 표도로프, 유리 블라소프,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미하일 고르바초프, 마르틴 샤쿰, 알렉산드르 레베디, 아만 툴레예프, 블라디미르 브린칠로프가 참여했다. 투표 전날, "아르구멘티 이 팍티" 신문은 대통령 후보에게 직접 요청할 수 있는 직통 전화번호를 공개했다. 가장 자주 언급된 것은 노령연금을 최저임금(73,000루블) 수준으로 인상해달라는 부탁, 다양한 기업의 근로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해달라는 부탁, 대량 해고를 방지하고 실업자들이(대도시 거주자를 포함) 자신의 전문 분야의 직업을 구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부탁이었다. 체첸에서 투표가 진행될 당시 6월 1일부터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총리와 체첸공화국 대통령 젤림한 얀다르비예프가 서명하여 휴전이 시행되었다. 안전을 위하여 체첸의 투표소는 버스에 설치되었다. 공화국에서는 같은 날 대통령 선거와 함께 체첸공화국 인민회의 선거가 있었다. 6월 14일 ORT에선 특집 편성으로 캐피털-쇼 "폴레 추데스"가 방영되었다. 이는 ORT, NTV, VID 그리고 프로그램 '쿠클리'의 촬영팀이 합작한 편성이었다. 극에는 러시아 대통령 후보 7명(미하일 고르바초프, 겐나디 주가노프,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스뱌토슬라프 표도로프,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알렉산드르 레베디, 보리스 옐친), 국방부 장관 파벨 그라초프, 총리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의 인형이 등장했다. 극의 주요 주제는 "모레"로, 단계마다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후보들 간의 관계를 묘사했다. 최종적으로 주가노프와 옐친이 결승에 진출하며, 옐친이 6개의 상징적인 상품을 받고 편성과 극의 승리자가 되었다. 시나리오 작가는 프로그램 '쿠클리'의 작가인 빅토르 셴데로비치다. = = 후보 = = 대통령 후보를 지명하기 위해 러시아 중앙선거위원회에 등록된 발기단체는 78개였으며, 이중 백만 명 이상의 서명이라는 조건을 충족한 단체는 16개였다. 선거위원회는 9명의 후보를 등록하였으며, 7명의 후보는 등록을 거부하였다. 이중 6명은 선거위원회의 등록거부에 항의하여 대법원에 항소하였으며, 법원은 이 가운데 2명을 등록조치하도록 판결하였다. 정치운동단체 또는 발기단체가 지명한 후보자의 목록 정치운동단체 또는 발기단체가 지명한 후보자의 목록 정치운동단체 또는 발기단체가 지명한 후보자의 목록 정치운동단체 또는 발기단체가 지명한 후보자의 목록 후보 직책 (지명 당시 기준) 정당 (운동단체) 상태 맙사르 아두예프 신문 "세계민주동맹" 편집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나톨리 아키닌 1인회사 "다부문기업가동맹 AKRiN"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악쇼노프 연금생활자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 국가러시아노동조합동맹 대표 국가노동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빅토르 안필로프 러시아공산노동당 당수 러시아공산노동당 주가노프 지지 알렉산드르 아르카쇼프 러시아국가통합당 당수 러시아국가통합당 옐친 지지 타마라 바질레바 "인간의 환경" 대표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보로브코프 VOSVOD 중앙의회 제1부의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콘스탄틴 보로보이 기업가, 국가두마 의원 경제자유당 야블린스키 지지 블라디미르 브린찰로프 기업가, 국가두마 의원 러시아 사회주의당 등록 거부, 대법원에서 등록조치 판결 알렉산드르 바실리예프 운동단체 "신과 함께하는 세계"의 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유리 블라소프 작가 민족애국당 등록됨 안드레이 볼코프 무직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르카디 볼스키 러시아실업가동맹 회장 무소속 옐친 지지 블라디미르 보로닌 연금생활자 러시아 국가부흥을 위한 운동 필요 서명수 미충족 이고르 가이다르 국가두마 의원 러시아 민주선택 옐친 지지 미하일 고르바초프 "고르바초프-펀드" 대표 무소속 등록됨 보리스 그로모프 국가두마 의원 나의 조국 입후보 거부 니콜라이 달스키 펀드 "공동의 동의" 대표 무소속 옐친 지지 보리스 옐친 러시아 연방 대통령 무소속 등록됨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국가두마 의원 자유민주당 등록됨 안드레이 자비디야 상회 "갈란트" 사장 러시아공화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발레리 조리킨 러시아 연방 헌법재판소 재판관 무소속 입후보 거부 세르게이 지랴노프 일인회사 "라이프"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겐나디 주가노프 국가두마 의원 러시아연방 공산당 등록됨 레오니드 카자코프 "자쉬타" 폰드의 경제고문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얀 콜투노프 연급생활자 권력희생자와 불행인들의 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슬라프 쿠즈네초프 기업가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알렉산드르 레베디 국가두마 의원 러시아인공동체회의 등록됨 알렉산드르 로바노프 러시아-핀란드 합작회사 "승용차 연합"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니콜라이 리센코 러시아국가공화당 당수 러시아국가공화당 주가노프 지지 안드레이 리차코프 환경센터 "오존"의 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세르게이 마브로디 주식회사 MMM 사장 무소속 등록 거부 니콜라이 마슬로프 민족합치당 당수 민족합치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밀로세르도프 러시아당 당수 러시아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회사 "이뉴르콘"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보리스 넴초프 니제고로드주 주지사 무소속 입후보 거부 뱌체슬라프 오네긴 유한합자회사 MOL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포도프리고라 연방의회 의원 무소속 등록 거부, 대법원은 거부 인정 알렉세이 포포프 회사 "미르"의 연구원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발레리 포포프 연구센터 "제믈랴"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표트르 로마노프 국가두마 의원, 화학공장 "예니세이" 사장 국가민주애국앙상블 주가노프 지지 니콜라이 루자빈 농부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운동단체 "데르자바" 대표 데르자바 주가노프 지지 마라트 사비로프 '합치 세계구상 국제리그' 대표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알렉산드르 사리체프 연합 "아그로테크프롬" 대표 민족애국연합 필요 서명수 미충족 빅토르 세묘노프 무직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나톨리 시도로프 경제기업대학 총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뱌체슬라프 실라예프 러시아정신혁신센터 "7번째 빛" 대표 러시아창의력연합 필요 서명수 미충족 세르게이 스크보르초프 "민족신문" 책임편집장 소련공산당-2 필요 서명수 미충족 발레리 스미르노프 국가해방전선 집행위원회 의장 국가해방전선 필요 서명수 미충족 미하일 스미르노프 변호사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비상장주식회사 "통일 'MALS'"의 예술가 그룹 "푸슈킨"의 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나톨리 스탄코프 모스크바시 두마 의원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갈리나 스타로보이토바 국가두마 의원 무소속 등록 거부, 대법원은 거부 인정 세르게이 술라크쉰 국가두마 의원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르툠 타라소프 "콘솔리다치야" 노동조합연맹 고문 무소속 등록 거부, 대법원은 거부 인정 스타니슬라프 테레호프 "소유즈 오피체로프" 의장 무소속 주가노프 지지 바실리 네렌티예프 유한합작회사 "핀란디야" 사장 반공산민족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세르게이 토흐타비예프 약소국과 민족그룹 성장을 위한 국제펀드의 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아만 툴레예프 케메로보주 입법의회 의장 러시아 연방 공산당 등록되었으나 후보직을 포기하고 주가노프 지지 레프 우보주코 보수당 의장 러시아보수당 등록 거부, 대법원은 거부 인정 뱌체슬라프 우샤코프 주식회사 "모스크바 투자펀드" 사장 무소속 등록 거부, 대법원은 거부 인정 보리스 표도로프 국가두마 의원 전진 러시아 옐친 지지 스뱌토슬라프 표도로프 안과의사, 국가두마 의원 노동자치당 등록 빅토르 페도소프 유한책임회사 "아틸라" 사장 소비에트스탈린주의당 필요 서명수 미충족 세르게이 포민체프 비상장주식회사 "폰드 포민체바"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올렉 하바로프 컨소시엄 "인테로존"의 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이리나 하카마다 국가두마 의원 옵쉐예 델로 필요 서명수 미충족 바쉬르 차흐키예프 인구세티야 예비군 사령관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빅토르 체체바토프 극동군사관구 사령관 무소속 옐친 지지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러시아 총리 우리 집 러시아 옐친 지지 바실리 체르니쇼프 출판사 "글라골" 부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마르틴 샤쿰 펀드 "레포르마" 대표 무소속 등록 거부, 대법원에서 등록조치 판결 갈리나 샤로바 비상장주식회사 "노르드-콤플렉트" 사장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알렉세이 셰브첸코 비상장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회사 '포드보리예'" 전무이사 무소속 필요 서명수 미충족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국가두마 의원 야블로코 등록됨 = = 선거 캠페인 = = = = = 옐친 선거 캠페인 = = = = = = = 출마선언과 공약 = = = = 옐친의 주변 사람들은 대통령이 하야하고 그의 최측근을 후계자로 세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1995년 7월 10일에서 11일로 넘어가는 밤에 발생한 심근경색이 그런 추측의 이유였다. 그러나 1996년 1월 4일 옐친은 대통령 행정실장 세르게이 필라토프에게 재선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으며, 공산주의자들이 의원선거 이후 정치적인 '복수'를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2월 15일 예카테린부르크 청년의 궁에서 진행된 미팅에서 옐친은 공식적으로 재선 출마를 선언했다. 그리고 3월 25일 발기단체 중 하나가 옐친의 후보 등록을 위해 수집한 백만 개 이상의 서명을 제출했다. 옐친의 선거 공약은 지속적인 자유민주사회로의 전환과 재건을 지지했다. 국가수입의 분배 시스템을 서방국가에 가깝게 만들고, 지속적으로 영세기업과 소기업을 지원하고, 국가 차원에서 부가 집중되어 올리가르히와 마피아의 손에 의해 움직이는 것에 대항할 것이라고 그는 약속했다. 그리고 새로운 문화와 학문 성장을 위한 정치를 하고, 신세대 교육에 모든 역량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안한 공약의 실현을 위하여 옐친은 일련의 칙령에 서명했다. (이 중에는 토지 소유에 관한 국민의 권리에 대한 칙령도 있었다.) 그는 또한 빠른 시일 내에 체첸 전쟁을 중단할 것이며, 2000년까지 모든 전쟁 행위를 취소하고 조약에 기반하여 군사력을 조절할 것을 공약했다. = = = = 스태프와 행정자원 = = = = 처음에 옐친 선거캠프의 스태프는 FSB 국장 미하일 바르수코프와 부총리 올레크 소스코베츠가 조직했으나, 3월 23일 스태프장 지위에서 소스코베츠는 업무의 미숙을 이유로 내려오고 아나톨리 추바이스가 스태프를 지휘하게 된다. 그는 '분석팀'을 조직해 사회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데이터 결과를 선거 캠페인의 업무 수행에 이용하도록 했다. 이 팀에는 NTV 사장 이고르 말라센코가 배정되어 언론 관련 업무를 담당했고, 옐친의 딸인 타티야나 디야첸코도 대중 부문의 고문 자격으로 참여하였다. 옐친의 선거스태프는 대통령 호텔의 객실에 머물렀고, 객실 주변에는 항상 무장경비가 배치되었다. 선거운동이 진행되며 캠프엔 두 진영 간 갈등이 있었는데, 아나톨리 추바이스의 '민주파'는 승리할 때까지 운영해나가야 한다는 반면, 알렉산드르 코르자코프와 올레크 소스코베츠의 '강경파'는 선거의 연기 또는 취소를 주장했다. 법에 따르면 정부기관 근무자와 공직자는 선전에 참여할 수 없었다. 추바이스의 말에 따르면, 처음에는 주지사와 시장의 약 절반이 옐친에게 반대했고, 1/6이 중립적인 의견을 표했다. 니콜라이 예고로프를 대통령 행정실장으로 임명한 후, 행정 자원을 이용해 지지율을 높히려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행정자원을 동원해 최소한 투표자의 60%가 옐친을 지지하게 하려고 계획하였다. 옐친의 재선 캠페인 기간동안, 많은 지방 지도자들이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대통령보안국 반부패부 부장 발레리 스트렐레츠키 대령의 의견에 따르면, 이는 자원의 완전한 부패와 관련되어 있었다. 옐친 선거캠프의 스태프는 공무원들에게 뇌물을 주었고, 가짜 당을 만들었고, 후보의 지지를 위한 다양한 운동에 재정을 지원해주었다. 또, 몇몇 반공산주의 세력들도 현 대통령을 지지했다. = = = = 옐친의 홍보운동 = = = = 옐친의 선거캠프에 대형 방송사의 사장들이 있었기 때문에, 방송은 실질적으로 권력의 손 아래에 있었다. 또한 많은 기자들이 옐친을 언론의 자유의 수호자로 보아 지지했다. 그를 지지하기 위해 상당한 수량의 예술적 홍보 영상들이 촬영되었다. 그러나 옐친 자신은 TV 토론에 참여하지 않았다. 언론은 균등하게 각 후보를 조명해주지 않았다. 방송시간의 절반 이상이 옐친을 긍정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할당되었고, 여타 후보들은 무시되거나 비판받았다. 주된 라이벌, 즉 주가노프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옐친의 스탭들은 이에 대항하는 정보 전쟁을 시작했다. 신문에는 주가노프가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가정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가 기사로 작성되었고, 그 수량은 드물지 않게 과장됐다. 보리스 베레좁스키는 이러한 현상을 인정하며 선거 캠페인이었던 '언론의 자유'가 이상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2012년 '에코 모스크바'와의 인터뷰에서 안드레이 바실리예프가 밝힌 바에 따르면, 언론은 여론을 조작하여 러시아인들이 '민주적인 투표'를 못하게 하려고 했고, 모든 설문조사에서 앞서고 있던 공산주의자들의 '몇몇 민주적인 기관들'을 통한 권력 차지를 막으려고 했다. 드미트리 푸르만의 의견에 따르면 옐친의 지지자들은 선거 이전의 법규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진행하기'를 거부했다. 주가노프가 법을 따라 승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러시아의 민주적 기관의 성장에 있어 막대한 손실을 불러왔다. 동시에 몇몇 기자들은 자신의 작용을 생각 깊은 것으로 간주했다. 이고르 스비나렌코는 도덕적 권리에 대해 언론의 자유가 부재함에 따라 공산주의자들에게 '같은 탑승권을 지불한다'라고 말했다. 블라디미르 야코플레프는 공산주의자들의 목적과 계획은 자신에게 있어, 쉽게 말해, 동의하기 힘든 것이라고 간주했다. 잡지 "이토기"의 편집장 세르게이 파르호멘코는 윤리와 정의를 세울 준비를 해야 한다는 뜻을 표했고, 반공산주의적 히스테리를 불지펴 주가노프의 승리를 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표하거나 패배하거나'라는 슬로건(이는 빌 클린턴이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내세운 구호 'Choose or Lose'와 유사했다.)을 필두로 한 옐친의 선거 캠페인은 전반적으로 유권자들에게 실직적으로 자본주의적 미래의 옐친과 공산주의적 과거의 주가노프 사이에서의 선택을 제안하는 성격이 있었다. 선거 캠페인으로 러시아 전역에서 일련의 음악가들이 현 대통령을 지지하기 위한 공연을 다녔다. 힙합 그룹 '말치슈닉'은 DJ 그루프와 함께 '투표하거나, 패배하거나'라는 제목의 노래를 작곡했고 영상을 찍었다. 영상에서는 옐친의 그라피티가 있는 집을 배경으로 음악가들이 등장했다. 옐친은 러시아 전역에서 선거유세를 다녔는데, 미팅을 주최하고, 인터뷰를 수락하고, 청년 콘서트를 찾아갔다. 또한, 세르게이 리솝스키는 러시아공산당이 이 유세를 좌절시키려고 시도했다고 표명하기도 했다. 유명한 TV프로그램들은 옐친을 조명하였다. 타타르 사반투이 축제 방문, 예브게니 오신의 로스토프 콘서트에서 옐친이 춤춘 것, 리솝스키가 개최한 모스크바 록 콘서트에의 참여, 석탄 탄갱의 방문과 국경지대 주둔군 방문, 2차 대전 참전용사에게 팩시밀리로 편지를 보내는 등의 행보가 조명됐다. 옐친은 6월 4일 예카테린부르크에서 비공개 미팅을 가졌다. 미팅에는 스베르들롭스크 주 주지사 에두아르트 로셀이 참가했다. = = = = 올리가르히의 지원 = = = = 1996년 2월 '다보스 조약'라고 불리는 것에 대한 정보가 공개됐다. 다보스에서 러시아 올리가르히들이 치밀한 상의 끝에 옐친의 지지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러시아연방 대통령의 비서실장 게오르기 사타로프가 한 말을 들었다. 4월 26일 '궁지에서 벗어나자!'라는 제목의 공개 서한이 공개됐다. 이 서한에는 13명의 영향력있는 러시아 기업인들이 서명했는데, 보리스 베레좁스키, 블라디미르 구신스키, 블라디미르 포타닌, 알렉산드르 스몰렌스키, 미하일 프리드만, 미하일 호도르콥스키, 알렉산드르 둔두코프, 빅토르 고로딜로프, 니콜라이 미하일로프, 세르게이 무라플렌코, 레오니드 네브즐린, 알렉세이 니콜라예프, 드미트리 오를로프였다. = = = 결과 = = = 러시아 대통령 보안국의 평가에 따르면, 옐친의 선거캠페인은 전반적으로 현행법을 우회하는 데에 약 1천억 미국 달러를 소모했고, 워싱턴 국제전략연구센터는 이 금액을 2천억 달러로 추정했다. 1차 투표 이전 분석팀과 정치기술자들 덕분에 옐친의 지지도는 눈에 띄게 상승했고, '옵셰스트벤노예 므네니예'와 VTsIOM 등 기관의 집계는 옐친이 선호됨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회에선 이 시점까지 정치에 대한 피로가 쌓였고, 러시아의 많은 주민을 둘러싼 권태감을 형성했다. = = 여론조사 = = 조사 정보 조사 정보 주가노프 옐친 레베디 야블린스키 지리놉스키 표도로프 고르바초프 기관 날짜 주가노프 옐친 레베디 야블린스키 지리놉스키 표도로프 고르바초프 니자비시마야 가제타 / VP 1992년 12월 31일 — 19 % — — 3 % — 4 % VTsIOM 1993년 9월 15일 — 28 % — 9 % 3 % 2 % 1 % VTsIOM 1995년 10월 17-24일 9 % 3 % 13 % 12 % 6 % 10 % — VTsIOM 1995년 11월 20일 10 % 3 % 6 % 8 % 7 % 5 % 1 % VTsIOM (선거에서 표를 던질 정치인) 1996년 1월 30일 18 % 10 % 9 % 12 % 10 % 5 % 1 % VTsIOM (가장 영향력있는 정치인) 1996년 1월 30일 11.3 % 5.4 % 5.5 % 7.7 % 7.1 % — — РОМИР 1996년 4월 6-7일 27 % 22 % 8 % 7 % 6 % 6 % 1 % VTsIOM 1996년 4월 14일 26 % 18 % 10 % 10 % 8 % 8 % 1 % = = 1차 투표 = = 1차 투표의 참가자는 7,570만명 이상으로 전체 유권자의 69.81%에 달했다. 80만 명 이상의 유권자가 부재자 투표로 참여했다. 투표는 러시아 연방 영토뿐 아니라 특수한 경우의 해외 유권자들에게서도 치러졌다. 유세금지의 날이었던 6월 15일, 영국에서 열린 UEFA 유럽 선수권대회에서 러시아와 독일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날 아침, 선수들과 트레이너, 그리고 러시아 공식 대표단 인원들이 유권자로서 영국 라이팅턴의 호텔 컨퍼런스홀에서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함과 용지는 주영 러시아대사관 관계자들이 준비하였다. 야말 반도의 주민들 또한 미리 투표를 진행했다. 1차 결과의 결과로 현 대통령인 옐친이 더 많은 지지를 얻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당선을 위한 요구득표치에 도달하진 못했다. 그의 득표수는 2,660만 표로, 35.28%를 얻었다. 주가노프는 옐친보다 약간 떨어지는 2,420만 표를 받아, 32.03%의 득표율을 보였다. 의외의 결과는 A. I. 레베디가 3위를 차지한 것이었는데, 그는 1,070만 표인 14.52%의 지지를 받았다. 투표결과, 2차 투표에 진출한 후보는 옐친과 주가노프였다. 한편 430만 표(5.7%)를 받아 5위를 차지한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는, 투표소에서 주가노프의 승리시 연립정부의 자리를 포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장 심각한 패배를 당한 것은 미하일 고르바초프로, 그는 0.51%인 38만 6천 표를 얻는 데에 그쳤다. 블라디미르 밀로프의 말에 의하면, 유권자들이 "실리를 택했으며, 고르바초프의 집권 기간에 대한 낭만적 노스탤지아의 기억"은 꺼내오지 않았기에 투표에서 그는 일말의 기회도 얻지 못했다. 후보직을 포기했던 아만 툴레예프는 사전 투표의 결과로 일부 표를 받기도 했다. 옐친은 주로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업 대도시, 북부 러시아, 시베리아, 극동, 몇몇 민족공화국 거주자들, 그리고 재외 러시아인들의 지지를 받았다. 주가노프는 주로 중앙 러시아의 침체된 농업지대, 흑토지지대, 볼가강 유역, 그리고 북캅카스의 몇몇 공화국(이는 남부 러시아, 남시베리아나 극동지방 남부의 대부분, 그리고 강성 공산당 지지지역까지 이어지는 "적색 지대"라고 불렸다.)에서 지지를 받았다. 옐친은 46개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10개 지역에서 절대적 다수표 차지) 주가노프는 43개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9개 지역에서 절대적 다수표). 옐친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인 지역은 체첸(64.1%)으로, 이는 자동투표시설 '비보리'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지역이었다. 주가노프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인 지역은 다게스탄(63.2%)으로, 이 지역에서 옐친과의 차이는 거의 40%까지 벌어졌다. 정치학자 드미트리 오레쉬킨의 말에 의하면, 러시아의 10대 대도시권에서 옐친은 1차 투표에서 52%를, 주가노프는 18%의 표만을 얻었고, 100대 대도시로 보아도 여전히 43%과 23%으로 옐친이 우위를 보였기에, 주가노프의 지지세는 오로지 지방 농촌인구의 지지로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타타르스탄에서 주가노프와 옐친의 득표수 차이는 단 4730표였다(두 후보는 정확히 표의 38%를 얻었다.). 그러나 참관인들의 발언에 의하면 해당 지역에서 옐친을 밀어주기 위한 개표 부정이 있었기에, 최고 접전지역은 카바르디노-발카리야(옐친 39%, 주가노프 38%)로 추정된다. 북오세티야에서는 주가노프의 압도적 승리세가 기록되었는데, 그가 약 63%의 득표를 얻은 반편 옐친은 19%에 그쳤다. 1차 투표의 수치 도표는 다음과 같다. 순위 후보 득표 % 1.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옐친 26,665,495 35.28 2. 겐나디 안드레예비치 주가노프 24,211,686 32.03 3.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레베디 10,974,736 14.52 4. 그리고리 알렉세예비치 야블린스키 5,550,752 7.34 5. 블라디미르 볼포비치 지리놉스키 4,311,479 5.70 6. 스뱌토슬라프 니콜라예비치 표도로프 699,158 0.92 7.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 386,069 0.51 8. 마르틴 류치아노비치 샤쿰 277,068 0.37 9. 유리 페트로비치 블라소프 151,282 0.20 10. 블라디미르 알렉세예비치 브린찰로프 123,065 0.16 11. 아만 구미로비치 툴레예프 308 0 모든 후보에 반대 모든 후보에 반대 1,163,921 1.54 무효표 무효표 1,072,120 1.43 총계 (투표율 69.81%) 총계 (투표율 69.81%) 75,587,139 100.00 = = 두 선거 사이의 동향 = = 2차 투표는 7월 3일 수요일로 정해졌다. 러시아 연방 정부는 이를 공휴일로 지정했다. 선거일을 일요일에서 수요일로 옮기는 것은 유권자들의 참여율을 높이려는 의도에서 시행되었다. 투표기간, 나즈란에선 이치케리아 체첸공화국과 러시아연방군 사이의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는 세르게이 스테파시닌, 뱌체슬라프 미하일로프, 뱌체슬라프 티호미로프, 블라디미르 스트라시코가 연방군 측에서, 아슬란 마스하도프가 체첸공화국 측에서 서명한 결과였다. 대통령 선거의 결과는 무엇보다, 알렉산드르 레베디의 지지자 수(투표자의 15%)에서 결정될 수 있었다. = = = 옐친 = = = 2차 투표를 앞둔 옐친 측의 선거직전 슬로건은 '투표하라, 그러면 승리한다'였다. 6월 18일 옐친은 알렉산드르 레베디를 러시아연방 안전회의 서기장으로 지명했다. 이는 레베디가 옐친 지지를 표명하며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현 대통령을 지지할 것을 요청한 뒤였다. 같은날 국방부 장관 파벨 그라초프가 사임했는데, 이는 레베디의 임명 조건 중 하나였다. 이로서 확신된 것은 그라초프가 정부의 대격변에 준비가 되어 있지도, 옐친에게 압박을 가할 시도를 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선거 이후 옐친은 곧, 사실상 정치판에서 '버리며' 레베디를 사임시켰다. 6월 19일 저녁 캠페인 '투표하거나 패배하거나'의 설립자 세르게이 리솝스키와 추바이스의 가까운 동료인 아르카디 예브스타피예프는 벨리 돔(정부청사)에서 나오던 길에 "제록스 추문"과 관련된 혐의로 체포된다. 이는 50만 달러가 연루된 일이었다. 250만 달러의 규모의 금액이 경제부 차관 게르만 쿠즈네초프에게 전달되었으며, 이는 인쇄물, 사진과 벽보를 주문하기 위한 금액이었다. 코르자코프는 리솝스키와 예브스타피예프를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그들의 관계는 불법 외화거래 혐의의 형사소송으로 격분되었다. 투표를 중지하라는 위협이 있었으나, 코르자코프와 소스코베츠를 직무에서 해임하고 참모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갈등은 종식되었다. 발레리 호먀코프의 의견에 따르면, 이 사건은 추바이스와 코르자코프가 옐친의 승리를 위해 자작한 것이었다. 6월 26일 옐친은 1995년 여름부터 시작된 심근경색을 6번째로 맞는다. 이때문에 그가 참석하는 일련의 일정들은 모두 취소되었다. 타티아나 디야첸코와 아나톨리 추바이스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의 자발적인 연설 취소를 선언하였으나, 그의 건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 사건으로 주가노프가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을까 우려했던 것이다. 두 선거 사이의 기간에 언론에서는 선거 이전 촬영된 미공개 옐친 자료가 방영되었다. 6월 28일 세르게이 필라토프는 RIA "노보스티"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유권자들을 위한 방송에 "목소리가 되살아난 것처럼" 나왔다고 밝혔다. 투병중인 옐친은 바르비흐의 자택에서 레베디를 접견했다. 그러나 촬영을 위해 거실을 옐친의 집무실처럼 재정비하고, 의료기기들은 제거했다. 6월 30일 '인테르팍스'사는 "옐친 대통령이 '인테르팍스'사의 질문에 답하다."라는 표제로 기자의 질문에 대한 옐친의 답변을 적은 인터뷰를 공개했다. 이는 곧 다가올 2차 투표와 선거공약 실천을 다룬 것이었다. 그러나 1999년 드러난 바로는, 이는 러시아 사회가 옐친의 건강에 관한 진실을 알지 못하게 하기 위해 기자가 꾸며낸 것이었다. 7월 1일 방송으로 옐친과 유권자들 사이의 대화, 그리고 옐친과 체르노미르딘의 회동에 관한 NTV의 방송이 방영되었다. 7월 2일엔 REN TV의 직원 엘다르 랴자노프가 녹화한 옐친과의 인터뷰가 방영되었다. 녹화의 참가자들은 옐친의 병색을 암시하는 모든 부분을 지워야 했다. 대통령이 움직이고, 말하고, 심지어 숨쉬는 것도 힘들어했기 때문이다. 옐친 스스로가 자서전에 기술한 바에 따르면, 주가노프가 승리할 가능성을 주지 않기 위해 병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숨겼다고 한다. = = = 주가노프 = = = 1차 투표에서의 선전에서도 불구하고, 주가노프는 자신의 편으로 비공산당 세력의 후보를 포섭할 수 없었다. 그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1995년 두마 의원선거에서 지지했던 이들이었다. 연정을 성립시키고 2차 투표에서의 지지를 부탁하기 위한 협상에 그의 정치적인 활동성이 미칠 수 있는 영역은 오직 사퇴한 후보들과의 협상 뿐이었다. 실질적으로 수사법은 '중립주의' 쪽으로 움직인 것이다. 그는 레베디에게 2차 투표에서 그를 지지하는 조건으로 자신의 팀에서의 자리를 제안했으며, 옐친이 승리한 이후 레베디를 직위에서 해임할 지도 모른다고 설득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알렉산드르 루츠코이는 이러한 레베디의 행실을 "배신"이라고 불렀다. 주가노프와 야블린스키와의 협상도 성공적이지 못했는데, 야블로코의 4차 전당대회에서 두 명의 대표는 주가노프를 지지했으나 당의 전체적인 의견은 "모두에게 반대"를 지지하는 것이었다. 지리놉스키는 6월 24일 성명을 내어 주가노프를 자신의 그룹에서 "극좌파적인" 빅토르 안필로프와 "무능력한" 아나톨리 루키야노프, 니콜라이 리지코프를 제명시킬 경우에 지지하겠으며, 옐친은 "초자유주의적인" 아나톨리 추바이스, 세르게이 필라토프, 세르게이 샤흐라이를 제명시킬 경우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6월 28일, 그는 최종적으로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소련 공산당의 직접 계승자"인 주가노프에 투표하지 말 것을 부탁했다. 주가노프가 중립주의로 옮겨간 것은 연정의 성립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예브게니 수츠코프, 세르게이 바부린도 정치적 활동의 쇠퇴와 주가노프를 향한 위협의 회피와 관련이 있었다. 2차 투표일 전날, 텔레비전 방송과 관련한 몇 개의 스캔들이 터졌다. 주가노프와 스타니슬라프 고보루힌은 옐친의 알코올 남용을 암시하고 대통령의 무능력에 질문을 던지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영시키려는 시도로 비난을 받았다. 옐친 선거본부 프레스센터의 뱌체슬라프 니코노프에 의하면, 주가노프는 텔레비전 방송에 옐친의 죽음에 관하여 방영하려고 하였다. 주가노프는 모든 혐의를 부정하였으며, 자신은 옐친의 건강 상태를 잘 알고 있으며 전자 개표 시스템이 선거 결과를 조작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 = = 2차 투표 = = 2차 투표는 유권자의 68%가 참여했다. 옐친은 4,020만 표(53.82%)를 받아 승리했다. 주가노프는 대략 3천만 표(40.31%)를 받았고, 3백6십만명(4.82)가 두 후보에 모두 반대한다는 표를 던졌다. 1차 예비결과는 모스크바 시간으로 23시 30분에, 최종 결과는 7월 4일 오전 5시 30분에 공고되었다.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하면, 2차 투표의 결과는 14.52%의 표(약 1,000만 표)가 결정했으며, 이들은 1차 투표에서 알렉산드르 레베디를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주가노프는 이 사실을 2011년 의원 선거를 앞두고 방송사 로시야 1의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방송에 이뤄진 토론에서 밝혔다. 결과 집계가 완료된 후 주가노프는 자신의 패배를 인식하고 옐친의 승리를 축하했다. 옐친은 러시아의 100개 대도시 가운데 86개의 도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는 모스크바와 페테르부르크에선 주가노프를 50%만큼 앞서고, 또 우랄과 시베리아, 극동 지역에서도 승리했다. 주가노프는 러시아 연방의 31개 연방주체에서 승리했으며, "적색지대"에서 옐친을 15%만큼 앞섰다. 적색지대는 "뒤집힌 선거결과"의 예시였던 지역으로, 국가 전체의 결과와 해당 지역의 투표결과가 반대로 도출되었다. 1차 선거에서는 두 후보의 득표수가 거의 같았던 지역에서는 2차 투표에서 옐친이 확실히 승리했다. 카바르디노-발카리야에서 옐친은 주가노프를 거의 2배 차이로, 타타르스탄에서는 30%의 득표율을 기록한 주가노프를 64%로 이겼다. 옐친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인구세티야(79.8%), 이보다는 약간 낮은 득표율로 스베르들로프 주와 페름 주, 체첸(68%),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였다. 주가노프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오를로프 주, 추바시야, 아디게야와 탐봅스키 주였다. 1차 투표에서 주가노프가 승리했던 일련의 공화국들에서 주가노프는 2차 투표에선 크나큰 패배를 당했다. 모스크바, 제르진스크, 주콥스크와 체보크사르의 유럽 평의회의 4개 감시자 그룹은 지역 선거위원회가 보여준 높은 수준의 준비성과 개표의 투명성을 기록했으며 현저한 수준의 위반행위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러시아의 6개 연방주체(다게스탄,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모르도비야, 스타브로폴스키주, 로스토프주, 사라토프주)의 선거위원회는 개표 이후 규약안을 수정하게 되었으며, 이 수정내용을 러시아 중앙선거위원회의 규약에도 적용해야 했다. 사라토프주에서 나타난 이상 결과에 관하여 류보프 슬릭스가 보고했는데, 1990년대에 사라토프주는 러시아 연방의 "전자 이상현상"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사마르스크주 주지사 콘스탄틴 티토프에 의하면, 현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증가한 것이 비정상적이진 않았으며 다만 일련의 유권자들이 후반부에 뭉쳤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였고, 이는 1990년대 지역에서의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1996년 7월 3일 2차 투표 결과의 수치화된 도표는 다음과 같다. 기호 후보명 득표수 % 1.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옐친 40,402,349 53.82 2. 겐나디 안드레예비치 주가노프 30,104,589 40.31 모두에게 반대 모두에게 반대 3,603,760 4.82 무효 무효 780,405 1.05 총계 (투표율 68.88%) 총계 (투표율 68.88%) 74,706,645 100.00 = = 옐친의 취임 = = 취임식은 1996년 8월 9일 국립 크렘린 궁에서 진행되었다. 원래 크렘린의 사보르나야 광장에서 타종하고 합창단과 함께 취임식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궁으로 옮겨진 것은 경제적인 이유이기도 했고, (9십억 루블이 필요했다) 옐친의 건강에 따른 결과이기도 했다. 취임식은 지연되었다. 의견은 다양하나, 당초 예정된 1.5시간보다 16분에서 20분가량 늦어졌다. 그럼에도 러시아 연방 역사상 가장 짧은 취임식으로 기록되었다. 목격자의 말에 따르면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매우 적게 움직였고 넘어지길 우려하는 것 같았으며, 선서할 때는 목소리를 떨었다. 옐친은 취임식 전에 마취주사를 맞았음에도 그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9월 5일 프로그램 '브레먀'의 방송 중 미하일 레신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곧 다가올 심장 수술에 대해 밝혔으나, 사회의 반응을 우려해 6월의 심근경색은 드러내지 않았다. 관상동맥우회 수술은 11월 5일 실시되었으며, 수술 시간동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이 맡았다. = = 해외의 반응 = = 각국의 정부수반들과 국제기구의 수장들이 옐친에게 수많은 축전을 보내왔다. 6월 5일에는 23편의 축전이, 8일에는 43개가 도착했다. 축전에는 옐친이 국가의 자유민주적인 재건을 이끌어 이룩한 일, 자유민주주의적 가치의 승리, 그리고 공산주의로의 퇴행을 방지한 것에 대한 감사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축전은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 체코 대통령 바츨라프 하벨, 영국 총리 존 메이저, 우크라이나 대통령 레오니드 쿠치마, 그루지야 대통령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독일 총리 헬무트 콜(그는 개인적으로 옐친에게 전화했다.), 독일 외무부 장관 클라우스 킹켈,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가 보내왔다. 또한 유엔 사무총장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유럽부흥개발은행 총재 자크 드라로지에르, 로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모스크바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 측에서도 축전을 보내왔다. NATO 소속 국가들의 많은 고위 공직자들도 주가노프를 옐친이 꺾은 덕분에 "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기쁨의 함성"을 듣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국제공화연구소는 선거감시인단에 의해 고의적인 투표결과 조작시도가 기록되지 않았다며, 선거기구의 높은 투명성을 기념한다는 성명을 냈다. 벨퍼 과학-국제관계센터는 선거가 선거기구와 개표의 측면에서 봤을 때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졌으나, 언론과 재정적 측면을 비춰보았을 땐 그렇지 못하다고 밝혔다. 각각 유럽안보협력기구, 유럽 의회, 유럽 평의회의 선거감시인단 대표인 안드라스 바르소니, 콘스탄치아 크렐, 에른스트 뮐레만은 투표의 전개가 "자유롭고, 공평하고, 공정했다"는 것을 완전히 인정했으며, 1차투표가 의사표시의 자유를 준수하는 모든 방향으로 조직되었고 중대한 위법행위는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유럽안보협력기구는 후보들이 정부가 언론을 선거 이전 선전을 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배분되지 않았고, 선거 광고의 상당부분이 현 대통령의 지지를 위해서만 할당되었음에 분개했다고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러시아 선거위원회는 모든 절차를 준수했으며, 개별 기표의 횟수를 기록했다. = = 선거에 대한 평가 = = = = = 정보기술의 파급력 = = = 1996년의 선거는 러시아 역사에서 정치적인 기술(여론 조작 등)이 완전한 효과를 선보인 선거로 간주된다. 이러한 선거기술은 옐친에게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 옐친 선거본부에서 근무했던 '효과적인 정치 재단'의 글레프 파블롭스키는 "1996년의 대통령: 승리의 시나리오와 기술"("어떻게, 왜, 무엇 때문에 우리가 1996년의 선거에서 이겼는가. 옐친의 승리를 위한 우리의 접근법")이라는 보고서를 출간하여 유권자에게의 정보의 파급력을 조명하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옐친의 승리는 인적 전문자원의 연루, 정보공간 지배, 반대세력의 움직임 차단, 소셜미디어와 엘리트 세력의 지배 등의 효과에 의한 것이었다. 따라서 선거 후에는 "사회로 향하는 거대한 선거전(pre-election) 정보의 흐름"이 중지되었으며, 1996년 후반의 설문조사에서는 이미 정부를 향한 염증이 드러난다. 국민들은 1998년 9월 디폴트 이후, 그리고 1999년 가을까지 "절망적인 상태"에 놓여 있었다. 옐친 선거본부 분석팀에서 근무했던 '사회의 의견' 재단 회장 알렉산드르 오슬론은 2006년, 옐친의 승리를 위한 "정치적 기술"의 이용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NTV의 수석 분석가 브세볼로드 빌체크는 텔레비전 방송이 옐친의 이익을 위해 여론조작의 창구로 이용되었다고 말했다. 옐친 측은 모든 방법을 동원해 주가노프의 승리는 비참하며 돌이킬 수 없는 것이라고 국민들을 세뇌하려고 시도했다. (예를 들어, 스탈린 시대의 탄압에 관한 영상을 방영하여 불안 여론을 조성하고 소련에 대한 향수를 없앴다.) 7월 3일 아침, ORT는 인기있는 TV 드라마 '시크릿 트로피칸키'의 3개 시리즈를 방영했다. 2차 투표에서 주가노프에게 연금생활자들이 획일적인 표를 던지고 다차로 떠나는 일을 막기 위함이었다. 3개 화는 최종화라고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일주일 더 방영되었다.«Секрет тропиканки» // vokrug.tv 이것으로 인텔리 계층, 청년층과 주가노프에게 투표하지 않은 다른 대중들이 투표에 참여했고, 심지어 주가노프의 가장 극성 지지층마저 반드시 그를 지지하여야 하는지 의심하기 시작했다. = = = 불균등하게 조명받은 후보들 = = = 유럽대중미디어재단의 분석은 선거기간동안 러시아의 대형 TV 방송사들이 균등하고 객관적으로 후보들을 조명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약 53%의 방송시간이 옐친을, 18%가 주가노프를, 7% 미만이 여타 후보들을 위해 할애되었다. 메릴랜드 대학교의 필립 메릴 저널리즘대학 교수 사라 오츠에 의하면, ORT의 뉴스프로그램 '브레먀'에서 1차 투표에 관련해 방영된 152개 꼭지 중 옐친은 83개(55%), 주가노프는 53개(35%), 나머지 후보들은 (직업과 프로그램의 직책에 관한 언급 없이) 26개(17%) 꼭지에서 언급되었다. NTV의 프로그램 시보드냐의 153개 꼭지 중에서도 옐친은 91개(59%), 주가노프는 52개(34%) 꼭지에서 언급되었고, 다른 후보들이 조명된 것은 체첸과 관련한 협상을 위한 지리놉스키의 연설과 관련된 것뿐이었다. 옐친과 주가노프를 조명하는 방식은 대조적이었다. 전자는 마치 제정러시아 시기의 현감처럼 모든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는 것처럼 묘사되고 알렉산드르 레베디와의 연합도 지지되었지만, 후자에게는 도발적인 질문을 드물지 않게 던졌으며 악담으로 모욕했고, 토크쇼에서의 그의 발언은 모두 무례한 것처럼 편집되었다. 후보들이 균등하게 조명되지 못한다는 사실에 관해 언론에 유럽의회 의장 콘스탄치야 크렐이 성명을 내어 이것을 언급하고, 선거에 있어 정부의 현 수반과 정당의 수장은 언제나 유사하게 우세함을 가진다고 말했다. '니자비시마야 가제타'의 편집장 비탈리 트레티야코프는 주가노프 대신 극히 드물지 않게 그의 극성 지지자 빅토르 안필로프를 보여줘 유권자들에게 '공포'를 심어주고, 전승기념일 이전 5일동안, 즉 공식적인 선거캠프의 출범 전까지 TV 방송으로 반소비에트적인 프로그램을 내보냈다고 말한다. 정치학자 마리나 파블로바-실반스카야의 의견에 따라 요약하자면, 옐친 선거캠프는 언론을 통해 공격적으로, 비객관적으로, 편협한 방식으로 다른 후보들을 자유민주주의 사회에 적합하지 못한 성격을 가졌다고 특정지었다. 전러시아여론연구센터 연구원 알렉세이 레빈손은 '유권자들은 뇌로 퓨레를 만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파블롭스키는 후보의 조명에 관련된 상황을 '미디어 조종 현상'과 '미디어보호 전략'이라고 명명했다. 1996년 7월 9일부터 12일까지 시행된 BTsIOM의 설문조사는 2차 투표에서 옐친의 지지한 사람들 중 약 50%가 그의 선거 공약에 근거해서, 45%는 주가노프가 대통령이 되길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를 선택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 = 장기적인 후행효과 = = 1996년 선거는 러시아의 역사에서 가장 치열한 선거였다. 한편 진정한 자유민주주의로의 이행이라고 보기엔 어려웠는데, 정권의 교체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옐친의 승리는 러시아에서 자유민주적인 기관의 성장과 올리가르히 자본주의의 퇴출에 제동을 걸었다. 국민들의 시각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정신과 시장경제를 유린하고 언론의 자유에 충격을 주는 것이었다. 1996년 가을, 러시아에는 논란의 파도가 일었다. 이는 공무원들의 임금지급, 옐친 선거캠프의 인원들을 정부의 직위에 임명한 것, 체첸에서의 학살이 목구된 것이 막 확인된 것, 옐친이 선거공약을 지키지 않은 것에 관련된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옐친의 2차 임기는 '자유 경제의 전성기이자 재화 재분배의 절정'이라는 특성을 보이며, 동시에 '다단계 사기의 시기이자 1998년 경제위기'의 시기이기도 했다. 또한 옐친이 자신의 후계자를 찾는 시기였다고도 간주된다. 이런 모든 일에도 불구하고, 옐친은 러시아연방 대통령의 직위를 자진 하야 의사를 밝힌 1999년 12월 31일까지 유지한다. 2004년 미하일 호도르콥스키는 옐친의 선거캠프가 당시의 현안들에 관해 단 하나도 작업하지 않았고, 오직 '정부의 온정주의를 거절하는 조건에의 결정적인 삶의 변화'에 준비가 되었는지에만 초점을 두었다고 말했다. 또한 형성되었던 기자들의 여론은 '주인의 개'로, 자립 사회기관들은 '후원자들의 입'으로 변화하면서 발언의 자유가 억압되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정치기술의 전능함에 대한 확신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정치적 환경은 2000년 대통령의 직위에 블라디미르 푸틴이 오르기 위한, 그리고 현대 러시아 정치가 형성되기 위한 전제조건을 마련해주었다. TVTs가 2016년 4월 프로그램 '투표자의 권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0%가 1996년 선거에서 주가노프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응답했고, 라디오채널 '스바보다'가 2016년 6월 모스크바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또한 같은 결과를 공유했다. = 게피로사우루스 = 게피로사우루스(학명: Gephyrosaurus bridensis)는 도마뱀목 레피도사우루스과에 속하는 도마뱀이다. 지금은 멸종된 종으로서 전체적인 몸길이가 4~6m인 거대한 도마뱀에 속한다. = = 특징 = = 게피로사우루스(Gephyrosaurus)는 수전 E. 에반스가 1980년에 처음 설명하고 이름을 붙인 초기 라임코세파리아류의 속이다. 그들은 팔라틴 뼈의 옆구리를 따라 큰 치줄(구개골의 일부이다.)과 의치골의 후공정(아래턱의 일부)을 포함한 많은 골격의 특징들을 공유했던 현존하는 스페노돈(뉴질랜드의 투아타라)과 먼 관계가 있다. G. 브리지엔시스라는 종류는 영국 웨일스의 얼리 쥐라기 시대에 살았다. 화이트사이드와 더핀(2017년)은 서머셋의 카본시퍼 석회암에서 라테 트라이아스기(Rhaetian) 피스처 충진에서 발견된 부분 맥실라에서 알려진 두 번째 종인 G. 에반사에 대해 설명했다. 이들은 현대 그룹의 정의에서 유일하게 스페노돈티아 밖에 놓여 있는 운두증 환자들로 일부 계통학적 분석에서 스쿼마이트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피로사우루스 브리덴시스의 골격 원소를 관찰한 결과 이것이 도마뱀과 매우 흡사한 생물이었음이 명백하다. 그것은 먹이를 쫓거나 더 큰 포식자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비교적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가지고 있었다. 많은 작은 도마뱀들이 나무를 오를 수 있지만 이 생물체는 등반을 가능하게 하는 강한 다리와 발톱을 가지고 있었지만 완전히 수목형물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 게피로사우루스가 두 발로 뛰었을 가능성은 낮다. 게피로사우루스 브리덴시스(Gephyrosaurus bridensis)로부터 구별되는 두 개의 척추뼈가 설명되었으며 이러한 척추골들은 현대의 라이코체파리아 스페노돈과 매우 유사하여 두 제네라가 연관되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게피로사우루스 브리덴시스는 동물의 일생 동안 천천히 대체되었다고 여겨지는 플뢰로돈 틀니를 가지고 있었다. 1985년의 논문에서 에반스는 이것이 레피도룡의 치아를 대신하는 조상의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게피로사우루스는 육지 파충류로 먹이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면서 환자 먹이주기 전략을 사용한 곤충류로 추정된다. 검체들 사이에서 턱뼈 골절의 높은 발생률은 이 동물이 잠재적으로 영역적인 존재라는 것을 발견했고 그들의 서식지로 건너간 사람들을 공격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 생존시기와 서식지와 화석의 발견 = = 게피로사우루스가 생존했던 시기는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기 후기로서 지금으로부터 2억년전~1억 8000만년전에 생존했던 종이다. 생존했던 시기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초원이나 삼림에서 주로 서식했었던 도마뱀이다. 화석의 발견은 1980년에 유럽의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유럽의 고생물학자인 에반스에 의하여 처음으로 화석이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 분류:오대 십국 시대의 대장군 = = 오케치에 공항 사건 = 오케치에 공항 사건은 1980년 11월 29일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들과 기술 직원 사이에서 발생한 분쟁으로, 바르샤바에 위치한 대표팀의 호텔에서 시작되어 오케치에 공항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파업과 다른 형태의 민간 항쟁이 폴란드 인민공화국에서 이어지고 있던 때에 폴란드 국내에서 축구에 대한 항의가 발생했고, 이것은 국내 언론에 후폭풍을 몰고 왔으며, 이로 인해 몇몇 중요한 선수들의 첫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결국 이는 팀 매니저인 리샤르트 쿨레샤의 사임을 불러일으켰다. 국가대표팀의 골키퍼였던 유제프 므위나르치크는 공항으로 가기 위해 호텔을 떠나야할 때 만취한 상황이었고, 친구와 함께 다음 날 밤까지 자지 않고 있었다. 쿨레샤와 그의 자문관 베르나르트 블라우트는 므위나르치크를 두고 가기로 했고, 스타니스와프 테를레츠키,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 브와디스와프 주무다를 포함한 몇몇 선수들은 이에 대해 분노했다. 친서구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고, 공산주의 정권의 설립을 비웃은 것으로 명성을 얻은 테를레츠키는 이 조치에 대해 특히 분노했으며, 테를레츠키는 므위나르치크를 공항으로 데려갔다. 이미 공항에서는 선수들이 시위를 이어가고 있었다. 쿨레샤는 결국 선수들의 의견에 동의해 므위나르치크를 데려가기로 했다. 폴란드 언론은 다음 날 이 사건 전체를 다루면서 떠들썩하게 반체제적인 선수들을 공격했다. 한편, 테를레츠키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선수들의 만남을 준비하며 폴란드 당국에 반항했다. 폴란드 축구 협회는 테를레츠키, 므위나르치크, 보니에크, 주무다를 집으로 돌려보냈고, 국제 경기와 클럽 경기의 활동을 1년 동안 금지시켰다. 협회는 테를레츠키와 보니에크를 반항적인 선동 정치가로 비난했다. 스몰라레크는 훨씬 더 평범한 정지 처분을 받았다. 쿨레샤는 선수들에게 내려진 제재가 가혹하다며 항의의 의미로 사임했다. 1981년에 대부분의 정지처분된 선수들은 사면되었지만, 테를레츠키는 그렇지 않았다. 테를레츠키는 결국 1981년 6월 미국으로 이주했고 5년 후 폴란드로 돌아왔지만, 이후 폴란드를 위해 선수 활동을 하지 않았다. = 레지 E. 캐시 = 레지널드 "레지" E. 캐시(, 1958년 8월 18일 ~ 2018년 2월 9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연극, 텔레비전, 영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연기 활동을 했는데, 대표 출연작으로 드라마 더 와이어, 오즈, 하우스 오브 카드 등이 있다. 2015년 개봉하는 조시 트랭크 감독의 영화 판타스틱 포에서는, 스톰 남매의 아버지 프랭클린 스톰 박사 역으로 출연한다. = = 출연 작품 = = 탱크걸 더 와이어 판타스틱 4 하우스 오브 카드 루크 케이지 핸즈 오브 스톤 = 신강근 = 신강근(1946년~)은 미시간 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의 교수이자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석좌교수이다. 1982년 미국의 미시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되었고 실시간 컴퓨팅 연구실(Real-Time Computing Laboratory, RTLC )의 창립이사이다. 그는 그의 연구분야인 무선 네트워킹과 네트워크 보안에 대한 기여로 잘 알려져 있다. 2006년 제16회 호암상 공학상 수상자다. = = 연구 분야 = = 신강근 교수는 실생활 애플리케이션에 결과를 적용하는 여러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연구 분야: 무선 네트워킹 네트워크 보안과 계산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 가상화 기반 서버 통합 및 자원 관리 = 분류:위원군 출신 = = 분류:고베시 = = 이승엽 (축구인) = 이승엽(李昇燁, 1975년 10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현재 대구예술대학교의 감독이다. = = 축구인 생활 = = = = = 선수 = = =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1998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5년 간 활약했다. 2001년 7월 21일 열린 부천 SK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03년 부천 SK로 이적해 1시즌을 보냈으나 허리 부상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 = = 지도자 = = = 2012년 신라중학교 코치를 시작으로 2015년 부산 아이파크의 코치로 부임하였고, 이후 유소년 감독으로 보직을 옮겼다가 2017년 다시 성인팀 코치로 복귀하였다. 2017년 10월 10일 조진호 감독이 급성 심장마비로 사망하자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 대행을 맡았으며, 10월 14일 수원 FC전을 통해 감독 대행으로 첫 경기를 치렀으며, 이 날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10월 25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FA컵 4강전 경기를 승리로 이끌면서 K리그 챌린지 팀 최초 FA컵 결승 진출을 이끌었으며, 아산 무궁화 FC와의 플레이오프에서도 3:0 완승을 거두며 상주 상무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도 진출하였다. 그러나 상주 상무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2차전 경기 박준태의 골이 취소되는 악재 속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며 승격이 좌절되었고, FA컵에서도 울산 현대 FC에게 패해 FA컵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8년 1월에 대구예술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감독 도전’ 이승엽, 故 조진호 철학을 대학에 새기다 - 스포탈코리아 = = 그 외 = = 10월 25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FA컵 4강전 경기에서는 죽은 조진호 감독이 입었던 속옷을 입고 경기를 지휘했다고 한다. = 라이온하트 (SMAP의 노래) = 라이온 하트는 일본의 음악그룹 SMAP의 32번째 싱글이다. 2000년 8월 30일 빅터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되었다. = = 개요 = = SMAP의 멤버인 쿠사나기 츠요시 주연의 NTV 드라마 《푸드 파이트》 주제가이다. 이 드라마는 쿠사나기 츠요시 외에도, 멤버의 기무라 타쿠야가 카메오로 출연하였다. 작사는 극작가 노지마 신지, 작곡·편곡은 다양한 아티스트의 곡을 제공하고 있는 작곡가 코모리타 미노루이다. 오리콘 챠트에서는 SMAP의 싱글로는 두 번째 밀리언 셀러를 달성(플래닛 차트에서는 3번째). 오리콘 연간 싱글 차트 6위. 또한, 10번째 출전 인 NHK 홍백가합전에서 이 곡을 불렀다. TOKIO가 자니즈 역대 히트 곡의 커버 앨범 〈TOK10〉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 이외에도 캐나다의 R&B/SOUL 그룹 Jack Soul의 2009년에 발표 한 앨범 〈SOULmate〉에 커버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EXILE의 ATSUSHI의 영상 작품 인 〈EXILE ATSUSHI Premium Live~The Roots~〉에 ATSUSHI의 커버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의 남성 그룹의 티맥스가 리메이크해서 부르기도 했다. 2009년 후지TV '보쿠라노온가쿠'에서 한국남성그룹 동방신기 (TOHOSHINKI)가 커버하기도 했다. = = 수록곡 = = 라이온 하트 #* 작사 : 노지마 신지 / 작곡·편곡 : 코모리타 미노루 오렌지 #* 작사·작곡 : 이치카와 요시야스 / 편곡 : ZAKI 라이온 하트 [오리지널 가라오케] 오렌지 [오리지널 가라오케] = = 차트 최고 순위 = = 밀리언 (일본 레코드 협회) 주간 1위 (오리콘) 2000년 연간 6위 (오리콘) = 틀:만료 = = 분류:구사카베씨 = = 그리프터스 = 그리프터스는 1990년 제작된 미국의 네오 느와르,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스티븐 프리어스가 감독을,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가 각본을 맡았다. 짐 톰프슨의 동명 소설이 영화의 원작이다. 1990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작품상 수상작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존 쿠삭 안젤리카 휴스턴 아네트 베닝 = = = 조연 = = = 팻 힝글 J.T. 월쉬 = = 기타 = = 원작자: 짐 톰슨 공동제작: 페기 라스키 미술: 데니스 가스너 의상: 리처드 호넌그 배역: 줄리엣 테일러 배역: 빅토리아 토머스 = 임지혜 (레이싱 모델) = 임지혜(1986년 2월 14일~2023년 6월 18일)는 대한민국의 전 레이싱 모델이다. 2006년에 레이싱 모델로 데뷔했으며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단체 로드 FC의 라운드 걸로 활동한 경력도 있다. 2014년 2월 22일에 결혼과 함께 은퇴했고 2018년에 이혼했다. 그 뒤로 피팅 모델로 활동하면서 임블리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 = 학력 = = 대동정보산업고등학교 졸업 = = 모델 경력 = = = = = 레이싱 · 에이빙 = = = 2012년 EXR Team 106 레이싱 모델 2013년 서울모터쇼 어울림모터스 스피라 모델 = = = 라운드 걸 = = = 2013년 Road FC 013 라운드걸 2013년 Road FC 012 라운드걸 2013년 Road FC 011 라운드걸 = = = 기타 = = = 2006년 맥심 6월호 표지모델 = = 모델 외 활동 = = = = = 드라마 = = = 2007년 tvN 심야드라마 《화》 - 레베카 역 = = = 영화 = = = 2006년 《해바라기》- 룸싸롱 언니1 역 2005년 《그냥 거기에 있었다》 - 지혜 역 2004년 《파송송 계란탁》 - 룸싸롱 아가씨4 역 = = = M/V = = = 2011년 노블레스 - 사랑따위 개나 줘버려 = = 수상 = = 2011년 제12회 대한민국문화예술대상 레이싱 모델 부문 인기상 = = 사건사고 = = 2023년 6월 11일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그는 방송 중에 자신의 유서를 공개했다. 공개된 유서에는 "딸들에게 미안하다",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면서 죄책감을 갖지 않길 바란다"는 내용이 담겼다.BJ 임블리, 극단적 선택 시도 실시간 중계…유서까지 공개 출처:텐아시아BJ 임블리, 방송 중 극단적 선택 시도 출처:뉴시스 라이브 방송은 여전히 진행되었고 그녀의 휴대전화로 지인들의 전화가 연이어 오는 모습이 담겼다. 수십분 안에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들이 해당 방송을 중지시켰다.BJ임블리, 극단적선택 시도 라이브 중계…구급대원 현장 출동 출처: 스포츠경향 라이브 방송 도중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던 임지혜(BJ임블리)가 위독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결국…생방송으로 극단적 선택 시도한 BJ 임블리,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출처:위키트리 방송 영상은 유튜브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삭제되었다. 6월 13일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던 레이싱모델 출신 아프리카TV 임지혜(BJ임블리)의 상태가 위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정지가 2회 발생한 이후 의식이 없어 경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해졌다.극단선택 시도 BJ 임블리 `상태 위중`…"심정지 2회, 의식 없어" 출처:디지털타임스 2023년 6월 19일 개인 계정에 부고 소식이 올라왔다.BJ 임블리 결국 사망…생방송 중 극단적 선택 출처: 디지털타임즈BJ임블리 끝내 사망…극단선택 생방 유서엔 "딸들아 미안해" 출처: 뉴스1 경찰은 해당 사망 사건을 비롯해 다른 여성 BJ의 자살 방조, 모욕 등 여러 의혹에 대해도 수사 할 예정이다.임블리 사망 직전 무슨 일 있었나…경찰, '단체 음주방송' 수사 착수 출처: 서울경제유튜버 갓성은 "故 임블리 사건…경찰 요청 성실히 협조할 것" 출처: 톱스타뉴스 = 하일랜드파크 (펜실베이니아주) = 하일랜드파크(Highland Park)는 펜실베이니아주의 도시이다. 인구는 1,446명이다. = 세계 풋살 협회 = 세계 풋살 협회(, AMF)는 세계 풋살 경기를 통할하는 국제 풋살 기구로써 각 대륙별 풋살연맹이 원활하게 국제 경기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리하는 세계 풋살의 중심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 역사 = = 세계 풋살 협회는 1982년 FIFUSA(국제풋살연맹)명칭으로 창설되어 1982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제1회 FIFUSA풋살월드컵과 각종 국제대회를 개최하면서 본격적인 세계 풋살 정책을 시행했다. 1989년 당시 FIFUSA 회장이 FIFUSA를 탈퇴하고 FIFA에 합류한 후 FIFA에서 네덜란드 제1회 FIFA 풋살 월드컵을 개최하자 그 후 FIFUSA는 협회 명칭을 AMF(현재 세계 풋살 협회)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국제 풋살 정책을 입안하고 운영 시행하고 있다. = = AMF 풋살 월드컵 = = AMF는 3년 주기였던 AMF 풋살 월드컵을 4년 주기로 변경하여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AMF 여자 풋살 월드컵을 신설하였다. = 이흐산 하다드 = 이흐산 나빌 파르하단 하다드(, Ihsan Nabil Farhan Haddad, 1994년 2월 5일 ~ )는 요르단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 센터백이다. = = 수상 경력 = = 알웨흐다트 요르단 프로리그 : 2017-18 알파이살리 요르단 프로리그 : 2018–19, 2022 조던 FA컵 : 2018-19 요르단 슈퍼컵 : 2020 조던 쉴드 컵 : 2022, 2023 알쿠와 알자위야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 2020-21 이라크 FA 컵 : 2020-21 알쇼르타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 2022-23 쿠라닷컴 * = 야드바솀 = 야드바솀(יד ושם)은 나치 독일에 의한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이스라엘의 국립 기념관이다. 이스라엘 예루살렘 헤르츨 언덕에 있다. 나치에 의해 학살된 600만 명의 유태인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이스라엘의 공식 추모 기념관이다. 1953년 설립된 야드바솀은 해발 804m헤르츨언덕 서쪽 경사로 예루살렘 숲 인근에 위치하고있다. 기념관의 면적은 약 180두남(이스라엘 토지단위)이며 홀로코스트 역사 박물관등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어린이 기념관, 추모의방, 홀로코스트 시기의 예술 및 조각 박물관, 공동체 희생비 등과 같은 야외 추모공간이 있으며 또한 유대교 회당, 기록물 보관소를 갖춘 연구소, 도서관, 출판사 그리고 홀로코스트 연구를 위한 국제학교도 위치하고 있다. 야드바솀 설립자의 설립 취지는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아무런 금전적, 종교적 목적없이 위험을 무릅쓰고 유대인을 구해주었던 사람들을 기억하는 것이었다. 이 사람들은 이스라엘사람들에게 ‘열방의 의인’으로 불리며 야드바솀에는 ‘열방의 의인을 위한 정원’ 이 있어 그들의 의로운 행위를 기리고 있다. 야드바솀은 통곡의 벽 다음으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명소이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년간 약 백만명으로 추산되는 관광객들이 찾아온다. = = 목적 = = 야드바솀의 목적은 교육, 연구, 기록의 문서화 그리고 지난날에 대한 추모를 하는 것이다. 야드바솀은 이스라엘 뿐 아니라 전세계 교육 관계자들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홀로코스트에 대해 교육할 수 있도록 각 연령에 적합한 프로그램, 커리큘럼, 교육 교재 등을 계발하고, 홀로코스트 관련 전시 개최,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의 이름 수집, 사진, 문서, 유물 등의 수집 및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의 기억인 ‘증언의 페이지’를 수집한다. = = 기억의 전당 = = 기억의 전당은 홀로코스트에서 희생된 6백만명의 유대인들을 기리는 곳이다. 주요 공간은 두개의 원뿔로 구성되어있다. 그 중 하나는 약 10m 크기로서 마치 바닥 기저면의 바위에서 발굴된 것과 같은 모습이며 그 중 밑부분은 물로 채워져있다. 원뿔의 상단부에는 600점에 달하는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의 사진과 증언의 페이지 일부분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원뿔의 하단부의 물에 비치며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채 희생된 이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전당 중단부분의 플랫폼을 원형으로 아우르며 약220만점의 증언의 페이지가 전시되어 있으며 빈 공간 같은 경우 아직 그 문서가 제출되지 않아 비워둔 것이다. 야드바솀은 1950년대 이후부터약 11만점에 달하는 시청각 및 문서 형식의 홀로코스트 생존자 증언자료를 수집해 왔다. 이들의 나이를 고려하여 생존자의 자택에 방문하여 증언을 녹음하는 프로그램도 제공되고 있다. 기억의 전당에는 방문객들이 희생자들의 이름을 검색할 수 있는 공간 또한 마련되어 있다. = 분류: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 = = 김형범 (배우) = 김형범(1975년 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생애 = = 충청남도 논산 강경읍에서 5남 중 다섯째로 태어났으며 성인이 될 때까지 그곳에서 자랐다. 최대철과 아울러 "아줌마 시청자 세대들의 박보검"이라 불리는 그는 1992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 이듬해 1993년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3학번으로 진학하였고, 2000년 SBS 9기 공채 탤런트를 통해 본격적 배우 경력을 시작하였다.네이버 인물 정보 "김형범"MDL 노트 : 시즌 3. 2010년 4월 2일 금요일 방송. = = 학력 = =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학과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2000년 SBS 일일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2000년 SBS 일일시트콤 《순풍산부인과》 2000년 SBS 일일연속극 《당신은 누구시길래》 2000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달콤한 신부》 2000년 SBS 드라마스페셜 《불꽃》 2000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좋아 좋아》 2000년 SBS 일요드라마 《카이스트》 2000년 SBS 드라마스페셜 《팝콘》 2000년 SBS 청춘시트콤 《행진》 2000년 SBS 월화드라마 《도둑의 딸》 2000년 SBS 의학드라마 《메디컬 센터》 2000년 SBS 아침연속극 《사랑과 이별》 2000년 SBS 청춘시트콤 《골뱅이》 2000년 SBS 일일연속극 《자꾸만 보고싶네》 2000년 SBS 아침얀속극 《용서》 2000년 SBS 월화드라마 《천사의 분노》 2000년 SBS 드라마 스페셜 《여자만세》 2000년 SBS 미니시리즈 《루키》 2001년 SBS 드라마 스페셜 《순자》 2001년 SBS 대하드라마 《여인천하》 ... 포졸/대신/선비/포도대장 등 1인7역 2001년 SBS 아침연속극 《이별 없는 아침》 2001년 SBS 주간시트콤 《허니허니》 2001년 SBS 주말극장 《아버지와 아들》 2001년 SBS 드라마스페셜 《수호천사》 ... 라이타 역 2001년 SBS 단막극 《오픈드라마 남과여 - 우리도 같은 꿈을 꾸는 걸까?》 2001년 SBS 추석특집드라마 《엄마를 찾습니다》 2001년 SBS 일일연속극 《이 부부가 사는 법》 2002년 SBS 드라마스페셜 《지금은 연애중》 2002년 SBS 일일시트콤 《대박가족》 ... 어린이집 원감 역 2002년 SBS 청춘시트콤 《레츠고》 2002년 SBS 청춘시트콤 《오렌지》 ... 골프 강사 배주완 역 2003년 SBS 아침연속극 《당신 곁으로》 2003년 SBS 아침연속극 《이브의 화원》 ... 꽃집 직원 역 2003년 SBS 주말극장 《백수탈출》 2003년 SBS 일일연속극 《연인》 2003년 SBS 주말극장 《애정만세》 2003년 SBS 일일연속극 《흥부네 박터졌네》 2004년 SBS 아침드라마 《청혼》 2004년 SBS 주말특별기획 《발리에서 생긴 일》 ... 수정 오빠 역 2004년 SBS 주말특별기획 《폭풍속으로》 2004년 SBS 주말극장 《작은 아씨들》 2004년 SBS 일일연속극 《소풍가는 여자》 2004년 SBS 대하드라마 《장길산》 ... 장충의 사위, 박판석 역 2004년 SBS 주말특별기획 《파리의 연인》 ... 수혁의 친구 역 2004년 KBS2 대하드라마 《해신》 ... 태봉 역 2005년 SBS 금요드라마 《다이아몬드의 눈물》 ... 황구 역 2005년 MBC 일일연속극 《맨발의 청춘》 ... 희정의 오빠 역 2005년 SBS 아침연속극 《들꽃》 2006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통정》 ... 최홍 역 2006년 SBS 아침얀속극 《사랑하고 싶다》 ... 지헌의 후배의사 김 펠로우 역 2006년 SBS 드라마스페셜 《돌아와요 순애씨》 ... 서준호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90일, 사랑할 시간》 ... 양덕구 역 2006년 SBS 드라마스페셜 《무적의 낙하산 요원》 ... 광철 역 2007년 SBS 드라마스페셜 《쩐의 전쟁》 ... 노숙자 조철수 역 2007년 SBS 일일연속극 《그 여자가 무서워》 ... 지근석 역 2007년 SBS 추석특집극 《맛있는 이야기》〈EP2. 이별의 만찬〉 2008년 MBC 미니시리즈 《밤이면 밤마다》 ... 광역수사대 형사, 박진국 역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남자 이야기》 ... 용식 똘마니, 중호 역 2009년 SBS 미니시리즈 《드림》 ... FF격투단 오 실장 역 2009년 SBS 아침드라마 《망설이지마》 ... 차달수 역 2009년 SBS 드라마스페셜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 김정필 역 (특별출연) 2010년 SBS 드라마스페셜 《산부인과》 ... 연임 남편 역 (특별출연) 2010년 MBC 대하드라마 《김수로》 ... 추경 역 2010년 SBS 미니시리즈 《닥터 챔프》 ... 최함식 역 2010년 SBS 일일연속극 《호박꽃 순정》 ... 성운 역 2011년 MBC 주말연속극 《반짝반짝 빛나는》 ... 한상원 역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49일》 ... 49일 여행자 역 (특별출연) 2011년 SBS 드라마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김 비서 역 2011년 JTBC 미니시리즈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 ... 오용학 역 2012년 KBS2 주말연속극 《넝쿨째 굴러온 당신》 ... 남남구 역 (특별출연) 2012년 SBS 드라마스페셜 《옥탑방 왕세자》 ... 홍낙현 역 (특별출연) 2012년 MBN 미니시리즈 《사랑도 돈이 되나요》 ... 방국봉 역 2012년 KBS2 미니시리즈 《해운대 연인들》 2012년 KBS2 일일시트콤 《닥치고 패밀리》 ... 열형범 역 2012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아빠가 간다》 ... 김혁태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 필두 역 2013년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 - 상놈탈출기》 ... 인신매매 두독 역 2013년 MBC 월화드라마 《기황후》 ... 조참 역 2014년 모바일 드라마 《러브 인 메모리 2 - 아빠의 노트》 ... 정원 역 2014년 SBS 미니시리즈 《유혹》 ... 조영철 역 2014년 MBC 주말특별기획 《마마》 ... 누드 사진작가 역 (특별출연) 2014년 KBS2 수목드라마 《아이언맨》 ... 세동의 선배 역 (특별출연) 2014년 SBS 일일연속극 《달려라 장미》 ... 봉마봉 역 2015년 MBC 미니시리즈 《킬미힐미》 ... 최 실장 역 2015년 MBC 월화드라마 《화정》 ... 김경징 역 2015년 SBS 드라마 스페셜 《리멤버 - 아들의 전쟁》 ... 송재익 역 2016년 MBC 주말특별기획 《옥중화》 ... 도치 역 2017년 MBC 주말드라마 《당신은 너무합니다》 ... 연봉수 역 2018년 OCN 주말드라마 《작은 신의 아이들》 ... 최성기 역 2018년 SBS 월화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 2018년 KBS2 아침드라마 《차달래 부인의 사랑》 ... 탁허세 역 2019년 JTBC 월화드라마 《으라차차 와이키키 2》 ... 드라마 감독 역 (특별출연) 2019년 MBC 월화드라마 《웰컴2라이프》 ... 안수호 역 (특별출연) 2020년 SBS 아침연속극 《엄마가 바람났다》 ... 강석환 / 박태섭 역 = = = 영화 = = = 1999년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 조선인 청년 역 2002년 《패밀리》 ... 준호 역 2003년 《해피 에로 크리스마스》 ... 라디오 남자 진행자 역 2006년 《모노폴리》 ... NSI 요원 4 역 2006년 《공필두》 ... 형준 역(특별출연) 2008년 《당신이 잠든 사이에》 ... 종태 역 2008년 《울학교 이티》 ... 영어선생 차승룡 역 2008년 《여름, 속삭임》 ... 영화PD 역(특별출연) 2009년 《7급 공무원》 ... 세균 역 2012년 《네버엔딩 스토리》 ... 긍정의강사 역 2012년 《차형사》 ... 수트남 역 2013년 《박수건달》 ... 깐죽이 역 2015년 《약장수》 ... 재열 역 2015년 《늙은 자전거》 ... 창석 역 2015년 《파일 - 4022일의 사육》 ... 민국 역 2017년 《하루》 ... 김 경위 역 2023년 《아수라장: 범털들의 전쟁》 = = = 공연 = = = 2007년 뮤지컬 《위대한 캣츠비》 2009년 연극 《여보 고마워》 2021년 연극 《꽃은 사절합니다》 2011년~2012년 《박신양 콘서트》 = = 예능 = = 2008년 SBS 《좋아서(좋은 아빠가 되기 위한 스타들의 리얼 육아 보고서)》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절대권력 김사또 2017년 MBN 《내 손안의 부모님》 2017년 SBS 《자기야 백년손님》 = = 광고 = = 농심 무파마 라면 = 니카이도역 = 니카이도역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덴리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 3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덴리 선 하행 덴리 방면 2 덴리 선 상행 야마토사이다이지 · 나라 · 교토 · 야마토야기 · 가시하라진구마에 · 오사카난바 · 아마가사키 · 고베산노미야 방면 = = 이용 현황 = = 2005년 11월 8일 : 4,033명 2008년 11월 18일 : 3,843명 2010년 11월 9일 : 3,752명 2012년 11월 13일 : 3,581명 2015년 11월 10일 : 3,532명 = = 역 주변 = =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고리야마 나들목 = 고시시 = 고시시는 일본 구마모토현 중북부에 있는 시이다. = = 지리 = = 구마모토 현의 북부 내륙부에 위치한다. 시의 북부는 아소 산의 화산재가 내려 쌓인 구로보쿠로 불리는 화산재성 부식토에 덮인 광대한 농지가 펼쳐져 현내 유수의 곡창지대이다. 주택지·상업지는 국도·현도나 구마모토 전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구마모토시에 인접한 남서부 일대에 신시가지를 형성하고 있어 구마모토 시의 베드타운으로서 인구는 증가 경향에 있다. = = = 인접한 자치체 = = = 구마모토시 기쿠치시 기쿠치군 : 기쿠요정, 오즈정 가모토군 : 우에키정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현재의 시역에 고시 군 고시 촌·니시고시 촌이 성립하였다. 1896년 4월 1일 - 군제 시행에 의해 고시 촌·니시고시 촌 모두 기쿠치군의 소속이 되었다. 1966년 4월 1일 - 고시 촌이 정으로 승격해 고시 정이 되었다. 1966년 10월 1일 - 니시고시 촌이 정으로 승격해 니시고시 정이 되었다. 2006년 2월 27일 - 기쿠치 군 고시 정·니시고시 정이 합병해 고시 시가 성립하였다. = = 교통 = = = = = 철도 = = = 구마모토 전기 철도 기쿠치 선 = = = 도로 = = = 국도 387호선 = 루시 프라이 = 루시 프라이(Lucy Fry, 1992년 3월 13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모델이다. = =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뱀파이어 아카데미 더 프레피 커넥션 - 알렉시스 헤이즈 역 나우 애드 허니 더 다크니스 - 스테파니 역 브라이트 - 티카 역 하이웨이 = = = 드라마 = = = 11/22/63 (hulu) - 마리나 오스왈드 역 = 분류:신판 다이묘 = = 제임스 매슬로 = 제임스 매슬로(James Maslow, 1990년 7월 16일 ~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로, 빅 타임 러시에서 제임스 다이아몬드(James Diamond)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2022년 울프하운드 - 데이빗 홀든 역 = 분류:보아비스타 (호라이마주) = = 분류:포양호 = = HIP 3093 = = 돈 공화국 = 돈 공화국은 우크라이나 동쪽의 도네츠크, 돈보이스코 지역에 존재했던 공화국이었다. 수도는 노보체르카스크이며, 관리적으로 10개의 구로 나뉘어 있다. 이 공화국은 안톤 데니킨이 이끈 반볼셰비키 남러시아군 세력의 돈 카자크가 돈 소비에트 공화국에 대항하여 수립되었다. 수립 후에는 크러그 의회를 제정하였고, 돈 평의회 공화국은 붕괴되면서 영토를 흭득하기도 하였다. 1920년 붉은 군대가 이 공화국을 점령하면서 도네츠크주와 돈보이스코 주로 분리되었다. = = 붕괴 이후 카자크 = = 1920년 돈 공화국에서 돈 카자크 세력들이 결성한 백군이 붉은 군대에 패하자 수많은 러시아 카자크들이 라스카자치바니예를 내걸고 집단살해를 일으켰다. 또한 소비에트 대기근으로 인해 또 다시 일어났고, 추축국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카자크 강제 소환 등 돈 카자크의 라스카자치바니예는 계속되었고, 반소련 투쟁운동의 활동이 극히 미미해지는 등 그 형태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광주 북구의 행정 구역 = 광주 북구의 행정 구역은 41개의 법정동과 이것을 관리하는 2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 북구의 면적은 120.31 km2이며,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광주 북구의 일반현황, 2012년 9월 3일 확인 = =행정 구역 = = 중흥1동 中興洞 0.62 1,961 3,756 중흥동 中興洞 1.05 6,954 15,316 중앙동 中央洞 0.67 2,155 4,095 임동 林洞 1.22 4,352 10,507 신안동 新安洞 1.24 5,853 12,220 용봉동 龍鳳洞 3.14 14,585 40,217 운암1동 雲岩洞 1.17 7,072 21,554 운암2동 雲岩洞 1.20 6,252 15,287 운암3동 雲岩洞 1.28 6,588 19,027 동림동 東林洞 4.34 7,966 22,604 우산동 牛山洞 0.97 6,959 15,417 풍향동 豊鄕洞 0.78 2,696 5,738 문화동 文化洞 3.17 6,528 15,756 문흥1동 文興洞 2.14 6,512 19,563 문흥2동 文興洞 0.80 7,012 19,463 두암1동 斗岩洞 0.85 3,874 9,384 두암2동 斗岩洞 1.64 7,655 20,095 두암3동 斗岩洞 1.10 7,827 17,567 삼각동 三角洞 3.35 4,871 13,291 일곡동 日谷洞 0.75 10,923 34,364 매곡동 梅谷洞 3.73 5,041 15,502 오치1동 梧峙洞 1.87 5,473 13,469 오치2동 梧峙洞 2.18 6,448 15,207 석곡동 石谷洞 48.42 1,305 2,907 건국동 建國洞 - - - 양산동 陽山洞 5.86 35,002 12,632 신용동 - - - 북구 北區 121.74 169,400 443,953 = 파르나케스 2세 = 파르나케스 2세(그리스어 Φαρνάκης, 기원전 47년 죽음)은 폰투스의 미트라다테스 6세의 아들로 로마 공화정 말기 로마에 반기를 들었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패했다. = = 반역 = = 파르나케스의 어린 시절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아버지 미트라다테스 대왕은 로마에 세번이나 반기를 들었고 당대의 로마의 용장들과 싸웠으나 결국 폼페이우스에게 쫓겨다니는 신세가 되었다. 이때 파르나케스는 30세였는데 그는 아버지에게 반기를 들고 반역을 꾀하였고 로마군과 싸우는 것을 꺼려한 폰투스의 군사들도 이때 파르나케스에게 협력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아들에게 쫓겨난 아버지 미트라다테스 6세는 결국 쓸쓸히 자살하고 말았다. 파르나케스는 폼페이우스에게 아버지의 시체를 보내고 항복한후 왕위를 보전할 수 있었지만 아버지 때와는 훨씬 줄어든 왕국을 유지했다. = = 카이사르와의 전쟁 = = 기원전 49년 로마에서 카이사르의 내전이 일어나자 파르케나스는 부왕의 통치 시절의 왕국의 영토 부활을 기치를 삼고 주변국을 침략하였다. 흑해 남해안에서 가장 큰 도시인 시노프를 함락시키고 카파도키아를 침략하였다. 카이사르는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승리한 직후 부관인 도미티우스에게 3개 로마 군단을 주고 소아시아로 보내어 파르나케스를 상대하게 했으나 곧 알렉산드리아에서 이집트 내전에 휘말린 카이사르는 2개 군단을 빼내 이집트로 보내게 했다. 그 사이 파르케나스는 소아시아 지역의 절반을 점령하고 도미티누스를 격퇴하여 시리아로 퇴각시켰다. 카이사르는 이집트 원정을 마무리 하고 기원전 47년 6월 직접 파르나케스를 상대하러 소아시아로 왔다. 처음에 파르케나스는 외교교섭을 벌이면서 시간을 벌려고 했으나 카이사르가 교섭을 포기하고 행군속도를 높이자 결국 젤라(지금의 터키의 질레)에서 양군이 맞붙었다. 결과는 카이사르의 완승으로 끝나고 파르케나스는 겨우 도망쳤다. 그는 보스포루스로 돌아가 몇 개 도시의 영향력을 회복했으나 부하가 반란을 일으켜 싸우다 죽었다. = 1978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다음은 1978년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드라마 프로그램을 나열한 목록이다. = = 1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봄이 오면 1978.01.03 MBC 남풍 1978.01.301978.04.07 MBC 꺼삐딴 리 1978.02.28 MBC = = 2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주인 1978.04.101978.07.08 MBC 도련님 1978.04.151978.08.12 MBC 정부인 1978.05.281978.09.16 MBC 미소 1978.06.051978.10.14 MBC 넝쿨장미 1978.06.24 MBC = = 3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뜨거운 손 이상현 표재순 1978.08.141978.08.17 4 MBC 특집 청춘의 덫 김수현 박철이효영 1978.08.191978.11.05 20 MBC 연지 신봉승 표재순 1978.09.181979.05.05 MBC = = 4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내고향 버드레 1978.10.09 MBC 행복을 팝니다 1978.10.161979.05.05 MBC 달아 달아 밝은 달아 1978.11.07 MBC 바람은 불어도 1978.11.111979.01.21 MBC = 분류:미국 육군의 여단 = = 클로렐라 = 클로렐라(Chlorella)는 녹조식물문에 속하는 녹조류이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광합성 효율이 우수하여 미래 식량으로 각광을 받기도 했지만 생산 단가가 높은 편이어서 식량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대신 건강식품을 만들기 위해 재배되고 있다. 캘빈이 캘빈 회로(Calvin cycle)를 밝혀내기 위해 사용했던 식물이기도 하다 스피룰리나 대체 암 치료법 = = 개요 = = 담수조류로 연못·늪·논·저수지·어항 등에서 부유 생활을 한다. 플랑크톤성 단세포체로 선명한 녹색이며 지름 10µm 이하의 미소한 구형이나 난형세포이다. 1개의 핵과 1개의 엽록체를 가지며 편모가 없어 운동성이 없고 각 개체가 따로 떨어져 물속에 부유하여 생육한다. 클로렐라는 광합성 암반응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연구재료로 쓰였고, 현재 약 10여 종이 알려져 있다. 클로렐라의 광합성 속도는 고등식물의 수십 배로서, 일반 식물의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이 0,5-2%인데 비해 3-10%의 에너지 이용효율을 갖는다. 세포분열을 하지 않고 내생포자를 형성하며 번식하므로 증식속도가 매우 빠르고, 배양조건을 달리 하면 단백질 90%, 탄수화물 37%, 지방 80%까지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미래식품으로 주목되었으며, 산소와 식량의 동시 해결이 가능하므로 우주식으로 검토되기도 하였다. 건조시킨 클로렐라는 100g당 단백질 40-50g, 탄수화물 10-25g, 지질 10-30g을 함유하며 필수아미노산인 리신·메티오닌이 풍부하여 좋은 미생물 단백질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소화되기 어려운 부분이 많고 맛도 없으며 생산 원가가 비싸서 독립된 식품으로는 개발되지 못하고 다른 식품의 첨가물이나 유산균 등 미생물의 발육촉진제, 가축의 사료, 영양제의 원료, 양식업에서 초기 치어기에 먹이로 이용되며 호기성 세균과 함께 오염된 물의 정화에 쓰이고 있다. = 문화·민속 = = = 예능 연표 = = = = 참고 = = = 분류:이탈리아의 지중해 게임 참가 선수 = = 통영오광대 = 통영오광대는 영남지방의 오광대(五廣大)놀이 중의 하나로,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해 오는 탈놀음이다. 1964년 12월에 국가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 = 통영오광대놀이의 가면 = = *문둥이양반 *홍색양반 *비틀양반 *곰보양반 *검정양반 *조리중 *원양반 *둘째 양반 *말뚝이 *팔선녀 *영노 *비비양반 *할미양반 *할미 *제자각시 *상좌(갑) *상좌(을) *봉사 *애기 *작은상제 *큰상제 *몽돌이 *포수 *담보 *대로 만든 사자 = = 통영오광대의 기능보유자 = = 6사람의 기능보유자가 위촉되어 있다. *오정두(吳正斗, 1900년생, 영노, 탈 제작, 악사) *김삼성(金三成, 1911년생, 큰어미, 사자탈) *유동주(劉東柱, 1917년생, 꼭두각시, 작은 어미, 포수,호적) *문창섭(文昌燮, 1918년생, 문둥탈, 말뚝이, 사자머리, 소무, 악사) *고영수(高永守, 1919년생, 손님 사자) *강연호(姜連浩, 1931년생, 큰어미, 꽹쇠) *강영구(姜永九, 1931년생, 말뚝이) *이기숙(李基淑, 1922년생, 원양반, 할미양반) 그 밖에도 장재봉(張在奉), 박정대(朴正大), 장용기(張容基) 등이 이 탈놀음을 전한 공로자들이다. = 히다이치노미야역 = 히다이치노미야역은 일본 기후현 다카야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며, 다카야마역 관리의 무인역이다. = = 타는 곳 = = 1 ■ 다카야마 본선 상행 기후 · 게로 방면 2 ■ 다카야마 본선 하행 다카야마 · 도야마 방면 3 예비 승강장 예비 승강장 예비 승강장 = = 역 주변 = = 국도 제41호선 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 히다이치노미야 서비스 스테이션 = 낙동초등학교 (부산) = = 다이아나 깁슨 = 다이아나 깁슨(Diana Gibson, 1915년 3월 21일 ~ 1991년 10월 12일)은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이다. 시카고에서 태어났으며 코럴게이블즈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에이스 드러몬드 (1936년) = 바디 오브 프루프 = 바디 오브 프루프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방영된 미국의 TV 드라마이다. = 분류:런던의 미술 작품 = = 페레이라 (동음이의) = = = 지명 = = 페레이라: 콜롬비아 리사랄다 주의 주도 = = 인명 = = = = = 스포츠인 = = = 히카르두 페레이라(1976~):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 크리스치아누 페레이라 지 소자(1977~): 브라질리아(Brasília)로 잘 알려진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막시밀리아노 페레이라(1984~): 포르투에서 오른쪽 풀백으로 뛰고 있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루이스 페르난두 페레이라 다 시우바(1985~): 페르난지뉴로 잘 알려진 브라질 출신의 축구 선수. 알바로 페레이라(1985~): 세로 포르테뇨에서 뛰고있는 축구 선수. 레오나르두 호드리게스 페레이라(1986~): 레오나르두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 로베르토 페레이라(1991~):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안드레아 페레이라 세후도(1993~):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야니크 페레이라 카라스코(1993~): 벨기에의 축구 선수 펠리피 안데르송 페레이라 고메즈(1993~): 펠리피 안데르송으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 히카르두 도밍구스 바르보자 페레이라(1993~):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안드레아스 페레이라(1996~): 브라질의 축구 선수. 다닐루 페레이라: 포르투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니비사우계 포르투갈인 축구 선수 비토르 페레이라: 포르투갈의 축구 감독 파쿤도 페레이라: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도글라스 페레이라 두스 산투스: 도글라스(Douglas)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 모아시르 페레이라: 브라질 출신의 축구 감독 에지지우 페레이라 주니오르: 브라질의 축구 선수 파울루 마르세우 페레이라 메라베트: 브라질의 은퇴한 축구 선수 조엘 카스트루 페레이라: 스위스 태생이자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하파에우 리마 페레이라: 하피냐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아그나우두 코르데이루 페레이라: 브라질 출신의 축구 선수 히카르두 아우베스 페레이라: 히카르지뉴(Ricardinho)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 베르나베 페레이라: 은퇴한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루이스 데 소우사 페레이라: 페루의 전 축구 선수 빅토르 페레이라: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치아구 시프레스치 페레이라: 브라질 출신의 축구 선수 = = = 기타 = = = 스카이 페레이라: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모델 크리스토방 페레이라: 예수회 선교사 아리스티드스 페레이라: 카보베르데의 초대 대통령 아스트로질두 페레이라: 브라질의 언론인, 문예 비평가, 정치가 에이토르 페레이라: 브라질 출신의 작곡가 = 아우로라숲쥐 = 아우로라숲쥐 또는 루손아우로라숲쥐(Apomys aurorae)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필리핀 루손섬의 토착종이다. = = 특징 = = 아우로라숲쥐는 작은 설치류로 전체 몸길이는 258~291mm, 꼬리 길이는 121~148mm, 발 길이는 35~38mm이다. 귀 길이는 21~23mm, 몸무게는 최대 79g이다. 상체는 진한 갈색이고, 옆구리와 주둥이는 연한 색을 띠는 반면에 하체는 희거나 회색이다. 손발은 작고 흰 털로 덮여 있다.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 보다 꼬리 길이가 길고, 윗 면은 진하고 아랫 면은 연하다.Lawrence R. Heaney & Al., A Synopsis of the Mammalian Fauna of the Philippine Islands , Fieldiana Zoology , vol. 88, 1998. = = 생태 = = 육상성 동물이며, 야행성 동물이다. 먹이는 곤충과 지렁이, 씨앗이다. = = 분포 및 서식지 = = 필리핀 루손섬의 북부 산악 지대에 분포한다. 해발 950~2200m의 소나무 숲에서 서식한다. = = 보전 상태 = = 생태와 위협 요인 등이 아직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서 "정보부족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 틀:유니버시아드 요트 = = 분류:현대 유니콘스 포스트시즌 = = 그미나 = 그미나는 폴란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서, 다른 국가들의 지방 자치체에 상당하다. 2019년 기준 폴란드 전국에 2,477개의 그미나가 있으며, 43,000개의 마을을 관할하고 있다. 940개의 그미나는 도시나 소도시를 포함하며 그 중 302개는 도시만으로 이루어진 '자치시'이다. 과거에 쓰이던 그로마다(gromada)라는 하위 행정 구역을 대체하여 1974년 도입되었다. 여러 개(도시 지역에서는 단 하나)의 그미나는 함께 군(powiat)이라는 더 상위의 행정 구역을 구성한다. = = 종류 = = *302개의 도시형 그미나(gmina miejska)는 소도시 또는 도시만으로 이루어진 지자체인데, 그 중 107개는 시장이 관할하는 '도시'이며, 이는 다시 특별 지위를 가진 66개의 '군 지정시'를 포함한다. *638개의 도농형 그미나(gmina miejsko-wiejska)는 도시와 함께 주변의 소도시나 농촌 지역을 포함하는 지자체이다. *1537개의 농촌형 그미나(gmina wiejska)는 도시를 포함하지 않고 마을과 주변의 농촌 지역을 포함하는 지자체이다. = 주말 N 나들이, 문가빈입니다 = 주말 N 나들이, 문가빈입니다는 TBN 대구교통방송(대구 FM 103.9, 김천 FM 95.9MHz)에서 주말 낮 12시부터 1시 55분까지 방송되는 대구, 경북지역의 라디오 교양, 오락, 트로트, 최신음악 프로그램이다. = = 프로그램 소개 = = 주말 그리고 휴일, 음악으로 떠나보자! 나랑 들어요 이 노래~ 주말 N 나들이, 문가빈입니다. = = 매일 코너 = = 나드리 문여사, 지역말 퀴즈! - 전국 방방곡곡! 나드리 문여사를 따라 아름다운 지역말을 알아보는 시간 흘러 가요~ 가요~ - 생각 따라 이어 듣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노래 드라이빙 나들이 뮤직 - 주말과 휴일, 도로에서 즐기는 나만의 쥬크박스 문득! 퀴즈 - 문제를 듣다 보면 정답이 문득! 떠오른다! 문득 퀴즈~ 이 맛에 산다! - 우리 주변 살맛나는 이야기들 = 분류:르완다-폴란드 관계 = = 분류:천왕성 탐사선 = = Colony (음반) = Colony는 1999년 5월 21일에 발매된 인 플레임즈의 음반이다. 뉴클리어 블래스트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아곡류 = = 송갑조 = 송갑조(宋甲祚, 1574년 12월 10일 ∼ 1628년 4월 1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다.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자는 원유(元裕), 호는 수옹(睡翁)이다. 송인수의 종손이고, 세한재(歲寒齋) 송시도(宋時燾)와 대학자 우암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이다. 최립(崔岦)의 문인이다. 시호는 경헌(景獻)이다. = = 생애 = = = = = 생애 초반 = = = 송갑조는 1574년 12월 10일 송구수(宋龜壽)의 손자이자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송응기(宋應期)와 부인 병조판서 이윤경의 딸 광주이씨의 아들로 한성부 반송방(盤松坊)에서 태어났다. 종조부 송인수는 대사헌이었으며, 율곡이이를 공격했던 송응개와 송응형은 그의 친족으로 이들은 동인이었다. 그의 종조부 송인수와 조부 송구수는 서인이 되었으므로 그도 자연스럽게 서인이 되었고, 아들 송시열 역시 자연스럽게 서인이 되었다. 학자 우암 송시열은 그의 셋째 아들이었다. 일찍이 최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어머니 광주이씨를 여의고, 어머니 이씨가 친정에서 데려온 노비 현비에 의해 양육되었다. 당시 현비는 양인인 강씨와 결혼하여 자녀가 있었는데, 유모 현비는 자신의 젖을 물려 어린 송갑조 형제를 길렀다. 이후 송갑조는 현비의 아들들을 자신의 친형제, 친동기처럼 대하였고 유모인 이씨를 깎듯이 대하였다 한다.그는 아들인 송시열에게 이를 누누이 일렀고, 후에 송시열은 현비를 추모하여 친필로 비석을 세우기도 한다. = = = 관료 생활 = = = 1617년(광해군 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다. 이때 인목대비 폐모론으로 북인에 의해 인목대비가 폐모되어 서궁(西宮)에 감금당했다. 그는 이 불의에 분노하였고, 같이 합격한 이영구(李榮久) 등의 만류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비밀리에 서궁을 방문, 서궁에 유폐되어 있는 인목대비를 혼자 배알하고 돌아왔다. 폐비된 죄인을 알현했다는 이유로 그는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다. 즉시 귀가하여 두문불출하다 낙향, 이후 관직을 단념하고 성리학 학문 연구와 공자, 주자 및 이이와 성혼의 저서들에 대한 독서와 시문 짓기 등으로 소일하였으며, 학숙(學塾)을 열어 학규를 엄격히 하고 고훈격언(古訓格言)으로 학도를 가르쳤다. 1623년(광해군 15년)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강릉참봉(康陵參奉)에 특별 제수되어 상경하였다. 1624년(인조 2)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켰을 때는, 도보로 공주의 행재소까지 가서 인조 왕을 호종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1626년 전주부(全州府)와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이 되고 조산대부로 승진했다. 1627년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에 제수되어 한성부로 오던 도중에 청나라의 침입으로 정묘호란이 터지자 남하하는 소현세자를 만나 전라북도 완산(完山)으로 수행, 호종하였다. 그 뒤 청나라와 화의가 성립되었다는 말을 듣고 비분을 이기지 못하여 사직서를 제출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이후 시문과 독서로 소일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1628년 4월 1일 옥천에서 사망하였다. = = = 사후 = = = 처음 묘비명은 청음 김상헌이 짓고, 신독재 김집이 글씨를 썼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비석이 훼손되어, 뒤에 다시 동춘당 송준길이 비문을 지었다. 송준길은 그의 비문을 쓸때 본래 처음 묘비명은 청음 김상헌이 짓고, 신독재 김집이 글씨를 썼다고 언급하였다. 사후 송준길의 상소로 효종 때 증사헌부집의(贈司憲府執義)에 추증되었으며, 현종 즉위 초, 아들 송시열의 영귀로 증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추증되었다. 영조 때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다시 윤봉조(尹鳳朝)의 상소로 경헌(景獻)의 시호가 내려졌다. = = 가계 = = 할아버지 : 송구수(宋龜壽) 아버지 : 송응기(宋應期) 어머니 : 이윤경(李潤慶)의 딸, 광주 이씨 * 형 : 송방조(宋邦祚) * 전처 : 선산 곽씨 곽자방(郭自防)의 딸 ** 장남 : 송시희(宋時熹) ** 자부 : 김성진(金聲振)의 딸 ** 차남 : 송시묵(宋時默) ** 자부 : 이시생(李蓍生)의 딸 ** 삼남 : 송시열(宋時烈) ** 자부 : 이덕사(李德泗)의 딸 *** 손자 : 송순(宋純) *** 손자 : 송기태(宋基泰) - 생부 송시형(宋時瑩) *** 손녀 : 권유(權裕)에게 출가 *** 손녀 : 윤박(尹博)에게 출가 ** 사남 : 송시도(宋時燾) ** 자부 : 이복익(李復益)의 딸 ** 오남 : 송시휴(宋時烋) ** 자부 : 권씨 ** 장녀 : 윤간(尹侃)에게 출가 ** 차녀 : 이경(李憬)에게 출가 = 이영수 (목사) = 이영수(李永壽, 1928년 7월 20일 ~ 1987년 12월 2일)는 대한민국의 장로교(합동) 목회자이다. = = 생애 = = 이영수 목사는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어린 시절 기독교에 입문하여 총회신학원에서 신학을 하였다. 그후 군목으로 입대하여 육군 경리학교에서 제대하였다. 그후 대구봉산교회(현 드림교회) 제6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당회장으로 사역하는동안 총회서기로 활약하였으며 또한 총회신학교 이사장으로 그리고 1984년 한국기독교 100주년기념대회 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그외에도 한국교회 찬송가를 하나로 통일하는 데 리더쉽을 발휘하였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서기, 부총회장, 그리고 총회장을 역임하였다. 미국에 총회 미주대회를 설립하는데에도 공헌을 하였으며 1983년에는 중부학원을 설립하였고 이 학교가 1993년에 중부대학교로 발전하였다. 그의 동생인 이영태 목사는 미국연방정부가 미주 남부에 유일하게 인가한 한인설립 미국대학인 남부개혁대학신대원을 설립하였다. = 위구르 문자 = 위구르 문자(Old Uyghur alphabet)는 8세기 무렵부터 중앙아시아에서 주로 사용된 위구르어 표기에 사용된 문자이다. = = 개요 = =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소그드 문자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소그드 문자의 초서체에서 파생된 것으로 되어있다. 현재의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아랍 문자와 같이 아람 문자 계통이다. 이후 위구르 문자의 계통은 이후 몽골 문자로 이어진다. = = 관련항목 = = 위구르어 톈산 위구르 왕국 몽골 제국 돌궐 문자 = 분류:서사 애니메이션 = =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 윤동현 = 윤동현(尹東弦, ?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겸 정치인이다. 2018년 기준으로, 인민무력성 부상 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다. = = 경력 = = 2010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대표 회의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조선 인민군 상장으로 인민무력부 부부장을 거쳐 2016년 9월 인민무력성 부상에 임명되었다, =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을 시작으로 2003년 8월 제11기 대의원과 2009년 4월 제12기 대의원을 지냈고 2019년 제170호 봉수산선거구에서 제14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 = 기타 = =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과 2018년 8월 김영춘 사망, 같은해 12월 김철만 사망 당시에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 와타나베 도시오 (경제학자) = 와타나베 도시오(, 1939년 6월 22일~ )는 일본의 경제학자로 개발경제학을 주 전공으로 하고 있다. 야마나시현 고후시 출신이다. 신탈아론(新脫亞論)의 주창자이기도 하다. = = 주요 경력 = = 1963년 : 게이오 대학 경제학부 졸업 1970년 : 게이오 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1979년 : 박사 학위 취득 쓰쿠바 대학 교수 도쿄 공업대학 교수, (현)명예교수 2000년 : 다쿠쇼쿠 대학 교수 2005년 : 다쿠쇼쿠 대학 학장(현) = = 주요 저서 및 수상경력 = = 成長のアジア 停滞のアジア(1985, 제3회 요미우리-요시노사쿠조 상(ja) 수상) 開発経済学 経済学と現代アジア(1986, 제3회 오오히라 마사요시 기념상() 수상) 西太平洋の時代(1989, 제2회 아시아-태평양상(ja) 대상 수상) 神経症の時代―わが内なる森田正馬(1996, 제5회 가이코 다케시상(ja) 수상) アジア経済の構図を読む(1998) 中国経済は成功するか(1998) 種田山頭火の死生―ほろほろほろびゆく(1998) 現代アジアを読む(1999) 海の中国(2001) 心のライフデザイン―自分探しの旅へのマニュアル(2003) 私のなかのアジア(2004)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06년 11월/그림 = }} 2006-11 그림 2006-11 = 틀:농구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 = = 태화 (위) = 태화(太和)는 중국 조위(曹魏) 명제(明帝)의 첫 번째 연호이다. 227년에서 233년 1월까지 6년 1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같은 시기에 사용된 다른 연호로는 촉한(蜀漢)에서 사용한 건흥(建興 : 223년 ~ 237년), 오왕(吳王) 손권(孫權)이 222년부터 사용한 황무(黃武), 오(吳)에서 사용한 황룡(黃龍 : 226년 ~ 231년), 가화(嘉禾 : 232년 ~ 238년)가 있다. = = 개원 = = 태화(太和) 원년 1월 1일정미년(丁未年) 1월 정유일(丁酉日)(227년 2월 4일)에 연호를 태화(太和)로 개원함. = = 연대대조표 = = 태화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서력 227년 228년 229년 230년 231년 232년 233년 육십간지(六十干支)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촉한(蜀漢) 건흥(建興)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오(吳) 황무(黃武)6년황무 시기는 오왕(吳王)의 신분으로, 사연호(私年號)로 사용하였다. 7년 8년황룡(黃龍)원년 2년 3년 가화(嘉禾)원년 2년 = = 삭일(1일) = = 태화 원년(227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윤12월 삭일(음력) 정유일(丁酉日) 정묘일(丁卯日) 병신일(丙申日) 병인일(丙寅日) 을미일(乙未日) 을축일(乙丑日) 갑오일(甲午日) 갑자일(甲子日) 계사일(癸巳日) 계해일(癸亥日) 계사일(癸巳日) 임술일(壬戌日) 임진일(壬辰日) 율리우스력 227년2월 4일 3월 6일 4월 4일 5월 4일 6월 2일 7월 2일 7월 31일 8월 30일 9월 28일 10월 28일 11월 27일 12월 26일 228년1월 25일 태화 2년(22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신유일(辛酉日) 신묘일(辛卯日) 경신일(庚申日) 경인일(庚寅日) 기미일(己未日) 기축일(己丑日) 무오일(戊午日) 무자일(戊子日) 정사일(丁巳日) 정해일(丁亥日) 병진일(丙辰日) 병술일(丙戌日) 율리우스력 228년2월 23일 3월 24일 4월 22일 5월 22일 6월 20일 7월 20일 8월 18일 9월 17일 10월 16일 11월 15일 12월 14일 229년1월 13일 태화 3년(229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을묘일(乙卯日) 을유일(乙酉日) 을묘일(乙卯日) 갑신일(甲申日) 갑인일(甲寅日) 계미일(癸未日) 계축일(癸丑日)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신사일(辛巳日) 신해일(辛亥日) 경진일(庚辰日) 율리우스력 229년2월 11일 3월 13일 4월 12일 5월 11일 6월 10일 7월 9일 8월 8일 9월 6일 10월 6일 11월 4일 12월 4일 230년1월 2일 태화 4년(230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윤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경술일(庚戌日) 기묘일(己卯日) 기유일(己酉日) 무인일(戊寅日) 무신일(戊申日) 무인일(戊寅日) 정미일(丁未日) 정축일(丁丑日) 병오일(丙午日) 병자일(丙子日) 을사일(乙巳日) 을해일(乙亥日) 갑진일(甲辰日) 율리우스력 230년2월 1일 3월 2일 4월 1일 4월 30일 5월 30일 6월 29일 7월 28일 8월 27일 9월 25일 10월 25일 11월 23일 12월 23일 231년1월 21일 태화 5년(231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갑술일(甲戌日) 계묘일(癸卯日) 계유일(癸酉日) 임인일(壬寅日) 임신일(壬申日) 신축일(辛丑日) 신미일(辛未日) 경자일(庚子日) 경오일(庚午日) 경자일(庚子日) 기사일(己巳日) 기해일(己亥日) 율리우스력 231년2월 20일 3월 21일 4월 20일 5월 19일 6월 18일 7월 17일 8월 16일 9월 14일 10월 14일 11월 13일 12월 12일 232년1월 11일 태화 6년(232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무진일(戊辰日) 무술일(戊戌日) 정묘일(丁卯日) 정유일(丁酉日) 병인일(丙寅日) 병신일(丙申日) 을축일(乙丑日) 을미일(乙未日) 갑자일(甲子日) 갑오일(甲午日) 계해일(癸亥日) 계사일(癸巳日) 율리우스력 232년2월 9일 3월 10일 4월 8일 5월 8일 6월 6일 7월 6일 8월 4일 9월 3일 10월 2일 11월 1일 11월 30일 12월 30일 태화 7년(233년) 1월 2월 3월 4월 5월 윤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임술일(壬戌日) 임진일(壬辰日) 임술일(壬戌日) 신묘일(辛卯日) 신유일(辛酉日) 경인일(庚寅日) 경신일(庚申日) 기축일(己丑日) 기미일(己未日) 무자일(戊子日) 무오일(戊午日) 정해일(丁亥日) 정사일(丁巳日) 율리우스력 233년1월 28일 2월 27일 3월 29일 4월 27일 5월 27일 6월 25일 7월 25일 8월 23일 9월 22일 10월 21일 11월 20일 12월 19일 234년1월 18일 = = 관련항목 = = 다른 왕조의 같은 연호 동진(東晉) 태화(366년 ~ 371년) 성한(成漢) 태화(344년 ~ 346년) 후조(後趙) 태화(328년 ~ 330년) 북위(北魏) 태화(477년 ~ 499년) 중국의 연호 = 분류:1437년 = = 신중한 투자자 법리 = 신중한 투자자 법리는 1830년 메사추세츠 법원의 판례법에 의해 형성된 법리로 수탁인은 신중한 투자자가 자신의 자산을 소득수준과 잠재위험을 고려하여 관리하는 수준으로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수탁받은 신탁이 어떻게 신탁재산을 투자하고 관리할지에 대해 정한 바가 없다면 신중한 투자자의 법리를 따라 관리하게 된다. 신중한 투자는 항상 좋은 투자로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아무도 어느 투자결정으로 무엇이 발생하는지 확실하게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 감태지 = 감태지는 "감태"라고도 불리는 가시파래로 만든 김치이다. 2015년에 전라남도 완도의 감태지가 슬로 푸드 선정 맛의 방주에 등재되었다. = 분류:수단 혁명 = =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에 대한 반응 =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에 대한 반응은 미국에서 만들어진 영화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이 이슬람교를 모욕한다는 것을 이유로, 이에 항의하기 위해 2012년 9월 11일부터 29일까지 이집트 카이로, 리비아 벵가지 등 아랍 국가에서 미국 재외 공관이 테러를 당하거나 시위가 일어난 사건이다. 일련의 습격 사건으로 리비아의 미국 영사관에서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주미 리비아 대사 등 4명이 살해되었다. 공무 중 미국 대사가 살해되는 것은 1979년에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였던 아돌프 덥스 (en)가 살해 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집트, 리비아를 발단으로 한 반미 시위는 다른 이슬람 국가에도 파급되었다. 또한 수단에서는 비판의 대상은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과 독일 등 유럽 국가에도 향했다. = = 배경 = = 2011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이노센스 오브 무슬림이라는 영화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중 국적을 가진 사업가 샘 바실이 만든 것으로, 2011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약 3개월에 걸쳐 촬영되었다. 이 영화의 약 14분 동영상이 2012년 7월, 유튜브에 게시되었으며, 그 중에서는 예언자 무하마드가 잔혹한 살인자이며 동성애자이며 여성 관계가 화려한 색정광 같은 인물로 묘사되고 있었으며, 무하마드가 거짓말쟁이라고 하는 장면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영상의 아랍어가 이슬람 사회에서도 텔레비전으로 다루어져 이슬람을 크게 분개시키게 되었다. = = 경과 = = = = = 이집트 = = = 이집트는 미국에서 제작된 반 이슬람 영화로 인해 격렬한 반미시위가 일어났다.“美 영화서 이슬람 모독” 이집트 反美시위 격렬 시위로 인해 부상자와 사망자가 생겼다. 시위가 일어나자 무르시는 카이로 주재 외국공관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집트 대통령 "카이로 주재 외국공관 보호할 것" = = = 리비아 = = = = 프리츠 프레글 = 프리츠 프레글(, 1869년 9월 3일 ~ 1930년 10월 13일) 은 오스트리아의 화학자이다. 그라츠 대학에서 공부하고, 동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유기 화합물의 적은 양의 원소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극히 적은 양을 잴 수 있는 천칭을 연구하였다. 원소 분석법의 새 계통을 완성하여 화학·생리학·의학·공업 등 여러 방면의 연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1923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 분류:아르메니아의 지리 = = 분류:600년 출생 = = 다카쓰촌 = 다카쓰촌(高津村)은 에히메현 니이군에 설치된 촌이다. = 서길자 = 서길자(1974년 2월 18일)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탤런트이다. = = 주요 작품 = = 폭소대작전 (KBS) 웃음은 행복을 싣고 (KBS) 금촌댁네 사람들 (KBS) 개그 콘서트 (KBS) 꿈은 이루어진다 (영화) 백프로 (영화) 거인 (영화) 친구, 우리들의 전설 (MBC 드라마) 창가비 (드라마) = = = 방송 = = = TV쇼 진품명품 (KBS) 새롭게 하소서 (CTS) 날마다 새롭게 (CBS) 필드레슨 포유 (JTBC 골프) 오이지 골프 (스포츠힘) = = = 공연 = = = 코미디하우스 (2002년) 루나틱 (2004년) 병사와 수녀 (2005년) 병사와 수녀 또 만나다 (2007년) = = = CF = = = 포크밸리 삼성 노트북 = 분류:불가리아의 훈장 = = 연합 이라크 연맹 = 이라크 국민 연맹(United Iraqi Alliance)은 2005년 1월 30일 실시된 이라크 제헌의회선거에서 최다득표(48.1%)를 달성한 선거(공천) 연합이다. 선거연합에 소속된 정치단체들의 명단은 아래 열거되어 있다. 연맹은 주류 시아파 종교 정당들(아흐메드 찰라비가 이끄는 이라크 국민의회를 포함), 리버럴한 세속주의자들(핵 물리학자 후세인 샤리스타니가 이끄는 조직을 포함), 그의 국민 독립 간부 엘리트 당(National Independent Cadres and Elites Party)를 지원하지 않는 급진 성직자 모크타다 사드르의 지지자들, 그리고 몇몇 독립 수니파 후보들 같은 많은 상이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맹은 이라크에서 가장 널리 존경받는 종교계의 거물, 대 아야톨라 알리 알시스타니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널리 믿어지고 있다. 그리고 아야톨라가 공식적인 승인을 표명한 적은 없지만, 이라크의 많은 사람들이 UIA를 "알시스타니의 공천명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846만표 이상이 행사된 가운데, UIA는 가장 많은 408만표(48.1%)를 얻어 275석으로 구성된 이라크 국회에서 140석을 확보하였다. UIA가 얻은 140석 중 42석이 여성에게 할당된다. 신 이라크 의회에서 여성은 총 86석을 얻게 되는데, 이는 아랍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슬람 다와당을 이끌고 있으며 이라크의 총리가 된 이브라힘 알자파리를 비롯해, 연맹의 많은 후보자들은 이란에서 망명 생활을 하였다. 1980년에 사담 후세인의 세속적 바트당 정부를 이슬람주의 정부로 교체하려고 추구했다가 수천명의 다와당 지지자들이 투옥되고 처형당했다. 1979년 이슬람 혁명 동안 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성공적으로 축출한 이란 지도부는 그들의 행동을 지원했고, 이란으로 망명하려는 알다와 당원들을 받아들였다. UIA가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가 지목한 "악의 축"의 일원인 이란과 맺고 있는 강한 연계는 난처하기 짝이 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희망을 피력하면서 후보들과 이라크 주민에게 축하의 메시지를 보냈다. 2005년 3월, Zaman Online에 따르면 이라크 투르크멘 전선이 국회에서 UIA 진영에 동참하기로 동의했다고 한다. 그 대신, 시스타니는 이라크 투르크멘이 국가의 소수민족으로 인정받는 것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해진다. = = 2005년 1월 선거 = = = = = 공천명단 상의 정당들 (22) = = = 이라크 이슬람혁명최고위원회 (SCIRI) 이슬람 다와당 (알다와) 이라크 국민의회 (INC) 바드르 기구 중도모임당 다와 이슬람당 이라크 지부 이라크 이슬람 파일리단 파일리 쿠르드 이슬람 동맹 알파딜라 이슬람당 초대민주국가당 '이라크의 미래' 모임 헤즈볼라 운동 헤즈볼라 알이라크 정의평등단 마르티르 운동의 이슬람 승자 이슬람 행동 기구 이라크 투르크멘 이슬람 연맹 이슬람 선행당 사이드 알슈하다 기구 샤히드 알미흐랍 기구 투르크멘 신의 운동 = = = 유나이티드 이라크연맹 후보자 명단 (228) = = = 압둘 아지즈 알하킴, SCIRI 지도자. 명단의 필두 이브라힘 알자파리, 이슬람 다와당 지도자. 아흐메드 찰라비 (INC) 후세인 알샤리스타니 = = 2005년 12월 선거 = = 2005년 12월 총선에 앞서 국민연맹은 일부 의원이 탈당하였는데 대부분 이라크 국가회의에 합류하였다. = = = 공천명단 상의 정당들 = =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선행당 중도연합당 바데르 기구 이라크 이슬람혁명최고위원회 이라크 투르크멘 이슬람 연맹 정의평등회 이라크 민주운동 헤즈볼라 운동 투르크멘 충성운동 사에드 알슈하다 이슬람 운동 알 샤바크 민주모임 말한 알 코테르 이슬람 다와당 이라크 지부 개혁 건설 회의 알 사드리아 선전 정의사회 (The Justice Community) 이라크 아라르 = 주먹쥐고 뱃고동 = 주먹쥐고 뱃고동은 SBS TV의 예능 프로그램이며 2017년 4월 15일부터 2017년 8월 12일까지 방송되었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시간 비고 SBS TV SBS TV 2017년 1월 30일 1부 월요일 오후 5:50 ~ 6:40 파일럿 SBS TV 2017년 1월 30일 2부 월요일 오후 6:40 ~ 8:00 파일럿 SBS TV 2017년 4월 15일 ~ 2017년 8월 12일 1부 매주 토요일 오후 6:10 ~ 7:00 정규 편성 SBS TV 2017년 4월 15일 ~ 2017년 8월 12일 2부 매주 토요일 오후 7:00 ~ 8:00 정규 편성 = = 출연자 = = = = = 고정 출연 = = = 김병만 이상민 육중완 경수진 = = = 파일럿 및 게스트 = = = 김종민 (파일럿(흑산도), 임자도, 통영 편 출연) 강예원 (파일럿(흑산도) 출연) 김영광 (울진, 강원 고성 편 출연) 육성재 (파일럿(흑산도), 울진, 통영 편 출연) 황치열 (울진 편 출연) 슬리피 (강원 고성 편 출연) 차은우 (강원 고성 편 출연) 허경환 (남해, 임자도, 여수, 통영 편 출연) 에릭남 (서천 편 출연) 니엘 (서천, 진도 편 출연) 신원호 (남해, 진도 편 출연) 김세정 (임자도, 여수 편 출연) = = 시청률 = = 회차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AGB 시청률 회차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전국)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2017년 1 1부 4월 15일 3.2% 3.1% 1 2부 4월 15일 4.2% 4.8% 2 1부 4월 22일 3.5% 3.6% 2 2부 4월 22일 4.3% 4.3% 3 1부 4월 29일 3.2% 3.2% 3 2부 4월 29일 3.9% 3.9% 4 1부 5월 6일 2.8% 3.7% 4 2부 5월 6일 4.1% 5.0% 5 1부 5월 13일 3.3% 3.7% 5 2부 5월 13일 4.0% 4.5% 6 1부 5월 20일 3.6% 3.3% 6 2부 5월 20일 5.9% 5.1% 7 1부 5월 27일 3.2% 3.3% 7 2부 5월 27일 4.2% 4.6% 8 1부 6월 3일 4.0% 4.1% 8 2부 6월 3일 5.0% 5.3% 9 1부 6월 10일 3.3% 3.7% 9 2부 6월 10일 5.0% 5.6% 10 1부 6월 17일 3.1% 2.8% 10 2부 6월 17일 3.3% 3.7% 11 1부 6월 24일 4.4% 5.0% 11 2부 6월 24일 6.5% 7.4% 12 1부 7월 1일 4.6% 5.0% 12 2부 7월 1일 5.0% 5.7% 13 1부 7월 8일 4.0% 4.3% 13 2부 7월 8일 4.6% 5.0% 14 1부 7월 15일 4.3% 4.6% 14 2부 7월 15일 5.6% 5.7% 15 1부 7월 22일 3.6% 4.2% 15 2부 7월 22일 4.9% 5.9% 16 1부 7월 29일 4.6% 4.3% 16 2부 7월 29일 5.7% 6.5% 17 1부 8월 5일 3.7% 4.2% 17 2부 8월 5일 4.9% 5.9% 18 1부 8월 12일주인공 격인 김병만의 부상으로 조기 종영 4.4% 4.3% 18 2부 8월 12일주인공 격인 김병만의 부상으로 조기 종영 4.5% 4.8% = 분류:제네시스의 음반 = = 콜로뇨 수드역 = 콜로뇨 수드 역은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의 역이다. 콜로뇨몬체레 내에 위치해 있다. 1981년 6월 7일 밀라노 지하철 2호선 콜로뇨 지선의 역 중 하나로 문을 열었다.Metropolitana Milanese S.p.A., Situazione lavori al 30-6-1981. = = 시설 = = 이 역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에스컬레이터 승차권 자동 판매기 = 메시에 26 = M26(NGC 6694)는 방패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메시에 천체 목록에 넣었다. M26는 지구에서 5,000광년 떨어져 있다. 겉보기 등급은 8등급이며, 시직경은 15분으로 대략 22광년정도의 크기다. 가장 밝은 별은 11.9등급으로 성단의 나이는 약 8900만년으로 추정된다. 흥미로운 점은, 지구와 M26 사이에 있는 성간 물질 구름으로 인해 중심부 별들의 밀도가 낮아보인다는 사실이다. 026 6694 = 분류:쇼트트랙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X JAPAN = X JAPAN(엑스 재팬)은 1982년 치바현에서 드러머 겸 피아니스트 요시키와 보컬리스트 토시를 중심으로 결성된 일본의 록 밴드이다. 엑스 재팬의 결성 당시 밴드명은 X였다. 그러나 미국 밴드 X와 밴드명이 동일하여 1992년에 엑스 재팬으로 밴드 명을 바꾸었다. 엑스 재팬은 하드 록과 파워 메탈(스피드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음악과 동양의 서정적 요소가 가미된 발라드 형식의 록 음악 등을 추구했다. 활발한 활동으로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1997년 해체를 맞게 되었다. 10년이 지난 2007년에 영화 쏘우 4의 엔딩테마인 신곡 〈I.V.〉를 발표하며 재결성하였다. = = 활동 = = = = = 결성 이전 = = = 요시키와 토시는, 4살때부터 록에 관심을 갖게 되어 키스의 이야기를 하며 친분을 쌓으며 초등학교 6학년 때에 함께 밴드를 결성 하기로 약속한다. 중학생 시절 밴드“다이너마이트(DYNAMITE)”(1978년 ~ 1980년), “노이즈(NOISE)”(1980년 여름 ~ 1982년) 등을 결성, 중학교의 여행이나 졸업식에 하는 송별회 때 라이브를 했었다. 밴드의 보컬리스트가 다른 중학교로 전학을 가버려, 당초 기타였던 Toshl가 보컬 파트를 맡게 되었다. 진학률이 높은 고등학교로 유명한 안보 고등학교에 진학한 Toshl와 요시키는 그 후도 밴드를 계속했지만 진학 문제로 다른 멤버가 탈퇴, 다른 학교의 멤버를 더해 1982년에 엑스를 결성하였다. = = = 초기 (1982년 ~ 1987년) = = = 엑스 재팬으로 이름을 바꾸기 전의 엑스는 요시키와 토시가 1982년 고등학교 시절에 결성한 밴드 Noise에서 시작된다. 1984년에 요시키와 토시는 음악 경험과 공부를 위해 도쿄로 떠났다. 엑스는 도쿄의 한 라이브 하우스에서 공연을 시작했고, 이때 몇 명의 멤버가 들어오면서 엑스의 첫 번째 라인업(밴드 구성원)이 결성되었다. 1985년 6월에 엑스는 첫 번째 싱글 I'LL KILL YOU를 발매하였는데, 예상외로 판매량이 좋아 엑스의 인지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그 해 11월에 컴필레이션 앨범인 Heavy Metal Force 3에 참여하면서 요코스카 샤벨 타이거의 멤버인 히데를 만나게 된다. 같은 달에는 베이시스트인 타이지가 엑스에 들어왔으나 곧 요시키와의 음악적 견해 차이로 밴드를 떠나게 된다. 이 동안에 라인업은 계속 교체되었다. 엑스가 계속 음반을 확실히 발매할 수 있도록, 요시키는 같은 해인 1985년에 인디 레이블 업체인 엑스타시 레코드를 창업하고, 이듬 해엔 더 큰 레이블 업체의 도움을 받아 싱글인 Orgasm을 발매했다. 1986년 말, 요시키와 타이지는 음악적 견해를 공유하기 시작했고, 곧 타이지는 엑스에 다시 들어오게 되었다. 1987년 1월에 요시키는 주디라는 밴드의 리더인 파타를 접하게 되었고, 그에게 헤비 메틀 샘플 앨범인 Skull Thrash Zone Volume Ⅰ에 참여할 것을 청했다. 마침 엑스에 기타리스트가 부족했기 때문에 파타는 앨범 참여에 동의하였다. 이 때의 엑스와의 음악 활동이 바탕이 되어 파타는 엑스에 참여하게 된다. 그해 1월 28일, 히데가 있던 밴드 요코스카 샤벨 타이거가 해체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요시키는 그 밴드의 기타리스트였던 히데에게 엑스의 기타리스트로 들어올 것을 청했고, 히데는 엑스에 들어왔다. 히데가 엑스에 들어온 직후 파타도 엑스에 참여하게 되어, 이 때에 엑스의 라인업은 엑스의 전성기라 할 수 있을 만큼의 최고의 멤버들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 = = 전성기 (1988년 ~ 1992년) = = = 1988년 4월 14일, 엑스의 데뷔 앨범인 VANISHING VISION이 엑스타시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300시간 만에 전량 매진되었다. 6월엔 “Vanishing Tour”라는 전국 투어 콘서트를 시작했고, 10월엔 “Burn Out Tour”를 일본 주요 도시에서 개최하였다. 또한 엑스는 1988년에 코미디극인 “도쿄 팝”에 참여하였다. 인디 밴드 대회에서 우승한 후, 엑스는 소니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고, 1989년 4월 21일에 메이저 데뷔 앨범인 BLUE BLOOD를 발매했다. 3월엔 “Blue Blood Tour”를 시작했다. “Blue Blood Tour”와 “Rose & Blood Tour”에서 싱글인 紅과 ENDLESS RAIN이 발매되어 일본 음악 차트에서 상위권에 머물렀고, 이들의 대표곡이 되었다. 또한, “Blue Blood Tour”의 실황을 담은 비디오인 “Blue Blood Tour Bakuhatsu Sunzen Gig”가 나왔으며, 후엔 DVD로도 출시되었다. 그 해 엑스는 여러 개의 상을 수상하였고 많은 인기를 구가하였다. “Rose & Blood Tour” 콘서트 도중, X는 한차례 위기를 맞는데, 투어 공연으로 요시키의 건강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투어 콘서트는 부도칸과 오사카조 홀에서 2회의 라이브 공연을 마친 1990년 3월에 재개되었다. 엑스는 이어서 1990년 11월 24일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다음 앨범인 Jealousy 제작 작업에 들어갔다. Jealousy는 1991년 7월에 출시되었고, 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일본 최대의 라이브 공연장인 도쿄 돔에서 새 앨범 발매 후 첫 번째 공연을 실시했다. 1992년에는 3일 연속으로 두 번째 도쿄돔 공연을 하게 되는데, 타이지는 2017년 개봉된 영화 WE ARE X에서 밝힌 바와 같이 말할 수 없는 타이지의 사유로 인하여 요시키에게 도쿄의 한 선술집에서 해고를 맞게 되었다. 해고를 듣게 된 타이지와 해고를 한 요시키사이에 주먹다툼이 있었지만 이내 둘은 함께 울었다고 한다. 타이지를 해고하지 않으면 엑스를 해체해야 할정도의 일이었다고 하지만 직접적인 이유에 대해서 요시키는 타이지를 보호하듯 답을 피하였다. 타이지는 엑스에서 해고된후 후 밴드 Loudness와 D.T.R, Cloud Nine, 音風, The Killing Red Addiction, TAIJI with HEAVENS, TSP에서 활동한다. 1992년에 엑스는 미국 진출을 위해 미국의 펑크 록 밴드인 엑스와 이름이 겹칠것을 우려, 엑스 재팬으로 그룹명을 개명한다. 이와 동시에 탈퇴 한 타이지의 자리에 새 베이시스트 히스를 영입하게 되었다. = = = 변화와 해체 (1993년 ~ 1997년) = = = 다음 앨범 발매를 위해, 엑스 재팬은 소니 레코드를 떠나 아틀란틱 레코드와 계약을 맺는다. ART OF LIFE는 1993년 8월에 발매되었는데, 이 앨범에는 29분 길이의 앨범과 동명의 한 곡만 수록되어 있다. 〈ART OF LIFE〉는 라이브 공연으로 단 3번만 공연되었을 뿐이다. 그 이후, 멤버들은 각자 자신들의 프로젝트에 임하게 된다. 히데는 1994년에 첫 솔로 앨범인 Hide Your Face를 냈는데, 이 앨범은 엑스 재팬과는 다른 음악, 더 자세히 말하자면 얼터너티브 록이 가미되어 있었다. 요시키는 밴드 퀸의 드러머 로저 테일러와 싱글 〈Foreign Sand〉를 같이 작업하고 일본 대표로 키스의 헌정 앨범인 Kiss My Ass: Classic Kiss Regrooved의 수록곡인 〈Black Diamond〉의 오케스트라 파트를 맡았다. 엑스 재팬의 노래들을 클래식으로 편곡한 앨범인 Eternal Melody 또한 발매되었다. 이는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Graham Preskett, Gavin Greenaway 그리고 비틀즈의 프로듀서였던 조지 마틴이 편곡, 작업한 것이다. DAHLIA의 레코딩이 끝나지 못한 채로, 1995년 11월, 전국 투어 DAHLIA TOUR1995-1996를 개최. 요시키의 컨디션이 양호하지 못해, 1~2주마다 1개의 장소에서 2일공연으로 비교적 느슨한 일정이었지만, 1995년 12월, 센다이 공연의 중지. 1996년 3월 14일, 나고야 공연 2일째에 요시키가 라이브중 목 디스크가 재발 되어, 이후의 투어는 모두 중지되어 사실상 투어가 종료 된다. (열 여덟 공연 중, 일곱 공연이 중지가 되어 버렸다.) 1996년, 엑스 재팬이 3년간 작업한 첫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DAHLIA가 발매되었다. 또한 이 때부터 엑스 재팬은 파격적인 의상을 대신하여 각자 원하는 평범한 패션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DAHLIA는 1997년 해체 전의 엑스 재팬 마지막 정규 앨범이 되었다. 엑스 재팬의 해체설은 단지 소문에 불과했으나, 1997년 9월22일에 엑스 재팬이 토시 없이 공식 기자 회견을 열면서 해체설은 소문만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엑스 재팬은 결국 그 해 12월 31일에 도쿄 돔에서 마지막 콘서트인 “THE LAST LIVE~최후의 밤~을 열었다. 토시는 2014년 자신이 낸 책 "세뇌"를 통해 본인의 사이비 종교로부터의 시달림에 대해 말했다. 그 책에서 토시는 사이비종교 압력에 액스재팬을 탈퇴하기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삶과 깊은 내면이 사이비종교의 만행으로 피폐해지게 되었다고 했는데, 2011년 사이비종교 탈출 재판 등을 통해 사이비종교에서 빠져나왔다고 한다. 그 일을 배경으로 그가 쓴 책 "세뇌"가 2014년도에 나오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점점 자신의 삶을 찾아가고 있다. = = = 해체 이후 (1998년 ~ 2007년) = = = 해체 이후에도 엑스 재팬의 컴플레이션 음반과 라이브 음반은 계속 발매되었다. 해체 이후의 엑스 재팬의 멤버들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임했다. 히데는 계속해서 전에 자신이 소속했던 밴드의 인원 일부가 포함된 Spread Beaver라는 밴드와 함께 솔로 활동을 계속 했다. 싱글인 ROCKET DIVE로 성공을 거두게 되고 1998년 그의 유작인 PINK SPIDER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밀리언 셀러로 기록된다. 그리고, 1997년 2000년에 재결성을 염두에 두고 엑스 재팬은 해체되었지만, 1998년 5월 2일 히데의 죽음으로 사실상 이룰 수 없는 일이 되어버린다. 토시는 여러 개의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각지의 사회 봉사시설이나 대형마트행사 등을 방문하며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여러차례 라이브를 열었다고 한다. 이 활동은 사이비종교 홍보목적겸 앵벌이라고 알려졌다. 파타와 히스는 스프레드 비버의 프로그래머인 I.N.A.와 함께 2001년에 Dope Headz라는 밴드를 결성하여 2개의 음반을 발표했으나 보컬의 잇단 탈퇴로 활동을 곧 접어야 했다. 히데의 헌정 음반인 hide Tribute Spirits에 참여하기도 했다. 히스는 이후 솔로 활동으로 전향했고, 파타는 Ra:IN에 스프레드 비버에서 건반을 맡고 있는 D.I.E와 여러 사람들과 함께 참여했다. 요시키는 히데의 사망과 엑스 재팬의 해체후 몇 년간 미국에서 지내며 드럼을 연주하지 않았다. 그 후 몇 년간 요시키는 globe라는 팝 밴드에 가입하여 잠깐 활동하고, 한국의 그룹인 트랙스의 음반 프로듀서, 〈카타콤베〉에서 음악 감독을 맡기도 했다. 2007년 5월 25일에는 스킨을 결성했으며, 이 밴드엔 일본의 아티스트인 각트와 미야비, LUNA SEA의 기타리스트 스기조가 참여했다. 스킨은 그 해 6월 29일 캘리포니아의 롱 비치의 애니메 액스포에 참여했다. = = = 재결성 (2007년 ~) = = = 2007년 2월, 토시를 통해 23개국에서, 그리고 히데를 추모하는 곡인 〈Without you〉를 포함한 새 베스트 앨범을 발매할 것이라고도 발표했다. 〈I.V.〉와 〈Without you〉는 영어와 일본어 두 버전의 곡이 녹음, 발매될 것이나, 언제 출시할지는 구체적으로 언급은 하지 않았다. 토시는 또한 마이 스페이스의 일본 록 레볼루션과 함께한 인터뷰에서 요시키와는 별개의 몇 개의 신곡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발매 직후 I.V.는 일본 아이튠스 차트에서 엑스 재팬의 이전 노래들과 함께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Rusty Nail〉은 10위권으로, 〈Forever Love〉는 재편곡된 동일곡과 함께 20위권으로, 〈THE LAST SONG〉과 〈Scars〉는 100위권에 진입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엑스 재팬의 노래가 순위권에 진입하는 데에는 실패했으나 미국 아이튠스 스토어의 "What's Hot(화제의 노래)" 코너에 들어갔다. 2008년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도쿄 돔에서 엑스 재팬 콘서트가 열렸다. 28일엔 〈파괴의 밤〉, 29일엔 〈무모한 밤〉, 30일엔 〈창조의 밤〉이라는 이름으로 3일 연속으로 개최했으며, 히데의 빈자리엔 생전에 연주했던 부분을 재생하거나 LUNA SEA의 기타리스트 스기조가 대행하여 연주하였다. 그 해 4월 3일에 요시키는 기자 회견을 통해 7월 5일 파리 재팬 엑스포 공연, 9월 13일 뉴욕 메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을 예정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도 공연할 뜻을 밝혔다. 그리고 엑스 재팬 베스트 앨범을 세계 각지에서 발매할 예정이며, 새로운 멤버 영입 가능성을 비쳤다. 5월 4일에는 도쿄 도쿄 스타디움에서 행해진 히데 사망 10주기 추모 라이브인 〈hide memorial summit〉에서 엑스 재팬은 요시키가 히데를 추모하며 지은 곡인 〈Without you〉, 히데의 솔로 음반에 수록된 곡인 〈PINK SPIDER〉등을 연주하였다. 요시키의 병세가 약화된 2008년 후반기, 엑스 재팬은 다시금 해외 투어 추진 계획을 밝혔고 이 해 말부터 시작되었다. 2009년 3월 21일, 22일에는 최초로 한국투어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멤버 히스의 소속사와 문제가 생겨 내한 공연은 취소되었으나 2011년 콘서트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리게 되었다. 2009년 5월 2일부터 5월 3일까지 가졌던 도쿄돔 공연에서 요시키는 히스를 설득하여 탈퇴를 막았다고 발표했으며, 스기조가 엑스 재팬의 여섯번째 멤버로 영입 되었음을 알렸다. 또한 신곡 를 라이브로 선보였다. 5월 30일에는 중화민국에서 2만여명의 관객을 동원해 성황리에 이뤄졌고, 10월에는 파리에서 공연 할 예정이었다. 리더 요시키의 지병인 경추 척추간반 헤르니아가 악화, 손의 떨림과 마비로 인해 드럼의 연주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2009년 7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비버리 힐즈의 한 병원에서 경추추간 구멍 절제 수술을 받게 되고 X JAPAN의 모든 활동이 중지된다. 8월 22일 X JAPAN Film Gig ~스즈카의 밤~에 요시키와 토시가 깜짝 등장하여 10월로 예정된 프랑스 라이브의 연기와 연내 라이브 개최를 선언, 요시키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토시가 ENDLESS RAIN을 불렀다. 2010년 여름, 미국 Lollapallooza 페스티발에 참여해 미국에서의 첫 공연을 가지며 신곡 Born To Be Free와 제목이 알려지지 않은 새 오프닝곡(이후 요시키 솔로앨범 에 Miracle이라는 곡명으로 수록)을 공개했다. 같은해 8월 14, 15일에는 요코하마 닛산 스타디움에서〈X JAPAN 초강행돌파 칠전팔기 ~세계를 향하여~ 재회의 밤, 한여름의 밤〉 2일 연속 공연을 개최, 전 베이시스트인 타이지가 게스트로 참여하였으며 이는 타이지가 X JAPAN과 함께한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 10월부터는 북미투어를 감행, 성공리에 투어를 마치게 된다. 2011년 일본 애니메이션 붓다의 테마곡으로써 X JAPAN의 신곡 Scarlet Love song이 수록되었다. 같은 해 10월 28일에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X JAPAN WORLD TOUR Live 2011 Southeast Asian Tour의 일환으로 2011 X JAPAN Live in Seoul을 진행하였다. 2014년에는 활동을 재개해, 6월에 전세계 첫 베스트 앨범 가 발매되었으며, 히데 추모곡인 WITHOUT YOU가 2009년 타이완 라이브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같은 해 9/30,10/1 이틀에 걸쳐 〈X JAPAN WORLD TOUR Live 2014 at Yokohama Arena ~메디슨 스퀘어 가든 전초전~〉 2일 연속 공연을 개최 신곡인 HERO와 Beneath The Skin을 공개했으며, 10/11에는 뉴욕 메디슨스퀘어가든에서 성공리에 공연을 개최하였다. 그후 엑스재팬은 2017년 3월 3일 영국 록의 성지 '웸블리 아레나'에서 1만 2천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라이브 공연을 성공리에 마쳤다. 또 같은 달 발매된 'WE ARE X'의 사운드트랙은 발매 직후 영국 록 앨범 차트 1위에 올랐으며 영국 내 전체 앨범 차트에서도 27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다큐멘터리 영화 'WE ARE X'는 히데와 타이지 등 멤버 2명의 죽음과 보컬 토시의 세뇌 소동, 결성과 비극적 해체, 재결합 등 엑스재팬의 지난 30년간의 스토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로 일본 한국등 전세계에서 개봉했다. 2017년 7월 14일부터 3일간 어쿠스틱 라이브를 하였다. 요시키의 건강 악화로인해 드럼을 칠 수 없게 되자 급 변경되었다. = = 구성원 = = 다른 일본 밴드들처럼, 엑스 재팬의 타이지와 요시키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은 예명을 사용했다. 하야시 요시키( 林佳樹) (드럼, 피아노) 토시(데야마 토시미츠, 出山利三) (보컬) 파타(이시즈카 토모아키, 石塚智昭) (기타) 스기조(스기하라 유네,杉原有音) (기타, 바이올린) = = = 이전 구성원 = = = 엑스 결성 때부터 밴드를 거쳐갔던 구성원들이다. 테리 (기타리스트, 1982 ~ 1985) 토모 (기타리스트, 1984) 토쿠오 (베이시스트, 1984, 1985) 아츠시 (베이시스트, 1985) 에디 (기타리스트, 1985) 하리 (기타리스트, 1985) 젠 (기타리스트, 1985 ~ 1986) 히카루 (베이시스트, 1985 ~ 1986) 준 (기타리스트, 1986) 케리 (기타리스트, 1986) 사토루 (기타리스트, 1986) 이사오 (기타리스트, 1986 ~ 1987) 히데(기타리스트, 1980 ~ 1998) 타이지 (베이시스트, 1980 ~ 2011) 히스(모리에 히로시, 森江博) (베이스)(1992-2023) = = 대마신오인조(大魔神五人組) = = 대마신5인조라는 명칭은 엑스 시절 엑스의 각 멤버들이 팬 서비스로서 이벤트성으로 담당 파트를 변경한 상태를 칭하는 것인데, 이름의 유래는 1989년 8월 28일 오사카 AM홀에서의 비밀 라이브 중 T. Rex의 20th CENTURY BOY를 각자의 연주 담당 파트를 바꿔 라이브한 것을 두고 대마신5인조라고 칭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대마신5인조는 1988. 12. 31. 엑스타시 서밋트, 1989년 8월 28일 오사카 비밀라이브 1991. 10. 19. 일청파워스테이션 1991. 11. 17. 시부야 에그맨 1992. 1. 5. 파멸을 향하여에서 선보였다. 파트 체인지 1 보컬 : 히데 기타 : 요시키 기타 : 토시 베이스 : 파타 드럼 : 타이지 파트 체인지 2 보컬 : 히데 기타 : 요시키 기타 : 타이지 베이스 : 파타 드럼 : 토시 = = 음반 목록 = = = = = 앨범 = = = 《VANISHING VISION》 (1988년 4월 14일, 인디앨범) 《BLUE BLOOD》 (1989년 4월 21일) 《Jealousy》 (1991년 7월 1일) 《ART OF LIFE》 (1993년 8월 25일) 《DAHLIA》 (1996년 11월 4일) 《BLUE BLOOD (리마스터링 특별한정 재판매판)》 (2007년 2월 14일) 《Jealousy (리마스터링 특별한정 재판매판)》 (2007년 2월 14일) = = = 싱글 = = = 《I'LL KILL YOU》 (1985년 6월 15일) 《Kurenai》 (1989년 9월1일) 《ENDLESS RAIN》 (1989년 12월 4일) 《WEEK END》 (1990년 4월 《Silent Jealousy》 (1991년 9월 11일) 《Standing Sex》 (1991년 10월 25일) 《Say Anything》 (1991년 12월 1일) 《Tears》 (1993년 11월 10일) 《Rusty Nail》 (1994년 7월 10일) 《Longing 〜중단된 melody〜》 (1995년 8월 1일) 《Longing 〜절망의 밤〜》 (1995년 12월 11일) 《DAHLIA》 (1996년 2월 26일) 《Forever Love》 (1996년 7월 8일) 《CRUCIFY MY LOVE》 (1996년 8월 26일) 《SCARS》 (1996년 11월 18일) 《Forever Love (Last Mix)》 (1997년 12월 18일) 《THE LAST SONG》 (1998년 3월 18일) 《Forever Love (재발매)》 (1998년 7월 22일) 《SCARS (재발매)》 (1998년 7월 22일) 《Forever Love" (재발매)》 (2001년 7월 11일) 《「I.V.」》 (2008년 1월 23일/iTunes 한정 발매) 《Scarlet Love Song》 (2011년 6월 8일/iTunes 한정 발매) 《JADE》 (2011년 6월 28일/iTunes 한정 발매) 《BORN TO BE FREE》 (2015년 11월 6일/iTunes 한정 발매) = = = 라이브 앨범 = = = 《On the Verge of Destruction 1992.1.7 Tokyo Dome Live》 (1995년 1월 1일 발매) 《LIVE LIVE LIVE TOKYO DOME 1993-1996》 (1997년 10월 15일) 《Live Live Live Extra》 (1997년 11월 5일) 《LIVE IN HOKKAIDO 1995.12.4 BOOTLEG》 (1998년 1월 21일) 《ART OF LIFE LIVE》 (1998년 3월 18일) 《The Last Live》 (2001년 5월 30일) = = = 리믹스 앨범 = = = 《Trance X》 (2002년 12월 4일) = = = 컬렉션 앨범 = = = 《X SINGLES》 (1993년 11월 21일) 《B.O.X ~Best Of X~》 (1996년 3월 21일) 《BALLAD COLLECTION》 (1997년 12월 19일) 《Singles ~Atlantic Years~》 (1997년 12월 25일) 《Star Box》 (1999년 1월 30일) 《PERFECT BEST》 (1999년 2월 24일) 《X JAPAN BEST ~FAN'S SELECTION~》 (2001년 12월 19일) 《THE WORLD ~X JAPAN 初の全世界ベスト~》(2014년 6월 17일) = = = 컴플레이션 앨범 = = = 《Heavy Metal Force Ⅲ》 (1985년 11월 7일) 《Skull Thrash Zone Volume Ⅰ》 (1987년 3월 7일) 《History of Extasy 15th Anniversary》 (2000년 6월 21일) 《FUN》 (2007년) 《Piano Days - Kimi to Kiita Love Song》 (2007년 10월 24일) 《Climax -Dramatic Songs-》 (2007년 8월 22일) = = = 인디즈 시대의 음악 = = = 《BREAK THE DARKNESS》작사,작곡:요시키 《ENDLESS DREAM》작사,작곡:요시키 《FEEL ME TONIGHT》 《FEEL'S DAMAGE(INSTALL)》 《LADY IN TEARS》작사:요시키&테리 , 작곡:요시키 《NO CONNEXION》작사,작곡:요시키 《ONLY WAY》작사:준&토시 / 작곡:준 《RIGHT NOW》작사·작곡:준 《STOP BLOODY RAIN》작사,작곡:요시키 《TIME TRIP LOVING》 작사:토시, 작곡:준 《TUNEUP BABY》 작사,작곡:준 《WE ARE X》 = = = VHS / DVD = = = 《BLUE BLOOD TOUR 폭발 직전 GIG》(BLUE BLOOD TOUR 爆発寸前GIG) 《자극!VISUAL SHOCK Vol.2》 (刺激!VISUAL SHOCK Vol.2) 《“CELEBRATION” VISUAL SHOCK Vol.2,5》 《VISUAL SHOCK Vol.3 자극 2 -꿈 속에만 살아-》 (VISUAL SHOCK Vol.3 刺激2 -夢の中にだけ生きて-) 《VISUAL SHOCK Vol.3,5 SAY ANYTHING》 《VISUAL SHOCK Vol.4 파멸을 향하여》 (VISUAL SHOCK Vol.4 破滅に向かって) 《X CLIPS》 《DAHLIA THE VIDEO VISUAL SHOCK #5》 《DAHLIA TOUR FINAL 》 《CLIPS II》 《THE LAST LIVE VIDEO》 《ART OF LIFE - 1993.12.31 TOKYO DOME》 《파란 밤 완전판》 (青い夜 完全版) 《하얀 밤 완전판》 (白い夜 完全版) 《X JAPAN RETURNS 완전판》(X JAPAN RETURNS 完全版) 《X JAPAN Showcase in L.A. Premium Prototype》 = = = LIVE / GIG = = = 《파멸을 향하여》(破滅に向かって)(1992/1/5 - 1/7) 《X JAPAN Returns》(1993.12.30 - 12.31) 《X JAPAN 푸른밤.하얀밤》(1994.12.30 - 12.31) 《DAHLIA TOUR FINAL》(1996.12.30 - 1996.12 31) 《THE LAST LIVE~최후의 밤~》(1997/12/31) = 모듈:Location map/data/Canada Newfoundland = return { name = 'Newfoundland', top = 52.1, bottom = 46.52, left = -59.85, right = -52.03, image = 'Canada Newfoundland location map.svg', image1 = 'Canada Newfoundland relief location map.jpg'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Daegu KOGAS Pegasus)는 대구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농구단이며, 2021년 6월 9일 공기업인 한국가스공사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를 인수하여 창단했다. 홈 경기장은 북구 산격4동 대구광역시청 별관 옆에 있는 대구실내체육관이고, 한국가스공사가 인수한 이래로 마스코트는 페가수스이다. 인천삼산월드체육관이 완공되기 전까지 잠시 임시연고지로 부천시를 이용했던 것 외에는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원주 DB 프로미, 창원 LG 세이커스와 더불어 연고지 변동이 없었던 구단이었으나, 전자랜드가 2020-2021 시즌을 마지막으로 농구단 운영을 포기한 후 한국가스공사가 구단을 인수하고, KBL에서 요구하는 프로농구팀 선수단 및 프런트(사무국)의 연고지 정착 정책에 따라 본사가 있는 대구광역시로 연고지 이전 추진하였다. 다만 대구실내체육관이 노후화된 데다가, 신축 구장 건립에 대해 대구시와 구단의 이견으로 연고지 이전이 지연됐다. 구단 측은 대구 지역 내 훈련장소 불비로 인천에서 선수 훈련 등 시즌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다가 2021년 9월 24일에 대구광역시로 연고지 이전이 확정됐다. 2023-2024 시즌 한국가스공사의 개막전은 10월 21일 울산 동천체육관에서 열리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와의 대결이며, 첫 홈 개막전 경기는 그 다음 날인 10월 29일 서울 SK 나이츠전이다. 2021년 9월 27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창단식을 열었으며, 창단식에서 정식 유니폼, 응원단, 마스코트, 로고 등 공개 되었다. 치어리더는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의 치어리더인 에어팩스가 확정이다. 그리고 장내아나운서는 전자랜드 시절 장내아나운서인 함석훈 장내아나운서로 확정 되었다. 올시즌 부터 작년시즌의 치어리더인 에이펙스가 아닌 LK치어리더가 활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올해 1월달 부터 활동하고 있는 문싱글 장내아나운서가 올시즌도 활동할 예정이며,응원단장은 작년시즌까지 했던 송종민 단장 대신 다른 단장님이 할예정이다. = = 역사 = = 1994년 : 대우증권 실업 농구단 창단 1997년 : 인천 대우증권 제우스 프로농구단 창단 1998년 : 홈 경기장을 인천 도원실내체육관에서 부천실내체육관으로 이전 1998년 : (주)대우제우스 독립 법인 출범. 인천 대우 제우스로 팀 명칭 변경 1999년 : 신세기통신에 인수되어 인천 신세기 빅스로 팀 명칭 변경 2001년 : 신세기통신이 SK텔레콤과의 흡수 합병에 따라 인천 SK 빅스로 팀 명칭 변경 2003년 8월 6일 : 전자랜드가 SK 빅스를 인수,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로 팀 명칭 변경 2006년 : 홈 경기장을 부천실내체육관에서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으로 이전 2009년 :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에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로 팀 명칭 변경 2014년 : 팀 창단 정규리그 최다관중 성립 2021년: 한국가스공사가 인수에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로 팀,연고지 변경 유니폼은 빨간색이다.홈구장도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대구실내체육관으로 이전이 되었다. 대구 한국가스공사 농구단의 뿌리는 1994년에 창단한 대우증권 실업 농구단으로부터 출발한다. 연세대학교와 명지대학교를 연고 학교로 하여 창단했으며, 우지원, 석주일, 김훈, 조성훈, 정재헌 등이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1997년 실업농구가 프로화되면서, 대우증권 농구단은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한 인천 대우증권 제우스 프로농구단으로 이름을 바꿨고, 1998년 농구단이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면서 "인천 대우 제우스 프로농구단"으로 구단 이름을 바꿨다. 그러나 모기업인 대우그룹의 재정 악화로 인해 농구단이 신세기통신에 매각되어 인천 신세기 빅스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프로 초창기 대우 제우스는 홈 경기장을 인천광역시 중구 숭의종합경기장 인근에 있는 도원실내체육관을 사용했는데, 이 체육관이 너무 낡고 좁아서 난색을 표했다. 결국 홈 경기장을 1998년에 새로 지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4동의 부천실내체육관으로 이전하여 경기를 치렀다. 이후 도원실내체육관은 프로배구가 출범하면서 계양체육관의 개장 전까지 배구 경기장으로 이용됐으며, 대한항공과 흥국생명이 계양체육관으로 홈을 옮긴 후에는 WKBL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의 홈 경기장으로 이용 중이다. 인천광역시가 연고지임에도 인천 옆의 부천시에서 홈 경기를 치르다 보니, 팀의 연고지가 경기도 부천시인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었다. 후에 SK 빅스 시절 실제로 부천시로 연고지 이전을 하려 한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사실 여부는 미지수고, 인천광역시 연고를 유지하고 있다. 나중에 옮긴 삼산월드체육관이 인천광역시 부평구와 경기도 부천시의 경계에 있는지라, 여전히 부천 팬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2001-02 시즌을 앞두고 신세기통신이 SK텔레콤에 합병되어서 인천 SK 빅스로 구단명을 바꿨다. 그러나 KBL의 "한 기업이 2개 이상의 농구단을 운영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으로 시한부 인생을 살았고 이에 SK그룹에서는 농구단을 서울 SK 나이츠만 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그에 따라 인천 SK 빅스는 2003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전문 유통 업체인 전자랜드에 매각되어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2009년 8월 28일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로 팀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 10월 삼산월드체육관이 완공됨에 따라 2006-07 시즌 중반부터 홈 경기장을 삼산월드체육관으로 이전하여 연고지인 인천광역시로 돌아오게 되었다. 2021년 6월 전자랜드 농구단 접으면서 연고지 및 팀이름도 바뀌었다.다행히도 한국가스공사가 농구단 유치 희망했으며 10개구단으로 유지를 할 수 있게 되었다.15년의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마무리가 되었으며 새 연고지인 대구광역시 확정이며 새 홈구장은 대구실내체육관이 된다. 예전에 대구를 연고로 했던 오리온스는 고려대학교를 연고 학교로 두면서 창단하였는데, 새롭게 대구에 입성한 한국가스공사는 전신격인 대우증권 농구단이 고려대학교의 라이벌인 연세대학교를 연고 학교로 두고 창단했다는 점이 특이점(인수 시점 사장인 채희봉이 연대출신)이다. = = = = 최고의 시즌, 2010-11 시즌 = = = = 준우승으로 정규 리그를 마쳤다. 하지만 전주 KCC 이지스에 패하여 KBL 챔피언 결정전 진출에는 실패했다. = = = = 2011-12 시즌 = = = = 서장훈이 이적하고 강대협, 이현민이 왔다. 강혁 또한 FA로 이적해왔다. 6강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하였다. = = = = 세대 교체의 시작, 2012-13 시즌 = = = = 신기성이 은퇴하였다. 정규 리그 3위를 기록하고 6강에서 서울 삼성 썬더스를 만나 3연승으로 4강에 진출했으나 4강에서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게 3연패로 스윕을 당해 시즌을 마쳤다. 시즌 후 강혁이 은퇴하고 문태종이 FA로 이적하며 세대교체의 시발점을 알렸다. = = = = 변화의 시작, 2013-14시즌 = = = = 문태종이 빠져나간 첫시즌이였지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면서 인천남자프로농구팀 사상 최초로 4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였으나 부산 KT 소닉붐에게 시리즈전적 2승3패로 패하며 4강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 = = = 기적을 보여주다, 2014-15 시즌 = = = = 초반 9연패에도 불구하고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서울 SK 나이츠를 상대로 스윕을 하고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해서 원주 동부 프로미와 경기에서 5차전까지 가는 혈투끝에 결국 패배하며 4위로 시즌을 마쳤다. = = = = 무기력했던 시즌, 2015-16 시즌 = = = = 시즌 초 4연승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이내 8연패로 10위로 추락했고, 급히 허버트 힐과 KCC의 리카르도 포웰과 트레이드를 했으나 계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결국 11년 만에 리그 꼴찌를 확정했고, 5시즌 만에 플레이오프를 탈락하였다. = = = = 2016-17시즌 = = = = 시즌을 앞두고, 한희원을 안양 KGC 인삼공사로 이적시키고, 박찬희를 데려왔다. = = = = 2017-18시즌 = = = = "승리의 보증수표 복덩이 브랜든 브라운" 10시즌 연속 10만 관중 돌파! 2년 연속 6강플레이오프 진출! 대체 선수로 온 브랜든 브라운은 오자마자 7연승에 일조하며 외국선수 교체에 성공적이었다. 전자랜드의 복덩이가 된 브라운은 매 경기 홈 팬들에게 환호를 받았다. 시즌 다섯번째로 20-20 기록 달성(24득점, 20리바운드), 12월 22일 vs KGC인삼공사 KBL역대 6번째로 40-20 기록 달성(45득점, 20리바운드), 1월 4일 vs 삼성 5라운드 MVP선정 2017-2018시즌 기록 : 54경기 평균 23.3득점, 11.3리바운드, 4어시스트 "10시즌 연속 10만 관중 돌파" 2월 16일 홈경기에 10시즌 연속 10만 관중을 달성하였다. 홈 팬의 뜨거운 열정에 선수단은 홈경기를 승리로 장식하였다. "2년 연속 6강 플레이 오프 진출" 선수들과 복덩이 브라운의 활약으로 2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비록 KCC에 패하긴 하였지만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는 전자랜드만의 색깔을 보여주었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 전주 KCC 이지스에 져서 4강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했다. = = = = 2018-19시즌 = = = = "8년만에 2위 확정" 1819시즌 플레이오프 4강 3승(vs LG) 인천삼산체육관 8,765명 2018-2019시즌 최다 관중수 경신 1819시즌 챔피언결정전 1승 4패(vs 현대모비스) = = = = 2021-22 시즌 = = = = 전자랜드가 2020-2021 시즌 후 농구단을 매각을 추진했고, 한국가스공사에서 농구단을 인수하기로 하였다. 한국가스공사에서 대구 사회에 기여할 목적으로 인수를 결정했으며, KBL이 프런트까지 연고지로 이동하라는 연고지 정착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대구광역시로 연고지 이전을 추진했다. 대구광역시는 2010 - 2011 시즌 후 오리온스가 대구에서 고양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에 다시 프로 농구팀을 품는 도시가 될 예정이다. 대구시가 대구실내체육관 개보수 공사 7월말부터 개보수 공사 들어가면서 사실상 연고지가 대구 확정이다. 2021년 9월 24일 오피셜로 대구 광역시로 연고지가 확정되었다. 9월 20일까지 대구실내체육관 개보수 공사가 진행된다.10월 10일에 열리 예정인 홈개막전이 대구에서 개막 가능하다고 대구시랑 한국가스공사가 말했다. 연습 구장은 합의점 찾았으며 대구은행 제2 체육관,대구실내체육관을 연습구장으로 쓰고 있다.. 9월24일에 최종적으로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연고지가 대구로 확정 지었으며, 9월27일에 대구인터불교호텔에서 창단식 할 예정이다.창단식에서 정식유니폼,연고지(대구),응원단,팀 로고,캐릭터 등 공개가 되었다.정식 유니폼은 색깔은 빨간색이며,연고지는 대구이며 그리고 치어리더는 프로야구 치어리더인 에어팩스 치어리더이며 그리고 장내 아나운서는 함석훈 전자랜드 시절 장냐아나운서였던 함석훈 장내아나운서가 맡을 예정이며 응원단장은 서한국 응원단장이 아닌 송종민 응원단장이다.그리고 캐릭터는 페가수스 캐릭터이다. 한국가스공사가 대구를 연고지로 확정해 대구에서 홈 개막전을 치른다면 오리온이 2011년 3월 19일 창원 LG와 마지막 경기를 가진 뒤 3,858일(10년 6개월 22일) 만에 대구에서 프로농구가 경기가 열리는 것이다. 한국가스공사는 10월 16일(토) 고양 원정 경기로 오리온을 처음 만나며 11월 17일(수) 오리온을 홈 코트로 불러들인다. 한국가스공사가 대구체육관에서 홈 경기를 갖는다면 오리온은 3,896일(10년 7개월 28일)만에 대구를 방문한다. 즉 올시즌 첫 연고지 더비는 10월16일(토) 고양에서 첫 연고지더비가 열리며 한국가스공사의 첫 홈 연고지더비는 11월 17일(수)에 대구실내체육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 = = = 2022-23 시즌 = = = = 22-23시즌 앞두고 가스공사는 FA로 우동현,박지훈,이원대 각각 kgc인삼공사,현대모비스,SK나이츠에서 영입했으며 그리고 지난 6월달에 이대성이 고양 캐롯 점퍼스와의 트레이드 통해서 이대성 영입을 확적 지었다. 올시즌 용병으로 유슈 은도예,2년전 전자랜드 시절 때 뛰었던 할로웨이를 영입을 했디.시즌 전에 많은 전문가들이 sk,kt,db 함께 우승후보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 =우승 기록 = = = = =국내 대회 = = = = = = =리그 = = = = *KBL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1): 2018-19 *KBL 정규리그 준우승 (2): 2010-11, 2018-19 = = = =컵 = = = = *프로-아마농구 최강전 준우승 (1): 2012 = = 기록 = = = = = 통산 기록 = = = M=MVP, 신=신인상, B=BEST 5, 외=외국선수상 연도 팀명 순위 승 패 승률 수상선수 감독 1997 대우증권 6위 8 13 0.381 최종규 1997-1998 대우증권 6위 22 23 0.489 최종규 1998-1999 대우 5위 27 18 0.540 유재학 1999-2000 신세기 10위 15 30 0.333 유재학 2000-2001 신세기 5위 23 22 0.511 유재학 2001-2002 SK빅스 5위 30 24 0.556 유재학 2002-2003 SK빅스 7위 23 31 0.426 유재학 2003-2004 전자랜드 3위 32 22 0.593 유재학 2004-2005 전자랜드 10위 17 37 0.315 박수교 2005-2006 전자랜드 10위 8 46 0.148 제이 험프리스이호근(감독대행) 2006-2007 전자랜드 9위 23 31 0.426 최희암 2007-2008 전자랜드 7위 29 25 0.537 최희암 2008-2009 전자랜드 6위 29 25 0.537 테렌스 섀넌(외, B) 최희암 2009-2010 전자랜드 9위 15 39 0.278 박성진(신) 박종천유도훈(감독대행) 2010-2011 전자랜드 2위 38 16 0.704 문태종(B),허버트 힐(외) 유도훈 2011-2012 전자랜드 6위 26 28 0.481 유도훈 2012-2013 전자랜드 3위 33 21 0.611 유도훈 2013-2014 전자랜드 4위 28 26 0.519 유도훈 2014-2015 전자랜드 6위 25 29 0.463 유도훈 2015-2016 전자랜드 10위 17 37 0.321 유도훈 2016-2017 전자랜드 6위 26 28 0.481 강상재(신), 박찬희(B) 유도훈 2017-2018 전자랜드 6위 29 25 0.537 유도훈 2018-2019 전자랜드 2위 35 19 0.648 박찬희(B) 유도훈 2019-2020 전자랜드 5위 21 21 0.500 유도훈 2020-2021 전자랜드 5위 27 27 0.500 유도훈 2021-2022 한국가스공사 6위 27 27 0.500 유도훈 2022-2023 한국가스공사 9위 18 36 0.333 유도훈 26시즌 26시즌 26시즌 651 726 0,473 챔피언결정전 우승 0회 챔피언결정전 우승 0회 = = = 역대 플레이오프 성적 = = = 연도 최종 결과 라운드 상대 승/패 승리 패전 1997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원주 나래 블루버드 패 2 4 1997-1998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패 1 3 1998-1999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수원 삼성 썬더스 패 1 3 2000-2001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안양 SBS 스타즈 패 1 2 2001-2002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창원 LG 세이커스 패 0 2 2003-2004 4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서울 삼성 썬더스 승 2 1 2003-2004 4강 진출 4강 플레이오프 원주 TG삼보 엑써스 패 0 3 2008-2009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 패 2 3 2010-2011 4강 진출 4강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 패 1 3 2011-2012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부산 KT 소닉붐 패 2 3 2012-2013 4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서울 삼성 썬더스 승 3 0 2012-2013 4강 진출 4강 플레이오프 울산 모비스 피버스 패 0 3 2013-2014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부산 KT 소닉붐 패 2 3 2014-2015 4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서울 SK 나이츠 승 3 0 2014-2015 4강 진출 4강 플레이오프 원주 동부 프로미 패 2 3 2016-2017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서울 삼성 썬더스 패 2 3 2017~2018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 패 2 3 2018~2019 준우승 4강 플레이오프 창원 LG 세이커스 승 3 0 2018~2019 준우승 챔피언 결정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패 1 4 2020-2021 4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고양 오리온스 승 3 1 2020-2021 4강 진출 4강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 패 2 3 2021-2022 6강 진출 6강 플레이오프 안양 KGC 인삼공사 패 0 3 = = = 역대 프로-아마최강전 성적 = = = 연도 최종 결과 라운드 상대 결과 결과 연도 최종 결과 라운드 상대 승/패 2012 준우승 18강 경희대학교 승 2012 준우승 8강 고양 오리온스 승 2012 준우승 4강 서울 삼성 썬더스 승 2012 준우승 결승전 국군체육부대 패 2013 8강 진출 16강 서울 삼성 썬더스 승 2013 8강 진출 8강 서울 SK 나이츠 패 2015 16강 진출 16강 원주 동부 프로미 패 2016 8강 진출 16강 한양대학교 승 2016 8강 진출 8강 창원 LG 세이커스 패 = = 응원가 = = 하늘이시여 담다디 (원곡가수 : 이상은) 리듬프리팀 (원곡 : "Freedom - Wham") 붉은 노을 - 빅뱅 (이문세 원곡) 아파트 - 김건모 (윤수일 원곡) 우리들의 가스공사 예! 가스공사 (윤도현) 왼손 머리 위로 오른손 머리위로 박수 치면서 가스 공 사 압구정 날라리 - 처진 달팽이 날 봐,귀순 - 대성 내 스타일 아냐 - 장미여관 Party Rock Anthem - LMFAO 마법소녀 - 오렌지 캬라멜 = WWE 인서렉션 = 인서렉션(Insurrextion)은 영국에서 열리는 WWE 페이퍼뷰이다. 인서렉션은 2003년 6월 영국 중계권 만료로 폐지되었다. = = 인서렉션 개최한 곳 = =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0년 5월 6일 런던 얼스 코트 엑시비션 선터 17,000 더락 vs. 셰인 맥마흔 vs. 트리플 H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1년 5월 5일 런던 얼스 코트 엑시비션 선터 15,794 더 투맨 파워 트립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트리플 H) vs. 디 언더테이커 (WWE 챔피언십, 핸디캡 매치) 2002년 5월 4일 런던 웸블리 아레나 10,500 트리플 H vs. 디 언더테이커 2003년 6월 7일 뉴캐슬 텔레웨스트 아레나 10,000 트리플 H vs. 케빈 내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 = = 강성규 = = 단순히 어느 방송사의 아나운서, 기자, PD라는 사유로 저명성이 완성될 수 있는지 의문스럽습니다. 당연히 방송에 출연하여 한두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노출이야 많겠습니다만, 이것만으로 한 인물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문서의 완성이 가능한지가 명확하지 않다고 봅니다. 95016maphack 2018년 5월 6일 (일) 13:33 (KST) 삭제합니다. IRTC1015 2018년 6월 18일 (월) 13:06 (KST) = 붐비치 = 붐비치는 슈퍼셀이 개발한 iOS, 안드로이드용 프리미엄ㆍ모바일 전략 비디오 게임이다.Supercell's new title is winning over gamers 29 March 2014 Helsinki TimesWhat Supercell did next: Boom Beach masters the art of the follow-up 9 April 2014 by Steve El-Sharawy, The Finnsider Pocket GamerClash of Clans Dev Releases Boom Beach; The follow-up takes to the islands by Mike Mahardy 27 March 2014 IGN 2013년 11월 11일 캐나다에서 출시했으며Boom Beach is Clash of Clans maker Supercell's Clash of Clans clone . Retrieved 10 July 2014., 2014년 3월 26일에는 광범위하게 출시되었다.Clash of Clans dev releases Boom Beach . Retrieved 27 March 2014. = = 게임 플레이 = = 붐비치는 혼자서 하는 캠페인 모드와 같은 서버에서 다른 플레이어를 공격할 수 있는 모드를 플레이 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승리할 때 따라 확장되는 게임 맵을 특징으로 하는 캠페인 모드에선 플레이어가 "블랙가드"로 알려진 적과 싸우게 되는데, 이 적군들은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다. 플레이어가 아닌 컴퓨터가 생성한 블랙가드 기지는 지도에 나타나며 플레이어는 자원을 얻기 위해 기지를 침략 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여러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잠수함을 보내서 보물을 찾을 수 있는 다이빙 스팟도 있다. 플레이어는 다른 기지를 상대로 전투를 벌일 때, 부대를 수용할 수 있는 상륙용 함정 업그레이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 를 사용한다. 군대는 섬의 끝부분에만 배치할 수 있다. 배치된 군대는 자동적으로 가까운 목표물을 찾고 공격한다. 공격의 목적은 적의 본부를 파괴하는 것이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기지를 통째로 빼앗아 승리를 거두어 그 기지의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얻게 된다.Clash of Clans Dev Releases Boom Beach; The follow-up takes to the islands by Mike Mahardy 27 March 2014 IGN"},"attrs":{"name":"ign"}}" class="mw-ref reference" data-ve-attributes="{"typeof":"mw:Extension/ref"}">[7] = = 게임 평가 = = iOS 버전의 붐비치는 메타크리틱 등 리뷰 애그리게이터에 따르면 출시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스티픈 하버만(IGN)의 리뷰에 따르면 그는 이 게임이 슈퍼셀의 다른 비디오 게임인 클래시 오브 클랜의 현대판처럼 보였다고 언급했다. = 474 = 474(사백칠십사)는 473보다 크고 475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3, 6, 79, 158, 237, 474이다. = = 기타 = = 연도: 474년 기원전 474년 4e02 474 = 분류:합창 지휘자 = = 분류:스위스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 = = 물처럼 느린 시간들 = 물처럼 느린 시간들(Time Runs Slow, Like The Flowing Water)은 한국에서 제작된 신정철 감독의 2010년 영화이다. 윤상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박경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윤상호 김정은 이윤정 차명욱 = = 제작진 = = 조명: 김수경 조명: 김용태 연출부: 김은경 연출부: 김기택 연출부: 선우문영 음향: 서상완 미술: 김윤홍 미술: 김윤경 영문자막: 한화윤 = 분류:2022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 분류:배구 정보 틀 = = 에이길 브륄 = 에이길 브륄은 덴마크의 영화 촬영 기사이다. 제임스 마시 감독, 줄리언 재럴드 감독 등과 협업하였으며, 게리 로스 감독의 블록버스터 오션스 에이트(2018)에서 촬영을 담당했다. = = 연출 작품 목록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원제 감독 비고 1999 위스콘신 데스 트립 Wisconsin Death Trip 제임스 마시 2003 투 킬 어 킹 To Kill a King 마이크 바커 2005 킨키 부츠 Kinky Boots 줄리언 재럴드 2005 더 킹 The King 제임스 마시 2006 Pu-239 Pu-239 스콧 Z. 번스 2007 비커밍 제인 Becoming Jane 줄리언 재럴드 2008 킬러들의 도시 In Bruges 마틴 맥도나 2009 페이퍼맨 Paper Man 키런 멀로니 2012 낫 페이드 어웨이 Not Fade Away 데이비드 체이스 2017 튤립 피버 Tulip Fever 저스틴 채드윅 2018 오션스 에이트 Ocean's 8 게리 로스 2019 더 리포트 The Report 스콧 Z. 번스 = 가와구치호 = 가와구치 호(河口湖, かわぐちこ)는 일본 후지 산 주변의 호수이다. 야마나시현 후지카와구치코정에 위치하며 후지 5호 중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는 곳으로 후지 하코네 이즈 국립공원의 일부이다. 후지 5호 중에서 가장 긴 호안선을 가지며 가장 낮은 지점에 있다. 면적은 후지 5호 중에서는 두 번째 크기이다. 가와구치 호는 7~8월의 등산철에 후지 산에 오르는 등반객들을 위한 중심지 역할을 한다. 해발 800m에 위치해있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반면에 겨울에는 쌀쌀하다. 최근에 이 지역에서 가장 인기있는 장소는 가와구치 호에서 야마나카 호로 바뀌었다. = 분류:축구단 1996 시즌 = = 분류:1930년 도입 = = 위안부 기림일 = #Redirect 김학순 (여성운동가)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Carina-Sagittarius Arm) 또는 궁수자리 팔(Sagittarius Arm)은 우측 은하계 나선팔의 구조 그림에서 보이듯 두 개의 주요 나선팔인 바깥쪽의 방패-센타우르스자리 팔(Scutum-Centaurus Arm)과 안쪽의 페르세우스자리 팔(Perseus Arm) 사이에 위치한다. 지구에서 봤을 때 은하 중심부근의 궁수자리 쪽으로 보이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은하계가 예전에 나선은하로 알려져 있었으나 2005년 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에 따라 약 3천 킬로파섹 크기의 막대 구조가 있는 막대나선은하라고 밝혀졌으며 두 개의 주요 팔과 여러개의 작은 팔들로 구성된다. = = 주요 천체 = = 여러 개의 메시에 천체를 비롯한 다른 관측거리가 존재한다. M8 (천체) M11 (천체) M16 (천체) M17 (천체) M18 (천체) M20 (천체) M21 (천체) M24 (천체) M26 (천체) M55 (천체) NGC3372 (천체) = 사춘기여 안녕 = "사춘기여 안녕"은 한국에서 제작된 김수용 감독의 1962년 영화이다. 강신성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정화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강신성일 최지희 김운하 남양일 = = 기타 = = 조명: 변중식 미술: 홍성칠 = 틀: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의 흐름 = 총수 1945년 8월 15일 1949년 8월 15일 1963년 1월 1일 1980년 4월 1일 1981년 7월 1일 1988년 1월 1일 1995년 3월 1일 2023년 7월 1일 현재 1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북구 북구 북구 북구 북구 1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북구 북구 북구 북구 북구 북구 북구 2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중구 3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서구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서구 서구 서구 서구 4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서구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달서구남구 일부 지역까지 병합 달서구남구 일부 지역까지 병합 달서구남구 일부 지역까지 병합 달서구남구 일부 지역까지 병합 5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 남구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남구 남구 남구 남구 6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동구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동구 동구 동구 동구 7 (경상북도 대구부)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수성구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수성구 수성구 수성구 수성구 7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동구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까지 병합서구남구수성구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까지 병합 8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경상북도 달성군) 달성군 달성군 달성군 9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군 군위군 = 분류:이스라엘계 미국인 = = 우세르카프 = 우세르카프는 이집트 제5왕조의 첫 파라오이다. "그의 영혼은 강하다"라는 뜻이다. 베세르카프라는 별칭도 있다. 우세르카프는 제데프레의 손자로, 솁세스카프와 친척 관계였다. 솁세스카레가 죽은 후, 그의 누이이자 멘카우레의 딸인 켄트카웨스와 결혼하여 왕위를 이었다.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와 달리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무덤 근처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세웠다. 기존의 피라미드에서는 무덤 신전이 피라미드의 동쪽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우세르카프는 이것을 남쪽으로 바꾸었다. 이것은 태양신 숭배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후 제5왕조의 파라오들은 "태양 왕들"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이 신전의 뜰에서 발견된 우세르카프의 두상은 스핑크스를 제외하고는 이집트 고왕국 군주의 두상으로는 가장 커다란 것이다. 또한 우세르카프는 아부-구라브에 태양신전을 지었다. 이 곳에 원형적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이후 이 유적은 아크나톤이 아텐에게 바치는 봉헌물이 되었다. 이후 제5왕조의 파라오들은 이 옆에 자신들의 태양신전을 지었다. = 분류:2005년 텔레비전 영화 = = 여랑왕 = 여랑왕(女郞王)은 신라에서 여성 왕족에게 부여하던 왕작이다. 남성은 갈문왕이라했다. = = 암각문 = = 울산광역시 두동면 천정리 서석곡 암각문에 여랑왕에 대한 기록이 암각되어있는데, "을사년(525년) 사갈지갈문왕과 그의 누이 어사추여랑왕이 이곳에 놀러온 것"을 기념해 새긴 글이다. 갈문왕은 왕과 가장 가까운 친척에게 주는 명예 호칭인데 여기에 '여랑왕'은 여성에게도 왕이란 칭호가 부여했음을 암시하고있다. 같이 온 귀족 부인들의 이름도 보이는데 일길간지 영지지의 처 거지시해 부인, 사간지 전육지의 처 아육모홍 부인, 일리등차 부인, 사효공 부인 등 많은 여성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 참고 자료 = = 역사스페셜 34회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나? 편 발췌함 = TMN Song Meets Disco Style = TMN Song Meets Disco Style은 잔카를로 파스퀴니가 Dave Rodgers(데이브 로저스)라는 예명으로 1992년 9월 23일 발표한 앨범이다. 일본의 댄스 음악 그룹 TM Network의 곡들을 리메이크해서 수록했으며, 코무로 테츠야가 프로듀스하고 에이벡스가 발매했다. = = 트랙 목록 = = Wild Heaven Come On Let's Dance Self Control Don't Let Me Cry Get Wild Resistance Come On Everybody Dive Into Your Body Time To Count Down Love Train = 역도시화 = 역도시화(逆都市化, Counter-urbanization) 또는 탈도시화(脫都市化)는 도시의 인구가 도시 밖으로 벗어나 감소하는 현상으로 '도시화'의 반대개념이다. 세부적으로는 도시 인구가 농촌으로 이동하는 귀농, 귀촌 또는 유턴현상과 농촌이 아닌 중소도시로 이동하는 제이턴현상을 포함한다. 주로 도시화 이후 발생하며 도시의 쇠퇴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탈공업 사회로 접어든 국가에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대도시의 생활비 증가, 산업의 지방 분산, 교통과 통신 기술의 발달 등이 있다. 이에 따라 공동화 현상이나 도심의 슬럼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는 도시 재개발이 있다. = = 탈서울 = = 2017년 잡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 거주 직장인의 55.8%가 서울을 떠나 다른 곳에서 살고 싶다고 하였다. 이유는 높은 주거비(62.3%), 높은 물가(18.5%), 교통체증(11.2%) 등이 있었다. = = 귀촌 = = 도시의 삶에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간혹 시골로 귀촌하는 경우가 있다. 귀촌하는 경우 기존 마을 주민과 잘 어울려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기존 주민들의 텃세가 심한 경우 고액의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귀촌을 꿈꾸는 도시 사람들은 자연 속의 건강한 삶을 꿈꾸며 귀촌하지만, 의외로 여러 가지 문제를 겪을 수도 있어 쉽게 환상이 깨질 수도 있다. = = = 귀촌의 장점 = = = 공기가 좋고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직접 재배한 채소나 과일을 바로 먹을 수 있다. 전원생활을 통해서 인생의 정리를 할 수 있다. 가축이나 반려동물들을 자유롭게 기를 수 있다. 농사를 짓거나 어업활동을 할 수 있다. = = = 귀촌의 단점 = = = 도시와는 달리 야간이면 인적이 드물어서 정적이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여성 등 취약층들의 납치나 살해 등의 위협이 있을 수 있다.도시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번화가나 거주자가 많은 주택을 기준으로 방범방송 등이 녹화될 수 있지만 농어촌은 인구가 적은데다가 지역에 따라 방범방송을 녹화하는 것이 없거나 드물 수 있다. 텃세가 심하고 공동체 생활을 강조하는 농어촌의 특성상 마을사람들과 강제적으로도 공동생활을 강요받을 수 있다. 대중교통이 도시에 비해서 활성화되지 않아서 불편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없는 이들에게는 불리할 수 있다. 도시에서의 습관 때문에 농어촌 주민들과의 갈등과 언쟁 등이 잦을 수 있다. 애완동물이 아닌 가축(소, 돼지, 닭 등)을 키울 때 축사관리를 해야하는 까다로움이 있다.도시에서는 가축을 키우거나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는 다른 편이다.개라도 도시에서 흔히 기르는 애완용 개가 아닌 몸집이 큰 개의 경우도 단독주택이 아니면 기르기가 까다롭다. *병원 등 의료기관이 도시에 비해서 많이없다. *오락시설이나 문화시설이 도시에 비해서 드물거나 없다. = 분류:헤타페 출신 = = 분류:영동군의 지리 = = 가간 (식당) = 가간(Gaggan)은 인도 셰프 가간 아난드(Gaggan Anand)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태국 방콕에서 운영한 레스토랑이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아시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 중 1위, 세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에서 전체 7위에 올랐다. 태국 미슐랭 가이드 초판에서 미쉐린 스타를 두 번 받았다. = = 역사 = = 가간 아난드는 1996년부터 방콕에 살았고 프랑스와 일본과 같은 다른 나라의 요리와 동일한 수준의 고급 식사를 제공하는 인도 음식을 태국에 가져오고 싶었다. 2010년 아난드는 레스토랑을 수용하기 위해 개조된 19세기 타운하우스에서 가간을 열었다. 숙소가 리노베이션되는 동안 2010년 태국 정치 시위도 발생하여 아난드가 상당한 시간 동안 레스토랑을 방문하지 못했다. = 탈라사 = 탈랏사Θάλασσα, Talassa)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이다. 탈랏타(Θάλαττα, Talatta)라고도 불린다. 바다를 신격화 한 원초신으로, 폰토스의 여성판이다. 지중해를 의인화 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저작가도 있다. 암피트리테나 테티스와 같은 바다의 여신과 동일시 되기도 한다. = = 개요 = = 가이우스 유리우스 휴기누스에 의하면, 탈랏사는 아이테르와 헤메라의 딸로, 폰토와의 사이에 물고기의 일족을 낳았다휴기누스, 서문.. 또 탈라사의 아이에게는 텔네스 일족과디오도로스, 5권 55・1., 그 자매인 님프 하리어디오도로스 시켈로스, 5권 55・3., 혹은 헤카톤케이레스가 있었다고도 말해진다. 논노스에 의하면, 탈랏는 크로노스가 잘라내고 바다에 버린 우라노스의 생식기를 위해서 다산이며, 거기로부터 아프로디테가 태어났다고 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코린토스, 이스트모스의 포세이돈 신사의 경내에는 탈랏의 상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신전전실내에는 동제의 포세이돈상 2체, 암피테이상의함께, 타랏사 탈이 있다파우사니아스, 2권 1・7.. 또 실내에는 고대 아테네의 헤이로데이스가 봉납한 제상이 있어, 그 중의 하나인 암트리테이와 포세이돈의 상이 서는 전차의 대좌에는, 어린 아프로디테를 껴안는 탈랏사의 모습과 레이데스가 부조되어 있다파우사니아스, 2권 1・8.. 또 갤리네와 탈라사의 상도파우사니아스, 2권 1・9.. = =그 외의 등장하는 문헌 = = 아이소포스 「우화」(71 & 245) 「호메로스 찬가」(II데메텔, v. 5) 「오르페우스 찬가」(XXII 타랏사) 논노스 「디오뉴소스담」(XII, 43) 키리키아의 옵피아노스 「어로」(I, 74) = 개선역 (동음이의) = 개선역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개선역(凱旋驛) 카이쉬안 역() = 분류:마카오 = = 분류:파라과이의 암살된 사람 = = 틀:옛 한글 = = 분류:이라크의 의료 = = 김종민 (동음이의) = = = 정치인 = = 김종민(金鍾民, 1949년 ~ )은 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낸 공무원이다. 김종민(金鍾民, 1964년 ~ )은 대한민국의 제 20 ~ 21대 국회의원이다. = = 예술인 = = 김종민(金鍾旼, 1979년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이며, 혼성그룹 코요태의 멤버이다. 김종민(1981년 ~ )은 UX 엔지니어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김종민은 대한민국의 배우인 고윤(1988년 ~ )의 본명이다. 김종민(1991년 ~ )은 패션모델이자, 음악 프로듀서이다. = = 스포츠인 = = = = = 축구 = = = 김종민(金鍾珉, 1965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럭키금성 황소(現 FC 서울)에서 활약하였다. 김종민(金宗旻, 1992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종민(金種珉, 1993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김종민(2001년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 = 배구 = = = 김종민(1974년 ~ )은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출신 배구 감독이다. = = = 야구 = = = 김종민(1981~) - 전 KBO SK 와이번스 투수. 김종민(金鐘民, 1986~) -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포수, 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배터리코치. 김종민(金鐘民, 1994~) - KBO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 사라토프현 = 사라토프현은 1797년부터 1928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현으로 현도는 사라토프이며 면적은 84,491km2, 인구는 2,405,829명(1897년 당시 기준)이다. 현재의 러시아 사라토프주 서부, 볼고그라드주 중부에 걸쳐 있었다. =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이후 3일간의 행적에 대한 논란은 1950년 6월 28일 새벽 조선인민군의 탱크가 서울 중심부에서 목격되었으나, 전세가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민군은 6월 30일이 될 때까지 한강을 건너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기되었다. = = 가설 = = = = = 제한전쟁설 = = = 북한은 전쟁계획이 남한 전역을 점령하려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가설이 있다. 즉 조선인민군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만 점령함으로써 전쟁을 끝내려 했다는 것이다. 조선인민군의 목표가 통일정부 수립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제한전쟁설'이라 부르기도 한다. = = = 민중봉기 대기설 = = = 하지만, 조선인민군이 서울에서 3일간 머무른 사실에 대해서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날 것을 기대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즉, 민중들이 공산주의 운동을 일으키면, 이를 기반으로 남조선을 '해방'시키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민중봉기 대기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수상인 박헌영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 산업을 마비시키기 위한 파업을 선동한 것이 그 상황증거로 본다. 무엇보다도 남한에서 조선공산당과 남로당의 공산주의 운동이 활발했던 점과 지주와 소작인간의 대립이 심했다는 점도 공산주의 봉기가 민중들에 의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게 했다. 그래서 조선인민군이 3일간 서울에서 기다렸다는 설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유상몰수, 유상분배라는 단점에도 불구, 토지개혁으로 계급갈등은 어느 정도 해소된 후였고 여러 개혁으로 공산주의 세력은 약화되었으며, 북한의 지도부가 기대한 민중봉기는 일어나지 않았다. = = = 스탈린 또는 마오쩌둥 개입설 = = = 러시아 국방부의 군사연구소 연구원 이고르 파포프는 입증 문서는 없다는 걸 전제하면서도 "스탈린은 미국이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면 원자폭탄을 사용할지 모른다고 우려해서 김일성의 부산 돌진을 저지시켰다"는 견해를 제시한다.장행훈, 〈소, 미핵(美核)의식 '부산공격'저지:'6·25' 42주 … 러시아 군사연 파포프 연구원 특별인터뷰〉동아일보(1992.6.26.) 또한 마오쩌둥이 "전쟁은 보급로와 퇴로를 준비해야 한다"며 급한 추격전을 하지 않도록 여러번 경고했고 미군 개입과 이에 따른 중국군의 개입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 = = 춘천 전투 = = = 최근 소련의 비밀 문서가 공개되면서 조선인민군이 서울에서 3일간 지체할 수밖에 없었던 새로운 이유가 제시되었다(KBS1 역사스페셜 방영). 조선인민군의 작전계획에 차질이 생겨 작전수립 및 도하장비 부족 때문에 3일을 허비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조선인민군은 주공격을 당시 소련 군사고문단작성한 남침 작전 계획서코리아스코프, <한국전쟁의 전개과정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에는 조선인민군 1사단, 3 사단, 4 사단, 6사단과 조선인민군 105 탱크여단으로 서울을 공략하고, 조선인민군 2사단과 12 사단은 춘천과 홍천을 6월 25일 당일에 점령한 뒤, 6월 28일에 수원을 점령하여 한강 이남으로 철수하였던 한국군을 포위하도록 되어 있었다. 실제로 6월 28일 당일 서부 전선에서 한국군의 가용 병력은 서울이 점령된 뒤에 남하하여 한강 방어선을 형성한 상태였다. 그러나, 춘천 전투에서 조선인민군은 한국군 6사단의 저항에 부딪혀 패배하였다. 조선인민군은 측 후방이 노출되는 상황이 되어 균형이 맞지 않게 되고 북한의 주공격군은 3일간을 서울에서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춘천지구의 한국군 6사단(사단장 김종오 대령) 7연대는 6월 22일부터 경계태세를 강화하며 동시에 전장병의 외출을 금지시켰다. 그 때문에 조선인민군의 기습공격에도 조선인민군의 전력을 40% 이상 격파하는 전과를 세웠다. 결국에 조선인민군 2만4천 명은 6월 25일 새벽 춘천을 기습공격했지만 40% 이상의 전력을 상실한 채 실패하고 만것이다. 한국군 6사단은 3일간 조선인민군과 대치하며 춘천을 확보했으나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충주로 철수하면서 조선인민군은 애초 작전 계획보다 2일 뒤인(3일만에) 6월 27일 저녁 10시에야 겨우 춘천을 점령했고, 7월 1일에야 겨우 양평쪽의 한강을 건넌 뒤에 7월 5일에 이천,용인에 이르게 되어 서울에서 내려와 수원,오산을 점령한 조선인민군과 합류하였다. 이 결과로, 한국군을 수원 이북에서 포위,섬멸하겠다는 조선인민군의 작전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고, 한국군은 급히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하여 6월 28일 이후 도강한 개별적으로 후퇴한 패잔병들과 낙오병들을 긁어모아 편제를 유지하고 있던 일부 부대와 합치는 식으로 방어선을 펼칠 수 있었고, 이 때문에 조선인민군은 3일간 한강을 건너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춘천 전투 이후에 조선인민군은 전쟁을 수행했던 조선인민군 2사단과 12사단의 책임자들을 일제히 해임조치하였다.김종오, 변질되어가는 한국현대사의 실상 上(종소리, 1989), 249쪽.김영호, 〈한국전쟁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전망〉한국전쟁연구회 편,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백산서당, 2000), 103쪽 또한 조선인민군은 결전 시도해야 할 장소와 시기 분별 못해 성과를 거두지 못한 전투의 실패를 언급하며 반면 한국군은 시간적 정신적 여유를 찾아 유엔군이 증원될 수 있는 시간 갖고 인천상륙작전과 낙동강에서의 반격작전도 가능하게 되었다. = = 관련 도서 = = 김성칠. 《역사 앞에서》. 창비. 1993년. = 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알파인스키 = = 넬슨풀아과 = 넬슨풀아과(Nelson-亞科, 학명: )는 쥐꼬리망초과의 아과이다.Pfeiffer, Louis Karl George. Nomenclator Botanicus 1(1): 10. 1871. = = 하위 분류 = = 넬슨풀속(Nelsonia R.Br.) Anisosepalum E.Hossain Elytraria Michx. Saintpauliopsis Staner Staurogyne Wall. = 분류:코르시카의 관광지 = = 분류:1583년 건축 = = 라스 비아스 델 아모르 = 라스 비아스 델 아모르은 2002년 방영된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 Sword's Song = Sword's Song는 2003년 4월 14일에 발매된 배틀로어의 음반이다. 네이팜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대전 중암사 부도 = 대전 중암사 부도(大田 中庵寺 浮屠)는 대전광역시 중구 정생동, 정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부도이다.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중암사 불당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 6기의 부도와 1기의 탑비이다. 중암사는 대전과 금산의 경계를 이루는 천비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로, 예전에는 서산대사 ·사명대사 ·영규대사 등의 초상을 모신 영정각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지금은 불당으로 쓰이는 함석지붕의 건물 한 채만 남아있다. 부도는 승려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으로, 이 6기의 부도는 각각 한월당(漢月堂), 추월당(秋月堂), 천봉당(天峰堂), 홍파당(泓波堂), 수월당(水月堂), 월영당(月影堂)의 여섯 승려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모두 돌종 모양의 형식을 띠고 있어서, 바닥돌 위로 낮은 받침돌을 두고, 종 모양의 탑몸돌을 올렸다. 그 위로 지붕돌을 올려 놓은 것도 보이고, 둥근 머리장식을 올려 마무리 한 것도 있다. 맨 왼쪽에 서 있는 탑비는 낮은 사각 받침돌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에 새긴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 정조 8년(1784)에 비를 세웠음을 알 수 있는데, 함께 있는 이 부도들 역시 이와 비슷한 시기인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들로 보인다. = = 참고 자료 = = * 중암사 부도 중암사 부도 = 분류:팔레스타인의 스포츠팀 = = 베니 아그바야니 = 베니 아그바야니(, 1971년 12월 28일 ~ )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며 뉴욕 메츠 시절 감독이었던 바비 발렌타인이 2004년 지바 롯데 마린스 감독으로 부임하자 2009년까지 이 팀에서(당시 등록명은 베니) 선수생활을 마쳤다. = = 수상 = = 아시아 시리즈 MVP : 1회(2005년) = 분류:21세기 조각 작품 = = 생산수단의 사회화 = 생산수단의 사회화(, , 한자: 生産手段-社會化)는 생산물은 자본가 개인이 만들어낸 산물이 아니라 사회 활동(노동자들의 노동)이 만들어낸 사회적 성격이 띤 공동의 산물이기 때문에 생산수단 또한 사회화 시켜야 한다는 경제 용어이다. '사회화', '지역 사회화'라는 용어를 최초로 쓴 학자는 페르디난드 퇴니이스이며, '생산의 사회화'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학자는 막스 베버이다. 칼 마르크스는 생산물은 특정 개인이 아닌 노동자들의 공동 상품인데, 생산수단은 특정 개인이 쥐고 있는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점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경제학 용어로써 최초 의도로의 '생산수단의 사회화'를 사용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졌다. 국유화와는 엄연히 다르다. = = 개요 = =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단어 그대로 생산수단 자체를 사회화시켜 공동으로 소유하자는 뜻이지만 그 동시에 수익, 경영의 권리 사회화도 포함된다. 그러나 공유재산제도를 실현하자는 내용과는 엄연히 다른 것이다.(이에 대한 부분은 후에 레닌주의에서 나타난다.) 사회주의자이자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맥멀런은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특정 개인이 생산수단을 한꺼번에 쥐고 경제 활동을 하는 것 보다 공동이 생산수단을 사회화함으로써 노동에 대한 신뢰, 부의 공평한 부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노동자들의 자주 경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더높다고 주장했다. 같은 사회주의자이지만 시장 사회주의자인 존 로머 교수는 시장 사회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하나의 과제라고 주장했다. = = = 마르크스주의 = = =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산업체의 경영민주주의, 부의 공정한 분배를 실현하고 잉여 가치 차단을 위한 첫 단계이다. '생산수단'이란 부차 생산물을 최종생산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도구'가 될 수도 있고 부차 생산물 그 자체도 될 수도 있다.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경제 구조는 생산물은 사회적인 활동으로 나오지만, 그에 따른 최종 수익이 특정 개인에게 돌아가는 모순된 구조이다. 그러기 위해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체제가 되려면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계급 투쟁의 과정으로 특정 산업체에 속한 노동자들의 다수 결정에 의한 산업체 운영 방식을 고려해야 하며, 생산물이 사회적인 활동에서 나오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의 공정한 분배를 행함으로써 비로소 생산수단을 노동자들이 공동 소유하는 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노동자 각 개체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현재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원론적인 의미로써의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아니며 또한 원론적이여야할 필요도 없다. 그 이유는 자본주의 구조상 원론적 의미의 생산수단의 사회화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민주화, 경영민주화, 노동여건 개선 등등이 생산수단 사회화 과정 또는 그 자체라고 볼 수도 있다. = 반탕 = 반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반탕(飯湯)은 숭늉이다. 반탕()은 몽골 음식이다. = 아리에주 = 아리에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리에주 (데파르트망):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주 : 프랑스 남부의 강 = 분류:종합연구소 = = 분류:적분 변환 = = 바이 얀르시 = 바이 얀르시는 2020년 방영된 터키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량원하오 = 량원하오(, 1992년 7월 6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1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500m에서 우승한 세계적인 남자 단거리 쇼트트랙 선수이다. = 분류:모리셔스의 축구 선수 = = 노랑코목화쥐 = 노랑코목화쥐(Sigmodon ochrognathus)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 멕시코와 미국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텍사스주에서 발견되며 산악 초원 지대와 피뇬 소나무-유타 향나무 삼림에서 서식한다. 넓은 분포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관심대상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 분류:정치 이념별 슬로베니아 사람 = = 사라 베스베스 = 사라 베스베스(, Sarra Besbes, 1989년 2월 5일~) 튀니지의 에페 펜싱 선수이다. 그녀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FIE 펜싱 챔피언쉽에 세 차례 참가하였고, 이 중 2010년 파리 대회에서는 64강에 진출하였다. 그녀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에페 부문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고, 2007년에는 플뢰레 부문에도 참가하였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녀는 에페 개인전에 참가하였다. 그녀는 32강에서 중국의 뤄샤오쥐안을 꺾고, 16강에서 대한민국의 최인정을 연장전 끝에 이긴 뒤, 8강에서 이 토너먼트의 은메달을 차지한 브리타 하이데만에 패하였다. = 분류: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관광지 = = 분류:1977년 컴퓨팅 = = 마명 (경마) = 마명(馬名, Horse name)은 말의 고유한 이름을 뜻한다. 경주마로 활용하고자 하는 마필은 반드시 마명이 필요하므로 경마장 마방 입사 전까지 ‘마명부여신청서’에 희망마명을 기재하여 한국마사회 말등록원에 제출해야 한다. 제출된 마명은 '마명부여 규정’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동일마명과 유사마명까지 확인한 후 확정된다.(비용은 무료) = = 마명 작명시 주의사항 = = 마명은 중복해서 쓸 수 없으며, 경주마로 등록할 때 현존하는 마명 혹은 유명했던 마명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말 이름을 지을 때 가장 주의할 사항 중 하나는 절대 말을 의미하는 '말‘과 ’마(馬)‘는 물론, 호스(Horse), 목장, 트랙, 자키 같이 경마나 생산계에서 상용되는 용어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널리 알려진 문화예술의 작품명이나 운동경기명, 현존 국가명과 같거나 유사한 마명,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거나 사행성이 강한 단어는 마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마명의 제한 사항 = = 여백없이 한글 6자(외국에서 부여된 원마명을 한글로 표기할 때는 여백없이 8자 이내), 알파벳 18자 이내 기부여된 마명 또는 유명한 말의 마명과 동일하거나 혼동의 우려가 있는 것 회사명, 상품명 등 영리를 위한 광고 선전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공인이나 널리 알려진 사람의 성명(별호등 포함) 국제보호마명부에 등재된 마명과 동일하거나 혼동의 우려가 있는 것 의미 또는 발음이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반하는 것이라고 인정되는 것 기타 마명으로서 부적당하다고 판단되는 것 또한 다음 사항에 대한 기한이 경과되지 않은 마명은 재사용할 수 없다. 씨암말의 마명은 사망 또는 용도종료후 10년(사망이 신고되지 않은 경우는 생후 25년) 씨수말의 마명은 사망 또는 용도종료후 15년(사망이 신고되지 않은 경우는 생후 35년) 기타 말의 마명은 사망후 5년(사망이 신고되지 않은 경우는 생후 20년) = 조촌동 (전주시) = 조촌동(助村洞)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의 행정동이다. = = 주요 시설 = = 한국도로공사 전북지역본부 (용정동) 동산동 주민센터 (반월동) 조촌동 주민센터 (반월동) 전주월드컵경기장 (반월동) CBS 전북방송 (용정동) 한국도로공사수목원 (반월동) 전주월드컵경기장 = 블록버스터 레코드 = 블록버스터 레코드 (Blockbuster Records)는 대한민국의 힙합 레이블이다. Outsider가 출범한 이 레이블은, 한때 Outsider가 Sniper Sound에서의 활동이 비중을 더하면서 잠잠해졌으나, 2010년 말에 들어서 여러 활동을 보이면서 재도약을 하는듯 싶었으나, 내부 사정으로 2011년 10월 해체하고 말았다. 블록버스터 레코드의 모토는 음반 기획 및 제작을 비롯해서 글, 음악, 사진, 영상, 패션, 디자인 등 종합적인 문화와 예술에 관한 창작 활동을 통해 늘 새롭고, 신선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CEO는 Outsider와 그의 형 신의철, 본사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위치하고 있었다.Blockbuster Records 공식 홈페이지 Introduction 코너 2013년 5월 아웃사이더가 새로이 설립한 아싸 커뮤니케이션이 Blockbuster Records를 계승하고 있다. = =발매 앨범 = = = = =단체 앨범 = = = *2010년 5월 17일 Fantastic 4 = = =개인 앨범 = = = *2006년 10월 11일 Deffinite - D-Code *2007년 1월 9일 Brown Sugar - T.U.N.E. *2007년 4월 18일 Brown Sugar - T.U.N.E. Instrumentals *2007년 10월 25일 Outsider - Soliloquist *2008년 6월 4일 Swagger - Hello New World *2008년 12월 22일 Sunday 2PM - 모르겠어 (디지털 싱글) *2009년 6월 1일 Outsider - Maestro *2010년 3월 9일 Outsider - 주변인: The Outsider *2010년 4월 15일 LMNOP - Sensibility & Stimulus: 감성자극제 *2010년 8월 12일 LMNOP - 거품샤워 (디지털 싱글) *2010년 10월 21일 Outsider - 주인공 *2010년 11월 25일 Sunday 2PM - 돌연변이 (The Mutant) = =Blockbuster Creative = = 블록버스터 크리에이티브 (Blockbuster Creative)는 Blockbuser Records 내의 모임으로, 음반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Records와는 차별화된, 글, 음악, 사진, 영상 등 종합적인 문화와 예술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 지식인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기회와 인성을 제공하고 함께 만들어나가는 종합 예술 창작 집단이다. 2010년 5월 만들어졌으며, 창작과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 및 예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분류:이스라엘의 음악가 = = 노아 주프 = 노아 캐스퍼드 주프(, 2005년 2월 25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원더 - 잭 윌 역 더 타이탄 - 루카스 젠슨 역 서버비콘 - 닉키 역 철의 심장을 가진 사나이 콰이어트 플레이스 - 마커스 애보트 역 홈즈 앤 왓슨 - 독시 역 허니 보이 - 어린 오티스 로트 역 포드 V 페라리 - 피터 마일스 역 콰이어트 플레이스 2 - 마커스 애보트 역 = 분류:핀란드의 송라이터 = = 에버스 = 에버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조니 에버스: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 제이슨 에버스: 미국의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 닛산 닷선 트럭 = 닷선 트럭(Datsun Truck)은 일본의 닛산자동차가 1935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한 픽업 트럭이다. 북미에서는 닛산 나바라라는 이름으로 팔렸다. = 레 블뢰 = #Redirect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분류:1967년 해산된 정당 = = 파리 대왕 = 파리대왕(Lord of the Flies)은 윌리엄 골딩의 소설이다. 골딩은 1954년 이 작품으로 데뷔하였는데, 출간 당시에는 3천 부 미만의 낮은 판매량을 보였으나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학교의 학생들에게 읽히게 되었고, 골딩은 1983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 = 줄거리 = = 핵전쟁이 일어난 가운데 비행기로 후송되던 한 무리의 영국 소년들이 태평양 어느 무인도에 불시착한다. 대여섯에서 열두 살에 이르는 이 소년들은 열두 살 랠프(Ralph)의 지휘 아래 생존 방법을 찾고 구조를 위해 봉화를 올린다. 그러던 중 불을 관리하던 잭(Jack)과 랠프 사이에 의견 대립이 생겨 소년들은 두 패로 나뉜다. 오두막을 짓고 불이 꺼지지 않도록 지키고 있어야 한다는 랠프와 달리 소년들을 겁에 질리게 만든 ‘짐승’(beast)을 잡으러 나서야 한다는 잭은 자신을 따르는 소년들과 함께 사냥에 나선다. 멧돼지 사냥에 성공한 그들은 잔치를 열고 랠프 무리를 초대한다. 그 자리에서 사냥을 자축하며 춤을 추던 잭의 무리는 소년들을 겁에 질리게 한 ‘짐승’의 정체가 낙하산병의 시체임을 알리려 한 사이먼(Simon)을 흥분한 상태에서 살해하고 만다. 이제 랠프의 곁에는 참모 격인 피기(Piggy)와 몇몇 꼬마밖에 남지 않았다. 점점 더 흉포해지는 잭의 무리는 랠프 무리가 불을 피우지 못하도록 근시 소년인 피기의 안경을 빼앗아 버린다. 이 일로 랠프와 잭이 격렬하게 다투는 동안 잭 무리의 로저(Roger)가 바위를 굴려 피기를 죽게 만든다. 랠프는 달아나고 잭 무리는 살의를 품은 채로 랠프를 찾아 나선다. 랠프는 마지막에 잭의 무리가 산에 놓은 불을 보고 섬으로 온 해군 장관에 의해 구출된다. 랠프가 잭의 무리에게 쫓기던 도중 돼지의 머리를 창에서 빼내고 그 창을 움켜쥠으로서 문명이 패배하고 야만이 승리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 평가 = = 2005년, 타임지가 선정한 1923년부터 2005년까지 발간된 최고의 영어 소설 100권 중 하나이며, 현대 도서관 최고의 소설 100권에 편집자 부분 41위, 독자 부분 25위로 선정되었다. = = 영화 = = 1963년에 피터 브룩이, 1990년에는 해리 훅이 감독을 맡아 영화로 제작되었다. = 루이스 펠리피 폰텔리스 = 루이스 펠리피 마르케스 폰텔리스(, 1984년 6월 19일~)는 브라질의 배구 선수로 포지션은 아웃사이드 히터이다. 브라질 국가대표로서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회 준우승을 했고,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1회 우승, 월드리그 3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 최문용 = 최문용(崔文墉, 1980년 10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허장회 사범에게 바둑을 배웠다. 충암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1997년 안영길과 함께 제78회 입단대회를 통해 입단했다. 1998년 2단과 2000년 3단을 거쳐 2003년 4단으로 승단했다. 2003년 제14기 비씨카드배 신인왕전 본선에 진출했다. 2005년 5단을 거쳐 2012년 3월에 6단으로 승단하였다. = 동공 거리 = 동공 거리(Pupillary distance, PD)는 더 정확하게는 동공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로 알려져 있으며 각 동공 중심 사이의 밀리미터 단위 거리이다. = = 동공간 거리 분류 = = 동동거리는 피사체가 무한히 먼 물체에 시선을 고정할 때 기본 위치에서 눈의 시각적 축 사이의 간격이다. 근거리 PD는 피사체가 의도한 작동 거리에서 가까운 물체에 시선을 고정할 때 안경 렌즈 평면에서 눈의 시축 사이의 분리이다. 중간 PD는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의 특정 평면에 있다. 단안 PD는 오른쪽 또는 왼쪽 시축에서 콧대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이는 해부학적 변화로 인해 각 눈마다 약간 다를 수 있지만 항상 양안 PD에 합산된다. 처방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 안경사가 단안 PD 측정을 고려하면 렌즈가 최적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PD는 처방 안경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검안 용어인 반면, IPD는 양쪽 눈 동공이 보기 시스템의 출사 동공 내에 위치해야 하는 양안 보기 시스템 설계에 더 중요하다. 이러한 관찰 시스템에는 쌍안 현미경, 야간 투시 장치 또는 고글(NVG),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MD)가 포함된다. IPD 데이터는 출구 광학 장치나 접안렌즈의 측면 조정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이러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 IPD는 또한 쌍안 광학 시스템의 출사 동공 또는 광축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IPD와의 차이점은 인체 측정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과 대상 사용자 집단에 맞는 IPD 조정 기능을 갖춘 양안 관찰 장치의 설계이다. 쌍안경이나 현미경과 같은 도구는 다양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접안렌즈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IPD를 고려하여 조정 가능하다. 일부 응용 부문에서는 IPD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으면 불편한 시청 환경과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 오시베다니역 = 오시베다니역은 일본 효고현 고베시 니시구에 있는 고베 전철 아오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KB47이다. = = 역사 = = 1936년 12월 28일: 미키 전기철도의 스즈란다이 ~ 히로노 골프조 마에 간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 1947년 1월 9일: 고베 아리마 전기철도와 미키 전기철도가 회사 합병하고 신아리미키 전기철도의 역이 됨. 1980년 4월: 역사 개축. = = 역 구조 = =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의 지평역이다. 스즈란다이 방향의 복선과 아오 방향의 단선 구조인 교행역에서 승강장 유효 길이는 5량이다. 역사는 1번 승강장 쪽의 아오 방향에 위치하고 섬식 승강장의 2,3번 승강장에는 구내 건널목에서 연결된다. 연선 광 네트워크에 접속된 역무 원격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어, 센터 역에서 자동 매표기, 자동 개찰기, 자동 정산기, TV카메라, 인터폰, 셔터가 원격 조작된다. 이로 인하여, 역무원의 순회역이고, 구내 매점도 설치되지 않았지만 역 서쪽의 술집에서 할인 승차권 등을 위탁 판매하고 있다. 오시베다니 역부터 아오역까지는 단선으로 모든 열차가 역마다 정차한다. = = = 승강장 = = = 1 아오 선(하행) 시지미・에비스・미키・오노・아오 방면 2 아오 선(상행) 고바타・니시스즈란다이・스즈란다이・미나토가와・신카이치 방면 3 아오 선(상행) 고바타・니시스즈란다이・스즈란다이・미나토가와・신카이치 방면 2번 선은 두 방향의 입선 및 출발에 대응하였다. 또한, 1번 선은 아오 방향의 입선에 대응하고 있다. 예전에는 안전 측선의 뒷편에 4량 편성의 유치가 가능한 유치선 1선도 존재했지만 최근에 철거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 = 역 주변 = = 역전에는 상점이 있고, 택시 정류장도 있다. 고베 오시베다니 우체국 고베 시립 오시베다니 초등학교 고베 시립 오시베다니 중학교 신키 버스 본사 = 분류:천사를 소재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 노출증 = 노출증(露出症, )은 성적 도착증 중 하나로, 자신의 특정 신체 부위, 특히 성기를 이성에게 보임으로써 성적, 심리적 쾌감과 흥분을 느끼는 병(증상)이다. 이에 걸린 환자를 노출증 환자(露出症患者)라고 부른다. = = 범죄 = = 바바리맨이 이에 해당하며, 특정 신체 부위를 타인에게 강제로 보여줌으로써 피해를 준 경우나 대중 앞에서 이러한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법적으로 처벌 받을 수 있다.뉴시스: 출소 한 달 만에 또 범행‥'바바리맨' 징역 2년노컷뉴스: 부산지법, '바바리맨 항소' 기각연합뉴스: '바바리맨'에 신상공개 판결<부산지법>뉴스엔: 영상통화 악용해 성희롱 ‘신종 바바리맨’ 검거부산일보: 휴대전화 받고 보니 웬 남자가 음란행위를…강원일보: 크게 소리 질러 `바바리맨' 접근을 막아야 한다 = 분류:이매진 엔터테인먼트 영화 = = 스청현 = 스청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간저우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다. 넓이는 1,582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10,000명이다. = = 문화 = = 장시성 남부의 고지대의 다른 현들처럼 스청의 주민들은 하카로 그들의 문화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고 낯선 사람들을 환영한다. = = 교통 = = 푸저우시 (장시성) 광창현에서 간저우시의 뤼진까지 가는 209번 국도가 현을 남북으로 통과한다. = = 경제 = = 현의 경제는 담배와 연꽃에 의해 고양되고 있다. = = 행정 구역 = = 5개 진, 5개 향을 관할한다. 진: 琴江镇, 小松镇, 屏山镇, 横江镇, 高田镇 향: 木兰乡, 大由乡, 丰山乡, 龙岗乡, 珠坑乡 = 헤더 노스 = 헤더 노스(Heather North, 1945년 12월 13일 ~ 2017년 11월 29일)는 미국의 배우, 성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패서디나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스쿠비-두! 앤드 더 레전드 오브 더 뱀파이어 (2003년) 맨발의 경영자 (1971년) 우리 생애 나날들 (1965년) = 허크 하비 = 허크 하비(Herk Harvey, 1924년 6월 3일 ~ 1996년 4월 3일)는 미국의 장교, 영화 감독, 배우, 각본가이다. 로렌스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췌장암이다. = = 영화 = = 그날 이후 (1983년) 영혼의 카니발 (1962년) = 분류:멘도사주의 지리 = = 틀:내각 정보/설명문서 = 이 곳을 지우고 틀의 기초적인 정의 등을 작성하세요. __TOC__ = = 사용법 = = {{내각 정보 }} = = 분류 = = 이 틀은 이 틀이 부착된 문서에 아래의 분류를 적용합니다: 분류 설명 = 틀:웹 조각 시작/설명문서 = 과 틀은 페이지의 특정 본문을 웹 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웹 조각은 HTML 콘텐츠의 미리보기 입니다. 웹 조각은 현재 인터넷 익스플로러 8 이상의 버전과 파이어폭스(부가기능인 WebChunks를 필요로 합니다)에서 동작합니다. = = 구성요소 = = = = = 필수 구성요소 = = =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가 필요합니다 : id- 이 값은 해당 페이지에서 고유한 문자(또는 정수)이어야 합니다. 만약 같은 페이지에서 두 개 이상의 웹 조각이 같은 id를 사용한다면 단지 첫 번째 요소만 인식합니다. 마찬가지로, id가 변경되었을 경우와 웹브라우저가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웹조각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제목- 이 값은 웹 조각 단추 안에 문자로 표시되며 IE 브라우저에 달린 '피드 찾기' 버튼에도 표시될 것입니다. 제목에는 영문 기준으로 128글자까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 = 선택 구성요소 = = = 다음 매개 변수는 선택 사항입니다. 만기일- 이 값은 웹조각의 만기일을 지정합니다. ISO 8601 양식이나 RFC822 날짜 양식(4자리 년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효한 예제: http://feedvalidator.org/docs/error/InvalidRFC2822Date.htmlhttp://php.net/manual/en/class.datetime.php 유효한 시간 양식: (예: 한국시간 2010년 2월 9일 화요일 12시 00분 00초) Tue, 09 Feb 10 12:00:00 +0900 09 Feb 2010 17:30:00 KST Tue, 09 Feb 2010 12:00:00 KST Tue, 09 Feb 2010 3:00:00 GMT Tue, 09 Feb 2010 12:00:00 +0900 = = 예제 = = 뉴스 웹 조각 끝 인터넷 익스플로러 8과 WebChunks를 추가한 파이어폭스에서 웹 조각이 활성화됩니다. = 노력 = 노력은 심리학에서 활동을 수행할 때의 주관적인 분투의 경험, 특히 정신 집중과 이에 필요한 에너지를 말한다. 많은 응용 분야에서 노력은 환자, 고객 또는 피실험자에 의해 간단히 보고된다. 보고된 노력과 뇌 영상과 같은 객관적인 측정간의 연관성을 확립하는 일부 작업이 있었다. 노력은 의학적, 심리적 진단 및 평가에서 진단 지표로 사용된다. 특히 기억 분야에서 심리학 실험의 지표로도 사용된다. 노화에 대한 연구에서 패트릭 래빗(Patrick Rabbitt)은 1960년대에 노력성 가설을 제안했다. 나이가 들수록 청력이 덜 예민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말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내용을 기억하기가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 분류:도쿄 교육대학 = = 분류:문자학 = = 소복 = 소복은 다음을 가리킨다. 소복(素服)은 상복으로 입는 흰 한복이다. 소복(小腹)은 아랫배를 가리킨다. 《소복》(1967년)은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소복》(1984년)은 KBS 드라마게임이다. = 백 (성씨) = = = 중국의 백씨 = = 백씨(白氏)는 고대 황제 헌원(軒轅)의 후예로 중국 풍익(馮翊)에서 계출(系出)되었다고 한다. 백(白)씨는 우(虞)나라, 초나라 백씨와 백족(白族) 백씨가 있다. 백씨는 하나라 이전에 염제 부락에 백부(白阜)라는 사람이 있었다. 주나라 개국 이후에는 춘추시대 우(虞)나라에 집성촌이 있었다. 진나라를 구성하는 민족 가운데도 백족(白族)이 있었다. 《진본기》(秦本記)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에 우(虞)나라 출신 백리해(百里奚)의 자손들이 진(秦)나라에 들어가 등용되었다. 《초한세가》(楚漢世家)에 따르면, 초나라 백씨는 기원전 4세기에 초나라 30대 혜왕(惠王)의 손자 승(勝)이 백공(白公)에 봉(封)해짐으로 백씨가 되었다고 한다. 중국 서부 운남성 일대에는 티베트, 베트남 계통의 소수민족 백족이 있었다. 당나라는 베트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남부 운남성, 광서성(廣西省)에 백주(白州)를 설치하였다. 백족(白族)들은 한족과 교류하게 되면서 백(白)이라는 성을 사용한 것으로 전한다. 백족도 종류가 많고, 현재는 200만 명이지만, 고대로부터 한쪽 성씨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실제로는 더 많다고 한다. 백규(白圭)라는 인물이 백적 선우부가 세운 중산국에 있었다. 출신은 정확하지 않다. 《제왕전승성원도》를 보면, 백씨(白氏)의 시조는 황제의 후손인 백을병(白乙丙)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 = 한국의 백씨 = = 백씨는 그 선조가 외래하였다는 기록이 단 하나 쓰여 있으나, 소수 기록이라 신빙성이 적고 그 이전부터 백씨 성을 가진 한반도 토착민들이 이미 백제에 많이 살고 있었다는 기록이 많다. 한반도의 모든 백씨들은 같은 선조의 후손들이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토착민의 모화 사상에 의해 중국 성씨를 썼을 가능성이 높다. = = = 한국 백씨의 연원 = = = = = = = 백제 기원설 = = = = 백씨(苩氏)는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라고 수서 ‘백제조’에 기록되어 있고, 당시 '苩' 또는 '白'으로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苩씨는 백제 멸망 후 백제 유민으로서 발음이 같은 한자인 '백(白)'으로 변성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마한, 백제의 유민들이 백제의 명칭에서 '백'을 성으로 취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백씨는 백제 이전부터 한반도에 있었던 토착 성씨라는 주장이다. 백가(苩加, ? ~ 502년)는 대성팔족의 하나인 백씨 출신의 위사좌평으로 가림성(加林城,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 성주로 있다가 백제 동성왕을 시해하였다. 백매순(白昧淳)은 백제의 노반박사(鑪盤博士)로 588년(백제 위덕왕 35년) 사원 건축기술자로 왜에 파견되었다. 백가(白加)는 백제의 화가로 588년(위덕왕 35년) 백매순과 함께 왜에 파견되었다. 백기(苩奇)는 달솔(達率)을 지낸, 백제 무왕(武王, 재위 : 600년 ~ 641년) 때의 장군이다. = = = = 중국 기원설 = = = = 수원 백씨 족보에 따르면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백을병(白乙丙)의 후손이라 한다. 백우경은 소주(蘇州)에서 출생하여 당(唐)나라 때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으나 간신(奸臣)들의 모함을 받자 780년(선덕왕 원년) 신라에 건너와 자옥산(紫玉山) 밑에 정착하였다고 한다.'시조동래'에 나오는 시조의 명자와 시조를 참소했다는 두이기(杜以奇)와 배현묵(裵玄墨)이라는 인명들에 대해 증국 쪽에서 역사적 전거가 없다. 그러나 이후 계대(系代)가 불명하여 신라 경명왕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고 상장군(上將軍)에 증직되었다는 백창직(白昌稷, ? ~ 927년?)을 중시조로 기일세(起一世)한다.중시조에 대해서도 진천임씨보 외에 역사적 전거가 없다. 진천임씨보가 수원백씨보를 인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 = = = 그외 기타 = = = = 삼국시대 고구려에도 백(苩)씨로 추정되는 백석(白石)이란 인물이 있었다.백석(白石)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는 고구려의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의 부하로서 신라의 화랑 김유신(金庾信)을 해칠 목적으로 낭도(郎徒)로 잠입하여 기회를 노렸다.우리역사넷 = = = 백씨 본관 역사 기록 = = = 백씨는 증보문헌비고에 157개 본관이 전하나, 고려 초부터 말까지 사료로 확인된 본관들과 그 전거는 다음과 같다. 징효대사(澄曉大師, 826년 ~ 900년) 절중(折中)은 휴암(鵂嵒, 황해도 봉산) 사람이고 어머니가 백씨(白氏, 800년 경 출생)인데,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寧越興寧寺址澄曉大師塔碑), 944년 관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법인국사(法印國師, 900년 ~ 975년) 탄문(坦文)의 어머니도 백씨(白氏, 875년 경 출생)로 고봉(高峯, 경기도 고양) 사람 고씨(高氏)에게 출가하였는데,보현사법인국사보승탑비문(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碑文),978년 관향은 확인되지 않는다.법인국사가 광주(廣州) 출생인 점으로 보아 모친 백씨는 직산(稷山) 출신으로 추정된다 백사유(白思柔)는 973년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991년 한림학사로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는데,『고려사』 세가 973년,991년 조 관향은 전하지 않는다.다만 972년 급제자 유방헌과의 관계에서 관향이 상당(上黨, 청주)일 가능성이 있다. 상당: 금석문 등 현존하는 모든 역사 기록 상 가장 오래된, 백씨의 본관 기록은 상당 백씨다. 고려 때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지내고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된 정간공(貞簡公) 유방헌(柳邦憲, 944년 ~ 1009년)의 부인이 상당군대군(上黨郡大君) 백씨(白氏)라 하여 상당(上黨 白氏, 상당은 지금의 청주)이 언급되었으니 백씨의 본관으로는 가장 이른 역사 기록이다.유방헌묘지명(柳邦憲墓誌銘),1045년 신풍 백씨: 수태부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이예부사 (守太傅 門下侍郞平章事 判吏禮部事)를 지낸 충주(忠州)인 최홍사(崔弘嗣(洪嗣), 1043년 ~ 1122년)의 부인이 신풍군대부인백씨(新豊郡大夫人白氏, 신풍은 공주)로 백가미(白可美)의 딸이라 했다.최시윤묘지명(崔時允墓誌銘),1146년 직산 백씨: 검교태자태보 비서감을 지낸 인동(仁同)인 장수(張脩, ? ~ 1156년)는 그 어머니가 직▨군대부인백씨(稷▨郡大夫人白氏)로 상사직장동정(尙事直長同正) 백가적(白可績, 1045년경 출생)의 딸이라 하였다.장수묘지명(張脩墓誌銘),1156년 대흥 백씨: 백임지(1130년 ~ 1191년)는 그 묘지명에 대흥군(大興郡) 사람이라 했다.백임지묘지명(白任至墓誌銘),1191년 적성 백씨: 신호위 대장군(神虎衛 大將軍) 청주(淸州)인 정의(鄭顗, (鄭俊儒), ~ 1233년)의 장인 금오위(金吾衛) 산원(散員) 백이신(白利臣)은 적성 백씨(赤城白氏, 순창)였다.≪목은문고≫ 정씨가전(鄭氏家傳) 남포 백씨: 백분화(白賁華, 1180년 ~ 1224년)는 남포군(藍浦郡) 사람이라 했다.백분화묘지명(白賁華墓誌銘),1224년 대구 백씨: 동복(同福)인 오길(吳佶)의 장인인 밀직부사 치사 (密直副使 致仕) 백서경(白瑞卿)은 대구 사람(大邱人)이라 했다.오잠묘지명(吳潛墓誌銘),1336년 평산 백씨: 백군영(白君瑛, 1334년 ~ ? )이 1360년(공민왕 9) 경자방 급제 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평산(平山)이라 썼다.'전(傳)백이정묘'가 있는 남해 속현 평산(平山縣)으로 추정할 수도 있지만 백군영이 과지에 백이정과 동시대 인물로 보승별장(保勝別將)을 지낸 증조부 백수장(白秀章)까지의 계대를 밝히며 본관을 '평산'이라 한 점으로 보아 '황해도 평산'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지금까지 확인된, 가장 오래된 백씨 본관들은 상당(上黨, 청주), 신풍(新豊, 공주), 직산(稷山 천안), 대흥(大興, 예산), 적성(赤城, 순창), 남포(藍浦, 보령), 대구인데, 대체로 충청도 지역에 분포한다. 배우자의 출신지 또한 광주(廣州), 전주, 목포, 충주, 청주, 동복(同福, 화순) 등 대체로 충청도, 전라도 지역이 많다. = = 한국의 백씨 본관 = = 백씨(白氏) 본관은 직산(稷山), 남포(藍浦), 대흥(大興), 임천(林川), 청도(淸道), 수원(水原), 부여(扶餘), 해미(海美), 태인(泰仁), 나주(羅州), 광주(光州), 남원(南原), 전주(全州), 순천(順川), 목포(木浦) 등 30여 본이 있는데, 1454년(단종 2)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나타난 백씨 토성(土姓) 기록을 중심으로 하는 본관들은 다음과 같다. 직산 백씨(稷山白氏) 직산 토성 (崔·兪·白·趙)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청주목 직산현 조 직산 백씨 시조라 하는 백양신(白良臣)은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고 하나 전거가 없다. 백가적(白可績)의 후손으로 전리사판서(典理司判書)를 지내고 영해 인량리 (寧海 仁良里)로 이거한 백견(白堅)의 아들 백문보(白文寶, 1303년 ~ 1374년)가 직산군(稷山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8가구 93명이다. 선산 백씨(善山白氏) 선산 토성 (金·郭·文·林·沈·秦·白)의 하나다.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선산 도호부 조 선산 백씨의 시조는 백인관(白仁寬)이다. 다른 계통으로는 조선 중기에 임천 백씨 단항(端恒)의 후손으로 선산 백씨로 분적한 인적(仁迪)이 있다. 대구 백씨(大邱白氏) 대구 토성 (白·夏·裵·徐·李)의 하나다.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대구군 조 대구 백씨 시조는 백서경(白瑞卿)이다. 이전에는 해안 백씨라고도 했다. 청도 백씨(淸道白氏) 청도 토성 (申·金·白·李·曺)의 하나다.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 시조는 백계영(白桂英)이다. 백계영은 고려 때 청도 호장으로 박경순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 영직되어 청도를 관향으로 삼았다. 고려 말에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백원항(白元恒)이 있었고, 조선 조에 백구(白球)가 경주로 이거하였다. 증손 백이소(白以昭)가 임란 때 경주에서 창의하였다. 2000년 인구는 213가구 702명이다. 2015년 인구는 1,479명이다. 신풍 백씨(新豐白氏) 신풍 성 (白·朴)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조 공주 백씨라고도 한다. 시조는 고려 전기 사람으로 태자사부(太子師傅)를 지냈다는 백가미(白可美)이다. 대흥 백씨(大興白氏) 대흥 토성 (李·韓·白) 중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대흥현 조 시조 백임지(白任至, 1131년 ~ 1191)백임지묘지명(白任至墓誌銘),1191년백임지는 남포 백씨의 시조로 알려져 있었는데, 백임지묘지명에 의하면 그는 대흥 출신으로 외가인 남포에서 자란 것으로 되어 있다.는 고려 의종 때인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올랐다.『고려사』 권100, 열전13 2000년 인구는 399가구 1,280명이다. 2015년 인구는 4,041명이다. 임천 백씨(林川白氏) 임천 토성 (趙·林·方·白·翟)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임천군 조 시조는백경신(白景臣)이다. 2000년 151가구 473명이다. * 해미 백씨(海美白氏) 해미 토성 (정해현(貞海縣))(白·韓·仇·尹)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해미현 조 시조 백광성(白光成)은 전라도 장흥 출신이며, 1561년(명종 16년) 진사시에 급제했다.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 백광홍, 백광훈 형제가 있다. 2000년 인구는 24가구 87명이다. ** 태인 백씨(泰仁 白氏) 시조는 백녹승(白祿承)이다. 해미 백씨에서 분적했다. 의주와 태천으로 이거하였다. 임진왜란 때 무신 백광언, 병자호란 때 무장 백광종, 백광조가 있다. 2000년 인구는 156가구 485명이다. 2015년 인구는 1,228명이다. * 수원 백씨(水原白氏) 백씨 중시조 창직의 증손 백휘(白揮)가 '고려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고, 9세손 천장(天藏)은 원(元)나라에서 이부상서를 거쳐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귀국하여 충선왕 때 수성백(水城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수원(水原)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고 하나 사적에 없다. 다만 수원 백씨는 개성에서 왔다고 했다.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수원 도호부 조에 '서울에서 온 성[京來姓]이 1이니, 백(白) '이라 했으니 이는 고려 조가 망하고 조선 조가 들어서면서 개경으로부터 새로운 도성인 한양으로 내려온 백씨 일족이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사적에 드러난 수원관(水原貫) 백씨의 첫 사례는1427년(세종 9년 친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수원'이라고 쓴 백효삼(白效參)이다. 이후 자손들이 잇달아 등과하고 현달하여 가문이 번창하게 되었고, 이로써 조선 조에 들어와 창관한 수원관 백씨가 전체 백씨의 대종(大宗)을 이루게 되는데, 문신 백인걸(白仁傑)은 그의 증손이다. 2015년 인구는 354,428명이다.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수원 도호부 조를 보면,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4이니, 최(崔)·김(金)·이(李)·서(徐)요, 서울에서 온 성[京來姓]이 1이니, 백(白)이요, 촌락성(村落姓)이 1이니, 하(河)이며, 망성(亡姓)이 4이니, 백(白)·최(崔)·이(李)·방(方)이다. <중략> 분촌(盆村)의 토성(土姓)이 1이니, 백(白)이며, 망성(亡姓)이 1이니, 전(田)이다. 내미(內彌)의 토성이 1이니, 이(李)요, 망성이 1이니, 백(白)이며, 속성이 1이니, 이(李)이다. <후략> 부여 백씨(夫餘白氏) 시조는 고려 전기에 부여군을 지냈다는 백영신(白英臣)이다. 임란 때 백수회(白受繪)가 계보를 잃고 양산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세거함으로써 양산 백씨가 생겼다. 2015년 인구는 2,120명이다. 남포 백씨(藍浦白氏) 남포 토성 (任·白·李)중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남포현 조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을 남포백씨라 한다. 백문절(白文節)이 사의대부(司議大夫),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가 되었다. 그의 아들 백이정(白頤正, 1247년 ~ 1323년)이 충선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를 겸했고, 상당군(上黨君)백이정이 상당군에 봉해졌음은 남포 백씨인 백이정이 상당 백씨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816가구 6,052명이다. 2015년 인구는 10,907명이다. 서천 백씨(舒川白氏) 서천 촌성 (裵·白)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서천현 조 이정(白頤正)의 아들인 백세렴(白世廉)이 지청풍군사(知淸風郡事)를 지내고 서천(舒川)으로 이거(移居)하여 생겨난 본관이다. * 남해 백씨(南海白氏) 남양 백씨라고도 한다. 곤명현(昆明縣) 성 (兪·全·文, 玄·白)의 하나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곤남현 조시조는 조선 성종 때 우봉현감을 지낸 백훈(勛)이다. 백훈은 세렴의 아들 함명(咸明)의 7세손이다. 남포 백씨의 분적종이다. 평산 백씨(平山白氏) 시조는 백군영(白君瑛)평산 백씨는 남해에 있는 전백이정묘와 관련하여 백이정의 후손이라 하는데, 백군영의 과지에 부주가 지후해관(祗候解官) 백주(白珠)로, 조부가 내원서승(內園署丞) 백인(白珚)으로, 증조가 보승별장(保勝別將) 백수장(白秀章)으로 되어 있다. 수장은 백이정과 동시대 인물이라 사료 상으로는 평산 백씨를 백이정의 후손으로 보기 힘들다. 이다. 백군영은 1360년(공민왕 9)에 정몽주, 임박(林樸)에 이어 을과 3등으로 급제하였다. = = 수원 본관 통합 = = 백씨는 수원 단본으로 알려져 있다. 수원 백씨 측에서는 여타의 관향이 모두 수원에서 분적하였다고 주장하지만 역사적 전거가 없어 다른 본관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역사 기록상 수원이라는 본관을 처음으로 사용한 백씨는 백천장(白天藏)의 후손으로 조선초 보성현감(甫城縣監)을 지낸 백회(白薈,(繪))의 아들인 백효삼 (白效參)이다. 조선조에 수원 백씨가 번성하여 1850년대에 수원으로 본관을 통일하려는 논의가 있기 전까지는 회(薈)의 아들인 효삼 4형제(효옹(效雍), 효연(效淵), 효약(效若)) 자손들을 수원 백씨라 하였다. 동조(同祖) 근계(近系)의 통합 동의 백천장(白天藏)의 증손으로 수원을 관향으로 처음 쓴 백회(白薈)의 형인 백장(白莊)의 후손들이 장흥(長興), 장수(長水), 해미(海美), 태인(泰仁) 등을 본관으로 하다가 수원으로 통합하였다. 천장의 다른 아들(전(琠), 환(環),환(環)의 손자인 수희(受禧)가 1450년(세종 32) 경오식년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직산(稷山)이라 썼다. 산(珊), 황(璜), 거(琚) 등) 자손들도 덕천(德川), 평양(平壤), 김천(金泉), 정평(定平), 송화(松禾), 부녕(富寧) 등지에 산거하다가 백련(白璉) 계통의 수원으로 통합하였다. 천장의 동생으로 임천(林川) 본관인 백지장(白地藏)의 자손들도 수원 백씨 동림공파로 들어갔다. 이렇게 수원 관조(貫祖) 천장의 선계인 백원정(白元貞)의 후손들은 모두 수원으로 본관을 통합하였다. 백씨보 상으로 장파(長派)인 대구(大邱)와 선산(善山) 본관 및 차파(次派)인 정주(定州) 본관의 백씨들도 수원관 통합에 동의하였다. 수원 백씨의 동조(同祖)인 백원정(白元貞, 永貞),백원정(白元貞)이 백영정(白永貞)인지에 대해 의문이 있다.은 1260년에 장군을 지냈는데, 백씨대동보에 따르면, 그의 선계가 고려 전기의 백경신(白景臣, 1060년경 출생) 대에 직산(稷山)에서 임천(林川)으로 이거하였다백씨대동보, 1982고 하니 수원 백씨는 조선 초에 임천에서 분적한 것으로 보인다.백씨보에 백원정이 임평부원군에 봉해졌다고 하는데, 임평은 임천이다. 백씨 문중에서 원정-천장 계와 가까운 여러 일족들이 수원 본관으로 통합하였지만, 고려시대 본관인 직산, 남포, 대흥, 부여, 청도 등의 본관에서는 역사적 전거가 없는 '백휘수원봉군설'(白揮水原封君說)과 '백천장수성백설'(白天藏水城伯說)을 인정하지 않아 수원 관(貫)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영락보(永樂譜)는 조작설이 제기되어 전거가 되지 못한다.최근 백씨 상계에서 신라 때 백상(白尙)이 한주태수(漢州太守)를, 백영(白永)이 우잠태수(牛岑太守)를 지내고 수원에 내려와 거주하였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으나 상계의 수원거주설은 전거가 없다. 이런 이유로 1982년에 간행된 임술대동보는 '수원'을 빼고 『백씨대동보』라 하였는데, 1997년에 간행된 정축대동보는 '수원'을 넣어 『수원백씨대동보』라 하였다. 백씨 전체 인구의 90% 이상이 수원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이는 그들의 본관이 꼭 수원이라서가 아니라 선계를 잃어 본관을 '수원'으로 잘못 알고 있거나 한참이나 후대 본관인 수원 백씨가 대종(大宗)이 되어버린 대세를 따르게 된 경우가 많은 탓이기도 하다. = = 인구 = =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백씨는 109,677가구 351,276명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백씨 인구는 381,986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8위이다. = 이민경 = 이민경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이민경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민경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윤동훈 = 윤동훈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윤동훈(尹東勳)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다. 윤동훈(1986년 ~ )은 대한민국의 힙합 음악인 TKO의 본명이다. = 황덕순 (1965년) = 황덕순(黃悳淳, 1965년 ~ )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문재인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이다. = = 생애 = = 1984년 대입학력고사 전국 수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진학하여 석·박사 학위까지 마친 뒤 1997년부터 한국노동연구원에서 근무하였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고용노동비서관으로 청와대에 합류했고, 2018년 12월 일자리기획비서관을 거쳐 2019년 7월 일자리수석비서관으로 승진했다. = = 학력 = = 경성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 = 경력 = = 2005년: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조정실장 2008년: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7년 6월 ~ 2018년 12월: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실 고용노동비서관 2018년 12월 ~ 2019년 7월: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실 일자리기획비서관 2019년 7월 ~ 2020년 10월: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비서관 = 해부병리학 = 해부병리학은 신체 조직 검사나 부검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고 질병의 진행과정을 연구하는 병리학의 세부 분야다. 인체의 각 장기의 형태학으로 장기나 세포, 조직을 육안으로 보거나, 현미경으로 본 후 장기의 현재 상태, 질병 상태를 진단한다. 법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어 Anatomical Pathology을 번역한 용어인데 주로 다루는 검체가 조직이기 때문이다. 인체의 다른 성상을 갖는 검체(피=혈액, 오줌, 체액 등)를 다루는 임상병리(Clinical Pathology)와 대칭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몇 년 전 의료법상 용어의 변경이 있어 '해부병리학'에서 병리학으로 대체되었다. = 분류:세네갈의 배우 = = 요미우리 TV 제작 토요일 밤 10시 드라마 = 요미우리 TV 제작 토요일 밤 10시 드라마는 닛폰 TV이 편성했다 연속 TV 드라마이다. = = 방송 작품 = = 백억엔의 바보 악녀 뉴스의 녀석 예뻐지고 싶어 다실 그녀의 싫어하는 그녀 폭풍 속의 사랑처럼 거짓말이라도 좋으니까 마취 * = 아킴보 = 아킴보(Akimbo)는 두 손을 엉덩이에 올리고 팔꿈치를 몸 바깥쪽으로 향하는 자세이다. 1400년경 캔터베리 이야기에 가필된 〈베린의 이야기〉에 "kenebowe"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것이 그 시초이다. = 유리 블라소프 = 유리 페트로비치 블라소프(, 1935년 12월 5일 ~ 2021년 2월 13일)는 전 소련의 역도 선수이다. 그는 1960년과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각각 1위와 2위를 하였으며, 두 대회의 개회식에서 소련 선수단의 기수였다. 자신의 선수 경력 동안 블라소프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고, 34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그는 1968년에 은퇴하고, 나중에 저명한 작가이자 정치인이 되었다.유리 블라소프. sports-reference.com = = 생애 및 대회 경력 = = 우크라이나 마키이우카에서 태어난 블라소프는 1959년과 1963년 사이에 3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그는 1960년 로마 올림픽에 나가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4년 후, 도쿄 올림픽에서 그는 또 다른 소련의 역도 선수 레오니트 자보틴스키에게 뒤져서 2위를 했다. 블라소프는 그 대회에서 세계 기록을 깨고 금메달과 함께 은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블라소프가 1964년 하계 올림픽 이후 은퇴를 선언했지만, 재정적인 이유로 1966년에 최고 수준의 훈련을 재개하였다. 그는 1967년 5월 15일에 자신의 마지막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68년 6월에 스포츠 무대에서 은퇴한 그는 비슷한 시기에 스포츠 강사로 근무한 소련 육군에서 은퇴하였다. = = 정치 생활 = = 블라소프는 1989년 소련 공산당으로부터 제외되어 모스크바의 류블랸스키 구역을 위한 소련 인민대표대회에 선출되었다. 1993년 러시아 연방의 국가두마에 선출되었다.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로 나갔으나 0.20% 만의 지지율을 얻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6년 선거 러시아의 대통령 1대 무소속 0.20% 151,282표 9위 낙선 = 분류:필리핀의 테러리즘 = = 세인트폴찰스타운구 = 세인트폴찰스타운구는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구로 행정 중심지는 찰스타운이며 면적은 4km2, 인구는 1,820명(2001년 기준), 인구 밀도는 455명/km2이다. 네비스섬 서부에 위치한다. = 부블리크 = 부블리크(, bublik, booblik, bublyk)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 동유럽 지방에서 생산되는 빵이다. 베이글과 매우 비슷하지만, 더 크고 가운데의 구멍이 더 넓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블리크는 베이글보다 더 빽빽하고 쫄깃쫄깃하다. 부블리크는 베이글이나 수시키와 함께 밀가루 반죽으로 만들어진 빵 중 하나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는 Bublik이라는 단어를 고리 모양의 다른 빵에도 사용한다. = 드라큐라 2003 = 드라큐라 2003은 2003년 미국의 드라큘라 비디오 영화로, 드라큐라 2000(2000)의 속편이다. 패트릭 루지어가 이어서 감독을 맡았고 제라드 버틀러는 하차했다. 속편으로 드라큘라 3: 레거시(2005)가 나왔다. = = 출연진 = = 제이슨 스콧 리 - 우피지 신부 제이슨 런던 - 루크 카리 페이턴 - 케니 크레이그 셰퍼 - 로웰 다이앤 닐 - 엘리자베스 블레인 브랜디 로더릭 - 태니아 톰 케인 - 닥터 존 라이트 - 에릭 스티븐 빌링턴 - 드라큘라 / 유다 이스카리옷 닉 필립스 - 스미스 경사 존 샤리안 - 호지 경사 로이 샤이더 - 시케로스 추기경 데이비드 J. 프랜시스 - 예수 = 물랭 = 물랭은 프랑스 알리에주의 주도이다. 프랑스 중부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0,470명이고 넓이는 약 8.61km3 정도이다. 시장은 피에르 앙드레 페리솔 (Pierre-André Périssol)이다. 물랭에 있는 앤 드 뷔주 박물관의 만틴 맨션은 많은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코스이다. = = 지리 = = 물랭은 알리에 강의 강둑에 위치해 있다. = = 역사 = = 프랑스 혁명 이전, 물랭은 부르봉 왕조의 수도이자 부르봉 공작의 저택이 자리한 곳이었다. 문헌상에 등장하는 바로는 최소 99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232년에는 부르봉의 아르샹보 8세가 마을 주민들에게 시민권을 주었다. 1327년에는 샤를 4세가 클레르몽의 루이 1세를 부르봉 공으로 봉하면서 마을의 명성도 덩달아 올라가게 되었다. 당시 루이 1세 공작은 부르봉라르샹보에서 이곳 물랭으로 지방 수도를 옮겼다고 전해지는데, 그 이후의 피터 2세 공작, 오베르뉴 공작이 옮긴 것이라는 설도 있다.지역 관광 웹사이트 에서는 루이 1세 공작이 옮겼다고 적어놓았다. 1566년 2월에는 사법과 봉건, 종교 특권에 관한 여러 사항을 다룬 중대 왕실 칙령인 <물랭 칙령>이 이곳의 이름을 따와 반포됐다. <물랭 칙령>에는 프랑스의 왕자가 소유한 아파나주 (속지)의 제한, 영주가 농노들에게 요구하던 지대 수령권 폐지, 강에 대한 사용 특권 체계의 조항 등이 담겼다. 물랭은 19세기의 유명 오페라 바리톤이자 예술 수집가였던 장밥피스트 포르가 태어난 곳이다. 코코 샤넬 역시 고아로 지내던 어린 시절 이곳 물랭에 있는 학교를 다녔고, 이후 파리로 이사를 가서 패션 디자이너가 되어 여성 패션에 큰 획을 그었다. = = 교통 = = 마을 중심에 물랭 수 알리에 역이 있으며, 파리 리옹 역까지 직통 열차를 타면 약 2시간 25분 정도 걸린다. 물랭 근처에 작은 공항인 몽베니 공항이 있다. = = 유명한 사람 = = 코코 샤넬, 패션 디자이너, 물랭에서 카바레 가수를 한 적이 있었다. 스테판 리자시, 농구선수이자 프랑스 국가대표, 물랭 출신 장 밥티스트 파우어, 오페라 성악가, 물랭 출신 클로드 루이 헥토르 드 빌라, 프랑스 대원수 (1653–1734), 물랭 출신 = = 더 보기 = = 물랭 대성당 물랭의 교구 AS 물랭 알리에 주의 코뮌 목록 = 분류:2022년 교통 사고 = = 여좌동 = 여좌동(餘佐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행정동 및 법정동이다. = 분류:MKE 앙카라귀쥐의 축구 선수 = = 덴마바시역 = 덴마바시역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에 소재하는 게이한 전기철도와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오사카 메트로)의 역이다. 역 번호는 게이한이 KH03, 오사카 메트로가 T22이다. 구 요도가와강(오카와)에 걸린 덴마바시의 남쪽에 위치한다. 원래는 교토와 오사카의 오사카 쪽 터미널에 있었지만 요도야바시 역까지 연장에 따라 중간역이 되면서 현재 이용자 수는 교바시 역과 요도야바시 역을 웃돌고 있다. = = 역사 = = = = = 연표 = = = 1910년 4월 15일: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 오사카 쪽의 종착역으로서 개업. 1913년 7월 10일: 네야가와 교량을 상류로 이동시켜, 신역사를 신축 준공. 화물 취급 개시. 1923년: 네야가와 교량상에 하차 전용 승강장 신설, 승강객이 완전 분리됨. 1932년 3월 30일: 3대째 역사 준공. 1933년 8월 26일: 게이한 백화점 덴마바시점 개점. 1943년 10월 1일: 회사 합병에 의해 게이한신 급행 전철의 역이 됨. 1945년 6월 7일: 공습에 의해 당역과 덴마바시 운수부사무소, 덴마바시 보선사무소가 전소되었고, 화물차 1량 소실됨. 6월 15일: 공습으로 역 구내 유치중의 전철 2량(304·305)이 소실됨. 1946년 8월 1일: 네야가와 교량에서 800형 807호가 탈선 사고, 807호는 후에 폐차됨. 1949년 12월 1일: 회사분할에 의해 게이한 전기 철도의 역이 됨. 1955년 6월 25일: 화물 취급 폐지. 1960년 11월 28일: 덴마바시 ~ 요도야바시 간 지하선 연장 공사・기공식. 1962년 5월 17일: 게이한 신 본사 빌딩 준공. 12월 22일: 게이한의 첫 자동매표기를 설치, 사용개시. 1963년 4월 16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지하화. 요도야바시 역의 연장에 의해 중간역이 됨. 아울러 게이한 덴마바시 지하 센터 영업 개시. 1966년 9월 26일: 게이한 덴마바시 지하 센터 식당거리 신장개점. 1967년 3월 24일: 다니마치 선 히가시우메다 ~ 다니마치 4초메 간 개업과 동시에 지하철 덴마바시역 설치. 1968년: 게이한 덴마바시 변전소가 건설됨. 1969년 8월 25일: 오사카 머천다이즈마트 빌딩(OMM빌딩)개업. 1979년 3월 10일: 호텔 게이한 덴마바시가 개업. 1985년 4월 22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구내 1,2번 선 승강장에서 8량 편성의 운용 개시. 1989년 9월 1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구내 "종일금연" 실시. 12월: 게이한 덴마바시 역 구내 3,4번 선 승강장 8량 편성화 대응 공사 준공. 1992년 4월 1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히가시구치와 1번 승강장간 에스컬레이터 설치. 1994년 4월 1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동쪽 출입구와 2,3번 선 승강장간 신체장애자 대응 엘리베이터 설치. 11월 1일: 게이한 역 사무소에 코인 FAX를 설치. 12월 15일: 게이한 덴마바시 히가시구치 화장실 개량공사 준공, 다목적화장실·기저귀 교환대 등 설치. 1995년 4월 1일: 게이한 덴마바시 역 히가시구치에서 공도의 슬로프 설치. 6월: 게이한 역 히가시구치와 지하철 역을 묶는 엘리베이터 설치. 1996년 5월 31일: 게이한 역 구내 냉방화 준공, 6월 1일부터 사용 개시. 1998년 7월 21일: 게이한 역 상업시설 "파난테 게이한 덴마바시" 영업개시. 2004년 4월 13일: 게이한 역 구내에 교토은행의 ATM설치, 운용개시. 11월 25일: 게이한 시티 몰의 개점에 앞서, 식품 판매 플로어「DELISTA」오픈. 12월: 게이한 역 히가시구치와 4번선 승강장간 엘리베이터 신설. 다목적 화장실에 오스트메이트용 흘려보내기 설치. 2005년 5월 27일: 마쓰야자취에 게이한 시티 몰을 개점. 2006년 4월 16일: 나카노시마 선 공사의 진척에 따라, 게이한 덴마바시 역의 승강장 할당이 변경됨. 2007년 7월 20일: 인포메이션 ~ 메이션센터 "게이한 인포메이션 스테이션" 사용개시. 2008년 2월 26일: 기계식 차륜장 영업 개시. 3월 21일: 게이한 역 나카상업시설 "파난테 게이한 덴마바시" 리뉴얼됨. 3월 29일: 게이한 북쪽에 하치켄야하마 선착장이 개항. 게이한 역 히가시구치 중앙광장과 1번 승강장 간 엘리베이터를 신설. 10월 19일: 나카노시마 선 개업. 2009년 9월: 기계식 주차장 "에코 스테이션 21게이한 덴마바시니시" 영업 개시. 2017년 3월 21일: 게이한 역 상업 시설 "파난테 게이한 덴마바시"가 다시 리뉴얼됨. = = 역 구조 = = = = = 게이한 전기철도 = = = 혼합식 승강장 3면 4선의 지하역이다. 중앙의 2,3번 선이 섬식 승강장이다. 여기서, 동쪽으로는 가야시마 역 네야가와 신호소까지 복복선 구간이지만, 본 역 구내에서 상하 일조로 되어 있는 복복선은 역을 나오면 입체 교차에 의한 방향별 복복선이다. 서쪽은 북쪽방향 2선(1,2번 선)이 나카노시마 방면, 남쪽의 2선(3,4번 선)이 요도야바시 방면으로 각각 복선이다. 역은 교토와 오사카 시티 몰 층과 직결되며, 개찰구과 대합실은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개찰구는 동쪽 개찰구와 서쪽 개찰구 2곳이 있고, 다니마치 선 연결통로의 경우에는 동쪽 개찰구 쪽이 더 가깝다. 2008년 3월 29일, 인접하는 오카와에 하치켄야하마 선착장이 개설되었다. 이에 따르면, "수륙 교통 터미널"을 컨셉으로 역 북쪽에 하치켄야하마 선착장과 직결되는 입구 지하 승강장과 지상부를 잇는 엘리베이터, 인포메이션 센터 등이 설치되었다. 또, 선착장 설치 직전에 앞선 3월 21일에는 역 건물 내 식당가 "파난테 게이한 덴마바시"가 개장되었다. = = = = 승강장 =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비고 1 게이한 본선 상행 히라카타시・주쇼지마・산조・데마치야나기 방면 나카노시마 출발 2 나카노시마 선 - 와타나베바시・나카노시마 방면 3 게이한 본선 상행 히라카타시・주쇼지마・산조・데마치야나기 방면 요도야바시 출발 4 게이한 본선 하행 기타하마・요도야바시 방면 = =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다. 개찰구는 북쪽 개찰구와 남쪽 개찰구 2곳이다. 게이한 덴마바시 역에는 북쪽 개찰구 쪽이 가깝다. 남쪽 개찰구는 지하 1층, 북쪽 개찰구는 지하 2층,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과거에는 출구 전용 개찰이 북쪽에 존재했다. = = = = 승강장 = = = = 승강장 노선 행선 1 다니마치 선 다니마치 4초메・덴노지・야오미나미 방면 2 다니마치 선 히가시우메다・다이니치 방면 = = 이용 현황 = =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별 1일 평균 하차 승차 인원 연도 게이한 전기철도 게이한 전기철도 게이한 전기철도 오사카 메트로 오사카 메트로 오사카 메트로 연도 특정일 특정일 1일 평균 승차 인원 특정일 특정일 특정일 연도 하차 인원 승차 인원 1일 평균 승차 인원 조사일 하차 인원 승차 인원 1985년 83,627 40,475 46,094 11/12 106,255 53,122 1986년 - - 45,206 - - - 1987년 88,348 43,088 46,003 11/10 114,512 57,669 1988년 - - 46,995 - - - 1989년 - - 47,778 - - - 1990년 91,767 45,040 51,016 11/6 116,987 59,264 1991년 - - 54,374 - - - 1992년 93,143 45,393 49,577 - - - 1993년 - - 48,565 - - - 1994년 - - 48,111 - - - 1995년 86,930 42,054 48,195 2/15 106,591 53,842 1996년 - - 45,166 - - - 1997년 - - 42,195 - - - 1998년 74,343 36,165 40,650 11/10 98,059 48,865 1999년 - - 38,393 - - - 2000년 69,037 33,507 37,534 - - - 2001년 - - 35,066 - - - 2002년 64,748 31,260 34,147 - - - 2003년 64,887 31,591 32,574 - - - 2004년 60,986 29,425 32,036 - - - 2005년 61,177 29,614 32,017 - - - 2006년 58,712 28,550 29,930 - - - 2007년 59,164 29,010 29,544 11/13 91,033 45,688 2008년 60,011 29,561 29,749 11/11 90,453 45,646 2009년 59,992 29,442 29,108 11/10 91,194 45,906 2010년 60,653 30,220 30,203 11/9 88,681 44,701 2011년 58,414 28,270 30,678 11/8 85,315 42,934 2012년 55,698 27,483 29,482 11/13 86,341 43,403 2013년 55,947 27,444 28,736 11/19 85,513 43,062 2014년 56,578 27,817 29,004 11/11 87,795 44,340 2015년 57,629 28,366 29,239 11/17 91,519 46,120 2016년 - - - 11/8 90,466 45,429 = = 역 주변 = = 오사카부청 - 오사카부의회 오사카 합동청사 제1호관, 제3호관 - 오사카 법무국 오사카 보건 의료 대학 오테마에 병원 오사카 치과 대학 덴마바시 학사・부속 병원 니혼게이자이 신문 오사카 본사 TV 오사카 본사・방송 센터 오바야시구미 본점 (오사카 오바야시 빌딩) OMM 게이한 전기 철도 본사 다이코로 본사 = 마쓰사토촌 (니가타현) = 마쓰사토촌은 니가타현 히가시쿠비키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카마치시에 해당한다. = 마이다스아이티 = 마이다스아이티 주식회사는 과학기술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대한민국의 IT회사이다. 2000년 9월에 설립되어 현재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러시아 등 8개의 현지법인 및 지사와 전세계 28개국의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110여개 국에 공학기술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 = 역사 = = 마이다스아이티는 지난 2000년 9월 포스코건설에서 분사한 회사다. 당시 한국 시장에서 건설 분야 소프트웨어는 100% 외산이었다. 시공과 설계는 우리 기술로 가능했지만, 핵심 소프트웨어는 외국산이었다. 한국 엔지니어들에게 외국의 소프트웨어는 사용하기 어려운 도구였다. 이를 국산화하기 위해 포스코건설이 팀을 만들었고, 그 팀의 리더가 이형우 현 마이다스아이티 대표였다. 일본 진출에 성공한 마이다스아이티는 2002년 11월 북경에 중국 법인 (마이다스기술유한공사)을 설립했다. 이어 2003년 1월에는 뉴욕에도 미국 법인을 설립했다. 2004년에는 일본 토목과 지반 시장에도 진출, 일본 시장 전선을 넓혔다. 2005년 4월 13일 마이다스아이티는 상해에 두번째 중국 법인을 설립했다. 2008년도엔 일본과 인도 법인을 설립했으며, 2013년도엔 영국과 러시아에 법인을 설립했다. = = = 연혁 = = = 초창기 (1989년~1999년) 1989.10 포스코그룹 MIDAS 전문 조직 발족, MIDAS 프로그램 개발 착수 1999.06 건축 분야 프로그램 패키지 판매(midas Gen, SDS, Set) 설립 그리고 성장 (2000년~2005년) 2000.09 주식회사 마이다스아이티 설립(2000년 9월 1일) 2002.04 일본 KKE사와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건축분야) 2002.11 중국 법인 설립(북경) 2003.01 미국 법인 설립(시카고, MIDASoft Inc.) 2003.06 midas ADS 발표(전단벽식 아파트 구조해석 및 설계시스템) 2003.12 midas FX+ 발표(유한요소해석 범용 전후처리 프로그램) 2004.03 일본 CTC사와 midas Civil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05.03 midas GTS 발표(지반 및 터널구조물 전용해석 시스템) 2005.04 중국 지사 설립(상해) 2005.11 네델란드 TNO-DIANA사와 전략적 제휴 및 미주/유럽 대리점 계약 체결 글로벌 도약 (2006년~현재) 2006.11 midas FEA 발표(건설분야 비선형 해석 및 상세해석 시스템) 2007.01 마이다스아이티 성남 사옥으로 이전 2007.03 midas GeoX 발표 (가시설 구조물 전용해석 시스템) 2007.04 중국 지사 설립(광주, 성도) 2007.05 인도 Jain Infra Projects Limited와 전략적 기술제휴 체결 2007.06 고객가치 중심의 건축분야 MIDAS On Demand Service 실시 2008.03 중국지사 설립(심양) 2008.04 인도 법인 설립(뭄바이, MIDAS R&D Centre India Pvt., Ltd.) 2008.08 일본 법인 설립(동경, MIDAS IT Japan) 2009.06 NFX 발표(기계분야 토탈 구조해석 시스템) 2010.01 스페인 Simulsoft사와 건축/토목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0.03 말레이시아 Astadoft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0.04 GeoXD제품발표(가시설 구조계산/도면생성 소프트웨어) 2010.06 터키 MIDAS GR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0.11 SoilWorks 제품 발표(지반설계전용 소프트웨어) 2011.01 콜롬비아 IC ING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1.04 리투아니아 INRE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1.05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 소프트웨어부문 기업 선정 (지식경제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011.06 슬로베니아 Geoeng&Co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1.08 midas eGen 제품 발표(저층건축물 내진설계 소프트웨어) 2011.09 인도네시아 PAF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1.11 멕시코 Bowerbird사와 토목/지반분야 전략적 제휴 및 대리점 계약 체결 2012.03 체코(Idear rs) 건설분야 진출 2012.03 중국지사 설립(무한) 2012.06 스웨덴(FEMComp) 건설분야 진출, 남아공(Excellution) 기계분야 진출 2012.09 가나(Associate Consulting) 건설분야 대리점 계약 체결 2012.12 나이지리아(Fazsal Nigeria)/태국(Urbantec) 건설분야, 인도네시아(3DISC)/태국(CAD Inno)/말레이시아(RTSS)/이태리(eFem)/영국(Intrinsys)/인도(Shirish, Allied) 기계분야 대리점 계약 체결 2012.11 알제리(PEP Engineering) 건설분야, 홍콩(CVCL) 기계분야 대리점 계약 체결 2013.01 영국 법인 설립(런던) 2013.03 중국지사 설립(서안) 2013.10 러시아 법인 설립(모스크바) 2013.12 WBS(World Best Software) 성과보고회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수상 2014.02 싱가포르 지사 설립(싱가포르) 2014.05 폴란드(JD Engineering) 건설분야 진출 2014.08 중국지사 설립(남경) 2014.12 2014 대한민국 ICT 이노베이션 대상 대통령상 수상 2015.07 midas Insight 제품 발표 (채용통합운영 솔루션) 2016.03 inSEED 제품 발표 (인재선발용 통합역량검사) 2016.05 midas Civil 제품 발표(토목분야 구조해석/설계 소프트웨어) 2016.10 midas ArchiDesign 제품 발표(건축설계 전용 CAD) 2017.03 midas MeshFree 제품 발표 (기계분야 Grid Mesh 기법 구조해석 시스템 ) 2018.03 inAIR 제품 발표(AI 기반의 채용토탈솔루션) 2018.04 동탑 산업훈장 (대통령) 2018.09 의료분야 치매진단 솔루션 사업 진출 2019.09 inHR 제품 발표(인사평가솔루션) = = 주요 제품 = = = = = 건축 분야 = = = Midas Gen Midas eGen Midas ADS Midas Drawing Midas Modeler *Midas Design+ = = = 토목 분야 = = = Midas Civil Midas FEA Midas UMD = = = 지반 분야 = = = Midas GTS NX SoilWorks Midas GeoXD = = = 기계 분야 = = = Midas NFX Midas MeshFree = = 기타 제품 및 서비스 = = = = = 웹 솔루션 서비스 = = = inAIR 채용토탈솔루션 inHR 경영분야 HR솔루션 = = = 의료솔루션 서비스 = = = Inbrain 치매 예방 IT 네트워크 Inbrain 비전 = = 기업 문화 / 핵심가치 = = = = = 경영 철학 = = = 마이다스아이티가 지향하는 경영은 ‘자연주의 인본경영’이다. 자연주의 인본경영은 ‘인간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행복한 인재를 키워 세상의 행복 총량에 기여하는 경영’이다. 경영 핵심은 사람이다. = = = 복지 = = = 대중에게는 회사이름보다 직원식당이 더욱 알려져 있다. 4층 전체를 사내 식당으로 꾸미고, 특급 호텔 출신의 조리장을 대거 고용해 직원들의 먹거리에 아낌없이 투자했다. 재료는 셰프들이 직접 선정한 ‘산지 직송’으로 끼니당 평균 재료비만 1만3000원에 이른다. 5년마다 4주의 유급휴가를 갈 수 있고, 자녀교육비와 건강검진비도 지원한다.구성원 가족들을 위해 밑반찬을 보내주는 ‘마음을 담은 반찬’ 복지제도를 진행해 왔으며, 한 달에 한 번씩 ‘시크릿 셰프’라는 이름으로 5성급 뷔페요리를 만들어 제공해 왔다. 그 외에도 무료 미용실 운영 / 의료 및 보건 검사 실시 / 마라톤 등의 운동 지원 / 주거비 지원 / 사내 카페 운영 등 다양한 복리후생을 제공하고 있다. = = = 행복나침반 = = = 2000년도 창립 이후부터 1년에 4회씩 분기마다 지속적으로 개최해온 행복나침반은 ‘행복, 보람, 나눔’이라는 마이다스아이티의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시간으로,현재 구성원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녔는지 목적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구성원들의 성공경험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전략을 점검할 수 있는 자리이다. = = 국내외지사 및 대리점 = = = = = 국내외지사 = = = 국내 소재 자회사 (주) 마이다스테크 (주) 마이다스인 (주) 마이다스엔지니어링 해외 소재 자회사 MIDASoft Inc. (미국) Beijing MIDAS Technology Co., Ltd (중국) MIDAS R&D Centre India Private Ltd. (인도) MIDAS IT Japan Co., Ltd. (일본) MIDAS IT(UK) Ltd. (영국) MIDAS RUSSIA Ltd. (러시아) MIDASIT PHILIPPINES Co. (필리핀) Midas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DMCC Branch : 두바이) = = = 해외 대리점 = = = 해외 법인 뿐만 아니라 28개국 해외대리점을 통해 110개국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 = 사회공헌 = = 사랑의마라톤, 사랑의집짓기 운동, 노숙자무료급식소 봉사, 독거어르신 특식 도시락 후원, 급여끝전 기부 캠페인, 해외빈민국 우물파기 후원 등 마이다스아이티의 사회공헌 활동은 다방면으로 펼쳐지고 있다. = = 지적저작권 = = 마이다스아이티의 모든 제품과 기술은 저작권법과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다. 연구개발 실적 프로그램 저작권 산업재산권 = 필중 = 필중(畢衆,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이다. = = 생애 = = 건시 원년(기원전 32년), 하남태수에서 좌풍익으로 승진하였다. = = 출전 = = 반고, 《한서》 권19하 백관공경표 下 = 쓰루가오카하치만궁 = 쓰루가오카하치만궁은 일본의 신사 중 하나로,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 있다. 사가미국의 이치노미야 (제1신사)였다. 지금은 신사본청의 별표신사 중 하나이다. 오진 천황, 히메노카미, 진구 황후를 모시고 있다. = = 역사 = = 고헤이 6년(1063년) 8월, 가와치(河內) 국(지금의 일본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을 본거지로 한 가와치 겐지의 2대 도료(棟梁, 당주)였던 미나모토노 요리요시(源賴義)가 전9년의 역에서 전승을 기원했던 교토(京都)에 있던 이와시미즈 하치만구(石淸水八幡宮)의 호국사(혹은 가와치 겐지 집안의 씨신인 쓰바이 하치만구)를 가마쿠라의 유이노사토(由比鄕) 쓰루가오카(鶴岡)에 쓰루가오카 와카미야(鶴岡若宮)로서 권청한 것이 처음이다. 에이호(永保) 원년(1081년) 2월에는 3대 도료인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가 이곳을 수리했는데, 특히 요시이에는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에서 관례를 올리고 스스로를 하치만타로(八幡太郞) 요시이에라 칭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쇼4년(1180년) 10월, 헤이케 타도의 군사를 일으켜 가마쿠라로 들어온 가와치 겐지의 후예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이 달 12일, 신궁을 현재의 위치인 고바야시노사토(小林鄕) 기타야마(北山)로 옮긴다. 이후 이 신전을 중심으로 훗날 막부의 중추가 될 시설들이 정비되어 갔다. 겐큐 2년(1191년)에 신전이 화재로 불탄 뒤에는 상·하 양궁 체제로서 거듭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의 호국사를 권청했다. 죠겐(承元) 2년(1208년)에는 신궁사(神宮寺)가 지어진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 막부를 열게 된 뒤,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권청으로 이루어졌다는 연고도 있었기에 일본의 무사 집안들로부터 숭배와 경외의 대상이 되었지만, 가마쿠라 막부가 쇠퇴한 뒤에는 승방의 수도 감소하는 등 쇠퇴했고, 센고쿠 시대에는 사토미(里見) 집안이 불을 지르기도 했는데(쓰루가오카 하치만구 전투), 호조 우지쓰나가 다시 일으켰다. 에도 시대에는 에도 막부의 비호를 받아 규모가 더욱 넓어졌는데, 인왕문, 관음당, 법화당 등 불교적인 이름이 붙은 당우가 건립되었고, 3대 쇼군 이에미쓰(家光)의 치세에는 약사당, 종루, 누문 등도 지어졌다. 또 경내에는 넓이 다섯 간 되는 다보대탑이나 동조궁(東照宮)도 존재했다. 에도 막부가 무너지고, 1868년 3월 13일에 신정부는 신사의 신주(神主)를 겸하고 있는 승려들에 대한 환속 명령을 내렸으며, 1870년에 대교선포(大敎宣布)로 신도가 국교로 지정되면서, 쓰루가오카 하치만궁에 대해서도 이른바 '폐불훼석' 운동이 시작되었다. 에도 시대 이래의 다보대탑 등의 불당은 파괴되고 불상이나 불구(佛具), 경전 등도 파괴되고 소각처분되거나 뿔뿔이 흩어져, 일부는 현재 가마쿠라 내의 주후쿠 사(壽福寺), 센소 사(淺草寺), 후몬인(普門院) 등의 절과 고토(五島) 미술관, 도쿄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가까스로 남아있던 불당도 화재로 소실되고, 지금은 외국인 관광객이 촬영한 사진이나 스케치로만 남아 있다. = = 경내 = = 쓰루가오카 하치만구의 본궁(本宮, 상궁上宮)은 에도 시대인 분세이(文政) 11년(1828년)에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徳川家斉)에 의해 재건된 것으로 일본의 중요문화재이다. 61개의 커다란 돌계단을 올라 사쿠라다몬(桜門)을 지나서 깊숙이 위치한 배전(拝殿)에서 본전으로 이어진다. 계단 밑에도 무전(舞殿)이 있는데 「하배전(下拝殿)」이라 불리는 곳으로 앞면에 있는 건축물은 21세기에 들어 증축된 것이며 당초에는 붉은칠이 없이 새하얗게 되어 있었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요구로 춤을 추게 된 시즈카 고젠(静御前)이 요리토모의 면전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를 사모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가 유명한데, 물론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무전이 없었고, 와카미야(若宮) 사전(社殿)의 회랑에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요리토모는 이에 몹시 격노했지만, 옆에 있던 호조 마사코는 유인(流人) 시절 요리토모와의 힘든 만남을 가지던 때와 그가 헤이케 타도를 외치며 거병했을 때의 불안했던 나날들을 말하며 "그때의 제 심정이 지금의 시즈카와 같습니다. 요시쓰네로부터 여러 해에 걸쳐 받아온 사랑을 잊고, 연모하지 않는다면 정결한 여인이라 할 수 없겠지요. 내가 저 자리에 있었어도 지금과 똑같이 노래했을 겁니다." 라며 요리토모를 달랬고 요리토모는 이에 노염을 거두고 시즈카에게 상을 내렸다고 한다. 또한 경내에는 「겐페이노이케(源平池)」라는, 호조 마사코(北条政子)가 팠다는 전설이 있는 연못이 있는데, 겐지노이케(源氏池)에는 인공섬이 세 개, 헤이케노이케(平家池)에는 4개의 인공섬이 조성되어 있어 각자 태어나고 죽는 인간의 일생을 의미한다. 겐지노이케의 인공섬의 경우는 섬 안에 기상변천사(旗上弁天社)라는 신사가 있다. 겐페이노이케에는 돌다리가 있는데, 「태고교(太鼓橋)」라 불리는 것으로 원래는 나무로 만들어져 붉은색을 입히고 「적교(赤橋)」라 불렸다. 호조 씨의 방계인 아카바시(赤橋) 집안의 묘지(苗字)는 이 다리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예전에는 다리로의 출입이 가능했고 다리 위에서 기념촬영을 할 수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울타리로 막혀 있다. = = = 잠복 은행나무 = = = 겐포(建保) 7년(1219년) 1월 27일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아들로 하치만구 벳토였던 구교(公暁)가 사네토모를 암살할 때 숨어있었다는, 잠복 은행나무(隠れ銀杏)라는 별명이 붙은 거대한 은행나무가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본전 입구 앞에 서 있었다. 이 전설이 널리 퍼지게 된 것은 에도 시대(江戸時代)에 들어서였고, 당대의 사료에는 전하지 않는 이야기로써 수령 8백 년에서 천 년 정도 되는 나무의 수령으로 미루어 가마쿠라 초기에는 사람이 숨어 있을 정도로 굵지는 않았다는 주장도 있어 진위를 가릴 수 없다. 구교가 숨은 것은 이 나무의 선대 나무이고 에도 시대에 잠복 은행나무로 알려진 나무는 2대째로 실제 잠복 은행나무의 아들뻘 되는 나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었다. 잠복 은행나무는 1955년부터 가나가와 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쓰루가오카 하치만구의 심벌 비슷한 존재로써 자리잡았으나, 2010년 3월 10일 4시 40분경 가마쿠라 시에 불었던 강풍으로 은행나무는 뿌리째 뽑혀 쓰러져 버렸다. 쓰러진 나무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3월 15일 뿌리부터 높이 4미터까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원래 있던 장소에서 7미터 떨어진 곳으로 옮겨 심었다. 나머지 두 부분은 하치만구 경내에 보존되었다. 옮겨 심은 부분에서는 다시 싹이 돋아난 것이 확인되었다. = 2014년 흐루셰우스키가 봉기 = 2014년 1월 16일 우크라이나 반시위법 발표 및 1월 21일 제정에 대항하여, 1월 19일부터 흐루셰우스키 가와 디나모 경기장을 중심으로 하여 키이우 전역에서 시위대와 경찰 간 대치가 시작되었다. 20만명이 유로마이단 시위에 참여하는 동안, 우크라이나 의회로 행진이 시작되었고 경찰 저지선에서 충돌했다. 교착 상태에 이어서, 경찰과 시위대 간 폭력 사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 시위대는 정부군을 포위하고 탈출로를 봉쇄하기 시작했다. 이 시위대의 봉쇄 작전 동안 시위대 4명과 경찰 3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월 28일, 반시위법 조항 12개 중 9개가 폐지되었고, 국무총리 미콜라 아자로프가 사임하면서 충돌 태세는 완화되었고 체포 및 재판을 받은 시위대에게 사면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Ukraine government resigns, parliament scraps anti-protest laws amid crisis 2014년 2월 14일, 시위 조직들은 부분적으로 교통량 복원을 위해 차단한 길을 일부 개방하는 것에 허가했지만, 바리케이드 설치 및 지속적인 시위가 이루어졌다. 2014년 2월 16일 시위대 사면령에 따라서 교통을 위한 회랑 개방과 함께 시위대와 경찰이 물려났다. 이 휴전은 2월 18일 우크라이나 의회로 다시 한번 행진하면서 끝나게 되었고, 새로운 대치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2월 19일부터는 모든 바리케이드가 철거되었고 시위대가 행진하기 시작했다. 2월 18일 이후, 이 시위는 키이우 전국구적 봉기로 진화하였다. = 미사사기역 = 미사사기역은 일본 교토부 교토시 야마시나구에 있는 교토 시 교통국과 게이한 전기철도의 역이다. 교토 시 교통국과 게이한 전기철도의 공동사용역이고 교토 시 교통국에서 관할하며 교토 시 교통국 지하철 도자이 선과 게이한 게이신 선의 노선이 서로 직결된다. 역 번호는 T08이다. = = 역사 = = 교토 시 교통국 지하철 도자이 선 개통 전에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단독 지상역으로 미사사기, 히노오카의 두 역이 존재하였고, 현재의 미사사기 역은 두 역을 통합한 역이다. 역 시설은 제3섹터인 교토 고속 철도 주식 회사가 건설하였다. 역 개찰구와 승강장의 위치는 옛 미사사기 역과 옛 히노오카 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두 역의 이용자의 편리성에 고려하기 위해 지하철 역 내 출입구를 옛 미사사기 역 측과 옛 히노오카 역 측에 2개씩 두고 있다. 출입구부터 역 중앙에 1개씩 위치하여 개찰구까지는 지하 통로를 도보로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 = = 게이신 선 단독역 시절 = = = 1912년 8월 15일: 게이신 전기 궤도의 역으로 개업. 1925년 2월 1일: 회사 합병으로 게이한 전기 철도의 역이 됨. 1927년 9월 21일: 역 개축. 1943년 10월 1일: 회사 합병으로 게이한신 급행 전철의 역이 됨. 1949년 12월 1일: 회사 분리로 다시 게이한 전기 철도의 역이 됨. 12월 30일: 역 구내를 확장함. 1997년 10월 11일: 이 날 영업을 마지막으로 게이신 선 게이한 산조 역 ~ 당역 간 폐지됨. 폐선 구간은 다음 날부터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산조케이한 역 ~ 당역 간에 사실상 계승됨. = = = 지하철 도자이 선 개업 후 = = = 1997년 10월 12일: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 선의 다이고 ~ 니조 역간 개통과 동시에 영업 개시. 이와 동시에 역과 일체적으로 건설된 지하상가 "제스트 오이케" 공영의 대규모 지하 주차장도 개업함. 2007년 4월 1일: IC카드 "PiTaPa"의 사용 개시. 2013년 9월 16일: 태풍 18호의 호우로 인한 게이한 게이신 선의 터널에서 침수로 인하여 지하 3층 부분이 침수됨으로써 영업 정지. 이 영향으로 도자이선 오노 역 ~ 가라스마오이케 역간 게이한 게이신 선 전 구간이 운전 보류 상태가 됨. 당일 중의 복구가 되지 못하여, 익일인 9월 17일도 교토 시 버스와 게이한 버스사의 대체 수송이 이뤄졌다. 9월 19일: 도자이 선은 오후 9시 30분부터 운전을 재개함. 9월 30일: 아이사카 산에서 산사태 복구가 늦어지면서 게이한 게이신 선에서 도자이 선으로의 출입은 당일 시발열차부터 재개됨. 또한 게이신 선의 운전 재개는 29일 오후 5시부터 실시됨. = = 역 구조 = = 게이한 게이신 선의 접속역에서 지하 2층 서쪽 승강장이 우즈마사텐진가와 방면, 지하 3층 동쪽 승강장이 로쿠지조 방면 승강장이다. 승강장은 모두 다른 도자이 선의 역과 마찬가지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4번 선의 승강장 유효 길이는 6량분이지만, 스크린도어는 4량분만 설치되어 있다. 도자이 선 역은 역마다 정거장 색깔이 제정되어 있으며, 본 역의 스테이션 컬러는 ■도라지색이다. = = = 승강장 = = = 1,3번 선이 로쿠지조 방면 발착 열차용, 2,4번 선이 게이한 게이신 선 직결 열차용이다. 불꽃 대회 개최 시 등에는 미사사기 ~ 하마오쓰 간의 임시 열차가 운전하는 경우에 2번 승강장에서 회차운전으로 하마오쓰 행이 발차한다. = = = = 지하 2층 = = = = 1 도자이 선 교토시야쿠쇼마에・우즈마사텐진가와 방면 (로쿠지조 출발) 2 ■ 게이한 게이신 선 교토시야쿠쇼마에・가라스마오이케・우즈마사텐진가와 방면 (게이신 선 하마오쓰 출발) = = = = 지하 3층 = = = = 3 도자이 선 야마시나・로쿠지조 방면 4 ■ 게이한 게이신 선 게이한야마시나・시노미야・하마오쓰 방면 = = 역 주변 = = 역은 야마시나 분지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산조도리의 지하에 위치한다. 산조도리는 여기서 북서방향으로 가고 히가시야마를 넘어 옛 도카이도의 기점인 산조 대교에 이른다. 주변으로는 주로 주택지이다. "미사사기"라는 지명은 역 동쪽으로 300미터 정도에 있는 덴지 천황 야마시나릉에서 유래한다. 또 주택지 북쪽 산록을 따라 비파호 수로가 지난다. 덴지 천황 야마시나릉 교토 약과 대학 혼코쿠지 = 분류:연도별 K7리그 춘천 = = 분류:초고속도 항성 = = 메그 맥카프리 = 마가렛 메그 맥카프리는 아폴로의 시련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릭 라이어던의 <아폴로의 시련> 시리즈의 등장인물이다. 데메테르의 딸이며, 신호등 같은 패션에 뿔테안경을 쓰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아폴로를 괴롭히는 깡패들을 혼자 쓰러트리고 대신 자기가 아폴로를 터는 것으로 등장한다. 심지어 깡패 미키와 케이드도 도망치게 만드는 것을 보면 릭 라이어던의 퍼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 원서 기준 1권 번개 도둑에서 아나베스가 데메테르와 아프로디테 반신들은 약해서 바깥 세상에서 살 수 있다고 말한 것이 틀렸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 = 인적사항 = = 데메테르의 딸치고 능력이 정말 강하다. 강하긴 한데 음식물 쓰레기를 조종한다거나 복숭아 정령을 조종한다든지 희한한 쪽으로 강해서이다. 폭력배는 물론이고 괴물이 득시글한 뉴욕 뒷골목에서 열두살까지 혼자 살아남았다니 능력이 여간 센 게 아니다. 알고보니 자신의 아빠는 네로에게 죽었고 네로의 황금 궁전에서 양딸로 자라났다. 그런데 메그의 집안은 대대로 데메테르의 후손이었다. 메그가 나중에 자신의 아빠가 심으려던 황금 씨앗을 심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아폴로가 자기가 인간이 되면 주인을 받들어야 한다고 하자 자기가 너의 주인이 된다고 한다. 그냥 하지마라는 건 다 한다. 4권 폭군의 무덤에서 아폴로를 구하려고 무턱되고 행동하는 등 나중에는 아폴로와 남매 사이 정도가 된다. 아폴로도 나중에 메그를 귀여워 해주고. 얼마 전 하이퍼블 웹사이트에서 공개된 바로는 메그와 아폴로는 양쪽 끝에 머리가 달린 뱀 암피스베나를 마주치게 된다. https://www.hypable.com/tower-of-nero-cover-chapter-1-2/ = 모토카리야 유이카 = 모토카리야 유이카(, 1987년 9월 8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도쿄도 메구로구 출신. 스타더스트 프로모션 소속. = = 내력 = = 10살 때 연예 사무소 테아트르 아카데미에 소속해, 두근두근 사이언스로 TV 첫 출연. 도쿄 도 메구로 구립 제9중학교, 니혼 대학 제1고등학교를 거쳐, 2010년에 니혼 대학 예술학부 연극학과를 졸업. = = 출연 = = = = = 드라마 = = = 낫짱네 제4·11화 (1998년 10월 24일·12월 12일, TV 아사히) 토요 와이드 극장 특급 차장 나가세 하루카의 사건부 (1999년 5월 29일, TV 아사히) - 나가세 하루카(소녀 시절) 역 야나기바시 모정 (2000년 8월 21일 ~ 12월 18일, NHK) - 오우메 역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 (TBS) - 아오누마 미호 역 제6시리즈 (2001년 10월 11일 ~ 2002년 3월 28일) 제7시리즈 제11화 (2005년 1월 7일) 파이널 (2011년 3월 27일) 하얀 그림자 그 이야기의 시작과 생명의 기억 (2003년 1월 2일, TBS) 사탕수수밭의 노래 (2003년 9월 28일, TBS/BS-i)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2004년 7월 2일 ~ 9월 10일, TBS) - 우에다 토모요 역 연속 TV 소설 파이트 (2005년 3월 28일 ~ 10월 1일, NHK) - 주연·키도 유 역 내가 걷는 길 (2006년 10월 10일 ~ 12월 19일, 칸사이 TV) - 오오타케 리나 역 타로와 지로~반성 원숭이와 나의 꿈~ (2007년 3월 17일, 후지 TV) - 케이코 역 부부도 (TBS) - 타카나베(나카모리) 와카바 역 제1시리즈 (2007년 4월 12일 ~ 6월 21일) 제2시리즈 (2009년 4월 15일 ~ 6월 24일) 스가타 산시로 (2007년 12월 6일, TV 도쿄) - 무라이 오토미 역 Yuming Films~영화가 된 유밍 송스~ 〈리프레인이 외치고 있어〉 (2007년 12월 29일, NHK) - 주연·아카네 역 장미 없는 꽃집 (2008년 1월 14일 ~ 3월 24일, 후지 TV) - 안자이 루리 역 비욘드 더 브레이크 (2008년 4월 13일 ~ 8월 24일, BS 아사히) - 레이시 파머(더빙) 역 곤조 전설의 형사 (2008년 7월 2일 ~ 9월 10일, TV 아사히) - 엔도 츠루 역 고마워! 챤피~일본 첫 맹도견 탄생 이야기~ (2008년 9월 13일, 후지 TV) - 카아이 레이코 역 신의 물방울 제1화 (2009년 1월 13일, 닛폰 TV) - 와타누카 스즈카 역 쿠로베의 태양 제1부 (2009년 3월 21일, 후지 TV) - 타미코 역 기네 산부인과의 여자들 (2009년 10월 14일 ~ 12월 9일, 닛폰 TV) - 시마 에리나 역 엽기인걸 스나코 제5 ~ 6화 (2010년 2월 12일 ~ 19일, TBS) - 마치코 역 우리 집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분투기 (2010년 3월 22일·7월 24일, NHK) - 스즈키 나미 역 반장~진난서 아즈미반~ 시리즈3 (2010년 7월 5일 ~ 9월 20일, TBS) - 타치바나 미사키 역 비밀 (2010년 10월 15일 ~ 12월 10일, TV 아사히) - 하시모토 타에코 역 프로포즈 형제 제3 ~ 4밤 (2011년 2월 23일 ~ 24일, 후지 TV) - 이토 마오 역 파트너 season10 제5화 (2011년 11월 16일, TV 아사히) - 모리무라 야요이 역 추정 유죄 (2012년 3월 25일 ~ 4월 22일, WOWOW) - 오사다 미호 역 기적의 호스피스 (2012년 3월 28일, MBS) - 니시무라 사키 역 목요 미스터리 9 간호사·토다 아유코의 추리 카르테 (TV 도쿄) - 주연·토다 아유코 역 제1작 (2012년 7월 11일) 제2작 (2013년 10월 30일) 검은 10인의 쿠로키 히토미. 〈검은 파트타이머〉 (2012년 9월 9일, NHK BS 프리미엄) - 후지이 역 어떻게 좀 안될까요 (2012년 10월 21일 ~ 12월 16일, NHK BS 프리미엄) - 주연·카이세 라쿠코 역 어떻게 좀 안될까요 2 (2014년 8월 3일 ~ 9월 21일) 이로도리히무라 제4화 (2012년 11월 5일, TBS) - 야마구치 모모카 역 레이디 조커 (2013년 3월 3일 ~ 4월 14일, WOWOW) - 스기하라 케이코 역 엉터리 히어로 (2013년 4월 4일 ~ 6월 27일, 요미우리 TV) - 쿠라타 나츠키 역 당신을 닮은 누군가 제1화 〈카하타레바나〉 (2013년 8월 13일, NHK BS 프리미엄) - 마츠무라 사토코 역 월요 골든 툇마루 형사 (2013년 9월 2일, TBS) - 요시무라 아사히 역 툇마루 형사 2 (2015년 4월 27일) 민왕 (2015년 7월 24일 ~ 9월 18일, TV 아사히) - 미나미 마이 역 = = = 영화 = = = 웃는 개구리 (2002년, 오피스 시로우즈/미디어 박스) - 요시즈미 치사코 역 스윙 걸즈 (2004년, 토호) - 세키구치 카오리 역 바람의 잔향 (2004년, 영화 미학교) - 주연·사요코 역 러브 레터 푸른 연가 (2006년, 일본 출판 판매/오데사 엔터테인먼트) - 주연·나구모 유이 역 Dear Friends (2007년, 토에이) - 마키 역 길상천녀 (2007년, CK 엔터테인먼트) - 아사이 유이코 역 파트너 -극장판- 절체절명! 42.195km 도쿄 빅 시티 마라톤 (2008년, 토에이) - 모리무라 야요이 역 드롭 (2009년, 카도카와 영화) - 미유키 역 RAILWAYS 49세에 전차 운전사가 된 남자의 이야기 (2010년, 쇼치쿠) - 츠츠이 코우 역 와일드 7 (2011년, 워너 브라더스 영화) - 이와시타 코즈에 역 FLY!~평범한 기적~ (2012년, 요시모토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 호스테스 역 우리들이 있었다 전편/후편 (2012년, 토호/아스믹 에이스) - 야마모토 유리 역 CM 타임 (2012년, 트리플 업) - 사토 마리 역 사채꾼 우시지마 Part2 (2014년, 토호 영상 사업부/SDP) - 유키미 역 피치걸 (2017년, 쇼치쿠) = = = 무대 = = = 퍼레이드 (2012년 1월 16일 ~ 2월 5일, 갤럭시 극장/시어터 드라마 시티) - 코토미 역 우선, 아버지 (2015년 12월 3일 ~ 23일, 갤럭시 극장) - 지니 역 = = = 정보 프로그램 = = = 임금님의 브런치 (2012년 4월 7일 ~ 2015년 9월 26일, TBS/BS-TBS) - MC = 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철도 기업 = = 분류:1627년 분쟁 = = 히그먼-심스 그래프 = 그래프 이론에서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꼭짓점 100개와 모서리 1100개를 갖는 22-정규 그래프이다.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이웃한 꼭지점 쌍이 공통 이웃을 공유하지 않고 이웃하지 않은 꼭지점 쌍이 6개의 공통 이웃을 공유하는 유일한 강한 정규 그래프 srg(100,22,0,6)이다. 이것은 에 의해 처음 구성되었고, 1968년에 도널드 G. 히그스과 찰스 C. 심스에 의해 히그먼-심스 그래프의 자기 동형군에서 지표 2인 부분군 히그먼-심스 군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재발견되었다. = = 구성 = = = = = M22 그래프에서 구성 = = = 강한 정규 그래프 srg(77, 16, 0, 4)인 M22 그래프의 슈타이너 계 S(3,6,22)에서 점에 해당하는 22개의 새로운 꼭짓점을 추가한다. 각 블록을 블록이 포함하는 점과 연결하고, 새로 추가된 22개의 꼭짓점과 연결된 꼭짓점 하나를 더하여 히그먼-심스 그래프를 얻는다. = = = 호프만–싱글턴 그래프에서 = = = 호프만-싱글턴 그래프에는 크기가 15인 독립집합이 100개 존재한다. 100개의 대응하는 꼭짓점으로 새 그래프를 만들고 대응하는 독립 집합이 정확히 0 또는 8개의 공통 요소를 갖는 꼭짓점을 연결한다. 이 결과로 만들어지는 그래프는 히그먼-심스 그래프이고, 히그먼-심스 그래프를 352가지 방법으로 호프만-싱글턴 그래프 두 개로 분할할 수 있다. = = = 정육면체에서 = = = 정육면체의 각 꼭짓점을 000, 001, 010, ..., 111으로 표시한다. 꼭짓점 4개로 구성된 집합 70개 중 집합 원소의 XOR이 000인 집합만을 남긴다. 이러한 집합은 면 6개, 두 변이 각각 정육면체의 변과 면 대각선인 직사각형 6개, 정사면체 2개로 총 14개 존재한다. 이는 점 8개 위에서 크기가 4인 블록 14개를 갖는 블록 설계이다. 각 꼭짓점은 블록 7개에 포함되고, 각 꼭짓점 쌍은 블록 3개에 포함되고, 각 꼭짓점 삼중쌍은 블록 1개에 포함된다. 꼭짓점 8개에 붙은 표시를 치환하여 8! = 40320개의 정육면체와 블록 설계를 만들고 중복을 제거하면 30가지의 블록 설계가 남는다. 이는 1344개의 자기 동형 사상이 있고, 40320/1344 = 30이기 때문이다. 30개의 설계와 70개의 블록(꼭짓점 집합의 4-부분집합)에 대해 꼭짓점을 만든다. 각 블록은 정확히 6개의 설계에 나타난다. 각 설계를 설계가 포함하는 14개 블록에 연결한다. 각 설계는 8개의 서로 다른 설계와 서로소이고, 이러한 설계 쌍을 연결한다. 각 블록은 16개의 서로 다른 블록과 꼭짓점을 정확히 한 개하고, 이러한 블록 쌍을 연결한다. 결과 그래프는 히그먼-심스 그래프가 된다. 블록은 다른 블록 16개와 디자인 6개에 연결되므로 차수 22이고, 설계는 블록 14개와 다른 설계 8개에 연결되므로 차수 22이다. 따라서 모든 꼭짓점은 각각 차수 22이다. = = 대수적 성질 = = 히그먼-심스 그래프의 자기동형군은 위수 2의 순환군과 위수 인 히그먼-심스 군의 반직접곱과 동형인 위수 를 갖는 군이다. 임의의 변을 다른 변으로 옮기는 자기 동형이 존재하고, 따라서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변 전이 그래프이다.Brouwer, A. E. and Haemers, W. H. "The Gewirtz Graph: An Exercise in the Theory of Graph Spectra." 히그먼-심스 그래프의 특성 다항식은 (x-22)(x-2)^{77}(x+8)^{22}이다. 스펙트럼이 정수로 구성되므로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정수 그래프이다. 또한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이 특성 다항식를 갖는 유일한 그래프로, 스펙트럼에 의해 결정되는 그래프이다. = = 리치 격자 내부 = = 히그먼-심스 그래프는 리치 격자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X, Y 및 Z 가 리치 격자의 세 점인 경우 거리 XY, XZ 및 YZ는 2, \sqrt{6}, \sqrt{6}이다. 각각 정확히 100개의 리치 격자 점 T 가 있으므로 모든 거리 XT, YT 및 ZT 가 2와 같으며 두 점 T 와 T′ 사이의 거리가 \sqrt{6} 일 때 연결하면, 결과 그래프는 히그먼-심스 그래프와 동형이다. 더욱이, X, Y, Z 각각을 고정하는 리치 격자의 모든 자기 동형 사상(즉, 각각을 고정하는 유클리드 합동)의 집합은 히그먼-심스 군(만약 우리가 X 와 Y 의 교환을 허용한다면, 모든 것의 차수 2 확장 그래프 자기 동형이 얻어진다). 이것은 히그먼-심스 군이 콘웨이 군 Co2 (차수 2 확장 포함) 및 Co3 내에서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Co1 내에서도 발생함을 보여준다. = UBD = UBD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학교 유나이티드 항공의 ICAO 항공사 코드 한국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으로 인해 촉발된 신조어 UBD = 분류:1971년 = = 분류:2014년 여자 스포츠 = = 원스 어폰 어 스튜디오 = 원스 어폰 어 스튜디오는 2023년 개봉된 미국의 판타지 코미디 실사 및 애니메이션 단편영화이다. 댄 아브라함이 감독을 맡았으며, 월트 디즈니 픽처스가 제작하는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 성우진 = = 배역 영어 배우/성우 한국어 성우 버니 매틴슨 디즈니 인턴 레니카 윌리엄스 베이맥스 스콧 애드싯 도널드 덕 토니 안셀모 닉 와일드 제이슨 베이트먼 안나 크리스틴 벨 아리엘 조디 벤슨 야수 로비 벤슨 안토니오 마드리갈 라비 캐봇-코니어스 피노키오 그리펜 캠벨 모아나 아울리이 크러발리오 발루, 곰돌이 푸 짐 커밍스 아샤 아리아나 더보즈 미키 마우스 크리스 디어먼토펄러스 리틀 존 리처드 엡카 구피, 플루토 빌 파머 차밍 왕자 키스 퍼거슨 = 분류:뉴욕주의 테러 사건 = = 박태성 (정치인) = 박태성(朴泰成, 1955년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겸 비서국 비서 겸 전 최고인민회의 의장이다. = = 경력 =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거쳐 당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다. 2012년 8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 되었다. 2014년 5월, 평안남도 당위원회 책임비서에 올랐다.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의 핵심 간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실제로 움직이는 핵심 실세로 알려져 있다. 2021년에는 북한 공식석상에서 잠시 모습이 사라져서 숙청설이 돌기도 하였다. 2023년 1월 최고인민회의 의장직에서 물러났음이 확인되었고, 현재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겸 비서국 비서직을 수행하고 있다. = 제51회 백상예술대상 = 제51회 백상예술대상은 2015년 5월 26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영화 대상 = = = 최민식 수상 = = = 영화 작품상 = = = 화장 - 임권택 수상 끝까지 간다 - 김성훈 도희야 - 정주리 명량 - 김한민 한공주 - 이수진 = = = 영화 감독상 = = = 끝까지 간다 - 김성훈 수상 국제시장 - 윤제균 화장 - 임권택 경주 - 장률 자유의 언덕 - 홍상수 = = = 영화 시나리오상 = = = 카트 - 김경찬 수상 끝까지 간다 - 김성훈 해무 - 심성보, 봉준호 한공주 - 이수진 제보자 - 이춘형 = = = 영화 신인감독상 = = = 도희야 - 정주리 수상 스물 - 이병헌 한공주 - 이수진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 진모영 소셜포비아 - 홍석재 = = = 영화 남자최우수연기상 = = = 끝까지 간다 - 이선균 수상 끝까지 간다 - 조진웅 수상 나의 독재자 - 설경구 화장 - 안성기 명량 - 최민식 = = = 영화 여자최우수연기상 = = = 카트 - 염정아 수상 도희야 - 김새론 도희야 - 배두나 해적: 바다로 간 산적 - 손예진 경주 - 신민아 = = = 영화 남자조연상 = =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 유해진 수상 도희야 - 송새벽 상의원 - 유연석 제보자 - 이경영 살인의뢰 - 박성웅 = = = 영화 여자조연상 = = = 화장 - 김호정 수상 카트 - 문정희 명량 - 이정현 인간중독 - 조여정 해무 - 한예리 = = =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 = = 해무 - 박유천 수상 스물 - 강하늘 소셜포비아 - 변요한 강남 1970 - 이민호 쎄시봉 - 조복래 = = = 영화 여자신인연기상 = = = 한공주 - 천우희 수상 강남 1970 - 설현 마담 뺑덕 - 이솜 타짜-신의 손 - 이하늬 인간중독 - 임지연 = = = 영화 남자인기상 = = = 강남 1970 - 이민호 수상 박유천 찬열 정우 이준호 주원 이광수 이승기 송승헌 송재림 김우빈 안재현 변요한 이현우 정우성 조정석 차승원 T.O.P 하정우 설경구 신하균 류승룡 박성웅 강동원 김남길 여진구 유연석 유해진 이정재 이선균 = = = 영화 여자인기상 = = = 상의원 - 박신혜 수상 김소은 최진리 신민아 천우희 손예진 이솜 이연희 이정현 이하늬 임지연 조여정 하지원 한예리 한효주 송혜교 염정아 설현 배두나 보아 김윤진 김호정 김희애 남상미 문채원 민효린 강예원 고준희 김새론 김성령 = = = TV 대상 = = = 나영석 수상 = = = TV 작품상(드라마) = = = 풍문으로 들었소 - 안판석 수상 미생 - 김원석 유나의 거리 - 임태우 킬미, 힐미 - 김진만 외1명 펀치 - 이명우 = = = TV 작품상(예능) = = = 비정상회담 - 김희정 외5명 수상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임형택 무한도전 - 김태호 외1명 삼시세끼 어촌편 - 나영석 외1명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 서수민 = = = TV 작품상(교양) = = = KBS 글로벌 대기획 요리인류 - 이욱정 외1명 수상 가족쇼크 - 김광훈 기후의반란 - 박상준 외1명 세계테마기행 - 탁재형 스페셜-인생횡단 - 장경수 = = = TV 연출상 = = = 미생 - 김원석 수상 마마 - 김상협 나쁜 녀석들 - 김정민 킬미, 힐미 - 김진만 풍문으로 들었소 - 안판석 = = = TV 극본상 = = = 펀치 - 박경수 수상 유나의 거리 - 김운경 괜찮아, 사랑이야 - 노희경 풍문으로 들었소 - 정성주 킬미, 힐미 - 진수완 = = = TV 남자최우수연기상 = = = 미생 - 이성민 수상 펀치 - 김래원 괜찮아, 사랑이야 - 조인성 펀치 - 조재현 킬미, 힐미 - 지성 = = = TV 여자최우수연기상 = = = 마마 - 송윤아 수상 유나의 거리 - 김옥빈 마마 - 문정희 피노키오 - 박신혜 왔다! 장보리 - 이유리 = = = TV 남자신인연기상 = = = 미생 - 임시완 수상 미생 - 김대명 괜찮아, 사랑이야 - 도경수 가족끼리 왜 이래 - 박형식 풍문으로 들었소 - 이준 = = = TV 여자신인연기상 = = = 풍문으로 들었소 - 고아성 수상 연애의 발견 - 김슬기 가족끼리 왜 이래 - 남지현 풍문으로 들었소 - 백지연 장미빛 연인들 - 한선화 = = = TV 남자예능상 = = = 비정상회담 외1 - 전현무 수상 냉장고를 부탁해 외1 - 김성주 마녀사냥 외1 - 성시경 SNL 코리아 6 외1 - 유세윤 무한도전 외1 - 정형돈 = = = TV 여자예능상 = = = 코미디빅리그 외1 - 이국주 수상 SNL 코리아 6 외1 - 안영미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이영자 코미디빅리그 - 장도연 개그콘서트 - 허안나 = = = TV 남자인기상 = = = 피노키오 - 이종석 수상 도경수 에릭 지성 현빈 조인성 김재중 지현우 이준 이상윤 임시완 박형식 이성민 박서준 김래원 이홍기 김영광 서강준 신하균 강하늘 김대명 임슬옹 이제훈 유준상 장혁 정일우 비 천정명 하석진 조재현 = = = TV 여자인기상 = = =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그녀 - 크리스탈 수상 공효진 구혜선 한지민 강소라 정은지 한선화 황정음 수영 이성경 이유리 혜리 장나라 정유미 최강희 고아성 김슬기 김아중 김옥빈 김현주 김희선 남지현 문정희 백지연 손담비 송윤아 신세경 오연서 유이 한지혜 = = = InStyle상 = = = 이정재 수상 신민아 수상 = = = 아이치이 스타상 = = = 이민호 수상 박신혜 수상 = 분류:동독의 남성 = = 틀:매드하우스 = = 벨가움 = 벨가움(Belgaum, 과거 이름: Venugrama 또는 Bamboo Village)은 인도 카르나타카 주에 있는 도시이다. = 위키백과:삭제 토론/2015년 5월 = = 분류:영화 미술가 = = 분류: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여자 축구 *여자 국가대표팀 *여자 축구 = 분류:1856년 교육 = = 오지호가 = 오지호가(吳之湖家)는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6년 9월 29일 광주광역시의 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서양화가인 오지호(1905∼1982) 선생이 조선대 교수로 근무 중이던 1954년부터 198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살던 집이다. 선생은 전라남도 화순 출신으로 호는 모후산인(母后山人)이다. 인상주의의 회화 양식을 받아들여 토착화시킨 화가로 광주 미술 연구회를 조직하는 한편 전남도전을 세워 지방 미술의 발전을 주도하면서, 광주권 화단에 구상 회화의 화풍을 정착시켰다.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초대작가 등을 역임하였고 1976년에는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초가집으로 앞면 4칸·옆면 1칸 규모인 이 집은 앞과 뒤에 툇마루가 딸려 있다. 전면에는 4각기둥을, 뒷면에는 둥근기둥을 세웠으며 화실로 사용한 6평 정도 크기의 문간채는 북쪽에 빛이 잘 들어오게 만든 채광창이 있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다. 이 가옥은 원래 100여년 전의 건물이었으나 퇴락하여 1986년에 전면적으로 수리하였다. 한국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오지호 선생이 작품에 전념하던 곳으로 선생의 작업과 삶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다. = = 참고 자료 = = * * = 아밀카르 = 아밀카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밀카르 카브랄: 기니비사우의 농업 기술자, 작가, 혁명가 아밀카르 엔리케스: 파나마의 축구 선수 = 분류:카탈루냐어 신문 = = 분류:웨스트코스트 지방 출신 = = 간몬교 = 간몬 교는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와 기타큐슈시 모지구를 잇는 현수교, 혹은 그 다리를 지나는 고속도로(고속자동차국도)의 통칭이다. = = 개설 = = 1973년 11월 14일에 개통하였고 1984년 3월 27일에 규슈 자동차도와 연결되었다. 세계에서 34번째로 긴 현수교로, 중앙 지간은 712 m이다. 개통 이전까지 최장 교량이었던 와카토 대교를 길이에서 능가했으며, 1983년에 인노시마 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 일본 최장의 다리였다. 형식은 표준적인 3경간의 현수교이며, 보강형은 트러스이다. 교량 등의 방식법에는 용사(溶射)가 채용되었다. 간몬 해협은 대형 선박도 항행하는 중요 항로인 관계로, 다리에서 해면까지는 61 m의 높이를 확보하고 있다. 1973년도 토목학회 다나카 상(작품부문)을 수상하였다. 교량의 전후 구간을 포함하는 시모노세키 나들목 ~ 모지 나들목 간 고속도로의 법정노선명은 간몬 자동차도이며, 정식으로는 주고쿠 자동차도도 규슈 자동차도도 아닌, "국토개발간선 자동차도 이외의 지정 고속도로"이다. 단, 이 구간의 거리표 표지 및 나들목 번호는 후키다 분기점(주고쿠 자동차도 기점)부터의 통산이며, 일반도로에서의 각 나들목의 안내 표지도 "주고쿠 자동차도·규슈 자동차도"라고 표기되며, "간몬 교·간몬 자동차도"로는 표기되지 않는다. 그 외 지도 등에서는 "간몬 교" 또는 "관몬 자동차도"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고액의 건설 비용이 투입된 점, 국도 제2호선 간몬 터널로의 교통량 분산을 위하여, 간몬 교를 포함하는 시모노세키 나들목 ~ 모지코 나들목 간의 통행요금은 개통 당초부터 오랫동안 보통차 기준 1 km당 64엔(통상 구간의 약 2.6배)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2011년 8월 1일 ~ 2014년 3월 31일 간의 기간 한정으로 통상 구간과 같은 통행요금으로 통행료가 대폭 인하되었다. 이후에는 본래 요금에 소비세 인상분을 반영한 새 요금제가 적용되었다. 간몬 해협을 횡단하는 육상 교통 수단으로서는 유일하게 지상에 있으며(산요 본선, 국도 2호선, 산요 신칸센은 해저 터널),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를 구성한다. 전 구간 80km/h의 속도 제한이 있다. 시모노세키 나들목 ~ 모지코 나들목은 편도 3차로이다. = = 주요 접속 도로 = = 주고쿠 자동차도(시모노세키 나들목에서 직결) 간몬 터널(시모노세키 나들목에서 접속) 규슈 자동차도(모지 나들목에서 직결) 기타큐슈 고속 4호선(모지 나들목에서 접속) = = 역사 = = 1973년 11월 14일: 개통 1984년 3월 27일: 규슈 자동차도와 연결됨 = = 시설물 = = 번호의 배경색이 ■인 구간은 공식 구간이다. ○는 운용중인 버스 정류장이며, ◆는 휴지(休止)중인 버스 정류장이다. 번호 이름 일본어 이름 구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버스 정류장 소재지 소재지 비고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주고쿠 자동차도와 직결(스이다 분기점 및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 분기점 방면) 37 시모노세키 나들목 야마구치현도 제57호선야마구치현도 제258호선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 시모노세키 단노우라 버스 정류장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휴지(休止)중 - 단노우라 간이 휴게소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후쿠오카 방면 - 간몬 교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총연장 1,068m - 메카리 간이 휴게소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히로시마 방면 설치모지코 나들목으로부터 유입 불가 - 메카리 터널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상행 520m하행 580m모지코 나들목 출입로 630m 38 모지코 나들목/버스 정류장 후쿠오카현도 72호선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히로시마 방면 출입로 - 오쿠보 터널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야마나카 터널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모지 나들목 기타큐슈 고속도로 제4호선후쿠오카현도 제72호선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규슈 자동차도와 직결(후쿠오카 나들목, 도스 분기점 방면) = = 관리구간 = = 서일본 고속도로(전구간이 서일본고속도로 규슈지사 시모노세키 관리사무소의 관리) = = 경유하는 지자체 =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 = = 교통량 = = 평일 24시간 교통량은 아래와 같다.(2005년도 일본 도로교통 센서스) 시모노세키 나들목 ~ 야마구치 현 기타큐슈 시계 : 28,837대 모지코 나들목 ~ 모지 나들목 : 26,446대 = = 주요 시설 = = 매카리 터널 모지 측 메카리 공원의 바로 아래에 터널이 통과하고 있다. 길이 : 520m(상행선), 580m(하행선), 630m(모지코 나들목 램프부) = = 간몬 국도 터널과의 관계 = = 간몬 교와 평행하는 국도 제2호선 간몬 국도 터널은 개통부터 반세기, 건설시작부터 70년 이상이 경과되었고, 노후화가 현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정기적으로 대규모 보수 사업을 되풀이해야할 필요가 있다. 보수 사업이 행하여져 간몬 국도 터널의 통행이 전면금지가 될 경우에는, 시모노세키 나들목 ~ 모지코 나들목과 모지 나들목에 한하여 국도 터널의 요금으로 간몬 교를 이용할 수 있다.가장 최근 나와 이 제도가 적용이 된 케이스는, 2009년 9월 1일부터 12월18일까지 행하여진, 간몬 터널 대규모 리프레쉬 공사에 따르는 것. 요사이는, 간몬 터널 회수권으로 간몬 교구간이 통과 가능해졌다. 또 인도도 대상이 되었기 때문, 보행자는 대행 버스, 125cc이하의 이륜차는 대행 트럭편을 이용하고, 관문다리를 통하는 것이 되었다. 반대로 태풍 등에 의해 간몬교의 통행이 금지될 경우에는 국도 터널을 임시도로로 하는 경우가 있다. 국도 터널을 통해도 간몬 교를 통과한 것과 간주되어 국도 터널의 요금을 달리 청구될 일은 없다.단, 간몬 교가 통행금지가 되었을 경우에는 위험물적재차량에 대해서는 간몬 국도 터널이 위험물적재차량 통행금지이기 때문에, 간몬 해협 페리를 이용하게 된다.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03조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03조는 피고인의 최후진술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 Barrett = Barrett는 1970년 11월 14일에 발매된 시드 배럿의 음반이다. 하비스트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빈켈 암 취리히제역 = 빈켈 암 취리히제역은 스위스 취리히 호수 유역 근처 에를렌바흐 시의 기차역이다. 역은 취리히호 우안선에 있다. = 분류:우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이상철 (1924년) = 이상철(Lee Sang-Chul, 1924년 2월 29일~2017년 1월 28일)은 캐나다연합교회의 제32대 총회장이자, 아시아계 최초로 해당 직책을 맡은 인물이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빅토리아에서 열린 캐나다연합교회 제32차 총회에서 선출되었다. = 그녀가 보고 있다 = 그녀가 보고 있다는 2005년 4월 1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이다. = = 줄거리 = = 민재는 성형외과 의사이며 시각장애인인 아내 연희의 손발이 되어 살아왔다. 하지만 민재는 이런 생활에 지쳐 2년 전부터 병원에 같이 근무하는 간호사 지영과 불륜 관계를 가져왔다. 그러던 어느 밤, 민재는 지영과 호텔에서 시간을 보낸 뒤 집으로 오던 길에 한 여자를 차로 치는 사고를 낸다. 그리나 죽음에 이른 여자를 방치한 채 민재는 뺑소니를 치게 된다. 한편, 연희는 각막 기증자가 나타나주길 기다리던 차에 마침내 주치의로부터 기증자가 나타났다는 전화를 받는다. 연희는 성공리에 이식 수술을 받고 잃었던 시력을 되찾자, 고마운 마음에 각막 기증자인 죽은 여자의 남편을 만나러 간다. 그리고 기증자가 교통사고 뺑소니로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이 사실을 민재에게 말한다. 민재는 자신이 낸 사고임을 알게되면서부터 계속 죽은 여자 인애의 환영을 보게되고 괴로워한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정유석 : 민재 역 - 성형외과 의사 이주희 : 연희 역 - 민재의 아내, 시각장애인 조안 : 지영 역 - 병원 간호사 = = = 그 외 인물 = = = 성동일 신은경 정수형 김보현 이경미 이홍석 임지민 (아역)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19년 3월/그림 = }} 2019-03 그림 2019-03 = 유격수 = 유격수(遊擊手)는 야구에서 2루수와 3루수 사이에 있는 수비수를 말한다. 보통 2루 베이스와 3루 베이스 사이에 있으며, 수비 부담 정도가 타 포지션에 비해 높은 편이다. 영어로는 쇼트스톱(short stop) 또는 쇼트필더(short fielder)라고도 한다. 주로 팀에서 발이 빠르고, 송구 능력이 뛰어나고, 수비 범위가 넓고, 센스가 뛰어난 선수를 유격수 포지션에 배치한다. 2루수와 유격수의 조합을 야구용어로 키스톤 콤비네이션(Keystone Combination)이라고 한다. 유격수는 643 병살의 주도자이므로 공을 빨리 꺼내어 송구하기 위해 글러브의 크기가 다른 내야수에 비해 작다. = = 유격수의 역할 = = 보통 정면의 땅볼이나 뜬공을 잡아내서 타자나 주자를 아웃시킨다. 2루 베이스 커버와 2, 3루수 백업, 더블플레이 중계 등도 한다. = 분류:모리타니의 분야별 역사 = = 주동초등학교 = 주동초등학교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4년 11월 26일 주촌국민학교 주동분교장 설립인가 1967년 11월 1일 주동국민학교 개교 1971년 3월 1일 2층 2교실 증축 1979년 9월 27일 복지학교 가꾸기 공로학교 선정 1980년 12월 5일 복지학교 가꾸기 교육환경개선 우수학교 선정 1983년 2월 20일 자연과 우수학교 선정 1984년 9월 1일 주동국민학교병설유치원 개설 1989년 9월 26일 본관 7개 교실 준공 1990년 11월 26일 도 선정 근검·협동 우수학교 1994년 11월 24일 도 선정 음악과 우수학교 1996년 3월 2일 학교 급식소 개관 1997년 3월 1일 주동초등학교로 개칭 1999년 12월 23일 학교교육계획 실천 도 우수학교 선정 2011년 11월 3일 도서실(책놀이터) 구축 2012년 2월 29일 창의경영학교(학력향상형) 운영 2012년 4월 1일 도 선정 농산어촌 작은학교 살리기 운영 2013년 12월 30일 경상남도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2014년 2월 17일 보건실 현대화 사업 완료 2014년 3월 1일 경상남도교육청 예비꿈나르미학교 선정 2014년 8월 25일 과학실 현대화 사업 완료 2015년 2월 17일 제47회 8명 졸업(총 1,768명) 2015년 3월 1일 제20대 이종훈 교장선생님 부임 2019년 2월 28일 폐교 및 주촌초등학교와 통합 = 흥덕구 (동음이의) = 흥덕구는 다음을 가리킨다. 흥덕구(興德區)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북서부에 있는 구이다. = = 선거구 = = 청주시 흥덕구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청주시 흥덕구 (2016년 선거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016년 신설) 청주시 흥덕구 (1996년 선거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1996년 신설, 2004년 폐지) = 장피에르 카스탈디 = 장피에르 카스탈디(Jean-Pierre Castaldi, 1944년 10월 1일 ~ )는 프랑스의 배우이다. 그르노블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아스테릭스: 미션 올림픽 게임 (2008년) 집들이 (2005년) 조지 앤 더 드래곤 (2004년) 내 아내 이름은 모리스 (2002, Ma femme s'appelle Maurice) 익스트림 OPS (2002년) 퀵샌드 (2001년) 머스킷티어 (2001년) 아스테릭스 (1999년) - 카이우스 보누스 역 굿 캅스 (1994년) 마이 뉴 파트너 2 (1990, Ripoux contre ripoux) 소파 승진 (1990년) 80일간의 세계일주 (1989년) 며칠만 나와 함께 (1988, Quelques jours avec moi) 투 머치 (1984년) 의문의 호출 (1982년)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1981년) 007 문레이커 (1979년) 프렌치 커넥션 2 (1975년) 마지막 열차 (1973년) 크리스마스 트리 (1969, L'Arbre de Noël) = 카르데날레스 델 라라 = 카르데날레스 데 라라 (Cardenales de Lara)는 베네수엘라 라라 주 바르키시메토에 위치한 프로 야구팀이다. 베네수엘라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소속이며, 에스타디오 안토니오 에레라 구티에레즈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리그 4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 야구단 정보 = = 투수 루이스 아빌란 · 자렛 그루베 · 라울 리베로 · 요에르비스 메디나 · 호세 히메네스 · 리차드 카스티요 · 모이세스 에르난데즈 · 쟈니 몬토야 · 에드윈 에스코바르 · 비센테 캄포스 · 안젤 크로타 · 브라이언 스웨네이 · - 닉 그린 · 세살 히메네스 · 스캇 패터슨 · 저스틴 카셀 · 후안 링컨 · 로물로 산체스 포수 앤더슨 델 라 로사 · 기예르모 키로스 · 호세 예페즈 내야수 토마스 페레즈 · 루이스 발부에나 · 구이르더 로드리게스 · 오스왈도 바가로 · 루이스 히메네스 · 호세 케레스티노 로페즈 · 알시데스 에스코바르 외야수 로버트 페레즈 · 마리오 예페즈 · 헤르만 이리버렌 · 죠 터스턴 · 조한 리몬타 =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盈德 莊陸寺 乾漆觀音菩薩坐像)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장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다. 1989년 4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93호 '영덕장육사건칠보살좌상'으로 지정되었다가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 개요 = = 경상북도 영덕군 장육사에 있는 높이 86cm의 조선 초기 건칠보살좌상이다. 건칠불이란 진흙으로 속을 만들어 삼베를 감고 그 위에 진흙가루를 발라 묻힌 다음 속을 빼어버린 것이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원문(願文)과 개금묵서명(改金墨書銘)을 통해 홍무 28년(태조 4년, 1395)에 영해부의 관리들과 마을 사람들의 시주로 만들었고, 영락 5년(태종 7년, 1407)에 다시 금칠하였음이 밝혀졌다. 얼굴은 사각형인데 눈이 치켜 올라갔고 코도 날카로우며 표정이 완고하다. 상체는 앞으로 깊게 숙였지만 비교적 건장한 편인데 사각형이면서도 어깨가 자연스럽고 가슴의 양감도 어느 정도 드러나 있는 편이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고, 왼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역시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다. 14세기 초의 보살상에 비해 장식성이 더욱 강조되어 가슴의 목걸이 이외에 소매, 배, 다리에까지 구슬장식이 화려하게 조각되어 번잡스럽다는 느낌이 든다. 양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가슴을 트이게 하고 가슴에는 속옷과 바지의 매듭을 나타내고 있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보살상으로 이후에 만들어진 대구 파계사 목조관음보살상(1447년), 영천 은해사 운부암청동보살좌상(1516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있어서 고려말 조선초 보살상들의 연대 추정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 = 참고 자료 = = *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분류:샤프톤 레코드의 아티스트 = = 사우디의 헤자즈 정복 = 사우디의 헤자즈 정복, 또는 제2차 사우디-하심 전쟁은 사우디의 술탄 압둘라지즈 이븐 사우드가 하심가의 헤자즈를 차지하기 위해 1924년에서 1925년까지 벌인 전쟁으로서, 헤자즈가 정복당해 사우디 영토 안으로 편입되며 끝이 난다. = = 배경 = = 1924년의 전쟁은 하심가의 헤자즈와 사우디 가문의 리야드 (네지드) 사이에 1919년의 1차 사우디-하심 전쟁에서 촉발된 역사적 갈등의 연장선이다. = = 전개 과정 = = 헤자즈 왕국이 성지를 방문하기 위한 네지드 순례객의 입국을 허가하지 않음으로써 다시 한 번 네지드와 헤자즈는 전쟁이 시작하게 된다. 1924년 8월 29일, 이반 사우드는 그의 군사들을 큰 충돌 없이 헤자즈의 타이프 방면으로 전격 시킨다. 그리고 타이프의 함락에 따라, 사우디군과 이크완 부족 연합군은 메카로 이동한다. 그러자, 샤리프 후세인은 영국에게 지원을 요청하지만 영국은 종교적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하며 거절한다.설상가상으로 트란스요르단의 압둘라 왕에게 요청한 지원 역시 거절되자, 후세인 빈 알리는 그와 동시에 메카에서 제다로 도피하였다. 그로 인해, 결국 메카는 1924년 10월 13일 큰 충돌 없이 점령되었다.1924년 10월 29일 리야드에서 개최된 이슬람 회담에서 범이슬람 세계는 메카에 대한 이븐 사우드의 관할권을 인정한다. 사우디군의 진군과 함께 제다가 봉쇄되자, 헤자즈군은 와해되기 시작한다.메디나는 1925년 12월 12일 결국 항복하고 얀부 역시 그로부터 12일 후 함락된다. 1925년 12월 제다는 네지드의 술탄 압둘라지즈와 사우디 군에게 점령되었고, 도시의 지도자인 셰이크 압둘라 알리레자에 의해 빈 알리 왕, 압둘라지즈 술탄, 영국 영사 간 항복과 안전한 통행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그 후 1926년, 1월 8일 사우디 군은 제다에 입성했다. = = 결과 = = 헤자즈 왕국을 성공적으로 정복함으로써,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자신을 헤자즈의 왕으로 선언하였다. 그리고 이 왕국은 이후에 이븐 사우드가 지도자인 네지드-헤자즈 왕국에 합병된다. 헤자즈의 왕 후세인은 키프로스로 도망가면서, 자신의 아들인 알리 빈 후세인을 헤자즈의 왕으로 선포했지만, 왕국이 몰락하면서 왕조 전체가 다 추방되었다. 허나 하심가는 여전히 트란스요르단 토후국과 이라크 왕국을 다스릴 수 있었다. = 메토프 = 고대 건축에서, 메토프(μετόπη)는 도리스 양식 프리즈에서 두 트리글리프 사이 공간을 채우는 사각형의 건축 패널 요소로, 프리즈는 아키트레이브 위에 트리글리프와 메토프가 번갈아 나타나는 장식적인 띠이다. 메토프는 종종 채색화나 부조 조각으로 꾸몄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켄타우로스와 라피타이 간의 전투를 묘사한 파르테논 대리석 조각군의 92 메토프를 들 수 있다. 메토프에 그려진 채색화의 대부분은 사라졌지만, 원래 모습을 자세히 추측할 수 있는 충분한 흔적은 남아있다. = 가와와정 = 가와와정은 가나가와현 쓰즈키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현재의 요코하마시 쓰즈키구에 해당한다. = 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인 = = 분류:도시별 교통 시설 = = 분류:910년 사망 = = 창원군 (왕족) = 창원군 이성(昌原君 李晟, 1458년 ~ 1484년 9월 14일(음력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7대 임금 세조의 4남이자 서차남으로 막내아들이다. 생모는 근빈 박씨이다. 시호는 장소(章昭)이며 자는 광기(廣器)이다. = = 생애 = = 창원군의 어머니는 근빈 박씨(謹嬪 朴氏)로 그가 태어났을 무렵에는 아직 정1품 빈이 아니었다.박씨가 빈으로 진봉된 것은 1483년의 일이다 동복 형제로는 덕원군이 있다. 1467년 창원군으로 봉해졌다. 1472년 형 덕원군과 함께 회암사(檜巖寺)에 불공을 드리러 가 물의를 일으켰고, 그 전날에도 길에서 자신을 만난 사람이 말에서 내리지 않았다며 꾸짖고 욕을 하였다.성종실록 3년(1472) 3번째 기사 성종은 대신들의 간언에도 그에게 벌을 내리지 않았다. 이후에도 창원군은 종친이라는 신분을 구실로 제멋대로 불법을 자행했다.김태원, 경연 왕의 공부 역사비평사, 2011, p.48~p.50, 온양에 목욕하러 갔다가 여러 고을을 놀러다니며 수령들을 능욕하고 역마를 함부로 타니는 일이 발생해성종실록 8년(1477) 3월 5일 2번째 기사 성종은 그의 관노비를 회수하게 하였다.성종실록 8년(1477) 4월 11일 2번째 기사 이듬해 1월 11일, 모화관 동북쪽 인근(서대문밖)에서 여자의 변사체가 발견되었는데, 삼사(三司)의 수사에도 단서가 잡히지 않던 차에 창원군이 범인이라는 익명의 투서가 날아들었다.이남희, 클릭 조선왕조실록 다할미디어, 2008, p.30~p.32, 가외(加外)란 여종이 "자신의 팔촌 동생 고읍지(古邑之)가 음률을 조금 아는데 창원군의 집에서 관노비로 일하고 있다. 창원군이 고읍지를 간통하고자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가외로 하여금 시체를 확인하게 하니 고읍지였다. 삼사가 창원군에게 노비등록대장을 들이라고 요구했지만 창원군은 없다고 대답했고, 성종이 다시 내관을 보내 등록대장을 가져오게 하자 창원군은 이미 보냈다고 발뺌했다. 사간(司諫) 경준(慶俊) 등이 일전에 집을 수색하려 할 때에도 창원군이 거절하였고 흉기인 칼을 찾으려 하자 이 또한 거부하니 가두고 국문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성종이 창원군에게 징계를 내렸다.성종실록 9년(1478) 1월 28일 1번째 기사 추국을 해 보니 고읍지가 홍옥형(洪玉亨)이라는 자와 가까이 지내는 것을 질투한 창원군이 노비들을 시켜 고읍지를 처마에 매달아 죽였다는 것이 사건의 진상이었다. 창원군은 종친이라는 이유로 사형을 면하고 충청도 진천현(鎭川縣)에 부처하게 하려 했으나 대왕대비가 세조의 친아들들은 창원군 형제밖에 없는데 창원군을 멀리 보내는 것은 차마 못할 짓이라고 말려 결국 부처는 없던 일이 되었다.성종실록 9년(1478) 3월 13일 1번째 기사 부처 철회는 부당하다며 몇 번이나 상소가 올라왔지만 성종은 듣지 않았고 그 해 10월 4일에는 거두었던 직첩마저 돌려주었다. 창원군은 1484년 28 세의 나이로 죽었는데 시호를 여도(戾悼)라고 하였다. 여기서의 '여'는 지난 허물을 뉘우치지 않는다는 의미였는데성종실록 15년(1484) 8월 16일 1번째 기사 후에 어머니 근빈 박씨가 시호를 고쳐줄 것을 청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성종이 들어주지 않았다.성종실록 15년(1484) 10월 14일 1번째 기사 창원군은 정조 때에 장소공(章昭公)으로 시호가 추증되었다. = = 평가 = = 조선왕조실록에는 창원군에 대하여 어려서부터 방탕하였으며, 궁중의 예법을 따르지 않고 재상들을 자주 능욕하였으며, 정희왕후가 이를 책망하였으나 뉘우치지 못하고 노비를 살해하는 등 나라의 법을 어김이 많았다고 평하고 있다. = = 가족관계 = = 정부인으로는 덕양군부인 교하 노씨(德陽郡夫人 交河盧氏)와 1계부인인 광성군부인 광주 정씨(光城郡夫人 光州鄭氏), 2계부인인 군부인 청주 한씨(郡夫人 淸州韓氏)가 있다. 자녀로는 장남(양자)인 덕진군 활(德津君 濊)이 있다. 부 : 세조 모 : 근빈 박씨 형 : 덕원군 서(德源君 曙) 정부인 : 덕양군부인 교하 노씨(德陽郡夫人 交河盧氏) - 증찬성(贈贊成) 노호신(盧好愼)의 딸 장남(양자) : 덕진군 활(德津君 濊) - 형 덕원군의 아들 1계부인 : 광성군부인 광주 정씨(光城郡夫人 光州鄭氏) - 증좌찬성(贈左贊成) 정익(鄭益)의 딸 2계부인 : 군부인 청주 한씨(郡夫人 淸州韓氏) - 판관(判官) 한찬우(韓儹禹)의 딸 = 존도마현 = 존도마현은 부르키나파소 북부주에 위치한 현으로, 현도는 구르시이며 면적은 1,758km2, 인구는 322,873명(2006년 기준)이다. 4개 군(바시군, 부수군, 구르시군, 투고군)을 관할한다. = 복상 = 복상(卜商)은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자(字)는 자하(子夏)이다. 문학(文學)에있어서 자유와 함께 공자의 중요한 제자였다.논어 선진편 (위키문헌 논어/선진제십일 , 11-2)(위키문헌 사기) 열전-사기/권067 -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근면하고 배우기를 좋아했다고 평가된다. BC483년 그는 노나라로 건너와 공자에게서 수학하였다. BC476년 진나라 서하 지방(지금의 섬서성 위남시)으로 귀향했다. 시경에 조예가 깊었다. 주역을 주석및해설한 자하역전(子夏易傳)이 전하나위키문헌 자하역전 후대의 가감 및 위작이 거론되고있으며(위키문헌 中文)舊本題卜子夏撰。案說易之家。最古者莫若是書。其僞中生僞。至一至再而未已者。亦莫若是書。唐會要載開元七年詔。子夏易傳。近無習者。令儒官詳定。劉知幾議曰。漢志易有十三家。而無子夏作傳者。至梁阮氏七錄。始有子夏易六卷。或云韓嬰作。或云丁寬作。然據漢書韓易十二篇。丁易八篇。求其符合。事殊隳剌。必欲行用。深以爲疑。司馬貞議亦曰。案劉向七略。有子夏易傳。但此書不行已久。今所存多失眞本。荀勖中經簿云。子夏傳四卷。或云丁寬。是先達疑非子夏矣。又隋書經籍志云。子夏傳殘闕。梁六卷。今二卷。知其書錯繆多矣。又王儉七志引劉向七略云。易傳子夏韓氏嬰也。今題不稱韓氏。而載薛虞記。其質粗略。旨趣非遠。無益後學云云。是唐以前。所謂子夏傳。已爲僞本。晁說之傳易堂記又稱。今號爲子夏傳者。乃唐張弧之易。(案弧唐末爲大理寺評事。有素履子別著錄。)是唐時又一僞本並行。故宋國史志。以假託子夏易傳。與眞子夏易傳。兩列其目。而崇文總目。亦稱此書篇第。略依王氏。決非卜子夏之文也。朱彝尊經義考證。以陸德明經典釋文。李鼎祚周易集解。王應麟困學紀聞。所引皆今本所無。德明鼎祚。猶曰在張弧以前。應麟乃南宋末人。何以當日所見。與今本又異。然則令本又出僞託。不但非子夏書。亦並非張弧書矣。流傳既久。姑存以備一家云爾。 謹案唐徐堅初學記。以太宗御製升列歷代之前。蓋臣子尊君之大義。焦竑國史經籍志。朱彝尊經義考。並踵前規。臣等編摩四庫。初亦恭錄御定易經通注。御纂周易折中。御纂周易述義。弁冕諸經。仰蒙指示。命移冠國朝著述之首。俾尊卑有序。而時代不淆。聖度謙沖。酌中立憲。實爲千古之大公。謹恪遵彝訓。仍託始於子夏易傳。並發凡於此。著四庫之通例焉。 又案託名之書。有知其贗作之人者。有不知其贗作之人者。不能一一歸其時代。故漢書藝文志。仍從其所託之時代爲次。今亦悉從其例。 그러나 역사적 관례로 그의 저서로 언급되고 있다. 중국철학서전자와계획-子夏易傳欽定四庫全書本。本書11卷,拆分成4冊。 影印古籍 欽定四庫全書·經部一·易類 이극(李克), 오기(吳起), 서문표(西門豹)가 모두 자하(子夏)에게서 수학하였다. 논어에서 공자가 자하를 상(商)이라 칭하는 대목이 나온다. = = 배움 = = 子夏曰賢賢易色事父母能竭其力事君能致其身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 (論語 學而 第一) = = 예(禮) = = 手如柔荑,膚如凝脂,領如蝤蠐,齒如瓠犀,螓首蛾眉,巧笑倩兮,美目盻兮。 碩人敖敖,說于農郊,四牡有驕,朱幩鑣鑣,翟茀以朝,大夫夙退,無使君勞。 河水洋洋,北流活活,施罛濊濊,鱣鮪發發,葭菼揭揭,庶姜孽孽,庶士有朅。(위키문헌) 素以爲绚兮。何謂也? (논어 八佾 第三)위키문헌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地下鐵, )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의 지하철이다. 1955년 11월 15일에 첫 노선이 개통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레닌훈장을 수훈한 V.I.레닌 명칭 레닌그라드 지하철이라는 이름이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처럼 화려한 내부 장식으로 이름이 높다. = = 노선 =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에는 총 5개의 노선이 있다. 노선 노선명 러시아어 첫 개장 거리 역 키롭스코 비보륵스카야 선 Кировско-Выборгская 1955년 29.7 km 19역 모스콥스코 페트로그라츠카야 선 Московско-Петроградская 1961년 30.1 km 18역 넵스코 바실레오스트롭스카야 선 Невско-Василеостровская 1967년 27.6 km 12역 프라보베레즈나야 선 Правобережная 1985년 11.2 km 8역 프룬젠스코 프리모르스카야 선 Фрунзенско-Приморская линия 2008년 26.2 km 15역 총합: 124.8 km 72역 = = 역사 =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의 도시내 고속 교통 기관에 관한 최초의 계획은 적어도 1899년에는 존재했으며, 그것은 고가식 철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을 거치면서 러시아의 수도는 모스크바로 옮겨졌고 계획은 10년 이상 나오지 않았다. 1935년 모스크바 지하철의 개통을 계기로 1930년대 후반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하철 건설 계획은 다시 부상했다. 하지만 모스크바와 마찬가지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의 지하 구조물 굴착은 지하수와 지하 동굴 때문에 일반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현대적인 지하철망의 역사는 주요 철도의 터미널역을 모두 연결하는 노선 건설이 시작된 1940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계획은 지연되었고, 이 노선은 1955년 11월 15일에 개통되었다. 당초 구간에는 7개 역이 있으며, 몇 달 후에 8번째 역인 푸시킨스카야 역이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키롭스코 비보륵스카야 선의 일부가 되어, 당초에는 시 중심부의 모스크바 역(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모스크바와의 열차가 발착하는 역)과 시의 남서부에 있는 키롭스키 공업 지대를 연결하고 있었다. 계속해서 북쪽으로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1958년에는 네바강을 통과하는 구간이 개통되었고, 나아가 1970년대 중반에는 새로운 주택 개발이 진행되던 북쪽 구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비보륵스키 지구까지 건설되었다. 1978년에는 시의 경계를 넘어 레닌그라드주까지 연장되었다. 2번째 남북 노선인 모스콥스코 페트로그라츠카야 선 건설은 1번째 노선 개통 이후에 바로 시작되었으며, 1960년에는 테흐놀로기체스키 인스티투트 역- 파르크 포베디 역이 개통되었다. 1963년에는 고리콥스카야 역까지 북쪽으로 확장되었는데, 이때 테흐놀로기체스키 인스티투트 역이 소련에서 처음으로 대면 환승을 할 수 있는 역이 되었다. 모스콥스코 페트로그라츠카야 선은 1970년과 1972년에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1982년과 1988년에는 북쪽으로 연장되었다. 파르나스 역까지의 마지막 북쪽 연장 구간은 몇 차례의 지연을 거쳐 2006년에 개통되었다. 3번째 노선인 넵스코 바실레오스트롭스카야 선은 1967년에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어 1970년, 1979년, 1981년, 1984년에 여러 차례의 연장으로 바실리옙스키섬과 도시의 중심부, 남동부의 네바강 좌안에 있는 공업 지대가 연결되었다. 2018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2018년 FIFA 월드컵 경기장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까지 북쪽으로 연장되었다. 4번째 노선인 프라보베레즈나야 선은 1985년에 시가 중심부보다 먼저 네바강 우안에 형성된 새로운 주택지를 오가는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어 1991년에 시가 중심부에 도달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는 북서부 구간 연장 공사가 진핻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거친 지질은 종종 지하철 건설공사를 방해했다. 최악의 사례는 1970년대에 진행된 키롭스코 비보륵스카야 선의 터널 구간 공사 도중에 일어났는데 이는 네바강 지하에 동굴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기술자들은 어떻게든 터널을 완성했지만, 1995년에 이 구간의 터널은 폐쇄할 수밖에 없었고 레스나야 역-플로샤치 무제스토바 역 구간은 한동안 침수된 상태로 있었다. 9년 이상 동안 이 노선의 이북 구간은 지하철망 이외의 구간에서 물리적으로 분할되었고, 2004년 6월에 새로운 터널이 개통되면서 원래대로 회귀했다. 2008년에는 프라보베레즈나야 선의 일부가 분할되면서 새로운 5번째 노선인 프룬젠스코 프리모르스카야 선이 되었다. 프룬젠스코 프리모르스카야선은 북부에 위치한 프리모르스키 지구와 남부에 위치한 프룬첸스키 지구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 《화성-14》형 = 화성-14형은 북한의 ICBM이다. KN 코드로는 KN-20이다. = = 역사 = = 2019년을 기준으로 북핵문제와 관련해 이슈가 되는 ICBM은 화성 14호, 화성 15호이다. 미국의 유일한 ICBM LGM-30 미니트맨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미니트맨-3, 무게 35톤, 길이 18 m, 직경 1.7 m, 사거리 13,000 km, 475 kt 수소폭탄 3개 화성 14호, 무게 40톤, 1단 추력 40톤(백두산 엔진 1개), 길이 18 m, 직경 1.7 m, 사거리 10,000 km 화성 15호, 무게 70톤, 1단 추력 80톤(백두산 엔진 2개), 길이 22 m, 직경 2.4 m, 사거리 13,000 km 북한의 ICBM은 평양 산음동 병기연구소에서 최종 조립된다고 한다. 지상 연소시험은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한다.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지하 사일로 ICBM 기지는 회정리 미사일 기지 등 4곳이며, 이동식 ICBM 기지는 영저리 미사일 기지 등 3곳이 있다. 추력 80톤 백두산 엔진은 2016년에 지상 연소시험에 성공했다. 북한 방송이 크게 보도했다. 화성 13호는 2008년에 미국이 발견했다고 KN-08이라고 불리는데, 백두산 엔진이 개발되기 전이다. 2016년 9월 20일, 추력 80톤 백두산 엔진 지상 연소시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2017년 7월 4일, 화성 14호 1차 시험발사 2017년 7월 28일, 화성 14호 2차 시험발사 2017년 11월 29일, 화성 15호 1차 시험발사 지상형 ICBM은 선제핵공격인 제1격의 대표적인 수단이다. 현재 미국도 ICBM의 공중 요격은 불가능하여, 미사일 방어가 불가능하다. 오직 보복핵공격인 제2격만이 유일한 대응수단이다. 북한에서 화성 14호를 발사해 서울, 부산, LA, 뉴욕을 언제든지 공격할 수 있다. 정확한 사거리, 탄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LGM-30 미니트맨과 비교하면, 대략 500 kt 수소폭탄 3발을 뉴욕 워싱턴DC까지 공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에서 뉴욕, 워싱턴DC 까지는 10,500 km 정도 된다. 오래전부터 서울의 1천만명은 500 kt 수소폭탄 2발로 즉시 전멸한다고 알려져 있다. 스커드 SRBM, 노동 MRBM으로 서울을 핵공격하면 미사일 방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ICBM으로 고각발사해서 서울을 핵공격하면 미사일 방어 수단이 전혀 없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시험발사에서는, 서울에서 가장 가깝다는 삭간몰 미사일 기지에서 스커드 미사일로 서울을 핵공격할 경우에도, 한국과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가 작동하기 전인 2분 미만의 시간으로 핵공격이 완료된다고 보도되었다. = = 시험발사 = = = = = 1차 시험발사 = = = 2017년 7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화성-14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방현비행장 인근에서 발사되었으며, 미사일 발사정점고도는 2802 km, 비행거리 933 km로 39분간 비행하여 동해상 목표에 정확히 떨어졌다.北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성공", 연합뉴스, 2017-07-04 7월 23일 북한 노동신문은 화성 14호의 사거리가 6,400 km라고 주장했다.北 매체, 화성-14형 사거리 언급..."위협 극대화 의도", YTN, 2017-07-23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최소 사거리 5500 km이상인 ICBM은 정상고도 1200 km로 25분에서 30분간 비행해 만 km 안팎까지 날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전문가 "北미사일, 이론적으론 ICBM급…美하와이 타격 가능", 뉴스1, 2017-07-04 김정은이 직접 참관했으며, 3단 액체연료로 추정되는 화성 14형 미사일이 16 x 16 트럭에서 지상 발사장에 옮겨져서 발사되는 사진 여러장을 공개했다. 그동안 한미가 KN-08이라고 부르던 미사일이었다. 2008년 미국 정찰위성 포착 후 9년만에 실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7월 10일, 미 항공우주연구기관 에어로스페이스 존 실링 연구원은 38노스 기고문에서, 500 kg 핵탄두 하나를 탑재하면 화성 14호는 대략 9700 km 떨어진 미국 서부 샌디에이고까지 날아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2030년에 북한이 MIRV 다탄두 ICBM을 개발할 것으로 예측했다.미국 미사일전문가, "북한 화성-14형, 1~2년내 500kg 핵탄두 탑재한 후 9700km 비행해, 미 서부 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타격 가능", 중앙일보, 2017-07-11 7월 24일, 미국 브레이킹디펜스는 화성 14형의 크기가 너무 작다는 점을 지적했다. 화성-14형의 사거리는 5500km를 초과하지만 유용한 ICBM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따라서 화성-14형은 향후 2년에서 20년 사이에는 미 샌디에이고를 강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北 ICBM 화성-14형, 너무 작아 쓸모 없어" 美 국방 전문가 분석, 뉴시스, 2017-07-25 = = = 2차 시험발사 = = = 2017년 7월 28일 오후 11시 41분, 자강도 무평리에서 화성 14형을 발사했다. 최고고도 3,700 km, 비행거리 1000 km, 비행시간도 45분으로 1차 시험발사 보다 6분 이상 오래 날았다. 미국참여과학자연맹(UCS) 공동대표인 물리학자 겸 미사일 방어체계 전문가인 데이비드 라이트 박사는, 북한의 ICBM이 10,400 km의 사거리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며 LA는 물론 미 동부의 보스턴과 뉴욕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백악관이 있는 워싱턴 DC 근처까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북한 미사일 사거리 1만km 이상, 美 본토(뉴욕·워싱턴) 타격 가능", 부산일보, 2017-07-29 자강도 무평리는 전천군에 속한 행정구역이다. 전천군에는 장거리 미사일 기지인 52기지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미사일 부대인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중요기지 중 하나로 꼽히며 지하로 된 미사일 공장이 있는 곳으로 전해진다.[속보]북 발사 미사일은 추력 최대화한 ‘화성-14형’···사거리 1만km급 이상 추정, 경향신문, 2017-07-29 7월 29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서북부지대에서 발사된 '화성-14형'은 최대고도 3724.9 km까지 상승해 거리 998 km를 47분 12초간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또 "실제 최대 사거리 비행조건보다 더 가혹한 고각 발사체제에서의 재돌입 환경에서도 전투부의 유도 및 자세조종이 정확히 진행됐으며 수천°C의 고온조건에서도 전투부의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되고 핵탄두 폭발조종장치가 정상 동작하였다는 것을 확증했다"고도 했다.北 "'화성-14형' 발사 성공…美본토 사정권 입증"(종합), 뉴스1, 2017-07-29 김승조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1차 발사 때보다 연료를 더 많이 넣어 최대한 멀리 비행하도록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사거리 1만km, 시카고까지 核타격권… ‘재진입’ 관문만 남아, 동아일보, 2017-07-31 = = 시험발사 분석 = = = = = 3단 여부 = = =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일본 방위상은 화성-14형이 화성-12형의 파생형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1단 추진체로 구성된 발사체인 화성-12형을 2~3단 발사체로 확장했다는 의미다.[북한 “ICBM 발사 성공”]기존 ‘화성-12형’ 미사일, 2~3단 발사체로 확장한 듯, 경향신문, 2017-07-04 일본의 전 해상자위대 장성은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분석해 "이번 화성 14형 미사일은 액체 연료를 사용했고, 3단 로켓 형태로 비행 거리를 크게 늘렸다"고 설명했다.日 "北 미사일, 일본 본토 뛰어넘을 수도…중대한 위협", SBS, 2017-07-04 그러나 북한이 공개한 단분리 동영상에는 2단 분리만 나오기 때문에, 3단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 = = 사거리 = = = 신원식 전 합참차장은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는 최고 고도에 4를 곱하는 방식으로 추정한다"면서 "이 방식대로라면 1만km가 넘는다"고 말했다.北 ICBM '화성-14형' 사거리 8천km 넘을 듯…美 서부 타격 가능, SBS, 2017-07-04 방현비행장에서 워싱턴DC까지는 11,000 km, 뉴욕까지는 10,900 km 떨어져 있다. 미국 참여과학자연맹 소속 데이비드 라이트 박사는 북한의 ICBM은 샌프란시스코에 도달하려면 33∼34분, 워싱턴 D.C.와 뉴욕까지 날아가려면 38∼39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독일 민간 우주기술 및 로켓 상담회사인 ST 어낼리틱스의 마르쿠스 실러 박사는 북한의 ICBM이 30분 정도면 워싱턴 D.C.와 뉴욕에 도달할 수 있으며, 알래스카와 태평양사령부가 있는 미국의 하와이를 타격 목표로 삼을 경우 소요 시간은 25분 정도면 충분할 것이라고 추정했다.[글로벌 포커스] 美 주요 매체 긴급게재! 제2 한국전쟁 시나리오, 월간중앙, 2017년 7월호 북한은 화성 14형이 39분간 비행했다고 발표했는데, 39분 비행시간은 두 박사의 분석으로는 모두 미국 전역을 핵공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르쿠츠크주 지역에 배치한 보로네시 레이다가 탐지한 정보에 따르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ICBM이 아닌 IRBM으로, 약 14분 간 510km를 비행했다. 최고고도는 535km였다"고 밝혔다.러 “北 미사일은 IRBM” 보고서 안보리 제출…중러, 北원유금수 막기 위한 ‘외교전’, 헤럴드경제, 2017-07-10 = = KN-22 열핵탄두 = = 2017년 9월 3일, 김정은이 수소폭탄을 손으로 만지는 모습을 조선중앙TV가 보도하면서, 6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보도에서는 '화성-14형' 핵탄두 수소탄이라고 쓰여진 핵탄두 개념도와 은색의 핵탄두 모형을 공개했다. KN-22 열핵탄두이다. 미국은 6차 핵실험을 1.5 메가톤으로 추정하는데, 이는 W49 핵탄두와 같다. 직경 51 cm, 길이 137-147 cm, 무게 744-762 kg, 폭발력 1.44 메가톤이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비교하면 직경과 길이 등이 비슷한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공군 최초의 탄도 미사일 PGM-17 토르에는 W49 핵탄두 한발(750 kg)과 RV(250 kg)으로 구성된 1톤짜리 탄두가 장착되었다. = = SS-11 = = 화성 14호는 러시아 SS-11 ICBM과 비슷하다. SS-11은 2단 액체연료 미사일로, 1단 추력 80톤이다. 화성 14호도 추력 80톤 백두엔진 1개를 사용한다. SS-11은 4개 모델이 점차 개발, 배치되었다. 화성 14호, 길이 19.5 m, 직경 1.7 m, 무게 불확실, 사거리 12000 km 추정, SS-11, 길이 17-20 m, 직경 2.0 m, 무게 40-50톤, 사거리 12000 km, 탄두중량 1.2톤, 350 kt 핵탄두 6발 또는 1.2 Mt 1발 북한이 화성-14형 탄두라면서 수소폭탄을 공개했는데, 미국 등의 분석으로는 1 Mt이 넘어 보인다는 것인데, 그러면 정말 SS-11과 거의 똑같다는 의미이다. 화성 14호의 1단 엔진은 추력 80톤 백두엔진 1개에, 보조엔진 4개가 붙어서 추력 100톤이다. 그런데, SS-11도 메인엔진 1개에 작은 보조엔진 4개가 붙었다. 이마저도 똑같다. SS-11은 아직 MIRV 다탄두가 아니라, 저기술인 MRV 다탄두였다. 즉, 개별 탄두가 개별 목표물에 유도되는 방식이 아니라, 그냥 하나의 목표물에 여러발이 분산되어 떨어지는 방식이다. 비교 화성 14호 SS-11 Mod-1 SS-11 Mod-2 SS-11 Mod-3 SS-11 Mod-4 무게 33-37 톤 39.4-42.3 톤 50.1 톤 50.1 톤 50.1 톤 사거리 10400 km 12000 km 13000 km 12000 km 12000 km 탄두중량 1000 kg 800 kg 1200 kg 1200 kg 1200 kg MIRV 1x 1.5 Mt 1x 1.1 Mt 1x 1.2 Mt 3x 350 Kt 6x 350 Kt 러시아는 UR-100 패밀리가 세가지 버전이 있다. 그런데, 북한은 이 세버전을 다 만들었다. 북한이 아직 안 만든 것은 무게 200톤 SS-18 뿐이다. UR-100, 나토명 SS-11, 화성 14호 UR-100MR, 나토명 SS-17, 화성 15호 UR-100N, 나토명 SS-19, 화성 16호 비교 화성 14호 SS-11 Mod-4 화성 15호 SS-17 화성 16호 SS-19 Mod-3 무게 33-37 톤 50.1 톤 72 톤 71.2 톤 100 톤 105.6 톤 사거리 10400 km 12000 km 12000 km 10250 km 15000 km 10000 km 탄두중량 500-1000 kg 추정 1200 kg 500-1000 kg 추정 1200 kg 1500 kg 추정 4350 kg MIRV 1x 1.5 Mt 6x 350 Kt 1x 1.5 Mt 추정 4x 400 Kt 3-4x 800 Kt 추정 6x 400 Kt = 달빛 소나타 = 달빛 소나타는 대한민국의 SBS에 방송됐던 예능 프로그램이다. 시청률 저조로 인해 방송 3개월 만에 종영하였다. = = 방송 시간 = = 1996년 10월 15일 ~ 1997년 1월 28일 : 화요일 밤 11시 ~ 12시 = = 역대 진행자 = = 이영하 이영자 = = 에피소드 목록 = = *1996년 10월 15일 : 이승철, 강문영현재 이혼 후 재혼 부부 *1996년 10월 22일 : 이영범, 노유정파경으로 인해 현재 이혼했음. 부부 = 부산 아이파크 U-12 = 부산 아이파크 U-12팀은 부산 아이파크의 12세 이하 유스팀이다. = = 역사 = = 부산 아이파크의 U-12팀으로 최근 권혁규 선수와 같이 U-12팀 출신 선수들이 1군 성인 무대에 진출하여 자리 잡고 있다. = 분류:쿠웨이트의 법집행 = = 분류:코모로의 무척추동물 = 코모로 무척추동물 코모로 en:Category:Invertebrates of the Comoros = 분류:에너지의 단위 = = 분류:1836년 환경 = = 분류:장쑤성의 교통 = = 대주주 = 대주주란 기업의 주식을 많이 소유한 사람을 말하며, 가장 지분이 많은 사람은 최대주주라 일컫는다. 그 많다는 기준은 일상용어에서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으나, 세법상으로는 매 해 주식이 거래되는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의 합계액이 얼마 이상 혹은 시가총액의 특정 비율 이상인 사람을 대주주로 정의한다. = = 대주주의 판정 = = 대주주의 판정은 주주명부의 기록을 토대로 한다. 즉 결제일 기준으로 그 전해 12월의 장 마지막 날 가진 주식의 양으로 판단한다. 자세한 것은 주주명부에서 확인 가능하다. = = 세법상의 정의 = =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세법에서는, 대주주란 주주 1인과 기타 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 등의 합계 액이 1%(코스닥은 2%) 이상이거나 그 주식 등의 시가총액이 25억원(코스닥은 20억 원)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국세청 홈페이지, 2016 = = 양도시의 세금 = = 상장주식의 경우 일반 주주가 주식을 매도할 때는 증권거래세(매도금액 x ( 거래세 0.15% + 농특세 0.15% ))만을 징수하나, 대주주가 주식을 매도할 때는 추가로 양도소득세를 징수한다. 대주주가 된 당해 주식을 매도하면 30%의 양도소득세를, 그 다음 해 매도하면 20%의 양도소득세를 징수한다. 이는 국세만을 계산한 것으로, 지방세를 합치면 대주주의 입장에서는 각각 33%와 22%의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국세청이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세금의 진실(2014 최신 세법 반영, 전면 개정판), 류성현, 2014, 리더스북 = 아쇼케 센 = 아쇼케 센(, , 1956년 ~)배사는 인도의 이론물리학자이다. 그는 끈이론의 여러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대표적으로는 끈의 상호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한 강-약 결합 이중성 혹은 S이중성에 관한 논문 이 있으며, 불안정한 D막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였고 그러한 막 위에서의 열린 끈 타키온 응축에 대한 유명한 가설을 주창하였다. 또한 구르는 타키온에 대한 그의 설명 은 끈 우주론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끈 장론에 관한 많은 주요 논문들을 공저하기도 했다. 현재 그의 200여 편에 이르는 연구 논문 중에 40개 이상의 논문이 100회 이상의 인용 횟수를 가지고 있다. = = 학력 = = 1972년~1975년: 콜카타 프레지던시 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75년~1976년: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 물리학과 (석사) 뉴욕 스토니브룩 대학교 물리학과 (박사) = = 생애 = = 센은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구 경력의 초기에는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연구과학자로 지냈다. 이후 인도의 타타 기초 연구소(TIFR)를 거쳐 현재는 하리쉬-찬드라 연구소(HRI)에 있다. 그는 HRI의 응집물질물리학자 수마티 라오와 결혼하였다. 1989년에 ICTP 상을 수상 하였으며 1994년에는 샨티 스와럽 바트나가 과학기술상, 2001년에는 파드마 쉬리를 받았다. 1998년에 영국의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 = 천하장사 임꺽정 = "천하장사 임꺽정"은 1968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신영균 박노식 윤정희 이예춘 태현실 김운하 김효진 양훈 도금봉 김순철 최왕 임해림 황백 하룡 윤일주 태무진 문미봉 = 안동 김씨 성보 = 안동김씨성보(安東金氏姓譜)는 대전광역시 중구 한국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족보이다. 2012년 1월 9일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대전광역시 고시 제2012-4호,대전광역시 문화재 지정고시, 대전광역시장, 2012-01-09 = = 개요 = = 조선 초기에 작성된 ‘동성보’로 양식적으로 조선 후기 족보와 좋은 비교 연구 자료가 되며, 조선시대 씨족사와 족보학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연구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재이다. = = 참고 자료 = = * * = 할라파소나무밭쥐 = 할라파소나무밭쥐(Microtus quasiater)는 밭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멕시코에서만 발견된다. = = 분포 및 서식지 = = 멕시코 토착종으로 해발 700~2,150m의 시에라 마드레 오리엔탈 산맥 동쪽 경사면에서 발견된다. = 김민채 (1978년) = 김민채(1978년 5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 = 학력 = = 박문여자고등학교 (졸업) = = 음반 = = 2004년 1집 라모르 (김소리 활동) 2006년 2집 땡큐 내 사랑 2010년 수상한 삼형제 OST 2011년 사랑을 믿어요 OST 2013년 3집 빙빙빙 2015년 4집 싸인해주세요 2017년 5집 줄다리기 2018년 Again = = 수상 = = 2001년 서울시장기 사격대회 준우승 2005년 고운봉가요제 신인가수상 2015년 제30회 가요창작인의 날 신인여가수상 수상 = 보트니아선 = 보트니아선은 스웨덴 북부에 있는 고속선이다. 크람포르스 공항에서 시작하여, 외른셸스비크를 거쳐서 우메오로 향하며, 총 영업 거리는 190km이다. 2010년 개통하였으며,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250km이다. = = 개요 = = 2010년 8월에 완공되었고, 스웨덴에서 설계 최고 속도가 가장 높은 노선이다. 크람포르스 공항에서 시작하여, 외른셸스비크를 경유하여 우메오로 간다. 총 140개의 다리가 있으며, 터널 구간은 25km이다. 노선 건설은 보트니아바난 AB에서 주도하였으며, 스웨덴 정부에서 91%, 크람포르스, 외른셸스비크, 노르말링, 우메오 지역 정부에서 총합 9%를 소유하고 있다. 1999년 착공하였으며, 2005년 절반 정도 끝났다. 2010년 완공 이후 반베르케트에 위탁 관리 중이다. 보트니아바난 AB에서 투자금을 회수하는 대로 스웨덴 정부로 관리권이 이양될 예정이다. 건설 예산은 15억 스웨덴 크로나이다. 보트니아 선이 완공되면 유럽 도로 E4의 교통량을 분산할 예정이다. 2010년 8월부터 승객 수송을 시작할 예정이며, 우메오-외른셸스비크 간만 영업할 예정이다. 보트니아 선과 연결되는 오달스 선이 2011년 8월 완공될 예정이며, 완공 이후 외른셸스비크 이남으로도 열차를 운행할 예정이다. = = 목적 = = 스웨덴 북부에 있는 기존 노선은 내륙을 따라 달리기 때문에 구배가 많고 속도가 낮으며, 이 때문에 선로 용량이 항상 부족하였다. 따라서 스웨덴 북부 해안을 달리는 노선의 필요성은 오랫동안 제기되었다. 보트니아 선은 이 지역의 교통을 개선할 예정이며, 우메오부터 외른셸스비크까지 열차 운행 시간을 1시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 = = 건설 표준 = = 복선 노반을 확보한 단선으로 건설하였으며, 교행역은 총 22개 있다. 최대 축중은 시속 120km에서 25t(화물 열차)이며, 여객 열차는 최대 시속 250km까지 허용된다. 최소 곡률 반경은 3200m이며, 외른셸스비크 시내에서는 600m까지 작아지며, 일부 2000~2500m인 지역도 있다. 최대 구배는 10퍼밀이다. = = 보호 구역 건설 지연 = = 2008년 중부가 완공되었고, 2009년 10월 남부가 완공되었다. 우메오 근처 북쪽 구간은 우메 강의 환경 보호 구역을 지날 예정이었기 때문에 다리의 위치를 놓고 법정 심판까지 올라갔다. 대안으로 제시한 위치는 우메오 공항과 매우 가까워서 안전 문제가 있었고, 공항과 강 아래를 지나는 터널은 건설 비용이 비쌌다. 남쪽으로 둘러가도록 건설하면 노선 길이도 길어지며 건설 비용도 올라간다. 노선 선정이 완료된 몇 년 후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는 사실이 재판의 초점이었다. 연선의 최대 도시 우메오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승객 수송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화물 열차는 개통 전 일부 완공된 구간을 이용하였다. = = 시간, 거리, 속도 = = 운행 계통 시간 거리 평균 속도 외른셸스비크-우메오 0:40 112 km 165 km/h (IC) 크림포르스-외른셸스비크 0:35 86 km 150 km/h (IC) 순스발-우메오 2:20 300 km 130 km/h 외른셸스비크-우메오 0:55 112 km 120 km/h (R) 스톡홀름-우메오 5:40 680 km 120 km/h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250km이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허용하는 단선 철도이다. 초기에는 시속 180-200km로 달리다가, 이후 증속할 예정이다. 보트니아 선은 스웨덴 최초로 ERTMS 레벨 2를 적용한 노선이며, 남부 구간에서 시속 289km까지 시험 운행에 성공하였다. 현재 스웨덴의 ATC 신호는 시속 210km까지만 허용한다. 2008년 10월 최고 속도 180km까지 낼 수 있는 알스톰 코라디아 계열 열차를 발주하였다. 2011년 반입될 예정이기 때문에, 2010년 8월 개통 때에는 레지나 계열 열차를 대여하여 우메오-외른셸스비크 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2011년 가을 이후에 순스발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SJ에서는 2010년 8월부터 스톡홀름-나르비크, 예테보리-룰레오 간 야간 열차를 이 노선으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ERTMS 문제 때문에 지연되었다. = = 역 목록 = = 계획된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오달 선 순스발 C 팀로 헤르뇌산드 크람포르스 보트니아 선 외른셸스비크 C 외른셸스비크 N 후숨 노르말링 회르네포르스 우메오 Ö 우메오 C 일부 열차는 중간역을 통과한다. 가장 많이 사용될 역은 우메오 외스트라 역으로 예측되며, 우메오 대학교와 병원과 가깝기 때문이다. 크람포르스 공항 터미널과는 1km 떨어져 있으므로 정차하지 않을 예정이다. = = 오달스 선 = = 보트니아 선은 오달스 선과 크람포르스 공항에서 연결되며, 순스발까지 거리는 101km이다. 1890년부터 1925년까지 건설되었으며, 선로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므로 화물 열차만 운행한다. 오달스 선을 개선하는 공사가 같이 진행 중이다. 시속 100-160km까지 증속할 예정이며, 선로, 전차선, 신호 시스템을 개선하고 평면 건널목을 개선할 예정이다. 헤르뇌산드 북부 29km 정도는 보트니아 선과 같은 기준으로 신선을 건설할 예정이다. = = 기존 본선 = = 기존선 스탐바난 예놈 외브레 노를란드(Stambanan genom övre Norrland)는 브레케와 보덴 사이를 운행하며, 1880년부터 1895년까지 건설되었다. 당시 군용기가 없었기 때문에 국방상의 이유로 해안가에서 30-100km 떨어진 곳에 건설하였다. 곡선과 구배가 많기 때문에 화물 노선으로 전환할 예정이고, 여객 열차는 일부만 남길 예정이다. = = 노르보트니아 선 = = 노르보트니아 선은 룰레오까지의 연장선이며, 현재 계획 단계이다. 영업 거리는 보트니아 선보다 더 긴 270km이다. 노선은 확정되었으며, 2020년 주변에 착공할 예정이나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노르보트니아 선과 보트니아 선 둘 다 교통량을 분산할 예정이며, 버스보다 더 빠르게 운행한다. = 분류:나라별 조로아스터교 = = 분류:뮤직뱅크 = = Paradise Lost (심포니 엑스의 음반) = Paradise Lost는 2007년 6월 26일에 발매된 심포니 엑스의 음반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고생물학 = = 분류:19세기 아제르바이잔 사람 = 19 아제르바이잔 사람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 분류:노르웨이의 정치 단체 = = 분류:식균아목 = = 분류:1997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 바라밀 =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한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된다. 이 바라밀의 행에는 6종이 있으며, 대승보살의 실천 덕목으로되어 있었다. 6종의 행이란, (1) 재시(財施)·법시(法施:진리를 가르침)·무외시(無畏施:공포를 제거하고 마음을 안정시킴)로 이루어지는 보시(布施). (2) 계율을 지키고 항상 자기반성을 하여 행실을 규율하는 지계(持戒). (3) 고난을 이겨 내는 인욕(忍辱:본래는 법을 진실로 인정하고 이에 복종하는 것). (4) 보살로서의 수행의 길을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정진(精進). (5) 마음을 안정시켜 거기서 올바른 지혜를 낳게 하는 선정(禪定). (6) 진실하고 올바른 지혜를 작용시키는 반야(般若)를 말한다. 이들 덕목은 우선 '주는 것'을 강조하고 최후에 지혜의 완성을 말하고 있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최후의 지혜로서 다른 5행(五行)은 이에 바탕을 둔 것으로 결국 보살의 행이란 지혜에 의거한 자비행(慈悲行)이라는 것이 된다."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바라밀은 미망과 생사의 차안(此岸: 이 언덕)에서 해탈과 열반의 피안(彼岸: 저 언덕)에 이르는 것이며, 또한 이를 위해 보살이 닦는 덕목수행실천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바라밀은 뜻에 따라 번역하여 도피안(到彼岸) 또는 도(度)라고도 한다.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바라밀: 波羅蜜 범어 파라미타의 음을 딴 말로 도피안(到波岸)·도(度) 등으로 번역한다. 미망과 생사의 차안에서 해탈, 열반의 피안에 이르는 것. 또한 그 때문에 보살이 수(修)하는 행(行)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반야경전>에서 설법하는 6바라밀(六波羅蜜), 즉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여섯을 말하며, 마지막의 지혜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이라고도 하여 다른 다섯을 성립시키는 근거인 무분별지(無分別智)이다. 6바라밀에 방편(方便)·원(願)·역(力)·지(智)의 넷을 더한 10바라밀이나 그와는 별도로 4바라밀 등도 설법되고 있다." 도피안(到彼岸: 피안에 이르다)은 열반이라는 이상적인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도(度)는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적인 상태인 피안(彼岸)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덕목수행 또는 실천이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대승불교의 주요 논서 중 하나인 대지도론(大智度論)의 도(度)는 빠라미따(Paramita)의 번역어이다. 대표적인 바라밀들로는 반야경에서 설법하는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6바라밀(六波羅蜜)이 있다. 이 중에서 마지막의 지혜 바라밀은 반야 바라밀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다섯 바라밀을 성립시키는 근거인 무분별지(無分別智)이다. 또한, 6바라밀에 방편(方便)원(願)역(力)지(智)의 네 가지 바라밀을 더한 10바라밀(十波羅密: ① 보시 · ② 지계 · ③ 출리 · ④ 지혜 · ⑤ 정진 · ⑥ 인욕 · ⑦ 진실 · ⑧ 결의 · ⑨ 자애 · ⑩ 평온)이 있으며, 6바라밀10바라밀과는 별도의 4바라밀(四波羅蜜) 등도 설법되고 있다. 6바라밀 등은 대승불교의 보살의 실천 덕목으로 되어 있다. = =반야와 6바라밀 = = 초기 불교에서도 제행무상일체개고제법무아를 반야에 의해서 안다고 주장하지만, 반야는 대승불교에서 특히 중요시되었다. 반야는 대승불교에서는 보살이 수행하는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6바라밀(六派羅蜜) 중 반야바라밀 또는 지혜바라밀로 설법되고 있으며, 나머지 다섯 바라밀을 성립시키는 근거로 여겨져 중요시되고 있다. 역으로, 선정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이 발현되게 하는 직접적인 수단 또는 원인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또한 반야는 "모든 부처(諸佛)의 어머니(즉, 성불의 원인)"라 불리며, 이러한 교의는 많은 반야경을 비롯한 대승경전이나 논서에서 널리 강조되고 있다.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반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반야: 般若 범어의 프라주나의 음을 딴 말로서 '지혜'라 번역된다. 모든 사물이나 도리를 명확하게 뚫어보는 깊은 통찰력을 말한다. 초기 불교에서도 제법무상·고(苦)·무아를 반야에 의해서 안다고 주장하나, 대승에서는 보살이 수(修)하는 6바라밀(六派羅蜜)의 마지막에 반야바라밀로 설법되고 다른 5바라밀의 근거로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반야는 제불(諸佛)의 어머니라 불리며, 이러한 것은 많은 <반야경전>을 비롯한 대승경전이나 논서(論書)에 널리 강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승불교의 논서인 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는 육안(肉眼)천안(天眼)혜안(慧眼)법안(法眼)불안(佛眼)의 오안(五眼)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 바라밀을 닦아야 한다는 불교 경전의 진술을 인용해 이를 해설하고 있다. 인왕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반야 바라밀을 닦는 것이란 복인(伏忍)신인(信忍)순인(順忍)무생인(無生忍)적멸인(寂滅忍)의 5인(五忍)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5인은 10신10주10행10회향10지등각묘각의 52위의 보살 수행계위에서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의 42위 즉 42현성(四十二賢聖)을 인(忍) 즉 지혜의 측면에서 다음의 5가지 그룹으로 재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인왕경에 따르면 반야 바라밀이란 현성(賢聖), 즉 10신의 계위를 벗어난 수행자, 즉 실제로 불교의 길에 들어선 수행자의 모든 대승불교적 수행과 그 수행의 과보로서 증득된 지혜 등의 모든 공덕을 통칭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살바야해(薩婆若海) 즉 일체지(一切智) 즉 불지(佛智)를 의미한다. 복인(伏忍): 10주10행10회향의 3현(三賢) 신인(信忍): 10지 가운데 초지제2지제3지 순인(順忍): 10지 가운데 제4지제5지제6지 무생인(無生忍): 10지 가운데 제7지제8지제9지 적멸인(寂滅忍): 10지 가운데 제10지와 등각묘각 = 옥홀 = 옥홀(玉笏)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이읍리에 있는 홀이다. 1974년 9월 24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홀이란 신하가 관복을 입고 손에 가지는 판(板)을 말한다. 원래 임금 앞에서 명령을 받거나 물어 볼 것이 있으면 그 위에 써서 기록화하였던 것인데 후세에 의례적으로 되었다. 신라가 당나라 관복을 입은 뒤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 관직에 있는 자의 필수품이었다. 1∼4품까지는 상아로 만들었고 5품이하는 나무로 제작하였다. 청백색 옥으로 된 이 홀은 조선 중종 8년(1513)에 최산두에게 하사된 것으로‘일인유경보명유신(一人有慶寶命維新)’이란 글이 음각되어 있다. 최산두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중종 8년(1513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장령·사인에 올랐다. = = 참고 자료 = = * * = 1881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1881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1881년 독일에서 치러진 제국의회 선거로, 56.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 = 선거 결과 = = 정당 득표수 % 의석수 +/– 독일 중앙당 1,182,900 23.21 100 +6 독일 보수당 830,800 16.30 50 −9 국민자유당 746,600 14.65 47 −52 독일 진보당 649,300 12.74 60 +34 자유연합 429,200 8.42 46 +36 독일 제국당 379,300 7.44 28 −29 사회주의노동자당 312,000 6.12 12 +3 폴란드인 그룹 194,900 3.82 18 +4 알자스로렌 그룹 153,000 3.00 15 0 독일 인민당 103,400 2.03 9 +6 독일-하노버당 86,700 1.70 10 0 덴마크인 그룹 14,000 0.27 2 +1 기타 15,300 0.30 0 0 무효/기권 20,600 – – – 합계 5,118,400 100 397 0 등록 유권자/투표율 9,088,800 56.3 – –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출처: Nohlen & Stöver, DGDB = 아시가바트 스타디움 = 아시가바트 스타디움은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2009년 투르크메니스탄의 대통령인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함메도프가 자금을 융자하는 형태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2011년 완공되어 투르크메니스탄의 독립 20주년을 맞은 10월 28일 개장식을 가졌다. 주로 축구 경기 및 각종 행사를 개최하며, 수용 인원은 20,000명이다. 주변의 교통 시설로는 아시가바트 공항이 있다. = 분류:구미시의 건축물 = = 서울강서소방서 = 서울강서소방서(서울江西消防署, )는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관할하는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산하의 소방서이다. 소방서장은 지방소방정으로 보한다. = = 조직 = = 소방행정과 소방행정팀 장비회계팀 홍보교육팀 valign="top" 재난관리과 대응총괄팀 구조팀 구급팀 valign="top" 예방과 예방팀 검사지도팀 위험물안전팀 현장대응단 지휘팀 진압대 구조대 = =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 = = 서울강서소방서는 5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현장대응단을 산하에 두고 있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지역대 서울강서소방서현장대응단 양천로 550 등촌1·2·3동, 염창동, 가양3동, 화곡6동단, 구조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일원 화곡119안전센터 까치산로 49 화곡본·1·2·4·8동 발산119안전센터 강서로 329 발산1동, 화곡3동, 우장산동 방화119안전센터 금낭화로26길 10 마곡동, 방화1·3동, 가양1·2동 개화119안전센터 개화동로19길 8 공항동, 방화2동, 개화동, 과해동, 오곡동, 오쇠동 마곡119안전센터 마곡서로 9 마곡동 = = 인접한 건물 = = 증미역 = 가미히라촌 = 가미히라촌은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아게오시 북동부에 해당한다. = 분류:베네수엘라에서 코로나19로 죽은 사람 = = 파일:Nitride ins.jpg = = 회색곰 = 회색곰(학명:Ursus arctos horribilis, ‘공포의 곰’이라는 뜻, )은 일반적으로 불곰의 아종으로 여겨지는 황갈색 곰이다. 몸무게는 수컷이 300kg, 암컷이 200kg이다. 그렇다고 행동이 굼뜨지는 않다. 걸을 때는 육중하게 발걸음을 옮기지만, 전속력으로 달리면 시속 50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북미의 서부 고지대에 서식한다.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최상위 포식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아메리카흑곰과 같이 서식하는 경우는 이들을 압도한다. 회색곰은 어깨에 혹이 튀어나와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혹은 곰이 무언가를 파헤칠 때 앞발에 힘을 실어 주는 근육 덩어리다. 단독으로 행동하는 동물이며, 평상시에는 그리 위험하지 않으나, 위협을 느끼거나 새끼가 위험에 처했을 때는 공격적으로 행동한다. 분포범위는 과거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지만, 국제자연보호연맹은 이들을 "낮은 위기/관심필요"로 분류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에 따라 곰은 금색이나 짙은 갈색, 심지어 흑색을 띠기도 한다. = = 먹이 = = 회색곰은 완벽한 육식동물이다. 불곰 중에서도 코디악곰처럼 오직 육식만 하는 곰이며 덩치도 커서 큰 먹잇감만 사냥한다. 사슴, 순록, 와피티사슴, 말코손바닥사슴, 큰뿔양, 돌산양, 흰바위산양은 물론 심지어는 퓨마, 캐나다스라소니, 늑대, 여우, 흑곰 같은 육식동물도 잡아 먹는다. 인간도 먹이로 삼는다. 북미에선 회색곰에 의해 일 년에 약 300명의 사람이 죽고 먹힌다. 연어를 잘 잡아 먹는것으로도 많이 알려져있다. 곤충을 먹는 것은 가끔이다. = 1980년 하계 패럴림픽 = 1980년 하계 패럴림픽은 1980년 6월 21일부터 6월 30일까지 15일간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이다. 원래는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개최국인 소련에서 개최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소련의 거부로 네덜란드 아른험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총 42개국에서 2,556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였는데, 뇌성마비 장애인이 처음으로 출전해 이 대회 때부터 비로소 4개 유형의 장애인을 망라한 대회로 자리를 잡았다. = = 참가국 = = 1980년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한 국가는 총 42개국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참가가 금지되었다. 아이슬란드, 쿠웨이트, 수단 3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최국) * * * * * * * * * * * * = = 개최 종목 = = 골볼 농구 다트체리 레슬링 론볼 배구 사격 수영 양궁 역도 육상 탁구 펜싱 = = 메달 집계 = = 하계 패럴림픽 하계 패럴림픽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Fleetwood = return { name = 'Fleetwood', top = 53.930, bottom = 53.890, left = -3.053, right = -3.002, image = 'Location map United Kingdom Fleetwood.svg' } = 분류:아랍에미리트의 공기업 = = 임호기 = 임호기(1986년 12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2014년에 KBS 공채 39기 성우로 입사했다. = 출연작품 = = = 외화 = = 닥터후 시즌 10(KBS) - 트리시우스(벤 헌터) 디셉션(KBS) - 테디(존 사이파) = = 라디오 드라마 = = = = =소설극장 (KBS 3라디오) = = = 2014.05.20 ~ 2014.08.15 루이자 메이 올컷 <작은 아씨들> (독일인교수) 2014.09.13 ~ 2014.11.10 정유정 <28> (박주환) 2014.12.22 ~ 2015.01.16 정재민 <보헤미안 랩소디> (나-하지환) 2015.01.17 ~ 2015.05.07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돈 끼호테> (돈 끼호테) 2015.10.03 ~ 2015.11.26 이광수 <무정> (병국) 2015.11.27 ~ 2016.01.08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강노인/사장) = = =라디오 극장 (KBS 한민족 방송) = = = 2014.03-04 천명관 <고래> (인부/이웃남/선주/야쿠자/사내/노인3/손님2/안사장/교도관1) 2015.02 조정래 <인간연습> (강민규) 2015,04 정유정 <7년의 밤> (박주임) 2015.05 박민규 <삼미수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금광옥/장인/상사) 2015.06 이창훈 <라이언> (어른/엄성호/민들레아버지) 2015.09 박하익 <선암여고 탐정단> (채율부) 2015.10 박수정 <프로젝트 S> (공장장) 2015.11 작자미상 <전우치> (전중부) 2015.12 서진 <하트브레이크 호텔> 2016.01 김휘 <해마도시> (심교육관) = = =라디오 독서실 (KBS 2라디오) = = = 2014.02.23 이태영 <길을 잃다> (소수종족장) 2014.03.02 윤이형 <쿤의 여행> (의사) 2014.03.23 편혜영 <몬순> (의사) 2014.03.30 박형서 <무한의 흰 벽> (관리소직원) 2014.04.06 임철우 <세상의 모든 저녁 1편> (아버지) 2014.04.13 임철우 <세상의 모든 저녁 2편> (206호) 2014.04.20 윤고은 <월리를 찾아라> (사진사) 2014.04.27 김경욱 <승강기> (노인2) 2014.05.04 조경란 <밤을 기다리는 사람에게> (아버지) 2014.05.11 박완서 <후남아, 밥 먹어라> (남동생) 2014.05.18 윤정환 <짬뽕> (달풍) 2014.05.25 하성란 <여름의 맛> (부장) 2014.06.01 김금희 <옥화> (시형) 2014.06.08 최은영 <쇼코의 미소> (감독) 2014.06.15 정지아 <자본주의의 적> (강사) 2014.06.22 황정은 <상류엔 맹금류> (의사) 2014.06.29 기준영 <이상한 정열> (말희 남편) 2014.07.06 정미경 <목놓아 우네> (도팀장) 2014.07.13 최인석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아빠/손님6) 2014.07.27 김재은 <숫자 꿈> (중년 남) 2014.08.10 이수광 <진격의 미친 여자> (엔) 2014.08.17 조동신 <해골술잔> (조대현) 2014.08.24 양수련 <그리고 예외는 없다> (식당주인) 2014.08.31 이장욱 <우리 모두의 정귀보> (아버지) 2014.09.07 김숨 <초야> (아버지) 2014.09.14 전성태 <성묘> (김중사) 2014.09.21 표명희 <심야의 소리 mp3> (의사) 2014.09.28 김용희 <향나무 베개를 베고 자는 잠> (K) 2014.10.05 윤이형 <굿바이> (인간3) 2014.10.12 백영옥 <결혼기념일> (친정아버지) 2014.10.19 한창훈 <여수친구> (수위아저씨) 2014.10.26 윤고은 <오두막> (경찰) 2014.11.09 김미월 <만보 걷기> (남자) 2014.11.16 정희선 <쏘아 올리다> (부동산/웨이터) 2014.11.23 박솔뫼 <그럼 무얼 부르지> (은발남) 2014.11.30 황정은 <누가> (사장) 2014.12.07 구효서 <별명의 달인> (시방새) 2014.12.14 강진 <멸종의 기록> (고객1) 2014.12.21 은희경 <금성녀> (완규아빠) 2015.01.04 작자미상 <금방울전> (장원/도적2) 2015.01.18 이은희 <선긋기> (경비) 2015.01.25 장성욱 <수족관> (중년남) 2015.02.08 전민석 <다른 나라에서> (야구선수1) 2015.02.15 이만교 <표정 관리 주식회사> (저자2) 2015.02.22 전성태 <소풍> (중년) 2015.03.01 윤성희 <휴가> (박) 2015.03.08 김희선 <라면의 황제> (심사위원/동호회원2) 2015.03.15 이장욱 <크리스마스 캐럴> (강사) 2015.03.29 천정완 <동탯국> (형) 2015.04.12 하성란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 (최원장) 2015.05.03 이평재 <악어패밀리> (학주) 2015.05.17 나경화 <쿙쿙> (생산팀장/마미코아빠) 2015.06.14 손보미 <임시교사> (아이아빠) 2015.06.21 김연수 <벚꽃새해> (해설) 2015.07.26 이승영 <어떤 살인사건> (이원장) 2015.09.06 조해진 <사물과의 작별> (서군) 2015.09.27 작자미상 <장화홍련전> (정동호) 2015.10.04 이기호 <권순찬과 착한 사람들> (입주민대표) 2015.11.01 윤성희 <가볍게 하는 말> (아버지) 2015.11.29 윤민우 <원피스> (변호사) 2015.12.13 장강명 <알바생 자르기> (사장) 2016.01.17 이청해 <어디까지 왔니> (해설) = = =KBS 무대 (KBS 한민족 방송) = = = 2014.03.22 <붕어빵> (직원2) 2014.04.26 <아버지의 땅> (박씨) 2014.05.24 <요조숙녀 왕순진의 날갯짓> (해설) 2014.05.31 <사랑은 늙지 않는다> (복만친구) 2014.06.28 <아내를 의심하지 마라> (광식) 2014.07.19 <문을 닫다> (송검시관) 2014.08.09 <로맨스 마마> (경호원) 2014.09.06 <마흔살의 커밍아웃> (영석) 2014.09.13 <그림 바깥의 풍경> (행인) 2014.09.27 <잇꽃 붉은 날> (소장) 2014.10.04 <너무도 당당한 그녀> (서장) 2014.11.01 <천국에서 온 편지> (이사장/인부1) 2014.11.08 <윤달> (사채업자1) 2014.11.22 <젊은 느티나무> (경비) 2014.11.29 <가족의 탄생> (소리1) 2014.12.13 <말 못하는 남자> (의사) 2014.12.20 <탄원서 쓰는 여자> (국선변호사) 2014.12.27 <그림자를 견뎌라> (준석) 2015.01.03 <문선생,히말라야를 가다> (유선생) 2015.01.10 <매미를 엿보다> (박석) 2015.01.17 <첫사랑 사수 대작전> (밴드2) 2015.01.24 <소금이 온다> (아나운서남) 2015.01.31 <쥐가 나타났다> (관리인) 2015.02.14 <잔혹낙원> (대표) 2015.02.21 <통화> (깡의 부) 2015.03.07 <행복을 지켜드립니다> (원장) 2015.03.14 <악행컴퍼니> (C팀실장) 2015.03.21 <임사 체험> (저승사자) 2015.04.04 <상어가 멈춘다> (종대) 2015.04.18 <어느 쨍한 날> (판사) 2015.04.25 <논개> (의병2) 2015.05.02 <장군멍군> (청년2) 2015.05.09 <아버지의 이름으로> (박경장) 2015.05.23 <껌뱉지 맙시다> (나레이션) 2015.06.06 <박색춘향> (포졸) 2015.06.13 <햇살에 쓰는 일기> (교도관) 2015.06.27 <위대한 유산> (주민2) 2015.07.18 <못난이들의 여름> (김영권) 2015.07.25 <두번의 살인> (재근) 2015.08.08 <금혼식> (동준) 2015.08.15 <기적소리> (김태주) 2015.08.22 <세상은 요지경> (동식) 2015.09.12 <별일 없이 산다> (형사) 2015.10.03 <연극이 끝난 후> (남자) 2015.10.17 <맞아야 사는 남자, 때려야 사는 남자> (똘마니) 2015.11.07 <파가니니를 위하여> (친구1) 2015.11.21 <아버지의 탄생> (의사1) 2015.12.12 <카페라떼의 여자> (남자2) = = =연속낭독 (KBS 3라디오) = = = 2015.04.12 ~ 05.14 엄기호 <단속사회> = = =라디오 여행기 (KBS 3라디오) = = = 2015.10.08 ~ 2015.11.05 정도선, 박진희 <오늘이 마지막은 아닐 거야> = = 같이 보기 = = 한국방송 성우극회 = = 외화 = = 닥터후 시즌 10(KBS) - 트리시우스(벤 헌터) 디셉션(KBS) - 테디(존 사이파) = = 라디오 드라마 = = = = =소설극장 (KBS 3라디오) = = = 2014.05.20 ~ 2014.08.15 루이자 메이 올컷 <작은 아씨들> (독일인교수) 2014.09.13 ~ 2014.11.10 정유정 <28> (박주환) 2014.12.22 ~ 2015.01.16 정재민 <보헤미안 랩소디> (나-하지환) 2015.01.17 ~ 2015.05.07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돈 끼호테> (돈 끼호테) 2015.10.03 ~ 2015.11.26 이광수 <무정> (병국) 2015.11.27 ~ 2016.01.08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강노인/사장) = = =라디오 극장 (KBS 한민족 방송) = = = 2014.03-04 천명관 <고래> (인부/이웃남/선주/야쿠자/사내/노인3/손님2/안사장/교도관1) 2015.02 조정래 <인간연습> (강민규) 2015,04 정유정 <7년의 밤> (박주임) 2015.05 박민규 <삼미수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금광옥/장인/상사) 2015.06 이창훈 <라이언> (어른/엄성호/민들레아버지) 2015.09 박하익 <선암여고 탐정단> (채율부) 2015.10 박수정 <프로젝트 S> (공장장) 2015.11 작자미상 <전우치> (전중부) 2015.12 서진 <하트브레이크 호텔> 2016.01 김휘 <해마도시> (심교육관) = = =라디오 독서실 (KBS 2라디오) = = = 2014.02.23 이태영 <길을 잃다> (소수종족장) 2014.03.02 윤이형 <쿤의 여행> (의사) 2014.03.23 편혜영 <몬순> (의사) 2014.03.30 박형서 <무한의 흰 벽> (관리소직원) 2014.04.06 임철우 <세상의 모든 저녁 1편> (아버지) 2014.04.13 임철우 <세상의 모든 저녁 2편> (206호) 2014.04.20 윤고은 <월리를 찾아라> (사진사) 2014.04.27 김경욱 <승강기> (노인2) 2014.05.04 조경란 <밤을 기다리는 사람에게> (아버지) 2014.05.11 박완서 <후남아, 밥 먹어라> (남동생) 2014.05.18 윤정환 <짬뽕> (달풍) 2014.05.25 하성란 <여름의 맛> (부장) 2014.06.01 김금희 <옥화> (시형) 2014.06.08 최은영 <쇼코의 미소> (감독) 2014.06.15 정지아 <자본주의의 적> (강사) 2014.06.22 황정은 <상류엔 맹금류> (의사) 2014.06.29 기준영 <이상한 정열> (말희 남편) 2014.07.06 정미경 <목놓아 우네> (도팀장) 2014.07.13 최인석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아빠/손님6) 2014.07.27 김재은 <숫자 꿈> (중년 남) 2014.08.10 이수광 <진격의 미친 여자> (엔) 2014.08.17 조동신 <해골술잔> (조대현) 2014.08.24 양수련 <그리고 예외는 없다> (식당주인) 2014.08.31 이장욱 <우리 모두의 정귀보> (아버지) 2014.09.07 김숨 <초야> (아버지) 2014.09.14 전성태 <성묘> (김중사) 2014.09.21 표명희 <심야의 소리 mp3> (의사) 2014.09.28 김용희 <향나무 베개를 베고 자는 잠> (K) 2014.10.05 윤이형 <굿바이> (인간3) 2014.10.12 백영옥 <결혼기념일> (친정아버지) 2014.10.19 한창훈 <여수친구> (수위아저씨) 2014.10.26 윤고은 <오두막> (경찰) 2014.11.09 김미월 <만보 걷기> (남자) 2014.11.16 정희선 <쏘아 올리다> (부동산/웨이터) 2014.11.23 박솔뫼 <그럼 무얼 부르지> (은발남) 2014.11.30 황정은 <누가> (사장) 2014.12.07 구효서 <별명의 달인> (시방새) 2014.12.14 강진 <멸종의 기록> (고객1) 2014.12.21 은희경 <금성녀> (완규아빠) 2015.01.04 작자미상 <금방울전> (장원/도적2) 2015.01.18 이은희 <선긋기> (경비) 2015.01.25 장성욱 <수족관> (중년남) 2015.02.08 전민석 <다른 나라에서> (야구선수1) 2015.02.15 이만교 <표정 관리 주식회사> (저자2) 2015.02.22 전성태 <소풍> (중년) 2015.03.01 윤성희 <휴가> (박) 2015.03.08 김희선 <라면의 황제> (심사위원/동호회원2) 2015.03.15 이장욱 <크리스마스 캐럴> (강사) 2015.03.29 천정완 <동탯국> (형) 2015.04.12 하성란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 (최원장) 2015.05.03 이평재 <악어패밀리> (학주) 2015.05.17 나경화 <쿙쿙> (생산팀장/마미코아빠) 2015.06.14 손보미 <임시교사> (아이아빠) 2015.06.21 김연수 <벚꽃새해> (해설) 2015.07.26 이승영 <어떤 살인사건> (이원장) 2015.09.06 조해진 <사물과의 작별> (서군) 2015.09.27 작자미상 <장화홍련전> (정동호) 2015.10.04 이기호 <권순찬과 착한 사람들> (입주민대표) 2015.11.01 윤성희 <가볍게 하는 말> (아버지) 2015.11.29 윤민우 <원피스> (변호사) 2015.12.13 장강명 <알바생 자르기> (사장) 2016.01.17 이청해 <어디까지 왔니> (해설) = = =KBS 무대 (KBS 한민족 방송) = = = 2014.03.22 <붕어빵> (직원2) 2014.04.26 <아버지의 땅> (박씨) 2014.05.24 <요조숙녀 왕순진의 날갯짓> (해설) 2014.05.31 <사랑은 늙지 않는다> (복만친구) 2014.06.28 <아내를 의심하지 마라> (광식) 2014.07.19 <문을 닫다> (송검시관) 2014.08.09 <로맨스 마마> (경호원) 2014.09.06 <마흔살의 커밍아웃> (영석) 2014.09.13 <그림 바깥의 풍경> (행인) 2014.09.27 <잇꽃 붉은 날> (소장) 2014.10.04 <너무도 당당한 그녀> (서장) 2014.11.01 <천국에서 온 편지> (이사장/인부1) 2014.11.08 <윤달> (사채업자1) 2014.11.22 <젊은 느티나무> (경비) 2014.11.29 <가족의 탄생> (소리1) 2014.12.13 <말 못하는 남자> (의사) 2014.12.20 <탄원서 쓰는 여자> (국선변호사) 2014.12.27 <그림자를 견뎌라> (준석) 2015.01.03 <문선생,히말라야를 가다> (유선생) 2015.01.10 <매미를 엿보다> (박석) 2015.01.17 <첫사랑 사수 대작전> (밴드2) 2015.01.24 <소금이 온다> (아나운서남) 2015.01.31 <쥐가 나타났다> (관리인) 2015.02.14 <잔혹낙원> (대표) 2015.02.21 <통화> (깡의 부) 2015.03.07 <행복을 지켜드립니다> (원장) 2015.03.14 <악행컴퍼니> (C팀실장) 2015.03.21 <임사 체험> (저승사자) 2015.04.04 <상어가 멈춘다> (종대) 2015.04.18 <어느 쨍한 날> (판사) 2015.04.25 <논개> (의병2) 2015.05.02 <장군멍군> (청년2) 2015.05.09 <아버지의 이름으로> (박경장) 2015.05.23 <껌뱉지 맙시다> (나레이션) 2015.06.06 <박색춘향> (포졸) 2015.06.13 <햇살에 쓰는 일기> (교도관) 2015.06.27 <위대한 유산> (주민2) 2015.07.18 <못난이들의 여름> (김영권) 2015.07.25 <두번의 살인> (재근) 2015.08.08 <금혼식> (동준) 2015.08.15 <기적소리> (김태주) 2015.08.22 <세상은 요지경> (동식) 2015.09.12 <별일 없이 산다> (형사) 2015.10.03 <연극이 끝난 후> (남자) 2015.10.17 <맞아야 사는 남자, 때려야 사는 남자> (똘마니) 2015.11.07 <파가니니를 위하여> (친구1) 2015.11.21 <아버지의 탄생> (의사1) 2015.12.12 <카페라떼의 여자> (남자2) = = =연속낭독 (KBS 3라디오) = = = 2015.04.12 ~ 05.14 엄기호 <단속사회> = = =라디오 여행기 (KBS 3라디오) = = = 2015.10.08 ~ 2015.11.05 정도선, 박진희 <오늘이 마지막은 아닐 거야> = 분류:이야마번주 = = Lemon (N.E.R.D와 리한나의 노래) = Lemon는 2017년 11월 1일에 발매된 N.E.R.D의 노래이다.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요아니스 = 요아니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요아니스 마니아티스: 그리스의 축구 선수 요아니스 페트파치디스: 그리스의 축구 선수 = 분류:K리그2 시즌 = = 한이주 = 한이주(1989년 3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2018년 KBS2 《파도야 파도야》 - 정화 역 = = = 영화 = = = 2005년 단편 영화 《다시 만난 피아니스트와 천문학자》 2007년 영화 《므이》 - 귀신 대역 2008년 단편 영화 《철의 여인》 2009년 단편 영화 《옷 젖는 건 괜찮아》 - 얼 역 2011년 단편 영화 《피로》 2012년 영화 《회사원》 - 정장녀 역 2014년 영화 《표적》 - 간호사2 역 = 분류:북아메리카의 여자 축구 리그 = = 분류:1827년 살인 사건 = = 분류:제2차 리비아 내전 = = 아르헨티나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아르헨티나를 대표하여 국제 필드하키 경기에 참가하는 국가대표팀으로 아르헨티나 하키 연맹에 의해 운영된다. = 분류:일본의 백화점 = = 히바리 = 히바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미소라 히바리: 일본의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가수이자 배우 히바리 쿄야: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 = 분류:세르비아에 거주한 스페인인 = = PGC 2058 = = 벤지군 = 벤지군 또는 벤지 카운티(Benzie County)는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7,525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7,753명이다. = 분류:아랍 남신 = = 분류:간 = = 분류:200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경기 종목 = = 분류:성인 영화 = = 분류:폴란드의 중세사 = = 분류:슬로베니아 핸드볼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이와테 개발 철도의 철도역 = = 레이철 플래튼 = 레이철 플래튼(Rachel Platten, 1981년 5월 20일 ~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 음반 목록 = = Trust in Me (2003) Be Here (2011) Wildfire (2016) Waves (2017) = 분류:스탈리언 라구나 FC의 축구 선수 = = 학생용 넥타이 = 학생용 넥타이는 학생들이 하고 다니는 넥타이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교복과 같이 입는다. = 분류:노르웨이의 올림픽 봅슬레이 참가 선수 = = 분류:조선 중종의 자녀 = = S = S, s는 로마 문자의 19번째 문자이다. = = 역사 = = S는 활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 셈조어 문자 '활' 페니키아 문자 신 그리스 문자 시그마 에트루리아 문자 S 로마 문자 S = = 빈도 = = 영어에서는 매우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6.327%) 프랑스어에서는 2번째로 자주 쓰이며 가장 자주 쓰이는 자음이다. (7.948%) = = 컴퓨터 부호 = = EBCDIC에서 대문자 S의 코드는 226이고, 소문자 s의 코드는 162이다. = = 관련 글자 = = Σ, σ, ς С, с(키릴 문자) Ш, ш S = 틀:스포츠 우승 = = 틀:테노치티틀란의 우에이 틀라토아니 = = 한국화학관련학회연합회 = 한국화학관련학회연합회는 국내화학관련분야 학회들이 상호협력을 통한 공동 발전을 도모하고 학술활동 등 주요 사업을 지원하며 대한민국 화학산업기술의 발전과 보급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99년 10월 13일 설립허가된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19 한국화학회관 3층 (우 02856)에 있다. = 분류:미국의 컨트리 음악가 = = 주시곡선 = 주시곡선(走時曲線, Travel-time curve)이란 지진이 발생한 뒤 지진파의 전파 거리와 그 시간과의 함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이를 이용하면 지구의 내부 구조를 아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주시곡선은 세로축이 전파 시간을, 가로축에 진원거리를 놓아 그린다. 즉 전파 시간에 따른 진원거리의 함수로 표현하는 그래프이다. = = 활용 = = 예를 들어, 지진파의 속도가 낮은 지층(지진파의 속도 v1)이 위에 있고 속도가 높은 지층(지진파의 속도 v2)이 아래에 있는 지역에서 하부 지층으로 굴절하는 지진파는 스넬의 법칙에 따라 입사파에 대해 경계면 쪽으로 더 큰 각도로 굴절한다. 여기서 이 굴절파가 입사각이 커져 특정한 값을 가지게 되면 경계면을 따라 큰 속도로 전파된다. 이런 굴절파를 임계 굴절파 혹은 선두파라고 한다. 위의 지층에서는 진원과 가까운 점에서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직접파가 더 빠르게 가지만, 점점 거리가 멀어질수록 하부 지층에서 굴절하는 지진파가 더 빠르게 도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부 지층과 하부 지층의 경계 깊이를 알 수 있다. 도달 시각과 진앙거리 사이 관계인 주시곡선을 연구하던 도중 1892년 유고슬라비아의 기상학자인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가 진앙거리 200 km를 기준으로 속도가 더 빨라지는 지층(현재는 맨틀로 밝혀짐)에서 굴절되어 더 빠른 속도로 전파된 지진파가 진원에서 직선으로 향하는 지진파보다 먼저 도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렇게 지진파가 급격하게 바뀌는 불연속면을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이라고 부른다. = 홍성공업고등학교 = 홍성공업고등학교(洪城工業高等學校)는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1년 3월 23일 : 결성고등학교 개교(남·여 9학급 인가) 1994년 3월 1일 : 결성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4년 3월 1일 : 홍성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2년 7월 2일 : 학칙 변경 (기계과 3학급, 전기과 6학급, 특수학급 1학급 총 10학급 인가) 2021년 1월 8일 : 제38회 졸업식 58명 (누계 4,205명) 2021년 3월 2일 : 제41회 입학식 59명(기계과 19명, 전기과 40명 계 59명) 2021년 9월 1일 : 제22대 남상출 교장 부임 2022년 1월 7일 : 제39회 졸업식 59명(누계 : 4,264명) 2022년 3월 2일 : 제42회 입학식 47명(공통과정 : 47명) 2023년 1월 5일 : 제40회 졸업식 59명(누계 : 4,323명) 2023년 3월 1일 : 제23대 김종오 교장 부임 2023년 3월 2일 : 제43회 입학식 62명(공통과정 : 62명) = = 설치 학과 = = 기계과 전기과 = 착각 = 착각(錯覺, illusion)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실제와 다르게 인지 하는 감각적 착각이 있으며 이것은 "잘못 인지하였다"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착각의 뜻은 사실이나 생각을 인식하는 개념적 착각이 있는데 이것은 "어떠한 기준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해석 또는 인식"의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감각적 착각의 종속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어철학적으로 볼때 오해, 혼란, 오판과는 다른 개념이다. = Keys to Ascension 2 = Keys to Ascension 2는 1997년 11월 3일에 발매된 예스의 음반이다. = 분류:국가원수의 이름을 딴 분류 = = 알레이 버크 = 알레이 버크(, 1901년 10월 19일 ~ 1996년 1월 1일)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서 활약한 미국 해군의 제독이다. 1991년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의 1번함인 USS 알레이 버크 (DDG-51)는 그의 명예를 높이 사서 명명되었다. = = 생애 = = 1901년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Oscar Burke와 Clara Mokler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인 August Björkgren은 스웨덴 이민자였고 조금 더 미국인답게 보이기 위해 'Burke'로 성을 개조했었다. 1918년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인해 볼더의 학교는 문을 닫는 바람에 알레이 버크는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았다. 지역 정치인에 의해 기회를 얻어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해사에서 공부하는 동안에도 알레이버크는 23rd Company라는 단체의 회원이기도 했다. 1923년 6월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해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18년 이상을 전함, 구축함에서 일했다. 미시간 대학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 제2차 세계 대전 = = 1943년, 알레이 버크는 남태평양 전선에서 싸우라는 명을 받고 전쟁에서 활약했다. 몇몇의 구축함들을 전전하며 함장을 역임했다. 1943년 11월, 부건빌 내전에 참전했고 4개월 동안 22차례의 숱한 전투를 치렀다. 일본 순양함 1척, 구축함 9척, 항공기 30여대를 처치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초기에 미 해군이 일본에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쓰라린 패배를 맛 본 이유를 "불확실성과 주저가 그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고 결론지었다. "좋은 장교와 가난한 장교의 차이는 약 10초다."라는 명언도 남겼다. 1945년 6월까지도 태평양 전선을 지켰고, 가미가제 공격을 받았던 USS 벙커 힐, USS 엔터프라이즈 (CV-6)에 탑승하고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 그의 계급은 대장였고 1947년에는 순양함 USS 헌팅턴으로 아프리카 동해안을 순찰하는 임무도 수행했다. 1949년에는 국방 연구 개발위원회에서 해군 장관을 하면서 미국의 안보를 위한 숱한 일을 했다. = = 6·25 전쟁 = =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포레스트 셔먼 제독은 해군 작전총장였던 알레이 버크에게 극동 해군 참모부장으로 일할 것을 명령했다. 1951년 7월에는 한국의 휴전을 위해 유엔 대표단의 일원으로 공산당과 협상하기도 했다. 휴전을 논의하는 천막에서 6개월을 일한 뒤, 그는 해군 작전 국장으로 돌아와 1954년까지 전략 계획 부서장으로 근무했다. = = 냉전기 = = 냉전기 동안에도 그는 국방과 안보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 그는 매우 근면하기로 유명했는데, 주 6일 하루 15시간을 일했다. 알레이 버크는 미 해군의 원자력 잠수함 개발 프로젝트를 했고 세계최초의 잠수함발사 탄도유도탄을 개발하는 업적을 남겼다. 그가 만든 UGM-27 폴라리스는 전략 무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됐다. 해군 작전총장였던 알레이 버크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잠수함 부대의 규모에 대한 사안을 긴밀하게 논의를 가졌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잠수함의 숫자는 얼마면 충분합니까?"라고 묻자, 알레이버크는 "40대의 SLBM 잠수함이면 충분합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육상의 미사일과 폭격기는 미소간의 핵 균형을 유지하기 미흡하다."면서 해군 전략 핵잠수함의 가치를 강조했다. 미국 해군의 아버지와 같은 그의 이름은 1961년 8월 1일, 은퇴자 명단으로 옮겨진다. = = 군함 명명 = = 현대 미 해군의 아버지와 같은 그의 이름은 미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자 이지스함인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이 되었다. 첫번째 구축함 진수식에도 당사자인 알레이 버크가 노구를 이끌고 참석하기도 했다. = 요가 호저스 = 요가 호저스는 2016년 개봉한 미국의 공포 코미디 영화이다. 케빈 스미스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2014년 영화 터스크의 스핀오프 작품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조니 뎁 릴리 로즈 멜로디 뎁 할리 퀸 스미스 = = = 조연 = = = 바네사 파라디 스탠 리 할리 조엘 오스먼트 나타샤 리온 타일러 포시 케빈 스미스 오스틴 버틀러 제네시스 로드리게스 아담 브로디 저스틴 롱 제이슨 미웨스 토니 헤일 제임스 팍스 케빈 콘로이 제니퍼 슈왈버흐 스미스 랄프 가맨 조이 워스 조엘 쇽크 크리스토퍼 드레이크 = = 기타 = = 미술: 가보 맥멀렌 의상: 캐롤 비들 = 분류:1972년 바이애슬론 = = 분류:콜롬비아의 강 = =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 러스트 (비디오 게임) = 러스트는 페이스펀치 스튜디오에서 유니티를 이용해 개발한 게임이다. 이 게임의 목표는 훔치거나 수집한 자재들을 사용하여 물건들을 공들여 만듦으로써 야생에서 살아남는 것이다.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연수구의회 = 다음은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연수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연수구의회는 지역구의원 9명을 선출했다. = 대한민국 상법 제901조 = 대한민국 상법 제901조는 순차운송에 대한 상법총칙의 조문이다. = 휘미르 = 휘미르는 노르드 신화에 나오는 요툰으로, 흐로드의 남편이고 튀르의 아버지이다. 그는 지름이 1마일이나 되는 솥을 가지고 있었는데, 에시르는 에기르네 저택에서 연회를 벌이려고 그 솥을 탐냈다. 그래서 토르와 튀르가 휘미르네 집에 가서 그 솥을 뜯어오는 것이 에다 시가 〈휘미르의 서사시〉 줄거리이다. = 분류:아프리카 스포르 = = 루이스 캐럴 = 찰스 럿위지 도지슨(, 1832년 1월 27일~1898년 1월 14일)은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이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 작가, 수학자, 사진사, 영국 성공회의 부제(deacon)이다. = = 경력 = = 럭비 고등학교에서 1851년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 진학하여 수학과 문학을 공부하였으며, 훗날 모교의 수학 교수를 지냈다. 성격이 괴팍하고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다는 일화가 있지만 실제로 그의 일기나 편지, 지인들의 말에 따르면 독특한 유머 감각과 쾌활한 성격의 신사였다. 모든 일상을 기록하여 편지로 주고받았는데 약 9만 9천통의 편지를 보관하였다. 그의 소설이나 시는 현대의 초현실주의 문학과 부조리문학의 선구자로 간주되며, 넌센스 문학의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는 어린아이들을 좋아하였고 모든 표현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거울 나라의 앨리스이다. 그 외에도 실비와 브루노, 스나크 사냥 등의 작품도 있다. = 오스카르 토르프 = 오스카르 프레드리크 토르프(, 1893년 8월 22일 베스트폴주 ~ 1958년 5월 1일 오슬로)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이다. 소속 정당은 노동당이다. = = 생애 = = 베스트폴주에 위치한 셰베르(Skjeberg) 출신이다. 1923년부터 1945년까지 노동당 당수를 역임했으며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오슬로 시장을 역임했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요한 뉘고르스볼 내각에서 국방부 장관 권한대행을 역임했고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사회부 장관, 1939년부터 1942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영국 런던 주재 노르웨이 망명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노르웨이 공급재건부 장관을 역임했다. 1951년 11월 9일부터 1955년 1월 22일까지 노르웨이의 총리를 역임했고 1955년부터 1958년까지 노르웨이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 분류:다테바야시시의 건축물 = = 분류:히타치 그룹 = = 분류:정선군의 축구 = = 2064년 8월 12일 일식 = 2064년 8월 12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다. 개기일식은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커서 태양을 다 가릴 수 있을 때 일어난다. 개기일식은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 가능하며,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2064-08-12 2064-08-12 일식 2064-08-12 = 나가파샤 = 나가파샤 또는 바루나파샤는 인도 신화에 나오는 물의 신 바루나가 지닌 올가미 형태의 아스트라로, 겨낭한 것은 무엇이든 반드시 사로잡아 버리는 올가미다. = 분류:기니-키프로스 관계 = = 순덕이 = 순덕이는 2003년 2월 1일에 MBC에서 방영된 설날특집드라마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고정민 : 정순덕 역 = = = 주변 인물 = = = 강래연 : 김현심 역 류승수 : 정순석 역 현석 : 이철민 역 김보연 : 한명진 역 박지미 : 이효정 역 조영관 : 이민수 역 강용석 : 배재성 역 = 화순 대리 석불입상 = 화순 대리 석불입상(和順 大里 石佛立像)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2004년 2월 13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4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석불은 돌기둥에 가까운 자연석을 사각형으로 대충 다듬은 뒤 앞쪽에 얼굴부분만 돋을새김을 하고 나머지 턱 밑으로 내려온 동체부분은 선각으로 처리하였다. 주변의 지형을 살펴보면 절터로 추정할 만한 건물지 또는 이와 유사한 유구를 발견할 수 없다. 다만 동쪽으로 약 500m 떨어진 평지에 이 고장 출신인 진각국사(송광사 16국사중 제2세) 탄생설화와 관련된 학서정이 있다. 석불의 상호는 사각형에 가까우며 육계는 나타나지 않았고 삼도(三道)도 없다. 예리한 눈썹과 눈, 장승에서나 볼 수 있는 넓적한 코, 입은 호형을 그린 일자형을 하고 있다. 턱과 목이 구분되지 않고, 또 목부분이 바로 어깨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기법은 조선시대 후기 석장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다. 옷 주름은 매우 형식화되었으며 오른손은 가슴 앞에 대고 왼손은 배 아래로 내려 연꽃을 들고 있다. 이 석불의 도상적 특징을 보면 보살상이다. 두 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관세음보살로 볼 수도 있겠으나 보관이 없어 분명치 않다. 머리 윗부분에 육계를 생략하고 민머리로 처리한 것을 보면 지장보살일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이 석불이 위치한 장소가 옛날 보성과 화순을 지나는 길목으로 통행인이 빈번한 곳으로서 사찰에서만 볼 수 있는 불상을 길거리에서도 쉽게 대함으로써 개인의 기복과 동리의 안녕을 비는 불상 즉, 민불(民佛)로 불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조선시대 후기 불교와 민간신앙이 습합된 예라 할 것이다. 화순 대리 석불입상은 민간신앙과 관련된 조선후기(18∼19세기) 석불로서 불교문화와 신앙, 민간신앙과의 습합 등의 측면에서 볼 때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있다. = = 참고 자료 = = * 대리 석불입상 = 분류:우크라이나의 시대사 =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키스탄 동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주도는 호루그이며 면적은 64,200km2, 인구는 218,000명(2008년 기준)이다. 고르노바다흐샨은 러시아어로 "산이 많은 바다흐샨"을 뜻한다. 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쪽과 남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주, 북쪽으로는 키르기스스탄 오시주와 접한다.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 있는 파미르고원은 타지키스탄 전체 면적 가운데 45%를 차지한다.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도처에서는 러시아어와 타지크어가 널리 사용된다. = 분류:2014년 기술 = = 분류:뉴질랜드산 고양이 품종 = = У = 우(У, у)는 키릴 문자의 35번째 문자이다. 러시아어 등 대부분은 /u/로 소리내며, 몽골어 등에서는 ʊ(사실상 /o/)로 소리난다. = 게르 (동음이의) = 게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게르: 중앙아시아의 유목민들이 쓰는 이동 가능한 주거 형태 = = 인명 = = 마르탱 게르: 16세기 프랑스의 소작농 게르 브란텐베르그: 노르웨이의 소설가, 교육인, 여성운동가 = 라이너 바제도 = 라이너 바제도(, 1938년 5월 20일~2022년 5월 15일)는 독일의 배우, 성우이다. 뮐하우젠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헤비레이싱(2007년) 시간의 바퀴(2003년) 아프트 연애 대소동(1984년) 왕도둑 호첸플로츠(1974년) 코미자르 X(1971년) 디 에브로 크로싱(1969년) 바이킹 후 비케임 어 비가미스트(1969년) = 발터 셸 = 발터 셸(, 1919년 7월 8일 ~ 2016년 8월 24일)은 독일의 제4대 대통령(1976~79)이다. 그는 독일 연방 경제 협력 개발 기구의 장관(1961~66), 외무장관 겸 부수상(1969~74), 수상 권한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 = 초기 생애 = = 졸링겐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루프트바페에서 복무하였으며 전쟁이 끝나갈 무렵에 Bf 110 야전대의 레이다 기수로 활약하였다. = = 정치 경력 = = 1961년 그의 자유민주당이 콘라트 아데나워의 기독교 민주연합의 합동으로 정부에 다시 들어갔을 때에 셸은 독일 연방 경제 협력 개발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정권에서도 계속 그 직위에 있었으나, 1966년 자신이 자유민주당의 당수로 되어 연합 정부가 나가면서 사임하였다. 1969년 셸은 자신의 당을 사회민주당과 새로운 합동을 이루는 데 이끌었다. 빌리 브란트 수상 아래에서 외무장관 겸 부수상이 되었다. 그들의 지도 아래, 서독은 소비에트 연방과의 화해 조정을 설득하고 정식으로 동독의 현존을 인정하였다. 이 정책은 자유/사회 민주당 양당원들이 야당으로 편을 바꾸는 여러 방향과 함께 대규모의 공개 토론이 일어나는 원인을 일으켰다. 브란트를 축출하는 시도에 실패하였어도, 합동 정부는 그 박약한 다수를 잃고 말았다. 1972년 의회의 해산과 초순의 선거에 의하여 의회적 궁지가 끝났다. 1974년 5월 7일 브란트 수상이 자신의 측근 귄터 기욤의 간첩 혐의 사건으로 사임하자, 셸은 5월 16일까지 수상의 직무 대행을 맡았다. 때마침에 셸은 4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 = 이후의 세월 = = 1979년 6월 30일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 후, 유럽 운동 기구의 회장 겸 하원의원 회의의 의장(1980~85), 유럽 연방주의 연합의 독일부 회장(1980~89)를 역임하였다. 1991년 이래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의 명예 회장을 지내왔다. 2016년 8월 24일 바트크로칭겐의 자택에서 오랫동안 앓아 온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74년 선거 독일의 대통령 4대 자유민주당 51.2% 530표 1위 = 전력 소비에 따른 나라 목록 = 이 글은 전력 소비에 따른 나라 목록이다. 전력 소비량이 많은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 목록에는 주권 국가가 아닌 곳도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다. = = 목록 = = 순위 나라 전력 소비 (메가와트·시/년) 기준 출처 인구 인구 기준 1인당 평균 사용량 (와트) — 세계 25,320,360,620 2002-10 all sources 7,155,700,000 2014 385 001 5,650,000,000 2014 National Energy Administration 1,360,720,000 2013 474 002 4,986,400,000 2013 US DoE 317,848,000 2014 1843 — 3,237,000,000 2009 CIA 503,492,041 2012 788 003 1,016,500,000 2012 [Ministry of Energy (Russia)] 146,019,512 2014 801 004 983,823,000 2014 MOSPI 1,242,660,000 2014 152 005 910,700,000 2012 CIA 127,120,000 2014 941 006 782,500,000 2012 CIA 80,716,000 2013 1160 007 570,800,000 2012 CIA 36,584,962 2014 2185 008 493,500,000 2012 CIA 201,032,714 2013 301 009 482,400,000 2012 CIA 50,219,669 2013 1038 010 451,100,000 2012 CIA 65,864,000 2014 904 011 353,300,000 2013 CIA 63,705,000 2012 822 012 327,200,000 2012 CIA 60,021,955 2013 781 013 264,136,780 2015 Enerji Atlası 78,741,053 2015 335 014 253,100,000 2012 CIA 46,609,700 2013 875 015 224,300,000 2012 CIA 23,315,822 2012 1080 016 234,200,000 2012 CIA 54,002,000 2014 415 017 232,000,000 2012 CIA 121,409,830 2013 101 018 231,600,000 2012 CIA 29,195,895 2012 781 019 229,600,000 2012 CIA 23,060,903 2013 1610 020 216,290,000 2014 Ministry of Energy(Iran) 77,800,000 2014 317 021 175,300,000 2012 CIA 44,854,065 2012 461 022 170,500,000 2012 CIA 247,424,598 2013 109 023 155,900,000 2012 CIA 66,720,153 2011 225 024 149,000,000 2012 CIA 38,501,000 2011 591 025 138,600,000 2012 CIA 84,550,000 2013 247 026 130,500,000 2012 CIA 9,555,893 2012 1576 027 119,500,000 2012 CIA 5,063,709 2013 2603 028 118,900,000 2013 CIA 43,563,973 2014 502 029 115,900,000 2012 CIA 16,788,066 2013 856 030 108,000,000 2011 CIA 90,388,000 2012 127 031 93,800,000 2009 CIA 28,334,135 2010 387 032 88,110,000 2011 CIA 16,967,000 2013 593 033 85,850,000 2011 CIA 28,946,101 2011 318 034 84,780,000 2008 CIA 11,035,948 2012 876 035 83,090,000 2008 CIA 5,421,827 2012 1747 036 77,261,000 2014 Department of Energy 103,775,517 2013 95 037 74,350,000 2010 CIA 186,143,000 2013 67 038 70,580,000 2008 CIA 8,264,070 2010 974 039 65,670,000 2009 CIA 8,414,638 2011 990 040 59,530,000 2008 CIA 10,815,197 2011 827 041 59,260,000 2010 CIA 10,513,209 2012 843 042 57,500,000 2009 CIA 8,014,000 2012 1018 043 56,350,000 2008 CIA 17,402,630 2012 409 044 55,660,000 2010 CIA 31,129,225 2012 204 045 51,460,000 2010 CIA 20,121,600 2013 315 046 48,270,000 2008 CIA 10,581,949 2012 720 047 47,160,000 2008 CIA 8,002,300 2013 772 048 45,940,000 2011 CIA 7,061,200 2010 1096 049 42,580,000 2008 CIA 2,818,042 2012 1723 050 42,570,000 2010 CIA 9,942,000 2012 488 051 41,200,000 2010 CIA 5,312,400 2012 884 052 40,100,000 2009 CIA 29,559,100 2012 155 053 39,100,000 2012 BP 'Electricity Generation '!A1 161,083,804 2012 28 054 38,820,000 2008 CIA 47,072,915 2012 94 055 38,564,000 2012 MBIE 4,468,200 2013 1085 056 35,500,000 2011 CIA 7,186,862 2011 563 057 34,250,000 2011 CIA 30,475,144 2013 189 058 32,070,000 2010 CIA 5,687,591 2012 1343 059 31,070,000 2008 CIA 9,457,500 2012 375 060 30,700,000 2008 CIA 37,900,000 2012 142 060 28,990,000 2008 CIA 22,530,746 2012 147 061 28,760,000 2010 CIA 5,410,836 2012 690 062 28,300,000 2009 CIA 7,364,570 2011 438 063 25,8500,000 2011 CIA 4,580,252 2012 643 064 22,890,000 2008 CIA 6,202,000 2013 460 065 21,470,000 2008 CIA 32,878,400 2012 74 066 20,960,000 2008 CIA 3,667,084 2012 1023 067 18,870,000 2010 CIA 4,284,889 2011 502 068 18,850,000 2008 CIA 24,554,000 2011 58 069 18,800,000 2008 CIA 9,356,500 2013 229 070 18,790,000 2008 CIA 1,903,447 2013 1525 071 18,140,000 2008 CIA 170,123,740 2012 12 072 16,700,000 2009 CIA 7,616,000 2011 250 073 16,480,000 2009 CIA 321,857 2012 5837 074 14,920,000 2008 CIA 15,223,680 2011 182 075 14,700,000 2009 CIA 2,055,496 2012 815 076 14,200,000 2008 CIA 11,163,934 2012 275 077 13,250,000 2008 CIA 2,773,479 2010 545 078 13,000,000 2009 CIA 5,125,693 2012 289 079 12,870,000 2008 CIA 9,445,281 2010 365 080 12,490,000 2008 CIA 10,732,900 2012 236 = 분류:영국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 = 분류:장자커우시 = = 분류:정당별 캄보디아의 정치인 = = 도 (성씨) = 도(都, 陶)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다. = = 도읍 도 都 = = 중국 여양(黎陽) 사람인 도계(都稽)가 한 무제(漢武帝) 때 복파장군(伏波將軍)으로 여가(呂嘉)의 반란을 평정하여 도(都)씨를 수성(受姓)한 것이 시초이다. 도조(都祖)가 고구려(高句麗)에 동래하여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 유리(琉璃)가 왕위(王位)에 오르는 데 공헌하였다. 도(都)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56,850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66위이다. 본관은 성주(星州) 단본이다. 성주 도씨(星州 都氏)는 도진(都陳)이 고려 창업에 공훈을 세우고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선계가 실전되어 고려 명종 때 전리상서(典理尙書)를 역임한 도순(都順)을 기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6세손 도길부(都吉敷)가 고려 말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 도길부의 아들 도응(都膺)도 고려 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조선이 건국 후 상장군에 임명됐으나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 = 질그릇 도 陶 = = = = = = 중국 = = = = 중국 도(陶:Tao)씨는 여러 가지 계통이 있다. 첫 번째 전설시대 요임금에서 계출되었고, 두 번째는 주나라 관직에서 나왔다고 한다. 소수민족으로는 금백족(今白), 태족(傣), 경족(京), 묘족(苗), 요족(瑶), 이족(彝), 포랑족(布朗), 몽고(蒙古)족, 석백이(锡伯尔)족에서 계출된 도(陶:Tao)씨도 있다. 만주(满族) 지역의 도가(陶佳)씨, 탁화라(托和罗)씨, 토음(吐钦)씨, 몽토(古隆)씨 탁고이(托库尔)씨에서 도(陶)씨로 창성하였다. 인물로는 중국 동진(東晋) 말기부터 남조(南朝)의 송대(宋代) 초기의 시인 도연명(陶淵明, 365 ~ 427), 한(漢)나라의 재상 도청(陶靑), 도겸(陶謙), 도곡(陶穀) 등이 있다. = = = = 한국 = = = = 도(陶)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1,037명으로 조사되었다. 충렬왕(忠烈王)조 환관으로 낭장(郞將)을 지낸 도성기(陶成器)가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본관은 순천(順川), 풍양(豊壤), 남양(南陽), 청주(淸州), 유곡(楡谷), 별량(別良), 죽청(竹靑), 경주(慶州), 병양(兵陽), 밀양(密陽) 등이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나타나 있다. 순천 도씨(順天 陶氏)의 시조(始祖) 도구원(陶球元)은 원(元)나라의 진사(進士)로서 1296년(충렬왕 22) 원(元)나라 공주를 배행(陪行)해서 고려(高麗)에 들어온 후 순천(順天)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순천도호부 죽청(竹靑)과 별량(別良)의 성(姓)으로 도(陶)씨가 기록되어 있다.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순천도호부 2015년 인구는 829명이다. = = 길 도 道 = = 도(道:Dao)씨는 중국 여음(汝陰)에서 계출된 성씨라고 한다. 도(道)씨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5명으로 조사되었다. 1930년 국세조사 때 제주도에 1가구가 나타났다. = = 참고 = = 베트남에는 두(杜)씨가 광둥어, 민난어로 '도'로 발음된다. = 구마토리정 = 구마토리정은 오사카부 남서의 센난군의 정이다. = = 인접한 자치체 = = 이즈미사노시 가이즈카시 = = 역사 = = 1889년 : 정촌제의 시행에 의해 히네 군 구마토리 촌이 되었다. 1896년 : 센난 군이 성립해 센난 군 구마토리 촌이 되었다. 1951년 : 정으로 승격해 센난 군 구마토리 정이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 = = = 도로 = = = * = Μg = = 2010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여자 복합 = 2010년 동계 올림픽의 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은 2010년 2월 14일에 휘슬러에 있는 휘슬러-블랙콤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2월 18일로 연기되었다. = = 결과 = = 순위 번호 이름 국가 활강 순위 회전 순위 합계 차이 19 마리아 리슈 1:24.49 2 44.65 7 2:09.14 3 줄리아 만쿠소 1:24.96 3 45.12 9 2:10.08 +0.94 21 아냐 페르손 1:25.57 7 44.62 6 2:10.19 +1.05 4 20 카트린 제텔 1:26.01 11 44.49 4 2:10.50 +1.36 5 4 티나 마제 1:25.97 10 44.56 5 2:10.53 +1.39 6 22 파비엔느 수터 1:25.29 4 45.56 11 2:10.85 +1.71 7 12 사르카 자흐롭스카 1:27.33 22 43.69 1 2:11.02 +1.88 8 8 요한나 슈나르프 1:25.72 9 45.57 12 2:11.29 +2.15 9 17 미카엘라 키르쉬가서 1:27.09 19 44.26 2 2:11.35 +2.23 10 9 마리에 마르샹 아르비에 1:25.41 5 46.41 18 2:11.82 +2.68 11 13 체미 앨코트 1:27.06 18 45.45 10 2:12.51 +3.37 12 26 쇼나 루벤스 1:26.90 17 45.68 13 2:12.58 +3.44 13 27 모나 로에세트 1:27.72 24 44.96 8 2:12.68 +3.54 14 11 에밀리 브리돈 1:26.49 15 46.27 17 2:12.76 +3.62 15 14 마루사 페르크 1:26.15 12 46.83 22 2:12.98 +3.84 16 15 아나 페닝거 1:27.19 20 46.08 16 2:13.27 +4.13 17 25 카일린 리차드슨 1:27.64 23 45.76 14 2:13.40 +4.26 18 16 엘리자베스 고르글 1:25.60 8 47.98 25 2:13.58 +4.44 19 2 알렉산드라 콜레티 1:26.74 16 47.07 23 2:13.81 +4.67 20 30 산드린 오베르트 1:29.50 26 44.46 3 2:13.96 +4.82 21 28 린 스미스 1:27.27 21 46.70 20 2:13.97 +4.83 22 29 제시카 린델 비카르비 1:26.47 14 47.69 24 2:14.16 +5.02 23 23 안드레아 데틀링 1:26.28 13 48.16 26 2:14.44 +5.30 24 24 미레이아 구티에레즈 1:29.16 25 46.51 19 2:15.67 +6.53 25 5 아그니에스즈카 가시에니카 다니엘 1:30.28 29 45.96 15 2:16.24 +7.12 26 34 마카레나 시마리 비르크네르 1:29.56 27 46.81 21 2:16.37 +7.23 27 32 Anna Berecz 1:33.47 30 49.50 27 2:22.97 +13.83 28 35 노에예 바라오나 1:34.05 31 50.20 28 2:24.25 +15.11 18 린지 본 1:24.16 1 10 지나 스테쉐르트 1:25.44 6 31 마리아 벨렌 시마리 비르크네르 1:30.19 28 1 나쟈 카메르 6 엘레나 프로스테바 7 다니엘라 메리게티 33 Georgia Simmerling = 틀: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 = 소울 이터 Not! = 소울 이터 Not!은 오쿠보 아츠시가 쓰고 그린 일본의 만화이다. 이 만화는 주 시리즈인 "소울 이터"의 스핀오프 작이며, 만화 이벤트에 앞서서 나왔다. 스퀘어 에닉스의 월간 소년 간간 지에서 2011년 1월 12일부터 연재를 시작하였다. Bones가 제작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2014년 4월 8일부터 TV 도쿄에서 방영중에 있으며 북미에선 Funimation에서 동시 방영중이다. = 팔레스타인의 재외기구 목록 = 팔레스타인의 재외기구 목록은 팔레스타인 주재 대사관과 대표부를 각국에 상주시켜 놓는 것을 의미하며 팔레스타인의 재외기구를 나열한 목록이다. = = 아프리카 = = : 알제 (대사관) : 루안다 (대사관) : 브라자빌 (대사관) : 아비장 (대사관) : 지부티 시 (대사관) : 카이로 (대사관) : 아디스아바바 (대사관) : 리브르빌 (대사관) : 아크라 (대사관) : 코나크리 (대사관) : 비사우 (대사관) : 트리폴리 (대사관) : 바마코 (대사관) : 누악쇼트 (대사관) : 라바트 (대사관) : 마푸투 (대사관) : 빈트후크 (대사관) : 아부자 (대사관) : 다카르 (대사관) : 프리토리아 (대사관) : 하르툼 (대사관) : 다르에스살람 (대사관) : 튀니스 (대사관) : 루사카 (대사관) : 하라레 (대사관) = = 아메리카 = =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사관) : 브라질리아 (대사관) : 오타와 (총대표부) : 산티아고 (대사관) : 보고타 (특별대표부) : 아바나 (대사관) : 키토 (대사관) : 멕시코시티 (특별대표부) : 마나과 (대사관) : 리마 (대사관) : 워싱턴 D.C. (총대표부) : 카라카스 (대사관) = = 아시아 = = : 바쿠 (대사관) : 마나마 (대사관) : 다카 (대사관) : 반다르스리브가완 (대사관, 개관 예정) : 베이징시 (대사관) : 뉴델리 (대사관) : 자카르타 (대사관) : 테헤란 (대사관) : 바그다드 (대사관) : 도쿄도 (총대표부) : 암만 (대사관) : 아스타나 (대사관) : 평양직할시 (대사관) : 쿠웨이트시티 (대사관) : 베이루트 (대사관) : 쿠알라룸푸르 (대사관) : 무스카트 (대사관) : 이슬라마바드 (대사관) : 도하 (대사관) : 리야드 (대사관) : 콜롬보 (대사관) : 다마스쿠스 (대사관) : 앙카라 (대사관) : 아부다비 (대사관) : 타슈켄트 (대사관) : 하노이 (대사관) : 사나 (대사관) = = 유럽 = = : 티라나 (대사관) : 빈 (상주대표부) : 민스크 (대사관) : 브뤼셀 (총대표부) : 사라예보 (대사관) : 소피아 (대사관) : 니코시아 (대사관) : 프라하 (대사관) : 코펜하겐 (총대표부) : 헬싱키 (총대표부) : 파리 (대표부) : 베를린 (대표부) : 아테네 (대표부) : 부다페스트 (대사관) : 더블린 (대표부) : 로마 (대표부) : 발레타 (대사관) : 헤이그 (총대표부) : 오슬로 (대표부) : 바르샤바 (대사관) : 리스본 (대표부) : 부쿠레슈티 (대사관) : 모스크바 (대사관) : 베오그라드 (대사관) : 브라티슬라바 (대사관) : 마드리드 (대표부) : 스톡홀름 (대사관) : 베른 (총대표부) : 키예프 (대사관) : 런던 (대표부) : 로마 (대표부) = = 오세아니아 = = : 캔버라 (총대표부) = = 대표부 = = UN 팔레스타인 옵서버 상주대표부 : 빈, 제네바, 뉴욕 UNESCO 팔레스타인 옵서버 상주대표부 : 파리 아랍 연맹 팔레스타인 정부 대표부 : 카이로 = 틀:광명시의원 선거 = = 키스 나이트클럽 화재 = thumb 키스 나이트클럽 화재사고(Kiss nightclub fire)는 2013년 1월 27일 브라질 현지 시간으로 새벽 2시에서 2시 30분 사이에 브라질 산타마리아에 위치한 나이트클럽에서 화재가 발생, 245명이 숨지고 10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된 사건이다. 화재의 원인은 무대 연주자 중 1명이 폭죽에 불을 붙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후불제를 채택하고 있어서 관리주 측에서 손님들이 돈을 내지 않으면 대피할 수 없도록 하는 바람에 피해가 더욱 커졌다. = 분류:룩셈부르크의 세계유산 = = 우에무라 마사유키 = 우에무라 마사유키(1943년 6월 20일~2021년 12월 6일)는 일본의 공학자, 비디오 게임 개발자 및 교수였다. 패밀리 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닌텐도 제품을 설계한 것으로 유명하다. 본래 샤프에서 일하는 우에무라는 1971년 닌텐도에 입사해 요코이 군페이와 다케다 겐요와 함께 태양 전지를 사용한 아케이드 게임 레이저 점사 시스템을 개발했다. 닌텐도 개발 제이부의 본부장이 된 후에는 패밀리 컴퓨터와 슈퍼 패미컴의 수석설계사가 됐다. 2004년 닌텐도에서 은퇴해 리쓰메이칸 대학의 게임학과 교수가 됐다. = = 경력 = = 대학 졸업 후 샤프에서 태양 전지를 판매했다. = = 일생 = = 2021년 12월 6일 향년 78세에 사망했다. = 콜체스터 (동음이의) = 콜체스터에는 다음과 같은 지명과 각종 뜻들이 있다. = = 영국 = = 콜체스터 콜체스터구 * 바론 콜체스터 = = 미국 = = * * * * - 유일한 비법인지구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콜체스터 (이스턴케이프주) = 틀:위치 지도 키리바시 = = 분류:히코네시의 문화 = = 미스 인터내셔널 1979 = 미스 인터내셔널 1979는 1979년 11월 12일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이번 대회에는 43명의 참가자가 경쟁했다. = 1964년 동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 = 1964년 동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개최된 1964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이다. 총 여섯 명의 남자 선수가 알파인 스키 한 종목에 참가하였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 =알파인 스키 = = 선수 종목 기록 기록 선수 종목 시간 순위 호르헤 로드리게스 활강 DNF – 하비에르 마사나 활강 2:33.52 43위 후안 가리가 활강 2:32.85 41위 루이스 비우 활강 2:30.35 35위 하비에르 마사나 대회전 DNF – 프란시스코 프라트 대회전 2:15.79 58위 후안 가리가 대회전 2:03.85 38위 루이스 비우 대회전 2:00.83 32위 선수 예선 예선 예선 예선 결선 결선 결선 결선 결선 결선 선수 1차 순위 2차 순위 1차 순위 2차 순위 종합 순위 루이스 비우 1:14.06 72위 1:03.18 36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루이스 산체스 1:02.40 51위 1:00.56 26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하비에르 마사나 1:00.95 47위 59.14 21위 QF 1:22.10 39위 1:13.57 38위 2:35.67 37위 후안 가리가 59.53 44위 DSQ –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 = 참조 = = 올림픽 공식 결과 올림픽 = 분류:2-나프톨 = = 분류:엘살바도르의 외국인 축구 선수 = = 히다촌 = 히다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히다촌 (기후현)(肥田村) - 기후현 도키군 히다촌. 현 도키시. 히다촌 (니가타현)(斐太村) - 니가타현 나카쿠비키군 히다촌. 현 묘코시. = 치료 목록 = 다음은 의료적 치료 유형 목록으로, 여기에는 전통의학과 대체의학이 포함된다. 지압 침술 동물 매개 치료 항혈청 치료 아로마테라피 예술 치료 자폐 장애 치료 생체치료 세포 치료 화학요법 식치 카이로프랙틱 치료 부항 전기 경련 요법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 (MTF) 유전자 치료 호르몬 대체요법 고압산소요법 면역요법 정맥 주사 광선 치료 리튬 치료 수기치료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 (FTM) 마사지 치료 마음챙김 음악 치료 작업치료 경구수액 산소 흡입 완화치료 동물 매개 치료 파지 요법 광선 치료 물리치료 화학요법 양성자 치료 방사선 치료 항혈청 치료 표적 치료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 요료법 = 가격 비교 사이트 = 가격 비교 사이트는 여러 쇼핑 사이트, 경매 사이트 등의 정보를 모아 상품의 가격과 라인업을 일괄적으로 정리 비교할 수 있는 정보 사이트이다. 가전 제품과 컴퓨터, 화장품, 옷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비교하고 있다. = = 개요 = = 여러 상점의 판매 가격을 횡단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가격이 낮은 순서와 제조사별로 정렬할 수 있다. 가장 유리한 조건의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가격을 비교하거나 인터넷 경매 입찰가를 설정할 때 도움이 된다. = = 목록 = = 구글 쇼핑 빙 쇼핑 = = = 대한민국 = = = 네이버쇼핑 다나와 비비 쇼핑하우 에누리닷컴 쿠차 행복쇼핑 = = = 일본 = = = 카카쿠닷컴 = 시집 (문학) = 시집(詩集)은 여러 시들을 한 곳에 묶은 책을 의미한다. = 나문재아과 = 나문재아과( -亞科, 학명: )는 비름과의 아과이다.Ulbrich, Oskar Eberhard.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Zweite Auflage 16(c). 1934. = = 하위 분류 = = 나문재속(Suaeda Forssk. ex J.F.Gmel.) 비네르티아속(Bienertia Bunge ex Boiss.) = 고토 모에 = 고토 모에(, 2001년 5월 20일 ~ )는 일본의 가수로, 전 AKB48 팀A의 멤버이다. = = 출연 작품 = = PRODUCE 48 (2018 6월 15일 ~ 2018년 8월 31일) - 참가자 = 이태승 = 이태승(1983년 10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KBS 21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다. = = 텔레비전 드라마 = = 2003년 SBS 《천국의 계단》 - 차송주 친구 역 2008년 MBC 《춘자네 경사났네》 - 연예인 역 2008년 KBS 《집으로 가는 길》 - 모델 역 2009년 KBS 《장화홍련》 - 임혁 역 2010년 SBS Plus 《키스 앤 더 시티》 2012년 KBS 《당신뿐이야》- 이 기사 역 2014년 KBS 《정도전》 2015년 KBS 《징비록》 2016년 KBS 《다시, 첫사랑》 = = 방송 = = 2009년 KBSN《캐스팅》 2009년 TVN《재밌는 TV 롤러코스터》 = = 수상 내역 = = 2002년 멤버할리데이모델콘테스트 1위 2008년 엘리트모델 룩 코리아 선발대회 CF모델부문 2위 = 마커스 자일스 = 마커스 자일스 (Marcus William Giles, 1978년 5월 18일 ~ )는 전 미국 프로 야구 선수이다. 2001년 아마추어 드래프트 53라운드에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입단했다. = = 통산기록 = = 년도 팀 타율 경기수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실패 볼넷 삼진 병살타 출루율 장타율 OPS 2001 ATL .262 68 244 64 10 2 9 31 36 2 5 28 37 8 .338 .430 .769 2002 ATL .230 68 213 49 10 1 8 23 27 1 1 25 41 5 .315 .399 .714 2003 ATL .316 145 551 174 49 2 21 69 101 14 4 59 80 7 .390 .526 .917 2004 ATL .311 102 379 118 22 2 8 48 61 17 4 36 70 6 .378 .443 .821 2005 ATL .291 152 577 168 45 4 15 63 104 16 3 64 108 13 .365 .461 .826 2006 ATL .262 141 550 144 32 2 11 60 87 10 5 62 105 12 .341 .387 .729 2007 SD .229 116 420 96 19 3 4 39 52 10 3 44 82 10 .304 .317 .621 통산 .277 792 2934 813 187 16 76 333 468 70 25 318 523 61 .353 .429 .782 = 곽맹 = 곽맹(郭萌, ? ~ ?)은 전한 말기의 제후이다. = 2017년 샤이라트 미사일 공습 = 2017년 샤이라트 미사일 공습은 2017년 4월 7일 홈스에 위치한 시리아 공군기지에 미국이 59발의 토마호크 (미사일)을 발사한 공습 작전이다. 이 공습은 4월 4일 시리아 한 샤이훈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공격에 대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공식적인 대응으로 이루어졌다. 시리아 내전 발생 이후 미국이 아사드 정권을 직접 공격한 최초의 공습이기도 하다. = 분류:오오과 = = 분류:카네코 시게키 각본 드라마 = 아래 목록은 일본의 각본가 카네코 시게키가 각본·원작을 맡은 드라마다. = 비니스 힐 60 = 비니스 힐 60(Beneath Hill 60)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작된 제레미 심스 감독의 2010년 드라마, 전쟁 영화이다. 브렌단 코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010년 4월 15일 개봉되었다. 2009년 7월에 2010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 계획이 보고되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브렌단 코웰 해리슨 길벗슨 = = = 조연 = = = 스티브 르 마르컹 가이턴 그랜틀리 던컨 영 워윅 영 앤소니 헤이스 리온 포드 크리스 헤이우드 톰 그린 아덴 영 존 스탠턴 제럴드 렙프코스키 자클린 맥켄지 벨라 헤스콧 데니스 크류슬러 사무엘 로스 포브스 라이트 = = 기타 = = 공동제작: 데이빗 로치 공동제작: 제레미 심스 라인프로듀서: 미쉘 러셀 조감독: 제이미 크룩스 조감독: 크리스 에반스 세트: 롤랜드 파이크 분장부문: 크레소 스티픽 분장부문: 쉐인 토머스 배역: 커스티 맥그리거 프로덕션매니저: 콜린 클락 = 분류:한라대학교 = = 크루컷 = 크루 컷은 머리카락을 짧게 자른 헤어스타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스포츠 머리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크루컷은 스포츠를 하기에 편하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 군대에서는 위생, 관리 등을 이유로 이 머리 모양을 유지하도록 규정하는 경우가 있다. = = 역사 = = 크루 컷이라는 머리 스타일에 적용된 이름과 관계없이 이 스타일은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원조도 미국이 아니었습니다. 영어에서 크루 컷과 플랫 탑 크루 컷은 이전에 폼파도르 또는 짧은 폼파도르로도 알려져 있었으며, 브러시 컷으로도 불리며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착용되어 왔습니다. 이 스타일은 다른 언어로 다른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불어에서는 coupe à la brosse "브러시처럼 자르기"; 독일어에서는 Bürstenschnitt; 러시아어에서는 ёжик "고슴도치"로 불렸습니다. 플랫 탑이 있는 짧은 폼파도르는 표준으로 간주되었으며, 다소 곡선적인 모습은 더 넓은 이마와 얼굴 형태에 권장되었습니다. 플랫 탑을 가진 스타일은 브러시 탑 짧은 폼파도르라고 불리며, 더 둥근 탑을 가진 스타일은 라운드 탑 짧은 폼파도르라고 불렸습니다. 1921년에 손잡이에 모터가 달린 전기 클리퍼가 발명되기 전과 이에 따른 마케팅 및 광범위한 사용 이전에 이상적인 짧은 폼파도르는 이발사들에게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스타일로 여겨졌습니다.Andis, Our History 용어 "크루 헤어컷"은 아마도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코넬 및 기타 대학 크루 팀 멤버들이 착용한 헤어스타일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스타일은 보트가 경기를 할 때 선수의 머리가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짧게 유지되었으며 선수는 양 손을 키로 노젓는 자세에서 보트가 반대 방향으로 경주하므로 머리를 얼굴에서 치우치게 할 수 없었습니다. 이 이름은 축구 헤어컷과 대조되었는데, 1889년 이래로 축구 선수들이 머리를 길게 남겨 머리 부상을 방지하기 시작한 것과 대조되었습니다. 그 결과, 머리카락이 긴 축구 선수들은 종종 대중 언론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Beau Riffenburgh, The Official NFL Encyclopedia: "The Helmet" 1895년에는 챔피언 예일 축구 팀이 "까맣게 다듬어진 머리"로 나타나고 그 후로는 축구에서 머리카락을 길게 남기는 스타일이 사라졌습니다. 거의 동시에 첫 번째 헬멧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크루 컷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특히 아이비 리그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스타일은 종종 여름에 시원한 효과를 위해 컷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남성들은 G.I. 헤어컷과 크루 컷을 받았으며, 상당수는 병역을 끝내고 나서도 시민으로서 크루 컷을 계속했습니다. 1960년대 중반에 긴 머리가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크루 컷과 그 변형들은 1970년대를 통해 인기가 줄어들었습니다. 크루 컷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 다시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플랫탑 크루 컷이 가장 인기 있는 크루 컷 스타일이었습니다. = 모모노기 카나 = 모모노기 카나(, 1996년 12월 24일~)는 일본의 성인 비디오 여배우, 가수이다. 2014년 10월 20일 '마츠시마 마아사(松嶋真麻)', 키153(cm), 쓰리사이즈 B95(H컵) W64 H93(cm) 프로필 이름으로 데뷔했으나 큰 인기를 얻지 못한채 2015년 8월까지 활동하다 '모모노기 카나(桃乃木かな)'로 개명후 아이디어 포켓에서 10월달에 다시 데뷔했다. 2015년부터 방송중인 마스캇토 나이트를 계기로 아이돌 그룹의 일원으로서 가수로서 활동중이다. 2017년과 2018년에 대한민국에 방문하여 팬미팅을 갖고 한국 BJ와 게스트로 합방을 진행하였다. = 분류:코소보의 도시별 건축물 = = 야마모토촌 (나가노현) = 야마모토촌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이다시 서부에 해당한다. = 마지막 수업 = 마지막 수업은 프랑스의 작가 알퐁스 도데의 단편 소설이다. 알퐁스 도데의 월요 이야기에 수록되어 있다. = = 줄거리 = = 프랑스 알자스 지방에 살던 소년 프란츠는 공부보다는 뛰어 놀기를 좋아하는 아이이다. 오늘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학교에 갔으나 교실에는 무거운 분위기가 흘렀다. 또한 동네의 어른들 역시 교실에 앉아 있었다. 프랑스어 선생님인 아멜 선생님은 장학사가 학교를 방문할 때나 입던 정장을 입고 교단에 서있었다. 아멜 선생님은 "베를린에서 명령이 내려왔습니다. 독일에 귀속된 알자스-로렌 지방의 모든 학교에서는 프랑스어 수업이 아닌 독일어 수업을 하라고 말입니다."라는 말을 한다. 곧 이 수업이 마지막 수업이라는 것이다. 프란츠는 마음 깊이 자신이 프랑스어를 소홀히 배운 것을 반성한다. 그러나 아멜 선생님은 프란츠에게 "너는 이미 네 마음 속으로 너를 반성하고 있을 것이다. 그걸로 만족하단다."라는 말로 프란츠를 위로한다. 수업이 끝나는 시간인 12시에 저 건너 교회탑에서 시간을 알리는 종이 치고 프로이센 군의 소리가 들리자 아멜 선생님은 말을 잇지 못한다. 이어서 아멜 선생님은 교실 칠판에 Vive La France!(프랑스 만세!)라고 쓰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 = 영향 = = 알퐁스 도데의 월요이야기 수록 글 중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보불전쟁) 이후 빼앗긴 알자스로렌에 남아 있던 프랑스인들의 서러움. 하지만 알고 보면 알자스-로렌 지방은 독일령이였는데 1648년 이후 프랑스에게 뺏겼다가 되돌려 받은 것으로 원래 독일어를 썼다. = 분류:백제의 왕 이름을 딴 분류 = = 분류:나라별 도시별 종교 건축물 = = 다마노이촌 (사이타마현) = 다마노이촌은 사이타마현 오사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구마가야시에 해당한다. = 분류:스리랑카의 여자 모델 = = 1643년 = 164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 연호 = = 명(明) 숭정(崇禎) 16년 청(淸) 숭덕(崇德) 8년 일본(日本) 간에이() 20년 후 레 왕조(後黎朝) 즈엉호아(陽和) 9년 / 푹타이(福泰) 원년 막 왕조(莫朝) 투언득(順德) 6년 = = 기년 = = 류큐(琉球) 쇼켄왕() 3년 명(明) 의종 숭정제(毅宗 崇禎帝) 16년 청(淸) 태종 숭덕제(太宗 崇德帝) 17년 조선(朝鮮) 인조(仁祖) 21년 후 레 왕조(後黎朝) 신종(神宗) 25년 / 진종(眞宗) 원년 = = 사건 = = 5월 14일 - 루이 14세, 프랑스 국왕으로 즉위. 5월 19일 - 30년 전쟁 후반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大)콩데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이 스페인군을 격파하다. 6월 9일 - 조선 경상도 합천에서 지진이 일어나 2명이 압사하고 수목이 부러지는 등의 피해를 있었다. 7월 24일 - 경상도 울산에서 지진이 일어나 울산도호부 관아와 가옥 140호가 무너지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 = 문화 = = 윤순지가 이끄는 조선 통신사가 일본을 방문. = = 탄생 = = 1월 4일 - 영국의 과학자 아이작 뉴턴 = = 사망 = = 5월 14일 - 프랑스의 루이 13세 9월 21일 - 중국의 황제 홍타이지 11월 29일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이탈리아 작곡가 * = 분류:아시아의 음악 = = 분류:슬로베니아의 희극 = = 1034년 = = = 연호 = = 북송(北宋) 경우(景祐) 원년 요(遼) 중희(重熙) 3년 일본(日本) 조겐() 7년 서하(西夏) 현도(顯道) 3년 / 개운(開運) 원년 / 광운(廣運) 원년 리 왕조(李朝) 티엔타인(天成) 7년 / 통투이(通瑞) 원년 = = 기년 = = 고려(高麗) 덕종(德宗) 3년 북송(北宋) 인종(仁宗) 12년 요(遼) 흥종(興宗) 4년 서하(西夏) 이원호(李元昊) 3년 리 왕조(李朝) 태종(太宗) 7년 = = 사건 = = 덕종이 자식없이 19세의 나이로 요절함. 동생 평양군 형이 1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름. 고려 10대 국왕 정종. = = 탄생 = = 영국 철학자 안셀무스 (1033년이라는 설도 있음) = = 사망 = = 고려 9대 국왕 덕종 * = Með suð í eyrum við spilum endalaust = Með suð í eyrum við spilum endalaust는 2008년 6월 20일에 발매된 시규어 로스의 음반이다. EMI에 의해 발매되었다. = 아르눌푸스 = 아르눌푸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 성 아르눌푸스: 프랑크 왕국 아우스트라시아의 귀족 아르눌푸스 레멘시스: 서프랑크 왕국의 왕족 = 엄태영 (1958년) = 엄태영(嚴泰永, 1958년 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4·15대 충청북도 제천시장, 제1대 충청북도 제천시의원,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충청북도 제천시 출신이다. = = 학력 = = 1964.03~1970.02 제천소화공립국민학교 졸업 1970.03~1973.02 제천중학교 졸업 1973.03~1976.02 제천고등학교 졸업 1976.03~1984.02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졸업 = = = 비학위 수료 = = = *~2000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졸업 2011.03~2014.02 명지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 과정 수료 = = 경력 = = 1991.04~1994.12 제1대 충청북도 제천군의회 의원 1995.01~1995.06 제1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의원 1993 한국청년회의소 충북지구 JC지구이사 1993~2002 대우자동차 충청북도 제천판매, 단양판매 대표이사 1995.01~1995.06 제1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후반기 총무위원회 위원 1995.01~1995.06 제1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1995.07~1998.06 제2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의원 1995~2002 바르게 살기운동 제천시 협의회 부회장 1995.07~1996.12 제2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전반기 운영사회위원회 위원장 1995.07~1996.12 제2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전반기 총무위원회 위원 1995.12~1997.03 제2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조례정비특별위원회 위원장 1997.01~1998.06 제2대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후반기 기획총무위원회 위원 2000~2002 한나라당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 지구당 위원장 2001~2002 한나라당 미래연대 지방자치발전위원장 2002.07~2006.06 제14대 충청북도 제천시장 2004~2006 전국청년시장군수구청장 모임(청목회) 회장 2004~2006 중부내륙중심권 행정협력회 회장 2004~2010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조직위원장 2006.07~2010.06 제15대 충청북도 제천시장 2008~2010 제천국제한방 Bio엑스포 조직위원장 2011 한나라당 중앙당 대외협력위원회 부위원장 2012 여의도연구소 정치행정분과 정책자문위원 2012 새누리당 대외협력위원회 수석부위원장 2018 자유한국당 충북도당 제천시·단양군 당협위원장 2018.09~2019.08 자유한국당 충북도당 위원장 2018.12~2020.02 자유한국당 충북도당 제천시·단양군 당협위원장 2019.03~2020.02 자유한국당 당대표 특별보좌역 자유한국당 중앙연수원 부원장 2019.07~2020.02 자유한국당 디지털정당위원회 부위원장 미래통합당 중앙연수원 부원장 미래통합당 중앙위분과위원 2020.05~2020.09 미래통합당 원내부대표 2020.05~2020.09 미래통합당 충북도당 제천시·단양군 당협위원장 2020.09~2022.04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2020.09~2024.01 국민의힘 충북도당 제천시·단양군 당협위원장 2020.09 국민의힘 호남 동행 국회의원 발대식 명예의원(전라남도 무안군) 2020.11~2021.06 국민의힘 정책조정위원회 제2정조부위원장(농해수·산자·국토 분야) 2020.12~2021.03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공약개발단 공통공약 개발단 주거희망팀 위원 2021.03~2021.07 국민의힘 충북도당 위원장 2021.03~2021.04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본부장 2021.05~2021.06: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2021.12~2022.03: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후보전략자문위원회 위원 겸 조직총괄본부 강원충청본부장 2021.12 : 국민의힘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위원 2022.01~2022.03: 국민의힘 충북을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선거대책위원장 2022.01~2022.03: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본부 조직본부 강원·충청본부장 2022.03~2022.05: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위원 2022.08~2022.09: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2022.09~2023.03: 국민의힘 조직부총장 2022.10~2022.12: 국민의힘 조직강화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22.12~2023.01: 국민의힘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2023.01~: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위원 2023.02~2023.04: 국민의힘 4·5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 2023.04~: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 = = 의정 활동 = = = 2020.05~: 제21대 국회의원(충북 제천시·단양군, 미래통합당) 2020.07~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2020.07~: 혁신 4.0 연구포럼 구성의원 2020.09~2021.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0.11~2021.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 위원 2021.10~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2.03~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2022.07~2023.01: 제21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중소벤처기업소위원회 위원 2023.01~: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장 국회 해양수산포럼 구성의원 2023.04 ~ 제21대 국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2023.06~: 제21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 서적 = = 2011 배꼽여행 = = 수상 = = 2009 예술경영리더상 2009 제18회 대한민국 무궁화 대상 2010 제34회 국가생산성 대상 = 데루테루보즈 = 테루테루보즈는 맑은 날씨를 불러온다는 일본의 인형이다. 하얀 색 천에 눈사람의 머리모양을 하고 있으며, 처마 밑에 걸어두면 날씨가 맑아진다는 속설때문에 비가 내리면 걸어둔다. 반대로 거꾸로 매달아 놓으면 비가 내린다고도 하여 이럴 때는 후레후레보즈, 아메아메보즈, 루테루테보즈따위의 이름으로 부른다. 테루테루보즈는 눈만 그려져 있는데, 눈외에 입과 코등 얼굴을 자세히 그리게 되면 역시 비가 내린다고 한다. 테루테루보즈와 관련된 괴담도 존재하는데, 비가 많이 오던 한 일본의 마을에서 스님이 날씨를 맑게 해준다며 사람들에게 돈을 걷었지만 날씨가 맑아지지 않아 스님의 목을 쳐서 하얀천으로 감싸 어딘가에 걸어두었던 것에서 테루테루보즈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 산천어운수 = 산천어운수(山川魚運輸)는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의 농어촌버스 회사이고, 본사는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중앙로 24에 위치해 있다. = = 연혁 = = 1980년 1월 23일 : 태평운수로 설립 1999년 : 사명을 태평운수에서 태흥운수로 변경 2017년 1월 1일 : 사명을 태흥운수에서 산천어운수로 변경 = = 주요 운행 노선 = = = = = 농어촌버스 = = = ● 1번: 화천 ~ 동촌리 ● 2번: 화천 ~ 풍산리 (좌석버스 겸용 운행) ● 3번: 화천 ~ 다목리 ● 5번: 화천 ~ 오음리·간척 ● 6번: 화천 ~ 계성리 ● 7번: 화천 ~ 말고개 ● 8번: 화천 ~ 안평리 ● 9번: 화천 ~ 구운리 ● 10번: 화천 ~ 풍산리 (좌석버스 겸용 운행) ● 11번: 화천 ~ 노동리 ● 12번: 화천 ~ 거례리 ● 15번: 화천 ~ 신아아파트 ● 16번: 화천 ~ 명월리 ● 17번: 화천 ~ 삼일 ● 18번: 화천 ~ 광덕리 ● 19번: 화천 ~ 수밀리 ● 20번: 화천 ~ 용담 ● 21번: 화천 ~ 사창리 ● 22번: 화천 ~ 감성마을 ● 25번: 화천 ~ 풍산고등학교 ● 27번: 화천 ~ 주파리 = = = 좌석버스 = = = ● 2번: 화천 ~ 풍산리 (농어촌버스 겸용 운행) ● 10번: 화천 ~ 풍산리 (농어촌버스 겸용 운행) ● 13번: 화천 ~ 안동포 (~ 평화의댐) = = 차량 = = = = = = 자일대우버스 = = =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 = = = 현대자동차 = = = = 현대 E-카운티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현대 그린시티 = 함포 = 함포(艦砲, )는 말그대로 선박에 탑재된 대포이다. = = 역사 = = = = = 고대 ~ 중세 = = = 함포에 대한 구상은 고대에서부터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로마 공화국의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는 그의 저서 '벨로 갈리코(Bello Gallico)의 해설(Commentarii de Bello Gallico)'에서 해안에 상륙한 영국인들을 상대로 선박에 탑재된 투석기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 동로마 제국 함대가 해전에서 투석기로 그리스의 불을 투척해 사용했다고 한다. 세계 최초로 해상에서 화기를 사용한 사례는 바로 아시아에 있다. 1161년 당도 해전(唐岛之战)에서 남송의 장수 이보가 금나라 함대를 상대로 화포와 화전(火箭)을 쓴 것이 처음이며, 몽골의 자바 침공당시에도 화기가 사용되었다. 1363년 파양호 대전에서 대포가 사용되었으며, 1380년 진포 해전에서도 최무선이 만든 대포가 탑재된 고려의 군함 80척이 왜구들이 탄 해적선 500척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는 기록이 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조선 중기에서는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의 함대가 일본의 함대를 상대했을 당시에도 함포의 활약이 매우 컸었다. 유럽에서는 1338년 백년 전쟁 당시에 있었던 아르네무이덴 전투에서 영국 함대가 프랑스 함대를 상대로 대포와 핸드 캐논을 쓴 것이 유럽 역사상 최초로 함포를 사용한 해전으로서의 기록이다. 1470년대에 포르투갈 해군과 베네치아 해군은 대함 무기로 군함에 탑재된 대포를 실험하고 있었다. 포르투갈의 주앙 2세는 아직 왕자였을 때인 1474년에 캐러벨에 부착할 강화된 갑판을 도입하고 군사적인 목적으로 대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1489년에 그는 잘 훈련된 해군 포병들을 선발하여 해군의 설립과 군함의 개발에 더욱 기여했다. 이후 1490년 포르투갈에서 선체에 대포를 장착하여 최초의 함포가 탑재된 군함이 등장하였다. 15세기까지 대부분 지중해의 유럽 강대국들은 배의 뱃머리나 선미에 장착된 대포를 사용하고 해안의 요새를 포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일부 군함들은 탑승을 시도하기 직전에 적국의 다른 배들을 포격하기 위해 크기가 더 작은 대포을 탑재했다. 16세기 초까지는 최대 60파운드(27kg)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는 더 가볍고 정확하고 청동으로 주조된 대포를 보편적으로 채택했다. 1571년 에스파냐, 베네치아, 교황령 등 의 신성 동맹 함대가 오스만 제국의 함대를 상대한 레판토 해전이 발발한 당시 전투용으로 군함에 함포를 탑재하여 사용한 사례도 있었다. = = = 19세기 = = = 19세기 경까지 함포는 갑판에 고정되어 선회할 수 없는 선장식(先裝式) 강선포였고, 포탄도 단순한 철환이었으나, 19세기 중반 후장식 대포, 무연화약, 작열탄 등이 개발되었으며. 이 기술이 모여 19세기말에 속사포가 만들어졌다. 청일 전쟁이 발발한 당시 최초로 일본이 속사포를 청의 함대를 상대로 사용하여 대승을 거두게 되었다. = = = 제2차 세계 대전 = = = 제2차 세계 대전까지 함포는 군함의 주무기였으며 주포의 구경과 관통력, 사거리 등의 함포의 성능이 함선의 장갑과 함께 전투의 승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무기였다. 함포의 구경은 전함의 경우 16인치, 18인치 등 대구경이 사용되었고, 순양함은 그보다 작았으며, 구축함은 5인치 이하의 함포가 많이 사용되었다. = = = 현대 = = = 현대에 와서 레이더와 미사일의 발달로 함포의 중요성이 줄어들어, 현재는 연안 경비, 자위 무기, 육상 지원, 대공 무기용으로 사용되는 중구경 이하의 작은 함포들이 사용된다. 대개 76mm ~ 152mm 급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전자 기술의 발달로 자동화되어 정밀도, 발사속도, 사거리가 대폭 증가하였다. = 분류:정치 사이드바 틀 = = 과역동초등학교 백일분교 = 과역동초등학교 백일분교는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산908에 있었던 초등학교 분교이다. = = 연혁 = = 1945년 5월 12일 백일공립국민학교 개교(설립인가 4월 1일) 1950년 6월 27일 백일국민학교로 개칭 1992년 2월 28일 진지분교장 통폐합 1992년 9월 1일 과역동국민학교 백일분교장 1996년 3월 1일 과역동초등학교 백일분교장 2007년 3월 1일 과역초등학교로 통폐합 = 가와사키 KX450F = 가와사키 KX450F는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2005년부터 생산 중인 수냉식 4밸브 4행정 단일 모토크로스 모터사이클이다. 2007년부터 KLX450R도 출시되어 트레일 라이딩, 그린 레인, 엔듀로 이벤트 및 일반적으로 저속 라이딩에 더 적합하도록 편의성이 추가되었다. 이는 더 큰 가스 탱크, 18인치 뒷바퀴, 헤드램프, 전기 시동, 더 부드럽게 전달되는 더 낮은 토크에서 더 쉽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최대 마력이 더 적은 재조정된 엔진 때문이다. = 분당소방서 = 분당소방서(盆唐消防署, )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를 관할하는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산하의 소방서이다. 소방서장은 소방정으로 보한다. = = 조직 = = <소방행정과> - 소방행정팀 - 회계장비팀 valign="top"<재난예방과> - 예방대책팀 - 생활안전팀 - 소방민원팀 <재난대응과> - 대응전략팀 - 구조구급팀 <특별점검단> - 화재조사팀 - 소방사법팀 <현장지휘단> - 현장지휘1팀 - 현장지휘2팀 - 현장지휘3팀 = =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 = = 성남분당소방서는 6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 명칭 사진 주소 관할구역 지역대 서현119안전센터 양현로 14 분당구 분당동, 서현동, 수내1·2동, 율동, 이매1동 판교119안전센터 대왕판교로644번길 62 분당구 판교동, 삼평동, 백현동, 궁내동 수내119안전센터 백현로 241 분당구 정자동, 수내 3동 야탑119안전센터 양현로 485 분당구 야탑동, 이매 2동 구미119안전센터 돌마로 138 분당구 구미동, 구미1동, 금곡동, 동원동 서판교119안전센터 운중로 88 분당구 운중동, 석운동, 대장동, 하산운동 분당소방서 119구조대 성남대로779번길 1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원 = = 사건사고 = = 판교테크노밸리 환풍구 붕괴 사고 서현역 칼부림 사고 정자교 붕괴 사고 * = 마루야마 마사오 (프로듀서) = 마루야마 마사오(, 1941년 6월 19일~)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다. 전 주식회사 매드하우스 이사 사장, 현 MAPPA 대표이사 회장, 스튜디오 M2 대표이사 사장이다. 2002년에 제7회 애니메이션 고베 특별상, 2003년에 제23회 후지모토상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 = 내력 = = 1941년,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서 태어났다. 호세이 대학 문학부를 졸업 후, 하고 싶은 것을 찾지 못하고 1년 정도 프리터와 같은 일을 하고 있었지만, 지인의 소개로 1965년에 무시 프로덕션 (구 무시 프로)에 애니메이션 회사인지 모르고 입사했다. 1972년, 경영 위기를 맞이한 무시 프로로부터 데자키 오사무, 린 타로, 카와지리 요시아키 등, 그 후의 일본 애니메이션 문화를 견인하게 되는 제작자들과 함께 독립해 유한회사 매드하우스(현: 주식회사 매드하우스)를 설립, 1980년에는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한다. 이후, 수많은 OVA와 TV 시리즈, 극장 작품의 기획 및 프로듀스를 다룬다. 1993년 공개된 카와지리 요시아키 감독의 영화 무사 쥬베이가, 북미에서 Ninja Scroll이라는 제목으로 비디오 발매되어, 50만 가까이 매출을 기록하는 히트가 되었다. 1998년 공개된 곤 사토시 감독의 영화 퍼펙트 블루가 일본에 앞서 해외 영화제 등에서 상영되어 각지에서 칭찬을 받는다. 다양한 상을 수상하여 세계 21개국에서 판매 라이센스를 획득했다. 2002년 공개된 곤 사토시 감독의 영화 천년여우가 드림웍스에 의해 세계 배급된다. 2006년, 곤 사토시 감독의 영화 파프리카가 공개되어 제63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의 콘페티션 부문에 출품된다. 같은 해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토에이 애니메이션 독립 후 첫 영화 시간을 달리는 소녀가 공개된다. 원작자 츠츠이 야스타카로부터 파프리카 영상화의 허락을 받았을 때, 동시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허가도 받았던 마루야마는, 호소다가 스튜디오 지브리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감독을 하차 하고 토에이 애니메이션에 돌아온 직후부터 그에게 감독을 시키려고 접촉했었다. 2010년 8월 14일, 곤 사토시가 갑자기 사망했다. 마루야마는 파프리카 공개 후부터 지금 감독의 다음 영화 꿈꾸는 기계의 준비를 진행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의해 제작은 중단된 채가 되었다. 곤의 사후, 4~5년 정도는 다른 감독에게 이어받아 완성시키는 것을 생각하고 있었지만, 자금 모으기가 잘 가지 않아 프로젝트는 중단. 그 후는 자금의 문제보다 '누가 곤 사토시의 재능을 인계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에 직면해, 그만두기로 결정했다. 2011년 6월에 매드하우스를 퇴직하고, 70세로 아사가야에 새로운 애니메이션 제작회사 MAPPA를 설립한다. 원래는 매드하우스 시절에 담당한 카타부치 감독의 마이 마이 신코 이야기 이후에 다음 작품으로 기획되고 있었던 것을 계승한 것으로, 설립 당초부터 스튜디오에는 카타부치 스 나오 감독작 이 세계의 한 구석에의 제작실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자금이 전혀 모이지 않아 제작은 난항했지만, 2016년에 드디어 공개되면 일본 국내에서는 최장이 되는 1133일 연속 롱런 상영이 되어 누계 동원 수 210만, 흥행 수입 27억엔을 돌파해 히트작이 되었다. MAPPA 제작의 첫 애니메이션 언덕길의 아폴론에서는 매드하우스 시절부터 무언가 함께 하자고 이야기를 했던 와타나베 신이치로에게 말을 걸었다. 당시 3년 정도 일을 하지 않았던 와타나베에게 "너 같은 사람이 3년도 일하지 않은 것은 좋지 않다"고 감독을 추천했더니 "오오츠카 마나부와 함께 하고 싶다"고 말해서, 프로듀서로서 오오츠카도 MAPPA에 오게 되었다. 2016년 4월, 사전제작 전문의 애니메이션 제작회사 스튜디오 M2를 설립한다. MAPPA 대표이사의 자리를 설립 멤버 오오츠카 마나부에게 양도해 자신은 회장으로 물러나 새로 시작한 스튜디오 M2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2022년 6월 19일, 81세의 생일이기도 한 이 날에 생전장을 실시했다. = = 인물 = = 일본의 애니메이션 업계의 여명기부터 프로듀서로서 활약하고 있는 1인이며, '매드하우스'와 'MAPPA' 등, 유명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설립자로서도 알려져 있다. 50년 이상에 걸쳐 일본 애니메이션의 제일선에 종사해, 많은 크리에이터의 재능을 찾아, 작품을 기획·프로듀스하는 것으로 업계를 지탱해 왔다. 마루야마의 프로듀서로서의 능력은 애니메이션 업계 제일이라고 불리며, 카와지리 요시아키 감독의 요수도시, 무사 쥬베이, 뱀파이어 헌터 D, 곤 사토시 감독의 전 작품(퍼펙트 블루, 천년여우, 크리스마스에 기적을 만날 확률, 파프리카),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썸머 워즈, 카타부치 스나오 감독의 마이 마이 신코 이야기, 이 세계의 한 구석에 등 히트메이커들의 대표작 및 출세작을 기획 및 프로듀스하고 있다. 특히 인재의 재능을 간파하고 기용하는 힘은 끊임없이 빠져 있으며, 그가 픽업하여 세상에 내보낸 재능으로서는, 전술한 곤 사토시, 호소다 마모루, 카타부치 스나오가 있다. 2010년에 사망한 곤 사토시에 대해서는, 전극장 작품에 프로듀서 또는 기획으로 관여하고 있어, 죽기 직전까지 제작을 진행하고 있던 영화 꿈꾸는 기계에서도 프로듀서를 맡게 되었다. 호소다에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감독 강판에서 좌절하여 토에이 애니메이션도 그만두게 된 뒤에 프리가 되어 첫 극장 작품의 감독의 기회를 주었다. 또 MAPPA는 카타부치 감독의 이 세계의 한 구석에를 어떻게든 세상에 내보낼려고 설립한 것이었다. 그 밖에도 유아사 마사아키 (케모노즈메, 카이바), 이소 미츠오 (전뇌 코일) 등에 상당히 빠른 시기에 감독의 기회를 주었다. 또한 MAPPA의 주력 감독이 된 사카이 무사히사 (좀비랜드 사가), 박성후(주술회전), 매드하우스 시대의 직제자인 야마모토 사요 (유리!!! on ICE)도 마루야마에게 재능을 발견된 인간이며, 이 마루야마의 명백악으로서의 능력이 그대로 애니메이션 제작회사로서의 매드하우스와 MAPPA의 파워의 원천이나 약진의 원동력이 되었다. 데즈카 오사무에 대해서는, '컬쳐 쇼크를 받은 사람. 그때까지 만난 적이 없는 상식의 범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인물'. '그때 그때, 자신이 좋다고 생각했듯이 하려고 하기 때문에, 어제와 오늘로 말하는 것이 다르다. 그래서 지시를 받는 측으로는 화가 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완성한 것이, 설득력이 있어도 굉장히 재미있는 것입니다'라고 회고해, 그 매력에 빠진 탓에 애니메이션의 세계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되었다고 말했다 매드하우스 초기에 큰 영향을 받은 크리에이터에게, 데자키 오사무 감독과 히라타 토시오 감독의 이름을 들어, '스튜디오의 양대 바퀴였다'라고 말했다. 오오토모 카츠히로를 그가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영화 환마 대전(1983년) 이후 애니메이션의 실제 제작에 초대, 옴니버스 영화 미궁 이야기의 일편 '공사 중지 명령'으로 애니메이션 감독 데뷔로 이끌었다. 우메즈 야스오미의 스톱!! 히바리군!(1984년)의 작화 감독회를 보고 매드하우스로 끌어당겨, 카와지리 요시아키 아래에서 SF 신세기 렌즈맨을 담당시켜 그의 브레이크의 계기를 만들었다. 아마미야 케이타를 특촬물 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여러가지 엔터테인먼트 중에서도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고 있어, 2014년에 그의 원작에 의한 특촬 드라마 아랑〈GARO〉 시리즈가 10주년을 맞이할 때의 오퍼를 내놓고, 시리즈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으로서 아랑〈GARO〉-화염의 각인-을 제작했다. 제작회사에 대해서는 "예산을 지키고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것에도 도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취미는 요리. 평소의 주거지 외에 아파트를 한 채 갖고, 그곳에서 자신이 시장에서 구입한 식재료를 요리해 사람을 대접하는 것 외에 제작 현장에서도 손수 만든 요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니메이션 업계의 내막을 그린 TV 애니메이션 시로바코에 등장하는 가공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마루카와 마사토 사장은 마루야마가 모델이다. = = 주요 참가 작품 = = = =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 W3 사파이어 왕자 내일의 죠 하제돈 명랑 개구리 뽕키치 에이스를 노려라! 대공마룡 가이킹 피코리노의 모험 제타 마르스 애니메이션 기행 마르코 플로의 모험 야와라! DNA² 마스터 키튼 트라이건 인형공주 리카 알렉산더 전기 쥬베이짱: 러블리 안대의 비밀 Petshop of Horrors 빅토리 구슬동자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사쿠라 대전 바람 부는대로 츠키카게 란 양지의 나무 더 파이팅 마법고양이 타루토 찬스 트라이앵글 섹션 파뇨파뇨 디지캐럿 피타텐 쵸비츠 아쿠에이리언 에이지 Sign for Evolution 불꽃의 미라쥬 리젤마인 하나다 소년사 아베노바시 마법☆상점가 TEXHNOLYZE 무사 쥬베이 용보옥편 건슬링거 걸 건그레이브 디지캐럿 뇨! 무인행성 서바이브 천상천하 고쿠센 스위트 발레리안 몬스터 쥬베이짱: 시베리아 야규의 역습 망상대리인 BECK 딸기 100% 파라다이스 키스 사모님은 여고생 아카기 ~어둠에 춤추듯 내려온 천재~ NANA 스트로베리 패닉! 채운국 이야기 꿈의 사도 데빌 메이 크라이 시구루이 클레이모어 전뇌 코일 역경무뢰 카이지 마인탐정 네우로 메이플스토리 샤먼 시스터즈 아기 고양이 치이 폰폰라 대모험 비밀 ~The Revelation~ 카이바 울트라바이올렛: 코드 044 망량의 상자 ONE OUTS CHAOS;HEAD 캐산 Sins 흑총 -KUROZUKA- 스티치 더 파이팅 New Challenger RIDEBACK 니들리스 푸른 문학 시리즈 코바토 스티치! ~장난꾸러기 외계인의 대모험~ 레인보우 2사 6방의 7인 아이언맨 올버린 SUPERNATURAL: THE ANIMATION X-MEN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 블레이드 헌터 × 헌터 치하야후루 언덕길의 아폴론 치하야후루 2 더 파이팅 Rising 잔향의 테러 가로-GARO- -불의 각인- 신격의 바하무트 GENESIS 펀치라인 요괴소년 호야 가로 -홍련의 달- 오니헤이 꼭두각시 서커스 = = = OVA 및 단편 = = = 상처를 쫒는 자 X 전차로 가자 JUNK BOY 불새 야마토 편 불새 우주 편 MIDNIGHT EYE 고쿠 로도스도 전기 전뇌 도시 OEDO808 NINETEEN 19 밀림의 왕자 레오 OZ 절애 -1989- 다운로드 나무아미타불은 사랑의 시 에도는 잠들지 않아! 인어의 상처 총몽 CLAMP IN WONDERLAND 진 공작왕 X사건 미녀탐정 철완 버디 와일드 암즈 사이코 다이버 마성보살 지배자의 황혼 TWILIGHT OF THE DARK MASTER TRAVA FIST PLANET episode 1 더 파이팅 마시바 VS 기무라 사형집행 나스 수트케이스의 철새 메이지 가주쿠미 Tweet Love Story (TVCM) = = = 극장 애니메이션 = = = 여름으로 가는 문 하구레구모 유니코 마법의 섬으로 맨발의 겐 환마대전 SF 신세기 렌즈맨 카무이의 검 바비에 반해서 시간의 여행자 미궁 이야기 불새 봉황편 맨발의 겐 2 울어라 분분 요수도시 바퀴벌레들의 황혼 은하영웅전설 우리가 정벌하는 것은 별의 대해 무사 쥬베이 안네의 일기 퍼펙트 블루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마법의 카드 뱀파이어 헌터 D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 PARTY7 메트로폴리스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3 - 폐기물 13호 천년여우 나스 안달루시아의 여름 크리스마스에 기적을 만날 확률 파프리카 시간을 달리는 소녀 하이랜더: 복수의 전사 피아노의 숲 시나모롤 the Movie 호야와 토리의 모험 ~드래곤 숲의 비밀~ HELLS ANGELS 썸머 워즈 마이 마이 신코 이야기 TRIGUN Badlands Rumble 레드라인 어느 비행사에 대한 추억 초원의 왕 도제 늑대아이 극장판 헌터X헌터 : 팬텀루즈 이 세상의 한구석에 우스즈미자쿠라 -GARO- 이 세상의 (그리고 다른 세상의) 한구석에 = = 수상 경력 = = 제23회 후지모토상 장려상 제7회 애니메이션 고베 특별상 = 후각 장애 = 후각장애(嗅覺障礙, )는 후각의 질적 변화 또는 왜곡으로 기술되는 질병이다. 질적 변화는 후각상실증, 후각감퇴증 등을 포함하는 양적 변화와는 다르다. 후각장애는 착후각이나 환후로 분류할 수 있다. 착후각은 착취제(냄새를 나게 하는 물질)에 대한 반응의 왜곡이다. 착취제는 자신이 기억하는 바와 냄새의 차이가 난다. 환후(환상냄새)는 착취제가 존재하지 않을 때 냄새를 느끼는 현상이다. 후각장애의 원인은 여전히 이론으로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신경질환, 또 질병을 일으키게 된 임상적 연관성으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케이스들은 특발성으로 기술되며 착후각 관련 주요 선행 조건들로는 상기도감염(URTIs), 두부외상, 비강/부비강 사이너스 질병이 있다. 후각장애는 자체적으로 사라지는 경향이 있으나 즉각적인 완화를 원하는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이 있다. = = 증상 = = 후각장애는 가스 누수, 독소, 연기 등의 환경적인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게 만든다. 안전뿐 아니라 영양, 식습관 또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만족스럽지 못한 향미, 인식 실패의 공포감, 상한 음식을 소비한다는 느낌 등으로 인한 식욕 부진이 있다. 후각 감소 또는 왜곡은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왜곡은 맛을 아예 느끼지 못하는 사람보다 훨씬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이것들이 꾸준히 질병으로 간주되고 왜곡이 식습관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 분류 및 용어 = = 후각의 기능 장애는 양적인 문제일 수도, 질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양적 후각 장애는 후각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소실이 있는 질환이다. 후각을 온전히 잃는 후각상실증, 그리고 후각을 부분적으로 잃는 후각감퇴증은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유 때문에 양적 후각 장애로 분류되는 2가지 질병이다. 질적 후각 장애는 측정이 불가능하며 후각의 변화와 왜곡이 있는 질환으로 간주된다. 질적 질환에는 착후각, 환후각이 있다. 이후각은 질적 후각 장애이며 착후각과 환후각을 둘 다 포함한다. 후각상실증, 후각감퇴증, 이후각을 포함하는 후각 장애는 콧구멍 좌우에 모두 해당할 수도 있고 콧구멍 하나에만 해당할 수도 있다. 왼쪽 콧구멍에만 영향을 미치는 후각상실증은 unilateral left anosmia라고 하며, 두 콧구멍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후각 상실증은 온전한 후각상실증(total anosmia)으로 부른다. 왜곡이 불만족스러운 경우 이 질병은 악취(cacosmia)로 부를 수 있다. 악취(cacosmia)의 다른 정의로서, 악취는 특히 비강 사이너스(nasosinusal) 감염, 인두 감염에 의한 착취제의 불편한 지각을 의미한다. 거의 쓰이지 않는 용어는 torquosmia는 인지되는 냄새가 화학적인 느낌이거나 타오르거나 금속 느낌이 날 때 사용할 수 있다. = = = 착후각 = = = 착후각은 착취제의 인지 왜곡이다. 착취제는 자신이 기억하는 바와 냄새의 차이가 난다. = = = 환후각 = = = 환후각은 착취제가 없는 환경에서 냄새를 느끼는 현상이다. 환후각이 수초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환후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 = 병인 = = 후각 장애의 원인이 아직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병인을 기술하는 2가지 일반적 이론이 있다: 주변적 이론, 중심적 이론. 착후각의 경우 주변적 이론은 후수용기 뉴런의 기능 소실로 말미암아 착취제의 완전한 그림을 형성하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중심적 이론은 왜곡된 냄새를 만들어내는 뇌의 중심부들을 가리킨다. 환후각의 경우 주변적 이론은 뇌에 비이상적인 신호를 발산하는 뉴런 또는 정상 기능하는 억제 세포의 소실을 의미한다. 환후의 중심적 이론은 후각을 만들어내는 과기능(hyper-functioning) 뇌세포의 특정 부분으로 기술된다. 이러한 이론들을 뒷받침하는 증거에는 왜곡 증상이 있는 환자 대부분에게서 관찰된 내용이 포함되며 이를 수반하는 후각의 소실이 있고 민감성이 감소하는 시점에 왜곡이 악화된다는 점이 있다. 착후각 환자들 중에 유발 자극을 식별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발로는 가솔린, 담배, 커피, 향수, 과일, 초콜릿이 포함된다. 후각 장애의 병인은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신경 질환과 관련한 임상적 연관성이 있다: 상기도감염(URTIs) 비강, 후비강 사이너스 질병 유독성 화학 물질 노출 신경계 이상 두부외상 코 수술 전두엽, 후신경구의 종양 뇌전증 케이스들 중 대부분은 특발성이며 착후각과 관련한 주요 선제 조건들은 URTIs, 두부 손상(head trauma), 비강/후비강 사이너스 질병이 있다. 후각 관련 정신의학적 병인들은 조현병, 알코올성 정신병, 우울증, 후각관계증후군(olfactory reference syndrome)에 존재할 수 있다. = = 진단 = = 환자들이 비효율적인 치료에 실망을 느끼거나 정신 질환이 있다고 언급하기 때문에 환자를 진단하는 일은 난해할 수 있다. 일부 환자들은 맛이나 냄새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음식 선택에 관해 질문을 해보면 환자가 맛, 냄새에 관한 질병이 있는지의 여부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왜곡이 공기 유입을 통한 착취제에 적용이 되는지의 여부, 또 냄새가 자극 없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착취제의 왜곡은 두 종류로 존재한다: 자극이 자신의 기억과 다른 것, 두 번째로는 모든 것에 비슷한 냄새가 나는 것. 병력 또한 질병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후각 감염, 두부 손상 등의 사건들이 보통 착후각의 조짐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후각 장애를 위한 정확한 진단 테스트나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평가는 질문서와 병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 = 치료 =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후각 장애가 사라지는 일이 종종 있으나 즉각적인 완화를 바라는 환자들을 위한 후각 장애의 의료적, 수술적 치료가 존재한다. 의료적 치료에는 국부 점비액, 옥시메타졸린 HCL(상기도를 차단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후열부에 도달하지 못하게 함)이 포함된다. 진정제, 항울제, 항간질약 등의 기타 약물이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일부 환자에게는 효력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는데, 부작용이 참을만하지 못할 정도일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의학적 치료를 통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일부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옵션으로는 양이마 개두술, 후상피의 제거가 포함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코를 통해 내시경을 이용하여 후상피를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환후를 치료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양이마 개두술은 영구적인 후각상실을 불러일으키며 이 두 수술 모두 일반 수술에 연계된 위험을 떠안게 된다. = = 역학 = = 환후각의 빈도는 착후각의 빈도보다 비교적 드문 편이다. 착후각은 후각 장애 환자 중 10~60%를 차지하며 연구에 따르면 3개월~22년 중 어느 시점에서도 지속될 수 있다. 냄새, 맛에 대한 문제로 인해 미국에서만 연간 200,000명 이상이 의사를 방문한다. 얼마 전에는 환후각이 파킨슨병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고 간주되었다. = 틀:올림픽 정보 몰타 = = 분류:나미비아계 사람 = = 강카르 푼섬 = 강카르 푼섬( 또는 Gangkar Punsum, Gankar Punzum)은 부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높이 7,570m로 등반한 사람이 없는 가장 높은 산의 강력한 후보이다. 티베트과의 국경에 위치한다.Detailed discussion of location and heights of Gangkhar Puensum and 쿨라 캉리 1983년 부탄이 등산을 허용한 이후, 1985년과 1986년에 네 차례의 등반이 시도되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1998년에는 티베트 쪽에서 오른 등반대는 강카르 푼섬의 부속 봉우리 등반에 성공했다. 뜻은 세 사람의 영적 형제의 흰 봉우리이다. = = 역사 = = 강카르 푼섬의 높이는 1922년 처음 측정되었으나, 최근까지 이 지역의 정확한 지도가 만들어지지 않아 지도마다 서로 다른 위치와 높이가 적혀 있었다. 부정확한 지도 때문에 첫 번째 등반대는 산을 찾지 못하기도 했다. 1986년 영국 탐험대의 책에는 산의 높이가 24,770피트(7550m)이며 부탄 국경 안쪽에 있고, 쿨라 캉리는 티베트 국경 안쪽에 있다고 기록했다. 쿨라 캉리는 강카르 푼섬에서 북동쪽을 30km 떨어진 높이 7,554m의 산으로, 지도에 따라 티베트 또는 부탄의 산으로 되어 있다. 1994년 이후, 토착 신앙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6000m 이상의 산에 대한 등산이 금지되었고, 2003년에는 모든 등산이 금지되었다. 강카르 푼섬의 미등반 기록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강카르 푼섬보다 높은 미등반 봉우리는 독립된 산이 아닌, 다른 높은 산에 부속된 봉우리이다. 1998년 일본의 등반대가 중국 측으로부터 등반 허가를 얻었지만, 부탄과의 정치적 문제로 취소되었다. 대신 1999년 티베트에서 출발해서 7,535m의 리안캉 캉리 (강카르 푼섬 북봉)의 등반에 성공했다. 다른 지도와는 달리 등반대의 보고서에는 리안캉 캉리는 티베트 내부의 봉우리로 되어 있고, 티베트와 부탄의 국경은 "7,570 m인 부탄에서 가장 높은 최고 봉"인 강카르 푼섬의 정상을 지난다고 되어 있다. = 점추이 = 점추이란 다각형, 다면체나 4차원 다포체 따위의 다포체에서 모든 꼭짓점이 합동인 것이다. 단순히 모서리 길이와 각도 뿐 아니라 점에 접하지 않은 다른 변의 배열까지 같아야한다. 점추이 다면체의 쌍대는 면추이이며, 점추이 다면체의 예로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가 있다. = 틀:문화재청 문화재 = = 분류:아일랜드의 풍자 영화 = = 리처드 페티 = 리처드 페티(Richard Petty, 별명: The King, 본명: 리처드 리 페티, Richard Lee Petty, 1937년 7월 2일 출생)는 1958년부터 1992년까지 이전 NASCAR 그랜드 내셔널 및 위스턴 컵 시리즈(현재의 [[NASCAR 컵 시리즈]에 해당)에서 경쟁한 미국의 전 스톡 카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페티 엔터프라이즈(Petty Enterprises)의 No. 43 플리머스/폰티액을 운전하는 것이다. 그는 페티 경주 가족의 일원이다. 그는 컵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7번 우승한 최초의 드라이버였으며(이 기록은 현재 데일 언하르트 및 지미 존슨과 공동 기록), 그의 커리어 동안 기록적인 200개의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여기에는 데이토나 500에서 기록적인 7번의 우승과 한 시즌(1967년)에 기록적인 27개의 레이스 우승이 포함되었다. 그는 통계적으로 NASCAR 역사상 가장 뛰어난 드라이버로서 모터스포츠에서 폭넓은 존경을 받고 있으며 컵 시리즈의 팀 오너(GMS Racing)이자 페티스 차고(Petty's Garage, 자동차 복원 및 수정 작업장)의 오너이며 이 장소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레벨 크로스에 있다. 35년의 경력 동안 페티는 1971년부터 1989년까지 513번의 연속 선발 등판을 포함하여 기록적인 1,184번의 선발 등판에서 기록적인 수의 폴(123개)과 700개 이상의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페티는 500번째 레이스 출발에서 우승한 첫 번째 드라이버였다. 2013년에 매트 켄세스(Matt Kenseth)와 합류했다. 그는 2010년에 NASCAR 명예의 전당의 첫 번째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리차드 페티 박물관은 이전에 노스캐롤라이나 주 랜들맨 인근에 있었지만 2014년 3월 레벨 크로스의 원래 위치로 다시 이전했다. 페티는 또한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인 카와 카 3: 새로운 도전에서 목소리를 냈으며 부분적으로 자신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인 더 킹(The King)을 연기했다. = Kudo3D = Kudo3D는 캘리포니아 플레젠튼에 본사를 둔 전문 데스크톱용 3D 프린터를 제조하는 회사이다. Kudo3D의 타이탄 1과 타이탄 2 3D 프린터는 ‘수동 자가 박리 기술’을 이용한 고해상도의 전문용 스테레오리소그라피 (SLA) 프린터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은 타이탄 1과 타이탄 2 3D 프린터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 = 연혁 = = UC 버클리의 하스 경영전문대학원(Haas School of Business)을 졸업한, Kudo3D 설립자 테드 샤오(Tedd Syao)는 2012년, 자신의 차고에서 타이탄 1과 타이탄 3D프린터의 핵심기술인 수동 자가 박리 기술 (Passive Self-Peeling)’을 개발하였고, 이후 같은 UC 버클리의 하스 경영전문대학원 출신인 공동 설립자 조나단 층(Jonathan Cheung)과 캘리포니아주 플레젠튼시에 Kudo3D 회사를 창업하였다. 2014년 5월에는 킥스타터라는 투자설명회를 통해 2분 만에 투자상한액을 달성하고 상당액의 투자금을 받았다. 그후, 대만의 신주에 Kudo3D 대만법인을 설립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 타이탄 1 = = 타이탄 1은 기성 부품과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구성되었다. 이 프린터는 텍서스 인스트루먼트 디지털 빛 과정 (DLP)의 기술을 사용하였고 DLP 프로젝터로 2차원 방식을 이용해서 레진 컨테이너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방식으로 레진 노출 시간은 짧고, 또한 프린터내부가 간결하고 견고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내부의 흔들림이 적다. 타이탄 1의 다른 부품은 공업용 직선 스테이지 모듈, 오픈 소스 회로판, 스테핑 모터, 빌드 플랫폼과 Kudo3D가 특허를 받은 유연한 PSP 레진 컨테이너로 구성되어있다. = = = 레진 = = = 타이탄 1은 시판되는 레진을 사용한다. = = = 응용 = = = 다양한 크기의 프린트 출력의 능력을 갖춘 타이탄 1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 프린트를 빨리 출력해주기 때문에 주얼리, 미니어처, 공학 연구용으로 탁월하여, 뉴욕에 있는 CCNY 대학의 생물 의학 연구 부서에서는 타이탄 1을 사용하여 연구 중인 1mm x 2mm의 조직 스캐폴드를 출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타이탄 1은 더 큰 종목을 인쇄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춰 예술, 건축, 엔지니어링 프로토타입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타이탄 2 = = 성공적인 킥스타터 캠페인 2년 후, Kudo3D는 2세대 3D 프린터, 타이탄 2를 출시하였다. 타이탄 2는 이전 프린터보다 사용하기 더 간편하고, 더 안정적이며, 고급스러운 3D 프린터이다. 내장된 라즈베리 파이와 웹 기반 제어로 타이탄 2는 모든 컴퓨터, 태플렛, 또는 스마트폰 장치와 호환이 된다. 타이탄 2는 특허받는 PSP 레진 컨테이너를 포함한 타이탄1의 모든 부품과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고객의 취향을 고려하여 루비 레드와 그린 에메랄드의 2가지 커버색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 = = 타이탄 2 HR = = = 2016년 11월에 Kudo3D는 타이탄 2 HR 3D 프린터이라는 제품을 출시했다. 타이탄 2 HR은 고해상도인 XY 해상도 23 미크론을 보장한다. 이 기능은 귀금속 업자들처럼 고해상도, 고정밀한 출력이 필요한 사용자들한테 아주 좋다. = = PSP 기술 = = 수동 자가 필링 (PSP) 기술은 Kudo3D가 마른 레진 층과 액화상태의 레진 간에 분리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개발하고 특허를 받은 상향 배열 형식의 스테레오리소그라피 (SLA) 기술이다. 이 수동 자가 필링 (PSP) 기술에는 5개의 각기 다른 분리력을 최소화시켜주는 물질로 만들어진 유연한 레진 컨테이너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타이탄 1/ 타이탄 2는 머리카락 한 가닥 만한 크기에 프린트물이나 9.5인치의 큰 프린트물도 같은 기계로 대단히 빠른 속도와 믿기 어려운 해상도로 프린트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 = = 특허 = = = 2016년 9월 27일에 Kudo3D는 미국의 특허ㆍ상표국에서부터 수동 자가 박리(Passive Self-Peeling) 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 문성근 = 문성근(文盛瑾, 1953년 5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사회운동가이다. 배우로서의 대표작으로는 영화 그들도 우리처럼, 꼴찌부터 일등까지 우리반을 찾습니다, 경마장 가는 길, 결혼 이야기, 세상 밖으로, 꽃잎,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비상구가 없다, 너에게 나를 보낸다, SBS TV 시사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 등이 있다. 정치인으로서 2012년 1월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이 되었고, 같은 해 4월 19대 총선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며, 수석최고위원으로 총선 패배후 국가의전서열 8위의 민주통합당 대표 직위를 한 달 동안 맡았다. = = 학력 = = 보성고등학교 서강대학교 무역학과 = = 경력 = = 1992년~1994년, 1997년~2002년 SBS 그것이 알고싶다 진행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 국민의 명령 상임대표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2003년 대통령비서실 대북특사 2012년 민주통합당 수석최고위원 2012년 민주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 2012년 민주통합당 부산 북구·강서구 을 지역위원장 2017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2019년~ 평창국제평화영화제(전 평창남북평화영화제) 이사장 = = 생애 = = 1953년 도쿄에서 아버지 문익환과 어머니 박용길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남평(南平). 아버지 문익환은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목사이고, 재야운동가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서울 보성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서강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다. 1974년 서강대학교 재학중에 뮤지컬배우로 데뷔하여 몇 편의 뮤지컬에 출연한 바 있고, 대학 졸업 후 현대그룹에서 직장 생활을 하였다. 1985년 연극 한씨 연대기를 통하여 본격 연극배우로서 연예계에 정식 데뷔하였다. 이후 연극 칠수와 만수(1986년) 등에 출연하고, 영화 그들도 우리처럼(1990년), 베를린 리포트(1991년) 등에 출연하였다.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 등을 통해 방송 진행자로서도 활동하였다. 1992년 청룡영화제에서 경마장 가는 길로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0년 4월에 실시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치인 노무현이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부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네티즌들이 노사모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2001년 10월, 배우 명계남이 대표로 있던 노사모에 가입한 문성근은 11월에 전남대학교에서 열린 초청 강연회에서 노무현의 대선 출마에 대한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2001년 11월, 동료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노문모'(노무현 상임고문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 모임)를 조직하여 노무현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했다.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선후보 노무현을 지지하는 활동을 하였는데, 개혁국민정당에 가입하여 활동하며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는 데 기여하였다.최영진. '부러지지 않는 화살' 문성근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주간경향. 2012년 2월 12일.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에는 정계를 떠나 배우로서의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3년 가을, 대통령 노무현의 대북특사로 방북해 노동당 대남담당비서 김용순을 만나 "대화를 통한 남북관계 증진과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중요한 만큼 이를 김 위원장과 논의할 의지가 있다"라는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기도 했다.최철. '2위' 차지한 문성근은 누구인가? . 노컷뉴스. 2012년 1월 15일.황방열. 문성근 "2003년 방북... 남북정상회담 진의 전달".오마이뉴스. 2011년 6월 16일. 이에 대해 문성근은 자신이 통일운동가 문익환의 아들이라는 점이 감안된 선택이었을 것으로 추측했다.이유주현. 문성근 "노 전대통령, 문 목사 아들이라 방북 친서 맡겼을것". 한겨레신문. 2011년 6월 16일.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하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큰 충격을 받은 문성근은 2010년부터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이라는 2012년 대한민국 대선을 겨냥한 야 5당(민주당 · 민주노동당 · 국민참여당 · 진보신당 · 창조한국당)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 운동을 시작하였다.[정치 트위터 문성근式 '국민의 명령'], 매일신문, 2010년 10월 2일. 이후 시민통합당을 거친 뒤, 민주당과 합당하여 출범한 민주통합당의 당권 경쟁에 참여하여, 1차 예비경선을 통과한 뒤, 당 대표및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하였고, 2012년 1월 15일에 실시된 최종 대의원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여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부산 북강서구 을 선거구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한명숙이 대표직 사임으로써 초대 19대 국회 민주통합당 원내대표가 결정되기 전까지 임시적으로 민주통합당 의장 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2013년 5월 4일에 민주당을 탈당했다가 2017년에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 = 연기 활동 = = = = = 영화 = = = 연도 제목 감독 역할 비고 1990 그들도 우리처럼 박광수 김기영 1990 꼴찌부터 일등까지 우리반을 찾습니다 황규덕 2학기 담임 1991 베를린 리포트 박광수 영철 1991 스무살까지만 살고 싶어요 강우석 DJ 1991 경마장 가는 길 장선우 R 1992 결혼 이야기 김의석 내레이터 1993 101번째 프로포즈 오석근 영섭 1993 그 섬에 가고 싶다 박광수 문덕배/문재구 1994 세상 밖으로 여균동 양마동 1994 너에게 나를 보낸다 장선우 나 1995 비상구가 없다 김영빈 동오 1995 맨? 여균동 목소리 출연 1995 네온 속으로 노을지다 이현승 김규환 1995 남자는 괴로워 이명세 우정출연 1995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박광수 김영수 1996 꽃잎 장선우 장 1997 초록물고기 이창동 배태곤 1998 죽이는 이야기 여균동 구이도 1998 생과부 위자료 청구 소송 강우석 추형도 1998 까 정지영 시상식 참석자 화면 2000 오! 수정 홍상수 영수 2002 일단 뛰어 조의석 그것이 알고 싶다 TV 화면 2003 질투는 나의 힘 박찬옥 한윤식 2005 오로라 공주 방은진 형사 오성호 2006 한반도 강우석 권용환 2006 해변의 여인 홍상수 정 대표 목소리 출연 2006 두뇌유희 프로젝트, 퍼즐 김태경 환 2007 수 최양일 구양원 2008 강철중: 공공의 적 1-1 강우석 태산 2009 시선 1318 - 네 번째 시선 이현승 교감 2009 실종 김성홍 판곤 2009 여행자 우니 르콩트 의사 2009 어떤 방문 - 첩첩산중 라브 디아즈 전 선생 2010 작은 연못 이상우 문씨 2010 옥희의 영화 홍상수 송 교수 2012 부러진 화살 정지영 신재열 판사 2012 다른 나라에서 홍상수 문수 2012 남영동1985 정지영 윤 사장 특별출연 2012 체 게바라: 뉴맨 트리스탄 바우에르 내레이션 2013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장준환 진 사장 특별출연 2014 도희야 정주리 서장 남경대 특별출연 2014 해무 심성보 기관장 완호 2015 협녀, 칼의 기억 박흥식 이의명 특별출연 2016 동주 이준익 정지용 특별출연 2017 밤의 해변에서 혼자 홍상수 상원 2017 석조저택 살인사건 정식 김휘 윤영환 2017 기억의 밤 장항준 가짜 진석 부 2017 1987 장준환 안기부장 특별출연 2018 버닝 이창동 변호사 2019 블랙머니 정지영 강기춘 2023 탈출: PROJECT SILENCE 김태곤 병학 = = = 드라마 = = = 연도 채널 제목 역할 비고 1988 MBC 베스트셀러극장 - 무적 1989 MBC 베스트셀러극장 - 신용비어천가 1989 MBC 특집드라마 테러리스트 1989 MBC 천사의 선택 이석범 1990 MBC 우리들의 천국 최영규 1991 MBC 베스트극장 - 문 밖에서 1992 MBC 베스트극장 - 따뜻한 이별 영섭 1992 MBC 창 밖에는 태양이 빛났다 조윤석 1992 MBC 매혹 김서환 1992 MBC 춘원 이광수 이광수 1994 KBS2 미개인 최남수 교사 원래 1992년 8월 27일에 KBS TV 문학관으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한센병(나병) 병력자들의 권익 단체인 한성협동회로부터 항의를 받아 방영이 취소되었으며, 1994년 1월 1일에 KBS 2TV 앙코르 문예극장으로 방영되었다. 1995 MBC 까레이스키 조명희 1995 MBC 호텔 1997 MBC 남자 셋 여자 셋 문성근 2008 드라맥스 크라임 2 문성근 2008 SBS 신의 저울 김혁재 2009 SBS 자명고 대무신왕 (고무휼) 2017 SBS 조작 구태원 2018 JTBC 라이프 김태상 2018 tvN 남자친구 차종현 2019 tvN 자백 추명근 2019 SBS 배가본드 홍순조 2020 SBS 아무도 모른다 황인범 2020 tvN 화양연화 장산 2021 카카오TV 우수무당 가두심 경필 2022 JTBC 인사이더 도원봉 2022 tvN 멘탈코치 제갈길 박승태 16부작 2023 MBC 연인 장철 21부작 2023 디즈니+ 무빙 민용준 2024 tvN 내 남편과 결혼해줘 유한일 16부작 1990 MBC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의사역 특별출연 = = = 연극 = = = 1985년 《한씨 연대기》 1986년 《칠수와 만수》 = = 연기 외 활동 = =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1992년~1993년 / 1997년~2002년 《그것이 알고 싶다》 (SBS) - 진행자 1996년 ,1998년~2000년 《청룡영화상》 -MC 1997년 《이홍렬 쇼》(SBS) - 게스트 2001년 《영화 그리고 팝콘》 (KBS) - MC 2003년 《인물 현대사》 (KBS) 2009년 3월 18일 《무릎팍도사》 ... 게스트 = = = CF = = = 1988년 하나카드 비자카드 (이광세 성우 대역) 1991년 LF 타운젠트 1992년 롯데제과 롯데껌 깨끗한 거리가꾸기캠페인 1993년 TG삼보컴퓨터 마라도 편 1993년 TG삼보컴퓨터 트라이젬 파퓰러 1993년 TG삼보컴퓨터 스타일러스(인쇄광고) 1993년 LG생활건강 맛그린 (feat. 배종옥) 1994년 KB국민카드 1994년 전국은행연합회 은행개인연금신탁 1995년 코웨이 - 물보험 1996년 코웨이 - 냉온정수기 1996년 금강제화 - 엘칸토상품권(엘칸토) 1997년 인켈 - 인켈홈시어터 1997년 크라운제과 - 죠리퐁 (feat. 김정은, 유태웅) 1998년 센추리에어컨 1998년 한국문화진흥 문화상품권 1999년 노동부 고용보험캠페인 2000년 하이투자증권 2000년 더존디지털웨어 2000년 평화의 숲 운동캠페인 2000년 유니베라 멕시코, 미국 편 2000년 국정홍보처 우리는 하나 2000년 아모레퍼시픽 송염치약 2001년 LG유플러스 국제전화 00388 2002년 한국GM L6매그너스 = = 정치 활동 = = = = = 역대 선거 결과 = = = = = 가족 관계 = = 아버지: 문익환 목사 어머니: 박용길 작은 아버지: 문동환 고모: 문은희 형: 문호근, 문의근 누나: 문영금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86 제22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한씨연대기 1990 제1회 춘사대상영화제 신인남우상 그들도 우리처럼 1990 제11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그들도 우리처럼 1991 제2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그들도 우리처럼 1991 제29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그들도 우리처럼 1991 제12회 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베를린 리포트 1992 SBS 연기대상 특별상 그것이 알고 싶다 1992 제30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경마장 가는 길 1992 제13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경마장 가는 길 1992 제3회 춘사대상영화제 남우주연상 경마장 가는 길 1992 제1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경마장 가는 길 1993 제14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101번째 프로포즈 1994 제6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TV진행자상 그것이 알고 싶다 1994 제32회 대종상 남우조연상 그 섬에 가고 싶다 1994 제32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101번째 프로포즈 1994 제15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95 제33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96 제17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꽃잎 1996 제34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꽃잎 1996 제41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남우주연상 꽃잎 1997 제35회 대종상 남우조연상 초록물고기 2003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남우주연상 질투는 나의 힘 = Only Up! = Only Up!은 SCKR 게임스가 개발하고 배급한 2023년 인디 플랫폼 비디오 게임이다. 이 게임은 2023년 5월 24일에 스팀을 통해 출시되었으며 라이브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에서 상위 10대 게임 중 하나였다. 온리 업!은 2023년 6월 30일 저작권 자료를 보유했다는 이유로 스팀 마켓플레이스에서 내려갔다. 크리에이티브 2.0으로 알려진 포트나이트용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였다. = = 게임플레이 = = 온리 업!에서 이 게임은 쓰레기로 뒤덮인 정원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플레이어는 주인공 재키(Jackie)를 조정한다. 이 게임은 잭과 콩나무 이야기의 영향을 받았으며, 빈곤 탈출을 위해 일련의 물체들과 플랫폼들을 통과하여 타오르고 점프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자신이 꿈꾸던 것을 실현시키기 위해 우주공간에 도달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속도를 늦츨 수 있다. 게임 전반에 체크포인트가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진행 중에 세이브를 할 수 없다. = 줄리아 파르네세 = 줄리아 파르네세(, 1474년 - 1524년 3월 23일)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정부(情婦)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녀는 이탈리아어로 ‘아름다운 줄리아’라는 뜻의 줄리아 라 벨라(Giulia la bella)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로렌초 푸치니는 그녀를 “볼수록 점점 사랑스러운 여인”이라고 묘사했다. 알렉산데르 6세의 아들인 체사레 보르자는 그녀를 “어두운 혈색, 검은 눈동자, 동그란 얼굴 그리고 어떤 특유의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묘사하였다. = = 일대기 = = = = = 가족 = = = 줄리아 파르네세는 이탈리아 라티움 카니노에서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와 조반나 가에타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외가인 가에타니 가문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1294-1303)를 배출한 집안이었다. 줄리아에게는 네 남매가 있었다. 첫째인 알레산드로(훗날의 교황 바오로 3세)는 공증인으로 일하다가 나중에 성직자가 되었다. 둘째인 바르톨로메오는 몬탈토의 영주가 되었으며, 롤란다 모날데스키와 혼인하였다. 셋째 안젤로는 렐라 오르시니와 혼인하였다. 넷째는 여자인 지롤라마였다. = = = 결혼과 알렉산데르 6세와의 애증관계 = = = 1489년 5월 21일, 줄리아 파르네세는 로마의 오르시노 오르시니와 혼인하였다. 줄리아의 지참금은 3천 플로린이었다. 그녀와 결혼한 오르시노 오르시니는 야심으로 가득찬 아드리아나 데 밀라의 의붓아들이자 교황청 차관 로드리고 보르자 추기경(훗날의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팔촌이었다.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오르시노는 사팔눈에다가 자신감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가 없는 사람이었다고 한다. 줄리아 파르네세가 언제부터 알렉산데르 6세와 눈이 맞아 애증 관계로 발전하여 그의 정부가 되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보르자의 사촌지간이었던 시어머니 아드리아나 데 밀라도 두 사람의 관계를 알고 이를 인정하였으며, 그 결과 바티칸에서 자신의 아들과 더불어 높은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493년 11월부터 줄리아는 아드리아나와 알렉산데르 6세의 딸 루크레치아 보르자와 함께 바티칸 바로 옆에 지은 궁전에서 살면서 알렉산데르 6세와 은밀한 만남을 이어갔다. 당시 사람들 사이에서 두 사람의 정사(情事)는 좋지 않은 소문과 험담의 이야깃거리였으며, 줄리아를 가리켜 ‘교황의 매춘부’, ‘그리스도의 다리’ 등의 말로 비꼬았다. 줄리아와 루크레치아는 서로 친밀한 벗이 되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자신의 정부인 줄리아의 오빠인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추기경에 서임하였다. 그 때문에 알레산드로에게는 ‘속치마 추기경’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줄리아는 라우라(Laura)라는 딸을 낳았는데, 라우라의 아버지가 오르시노인지 알렉산데르 6세인지는 명확하지가 않다. 1494년, 줄리아는 셋째 오빠인 안젤로의 임종을 지키려고 그가 사는 카포디몬테로 떠남으로써 교황의 노여움을 샀다. 그녀는 남편인 오르시노의 협박으로 오빠가 죽은 후에도 로마로 되돌아가지 못하였다. 그러나, 교황의 압력으로 오르시노가 결국 굴복하여 줄리아는 로마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 길을 떠났다. 같은 시간, 샤를 8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탈리아를 침공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줄리아는 로마로 돌아가던 도중에 프랑스군 사령관 이브 달레그레에게 포로로 사로잡히고 만다. 그녀는 교황이 프랑스군의 요구를 받아들여 3천 스쿠디를 프랑스측에 지불하고나서야 겨우 풀려나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1499년부터 1500년까지 줄리아는 교황의 정부로 남아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녀는 자신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교황의 애정이 점차 시들어져가고 있다는 것을 눈치했다. 마리아 벨론치는 아드리아나의 중재로 두 사람이 원만하게 헤어졌다고 주장하였다. 이 시기에 줄리아의 남편인 오르시노가 사망하였다. 이에 줄리아는 로마로부터 멀리 떨어진 카르보그나노로 떠났다. 카르보그나노는 알렉산데르 6세가 오르시노에게 하사한 마을이었다. 3년 후에는 알렉산데르 6세도 선종하였다. = = = 말년 = = = 줄리아는 1505년 자기 딸 라우라의 결혼 문제로 로마로 다시 돌아왔다. 라우라는 교황 율리오 2세의 누이의 아들인 니콜로 델라 로베레와 혼인하였다. 과부가 된 지 1년째 되는 날, 줄리아는 보주토의 조반니 카페체와 재혼하였다. 그는 나폴리 왕국의 명망 높은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1506년, 줄리아는 카르보그나노의 영주가 되었다. 줄리아는 1522년까지 카르보그나노를 떠나지 않았다. 1522년이 되자 그녀는 카르보그나노를 떠나 로마로 돌아갔다. 그녀는 자신의 첫째 오빠인 알레산드로 추기경의 저택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녀의 나이 50세가 되던 해였다. 죽음의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로부터 10년 후, 그녀의 첫째 오빠인 알레산드로 추기경은 교황으로 선출되어 바오로 3세라는 이름으로 착좌하였다. 라우라와 니콜로는 세 명의 아들을 낳았으며, 오르시니 가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줄리아 파르네세 = 그 섬에 가고 싶다 = 그 섬에 가고 싶다는 1993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안성기 : 김철 역 문성근 : 문덕배/문재구 역 심혜진 : 옥님이 역 안소영 : 벌떡녀 역 이용이 이용녀 허준호 김영란 = = 수상 = = 1994년 제16회 낭뜨 3대륙 영화제 관객상 - 박광수 1994년 제32회 대종상 의상상 - 권유진 = 프리잭 (영화) = 프리잭는 1992년에 개봉한 미국의 영화이다. = = 한국어 더빙 성우진 = = = = = KBS (1994년 4월 30일) = = = 장세준 - 알렉스(에밀리오 에스테베스) 손정아 - 줄리(러네이 루소) 김준 - 빅터(믹 재거) 이완호 - 맥캔들리스(안소니 홉킨스) 김정호 - 마크(조나단 뱅스) 박은숙 - 수녀(어맨다 플러머) 유해무 - 프레먼(데이비드 요한센) 이봉준 - 분(그랜드 L. 부시) 신흥철 - 흑인 남자(프랭키 페이슨) 김영민 - 빅터의 부하(이사이 모랄레스) 김익태 - 회사 직원(윌버 피츠제럴드) 임성표 - 음식점 손님(토니 에퍼) 박수옥 - 방송 기자(제리 홀) 서문석 - 카메라맨(제프 스콜딘노) 이재용 - 모건(존 셰이) = = = MBC = = = 안지환 - 알렉스(에밀리오 에스테베즈) 이윤연 - 바센다그(믹 재거) 강희선 - 줄리(러네이 루소) 황일청 - 멕켄들리스(안소니 홉킨스) 전임복 김명수 박영화 이병식 최원형 박지훈 엄태국 엄현정 이철용 정남 김기철 김민성 송준석 이상범 = 분류:프랑스에서 개최된 복싱 대회 = = 분류:싱가포르의 텔레비전 관계자 = = 분류:그리스의 스켈레톤 = = 분류:코스타리카 남자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김일윤 = 김일윤(金一潤, 1938년 12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국회의원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베드로이다. = = 학력 = = 박달초등학교 졸업 문화중학교 졸업 경주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학 박사 = = = 명예 박사 학위 = = =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 = 경력 = = 제12,13,15,16,18대 국회의원(5선) 학교법인 경흥학원 설립 학교법인 원석학원 설립 서라벌대학 설립 신라고등학교 설립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인하대학교 겸임교수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경주대학교 설립, 총장 경주 YMCA 이사장 국제라이온스협회 354-A지구 총재 한·브라질 국회의원 친선협회 회장 한·일 국회의원연맹 경제·과학분과위 위원장 새누리당 전임위원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대한민국헌정회 헌정장례위원회 위원장 신경주대학교 총장 = = 저서 = = 고속철아 내 무덤을 밟고 가라 (2003년 12월) 에밀레종은 울고 있다 (2020년 1월) = = 가족 관계 = = 부 : 김영관 모 : 전분남 배우자 : 이순자 (1948년 ~ ) = 우 = 우에는 다음 뜻이 있다. 우(右)는 오른쪽을 의미한다. 우는 대한민국의 학교 성적표의 2번째 등급이다. = = 경제 = = 우는 주주가 배당금을 받는 데 있어 우선권을 가지는 주식을 뜻한다. = = 천문학 = = 우수(牛)는 별자리의 하나이다. = = 음악 = = 우(羽)는 중국 음악의 계이름이다. 우(愚)는 윤종신의 5번째 정규 음반이다. = = 문자 = = ㅜ는 한글 낱자의 하나이다. 우(う, ウ)는 가나의 하나이다. = = 지명 = = 우(U)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도시이다. = = 인명 = = 우(禹)는 한국의 성씨이다. 우왕(禹王)은 고대 중국의 하나라를 세운 왕이다. 우(虞)는 초나라 패왕 항우의 약혼녀이다. 우 (정위): 전한 중기의 관료 마스타 우: 대한민국의 래퍼 우 (수형도위): 전한 말기의 관료 당숙 우: 서주 초기의 왕족 우 탄트: 버마의 외교관 우 누: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콘스턴스 우: 미국의 배우 펠리피 아우메이다 우: 중국계 브라질인 남자 사격 선수 DJ 우 키드: 미국의 힙합DJ 앨리스 우: 미국의 영화 감독 = 리마 증권거래소 = thumb 리마 증권거래소(BVL, )는 페루 리마에 소재한 증권거래소이다. = 루비반지 = 루비반지는 2013년 8월 19일부터 2014년 1월 3일까지 방영된 KBS 2TV 일일 드라마이다. = = 기획 의도 = = 성격과 외모가 모두 다른 두 자매가 교통사고로 얼굴과 운명이 뒤바뀌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 = 등장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이소연 : 정루비 → 정루나 역 (아역 김채린) 김석훈 : 배경민 역 - JM그룹의 후계자 임정은 : 정루나 → 정루비 역 (아역 김승윤) 박광현 : 나인수 역 - 춘천 지방 케이블 방송국 PD = = = 루비&루나네 집 = = = 정애리 : 유길자 역 - 루비의 의붓엄마, 루나의 친엄마, 닭갈비집 사장 변정수 : 정초림 역 - 루비, 루나의 고모 = = = 경민의 집 = = = 정동환 : 배창근 역 - JM그룹 회장 김서라 : 박경숙 역 - 배 회장의 처 김영옥 : 조일순 역 - 배 회장의 어머니 김가연 : 배세라 역 - 경민의 누나 = = = 동팔의 집 = = = 이현우 : 노동팔 역 - 닭 도매상 → 닭갈비집 주방장 이해우 : 노지혁 역 - 동팔의 아들 = = = JM그룹 사람들 = = = 하주희 : 서진희 역 - JM그룹 춘천지사 마케팅 과장 이효영 : 황석호 역 - JM그룹 춘천지사 마케팅 팀원 김겨울 : 송혜련 역 - JM그룹 춘천지사 마케팅 팀원 = = = 그 외 인물 = = = 박진주 : 고소영 역 - 고아 출신 닭갈비집 홀 담당 故 한경선 : 장금희 역 - 경민 집 가정부 김리원 : 이은지 역 - 루비, 루나의 고교동창 이배국 : 왕대풍 역 - 동팔의 고향 선배 황찬우 : 구연호 역 - 루나의 심부름꾼 김우현 : 이강수 역 - 초림의 과거 연인 = = 연장 사유 = = 2013년 10월 24일 : 루비 반지 방영 분량이 80부작에서 13회 연장되어 93부작으로 변경 및 확정되었다. = = 수상 경력 = = 2013년 KBS 연기대상 일일극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이소연 2013년 KBS 연기대상 일일극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김석훈 = = 참고 사항 = = 담당 PD 전산은 2000년 나는 그녀가 좋다 이후 13년 만에 연속극 연출을 맡았는데 일일극 연출은 루비 반지가 처음이었다. 가족들이 함께 시청하는 저녁 7시대 드라마와는 다소 맞지 않아 보이는 페이스오프라는 소재를 전면 배치해 막장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황순영 작가는 '어디까지나 드라마와 자매의 설정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 Speed Star = Speed Star는 2006년에 발매된 힙합 가수 아웃사이더의 두 번째 음반으로 싱글 음반이다. = = 수록곡 = = Motivation Music Makes Me High (Feat. 배치기, Soulman) 연인과의 거리 (Feat. Brown Sugar, 샛별) Unsigned Hype (Feat. Deepflow, DJ KubiX) Motivation (Insturmental) 연인과의 거리 (Insturmental) Unsigned Hype (Insturmental) 연인과의 거리 (Acappella) = 혜빈 양씨 = 혜빈 양씨(惠嬪 楊氏, ? ~ 1455년 12월 26일(음력 11월 9일관음사 p.113 /【태백산사고본】1책 2권 38장 A면【영인본】7책 94면))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다. 한남군, 수춘군, 영풍군의 생모이며, 손자뻘이 되는 단종의 유모였다. 본관은 청주이고, 시호는 문혜(文惠), 민정(愍貞)이다. = = 생애 = = 현감 양경과 부인 이씨 슬하의 외동딸로 태어나 처음에는 내명부 예하 궁인으로 들어왔으나 지병으로 병약한 세자를 보살피던 중 세종의 눈에 들어서 후궁이 되었고 귀인 첩지를 받아 아버지는 의정부(議政府)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되었다. 정1품의 빈에 오른 후 혜빈이라는 칭호를 하사 받았다. 자식으로는 세 아들 한남군, 수춘군, 영풍군을 두었다. 그녀가 영풍군을 키우고 있을 당시, 세자빈이 단종을 낳은 후 이튿날 갑자기 죽게 되자 세종은 문종에게 알려 경혜공주와 단종을 혜빈에게 맡기도록 했다. 혜빈은 기뻐하며 자청했고 단종과 경혜공주를 극진히 보살폈다. 특히 직접 기른 단종에게는 더욱 지극한 사랑을 주었으며 단종 또한 혜빈의 품에서 잠들기를 늘 원했다. 왕이 되어서도 단종은 혜빈의 처소에서 숙하는 것을 희망했으나 수양이 모사를 염려하여 가로막았다. 지아비인 세종이 죽자 관례에 따라 비구니가 되어 궐을 나가 산 속으로 들어가 살았다.정구선, 조선의 출셋길 장원급제, 팬덤북스, 2010, p.93, 그 후 왕위에 오른 문종이 재위 2년여만에 죽고 12살의 단종이 왕위에 올랐는데 그때 산에 있던 혜빈이 다시 궁으로 들어오게 되어 단종을 보필하였다.조선왕조실록 단종 2권, 8월 7일 2번째 기사 혜빈이 궁중을 장악할 것을 염려한 수양이 문종의 후궁인 홍 귀인의 작위를 숙빈으로 높여 혜빈을 대신하게 하자 혜빈은 더 이상 단종을 보필 할 수 없었다. 혜빈은 이 일로 수양대군을 원망하였다.조선왕조실록 세조 1권, 윤6월 11일 2번째 기사 하지만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로 단종이 선위하고 수양대군이 보위에 오르자, 혜빈 양씨는 금성대군 등과 결탁하여 전횡을 휘둘렀다는 이유로 탄핵당하고 가산이 적몰된 뒤 청풍으로 유배를 갔다. 1455년 12월 17일(음력 11월 9일) 신하들의 여러 상소끝에 교수형으로 사망한다.조선왕조실록 세조 1권, 윤6월 11일 1번째 기사 = = 죽음 = = 이후 신하들이 혜빈을 죽이기를 청하자, 세조는 상왕 단종이 죽이지 말라고 청하기에 자신이 명을 받아들였다며 이를 거부했으나 결국 같은 해인 1455년 교수형에 처할 것을 명했다.조선왕조실록 세조 2권, 11월 9일 1번째 기사 혜빈은 12월 17일(음력 11월 9일), 세조에 의해 교수형을 당해 사망하였다. 1712년(숙종 38) 4월 28일 관작(官爵)과 봉호(封號)를 회복하여 신원(伸冤) 되었다.숙종 51권, 38년(1712 임진 / 청 강희(康熙) 51년) 4월 28일(경진) 1번째기사 "혜빈 양씨 및 그 아들 영풍군 이전의 관작과 봉호를 회복시킬 것을 명하다" 혜빈의 유해는 종조부인 병사공 양치가 남몰래 거두어 포천 기당리 세장산에 묻고 평토를 하여 극비에 부쳤다. 이러한 내력은 경혜공주의 수기에서 볼 수 있다. 아들 영풍군도 곧 살해당하였고, 한남군은 금산 1459년 6월 유배지에서 병사하였다.둘째 아들 수춘군은 혜빈이 유배되기 직전 병으로 죽었다 1534년(중종 29년)에 장증손자인 호천군의 대궐 앞 상소로 비로소 왕계로 복원이 되었다. 1570년 장증손자 호천군이 노직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고손자 적이 원종공신이 됨에 추증군이 되었다. 사후 복권되어 문혜(文惠)의 시호가 내려졌다. 정조 15년에는 정조의 모친 혜빈 홍씨(혜경궁)와 같은 작호를 피하여 새로 민정(慜貞)이란 시호를 내리고 신주를 새로 만들어 제사 지내게 하였다. = = 가족관조부 : 양첨식 = = 조모 : 정부인 경주최씨 아버지 : 남평현감 양경 어머니 : 이씨 남편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년 ~ 1450년, 재위 1418년 ~ 1450년) * 장남 : 한남군 어(漢南君 𤥽, 1429년 ~ 1459년) * 자부 : 양원군부인 안동 권씨(梁源郡夫人 安東 權氏) ** 손자 : 흥안군 중생(興安君 衆生, 1458년 ~ ?) ** 손녀 : 이수리(李修理) - 정문명(鄭文明)과 혼인 차남 : 수춘군 현(壽春君 玹, 1431년 ~ 1455년) 자부 : 영천군부인 영일 정씨(榮川君夫人 迎日 鄭氏) * 손자 : 수안군 상(遂安君 鑜)밀성군의 아들 * 손자부 : 군부인 죽산 안씨(君夫人 竹山 安氏) ** 증손 : 의인군 흠(宜仁君 欽) ** 증손 : 안흥부정 수(安興副正 銖)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한세창(韓世昌)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민천석(閔天錫)과 혼인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적성군 석(赤城君 錫)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심순로(沈順老)와 혼인 삼남 : 영풍군 전(永豊君 瑔, 1434년 ~ ? ) 자부 : 현부인 순천 박씨(縣夫人 順天 朴氏) - 박팽년의 딸 * 손녀 : 이소사(李召史) - 이양손(李陽孫)과 혼인 = = 혜빈 양씨가 등장하는 작품 = = 《파천무》(KBS, 1990, 배우:반효정) 《한명회》(KBS, 1994, 배우:박준금) 《왕과 비》(KBS, 1998~2000, 배우:김혜리) 《인수대비》(JTBC, 2011~2012, 배우:최지나) = 분류:EC 3.6 = = 해미 김씨 = 해미 김씨(海美金氏)는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김종해(金宗海)는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조선에서 진사를 지냈다고 한다.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도조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덴쇼 8년 음력 9월 10일(1580년 10월 18일) ~ 게이초 12년 음력 3월 5일(1607년 4월 1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다. 무사시 오시성주, 오와리 기요스번의 번주를 지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4남이며, 마쓰다이라 이에타다에게 입양되었다. 어머니는 사이고노쓰보네이다. 아명은 후쿠마쓰마루이다. 관위는 시모쓰케노카미·사쓰마노카미, 종3위 좌근위권중장이다. 아내는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하나인 이이 나오마사의 딸이다. 도토미 하마마쓰성에서 태어났다. 1581년 도조가의 마쓰다이라 이에타다가 사망하자 가독을 계승하여 미카와 도조성 1만 석을 받아 이름을 마쓰다이라 다다야스(松平忠康)로 고쳤다. 1582년 스루가 누마즈성의 4만 석으로 전봉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관동으로 전봉되면서 1592년 무사시 오시성주가 되었으며, 성인식을 거친 후 다다요시(忠吉)로 개명하였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으로 참전,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선봉대와 격돌하여 시마즈 도요히사를 생포하는 공을 세웠고, 오와리 기요스번의 52만 석으로 전봉되었다. 1607년 에도에서 2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분류:포항 스틸러스 경기 = = 틀:김창완 밴드 = = 분류:민족음악학 = = 나자스말 = 나자스말(학명 : Najas graminea)은 자라풀과 나지말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 = 분포 = = 한국 각지에 분포하는 한해살이풀로 연못·도랑·밭에서 자라며, 높이 30cm 정도이다. = = 특징 = = 전체적으로 황록색 또는 갈황색이 돌며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지면과 닿은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마주나며 선형으로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나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녹색이다. 암꽃과 수꽃이 모두 노출되고 수꽃에는 1개의 수술, 암꽃에는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 보잉 AH-6 = 보잉 AH-6(Boeing AH-6)은 경 헬리콥터 건쉽에 기초를 둔 MH-6 리틀버드와 MD500 시리즈의 하나이다. 보잉 로터 시스템즈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무인 리틀버드(ULB, Unmanned Little Bird) 프로토타입을 포함한다. A/MH-6X 미션 인핸스드 리틀 버드(MELB, Mission Enhanced Little Bird), 그리고 AH-6I과 AH-6S이 제안된바 있다."Boeing Unveils Low-Cost, Versatile 'Little Bird' That Can Fly Manned or as UAV" . Boeing, October 25, 2004. Accessed: August 27, 2008. = = 디자인과 개발 = = 무인 리틀 버드 프로토타입은, 보잉에서 민간용 MD530F를 변형시켜 제작하였다. 첫비행은 2004년 9월 8일 하였고, 첫 자동 비행(안전요원이 탑승한채)은 2004년 10월 16일 만들어졌다. 2006년 4월, 보잉은 ULB 시제품의 능력을 다른 헬리콥터에 사용하였다. 그중 하나가 AH-64 롱보우 아파치로 ULB의 원격 조종 무기 탑재한 보잉의 유인/무인 시스템 기술 프로토타입(AMUST-D) 프로그램이다. 초기 테스트에서 아파치 롱보우가 지상에 있는 동안 ULB는 몇마일 위로 체공하면서 ULB 테스터인 아파치 부조종사가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했다. 두 항공기가 장착하고 있는 전술적 공통 데이터 링크 장비는 L-3 정보통신 기술로 제조 되었다."Boeing Apache and Unmanned Little Bird Demonstrator Test Expands UAV Control" . Boeing, April 12, 2006. Accessed: August 27, 2008. UBL 프로토타입은 2006년 6월 30일, 미군의 유마 성능 시험장에서 처음으로 무인 모드에서 비행하였다. 비행은 20분의 예정된 시간동안 기지 주변에서 무장 지능, 감시 및 정찰 임무를 테스트하였다. = = 제원 = = = = = ULB/MD530F = = = = 분류:비스트리차너서우드주 출신 = = 곽현화 = 곽현화(1981년 3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배우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출신으로서 재학 시절 수학과 학생회장으로 활동하였다. 연예인 최초로 수학책을 집필하였다. 2004년 온게임넷 쿠노이치걸 선발대회로 첫 데뷔하였고 주로 케이블 방송에서 활약하고 있다. = = 학력 = = 석포여자중학교 (졸업) 예문여자고등학교 (졸업) 부산대학교 의류직물학과 (중퇴)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블록체인 정공 (졸업) = = 방송 = = 2019년 채널A 《행복한 아침》 2014년 FOODTV 《시사요리쇼 밥 한번 먹자!》 2014년 KBS2 《대한민국 창업프로젝트 천지창조》 2014년 채널A 《먹방쇼 맛의 전설》 2013년 ONT 《한중일 국립공원 견문록》 2013년 XTM 《남자의 기술》 2012년 tvN 《SNL코리아》 2012년 온게임넷 《탕탕탕 강예빈이 쏜다》 2011년 온게임넷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 2》 2011년 온게임넷 《황혼에서 새벽까지》 2011년 온게임넷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 1》 2011년 tvN 《런닝9》 2011년 GTV 《드림메이커》 2010년 온게임넷 《하트비트 메가폰》 2010년 KBS2 《출발드림팀 시즌 2》 2010년 KBS2 《도망자》 2009년 KBS2 《결혼 못하는 남자》 2008년 SBS 《스타의 연인》KBS1 《너는 내 운명》XTM 《앙녀쟁투》tvN 《마이캅》ETN 《판타지걸 꿈생》 2007년 KBS2 22기 공채 개그우먼《개그콘서트》 〈봉숭아 학당〉 2006년 Qwiny 《생방송 아크로X》 2005년 Qwiny 《게임봐야지》 2004년 ~ 2007년 온게임넷 MC 2004년 KBS 《MC 서바이벌》 = = = 영화 = = = 2012년 전망 좋은 집 미연 役 2013년 아티스트 봉만대 = = = 드라마 = = = 2010년 SBS플러스 《키스 앤 더 시티》 2011년 MBC 《최고의 사랑》 - 조현아 역 2011년~2012년 MBC 《애정만만세》 - 변동우의 전 애인 역 (특별출연) = = = 음반 = = = 《Psycho》 (2010년 6월 28일) = = 수상 = = 2004년 KBS MC서바이벌 장려상온게임넷 쿠노이치걸 선발대회 쿠노이치걸 선발 = 카즈빈 = 카즈빈은 이란 카즈빈주의 주도로, 인구는 349,788명(2005년 기준), 높이는 해발 1,800m이다. 사파비 왕조의 수도였던 곳이다. = 분류:골든 글로브 감독상 수상자 = = 분류:과테말라의 음악 = = 앤디 아이겐만 = 앤디 아이겐만(Andi Eigenmann, 1990년 6월 25일 ~ )은 필리핀의 배우, 모델이다. = 분류:LASK 린츠의 축구 감독 = = 용과 같이 1&2 HD EDITION = 용과 같이 1&2 HD EDITION는 세가(현: 세가 게임즈)에서 2012년 11월 1일에 발매된 플레이스테이션 3용 게임 소프트웨어이다. 2013년 8월 8일에 Wii U 이식판 용과 같이 1&2 HD for Wii U를 발매. = = 개요 = = 플레이스테이션 2용 게임 소프트웨어 용과 같이와 용과 같이 2를 하나로 합친 것이다. 화질은 고해상도화됐으며, 화면 비율도 16:9 와이드로 표시되고 있다. 그 외, 공중전화에서의 아이템 정리나 음식점에서 먹었을 때의 체크마크, 전투시에 360도로 보이는 카메라 워크 등 이후의 작품에서 등장한 시스템도 도입되어있다. 2012년 7월 19일에 공식 사이트에서 발표. 하드디스크에 게임 데이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배틀로의 로딩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가 있다. 종래 작과 같이, 본작의 클리어 데이터로도 이후의 작품에서 특전을 얻을 수 있다. 또, PS3 소프트웨어 때문에 트로피 기능에도 대응. 2013년 5월 17일에 세가 다이렉트에서 발표. Wii U GamePad에 맵 등을 표시한 채로 플레이 가능. 또, TV를 사용하지 않고 Wii U GamePad만으로도 플레이 가능. = 성장 = 성장(成長; growth; 옛 용어 생장)은 한 생명체의 일생 동안 세포 크기와 세포 수가 증가하는 현상이다.Wilt, Fred H. "Growth."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 ] 성장을 위하여 만들어진 영양제도 있다. = = 생물학에서의 성장 = = 성장은 생명체가 살기 위해 먹이를 먹어 소화를 거치거나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영양분을 이용하여 세포 분열을 하거나 세포를 증식시키는 등 세포계의 크기를 늘리는 현상이다. 1차 성징이나 2차 성징 등의 변화폭이 큰 성장도 있다. = = = 식물 = = = 식물의 성장은 온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그러나 어느 한계까지만 온도 상승과 더불어 성장 속도가 증가할 뿐, 적정 온도를 넘으면 성장은 오히려 억제된다. 즉, 성장은 세포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세포의 활동은 온도가 높을 때에 활발하므로, 이 때에 성장 속도도 빨라진다. 그러나 어떤 온도를 넘게 되면 고온으로 인하여 세포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이 변화되므로 오히려 세포의 활동이 나빠져서 성장이 억제되는 것이다. 식물 성장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옥수수가 싹이 틀 때는 33-34℃인데 비해, 고산 식물은 냉온에서도 잘 견딘다. 빛도 온도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중 한 이유는 광합성 속도가 빛의 세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장에 대한 빛의 효과는 광합성으로 인한 영향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 콩은 모든 식물과 마찬가지로 싹이 틀 때 저장 물질이 있으므로 광합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때도 빛을 쬐어 주지 않으면, 잎이 거의 없는 비정상적인 콩나물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콩나물에 다시 빛을 쬐어 주면 정상적인 식물로 성장한다. 이러한 현상은 빛이 광합성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그 밖의 면에도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식물체를 정상 상태로 성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 로베르토 볼레 = 로베르토 볼레(, 1975년 3월 26일 ~ )는 이탈리아의 발레 무용수이다. = 분류:다마 뉴타운 = = 분류:1808년 설립된 종교 단체 = = 요코야마촌 (도야마현) = 요코야마촌은 도야마현 시모니카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뉴젠정에 해당한다. = 일본하늘다람쥐 = 일본하늘다람쥐 또는 모몬가(Pteromys momonga)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하늘다람쥐속에 포함되는 종의 날다람쥐류 중 하나이다. 일본의 토착종으로 혼슈와 시코쿠와 규슈의 아한대 숲과 상록수림에서 서식한다. 몸길이는 최대 20cm까지 자라고, 손목과 발목을 연결하는 막이 있어서 나무와 나무 사이를 활공할 수 있다. 낮동안에는 보통 침엽수림 속의 나무 구멍 안에 숨어 지내며, 밤에 식물의 새싹과 잎, 나무 껍질, 과일, 씨앗 등을 찾아 먹는다. 직면해 있는 특별한 위협 요인은 없고, 넓은 지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성질이 온순하여 사육하기에 용이하다. = = 특징 = = 몸 길이는 14~20cm, 꼬리 길이는 10~14cm이다. 몸무게는 150~220g이다. 몸무게가 최대 1500g인 일본자이언트날다람쥐보다 상당히 작다. 등 쪽은 회색빛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배 쪽은 희다. 큰 눈과 편평한 꼬리를 갖고 있다. 날다람쥐류의 종들은 활공하는 데 사용하는 일종의 피부 막인 비막을 갖고 있다. 일본하늘다람쥐는 특별히 다리와 꼬리 사이가 아니라 손목과 발목 사이에 비막을 갖고 있다. = 코말 = 코말(Komal)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코말 (네팔) 코말 (배우) 코말 자 = 모듈:Location map/data/New Zealand Christchurch = return { name = 'Christchurch, New Zealand', top = -43.4, bottom = -43.65, left = 172.45, right = 172.87, image = 'Christchurch, New Zealand map.svg', mark = 'Disc Plain red.svg', marksize = 7 } = 틀:나라자료 광주 서구 = = 맥스 시리엇 = 맥스 시리엇(Max Thieriot, 1988년 10월 14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작 목록 = = 점퍼 포인트 브레이크 = 박혜숙 = 박혜숙(朴惠淑, 1948년 8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생애 = = 1968년 영화 백야의 단역을 통하여 영화배우로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69년 영화 눈 나리는 밤에 단역 출연하였고 이어 같은 해 1969년 연극배우 데뷔하였으며 곧이어 같은 해 1969년 TBC 동양방송 특채로 동양방송 TV 드라마에 첫 출연하였고 1년 후 1970년 서울중앙방송(지금의 KBS 한국방송공사) 9기 공채 탤런트 정식 데뷔하였다. 슬하에 아들이 있으며 현재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에 근무하고있다. = = 학력 = =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졸업 수도여자사범대학 무용교육학과 전문학사 = = 출연작 = = = = = 연극 = = = 《세종대왕》 ... 의안군부인 교하 노씨의안군 이화의 계실 부인 역(단역)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대한국인》(1979년,KBS) - 김아려 역 《토지》(1979년, KBS) 《길》(1981년, 1981년) 《갈매기처녀》(1983년, KBS2) 《불꽃놀이》(1984년 ~ 1985년) 《아리수별곡》(1986년, KBS1) 《노다지》(1986년 ~ 1987년, KBS1) 《사모곡》(1987년, KBS2) - 나승희 《노다지》(1987년, KBS1) 《한씨 연대기》(1988년, KBS1) 《조선백자 마리아상》(1988년, KBS1) 《암소》(1989년, KBS1) 《왕룽일가》(1989년, KBS2) - 은실네 《우리 동네》(1989년, KBS1) 《꽃 피고 새 울면》(1990년, KBS1) 《대추나무 사랑걸렸네》(1990년, KBS2) 《일출봉》(1992년, MBC) - 업산의 생모, 이씨 《아들과 딸》(1993년, MBC) - 성자 모 《떠도는 혼》(1993년, KBS1) 《친애하는 기타 여러분》(1993년, SBS) - 이무정의 아내 《여울목》(1994년, MBC) - 나승희 《원지동 블루스》(1996년, KBS2) 《아름다운 죄》(1997년, SBS) - 병구 모 《황금 깃털》(1997년, MBC) 《욕망》(1997년, MBC) - 송미연의 이모 《왕룽의 대지》(2000년, SBS) 《아버지와 아들》(2001년, SBS) - 애월댁 《새엄마》(2001년, KBS1) - 사부인 (효동댁) 《해 뜨는 집》(2002년, SBS) 《찔레꽃》(2003년, KBS1) - 나옥녀 《토지》(2004년, SBS) - 봉순네 《불멸의 이순신》(2004년, KBS1) - 넙출네 《신입사원》(2005년, MBC) - 공혜자 《아현동 마님》(2007년, MBC) - 장 여사 《사랑해》(2008년, SBS) - 영희/진희 모 《압록강은 흐른다》 (2008년, SBS) - 구월 《사랑하길 잘했어》(2010년, KBS2) - 경자 《신의 선물 - 14일》 (2014년, SBS) - 장미순 《압구정 백야》 (2014년, MBC) - 문정애 《아이가 다섯》(2016년, KBS2) - 오미숙 《아버지가 이상해》 (2017년, KBS2) - 김말분 역 = = = 영화 = = = 《백야》 (1968년) 《눈 나리는 밤》 (1969년) 《불꺼진 창》(1976년) 《가고파》(1984년) 《이별없는 세대》(1984년) 《이별없는 아침》(1985년) 《허튼소리》(1986년) 《담다디》(1989년) 《걸어서 하늘까지》(1992년) 《초록물고기》(1997년)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1998년) 《오래된 정원》(2007년) 《숙명》(2008년) 《은밀하게 위대하게》(2013년) = = = CF 활동 = = = 삼성제약 디판토 (1987년) - 이영후와 함께 출연. 피죤 피죤 (1987년 / 1989년) = 분류:가공의 단체 = = 브랜디와 미스터 위스커스 = 브랜디와 미스터 위스커스(Brandy & Mr. Whiskers)는 디즈니 채널을 위해 시트콤 작가 러셀 마커스(Russell Marcus)가 제작한 미국 애니메이션 TV 시리즈이다. 이 영화는 아마존 열대우림에 함께 갇히게 된 애지중지하면서도 씩씩한 개와 활동적인 토끼라는 제목의 캐릭터들의 삶을 따라간다. 이 쇼는 처음에 2004년 8월 21일부터 2006년 8월 25일까지 방영되었다. 39개의 에피소드가 제작되었다. = = 배경 = = 응석받이 개(브랜디)와 쉽게 흥분하는 토끼(미스터 위스커스)는 비행기에서 떨어져 아마존 열대우림(아마도 브라질일 가능성이 높음)에 좌초되면서 함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다. 그들은 새로운 친구를 사귀었다. (보아뱀 롤라, 큰부리새 자매 체릴과 메릴, 그리고 수달 에드) 이야기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고 시도하는 듀오의 이야기를 따른다. = 분류:멕시코의 철도 시설 = = 브리티시 오픈 (동음이의) = 브리티시 오픈(British Open)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전영 오픈 골프 선수권 대회 리코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브리티시 오픈 스쿼시 선수권 대회 브리티시 오픈 (스누커) = 분류:그레미우 카탄두벤시 = = 월드 아파트 = 월드 아파트(A World Apart)는 영국에서 제작된 크리스 멘지스 감독의 1988년 영화이다. 조디 메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사라 러드클리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조디 메이 예로엔 크라베 바바라 허쉬 케이트 피츠패트릭 팀 로스 린다 음부시 = = 제작진 = = 미술: 브라이언 모리스 의상: 닉 에드 배역: 수지 피기스 = 쇼제촌 = 쇼제촌은 니가타현 나카칸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니가타시 미나미구에 해당한다. = 강우람 (축구인) = (姜우람, 1986년 5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현재는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캐릭터 목록 = 이 문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캐릭터들을 서술한다. = = 지구 - 616 = = 개리슨 케인 게이트웨이 건틀릿 그래비티 그레이 말킨 길로틴 나라 나이트마스크 나이트 스래셔 노매드 노-걸 노스스타 녹턴 다크 호크 드라큘라 드래건맨 레드 헐크 리전 머신맨 멀티플맨 문드래곤 배틀스타 벵갈 블랙 골리앗 블루 마블 빈디케이터 사이린 샤머 선 걸 선더버드 슈팅스타 스콜피온 스쿼럴 걸 아라크네 에이전트 베놈 울트라걸 임파서블맨 저스티스 캡틴 브리튼 캡틴 울트라 코스모 티맨 티타늄맨 프로그맨 한니발 화이트 타이거 3-D맨 G.W.브리지 Mr.M = = 지구 - 838 = = 일루미나티 찰스 자비에 † 캡틴 카터 † 마리아 캡틴 † 블랙아가르 불타곤 † 리드 리처즈 판타스틱 † 바론 모르도 슈프림 스트레인지 † 크리스틴 팔머 울트론 † 피자볼 노점상 = = 지구 - 1218 = = 자칼 캥거루 카멜레온 아울 퍼플맨 Mr.시몬스 바이퍼 U맨 코발트맨 섀도우맨 = = 지구 - 8910 = = = = = 엔네야드 = = = 오시리스 라 하토르 호루스 테프누트 이시스 콘슈(탈퇴) 암미트(탈퇴) 타워레트 바스테트 아툼 슈 테프누트 누트 네프티스 세크메트 아누비스 베스 케프리 = = = 그리스ㆍ로마 = = = 제우스 아레스 헤라클레스 디오니소스 아폴론 아테나 = = = 인도 = = = 브라흐마 시바 비슈누 = = = 중국 = = = 황룡 천룡 = = = 그 외 = = = 크로난 오시리스 환인 아마테라스 케찰코아틀 맨싱 베타 레이 빌 만두의 신 바오 아르테미스 미네르바 천룡 니니 더 노니 엘케의 여신 이잠나 옥황상제 마오리 여신 아미츠 미카보시 라푸 † 털의 신 눈알의 신 = = 지구 - 96283 = = 트릴로지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노먼 오스번 / 그린 고블린 오토 옥타비우스 / 닥터 옥토퍼스 폴린트 마르코 / 샌드맨 = = 지구 - 120703 =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커트 코너스 / 리자드 맥스 딜런 / 일렉트로 베티 로니 = = 지구 - 199999 = = = = = 어벤져스 = = = 캡틴 팔콘 워 머신 / 제임스 로드 / 아이언 패트리어트 헐크 / 브루스 베너 클린트 바튼 / 호크아이 케이트 비숍 앤트맨 / 스캇 랭 와스프 / 호프 반 다인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윈터 솔져 / 버키 반즈 캡틴 마블 / 캐럴 댄버스 토니 E 스타크 / 아이언맨 † 캡틴 로저스 † 나타샤 로마노프토르 4 쿠키영상에서 나타샤는 인피니티 스톤 대체로 부활 비전 † 블랙 펜서 / 트찰라 † 퀵실버 / 피에트로 막시모프 † = = = 스타크 인더스트리 = = = 하워드 스타크 † 마리아 스타크 † 해피 호건 페퍼 포츠 / 레스큐 오베디아 스탠 / 아이언 몽거 † J.A.R.V.I.S. F.R.I.D.A.Y. 윌리엄 긴터 리바 쿠엔틴 벡 / 미스테리오 † = = = 토니 관련 인물 = = = 에드윈 자비스 † 호 인센 † 크리스틴 에버하트 저스틴 해머 이반 반코 / 위플래쉬 † 할리 키너 모건 H 스타크 모건 스타크이 사람은 하워드의 동생이다. = = = 스티브 관련 인물 = = = 조지프 로저스 † 페기 M 카터 † 체스터 필립스 에이브러햄 어스킨 † 하울링 코만도스 조르주 배트 = = = 토르 관련 인물 = = = 에릭 셀빅 달시 루이스 이언 부스비 = = = 헐크 관련 인물 = = = 로디 베너 † 베티 로스 에밀 브론스키 / 어보미네이션 새뮤얼 스턴스 / 미스터 블루 레너드 샘슨 유진 폴 파틸로 / 프로그맨 메리 맥페란 / 타이타니아 = = = 레드룸 = = = 드레이코프 † 옐레나 벨로바 위도우들 태스크마스터 † 멜리나 마담 B = = = 나타샤 관련 인물 = = = 이반 로마노프 † 릭 메이슨 알렉세이 쇼스타코프 / 레드 가디언 = = = 클린튼 관련 인물 = = = 이디스 바튼 † 엘리너 비숍 잭 듀케인 럭키 에코 / 마야 로페즈 카지 카지미어책 로라 바튼 / 에이젼트 19 / 모킹버드 쿠퍼 바튼 라일라 바튼 나타니엘 피에트로 바튼 = = = 핌 테크놀러지 = = = 행크 핌 / 자이언트맨 재닛 반 다인 / 비걸 대런 크로스 / 옐로재킷 † = = = 스캇 관련 인물 = = = 캐시 랭 메기 랭 안토니 † 루이스 빌 포스터 에이바 스타 / 고스트 † 소니 버치 = = = 피터 관련 인물 = = = 메이 파커 † 벤 파커 † OO 파커 †피터 파커의 아버지 고인 00 파커 †피터 파커의 어머니 고인 J. 조나 제임슨 에이드리언 툼스 / 벌쳐 잭슨 브라이스 / 쇼커 허먼 슐츠 / 쇼커 피니어스 메이슨 / 팅커러 맥 가간 / 스콜피온 = = = 엘리멘탈스 = = = 매그넘(흙) 사이클론(공기) 하이드론(물) 헬파이어(불) 엘리매트릭스(융합체) = = = 미드타운 과학 고등학교 = = = 네드 리즈 리즈 미셸 플래시 톰슨 베티 브랜튼 브래드 데이비드 로저 해링턴 모리타 교장 윌슨 코치 제이슨 아이오넬로 샐리 애브릴 신디 에이브 조지 모니카 워런 비틀 줄리어스 델 클레어 와이즈 벤저민 "베니" 폴럭 아키히코 = = = S.H.E.L.D. = = = 닉 퓨리 필 콜슨 마리아 힐 켈러 필릭스 블레이크 데이지 존슨 / 퀘이크 리오 피츠 제마 시먼스 알리아 피츠 오웬 쇼 딕 쇼 멜린다 메이 앤트완 트리플릿 도니 길 / 블리자드 바비 모스 / 모킹버드 랜스 헌터 알폰소 맥켄지 케이니그 형제 빅토리아 핸드 마이클 피터슨 / 데스록 로버트 곤잘레스 제프리 메이스 / 패트리어트 요요 로드리게스 앤드루 래쉬 메이슨 아킬라 아마도르 토바이어스 포드 오드리 네이선 에이전트 33 에이전트 OR = = = S.T.R.I.K.E. = = = 브록 럼로우 / 크로스본즈 잭 롤린스 = = = H.Y.D.R.A. = = = 하이브 † 요한 슈미트 / 레드 스컬 하인츠 크루거 † 바실리 카르포프 † 아르님 졸라 † 바론 폰 스트러커 재스퍼 시트웰 알렉산더 피어스 벤 스턴 기데온 말릭 존 개릿 그랜트 워드 대니얼 화이트홀 수닐 박쉬 칼 크릴 / 업소빙맨 미스터 블룸 리스터 박사 에이다 / 마담 하이드라 칼라 페이 기디언 프랜시스 노체 칼라 페이 기디언 데이비드 A. 앵거 히드라 전사 하이드라 병사 = = = 미국 정부 = = = 매튜 엘리스 벤 스턴 U.S. 에이전트 배틀스타 = = = 미 국무부 = = = 썬더볼트 로스 = = = CIA = = = 에버렛 로스 샤론 카터 = = = FBI = = = 지미 우 라훌 나딤 불스아이 버넌 마스터스 = = = ATCU = = = 로절린드 프라이스 그래비톤 = = = 와칸다 = = = 트차카 / 블랙 펜서 † 슈리 은조부 † 라몬다 은자다카 / 에릭 킬몽거 † 아주리 † 와카비 바셴가 † 오코예 나키아 음바쿠 주리 부디 아요 율리시스 클로 † = = = 마스터 오브 미스틱 아츠 = = = 크로니콤 † 아가모토 † 에인션트 원 † 칼 모르도 케실리우스 아드리아 하미르 린트라 웡 닥터 스트레인지 / 스티븐 스트레인지 찬호인 아메리카 차베즈 = = = 운다고어 산 = = = 스칼렛 위치 / 완다 막시모프닥터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에서 자멸하며 죽은 걸로 추정인데 죽으며 붉은색 포탈이 등장해서 생존 가능성 있음. 사이토락 † 디펜더 스트레인지 † = = = 디펜더스 = = = 멧 머독 / 데어데블 제시카 존스 루크 케이지 대니 랜드 / 아이언 피스트 = = = H.A.N.D. = = = 알렉산드라 마담 가오 노부 요시오카 엘렉트라 / 블랙 스카이 = = = CHASTE = = = 스틱 = = = 데어데블 관련 인물 = = = 캐런 페이지 포기 넬슨 벤 유릭 잭 머독 † 메기 그레이스 머독 제임스 웨슬리 블라디미르 † 아나톨리 † = = = Union Alied = = = 윌슨 피스크 / 킹핀 릴런드 아울슬리 = = = 제시카 존스 관련 인물 = = = 트리시 워커 말콤 듀카드 제리 호가스 케빈 톰슨 / 킬그레이브 엘리사 존스 = = = IGH = = = 윌 심슨 레슬리 핸슨 = = = 루크 케이지 관련 인물 = = = 미스티 나이트 블랙 머라이어 셰이즈 레바 코너스 코튼마우스 다이아몬드 백 존 부시마스터 = = = 아이언 피스트 관련 인물 = = = 콜린 윙 = = = Land Enterprize = = = 해럴드 미첨 워드 미첨 조이 미첨 = = = 쿤룬 = = = 레이 쿵 † 다보스 = = = 퍼니셔 관련 인물 = = = 퍼니셔 / 프랭크 캐슬 블랙 스미스 직쏘 루소 클레어 템플 터크 배럿 = = = S.W.O.R.D. = = = 마리아 램보 † 모니카 램보 타일러 헤이워드 화이트 비전 = = = Pride = = = 조나 모건 르 페이 = = = 런어웨이즈 = = = 알렉스 와일더 니코 미노루 캐롤리나 딘 체이스 스타인 거트 요크스 몰리 에르난데스 = = = 마크 스펙터 관련 인물 = = = 마크 스펙터 스칼렛 스카라브 아서 해로우 = = = 마크 스펙터의 자아 = = = 스티븐 그랜트 제이크 로클리 문나이트 미스터 나이트 = = = A.I.M. = = = 알드리치 킬리언 마야 한센 에릭 사빈 앨런 브랜튼 트레버 슬래터리 / 만다린 군인들 우 박사 우 박사의 비서 = = = 텐 링즈 = = = 웬우 † 샹치 레이저 피스트 데스 딜러 샤링 조직원들 라자 † 아부 바카르 † 잭 태거트 † = = = 탈로 = = = 잉 리 † 잉 난 광보 † 어둠의 드웰러 위대한 수호자 모리스 구미호 사자 기린 주작 = = = 세계안전보장이사회 = = = 기데온 말릭 = = = 소코비아 = = = 헬무트 제모 / 바론 제모 = = = 인휴먼스(애프터라이프파) = = = 자잉 고든 링컨 캠벨 레이나 알리사 = = = 워치독 = = = 필릭스 블레이크 제임스 = = = 헥스 = = = 애거사 하크니스 / 아그네스 빌리 막시모프 토미 막시모프 = = = 플래그 스매셔 = = = 칼리 모건소 스매셔 폰 † 조직원들 = = = 마드리푸어 = = = 파워 브로커 = = = 그 외 히어로 = = = 블랙 나이트 고스트 라이더 클록 대거 블레이드 카말라 칸 / 미즈 마블 레드 대거 아이제아 블래드리 아이언 하트 / 리리 윌리엄스 웨어울프 = = = 그 외 빌런 = = = 울트론 † 미스터 하이드 휘트니 프로스트 이언 퀸 = = = 미국 정부 = = = 앨런 벤 스턴 로드리게스 브랜트 상임의원 † 미리엄 샤프 엘런 나디어 토머스 워드 루시 바워 = = = 군사 = = = 캐슬린 매스어 소령 † 조 그랠러 장군 길모어 호지 † 카밀라 레예스 에디슨 포 브라이언 헤이워드 존 브루노 = = = NASA = = = 윌 대니얼스 = = = 다크 포스 = = = 마커스 대니얼스 = = = 그 외 캐릭터 = = = 해나 허친스 크리스틴 팔머 헬렌 조 발렌티나 알레그라 드 폰테인 케이티 첸 홀든 레드클리프 안톤 모가트 안톤 반코 † 개리 메러디스 퀼 † 메러디스 퀼의 母 메러디스 퀼의 父 데이브 짐 팩스턴 게일 우즈만 에그스타 캐서린 스타 스톨츠 † 니커디미스 웨스트 조나단 팽본 도리스 툼스 델마 아저씨 수 데비 마일스 라이던 야코프 뉘스트롬 페트라 라르센 크리스천 워드 웬델 리바이 일라이 모로 헬파이어 쟈니 블레이즈 기예라 로저 둘리 대니얼 수자 레이 크르저민스키 앤지 마티넬리 제이슨 윌크스 아나 자비스 바이올렛 캘빈 채드윅 로즈 로버츠 앨로이시어스 샘벌리 조지프 만프레디 휴 존스 브랫 머호니 빅 밴 도너반 랜스 존 힐러 바네사 마리아나 멜빈 포터 레예스 검사 엘리엇 그로트 스톤 스타 호프 슐로트먼 드로시 워커 웬디 로스호가스 팸 오스카 클레먼스 로빈 루벤 엘리자베스 델루카 톰슨 부부 위저 프라이스 쳉 미클로스 코즐로부 칼 말러스 멜러리 셰인 라이백 프랭키 팝 도밍고 콜론 라파엘 스카프 메소드맨 솔리다드 템플 치코 디아스 캔디스 밀러 스웨이 캘러웨이 바비 피시 노아 버스틴 틸다 존슨 모티머 노리스 빌 노리스 에디 액스턴 에타 루카스 마이크로 디나 마다니 커티스 호일 루이스 윌슨 오코너 거너 헨더슨 카슨 울프 에이미 벤딕스 크리스타 듀몬트 존 필그림 슐츠 부부 일레인 포스터 데인 휘트먼 = = 종족 = = = = = 야칸족 = = = 야칸왕 야칸군 = = = 아스가르드(멸망) = = = 부리 † 보르 부리슨 † 노르 보르슨 오딘 보르슨 † 무닌 후긴 로키 오딘슨 † 프리가 † 판드랄 † 호군 † 볼스타그 † 디스트로이어 † 스커지 † 펜리스 코르그 슬레이프니르 발데르 더 브레이브 헬라 오딘스도티르마지막에 공격 당할때 초록색 포탈이 등장해서 생존 가능성이 있음. = = = 뉴아스가르드 = = = 그레이스 액슬 엘리얼 랜돌프 로렐라이 액슬 발두르 인챈트리트(염소) 엑시큐서너(염소) 티르 프리그 흐림하리 미에크 발키리 시프 = = = 발할라 = = = 헤임달 † 제인 포스터 / 마이티 토르 † = = = 요툰헤임 = = = 라우페이 † 로키 라우페이슨 † = = = 다크 엘프 = = = 말레키스 커스 = = = 무스펠헤임 = = = 수르트 = = = 그 외 행성 = = = 바나헤임 알브헤임 니플헤임 = = = 아틀란티스(어류 -> 초인) = = = 네이머 아투마 네이모라 나모리타 = = = 크리(양서류 -> 초인) = = = 슈프림 인텔리젼스 † 마-벨 † 욘-로그 미네-르바 코라스 † 로난 † 제나스 = = = 스크럴(파충류 -> 초인) = = = 탈로스 노렉스 소렌 슈퍼 스크럴 도렉 7세 르킬 아넬 공주 페이복 크루세이더 베란케 자빈 크리티 놀 히즈케 지쿠 = = = 시아(조류 -> 초인) = = = 일렉트론 글래디에이터 릴란드라 디켄 가드 버드 에릭 = = = 루미널스 = = = 사이노슈어 매스드라이버 = = = 헬로드 = = = 다크 차일드 좀 사타나 플루토 디스페이어 벨라스코 위치파이어 사타니시 아스모데우스 블랙 하트 메피스타 다이몬 헬스톰 자라토스 내스티어 데모고블린 = = = 네거티브 존 = = = 어나일러스 블라스타 레이브노스 = = = 인휴먼 = = = 카렐리아인 바둔 다이어 센타우리인 레이스 = = = 인휴먼즈(아틀란파) = = = 블랙 볼트 메두사 트리톤 록조 막시무스 카르낙 코르곤 오란 테인 스카일러 = = = 이터널스(올림피아파) = = = 우라노스 † 에이잭 † 이카리스 † 세르시 킨고 스프라이트 파스토스 마카리 테나 길가메시 † 드루이그 = = = 이터널스(타이탄파) = = = 크로노스 알라스 / 멘토 주라스 니아 타노스 † 론 테인 수이 산 † 스타폭스 / 에로스 = = = X-뮤턴트 = = = 프로페서 자비에 사이클롭스 아이스맨 엔젤 비스트 마블걸 미믹 체인질링 폴라리스 하복 불칸 페트라 다윈 스웨이 나이트크롤러 울버린 밴시 스톰 선파이어 콜로서스 선더버드 스프라이트 록히드 로그 매그니토 사일록 대즐러 롱샷 포지 주빌리 선스팟 갬빗 비숍 리밴치 캐넌볼 조셉 다크 비스트 세실리야 래얘스 매로 매것 엑스맨 스크럴버린 케이블 세이지 미라지 에마 프로스트 저거너트 체임버 쏜 스테이시 X 라이프가드 슬립스트림 노스스타 허스크 X-23 스톰 센 데드풀 다크 피닉스 코리아맨 = = = 판타스틱 4 = = = 미스터 판타스틱 인비저블 우먼 휴먼 토치 닥터 둠 실버 서퍼 = = = 노바 코어 = = = 노바 가산 살 로만 데이 이라니 라엘 = = = 소버린 = = = 아이샤 마이다스 아담 워록 = = = 셀레스티얼 = = = 아리솀 네자르 하겐 제미아 티아무트 에손 노웨어 에고 엑시타르 칼루스 프로제니터 = = = 와쳐 = = = 주시자 우아투 = = = 브루드 = = = 브루 = = 우주 = = =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 = 피터 퀼 / 스타로드 가모라 † 가모라(2014년) 드랙스 로켓 그루트 맨티스 네뷸라 네뷸라(2014년) † 코스모 = = = 라바져스(본대파) = = = 스타카르 오고로드 알레트 오고로드 마티넥스 찰리 27 크루가르 메인프레임 = = = 라바져스(욘두파) = = = 욘두 우돈타 † 크래글린 테이저페이스 † 보커 † 털크 † 제크 † = = = 치타우리 = = = 아더 = = = 아웃라이더 = = = 아웃사이더 † = = = 블랙 오더 = = = 타노스(2014년) † 에보니 모 † 콜버스 그레이브 † 프록시마 미드나이트 † 컬 옵시디언 † = = = 사카르 = = = 그랜드마스터 토파즈 하주 워바운드 레드킹 올드스트롱 = = = 니다벨리르 = = = 에이트리 = = 모든 것의 창조주 = = 원 오보브 올 = 스탠 리 = = 디 엘디스트 갓 = = 네메시스 리닉스 데미어지 첫번째 창공 = = 오리진 갓 = = 리빙 트리뷰널 메피스토 루시퍼 이터니티 엔트로피 데스 인피니티 가르간토스 † 네크로 † 비샨티 니산티 스페니메트 † 슈마고라스 봄 갈리아스 갤럭투스 전령 갤럭타 로고스 인피니츠 = = 엘더 갓 = = 카오스 킹 널 러브 헤이트 스트레인저 가이아 오쉬트르 세트 크톤 고르 † 로드 카오스 마스터 오더 인비트위너 오블리비언 호고스 어머니 아툼 더 갓 이터 테네브러스 아브라삭스 이지스 프로티지 타이런스 = = 우주적 존재 = = 가드너 챔피언 어비스 메니폴트 슈퍼플로우 나이트마스크 화이트 이벤트 시데라 마리스 레볼루셔너리 데스 셀레스티얼 섀도우 몬스터 투스그라인더 투스나셔 베헤모스 폴리가르 에고-프라이드 사이-호크 인피너트 타이거 갓 인피니티 워치 멀티버스(두번째 창공) 갓 킬러 나이트메어 안티맨 세이퍼 오브 월드 = = 가디언즈 오브 멀티버스 = = 캡틴 카터 트차로드 에릭 킬몽거 가모라 파티 토르 블랙 위도우 닥터 스트레인지 슈프림 = = 우주적 아이템 = = 코스믹 큐브 = = = 인피니티 스톤 = = = 파워 소울 스페이스 리얼리티 마인드 타임 = = What if...? = = 캡카 유니버스 아르님 졸라 히드라 스톰퍼 로저스 좀비 유니버스 좀비 타노스 좀비 닥터 좀비 팔콘 좀비 완다 좀비 호크아이 좀비 아이언맨 좀비 캡아 로키왕 유니버스 킹 로키 닉 퓨리 나타샤 위도우 파토 유니버스 서리거인 로키 스닥 유니버스 스파이더 스트레인지 행크 재킷 유니버스 행크 옐로 헨리 재킷 디스트로이 유니버스 라타 유니버스 탈레니어 콜렉트 티반 라바져 타노스 31세기 유니버스 카글리오스트로 오-벵 인피니티 유니버스 인피니티 울트론 비전 = = 그 외 외계 = = 콜렉터 구스 하워드 더 덕 오르로니 카리나 아빌리스크 † 차베즈 어머니들 † 스파이크 마음이 없는 자 기보림 지녹스 그로테스크 몰맨 마스터 위버 빌더 피닉스 포스 헝거 스파이더 토템 = = 다크 디멘션 = = 도르마무 클레아 = = 그 외 = = 시니스터 스트레인지 실비 라우페이도티르 스파이더 우먼 그웬풀 스파이더맨 원더우먼 파워우먼 마일즈 모랄레즈 에디 브록 / 베놈 클리터스 캐서디 / 카니지 패트릭 멀리건 / 톡신 = = TVA = = 모비어스 M 모비어스 라보나 렌슬레이어 헌터 B-15 미스 미닛 로키(2012년) 타임 키퍼 † 계속 존재 하는 자 † 정복자 캉 = = = 라멘티스 = = = 클래식 로키 † 키드 로키 악어 로키 트로그 허풍쟁이 로키 대통령 로키 † 알리오스 = 분류:태국의 성소수자 = = 제7태창호 사건 = 제7태창호 사건은 중국인 49명, 재중교포 11명이 태창호에 숨어 2001년 10월 전라남도 여수로 밀입국을 시도하다가 질식사하자 선장과 선원들이 사망한 26명을 바다에 버려버린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제7태창호와 한국에 도착한 중국인 밀항자들이 검거되었다. = = 관련 작품 = = 해무 (영화) *해무 (연극) = 틀:몰도바 공산당의 지도자 =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07년 7월/한국어 = }} 2007-07 한국어 2007-07 = 콘텐츠 마케팅 = 콘텐츠 마케팅(영어: contents marketing)은 광고 및 마케팅 전략의 한 형태로, 유용하고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여 타겟 대상을 유치하고 고객을 유지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광고보다는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잠재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신뢰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소셜 미디어나 광고주 웹 사이트 등에 음악, 동영상 등을 업로드를 한다. 이는 기자가 뉴스를 작성하는 기법으로 콘텐츠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리는 "브랜드 저널리즘(영어: Brand Journalism)"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고와 뉴스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언론과 광고주의 경계도 희미해지는 현상인 것이다. 콘텐츠 마케팅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런 다음 뉴스, 비디오, 백서 , 전자책 , 인포 그래픽 , 이메일 뉴스레터, 사례 연구, 팟캐스트 , 방법 안내, 질문 및 답변 기사, 사진, 블로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at is Content Marketing?: Content Marketing". Forbes. Retrieved 19 September 2014. 콘텐츠는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교육, 도움 정보 등의 다양한 주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마케팅은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 내에서 대량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Lieb, Rebecca (2011-10-14). Content Marketing: Think Like a Publisher - How to Use Content to Market Online and in Social Media. Que Publishing. ISBN 9780789748379. = = 필요성 = = 유료 서비스의 등장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영향력이 확대되며, 전략 중에서도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마케팅 영역의 전략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전략이 중요하고, 특히 그 전략을 콘텐츠 마케팅 영역에서 찾는 이유는 마케팅이 개인이나 조직의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아이디어, 상품, 그리고 서비스의 개념, 가격, 판촉 및 유통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마케팅은 시장과 시장의 움직임, 즉 고객의 필요(영어: Needs)와 욕구(영어: Wants)를 찾아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시장을 움직이는 과정이다. 어느 기업도 전체 시장의 모든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된 시장을 파악하며, 고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고객이 살아가는 주변을 이해하여야 한다. 마케팅의 아버지로 불리는 포터는 성장과 경쟁의 압박속에 지속 가능한 이익의 창출이 어려워질수록 산업의 구조와 행위에 기반을 둔 탁월하고 가치 있는 전략의 확립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사업자들은 마케팅 활동을 통해 고객과 직접 대면하고, 고객과의 관계 속에서 미래 성장의 가능성을 발견해야만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차별화한 콘텐츠 사업자로서 수익성 있는 성장을 지속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지닌 전략적 목표다. 그리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사업자들은 사업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소비자에게 전달하며, 이해시키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 = = 기능 = = 콘텐츠 마케팅은 명확히 정의된 목표 고객을 대상으로 이들이 매력을 느끼고 구매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콘텐츠를 창조하고 배포하는 마케팅 기법이며, 동시에 고객들의 선택이 기업에 이익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1990년대에는 마케팅 담당자에게 모든 것이 바뀌었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웹사이트와 블로그가 번창했고 기업은 이메일을 통해 콘텐츠 마케팅 기회를 찾았다. 전자 상거래 적응 및 디지털 유통은 마케팅 전략의 기초가 되었다. 인터넷은 또한 콘텐츠 마케팅이 마케팅의 주류 형태가 되도록 도왔다. 신문, 잡지, 라디오 및 TV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는 시장에서 힘을 잃기 시작했다.Lee White, Rebecca. "The History of Content Marketing: An Essential Guide". TrackMav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20. Retrieved 27 April 2017. 기업들은 제품을 디지털 방식으로 홍보하고 판매하기 시작했다.콘텐츠 마케팅이란 단어는 일찍이 1996넌 미국 신문편집자협회의 회의에서 오페달(영어: John F. Oppedahl)이 언급하며 상용화하기 시작했고, 1998년 네스케이프에서 온라인 & 콘텐츠마케팅 부서를 만들며 본격적으로 국내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업계에서 수행되는 수많은 콘텐츠 마케팅 전략 중 저자가 가장 흥미롭게 분석한 콘텐츠 마케팅 전략은 타깃 고객을 설정하여,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장르를 분석하고 융합해 시장의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미디어 상품을 창조하는 전략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가 탄생한 2000년대 후반까지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은 전 세계적으로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고 공유 가능하며 주문형이었다. 2014년까지 Forbes Magazine의 웹사이트는 기업이 콘텐츠 마케팅을 사용하는 가장 인기 있는 7가지 방법에 대해 작성했다.  칼럼니스트는 2013년까지 전체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콘텐츠 마케팅 사용이 기업 전체에서 1년 전 60%에서 93%  로 급증했다고 지적한다. 조직의 70%가 더 많은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마케터의 21%만이 투자 수익을 성공적으로 추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미디어는 인간의 문화를 반영하고, TV는 영상과 음향을 통해 이를 보존하는 주체로서, 기록된 영상을 통해 다른 시간과 지역에 살고 있는 이들과 교류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특히 TV는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의 문화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수하고, 집단적인 기억을 창출해 낸다. 텔레비전 전송 기술과 문화의 결합을 통해 시작된 프로그램은, “고정된 형태로서, 집단적 기억에 자리한 시각적 기록의 형태”가 되는 것이다. 시청자들이 열광했던 기억과 현재의 소비자 트렌드를 결합하여 새로운 상품을 창조하는 전략 중 콘텐츠 기업이 많이 사용하는 전략이 리메이크 전략이다.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을 처음 접할 때, 시청자들은 사회적 친근감(영어: social familiarity)을 위한 학습 환경(영어: learning environment)을 창조하기 위한 동기가 강하다. 그러나 해당 프로그램을 다시 볼 때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과 향수의 감정이 주요한 시청 동기로 작용한다. = = 목표 = = 콘텐츠 마케팅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관심 유치: 유용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통해 잠재 고객들의 주목을 끌고 관심을 유발한다. 고객 유치: 콘텐츠를 활용하여 고객들의 신뢰를 얻고, 브랜드와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그들의 관심을 제품이나 서비스로 전환한다. 브랜드 인지도 향상: 유용하고 공유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기업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강조한다. 고객 충성도 증진: 지속적으로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충성도를 증진시키고 장기적인 고객 관계를 형성한다. = 분류:감비아-스웨덴 관계 = = 오이시 요시타카 = 오이시 요시타카(おおいし よしたか) 오이시 요시타카 (1618년)(大石良欽) 오이시 요시타카(大石良雄)는 오이시 요시오의 다른 발음이다. = 분류: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 = 니콜라이 1세 = 니콜라이 1세(, 1796년 7월 6일 ~ 1855년 3월 2일)는 러시아 제국의 황제 겸 폴란드 국왕(재위 1825년 ~ 1855년)이다. 로마노프 왕조의 11번째 군주이다. = = 생애 = = 니콜라이 1세는 1796년에 파벨 1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인 알렉산드르 1세보다 19살 아래였다. 니콜라이 1세는 체격이 건장하고 외모가 수려하여 귀족적인 위엄을 뿜어내어 항상 다른 사람을 압도했다고 전해진다. 이를 뒷받침하듯 ‘유럽에서 가장 잘생긴 남자’, ‘권위에 찬 엄숙한 사람’ 등과 같은 수식어가 붙어 다녔다. 이와 같은 그의 인상처럼 그는 병사들의 복장이나 군대의 훈련 등에 비상한 관심을 가졌다. 그래서 그는 제위에 오른 후 먼저 군인들의 제복을 정비할 것을 명령했으며 심지어 단추의 수까지 지정해 주는 세심함을 보였다. 그가 즉위할 당시 러시아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과 내란 등으로 사회가 불안했다. 게다가 즉위식 때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일어나 이로 인해 군주제가 무너지지 않을까 하며 항상 노심초사했다. 이러한 본능적인 공포는 그를 공격적인 성향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후 혁명 운동 탄압에 수완을 발휘하여 '유럽의 헌병'으로 불렸다. 예민하고 의심이 많던 그는 국가의 모든 기능을 자신의 손아귀에 장악하여 국가를 거대한 병영으로 만들어갔다. 니콜라이 1세는 정부의 모든 일을 자기 손으로 직접 처리하려 했다. 국가평의회나 원로원 등의 도움 없이 황제 직속으로 사설 집행부를 만들어 일을 처리했다. 곧 황제원에 권력이 집중됐다. 황제와 관련된 문제들을 처리하는 황제원의 단면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제3부는 황제의 절대적인 신임 아래 곧 거대한 비밀경찰기구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제3부의 제1과는 반(反)정부 조직을 감시했고, 제2과는 종교적 이단행위를 감시하고 위조화폐를 단속했다. 제3과는 체류 외국인을 감시하고 해외정보를 수집했으며, 제4과는 농촌과 농민의 동향을 감시했다. 제5과는 문서검열을 담당했다. 니콜라이 1세는 제3부에서 작성해 올린 보고서를 상세히 훑어보고 사소한 문제까지 직접 지시했다. 그와 더불어 반(反)정부 사사의 유포를 막기 위해 검열제도를 강화했다. 당시 갓 피어나던 러시아 문학도 제3부와 정부에 의해 감시를 받아, 개작을 강요받거나 작가가 유형 또는 구금을 당하는 예가 비일비재했다. 교육 역시 반동의 깃발 아래 획일적인 통제하에 놓였다. 1828년에 제정된 규칙에 따라, 중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귀족과 관리의 자녀들로 제한됐다. 그와 더불어 법률학교와 여러 기술전문학교를 세우는 등 중등교육기관은 꽤 늘었으나, 초등학교는 세우지 않았다. 따라서 농민의 자녀들은 부모와 마찬가지로 문맹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다. 대학교육의 강조점도 관료체제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대외정책 면에서도 신성동맹의 정통 이념에 충실했던 니콜라이 1세의 첫째 목표는 유럽의 기존 질서 유지를 책임지는 ‘유럽의 헌병’으로서 유럽의 혁명운동을 진압하고 그 여파가 러시아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1830년 프랑스에서 7월 혁명이 일어나고 그 영향으로 그의 지배 아래에 있던 폴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니콜라이 1세는 1831년 데이비치 장군이 이끄는 15만 대군을 바르샤바에 보내 무참하게 진압했다. 그러고는 폴란드에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던 자유와 자치권을 빼앗고 완전히 러시아의 일부로 편입시켜 버렸다. 1832년 5월, 영국, 프랑스 그리고 러시아라는 세 열강국 간의 회의가 영국 런던에서 열렸다. 이 런던 회의는 그리스에 안정적인 정부를 성립하기 위해 모인 국제 회의였다. 이 협상으로 바이에른 왕자 오톤을 임금으로 세워 그리스 왕국이 성립하였다. 1833년에는 프로이센 왕국과 오스트리아 제국 등과 동맹을 맺고 유럽을 수호할 것을 다짐했다. 1848년 프랑스에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니콜라이 1세는 프랑스와 즉각 외교를 단절하고 40만 대군을 서부 국경으로 집결시켰으나, 유럽 각국의 냉담한 반응에 군대를 돌려버렸다. 그러나 1849년에 헝가리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오스트리아가 지원을 요청해왔고, 니콜라이 1세는 기꺼이 군대를 보내 혁명을 진압하고 합스부르크 가를 위험에서 구출해주었다. 유럽의 혁명을 목도한 니콜라이 1세는 국내에서 억압의 강도를 더욱 높였다. 경찰통치는 점점 더 독단적으로 변해갔고, 개혁의 방도를 찾으려는 시도는 물론 이견의 표시마저도 금지되었다. 대학교에서도 입학자격과 교과과정이 더욱 개악됐다. 매우 경미한 정치범에게도 시베리아 유형이 떨어졌다. 체제의 충실한 옹호자였던 우바로프 문교부 장관마저도 자유주의적 사고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해임됐다. 이러한 그의 과도한 강경책은 곧 군부에 대한 의존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프로이센 왕국의 공주와 결혼하면서 프로이센의 군국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치세 말기에는 정치가 거의 대부분 장군들로 구성된 특사에 의존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행정적 공백으로 인한 부패와 혼란이 가중되었다. 1853년 10월, 오스만 제국이 다뉴브강 유역에 주둔 중이던 러시아 군대를 공격함으로써 크림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에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어 다음 해에 영국과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과 손을 잡았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외교적 압력을 가해 왔다. 주변국의 입장에서는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운동을 사사건건 방해하는 러시아가 부담스러웠다. 때문에 러시아는 졸지에 유럽과 맞서 싸우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오스만 제국의 동맹국들은 바다를 장악하고 러시아 해안에서 소규모 공격을 감행하였다. 그리고 결정적인 일격을 가하기 위해 1854년 9월 크림반도에 상륙했다. 동맹국들은 7만 명의 전사자를 내는 큰 희생을 치르면서 크림반도의 세바스토폴 해군기지를 점령하였다. 그 결과 러시아는 패배하였고 군사적·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니콜라이 1세는 1855년 3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 = 자녀 = = 니콜라이 1세는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개명한 이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와 결혼하여 4남 4녀(딸 2명 요절)를 얻었다. 사진 이름 생일 사망 기타 120px 알렉산드르 2세 (62세, 암살) 1818년 4월 17일 1881년 3월 13일 러시아의 군주 120px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56세) 1819년 8월 18일 1876년 2월 21일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막시밀리앙의 아내.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70세) 1822년 9월 11일 1892년 10월 30일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9세) 1825년 6월 24일 1844년 8월 10일 출산 후 급사. 엘리자베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826년 6월 7일 1829년 3살의 나이로 사망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64세) 1827년 9월 9일 1892년 1월 13일 120px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 (59세) 1831년 7월 27일 1891년 4월 13일 아버지와 아들의 이름이 같은 경우 (러시아 황족에서 가끔 일어나는 일이라고 함)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 (77세) 1832년 10월 13일 1909년 12월 18일 = 자연 연역 = 논리학 및 증명이론에서 자연 연역(自然演繹, natural deduction)이란 자연스러운 논리적 추론을 나타내는 증명 연산의 일종으로, 최대한 공리를 배제하고 오직 구문적인 추론 규칙만을 사용한 증명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추론규칙의 논리적 법칙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공리들을 이용하는 힐베르트 체계와는 대조된다. = = 역사 = = 자연 연역은 20세기 초 논리학자들이 명제 논리의 공리화에 문제점을 느낀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러한 공리화된 명제논리의 가장 유명한 예로는 러셀과 화이트헤드가 고안한 수학 원리가 있었다. 폴란드 학파의 얀 우카시에비치(Jan Łukasiewicz)는 논리를 더 자연스러운 방법을 통해 다룰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이에 자극받은 스타니스와프 야시코프스키(Stanisław Jaśkowski)가 1929년 다이어그램 기법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연구를 진행하여 자연연역 체계를 논문에 제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독일의 게르하르트 겐첸은 독립적으로 1935년 자연 연역 체계를 개발하여 학위논문에 발표하였고 이것이 현대 자연 연역의 기반이 된다. 겐첸은 페아노 공리계의 일관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바로 자연연역을 이용했으나, 그 복잡성에 불만을 느껴 1938년에는 시퀀트 계산으로 불리는 새로운 증명구조를 고안한다. 1960년대의 Dag Prawitz는 일련의 강의를 진행하며 자연연역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기 시작하였고, 그의 1965년 논문 Natural deduction: a proof-theoretical study에서 제시된 형태는 현재 자연연역의 최종판으로서 양상 논리나 2차 술어 논리에 대한 응용도 제시되어 있다. = = 자연 연역 논리 = = 자연 연역의 체계는 보통 공리를 가지지 않고 주어진 식에 정해진 변화를 가하는 추론규칙만을 사용한다. 잘 알려진 체계 System L에서는 증명의 구문규칙에 관한 다음의 9가지 추론규칙이 존재한다. 가정 규칙 "The Rule of Assumption" (A) 전건 긍정 "Modus Ponendo Ponens" (MPP) 이중 부정 규칙 "The Rule of Double Negation" 조건 증명 규칙 "The Rule of Conditional Proof" (CP) ∧-도입 규칙 "The Rule of ∧-introduction" (∧I) ∧-제거 규칙 "The Rule of ∧-elimination" (∧E) ∨-도입 규칙 "The Rule of ∨-introduction" (∨I) ∨-제거 규칙 "The Rule of ∨-elimination" (∨E) 귀류법 "Reductio Ad Absurdum" (RAA) System L에서 증명은 다음의 조건으로 정의된다: 정형논리식(wff)의 유한열로 이루어진다. 각 행은 L의 규칙에 의하여 정당화(형성)된다. 증명의 마지막 행이 '결론'이 되며, 이는 증명의 '전제'(들)만을 사용하여 도출된 것이어야 한다. 전제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제가 없는 증명열을 정리(theorem)라 말한다. 곧 L에서 정리란 "L 속에서 공집합인 전제를 사용하여 증명가능한 열"로 정의될 수 있다. 흔히 각 행 옆에는 해당 행의 식의 성립의 근거가 되는 규칙과 행이 함께 표시된다. 다음은 System L (tabular)에서 증명의 예 (후건 부정): p → q, ¬q ⊢ ¬p [Modus Tollendo Tollens (MTT)] p → q, ¬q ⊢ ¬p [Modus Tollendo Tollens (MTT)] p → q, ¬q ⊢ ¬p [Modus Tollendo Tollens (MTT)] p → q, ¬q ⊢ ¬p [Modus Tollendo Tollens (MTT)] 가정 번호 행 번호 논리식 (wff) 근거가 되는 규칙 및 행 1 (1) (p → q) A 2 (2) ¬q A 3 (3) p A (for RAA) 1,3 (4) q 1,3,MPP 1,2,3 (5) q ∧ ¬q 2,4,∧I 1,2 (6) ¬p 3,5,RAA Q.E.D Q.E.D Q.E.D Q.E.D 증명의 예 (배중률) ⊢p ∨ ¬p ⊢p ∨ ¬p ⊢p ∨ ¬p ⊢p ∨ ¬p 가정 번호 행 번호 논리식 (wff) 근거가 되는 규칙 및 행 1 (1) ¬(p ∨ ¬p) A (for RAA) 2 (2) ¬p A (for RAA) 2 (3) (p ∨ ¬p) 2, ∨I 1, 2 (4) (p ∨ ¬p) ∧ ¬(p ∨ ¬p) 1, 2, ∧I 1 (5) ¬¬p 2, 4, RAA 1 (6) p 5, DN 1 (7) (p ∨ ¬p) 6, ∨I 1 (8) (p ∨ ¬p) ∧ ¬(p ∨ ¬p) 1, 7, ∧I (9) ¬¬(p ∨ ¬p) 1, 8, RAA (10) (p ∨ ¬p) 9, DN Q.E.D Q.E.D Q.E.D Q.E.D System L의 각 규칙들은 제각각 input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식의 타입을 규정해놓고 있으며 그 input에 쓰이는 가정을 다루는 법 역시 제각각 다르다. 위의 tabular 표기법과 유사한 Fitch diagram 표기법이 있는데, 근본적으로 표기방식 이외에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표기법과 별개로 공리적 명제논리가 어떤 공리 또는 추론규칙을 채택하는가는 제각각 달라진다. = = 형식적 정의 = = 명제의 유한열 \beta_1, ... , \beta_n 이 전제식의 집합 \Sigma로부터 결론식 \alpha로의 연역(deduction)이라 함은, 다음이 모두 성립함을 가리킨다: 공리적 명제논리의 종류에 따라 채택되는 공리나 추론규칙이 다르다. 예를 들어 프레게는 연역체계를 구성할 때 6개의 공리와 2개의 규칙을 정해놓았고, 프린키피아 마테마티카는 5개의 공리로부터 구성되는 체계를 보이기도 했다. 얀 우카시에비치의 명제 논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리계 A를 사용했다: 그리고 추론규칙계 R에는 전건긍정(MP)을 포함했다. 추론규칙에 의해 Σ에 포함되는 논리식과 공리들로부터 새로운 논리식을 도출해낼 수 있다. = = 판단과 명제 = = 자연 연역의 일련의 과정은 이미 올바른 명제들에 추론규칙(inference rule)을 적용하여 또다른 올바른 명제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즉 연역의 일련의 과정은 결론이 되는 명제에 대한 증명을 구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논리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인 "A는 참이다"라는 형태를 보면, 문자 A는 명제를 나타내는 어떠한 표현으로도 치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위 판단은 더 기본적인 판단, "A는 명제이다"라는 판단을 필요로 한다. 가장 기본적인 두 판단 "A는 명제이다"와 "A는 참이다"는 자연연역에서 각각 "A prop" 와 "A true"라는 약자로 표기된다. 형성 규칙(formation rule)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J_i는 명제이고 추론 규칙의 이름이 "name" 칸에 들어간다. 직선 위의 명제를 전제(premise)라 하고, 직선 아래의 명제를 결론(conclusion)이라 한다. 두 명제 A와 B가 있다 하고 이로부터 복합 명제인 논리곱 A \wedge B를 구성해낸다 하자. 이 도식(꼴)을 추론규칙의 형식에 따라 이렇게 쓸 수 있다: 형성 규칙에 따라 명제를 형성하는 것은 그저 그것이 구성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이지 그것이 참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언(\wedge), 선언(\vee), 부정(\neg), 함의(\implies), 항진(\top), 모순(\bot)을 도입하는 다양한 formation 과정을 생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항상 새로운 명제를 구성할 수 있다. = = 도입과 소거 = = 참인 명제로부터 참인 명제를 이끌어내는 생성규칙을 추론규칙(inference rules)이라 부른다. 이 경우 각 명제가 true임이 드러나야 한다. 다만 흔히 추론규칙에 의한 연역임이 자명할 때 생략될 수 있다. 참인 명제에서 더 복합적인 참인 명제를 구성하는 추론규칙을 도입 규칙(introduction rules)이라 한다. 예컨대 논리곱을 도입한다는 것은 명제 "A true"와 "B true"에서 "A and B true"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는 것이며, 이를 추론규칙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각 대상이 명제라는 것은 자명하다고 보아졌으며, 원래대로 정확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아래는 여러 도입 규칙들이다: 논리곱을 도입하는 연언 도입: 논리합을 도입하는 선언 도입. 명제의 진리치가 세워지는 과정이 1가지가 아니므로 선언 도입은 사실 2가지 규칙의 총칭이다: 항진 도입. 항진(참)은 전제가 전혀 없는 경우에도 도출된다: 한편, 아무 전제도 없이 모순(거짓)을 도입하는 도입규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단순한 판단으로부터 거짓을 추론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입규칙의 반대 꼴이 되는 소거 규칙(elimination rules)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는 거꾸로 복합적인 명제를 해체해내는 추론규칙이다. 예를 들어 논리곱을 제거하는 연언 소거가 있다: 추론규칙들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논리곱의 교환법칙을 증명할 수 있다. {B \wedge A}\ \wedge_I = = 가설적 도출 = = 논리학에는 가정에 의한 추론(inferece by assumptions)이 있다.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가설적 도출의 기법이 사용된다. A가 참임을 가정하여 B가 참임을 도출하였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 \\ B \\ 이에 관한 추론규칙으로는 함의 도입이 있다. A true를 가정했을 때 B true가 도출되면 (A ⊃ B) ture를 인정한다. [A] \\ B \\ (A\supset B) 이와 연관된 규칙으로써 후건 부정, 즉 not B인 상황에서 A를 가정했을 때 B가 도출된다면 not A를 추론하는 것 등이 있다. = = 일관성, 완전성, 정규형 = = 수리논리에서는 형식적 이론에서 모순이 추론될 수 없으면 그 이론은 일관적 또는 무모순적(consistent)이라 하고, 참인 문장을 추론 규칙에 의해 도출할 수 있으면 완전(complete)하다고 한다. 흔히 이들은 모델론적 방식으로 이해되지만 증명론에서 제한적 의미의(local) 무모순성과 완전성은 순수하게 구문론적인 방식만으로 확인될 수 있다. local consistency는 도입규칙이 이어지다가 바로 뒤에 소거규칙이 사용된 도출은 반드시 이러한 '우회'가 없는(즉, 이 소거규칙이 없는) 도출로도 대체될 수 있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A와 B에서 연언 도입으로 A∧B를 도출하고 다시 연언 소거로 A를 도출했다고 하자. 이는 A에서 A를 도출하는 것으로 축약될 수 있다. 이 성질은 소거규칙의 '강도'를 확인해주는 것이다. 그말인즉슨 소거규칙이 '너무 강하면' 이미 언급되지 않은 정보를 도출하게 되어버려 local consistency가 성립할 수 없다. 한편 local completeness는 그 쌍대(dual)가 되는 개념으로 소거규칙이 '충분히 강해서' 본래의 식을 다시 도입할 수 있는 정도가 됨을 확인해준다. 예를 들어 A∧B를 도출하는 과정은, A∧B에 연언 소거를 적용하여 A와 B를 각각 도출하고 이 둘로부터 연언 도입으로 다시 A∧B를 도출하는 더 복잡한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커리-하워드 대응(Curry-Howard correspondence)에 의하면 local consistency와 local completeness는 각각 람다 계산의 베타 축약(β-reduction)과 에타 변환(η-conversion)과 일치하는 개념이다. completeness에 나온 것처럼 소거와 도입을 차례로 적용하는 과정으로만 이루어진 도출을 표준형(normal form)이라 하며, 모든 도출은 대응하는 표준형을 가짐이 여러 방법으로 증명되어 있다. 이는 추상 재작성 시스템 연구와 연관된다. = 분류:1866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분류:힌두 여신 = = 분류:불교와 사회 = = KBS 2TV 스파트뉴스 = KBS 2TV 스파트뉴스는 대한민국 KBS 2TV에서 매주 월요일 ~ 금요일 밤에 방송되었던 KBS 2TV의 심야 단신 뉴스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81년 4월 6일 ~ 1981년 9월 4일 평일 저녁 8시 25분 ~ 8시 35분 (10분) KBS 2TV 1982년 1월 25일 ~ 1985년 7월 5일 평일 저녁 8시 ~ 8시 10분 (10분) KBS 2TV 1985년 7월 8일 ~ 1985년 11월 1일 월요일, 수요일, 목요일 저녁 7시 35분 ~ 7시 40분 (5분)화요일 저녁 7시 10분 ~ 7시 15분 (5분)금요일 저녁 7시 30분 ~ 7시 35분 (5분) KBS 2TV 1985년 11월 4일 ~ 1986년 10월 31일 평일 저녁 7시 30분 ~ 7시 35분 (5분) KBS 2TV 1986년 11월 3일 ~ 1990년 10월 25일 평일 저녁 7시 55분 ~ 8시 (5분) KBS 2TV 1990년 10월 28일 ~ 1992년 4월 3일 평일 저녁 8시 ~ 8시 5분 (5분) KBS 2TV 1992년 4월 6일 ~ 1993년 4월 30일 평일 저녁 8시 55분 ~ 9시 (5분) KBS 2TV 1993년 5월 3일 ~ 1993년 10월 15일 평일 저녁 7시 55분 ~ 8시 (5분) KBS 2TV 1993년 10월 18일 ~ 1994년 2월 18일 평일 저녁 8시 ~ 8시 5분 (5분) KBS 2TV 1994년 2월 21일 ~ 1994년 10월 7일 평일 밤 9시 50분 ~ 9시 55분 (5분) = = 타이틀 변천사 = =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KBS 스파트뉴스 1981년 4월 6일 ~ 1981년 9월 4일 2기 KBS 2TV 뉴스 1982년 1월 25일 ~ 1994년 2월 18일 3기 KBS 2TV 스파트뉴스 1994년 2월 21일 ~ 1994년 10월 7일 = 일어나라, 우크라이나여! = "일어나라, 우크라이나여!"는 우크라이나 야권이 연대하여 추진한 전국적인 시위이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에 대항하여 일어나고 있는 시위는 2013년 3월 14일부터 지속되었다.Opposition to start two-month campaign 'Rise, Ukraine!' on March 14, Kyiv Post, 2013-03-12Klitschko, Tiahnybok, Yatseniuk hold Rise, Ukraine! rally in Lutsk, Interfax-Ukraine, 2013-04-09 사실 이 시위는 2013년 5월 18일 키예프에서 끝나도록 2개월 단위로 시작됐지만 원래의 날짜가 8월 24일로 연장됐고Фінальні підсумки проміжного "повстання" Final results of the interim "rebellion", Ukrayinska Pravda, 2013-05-21Rise Up, Ukraine! rally to be held on Independence Day, says Yatseniuk, Interfax-Ukraine, 2013-06-14 이후에는 시위 종료 날짜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Rise Up, Ukraine! Rally in Mykolaiv passes without incidents, say police , Interfax-Ukraine 2013-06-14 = = 키예프 시위 = = 5월 18일 기획된 첫 시위는 야당과 시민단체들이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기 위해 시작됐고 이후 수도 키예프에서의 시위는 기간을 우크라이나 독립일인 8월 24일까지 연장하게 됐다. 이후 언론인과 야당 인사 등이 참여하면서 대규모 시위로 발전됐고 이들은 모든 책임을 야당에게 돌리는 여당 측이 무장 군병력, 스포츠 선수 등을 동원하여 혼란을 악화시키고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시위에 참가한 시민의 수는 2만~3만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 분류:티베리아스 = = 틀:아시안 게임 수영 남자 400m 금메달리스트 = = 함박꽃 = 함박꽃은 다음을 의미한다. 작약: 미나리아재비과의 식물 철쭉꽃의 강원, 함남 지역의 방언 = 윌리암 갈라스 = 윌리암 에리크 갈라스(, ; 1977년 8월 17일~)는 전(前) 과들루프계 프랑스인 축구 선수로 주 포지션은 센터백이었고 좌우 풀백도 소화할 수 있었다. 1977년 아니에르쉬르센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2001년 첼시에 입단하며 프리미어리그 경력을 시작했다. 2006년 교환이적을 통해 아스널로 이적했고, 2010년 아스널의 라이벌 토트넘 홋스퍼에 입단했다. 2013년 프리미어리그를 떠나 A리그의 퍼스 글로리로 이적했고 2014년 선수 생활에서 은퇴했다. = = 클럽 경력 = = = = = 초기 경력 = = = 윌리암 갈라스는 클레르퐁텐에 있는 프랑스 축구 아카데미를 졸업하였다. 캉의 2부리그 팀에서 처음으로 프로 선수로서 뛰기 시작하였는데, 1996년에는 팀이 우승하는 데 공헌하였다. 곧이어 1997년, 그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이적하였으며, 그곳에서 로베르 피레스 등과 함께 네 시즌을 뛰었다. 마르세유에서 뛰면서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기도 하였고, 2000년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첼시 FC와 경기를 갖기도 하였다. = = = 첼시 FC = = = 첼시의 감독이었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는, 2001년, 약 620만 파운드£를 지불하고는, 갈라스를 데려왔다. 윌리암 갈라스는 등번호 13을 선택하였는데, 마르세유에 살던 집의 우편번호에 13이라는 숫자가 들어갔기 때문이었다.Marseille is in the Bouches du Rhône département of France where all addresses begin with a 13 라니에리 감독 밑에서, 갈라스는 센터-백으로 뛰면서, 마르셀 드사이 등의 수비수와 호흡을 맞추었고, 나중에는 존 테리와 같이 뛰었다. 존 테리와 짝을 이루었을 때는, 16 경기 연속으로 단 한 점도 안 내준 적도 있었다. 그는 첼시에서 때때로 라이트-백으로 활약하였다. 윌리암 갈라스가 첼시에 있는 동안 첼시는 국제 리그에서 우승하기도 하였다. 윌리암 갈라스는, 라니에리 감독을 뒤를 이어 첼시의 감독이 된 조제 모리뉴 감독 하에서 뛰면서, 첼시의 2년 연속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리그 컵 우승을 이끌어 냈다. 2004-05 시즌, 레프트-백 포지션이었던 웨인 브리지가 심한 부상을 당하자, 갈라스는 원래의 포지션에서 벗어난 포지션에서 뛰어야 하였다. 첼시가 아틀레틱 빌바오로부터 800만 파운드를 주고 아시에르 델 오르노를 데려오기는 하였지만, 갈라스는 종종 왼쪽 풀백으로 뛰어야만 하였다. 갈라스는 토트넘 홋스퍼 FC, 리버풀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등과의 중요한 경기에서 득점을 올리기도 하였다. 토트넘과의 경기에서 그가 인저리타임 경과 3분 (93분)에 넣은 25-야드짜리 결승골은 "첼시 TV"가 선정한 "갈라스 선수의 최고의 순간"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갈라스와 첼시와의 계약은 2007년 5월 종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갈라스는, 금액에 만족하지 못하여, 첼시와의 새 연장계약을 거부하였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뛰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다. 유벤투스 FC와 AC 밀란 등에 관심있다고 밝혔다. 첼시는 갈라스를 중요한 선수라고 보았기 때문에, 2006년 5월까지 그의 이적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2006년 월드컵이 끝난 후, 갈라스는 첼시의 프리-시즌 미국 투어에 합류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월드컵 토너먼트 후 피로하다는 이유에서였다. 미국 투어에 합류하지 않은 벌로, 팀은 팀에 새로 합류한 미하엘 발라크에게 13번 등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사건은 첼시에서의 그의 장래에 대해 우려를 불러 일으켰다.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열린 클럽 멤버쉽 데이에서, 그에 대한 반응은 여러 가지로 갈렸다. 일부 팬들은 그에게 격려를 보냈고, 일부 팬들은 야유를 보냈다. 유럽 각지의 클럽들과 접촉이 있었다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갈라스가 잉글랜드 밖의 클럽으로 이적하는 일은 쉬이 성사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탈리아 축구 스캔들 사건이 터졌던 시기였기 때문에, 유벤투스나 밀란으로부터 관심을 끌 수 없었다. 유일하게 그에게 관심을 보인 클럽은 잉글랜드의 아스널 FC였다. 첼시는 네덜란드 출신의 수비수 할리드 불라루즈와 계약을 하였고, 암묵적으로 갈라스 이적을 용인하였다. 2006년 9월 1일, 갈라스는 아스널로 이적하였다. 애슐리 콜이 첼시로 이적하는 거래에 낀 것이었다. 아스널은 합계 500만 파운드£를 받았다. 애슐리 콜-윌리암 갈라스 맞교환이 첼시의 경영진인 피터 케니언(Pter Kenyon)에 의해 강제되었다는 것과 라이벌 팀인 아스널 FC로의 이적이 성사되었다는 것에 대해, 주제 뮤리누 감독이 크게 화를 냈다고 언론이 보도하였다. 이적 후, 첼시는, 갈라스가 이적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경기에서 의도적으로 실수를 하여 자책골을 넣을 것이라고 협박하였다는 사실을 폭로하였다. 갈라스는 첼시의 주장을 부인하였다. 예전에 갈라스를 마르세유로부터 첼시로 데려왔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은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나는 그러한 이야기를 믿을 수 없습니다. 신빙성이 없습니다. 저는 윌리암 갈라스와 계약을 했고, 윌리암 갈라스는 축구장에서만큼은 프로페셔널하게 일했습니다. 다만, 지난 2년간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PFA 최고 경영자 고든 테일러는 이 에피소드가 "나쁜 인상을 남겼을 뿐"이며, 첼시측의 발언은 "많이 에누리"해서 들었어야 하였다고 말하였다. = = = 아스널 FC = = = 윌리암 갈라스는 아스널 FC와 4년짜리 계약을 맺었다. 최근 은퇴한 데니스 베르흐캄프의 등번호 10번을 물려받았다. 2006년 아스널 공식 잡지에서의 인터뷰에서, 아스널의 감독 아르센 벵거는 보통 포워드가 달던 10번 등번호를 그에게 준 특별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3번 등번호는 그에게 편하지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른 남아있는 등번호들을 제시했습니다. 등번호 10번을 수비수에게 부여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번호를 스트라이커에게 물려줬으면 데니스 베르흐캄프와 비교되어 주눅들었을 것이기 때문이죠. 처음에는 데니스 베르흐캄프의 번호를 누군가에게 물려주는 것에 대해 주저했었습니다만 - 특히 수비수에게 말이죠 - 종합적으로 보아서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갈라스는 2006년 9월 9일 미들즈브러 FC와의 1-1로 비긴 홈 경기에서 레프트-백으로서 출장해, 첫 아스널 선수로 데뷔전을 치른다. 2006년 9월 23일에는 첫 골을 기록하였다. 2006년 11월 12일 리버풀 FC과 치른 경기에서도 한 골을 기록하였으며, 이 경기에서 아스널은 리버풀을 3-0으로 이겼다. 2007년 8월 9일 윌리암 갈라스는 부주장 콜로 투레, 지우베르투 시우바와 같이 짝을 이루어 팀 주장에 임명되었다. 아스널 주장으로서의 첫 경기는 2007년 8월 12일 풀럼 FC와의 경기였다. 아스널은 이 경기에서 2-1로 이겼다. 그러나 2008년 11월 21일 갈라스는 팀 분위기에 대해 공식적으로 불만을 토로하였다고 갈라스는 주장직에 박탈하게 되었다. 그는 "선수들이 주장인 나에게 와서 한 선수에 대한 불만을 이야기해 경기 도중에 그 선수에게 이야기 했더니, 그는 우리에게욕을 했다. 이러한 일이 어떻게 벌어질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그 선수가 누구인지는 직접 밝히지 않겠지만, 이러한 일을 밝히지 않으면 비판은 나에게만 집중된다”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였다. 사실을 밝힌 뒤, 동료들에게 욕을 한 선수가 자신보다 6살이 어리다고 밝히기까지 하였다. 아스널에서 갈라스보다 6살이 어린선수는 바카리 사냐, 임마누엘 에보우에, 로빈 반 페르시다. 잉글랜드 언론은 문제의 선수가 다혈질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 페르시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르센 벵거 아스널 감독은 무엇보다 갈라스가 팀의 내부 문제를 공개적으로 폭로한 것에 격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스카이 스포츠'는 화가난 벵거 감독이 갈라스의 주장 자격을 박탈할 것으로 결정하였다고 보도하였다. 이어서 갈라스는 이 문제를 이유로 22일(현지시간) 열리는 맨체스터 시티와의 원정 경기를 위한 팀의 명단에서 제외 될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과거 아스널에서 활약하며 현재까지 팬들로부터 '레전드'로 칭송받는 나이젤 윈터번은"충격적이다. 벵거 감독은 선수들을 존중하기로 유명한 감독인 만큼 갈라스의 주장직을 박탈하였다는 것은 갈라스에 대한 그의 실망을 여실히 보여준다. 아마도 갈라스는 머지않아 아스널을 떠나게 될 것이다"며 친정팀의 현상황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한편, 갈라스로부터 주장직을 물려받아 새로운 주장이 된 선수는 세스크 파브레가스이다. 결국 그는 2010년 여름, 자유계약 신분으로 풀려나게 되었다. = = = 토트넘 홋스퍼 FC = = = 자유계약 신분으로 풀려난 그의 다음 행선지는 놀랍게도 아스널 FC의 라이벌인 토트넘 홋스퍼 FC이다. 그는 토트넘에서 3시즌 간 활약하하면서 61경기 1골을 기록했다. = = = 퍼스 글로리 FC = = = 오랫동안 잉글랜드 생활을 마무리한 후 갈라스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퍼스 글로리 FC로 이적하였다. 이 곳에서 갈라스는 1시즌 간 14경기 1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갈라스는 현역에서 은퇴한다고 밝혔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갈라스는 프랑스 U-18 대표팀이 유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할 때의 주역이었다. 그는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프랑스 유소년 대표팀에서 뛰기도 하였다. 그는 과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정규 멤버로 뛰었다. 2000년 10월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 프랑스가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5-0으로 대파할 때 활약하였으며, 프랑스가 유로 2004 본선에 오르는 데 공헌을 하였다. 그는 프랑스에서 열린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프랑스가 우승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프랑스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까지 진출하는 데 힘이 되었다. 월드컵 종료 후,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을 매너 없다고 비판하였다. 프랑스가 포르투갈과 준결승전에서 만났을 때, 프랑스 대표팀은 포르투갈 선수들의 거칠고 매너 없는 플레이를 조심했어야 했다고 주장하였다. 2006년 9월 6일 프랑스 생드니에 위치한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 이탈리아와의 UEFA 유로 2008 예선 홈 경기에서, 갈라스는 국제 경기 50경기 출장 기록을 달성하였다. 프랑스는 이 경기에서 3-1로 승리했다. = = = 국제 경기 골 기록 = = = 일자 장소 상대팀 경기결과 승/패 종류 1. 2005년 8월 17일 프랑스 몽펠리에 코트디부아르 3-0 승 친선경기 2. 2006년 8월 16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1 승 친선경기 = = 우승/수상 경력 = = = = = 캉 팀 = = = 르 샹피오나 리그 두 챔피언십 우승 - 르 샹피오나 리그 두 1995-96 시즌 = = = 첼시 팀 = = = 프리미어리그 우승 - 2004-05, 2005-06 풋볼 리그 컵 (칼링컵) - 2005 커뮤니티 쉴드 - 2005 = = = 아스널 팀 = = = 에미리트 컵 - 2007 암스테르담 토너먼트 - 2007 = 뉴질랜드바다사자 = 뉴질랜드바다사자 또는 후커바다사자 (Phocarctos hookeri)는 주로 뉴질랜드의 아남극 오클랜드 제도와 캠벨 제도 그리고 뉴질랜드 남섬과 스튜어트섬의 해안가 일부 지역에서 번식하는 바다사자의 일종이다. 뉴질랜드바다사자는 약 10,000마리 정도이며,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바다사자로 추정되어 있다. 뉴질랜드바다사자속(Phocarctos)의 유일종이다. = 꼭두의 계절 = 꼭두의 계절은 2023년 1월 27일부터 2023년 3월 24일까지 방송되었던 MBC 금토 드라마로 99년마다 인간에게 천벌을 내리러 이승에 내려오는 사신(死神) 꼭두(김정현)가 신비한 능력을 가진 왕진의사 한계절(임수향)과 만나며 벌어지는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이다. = = 제작진 = = = = = 제작사 = = = 피플스토리컴퍼니 스토리티비 = = = 제작 = = = 정찬희 배선해 유철용 = = = 극본 = = = 허준우 : MBC 월화 드라마 《나쁜 형사》(공동 집필) 집필 강이헌 : MBC 월화 드라마 《나쁜 형사》(공동 집필) 집필 = = = 연출 = = = 백수찬 : SBS 일일 시트콤 《대박가족》(조연출), SBS 월화 드라마 《왕의 여자》(조연출), SBS 설날 특집 드라마 《박치기왕》(조연출), SBS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 《게임의 여왕》(조연출), SBS 주말 드라마 《황금신부》(공동 연출), SBS 월화 드라마 《타짜》(공동 연출), SBS 월화 드라마 《드림》(연출), SBS 일일 드라마 《호박꽃 순정》(연출), SBS 수목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공동 연출), SBS 수목 드라마 《다시 만난 세계》(연출), SBS 수목 드라마 《홍콩 익스프레스》(조연출), SBS 수목 드라마 《섬마을 선생님》(조연출), SBS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 《미녀 공심이》(연출), SBS 금토 드라마 《앨리스》(연출) 연출 김지훈 : MBC 주간 드라마 《이벤트를 확인하세요》(연출) 연출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김정현: 꼭두 / 오현 / 도진우 역 - 저승길의 괴팍한 인도자. 서울 필성병원 간담췌 외과 교수. 역대 최연소 기조실장. 정원의 옛연인. 계절의 연인 임수향: 한계절(35세) / 설희 역 - 응급의학과 전문의, 달려간다 의원 왕진의사. 철의 누나. 꼭두의 연인 김다솜: 태정원(31세) 역 - 필성병원 소화기내과 조교수. 한국대 의대 수석 입학 후 졸업까지 1등을 놓치지 않은 미모의 엄친딸. 죽은 진우의 옛연인. 철의 연인. 안우연: 한철(32세) 역 - 형사, 꼭두의 뒤를 쫓는 검은 그림자. 강력계 형사. 계절의 남동생. 정원의 연인 = = = 꼭두의 주변 인물 = = = 김인권: 옥신 역 - 눈치 제로 탐욕의 반신(半神), 본명 이응출. 불화그룹 회장 차청화: 각신 역 - 눈치 만렙 소문의 반신(半神), 본명 서복경. 달려간다 의원 간호사 = = = 필성바이오 = = = 최광일: 김필수 역 - 필성병원 이사장, 필성바이오 이사회 의장. 와신상담 중인 필성그룹 3세 김영웅: 태중식 역 - 필수의 숨겨진 그림자, 해결사. 전과 14범 = = = 영포시 사람들 = = = 김병옥: 신홍근 역 - ‘용왕님 삼겹살’ 주인이자 영포의 마당발, 경승의 남편 오영실: 오경승 역 - '용왕님 삼겹살' 주인, 홍근의 아내 이영란: 문명자 역 - ㈜영포종가 대표이사, 최씨 종가 종부. 전통장 명인 우현: 최달승 역 - 영포 소상공인 협회장, 명자의 남편 김병춘: 배정국 역 - 불주먹 체육관 관장 = = = 계절의 주변 인물 = = = 이정준: 정이든/오영 역 - 유명 프로골퍼, 영포의 아들, 계절의 옛 연인 = = = 정원의 주변 인물 = = = 손소망: 사국화 역 - 영포 필성병원 간호사, 정원의 친구 = = = 그 외 인물 = = = 송채윤: 간호사 역 이승형: 배창수 역 정욱: 박충성 역 오연아: 지수연 역 - 계절 의 친구 정아미: 장미순 역 - 도진우 모, 의료사고로 사망 정영주: 계절에게 의료 소송을 건 환자 보호자 역 박신우: 조봉필 역 미상: 최강무 역 - 아동 학대범 왕빛나: 한계절의 어머니 역 미상: 침입자 역 유재석 이미주:(30세) 종가집알바생 역 정준하 성병숙: 금반지 역 미상: 어린이 역 = = 시청률 = = 2023년 2023년 2023년 2023년 2023년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1월 27일 4.8% 4.8% 제2회 1월 28일 2.2% - 제3회 2월 3일 3.1% 3.2% 제4회 2월 4일 2.4% - 제5회 2월 10일 2.8% - 제6회 2월 11일 1.9% - 제7회 2월 17일 2.7% - 제8회 2월 18일 1.4% - 제9회 2월 24일 2.0% - 제10회 2월 25일 1.7% - 제11회 3월 3일 1.6% - 제12회 3월 4일 2.0% - 제13회 3월 11일 1.4% - 제14회 3월 17일 1.4% - 제15회 3월 18일 1.3% - 제16회 3월 24일 1.6% - = = 결방 사유 = = 2023년 3월 10일: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중계로 인해 결방 = = 수상 목록 = = 2023년 MBC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차청화) = = 참고 사항 = = 당초 정이든 역으로 배우 이지한이 캐스팅 되었으나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로 인해 사망하면서 배우 이정준이 대신 합류하게 되었다. 임수향, 안우연은 KBS 2TV 주말 드라마 《아이가 다섯》 이후 7년 만에 재회하여 캐스팅 되었다. = 분류:팔레스타인계 쿠웨이트인 = = 분류:집속탄 = = FIFA 월드컵 = FIFA 월드컵은 축구 국제 기구인 국제 축구 연맹(FIFA)에 가맹한 축구 협회(연맹)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만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일반적으로 월드컵 축구나 월드컵이라고도 한다. 4년마다 열리는 월드컵은 1930년에 첫 대회가 열렸다. 1942년과 1946년 대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열리지 못했다. 대회는 예선 무대와 본선 무대 등 두 부분으로 나뉜다. 예선 무대는 본선에 진출할 32팀을 가려내기 위해 본선 보다 3년 일찍 시작한다. 현재 본선은 개최국 경기장에서 한 달 남짓 32개 팀이 우승을 놓고 경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월드컵 결승전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시청하는 단일 스포츠 경기이다. 어림잡아 7억 1,510만 명이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시청했다고 한다.2006 FIFA World Cup TV Coverage (PDF), FIFA.com. 2007년 6월 6일에 확인. 총 20번 대회가 열리는 동안 8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가장 우승 횟수가 많은 팀은 브라질로 총 다섯 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그 다음으로 이탈리아와 독일이 네 번서독 시절 3회 우승 기록 포함, 아르헨티나가 세 번아르헨티나 월드컵 3회 우승 기록 2022.12.19 쿠키뉴스, 그리고 초대 우승팀인 우루과이와 프랑스가 각각 두 차례씩, 잉글랜드와 에스파냐이 각각 한 차례씩 우승을 차지했다. 네덜란드는 준우승만 3번(1974·1978·2010)을 기록하였다. 가장 최근에 열린 2022년 FIFA 월드컵은 카타르에서 열렸고, 아르헨티나가 우승했다. 2026년은 캐나다/멕시코/미국에서 개최된다. 세계적인 종합 스포츠 행사 중 하나인 올림픽과 달리 월드컵은 단일 종목 대회다. 그리고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의 전통을 따라 한 도시를 중심으로 개최되지만, 월드컵은 한 국가를 중심으로 열리며 대회 기간은 올림픽이 보통 2주 동안 열리는데 비해 월드컵은 약 한달 동안 진행된다. = = 역사 = = = = = 이전의 국제 대회들 = = = 세계 최초의 A매치는 1872년 글래스고에서 열린 스코틀랜드 대 잉글랜드의 경기였으며, 1884년에 시작된 첫 국제 대회인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영국 정기전)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후 이 대회는 1984년까지 이어졌다.)England National Football Team Match No. 1, England FootballOnline.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이때 축구는 영국과 아일랜드 외의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 세기가 지나 다른 지역에서도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900년, 1904년, 1906년 하계 올림픽1906년 대회는 IOC의 공식 대회는 아니다.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 대회에서 별도의 메달은 수여되지 않았다. 월드컵의 역사는 FIFA가 1904년에 설립된 이후로 FIFA가 주관하며 올림픽과는 별개로 국가대항 축구 대회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1906년에 스위스에서 있었다. 하지만 FIFA의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이 대회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고 한다.History of FIFA - FIFA takes shape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올림픽 대회가 아마추어 팀들 간에 계속 경쟁을 하는 방향으로 가는 가운데 1909년, 토머스 립튼은 토머스 립튼 트로피 선수권 대회를 토리노에서 개최한다. 립튼 선수권은 각기 한 국가를 대표하러 나온 개인 클럽간(국가 대표팀간이 아닌)의 대회였다. 대회는 때때로 첫 번째 월드컵이라고 묘사되곤 했으며,'The First World Cup'. The Sir Thomas Lipton Trophy . Shrewsbury and Atcham Borough Council (10 October 2003). 2006년 4월 11일에 확인 (영어) 이탈리아, 독일, 그리고 스위스의 일류 프로 클럽팀이 주로 참가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축구 협회는 이 대회에 관여하려 않았으며, 프로팀들을 보내달라는 제안을 거절했다. 립튼은 카운티 더럼에 있는 아마추어 팀인 웨스트 오클랜드를 잉글랜드 팀을 대표하여 대신 초대했다. 웨스트 오클랜드는 대회에서 우승했고, 1911년의 대회에서도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방어, 대회 규칙에 따라 트로피를 영원히 보유하게 되었다. 1914년에, FIFA는 올림픽에서의 축구 대회를 ‘세계 아마추어 축구 선수권대회’로서 승인해주었고, 대회의 관리를 맡게 되었다.History of FIFA — More associations follow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그 결과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세계 최초의 대륙 간 축구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에는 이집트와 13개의 유럽 팀들이 참가하였다. 금메달은 벨기에가 차지하였다.Reyes, Macario (18 October 1999). VII. Olympiad Antwerp 1920 Football Tournament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06년 6월 10일에 확인 (영어) 1928년에 FIFA는 올림픽과는 별개로 직접 주관하는 대회를 개최하기로 한다. FIFA는 첫 번째 FIFA 월드컵 개최국을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의 축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차지했고,1924년이 FIFA의 프로 시대의 시작이었다. 1930년에 독립 100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우루과이로 결정한다. = = = 첫 번째 월드컵 = = =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개최국인 미국에서 미식축구의 인기 탓에 축구의 인기가 낮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계획이 없었다. 또한, FIFA와 IOC의 아마추어 선수의 지위에 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축구는 올림픽에서 제외되었다.The Olympic Odyssey so far... (Part 1: 1908 - 1964) , FIFA.com. 2008년 1월 8일에 확인. 이어 당시 FIFA 회장이었던 쥘 리메는 첫 번째 월드컵 대회를 1930년 우루과이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각 국가의 축구 협회들은 대회 참가 초청을 받았지만, 유럽 지역의 팀들에는 우루과이가 대서양을 횡단해야 하는 먼 나라였기 때문에, 큰 지출과 오랜 여정이 불가피했다. 그런 이유에 따라 대회 2달 전까지도 팀을 보내겠다는 확약을 한 유럽 국가는 없었다.History of FIFA - The first FIFA World Cup™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결국, 쥘 리메는 유럽 팀들을 한 팀이라도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우루과이는 모든 체류비와 차비를 출전팀들에게 제공하겠다는 조건을 내건 끝에 여비 및 체류비용이 공짜라는 점과 쥘 리메의 눈치를 봐서 벨기에, 프랑스,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가 대회 참가에 응했다. 이리하여 유럽에서 4팀, 북중미에서 2팀, 남미에서 7팀, 총 13개 팀이 대회에 참가하였다. 월드컵 개막식은 두 경기가 동시에 열렸으며, 프랑스와 미국이 각각 멕시코를 4-1로, 벨기에를 3-0으로 꺾고 승리했다. 월드컵 사상 첫 번째 득점은 프랑스의 루시앙 로랑이 기록했다. 우루과이는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93,000명의 관중 앞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으며 첫 번째 FIFA 월드컵 우승 팀이 되었다.FIFA World Cup Origin (PDF),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 = = 월드컵 대회가 맞은 시련 = = = 초창기 월드컵 대회가 직면했던 문제는 두 가지였다. 첫 번째는 대륙 간 장거리 여행의 어려움이었다. 첫 번째 대회가 우루과이에서 열렸을 때에는 유럽팀들이 장거리 여행의 어려움을 이유로 많은 팀이 불참했다면, 반대로 유럽에서 열린 두 번째, 세 번째 대회에서는 남미 팀들이 이와 같은 이유로 대회에 불참하였다. 두 번째는 전쟁 문제로, 네 번째 대회는 원래 1942년에 개최될 예정이었다. 1936년 8월 13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23차 FIFA 총회에서 독일이 공식적으로 개최 신청을 했다. 곧이어 브라질도 월드컵 개최를 신청하였다. 1939년 6월에는 아르헨티나도 개최 신청에 참여했다. 하지만, 제4회 대회의 개최국이 결정되기 전인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결국 무산되었다. 이 탓에 다음 대회인 1946년 대회도 자동으로 무산되었다. 종전 후인 1946년 7월 26일 룩셈부르크 시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제4회 대회를 1949년 브라질에서, 제5회 대회를 1953년 스위스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개최국이 결정된 다음날, 대회 준비를 이유로 개최가 한 해씩 미뤄져 제4회 대회는 1950년, 제5회 대회는 1954년 개최되게 되었다. = = = 시련 이후 계속되는 성장 = = = 1950년 FIFA 월드컵은 처음으로 영국의 팀들이 참가한 대회였다. 영국의 일부 팀들은 그들과 전쟁했던 나라들과의 대결하기를 꺼렸고 또 그들의 팀들이 다른 나라의 축구에 영향을 주는 것을 항의하고자 1920년에 FIFA에서 탈퇴했으나, 그러나 FIFA의 초청에 따라 1946년에 다시 가입했다. 추가로 1950년 월드컵은 한국 전쟁이 발발한 시각과 동일한 시각에 개막되었다. 그리고 1950년 대회에서는 또한, 제1회 대회의 우승국이었던 우루과이가 이전 두 대회의 참가 거부 끝에 복귀했다. 우루과이는 이 대회에서 다시 한 번 우승했고 이 대회는 마라카낭의 비극이라고 하는 역사상 유명한 경기로 후에 남게 되었다. 우루과이에 패배한 브라질은 그 굴욕을 참지 못해 유니폼의 색깔이 변경되었다. 1934년부터 1978년 대회까지는 1938년 대회에서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예선 통과 후에 흡수됨에 따라 15개 팀의 참가로 치러진 경우와, 1950년 대회에서 인도,당시 인도 대표팀은 맨발로 축구시합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했으나 FIFA 규정이 이를 허락하지 않아 불참했다: 맨유, 크리켓의 나라 인도서 '제2의 베컴' 물색, 연합뉴스, 2007-10-31 작성 스코틀랜드, 터키가 기권해서 13개 팀의 참가로 치러진 경우를 제외하면 총 16개의 팀이 본선에서 경쟁을 치렀다.(월드컵 Q&A) 독일월드컵 개요, 스포츠조선, 2006-06-08 가장 많은 참가를 한 국가들은 대부분 유럽과 남미에서 온 국가들이었으며 일부 소수의 북중미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의 팀들이 참가했다. 이들 팀은 대부분 쉽게 유럽 팀들과 남미 팀들에 패했다. 1982년까지 유럽과 남미를 제외하고 1라운드를 벗어난 팀들은 1930년 대회에서 준결승에 들었던 미국, 1938년 대회에서 8강에 들었던 쿠바, 1966년 대회에서 8강에 들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70년 대회에서 8강에 들었던 멕시코가 전부였다. 본선 무대는 1982년에 이르러 24개 팀으로 늘어났고 이때 조별리그를 적용함에 있어 조3위팀끼리의 승점 차이로 4팀을 진출시키는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1998년에는 32개 팀으로 늘어나며 이때부터 조 3위는 무조건 탈락했는데, 이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북중미 팀들의 더 많은 참가를 가능하게 했다. 단 하나의 예외는 오세아니아 지역으로 이들은 최근 예선 기준으로 0.5장의 티켓만을 배분받아 본선 진출을 완전히 보장받지는 못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이들 지역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팀들이 늘어나고 있다. 멕시코는 1986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들었으며 카메룬은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불가리아는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준결승에, 대한민국은 2002년 FIFA 월드컵에 준결승이라는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2002년 대회에서는 그 외에 세네갈과 미국이 8강에 들었다. 그러나 여전히 유럽과 남미 팀들은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데, 그 예로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8강에 든 팀이 오직 그들이었음이 이를 반증한다. 이와 같은 특정 지역의 편중 현상은 때로는 월드컵을 재미있게 만들기도 하지만 반대로 유럽, 남미의 지역 대회와 별다를 바 없는 모습이 되며, 그 밖의 대륙들에 소외감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6년 대회의 예선에는 198개 팀이 참가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204개 팀이 본선 진출을 위해서 예선에 참가했고.Record number of 204 teams enter preliminary competition , FIFA.com. 2007년 11월 19일, 영어 2014년 브라질에서 개최된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 역사상 가장 많이 참여한 207개 국가가 예선에 참여했다. = = = 다른 FIFA 대회들 = = = 여자 축구에서 FIFA 월드컵과 동등한 대회라 할 수 있는 FIFA 여자 월드컵은 1991년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다.FIFA Women's World Cup , FIFA.com. 2007년 12월 22일에 확인. (영어) 여자 대회는 규모와 이력 면에서 남자 대회보다 작지만, 점점 성장하고 있다. 경기 참가자들의 숫자가 2007년 대회에서는 120팀으로, 1991년 대회의 참가팀들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다른 스포츠들과는 다르게, 올림픽에서의 축구는 FIFA 월드컵이 생성된 이래로 크게 중요도가 높은 대회는 아니다. 최근에 이 대회에는 23세 미만의 선수들만이 참가하며, 23세 이상의 선수는 한 팀에 3명씩 참가할 수 있다.Regulations Men's Olympic Football Tournament 2008 (PDF), FIFA.com. 2007년 12월 22일에 확인. (영어)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월드컵 본선이 열리는 1년 전에 해당 연도 월드컵 본선 개최국에서 열리는 대회로 다가오는 월드컵의 예행연습에 해당한다. 이 대회는 FIFA 대륙 연맹 대회에서 우승한 6개의 팀과 FIFA 월드컵 우승 팀, 개최국 등 모두 8개 팀이 참가한다.FIFA Confederations Cup , FIFA.com. 2007년 12월 22일에 확인. (영어) FIFA는 또한 유소년 축구(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FIFA U-20 여자 월드컵, FIFA U-17 여자 월드컵), 클럽 축구(FIFA 클럽 월드컵) 그리고 풋살(FIFA 풋살 월드컵)과 비치사커(FIFA 비치사커 월드컵)와 같은 축구 변형의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 = 트로피 = = 1930년부터 1970년까지 쥘 리메 컵이 월드컵 우승 팀에 수여되었다. 원래 이것은 단순히 ‘월드컵(World Cup)’ 혹은 ‘쿠프 뒤 몽드(Coupe du Monde)’라고 불렸지만, 1946년에 월드컵 대회 창시자인 FIFA 회장 쥘 리메의 이름을 따 다시 트로피의 이름을 다시 지었다. 1970년에, 브라질이 FIFA 대회에서 3회 우승을 함으로써 그들이 영구 소유할 권한을 얻었다. 그러나 그 트로피는 1983년에 도난당했으며 이후 되찾지 못하고 절도범들에 의해 팔려 용해되어, 현재는 복제품을 만들어 보존하고 있다.Jules Rimet Trophy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1970년 이후에 FIFA컵으로 알려진 새 트로피가 디자인되었다. 7개 국가에서 온 FIFA의 전문가들은 53개의 제출된 모델들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이탈리아 디자이너인 실비오 가자니가의 작품을 선정했다. 새 트로피는 36센티미터 높이에 18캐럿 금으로 만들어졌고 6.175kg의 무게를 지녔다. 기본 바탕에는 준보석의 공작석 2층을 포함했으며 반면에 트로피의 아랫부분은 1974년부터의 FIFA 월드컵 우승국과 조각된 연도를 새길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자니가의 트로피에 대한 묘사는 다음과 같았다.‘선은 기본으로부터 솟아, 나선 모양으로 오르며, 세계를 수용하려 뛰어오른다. 이 꼼꼼하고 역동적으로 조각된 몸매는 두 선수가 승리의 감동하는 모습을 표현한다.’FIFA World Cup Trophy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이 새 트로피의 원물은 FIFA의 소장품이며, 도난을 대비하여 23만 달러의 보험에도 가입되어 있다. 월드컵 우승 팀의 주장이 수여받고 나서 대표팀 감독하고 선수들이 모여서 기념촬영을 하는데, 그것은 도금한 모조품이다.FIFA Assets – Trophy , FIFA.com. 2007년 11월 19일에 확인. 영어. 아르헨티나, 독일(서독), 이탈리아, 브라질이 두 번째 트로피를 두 번씩 소유한 바 있으며 프랑스가 한 차례씩 소유한 바가 있다. 이 트로피는 장식판에 우승 국가명이 모두 새겨질 2038년까지 존속되며, 그 이후에는 세 번째 트로피를 제작할 예정이다. = = 예선 = = 제 2회 월드컵이 열린 1934년부터, 본선 참가자들을 가려내기 위한 예선이 열리고 있다. 예선은 6개의 FIFA 대륙 연맹(남미, 북중미 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별로 나뉘어 치러지며 각 대륙 연맹이 이를 관장한다. 매 대회에서 FIFA는 미리 대륙별로 출전 티켓 수를 배정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대륙의 팀들의 축구 실력에 따라 안배되나 대륙 연맹에서의 로비 행위에 결정되기도 한다. = = 대륙별 본선 진출국 배분 = = 각 대륙별로 본선 진출국을 배분하는 기준은 월드컵에서 대륙별로 거둔 성적과 FIFA 랭킹을 종합해서 결정하게 된다. 2026년 FIFA 월드컵 대회부터 48개국 체제로 확대되며 2개국 이상 공동개최 사례가 발생하므로 개최국을 포함한 총 48개팀의 티켓은 다음과 같이 배분된다. 대륙별 축구 협회 FIFA 월드컵 참가 자격 회원 본선 진출팀 수(개최국 포함) 본선 진출 회원 비율 아시아 46 8+ 18% 아프리카 54 9+ 17% 북중미카리브 35 6+ 19% 남미 10 6+ 65% 오세아니아 14 1+ 14% 유럽 55 16+
* 유럽에서 개최시 29% 총 215 48 23% 예선 과정은 거의 대부분 홈 앤드 어웨이로 치루어지며 본선이 열리기 거의 3년 전부터 시작하여 이후 2년간 지속한다. 예선의 형식은 각 대륙의 연맹마다 다르다.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2022년 대회부터 월드컵 개최국에서 개최되며 2026년 대회부터 유럽을 제외한 나머지 대륙에서 1팀씩과 개최대륙에서 추가 1팀(개최대륙 총 2팀)이 총 6팀 참가하여 최종 승자 2팀들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2026년 대회부터 월드컵 개최국은 소속 대륙 축구 협회에 배정되는 월드컵 참가 쿼터에 포함된다. = = = 본선 = = = 최근의 월드컵 본선은 32개 팀이 한 달 동안 특정 개최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선은 2개의 라운드로 이루어져 있는데, ‘조별 리그전’과 ‘토너먼트전’이 그것이다. 우선 조추첨은 대회 약 7개월 전에 배정된다. 먼저 본선 진출한 32개팀은 4개 팀씩 8개 조에 배정된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32개팀 중 8개 팀이 시드를 우선 배정 받는데 여기서 개최국은 첫 번째 조 즉 A조에 먼저 배정한다. 나머지 7개 팀 중 1팀은 지난 월드컵 대회 우승국으로서, 개최국과 초반에 만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번째 조부터인 E조~H조 중 한자리에 배정시킨다. 물론 이 경우는 우승국이 예선대회를 통과했을 때의 상황이며, 우승국이 이번 월드컵 예선에 탈락한 경우 본선 진출한 최상위 1팀이 대신 배정 받는다. (하지만 이것은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우승국 스페인이 B조로 배정됨에 따라 규칙이 깨졌다.) 그 다음 상위 6개 팀은 비어있는 다른 조에 1자리씩 무작위로 배정 받는다. 이때 개최국을 제외한, 우선적으로 각 조에 배정된 이 7개 팀을 월등한 실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로만 구성된 톱시드라고 한다. 이 톱시드는 최근 FIFA 랭킹과 지난 월드컵 대회에서의 성적 전체를 기반으로 하여 배정한다. 단 이 톱시드는 피파 랭킹을 반영하여 선정되기 때문에 조추첨 이전에 실시된 월드컵 예선에서 각 대륙간의 예선 진행 중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걸쳐서 본선에 진출한 나라의 경우에는 지난대회 우승국이 아닌 이상 톱시드 대상에서 제외된다. 나머지 팀들은 다른 ‘팟’(pot)에 배정되며 이는 보통 지리적인 기준을 기초로 하고 각 항아리에 속한 팀들은 무작위로 8개 조에 추첨된다. 1998년부터는 특정 한 조에 유럽 팀들이 2팀을 초과하거나 그 외 대륙의 팀들이 1팀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각 조는 리그전 형식으로 치러지며 이에 따라 모든 팀이 적어도 3경기를 치를 수 있다. 각 조의 마지막 라운드 경기는 각 팀 간의 공정성 유지 및 승부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같은 시간에 경기를 치르도록 하고 있다. 각 조에서 상위 두 개 팀이 본선 토너먼트로 진출한다. 승점은 조 안에서의 순위를 가르기 위해 사용된다. 1994년부터, 경기에 승리했을 때는 3점이 주어졌고 비겼을 때는 1점이 주어졌으며 패했을 때는 0점이 주어졌다. (이 이전까지 승리 시 승점은 2점이었다.) 만약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팀이 승점이 같다면, 동점 시 처리 방법이 사용된다. 처음은 골 득실 차로, 그 다음에는 총 득점으로, 그 다음에는 승자 승 결과로, 마지막으로는 추첨이 동원된다. (즉, 팀의 순위가 무작위로 결정된다.)Regulations of the 2010 FIFA World Cup (PDF), (page 40–41), FIFA.com. 2007년 11월 19일 확인. 영어 일례로, 1990년 대회에서 F조는 잉글랜드가 이집트에 1-0으로 승리를 거둔 것을 제외하고 모두 무승부를 거두는 바람에 네덜란드와 아일랜드가 3전 전무로 서로 동률을 이루고 있었는데, 득점마저도 양팀이 2점으로 같고 승자승 원칙으로도 1-1 무승부이기 때문에 우열을 가릴 수 없게 되자 추첨을 통해 아일랜드가 2위로 16강에 직행하는 행운을 거머쥐었다. 그러나 3위로 떨어진 네덜란드도 각조 3위팀 중 3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본래 리그전은 각 경기마다 날짜를 다르게 정해서 시합하게 되어 있었으나 1982년 FIFA 월드컵 당시 알제리에게 패하고 알제리에 밀려 탈락할 위기에 놓인 서독이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중에서 알제리와 칠레의 경기가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경기보다 하루 먼저 실시된다는 점을 악용하여 알제리와 칠레전을 관람한 이후 그 경기 결과에 맞춰 오스트리아와 짜고 승부조작을 해서 그 조는 서독과 오스트리아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이러한 승부조작을 막기 위해 FIFA측은 그 다음 월드컵인 1986년 FIFA 월드컵부터는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 한해서만 두 경기를 동시에 진행하도록 규정을 바꿨다. 2차전은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필요시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포함하여 단판제 경기를 치른다. 이 형태는 16강전부터 적용되며 각 조의 1위 팀은 다른 조의 2위 팀과 경기를 하게 된다. 이 토너먼트의 경기방식은 이후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에도 이어진다. = = 개최국 선정 = = 초창기 월드컵은 FIFA 평의회에서 개최될 국가를 배분하였다. 축구에서 두 중심축이었던 유럽과 남미 사이에는 배로 3주나 여행해야 했기 때문에 지역 선정은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예를 들어,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첫 번째 월드컵은 단 4개의 유럽 팀만이 대회에 출전하였다. 그리고 다음 두 번의 월드컵은 모두 유럽에서 열렸다. 아메리카 대륙 사람들은 월드컵이 두 대륙 간에 순환개최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중 두 번째로 유럽에서 개최되도록 결정이 났던 프랑스에서의 1938년 FIFA 월드컵은 논쟁거리였다. 그에 따라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는 이 대회에 불참하였다.France 1938, BBC. (2002년 4월 17일). 2006년 5월 13일에 확인. 영어. 원래는 1942년에 월드컵이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인하여 월드컵을 개최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FIFA는 쥘 리메 컵이 나치 독일에 몰수당할 것을 걱정해야만 했다. 당시 FIFA 부회장이자 이탈리아 축구협회 회장이었던 오토리노 바라시는 나치로부터 쥘 리메 컵을 몰수당하지 않기 위해 로마에서 몰래 자신의 집으로 쥘 리메 컵을 가져온 뒤 신발 상자에 넣고 이 상자를 침대 밑에 숨겼다. 전쟁으로 인하여 1950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될 때까지 월드컵은 개최되지 못하고 있었다. 1958년 FIFA 월드컵 이후에 FIFA는 미래의 대회 참가 거부나 논쟁을 피하고자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이 매번 번갈아가며 개최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했으며 이것은 1998년 FIFA 월드컵까지 유지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은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대회이며 또한 2개국 이상이 공동 개최한 첫 대회이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대회를 개최하는 아프리카 나라가 된다. 2014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에서 개최되며 이는 1978년 FIFA 월드컵 이래로 처음으로 남미에서 열리는 대회가 되며, 또한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연속적으로 개최되는 첫 사례가 된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유럽과 남미에서만 개최되다가 그 이외의 지역의 월드컵 개최에 대해서도 신중한 논의가 된 끝에 1970년 FIFA 월드컵에 멕시코를 개최국으로 선정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과 남미 이외의 지역에서 월드컵 개최가 시작되었으며 1994년 FIFA 월드컵에는 미국이 개최를 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유럽과 미주 지역 이외의 대륙에서 월드컵을 개최하자는 논의가 진행되어 2002년 FIFA 월드컵에 아시아인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개최를 하게 되었고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아프리카의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개최하게 되었다. 개최국은 현재 FIFA 집행위원회의 투표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단기이양식 선거 방식 아래 행해진다. 개최 희망국은 FIFA로부터 유치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요소와 준비단계에 대한 설명이 들어간 개최 협약(Hosting Agreement)을 받는다. 유치 후보국의 협회에서는 입후보 공식 확인을 위한 확인서를 받는다. 그 후에, FIFA는 해당 국가에 조사단을 파견하여 유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알아본 후 그 국가에 대한 보고서가 작성된다. 월드컵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누가 할지는 현재 해당 대회의 개최 6~7년 전에 결정된다. 2010년과 2014년 월드컵에서, 본선 대회는 대륙 간 순환 개최를 원칙으로 해서 그 대륙에 속한 국가들만이 대회 유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선정을 위한 투표에서, 독일이 남아공을 이기고 개최하게 되면서 생긴 여러 논란으로 말미암아, 대륙별 순환 개최 원칙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대륙별 순환 개최 원칙은 2018년 이후로는 폐기되며 그로 말미암아 이전 두 대회를 개최했던 대륙(아프리카, 남미)을 제외한 2018년 FIFA 월드컵은 러시아에서 개최되며 2022년 FIFA 월드컵은 서남아시아(중동) 지역의 카타르에서 개최된다. 이렇게 된 데에는 2014년 대회 개최국 선정에서 벌어졌던 브라질의 단독 후보와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한 이유가 부분적으로 있다. = = 조 편성 = = 초창기 월드컵에서는 실력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조 편성을 했다. 그 결과 195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서독이 약체 팀들과만 경기해 우승한 반면 헝가리는 우승 후보들과 치열한 접전을 벌여야만 했다. 그리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두 디펜딩 챔피언인 아르헨티나(1978년 FIFA 월드컵 우승국)와 이탈리아(1982년 FIFA 월드컵 우승국)가 같은 조에 묶여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취지로 인하여 각 조별로 톱시드 제도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과거 유럽과 미주지역 위주로 출전했던 월드컵에 아프리카, 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서 출전하게 되자 대륙별로 분할하여 조 편성을 하게 되었다. = = = 톱시드 편성 = = = A조는 항상 개최국이 톱시드가 되었다. 2002년 월드컵 이전에는 디펜딩 챔피언이 A조 톱시드가 되었으며 개최국은 무작위로 조 편성을 받았으나 2006년 FIFA 월드컵부터 디펜딩 챔피언의 자동진출제도가 폐지되면서 개최국이 A조의 톱시드가 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 이후부터는 순수히 FIFA 랭킹만으로 톱시드를 결정했다. 따라서 개최국이 1개국일 경우 FIFA 랭킹 1위부터 7위까지 톱시드가 된다. = = 미디어 중계 = = 월드컵은 1954년에 처음으로 TV를 통해 중계되기 시작해, 현재는 올림픽 보다 시청자 수가 더 많은 스포츠 행사이다. 2006년 월드컵의 누적 시청자수는 어림잡아 262억 9천만 명 정도이다. 7억 1,510만의 시청자들이 2006년 대회의 결승전을 시청했는데, 이는 지구상의 전체 인구 중 9분의 1이 시청한 셈이다. 32개 각 팀을 8개의 조로 나누는 것을 결정하는 2006년 FIFA 월드컵 조 추첨은 약 3억 명의 시청자가 시청하였다.Socceroos face major challenge: Hiddink, ABC Sport, 2005년 12월 10일. 2006년 5월 13일에 확인. (영어) 하지만, 월드컵 시청률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는 월드컵은 축구 한 종목에 시선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올림픽은 월드컵과 같이 단일 스포츠 축제가 아닌 수많은 종목들로 이루어진 종합 스포츠 축제이다. 하계 올림픽 기준 30개 이상의 스포츠 종목이 동시간 여러 지역에 걸쳐서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월드컵과 다르게 시청률이 분산된다. = = 역대 대회 결과 = = = = = 역대 결승전 & 3·4위 결정전 = = = 회차 연도 개최국 결승전 결승전 결승전 3·4위 결정전 3·4위 결정전 3·4위 결정전 회차 연도 개최국 우승 결과 준우승 3위 결과 4위 1회 1930 우루과이 4–2 아르헨티나 미국 1930년 대회에서는 공식적인 3,4위 결정전이 없고 후에 FIFA가 경기 승률과 득점을 따져 순위를 결정하였다. 유고슬라비아 2회 1934 이탈리아 2–1 (a.e.t.)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3–2 오스트리아 3회 1938 이탈리아 4–2 헝가리 브라질 4–2 스웨덴 4회 1950 우루과이 2–11950년 대회의 최종 순위는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브라질 스웨덴 3–1 스페인 5회 1954 서독 3–2 헝가리 오스트리아 3–1 우루과이 6회 1958 브라질 5–2 스웨덴 프랑스 6–3 서독 7회 1962 브라질 3–1 체코슬로바키아 칠레 1–0 유고슬라비아 8회 1966 잉글랜드 4–2 (a.e.t.) 서독 포르투갈 2–1 소련 9회 1970 브라질 4–1 이탈리아 서독 1–0 우루과이 10회 1974 서독 2–1 네덜란드 폴란드 1–0 브라질 11회 1978 아르헨티나 3–1 (a.e.t.) 네덜란드 브라질 2–1 이탈리아 12회 1982 이탈리아 3–1 서독 폴란드 3–2 프랑스 13회 1986 아르헨티나 3–2 서독 프랑스 4–2 (a.e.t.) 벨기에 14회 1990 서독''' 1–0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2–1 잉글랜드 15회 1994 브라질 0–0 (a.e.t.)(3–2 p) 이탈리아 스웨덴 4–0 불가리아 16회 1998 프랑스 3–0 브라질 크로아티아 2–1 네덜란드 17회 2002 브라질 2–0 독일 튀르키예 3–2 대한민국 18회 2006 이탈리아 1–1 (a.e.t.)(5–3 p) 프랑스 독일 3–1 포르투갈 19회 2010 스페인 1–0 (a.e.t.) 네덜란드 독일 3–2 우루과이 20회 2014 독일 1–0 (a.e.t.)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3–0 브라질 21회 2018 프랑스 4–2 크로아티아 벨기에 2–0 잉글랜드 22회 2022 아르헨티나 3–3 (a.e.t.)(4–2 p) 프랑스 크로아티아 2–1 모로코 23회 2026 ? – ? ? – ? 24회 2030 ? – ? ? – ? 25회 2034 ? – ? ? – ? = = = 국가별 우승 횟수 = = = 국가 우승 횟수 5회 4회 4회 3회 2회 2회 1회 1회 = = = 4강 진출 국가 기록 = = = 국가대표팀 우승 준우승 3위 4위 진출 횟수 5 (1958, 1962, 1970, 1994, 2002) 2 (1950, 1998) 2 (1938, 1978) 2 (1974, 2014) 11 4 (1954, 1974, 1990, 2014) 4 (1966, 1982, 1986, 2002) 4 (1934, 1970, 2006, 2010) 1 (1958) 13 4 (1934, 1938, 1982, 2006) 2 (1970, 1994) 1 (1990) 1 (1978) 8 3 (1978, 1986, 2022) 3 (1930, 1990, 2014) — — 6 2 (1998, 2018) 2 (2006, 2022) 2 (1958, 1986) 1 (1982) 8 2 (1930, 1950) — — 3 (1954, 1970, 2010) 5 1 (2010) — — 1 (1950) 2 1 (1966) — — 2 (1990, 2018) 3 — 3 (1974, 1978, 2010) 1 (2014) 1 (1998) 5 — — 2 (1934, 1962) — — 2 — 2 (1938, 1954) — — 2 — 1 (2018) 2 (1998, 2022) — 3 — 1 (1958) 2 (1950, 1994) 1 (1938) 4 — — 2 (1974, 1982) — 2 — — 1 (1954) 1 (1934) 2 — — 1 (1966) 1 (2006) 2 — — 1 (2018) 1 (1986) 2 — — 1 (1930) — 1 — — 1 (1962) — 1 — — 1 (2002) — 1 — — — 2 (1930, 1962) 2 — — — 1 (2002) 1 — — — 1 (1966) 1 — — — 1 (1994) 1 — — — 1 (2022) 1 = = 통산 성적 = = 1930년 FIFA 월드컵부터 2022년 FIFA 월드컵까지 22번의 월드컵에서 각 국가가 기록한 성적을 순위별로 나열한 통계표다. 총 80개국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이중 동독은 통일 이후 국가가 사라졌다.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계산한다. (1990년 월드컵 이전에는 승리가 2점이었지만 전부 3점으로 처리) 승점이 많을수록 상위권에 랭크 승점이 같으면 골득실 > 다득점 순으로 랭크 굵은 글씨(숫자)는 각 기록에서 가장 높은 순위 순위 국가 승점 진출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최고 성적 1 align=left 247 22 114 76 19 19 237 108 +129 우승 (5) 2 (1949~1990), (1933~1945) 포함 225 20 112 68 21 23 231 128 +103 우승 (4) 3 align=left 158 18 88 47 17 24 152 101 +51 우승 (3) 4 align=left 156 18 83 45 21 17 128 77 +51 우승 (4) 5 align=left 131 16 73 39 14 20 136 85 +51 우승 (2) 6 align=left 118 16 74 32 22 20 103 68 +35 우승 (1) 7 align=left 110 16 67 32 17 18 108 75 +33 우승 (1) 8 align=left 104 11 55 30 14 11 95 54 +41 준우승 9 align=left 88 14 59 25 13 21 89 76 +13 우승 (2) 10 align=left 73 14 51 21 10 20 69 74 -5 3위 11 align=left 70 12 51 19 13 19 80 73 +7 준우승 12 (~1991) 포함 65 11 45 19 9 16 77 54 +23 4위 13 align=left 66 17 60 17 15 28 62 101 -39 8강 14 (~1992), (1992~2002), (2003~2006) 포함 63 13 49 18 9 22 71 71 0 4위 15 align=left 58 8 35 17 7 11 61 41 +20 3위 16 align=left 57 9 38 17 6 15 49 50 -1 3위 17 align=left 50 12 41 14 8 19 55 73 -18 8강 18 align=left 48 9 32 15 3 14 87 57 +30 준우승 19 align=left 47 6 30 13 9 8 43 33 +10 준우승 20 (~1992) 포함 41 9 33 12 5 16 47 49 -2 준우승 21 align=left 40 7 29 12 4 13 43 47 -4 3위 22 align=left 40 9 33 11 7 15 40 49 -9 3위 23 align=left 35 11 37 9 8 20 40 68 -28 3위 24 align=left 33 6 23 9 6 8 31 29 +2 8강 25 align=left 31 8 27 7 10 10 30 38 -8 8강 26 align=left 31 11 38 7 10 21 39 78 -39 4위 27 align=left 30 6 22 9 3 10 32 30 +2 8강 28 align=left 29 7 21 8 5 8 30 32 -2 8강 29 align=left 27 7 25 7 6 12 25 33 -8 16강 30 align=left 23 6 21 6 5 10 22 39 -17 8강 31 align=left 23 8 26 5 8 13 22 47 -25 8강 32 align=left 22 6 23 5 7 11 21 27 -6 4위 33 align=left 21 6 21 6 3 12 23 30 -7 16강 34 align=left 19 8 23 4 7 12 25 41 -16 조별리그 35 align=left 18 4 15 5 3 7 18 23 -5 8강 36 align=left 18 5 18 5 3 10 21 33 -12 8강 37 align=left 17 4 13 5 2 6 14 14 0 16강 38 align=left 17 3 12 4 5 3 16 18 -2 8강 39 align=left 17 7 26 3 8 15 22 53 -31 4위 40 align=left 16 2 10 5 1 4 20 17 +3 3위 41 align=left 16 6 20 4 4 12 17 38 -21 16강 42 align=left 14 3 13 2 8 3 10 10 0 8강 43 align=left 14 3 13 3 5 5 13 23 -10 8강 44 align=left 14 6 18 3 5 10 14 26 -12 조별리그 45 align=left 14 6 19 4 2 13 14 44 -30 16강 46 align=left 13 6 18 3 4 11 13 31 -18 조별리그 47 align=left 12 4 13 3 3 7 13 19 -6 16강 48 align=left 10 3 9 3 1 5 13 14 -1 조별리그 49 align=left 10 3 9 2 4 3 11 16 -5 조별리그 50 align=left 9 3 8 2 3 3 7 8 -1 16강 51 align=left 8 1 6 2 2 2 5 5 0 8강 52 align=left 8 3 10 2 2 6 5 20 -15 16강 53 align=left 7 1 5 2 1 2 5 7 -2 8강 54 align=left 7 2 8 1 4 3 5 10 -5 8강 55 align=left 4 1 4 1 1 2 5 7 -2 16강 56 align=left 4 2 6 1 1 4 5 10 -5 조별리그 57 align=left 4 1 3 1 1 1 5 12 -7 8강 58 align=left 4 2 7 1 1 5 6 21 -15 8강 59 align=left 3 1 3 1 0 2 4 4 0 조별리그 60 align=left 3 1 3 1 0 2 3 9 -6 조별리그 61 align=left 3 2 6 0 3 3 4 14 -10 조별리그 62 align=left 3 3 9 0 3 6 3 14 -11 조별리그 63 align=left 2 1 3 0 2 1 1 2 -1 조별리그 64 align=left 2 1 3 0 2 1 1 3 -2 조별리그 65 align=left 2 3 7 0 2 5 5 12 -7 조별리그 66 align=left 1 1 3 0 1 2 2 5 -3 조별리그 67 align=left 1 1 3 0 1 2 2 6 -4 조별리그 68 align=left 1 1 3 0 1 2 0 4 -4 조별리그 69 align=left 1 3 6 0 1 5 1 20 -19 조별리그 70 align=left 0 1 3 0 0 3 1 4 -3 조별리그 71 align=left 0 1 3 0 0 3 1 6 -5 조별리그 72 align=left 0 1 3 0 0 3 1 7 -6 조별리그 73 (~1949) 포함 0 1 1 0 0 1 0 6 -6 1라운드 74 align=left 0 1 3 0 0 3 2 11 -9 조별리그 74 align=left 0 1 3 0 0 3 2 11 -9 조별리그 76 align=left 0 1 3 0 0 3 0 9 -9 조별리그 77 align=left 0 2 6 0 0 6 2 12 -10 조별리그 78 align=left 0 1 3 0 0 3 2 14 -12 조별리그 79 (1960~1971, 1997~) 포함 0 1 3 0 0 3 0 14 -14 조별리그 80 align=left 0 2 6 0 0 6 1 22 -21 조별리그 = = 수상 = = FIFA 월드컵 대회가 끝난 후 FIFA 테크니컬 스터디 그룹에서 결정하는 상으로 다섯 종류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골든볼 (Golden Ball): 월드컵 대회에서 최고의 활약을 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골든부트 (Golden Boot): 월드컵 대회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골든글러브 (Golden Glove): 월드컵 대회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골키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1994년 야신상이라는 이름으로 제정되었으며 2010년 대회부터 골든글러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FIFA 영플레이어상 (FIFA Young Player Award): 월드컵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한 21세 이하의 최우수 신인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006년에 베스트 영플레이어상이라는 이름으로 제정되었으며 2018년 대회부터 FIFA 영플레이어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FIFA 페어플레이 트로피 (FIFA Fair Play Trophy): 월드컵 대회 동안 최고의 페어 플레이 기록을 세운 팀에게 수여한다. 1970년에 제정되었다. FIFA 월드컵 대회 기간 중 FIFA 테크니컬 스터디 그룹에서 결정하는 상이 한 종류 있다. 맨오브더매치 (Man of the Match): 월드컵 대회 매경기마다 최고의 활약을 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FIFA 월드컵 대회가 끝난 후 팬투표로 결정하는 상으로 두 종류가 있다. 최고의 골 (Goal of the Tournament): 월드컵 대회 최고의 골을 선정하여 득점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최고의 인기팀 (Most Entertaining Team): 월드컵 대회 최고 인기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폐지된 상 올스타팀 (All-Star Team)을 1994년 대회부터 2006년 대회까지 공식적으로 선정하였다. = = 기록 = = 월드컵 대회에 가장 많이 참가한 선수는 멕시코의 안토니오 카르바할과 독일의 로타어 마테우스, 이탈리아의 지안루이지 부폰,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이다. 이들은 각각 다섯 대회에 참가했다. 이 중 메시는 스물여섯 경기에 출전해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브라질의 펠레는 현재까지 월드컵에서 세 차례 우승을 경험한 유일한 선수이다. 월드컵에서 최다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독일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로, 2014년 7월 9일, 2014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16번째 골을 기록하였다. 2번째는 브라질의 호나우두 나자리우로, 세 번의 대회(1998년~2006년)에서 15골을 기록하였다. 3번째는 서독의 게르트 뮐러로, 두 번의 대회(1970년~1974년)에서 14골을 기록하였다. 이색기록으로 독일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월드컵 역사상 헤딩골을 가장 많이 터트린 선수로서 2002년 대회 조별리그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오직 헤딩만으로 헤트트릭을 달성하기도 했으며 이 대회에서만 5개의 헤딩골을 넣었다. 현재 클로제가 월드컵에서 헤딩으로 성공시킨 골은 모두 8개이다. 브라질의 마리우 자갈루와 서독의 프란츠 베켄바워와 프랑스의 디디에 데샹은 선수와 감독으로 우승을 경험한 인물이다. 자갈루는 1958년과 1962년에는 선수로, 1970년에는 감독으로 우승을 경험하였으며, 베켄바워는 1974년엔 선수(주장)으로, 1990년에는 감독으로 우승을 경험하였고 데샹은 1998년 선수(주장)으로, 2018년에는 감독으로 우승을 경험하였다.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포초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월드컵에서 2번이나 우승을 경험한 감독이다. 현재까지 모든 월드컵의 우승 팀의 감독은 모두 자국 출신의 감독이었다. 브라질의 펠레는 FIFA 월드컵에 출전한 모든 선수들 중 최고로 월드컵 기록이 좋은 선수이다. 그가 직접 뛰어서 월드컵 우승을 3번이나 달성했는데 그 월드컵이 1958년 FIFA 월드컵, 1962년 FIFA 월드컵, 1970년 FIFA 월드컵이다.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와 앙헬 디 마리아는 FIFA 월드컵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축구대회에서 우승한 단 두 명 뿐인 선수이다. 특이하게 2022년 FIFA 월드컵은 11월에 개최되었다. = = 다른 월드컵 대회들 = = 남자 대회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여자 대회 FIFA 여자 월드컵 FIFA U-20 여자 월드컵 FIFA U-17 여자 월드컵 = 피트 욘 = 피트 욘(Pete Yorn, 1974년 7월 27일 ~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이다. = Nigga Please = Nigga Please는 1999년 9월 14일에 발매된 올 더티 바스타드의 음반이다. 엘렉트라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캄브리아기 북아메리카의 생물 = 캄브리아기 북아메리카의 생물 분류 생물 북아메리카 *1 = 분류:콤프소포곤강 = = 니코 구드럼 = 카티어 니코 구드럼(, 1992년 2월 28일~)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포지션은 내야수, 외야수이다. 현재 메이저 리그의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KBO 리그 등록명은 구드럼이다. = = 경력 = = 1992년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팀 구드럼은 대학 야구 선수 출신으로 포트밸리 주립 대학교 야구부에서 활동했다. 2010년 MLB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미네소타 트윈스의 지명을 받았으며 7년간 마이너 리그에서 활동했다. 2016년에는 베네수엘라 리그의 카리베스 데 안소아테기 소속으로 뛰기도 했다. 2017년에 미네소타 트윈스 1군에 입성했으며 같은 해 9월 2일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가졌다. 그는 미네소타에서 17타수 1안타의 기록을 내고 방출되었다. 2017년 11월 25일에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으며 2018년에 디트로이트군에 입성했다. 같은 해 4월 1일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상대로 디트로이트 선수로서 첫 메이저 리그 경기를 가졌다. 이 해에는 131경기에 출전해 타율.245, 16홈런, 53타점, 12도루의 성적을 기록했다. 이듬 해인인 2019년은 112경기에 출전해 타율 248, 12홈런, 45타점, 12도루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2020년은 43경기에 출전해 타율 184, 5홈런, 20타점, 7도루의 성적을 기록했다. 2021년은 90경기에 출전해 타율 214, 9홈런, 33타점, 14도루의 성적을 기록했다. 2022년 3월 15일에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단년 계약을 맺었으며 휴스턴 선수로서 15경기 43타수 5안타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2023년에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고 산하 트리플 A팀인 우스터 레드삭스 소속으로 타율 0.280, 출루율 0.448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에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팀인 롯데 자이언츠에게 잭 렉스를 대체할 외국인 야수로 영입되었다. 7월 21일에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키움 히어로즈를 상대로 KBO 리그 데뷔전을 가졌고 2번 타자로 출장하여 구단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롯데 자이언츠 선수로서 28타점 16득점을 기록했으나 홈런은 기록하지 못했다. 10월 12일에 롯데 자이언츠 엔트리에서 말소 처리되었고 시즌 후 방출되었다. 2024년에 미네소타 트윈스와 스프링 캠프 초청권을 포함한 마이너 계약을 하며 복귀하였다. = 불미국 = 불미국(不彌國)은 마한의 54국 중의 하나이다.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마한의 나라들 중 하나로서 4세기경까지 독자적인 성장을 하다가 이후 백제에 복속되었다. = 메이저 리그 사커 2016 = 메이저 리그 사커 2016는 메이저 리그 사커의 21번째 시즌이다. 정규리그는 FC 댈러스가 우승을 차지했다. = = 리그 순위 = = = = = 동부 지구 = = = = = = 서부 지구 = = = = = = 종합 = = = = = 2016 MLS컵 플레이오프 = = = 지방도 제402호선 = 지방도 제402호선은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삼거리에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삼거리까지 잇던 강원도의 지방도였다. 2008년에 강원도 구간이 지방도 제597호선으로 편입되기 시작해 2010년에 충청북도 잔여 구간도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연혁 = = 2003년 2월 14일 : 충청북도 구간 노선 재지정 충청북도공고 제2003-52호, 2003년 2월 14일. 2003년 2월 15일 : 강원도 구간 노선 폐지 및 재지정강원도공고 제2003-69호, 2003년 2월 15일. 2008년 1월 11일 : 강원도 구간이 지방도 제597호선으로 편입강원도공고 제2008-3호, 2008년 1월 11일.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2008년 12월 26일. 2009년 10월 9일 : 제천시 백운면 덕동리 소재 덕동교 재가설 충청북도공고 제2009-713호 , 2009년 10월 9일. 2010년 9월 : 충청북도 구간이 지방도 제597호선으로 편입충청북도공고 제2010-672호 , 2010년 9월 3일. = = 주요 경유지 = = = = = 충청북도 = = = 제천시 백운면 평동삼거리 (구 국도 제38호선) - 백운교 - 평동리 - 방학리 - 방도교 - 도곡리 - 덕동교 - 운학교 - 운학리 - 운학재(구령재, 해발 530m) = = = 강원도 = = = 원주시 신림면 구력재(운학재, 해발 530m) - 구학리 - 구덕교 - 용암리 - 용암교 - 용암삼거리 = = 도로명 =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삼거리 ~ 운학재 : 구학산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구력재 ~ 용암삼거리 : 구학산로 = 분류: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 = 전국매일 = 전국매일은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일간지이다. = 바트당 (동음이의) = 바트당은 다음을 가리킨다. 바트당은 미셸 아플라크가 창설한 정당이다. 바트당 (시리아) 바트당 (이라크) = 분류:이키국의 군 = = 분류:실사 애니메이션 영화 = = 라이언 쇼튼 = 라이언 콜린 쇼튼(Ryan Colin Shotton, 1988년 10월 30일 ~ )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헨리 타운에서 활약하고 있다. = 이혜리 (1967년) = 이혜리(본명:고명자 1962년 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85년 들꽃처럼으로 트로트계에 데뷔하여 당신은 바보야, 혼자사는 여자 등의 히트곡을 냈다. 현재 거주지는 서울특별시이다. = = 데뷔 = = 1985년 노래 "들꽃처럼" = = 음반 = = 1985년 《들꽃처럼》 2000년 《혼자사는 여자》 2002년 《당신은 바보야》 2006년 《12시에 만납시다》 2006년 《춤추는 밤》 2008년 《고추, 모르나봐》 2012년 《아이 좋아라》 2018년 《자갈치 아지매》 = = 수상 = = 2010년 제16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사회봉사상 수상 2012년 제19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올해의 10대 가수상 = = 가족 = = 어머니 : 박종순 큰언니 : 고순자 남동생 : 고창수 (이혜리 매니저) 딸 : 안근영 (프로골퍼) - 2016년 KLPG 우승, 골프 코치로 전향 = 1908년 하계 올림픽 라켓 = 1908년 하계 올림픽 라켓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1908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 종목이다. 1908년 4월 27일부터 5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개국에서 선수 7명이 참가하였다. = = 경기장 = =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런던 올 잉글랜드 론 테니스 크로케 클럽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 = = 참가국 = = 라켓 종목은 1개국에서 선수 7명이 참가하였다. * = = 메달리스트 = = 남자 단식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베인 페널존 제이콥 애스터 세실 브라우닝에드먼드 버리 이반 노엘헨리 리프 = = 참고 자료 =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1908년 하계 올림픽 라켓 경기 결과 * * * 라켓 = 임지훈 (1980년) = 임지훈(1980년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KAIST 산업공학과를 2003년 최우수로 졸업한 후 NHN 전략매니저,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케이큐브벤처스 대표이사를 거쳐 2015년 8월 카카오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임지훈 다음카카오 새 수장 "기대 부응 위해 최선 다할것" 소감글 = = 경력 = = *카카오 대표(2015. 08 ~ 2018.01.24) *케이큐브벤처스 대표이사 *소프트뱅크벤처스 수석심사역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NHN 전략매니저 *액센츄어 애널리스트 = 분류:영파여자중학교 동문 = = 분류:부산 해운대구 = = 분류:필리핀 주재 공관 = = 모듈:Adjacent stations/TILO/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Adjacent_stations/TILO/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향악잡영 = 〈향악잡영〉(鄕樂雜詠)은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이 지은 5수의 한시이다. 삼국사기( 권32, 〈잡지〉1, 악(樂))에 수록되어 있다. 신라오기(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를 각각 읊은 것인데, 신라의 악극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분류:SBS Biz = =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니키타 흐루쇼프 = 니키타 세르게예비치 흐루쇼프(, 1894년 4월 15일 ~ 1971년 9월 11일), 줄여서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3년부터 1964년까지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1958년부터 1964년까지 소련 장관 소비에트의 정부수반을 지낸 소련의 혁명가,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그가 통치한 기간 내내 흐루쇼프는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함께 탈스탈린화 운동에 착수하여 공산주의 국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통치 초기에는 소련 우주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다소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집권 초기의 실수들을 되돌리고 쿠바 미사일 위기를 가까스로 피한 뒤 미국과의 냉전의 긴장감을 완화하기 위해 협상을 시도하여 성공적으로 끝냈다. 그러나 미국에게 양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책은 많은 반대파를 만들어냈고, 결국 1964년에 크렘린 지도부는 흐루쇼프의 권력을 박탈하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서기장직을, 알렉세이 코시긴에게 총리직을 주었다. 흐루쇼프는 1894년 러시아 제국 쿠르스크 현 칼리놉카에서 태어났다. 젊었을 때, 금속 가공 노동자로 일했으며, 러시아 내전 동안 정치지도원이 되어 정치에 발을 들여놓았다. 볼셰비키가 내전에서 승리한 이후 라자리 카가노비치의 지원으로 소련에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스탈린의 대숙청을 도우며 우크라이나의 제1서기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장군들과 스탈린 간의 소통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스탈린그라드 방어전에 참여했다. 1953년 스탈린의 사망 이후 권력을 잡아 비밀 연설이라는 연설로 스탈린 격하 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흐루쇼프의 정책을 특히 농업 부분에서 크게 실패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미국에 양보적인 정책들은 소련 내에서 흐루쇼프의 반대파들에게 힘을 실어주게 만들었다. 그 결과 결국 흐루쇼프는 1964년 10월 축출당하게 된다. 이후 연금을 받으며 생활하던 흐루쇼프는 1971년 사망한다. 니키타 흐루쇼프 = 브라더후드 = 브라더후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브라더후드》는 2006년 미국의 드라마이다. 《브라더후드》는 2010년 미국의 영화이다. Brotherhood (뉴 오더의 음반) Brotherhood (케미컬 브라더스의 음반) = 일례우스 = 일례우스는 브라질 바이아주의 도시로 면적은 1,840.991km2, 높이는 52m, 인구는 220,943명(2006년 기준), 인구 밀도는 120명/km2이다. 주도인 사우바도르에서 남쪽으로 21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Xdebug = Xdebug는 디버깅과 프로파일링 기능을 제공하는 PHP 확장이다. DBGp 디버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Xdebug가 제공할 수 있는 디버그 정보는 다음을 포함한다: 오류 메시지 내 스택 및 함수 트레이스 메모리 할당 무한 반복 보호 Xdebug는 그 외에 다음을 제공한다: PHP 스크립트의 프로파일링 정보 코드 커버리지 분석 디버거 프론트엔드와 상호작용적으로 스크립트를 디버깅하는 기능 Xdebug는 PECL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 대항해시대 3 = 대항해시대 3(大航海時代III Costa del Sol)는 1996년 11월 29일에 코에이에서 발매한 컴퓨터 게임이다. 대한민국에는 1997년에 수입되었다. 비디오 게임으로도 출시하려 했으나 취소되었다. 대항해시대 시리즈의 세 번째 시리즈로 등장인물 중 다수가 실존했던 인물들이며, 게임의 흐름도 실제 역사와 같기 때문에 시리즈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묘사를 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 시대 배경 = = 대항해시대1이 시작되기 전이자 실제 대항해시대가 시작될 즈음인 1480년부터 게임이 시작된다. 게임을 시작할 때나 진행할 때는 플레이어가 게임상에서 개입을 하지 않는 한 역사적인 사실대로 진행해 나가게 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게임이 시작될 당시에는 이베리아 반도 일부가 이슬람 세력권에 있다. 콜럼버스가 1492년 신대륙을 발견한다. 1494년에 맺어진 토르데시야스 조약 체결 이후에는 포르투갈 왕국과 에스파니아 왕국 간의 상호 기항이 어렵게 된다. = = 게임 진행 = = 이전 대항해시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교역이나 해전도 있다. 그러나 이 게임은 세계를 모험하고, 유적과 보물 등을 "발견"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따라서 이전 시리즈와는 많이 다르다. 이 게임의 최대 목표는 세계일주를 가장 빨리하는 것이다. 즉, 경쟁자들보다 가장 먼저 세계일주를 하게 되면, 엔딩동영상을 볼 수 있으며, 이 후에도 게임을 계속 할 수 있다. 즉, 플레이어의 은퇴가 이 게임의 완전한 종료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어에 따라서는 전 세계의 발견물을 수집하여, 자택에 있는 백과사전에 이를 모두 채워 넣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하며,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통해서만 발견가능한, 전설의 제국인 무제국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시리즈 중에서 가장 자유도가 높으며, 게임 저장은 플레이어가 속해있는 나라의 영토에서만 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속한 국가에 적대하는 국가의 도시에 들어가려고 하면 이를 저지하는데, 육상을 통해 들어가 그 도시를 전투로서 점령하게 되면 그 도시는 자국령이 되고, 그때부터 그 도시에서 저장이 가능해진다. = = = 주인공 = = = 주인공은 게임에서 주어진 초심자용 캐릭터를 선택하거나 자유로운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국적은 포르투갈과 에스파니아만 선택할 수 있다. 초심자용 캐릭터는 이름과 능력이 정해져있는 반면 처음 시작할 때에 어느정도의 기반이 있다. 일반 캐릭터를 만드는 경우에는 얼굴,이름,나이,능력치를 게임을 시작할 때에 정할 수 있다. 연령이 적으면 배울 수 있는 특기가 적은 대신 체력과 무력이 뛰어나고, 연령이 많으면 배울 수 있는 특기가 많고 지력과 매력이 높은 대신 체력과 무력이 떨어진다. 일반 캐릭터를 만든 경우에는 게임을 진행하는 중 은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은퇴한 이후에는 다른 캐릭터로 시작할 때에 캐릭터로 게임 속에 다시 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 = 언어 = = = 대항해시대3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언어이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는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하고, 통하지 않는 언어로 쓰여진 책은 읽을 수조차 없다. 언어를 통하게 하기 위해서는 해당언어에 능통한 항해사를 고용하거나, 조합이나 교회 등에서 해당언어를 직접 배우는 수밖에 없다.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언어는 스페인어,포르투갈어,로망스어,게르만어,슬라브 그리스어,페르시아어,위구르어,아랍어,중국어,아프리카토착어,중남미토착어,동아시아토착어,동남아시아토착어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게임 초반에는 몇몇 특정언어는 이를 갖추고 있는 항해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언어의 장벽이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고 있기도 하다. 언어는 습득한 정도에 따라 0~3레벨까지로 나뉘며, 3레벨의 언어가 갖추어져 있어야만 완벽하게 그 언어로 소통이 가능하다. 도시에서 통용되는 언어의 레벨이 0인 경우에는 그 도시에서의 모든 대사가 X로 가려져 읽을 수 없으며, 레벨이 1,2인 경우에는 대사의 일부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다. 도서관에 있는 책은 적혀있는 언어를 3레벨로 완전히 갖추어야만 읽을 수 있다. 플레이어가 해당 언어를 모르고 있다면, 통역이 해당 언어를 알고 있어야만 그 대사를 해석할 수 있으며, 도서관에서 책을 읽을때는 통역뿐 아니라 고용된 항해사 중 어느 항해사라도 그 언어레벨이 3이라면 책을 읽을 수 있다. 타국의 도시를 점령한 경우에는 그 도시는 자국령이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도 자국의 언어로 바뀌어서 통역이 필요없게된다. 그러나 그 도시를 점령하였다 하더라도 그 도시의 도서관의 책에 적혀있는 언어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통역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대항해시대3 에서는 배울 수 있는 언어가 한정되어있다. 그러므로 무슨수를 다 써도 에디터를 쓰지 않고는 모든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 = 후원자 = = = 게임을 시작하면 플레이어에게는 자신이 소유하는 배가 없다. 모험을 하려면 후원자(스폰서)와 계약하고 자금 및 배를 지원받아야 한다. 이 게임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서 모험을 한다. 도서관(게임상에서)에서 힌트를 얻는다. 이러한 힌트를 바탕으로 후원자를 찾아가 설득을 하는데, 후원자의 기호 및 취향, 그리고 플레이어의 화술이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후원자에게서 선불금을 받고 배를 빌려서 항해하고, 여러군데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발견을 한 후, 후원자에게 증거품을 가져간다. 후원자에게 보고하고 증거품을 제출한다. 발견물의 가치에 따라 후원자에게 받는 사례금 및 명성의 상승폭이 다르다. 후원자와의 계약없이도 발견하는 것은 가능하나 이 경우, 자금 및 배를 원조받을 수 없으며, 발견물에 대한 발표를 할 때 명성의 상승 수치가 낮고, 주점에서 발견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후원자와 계약을 할 때보다 더 어렵다. 그러나 발견물에 대해 발표할 때 이를 자신이 소유할 수 있다. 증거품중에는 강력한 무기나 선수상등 게임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도 있다. 또한 후원자와 계약하고 발견물을 보고하러 갈 때 진품이 아닌 모조품을 증거품으로 줄 수도 있는데, 실패할 경우 악명이 상승하고, 장기간 감옥에서 있어야 하는 등의 위험부담이 있다. 게다가 서쪽 항로(신대륙) 발견 및 아프라카 남단 등 지리나 항로에 대한 발견은 후원자와 계약을 하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다. = = = 결혼, 후계자 = = = 이 게임에서는 세계 각국의 술집에 있는 여자와 결혼하고 플레이어의 집에서 같이 살 수 있다. 후손을 남기는 커멘드를 통해 자녀를 남길 수 있는데 자녀는 아들과 딸 각 1명씩 낳을 수 있으며, 오직 아들만을 후계자로 할 수 있다. 아들은 10세 이후에 직접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아들이 18세가 되면 후계자로 삼을 수 있다. 아들로 세대교체를 하는 경우의 아들은 아버지의 능력과 명성, 악명 등을 일부 계승한다. = = 주요 등장 인물 = = 인명 표기는 게임 내의 표기를 준수하고 있다. 게임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름 표기가 스페인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이름과 다른 표기가 되어있는 경우(예를 들면 크리스토퍼 콜롬버스가 아닌 크리스트발 콜론)가 많다. = = = 역사상의 인물 = = = 실존했던 인물도 많이 등장을 한다. = = = = 경쟁자 = = = = 역사상 대발견을 한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이들보다 앞서서 발견물을 발견하거나 지리상 발견을 하여 백과사전에 플레이어의 이름을 남기는 것이 이 게임의 목표 중 하나이다. 에르난 코르테스나 알브르케 등의 정복자는 특정한 시점에 도시를 정벌하여 그들이 속한 나라의 영토로 만들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이들이 속한 국적인 경우 도움이 되며, 적대적인 국가인 경우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 만일 이들과 일기토를 하여 승리하면, 이들의 행동을 다소 늦출 수 있다. 또한, 역사대로 이들이 죽는 해부터는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알브르케는 제외한다.). = = = = 기타 = = = = = = = 가공 인물 = = = 그밖에 대항해시대2의 등장인물들이 이 게임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 = = 기타 = = = 실제 대항해시대 때는 괴물에 대한 여러 전설이 있었으며, 게임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괴물과의 교전도 가능하게 하였다. 등장하는 괴물들은 다음과 같다. = = 오류 및 패치 = = = = = 오류 = = = 출시 초기에 오류가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항해시대 시리즈 중 가장 많은 경우이다. 패치를 통해서 수정하였다. 창 바깥을 클릭할 경우 게임이 강제로 종료되었다. 아랍 해적과 교전 후 게임이 강제로 종료되는 경우가 많았다. = = = 패치 후 변경된 점 = = = 처음부터 모든 후원자와의 면식이 있다. 경쟁자와의 일기토를 통한 행동 지연이 불가능하다. 출시 당시엔 제비뽑기를 통하여 교역품 '노예'에 대한 힌트를 얻고 아프리카에서 이벤트를 통한 노예 매매가 가능하였으나 윤리적인 측면에서 삭제되었다. 노예에 대한 부분이 삭제되었으나 게임 내에 등장하는 백과사전에는 이를 특별히 대체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백과사전을 모두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 =참조 항목 = = 대항해시대 대항해시대 등장인물 코에이 3 = 분류:뉴질랜드의 없어진 단체 = = 최갑석 (1929년) = 최갑석(崔甲錫, ~ )은 대한민국 육군 소장 예편한 대한민국 군인 겸 행정정치가이고 기업가 겸 대학 교수이다. = = 주요 이력 = = = = = 주요 경력 = = = 육군 이등병 입대 일등상사에서 현지임관으로 소위 임관 육군 제8사단장 육군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육군 소장 예편(1983년 10월 31일). 1984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1984년 8월). 1985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겸직(1985년 2월). 1988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직위 퇴임(1988년 2월). 1988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직위 퇴임(1988년 2월). 1988년 경상북도 영일군수 직무대행 서리(1988년 6월 11일) 1988년 경상북도 영일군수 직무대행 서리 퇴임(1988년 6월 28일). 1989년 신민주공화당 특임행정촉탁위원(1989년 2월). 1989년 신민주공화당 특임행정촉탁위원 직위 퇴임 및 신민공 탈당(1989년 5월 31일). 1989년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1989년 8월). 1992년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직위 퇴임(1992년 2월). 1992년 대한전국버스조합공정연합회 부회장(1992년 3월). 1995년 대한전국버스조합공정연합회 부회장 직위 퇴임(1995년 12월). 1996년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1996년 1월). 1996년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직위 퇴임 및 자민련 탈당(1996년 6월). 1996년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석좌교수(1996년 8월). 2002년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석좌교수(2002년 2월). = = = 학력 = = = 충청남도 대전고등보통학교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대한민국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 = = = 비학위 수료 = = =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닐스 보어 = 닐스 헨리크 다비드 보어(, ; ; 1885년 10월 7일 - 1962년 11월 18일)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다. 원자 구조의 이해와 양자역학의 성립에 기여했으며 훗날 이 업적으로 192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보어는 또한 철학자이자 과학적 연구의 발기인이기도 했다. 보어는 원자의 보어 모형을 개발했는데,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 이산적이며, 전자는 원자핵 주위의 안정적인 궤도를 돌지만 한 에너지 준위(또는 궤도)에서 다른 에너지 준위로만 이동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보어 모형은 후에 다른 모형으로 대체되었지만 그 기본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는 상보성 원리를 고안했다. 즉, 항목이 파동이나 입자의 흐름처럼 행동하는 것과 같은 모순된 속성의 관점에서 개별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보성의 개념은 과학과 철학 모두에서 보어의 생각을 지배했다.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에 이론물리학 연구소(현재의 '닐스 보어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 연구소는 1920년에 문을 열었다. 보어는 한스 크라머르스, 오스카르 클라인, 게오르그 해베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를 포함한 물리학자들을 멘토링하고 그들과 협력했다. 그는 발견된 코펜하겐의 라틴어 이름을 따서 하프늄으로 명명된 새로운 지르코늄-유사 원소의 존재를 예측했다. 나중에 원소 보륨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30년대에 보어는 나치즘의 난민들을 도왔다. 덴마크가 독일에게 점령당한 후, 그는 독일 핵무기 프로젝트의 수장이 된 하이젠베르크와 유명한 만남을 가졌다. 1943년 9월 보어는 독일군에게 체포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스웨덴으로 도피했다. 그곳에서 그는 영국으로 가서 미국 맨해튼 프로젝트에 대한 영국 임무인 튜브 앨로이스에 관여했다. 전쟁이 끝난 후 보어는 원자력에 관한 국제적 협력을 촉구했다. 그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와 덴마크 원자력위원회의 연구기관 리소(Research Establishment Risø of the Danish Atomic Energy Commission)의 설립에 참여했으며, 1957년 노르딕 이론물리학 연구소(Nordic Institute for Theoretical Physics)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 = 초년 = = 보어는 1885년 10월 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크리스티안 보어Christian BohrPolitiets Registerblade [Register cards of the Police] (in Danish). Copenhagen: Københavns Stadsarkiv. 7 June 1892. Station Dødeblade (indeholder afdøde i perioden). Filmrulle 0002. Registerblad 3341. ID 3308989.Pais 1991 pp. 44–45, 538–539., 코펜하겐 대학교 생리학 교수와 부유한 덴마크 유대인 아들러 은행 가문 출신인 다비드 B. 아들러David B. Adler의 딸인 엘렌 보어Ellen Bohr(née Adler)의 세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Pais 1991 pp. 35–39, 538–539. 그에게는 누나 제니Jenny와 남동생 하랄드Harald가 있었다. 제니는 교사가 되었고, 하랄드는 수학자이자 축구선수가 되어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덴마크 대표팀에서 뛰었다. 닐스도 열정적인 축구 선수이어서 닐스는 골키퍼로서 코펜하겐에 기반을 둔 (아카데믹 축구 클럽)에서 여러 경기에 함께 참가했다.There is no truth in the oft-repeated claim that Bohr emulated his brother, Harald, by playing for the Danish national team. Dart, James (27 July 2005). "Bohr's footballing career". The Guardian. London. 보어는 7살 때부터 가메홀름(Gammelholm) 라틴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Niels Bohr's school years". Niels Bohr Institute. 18 May 2012. 1903년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에 학부생으로 등록했다. 그의 전공은 물리학이었고 당시 대학의 유일한 물리학 교수인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Christian Christiansen 교수에게 배웠다. 그는 또한 토르발트 틸레Thorvald Thiele 교수에게 천문학과 수학을, 아버지의 친구인 하랄드 회프딩Harald Høffding 교수에게 철학을 공부했다.Pais 1991 pp. 98-99."Life as a Student". Niels Bohr Institute. 16 July 2012. 1905년, 1879년에 존 레일리 경이 제안한 액체의 표면 장력 측정 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덴마크 왕립 과학 및 문학 아카데미(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가 금메달 경쟁을 후원했다. 여기에는 워터 제트의 반지름의 진동 주파수 측정이 포함되었다. 보어는 대학에 있는 아버지의 실험실을 사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는데, 대학 자체에는 물리학 실험실이 없었다. 실험을 완료하기 위해 그는 필요한 타원형 단면을 가진 시험관을 만드는 자신의 유리 제품을 만들어야 했다. 그는 원래 작업을 넘어 물의 점도를 고려하고 바로 무한 진폭 대신 유한 진폭으로 작업함으로써 레일리의 이론과 그의 방법에 개선 사항을 통합했다. 마지막 순간에 제출한 그의 에세이가 상을 받았다. 그는 나중에 왕립학회의 철학적 회보(Th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에 게재하기 위해 개선된 버전의 논문을 런던의 왕립 학회에 제출했다.Rhodes 1986, pp. 62–63.Pais 1991 pp. 101-102.Aaserud & Heilbron 2013, p. 155. 1910년, 보어는 수학자 닐스 에릭 뇌룬트Niels Erik Nørlund의 여동생인 마그레테 뇌룬트Margrethe Nørlund를 만났다.Pais 1991 p. 112. 보어는 1912년 4월 16일 덴마크 교회의 회원 자격을 사임했고, 그와 마그레테는 8월 1일 슬라겔세 시청에서 시민 의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몇 년 후 그의 형제 하라드도 결혼하기 전에 교회를 떠났다.Pais 1991 pp. 133-134. 보어와 마그레테에게는 6명의 아들이 있었다.Pais 1991 pp. 226, 249. 가장 나이가 많은 크리스티안Christian은 1934년에 보트 사고로 사망했고,Stuewer 1985, p. 204. 또 다른 하랄드Harald는 어린 시절 뇌수막염으로 사망했다."Udstilling om Brejnings historie hitter i Vejle". ugeavisen.dk (in Danish). 11 April 2022. 오게 보어는 성공적인 물리학자가 되었고 1975년 그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오게의 아들 빌헴 A. 보어는 코펜하겐 대학교Schou, Mette Kjær (22 August 2019). "Bohr Group". icmm.ku.dk.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Neuroscience@NIH > Faculty > Profile". dir.ninds.nih.gov. Retrieved 19 October 2022.에 소속된 과학자이다. 한스Hans는 의사가 되었으며, 에릭Erik은 화학 엔지니어, 그리고 에르네스트Ernest은 변호사가 되었다."Niels Bohr – Biography". Nobelprize.org. Retrieved 10 November 2011. 그의 삼촌 하랄드와 마찬가지로 에르네스트 보어Ernest Bohr는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 덴마크의 필드 하키를 하는 올림픽 선수가 되었다."Ernest Bohr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 Olympics".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20. Retrieved 12 February 2013. = = 물리학 = = = = = 보어 모형 = = = 1911년 9월, 보어는 칼스버그 재단의 지원을 받아 영국을 여행했다. 당시에는 원자와 분자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인 작업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던 곳이었다.Kragh 2012, p. 122. 그는 케임브리지의 캐번디시 연구소와 트리니티 칼리지의 J. J. 톰슨을 만났다. 그는 제임스 진스와 조지프 라모어의 전자기학 강의에 참석하고 음극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지만 톰슨에게 깊은 인상을 주지는 못했다.[ Kennedy 1985, p. 6.Pais 1991 pp. 117-121.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Kragh 2012, p. 46. 및 뉴질랜드의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같은 젊은 물리학자들과 함께 더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1911년 작은 중앙 핵 러더포드 모형은 톰슨의 1904년 플럼 푸딩 모형(plum pudding model에 도전한 것이다.Pais 1991 pp. 121-125. 보어는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수행하라는 러더퍼드의 초청을 받았고,Kennedy 1985, p. 7. 거기서 보어는 게오르그 드 헤베시와 찰스 갈턴 다윈Galton Darwin(보어가 "진정한 다윈의 손자"라고 부름)을 만났다.Pais 1991 pp. 125-129. 보어는 결혼식을 위해 1912년 7월 덴마크로 돌아왔고 신혼 여행으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를 여행했다. 귀국 후 그는 코펜하겐 대학의 프리바트도젠트(Privatdozent)가 되어 열역학에 대한 강의를 했다. 마르틴 쿤드센Martin Knudsen은 1913년 7월에 승인된 도슨트를 위해 보어의 이름을 내세웠고, 보어는 의대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Pais 1991 pp. 134-135. 나중에 "3부작the trilogy"으로 유명해진 그의 3편의 논문은 그해 7월, 9월, 11월에 철학적 잡지(Philosophical Magazine)에 게재되었다.Bohr, Niels (1913).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 (PDF). Philosophical Magazine. 26 (151): 1–24.Bohr, Niels (1913).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I Systems containing several nuclei". Philosophical Magazine. 26 (155): 857–875.Pais 1991 p. 149. 그는 러더퍼드의 핵 구조를 막스 플랑크의 양자 이론에 적용하여 원자의 보어 모형을 만들었다.Bohr, Niels (1913).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 Systems Containing Only a Single Nucleus" (PDF). Philosophical Magazine. 26 (153): 476–502. 원자의 행성 모델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보어의 처리는 새로웠다.Kragh 2012, p. 22. 1912년 다윈의 논문에서 알파 입자와 핵의 상호작용에서 전자의 역할에 관한 논문을 출발점으로 삼아,Darwin, Charles Galton (1912). "A theory of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the alpha rays". Philosophical Magazine. 23 (138): 901–920.Arabatzis, Theodore (2006).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18. 그는 원자를 안정시키기 위해 원자핵 주위를 양자화된 "정지 상태"의 궤도로 이동하는 전자 이론을 발전시켰지만, 그가 각 원소의 화학적 특성이 원자의 외부 궤도에 있는 전자의 수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은 1921년 논문이 되어서였다.Kragh, Helge. "Niels Bohr's Second Atomic Theory." Historical Studies in the Physical Sciences, vol. 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pp. 123–86, Bohr, "Atomic Structure," Nature, 107. Letter dated 14 February 1921.원자의 전자 구조의 전체 개발에 대해서는 보어 모형 및 주기율표를 참조하라.Kragh 1985, pp. 50–67. 그는 전자가 이산 에너지 양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더 높은 에너지 궤도에서 더 낮은 궤도로 떨어질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도입했다. 이것은 현재 구 양자 이론(old quantum theory)으로 알려진 것의 기초가 되었다.Heilbron 1985, pp. 39–47. 1885년 요한 발머는 수소 원자의 가시 스펙트럼 선들을 설명하기 위해 발머 계열을 고안했다. {\displaystyle {\frac {1}{\lambda }}=R_{\mathrm {H} }\left({\frac {1}{2^{2}}}-{\frac {1}{n^{2}}}\right)\quad {\text{for}}\ n=3,4,5,...} 여기서 λ는 흡수되거나 방출된 빛의 파장이고 RH는 뤼드베리 상수이다.Heilbron 1985, p. 43. 발머의 공식은 추가 분광선의 발견으로 확증되었지만, 30년 동안 아무도 그것이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다. 그의 3부작의 첫 번째 논문에서, 보어는 자신의 모형으로부터 이를 도출할 수 있어서: R_{Z}={2\pi ^{2}m_{e}Z^{2}e^{4} \over h^{3}} 여기서 m_{e}는 전자의 질량, e는 전하, h는 플랑크 상수, Z는 원자의 원자 번호(수소의 경우 1)이다.Pais 1991 pp. 146–149. 이 모형의 첫 번째 장애물은 발머의 공식에 맞지 않는 라인인 피커링 시리즈(Pickering series)였다. 알프레드 파울러Alfred Fowler가 이에 대한 도전을 받았을 때 보어는 이온화된 헬륨, 즉 전자가 하나뿐인 헬륨 원자에 의해 발생했다고 대답했다. 보어 모형은 그러한 이온에 대해 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톰슨, 레일리 및 헨드릭 로런츠와 같은 많은 나이든 물리학자들은 3부작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러더퍼드, 다비드 힐베르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엔리코 페르미, 막스 보른 및 아르놀트 조머펠트를 포함한 젊은 세대는 그것을 획기적인 것으로 보았다.Pais 1991 pp. 152-155.Kragh 2012, pp. 109–111. 삼부작의 수용은 전적으로 다른 모형을 방해하는 현상을 설명하고 실험에 의해 이후에 검증된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 때문이었다.Kragh 2012, pp. 90–91."Forecasting – Prediction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if it's about the future!". cranfield.ac.cuk 10 July 2017. Prediction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if it's about the future". 오늘날 원자의 보어 모델은 대체되었지만 고등학교 물리학 및 화학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여전히 가장 잘 알려진 원자 모형이다.Kragh 2012, p. 39. 보어는 의대생을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러더퍼드가 임기가 만료된 다윈 대신 리더(reader)로 일할 것을 제안해 맨체스터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그는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휴직을 했으며, 동생 하랄드, 한나 아들러Hanna Adler와 함께 티롤에서 휴가를 보내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그는 괴팅겐 대학교와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를 방문하여 좀머펠트를 만나 3부작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했다. 그들이 티롤에 있는 동안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덴마크로 돌아가는 여행과 보어가 이어지는 1914년 10월에 도착한 마그레테와 함께 영국으로 항해는 대단히 복잡했다. 그들은 1916년 7월까지 머물렀으며, 그때까지 그는 코펜하겐 대학교애서 그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이론물리학 교수로서 임명되었다. 그의 도슨트 자격이 동시에 폐지되었기 때문에 그는 여전히 의대생들에게 물리학을 가르쳐야 했다. 새로 임명된 교수들은 공식적으로 국왕 크리스티안 10세에게 소개되었는데, 국왕은 그렇게 유명한 축구 선수를 만난 기쁨을 표현했다.Pais 1991 pp. 164-167. = = = 물리학 연구소 = = = 1917년 4월 보어는 이론물리학 연구소를 설립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그는 덴마크 정부와 칼스버그 재단의 지원을 받았고 산업계와 개인 기부자도 상당한 기여를 했으며 대부분이 유대인이었다. 연구소를 설립하는 법률은 1918년 11월에 통과되었다. 현재 닐스 보어 연구소로 알려진 이 연구소는 1921년 3월 3일에 보어가 소장으로 문을 열었다. 그의 가족은 1층에 있는 아파트로 이사했다.Aaserud, Finn (January 1921). "History of the institute: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Niels Bohr Institute.Pais 1991 pp. 169-171. 보어의 연구소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양자역학 및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원들의 초점 역할을 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론물리학자들은 대부분 그의 연구소에서 시간을 보냈다. 일찍 도착한 사람들은 네덜란드의 한스 크라머르스, 스웨덴의 오스카르 클레인, 헝가리의 개오르그 드 헤베시, 폴란드의 보이치에흐 루비노비치Wojciech Rubinowicz, 노르웨이의 스베인 로셀란트Svein Rosseland이다. 보어는 원만한 호스트이자 저명한 동료로서 널리 인정받았다.Kennedy 1985, pp. 9, 12, 13, 15.Hund 1985, pp. 71–73. 클레인과 로셀란트는 연구소가 문을 열기도 전에 첫 출판물을 제작했다. 보어 모형은 아인슈타인에게 깊은 인상을 준 수소와 이온화된 단일 전자 헬륨에 대해 잘 작동했지만,From Bohr’s Atom to Electron Waves Age of Entanglement, Louisa Gilder, p.799, 2008. 더 복잡한 요소를 설명할 수 없었다. 1919년까지, 보어는 전자가 핵 주위를 공전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전자를 기술하는 휴리스틱 이론을 개발했다. 희토류 원소는 화학적으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화학자들에게 특별한 분류 문제를 제기했다. 중요한 발전은 1924년 볼프강 파울리의 파울리 배타원리의 발견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는 보어의 모형을 확고한 이론적 토대 위에 놓았다. 그 후 보어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 72가 희토류 원소가 아니라 지르코늄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원소라고 선언할 수 있었다. (원소들은 1871년부터 화학적 성질에 의해 예측되고 발견되었다.Periodic Table and History of the periodic table showing elements predicted by chemical properties since Mendeleev.) 프랑스 화학자 조르주 어뱅Georges Urbain은 희토류 원소 72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으며 그는 이를 "celtium"이라고 불렀다. 코펜하겐 연구소에서 더크 코스터Dirk Coster와 게오르그 드 헤베시는 보어가 옳고 어뱅이 그르다는 것을 증명하는 도전에 착수했다. 미지의 원소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아이디어로 시작하여 검색 과정을 크게 단순화했다. 그들은 지르코늄과 같은 원소를 찾기 위해 코펜하겐 광물학 박물관에서 샘플을 조사했고 곧 찾았다. 그들이 하프늄(하프니아(Hafnia)는 코펜하겐의 라틴어 이름)이라고 명명한 원소는 금보다 더 흔한 것으로 밝혀졌다.Kragh 1985, pp. 61–64.Pais 1991 pp. 202-210. 1922년 보어는 "원자의 구조와 원자에서 방출되는 복사선의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Pais 1991 p. 215. 따라서 이 상은 3부작과 양자역학의 신흥 분야에서 그의 초기 주도적 업적을 인정했다. 그의 노벨 강연에서 보어는 청중에게 그가 공식화한 대응 원리를 포함하여 원자의 구조에 대해 당시 알려진 것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제공했다. 이것은 양자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시스템의 거동이 큰 양자수의 한계에서 고전물리학을 재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Bohr 1985, pp. 91–97. 1923년 아서 콤프턴에 의한 콤프턴 산란의 발견은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에게 빛이 광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너지와 운동량이 전자와 광자 사이의 충돌에서 보존된다는 것을 확신시켰다. 1924년, 보어, 크레이머, 그리고 코펜하겐 연구소에서 일하는 미국 물리학자 존 C. 슬레이터John C. Slater는 보어-크라머르스-슬레이터 이론(Bohr–Kramers–Slater theory)(BKS)을 제안했다. 그 발전된 아이디어가 정량적으로는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완전한 물리 이론이라기보다 프로그램에 가까웠다. BKS 이론은 전자기장의 고전파 기술에 양자 제한을 가하여 양자 현상을 취급하는 구 양자 이론을 기반으로 물질과 전자기 복사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려는 마지막 시도가 되었다.Bohr, N.; Kramers, H. A.; Slater, J. C. (1924). "The Quantum Theory of Radiation" (PDF). Philosophical Magazine. 6. 76 (287): 785–802.Pais 1991 pp. 232-239. 보어 궤도의 (다른) 겉보기 주파수가 아닌 흡수 및 방출 주파수에서 "가상 진동자(virtual oscillators)"를 사용하여 입사 전자기 복사 하에서 원자 거동을 모델링함으로써 막스 보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및 크라머르스는 다른 수학적 모형을 탐구하게 되었다. 그들은 현대 양자역학의 첫 번째 형태인 행렬 역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BKS 이론은 또한 구 양자 이론의 기초에 있는 어려움에 대한 토론을 일으키고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Jammer 1989, p. 188. BKS의 가장 도발적인 요소인 운동량과 에너지는 각 상호 작용에서 반드시 보존되는 것은 아니며 통계적으로만 보존된다는 것이 발터 보테와 한스 가이거가 수행한 실험과 충돌하는 것으로 곧 밝혀졌다.Pais 1991 p. 237.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서, 보어는 다윈에게 "우리의 혁명적 노력을 가능한 한 명예로운 장례식으로 바치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습니다"라고 알렸다.Pais 1991 p. 238. = = = 양자역학 = = = 1925년 11월 조지 울렌벡George Uhlenbeck과 사무엘 구드스미트Samuel Goudsmit의 [스핀] 도입은 이정표였다. 다음 달, 보어는 헨드릭 로런츠의 박사학위 취득 5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라이덴으로 여행했다. 그의 기차가 함부르크에 정차했을 때 볼프강 파울리와 오토 슈테른이 그를 만나 스핀 이론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보어는 전자와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다. 그가 라이덴에 도착했을 때 파울 에렌페스트와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보어에게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알렸다. 그런 다음 보어는 울렌벡과 구드스미트에게 이것을 그들의 논문으로 구체화하게 했다. 그렇게, 그가 돌아오는 길에 괴팅겐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파스쿠알 요르단을 만났을 때, 그는 자신의 말로, "전자 자기 복음의 예언자"가 되었다.Pais 1991 p. 243. 하이젠베르크는 1924년에 처음으로 코펜하겐에 왔다가 1925년 6월에 괴팅겐으로 돌아와 양자 역학의 수학적 기초를 개발했다. 괴팅겐에 있는 막스 보른에게 결과를 보여주었을 때 보른은 행렬을 사용하여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작업은 1926년 9월에 6개월 동안 코펜하겐에 온 영국 물리학자 폴 디랙의 관심을 끌었다.Pais 1991 pp. 275-279.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도 1926년에 방문했다. 파동 역학을 사용하여 고전적인 용어로 양자 물리학을 설명하려는 그의 시도는 보어는, "수학적 명확성과 단순성에 많은 기여를 하여 이전 형태의 양자 역학을 뛰어넘는 엄청난 발전"이라고 믿었다.Pais 1991 pp. 295-299. 크라머르스가 1926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교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연구소를 떠났을 때, 보어는 하이젠베르크가 돌아와서 코펜하겐 대학교의 크라머르스의 자리의 강사(lektor)로 임명되었다.Pais 1991 p. 263. 하이젠베르크는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코펜하겐에서 대학 강사이자 보어의 조수로 일했다.Pais 1991 pp. 272-275. 보어는 빛이 파동과 입자 둘 다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고, 1927년 실험을 통해 (전자와 같은) 물질도 파동처럼 행동한다는 드 브로이 가설을 확인했다.Pais 1991 p. 301. 그는 상보성의 철학적 원리를 생각했다. 즉, 항목들은 실험적 틀에 따라 파동이나 입자의 흐름과 같이 명백하게 상호 배타적인 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MacKinnon 1985, pp. 112–113. 그는 그것이 전문 철학자들에 의해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다고 느꼈다.MacKinnon 1985, p. 101. 1914년 칼스버그 양조의 상속인인 칼 자콥슨Carl Jacobsen은 그의 저택(칼스버그 명예 거주지, 현재는 칼스버그 아카데미로 알려져 있다)을 과학, 문학 또는 예술에 가장 두드러진 공헌을 한 덴마크 사람이 명예 거주지(덴마크어: Æresbolig)로 평생 사용하도록 유산으로 남겼다. 하랄드 회프딩이 첫 번째 거주자였으며 1931년 7월 그가 사망하자 왕립 덴마크 과학 및 문학 아카데미(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는 보어에게 점유권을 부여했다. 그와 그의 가족은 1932년에 그곳으로 이사했다.Pais 1991 pp. 332-333. 1939년 3월 17일 그는 그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Pais 1991 pp. 464-465. 1929년까지 베타 붕괴 현상으로 인해 보어는 에너지 보존 법칙을 포기해야 한다고 다시 제안했지만 엔리코 페르미의 가상 중성미자와 1932년 중성자의 발견은 또 다른 설명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보어는 1936년에 핵에 의해 중성자가 포획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복합 핵(compound nucleus)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서 핵은 액체 방울처럼 변형될 수 있다. 그는 1938년 갑자기 사망한 덴마크 물리학자 프리츠 칼카르Fritz Kalckar라는 새로운 협력자와 함께 이 문제를 연구했다.Pais 1991 pp. 337–340, 368–370.Bohr, Niels (20 August 1937). "Transmutations of Atomic Nuclei". Science. 86 (2225): 161–165. Bibcode:1937Sci....86..161B. 1938년 12월 오토 한의 핵분열 발견(및 리제 마이트너의 이론적 설명)은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어는 이 소식을 미국에 가져왔고 1939년 1월 26일 페르미와 함께 제5차 워싱턴 이론 물리학 회의를 열었다.Stuewer 1985, pp. 211–216. 보어가 조지 프라제크Georg Placzek에게 이것이 초우라늄 원소의 모든 미스터리를 해결했다고 말했을 때 플라제크는 그에게 아직 하나, 즉 우라늄의 중성자 포획 에너지가 붕괴 에너지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 남아 있다고 말하였다. 보어는 몇 분 동안 그것에 대해 생각한 다음 플라제크, 레옹 로젠펠드Léon Rosenfeld 및 존 휠러에게 "나는 모든 것을 이해했다."라고 발표했다.Pais 1991 p. 456. 핵의 액체 방울 모형에 기초하여 보어는 열 중성자와 핵분열을 주로 담당한 것은 더 풍부한 우라늄-238이 아니라 우라늄-235 동위원소이라고 결론지었다. 1940년 4월, 존 R. 더닝John R. Dunning은 보어가 옳았다는 것을 증명했다. 한편, 보어와 휠러는 "핵분열의 메커니즘"에 관한 1939년 9월 논문에 발표한 이론적인 취급을 개발했다.Bohr, Niels; Wheeler, John Archibald (September 1939). "The Mechanism of Nuclear Fission" (PDF). Physical Review. 56 (5): 426–450. = = 철학 = = 하이젠베르크는 보어에 대해 그는 "물리학자가 아니라 주로 철학자"라고 말했다.Honner 1982, p. 1. 보어는 19세기 덴마크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를 읽었다. 리차드 로데스Richard Rhodes는 원자폭탄의 제조(The Making of the Atomic Bomb)에서 보어가 회프딩을 통해 키에르크고르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Rhodes 1986, p. 60. 1909년, 보어는 생일 선물로 동생에게 키에르케고르의 인생길의 여러 단계(Stages on Life's Way)를 보냈다. 동봉된 편지에서 보어는 "집에 보내야 할 것은 이것뿐이지만 더 좋은 것을 찾기가 그리 쉽지는 않을 것 같다 … 내가 읽은 것 중 가장 매혹적인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보어는 키에르케고르의 언어와 문학 스타일을 즐겼지만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에는 약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87] Faye 1991, p. 37. 보어의 전기 작가 중 일부는 이 불일치는 키에르케고르의 기독교 옹호에서 비롯되었으며, 보어는 무신론자였다고 시사했다.Stewart 2010, p. 416.Aaserud & Heilbron 2013, pp. 159–160: "키에르케고르에 대한 느슨한 메모에서 종교에 대한 진술은 보어의 많은 편지에 나타나는 황량함의 개념에 빛을 던질 수 있다. '나는 어떤 식으로든 신과 연합되어 있다고 느끼지 않고, 그에 따라 키에르케고르보다 훨씬 더 가난하지만 가치와 권리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Aaserud & Heilbron 2013, p. 110: "보어의 유머, 비유와 이야기의 사용, 관용, 가족에 대한 의존, 부채감, 의무감, 죄책감, 과학, 공동체, 그리고 궁극적으로 일반적으로 인류에 대한 책임감은 유대인의 공통된 특성이다. 지적인. 강화된 무신론도 마찬가지이다. 보어는 자신의 가르침을 계시에 근거한다고 주장하는 모든 종교에 대한 종교적 믿음과 혐오로 끝맺었다." 키에르케고르가 보어의 철학과 과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어왔다. 데이비드 파브홀트David Favrholdt는 키에르케고르가 액면 그대로 키에르케고르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보어의 진술을 받아 보어의 작업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지만,Favrholdt 1992, pp. 42–63. 얀 페이Jan Faye는 이론의 일반적인 전제와 구조를 수용하지만 이론의 내용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Pais Richardson & Wildman 1996, p. 289. = = = 양자 물리학 = = = 양자 역학에 대한 보어의 견해와 철학에 대한 많은 후속 토론과 토론이 있었다.Camilleri & Schlosshauer 2015 양자 세계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과 관련하여 보어는 반실재론자, 도구주의자, 현상학적 실재론자 또는 다른 종류의 실재론자로 여겨져 왔다. 더욱이 일부 사람들은 보어를 주관주의자나 실증주의자로 보았지만,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보어가 검증주의(verificationism)나 대상이 측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을 주장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보어에 대한 오해라는 데 동의한다.Faye, Jan,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9 Edition), Edward N. Zalta (ed.) URL = 보어는 "양자 세계는 없고 추상적인 양자 물리적 설명"만 있을 뿐이라는 말을 자주 인용된다. 이것은 보어가 말한 것이 아니라 보어의 사후 회상으로 보어의 철학을 요약하려고 시도한 아게 페테르센Aage Petersen이 말한 것이다. N. 데이비드 머민David Mermin은 빅토어 바이스코프가 보어가 그런 종류의 말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선언하고 "보어의 입에 그런 우스꽝스러운 말을 한 것에 대해 아게 페테르센이 부끄럽다!"라고 회상했다.Mermin 2004 많은 학자들은 임마누엘 칸트의 철학이 보어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해 왔다. 칸트처럼 보어는 주체의 경험과 대상을 구분하는 것이 지식을 얻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대상의 경험을 기술하기 위해 인과적 및 공간적-시간적 개념의 사용을 통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얀 페이Jan Faye에 따르면 보어는 "공간", "위치", "시간", "인과" 그리고 "운동량"과 같은 "고전적" 개념 덕분에 대상과 대상의 객관적 존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보어는 "시간"과 같은 기본 개념이 우리의 일상 언어에 내장되어 있으며 고전 물리학의 개념은 단지 그것들의 정제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보어를 위해서는, 우리는 양자 세계를 다루는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 고전적인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 보어가 쓰기를: 현상이 고전적 물리적 설명의 범위를 초월하더라도 모든 증거에 대한 설명은 고전적 용어로 표현되어야 함을 인식하는 것이 결정적이다. 그 주장은 단순히 '실험'이라는 단어는 우리가 한 것과 우리가 배운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하며, 그러므로, 실험 배열과 관찰 결과에 대한 설명은 반드시 고전 물리학 용어를 적절하게 적용하여 명확한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APHK, p. 39). 페이에 따르면 보어가 양자 현상을 설명하는 데 고전적 개념이 필요하다고 믿었던 이유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있다. 페이는 설명을 다음의 다섯 가지 틀로 분류하나: 경험주의(즉, 논리실증주의); 칸트주의(또는 고전적 아이디어는 마음이 감각 인상에 부과하는 선험적 개념이라는 신칸트주의 학파의 인식론); 실용주의(인간이 경험적으로 필요와 관심에 따라 원자 체계를 가지고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둔다.); 다윈주의(즉, 우리는 고전적 유형 개념을 사용하도록 적응되었으며, 레옹 로젠펠드는 우리가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도록 진화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실험주의(고전적으로 기술되어야 하는 실험의 결과와 기능에 엄격하게 초점을 맞추는). 이러한 설명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어떤 때는 보어는 다른 요소를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때때로 이러한 양상들을 강조한다. 패이에 따르면 "보어는 원자를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원자는 발견적이거나 논리적인 구성이 아니다." 그러나 페이에 따르면 그는 "양자역학 형식주의가 우리에게 양자 세계의 상징적 표현이 아니라 한 문자적인 것('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참이라고 믿지 않았다. 따라서 보어의 상보성의 아론은 "다른 무엇보다도 어떤 존재론적 암시를 수반하는 양자역학의 의미론적이고 인식론적인 해석이다." 페이가 설명하듯이 보어의 '정의불가능성 논문(indefinability thesis)'은 특정 운동학적 또는 동적 값을 한 원자 대상에 부여하는 문장의 참 조건(truth condition)은 관련된 장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러한 참 조건들은 실험적 설정과 더불어 실험의 실제 결과에 대한 참조를 포함해야 한다. 페이는 보어의 해석이 "측정 중 파동 함수의 붕괴"에 대해 참조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실제로 그는 이 아이디어를 언급한 적이 없다). 대신 보어는 "ψ-함수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뿐 실제적인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보른 통계적 해석을 수용했다." 보어로서는, ψ-함수는 실재의 한 문자적 그림적(literal pictorial) 표현이 아니기 때문에, 파동 함수의 실제 붕괴는 있을 수 없다. 최근 문헌에서 많은 논쟁거리가 된 점은 보어가 원자와 원자의 실재성에 대해 무엇을 믿었는지, 그리고 원자가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다른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헨리 폴스Henry Folse와 같은 일부는 보어가 관찰된 현상과 선험적 살재 사이의 구별을 보았다고 주장한다. 얀 파예는 이 입장에 동의하지 않으며, 보어에게는 양자 세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양자 형식주의와 상보성이며 또한 "보어의 글에는, 그가 한 원자적 대상에, 측정에서 나타나는 고전적 속성에 더하여, (우리에게 이해하기 어렵고 접근할 수 없지만) 내재적이고 측정-독립적인 상태 속성에 귀속시키려 했다는 것을 나타나는 더 이상의 어떤 증거는 없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 = 나치즘과 제2차 세계대전 = = 독일에서 나치즘이 부상하자 많은 학자들이 유대인이거나 나치 정권의 정치적 반대자라는 이유로 고국을 떠나게 되었다. 1933년 록펠러 재단은 난민 학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만들었으며 보어는 1933년 5월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 록펠러 재단 회장인 Max Mason과 이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했다. 보어는 난민들에게 연구소에서 임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록펠러 재단의 펠로우십을 받을 수 있도록 주선했으며, 궁극적으로 전 세계의 기관에 자리를 마련했다. 그가 도운 사람들은 귀도 벡Guido Beck, 펠릭스 블로흐, 제임스 프랑크, 게오르그 드 헤베시, 오토 프리쉬Otto Frisch, 힐데 레비Hilde Levi, 리제 마이트너, 조지 플라제크George Placzek, 유진 라비노비치Eugene Rabinowitch, 스테판 로젠탈Stefan Rozental, 에리히 에른스트 슈나이더Erich Ernst Schneider, 에드워드 텔러, 아서 폰 히펠Arthur von Hippel 및 빅토어 바이스코프이다.Pais 1991 pp. 382-386. 1940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나치 독일은 덴마크를 침공하여 점령했다.Pais 1991 p. 476. 독일인들이 막스 폰 라우에와 제임스 프랑크의 노벨상 금메달을 발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어는 드 헤베시에게 왕수에 그것들을 녹이게 했다. 이 형태로, 그들은 전쟁이 끝난 후 금이 침전되고 노벨 재단이 메달을 다시 주조될 때까지 연구소의 선반에 보관되었다. 보어 자신의 메달은 핀란드 구호 기금에 경매로 기부되었으며 1940년 3월 아우구스트 크로그의 메달과 함께 경매에 부쳐졌다. 구매자는 나중에 두 개의 메달을 프레데릭스보르 성에 있는 덴마크 역사 박물관에 기증했으며 그곳에서 여전히 보관되고 있다."A unique gold medal". www.nobelprize.org. Retrieved 6 October 2019. 보어는 연구소를 계속 운영했지만 외국 학자들은 모두 떠났다.Pais 1991 pp. 480-481. = = = 하이젠베르크와의 만남 = = = 보어는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과 직후 영국과 덴마크의 강연에서 우라늄-235를 사용하여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고 있었지만 충분한 양의 우라늄-235를 추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믿지 않았다.Gowing 1985, pp. 267–268. 1941년 9월, 독일 핵 에너지 프로젝트의 수장이 된 하이젠베르크는 코펜하겐의 보어를 방문했다. 이날 만남에서 두 사람은 외부에서 사적인 시간을 보냈고, 그 내용은 서로 다른 설명을 하여 많은 추측을 불러 일으켰다. 하이젠베르크에 따르면, 그는 핵 에너지, 도덕 및 전쟁을 다루기 시작했으며, 이에 대해 보어는 하이젠베르크에게 자신의 의견에 대한 힌트를 주지 않고 갑자기 대화를 종료함으로써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Heisenberg 1984, p. 77. 하이젠베르크의 학생이자 친구인 이반 수펙Ivan Supek은 회의의 주요 주제가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라고 주장했는데, 그는 영국과 독일 사이의 평화를 중재하기 위해 보어를 설득하려고 제안했다.Portal Jutarnji.hr (19 March 2006). "Moj život s nobelovcima 20. stoljeća" [My Life with the 20th century Nobel Prizewinners]. Jutarnji list (in Croat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ne 2009. Retrieved 13 August 2007. Istinu sam saznao od Margrethe, Bohrove supruge. ... Ni Heisenberg ni Bohr nisu bili glavni junaci toga susreta nego Carl Friedrich von Weizsaecker. ... Von Weizsaeckerova ideja, za koju mislim da je bila zamisao njegova oca koji je bio Ribbentropov zamjenik, bila je nagovoriti Nielsa Bohra da posreduje za mir između Velike Britanije i Njemačke. [나는 보어의 아내인 마그레테로부터 진실을 배웠다... 이 만남의 주인공은 보어도 하이젠베르크도 아닌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였다. 리벤트로프의 부관이었던 그의 아버지가 아이디어를 낸 것으로 생각되는 폰 바이츠제커의 아이디어는 닐스 보어를 설득하여 영국과 독일 사이의 평화를 중재하는 것이었다.] An interview with Ivan Supek relating to the 1941 Bohr – Heisenberg meeting. 1957년 하이젠베르크는 로베르트 융크Robert Jungk에게 편지를 썼는데 당시 그는 천 개의 태양보다 밝은ː 원자 과학자들에 대한 개인적 역사 (Brighter than a Thousand Suns: A Personal History of the Atomic Scientists)라는 책을 쓰고 있었다. 하이젠베르크는 자신이 여러 독일 과학자들의 견해를 보어에게 전달하기 위해 코펜하겐을 방문했으며, 핵무기 생산은 엄청난 노력으로 가능했으며, 이는 양측의 세계 과학자들에게 막중한 책임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Heisenberg, Werner. "Letter From Werner Heisenberg to Author Robert Jungk". The Manhattan Project Heritage Preservation Association,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October 2006. 보어는 책의 덴마크어 번역에서 융크의 묘사를 보았을 때, 그는 하이젠베르크의 방문 목적을 결코 이해하지 못했으며, 하이젠베르크에 보내기 위하여 독일이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며 핵무기가 결정적일 수 있다는 하이젠베르크의 의견에 충격을 받았다는 것을 언급하는 편지의 초안을 작성했다(그러나 보내지 않았다).Aaserud, Finn (6 February 2002). "Release of documents relating to 1941 Bohr-Heisenberg meeting". Niels Bohr Archive. 마이클 프레인Michael Frayn의 1998년 연극 코펜하겐은 1941년 하이젠베르크와 보어의 만남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탐구한다."Copenhagen – Michael Frayn". The Complete Review. 연극의 BBC 텔레비전 영화 버전은 2002년 9월 26일에 스티븐 레이가 보어로, 다니엘 크레이그가 하이젠베르크로 출연하여 처음 상영되었다. 같은 회의는 1992년 BBC의 호라이즌(Horizon) 과학 다큐멘터리 시리즈로 이전에 각색되었으며, 앤서니 베이트Anthony Bate가 보어로, 필립 앤서니Philip Anthony가 하이젠베르크로 출연했다.Horizon: Hitler's Bomb, BBC Two, 24 February 1992 이 회의는 노르웨이/덴마크/영국 미니시리즈 더 헤비 워터 워(The Heavy Water War)로 각색되었다."The Saboteurs – Episode Guide". Channel 4. Retrieved 3 March 2017. = = = 맨해튼 프로젝트 = = = 1943년 9월 보어와 그의 형제 하랄드에게 나치는 그들의 어머니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나치는 그들의 가족을 유대인으로 간주했으며 따라서 그들이 체포될 위험에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덴마크 저항군은 보어와 그의 아내가 9월 29일 바다를 통해 스웨덴으로 탈출하는 것을 도왔다.Rozental 1967, p. 168.Rhodes 1986, pp. 483–484. 다음날 보어는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프 5세를 설득하여 스웨덴이 유대인 난민들에게 망명을 제공할 의사가 있음을 발표했다. 1943년 10월 2일, 스웨덴 라디오는 스웨덴이 망명을 제안할 준비가 되었다고 방송했고, 그 후 동족에 의한 대규모의 덴마크 유대인의 구조가 신속하게 뒤따랐다. 일부 역사가들은 보어의 행동이 대규모 구출로 이어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보어가 동포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지만 그의 행동이 더 넓은 범위의 사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주장한다.Hilberg 1961, p. 596.Kieler 2007, pp. 91–93.Stadtler, Morrison & Martin 1995, p. 136. 결국 7,000명이 넘는 덴마크계 유태인들이 스웨덴으로 탈출했다.Pais 1991 p. 479. 보어가 탈출했다는 소식이 영국에 전해지자 처웰 경Lord Cherwell은 보어에게 전보를 보내 그에게 영국으로 와달라고 요청했다. 보어는 10월 6일 영국해외항공(BOAC)에서 운영하는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를 타고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Jones 1985, pp. 280–281.Powers 1993, p. 237. 모스키토는 작고 귀중한 화물이나 중요한 승객을 실어 나르기 위해 개조된 비무장 고속 폭격기였다. 고속 및 높은 고도 비행을 통해 독일이 점령한 노르웨이를 가로질러 독일 전투기를 피할 수 있었다. 낙하산, 비행복 및 산소 마스크를 착용한 보어는 항공기의 폭탄 구역(bomb bay)에 있는 매트리스에 누워 3시간 동안 비행했다.Thirsk 2006, p. 374. 비행 중 보어는 비행 헬멧이 너무 작아서 비행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항공기가 노르웨이 상공을 위해 높은 고도로 올라갈 때 산소 공급 장치를 켜라는 조종사의 인터콤 지시를 듣지 못했다. 그는 산소 결핍으로 기절했고 항공기가 북해 상공의 낮은 고도로 하강했을 때만 소생했다.Rife 1999, p. 242.Medawar & Pyke 2001, p. 65.Jones 1978, pp. 474–475. 보어의 아들 오게는 일주일 후 다른 비행기를 타고 아버지를 따라 영국으로 갔고 그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Jones 1985, pp. 280–282. 보어는 제임스 채드윅과 존 앤더슨John Anderson경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보어는 눈에 뜨이지 않았다. 그는 세인트제임스궁의 아파트와 영국 튜브 앨로이스 핵무기 개발 팀의 사무실을 제공 받았다. 보어는 그 동안의 발전에 놀랐다.Pais 1991 pp. 491. 채드윅은 보어가 튜브 앨로이스 컨설턴트로서 미국을 방문하고 오게를 조수로 하도록 주선했다.Cockcroft 1963, p. 46. 1943년 12월 8일, 보어는 워싱턴 DC에 도착하여 맨해튼 계획 책임자인 레슬리 그로브스 준장을 만났다. 그는 뉴저지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에서 아인슈타인과 파울리를 방문하고 핵무기가 설계되고 있던 뉴멕시코의 로스앨러모스로 갔다.Pais 1991 pp. 498-499. 보안상의 이유로 그는 미국에서 "나콜라스 베이커Nicholas Baker"라는 이름으로, 오게는 "제임스 배이커James Baker"로 이름을 바꾸었다.Gowing 1985, p. 269. 1944년 5월 덴마크의 레지스탕스 신문 디 프리 댄스키(De frie Danske)는 전년도 10월에 '덴마크 교수 닐스 보어의 유명한 아들'이 그의 나라를 떠나 스웨덴을 거쳐 런던으로 그리고 그는 거기서 전쟁 지원으로 추청될수 있는 모스크바로 여행한 것을 알게 되었음을 보도했다."Professor Bohr ankommet til Moskva" [Professor Bohr arrived in Moscow]. De frie Danske (in Danish). May 1944. p. 7. 보어는 로스앨러모스에만 머물지 않고 다음 2년 동안 일련의 연장된 방문을 했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보어가 "젊은 남성들, 특히 리처드 파인먼에게 과학적 아버지 역할을 하는 것"의 공로를 인정했다.Pais 1991 p. 497. 보어는 "그들은 원자 폭탄을 만드는 데 내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말했다.Pais 1991 p. 496. 오펜하이머는 변조된 중성자 개시자(Modulated neutron initiator)에 대한 작업에 대한 중요한 기여에 대해 보어에게 공을 돌렸다. 오펜하이머는 "이 장치는 완고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지만 1945년 2월 초에 닐스 보어는 해야 할 일을 명확히 했다."라고 말했다. 보어는 핵무기가 국제 관계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것을 일찍부터 인식했다. 1944년 4월, 그는 보어가 스웨덴에 있을 때 몇 달 전에 쓰여진 것으로 표트르 카피차로부터 그를 소련으로 초대하는 편지를 받았다. 그 편지는 소련이 영미 프로젝트를 알고 있고 따라잡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보어에게 확신시켰다. 그는 카피차에 약속하지 않은 응답을 보냈고, 게시하기 전에 이를 영국 당국에 보여주었다.Gowing 1985, p. 270. 보어는 1944년 5월 16일 처칠을 만났지만 "우리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Gowing 1985, p. 271. 처칠은 자신의 편지에서 "내게는 보어는 감금되어야 하거나 혹은 그가 치명적인 범죄에 매우 가까이 있다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알게 하여야 할 것으로 보였다."라고 한 점에서 러시아인에 대한 개방이라는 그의 아이디어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Aaserud 2006, p. 708. 오펜하이머는 보어가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을 방문하여 맨해튼 계획이 결과를 가속화하기 위해 소련과 공유되어야 한다고 설득할 것을 제안했다. 보어의 친구인 대법관 펠릭스 프랑크푸르터Felix Frankfurter는 보어의 의견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알렸고 두 사람의 만남은 1944년 8월 26일에 있었다. 루즈벨트는 보어가 영국의 승인을 얻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갈 것을 제안했다.Rhodes 1986, pp. 528–538.Aaserud 2006, pp. 707–708. 처칠과 루즈벨트가 1944년 9월 19일 하이드 파크에서 만났을 때, 그들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세상에 알리는 아이디어를 거부했으며, 그리고 그들 대화의 기억-보조문(aide-mémoire)은 "보어 교수의 활동에 대해 조사와 또한, 특히 러시아인에게, 정보 누출에 대한 책임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가 있어야 한다"는 첨부를 포함했다.U.S. Government 1972, pp. 492–493. 1950년 6월, 보어는 원자핵 에너지에 관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국제 연합에 보냈다.Aaserud 2006, pp. 708–709.Bohr, Niels (9 June 1950). "To the United Nations (open letter)". Impact of Science on Society. I (2): 68. * Bohr, Niels (July 1950). "For An Open World".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6 (7): 213–219.Pais 1991 pp. 513-518. 1950년대 소련의 첫 번째 핵무기 실험 이후 보어의 제안에 따라 국제 원자력 기구가 창설되었다.Gowing 1985, p. 276. 1957년 그는 최초의 평화를 위한 원자 상(Atoms for Peace Award)을 수상했다.Craig-McCormack, Elizabeth. "Guide to Atoms for Peace Awards Records" (PDF).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March 2010. = = 말년 = = 전쟁이 끝나자 보어는 1945년 8월 25일 코펜하겐으로 돌아왔고 9월 21일 덴마크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재선되었다.Pais 1991 p. 504. 1947년 10월 17일 아카데미에서 4월에 사망한 크리스티안 10세를 위한 추도식에서 새로운 왕 프리드리히 9세가 보어에게 코끼리 훈장(Order of the Elephant)을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일반적으로 왕족과 국가 원수에게만 수여되었지만 왕은 보어 개인뿐만 아니라 덴마크 과학에 영예를 안겼다고 말했다.Pais 1991 pp. 166, 466–467.Wheeler 1985, p. 224. 보어는 태극도(음양의 상징)와 라틴어 모토인 contraria sunt complementa, "반대는 상보적이다"를 특징으로 하는 자신의 문장 (상징)을 디자인했다."Bohr crest". University of Copenhagen. 17 October 1947. 제2차 세계 대전은 과학, 특히 물리학이 이제 상당한 재정적, 물질적 자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으로의 두뇌 유출을 피하기 위해 유럽 12개국이 연합하여 미국 국립 연구소의 라인에 따른 연구 조직으로, 그 중 어느 한 곳의 자원을 넘어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을 만들었다. 시설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대한 질문이 곧 제기되었다. 보어와 크라머르스는 코펜하겐의 연구소가 이상적인 장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예비 토론을 조직한 피에르 오제Pierre Auger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보어와 그의 연구소 모두 전성기가 지났으며 보어의 존재가 다른 사람들을 압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오랜 토론 끝에 보어는 1952년 2월에 CERN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고 10월에 제네바가 부지로 선택되었다. CERN 이론 그룹은 1957년에 제네바에 새 숙소가 준비될 때까지 코펜하겐에 있었다.Pais 1991 pp. 519-522. 훗날 CERN의 사무총장(Director General)이 된 빅토어 바이스코프는 보어의 역할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의 아이디어를 시작하고 구상한 다른 인물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위업의 사람이 그것을 지지하지 않았다면, 다른 사람들의 열정과 아이디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요약했다.Pais 1991 p. 521.Weisskopf, Victor (July 1963). "Tribute to Niels Bohr". CERN Courier. 2 (11): 89. 한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1957년에 보어를 의장으로 하는 노르딕 이론물리학 연구소(Nordic Institute for Theoretical Physics)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덴마크 원자력위원회의 연구기관 리소(Research Establishment Risø of the Danish Atomic Energy Commission) 설립에 참여했으며 1956년 2월부터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Pais 1991 pp. 523-525. 보어는 1962년 11월 18일 칼스버그에 있는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Niels Bohr". CERN Courier. 2 (11): 10. November 1962. 그는 화장되었고 그의 유해는 그의 부모, 그의 형제 하랄드,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과 함께 코펜하겐의 뇌레브로(Nørrebro) 구역에 있는 어시스텐스 묘지(Assistens Cemetery)의 가족 묘역에 묻혔다. 몇 년 후, 그의 아내의 유해도 그곳에 안장되었다.Pais 1991 p. 529. 그의 80번째 생일이었던 1965년 10월 7일에 코펜하겐 대학의 이론물리학 연구소는 공식적으로 이름이 수년간 비공식적으로 불리던 닐스 보어 연구소로 개명되었다."History of the Niels Bohr Institute from 1921 to 1965". Niels Bohr Institute.Reinhard, Stock (October 1998). "Niels Bohr and the 20th century". CERN Courier. 38 (7): 19. = = 수상 = = 보어는 수많은 영예와 찬사를 받았다. 노벨상 외에도 1921년 휴즈 메달 (Hughes Medal), 1923년 마테우치 메달, 1926년 프랭클린 메달(Franklin Medal),"Niels Bohr – The Franklin Institute Awards – Laureate Database". Franklin Institute. 1938년 코플리 메달, 1947년 코끼리 훈장, 1947년 평화를 위한 원자 상과 1957년과 1961년 소닝상(Sonning Prize)을 받았다. 그는 1923년에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N. H. D. Bohr (1885–1962)".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925년 미국국립과학원의 국제 회원,"Niels Bohr". www.nasonline.org. 1926년에는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Cockcroft 1963. 1940년 미국철학학회의 국제 회원,"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그리고 194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국제 명예 회원이 되었다."Niels Henrik David Bohr".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보어 모형의 반세기는 1963년 11월 21일 덴마크에서 보어, 수소 원자 및 두 수소 에너지 준위의 차이 공식: {\displaystyle h\nu =\epsilon _{2}-\epsilon _{1}} 을 나타내는 기념 우표와 함께 기념되었다.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보어를 묘사한 우표를 발행했다.Kennedy 1985, pp. 10–11. 1997년, 덴마크 국립은행은 보어가 파이프 담배를 우는 초상화와 함께 500크로네권 지폐를 유통하기 시작했다.Danmarks Nationalbank 2005, pp. 20–21."500-krone banknote, 1997 series". Danmarks Nationalbank. 2012년 10월 7일, 닐스 보어의 127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구글의 홈페이지에 수소 원자의 보어 모형을 묘사한 구글 두들이 등장했다."Niels Bohr's 127th Birthday". www.google.com/doodles#archive. Retrieved 7 October 2021. 소행성 3948 보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Klinglesmith, Daniel A., III; Risley, Ethan; Turk, Janek; Vargas, Angelica; Warren, Curtis; Ferrero, Andera (January–March 2013). "Lightcurve Analysis of 3948 Bohr and 4874 Burke: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PDF). Minor Planet Bulletin. 40 (1): 15.보어 달분화구와 원자번호 107번의 화학 원소인 보륨도 그러했다."Names and symbols of transfermium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1997)". Pure and Applied Chemistry. 69 (12): 2472. 1997. = = 저서 목록 = = Bohr, Niels (1922). The Theory of Spectra and Atomic Constitution; three essay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08). Nielsen, J. Rud (ed.). Volume 1: Early Work (1905–1911). Amsterdam: Elsevier. —— (2008). Nielsen, J. Rud (ed.). Volume 2: Work on Atomic Physics (1912–1917). Amsterdam: Elsevier. —— (2008). Nielsen, J. Rud (ed.). Volume 3: The Correspondence Principle (1918–1923). Amsterdam: Elsevier. —— (2008). Nielsen, J. Rud (ed.). Volume 4: The Periodic System (1920–1923). Amsterdam: Elsevier. —— (2008). Stolzenburg, Klaus (ed.). Volume 5: The Emergence of Quantum Mechanics (mainly 1924–1926). Amsterdam: Elsevier. —— (2008). Kalckar, Jørgen (ed.). Volume 6: Foundations of Quantum Physics I (1926–1932). Amsterdam: Elsevier. —— (2008). Kalckar, Jørgen (ed.). Volume 7: Foundations of Quantum Physics I (1933–1958). Amsterdam: Elsevier. —— (2008). Thorsen, Jens (ed.). Volume 8: The Penetration of Charged Particles Through Matter (1912–1954). Amsterdam: Elsevier. —— (2008). Peierls, Rudolf (ed.). Volume 9: Nuclear Physics (1929–1952). Amsterdam: Elsevier. —— (2008). Favrholdt, David (ed.). Volume 10: Complementarity Beyond Physics (1928–1962). Amsterdam: Elsevier. —— (2008). Aaserud, Finn (ed.). Volume 11: The Political Arena (1934–1961). Amsterdam: Elsevier. —— (2008). Aaserud, Finn (ed.). Volume 12: Popularization and People (1911–1962). Amsterdam: Elsevier. —— (2008). Aaserud, Finn (ed.). Volume 13: Cumulative Subject Index. Amsterdam: Elsevier. = 역색인 = 컴퓨터 과학에서 역색인, 역 인덱스, 역 파일은 낱말이나 숫자와 같은 내용물로부터의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특정 지점이나 문서 또는 문서 집합 안에 저장하는 색인 데이터 구조이다. 역색인의 목적은 문서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될 때 늘어나는 처리를 위해 빠른 전문 검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역 파일은 색인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파일 그 자체를 가리킬 수도 있다. 문서 검색 시스템에 쓰이는 가장 대중적인 데이터 구조로서, 이를테면 검색 엔진과 같은 대규모에 쓰인다. 일부 중요한 일반 목적 메인프레임 기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은 역색인 구조를 사용해 왔으며 아다바스, 데이터콤/DB, 모델 204 등이 있다. 역색인은 두 가지 주된 종류가 있다: 레코드 단위의 역색인, 낱말 단위의 역색인 = 육군개발청 = 육군개발청(陸軍開發廳, )은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의 산하기관 중 하나다. 훈련, 조직, 물자계획 등 행정업무를 담당한다. 직제상 사단급 사령부로 취급된다. 육군청의 후계기관이라 할 수 있다. = = 직제 = = 청장 - 기관 수장 참모부 참모장 기초/개요 (Grundlagen/Querschnitt; Grdlg/Quer) 전투개발 (Weiterentwicklung Kampf; WE Kpf) 수색/지원개발 (Weiterentwicklung Aufklärung/Unterstützung; WE Aufkl/Ustg) 급조폭발물대응 (C-IED) 조직 (Organisation; Org) = = 역대 청장 = = 소장 에어하르트 드레프스: 2013년 6월 27일-2014년 11월 24일 소장 볼프강 쾨프케: 2014년 11월 24일-2016년 9월 22일 소장 라인하르트 볼스키: 2016년 9월 22일-현재 = 마빈 바칼로츠 = 마빈 바칼로츠(Marvin Bakalorz, 1989년 9월 13일, 헤센주 오펜바흐 암 마인 ~)는 독일의 축구 선수로, 현재 터키 쉬페르리그의 클럽 데니즐리스포르 소속이다. = 분류:95 mm 포 = = 틀:가넷 크로우 = = 분류:197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 레킹 크루 = 레킹 크루(Wrecking Crew, )는 닌텐도가 개발, 배급한 1985년 액션 비디오 게임이다. 사카모토 요시오가 설계하였으며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용 런칭 타이틀로 출시되었다. 게임 음악은 다나카 히로카즈가 작곡하였다. 안전모를 착용하고 슬레지해머를 든 마리오가 주인공이며 게임 목적은 건물을 철거하는 것이다. = 틀:패럴림픽 바이애슬론 = = 603 = 603(육백삼)은 602보다 크고 604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3, 9, 67, 201, 603이다. = = 기타 = = 날짜: 6월 3일 연도: 603년 기원전 603년 6e02 603 = 대전대양초등학교 = 대전대양초등학교는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6년 9월 11일 대전대양초등학교 설립인가 1998년 9월 1일 21학급(780명) 편성 인가 1998년 9월 14일 교사 준공(교실 39, 특별실 12) 1998년 10월 2일을 법정 개교기념일로 지정 1999년 3월 1일 27학급 편성(1,050명) 2001년 3월 1일 시지정 독서교육 시범학교(2년) 2003년 3월 1일 39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03년 3월 1일 시지정 영재교육 연구학교(2년) 2006년 3월 1일 39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06년 9월 1일 교육부지정 초등영어 연구학교(2년) 2007년 3월 1일 37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07년 4월 9일 새솔관 준공(다목적 강당, 식당) 2008년 2월 14일 지혜의 샘 준공(도서관) 2008년 3월 1일 34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09년 3월 1일 33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09년 3월 1일 시지정 교과용도서개발 연구학교(1년) 2010년 3월 1일 32학급(특수1학급 포함) 편성 2010년 3월 1일 시지정 사교육 없는 학교 연구학교(1년) 2015년 3월 1일 31학급(특수2학급 포함)편성 = 2020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선 토너먼트 = 2020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선 토너먼트는 2020년 9월 26일부터 12월 19일까지 카타르에서 열렸다. 2020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결선 토너먼트에서 총 16개팀들이 경쟁하였다. = = 진출팀 = = 조별리그에서 8개 조의 1위와 2위는 16강에 진출하며, 서부 지역(A–D조)과 동부 지역(E–H조)은 모두 8개의 팀이 진출했다. 지역 조 1위 2위 서부 지역 A 알아흘리 에스테글랄 서부 지역 B 파흐타코르 샤바브 알아흘리 서부 지역 C 페르세폴리스 알타아원 서부 지역 D 알나스르 알사드 동부 지역 E 베이징 FC 멜버른 빅토리 동부 지역 F 울산 현대 FC 도쿄 동부 지역 G 비셀 고베 수원 삼성 블루윙즈 동부 지역 H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상하이 상강 = = 진행 방식 = = 결선 토너먼트에서, 16개 팀이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치르고, 결승전까지 두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각 동점은 중립지역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고, 코로나19 범유행 이전에 계획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차전 치르는 기반 대신이었다. 연장전과 승부차기는 필요한 경우 승자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 경기 일정 = = 각 라운드의 일정은 다음과 같다. 라운드 서부 지역 동부 지역 16강전 2020년 9월 26–27일 2020년 12월 6–7일 8강전 2020년 9월 30일 2020년 12월 10일 준결승전 2020년 10월 3일 2020년 12월 13일 결승전 2020년 12월 19일 2020년 12월 19일 코로나19 범유행 이전에 계획된 원래 일정은 다음과 같다. *16강전: 5월 18–19일 (서부 1차전), 5월 25–27일 (서부 2차전 & 동부 1차전), 6월 16–17일 (동부 2차전) *8강전: 8월 24–26일 (1차전), 9월 14–16일 (2차전) *준결승전: 9월 29–30일 (1차전), 10월 20–21일 (2차전) *결승전: 11월 22일 (1차전), 11월 28일 (2차전) 2020년 3월 2일에 개최 된 동부 지역 및 2020년 3월 7 ~ 8일에 개최 된 서부 지역의 회원 협회 대표들과의 회의 후 서부 지역에서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이 8월 10 ~ 12일 및 24 ~ 26일, 9월 14 ~ 16일 및 28 ~ 30일, 10월 20 ~ 21일 및 27 ~ 28일에 변경시행 의결되었다. 2020년 7월 9일, AFC는 결승전 경기를 단판으로 중립 지역에서 개최하기로 발표했다. 그리고 서부 지역 16강, 8강전 및 준결승전은 9월 26일부터 27일, 9월 30일, 10월 3일에, 동부 지역 16강, 8강전과 준결승전은 11월 4일, 11월 25일 및 11월 28일. 결승전은 12월 5일, 중립지역에서 개최할 것을 발표했다. 2020년 9월 10일, AFC는 동부 지역 16강, 8강전과 준결승전을 12월 6-7일, 12월 10일, 12월 13일에 치르도록 계획을 변경했으며 결승전은 12월 19일로 미뤄졌다고 발표하였다. = = 경기장 =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본 대회는 카타르의 다음 경기장에서 치러지게 된다.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서부 16경기 2라운드, 동부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도하 (16경기 2라운드)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8강전 2회, 준결승전 1회)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동부 지역 16강전 2회) = = 대진표 = = 결선 토너먼트의 대진은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라운드 서부 지역 동부 지역 16강전 *A조 1위 vs. B조 2위 *B조 1위 vs. A조 2위 *C조 1위 vs. D조 2위 *D조 1위 vs. C조 2위 *E조 1위 vs. F조 2위 *F조 1위 vs. E조 2위 *G조 1위 vs. H조 2위 *H조 1위 vs. G조 2위 8강전 (16강전 이후 추첨으로 결정) *8강 서부 1 *8강 서부 2 (16강전 이후 추첨으로 결정) *8강 동부 1 *8강 동부 2 준결승전 *준결승 서부: 8강 서부 1 승자 vs. 8강 서부 2 승자 *준결승 동부: 8강 동부 1 승자 vs. 8강 동부 2 승자 결승전 *서부 아시아 준결승전 승자 vs. 동부 아시아 준결승전 승자 *서부 아시아 준결승전 승자 vs. 동부 아시아 준결승전 승자 대진표는 8강 추첨 후 결정된다. 서부 지역의 8강전 추첨은 2020년 9월 28일 오전 11:00(UTC+3) 기준으로,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다. 동부 지역의 8강전 추첨은 2020년 12월 8일 오전 11시( UTC + 3) 기준으로, 카타르 도하에서 열릴 것이다. = = 16강전 = = = = = 요약 = = = 16강전에서는 한 조의 1위 팀이 같은 지역의 다른 조의 2위 팀과 겨루게 되고, 조별리그 추첨에 의해 매치업이 결정된다. = = = 서부 지역 = = = = = = 동부 지역 = = = = = 8강전 = = = = = 요약 = = = 8강전에서는 서부 지역 4팀이 2경기로 나뉘어 치르고, 동부 지역 4팀이 2경기로 나뉘어 치르는데, 시드 배정이나 국가 보호 없이 추첨으로 매치업이 결정되었다. 서부 지역 8강전 추첨은 2020년 9월 28일에, 동부 지역 8강전 추첨은 2020년 12월 8일에 진행되었다. = = = 서부 지역 = = = = = = 동부 지역 = = = = = 준결승전 = = = = =요약 = = = 준결승전을 앞두고 2020년 9월 28일 오전 11시(중부아라비아 표준시)에 카타르 도하에서 서부 지역 4간전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 동부 지역 추첨되었다. = = = 서부 지역 = = = = = = 동부 지역 = = = = Acoustica = Acoustica는 독일의 하드 록 밴드 스콜피언스의 언플러그드 라이브 음반이다. 이 음반은 2001년 이스트웨스트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과의 녹음과 공동 음반 Moment of Glory를 발매한 후, 밴드와 크리스티안 코오노비츠는 오랫동안 많은 팬들이 요구해왔던 이 프로젝트를 실현했다. = = 배경 = = Acoustica는 2001년 2월 포르투갈 리스본에 있는 컨벤토 두 비토에서 열린 세 번의 콘서트에서 녹음되었다.Acoustica Tour 2001 @ www.the-scorpions.com 클라우스 마이네가 DVD에 코멘트를 하듯이 밴드로서는 가장 특이한 세트였다. 이 그룹은 여성 백 보컬, 타악기 연주자, 추가 기타리스트, 키보디스트 크리스티안 코오노비츠의 지원을 받았다. 코오노비츠도 어쿠스틱 세트 편곡 작업에 협력했다. 그는 이전에 Moment of Glory 음반에서 지휘자와 편곡자로 밴드와 함께 일한 적이 있다. 스콜피언스는 4곡의 신곡 〈Life Is Too Short〉, 〈Back to You〉, 〈I Wanted to Cry〉, 〈When Love Kills Love〉를 선보였다.When Love Kills Love single @ www.the-scorpions.com 모든 신곡이 VHS에 수록되었고, 〈Back to You〉와 이전에 녹음된 5곡이 CD에서 누락되었다. Acoustica에는 더 카스의 〈Drive〉, 캔자스의 〈Dust in the Wind〉, 퀸의 히트곡 〈Love of My Life〉의 커버 버전도 수록되어 있다. 2003년 워너 뮤직 타일랜드에서 공식 '플래티넘 에디션'이 발매되었는데, 이 음반은 오리지널 CD와 VCD를 결합했다. VCD에는 태국 TV 제작진이 영어로 진행하는 밴드 인터뷰뿐만 아니라 비하인드 장면과 리허설 영상이 담겨 있다. = = 반응 = = 이 음반은 브라질에서 골드 지위를 얻었고, DVD는 플래티넘 지위를 얻었다. 포르투갈에서 이 음반은 5만장이 팔리며 1위로 올라섰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루돌프 쉥커와 클라우스 마이네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인증 = = = = = 음반 = = = = = = 비디오 = = = = 카트리 쿨무니 = 카트리 브리타 일로나 쿨무니(, 1987년 9월 4일 ~ )는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현재 중앙당의 대표이다. = = 초기 생애와 교육 = = 2018년 라플란드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 = 정치 경력 = = 2015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2019년 재선에 성공했다. 재선 이후 안티 린네 내각의 경제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2019년 9월 7일 중앙당 전당대회에서 안티 카이코넨을 꺾고 새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2019년 9월 12일 미카 린틸래의 후임 부총리로 임명되었다. 린네 내각이 붕괴되고 산나 마린 내각이 출범한 이후 재무부 장관으로 등용되었다. 2020년 6월 5일 자신이 맡고 있던 2개 부처로 송금된 56,203 유로를 미디어 트레이닝에 사용한 사실이 알려지자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직을 사임했다. 사임 이틀 전 그는 해당 돈을 모두 갚았다고 언론에 전했다. 6월 8일 마티 반하넨 전 총리가 두 직책을 승계했다. = = 논란 = = 2019년 재무장관으로 임명된 직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정부가 시리아에 있는 IS와 연계된 자국 여성을 송환해야 하는가, 혹은 그의 아이들만 송환해야 하는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올렸다가 역풍을 맞았다. 이는 휴먼 라이츠 워치의 비판을 받았고, 이후 해당 스토리를 삭제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했다.Anne Kauranen (December 13, 2019), 'Seriously, Finland?' Red-faced minister deletes Instagram poll Reuters. = Invasion of Privacy = Invasion of Privacy는 래퍼 카디 비의 정규 데뷔 음반으로, 2018년에 발매되었다. 빌보드 200 차트 1위 음반이자,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인증 트리플 플래티넘 등급 음반이다. = 껍질불로초속 = 껍질불로초속(Trachyderma)이태수(2012). "한국 기록종 버섯의 속(屬) 이상 분류체계"은 담자균강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에 속하는 균류 속의 하나이다. = = 하위 종 = = 거친껍질불로초조덕현(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 2" = 헝산향 = 헝산향은 중화민국 신주 현의 향이다. 넓이는 66.3502km2이고, 인구는 2015년 8월 기준으로 13,582명이다. = = 교통 = = 타이완 철로관리국 네이완 선 = 2013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013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2013 Recopa Sudamericana)는 2013년 7월 3일과 7월 17일에 열린 20번째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대회이다. 201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팀인 코린치앙스와 2012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팀인 상파울루가 맞붙었다. 1차전 경기는 브라질 상파울루에 위치한 이스타지우 두 모룸비에서, 2차전 경기는 브라질 상파울루에 위치한 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에서 열렸다. 코린치앙스가 상파울루를 합계 4-1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경기 = = = = = 1차전 = = = GK 1 호제리우 세니 (c) DF 23 도글라스 DF 3 루시우 DF 2 하파에우 톨로이 DF 16 주앙 MF 7 호드리구 카이우 MF 15 데니우송 MF 8 간수 MF 10 자드송 FW 17 오즈바우두 FW 9 루이스 파비아누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12 데니스 DF 4 호도우푸 MF 5 웰링통 MF 18 마이콩 MF 20 루카스 이반젤리스타 FW 11 아데미우송 FW 19 알로이지우 감독: 감독: 감독: 네이 프랑쿠 네이 프랑쿠 네이 프랑쿠 네이 프랑쿠 = = = 2차전 = = = GK 12 카시우 DF 21 이데니우송 DF 4 지우 DF 13 파울루 안드레 DF 6 파비우 산투스 MF 5 하우프 MF 19 길례르미 MF 20 다닐루 (c) FW 17 호마리뉴 FW 11 이메르송 FW 9 파올로 게레로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22 다닐루 페르난지스 DF 2 알레산드루 DF 3 시캉 MF 18 입송 MF 8 헤나투 아우구스투 MF 10 도글라스 FW 7 알레샨드리 파투 감독: 감독: 감독: 치치 치치 치치 치치 2013 = 틀:비자유 컴퓨터 아이콘 = = 분류:오세아니아의 전쟁 = = 분류:1981년 재진입한 우주선 = = 코마츠 (토리코) = 코마츠(小松)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토리코의 등장인물이다. 더빙판에서는 마츠로 불린다. = = 프로필 = = 토리코의 파트너. IGO 직속 5성 레스토랑인 구루메 호텔의 요리장이고 29세이다(이 사실에 토리코도 조금 놀랐을 정도.). 귀빈을 대접할 식재료인 가라라 악어의 사냥을 토리코에게 의뢰하면서 처음 만났다. 토리코의 사냥을 보고 감탄하여 그 뒤로 식자재에 대한 궁금점을 해소 시키는 것과 희귀한 식자재를 맛보고 요리해 보기위해 토리코와 함께 여행을 하다가 토리코로부터 인정 받아 파트너가 된다. 사천왕인 토리코, 코코, 써니, 제브라등 토리코와 관련된 인물들을 거의 다 알고 있으며 후에는 써니와 제브라도 그를 파트너로 삼고싶어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요리 실력은 말할 필요 없이 일류이고 요리 도구를 다루는 것도 일류이다. 뛰어난 미각 덕분에 요리에 어떤 식재료가 쓰였는지 파악하는 것이 빠르고 정확하다. 뿐만 아니라 식재료에게 선택받는 요리인 중 한명이기도 하다. 또한 추후 이러한 능력을 이용해 여러 수많은 요리들을 만들어낸다.(차후 요리랭킹88위에올라간다) 이러한 능력은 아카시아의 풀코스 중 하나인 식왕 에어를 조리할 때도 발휘되었고,결국은 성공해냈다. 식칼 원래 자신의 식칼2개와를 사용하였으나, 하나는 부러져 새로운 식칼'멜크의 식칼'을 얻게 되었다. 파트너 파트너는 월 펭귄인 융 = 마란하오붉은손고함원숭이 = 마란하오붉은손고함원숭이(Alouatta ululata)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고함원숭이의 일종이다. 현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브라질이 원산지다. 이전에는 붉은손고함원숭이의 아종의 하나로 간주하였다. = 분류:맘루크 = = 분류:영국의 패스트푸드 체인 =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하이랜더(Toyota Highlander)는 토요타가 제조하는 전륜구동 기반의 준대형 SUV이다. 토요타 캠리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세대 일본 내수용의 차명인 "크루거"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중국에서는 "크라운 크루거"라는 차명으로 판매한다. = = 1세대 = = 2000년에 첫 출시했다.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은 직렬 4기통 2.4리터와 V6 3.0리터가 장착됐다. 일본에서는 1세대만 판매했으며, "크루거"라는 차명으로 판매했다. = = 2세대 = = 2007년에 출시했으며, 2세대부터 일본 외 시장용으로 생산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세대 단종 후 토요타 뱅가드로 대체했다. 2009년부터 미국 인디애나주 프린스턴 현지공장과 중국 광저우 현지공장에서도 생산을 시작했다. = = 3세대 = = 2013년에 공개했으며, 3세대부터 일본에서 생산하지 않는다. = = 4세대 = = 2019년에 공개했으며, 캠리 등에 깔리는 TNGA-K 전륜구동 플랫폼으로 교체했다. 2.5리터 가솔린 자연흡기 하이브리드와 295마력 V6 3.5리터 DOHC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으나, V6 3.5리터 DOHC 엔진은 2022년에 265마력 2.4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으로 대체됐다. 2.4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은 그랜드 하이랜더와 공용한다. 2.5리터 하이브리드는 캠리와 ES 등에 쓰이는 엔진을 공용한다. 승차 정원은 7인승과 8인승을 선택할 수 있으며, 7인승은 2열에 독립식 시트가 적용된다. 대한민국에는 2023년 7월 25일에 4세대를 통해 처음으로 소개됐으며, 2.5리터 가솔린 자연흡기 하이브리드 4륜구동 7인승 사양이 들어왔다. 카스테레오의 스피커는 JBL의 유닛이 적용됐다. 뒷좌석 센터 콘솔에는 C타입 USB 잭 2개와 120V 파워 아웃렛이 장착됐다. 북미 사양에는 2023년부터 장축형인 그랜드 하이랜더가 추가됐다. 또한 그랜드 하이랜더의 플랫폼으로 렉서스 TX가 개발됐으며, 시장에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던 렉서스 RX의 장축형을 대체한다. 그랜드 하이랜더와 TX도 기존 하이랜더와 함께 프린스턴 현지공장에서 생산한다. = = 판매 대수 = = 연도 미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중국 연도 오버레일 하이브리드 오스트레일리아 하이랜더 크라운 클루거 2001 86,700 N/A 2002 113,134 N/A 2003 120,174 N/A 1,380Australia 2004: Commodore undisputed leader, BestSellingCarsBlog, January 3, 2005. Retrieved 8 November 2020 2004 133,077 N/A 7,655 2005 137,409 17,989 7,160Australia 2006: Commodore limits fall thanks to new gen, Falcon down to #3!, BestSellingCarsBlog, January 2, 2007. Retrieved 8 November 2020> 2006 129,794 31,485 4,973 2007 127,878 22,052 7,886Australia 2008: Corolla ahead until July, Commodore saved by Sportwagon version, Toyota Hilux #1 twice, BestSellingCarsBlog, January 9, 2009. Retrieved 8 November 2020 2008 104,661 19,441 13,424 2009 83,118 11,086 12,848Australia Full Year 2010: Commodore #1 for 15th year in a row, BestSellingCarsBlog, January 9, 2011. Retrieved 8 November 2020 35,410 2010 92,121 7,456 13,117 80,841 2011 101,252 4,549 11,692Australia Full Year 2012: Mazda3 leads again in record market, no local model on podium for the first time since 1930s!, BestSellingCarsBlog, January 5, 2013. Retrieved 8 November 2020 94,633 2012 121,055 5,921 13,239 75,059 2013 127,572 5,070 12,668Australia Full Year 2013: Toyota Corolla finally tops record market, BestSellingCarsBlog, January 16, 2014. Retrieved 22 October 2020 95,216 2014 146,127 3,621 11,484 84,490 2015 158,915 4,015 13,955 75,205 2016 191,379 5,976 11,829 92,000 2017 215,775 16,864 12,509 100,244 2018 244,511 3,236 14,743 104,856 2019 239,438 10,127 11,371 98,506 2020 212,276 48,455 8,403 95,304 2021 264,128 65,167 9,320 107,733 25,893 2022 222,805 43,711 12,562 = 분류:북아메리카의 영화 = = 제42회 NHK 홍백가합전 = 제42회 NHK 홍백가합전는 1991년 12월 31일에 방송된 통산 42회째인 NHK 홍백가합전이다. = = 소개 = = 걸프전쟁, 소련해체, 버블경제붕괴라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どんなときも。」, 「愛は勝つ」등 메시지 있는 노래가 히트했다. = = 사회자 = = 종합사회 - 야마카와 시즈오 아나운서 홍조(紅組) - 아사노 유우코 백조(白組) - 사카이 마사아키 = = 심사원 = = 마스이 미츠코 : 90년 여성 최초 다마 동물공원 원장 취임. 야마사키 도요코 : 91년 소설 『大地の子』로 제 39회 기쿠치간상 수상. 아키야마 고지 : 세이부 라이온스를 90년에 이어 1991년 일본 시리즈도 우승으로 이끈 공적으로 일본 시리즈 MVP 및 쇼리키 마쓰타로상 수상. 아시하라 스나오 : 91년 청춘소설 『青春デンデケデケデケ』로 제 105회 나오키상 수상. 하나다 마사루·다카노하나 코지 : 스모 마에가시라. 오가타 나오토 : 92년 NHK 대하드라마 『信長 KING OF ZIPANGU』 주인공 오다 노부나가 역. 와시오 이사코 : 『信長 KING OF ZIPANGU』에서 오이치노 가타 역. 다나카 요시코 : 91년 연속 TV 소설 『君の名は』에 출연. = = 출장가수 = = 진한 글씨는 그 해 이긴 조를 나타냄. 괄호 안의 숫자는 출장횟수를 나타냄.
= = = 1부 = = = 홍조(紅組) : 니시다 히카루 (2) 〈ときめいて〉 쿠도 시즈카 (4) 〈メタモルフォーゼ〉 나카야마 미호 (4) 〈Rosa〉 모리구치 히로코 (1) 〈ETERNAL WIND-ほほえみは光る風の中-〉 어우양페이페이 (2) 〈ラヴ・イズ・オーヴァー〉 라이마 (1) 〈VERNISAGE~ELIZABET~〉 고다이 나츠코 (2) 〈恋挽歌〉 오오츠키 미야코 (5) 〈冬の華〉 나가이 마리코 (1) 〈ZUTTO〉 미야코 하루미 (23) 〈王将一代 小春しぐれ〉 백조(白組) : 버블검 브라더스 (1) 〈WON'T BE LONG〉 SMAP (1) 〈Can't stop!! -LOVING-〉 요시다 에이사쿠 (2) 〈もしも君じゃなきゃ〉 스모키 마운틴 (1) 〈TO YONA!(COME ON!)〉 벤처스 (1) 〈Pipeline〉 마에카와 키요시 (1) 〈そして神戸〉 칸무리 지로 (1) 〈酒場〉 요시 이쿠조 (6) 〈女のかぞえ唄〉 체커즈 (8) 〈ミセス・マーメイド〉 가와시마 에고 (1) 〈時代おくれ〉 = = = 2부 = = = 홍조(紅組) : 야마모토 린다 (5) 〈どうにもとまらない~狙いうち〉 Mi-Ke (1) 〈想い出の九十九里浜〉 DREAMS COME TRUE (2) 〈Eyes to me〉 하라 유우코 (1) 〈花咲く旅路〉 미나미 사오리 (8) 〈色づく街〉 세라 브라이트먼 (1) 〈オペラ座の怪人〉 코자이 카오리 (1) 〈流恋草〉 마츠바라 노부에 (6) 〈離愁・・・秋から冬へ〉 모리야마 료코 (6) 〈People〉 백조(白組) : 톤네루즈 (1) 〈情けねえ〉 미카와 켄이치 (8) 〈さそり座の女〉 히카루GENJI (4) 〈WINNING RUN〉 X (1) 〈Silent Jealousy〉 KAN (1) 〈愛は勝つ〉 소년대 (6) 〈MASK’91〉 토바 이치로 (5) 〈師匠〉 키나 쇼키치 (1) 〈花~すべての人の心に花を~〉 앤디 윌리엄스 (1) 〈Moon River〉 = = = 3부 = = = 홍조(紅組) : 야시로 아키 (18) 〈舟唄〉 등려군 (3) 〈時の流れに身をまかせ〉 고바야시 사치코 (13) 〈冬化粧〉 사와다 치카코 (1) 〈会いたい〉 가와나카 미유키 (9) 〈炎情歌〉 계은숙 (4) 〈悲しみの訪問者〉 사카모토 후유미 (4) 〈火の国の女〉 이시카와 사유리 (14) 〈港唄〉 와다 아키코 (15) 〈あの鐘を鳴らすのはあなた〉 백조(白組) : 호리우치 타카오 (4) 〈愛しき日々〉 사다 마사시 (4) 〈奇跡~大きな愛のように~〉 마키하라 노리유키 (1) 〈どんなときも。〉 스즈키 마사유키 (1) 〈ガラス越しに消えた夏〉 호소카와 타카시 (17) 〈応援歌、いきます〉 모리 신이치 (24) 〈泣かせ雨〉 이츠키 히로시 (21) 〈おしどり〉 키타지마 사부로 (28) 〈北の大地〉 타니무라 신지 (5) 〈昴〉 = 통근열차 러브 = 통근열차 러브는 2004년 8월 13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정찬 : 시찬 역 김보경 : 인애 역 = = = 그 외 인물 = = = 우승 김민정 정욱 : 시찬의 장인 역 이정규 신성균 권병길 김승현 이옥정 최화영 박준하 (아역) =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 =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은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두 번째 극장판이다. = = 줄거리 = = 겨울방학을 맞아 가족여행을 떠난 ‘하리’와 ‘두리’ 남매는 비행기 날개에 쓰러진 하늘도깨비 ‘주비’를 발견하고 ‘신비와 ‘금비를 소환한다. ‘주비’를 구해준 순간, 정체를 알 수 없는 ‘스큐트’들의 공격이 시작되고, 깊은 바닷속 관에서 부활한 전설의 괴수 ‘요르문간드’는 비행기를 집어 삼키려 한다. 그사이 '요르문간드'의 부활을 눈치챈 하늘의 수호신 '가루다'는 새로운 창공의 퇴마사를 찾아다니다 '강림'을 만나고 강림은 '가루다'에게 시험을 받기로 하고 결국 합격해 창공의 퇴마사로 선택된다. 한편 스큐트들은 비행기의 사람들을 모두 재운다. 한편 창공의 퇴마사로 선택된 ‘강림’이 친구들을 구하기 위해 합류하지만, 세상을 파괴하려는 ‘요르문간드’는 하늘마루까지 거세게 공격하고 ‘하리’와 친구들의 피할 수 없는 하늘 위 모험이 시작된다. 또한 서서히 밝혀지는 '주비'와 수수께끼의 힘 '오르'의 비밀과 '주비'와 '오르'를 지키기위한 피할 수 없는 전투가 시작되는데... = = OST = = 작사: 임현지 작곡 / 편곡: 강민국, 임현지 = = 성우진 = = 조현정: 신비 양정화: 금비 김영은: 구하리 김채하: 구두리 이소은: 유지미 최재호: 구인남 신용우: 최강림 김현지: 주비 이현: 요르문간드, 가루다 박선영: 강림의 엄마 임윤선: 모주귀 김명준: 헤론 단역: 유영, 홍승효, 김다올, 박시윤, 강성우, 강새봄, 이상호, 김도희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가장조, 작품 번호 12-2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세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번호 12 세트 중 두 번째 작품이다. = = 작곡 = = 베토벤 초고 연구 분야의 선구자인 구스타프 노테봄은 세 개의 작품으로 구성된 작품 번호 12 세트의 두 번째 소나타가 1795년에 작곡이 시작되었다고 제안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세 개의 소나타, 모두 1797년에서 1798년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 밝혀졌다. = = 출판 및 헌정 = = 바이올린 소나타 2번이 포함된 소나타 세트는 1799년 Tre Sonate by il Clavicembalo o Forte-Piano con un Violino ("바이올린과 함께 하프시코드 또는 포르테 피아노에 의해 연주되는 세 개의 소나타")라는 제목으로 빈의 아르타리아 사를 통해 출판되었다. 베토벤은 압도적으로 온화한 성질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이 소나타 세트를 그의 스승 안토니오 살리에리에게 헌정했다. 아마도 그의 스승이 그의 경력을 더 증진시킬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곁들여 졌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베토벤은 살리에리가 모차르트를 독살했다는 추측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분개하며 그 개념을 무시했었다.) = = 음악 = = 세 개의 소나타, 작품 번호 12 세트 중 두 번째 작품, 즉, 2번 가장조는 가장 먼저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구성은 단순하고 기교적인 면은 조금 덜 부각된다. 1번 라장조와 3번 내림마장조가 예리하고 역동적이며 본으로부터 온 선동가의 대담한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면, 2번 가장조는 유동적이고 익살스러운 매력으로 가득찬 기분좋은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 = 악장 구성 = = 이 소나타는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며 전체 연주 시간은 약 15분 정도가 소요된다. = = =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 (가장조) = = = 6/8 박자, 소나타 형식, 연주 시간은 4분 30초 정도이다. 그 시기의 특징적인 건반 반주와 함께 작은 왈츠와 유사한, 빠르고 기계적인 부분으로 열린다. 여기에서는 바이올린이 반주를 제공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피아노는 매우 "바이올린적인" 언어로 간단한 멜로디를 만든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로시니의 Largo al factotum ("나는 이 거리의 만물박사")에서 파생된 2차 주제에 나타난다. 그 다음에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부분이 나온다. 전개부 섹션은 다장조로, 얼마간 다소 놀라운 변조를 나타낸다. 코다는 주요 주제에 대한 장전타음과 함께 전개부의 일부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길다. = = = 2악장. 안단테, 피우 토스토 알레그레토 (가단조) = = = 2/4 박자, 세도막 형식, 제3변주는 가단조, 연주 시간은 5분 40초 정도이다. 진지하고 우울한 분위기를 특징으로 하는 이 악장은, A – B – A' – 코다 체계에 따라 구성된다. 소나타의 이전 과정과 달리 이 악장의 피아노와 소나타 부분은 밀접하게 얽혀 있다. A 파트는 B 파트 다음에 반복될 때 새로운 음색을 동반한다. 악장 후반부에서는 분위기가 어두워지지만 주제나 질감이 더 복잡해 지지는 않는다. = = = 3악장. 알레그로 피아체볼레 (가장조) = = = 3/4 박자, 론도, 연주 시간은 4분 30초 정도이다. 경쾌한 멜로디에 약간의 점프와 긴 간격 및 장난기 있는 비틀림이 있는, 반복되는 주제의 편안한 론도이다. 기본적으로 같은 캐릭터의 에피소드가 이 주제로 산재해 있다. 약간의 농담이 깃들인 채로 끝나고 있는데, 피아노가 연주를 끝낸다 싶으면, 그는 마치 마지막 단어를 말하는 것처럼 추가 음표를 추가한다. = 쇼 코스기 = 쇼 코스기(, 1948년 6월 17일~)는 일본의 액션 영화 배우이다. 본명은 고스기 쇼이치이다. 장남 케인 코스기, 차남 셰인 코스기도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닌자 어쌔신 (2009) 액션 진기명기 (1990) 마검의 심판자 (1989) 블랙 이글 (1988) 대분노 (1987) 닌자의 반란 (1985) 죽음의 기도 (1985) 닌자 3 (1984) 마스터 닌자 (1984) 닌자 2 - 닌자의 복수 (1983) 닌자 (1981) 아메리카 방문객 (1976) = 빅토리아 하이랜더스 = 빅토리아 하이랜더스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빅토리아를 연고지로 하는 아마추어 축구팀이다. 현재 USL 프리미어 디벨로프먼트 리그에 속하고 있으며 성적은 상위권이다. = 유흥수 (1921년) = 유흥수(柳興洙, 1921년 6월 22일 ~ 2016년 2월 12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호(號)는 산남(山南)이다. = = 생애 = = = = = 독립 운동 = = =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였으며 한때 충청남도 홍성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이후 충청남도 천안에서 성장하였고 1939년 7월,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慶尙北道 漆谷郡 倭館) 철도 노선 매립 작업에 근로 동원 처분 조치되었던 경상북도 대구사범학교 학생들 중 5학년생 관련이 중심을 이루어 평소 민족 차별을 일삼던 악질 왜인 작업반 반장을 작업장에서 구타한 일이 있었다. 그 일이 있은 후 대구사범학교 4·3·2학년 학생들은 선배들의 항일저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39년 10월 초순에 각 기별(期別)로 윤독회(輪讀會)를 조직하고 우리민족의 역사, 문학서적을 윤독하며 월 1, 2회 모임을 가졌다. 이때 동교 3학년생(9회)이던 그는 동년 10월 하순에 동교생 박효준(朴孝濬)·이태길(李泰吉)·강두안(姜斗安)·문홍의(文洪義) 등과 함께 항일민족의식을 담은 작품집을 간행하기로 합의하고, 윤독회를 통하여 원고를 수집하는 한편 방학 동안에도 귀향하지 않고 수집된 원고를 편집, 제작하여 1940년 1월에 〈반딧불〉이라는 책자를 간행하였는데 주요내용은 민족의식과 항일정신을 고취하는 것들이었다. 책자는 약 200부를 발간하여 학생들에게 배부되었다. 이같이 윤독회를 통한 동교의 항일학생활동은 1940년에도 계속되었다. 그러던 중, 학생들은 국제정세를 분석하여 일제의 패망을 예견하게 되었고 다가올 조국의 독립을 위해 보다 조직적인 활동을 필요로 했다. 그리하여 1940년 11월 23일, 그는 박효준 등 동지들과 함께 당시 대구 봉산정(鳳山町) 소재 이태길의 하숙집에 모여 표면상 문예활동을 표방하는 항일학생결사 「대구사범학교문예부(文藝部)」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운동방침으로서 비밀엄수 및 매주 토요일 작품감상 등을 결의하고 동지포섭에 힘쓰면서 1940년 11월 30일부터 1941년 3월 9일까지 약 9회에 걸쳐 회합을 갖고 민족문화 존중과 항일의식을 함양하였다. 또한 동년 3월에는 기관지 「학생(學生)」을 발간하여 이를 부원들에게 배부하였다. 한편 문예부와는 별도로 동교내에 1941년 1월에 임굉(林宏) 등의 주도로 비밀결사 「연구회(硏究會)」가 조직되어 「문예부」와 비슷한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동회를 겉으로는 학술 연구를 위장하면서 민족 의식 앙양과 독립을 위한 실력 배양을 목적한 결사대였다. 그런데 1941년 2월 무렵, 졸업기를 당하여 문예부원 일부와 연구회원 전원(결사대 연구회 8회 출신)이 졸업을 하게 되었으므로 결사대 연구회 9회생을 중심으로 양결사의 항일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동지를 확대 규합하여 비밀결사를 새로이 조직하기로 했다. 그리하여 1941년 2월 15일에 그는 문홍의·권쾌복(權快福)·배학보(裴鶴甫) 등 15명과 함께 당시 대구 대봉정(大邱 大鳳町)에 있던 자신의 하숙집에 모여 항일학생결사인 다혁당(茶革黨)을 결성하였다. 다혁당은 이같이 문예부와 연구회의 조직을 계승·발전시킨 것으로서 교내조직에 국한하지 않고 대외적으로 확대하여 타교생 및 일반 사회인까지 포섭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결사의 명칭도 당(黨)이라 했으며 조직으로는 당수, 부당수 아래 총무·학술·문예·연구·경기 등 각 부서를 두었다. 이때 그는 문예창작책임의 일을 맡았다. 한편 다혁당은 비밀 엄수 및 당원의 절대 복종과 주2회 회합과 하급생 지도 등을 당규약으로 정하였으며 1941년 3월부터 동년 5월까지 세차례 모임을 갖고 당의 활동상황과 조직확대에 관하여 협의하였다. 그리고 동교내 연습과 학생(주로 일본인)과 심상과 학생(대부분 조선인)에 대한 차별대우를 철폐시키는 방안도 토의하였다. 그런데 1941년 7월, 대구사범학교 윤독회의 간행물인 〈반딧불〉이 일경의 손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경상북도 대구사범학교 비밀결사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그도 일경에 피체되었으며 그 후 아직 미결수로 2년여 동안 혹독한 고문을 받은 그는 1943년 11월 6일을 기하여 충청남도 대전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1945년 8·15광복으로 인하여 출감하였다. 그 후 1946년에서 1949년까지 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을 지냈다. = = 서훈 = =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고자 정부에서는 196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 분류:캐나다의 올림픽 참가 선수 = = 분류:전한의 관내후 = = 틀:후리가나/설명문서 = = = 사용법 = = 일본어의 요미가나를 적기 위한 전용 틀입니다. 태그가 지원되는 환경에서는 글자 위에, 아닐 경우 글자 옆에 괄호와 함께 나타납니다. 주의: 일본어로 된 글 중 일부에만 루비를 달아야 한다면, 이 틀을 쓰지 말고, 일본어로 된 글 전체에 이나 을 쓴 뒤 그 안에서 루비를 달 글자에 를 써 주세요. { "params": { "1": { "description": "일본어 원본 문자의 항목", "example": "東京タワー", "type": "line", "required": true, "label": "일본어 문자" }, "2": { "description": "일본어 원본 문자의 후리가나 값", "example": "とうきょうたわー", "type": "line", "label": "후리가나" }, "3": { "label": "요미가나", "description": "한글로 쓰인 요미가나희 항목", "example": "도쿄타와", "type": "line", "suggested": true }, "l2": { "type": "content", "deprecated": true }, "l3": { "deprecated": true, "type": "content" }, "l4": { "type": "content", "deprecated": true } }, } = = =매개변수사용 = = = 이 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사용 예시 = = = *예시 1.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예시 2.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예시 3.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예시 4.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예시 5.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예시 6. 입력 후리가나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결과 = 달무지개 = 달무지개는 햇빛에 의해 만들어지는 무지개와 달리 달빛(달에서 반사된 태양빛)에 의해 만들어지는 무지개를 말한다. 무지개가 태양 반대편 하늘에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달무지개 역시 달의 반대편 하늘에 만들어진다. 또한, 달에서 반사되는 빛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달무지개는 일반 무지개에 비해 매우 희미하여 사람의 눈이 그 빛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보았을 때는 뿌연 모습밖에 볼 수 없다. 하지만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시간 노출을 준다면 달무지개의 색깔을 확인할 수 있다. 달무지개는 달빛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므로 태양이 지고 있을 때 만들어지는 무지개는 달무지개라고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전히 태양에 의해 하늘에 남아있는 빛이 무지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달무지개는 달빛이 강할수록 만들어지기 쉬우므로 보름달 근처에서 쉽게 관찰된다. 또한, 주로 폭포주위에서 만들어지며 달의 고도가 낮으면서(일반적으로 42도 이하) 하늘이 어두워야 한다. 물론, 달의 반대편에서 비가 내리고 있을 때 역시 달무지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이 모두 맞아 떨어지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달무지개를 보는 일은 무지개를 보는 것보다 훨씬 힘든 일이다. 달무지개(Moonbow)라는 단어는 처음으로 유타에서 달무지개를 기록한 Nick Whelan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 달무지개를 볼 수 있는 곳 = = 지구상에서 달무지개를 볼 수 있는 곳은 그다지 많지 않다. 미국 켄터키주 윌리엄버그의 컴버랜드 폭포Walklet, Keith S. (2006). "Lunar Rainbows - When to View and How to Photograph a "Moonbow"". The Ansel Adams Gallery. Retrieved 2007-07-09.와 잠비아-짐바브웨 국경에 있는 빅토리아 폭포 등이 널리 알려진 달무지개의 명소이다. = K리그 맨 오브 더 매치 = K리그 맨 오브 더 매치는 2010년부터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매 라운드 최우수선수에게 선정하여 시상하는 상이다.K리그 개막특집-새 시즌 앞둔 K리그, ‘환골탈태’를 외치다 = = K리그1 (2010–현재) = = = = =2010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1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2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3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4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5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6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7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2018 = = = 라운드 매치-1 매치-2 매치-3 매치-4 매치-5 매치-6 1 2 3 4 5 6 7 8 9 10 11 12 안델손(서울 vs 수원)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 K리그2 (2013–현재) = = = 화산 = 화산(火山, )은 마그마 등의 물질이 행성 표면을 뚫고 나와 분출하여 만들어진 지형이다. 지구 이외의 태양계 행성하고 이런 위성에서도 여러 화산들이 발견된다. = = 특징 = = 다른 산들하고 이어져 있지 않다. 삿갓 모양이다. 봉우리 부분이 움푹 패어져 있다. 화산활동을 했던 기록이 남아있다 = = 개요 = = 화산은 일반적으로 판의 경계부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두 판이 갈라지는 곳에서는 활발한 화산활동이 일어나는데, 해저의 중앙해령과 그 연장선 상의 아이슬란드가 좋은 예가 된다. 대륙지각에서는 동아프리카 지구대, 리오그란데 열곡, 아이펠 화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에서도 화산활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쿠릴 열도에서 일본 열도와 마리아나 제도를 거쳐 뉴질랜드에 이르는 서태평양의 호상열도들이 대표적인 예가 된다. 변환단층 경계에서는 화산활동이 드물다. 발산형경계의 화산활동은 덜 파괴적이고 점성이 낮은 마그마가 분출되는데 반하여 수렴형경계의 화산활동은 폭발적이며 분출되는 마그마는 점성이 높다. 이는 근원 마그마가 형성되는 기작이 다르기 때문이다. 화산이 형성되는 또 다른 원인은 플룸 현상인데, 이에 의하여 생기는 화산들을 열점이라고 부르며 하와이가 대표적인 예이다. 열점은 태양계의 다른 많은 행성들에서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의 한라산과 울릉도의 성인봉이 화산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계에 있는 백두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경계에 있는 추가령 화산도 화산이다. 고대 그리스 로마 사람들은 화산의 변덕스러운 위력을 신의 조화로 생각했다. 16~17세기에 살았던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화산을 지구가 흘리는 눈물의 샘이라고 믿었다. = = 영향 = = 화산의 분출로 인한 용암, 화산 가스, 화산재, 화산이류는 주변환경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화산재로 인하여 엄청난 교통 대란 발생(선박 & 항공기 대규모 결항, 도로 교통 마비, 기관차 운행 중단 등). 화산재가 고압 송전선이나 발전소 같은 시설에 떨어질 경우 대규모 정전 사태 발생. 반도체 같은 정밀 산업 분야에 엄청난 경제적 손실 발생. 주변 생물들이 죽어나감으로써 생태계에도 엄청난 영향 발생(대기오염, 토양 산성화, 수질오염). 위의 생태계 파괴로 산림이 황폐화됨. 햇빛을 차단함 산사태 및 산불 을 초래함 = =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 = 화산이 폭발하면 그 지역의 모든 생명체는 사라지게 되므로(운이 좋으면 살수도 있다), 결국에는 뜨겁고 산성이 강한 화산재만 남게 되며, 석회 따위를 뿌려서 중성화를 시도해보기도 하지만, 화산재로 인해 한 번 산성화가 되어버린 토양은 원상 회복까지 최소한 수십 년에서 길게는 100년 이상 걸릴 때도 있다. 따라서 화산재로 인해 토양 미생물들까지 모두 사라져버리게 됨으로써 원상회복때까지 최소 수십 년 동안은 농사도 지을 수가 없다. 그러나 화산 주변의 온수 속에는 비교적 고온에서도 잘 견디는 동물이 서식한다. 1883년의 동인도 순다 해협에 있는 크라카우타섬의 대폭발은 분화 후에 어떤 생물이 재침입했는가를 아는 좋은 자료가 되었다. 이 섬의 폭발은 가장 대규모적인 것으로 섬에서 살고 있던 생명체는 모두 없어지고 섬은 용암과 화산재로 덮이게 되었다. 폭발 후 최초로 섬에 건너온 것은 거미로서, 9개월째에 거미줄을 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1886년에는 남조류·선태류와 양치류의 미소한 포자, 종자가 있는 가벼운 꽃식물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 바람에 날아오거나 표착물에 부착하여 섬에 도착한 것이었다. 새와 곤충은 부식성의 것이 최초로 건너왔고, 그 이외의 것은 그들 동물의 먹이가 되는 것이 섬에 출현한 다음에 정착한 것이다. 새들은 무화과 등의 열매를 몸 속에 간직하고 날개와 발에는 종자와 작은 동물을 붙이고 날아왔다. 비단구렁이·왕도마뱀·바다도마뱀 등은 헤엄을 쳐서, 또 다른 동물들은 표착물을 타고 이 섬으로 이동한 것 같다. 그리하여 섬은 1930년에는 분화 이전과 똑같은 밀림이 되고 동물도 1,200종 이상이 되었다. = = 종류 = = 순상 화산 약 100건 구상 화산 종상 화산 성층 화산 용암 대지 칼데라 = = 지구의 유명한 화산 = = 마우나로아산(미국 하와이섬) 마우나케아산(미국 하와이섬) 킬라우에아산(미국 하와이섬) 베수비오산(이탈리아) 세메루산(인도네시아 자와섬) 한라산(대한민국) 마욘산(필리핀) 그림스보에튼산(아이슬란드) 백두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다이아몬드헤드산(미국) 후지산(일본) = = 태양계의 화산 = = 화성의 올림푸스산은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목성의 위성인 이오는 태양계에서 화산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이다. = 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슈퍼 쇼 = 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슈퍼 쇼는 신디케이션 편성으로 방영된 미국의 실사 및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1989년 9월 4일부터 12월 1일까지 총 65화로 방영됐다. 닌텐도가 제작한 비디오 게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와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에 기반했다. 애니메이션은 세영동화가 작화를 담당했다. 각 화는 실사 매체와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됐다. 실사 구간에서는 WWE 명예의 전당 레슬러 루 알바노가 마리오역, 대니 웰즈가 루이지역, 그리고 특별출연자가 등장한다. 나머지 분량에선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에 할애하며 알바노와 웰즈가 각자 역으로 연기한다. 금요일 화에서는 닌텐도의 젤다의 전설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 기반한 애니메이션이 방영됐다. 후속 애니메이션으로 1990년 디 어드벤처스 오브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 1991년 슈퍼 마리오 우러드가 방영됐다. = = 반응 = = = = = 평론 = = = 방영 당시 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슈퍼 쇼는 평론으로부터 복합적인 평가를 받았다. 1989년 9월 첫 화 방영 당시 USA 투데이의 마이크 휴즈는 프로그램에 대해 "놀라울 정도의 실망"이라 거론하며 재치를 찾아볼 수 없고 슬랩스틱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말했다. IGN의 마크 보존은 DVD판의 후향적 평가에서 슈퍼 쇼를 "닌텐도의 많은 수치들 중에서도 가장 최악"이라 지칭했으나 애니메이션들에 대해선 "흥미롭다고 회상한다"고 발언했다. 보존은 DVD판에 대해서 10점 만점에 5점, 프로그램 자체에 대해선 10점 만점에 7점을 부여했다. 커먼 센스 미디어는 프로그램에 별점 5개 만점에 1개를 부여하며 이탈리아인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현대에서 좋게 볼 수 없다는 평을 남겼다. = 귀휴 제도 = 귀휴 제도(歸休制度)는 교도소에서 복역중인 죄수가 출소하기 직전이나 일정한 사유에 따라 잠시 휴가를 얻어 교도소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 약어로 귀휴(歸休)라고도 한다. 귀휴 제도의 자격 요건이 안되어도 특별 귀휴 제도의 사유가 있는 수감자에 대해서는 귀휴를 허가할 수 있다. = = 귀휴 제도의 자격 요건 = = 최소 복역 기간 : 6개월 이상 복역한 수형자 복역한 기간 : 형기의 3분의 1(21년 이상의 유기형 또는 무기형의 경우에는 7년)이 지나야 함. 복역중 행실 : 교정성적이 우수한 수감자 일반 귀휴 기간 : 1년 중 20일 이내의 귀휴를 허가. 특별 귀휴 기간 : 1년 중 5일 이내의 귀휴를 허가. = = 귀휴 제도의 사유 = = = = = 일반 귀휴 제도의 사유 = = = 가족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이 위독할 때 질병이나 사고로 외부 의료 시설에서의 입원이 필요할 때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로 가족, 배우자의 직계존속 또는 수형자 본인에게 회복할 수 없는 중대한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 그 밖에 교화 또는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하여 법무부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때 = = = 특별 귀휴 제도의 사유 = = = 가족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이 사망한 때. 직계비속의 혼례가 있는 때 = = 귀휴의 취소 = = 귀휴의 허가사유가 존재하지 아니함이 밝혀진 때. 거소의 제한이나 그 밖에 귀휴허가에 붙인 조건을 위반한 때. 다만 이 경우에도 필요적 취소가 아닌 임의적 취소 = 분류:1983년 폭발 = = 동안군 = 동안군(東安郡)은 지금의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웅촌면과 양산시 웅상면에 걸쳐 있었던 행정 구역이었다. 속현으로는 우풍현(虞風縣)이 있었다. = = 역사 = = 757년 경덕왕이 생서량군(生西良郡)을 동안군(東安郡)으로, 우화현(于火縣)을 우풍현(虞風縣)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고려 태조 대에 울산 지역 호족인 박윤웅(朴允雄)이 큰 공적을 세웠으므로 하곡·동진·우풍 3현을 병합하여 울산의 전신인 흥례부(興禮府)를 설치하며 소멸하였다. 울산으로 통합된 우풍현과 달리 동안군의 경우 삼국사기에 의하면 울산이 아닌 경주에 속했다고 한다. 아마도 고려 당시 경주의 월경지로 추정되지만 정말로 동안군이 경주에 소속되었는지는 삼국사기를 제외하고는 전혀 나타나지 않아 알 수 없다. = = 고적 = = 생서량군(生西良郡) 서생면에 치소를 둔 군으로서, 지금의 울주군 서생면, 온산읍, 온양읍 지역을 관할하였다. 우화현(于火顯) 울산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시산국(于尸山國)의 치소가 있었던 지역으로, 지금의 울주군 웅촌면, 양산시 웅상면을 거느렸던 행정구역이었다. 우화(于火) 신라 대에 소사(小祀)를 지냈던 지금의 울주군 웅촌면 곡천리 서쪽에 있는 운암산(雲岩山)이다. 대동여지도에 따르면 운암산은 조선 후기까지 우불산(于弗山)이라고 불렸다. = 재니스 룰 = 재니스 룰(Janice Rule, 1931년 8월 15일 ~ 2003년 10월 17일)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아메리칸 플라이어 (1985) 의문의 실종 (1982) 유물 (1978) 세 여인 (1977) 키드 블루 (1973) 검슈 (1971) 애증의 세월 (1968) 사이렌서 잠복 부대 (1967) 체이스 (1966) 알바레즈 켈리 (1966) 최후의 총잡이 (1964) 도망자 (1963) 사랑의 비약 (1958) 스타리프트 (1951) 14시간 (1951) = 롤프 세던 = 롤프 세던(Rolfe Sedan, 1896년 1월 20일 ~ 1982년 9월 15일)은 미국의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퍼시픽팰리세이즈에서 사망하였다. 할리우드 포에버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 = = 영화 = = 프리스코 키드 (1979년) 월드 그레이티스트 러버 (1977년) 영 프랑켄슈타인 (1974년) 베드타임 스토리 (1964년) 미스터 에드 (1961년) 나의 세 아들 (1960년)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1953년) 마이 페이버릿 스파이 (1951년) 레츠 댄스 (1950년) 스토리 오브 버넌 앤 아이린 캐슬 (1939년) 에브리씽 해펀즈 앳 나잇 (1939년) 니노치카 (1939년) 댓 서튼 에이지 (1938년) 더 파이어플라이 (1937년) 더블 오어 노씽 (1937년) 씬 아이스 (1937년) 로즈 마리 (1936년) 파리 인 스프링 (1935년) 오페라의 밤 (1935년) 원더 바 (1934년) 메리 위도우 (1934년) 키드 밀리언스 (1934년) 캣 앤 더 피들 (1934년) 히어 이즈 마이 하트 (1934년) 그림자 없는 남자 (1934년) 삶의 설계 (1933년) 노라 모란의 원죄 (1933년) 미트 더 바론 (1933년) 42번가 (1933년) 러브 미 투나잇 (1932년) 천국의 말썽 (1932년) 허 매제스티, 러브 (1931년) 50 밀리언 프렌치맨 (1931년) 몽키 비지니스 (1931년) 스윗 키티 벨라스 (1930년) 쇼 걸 인 헐리우드 (1930년) 파티 걸 (1930년) 파라마운트 온 퍼레이드 (1930년) 라이프 오브 더 파티 (1930년) 몬테 카를로 (1930년) 어 레이디스 모랄스 (1930년) 러브 트랩 (1929년) 더블 후피 (1929년) 이츠 어 그레이트 라이프 (1929년) 철가면 (1929년) 쇼 피플 (1928년) 육체와 악마 (1926년) 스물더링 파이어스 (1925년) 메리 위도우 (1925년) =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星州 禪石寺 靈山會 掛佛幀)는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선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04년 10월 14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57호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2월 2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8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 제2009-16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관보 제16944호 22쪽, 2009-02-23 = = 지정 사유 = = 1702년(숙종 28) 탁휘(卓輝)·법해(法海)·설잠(雪岑)·성징(性澄) 등이 제작된 괘불탱이다. 화면 중앙에 크게 묘사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서있고, 화면의 상단에는 아난과 가섭, 2명의 제자가 합장한 모습으로 상반신만 표현되었다. 좌우협시는 본존불보다 한 발짝 앞서 겹쳐 표현하여 공간감과 입체감을 드러내고 있다. 본존 석가여래의 수인은 통상의 항마촉지인이나 설법인이 아닌 오른손을 어깨로 들어 연꽃가지를 들고 있다. 그림의 화기(畵記)에 “영산회도일부봉안(靈山會圖一部奉安)”이라고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도상은 선종의 염화시중과 조선시대에 성행한 선교합일(禪敎合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이 작품은 현재까지 알려진 불화 중에서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내용을 표현한 불화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선석사 영산회괘불탱은 제작시기가 비교적 빠르고 연꽃을 든 석가여래 도상의 선구적 위치에 있다는 점, 이 그림을 모본으로 하여 예천 용문사 영산회괘불탱(1709년, 보물1445호)가 현존 한다는 점 등에서 불화도상의 계승을 살펴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색채감각이나 필선이 매우 세련되고 뛰어나 18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괘불화이다. = = 참고 자료 = =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 성주문화관광 *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 분류:쿠알라룸푸르의 교육 = = 제이콥 레이놀즈 = 제이콥 레이놀즈(Jacob Reynolds, 1983년 5월 13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드로파 (2018년) - 바텐더 역 어그레션 스케일 (2012년) - 프레디 역 올 원 모먼트 (2011년) 더 블라인드 (2009년) 로렌 카스 (2006년) 12월이 끝나다 (2006년) 사랑을 위하여 (1999년) 세이프 맨 (1998년) 구모 (1997년) 로드 투 웰빌 (1994년) 스타 만들기 (1993년) = 넥서스 5X = 넥서스 5X(Nexus 5X, 코드네임 불헤드)는 LG전자와 구글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넥서스 5의 후속 기종으로, 구글이 판매하고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파트너가 제작하는 안드로이드 제품군인 구글 넥서스 시리즈 중 하나이다. 이동통신 3사(LG U+, SKT, KT)를 지원하고 마시멜로(6.0)를 탑재한 최초의 넥서스 기종이다. 색상은 검정, 쿼츠, 아이스로 3가지이며 아이스색상은 구글 스토어에서만 판매한다. = = 문제점 = = 쿼츠색상의 경우 이염이 심하다고 한다. 기타 케이스를 사용 때 청바지에 넣고 다닐 경우 변색이 되고 지문 인식 부분이나 사진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카본 색깔을 추천하는 분위기이다. 아이스 색깔은 때가 많이 탄다. 때가 너무 심하게 타서 유상으로 교체하는 사람들도 있다. 카본 색깔은 손이 많이 닿는 부분은 무광이 반들거리게 변해서 유광으로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캐이스 사용 때 지문 인식 부분에만 반쩍거린다고 한다. 사진기 방향에 대한 잘못된 설계로 API-2를 사용하지 않고 API-1만 사용한 사진기 프로그램에서는 상, 하, 좌, 우가 반전되어 보인다. 선린에서 만든 충전기로 충전하면서 사용할 때 화면 터치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는 충전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화면과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것으로 충전기의 전선에 피복이 별로 없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서비스 센터에서 PN 텔레콤 제조 충전기로 교환 가능하다. 발열 문제 때문에 성능에 제한이 생긴다. (플라스틱 소재라 온도를 크게 느끼지 않는다) 스피커가 위, 아래에 하나씩 있어 스테레오 스피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윗쪽은 통화, 아랫쪽은 통화 외의 용도이다. 물론 XDA에 위아래 스피커 모두 통화 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개선이 있지만 안드로이드 6 마시멜로우에서만 작동하고 2 채널이 아닌 1 채널 모노 출력이다. G4와 V10에서 발생하는 무한 재시작이 넥서스 5X에서도 나타난다. 주로 제시되는 추정 원인은 냉납과 eMMC칩의 균열이다. 주로 1년 정도 사용시 발생하는데 1년 보증 기간이 끝나면 유상 수리인 한국과 달리 미국은 전액 환불조치를 취한다고 한다. 현재는 한국에서도 문제가 심각한 걸 인정했는지 무상 교체를 하고 있다. * = = 특징 = = *이동통신3사에 공식출시된 최초의 넥서스기기이다. = = 장점 = = *구글에서 직접 만든 소프트웨어를 수정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가장 빠르다. *구글에서 출시한 기기라 구글의 공식 지원이 끝나도 XDA의 비공식 지원이 엄청나다. *구글에서 팔지만 이익을 기대하고 파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하지만 이 정도가 정상 가격) = = 단점 = = *구글에서 만든 운영체제다보니 네비게이션, DMB등의 앱이 없다. 물론 플레이 스토어에서 설치 가능. = 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태권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권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en:Category:Taekwondo in Bosnia and Herzegovina = 분류:네덜란드의 범죄 피해자 = = 부산영선중학교 = 부산영선중학교(釜山瀛仙中學校)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3년 5월 1일 : 부산남여자중학교 설립인가 1953년 6월 15일 : 초대 백학모 교장 취임 1967년 9월 8일 : 학급증설(30학급) 보통교실 30교실, 특별교실 10교실 완비 2000년 3월 1일 : 부산영선중학교로 개명(남녀공학) 2001년 12월 11일 : 여자탁구부 창단 2006년 4월 10일 : 학교환경개선사업 완공(종합강당 신축, 도서관 리모델링, 멀티학습실, 수학교과실, 영어교과실 조성) 2006년 6월 21일 : 종합강당(영선관) 개관식 2009년 1월 2일 : 시교육청지정 학년연계학력신장 정책 연구학교 선정(3년간) 2012년 3월 1일 : 교과부지정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진로교육 활성화방안 연구학교 운영 2016년 1월 12일 : 시교육청 교육과정 정책 연구학교 지정(2년간) 2022년 2월 9일 : 제68회 졸업식(78명, 총 27,046명) 2022년 3월 2일 : 제71회 입학식(3학급 63명) 2022년 9월 1일 : 제31대 박광순 교장 취임 = 우추향 = 우추향(오구향, )은 중화민국 푸젠성 진먼현에 속해있는 향이다. 다추섬(大坵嶼)과 샤오추섬(小坵嶼)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구는 600명 남짓으로, 이 중 민간인은 130여명에 불과하다. 국공 내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옮기기 전까지는 푸톈현에 속해 있었으나, 중화민국이 푸톈현을 상실한 후 진먼현이 임시로 관할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구역은 진먼현에 속해 있지만 진먼섬과의 교통편은 없으며, 외지와 연결되는 유일한 교통수단은 타이완섬의 타이중시를 오가는 배편 뿐이다. = = 지리 = = 우추향은 중국 대륙의 푸젠성 푸톈시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푸톈시 남일도(南日島)에서 남쪽으로 12해리, 푸톈시 미주도(湄洲島)에서 동쪽으로 20해리, 타이완섬의 신주시(新竹市)에서 서쪽으로 81해리, 진먼섬에서 동북쪽으로 72해리, 마쭈 열도에서 남쪽으로 70해리 떨어진 곳에 있다. 총면적은 1.2 km2이다. = = 역사 = = 1840년 아편 전쟁 뒤 우추 향은 개항된 항구인 샤먼과 푸저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어서 중요한 요새가 되었다. 1873년에 영국인들이 등대를 세웠다. 1943년에 일본군이 점령하였으나 1945년 일본 제국이 패망하면서 철수하였다. 1949년이 되자 대륙에 있던 국민당정부가 무너지면서 우추 향은 무정부상태가 되었다. 1949년 초만 해도 우추 지역에는 등대에서 일하는 사람과 그 가족, 그리고 어민 몇 명 정도 밖에 살지 않았다. 원래 물자가 풍부하지 않은 이 섬에 본토에서 쫓겨난 국민당군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섬에는 심각한 물자 부족 사태가 벌어졌다. 게다가 타이완섬과의 교통이 여의치 않아 국민당 정부와 연락이 끊어지면서, 섬에 고립된 국민당군은 이 섬 주변은 물론 대륙을 오가는 상선을 습격하며 해적 행위를 하였다. 1951년 미국의 군사 원조에 의해 국민당이 우추 지역에 물자를 제공하면서 약탈 행위가 사라졌다. 대륙과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이유로 1992년 계엄령이 해제될 때까지 사실상 대만 국방부가 섬을 계속 통치하였다. 2000년대 이후 양안(兩岸)관계의 진전으로 진먼섬과 마쭈 열도가 대륙과 교통하고 있는 데에 반해, 이 섬은 1998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원자력폐기물 처리장의 건설을 시도하고 있어 양안 사이에서 가장 군사적 긴장도가 높은 지역이다. = = 교통 = = 현재 우추향에는 항공로가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외지와의 유일한 교통수단은 배편 뿐이다. 타이중 항에서 10일에 1회 정기선이 군함을 사용해 운항되고 있다. 소요 시간은 5~6시간 정도이다. = = 언어 = = 우추향은 본래는 어민을 중심으로, 이곳을 관할하고 있던 푸젠성 푸톈시의 방언인 푸셴 말(莆仙話)이 사용되던 지역이지만, 현재는 타이완섬이나 진먼섬처럼 주로 민난어가 사용된다. 모두 마쭈섬에서 사용되는 민둥어(푸저우어)와는 계통이 다르다. = 분류:워싱턴주의 부대 = = 분류:1916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 드래곤 슬레이어: 영웅전설 = 드래곤 슬레이어: 영웅전설는 니혼 팔콤이 제작한 1989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다. 드래곤 슬레이어 시리즈의 여섯 번째 본편이다. 본래 PC-8801 플랫폼으로 개발돼 1989년 12월 10일 일본서 출시됐으며, 1990년에 같은 일본제 컴퓨터 플랫폼 PC-9801, MSX2 및 FM 타운즈로 출시됐다. 주인공은 파렌 왕국의 왕자 아리오스로, 그를 대신한 섭정 아크담이 모반을 일으켜 유폐당하자 반란군의 일원이 되어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를 그렸다. 이스 시리즈처럼 하향식 시점으로 진행하다 전투는 일반적인 턴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식으로 전환되는 것이 특징이다. 첫 출시 이후 허드슨 소프트가 개발하고 목소리 연기를 추가한 PC 엔진 CD판이 1991년 출시됐으며, 그 외 슈퍼 패미컴, 메가 드라이브 및 샤프 X68000로 이식됐다. 1996년에 만트라가 이식판 MS-DOS판이 대한민국에 발매됐다. 1997년에 리메이크판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로 출시됐다. 1998년에 2편과 같이 수록된 합본이 플레이스테이션 및 세가 새턴로 발매됐다. 1992년에 후속작 드래곤 슬레이어: 영웅전설 II이 발매됐으며, 이후 드래곤 슬레이어와는 별도인 하위 시리즈 영웅전설 시리즈의 시초가 됐다. = = 줄거리 = = 어느 날 밤, 파렌왕국의 수도 루디아가 몬스터에게 습격당한다. 몬스터는 물리쳤지만, 그 혼란한 와중에 국왕 아스엘이 살해당한다. 당시 6세였던 왕자 세리오스는 16세가 되어 왕위를 계승하기까지 엘아스타 마을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리고 10년후 왕위계승일을 약 2개월을 남긴 어느 날, 엘아스타가 몬스터에게 습격당한다. 어찌하여 도망친 세리오스는 몬스터를 뒤에서 조종하는 자가 파렌왕국의 섭정인 아크담이란 것을 알게 된다. 세리오스는 여행에서 만난 동료들과 함께 아크담의 야망을 막을 것을 결심했다. = = 등장 인물 = = = = = 주인공 일행 = = = 세리오스 류난 로우 소피아 게일 = = = 주변 인물 = = = 아크담 디나 공주 페리시아 라이아스 아론 라우엘 제스톤 폼 보아드 바바라 프라트 젤만 리스툰 아토스 하리 보일 대도적 게일 랄프 한스 고든 = = 구성 = = 1장: 여행의 시작 2장: 침묵의 주문 3장: 국왕의 증명 4장: 홀려버린 국왕 5장: 요상한 빛의탑 종장: 그리고 영웅들의 전설 = = 반응 = = PC 엔진 CD판은 일본 잡지 〈PC 엔진 팬〉에서 30점 만점에 25.24점을 받았다. 〈패미통〉은 슈퍼 패미컴판에 29/40점, 메가 드라이브판에 23/40점을 매겼다. 〈일렉트로닉 게임스〉 1993년 1월호에 실린 일렉트로닉 게이밍 어워즈 수상회에서 PC 엔진 CD판을 1992년 최고의 멀티미디어 게임으로 선정했다. 기사에서 해당 게임에 대해 "이스 I & II에서 더욱 발전한 모험극과 높은 수준의 게임플레이를 조합했다"고 소감을 남겼다. = = 참조 = = = = = 내용주 = = = = = = 각주 = = = = 우라와역 = 우라와역은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우라와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승강장 = = 1 게이힌 도호쿠 선 아카바네・닛포리・우에노・도쿄・요코하마・오후나 방면 2 게이힌 도호쿠 선 오미먀 방면 3 우쓰노미야 선・다카사키 선 아카바네・우에노・도쿄・시나가와・요코하마 방면(우에노도쿄라인・도카이도 선) 4 우쓰노미야 선 오미먀・오야마・우쓰노미야・구로이소 방면 4 ■ 다카사키 선 오미먀・구마가야・다카사키・마에바시 방면 5 쇼난 신주쿠 라인 아카바네・이케부쿠로・신주쿠・요코하마 방면 6 쇼난 신주쿠 라인 오오미야・타카사키・우쓰노미야 방면 (사이타마신토신역 통과) 쇼난신주쿠라인 열차는 오미야 역과 이케부쿠로역을 잇는 화물선을 지나가기 때문에 정차하지 않았으나 2013년 3월 16일 JR동일본이 시각표를 개정하면서 신주쿠, 요코하마 방면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환승의 불편함을 덜어주고자하는 목적으로 정차하게 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쇼난신주쿠라인의 하루 편수도 늘어났다. = = 역세권 정보 = = 사이타마 현청(縣廳) 사이타마 시청 우라와 구청 사이타마 지방 재판소 국도 17호선(나카센도) 국도 463호선(옛날 나카센도) = = 역사 = = 1883년 7월 28일: 영업 개시. *2013년 3월 16일: 쇼난 신주쿠 라인 전용 승강장 개업 = SH = = = 비즈니스 및 단체 = = 소나트래치(Sonatrach): 알제리의 석유 기업 SH공사 = = 지리 = = 세인트헬레나의 ISO 3166 코드 스위스 샤프하우젠주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중국 상하이시 사우스호라이즌스(South Horizons) 스테이트 하이웨이(State highway) = = 언어 = = SH (이중음자) 무성 후치경 마찰음 ʃ sh: 세르보크로아트어의 구식 ISO 639-1 코드 = = 과학, 기술, 수학 = = = = = 컴퓨팅 = = = .sh: 세인트헬레나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유닉스 셸(Unix Shell): 유닉스의 일반 명령 줄 셸 본 셸(Bourne shell): 유닉스용 명령 줄 셸 톰프슨 셸(Thompson shell): 유닉스용 명령 줄 셸 일본 샤프 (기업)(Sharp)의 휴대전화 슈퍼H(SuperH): 히타치 마이크로컨트롤러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타입 센서 허브(Sensor Hub) = = = 기타 = = = 유기화학에서 싸이올(Thiol)의 작용기 쌍곡선 함수(Hyperbolic sine, sh) 시베리아 기단(Siberian High) 셔우드수(Sherwood number) 수슬린 가설(Suslin hypothesis) 구면 조화 함수(Spherical harmonics) = = 기타 = = 신비의 집(Shinbi's House) 자해(Self-harm) 샤이크(Sheikh) 사일런트 힐(Silent Hill): 서바이벌 호러 비디오 게임 시리즈 실링(shiling)의 준말 Sound Horizon(사운드 호라이즌) - 일본의 음악 그룹 셜록 홈즈 번트(, Sacrificed Hit)의 약자 = 중성 흐름 = 중성 흐름(中性-, )은 아원자 입자끼리의 약한 상호작용 중 하나이다. Z보손에 의해 이루어진다. 중성 흐름의 발견을 통해 전자기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간 통일장 이론의 성립이 가능할 수 있었고, W와 Z보손이 발견되도록 하였다. = = 정의 = = 중성 흐름이라는 이름은 이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입자인 중성미자의 성질에서 따온 것이다. 일례로 → 탄성 충돌 산란진폭에 대한 중성 흐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전자와 중성미자의 중성 흐름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displaystyle g^{f}_{V}=T_3(f)-2\sin^2\theta_W ~ Q(f)와 \displaystyle g_{A}^{f}=T_{3}(f)는 각각 페르미온 f와의 벡터 결합상수와 축벡터 결합상수이다. Z보손은 광자와 글루온을 제외한 모든 표준 모형 입자들과 결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호작용하는 두 입자가 모두 전하를 가졌을 경우, Z보손에 더해 광자까지 주고받을 수 있다. 상호작용하는 입자가 Z보손 질량 이상의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 Z보손 주고받음의 효과는~(E/M_Z)^2로 전자기 상호작용 과정의 전체 진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작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1983년이 되어서야 입자가속기를 통해 중성 흐름이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관측하고, Z보손의 질량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었다. 중성미자를 포함하는 Z보손 상호작용은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중성미자는 W보손을 주고받을 때는 비탄성 충돌에 가깝게 산란하며, Z보손을 주고받을 때는 거의 탄성 충돌에 가깝게 산란하는 특성이 있다. 약한 중성 흐름은 압두스 살람, 셸던 글래쇼, 스티븐 와인버그에 의해 예견되었고, 1974년에 가가멜Gargamelle이라는 이름의 CERN 거품 상자에서 수행한 중성미자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 올림픽 다이빙 = 올림픽 다이빙은 올림픽에서 다이빙으로 경기를 겨루는 올림픽 경기 종목이다. = = 세부 종목 = = 종목 04 08 12 20 24 28 32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계 남자 3m 스프링보드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남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 • • • • • 6 남자 10m 플랫폼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 • • • • • 6 여자 3m 스프링보드 • • • • • • • • • • • • • • • • • • • • • • • • 24 여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 • • • • • 6 여자 10m 플랫폼 • • • • • • • • • • • • • • • • • • • • • • • • • 25 여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 • • • • • 6 남자 높이뛰기 • • • 3 남자 멀리뛰기 • 1 합계 2 2 4 5 5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8 8 8 8 8 8 = 제3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제3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1979년의 최고의 영화를 기리기 위해 1980년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 = = = = 작품상 = = = 맨하탄 수상 = = = 데이빗 린 상 = = = 지옥의 묵시록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수상 = = = 칼 포먼 상 = = = 브레이킹 어웨이 - 데니스 크리스토퍼 수상 = = = 남우주연상 = = = 차이나 신드롬 - 잭 레먼 수상 = = = 여우주연상 = = = 차이나 신드롬 - 제인 폰다 수상 = = = 남우조연상 = = = 지옥의 묵시록 - 로버트 듀발 수상 = = = 여우조연상 = = = 전장의 우정 - 레이첼 로버츠 수상 = = = 각본상 = = = 맨하탄 - 우디 앨런 수상 = = = 편집상 = = = 디어 헌터 - 피터 지너 수상 = = = 촬영상 = = = 디어 헌터 - 빌모스 지그몬드 수상 = = = 음향상 = = = 에이리언 - Derrick Leather 수상 = = = 의상상 = = = 전장의 우정 - 셜리 러셀 수상 = = = 프로덕션디자인상 = = = 에이리언 - 마이클 세이무어 수상 = = = 단편영화작품상 = = = Peter Webb 수상 = = = 안소니 아스퀴스상 = = = 천국의 나날들 - 엔니오 모리꼬네 수상 = 박경환 (축구 선수) = 박경환(, 1976년 12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현재 여수시 여도중학교 체육교사로 근무중이다. = = 클럽 경력 = = 전북 현대 모터스, 대구 FC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활약하였다. =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 =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 장한구에 있는 생고기 및 생선을 파는 시장이다. 2019년 12월 31일 세계보건기구에서 코로나19 범유행과 유관한 지역이라는 사실을 보고받았다. 2020년 1월 2일까지 실험실에서 확인한 2019-nCoV의 감염으로 확인된 폐렴으로 입원한 초기 환자 41명 중 2/3에 해당되는 약 28명 내외가 시장에 노출되었다. 해당 어시장은 2020년 1월 1일 문을 완전히 닫았다. = 분류:요르단의 재난 = = 자란툰시 = 자란툰시(, , 중국조선어: 짜란툰시)는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6800km2이고, 인구는 2020년 기준으로 318,933명이다. 이 지역은 숲과 야루 강을 포함한 꽤 많은 아름다운 자연이 있고 수렵과 어로로 유명하다. = = 역사 = = 예전의 이름은 부터하였고 도시는 강희제 때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야루 강이 이곳을 통과해 1929년에 야루 현(으로 개칭되었으나 1933년에 자란툰 기가 되었다. 1983년에 기에서 시가 되었다. = = 지리 = = 내몽골 자치구 북동부, 다싱안링산맥의 남동쪽 기슭에 위치한다. 연평균 기온은 2.4°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480mm이다. 자란툰의 북서쪽은 다싱안링산맥의 원시림으로 이루어져있다. = = 경제 = = 자란툰의 경제는 주로 관광과 농업, 가축 사육과 임업을 기반으로 한다. 이곳은 밀,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과 소, 양, 말 등의 가축이 풍부하다. 공업 기반은 종이, 사탕, 양모 생산이다. = = 행정 구역 = = 7개 가도, 6개 진, 3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가도: 兴华街道, 正阳街道, 繁荣街道, 向阳街道, 铁东街道, 河西街道, 高台子街道. 진: 磨菇气镇, 浩饶山镇, 洼堤镇, 卧牛河镇, 成吉思汗镇, 大河湾镇. 민족향: 达斡尔民族乡, 鄂伦春民族乡, 萨马街鄂温克民族乡. = 2017년 K7리그 구미 = 2017년 K7리그 구미는 K7리그 구미의 2017년 시즌 축구 대회이다. 각 경기는 전·후반 각 35분씩 70분 경기로 진행되었다. = = 선수단 = = 선수단 첫 참가 참가 횟수 연고지 홈 경기장 수용좌석 구미 개미주택관리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구미 금오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구미 스타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구미 코오롱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구미 형곡2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구미 화이트 FC 2017 1 구미 구포생활체육공원 = = 경기 결과 = = = = = 1라운드 = = = = = = 2라운드 = = = = = = 3라운드 = = = = = = 4라운드 = = = = = = 5라운드 = = = = = 최종 순위 = = 선수단 비고 구미 개인주택관리 FC (C) (P) 12 5 4 0 0 1 9 4 +5 승격: 2018년 K6리그 경북 구미 화이트 FC 12 5 4 0 0 1 6 4 +2 3 구미 코오롱 FC 9 5 3 0 0 2 6 4 +2 4 구미 형곡2 FC 9 5 2 0 0 3 6 7 -1 5 구미 금오 FC 6 5 2 0 0 3 7 6 +1 6 구미 스타 FC 0 5 0 0 0 5 0 9 -9 승점 부여 방식: 승리 3점, 승부차기 승리 2점, 승부차기 패배 1점, 패배 0점 순위 결정 방식: 1) 승점, 2) 승자승, 3) 승리수(필드승), 4) 추첨 범례: (C) 우승, (P) 승격 = 에비스 맥주 = 에비스 맥주는 삿포로 맥주의 맥아 100% 맥주 브랜드이다. = = 역사 = = 삿포로 맥주의 전신인 대일본맥주의 독일인 기술자 칼 카이저를 초빙하여 양조한 맥주이다. 당시의 명칭인 에비스 맥주였다. 처음에는 다이코쿠텐에서 명명하려고 했었지만, 요코하마에 이미 다이코쿠 맥주가 존재했기 때문에 에비스라는 이름을 채용했다는 자료가 2000년대에 발견되었다. 1943년에 맥주 배급제로 명칭이 맥주로 통일되어 브랜드는 없어지지만, 1971년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첫 맥아 100%의 라거 (열처리) 맥주로 부활했다. 1980년대 초반은 침체기였지만, 1986년 패키지 디자인 변경과 내용물의 생맥주화, 1988년에 만화 맛의 달인의 〈오십 년째의 미각 (후편)〉 (단행본 16권)에서 다루어 진 것 등이 계기가 되어 매출을 회복해갔다. 장기간에 걸쳐 프리미엄 맥주 시장의 선두 브랜드가 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에 산토리의 더 프리미엄 몰츠가 급성장하여 삿포로 맥주는 2006년에 에비스 브랜드를 특별 조치를 하였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에비스 브랜드의 '에비스'의 이름을 딴 제품을 판매하여 브랜드 확장을 시작했다. = = 기타 = = 처음에는 공장이 도쿄부 에바라 군 미타 촌 (현 도쿄 도 메구로구 미타)에 있었다. 처음에는 마차로 실었지만, 판매량 증가로 1901년에 출하 전용 화물역 에비스 정류장이 만들어졌다. 1906년에 화물역 에비스 정류장 옆에 만들어진 여객 역이 에비스 역이다. 시부야구에 있는 지명 에비스는 에비스 맥주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JR 동일본 에비스 역의 발차음은 에비스 맥주의 CM 송인 "제 3의 남자"가 도입되고 있다. 시부야 구 에비스에는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가 있으며, 여기에 에비스 맥주 기념관이 있다. = 수요일의 전쟁 = 수요일의 전쟁은 2007년에 미국에서 출간된 소설이다. 2008년에는 대한민국에서도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뉴베리 아너 상을 수상하였다.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인 1967년부터 1968년까지가 주 배경이다. = = 등장인물 = = 홀링 후드후드: 중학생 주인공. 메릴 리 코왈스키: 홀링의 여자친구. 헤더 후드후드: 홀링의 고등학생 히피 누나. 베이커 선생님: 홀링의 담임선생님. 대니 허퍼: 홀링의 친구. 더그 스위텍: 홀링의 친구. = SDY = SDY는 다음을 뜻한다. SDY: SPDR S&P Dividend 상장지수 펀드의 티커 심볼 SDY: 스키넥터디에 대한 암트랙 역 코드 = 비질런트 스톰 = 비질런트 스톰은 한국 공군과 미국 공군의 연합훈련이다. = =B-1B 랜서 = = 7공군의 켈리 지터 대변인은 "이번 훈련에 참가한 거의 모든 종류의 한미 군용기 수십여 대가 1시간 동안 함께 비행하며 훈련을 했다"면서 F-35B 전투기와 U-2 고공전략정찰기, EA-18G 전자전기, MQ-1C 무인정찰기 등 양국 군용기들이 참가했다고 전했다. 다만, 최근 태평양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B-1B 랜서 전략폭격기는 이번 훈련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지터 대변인은 설명했다. 예전에 비질런트 에이스 2017 훈련 때는, 랜서가 괌에 전개된 다음, 훈련에 참여했었다. 이번 비질런트 스톰 2022 훈련에는, 괌에만 전개하고, 훈련에는 참여하지 않아서, 북한에 대한 위협의 수위를 조절했다. = =대규모 공습 = = 비질런트 에이스, 비질런트 스톰은 전시에 북한의 핵심 표적 700여 개를 최단시간에 제거하는 작전 계획을 훈련하는 것이다. 주야간 출격한다. 주요 표적은 이동식 미사일 발사차량, 장사정포, 핵시설과 잠수함 기지 등이다. 개전과 동시에 한미 양국 군대는 북한의 표적 700여 군데에 대한 1차 타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서는 남북한 교전 직후, 미국은 북한의 800개 주요 군사목표에다가 8천발의 미사일을 쏟아 부어서 북한을 무력화 시킨다는 계획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공군은, 어느 나라든지, 500개 정도의 목표물을 공습하면, 군대의 지휘체계가 거의 완벽하게 붕괴된다고 평가한다. = =비질런트 에이스 = = 2017년 12월 4일, 비질런트 에이스 훈련을 시작했다. 미국의 전략무기인 B-1B와 F-22가 동시에 한반도 상공에 전개돼 폭격 연습을 한 것은 처음이다. 이번 훈련에서 B-1B는 가상으로 무장투하 연습을 했고, 우리 공군의 F-15K 2대는 MK-82 폭탄을 실사격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평양을 비우고 후방의 중국과 접경지역을 시찰했다. 한반도 상공에서 B1B 전략폭격기, F22 스텔스 전투기 등 전략자산은 2017년 이후로 전개되지 않았다. = = 더 보기 = = 대량응징보복 = 포털:올림픽/올림픽 종목 = *골프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럭비 *레슬링 *배구 *비치발리볼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승마 *아티스틱스위밍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필드하키 *핸드볼 *노르딕 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피겨 스케이팅 올림픽 종목 더 보기... = 멧닭 = 멧닭은 닭목 꿩과에 속하는 새이다. 유라시아 북부의 황야지역과 습원에서 삼림 지대(대부분은 북방수림)에 걸쳐 서식한다. 북반구에 사는 대표적인 새로 북아메리카, 북유럽, 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는 백두산 고산 지대에만 서식하는 아종인 우수리(T. t. usuriensis)가 서식하고 있다. 정식 학명은 Lyrurus tetrix 이지만 칼 폰 린네가 명명한 이명인 Tetrao tetrix도 흔히 쓰인다.[ 2002년 남한 지역에서 첫 관찰이 보고되었다.임신재 외, 〈남한에서 멧닭(Tetrao tetrix)의 첫 관찰〉, 한국조류학회지, 제9권 제1호, 2002년 멧닭의 게놈의 서열은 2014년 완성되었다. = = 분류 = = 1758년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0판에 수많은 종들 가운데 멧닭을 처음 기술하였다. 당시 명명한 Tetrao tetrix는 일종의 사냥감 새를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 낱말에서 비롯한 것이다. 1832년 영국의 생물학자 윌리엄 존 스웨인슨이 멧닭속으로 재 분류하면서 학명을 Lyrurus tetrix로 변경하였다. 이 책의 표지에 적힌 출간 연도는 1831년이지만 실재 발간은 1832년에 이루어졌다. = = 서식지와 명칭 = = 멧닭은 유라시아 북부 전역에서 관찰되고 한국에서는 북한 지역의 텃새로 백두산 인근에서 드물게 발견된다.멧닭, 한국의 새 미국식 이름인 검은뇌조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검은뇌조 이미지, 두피디아 = = 생김새 = = 멧닭은 몸집이 큰 새로 다 자란 숫컷의 몸길이는 약 60 cm, 암컷의 경우 45 cm 정도 이고 몸무게는 약 0.75 - 1 kg 정도이다. 수컷은 윤기있고 푸른 색이 감도는 검은 깃털이 목덜미에서 시작하여 등을 따라 흐르고 날갯죽지 가장자리와 꽁지 밑의 깃털은 흰색으로 대비를 이룬다. 눈자위 위로 붉은 벼슬이 돋아있다. 이에 비해 암컷의 깃털은 보다 모호하여 보호색을 띄고 있다. 꼬리에 밖으로 길게 휘어진 긴 날개깃이 돋아 있는데 이것이 마치 리라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속명을 Lyrurus라고 하게 되었다. = 틀:스포츠 이전다음/설명문서 = = = 사용법 = = {{스포츠 이전다음 }} = 분류:시에라리온의 육상 선수 = = 틀:영국 왕실 = 영국과 영연방왕국의 왕실 HM 찰스 3세HM 왕비 커밀라 = 청원도정 = 청원도정(靑原都正, 1539년 4월 23일 ∼ 1592년 7월 4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면서 외척으로 이름은 간(侃)이고, 자는 중직(仲直), 호는 송강(松岡)이다. 성종의 아홉째 서자 익양군 회의 손자로, 일찍 죽은 황양정 이수린(荒壤正 李壽麟)의 아들이다. 아버지 황양정은 뒤에 군으로 추증되었다. 인순왕후의 서 사촌시동생이면서 친정 쪽으로도 육촌 제부가 된다. = = 생애 = = 아버지는 황양정 증 황양군 이수린이고, 어머니는 청송심씨로, 판교 증 이조참판 심달원(沈達源)의 딸이며, 명종비 인순왕후의 육촌이며, 심연원, 심통원의 종손녀이다. 심의겸, 심충겸은 육촌 처남이 된다. 인순왕후는 적 사촌 형수이자 육촌 처형가 된다. 명종에게는 서 사촌동생이자 처가로도 육촌 동서가 되는 것이다. 그는 처음에 초수로 청원부정을 제수받았다. 명종이 경회루에서 친히 예문시를 시행할 때 신하들과 종실들이 모두 응시했으며, 이때 그는 즉석에서 4운시 3편을 지었는데, 그가 지은 시 중 2편이 뽑혀서 상으로 말을 하사 받았다. 1565년(명종 20) 대비 문정왕후가 승하하자 수릉관 겸 빈전 제관이 되어 문덕전에서 봉사하였는데, 1567년(명종 22) 혼전을 잘 지켰다 하여 상으로 가자되어명선대부로 승진하고, 청원도정에 올랐다. 이때 사헌부에서 제사를 잘 지냈다 하여 물건이 아닌 상으로 가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하였지만 명종이 듣지 않았다. 선조 즉위 후 임진왜란을 본 후 1592년 7월 4일 사망하였다. 장명산 경좌(長命山庚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에 군으로 추증되어 청원군이 되었다.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황양정 이수린(荒壤正 李壽麟, 1512년 5월 10일 ~ 1541년 3월 14일), 뒤에 황양군으로 추증 어머니 : 청송심씨(靑松沈氏, 1512년 1월 13일 ~ ?년 3월 26일), 판교 증 이조참판 심달원(沈達源)의 딸, 인순왕후의 사촌, 심통원의 종손녀 부인 : 광주김씨(光州金氏, 1538년 6월 2일 ~ 1599년 6월 16일), 군수 김린사(金麟士)의 딸 = 분류:말레이시아의 영화 = = 김사과 = 김사과(1984년~)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84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사창작과를 졸업했다. 2005년 창비신인소설상에 단편소설 〈영이〉가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 저서 = = = = = 장편소설 = = = 《미나》(창비, 2008) 《풀이 눕는다》(문학동네, 2009) 《나b책》(창비, 2011) 《테러의 시》(민음사, 2012) 《천국에서》(창비, 2013) = = = 소설집 = = = 《02》(창비, 2010) = = = 산문집 = = = 《0 이하의 날들》(창비, 2016) 《설탕의 맛》(쌤앤파커스, 2014) = 스왈로 = 스왈로는 카사바나 옥수수 등 녹말이 많이 든 채소나 곡물로 반죽처럼 만든 음식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및 이 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카리브 제도 지역에서 주식으로 먹는다. 스왈로는 따뜻하게 내며, 손으로 뜯어서 둥글게 굴린 다음 수프나 소스, 스튜에 찍어 먹는다. 씹지 않고 삼키는 경우가 많다. 영어 "스왈로"는 "삼키다"라는 뜻이다. = = 종류 = = 이름 이름 사진 주재료 지역 반쿠 반쿠 옥수수,카사바 가나 아말라 아말라 라푼 카사바 나이지리아 아말라 아말라 오게데 플랜틴 나이지리아 아말라 아말라 이수 마 나이지리아 악플레,아쿠메 아목플레,마쿠메,반쿠 옥수수가루,카사바가루 가나,토고 악플레,아쿠메 에웍플레,에워쿠메,에마쿠메 옥수수가루 가나,토고 에바 에바 가리(카사바) 가나,나이지리아 워 워 옥수수 베냉 은시마 은시마 옥수수 말라위,모잠비크,잠비아 켄키,도코노 켄키,도코노 카사바 가나,토고 코콘테 코콘테 카사바 가나,토고 쾅가,푼즈 파르다두 쾅가,푼즈 파르다두 카사바 앙골라,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쿠쿠,푼지 쿠쿠,푼지 옥수수가루,오크라 소앤틸리스 톰톰 톰톰 빵열매 아이티 투오 자피 투오 자피 옥수수,카사바 가나 투워 투원 마사라 옥수수 나이지리아 투워 투원 다와 수수 나이지리아 투워 투원 신카파 쌀 나이지리아 푸투 푸투 옥수수 남아프리카 공화국 푸푸,우타라 악푸,우타라 악푸,미스터 화이트,로이로이,산타나 카사바 가나,가봉,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베냉,시에라리온,중앙아프리카 공화국,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푸푸,우타라 옥수수 푸푸,푸푸 콘,파트 드 마이스 옥수수 가나,가봉,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베냉,시에라리온,중앙아프리카 공화국,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푸푸,우타라 카사바 푸푸,우타라 이와 카사바 가나,가봉,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베냉,시에라리온,중앙아프리카 공화국,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푸푸,우타라 플랜틴 푸푸,우타라 아브리카 플랜틴 가나,가봉,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베냉,시에라리온,중앙아프리카 공화국,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푸푸,우타라 이얀,우타라 지,파운디드 얌 마 가나,가봉,기니,나이지리아,라이베리아,베냉,시에라리온,중앙아프리카 공화국,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 바네사 베라크루즈 = 바네사 베라크루즈(Vanessa Veracruz, 1988년 12월 6일 ~ )은 미국 여자 AV 배우다. 키는 167cm에다가 몸무게는 42kg이다. 포르노 산업에서 일하기 전에 긴급 치료 센터에서 관리자로 일했다. 그는이 연구를 다른 의료 보조 및 간호학 연구와 결합했다. 조금씩 그는 성인 모델의 세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2011년 24살때 AV 배우로 시작을 했다. 자신을 공개적으로 양성애자로 선언하지만 그녀의 영화 시작에서와 같이 거의 독점적으로 레즈비언 섹스 공연을 위해 두드려냈다. 2015년 그녀는 레즈비언 테마 영화 리빙 안 팬터시 레인과 함께 감독으로 등장했다. 지금까지 그녀는 여자 AV배우로 240편이 넘는 영화를 작업했다. = 분류:에스와티니의 총리 = = 분류:2013년 7월 = = 마이클 레드먼드 = 마이클 레드먼드(Michael Redmond, 1963년 5월 25일 ~ )는 미국인 프로 바둑기사다. 일본기원 도쿄본원 소속이다. 서양인 중 최초이자 유일한 9단이다. = = 수상 및 경력 = = 1963년 5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 출생 1981년 입단 및 초단 1983년 2단 승단 1984년 대수합 제2부대회 우승,3단 승단 1985년 4단 승단,유원배 우승 1986년 5단 승단 1988년 6단 승단,제27기 일본 십단전(十段戰) 본선진출 1989년 대수함 제1부대회 우승 1990년 7단 승단, 제5기 NEC 준영토너먼트 준우승 1991년 제4회 후지쯔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 준준결승전 진출(미국대표) 1992년 제17기 일본 신인왕전(新人王戦) 준우승(상대, 고마츠 히데키(小松 英樹) 9단) 1993년 제18기 일본 기성전(棋聖戦) 7단전 우승 1996년 8단 승단 2000년 9단 승단 2003년 제28기 일본 작은기성전(碁聖戰) 준결승 진출 2016년 이세돌 대 알파고 대국 영어해설 = 문합 = 문합(吻合, anastomosis, )은 무언가가 꼭 들어맞는다는 뜻의 단어이다. 특히 혈관의 연결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은 태아의 타원구멍과 같이 정상적일 수도 있으나 성인 심장의 타원구멍 개존증과 같이 비정상인 경우도 있다. 동정맥루는 후천적, 후세동맥의 동정맥루는 선천적이다. 또한 앞의 문합들은 모두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나, 문합술 같은 수술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경우도 있다. 한번 막힌 문합을 다시 연결하는 것은 재문합이라고 한다. 비정상적인 문합은 종종 누공(샛길)이라고 한다. 의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나누어진 두 구조물이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 = 어원 = = 'Anastomosis'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출구'를 뜻하는 단어인 ἀναστόμωσις에서 유래했다.Online Etymology Dictionary Douglas Harper '문합'은 '입술이 꼭 들어맞는다'라는 뜻에서 나왔다. = = 순환계 = = 여러 동맥은 자연적으로 서로 문합을 이룬다. 그 예시로는 아래배벽동맥과 위배벽동맥, 대뇌동맥고리의 앞교통동맥과 뒤교통동맥 등이 있다. 혈관의 문합은 동맥문합과 정맥문합으로 나눌 수 있다. 동맥문합에는 실제로 동맥이 연결되는 경우(손바닥동맥활, 발바닥동맥활)과 잠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관상동맥, 또는 대뇌동맥의 겉질가지 등)가 있다. 혈액 공급이 많이 필요하지는 않은 곳에서 문합을 통해 모세혈관상 주변에 우회로를 혈성하여 체순환 조절을 도울 수도 있다. = = 문합술 = = 혈관이나 창자, 그 외 기타 구조물을 외과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문합술이라고 한다. 동맥을 문합하는 혈관우회술, 일정 구역의 창자를 절제한 뒤 창자 간의 문합, 루앵Y 연결, 요관사이연결술 등이 그 예시이다. 문합술의 방식에는 선형봉합문합술(linear stapled anastomosis), 수기문합술(hand sewn anastomosis), 단단문합술(끝끝연결술, end-to-end anastomosis, EEA) 등이 있다. 손으로 직접 문합술을 하기도 하고, 보죠용 기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간과 비용, 수술 후 문합 부위에서의 출혈, 누출, 협착 등을 고려하여 여러 문합술 간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여럿 수행되었다. = = 병적 문합 = = 병적 문합은 각종 질환이나 외상이 원인이며 정맥, 동맥, 창자(장) 등에서 생길 수 있다. 보통 누공(샛길)이라고 한다. 정맥이나 동맥의 경우 외상성 누공은 동맥과 정맥 간에 보통 발생한다. 외상으로 인한 장누공은 장 사이에 생기는 장간누공(창자사이샛길, entero-enteric fistula), 피부와 장 사이에 생기는 장피부누공(창자피부샛길, enterocutaneous fistula)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간문맥전신단락증은 간문맥계와 체순환계의 정맥 간에 생긴 문합으로 혈액이 간을 우회하게 된다. 이는 문맥고혈압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종종 치핵, 식도정맥류, 메두사머리 등의 원인이 된다. = 분류:잭 런던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 모듈:Location map/data/Poland Lubusz Voivodeship/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Poland_Lubusz_Voivodeship/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1911년 완공된 건축물 = = 구미동 (성남시) = 구미동(九美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법정동이다. = = 법정동 = = 구미동(九美洞) 동원동(東遠洞) = = 교육 = = 구미초등학교 불곡초등학교 오리초등학교 구미중학교 불곡중학교 불곡고등학교 = = 아파트 = = 대한주택공사 무지개마을 4단지 주공 - 1995년 11월 입주 / 신원종합개발(주) 무지개마을 12단지 주공 - 1995년 7월 입주 / 두산개발(주), 인풍종합건설(주) = 소닉 언더그라운드 = 소닉 언더그라운드는 소닉 더 헤지호그 시리즈의 애니메이션이다. 1999년 1월 6일부터 5월 23일까지 프랑스의 TF1, 영국의 ITV, 미국의 First-run syndication에서 방영되었다. = = 개요 = = 바람돌이 소닉, 고슴도치 소닉에 이어서 소닉 시리즈 3번째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미국과 프랑스가 공동 제작하였다. = = 등장인물 = = 소닉 더 헤지호그 매닉 더 헤지호그 소니아 더 헤지호그 닥터 로보트닉 슬리트 딩고 너클즈 디 에키드나 * * 퀸 알리나 =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다. 1987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2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불화를 그려 족자나 액자형태로 만들어 거는 그림인데, 이 탱화는 종이나 비단이 아닌 나무를 조각해서 만든 목각탱이다. 이 목각탱은 가로 236cm, 세로 226cm, 두께 10∼12cm로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보광전의 후불탱화로 사용되고 있다. 길쭉한 나무판 8장을 연결하여 연꽃 위에 앉아있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 4단씩 3열로 10대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을 계단식으로 배치한 독특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보살상들은 모두 머리에 보관을 쓰고 꽃가지를 들고 있으나 한 분만 합장하고 있으며 관음과 대세지 보살은 연꽃 위에 앉았고 다른 인물들은 서거나 무릎을 꿇고 있다. 각 인물들 사이에는 연꽃과 꽃봉오리 등으로 장식하였고 가운데 있는 본존의 머리 위에는 상서로운 구름이 솟아올라 2줄기로 갈라져 있다. 몸에 비해 큰 방형의 얼굴은 앞으로 약간 숙여 사바세계를 굽어 살피듯 평담하게 묘사되었다. 명문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으로 회화적이면서도 조각적인 매력을 간직한 귀한 작품이다. = = 참고 자료 = = *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잊혀진 사람들 = 잊혀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잊혀진 사람들》(, , 1950년)은 멕시코의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잊혀진 사람들》(1991년)은 KBS 드라마게임이다. = 노관현 = 노관현(1993년 10월 18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다. = = SK 와이번스 시절 = = 2016년에 입단하였다. = = KIA 타이거즈 시절 = = 2017년 4월 7일 당시 SK 와이번스 소속이었던 그와 이명기, 최정민, 김민식, KIA 타이거즈 소속이었던 노수광, 윤정우, 이홍구, 이성우의 4:4 트레이드를 통해 입단하였다.KIA타이거즈 ⇔ SK, 4:4 트레이드 단행 - 아시아경제 2017년 4월 25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 대타로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2020년 10월 30일 군보류 자유계약선수로 풀려났다. = = 출신 학교 = = 수영초등학교 대동중학교 개성고등학교 경희대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7 KIA 0.500 9 6 0 3 0 0 0 3 1 0 0 0 0 2 0 0 통산 1시즌 0.500 9 6 0 3 0 0 0 3 1 0 0 0 0 2 0 0 = 소공 = 소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소공 석: 서주의 정치가이자, 연나라와 소나라의 초대 군주 노 소공: 중국 노나라의 25대 임금 정 소공: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제4대 임금 허 소공: 허나라의 제15대 남작(재위: 기원전 621년 ~ 기원전 592년) 제 소공: 춘추시대 제나라의 제19대 후작 송 소공 =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 = 지옥에 떨어진 용감한 자들은 1969년 개봉한 이탈리아, 서독의 역사 드라마 영화이다. 루키노 비스콘티가 감독과 공동각본을 맡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더크 보가드 = = = 조연 = = = 잉그리드 서린 헬머 그리엄 헬무트 베르거 움베르토 오르시니 라인하드 콜드호프 = = 기타 = = 협력프로듀서: 피에트로 노타리아니 의상: 피에로 토시 의상: 베라 마조트 = 벨로바키족 = 벨로바키족은 기원전 1세기경 갈리아 북동쪽에 살던 강력한 벨가이부족 중의 하나이다. 오늘날 프랑스 보베시를 중심으로 그 근처 지역에 살고 있었다. 기원전 5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때 로마에 처음 복속되었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 따르면 벨로바키족은 예전에 당시 인구가 가장 많고 무용이 뛰어난 부족으로 수에시오네스족에게 대로마 전쟁의 지휘권을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카이사르는 수에시오네스족의 영토로 쳐들어가 벨로바키족을 공격하였고 인질을 요구하며 항복을 받아내었다.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가 주도한 갈리아의 총궐기 때 벨로바키족도 로마에 반기를 들었으나 알레시아 공방전이후 다른 갈리아 부족과 마찬가지로 완전히 로마에 항복하였다. = 위키백과:이동 요청/2021년 8월 = = = 다리아 (동음이의) → 다리아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1일 (일) 16:34 (KST) = = :파일:BTS - Permission to Dance.jpg → :파일:BTS - Butter / Permission to Dance.jpg = = Butter(앨범)의 표지인데 Permission의 표지로 둔갑당했습니다. 118.235.9.139 (토론) 2021년 8월 1일 (일) 22:34 (KST) = = 소성로 → 소성로 (정읍시) = = 소성로 관련 동음이의 문서 생성이 요구되어야 하며, 기존에 사용자:DS2049가 소성로를 과거에 멋대로 편집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해 동음이의어의 치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이에 따라 기존 소성로 문서는 소성로 (정읍시)를, 새로운 소성로 문서는 "신규 동음이의 문서"로 생성시켜야 올바르다고 여겨집니다. 220.126.97.135 (토론) 2021년 8월 2일 (월) 02:34 (KST) = = 초안:니시아리안 → 니시아리안 = = 초안 문서를 정식 문서로 승격하려고 합니다. 권한 문제 때문에 문서 이동이 안됩니다. Tbd3539 (토론) 2021년 8월 2일 (월) 12:12 (KST) = = KT파워텔 → 아이디스파워텔 = = 7월 30일부로 아이디스파워텔로 사명변경되었습니다. 121.161.13.104 (토론) 2021년 8월 2일 (월) 12:53 (KST) = = 돈트 룩 업 → 돈 룩 업 = = 한국 공개명 발표됨 (문서 링크 항목 공식 홈피 참고) Eyey90 (토론) 2021년 8월 3일 (화) 09:32 (KST) = = 세계 자연 기금 → 세계자연기금 = = 해당 단체 측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한 공식 한국어 표기입니다. 🦎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21년 8월 4일 (수) 02:13 (KST) = = 고도소프트 → 엔에이치엔커머스 = = 사명변경 = = 밍꼬발랄 → 민쩌미 = = 소속사와의 계약 종료 이후 새롭게 유튜브 계정을 생성해서 활동 중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8월 4일 (수) 23:23 (KST) 애국심 존중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15:54 (KST) = = 트랜스퍼와이즈 → 와이즈 (기업) = = 일반인 유저가 복붙해서 이동 175.223.39.239 (토론) 2021년 8월 6일 (금) 10:31 (KST) = = 까사미아 → 신세계까사 = = 사명변경 = = 국립 경기장 (도쿄, 2019년) → 도쿄 국립경기장 = = 표제어가 괄호로 과잉 구분되어 있는데, 최소구분을 위한 지역명을 붙인 정식명칭으로 이동하고자 합니다. 국립 경기장 (도쿄, 1958년)는 옛 표제어인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으로 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8일 (일) 09:56 (KST) 왜 저런 표제어를 지켜야 하는지 이해는 되지 않지만 어쨌든 말이 길어지는 모양새라 토론을 진행하고 오겠습니다. 관리자분께서는 잠시 보류해주시고, 토론이 끝나지 않으면 기각하셔도 됩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3일 (금) 15:57 (KST) = = 초안:소울 나이트 → 소울 나이트 = = 출처와 비디오 게임 정보가 충븐히 기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Knight 2021년 8월 8일 (일) 10:35 (KST) = = 모쿠자 (프로게이머) → 모쿠자 = = 식별자가 들어갈 필요가 없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17:18 (KST) = = 초안:네트워크 보안사각 → 네트워크 보안사각 = = 초안 완료에 따른 문서 이동 Wschoi Amazing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18:16 (KST) = = 대한민국의 고령화 문제 → 대한민국의 고령화 = = 영어판, 일본어판 등 해외에서 고령화는 그대로 'Aging'(고령화)라고만 칭하지, 'Aging problem'이라고 명시하지 않습니다. 또, 저출산과 마찬가지로 관점에 따라 고령화는 문제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Ckddls01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20:14 (KST) = = 밴드 비지트 → 밴드 비지트 - 어느 악단의 조용한 방문 = = 한국 개봉명대로 이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03:15 (KST) = = 코다 (동음이의) → 코다 = = 식별자가 필요없습니다. 잿빛동공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21:23 (KST) = = 서초동 대림 아크로비스타 → 아크로비스타 = = 해당 건물의 정식 명칭에는 지명과 기업 이름이 붙지 않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00:33 (KST) = = 시라카와가 → 시라카와하쿠오가 = = 일본어 언어판에는 白川伯王家 시라카와하쿠오가 입니다. 틀은 시라카와가 이지만 원본 명칭은 시라카와하쿠오가 이네요. 다른 사이트에서도 시라카와하쿠오가 라는 명칭이 많이쓰입니다. 핫케신도도 한국어 내용에서 시라카와하쿠오가를 언급했습니다. 중국에서도 시라카와하쿠오가를 쓰네요. 164.52.213.3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21:08 (KST) = = 옌지시 → 연길시 = = 벼루 (토론) 2021년 8월 12일 (목) 15:56 (KST) = = 돌리네 → 싱크홀 = = 통칭, 통용 표기, 대중적 표현, 전부 아우르는 표현으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잿빛동공 (토론) 2021년 8월 12일 (목) 20:16 (KST) = = Ad5-nCoV → 캔시노 코로나19 백신 = = 백신이름이 정해졌지만 이름이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초고층 박사 (토론) 2021년 8월 13일 (금) 23:03 (KST) 네 초고층 박사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00:49 (KST) = = 이명준 (동음이의) → 이명준 = = 기존의 이명준 문서가 엔비 (프로게이머)로 이동됨에 따라 이명준 문서가 넘겨주기 처리되어 동음이의 문서를 표제어 문서로 이동하고자 합니다. Sqncjs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23:11 (KST) = = 정상현 (동음이의) → 정상현 = = 기존 정상현 문서가 캐비 문서로 이동했으므로 정상현의 동음이의 문서를 대표 표제어로 하고자 합니다. Sqncjs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00:55 (KST) = = 정국 → 정국 (방탄소년단) = = 정치상황을 뜻하는 의미 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2001:2D8:ED10:AC61:0:0:104:4B45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1:03 (KST) = = 영거 → 영거 (TV 시리즈) = = Younger는 상대적인 젊음을 뜻하는 보편적인 말로 TV시리즈가 독점을 할 수 없습니다. 2001:2D8:ED10:AC61:0:0:104:4B45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1:10 (KST) = = 바간 왕국 → 버간 왕국 = = 문서 역사를 봤는데 문서토론에 있는 Aydin1884 사용자의 의견이 있은 후로 10년가량 버간 왕국으로 유지되던 문서를 서로가 원하는 문서명으로 바꾸려고 갈등이 있는 모양인데요. Aydin1884 사용자의 의견에 10년가량 아무런 반론이 없었으니 총의가 형성된 걸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문서명에 이의가 있으면 서로가 무작정 문서명을 바꾸기보단 기존 총의 위에서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2001:2D8:E14D:7111:0:0:E25:80A0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2:28 (KST) = = 알레시 (동음이의) → 알레시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3:05 (KST) = = 조명희 (동음이의) → 조명희 = = TulipRose2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6:55 (KST) = = 바간 왕국 → 버간 왕국 (2) = = 호로조 관리자가 요청 근거를 이해조차 하지 못해서 재요청합니다. 문서 역사를 봤는데 문서토론에 있는 Aydin1884 사용자의 의견이 있은 후로 10년가량 버간 왕국으로 유지되던 문서를 서로가 원하는 문서명으로 바꾸려고 갈등이 있는 모양인데요. Aydin1884 사용자의 의견에 10년가량 아무런 반론이 없었으니 총의가 형성된 거고 그 총의로 형성된 문서명에 이의가 있으면 기존 총의를 존중하며 새로운 총의를 세워야 한다는 사실을 문서를 이동한 Kirschtaria 사용자에 이야기했고 이에 동의해서 새로운 토론을 열었으니 문서는 기존 총의를 따라 원상복구 해주세요. 근거와 상황을 파악 못하는 호로조 관리자가 처리하는 걸 원치 않습니다. 2001:2D8:E14D:7111:0:0:E25:80A0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21:06 (KST) 요청 사유 요청 근거 = = 떼인세인 → 테인 세인 = = TulipRose2 (토론) 2021년 8월 16일 (월) 00:15 (KST) = =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 → MBC 월화 드라마 = = 복붙에 의한 이동으로 생각됩니다. (위키백과:이동 요청/2021년 1월#문화방송 월화 드라마 → MBC 월화 드라마) 99LJH 2021년 8월 17일 (화) 17:55 (KST) = = 로마 공화국 (1849넌) → 로마 공화국 (1849년) = = 식별자 오타로 정정을 요구합니다. - Elllif (토론) 2021년 8월 17일 (화) 17:56 (KST) = = 암루알라 살레 → 암룰라 살레 = = Amrullah Saleh 입니다. 문서를 생성하신 분이 Amruallah Saleh 로 잘못 보셨나 봅니다. 🦎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21년 8월 18일 (수) 23:33 (KST) = =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 버라이즌 (모바일 네트워크) = = 잘못된 복사, 붙여넣기로 이동이 시도되어 정식 이동 필요. 211.36.134.90 (토론) 2021년 8월 19일 (목) 12:28 (KST) 이 이동은 관리자의 권한을 필요로 합니다. 문서를 직접 이동하는 것이 적절한데, 자꾸 되돌리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11.36.144.236 (토론) 2021년 8월 20일 (금) 09:38 (KST) ted (토론) 2021년 8월 21일 (토) 15:22 (KST) = = JTBC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JTBC 토일 드라마 = = 유튜브에 따르면 St3095 (토론) 2021년 8월 19일 (목) 21:37 (KST) = =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 목록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목록 = = 괄호를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211.36.144.236 (토론) 2021년 8월 20일 (금) 09:52 (KST) = = 선린동 → 선린동 (인천), 선린동 (동음이의) → 선린동, 청량동 → 청량동 (강릉시) , 청량동 (동음이의) → 청량동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75.213.25.183 (토론) 2021년 8월 21일 (토) 13:29 (KST) = = 맥라렌 765LT, 맥라렌 720S → 맥라렌 720S = = 765LT랑 720S는 다른 차종이기 때문입니다. 초고층 박사 (토론) 2021년 8월 21일 (토) 17:47 (KST) = = 국가체육장 (베이징시) → 베이징 국가체육장 = = 처음부터 도시명+경기장명으로 생성된 점과, 그러한 명명법이 정착되어 있는 점, 또 앞서 진행됐던 도쿄 국립경기장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동하고자 합니다. 표제어 이동 확인을 위한 토론을 열었으나 별다른 반대 의견이 없어 신청합니다. 같은 동음이의어로 식별자가 붙은 것으로 보이는 국가체육장 (가오슝시)도 가오슝 국가체육장으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22일 (일) 17:59 (KST) = = 남한 요리 → 대한민국 요리 = = 명칭 분쟁으로 인하여 북한 요리가 정식 명칭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요리로 이동되면서 남한 요리 문서도 정식 명칭인 대한민국 요리로 이동되어야 합니다. Goondae (토론) 2021년 8월 23일 (월) 19:26 (KST) = = 아프가니스탄 구원 국가 이슬람 연합 전선 →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전선 = = 어떠한 총의 없이 여러차례 이동된 문서로, 원래의 제목에 딱히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원래로 돌려놓고 토론을 해야 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8월 24일 (화) 16:40 (KST) = =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 = Korean Symphony Orchestra (토론) 2021년 8월 25일 (수) 17:41 (KST) = = 초안:모요(MOYO) 모두의요금제 → 모요(MOYO) 모두의요금제 = = 출처와 서비스 정보가 충분히 기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성수동아즈아! (토론) 2021년 8월 25일 (수) 19:08 (KST) = = 카페 라떼 → 카페 라테 = = "까페 라뗴"면 "까페 라떼"고 "카페 라테"면 "카페 라테"지 "카페 라떼"는 너무 비일관적인 표기 같아요. 이탈리아어의 한글 표기법에 부합하는 표기인 "카페 라테"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Scudsvlad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06:15 (KST) = = 건포 (아프리카 음식) → 건포 = = "건포"를 제목으로 하는 문서가 하나밖에 없습니다. Scudsvlad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06:33 (KST) = = 청남구 → 청남군, 수동구 → 수동군, 둔전역 (수동구) → 둔전역 (수동), 성내역 (수동구) → 성내역 (수동) = = 2020년 9월 청남구, 수동구가 청남군, 수동군으로 승격되었습니다. 175.213.25.183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13:29 (KST) = = 선암역 → 개운포역 = = 역명변경 118.235.9.63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15:09 (KST) = = 승호구역 → 승호군, :분류:승호구역 → :분류:승호군 = = 2010년 5월부로 승호구역이 승호군으로 승격되었습니다. 175.213.25.183 (토론) 2021년 8월 27일 (금) 12:43 (KST) = =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 → 오륙도선 = = 도시철도도 아니고 공식적인 이름도 아닙니다. 공식적인 이름으로 바꿔야 합니다. 223.63.205.87 (토론) 2021년 8월 28일 (토) 15:02 (KST) = = 흥요국 → 흥료국 = =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흥료국이라 하는 것이 맞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세계한민족문화대전 등에서도 흥료국이라 표기하고 있습니다. 고명한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10:10 (KST) = = 초안:드리미 → 드리미(Dreame) = = 토막글 내용부족으로 초안으로 넘겨짐. 회사 정보 및 관련 내용 추가. 각주 추가 일반문서로 넘겨주세요 펀치코리아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10:58 (KST) 부족한 부분 보완 완료 했습니다. = = 김인식 (정치인) → 김인식 (제헌 국회의원) = = 학력무효 여자 지방의원, 이북의 정치인과 구별하기 위해 2001:2D8:E359:67CB:0:0:8A:CB45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18:00 (KST) = = 김인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김인식 (조선로동당) = = 이북의 정식명칭을 쓰면서도 식별자를 5글자로 대폭 줄일수 있으며 이북 특성상 남한과 달리 당적 변경 가능성이 극히 낮습니다. = = E-AMUSEMENT → e-amusement = = 확인된 내용에는 대문자가 아니라 소문자로 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98.57.27.37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18:21 (KST) = = 초안:남생이무당벌레 → 남생이무당벌레 = = 초안:남생이무당벌레문서를 일반문서로 옮겨 주세요. 221.152.49.131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22:29 (KST) = = 초안:윤나노준 → 윤나노준 = = 초안:윤나노준문서를 일반문서로 옮겨 주세요. 221.152.49.131 (토론) 2021년 8월 29일 (일) 22:37 (KST) = = Astolfo >아스톨포 = = 실수로 문서 제목을 영어로 썼습니다.Sungwiki (토론) 2021년 8월 30일 (월) 20:59 (KST) = = 토론:하나님의교회 (안상홍)/보존1 → 토론:하나님의교회 (안상홍) = = 이 문서에 대해 중단된 토론을 다시 진행하고자 합니다. 예전 토론 문서의 내용과 연속성이 있고 보존된 토론 문서도 방대한 양이 아니라서 보존 문서의 복구를 요청합니다. 제가 해보니 같은 이름의 문서가 있다고 이동이 되지 않습니다. 수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Goldenonyx (토론) 2021년 8월 31일 (화) 11:30 (KST) = = 초안:AVEVA → AVEVA = = 다른나라 국가 같은 내용 문서에서 비슷한 완성도로 문서화 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내용 완성되어 이동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므로 문서 이동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22.42.160.9 (토론) 2021년 8월 31일 (화) 23:13 (KST) = 분류:이스라엘에서 코로나19로 죽은 사람 = = 석포초등학교 (경북) = 석포초등학교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5년 4월 30일: 소천공립보통학교 부설 석포간이학교 개교 1942년 3월 1일: 석포국민학교 승격 1951년 11월 12일: 반야분교장 개교 1971년 3월 1일: 광평분교장, 승부분교장 개교 1991년 3월 1일: 광평분교장 통합 1993년 3월 1일: 승부분교장 통합 1996년 3월 1일: 반야분교장 통합, 석포초등학교로 개명 2011년 3월 1일: 대현분교장 통합 = 분류:1679년 출생 = = 옐로나이프 = 옐로나이프(Yellowknife, )는 그레이트슬레이브호에 인접한 노스웨스트 준주의 주도로 노스웨스턴 준주 내의 유일한 도시이다. 옐로우나이프와 그 주변 수역은 한때 '구리 인디언' 또는 '옐로나이프 인디언'으로 알려진 지역의 덴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북극 해안 근처의 구리 매장지로 만든 공구를 거래한 옐로우나이프 덴 퍼스트 네이션으로 현지에서 지명되었다. 이곳은 아름다운 오로라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 분류:1977년 폐지 = = 분류:1949년 독일 = = 안선영 = 안선영(, 1976년 2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사촌 동생은 전 롯데 자이언츠 투수인 심세준이다. = = 활동 = = 1994년 경성대학교에 입학하여 김정태 (96학번), 박수림 (91학번), 서춘화 (92학번)와 선후배로 같이 학교를 다녔다. 경성대 시절에는 이윤택 감독의 연극 신의 아그네스에도 참여하는 등 연기에 큰 열정을 보이고 1996년에는 영국으로 어학연수를 갔다. 생활비는 집에서 지원을 거의 받지 않아 아르바이트를 하며 어렵게 생활하였으나1997년 IMF 구제금융 사건으로 환율이 급등하여 귀국하였다. 이후 1998년 뮤지컬배우 데뷔, 이듬해 1999년에 경성대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KT 하이텔의 아나운서로 취직하였으나 2000년 MBC 11기 공채 개그우먼으로 데뷔하였다. 현재는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 학력 = = 1988년 양정초등학교 (졸업) 1991년 부일여자중학교 (졸업) 1994년 성모여자고등학교 (졸업) 1999년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4학번 (졸업) 2004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졸업) = = 논란 = = = = = 나이 = = = 데뷔 당시 프로필의 나이는 1976년생이었으나 후에 소속사의 요구로 1979년생, 그리고 다시 1981년생으로 변경했고 최근에는 다시 1979년생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출생 연도는 본인도 인정한 1976년이 맞는 것으로 추정된다. = = = = 그 이유 = = = = 경성대학교에 입학한 연도가 1994년으로 일반적으로는 1975년생, 혹은 빠른 1976년생이 입학 가능한 시기이다. 경성대학교 연극영화과 후배인 개그우먼 김현숙이 인터뷰에서 안선영이 자신보다 3기 선배였다였다고 밝혔는데 김현숙이 1978년생이므로 김현숙보다 3기 선배가 되려면 1994년 입학생이어야 한다. 인터뷰에서 대학 2학년을 마치고 1996년 영국으로 연극을 배우러 갔다고 여러 번 밝힌 적이 있다. 빠른 1979년 출생자라면 1996년에는 고등학교 3학년이어야 한다. 2008년 8월 16일 방영되었던 '스타의 친구를 소개합니다'에서 동갑내기 친구를 소개하며 1976년생이라고 밝히기도 하였다.'스친소' 안선영, "글래머 제 친구 어때요?" = = = 데뷔 연도 = = = 데뷔를 1998년 MBC 11기 공채 개그맨으로 하였다는 프로필도 있으나 1998년에는 MBC 9기 공채 개그맨 선발이 있었고 2000년 MBC 11기 공채 개그맨 선발이 있었으므로 2000년에 데뷔한 것이 정확한 것으로 추정된다. = = 출연작 = = = = = 영화 = = = 2004년 《어린 신부》 ... 담임 역 2004년 《내 남자의 로맨스》 ... 파마 여자 역(특별출연) 2004년 《S 다이어리》 ... 지영 역(우정출연) 2005년 《제니, 주노》 ... 성교육 선생님 역 2005년 《작업의 정석》 ... 오지영 역 2006년 《누가 그녀와 잤을까?》 ... 여교수 역(특별출연) 2007년 《이대근, 이댁은》 ... 딸 역 2012년 《경의선》 ... 교보문고 계산원 역 = = = 드라마/시트콤 = = = 2000년 MBC 청춘시트콤 《뉴 논스톱》 ... 단역 2001년 MBC 주간시트콤 《연인들》 ... 옌볜 처녀 역 2002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미스김은 복수할 자격이 있다》 2002년 SBS 청춘시트콤 《오렌지》 2003년 SBS 주말극장 《애정만세》 ... 숙희 역 2004년 SBS 주말특별기획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2005년 KBS2 미니시리즈 《장밋빛 인생》 ... 반성해 역 2006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새끼곰의 미소》 ... 고정란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늑대》 ... 명희 역 2006년 EBS1 청소년드라마 《비밀의 교정》 ... 박미숙 역 2006년 KBS2 미니시리즈 《미스터 굿바이》 ... 왕찬성 역 2006년 MBC 미니시리즈 《여우야 뭐하니》 ... 박승혜 역 2007년 SBS 드라마 스페셜 《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 ... 오정숙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칼잡이 오수정》 ... 이영애 역 2007년 MBC 주말연속극 《깍두기》 ... 양 팀장 역 2008년 MBC 미니시리즈 《누구세요?》 2009년 KBS2 아침드라마 《장화홍련》 ... 진정해 역 2009년 TvN 토요시트콤 《세 남자》 2010년 SBS 드라마 스페셜 《산부인과》 ... 이숙정 역 2010년 MBC 4부작드라마 《나는 별 일 없이 산다》 ... 채봉미 역 2011년 KBS2 미니시리즈 《드림 하이》 ... 강오선 역 2013년 tvN 미니시리즈 《우와한 녀》 ... 진보여 역 2014년 MBC 미니시리즈 《개과천선》 ... 이애숙 역 2014년 KBS2 주말연속극 《참 좋은 시절》 ... 조수지 역 2014년 SBS 드라마 스페셜 《피노키오》 ... 방송작가 역 (특별출연) 2015년 KBS1 일일드라마 《우리집 꿀단지》 ... 최정미 역 (1회~78회까지 출연) 2018년 KBS2 아침드라마 《차달래 부인의 사랑》 ... 오달숙 역 = = = 방송 = = = 2000년 MBC 《코미디 닷컴》 2000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 리포터 2001년 MBC 《코미디 하우스》 2001년 MBC 《설특집 개그나라 웃음나라》 2001년 MBC 《칭찬합시다》 2001년 MBC 《아주 특별한 아침 2부》 2001년 MBC 《타임머신》 ... 패널 2002년 SBS 《스타 GO GO》 ... MC 2002년 SBS 《쇼! 일요천하》 ... MC 2002년 KBS2 《스타 집현전》 ... 고정패널 2002년 SBS 《장미의 이름》 ... 前 진행자(2002년 3월 20일,27일(마지막회))(송은이와 공동)(2001년 5월 5일 첫 회부터 토요일 밤 9시 45분에 방영되다가 2002년 3월 6일 방송분부터 수요일 밤 11시 5분으로 변경됐는데 첫 회부터는 남희석과 아나운서 출신 연기자 임성민이 진행을 맡아왔으나 임성민이 연기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빠진 뒤 2001년 11월 10일부터 허수경이 새 여자 MC로 투입되어 2002년 3월 27일까지 남희석과 공동 진행) 2002년 SBS 《토요일이 온다-고향에 가자》 ... 前 진행자(연기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빠진 예지원의 후임으로 2002년 4월 6일부터 '토요일이 온다' 마지막회인 7월 6일까지 김미화,유정현과 공동 진행) 2002년 SBS 《뷰티풀 선데이》〈100인의 천사〉 ... MC 2003년 SBS 《설특집 올스타 총출동 퀴즈의 제왕》 ... MC 2003년 SBS 《신동엽, 김원희의 헤이헤이헤이》〈웃자 웃자〉 ... 패널 2004년 SBS 《솔로몬의 선택》 ... 패널 2005년 KBS1 《가족오락관》 ... 패널 2005년 SBS 《결정! 맛대맛》 ... 패널 2006년 KBS2 《스타골든벨》 ... 패널 2006년 SBS 《김용만의 TV 종합병원》 ... 패널 2006년 SBS 《세대초월, 나이야 가라》 ... 패널 2006년 KBS2 《스펀지》 ... 패널 2007년 Story On 《매력의 발굴, 수컷의 재구성》 ... MC 2008년 SBS 《퀴즈 육감대결》 2009년 SBS 《대한민국 쿡》 2009년 KBS2 《일요일 밤으로》 ... 패널 2009년 QTV 《순위 정하는 여자》 ... 패널 2010년 MBC every1 《터닝 포인트》 ... MC 2010년 SBSE! 《쉐프의 키스》 2011년 KBS2 《생활의 발견 오감도》 ... MC 2011년 E채널 《포커페이스 시즌2》 ... 패널 2011년 SBSE! 《시간여행 메모리》 ... MC 2012년 MBN 《고수의 비법 황금알》 ... 패널 2012년 OBS 《감성토크 청춘은 아름다워》 ... MC 2012년 MBC 《우리들의 일밤 - 꿈엔들》 ... MC 2012년 OBS 《청춘아》 ... MC 2013년 MBN 《고수의 비법 황금알》 ... 패널 2013년 MBN 《속풀이쇼 동치미》 ... 패널 2013년 TV조선 《모녀기타》 ... 패널 2013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337회 ... 게스트 2015년 MBN 《고수의 비법 황금알》 ... 패널 2016년 MBN 《고수의 비법 황금알》 ... 패널 2020년~ 2022년 채널A 《다시 뜨거워지고 싶은 애로부부》 ... MC 2023년 JTBC 《짠당포》 14회 ... 게스트 2024년 SBS TV 《신발 벗고 돌싱포맨》- 게스트 2017년 SBS Love FM《김흥국, 안선영의 아싸 라디오》 ... 공동 DJ 2009년~2012년 SBS 러브FM 《안선영의 라디오가 좋다》 ... DJ 만화열전 - 공포의 외인구단 (MBC 라디오) - 엄지 엄마 / 홍 기자 = = = 광고 = = = 팔도 왕뚜껑·왕컵 (김경식과 함께 출연) SC존슨 레이드 동국제약 인사돌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빼빼로 = 에너미 = 에너미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영어로 적(敵)을 의미한다. = = 영화 = = 《에너미》는 2013년 영화이다. = = 음악 = = "Enemy": 까스까다의 2011년 음반 Original Me의 노래 "Enemy": 리그 오브 레전드 넷플릭스 시리즈 아케인에 사용된 Imagine Dragons & J.I.D의 노래 "The Enemy": 앤스랙스의 음반 Spreading the Disease의 노래 "The Enemy": 다크 트랭퀼리티의 음반 Damage Done의 노래 = 이숙영의 해피데이 = 이숙영의 해피데이는 ITV 인천방송에서 1999년도에 방영되었던 교양정보 프로그램이다. = 일본원주민론 = 일본원주민론은 야마토 조정이 외래집단의 정복왕조이고, 그 이전에 일본열도에 존재하던 선주민족은 부락민이나 산카 같은 천민 집단이 되었다는 역사관이다. 이것을 처음 제기한 사람은 역사소설가 야기리 토메오다. 토메오는 이런 "원주민"들이 오랜 역사를 통해 황통에 연결됨으로써 황실이 원주민 통합의 상징이 되었다고 상정했다. 야기리는 이런 서술을 할 때 황실에 대한 경의의 표현으로 일관하며, 결코 좌익이라고 할 수 없는 사람이었다.八切の著書『日本原住民史』には「崇神帝は紀元前97年の御即位となっているが・・・(13ページ)」「光仁帝の皇太子であらせられた稗田親王・・・(17ページ)」のように、皇室への敬意表現で一貫しており、新左翼とは明確に異なる思想である。 하지만 일본 신좌파는 이것을 환골탈태 수준으로 완전히 새롭게 재해석했다. 당시 수배로 인해 잠행 중이던 적군파 간부 우메나이 쓰네오는 야기리의 일본원주민론에 촉발되어 「공산주의자동맹 적군파에게서 일제타도를 뜻하는 모든 사람들에게」를 발표했다. 이 수기에서 처음으로 신좌파의 “일제타도”의 근거가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제국의 악행”으로부터 “일본이 건국된 이래의 원주민 박해”로 크게 전환되었다. 궁민혁명론을 주장한 오오타 류도 야기리를 “진정한 인민적 역사가”라고 극찬했다. 이를 계기로 신좌파 운동가들은 “일본원주민의 복권”을 내거는 독자적 역사관을 확립했다. 그 특징은 “야마토 조정에 의해 파괴된 지방정권”을 찬양함으로써 “천황제의 상대화”를 도모한다는 것이었다. 또 한편 “기기 이전의 역사를 전했다”고 알려진 고사고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일본원주민론 역사관은 카토 사부로 등의 논섹트 래디컬 운동가들에 의한 반일테러 사건을 촉발시켰다. 신좌파 운동가들은 유사역사학에 빠져들었고, 이는 1980년대의 오컬트 붐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자 하라다 미노루에 따르면 옴진리교도 이러한 풍조로 대두한 일종의 위사(僞史)운동이며, 옴진리교가 국가전복을 기획한 배경에는 이런 반일 이념이 영향을 미쳤다고도 한다. = = 참고 자료 = = 八切止夫「日本原住民史」朝日新聞社、1972年 太田竜「日本原住民と天皇制」新泉社、1982年 太田竜「日本原住民史序説」新泉社、1982年 原田実「幻想の荒覇吐(アラハバキ)秘史 ―「東日流外三郡誌」の泥濘―」批評社、1999年 原正寿、原田実、安本美典「日本史が危ない! ―偽書『東日流外三郡誌』の正体―」全貌社、1999年 = 분류:자유 사용 파일 = = 분류:무안 박씨 = = 모듈:Random = This module contains a number of functions that make use of random numbers. local cfg = {} Configuration Set this to true if your wiki has a traffic rate of less than one edit every two minutes or so. This will prevent the same "random" number being generated many times in a row until a new edit is made cfg.lowTraffic = false This is the number of seconds until the seed is changed. Getting this right is tricky. If you set it too high, the same number will be returned many times in a row. If you set it too low, you may get different random numbers appearing on the same page, particularly for pages that take many seconds to process. cfg.seedRefreshRate = 60 End configuration local p = {} For functions available from other Lua modules. local l = {} For functions not available from other Lua modules, but that need to be accessed using table keys. local yesno = require('Module:Yesno') local makeList = require('Module:List').makeList Helper functions local function raiseError(msg) This helps to generate a wikitext error. It is the calling function's responsibility as to how to include it in the output. return mw.ustring.format('Module:Random error: %s.', msg) end random number function local function getBigRandom(l, u) Gets a random integer between l and u, and is not limited to RAND_MAX. local r = 0 local n = 2^math.random(30) Any power of 2. local limit = math.ceil(53 / (math.log(n) / math.log(2))) for i = 1, limit do r = r + math.random(0, n - 1) / (n^i) end return math.floor(r * (u - l + 1)) + l end function l.number(args) Gets a random number. first = tonumber(args[1]) second = tonumber(args[2]) This needs to use if statements as math.random won't accept explicit nil values as arguments. if first then if second then if first > second then Second number cannot be less than the first, or it causes an error. first, second = second, first end return getBigRandom(first, second) else return getBigRandom(1, first) end else return math.random end end Date function function l.date(args) This function gets random dates, and takes timestamps as positional arguments. With no arguments specified, it outputs a random date in the current year. With two arguments specified, it outputs a random date between the timestamps. With one argument specified, the date is a random date between the unix epoch (1 Jan 1970) and the timestamp. The output can be formatted using the "format" argument, which works in the same way as the #time parser function. The default format is the standard Wikipedia timestamp. local lang = mw.language.getContentLanguage local function getDate(format, ts) local success, date = pcall(lang.formatDate, lang, format, ts) if success then return date end end local function getUnixTimestamp(ts) local unixts = getDate('U', ts) if unixts then return tonumber(unixts) end end local t1 = args[1] local t2 = args[2] Find the start timestamp and the end timestamp. local startTimestamp, endTimestamp if not t1 then Find the first and last second in the current year. local currentYear = tonumber(getDate('Y')) local currentYearStartUnix = tonumber(getUnixTimestamp('1 Jan ' .. tostring(currentYear))) local currentYearEndUnix = tonumber(getUnixTimestamp('1 Jan ' .. tostring(currentYear + 1))) - 1 startTimestamp = '@' .. tostring(currentYearStartUnix) @ is used to denote Unix timestamps with lang:formatDate. endTimestamp = '@' .. tostring(currentYearEndUnix) elseif t1 and not t2 then startTimestamp = '@0' the Unix epoch, 1 January 1970 endTimestamp = t1 elseif t1 and t2 then startTimestamp = t1 endTimestamp = t2 end Get Unix timestamps and return errors for bad input (or for bugs in the underlying PHP library, of which there are unfortunately a few) local startTimestampUnix = getUnixTimestamp(startTimestamp) local endTimestampUnix = getUnixTimestamp(endTimestamp) if not startTimestampUnix then return raiseError('"' .. tostring(startTimestamp) .. '" was not recognised as a valid timestamp') elseif not endTimestampUnix then return raiseError('"' .. tostring(endTimestamp) .. '" was not recognised as a valid timestamp') elseif startTimestampUnix > endTimestampUnix then return raiseError('the start date must not be later than the end date (start date: "' .. startTimestamp .. '", end date: "' .. endTimestamp .. '")') end Get a random number between the two Unix timestamps and return it using the specified format. local randomTimestamp = getBigRandom(startTimestampUnix, endTimestampUnix) local dateFormat = args.format or 'H:i, d F Y (T)' local result = getDate(dateFormat, '@' .. tostring(randomTimestamp)) if result then return result else return raiseError('"' .. dateFormat .. '" is not a valid date format') end end List functions local function randomizeArray(t, limit) Randomizes an array. It works by iterating through the list backwards, each time swapping the entry "i" with a random entry. Courtesy of Xinhuan at If the limit parameter is set, the array is shortened to that many elements after being randomized. The lowest possible value is 0, and the highest possible is the length of the array. local len = #t for i = len, 2, -1 do local r = math.random(i) t[i], t[r] = t[r], t[i] end if limit and limit < len then local ret = {} for i, v in ipairs(t) do if i > limit then break end ret[i] = v end return ret else return t end end local function removeBlanks(t) Removes blank entries from an array so that it can be used with ipairs. local ret = {} for k, v in pairs(t) do if type(k) == 'number' then table.insert(ret, k) end end table.sort(ret) for i, v in ipairs(ret) do ret[i] = t[v] end return ret end local function makeSeparator(sep) if sep == 'space' then Include an easy way to use spaces as separators. return ' ' elseif sep == 'newline' then Ditto for newlines return '\n' elseif type(sep) == 'string' then If the separator is a recognised MediaWiki separator, use that. Otherwise use the value of sep if it is a string. local mwseparators = {'dot', 'pipe', 'comma', 'tpt-languages'} for _, mwsep in ipairs(mwseparators) do if sep == mwsep then return mw.message.new( sep .. '-separator' ):plain end end return sep end end local function makeRandomList(args) local list = removeBlanks(args) list = randomizeArray(list, tonumber(args.limit)) return list end function l.item(args) Returns a random item from a numbered list. local list = removeBlanks(args) local len = #list if len >= 1 then return list[math.random(len)] end end function l.list(args) Randomizes a list and concatenates the result with a separator. local list = makeRandomList(args) local sep = makeSeparator(args.sep or args.separator) return table.concat(list, sep) end function l.text_list(args) Randomizes a list and concatenates the result, text-style. Accepts separator and conjunction arguments. local list = makeRandomList(args) local sep = makeSeparator(args.sep or args.separator) local conj = makeSeparator(args.conj or args.conjunction) return mw.text.listToText(list, sep, conj) end function l.array(args) Returns a Lua array, randomized. For use from other Lua modules. return randomizeArray(args.t, args.limit) end HTML list function function l.html_list(args, listType) Randomizes a list and turns it into an HTML list. Uses Module:List. listType = listType or 'bulleted' local listArgs = makeRandomList(args) Arguments for Module:List. for k, v in pairs(args) do if type(k) == 'string' then listArgs[k] = v end end return makeList(listType, listArgs) end The main function. Called from other Lua modules. function p.main(funcName, args, listType) Sets the seed for the random number generator and passes control over to the other functions. local same = yesno(args.same) if not same then Generates a different number every time the module is called, even from the same page. This is because of the variability of os.clock (the time in seconds that the Lua script has been running for). math.randomseed(mw.site.stats.edits + mw.site.stats.pages + os.time + math.floor(os.clock * 1000000000)) else if not cfg.lowTraffic then Make the seed as random as possible without using anything time-based. This means that the same random number will be generated for the same input from the same page - necessary behaviour for some wikicode templates that assume bad pseudo-random-number generation. local stats = mw.site.stats local views = stats.views or 0 This is not always available, so we need a backup. local seed = views + stats.pages + stats.articles + stats.files + stats.edits + stats.users + stats.activeUsers + stats.admins Make this as random as possible without using os.time or os.clock math.randomseed(seed) else Make the random seed change every n seconds, where n is set by cfg.seedRefreshRate. This is useful for low-traffic wikis where new edits may not happen very often. math.randomseed(math.floor(os.time / cfg.seedRefreshRate)) end end if type(args) ~= 'table' then error('the second argument to p.main must be a table') end return l[funcName](args, listType) end Process arguments from #invoke local function makeWrapper(funcName, listType) This function provides a wrapper for argument-processing from #invoke. listType is only used with p.html_list, and is nil the rest of the time. return function (frame) If called via #invoke, use the args passed into the invoking template, or the args passed to #invoke if any exist. Otherwise assume args are being passed directly in from the debug console or from another Lua module. local origArgs if frame == mw.getCurrentFrame then origArgs = frame:getParent.args for k, v in pairs(frame.args) do origArgs = frame.args break end else origArgs = frame end Trim whitespace and remove blank arguments. local args = {} for k, v in pairs(origArgs) do if type(v) == 'string' then v = mw.text.trim(v) end if v ~= then args[k] = v end end return p.main(funcName, args, listType) end end Process arguments for HTML list functions. local htmlListFuncs = { bulleted_list = 'bulleted', unbulleted_list = 'unbulleted', horizontal_list = 'horizontal', ordered_list = 'ordered', horizontal_ordered_list = 'horizontal_ordered' } for funcName, listType in pairs(htmlListFuncs) do p[funcName] = makeWrapper('html_list', listType) end Process arguments for other functions. local otherFuncs = {'number', 'date', 'item', 'list', 'text_list'} for _, funcName in ipairs(otherFuncs) do p[funcName] = makeWrapper(funcName) end return p = 산련풀 = = 분류:니시구 (나고야시)의 철도역 = = 컬린 포페스쿠터리체아누 = 컬린 포페스쿠-터리체아누(, 1952년 1월 14일~ )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이다. 그는 부쿠레슈티 출신이며, 2004년 국민자유당 대표가 되었으며, 그 해 총선에서 승리, 트라이안 버세스쿠 대통령에 의해 2004년 12월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소속이 다른 버세스쿠 대통령과 자주 대립했으며, 총리는 2007년 4월 대통령의 탄핵을 주도하기도 했다. 국민투표 결과 탄핵은 부결되어 버세스쿠는 대통령직에 복귀했다. 2008년 11월 총선에서는 패배하여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2014년 선거 루마니아의 대통령 6대 무소속 5.36% 508,572표     3위 낙선 = 분류:소련의 올림픽 참가 선수 = = 분류:코파보귀르 출신 = = 분류: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경기 종목 = = 오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오늘은 대한민국의 KBS에 방송됐던 저녁 교양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뉴스와 교양, 오락을 접목시켜 시청자의 기호에 알맞는 구성과 기획취재로 시청자의 욕구와 궁금증을 풀어주도록 구성하여, 평범한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담겼다. = = 방송 시간 = = KBS 2TV - 1984년 4월 2일 ~ 1987년 2월 27분, 매주 월 ~ 금요일 저녁·밤 시간대 = = 역대 진행자 = = 신완수 왕영은 =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 =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Berkshire Hathaway Energy)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9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이다. 그렉 에이블 (Greg Abel)이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윌리암 퍼만 (William Fehrman)이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다. 지난 5월 1일 열렸던 온라인 라이브 주주총회에서 버크셔의 회장인 워렌 버핏은 버크셔 그룹의 후계자로 그렉 에이블을 공개적으로 지명했다. = = 지배 구조 및 자회사 = = *버크셔 해서웨이 - 버크셔 헤서웨이 에너지의 90% 지분 보유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 *Pacificorp (태평양 지역 발전사) *BHE U.S. Transmission (송전사) *NV Energy (네바다 지역 발전사) **Nevada Power Company **Sierra Pacific Power Company *BHE Renewables (신재생에너지 발전사) *MidAmerican (중부 지역 발전사) *HomeServices of America (부동산 회사) *Northern Powergrid (영국 북서부 발전사) **Northern Powergrid Northeast **Northern Powergrid Yorkshire *Altalink (캐나다 알버타 지역 송전사) *BHE Pipeline Group (천연가스 송유 회사) **Kern River **BHE GT&S **Northern Natural Gas = = 에너지 자산 = = *자산 총액: 1,270억 달러 *매출: 210억 달러 *고객수: 9천1백만명 *직원수: 23,800명 *송전망 총연장: 36,000마일 *천연가스관 총연장: 21,300마일 *전력 총생산 능력: 33,654메가와트 신재생에너지 43% 천연가스 32% 석탄 24% 핵발전 및 기타 1%https://www.brkenergy.com/assets/pdf/fiic-presentations/2021-fiic-update.pdf =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 미술공예운동과 아르누보의 영향으로 과거의 장식적인 타이포그래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1923년 바우하우스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얀 치홀트가 주창한 타이포그래피 이론이다. 타이포그래피를 명확한 정보 확인과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해석하고 기능적인 타이포그래피에 초점을 맞추면서 확대되었으며, 타이포그래피의 한 시대를 구분하는 이념으로 지칭하게 되었다. = = 역사적 배경 = = = = = = 전통적 타이포그래피 = = = = 산업혁명 이후 윌리엄 모리스는 기계적인 대량생산을 반대하며 수공예 중심의 시대로 회기하고 자 미술공예운동이 펼쳐졌으며, 이를 시작으로 획일적인 표현 방식을 반대하고 장식적 특징을 강조하는 아르누보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타이포그래피 또한 과거의 일률적이고 무분별한 가운데 맞추기와 장식적인 타이포그래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 = = = 바우하우스 = = = = 요하네스 이텐의 자유분방한 표현주의, 러시아의 구성주의, 네덜란드의 데-스틸 운동 등의 새로운 실험들을 볼 수 있었다. 특히 헝가리 출신 교수 모호이-너지의 바우하우스 홍보물은 기하학적인 레이아웃과 산세리프체의 혁신적인 타이포그래피로 기계 시대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원래 목적인 가독성과 합목적성에 맞춰 새로운 활자 운용이 요구되었다., = = = = 얀 치홀트 = = = = 1923년 바이마르에서 열린 바우하우스 전시를 관람한 뒤, 1925년 「튀포그라피셰 미타 일룽겐」에 「타이포그래피 기초」를 실어 유럽 인쇄 업계에 이름을 알렸고, 1928년 현대적 그래픽 디자인 안내서인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를 발표해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와 관련된 논쟁을 촉발시켰다. 1933년 나치의 탄압으로 스위스로 이주한 뒤, 1935년 과거 자신의 이론을 완숙하게 발전시켜 정리한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을 발표했다. = =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이론 = =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본질은 단순히 아름다움이 아니라 '명료성'에 있다. 이는 문서에서 기능 위주로 추출된 형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정신이다.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목표는 본문의 텍스트 기능에서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얀 치홀트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가치란 순수함, 명료성 그리고 방법의 단순함을 시도하는 것에 있다고 보았다. = = = = 비대칭 배열 = = = = 비대칭 배열은 기능적 디자인의 역동적 표현이다. 비대칭이 이루는 타이포그래피의 형태는 인위적인 대칭 구조 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순수한 형태이다. 비대칭 배열은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에 무한히 변형될 수 있는 형태를 보장는 동시에 생동감, 다양성, 융통성을 표현한다. 그러나 불안한 비대칭 배열 속에서 혼돈스러운 구성을 피하고 균형과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 = = = 산 세리프체 = = = = 얀 치홀트는 옛 활자들이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본질인 명료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산세리프체가 오늘날의 활자라고 말한다. 세리프체 위주의 전통적 타이포그래피 서체들과 달리, 산세리프체는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기본적인 형태로 간략화한 서체이기 때문에 새로운 타이포그래피 조건에 더 적합한 서체이다. 그에 따르면 산세리프체는 디자인에서 장식적으로 부족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네 가지의 굵기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이탤릭체를 갖춘 서체이며, 전통적인 서체들에 비해 더 완성된 것이었다. = = = = 색 사용 = = = = 색은 책의 어떤 특정 부분을 분리하거나, 특징을 주기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조화롭게 구성된 인쇄판에서 어떤 글줄에 색을 넣는다는 것은, 부분의 구체적인 강조와 내용의 구분이라는 명료한 목적을 지닌 것이다. 얀 치홀트는 타이포그래피를 디자인하면서 많은 색을 사용하지 않고 정해져 있는 몇 가지의 색을 절제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색을 이용하여 논리적, 기능적인 면을 추구하고자 하였고 화면에서 강한 효과와 생동감을 주기 위해서였다. = = = = 표준화 = = = = 독일은 18세기부터 표준화를 통하여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화를 촉진하고자 노력했다. 합리적인 디자인을 통해 합리적인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믿었던 모더니스트 디자이너들에겐 공인된 표준화 시스템이야말로 개개인의 자의적 표현과는 차원이 다른 공동을 위한 제도였다. = = = = 사진 = = = = 때로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그림이나 사진이 글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더 많은 뜻과 내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해 주며, 설득력을 부여하고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진과 텍스트의 결합은 지면에 3차원적 공간감을 더해주고 활자의 평면성과 대비를 이루어 생동감을 준다. 오늘날 사진 사용은 매우 다양해져서 사진 없이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지경이 되어버렸으며, 사진의 질은 작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 전치 암호 = 전치 암호(前置暗號], )는 암호학에서 평문 단위의 위치(보통 문자열이나 문자열의 그룹)가 정규 시스템에 따라 이동되면서 암호문이 평문 순열을 이루는 암호화 방식이다. 즉, 단위 순서가 바뀌는 것(평문 순서 재배치)이다. 수학적으로 전단사 함수는 암호화를 위해 문자의 위치에, 복호화를 위해 역함수에 사용된다. = 분류:USA 네트워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더 워리어스 = 더 워리어스(The Warriors)는 1979년 영화 워리어에 기반을 둔 2005년 진행형 격투 비디오 게임이다. 록스타 토론토가 개발하고 록스타 게임스가 배급하였다. 2005년 10월 플레이스테이션 2와 엑스박스용으로, 2007년 2월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용으로 출시되었다. PSP 이식판은 록스타 리즈가 개발했다. 이 게임은 2013년 5월 플레이스테이션 3으로, 2016년 7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플레이스테이션 4로도 이식되었다. = 6.25 전쟁 기간 캐나다의 군사사 = 6.25 전쟁 참전국 캐나다군은 1950년 7월 30일부터 1953년 6.25 전쟁 휴전까지 총 26,791명이 파병되었다. UN 깃발 아래 한국전쟁에 참전한 16개국 중 미국과 영국 다음으로 많은 수의 군대를 파병하였고, 육·해·공군을 모두 파병한 4개 국가에 속한다.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109쪽 캐나다는 신속하게 대규모의 육·해·공군을 파병함으로써 다른 유엔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휴전 이후에도 1955년까지 캐나다군 약 7000명이 추가 파병되었다. 이처럼 캐나다와 대한민국은 6·25전쟁을 통해 혈맹의 우호관계를 구축하였다. = = 참전 배경 = = 1950년 6월 북한군의 남침 소식을 접한 캐나다는 당시 한국과의 외교관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UN의 북한국에 대한 응징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며 1950년 6월 30일 캐나다 의회는 "집단안보의 효율성을 과시하기 위한 정부의 어떠한 조치도 적극 지지한다."라고 발표하며 한국에 대한 파병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손규석·조성훈·김상원,  6·25 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123쪽 당시 캐나다 하원의원의 총리였던 루이 생로랑(Louis St. Laurent)은 "유엔결의의 이행에 참여하는 것은 평화회복을 위한 유엔의 집단안보활동 중의 일부를 담당하기 위함이다."라는 연설로 파병 의의를 설명하였다. = = 참전 규모 및 부대 편성 = = *1950년 7월 5일 - 아다바스칸(Athabaskan)호, 캐유가(Cayuga)호, 시욱스(Sioux)호로 구성된 구축함 3척 파병손규석·조성훈·김상원,  6·25 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123~127쪽 - 미 극동해군사령부에 배속되어 미 병력수송선 엄호 / 해상초계 / 해상봉쇄 / 해안포격 / 상륙작전지원 등 다양한 임무 수행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26~27쪽 1950년 7월 21일 - 제 426항공수송대대 파병 - 미국 워싱턴 맥코드(McChord) 공군기지에 배속 - 공중전 경험이 있는 조종사 22명을 선발해 미 공군에 파견 1950년 11월 25일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Princess Patricia Canadian Light Infantry, PPCLI) 제 2대대 파병 - 미 제 9군단 산하의 영연방 제 27여단에 배속 *1951년 5월 6일 - 캐나다 제 25여단 본대 파병 - 영연방 제 1사단에 배속 캐나다 지상군 참전부대 및 지휘관손규석·조성훈·김상원,  6·25 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127쪽 부대명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부대명 계급 성명 참전기간 제 25보병여단 준장 J.M Rockingham 1951. 5. ~1952. 4. 제 25보병여단 준장 M.P. Bogert 1952. 4. ~1953. 4. 제 25보병여단 준장 J.V. Allard 1953. 4. ~1954. 6. 제 25보병여단 준장 F.A. Clift 1954. 6. ~ 1954. 12. PPCLI 제 2대대 중령 J.R. Stone 1950. 12. ~1951. 11. PPCLI 제 1대대 중령 N.G. Wilson Smith 1951. 10. ~1952. 11. PPCLI 제 1대대 중령 J.R. Cameron 1951. 10 ~1952. 11. PPCLI 제 3대대 중령 G.C. Corbould 1952. 10. ~1953. 10. PPCLI 제 3대대 중령 H.F. Wood 1952. 10. ~1953. 10. PPCLI 제 3대대 중령 C.E.C. MacNell 1952. 10. ~1953. 10. PPCLI 제 3대대 중령 M.F. MacLachlan 1952. 10. ~1953. 10. PCR 제 2대대 중령 R.A. Keane 1951. 5. ~1952. 4. PCR 제 2대대 중령 G.C. Corbould 1951. 5. ~1952. 4. PCR 제 1대대 중령 P.R. Binham 1952. 4. ~1953. 3. PCR 제 3대대 중령 K.L. Campbell 1953. 3. ~1954. 3. P22eR 제 2대대 중령 J.A. Dextraze 1951. 5. ~1952. 4. P22eR 제 2대대 중령 J.A.A.G Vallee 1951. 5. ~1952. 4. P22eR 제 1대대 중령 L.F. Trudeau 1952. 4. ~ 1953. 4. P22eR 제 3대대 중령 H. Tellier 1953. 4. ~ 1954. 4. P22eR 제 3대대 중령 J.L.G. Poulin 1953. 4. ~ 1954. 4. = = 주요 전투 = = = = = 가평지구전투 = = = 가평지구전투손규석·조성훈·김상원,  6·25 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128~135쪽 일시 장소 교전부대 1951년 4월 23일 ~ 1951년 4월 25일 경기도 가평군 가평천 일대 영연방 제 27여단 vs 중공군 제 118사단 = = = = 개요 = = = = 중공군의 제 5차 공세 당시 사창리 지역 한국군 제 6사단 전선으로 돌파한 중공군 제 20군이 가평 방면으로 돌파구를 확대하자 뉴질랜드 제 16포병연대의 지원 아래 영연방 제 27여단 예하 캐나다군 제 2대대, 호주군 대대, 영국군 미들섹스대대가 1951년 4월 23일 ~ 1951년 4월 25일에 저지 진지를 편성하여 가평천 일대에서 중공군의 침투를 저지한 방어전투이다. 캐나다군은 이 전투에서 가평천 건너 맞은편 677고지에 배치되어 영연방 제 27여단의 좌일선 방어를 담당하였다. = = = = 전투 경과 = = = = 1951년 4월 23일 22시경 - 여단 전방의 우측전선을 방어 중이던 호주 대대 정면에 중공군 제 118사단 제 354연대 제 3대대가 모습을 보이기 시작함 1951년 4월 24일 01시경 - 중공군의 선제 공격개시 -> 치열한 공방전 끝 호주군 대대가 적을 격퇴 1951년 4월 24일 17시경 - 중공군의 끊임없는 공격으로 위협을 느낀 호주 대대 철수 1951년 4월 24일 18시경 - 제 1기병 사단 제 5연대 병력을 양분하여 캐나다 대대 후방과 영국 미들섹스대대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지원 1951년 4월 24일 20시경 - 중공군이 박격포를 통해 캐나다 대대 진지를 공격 -> 캐나다 대대의 대응으로 격퇴 1951년 4월 24일 23시경 - 중공군이 더 많은 병력을 투입하여 캐나다 진지 공격 -> 캐나다군의 진지 일부가 적에게 점령되었으나 곧바로 역습을 감행해 치열한 백병전을 통해 진지를 재탈환함 1951년 4월 25일 새벽 - 중공군이 667고지 공격을 통해 캐나다 대대 진지 일부 탈환 -> 여단의 지원 하 진지 방어에 성공 / 중공군 북쪽으로 이동하며 영연방 제 27여단의 승리로 일단락 = = = = 결과 = = = = 영연방 제 27여단이 중공군의 남하를 저지하면서 유엔군은 북한강을 경계로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였다. 이 전투로 캐나다군은 10명이 전사하고 23명이 부상을 입는 인명손실이 발생하였다. = = = 자일리전투 = = = 자일리 전투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48~51쪽 일시 장소 교전부대 1951년 5월 30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각흘봉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캐나다 제 25여단 vs 중공군 제 15군 = = = = 개요 = = = = 미 제 25사단과 함께 포천-영평-운천 선으로 진격하던 캐나다 제 25여단이 1951년 5월 30일 포천시 자일리 일대에서 중공군 제 15군의 거센 저항으로 진격에 실패한 전투이다. = = = = 전투 경과 = = = = 1951년 5월 28일 - 캐나다군이 진격 도중 중공군의 경미한 저항을 격퇴한 후 캔사스선 통과 1951년 5월 29일 - 캐나다군 ‘Followup' 작전에 따라 운천 인근까지 진출 -> 운천 동북쪽의 467고지(각흘봉)에서 중공군의 저항으로 진격 중단 1951년 5월 30일 10시경 - A중대 : 운천을 통과하는 도로를 통해 자일리로 기동 B중대 : A중대 엄호를 위한 자일리 좌측의 162고지 점령을 목표로 기동 C중대 : A중대 엄호를 위한 자일리 우측의 269고지 점령을 목표로 기동 D중대 : 각흘봉 직접 공격 -> D중대가 가파른 산등성이에 접근하자 중공군의 자동화기사격에 의해 저지 1951년 5월 30일 11시경 - B중대 : 별다른 저항없이 자일리 좌측의 162고지 점령 C중대 : 별다른 저항없이 자일리 우측의 269고지 점령 1951년 5월 30일 11시 30분경 - 중공군의 저항이 D중대 뿐만 아니라 전 대대로 확대 A중대 : 중공군의 포위망 속에서 전투력 상실 B,C 중대 : 악천후로 인해 피아식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거리가 짧은 소대화기만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A중대를 지원하는 임무 수행 불가 1951년 5월 30일 12시 30분경 - D중대 : 기동방향을 목표정면에서 좌측방으로 전환하며 각흘봉 서단 봉우리 점령 -> 300m 동쪽의 각흘봉 주봉을 점령하기 위하여 중공군의 기관총 제압 필요 -> 박격포 사격 2회 요청했으나 제압 실패 1951년 5월 30일 14시 30분경 - 여단장의 공격중지 명령 -> 중공군에 의해 포위된 A중대는 차량을 포함한 많은 장비가 손실되며 철수 = = = = = 결과 = = = = = 이 전투에서 캐나다군 6명이 전사하고 25명이 부상을 입는 인명손실이 발생하였다. 이 전투 이후 캐나다 제 25여단은 미 제 25사단에서 배속 해제되고 미 제 3사단에 배속되었다. = = = 고왕산전투 = = = 고왕산 전투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71~73쪽 일시 장소 교전부대 1951년 10월 23일 ~ 1951년 10월 24일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고왕리 고왕산 일대 캐나다 제 25여단 vs 중공군 = = = = 개요 = = = = 캐나다 제 25여단이 임진강 북방의 고왕산 지역에서 1952년 10월 23일 ~ 1952년 10월 24일에 중공군의 공격을 저지한 방어전투이다. 고왕산 355고지 일대는 서울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전선과 보급로가 내려다 보이는 가장 높은 지대로 높은 평가를 받는 고지였다. = = = = 전투 경과 = = = = 1952년 10월 23일 새벽 - 277고지 · 355고지 일대에 방어진지를 형성해둔 캐나다 제 25여단 정면에 중공군의 포격 집중 -> 캐나다 제 25여단 및 영연방 제 1사단 포병의 제압사격 -> 중공군의 포격 강화 1952년 10월 23일 오후 - 227고지 · 355고지 일대의 캐나다 제 25여단 예하 1개 중대 진지로 중공군의 포병 화력 집중 1952년 10월 23일 18시경 - 고왕산 355고지로 중공군의 포격 집중 -> 355고지 일대에 방어진지를 형성 중이던 캐나다군 중대를 타 중대 지역으로 대피시킴 -> 중공군이 355고지 탈환 1952년 10월 24일 01시경 - 캐나다의 진지 재탈환을 위한 공격준비사격 -> 고왕산 355고지 좌단부터 227고지 우단에 이르는 지역을 집중 포격 1952년 10월 24일 01시 20분경 - 캐나다 제 25여단 예하의 1개 중대가 탈환당한 진지를 백병전을 통해 중공군을 몰아내고 재탈환 = = = = 결과 = = = = 캐나다군은 감제고지인 355고지를 중공군의 공세로부터 사수하였다. 이후 11월에 중공군은 여러 차례 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공격했지만 별다른 수확을 얻지 못하였다. 이 전투로 캐나다군은 18명이 전사하고 25명이 부상을 입었을 뿐 아니라 4명이 실종되는 인명손실이 발생하였다. = = = 나부리전투 = = = 나부리전투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75~79쪽 일시 장소 교전부대 1953년 5월 2일 ~ 1953년 5월 3일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나부리 마을 일대 (現 개성시 장풍군 나부리) 캐나다 제 25여단 vs 중공군 = = = = 개요 = = = = 1953년 4월 8일부터 영연방 제 1사단이 경기도 연천군의 나부리 마을에 주둔하며 사단의 중앙부 방어를 담당한 캐나다 제 25여단이 1953년 5월 2일 중공군의 공격을 방어한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중공군은 평시와는 달리 5개 제대를 축차적으로 투입하는 새로운 전술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였다. = = = = 전투 경과 = = = = 1953년 4월 26일 - 영연방 제 1사단 정면에 중공군의 포격과 정찰활동 증가 1953년 5월 2일 - 중공군이 골짜기 일대에서 철조망을 제거하는 활동이 식별됨 1953년 5월 2일 20시 30분경 - 캐나다 여단 측 정찰대 15명 파견 후 매복 -> 적의 움직임 식별 후 발생한 교전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 후 철수 -> 캐나다 여단 측 1개 분대 규모의 정찰대 파견 -> 중공군의 기관총 사격에 의해 저지 -> 중공군 2개 제대 교통호로 돌진 후 캐나다군 제압 -> 캐나다군의 VT탄 진내사격을 통해 중공군의 공격 기세 둔화 -> 제 81포병 연대가 적의 예상접근로 및 집결지에 포격 집중 -> 이미 캐나다군 진지로 깊숙이 침투한 중공군이 수류탄을 투척하며 돌진 1953년 5월 3일 01시경 - 교통호를 통해 캐나다군 진지로 돌진하는 중공군을 향한 집중사격으로 격퇴 = = = = 결과 = = = = 캐나다 여단은 중공군의 공세 속에서 나부리 일대 진지를 회복하였으나 불과 2시간 정도 지속된 전투에서 캐나다군 30명이 전사하고 41명이 부상을 입는 많은 인명손실이 발생하였다. = = 참전 결과 = = = = = 캐나다군 인명 피해 현황 = = = 캐나다군 인명피해 현황박동찬, 통계로 본 6·25전쟁,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335쪽 전사/사망 부상 실종 포로 계 516명 1,212명 1명 32명 1,761명 = = = 한국-캐나다의 우호관계 형성 = = = 한국과 캐나다 양국은 6.25전쟁을 통해 맺은 우호관계를 통해 1963년 1월 14일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116~117쪽 이후 한국은 1963년 1월 28일 이수영 대사를, 캐나다는 1964년 11월 11일 리차드 바워 대사의 신임장을 제정할 뿐만 아니라 1964년 한국은 오타와에, 캐나다는 1974년 서울에 상주대사관을 개설하였다. 이후에도 한국은 벤쿠버와 토론토, 몬트리올에 총영사관을 개설하며 양국의 우호협력을 위해 노력하였다. 2013년 양국은 수교 50주년을 맞아 각각 ’한국의 해‘와 ’캐나다의‘해를 선포함과 동시에 정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전 참전용사의 해‘로 지정했다. 이후에도 양국의 정상 등 고위급 인사교류를 통해 양국 관계의 강화 및 실질적인 협력관계를 쌓아오고 있다. = = = 한국-캐나다의 6.25 전쟁 참전기념 활동 = = = = = = = 한국의 참전기념 활동 = = = = 한국의 참전기념 건축물국가보훈처, 6·25전쟁 60주년 UN 참전 기념시설물 도감, 2010 이름 목적 건립일 건립자 위치 캐나다 전투 기념비 가평전투의 승리를 기념하고 캐나다군의 용맹성을 널리 알리기 위함 1983년 12월 30일 가평군, 캐나다 정부, 유엔한국참전국협회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207-4 홍천지구 전투전적비 홍천지구 전투에 참전하여 중공군의 공세로부터 중부 전선을 확보한 것을 기념하고 산화한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함 1957년 3월 15일 육군 제1사단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 연봉리 산363-1 유엔기념공원 6.25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장병들을 안치하기 위해 추모시설로 만든 세계유일의 유엔군 묘지 1951년 1월18 일 유엔군 사령부 부산시 남구 대연 4 동 779번지 = = = = 참전기념 행사 = = = = 유엔군 참전용사 재방한 사업 - 197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캐나다군을 비롯한 유엔군 참전용사들 참전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한국의 발전상을 보여줌으로써 참전자의 자긍심과 명예를 선양하기 위한 행사이다. 매년 본 행사를 통해 캐나다 6.25 참전용사들이 한국을 방문한다. 정전협정 및 유엔군 참전의 날 - 2013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국가보훈처 주관 매년 정부기념행사 거행한다.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공헌을 기리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 = = 캐나다의 참전기념 활동 = = = = 캐나다의 참전기념 건축물 이름 목적 건립일 건립자 위치 오타와 한국전 전사자 기념비 전쟁 참전용사 뿐만 아니라 휴전 후 평화복구를 위해 한국에 주둔했던 캐나다군을 기리기 위함 2003년 9월 28일 캐나다 참전용사회 south side of the Mackenzie King Bridge between Elgin St. & the Rideau Canal Ottawa, ON 캐나다 전쟁 박물관 6.25전쟁에 대한 전시실을 마련하고, 가평 전투를 중심으로 전쟁의 발발배경 / 경과 / 결과를 다양한 전시물 및 사진과 함께 전시 1880년 . 1 Vimy Pl, Ottawa, ON K1A 0M8, Canada 캐나다 가평 참전비 가평전투에 참전했던 군인들을 기리기 위함 1997년 1월 10일 캐나다 의회 Radar Hill, Pacific Rim National Park Vancouver Island, BC = = = = 참전기념 행사 = = = = 한국전쟁 참전용사의 날 - 잊혀진 전쟁으로 인식된 전쟁의 참전용사에 대한 예우와 다음 세대에 자유와 평화의 중요성을 알리자는 취지로 2013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다.김상원·최용호·서인한·정경영·권영근, 《캐나다·호주·뉴질랜드 6·25전쟁 참전사》, 국가보훈처, 2015, 116쪽 = 헤제 A = =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朝鮮語楞嚴經)』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죽림정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경이다. 2014년 10월 29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63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완전한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번거롭거나 중복되는 부분 등의 경전을 축약하여 불교 교학적으로도 우수한 번역 뿐만 아니라, 국문학적 연구에도 중요하다. 순 우리말 『능엄경』은 불교의 현대화와 후대 국역의 바탕이 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삼체 (영화) = 삼체는 중국의 SF 영화로, 류츠신의 동명의 SF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장판판 감독이 연출하고 원작자 류츠신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펑사오펑과 장징추가 출연한다. 당초 2017년 개봉 예정이었지만 제작사 사정으로 제작이 중단되었고, 제작 재개가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 = 출연진 = = 펑사오펑 - 왕먀오 장징추 - 예원제 우강 - 스창 탕옌 - 선위페이 장한 - 판한 두춘 - 웨이청 청위안위안 - 양둥 두즈궈 - 레이즈청 장광베이 - 창웨이쓰 싱자둥 - 양웨이닝 루링제 - 바이무린 리솬전 - 해커 소녀 후하이펑 - 저우왕 후밍 - 위중 = 분류:아일랜드-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 핏케언 제도의 문장 = 핏케언 제도의 문장은 1969년 11월 4일에 채택되었다. 그것은 금의 위 가장자리, 금 닻 및은 성경과 동의어의 지점에서 푸른 커튼으로 장식되어 있다. 방패에는 모자가 달린 헬멧과 금과 술로 만든 램 브레킨이 각인되어 있으며, 수레 모양의 크레스트가 돋보이는 밀로 또는 마자구일라 (더스페시아 포풀네아)가 꽃과 함께 나타난다. 국장 = 문천상 = 문천상(, 1236년 6월 6일 남송 길주(현 강서성 길안시)-1283년 1월 9일 원나라 대도 (현 북경시 동성구)은 남송의 정치가로, 자는 이선(履善)이고 호는 문산(文山)이며 길주(吉州) 여릉(廬陵) 사람이다. 본래 '천상'은 자이고 이름은 운손(雲孫)이었는데, '천상'을 이름으로 삼고 자는 송서(宋瑞)로 바꾸었다. 훗날 다시 자를 '이선'으로 바꾸었다. 육수부와 장세걸과 더불어 송말3걸(宋末三傑)로 알려져있다. = = 생애 = = 1236년에 남송에서 태어나 1255년에 진사에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1259년, 남송이 몽고군의 침입을 받으면서 수도를 옮기려 하자 이를 반대해 면직되었다. 1275년에 의용군을 조직하여 원에 대항했다. 1276년, 원과 강화를 맺기 위해 바얀의 진중으로 갔다가 바얀이 문천상의 기량을 두려워하는 바람에 갇혀 버렸다. 그 사이에 남송이 멸망하였다. 포로로 잡혀 북송되던 도중 탈출하여 도종의 장자 익왕을 받들고 잔병을 모아 싸운다. 1278년, 오파령 전투에서 패하여 장홍범에게 체포되고 만다. 이후, 원나라에서는 장홍범이나 쿠빌라이칸이 관직을 주며 회유하려고 계속 노력했으나 끝까지 이를 거부하였다. 대도로 이송되어 약 3년간 갇혀 있는 동안 옥중에서 정기가를 지었다. 결국 1283년, 충신은 두 주군을 섬기지 않는다는 요지의 말만 되풀이하고 사형된다. 향년 46세. 한편 쿠빌라이 칸은 “문천상의 사형을 당장 중지하라”라며, 만류했으나 이 때는 이미 사형당한 후였다고, 송사에 적혀있다. = = 평가 = = 문천상은 소수민족의 흡수와 하나의 중국을 표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을 다스렸던 모든 민족을 끌어안으려는 동북공정의 관점에서 보면 딜레마를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문천상과 같이 특정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의 경우, 이 공정의 관점에서는 충신이 아닌 단순히 중국의 통일 정권수립을 방해한 역적이 되어버리고 만다. 마찬가지로 북송의 충신인 악비의 경우도 논란이 되고 있다. 악비는 여진족의 침입에 맞서 한족 왕조 송나라를 지켜낸 후대의 귀감이 된 만고의 충신이지만, 이 공정의 관점에서는 악비를 다민족 화합을 방해한 역적이라고 깎아내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 = 참조 자료 = = 김희영 편저-이야기 중국사2 = 파로디우스 = 파로디우스는 코나미가 개발한 일련의 진행형 슈팅 게임이다. 제목은 패러디와 코나미의 타 슈팅 게임 시리즈 그라디우스의 합성어로, 코나미의 각종 지적 재산들을 종합한 회사 단위 크로스오버 작품이다. 1988년 MSX로 출시된 파로디우스로 시작해 총 5개의 본편이 발매됐으며, 그 외 외전 전략 게임 파로 워즈와 합본 파로디우스 포터블이 발매됐다. = = 게임 = = 파로디우스 (1988) 파로디우스다 (1990) 극상 파로디우스 (1994) 실황 떠벌이 파로디우스 (1995) 섹시 파로디우스 (1996) 파로 워즈 (1997) 리틀 해적 (1998) CR 파로디우스이다 (2000) CR 극상 파로디우스 (2006) 파로디우스 포터블 (2007) 극락파로디우스 / 극락 파로디우스 A (2010) 그 이외에도 위의 다섯 가지를 모두 묶은 파로디우스 포터블도 있다. = = 참조 = = = = = 내용주 = = = = = = 각주 = = = = 분류:과테말라 출신 = = 분류:오스트리아의 루지 선수 = = 분류:포르투갈의 인재 사고 = = 분류:프랑스의 핵 실험장 = = 혼고 (분쿄구) = 혼고은 도쿄도 분쿄구의 정명이다. 이 지역에는 많은 교육시설이있다. 도쿄 대학의 본부는 혼고에 있다. = 진평왕 = 진평왕(眞平王, 567년 ~ 632년 1월, 재위 579년 7월 ~ 632년 1월)은 신라의 제26대 국왕이다. 성은 김(金), 휘는 백정(伯淨, 白淨, 白丁), 구당서에는 진평(眞平)구당서에는 진평왕은 김진평으로, 태종무열왕은 김춘추로 기록하였다. 으로 기록되어있다. 진흥왕의 장손으로 아버지는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 어머니는 갈문왕(葛文王) 김입종(金立宗)의 딸 만호부인(萬呼夫人)이고, 왕비는 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 마야왕후(摩耶夫人)이다. = = 생애 = = = = = 젊은 시절 = =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역사서에는 출생연도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화랑세기에는 567년에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평왕은 태어나면서부터 얼굴이 기이하고 몸이 장대하였으며, 의지가 깊고 식견이 명철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장이 11척(253cm)약 253cm로 추산. 당시 척을 23cm 정도로 본다.에 달했다. 법흥왕이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신라 왕족의 이름에 불교적인 요소, 의미를 포함하여 짓게 되었는데, 진평왕 김백정의 이름은 석가모니의 아버지 백정, 마야 부인의 이름은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 부인, 또는 마하마야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진평왕의 동생들 역시 석가모니의 숙부인 백반과 국반의 이름을 그대로 본따 지었다. 579년(홍제 8년) 진지왕이 폐위되자삼국유사에 의하면 진지왕은 사망한 것이 아니라, 정치를 잘못해 폐위당했다고 한다. 화백 회의를 비롯한 조정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며 579년부터 584년까지 조모인 사도왕후 박씨가 섭정을 맡았다. 치세 초기부터 동생들을 비롯 측근들을 요직에 앉히고, 제도 개혁에 힘쓰는 한편, 수, 당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치세 중반 이후에는 백제, 고구려와의 전쟁이 격화되었다. 재위 말년에는 칠숙의 반란이 일어났다. 삼국사기는 정확한 사망 연대에 대해서 칠숙의 난이 일어난 631년과 이듬해인 632년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 = = 치세 = = = 승려들을 중국 대륙으로 보내 불법을 배우는 한편, 591년 7월, 남산성(南山城)을 쌓고,593년 7월에는 명활성(明活城)과 서형산성(西兄山城)을 고쳐 쌓는 등 국방을 충실히 하였다. 602년 8월, 백제군이 아막성(阿莫城)을 공격하자 군사를 보내 격파하였으나 귀산(貴山) 등 장수들이 전사하였다. 603년(건복 20년) 8월에는 고구려군이 북한산성에 침입하자 왕이 친히 군사를 끌고 상대하여 고구려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605년(건복 22년) 8월에는 백제를 공격하여 크게 격퇴 시켰다. 608년(건복 25년), 고구려의 침략을 막기위해 원광을 수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는 걸사표(乞師表)를 짓게 하였으나 고구려의 공격은 멈추지 않아, 2월에는 북쪽 변방의 백성 8백 명을 사로잡고, 4월에는 우명산성(牛鳴山城)을 빼앗아 갔다. 611년(건복 28년), 왕이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에 수 양제는 612년 113만 3800명의 대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살수에서 을지문덕에게 대패하였다. 같은 해에 백제와의 전쟁이 격화되었다. 10월에 백제가 가잠성(椵岑城)에 쳐들어와 100여일 간의 공방전 끝에 이를 함락 시키고 현령 찬덕(讚德)은 자살하였다. 616년(건복 33년) 10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을 공격해 왔으나 이를 격퇴 시켰다. 618년(건복 35년), 빼앗긴 가잠성을 되찾기 위해 북한산주의 군주인 변품(邊品)을 보내 이를 탈환하였으나 전 가잠선 현령 찬덕의 아들 해론(奚論)이 전사하였다. 623년(건복 40년), 백제가 늑노현(勒弩縣)을 습격하였으나 격퇴 시키다. 624년 10월에 백제가 다시 쳐들어와 속함성(速含城), 기잠성(歧暫城), 혈책성(穴柵城)이 함락당하고, 급찬 눌최(訥催)가 전사하였다. 626년(건복 43년) 8월, 백제군이 주재성(主在城)을 공격하여 함락 시키고, 성주 동소(東所)가 전사하였다. 이후 왕은 고허성(高墟城)을 쌓았다. 627년(건복 44년) 7월, 백제의 사걸(沙乞)이 쳐들어와 두 성을 함락 시키고 백성 300여 명을 잡아갔다. 전쟁의 피해가 극심해진 가운데 3월에 강풍이 불고 흙비가 5일간 내렸으며, 8월에 서리가 내려 곡식을 망쳐 백성들의 생활이 궁핍해졌다. 628년(건복 45년) 2월에는 가잠성을 포위공격하는 백제군을 물리쳤으나, 여름에 크게 가물어 백성들이 자녀들을 내다 파는 일이 벌어졌다. 629년(건복 46년) 8월, 대장군 김용춘, 김서현, 부장군 김유신을 파견해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략하였다. 고구려 군의 기세가 대단했으나 김유신이 선두에 서서 용맹을 떨치니 신라 군은 크게 이겨 5천여 명을 베고, 성을 함락 시켰다. = = = 제도 개혁 = = = 즉위 초 이찬(伊飡) 노리부(弩里夫)를 상대등(上大等)에 임명하고, 자신의 두 동생 백반(伯飯)을 진정갈문왕(眞正葛文王)으로, 국반(國飯)을 진안갈문왕(眞安葛文王)으로 봉했다. 580년(홍제 9년), 스스로 신궁(神宮)에 제사를 올렸으며 지증왕의 증손인 이찬 김후직(金后稷)을 병부령(兵部令)에 임명하여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581년(홍제 10년), 위화부(位和府)를 설치하여 관리들의 인사를 총괄하게 하였다. 583년에는 선박을 관리하는 선부서(船府署)를 설치하였다. 이처럼 정비 제도를 단행한 뒤, 584년 연호를 건복(建福)으로 고치고, 공물과 부역을 담당하는 조부(調府)를 설치하고 조부령 1인을 두었다. 또한, 수레와 가마를 관장하는 승부(乘府)를 설치하고 승부령 1인을 두었다. 585년(건복 2년), 대궁(大宮), 양궁(梁宮), 사량궁(沙梁宮)의 3궁에 각각 궁내 업무를 책임지는 사신(私臣)을 두었다. 586년(건복 3년), 의례 등을 담당하는 예부(禮部)를 설치하고 예부령 2인을 두었고, 591년(건복 8년)에는 왜전(倭典)을 영객부(領客府)로 고치고 외국사신을 접대하는 영객부령 2인을 두었다. 604년(건복 21년) 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하여 남천주(南川州)를 폐하고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했다. 614년 백제의 침략에 대비해 사벌주(沙伐州)를 폐하고 일선주(一善州)를 설치하였다. 622년(건복 39년) 2월, 진지왕의 아들인 이찬 김용수를 첫 번째 내성사신(內省私臣)으로 삼고 다시 관제를 개편하였다. 내성사신은 585년 설치한 3궁의 사신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623년(건복 40년) 정월에는 병부에 대감 2인을 두었고, 624년 정월에는 시위부(侍衛府)에 대감 6인, 상사서(賞賜署, 유공자 상훈 기관)와 대도서(大道署, 불교 관장 기관)에 각각 대정(大正, 장관) 1인씩 두었다. = = = 불교 및 중국과의 관계 = = = 585년 7월에는 지명(智明)이 불법을 배우러 남조의 진나라로 갔다가 602년에 사신단과 함께 귀국하였다. 589년 3월에는 원광(圓光)이 불법(佛法)을 배우러 진나라에 들어갔다가 지사신단과 함께 귀국하였다. 596년 3월에는 승려 담육(曇育)이 불법을 배우러 수나라에 들어갔으며, 같은 해에 왕이 사신을 보내 수나라에 토산품을 바쳤다. 담육은 605년 사신단과 함께 귀국하였다. 원광은 608년 수나라에 구원병을 요청하는 걸사표(乞師表)를 지었다. 594년 수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왕을 상개부 낙랑군공 신라왕으로 삼았다. 이후 왕은 596년, 602년, 604년, 611년 4차례에 걸쳐 수나라에 토산품을 진상하였다. 611년, 수나라에 병력을 요청하였는데, 실제로 수 양제는 고구려에 대군을 파견하였다. 이후 613년 7월, 수 양제가 사신 왕세의(王世儀)를 보내자 원광 등이 사신 일행을 황룡사에 모셔 법회를 가졌다. 수나라를 이은 당나라와의 교류도 활발하여 621년 7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물건을 바치자 이에 당 고조가 조서와 비단, 예술품으로 답례하였다. 623년 10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624년 3월에는 당 고조가 사신을 보내 진평왕을 주국 낙랑군공 신라왕에 봉했다. 이후 진평왕은 625년부터 631년까지 총 6회에 걸쳐 당나라에 토산품을 진상하고, 고구려가 침략하지 못하게 도와줄 것을 청원하였다. 625년 당 고조에게 고구려가 조공길을 막고 있다고 호소하자, 당 고조가 고구려 영류왕에게 일러 양국이 서로 화친하게 되었다. = = = 말년 = = = 630년에는 대궁 뜰이 갈라지는 일이 있었다. 631년 2월에는 흰 개가 궁궐 담장에 올라가는 일이 벌어지더니, 5월에 이찬 칠숙(柒宿)이 아찬 석품(石品)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반란을 미리 알아채고 칠숙과 석품을 처형하였다. 이후에도 흰 무지개가 궁궐 우물에 들어가고, 토성이 달을 침범하는 일이 벌어졌다. 7월에는 당나라에 미녀 두 명을 바쳤으나 당 태종은 두 여인이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사는 것을 염려하여 돌려보냈다. 삼국사기는 고기(古記)를 인용하며, 632년 정월에 왕이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동시에 631년에 왕이 죽었다는 신당서와 자치통감의 기록을 함께 전하고 있다. 한지(漢只)에 장사지냈고 당나라 태종(太宗)은 조서를 보내 진평왕에게 좌광록대부(左光祿大夫)를 추증하였다. 아들이 없으므로 장녀 덕만공주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 일화 = = = = = 천사옥대 = = = 천사옥대(天賜玉帶)는 진평왕이 선녀에게서 받은 신성한 옥대(玉帶)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진평왕 즉위 원년인 579년, 선녀가 궁전 뜰에 내려와 왕에게 상제(上帝)의 하사품이라며 천사옥대를 주었다. 이 옥대의 길이는 10위(圍)에 마디가 62개였다고 하며, 진평왕은 천지신령 혹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항상 이 옥대를 착용하였다고 한다. 이 옥대는 '성제대(聖帝帶)'라 불리며, 황룡사 9층목탑, 황룡사 장륙삼존불상과 함께 신라 3보로 여겨졌다. 삼국유사 및 고려사에 따르면 신라 멸망 후 937년 5월, 경순왕이 고려 태조에게 이 옥대를 바쳤다고 한다. = = = 비형랑 = = = 비형랑(鼻荊郞)은 삼국유사에, 폐위된 진지왕(眞智王)이 사량부의 미인 도화녀(桃花女)와 사통하여 낳은 자식으로 소개되어 있다. 진평왕은 비형랑을 불러 궁중에서 살게 하고 관직을 주었지만, 비형랑은 밤마다 궁궐을 빠져나가 귀신들을 데리고 황천(荒川) 위에서 놀았다. 비형랑은 귀신들을 거느리며 왕명에 따라 강에 다리를 놓기도 하고, 길달(吉達)이라는 귀신을 관직에 추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길달이 자신의 일을 저버리고 여우로 변해 도망치자, 비형랑은 귀신을 시켜 길달을 잡아 죽였다. 이후로 귀신들은 비형랑을 두려워하여 모두 달아났다고 한다. = = = 융천사혜성가 = = = 진평왕의 치세에 제5거열랑과 제6실처랑, 제7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산에 유람하러 가는데, 마침 혜성이 심대성(心大星)을 침범하는 변란이 일어나자 화랑들은 불길해하면서 풍악산으로 유람가는 것을 그만두려 했는데, 융천사(融天師)가 노래를 지어 부르니 혜성의 변괴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일본의 병사들도 자신들의 나라로 물러갔다. 이에 진평왕은 기뻐하며 화랑들을 다시 풍악산으로 보내 놀게 하였다고 한다. = = 연호 = = 재위 중의 연호는 홍제(鴻濟)와 건복(建福)이며, 홍제는 572년(진흥왕 33년)부터 584년까지 사용되었다. 584년 2월 건복으로 개원하였다. 건복은 633년 선덕여왕이 인평(仁平)으로 개원하기까지 49년동안 사용되었으며 고대의 연호를 통틀어 가장 오래 사용되었다. 홍제   鴻濟 8년 9년 10년 11년 12년 13년   건복  建福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12년 홍제   鴻濟 579년 580년 581년 582년 583년 584년   건복  建福 584년 585년 586년 587년 588년 589년 590년 591년 592년 593년 594년 595년 홍제   鴻濟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건복  建福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건복   建福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31년 건복   建福 596년 597년 598년 599년 600년 601년 602년 603년 604년 605년 606년 607년 608년 609년 610년 611년 612년 613년 614년 건복   建福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건복   建福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 39년 40년 41년 42년 43년 44년 45년 46년 47년 48년 49년 건복   建福 615년 616년 617년 618년 619년 620년 621년 622년 623년 624년 625년 626년 627년 628년 629년 630년 631년 632년 건복   建福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 = 가계 = = 진평왕은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와 지소태후의 딸인 만호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동륜은 태자시절 사망하였고 어머니 만호부인은 작은 할아버지 숙흘종과 재혼하여 만명부인을 낳았다. 만명부인은 김서현과 혼인하여 김유신을 낳았으므로 진평왕은 김유신의 외숙부이다. 동생 국반의 딸인 승만이 선덕여왕 사후 진덕여왕으로 즉위하였다. 진평왕은 왕비 마야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없이 딸만 두었다. 삼국사기는 선덕여왕을 진평왕의 장녀로, 삼국유사에는 공주들의 서열에 관한 기록이 없다. 덕만공주는 진평왕 사후 성골 남성이 없자 화백회의에서 왕으로 추대되어 선덕여왕으로 즉위하였다. 천명공주는 진지왕의 아들 용춘과 결혼하여 태종무열왕 김춘추를 낳았다. 선화공주는 백제 무왕의 왕비가 되었고, 천화공주는 화랑세기에만 등장한다. 아버지 : 동륜태자(銅輪太子, ? ~ 572년) 어머니 : 만호부인 김씨(萬呼太后 金氏, 생몰년미상) 동생 : 김백반(金伯飯, 생몰년 미상) 동생 : 김국반(金國飯, 생몰년 미상) * 조카 : 승만(勝曼, ? ~ 654년) - 제28대 진덕여왕으로 즉위. 이부여동생 : 만명부인(萬明夫人, 생몰년 미상)진평왕의 어머니 만호부인이 숙흘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로, 진평왕의 이부남매이다. * 이부조카 : 김유신(金庾信, 595년~673년) 왕비 : 마야부인 김씨(摩耶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 - 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 * 딸 : 덕만공주(德曼公主, ? ~ 647년) - 제27대 선덕여왕으로 즉위. * 딸 : 천명공주(天明公主, 생몰년 미상) - 문정태후(文貞太后)로 추존되었다. ** 외손 : 김춘추(金春秋, 604년~661년) - 제29대 태종무열왕으로 즉위. * 딸 : 선화공주(善花公主, 생몰년 미상) 왕비 : 승만부인 손씨(僧滿夫人 孫氏, 생몰년 미상)삼국유사 왕력에 진평왕의 후비(後妃)는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孫氏)라는 구절이 있다. * 딸 : 연화공주(姸花公主, 생몰년 미상) 후궁 : 미실궁주(美室宮主, 546/548년 ~ 612년) * 딸 : 보화공주(寶花公主, 생몰년 미상) 후궁 : 보량궁주 설씨(寶良宮主 薛氏, 생몰년 미상) * 아들 : 보로전군(寶路殿君, 생몰년 미상) = = 진평왕 등장한 작품 = = = = = 드라마 = = = 《삼국기》, KBS, 1992년 ~ 1993년, 배우:박웅 《서동요》, SBS, 2005년 ~ 2006년, 배우:최동준 《연개소문》, SBS, 2006년 ~ 2007년, 배우:차두옥 《선덕여왕》, MBC, 2009년, 배우:조민기, 백종민, 강산 《대왕의 꿈》, KBS, 2012년 ~ 2013년, 배우:김하균, 이호진 = = 같이 읽기 = = 고구려 평원왕 (559년 - 590년) 영양왕 (590년 - 618년) 영류왕 (618년 - 642년) 백제 위덕왕 (554년 - 598년) 혜왕 (598년 - 599년) 법왕 (599년 - 600년) 무왕 (600년 - 641년) 남진 선제 (568년 - 582년) 북주 정제 (578년 - 581년) 수 문제 (581년 ~ 604년) 양제 (604년 ~ 617년) 공제 (617년 ~ 618년) 당 고조 (618년 ~ 626년) 태종 (626년 ~ 649년) = = 참고 자료 = = 삼국사기 신라 진평왕조 삼국사기 귀산 열전 삼국사기 해론 열전 삼국사기 눌최 열전 삼국유사 기이 편 '도화녀와 비형랑'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진평왕 삼국사기 : 본기 - 진평왕(0년 AD 579) = 분류:사자 마스코트 = = 예수의 승천 = 예수의 승천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가 3일만에 부활한 뒤 40일 후 열한 제자가 있던 가운데에서 천국으로 올라간 뒤 하늘나라에서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았다"는 기독교의 교리이다. = = 승천일 = = 주님 승천 대축일은 그리스도가 부활한 지 40일 후에 승천했다고 하는 일(루가 복음서 24:44-53)을 기념하는 교회력 절기이다. 매년 부활 제6주간 목요일대한민국에서는 의무 대축일이 아닌 관계로 부활 제7주일로 옮겨 지낸다.에 해당된다. 그 이유는 그리스도가 부활하신 요일이 일요일이므로 40일이 지나면 요일상 목요일이 된다. 그리고 부활 후 50일째는 즉 승천일 10일 후에는 성령 강림 대축일을 기념한다. = 다니이케 요헤이 = 다니이케 요헤이 (1977년 4월 5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비셀 고베, 도쿠시마 보르티스에서 활동하였다. = 틀:정당색/몰도바 = = 감충가 = 감충가(甘忠可)는 중국 한나라의 종교인이다. 산둥 지방 태생으로 도사로 당대에 알려졌다. 후대에 천관역포원태평경(天官歷包元太平經) 12권을 남겼다. = 풍운의 고아 = 풍운의 고아(Orphans Of The Storm)는 미국에서 제작된 D.W. 그리피스 감독의 1921년 영화이다. 릴리언 기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D.W. 그리피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릴리언 기시 도로시 기시 = = = 조연 = = = 조셉 쉴드크로트 모건 월리스 루실 라 베른 프랭크 푸글리아 크레이튼 헤일 몬트 블루 리 콜마 마르샤 해리스 루이스 울하임 제임스 스미스 로즈 스미스 = 김가희 (가수) = 김가희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전 2NB 멤버이다. 현재는 아프리카TV BJ로 화/수/금/토/일 오후 9시~1시까지방송한다. 휴방:월목 = = 경력 = = 2002년 5월 21일 1집 앨범 First Story 데뷔 2006~2007년 그룹 2NB 멤버 2010년 구피 객원 보컬 2010년 11월 9일 아프리카TV BJ 2011년 그룹 '바나나 스멜' = = 음반 목록 = = = = = = 정규 앨범 = = = = 2002년 5월 21일 : 정규 음반 《First Story》 / 김현주 2007년 2월 6일 : 정규 음반 《눈시울》 / 2NB = = = = 싱글 = = = = 2006년 3월 31일 : 싱글 《첫번째 향기》 / 2NB 2006년 9월 15일 : 싱글 《지금은 연애중...》 / 2NB 2006년 11월 3일 : 싱글 《눈감아 줄게요》 / 2NB 2006년 12월 12일 : 싱글 《손난로》 / 2NB 2007년 6월 7일 : 싱글 《여자이니까 (Remake)》 / 2NB 2009년 8월 3일 : 싱글 《사랑을 놓치다》 / 김가희, Panda 2010년 7월 19일 : 싱글 《Return》 / 김가희 2010년 9월 27일 : 싱글 《Sweet Love》 / 김가희 2011년 1월 7일 : 싱글 《Ice Cream & Chou Cream》 / 바나나 스멜 2011년 3월 8일 : 싱글 《헤어지나요》 / 김가희 2011년 6월 20일 : 싱글 《좋아》 / 바나나 스멜 2012년 9월 18일 : 싱글 《Play2scan Project No.1 '내가 될까봐'》 / 김가희 = = = = 참여 앨범 = = = = 2007년 5월 4일 : 정규 음반 《World Is Yours (feat. Untouchable & 2nb)》 / 이재원 2010년 8월 31일 : EP 《Unplugged Soul》 / 구피 2010년 11월 29일 : 싱글 《Kingkong Carol (킹콩캐럴) Pt.2》 / 신건 2010년 12월 20일 : 싱글 《처음》 / 일회용 2016년 3월 22일: 싱글 《퍼즐》 / 리쥐 = = = = 참여 음원 = = = = 2013년 8월 22일: 한 여름밤의 꿈, Lovely day - 《모두의 밴드》 / 김가희 = = 작사 한 곡 = = Show Me Your Love - 《First Story》 / 김현주 그대만 보여요 (Feat. T.O.P) - 《로드무비》 / 지아 사랑만 알아서 - 《로드무비》 / 지아 사랑에 미쳐서 - 《Orchestra》 / 지아 너에게 바치는 멜로디 - 《메이킹 러브》 / 강은비 사랑을 놓치다 - 《사랑을 놓치다》 / 김가희, Panda 하늘에 날려봐 - 《메가스터디 박지향 선생의 2009 사기충전 Everything Is On Your Side》 희재 Part.2 - 《Dear My Lover》 / 디셈버 말해요 - 《Dear My Lover》 / 디셈버 사랑아 사랑아 - 《Dear My Lover》 / 디셈버 Special Love - 《Special Love (Single)》 / Panda 바보처럼 운다 - 《바보처럼 운다 (Digital Single)》 / 박성호(빅 바운스), 박정은 하늘 땅 만큼 - 《하늘 땅 만큼 (Digital Single)》 / 지애 싫증내지 마요 - 《Return (Digital Single)》 / 김가희 사랑은 사치다 - 《사랑은 사치다》 / 박정은 니가 제일 좋아 - 《Sweet Love (Single)》 / 김가희 괜찮아요 - 《A Story To The Sky》 / 디셈버 그대만 보여요 (Part.2) - 《A Story To The Sky》 / 디셈버 잔소리 - 《A Story To The Sky》 / 디셈버 말해요 (희재 Part.3) - 《A Story To The Sky》 / 디셈버 두근두근 크리스마스 - 《Kingkong Carol (킹콩캐럴) Pt.2》 / 신건 헤어지나요 - 《헤어지나요 (Single)》 / 김가희 Ice Cream & Shou Cream - 《Ice Cream & Shou Cream (Single)》 / 바나나 스멜 내가 될까봐 - 《Play2scan Project No.1 '내가 될까봐'》 / 김가희 = 형호북로 = 형호북로(荊湖北路)는 송나라가 설치한 로중 하나로 지금의 후베이성지역과 후난성 서부지역을 관할했다. 북송시기엔 2부 10주를, 남송대엔 3부 9주를 통치했다. 1161년(소흥 32년)엔 254,101호 445,844명의 주민들이 살았다.송사 권88 지리지 4 형호북로 = = 행정구역 = = = = = 강릉부 = = = 차부(次府)로 군명은 강릉군이었으며 형남절도(荊南節度)가 파견되었다. 1128년(건염 2년), 사부(師府)를 두었다. 1130년(건염 4년), 형남부, 귀주(歸州), 협주(峽州), 형문(荊門), 공안군진무사(公安軍鎮撫使)를 설치했으나 1135년(소흥 3년)폐지되었다. 숭녕연간엔 85,801호 223,284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릉(綾), 𦆭, 벽간차아(碧澗茶芽), 감귤을 공납으로 바쳤다. 총 8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강릉현 江陵縣 징저우 시 장링 현 次赤 공안현 公安縣 징저우 시 궁안 현 서북 次畿 잠강현 潛江縣 첸장 시 서북 次畿 965년(건덕 3년), 백복연白伏巡)을 현으로 격상시켰다. 감리현 監利縣 징저우 시 젠리 현 次畿 997년(지도 3년), 옥사현(玉沙縣)으로서 복주에 속했으나 1073년(희녕 6년) 복주를 폐하고 옥사현을 감리현에 통폐합했다. 송자현 松滋縣 징저우 시 쑹쯔 시 서북 次畿 석수현 石首縣 징저우 시 스서우 시 서 次畿 지강현 枝江縣 이창 시 즈장 시 장강 남쪽 次畿 1073년 송자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원우 원년) 복구되었다. 1130년(건염 3년), 강릉기(江陵寄)치소를 두었다가 1137년(소흥 5년) 복구했다. 1237년(가희 원년) 시주(澌州), 열주(涅州)로 이관시켰다. 1270년(함순 6년), 강남 백수진(白水鎮), 하타시(下沱市)로 치소를 옮겼다. 건녕현 建寧縣 징저우 시 스서우 시 동 次畿 965년, 백구연(白舊巡)을 현으로 승격시키고 만유현(萬庾縣)을 추가로 설치했다. 하지만 만유현은 얼마못가 폐지되었고 1073년, 석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하지만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 = = = 악주(鄂州) = = = 긴급(緊)이고 군명은 강하군이다. 무창군절도(武昌軍節度)가 파견되었다. 996년(지도 2년) 무청군(武淸軍)절도에서 무창군절도로 바뀌었다. 1131년(건염 4년), 강남악주노안무(江南鄂州路安撫)를 겸했는데, 악주로안무(鄂州路安撫)로 바뀌었다. 1134년(소흥 2년), 형호북로안무(荊湖北路安撫)를 겸했다. 1138년(소흥 6년) 관내에 안무를 두었다. 1143년(소흥 11년) 폐지되었다. 1211년(가정 11년), 연강제치부사(沿江制置副使)를 두었다. 1245년(순우 5년), 형호북로 안무사를 겸하게 했다. 1249년(순우 9년) 폐지했다. 1260년(경정 원년) 형호제치사(荊湖制置使)로 개명했다. 1271년(함순 7년)폐지되었다. 숭녕연간에는 96,769호 240,767명이 살았다. 은광석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강하현 江夏縣 우한시 우창 구 緊 숭양현 崇陽縣 셴닝 시 충양 현 望 당현 唐縣 975년(개보 8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무창현 武昌縣 어저우 시 上 남송대에 수창군(壽昌軍)으로 분리되었다. 포기현 蒲圻縣 셴닝 시 츠비 시 中 함녕현 咸寧縣 셴닝 시 中 통성현 通城縣 셴닝 시 퉁청 현 中 1072년 숭양현 통성진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 1137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9년(소흥 17년) 복구되었다. 가어현 嘉魚縣 셴닝 시 자위 현 下 1073년 복주의 땅에서 분리신설되었다. 1074년 동전을 만드는 보천감(寶泉監)이 설치되었다. = = = 덕안부(德安府) = = = 중급부로 군명은 안육군(安陸郡)이고 안원군절도(安遠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023년(천성 원년) 경서로에 속하게 되었으나 1041년(경력 원년) 형호북로로 이관되었다. 1119년(선화 원년) 덕안부로 승격되었다. 개보연간 길양현이 폐지되었다. 1131년, 안육, 한양진무사(安陸、漢陽鎮撫使)로 불렸다가 1135년에 이전으로 복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9,186호 143,892명이 살았다. 5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안육현 安陸縣 샤오간 시 안루 시 中 1069년(희녕 2년) 운몽현(雲夢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본현에 편입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응성현 應城縣 샤오간 시 잉청 시 中 효감현 孝感縣 샤오간 시 中 건염연간에 자자채(紫資砦)로 치소를 옮겼다. 응산현 應山縣 황강 시 잉산 현 中下 정강의 변이후 폐지되었다. 운몽현 雲夢縣 샤오간 시 윈멍 현 中 1139년(소흥 7년), 오락시(仵落市)로 치소를 옮겼다가 1150년 원상복구했다. = = = 복주(復州) = = = 상급주로 군명은 경릉군(景陵郡)이고 방어가 파견되었다. 1131년 덕안부, 복주, 한양군진무사가 설치되었다. 1135년 형호북로안무사가 설치되었고 1236년(단평 3년) 치소를 면양진(沔陽鎮)으로 옮겼다. 궐(闕)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경릉현 景陵縣 톈먼 시 緊 1073년 주를 폐하고 안주로 소속시켰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옥사현 玉沙縣 셴타오 시 서남 면성회족진(沔城回族鎭) 下 997년, 강릉부에 속했다가 1039년(보원 2년), 면양현을 통폐합했다. 1073년 다시 강릉부에 속하게 되었다가 1086년 경릉과 함께 복주로 이관되었다. = = = 상덕부(常德府) = = = 군명은 무릉군이고 상덕군절도(常德軍節度)를 두었다. 964년, 단련을 칭했고 1012년(대중상부 5년) 낭주(朗州)에서 정주(鼎州)로 개명했다. 1076년, 도원채(桃源砦), 탕구채(湯口砦), 백애채(白崖砦)의 3개채를 폐지했다. 1080년, 백전채(白磚砦), 황석채(黃石砦)가 폐지되었다. 1117년(정화 7년), 군으로 승격되었다. 1130년(건염 4년), 정주및예주진무사(鼎州및澧州鎮撫使)가 추가되었고 1131년(소흥 원년) 정주, 예주, 진주, 원주, 정주를 통치하는 형호북로안무사의 치소가 되었다가 1162년(소흥 32년), 폐지되었다. 1165년(건도 원년), 효종의 잠번(潛藩)이기에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8,297호 130,865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연포(練布)와 포(布)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가 정강의 변이후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무릉현 武陵縣 창더 시 望 도원현 桃源縣 창더 시 타오위안 현 望 무릉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용양현 龍陽縣 창더 시 한서우 현 中 대관연간에 진양현(辰陽縣)으로 개명되었다가 1131년 본래이름으로 돌아갔다. 1135년에 군사(軍使)가 파견되었고치소를 황성채(黃城砦)에 두었다. 1160년(소흥 30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원강현 沅江縣 이양 시 위안장 시 中下 건도연간에 악주(岳州)에서 본주로 이관되었다. = = = 예주(澧州) = = = 상급주로 군명은 예양군(澧陽郡)이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1131년 도가시산채(陶家市山砦)에 임시치소를 두었다가 수복된 이후 원래대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81,673호 236,921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죽점(竹簟), 명주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예양현 澧陽縣 창더 시 리 현 望 안향현 安鄕縣 창더 시 안샹 현 中下 석문현 石門縣 창더 시 스먼 현 中下 대의채(台宜砦, 스먼 현 북서)가 있다. 자리현 慈利縣 장자제 시 츠리 현 下 색구채(索口砦)、안복채(安福砦, 장자제 시 쌍즈 현)、서우채(西牛砦)、무구채(武口砦)、예주채(澧州砦)의 5개채가 있다. = = = 협주(峽州) = = = 중급주로 군명은 이릉군이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건염연간에 치소를 석비산(石鼻山)으로 옮겼다가 1137년 원래대로 되돌렸다. 1234년(단평 원년) 치소를 강남현으로 옮겼다. 숭녕연간에는 40,980호 116,40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오가피, 망초, 두약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이릉현 夷陵縣 이창 시 이링 구 中 한류채(漢流砦), 파산채(巴山砦), 마계채(麻溪砦), 어양채(魚陽砦), 장악채(長樂砦), 매자채(梅子砦)와 납, 주석 등을 가공하는 연석장(鉛錫場)이 있다. 의도현 宜都縣 이창 시 이두 시 中 장양현 長陽縣 이창 시 창양 투자족 자치현 中下 한류염정(漢流鹽井), 비어염정(飛魚鹽井)이 있고 1082년 신안채(新安砦), 장양채(長楊砦)를 폐지했다. 원안현 遠安縣 이창 시 위안안 현 서북 中下 = = = 악주(岳州) = = = 하급주로 군명은 파릉군이다. 악양군절도(岳陽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119년 군사주에서 군명이 만들어졌다. 건염연간에 본주와 악주(鄂州) 각자에게 연강관내안무공공사(沿江管內安撫司公事)가 붙었다. 1155년(소흥 25년), 순주(純州) 화용군(華容軍)으로 개명했다가 1161년 원래대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99,791호 128,45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파릉현 巴陵縣 웨양 시 上 화용현 華容縣 웨양 시 화룽 현 望 고루채(古樓砦)가 있다. 평강현 平江縣 웨양 시 핑장 현 上 임상현 臨湘縣 웨양 시 린샹 시 서북 장강변 990년(순화 원년) 왕조장(王朝場)을 현으로 승격시켜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 = 귀주(歸州) = = = 하급주로 군명은 파동군이다. 군사가 파견되었다. 1131년 기주로에 소속시켰다가 1135년 본로로 복구했다. 1161년 다시 기주로에 소속시켰다가 1187년(순희 14년)복구했다. 동년에 다시 기주로에 소속시켰다. 1236년(단평 3년) 군치를 우남포(于南浦)에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21,580호 52,147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자귀현 秭歸縣 이창 시 쯔구이 현 下 1072년 흥산현을 진으로 격하시켜 편입했다가 1086년 복구했다. 벌례채(橃禮砦)와 청림염정(靑林鹽井)이 있다. 파동현 巴東縣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바둥 현 下 절첩채(折疊砦)가 있다. 흥산현 興山縣 이창 시 싱산 현 下 968년(개보 원년), 치소를 소군원(昭君院)으로 옮겼다. 989년(단공 2년) 향해(香溪)북쪽으로 옮겼다. = = = 진주(辰州) = = = 하급주로 군명은 노계군(盧溪郡)이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982년(태평흥국 7년) 초유현(招諭縣)을 설치했다. 1074년 마양현과 초유현을 원주로 이관시키고 만수채(慢水砦), 용문채(龍門砦), 수포채(水浦砦), 동안채(銅安砦), 공계목채(龔溪木砦)을 폐지했다. 1076년 명계채(明溪砦), 풍계채(豐溪砦), 여계채(余溪砦), 신흥채(新興砦), 봉이채(鳳伊砦), 철로채(鐵爐砦), 죽평채(竹平砦), 목루채(木樓砦), 오속채(烏速砦), 나자채(騾子砦), 서계채(西溪砦)를 폐지했다. 숭녕연간에는 10,730호 23,350명이 살았다. 주사, 수은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원릉현 沅陵縣 화이화 시 위안링 현 中 서포현 漵浦縣 화이화 시 쉬푸 현 中下 현고채(懸鼓砦)가 있다. 1079년 용담보(龍潭堡)를 설치했다. 진계현 辰溪縣 화이화 시 천시 현 下 용문채와 동안채가 있다. 노계현 盧溪縣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루시 현 서남 下 회계성 會溪城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구장 현 북동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구장 현 북동 1075년 축성했다. 지봉채 池蓬砦 미상 미상 1058년(가우 3년) 설치했다. 진계채 鎭溪砦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지서우 시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지서우 시 1071년(희녕 3년) 설치했다. 검안채 黔安砦 화이화 시 위안링 현 북 화이화 시 위안링 현 북 1076년 설치했다. = = = 원주(沅州) = = = 하급주로 군명은 담양군(潭陽郡)이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의주(懿州)였다. 1074년 수복되었으며 옛 담양현땅에는 노양현(盧陽縣)이 설치되었다. 진주 마양현과 초유현이 본주로 이관되었다. 1075년, 금주채(錦州砦)의 민호를 더하여 초유현을 마양현에 통폐합했다. 1080년, 진강채(鎭江砦)의 민호를 검강성(黔江城)에 통폐합하여 검양현을 신설했다. 그리고 진강채를 폐하고 포(鋪)로 칭했다. 1082년 옛 거양채(渠陽砦)를 현으로 승격시켰다가 1091년(원우 6년) 다시 채로 격하되었다. 1069년, 다시 현으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9,659호 19,157명이 살았다. 주사, 수은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노양현 盧陽縣 화이화 시 즈장 둥족 자치현 下 장주포(蔣州鋪), 서현포(西縣鋪), 팔주포(八洲鋪), 장의포(長宜鋪), 회계포(回溪鋪), 진강포(鎭江鋪), 용문포(龍門鋪), 회화포(懷化鋪)의 8개포가 있었다. 마양현 麻陽縣 화이화 시 마양 먀오족 자치현 동남 下 금주채, 용계포(龍溪鋪), 용가포(龍家鋪), 죽채포(竹砦鋪), 허종포(虛踵鋪), 제천포(齊天鋪), 차계포(叉溪鋪)의 6개포가 있었다. 1073년, 공계채(龔溪砦)라는 이름을 받은 곳은 훗날 포로 개명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진위여부는 알 수 없다. 검양현 黔陽縣 화이화 시 훙장 시 下 죽채포(竹砦鋪), 연계포(煙溪鋪), 무상포(無狀鋪), 목주포(木州鋪), 홍강포(洪江鋪)의 5개포가 있었다. 거양현 渠陽縣 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거양진(渠陽鎭) 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거양진(渠陽鎭) 8개채가 있었다. = = = 정주(靖州) = = = 하급주로 군사가 파견되었다. 1076년 당계동성주(唐溪洞誠州)를 수복했다. 1081년 성주(誠州)를 건립했다. 1082년(원풍 5년) 원주 만보채(貫保砦)를 현으로 격상시켰다. 숭녕연간에는 18,692호가 있었지만 총 인구수는 알 수 없다. 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영평현 永平縣 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下 거양현이었는데, 110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하였으며 1138년 본주로 이관되었다. 회동현 會同縣 화이화 시 후이퉁 현 下 1103년 삼강현(三江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통도현 通道縣 화이화 시 퉁다오 둥족 자치현 서북 下 1103년 나몽현(羅蒙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 = 형문군(荊門軍) = = = 972년 장림현과 당양현을 강릉에서 본군으로 이관시켰다. 1073년군이 폐지되어 모두 강릉부로 이관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1236년 치소를 당양현으로 옮겼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장림현 長林縣 징먼 시 次畿 당양현 當陽縣 이창 시 당양 시 次畿 1144년(소흥 14년) 장림현을 통폐합했다가 1146년(소흥 16년)복구했다. = = = 한양군(漢陽軍) = = = 하급주와 급이 같다. 1071년 한양현을 폐하고 한천현은 진으로 격하시켜 악주에 소속시켰다. 1086년 복구되었다. 1135년, 현으로 복구했다. 1137년(소흥 7년), 군으로 복구했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한양현 漢陽縣 우한 시 한양 구 緊 한천현 漢川縣 샤오간 시 한촨 시 북 下 977년 덕안부로 이관되었다가 1135년 폐지되었고 1137년 복구되었다. = = = 수창군(壽昌軍) = = = 하급군으로 1222년(가정 15년), 악주 무창현에서 수창군사(壽昌軍使)가 파견되면서 군으로 승격되었다. 1234년 무창현을 악주로 재소속시켰다. 정강의 변 이후 강주의 치소가 되었다가 이후 다시 악주로 되돌렸다. = 분류:한국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 늑대소년 = 늑대소년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야생아 중 늑대에 의해 자란 소년 늑대로 변신하는 소년 (늑대인간) 양치기 소년의 다른 이름 《늑대소년》은 2012년 하반기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애니메이션 《늑대소년 켄》의 약칭이자 등장인물이다. 《늑대소년》은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분류:매치3 게임 = =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開城工業地區官理委員會, , KIDMAC)는 개성공업지구의 행정·지원기관으로서 개성공업지구와 입주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법인으로 대한민국 측 인사가 맡는 3년 임기의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장은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을 겸임한다.개성공단 위원장 위험수당 月400만…아프간보다 많다연합뉴스2012년 10월 19일개성공단 입주기업 신음에 무기력한 관리위연합뉴스2012년 10월 28일 노재현 기자김동근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 "남북전화개통 북측도 환영한다"노컷뉴스2005년 12월 29일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과 공단 제도의 정비 및 투자환경 개선을 협의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개성공업지구 관리기관설립운영규정최고인민회의2003년 12월 11일 개성특별시(구 황해도 개풍군 봉동면) 개성공업지구 내에 위치하고 있다. = = 주요 업무 = = 개성공업지구 내 투자 여건 조성 및 투자 유치 개성공업지구 내 기업 창설 승인 및 등록 개성공업지구 내 건설 인·허가 및 기반시설 관리 개성공업지구 내 토지이용권, 건물, 윤전기재의 등록 개성공업지구 내 출입증명서 통행증 발급 개성공업지구 내 사업준칙 작성 등 = = 연혁 = = 2004년 6월 29일 개성공단관리기관창설준비위원회 발족“그래도 개성공단만은 남과 북이 함께 실용적으로 활기차게 가동하고 있습니다.” 《민족화해》2008년 5월 6일 홍진옥·이현희 기자 2004년 10월 20일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출범마지막 '개성채널' 개성공단관리위《연합뉴스》2013년 4월 10일 정아란 기자 2005년 3월 15일 인터넷홈페이지 개설개성공단 관리위원회, 홈페이지 개설《연합뉴스》2005년 3월 15일 = = 조직 = = = = =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겸임) = = = = = = 부위원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상근이사가 파견) = = = 관리총괄부 기업지원부 공단관리부 공단개발부 출입사업부 법무지원부 기술교육부 협력부 (북) = = 관련 법률 = =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 = 국도 제39호선 (일본) = 국도 제39호선은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서 아바시리시까지 이어주는 총 연장 235.0 km, 현도 215.7 km의 구간을 가진 일본의 일반 국도이다. = = 노선 정보 = = 기점 : 아사히카와시 (아사히카와시 4조토리 8초메 1703-5 : 4조토리 8·9초메 교차로 = 12번 국도의 종점) 종점 : 아바시리시 (아바시리시 미나미4조히가시 1초메 1-2 : 미나미4히가시1 교차로 = 244번 국도의 기점) 총 연장 : 235.0 km 실제 연장 : 235.0 km 현도 : 215.7 km 구도 : 없음 신도 : 19.3 km 지정 구간 : 전 구간 = = 연혁 = = 1952년 12월 4일 : 1급 국도 39호선 (아사히카와시 ~ 아바리시)으로 지정 시행 1965년 4월 1일 : 1, 2급의 구분을 없애고 일반 국도 제39호선으로 전환 = = 지리 = = = = = 통과하는 지자체 = = = 이 도로는 전선 홋카이도를 경유하며 구간은 다음과 같다.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관내 아사히카와시 - 가미카와군 도마정 - 가미카와군 핏푸정 - 가미카와군 아이베쓰정 - 가미카와군 가미카와정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내 기타미시 - 아바시리군 비호로정 - 아바시리군 오조라정 - 아바시리시 = = = 통과하는 도로 = = = = = = = 고속도로·일반국도 = = = = 아사히카와 몬베쓰 자동차도 (구 국도 제450호선) 국도 제12호선 국도 제273호선 국도 제242호선 국도 제333호선 국도 제240호선 국도 제334호선 국도 제238호선 국도 제244호선 = = = = 도도 (道道) = = = = 홋카이도도 제20호선 홋카이도도 제140호선 홋카이도도 제90호선 홋카이도도 제37호선 홋카이도도 제331호선 홋카이도도 제761호선 홋카이도도 제942호선 홋카이도도 제1122호선 홋카이도도 제101호선 홋카이도도 제140호선 홋카이도도 제640호선 홋카이도도 제223호선 홋카이도도 제849호선 홋카이도도 제300호선 홋카이도도 제88호선 홋카이도도 제247호선 홋카이도도 제307호선 홋카이도도 제103호선 홋카이도도 제143호선 홋카이도도 제245호선 홋카이도도 제555호선 홋카이도도 제943호선 홋카이도도 제7호선 홋카이도도 제27호선 홋카이도도 제261호선 홋카이도도 제122호선 홋카이도도 제217호선 홋카이도도 제943호선 홋카이도도 제1024호선 홋카이도도 제308호선 홋카이도도 제556호선 홋카이도도 제104호선 홋카이도도 제122호선 홋카이도도 제248호선 홋카이도도 제309호선 홋카이도도 제246호선 홋카이도도 제714호선 홋카이도도 제249호선 홋카이도도 제64호선 홋카이도도 제683호선 홋카이도도 제23호선 홋카이도도 제76호선 홋카이도도 제1083호선 039 = 분류:스위스의 백세인 = = 에이먼 데 벌레라 = 에이먼 데 벌레라(, , 1882년 10월 14일 ~ 1975년 8월 29일)는 아일랜드의 교사, 정치인이다. 미국 뉴욕 출신인 그는 영국에 대항해 아일랜드 독립에 힘썼으며 아일랜드 임시정부의 수반을 맡았다. 그는 아일랜드 자유국의 대통령, 아일랜드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또한 아일랜드 제헌의회의 의장이었으며 아일랜드의 총리(티셔흐)를 3번(1937년 12월 29일 ~ 1948년 2월 18일, 1951년 6월 13일 ~ 1954년 6월 2일, 1957년 3월 20일 ~ 1959년 6월 23일) 역임했다. 데 발레라는 20세기 아일랜드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 부활절 봉기 = = 문학도의 길을 걸은 그는 1904년 더블린 대학을 졸업했다. 교사에 임용되어 아일랜드어 부활운동에 참여했다. 게일어 연맹에 가입하여 활발한 활동을 펼쳤는데, 이 단체에서 수많은 미래의 아일랜드 독립운동가와 정치인들과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다. 아일랜드 독립운동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할 무렵인 1913년 데 발레라는 아일랜드 의용군에 가입했고 1916년 발생한 부활절 봉기를 주도했다. 봉기 당시 패트릭 피어스와 체포되어 처형될 뻔했으나 미국 시민권자라는 이유로 풀려났다. 그러나 패트릭 피어스는 총살당했다. = = 정치 활동 = = 부활절 봉기의 다음 해 신페인당 총재가 되어 1918년 아일랜드 총선을 승리로 이끈다. 아일랜드 의회를 구성 후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21년 영국-아일랜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아서 그리피스와 마이클 콜린스가 주축이 된 사절단을 영국으로 파견하였다. 아일랜드 대표단은 비공식 협상을 통해 조약을 체결한 뒤 더블린에 돌아왔다. 조약 내용을 살펴본 데 발레라는 실망을 감추지 못했다. 조약의 내용이 일방적으로 영국에 유리한 내용들뿐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리피스와 콜린스의 입장은 이 조약이 더 나은 자유를 위한 조약으로 이 조약으로 자치의 발판을 마련한 뒤 완전한 아일랜드의 독립을 달성하는 데 있었다. 데 발레라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영국-아일랜드 조약 체결 후 그는 대통령직을 사임한 후 신페인당과 함께 반정부노선으로 돌아섰다. 재선을 노렸으나 실패했다. 아일랜드 내전 이후 그는 당적을 옮겼다. 그는 신페인당에서 탈당한 뒤 아일랜드 공화당을 창당했다. 아일랜드 공화당은 1932년에 있었던 아일랜드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집권정당이 되었고 데 발레라는 윌리엄 토머스 코즈그레이브의 뒤를 이어 아일랜드 자유국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이듬해부터 영국과 관세협정에 들어갔다. 데 발레라는 이 협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영국의 식민통치에 체계적으로 저항하여 새 헌법을 세우고 영국의 해군기지를 폐쇄시켰다. 1951년과 1957년 아일랜드의 총리를 맡았다. 1959년과 1966년 아일랜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 이도메네우스 = thumb 이도메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크레타의 왕으로 미노스의 손자이자 데우칼리온의 아들이다. 그는 헬레네의 구혼자 중에 한 사람이었으며 트로이아 전쟁에서 80척의 배로 크레테군을 이끌고 메리오네스와 함께 그리스 동맹군으로 참전했다. 그는 아가멤논의 충실한 조언자 중 한 사람으로 창을 잘 쓰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그리스 군의 중요한 장군 중 하나였다. 트로이아 목마를 타코 트로이 성으로 들어간 40명의 용사 중에 한 사람이기도 하다. 트로이아 전쟁이 끝나고 귀환하는 길에 그의 배가 무서운 폭풍우를 만났다. 그는 포세이돈에게 자신의 배와 병사들의 목숨을 살려주면 고향으로 돌아와서 처음 보는 살아있는 것을 포세이돈에게 제물로 바치겠다고 서약했다. 그러자 폭풍우가 걷히고 그는 무사히 고향 크레테로 돌아왔는데, 고향에서 이도메네우스가 처음 본 살아있는 것은 다름 아닌 바로 그의 아들이었다. 그는 자신의 아들을 제물로 바쳤는데, 아들을 희생한 것에 신들의 분노를 사서 크레테에 역병이 돌았다. 크레테 인들은 그를 이탈리아의 칼라브리아로 유배하였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1780년 오페라 이도메네오는 바로 이 이도메네우스의 이야기에 기초한 것이다. 오페라에서 ‘바다의 신’(오페라에서는 넵투누스)이 이도메네우스의 아들을 살려주는 대가로 그에게 왕위를 포기하도록 요구한다. = 분류:합살루 출신 = = 분류:노스웨스트잉글랜드 = = 분류: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 = 분류:토스카나주의 코무네 = = 분류:가봉의 교통 시설 = = 바오둔 문화 = 바오둔 문화(, 기원 전 2500년경-기원 전 1750년경)는 중국 장강 상류의 쓰촨성 청두 평원에서 번창한 신석기 시대의 문화이다. = = 개요 = = 쓰촨성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문화 중의 하나이며, 같은 쓰촨성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의 잉판산 문화(営盤山文化, 기원 전 3100년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 청동기 시대의 삼성퇴 유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측된다. 삼성퇴 유적의 제1기는 아마 바오둔 문화와 같은 시기인 것으로 보인다. 20 세기 전반기에 발견된 황하 유역의 신석기 시대 유적이나 장강 중하류 지역의 신석기 시대 유적과 비교하여 1990년대에 뒤늦게 발견된 이 문화에 의해 쓰촨 분지에도 신석기 시대 문화가 있었던 것이 간신히 밝혀졌다. 이 문화의 표식 유적이며 면적 60만m2의 최대의 유적이기도 한 바오둔 유적(용마고성, 龍馬古城)은 청두시 신진 현 룽마향(龍馬郷) 바오둔촌에서 발견되었다. 그 외의 유적으로는 두장옌 시의 망청 유적(芒城遺跡), 충저우 시의 솽허 유적(双河遺跡)과 지주 유적(紫竹遺跡), 피 현의 고성 유적(古城遺跡), 원장 구의 유푸 유적(魚鳧遺跡)이라고 하는 대규모 위벽취락 유적이 있으며, 민강 선상지, 청두 평원(충두 시역)에 집중되어 있다. 취락의 주위에는 작은 돌로 둘러싼 성벽 등이 있는 것이 이 문화의 특징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또 줄무늬가 있는 화변도기(花辺陶), 존(尊), 항아리 등의 도기도 발견되고 있어 삼성퇴 유적에서 나오는 도기와 공통점이 보인다. = 라파옐 치미시캰 = 라파엘 아르카데비치 치미시키안(, , 1929년 3월 23일 ~ 2022년 9월 25일)은 소련의 역도 선수이다. = = 생애 및 선수 경력 = = 치미시키안은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태어나 1946년에 역도를 시작하였다. 치미시키안은 자신의 생애 첫 대회였던 1949년 소련 역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밴텀급 (56 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는 1950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페더급 (60 kg)으로 체급을 조정하였다. 그는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1954, 1955)를 차지하였다. 치미시키안은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952년 헬싱키 하계 올림픽 - 역도" - databaseOlympics.com (2008년 2월 23일) 그는 자신의 선수 경력 동안 10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 국제 역도 심판으로 일하고 조지아 역도 연맹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나중에 조지아 역도 연맹 명예 부회장이 되었다. 치미시키안은 21세기 조지아 최고의 역도 선수로 선정되었다. = 바타라 구루 = 바타라 구루(Batara Guru)는 인도네시아 힌두교의 최고신이다., Quote: "In Bali, Mahesvara is also called Batara Guru or Batara Siva". 그의 이름은 "고귀한 군주"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바타타라카에서 파생되었다.R. Ghose (1966), Saivism in Indonesia during the Hindu-Javanese period, Th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pages 16, 123, 494-495, 550-552 그는 동남아시아에서 힌두교 신 시바의 구루 닥시나무르티 측면을 반영하는 인도네시아 힌두 문헌의 모든 구루 중 첫 번째 친절한 영적 교사로 개념화되었다.R. Ghose (1966), Saivism in Indonesia during the Hindu-Javanese period, Th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pages 130-131, 550-552, Quote: "The solar god, La Patigana, would become a son of Siwa and Luwu; the first Bugis kingdom was founded by Batara Guru, another incarnation of Siwa." 그러나 바타라 구루는 인도네시아 힌두교도가 그들의 영혼과 영웅을 그와 혼합했기 때문에 시바보다 더 많은 측면을 가지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바타라 구루의 아내는 시바의 배우자 두르가이다.Hariani Santiko (1997), The Goddess Durgā in the East-Javanese Period, Asian Folklore Studies, Vol. 56, No. 2, pp. 209-226R. Ghose (1966), Saivism in Indonesia during the Hindu-Javanese period, Th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pages 15-17 바타라 구루는 인도의 브라흐마 관련 신화, Quote: "Rudra, however, has four arms and holds a rosary,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manifestation of Shiva as Batara Guru." 방식으로 고대 자와어 및 발리어 힌두 문헌에서 발견되는 신화의 창조주 신인 루드라-시바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그는 로마 시대의 유피테르 신처럼 인도네시아 힌두교에서 최고신으로 간주된다. 수마트라 신화의 바타라 구루는 지구의 창조자 및 인간의 첫 조상으로 알려졌다. 그는 중앙아시아와 북미 원주민에서 발견되는 창조신과 매우 유사하게 개념화된다. 마르틴 람스테드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에 있는 바타라 구루는 때때로 시바와 동일시되며 다른 곳에서는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 및 붓다"를 초월하는 것으로 식별된다. = = 어원 = = 바타라 구루는 "고귀한 군주"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 단어 바타타라카에서 파생되었다.R. Ghose (1966), Saivism in Indonesia during the Hindu-Javanese period, Th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pages 16, 123, 494-495, 550-552 그것은 인도네시아 힌두교에서 구루 형태의 시바를 가리킨다. Quote" "Hindu trinity, presided over by Batara Guru who was an incarnation of Siwa". 라첼 스톰에 따르면 시바는 인도네시아 제도 외부에서 바타라 구루로 알려졌으며 동남아시아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시바의 이름이었다., Quote: "Batara Guru is the name by which the Hindu god Shiva was known in Southeast Asia before the arrival of Islam". 존 크로풀드에 따르면 바타라라는 단어는 "의미와 철자법" 모두에서 아바타라에서 파생되었으며 단순히 신을 의미하는 접두사이다. = = 룰우, 인도네시아 = = 셸리 에링턴은 인도네시아 룰우의 바타라 구루가 형태가 없고 강력하며 눈에 보이지 않고 찾을 수 없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고 말한다. 바타라 구루는 경계도, 중심도, 경계도, 공허함도 없는 모든 것이기 때문에 다른 누구에게도 대답하지 않는다. 에링턴에 따르면 바타라 구루는 항상 모든 곳에서 형태가 없는 완벽한 사람으로 간주된다. = = 바탁 신화 = = 바타라 구루는 바누아 긴장(상위 세계, 신들의 영역)을 지배하는 데바타 나 톨루(삼상신) 중 하나이다. 그와 그의 형제인 데바타 소리 파다와 데바타 망갈라 불란은 신성한 거대 암탉인 데바타 아시 아시(시바)의 아바타라인 마누크 파티아 라자가 부화한 세 개의 알에서 태어났다. 그는 시보루 포르티 불란이라는 여신과 결혼했으며 두 아들(물라 송가타 및 물라 송기티)과 두 딸(시보루 소르바 자티 및 시보루 디크 파루자르S)을 낳았다. 나중에 시보루 디크 파루자르는 시라자 오다프 오다프와 결혼하여 바누아 통가(중간계, 즉 지구)에 거주하는 인간의 조상이 된 자녀를 낳았다. = = 부기 신화 = = 수레크 갈링고에 따르면 바타라 구루는 상 파토토케와 다투 팔링게크의 아들인 신으로 지구를 인간으로 육성하기 위해 보내졌다. 그의 신성한 이름은 라 토게크 랑기크였다. 그는 5명의 첩 사이에서 적어도 10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사랑하는 배우자인 위 닐링 티모크 사이에서는 단 한 명의 아들만 낳았다. 그는 바타라 라투크의 아버지이자 부기 신화 수레크 갈링고의 주인공인 사웨링가딩의 할아버지이다. 그는 부기 신화에 나오는 쌀과 다산의 여신 산지앙 세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 = 자와 신화 = = 자와 신화에 따르면 바타라 구루는 신들의 영역인 카양간을 다스리는 데바이다. 그는 계시, 선물 및 능력을 제공하는 시바의 아바타라이다. 바타라 구루에는 데위 우마라는 이름의 샤크티(배우자)가 있으며 일부 자녀를 낳았다. 와양 쿨리트에서 바타라 구루는 네 개의 손, 뾰족한 송곳니, 파란 목 및 마비된 다리를 가진 발이 앞을 향하는 유일한 캐릭터이다. 그는 상 향 만디크마야, 상 향 카투르부자, 상 향 오티파티, 상 향 자간나타, 닐라칸타, 트리네트라, 기리나타 등의 여러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항상 자신의 바하나, 암소 난디니를 타고 다닌다. 바타라 구루에는 상 향 안타가와 상 향 이스마야라는 두 형제가 있다. 그들의 부모는 상 향 퉁그갈과 데위 레카타와티이다. 어느 날 레카타와티는 빛나는 알을 낳았다. 상 향 퉁그갈은 자신의 힘으로 알을 변형시켰다. 그 껍질은 맏아들인 상 향 안타가로 변했다. 달걀 흰자는 이스마야(세마르)로 변했고, 노른자는 만디크마야로 변했다. 나중에 상향 퉁갈은 두 장로 신을 임명하여 땅에 내려와 신들의 후예를 돌보게 했다. 상 향 안타카는 거대한 종족을 돌보고, 상 향 이스마야(세마르)는 인간, 특히 판다바를 돌보고, 바타라 구루(상 향 만디크마야라고도 함)는 카양간에서 신들을 이끌었다. 자와 신화에서 바타라 구루의 자손에는 바타라 삼부, 바타라 브라흐마, 바타라 인드라, 바타라 바유, 바타라 위슈누 및 바타라 칼라가 포함된다. = 가부토 = 가부토는 고대에서 근대까지 일본에서 사용된 투구이며, 전통 일본 갑옷 일습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고분 발굴을 통해 발견되는 카부토의 역사는 5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사무라이 계급의 형성보다도 이르다. 이 가장 초기형의 카부토를 "마비자시츠케 카부토"라 하며, 중국에서 건너온 양식으로서 중앙에 도드라지는 등성이가 있다. = =가부토의 부위 = = 하치(鉢): 가늘고 긴 철판으로 머리를 둘러싼 반구 데헨: 하치의 꼭대기에 난 작은 개구. 여기에 "테헨카나모노"라는 장식용 덧쇠를 꽂는다. 마비자시(眉庇): 하치 앞쪽에 달린 차양. 우케바리: 하치의 안에 댓댄 직물 안감. 쓰나모토(附物): 가몬을 붙이기 위한 탑재 지점. 가사지루시노칸: 하치 뒤에 달린 고리로, 이곳에 군기인 카사지루시(삿갓 깃발)를 고정했다. 후키가에시: 하치 양쪽으로 나온 날개 도는 귀 모양의 돌출물 시코로(錣): 미늘 여러 개를 겹쳐서 만든 목 보호대 시노비노오: 면구를 고정하기 위한 끈 = 주일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요코하마 분처 = 주일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요코하마 분처는 중화민국이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설치한 영사관급 외교 공관이다. 주일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의 분처에 해당하는 공관으로서 분처의 본부는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니혼오도리 아사히 생명 요코하마 빌딩 2층에 있다. = = 역사 = = 1972년 9월에 일본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일본과 중화민국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으며 주요코하마 중화민국 총영사관(中華民國駐橫濱總領事館)도 폐쇄되었다. 그러나 비정부 간의 실질적인 교류 유지를 위해 폐쇄된 총영사관은 대체해 아동관계협회 도쿄판사처 요코하마분처(亞東關係協會東京辦事處橫濱分處)가 1979년 6월 9일에 설치되었다. 1992년 5월 15일 아동관계협회(현재의 대만일본관계협회)의 개명에 관한 양국간의 합의에 의해 5월 20일 현 명칭인 타이베이 주일 경제문화대표처 요코하마 분처로 개명되었다. = 지진재해 = 지진재해(地震災害)란 지진으로 발생한 여러 재해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줄여서 진재라고도 한다. 대규모로 발생한 지진재해를 대진재라고도 부른다.2011年3月11日の「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は「東日本大震災」と同じですか? 地震について、よくある質問集、気象庁 일본에서는 지진재해를 대규모지진대책특별조치법 제2조 1항에 따라 "지진동에 의해 직접 발생하는 피해 및 이에 따라 발생하는 쓰나미, 화재, 폭발 및 그 밖의 이상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로 정의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지진으로 발생하는 여러 물리적 피해 및 사회적 현상을 통틀어 지진재해로 말하고 있으며 한국 지진연구센터에서도 지진재해과 관련하여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 = 개요 = = 지진재해는 지진 그 자체에 기인하는 1차 재해와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2차 재해로 나뉜다. 1차 재해는 강한 지진동에 의한 지표나 지하 구조물의 파괴, 지반의 붕괴, 해일로 인한 가옥이나 선박의 유실·파괴 등이 있다. 또한 2차 재해에는 화재, 수도, 전기, 가스, 통신망의 파괴, 생활물자 유통망의 파괴로 인한 생활의 혼란 등을 말한다. 도시의 경우 2차 재해 특히 석유화학공장, 자동차의 연료, 건물의 연료 화재에 의한 비중이 커진다. 이 경우의 대책은 주로 도시 내에 있는 발화원을 줄이고 건물밀집지역의 방재작업이 원활하도록 하고, 도시 설계 당시부터 방재도시로 설계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지진재해 대책의 특징은 1차 재해의 경감 및 2차 재해의 억지에 그 역점을 두고 있다. 대지진이 발생하면 가옥이 파괴되거나 손상되고, 지면에는 균열이 생기며, 또한 모래같은 땅에서 물이 분출하는 '분사현상' 등이 일어난다. 또한 산사태 등도 발생하여 큰 피해를 가져온다. 지진대와 화산대는 거의 일치해 지진으로 인한 충격으로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재구름이 하늘을 덮치는 등 피해가 속출한다. 특히 위험한 것은 지진에 따라 일어나는 화재로서 지진 그 자체에 의한 피해보다 불에 의한 피해가 훨씬 크다. 건축물의 피해에 관해서는 지진공학이란 특별한 공학부분이 있어서 그 대책을 연구하고 있으며, 내진 건축법이 고안되고 있다. 지진학이나 지진공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지진재해를 경감시키는 것을 진재대책이라고 한다. 지진으로 발생하는 여러 현상에는 다음이 있다. = = 명명 = = 일본 기상청은 재해 발생 이후 구조 및 복구 활동을 원활히 하고 재해의 경험과 교훈을 후대에 전승한다는 목적으로 큰 재해를 일으킨 자연현상에 대해서 명칭을 정하고 있는데 그 중 지진에 대한 기준은 아래와 같다.顕著な災害を起こした自然現象の名称について(2018年7月9日) (가) 지진의 규모가 큰 경우 육역: M7.0 이상(깊이 100 km 이하)와 동시에 최대진도 5강 이상 해역: M7.5 이상(깊이 100 km 이하)와 동시에 최대진도 5강 이상 또는 쓰나미 높이 2 m 이상 (나) 현저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완전 붕괴된 가옥 100채 이상 등 큰 재산 피해 및 상당한 인명 피해) (다) 군발지진 중 피해가 매우 큰 경우 등 = = 대진재 = = 대진재(대규모 지진재해)는 일본 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며 한국어에서는 표준어로 인정되는 말이나, 잘 쓰이지 않는다. 일본 기상청과 별도로 일본 정부가 특정 재해를 공식적으로 명명하는 기준은 존재하지 않지만, 지진동으로 인한 피해가 '국난'을 초래한다고 볼 경우 대진재로 명명하고 있다.地震の命名基準を教えてください。 よくある質問集、地震について、気象庁 또한 일본 정부와는 무관하게 니가타현청이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의 피해를 자체적으로 "니가타현 주에쓰 대진재"로 명명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新潟県中越大震災関連情報:「新潟県中越大震災」の呼称について(新潟県 2004年11月29日) 간토 대진재 - 1923년 9월 1일 Mw7.9-8.2의 간토 대지진으로 인한 재해. 한신·아와지 대진재 - 1995년 1월 17일 Mw6.9의 효고현 남부 지진으로 인한 재해. 동일본대진재 - 2011년 3월 11일 Mw9.1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한 재해. 또한, 사망자가 3,700명이 넘는 1948년 후쿠이 지진의 재해를 '후쿠이 대진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외에 언론 등에서 '대진재'라 부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2004년 10월 23일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대진재 2011년 3월 12일 나가노현 북부 지진 대진재 = 방반군 = 방반군은 아유타야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14년 기준으로 34579명이다. 인구 밀도는 254.3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Bang Ban 5 1,080 2. Wat Yom 4 1,551 3. Sai Noi 10 2,528 4. Saphan Thai 5 2,159 5. Maha Phram 10 4,809 6. Kop Chao 9 2,625 7. Ban Khlang 7 2,134 8. Phra Khao 7 3,778 9. Nam Tao 8 2,471 10. Thang Chang 6 1,036 11. Wat Taku 9 1,591 12. Bang Luang 5 919 13. Bang Luang Dot 4 719 14. Bang Hak 8 1,486 15. Bang Chani 5 1,901 16. Ban Kum 9 3,792 = 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계 사람 = = 분류:1978년 사격 = = 무교회주의 = 무교회주의(無敎會主義, Non-church movement)는 성서 중심의 신앙 생활을 추구하는 기독교 사상이다. 무교회주의자들은 기독교 믿음과 신학의 근거는 눈에 보이는 교회와 전통이 아니라 성서라는 복음주의에 있다고 한다. = = 역사 = = = = = 성격 = = = 무교회주의를 교회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 또는 기독교인들이 신앙의 모범을 보이지 못해 그 반동으로 생긴 사상으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이해다. 무교회주의는 "기독교 신앙의 유일한 근거는 성서일 뿐이며, 교회와 그 관습은 기독교를 담아내는 껍데기"라고 말한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의 주장 속에 잘 담겨 있다. 우치무라는 성서를 기독교 믿음의 유일한 근거로 본 마르틴 루터와 장 깔뱅의 복음주의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일본의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 = 한국의 무교회주의 = = = 우치무라 간조의 제자인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등으로 대표되는 초창기 한국 무교회주의 운동은, 예수와 성서 위에 조선을 세우고자 했던 김교신의 기독교인으로서의 노력이 담긴 월간잡지 성서조선등을 통해 전국에 전파되었다. 기독교 사상가이자 교육자인 김교신은 기독교를 조선 민족에게 주어진 소명으로서 파악하고 믿었기 때문에, 성서조선을 발행하여 기독교사상을 전파하였다. 하지만 기독교 사상속에 항일정신이 있다고 본 조선총독부의 억압으로 성서조선은 폐간당하고 말았다. 해방 후 성서연구잡지를 발간한 노평구 등에 의해 무교회주의 운동은 계속되었다. 소규모의 주일 집회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겨울과 여름에 전국집회를 가진다. 김교신과 성서 주의 기독교 지도자들은 무교회주의자가 아닌 일본강점기라는 역사적 상황에서 친일어용 이단교회를 거부한 성서주의자로 인식되어야한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 강제적으로 행해지던 신사 참배, 창시 개명 등을 거부하며 일제의 모진 핍박을 당했고 성서조선사건으로 세계 최악의 고문이 자행되던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되어 옥고를 치렀다. 해방후 일제에 항거해 성서의 말씀만을 지킨다는 김교신과 노선을 같이 했던 기독교 지도자들이 일제 강점기 당시 신사 참배, 전쟁 징용 찬성등 성서에 위배되는 일제의 명령을 교인들을 선동해 지키게 한 행동을 비난하자 이를 무마하기 위해 친일 기독교 교계 관계자들은 김교신등을 주님의 교회를 부정한 무교회주의 이단자라고 맞비난하며 이단으로 몰고 갔다. 이들이 거부한 교회는 하나님의 교회라기 보다는 일제의 교회였다. 무교회주의자로 거론되는 김교신이 일본 강점기에 실천한 무교회는 교회 자체를 부정하는 무교회주의 강경노선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들은 단지 일제 강점기 시절 친일 교회에 출석하지 않았고 하나님을 섬기기보다 일제 찬양 일색인 어용교회에 참석하지 않고도 가정교회에서 신앙생활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이들은 자신의 입으로 자신을 무교회주의자라고 밝힌 적조차 없었다. 하나님의 교회를 부정하거나 거부하지 않았다. 한예로 해방후 그의 제자 류달영의 가족들은 아무 거리낌없이 교회에 출석했다. 그는 교회 자체를 부정하거나 비난하지 않았다. 오히려 일본 강점기 전 그의 모친이 교회에 매주일 헌화했던 헌신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기도했다. 종교개혁을 주도한 Martin Luther처럼 교회 자체가 아닌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친일, 부정과 부패를 비난하고 각성을 촉구했다. 그들은 오직 성서의 가르침대로 살고자 했던 오직 성서주의자들이었고 일본강점기 대부분의 교회는 신사 참배를 독려하는 성서에 위배된 교회였을 뿐이었다. 무교회주의자라는 이름은 이들에게 친일을 비난 받던 친일파 기독교 지도자들이 붙여준 것이었다. 스스로 무교회주의자라 말한 적이 없지만 무교회주의자로 낙인 찍혔다. 김교신은 1945년 세상을 떠났고 사후에 무교회주의자로 불리게 된 셈이었다. 일본 강점기 일제는 자신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교회들만 살려두었고 그 교회들은 지금 평양에 있는 만수대교회와 같이 진정한 교회라고 볼 수 없는 유명무실한 존재들이었다. 북한의 비밀 기독교 신자들이 어용 만수대 교회를 인정하지 않고 가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일본 왕에게 참배를 강요하는 등 성서에 위배해 일제 앞잡이로 변질되어있는 어용 친일교회에 참여하지 않았던 참기독지도자들이 해방후 오히려 이를 빌미로 하나님의 교회를 부정하거나 거부한 무교회주의 이단으로 몰려 교계에서 마녀사냥처럼 추방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성서를 목숨 바쳐 지키려던 순수한 지도자들이 몰려난 기독교계의 시작은 개독교로 비난 받는 작금의 현실에까지 이르게 된다. 김교신은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하기 위해 당시 가장 열악한 환경이라는 흥남 비료공장에서 노동자들을 교화시키기 위해 함께 생활하다가, 1945년 봄 간호하던 발진티푸스가 옮아 세상을 떠났다. 해방을 보지 못한 그에게 교회란 일본 강점기 일제 앞잡이 교회가 전부였다. 새벽마다 절규하는 눈물의 기도와 가정 교회에서의 예배는 물론 평생을 성서 가르침대로 성자 같은 삶을 살아 왔으나 해방후 진정한 의미의 교회를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그가 일본 강점기 일제 앞잡이 교회를 거부하고 무교회를 실천 했다는 이유로 하나님의 교회를 인정하지 않는 이단이라고 규정 짓는 것은 무지함에서 나온 소치일 것이다. 교회를 거부하고 북한에서 만수대 교회에 다니지 않는 지하 교인들을 이단으로 볼 수는 없다. 만수대 교회 같이 잘못된 교회를 인정하지 않는 것과 하나님의 교회를 부정하거나 거부하는 이단은 엄연히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국가적으로는 나라를 살린 영웅으로 인정받은 이들을 일본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을 고려치 않고 이단으로 몰아가는 것은 무지의 소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 = 비판 = = 오늘날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는 대한민 국에서의 상황은 일본제국주의의 상황과는 다르다. 무교회주의에서 주장하는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기본 개념은 기존 교회에도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며, 무교회주의 타락성은 북이스라엘의 멸망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은 영적 의미가 큰 벧엘/브엘세바/길갈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두고 신앙 생활을 했으나 그것은 하나님의 뜻과 전혀 상관이 없는 그릇된 신앙생활이었으면 권력자들의 정치적 판단과 세속적 타협의 결과일 뿐이었다. 예수님은 세상에 오셔서 유무형교회 모두의 중요함을 말씀하셨고 사도들 또한 그말씀을 따라 살았다. 사도 시대의 많은 교회들이 문제가 있고 변질되었지만 사도들은 교회 자체를 포기한적이 한번도 없다. 그것이 성경적이며 바른 말씀에 따른 판단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부인하는 것이 어찌 바른 신앙관이 되겠는가.. 무교회주의자는 멸망한 북이스라엘의 권력자들이며, 포도원에 가장 먼저와서 일했으나 늦게온 다른 한달란트 받은 일꾼들을 시기한 자들에 불과하다. 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 = 무교회주의 관련 인물 = = = = = 한국 = = =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노평구 류영모 유달영 장기려 정태시 이찬갑 주옥로 박석현 원경선 이진구 유희세 홍순명 이동기 최태용 = = = 일본 = = = 야나이하라 다다오 우치무라 간조 = 호스텔 3 = 호스텔 3(Hostel: Part III)은 2011년 개봉한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토마스 크레취만 킵 파듀 사라 하벨 = = = 조연 = = = 크리스 코이 = 김영민 (1958년) = 김영민(1958년 10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교수이자 작가이며, 철학자, 시인이다. = = 생애 = = 김영민 철학자는 1958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났다. 부산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석사를, 드류 대학(Drew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대 강사와 감리교신학대 종교철학과 조교수를 지냈고, 1996년 전주 한일장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부교수가 되었다가 2006년에 교수직을 사임하고 숙명여대에서 철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는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 『신없는 구원, 신앞의 철학』,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손가락으로, 손가락에서 : 글쓰기의 철학』, 『자색이 붉은 색을 빼앗다』, 『보행』, 『사랑 그 환상의 물매』, 『산책과 자본주의』, 『동무와 연인』, 『동무론』, 『영화인문학』, '인간의 글쓰기, 혹은 글쓰기 너머의 인간(2020)'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천안과 서울 등지에서 인문학 학교 '장숙'(http:jehhs.co.kr/)을 열어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 = 철학적 사유 = = = = = 글쓰기 이론 = = = 글은 뇌가 아닌 손가락으로 쓰는 것이라는 지론을 가지고 있다. 그밖에도 글쓰기에 대한 다양한 성찰을 보여주며, 특히 자신이 깨달은 철학의 궁극은 '문자학'으로 귀결되더라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2013년 이후로 '글쓰기의 지질함'에 대한 주장으로 선회하면서, 글쓰기보다 생활 속의 실천의 순간에 집중하려는 태도를 내비치기 시작한다. = = = 인문학의 위기(죽음) = = = 김영민은 인문학의 위기와 관련된 발언을 자주한다. 그는 대한민국에서 인문학의 현실을 상기할 때, "대한민국은 살풋 정신나간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인문학이 서야 나라가 선다"라고 생각하는 그가, 강단에서 바라보는 대한민국 인문학의 현실이 황폐하기 때문이다.김영민, [문화·문화·문화], 동녘, 1998, p. 234 = = 저서 = = 철학과 상상력, 시간과 공간사, 1992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 은익, 1993 신없는 구원, 신앞의 철학, 다산글방, 1994 현상학과 시간, 까치, 1994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철학과 현실사, 1994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문학과 지성사, 1996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고전평설, 철학과 현실사, 1996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7 손가락으로, 손가락에서, 민음사, 1998 진리·일리·무리, 철학과 현실사, 1998 문화·문화·문화, 동녘, 1998 지식인과 심층근대화, 철학과 현실사, 1999 자색이 붉은 색을 빼앗다, 동녘, 2001 보행, 철학과 현실사, 2001 사랑 그 환상의 물매, 마음산책, 2004 산책과 자본주의, 늘봄, 2007 동무와 연인, 한겨레출판사, 2008 동무론, 한겨레출판사, 2008 영화인문학, 글항아리, 2009 공부론, 샘터, 2010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 글항아리, 2011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한겨레출판사, 2011 봄날은 간다, 글항아리, 2012 당신들의 기독교, 글항아리, 2012 집중과 영혼, 글항아리, 2017 차마, 깨칠 뻔하였다, 늘봄, 2018 동무론 복간, 최측의 농간, 2018 자본과 영혼, 글항아리, 2019 인간의 글쓰기 혹은 글쓰기 너머의 인간, 글항아리, 2020 옆방의 부처(시집), 글항아리, 2021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늘봄, 2022 = 틀:2018년 동계 올림픽 남자 컬링 드로3 시트C = = 사매초등학교 = 사매초등학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오신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21년 7월 7일 사매공립보통학교 개교 1938년 4월 1일 사매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41년 4월 1일 사매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93년 3월 1일 대정분교장 통폐합 1996년 3월 1일 사매초등학교로 개명법률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1997년 9월 1일 인화초등학교 통폐합 2020년 2월 6일 제96회 5명 졸업(총 4,586명) 2020년 3월 2일 6학급 편성(학생수 총 31명) 2021년 1월 20일 제97회 6명 졸업 (총 4,592명) 2021년 3월 2일 6학급 편성(학생수 총 34명) = 위키백과:데이터베이스 보고서/공개 기록별 사용자 목록/머릿말 = 마지막 갱신: 공개 기록별 사용자 목록입니다. = 분류:벨기에에 거주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스포츠 선수 = = 미래에서 온 소년 = 미래에서 온 소년은 대한민국의 웹툰으로, 웹툰작가 곽성호가 [짬툰]]에서 연재하고 있는 작품이다. 장르: SF (공상과학) = = 줄거리 = = 발전을 거듭하다 공감과 소통이 사라진 미래인류. 삶의 의미를 되찾기 위해 1000년전으로 보내진 한 소년! = = 등장인물 = = 강수훈(주인공) : 1000년 뒤 미래에서 보내진 소년 황제호 : 수훈이의 같은 반 친구. 정의로운 성격이다. 여태솔 : 수훈이와 같은 반이자 옆집 친구. 내성적인 성격이다. 최윤영 : 수훈이의 같은 반 친구. 수훈에게 호감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이주영 : 수훈이의 같은 반 친구. 수훈과 짝피구 파트너였다. 이초희 : 수훈이의 같은 반 친구. 조용하고 비밀이 많은 것 같다. 이상민 : 수훈이의 같은 반 친구. 제호와는 중학교 동창. = 챔플레인호 = = 한기한얼 = 한기한얼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2022년 싱글 버스정류장으로 데뷔했다. = = 음반 = = 버스정류장 (2022) = 비비레보역 = 비비레보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선의 역이다. 1992년 12월 31일에 개장했다. 이름은 인근에 있는 지역 이름에서 따왔다. 비비레보 역은 알투피옙스키 구에 있기 때문에 인근 알투피예보 역과 혼동되기도 한다. 1994년 알투피예보 역이 개장하기 전까지 잠시동안 기점을 맡기도 했다. = 봉명산 (경남) = 봉명산(鳳鳴山)은 경상남도 사천시에 있는 높이 408m의오마이 뉴스 산이다. 1983년 11월 14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부드러운 육산이며, 바위들은 빙하기 때 풍화작용으로 붕괴되어 '너덜'이라 불리는 테일러스(Talus)를 이루고 있다. = 분류:225년 중국 = = 진영의 음반 내용과 참여 목록 = 다음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GOT7의 멤버이자, 솔로 가수 진영(박진영)이 작사, 작곡 및 프로듀싱에 참여한 목록이다. = = 음반 참여 = = = = = 진영 = = = 연도 발매일 Artist 앨범명 곡명 비고 2021 2021.07.29 진영 DIVE 〈DIVE〉 *작사 : 진영 *작곡 : 진영, Distract, Ludwig Lindell = = = JJ Project = = = 연도 발매일 앨범명 Artist JJ Project 곡명 비고 2017 2017.07.31 Verse 2 JJ Project 진영 〈Coming Home〉 *작사 : 진영, Distract *작곡 : 진영, Distract, Secret Weapon JAY B, 진영 〈내일, 오늘〉 *작사 : Def., 진영, 박진영 JAY B, 진영 〈On&On〉 *작사 : Def., 진영, mr.cho *작곡 : Def., 진영, mr.cho, 청담동박건우 JAY B, 진영 〈Don't Wanna Know〉 *작사 : Def., 진영 진영 〈그날 (진영 Solo)〉 *작사 : 진영, 적재, 추대관 = = = GOT7 = = = = = = = 음반 = = = = 한국 연도 발매일 앨범명 Artist GOT7 곡명 비고 2022 2022.05.23 GOT7 GOT7 진영유겸 (YUGYEOM) 〈Don’t Care About Me〉 *작사 : 진영, 유겸 (YUGYEOM) *작곡 : 진영, 유겸 (YUGYEOM), Distract, Ludwig Lindell 2021 2021.02.20 Encore GOT7 진영 〈앙코르 (Encore)〉 *작사 : 진영, Trippy *작곡 : 진영, Trippy *Vocal Directed by 진영 *Chorus by 진영, Distract 2020 2020.11.30 Breath of Love : Last Piece GOT7 진영 〈WAVE〉 *작사 : 진영, Distract *작곡 : 진영, Distract, Ludwig Lindell 2020 2020.04.20 DYE GOT7 진영 〈LOVE YOU BETTER〉 *작사 : 진영, 조미양(라라라스튜디오), room 102 2019 2019.11.04 Call My Name GOT7 진영 〈RUN AWAY〉 *작사 : 진영, VENDORS, 류다솜 2019 2019.05.20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GOT7 진영 〈끝〉 *작사 : 진영 *작곡 : 진영, Distract, Secret Weapon 2018 2018.12.03 Present : YOU & ME Edition GOT7 마크 투안 (Mark Tuan)진영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작사 :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작곡 : 진영, Distract, Secret Weapon *공표일자 : 2016.04.29 GOT7 1ST CONCERT FLY IN SEOUL 진영뱀뱀 〈King〉 진영, 뱀뱀 *작사 : 진영, 뱀뱀 *작곡 : 진영, 뱀뱀, FRANTS *공표일자 : 2016.04.29 GOT7 1ST CONCERT FLY IN SEOUL 2018 2018.09.17 Present : YOU GOT7 진영 〈I Am Me〉 *작사 : 진영, Distract *작곡 : 진영, Distract, Ludwig Lindell 진영 〈My Youth〉 진영 Solo *작사 : 진영, Distract *작곡 : 진영, Distract, Tobias Karlsson, Sangmi Kim 2018 2018.03.12 Eyes On You GOT7 진영 〈고마워〉 *작사 : 진영 *작곡 : 진영, Distract, Matthew Weedon, Charlie Tenku, Stephen Langstaff 2017 2017.10.10 7 for 7 GOT7 진영 〈Firework〉 *작사 : 진영, Distract *작곡 : 진영, Distract, Secret Weapon 2017 2017.03.13 FLIGHT LOG : ARRIVAL GOT7 진영뱀뱀 〈Paradise〉 *작사 : 진영, 뱀뱀, Distract *작곡 : 진영, Secret Weapon, Distract 2016 2016.09.27 FLIGHT LOG : TURBULENCE GOT7 진영 〈Mayday〉 *작사 : 진영 *작곡 : 진영, Distract, Secret Weapon 2016 2016.03.21 FLIGHT LOG : DEPARTURE GOT7 진영마크 투안 (Mark Tuan) 〈못하겠어〉 *작사 : 진영 *랩 메이킹 : 진영, 마크 투안 (Mark Tuan) *작곡 : 진영, Secret Weapon, Distract 2015 2015.11.23 MAD Winter Edition GOT7 진영 〈이.별〉 *작사 : 진영 일본 연도 발매일 앨범명 Artist GOT7 곡명 비고 2019 2019.01.30 I WON'T LET YOU GO GOT7 진영 〈ZERO〉 *작사 : 진영, Co-sho *작곡 : 진영, Secret Weapon, Distract 2019 2019.01.30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GOT7 진영유겸 〈25〉 진영, 유겸 *작사 : 진영, 유겸, Distract, Co-sho *작곡 : 진영, 유겸, Distract, Secret Weapon 2018 2018.06.20 rowspan="1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GOT7 마크 투안 (Mark Tuan)진영유겸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작사 :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Distract, Samuelle Soung *작곡 :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Distract, Secret Weapon 2017 2017.11.15 TURN UP (진영 & 영재) GOT7 진영영재 〈この胸に〉 진영 & 영재 *작사 : Ars, Noday, Risa Horie *작곡 : Ars, Noday = = = = 안무 창작 = = = = 연도 Artist 발매일 앨범명 곡명 안무 창작 참여 2020 GOT7 2020.04.20 DYE 〈POISON〉 작곡 : 유겸 참여곡 진영, 잭슨, 유겸 셋이 모여 〈POISON〉 무대의 소품과 카메라 동선까지 퍼포먼스 안무 창작에 참여 *전체적인 구성은 진영, 유니크한 의견들은 잭슨, 안무적인 동작 부분들은 유겸이 참여 *행거치프와 문을 이용한 퍼포먼스 2019 GOT7 2019.11.04 Call My Name 〈THURSDAY〉 작사・작곡 : JAY B 참여곡 진영의 제안으로 진영이 안무 창작 *안무 창작에 유겸도 참여했는데 동작은 유겸이, 진영은 유겸의 동작을 정리하고, 또 안무가분이 도와주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진영이 거의 다 안무를 다 만들었다. 2015 GOT7 2015.09.29 MAD 〈니가 하면〉 진영, 유겸 안무 창작 참여 2014 GOT7 2014.01.20 Got it? 〈따라와〉 진영이 안무 창작 참여 = = 음반 내용 = = = = = 진영 = = = = = = = DIVE (2021) = = = = 연도 발매일 구분 내용 2021 2021.07.29 Artist 진영 앨범명 DIVE DIVE DIVE DIVE DIVE DIVE 앨범 내용 진영이 팬 분들께 드리는 깜짝 선물. 타이틀곡 〈DIVE〉 〈DIVE〉는 진영이 직접 작사 작곡한 밴드 사운드 기반의 곡으로 진영이 '바다가 되어갈 나의 세상'이라는 가사에 포커스를 두고 써내려 갔다. 어떤 대상을 계속해서 받아들이다 보면, 사람, 사랑, 능력, 성장 그 무엇이든 어느 순간 바다처럼 끝없이 채워져 있을 거라는 일종의 ‘믿음’에 대한 노래이고, 그 믿음에 내가 몸을 던지고 싶다(DIVE)는 뜻을 담은 노래. 기사 “나의 천사” 갓세븐 진영, 작사·작곡까지 잘하는 팔방미인 ‘DIVE’'들어보고서' (뉴스엔 제공) 갓세븐 진영 "'다이브' 발매..팬들에게 빨리 노래 들려주고 싶어서" (스타뉴스 제공) 진영, 자작곡 'DIVE' 발매. "팬 분들께 선물" (스타뉴스 제공) 영상 GOT7 진영 첫 싱글 'DIVE' 소개 (TIDAL 제공) GOT7 진영 첫 싱글 'DIVE' 소개 (MyMusic 제공) = = = JJ Project = = = = = = = Verse 2 (2017) = = = = 연도 구분 내용 내용 내용 내용 내용 2020 Artist JJ Project JJ Project JJ Project JJ Project JJ Project 앨범 내용 Verse 2 Verse 2 Verse 2 Verse 2 Verse 2 발매일 2017.07.31 2017.07.31 2017.07.31 2017.07.31 2017.07.31 앨범 내용 앨범명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 1절 : JJ Project 데뷔 싱글, GOT7 활동, JAY B와 진영의 10대 시절 등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의미의 Verse 2의 시작이란 뜻 GOT7 유닛 JJ Project, 새 앨범 전곡 작사, 작곡 참여 ‘새로운 음악과 섬세한 감수성’ JJ Project가 새 앨범 《Verse 2》를 발매하고 5년 만에 전격 컴백한 앨범. JAY B와 진영으로 구성된 JJ Project는 지난 2012년 5월 데뷔 싱글 앨범 〈BOUNCE〉을 발표하고 가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두 사람은 GOT7 데뷔 전부터 JJ Project를 결성, 자유분방하고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무대를 달궜다. 이후 그룹 GOT7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인기 영역을 넓히며 글로벌 대세 아이돌로 입지를 다진 이들이 2017년 하반기 JJ Project로 돌아왔다. JJ Project의 시작인 2012년 당시 19살이었던 두 멤버는 경쾌하고 유쾌한 10대의 에너지를 뿜어냈다. 어느덧 20대가 되고 그룹 GOT7을 통해 톱 아이돌 반열에 올라 성실하게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JAY B와 진영이 《Verse 2》로 깊이 느끼고 생각한 청춘의 시간들을 노래한다. JJ Project의 새 앨범 《Verse 2》는 타이틀 곡 〈내일, 오늘〉을 포함한 총 8트랙의 미니 앨범. 두 멤버가 신보 전곡의 작사, 작곡 작업에 참여해 새로운 음악적 색깔과 섬세한 감수성을 담아냈다. 새 앨범 《Verse 2》에는 팝, 힙합, 발라드, 얼반 팝, 트로피컬 팝, 소프트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과 함께, CD 음반에 한해 두 멤버의 솔로 곡이 히든 트랙으로 자리했다. JAY B와 진영은 각자 솔로 곡 ‘Fade Away’와 ‘그날’로 한층 풍부한 감성을 전한다. 앨범명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 1절 : JJ Project 데뷔 싱글, GOT7 활동, JAY B와 진영의 10대 시절 등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의미의 Verse 2의 시작이란 뜻 GOT7 유닛 JJ Project, 새 앨범 전곡 작사, 작곡 참여 ‘새로운 음악과 섬세한 감수성’ JJ Project가 새 앨범 《Verse 2》를 발매하고 5년 만에 전격 컴백한 앨범. JAY B와 진영으로 구성된 JJ Project는 지난 2012년 5월 데뷔 싱글 앨범 〈BOUNCE〉을 발표하고 가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두 사람은 GOT7 데뷔 전부터 JJ Project를 결성, 자유분방하고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무대를 달궜다. 이후 그룹 GOT7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인기 영역을 넓히며 글로벌 대세 아이돌로 입지를 다진 이들이 2017년 하반기 JJ Project로 돌아왔다. JJ Project의 시작인 2012년 당시 19살이었던 두 멤버는 경쾌하고 유쾌한 10대의 에너지를 뿜어냈다. 어느덧 20대가 되고 그룹 GOT7을 통해 톱 아이돌 반열에 올라 성실하게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JAY B와 진영이 《Verse 2》로 깊이 느끼고 생각한 청춘의 시간들을 노래한다. JJ Project의 새 앨범 《Verse 2》는 타이틀 곡 〈내일, 오늘〉을 포함한 총 8트랙의 미니 앨범. 두 멤버가 신보 전곡의 작사, 작곡 작업에 참여해 새로운 음악적 색깔과 섬세한 감수성을 담아냈다. 새 앨범 《Verse 2》에는 팝, 힙합, 발라드, 얼반 팝, 트로피컬 팝, 소프트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과 함께, CD 음반에 한해 두 멤버의 솔로 곡이 히든 트랙으로 자리했다. JAY B와 진영은 각자 솔로 곡 ‘Fade Away’와 ‘그날’로 한층 풍부한 감성을 전한다. 앨범명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 1절 : JJ Project 데뷔 싱글, GOT7 활동, JAY B와 진영의 10대 시절 등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의미의 Verse 2의 시작이란 뜻 GOT7 유닛 JJ Project, 새 앨범 전곡 작사, 작곡 참여 ‘새로운 음악과 섬세한 감수성’ JJ Project가 새 앨범 《Verse 2》를 발매하고 5년 만에 전격 컴백한 앨범. JAY B와 진영으로 구성된 JJ Project는 지난 2012년 5월 데뷔 싱글 앨범 〈BOUNCE〉을 발표하고 가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두 사람은 GOT7 데뷔 전부터 JJ Project를 결성, 자유분방하고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무대를 달궜다. 이후 그룹 GOT7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인기 영역을 넓히며 글로벌 대세 아이돌로 입지를 다진 이들이 2017년 하반기 JJ Project로 돌아왔다. JJ Project의 시작인 2012년 당시 19살이었던 두 멤버는 경쾌하고 유쾌한 10대의 에너지를 뿜어냈다. 어느덧 20대가 되고 그룹 GOT7을 통해 톱 아이돌 반열에 올라 성실하게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JAY B와 진영이 《Verse 2》로 깊이 느끼고 생각한 청춘의 시간들을 노래한다. JJ Project의 새 앨범 《Verse 2》는 타이틀 곡 〈내일, 오늘〉을 포함한 총 8트랙의 미니 앨범. 두 멤버가 신보 전곡의 작사, 작곡 작업에 참여해 새로운 음악적 색깔과 섬세한 감수성을 담아냈다. 새 앨범 《Verse 2》에는 팝, 힙합, 발라드, 얼반 팝, 트로피컬 팝, 소프트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과 함께, CD 음반에 한해 두 멤버의 솔로 곡이 히든 트랙으로 자리했다. JAY B와 진영은 각자 솔로 곡 ‘Fade Away’와 ‘그날’로 한층 풍부한 감성을 전한다. 앨범명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 1절 : JJ Project 데뷔 싱글, GOT7 활동, JAY B와 진영의 10대 시절 등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의미의 Verse 2의 시작이란 뜻 GOT7 유닛 JJ Project, 새 앨범 전곡 작사, 작곡 참여 ‘새로운 음악과 섬세한 감수성’ JJ Project가 새 앨범 《Verse 2》를 발매하고 5년 만에 전격 컴백한 앨범. JAY B와 진영으로 구성된 JJ Project는 지난 2012년 5월 데뷔 싱글 앨범 〈BOUNCE〉을 발표하고 가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두 사람은 GOT7 데뷔 전부터 JJ Project를 결성, 자유분방하고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무대를 달궜다. 이후 그룹 GOT7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인기 영역을 넓히며 글로벌 대세 아이돌로 입지를 다진 이들이 2017년 하반기 JJ Project로 돌아왔다. JJ Project의 시작인 2012년 당시 19살이었던 두 멤버는 경쾌하고 유쾌한 10대의 에너지를 뿜어냈다. 어느덧 20대가 되고 그룹 GOT7을 통해 톱 아이돌 반열에 올라 성실하게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JAY B와 진영이 《Verse 2》로 깊이 느끼고 생각한 청춘의 시간들을 노래한다. JJ Project의 새 앨범 《Verse 2》는 타이틀 곡 〈내일, 오늘〉을 포함한 총 8트랙의 미니 앨범. 두 멤버가 신보 전곡의 작사, 작곡 작업에 참여해 새로운 음악적 색깔과 섬세한 감수성을 담아냈다. 새 앨범 《Verse 2》에는 팝, 힙합, 발라드, 얼반 팝, 트로피컬 팝, 소프트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과 함께, CD 음반에 한해 두 멤버의 솔로 곡이 히든 트랙으로 자리했다. JAY B와 진영은 각자 솔로 곡 ‘Fade Away’와 ‘그날’로 한층 풍부한 감성을 전한다. 앨범명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 1절 : JJ Project 데뷔 싱글, GOT7 활동, JAY B와 진영의 10대 시절 등 Verse 2 : 2절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의미의 Verse 2의 시작이란 뜻 GOT7 유닛 JJ Project, 새 앨범 전곡 작사, 작곡 참여 ‘새로운 음악과 섬세한 감수성’ JJ Project가 새 앨범 《Verse 2》를 발매하고 5년 만에 전격 컴백한 앨범. JAY B와 진영으로 구성된 JJ Project는 지난 2012년 5월 데뷔 싱글 앨범 〈BOUNCE〉을 발표하고 가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두 사람은 GOT7 데뷔 전부터 JJ Project를 결성, 자유분방하고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무대를 달궜다. 이후 그룹 GOT7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인기 영역을 넓히며 글로벌 대세 아이돌로 입지를 다진 이들이 2017년 하반기 JJ Project로 돌아왔다. JJ Project의 시작인 2012년 당시 19살이었던 두 멤버는 경쾌하고 유쾌한 10대의 에너지를 뿜어냈다. 어느덧 20대가 되고 그룹 GOT7을 통해 톱 아이돌 반열에 올라 성실하게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JAY B와 진영이 《Verse 2》로 깊이 느끼고 생각한 청춘의 시간들을 노래한다. JJ Project의 새 앨범 《Verse 2》는 타이틀 곡 〈내일, 오늘〉을 포함한 총 8트랙의 미니 앨범. 두 멤버가 신보 전곡의 작사, 작곡 작업에 참여해 새로운 음악적 색깔과 섬세한 감수성을 담아냈다. 새 앨범 《Verse 2》에는 팝, 힙합, 발라드, 얼반 팝, 트로피컬 팝, 소프트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과 함께, CD 음반에 한해 두 멤버의 솔로 곡이 히든 트랙으로 자리했다. JAY B와 진영은 각자 솔로 곡 ‘Fade Away’와 ‘그날’로 한층 풍부한 감성을 전한다. 〈내일, 오늘〉 퍼포먼스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추는 거울춤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추는 거울춤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추는 거울춤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추는 거울춤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추는 거울춤 〈내일, 오늘〉 〈내일, 오늘〉 〈내일, 오늘〉 〈내일, 오늘〉 〈내일, 오늘〉 JYP 수장 박진영과 JJ Project의 JAY B, 진영이 함께 작사한 곡으로 팝, 얼터너티브 록, 힙합 요소가 결합되어 서정적이면서도 밝은 감성을 자아낸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한없이 유약한 청춘들이 삶을 마주하다 겪는 시간과 선택에 대한 고민, 가보지 않은 두 갈래 길 중에 한 곳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들을 가사에 실었다. JYP 수장 박진영과 JJ Project의 JAY B, 진영이 함께 작사한 곡으로 팝, 얼터너티브 록, 힙합 요소가 결합되어 서정적이면서도 밝은 감성을 자아낸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한없이 유약한 청춘들이 삶을 마주하다 겪는 시간과 선택에 대한 고민, 가보지 않은 두 갈래 길 중에 한 곳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들을 가사에 실었다. JYP 수장 박진영과 JJ Project의 JAY B, 진영이 함께 작사한 곡으로 팝, 얼터너티브 록, 힙합 요소가 결합되어 서정적이면서도 밝은 감성을 자아낸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한없이 유약한 청춘들이 삶을 마주하다 겪는 시간과 선택에 대한 고민, 가보지 않은 두 갈래 길 중에 한 곳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들을 가사에 실었다. JYP 수장 박진영과 JJ Project의 JAY B, 진영이 함께 작사한 곡으로 팝, 얼터너티브 록, 힙합 요소가 결합되어 서정적이면서도 밝은 감성을 자아낸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한없이 유약한 청춘들이 삶을 마주하다 겪는 시간과 선택에 대한 고민, 가보지 않은 두 갈래 길 중에 한 곳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들을 가사에 실었다. 〈Coming Home〉 〈Coming Home〉 〈Coming Home〉 〈Coming Home〉 〈Coming Home〉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Coming Home’은 떠났던 사람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있는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으로 기다리는 대상이 가족이 될 수도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기다린다고 수없이 말했지만 이제야 돌아와 미안한 마음 그리고 너무 기쁜 마음 등 여러 감정이 섞인 가사가 특징이다. 퓨처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트렌디한 감성의 R&B 트랙이며, 특히 비트와 베이스로만으로도 심플한 진행을 이루고 있는 후렴의 인스트루먼트가 돋보인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Coming Home’은 떠났던 사람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있는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으로 기다리는 대상이 가족이 될 수도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기다린다고 수없이 말했지만 이제야 돌아와 미안한 마음 그리고 너무 기쁜 마음 등 여러 감정이 섞인 가사가 특징이다. 퓨처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트렌디한 감성의 R&B 트랙이며, 특히 비트와 베이스로만으로도 심플한 진행을 이루고 있는 후렴의 인스트루먼트가 돋보인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Coming Home’은 떠났던 사람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있는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으로 기다리는 대상이 가족이 될 수도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기다린다고 수없이 말했지만 이제야 돌아와 미안한 마음 그리고 너무 기쁜 마음 등 여러 감정이 섞인 가사가 특징이다. 퓨처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트렌디한 감성의 R&B 트랙이며, 특히 비트와 베이스로만으로도 심플한 진행을 이루고 있는 후렴의 인스트루먼트가 돋보인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Coming Home’은 떠났던 사람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있는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내용으로 기다리는 대상이 가족이 될 수도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기다린다고 수없이 말했지만 이제야 돌아와 미안한 마음 그리고 너무 기쁜 마음 등 여러 감정이 섞인 가사가 특징이다. 퓨처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트렌디한 감성의 R&B 트랙이며, 특히 비트와 베이스로만으로도 심플한 진행을 이루고 있는 후렴의 인스트루먼트가 돋보인다. 〈On&On〉 〈On&On〉 〈On&On〉 〈On&On〉 〈On&On〉 '저 빛은 나를 자꾸 비추고 어두운 나의 모습 들추고 슬픈데 안 슬픈 척 해 아픈데 안 아픈 척 해' JAY B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된 곡. 처음엔 선글라스를 주제로 시작된 곡으로 일반적으로 긍적적인 이미지인 빛을 다른 시선으로 생각해 보고 싶었다. 계속 빛만 따라가다 보면 힘들고,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눈이 아프듯이. 어둠도 나쁘다기보다는 어두운 것도 익숙해지면 앞이 보이는 것처럼.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틀과 규칙'을 '빛'으로 빗대어 생각했을 때 '빛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고, 어둠도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라는 표현.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틀과 규칙들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잘못 살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인식을 ‘빛’에 빗대어 표현했다. 그런 ‘빛’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 생각에 동의 한다면 'Put your glasses on'이라는 비유적인 가사를 담아냈다. 이러한 메시지와 Tropical 사운드, 그루브 있는 일렉 기타의 연주가 한데 어우러져 시원한 여름에 듣기 좋은 곡으로 탄생했다. '저 빛은 나를 자꾸 비추고 어두운 나의 모습 들추고 슬픈데 안 슬픈 척 해 아픈데 안 아픈 척 해' JAY B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된 곡. 처음엔 선글라스를 주제로 시작된 곡으로 일반적으로 긍적적인 이미지인 빛을 다른 시선으로 생각해 보고 싶었다. 계속 빛만 따라가다 보면 힘들고,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눈이 아프듯이. 어둠도 나쁘다기보다는 어두운 것도 익숙해지면 앞이 보이는 것처럼.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틀과 규칙'을 '빛'으로 빗대어 생각했을 때 '빛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고, 어둠도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라는 표현.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틀과 규칙들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잘못 살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인식을 ‘빛’에 빗대어 표현했다. 그런 ‘빛’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 생각에 동의 한다면 'Put your glasses on'이라는 비유적인 가사를 담아냈다. 이러한 메시지와 Tropical 사운드, 그루브 있는 일렉 기타의 연주가 한데 어우러져 시원한 여름에 듣기 좋은 곡으로 탄생했다. '저 빛은 나를 자꾸 비추고 어두운 나의 모습 들추고 슬픈데 안 슬픈 척 해 아픈데 안 아픈 척 해' JAY B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된 곡. 처음엔 선글라스를 주제로 시작된 곡으로 일반적으로 긍적적인 이미지인 빛을 다른 시선으로 생각해 보고 싶었다. 계속 빛만 따라가다 보면 힘들고,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눈이 아프듯이. 어둠도 나쁘다기보다는 어두운 것도 익숙해지면 앞이 보이는 것처럼.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틀과 규칙'을 '빛'으로 빗대어 생각했을 때 '빛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고, 어둠도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라는 표현.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틀과 규칙들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잘못 살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인식을 ‘빛’에 빗대어 표현했다. 그런 ‘빛’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 생각에 동의 한다면 'Put your glasses on'이라는 비유적인 가사를 담아냈다. 이러한 메시지와 Tropical 사운드, 그루브 있는 일렉 기타의 연주가 한데 어우러져 시원한 여름에 듣기 좋은 곡으로 탄생했다. '저 빛은 나를 자꾸 비추고 어두운 나의 모습 들추고 슬픈데 안 슬픈 척 해 아픈데 안 아픈 척 해' JAY B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된 곡. 처음엔 선글라스를 주제로 시작된 곡으로 일반적으로 긍적적인 이미지인 빛을 다른 시선으로 생각해 보고 싶었다. 계속 빛만 따라가다 보면 힘들고,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눈이 아프듯이. 어둠도 나쁘다기보다는 어두운 것도 익숙해지면 앞이 보이는 것처럼.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틀과 규칙'을 '빛'으로 빗대어 생각했을 때 '빛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고, 어둠도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라는 표현.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틀과 규칙들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잘못 살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인식을 ‘빛’에 빗대어 표현했다. 그런 ‘빛’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 생각에 동의 한다면 'Put your glasses on'이라는 비유적인 가사를 담아냈다. 이러한 메시지와 Tropical 사운드, 그루브 있는 일렉 기타의 연주가 한데 어우러져 시원한 여름에 듣기 좋은 곡으로 탄생했다. 〈Don't Wanna Know〉 〈Don't Wanna Know〉 〈Don't Wanna Know〉 〈Don't Wanna Know〉 〈Don't Wanna Know〉 JAY B와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감성적인 R&B 장르로 인트로의 아련한 피아노 테마를 시작으로, 후렴에는 따뜻한 질감의 Synth Pad가 곡을 아우르며 서정적인 흐름과 함께 전반적으로 트렌디함을 잘 녹여냈다. 가사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갔다는 걸 믿을 수가 없다는 한 남자가 자신이 다시 용기와 자신감이 생길 때 사랑하는 사람을 되찾겠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JAY B와 진영이 듣는 분들에게 공감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절절한 사랑 노래일 수도 있고, 청춘에 대한 그리움에 대한 노래일 수도 있게 가사를 쓴 곡. JAY B와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감성적인 R&B 장르로 인트로의 아련한 피아노 테마를 시작으로, 후렴에는 따뜻한 질감의 Synth Pad가 곡을 아우르며 서정적인 흐름과 함께 전반적으로 트렌디함을 잘 녹여냈다. 가사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갔다는 걸 믿을 수가 없다는 한 남자가 자신이 다시 용기와 자신감이 생길 때 사랑하는 사람을 되찾겠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JAY B와 진영이 듣는 분들에게 공감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절절한 사랑 노래일 수도 있고, 청춘에 대한 그리움에 대한 노래일 수도 있게 가사를 쓴 곡. JAY B와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감성적인 R&B 장르로 인트로의 아련한 피아노 테마를 시작으로, 후렴에는 따뜻한 질감의 Synth Pad가 곡을 아우르며 서정적인 흐름과 함께 전반적으로 트렌디함을 잘 녹여냈다. 가사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갔다는 걸 믿을 수가 없다는 한 남자가 자신이 다시 용기와 자신감이 생길 때 사랑하는 사람을 되찾겠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JAY B와 진영이 듣는 분들에게 공감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절절한 사랑 노래일 수도 있고, 청춘에 대한 그리움에 대한 노래일 수도 있게 가사를 쓴 곡. JAY B와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감성적인 R&B 장르로 인트로의 아련한 피아노 테마를 시작으로, 후렴에는 따뜻한 질감의 Synth Pad가 곡을 아우르며 서정적인 흐름과 함께 전반적으로 트렌디함을 잘 녹여냈다. 가사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갔다는 걸 믿을 수가 없다는 한 남자가 자신이 다시 용기와 자신감이 생길 때 사랑하는 사람을 되찾겠다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JAY B와 진영이 듣는 분들에게 공감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절절한 사랑 노래일 수도 있고, 청춘에 대한 그리움에 대한 노래일 수도 있게 가사를 쓴 곡. 〈그날〉 진영 Solo 〈그날〉 진영 Solo 〈그날〉 진영 Solo 〈그날〉 진영 Solo 〈그날〉 진영 Solo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오직 일렉 기타 comping과 진영의 목소리에 집중한 R&B Soul 장르로 그 때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최소한의 악기 배치로 담아낸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해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냈고, 차분하고 절제된 목소리로 곡 완성도를 더했다. 진영이 지금까지 가슴속에 품고 있었던 이야기를 노래에 녹아들게 하려고 가사를 쓴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오직 일렉 기타 comping과 진영의 목소리에 집중한 R&B Soul 장르로 그 때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최소한의 악기 배치로 담아낸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해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냈고, 차분하고 절제된 목소리로 곡 완성도를 더했다. 진영이 지금까지 가슴속에 품고 있었던 이야기를 노래에 녹아들게 하려고 가사를 쓴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오직 일렉 기타 comping과 진영의 목소리에 집중한 R&B Soul 장르로 그 때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최소한의 악기 배치로 담아낸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해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냈고, 차분하고 절제된 목소리로 곡 완성도를 더했다. 진영이 지금까지 가슴속에 품고 있었던 이야기를 노래에 녹아들게 하려고 가사를 쓴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오직 일렉 기타 comping과 진영의 목소리에 집중한 R&B Soul 장르로 그 때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최소한의 악기 배치로 담아낸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해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냈고, 차분하고 절제된 목소리로 곡 완성도를 더했다. 진영이 지금까지 가슴속에 품고 있었던 이야기를 노래에 녹아들게 하려고 가사를 쓴 곡. = = = GOT7 = = = = = = = 한국 = = = = 연도 구분 내용 내용 내용 내용 내용 2022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GOT7 GOT7 GOT7 GOT7 GOT7 발매일 2022.05.23 2022.05.23 2022.05.23 2022.05.23 2022.05.23 〈Don’t Care About Me〉 〈Don’t Care About Me〉 〈Don’t Care About Me〉 〈Don’t Care About Me〉 〈Don’t Care About Me〉 GOT7(갓세븐)이 걸어왔던 길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I GOT7(아가새𓅪)에게 보여주기 위해 만든 곡. 팬 여러분과 함께라면 어떤 길이든 걸어나갈 수 있다는 GOT7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진영) GOT7(갓세븐)이 걸어왔던 길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I GOT7(아가새𓅪)에게 보여주기 위해 만든 곡. 팬 여러분과 함께라면 어떤 길이든 걸어나갈 수 있다는 GOT7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진영) GOT7(갓세븐)이 걸어왔던 길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I GOT7(아가새𓅪)에게 보여주기 위해 만든 곡. 팬 여러분과 함께라면 어떤 길이든 걸어나갈 수 있다는 GOT7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진영) GOT7(갓세븐)이 걸어왔던 길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I GOT7(아가새𓅪)에게 보여주기 위해 만든 곡. 팬 여러분과 함께라면 어떤 길이든 걸어나갈 수 있다는 GOT7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진영) 2021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Encore Encore Encore Encore Encore 발매일 2021.02.20 2021.02.20 2021.02.20 2021.02.20 2021.02.20 〈앙코르 (Encore)〉 〈앙코르 (Encore)〉 〈앙코르 (Encore)〉 〈앙코르 (Encore)〉 〈앙코르 (Encore)〉 〈앙코르 (Encore)〉는 진영이 작사・작곡・보컬 디렉터까지 참여한 곡으로 GOT7이 항상 함께 해주는 팬들 I GOT7 (아가새)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담긴 곡. 제목처럼 팬 분들을 위해 계속해서 노래하고 싶다는 의미를 가진 노래이다. 〈앙코르 (Encore)〉는 진영이 작사・작곡・보컬 디렉터까지 참여한 곡으로 GOT7이 항상 함께 해주는 팬들 I GOT7 (아가새)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담긴 곡. 제목처럼 팬 분들을 위해 계속해서 노래하고 싶다는 의미를 가진 노래이다. 〈앙코르 (Encore)〉는 진영이 작사・작곡・보컬 디렉터까지 참여한 곡으로 GOT7이 항상 함께 해주는 팬들 I GOT7 (아가새)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담긴 곡. 제목처럼 팬 분들을 위해 계속해서 노래하고 싶다는 의미를 가진 노래이다. 〈앙코르 (Encore)〉는 진영이 작사・작곡・보컬 디렉터까지 참여한 곡으로 GOT7이 항상 함께 해주는 팬들 I GOT7 (아가새)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담긴 곡. 제목처럼 팬 분들을 위해 계속해서 노래하고 싶다는 의미를 가진 노래이다. 〈앙코르 (Encore)〉의 뮤직 비디오는 GOT7 일곱 명이 모여 앨범 녹음 레코딩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I GOT7 (아가새)을 위한 Encore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내용 〈앙코르 (Encore)〉 뮤직 비디오 참여진 Executive Producer (총괄 프로듀서) : 마크 투안 (Mark Tuan) Creative Director : @willgyc Directed/Edited By : @mamesjao Produced By : @core.a.creative Cover by yours truly 〈앙코르 (Encore)〉 녹음・레코딩 잭슨 (Jackson Wang)의 작업실 〈앙코르 (Encore)〉 발매 〈앙코르 (Encore)〉는 GOT7이 JYP 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 종료 후, 재계약 체결 없이 발매한 디지털 싱글로 JAY B가 총대를 메고 새로운 음반사와 전 과정에 직접 다 참여해 여러 가지 서류를 정리해서 발매했다. JAY B는 싱글 발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류와 그 외의 실무적인 것들을 공부해가며 정리하면서 체력적으로는 힘들었지만,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한다. 〈앙코르 (Encore)〉의 뮤직 비디오는 GOT7 일곱 명이 모여 앨범 녹음 레코딩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I GOT7 (아가새)을 위한 Encore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내용 〈앙코르 (Encore)〉 뮤직 비디오 참여진 Executive Producer (총괄 프로듀서) : 마크 투안 (Mark Tuan) Creative Director : @willgyc Directed/Edited By : @mamesjao Produced By : @core.a.creative Cover by yours truly 〈앙코르 (Encore)〉 녹음・레코딩 잭슨 (Jackson Wang)의 작업실 〈앙코르 (Encore)〉 발매 〈앙코르 (Encore)〉는 GOT7이 JYP 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 종료 후, 재계약 체결 없이 발매한 디지털 싱글로 JAY B가 총대를 메고 새로운 음반사와 전 과정에 직접 다 참여해 여러 가지 서류를 정리해서 발매했다. JAY B는 싱글 발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류와 그 외의 실무적인 것들을 공부해가며 정리하면서 체력적으로는 힘들었지만,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한다. 〈앙코르 (Encore)〉의 뮤직 비디오는 GOT7 일곱 명이 모여 앨범 녹음 레코딩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I GOT7 (아가새)을 위한 Encore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내용 〈앙코르 (Encore)〉 뮤직 비디오 참여진 Executive Producer (총괄 프로듀서) : 마크 투안 (Mark Tuan) Creative Director : @willgyc Directed/Edited By : @mamesjao Produced By : @core.a.creative Cover by yours truly 〈앙코르 (Encore)〉 녹음・레코딩 잭슨 (Jackson Wang)의 작업실 〈앙코르 (Encore)〉 발매 〈앙코르 (Encore)〉는 GOT7이 JYP 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 종료 후, 재계약 체결 없이 발매한 디지털 싱글로 JAY B가 총대를 메고 새로운 음반사와 전 과정에 직접 다 참여해 여러 가지 서류를 정리해서 발매했다. JAY B는 싱글 발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류와 그 외의 실무적인 것들을 공부해가며 정리하면서 체력적으로는 힘들었지만,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한다. 〈앙코르 (Encore)〉의 뮤직 비디오는 GOT7 일곱 명이 모여 앨범 녹음 레코딩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I GOT7 (아가새)을 위한 Encore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내용 〈앙코르 (Encore)〉 뮤직 비디오 참여진 Executive Producer (총괄 프로듀서) : 마크 투안 (Mark Tuan) Creative Director : @willgyc Directed/Edited By : @mamesjao Produced By : @core.a.creative Cover by yours truly 〈앙코르 (Encore)〉 녹음・레코딩 잭슨 (Jackson Wang)의 작업실 〈앙코르 (Encore)〉 발매 〈앙코르 (Encore)〉는 GOT7이 JYP 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 종료 후, 재계약 체결 없이 발매한 디지털 싱글로 JAY B가 총대를 메고 새로운 음반사와 전 과정에 직접 다 참여해 여러 가지 서류를 정리해서 발매했다. JAY B는 싱글 발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류와 그 외의 실무적인 것들을 공부해가며 정리하면서 체력적으로는 힘들었지만,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한다. 2020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Breath of Love : Last Piece Breath of Love : Last Piece Breath of Love : Last Piece Breath of Love : Last Piece Breath of Love : Last Piece 발매일 2020.11.30 2020.11.30 2020.11.30 2020.11.30 2020.11.30 〈WAVE〉 〈WAVE〉 〈WAVE〉 〈WAVE〉 〈WAVE〉 진영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파도처럼 흘러가는 삶 속에서도 네가 있다면 끝까지 버틸 수 있다는 굳건한 사랑을 가사로 풀어냈다. 세련된 무드가 돋보이는 미디엄 템포 곡이다. 진영이 비트를 듣고 비트가 파도 같아서 바로 곡 제목 WAVE를 떠올린 곡 진영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파도처럼 흘러가는 삶 속에서도 네가 있다면 끝까지 버틸 수 있다는 굳건한 사랑을 가사로 풀어냈다. 세련된 무드가 돋보이는 미디엄 템포 곡이다. 진영이 비트를 듣고 비트가 파도 같아서 바로 곡 제목 WAVE를 떠올린 곡 진영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파도처럼 흘러가는 삶 속에서도 네가 있다면 끝까지 버틸 수 있다는 굳건한 사랑을 가사로 풀어냈다. 세련된 무드가 돋보이는 미디엄 템포 곡이다. 진영이 비트를 듣고 비트가 파도 같아서 바로 곡 제목 WAVE를 떠올린 곡 진영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파도처럼 흘러가는 삶 속에서도 네가 있다면 끝까지 버틸 수 있다는 굳건한 사랑을 가사로 풀어냈다. 세련된 무드가 돋보이는 미디엄 템포 곡이다. 진영이 비트를 듣고 비트가 파도 같아서 바로 곡 제목 WAVE를 떠올린 곡 2020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DYE DYE DYE DYE DYE 발매일 2020.04.20 2020.04.20 2020.04.20 2020.04.20 2020.04.20 〈LOVE YOU BETTER〉 〈LOVE YOU BETTER〉 〈LOVE YOU BETTER〉 〈LOVE YOU BETTER〉 〈LOVE YOU BETTER〉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으로 다신 헤어지지 않을 영원한 사랑의 맹세, 고백을 주제로 타이틀과 같은 테마에서 시작이 된 곡. 'NOT BY THE MOON'은 카리스마가 있고 힘 있는 어조의 가사들이라면 이 곡은 좀 더 섬세한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부드러운 멜로디와 함께 신나고 칠(Chill)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으로 다신 헤어지지 않을 영원한 사랑의 맹세, 고백을 주제로 타이틀과 같은 테마에서 시작이 된 곡. 'NOT BY THE MOON'은 카리스마가 있고 힘 있는 어조의 가사들이라면 이 곡은 좀 더 섬세한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부드러운 멜로디와 함께 신나고 칠(Chill)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으로 다신 헤어지지 않을 영원한 사랑의 맹세, 고백을 주제로 타이틀과 같은 테마에서 시작이 된 곡. 'NOT BY THE MOON'은 카리스마가 있고 힘 있는 어조의 가사들이라면 이 곡은 좀 더 섬세한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부드러운 멜로디와 함께 신나고 칠(Chill)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곡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으로 다신 헤어지지 않을 영원한 사랑의 맹세, 고백을 주제로 타이틀과 같은 테마에서 시작이 된 곡. 'NOT BY THE MOON'은 카리스마가 있고 힘 있는 어조의 가사들이라면 이 곡은 좀 더 섬세한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부드러운 멜로디와 함께 신나고 칠(Chill)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곡 2019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Call My Name Call My Name Call My Name Call My Name Call My Name 발매일 2019.11.04 2019.11.04 2019.11.04 2019.11.04 2019.11.04 〈RUN AWAY〉 〈RUN AWAY〉 〈RUN AWAY〉 〈RUN AWAY〉 〈RUN AWAY〉 강렬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이루어진 미디엄 템포의 곡으로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 안아주고파 느껴져 나의 온기 널 향한 마음은 영원할게 멀리멀리 Just wanna run away"라는 가사와 점점 고조되는 후렴구 비트를 듣고 있으면 모든 일이 다 잘 될 것 같은 안도감이 든다. 강렬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이루어진 미디엄 템포의 곡으로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 안아주고파 느껴져 나의 온기 널 향한 마음은 영원할게 멀리멀리 Just wanna run away"라는 가사와 점점 고조되는 후렴구 비트를 듣고 있으면 모든 일이 다 잘 될 것 같은 안도감이 든다. 강렬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이루어진 미디엄 템포의 곡으로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 안아주고파 느껴져 나의 온기 널 향한 마음은 영원할게 멀리멀리 Just wanna run away"라는 가사와 점점 고조되는 후렴구 비트를 듣고 있으면 모든 일이 다 잘 될 것 같은 안도감이 든다. 강렬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이루어진 미디엄 템포의 곡으로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 안아주고파 느껴져 나의 온기 널 향한 마음은 영원할게 멀리멀리 Just wanna run away"라는 가사와 점점 고조되는 후렴구 비트를 듣고 있으면 모든 일이 다 잘 될 것 같은 안도감이 든다. 2019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발매일 2019.05.20 2019.05.20 2019.05.20 2019.05.20 2019.05.20 〈끝〉 〈끝〉 〈끝〉 〈끝〉 〈끝〉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서정적인 분위기의 곡. 〈끝〉 은 진영이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주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맞게 쓴 한 대상과의 관계가 끝을 달리고 있다라는 의미를 담은 곡으로 그 대상이 자신일 수도 있고, 자신의 청춘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또한,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은 총 여섯 개의 트랙으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1~3번 트랙은 빛에서 어둠이 몰려오는 순간들을, 4~6번 트랙은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순간들을 그려낸 앨범이다. 〈끝〉은 3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앨범 주제와 트랙의 흐름을 연관해서 생각하면 '아마도 불안함이 끝을 달리고 있지 않을까?'라는 의미를 담은 곡이기도 하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서정적인 분위기의 곡. 〈끝〉 은 진영이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주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맞게 쓴 한 대상과의 관계가 끝을 달리고 있다라는 의미를 담은 곡으로 그 대상이 자신일 수도 있고, 자신의 청춘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또한,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은 총 여섯 개의 트랙으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1~3번 트랙은 빛에서 어둠이 몰려오는 순간들을, 4~6번 트랙은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순간들을 그려낸 앨범이다. 〈끝〉은 3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앨범 주제와 트랙의 흐름을 연관해서 생각하면 '아마도 불안함이 끝을 달리고 있지 않을까?'라는 의미를 담은 곡이기도 하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서정적인 분위기의 곡. 〈끝〉 은 진영이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주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맞게 쓴 한 대상과의 관계가 끝을 달리고 있다라는 의미를 담은 곡으로 그 대상이 자신일 수도 있고, 자신의 청춘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또한,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은 총 여섯 개의 트랙으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1~3번 트랙은 빛에서 어둠이 몰려오는 순간들을, 4~6번 트랙은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순간들을 그려낸 앨범이다. 〈끝〉은 3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앨범 주제와 트랙의 흐름을 연관해서 생각하면 '아마도 불안함이 끝을 달리고 있지 않을까?'라는 의미를 담은 곡이기도 하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서정적인 분위기의 곡. 〈끝〉 은 진영이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주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맞게 쓴 한 대상과의 관계가 끝을 달리고 있다라는 의미를 담은 곡으로 그 대상이 자신일 수도 있고, 자신의 청춘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있다. 또한,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은 총 여섯 개의 트랙으로 안정과 불안정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1~3번 트랙은 빛에서 어둠이 몰려오는 순간들을, 4~6번 트랙은 어둠에서 빛을 찾아가는 순간들을 그려낸 앨범이다. 〈끝〉은 3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으로, 앨범 주제와 트랙의 흐름을 연관해서 생각하면 '아마도 불안함이 끝을 달리고 있지 않을까?'라는 의미를 담은 곡이기도 하다. 2018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Present : YOU & ME Edition Present : YOU & ME Edition Present : YOU & ME Edition Present : YOU & ME Edition Present : YOU & ME Edition 발매일 2018.12.03 2018.12.03 2018.12.03 2018.12.03 2018.12.03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Higher〉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마크 투안 (Mark Tuan)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날 더 높이 올려줘’라는 메시지의 신나는 댄스곡이다. 마크 투안 (Mark Tuan)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날 더 높이 올려줘’라는 메시지의 신나는 댄스곡이다. 마크 투안 (Mark Tuan)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날 더 높이 올려줘’라는 메시지의 신나는 댄스곡이다. 마크 투안 (Mark Tuan)와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날 더 높이 올려줘’라는 메시지의 신나는 댄스곡이다. 〈King〉 진영, 뱀뱀 〈King〉 진영, 뱀뱀 〈King〉 진영, 뱀뱀 〈King〉 진영, 뱀뱀 〈King〉 진영, 뱀뱀 진영과 뱀뱀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먼저 곡 제목을 〈King〉으로 정하고 '우리는 왕이다(King of the K-pop)'라는 컨셉이 강한 노래를 만들었다.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자신감을 노래한다. 진영과 뱀뱀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먼저 곡 제목을 〈King〉으로 정하고 '우리는 왕이다(King of the K-pop)'라는 컨셉이 강한 노래를 만들었다.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자신감을 노래한다. 진영과 뱀뱀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먼저 곡 제목을 〈King〉으로 정하고 '우리는 왕이다(King of the K-pop)'라는 컨셉이 강한 노래를 만들었다.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자신감을 노래한다. 진영과 뱀뱀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먼저 곡 제목을 〈King〉으로 정하고 '우리는 왕이다(King of the K-pop)'라는 컨셉이 강한 노래를 만들었다.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자신감을 노래한다. 2018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Present : YOU Present : YOU Present : YOU Present : YOU Present : YOU 발매일 2018.09.17 2018.09.17 2018.09.17 2018.09.17 2018.09.17 〈I Am Me〉 〈I Am Me〉 〈I Am Me〉 〈I Am Me〉 〈I Am Me〉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퓨처 베이스 사운드 중심의 곡으로 '나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자신을 믿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자'는 메시지. '누가 뭐라든 우린 우리고, 나는 나 자신이다.'라는 것을 표현. 진영의 가치관 중에서 넘버원보다는 온리원, 나만의 것 이런 진영의 가치관들이 담겨져 있는 노래.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퓨처 베이스 사운드 중심의 곡으로 '나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자신을 믿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자'는 메시지. '누가 뭐라든 우린 우리고, 나는 나 자신이다.'라는 것을 표현. 진영의 가치관 중에서 넘버원보다는 온리원, 나만의 것 이런 진영의 가치관들이 담겨져 있는 노래.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퓨처 베이스 사운드 중심의 곡으로 '나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자신을 믿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자'는 메시지. '누가 뭐라든 우린 우리고, 나는 나 자신이다.'라는 것을 표현. 진영의 가치관 중에서 넘버원보다는 온리원, 나만의 것 이런 진영의 가치관들이 담겨져 있는 노래.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퓨처 베이스 사운드 중심의 곡으로 '나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자신을 믿고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자'는 메시지. '누가 뭐라든 우린 우리고, 나는 나 자신이다.'라는 것을 표현. 진영의 가치관 중에서 넘버원보다는 온리원, 나만의 것 이런 진영의 가치관들이 담겨져 있는 노래. 〈My Youth〉 진영 Solo 〈My Youth〉 진영 Solo 〈My Youth〉 진영 Solo 〈My Youth〉 진영 Solo 〈My Youth〉 진영 Solo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던 어린 날의 나'를 그리워하며 가사에 "눈을 떠 넌 아직 우주인걸 여전히 빛나는 아이인걸"이라고 다시 돌아올 청춘을 노래하는 얼터너티브 록 장르의 곡. 진영의 깊은 감성과 보컬이 귓가를 사로잡는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던 어린 날의 나'를 그리워하며 가사에 "눈을 떠 넌 아직 우주인걸 여전히 빛나는 아이인걸"이라고 다시 돌아올 청춘을 노래하는 얼터너티브 록 장르의 곡. 진영의 깊은 감성과 보컬이 귓가를 사로잡는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던 어린 날의 나'를 그리워하며 가사에 "눈을 떠 넌 아직 우주인걸 여전히 빛나는 아이인걸"이라고 다시 돌아올 청춘을 노래하는 얼터너티브 록 장르의 곡. 진영의 깊은 감성과 보컬이 귓가를 사로잡는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진영 솔로곡.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던 어린 날의 나'를 그리워하며 가사에 "눈을 떠 넌 아직 우주인걸 여전히 빛나는 아이인걸"이라고 다시 돌아올 청춘을 노래하는 얼터너티브 록 장르의 곡. 진영의 깊은 감성과 보컬이 귓가를 사로잡는다. 2018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Eyes On You Eyes On You Eyes On You Eyes On You Eyes On You 발매일 2018.03.12 2018.03.12 2018.03.12 2018.03.12 2018.03.12 〈고마워〉 〈고마워〉 〈고마워〉 〈고마워〉 〈고마워〉 진영이 평소에 말로 다 하지 못했던 팬들에 대한 진심을 담은 곡이다. 작사, 작곡을 맡은 진영은 팬들을 '초록빛 은하수'에 비유하며 고마움을 전하고 의미를 더했다. 애틋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곡 후반 사운드가 인상적이다. 진영이 평소에 말로 다 하지 못했던 팬들에 대한 진심을 담은 곡이다. 작사, 작곡을 맡은 진영은 팬들을 '초록빛 은하수'에 비유하며 고마움을 전하고 의미를 더했다. 애틋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곡 후반 사운드가 인상적이다. 진영이 평소에 말로 다 하지 못했던 팬들에 대한 진심을 담은 곡이다. 작사, 작곡을 맡은 진영은 팬들을 '초록빛 은하수'에 비유하며 고마움을 전하고 의미를 더했다. 애틋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곡 후반 사운드가 인상적이다. 진영이 평소에 말로 다 하지 못했던 팬들에 대한 진심을 담은 곡이다. 작사, 작곡을 맡은 진영은 팬들을 '초록빛 은하수'에 비유하며 고마움을 전하고 의미를 더했다. 애틋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곡 후반 사운드가 인상적이다. 2017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7 for 7 7 for 7 7 for 7 7 for 7 7 for 7 발매일 2017.10.10 2017.10.10 2017.10.10 2017.10.10 2017.10.10 〈Firework〉 〈Firework〉 〈Firework〉 〈Firework〉 〈Firework〉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미디엄 템포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곡으로 '끝없는 노력이 있다면 언젠가는 폭죽처럼 아름답게 피어날 것'이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미디엄 템포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곡으로 '끝없는 노력이 있다면 언젠가는 폭죽처럼 아름답게 피어날 것'이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미디엄 템포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곡으로 '끝없는 노력이 있다면 언젠가는 폭죽처럼 아름답게 피어날 것'이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미디엄 템포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곡으로 '끝없는 노력이 있다면 언젠가는 폭죽처럼 아름답게 피어날 것'이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2017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FLIGHT LOG : ARRIVAL FLIGHT LOG : ARRIVAL FLIGHT LOG : ARRIVAL FLIGHT LOG : ARRIVAL FLIGHT LOG : ARRIVAL 발매일 2017.03.13 2017.03.13 2017.03.13 2017.03.13 2017.03.13 〈Paradise〉 〈Paradise〉 〈Paradise〉 〈Paradise〉 〈Paradise〉 진영・뱀뱀이 작사, 진영이 작곡에 참여한 곡. 진영이 이번 앨범에 맞게 의미있는 곡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쓴 곡으로 'GOT7이 난기류(TURBULENCE)를 헤치고 I GOT7 (아가새)과 함께 파라다이스(Paradise)에 도착(ARRIVAL)했다.'는 의미로 만든 곡. 'GOT7이 함난한 걸 겪고 팬들과 함께 파라다이스에 도착했다.' 가슴 속에 두근거림을 심어준 상대를 파라다이스에 비유한 노래. 앞선 앨범 《FLIGHT LOG : TURBULENCE》 에 수록된 "Mayday"가 불안하고 위태로운 사랑을 그린 곡이라면 "Paradise"는 이번 앨범의 콘셉트에 맞게 평온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감정을 표현했다. 진영・뱀뱀이 작사, 진영이 작곡에 참여한 곡. 진영이 이번 앨범에 맞게 의미있는 곡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쓴 곡으로 'GOT7이 난기류(TURBULENCE)를 헤치고 I GOT7 (아가새)과 함께 파라다이스(Paradise)에 도착(ARRIVAL)했다.'는 의미로 만든 곡. 'GOT7이 함난한 걸 겪고 팬들과 함께 파라다이스에 도착했다.' 가슴 속에 두근거림을 심어준 상대를 파라다이스에 비유한 노래. 앞선 앨범 《FLIGHT LOG : TURBULENCE》 에 수록된 "Mayday"가 불안하고 위태로운 사랑을 그린 곡이라면 "Paradise"는 이번 앨범의 콘셉트에 맞게 평온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감정을 표현했다. 진영・뱀뱀이 작사, 진영이 작곡에 참여한 곡. 진영이 이번 앨범에 맞게 의미있는 곡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쓴 곡으로 'GOT7이 난기류(TURBULENCE)를 헤치고 I GOT7 (아가새)과 함께 파라다이스(Paradise)에 도착(ARRIVAL)했다.'는 의미로 만든 곡. 'GOT7이 함난한 걸 겪고 팬들과 함께 파라다이스에 도착했다.' 가슴 속에 두근거림을 심어준 상대를 파라다이스에 비유한 노래. 앞선 앨범 《FLIGHT LOG : TURBULENCE》 에 수록된 "Mayday"가 불안하고 위태로운 사랑을 그린 곡이라면 "Paradise"는 이번 앨범의 콘셉트에 맞게 평온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감정을 표현했다. 진영・뱀뱀이 작사, 진영이 작곡에 참여한 곡. 진영이 이번 앨범에 맞게 의미있는 곡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쓴 곡으로 'GOT7이 난기류(TURBULENCE)를 헤치고 I GOT7 (아가새)과 함께 파라다이스(Paradise)에 도착(ARRIVAL)했다.'는 의미로 만든 곡. 'GOT7이 함난한 걸 겪고 팬들과 함께 파라다이스에 도착했다.' 가슴 속에 두근거림을 심어준 상대를 파라다이스에 비유한 노래. 앞선 앨범 《FLIGHT LOG : TURBULENCE》 에 수록된 "Mayday"가 불안하고 위태로운 사랑을 그린 곡이라면 "Paradise"는 이번 앨범의 콘셉트에 맞게 평온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감정을 표현했다. 2016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FLIGHT LOG : TURBULENCE FLIGHT LOG : TURBULENCE FLIGHT LOG : TURBULENCE FLIGHT LOG : TURBULENCE FLIGHT LOG : TURBULENCE 발매일 2016.09.27 2016.09.27 2016.09.27 2016.09.27 2016.09.27 〈Mayday〉 〈Mayday〉 〈Mayday〉 〈Mayday〉 〈Mayday〉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Mayday'는 비행기나 배가 위급상황일 때 구조요청을 할 때 'Mayday, Mayday'라는 얘기하는 것에서 진영이 영감 받아 힘든 상황 속에서 날 구해달라. 듣는 여러분이 날 구해달라. 뜻으로 만든 곡.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힘든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내용의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Mayday'는 비행기나 배가 위급상황일 때 구조요청을 할 때 'Mayday, Mayday'라는 얘기하는 것에서 진영이 영감 받아 힘든 상황 속에서 날 구해달라. 듣는 여러분이 날 구해달라. 뜻으로 만든 곡.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힘든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내용의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Mayday'는 비행기나 배가 위급상황일 때 구조요청을 할 때 'Mayday, Mayday'라는 얘기하는 것에서 진영이 영감 받아 힘든 상황 속에서 날 구해달라. 듣는 여러분이 날 구해달라. 뜻으로 만든 곡.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힘든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내용의 곡. 진영이 작사, 작곡에 참여한 곡. 'Mayday'는 비행기나 배가 위급상황일 때 구조요청을 할 때 'Mayday, Mayday'라는 얘기하는 것에서 진영이 영감 받아 힘든 상황 속에서 날 구해달라. 듣는 여러분이 날 구해달라. 뜻으로 만든 곡.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힘든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내용의 곡. 2016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FLIGHT LOG : DEPARTURE FLIGHT LOG : DEPARTURE FLIGHT LOG : DEPARTURE FLIGHT LOG : DEPARTURE FLIGHT LOG : DEPARTURE 발매일 2016.03.21 2016.03.21 2016.03.21 2016.03.21 2016.03.21 〈못하겠어〉 〈못하겠어〉 〈못하겠어〉 〈못하겠어〉 〈못하겠어〉 작사 진영, 랩메이킹 진영・마크 투안 (Mark Tuan), 작곡 진영 참여. 사랑에 빠진 순수한 가사가 담긴 곡으로, 트로피컬한 사운드와 트랩 비트를 바탕으로 한 얼반 댄스곡이다. 작사 진영, 랩메이킹 진영・마크 투안 (Mark Tuan), 작곡 진영 참여. 사랑에 빠진 순수한 가사가 담긴 곡으로, 트로피컬한 사운드와 트랩 비트를 바탕으로 한 얼반 댄스곡이다. 작사 진영, 랩메이킹 진영・마크 투안 (Mark Tuan), 작곡 진영 참여. 사랑에 빠진 순수한 가사가 담긴 곡으로, 트로피컬한 사운드와 트랩 비트를 바탕으로 한 얼반 댄스곡이다. 작사 진영, 랩메이킹 진영・마크 투안 (Mark Tuan), 작곡 진영 참여. 사랑에 빠진 순수한 가사가 담긴 곡으로, 트로피컬한 사운드와 트랩 비트를 바탕으로 한 얼반 댄스곡이다. 2015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 내용 MAD Winter Edition MAD Winter Edition MAD Winter Edition MAD Winter Edition MAD Winter Edition 발매일 2015.11.23 2015.11.23 2015.11.23 2015.11.23 2015.11.23 〈이.별〉 〈이.별〉 〈이.별〉 〈이.별〉 〈이.별〉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사랑하는 이와 이별했을 때 느끼는 감정을 하늘에 떠있는 별에 비유해 노래했다. 사랑이란 너무 가까워도 그렇다고 너무 멀어도 안 되는 감정이라 풀어냈다.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사랑하는 이와 이별했을 때 느끼는 감정을 하늘에 떠있는 별에 비유해 노래했다. 사랑이란 너무 가까워도 그렇다고 너무 멀어도 안 되는 감정이라 풀어냈다.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사랑하는 이와 이별했을 때 느끼는 감정을 하늘에 떠있는 별에 비유해 노래했다. 사랑이란 너무 가까워도 그렇다고 너무 멀어도 안 되는 감정이라 풀어냈다. 진영이 작사에 참여한 곡. 사랑하는 이와 이별했을 때 느끼는 감정을 하늘에 떠있는 별에 비유해 노래했다. 사랑이란 너무 가까워도 그렇다고 너무 멀어도 안 되는 감정이라 풀어냈다. = = = = 일본 = = = = 연도 구분 내용 내용 내용 내용 내용 2019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명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I WON'T LET YOU GO (진영 & 유겸) 발매일 2019.01.30 2019.01.30 2019.01.30 2019.01.30 2019.01.30 〈25〉 진영, 유겸 〈25〉 진영, 유겸 〈25〉 진영, 유겸 〈25〉 진영, 유겸 〈25〉 진영, 유겸 진영과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가지마 너와 같이 있고 싶어'를 '파티는 끝났지만 나는 너랑 더 있고 싶어. 너와 같이 있는 시간이 24시간도 부족해. 하루가 25시간이었으면 좋겠어. 집에 가지 않았으면 좋겠어.' 애절한 댄스곡 진영과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가지마 너와 같이 있고 싶어'를 '파티는 끝났지만 나는 너랑 더 있고 싶어. 너와 같이 있는 시간이 24시간도 부족해. 하루가 25시간이었으면 좋겠어. 집에 가지 않았으면 좋겠어.' 애절한 댄스곡 진영과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가지마 너와 같이 있고 싶어'를 '파티는 끝났지만 나는 너랑 더 있고 싶어. 너와 같이 있는 시간이 24시간도 부족해. 하루가 25시간이었으면 좋겠어. 집에 가지 않았으면 좋겠어.' 애절한 댄스곡 진영과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가지마 너와 같이 있고 싶어'를 '파티는 끝났지만 나는 너랑 더 있고 싶어. 너와 같이 있는 시간이 24시간도 부족해. 하루가 25시간이었으면 좋겠어. 집에 가지 않았으면 좋겠어.' 애절한 댄스곡 2018 Artist GOT7 GOT7 GOT7 GOT7 GOT7 앨범명 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THE New Era (마크 투안 (Mark Tuan) & 진영 & 유겸) 발매일 2018.06.20 2018.06.20 2018.06.20 2018.06.20 2018.06.20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2(TWO)〉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분위기 있는 R&B 곡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분위기 있는 R&B 곡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분위기 있는 R&B 곡 마크 투안 (Mark Tuan), 진영, 유겸이 작사・작곡에 참여한 유닛곡. 분위기 있는 R&B 곡 = = 기사・인터뷰 = = = = = 진영 = = = 연도 Artist 제목 제공 2022 박진영
(진영) 진영 "제가 살아남는 방식도 바비와 비슷했던 것 같아요" GQ 2021 진영 진영, 자작곡 'DIVE' 발매. "팬 분들께 선물" 스타뉴스 갓세븐 진영 "'다이브' 발매..팬들에게 빨리 노래 들려주고 싶어서" 스타뉴스 “나의 천사” 갓세븐 진영, 작사·작곡까지 잘하는 팔방미인 ‘DIVE’ (들어보고서) 뉴스엔 2021 진영(박진영) 진영 "바다를 보면 그냥 편안해지는 게 있어요" GQ 끝의 시작 '진영' W Korea 다재다능한 '진영' 노블레스닷컴 = = = JJ Project = = = 연도 Artist 인터뷰 제목 앨범명 제공 2017 JJ Project 음반 (스타캐스트) GOT7 JJ Project의 내일, 오늘 인터뷰 Verse 2 네이버 스타캐스트 (인터뷰) ‘Verse 2’ JJ Project, 불사조처럼 다시 피어올라 bnt뉴스 (인터뷰) ‘컴백’ JJ프로젝트 “벌써 5년, 저희 많이 달라졌죠?” 노컷뉴스 (인터뷰) "행복해도 고민은 있지요"... JJ Project도 예상 못했던 새앨범 오마이뉴스 (인터뷰) JJ프로젝트, "5년의 기다림, 그속의 청춘들의 고민과 방황" 아주경제 (인터뷰) JJ프로젝트 "갓세븐 대표하는 마음…뜻깊고 떨린다" 뉴스1 JJ 프로젝트, 무르익다 (인터뷰①) 텐아시아 JAY B·진영이 말하는 #제제프 #갓세븐 #박진영 (인터뷰②) (엑's 인터뷰①) "5년 허송세월 아니다"…JJ프로젝트의 고민과 성장 엑스포츠뉴스 (엑's 인터뷰②) 갓세븐 "개인활동? 7人 완전체 뭉치는게 더 의미있다" = = = GOT7 = = = 연도 Artist 기사
인터뷰 제목 앨범명 제공 2021 GOT7 음반 갓세븐, 신곡 '앙코르'에 담은 약속…"널 위해 부를게, 남아있는 날도" Encore 조이뉴스24 갓세븐 진영, 신곡 ‘앙코르’ 작사-작곡 소감 “팬들께 마음 전하려 쓴 곡” 한국경제 갓세븐, 완전체 신곡 '앙코르' 깜짝 발표 "갓세븐은 영원하다" 헤럴드POP 갓세븐, JYP 떠났다 “아가새 위한 음악 계속” (손편지 전문) MK스포츠 2020 GOT7 음반 (투데이IS) GOT7, 2년만 정규 컴백…직접 소개하는 자작곡 Breath of Love : Last Piece 일간스포츠 2020 GOT7 음반 갓세븐, 데뷔 7년차 ‘DYE’로 또 비상 (종합) DYE 뉴스엔 2019 GOT7 음반 (ENT터뷰) GOT7(갓세븐), '불안극복의 공감, 행복함을 향하다' (인터뷰) SPINNING TOP : BETWEEN SECURITY & INSECURITY 전자신문 2018 GOT7 음반 갓세븐 진영, 솔로곡 'My Youth' 뮤비서 미모 폭발..다음 주자는 유겸 Present : YOU OSEN (S종합) 갓세븐, “이유 있는 자신감” 7人7色 매력 담은 앨범으로 컴백 스타데일리뉴스 2018 GOT7 음반 "늘 본질을 생각"…갓세븐, 고민과 원동력 (인터뷰) Eyes On You 조이뉴스24 2017 GOT7 음반 (스타캐스트) GOT7의 숫자 7, for 7 7 for 7 네이버 (읽는신곡) "자유 비행 시작"...GOT7, '성장'을 증명하다 스포츠조선 2015 GOT7 음반 갓세븐, 리패키지 앨범 발매… JAY B 자작곡 '매일' 등 수록 MAD Winter Edition 스포츠월드 = = 참여 음반 = = 연도 Artist 참고 문서 2014 ~ 진영(박진영) *진영 (박진영)의 참여 음반 목록 = 영국식 정원 살인 사건 = 영국식 정원 살인 사건(The Draughtsman's Contract)은 영국에서 제작된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의 1982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안소니 히긴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데이빗 페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소니 히긴스 자넷 수즈먼 앤-루이스 램버트 = = = 조연 = = = 휴 프레이저 닐 커닝햄 데이브 힐 데이빗 그랜트 = = 제작진 = = 미술: 봅 링우드 의상: 수 블레인 배역: 루시 보울팅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 한미 제1군단은 1971년 7월 1일부터 1980년 3월 14일까지 군단, 1980년 3월 14일부터 1992년 7월 1일까지 야전군으로서 존재했던 대한민국 육군과 주한 미국 육군의 다국적 연합 부대였다. 주한 육군 제1군단과 제7보병사단이 한반도에서 철수하자, 남아 있는 미국 제2보병사단의 전력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육군과의 연합지휘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8군 예하에 창설되었다. 에드워드 E. 라우니 제1군단장이 한미 제1군단장을 겸임하고, 이재전 장군이 부군단장에 취임하였다. 1973년에 대한민국의 제1군단이 편제에 추가되었다. 1980년 3월 14일, "한미연합야전군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92년 7월 1일, 서부전선의 방위를 대한민국의 제3야전군으로 이양하고 해체하였다. = = 구조 = = 제1군단 제6군단 제1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 제2해병여단 제2보병사단 =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는 2013년 12월 7일부터 2014년 2월 22일까지 방송된 tvN의 오락 프로그램이다.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의 후속편이며, 공식 제목은 1차 티저를 통해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로 확정되었다.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연출 정종연 트위터더 지니어스 : 룰 브레이커 1차 티저 영상 (Tvn 공식 페이스북) = = 출연자 = = 더 지니어스 2에 나오는 출연자들은 다음과 같다.김진석, ‘임진록’ 임요환·홍진호, ‘지니어스2’ 두뇌싸움 펼친다, 일간스포츠, 2013년10월 29일이지영, 노홍철·임요환 등…'더지니어스2', 화려한 13人 라인업 공개, 마이데일리, 2013년 11월 1일 남휘종 (학원강사) 노홍철 (방송인) 유정현 (前 국회의원, 방송인) 은지원 (가수) 이다혜 (바둑 프로기사) 이두희 (프로그래머) 이상민 (가수, 음반 제작자) 이은결 (일루셔니스트) 임요환 (前 프로게이머, 프로 겜블러) 임윤선 (변호사) 재경 (가수) 조유영 (스포츠 아나운서) 홍진호 (前 프로게이머) = = 에피소드 목록 = = 탈락자와 데스매치 상대 중 이름 뒤에 *표가 붙은 참가자가 메인게임 탈락후보 회차 방송일 우승자 탈락자 데스매치상대 비고 1 2013년 12월 7일 유정현, 은지원, 이다혜, 이상민, 홍진호 남휘종 * 임윤선 *메인매치 먹이사슬에서 각자의 승리조건을 만족한 5명 공동우승 2 2013년 12월 14일 홍진호 재경 노홍철 * *스트레이트를 완성하여 스트레이트의 중심인 홍진호가 우승 *스트레이트의 구성원인 유정현, 조유영, 이은결, 이다혜 생명의 징표 획득 3 2013년 12월 21일 이두희, 이상민, 홍진호 이다혜 * 조유영 * 승점 4점을 획득한 이두희, 이상민, 홍진호 공동우승 4 2013년 12월 28일 노홍철, 유정현, 이두희, 조유영, 홍진호 이은결 은지원 * 암전게임 우승팀인 5명이 공동우승 5 2014년 1월 4일 이상민 임윤선 * 임요환 *최종 칩수가 0개일 시 보너스 50점을 획득하는 개인법안을 갖고 있던 이상민이 우승 6 2014년 1월 11일 이상민 이두희 * 조유영 폭탄 5개를 독점한 이상민이 우승 이상민이 게임 도중 불멸의 징표를 획득 조유영과 은지원이 이두희의 신분증을 훔쳐 이두희가 게임에 참여하지 못한 장면에 대한 논란 발생 7 2014년 1월 18일 이상민 홍진호 은지원 * 주사위를 조합하여 5와 6만 나오는 주사위를 만든 이상민이 우승 8 2014년 1월 25일 이상민, 조유영 노홍철 유정현 * 최종 점수를 각각 -2로 만든 이상민과 조유영이 공동우승 9 2014년 2월 1일 은지원, 이상민 조유영 * 유정현 게스트로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출연자 김경란, 성규, 이준석, 차유람, 최창엽, 최정문 출연 메인매치 정리해고에서 각자의 승리조건을 만족한 2명 공동우승 10 2014년 2월 8일 이상민 은지원 유정현 * 특별게스트로 슈퍼주니어의 규현, 성민, 신동, 은혁 출연 플레이어가 단독우승시 그의 파트너 특별게스트에게 500만원의 상금 지급 이상민이 파트너 성민과 합한 점수인 181점을 획득하여 단독우승 최하위 임요환이 유정현을 데스매치 상대로 지목 이상민이 불멸의 징표를 임요환에게 양도하여, 임요환 대신 은지원이 대신 데스매치 진출 11 2014년 2월 15일 이상민 유정현 * 임요환 * 게스트로 탈락한 출연자 이다혜, 이두희, 홍진호 출연 지니어스(생존자) 연합과 리벤저(탈락자) 연합의 메인 매치로 리벤저(탈락자) 연합이 승리하여 탈락자 10명에 각각 200만원의 상금 지급 이상민이 승점 11점을 획득하여 단독 우승 12 2014년 2월 22일 이상민 임요환 임요환 게스트로 최종 2인을 제외한 모든 출연자가 출연 (김재경 불참) 3전 2선승 게임에서 1게임(인디언홀덤) 임요환 승, 2게임(진실탐지기)에서 이상민 승, 3게임(콰트로)에서 이상민 승으로 2:1 이상민 최종 우승 이상민은 최종 우승으로 가넷 62개를 모아 상금 6200만원을 수령 = =회차별 우승자 및 탈락자 = = 플레이어명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방송일 우승 횟수 플레이어명 2013년12월 7일(1회차) 2013년12월 14일(2회차) 2013년12월 21일(3회차) 2013년12월 28일(4회차) 2014년1월 4일(5회차) 2014년1월 11일(6회차) 2014년1월 18일(7회차) 2014년1월 25일(8회차) 2014년2월 1일(9회차) 2014년2월 8일(10회차) 2014년2월 15일(11회차) 2014년2월 22일(12회차) 우승 횟수 이상민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우승 10 임요환 면제 생존 면제 * 생존 * 준우승 0 유정현 우승 면제 면제 우승 면제 생존 * 생존 생존 * 탈락 * 2 은지원 우승 면제 생존 * 면제 생존 * 우승 탈락 2 조유영 면제 생존 * 우승 면제 생존 우승 탈락 * 2 노홍철 생존 * 면제 우승 탈락 1 홍진호 우승 우승 우승 우승 탈락 4 이두희 우승 우승 탈락 * 2 임윤선 생존 면제 탈락 * 0 이은결 면제 면제 탈락 0 이다혜 우승 면제 탈락 * 1 재경 탈락 0 남휘종 탈락 * 0 = = 논란 = = = = = 표절 논란 = = = 전작인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역시 '방송 컨셉' 부분에 대해서 일본 드라마 라이어 게임의 표절 논란을 받고 있다.'더 지니어스', 日 '라이어게임' 표절 의혹…tvN "참고했지만 달라"‘더 지니어스 2’ 이상민 “나는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 = = 도용 행위 논란 = = = 6회 방영분에서 은지원과 조유영이 이두희의 신분증을 훔치는 등의 행위가 논란이 되었다. 이런 일로 인하여 시청자들은 폐지 서명까지 진행하고 있다.'더 지니어스2' 시청자 뿔났다…비난글+폐지서명 시즌 1에서 제작진은 "물론 폭력이나 절도는 허용하지 않습니다"라고 밝힌 바 있어 반칙 처리해야 할 것을 반칙 처리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되었다.'더 지니어스2' 불공정 탈락에 뿔난 네티즌, 폐지 서명운동'더 지니어스'측 "절도 규칙 없어… 제재 어렵다" 시청자들은 절도가 반칙이라는 입장, 제작진은 절도가 반칙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다. 시청자들은 은지원, 조유영 측에게 이두희에게 사과를 요구했으나 은지원, 조유영 측에서는 아무런 태도를 취하지 않고 무시하였다. '더 지니어스2' 가 종영된 후 은지원과 조유영은 트위터에 글을 올려서 이두희의 신분증을 훔치는 행위에 대해서 사죄하였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은 이두희는 은지원과 조유영이 각 트위터에 올린 사죄문을 보고 모두 용서하고 마무리가 되었다. = = 시청률 = = 방영 회차 방송일 시청률 순위 1화 2013년 12월 7일 1.36% 케이블 예능 4위 2화 2013년 12월 14일 1.73% 케이블 예능 2위 3화 2013년 12월 21일 1.04% 케이블 예능 4위 4화 2013년 12월 28일 1.36% 케이블 예능 3위 5화 2014년 1월 4일 1.11% 케이블 예능 6위 6화 2014년 1월 11일 1.34% 케이블 예능 2위 7화 2014년 1월 18일 1.61% 케이블 예능 2위 8화 2014년 1월 25일 1.14% 케이블 예능 2위 9화 2014년 2월 1일 1.13% 케이블 예능 2위 10화 2014년 2월 8일 1.12% 케이블 예능 2위 11화 2014년 2월 15일 1.23% 케이블 예능 2위 12화 2014년 2월 22일 1.44% 케이블 예능 1위 = =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비하인드 = =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비하인드는 OGN에서 방송된 사이드 프로그램이다. = 분류:1967년 태어난 동물 = = 변장 = 변장(變裝)은 어떤 목적으로든지 사람의 겉모습을 바꿔서 못알아보게 하는 일이다. 카모플라주, 여장, 남장등도 변장의 일종이다. 현재 부분에 있어 변장이라면 라텍스 프로스테틱, 실리콘 마스크 등의 인피면구 비슷한 가면, 가발, 가짜 수염, 복면(얼굴 전체, 혹은 눈 밑까지 가리는 방식) 등이 사용되는데, 코스프레도 이에 속한 상태였는데, 스파이의 첩보 활동이나 영화에도 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물론 일본 전국시대에 활약했던 닌자나, 지금의 암살자, 도둑, 강도, 카카오톡 사칭범을 포함한 사기꾼도 마찬가지였다. = 분류:고조선이 참전한 전쟁 = = 분류:동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 = 동티모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동티모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동티모르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동티모르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남자 대표팀과 마찬가지로 아시아 축구 최약체로 평가받는 팀들 중 하나로 미얀마와의 2016년 동남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1차전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다. = = 국제 대회 경력 = = = = = 동남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16년 대회를 통해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4회 연속으로 출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조별리그를 통과한 기록은 전무하다. 그나마 2019년 대회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같은 최약체팀인 싱가포르를 2-1로 제압하며 국제 대회 첫 승을 달성했지만 나머지 대회에서는 모두 전패를 기록했다. = = 국제 대회 성적 = = = = = 동남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16년 ~ 2022년 : 조별리그 = = 주요 선수 = = 마리아 드 콘세이상 루셀리아 페르난드스 돌로레스 쿠스타 브리기다 다 쿠스타 = 틀: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20px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description":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을 기반으로 한 위키백과 문서를 표시할 때 쓰는 출처 표시용 틀", "params": { "제목": { "aliases": [ "이름" ], "label": "제목",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항목 제목", "type": "string", "required": true }, "저자": { "aliases": [ "지은이", " 글쓴이" ], "label": "저자",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사전을 쓴 저자", "type": "string" }, "주소": { "label": "주소",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항목이 있는 주소. 위키문헌에 저장되어 있어도 위키문법을 쓰지 않음", "type": "string" } } } = 분류:세기별 기독교 신학자 = = 프란츠 클라머 = 프란츠 클라머(, 1953년 12월 3일~)는 오스트리아의 알파인 스키 선수이다. 1976년 동계 올림픽 남자 활강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1974년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복합 부문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활강 부문 5회 우승을 달성했다. = 히로시마 전철 5100형 전차 = 히로시마 전철 5100형 전차는 2004년에 등장한 히로시마 전철의 노면전차이며 경량전철 전동차라고 말할 수도 있다. 애칭은 Green mover max (그린 무버 맥스) 임.히로시마 전철과 일본의 일부 철도차량 제조업체들이 공동개발한 처음의 일본제 100% 저상 노면 전차다. 구조는 독일 지멘스 제 콤비노 5000형 (그린 무버) 과 같은 5차체 연접차이며 2005년 3월부터 영업운행이 시작됐다. 현재 10개 편성을 보유하고 있다. = = 콤비노 (그린 무버) 와 비교한 상위점 = = 중간 부수 대차를 동력대차와 다르게 설계하며 소형화함으로써 좌석 정원이 증대된다. 바닥 높이는 콤비노의 330mm 보다 높은 360mm다. 차량 길이는 법례 (궤도법)의 규정 범위내인 30m로 담겨졌다. 차량 가격은 5000형 보다 2000만엔 정도 싼 3억2000만엔였다. 차체 재질은 알미늄 합금이 아닌 연강 제이니까 중량이 1.4t 정도 무겁다. 외국 특허 해결이 개발 목적의 하나지만 탄성 차륜과 제동 장치는 국산화 할 수 없었다. = = 주요 제원 = = 좌석 정원: 56명 궤간: 1435mm (표준궤) 전차선 전압: 직류 600V 중량: 33.9t 전동기 출력: 100kW 4개 설계 최고속도: 80km/h 영업 최고속도: 60km/h (전용 궤도 구간) 노면구간 법정 최고속도: 40km/h 가속도: 3.5km/h/s 감속도: 4.8km/h/s (비상 6.0km/h/s ) 최소 허용 곡선 반경: 18m 최급 구배: 5% 5100 5100 히로시마 전철 = 분류:알곤킨어족 = = 광욱 = 광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겨울새의 등장인물 보스의 등장인물 전설의 파이터의 등장인물 = 입장면 = 입장면(笠場面)은 천안시 서북구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하장리(입장면의 중심지로, 입장면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상장리 도림리 기로리 양대리 홍천리 호당리 시장리 효계리 신덕리 신두리 용정리 흑암리 산정리 연곡리 가산리 독정리 유리 = = 교육 = = 입장초등학교 양대초등학교 입장중학교 = = 공공기관 =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입장파출소(망향로1088/효계리 43-14) *입장우체국(하장4길14/하장리 50) *천안서북소방서 입장119안전센터(망향로 1107/하장리362) *입장예비군면대(임장로129/하장리 77-1) *독정1리 건강관리실(독정3길 78-1/독정리 187-12) *천안농업 기술센터 성거입장지소(하장4길 37/하장리 101-1) *입장면 작은도서관(하장4길 37/하장리 101-1) *꿈뜰이영어 작은도서관 = 무방비 도시 (동음이의) = 무방비 도시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무방비 도시는 정부적, 군사적으로 무방비 상태에 노출되어 있는 도시이다. 무방비 도시 (1945년 영화): 이탈리아의 영화 무방비도시 (2008년 영화): 대한민국의 영화 = 분류:미얀마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쓰핑 육군전차학교 = 만주국 쓰핑 육군전차학교(滿洲國 四平陸軍戦車学校)는 만주국 쓰핑성 쓰핑 소재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학교이다. 1940년 12월 2일부터 1945년 7월 26일까지 운영되었다. = 힐리가이논족 = 힐리가이논족(Hiligaynon) 또는 일롱고(Ilonggo)는 오스트로네시아족 원주민으로 파나이섬의 큰 동부 해안 지방에 있는 주요 언어가 힐리가이논어인 비사야족의 하위 집단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서, 필리핀 곳곳에 힐리가이논 이주의 출입이 이어져 왔다. 지금은 힐리가이논족이 일로일로, 서네그로스, 기마라스, 카피스, 남코타바토, 그리고 술탄 쿠다라트에 다수를 형성하고 있다. = = 힐리가이논과 일롱고의 어원 = = ‘힐리가이논’(Hiligaynon)이라는 용어는 당시 ‘일리간’(Iligan) 또는 ‘일리가논’(Iliganon)이라는 힐리가이논어에서 파생된 스페인어 ‘율리구에네스’(Yliguenes)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에서, 그 단어에 대한 원어의 두 가지 분기가 일어났다. 첫째는 일리간(Iligan) 또는 일리가논(Iliganon)이 강을 말하는 것이거나, 또는 글자그대로 ‘물이 아래로 흐르는 곳’이었고, 스페인 사람들이 이것을 강어귀에 거주하는 파나이 원주민과 연결시켜 버려서 스페인들에게 쉽게 발견되었을 것이다.  두번째 제안은 일리간 또는 일리가논이 ‘마노그-일리그 상 카와얀’(manog-ilig sang kawayan)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것은 대나무를 팔기 위해 강에다 대나무를 띄웠던 파나이 사람들의 대나무를 설명하는 말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행위가 토착민들의 이름으로 스페인 사람들에게 잘못 받아들여진 것일 것이다. 일롱고라는 말은 필리핀어로 ‘코’(nose)를 뜻하는 ‘일롱’(ilong)과 파나이의 바티아노 강에 있는 작은 섬을 뜻하는 것으로 스페인 사람들이 받아들인 말 ‘이롱이롱’(irong-irong)에서 유래되었다. 일롱고는 민족의 조상이 일로일로, 기마라스, 그리고 파나이에 민족적 원류를 둔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정의하는 말로 간주되었다. 반면, 힐리가논은 일롱고 문화와 언어를 가진 사람들을 정의한다. 그리하여, 두 용어 모두 문화와 사람을 뜻하는 단어로 서로 바꿔쓸 수 있다. = = 인구 = = 2000년 인구조사에 의하면, 다수를 차지하는 타갈로그족들이 28.1%를 차지하고, 필리핀 인구의 7.5%가 힐리가논/일롱고이다. 이것은 필리핀에서 타갈로그(28.1), 세부아노(13.1%), 일로카노(9%), 비사야(7.6%)의 뒤를 이어 다섯 번째로 많은 민족 집단 인구이다. 1990년 이후 일로일로(1,608,083)와 동네그로스(1,821,206),[1] 두 지방에서 인구 100만명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이들 인구의 97.6%와 80.7%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지방 힐리가논 인구 전체인구 힐리가논 비율(%) 아브라 96 184743 0.1 아구산 델 N. 3309 2001926 0.2 아구산 델 S. 26960 420763 6.4 아클란 7869 380497 2.1 알바이 242 903785 0 안티케 9132 406361 2.2 아오로라 188 139573 0.1 바실란 1748 238308 0.7 바탄 2959 425803 0.7 바타네스 2 15026 0 바탕가스 2144 1476783 0.1 Benguet 460 485857 0.1 보홀l 107 948403 0 부키드논 73656 843891 8.7 불라칸 4635 1505219 0.3 카가얀 261 829867 0 카마리네스 N. 137 390982 0 카마리네스 S. 909 1305919 0.1 카미구인 20 64247 0 카피스 575369 584091 98.5 칸타두아네스 59 187000 0 카비테 9604 1152534 0.8 세부 6669 2646517 0.3 다바오 53012 590015 9 다바오 del S. 30059 1482745 2 다바오 Or. 3410 394697 0.9 동사마르 148 329335 0 이푸가오 10 147281 0 일로코스 N. 159 461661 0 일로코스 S. 146 519966 0 일로일로 1608083 1647486 97.6 이사벨라 552 1080341 0.1 Kalinga-Apayao 10 211775 0 La Union 193 548742 0 라구나 3809 1370232 0.3 라나오 del N. 4214 614092 0.7 라나오 del S. 11057 599982 1.8 레이테 2951 1367816 0.2 Maguindanao 41988 757739 5.5 마린두케 53 185524 0 마스바테 35480 599355 5.9 미사미스 Occ. 397 424365 0.1 미사미스 Or. 3611 865051 0.4 서네그로스 1821206 2256908 80.7 동네그로스 43249 925272 4.7 북카타바토 283948 763995 37.2 N. 사마르 347 383654 0.1 Nueva Ecija 373 1312680 0 Nueva Vizcaya 312 301179 0.1 서민도로 18248 282593 6.5 동민도로 10373 550049 1.9 팔라완 60829 528287 11.5 팜팡가 2826 1532615 0.2 팡가시난 839 2020273 0 케손 1262 1372455 0.1 키리노 101 114132 0.1 리살 14870 977448 1.5 롬블론 1474 227621 0.6 서사마르 293 533733 0.1 Siquijor 76 73932 0.1 소르소곤 295 522960 0.1 S. Cotabato 374755 789847 47.4 S. Leyte 179 321940 0.1 S. Kudarat 200660 435905 46 Sulu 11 469971 0 Surigao del N. 1064 327113 0.3 Surigao del S. 4424 452098 1 Tarlac 614 859708 0.1 타위-타위 51 228204 0 삼발레스 3276 562992 0.6 북삼보앙가. 3501 676862 0.5 남삼보앙가 7409 1138086 0.7 수도 지역 199290 7948392 2.5 = = = 해외 = = = = = =종교 = = = 대부분의 힐리가이논은 기독교이다. 그리고 기독교 대부분은 로마 가톨릭교회이다. 물론 소수이지만, 개신교, 필리핀독립교회도 있으며, 무슬림도 존재한다.:91 = 사라진 소녀들 = 사라진 소녀들은 2020년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미국의 미스터리 스릴러 드라마 영화이다. = = 출연진 = = 에이미 라이언 - 마리 길버트 역 토마신 맥켄지 - 셰어 길버트 역 롤라 커크 - 킴 역 우나 로렌스 - 사라 길버트 역 가브리엘 번 - 리차드 도머 역 미리암 쇼어 - 로레인 역 = 풍도둥굴레 = 풍도둥굴레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풍도의 해안 초지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47~82cm이다. 둥굴레의 변종이다. = = 뿌리 = = 땅속에 옆으로 길게 벋는 굵은 뿌리줄기가 있다. = = 줄기 = = 위쪽에서 비스듬히 휘어지며 능선이 있다. = = 잎 = = 9~19개가 2줄로 어긋나게 달리고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뒷면 백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나 돌기가 없다. = = 꽃 = =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1~3cm 꽃대에 1~4개의 백록색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선형의 포엽이 달리기도 하며 매우 큰 것도 발견된다. 화관은 대개 가운데가 볼록한 항아리 모양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6개이고 대개 화관의 중앙부에 딸린다. 암술은 수술보다 길다. = = 열매 = = 구형의 장과이고 검은색이다. = = 유래 = = 풍도에서 자라는 둥굴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 분류:프랑스어계 외래어 = = 분류:1859년 아시아 = = 인천광역시체육회 = 인천광역시체육회(仁川廣域市體育會, )는 인천광역시의 지역사회 체육진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인천광역시민의 건강과 체력증진,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과 체육인의 인권과 권익보호에 이바지하며, 우수한 경기자 양성 등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체육회 회원단체이다.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2 및 대한체육회 정관 제7조 및 제39조 체육회장은 대의원확대기구에서 선출하며,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의2 제7항에 따라 관한 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하여 회장선거를 실시한다.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의2제7항 = = 조직 = = *사무처 홍보비서실 스포츠공정실 경영기획부 전문체육부 생활체육부 스포츠진흥부 체육시설부 = 준완전수 = 준완전수는 그 수의 1을 제외한 진약수의 총합이 자기 자신이 되는 수이다. 준완전수는 진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보다 1 크기 때문에 과잉수이며 반완전수이다. 준완전수는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 틀:전국체육대회 정보 경상북도 =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남자 수영 선수 = = 틀:요즘 화제 처음/2021년 11월 4일 =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0시 기준 누적 확진자 수가 373,120명으로 집계되었다. 전날 0시 대비 2,482명(국내 2,457, 해외유입 25)이 늘었다. 누계가 일부 정정(-2)되었다. = 틀:인증표/판매량/스페인 = = 고룡 = 고룡은 다음을 가리킨다. 구룽(古龍, 1938 ~ 1985)은 타이완의 무협 소설가이다. 고룡(1993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아프간 국방대학교 = 아프간 국방대학교(Afghan National Defense University, Marshal Fahim National Defense University)는 카불 칼가 지구에 위치한 105 에이커 면적의 국방 교육 기관이다. 대학 내에는 아프가니스탄 군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 과정이 있다. 대학 내에는 세가지 주요 시설이 있다: 아프가니스탄 국립 국방대학원 (NMAA), 아프가니스탄 국군사관학교 (ANAOA) 하사관 (NCO)학교, 병장 전담학교 포함. 대학 내에는 ANA 외국어 교육기관도 자리하고 있다.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09년 7월/영어 = The women who modeled for this artwork was Hilda Clark (1872-1932). }} 2009-07 영어 2009-07 = 오장수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오장수: LG하우시스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 = = 가공 인물 = = 신 손자병법의 등장 인물 싱싱 손자병법의 등장 인물 = 틀:상주시의 교통 = = HDI = HDI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인간 개발 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루바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루바 선수단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아루바 선수단이다. = = 육상 = = = = = 남자 = = = 트랙 / 도로 경기 선수 세부 종목 1차 예선 1차 예선 2차 예선 2차 예선 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필드 경기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예선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 = = 여자 = = = 트랙 / 도로 경기 선수 세부 종목 1차 예선 1차 예선 2차 예선 2차 예선 준결선 준결선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필드 경기 선수 세부 종목 예선 예선 결선 결선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최종 순위 = = 참고 자료 = = * 아루바 = 분류:청주방송의 아나운서 = = 그레구아르 펜 = 그레구아르 펜(; 1984년 1월 7일 ~ )은 프랑스의 남자 체조 선수이다. 세부종목은 트램펄린이다. 2008년엔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7등으로 마무리했다. 2009년, 2010년 그리고 2011년에는 트램펄린 세계 선수권대회에 출전했고, 2009년과 2010년엔 싱크로나이즈 부문에서 세바스티앙 마티니와 함께 은메달을 땄다. 2009년 타이완 가오슝에서 열린 2009년 월드 게임에서는 같은부문에서 은메달을 땄다. = 분류:1770년 정치 = = 엘프먼 = 엘프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대니 엘프먼: 미국의 대중음악 작곡가 제나 엘프먼: 미국의 배우 = 분류:크로아티아의 종목별 스포츠 = = Soulfire = Soulfire는 2006년에 발매한 피타입의 싱글이다. = 교토 애니메이션 방화 사건 = 교토 애니메이션 방화 사건은 2019년 7월 18일 오전 10시경 일본 교토부 후시미구의 교토 애니메이션 제1스튜디오에서 방화로 인해 일어난 화재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36명이 사망하였고 범인을 포함하여 33명이 부상당했다. 사고가 일어난 교토애니메이션 제1스튜디오는 3층으로 건설된 건평 691m²(약 총 209평) 규모의 건물로, 게이한 우지 선 로쿠지조역 인근 주거시설이다. 이 일대와 인접해 있는 지역이 주택 지역이라, 인근 주민들이 화재를 처음 목격한 것으로 나와있다. 가부키초 빌딩 화재(당시 사망자는 44명) 이후 일본 내에서의 화재 사건 역사상 인명 피해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건물 내에서의 화재 당시 인명 피해가 가장 큰 곳은 2층과 3층 등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이 건물 3층에는 20명이, 2층에는 11명이, 1층에는 단 2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 = 피해자 = = 이 사건으로 최소 34명이 사망하였고 35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이는 전후 일본에 있어서 2001년 가부키초 빌딩 화재 다음으로 가장 사망자가 많은 대량 살인 사건이자 화재 사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사건의 특색상 살인 사건 형태의 특이 사항을 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게 된다. 또한 외국인 인명 피해는 한국인 여성 1명이 부상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 = 용의자 = = 용의자는 41살의 일본인인 아오바 신지(青葉 真司)로, 평소 정신질환을 앓았으며 2012년에는 이바라키현에서 강도행위로 3년 6개월의 형량을 가진 징역형을 선고받은 전과 경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용의자는 사건 직후 현장에서 벗어났으나 심한 화상을 입은 채로 가까운 철도역 인근에서 발견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아오바 신지는 1978년 5월 16일에 태어났다. 아오바는 2019년 교토 애니메이션 방화 사건의 범행 당시 41세였으며, 평소 정신질환을 앓았으며 2012년에는 이바라키현에서 강도행위로 3년6개월의 형량을 가진 징역형을 선고받은 전과 경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오바는 사건 직후 현장에서 벗어났으나 심한 화상을 입은 채로 가까운 철도역 인근에서 발견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 = 여파 = = 제작 애니메이션의 원화 자료나 작화들도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이렇게 소실된 자료 중에는 제작 중인 애니메이션의 자료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 사건의 여파로 화재를 소재로 하는 애니메이션인 불꽃 소방대가 방영을 한 주 중단하였으며, 이후 방영분도 일부 장면을 편집한 상태에서 방영했다. = 턱스 = 턱스(Tux)는 리눅스 프로젝트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통통한 펭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1996년 래리 유잉(Larry Ewing)이 만들었다. 리눅스의 마스코트를 펭귄으로 삼자는 아이디어는 리눅스 커널의 작성자 리누스 토르발스에게서 나왔다. = = 참고 자료 = = 리누스 토르발스, David Diamond: Just for Fun: The Story of an Accidental Revolutionary, New York, HarperBusiness, 2001년, , (번역서) 리눅스 그냥 재미로, 한겨레출판사, = 분류:북아메리카의 지리 = = HR 335 = = 국가지원지방도 제13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신상리와 완도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 = 개요 = = 신지면 동고리에서 신지면 사무소를 지나 송곡리에서 국도 제77호선과 만나며, 완도 및 신지대교를 가기 전 명사십리 해수욕장이 있다. 송곡리에서 국도 제77호선과 중첩되어 신지대교를 건너 완도 교차로에서 국도 제13호선과 만난다. 완도 교차로에서는 해남으로 가는 국도 제13호선과 완도읍내로 가는 국도 제13호선 및 국도 제77호선으로 나뉜다. = = 역사 = = 1996년 7월 19일: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 완도군 완도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13호선 신지 ~ 완도선으로 지정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9일 제정. = = 주요 경유지 = = 완도군 (신지면 - 완도읍)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신상리 신지로 완도군 신지면 시점 독계령신지터미널신지보건지소신리 완도군 신지면 송곡 교차로 국도 제77호선(신지로) 완도군 신지면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뒷골 교차로 완도군 신지면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물하태 교차로 신지로6번길 완도군 신지면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강독 교차로(강독1교) 강독길 완도군 신지면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신지대교 완도군 신지면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신지대교 완도군 완도읍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완도 교차로 국도 제13호선국도 제77호선(완도로)(장보고대로) 완도군 완도읍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도 제13호선과 직결 국도 제13호선과 직결 국도 제13호선과 직결 국도 제13호선과 직결 국도 제13호선과 직결 = = 도로명 = = 완도군 신지면 신상리 ~ 송곡 교차로 : 신지로 완도군 신지면 송곡 교차로 ~ 완도읍 완도 교차로 : 완도로 = 사이토 치호 = 사이토 치호(, 6월 29일~)는 일본의 만화가이다. 1982년에 데뷔하였으며, 1997년에 화음(花音)으로 쇼가쿠칸 만화상을 수상하였다. 아티스트 집단 비파파스(Be-PaPas)의 일원으로 소녀혁명 우테나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작품 목록 = = 사랑 이야기 화관의 마돈나 화음 소녀혁명 우테나 (원작: 비파파스) 아나스타샤 클럽 S와 M의 세계 (원작: 비파파스) 천일밤의 열쇠 뷰티풀 브론즈의 천사 아이스 포레스트 = 스테이지 = 스테이지(Stage)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무대 (舞臺) - 놀이와 춤, 연예 등 무대 예술을 연기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 스테이지 - 비디오 게임 용어 《더 스테이지》 - 영국의 신문사 수위 (수문학) 수표 (수리학) = = 음악 = = Stage (데이비드 보위의 음반) Stage: 모니카 나랑호의 음반 The Stage: 2016년 음반 = 케이지드 = 케이지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케이지드 (1950년 영화) 케이지드 (2010년 영화) 케이지드 (2020년 영화) = 김철우 (1937년) = 김철우(金鐵宇, 1937년 ~ 2019년 1월 2일)는 제18대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다. = = 경력 = = 1956년 4월 1일 ~ 1960년 4월 4일 해군사관학교 14기 졸업 1970년 7월 28일 ~ 1971년 5월 22일 LSM-612(신미)함장 1978년 8월 16일 ~ 1980년 1월 16일 DD-99(대전)함장 1986년 2월 1일 ~ 1988년 1월 14일 제3함대사령관 1988년 1월 15일 ~ 1989년 9월 12일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1989년 9월 12일 ~ 1991년 9월 3일 해군참모차장 1991년 9월 4일 ~ 1993년 5월 26일 제18대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 = 수훈 = = 1970년 화랑무공훈장 1981년 보국훈장 삼일장 1985년 보국훈장 천수장 1990년 보국훈장 국선장 1991년 보국훈장 통일장 1993년 수교훈장 광화장 = = 사건 = = 1993년 2월 제18대 해군참모총장으로 재직하던 김철우에 대해 인사청탁과 관련하여 "1억원의 뇌물을 받았다"는 익명의 투서가 국방부에 접수되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한겨레 1993년 4월 23일자 하지만 자신보다 기수가 앞선 제17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김종호 (1936년)의 뇌물수수 사건으로 사회적 파문이 확산되자 1993년 4월 22일에 참모차장과 작전 참모부장이 자신의 공관으로 찾아와 "해군과 총장의 명예를 위해서 총장께서 용퇴하시는게 바람직하다"며 사퇴를 건의했고 23일에도 다른 장성들로부터 사퇴를 건의받아 "고려해보겠다"고 밝혔다.환겨레 1993년 4월 24일자 4월 24일에 해군본부에서 기자간담회를 하면서 "당장 사퇴하는 것은 이 사건 처리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므로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사태가 수습 뒤에도 지휘권 행사가 어렵다면 책임지겠다"고 했다.동아일보, 한겨레 1993년 4월 25일자군 전력 증강사업인 율곡사업과 관련하여 비리가 드러나면서 해군 진급 인사 비리와 관련해 사표를 제출했다. 서울형사지방법원(재판장 곽동효)은 1993년 9월 23일에 율곡사업 가운데 한국형 구축함 사업(KDX)과 관련하여 무기중개상으로부터 뇌물을 받아 구속되어 징역8년이 구형된 김철우에게 특가법 뇌물수수죄를 적용하여 징역 6년 추징금 3억원을 선고했다.경향신문 1993년 9월 24일자 서울고등법원(재판장 민수명)은 "피고인이 잘못을 늬우치고 있고 30여년간 해군에서 최고 지휘관직 등을 지냈으며 자수한 점을 감안해 감경한다"며 징역3년 집행유예4년 추징금 3억원을 선고하자한겨레 1994년 2월 8일자 검찰이 상고한 사건에서 "수사기관의 출석요구를 받기 전에 검찰에 전화를 걸어 출석의사를 밝힌 점이 인정된다"며 "수사기관에 자진출석하여 범행사실을 모두 자백하고 처벌을 달게 받겠다는 취지의 자술서를 쓴 사실이 인정되는 만큼 자수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피고인들이 법정에서 받은 돈이 뇌물이 아니었다고 일부 정황에 대해 부인한 것이 자수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며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을 확정했다. 1995년 광복절 특별사면에서 형 선고 실효 및 특별복권되었다. = 마귀 - 파발, 지옥을 달리다 = 마귀 - 파발, 지옥을 달리다는 2013년 10월 23일에 방영한 KBS 드라마 스페셜이다. 2012년 TV 단막극 극본 공모 최우수 당선작이다. = = 줄거리 = = 조선시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말(馬)에 능통한 두 인물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드라마다. 문복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 밖으로 어명을 전달하려다가 실패하고 다리까지 다쳐서 절뚝거리며 걷게 된 팔자다. 거기다 지금은 노름판을 전전하는 폐인이 되어, 한때 동료였던 고리사채업자 강개에에게 빚지는 바람에 딸마저 빼앗길 판국이다. 이때 문복은 자기가 모셨던 임경업 장군의 딸 서연을 만나 파발꾼 노릇을 다시 해달라는 제안을 받게 된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유오성 : 문복 역 이대연 : 강개 역 김영재 : 김익 역 이채영 : 서연 역 안지현 : 춘길 역 정수영 : 마포댁 역 박수영 : 공씨 역 엄태구 : 경출 역 = = = 그 외 인물 = = = 이승주 : 봉림대군 역 방형주 서현우 : 호위무사 역 조재윤 김대성 이병식 : 지천 최명길 역 장대웅 지성근 윤이현 정성우 마광현 원웅재 신원우 = = = 특별출연 = = = 김진태 : 김상헌 역 = = 시청률 = = 전국 시청률 : 4.4%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 (포털사이트 공개) = = 수상 = = 2013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유오성 = 분류:1926년 폐교 = = Start (음반) = Start는 바다의 첫번째 싱글앨범이다. = = 트랙리스트 = = 고고고(go go go) 있잖아! (That's Smile) Pockerface(가면) feat. MC Rink 고고고(go go go) Instrumental = 분류:18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하동군 (중국) = 하동군(河東郡)은 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다. = = 진 = = 전국 시대 진에서 처음 설치했다. 군 치소는 위의 옛 서울 안읍(安邑)이다. = = 전한 = = 고제가 서위왕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됐다.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33 위표전담한왕신전제3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 하내군·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19 상 백관공경표제7 상 근창(根倉), 습창(濕倉)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24현(23현 1후국)이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안읍현 安邑縣 윈청시 샤현 북서 군의 치소가 있다. 무함산(巫咸山)이 남쪽에 있고, 염지(鹽池)가 남서쪽에 있다. 위강이 위에서 여기로 옮겼고, 위혜왕에 이르러 대량으로 천도했다. 철관과 염관이 있다. 대양현 大陽縣 윈청시 핑루현 서 오산(吳山)이 서쪽에 있고 위에 오성(吳城)이 있는데, 주무왕이 태백의 후예에게 봉한 옛 우나라로 후에 진나라에 멸망했다. 천자묘가 있다. 의씨현 猗氏縣 윈청시 린이현 남 해현 解縣 윈청시 린이 현 남서 포판현 蒲反縣 윈청시 융지시 남서 요산(堯山), 수산사(首山祠)가 있다. 뇌수산(雷首山)이 남쪽에 있다. 옛 이름은 포(蒲)인데 진 시황제가 순행 중에 이름을 고쳤다. 하북현 河北縣 윈청시 루이청현 서 시경에 등장하는 옛 위나라로, 위나라의 시조 필만(畢萬)의 첫 봉읍이다. 증손 위강이 안읍으로 옮겼다. 좌읍현 左邑縣 윈청시 원시현 분음현 汾陰縣 윈청시 완룽현 서 본디 분음후국으로 분음도후 주창의 세습 봉지였으나 문제 후원 2년(기원전 162년)에 도후의 손자 주의가 죄로 작위를 상실했다.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16 고혜고후문공신표제4개산(介山)이 남쪽에 있다. 문희현 聞喜縣 윈청시 원시 현 북 옛 곡옥(曲沃)으로 진 성후한서 주석 원문에서는 진 무공이라 하나 무공은 본디 곡옥백이었므로 잘못이다.가 진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무제가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이 지방을 지나다가 남월 정복 소식을 듣고 기념하여 개명했다. 확택현 濩澤縣 진청시 양청현 서 우공의 석성(析城)이 남서쪽에 있다. 단씨현 端氏縣 진청시 친수이현 북동 임분현 臨汾縣 린펀시 샹펀현 남 원현 垣縣 윈청시 위안취현 남동 우공의 왕옥산(王屋山)이 북동에 있다. 연수(沇水)가 나와서 남동으로 무덕(武德)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일(軼) 강이 형양(滎陽) 북지(北地) 중에서 나와 또 동으로 낭괴(琅槐)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하동·하내·하남·진류·제음·동군·태산·제남·제군·천승 10군을 지나 1840리를 간다. 피씨현 皮氏縣 윈청시 허진시 경향(耿鄕)이 있는데 옛 경나라로, 진 헌공이 멸하고 조숙에게 주었다. 10세를 전해지다 조 헌후 때 중모(中牟)로 옮겼다. 철관이 있다. 장수현 長脩縣 윈청시 신장현 북서 평양현 平陽縣 린펀시 남서 한무자(韓武子)의 현손 한정자(韓貞子)가 거했다. 철관이 있다. 양릉현 襄陵縣 린펀시 남동 반씨향정(班氏鄕亭)이 있다. 진 양공의 묘가 서북에 있어 현 이름을 거기서 따왔다. 체현 彘縣 린펀시 훠저우시 곽대산(霍大山)이 동쪽에 있는데 기주산(冀州山)으로 서주 여왕이 달아난 곳이다. 양현 楊縣 린펀시 훙둥현 남동 북굴현 北屈縣 린펀시 지현 북 우공의 호구산(壺口山)이 남동에 있다. 포자현 蒲子縣 린펀시 시현 강현 絳縣 린펀시 허우마시 동 진 무공이 곡옥에서 여기로 천도했다. 철관이 있다. 호접현 狐讘縣 린펀시 융허현 남서 기후국 騏侯國 린펀시 샹닝 현 남동 구기의 후국이다. 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조수(兆隊)안사고는 조양(兆陽)이라고 하였으나, 이는 잘못이다.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신 안읍(安邑) 하동(河東) 대양(大陽) 근전(勤田) 포판(蒲反) 포성(蒲城) 좌읍(左邑) 조정(兆亭) 피씨(皮氏) 연평(延平) 평양(平陽) 향평(香平) 양릉(襄陵) 간창(幹昌) 체(彘) 황성(黃城) 양(楊) 연정(年亭) 북굴(北屈) 짐북(朕北) = = 후한 = = 20성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 후한서에 따르면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현이 폐지되었다.후한서109권 지 제 19 군국 1 사예 하동군 현명 한자 비고 안읍현 安邑縣 철광석, 소금이 나온다. 양현 楊 고량정(高梁亭)이 있다. 평양후국 平陽候國 철광석이 나온다. 요임금이 도읍을 정하신 곳이다. 임분현 臨汾縣 동정(董亭)이 있다. 분음현 汾陰縣 개산(介山)이 있다. 포판현 蒲板縣 뇌수산(雷首山)과 사구정(沙丘亭)이 있다. 대양현 大陽縣 오산(吳山)이 있는데, 그위에 우성(虞城)이 있다. 하양성(下陽城), 모진(茅津), 전령판(颠軨坂)이 있다. 해현 解縣 상천성(桑泉城), 구성(臼城), 해성(解城), 하성(瑕城)이 있다. 피씨현 皮氏縣 경향(耿鄕), 기정(冀亭)이 있고 철광석이 나온다. 문희현 聞喜縣 본래 곡옥(曲沃)이었다. 동타파(董池陂)가 있는데 옛이름은 동택(董泽)이었다. 속수(涑水), 도수(洮水)가 있다. 강읍 絳邑 익성(翼城)이 있다. 영안현 永安縣 본래 체현이었는데 133년(양가 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곽대산(霍大山)이 있다. 하북현 河北縣 한정(韓亭)이 있다. 의씨현 猗氏縣 원현 垣 왕옥산(王屋山)이 있는데 연수(兗水)가 나온다. 호구정(壺丘亭)과 소정(邵亭)이 있다. 양릉현 襄陵 북굴현 北屈 호구산(壺口山)과 채상진(采桑津)이 있다. 포자현 蒲子 확택후국 濩泽候國 석성문(析城門)이 있다. 단씨현 端氏縣 = = 조위 = = 조위에서 현재 린펀시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을 신설하였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평양군의 분리 분리이전 분리이전 분리이전 분리이전 하동군 안읍현, 문희현, 원현, 분양현, 대양현, 의씨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 하동군 안읍현, 문희현, 원현, 분양현, 대양현, 의씨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 하동군 평양현, 양현, 단씨현, 영안현, 포자현, 호접현, 양릉현, 강읍, 확택현, 임분현, 북굴현, 피씨현 평양군 평양현, 양현, 단씨현, 영안현, 포자현, 호접현, 양릉현, 강읍, 확택현, 임분현, 북굴현, 피씨현 = = 서진 = = 서진대에는 9현 42,500호를 거느렸다. 305년(유연 원희 2년), 서하군, 상당군, 태원군일부지역을 점령했던 유연은 진양에서 저항하던 유곤을 격파하고 장안에 수도를 둔 다음, 낙양을 점령해야 한다는 시중 유은과 왕육의 건의를 받아들여 남진을 실시했다. 유연은 장안, 낙양침공을 위해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공격, 함락시켰고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다. 이에 하동군과 평양군의 모든 속현들이 한나라의 지배권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옛 상군지역에 살던 4부 선비의 추장 육축연(陸逐延), 기주의 석륵, 왕미 등이 유연에게 귀부했다.진서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사주 평양군 진서101권 재기 제 1 유원해재기 현명 한자 비고 안읍현 安邑縣 옛 제순의 도읍이다. 문희현 聞喜縣 옛 곡옥인데 진무공이 진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진나라의 도읍이었다. 원현 垣 왕옥산(王屋山)이 현 동북에 있는데, 연수(沇水)가 그곳에서 나온다. 분양현 汾陽縣 공국상을 두었다. 대양현 大陽縣 오산(吳山)이 현 서쪽에 있다. 의씨현 猗氏縣 옛 의돈성(猗頓城)이다. 해현 解縣 소금이 나온다. 포판현 蒲阪縣 역산(曆山)이 있다. 뇌수산이 있다. 하북현 河北縣 = = 북조 = = 북위대에는 진주(秦州)에 속해있었다. 일부 현이 다른 군으로 편입되었다. 안정현, 북해현, 남해현, 포판현, 의씨현의 5현을 두었다. 북주시기에는 포주(浦州)에 속했다. 하동군의 변화 현명 북위대의 변화 포판현 하동군에 존치. 북위대에 하동군의 치소가 되었다. 해현 477년 현 남부에 안정현 설치. 487년(태화 11년)에 현의 북부가 북해현으로 분리. 의씨 487년 북의씨현 분리되어 북향군으로 이관. 남은 부분은 하동군에 존치. 안읍현 487년 현의 남부가 남안읍현으로 분리되고 남은 부분은 북안읍현으로 개명. 북안읍현과 남안읍현모두 하북군으로 이관. 하북현 하북군으로 이관 대양현 하북군으로 이관 문희현 동옹주 정평군(正平郡)으로 이관. 원현 분음현 북향군으로 이관. 분양현 분주 용문군으로 이관되었다. = = 수 = = 10현 157,078호를 거느렸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하동현 河東縣 윈청 시 융지 시 포주진 본래 포판현으로 개황초에 하동군을 폐했다가 596년(개황 16년)하동현을 세웠다. 대업초에 하동군을 재건하면서 포판현을 흡수했다. 주관(酒官), 수산(首山), 예수(汭水)가 있다. 상천현 桑泉縣 윈청 시 린이 현 상천진 북위대의 옛 북해현을 596년 지금이름으로 개명하였다. 삼응산(三疑山)이 있었다. 분음현 汾陰縣 윈청 시 완룽 현 분음고성 옛 분음군에 있었다가 개황초 분음군을 폐하며 본군에 들어왔다. 용문산(龍門山)이 있다. 용문현 龍門縣 윈청 시 허진 시 피씨현을 북위에서 지금이름으로 바꿨다. 개황초 용문군을 폐하면서 본군으로 들어왔다. 북주대에 영락군에 속했었던 예성현 芮城縣 윈청 시 루이청 현 안융현(安戎)이라고도 했다. 북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영락군에 두었다. 후에 영락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관관(關官)이 있다. 안읍현 安邑縣 윈청 시 옌후 구 안읍가도 596년 우주(虞州)를 설치했다 대업초에 폐했다. 소금, 은광석이 나온다. 하현 夏縣 윈청 시 샤현 개황초 안읍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무함산(巫鹹山), 직산(稷山), 우판(虞阪)이 있다. 하북현 河北縣 윈청 시 핑루 현 장촌진일대 개황초 하북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관관(關官)이 있다. 지주산(砥柱山)과 부암(傅岩)이 있다. 의씨현 猗氏縣 윈청 시 린이 현 서위에서 상천현(桑泉)으로 개명했다가 북주에서 본명으로 바꿨다. 우향현 虞鄕縣 윈청 시 융지 시 북위에서 안정현이라고 했다가 서위대 남해현으로 개명했다. 수화(綏化)라고도 한다. = = 군수·태수 = = = = = 진 = = = 왕계(王稽, ? ~ 기원전 255년)《수호지진간》(睡虎地秦簡) 중 《편년기》(編年記) = = = 전한 = = = 계포(문제 초기) 반계(? ~ 기원전 124년) 승(勝, 기원전 113년 당시): 임지에서 보정(寶鼎)이 발굴되어 조정에 보고하였다.사마천: 《사기》 권28 봉선서반고: 《한서》 권25상 교사지 上 아무개(? ~ 기원전 112년): 무제의 순행을 마중하지 않은 죄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사마천: 《사기》 권30 평준서반고: 《한서》 권24하 식화지 下 전연년(? ~ 기원전 75년) 주감(기원전 43년 ~ 기원전 40년) 견존(? ~ 기원전 31년) 소함(원제 시기? 성제 시기?) = = = 경시 정권 = = = 양보(楊寶, ? ~ 25년)범엽: 《후한서》 권16 등구열전 = = = 후한 = = = 이문(李文, 25년 ~ ?): 후한의 첫 하동태수이다. 초황(焦貺, ? ~ 70년): 초왕 유영의 모반에 연루되어 조정에 압송되던 중 죽었다.범엽: 《후한서》 권33 주풍우정주열전범엽: 《후한서》 권43 주악하열전 진(陳) 아무개: 진번의 할아버지이다.범엽: 《후한서》 권66 진왕열전 경원(耿援, 환제 시기?)범엽: 《후한서》 권19 경엄열전 유우(? ~ 161년)범엽: 《후한서》 권67 당고열전 좌칭 (161년 ~ ?) 사필(영제 시기) 동탁(? ~ 184년) 왕읍(王邑, 195년 당시, ? ~ 205년)범엽: 《후한서》 권72 동탁열전제62진수: 《삼국지》 권16 임소두정창전 중 두기 두기(205년 ~ 220년) 조엄(220년 ~ ?, 겸임) = = = 서진 = = = 유백조(劉伯祖)간보: 《수신기》 권18 = 틀:1989년 해태 타이거즈 = = 틀: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 = 본 조사는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정기 여론조사를 인용한 것으로, 기타 기관의 여론조사 및 상세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기관 날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국민의당 기타·무응답 기관 날짜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안철수 기타·무응답 리얼미터 2021년 11월 2주 34.2% 46.2% 3.7% 4.3% 11.6% 한국갤럽 2021년 11월 3주 31% 42% 5% 7% 14% 리얼미터 2021년 11월 4주 36.9% 46.3% 3.7% 3.3% 9.8% 한국갤럽 2021년 12월 1주 36% 36% 5% 5% 19% 리얼미터 2021년 12월 2주 39.7% 45.2% 3.3% 3.2% 8.7% 한국갤럽 2021년 12월 3주 36% 35% 5% 5% 20% 리얼미터 2021년 12월 4주 39.7% 45.2% 3.3% 3.2% 8.7% 한국갤럽 2022년 1월 1주 36% 26% 5% 15% 18% 리얼미터 2022년 1월 1주 40.1% 34.1% 2.8% 12.9% 7.8% 한국갤럽 2022년 1월 2주 37% 31% 3% 17% 12% 리얼미터 2022년 1월 2주 36.7% 40.6% 2.0% 12.9% 7.8% 한국갤럽 2022년 1월 3주 34% 33% 3% 17% 14% 리얼미터 2022년 1월 3주 36.7% 40.6% 2.0% 12.9% 7.8% 한국갤럽 2022년 1월 4주 35% 35% 4% 15% 11% 리얼미터 2022년 1월 4주 38.5% 40.2% 2.4% 10.3% 8.6% 리얼미터 2022년 2월 1주 38.1% 43.4% 2.5% 7.5% 8.4% 한국갤럽 2022년 2월 2주 36% 37% 3% 13% 11% 리얼미터 2022년 2월 2주 39.1% 41.6% 2.8% 7.7% 8.8% 한국갤럽 2022년 2월 3주 34% 41% 4% 11% 10% 리얼미터 2022년 2월 3주 38.7% 42.9% 3.2% 8.3% 6.8% 한국갤럽 2022년 2월 4주 38% 37% 4% 11% 10% 리얼미터 2022년 2월 4주주중(20일~23일) 조사 40.5% 41.9% 2.6% 6.8% 8.2% 리얼미터 2022년 2월 4주주말(24일~27일) 조사 39.5% 42.0% 1.8% 8.6% 8.2% 리얼미터 2022년 3월 1주 40.6% 45.1% 1.9% 7.1% 5.2% 한국갤럽 2022년 3월 1주 38% 39% 3% 12% 7% 20대 대선 2022년 3월 9일 47.8% 48.5% 2.3% - 1.3% = 분류:1839년 소설 = = 분류:튀르키예의 남자 무술가 = = 오영민 = = = 가공 인물 = = 복수가 돌아왔다의 등장 인물 출국 (영화)의 등장 인물 = 시어 앤드루스 = 시어 앤드루스(Thea Andrews, 1973년 10월 4일 ~ )는 캐나다의 사회자, 언론인이다. = 분류:한국교원대학교 교수 = = 분류:더럼 (노스캐롤라이나주) = = 틀:요즘 화제 처음/2019년 8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돈의문이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으로 복원·공개되었다. 사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은 서대문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인 1915년 철거되어 사라졌다. 한강 몸통 시신 매장 사건: 모텔 손님을 살해한 뒤 시신을 훼손해 한강에 유기한 혐의로 구속된 용의자(장대호 38세) 신상이 공개되었다.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김현섭이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20㎞ 경보 동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대회 당시 6위였던 김현섭은 2016년에 1위와 2위 선수가 도핑에 적발되며 4위로 정정된 바 있는데, 이번에 3위를 했던 선수가 도핑으로 적발되며 3위로 기록이 정정되었다.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9월말 도하에서 열리는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 수여식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 분류:웨일스에 거주한 독일인 = =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토막글/기여/2019년 2분기 주간 보충 최대 기록 = = 의정부 집단구타 사망사건 = 의정부 집단구타 사망사건(議政府集團毆打死亡事件)은 2021년 8월 4일에 30대 남성 직장인이 고등학생한테 구타로 인해 숨진 사건이다.“고교생들이 30대 가장 계획살인…경찰이 귀가조치” 분노의 청원 출처: 헤럴드경제 = = 조사 = = 의정부경찰서는 고교생 10대 3명(그중에 송현고등학교 재학중)을 폭행치사 혐의로 입건해 조사중이다.'의정부 고교생 폭행 30대 사망 사건' 가해학생 3명 수사 출처: 뉴시스 8월 10일 경찰은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경찰, 의정부 폭행치사 사건 고교생 2명 영장 신청 출처:연합뉴스 2021년 8월 13일 의정부지법은 고등학생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기각했다.'의정부 30대 남성 사망사건' 고교생들 구속영장 기각 출처: 한경닷컴 = Bullhead (음반) = Bullhead는 1991년 5월 3일에 발매된 멜빈스의 음반이다. = 사사고촌 = 사사고촌은 야마나시현 기타쓰루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오쓰키시에 해당한다. = 경제로 통일로 = 경제로 통일로는 KBS 한민족방송(AM 972, 6015, 1170㎑)에서 방송되는 라디오 경제 프로그램이다. 진행자는 정용실 아나운서이며, 생방송은 월~토요일 새벽 1시 10분부터 새벽 2시까지, KBS 1라디오(전국, 수도권 기준 FM 97.3㎒, AM 711㎑) 평일 한정으로 화~토요일 새벽 2시 10분부터 새벽 3시까지, 일요일 새벽 2시부터 새벽 2시 50분까지이다, 그리고 KBS 3라디오(수도권 FM 104.9㎒, AM 1134㎑) 본방송은 토요일 한정으로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전 10시 50분까지이다. = 틀:올림픽나라이름 JAP = = 갤럭시안 = 갤럭시안은 남코(이후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 1979년 10월에 제작되어 1984년에 MSX와 패밀리 컴퓨터로 발매된 게임이다. 합체 기능은 없으며 적의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 난도가 높은 게임이다. 아케이드 게임 최초로 흑백타입을 벗어난 컬러타입을 도입한 게임이기도 하다. = = 개요 = = 포스트 인베이더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기술적으로, 하드웨어 면에서는 일본에서 처음으로技術的源流はAtariであり、ナムコはAtariが使用していた「オブジェクト」という用語を踏襲している を参照。 스프라이트를 사용한 것과, 소프트웨어 면에서는 그것을 활용하여, 슈팅 게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マイコンBASICマガジン編集部 『All about NAMCO』電波新聞社 1986년 12월 (또한 본작의 개발이, 이른바 「테스크 시스템」의 원형인 「죠부콘」의 원류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죠부콘은 카야 소이치(深谷正一)에 의한 개발이며, 본작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サイド Vol.7) 제목의 "갤럭시안"은 은하계의 거주자인 인류, 즉 플레이어 측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이 설정은 다른 UGSF 시리즈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작의 적은 「외계인 또는 에일리언」(그린, 퍼플, 레드의 3종과 「기함 (旗艦)」)으로 부른다.오프닝 메시지에 "WE ARE THE GALAXIANS / MISSION: DESTROY ALIENS"라고 나오는 것도 방증할 수 있다. 남코의 초기 대표 작품 중 하나로, 인베이더 붐이 일단락 된 후에 등장하여, 계획한 대로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후계자로 자리잡았다. 인기작이 됨으로써 라이센스 생산도 행해져서, "제목은 '갤럭시안' 그대로", "일본 국내에서는 테이블 본체로만 한다."등이ㅡ 조건에 따라, 일본에서는 세가(현 세가 인터랙티브, 타이토, 시그마(현 ), 아이렘(현 아피에스), 코나미(현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사미, 일본물산, 일본 국외에서는 미드웨이(현 미드웨이 게임스) 등에 라이센스 되었다. = = 게임 내용 = = = = = 게임 진행 = = = 외계인은 "스페이스 인베이더"와 같이 플레이어에서 떨어진 상공에서 편대를 짜서 대기하고 있으며, 1마리씩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하강 공격을 해온다. 대기중인 외계인은 미사일을 쏘지 않는다. 하강 공격을 한 외계인을 격추시키지 못한 경우 화면 상단에서 다시 나타나 편대로 복귀한다. 외계인 수가 적어지면 편대를 무너뜨리고 일제히 공격해 온다. 모든 외계인을 격추시키면 그 판은 클리어된다. = = = 스페이스 인베이더에서의 진보 = = = 외형과 기본 내용은 "스페이스 인베이더"에서 많은 발전을 했다.: 초기에는 단색이었고, 후기형도 라인마다 색상을 넣었던 "스페이스 인베이더"와는 달리, 갤럭시안은 캐릭터 한 기마다 다른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고유의 색상을 넣었다. 적들이 종류에 따라 다른 성능을 낸다. 적 한 기마다 개별적으로 움직인다. 다채로운 곡선을 그리면서 부드럽게 이동하여 공격한다. 대각선 방향으로 플레이어를 노려 공격을 한다. 배경으로 별을 그려넣었다. = = = 그 외 = = = 시작할 때 화면에 "PLAYER ONE"이라고 표시되는데, 여기서 ONE이 O(알파벳 오)가 아닌 0(숫자 영)으로 표시되었다. 2인용 플레이시 "PLAYER TWO"에서의 TWO는 알파벳 O로 제대로 나와있다. 이것은 『남코 뮤지엄 Vol.3 ()』에 그대로 남아있다. 편대를 향한 공격이 외계인에 맞지 않고 틈새를 빠져 나올 경우, 그와 동시에 편대의 좌우 움직임이 잠시 멈춘다. 또한 편대의 움직임에서 좌우 방향의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편대의 직접 공격의 경우 '스페이스 인베이더' 등과 같이 편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계인 만을 선택적으로 맞출 수 없다. 기함을 격추시킨 직후, 외계인 군은 일정 시간 동안 비행도 하지 않고, 미사일도 떨어뜨리지 않는다. 기함을 3대 이상 놓쳐도, 다음 판에서 다시 등장하는 기함은 2기,해당판의 기함과 함께 4대까지로서, 초과분이 그 다음 판 이후에 나타나는 것이 없다. 총 공격시에 외계인이 잠깐 공중에서 한바퀴 돌기도 한다. 이 때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기 때문에 저격하기 쉽다. 또한 외계인을 격추하지 않고 계속 둘 경우, 영구 패턴의 방지책으로서 플레이어를 향해 정확히 날아와서 플레이어 기체를 격추시킨다. 기함은 예전에는 「갤럭시안()」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 측을 나타내는 말로 알려지게 된 이후 「갤럭시안 보스 ()」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기함은 이후의 남코 게임에서도 적 캐릭터나 득점 아이템으로 등장하고 있다. = = 캐릭터 = = 외계인은 대기할 때와 비행할 때와 점수가 다르다. 비행 중에 격추시키는 것이 점수가 높으며, 기함을 격추 방법으로 어떻게 고득점을 노릴까가 중요하게 된다. 배치수 득점 득점 움직임의 패턴 배치수 대기시 비행시 움직임의 패턴 기함 2 (최대4) 60점 아래 참고 대기시에 인접한 레드가 남아 있으면, 레드와 편대를 짜고 비행한다. 혼자 비행 하다가 다음 판으로 도망칠 수 있다. 기함이 도망친 후 다음 판에서 보통 2대인 기함 수가 3대 이상으로 증가한다. 레드 6 50점 100점 기함이 없는 상태이나 총 공격 이외에는 기함과 편대를 짜고 비행하는 것이 특징. 단독시 움직임은 그린과 큰 차이가 없다. 퍼플 8 40점 80점 그린보다 곡선을 그리는 것이 크기 때문에, 비행시의 격추 난도가 높다. 그린 30 30점 60점 플레이어에 똑바로 향해 오므로, 비행시에도 비교적 격추하기가 쉽다. = 분류:볼리비아 주재 대사 = = 꿈나무도서관 (양주시) = 양주시립 꿈나무도서관은 경기도 양주시 소재의 어린이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04.01.27 양주시에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을 짓기로 결정 2004.12.29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건물을 짓기 시작함 2005.12.31 양주시립꿈나무도서관 건물완성 2006.06.02 어린이가 찾아올 수 있도록 양주시립도서관 개관 = = 시설현황 = = 3층: 우주입체영상관, 쉼터, 어른관, 북카페 2층: 도움방, 어린이방2 1층: 꼬마방, 어린이방1 = = 이용 안내 = = 09:00 ~ 18:00 매주 금요일 국경일 임시로 쉬는 날: 도서관장이 어쩔 수 없는 이유로 필요하다고 하는 날 = 조트-오버라임바흐역 = 주드-오버라임바흐역은 스위스 취리히주에 있는 질 계곡 및 아들리스빌에 있는 기차역이다. 역은 질탈 취리히 위틀리베르크 철도(SZU)가 운영하는 질탈선에 있다. = 르노 카자르 = 르노 카자르(Renault Kadjar)는 프랑스 르노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준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이다. = = 개요 = = 201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최초 공개되었으며, 동년 4월부터 유럽에서 판매에 들어갔다. 닛산 캐시카이와 같이 CMF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에스파스나 탈리스만과 마찬가지로 R-링크 2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2016년에는 중국 시장에서도 판매가 개시되었으며, 우한에 신설된 공장에서 생산이 이루어졌다. 2018년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파워트레인 일부가 교체되었다. 2019년에는 중국 시장용 모델도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나, 2020년 8월 28일에 르노가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1년만에 판매가 중단되었다. = = 경쟁 차종 = = 현대자동차 - 투싼 기아자동차 - 스포티지 쌍용 - 코란도 토요타 - RAV4 혼다 - CR-V 닛산 - 캐시카이 미쓰비시 - 아웃랜더 폭스바겐 - 티구안 푸조 - 3008 포드 - 쿠가 = 분류:유다이아 속주 = = 분류:토고의 민족 = = 분류:특수 촬영 가수 = = 에드게외위아섬 = 에드게외위아섬(Edgeøya)은 "끝섬"(edge island)이란 뜻으로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무인도이며 면적은 5,073 km2이다. 순록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1973년 노르웨이 정부에서 주위의 섬들과 함께 남동부 스발바르 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 All My Loving = 〈All My Loving〉은 폴 매카트니가 쓴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노래다. 1963년도 음반 With the Beatles에 담겨 출시되었다. 비록 영미 모두에서 싱글로 출시되지 않았지만 라디오에서 상당한 방송 횟수를 기록해 EMI가 이 곡을 EP의 타이틀 트랙으로 사용하는데 유도한다. 노래는 캐나다에서는 싱글로 출시되어 1위에 도달한다. 캐나다 싱글은 미국으로 수입되어 1964년 4월에는 빌보드 핫 100에서 45위에 오를 정도의 판매고를 확보했다. 〈All My Loving〉은 평론가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음악 평론가 이언 맥도널드는 "이 넘버의 순박한 웅변에 60년대 초 영국 팝의 천진함을 완벽하게 증류해냈다."고 하며 이 노래로 매카트니가 레논과 동등한 위치를 가지는 데 일조했으리라 평가했다. 올뮤직의 리치 언터버그는 노래가 "1964년 이전까지는 비틀즈의 최고 LP 트랙이라고 단언"할 수 있으며 만약 미국에서 싱글로 출시되었다면 크게 히트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작곡과 녹음 = = 저널리스트 빌 헤리에 따르면, 매카트니는 가사를 먼저 지었다. "저는 'All My Loving'을 마치 시의 한 구절처럼 지어놓았어요. 그 뒤 여기에 노래를 붙이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매카트니는 자서전 작가 베리 마일스에게 자신이 곡을 투어 버스에서 지었으며 공연 장소에 도착한 뒤 무대 뒤에 있는 피아노에서 음악을 쓰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말한다. "그것은 제가 한 번도 하지 않았던, 가사를 먼저 지은 첫 곡입니다. 저는 한 번도 가사를 먼저 쓴 적이 없었어요. 그건 언제나 제게 있어 일종의 반주였어요. 아직까지도 그런 일은 드물답니다." 가사는 〈P.S. I Love You〉에서도 쓰인 바 있는 "편지 노래"다. 매카트니는 곡을 컨트리와 웨스턴 송으로 구상했고, 조지 해리슨이 내스빌 스타일의 기타 솔로를 덧입혔다. 존 레논은 리듬 기타로 당시 유행하던 더 크리스탈스의 〈Da Doo Ron Ron〉와 비슷한 셋잇단음을 빠르게 연주한다. 매카트니는 워킹 베이스 라인을 연주했다. 레논은 1980년 인터뷰에서 곡에 대한 존경을 표한 바 있다. "그건 빌어먹게 좋은 작품이죠. ... 근데 전 뒤에서 꽤나 못된 기타 연주를 하고 있어요." 데이브 브룩벡 쿼텟의 1959년 노래 〈Kathy's Waltz〉에서 영감을 얻은 게 아니냐는 추측이 존재한다. 비틀즈는 1963년 7월 30일에 곡의 녹음을 시작해 11번 테이크를 제작하고 세 번 오버더빙을 했다. 마스터 테이크는 11테이크가 선정되어 14번 오버더빙했다. 리믹스는 모노가 8월 21일, 스테레노가 10월 29일 했다. 일반 스테레오와 모노 믹스에는 존재하지 않는, 도입부에 풋 심벌즈 퍼커선 연주가 있는 살짝 더 긴 버전이 1965년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Beatles' Greatest에 담겨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영국에서 출시되지만 The Beatles Box에서만 구할 수가 있다. = =발표와 공연 = = 〈All My Loving〉은 영국에서 1963년 11월 22일 출시된 With the Beatles에 담겨 처음 출시되었다. 미국에서는 Meet the Beatles!에 담겨 1964년 1월 20일에 출시되었다. 노래는 영국에서 1963년 2월 7일 출시된 All My Loving EP의 타이틀 트랙으로 쓰인다. 또한 1964년 5월 11일 미국에서 EP Four by The Beatles에 담겨 출시되었다. 〈All My Loving〉은 1964년 2월 9일, 그들의 에드 설리번 쇼 데뷔 공연에서 오프닝 넘버로 쓰였다. 이 음원은 Anthology 1에 수록됐다. 그룹은 이 노래를 1963년에 한 번, 1964년에 두 번 BBC 라디오에서 공연한다. 마지막 버전은 1964년 2월 28일 Live at the BBC에 실려 나온다. 노래는 하드 데이즈 나이트의 나이트 클럽 씬 배경에서 들리고 매지컬 미스테리 투어에서 기악곡 버전이 들린다. 앨런 와이스의 말에 따르면, 존 레논이 1980년 12월 8일 피습되어 루즈벨트 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으나 사망 진단이 나올 당시 그곳의 사운드 시스템에는 〈All My Loving〉이 재생되고 있었다. = = 참여 인원 = = 폴 매카트니 – 더블 트래킹 보컬, 베이스, 하모니 및 백 보컬 존 레논 – 백업 보컬, 리듬 기타 조지 해리슨 – 백업 보컬, 리드 기타 링고 스타 – 드럼 조지 마틴 – 프로듀서 노먼 스미스 – 엔지니어 = = 차트 = = 차트 (1963–64) 최고순위 호주 켄트 뮤직 리포트 1 미국 캐쉬박스 톱 100 31 서독 미디어 컨트롤 싱글 차트 32 = 육혈포 강도단 = 육혈포 강도단은 201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나문희 : 김정자 역 김수미 : 손영희 역 김혜옥 : 공신자 역 임창정 : 방준석 역 김희원 : 김성식 형사 역 김광규 : 노진성 강력팀장 역 강경헌 : 양 형사 역 장원영 : 신자 아들 역 전헌태 : 은행 과장 역 조한희 : 뚱아줌마 역 라미란 : 미시아줌마 역 염동헌 : 중년남자 역 이민아 : 은행 여직원1 역 이은우 : 은행 여직원2 역 정문선 : 은행여직원3 역 강선미 : 은행여직원4 역 윤미영 : 신자 며느리 역 윤미 : 영희 딸 역 김희창 : 청원경찰 역 송경화 : 여자 구급대원 역 이민웅 : 데이트남 역 김민좌 : 데이트녀 역 김시권 : 오토바이남 역 설주영 : 오토바이여 역 이세랑 : 병원여교도관 역 강수영 : 50대 아줌마 역 이준혁 : 공업사 주인 역 최동헌 : 지애 매니저 역 권오진 : 남자 노인 1 역 한국진 : 형사 1 역 남문철 : 수사과 형사 역 이지우 : 영희 손녀 역 김도연 : 슈퍼 직원 역 우상전 : 부자 노인 역 이창 : 교통과 팀장 역 홍민희 : 과거 정자 역 천정하 : 정자 집 주인 역 이채은 : 과거 영희 역 공유석 : 고 형사 역 (특별 출연) 손광업 : 단속 경찰 역 (특별 출연) 김병철 : 여행사 직원 역 (특별 출연) 배성우 : 영희 아들 역 (특별 출연) 김광식 : 슈퍼 주인 역 (특별 출연) 박상혁 : 화장실 남 1 역 (특별 출연) 유영채 : 화장실 남 2 역 (특별 출연) 유하나 : 지애 역 (특별 출연) 서승원 : 손목 남자 역 (특별 출연) = 위키백과:삭제 토론/김결의 = = = 김결의 = = 관련 등재 기준 및 총의 결과에 따라 유지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2월 13일 (일) 21:53 (KST) 1군 출전 기록이 없지만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로 등재 기준을 채울 가능성이 있어서 삭제 토론에 회부합니다. 223.62.175.178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00:23 (KST) = 문경 양민 학살 사건 = 문경 양민학살 사건(聞慶良民虐殺事件)은 1949년 12월 24일 공비를 토벌 중이던 국군 제2사단 25연대 2대대 7중대 2소대 및 3소대원 70여 명이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봉리 석달마을에 불을 지르고 남녀노소 주민들을 살해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을 말한다. = = 설명 = = = = = 조작 = = = 당시 학살로 마을 주민 136명 중 어린이 9명과 여성 44명을 포함해 모두 86명이 목숨을 잃었다.“어린아이도 사냥 연습하듯 학살했다” 시사IN, 2011년 9월 27일 = = = 진실 = = = 이 사건은 이후 이승만이 집권한 제1공화국 정부에 의해 공비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으로 조작되었다. 하지만 참여정부 들어 발족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과거사 청산에 의해 2008년 여름 사건 진상과 가해 부대 책임자가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 = = 소송 = = = 공식 결정 이후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과 2심 재판부는 유족들이 헌법소원을 낸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손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이유로 청구를 기각했다. 하지만 2011년 9월 8일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 대법원은 "진실을 은폐하고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조차 게을리 한 국가가 이제 와서 문경 학살 사건의 유족인 원고들이 미리 소를 제기하지 못한 것을 탓하며 시효 완성을 이유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하다"라고 판시하고, 손해배상 청구권 시효는 진실화해위가 진실 규명 결정을 한 2007년 6월부터 시작된다고 봤다. = 분류:1936년 영화 = = 분류:마케팅 기법 = = 분류:유럽의 동기 문화 = = 웹 서비스 =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들 간에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웹 서비스는 서비스 지향적 분산 컴퓨팅 기술의 일종이다. 웹 서비스 프로토콜 스택은 SOAP, WSDL, UDDI 등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메시징에 XML이 사용되어 상호운용성이 높다. 기존의 분산 컴퓨팅 기술들인 CORBA, DCOM, RMI과 비교했을 때 주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느슨한 연결(loose coupling) 이진 부호화(바이너리 인코딩)가 아닌 XML 유니코드 부호화를 사용한다. 객체 지향(object-oriented)이 아닌 메시지 지향(message-oriented)이다. 웹 서비스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지만 월드 와이드 웹과 혼동하여서는 안 된다. 월드 와이드 웹은 사람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인 데 반해, 웹 서비스는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이다. 분산 컴퓨팅을 실현할 수 있는 신기술로 등장하여 큰 기대감에 매스미디어에서 여러 번 다루어져서 인지도는 증가하였다. 하지만, 시장에서의 실효성 때문에 많이 보급되지 않았다. 아직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더디어 보급은 늦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가 각광을 받으면서 그 기반 기술인 웹 서비스 또한 주목을 다시 받고 있다. 웹 2.0과 함께 SOAP을 이용하지 않는 REST 스타일 웹 서비스도 등장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웹 2.0의 한 분야로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여러 웹 서비스를 조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매시업이라고 부른다. 현재 이러한 분야는 새로운 사업으로까지 확장해 나가고 있다. = = 스펙 = = = = = 1세대 = = = SOAP WSDL UDDI = = = 2세대 = = = = = = = 주요 스펙 = = = = WS-Coordination WS-Transaction BPEL4WS WS-ReliableMessaging WS-Addressing WS-Policy WS-PolicyAssertions WS-PolicyAttachments WS-Attachments SOAP with Attachments = = = = 보안 스펙 = = = = WS-Security 프레임워크 XACML XrML XKMS SAML .NET Passport XML-Encryption SSL XML-Signature WS-Trust WS-Privacy WS-SecureConversation WS-Federation WS-Authorization = 분류:수성고등학교 (경기) = = 라오스아꼭군 = 라오스아꼭군은 우본랏차타니주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05년 기준으로 25767명이다. 인구 밀도는 km2이다. = = 행정 구역 = = 번호 지명 태국어 지명 빌리지 인구 1. Lao Suea Kok เหล่าเสือโก้ก 10 7,372 2. Phon Mueang โพนเมือง 17 6,891 3. Phaeng Yai แพงใหญ่ 13 4,544 4. Nong Bok หนองบก 13 6,960 = 바이젠더 = 바이젠더(Bigender)는 성 정체성의 한 종류로서 두 가지의 독립된 젠더를 각각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바이젠더인 이들은 남성으로서의 성별의식(성 정체성)과 여성으로서의 성별의식(성 정체성)이 각각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는데, 상황에 따라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성별의식이 남자에서 여자로, 여자에서 남자로 전환되며, 남자와 여자 사이를 오간다. 논바이너리 젠더 두 가지가 결합된 경우나 바이너리 젠더와 논바이너리 젠더가 결합된 경우도 바이젠더에 속한다. = = 다른 정체성과의 구분 = = 젠더플루이드 바이젠더는 bi- 라는 접두사의 의미처럼 각각 분리된 2가지의 젠더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젠더플루이드는 본인이 자각하는 젠더의 개수가 2가지보다 많을 수도 있고, 이 또한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 분류:정글 북 = = 펜나피에디몬테 = 펜나피에디몬테는 이탈리아 아브루초주 키에티도에 있는 코무네이다. = 틀:아시안 게임 하키 = = 2008년 오리콘 1위 싱글 목록 = 일본에서 한 주간 가장 많이 팔린 싱글은 오리콘 주간 차트에 실리며, 이 차트는 오리콘이 발행하는 잡지 오리스타에 개제된다. 판매량은 한 주 동안의 각 싱글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오리콘이 종합한다. = = 차트 기록 = = 발행일 싱글 가수 참고 1월 7일 (미발표) (미발표) 1월 14일 「弾丸ファイター」 SMAP 2주 연속 1월 21일 「MIRAGE」 AAA 1월 28일 「Purple Line」 동방신기 2월 4일 「オーダーメイド」 RADWIMPS 2월 11일 「そばにいるね」 아오야마 텔마 feat. SoulJa 2월 18일 「LIPS」 KAT-TUN 2008년 2월 1위 2월 25일 「あなたがここにいたら」 포르노그라피티 3월 3일 「Step and Go」 아라시 2008년 3월 1위 3월 10일 「太陽のナミダ」 NEWS 3월 17일 「そのまま/White Message」 SMAP 3월 24일 「ワッハッハー」 칸쟈니∞ 3월 31일 「60s 70s 80s」 아무로 나미에 4월 7일 「オレじゃなきゃ、キミじゃなきゃ」 20th Century 4월 14일 「DRINK IT DOWN」 L'Arc~en~Ciel 4월 21일 「Mirrorcle World」 하마사키 아유미 4월 28일 「BURN -フメツノフェイス-」 B'z 5월 5일 「Beautiful you/千年恋歌」 동방신기 5월 12일 「No more」 마이즈 츠카사 5월 19일 「SUMMER TIME」 NEWS 5월 26일 「DON'T U EVER STOP」 KAT-TUN 2008년 5월 1위 6월 2일 「Dreams come true」 Hey! Say! JUMP 6월 9일 「キセキ」 GReeeeN 2주 연속,2008년 6월 1위 6월 16일 「キセキ」 GReeeeN 2주 연속,2008년 6월 1위 6월 23일 「VERB」 GLAY 6월 30일 「アイアイ傘」 테고마스 7월 7일 「One Love」 아라시 2008년 7월 1위 7월 14일 「SUMMER SONG」 YUI 7월 21일 「love the world」 Perfume 7월 28일 「どうして君を好きになってしまったんだろう?」 동방신기 8월 4일 「Your Seed/冒険ライダー」 Hey! Say! JUMP 8월 11일 「GIFT」 Mr.Children 8월 18일 「I AM YOUR SINGER」 사잔 올 스타즈 2008년 8월 1위 8월 25일 「この瞬間、きっと夢じゃない」 SMAP 9월 1일 「truth/風の向こうへ」 아라시 2008년 1위2008년 9월 1위 9월 8일 「Secret Code」 KinKi Kids 9월 15일 「HANABI」 Mr.Children 2주 연속 9월 22일 「HANABI」 Mr.Children 2주 연속 9월 29일 「LIGHT IN YOUR HEART/Swing!」 V6 10월 6일 「The Birthday 〜Ti Amo〜」 EXILE 2008년 10월 1위 10월 13일 「Happy Birthday」 NEWS 10월 20일 「TABOO」 코다 쿠미 10월 27일 「呪文-MIROTIC-」 동방신기 11월 3일 「真夜中のシャドーボーイ」 Hey! Say! JUMP 11월 10일 「無責任ヒーロー」 칸쟈니∞ 11월 17일 「Beautiful Days」 아라시 2008년 11월 1위 11월 24일 「連れてって 連れてって」 DREAMS COME TRUE 12월 1일 「儚くも永久のカナシ」 UVERworld 12월 8일 「LAST CHRISTMAS」 EXILE 12월 15일 「White X'mas」 KAT-TUN 2008년 12월 1위 12월 22일 「弱虫サンタ」 슈치신 12월 29일 「Days/GREEN」 하마사키 아유미 = = 특이 사항 = = 2008년 1월 1위곡은 스기모토마사토의 「吾亦紅」이다. 2008년 4월 1위곡은 슈치신의 「羞恥心」이다. = = 연간 TOP 10 = = ※ 집계: 2007년 12월 24일 - 2008년 12월 15일 1위: 아라시 「truth/風の向こうへ」 2위: 아라시 「One Love」 3위: 사잔 올 스타즈 「I AM YOUR SINGER」 4위: GReeeeN 「キセキ」 5위: 슈치신 「羞恥心」 6위: Mr.Children 「HANABI」 7위: 아오야마 텔마 feat.SoulJa 「そばにいるね」 8위: KAT-TUN 「DON'T U EVER STOP」 9위: KAT-TUN 「LIPS」 10위: 아라시 「Beautiful days」 = 데틀레프 = 데틀레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데틀레프 북: 독일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 데틀레프 폰 릴리엔크론: 독일의 시인 = 분류:스웨덴-잠비아 관계 = = 서강준 = 서강준(徐康俊, 1993년 10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산본고등학교 동서울대학교 연기예술학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2 SBS 신사의 품격 스키니 젊은이 단역 2012 SBS 아름다운 그대에게 고등학생 단역 2013 MBC every1 방과 후 복불복 서강준 웹 드라마 2013 KBS2 굿 닥터 불량학생 단역 2013 SBS 수상한 가정부 최수혁 2013 MBC 드라마 페스티벌 - 하늘재 살인사건 정윤하 단막극 2014 MBC 앙큼한 돌싱녀 국승현 2014 KBS2 드라마 스페셜 - 보미의 방 보미의 워너비 여상남 단막극, 특별출연 2014 네이버TV, 다음TV팟 최고의 미래 최고 웹 드라마 2014 KBS2 가족끼리 왜 이래 윤은호 2015 KBS2 가족끼리 왜 이래 윤은호 2015 MBC 화정 홍주원 2015 MBC EVERY1 투 비 컨티뉴드 정아린 오빠 웹 드라마, 특별출연 2016 tvN 치즈인더트랩 백인호 2016 SBS 딴따라 이상원 7~8회 특별출연 2016 tvN 안투라지 차영빈 2017 네이버TV 아이돌 권한대행 녹음실 직원 웹 드라마, 특별출연 2018 KBS2 너도 인간이니? 남신III / 남신 사전제작 2018 JTBC 제3의 매력 온준영 2019 OCN 왓쳐 김영군 2020 JTBC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임은섭/김진호 2022 디즈니+ 핫스타 그리드 김새하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나의 사랑 나의 신부 준수 2015 뷰티 인사이드 김우진 2015 미안해 사랑해 고마워 한상규 2021 해피 뉴 이어 이강 = = 그밖의 활동 = =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4 젊은 연극제 개막식 MC 2014 일본 KNTV 도키메키 칸도라 MC 2014 한류드림콘서트 스페셜 MC 2014 SBS 인기가요 스페셜 MC 2014 MBC 우리 결혼했어요 - 송재림 & 김소은 커플 편 특별 게스트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출연 2014 MBC 2014 설특집 아이돌스타 육상 양궁 풋살 컬링 선수권대회 게스트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출연 2014 SBS 슈퍼주니어M의 게스트하우스 게스트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출연 2014 MBC 황금어장 - 라디오스타 게스트 364회, 꽃미남 종합선물세트 편 2014 KBS2 해피투게더 시즌3 게스트 365회, 한솥밥 특집 2014 SBS 일요일이 좋다 - 룸메이트 시즌 1 고정 출연 20부작 2014 SBS 일요일이 좋다 - 룸메이트 시즌 2 고정 출연 26부작 2015 SBS 일요일이 좋다 - 룸메이트 시즌 2 고정 출연 26부작 2015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게스트 230회, 꽃미남 탐구 생활 편 2015 JTBC 현생인류보고서 – 타인의 취향 고정 출연 7부작,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출연 2015 MBC 에브리원 천생연분 리턴즈 고정 출연 10부작 2015 JTBC 나홀로 연애중 게스트 9 ~ 10회 2015 MBC MUSIC 멜론 뮤직 어워드 스페셜 MC 2016 tvN 현장토크쇼 택시 게스트 410회, 2016년을 부탁해 특집 편 2016 MBC 나 혼자 산다 특별 게스트 143회, 이국주 편 2016 SBS 정글의 법칙 in TONGA 게스트 9부작 2016 SBS 보컬 전쟁: 신의 목소리 게스트 3회 2016 MBC 황금어장 - 라디오스타 게스트 481회, 신기한 노을, 서프라이즈 편 2016 MBC MUSIC 아스트로 프로젝트 : 아.시.아(아스트로가 시작하는 아시아투어) 특별 게스트 2016 KBS2 해피선데이 - 슈퍼맨이 돌아왔다 게스트 161 ~ 162회 2017 MBC 우리 결혼했어요 - 공명 & 정혜성 커플 편 특별 게스트 359 ~ 360회,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출연 2017 제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MC 이선빈과 공동 진행 = = = 라디오 프로그램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6 EBS FM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낭독자 = = = 음반 = = = = = = 기타 = = = 2015년 시네마게임 《도시를 품다》(감독 김선일·제작 쇼베 크리에이티) - 카카오톡을 통해 출시 및 구글플레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공개 = = = 홍보대사 = = =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4 단막극 페스티벌' 홍보대사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 '패션코드 2015 F/W' 홍보대사 (with 소녀시대 태티서) 2015년 아베다 물을 위한 걷기 대회 홍보대사 2016년 행정자치부 '자전거 안전문화' 홍보대사 (with 헬로비너스 나라, 박해미) 2017년 KOTRA 아스타나 엑스포 한국관 홍보대사 (with 뽀로로) = = = 뮤직 비디오 = = = 연도 가수 제목 2013 헬로비너스 〈차 마실래?〉 2014 에일리 〈I'm In Love〉 2014 서프라이즈 〈From my heart〉 2017 헬로비너스 〈Mysterious〉 = = = 광고 = = = 연도 기업 브랜드 품목 비고 2014 해태제과 포키 스낵 앨리스 2014 리복 코리아 리복 클래식 '운동화로 겨울나는법' 스포츠웨어 구하라 2014 (주)지엔코 티아이 포맨 남성정장 2014 ~ 2016 케이브랜즈 NIX 데님 브랜드 아이린, 헤이즈 2014 ~ 2016 아베다 코리아 아베다 화장품 2014 ~ 2017 (주)동인기연 TIMBUK2 메신저백 2015 지앤푸드 굽네치킨 오븐구이 치킨 강소라 2015 ~ 2016 중원주식회사 시크릿데이 여성 생리대 2016 SF글로비즈 블루마운틴 슈즈 김새론 2016 한국코카콜라(유) 코카콜라 '마음을 전해요' 캠페인 음료 강한나 2016 롯데네슬레 코리아 네스카페 크레마 커피 2016 롯데닷컴 롯데옴니쇼핑 쇼핑 서비스 곽도원, 염정아, 이솜 2016 우주스튜디오 베로니카포런던 수제화 F/W시즌 2016 ~ 2017 OB맥주 카스 라이트 주류 박정민 2016 ~ 2017 한국교육방송공사 EBS 토목달 토익 2016 ~ 2017 삼성물산 패션부문 빈폴 아웃도어 아웃도어 2016 ~ 2017 ㈜제이엘벤처스 러비더비 퍼퓸 리빙케어 브랜드 2017 (주)직방 직방 부동산 앱 설현 2017 (주)토니모리 토니모리 화장품 브랜드숍 이세영 2017 (주)TBHGLOBAL 어반코드 더클래스 남성 정장 2018 ~ 2019 (주)밀레 밀레 아웃도어 2018 (주)그라비티 라그나로크M: 영원한 사랑 모바일 게임 윤아 2018 (주)강원랜드 하이원 워터월드 워터파크 2018 (주)지에스지엠 체이스컬트 의류 2019 (주)씨이오인터내셔널 메르세데스-벤츠 파퓸스 향수 2019 (주)신세계 디에프 신세계 면세점 면세점 2020 에이션패션 프로젝트엠(PROJECT M) 의류 2020 실란트로(주) 덴티스테 덴탈케어 2021 ~ 2022 (주)케이엔비코스 쓰리 화장품 2022 MSD 가다실9 의품 2023 (주)언일전자 글램 고데기 2023 성분에디터 그린토마토 모공엠플 화장품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4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연기상 앙큼한 돌싱녀 2014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앙큼한 돌싱녀 2014 SBS 연예대상 예능부문 남자 신인상 룸메이트 2014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가족끼리 왜 이래 2015 제10회 숨피 어워즈 라이징 스타상 앙큼한 돌싱녀 2015 제3회 드라마피버 어워즈 베스트 브로맨스상 앙큼한 돌싱녀 2015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우수연기상 화정 2015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핫스타상 화정 2015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남자 신인상 화정 2016 제1회 tvN10 어워즈 드라마 남자부문 Made in tvN 치즈인더트랩 2016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드라마 부문 베스트 엔터네이너상 치즈인더트랩 2016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남자 인기상 치즈인더트랩 2016 제11회 에이어워즈 컨템포러리 부문 몽블랑 옴므 2018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우수상 너도 인간이니? 2018 K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너도 인간이니? 2018 KBS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너도 인간이니? 2018 KBS 연기대상 네티즌상 너도 인간이니?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너도 인간이니? 2021 제7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KT Seezn 스타상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2021 제7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아이돌챔프 남자 인기상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 1904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1904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된 1900년 하계 올림픽의 경기 종목이다. 1개국에서 41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 경기장 = = 1904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경기는 개최 도시인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프랜시스 필드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원어명 비고 세인트루이스 전 종목 세인트루이스 프랜시스 필드 Francis Field 전 종목 = = 참가국 = = 다이빙 종목은 1개국에서 42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 메달 집계 = = = = = 최종 순위 = = = = = = 메달리스트 = = = 라이트플라이급 플라이급 밴텀급 페더급 라이트급 웰터급 헤비급 = 대전전파관리소 = 대전전파관리소(大田電波管理所)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의 무선국의 감시 및 혼신조사 등에 관한 사무를 분장하는 중앙전파관리소의 소속기관이다. 1992년 11월 23일 발족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86번길 64에 위치하고 있다. 소장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1조제2항 = = 연혁 = = 1983년 12월 30일: 중앙전파감시소 소속으로 당진분소 설치.대통령령 제11302호 1987년 12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변경.대통령령 제12315호 1992년 11월 23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대전분소 설치.대통령령 제13763호 1993년 12월 18일: 현 청사로 신축 이전. 2006년 12월 29일: 대전분소와 당진분소를 각각 대전전파관리소와 당진전파관리소로 개편.대통령령 제19793호 2011년 8월 19일: 당진전파관리소를 대전전파관리소 소속 당진사무소로 개편.대통령령 제23082호 = = 조직 = = = = = 소장 = = = 운영지원과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방송통신사무관·공업연구관·행정주사·공업주사·시설주사·전산주사·방송통신주사 또는 공업연구사로 보한다. 방송통신서비스과 전파이용안전과 무선국업무과 이용자보호과 = = = 소속기관 = = = 당진사무소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방송통신사무관 또는 공업연구관으로 보한다. = 분류:문경시의 지리 = = 시디부지드 전투 = 시디부지드 전투는 1943년 2월 14일부터 1943년 2월 17일까지 튀니지 시디부지드에서 일어난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니지 전역의 전투이다. 이 전투는 독일이 봄바람 작전을 시작해 튀니지 서부에서 미국에 대한 공격적인 방어 활동으로 계획되었으며 두 갈래에 걸쳐 진행되었다. 로이드 프레덴덜이 이끄는 미국의 육군 2군단,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이 이끄는 제5기갑군의 제10기갑사단, 제21기갑사단이 참전했다. 이 전투가 추축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추축국은 튀니지 중부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인 스베이틀라(Sbeitla)를 탈환했다. 롬멜은 카세린 협곡에서 미군의 보급선을 공격해 끊어버리기로 결정했다. = = 전투 = = 1월 30일 독일, 이탈리아군이 파이드를 점령하고 2월 14일 독일군은 시디부지드에 주둔중인 미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2월 15일 CCC(C전투사령부)가 반격을 시도 했지만 실패 했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여 중형전차 46대 차량 130대 자주포 9대가 손상 및 파괴 되었다.2월 16일 독일군이 시디 부지드 와 스베이틀라를 점령 했지만 영국군의 제8군이 튀니지에 진입했다. 2월 17일 미군은 카세린으로 후퇴했다. = = 미군의 패배 원인 = = 로이드 프레덴덜은 1월 30일 프랑스군들이 파이드에서 독일군 사이에 교전을 벌이는 동안 늑장 대응 했고 시디 부지드에서 배치 및 방어 가 미흡상태였고 실전 경험이 부족 했기 때문에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 = 전투 서열 = = = = = 연합군 = = = 제2군단- 로이드 프레덴덜 소장 (미국) 제1기갑사단- 올랜도 워드 소장 (미국) * 1기갑연대 ** 2대대(C 전투사령부 소속) ** 3대대(A 전투사령부 소속) * 6기갑연대 1대대(A 전투사령부 소속) 미국 34 보병사단 * 168연대전투단 - 토마스 드레이크 대령 ** 2대대 ** 3대대 = = = 추축군 = = = 제5기갑군 -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 상급대장 (나치 독일) 제10기갑사단 * 라이만 전투단(Kampfgruppe Reimann) ** 1중대(501중전차대대 소속) ** 86기갑척탄병연대 1대대 * 게르하르트 전투단(Kampfgruppe Gerhardt) ** 7기갑연대 2대대 ** 69기갑척탄병연대 2대대 제21기갑사단 * 쉬테 전투단(Kampfgruppe Schuette) ** 104기갑척탄병연대 * 슈텐코프 전투단(Kampfgruppe Stenkhoff) ** 5기갑연대 = L.A. 로 = L.A. 로는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방영된 드라마이다. = 안젤라 리틀 = 안젤라 리틀(Angela Little, 1972년 7월 22일 ~ )는 미국의 배우, 모델, 플레이메이트,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 = 영화 = = 스냅샷 (2014년) 더 라이프 존 (2011년) 그레이트 파이트 (2011년) - 질 탄티노 역 워크 하드: 듀이 콕스 스토리 (2007년) 아메리칸 파이 4 - 썸머 캠프 (2005년) - 쉬리 역 내 상사의 딸 (2003년) 러시 아워 2 (2001년) 스피드웨이 정키 (1999년) = 방축도 = 방축도(防築島)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에 위치한 섬으로, 고군산군도의 중앙에 있어 방파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데서 방축도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전한다. 군산에서 대략 남서쪽으로 34km 지점에 있고 선유도에서는 1.7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2.16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6.5km이다. 2010년 기준 인구는 168명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방축도(防築島)) 북쪽은 고지대로서 높이 127m의 산인 방축큰산이 서있고, 남쪽의 구릉지는 비교적 저지대로서 어촌과 농경지가 분포해 있다. 군산항에서 방축도로 가는 정기여객선이 운항한다. = = 지질 = = 방축도와 그 주변 횡경도, 명도 지역에는 신원생대에 형성된 퇴적암층 방축도층과 관입암 각섬암이 분포하고 있다. 신원생대 방축도층(NPrb; Neoproterozoic bangchuk lsland formation)은 방축도와 그 주변 말도, 보농도, 명도, 광대도, 소횡경도, 횡경도에 분포하는, 사암, 역암, 역질 사암, 이암 등으로 구성된 퇴적암층이다. 방축도층은 말도, 보농도, 명도 일대에서 신원생대의 각섬암(NPram)에 의해 관입되어 있다. 방축도층에 나타난 암상조합은 다양하다. 1) 사암 및 암회색 이암(또는 흑운모편암)의 호층, 2) 사암 및 담회색 이암의 호층, 3) 사암과 왕모래역암 호층, 4) 사암층만의 조합 등이다. 방축도층은 대개 남쪽으로 경사하며 남쪽 방향이 상향(上向) 방향임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방축도, 횡경도 북쪽 지역은 하부에 해당되며 사암과 암회색 이암이 자주 관찰되는데 암회색 이암은 변성이 심하여 흑운모편암에 가깝다. 횡경도 북서부 해안가 노두에서는 사암층에 암회색 층이 협재되는 양상을 보이며 층간 스러스트가 발달하는 것이 자주 관찰된다. 방축도 북서부 지역의 노두에서는 사암이 우세하다가 상부로 갈수록 사암과 암회색 이암이 호층을 이루며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여준다. 말도 남서부 해안 노두에서는 사암과 담회색 이암의 호층으로 구성된다. 이 노두 중앙부에 배사 습곡이 발달한다. 신원생대 각섬암(NPram; Neoproterozoic hornblende)은 말도, 보농도, 명도 지역에 대략 동-서 방향으로 대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방축도층을 관입하고 있다. 말도 지역의 각섬암은 암회색 이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이암은 방축도층에 속한다. 암맥상으로 방축도층을 관입하고 있는 각섬암은 야외 노두에서 각섬석과 장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엽리의 발달이 미약하다. Song (2010)은 방축도 도폭의 각섬암이 변성화강암과 메타바사이트(meta-basite)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지르콘의 SHRIMP 분석을 통해 마그마 결정화(結晶化) 연령을 891.6 Ma, 889.1 Ma, 908 Ma (약 9억 년 전)로 추산하였다. = 분류:2022년 수리남 = = 고대 투피어 = 고대 투피어(Old Tupi language)는 브라질 바닷가에 사는 투피족이 쓰는 언어이다. 투피-과라니어족에 속한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서는 드물게 16세기부터 문자언어로 기록된 문헌이 남아 있으며, 브라질에서 유럽인 교역자들과 원주민 사이의 교통어(링구아 프랑카)로 널리 쓰였다. 나중에 포르투갈 당국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면서 급속히 쇠퇴하였고, 투피어 자체도 변화를 겪어 은네엥가투어로 계승된다. 현재는 사멸되었기 때문에 고(古) 투피어로 불린다. = 카렐 네드베트 = 카렐 네드베트는 보헤미아의 육상 선수로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네드베트는 400m 허들 경기에 참가했으며 5위에 올랐다. 네드베트는 예선에서 3위를 기록해서 결선에 진출하지 못한 이 종목의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5명의 선수가 예선에서 2조로 나뉘어서(2명, 3명으로) 경기를 했기 때문에 각 조의 상위 두 명만 결선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틀:자지체 면적/경계미정 = = 박영일 = 박영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박영일(朴泳逸, 1945 ~ )은 전 대농그룹 회장으로 박용학 전 대농그룹 명예회장의 장남이다. 박영일(1950 ~ )은 재일 한국인 음악가이다. 박영일(朴英一, 1955 ~ )은 대한민국의 제44대 민선 6기 경상남도 남해군수이다. 박영일(朴英一, 1955 ~ )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의원이다. 박영일(朴永逸, 1958 ~ )은 과학기술부 차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박영일(朴永一, 1965 ~ )은 대한민국의 경기도 성남시의원이다. 박영일(朴泳一, 1971 ~ )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밀양시의원이다. = 칼리오페 = 칼리오페(Calliope)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사의 하나로 서사시를 맡고 있는 여신이다. 이름의 뜻은 "아름다운 목소리"이다.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로, 호메로스에게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의 영감을 준 대표적인 무사로 알려져 있다. 칼리오페는 아폴론 혹은 트라키아의 왕 오이아그로스 사이에서 오르페우스와 리누스, 두 명의 아들을 가졌다. 무사들 중에서 가장 연장자이고, 높은 지혜와 지도력을 가지고 있다. 제우스의 부름을 받아 아프로디테와 페르세포네 사이에서 아도니스를 둔 논쟁을 중재하기도 하였는데, 둘 모두에게 그와 함께할 시간을 균등하게 배분한 것으로 알려진다. 두루마리와 첨필, 명판으로 상징되는 칼리오페는 손에 든 명판에 무언가를 쓰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오늘날에는 금관을 쓰고 두루마리나 책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 아폴로 9호 = 아폴로 9호 미션 기장 미션 기장 미션 통계 미션 통계 이름: 아폴로 9호 호출 부호: 사령선:CM-104검드롭달 착륙선:LM-3스파이더 승무원: 3 발사: 1969년 3월 3일16:00:00 UTC케네디 우주 센터,플로리다 LC 39A 달 착륙: - 달 선외 활동: - 달착륙 시간: - 월석질량: - 착수: 1969년 3월 13일17:00:54 UTC 달궤도 시간: - 임무 시간: 10일 1시간 00분 54초 원지점: 192.4 km 근지점: 189.5 km 궤도 주기: 88.64 분 궤도 기울기: 32.57° 승무원 사진 승무원 사진 왼쪽으로부터 맥디비트, 스콧, 슈바이카트 왼쪽으로부터 맥디비트, 스콧, 슈바이카트 아폴로 9호 승무원 아폴로 9호 승무원 제임스 맥디비트 - 선장
데이빗 스콧 - 사령선 조종사
러셀 슈바이카트 - 달착륙선 조종사 제임스 맥디비트 - 선장
데이빗 스콧 - 사령선 조종사
러셀 슈바이카트 - 달착륙선 조종사 아폴로 9호(Apollo 9)는 미국 NASA의 아폴로 계획에 의하여 발사된 유인 아폴로 우주선 중 3번째 유인 우주선이다. 1969년 3월 3일 새턴 V 로켓에 의하여 발사된 뒤 1969년 3월 13일까지 지구를 152회 도는 동안 J.A.맥디비트, D.R.스콧 및 R.L.슈바이카트의 세 우주비행사들은 사령선과 착륙선과의 도킹 작업과정을 연습하였다. = = 승무원 = = 제임스 맥디비트 - 선장 데이빗 스콧 - 사령선 조종사 러셀 슈바이카트 - 달 착륙선 조종사 = = = 백업 승무원 = = = 찰스 콘라드 - 선장 리처드 고든 - 사령선 조종사 앨런 빈 - 달 착륙선 조종사 = = = 지원 승무원 = = = 프레드 헤이스 잭 루스마 에드거 미첼 알프레드 워든 = = = 비행 지휘자 = = = 진 크랜즈 화이트 팀 게리 그리핀 골드 팀 페테 프랭크 오렌지 팀 = = 임무의 배경 = = 1967년 10월 시점의 계획에서는, 아폴로 7호(C미션)로 사령선과 기계선(CSM)의 첫 유인 궤도 비행을 행한 후에, 2번째의 유인 아폴로 미션(D미션)으로 유인의 CSM을 새턴 IB 로켓으로 쏘아 올려 며칠 후에 달 착륙선(LM)을 1기의 새턴 IB 로켓으로 쏘아 올리고, 첫 궤도 랑데부를 행할 예정이었다. 이 임무는 제임스 맥디비트와 데이빗 스콧과 러셀 슈바이카트가 담당해, 이것과 비슷한 지구 궤도 테스트(E미션)는 프랭크 보먼과 짐 러벨과 윌리엄 앤더스가 담당해 새턴 V 로켓으로 CSM과 LM 모두를 쏘아 올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LM의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해 D미션은 1969년 봄 이후가 되지 않으면 행할 수 없게 되어, NASA의 직원은 C미션과 D미션의 사이에 CSM만(LM 없음) 첫 달까지의 유인 비행을 행하는 「C-Prime」미션을 추가했다. 이 미션은 아폴로 8호가 되어 프랭크 보먼과 짐 러벨과 윌리엄 앤더스가 담당하게 된다. 순서로서는 제임스 맥디비트의 차례였지만, LM에 익숙하였기 때문에 「C-Prime」미션으로부터 떼어졌던 것이라고 그는 주장하고 있다. 원래의 E미션은 그 이후로 연기되었다. 아폴로 9호는 아폴로 우주선 전체적으로 유일한 지구 궤도 테스트로, 2기의 새턴 IB 로켓 대신에 1기의 새턴 V 로켓으로 발사되었다. 아폴로 8호와 9호의 승무원의 순서가 바뀐 것은 후에도 영향이 남았다. 백업 승무원도 바꿔 넣을 수 있어 최초의 유인 착륙 임무는 찰스 콘라드의 팀 대신에 닐 암스트롱의 팀(프랭크 보먼과 짐 러벨과 안윌리엄 앤더스의 백업 승무원이었다)의 차례로 되었다. = = 미션의 하이라이트 = = 아폴로 9호는 처음으로 우주에서 행해진 아폴로 우주선 전체의 테스트이며, 우주선을 구성하는 3번째의 중요한 부분인 달 착륙선의 테스트도 포함되어 있었다. 10일간 우주에서 체류하고, 지구 궤도상에서 3대의 우주선을 조작해, 달 궤도상에서 행하는 것과 같이 사령선과 달 착륙선을 떼어내 재도킹시켰다. 아폴로 우주선에 의한 궤도상에서의 랑데부와 도킹이 가능한 것이 아폴로 9호로 증명되었다. 이 임무 이후의 아폴로 우주선의 비행에서는, 승무원들은 그 우주선에 이름을 붙일 수 있게 되었다(마지막에 이름을 붙일 수 있던 것은 제미니 3호였다). 달 착륙선은 스파이더(거미)라고 이름이 붙여져 푸른 세로판에 싸였고, 케네디 우주 센터에 도착한 사령선은 검드롭(알사탕)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러셀 슈바이카트와 데이빗 스콧에 의한 EVA가 행해졌다. 러셀 슈바이카트는 새로운 아폴로 우주복(생명줄로 우주선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복자체에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다)을 체크했고, 데이빗 스콧은 사령선의 해치로부터 그를 촬영했다. 러셀 슈바이카트는 우주복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보다 대규모 활동을 행하고, 긴급시에는 달 착륙선으로부터 사령선까지 우주비행사가 EVA할 수 있는 것을 증명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가 우주 취기에 괴로워하고 있었기 때문에, 달 착륙선의 해치로부터 파우치에 나오는 것은 제한되었다. 제임스 맥디비트와 러셀 슈비이카트는, 지구 궤도에서의 LM의 테스트 비행과 분리와 도킹을 행했다. 처음에 하강단의 엔진을 사용해 검드롭으로부터 111마일까지 LM을 비행시키고, 그 후 하강단을 방폐해 상승단에서 돌아왔다. 착수점은 바하마에서 동쪽으로 180마일(290 km)의 북위 23° 15', 서경 67° 56'으로, 회수함으로부터도 보이는 위치였다. 사령선은, 미시간주 잭슨에 있는 미시간 우주 과학 센터에 전시되고 있었지만, 2004년 4월에 센터가 폐쇄되어 2004년 5월에 샌디에이고 항공 우주 박물관에 옮겨졌다. LM 상승단은 1981년 10월 23일에 궤도 감쇠했고, LM 하강단은 1969년 3월 22일에 궤도 감쇠했다. 달 착륙선을 꺼낸 후, S-IVB(새턴 V 로켓의 3단 로켓)의 J-2 엔진이 재점화되어 모두 불탈 때까지 분사해 태양 궤도에 실렸다. 승무원은 1969년 3월 8일에 "Happy Birthday"를 노래했다. = 분류:2NE1 = = 평판 디스플레이 =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는 음극 선관을 사용한 컴퓨터 모니터나 텔레비전보다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리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휴대성이 중요한 장치에 빠르게 적용되기 시작했고, 종류가 다양하다. = 향적산 = 향적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향적산 (충청남도) 향적산 (평안북도) 향적산 (포천시) = 도기 집모양 명기 = 도기 집모양 명기(陶器 家形 明器)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박물관에 있는 가야시대의 상형토기이다. 2019년 4월 10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99호로 지정되었다.부산광역시 고시 제2019-84호, 부산광역시지정문화재 지정 및 소유자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871호, 2019-04-10 = = 지정 사유 = = 집모양 토기는 가야문화권의 대표적인 상형토기로 알려져 있으며, 본 집모양 명기(家形 明器)는 기장 가동고분군(부경문물연구원 2014) Ⅰ-2 석곽묘 하부 목곽묘에서 출토된 것으로, 내부에서 공반된 단경호와 컵형토기의 형식으로 볼 때, 5세기 전엽 경의 제작품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집모양 도기는 총 20점 중에서 출토된 유적과 유구가 명확히 알려진 사례는 본 자료를 포함해 5점(①경주 사라리 5호묘 출토품, ②창원 석동 고분군 다-3지구 2호 목곽묘 출토품, ③함안 소포리유적 주혈 71호 출토품, ④창원 다호리 1B호 출토품, ⑤기장 가동 고분군 출토품) 정도이다. 기장 가동고분군에서 출토된 집모양 명기는 출토 상황과 연대를 알 수 있는 소수의 자료 중 한 점이라는 점에서 관련 연구를 심화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12개의 사각기둥을 평면 반원상으로 배치하고, 기둥 위에 반자(천장)를 덮은 후, 그 위에 맞배형 지붕을 올린 구조이다. 일상적 주거 및 생계와 관련된 시설이라기보다 의례(儀禮)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해 조성된 지역 고유의 건축물을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어, 기존 출토품에 비해 그 희소성 및 조형적 가치가 더욱 높다. 기장 가동 고분군 출토품 ‘도기 집모양 명기(陶器 家形 明器)’는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시대 집모양 도기 중 유례를 찾기 어려운 특징적인 자료로서, 매장의례는 물론, 한국 고대 건축의 발전 과정 및 건축에 투영된 다양한 문화적 함의(含意)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자료로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물의 희소성과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고려해 볼 때, 기장 가동 고분군 출토품 ‘도기 집모양 명기(陶器 家形 明器)’는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로 지정・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 = 참고 자료 = = * 집모양 명기 집모양 명기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Coventry Central = return { name = 'Coventry', top = 52.4181, bottom = 52.3975, left =-1.5343, right =-1.4838, image = 'Location map United Kingdom Coventry Central.png' } = 달수 아들 학교 가다 = 달수 아들 학교 가다는 1996년 5월 3일에 MBC에서 방영한 베스트극장으로, 달수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로 이번에는 달수네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촌지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와 갈등을 중심으로 우리 사회에 만연된 ‘촌지’ 문제를 풍자했다. = = 줄거리 = = 달수와 은숙 부부는 아들 영민의 초등학교 입학식에 참석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을 하며 마음이 분주하다. 승혜 엄마와 앞집에 사는 아줌마와 은숙에게 학교에 다녀왔다며 넌즈시 물어보자 은숙은 자꾸 망설이기만 한다. 달수도 틈만 나면 집으로 전화해서 영민의 학교생활을 물어본다. 친구도 애들 선생님에게 봉투며 음식을 갖다준 얘기를 하며 부모가 하기에 따라 애들이 달라진다고 말한다. 집으로 돌아온 은숙은 갑자기 영민 담임 선생님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영민이 제 시간에 학교에 오지 않는데 대해 핀잔을 듣는다. 영민의 학교 생활과 담임 선생님에 대한 문제로 은숙은 달수와 말다툼을 하게 되고, 영민은 계속해서 밤마다 악몽을 꾸는지 식은땀을 흘린다. 한숨을 내쉬며 캐나다로라도 이민을 가자는 은숙의 말에 달수는 이유를 캐묻고 촌지를 주었다는 말에 크게 놀란다. 은숙은 앞으로의 학부모 생활이 자신없다고 털어놓는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강남길 : 강달수 역 임예진 : 은숙 역 - 달수의 아내 미상 : 강영민 역 - 달수의 아들 = = = 그 외 인물 = = = 조형기 : 형기 역 - 달수의 친구 현석 : 은행지점장 역 문예지 노경주 송도순 = 기원전 308년 = = 분류:FC 빈터투어 = = 로저 클라크 = 로저 클라크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로저 클라크 (1978년생 배우): 성우이자 배우 로저 클라크 (1908년생 배우) = 분류:락슈미 = = 닝청현 = 닝청현은 내몽골 자치구 츠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4305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60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11개 진, 2개 향을 관할한다. 진: 天义镇, 小城子镇, 大城子镇, 八里罕镇, 黑里河镇, 甸子镇, 大双庙镇, 汐子镇, 大明镇, 忙农镇, 五化镇. 향: 三座店乡, 必斯营子乡. = 분류:문제 = = 가깝고도 먼 길 = 가깝고도 먼길은 한국에서 제작된 임권택 감독의 1978년 영화이다. 이진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최춘지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진호 손지훈 = = = 조연 = = = 방수일 김보미 = = 기타 = = 조명: 손영철 녹음: 이영길 = 2013년 스위스 국민투표 = 2013년 스위스 국민투표는 2013년에 실시된 스위스의 국민투표이다. 3월, 6월, 9월, 11월에 총 4회의 투표를 거쳐 11개의 안중 6개는 통과, 5개는 부결되었다. = 록히드 P-2 넵튠 = 록히드 P-2 넵튠은 대전이 끝난 뒤 미국의 해군 항공대의 주력이 된 초계기다. P-2 해상초계기는 잠수함,선박등을 타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우수한 해양 군용기다. = = 역사 = = 미 해군의 P-2 기체는 매우 뛰어난 해양 군용기였다. 냉전 초기, 50년대부터 70년대까지 미국을 적 세력의 잠수함과 선박으로부터 보호해줬다. 2발의 쌍발 엔진에, B-24와 비슷한 체격, 그리고 뛰어난 작전능력으로 널리 명성을 떨쳤다. 2차대전 당시의 영국의 모스키토 폭격기, 독일의 BF110과 덩치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는 항공기인데, 각 제트 엔진마다 15.1 kN의 추력을 지니고 있다. = = 보유국 = = P-2는 11개 이상국가들이 도입한 베스트셀러 군용기였다. * * * * * * * * * * * = = 일본의 P-2J = = 때는 태평양전쟁, 일본 제국에서 큐슈 Q1W 도카이가 제작된다. 1943년에 첫비행, 1945년 1월에 양산에 돌입했다. 일본 제국 해군은 기존에도 G4M이라는 중무장한 중형폭격기를 보유했지만, 미국의 첨단 공대함 전략을 보고 전쟁말기에 Q1W라는 초계기를 개발하게 된다. 종전 후 일본은 미국 초계기를 면허 생산한채 해군 항공대의 세력을 잇게 된다. P-2는 200대 생산. P-3는 107대가량 생산됐다. 가와사키에서 면허생산한 모델명은 P-2J였다. = = 대만의 P-2 = = 대만의 초계기 전력은 26대의 P-2, 12대의 P-3로 총합 38대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 틀:CO2 = = 영덕여자고등학교 = 영덕여자고등학교(盈德女子高等學校)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5년 11월 14일 : 영덕여자고등학교 2학급 설립(학교법인 조양학원)인가 1976년 3월 2일 : 이윤돈 이사장, 이발형 교장 취임 1976년 3월 6일 : 제1회 입학식 거행 1979년 2월 10일 : 제1회 졸업식 거행 1982년 10월 18일 : 영덕여자고등학교 12학급 학칙 변경 인가 1992년 7월 29일 : 학생생활관 준공 2003년 12월 4일 : 신관 교실 준공 2011년 3월 25일 : 제10대 석촌 박두호 이사장 취임 2011년 4월 1일 : 학교법인 석촌교육재단 변경인가 2018년 7월 1일 : 친환경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 조성 2021년 1월 6일 : 제43회 졸업식(55명) (졸업생 누계 5,755명) 2021년 3월 1일 : 제10대 박천애 교장 취임 2021년 3월 2일 : 제46회 입학식(47명) = 분류:강성 문씨 = = 분류:핀란드의 올림픽 근대5종 참가 선수 = = 소련여자 = 소련여자(, , 1997년~)는 러시아 출신의 대한민국의 유튜버이다. 러시아 케메로보 주 프로코피옙스크에서 태어났으며 국립 노보 시비르스크 대학교 동양학을 전공하고 인문학 학사를 수료했다. 주로 대한민국과 일본을 연구했었다. 대학 시절 교수의 말에 따르면 "대학시절엔 조용한 학생이었다"라고 말했다. 소련여자는 원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팬이었으나 노쇼 사태 이후 그의 유니폼을 불태우는 영상을 업로드하였는데 그 영상이 소련여자의 첫 영상이었다.노쇼 사태 이후 손흥민의 팬이 되었다. 그 이후 영상이 유명해지면서 소련여자는 유튜브를 시작하였다. 초반에는 'Kris O'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으나 후에 소련여자로 바뀌었고 일본 불매운동 외국인 반응, 애국 보드카 병뚜껑 챌린지, 5만원으로 유튜브 시작하는 방법 등 다양한 영상들을 올리며 화제가 되기 시작했으며 7개월 만에 구독자 84만명을 돌파하는 등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2020년 7월 21일 구독자 100만명을 달성했다. 2022년 이름을 크리스[구 소련여자]로 바꿨다 = = 학력 = = 국립 노보시비르스크 대학교 동양학 전공, 인문학 학사 수료 숙명여자대학교 어학당 졸업 = 틀:이스라엘의 영토 분쟁 = = 분류:재외 키르기스스탄인 =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국가수리과학연구소(國家數理科學硏究所, , NIMS)는 수리과학 분야를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정부출연연구소로 기초과학연구원의 부설 연구소이다. = = 설립 목적 = = 전문적인 수학연구를 통해 수학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수학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 강화 = = 연혁 = = 2005년 10월 1일 : 수학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설립 2005년 10월 : 초대 소장 조용승 박사 2008년 10월 : 제 2대 소장 김정한 박사 취임 2010년 8월: KT대덕제2연구센터로 청사 이전 2012년 8월 : 교육과학기술부 직할기관 기초과학연구원 부설연구소로 이관 2012년 9월 : 제 3대 소장 김동수 박사 취임 2013년 11월 : 수학원리응용센터(Center for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Principles, CAMP) 출범 2014년 10월 : '산업과 수학' 국제 워크숍 개최 2015년 9월 18일 : 제 4대 소장 박형주 박사 취임 2016년 3월 24일 : 산업수학혁신센터 개소(판교 스타트업캠퍼스 내) 2018년 1월 30일 : 제 5대 소장 정순영 박사 취임 2019년 2월 15일 : 산업수학혁신센터 이전(광교 경기도 경제진흥원 R&DB센터 내) 2019년 2월 21일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의료수학센터 개소(대전 본원) 2020년 4월 1일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 개소(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연구동 5층 ICT 융합센터 내 ) = = 주요 임무 = = 수리과학 관련 연구 수리과학 관련 학술 및 연구정보의 수집 제공 수리과학 관련 인력양성 및 대내외 협력 수리과학 대중화 및 기타 필요한 사업운영 수학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 강화 = = 주요 연구팀 = = 공공문제연구팀 암호기술연구팀 산업수학혁신팀(광교 산업수학혁신센터) 수학원리응용팀(수학원리응용센터) 의료영상연구팀 의료데이터분석연구팀 수리모델링팀 감염병연구팀 의료수학전략연구팀 부산의료수학팀(부산의료수학센터) = = 역대 원장 = = 2005: 조용승 2008: 김정한 2012: 김동수 2015: 박형주 2018: 정순영 2021: 김현민 () = 비긴어게인 (시즌 1) = 비긴어게인의 첫 번째 시즌은 JTBC에 힐링 음악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한국 가수들이 해외로 떠나 '버스킹'이라 불리는 길거리 공연을 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일정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JTBC JTBC 2017년 6월 25일 ~ 2017년 9월 10일 매주 일요일 밤 10:30 ~ 12:20 = = 출연진 = = 이소라 유희열 윤도현 노홍철 = = 에피소드 목록 = = 회차 부제 (서브 타이틀) 탐방지(국경) 탐방지(국경) 비고 1회 Begin Us' Begins 더블린 2회 Begin Us' in Slane Castle 슬레인캐슬 3회 Begin Us' Meltdown 골웨이 4회 Begin Us' has just begun 골웨이 5회 We're going to Chester 체스터 6회 A Flying Yoon Do-hyun 리버풀 7회 Come Together! 리버풀 8회 Imagine 맨체스터 9회 MADE IN HEAVEN 몽트뢰 10회 Rock And Roll 몽트뢰 11회 I Remember 몽트뢰 12회 축복합니다. 샤모니 = = 시청률 = = 2017년 2017년 2017년 회차 방송일 AGB 닐슨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 (전국) 1 6월 25일 5.097% 2 7월 2일 4.378% 3 7월 9일 4 7월 16일 5.115% 5 7월 23일 4.743% 6 7월 30일 4.783% 7 8월 6일 4.778% 8 8월 13일 4.944% 9 8월 20일 4.992% 10 8월 27일 11 9월 3일 4.885% 12 9월 10일 4.541% = 일로 나들목 = 일로 나들목(Illo IC)은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에 설치된 서해안고속도로의 2번 교차로이다. 나들목 진출입로는 일로읍 감돈리와 접하고 있다. 요금소는 무안(목포) 방향으로 오고 가는 차량들의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해 서울 방향 진출로와 무안 방향 진입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방도 제815호선을 통해 일로읍내로 진출할 수 있으며, 인근에 호남선 일로역이 있다. = = 연혁 = = 1995년 12월 11일 : 1997년 12월까지 나들목 구조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 삼향면 맥포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건설교통부고시 제1995-400호, 1995년 12월 11일. 1998년 8월 25일 : 서해안고속도로 무안 ~ 목포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건설교통부공고 제1998-354호, 1998년 8월 22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영업소: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문화로 690-10 = = 접속하는 도로 = = 지방도 제815호선 (문화로) 간접 연결 : 지방도 제820호선 (삼일로, 월암 교차로 이용)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각주 일로 (개방식) 275 606 669 716 812 887 915 924 997 1,000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일로 (개방식) 1,027 1,401 1,459 1,459 1,461 1,512 1,649 1,960 2,183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분류:1941년 에스토니아 = = 유거 = 한 여황 유거(漢 戾皇 劉據, 기원전 128년 - 기원전 91년 9월 30일)는 중국 전한 한 무제의 황태자이다. 무제와 무사황후의 아들이며, 소제의 이복형이다. 선제의 할아버지이다. 무제와 소원한 관계였던 여태자는 기원전 91년 8월 방술사 강충의 무고(誣告)를 받자, 강충을 죽이고 거병하였으나 관군에 패하고 호현(湖縣, 지금의 허난성 링바오시 예령진 저동촌(豫灵镇 底董村))에서 측실 사양제와 함께 자살하였다. 이어 사황손 유진 내외도 자살하면서 오합지졸이 된 봉기군은 관군에게 진압되었다. 살해된 그는 호현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두 아들과 함께 묻혔다. 그 후 그의 모후 위자부는 폐출되어 감금되어 있다가 자결하였고, 여태자의 처는 연좌율을 적용해 사형에 처하였다. 뒤에 강충의 무고를 알게 된 무제는 후회하여 여태자가 자결한 곳에 사자궁(思子宮)을 세워 장남의 넋을 위로하였다고 한다. 손자 유병이만이 가까스로 그의 외가인 위씨 일족에 의해 구출되어 목숨을 이어갔다. 유병이가 황제로 즉위한 후(선제), 시호로 여(戾)를 올렸고 황조고(皇祖考)라 칭했으며 그를 기리는 황조고묘(皇祖考廟)를 세웠다.참고. = = 가계 = = 부황 : 한 무제 모후 : 무사황후 서모 : 조첩여 이복동생 : 소제 처 : 민부인(民夫人), 이름만 전하며 행적이 전하지 않는다. 후궁 : 사양제 서자 : 유진 며느리 : 도황후 왕씨 * 손자 : 선제 후궁 : 이씨 후궁 : 이름 불명 = 조던 마스터슨 = 조던 마스터슨(Jordan Masterson, 1986년 4월 9일 ~ )은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롱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 = = 방송 = = 라스트 맨 스탠딩 8 라스트 맨 스탠딩 4 라스트 맨 스탠딩 3 라스트 맨 스탠딩 2 그릭 4 = = 영화 = = 배드 루미스 (2015년) 그릭 1 (2007년) 조지 로페즈 (2002년) = 1997 사모아 내셔널 리그 = 1997 사모아 내셔널 리그는 사모아 내셔널 리그의 여덟 번째 시즌으로, 키위 FC가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사모아 내셔널 리그 역대 우승팀 at RSSSF 사모아 컵 결승전에서는 키위 FC가 바이바세-타이 FC를 상대로 3-2로 승리를 거두었으나, 바이바세 타이 소속 선수가 퇴장 명령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경기장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에 키위 FC의 몰수승으로 기록되었다.Samoa 1997 = 틀:프라우언 에레디비시 = = 분류:몰타의 모델 = = 오랴호보 = 오랴호보는 불가리아 브라차주의 도시로 높이는 173m, 인구는 5,400명(2009년 12월 31일 기준)이다. 도나우강 우안의 언덕에 위치하며 루마니아 국경과 가까운 편이다. 루마니아 국경에서 도나우 강으로 흘러가는 지우 강의 하류와 접한다. = 알우세마스 제도 = 알우세마스 제도(Alhucemas Islands)는 알보란해 모로코 해안에서 떨어진 스페인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의 하나이자 섬들의 그룹이다. 알호세이마의 모로코 타운에서 300미터, 세우타에서 동쪽으로 146킬로미터, 멜리야에서 서쪽으로 84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 = 구성되는 섬 = = 페뇬데알우세마스섬(Peñón de Alhucemas) 티에라섬(Isla de Tierra) 마르섬(Isla de Mar) = 분류:기독교 급진주의 = = 공주신월초등학교 = 공주신월초등학교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8. 06. 19 공주신월초등학교 설립인가(18학급) 2002. 03. 02 신관초등학교에서 17학급 분리하여 시업식 거행 2002. 03. 05 초등학교 23학급 편성, 병설유치원 2학급 편성 2002. 06. 01 개교식 2004. 03 ~ 2006. 02 도교육청지정 에너지절약 연구학교 운영 2007. 03 ~ 2009. 02 도교육청지정 수학과 연구학교 운영 2010. 03 ~ 2011. 02 도교육청지정 사교육없는학교 시범학교 운영 2010. 12. 10 2010 영재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0. 12. 20 2010 학교보건관리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1. 12. 10 2011 사교육창의경영학교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1. 12. 27 2011 방과후학교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2. 07. 03 제41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수교 교육감 표창 2012. 10. 10 우리 땅 독도 사랑의 날 운영주간 우수교 교육감 표창 2012. 12. 18 충남교육정책 우수교 교육감 표창(독서 콘서트) 2013. 02. 14 제11회 319명 졸업 (총 2,660명) 2013. 02. 22 교원능력개발평가 운영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 2013. 07. 06 2013 청소년의 달 친구사랑주간운영 교육감 표창 2013. 10. 16 2013 충남 100대 교육과정 최우수교 교육감 표창 2013. 12. 24 2013 자율장학 우수교 교육감 표창 2014. 02. 13 제 12회 286명 졸업(총 2,945명) 2014. 03. 01 초등학교 일반 45학급, 특수 1학급, 병설유치원 2학급 편성 2014. 03~2016. 02 도교육청 지정(교육부요청) 교원평가 시범학교 운영 2014. 05. 09 2014 계획단계 학교교육과정 최우수교 교육감 표창 2014. 05. 30 2014 청렴 인증평가 1등급 학교 선정 교육감 표창 2014. 07. 02 2014 청소년의 달 친구사랑주간 운영 교육감 표창 2014. 12. 31 제12회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2015. 02. 12 제13회 235명 졸업(총 3,180명) 2015. 03. 01 일반학급 43학급, 특수학급 1학급 = 소쇄원 = 소쇄원(瀟灑園)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원이다. 조선 중종 때 학자 양산보(梁山甫,1503~1557)가 기묘사화로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화를 입자 시골로 은거하러 내려가 본가 창암촌의 옆 계곡에 지은 별서정원(別墅庭園)으로, 자연미와 구도 면에서 조선시대 정원 중에서도 첫손으로 꼽힌다. 1983년 7월 20일에 사적 제304호로 지정되었고, 2008년 5월 2일에 명승 제40호로 변경되었다. = = 개요 = = 당시 건물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으나 다시 복원, 중수하여 현재 2동이 남아 있다. 소쇄원은 조선중기 호남 사림문화를 이끈 인물의 교류처 역할을 하였다. 면앙 송순, 석천 임억령, 하서 김인후, 사촌 김윤제, 제봉 고경명, 송강 정철 등이 드나들면서 정치, 학문, 사상 등을 논하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양산보 호를 따서 지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 ‘소쇄’라는 이름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 1493~1583)이 ‘맑고 깨끗하다’라는 뜻으로 지었다는 사실이 2021년 밝혀졌다. = = 건물 = = 소쇄원은 지금은 1905년에 소실된 창암촌 본가의 후원으로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구분하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쇄원은 내원을 말한다. 그 외 창암촌과 소쇄원 사이 황금정 행정의 건물이 있었고 외부에는 방암촌 관덕재 죽림재 활터 등의 건물이 존재했었다. 정원 광풍각 매대 = = 정원 = = 정원은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다. 4.060m2의 면적에 기능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애양단구역, 오곡문구역, 제월당구역, 광풍각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원 내에는 대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들로 된 숲이 있다. 주위에는 흙과 돌로 쌓은 자연스러운 담이 있는데 ‘애양단’, ‘오곡문’, ‘소쇄처사양공지려’의 석판과 목판글씨가 담벽에 박혀있다. 소쇄원 안에는 영조 31년(1755) 당시 소쇄원의 모습을 목판에 새긴 그림이 남아 있고, 양산보의 5대손 양응지가 그린 본가 창암촌도의 그림이 남아있어 원래의 규모에서 축소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선비의 고고한 품성과 절의가 엿보이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조선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정원이다. = = 연대표 = = 1503 (연산군9) 소쇄원 주인이자 조원가 양산보, 양사원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나다. 1517 (중종12) 양산보, 15세에 상경하여 정암 조광조(1482~1519)의 가르침을 받다. 1519 (중종14) 양산보, 17세에 과거(현량과)에 합격했으나 합격자가 너무 많다는 이유로 등용되지 못하다. 기묘사화로 양산보의 스승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다. 1520 (중종15) 양산보, 스승 조광조의 죽음을 계기로 고향 지석동 창암촌으로 낙향하다. 1530 (중종25) 양산보, 소쇄원 조경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다.조선시대 작정된 정원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민간정원은 경북 경주시에 위치한 양동 서백당으로 1484년(성종15)에 만들어졌다. 1534 (중종29) 소쇄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하다.소쇄원초정에 관하여 제일 이른 기록으로 면앙집1권에 수록된 시가(외제양언진소쇄정사수가정갑오外弟梁彦鎭瀟灑亭四首嘉靖甲午) 1548 (명종3) 하서 김인후가 소쇄원48영을 짓다. 1557 (명종12) 양산보, 55세에 사망하다. 1592 (선조25) 정유재란 중에 건물이 불에 타다. 1614 (광해군6) 양산보의 손자 천운(1568~1637)이 재건하다. 1674년생 양산보의 5대손 양응지가 소쇄원 본가 창암촌도를 그려 원래의 소쇄원 규모와 설립된 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1755 (영조31) 판화로 소쇄원도가 만들어지다.1983년 소쇄원판이 종가에 보관되어 있다는 언론 보도 이후 도난당해 현재 탁본 한 장이 겨우 남아 있다. 1905 소쇄원의 본가 창암촌과 황금정 행정 등의 건물이 친일세력에 의해 불타다. 1973 소쇄원이 최초로 학술논문에서 다뤄지다.정동오,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제3집, 1973 1979 소쇄원을 다룬 단행본 서적(사진집)이 최초로 출간되다.임응식, 한국의 고정원 소쇄원, 광장, 1979 1981 국가 사적 304호로 지정되어 문화재로 인정받다. 1983 소쇄원 보존을 다룬 정부 당국 보고서가 출간되다.문화재관리국, 심경구 외, 담양소쇄원 보존정비계획 및 설계, 1983 1990년 양산보의 15대 종손 양재영이 전국에 흩어져 있는 소쇄원 관련 한시를 모아 소쇄원보존관리위원회 명의로 <소쇄원 시선>을 출판하다. 1991 양씨 종중이 소쇄원 관리비 마련을 위해 입장권 유료화를 추진하자 담양군이 이를 ‘불법 징수’라며 반대하여 실현되지 못하다. 1993 유홍준의 저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에 '담양 소쇄원: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라는 한 장으로 소개되어 전국적인 유명세를 얻다.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 창비, 1993이후 전문가나 지역주민에게만 알려져있던 소쇄원이 문화유적 면적당 관람객 수 1위를 차지하게 된다. 1995 소쇄원을 다룬 석사학위 논문이 최초로 출간되다.장수영, 별서 소쇄원에서의 공간구조상의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5 2005 소쇄원 입장료(어른 기준 : 천원)를 받기 시작하다. 양씨 종중이 문화재청을 상대로 ‘명승지정 및 관리단체 지정취소’ 소송을 제기하다. 2008 명승 제40호로 지정되다(국가 사적 제304호 지정 해제). 소쇄원을 다룬 박사학위 논문이 최초로 출간되다.권수용, 소쇄원의 역사와 인문활동 연구, 전남대학교, 2008 2010 담양군이 조례를 만들어 조례를 편법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담양군 권유에 의해 일부 종중원이 참가하여 급하게 만들어진 법적인 지위를 갖추지 못한 양씨 종중에 현지 관리인 추천권을 주고 법적 지위를 갖추지 못한 종중 총회에서 의결한 종중사업에 대해 수익금 일부(입장료의 40%)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는 타협안을 제시해 합의해 입장료 수익 관리를 하고 있다. 2024 양산보의 15대손 양재혁이 선조들의 유언 소쇄원을 절대 떠나지 말고 지켜라는 뜻을 이어 실제 소쇄원에 거주하며 실제 관리하고 있다. 소쇄원을 다룬 가장 최근 단행본 서적이 출간되다.이기동, 천국을 거닐다, 소쇄원: 김인후와 유토피아, 사람의무늬, 2014 소쇄원을 다룬 가장 최근 박사학위 논문이 출간되다.장익식, 소쇄원 오곡문 담장 구조형태 해석에 관한 연구 : 담장 축석(築石)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14 소쇄원 알기 모임(1차)이 개최 예정이다일시 : 2014년 10월 11일(둘째 주 토요일) 오후 2시, 장소 : 한국가사문학관 강당(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319), 주최 : 소쇄원 알기 모임 및 전남대 건축역사연구실 = 테오베르토 말러 = 테오베르토 말러(Teoberto Maler, 1842년 1월 12일 ~ 1917년 11월 22일)는 마야 문명의 유적을 문서화하는 일에 헌신하였던 탐험가이다. 독일의 부모에게서 로마에서 태어났다. 말러는 사진술과 메소아메리카의 골동품에 관심으르 보였다. 1876년 미틀라의 구조물의 세세한 사진을 찍었다. 이듬해 여름에 산크리스토발데라스카사스로 건너가서 7월 팔렝케의 유적지를 방문했다. = 빨래 건조기 = 빨래 건조기는 세탁된 의류를 열풍으로 완전히 건조시켜 주는 가전 제품이다. 영어권에서는 의류 건조기라는 의미의 clothes dryer 또는 회전식 건조기라는 의미의 tumble dryer라고 한다. = = 개요 = = 서구 문화권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롤압착 탈수기를 이용하여 실외의 날씨에 관계없이 손쉽게 빨래를 말릴 수 있는 방식이 고안되었으나,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다. 이후 건조 열풍을 이용한 건조기가 개발되어 상용호되면서 20세기 중반 이후 서구 선진국에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 = 작동 방식과 종류 = =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주로 본체 내의 드럼과 팬이 회전하면서 생기는 열풍에 의한 방식이 이용된다. 동력은 주로 전기를 이용하며, 가스나 온수 순환식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도 있다. 서구 선진국에서는 주로 세탁기와 별도로 건조기만으로 된 것을 쓴다. 세탁기에 건조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출시되며, 이를 영어권에서는 Combo washer dryer 또는 washer-dryer라고 한다. 한국에는 크게 가스식과 전기식 제품들이 알려져 있는데, 가스식의 경우 열풍의 강도가 세서 건조 효율성이 높고, 가스비가 싼 한국 특성상 에너지 효율면에서 다소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풍의 강도 때문에 옷감 손상에 대한 우려가 있는 편이며, 보일러에 연통을 연결해야 하므로 개별적인 배기관 공사가 불가피 하다는 점은 단점이라고 보고 있다. 전기식은 전원 코드만 연결하여 바로 제품 구동이 가능하며, 그 편리성 때문에 최근 더 선호되는 추세이다. 전기식은 말 그대로 건조기를 구동하는 전원에 대한 문제이고 전기식 안에서도 히팅 방식에 따라 1.히터 건조 및 2.히트펌프 건조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또한, 습기 배출 방식에 따라 다시 A.에어벤트 및 2.컨덴싱 방식으로 나누어 진다. [건조 방식] 1. 히터 건조: 열선 등으로 처리된 히터가 발열을 하고, 팬 등을 이용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더운 공기가 드럼안으로 들어가 내용물을 건조하는 방식. 2. 히트펌프 건조: 일명 저온제습 건조 방식이라고 불리며, 제습기와 비슷한 구동 원리로 제습 하듯이 내용물의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방식. 대신 일반적인 히터 건조 방식 대비 부품 등의 원가 차이가 2배 이상 나기 때문에 소비자가격 또한 고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습기 배출 방식] A. 에어벤트 방식: 말 그대로 에어(Air: 공기) + 벤트(Vent: 환기)의 합성어로, 공기를 환기하듯이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하여, 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연통 등의 도구를 이용하며, 원활한 습기 배출을 위해 환기가 용이한 베란다나 다용도실 등의 환경에 설치가 적합한 방식이다. B. 컨덴싱 방식: 내용물의 습기를 빼앗은 습한 공기가 에어벤트 방식과 같이 외부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장착된 냉매 등의 컨덴싱 매개체와 만나 물로 증발시켜 고이게 만드는 방식이다. 하여, 별도로 연통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고인 물을 제품 가동 후에 비워내주기만 하면 되어 사용 환경에 제약이 많이 없는 편이다. = = 장단점 = = 실외의 날씨에 관계없이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쉽게 건조시킬 수 있는 점,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점 등이 장점이다. 단점으로는 강력한 열풍으로 옷감이 쉽게 상할 수 있는 점과 전력 소모량이 많은 점이 거론된다. 특히 전력 소모량이 많아 환경 파괴 문제의 주범으로 거론되고 있어, 예전처럼 빨랫줄을 이용하여 실외에서 건조하는 것을 권장해야 한다는 운동도 펼쳐지고 있다“집안 전구부터 바꿔라”타임, 지구온난화 늦추기 51가지 방법 특집 문화일보 2007년 4월 2일 = = 보급 = = 미국·캐나다·서유럽 등 서구 선진국에서는 이 기구가 널리 보급되면서 예전처럼 실외에서 빨래를 말리는 모습을 보기 어려워졌다. 미국에서는 웬만한 가정에는 세탁기와는 별도로 건조기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 기구가 보급된 이래 실외에서 빨래를 말리는 풍습이 많이 사라졌고, 빨래를 밖에서 말리는 것을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실외에서 빨래를 너는 것을 조례를 통하여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집 마당에서도 빨래를 너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실외에서 빨래를 말리려는 사람과 이를 좋지 않게 보는 사람간의 다툼이 이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이로 촉발된 살인 사건까지 일어난 사례가 있다美 빨랫줄 싸움 서울신문 2009년 10월 13일 최근 미국에서는 전력 소모가 많은 빨래 건조기 사용을 줄이고, 실외에서 빨래를 널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반면 대한민국·일본·타이완 등지에서는 세탁기는 폭넓게 보급되어 있으나, 빨래 건조기는 상대적으로 잘 보급되어 있지 않다. 이들 국가에서는 빨래를 집 밖에서 말리는 것에 대한 거부감 결여, 좁은 주택 구조와 문화적인 차이, 전기 요금에 대한 부담 등으로 보급이 더딘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에서 빨래 건조기는 세탁소 등 영업장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일반 가정에는 거의 보급되지 않았다가 2000년대 이후 드럼 세탁기와 함께 보급되고 있으나 전력 소모량이 많아 널리 활용되지는 않고 있다. 건조기는 세탁기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대한민국의 가정에는 대개 드럼 세탁기에 건조 기능이 추가된 건조 겸용 세탁기로 보급되고 있다. = 박익 = 박익(朴翊, 1332년 ~ 1398년)은 고려의 문신으로,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밀성(密城)으로 밀양 박씨 가문의 18대조이다. 초명은 박천익(朴天翊),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이다. = = 생애 = = 고려 말에 동경판관(東京判官)·예부시랑(禮部侍郎)·중서령(中書令)·세자이사(世子貳師)·사재소감(사재감, 궁중에서 쓰는 어류,육류,소금,땔감 등을 공급하는 조달청(현재의 조달청 차관급))의 벼슬을 지냈다. 1385년 ~ 1392년 사이에 상장(上將)으로 아장(亞將) 강회중(姜淮中)과 함께 남으로는 왜구를 토벌하고 북으로는 여진족을 토벌하여 남정북벌(南征北伐)에 공이 컸다. 그 후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모든 직에서 물러났다. 박익은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고향인 밀양 삽포리 송계마을로 귀향했다. 조선 태조는 1393년부터 4년 동안 공조판서·형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에 임명하는 등 다섯 번에 걸쳐 조정에 출사할 것을 명했으나, 박익은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며 응하지 않았다. 1398년 사망하였다. 그 후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 벼슬이 내려지고, 이듬해 충숙공(忠肅公)의 시호가 내려졌다. = = 일화 = = 박익의 출사를 권유하는 4번째 예관으로 방문한 권근이 박익에게 예의를 다하여 사폐의 은전을 전달하자, 박익은 안맹이롱을 하면서 손글씨로 "나는 이씨의 곡식을 먹지 않겠다, 또한 사폐는 백성들의 피와 눈물 같은 것이니 절대로 받지 않겠다"고 완강히 거절하였다. 이에 권근은 자식들이라도 조선의 관직을 제수하도록 태조의 성은을 전하자, 박익은 "큰아들 우당(憂堂) 박융은 집안에서 불미스러운 일과 근심거리만 만드는 말성꾸러기 자식이니 벼슬을 주어 보았자, 조선에 걱정 꺼리만 끼칠 불충한 신하가 될것이 뻔한 자식이고, 둘째 아들 인당(忍堂) 박소는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돌발적인 성격에 인내심도 부족하여, 언젠가는 조선의 명령을 거역하는 역적이 될 수 있는 자식이고, 셋째 아들 아당(啞堂) 박조는 말못하는 벙어리이므로 벙어리에게 나라에서 벼슬을 내려주면 백성들에게 웃음거리가 될것이 뻔한 자식이고, 넷째 아들 졸당(拙堂) 박총은 모든일을 처리하는 것이 졸렬하고 한심스러운 자식이다." 라고 말하였다. 박익은 이런 자식들에게 벼슬을 내려주면 백성들에게 웃음거리가 될 것이 염려스러우며, 태조는 조선에 알맞은 인재를 찾아 등용하는 것이 올바른 이치라고 말하였고, 자식들의 벼슬마저도 사양하고 죽기만을 애걸하였다. 권근이 태조에게 이러한 말을 전달하자, 태조는 박익의 고려에 대한 충성과 절개에 감명을 받아 말하기를 "그는 나에게는 역적이지만 고려에는 충신이 아닌가. 고려의 늙은 신하로서 어찌 그에게 허물이 있겠는가?" 하며 더이상 논죄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망 전날, 박익은 네 아들과 며느리를 불러놓고 유언을 남겼다.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세 조정을 두루 섬겼으니, 하늘의 은혜가 한이 없고, 신운도 매우 좋았다. 너희들에게 문장이 있으니, 가히 음덕을 심을 만하고, 또한 너희들에게는 자식들이 진진하니, 집안이 번창할 것이다. 그밖에 무엇을 바라겠는가. 나는 왕씨의 혼령을 따라가지만, 너희들은 이씨의 세상에 있게 되었다. 기히 다른 사람의 신하가 되었으니, 충성을 한다면 힘껏 하여라. 선천과 후천이라, 아버지와 아들이지만 시대가 달라졌다. 사랑하는 나의 네 며느리들, 한 마음으로 효성을 다하였으니, 어찌 불영이 이와같은 복을 누렸단 말인가." = = 묘소 = = 경상남도 밀양시의 밀성 박씨 묘역에 박익의 묘(밀양 박익 벽화묘)가 있다. 이 묘는 조선 초기의 방형묘로, 내부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어 당시의 생활풍속을 알 수 있고, 묘지석이 출토되어 박익에 대한 정보를 전해주고 있다. 발굴된 묘지석에 의하면 1420년(경자년 2월, 세종 2년)으로 밝혀졌고, 송은집에 나오는 사망년도는 1398년으로 적혀있다. 2005년에 사적 459호로 지정되었다.; = = 상훈과 추모 = = 별세 후 좌의정에 추증되고 충숙(忠肅)이라는 시호가 내렸으며, 밀양의 덕남서원(德南書院)과 신계서원(新溪書院), 용강사(龍岡祠)에 제향되었다. = = 저서 = = *송은집(松隱集) = 분류:일본의 종교학자 = = 분류:고대 로마의 건축물 = = 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 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는 대한민국의 지역주의에 대해 분석한 정치학 도서이다. 2009년에 대한민국에서 출간되었다. = = 저자 = = 저자 박상훈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를 마쳤다. 현재 도서출판 후마니타스의 대표로 있다. 그의 저서로는 대통령제냐, 내각제냐, 지배담론화된 정치개혁과 민주주의, 1단계 민주화의 종결, 어떤 민주주의인가등이 있다. 그가 번역한 책으로는 미국 헌법과 민주주의등이 있다. = = 내용 = = 지역주의는 과거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온 담론이라는 의견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지역주의가 1971년 총선거 이후 박정희 정권을 통해 조작되었지만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민주화 이행 당시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라는 갈등 축을 지역 후보들간의 갈등으로 치환하고자 하였던 보수언론과 구 권위주의 세력에 의해 유포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의 지역주의적으로 보이는 지역간 투표 격차는 지역주의 정서가 아니더라도 합리적 선택 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역사적 사례, 각종 선거 등에 나타난 기존 지역주의 담론에 대한 반박을 관련자료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 = 출처 = = 《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 마리오 페인트 = 마리오 페인트(Mario Paint, )는 1992년에 슈퍼 NES용으로 닌텐도가 출시한 비디오 게임이다. 슈퍼 NES 마우스 주변기기와 함께 포장되었다. = = 게임플레이 = = 기본적인 드로잉 기능 외에도 마리오 페인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지정 도장을 화소 대 화소 단위로 만들 수 있다. 닌텐도 파워와 같은 여러 출판물들은 마리오 페인트 내에서 아이콘화된 닌텐도 관련 도장들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공개하였다. 단순히 정적인 그림을 만드는 것 외에도 사용자는 단순한 반복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으며 음악 제작기에서 만든 음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린 이 애니메이션들은 텔레비전 화면으로만 볼 수 있으며 이를 비디오카세트 레코더로 녹화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지만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마리오 페인트에서 작업한 작업물을 내보내는 방법은 없다. 또, 60개의 각기 다른 텍스처와 패턴, 75개의 다른 도장, 15개의 사용자 지정 가능한 도장, 장면 간 9개의 각기 다른 특수 지우개 변화 효과를 표준으로 제공한다. 마리오 페인트에는 그냇 어택(Gnat Attack)이라는 미니 게임이 있으며, 이것은 마우스를 이용한 액션 게임이다. 마리오 페인트의 타이틀 화면은 이스터 에그 미니 게임이다. 사용자는 타이틀의 각 문자를 클릭하여 특정한 액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정한 문자를 가지고 음악을 바꾼다든지 마리오가 줄어들었다 커지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배경에 페인트칠을 하는 등의 일도 할 수 있다. = 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전력분석관 = = 틀:동아시아 위치지도/설명문서 = = 뮤직 포레스트 = 뮤직 포레스트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전라남도 민영방송사 kbc의 라디오 kbc My FM(광주·전남 중북부,전남 서남부 FM 101.1㎒/전남 영광 FM 104.3㎒/전남 동부권 FM 96.7㎒/전남 광양 FM 90.7㎒)에서 김주하의 진행으로 평일 오후 4시에 방송 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 프로그램 소개 = = 80년대 태어난 X세대, MZ세대 그리고 자영업, 주부, 운전기사 등등이 가장 보통의 오후를 보내면서 부담없이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 = = 매일 코너 = = 오늘의 4rest송 (청취자 사연) 주간 코너 : 음악의 숲 월 : 클래식/국악/재즈/월드뮤직 화 : 포크송, 락, 발라드 등 수 : 아이돌+힙합 목 : 트로트 금 : 금요 난장 1부 공동 코너 : 로컬의 숲 (톡(Talk)파원 전화 연결) 주간 코너 : 지혜의 숲 월 : Economy(창업,재테크,부동산,교육,건강) 화 : Culture(책,공연,음악) 수 : Local (이슈) 목 : Trend, 아웃도어, 스포츠 금 : 금요 난장 2부 = 분류:베이징시 출신 음악가 = = 유럽 천문학회 = 유럽 천문학회 약어 EAS 설립 1990 ; 33년 전 유형 NGO, 학회 목적 가장 넓은 의미에서 모든 적절한 수단을 통해 유럽에서 천문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이를 촉진한다. 본부 제네바 대학교 천문학과 위치 유럽 천문학회(European Astronomical Society, EAS)는 1990년 유럽의 천문학 발전에 기여 및 촉진하고 유럽 수준의 천문학 문제를 다루는 단체로 스위스 민법에 따라 설립된 학회이다. 개별 전문 천문학자의 학회이며 모든 유럽 천문학자는 작업 분야, 작업 또는 출신 국가와 관계없이 회원이 될 수 있다. 이 학회는 유럽의 천문학적 발전의 모든 측면에 대한 토론을 위한 포럼을 제공하고 유럽 전역의 발전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천문학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이다. 마틴 베이스(Maarten Baes, 벨기에)가 유럽 천문학회 뉴스레터의 편집자이다. = = 회장 = = 유럽 천문학회 회장은 유럽 천문학회 관리 위원회의 의장을 맡고 유럽 천문 커뮤니티를 대신하여 전 세계 국가의 유사한 학회 및 국제 천문연맹과 연락을 취한다. 유럽 천문학회 회장직을 맡은 최초의 사람은 EAS 창립부터 1994년까지 역임한 Lodewijk Woltjer이다. 회장의 임기는 학회 운영 위원회의 다른 직책과 동일하게 4년이며 임기 중 최종 EAS 연례 회의가 종료되면 현직에서 다음 회장으로 이전된다. 티에리 쿠르부와지에르(Thierry Courvoisier)와 로저 데이비스(Roger Davies, 옥스퍼드 대학교 )는 두 번째 임기을 위하여 재선된 유일한 회장이다. 현재 회장은 2017년에 취임한 로저 데이비스이다. 사진 성명 시작 연도 종료 연도 비고 출처 01 Lodewijk Woltjer 1990 21 August 1993 02 Paul Murdin 21 August 1993 5 July 1997 03 Jean-Paul Zahn 5 July 1997 2001 04 Harvey Raymond Butcher 2001 2006 05 Joachim Krautter 2006 2010 06 Thierry Courvoisier 2010 2017 07 로저 데이비스 2017 2026 = = 학회에서 수여하는 상 = = 유럽 천문학회에서는 매년 또는 격년으로 여러가지 상을 수여한다. 설립 연도 상 상 수상 목적 비고 2008년 티코 브라헤 상 티코 브라헤 상 유럽 도구의 개발 또는 활용 또는 이러한 도구를 기반으로 한 주요 발견에 대해 수여한다. 영향력 있는 16세기 덴마크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0년 Lodewijk Woltjer 강의 Lodewijk Woltjer 강의 과학적 탁월성 가진 천문학자들의 명예를 높이기 위한 상이다. 유럽 천문학회 초대 회장인 Lodewijk Woltje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3년 MERAC 상 이론 천체물리학 부문 최고의 신규 연구원(홀수 해) 및 최고의 박사 학위논문 (짝수 해)에게 수여한다. 2013년 MERAC 상 관측 천체물리학 부문 최고의 신규 연구원(홀수 해) 및 최고의 박사 학위논문 (짝수 해)에게 수여한다. 2013년 MERAC 상 신기술(기기/전산) 부문 최고의 신규 연구원(홀수 해) 및 최고의 박사 학위논문 (짝수 해)에게 수여한다. 2020년 프리츠 츠비키 천체 물리학 및 우주론 상 프리츠 츠비키 천체 물리학 및 우주론 상 천체물리학 및 우주론과 관련하여 기초적이고 뛰어난 성과를 얻은 사람에게 수여한다. 프리츠 츠비키 재단을 대신하여 2년마다 수여한다. = 베르너 크루셰 = 베르너 크루셰(, 1917년 11월 28일 ~ 2009년 7월 24일)는 독일 개신교 신학자이자 목사이다. 1917년 라우터에서 지역교회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후 1년 후에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형 테오도어와 함께 삼촌 집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징집되어 참전했고, 1942년 소련 전선에서 부상당했다. 1943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었으나 전쟁 말기에 영국군의 포로로 잡혔다. 종전 후 석방되어 베텔 신학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바젤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49년 첫 시험에 통과한 후에 1954년까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에드문트 실링크의 연구 조교를 지냈다. 195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에서 1968년까지 그는 라이프치히의 신학교(Theologische Seminar)의 조직신학 대학강사(Dozent)로 활동했다. 이후 1976년부터 1979년까지 동독 지역의 개신교 교회연합(Evangelischen Kirche der Union) 회장으로 활동했다. 그의 동독 사회 속의 교회를 위한 활동은 무신론이 팽배한 동독 정치권에서 눈엣가시처럼 여겼다. 1977년 스위스 바젤 대학 신학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1988년에는 독일 할레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장 칼뱅의 성령론에 대한 저서와 서독의 대통령이었던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가 서문을 쓴 난 다시는 바이올린을 켜지 않을 것이야 -추억(Ich werde nie mehr Geige spielen konnen. Erinnerungen, 2007)이 있다. 2009년 91세의 나이로 마그데부르크에서 사망했다. = 세군다 디비시온 2021-22 = 세군다 디비시온 2021-22(, 협찬사의 이름을 따 라리가 스마트뱅크로도 불림)은 스페인 2부 리그의 출범 이래 91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2021년 8월 13일에 시작되어 2022년 6월 19일에 막을 내렸다. = = 참가 구단 = = = = = 참가 구단의 변동 = = = 총 22개 구단이 리그에 참가했는데, 이 중 15개 구단은 2020-21 시즌에도 참가한 구단들이며, 3개 구단은 라 리가에서 강등당한 구단들이고, 나머지 4개 구단은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한 구단들로, 이들은 모두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하여 올라왔다. 2021년 5월 8일, 에스파뇰은 사라고사와의 경기에서 득점 없이 비기고 가장 먼저 산술적으로 라 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 이어서 마요르카는 알메리아가 카르타헤나와의 2021년 5월 18일 경기에서 2-3으로 패하면서 승격에 성공했다. 두 구단 모두 강등 1년 만에 바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가장 마지막으로 라 리가로 승격한 구단은 라요 바예카노로, 승격 플레이오프전에서 레가네스와 지로나를 각각 합계 5-1, 3-2로 이겨 1부 리그행 막차를 탔다. 가장 먼저 라 리가 강등을 확정지은 구단은 에이바르였는데, 2021년 5월 16일에 1-4로 패하면서 7년 만의 1부 리그 강등을 확정지었다. 나머지 두 구단은 최종전 끝에 결정되었는데, 바야돌리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2021년 5월 22일 안방 경기에서 1-2로 패하며 3년 만에 2부 리그로 떨어졌다. 같은 5월 22일, 우에스카도 발렌시아와 0-0으로 비기면서 승격 첫 해에 다시 2부 리그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가장 먼저 강등당한 구단은 알바세테였고, 2021년 5월 18일에 루고전에서 1-1로 비기면서 2부 리그에서의 4년 만에 강등당했다. 알바세테에 이어 카스테욘, 로그로녜스, 그리고 사바델도 알바세테를 따라 추락했다. 세 구단 모두 2021년 5월 30일에 강등당했는데, 모두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1년밖에 보내지 못하고 3부 리그로 강등당했다. 플레이오프전 끝에 승격 새내기 4개 구단이 정해졌는데, 이 중 레알 소시에다드 B는 알헤시라스를 2021년 5월 22일에 이기고 승격했다. 레알 소시에다드 2군은 59년 만에 처음으로 2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이들 외에 아모레비에타가 바다호스를 이기고 한 단계 높은 리그로 상승했다. 이비사도 2021년 5월 23일에 UCAM 무르시아를 꺾고 2부 리그로 올라갔다. 아모레비에타와 이비사 모두 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 승격에 성공한 일이었다. 나머지 한 승격 구단은 부르고스로 2021년 5월 23일에 빌바오 아틀레틱을 이겼다. 부르고스는 2001-02 시즌 이래 처음으로 2부 리그 발을 디뎠는데, 당시 부르고스는 1년 만에 강등당했었다. = = = 구단별 구장 및 위치 = = = 다음의 구단들이 2021-22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구단 연고지 경기장 관중수 라스 팔마스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그란 카나리아 레가네스 레가네스 부타르케 레알 소시에다드 B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루고 루고 앙초 카로 말라가 말라가 라 로살레다 미란데스 미란다 데 에브로 안두바 바야돌리드 바야돌리드 호세 소리야 부르고스 부르고스 엘 플란티오 사라고사 사라고사 라 로마레다 스포르팅 히혼 히혼 엘 몰리논 아모레비에타 아모레비에타-에차노 레사마 (제2 구장) 알메리아 알메리아 지중해 게임 경기장 알코르콘 알코르콘 산토 도밍고 에이바르 에이바르 이푸루아 오비에도 오비에도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우에스카 우에스카 엘 알코라스 이비사 이비사 칸 미세스 지로나 지로나 몬틸리비 카르타헤나 카르타헤나 카르타고노바 테네리페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폰페라디나 폰페라다 엘 토랄린 푸엔라브라다 푸엔라브라다 페르난도 토레스 = = = 자치주별 구단 = = = 자치주 구단 수 구단 1 카스티야 이 레온 4 미란데스, 바야돌리드, 부르고스, 폰페라디나 2 바스크 3 레알 소시에다드 B, 아모레비에타, 에이바르 2 마드리드 3 레가네스, 알코르콘, 푸엔라브라다 4 아라곤 2 사라고사, 우에스카 4 아스투리아스 2 스포르팅 히혼, 오비에도 4 안달루시아 2 말라가, 알메리아 4 카나리아 제도 2 라스 팔마스, 테네리페 8 갈리시아 1 루고 8 무르시아 1 카르타헤나 8 발레아레스 제도 1 이비사 8 카탈루냐 1 지로나 = = = 구단 인사 및 협찬사 = = = 구단 감독 주장 유니폼 제작사 협찬사 = = = 감독 교체 = = = 구단 해임 감독 해임 사유 해임 일자 리그 순위 취임 감독 취임 일자 바야돌리드 세르히오 경질 2021년 5월 23일 개막 전 파체타 2021년 6월 16일 에이바르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상호 계약 해지 2021년 5월 25일 개막 전 가이스카 가리타노 2021년 6월 7일 우에스카 파체타 상호 계약 해지 2021년 5월 25일 개막 전 이그나시오 암브리스 2021년 6월 28일 말라가 세르히오 페이세르 사임 2021년 5월 31일 개막 전 호세 알베르토 2021년 6월 1일 미란데스 호세 알베르토 말라가로 이적 2021년 6월 1일 개막 전 롤로 에스코바르 2021년 6월 4일 지로나 프란시스코 상호 계약 해지 2021년 6월 30일 개막 전 미첼 2021년 7월 9일 알코르콘 후안 안토니오 앙켈라 경질 2021년 9월 18일 22위 호르헤 로메로 2021년 9월 18일 우에스카 이그나시오 암브리스 경질 2021년 10월 25일 12위 시스코 무뇨스 2021년 10월 27일 레가네스 아시에르 가리타노 경질 2021년 10월 30일 20위 메디 나프티 2021년 10월 31일 알코르콘 호르헤 로메로 경질 2021년 11월 2일 22위 프란 페르난데스 2021년 11월 2일 푸엔라브라다 호세 루이스 올트라 경질 2021년 12월 14일 19위 세르히오 페이세르 2021년 12월 15일 이비사 후안 카를로스 카르세도 경질 2021년 12월 18일 16위 파코 헤메스 2021년 12월 26일 라스 팔마스 페페 멜 경질 2022년 1월 23일 7위 가르시아 피미엔타 2022년 1월 24일 말라가 호세 알베르토 경질 2022년 1월 25일 14위 나초 곤살레스 2022년 1월 27일 미란데스 롤로 에스코바르 경질 2022년 2월 13일 17위 호세바 에체베리아 2022년 2월 14일 스포르팅 히혼 다비드 가예고 경질 2022년 2월 22일 15위 호세 루이스 마르티 2022년 2월 23일 푸엔라브라다 세르히오 페이세르 경질 2022년 3월 6일 20위 호세 라몬 산도발 2022년 3월 7일 아모레비에타 이니고 벨레스 경질 2022년 3월 8일 20위 아리츠 무히카 2022년 3월 8일 말라가 나초 곤살레스 경질 2022년 4월 2일 18위 파블로 게데 2022년 4월 2일 스포르팅 히혼 호세 루이스 마르티 경질 2022년 5월 3일 17위 아벨라르도 2022년 5월 3일 = = 리그 결과 = = = = = 최종 순위 = = = = = = 순위 변동표 = = = 다음 순위 변동표는 매 라운드가 끝난 후의 구단들 순위를 나타낸다. 시간대에 따른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연기된 경기는 본래 경기가 치러진 시점에 반영되지 않으나, 최종전에만 반영된다. 예를 들어 13라운드 경기 일정이 16라운드와 17라운드 사이에 치러진 경우, 연기된 경기 결과는 16라운드의 순위 변동표에 반영된다. 코로나19 범유행에 따라 리그가 대부분 구단들이 31경기를 치른 상태에서 중단되었었다. 구단 \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알메리아 1 2 5 2 4 3 2 1 1 2 1 1 1 1 1 1 1 1 1 1 1 1 1 2 3 2 2 2 2 2 2 2 2 3 2 2 2 2 1 1 2 1 바야돌리드 11 4 2 6 10 15 12 9 9 7 8 7 5 6 6 3 5 5 5 5 5 3 2 3 2 3 4 4 3 3 3 3 3 2 3 3 3 3 3 3 3 2 에이바르 21 20 14 17 9 6 6 5 5 4 2 2 2 2 2 2 2 2 3 3 2 2 3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1 3 라스 팔마스 10 14 7 13 13 13 11 6 6 5 6 4 4 3 4 5 6 6 6 6 7 7 7 8 9 7 7 8 9 11 14 9 8 8 7 7 8 8 8 7 6 4 테네리페 4 7 9 4 3 4 5 4 4 6 7 5 3 4 3 4 3 3 4 4 3 4 4 4 4 4 3 3 4 4 4 4 5 5 4 4 4 4 4 4 4 5 지로나 2 5 12 16 20 14 15 19 20 20 19 19 17 13 13 13 10 10 8 8 6 6 6 6 7 5 6 6 6 6 6 5 4 4 5 5 5 5 5 6 5 6 오비에도 9 15 17 11 5 7 8 7 8 12 15 11 8 9 10 12 9 8 7 7 9 9 8 10 8 9 11 7 8 10 7 8 7 6 6 6 6 6 6 5 7 7 폰페라디나 5 3 1 3 2 1 3 3 3 3 4 6 6 5 5 6 4 4 2 2 4 5 5 5 5 6 5 5 5 5 5 6 6 7 8 8 7 7 7 8 8 8 카르타헤나 20 21 15 9 15 8 13 17 10 8 5 8 10 11 9 11 8 9 10 10 8 8 9 7 6 8 8 9 10 7 8 7 9 10 13 11 9 9 9 9 9 9 사라고사 15 18 21 18 18 19 18 20 19 18 18 18 19 16 12 8 12 11 9 13 14 16 16 16 18 18 18 16 15 14 11 14 13 14 11 12 12 14 14 14 13 10 부르고스 18 16 20 15 16 16 19 15 17 17 14 10 14 17 18 16 17 15 13 9 10 11 13 11 12 11 9 10 11 9 10 12 10 9 12 10 10 11 12 11 10 11 레가네스 19 17 19 21 22 20 14 16 18 19 20 20 20 21 19 20 18 16 17 18 15 17 17 18 17 16 15 14 14 13 13 13 15 12 16 16 14 13 13 13 12 12 우에스카 3 1 4 7 11 11 7 11 12 9 9 12 12 14 15 14 14 14 12 12 11 14 12 15 15 13 14 12 12 15 15 15 12 11 9 9 11 12 11 12 11 13 미란데스 14 6 13 5 7 5 10 13 13 10 12 17 16 12 14 17 16 18 18 17 18 15 18 17 16 17 17 18 17 18 17 16 16 15 14 14 16 16 16 15 15 14 이비사 12 13 6 8 8 9 4 8 15 16 16 15 9 10 7 9 11 12 14 14 16 13 10 9 10 10 10 11 7 8 9 10 11 13 10 13 13 10 10 10 14 15 루고 8 11 18 20 14 18 17 18 14 14 11 13 13 15 16 15 15 17 16 16 17 18 15 13 11 12 12 13 13 12 12 11 14 16 15 15 15 15 15 16 16 16 스포르팅 히혼 6 9 3 1 1 2 1 2 2 1 3 3 7 7 8 10 13 13 15 15 12 12 14 12 13 14 13 15 16 17 18 18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말라가 13 12 8 14 6 10 16 10 11 13 13 9 11 8 11 7 7 7 11 11 13 10 11 14 14 15 16 17 18 16 16 17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아모레비에타 22 22 16 19 19 21 21 21 21 21 21 21 21 20 21 21 21 21 20 20 20 19 19 20 19 19 19 19 20 20 20 21 21 19 19 19 20 20 20 20 20 19 레알 소시에다드 B 7 8 10 12 17 17 20 14 16 15 17 16 18 19 20 18 19 20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19 19 19 19 19 20 20 20 19 19 19 19 19 20 푸엔라브라다 16 10 11 10 12 12 9 12 7 11 10 14 15 18 17 19 20 19 19 19 19 20 20 19 20 20 20 20 21 21 21 20 20 21 21 21 21 21 21 21 21 21 알코르콘 17 19 22 22 21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출처: BD푸트볼 선두 라 리가로 승격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진출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로 강등 = = = 경기 결과 = = = = = 승격 플레이오프전 = = 승격 플레이오프전은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기 위해 정규 시즌에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을 제외하고)이 경합했다. = = = 대진표 = = = = = = 결과 = = = 라 리가승격 지로나3년 만에 승격 = = 시즌 통계 = = = = = 득점 집계 = = = 순위 이름 골 구단 1 보르하 바스톤 22 오비에도 1 크리스티안 스투아니 22 지로나 3 스토이치코브 21 에이바르 4 루벤 카스트로 20 카르타헤나 4 숀 웨이스만 20 바야돌리드 6 우마르 사디크 18 알메리아 7 세르히오 카메요 15 미란데스 8 우로슈 주르제비치 14 스포르팅 히혼 8 하이메 세오아네 14 우에스카 8 호나탄 비에라 14 라스 팔마스 8 유리 14 폰페라디나 = = = 도움 집계 = = = 순위 이름 도움 구단 1 로드리고 리켈메 12 미란데스 2 보르하 산체스 10 오비에도 3 우마르 사디크 9 알메리아 4 파블로 데 블라시스 8 카르타헤나 4 루벤 파르도 8 레가네스 4 프란시스코 포르티요 8 알메리아 7 마테우시 보구시 7 이비사 7 프란 가메스 7 사라고사 7 가이스카 라라사발 7 아모레비에타 7 호세 안토니오 리오스 7 폰페라디나 = = = 트로페오 사모라 = = = 마르카지는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트로페오 사모라를 수상했다. 이 상의 수상 자격을 얻으려면 최소 28경기 이상 출전해야 하며, 1경기 출전을 인정받으려면 해당 경기를 60분 이상 출전해야 했다. 순위 이름 실점 출전 실점률 구단 1 페르난도 33 41 0.80 알메리아 2 후안 소리아노 35 41 0.85 테네리페 3 주안 페메니나스 41 42 0.98 오비에도 4 후안 카를로스 39 38 1.03 지로나 5 알폰소 에레로 29 28 1.04 부르고스 = = = 해트트릭 목록 = = = 선수 구단 상대 결과 날짜 라운드 주석 디에구 소자 알메리아 미란데스 4–1 (원) 2021년 10월 24일 12 크리스티안 스투아니 지로나 알코르콘 3–1 (안) 2021년 11월 4일 14 후안마 부르고스 레가네스 4–0 (안) 2022년 1월 23일 24 세르히오 레온 바야돌리드 아모레비에타 5–1 (안) 2022년 2월 27일 29 루벤 카스트로 카르타헤나 아모레비에타 5–0 (안) 2022년 5월 21일 41 (안) – 안방 경기; (원) – 원정 경기 = = = 징계 = = = 출처: 최다 경고 선수: 로케 메사 (바야돌리드, 15회) 최다 퇴장 선수: 알베르토 에스카시 (말라가, 3회) 최다 경고 구단: 푸엔라브라다 (124회) 최다 퇴장 구단: 푸엔라브라다 (11회) 최소 경고 구단: 레알 소시에다드 B (77회) 최소 퇴장 구단: 부르고스, 사라고사 (각 2회) = = = 관중 통계 = =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구단은 경기장 관중을 꽉 채울 수 없었다. 전염병의 범유행 정도에 따라, 월별 최고 허용 관중수는 각 광역자치주와 중앙정부가 합의를 도출하여 스페인의 정부 방침을 따랐다. 8월 (1 ~ 3라운드): 수용 인원의 최대 40%까지 허용. 같은 시기 바스크 주의 경우 수용 인원의 최대 20%만 허용했고, 카탈루냐 주는 30%가 허용 최대치였으며, 발렌시아 주는 중앙 정부의 방침을 따르는 것을 전제로 15,000명까지만 수용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9월 (4 ~ 7라운드): 수용 인원의 최대 60%까지 허용. 바스크 주는 최대 수용 인원의 30%까지, 카탈루냐 주는 경기장 허용 인원을 40%까지 상향조정했다. 10월 (8 ~ 12라운드): 허용 최대 인원이 60%인 카탈루냐 주와 바스크 주 제외, 만원 관중 허용. 순위 구단 1 사라고사 122,068 25,307 6,745 15,259 자료 없음 2 바야돌리드 91,162 14,408 10,080 13,023 자료 없음 3 라스 팔마스 94,286 25,887 7,100 11,786 자료 없음 4 말라가 80,153 15,901 6,519 11,450 자료 없음 5 오비에도 128,287 21,056 5,969 10,690 자료 없음 6 스포르팅 히혼 106,350 16,541 8,989 10,635 자료 없음 7 테네리페 66,024 12,572 4,999 9,432 자료 없음 8 알메리아 51,645 9,513 3,398 7,378 자료 없음 9 부르고스 46,058 9,584 4,373 6,580 자료 없음 10 카르타헤나 42,176 7,591 4,770 6,025 자료 없음 11 레가네스 39,708 7,436 4,124 5,673 자료 없음 12 우에스카 41,490 6,826 2,944 5,186 자료 없음 13 폰페라디나 34,090 5,600 2,743 4,261 자료 없음 14 지로나 30,295 6,101 1,871 3,787 자료 없음 15 이비사 22,604 3,742 2,487 3,229 자료 없음 16 레알 소시에다드 B 23,649 6,266 845 2,956 자료 없음1 17 에이바르 19,470 4,097 1,146 2,781 자료 없음 18 루고 20,249 5,069 1,657 2,531 자료 없음 19 미란데스 19,120 2,953 2,054 2,390 자료 없음 20 푸엔라브라다 16,195 3,244 1,184 2,024 자료 없음 21 알코르콘 12,089 1,953 1,044 1,511 자료 없음 22 아모레비에타 6,625 1,236 592 946 자료 없음 리그 합계 25,887 592 6,311 자료 없음 출처: 라 리가참고:1: 1경기는 이푸루아에서 진행. = = 수상 = = = = = 월간 = = = 월 이달의 선수 이달의 선수 주 월 선수 구단 주 10월 스토이치코브 에이바르 11월 페르난도 마르티네스 알메리아 12월 크리스티안 스투아니 지로나 1월 세르히오 카스텔 이비사 2월 우마르 사디크 알메리아 3월 나우엘 부스토스 지로나 4월 보르하 바스톤 오비에도 5월 호나탄 비에라 라스 팔마스 = 남경 (고려) = 남경(南京)은 고려 시대 삼경(三京) 중 하나로, 지금의 인왕산 아래쪽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의 한양 지역이며, 현재의 서울 지역이다. 고려 문종 21년(1067년) 남경길지설에 따라 처음 설치되었다. = = 위치와 영역 = = 남경의 영역은 동쪽을 대봉(大峰), 서쪽을 기봉(岐峰), 북쪽을 면악(面嶽), 남쪽을 사리(沙里)로 삼았다. 이 가운데 면악(面嶽)은 북악산을 가리킴이 명확하다. 사리(沙里)는 ‘모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볼 때, 용산 일대의 한강 백사장으로 생각되기도 하나, 면악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를 고려하면 조선 시대의 황토현(黃土峴) 앞으로 추정된다. 대봉(大峰)은 창덕궁 뒤 응봉(應峰)에서부터 송현(松峴)까지의 산줄기로, 기봉(岐峰)은 인왕산으로 추정된다. 남경 행궁의 영역이 좁아 그 남쪽을 경복궁 영역으로 삼았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있는데태조실록 태조 6권 3년 9월 9일, 정도전 등에게 한양의 종묘·사직·궁궐·시장 등의 터를 정하게 하다. 국사편찬위원회, 이를 고려하면 남경 행궁은 향원지(香遠池) 서쪽 언덕 부근으로 추정된다. 남경 행궁에는 연흥전(延興殿), 천수전(天壽殿), 북녕문(北寧門), 남명문(南明門) 등의 건물이 있었다. = = 남경 천도 논쟁 = = 최초로 남경을 세운 것은 고려 문종 21년(1067년)이다.고려사절요 권5, 문종 21년 “改楊州, 爲南京留守官, 徙旁郡民, 實之.” 문종 22년(1068년)에는 남경에 궁궐을 지었다.고려사절요 권5, 문종 22년 “創新宮于南京.” 1099년 일관 김위제의 주장에 따라 숙종 6년(1101년) 9월에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이 설치되었으며고려사절요 권6, 숙종 6년 “置南京開創都監 …”, 3년 뒤 숙종 9년(1104년) 5월에는 남경의 이궁이 완성되었다.고려사절요 권7, 숙종 9년 “南京宮闕成.” 신도시라 할 수 있는 남경에는 거란 사람들도 귀순하여 살았다.고려사 권14, 세가 권제14, 예종 12년 8월 “契丹投化人, 散居南京圻內者, 奏契丹歌舞雜戱以迎駕, …” 일관(日官)인 최사추 등은 다음과 같이 상소하였으며, 이는 남경 건설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천도의 논리를 제공한 것은 김위제라는 일관으로 보인다. 김위제는 도선의 비기·답산가, 그리고 저자가 불명확한 신지비사(神誌秘詞)를 근거로 개성의 지덕이 그의 시기에 쇠하였음을 이야기하였다고려사 권122 열전 권제35. “건국한 후 1백 60여 년에 목멱벌에 도읍한다”고 하며, 그 근거로는 앞선 도참서들 말고도 오행설, 즉 존재자들에게 부여되는 속성들의 상응 체계 역시 그 뒷부분에서 인용되었다. 비기의 내용으로 인용된 문장에는 “11, 12, 1, 2월을 중경에서 지내고 3, 4, 5, 6월을 남경에서 지내며 7, 8, 9, 10월을 서경에서 지내면 36개국이 와서 조공할 것이다.”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묘청의 난과 같은 고려조의 여러 사건들에서 여러 차례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공민왕은 1356년 이후 남경 천도 작업을 진행하고 이 과정을 주도하였다. 라고 하여 국왕의 천도 의지가 분명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전쟁과 기근으로 인해 그 실행이 힘들었던 것 같다. 명확한 중단 기사는 없으나 공민왕 즉위 10년을 넘기면서 적극적인 천도 진행 기사를 찾아볼 수는 없게 된다. 또한 윤택 등의 유학자들이 공민왕을 제지했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다.고려사절요 권26, 공민왕 6년 2월 “命李齊賢相宅于漢陽, 築宮闕. 開城尹致仕尹澤上言, “妙淸惑仁廟, 幾至覆國, 厥鑑不遠, 矧今四境有虞, 訓兵養士, 猶懼不給, 興工勞衆, 恐傷本根.”” 이러한 천도 논의는 우왕, 공양왕 또한 진행했었으나 공민왕대와 동일한 이유로 인해 모두 기각되었다.고려사 권133 열전 권제46 신우 1 신우 원년, 제112권 열전 제25 박의중 등 공양왕은 1390년 9월 남경으로 천도하기는 하였으나고려사 권45, 세가 권제45, 공양왕 2년 9월 “병오 遷都于漢陽, …”, 1391년 2월 개경으로 다시 환도하는 일이 있었다.고려사 권46, 세가 권제46, 공양왕 3년 2월 “정묘 至自南京, …” = 보완적 자산 = 보완적 자산(Complementary assets)은 주요투자로부터 가치를 끌어내는데 요구되는 자산을 가리킨다. 정보기술 투자와 더불어 보완적 자산에 투자하면 우수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새로운 비즈니스 프로세스, 경영진의 품성, 조직문화, 교육, 규제, 법 등이 포함된다. = 막스 하인처 = 막스 마누엘 하인처(, 1987년 8월 7일~)는 스위스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에페이다. = = 경력 = = 2012년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남자 에페 개인전에 출전했다. 32강에서 칠레의 파리스 이노스트로사를 15-2라는 큰 점수 차로 이겼으나, 16강에서 대회 금메달을 차지한 베네수엘라의 루벤 리마르도에게 11-15로 패하며 탈락하였다. = 윤진호 = 윤진호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윤진호(1956년 ~ )는 영화 스틸가 겸 각본가이다. 윤진호(1965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 금융인이다. 윤진호(1971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윤진호(1978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윤진호(尹鎭浩, 1986년 ~ )는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LG 트윈스의 3루/작전코치이다. 윤진호(1988년 ~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 분류:파키스탄의 성소수자 = = 보잉 737 클래식 = 보잉 737 클래식(Boeing 737 Classic)은 보잉 737 시리즈 항공기의 2세대인 보잉 상업용 항공기(Boeing Commercial Airplanes)에서 생산한 협폭동체 여객기 시리즈이다. 개발은 1979년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모델인 737-300은 1984년 2월에 첫 비행을 했고 그해 12월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확장판격인 737-400은 1988년 2월에 첫 비행을 했고 그해 후반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가장 짧은 모델인 737-500은 1989년 6월에 첫 비행을 했고 1990년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리지널 시리즈에 비해 클래식 시리즈는 더 나은 연비를 위해 하이 바이패스 터보팬인 CFM56으로 재설계되었으며 항공 전자 장치도 업그레이드되었다.. 0.6~68.0t(133,500~150,000lb) MTOW의 경우 범위는 2,060~2,375해리(3,815~4,398km, 2,371~2,733마일)이다. 102피트(31m)의 -500은 원래의 737-200과 길이가 비슷하며 110~132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길이 110피트(34m) -300은 126~149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길이 120피트(37m) -400은 147~168명을 수용할 수 있다. 맥도널 더글러스 MD-80 시리즈와 경쟁한 다음 에어버스 A320 제품군과 경쟁하여 보잉이 보잉 737 넥스트 제너레이션으로 제안을 업데이트하여 -300/400/500 변형을 737 클래식으로 지정했다. 1984년부터 2000년에 생산이 종료될 때까지 총 1,988대의 항공기가 인도되었다: 1,113대의 -300, 486대의 -400 및 389대의 -500. = Banner (유닉스) = banner는 명령 줄 변수에 지정되는 텍스트를 대형 아스키 아트 버전의 텍스트로 출력시키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의 프로그램이다. = = 출력 예시 = = 터미널 지향 배너 프로그램에서: $ banner 'Hell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SD 및 파생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린터 지향 배너 프로그램의 한 문자: $ banner -w80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약 1000초의 지속적인 시각을 표시:It can also be done using FIGlet utility with the substitution of banner with figlet -f bann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주 = = = 차단회피자(211.119.163.140)의 우회 IP 차단 요청 = = ‎ * * * 지난주에 했던 요청을 처리해주신 분이 없어 재요청합니다. 해당 IP들은 전부 동일인물이 사용한 IP이며, 문서 생성 패턴 (무분별한 방영 목록 생성 및 저명성없는 아나운서 + 야구 선수) 및 편집하는 문서 & 삭제 신청 틀 무단 제거 등 동일인물입니다. 지난 요청에서 차단 회피로 차단 신청을 했고 위키의 원칙상 차단 회피는 차단 대상에 속하기때문에 차단 요청을 했습니다. 과거 해당 사용자의 경우 몇차례 토론란을 통해 지적 받은 사용자지만 계속 다중 IP를 악용하고 있어 백:선의로 볼수 없어 차단 부탁드립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1:46 (KST) 추가합니다. * * 222.117.167.9의 편집 내역 14.33.119.131의 편집 내역 59.18.139.91의 편집 내역 210.124.124.37의 편집 내역 121.169.27.65의 편집 내역 121.137.241.230의 편집 내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39주 182.224.133.159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1주 112.186.100.178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9주 121.137.241.208 & 121.137.241.186 2개의 IP도 동일인물입니다. 2TV 아침의 에피소드 목록 삭제 기록 긴급구조 119의 방영 목록 삭제 기록 시사 인사이드 (채널A 프로그램) 삭제 기록 피플 세상속으로 삭제 기록 6개의 IP가 생성한 문서 대량 삭제 부탁드리며, 해당 IP들은 차단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2:01 (KST) 추가합니다. * 삭제 신청 틀을 제거한것과 더불어 편집 패턴 등 동일인물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요청이 올라왔지만 관리자님들께서 계속 아무런 답변이 없어 지금도 끝이 안보입니다. 차단회피자에 대해서는 절대 백:선의로 보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계속 해당 인물이 IP를 바꿔가면서 활동하고 있어서 토론 요구에도 이에 불응하고 있어서 조치가 필요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15:00 (KST) 추가합니다. * KBS 뉴스 9 울산 삭제 기록 KBS 뉴스 9 부산 삭제 기록 생방송 행복발견 오늘 삭제 기록 피플 세상속으로 삭제 기록 삭제된 문서 재생성한것 등 해당 IP도 동일인물입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15:03 (KST)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47주 210.207.111.39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50주 210.100.138.230 긴급 차단 요청 예전에 작성된 요청을 보시면 다중 IP를 악용해온적이 있는게 확인되었고, 해당 사용자가 위키에 대하 아직도 이해를 못할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의 말에 조금이라도 귀 기울여 준다면 저도 이러지 않지만 이미 상황은 더이상 백:선의로 볼수 없는 상황입니다. 몇몇관리자님들께서 차단회피를 근거로 몇개의 IP를 차단회피로 차단 했고, 그리고 대부분 대량 삭제하셨죠. 로 생성된 문서의 경우 전부 삭제 조치되었지만 이전에 다른 IP로 생성된 문서를 보면 계속 해당 인물이 다중 IP로 계속 삭제 신청 틀까지 제거하고 있고, 그리고 토론란에 저를 포함해 몇몇분들의 주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기여로 끝까지 바꾸는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15:34 (KST)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15:17 (KST) = = Jongbhak 및 그 다중 계정 및 IP 차단 요청 = = * * * * * 게놈연구재단 문서의 편집 내역을 확인해본 결과 5개의 계정 및 IP는 동일인물이며, 계속 사용자 본인에 대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백:중립성 & 백:이해관계 위반 및 문서 훼손까지 한게 확인되었습니다. 게놈코리아 & 게놈연구소 & 한국인게놈프로젝트 & 박종화 (1967년 교수) 등 문서 내용 자체가 백:저명성 & 백:중립성 & 백:이해관계 등 위반에 해당되어 삭제 신청했고, 박종화 (1967년 교수)문서의 경우 이해당사자 본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 계정을 사용해온 사용자가 비로그인 상태(59.31.175.149)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다중 계정(Joyju7 % Suanbio)까지 생성한게 확인되어 백:선의로 볼수 없어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3:50 (KST) = = Thwlsdl2222 무기한 차단 요청 = = * 또다시 문서 훼손 및 장난성 편집한 증거 차단을 2번 받고도 전혀 개선하지 않았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6주 Thwlsdl2222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31주 Thwlsdl2222 차단 요청 차단 이후에도 개선할 사용자가 아니라 무기한 요청합니다. 편집 내역만 보셔도 아시겠지만 문서 훼손 계정입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3:59 (KST) = = 욍로리의 눈 무기한 차단 요청 = = * 의 다중 계정이며, 어제 다른분에 의해 요청이 올라왔지만 요청 처리가 이행되지 않아 반달을 또한게 확인되었습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4:09 (KST) = = 으허허허헉 차단기간 연장 요청 = = 사용자:아로마틱과 사용자:레드모스큐사마에 장난을 쳤습니다. -아로마틱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5:35 (KST) = = 220.67.228.115 및 청기시대 차단 요청 = = * * 두 사용자 모두 첫 기여가 일반 사랑방에 문제 제기한 것이며, 내용으로 보아 유니폴리의 다중 계정 또는 그게 아니더라도 분란을 목적인 것으로 보이므로 차단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6:44 (KST) = = 218.149.241.0/24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37주 218.149.241.180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1주 218.149.241.187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8주 218.149.241.141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1주 218.149.241.0/24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39주 218.149.241.142 긴급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48주 218.149.241.174 차단 요청 방금전에 드라마 문서마다 허위 편집으로 반달한게 확인되었고, 차단 이후에도 개선하지 않아 차단 요청을 하며, 그리고 해당 IP는 과거 수차례 문서마다 반달 박복하다 차단을 반복받은 14.45.141.0/24(14.45.141.177 & 14.45.141.202 & 14.45.141.74 & 14.45.141.238 & 14.45.141.72 & 14.45.141.150 & 14.45.141.28 & 14.45.141.203)의 다중 IP입니다. IP 대역 차단 요청을 하는 사유는 오늘 로 나타나서 반달했지만 또 새로운 IP로 나타나 반달한 가능성이 있어 IP 대역 차단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위에 작성된 요청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동안 수없이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을 반복한 사용자라 차단이 필요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7:24 (KST) = = 118.223.37.232 재차단 요청 = = * 1주일 차단이 해제되자마자 다시 철도 기관차 관련 문서 및 버스 관련 문서에 왜곡된 내용으로 편집 행위를 다시 행하고 있으므로 차단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19:52 (KST) = = 차단 회피 사용자 관리 요청 = = * * * * * 위 아이피와 관련해 지속적인 정책 위반과 협업 정신 이탈로 5일간 차단이 되었습니다. 위 사용자가 다시 밑의 IP로 재 접속하여 제 편집을 되돌리기 했습니다. * 위 모든 사용자와 해당 아이피를 차단 회피로 관리 요청합니다. 위키백과당! (Débat · 佑) 2016년 1월 18일 (월) 01:16 (KST) * 이 아이피로 다시 들어와서 편집을 하고 있습니다. IP 동원으로 지속적으로 차단 회피를 하고 있습니다. 관리 요청합니다. 위키백과당! (Débat · 佑) 2016년 1월 18일 (월) 16:44 (KST) * 본인이라고 명시한 것 같습니다. 172.98.대의 IP가 계속 들어오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 지 모르겠네요. 위키백과당! (Débat · 佑) 2016년 1월 20일 (수) 15:57 (KST) = = 사:알래스카나, 사:증즐가, 사:Borake, 사:9rada, 사:푱양 차단해제 요청 = = * * * * * 위의 계정들 모두 사용자:Unypoly와 관련이 없다고 확인된 계정들입니다.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Unypoly의 다중계정을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59.18.194.194 (토론) 2016년 1월 18일 (월) 23:42 (KST) 반대합니다! 관리자님을 소환하겠습니다Junypolee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23:47 (KST) = = 사용자:Unypolee2 차단 요청 = = * 사용자 문서에 무기한 차단된 두 사용자를 합쳤다는 내용으로 보아 두 사용자를 사칭하거나 또는 이를 악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선의의 목적으로 편집하려는 사용자가 아닐 것으로 판단되어 차단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00:13 (KST) 요청에 따라 계정명을 변경하였습니다. 비록 공동체로부터 차단되었다고 하여도 해당 사용자와 유사하여 사칭으로 보일 여지가 있거나 조롱하는 계정을 만들지 않도록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Sotiale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2:44 (KST) = = 사:수신료 강도새끼 방송 케이비에스 한국방송공사 = = * * * * * * 부적절하기도 하고, 다중계정이기도 합니다. Neoalpha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04:40 (KST) = = 사칭 및 부적절 계정 차단 요청 = = * * 사:RedMosQ is Communism 계열의 다중 계정 및 사칭, 부적절한 명칭의 계정명입니다. 커뷰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09:58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2개의 계정은 각각 님 & 님의 사칭 및 비방 계정에 해당되며, 신속한 처리 부탁드립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1:25 (KST) = = 광주전라 차단 요청 = = 사용자:광주전라 토론 에서 보실수 있겠지만, 전에 너무 더러운 사진과 야한 사진,그리고 김일성 민족 사진이 있는것을 보아 정상적인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보아 차단 요청 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위례24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네, 이 요청에 대한 깔끔한 지적 감사 드립니다. 일단은 이 사용자는 백:다섯에 위반 되는 사용자 입니다. 이상한 사진을 올렸다는것 자체가 다른 사용자를 존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위례24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딱 서명을 눌렀는데 빨리 올리셨네요. 다른 근거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3:09 (KST) 여기 정말 딱 맞는 것이 있네요. 이 사용자는백:아님#개인웹에 위반됩니다. 이상한 그림을 올려놓은 다는것 자체가 자신의 웹이라고 생각한것 같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3:12 (KST) 근거는 백:문관에 있습니다. 이미 어떤 사용자는 이 사용자의 차단을 요구하였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3:15 (KST) 백:아님#개인웹에 명백히 위반되는 행위입니다. 영구 차단도 가능할것 같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13:41 (KST) 반대도 조금 있는데, 너무 무시 하는거 아닙니까? 조금 억울 하네요.다시 토론 요청합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13:41 (KST) (차단 하지 않는것에 반대)또한 다시 활동하는 경우도 수없이 많은데, 차단이 필요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주장으로 생각합니다.일단 성기 사진을 올렸다는 것 자체가 악의적인 의도로 계정을 만든 것으로 다시 재요청 합니다.등줄메뚜기님은로 마무리 했지만 이번것은 절대로 그냥 넘어가지 않을것입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22:11 (KST) 저도 차단은 처벌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은 압니다.물론 당연히 제가 이렇게 우기는 것을 보기 좋지 않을 것이라는것도 압니다. 그러나 비활동 계정이라는 증거는 일단 있는 건가요?전 진짜 솔직히 몰라서 그러는 것입니다.만약 증거가 있다면 로 끝내겠습니다. 만약 증거가 없다면 죄송하지만 관여는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17:12 (KST) 죄송합니다.신입이여서 잘 몰랐네요.어쨌든 증거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3:27 (KST) 그러네요. 죄송합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7일 (수) 15:57 (KST) 토론 끝내겠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7일 (수) 15:59 (KST) = = 허위의 증거를 제시해 위키백과 운영을 방해한 사용자:커뷰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Unypoly의 다중계정에서 이들 계정의 기여 중 성소수자 관련 기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허위의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들 이 유니폴리의 다중계정이든 아니든 허위의 증거를 제시하는 행위는 기본방침과 백:정직 위반으로 처벌되는 행위이며, 실제 바깥세상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에서 유우성이 간첩이라 하여도 국정원이 유우성의 허위 출입국 기록을 만든 것은 모해증거위조죄에 해당하는 중죄가 됩니다. 이들 계정의 차단재검토를 검토한 결과 사용자:엔하리베니트의 올바른 주장(유니폴리에 의한 성소수자 동아리방 위치 호수 사건)을 본인 커뷰 스스로도 알았으면서(커뷰가 구스위키의 어느 문서를 수차례 편집할 당시 구스 위키에 그러한 내용이 있었음) 허위 주장이라고 매도해, 엔하리베니트가 부당한 무기한 차단을 받게 된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억울하게 무기한 차단을 받게 될 정도로 거짓말의 피해가 크므로 커뷰도 반좌율까진 아니라도 장기간의 차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23.228.82.4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15:24 (KST) = = 사용자:려차 차단 요청 = = 영어로 저 위의 계정명을 타자로 치면 Fuck이 나옵니다. Keyjcw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1:32 (KST) 등줄메뚜기2님, 아무리 그래도 욕은 하지 말아야죠. Keyjcw님에게는 생각에 자유가 있는데 왜 그러십니까?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2:47 (KST) = = 윤영훈 차단 요청 = = * 마이크로네이션‎문서에 존재하지도 않는 내용에 대한 내용 삽입을 반복하고 있으며, 토론란에 몇차례 주의 및 경고에도 불구하고 반복하고 있습니다. 허위 내용 삽입 반복 증거 이전에는 IP로 같은 행위를 한적이 있었고 편집 패턴 및 모바일 IP로 편집하는것 등 100% 동일인물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어제 생성된 장난성 허위문서(위례한성민주자치공화국)의 경우 해당 사용자가 IP로 나타나서 생성한 후 계정으로 나타나 삭제 신청 틀까지 무단으로 제거한적이 있었고, 해당 문서의 내용을 본 관리자님께서 삭제하셨고, 지금보면 이라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마이크로네이션‎문서에 장난 및 허위 내용 삽입을 반복하고 있고 아무래도 삭제된 문서를 다시 생성할 것 같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보면 아무래도 차단이 필요할 것 같고, 주의를 주는 차원에 차단 부탁드립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2:24 (KST) 증거 관리자님들의 판단이 중요해진 상황입니다. 계정 및 IP로 2중 활동하는게 확인되어 계정 및 IP 둘다 차단 해야 할것 같습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00:12 (KST) = = 등줄메뚜기2 무기한 차단 요청 = = * 사용자 관리 요청 장난 증거 1 사용자 관리 요청 장난 증거 2 사용자 관리 요청 장난 증거 3 문서 관리 요청 장난 증거 장난성 편집 증거 님의 사칭 계정이며, 편집 내역을 보면 장난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2:28 (KST) 찬성합니다. 앞에 차단 요청에서도 욕을 적는등 기본 자세가 안되어 있습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2:49 (KST) 제 아이디를 누군가가 사칭하고 문서를 심하게 훼손한 것 같습니다. 저와는 무관합니다. 해당 아이디를 무기한 차단시켜주시길 바랍니다. 등줄메뚜기 (토론) 2016년 1월 19일 (화) 23:50 (KST)등줄메뚜기 = = Retard impossibile 차단 요청 = = * 해당 사용자의 기여를 봐서는 정상적인 기여를 할 사용자가 아닌것 같습니다. 지속적인 장난 증거 1 지속적인 장난 증거 2 지속적인 장난 증거 3 지속적인 장난 증거 4 토론 조작 및 장난 & 욕설 작성 증거 영문으로 인신 공격한 증거 해당 사용자의 장난성 기여를 되돌렸을 뿐인데 해당 사용자가 제 사용자 토론란에 영문으로 욕설을 작성한게 확인되어 해당 사용자는 정상적인 기여를 할 사용자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관리자님들에 의해 삭제된 장난성 문서(응딩이)까지 생성한게 확인되었습니다. 응딩이 삭제 기록 차단 사유는 지속적인 장난 및 인신 공격입니다. 만일을 대비해 요청을 작성해둔 상태입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00:36 (KST) = = 39.112.49.54 임시 차단 요청 = = * 경고에도 불구하고 새벽의 연화 문서에 나무위키의 내용을 복사 붙여넣기하는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반복하고 있으므로 임시 차단을 요청합니다. 커뷰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20:49 (KST) = = 119.207.222.188 = = * 경고에도 불구하고 바기니뉴에 와기니뉴 문서의 내용을 복사 붙여넣기 방식으로 표제어를 이동하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1일 (목) 11:50 (KST) * 추가합니다. 처리가 너무 늦어지네요. 제발 확인좀 해주세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1일 (목) 23:08 (KST) = = 사용자:125.131.70.101 차단 요청 = = 이 사람이 지속적으로, 하나님 믿으면 죽여버린다, 그리고 하나님 안 믿으면 죽여버린다 등등 무슨 말도 안되는 변절을 해서 살해 협박을 합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1일 (목) 12:53 (KST) 확인 부탁드립니다. 님 차단결정 빠른시일내에 결정 부탁드립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22:23 (KST) 처리가 너무 늦네요.빨리 확인 부탁드립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3:28 (KST) 죄송하지만 제발 확인 부탁드립니다. 위례24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11:44 (KST) = = 관리자 사칭 계정 무기한 차단 요청 = = * * * * * 5개의 계정은 님 & & & & 님의 사칭 및 비방 계정에 해당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1일 (목) 18:49 (KST) = = 명박존박산다라박 무기한 차단 요청 = = * 저를 향한 비방 문서 생성(건방진 175.197.32.89) 및 문서마다 장난 및 장난성 문서 생성을 한게 확인되었습니다. 장난 증거 1 장난 증거 2 장난 증거 3 장난 증거 4 장난 증거 5 장난 증거 6 명박 삭제 기록 그리고 계정도 보면 부적절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1일 (목) 21:06 (KST) = = 사:백과키위 등 차단 요청 = = * * * 장난으로 생성된 정태양 문서의 삭제 신청 틀을 임의로 제거하고, 이것이 막히자 다중 계정을 동원하였습니다. 초기에는 IP 사용자가 계정을 하나 만들었겠거니 하고 넘어갔는데, 두 개의 계정이 등장한 것은 백:오리에 가깝죠. Neoalpha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06:38 (KST) = = 121.158.195.98 차단 요청 = = * 문서 훼손 반복 증거 1 문서 훼손 반복 증거 2 타 사용자의 토론란에 장난한 증거 1 타 사용자의 토론란에 장난한 증거 2 타 사용자의 주의 무시 증거 편집 내역을 보면 지난주부터 ㄹ문서에 문서 훼손을 반복했을 뿐만 아니라 기여를 되돌린 사용자의 토론란에 장난 및 장난성 문서 생성(ㄹ어 & ㄹㄹㄹㄹㄹㄹㄹㄹㄹ!)까지 생성한게 확인되어 보고드립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16:06 (KST) 삭제 신청 틀 기여 되돌린 증거 장난성 기여로 되돌린 증거 사용자 관리 요청에 장난성 글을 남긴 증거 지금 상황에서 보면 주의를 주는 차원에 차단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추가로 해당 IP 사용자가 생성한 장난성 문서 삭제도 부탁드립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2일 (금) 20:35 (KST) = = 사:뇌물왕노구리 = = * 악의적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입니다. Neoalpha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11:45 (KST) = = 218.149.241.0/24 차단 요청 (2) = = * 월요일에 했던 IP 대역 차단 요청을 할수 밖에 없는 사태가 되었습니다. 그때는 로 훼손해서 IP 대역 차단 요청은 이행되지 않았지만 오늘 로 나타나서 드라마 문서마다 허위 편집으로 반달을 한게 확인되어 해당 요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허위 편집한 증거 다른 IP로 허위 편집한 증거 차단 회피를 반복하고 있고, 일부 IP가 차단되면 다른 IP로 나타나서 같은 행위를 하고 있어서 IP 대역 차단이 반드시 이행되야 합니다.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 증거 1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 증거 2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 해당 인물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해당 IP로 편집한 일부 문서에도 비슷한 식으로 같은 문서만 집요하게 노리고 훼손한적이 있어 사용자 관리 요청에 수없이 요청이 올라올 정도고 대부분 차단이 될 정도입니다. 218.149.241.***로 시작하는 IP 대부분이 허위 및 문서 훼손이며, IP 대역 차단도 된적이 있고, 재차단 부탁드립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17:21 (KST) = = 고양이눈매 = = * 2주에 남겼던 고양이눈매 문단 참고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3일 (토) 19:56 (KST) = = 등줄메뚜기 시즌2 무기한 차단 요청 = = * 타 사용자의 토론란에 장난한 증거 장난 반복 증거 1 장난 반복 증거 2 장난 반복 증거 3 님의 사칭 계정입니다. 며칠전에 라는 사칭 계정으로 나타난 인물과 동일인물인것 같습니다. 175.197.32.89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20:20 (KST) = = 콩갸루 무기한 차단 요청 = = * 씨발새끼 삭제 기록 최근바뀜을 통해서 확인되었으며, 님의 사칭 계정입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23:29 (KST) ted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08:49 (KST) = = PuzzletChong 무기한 차단 요청 = = * 최근바뀜을 통해서 확인되었으며, 님의 사칭 계정입니다.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23:36 (KST) = = 121.166.30.74 차단 요청 = = * 해당 IP를 차단 신청하는 사유는 위에 작성한 관리자님 사칭 계정을 생성한 인물과 동일인물입니다. 121.166.30.74의 편집 필터 기록 탄핵송 삭제 기록 정경훈 (천재) 삭제 기록 좆 삭제 기록 116.120.228.57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23:42 (KST) = = 더불어당 = = * 신뢰할 수 없는 출처를 나무위키 문서에 삽입하였기에, 본인의 사토에 주의를 드렸더니 "난독증", "이러니 위키의 발전이 없지"와 같은 비방성 글을 적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4일 (일) 02:41 (KST) = = 사용자:Salamander724 차단 요청 = = 토문강에서 백두산정계비 획정 당시 토문강을 두만강으로 받아들였다는 이유로 토문강을 두만강으로 넘겨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이며 백두산정계비 획정당시 토문강이 어떤 강인지, 어떤 강이 효력을 같는지는 민감한 주제이지만 어쩌든간에 다른 시대에는 송화강 지류를 토문강으로 호칭하기도 하였으므로 이러한 넘겨주기 처리는 백:중립적 시각 및 넘겨주기의 일의성에 위배됩니다. 낙동혁명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0:20 (KST) = = 똥개아이플 무기한 차단 요청 = = * 님의 사칭 계정에 해당됩니다. 122.42.197.7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2:46 (KST) = = 211.253.98.18 & 211.253.98.34 차단 요청 = = * * 삭제 신청 틀 제거 반복 증거 1 삭제 신청 틀 제거 반복 증거 2 삭제 신청 틀 제거 반복 증거 3 라는 IP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의 및 경고에도 불구하고 최재효문서에 삭제 신청 틀을 제거하고 있으며, 몇분 지나서 라는 IP로 나타난게 확인되었고 IP가 비슷한 점으로 봐서는 동일인물인것 같습니다. 증거 문서 내용이 다른곳의 글을 복사해서 생성한게 확인되었으며, 일단 사용자 관리 요청에 보고하는 이유는 실시간으로 IP가 바뀌는 사용자인게 확인되어 삭제 신청 틀을 반복적으로 제거할 것을 염두하고 만약을 위해 보고드립니다. 122.42.197.7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4:25 (KST) 소래포구 문서의 기여 외부의 글을 복사한 증거 1 소서노 문서의 기여 외부의 글을 복사한 증거 2 122.42.197.7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4:40 (KST) = = 자기야 무기한 차단 요청 = = * 편집 패턴 등을 보면 의 다중 계정에 해당됩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2주 국왕 & 58.140.184.111 & 58.140.185.154 차단 요청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3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4 차단 사유는 백:동원 및 차단 회피이며, 차단중인 사용자가 차단 기간중에 다중 계정 및 IP로 활동하는것 자체는 차단 회피에 해당되어 해당 계정을 무기한 차단 요청합니다. 122.42.197.74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5:01 (KST) = = 등줄유재석 차단 요청 = = 제 계정의 사칭으로 보이는 계정을 또 발견했습니다. 처리 부탁드립니다. 등줄메뚜기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23:30 (KST)등줄메뚜기 사칭이 아닙니다. 저는 유재석의 팬이라서 등줄유재석이라는 계정을 생성했을 뿐이며, 우연하게도 등줄메뚜기 님과 앞의 두글자가 같아졌을 뿐입니다. 등줄유재석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23:32 (KST)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장(憲法裁判所長, )은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수장이다. 국회의 동의를 얻어 헌법재판소 재판관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한다. 권력분립원칙에 따른 대한민국의 3부요인 중에서 대법원장과 함께 대한민국 사법부를 공동으로 대표한다. 헌법재판소법 제7조의 해석상 재판관으로서 연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사법권의 독립을 존중한다는 차원에서 연임한 전례가 없다.헌법재판소법 (2022년 2월 3일 개정, 법률 제18836호, 제7조 (재판관의 임기) ①재판관의 임기는 6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②재판관의 정년은 70세로 한다.) = = 개요 = = 대한민국 헌법 제111조 제4항, 헌법재판소법 제12조 제2항에 따라 헌법재판소장은 재판관 중에서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즉, 임명되기 위한 유일한 자격요건은 현직 헌법재판소 재판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 역대 헌법재판소장 = = 대수 이름 재임기간 출신지 출신학교 1대 조규광(曺圭光) 1988년 9월 15일~1994년 9월 14일 충남 서천 서울대 2대 김용준(金容俊) 1994년 9월 15일~2000년 9월 14일 경기 경성 서울대 3대 윤영철(尹永哲) 2000년 9월 15일~2006년 9월 14일 전북 순창 서울대 권한대행 주선회(周線會) 2006년 9월 20일~2007년 1월 21일 경남 함안 고려대 4대 이강국(李康國) 2007년 1월 22일~2013년 1월 21일 전북 임실 서울대 권한대행 송두환(宋斗煥) 2013년 1월 28일~2013년 3월 22일 충북 영동 서울대 권한대행 이정미(李貞美) 2013년 3월 25일~2013년 4월 11일 경남 울산 고려대 5대 박한철(朴漢徹) 2013년 4월 12일~2017년 1월 31일 경남 부산 서울대 권한대행 이정미(李貞美) 2017년 2월 1일~2017년 3월 13일 경남 울산 고려대 권한대행 김이수(金二洙) 2017년 3월 14일~2017년 11월 23일 전북 고창 서울대 6대 이진성(李鎭盛) 2017년 11월 24일~2018년 9월 19일 경남 부산 서울대 7대 유남석(劉南碩) 2018년 9월 21일~2023년 11월 10일 전남 목포 서울대 권한대행 이은애(李垠厓) 2023년 11월 11일~2023년 11월 29일 전남 나주 서울대 8대 이종석(李悰錫) 2023년 11월 30일~ 경북 칠곡 서울대 = = 역대 임명동의안 국회 표결 결과 = = 임명권자 후보자 날짜 투표 결과 투표 결과 투표 결과 투표 결과 결과 국회 임명권자 후보자 날짜 찬성 반대 기권 무효 결과 국회 노태우 조규광 1988년 9월 15일 187 21 3 2 제13대 김영삼 김용준 1994년 9월 13일 233 6 1 5 제14대 김대중 윤영철 2000년 8월 25일 125 10 2 제15대 노무현 이강국 2007년 1월 2일 157 2 4 제17대 박근혜 박한철 2013년 4월 11일 168 97 1 제19대 문재인 김이수 2017년 9월 11일 145 145 1 2 제20대 문재인 이진성 2017년 11월 24일 254 18 1 3 제20대 문재인 유남석 2018년 9월 20일 185 40 4 제20대 윤석열 이종석 2023년 11월 30일 204 61 26 제21대 = 비아도모시치 = 비아도모시치는 TVP1에서 방송되는 폴란드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 미성년자 성매매 = 미성년자 성매매(未成年者性賣買)는 미성년자가 성매매를 하는 것이다. 흔히 원조 교제(, 엔조코사이)로도 불리는데,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도와주는 교제"라 할 수 있지만 이는 일본에서 건너온 은어이다.원조 교제 :: 네이버 영어사전 일본에서 여고생 또래가 금전을 받고 어른과 데이트해 주고 종종 성적 봉사도 하는 것을 말한다. 많은 사람들 특히 일본 밖에서는 이를 미성년자 성매매로 간주한다. = = 국가별 문제 = = = = = 대한민국의 원조 교제 = = = 대한민국의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장에서는 현재는 법률상 원조 교제가 아닌 청소년 성매매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 = 일본의 원조교제 문제 = = = 일본 내 연구자들은 원조 교제(엔죠코사이, )가 성인 연령에 도달하는 여학생들의 통과 의례로서 발달했다고 본다. 현대 일본 자본주의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겼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 이후 성매매는 불법화되었다.(성매매의 범위는 좁게 정의됨: 성기-성기접촉이 있어야 위법임.) 원조 교제에 관한 특별법은 1990년대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일본 정부에 의한 실직적인 규제는 없어왔다. 왜냐하면 이 법에서는 명시적으로 성을 위해 돈을 지불한 게 아니면 처벌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 그러한 경우는 드물다. 간접적인 방식으로 돈을 건네는 거래이다. 또 일본 사법당국에 따르면 13세~17세의 연령에서 법률적 동의가 인정되기 때문에 원조 교제 고객은 법적 강간으로 처벌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 = = = 휴대 전화 관계 = = = = 원조 교제를 둘러싼 사회 환경은 복합적이다. 테레쿠라(전화방)을 통해 최초 접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부스 안에서 남성이 전화를 걸면 여성이 전화를 받으며 여성이 원하면 데이트를 약속할 수 있다. 요즘에는 전화방에서 단순히 휴대 전화 번호를 제공해 주기도 하며, 전자 우편을 기반으로 하는 메루쿠라(메일 클럽)도 있다. 2000년 기준 일본의 휴대 전화 사용 인구가 6380만 명 정도 된다. 일본인터넷연합(민간단체)에 따르면 여고생들의 1/3 이상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 전화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 빈센트 (1982년 영화) = 빈센트(Vincent)는 미국에서 제작된 팀 버튼 감독의 1982년 드라마 영화이다. 빈센트 프라이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릭 하인리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내레이션은 배우 빈센트 프라이스가 참여하였다. = = 출연 = = 빈센트 프라이스 = = 제작진 = = 미술: 팀 버튼 = 놀람 최소화 원칙 = 놀람 최소화 원칙(, , POLA)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 설계에 적용되는 원칙이다. "필요한 기능에 크나큰 깜짝 놀래킬만한 요소가 있다면 해당 기능을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원칙의 일반적인 공식이다. 더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면 이 원칙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행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해당 동작이 사용자들을 놀래키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 = 공식 = = 교과서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시스템의 일부이다. 설계는 사용자의 경험, 예측, 멘탈 모델과 일치하는 것이 좋다." 이 원칙은 이전에 존재하던 사용자의 지식을 지렛대삼아 학습 곡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테면 사용자에게 친숙할 가능성이 있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프로그램들로부터 상당 부분을 차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 예측은 특정 컴퓨팅 플랫폼이나 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를테면 유닉스 명령줄 프로그램들은 스위치의 관점에서 특정한 전통을 따를 것으로 예측되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프로그램들의 위젯들은 단축키의 관점에서 특정한 전통을 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다른 예로, API와 같은 더 추상적인 구성에서는 함수나 메소드 이름들이 직관적으로 동작과 일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실천은 합리적인 기본값 적용을 수반하기로 한다. = 루돌프 (동음이의) = 루돌프는 다음을 가리킨다. 빨간 코를 가진 순록 루돌프(Rudolph the Red-Nosed Reindeer) 루돌프 1세 루돌프 1세 (독일왕): 합스부르크 왕가 최초의 로마 왕 루돌프 1세 (보헤미아) 루돌프 2세 루돌프 2세 (신성 로마 황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보헤미아의 왕, 헝가리 왕국의 왕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 루돌프 뫼스바우어: 독일의 물리학자 발터 루돌프 헤스: 스위스의 생리학자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마커스 루돌프 크리스토프 오이켄: 독일의 철학자 루돌프 헤스: 나치 독일의 지도자대리(일명 부총통)을 역임했던 인물로 나치당의 주요 인물이자 아돌프 히틀러의 부관 윌머 루돌프: 미국의 여자 육상 선수 루돌프 줄리아니: 미국의 법조인·정치인 루돌프 카르나프: 독일과 미국에서 활동한 분석철학자 루돌프 힐퍼딩: 오스트리아 태생의 독일 정치인, 언론인,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경제학자 루돌프 회스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발덴: 핀란드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 루돌프 불트만: 독일의 개신교(루터교) 신학자 루돌프 피르호: 독일의 병리학자·인류학자 루돌프 오토: 저명한 독일 루터교 신학자, 철학자, 비교 종교가 레오 루돌프 라우발 주니어: 오스트리아의 교사이자 군인, 사업가 마야 루돌프: 미국의 배우 및 희극인 루돌프 지메크: 오스트리아의 독일학자, 문헌학자 루돌프 랑게: 독일의 저명한 장교 루돌프 로커: 독일의 아나르코 생디칼리슴 작가이자 운동가 루돌프 키르히슐레거: 오스트리아의 외교관, 정치인, 판사 루돌프 슈타이너: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의 학자 루돌프 플류크펠더: 러시아의 전직 역도 선수이자 역도 코치 아르투어 루돌프: 독일의 로켓 공학자 루돌프 이스마이어: 독일의 역도 선수 루돌프 디젤: 독일의 기계 기술자 루돌프 립시츠: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 쉥커: 독일의 기타리스트 겸 가수 루돌프 폰 예링: 독일의 법학자 루돌프 파이얼스: 독일 태생의 물리학자 루돌프 발렌티노: 이탈리아의 배우이자 초기 팝 아이콘 루돌프 하크: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슈스테르: 슬로바키아의 제2대 대통령 루돌프 폰 라반: 헝가리의 무용가이자 무용이론가 루돌프 슈타믈러: 신칸트파의 마르부르크학파에 속하는 독일의 법학자 루돌프 아벨: 소련의 첩보원 루돌프 야코프 카메라리우스: 독일의 식물학자, 의사 루돌프 제르킨: 미국의 피아니스트 루돌프 바이어: 1972년 이래로 뮌헨 공과 대학교의 정보과학 (명예)교수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히틀러 시대의 독일 헌법학자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독일, 네덜란드의 화학자이며 화학공업가 루돌프 포바르니친: 우크라이나의 전직 육상 선수 안드레아 엘리자베스 루돌프: 덴마크의 텔레비전 진행자 와게 루돌프 수프라트만: 인도네시아의 음악가, 작곡가 루돌프 크로이처: 프랑스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교사, 지휘자, 작곡가 케빈 루돌프: 미국의 록 가수 루돌프 망: 전 서독의 역도 선수 루돌프 렌드토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구약학 명예 교수 루돌프 쿠엘만: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네덜란드 바이올리니스트 윌마 루돌프: 미국의 육상선수 = = 기타 = = 루돌프 사슴코 루돌프 표: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1627년에 출간된 항성과 행성의 표 = 가이트래시 = 가이트래시는 잉글랜드 북부에서 전승되는 검둥개이다. 혼자서 길을 따라 출몰하면서 나그네를 기다린다고 한다. 검은 개 외에도 말, 나귀의 형상을 할 때도 있으며, 사람을 잘못된 길로 이끌어 길을 잃게 만든다. 개중에는 길잃은 나그네를 올바른 길로 인도해 주는 자애로운 것도 있지만, 대개 가이트래시는 공포의 대상이다. 샬롯 브론테의 소설 제인 에어에서 주인공 제인이 로체스터의 말과 개를 보고 가이트래시를 떠올리는 장면이 있다. 제인 에어에 언급된 것이 가이트래시 전승이 문자로 기록된 최초의 사례로 생각된다.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에는 가이트래시와 유사한 검은 개가 주인공 해리 근처에 계속 나타난다. 뒤에 가면 그 개의 정체는 해리의 대부 시리우스 블랙이 둔갑한 것이었음이 밝혀진다. = 2023년 라치오주 주의회 선거 = 2023년 라치오주 주의회 선거는 라치오주 주지사를 포함한 주의원 51석을 선출하기 위해 2023년 2월 12일부터 13일까지 실시된다. = = 선거 과정 = = 선거 전 여론조사를 통해 중도우파 연합이 승리할 것으로 예측됐다. = 분류:사우스캐롤라이나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 이경수 (1956년) = 이경수(李京洙, 1956년 6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핵융합물리학자이다. = = 학력 = = 1975년 2월: 경북고등학교 졸업 1975년 3월 ~ 1979년 2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79년 3월 ~ 1980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과 재학 1980년 9월 ~ 1980년 12월: 미국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재학 1981년 1월 ~ 1986년 5월: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플라즈마 물리학과 박사 = = 약력 = = 1991년~2008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992년 : '한빛' 총괄 책임자 1992년 : 한국형 핵융합연구로(KSTAR) 프로젝트 총괄사업 책임자 2007년 : 국제핵융합연구평의회(IFRC) 한국사업단장 2008년 : 국제핵융합연구평의회(IFRC) (IFRC) 의장 2008년 : 국제핵융합연구소(NFRI)장 2011년 : ITER 경영자문위원회 의장 2014년 : ITER 이사회 부의장 2020년 3월 ~ 2020년 4월 : 제21대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2020년 9월 ~ 2021년 6월 :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 2021년 6월 14일 ~ 2022년 5월 13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2021년 6월 10일에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임명됨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에서 자동으로 탈당 처리됨) = 분류:독일의 록 음악 = = 분류:시리아의 스포츠 리그 = = 분류:아시시의 건축물 = = 분류:19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스포츠 중계석 (1993년) = 스포츠 중계석은 KBS 2TV에서 방송된 스포츠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1993년 5월 3일부터 10월 15일(1차)까지 방영됐고 다음 해 2월 21일 부분개편에 맞춰 기존 스포츠뉴스가 해당 프로그램으로 제목을 바꿔 재개되어 5월 9일(2차)까지 방송됐으며 다음 해 5월 1일 재개됐다. = = 기획 의도 = = 한 주간의 주요 스포츠 경기 주요장면을 정리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KBS 2TV 1993년 5월 3일 ~ 1993년 10월 15일 매주 평일 밤 10:45 ~ 11:05 20분 KBS 2TV 1994년 2월 21일 ~ 1994년 5월 9일 매주 평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1997년 3월 24일 ~ 2001년 7월 27일 매주 평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2001년 8월 6일 ~ 2001년 8월 10일 매주 평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1995년 5월 1일 ~ 1995년 5월 5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0:55 10분 KBS 2TV 1995년 5월 1일 ~ 1995년 5월 5일 매주 금요일 밤 11:20 ~ 11:35 15분 KBS 2TV 1995년 5월 8일 ~ 1995년 5월 1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 15분 KBS 2TV 1995년 5월 8일 ~ 1995년 5월 19일 매주 금요일 밤 11:20 ~ 11:30 10분 KBS 2TV 1995년 5월 22일 ~ 1995년 8월 18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 15분 KBS 2TV 1995년 5월 22일 ~ 1995년 8월 18일 매주 금요일 밤 11:20 ~ 11:50 30분 KBS 2TV 1995년 8월 21일 ~ 1994년 8월 25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 10분 KBS 2TV 1995년 8월 21일 ~ 1994년 8월 25일 매주 금요일 밤 12:05 ~ 12:30 25분 KBS 2TV 1995년 8월 28일 ~ 1995년 9월 7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매주 금요일 밤 12:00 ~ 12:15 15분 KBS 2TV 1995년 9월 11일 ~ 1995년 11월 3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매주 금요일 밤 11:20 ~ 11:35 15분 KBS 2TV 1995년 11월 6일 ~ 1995년 11월 21일 매주 월요일 ~ 화요일 밤 10:45 ~ 11:00 15분 KBS 2TV 1995년 11월 6일 ~ 1995년 11월 21일 매주 수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1995년 11월 6일 ~ 1995년 11월 21일 매주 금요일 밤 11:20 ~ 11:35 15분 KBS 2TV 1995년 11월 27일 ~ 1995년 12월 22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1995년 11월 27일 ~ 1995년 12월 22일 매주 금요일 밤 11:20 ~ 11:35 15분 KBS 2TV 1995년 12월 25일 ~ 1996년 5월 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1996년 5월 13일 ~ 1996년 10월 1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매주 금요일 밤 10:35 ~ 10:50 15분 KBS 2TV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2월 27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 15분 KBS 2TV 1997년 3월 3일 ~ 1997년 3월 2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45 ~ 11:00 15분 KBS 2TV 1997년 3월 3일 ~ 1997년 3월 21일 매주 금요일 밤 10:50 ~ 11:00 10분 KBS 2TV 2001년 7월 30일 ~ 2001년 8월 3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매주 금요일 밤 10:55 ~ 11:05 10분 KBS 2TV 2001년 8월 13일 ~ 2001년 8월 3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매주 금요일 밤 11:00 ~ 11:10 10분 KBS 2TV 2001년 9월 10일 ~ 2001년 11월 2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매주 금요일 밤 11:00 ~ 11:10 10분 KBS 2TV 2001년 9월 3일 ~ 2001년 9월 7일 매주 월요일 밤 11:00 ~ 11:10매주 화요일 ~ 목요일 밤 10:50 ~ 11:00매주 금요일 밤 11:00 ~ 11:10 10분 KBS 2TV 2001년 11월 5일 ~ 2001년 11월 30일 매주 월요일 ~ 수요일, 목요일 밤 12:00 ~ 12:10매주 화요일 밤 11:50 ~ 12:00매주 금요일 밤 12:10 ~ 12:20 10분 KBS 2TV 2001년 12월 3일 ~ 2002년 1월 4일 매주 평일 밤 11:50 ~ 12:00 10분 KBS 2TV 2002년 1월 7일 ~ 2002년 1월 1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1:50 ~ 12:00매주 금요일 밤 12:00 ~ 12:10 10분 KBS 2TV 2002년 1월 14일 ~ 2002년 1월 25일 매주 평일 밤 12:10 ~ 12:25 15분 KBS 2TV 2002년 1월 28일 ~ 2002년 3월 2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10 ~ 12:20 10분 KBS 2TV 2002년 1월 28일 ~ 2002년 3월 29일 매주 금요일 밤 12:10 ~ 12:25 15분 KBS 2TV 2002년 4월 1일 ~ 2002년 10월 25일 매주 평일 밤 12:10 ~ 12:20 10분 KBS 2TV 2002년 10월 28일 ~ 2003년 6월 19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40 ~ 12:50 10분 KBS 2TV 2003년 11월 3일 ~ 2004년 1월 15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40 ~ 12:50 10분 KBS 2TV 2004년 1월 26일 ~ 2004년 4월 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40 ~ 12:50 10분 KBS 2TV 2003년 6월 23일 ~ 2003년 10월 31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40 ~ 12:55 15분 KBS 2TV 2003년 6월 23일 ~ 2003년 10월 31일 매주 금요일 새벽 1:15 ~ 1:30 15분 KBS 2TV 2004년 1월 19일 ~ 2004년 1월 20일 매주 월요일 새벽 1:00 ~ 1:10매주 화요일 밤 12:55 ~ 새벽 1:05 10분 KBS 2TV 2004년 4월 5일 ~ 2004년 10월 28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12:45 ~ 12:55 10분 KBS 2TV 10분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KBS 2TV = = 역대 앵커 및 진행자 = = 김병찬 前 아나운서과거 1995년 스포츠 중계석을 진행했으며, 2006년 11월 초 퇴사후 프리랜서로 선언하여 현재 방송인이다. 조건진 前 아나운서퇴사 후 정년퇴임이다. 표영준 前 아나운서 최승돈 아나운서1999년 5월 ~ 9월, 2000년 9월 ~ 2001년 3월 말까지 KBS제주총국 순환근무, 1999년 9월 ~ 2000년 9월까지 영국 카디프 대학 석사를 취득했다. 김현태 아나운서실 팀장 이형걸 아나운서2020년 ~ 2021년 11월까지 아나운서실장 역임, 같은 해 12월 ~ 2023년 12월 KBS청주총국 총국장에 역임했다. 신영일 前 아나운서 이재후 아나운서 배재성 前 기자/KBS스포츠 대표 이광용 아나운서 = = 역대 패널 = = 야구 : (故) 하일성 (前 KBS 야구해설위원) = 분류: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작품 = = 천안시 (선거구) = 천안시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을 관할했다. = = 역사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천원군·아산군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을 기해 천안시와 천안군이 통합하면서 통합 천안시가 출범했다. 이에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합 천안시가 천안시 갑, 천안시 을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1988년 신민주공화당 정일영 1992년 무소속 성무용 =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 = = 분데스리가 1986-87 = 푸스볼-분데스리가 1986-87은 서독의 축구 1부리그인 푸스볼-분데스리가의 24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1986년 8월 8일에 시작되어 1987년 6월 17일에 종료되었다. 바이에른 뮌헨은 전 시즌 챔피언이었다. = = 대회 형식 = = 리그의 각 팀들은 다른 팀들을 상대로 각 두 번씩, 즉 홈경기 한 번, 원정경기 한 번씩을 치르게 된다. 경기에서 승리 시 승점 2점을 받으며, 무승부를 거둘 경우 승점 1점을 챙길 수 있다. 두 팀 이상이 승점에서 동률을 이룰 경우, 이들 간의 순위는 골득실로 결정되며, 그래도 동률이면 다득점으로 결정된다. 시즌이 끝나고,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팀이 우승을 거두게 되며, 반대로 승점이 가장 적은 두 팀은 2. 푸스볼-분데스리가로 강등된다. 뒤에서 3위로 시즌을 마감한 팀은 2. 푸스볼-분데스리가의 3위와 홈앤 어웨이 방식의 강등 /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러 잔류여부를 결정짓는다. = = 1985-86 시즌으로부터의 팀 변경 = = 자르브뤼켄과 하노버 96은 최하위 두자리를 가져감에 따라 2. 푸스볼-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그들의 자리는 홈부르크와 BW 베를린이 가져갔다. 강등 /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여한 도르트문트는 포르투나 쾰른을 상대로 합계에서 동률을 이룬 뒤, 중립 경기장에서 열린 세 번째 경기에서 승리하여 푸스볼-분데스리가 잔류를 확정지었다. = = 참가 팀 = = 구단 위치 홈구장 수용 인원 뉘른베르크 뉘른베르크 프랑켄슈타디온 64,238 도르트문트 도르트문트 베스트팔렌슈타디온 54,000 뒤셀도르프 뒤셀도르프 라인슈타디온 59,600 레버쿠젠 레버쿠젠 울리히-하벌란트-슈타디온 20,000 만하임 만하임 쥐트베스트슈타디온1 75,000 묀헨글라트바흐 묀헨글라트바흐 뵈켈베르크 슈타디온 34,500 바이에른 뮌헨 뮌헨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 80,000 BW 베를린 베를린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76,000 보훔 보훔 루르슈타디온 40,000 베르더 브레멘 브레멘 베저슈타디온 32,000 샬케 04 겔젠키르헨 파르크슈타디온 70,000 슈투트가르트 슈투트가르트 네카어슈타디온 72,000 위르딩겐 크레펠트 그로텐부르크-슈타디온 35,700 카이저슬라우테른 카이저슬라우테른 베첸베르크 슈타디온 42,000 쾰른 쾰른 뮌게르스도퍼슈타디온 61,000 SGE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발트슈타디온 62,000 함부르크 함부르크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62,000 홈부르크 홈부르크 발트슈타디온 홈부르크 24,000 1 만하임은 홈구장이 푸스볼-분데스리가 기준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루트비히스하펜에서 홈경기를 치루었다. = = 리그 순위 = =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및 강등 1 바이에른 뮌헨 (C) 34 20 13 1 67 31 +36 53 유러피언컵 1987-88 1라운드 2 함부르크 34 19 9 6 69 37 +32 47 UEFA 컵위너스컵 1987-88 1라운드 3 묀헨글라트바흐 34 18 7 9 74 44 +30 43 UEFA컵 1987-88 1라운드 4 도르트문트 34 15 10 9 70 50 +20 40 UEFA컵 1987-88 1라운드 5 베르더 브레멘 34 17 6 11 65 64 +11 40 UEFA컵 1987-88 1라운드 6 레버쿠젠 34 16 7 11 56 38 +18 39 UEFA컵 1987-88 1라운드1 7 카이저슬라우테른 34 15 7 12 64 51 +13 37 8 위르딩겐 34 12 11 11 51 49 +2 35 9 뉘른베르크 34 12 11 11 62 62 0 35 10 쾰른 34 13 9 12 50 53 -3 35 11 보훔 34 9 14 11 52 44 +8 32 12 슈투트가르트 34 13 6 15 55 49 +6 32 13 샬케 04 34 12 8 14 50 58 -8 32 14 만하임 34 10 8 16 52 71 -19 28 15 SGE 프랑크푸르트 34 8 9 17 42 53 -11 25 16 홈부르크 (O) 34 6 9 19 33 79 -46 21 강등 / 승격 플레이오프 17 뒤셀도르프 (R) 34 7 6 21 42 91 -49 20 2. 푸스볼-분데스리가 1987-88로 강등 18 BW 베를린 (R) 34 3 12 19 36 76 -40 18 2. 푸스볼-분데스리가 1987-88로 강등 출처: www.dfb.de 순위 결정 우선순위는 다음에 의해 결정된다: 1) 승점; 2) 골득실; 3) 다득점 1 함부르크가 UEFA 컵위너스컵 1987-88 진출권을 획득하였으므로, UEFA컵 1987-88 진출권은 레버쿠젠의 몫이 되었다.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자; (A) = 다음 라운드 진출 시즌이 종료되지 않았을때에만 다음을 사용: (Q) = 해당 라운드 진출; (TQ) = 토너먼트 진출, 그러나 진출 라운드 미정; (DQ) = 진출 무효 = = = 승격 / 강등 플레이오프 = = = 홈부르크는 정규리그를 16위로 마감하였다. 그에 따라 홈부르크는 2. 푸스볼-분데스리가 3위인 장크트 파울리와 강등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하였다. 홈부르크는 홈앤 어웨이 합계로 4-3 승리를 기록하며 분데스리가 잔류를 확정시켰다. = = 결과 = = 홈\원정1 BWB BOC BRE DOR DÜS FRA HAM HOM KAI KÖL LEV WMA MGL FCB NUR S04 STU UER BW 베를린 - 0–0 1–4 1–1 1–2 2–2 1–3 2–2 1–4 1–1 0–1 4–1 3–2 1–1 1–4 0–0 0–2 1–1 보훔 5–1 - 1–1 0–0 2–2 2–0 1–1 0–0 3–1 3–1 2–1 6–1 1–1 1–2 0–1 1–1 0–1 2–1 베르더 브레멘 2–0 0–0 - 5–0 5–2 4–1 2–1 6–0 1–0 2–1 1–0 4–2 1–7 1–1 5–3 0–0 1–0 5–1 도르트문트 7–0 3–2 2–1 - 4–1 1–0 4–3 3–0 2–0 1–1 0–0 6–0 0–2 2–2 2–2 1–0 1–2 1–1 뒤셀도르프 3–1 0–4 2–1 0–4 - 3–3 3–2 1–0 1–3 0–4 2–3 2–0 1–1 0–3 1–1 3–4 1–0 1–1 SGE 프랑크푸르트 1–3 1–1 2–2 0–4 5–0 - 1–3 4–0 2–2 1–2 1–0 2–1 4–0 0–0 1–0 0–1 3–1 1–0 함부르크 2–1 1–1 3–0 4–2 4–1 2–0 - 3–1 2–0 1–0 2–1 1–0 3–1 1–2 1–1 4–0 2–0 2–1 홈부르크 2–1 3–1 0–1 2–2 3–1 1–1 1–1 - 1–1 1–3 1–2 2–1 0–2 2–2 2–0 1–1 2–1 0–2 카이저슬라우테른 2–0 4–1 1–3 2–3 3–1 2–1 0–4 5–0 - 5–1 1–1 3–2 1–1 1–1 2–1 5–1 3–0 1–0 쾰른 1–1 1–0 3–0 2–0 1–0 0–0 1–1 3–0 2–2 - 1–4 2–1 2–4 1–1 3–1 3–2 0–0 1–2 레버쿠젠 2–2 2–1 4–1 3–2 5–0 2–0 0–1 4–2 1–0 0–1 - 0–0 0–2 0–0 2–0 4–2 4–1 1–4 만하임 1–1 0–0 1–0 2–1 1–1 2–1 2–2 5–1 4–3 2–0 2–1 - 1–1 3–3 3–0 2–0 3–2 2–3 묀헨글라트바흐 2–1 2–1 1–2 2–2 4–1 1–1 0–3 5–0 0–1 3–1 2–1 7–2 - 0–1 4–0 3–1 4–0 2–0 바이에른 뮌헨 2–0 3–2 3–2 2–2 3–0 2–1 3–1 3–0 3–0 3–0 0–3 3–0 3–1 - 4–0 1–0 1–0 2–2 뉘른베르크 7–2 3–3 5–1 1–2 4–3 1–0 3–3 2–2 2–1 1–1 1–1 1–1 2–0 1–2 - 2–1 2–1 1–1 샬케 04 3–0 0–0 1–0 2–1 4–2 3–1 1–1 4–0 3–2 2–4 1–2 3–1 1–2 2–2 2–4 - 2–1 2–1 슈투트가르트 1–1 2–4 4–0 3–0 3–0 4–1 1–1 4–0 1–1 5–1 1–0 2–1 2–4 1–3 1–1 4–0 - 2–0 위르딩겐 2–1 3–1 1–1 2–4 4–1 1–0 1–0 2–1 1–2 3–1 1–1 3–2 1–1 0–0 3–4 0–0 2–2 - 출처: www.dfb.de 1 홈팀은 왼쪽 열의 팀이다. 청색은 홈팀 승리를, 홍색은 원정팀 승리를, 황색은 무승부를 의미 = = 득점 순위 = = 우베 란 (묀헨글라트바흐) 프리츠 발터 (만하임) 루디 푈러 (베르더 브레멘) 노르베르트 디켈 (도르트문트) 프랑크 하트만 (카이저슬라우테른) 프랑크 밀 (도르트문트) 위르겐 클린스만 (슈투트가르트) 하랄트 코어 (카이저슬라우테른) 헤어베어트 바스 (레버쿠젠) 클라우스 알로프스 (쾰른) 예른 안데르센 (뉘른베르크) 로타어 마테우스 (바이에른 뮌헨) 크리스티안 슈라이어 (레버쿠젠) 볼프람 부트케 (카이저슬라우테른) 미하엘 초어크 (도르트문트) = = 챔피언 스쿼드 = = FC 바이에른 뮌헨 골키퍼: 장마리 파프 (34). 수비수: 한스 플뤼글러 (32 / 7); 노르베르트 에더 (32 / 1); 안드레아스 브레메 (31 / 4);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25 / 4); 홀거 빌머 (9); 울리 바여슈미트 (1). 미드필더: 노르베르트 나흐트바이 (33 / 3); 로타어 마테우스 (31 / 14); 한스-디터 플릭 (19 / 1); 한스 도프너 (17 / 1); 헬무트 빈클호퍼 (17). 공격수: 미하엘 루메니게 (31 / 8); 롤란트 볼파르트 (27 / 11); 디터 회네스 (26 / 7); 루트비히 쾨글 (21 / 2); 라스 룬데 (21 / 2); 라인홀트 마티 (11 / 2); 프랑크 하트만 (1). (괄호 안은 경기 출장 횟수 / 득점 횟수를 나타낸 것임) 감독: 우도 라텍. 명단에 있지만 출장 기록이 없는 선수: 라이몬트 아우만; 로베르트 데케이저, 알렉산더 쿠체라. = 황쓰천 = 황쓰천(, 1987년~)은 베이징 출신의 CFA 자격을 가진 투자자로, USC 학부를 졸업하였고 펜실베니아 대학교 와튼스쿨 MBA 출신이다. 중국 최대 부동산재벌중 하나인 중쿤 그룹 회장 황누보의 아들이기도 하다. 중국은행(Bank of China)에서 애널리스트(Analyst)로 약2년간 근무 후, Beijing Beetle P.E investment를 창업하였고, 현재 ECAR홀딩스의 대표이다. Beetle Sports를 통해 X-MUDDER 대회를 개최하여 중화권 최초로 Mudrun을 도입하였으며, 금융과 스포츠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다. = 주상욱 = 주상욱(1978년 7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8년 KBS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로 텔레비전 연기자 데뷔하였다. = = 생애 및 경력 = = 주상욱은 1남 2녀 중 둘째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이북 출신으로서 주상욱이 7살때 돌아가셨고 어머님이 공직 생활을 하시며 삼남매를 키우셨다. 친구의 모델 활동 현장에 우연히 놀러 갔다가 에이전트로부터 부탁을 받았던 주상욱'힐링캠프' 주상욱, "배우 데뷔? 모델 여자친구가…"은 1999년 KBS 청소년 드라마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의 단역으로 데뷔한 뒤, 20대 중반까지 아역으로 활동했다. 제대 후 젠틀하고 반듯한 이미지의 역할을 도맡아 해 '실장님 전문 배우'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2012년 7월 김준호와 함께 남자의 자격에 합류해 프로그램이 종영될 때까지 고정 멤버로 출연했으며 이 프로그램으로 2012년 KBS 연예대상 쇼오락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다. = = 학력 = = 서울고등학교 남서울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 = 병역 = = 대한민국 육군 병장 전역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1997년 SBS 《드라마다큐X》 - 이진수(대역) 역 1998년 KBS1 《신세대 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1998년 EBS 《내일》 - 박건 역 1999년 EBS 《네 꿈을 펼쳐라》 - 박건 역 2006년 EBS 《청해의 꿈》 2006년 MBC 《MBC 베스트극장 - 놈들의 수다》 - 정수 역 2007년 MBC 《에어시티》 - 안강현 역 2007년 KBS2 《드라마시티 - 은둔하는 북의 사람》 - 박 역 2007년 MBC 《깍두기》 - 박재우 역 2008년 MBC 《춘자네 경사났네》 - 이주혁 역 2008년 KBS2 《드라마시티 - 실연 복수 전문가 Miss 조》 - 이기현 역 2008년 KBS2 《아빠 셋 엄마 하나》 - 정찬영 역 2009년 KBS2 《그저 바라보다가》 - 김강모 역 2009년 MBC 《선덕여왕》 - 월야 역 2010년 SBS 《자이언트》 - 조민우 역 2011년 MBC 《마이 프린세스》 - 현우 역 (특별출연) 2011년 SBS 《파라다이스 목장》 - 서윤호 역 2011년 KBS2 《가시나무새》 - 이영조 역 2011년 ~ 2012년 OCN 《특수사건 전담반 TEN》 - 여지훈 역 2012년 MBC 《신들의 만찬》 - 최재하 역 2013년 OCN 《특수사건 전담반 TEN 2》 - 여지훈 역 2013년 KBS2 《굿 닥터》 - 김도한 역 2013년 웹드라마 《방과 후 복불복》 - 형사 반장 주진욱 역(특별출연) 2014년 tvN 《로맨스가 필요해 3》 - 신주연의 과거 두번째 남자친구 역 (특별출연) 2014년 MBC 《앙큼한 돌싱녀》 - 차정우 역 2014년 SBS 《미녀의 탄생》 - 한태희 역 2015년 KBS2 《복면검사》 - 하대철 역 2015년 MBC 《화려한 유혹》 - 진형우 역 2016년 JTBC 《판타스틱》 - 류해성 역 2018년 TV조선 《대군 - 사랑을 그리다》 - 진양대군 이강 역 2018년 SBS 《운명과 분노》 - 태인준 역 2019년 JTBC 《으라차차 와이키키 2》 - 톱스타 강민호 역(특별출연) 2020년 채널A 《터치》 - 차정혁 역 2021년,2022년 KBS1 《태종 이방원》 - 태종 이방원 역 2022년 tvN 《환혼》 - 장강 역 2023년 ENA 《보라! 데보라》 - 한상진 역 = = = 영화 = = = 2006년 《아랑》 - 재혁 역 2007년 《최강 로맨스》 - 김종혁 역 2008년 《아내가 결혼했다》 - 한재경 역 2010년 《용서는 없다》 - 이성호 변호사 역(우정출연) 2012년 《간기남》 - 한길로 역 2012년 《90분》 - 상희 역 2013년 《응징자》 - 이준석 역 2014년 《조선미녀삼총사》 - 사현 역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2011년 KBS2 《김승우의 승승장구》 - 게스트(2011.03.01 방송) 2012년 KBS2 《남자의 자격》 - 고정출연 2013년 KBS2 《해피투게더 시즌 3》 (드라마 굿닥터 훈남 특집) - 게스트 2013년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게스트(2013.10.14 방송) 2013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13.10.27 방송) 2014년 SBS 《런닝맨》 - 게스트(2014.11.02 방송) 2014년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게스트(2014.11.24 방송) 2017년 O tvN 《주말엔 숲으로》 - 고정출연 2017년,2018년 MBC 《세모방 : 세상의 모든 방송》 - 고정출연 2019년 채널A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1》 -게스트(2019. 05. 02~05.09 방송) 2020년 채널A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2》 -게스트(2020년. 01. 30~02.06, 09.17~09.24 방송) 2021년 SBS 《편먹고 공치리》 - 2회 게스트(2021.07.23 방송) 2022년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 - 차예련 영상 출연 2022년 KBS1 《한식 연대기》 - 진행 (2022.09.10 ~ 9.22 방송) 2022년 KBS2 《세컨 하우스》 - 차예련 영상 출연 2023년 KBS2 《세컨 하우스2》 - 주조 형제 2023년 KBS2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229회 스페셜 MC 2023년,2024년 채널A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5》 -반 고정출연(2023년. 09. 07~ 방송) 2023년 KBS1 《다큐On - 도시의 기억 3부작》 - 내레이션 (2023.11.11, 11.18, 11.25 방송) = = 광고 = = 2010년 옥시레킷벤키저 개비스콘 2010년 LG유플러스 TV Smart7 2012년 결핵, 생각보다 캠페인 2013년 휴온스 알룬 2013년 에코로바 아웃도어 2013년 농심 강글리오 꿀사과커피 2015년 불스원 크리스탈 코트 2015년 불스원 레인오케이 하이브리드 와이퍼 2015년 불스원 레인오케이 스피드 2015년 휴젤파마 더채움 필러 2017년 불스원 프리미엄 5중필터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0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자이언트 2010 S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with. 황정음) 자이언트 2011 제6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모델스타상 2011 제4회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남자조연상 자이언트 2011 제5회 아시아 주얼리 어워드 배우부문 다이아몬드상 2012 KBS 연예대상 쇼오락 남자 신인상 남자의 자격 2012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신들의 만찬 2013 헤럴드 동아TV 라이프스타일 어워드 베스트 드레서상 2013 K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굿 닥터 2014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앙큼한 돌싱녀 2014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 미녀의 탄생 2014 S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with. 한예슬) 미녀의 탄생 2014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미녀의 탄생 2015 제3회 드라마피버 어워즈 베스트 브로맨스상(with. 서강준) 앙큼한 돌싱녀 2015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화려한 유혹 2015 K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복면검사 2017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남자 우수상 세모방 2019 제14회 숨피 어워즈 최우수조연상 남자부문 대군 - 사랑을 그리다 2019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운명과 분노 2022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연속극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태종 이방원 2022 KBS 연예대상 베스트 커플상 세컨 하우스 2022 KBS 연기대상 대상 태종 이방원 = 프리미어리그 2019-20 경기 일정 = 다음은 프리미어리그 2019-20 경기 일정이다. = = 경기 결과 = = = = = 1경기 = = = = = = 2경기 = = = = = = 3경기 = = = = = = 4경기 = = = = = = 5경기 = = = = = = 6경기 = = = = = = 7경기 = = = = = = 8경기 = = = = = = 9경기 = = = = = = 10경기 = = = = = = 11경기 = = = = = = 12경기 = = = = = = 13경기 = = = = = = 14경기 = = = = = = 15경기 = = = = = = 16경기 = = = = = = 17경기 = = = = = = 18경기 = = = = = = 19경기 = = = = = = 20경기 = = = = = = 21경기 = = = = = = 22경기 = = = = = = 23경기 = = = = = = 24경기 = = = = = = 25경기 = = = = = = 26경기 = = = = = = 27경기 = = = = = = 28경기 = = = = = = 29경기 = = = = = = 30경기 = = = 리그 재개시 아래 경기부터 무관중경기로 진행될 것이다. = = = 31경기 = = = = = = 32경기 = = = = = = 33경기 = = = = = = 34경기 = = = = = = 35경기 = = = = = = 36경기 = = = = = = 37경기 = = = = = = 38경기 = = = = = 같은 라운드 때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경기장 = =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아스널)과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토트넘 홋스퍼) 구디슨 파크(에버턴)와 안필드(리버풀) 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맨체스터 시티)과 올드 트래퍼드(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제18비행단 = 제18비행단은 다음과 같다. 제18전투비행단 (대한민국) 제18비행단 (미국) = 강론 = 강론은 다음을 가리키는 강론 강론 (학술) 또는 토론 설교 - 기독교에서 말하는 가르침(교리) = 틀: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남우조연상 = = 리지 카니프 = 리지 커나이프(Ridge Canipe, 1994년 7월 13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러구나비치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워리어스 하트 (2011년) 라이프 이즈 핫 인 크랙타운 (2009년) 싱글 맨 (2009년) - 어린 소년 역 베이비 블루 (2008년) - 지미 역 더 익스프레스 (2008년) 뮤직 위딘 (2007년) 블레이즈 오브 글로리 (2007년) 다니카 (2006년) - 브라이언 역 산타클로스 3 (2006년) 줌 (2006년) 수퍼내추럴 시즌1 (2005년) 배드 뉴스 베어즈 (2005년) 앙코르 (2005년) - 어린 J.R. 역 = 유정 (1987년 영화) = 유정은 198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미선 : 남정임 역 이정길 : 최석 역 이미숙 : 부인 역 정재곤 : 오진우 역 윤양하 : 박 교수 역 장인한 : 촌부 역 고상미 : 마담 역 최성관 : 스즈끼박사 역 김진경 : 최순임 역 이형초 : 어린 정임 역 이재은 : 어린 순임 역 = 익산 어래산성 = 익산 어래산성(益山 御來山城)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2000년 12월 29일 전북특별자치도의 문화재자료 제17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산성은 당나라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할 때 쌓은 성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주변의 함라산성, 도청산성 등과 함께 백제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쪽 능선과 서쪽의 사면을 감싼 테뫼식 토성으로 성벽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인근의 익산 입점리 고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성의 둘레는 485m 정도로서 남문지와 동문지가 남아 있고, 성의 외부에는 5m 내외의 회랑도가 있다. = = 참고 자료 = = * 어래산성 = 아제르바이잔의 국장 = 아제르바이잔의 국장은 1992년에 제정되었다. 국장 가운데에는 아제르바이잔의 국기를 구성하는 색인 파란색, 빨간색, 초록색 세 가지 색의 원형 방패가 그려져 있다. 방패 안에는 하얀색 팔각별이 그려져 있으며, 팔각별 안에는 불이 그려져 있다. 방패 왼쪽에는 참나무 잎이 장식되어 있으며, 방패 오른쪽에는 밀 이삭이 장식되어 있다. = = 역대 아제르바이잔의 국장 = = 국장 = 성곡언론문화재단 = 성곡언론문화재단은 신문․통신 및 방송국에 종사하는 언론인들의 자질 향상을 기하고 언론 및 문화의 건전한 신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1965년 9월 13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92, 1118, 1119호 (신문로1가, 광화문오피시아빌딩)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중견언론인에 대한 해외유학 장학금 및 시찰비용 보조 언론인 재교육 및 언론․문화 창달 육성 = 휴대전화 자판 = 휴대전화 자판(Mobile Phone Keypad)은 숫자와 글자,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글쇠들이 휴대 전화에 배열된 자판이다. = = 다른 자판과의 차이점 = = 주로 0~9까지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쓰인다는 면에서는 전화 자판(Telephone Keypad)과 같지만 DTMF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소프트웨어적 방법으로 모드를 변환하여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한글과 그 외 언어와 기호 등을 문자메시지(Text Messaging) 등을 위해 입력할 수 있다. 컴퓨터 키보드와는 다르게 시프트(Shift)나 펑션(Function)키를 같이 눌러 사용하는 일은 없는데 그것은 한 손만으로도 작동해야 하는 휴대전화의 사용성의 특성 때문이다. 전자계산기나 컴퓨터의 숫자 자판과 비교하면 컴퓨터는 밑으로부터 0에서 시작해서 윗부분에 7,8,9가 배치되지만 전화기와 휴대전화는 위로부터 첫째줄 1,2,3, 둘째줄 4,5,6 셋째줄 7,8,9 그리고 네 번째 줄이 *,0,#이 배치된다.(초기의 휴대전화는 2x6 형태의 모양이 있어서 첫째 1, 2 둘째 3,4 셋째 5, 6 넷째 7,8 다섯 째 9, * 여섯 째 #(예외)) 전화의 특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Asterisk,별표),#(Sharp,우물정자)도 많이 사용된다. 초기의 휴대전화는 2행 6열의 형태를 가진 제품이 많았으나 현대의 휴대 전화는 대부분 3X4 (3행 4열)과 Send,End,Clr(Back), 오른쪽 소프트키, 왼쪽 소프트키, 특정 기능키 그리고 5방향(혹은 4방향키, 스크롤키)선택 키 (Navigation Keys)와 함께 배치된다. = 파주고등학교 = 파주고등학교(坡州高等學校)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0년 7월 27일 : 학교법인 문산학원 설립인가 1971년 3월 5일 : 문산동중학교 개교, 초대 윤성모 교장 취임 1973년 3월 17일 : 조병춘 이사장 취임 1980년 11월 26일 : 파주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 1981년 3월 5일 : 파주종합고등학교 개교 (보통과 1학급, 상과 2학급) 1998년 4월 14일 : 세명학원으로 법인명칭 변경 2004년 3월 1일 : 파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5년 3월 2일 : 학교체제개편완료(보통과 총 15학급) 2018년 2월 12일 : 우민제 이사장 취임 2019년 3월 1일 : 제6대 이인숙 교장 취임 2020년 1월 7일 : 제37회 졸업식 졸업생 109명(총 졸업생 7,475명) = 분류:프랑스의 야전군 = = 송림 김씨 = 송림 김씨(松林金氏)는 경기도 장단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김승위(金承威)는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의 16세손이라고 한다. = 로이 젠슨 = 로이 젠슨(Roy Jenson, 1927년 2월 9일 ~ 2007년 4월 24일)은 미국의 영화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캘거리에서 태어났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암이다. = = 영화 = = 가면 속의 음모 (1995년) 스타 파이어 (1990년) 시경 강력반 (1988년) 쿵후 (1986년) 헌팅 플래쳐 (1986년) 도박사 2 (1983년) 고독한 방랑자 (1982년) 달리는 사이먼 (1981년) 더티 파이터 (1980년) 톰 혼 (1980년) 키스 미 (1980년) 더티 파이터 2 (1978년) 마틴 루터 킹 (1978년) 불타는 서부 - 77년 시리즈 (1977년) 공포의 검은 차 (1977년) 텔레폰 (1977년) 건틀릿 (1977년) 더 더취스 앤 더 더트워트 폭스 (1976년) 형사 Q (1976년) 야망의 계절 (1976년) 마지막 승부 (1975년) 브레이크아웃 (1975년) 바람과 라이온 (1975년) 아웃핏 (1974년) 99와 100분의 44% 죽음 (1974년) 클린트이스트우드의 대도적 (1974년) 차이나타운 (1974년) 소일렌트 그린 (1973년) 딜린저 (1973년) 추억 (1973년) 글래스 하우스 (1972년) 법과 질서 (1972년) 겟어웨이 (1972년) 빅 제이크 (1971년) 스탬퍼가의 대결 (1971년) 바보들 (1970년) 페인트 유어 웨건 (1969년) 윌 페니 (1968년) 0011 나폴레옹 솔로 - 헬리콥터 스파이스 (1968년) 5 카드 스터드 (1968년) 캐넌 목장 (1967년) 사이렌서 잠복 부대 (1967년) 명탐정 하퍼 (1966년) 배트맨 - 66년 TV 시리즈 (1966년) - 조폭 2 역 FBI (1965년) 전격 후린트 고고작전 (1965년) 첩보원 0011 (1964년) 도망자 (1963년) 풍선기구의 5주 (1962년) 아틀란티스, 사라진 땅 (1961년) 13 고스트 (1960년) 벨스 아 링잉 (1960년) 플레이밍 스타 (1960년) 보난자 (1959년) 외로이 달리다 (1959년) 워락 (1959년) 피터 건 (1958년) 부캐넌의 고독한 질주 (1958년) 딜론 보안관 (1955년) 케인호의 반란 (1954년) - 세일러 역 = 분류:2017년 K7리그 안양 경기장 = = 분류:히라오카가 = = 2013년 K3리그 = 챌린저스리그 2013은 챌린저스리그의 일곱 번째 시즌이다. 인터넷 포털 웹사이트 다음과의 스폰서 계약으로 인해 공식 명칭은 Daum 챌린저스리그 2013이다. 2012 시즌에 참가하였던 부천 FC 1995가 프로화를 선언하며 K리그에 참가하게 되면서 탈퇴하였고 남양주 시민축구단이 참가를 포기하였지만 김포 시민축구단과 화성 FC가 새롭게 창단하면서 지난 시즌과 같은 18개 구단이 참가하게 된다. 시즌은 두 개 조로 나뉘어 홈앤 어웨이와 인터리그를 포함해 27라운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의 상위 3개 팀씩 6개 팀이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투게 된다. 통합성적 1위 팀은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하며 통합성적 3위와 6위, 4위와 5위가 6강 플레이오프에서 만난다. 6강 플레이오프 승자가 4강 플레이오프에서, 4강 플레이오프 승자가 통합성적 2위와 준결 플레이오프에서 맞붙게 된다. = = 2013 시즌 참가팀 = = = = = A조 = = = 클럽 연고지 홈구장 고양 시민축구단 고양 고양어울림누리 별무리구장 광주 광산 FC 광주 광산 호남대학교 운동장 김포 시민축구단 김포 김포시종합운동장 이천 시민축구단 이천 이천종합운동장 전남 영광 FC 영광 영광스포티움 전주 시민축구단 전주 전주대학교 인조구장 천안 FC 천안 천안축구센터 청주 직지 FC 청주 청주종합운동장 포천 시민축구단 포천 포천종합운동장 = = = B조 = = = 클럽 연고지 홈구장 경주 시민축구단 경주 경주시민운동장 서울 FC 마르티스 서울 강북 강북구민운동장 서울 유나이티드 서울 노원 마들스타디움 아산 유나이티드 아산 이순신종합운동장 양주 시민축구단 양주 양주고덕인조구장 중랑 코러스 무스탕 서울 중랑 중랑구립잔디운동장 춘천 FC 춘천 춘천종합운동장 파주 시민축구단 파주 파주스타디움 화성 FC 화성 화성종합운동장 = = 정규리그 = = = = = A조 순위 = = = = = = B조 순위 = = = = = = 통합 순위 = = = = = 포스트시즌 = = = = = 6강 플레이오프 = = = = = = 4강 플레이오프 = = = = = = 준결승 플레이오프 = = = = = = 챔피언 결정전 = = = 2013 챌린저스리그 우승 포천 시민축구단3번째 우승 = = 개인 기록 = = = = = 득점 순위 = = = 순위 이름 클럽 득점 경기 1 김형필 27 19 2 전재희 27 24 3 김희중 19 24 4 전보훈 18 25 5 이제길 16 22 5 김태훈 16 24 5 김진호 16 25 = = = 도움 순위 = = = 순위 이름 클럽 도움 경기 1 이종민 17 23 2 김효기 10 23 2 안승훈 10 25 4 정대환 9 21 = 수젠텍 = 수젠텍(Sugentech Inc.)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본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정중연제로 721-26에 위치해 있으며 대표이사는 손미진이다. 수젠텍, '슈얼리 스마트' FDA 허가 완료…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히트뉴스, 2023.04.03 수젠텍, 알러지·여성호르몬 진단제품 북·남미 진출 '본격', 헬로우DD, 2023.07.24 수젠텍, 코로나&독감 동시진단제품 판매허가 획득, 팜뉴스, 2023.02.07 = 분류:구겐하임가 = = 모듈:Location map/data/Romania Sălaj = return { name = 'Sălaj County', top = 47.4608, bottom = 46.8470, left = 22.4753, right = 23.8441, image = 'Harta jud Salaj.svg' } = 분류:베냉의 태권도 = = 아난티 = 아난티(Ananti Inc.)은 레저시설 개발 및 건설, 운영 등의 사업을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 역사 = = 1987년에 에머슨퍼시픽이란 이름으로 피혁 및 관련제품의 제조&판매 목적으로 설립되어, 1994년 (주)한선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난 뒤조지윤, 날개 단 ‘에머슨퍼시픽’ 중국자본 1,800억 유치 성공, 시사위크, 2015.11.09, 1996년 1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다리딩투자증권 - 아난티 분석보고서 2018년 사명을 현재의 아난티로 변경하였다박동휘, 3년 만에 매출 5배로 키운 기업…'아난티 스타일' 해외로 간다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한국경제, 2023.01.15 = 오메가 중간자 = 오메가 중간자는 위 쿼크와 아래 쿼크로 이루어진 벡터 중간자다. 중성 로 중간자와 유사한 성질을 지니나, 중성 로 중간자와 달리 아이소스핀을 가지지 않고, 조금 더 무겁다. 기호는 그리스 소문자 오메가(ω)이다.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21년 12월/한국어 = }} 2021-12 한국어 2021-12 = 분류:아르헨티나의 성소수자 = = 초안:아랍 해방군 = 아랍 해방군 (ALA ; 아랍어 : جيش الإنقاذ العربي Jaysh al-Inqadh al-Arabi), a lso는 아랍 구세군 으로 번역되었으며, Fawzi al-Qawuqji 가 이끄는 아랍 국가 출신의 자원 봉사자 군대였다. 그것은 1948 년 팔레스타인 전쟁 에서 아랍 측에서 싸웠고 아랍 연맹 에 의해 아랍 고등위원회 의 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성전 군 , 사실 연맹과 아랍 정부는 수천 명이 어느 군대에 합류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1948 년 2 월 5 일 다마스커스 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야전 사령부, 북부 팔레스타인 은 Qawuqji의 군대에 배치되었지만 서안 은행 은 이미 Transjordan . 의 통제하에 있었지만 모집 목표는 10,000 명 이었으나 1948 년 3 월 육군에 입대 한 자원 봉사자 수는 약 6,000 명에 이르렀고이 수치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Safwat 장군에 따르면 실제 배치 된 수는 3,500 개에 불과할 수 있다. 주로 시리아 인 , 레바논 인 , 팔레스타인 인 그리고 수백명의 이라 키 인 , 트랜스 요르단 인 , 보스니아 인 , 무슬림 형제 이집트 및 시르 카시안 . 또한 소수의 독일인 , 터키인 및 영국 탈영병이있었다.Wikipedia  site:ko.sertuerner.com = 분류:니카라과의 종교 = = 분류:프랑크 왕국의 전투 = = 틀:여성주의 둘러보기 = = 세르비아 문학 = 세르비아 문학은 동방(비잔틴) 문화권에 속해 있었던 세르비아인들이 그리스어로 된 종교서적을 번역하기 위하여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 12세기부터 나타난 세르비아 문학은 미로슬라브 복음서, 성서이야기, 성자전 등에서 자신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갖추었다. 계몽주의시대의 가장 중요한 세르비아 작가인 도시테 오브라도비치는 세르비아 문학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20-70년의 문학에서는 유럽 낭만주의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와 같이 민간 전승에 대한 예찬과 민족주의적 주장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었다. 1870-1900년에는 산문작가 라자 라자레비치, 시모 마타불리, 스텐반스레마츠 등 사실주의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19세기 말엽에는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객관적 묘사에서 심리적 서술로 바뀌었는데, 보리사브 스탄코비치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서정적 성격을 띠는 경향이 짙었다. 20세기 초부터 1960년대까지는 문학의 표현양식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였고 1960년대말부터는 논쟁의 초점이 사회주의 사회의 문학에서 정치적·사회적 논평이 차지하는 위치와 문학작품의 내용으로 옮아 갔다. = 윌리엄 프롤리 = 섬네일 윌리엄 프롤리(William Frawley, 1887년 2월 26일 ~ 1966년 3월 3일)는 미국의 텔레비전 배우, 가수, 배우, 각본가, 영화배우, 연극 배우이다. 할리우드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심근 경색이다. = = 영화 = = 세이프 앳 홈! (1962년) 나의 세 아들 (1960년) 오명의 목장 (1952년) 애보트와 코스텔로 - 투명인간을 만나다 (1951년) 왈가닥 루시 (1951년) 레몬 드롭 키드 (1951년) 이스트 사이드, 웨스트 사이드 (1949년) - 빌 더 바텐더 역 아이 원더 후즈 키싱 허 나우 (1947년) 마이 와일드 아이리시 로즈 (1947년) 마더 워 타이츠 (1947년) 천국의 사도 조단 2 (1947년) 34번가의 기적 (1947년) 살인광 시대 (1947년) 지그펠드 폴리스 (1946년) 기차 위의 여인 (1945년) 블레임 오브 바바리 코스트 (1945년) 더 파이팅 씨비즈 (1944년) 나의 길을 가련다 (1944년) 록시 하트 (1942년) 철완 짐 (1942년) 리듬 온 더 리버 (1940년) 로즈 오브 워싱턴 스퀘어 (1939년)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 (1939년) 허클베리 핀의 모험 (1939년) 매드 어바웃 뮤직 (1938년) 더블 오어 노씽 (1937년) 장군 새벽에 죽다 (1936년) 진주의 목걸이 (1936년) 로버타 (1935년) 미스 페인스 베이비 (1934년) 히어 이즈 마이 하트 (1934년) 위칭 아워 (1934년) 레몬 드롭 키드 (1934년) = 분류:충주시의 스포츠 시설 = = 리본 (잡지) = 리본(RIBON)은 슈에이샤가 발행하는 일본의 월간 소녀 만화 잡지로, 1955년 8월 3일 창간되었으며 2005년 8월 창간 50주년을 맞이했다. 매월 3일에 발매한다. 영문자로 RIBON으로 표기하고 로마자로 RIBBON으로 표기한다. = = 개요 = = 나카요시(코단샤 발행), 챠오(쇼가쿠칸 발행)와 대등한, 초·중학생을 위한 3대 소녀 만화 잡지의 하나이다. 이 세 잡지는 오랫동안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현재는 〈챠오〉보다 ChuChu(쇼가쿠칸 발행·2005년 창간)편이 대상 연령, 만화의 내용으로 가깝게 되어 있다. 이전에는 나카요시·챠오외에 히토미(아키타 서점 발행)이라고 하는 경합 잡지가 존재하고 있었다. 주로 초등학교·중학교부터 고교생의 소녀를 타겟으로 하지만, 근년은 초등학교 고학년으로부터 중학생의 여자에게 독자층이 치우치는 경향에 있다. 만화의 내용은 초·중학생을 위한 3대 소녀 만화 잡지 중에서는 가장 어른스러워지고 있는 경향에 있어(초등학교 저·중학년에 있어 보면 난해한 작품이 적당히 있다), 독자의 평균 연령은 〈챠오〉와 비교해서 높지만, 유년 만화인 것 같음을 감지할 수 있는 작품도 많다. 2006년 7월에는 저연령층의 독자를 수중에 넣기 위해서, 별책 증간 아미~고!(あみ〜ご!)가 발간되었지만, 미디어 전개의 정체와 함께 현재 연재가 중단되었다. 코믹스는 〈리본 마스코트 코믹스〉의 라벨명으로 매월 15일 경에 발매되고 있다. 창간 50주년 때, 베네통·재팬과 제휴하고, 〈치비마루코짱〉이나 〈애니멀 골목길〉등의 캐릭터 T셔츠를 만들었던 적이 있다. 국제연합 세계 식량계획 (WFP)과도 제휴하고 있어, 매상의 일부는 WFP에 기부되었다. = = 연재작 목록 = = = = = 한국어판 발매 = = = 가나다순 《스타더스트★윙크(スターダスト★ウインク)》 (하루타 나나) 2009년2월호~ 《CRASH!》 (후지와라 유카) 2007년5월호~ = = = 한국어판 미발매 = = = 가나다순 《나는 늑대。(ボクは狼。)》 (유우키 나치) 2011년1월호~ 《마리모의 꽃〜최강무투파초등학생전설〜(まりもの花〜最強武闘派小学生伝説〜)》 (원작:아키모토 야스시, 만화:카스미 유우코) 2010년10월호~ 《블루프렌드〜2nd season〜(ブルーフレンド〜2nd season〜)》 (에반 후미) 2011년7월호~ 《세상의 끝(セカイの果て)》 (마키노 아오이) 2011년8월호~ 《애니멀 골목길(アニマル横町)》 (마에카와 료) 1999년3월호~ 《앵희화전(桜姫華伝)》 (타네무라 아리나) 2009년1월호~ 《절규학급(絶叫学級)》 (이시카와 에미) 2008년8월호~ 《제비의 스으(つばめのすぅ)》 (토리우미 리사코) 2011년1월호~ 《퍼펙트・로즈(パーフェクト・ローズ)》 (오오우치 나츠미) 2011년8월호~ 《프리티리듬(プリティーリズム)》 (원안:타카라토미・신소피아, 만화:아사부키 마리) 2010년8월호~ 《HIGH SCORE》 (츠야마 치나미) 1995년4월호~ 《히요코이(ひよ恋)》 (유키마루 모에) 2009년12월호~ = 탄주어 = 탄주어(呑舟魚)란 “배를 집어삼키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도가 계열 중국고전에 자주 언급된다. 『장자』 경상초에 “탄주어라 할지라도 물 밖으로 떠밀려 나오면 개미에게도 괴롭힘 당한다”고 했고, 『열자』 양주편에 “탄주어는 지류(支流)”에서 놀지 않고, 높이 나는 홍곡(기러기와 고니)은 더러운 못에 모이지 않는다”고 했다. 『사기』 혹리렬전 서문에서 “(진나라와 달리) 한나라는 법망의 그물을 탄주어도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 너그러이 하였다”고 했다. 이익의 『성호사설』 만물편에도 탄주어에게 집어삼켜졌다가 위벽을 마구 찔러 탈출한 어부가 위산 때문에 대머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현대에는 고래를 가리킨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최후의 판결 = 최후의 판결(Nuts)은 미국에서 제작된 마틴 리트 감독의 1987년 드라마 영화이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방영명은 너츠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리차드 드레이퓨즈 모린 스태플튼 엘리 웰라치 로버트 웨버 제임스 휘트모어 칼 말든 = = = 조연 = = = 레슬리 닐슨 윌리엄 프린스 데이킨 매튜스 폴 벤자민 엘리자베스 호프먼 카스투로 구에라 존 웨슬리 = = 제작진 = = 원작자: 톰 토포 미술: 조엘 쉴러 의상: 조 I. 톰킨스 배역: 마리언 더펄티 = 외상 후 성장 = 외상 후 성장(外傷後成長, 혹은 benefit finding)은 신체적인 손상 또는 생명에 대한 불안 등 정신적 충격을 수반하는 사고를 겪은 후 심적외상을 받은 뒤, 회복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회복(recovery)상태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긍정적 변형(transformation)을 가리킨다. 심리적 다차원 영역의 성장 및 성장했다는 주관적 지각의 변화를 말한다. 이 개념을 측정할 수 있도록 타당화된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가 있다.트라우마 피할 수 없다면 성장 디딤돌 삼으세요이새봄매일경제2011-07-08 다시 말하면, 수준 높은 기능을 발휘하는 단계로 가기 위하여, 역경이나 시련의 결과로서 경험 되는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말한다.Tedeshi, R.G., & Calhoun, L.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hiladelphia, P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이러한 환경은 환자의 적응적인 자원에 가하는 중대한 도전을 의미하며, 세상과 그 속에 있는 자신의 공간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중대한 도전을 보이기도 한다.Tedeshi, R.G., & Calhoun, L.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hiladelphia, P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외상 후 성장은 세상에 대해 생각하고 세계와 관계 하는 방식에 있어서 삶을 변화 시키는 심리적 변화를 말한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변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 깊은 의미를 갖게 된다.Tedeshi, R.G., & Calhoun, L.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hiladelphia, P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사회적 지지 = = 사회적 지지는 회복 탄력성에있어서 뿐만아니라 이러한 맥락에서 '외상후 성장'에도 기여하는 주요한 요인인것으로 알려져있다. = 이상윤 (군인) = 이상윤은 충청남도 홍성군 출신인 대한민국의 군인이었다. 1984년 학사사관 6기 포병장교 임관해, 1987년 항공병과로 전과하여 육군 학사사관 출신중에서는 2번째, 항공병과 장교로서는 최초로 장군에 진급했다. 항공병과 전과후 교육장교, 작전장교, 운항장교,‘시누크’헬기부대 대대장, 1군사령부 작전처 항공과장 등을 지내면서 다수의 국가급 항공임무를 현장에서 진두지휘했다. 특히 대대장, 항공단장 시절에는 탁월한 항공안전기법과 위험예지훈련을 생활화해 '한해 최다 부대표창 수상'이라는 육군의 진기록을 남겼다. 평소 임무 수행중 순직하는 것을 장교의 최고 명예로 여겼으며, 국가적인 재난시기에는 헬기조종사로서 작전에 직접 참여하여 3번의 죽을 고비를 구사일생으로 넘기기도 했다. 또한 육군항공작전사령부 항공전력발전계획단 단장 겸 부사령관으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과 세계최고 공격헬기‘AH-64E(아파치 가디언)’의 전력화와 효율적인 운용방안정립을 위한 육군항공전력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전력했다.( 국방일보 : 미래 육군항공 향한 힘찬 도약) = = 학력 = = 인천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금속공학과 육군포병학교 수료 육군항공학교 수료 = = 경력 = = 1984년 : 육군소위 임관(학사6기, 포병) 1987년 : 육군항공병과로 전과 2012년 : 육군준장진급 2012년 : 육군제20기계화보병사단 작전부사단장 2013년~2014년 : 육군항공작전사령부 항공전력발전계획단 단장 겸 부사령관 2014년~2016년 :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2016년~2018년 : 육군항공학교장 겸 육군항공병과장 = 바셀 카르타빌 = 바셀 카르타빌은 바셀 사파디라고도 알려진 팔레스타인계 시리아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시리아 내전 발발 1년 후인 2012년 3월 15일, 시리아 정부에 의해 다마스쿠스의 아드라 교도소에 구금되었다. 2015년 10월 3일 기준으로, 알려지지 않은 장소로 옮겨졌다. 2015년 10월 7일, 휴먼 라이츠 워치 및 다른 30개 인권 단체는 바샐의 생방을 공개하라는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카르타빌은 1981년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났다. 협업 연구 기업인 아이키랩(Aiki Lab)의 공동 설립자로 CTO를 맡고 있으며, 시라아의 고고학과 예술 관련 출판, 연구 기관인 Al-Aous의 CTO를 맡기도 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시리아의 프로젝트 리더를 맡아 활동했으며, 모질라 파이어폭스, 위키백과, 오픈클립아트 등에도 기여했다. = 분류:오스미 제도의 역사 = = 경상북도울릉교육지원청 = 경상북도울릉교육지원청(慶尙北道鬱陵敎育支援廳, )은 경상북도 울릉군을 관할하는 경상북도교육청 산하의 교육지원청이다. 교육장은 장학관으로 보한다. = = 조직 = = *교육장 교육지원과경상북도울릉교육지원청은 교육지원과장을 교육과정담당 장학사가 대행한다. *학교교육지원센터 *교육과정담당 *교원지원담당 *체육건강증진담당 행정지원과 *행정지원담당 *재정지원담당 *시설지원담당 = = 산하 기관 = = = = = 초등학교 = = = 남양초등학교 울릉초등학교 저동초등학교 천부초등학교 현포분교 = = = 중학교 = = = 울릉중학교 = 물소 = 물소는 소과의 동물이다.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그리고 중국에서 주로 발견된다. 몸높이는 1.5-1.8m, 몸무게 720-800kg 정도이다. 머리는 비교적 길고 앞머리 부분이 높다. 일부는 가축화하여 농사에 이용한다. 뿔은 암수 모두 가지고 있으며 바깥쪽과 뒤쪽은 구부러져 거의 원을 이룬다. 뿔의 단면은 삼각형이고 윗면은 편평하고 뚜렷한 가로융기가 있다. 뿔의 길이는 2m 정도로 수평이다. 털은 매우 적고 짧으며 거칠다. 호수나 늪이 있는 초원에서 큰 무리를 지어 살며 주로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먹이를 찾아다니고 낮에는 풀이 무성한 곳에서 되새김질을 하며 지낸다. 또한 외부 기생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자주 진흙 목욕을 한다. 무리는 암컷과 새끼들이 중심이 되고,수컷은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주변을 배회한다. 야생물소는 사나워서 큰 사자나 호랑이와 대적할 정도이다. 아시아물소는 오랜 옛날부터 논농사에 이용되었고, 아시아에서 대규모의 벼농사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번식기에는 수컷이 많은 암컷을 거느린다. 임신기간은 10-11개월이며, 한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야생물소는 현재 무자비한 포획으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오래전부터 가축화되어 각지에서 사육되고 있다. 또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는 가축물소가 다시 야생화하여 약 20만 마리의 물소가 살고 있으나 사람들이 스포츠로, 또는 가죽과 물소고기를 목적으로 한 살육이 극심한 상황이다. 물소의 털가죽은 질기고 두꺼워서 좋은 가죽으로 사용된다. 또한 젖은 영양분이 풍부해서 가축소의 젖보다 지방이 많다. 물소의 천적은 호랑이, 아시아사자, 승냥이무리, 바다악어, 코모도왕도마뱀 등이다. 야생종은 네팔·아삼 등지이 분포한다. = = 분류 = = 야생물소: 주로 말레이시아, 인도, 네팔에 분포 가축물소: 남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분포 = 분류:폴란드의 주별 역사 = = 분류:노체라인페리오레 출신 = = 분류:서울특별시의 구별 학교 = = 진주시장 선거 = 진주시장 선거는 경상남도 진주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 = 역대 민선 진주시장 = = 선거 정당 정당 시장 1995년 민주자유당 백승두 1998년 한나라당 백승두 2002년 한나라당 정영석 2006년 한나라당 정영석 2010년 한나라당 이창희 2014년 새누리당 이창희 2018년 자유한국당 조규일 2022년 국민의힘 조규일 = = 역대 선거 결과 = = =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강효종 = 강효종(2002년 10월 14일 ~ )은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다. = =LG 트윈스 시절 = = 2021년에 입단하였다. 2022년 10월 7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5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 =출신 학교 = = 경기 저동초등학교 (일산서구리틀) 충암중학교 충암고등학교 = 우편저금·간이생명보험 관리기구 = 독립행정법인 우편저금·간이생명보험 관리기구는 일본우정공사가 해산할 때 보유하고 있는 우편저금 계약과 간이생명보험 계약을 이관해 관리하는 것을 업무로 하는 독립행정법인이다. 다만 실무적인 운용과 관리 등의 업무는 주식회사 유초 은행과 주식회사 간포 생명보험에 위탁한다. 통상우편저금은 유초 은행이 직접 담당한다. 민영화를 기점으로 우편저금과 간이보험에 대한 국가의 보증 등이 달라지므로, 각자의 계약을 분할해 별도의 계약 계산으로 관리하도록 고안된 조직이다. 민영화 이후에 조직을 설계했을 때에는 ‘공사계승법인’으로 불렸다. 이것도 당초에는 ‘공사청산법인’이라는 호칭이 사용되었지만, 국철청산사업단의 안좋은 이미지를 연상케한다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 김세윤 (1999년) = 김세윤(, 1999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 이다. = = 축구인 경력 = = 무산중학교 축구부를 거쳐 2015년 대전 시티즌의 유스 산하 팀인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를 나온 김세윤은 2016년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카타르 3개국 친선대회에 출전, 카타르와 말리와의 경기에 출전했으며, 이후 이스라엘 4개국 친선대회에 대표팀에도 승선해 세르비아전에 출전했다. 2018시즌을 앞두고 우선지명으로 대전 시티즌에 입단하였다. 2022시즌을 앞두고 경남 FC로 이적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김세윤은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재학 시절,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카타르 3개국 친선대회 및 이스라엘 4개국 친선대회 등에 참여하였다. 또한 김세윤은 2019년 FIFA U-20 월드컵 최종명단에 포함되었다. 아르헨티나와의 조별경기에서 교체 출장하였으며, 16강 일본전, 8강 세네갈전, 4강전 에콰도르와의 경기 그리고 결승전 우크라이나와의 경기에서 선발출장하였다. 8강 세네갈전에서는 후반 추가시간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한 바 있다. = 분류:산시성 (산서성)의 역사 = = 박달도서관 = 박달도서관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소재의 시립 도서관이다. = = 연혁 = = 2006년 3월 3일 개관 = = 이용 안내 = = 하절기(3월 ~ 10월): 07:00 ~ 23:00 동절기(11월 ~ 2월): 08:00 ~ 23:00 구분 월~목요일 토·일요일 어린이자료실/디지털자료실 09:00 ~ 18:00 09:00 ~ 17:00 종합자료실 09:00 ~ 22:00 09:00 ~ 17:00 매주 금요일(매월 2·4·5주 금요일은 열람실만 개방) 법정공휴일(단, 열람실 개방(08:00~20:00)은 도서관별[석수, 비산, 호계], [평촌,만안,박달]로 교차 개방) 기타 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 분류:K7리그 천안에 관한 틀 = = 번창교통 = 번창교통(樊倉交通)은 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회사이고 본사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60길 257 (월계동)에 있다. = = 역사 및 현황 = = 1993년 11월 10일에 설립과 함께 50번 마을버스를 운행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마을버스 16번과 61번을 한성여객으로부터 인수하였으며, 2002년에 61-1번이 신설되었다. 2004년 7월 1일부터 마을버스 10번을 운행한 승한운수와 통합되었다. 2005년에 1158번과 1159번이 폐선되고 2011년 8월 25일 1160번이 1161번으로 통합되면서 2개의 지선버스 노선을 운영하였다. 2016년 3월 20일부터 마을버스 업체로 전환되었다. 이 회사의 특징은 과거에 사용하였던 시내버스용 측면행선판에 마을버스 번호를 쓰고 시내버스 시절의 측면 행선판을 사용한다. = = 운행 노선 = = 운행노선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배차간격 (분) 비고 노원14번 청백아파트1단지 ↔ 선덕학원 4~10 구 도봉마을 50번, 1157번 노원15번 덕성여대 ↔ 청백아파트1단지 5~10 구 도봉마을 10번, 1161번 = = 미운행 노선 = = 운행노선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비고 1157번 월계동 청백아파트 ↔ 세그루학원 구 도봉마을 50번. 2016년 3월 20일 마을버스 노원14번으로 형간전환 1158번 강북중학교 ↔ 창동역 구 도봉마을 61-1번. 2005년 8월 29일 폐선 1159번 중계동 ↔ 창동역 구 도봉마을 61번. 2005년 8월 29일 폐선 1160번 월계동 청백아파트 ↔ 하계역 구 노원마을 16번. 2011년 8월 25일 지선버스 1161번과 통합 1161번 월계동 청백아파트 ↔ 덕성여자대학교 구 도봉마을 10번. 2016년 3월 20일 마을버스 노원15번으로 형간전환 = = 보유 차량 = =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현대 그린시티 개선형, 현대 일렉시티 타운 = HEATH = 히스(HEATH, 1968년 1월 22일 ~ 2023년 10월 29일)는 일본의 베이시스트이다. 일본의 록 밴드 엑스 재팬의 베이시스트로, 본명은 모리에 히로시(森江 博). 1968년 1월 22일에 일본의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 태어났다. 2023년 10월 29일에 암으로 사망하였다.X X JAPANのベーシストHEATHさん(55)、がんで急逝「メンバーに闘病を伝えられないほど急だった」 YOSHIKIは緊急帰国 출처:재팬야후 = = 음악 활동 = = 1990년 5월, 엑스(후의 X JAPAN)의〈ROSE&BLOOD TOUR FINAL〉일본 무도관 공연에서 엑스를 만났다. 그 뒤 히데를 따라 도쿄로 갔다. 타이지가 탈퇴한 뒤인 1992년 8월 24일 오후 6시,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하튼의 록펠러 센터 레인보우 룸에서, 히스의 가입과 X JAPAN으로의 밴드명 개명을 공식 발표했다. 엑스 재팬의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던 히스는 엑스 재팬의 해체 이후 솔로로 활동하다 히데 사망 후 제작된 히데 추모 앨범 'hide TRIBUTE SPIRITS'에 같은 엑스 재팬 멤버였던 파타와 hide with Spread Beaver의 프로그래머 I.N.A와 함께 'CELEBRATION'으로 참여한 것을 계기로 도프 헤즈(Dope HEADz)라는 밴드를 결성, 오디션으로 보컬을 뽑아 활동에 들어갔다. 도프 헤즈 활동 중, 한국의 록 페스티벌인 'ETP ROCK FESTIVAL'에 초청돼 한국에서 공연을 가지기도 했다. 도프 헤즈의 활동 휴지 이후, 히스는 엑스 재팬 가입 이전처럼 라이브 하우스에서 인디즈 활동을 하며 솔로 활동과 유닛 활동을 병행하다 2005년에 ISSAY와 함께 Lynx라는 새로운 인디즈 밴드를 결성해 2007년 엑스 재팬의 재결합 전까지 활동한다. 2008년 3월, 공격 재개 2008 I.V. ~파멸을 향하여~에 참여했으며, 11월 1일엔 솔로 라이브인 'Velvet Galaxy'개최, 12월 31일엔 엑스 재팬의 카운트 다운 기그 참여, 2009년 1월 16-17일엔 엑스 재팬의 월드 투어인 홍콩 공연에 참여하며 명성을 떨쳐 갔다. 그러나 홍콩 공연 이후 소속사인 글로벌 매니지먼트와의 트러블로 인해 개인 변호사까지 선임하는 등 위기를 맞았고, 히스의 우려와 안심에도 불구하고 2009년 3월에 열릴 예정이던 엑스 재팬의 한국 공연이 엑스 재팬 제작운영관리위원회에 의해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그로 인해 히스는 한국의 엑스 재팬 팬들에게 엄청난 실망을 사며 비난을 받았다. 한국 공연이 취소된 지 약 1개월 뒤인 4월 19일에 소속사와의 이견을 좁히지 못 해 밴드 활동에 큰 차질이 생길 것 같다고 판단한 히스는 엑스 재팬에서의 탈퇴를 선언, 한국 공연 취소로 인해 충격을 받은 팬들에게 다시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5월 2일과 3일에 예정되어 있던 도쿄 돔 공연을 하루 남겨 놓은 5월 1일에 히스의 탈퇴 철회 사과문과 스기조의 정식 가입 메시지가 발표되며 히스 사건은 대충 일단락되었으며, 히스의 소속사 탈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말도 안 되는 히스의 사과문 내용을 비롯, 소속사의 안일한 대처와 반응이 팬들을 자극하기도 했으며, 제작운영관리위원회의 '히스가 작성한 블로그 글 강제 삭제 명령'과 사건이 해결되지도 않았던 시점에서 발매가 완료된 콘서트 티켓, 제작운영관리위원회 통괄 보좌-글로벌 매니지먼트 사장의 갑작스런 블로그 폐쇄 등의 사건으로 인해 히스 사건에 대한 의문점이 아직까지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당시 엑스 재팬의 내한공연을 추진하던 한국 측 공연기획사는 8억여원의 손실을 입었다. 히스는 2009년 5월 2, 3일에 개최 된 도쿄 돔 공연과 5월 30일에 개최 된 대만 공연까지 참여 해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다. = = 디스코그래피 = = = = = 솔로 앨범 = = = heath (1995년 2월 22일) GANG AGE CUBIST (1998년 6월 10일) Desert Rain (2006년 10월 27일) - 인디즈 솔로 앨범 = = = 싱글 = = = 迷宮のラヴァ-ズ(미궁의 연인들) (1996년 10월 7일) Traitor (1997년 2월 19일) Crack yourself (1998년 4월 22일) NEW SKIN / come to daddy / THE LIVE - 연작 싱글(2005년) Solid (2006년 8월 25일) = = = 파라노이아 = = = Come From Behind (1987년) = = = 도프 헤즈 = = = 앨범 Primitive Impulse (2001년 6월 6일) Planet of the Dope (2002년 7월 24일) 싱글 GLOW (2001년 2월 21일) TRUE LIES (2001년 4월 25일) 참여 hide TRIBUTE SPIRITS (1999년 5월 1일) ※ 이 앨범 참여를 계기로 도프 헤즈 결성. Cafe Le PSYENCE -hide LEMONed Compilation- (2002년 5월 16일)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위 아 엑스 (2016) = 로라 피지 = 로라 피지(, 1955년 8월 27일 ~ )는 네덜란드의 재즈 가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영화 음악과 광고 음악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 = 기본 정보 = = 출생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데뷔 : 1993년 1집 앨범 Bewitched = = 음반 목록 = = 1993년 : Bewitched 1994년 : The Lady Wants to Know 2001년 : Change 2003년 : At Ronnie Scott's 2004년 : The Very Best Time Of Year 2006년 : The Romantic Collection = 가요응접실 = 가요응접실은 1989년 4월 10일부터 2005년 4월 24일까지 MBC FM4U에서 매일 오후 4시부터 저녁 6시까지 방송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 역대 DJ = = 1대 : 최병서 2대 : 양희경 3대 : 이경애 4대 : 오미희 5대 : 최명길 = = 지역별 자체 방송 = = 프로그램 방송지역 방송국 주파수 가청권역 전주MBC 가요응접실 전주시 전주MBC FM 99.1MHz 전라북도 FM 가요응접실 춘천시 춘천MBC FM 94.5MHz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양구군, 가평군 지역 MBC충북 가요응접실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MBC충북 FM 99.7MHz, FM 88.7MHz 청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진천군, 증평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음성군, 충주시, 괴산군, 제천시, 단양군 지역 ※ 2005년 4월 24일 MBC 본사에서 방송된 "가요응접실"이 폐지된 이후 2005년 4월 25일부터 지역국에서 자체 제작으로 방송된 "가요응접실"만을 방송했지만, 2005년 10월 23일 전주MBC에서 방송된 "전주MBC 가요응접실"이 먼저 폐지되며, 이후 2006년 4월 23일 춘천MBC에서 방송된 "FM 가요응접실"이 폐지되며, 마지막으로 2018년 4월 8일 MBC충북에서 방송된 "MBC충북 가요응접실"까지 폐지되면서 "가요응접실"은 수도권 프로그램과 지역국 자체 프로그램을 통틀어서 완전히 폐지되었다. = 분류:불가리아-슬로바키아 관계 = = 진주휴게소 = 진주휴게소(晉州休憩所 / Jinju Service Area)는 경상남도 진주시 가호동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휴게소이다. 부산 방향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 = 시설 = = 화장실 식당 매점 내고장특산물 주차장 종합안내소 브랜드 매장 : 던킨 도너츠 정유소: EX-OIL,GS LPG충전소 현금 자동 입출금기 = = 전후 = = 다음 지점 ← 현재 지점 ← 이전 지점 진주 분기점 ← 진주휴게소 ← 진주 나들목 사천휴게소 ← 진주휴게소 ← 문산휴게소 = 퀘벡 전투 = 퀘벡 전투는 퀘벡시 또는 퀘벡주에서 벌어진 전투를 가리킨다. 퀘벡 전투 (1690년) 퀘벡 전투 (1759년) 퀘벡 전투 (1760년) 퀘벡 전투 (1775년) * = 안드리스 = 안드리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안드리스 용커르 안드리스 베르진슈 (라트비아의 대통령): 전 라트비아의 대통령 안드리스 베르진슈 (라트비아의 총리): 라트비아의 정치인 안드리스 베르진슈 안드리스 넬손스: 라트비아의 지휘자 안드리스 케이슈: 라트비아의 배우 =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 =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은 버마어를 로마자 표기법에 옮긴 것을 말한다. 공식적으로는 1980년대 미얀마 내부에 도입된 미얀마 언어위원회 전사 시스템(MLTCTS)이다. 이 시스템은 미얀마 언어 위원회가 정부의 주도 하에 도입한 것으로 미얀마어에 관련된 서적이나 출판물에 적용되며 팔리어 로마자 표기법에 영향을 받아 유사점을 갖고 있다. 단, 구어체와 문어체가 다른 언어의 특성을 고루 반영하기 보다 문어체의 특성만을 반영하는 데 그쳐 실제적 발음보다는 철자법에 무게를 둔 것이 한계이다.J. Okell A Guide to the Romanization of Burmese 2002- Page 7 "3. SURVEY OF THE THREE METHODS OF ROMANIZATION 3.l 미국지명위원회와 영국지리명칭상임위원회가 도입한 로마자 표기가 1970년대에 도입되어 지리 명칭에 사용된다. ALA-LC 로마자 표기법은 미국 의회도서관이 고안한 것으로 미얀마 관련 언어 서저에 적용된다.Library of Congress table for romanization of Burmese = 사이언티픽 리눅스 = 사이언티픽 리눅스(Scientific Linux, SL)는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가 만든 리눅스 배포판이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기반의 자유 및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서, "가능한 상용 기업형 배포판에 근접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사이언티픽 리눅스는 현재 과학 연구소와 대학교의 협력 하에 유지보수되고 있다. 페르미 연구소가 주된 스폰서이다. = = 버전 역사 = = 사이언티픽 리눅스 출시판 코드이름 아키텍처 RHEL 기반 사이언티픽 리눅스 출시일 RHEL 출시일 지연 3.0.1 Lithium i386, x86-64 3.1 2004-05-10 2004-01-16 106d 4 Beryllium i386, x86-64 4 2005-04-20 2005-02-14 65d 5 Boron i386, x86-64 5 2007-05-14 2007-03-14 61d 6 Carbon i386, x86-64 6 2011-03-03 2010-11-10 113d 7 Nitrogen i386, x86-64 7 2014-10-13 2014-06-10 125d = 분류:조지아-유럽 연합 관계 = = 틀: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부산시 = = 정읍아산병원 = 정읍아산병원은 아산사회복지재단이 설립한 병원이다. = = 연혁 = = 1978년 7월 1일 정읍병원으로 개원 2002년 4월 27일 정읍아산병원으로 명칭 변경 = 분류:732년 한국 = 한국 한국 en:Category:732 in Korea = 오주현 = 오주현 (吳周炫, 1987년 4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대구 FC, 제주 유나이티드, 대전 코레일 등에서 수비수로 활동했다. = = 생애 초반 = = 1987년 4월 2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아버지 오명숙씨와 어머니 김숙순씨 사이에서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난 이후 족보상으로 요절한 오명종씨에 입양되었다. = = 클럽 경력 = = = = = 대구 FC = = = 서귀포중학교, 서귀포고등학교,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후 2010 K리그 드래프트에서 대구 FC에 지명을 받아 입단하며 프로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었다. 그러나 2010년 2월 27일 자신의 프로 데뷔전인 김천 상무와의 2010년 K리그 개막전 홈 경기에서 옐로카드를 받았고 같은 해 5월 5일 고향팀인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11라운드에서는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설상가상으로 2011년에 터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의 관련 혐의자로 불구속 기소되었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승부조작의 배후인 조직폭력배 협박에 시달리던 친한 선배의 부탁을 받아 500만원을 받고 승부조작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결국 대구 FC에서 방출 칼바람을 맞은 것은 물론 대한축구협회로부터 2년간의 선수 자격 정지와 20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받았다. = = = 제주 유나이티드 = = = 선수 자격 정지 기간이 2년에서 1년 6개월로 감경됨에 따라 2013 시즌을 앞두고 고향팀인 제주 유나이티드에 입단한 이후 제주의 2회 연속 FA컵 4강 진출에는 일조했지만 이를 두고 축구팬들 사이에서 엄청난 논란이 일기도 했다. = = = 화성 FC = = = 2014 시즌을 앞두고 제주 유나이티드 선수단 등번호가 공개되면서 팀에 잔류하는 듯했지만 이후 제주 구단 홈페이지 선수단 목록에서 제외되면서 결국 2015 시즌을 앞두고 구 K3리그의 화성 FC에 입단했다가 2015 시즌 후 퇴단했다. = = = 대전 코레일 = = = 2016 시즌을 앞두고 내셔널리그의 대전 코레일로 이적하여 2016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준우승에 일조했으며 2016 시즌 이후 6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 = 수상 = = = = = 클럽 = = = FA컵 : 4강 (2013)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 준우승 (2016) = = 클럽 기록 = = 2011년 1월 13일 기준 = Koyotae History = Koyotae History는 대한민국의 3인조 혼성그룹 코요태의 베스트 앨범이다. 2장의 CD로 구성되어 있다. CD1은 1집 ~ 3집의 곡과 2집의 타이틀곡 〈실연〉을 중국어로 번안한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D2는 논스톱 리믹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매 당시 멤버 신지의 발언에 의하면 코요태와는 무관하게 발매된 음반으로, 음원 사이트에서 들을 수 없다.발매 당시 신지가 팬카페에 남긴 글(가입 필요) = 분류:오세아니아의 관광지 = =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 =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영어: Intelligent Front-lighting System)은 야간 주행 중 시야 확보를 돕는 하이빔 어시스트(High-Beam Assist, HBA)가 발전한 기술로, 하이빔(상향등)을 일부 소등해 상대방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운전자 전방 시야를 확보한다. = = 상세 = = 전방 카메라가 상대 차량의 위치와 각도 등을 판단해 헤드램프 제어기에 정보를 송신한 후 상대 운전자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영역을 계산해 32개 매트릭스 빔 LED 점소등 영역을 결정하고 선택한다. = 분류:다이토구의 스포츠 = = 다니엘 파디야 = 다니엘 파디야(, 1995년 4월 26일 ~ )는 필리핀의 배우이다. 필리핀 케손 시티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필리핀 마린두케 주 보아크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97년을 전후하여 필리핀 마닐라에서 성장하였고 2010년 연기자 첫 데뷔하였다. = Hooksafe = Hooksafe는 하이퍼바이저 기반 경량 시스템으로서 컴퓨터의 커널을 루트킷 공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것은 게스트 운영 체제에서 하이재킹으로부터 수천개의 커널 훅들을 예방한다. 이것은 모든 커널 훅들의 쉐도우 복사본을 중앙 지점에 만들고 훅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규제하기 위해서 간접 계층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Hooksafe의 프로토타입은 리눅스 게스트에서 사용되었으며, 거의 6000개의 커널 훅들을 보호하였다. 이것은 함수 포인터들인 커널 제어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작은 성능 오버헤드를 가지며, 큰 스케일의 훅 보호를 제공한다. = = 역사 = = 이전의 루트킷 보호 시스템들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Panorama, Hookfinder 그리고 루트킷 행동 분석에 중점을 둔 시스템, Copilot, VMwatcher 그리고 증상에 기반한 루트킷 탐지 시스템, Patagonix, NICKLE 그리고 악의적인 루트킷 코드의 실행을 방지함으로써 커널 코드 무결성을 보존하는데 중점을 둔 시스템들이 그것이다. = 문학계 = 문학계는 일본의 문예 잡지이다. 분게이슌주가 발행하는 월간지로, 문학계 신인상을 주최한다. 1933년 10월 창간되었으며, 편집 위원으로 도요시마 요시오 (豊島与志雄), 우노 고지 (宇野浩二), 히로쓰 가즈오 (広津和郎),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康成), 하야시 후사오 (林房雄), 다케다 린타로 (武田麟太郎), 고바야시 히데오 (小林秀雄), 후카다 교야 (深田久弥) 등이 합류하였다 = 탄자니아의 국가 = 하느님,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는 탄자니아의 국가이다. 남아프리카 찬가와 룸바녜니 잠비아와 곡조가 똑같다. = = 가사 = =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가사 해석 Mungu ibariki Afrika Wabariki Viongozi wake Hekima Umoja na Amani Hizi ni ngao zetu Afrika na watu wake. 후렴 Ibariki Afrika Ibariki Afrika Tubariki watoto wa Afrika. Mungu ibariki Tanzania Dumisha uhuru na Umoja Wake kwa Waume na Watoto Mungu Ibariki Tanzania na watu wake. 후렴 Ibariki Tanzania Ibariki Tanzania Tubariki watoto wa Tanzania. God bless Africa Bless its leaders Wisdom, unity and peace These are our shields Africa and its people 후렴 Bless Africa, Bless Africa Bless us, the children of Africa God bless Tanzania Grant eternal freedom and unity To its women, men and children God bless Tanzania and its people Bless us, the children of Africa 후렴 Bless Tanzania, Bless Tanzania Bless us, the children of Tanzania بارك الله في أفريقيا يبارك قادتها الحكمة والوحدة والسلام هذه هي دروع لدينا أفريقيا وشعبها 후렴 بارك أفريقيا بارك أفريقيا يبارك لنا ، وأطفال أفريقيا بارك الله في تنزانيا منح الحرية والوحدة الأبدية لنسائه والرجال والأطفال بارك الله في تنزانيا وشعبها 후렴 بارك تنزانيا بارك تنزانيا يبارك لنا ، والأطفال من تنزانيا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사. 지도자를 축복하소서. 지혜와 통일과 평화와 우리의 방패를 아프리카 국민에게 주소서. 후렴 아프리카를 축복하사, 아프리카를 축복하사, 아프리카의 자손을 축복하소서. 주여, 탄자니아를 축복하사. 여자와 남자와 자손들에게 영원한 자유와 단일체를 인정하소서. 주여, 탄자니아 국민을 축복하소서. 후렴 탄자니아를 축복하사, 탄자니아를 축복하사, 탄자니아의 자손을 축복하소서. = 포린 (단백질) = 포린은 세포막을 가로질러 분자가 확산될 수 있는 구멍 역할을 하는 베타 배럴 단백질이다. 다른 막수송 단백질들과는 달리, 포린은 단순 확산을 허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즉, 서로 다른 유형의 분자들에 대한 통로 역할을 한다. 포린은 그람 음성 세균의 외막, 일부 그람 양성 미코박테리아(미콜산을 함유하고 있는 방선균), 미토콘드리아 외막 및 엽록체 외막에 존재한다. = Ӥ = = 분류:850년대 사망 = = 모듈:Location map/data/Venezuela Apure/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Venezuela_Apure/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픽션 (동음이의) = 픽션(fiction)은 다음을 가리킨다. 허구를 뜻하는 영어 낱말이다. "Fiction": 어벤지드 세븐폴드의 2010년 음반 Nightmare의 노래 "Fiction": 하이라이트의 2011년 노래 "Fiction": Coldrain의 음반 Final Destination의 노래 Fiction (다크 트랭퀼리티의 음반) = 성석제 = 성석제(成碩濟, 1960년 7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이다. = = 생애 =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 시절을 고향에서 보내고 1974년에 서울로 이사했다. 경신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재학 시절 문학 동아리인 "연세문학회"에서 활동하였다. 1986년 6월 문학사상의 시 부문에서 신인상을 받아 등단하였다. 1991년 첫 시집 낯선 길에 묻다를 펴냈다. 1994년 소설집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를 펴내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특히 1995년 계간 문학동네에 단편소설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을 발표함으로써 주목을 받았다. 1996년 첫 소설집 새가 되었네(강출판사)를 펴 냈다. 해학과 풍자, 과장, 익살을 통해 인간의 다양한 국면을 그려내는 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희비극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서사와 독창적인 문체로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단편소설, 중편소설, 장편소설, 짧은 소설, 에세이, 칼럼, 산문 등 전방위적인 글쓰기를 지속해 왔으며 2권의 시집, 30여 권의 소설집과 장편소설, 산문집, 동화 등을 발간했다. 그의 작품은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으로 번역되어 중국, 독일, 프랑스 등에서 출간되었다. = = 주요 작품 = = = = = 장편소설 = = = 《왕을 찾아서》(1996 웅진, 2011 문학동네 재간) 《아름다운 날들(원제 궁전의 새)》(1998, 하늘연못. 2005 강 재간) 《도망자 이치도(원제 순정)》(2000, 문학동네) 《인간의 힘》(2003, 문학과 지성사) 《위풍당당》(2012, 문학동네) 《단한번의 연애》(2012, 휴먼앤북스) 《투명인간》(2014, 창비) = = = 중편소설 = = = 《호랑이를 봤다》(1999, 작가정신. 2011 문학동네 재간) = = = 소설집 = = =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1994, 민음사)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원제 새가 되었네)》(1996, 강출판사) 《재미나는 인생》(1997, 강출판사) 《조동관 약전(원제 아빠 아빠 오, 불쌍한 우리 아빠)》(1997, 민음사. 2003 강출판사 재간) 《홀림》(문학과 지성사, 2001),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2002, 창작과비평사)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2005, 창비)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2003, 문학동네) 《참말로 좋은 날》(2007, 문학동네), 《지금 행복해》(2008, 창비) 《인간적이다》(하늘연못, 2010) 《이 인간이 정말》(문학동네, 2013) 《믜리도 괴리도 업시》(문학동네, 2016) = = = 산문집 = = = 《위대한 거짓말》(1995,문예마당) 《즐겁게 춤을 추다가》(2004, 강출판사) 《소풍》(2006, 창비) 《성석제의 이야기 박물지 유쾌한 발견》(2007, 하늘연못) 《농담하는 카메라》(2008, 문학동네) 《칼과 황홀》(2011, 문학동네), 자라》 《꾸들꾸들 물고기씨 어딜 가시나》(2015, 한겨레출판) 《낯선 길에 묻다》(1991, 민음사) 《검은 암소의 천국》(민음사 1997) = = = 동화집 = = = 《토끼와 자라》 《평강공주와 바보온달) = = = 기타 = = = 《성석제가 찾은 맛있는 문장들》 (창비, 2009) = = 수상 경력 = = 1997년 제30회 한국일보문학상, 단편소설 《유랑》 2000년 제13회 동서문학상, 소설집 《홀림》 2001년 제2회 이효석문학상, 단편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2002년 제33회 동인문학상, 소설집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2003년 제49회 현대문학상, 단편소설 《내 고운 벗님》 2005년 제13회 오영수문학상, 단편소설 《잃어버린 인간》 2014년 제31회 요산문학상, 장편소설 《투명인간》 2015년 제12회 채만식문학상, 장편소설 《투명인간》 = 분류:유럽의 관광 = = 분류:인도의 고원 = = 분류:울주군 소재의 관공서 = = 성남면 = 성남면(城南面)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의 면이다. = = 역사 = = 조선시대 충청도 목천군 세성면(細城面), 남면(南面) 1895년 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목천군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1896년 8월 4일 충청남도 목천군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1914년 4월 1일 세성면, 남면 등을 충청남도 천안군 성남면으로 개편하였다.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8리) 1917년 목천면 용원리를 성남면에 편입하였다. (9리)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천원군 성남면법률 제1176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1991년 1월 1일 충청남도 천안군 성남면법률 제4274호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년 12월 31일) 1995년 5월 10일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 5월 10일) 2008년 6월 23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천안시 조례 제860호 (2008년 3월 21일) = = 행정 구역 = = 신덕리 봉양리 대흥리 대정리 석곡리 용원리 신사리 대화리 화성리 = 일물일가의 법칙 = 일물일가의 법칙(一物一價의法則, )은 효율적인 시장에서 모든 개별적인 상품은 하나의 고정적인 가격을 지녀야 한다는 내용의 법칙이다. 한 상품에 부여된 가격이 자유 무역을 가능케 하고 세계적으로도 동일한 가격에 동일한 상품이 거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동일한 상품 시장일 경우 가격이 동일하게 정해진다는 것을 뜻한다. 본능적으로 이 법칙은 공급자는 최대한 비싸게, 소비자는 최대한 싸게 사려는 심리에 기인한다. 따라서 특정 상품이 비싸다면 그 상품은 시장에서 밀려나게 될 것이므로 공급자의 가격이 낮춰져 가격점이 생겨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물일가의 법칙은 구매력평가설(PPP)의 근간이 된다. = 캔턴 메모리얼 시빅 센터 = 캔턴 메모리얼 시빅 센터(Canton Memorial Civic Center)는 미국 오하이오주 캔턴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G 리그 캔턴 차지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Give Up = Never Gonna Give You Up는 2003년 2월 19일에 발매된 포스털 서비스의 음반이다. 서브 팝에 의해 발매되었다. = 타임 로드 = 타임 로드는 드라마 닥터 후에 등장하는 주인공 닥터의 종족으로, 모행성은 갈리프레이다. 타임 로드들은 매우 지능이 뛰어나고 엄청난 과학적 지식을 갖고 있어 우주에서 가장 안정적인 시간 여행 기술, 안쪽이 바깥보다 큰 구조물을 만드는 기술 등 여러 가지 기술을 갖고 있다. 또한 재생성을 통해 죽음의 위기가 왔을 때 신체의 모든 세포를 새로 만들어내 외모, 성격, 성별 등 기억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새롭게 바뀔 수 있다. = = 역사 = = 타임 로드들은 원래는 행성의 이름을 따서 갈리프레이인이라고 불려왔다. 그들은 비록 타임 로드들처럼 뛰어난 지능을 갖고 있었지만 이론적인 시간 여행 기술만을 갖고 있었고, 재생성도 할 수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타임 로드와는 다른 종족이었다. 그러나, 오메가라는 갈리프레이 과학자에 의해 타디스의 기초가 된 안정적인 시간 여행 기술이 생겼고, 시간 여행을 하며 타임 볼텍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결과로써 재생성이라는 신체적 변화도 생기게 되었다. 타임 로드들은 오랜 기간 달렉이라는 종족에 맞서 시간 전쟁이라는 전쟁을 치러왔다. 그 과정에서 원래 선하던 타임 로드들은 오랜 전쟁으로 정신이 피폐해지게 되었고, 달렉들을 이기기 위해 온갖 방법을 다 써서 전쟁을 치러왔다. 또 2009년 스페셜 "The End of Time"에서 타임 로드들이 마스터를 통해 다른 시간대로 이동해 시간 전쟁에서 빠져나오려 시도하지만, 시간 전쟁 당시의 지옥같던 상황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없었던 닥터와 마스터에 의해 저지당하게 된다. 원래 타임 로드들은 시간 전쟁의 마지막 날에 멸망한 것으로 알려져있었다. 그러나 이후 50주년 스페셜 에피소드 The Day of the Doctor에서 알려진 바로는 전쟁의 닥터가 시간 전쟁을 끝내기 위해 모멘트라는 무기를 작동시켜 달렉과 타임 로드 모두를 전멸시키려 시도하지만, 10대 닥터와 11대 닥터가 나타나 다른 닥터들과 함께 갈리프레이 전체를 다른 평행 우주로 이동시켜 갈리프레이를 구하게 된다. 이후 The Time of the Doctor에서 트렌잘로어 행성에 있던 시공간의 균열을 통해 닥터의 도움을 받아 원래의 우주로 돌아오려 시도하지만, 다시 부흥한 달렉 종족들을 포함한 타임 로드들의 여러 적대 세력들로 인해 타임 로드들이 돌아오는 그 즉시 다시 시간 전쟁이 재개될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닥터는 어쩔 수 없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트렌잘로어에 머무르며 타임 로드의 재림을 막으려는 다른 종족들의 침공에서 마을을 지키며 수백년간 살게 된다. 수백년이 지난 후 12번의 재생성 횟수를 다 채워 재생성도 불가능해진 늙고 힘없는 닥터는 달렉들의 침공에 대응하지 못하고 최후를 기다리나, 타임 로드들이 시공간의 균열 사이로 재생성 에너지를 보내주며 균열이 닫히고, 마을을 다시 구하고 12대 닥터로 재생성하게 된다. = = 타임 로드들의 목록 = = 닥터 마스터 수잔 포어맨 라실론 오메가 로마나 리버 송 - 에이미 폰드와 로리 윌리엄스의 딸로, 본래 이름은 멜로디 폰드이다. 부모는 모두 인간이지만 타디스안에서 만들어져 그 영향으로 타임 로드의 DNA를 갖고 있다. 하지만 닥터를 살리기 위해 남은 재생성 에너지를 다 주어서 더이상 재생성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리버 송과 닥터의 타임라인은 반대로 가고 있으며(리버송이 늙어갈수록 닥터는 젊어진다.) 또한, 에이미 폰드와 로리 윌리엄스의 학창시절 때 멜스라는 이름으로 친구로 함께 보낸다. 제니 - 닥터의 유전자를 통해 단성 생식으로 만들어진 타임 로드. 도나 노블 - 원래 인간으로 닥터의 동반자였으나, 닥터의 재생성 에너지에 영향을 받아 타임 로드의 유전자가 섞이게 된다. = 무스타파 도안 = 무스타파 도안 (Mustafa Doğan, 1976년 1월 1일, 이스파르타 ~) 은 은퇴한 튀르키예계 독일인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센터백으로 활약하였다. 현역 시절, 그는 그의 조국인 튀르키예와 시민권을 획득했던 독일의 클럽에서 모두 활약하였고, 90년대 말에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국가대항전에 출전하기도 하였다. = = 축구 경력 = = 이스파르타의 얄바스 지구, 데데삼 동네 출신으로, 도안은 소규모 독일 축구 클럽 TV 아스베어흐에서 축구계에 입문하였다. 13세 때에, 그는 KFC 위르딩겐 05와 첫 프로계약을 체결하였고, 1994년 5월 15일에 부퍼탈 SV와의 2. 푸스발-분데스리가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1996년, 도안은 이스탄불의 페네르바흐체 SK로 이적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7년을 보냈는데, 처음 5년은 주전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그는 독일의 푸스발-분데스리가 클럽 1. FC 쾰른의 일원이 되었다. 2003년 10월 18일, 그는 SC 프라이부르크전에서 1부리그에서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득점을 기록하였다. 이후, 베식타시 JK로 이적하면서 2004-05 시즌은 다시 튀르키예 쉬페르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여러 차례 부상을 당한 그는 2007년에 31세의 나이로 은퇴하였다. 독일 U-21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던 그는, 1999년에 두 차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참여하였다. 첫 경기는 7월 미국에게 0-2로 패한 199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경기였고, 두 번째 경기는 그로부터 3달 뒤에 벌어진 터키와의 UEFA 유로 2000 예선경기였고,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은퇴 후, 도안은 튀르키예 스포츠 텔레비전 채널인 NTV 스포르에서 해설자로 일하고 있다. = 호세 바티스타 = 호세 안토니오 바티스타(José Antonio Bautista, , 1980년 10월 19일 ~ )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이다. 주로 맡는 수비 위치는 우익수이고, 과거에는 3루수도 맡아왔다. 2010년 바우티스타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한 시즌 최다 홈런 신기록인 54개를 기록하며, MLB에서 50홈런 이상을 친 26인 중에 한 사람이 되었다. 그 시즌 그는 아메리칸 리그뿐만 아니라, 메이저 리그 통합 홈런왕이 되었다. 2011년에도 43홈런을 기록해 2년 연속으로 아메리칸 리그뿐만 아니라, 메이저 리그 통합 홈런왕을 차지했다. = = 메이저 리그 경력 = = 200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20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지만, 2003년 룰5 드래프트를 통해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한다. 2004년 4월 4일 메이저 리그 데뷔 경기를 갖지만, 몇달 뒤 웨이버로 공시되고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로 이적한다. 템파베이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 뉴욕 메츠를 거쳐 다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로 트레이드되는데, 한 시즌에 무려 5개의 소속팀을 가지게 된 것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 = 수상 경력 = = 홈런왕 2회 : 2010년, 2011년 행크아론상 2회 : 2010년, 2011년 실버슬러거 2회 : 2010년, 2011년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 선출 6회 : 2010년 ~ 2015년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5회 : 2010년 7월, 8월, 2011년 4월, 5월, 2012년 6월 = = 연도별 타격 성적 = = 2004년 BAL/TB/KC/PIT 64 96 88 6 18 3 0 0 21 2 0 1 1 0 7 0 0 40 1 .205 .263 .239 .502 2005년 PIT 11 31 28 3 4 1 0 0 5 1 1 0 0 0 3 0 0 7 2 .143 .226 .179 .404 2006년 PIT 117 469 400 58 94 20 3 16 168 51 2 4 3 4 46 2 16 110 12 .235 .335 .420 .755 2007년 PIT 142 614 532 75 135 36 2 15 220 63 6 3 4 6 68 1 4 101 16 .254 .339 .414 .753 2008년 PIT/TOR 128 424 370 45 88 17 0 15 150 54 1 1 8 4 40 5 2 91 12 .239 .313 .405 .718 2009년 TOR 113 406 336 54 79 13 3 13 137 40 4 0 6 2 56 1 4 85 9 .235 .349 .408 .757 2010년 TOR 161 683 569 109 148 35 3 54 351 124 9 2 0 4 100 2 10 116 10 .260 .378 .617 .995 2011년 TOR 149 655 513 105 155 24 2 43 312 103 9 5 0 4 132 24 6 111 8 .302 .447 .608 1.056 2012년 TOR 92 399 332 64 80 14 0 27 175 65 5 2 0 4 59 2 4 63 11 .241 .358 .527 .886 2013년 TOR 118 528 452 82 117 24 0 28 225 73 7 2 0 4 69 2 3 84 13 .259 .358 .498 .856 2014년 TOR 155 673 553 101 158 27 0 35 290 103 6 2 1 6 104 11 9 96 18 .286 .403 .524 .928 2015년 TOR 153 666 543 108 136 29 3 40 291 114 8 2 0 8 110 2 5 106 19 .250 .377 .536 .913 통산:12년 통산:12년 1403 5642 4716 810 1212 243 16 286 2345 793 58 24 23 46 794 52 63 1010 131 .257 .368 .497 .865 2015시즌 종료 기준 각년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탁심 병영 = 탁심 병영 또는 할리 파샤 포병 병영은 현재의 게지 공원에 위치했던 터키 이스탄불 탁심 광장에 세워져 있었던 병영이다. 이 병영은 1806년 오스만 제국의 셀림 3세 술탄 기간 동안 건설(1789–1807)되었다. 1909년 3월 31일 사건 동안 병영 건물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고 수리를 해야 했다. 내부의 안뜰은 1921년 터키 최초의 축구 스타디움인 탁심 스타디움으로 재건축되었으며, 이 스타디움은 베식타시 JK, 갈라타사라이 SK(Galatasaray S.K.), 페네르바흐체 SK 등의 주요 축구팀의 홈 경기장으로 이용하였다. 스타디움은 1939년 폐쇄되었으며 1940년 철거되어 현재의 탁심 광장이 되었다. = = 재복원 = = 2011년 9월 16일, 배요글루(Beyoğlu) 지자체는 구조를 재구성하여 이 건물을 재복원하고자 했다. 비록 이 지역은 녹지 보호 구역 내에 있었지만, 개발 이익 보호를 위해 역사적 구조물을 보호하는 법을 악용하고 있다. 병영은 쇼핑몰로 재건축 될 예정이었다. 이 결정 당시, 병영에서 더 복원되는 구조물은 없었다. 병영 재건에 반대하여 이스탄불에 시위가 일어났고, 이것이 이어져 2013년 터키 반정부 시위로 확대되었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10월 27일 = 2018년 미국의 우편 폭탄 테러 사건: 미국 폭발물 소포 용의자가 당국에 체포되었다. 제1차 사법부 유죄추정 규탄 시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혜화역에서 사법부를 비판하기 위한 시위가 진행되었다. 2018년 월드 시리즈: 보스턴 레드삭스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두 번째 경기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다저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분류:J. M. 배리 원작의 영화 작품 = = 분류:이스라엘의 코미디 영화 = = 와스텍어 = 와스텍어(Wastek, Huasteco)는 멕시코의 와스텍족이 사용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 산루이스포토시주와 베라크루스주 북부의 시골에서 쓰인다. 메소아메리카의 남쪽 지역에서 쓰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로부터 지리적으로 외떨어져 있다. 200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멕시코에서 약 20만 명이 와스텍어를 할 줄 안다(산루이스포토시주에 약 12만 명, 베라크루스주에 약 8만 명).INEGI, 2005 최근에는 테넥어(Teenek)라고도 불리며, 이 이름은 멕시코 국내에서나 국제적으로나 점차 널리 쓰이고 있다. 지금은 사멸한 치코무셀텍어가 가장 가까운 친척이다. 와스텍어 문법을 최초로 기술한 유럽인은 안드레스 데 올모스로, 그는 나와틀어와 토토낙어의 문법을 최초로 기술한 사람이기도 하다. 산루이스포토시주 탄칸위츠데산토스에 위치한 라디오 방송국 XEANT-AM이 와스텍어로 된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 = 방언 = = 와스텍어에는 3개의 방언이 있고 이들이 갈라진 시기는 길어야 400년 전으로 보인다(Norcliffe 2003:3). 멕시코 중동부의 와슈테카-포토시나(Huaxteca-Potossina)라 불리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서부 방언(포토시노): 화자 48,000명. 산루이스포토시주의 9개 마을(시우다드바예스, 아키스몬, 웨웨틀란, 탄칸위츠, 탄라하스, 산안토니오, 탐파몰론, 탕키안, 탕콰얄라브) 중부 방언(베라크루스): 화자 22,000명. 베라크루스주 북부의 2개 마을(템포랄, 탄토유카) 동부 방언(오톤테펙): 화자 12,000명. 베라크루스주 북부의 7개 마을(촌틀라, 탄티마, 탕코코, 치남파, 나랑호스, 아마틀란, 타미아와). 동남 와스텍어라고도 한다. Ana Kondic (2012)의 보고에 따르면 화자가 1,700명밖에 남지 않았으며 이들은 촌틀라, 치남파, 아마틀란, 타미아와에 살고 있다. = = 음운론 = = = = = 모음 = = = 단모음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장모음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i uu 중모음 ee oo 저모음 aa = = = 자음 = = = 순음 순음 치경음 치경음 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기본 방출 기본 방출 기본 방출 기본 방출 성문음 비음 비음   m     n 파열음 무성 pʼ   tʼ   kʼ    ʼ 파열음 유기 t   k 파열음 유성 b 파찰음 기본 tsʼ   chʼ 유기 p   ts   ch 마찰음 마찰음 s   z x     j 접근음 접근음 w l     y 탄음 탄음   r = = 더 읽기 = = Ariel de Vidas, A. 2003. "Ethnicidad y cosmologia: La construccion cultural de la diferencia entre los teenek (huaxtecos) de Veracruz", in UNAM, Estudios de Cultura Maya.Vol. 23. Campbell, L. and T. Kaufman. 1985. "Maya linguistics: Where are we now?," in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 14, pp. 187–98 Dahlin, B. et al. 1987. "Linguistic divergence and the collapse of Preclassic civilization in southern Mesoamerica". American Antiquity. Vol. 52, No. 2, pp. 367–82. Edmonson, Barbara Wedemeyer. 1988. A descriptive grammar of Huastec (Potosino dialect). Ph.D. dissertation: Tulane University. INAH. 1988. Atlas cultural de Mexico: Linguistica. Mexico City: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ia e Historia. Kaufman, T. 1976.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correlations in Mayaland and associated areas of Mesoamerica," in World Archaeology. Vol. 8, pp. 101–18 Malstrom, V. 1985. "The origins of civilization in Mesoamerica: A geographic perspective", in L. Pulsipher, ed. Yearbook of the Conference of Latin Americanist Geographers. Vol. 11, pp. 23–29. McQuown, Norman A. 1984. A sketch of San Luis Potosí Huastec. University of Texas Press. (CDI). No date. San Luis Potosí: A Teenek Profile; Summ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7, 2007. Norcliffe, Elizabeth. 2003. The Reconstruction of Proto-Huastecan.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nterbury. Ochoa Peralta, María Angela. 1984. El idioma huasteco de Xiloxúchil, Veracruz. México City: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ía e Historia. Ochoa, L. 2003. "La costa del Golfo y el area maya: Relaciones imaginables o imaginadas?", in UNAM, Estudios de Cultura Maya.Vol. 23. Robertson, J. 1993.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Huastec pronoun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Vol. 59, No. 3, pp. 294–314 Sandstrom, Alan R., and Enrique Hugo García Valencia. 2005. Native peoples of the Gulf Coast of Mexico. Tucs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Stresser-Pean, G. 1989. "Los indios huastecos", in Ochoa, L., ed. Huastecos y Totonacas. Mexico City: CONACULTA. Vadillo Lopez, C. and C. Riviera Ayala. 2003. "El trafico maratimo, vehiculo de relaciones culturales entre la region maya chontal de Laguna de Terminos y la region huaxteca del norte de Veracruz, siglos XVI-XIX", in UNAM, Estudios de Cultura Maya.Vol. 23. Wilkerson, J. 1972. Ethnogenesis of the Huastecs and Totonacs.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Tulane University, New Orleans.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6년 11월 = = = 최순실 & 최순실 게이트 문서 준보호 요청 = = 최순실 무서 편집 내역 최순실 게이트 문서 편집 내역 요청까지 작성할 생각은 없었지만 해당 문서에 계속되는 백:분쟁 및 백:반달이 발생하고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만 편집할 수 있게 임시로 준보호 요청합니다. 175.197.33.173 (토론) 2016년 11월 1일 (화) 16:31 (KST) = = 서울메트로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 = 특정 IP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설명에 '~~~의 스트레스로 금수원에 매각되었다'와 같은 설명의 지속적인 추가와 되돌림이 반복되고 있으니, 해당 문서를 IP 사용자가 편집할 수 없도록 보호해주시기 바랍니다. — Tursetic 2016년 11월 1일 (화) 23:06 (KST) 서울메트로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 편집 내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4주 182.216.55.163 긴급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4주 211.36.144.132 차단 요청 문서 편집 내역을 봐서는 IP를 바꿔가면서 장난을 반복하는 인물인것 같고, 일부 IP가 차단되도 계속 훼손을 반복할 수 있어 보호 부탁드립니다. 1.230.221.180 (토론) 2016년 11월 1일 (화) 23:18 (KST) = = 최순실 이데일리 문서 삭제 및 보호 요청 = = IP 사용자가 매일 19시 경 부터 이데일리 문서를 훼손하거나 최순실 이데일리 문서를 생성하는 등 거의 슉슉이 급으로 꾸준히 반달을 하고 있습니다. 최순실 이데일리 문서는 이미 두 차례 삭제된 문서이며 삭제 후 지속적으로 장난성 넘겨주기가 생성되어 생성 보호 요청합니다. 더불어 이데일리 문서도 준보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1월 2일 (수) 19:40 (KST) = = 총의가 형성된 오래된 삭제 토론 종결 요청 = = 위키백과:삭제 토론/ROAD FC 대회 위키백과:삭제 토론/김천서 위키백과:삭제 토론/2017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 선수들 위키백과:삭제 토론/분류:지명에서 유래한 음식 위키백과:삭제 토론/박철상 특정 의견으로 총의가 모아지거나, 총의에 가까워진 삭제 토론이지만 오랫동안 종결되지 않은 삭제 토론에 대한 종결을 부탁드립니다. — Tursetic 2016년 11월 3일 (목) 17:12 (KST) = = 문서 삭제 요청 = = 장난 및 허위 내용 문서 : 개롱 골목냉면,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 Five Nights at Freddy's, HNK 오라셰, 정영현, 통합사업관리팀, 현주 (배우), 좀비고등학교, 가이 고마, %E2%80%8B 백:저명성 미달 문서 : 송재엽, 고은수, 충청더비, 고투, 박성우 (배우), 손가빈, 누플레이, 에코브릿지, 주형진, 박미희, 마크 위드마이어, 접속 2013, 미란다처럼, 한솔고속관광, 화랑연병장, 대우투어 광고 문서 : 앱체크, 페리페라 백:저작권 위반 문서 : 상방정례 독자연구 문서 : Denkmal, 약탈혼 필요없는 넘겨주기에 해당되는 표제어 : 베리굿 (음악 그룹), 도전! 골든벨의 방영 목록, 결성군 (1316년), 결성군 장하, 예스토니야 현, 포차 (도시), 포르토벨로의 마녀 (2006년 소설), 킹메이커, 198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대한민국의 철도 사고 목록, 위홍 (삼국지), 유비퀴논, 영혼결혼식, 아산 무궁화 축구단,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2881호), MRKH 증후군, 재건술, 조효소 Q10, 코큐텐, 코엔자임 Q, 피아 키에르고르, 뮐러관 무발생, 사후결혼, 스위스리그, 생식기 재건 수술, 동서독유엔동시가입, 동서독동시유엔가입, 동서독 동시 유엔 가입, 동서독 유엔 동시 가입 관리자님들께서 판단할 수 있게 분별해 놨고, 각각 삭제 사유가 있는 문서들입니다. 그리고 관리자님들께서는 가 생성한 장난성 문서도 삭제 부탁드립니다. 180.210.100.82가 생성한 장난성 문서 일부 사용자들이 모르고 있어 작성했습니다. 175.197.33.158 (토론) 2016년 11월 3일 (목) 17:26 (KST) = = 이데일리 문서 준보호 요청 = = 며칠 전 부터 이데일리 문서가 다중 IP에 의해 훼손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문서의 편집 역사를 보시면 아실 겁니다. 매번 서로 다른 IP로 반달을 해와 차단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여겨 이렇게 문관에 신청합니다.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1월 3일 (목) 20:46 (KST) 1주일간 준보호하였습니다. SVN (토론) 2016년 11월 7일 (월) 21:42 (KST) = = 사용자토론:술집 미색년의 새끼 이완호 완전 삭제 신청 = = 사용자토론:술집 미색년의 새끼 이완호-특정판 삭제 신청이 있으나, 아예 완전히 없애 버려야 한다고 생각되고, 악성 개인정보 침해 내용이 있습니다. 특정판 보다는 완전 삭제 신청합니다. 특정판 삭제만이 아닙니다. 빠른 처리 부탁 드립니다. Jerrykim306 (토론) 2016년 11월 5일 (토) 19:05 (KST) = = 개롱 골목냉면 문서 삭제 및 생성 제한 요청 = = 개롱 골목냉면 삭제 기록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장난하는 인물이 계속 재생성하고 있어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122.42.197.74 (토론) 2016년 11월 6일 (일) 12:04 (KST) = = 버락 오바마 = = 기독교 근본주의 - LGBT 반대자의 편향적이고 악의적인 서술(Special:Contributions/Grace-blessing), 되돌림 분쟁 유발 등의 소지가 있어 보호처리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10.103.14.58 (토론) 2016년 11월 8일 (화) 12:36 (KST) = = 나무위키 문서 준보호 요청 = = 나무위키 문서 편집 내역 며칠전부터 광범위 다중 IP 사용자에 의한 백:바깥 고리 & 백:아님#뉴스 위반에 해당되는 내용이 반복 삽입 되고 있습니다. 175.197.32.145 (토론) 2016년 11월 8일 (화) 16:28 (KST) 223.33.165.63의 기여 223.62.162.144의 기여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바깥 고리에 작성될 수 없는 내용을 반복 작성하고 있습니다. 175.197.33.75 (토론) 2016년 11월 12일 (토) 18:29 (KST) 공용IP인지 먼저 확인하고 IP 대역을 모아 점검해 봐야겠군요. SVN (토론) 2016년 11월 12일 (토) 18:33 (KST) = = 마크 위드마이어 준보호 요청 = = 메이저리그 코치는 메이저리그 선수처럼 당연히 등재기준이 충족되는데 아이피들이 자꾸 악의적인 삭제신청을 넣습니다. 10000금 (토론) 2016년 11월 9일 (수) 02:06 (KST) = = 김지애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삭제 요청 = = 삭제 사유는 다중 모바일 IP 사용자가 생성한 문서 삭제 요청때와 같습니다. 해당 문서는 허위로 생성된 가짜입니다. 가짜라는 증거 1 & 가짜라는 증거 2 문서 내용 자체만 봐도 아시겠지만 백:저명성 & 백:확인가능 & 백:신뢰출처 미달이고, 김지애라는 스케이팅 선수는 어디에도 없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몇몇 지인분들과 관리자님들께서는 아직 모르고 계시겠지만 해당 문서의 편집 내역을 보면 가짜라는걸 알수 있습니다. 증거 문서 생성자의 경우 여러 IP로 허위 편집을 반복해 현재 차단된 상태지만 223.62.203.***로 시작하는 IP로 자주는 아니어도 가끔 나타나는게 확인되었습니다. 다른 IP로 삭제 신청 틀을 제거할 수 있어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3.144 (토론) 2016년 11월 9일 (수) 13:54 (KST) = = 문서 대량 삭제 = = * 위 IP가 생성한 욕설 문서를 대량 삭제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Tursetic 2016년 11월 11일 (금) 18:18 (KST) SVN (토론) 2016년 11월 11일 (금) 18:20 (KST) = = 문서 복구 = = 제가 '마인크래프트'란 문서를 편집했는데요, 이상하게도 편집을 하면 글자가 막 깨집니다. 즉 '안녕하세요'라고 쓰면 '요하앙년셒' 이런 식으로 깨지는 식입니다. 그러니까 글자가 약간씩 뒤섞이면서 깨지는데, 원래 문서의 흔적을 발견할 수는 있으나 거의 알아보지 못합니다. 과감하게 편집, 실수해도 되돌릴 수 있다고 했는데, 가능한가요? 그럼 제가 2016.11.11에 한 '마인크래프트' 문서의 편집을 모두 취소해 주세요ㅠㅠ 죄송합니다.. 마인크래프트 문서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8.34.244.235(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 남성혐오 문서 보호 해제 요청 = = 여성혐오 문서는 보호가 해제되었으며 같은 맥락으로 남성혐오에 대한 충분한 토론이 이뤄졌다고 봅니다. 내용을 존치하자고 하는 쪽에서 더이상 토론에 참여하지 않는 상황에서 더이상의 보호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호로조 (토론) 2016년 11월 11일 (금) 22:13 (KST) SVN (토론) 2016년 11월 12일 (토) 00:50 (KST) = = 안태환 문서 보호 요청 = = 문서훼손으로 인한 보호요청합니다. 호로조 (토론) 2016년 11월 11일 (금) 22:13 (KST) = = 대한예수교침례회 문서 보호 요청 = = 해당 문서에서 서술하고 있는 교파의 이해당사자로 추정되는 사용자:Koguryo90에 의해 훼손된 문서를 복원하였으나 해당 사용자가 계속해서 문서를 되돌리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문서의 보호를 요청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6년 11월 12일 (토) 22:53 (KST) = = 다음 문서 보호 요청 = = 다음 문서 내역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장난하는 인물이 계속 바깥 고리에 작성될 수 없는 블로그 url를 반복 삽입하고 있습니다. 증거 1 증거 2 IP가 바뀔때마다 다른 url로 바꿔 작성하고 있고, 해당 인물의 행위는 백:바깥 고리 위반에 해당됩니다. 122.42.197.74 (토론) 2016년 11월 13일 (일) 13:22 (KST) 일단 1주일간 준보호 하였습니다. SVN (토론) 2016년 11월 13일 (일) 20:14 (KST) = = 문서 삭제 요청:술집계열 문서 3개 = = 사토:술집 미색년 기둥서방 프로그램 애니월드-(차단됨) 사:술집 기생년의 자식새끼 이완호-개인정보 사토:술집 기생년의 자식새끼 이완호-개인정보+편집필터 기록에도 기록이 되어 함께 삭제 신청합니다! 뿐만 아니라, 대전 MBC에서도 이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증거+증거2+증거3:페이지 맨 밑으로 가세요.현재 그부분 말끔히 지워짐. WEB ARCHIVE:증거4-일단 특정판은 사:-revi님의 의해서 삭제 되었는데, 웹 상태 저장으로 이를 회피하고 있네요. Jerrykim306 (토론) 2016년 11월 13일 (일) 22:13 (KST) This save does look like that is Privacy Infringement by its Korean Law. There is a phone number and personal secret number that must not be shown. Please delete this archive as soon. Thank you. Abuse type:Privacy and Security URL: 다만, MBC 대전은 문제가 있는데, 신고가 매우 어렵습니다. 일단은 저장된 페이지 신고 했습니다. Jerrykim306 (토론) 2016년 11월 14일 (월) 18:07 (KST) = = 미리내 운동에 대한 문서 삭제 복구 요청 = = 신뢰할 만한 출처가 아니라는 내용으로 조건 미달 삭제 되었는데요. 문서 하단에 TV방송 출처가 많은데 그런것들로 부족한 건가요? 제가 아이디 없이 작성해서 저에게 삭제가 된다던지 그런 내용의 고지가 안온듯싶습니다. 이후 복구 절차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214.246.250(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명을 하시려면 물결표 4개(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 해시태그 문서 보호 요청 = = 해시태그 문서 편집 내역 최근 바뀜을 통해 백:반달이 발생하고 있는게 확인되었고, 바깥 고리에 삽입 될 수 없는 블로그 url을 반복 삽입하는 다중 IP가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문서와 전혀 상관없는 url을 반복 삽입하고 있습니다. 증거 몇몇분들이 기여를 되돌리고 있지만 지금도 장난 반복하는 인물이 IP를 바꿔가면서 장난을 반복하고 있어 임시로 보호 부탁드립니다. 1.230.221.180 (토론) 2016년 11월 16일 (수) 23:43 (KST) = = 김민정 (1987년) 문서 보호 요청 = = 편집 역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2016년 10월 14일부터 꾸준히 사진을 삭제하고 배우자 이름을 바꾸는 등의 문서 훼손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반달을 해 오던 사:고건혁김민정이 차단되자, 유동 IP로 반달을 하고 있습니다. JERESY 토론 2016년 11월 17일 (목) 08:18 (KST) 2주간 준보호하였습니다. SVN (토론) 2016년 11월 17일 (목) 09:16 (KST) = = 시진핑 문서 보호 신청 = = 비로그인자의 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을 무시한 장난성 반달행위로 인한 문서보호신청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11월 17일 (목) 15:18 (KST) = = 이데일리 문서 보호 요청 = = 이데일리 문서 편집 내역 이데일리 문서 준보호 요청때의 요청이 끝난 이후에도 계속 훼손 당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에 작성한 그대로 실시간으로 IP를 바꿔가면서 장난하는 인물이 반복적으로 장난을 하고 있어, 재요청합니다. 175.197.32.190 (토론) 2016년 11월 17일 (목) 17:30 (KST) = = 초안:2030년 FIFA 월드컵 → 2030년 FIFA 월드컵 = = 해당 문서는 2030년에 열리는 FIFA 월드컵에 관한 문서로, 이미 일본어 위키백과(2030 FIFAワールドカップ)와 헝가리어 위키백과(2030-as labdarúgó-világbajnokság)에도 해당 문서가 올라와 있습니다. 이에 제가 해당 문서를 작성하려고 했으나 생성이 막혀서 작성을 할수가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초안 문서를 일반 문서로 이동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cfc2349 (토론) 2016년 11월 17일 (목) 23:41 (KST) = = 국가 신토 문서 보호 신청 = = 비로그인자의 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을 무시한 장난성 반달행위로 인한 문서보호신청합니다. 편집기록을 보시면 비로그인자의 고집성 반달행위가 드러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11월 18일 (금) 20:14 (KST) = = 간도와 토문강 보호 신청 = = 간도의 편집 내역 토문강의 편집 내역 무기한 차단중이신 사:Unypoly님께서 사:대한민 계정으로도 편집을 행한 이래 사:사하라해방, 사:Muljil, 사:낙동혁명, 사:투소, 사:창성, 특:기여/2001:2d8:308:eec3::434f:b0ac 특:기여/2001:2d8:309:3a51::2819:80a0, 사:Hanguk-in, 특:기여/123.228.80.251, 사:토롱농, 사:함북연길. 특:기여/123.228.76.104, 특:기여/223.62.3.187, 특:기여/223.62.229.218 등의 계정과 SKT IP로 약 1년간 꾸준히 직접 관리하고 계시는 문서들입니다.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셨던 특:기여/121.140.203.206님과 저는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2주#121.140.203.206 차단 요청,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4주#121.140.203.206 차단 요청,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20주#5warm, 121.140.203.206 차단 요청,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23주#다중 계정 차단 요청,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38주#다중계정 특수:기여/121.140.203.206, 사용자:5warm 차단 요청, 백:사용자_관리_요청/2016년_제38주#사:일단술먹고합시다 차단 요청, 사토:일단술먹고합시다#한국어 위키백과가 망한 이유, 백:다중 계정 검사 요청#토문강 문서 상습훼손 사용자 등 몇 번이고 고초를 당해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유니폴리님께서는 다른 사용자들을 쫒아내고자 사:아름다움, 사:0상아줌마, 사:생북, 특:기여/123.228.68.25, 특:기여/223.62.16.92, 특:기여/223.62.229.218 등의 계정과 SKT IP들로도 꾸준히 백:방해 편집을 해오셨습니다. 무엇으로도 유니폴리님과의 대화나 다른 분의 도움이 어렵다는 생각을 하면 내가 이러려고 위키백과를 했나라는 자괴감이 들 정도로 괴롭기만 합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흥미를 많이 잃어버렸기에 문서 보호라도 신청합니다. = = 최순실 게이트 특정판 삭제 = = 최순실 게이트 문서에 어떤 사람이 나무위키를 퍼온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나무위키의 위키문법이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16년 11월 19일 03시 판부터 9시 46분판까지 특정판 삭제를 긴급히 요구합니다. 10000금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09:55 (KST) 특정판 삭제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메이 `토론 2016년 11월 22일 (화) 00:22 (KST) = = 에이스항공 문서 보호 요청 = = 에이스항공 문서 편집 내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때 언급된 다중 IP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백:분쟁 및 백:반달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175.197.33.206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12:26 (KST) 해당 IP대역이 차단되었습니다. 이후로도 반복될 경우 다시 확인을 바랍니다. 메이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14:03 (KST) 광범위 다중 IP의 기여 1 & 광범위 다중 IP의 기여 2 & 광범위 다중 IP의 기여 3 & 광범위 다중 IP의 기여 4 IP를 바꿔가면서 장난을 반복하고 있는게 확인되었고, 지난주 14.32.178.7로 장난 반복하다 차단된적도 있습니다. 175.197.33.206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20:07 (KST) 추가 요청을 작성합니다. 편집 지랄 삭제 부탁드립니다. 제 사용자 토론란에 장난 반복 및 해당 문서에 반달 반복하는 인물이 생성한 장난성 넘겨주기에 해당됩니다. 175.197.33.206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12:28 (KST) 메이 `토론 2016년 11월 19일 (토) 14:03 (KST) = = 틀:분류 필요 완전 보호 요청 = = 이 틀 문서에 사:슉슉이의 다중 계정이 문서를 훼손된것이 발견되었습니다. 지금은 아무런 일이 없지만 추가로 문서 훼손이 더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백:관리자들도 편집할수 없도록 연쇄 보호 요청을 합니다. 이 틀은 매우 중요합니다. GALAXYA8 (토론 • 기여 • 기록 • 차단 • 추방) 2016년 11월 21일 (월) 20:06 (KST) = = 긴급 보호 요청 = =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 -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 문서 편집 내역 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 - 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 문서 편집 내역 경향신문 - 경향신문 문서 편집 내역 조선일보 - 조선일보 문서 편집 내역 한국일보 - 한국일보 문서 편집 내역 동아일보 - 동아일보 문서 편집 내역 서울신문 - 서울신문 문서 편집 내역 내일신문 - 내일신문 문서 편집 내역 한겨레 - 한겨레 문서 편집 내역 머니투데이 - 머니투데이 문서 편집 내역 파이낸셜뉴스 - 파이낸셜뉴스 문서 편집 내역 아시아경제신문 - 아시아경제신문 문서 편집 내역 조인스닷컴 - 조인스닷컴 문서 편집 내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의 요청이 주 사유이며,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문서에 계속 장난 반복하는 인무링 여러 IP로 장난 반복하고 있는게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문서가 보호되도 다른문서들로 같은식으로 백:바깥 고리 & 백:아님#뉴스 & 백:아님#신문 위반을 반복할 수 있어 재보호 부탁드립니다. 175.197.32.5 (토론) 2016년 11월 26일 (토) 20:51 (KST) = = 궐동에 간 요마 요마의 꿈 계정 삭제 = = 궐동에 간 요마 , 요마의 꿈 두 계정 회원 탈되 하고 싶읍니다 지금은 비밀번호 및 이메일을 기억이 나지 않읍니다 이 계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보들을 완전히 삭제해 주세여 이 의견을 2016년 11월 28일 (월) 17:12‎ (KST) 에 작성한 사용자는 59.11.209.66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에가미 = 에가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에가미 나미오: 일본의 고고학자, 도쿄 대학(東京大学) 명예 교수 에가미 이에타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한 무장으로서 하스이케 성주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해군의회 = 다음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남해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남해군의회는 지역구의원 8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남해군 가선거구 남해읍, 서면 2 남해군 나선거구 고현면, 설천면 2 남해군 다선거구 이동면, 상주면, 남면 2 남해군 라선거구 삼동면, 미조면, 창선면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남해군의회 비례대표 선거는 무투표 당선이 결정되었다.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한나라당 1 김정숙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한나라당 5 1 6 무소속 3 - 3 = 예진원 = 예진원(芮眞元, 1999년 3월 16일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외야수이다. = =아마추어 시절 = = 경남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때부터 주전 외야수를 맡아 활약했다. 주로 3번 타순에 기용되며 경남고등학교의 부흥기를 이끌었다. =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시절 = = 201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8순위로 입단하였다. 2018년에 스프링 캠프에 참가했다. 2018년 6월 20일 두산전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대주자로 교체 출장해 타석에는 들어서지 못했다. = =상무 야구단 시절 = = 2019년 11월 23일에 입단하였다. = =키움 히어로즈 복귀 = = 2021년에 복귀하였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17년 제 28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 = 수상 = = 2017년 제 28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득점상 = = 출신 학교 = = 양정초등학교 부산중학교 경남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8 넥센 0.143 5 7 2 1 0 0 0 1 0 0 0 0 0 0 0 0 2019 키움 0.167 2 6 1 1 1 0 0 2 1 0 0 2 0 3 0 0 2021 키움 0.158 52 114 16 18 6 1 1 29 8 0 1 12 2 28 2 0 2022 키움 0.100 20 10 0 1 0 0 0 1 0 0 0 3 0 3 0 0 2023 키움 0.235 16 34 2 8 1 0 1 12 4 0 0 0 0 7 0 0 통산 5시즌 0.170 95 171 21 29 8 1 2 45 13 0 1 17 2 41 2 0 = 분류:덴류구의 역사 = = 쇠박새 = 쇠박새는 박새과에 속하며 학명은 Poecile palustris이다. 몸길이 약 11cm로 머리꼭대기·턱밑·멱은 검고, 뺨은 희다. 부리는 굵고 튼튼하며, 암수가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삼림과 정원 등지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떼를 지어 다닌다. 산란기는 4-5월이며, 7-8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알은 품은 지 13일이면 부화하고, 알에서 나온 새끼는 16-17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주로 곤충을 먹지만, 거미와 나무열매도 먹는다. 우리나라·일본·중국·유럽에 분포한다. = = 아종 = = 아종은 다음과 같이 10개로 인식된다: P. p. dresseri (Stejneger, 1886) P. p. palustris (Linnaeus, 1758) P. p. italicus (Tschusi & Hellmayr, 1900) P. p. stagnatilis (Brehm, CL, 1855) P. p. kabardensis (Buturlin, 1929) P. p. brevirostris Taczanowski, 1872 P. p. ernsti (Yamashina, 1933) P. p. hensoni (Stejneger, 1892) P. p. jeholicus (Kleinschmidt, O & Weigold, 1922) P. p. hellmayri Bianchi, 1903 = 미나문방구 = 미나문방구는 2013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최강희 : 강미나 역 봉태규 : 최강호 역 주진모 : 강봉근 역 정규수 : 복덕방 배씨 역 김원해 : 나까마 장시 역 김고은 : 소영 역 박사랑 : 어린 미나 역 구승현 : 어린 강호 역 김단율 : 서진 역 양한열 : 태권 역 엄지성 : 오성 역 정준원 : 응철 역 유재상 : 종호 역 박서연 : 진희 역 황재원 : 오성동생 역 김영선 : 서진의 엄마 역 조하석 : 태권부 역 김지영 : 유치원 여아 역 태인호 : 외제차 남자 역 오민애 : 간병인 역 정민성 : 부부 남 역 박영규 : 이재근 역 (특별출연) 권해효 : 도청과장 역 (특별출연) 김서라 : 교장 역 (특별출연) 임원희 : 양복남 역 (특별출연) 김승훈 : 이성훈 역 (특별출연) = = 특기사항 = = 영화의 내용상 배경은 전라북도 무주군이지만 실제 촬영지는 경상북도 경주시이다. = 틀:서일본 철도의 노선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8주 = = = 117.111.175.138 & 39.7.59.252 차단 요청 = = * * 차단 기간이 끝나자마자 또 반달을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차단된적이 있으며, 편집 패턴으로 봐서는 다중 IP로 나타나서 반달했던 인물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2개의 IP에 같은 식으로 작성된걸로 봐서는 동일인물이 맞습니다. 증거 1 증거 2 해당 인물은 이전에도 다중 IP로 나타나서 관리자님들의 사용자란을 반복적으로 훼손한 인물이기에 선의로 봐줄수 없습니다. 2개의 IP를 문서 훼손 및 차단 회피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4일 (월) 13:09 (KST) = = 사:JameeSusan 차단 요청 = = * 사:Unypoly의 다중계정.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4일 (월) 14:28 (KST) 차단 회피로 보아 무기한 차단합니다. 기존에 차단되었던 사용자:허리수와 같은 사용자로 볼 근거가 여럿 존재합니다. 다만, 현재 관련 문서가 일괄 삭제되어 다른 사용자 분들은 해당 근거에 접근이 불가합니다. 양해바랍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11월 24일 (월) 15:47 (KST) = = 헨리킴 차단 요청 = = * 한국어교원자격증‎ 문서에 지속해서 광고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이순재를 내세운 자격증 학원 광고 링크입니다. 링크에도 advertisement 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습니다. ( Vntrkd (토론) 2014년 11월 24일 (월) 15:23 (KST) = = 183.222.153.17 차단 요청 = = * 차단된 사:Candlebike 및 사:Redflag의 차단 회피 IP 입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4일 (월) 17:17 (KST) = = 깨어있는 시민 차단 신청 = = * = = 58.234.84.167 차단 요청 = = 차단요청사유: 김재중문서의 반복 훼손 61.72.193.238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01:41 (KST) = = 양념치킨파닭얼마 차단 요청 = = * = = dokdo republic kor40 = = * 위자는 dokdo is republic of korea 의 다중계정으로 추청되는자 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RkwhRlf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Neoalpha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 = RkwhRlfl 차단 요청 = = * = = DMBioLtd & Polaris070 차단 요청 = = * * 삭제된 광고 문서를 반복 생성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문서가 삭제될때마다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서 다시 재생성한다는 뜻이고, 이전에도 지인분들이 각각 삭제 신청을 했지만 해당 인물은 계속해서 삭제 신청틀을 제거했고, DM Bio문서가 삭제되자, 다중 계정으로 나타나서 DM Bio(디엠바이오)라는 다른 제목으로 재생성하고 있습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17:42 (KST) = = 14.43.8.193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이전에 남을 비방하는 내용의 문서 생성을 반복생성하다 2번 차단된 인물이며, 또다시 문서 훼손 및 비방하는 문서를 생성했습니다. 증거 해당 IP 사용자는 위키에 장난할려고 나타나는 인물인것 같습니다. 해당 IP 사용자를 차단하지않으면 계속해서 장난을 반복하는 만큼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으로 차단 요청하며, 해당 IP 사용자가 생성한 차영호문서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18:16 (KST) = = Nonorang 제재 요청 = = *차단요청 사유: 이미 과거 김재중 문서의 훼손으로 경고를 받은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준보호조치가 풀리자마자 또 다시 나타나서 훼손을 자행합니다. 61.72.193.238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18:55 (KST)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117.21.192.xx, 117.21.193.xx 차단 요청 = = * * * * * * * * * * * * * * * * * * * * * * 엊그제 다중계정 사:Candlebike 적발 조치에 불복하고 차단계정 사:Redflag가 우회 아이피로 위키 편집 중입니다. 신고하는 아이피들이 내일도 칸타빌레 외 다수 문서에 추가편집한 부분들은 사:Candlebike, 사:Redflag가 이전에 실었던 내용이며, 오늘 오후 4시와 7시 사이 117.21.192.xx, 117.21.193.xx 아이피로 편집된 문서 개수와 빈도를 보면 사:Redflag 본인과 이하 다중계정의 편집 성향이나 패턴과 일치합니다. 다행히 커뷰님께서 차단회피 눈치채고 내일도 칸타빌레의 경우 즉각 기여 되돌리는 조치 취했으나 아이피가 차단되지 않은 관계로 패션왕 등 다른 문서 편집도 시도하고 있으니 접근을 막아주시기 바랍니다.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19:18 (KST) * * 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20:12 (KST) = = 14.54.35.129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제 사용자토론란에 인신 공격성 단어를 작성했을 뿐만 아니라 문서마다 장난성 편집을 반복했습니다. 그리고 위키백과:대문을 복사해서 중복문서를 막 생성하고 있습니다. 인신 공격 증거 문서 훼손 및 장난성 편집 증거 욕설 작성 증거 해당 IP 사용자를 인신 공격 및 문서 훼손 & 지속적인 장난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20:53 (KST) = = 125.132.132.22 차단요청 = = 사용자를 차단 요청합니다. 아베 신조 문서를 장난으로 훼손하고 있습니다. Vntrkd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20:56 (KST) = = 사:이대호팀장 차단 요청 = = * 스팸계정입니다. 이건 문득 든 생각인데, 저런거 모아다가 서울강남경찰서나 서울수서경찰서 가져다주면 실적에 도움될까요? Neoalpha (토론) 2014년 11월 25일 (화) 23:50 (KST) = = 112.187.81.8 차단 요청 = = * = = 허위 기여 IP 차단 요청 = = * * * 3개의 IP의 편집 내역을 봐서는 동일인물인것 같습니다. 각 문서마다 사실과 다른 허위기여를 한게 확인되었으며, 편집 패턴 또한 일치합니다. 허위기어 증거 1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허위 기여 증거 2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허위 기여 증거 3 해당 IP의 기여가 허위라느 증거 3 그리고 브니엘이라는 문서의 편집 내역을 확인해본 결과 3개의 IP는 동일인것 같고, 해당 문서는 장난으로 생성된 허위 문서인것 같습니다. 3개의 IP를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 & 허위 사실 삽입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6일 (수) 11:16 (KST) = = 223.62.215.40 차단 요청 = = * 편집 패턴을 확인해본 결과 지난주에 차단된 223.33.153.*로 시작하는 IP하고 14.45.141.*로 시작하는 IP의 다중 회피 IP인것 같습니다. 해당 IP 사용자는 위키에 계속해서 허위기여를 반복해 온 인물인것 같습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차단 회피 & 허위 사실 삽입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6일 (수) 11:54 (KST) = = 사용자:투레스레토렐 차단 요청 = = * 사용자:포데수의 다중계정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Initial Z (토론) 2014년 11월 26일 (수) 12:48 (KST) = =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차단 요청 = = * = = Sdp1026 차단 요청 = = * 왜 차단이라는 거죠? 현재라는 거 쓸 수도 있잖아요. 아직 논란 끝난 상황도 아니던데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dp1026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위키백과 회원 차단 요청 = = * = = 124.111.53.79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이전에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된 적이 있으며, 차단이 끝난 이후에도 또 문서마다 장난성 편집을 반복했으며, 이제는 하다못해 광고 문서까지 생성했습니다.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지만 이를 무시했으며,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6일 (수) 21:43 (KST) = = 125.149.64.147 긴급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왕의 얼굴문서를 계속 훼손하고 있습니다.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또 훼손하고 있습니다. 증거 1 증거 2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6일 (수) 23:28(KST) = = Msmf0007 무기한 차단 요청 = = * 의 다중 계정입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01:30(KST) = = 사:Killnorthkorea 차단 요청 = = * 부적절한 계정명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3:22 (KST) Killnorthkorea 가 부적절하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Neoalpha 는 북한측 사람이 아닌가 의심됩니다. 대한민국에서 Killnorthkorea 라는 계정명이 문제가 될 이유는 없습니다. - 2014년 11월 27일 13:33 = = 120.198.243.0/24 대역 차단 요청 = = * * *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8주#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117.21.192.xx, 117.21.193.xx 차단 요청과 같은 사유로 Redflag의 차단 회피 IP 대역입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4:58 (KST)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120.198.243.xx 차단 요청 = = * * * * 사:Redflag가 또다시 우회 아이피(이번엔 120.198.243.xx)로 위키 편집 중입니다. 오늘 오전 11시부터 지금까지 손댄 문서들은 다중계정 사:Candlebike와 지난 25일 적발된 우회 아이피 117.21.192.xx, 117.21.193.xx로 접근하여 훼손한 문서들로 적발 후 되돌려진 내용들을 다시 추가하려 하니 차단해주십시오. (방영 예정 드라마 위키 신설한 것도 사:Redflag의 편집 패턴과 동일)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5:07 (KST) = = 210.94.41.89 긴급 차단 요청 = = * 해당 IP 계정이 과거에 장난성 편집을 일삼다가 지적을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오늘 또다시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는 편집을 일삼았으니 차단 부탁드립니다. 211.61.23.66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6:21 (KST) = = 120.202.249.0/24 대역 차단 요청 = = * *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8주#120.198.243.0/24 대역 차단 요청에 나온 Redflag가 새로운 IP 대역으로 나타났군요.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7:12 (KST) 커뷰님은 더이상 문서훼손을 중단하세요 차단정책은 누군가를 처벌하고자 하는게 아니라 문서훼손을 방지하는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오히려 님이 훼손한 것을 바로 잡고 있는데 대체 저게 왜 문제라는 말입니까? 차단회피 기여무효라는 말은 없습니다. 그게 훼손된 것이 아니라면 문제가 될 이유는 없습니다. 다중계정을 악이라고 하는건 정책을 왜곡하는것입니다. 다중계정이 악인게 아니라 문서를 훼손하는게 악입니다. 탐나는 도다 작가를 내칸타 작가라고 덮어씌우며 계속해서 거짓된 정보를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차단계저 쫓아다니면서 태클거시는데 오히려 님은 부끄러워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120.202.249.199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7:29 (KST) = = 대한사람 대한으로 무기한 차단 요청 = = * 편집 패턴으로 봐서는 의 다중 계정인것 같습니다. 편집 내역을 봐서는 몇시간전에 차단된 도 동일인물인것 같습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8:24 (KST) = = Samsunitetito 차단 요청 = = * 편집 패턴으로 봐서는 문서 훼손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인것 같습니다. 증거 1 증거 2 다른 분이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지만 이를 무시하고 토론란에도 장난을 친게 확인되었습니다. 증거 해당 사용자를 문서 훼손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8:47 (KST) = = 110.70.58.19 차단 요청 = = * 관리자님들도 모두 아시겠지만 해당 IP 사용자는 예전에 관리자님들의 사용자란을 훼손했던 의 다중 IP입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9:17 (KST) = = 저 차단 요청 = = * 조성민 문서에다가 지속적인 장난성 편집을 하고 있으니 긴급 차단 부탁드립니다. 123.140.44.175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19:26 (KST) = = 61.84.157.165 토론 잠금 요청 = = 해당 IP주소는 장난성 편집으로 1개월 차단되었습니다. 그런데 자신의 토론 문서에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 토론 잠금을 요청합니다. cube52 (토론) 2014년 11월 27일 (목) 20:23 (KST) = = 39.7.19.81‎ 긴급 차단 요청 = = * 왕의 얼굴문서를 훼손하는 걸로 봐서는 지난번에 차단된 와 동일인물인것 같고, 편집 패턴또한 일치합니다. 토론를 통해 주의를 줘도 무시하고 또 훼손하고 있습니다. 증거 1 증거 2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차단 회피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6일 (금) 00:16(KST) = = 1.176.54.0/24 대역 차단 요청 = = * * * * 사:Redflag의 차단 회피 IP 대역입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05:10 (KST)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112.17.0.0/24 대역 차단 요청 = = * * 차단된 112.17.0.210 말고도 오늘 새벽 112.17.0.209로 활동한 기록이 있습니다.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08:12 (KST)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97.77.104.0/24 대역 차단 요청 = = * 오늘도 본인 편집 복구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전 회피 패턴 참고하시어 대역 차단해주십시오.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10:45 (KST) = = 211.233.140.236 차단 요청 = = * 카지노 (영화)‎문서에 불법 스팸 관련 내용을 삽입 했습니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15:48 (KST) = = Japan prkorea abesinzo 차단요청 = = * 이분, 또 Dokdo is republic of korea의 다중계정인데, 이번엔 제 사용자토론 문서에 멋대로 닥치는대로 훼손하고 저를 공격합니다. 추가로 사관을 남용해 저를 공격하고 있습니다. 장영재탐험단, 한국동요의 자부심. (프로필/토론/기여) 2014년 11월 28일 (금) 16:02 (KST) = = 그리드‎ & 218.37.195.187 차단 요청 = = * * 2개의 계정 및 IP는 같은 문서만 상습적으로 훼손하는걸로 봐서는 동일인물로 추정되며, 해당 계정의 편집 내역을 확인해본 결과 타인을 비방할 목적으로 생성한 계정인것 같습니다. 증거 1 증거 2 증거 3 증거 4 해당 계정의 토론란을 통해 주의를 줬지만, 해당 인물이 IP로 나타나서 또다시 훼손을 했으며, 해당 IP 및 계정을 문서 훼손으로 차단 요청하며, 계정은 무기한 차단으로 해주십시오. 175.197.33.158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20:54 (KST) = = ‎119.95.55.56 차단 요청 = = * 카지노 나이아가라문서에 스팸 관련 글을 삽입했으며,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또다시 스팸 관련 글을 삽입했습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8일 (금) 23:38(KST) = = 튀익스 차단 요청 = = * 편집 패턴으로 봐서는 의 다중 계정인것 같습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9일 (토) 00:06(KST)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112.65.246.26 61.147.204.30 115.239.212.145 159.104.6.90 111.161.126.83 차단 요청 = = * * * * * 사:Redflag가 오늘도 어김없이 신규 드라마 관련 문서 신설 및 본인 편집 복구 외 기타 문서에 개입하려 하니 차단해주십시오. (61.147.204.3의 경우 토론:박유천에서 명예훼손 운운하는 말투가 영락없이 사:Redflag임을 드러내는 단서입니다.) 아이피 112.65.246.26 61.147.204.30 115.239.212.145 159.104.6.90 모두 검색결과 프록시로 확인됐으며 대역까지 차단하는 것이 사:Redflag의 이전 회피 패턴을 봤을 때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9일 (토) 08:16 (KST) = = 122.34.40.147 긴급 차단 요청 = = * 국제 축구 연맹, 토론:국제 축구 연맹 문서를 지속적인 훼손을 일삼고 있으니 차단 부탁드립니다. 123.140.44.148 (토론) 2014년 11월 29일 (토) 16:20 (KST) = = Swdreamer 차단 신청 = = * = = 사:Redflag의 우회 아이피 60.55.40.163 202.56.203.33차단 요청 = = * * 사:Redflag가 주원 문서에서 본인 편집 복구 시도하며 중국발, 인도발 프록시 접근하고 있으니 차단해주십시오. 중간에 다른 이용자가 개입하여 되돌리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Veridiche (토론) 2014년 11월 29일 (토) 18:34 (KST) = = 구둣똥구녕 차단 요청 = = * 문서마다 사실과 다른 허위내용으로 바꾸는 행위를 반복하고 있으며,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또 훼손하고 있습니다. 허위 기여 증거 1 허위 기여 증거 2 허위 기여 증거 3 해당 사용자를 지속적인 장난으로 차단 요청하며, 그리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명도 보면 부적절한 계정명입니다. 39.115.9.225 (토론) 2014년 11월 29일 (일) 01:15(KST) = = Pathoschild 차단 요청 = = * = = 사:장영실인가뭔가, 사:우리조국 차단 요청 = = * * 저를 공격할 목적으로 생성된, Dokdo is republic of korea의 다중계정 입니다. 거기에다가 닉네임도 앞에 제이름과 비슷해 사칭이 의심됩니다. 그리고 사관 요청을 남용하는 패턴을 봐서는, Dokdo is republic of korea의 다중계정임이 명백합니다. 장영재탐험단, 한국동요의 자부심. (프로필/토론/기여) 2014년 11월 30일 (일) 15:02 (KST) = = S0ch1 사용자 차단 요청 = = 위 사용자는 토론:국제 연합에서 방해 편집을 하고 있습니다. 2013년 6월 19일 (수) 16:40 (KST)에 대두1962님께서 유엔으로 문서를 옮기자고 제안하셨고 1년 넘게 토론을 한 결과 유엔으로 옮기기로 결정이 났습니다. 하지만, 제가 볼때에는 S0ch1 님은 백:방해 편집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1. 총의 형성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참여 2. 비일관적인 의견 먼저 토론:국제 연합#반대에서 피신청자의 발언을 보겠습니다. 3.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무시하려는 태도 4. 결론 : 피신청자는 방해 토론을 했습니다 위키백과:총의에 따르면 위키백과의 의사 결정은 형식적인 투표 집계에 근거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여론조사 자체는 의사결정의 방법이 아니고, 이는 구속력 있는 투표가 아니며, 여러분은 여론조사 결과를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여론조사는 일반적으로 지양됩니다. 단, 문서삭제요청과 같은 특별한 예외는 있습니다. S0ch1 (토론) 2014년 11월 30일 (일) 15:45 (KST) 사용자:콩가루는 해당 토론의 찬성측 사용자로서, 반대편의 입장에 있는 사용자를 설득하기는 커녕 차단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것 같습니다. 이런 태도를 가진 분이 중립적으로 사안을 파악하려 노력했는지 의문입니다. S0ch1 (토론) 2014년 11월 30일 (일) 15:48 (KST) 방해 편집으로 1개월간 차단합니다. — Revi 2014년 11월 30일 (일) 15:52 (KST) = = 210.223.25.89와 Flour 차단 신청 입니다. = = 210.223.25.89와 Flour 차단 신청 합니다. 동일인물 이고 210.223.25.89와 Flour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문서와 리오넬 메시 문서를 중립적이지않은 개인적인 사고와 독자 연구 그리고 팬심으로 사용자들이 토론과 회의를 거쳐 확정한 게시물을 부정하며 중립적이지 않은 개인적인 사고와 독자 연구 팬심으로 무분별하게 편집 및 편집 되돌리기를 반복 하고 있습니다. 토론란에 인신공격과 욕설을 사용 하며 수많은 개인토론과 경고 하였으나 조치 되지 않았으며 사용자들이 토론과 회의를 하여 확정사여 게시한걸 부정 하며 독단적인 편집과 편집 되돌리기를 반복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게시물을 원상태로 복구 하면 다시 되돌리며 게시물에 바꾸지마라며 욕설을 게시하여 다른 사용자들도 불편 하게 하고 있습니다. 토론란에 욕설과 비방을 서슴치 않으며 저급한 단어를 사용하여 인신공격을 서슴없이 하고 있으며 위키백과 협업 정신을 위배 했으며 이 토론란 내용은 이미 관리자분들 중 한분이 보시고 경고 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자기의 지극히 독자적인 생각과 중립적이지 않은 사고와 팬심으로 자기 내용이관철 되지 않으니 운영진에게 협업 정신 위배로 경고조치 받은 Flour로는 활동 하지 않고 210.223.25.89로 활동 하고 있습니다. 지극히 독자적인 생각과 중립적이지 않은 사고, 독자연구와 팬심으로 편집 및 편집 되돌리기를 반복 하고 저급한 용어 및 욕설을 사용 하여 위키백과 협업 정신을 위배 했으며 토론란 뿐만아니라 게시물에도 저급한 단어 및 욕설을 사용해 바꾸지마라며 게시 했습니다. 사용자들이 토론과 회의를 거처 확정 후 게시한 게시물을 토론도 없이 지극히 독자적인 생각과 중립적이지 않은 사고 독자연구 및 팬심으로 편집 및 편집 되돌리기를 반복 하는 등 위키백과 정신을 위배 했습니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동일인물 210.223.25.89와 Flour를 차단 요청 합니다. 육군 주임원사 (토론) 2014년 11월 30일 (일) 15:51 (KST) = = 110.45.38.124 차단 신청 = = * = = 220.122.54.32 긴급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이전에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된적이 있으며, 차단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전혀 개선하지 않고 또 문서 훼손을 하고 있으며,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또 장난치고 있습니다. 123.141.129.201 (토론) 2014년 11월 30일 (일) 21:42 (KST) = = 사용자:s0ch1 토론란 차단 및 기한 연장 요청 = = *피요청자는 현재 차단에 이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단 재검토 요청 및 중재 요청 등 공식적인 이의 제기 방법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피요청자의 토론란에서 토론:유엔에서 피요청자 의견에 반하는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비방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 측간의 말싸움으로 이어지고 있고, 심각한 분란 상태입니다. 피요청자의 행위는 백:선의, 백: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을 재차 위반하는 것이므로, 차단 기한 연장 및 토론란 차단을 요청드리는 바입니다. 피요청자 분께서는 차단에 이의있으시거나, 총의에 이의 있으면 중재 요청 등으로 공식적으로 이의 제기 하시기 바랍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11월 30일 (일) 23:15 (KST) = 강민국 (정치인) = 강민국(姜旻局, 1971년 3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이다. 경상남도 진주 출생이다. = = 학력 = = 2000~2002: 경남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 = 경력 = = 1998~2000: 법무부 교정위원 2000~2005: 진주국제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201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수료 2011 한국청년미래포럼 대표 새누리당 중앙당 상임전국위원 새누리당 중앙당 부대변인 2020.06 : 미래통합당 경남도당 진주시 을 당협위원회 위원장 2020.07~2020.09: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원회 위원 2020.08~2020.09: 미래통합당 중앙윤리위원회 위원 2020.09 : 국민의힘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원회 위원 2020.09~2021.09: 국민의힘 경상남도당 수석부위원장 2020.09~2024.01: 국민의힘 경남도당 진주시 을 당협위원회 위원장 2020.09~2023.04: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 2020.10: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정부정책 감시 특별위원회 위원 2020.10: 국민의힘 라임옵티머스 권력비리게이트 특별위원회 위원 2020.11: 국민의힘 지금부터 대표 2021.05~2022.04: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겸 원내부대표 2021.05 : 국민의힘 가상자산(암호화폐) 특별위원회 위원 2021.08 : 국민의힘 국회부의장 및 상임위원장 선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2021.09~: 국민의힘 경상남도당 원내수석부위원장 2021.12~2022.01: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조직총괄본부 부산울산경남본부장 2021.12~2022.03: 국민의힘 경남을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선거대책위원장 2022.01~2022.03: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본부 조직본부 부산·울산·경남본부장 2022.03~2022.05: 국민의힘 경남도당 6·1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022.05~2022.06: 국민의힘 6·1지방선거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 유세본부장 2023.02~2023.04: 국민의힘 경남도당 4·5 재보궐 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2023.03~2023.10: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2023.09~2023.09: 국민의힘 강서구청장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 2024.02~2024.03: 국민의힘 경남도당 4.10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 = = 의정 활동 = = = 2014년 7월~2018년 6월: 제10대 경상남도의회 의원(초선, 진주시 제3선거구) 2018년 7월~2020년 1월: 제11대 경상남도의회 의원(재선, 진주시 제3선거구) 2018년 7월~2020년 1월: 제11대 경상남도의회 전반기 건설소방위원회 위원장 2020년 5월 30일~제21대 국회의원(경남 진주시 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2020년 7월~2022년 5월: 제21대 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2020년 7월~: 국회 글로벌외교안보포럼 구성의원 2020년 7월~: 자유경제 포럼 구성의원 2020년 7월~: 한중차세대리더포럼 연구책임의원 2021년 6월~2022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운영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위원 제21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2021년 11월~2022년 4월: 제21대 국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문상부)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2021년 12월~2022년 5월: 제21대 국회 정치개혁 특별위원회 위원 2022년 7월~2022년 10월: 제21대 국회 민생경제안정특별위원회 위원 2022년 7월~2024년 1월: 제21대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2022년 7월~2023년 5월: 제21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2년 8월~2023년 1월: 제21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24년 1월~: 제21대 후반기 정무위원회 간사 *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위원 = 바바 야가 = 바바 야가(Baba Yaga)는 슬라브 신화에서 기형적으로나 흉포하게 보이는 여성으로 보이는 초자연적인 대상(동명의 자매들 중 3인조 중 한 명)인 마녀이다. 바바 야가는 막자사발 주위를 날아다니며 막자를 휘두르며 보통 닭다리 위에 서있는 것으로 묘사된 오두막 깊은 숲속에 거주한다. 바바 야가는 그녀와 마주치거나 그녀를 찾는 사람을 도와주거나 훼방을 놓기도 하며 모성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숲속의 야생동물과 유대를 맺고 있다.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설화형태학에 따르면 바바 유가는 대개 도너(donor)나 악당으로 등장한다. 안드레아스 존스는 바바 요가를 "동부 유럽 민속에서 가장 기억할만하고 눈에 띄는 인물 가운데 한 명"을 식별하면서, 그녀가 불가사의하고 가끔 모호함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존스는 바바 요가를 "연구가들이 그녀를 구름, 달, 죽음, 겨울, 뱀, 새, 펠리칸, 땅의 신, 모계 중심의 토템 여자 조상, 여성 선도자, 남근을 가진 어머니(phallic mother), 전형적인 이미지(archetypal image)로 간주하게끔 만들 수 있는 수많은 면을 보여주는 인물"로 요약하고 있다. = 스털링시티 = 스털링시티(Stirling City, Sterling City)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털링시(Stirling City) 스털링시티(Stirling City): 캘리포니아주의 도시 스털링시티(Sterling City): 미국 텍사스주의 군청 소재지 = 말괄량이 대행진 = 말괄량이 대행진은 1986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하희라 : 유나옥 역 이상아 : 유나영 역 전영록 : 강민 역 손창호 : 방한모 역 김주승 : 영호 역 백장미 현지영 고앤이 김현우 (남학생 조연) = 분류:BBC의 지역국 = = 2018 LoL KeSPA컵 = 2018 LoL KeSPA컵은 2018년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이다. = = 팀별 성적 = = 우승-그리핀 준우승-Gen.G 4강-KT 롤스터, 담원 게이밍 2라운드 8강-SKT T1, 아프리카 프릭스, 킹존 드래곤X, GC부산 라이징스타 1라운드 8강-진에어 그린윙스, bbq 올리버스, 샌드박스 게이밍, KeG서울 1라운드 16강-MVP, APK프린스, ES샤크스, KeG경기(기권), 한화생명e스포츠, RGA, 위너스, 브리온 블레이드 = 오페론 = 오페론(Operon)은 조절유전자(regulatory gene), 작동유전자(operator), 프로모터(promoter), 구조유전자(structural gene)들을 포함한 효소합성에 관여하는 일련의 DNA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미생물 유전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관된 유전자들을 하나의 전사단위로 묶음으로써 연관된 유전자들을 통일적으로 조절한다. F. Jacob와 J. Monod가 1961년 오페론설을 제창하였다.Neil A. Campbell, Jane B. Reece, Biology 8th edition, BenjaminCummings, 2007.11.27 = = 역사 = = '오페론'이라는 단어는 1960년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에서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이후 1961년 F. Jacob와 J. Monod가 E. coli로부터 락토스 오페론을 처음으로 발견해 내었으며, 1965년 F. Jacob와 J. Monod는 이를 발견한 공로로 A. M. Lwoff와 함께 생리의학부문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 = 구성 = = 조절유전자(調節遺傳子, regulatory gene) : 독자적인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으며 억제자(repressor)를 암호화하며 항상 발현된다. 프로모터 (Promoter) : RNA 중합효소가 인식하여 부착하는 DNA 서열이다. 작동유전자(作動遺傳子, operator) : 프로모터 내 혹은 프로모터와 구조유전자의 사이에 위치하여 RNA 중합효소가 유전자에 접근하는 것을 조절한다. 억제자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구조유전자(構造遺傳子, structural gene) : 효소의 유전정보를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이다. = = 조절 = = 보편적인 경우 조절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억제자가 작동유전자에 결합하는 경우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를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여 발현이 억제된다. 오페론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조유전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RNA 중합효소의 결합이 억제될 경우 오페론 상의 일련의 구조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다. 억제자의 작용은 오페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 종류 = = 락토스 오페론(lactose operon; Lac operon) 트립토판 오페론(tryptophan operon; Trp operon) = 스페인 헌법 (1978년) = 스페인 헌법은 스페인 왕국의 헌법으로서 197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제정됐다. 민주주의로 전향하는 스페인 사회에서 태어난 스페인 헌법은 수많은 과거 헌법을 계승한다. = = 유래 = =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1975년에 죽자 총선을 통해 스페인 의회가 헌법 초고 작성 및 승인을 위해 구성된다. 의회에 제출되기 위해 7명으로 구성된 구성인단이 의원 중에 따로 선출돼 초고 작성 작업에 착수했다. 이들을 두고 스페인 헌법의 아버지(padres de la Constitución)로 부르며 다양한 정치적 색깔을 담을 수 있도록 의회에서 충분히 고려했다. 집권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법적 제고안도 포함시켰다. 작가이자 왕실령으로 상원에 진출한 카밀로 호세 세라는 후에 헌법에 일일이 담긴 단어를 다듬는다. 그러나 중의성이 지적되면서 그가 표기하거나 제시한 단어는 대부분 승인되지 못했다. 1978년 10월 31일 의회에서 승인됐으며 1978년 헌법 개정안으로 12월 6일 스페인 국민에 의해 승인됐다. 88%로의 유권자가 새로운 헌법을 지지했다. 마침내 12월 27일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 1세가 확언하면서 12월 29일 공식적으로 승인돼 공표되기에 이른다. 이후로 스페인 국경일로 12월 6일이 제헌절로 지정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국가 구조 = = 헌법은 각 지역의 지방자치와 그 국적을 인정한다. 예비 문구 결과적으로 스페인은 이에 따라 17개의 자치 지방과 두 개의 자치 도시로 구성되며 헌법은 스페인은 연방으로 명시하고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 사안에 따라 각 자치 지방의 의결권이 상당하여 각 사안에 따라 다른 정도의 개입이 이뤄진다. 나바라 지방에서는 준 연방지위를 인정하여 세금 징수를 요구하는 시민 운동이 일어났으며 바스크 지방에서는 공항 관리를 중앙 정부가 갖는다. 조항143번 = = 사회적 권리 = = 스페인 헌법은 일부의 권리장전을 포함하며 사회적 권리에 대해 명시하여 "민주주의에 기반한 법치주의 사회를 구현한다"(Estado social y democrático de derecho)고 처음부터 쓰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권리는 14조와 28조까지 명시된 개인의 권리만큼 강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원칙이자 경제 정책상의 필요한 조처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의 권리가 반드시 법원이나 재판소에서 이에 앞서는 것은 아니다. 다른 부분에서는 주거권이 명시되어 있어 47조에는 "모든 스페인 사람들이 적합한 환경에서 거주할 권리가 있다. 정부 관리는 필요한 주거 환경과 이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토지의 잘못된 사용을 제한하여 공공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공동체는 호혜를 위해 도시 계획에 대중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서술되어 있다. 취업의 경우 40조는 사회경제적 진보와 더 나은 부의 분배(지방과 개인의 소득분배)를 위해 사회적 고려가 필요하며 겨제 안정성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서술하였으며 가능한 한 최대한의 취업률을 유지토록 해야한다고 명시했다. 사회복지부분에 대해서는 41조가 서술하여 사회안전보장이 모든 시민의 적합한 사회적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으며 부가적인 지원과 이해관계에 대한 고려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보건 혜택에 대해서도 43조에서 예방과 필요 조치에 대한 이행을 국가의 책임으로 명시하여 모든 부분에 대한 법적 기준이 있음을 밝혔다. 연금법에 대해서는 50조가 서술하며 "공공 부분이 보장 범위를 정하여 기간에 따라 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충분한 수입원을 노인 인구에 제공한다"고 쓰여 있다. 지급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고령 인구의 복지를 이룰 수 있도록 복지 정책을 채택해 보건, 주거, 문화여가 생활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스페인 사회당이 강성하면서 사기업에 대한 국가의 간섭과 공공부문에 대한 개입 및 노동자의 생산 시설 소유에 관한 법률 등이 포함되었다."La elaboración de la Constitución" , Miguel Herrero y Rodríguez de Miñón = 유치송 = 유치송(柳致松, 1924년 10월 7일 ~ 2006년 6월 2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6·9·10·11·1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신민당 조직국장, 사무차장,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고 1981년의 제12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장남인 유일호는 국회의원과 부총리를 역임한 국민의힘의 정치인이다. = = 생애 = = = = = 초기 활동 = = = 유치송은 1924년 10월 7일에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났다. 평택성동초등학교를 거쳐 경성고등보통학교로 진학, 경성고보를 졸업했다. = = = 정계 입문 초기 = = = 1955년 민주당의 창당에 참여, 그해 9월 민주당 중앙당 중앙위원, 11월 민주당 창당 촉진위원, 민주당 경기도지구당 재경위원회 위원 겸 책임위원이 되었다. 1956년 해공 신익희가 대통령선거 유세도중 사망하고 신익희 사회장이 결정되자, 재정위원에 선출됐다. 1957년 통일당 창당을 준비하다가 취소, 다시 민주당에 들어가 그해 당 중앙감찰위원에 선임됐다. 1958년 다시 민주당중앙감찰위원이 되고 민주당 경기도지구당 상임위원이 되었다. 그 후 신민당 경기도지부 위원장을 맡는 등 거물 정치인으로 거듭난다. = = = 정치 활동 = = = 1961년에 5.16 군사 정변 직후 구정치인 정화법으로 정치 활동에 제한을 받다가 정정법에서 풀려난 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하여 민정당(民政黨) 후보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원내에 입성했다. 1964년에 민중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했고, 1967년에 신민당이 출범한 뒤에는 신민당 조직국장, 뒤에 당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이 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2번 낙선했지만 1973년의 제9대 총선에 당선되어 복귀하였다. 1974년 신민당 사무총장이 되었다. 또한 1977년의 제10대 총선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연속 당선되면서 재기하였고 또한 한때 상도동계 중진의 한 축을 담당한다. = = = 생애 후반 = = = 1981년 12월 21일 제5공화국 헌법 발효와 함께 기존의 모든 정당들이 해산되자, 당시 정치활동 금지를 받지 않은 정치인들을 규합하여 민주한국당(民主韓國黨)을 창당하였다. 민한당이 1981년의 제11대 총선에서는 여당인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에 이어 원내 제2당이 됨에 따라서 제1야당의 총재가 되었다.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해 치러지는 간접선거인 제12대 대선에 출마하였으나 전두환(全斗煥)에 이어 2위로 패하였다. 그 뒤 정책야당을 표방하며 제1야당의 총수로 활동하였으나 당시 김영삼(金泳三), 김대중(金大中)등 유력 야당 정치인들이 모두 정치활동이 금지된 상황에서, 군부 출신의 전두환 정부 아래에서 온건한 노선을 견지하였으므로 어용 야당의 정치인, 여당의 2중대 등으로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1985년 민한당 창당과정에 중앙정보부가 깊숙히 개입됐다는 의혹이 일부 인사들에게서 제기되면서 다시 '어용 야당'과 '관제 야당' 총재라는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 1983년 1월 안성군의 공도면과 원곡면의 일부 5개의里,500만평을 주민의견 수렴없이 평택군으로 강제 편입에 성공시켜.1983년 1월 대통령제로 (소사.죽백.용이.청룡.월곡).평택군에 편입 시켰다. 1985년 1월 창당된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이 제12대 총선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함에 따라 민한당은 군소정당으로 밀려났으며, 1988년 4월 제13대 총선에서 소속의원 전원이 낙선하고 총유효투표의 2% 이상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정당 등록이 취소되고 당은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에 흡수되었으며 유치송은 정계의 뒤안길로 밀려났다. 1987년 유치송의 정치생활 마지막 업적으로 무연탄 취급역 이였던, 평택역을 신축하고 지역발전과 철도중심지로 만들기 위해,서울과 충청도 그리고 강원도까지 연결되어 있던, 안성선 철도를 마침내 1989년 1월 1일, 패선으로 만들었고, 평택에서 충청도인 천안을 경유해서 지나가게 하였고, 결국 강원도까지 가는 노선 역시 철거되었다. 제65차 국제의원연맹(IPU) 한국대표를 지내기도 했으며 정계를 은퇴하였다. = = = 정계 은퇴 이후 = = = 1989년 해공 신익희 선생 기념사업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2006년까지 해공신익희선생기념사업회장으로 있었다. 그 뒤 헌정회 원로자문회의 위원, 통일원고문 등을 지냈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을 지냈다. 2005년 헌정회 원로회의 의장을 맡아왔다. 2006년 5월 부인이 사망한 뒤 병세가 더욱 악화되었고, 6월 2일 사망했다. 저서로 '신익희 선생 일대기'역사의 기로에서'민주화의 과제' 등이 있다. 서울대 병원에 빈소가 마련된 뒤 장지는 충청남도 천안시의 공원묘지에 장사되었다. 18, 19대 국회의원(서울 송파을, 새누리당)이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 비서실장을 역임하고 현재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장관인 유일호가 그의 아들이며중앙일보, 2013년 1월 12일자, 검증과 파격의 이중주 … 박근혜 인사의 비밀, 그 외 유현숙, 유현방 등 두 딸이 있다. = = 학력 = = 1943년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195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 = 저서 = = <신익희 선생 일대기> <역사의 기로에서> <민주화의 과제> = 솔새속 (식물) = 솔새속(Themeda)은 벼과에 속하는 외떡잎식물 분류의 하나이다. 약 18종Barkworth, M. E. Themeda. Grass Manual. Flora of North America. 내지 26종Potdar, G. G., et al. (2003). A new species of Themeda Forssk. (Poaceae) from India. Kew Bulletin 58(1) 243-46.을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 일부 종 = = Themeda anathera Themeda arguens (L.) Hack. Themeda arundinacea Themeda avenacea Themeda caudata Themeda ciliata Themeda forskalii Themeda frondosa Themeda gigantea (Cav.) Hack. Themeda imberbis Themeda japonica Themeda pseudotremula Themeda quadrivalvis (L.) Kuntze 솔새 (Themeda triandra) Forssk. (syn. Themeda australis) Themeda villosa (Poir.) A.Camus = 리카온 세코웨이 = 리카온 세코웨이(학명: Lycaon sekowi)는 플리오세에서 플라이스토세 사이 남아프리카에 서식했던 개과의 종이다. 오늘날까지 번식하고 있는 아프리카들개(Lycaon pictus)와 같은 속에 속하며, 리카온 세코웨이가 상위 육식동물(hypercarnivore)이었다. 그러나, 앞발은 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형태였다. = 영천 강호정 = 강호정(江湖亭)은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에 있는 정자 건축물이다. 1975년 8월 18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임진왜란 때의 의병대장 정세아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기 위해 세운 누각이다. 선조 32년(1599)에 지은 후 여러 차례의 보수공사가 있었는데, 지금의 건물은 영천댐 건설공사로 인해 1977년에 현 위치로 옮겨 다시 지은 것이다. 정세아는 임진왜란 당시 영천·경주지방을 되찾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전쟁이 끝난 뒤 국가에서 수여하는 모든 영예를 사양하고, 고향인 용산동에 이 정자를 지어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가르치는 일에 힘을 기울였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양쪽에는 각 2칸의 방이 있고, 가운데 1칸이 마루로 꾸며져 있으며 화려한 난간을 설치하였다. 뒤에는 2채의 작은 부속건물이 있는데, 그 마당을 통해 정자로 오르게 되어있다. = 분류:노르웨이의 반공주의 = = 드론턴 = 드론턴은 네덜란드 플레볼란트주의 도시로 면적은 423.89km2, 높이는 -2m, 인구는 40,363명(2014년 5월 기준), 인구 밀도는 121명/km2이다. = 스키너 상자 = 스키너 상자(Skinner box, Operant conditioning chamber라겨도 함)는 동물 행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 기구이다. 하버드 대학교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가 1930년과 1931년 사이에 창안했으며, 폴란드의 신경과학자 예지 코노스키(Jerzy Konorski)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도 있다. 스키너 상자는 조작적 조건형성과 고전적 조건형성 양쪽 모두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스키너는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만든 퍼즐 상자의 한 변형으로 이 기구를 만들었다. = = 목적 = = 스키너 상자는 실험용 동물에게 빛이나 소리 신호와 같은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특정한 동작(레버를 누르는 것과 같은)을 학습시켜 조건형성을 연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실험용 동물이 정확한 행동을 취하면 스키너 상자의 장치가 음식이나 다른 보상을 준다. 실험용 동물이 부정확하거나 누락된 반응을 보이면, 스키너 상자는 그에 상응한 처벌(punishment)을 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초파리를 비롯한 특정한 무척추동물에 대해 조작적 조건형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심리학자들은 “열 상자”라고 알려진 장비를 사용한다. 본질적으로 열 상자는 스키너 박스와 같은 모양이지만, 상자는 온도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무척추동물이 온도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쪽으로 넘어가면 그 영역은 가열된다. 결국에는 그 무척추동물은 온도 변화가 가해지지 않는 쪽에 머무르도록 조건화된다. 결국, 초파리는 상자가 최저 온도로 변하더라도 차가운 영역에 남아있으려 한다. 이러한 유형의 기구 덕택에 실험자들은 보상/처벌 메커니즘을 통해 조건형성과 교육을 연구할 수 있다. = = 구조 = = 스키너 상자는 실험용 동물을 쉽게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큰 상자이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은 실험용 생쥐를 비롯한 설치류, 비둘기 그리고 영장류가 포함된다.) 상자는 외부의 자극에 교란되지 않도록 차음성, 내광성을 갖추기도 한다. 스키너 상자에는 레버와 같은 조작 장치가 최소한 한 개가 들어있으며, 때때로 두 개나 그 이상을 포함하여 조건반응이나 동작을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영장류와 쥐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조작 장치는 반응 레버이다. 실험용 동물이 레버를 누르면 반대쪽 끄트머리가 움직이고 컴퓨터나 다른 장비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개폐기를 닫는다. 비둘기를 비롯한 조류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조작 장치는 새가 충분한 힘으로 쪼았을 때 동작하는 반응 키이다. 스키너 상자의 또 다른 최소 구성요소는 기본 강화제(음식과 같은 보상)나 물 또는 펠릿과 같은 무조건 자극이다. 토큰으로 이용되는 LED신호와 같은 조건자극도 강화물로 이용될 수 있다. 스키너 상자는 하나의 스위치, 하나의 먹이 공급기 그리고 이러한 반응에 대한 누가반응기록기(Cumulative record)Skinner, B. F. (1959). Cumulative record (1999 definitive ed.). Cambridge, MA: B.F. Skinner Foundation. p 620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지만, 많은 심리학적 현상을 조사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방법에 적합한 장치이다. 현대의 스키너 상자는 일반적으로 많은 스위치들과 둘 이상의 보상 장치 및 빛과 소리, 음악, 형상, 그래픽 등을 출력하는 다양한 장치를 가지고 있다. 어떤 구성에서는 다양한 시각 자극들을 제시하기 위해 LCD 패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스키너 상자에는 동물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해 전기 그물이나 바닥이 있다. 또, 음식이 나오는 시간 정보를 색으로 표시하는 조명을 포함하기도 한다. 전기충격의 이용이 전례가 없는 건 아니지만, 동물에 대한 실험을 규제하는 국가에서는 승인이 필요하다. = = 연구의 영향 = = 스키너 상자는 행동 약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인다. 행동 경제학과 같은 심리학 바깥의 여러 다른 분야에서 이 실험을 해서 정보를 얻는다. 1945년 스키너는 그의 아내가 어린 딸을 키우데 있어서 기존의 요람을 개선한 진보적 사고에서 과학적인 기술이 가정에서의 편한 육아생활에도 긍정적으로 적용될수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자료를 제공한바있다. = = 상업적 활용 = = 슬롯머신이나 온라인 게임들은 반복 보상 행동을 강화하는 복잡한 자극 스케줄을 이용하는 인간용 스키너 박스의 예로 들어지기도 한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트위터를 비롯한 SNS들도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바쁘게 이용하도록 스키너리안 마케팅 등 스키너 상자에 관한 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 외적 맥락에서 게임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는 ‘게임화’는 유저들로 하여금 디자이너가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부추기기 위해 조작적 조건화와 다른 행동주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스키너 상자’ 라는 이름 = = 스키너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스키너 상자라는 이름 짓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이 '스키너 상자'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스키너는 이것을 '레버가 달린 상자' 등의 이름으로 부를 것을 제안하기까지 하였다. = 김성범 (가수) = 김성범(1990년 ~)은 대한민국의 가수다. 2018년 디지털 싱글 [그 모습만]으로 데뷔했다. = = 방송 = = 슈퍼스타K 2 (2010) - Top24(14위) 슈퍼스타K 3 (2011) 판타스틱 듀오 트롯 전국체전 (2020) - Top48(43위) 오빠시대 (2023) - Top40(36위) = = 음반 = = 그 모습만 (2018) = 시계열 = 시계열(時系列, )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배치된 데이터들의 수열을 말한다. 시계열 해석(time series analysis)이라고 하는 것은 이런 시계열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쓰이는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예컨대, 이런 시계열이 어떤 법칙에서 생성되어서 나오느냐는 기본적인 질문을 이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시계열 예측(time series prediction)이라고 하는 것은 주어진 시계열을 보고 수학적인 모델을 만들어서 미래에 일어날 것들을 예측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방법들은 공학이나 과학계산, 혹은 금융시장에서의 주가 예측 등에서 많이 쓰인다.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는 수학적 모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실제 응용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세 가지 범용 모델은 autoregressive (AR) 모델, integrated (I) 모델, moving average (MA) 모델 등이 있다. 이 세 가지 방법은 이미 얻어진 시계열 데이터에 선형 종속적이다. 비선형 종속적인 방법들은 나름대로 의미있는 것들이 있는데, 예컨대 혼돈 시계열등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시계열 해석에서는 여러 가지 기호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가 주로 흔히 쓰이는 기호인데, 이때 시계열 X는 자연수들로 지수가 매겨져 있다. = = 산업계에서의 용도 = = 시간에 종속적으로 측정된 모든 데이터들은 시계열로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때에는 시계열 데이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어진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종합 주가지수, 매일매일의 유가 변동사항, 환율 등 모든 데이터들은 시계열 데이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계열 해석은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분류:배영 = = 두현저수지 = 두현저수지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저수지이며, 외황강에 위치하고 있다. 2009년 7월 29일 이 저수지에서 100여m 떨어져 있는 공터에 의료폐기물을 무단투기하는 등 빈병을 처리하는 업자에게 떠맡긴 병원 2곳이 경찰에 적발되었다.<종합>주사기 등 의료폐기물 공터에 버린 병원 2곳 적발 = 틀:K리그1 MVP = = 틀: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정보 = = 틀:기사십자 철십자장 JG 30X = = 분류: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 모듈:Citation/CS1/sandbox = require ('Module:No globals'); [[ < F O R W A R D D E C L A R A T I O N S > each of these counts against the Lua upvalue limit ]] local validation; functions in Module:Citation/CS1/Date_validation local utilities; functions in Module:Citation/CS1/Utilities local z ={}; table of tables in Module:Citation/CS1/Utilities local identifiers; functions and tables in Module:Citation/CS1/Identifiers local metadata; functions in Module:Citation/CS1/COinS local cfg = {}; table of configuration tables that are defined in Module:Citation/CS1/Configuration local whitelist = {}; table of tables listing valid template parameter names; defined in Module:Citation/CS1/Whitelist [[ < P A G E S C O P E V A R I A B L E S > - declare variables here that have page-wide scope that are not brought in from other modules; that are created here and used here ]] local added_deprecated_cat; Boolean flag so that the category is added only once local added_vanc_errs; Boolean flag so we only emit one Vancouver error / category local added_generic_name_errs; Boolean flag so we only emit one generic name error / category and stop testing names once an error is encountered local Frame; holds the module's frame table local is_preview_mode; true when article is in preview mode; false when using 'Preview page with this template' (previewing the module) local is_sandbox; true when using sandbox modules to render citation [[ < F I R S T _ S E T > Locates and returns the first set value in a table of values where the order established in the table, left-to-right (or top-to-bottom), is the order in which the values are evaluated. Returns nil if none are set. This version replaces the original 'for _, val in pairs do' and a similar version that used ipairs. With the pairs version the order of evaluation could not be guaranteed. With the ipairs version, a nil value would terminate the for-loop before it reached the actual end of the list. ]] local function first_set (list, count) local i = 1; while i <= count do loop through all items in list if utilities.is_set( list[i] ) then return list[i]; return the first set list member end i = i + 1; point to next end end [[ < A D D _ V A N C _ E R R O R > Adds a single Vancouver system error message to the template's output regardless of how many error actually exist. To prevent duplication, added_vanc_errs is nil until an error message is emitted. added_vanc_errs is a Boolean declared in page scope variables above ]] local function add_vanc_error (source, position) if added_vanc_errs then return end added_vanc_errs = true; note that we've added this category utilities.set_message ('err_vancouver', {source, position}); end [[ < I S _ S C H E M E > does this thing that purports to be a URI scheme seem to be a valid scheme? The scheme is checked to see if it is in agreement with which says: Scheme names consist of a sequence of characters beginning with a letter and followed by any combination of letters, digits, plus ("+"), period ("."), or hyphen ("-"). returns true if it does, else false ]] local function is_scheme (scheme) return scheme and scheme:match ('^%a[%a%d%+%.%-]*:'); true if scheme is set and matches the pattern end [=[-< I S _ D O M A I N _ N A M E > Does this thing that purports to be a domain name seem to be a valid domain name? Syntax defined here: BNF defined here: Single character names are generally reserved; see see also Single-letter second-level domain list of TLDs: RFC 952 (modified by RFC 1123) requires the first and last character of a hostname to be a letter or a digit. Between the first and last characters the name may use letters, digits, and the hyphen. Also allowed are IPv4 addresses. IPv6 not supported domain is expected to be stripped of any path so that the last character in the last character of the TLD. tld is two or more alpha characters. Any preceding '//' (from splitting a URL with a scheme) will be stripped here. Perhaps not necessary but retained in case it is necessary for IPv4 dot decimal. There are several tests: the first character of the whole domain name including subdomains must be a letter or a digit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ASCII characters with .xn ASCII Compatible Encoding (ACE) prefix xn in the TLD) see single-letter/digit second-level domains in the .org, .cash, and .today TLDs q, x, and z SL domains in the .com TLD i and q SL domains in the .net TLD single-letter SL domains in the ccTLDs (where the ccTLD is two letters) two-character SL domains in gTLDs (where the gTLD is two or more letters) three-plus-character SL domains in gTLDs (where the gTLD is two or more letters) IPv4 dot-decimal address format; TLD not allowed returns true if domain appears to be a proper name and TLD or IPv4 address, else false ]=] local function is_domain_name (domain) if not domain then return false; if not set, abandon end domain = domain:gsub ('^//', ); strip '//' from domain name if present; done here so we only have to do it once if not domain:match ('^[%w]') then first character must be letter or digit return false; end if domain:match ('^%a+:') then hack to detect things that look like s:Page:Title where Page: is namespace at Wikisource return false; end local patterns = { patterns that look like URLs '%f[%w][%w][%w%-]+[%w]%.%a%a+$', three or more character hostname.hostname or hostname.tld '%f[%w][%w][%w%-]+[%w]%.xn%-%-[%w]+$',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with ACE prefix '%f[%a][qxz]%.com$', assigned one character .com hostname (x.com times out 2015-12-10) '%f[%a][iq]%.net$', assigned one character .net hostname (q.net registered but not active 2015-12-10) '%f[%w][%w]%.%a%a$', one character hostname and ccTLD (2 chars) '%f[%w][%w][%w]%.%a%a+$', two character hostname and TLD '^%d%d?%d?%.%d%d?%d?%.%d%d?%d?%.%d%d?%d?', IPv4 address } for _, pattern in ipairs (patterns) do loop through the patterns list if domain:match (pattern) then return true; if a match then we think that this thing that purports to be a URL is a URL end end for _, d in ipairs ({'cash', 'company', 'today', 'org'}) do look for single letter second level domain names for these top level domains if domain:match ('%f[%w][%w]%.' .. d) then return true end end return false; no matches, we don't know what this thing is end [[ < I S _ U R L > returns true if the scheme and domain parts of a URL appear to be a valid URL; else false. This function is the last step in the validation process. This function is separate because there are cases that are not covered by split_url, for example is_parameter_ext_wikilink which is looking for bracketted external wikilinks. ]] local function is_url (scheme, domain) if utilities.is_set (scheme) then if scheme is set check it and domain return is_scheme (scheme) and is_domain_name (domain); else return is_domain_name (domain); scheme not set when URL is protocol-relative end end [[ < S P L I T _ U R L > Split a URL into a scheme, authority indicator, and domain. First remove Fully Qualified Domain Name terminator (a dot following TLD) (if any) and any path(/), query(?) or fragment(#). If protocol-relative URL, return nil scheme and domain else return nil for both scheme and domain. When not protocol-relative, get scheme, authority indicator, and domain. If there is an authority indicator (one or more '/' characters immediately following the scheme's colon), make sure that there are only 2. Any URL that does not have news: scheme must have authority indicator (//). TODO: are there other common schemes like news: that don't use authority indicator? Strip off any port and path; ]] local function split_url (url_str) local scheme, authority, domain; url_str = url_str:gsub ('([%a%d])%.?[/%?#].*$', '%1'); strip FQDN terminator and path(/), query(?), fragment (#) (the capture prevents false replacement of '//') if url_str:match ('^//%S*') then if there is what appears to be a protocol-relative URL domain = url_str:match ('^//(%S*)') elseif url_str:match ('%S-:/*%S+') then if there is what appears to be a scheme, optional authority indicator, and domain name scheme, authority, domain = url_str:match ('(%S-:)(/*)(%S+)'); extract the scheme, authority indicator, and domain portions if utilities.is_set (authority) then authority = authority:gsub ('//', , 1); replace place 1 pair of '/' with nothing; if utilities.is_set(authority) then if anything left (1 or 3+ '/' where authority should be) then return scheme; return scheme only making domain nil which will cause an error message end else if not scheme:match ('^news:') then except for news:..., MediaWiki won't link URLs that do not have authority indicator;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test? return scheme; return scheme only making domain nil which will cause an error message end end domain = domain:gsub ('(%a):%d+', '%1'); strip port number if present end return scheme, domain; end [[ < L I N K _ P A R A M _ O K > - Link parameters are to hold the title of a Wikipedia article, so none of the WP:TITLESPECIALCHARACTERS are allowed: except the underscore which is used as a space in wiki URLs and # which is used for section links returns false when the value contains any of these characters. When there are no illegal characters, this function returns TRUE if value DOES NOT appear to be a valid URL (the ]] local function link_param_ok (value) local scheme, domain; return false; end scheme, domain = split_url (value); get scheme or nil and domain or nil from URL; return not is_url (scheme, domain); return true if value DOES NOT appear to be a valid URL end [[ < L I N K _ T I T L E _ O K > - that condition exists check for inter-language interwiki-link prefix. prefix must be a MediaWiki-recognized language code and must begin with a colon. ]] local function link_title_ok (link, lorig, title, torig) local orig; if utilities.is_set (link) then don't bother if -link doesn't have a value orig = lorig; identify the failing link parameter elseif link:match ('^%a+:') then if the link is what looks like an interwiki local prefix = link:match ('^(%a+):'):lower; get the interwiki prefix if cfg.inter_wiki_map[prefix] then if prefix is in the map, must have preceding colon orig = lorig; flag as error end end end if utilities.is_set (orig) then link = ; unset end return link; link if ok, empty string else end [[ < C H E C K _ U R L > Determines whether a URL string appears to be valid. First we test for space characters. If any are found, return false. Then split the URL into scheme and domain portions, or for protocol-relative (//example.com) URLs, just the domain. Use is_url to validate the two portions of the URL. If both are valid, or for protocol-relative if domain is valid, return true, else fals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a standard URL, and because this module used external_link to make external links that work for standard and news: links, we validate newsgroup names here. The specification for a newsgroup name is at ]] local function check_url( url_str ) return false; end local scheme, domain; scheme, domain = split_url (url_str); get scheme or nil and domain or nil from URL; if 'news:' == scheme then special case for newsgroups return domain:match('^[%a%d%+%-_]+%.[%a%d%+%-_%.]*[%a%d%+%-_]$'); end return is_url (scheme, domain); return true if value appears to be a valid URL end [=[-< I S _ P A R A M E T E R _ E X T _ W I K I L I N K > Return true if a parameter value has a string that begins and ends with square brackets [ and ] and the first non-space characters following the opening bracket appear to be a URL. The test will also find external wikilinks that use protocol-relative URLs. Also finds bare URLs. The frontier pattern prevents a match on interwiki-links which are similar to scheme:path URLs. The tests that is possible as might be en://Hus. ]=] local function is_parameter_ext_wikilink (value) local scheme, domain; if value:match ('%f[%[]%[%a%S*:%S+.*%]') then if ext. wikilink with scheme and domain: [xxxx://yyyyy.zzz] scheme, domain = split_url (value:match ('%f[%[]%[(%a%S*:%S+).*%]')); elseif value:match ('%f[%[]%') then if protocol-relative ext. wikilink: scheme, domain = split_url (value:match ('%f[%[]%[(//%S+).*%]')); elseif value:match ('%a%S*:%S+') then if bare URL with scheme; may have leading or trailing plain text scheme, domain = split_url (value:match ('(%a%S*:%S+)')); elseif value:match ('//%S+') then if protocol-relative bare URL: //yyyyy.zzz; may have leading or trailing plain text scheme, domain = split_url (value:match ('(//%S+)')); what is left should be the domain else return false; didn't find anything that is obviously a URL end return is_url (scheme, domain); return true if value appears to be a valid URL end [[-< C H E C K _ F O R _ U R L >- loop through a list of parameters and their values. Look at the value and if it has an external link, emit an error message. ]] local function check_for_url (parameter_list, error_list) for k, v in pairs (parameter_list) do for each parameter in the list if is_parameter_ext_wikilink (v) then look at the value; if there is a URL add an error message table.insert (error_list,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k)); end end end [[ < S A F E _ F O R _ U R L > Escape sequences for content that will be used for URL descriptions ]] local function safe_for_url( str ) if str:match( "%[%[.-%]%]" ) ~= ni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wikilink_in_url', {}); end return str:gsub( '[%[%]\n]', { ['['] = '[', [']'] = ']', ['\n'] = ' ' } ); end [[ < E X T E R N A L _ L I N K > Format an external link with error checking ]] local function external_link (URL, label, source, access) local err_msg = ; local domain; local path; local base_url; if not utilities.is_set (label) then label = URL; if utilities.is_set (source)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bare_url_missing_title',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source)}); else error (cfg.messages["bare_url_no_origin"]); end end if not check_url (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bad_url',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source)}); end domain, path = URL:match ('^([/%.%-%+:%a%d]+)([/%?#].*)$'); split the URL into scheme plus domain and path if path then if there is a path portion path = path:gsub ('[%[%]]', {['['] = '%5b', [']'] = '%5d'}); replace '[' and ']' with their percent-encoded values URL = table.concat ({domain, path}); and reassemble end base_url = table.concat ({ "[", URL, " ", safe_for_url (label), "]" }); assemble a wiki-markup URL if utilities.is_set (access) then access level (subscription, registration, limited) base_url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ext-link-access-signal'], {cfg.presentation[access].class, cfg.presentation[access].title, base_url}); add the appropriate icon end return base_url; end [[ < D E P R E C A T E D _ P A R A M E T E R > Categorize and emit an error message when the citation contains one or more deprecated parameters. The function includes the offending parameter name to the error message. Only one error message is emitt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deprecated parameters in the citation. added_deprecated_cat is a Boolean declared in page scope variables above ]] local function deprecated_parameter(name) if not added_deprecated_cat then added_deprecated_cat = true; note that we've added this category utilities.set_message ('err_deprecated_params', {name}); add error message end end [=[-< K E R N _ Q U O T E S > Apply kerning to open the space between the quote mark provided by the module and a leading or trailing quote This function will positive kern either single or double quotes: "'Unkerned title with leading and trailing single quote marks'" " 'Kerned title with leading and trailing single quote marks' " (in real life the kerning isn't as wide as this example) Double single quotes (italic or bold wiki-markup) are not kerned. Replaces Unicode quote marks in plain text or in the label portion of a D style wikilink with typewriter quote marks regardless of the need for kerning. Unicode quote marks are not replaced in simple D wikilinks. Call this function for chapter titles, for website titles, etc.; not for book titles. ]=] local function kern_quotes (str) local cap = ; local wl_type, label, link; wl_type, label, link = utilities.is_wikilink (str); wl_type is: 0, no wl (text in label variable); 1, D; 2, D if 1 == wl_type then D simple wikilink with or without quote marks if mw.ustring.match (str, '%[%[[\"“”\'‘’].+[\"“”\'‘’]%]%]') then leading and trailing quote marks str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left'], str); str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right'], str); elseif mw.ustring.match (str, '%[%[[\"“”\'‘’].+%]%]') then leading quote marks str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left'], str); elseif mw.ustring.match (str, '%[%[.+[\"“”\'‘’]%]%]') then trailing quote marks str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right'], str); end else plain text or D; text in label variable label = mw.ustring.gsub (label, '[“”]', '\"'); replace “” (U+201C & U+201D) with " (typewriter double quote mark) label = mw.ustring.gsub (label, '[‘’]', '\); replace ‘’ (U+2018 & U+2019) with ' (typewriter single quote mark) cap = mw.ustring.match (label, "^([\"\'][^\'].+)"); match leading double or single quote but not doubled single quotes (italic markup) if utilities.is_set (cap) then label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left'], cap); end cap = mw.ustring.match (label, "^(.+[^\'][\"\'])$") match trailing double or single quote but not doubled single quotes (italic markup) if utilities.is_set (cap) then label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kern-right'], cap); end if 2 == wl_type then str = utilities.make_wikilink (link, label); reassemble the wikilink else str = label; end end return str; end [[ < F O R M A T _ S C R I P T _ V A L U E > in italic markup. Spaces between the two-character code and the colon and the colon and the first script character are allowed: The prefix is checked for validity. If it is a valid ISO 639-1 language code, the lang attribute (lang="ja") is added to the tag so that browsers can know the language the tag contains. This may help the browser render the script more correctly. If the prefix is invalid, the lang attribute is not added. At this time there is no error message for this condition. ]] local function format_script_value (script_value, script_param) local lang=; initialize to empty string local name; if script_value:match('^%l%l%l?%s*:') then if first 3 or 4 non-space characters are script language prefix lang = script_value:match('^(%l%l%l?)%s*:%s*%S.*'); get the language prefix or nil if there is no script if not utilities.is_set (lang)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script_parameter', {script_param, 'missing title part'}); prefix without 'title'; add error message return ; script_value was just the prefix so return empty string end if we get this far we have prefix and script name = cfg.lang_code_remap[lang] or mw.language.fetchLanguageName( lang, cfg.this_wiki_code ); get language name so that we can use it to categorize if utilities.is_set (name) then is prefix a proper ISO 639-1 language code? script_value = script_value:gsub ('^%l+%s*:%s*', ); strip prefix from script is prefix one of these language codes? if utilities.in_array (lang, cfg.script_lang_codes) then utilities.add_prop_cat ('script', {name, lang})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script_parameter', {script_param, 'unknown language code'}); unknown script-language; add error message end lang = ' lang="' .. lang .. '" '; convert prefix into a lang attribute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script_parameter', {script_param, 'invalid language code'}); invalid language code; add error message lang = ; invalid so set lang to empty string end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script_parameter', {script_param, 'missing prefix'}); no language code prefix; add error message end script_valu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bdi'], {lang, script_value}); isolate in case script is RTL return script_value; end [[ < S C R I P T _ C O N C A T E N A T E > value has been wrapped in tags. ]] local function script_concatenate (title, script, script_param) if utilities.is_set (script) then script = format_script_value (script, script_param);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returns empty string on error if utilities.is_set (script) then title = title .. ' ' .. script; concatenate title and script title end end return title; end [[ < W R A P _ M S G > Applies additional message text to various parameter values. Supplied string is wrapped using a message_list configuration taking one argument. Supports lower case text for templates. Additional text taken from citation_config.messages - the reason this function is similar to but separate from wrap_style. ]] local function wrap_msg (key, str, lower) if not utilities.is_set ( str ) then return ""; end if true == lower then local msg; msg = cfg.messages[key]:lower; set the message to lower case before return utilities.substitute ( msg, str ); including template text else return utilities.substitute ( cfg.messages[key], str ); end end [[< W I K I S O U R C E _ U R L _ M A K E > - Makes a Wikisource URL from Wikisource interwiki-link. Returns the URL and appropriate label; nil else. ]] local function wikisource_url_make (str) local wl_type, D, L; local ws_url, ws_label; local wikisource_prefix = table.concat ({' ', cfg.this_wiki_code, '.wikisource.org/wiki/'}); wl_type, D, L = utilities.is_wikilink (str); wl_type is 0 (not a wikilink), 1 (simple wikilink), 2 (complex wikilink) str = D:match ('^[Ww]ikisource:(.+)') or D:match ('^[Ss]:(.+)'); article title from interwiki link with long-form or short-form namespace if utilities.is_set (str) then ws_url = table.concat ({ build a Wikisource URL wikisource_prefix, prefix str, article title }); ws_label = str; label for the URL end elseif 1 == wl_type then simple wikilink: Wikisource:ws article str = D:match ('^[Ww]ikisource:(.+)') or D:match ('^[Ss]:(.+)'); article title from interwiki link with long-form or short-form namespace if utilities.is_set (str) then ws_url = table.concat ({ build a Wikisource URL wikisource_prefix, prefix str, article title }); ws_label = str; label for the URL end elseif 2 == wl_type then non-so-simple wikilink: displayed text (D) str = L:match ('^[Ww]ikisource:(.+)') or L:match ('^[Ss]:(.+)'); article title from interwiki link with long-form or short-form namespace if utilities.is_set (str) then ws_label = D; get ws article name from display portion of interwiki link ws_url = table.concat ({ build a Wikisource URL wikisource_prefix, prefix str, article title without namespace from link portion of wikilink }); end end if ws_url then ws_url = mw.uri.encode (ws_url, 'WIKI'); make a usable URL ws_url = ws_url:gsub ('%%23', '#'); undo percent-encoding of fragment marker end return ws_url, ws_label, L or D; return proper URL or nil and a label or nil end [[< F O R M A T _ P E R I O D I C A L > - ]] local function format_periodical (script_periodical, script_periodical_source, periodical, trans_periodical) if not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periodical = ; to be safe for concatenation else periodical = utilities.wrap_style ('italic-title', periodical); style end periodical = script_concatenate (periodical, script_periodical, script_periodical_sourc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title is wrapped if utilities.is_set (trans_periodical) then trans_periodical = utilities.wrap_style ('trans-italic-title', trans_periodical);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periodical = periodical .. ' ' .. trans_periodical; else here when trans-periodical without periodical or script-periodical periodical = trans_periodical; utilities.set_message ('err_trans_missing_title', {'periodical'}); end end return periodical; end [[ < F O R M A T _ C H A P T E R _ T I T L E > - for error messages). ]] local function format_chapter_title (script_chapter, script_chapter_source, chapter, chapter_source, trans_chapter, trans_chapter_source, chapter_url, chapter_url_source, no_quotes, access) local ws_url, ws_label, L = wikisource_url_make (chapter); make a wikisource URL and label from a wikisource interwiki link if ws_url then ws_label = ws_label:gsub ('_', ' '); replace underscore separators with space characters chapter = ws_label; end if not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chapter = ; to be safe for concatenation else if false == no_quotes then chapter = kern_quotes (chapter); if necessary, separate chapter title's leading and trailing quote marks from module provided quote marks chapter = utilities.wrap_style ('quoted-title', chapter); end end chapter = script_concatenate (chapter, script_chapter, script_chapter_sourc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title is wrapped if utilities.is_set (chapter_url) then chapter = external_link (chapter_url, chapter, chapter_url_source, access); adds bare_url_missing_title error if appropriate elseif ws_url then chapter = external_link (ws_url, chapter .. ' ', 'ws link in chapter'); adds bare_url_missing_title error if appropriate; space char to move icon away from chap text; TODO: better way to do this? chapter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L, chapter}); end if utilities.is_set (trans_chapter) then trans_chapter = utilities.wrap_style ('trans-quoted-title', trans_chapter); if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chapter = chapter .. ' ' .. trans_chapter; else here when trans_chapter without chapter or script-chapter chapter = trans_chapter; chapter_source = trans_chapter_source:match ('trans%-?(.+)'); when no chapter, get matching name from trans- utilities.set_message ('err_trans_missing_title', {chapter_source}); end end return chapter; end [[< H A S _ I N V I S I B L E _ C H A R S > - This function searches a parameter's value for non-printable or invisible characters. The search stops at the first match. This function will detect the visible replacement character when it is part of the Wikisource. Detects but ignores nowiki and math stripmarkers. Also detects other named stripmarkers (gallery, math, pre, ref) and identifies them with a slightly different error message. See also coins_cleanup. Output of this function is an error message that identifies the character or the Unicode group, or the stripmarker that was detected along with its position (or, for multi-byte characters, the position of its first byte) in the parameter value. ]] local function has_invisible_chars (param, v) local position = ; position of invisible char or starting position of stripmarker local capture; used by stripmarker detection to hold name of the stripmarker local stripmarker; boolean set true when a stripmarker is found capture = string.match (v, '[%w%p ]*'); test for values that are simple ASCII text and bypass other tests if true if capture == v then if same there are no Unicode characters return; end for _, invisible_char in ipairs (cfg.invisible_chars) do local char_name = invisible_char[1]; the character or group name local pattern = invisible_char[2]; the pattern used to find it position, _, capture = mw.ustring.find (v, pattern); see if the parameter value contains characters that match the pattern if position and (cfg.invisible_defs.zwj == capture) then if we found a zero-width joiner character if mw.ustring.find (v, cfg.indic_script) then it's ok if one of the Indic scripts position = nil; unset position elseif cfg.emoji[mw.ustring.codepoint (v, position+1)] then is zwj followed by a character listed in emoji{}? position = nil; unset position end end if position then if 'nowiki' == capture or 'math' == capture or nowiki and math stripmarkers (not an error condition) ('templatestyles' == capture and utilities.in_array (param, {'id', 'quote'})) then templatestyles stripmarker allowed in these parameters stripmarker = true; set a flag elseif true == stripmarker and cfg.invisible_defs.del == capture then because stripmakers begin and end with the delete char, assume that we've found one end of a stripmarker position = nil; unset else local err_msg; if capture and not (cfg.invisible_defs.del == capture or cfg.invisible_defs.zwj == capture) then err_msg = capture .. ' ' .. char_name; else err_msg = char_name .. ' ' .. '문자'; 로컬 end utilities.set_message ('err_invisible_char', {err_msg,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param), position}); add error message return; and done with this parameter end end end end [[ -< A R G U M E N T _ W R A P P E R > Argument wrapper. This function provides support for argument mapping defined in the configuration file so that multiple names can be transparently aliased to single internal variable. ]] local function argument_wrapper ( args ) local origin = {}; return setmetatable({ ORIGIN = function ( self, k ) local dummy = self[k]; force the variable to be loaded. return origin[k]; end }, { __index = function ( tbl, k ) if origin[k] ~= nil then return nil; end local args, list, v = args, cfg.aliases[k]; if type( list ) == 'table' then v, origin[k] = utilities.select_one ( args, list, 'err_redundant_parameters' ); if origin[k] == nil then origin[k] = ; Empty string, not nil end elseif list ~= nil then v, origin[k] = args[list], list; else maybe let through instead of raising an error? v, origin[k] = args[k], k; error( cfg.messages['unknown_argument_map'] .. ': ' .. k); end Empty strings, not nil; if v == nil then v = ; origin[k] = ; end tbl = rawset( tbl, k, v ); return v; end, }); end [[ < N O W R A P _ D A T E >- When date is YYYY-MM-DD format wrap in nowrap span: YYYY-MM-DD. When date is DD MMMM YYYY or is MMMM DD, YYYY then wrap in nowrap span: DD MMMM YYYY or MMMM DD, YYYY DOES NOT yet support MMMM YYYY or any of the date ranges. ]] local function nowrap_date (date) local cap = ; local cap2 = ; if date:match("^%d%d%d%d%-%d%d%-%d%d$") then dat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nowrap1'], date); elseif date:match("^%a+%s*%d%d?,%s+%d%d%d%d$") or date:match ("^%d%d?%s*%a+%s+%d%d%d%d$") then cap, cap2 = string.match (date, "^(.*)%s+(%d%d%d%d)$"); dat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nowrap2'], {cap, cap2}); end return date; end [[ < S E T _ T I T L E T Y P E >- This function sets default title types (equivalent to the citation including special case where it is desirable to omit the title type from the rendered citation ]] local function set_titletype (cite_class, title_type) if utilities.is_set (title_type) then if 'none' == cfg.keywords_xlate[title_type] or "없음" == cfg.keywords_xlate[title_type] then 로컬 end end return cfg.title_types [cite_class] or ; set template's default title type; else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end [[ < S A F E _ J O I N >- Joins a sequence of strings together while checking for duplicate separation characters. ]] local function safe_join( tbl, duplicate_char ) local f = {}; create a function table appropriate to type of 'duplicate character' if 1 == #duplicate_char then for single byte ASCII characters use the string library functions f.gsub = string.gsub f.match = string.match f.sub = string.sub else for multi-byte characters use the ustring library functions f.gsub = mw.ustring.gsub f.match = mw.ustring.match f.sub = mw.ustring.sub end local str = ; the output string local comp = ; what does 'comp' mean? local end_chr = ; local trim; for _, value in ipairs( tbl ) do if value == nil then value = ; end if str == then if output string is empty str = value; assign value to it (first time through the loop) elseif value ~= then if value:sub(1, 1) == '<' then special case of values enclosed in spans and other markup. comp = value:gsub( "%b<>", "" ); remove HTML markup (string -> string) else comp = value; end typically duplicate_char is sepc if f.sub(comp, 1, 1) == duplicate_char then is first character same as duplicate_char? why test first character? Because individual string segments often (always?) begin with terminal punct for the preceding segment: 'First element' .. 'sepc next element' .. etc.? trim = false; end_chr = f.sub(str, -1, -1); get the last character of the output string str = str .. " str = f.sub(str, 1, -3); remove them both end end if trim then if value ~= comp then value does not equal comp when value contains HTML markup local dup2 = duplicate_char; if f.match(dup2, "%A" ) then dup2 = "%" .. dup2; end if duplicate_char not a letter then escape it value = f.gsub(value, "(%b<>)" .. dup2, "%1", 1 ) remove duplicate_char if it follows HTML markup else value = f.sub(value, 2, -1 ); remove duplicate_char when it is first character end end end str = str .. value; add it to the output string end end return str; end [[ < I S _ S U F F I X >- returns true if suffix is properly formed Jr, Sr, or ordinal in the range 1–9. Puncutation not allowed. ]] local function is_suffix (suffix) if utilities.in_array (suffix, {'Jr', 'Sr', 'Jnr', 'Snr', '1st', '2nd', '3rd'}) or suffix:match ('^%dth$') then return true; end return false; end [[< I S _ G O O D _ V A N C _ N A M E > - For Vancouver style, author/editor names are supposed to be rendered in Latin (read ASCII) characters. When a name uses characters that contain diacritical marks, those characters are to be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Latin character. When a name is written using a non-Latin alphabet or logogram, that name is to be transliterated into Latin characters. The module doesn't do this so editors may/must. in the four Unicode Latin character sets C0 Controls and Basic Latin 0041–005A, 0061–007A C1 Controls and Latin-1 Supplement 00C0–00D6, 00D8–00F6, 00F8–00FF Latin Extended-A 0100–017F Latin Extended-B 0180–01BF, 01C4–024F ( This original test: if nil == mw.ustring.find (last, "^[A-Za-zÀ-ÖØ-öø-ƿDŽ-ɏ%-%s%']*$") or nil == mw.ustring.find (first, "^[A-Za-zÀ-ÖØ-öø-ƿDŽ-ɏ%-%s%'%.]+[2-6%a]*$") then was written outside of the code editor and pasted here because the code editor gets confused between character insertion point and cursor position. The test has been rewritten to use decimal character escape sequence for the individual bytes of the Unicode characters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external editor to maintain this code. ]] local function is_good_vanc_name (last, first, suffix, position) if not suffix then if first:find ('[,%s]') then when there is a space or comma, might be first name/initials + generational suffix first = first:match ('(.-)[,%s]+'); get name/initials suffix = first:match ('[,%s]+(.+)$'); get generational suffix end end if utilities.is_set (suffix) then if not is_suffix (suffix) then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suffix, position); return false; not a name with an appropriate suffix end end if nil == mw.ustring.find (last, "^[A-Za-z\195\128-\195\150\195\152-\195\182\195\184-\198\191\199\132-\201\143%-%s%']*$") or nil == mw.ustring.find (first, "^[A-Za-z\195\128-\195\150\195\152-\195\182\195\184-\198\191\199\132-\201\143%-%s%'%.]*$") then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non-Latin char'], position); return false; not a string of Latin characters; Vancouver requires Romanization end; return true; end [[ < R E D U C E _ T O _ I N I T I A L S > See Vancouver style requires family rank designations (Jr, II, III, etc.) to be rendered as Jr, 2nd, 3rd, etc. See This code only accepts and understands generational suffix in the Vancouver format because Roman numerals look like, and can be mistaken for, initials. This function uses ustring functions because firstname initials may be any of the Unicode Latin characters accepted by is_good_vanc_name . ]] local function reduce_to_initials(first, position) local name, suffix = mw.ustring.match(first, "^(%u+) ([%dJS][%drndth]+)$"); if not name then if not initials and a suffix name = mw.ustring.match(first, "^(%u+)$"); is it just initials? end if name then if first is initials with or without suffix if 3 > mw.ustring.len (name) then if one or two initials if suffix then if there is a suffix if is_suffix (suffix) then is it legitimate? return first; one or two initials and a valid suffix so nothing to do else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suffix, position); one or two initials with invalid suffix so error message return first; and return first unmolested end else return first; one or two initials without suffix; nothing to do end end end if here then name has 3 or more uppercase letters so treat them as a word local initials, names = {}, {}; tables to hold name parts and initials local i = 1; counter for number of initials names = mw.text.split (first, '[%s,]+'); split into a table of names and possible suffix while names[i] do loop through the table if 1 < i and names[i]:match ('[%dJS][%drndth]+%.?$') then if not the first name, and looks like a suffix (may have trailing dot) names[i] = names[i]:gsub ('%.', ); remove terminal dot if present if is_suffix (names[i]) then if a legitimate suffix table.insert (initials, ' ' .. names[i]); add a separator space, insert at end of initials table break; and done because suffix must fall at the end of a name end no error message if not a suffix; possibly because of Romanization end if 3 > i then table.insert (initials, mw.ustring.sub(names[i], 1, 1)); insert the initial at end of initials table end i = i + 1; bump the counter end return table.concat(initials) Vancouver format does not include spaces. end [[ < L I S T _ P E O P L E > Formats a list of people (authors, contributors, editors, interviewers, translators) names in the list will be linked when rendered previously so should have been linked there ]] local function list_people (control, people, etal) local sep; local namesep; local format = control.format; local maximum = control.maximum; local name_list = {}; if 'vanc' == format then Vancouver-like name styling? sep = cfg.presentation['sep_nl_vanc']; name-list separator between names is a comma namesep = cfg.presentation['sep_name_vanc']; last/first separator is a space else sep = cfg.presentation['sep_nl']; name-list separator between names is a semicolon namesep = cfg.presentation['sep_name']; last/first separator is end if sep:sub (-1, -1) ~= " " then sep = sep .. " " end if utilities.is_set (maximum) and maximum < 1 then return "", 0; end returned 0 is for EditorCount; not used for other names for i, person in ipairs (people) do if utilities.is_set (person.last) then local mask = person.mask; local one; local sep_one = sep; if utilities.is_set (maximum) and i > maximum then etal = true; break; end if mask then local n = tonumber (mask); convert to a number if it can be converted; nil else if n then one = 0 ~= n and string.rep("—", n) or nil; make a string of (n > 0) mdashes, nil else, to replace name person.link = nil; don't create link to name if name is replaces with mdash string or has been set nil else one = mask; replace name with mask text (must include name-list separator) sep_one = " "; modify name-list separator end else one = person.last; get surname local first = person.first get given name if utilities.is_set (first) then if ("vanc" == format) then if Vancouver format one = one:gsub ('%.', ); remove periods from surnames ( if not person.corporate and is_good_vanc_name (one, first, nil, i) then and name is all Latin characters; corporate authors not tested first = reduce_to_initials (first, i); attempt to convert first name(s) to initials end end one = one .. namesep .. first; end end if utilities.is_set (person.link) then one = utilities.make_wikilink (person.link, one); link author/editor end if one then if has a value (name, mdash replacement, or mask text replacement) table.insert (name_list, one); add it to the list of names table.insert (name_list, sep_one); add the proper name-list separator end end end local count = #name_list / 2; (number of names + number of separators) divided by 2 if 0 < count then if 1 < count and not etal then if 'amp' == format then name_list[#name_list-2] = " & "; replace last separator with ampersand text elseif 'and' == format then if 2 == count then name_list[#name_list-2] = cfg.presentation.sep_nl_and; replace last separator with 'and' text else name_list[#name_list-2] = cfg.presentation.sep_nl_end; replace last separator with '(sep) and' text end end end name_list[#name_list] = nil; erase the last separator end local result = table.concat (name_list); construct list result = result .. sep .. ' ' .. cfg.messages['et al']; we've got a last-first list and etal so add et al. end return result, count; return name-list string and count of number of names (count used for editor names only) end [[< M A K E _ C I T E R E F _ I D > - Generates a CITEREF anchor ID if we have at least one name or a date. Otherwise returns an empty string. namelist is one of the contributor-, author-, or editor-name lists chosen in that order. year is Year or anchor_year. ]] local function make_citeref_id (namelist, year) local names={}; a table for the one to four names and year for i,v in ipairs (namelist) do loop through the list and take up to the first four last names names[i] = v.last if i == 4 then break end if four then done end table.insert (names, year); add the year at the end local id = table.concat(names); concatenate names and year for CITEREF id if utilities.is_set (id) then if concatenation is not an empty string return "CITEREF" .. id; add the CITEREF portion else return ; return an empty string; no reason to include CITEREF id in this citation end end [[ < C I T E _ C L A S S _A T T R I B U T E _M A K E > construct tag class attribute for this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from calling template ]] local function cite_class_attribute_make (cite_class, mode) local class_t = {}; table.insert (class_t, 'citation'); required for blue highlight if 'citation' ~= cite_class then table.insert (class_t, cite_class); identify this template for user css table.insert (class_t, utilities.is_set (mode) and mode or 'cs1'); identify the citation style for user css or javascript else table.insert (class_t, utilities.is_set (mode) and mode or 'cs2'); identify the citation style for user css or javascript end for _, prop_key in ipairs (z.prop_keys_t) do table.insert (class_t, prop_key); identify various properties for user css or javascript end return table.concat (class_t, ' '); make a big string and done end [[-< N A M E _ H A S _ E T A L > Evaluates the content of name parameters (author, editor, etc.) for variations on the theme of et al. If found, the et al. is removed, a flag is set to true and the function returns the modified name and the flag. This function never sets the flag to false but returns its previous state because it may have been set by previous passes through this function or by the associated ]] local function name_has_etal (name, etal, nocat, param) if utilities.is_set (name) then name can be nil in which case just return local patterns = cfg.et_al_patterns; get patterns from configuration for _, pattern in ipairs (patterns) do loop through all of the patterns if name:match (pattern) then if this 'et al' pattern is found in name name = name:gsub (pattern, ); remove the offending text utilities.set_message ('err_etal', {param}); and set an error if not added end end end end return name, etal; end [[-< N A M E _ I S _ N U M E R I C > Add maint cat when name parameter value does not contain letters. Does not catch returns nothing ]] local function name_is_numeric (name, list_name) if utilities.is_set (name) then if mw.ustring.match (name, '^[%A]+$') then when name does not contain any letters utilities.set_message ('maint_numeric_names', cfg.special_case_translation [list_name]); add a maint cat for this template end end end [[-< N A M E _ H A S _ M U L T _ N A M E S > Evaluates the content of last/surname (authors etc.) parameters for multiple names. Multiple names are indicated if there is more than one comma or any "unescaped" semicolons. Escaped semicolons are ones used as part of selected HTML entities. If the condition is met, the function adds the multiple name maintenance category. returns nothing ]] local function name_has_mult_names (name, list_name) local _, commas, semicolons, nbsps; if utilities.is_set (name) then _, commas = name:gsub (',', ); count the number of commas _, semicolons = name:gsub (';', ); count the number of semicolons nbsps probably should be its own separate count rather than merged in some way with semicolons because Lua patterns do not support the grouping operator that regex does, which means there is no way to add more entities to escape except by adding more counts with the new entities _, nbsps = name:gsub (' ',); count nbsps There is exactly 1 semicolon per   entity, so subtract nbsps from semicolons to 'escape' them. If additional entities are added, they also can be subtracted. if 1 < commas or 0 < (semicolons - nbsps)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mult_names', cfg.special_case_translation [list_name]); add a maint message end end end [[ < I S _ G E N E R I C > Compares values assigned to various parameter according to the string provided as in the function call: Returns true when pattern matches; nil else The k/v pairs in cfg.special_case_translation[item] each contain two tables, one for English and one for another 'local' language.Each of those tables contain another table that holds the string or pattern (whole or fragment) in index [1]. index [2] is a Boolean that tells string.find or mw.ustring.find to do plain-text search (true) or a pattern search (false). The intent of all this complexity is to make these searches as fast as possible so that we don't run out of processing time on very large articles. ]] local function is_generic (item, value) local test_val; for _, generic_value in ipairs (cfg.special_case_translation[item]) do spin through the list of known generic value fragments test_val = generic_value['en'][2] and value:lower or value; when set to 'true', plaintext search using lowercase value if test_val:find (generic_value['en'][1], 1, generic_value['en'][2]) then return true; found English generic value so done elseif generic_value['local'] then to keep work load down, generic_['local'] should be nil except when there is a local version of the generic value test_val = generic_value['local'][2] and mw.ustring.lower(value) or value; when set to 'true', plaintext search using lowercase value if mw.ustring.find (test_val, generic_value['local'][1], 1, generic_value['local'][2]) then mw.ustring because might not be Latin script return true; found local generic value so done end end end end [[ < N A M E _ I S _ G E N E R I C > calls is_generic to determine if is a 'generic name' listed in cfg.generic_names; is the parameter name used in error messaging ]] local function name_is_generic (name, name_alias) if not added_generic_name_errs and is_generic ('generic_names', name)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generic_name', name_alias); set an error message added_generic_name_errs = true; end end [[ < N A M E _ C H E C K S > This function calls various name checking functions used to validate the content of the various name-holding parameters. ]] local function name_checks (last, first, list_name, last_alias, first_alias) local accept_name; if utilities.is_set (last) then last, accept_name = utilities.has_accept_as_written (last); remove accept-this-as-written markup when it wraps all of if not accept_name then not wrapped in accept-as-written markup name_has_mult_names (last, list_name); check for multiple names in the parameter (last only) name_is_numeric (last, list_name); check for names that are composed of digits and punctuation name_is_generic (last, last_alias); check for names found in the generic names list end end if utilities.is_set (first) then first, accept_name = utilities.has_accept_as_written (first); remove accept-this-as-written markup when it wraps all of if not accept_name then not wrapped in accept-as-written markup name_is_numeric (first, list_name); check for names that are composed of digits and punctuation name_is_generic (first, first_alias); check for names found in the generic names list end local wl_type, D = utilities.is_wikilink (first); if 0 ~= wl_type then first = D; utilities.set_message ('err_bad_paramlink', first_alias); end end return last, first; done end [[ < E X T R A C T _ N A M E S >- Gets name list from the input arguments (or their aliases), and their matching link and mask parameters. Stops searching search is done. When an author or editor parameter contains some form of 'et al.', the 'et al.' is stripped from the parameter and a flag (etal) returned that will cause list_people to add the static 'et al.' text from Module:Citation/CS1/Configuration. This keeps 'et al.' out of the template's metadata. When this occurs, an error is emitted. ]] local function extract_names(args, list_name) local names = {}; table of names local last; individual name components local first; local link; local mask; local i = 1; loop counter/indexer local n = 1; output table indexer local etal = false; return value set to true when we find some form of et al. in an author parameter local last_alias, first_alias, link_alias; selected parameter aliases used in error messaging while true do last, last_alias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Last'], 'err_redundant_parameters', i ); search through args for name components beginning at 1 first, first_alias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First'], 'err_redundant_parameters', i ); link, link_alias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Link'], 'err_redundant_parameters', i ); mask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Mask'], 'err_redundant_parameters', i ); last, etal = name_has_etal (last, etal, false, last_alias); find and remove variations on et al. first, etal = name_has_etal (first, etal, false, first_alias); find and remove variations on et al. last, first = name_checks (last, first, list_name, last_alias, first_alias); multiple names, extraneous annotation, etc. checks if first and not last then if there is a firstn without a matching lastn local alias = first_alias:find ('given', 1, true) and 'given' or 'first'; get first or given form of the alias utilities.set_message ('err_first_missing_last', { first_alias, param name of alias missing its mate first_alias:gsub (alias, {['first'] = 'last', ['given'] = 'surname'}), make param name appropriate to the alias form }); add this error message elseif not first and not last then if both firstn and lastn aren't found, are we done? count = count + 1; number of times we haven't found last and first if 2 <= count then two missing names and we give up break; normal exit or there is a two-name hole in the list; can't tell which end else we have last with or without a first local result; link = link_title_ok (link, link_alias, last, last_alias); check for improper wiki-markup if first then link = link_title_ok (link, link_alias, first, first_alias); check for improper wiki-markup end n = n + 1; point to next location in the names table if 1 == count then if the previous name was missing utilities.set_message ('err_missing_name', {list_name:match ("(%w+)List"):lower, i - 1}); add this error message end count = 0; reset the counter, we're looking for two consecutive missing names end i = i + 1; point to next args location end return names, etal; all done, return our list of names and the etal flag end [[ < N A M E _ T A G _ G E T > This function looks for: as a tag in cfg.lang_code_remap{} as a name in cfg.lang_name_remap{} as a name in cfg.mw_languages_by_name_t as a tag in cfg.mw_languages_by_tag_t when those fail, presume that is an IETF-like tag that MediaWiki does not recognize. Strip all script, region, variant, whatever subtags from to leave just a two or three character language tag and look for the new in cfg.mw_languages_by_tag_t{} on success, return name and matching tag; on failure return nil ]] local function name_tag_get (lang_param) local lang_param_lc = mw.ustring.lower (lang_param); use lowercase as an index into the various tables local name; local tag; name = cfg.lang_code_remap[lang_param_lc]; assume is a tag; attempt to get remapped language name if name then when , is a tag for a remapped language name return name, lang_param; so return from remap and end tag = lang_param_lc:match ('^(%a%a%a?)%-.*'); still assuming that is a tag; strip script, region, variant subtags name = cfg.lang_code_remap[tag]; attempt to get remapped language name with language subtag only if name then when , is a tag for a remapped language name return name, tag; so return from remap and end if cfg.lang_name_remap[lang_param_lc] then not a tag, assume is a name; attempt to get remapped language tag return cfg.lang_name_remap[lang_param_lc][1], cfg.lang_name_remap[lang_param_lc][2]; for this , return a (possibly) new name and appropriate tag end tag = cfg.mw_languages_by_name_t[lang_param_lc]; assume that is a language name; attempt to get its matching tag if tag then return cfg.mw_languages_by_tag_t[tag], tag; is a name so return the name from the table and end name = cfg.mw_languages_by_tag_t[lang_param_lc]; assume that is a tag; attempt to get its matching language name if name then return name, lang_param; is a tag so return and the tag end tag = lang_param_lc:match ('^(%a%a%a?)%-.*'); is an IETF-like tag that MediaWiki doesn't recognize? gets the language subtag; nil else if tag then name = cfg.mw_languages_by_tag_t[tag]; attempt to get a language name using the shortened if name then return name, tag; is an unrecognized IETF-like tag so return and language subtag end end end [[ -< L A N G U A G E _ P A R A M E T E R > Gets language name from a provided two- or three-character ISO 639 code. If a code is recognized by MediaWiki, use the returned name; if not, then use the value that was provided with the language parameter. assigned to the category for that code: Category:Norwegian-language sources (no). For valid three-character code languages, the page is assigned to the single category for '639-2' codes: Category:CS1 ISO 639-2 language sources. Languages that are the same as the local wiki are not categorized. MediaWiki does not recognize three-character equivalents of two-character codes: code 'ar' is recognized but code 'ara' is not. where the language names or co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ommas with optional space characters. ]] local function language_parameter (lang) local tag; some form of IETF-like language tag; language subtag with optional region, sript, vatiant, etc subtags local name; the language name local language_list = {}; table of language names to be rendered local this_wiki_name = mw.language.fetchLanguageName (cfg.this_wiki_code, cfg.this_wiki_code); get this wiki's language name names_t = mw.text.split (lang, '%s*,%s*'); names should be a comma separated list for _, lang in ipairs (names_t) do reuse lang here because we don't yet know if lang is a language name or a language tag name, tag = name_tag_get (lang); attempt to get name/tag pair for if utilities.is_set (tag) then lang_subtag = tag:lower:gsub ('^(%a%a%a?)%-.*', '%1'); for categorization, strip any IETF-like tags from language tag if cfg.this_wiki_code ~= lang_subtag then when the language is not the same as this wiki's language if 2 == lang_subtag:len then and is a two-character tag utilities.add_prop_cat ('foreign-lang-source', {name, lang_subtag}, lang_subtag); categorize it; tag appended to allow for multiple language categorization else or is a recognized language (but has a three-character tag) end elseif cfg.local_lang_cat_enable then when the language and this wiki's language are the same and categorization is enabled utilities.add_prop_cat ('local-lang-source', {name, lang_subtag}); categorize it end else name = lang; return whatever has so that we show something utilities.set_message ('maint_unknown_lang'); add maint category if not already added end table.insert (language_list, name); name = ; so we can reuse it end name = utilities.make_sep_list (#language_list, language_list); return ; if one language and that language is this wiki's return an empty string (no annotation) end return (" " .. wrap_msg ('language', name)); otherwise wrap with '(in ...)' [[ TODO: should only return blank or name rather than full list so we can clean up the bunched parenthetical elements Language, Type, Format ]] end [[ -< S E T _ C S _ S T Y L E > Gets the default CS style configuration for the given mode. Returns default separator and either postscript as passed in or the default. In CS1, the default postscript and separator are '.'. In CS2, the default postscript is the empty string and the default separator is ','. ]] local function set_cs_style (postscript, mode) if utilities.is_set(postscript) then emit a maintenance message if user postscript is the default cs1 postscript we catch the opposite case for cs2 in set_style if mode == 'cs1' and postscript == cfg.presentation['ps_' .. mode]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postscript'); end else postscript = cfg.presentation['ps_' .. mode]; end return cfg.presentation['sep_' .. mode], postscript; end [[ < S E T _ S T Y L E >- #invoke CitationClass second. Removes the postscript if postscript == none. ]] local function set_style (mode, postscript, cite_class) local sep; if 'cs2' == mode then sep, postscript = set_cs_style (postscript, 'cs2'); elseif 'cs1' == mode then sep, postscript = set_cs_style (postscript, 'cs1'); elseif 'citation' == cite_class then sep, postscript = set_cs_style (postscript, 'cs2'); else sep, postscript = set_cs_style (postscript, 'cs1'); end if cfg.keywords_xlate[postscript:lower] == 'none' then emit a maintenance message if user postscript is the default cs2 postscript we catch the opposite case for cs1 in set_cs_style if 'cs2' == mode or 'citation' == cite_class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postscript'); end postscript = ; end return sep, postscript end [=[-< I S _ P D F > - Determines if a URL has the file extension that is one of the PDF file extensions used by MediaWiki:Common.css when applying the PDF icon to external links. returns true if file extension is one of the recognized extensions, else false ]=] local function is_pdf (url) return url:match ('%.pdf$') or url:match ('%.PDF$') or url:match ('%.pdf[%?#]') or url:match ('%.PDF[%?#]') or url:match ('%.PDF#') or url:match ('%.pdf#'); end [[ < S T Y L E _ F O R M A T > - if the format parameter does not have a matching URL parameter. If the format parameter is not set and the URL contains a file extension that is recognized as a PDF document by MediaWiki's commons.css, this code will set the format parameter to (PDF) with the appropriate styling. ]] local function style_format (format, url, fmt_param, url_param) if utilities.is_set (format) then format = utilities.wrap_style ('format', format); add leading space, parentheses, resize if not utilities.is_set (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format_missing_url', {fmt_param, url_param}); add an error message end elseif is_pdf (url) then format is not set so if URL is a PDF file then format = utilities.wrap_style ('format', 'PDF'); set format to PDF else format = ;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end return format; end [[-< G E T _ D I S P L A Y _ N A M E S > Returns a number that defines the number of names displayed for author and editor name lists and a Boolean flag to indicate when et al. should be appended to the name list. return the number and the previous state of the 'etal' flag (false by default but may have been set to true if the name list contains some variant of the text 'et al.'). that is one greater than the number of authors in the list and set the 'etal' flag true. This will cause the list_people to display all of the names in the name list followed by 'et al.' In all other cases, returns nil and the previous state of the 'etal' flag. inputs: max: A['DisplayAuthors'] or A['DisplayEditors']; a number or some flavor of etal count: #a or #e list_name: 'authors' or 'editors' etal: author_etal or editor_etal ]] local function get_display_names (max, count, list_name, etal, param) if utilities.is_set (max) then if 'etal' == max:lower:gsub("[ '%.]", ) then the :gsub portion makes 'etal' from a variety of 'et al.' spellings and stylings max = count + 1; number of authors + 1 so display all author name plus et al. etal = true; overrides value set by extract_names elseif max:match ('^%d+$') then if is a string of numbers max = tonumber (max); make it a number utilities.set_message ('err_disp_name', {param, max}); add error message max = nil; end else not a valid keyword or number utilities.set_message ('err_disp_name', {param, max}); add error message end end return max, etal; end [[ < E X T R A _ T E X T _ I N _ P A G E _ C H E C K > - some form of p. or pp. abbreviation in the first characters of the parameter content. check page for extraneous p, p., pp, pp., pg, pg. at start of parameter value: good pattern: '^P[^%.P%l]' matches when page begins PX or P# but not Px where x and X are letters and # is a digit bad pattern: '^[Pp][PpGg]' matches when page begins pp, pP, Pp, PP, pg, pG, Pg, PG ]] local function extra_text_in_page_check (val, name) if not val:match (cfg.vol_iss_pg_patterns.good_ppattern) then for _, pattern in ipairs (cfg.vol_iss_pg_patterns.bad_ppatterns) do spin through the selected sequence table of patterns if val:match (pattern) then when a match, error so utilities.set_message ('err_extra_text_pages', name); add error message return; and done end end end end [[ < E X T R A _ T E X T _ I N _ V O L _ I S S _ C H E C K > 'V.', or 'Vol.' (with or without the dot) abbreviations or 'Volume' in the first characters of the parameter content (all case insensitive). 'V' and 'v' (without the dot) are presumed to be roman numerals so are allowed. 'No.', 'I.', 'Iss.' (with or without the dot) abbreviations, or 'Issue' in the first characters of the parameter content (all case insensitive). Single character values ('v', 'i', 'n') allowed when not followed by separator character ('.', ':', '=', or whitespace character) – param values are trimmed of whitespace by MediaWiki before delivered to the module. sets error message on failure; returns nothing ]] local function extra_text_in_vol_iss_check (val, name, selector) if not utilities.is_set (val) then return; end local patterns = 'v' == selector and cfg.vol_iss_pg_patterns.vpatterns or cfg.vol_iss_pg_patterns.ipatterns; local handler = 'v' == selector and 'err_extra_text_volume' or 'err_extra_text_issue'; val = val:lower; force parameter value to lower case for _, pattern in ipairs (patterns) do spin through the selected sequence table of patterns if val:match (pattern) then when a match, error so utilities.set_message (handler, name); add error message return; and done end end end [=[-< G E T _ V _ N A M E _ T A B L E > parentheses to also have commas; in the old version of the code, the doubled parentheses were included in the rendered citation and in the metadata. Individual author names may be wikilinked ]=] local function get_v_name_table (vparam, output_table, output_link_table) local name_table = mw.text.split(vparam, "%s*,%s*"); names are separated by commas local wl_type, label, link; wl_type not used here; just a placeholder local i = 1; while name_table[i] do if name_table[i]:match ('^%(%(.*[^%)][^%)]$') then first segment of corporate with one or more commas; this segment has the opening doubled parentheses local name = name_table[i]; i = i + 1; bump indexer to next segment while name_table[i] do name = name .. ', ' .. name_table[i]; concatenate with previous segments if name_table[i]:match ('^.*%)%)$') then if this table member has the closing doubled parentheses break; and done reassembling so end i = i + 1; bump indexer end table.insert (output_table, name); and add corporate name to the output table table.insert (output_link_table, ); no wikilink else wl_type, label, link = utilities.is_wikilink (name_table[i]); wl_type is: 0, no wl (text in label variable); 1, D; 2, D table.insert (output_table, label); add this name if 1 == wl_type then table.insert (output_link_table, label); simple wikilink D else table.insert (output_link_table, link); no wikilink or D; add this link if there is one, else empty string end end i = i + 1; end return output_table; end [[ < P A R S E _ V A U T H O R S _ V E D I T O R S > may sometimes be required and because such names will often fail the is_good_vanc_name and other format compliance tests, are wrapped in doubled parentheses ((corporate name)) to suppress the format tests. Supports generational suffixes Jr, 2nd, 3rd, 4th–6th. This function sets the Vancouver error when a required comma is missing and when there is a space between an author's initials. ]] local function parse_vauthors_veditors (args, vparam, list_name) local v_name_table = {}; local v_link_table = {}; when name is wikilinked, targets go in this table local etal = false; return value set to true when we find some form of et al. vauthors parameter local last, first, link, mask, suffix; local corporate = false; vparam, etal = name_has_etal (vparam, etal, true); find and remove variations on et al. do not categorize (do it here because et al. might have a period) v_name_table = get_v_name_table (vparam, v_name_table, v_link_table); names are separated by commas for i, v_name in ipairs(v_name_table) do first = ; set to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and because it may have been set for previous author/editor local accept_name; v_name, accept_name = utilities.has_accept_as_written (v_name); remove accept-this-as-written markup when it wraps all of if accept_name then last = v_name; corporate = true; flag used in list_people elseif string.find(v_name, "%s") then if v_name:find('[;%.]') then look for commonly occurring punctuation characters;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punctuation, i); end local lastfirstTable = {} lastfirstTable = mw.text.split(v_name, "%s+") first = table.remove(lastfirstTable); removes and returns value of last element in table which should be initials or generational suffix if not mw.ustring.match (first, '^%u+$') then mw.ustring here so that later we will catch non-Latin characters suffix = first; not initials so assume that whatever we got is a generational suffix first = table.remove(lastfirstTable); get what should be the initials from the table end last = table.concat(lastfirstTable, ' ') returns a string that is the concatenation of all other names that are not initials and generational suffix if not utilities.is_set (last) then first = ; unset last = v_name; last empty because something wrong with first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name, i); end if mw.ustring.match (last, '%a+%s+%u+%s+%a+') then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missing comma'], i); matches last II last; the case when a comma is missing end if mw.ustring.match (v_name, ' %u %u$') then this test is in the wrong place TODO: move or replace with a more appropriate test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initials, i); matches a space between two initials end else last = v_name; last name or single corporate name? Doesn't support multiword corporate names? do we need this? end if utilities.is_set (first) then if not mw.ustring.match (first, "^%u?%u$") then first shall contain one or two upper-case letters, nothing else add_vanc_error (cfg.err_msg_supl.initials, i); too many initials; mixed case initials (which may be ok Romanization); hyphenated initials end is_good_vanc_name (last, first, suffix, i); check first and last before restoring the suffix which may have a non-Latin digit if utilities.is_set (suffix) then first = first .. ' ' .. suffix; if there was a suffix concatenate with the initials suffix = ; unset so we don't add this suffix to all subsequent names end else if not corporate then is_good_vanc_name (last, , nil, i); end end link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Link'], 'err_redundant_parameters', i ) or v_link_table[i]; mask =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Mask'], 'err_redundant_parameters', i ); names[i] = {last = last, first = first, link = link, mask = mask, corporate = corporate}; add this assembled name to our names list end return names, etal; all done, return our list of names end [[ < S E L E C T _ A U T H O R _ E D I T O R _ S O U R C E > test which mimicks the test used in extract_names when looking for a hole in the author name list. There may be a better way to do this, I just haven't discovered what that way is. Emits an error message when more than one xxxxor name source is provided. In this function, vxxxxors = vauthors or veditors; xxxxors = authors as appropriate. ]] local function select_author_editor_source (vxxxxors, xxxxors, args, list_name) local lastfirst = false;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Last'], 'none', 2 ) or utilities.select_one ( args, cfg.aliases[list_name .. '-First'], 'none', 2 ) then lastfirst = true; end if (utilities.is_set (vxxxxors) and true == lastfirst) or these are the three error conditions (utilities.is_set (vxxxxors) and utilities.is_set (xxxxors)) or (true == lastfirst and utilities.is_set (xxxxors)) then local err_name; if 'AuthorList' == list_name then figure out which name should be used in error message err_name = 'author'; else err_name = 'editor'; end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err_name .. '-name-list parameters'); add error message end if true == lastfirst then return 1 end; return a number indicating which author name source to use if utilities.is_set (vxxxxors) then return 2 end; if utilities.is_set (xxxxors) then return 3 end; return 1; no authors so return 1; this allows missing author name test to run in case there is a first without last end [[ < I S _ V A L I D _ P A R A M E T E R _ V A L U E > This function is used to validate a parameter's assigned value for those parameters that have only a limited number of allowable values (yes, y, true, live, dead, etc.). When the parameter value has not been assigned a value (missing or empty in the source template) the function returns the value specified by ret_val. If the parameter value is one of the list of allowed values returns the translated value; else, emits an error message and returns the value specified by ret_val. TODO: explain ]] local function is_valid_parameter_value (value, name, possible, ret_val, invert) if not utilities.is_set (value) then return ret_val; an empty parameter is ok end if (not invert and utilities.in_array (value, possible)) then normal; is in table return cfg.keywords_xlate[value]; return translation of parameter keyword elseif invert and not utilities.in_array (value, possible) then invert; is not in table return value; return as it is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invalid_param_val', {name, value}); not an allowed value so add error message return ret_val; end end [[ < T E R M I N A T E _ N A M E _ L I S T > This function terminates a name list (author, contributor, editor) with a separator character (sepc) and a space when the last character is not a sepc character or when the last three characters are not sepc followed by two closing square brackets (close of a wikilink). When either of these is true, the name_list is terminated with a single space character. ]] local function terminate_name_list (name_list, sepc) if (string.sub (name_list, -3, -1) == sepc .. '. ') then if already properly terminated return name_list; just return the name list elseif (string.sub (name_list, -1, -1) == sepc) or (string.sub (name_list, -3, -1) == sepc .. ']]') then if last name in list ends with sepc char return name_list .. " "; don't add another else return name_list .. sepc .. ' '; otherwise terminate the name list end end [[-< F O R M A T _ V O L U M E _ I S S U E > returns the concatenation of the formatted volume and issue parameters as a single string; or formatted volume or formatted issue, or an empty string if neither are set. ]] local function format_volume_issue (volume, issue, cite_class, origin, sepc, lower) if not utilities.is_set (volume) and not utilities.is_set (issue) then return ; end same condition as in format_pages_sheets local is_journal = 'journal' == cite_class or (utilities.in_array (cite_class, {'citation', 'map', 'interview'}) and 'journal' == origin); local is_numeric_vol = volume and (volume:match ('^[MDCLXVI]+$') or volume:match ('^%d+$')); is only uppercase roman numerals or only digits? utilities.add_prop_cat ('long-vol'); yes, add properties cat end if is_journal then journal-style formatting local vol = ; if utilities.is_set (volume) then vol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vol-bold'], {sepc, volume}); render in bold face elseif is_long_vol then not all digits or Roman numerals; longer than 4 characters? vol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j-vol'], {sepc, utilities.hyphen_to_dash (volume)}); not bold else four or fewer characters vol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vol-bold'], {sepc, utilities.hyphen_to_dash (volume)}); bold end end if utilities.is_set (issue) then return vol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j-issue'], issue); end return vol; end if 'podcast' == cite_class and utilities.is_set (issue) then return wrap_msg ('issue', {sepc, issue}, lower); end all other types of citation if utilities.is_set (volume) and utilities.is_set (issue) then return wrap_msg ('vol-no', {sepc, utilities.hyphen_to_dash (volume), issue}, lower); elseif utilities.is_set (volume) then return wrap_msg ('vol', {sepc, utilities.hyphen_to_dash (volume)}, lower); else return wrap_msg ('issue', {sepc, issue}, lower); end end [[-< F O R M A T _ P A G E S _ S H E E T S >- The return order is: page, pages, sheet, sheets Singular has priority over plural when both are provided. ]] local function format_pages_sheets (page, pages, sheet, sheets, cite_class, origin, sepc, nopp, lower) if 'map' == cite_class then only cite map supports sheet(s) as in-source locators if utilities.is_set (sheet) then if 'journal' == origin then return , , wrap_msg ('j-sheet', sheet, lower), ; else return , , wrap_msg ('sheet', {sepc, sheet}, lower), ; end elseif utilities.is_set (sheets) then if 'journal' == origin then return , , , wrap_msg ('j-sheets', sheets, lower); else return , , , wrap_msg ('sheets', {sepc, sheets}, lower); end end end local is_journal = 'journal' == cite_class or (utilities.in_array (cite_class, {'citation', 'map', 'interview'}) and 'journal' == origin); if utilities.is_set (page) then if is_journal then return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j-page(s)'], page), , , ; elseif not nopp then return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refix'], {sepc, page}), , , ; else return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nopp'], {sepc, page}), , , ; end elseif utilities.is_set (pages) then if is_journal then return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j-page(s)'], pages), , , ; elseif tonumber(pages) ~= nil and not nopp then if pages is only digits, assume a single page number return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refix'], {sepc, pages}), , ; elseif not nopp then return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prefix'], {sepc, pages}), , ; else return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nopp'], {sepc, pages}), , ; end end return , , , ; return empty strings end [[ < I N S O U R C E _ L O C _ G E T > returns one of the in-source locators: page, pages, or at. If any of these are interwiki links to Wikisource, returns the label portion of the interwiki-link as plain text for use in COinS. This COinS thing is done because here we convert an interwiki-link to an external link and add an icon span around that; get_coins_pages doesn't know about the span. TODO: should it? TODO: add support for sheet and sheets?; streamline; TODO: make it so that this function returns only one of the three as the single in-source (the return value assigned to a new name)? ]] local function insource_loc_get (page, page_orig, pages, pages_orig, at) local ws_url, ws_label, coins_pages, L; for Wikisource interwiki-links; TODO: this corrupts page metadata (span remains in place after cleanup; fix there?) if utilities.is_set (page) then if utilities.is_set (pages) or utilities.is_set (at) then pages = ; unset the others at = ; end if ws_url then page = external_link (ws_url, ws_label .. ' ', 'ws link in page'); space char after label to move icon away from in-source text;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pag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L, page}); coins_pages = ws_label; end elseif utilities.is_set (pages) then if utilities.is_set (at) then at = ; unset end if ws_url then pages = external_link (ws_url, ws_label .. ' ', 'ws link in pages'); space char after label to move icon away from in-source text;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pages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L, pages}); coins_pages = ws_label; end elseif utilities.is_set (at) then if ws_url then at = external_link (ws_url, ws_label .. ' ', 'ws link in at'); space char after label to move icon away from in-source text;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at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L, at}); coins_pages = ws_label; end end return page, pages, at, coins_pages; end [[ < I S _ U N I Q U E _ A R C H I V E _ U R L > ]] local function is_unique_archive_url (archive, url, c_url, source, date) if utilities.is_set (archive) then if archive == url or archive == c_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bad_url',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source)}); add error message end end return archive, date; end [=[-< A R C H I V E _ U R L _ C H E C K > Check archive.org URLs to make sure they at least look like they are pointing at valid archives and not to the save snapshot URL or to calendar pages. When the archive URL is ' ' (or archive.org saves a snapshot of the target page in the URL. That is something that Wikipedia should not allow unwitting readers to do. When the archive.org URL does not have a complete timestamp, archive.org chooses a snapshot according to its own algorithm or provides a calendar 'search' result. WP:ELNO discourages links to search results. correct place There are two mostly compatible archive.org URLs: //web.archive.org/... the old form //web.archive.org/web/... the new form The old form does not support or map to the new form when it contains a display flag. There are four identified flags ('id_', 'js_', 'cs_', 'im_') but since archive.org ignores others following the same form (two letters and an underscore) we don't check for these specific flags but we do check the form. This function supports a preview mode. When the article is rendered in preview mode, this function may return a modified archive URL: for save command errors, return undated wildcard (/*/) for timestamp errors when the timestamp has a wildcard, return the URL unmodified for timestamp errors when the timestamp does not have a wildcard, return with timestamp limited to six digits plus wildcard (/yyyymm*/) ]=] local function archive_url_check (url, date) local err_msg = ; start with the error message empty local path, timestamp, flag; portions of the archive.org URL if (not url:match('//web%.archive%.org/')) and (not url:match('//liveweb%.archive%.org/')) then also deprecated liveweb Wayback machine URL return url, date; not an archive.org archive, return ArchiveURL and ArchiveDate end if url:match('//web%.archive%.org/save/') then if a save command URL, we don't want to allow saving of the target page err_msg = cfg.err_msg_supl.save; url = url:gsub ('(//web%.archive%.org)/save/', '%1/*/', 1); for preview mode: modify ArchiveURL elseif url:match('//liveweb%.archive%.org/') then err_msg = cfg.err_msg_supl.liveweb; else path, timestamp, flag = url:match('//web%.archive%.org/([^%d]*)(%d+)([^/]*)/'); split out some of the URL parts for evaluation if not path then malformed in some way; pattern did not match err_msg = cfg.err_msg_supl.timestamp; elseif 14 ~= timestamp:len then path and flag optional, must have 14-digit timestamp here err_msg = cfg.err_msg_supl.timestamp; if '*' ~= flag then local replacement = timestamp:match ('^%d%d%d%d%d%d') or timestamp:match ('^%d%d%d%d'); get the first 6 (YYYYMM) or first 4 digits (YYYY) if replacement then nil if there aren't at least 4 digits (year) replacement = replacement .. string.rep ('0', 14 - replacement:len); year or yearmo (4 or 6 digits) zero-fill to make 14-digit timestamp url=url:gsub ('(//web%.archive%.org/[^%d]*)%d[^/]*', '%1' .. replacement .. '*', 1) for preview, modify ts to 14 digits plus splat for calendar display end end elseif utilities.is_set (path) and 'web/' ~= path then older archive URLs do not have the extra 'web/' path element err_msg = cfg.err_msg_supl.path; elseif utilities.is_set (flag) and not utilities.is_set (path) then flag not allowed with the old form URL (without the 'web/' path element) err_msg = cfg.err_msg_supl.flag; elseif utilities.is_set (flag) and not flag:match ('%a%a_') then flag if present must be two alpha characters and underscore (requires 'web/' path element) err_msg = cfg.err_msg_supl.flag; else return url, date; return ArchiveURL and ArchiveDate end end if here, something not right so utilities.set_message ('err_archive_url', {err_msg}); add error message and if is_preview_mode then return url, date; preview mode so return ArchiveURL and ArchiveDate else return , ; return empty strings for ArchiveURL and ArchiveDate end end [[ < P L A C E _ C H E C K > returns the original parameter value without modification; added maint cat when parameter value contains digits ]] local function place_check (param_val) if not utilities.is_set (param_val) then parameter empty or omitted return param_val; return that empty state end if mw.ustring.find (param_val, '%d') then not empty, are there digits in the parameter value utilities.set_message ('maint_location'); yep, add maint cat end return param_val; and done end [[ < I S _ A R C H I V E D _ C O P Y > ]] local function is_archived_copy (title) title = mw.ustring.lower(title); switch title to lower case if title:find (cfg.special_case_translation.archived_copy.en) then if title is 'Archived copy' return true; elseif cfg.special_case_translation.archived_copy['local'] then if mw.ustring.find (title, cfg.special_case_translation.archived_copy['local']) then mw.ustring because might not be Latin script return true; end end end [[ < C I T A T I O N 0 > This is the main function doing the majority of the citation formatting. ]] local function citation0( config, args ) [[ Load Input Parameters The argument_wrapper facilitates the mapping of multiple aliases to single internal variable. ]] local A = argument_wrapper ( args ); local i Pick out the relevant fields from the arguments. Different citation templates define different field names for the same underlying things. local author_etal; local Authors; local NameListStyle = is_valid_parameter_value (A['NameListStyle'], A:ORIGIN('NameListStyle'), cfg.keywords_lists['name-list-style'], ); local Collaboration = A['Collaboration']; do to limit scope of selected local selected = select_author_editor_source (A['Vauthors'], A['Authors'], args, 'AuthorList'); if 1 == selected then elseif 2 == selected then elseif 3 == selected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authors'); because use of this parameter is discouraged; what to do about the aliases is a TODO: end end if utilities.is_set (Collaboration) then end end local editor_etal; do to limit scope of selected if 1 == selected then elseif 2 == selected then end end local Chapter_origin = A:ORIGIN ('Chapter'); local Contribution; because contribution is required for contributor(s) if 'contribution' == Chapter_origin then Contribution = Chapter; get the name of the contribution end if 0 < #c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contributor_missing_required_param', 'contribution'); add missing contribution error message c = {}; blank the contributors' table; it is used as a flag later end utilities.set_message ('err_contributor_missing_required_param', 'author'); add missing author error message c = {}; blank the contributors' table; it is used as a flag later end end else if not a book cite if utilities.select_one (args, cfg.aliases['ContributorList-Last'], 'err_redundant_parameters', 1 ) then are there contributor name list parameters? utilities.set_message ('err_contributor_ignored'); add contributor ignored error message end Contribution = nil; unset end local Title = A['Title']; local TitleLink = A['TitleLink']; local auto_select = ; default is auto local accept_link; TitleLink, accept_link = utilities.has_accept_as_written (TitleLink, true); test for accept-this-as-written markup if (not accept_link) and utilities.in_array (TitleLink, {'none', 'pmc', 'doi'}) then check for special keywords auto_select = TitleLink; remember selection for later end local Section = ; only; preset to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if not used if 'map' == config.CitationClass and 'section' == Chapter_origin then end local Periodical = A['Periodical']; local Periodical_origin = ;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Periodical_origin = A:ORIGIN('Periodical'); get the name of the periodical parameter local i; Periodical, i = utilities.strip_apostrophe_markup (Periodical); strip apostrophe markup so that metadata isn't contaminated if i then non-zero when markup was stripped so emit an error message utilities.set_message ('err_apostrophe_markup', {Periodical_origin}); end end if 'mailinglist' == config.CitationClass then special case for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and utilities.is_set (A ['MailingList']) then both set emit an error TODO: make a function for this and similar?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Periodical_origin)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mailinglist')}); end Periodical_origin = A:ORIGIN('MailingList'); end local ScriptPeriodical = A['ScriptPeriodical']; web and news not tested for now because of Wikipedia:Administrators%27_noticeboard#Is_there_a_semi-automated_tool_that_could_fix_these_annoying_"Cite_Web"_errors? if not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then 'periodical' templates require periodical parameter local p = {['journal'] = 'journal', ['magazine'] = 'magazine', ['news'] = 'newspaper', ['web'] = 'website'}; for error message local p = {['journal'] = 'journal', ['magazine'] = 'magazine'}; for error message if p[config.CitationClass]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missing_periodical', {config.CitationClass, p[config.CitationClass]}); end end local Volume; local ScriptPeriodical_origin = A:ORIGIN('ScriptPeriodical'); if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then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if not utilities.in_array (Periodical_origin, {'website', 'mailinglist'}) then does not render volume for these 'periodicals' TODO: move 'array' to ~/Configuration Volume = A['Volume']; but does for all other 'periodicals' end elseif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then Volume = A['Volume']; but does for all other 'periodicals' end else Volume = A['Volume']; and does for non-'periodical' cites end Volume = A['Volume']; end extra_text_in_vol_iss_check (Volume, A:ORIGIN ('Volume'), 'v'); local Issue; if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then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and utilities.in_array (Periodical_origin, {'journal', 'magazine', 'newspaper', 'periodical', 'work'}) or renders issue for these 'periodicals' TODO: move 'array' to ~/Configuration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and utilities.in_array (ScriptPeriodical_origin, {'script-journal', 'script-magazine', 'script-newspaper', 'script-periodical', 'script-work'}) then and these 'script-periodicals' Issue = utilities.hyphen_to_dash (A['Issue']); end else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cfg.templates_using_issue) then conference & map books do not support issue; listed here because included in settings table if not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conference', 'map', 'citation'}) and not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then Issue = utilities.hyphen_to_dash (A['Issue']); end end extra_text_in_vol_iss_check (Issue, A:ORIGIN ('Issue'), 'i'); local Page; local Pages; local At; if not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cfg.templates_not_using_page) then Page = A['Page']; Pages = utilities.hyphen_to_dash (A['Pages']); At = A['At']; end local Edition = A['Edition']; local PublicationPlace = place_check (A['PublicationPlace'], A:ORIGIN('PublicationPlace')); local Place = place_check (A['Place'], A:ORIGIN('Place')); local PublisherName = A['PublisherName']; local PublisherName_origin = A:ORIGIN('PublisherName'); if utilities.is_set (PublisherName) then local i = 0; PublisherName, i = utilities.strip_apostrophe_markup (PublisherName); strip apostrophe markup so that metadata isn't contaminated; publisher is never italicized if i then non-zero when markup was stripped so emit an error message utilities.set_message ('err_apostrophe_markup', {PublisherName_origin}); end end local Newsgroup = A['Newsgroup']; TODO: strip apostrophe markup? local Newsgroup_origin = A:ORIGIN('Newsgroup'); if 'newsgroup' == config.CitationClass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 {PublisherName_origin}); end PublisherName = nil; ensure that this parameter is unset for the time being; will be used again after COinS end local URL = A['URL']; TODO: better way to do this for URL, ChapterURL, and MapURL? local UrlAccess = is_valid_parameter_value (A['UrlAccess'], A:ORIGIN('UrlAccess'), cfg.keywords_lists['url-access'], nil); if not utilities.is_set (URL) and utilities.is_set (UrlAccess) then UrlAccess = nil;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_access_requires_param', 'url'); end local ChapterURL = A['ChapterURL']; local ChapterUrlAccess = is_valid_parameter_value (A['ChapterUrlAccess'], A:ORIGIN('ChapterUrlAccess'), cfg.keywords_lists['url-access'], nil); if not utilities.is_set (ChapterURL) and utilities.is_set (ChapterUrlAccess) then ChapterUrlAccess = nil;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_access_requires_param', {A:ORIGIN('ChapterUrlAccess'):gsub ('%-access', )}); end local MapUrlAccess = is_valid_parameter_value (A['MapUrlAccess'], A:ORIGIN('MapUrlAccess'), cfg.keywords_lists['url-access'], nil); if not utilities.is_set (A['MapURL']) and utilities.is_set (MapUrlAccess) then MapUrlAccess = nil;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_access_requires_param', {'map-url'}); end local this_page = mw.title.getCurrentTitle; also used for COinS and for language local no_tracking_cats = is_valid_parameter_value (A['NoTracking'], A:ORIGIN('NoTracking'), cfg.keywords_lists['yes_true_y'], nil); check this page to see if it is in one of the namespaces that cs1 is not supposed to add to the error categories if not utilities.is_set (no_tracking_cats) then ignore if we are already not going to categorize this page if utilities.in_array (this_page.nsText, cfg.uncategorized_namespaces) then no_tracking_cats = "true"; set no_tracking_cats end for _, v in ipairs (cfg.uncategorized_subpages) do cycle through page name patterns if this_page.text:match (v) then test page name against each pattern no_tracking_cats = "true"; set no_tracking_cats break; bail out if one is found end end end utilities.select_one (args, {'page', 'p', 'pp', 'pages', 'at', 'sheet', 'sheets'}, 'err_redundant_parameters'); this is a dummy call simply to get the error message and category local coins_pages; Page, Pages, At, coins_pages = insource_loc_get (Page, A:ORIGIN('Page'), Pages, A:ORIGIN('Pages'), At); local NoPP = is_valid_parameter_value (A['NoPP'], A:ORIGIN('NoPP'), cfg.keywords_lists['yes_true_y'], nil); utilities.add_prop_cat ('location-test'); add property cat to evaluate how often PublicationPlace and Place are used together if PublicationPlace == Place then Place = ; unset; don't need both if they are the same end end if PublicationPlace == Place then Place = ; end don't need both if they are the same local URL_origin = A:ORIGIN('URL'); get name of parameter that holds URL local ChapterURL_origin = A:ORIGIN('ChapterURL'); get name of parameter that holds ChapterURL local ScriptChapter = A['ScriptChapter']; local ScriptChapter_origin = A:ORIGIN ('ScriptChapter'); local Format = A['Format']; local ChapterFormat = A['ChapterFormat']; local TransChapter = A['TransChapter']; local TransChapter_origin = A:ORIGIN ('TransChapter'); local TransTitle = A['TransTitle']; local ScriptTitle = A['ScriptTitle']; [[ Parameter remapping for cite encyclopedia: When the citation has these parameters: ]] local Encyclopedia = A['Encyclopedia']; used as a flag by this module and by ~/COinS if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emit error message when Encyclopedia set but template is other than or if 'encyclopaedia' ~= config.CitationClass and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 {A:ORIGIN ('Encyclopedia')}); Encyclopedia = nil; unset because not supported by this template end end if ('encyclopaedia' == config.CitationClass) or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and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when both set emit an error TODO: make a function for this and similar?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A:ORIGIN ('Encyclopedia'))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Periodical_origin)}); end if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Periodical = Encyclopedia; error or no, set Periodical to Encyclopedia; allow periodical without encyclopedia Periodical_origin = A:ORIGIN ('Encyclopedia'); end if utilities.is_set (Title) or utilities.is_set (ScriptTitle) then if not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ScriptChapter = ScriptTitle; ScriptChapter_origin = A:ORIGIN('ScriptTitle') TransChapter = TransTitle; ChapterURL = URL; ChapterURL_origin = URL_origin; ChapterUrlAccess = UrlAccess; if not utilities.is_set (ChapterURL) and utilities.is_set (TitleLink) then Chapter = utilities.make_wikilink (TitleLink, Chapter); end Title = Periodical; ChapterFormat = Format; Periodical = ; redundant so unset TransTitle = ; URL = ; Format = ; TitleLink = ; ScriptTitle = ; end Periodical = ; redundant so unset end end end special case for cite techreport. local ID = A['ID']; if (config.CitationClass == "techreport") then special case for cite techreport if utilities.is_set (A['Number']) then cite techreport uses 'number', which other citations alias to 'issue' if not utilities.is_set (ID) then can we use ID for the "number"? ID = A['Number']; yes, use it else ID has a value so emit error message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id')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number')}); end end end Account for the oddity that is , before generation of COinS data. local ChapterLink = A['ChapterLink']; deprecated as a parameter but still used internally by cite episode local Conference = A['Conference']; local BookTitle = A['BookTitle']; local TransTitle_origin = A:ORIGIN ('TransTitle'); if 'conference' == config.CitationClass then if utilities.is_set (BookTitle) then Chapter = Title; Chapter_origin = 'title'; ChapterURL = URL; ChapterUrlAccess = UrlAccess; ChapterURL_origin = URL_origin; URL_origin = ; ChapterFormat = Format; TransChapter = TransTitle; TransChapter_origin = TransTitle_origin; Title = BookTitle; Format = ; TitleLink = ; TransTitle = ; URL = ; end elseif 'speech' ~= config.CitationClass then Conference = ; not cite conference or cite speech so make sure this is empty string end CS1/2 mode local Mode = is_valid_parameter_value (A['Mode'], A:ORIGIN('Mode'), cfg.keywords_lists['mode'], ); separator character and postscript local sepc, PostScript = set_style (Mode:lower, A['PostScript'], config.CitationClass); controls capitalization of certain static text local use_lowercase = ( sepc == ',' ); cite map oddities local Cartography = ""; local Scale = ""; local Sheet = A['Sheet'] or ; local Sheets = A['Sheets'] or ; if config.CitationClass == "map" then if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TODO: make a function for this and similar?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map')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Chapter_origin)}); add error message end Chapter = A['Map']; Chapter_origin = A:ORIGIN('Map'); ChapterURL = A['MapURL']; ChapterURL_origin = A:ORIGIN('MapURL'); TransChapter = A['TransMap']; ScriptChapter = A['ScriptMap'] ScriptChapter_origin = A:ORIGIN('ScriptMap') ChapterUrlAccess = MapUrlAccess; ChapterFormat = A['MapFormat']; Cartography = A['Cartography']; if utilities.is_set ( Cartography ) then Cartography = sepc .. " " .. wrap_msg ('cartography', Cartography, use_lowercase); end Scale = A['Scale']; if utilities.is_set ( Scale ) then Scale = sepc .. " " .. Scale; end end Account for the oddities that are and , before generation of COinS data. local Series = A['Series']; if 'episode' == config.CitationClass or 'serial' == config.CitationClass then local SeriesLink = A['SeriesLink']; local Network = A['Network']; local Station = A['Station']; local s, n = {}, {}; do common parameters first if utilities.is_set (Network) then table.insert(n, Network); end if utilities.is_set (Station) then table.insert(n, Station); end ID = table.concat(n, sepc .. ' '); if 'episode' == config.CitationClass then handle the oddities that are strictly local Season = A['Season']; local SeriesNumber = A['SeriesNumber']; if utilities.is_set (Season) and utilities.is_set (SeriesNumber) then these are mutually exclusive so if both are set TODO: make a function for this and similar?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season')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seriesno')}); add error message end assemble a table of parts concatenated later into Series if utilities.is_set (Season) then table.insert(s, wrap_msg ('season', Season, use_lowercase)); end if utilities.is_set (SeriesNumber) then table.insert(s, wrap_msg ('seriesnum', SeriesNumber, use_lowercase)); end if utilities.is_set (Issue) then table.insert(s, wrap_msg ('episode', Issue, use_lowercase)); end Issue = ; unset because this is not a unique parameter Chapter = Title; promote title parameters to chapter ScriptChapter = ScriptTitle; ScriptChapter_origin = A:ORIGIN('ScriptTitle'); TransChapter = TransTitle; ChapterURL = URL; ChapterUrlAccess = UrlAccess; ChapterURL_origin = URL_origin; Title = Series; promote series to title TitleLink = SeriesLink; Series = table.concat(s, sepc .. ' '); this is concatenation of season, seriesno, episode number if utilities.is_set (ChapterLink) and not utilities.is_set (ChapterURL) then link but not URL Chapter = utilities.make_wikilink (ChapterLink, Chapter); elseif utilities.is_set (ChapterLink) and utilities.is_set (ChapterURL) then if both are set, URL links episode; Series = utilities.make_wikilink (ChapterLink, Series); end URL = ; unset TransTitle = ; ScriptTitle = ; else now oddities that are cite serial Issue = ; unset because this parameter no longer supported by the citation/core version of cite serial if utilities.is_set (Series) and utilities.is_set (SeriesLink) then Series = utilities.make_wikilink (SeriesLink, Series); end Series = utilities.wrap_style ('italic-title', Series); series is italicized end end end of stuff handle type parameter for those CS1 citations that have default values local TitleType = A['TitleType']; local Degree = A['Degree'];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AV-media-notes', 'interview', 'mailinglist', 'map', 'podcast', 'pressrelease', 'report', 'speech', 'techreport', 'thesis'}) then TitleType = set_titletype (config.CitationClass, TitleType); if utilities.is_set (Degree) and "Thesis" == TitleType then special case for cite thesis TitleType = Degree .. ' ' .. cfg.title_types ['thesis']:lower; end end if utilities.is_set (TitleType) then if type parameter is specified TitleType = utilities.substitute ( cfg.messages['type'], TitleType); display it in parentheses TODO: Hack on TitleType to fix bunched parentheses problem end legacy: promote PublicationDate to Date if neither Date nor Year are set. local Date = A['Date']; local Date_origin; to hold the name of parameter promoted to Date; required for date error messaging local PublicationDate = A['PublicationDate']; local Year = A['Year']; if not utilities.is_set (Date) then Date = Year; promote Year to Date Year = nil; make nil so Year as empty string isn't used for CITEREF Date = PublicationDate; promote PublicationDate to Date PublicationDate = ; unset, no longer needed Date_origin = A:ORIGIN('PublicationDate'); save the name of the promoted parameter else Date_origin = A:ORIGIN('Year'); save the name of the promoted parameter end else Date_origin = A:ORIGIN('Date'); not a promotion; name required for error messaging end if PublicationDate == Date then PublicationDate = ; end if PublicationDate is same as Date, don't display in rendered citation [[ Go test all of the date-holding parameters for valid MOS:DATE format and make sure that dates are real dates. This must be done before we do COinS because here is where we get the date used in the metadata. Date validation supporting code is in Module:Citation/CS1/Date_validation ]] local DF = is_valid_parameter_value (A['DF'], A:ORIGIN('DF'), cfg.keywords_lists['df'], ); if not utilities.is_set (DF) then end local ArchiveURL; local ArchiveDate; local ArchiveFormat = A['ArchiveFormat']; ArchiveURL, ArchiveDate = archive_url_check (A['ArchiveURL'], A['ArchiveDate']) ArchiveFormat = style_format (ArchiveFormat, ArchiveURL, 'archive-format', 'archive-url'); ArchiveURL, ArchiveDate = is_unique_archive_url (ArchiveURL, URL, ChapterURL, A:ORIGIN('ArchiveURL'), ArchiveDate); add error message when URL or ChapterURL == ArchiveURL local AccessDate = A['AccessDate']; local LayDate = A['LayDate']; local DoiBroken = A['DoiBroken']; local Embargo = A['Embargo']; local anchor_year; used in the CITEREF identifier do create defined block to contain local variables error_message, date_parameters_list, mismatch local error_message = ; AirDate has been promoted to Date so not necessary to check it local date_parameters_list = { ['access-date'] = {val = AccessDate, name = A:ORIGIN ('AccessDate')}, ['archive-date'] = {val = ArchiveDate, name = A:ORIGIN ('ArchiveDate')}, ['date'] = {val = Date, name = Date_origin}, ['doi-broken-date'] = {val = DoiBroken, name = A:ORIGIN ('DoiBroken')}, ['pmc-embargo-date'] = {val = Embargo, name = A:ORIGIN ('Embargo')}, ['lay-date'] = {val = LayDate, name = A:ORIGIN ('LayDate')}, ['publication-date'] = {val = PublicationDate, name = A:ORIGIN ('PublicationDate')}, ['year'] = {val = Year, name = A:ORIGIN ('Year')}, }; local error_list = {}; anchor_year, Embargo = validation.dates(date_parameters_list, COinS_date, error_list); start temporary Julian / Gregorian calendar uncertainty categorization if COinS_date.inter_cal_cat then utilities.add_prop_cat ('jul-greg-uncertainty'); end end temporary Julian / Gregorian calendar uncertainty categorization validation.year_date_check (Year, A:ORIGIN ('Year'), Date, A:ORIGIN ('Date'), error_list); end if 0 == #error_list then error free dates only; 0 when error_list is empty local modified = false; flag if utilities.is_set (DF) then if we need to reformat dates modified = validation.reformat_dates (date_parameters_list, DF); reformat to DF format, use long month names if appropriate end if true == validation.date_hyphen_to_dash (date_parameters_list) then convert hyphens to dashes where appropriate modified = true; utilities.set_message ('maint_date_format'); hyphens were converted so add maint category end for those wikis that can and want to have English date names translated to the local language; not supported at en.wiki if cfg.date_name_auto_xlate_enable and validation.date_name_xlate (date_parameters_list, cfg.date_digit_auto_xlate_enable )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date_auto_xlated'); add maint cat modified = true; end if modified then if the date_parameters_list values were modified AccessDate = date_parameters_list['access-date'].val; overwrite date holding parameters with modified values ArchiveDate = date_parameters_list['archive-date'].val; Date = date_parameters_list['date'].val; DoiBroken = date_parameters_list['doi-broken-date'].val; LayDate = date_parameters_list['lay-date'].val; PublicationDate = date_parameters_list['publication-date'].val; end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bad_date', {utilities.make_sep_list (#error_list, error_list)}); add this error message end end end of do local ID_list = {}; sequence table of rendered identifiers local ID_list_coins = {}; table of identifiers and their values from args; key is same as cfg.id_handlers's key local Class = A['Class']; arxiv class identifier local ID_support = { {A['ASINTLD'], 'ASIN', 'err_asintld_missing_asin', A:ORIGIN ('ASINTLD')}, {DoiBroken, 'DOI', 'err_doibroken_missing_doi', A:ORIGIN ('DoiBroken')}, {Embargo, 'PMC', 'err_embargo_missing_pmc', A:ORIGIN ('Embargo')}, } ID_list, ID_list_coins = identifiers.identifier_lists_get (args, {DoiBroken = DoiBroken, ASINTLD = A['ASINTLD'], Embargo = Embargo, Class = Class}, ID_support); Account for the oddities that are , , , , before generation of COinS data.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whitelist.preprint_template_list)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 .. config.CitationClass .. '_missing'); add error message end Periodical = ({['arxiv'] = 'arXiv', ['biorxiv'] = 'bioRxiv', ['citeseerx'] = 'CiteSeerX', ['ssrn'] =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config.CitationClass]; end if config.CitationClass == "journal" and not utilities.is_set (URL) and not utilities.is_set (TitleLink) and not utilities.in_array (cfg.keywords_xlate[Title], {'off', 'none'}) then TODO: remove 'none' once existing citations have been switched to 'off', so 'none' can be used as token for "no title" instead if 'none' ~= cfg.keywords_xlate[auto_select] then if auto-linking not disabled if identifiers.auto_link_urls[auto_select] then manual selection URL = identifiers.auto_link_urls[auto_select]; set URL to be the same as identifier's external link elseif identifiers.auto_link_urls['pmc'] then auto-select PMC URL = identifiers.auto_link_urls['pmc']; set URL to be the same as the PMC external link if not embargoed elseif identifiers.auto_link_urls['doi'] then auto-select DOI URL = identifiers.auto_link_urls['doi']; URL_origin = cfg.id_handlers['DOI'].parameters[1]; end end utilities.set_message ('err_accessdate_missing_url'); add an error message AccessDate = ; unset end end At this point fields may be nil if they weren't specified in the template use. We can use that fact. Test if citation has no title if not utilities.is_set (Title) and not utilities.is_set (TransTitle) and not utilities.is_set (ScriptTitle) then has special case for cite episode utilities.set_message ('err_citation_missing_title', {'episode' == config.CitationClass and 'series' or 'title'}); end if utilities.in_array (cfg.keywords_xlate[Title], {'off', 'none'}) and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journal', 'citation'})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and ('journal' == Periodical_origin or 'script-journal' == ScriptPeriodical_origin) then special case for journal cites Title = ; set title to empty string utilities.set_message ('maint_untitled'); add maint cat end COinS metadata (see < >) for automated parsing of citation information. handle the oddity that is cite encyclopedia and . Here we presume that when Periodical, Title, and Chapter are all set, then Periodical is the book (encyclopedia) title, Title is the article title, and Chapter is a section within the article. So, we remap local coins_chapter = Chapter; default assuming that remapping not required local coins_title = Title; et tu if 'encyclopaedia' == config.CitationClass or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if utilities.is_set (Chapter) and utilities.is_set (Title)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if all are used then coins_chapter = Title; remap coins_title = Periodical; end end local coins_author = a; default for coins rft.au if 0 < #c then but if contributor list coins_author = c; use that instead end local QuotePage = A['QuotePage']; local QuotePages = utilities.hyphen_to_dash (A['QuotePages']); this is the function call to COinS local OCinSoutput = metadata.COinS({ ['Periodical'] = utilities.strip_apostrophe_markup (Periodical), no markup in the metadata ['Encyclopedia'] = Encyclopedia, just a flag; content ignored by ~/COinS ['Chapter'] = metadata.make_coins_title (coins_chapter, ScriptChapter), Chapter and ScriptChapter stripped of bold / italic / accept-as-written markup ['Degree'] = Degree; cite thesis only ['Title'] = metadata.make_coins_title (coins_title, ScriptTitle), Title and ScriptTitle stripped of bold / italic / accept-as-written markup ['PublicationPlace'] = PublicationPlace, ['Date'] = COinS_date.rftdate, COinS_date has correctly formatted date if Date is valid; ['Season'] = COinS_date.rftssn, ['Quarter'] = COinS_date.rftquarter, ['Chron'] = COinS_date.rftchron or (not COinS_date.rftdate and Date) or , chron but if not set and invalid date format use Date; keep this last bit? ['Series'] = Series, ['Volume'] = Volume, ['Issue'] = Issue, ['Pages'] = coins_pages or metadata.get_coins_pages (first_set ({Sheet, Sheets, Page, Pages, At, QuotePage, QuotePages}, 7)), pages stripped of external links ['Edition'] = Edition, ['PublisherName'] = PublisherName or Newsgroup, any apostrophe markup already removed from PublisherName ['URL'] = first_set ({ChapterURL, URL}, 2), ['Authors'] = coins_author, ['ID_list'] = ID_list_coins, ['RawPage'] = this_page.prefixedText, }, config.CitationClass); Account for the oddities that are , , , and AFTER generation of COinS data.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whitelist.preprint_template_list) then we have set rft.jtitle in COinS to arXiv, bioRxiv, CiteSeerX, or ssrn now unset so it isn't displayed Periodical = ; periodical not allowed in these templates; if article has been published, use cite journal end special case for cite newsgroup. Do this after COinS because we are modifying Publishername to include some static text if 'newsgroup'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Newsgroup) then PublisherName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newsgroup'], external_link( 'news:' .. Newsgroup, Newsgroup, Newsgroup_origin, nil )); end local Editors; local EditorCount; used only for choosing {ed.) or (eds.) annotation at end of editor name-list local Contributors; assembled contributors name list local contributor_etal; local Translators; assembled translators name list local translator_etal; local Interviewers; local interviewers_list = {}; interviewers_list = extract_names (args, 'InterviewerList'); process preferred interviewers parameters local interviewer_etal; Now perform various field substitutions. We also add leading spaces and surrounding markup and punctuation to the various parts of the citation, but only when they are non-nil. do local last_first_list; local control = { format = NameListStyle, empty string or 'vanc' maximum = nil, as if display-authors or display-editors not set mode = Mode }; do do editor name list first because the now unsupported coauthors used to modify control table control.maximum , editor_etal = get_display_names (A['DisplayEditors'], #e, 'editors', editor_etal, A:ORIGIN ('DisplayEditors')); Editors, EditorCount = list_people (control, e, editor_etal); if 1 == EditorCount and (true == editor_etal or 1 < #e) then only one editor displayed but includes etal then EditorCount = 2; spoof to display (eds.) annotation end end do now do interviewers control.maximum, interviewer_etal = get_display_names (A['DisplayInterviewers'], #interviewers_list, 'interviewers', interviewer_etal, A:ORIGIN ('DisplayInterviewers')); Interviewers = list_people (control, interviewers_list, interviewer_etal); end do now do translators control.maximum, translator_etal = get_display_names (A['DisplayTranslators'], #t, 'translators', translator_etal, A:ORIGIN ('DisplayTranslators')); Translators = list_people (control, t, translator_etal); end do now do contributors control.maximum, contributor_etal = get_display_names (A['DisplayContributors'], #c, 'contributors', contributor_etal, A:ORIGIN ('DisplayContributors')); Contributors = list_people (control, c, contributor_etal); end do now do authors control.maximum, author_etal = get_display_names (A['DisplayAuthors'], #a, 'authors', author_etal, A:ORIGIN ('DisplayAuthors')); last_first_list = list_people (control, a, author_etal); if utilities.is_set (Authors) then Authors, author_etal = name_has_etal (Authors, author_etal, false, 'authors'); find and remove variations on et al. if author_etal then Authors = Authors .. ' ' .. cfg.messages['et al']; add et al. to authors parameter end else Authors = last_first_list; either an author name list or an empty string end end end of do if utilities.is_set (Authors) and utilities.is_set (Collaboration) then Authors = Authors .. ' (' .. Collaboration .. ')'; add collaboration after et al. end end local ConferenceFormat = A['ConferenceFormat']; local ConferenceURL = A['ConferenceURL']; ConferenceFormat = style_format (ConferenceFormat, ConferenceURL, 'conference-format', 'conference-url'); Format = style_format (Format, URL, 'format', 'url'); special case for chapter format so no error message or cat when chapter not supported if not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web', 'news', 'journal', 'magazine', 'pressrelease', 'podcast', 'newsgroup', 'arxiv', 'biorxiv', 'citeseerx', 'ssrn'}) or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and not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ChapterFormat = style_format (ChapterFormat, ChapterURL, 'chapter-format', 'chapter-url'); end if not utilities.is_set (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cite_web_url'); end if utilities.is_set (AccessDate) and not utilities.is_set (ChapterURL) then ChapterURL may be set when URL is not set; utilities.set_message ('err_accessdate_missing_url'); AccessDate = ; end end local UrlStatus = is_valid_parameter_value (A['UrlStatus'], A:ORIGIN('UrlStatus'), cfg.keywords_lists['url-status'], ); local OriginalURL local OriginalURL_origin local OriginalFormat local OriginalAccess; UrlStatus = UrlStatus:lower; used later when assembling archived text if utilities.is_set ( ArchiveURL ) then if utilities.is_set (ChapterURL) then if chapter-url= is set apply archive url to it OriginalURL = ChapterURL; save copy of source chapter's url for archive text if 'live' ~= UrlStatus then ChapterURL = ArchiveURL swap-in the archive's URL ChapterFormat = ArchiveFormat or ; swap in archive's format ChapterUrlAccess = nil; restricted access levels do not make sense for archived URLs end elseif utilities.is_set (URL) then OriginalURL = URL; save copy of original source URL OriginalURL_origin = URL_origin; name of URL parameter for error messages OriginalAccess = UrlAccess; URL = ArchiveURL swap-in the archive's URL URL_origin = A:ORIGIN('ArchiveURL') name of archive URL parameter for error messages Format = ArchiveFormat or ; swap in archive's format UrlAccess = nil; restricted access levels do not make sense for archived URLs end end utilities.set_message ('maint_url_status'); add maint cat end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web', 'news', 'journal', 'magazine', 'pressrelease', 'podcast', 'newsgroup', 'arxiv', 'biorxiv', 'citeseerx', 'ssrn'}) or if any of the 'periodical' cites except encyclopedia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and not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then local chap_param; if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get a parameter name from one of these chapter related meta-parameters chap_param = A:ORIGIN ('Chapter') elseif utilities.is_set (TransChapter) then chap_param = A:ORIGIN ('TransChapter') elseif utilities.is_set (ChapterURL) then chap_param = A:ORIGIN ('ChapterURL') elseif utilities.is_set (ScriptChapter) then chap_param = ScriptChapter_origin; else utilities.is_set (ChapterFormat) chap_param = A:ORIGIN ('ChapterFormat') end if utilities.is_set (chap_param) then if we found one utilities.set_message ('err_chapter_ignored', {chap_param}); add error message Chapter = ; and set them to empty string to be safe with concatenation TransChapter = ; ChapterURL = ; ScriptChapter = ; ChapterFormat = ; end else otherwise, format chapter / article title local no_quotes = false; default assume that we will be quoting the chapter parameter value if utilities.is_set (Contribution) and 0 < #c then if this is a contribution with contributor(s) if utilities.in_array (Contribution:lower, cfg.keywords_lists.contribution) then and a generic contribution title no_quotes = true; then render it unquoted end end Chapter = format_chapter_title (ScriptChapter, ScriptChapter_origin, Chapter, Chapter_origin, TransChapter, TransChapter_origin, ChapterURL, ChapterURL_origin, no_quotes, ChapterUrlAccess); Contribution is also in Chapter if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Chapter = Chapter .. ChapterFormat ; if 'map'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TitleType) then Chapter = Chapter .. ' ' .. TitleType; map annotation here; not after title end Chapter = Chapter .. sepc .. ' '; Chapter = ChapterFormat .. sepc .. ' '; ... ChapterFormat has error message, we want to see it end end Format main title local plain_title = false; local accept_title; Title, accept_title = utilities.has_accept_as_written (Title, true); remove accept-this-as-written markup when it wraps all of if accept_title and ( == Title) then only support forced empty for now "()" Title = cfg.messages['notitle']; replace by predefined "No title" message TODO: utilities.set_message ( 'err_redundant_parameters', ...); issue proper error message instead of muting ScriptTitle = ; just mute for now TransTitle = ; just mute for now plain_title = true; suppress text decoration for descriptive title utilities.set_message ('maint_untitled'); add maint cat end if not accept_title then <Title> not wrapped in accept-as-written markup Title = Title:gsub ('(%.%.%.)%.+$', '%1'); limit the number of dots to three elseif not mw.ustring.find (Title, '%.%s*%a%.$') and end of title is not a 'dot-(optional space-)letter-dot' initialism ... not mw.ustring.find (Title, '%s+%a%.$') then ...and not a 'space-letter-dot' initial (Allium canadense L.) Title = mw.ustring.gsub(Title, '%' .. sepc .. '$', ); remove any trailing separator character; sepc and ms.ustring here for languages that use multibyte separator characters end if utilities.is_set (ArchiveURL) and is_archived_copy (Title)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archived_copy'); add maintenance category before we modify the content of Title end if is_generic ('generic_titles', Title)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generic_title'); set an error message end end if (not plain_title) and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web', 'news', 'journal', 'magazine', 'pressrelease', 'podcast', 'newsgroup', 'mailinglist', 'interview', 'arxiv', 'biorxiv', 'citeseerx', 'ssrn'}) or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and not utilities.is_set (Encyclopedia)) or ('map'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then special case for cite map when the map is in a periodical treat as an article Title = kern_quotes (Title); if necessary, separate title's leading and trailing quote marks from module provided quote marks Title = utilities.wrap_style ('quoted-title', Title); Title = script_concatenate (Title, ScriptTitle, 'script-titl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title is wrapped TransTitle = utilities.wrap_style ('trans-quoted-title', TransTitle ); elseif plain_title or ('report' == config.CitationClass) then no styling for cite report and descriptive titles (otherwise same as above) Title = script_concatenate (Title, ScriptTitle, 'script-titl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title is wrapped TransTitle = utilities.wrap_style ('trans-quoted-title', TransTitle ); for cite report, use this form for trans-title else Title = utilities.wrap_style ('italic-title', Title); Title = script_concatenate (Title, ScriptTitle, 'script-titl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title is wrapped TransTitle = utilities.wrap_style ('trans-italic-title', TransTitle); end if utilities.is_set (TransTitle) then if utilities.is_set (Title) then TransTitle = " " .. TransTitle;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trans_missing_title', {'title'}); end end if utilities.is_set (Title) then TODO: is this the right place to be making Wikisource URLs? if utilities.is_set (TitleLink) and utilities.is_set (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wikilink_in_url'); set an error message because we can't have both TitleLink = ; unset end if not utilities.is_set (TitleLink) and utilities.is_set (URL) then Title = external_link (URL, Title, URL_origin, UrlAccess) .. TransTitle .. Format; URL = ; unset these because no longer needed Format = ""; elseif utilities.is_set (TitleLink) and not utilities.is_set (URL) then local ws_url; ws_url = wikisource_url_make (TitleLink); ignore ws_label return; not used here if ws_url then Title = external_link (ws_url, Title .. ' ', 'ws link in title-link'); space char after Title to move icon away from italic text;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Titl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TitleLink, Title}); Title = Title .. TransTitle; else Title = utilities.make_wikilink (TitleLink, Title) .. TransTitle; end else local ws_url, ws_label, L; Title has italic or quote markup by the time we get here which causes is_wikilink to return 0 (not a wikilink) if ws_url then Title = Title:gsub ('%b[]', ws_label); replace interwiki link with ws_label to retain markup Title = external_link (ws_url, Title .. ' ', 'ws link in title'); space char after Title to move icon away from italic text; TODO: a better way to do this? Titl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interwiki-icon'], {cfg.presentation['class-wikisource'], L, Title}); Title = Title .. TransTitle; else Title = Title .. TransTitle; end end else Title = TransTitle; end if utilities.is_set (Place) then Place = " " .. wrap_msg ('written', Place, use_lowercase) .. sepc .. " "; end local ConferenceURL_origin = A:ORIGIN('ConferenceURL'); get name of parameter that holds ConferenceURL if utilities.is_set (Conference) then if utilities.is_set (ConferenceURL) then Conference = external_link( ConferenceURL, Conference, ConferenceURL_origin, nil ); end Conference = sepc .. " " .. Conference .. ConferenceFormat; elseif utilities.is_set (ConferenceURL) then Conference = sepc .. " " .. external_link( ConferenceURL, nil, ConferenceURL_origin, nil ); end local Position = ; if not utilities.is_set (Position) then local Minutes = A['Minutes']; local Time = A['Time']; if utilities.is_set (Minutes) then if utilities.is_set (Time) then TODO: make a function for this and similar? utilities.set_message ('err_redundant_parameter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minutes') .. ' and ' ..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time')}); end Position = " " .. Minutes .. " " .. cfg.messages['minutes']; else if utilities.is_set (Time) then local TimeCaption = A['TimeCaption'] if not utilities.is_set (TimeCaption) then TimeCaption = cfg.messages['event']; if sepc ~= '.' then TimeCaption = TimeCaption:lower; end end Position = " " .. TimeCaption .. " " .. Time; end end else Position = " " .. Position; At = ; end Page, Pages, Sheet, Sheets = format_pages_sheets (Page, Pages, Sheet, Sheets, config.CitationClass, Periodical_origin, sepc, NoPP, use_lowercase); At = utilities.is_set (At) and (sepc .. " " .. At) or ""; Position = utilities.is_set (Position) and (sepc .. " " .. Position) or ""; if config.CitationClass == 'map' then local Sections = A['Sections']; Section (singular) is an alias of Chapter so set earlier local Inset = A['Inset']; if utilities.is_set ( Inset ) then Inset = sepc .. " " .. wrap_msg ('inset', Inset, use_lowercase); end if utilities.is_set ( Sections ) then Section = sepc .. " " .. wrap_msg ('sections', Sections, use_lowercase); elseif utilities.is_set ( Section ) then Section = sepc .. " " .. wrap_msg ('section', Section, use_lowercase); end At = At .. Inset .. Section; end local Others = A['Others']; if config.CitationClass == "AV-media-notes" or config.CitationClass == "audio-visual" then special maint for AV/M which has a lot of 'false' positives right now utilities.set_message ('maint_others_avm') else utilities.set_message ('maint_others'); end end Others = utilities.is_set (Others) and (sepc .. " " .. Others) or ""; if utilities.is_set (Translators) then Others = safe_join ({sepc .. ' ', wrap_msg ('translated', Translators, use_lowercase), Others}, sepc); end if utilities.is_set (Interviewers) then Others = safe_join ({sepc .. ' ', wrap_msg ('interview', Interviewers, use_lowercase), Others}, sepc); end local TitleNote = A['TitleNote']; TitleNote = utilities.is_set (TitleNote) and (sepc .. " " .. TitleNote) or ""; if utilities.is_set (Edition) then if Edition:match ('%f[%a][Ee]d%n?%.?$') or Edition:match ('%f[%a][Ee]dition$') then Ed, ed, Ed., ed., Edn, edn, Edn., edn. utilities.set_message ('err_extra_text_edition'); add error message end Edition = " " .. wrap_msg ('edition', Edition); else Edition = ; end Series = utilities.is_set (Series) and wrap_msg ('series', {sepc, Series}) or ""; not the same as SeriesNum local Agency = A['Agency']; Agency = utilities.is_set (Agency) and wrap_msg ('agency', {sepc, Agency}) or ""; Volume = format_volume_issue (Volume, Issue, config.CitationClass, Periodical_origin, sepc, use_lowercase); if utilities.is_set (AccessDate) then local retrv_text = " " .. cfg.messages['retrieved'] AccessDate = nowrap_date (AccessDate); wrap in nowrap span if date in appropriate format if (sepc ~= ".") then retrv_text = retrv_text:lower end if mode is cs2, lower case AccessDate = utilities.substitute (retrv_text, AccessDate); add retrieved text AccessDate =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accessdate'], {sepc, AccessDate}); allow editors to hide accessdates end if utilities.is_set (ID) then ID = sepc .. " " .. ID; end local Docket = A['Docket']; if "thesis" == config.CitationClass and utilities.is_set (Docket) then ID = sepc .. " Docket " .. Docket .. ID; end end if utilities.is_set (URL) then URL = " " .. external_link( URL, nil, URL_origin, UrlAccess ); end local Quote = A['Quote']; local TransQuote = A['TransQuote']; local ScriptQuote = A['ScriptQuote']; if utilities.is_set (Quote) or utilities.is_set (TransQuote) or utilities.is_set (ScriptQuote) then if utilities.is_set (Quote) then if Quote:sub(1, 1) == '"' and Quote:sub(-1, -1) == '"' then if first and last characters of quote are quote marks Quote = Quote:sub(2, -2); strip them off end end Quote = utilities.wrap_style ('quoted-text', Quote ); wrap in ... tags if utilities.is_set (ScriptQuote) then Quote = script_concatenate (Quote, ScriptQuote, 'script-quote'); tags, lang attribute, categorization, etc.; must be done after quote is wrapped end if utilities.is_set (TransQuote) then TransQuote = TransQuote:sub(2, -2); strip them off end Quote = Quote .. " " .. utilities.wrap_style ('trans-quoted-title', TransQuote ); end if utilities.is_set (QuotePage) or utilities.is_set (QuotePages) then add page prefix local quote_prefix = ; if utilities.is_set (QuotePage) then if not NoPP then quote_prefix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refix'], {sepc, QuotePage}), , , ; else quote_prefix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nopp'], {sepc, QuotePage}), , , ; end elseif utilities.is_set (QuotePages) then if tonumber(QuotePages) ~= nil and not NoPP then if only digits, assume single page quote_prefix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refix'], {sepc, QuotePages}), , ; elseif not NoPP then quote_prefix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pp-prefix'], {sepc, QuotePages}), , ; else quote_prefix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nopp'], {sepc, QuotePages}), , ; end end Quote = quote_prefix .. ": " .. Quote; else Quote = sepc .. " " .. Quote; end end We check length of PostScript here because it will have been nuked by the quote parameters. We'd otherwise emit a message even if there wasn't a displayed postscript. TODO: Should the max size (1) be configurable? TODO: Should we check a specific pattern? if utilities.is_set(PostScript) and mw.ustring.len(PostScript) > 1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postscript') end local Archived; if utilities.is_set (ArchiveURL) then local arch_text; if not utilities.is_set (ArchiveDate)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archive_missing_date'); ArchiveDate = ;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end if "live" == UrlStatus then arch_text = cfg.messages['archived']; if sepc ~= "." then arch_text = arch_text:lower end if utilities.is_set (ArchiveDate) then Archived = sepc .. ' ' .. utilities.substitute ( cfg.messages['archived-live'], {external_link( ArchiveURL, arch_text, A:ORIGIN('ArchiveURL'), nil) .. ArchiveFormat, ArchiveDate } ); else Archived = ; end if not utilities.is_set (OriginalURL)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archive_missing_url'); Archived = ;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end elseif utilities.is_set (OriginalURL) then UrlStatus is empty, 'dead', 'unfit', 'usurped', 'bot: unknown' if utilities.in_array (UrlStatus, {'unfit', 'usurped', '부적절', 'bot: unknown'}) then 로컬 arch_text = cfg.messages['archived-unfit']; if sepc ~= "." then arch_text = arch_text:lower end Archived = sepc .. ' ' .. arch_text .. ArchiveDate; format already styled if 'bot: unknown' == UrlStatus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bot_unknown'); and add a category if not already added else utilities.set_message ('maint_unfit'); and add a category if not already added end else UrlStatus is empty, 'dead' arch_text = cfg.messages['archived-dead']; if sepc ~= "." then arch_text = arch_text:lower end if utilities.is_set (ArchiveDate) then Archived = sepc .. " " .. utilities.substitute ( arch_text, { external_link( OriginalURL, cfg.messages['original'], OriginalURL_origin, OriginalAccess ) .. OriginalFormat, ArchiveDate } ); format already styled else Archived = ; unset for concatenation end end else OriginalUrl not set arch_text = cfg.messages['archived-missing']; if sepc ~= "." then arch_text = arch_text:lower end utilities.set_message ('err_archive_missing_url'); Archived = ; empty string for concatenation end elseif utilities.is_set (ArchiveFormat) then Archived = ArchiveFormat; if set and ArchiveURL not set ArchiveFormat has error message else Archived = ; end local Lay = ; local LaySource = A['LaySource']; local LayURL = A['LayURL']; local LayFormat = A['LayFormat']; LayFormat = style_format (LayFormat, LayURL, 'lay-format', 'lay-url'); if utilities.is_set (LayURL) then if utilities.is_set (LayDate) then LayDate = " (" .. LayDate .. ")" end if utilities.is_set (LaySource) then LaySource = " – " .. utilities.safe_for_italics (LaySource) .. ""; else LaySource = ""; end if sepc == '.' then Lay = sepc .. " " .. external_link( LayURL, cfg.messages['lay summary'], A:ORIGIN('LayURL'), nil ) .. LayFormat .. LaySource .. LayDate else Lay = sepc .. " " .. external_link( LayURL, cfg.messages['lay summary']:lower, A:ORIGIN('LayURL'), nil ) .. LayFormat .. LaySource .. LayDate end Lay = sepc .. LayFormat; if set and LayURL not set, then LayFormat has error message end local TranscriptURL = A['TranscriptURL'] local TranscriptFormat = A['TranscriptFormat']; TranscriptFormat = style_format (TranscriptFormat, TranscriptURL, 'transcript-format', 'transcripturl'); local Transcript = A['Transcript']; local TranscriptURL_origin = A:ORIGIN('TranscriptURL'); get name of parameter that holds TranscriptURL if utilities.is_set (Transcript) then if utilities.is_set (TranscriptURL) then Transcript = external_link( TranscriptURL, Transcript, TranscriptURL_origin, nil ); end Transcript = sepc .. ' ' .. Transcript .. TranscriptFormat; elseif utilities.is_set (TranscriptURL) then Transcript = external_link( TranscriptURL, nil, TranscriptURL_origin, nil ); end local Publisher; if utilities.is_set (PublicationDate) then PublicationDate = wrap_msg ('published', PublicationDate); end if utilities.is_set (PublisherName) then if utilities.is_set (PublicationPlace) then Publisher = sepc .. " " .. PublicationPlace .. ": " .. PublisherName .. PublicationDate; else Publisher = sepc .. " " .. PublisherName .. PublicationDate; end elseif utilities.is_set (PublicationPlace) then Publisher= sepc .. " " .. PublicationPlace .. PublicationDate; else Publisher = PublicationDate; end local TransPeriodical = A['TransPeriodical']; local TransPeriodical_origin = A:ORIGIN ('TransPeriodical'); Several of the above rely upon detecting this as nil, so do it last. 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ScriptPeriodical) or utilities.is_set (TransPeriodical)) then if utilities.is_set (Title) or utilities.is_set (TitleNote) then Periodical = sepc .. " " .. format_periodical (ScriptPeriodical, ScriptPeriodical_origin, Periodical, TransPeriodical, TransPeriodical_origin); else Periodical = format_periodical (ScriptPeriodical, ScriptPeriodical_origin, Periodical, TransPeriodical, TransPeriodical_origin); end end local Language = A['Language']; if utilities.is_set (Language) then Language = language_parameter (Language); format, categories, name from ISO639-1, etc. else Language=; language not specified so make sure this is an empty string; [[ TODO: need to extract the wrap_msg from language_parameter so that we can solve parentheses bunching problem with Format/Language/TitleType ]] end [[ ]] if "speech" == config.CitationClass then cite speech only TitleType = ; and unset Conference = Conference .. sepc .. " "; then add appropriate punctuation to the end of the Conference variable before rendering end end end Piece all bits together at last. Here, all should be non-nil. We build things this way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in LUA not to keep reassigning to the same string variable over and over. local tcommon;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journal", "citation"})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if utilities.is_set (Others) then Others = safe_join ({Others, sepc .. " "}, sepc) end add terminal punctuation & space; check for dup sepc; TODO why do we need to do this here? tcommon = safe_join( {Others, Title, TitleNote, Conference, Periodical, Format, TitleType, Series, Language, Edition, Publisher, Agency, Volume}, sepc ); else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book", "citation"}) and not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special cases for book cites if utilities.is_set (Contributors) then when we are citing foreword, preface, introduction, etc.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Note}, sepc ); author and other stuff will come after this and before tcommon2 tcommon2 = safe_join( {Conference, Periodical, Format, TitleType, Series, Language, Volume, Others, Edition, Publisher, Agency}, sepc ); else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Note, Conference, Periodical, Format, TitleType, Series, Language, Volume, Others, Edition, Publisher, Agency}, sepc ); end elseif 'map' == config.CitationClass then special cases for cite map if utilities.is_set (Chapter) then map in a book; TitleType is part of Chapter tcommon = safe_join( {Title, Format, Edition, Scale, Series, Language, Cartography, Others, Publisher, Volume}, sepc ); elseif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map in a periodical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Type, Format, Periodical, Scale, Series, Language, Cartography, Others, Publisher, Volume}, sepc ); else a sheet or stand-alone map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Type, Format, Edition, Scale, Series, Language, Cartography, Others, Publisher}, sepc ); end elseif 'episode' == config.CitationClass then special case for cite episode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Note, TitleType, Series, Language, Edition, Publisher}, sepc ); else all other CS1 templates tcommon = safe_join( {Title, TitleNote, Conference, Periodical, Format, TitleType, Series, Language, Volume, Others, Edition, Publisher, Agency}, sepc ); end if #ID_list > 0 then ID_list = safe_join( { sepc .. " ", table.concat( ID_list, sepc .. " " ), ID }, sepc ); else ID_list = ID; end local Via = A['Via']; Via = utilities.is_set (Via) and wrap_msg ('via', Via) or ; local idcommon; if 'audio-visual' == config.CitationClass or 'episode' == config.CitationClass then special case for cite AV media & cite episode position transcript idcommon = safe_join( { ID_list, URL, Archived, Transcript, AccessDate, Via, Lay, Quote }, sepc ); else idcommon = safe_join( { ID_list, URL, Archived, AccessDate, Via, Lay, Quote }, sepc ); end local text; local pgtext = Position .. Sheet .. Sheets .. Page .. Pages .. At; local OrigDate = A['OrigDate']; OrigDate = utilities.is_set (OrigDate) and wrap_msg ('origdate', OrigDate) or ; if utilities.is_set (Date) then if utilities.is_set (Authors) or utilities.is_set (Editors) then date follows authors or editors when authors not set Date = " (" .. Date .. ")" .. OrigDate .. sepc .. " "; in parentheses else neither of authors and editors set if (string.sub(tcommon, -1, -1) == sepc) then if the last character of tcommon is sepc Date = " " .. Date .. OrigDate; Date does not begin with sepc else Date = sepc .. " " .. Date .. OrigDate; Date begins with sepc end end end if utilities.is_set (Authors) then if (not utilities.is_set (Date)) then when date is set it's in parentheses; no Authors termination Authors = terminate_name_list (Authors, sepc); when no date, terminate with 0 or 1 sepc and a space end if utilities.is_set (Editors) then local in_text = " "; local post_text = ""; if utilities.is_set (Chapter) and 0 == #c then in_text = in_text .. cfg.messages['in'] .. " " if (sepc ~= '.') then in_text = in_text:lower lowercase for cs2 end end if EditorCount <= 1 then post_text = " (" .. cfg.messages['editor'] .. ")"; be consistent with no-author, no-date case else post_text = " (" .. cfg.messages['editors'] .. ")"; end Editors = terminate_name_list (in_text .. Editors .. post_text, sepc); terminate with 0 or 1 sepc and a space end if utilities.is_set (Contributors) then book cite and we're citing the intro, preface, etc. local by_text = sepc .. ' ' .. cfg.messages['by'] .. ' '; if (sepc ~= '.') then by_text = by_text:lower end lowercase for cs2 Authors = by_text .. Authors; author follows title so tweak it here if utilities.is_set (Editors) and utilities.is_set (Date) then when Editors make sure that Authors gets terminated Authors = terminate_name_list (Authors, sepc); terminate with 0 or 1 sepc and a space end if (not utilities.is_set (Date)) then when date is set it's in parentheses; no Contributors termination Contributors = terminate_name_list (Contributors, sepc); terminate with 0 or 1 sepc and a space end text = safe_join( {Contributors, Date, Chapter, tcommon, Authors, Place, Editors, tcommon2, pgtext, idcommon }, sepc ); else text = safe_join( {Authors, Date, Chapter, Place, Editors, tcommon, pgtext, idcommon }, sepc ); end elseif utilities.is_set (Editors) then if utilities.is_set (Date) then if EditorCount <= 1 then Editors = Editors .. ", " .. cfg.messages['editor']; else Editors = Editors .. ", " .. cfg.messages['editors']; end else if EditorCount <= 1 then Editors = Editors .. " (" .. cfg.messages['editor'] .. ")" .. sepc .. " " else Editors = Editors .. " (" .. cfg.messages['editors'] .. ")" .. sepc .. " " end end text = safe_join( {Editors, Date, Chapter, Place, tcommon, pgtext, idcommon}, sepc ); else if utilities.in_array (config.CitationClass, {"journal", "citation"}) and utilities.is_set (Periodical) then text = safe_join( {Chapter, Place, tcommon, pgtext, Date, idcommon}, sepc ); else text = safe_join( {Chapter, Place, tcommon, Date, pgtext, idcommon}, sepc ); end end if utilities.is_set (PostScript) and PostScript ~= sepc then text = safe_join( {text, sepc}, sepc ); Deals with italics, spaces, etc. text = text:sub(1, -sepc:len - 1); end text = safe_join( {text, PostScript}, sepc ); Now enclose the whole thing in a element local options_t = {}; options_t.class = cite_class_attribute_make (config.CitationClass, Mode); if 'none' ~= cfg.keywords_xlate[(Ref and Ref:lower) or ] then local namelist_t = {}; holds selected contributor, author, editor name list local year = first_set ({Year, anchor_year}, 2); Year first for legacy citations and for YMD dates that require disambiguation if #c > 0 then if there is a contributor list namelist_t = c; select it elseif #a > 0 then or an author list namelist_t = a; elseif #e > 0 then or an editor list namelist_t = e; end local citeref_id; if #namelist_t > 0 then if there are names in namelist_t citeref_id = make_citeref_id (namelist_t, year); go make the CITEREF anchor if mw.uri.anchorEncode (citeref_id) == ((Ref and mw.uri.anchorEncode (Ref)) or ) then Ref may already be encoded (by ) so citeref_id must be encoded before comparison utilities.set_message ('maint_ref_duplicates_default'); end else citeref_id = ; unset end options_t.id = Ref or citeref_id; end if string.len (text:gsub('%b<>', )) <= 2 then remove html and html-like tags; then get length of what remains; z.error_cats_t = {}; blank the categories list z.error_msgs_t = {}; blank the error messages list OCinSoutput = nil; blank the metadata string text = ; blank the the citation utilities.set_message ('err_empty_citation'); set empty citation message and category end local render_t = {}; here we collect the final bits for concatenation into the rendered citation if utilities.is_set (options_t.id) then here we wrap the rendered citation in ... tags else end if OCinSoutput then blanked when citation is 'empty' so don't bother to add boilerplate metadata span table.insert (render_t,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ocins'], OCinSoutput)); format and append metadata to the citation end local template_name = ('citation' == config.CitationClass) and 'citation' or 'cite ' .. (cfg.citation_class_map_t[config.CitationClass] or config.CitationClass); local template_link = '' .. template_name .. ''; TODO: if kept, these require some sort of i18n local msg_prefix = ': '; if 0 ~= #z.error_msgs_t then mw.addWarning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warning_msg_e, template_link)); table.insert (render_t, ' '); insert a space between citation and its error messages table.sort (z.error_msgs_t); sort the error messages list; sorting includes wrapping and tags; hidden-error sorts ahead of visible-error local hidden = true; presume that the only error messages emited by this template are hidden for _, v in ipairs (z.error_msgs_t) do spin through the list of error messages if v:find ('cs1-visible-error', 1, true) then look for the visible error class name hidden = false; found one; so don't hide the error message prefix break; and done because no need to look further end end z.error_msgs_t[1] = table.concat ({utilities.error_comment (msg_prefix, hidden), z.error_msgs_t[1]}); add error message prefix to first error message to prevent extraneous punctuation table.insert (render_t, table.concat (z.error_msgs_t, '; ')); make a big string of error messages and add it to the rendering end if 0 ~= #z.maint_cats_t then mw.addWarning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warning_msg_m, template_link)); table.sort (z.maint_cats_t); sort the maintenance messages list local maint_msgs_t = {}; here we collect all of the maint messages if 0 == #z.error_msgs_t then if no error messages table.insert (maint_msgs_t, msg_prefix); insert message prefix in maint message livery end for _, v in ipairs( z.maint_cats_t ) do append maintenance categories table.insert (maint_msgs_t, assemble new maint message and add it to the maint_msgs_t table table.concat ({v, ' (',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cat wikilink'], v), ')'}) ); end table.insert (render_t, utilities.substitute (cfg.presentation['hidden-maint'], table.concat (maint_msgs_t, ' '))); wrap the group of maint messages with proper presentation and save end if not no_tracking_cats then for _, v in ipairs (z.error_cats_t) do append error categories table.insert (render_t,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cat wikilink'], v)); end for _, v in ipairs (z.maint_cats_t) do append maintenance categories table.insert (render_t,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cat wikilink'], v)); end for _, v in ipairs (z.prop_cats_t) do append properties categories table.insert (render_t, utilities.substitute (cfg.messages['cat wikilink'], v)); end end return table.concat (render_t); make a big string and done end [[ < V A L I D A T E > Looks for a parameter's name in one of several whitelists. Parameters in the whitelist can have three values: true - active, supported parameters false - deprecated, supported parameters nil - unsupported parameters ]] local function validate (name, cite_class, empty) local name = tostring (name); local enum_name; for enumerated parameters, is name with enumerator replaced with '#' local state; local function state_test (state, name) local function to do testing of state values if true == state then return true; end valid actively supported parameter if false == state then if empty then return nil; end empty deprecated parameters are treated as unknowns deprecated_parameter (name); parameter is deprecated but still supported return true; end if 'tracked' == state then local base_name = name:gsub ('%d', ); strip enumerators from parameter names that have them to get the base name utilities.add_prop_cat ('tracked-param', {base_name}, base_name); add a properties category; <base_name> modifies <key> return true; end return nil; end return nil; end if utilities.in_array (cite_class, whitelist.preprint_template_list ) then limited parameter sets allowed for these templates state = whitelist.limited_basic_arguments[name];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state = whitelist.preprint_arguments[cite_class][name]; look in the parameter-list for the template identified by cite_class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limited enumerated parameters list enum_name = name:gsub("%d+", "#" ); replace digit(s) with # (last25 becomes last#) (mw.ustring because non-Western 'local' digits) state = whitelist.limited_numbered_arguments[enum_name];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return false; not supported because not found or name is set to nil end end limited parameter-set templates if utilities.in_array (cite_class, whitelist.unique_param_template_list) then experiment for template-specific parameters for templates that accept parameters from the basic argument list state = whitelist.unique_arguments[cite_class][name]; look in the template-specific parameter-lists for the template identified by cite_class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end if here, fall into general validation state = whitelist.basic_arguments[name]; all other templates; all normal parameters allowed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all enumerated parameters allowed enum_name = name:gsub("%d+", "#" ); replace digit(s) with # (last25 becomes last#) (mw.ustring because non-Western 'local' digits) state = whitelist.numbered_arguments[enum_name]; if true == state_test (state, name) then return true; end return false; not supported because not found or name is set to nil end [=[-< I N T E R _ W I K I _ C H E C K > check <value> for inter-language interwiki-link markup. <prefix> must be a MediaWiki-recognized language code. when these values have the form (without leading colon): <prefix>:link return <prefix>:link as plain-text return value as is else ]=] local function inter_wiki_check (parameter, value) local prefix = value:match ('%[%[(%a+):'); get an interwiki prefix if one exists local _; if prefix and cfg.inter_wiki_map[prefix:lower] then if prefix is in the map, needs preceding colon so utilities.set_message ('err_bad_paramlink', parameter); emit an error message _, value, _ = utilities.is_wikilink (value); extract label portion from wikilink end return value; end [[ < M I S S I N G _ P I P E _ C H E C K > Look at the contents of a parameter. If the content has a string of characters and digits followed by an equal parameter that is missing its pipe. There are two tests made: the first parameter has a value and whitespace separates that value from the missing pipe parameter name the first parameter has no value (whitespace after the first = is trimmed by MediaWiki) tags are removed before the search. If a missing pipe is detected, this function adds the missing pipe maintenance category. ]] local function missing_pipe_check (parameter, value) local capture; value = value:gsub ('%b<>', ); remove XML/HTML tags because attributes: class=, title=, etc. capture = value:match ('%s+(%a[%w%-]+)%s*=') or value:match ('^(%a[%w%-]+)%s*='); find and categorize parameters with possible missing pipes if capture and validate (capture) then if the capture is a valid parameter name utilities.set_message ('err_missing_pipe', parameter); end end [[ < H A S _ E X T R A N E O U S _ P U N C T > look for extraneous terminal punctuation in most parameter values; parameters listed in skip table are not checked ]] local function has_extraneous_punc (param, value) if 'number' == type (param) then return; end param = param:gsub ('%d+', '#'); enumerated name-list mask params allow terminal punct; normalize if cfg.punct_skip[param] then return; parameter name found in the skip table so done end if value:match ('[,;:]$') then utilities.set_message ('maint_extra_punct'); has extraneous punctuation; add maint cat end if value:match ('^=') then sometimes an extraneous '=' character appears ... utilities.set_message ('maint_extra_punct'); has extraneous punctuation; add maint cat end end [[ < H A S _ E X T R A N E O U S _ U R L > look for extraneous url parameter values; parameters listed in skip table are not checked ]] local function has_extraneous_url (url_param_t) local url_error_t = {}; check_for_url (url_param_t, url_error_t); extraneous url check if 0 ~= #url_error_t then non-zero when there are errors table.sort (url_error_t);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_has_ext_link', {utilities.make_sep_list (#url_error_t, url_error_t)}); add this error message end end [[ < C I T A T I O N > This is used by templates such as to create the actual citation text. ]] local function citation(frame) Frame = frame; save a copy in case we need to display an error message in preview mode is_sandbox = nil ~= string.find (frame:getTitle, 'sandbox', 1, true); local pframe = frame:getParent local styles; if is_sandbox then did the use sandbox version? cfg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Configuration/sandbox'); load sandbox versions of support modules whitelist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Whitelist/sandbox'); utilities = require ('Module:Citation/CS1/Utilities/sandbox'); validation = require ('Module:Citation/CS1/Date_validation/sandbox'); identifiers = require ('Module:Citation/CS1/Identifiers/sandbox'); metadata = require ('Module:Citation/CS1/COinS/sandbox'); styles = 'Module:Citation/CS1/sandbox/styles.css'; else otherwise cfg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Configuration'); load live versions of support modules whitelist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Whitelist'); utilities = require ('Module:Citation/CS1/Utilities'); validation = require ('Module:Citation/CS1/Date_validation'); identifiers = require ('Module:Citation/CS1/Identifiers'); metadata = require ('Module:Citation/CS1/COinS'); styles = 'Module:Citation/CS1/styles.css'; end utilities.set_selected_modules (cfg); so that functions in Utilities can see the selected cfg tables identifiers.set_selected_modules (cfg, utilities); so that functions in Identifiers can see the selected cfg tables and selected Utilities module validation.set_selected_modules (cfg, utilities); so that functions in Date validataion can see selected cfg tables and the selected Utilities module metadata.set_selected_modules (cfg, utilities); so that functions in COinS can see the selected cfg tables and selected Utilities module z = utilities.z; table of error and category tables in Module:Citation/CS1/Utilities is_preview_mode = not utilities.is_set (frame:preprocess ('')); local args = {}; table where we store all of the template's arguments local suggestions = {}; table where we store suggestions if we need to loadData them local error_text; used as a flag local config = {}; table to store parameters from the module for k, v in pairs( frame.args ) do get parameters from the frame config[k] = v; args[k] = v; crude debug support that allows us to render a citation from module ; skips parameter validation; TODO: keep? end local capture; the single supported capture when matching unknown parameters using patterns local empty_unknowns = {}; sequence table to hold empty unknown params for error message listing for k, v in pairs( pframe.args ) do get parameters from the parent (template) frame v = mw.ustring.gsub (v, '^%s*(.-)%s*$', '%1'); trim leading/trailing whitespace; when v is only whitespace, becomes empty string if v ~= then if ('string' == type (k)) then k = mw.ustring.gsub (k, '%d', cfg.date_names.local_digits); for enumerated parameters, translate 'local' digits to Western 0-9 end if not validate( k, config.CitationClass ) then if type (k) ~= 'string' then exclude empty numbered parameters if v:match("%S+") ~= nil then error_text = utilities.set_message ('err_text_ignored', {v}); end elseif validate (k:lower, config.CitationClass) then error_text =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_suggest', {k, k:lower}); suggest the lowercase version of the parameter else if nil == suggestions.suggestions then if this table is nil then we need to load it if is_sandbox then did the use sandbox version? suggestions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Suggestions/sandbox' ); use the sandbox version else suggestions = mw.loadData( 'Module:Citation/CS1/Suggestions' ); use the live version end end for pattern, param in pairs (suggestions.patterns) do loop through the patterns to see if we can suggest a proper parameter capture = k:match (pattern); the whole match if no capture in pattern else the capture if a match if capture then if the pattern matches param = utilities.substitute (param, capture); add the capture to the suggested parameter (typically the enumerator) if validate (param, config.CitationClass) then validate the suggestion to make sure that the suggestion is supported by this template (necessary for limited parameter lists) error_text =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_suggest', {k, param}); set the suggestion error message else error_text =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 {k}); suggested param not supported by this template v = ; unset end end end if not utilities.is_set (error_text) then couldn't match with a pattern, is there an explicit suggestion? if (suggestions.suggestions[ k:lower ] ~= nil) and validate (suggestions.suggestions[ k:lower ], config.CitationClass) then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_suggest', {k, suggestions.suggestions[ k:lower ]}); else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eter_ignored', {k}); v = ; unset value assigned to unrecognized parameters (this for the limited parameter lists) end end end end args[k] = v; save this parameter and its value elseif not utilities.is_set (v) then for empty parameters if not validate (k, config.CitationClass, true) then is this empty parameter a valid parameter k = ( == k) and '(empty string)' or k; when k is empty string (or was space(s) trimmed to empty string), replace with descriptive text table.insert (empty_unknowns, utilities.wrap_style ('parameter', k)); format for error message and add to the list end crude debug support that allows us to render a citation from module TODO: keep? elseif args[k] ~= nil or (k == 'postscript') then when args[k] has a value from frame (we don't normally do that) args[k] = v; overwrite args[k] with empty string from pframe.args[k] (template frame); v is empty string here end not sure about the postscript bit; that gets handled in parameter validation; historical artifact? end if 0 ~= #empty_unknowns then create empty unknown error message utilities.set_message ('err_param_unknown_empty', { 1 == #empty_unknowns and or 's', utilities.make_sep_list (#empty_unknowns, empty_unknowns) }); end local url_param_t = {}; for k, v in pairs( args ) do if 'string' == type (k) then don't evaluate positional parameters has_invisible_chars (k, v); look for invisible characters end has_extraneous_punc (k, v); look for extraneous terminal punctuation in parameter values missing_pipe_check (k, v); do we think that there is a parameter that is missing a pipe? args[k] = inter_wiki_check (k, v); when language interwiki-linked parameter missing leading colon replace with wiki-link label if 'string' == type (k) and not cfg.url_skip[k] then when parameter k is not positional and not in url skip table url_param_t[k] = v; make a parameter/value list for extraneous url check end end has_extraneous_url (url_param_t); look for url in parameter values where a url does not belong return table.concat ({ frame:extensionTag ('templatestyles', , {src=styles}), citation0( config, args) }); end [[ < E X P O R T E D F U N C T I O N S > ]] return {citation = citation}; = 분류:네로 = = 분류:피옴비노의 영주 = = 분류:윤지수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윤지수가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위키백과:삭제 토론/흥해라흥 픽쳐스 = = = 흥해라흥 픽쳐스 = = 저명성을 이유로 삭제를 요청하는 틀이 달려 있으나, 재검토를 할 필요도 있어 보이고, 저작권 등도 의심되기에 삭제 토론을 엽니다. 랩소디인뮤직 (토론) 2013년 8월 14일 (수) 11:34 (KST) = 분류:마블 코믹스를 바탕으로 한 영화 시리즈 = = 꿈파와삐군 = 꿈파와삐군은 태국 북부 우돈타니주의 암프(군)이다. = = 행정 구역 = = 꿈파와삐군은 13개의 땀본과 174개의 무반으로 나뉜다. 번호 이름 태국어 마을 수 1 뚬따이 ตูมใต้ 9 2 판떤 พันดอน 20 3 위앙캄 เวียงคำ 18 4 챌래 แชแล 14 5 치앙왜 เชียงแหว 13 6 후아이킁 ห้วยเกิ้ง 18 7 스플르 เสอเพลอ 19 8 시오 สีออ 8 9 빠코 ปะโค 17 10 파숙 ผาสุก 10 11 탈리 ท่าลี่ 13 12 농와 หนองหว้า 11 13 꿈파와삐 กุมภาวปี 14 = 도싯주 = 도싯주는 잉글랜드의 남서부에 있는 주로 주도는 도체스터이며 면적은 2,653km2, 인구는 745,400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281명/km2이다. 서쪽으로는 데번주, 북서쪽으로는 서머싯주, 북동쪽으로는 윌트셔주, 동쪽으로는 햄프셔주와 접한다. 인구의 98.7%가 백인계이고, 77.9%는 기독교 신자이다. 도싯 주에 있는 쥐라기 해안(Jurassic Coast)은 2001년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도싯의 문화 = = = = = 문예 = = = 영국 문학에 있어서 도싯은 소설가이자 시인인 토마스 하디 (1840-1928)의 고향으로 유명하며, 그가 자신의 소설 속에서 묘사한 가상의 웨섹스에 위치한 많은 장소들은 소설속에서 남웨섹스South Wessex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도싯에 있다. 내셔널 트러스트는 도체스터 동부 산림지에 있는 토마스 하디의 소주택과 도싯 도체스터에 있는 그의 전 거주지, 맥스 게이트를 소유하고 있다. 키머리지Kimmeridge에 있는 클라벨 타워에 영감을 받은 소설 ≪검은 탑≫을 쓴 P. D. 제임스와 도싯에서 수차례 휴가를 보내고 최종적으로 두번째 남편과 퍼벡 섬에 정착한 에니드 블라이턴 등 여타 다른 작가들 역시 도싯의 경관에 영향을 받았다. 블라이턴의 책 속에 등장하는 여러 장소들은 키린 성 (코프 성)이나 위스퍼링 아일랜드 (브라운시)같은 도싯의 지역에서 비롯되었다. 스터들랜드는 노디의 토이랜드의 영감이 되었고, P.C. 플로그는 크리스토퍼 론이라는 지역 경찰을 바탕으로 창조된 인물로 여겨진다. 윌리엄 반즈는 1801년 블랙모어 베일에서 태어났으며 도싯 방언으로 써딘 그의 세 권의 시집은 1844년 첫번째 시집 ≪도싯 방언으로 쓰인 전원 생활의 시편들≫은 1844년 간행되었다. 반즈는 그가 ‘외래어’라고 생각한 단어들을 싫어했으며 시에서 그 단어들을 쓰는 것을 피했으며 대신 색슨어를 사용했다. 색슨어에 마땅한 단어가 없을 땐 반즈는 예컨데 perambulator 대신 'push wainling'를 쓰는 등 자주 단어와 문장을 만들기도 했다. 반즈는 켈트 문학을 공부했었으며 컹하네드cynghanedd로 알려진 자음 소리의 반복 기법을 자주 사용했다. 특히 이 기법은 그의 시 “My Orcha’d in Linden Lea”에서 볼 수 있다. 이 방언을 시 작품 속에서 사용한 다른 시인은 "Rabin Hill's Visit to the Railway: What he Zeed and Done, and What he Zed About It"같은 시를 쓴 로버트 영이 있다. 소설가 존 쿠퍼 포위스 (1872-1963)는 더비셔 셜리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아버지는 도싯에서 태어났고 1880년 도싯 도체스터로 가족들은 이사를 간다. 이 가족들은 그 후 1885년 소머싯의 주 경계에 위치한 몬타큐트로 이사를 가게 되지만, 포위스는 도싯과의 연을 지속하는데, 그가 도싯 셰어본의 셰어본 학교에 다녔기 때문이다. Ducdame (1925), Wolf Solent (1929), Weymouth Sands (1934)와 Maiden Castle (1936)같은 그의 몇몇 소설들은 도싯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포위스의 첫 소설인 Wood and Stone는 토머스 하디에게 헌사를 바친다. 역시 도체스터가 배경인 Maiden Castle는 포위스가 미국에서부터 돌아온 후인 1934년부터 쓰였다. 그는 1935년 웨일즈로 이사가기 전, 도싯 찰던 헤링에 살다가 도체스터에서 살게된다. 포위스의 사망 후 그의 유해는 도싯 웨이마우스 체실 비치에 뿌려진다. 그의 남동생인 소설가 T. F. 포위스은 1904년부터 1940년끼지 찰던 헤링에서 살았고, 전쟁 때문에 도싯 마파우더에서 살게 된다. 찰던 헤링은 그의 소설 Mr. Weston's Good Wine과 다른 작품들에서 폴리 다운의 가공의 마을을 만들어내는 데에 영감을 주었다. 티어도어 포위스의 남자 형제로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루엘린 포위스는 1884년 도체스터에서 태어나며 1924년 결혼한 그의 미국인 아내 알리스 그레고리 (1884-1967)과 함께 찰던에서 꽤 오랫동안 산다. 아내는 The Dial이라는 영향력있는 저널의 편집자였다. 포뤼스의 작품은 Dorset Essays (1935) 등이 있다. 티어도어와 루엘린 모두 셰어본 학교를 다녔다. 다른 시기 찰던에 살았던 여러 작가와 예술가로는 소설가 실비아 타운헨드 워너, 데이비드 가네트와 포위스 가의 두 명, 시인이자 소설가였던 필리파 포위스와 화가 게트루드 포위스가 있다. 다른 거주자들은 시인 발렌타인 아클란드 (타운헨드의 연인)과 루엘린 포위스와 정사를 나눈 미국인 시인 가멜 울시가 있다. = 분류:고아를 소재로 한 소설 = = 장계시외버스터미널 = 장계시외버스터미널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한들로 90-1 (장계리 296-6번지)에 위치한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 터미널이다. 본관은 2층 건물이며, 1층은 매표소, 약국, 승차홈 글이 자리 잡고 있으며, 2층은 병원, 1층에는 CU편의점이 있다. 편의점에서 버스표를 발매한다. 무인승차권 발매기도 배치되어있다. 장수읍에 소재한 장수시외버스터미널보다도 노선이 좀 더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는 중이다. 그래도 장수보다는 차편이 좋다. = = 운행 노선 = = = = = 시외버스 = = =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 시간표 장계 ↔ 광주 전북여객 장계 ↔ 광주 계남, 장수, 번암, 남원, 문화동 4회 07:35, 12:55, 14:40, 16:40, 18:30 장계 ↔ 대전 전북고속 장계 ↔ 대전 안성, 무주 4회 09:35, 11:45, 13:45, 15:50, 19:45 장계 ↔ 무주 전북여객 장계 ↔ 무주 계북, 안성, 적상 20~60분 첫차:07:40(장계 기준)막차:21:45(장계 기준) 장계 ↔ 대구서부 전북고속 장계 ↔ 대구서부 서상, 안의, 거창 2회 09:10, 18:40 장계 ↔ 서울남부 전북고속금남고속 장계 ↔ 서울남부 안성, 무주 4회 중 3회는 시외우등이운행된다 ☆표시 시외우등 ☆08:50,☆10:10, 14:50,☆16:50 장계 ↔ 전주 전북여객 장계 ↔ 전주 천천, 진안 15~60분 첫차:06:20(장계 기준)막차:21:00(장계 기준) 장계 ↔ 부산서부 대한여객 장계 ↔ 부산서부 서상, 안의, 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진주 1회 12:50 장계 ↔ 구천동 전북여객 장계 ↔ 구천동 계북, 안성, 적상, 무주, 설천 1회 08:35 = = = 농어촌버스 노선 = = = 방면 행선지 안성 방면 계북, 고무정, 동향, 망남, 무주, 문성, 산촌, 안성, 연동, 학선 장수 방면 괴목동, 양신, 장수, 장안리 천천 방면 동향, 신기리, 와룡, 진안, 천천 명덕 방면 대곡, 명덕, 오동, 지보리 = 이헌구 (1935년) = 이헌구(1935년 7월 15일~2000년 8월 18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8·9대 대전 서구청장을 지냈다. 대전광역시 동구 출생이다. = 경찰 특공대 목록 = 다음은 나라별 군대의 경찰 특수부대 목록이다. 정리된 순서는 한국어 기준으로 'ㄱ'에서 'ㅎ'까지 내림차순이다. = = = = 경찰청 휘하 K-SWAT → SOU (Korean Special Attack Tactical→ Special Operations Unit) 2018년경 변경됨 해양경찰청 휘하 SSAT (Special Sea Attack Team) = = = = SWAT (Special Weapons and Tactics)(지역경찰 및 FBI) - FBI-HRT (FBI소속 특수부대) = = = = SAT (Special Assult Team) = = = = 설표돌격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정예 특수부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북경총대 제13지대 제3부대소속) = = = = *BOPE (헌병/경찰 특수부대) = 분류:튀르키예의 해안 = = 괴산 = = 사토 에이사쿠 = 사토 에이사쿠(, 1901년 3월 27일 ~ 1975년 6월 3일)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1·62·63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전 수상 기시 노부스케와는 친형제 관계이며, 전임 수상 요시다 시게루와는 친인척 관계이다. 자유민주당에서 유일하게 4번이나 총재로 뽑혔으며, 총리 재임기간은 역대 총리중 2위, 연속 재임기간은 역대 총리중 가장 긴 7년 8개월(2,798일)이라는 최장수 재임 기록을 세웠다.그러나 제90·96·97·98대 내각총리대신인 아베 신조가 2020년 8월 24일 재임기간을 2,799일로 역대 최장수 재임기간을 기록하면서 타이틀을 빼앗겼다. 퇴임 후 1974년에 "핵무기를 만들지도, 갖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라는 비핵 3원칙을 내세운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뒤로는 비밀리에 독일에 핵무기 공동개발의사를 타진했다. = = 초기 생애 = = 사토는 1901년 3월 27일 야마구치현 다부세정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 대학에서 독일의 법을 수학하였다. 1923년 그는 최상급 공무원 시험을 통과하였고, 졸업을 앞둔 이듬해 철도성 공무원이 되었다. 그는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오사카의 철도 국장, 1947년부터 1948년까지 교통성의 부대신을 지냈다. 1949년 자유당원으로서 일본 국회에 입문하였다. 그는 1951년 7월부터 1952년 7월까지 우정대신을 지냈다. 사토는 일본 정치의 거물들을 통하여 점차 자라나 1953년 1월부터 1954년 7월까지 당시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주요 내각 서기관이 되었다. 그는 1952년 10월부터 1953년 2월까지 건설대신을 지냈다. 자유민주당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당이 일본 민주당과 합병되었을 때 사토는 1957년 12월부터 1958년까지 6월까지 당의 행정 의회의 의장을 지냈다. 사토는 자신의 형 기시 노부스케와 이케다 하야토 내각들에서 대장대신이 되었다. 1961년 7월부터 1962년 7월까지 사토는 통상대신을 지냈다. 1963년 7월부터 1964년 6월까지 동시에 그는 홋카이도 개발청과 과학기술원의 우두머리였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환경청 장관을 지내기도 하였다. = = 총리 재임 = = 이케다 총리가 건강 악화로 인하여 사임을 한 후, 사토는 그를 총리로서 뒤를 이었다. 그의 정부는 많은 이들보다 더욱 장기간 동안 집권하였다. 그는 번창하는 경제로 인하여 인기 있는 총리였고 미국과 중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균형을 이루며 결단력 있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총리로서 3개의 임기 후에 사토는 더 이상 4선을 위하여 나가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그의 후임인 후쿠다 다케오가 다음의 국회 선거에서 사토파의 후원을 이겼으나 더욱 인기 있는 통상대신 다나카 가쿠에이가 투표를 이겨 사토파의 지배를 끝냈다. = = =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과의 관계 = = = 사토는 자신의 임기 중에 타이완을 방문한 마지막 일본 총리이다. 1965년 사토는 타이완에 미국의 1만 5천 달러를 대부하는 데 찬성하였다. 그는 1967년 타이완을 방문하였다. 1969년 사토는 타이완의 국방이 일본의 안정을 위한 필요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사토는 대부분의 주요 논쟁들에서 미국을 따랐으나 닉슨의 방중을 반대하였다. 그는 또한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 = = 핵무기 정세 = = = 사토는 핵무기의 비생산, 비소유와 비전개를 의미한 1967년 12월 11일 3개의 비핵 3원칙을 소개하였다. 사토의 총리 재임 동안에 일본은 핵무기 비확산 조약에 참여했다. 일본 국회는 1971년 정식으로 원칙들을 채택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공로로 그는 197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조사들은 이면에 사토가 일본 국토에 핵무기들을 배치하는 미국의 계획들로 더욱 수용한 것으로 본다. 2008년 12월, 일본 정부는 1965년 1월 사토의 미국 방문 중에 그가 미국의 공무원들과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항하는 핵무기 사용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었다고 보인 문서를 배제하였다. 2009년 12월, 그의 아들은 자신의 부친이 일본의 주권으로 되돌린 오키나와에 핵무기 탄두를 배치시키는 것을 허용한 1969년 11월 닉슨 미국 대통령과 대화에서 동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 = 오키나와 논쟁들 = = = 제2차 세계 대전 이래 오키나와는 미국에 의하여 점령되었다. 1965년 1월,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에 사토는 공공연하게 존슨 대통령에게 오키나와를 일본에 반환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 해 8월 사토는 오키나와를 방문한 첫 전쟁 이후의 일본 총리가 되었다. 1969년, 사토는 오키나와를 반환하고 거기서 핵무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닉슨 대통령과 거래를 취하였으며, 이 거래는 반환 후에 오키나와에서 기지들을 유지하도록 미군을 허용하였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오키나와는 정식적으로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반환되었다. = = = 동남아시아와 관계 = = = 사토의 임기 중에 일본은 1966년 아시아 개발 은행 설립에 참가하였고 동남아시아의 경제 개발에 장관급 회의를 개최하였다. 그 일은 전쟁 후의 기간에 일본 정부에 의하여 개최된 첫 국제 회의였다. 1967년 그는 싱가포르를 방문한 첫 일본 총리가 되었다. 그는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에 남베트남 정부의 큰 지지자였다. = = 후반의 생애 = = 사토는 1974년 숀 맥브라이드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나누었다. 그는 평화를 위한 일본 국민의 결심과 비핵 3원칙에 조인함으로 수상하였다. 그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첫 아시아인이었다. (1973년 베트남의 정치인 레득토는 상을 수상할 첫 아시아인이 되었으나 거절하였다.) = = 사망 = = 1975년 5월 19일, 식당에 있는 동안에 사토는 혼수상태의 결과를 가져온 큰 발작을 일으켰다. 그는 74세의 나이로 6월 3일 지케이 대학 의료소에서 사망하였다. 장례식 후에 그의 유해는 다부세 정에 있는 가족 묘지에 안치되었다. = = 개인 생활 = = 사토는 1926년 외교관 마쓰오카 요스케의 딸 마쓰오카 히로코와 결혼하여 2명의 아들 - 류타로와 신지를 두었다. 1969년 아사히 신문은 소설가 엔도 슈사쿠와 인터뷰에서 사토의 아내가 그를 방탕자와 아내를 패는 사람으로 고발하였다고 한다. 그의 취미들은 골프, 낚시와 다도를 포함하였다. 57대 총리 기시 노부스케는 그의 형이며, 총리 아베 신조는 그의 외종손이다. 사토 총리와 부인 히로코는 모두 사무라이의 자손들이다. = 핀란드 국경경비대 = 국경경비대는 핀란드의 국경보안을 책임지는 국방기관이다. 방위부가 아닌 내무부 소속으로서 준군사조직으로 분류된다. 산하에 경찰을 두고 이민문제에 대한 독립적 수사권이 있다. = 옌볜 (동음이의) = 옌볜은 다음을 가리킨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의 자치주. 옌볜현():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판즈화시의 현급 행정 구역. = 분류:다이케톤 = = 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의 극장 = = 스틴복영양 = 스틴복영양(Raphicerus campestris)은 소과에 속하며 아프리카 남부와 동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영양의 일종이다. 스틴복영양은 작은 오리비영양을 닮았고, 어깨 높이는 45~60cm 정도이다. 엷은 황갈색부터 적갈색을 띤다. 스틴복영양의 분포 지역은 두 지역에 떨어져 존재한다. 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케냐 중부와 남부 그리고 탄자니아에서 발견된다. 이전에는 우간다에 널리 분포했지만,Williams, John G. 1967. A Field Guide to the National Parks of East Africa. Collins, London.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 남부 지역에서는 앙골라와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스와티니, 보츠와나,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발견되며 레소토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우이 (동음이의) = 우이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인명 우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부총리 일본의 성씨: 우이 하쿠주: 일본의 조동종(曹洞宗) 승려 미야자키 우이: 일본의 성우 : 일본의 여배우 가상의 인물 히라사와 우이: 《케이온!》의 등장인물로, 히라사와 유이의 여동생 지역 우이도: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의 섬 우이동: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동(洞) 우이현: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분류:가봉의 서비스 산업 = = 분류:워털루 대학교 교수 = = 류이치 사카모토: 코다 = 류이치 사카모토: 코다는 2017년에 도쿄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한 일본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류이치 사카모토 = Shift JIS = Shift_JIS 또는 Shift-JIS는 JIS X 0201과 JIS X 0208 등을 사용하는 일본어 문자 인코딩이며, 보통 SJIS로 줄여 부른다. 1982년에 일본의 여러 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개발했으나, 나중에 일본 안에서 널리 쓰이게 되자 JIS X 0208:1997의 부속서 1로 표준화되었다. = = 역사 = = 1980년대 이전의 컴퓨터에서는 JIS X 0201을 사용한 인코딩이 주로 사용되었다. 즉, 32부터 127까지의 바이트(GL)에는 영문자를, 160부터 255까지의 바이트(GR)에는 가타카나를 배당한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한자를 표시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등장했고 그에 맞는 문자 인코딩이 필요해졌으나, 이미 널리 사용되는 인코딩에서 GR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ISO/IEC 2022의 확장 방법으로는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JIS X 0208을 지원할 수 없었다. Shift_JIS는 이전 인코딩과의 호환을 위해 JIS X 0208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던 영역(0x81~0x9F, 0xE0~0xEF)에 JIS X 0208을 별도의 계산 과정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썼다. 또한 두 번째 바이트를 128 이상으로 제한할 경우 JIS X 0208의 모든 문자를 대응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두 번째 바이트에 128보다 작은 바이트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Shift_JIS를 개발한 업체들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 일본 마이크로소프트 전 회장인 후루카와 토오루에 따르면 아스키, 마이크로소프트, 미쓰비시 전기,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어소시에이트, 디지털 리서치가 관련되었으며, 특히 아스키의 야마시타 료조가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교토 대학 조교수인 야스오카 코이치는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어소시에이트와 미쓰비시 전기만이 관련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일본 슬래시닷의 글을 참고하라. 그에 따르면 이런 주장이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어소시에이트가 아스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일어난 오해라고 한다. 개발 주체와는 별개로,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회사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들의 제품에서 Shift_JIS를 지원했던 것은 사실이다. JIS X 0208에 비어 있는 영역이 꽤 있고, Shift_JIS 자체에도 0xF0부터 0xFF까지의 첫 바이트에는 아무 글자도 할당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확장들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이 확장들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코드 페이지 932(엄밀하게는 Windows-31J)는 JIS X 0208의 확장이며, 일본 휴대폰 업체들은 전자 메일에서 사용하기 위해 여러 그림 문자를 0xF3부터 0xF9까지의 영역에 할당해서 쓰고 있다. 이러한 확장들은 대부분 확장된 영역에서 서로 호환되지 않으며 IANA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아 혼동을 주곤 한다. 본래는 일본 산업 규격과는 상관 없이 만들어진 인코딩이지만, Shift_JIS가 많이 쓰이게 되면서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에 1997년판부터는 부속서 1에 ‘시프트 부호화 표현’로 이 인코딩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도 몇 가지 확장이 있는데, 2000년에 제정된 JIS X 0213을 반영한 Shift_JISX0213과, JIS X 0213이 2004년에 개정되면서 이를 반영한 Shift_JIS-2004가 있다. = = 구성 = = Shift_JIS는 JIS X 0201을 기반으로, 사용되지 않는 두 영역에 JIS X 0208을 간단한 계산으로 다음과 같이 잘라 넣는다. 행 번호에 0xE1(0x60행 이하) 또는 0x161(0x61행 이상)을 더한다. 이 값을 2로 나눈 몫을 첫 번째 바이트로 한다. 1에서 나온 값이 짝수인가 홀수인가에 따라, 열 번호에 0x1F(홀수)나 0x7D(짝수)를 더한다. 2에서 나온 값이 0x7F보다 크거나 같으면 1을 더해 두 번째 바이트로 하고, 아니면 그 값을 그대로 두 번째 바이트로 한다. 이렇게 해서 계산된 첫 번째 바이트는 0x81부터 0x9F까지와 0xE0부터 0xEF까지이고, 두 번째 바이트는 0x40부터 0x7E까지와 0x80부터 0xFC까지가 된다. 두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가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Shift_JIS 인코딩을 인식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바이트에는 역슬래시(\, 0x5C)가 포함되기 때문에 Shift_JIS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압축한 ZIP 파일을 다른 시스템에서 풀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 = 분류:재흡수 억제제 = = 단 지로 = 단 지로(, 1949년 1월 30일 ~ 2023년 3월 22일)는 일본의 배우, 모델이다. 돌아온 울트라맨의 주인공 고 히데키를 연기한 배우로 잘 알려져있다. = = 생애 = = 미국 공군 소속이었던 미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에서 태어난 혼혈로 그의 아버지는 한국전쟁 때 참전하였다가 전사했다. 울트라 시리즈 주인공 배우 중 가장 키가 크며 서구적인 마스크 덕분에 주로 모델로 많이 활약하였다. = = 사망 = = 2023년 3월 22일 향년 74의 나이에 폐얌으로 사망했다. = = 출연작 = = 1971년 돌아온 울트라맨 - 고 히데키 역 2002년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카스미 잇키 역 2019년 기사룡전대 류소저 - 류소우 족의 장로 역 = 분류:튀르키예의 공연 예술 = = 분류:이탈리아의 변경백 = = 울릉 성인봉 원시림 = 울릉 성인봉 원시림(鬱陵 聖人峰 原始林)은 경상북도 울릉군 성인봉 정상 근처에 있는, 자연 그대로의 숲이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 성인봉 원시림에는 너도밤나무 숲이 있고 섬조릿대가 나며, 솔송나무, 섬단풍나무 등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나무들로 숲이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 섬노루귀, 섬말나리, 섬바디 등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한 풀들도 살고 있다.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Londo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nited_Kingdom_Londo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천생연분 (1996년 드라마) = 천생연분은 1996년 10월 11일에 방영한 MBC 베스트극장이다. = = 줄거리 = = 소영은 결혼은 싫지만 아이를 갖고 싶어하고, 지환과 애당초 결혼은 생각지도 않고 적당히 즐길 데이트 상대를 원한다. 두 사람은 친구 부부로부터 소개받아 부담없이 만나게 된다. 어느 날 지환은 경수 부부로부터 소영이 아이를 낳았고, 그 아이가 자신을 빼박았다는 말을 듣게 된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남성진 : 지환 역 이민영 : 소영 역 = = = 주변 인물 = = = 정명환 : 경수 역 김지영 : 용숙 역 김영옥 김동주 = = = 그 외 인물 = = = 방양희 김시아 권현영 이문향 = 위키백과:삭제 토론/생물학, 의학 관련 센터 = = = 생물학, 의학 관련 센터 = = *감염병센터 *감염병관리센터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 *유전체센터 *장기이식관리센터 *질병예방센터 *면역병리센터 *생명의과학센터 행정기관이기에 앞서 연구소나 비슷한 기관들인데 특정한 분야에서 논의한것만 가지고 삭제를 하는건 위법합니다. 여러 분야에 걸친 문서이기 때문에 특정 분야 논의장소의 합의만 가지고 삭제를 할 수 없다고 봅니다. 대학의 연구소도 유명하면 따로 문서로 만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 등재 기준에 따른 존폐 판단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2001:2D8:30E:FA7D:0:0:2926:90A4 (토론) 2017년 5월 13일 (토) 23:55 (KST) 기존 문서가 존재하는데 삭제 신청을 한 것은 조금 성급하신 것은 아닌지요? 언급하신 문서들은 백과사전부 장관 님이 만드신 것으로 보이는데 그 분께도 삭제 신청 알려드린 후에 삭제를 진행했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사용자 토론 문서에서 얘기를 나누시긴 한 것 같더군요. 저도 Sjsws1078님과 같은 생각에서 일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행정기관은 생성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 동의합니다. 근데 삭제신청보다는 동일한 문서의 재생성을 막고 문서의 기여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병합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편집기준도 부서마다 다르고 대한민국의 행정기관 프로젝트 참가자 이외에는 편집기준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이름만 보고 생성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고 그러다 보면, 프로젝트 차원에서 관리하기 힘든 외톨이 문서 등이 생길 수 있으니까요.-Привет(토론) 2017년 5월 14일 (일) 05:10 (KST) 프토:대행#등재 기준 미달 문서는 삭제 or 넘겨주기?에서 토론을 이어나가려 합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Привет(토론) 2017년 5월 14일 (일) 22:02 (KST) 의견 변경하겠습니다. 해당 문서들은 소속기관이 아닌 행정기관의 하부 조직으로서 행정기관 편집 지침에 어긋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Привет(토론) 2017년 5월 15일 (월) 18:42 (KST) 삭제토론은 '백과사전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거나 필요 없다고 여겨지는 문서나 틀, 파일이 있을 때, 삭제 정책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는 곳'입니다. 발제자가 삭제를 전제로 토론을 시작한 것이 아니므로 삭제토론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본 삭제토론을 종결합니다. 黑흑메기Sjsws1078 (토·기) 2017년 5월 26일 (금) 23:13 (KST) = 치라운 = 치라운(, Чулуун, ? ~ 1232년?)은 몽골의 장군으로 칭기즈 칸의 사준 중 한 명으로 쓰르다스 씨족 사람이다. 티라운, 치라군이라고도 한다. 젊은 시절의 테무친이 타이치우드족으로부터 쫓길 때, 테무친을 도와주어 그의 큰 신뢰를 얻었다. 후에 칭기즈칸의 수하가 되어 천호장에 임명되었으며 오고타이 때 금나라를 정벌하러 가다가 전사하였다. = = 치라운의 생애 = = 1176년 치라운은 테무친이 타르구타이와 타이치우드족에게 쫓길 때 아버지 소르칸 시라, 형 침바이와 함께 테무친을 숨겨주어 테무친의 큰 신뢰를 얻고 그와 친우의 관계를 맺었다. 후에 1201년 칭기즈칸의 수하가 되어 사준 중 한 명이 되고 1206년 그의 아버지와 함께 천호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다 오고타이 때 금나라를 정벌하는 도중에 전사하였다. 그의 자손들은 원조 4대 권문세족이 되어 부귀영화를 누렸다. = 분류:리투아니아의 여자 배우 = = 컴프리 = 컴프리(comfrey)는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럽 원산으로 심어 기른다. 컴프리는 밭에서 나는 우유, 채소중의 채소로 불릴 만큼 영양성분이 풍부해 미용, 건강식품으로 최고의 명성을 자랑한다. = = 생태 = = 높이 60-90cm이다. 전체에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 피침형. 뿌리에서 나는 잎에는 잎자루가 있고, 줄기의 윗 잎은 잎몸과 잎자루가 구별되지 않고, 잎이 줄기에 연결되어 줄기에 지느러미가 달린 것같이 보인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종 모양이고, 엷은 붉은색이거나 자주색이다. 화축은 1-2회 2개씩 갈라지고, 화서의 끝이 말린다. 화관이 얕게 5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며,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난형이다. = = 쓰임새 = = 한방에서는 잎과 뿌리를 감부리라 하며, 건위,소화기능 부진, 위산과다, 위궤양, 빈혈, 종기, 악창, 피부염에 처방한다. = = 논란 = = ‘컴프리(comfrey) 현상’이 있다. 비타민 B12가 풍부한 채소류인 컴프리는 빈혈, 소화, 위장질환, 피부염, 화상, 타박상, 관절염, 근육염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간질환에 좋다는 근거 없는 소문을 타고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컴프리에 함유된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pyrrolizidine alkaloids)라는 독성 물질이 세포 내 DNA에 작용해 유전체 구조에 이상을 일으키고 간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독성이 체내에 축적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FDA와 우리나라 식약청은 2001년 컴프리를 재료로 제조한 식품의 수입과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백승운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의대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컴프리에는 간 독성 물질이 들어 있다. 간의 정맥폐쇄질환을 일으키므로 서양에서는 재배조차 금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간염 치료제로 둔갑하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 중복순열 = 중복순열 (重複順列, permutation with repetition) _n\Pi_r은 n개의 서로 다른 원소 중에서 중복을 허락해 r개를 뽑아서 한 줄로 늘어놓는 경우의 수다. = = 설명 = = 서로 다른 n개의 원소에서 r개를 중복을 허락해 뽑아 한 줄로 늘어놓을 때, 첫 번째에서 n개를 선택할 수 있고 그 뒤로 두 번째, 세 번째, … , r번째에서 계속 n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순열의 개수는 n^r임을 알 수 있다. = = 예시 = = 여섯 명의 학생이 네 종류의 차(오미자차, 감잎차, 둥굴레차, 국화차)를 주문하는 경우의 수는 46=4096가지다. 다섯 개의 숫자 1, 2, 3, 4, 5를 중복해서 사용할 때 만들 수 있는 네 자리 자연수 중 3000 이하인 홀수의 개수는 2×3×52=150개다. = 틀: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 = = 에릭 브러스코터 = 에릭 브러스코터(Eric Bruskotter, 1966년 3월 22일 ~ )는 미국의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포트웨인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레이프 킷 (2011년) - 세큐러티 오피서 역 헐리우드 킬즈 (2006년) 브링 잇 온 3 (2006년) 할리우드 게임 (2001년) 메이저 리그 3 (1998년) 스타쉽 트루퍼스 (1997년) - 브렉킨리지 역 더 팬 (1996년) 크림슨 타이드 (1995년) 메이저 리그 2 (1994년) 사선에서 (1993년) 드래곤 (1993년) 시티 레인져 (1993년) 끝없는 도주 (1991년) 캠퍼스 연애 소동 (1989년) 사선을 넘어 - TV 시리즈 (1989년) 케빈은 12살 (1988년) 연애학개론 (1987년) 쓰리 포 더 로드 (1987년) 머나먼 정글 (1987년) = 차홍 = 차홍(1981년 12월 4일 (1981년 음력 11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헤어 디자이너이다. 현재 차홍아르더 대표원장, 차홍아카데미 원장으로 활약중이다. 다양한 방송 매체 활동과 봉사, 기부활동을 하고 있으며 로레알 프로페셔널 파리의 인터내셔널 9대 아티스트로 세계 각국에서 세미나, 헤어쇼로 활약중이다. = = 내력 = = 차홍아르더 원장 차홍아카데미 원장 L'Oréal Professional Paris 인터네셔널 9대 아티스트 Loreal프로페셔널 파리 포트폴리오 네이버 패션뷰티 멘토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심사위원 환경부 홍보대사 삼성 인력개발원 사외강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초빙교수 *장애인 영화제 명예고문 = = 학력 = = 서경대학교 피부 미용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 = = 작품 활동 = = = = = = 방송 = = = = 《마이리틀텔레비전》 《스카우트》 《사람이다Q》 《겟잇뷰티》 《스타킹》 《사랑의가족》 《the innerview》 《무작정 패밀리》 《함께 하는미래, 창조 대한민국》 《60분 부모》 《언니네 쌀롱》 (2019)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1078회 게스트 (2023) = = = = 도서 = = = = 《파워풀 헤어 성형》 《차홍의 셀프 동안 헤어법》 《차홍 아카데미 토탈 메뉴얼》 *당신을 아름답게 하는 것들 = = = = show = = = = 2011 Beauty Salon Expo Hair Show‘Editology 2012 S/S, Chahong Academy Lay-girl Seminar Show 2012 F/W, Chahong Academy Movement Seminar Show 2013. 02 2013 S/S New Design The gleam Seminar Show 2013. 05 CHAHONG ARDOR ACADEMY-  Busan Seminar Show 2013. 08 2013 S/S New design SynesthesiaSeminar 2013. 09 CHAHONG ARDOR ACADEMY - Philippine Seminar 2014. 03,09 Seoul Fashion Week Official Salon 2015.01 2015 S/S New design 'RAW' Seminar Show 2015.03,10 Seoul Fashion Week Official Salon 2015.07 2015-2016 F/W New design 'Drowsy'Seminar Show 2015.04 CHAHONG ARDOR ACADEMY- Asia shooting in China 2015.05 CHAHONG ARDOR ACADEMY-2015 Singapore Fashion hair show & seminar *2016 Chahong Academy ‘OSCAR’ Seminar in Thailand with L’Oréal *2016 L’Oréal Professionnel Business Forum Hair show *2016 S/S New Design ‘REEDS’ Seminar Show *2016-17 F/W New Design ‘OSCAR’ Seminar Show *2017 S/S New Design ‘JUST KIDS’ Seminar Show *2017 Chahong Academy ‘Korean It Looks’ Seminar in Taiwan with L’Oréal *2017-18 F/W New Design ‘TAMMY’ Seminar Show *2018 L’Oréal Professionnel Paris Thailand- XTENSO Launching show *2018 S/S New Design ‘SPONTANÉ’ Seminar Show *2018-19 F/W New Design ‘VAGUE’ Seminar Show *2018 2018 DYSON SUPERSONIC-RENEWAL VERSION –Launching presentation *2018 L’Oréal Professionnel Paris – Hair fashion tour *2019 S/S New Design ‘SAND’ Seminar Show = = 남굴사 = =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백과사전에 올라올만한 내용인지도 잘 모르겠고, 내용도 빈약하고, 그렇다고 중립성을 유지하는 것 같지도 않고.. WaffenSS 2006년 5월 13일 (토) 04:33 (KST) *삭제 - 그러게 말입니다. 중립적이라고는 전혀 보이지 않네요. 내용이 자세한것도 아니고. 삭제하는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포임상옥 2006년 5월 13일 (토) 13:00 (KST) *의견 - 중립적 문제는 있지만, 남굴사 자체는 사회적으로 여러 차례 논란이 되었던 만큼 문서 자체는 있어도 괜찮지 않을까요? Klutzy 2006년 5월 26일 (금) 21:06 (KST) 우선은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5월 28일 (일) 18:36 (KST) = 분류:대한민국의 시도별 종교 = = 분류:안경 = = 타란타펠리냐 = 타란타펠리냐는 이탈리아 아브루초주 키에티도에 있는 코무네이다. 키에티로부터 57 km 거리에 있다. 과거에는 "타란타"(Taranta)라 불리는 모직 의류 산업으로 유명하였으며, 지금도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딜레니아속 = 딜레니아속(Dillenia)은 딜레니아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이다. 약 10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양 제도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한다. 속명은 독일 식물학자 딜레니우스(Johann Jacob Dillenius)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상록수와 준상록수, 관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종 = = D. alata D. albiflos D. andamanica D. aurea D. auriculata D. beccariana D. biflora D. blanchardii D. bolsteri D. borneensis D. bracteata D. castaneifolia D. celebica D. crenatifolia D. cyclopensis D. diantha D. excelsa D. eximia D. fagifolia D. ferruginea D. fischeri D. hookeri 딜레니아 (D. indica) D. ingens D. insignis D. insularum D. luzoniensis D. mansonii D. marsupialis D. megalantha D. monantha D. montana D. nalagi D. obovata D. ochreata D. ovalifolia D. ovata D. papuana D. parkinsonii D. parviflora D. pentagyna D. philippinensis D. ptempoda D. pulchella D. quercifolia D. reifferscheidia D. reticulata D. retusa D. salomonensis D. scabrella D. schlechteri D. serrata D. sibuyanensis D. suffruticosa D. sumatrana D. talaudensis D. triquetra D. turbinata = 세인트폴스 스쿨 (런던) = 1509년에 존 콜렛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학교이며, 13세-18세까지의 연령대로 한국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전교생은 1000여명으로 런던에 위치하고 있다. 최초 위치는 런던 세인트폴 성당 마당에 지어졌으나,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몇번 자리를 옮긴 후에 1961년 부터 현재 해머스미스 다리 남쪽에 위치하게 되었다. 영국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자랑하는 중고등학교(세컨더리스쿨) 중 하나로, 2010년에는 졸업생의 42%인 74명이 옥스포드나 캠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했다. 2016년에는 34명의 졸업생이 미국 아이비리그에, 53명이 옥스포드나 캠브리지에 진학했고, 95%의 학생이 러셀그룹(영국의 상위 대학 그룹)에 속하는 대학교에 진학했다. 2017년에는 옥스포드에 40명 캠브리지 32명 합격했으며 40명은 미국 대학으로 진학했다. 학비는 2024년 현재 홈페이지에 따르면 Fourth(14세 이상)인 경우 한 학기에 £9,895이다. 영국의 3학기 제도에서 일년에 £29,685 약 한화 5천만원 정도의 금액이다. = = 유명한 동문 = = 존 밀턴(John Milton) 1608, 영국의 대문호, 실락원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 1656, 영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햴리 혜성. 버나드 몽고메리 Bernard Law Montgomery 1887, 2차대전 전쟁영웅 장군 G. K. 체스터턴 Gilbert Keith Chesterton 1874, 역설의 대가로 알려진 작가 샘 하우저 Sam Houser 1971, 록스타 게임즈의 공동창업자 조지 오스본 George Osborne 1971, 카메론 수상 아래에서 재무장관을 역임한 정치인 = 분류:여자 핸드볼 선수 = = 아라셀리 아람불라 = 아라셀리 아람불라(Aracely Arámbula, 1975년 3월 6일 ~ )는 멕시코의 배우, 모델, 가수, 사업가이다. = = 음반 목록 = = Sólo tuya (2002) Sexy (2005) Linea de Oro (2007) = 캄포바소 = 캄포바소는 이탈리아 몰리세주 캄포바소도의 코무네다. 몰리세 주의 현도 역할을 하고 있다. 산니오 산과 마테세 산으로 둘러 쌓여있는 비페르노 강 유역에 위치해있다. 14세기 이후로 캄포바소는 날(가위나 칼등) 생산으로 유명하다. 또한 배와 스카모르차 치즈로도 유명하다. 몰리세 대학교가 있으며 캄포바소-보야노 가톨릭 교구이기도 하다. = = 지리 = = = = = 기후 = = = 해발 701m에 있고 아펜니노산맥 근처에 있는 캄포바소는 남부 이탈리아 지역에서 가장 추운 도시중 하나다. 평균 연 평균 기온이 12 °C (54 °F)이고 여름에는 2–22 °C (36–72 °F)인 서안 해양선 기후에 속한다. 겨울에는 눈이 자주 내린다. 1년중 가장 습할때는 11월 마다 81 밀리미터의 비를 내리는 가을이다. = = 자매 도시 = = 오타와 레저 프론테라이달고 마호팩 블라디미르 바냐루카 = UEFA 유로 2016 예선 F조 = 이 문서는 UEFA 유로 2016 예선 F조에 대해서 다룬다. 각 조의 1위, 2위 팀은 UEFA 유로 2016 본선에 직행한다. 공정성을 위해 I조를 제외한 나머지 A~H조의 3위 팀들은 각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은 부전승으로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나머지 8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 경기 결과 =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0 6 3 1 16 8 +8 21 10 5 5 0 11 2 +9 20 10 4 4 2 11 9 +2 16 10 3 3 4 9 10 -1 12 10 2 0 8 6 17 -11 6 10 1 3 6 7 14 -7 6 페로 제도와 그리스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상대 전적 2승, 합계 3-1로 앞선 페로 제도가 5위, 그리스가 6위를 기록하였다. = = 득점 선수 = = 카일 래퍼티 요엘 포흐얀팔로 가레스 매콜리 요안 시문 에드문드손 리쿠 리스키 뵈데 다니엘 네메트 크리스티안 스티븐 데이비스 콘스탄틴 부데스쿠 파울 팝 보그단 스탄쿠 할루르 한손 크리스티안 홀스트 로알두르 야콥센 브란두르 올센 파울루스 아라유리 로만 에레멩코 야르코 후르메 베라트 사딕 흐리스토스 아라비디스 니콜라오스 카렐리스 파나요티스 코네 콘스탄티노스 미트로글루 소크라티스 파파스타토풀로스 코스타스 스타필리디스 파나요티스 타흐치디스 주자크 벌라주 게러 졸탄 구즈미치 리하르트 로브렌치치 게르괴 프리슈킨 터마시 슈티에베르 졸탄 설러이 아담 크레이그 캐스카트 조시 매지니스 나이얼 맥긴 제이미 워드 오비디우 호반 클라우디우 케셰뤼 치프리안 마리카 알렉산드루 막심 라울 루세스쿠 = = 기록 = = = = = 팀 득점 기록 = = = * * * * * * = = = 팀 실점 기록 = = = * * * * * * = 진주시 = 진주시(晋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가 연결된다. 명소로는 진주성, 진주 촉석루, 진양호 등이 있고, 경상국립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등 국립대학교가 있다.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충무공동(구 금산면, 문산읍, 호탄동 일부 지역)에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관리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이 이전되었다. 시청 소재지는 상대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15면 14동이다. = = 역사 = = 청동기 시대 유물로 보아 이 시대부터 사람이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기가야시대에는 변진의 소국인 고순시국이었으며, 대가야 시대에 자타(子他) 또는 자탄(子呑)이었다.상주함창에 있었다는 고령가야를 종종 지금의 진주일대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함창이 실제로는 가야에 속한 적이 없어서이기도 하다. 삼국시대 백제의 거타성(居陀城)이었다.세종실록지리지에는 진주가 백제의 거열성(居列城)이러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거열은 원래 옛 거창지방으로 거타와 비슷해서 혼동되었던 것이다. 한편 자타, 자탄은 일본서기의 기록에 나오는 이름으로 코타コタ로 읽히는데 백제, 신라에서는 이를 그대로 거타(居陀)로 적었다. 문무왕 때 통일신라에 편입된 후 치소로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고, 신무왕 5년에는 청주(菁州), 경덕왕 16년에는 강주(康州)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는 다시 청주(菁州)로 개칭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강주(康州)로 환원되었으며, 983년(고려 성종 2년) 처음으로 십이목(十二牧)을 두었는데 이 때, 진주에 진주목(晋州牧)을 두었다. 조선 시대에는 진주를 진양(晉陽)·진강(晉江)·청주(菁州)·진산(晋山)이라고도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 제1차 진주성 전투를 통해 임진왜란 3대 대첩 중의 하나인 '진주대첩'을 거두게 되며, 이듬해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7만의 민관이 전몰하며, 왜군에 함락되기도 하였다. 1896년 조선 고종 33년에 전국을 13도로 개편함에 따라 진주는 경상남도에 속해지고 도청소재지가 되어 진주군에는 관찰사가 상주하였으며, 경남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7년 6월에는 도시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여 진주군 진주면이 되었다. 1925년 4월 1일 경상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진주면이 진주읍으로 승격하였다.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1939년에는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어, 시장에 해당하는 부윤을 두었다. 진주군은 진양군(晉陽郡)으로 개칭됐다.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함께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는 진주시로 개칭되어 시장(市長)을 두게 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진주시와 진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통합 진주시를 설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 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 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정확한 연혁은 진주시 홈페이지의 상세연혁 참조 = = 지리 = = = = = 지형 = = =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으며, 동남쪽에는 고성군, 서남쪽에는 사천시, 동쪽으로는 창원시와 함안군, 서쪽으로는 하동군, 북동쪽으로는 의령군, 북서쪽으로는 산청군과 접해있다.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악세가 비교적 험하며, 남부지역에는 봉대산(302m)·무선산(277m)·실봉산(185m)이, 북부지역에는 집현산(572m)·검무봉(280m)이 있고, 시의 중앙에는 월아산(月牙山:471m)·장군대산(將軍臺山:482m) 등이 솟아 있다. 남강이 진양호를 이룬 후 시의 중앙을 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흘러 간다. 낮은 지형이 넓으며, 이들은 만장년기(晩壯年期)에서 노년기산지(老年期山地) 형태이다 = = = 기후 = = = 기후는 지리산의 영향을 많이 받아 대륙성기후를 나타내는데, 1월 평균기온 0.3℃, 8월 평균기온 25.9℃, 연평균 기온 13.4℃이다. 분지이기 때문에 같은 위도의 다른 강수량은 1,518mm 내외로 다우지역에 속한다. 진양호의 영향으로 종종 아침에 짙은 안개가 낀다. = = 인구 = = 1974년에 27만명을 돌파, 1980년에 30만명을 돌파, 1989년에 33만명을 돌파하고 1999년에는 341,776명을 기록하여 진주시의 역대 최대 인구로 기록되어있으며 2007년까지 인구감소세를 보이다가 최근 혁신도시와 기업유치로 인해 2007년 이후로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2012년에는 337,314명을 기록하고있다. 진주시의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을 기준으로, 세대수는 130,438 가구이며, 총 337,314명이며, 남자가 167,069명으로 49.6%를 여자가 170,245명을 이루고 있다. 인구 밀도는 1km당 467명이며, 1가구당 2.7인, 학생 18.6인당 교원 1명이다.진주통계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진주시 소개 - 시민의 생활 이중 진주 시내의 인구는 262,687명으로 전체의 79.1%를 차지하며, 읍.면 단위가 69,263명으로 20.9%에 해당한다. = = 행정 구역 = = 1995년에 진주시와 진양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면적은 712.84km2이며, 하위 행정구역으로 1읍, 15면, 323리가 있다. 옛 진주시 지역은 21개 행정동(32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진주통계자료실 이후, 2013년 5월 1일 10개 행정동이 통합, 4개동으로 재편되어 행정동은 15개로 축소되었으며,망경동+강남동+칠암동+주약동 → 천전동, 성지동+봉안동 → 성북동, 중앙동+봉수동+옥봉동 → 중앙동, 상봉동동+상봉서동 → 상봉동 2013년 12월 18일 금산면 갈전리 일부, 속사리 일부, 문산읍 소문리 일부, 호탄동 일부를 합쳐 충무공동을 신설하였다. 2016년 9월 30일 인구(세대) 기준으로 진주시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읍면동 한자 세대 인구 면적 행정지도 문산읍 文山邑 3,530 8,947 39.98 내동면 奈洞面 1,672 4,359 32.12 정촌면 井村面 1,452 3,149 26.75 금곡면 金谷面 1,219 2,471 39.86 진성면 晉城面 1,098 2,188 36.4 일반성면 一班城面 1,407 2,986 19.44 이반성면 二班城面 1,018 1,783 42.58 사봉면 寺奉面 887 1,657 31.96 지수면 智水面 858 1,661 30.97 대곡면 大谷面 1,854 3,735 55.89 금산면 琴山面 7,784 23,091 32.78 집현면 集賢面 2,129 5,237 46.23 미천면 美川面 931 1,799 54.63 명석면 鳴石面 2,111 4,548 69.3 대평면 大坪面 566 1,186 41.05 수곡면 水谷面 1,242 2,443 42.5 천전동 川前洞 13,269 31,709 6.46 성북동 城北洞 6,208 12,122 1.16 중앙동 中央洞 6,796 13,414 2.04 상봉동 上鳳洞 7,438 16,321 2.62 상대동 上大洞 10,043 24,867 2.56 하대동 下大洞 10,050 26,807 2.95 상평동 上坪洞 5,622 13,451 3.05 초장동 草長洞 7,259 22,753 12.26 평거동 平居洞 10,185 28,084 2.92 신안동 新安洞 5,360 13,502 1.0 이현동 二峴洞 5,432 14,054 5.8 판문동 板門洞 8,002 23,279 17.38 가호동 加虎洞 9,496 21,633 9.5 충무공동 忠武公洞 4,351 13,211 4.077 진주시 晋州市 140,269 346,547 712.84 = = = 경남서부권 = = =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진주시,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을 경남서부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 = 군사 = = 육군 39사단 1개 연대가 금곡면에, 1개 대대가 가호동에 각각 주둔해있고, 금산면에는 공군교육사령부가 위치해 있어 공군으로 입대한 훈련병, 부사관, 장교들의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 = 경제 = = 남강을 끼고 발전한 도시이며, 자연자원이 풍족한 도·농 복합도시다. 농산물 집산지였으나 상평공단이 조성된 후 공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주요 경제분야는 농업·제조업·서비스업이다. = = = 농업 = = = 농업특산품으로는 진주배와 단감을 비롯해 오이·딸기·고추·수박·피망·파프리카·호박 등 원예작물을 생산하여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진주배 수출 200만톤, 동남아시장에서 인기최고 - 연합뉴스 2008년 8월 26일. 연간 농산물수출액은 501만 달러에 달한다. 주요 공산품은 실크·농기계부품 그리고 은장도 등의 공예품이다. 경지면적 14,193ha 가운데 논이 8,754ha 밭이 5,439ha로진주시 홈페이지의 2007 통계연보 참조 남강 유역과 그 지류에 펼쳐진 넓은 충적지가 주요곡창지대를 이룬다. 근교에서는 미곡·대맥·과맥·맥주맥·메밀·콩 등의 곡물을 주로 재배하지만, 교통의 발달로 과수·화훼 등의 시설재배도 성하여 오이·호박·수박·고추·산딸기 등 채소를 많이 재배하고, 고구마·감자·참깨도 많이 생산한다. 평거동은 원예·화훼의 중심지이다. 현재는 대부분 아파트 등 주거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집현면, 금산면, 대곡면에서는 토마토, 딸기, 고추, 오이 등을 많이 생산해 서울, 부산, 광주 등의 대도시로 출하하고, 집현면을 중심으로 인공재배되는 산딸기·배·복숭아·밤·단감 등과 목단·잎당귀 등 약용작물도 생산한다. 1970년 남강댐의 완공으로 홍수 및 가뭄 해소, 관광자원의 확보 등 많은 혜택을 보게 되었다. 임야면적은 429.7km2로 전체 면적의 60.8%를 차지할 정도로 산지가 많아 진주시 통계연보 배·복숭아·감·밤·대추·버섯·산나물·은행 등이 많이 생산되고 한우·젖소·산양 등도 많이 사육한다. 대나무가 많아 예로부터 죽세품 생산이 활발하다. 양잠업이 성하였으나 쇠퇴하는 추세이다. = = = 공산업 = = = 신화직물, 무림페이퍼, 대동중공업, 대동기어 등의 기업을 비롯한 기계·섬유·제지 중심의 공장들이 상평공단을 중심으로 입지해 있다. 견직물은 전국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일본·유럽·미주에 수출한다. 대동농기계가 경북 논공공업단지로 이전함에 따라 농기계부품 생산업체들이 한동안 심한 타격을 받았으나 창원산업기지로 거래선을 변경하였다. 일반성면에는 목기·고려은장도·조선가구 등 전통공업이 남아 있다. 상평지방산업단지·진성농공단지·이반성농공단지·대곡농공단지 4개의 농공단지가 있으며 사봉지구에 95만 평 규모의 사봉농공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상평공단은 농기계부품 생산공장을 주축으로 실크·농기계·자동차부품·제지·화공약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입주업체는 722개 업체이고, 종업원 수는 8,446명이다. = = = 상업 = = = 상설시장으로는 중앙공설시장, 초전공설시장, 서부공설시장, 중앙도매시장·도동사설시장 등이 있다. 1988년에 대안동·동성동에 준공된 지하상가가 도심의 중심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5일 정기시장이 4개소 있다. = = = = 대형마트 = = = = 이마트 진주점 홈플러스 진주점 탑마트 진주점, 서진주점, 진주충무공점, 호탄점, 주약점, 금산점 롯데몰 진주점 = = = 진주실크 = = = 1910년 경 처음으로 진주에 비단 공장이 들어섰으며, 1912년 경에는 기계를 이용한 비단 생산을 하였고, 1935년에는 인견까지 생산할 정도로 비단이 대중화되었다. 1988년 국내 유일의 한국실크연구원이 설립되었다.한국견직연구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현재 진주 비단은 대한민국 총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110개의 실크관련 업체가 있어 기업체 수는 전국대비 70%를 차지하고 있다. 구미 각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액은 연간 3천만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진주시 문산읍에는 실크전문농공단지가 있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공동브랜드로 1998년부터 실키안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 = 교육 = = 진주시는 예로부터 교육도시라고 불릴 만큼 규모에 비해 교육기관이 많은 도시이다. 조선시대에는 향교도 존재했었다. 2007년을 기준으로 대학원 9개와 3개의 대학교, 1개의 교육대학교, 2개의 전문대학, 23개의 고등학교, 21개의 중학교, 41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학교수는 총 160개에 이르며, 학생 수는 진주시 인구의 1/3에 이르는 100,601명으로 이 중 남학생이 56,898명, 여학생이 43,703명이다. = = = 학교 = = = 국립대학 경상국립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한국폴리텍VII대학 진주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립대학 연암공과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고등학교 { - 국공립 진주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경남과학고등학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경남체육고등학교 명신고등학교 진주중앙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대곡고등학교 진양고등학교 진서고등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사립 대아고등학교 진주동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삼현여자고등학교 경해여자고등학교 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경남예술고등학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 - 국공립 진주중학교 진주남중학교 중앙중학교 봉원중학교 진주여자중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진명여자중학교 제일중학교 반성중학교 대곡중학교 금곡중학교 진서중학교 명석중학교 지수중학교 문산중학교 개양중학교 사립 대아중학교 동명중학교 경해여자중학교 삼현여자중학교 진주동중학교 선인국제중학교 = = = 도서관 = = = 상대동에 진주시립연암도서관이 위치하고 있다. 2008년 10월 31일 현재 약 17만여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진주시립도서관의 장서 현황. 2008년 10월 31일. 진주시. 1998년 5월 22일에는 분관인 시립서부도서관이 개관되었다. 2006년 2월 24일에는 어린이 도서관까지 개관되었다. 대학도서관으로는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이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은 일반인도 소정의 예치금을 납부한 뒤 특별이용증을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다. = = = 교육지원청 = = = 중안동에 진주교육지원청이 있다. 2010년에 현재 청사로 이전하였다. 구 청사는 1973년에 상대동으로 이전되어 2010년까지 사용되었다. = =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 = 88.1 - BBS 부산불교방송 (진주 장군대산) 89.3 - 창원KBS 클래식FM (진주 망진산) 90.3 - 진주KBS 제1라디오 (진주 망진산) 90.9 - KNN 러브FM (창원 불모산) 91.1 - MBC경남 표준FM (하동 금오산) 91.7 - 창원KBS 제1라디오 (창원 불모산) 92.1 - 창원KBS 클래식FM (거창 감악산) 92.5 - febc 창원극동방송 (진주 장군대산) 93.5 - MBC경남 표준FM (거창 감악산) 93.9 - 창원KBS 클래식FM (창원 불모산) 94.1 - 경남CBS 표준FM (진주 망진산) 94.5 - 광주KBS 클래식FM (남해 망운산) 95.5 - TBN 경남교통방송 (창원 불모산) 95.7 - 순천KBS 제1라디오 (남해 망운산) 96.1 - MBC경남 FM4U (거창 감악산) 97.1 - 진주KBS 제1라디오 (하동 금오산) 97.7 - MBC경남 FM4U (진주 망진산) 98.1 - febc 창원극동방송 (창원 불모산) 98.7 - KNN 러브FM (진주 장군대산) 98.9 - MBC경남 표준FM (창원 불모산) 100.1 - TBN 경남교통방송 (진주 장군대산) 100.5 - MBC경남 FM4U (창원 불모산) 101.3 - 여수MBC 표준FM (남해 망운산) 101.5 - EBS 라디오 (진주 망진산) 102.5 - KNN 파워FM (창원 불모산) 103.3 - 진주KBS 제1라디오 (거창 감악산) 104.3 - EBS 라디오 (창원 불모산) 104.7 - EBS 라디오 (거창 감악산) 105.5 - KNN 파워FM (진주 장군대산) 106.1 - 창원KBS 해피FM (창원 불모산) 106.3 - EBS 라디오 (남해 망운산) 106.7 - KNN 파워FM (거창 감악산) 106.9 - 경남CBS 표준FM (창원 불모산) = = 역대 시장 =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정종철 1945년 12월 14일 ~ 1948년 11월 5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대 이상용 1948년 11월 6일 ~ 1949년 6월 24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3대 최태현 1949년 6월 25일 ~ 1950년 9월 22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4대 이박규 1950년 9월 23일 ~ 1951년 10월 5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5대 정순종 1951년 10월 6일 ~ 1952년 5월 6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6대 문우상 1952년 5월 7일 ~ 1953년 11월 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7대 김용주 1953년 11월 2일 ~ 1957년 11월 4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8대 김택조 1957년 11월 5일 ~ 1960년 5월 24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9대 김백용 1960년 5월 25일 ~ 1960년 12월 9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0대 김백용 1960년 12월 10일 ~ 1961년 5월 3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1대 이병문 1961년 6월 1일 ~ 1965년 3월 3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2대 이남두 1965년 4월 1일 ~ 1966년 8월 2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3대 김종구 1966년 8월 22일 ~ 1969년 11월 16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4대 이상희 1969년 11월 17일 ~ 1971년 8월 10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5대 윤상원 1971년 8월 11일 ~ 1973년 6월 30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6대 이선철 1973년 7월 1일 ~ 1974년 4월 2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7대 양태식 1974년 4월 22일 ~ 1974년 12월 3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8대 김철년 1975년 1월 1일 ~ 1975년 5월 29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9대 성해기 1975년 5월 30일 ~ 1976년 8월 17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0대 이병내 1976년 8월 18일 ~ 1979년 7월 15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1대 박진구 1979년 7월 16일 ~ 1981년 6월 30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2대 성호덕 1981년 7월 1일 ~ 1983년 4월 13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3대 윤희윤 1983년 4월 14일 ~ 1984년 12월 10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4대 안길현 1984년 12월 11일 ~ 1986년 12월 25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5대 문백 1986년 12월 26일 ~ 1991년 1월 9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6대 서정훈 1991년 1월 10일 ~ 1993년 7월 20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7대 이진영 1993년 7월 21일 ~ 1994년 4월 25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8대 백승두 1994년 4월 26일 ~ 1994년 12월 31일 경상남도 진주시장 제1대 백승두 1995년 1월 1일 ~ 1995년 3월 29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2대 정영석 1995년 3월 30일 ~ 1995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3대 백승두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4대 백승두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5대 정영석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6대 정영석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7대 이창희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8대 이창희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9대 조규일 2018년 7월 1일 ~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 = 교통 = = = = = 도로 = = = 시의 동서로 남해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북서에서 남동으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다. 정촌면에 두 고속도로가 만나는 진주 분기점이 있다. 관내를 통과하는 일반 국도는 3개 노선이 있다. 전라남도 신안과 부산을 잇는 국도 제2호선이 동서로 관통하고 있으며, 남해와 강원도 철원을 잇는 국도 제3호선이 시의 남쪽에서 서북쪽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외에 고성과 구미를 잇는 국도 제33호선이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출퇴근길만 되면 미어 터진다. = = = = 고속버스 = = = = 진주고속버스터미널은 천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고속버스는 진주에서 대구중앙, 용인(신갈), 서대구, 원주, 광주, 동서울, 서울경부, 성남(분당), 수원, 고양(화정), 고양(백석), 인천 등으로 연결된다. = = = = 시외버스 = = =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장대동에 위치하고 있다. 산청, 함양방면은 봉곡동 정류소를 경유하며, 그외노선은 과학기술대앞과 개양을 경유하여 각지역으로 운행된다.서울/인천노선은 진주시내 중간정차없음.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마산 거제 등 경남 ·경북등 전국 각지역으로 버스가 운행되어 서부경남의 교통허브로서의 기능을 하고있다. 현재, 시에서는 진주혁신도시, 신진주역세권신도시, 평거3,4지구같은 많은 신도심과 인접한 가좌동에 새로운 시외·고속버스 복합터미널을 설립하여 이전할 계획이지만 시외버스터미널 인근 상인들은 반대가 잇따르고 있다. = = = = 시내버스 = = = = = = = 철도 = = = 1923년 12월 1일에 마산과 진주를 잇는 진주선이 개통하였고, 1925년 6월 15일에 강남동에서 진주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1968년 2월 7일에 진주와 순천을 잇는 경전선이 개통하였으며, 기존에 있던 마산선과 진주선, 광주선이 경전선으로 통합되었다. 1993년 3월 1일에 서울행 새마을호가 개통되었으며, 2012년 10월 23일 복선전철화 사업의 일환으로 역사를 가좌동으로 이전하였고, 동년 12월 5일 마침내 마산~진주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KTX가 운행됨에 따라 진주도 반나절 생활권이 되었다. 과거에는 진주를 출발하는 열차가 다수 운행되었지만, 대전통영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의 영향으로 철도이용객이 줄어 서울행 새마을호를 비롯, 진주에서 착발하는 열차의 수가 크게 감축되었다. 그러나 2012년 12월 5일부터 하루 왕복 5회평일기준. 월요일은 6회운행 서울행 KTX· 하루 왕복 1회 새마을호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무궁화호는 서울, 부산, 순천, 대구, 목포와대구·목포·포항방면은 하루 왕복 1회으로 운행하고 있다. 이외에 일반성면에 있는 반성역이 진주시 동부 지역의 여객 수요를 감당하고 있다. 평촌역, 진주수목원역, 진성역, 갈촌역, 남문산역, 개양역, 내동역, 유수역은 폐역되었다. = = = 항공 = = = 인근 사천시에 사천공항이 있어 서울과 제주로 연결된다. 서울로는 대한항공이 매일 두 편씩 운행을 하고, 제주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매주 금요일, 일요일에 운항한다. = = 경남혁신도시 = = 혁신도시(革新都市)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사업과 연계하여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지방균형발전사업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산·학·연·관이 서로 협력하여 지역의 성장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이다. 혁신도시는 모두 4가지 유형으로 건설되며 각각 지역의 시도별 지역산업과 도시별 테마를 설정하여, 지역별로 특색있는 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충무공동 일원(4,119천m2) 기능군 : 주택건설, 중소기업진흥 등 이전기관 : 한국토지주택공사(혁신도시조성 및 이전 주관기관), 주택관리공단㈜,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국방기술품질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중앙관세분석소,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남동발전㈜ = = 문화 관광 = = = = = 진주성 = = = 진주성은 사적 제118호로 진주시 본성동과 남성동에 걸쳐 있다. 둘레는 1.7km이고, 1592년 여기서 진주대첩인 제1차 진주성 전투와 제2차 진주성 전투가 일어났다. 성의 정문은 촉석문이며 옆에는 공북문이 있고, 파수대와 지휘대의 역할을 했던 북장대와 서장대가 있다. 진주 촉석루를 비롯해 의암과 의기사, 임진왜란 때 순국한 호국선열들을 모신 창열사와 호국사, 문익점의 장인인 정척익을 모신 청계서원과 고려조 거란의 2차 침입때 볼모가 된 하공진을 모신 경절사가 있다. 현대에 와서 김시민 장군의 동상과 전공비가 세워졌으며,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인 국립진주박물관도 진주성 안에 있다. 진주 촉석루는 임진왜란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남장대 대신 지휘소로 사용되던 누각으로,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8호이다. 4개의 현판에서 다산 정약용, 매천 황현, 수주 변영로, 명기 산홍 등 진주의 충절을 노래한 시인묵객들의 시판을 볼 수 있다. 촉석루는 강 건너에서 볼 때 더 아름답다. 촉석루 바로 아래쪽에 있는 바위가 의암으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이다.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안고 남강으로 투신했으며, 논개를 기리는 비인 의암사적비가 바로 뒤쪽에 서 있다. 이 바위의 의암(義巖)이라는 글자는 1629년 정대륭이 쓴 글이다. 의기사는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셔 둔 사당이며,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7호이다. 다산 정약용의 중수기와 더불어 을사조약 때 한탄을 하며 목숨을 끊은 매천 황현의 시판과 구한말 진주기생으로 산홍의 시판이 걸려있다. 창열사는 1593년 7월 29일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국한 순국선열들을 기리기 위해서 지은 사액 서원으로,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은 서원으로 김시민 장군, 최경회 장군 등의 선열들을 모셔두고 있다. = = = 국립진주박물관 = = = 진주성 중심에 위치한 국립진주박물관은 진주성이 가진 역사성을 부각하게 위해서, 임진왜란 전문 역사테마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전에는 가야 관련 유물들도 많이 전시하였으나 국립김해박물관이 생기면서 그쪽으로 유물들이 대부분 옮겨 갔고 대신 테마를 임진왜란 위주로 바꾸게 되었다. 1,2층은 상설전시실이고, 별관으로 두암실과 기획전시실이 있다. 1층 전시실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문학, 서화, 음악 등 전반에 걸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고, 2층 전시실에는 일본의 침략준비,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이 담긴 석담일기, 은봉전서 등을 전시하고 있다. 두암실에는 고 김용두 선생이 기증한 기증 유물을 중심으로 자기와 화폭, 서적 등이 전시되고 있다. = = = 진양호 = = = 진양호는 남강과 덕천강의 합류지점에 건설한 남강댐으로 인해 생긴 인공 호수로, 진주시의 상수원이다. 진주시를 대표하는 인공호수이며, 경치가 빼어나 호수 일대는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저녁 노을이 특히 아름답다. 진양호 인근에는 특별한미술관이 있다.복합문화공간 별의정원이 있다. ( 문화예술공간은 지역예술인들의 각종 미술,공예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 = = 음식 = = = 진주비빔밥(화반), 교방음식, 진주 헛제사밥, 진주냉면 등이 유명하다. 진주비빔밥축제는 매년 5월 네째주 금, 토, 일에 진주성 부근에서 펼쳐진다. = = = = 진주비빔밥 = = = = 진주비빔밥은 칠보화반이라고도 하며, 둥근 놋그릇을 이용하여, 흰빛의 밥테, 다섯 가지 나물이 어우러져서 7가지 색상의 꽃 모양의 비빔밥을 만드는데 이것이 진주비빔밥이다. 전통 음식으로 무쇠 솥에 장작불로 밥을 짓고, 나물을 무친다음, 육회를 가늘게 썰어서 참기름을 더한다. 국으로는 선짓국을 만들고, 바지락을 이용해 보탕국을 만든다. 놋그릇에 육수로 지은 밥을 담고, 나물로 꽃 모양으로 장식을 하고 푸른 해초를 얹는다. 보탕국과 선짓국으로 함께 상을 차린 것이 바로 진주 비빔밥이다. = = = = 진주헛제사밥 = = = = 진주헛제사밥은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나물을 이용해, 제사를 지낸 후 먹는 음식을 따로 음식점용으로 만든 것이다. 제사에 쓰는 고사리와 산채, 무나물을 참기름에 볶아서 준비를 하고 시금치를 데쳐서 무친다. 생선으로는 도미나 민어를 찌져 준비를 하고, 산적과 통태전을 준비한다. 제사밥에 같이 놓는 국을 끓이는데, 조개, 대합, 홍합 등의 해산물과 무, 두부를 넣고 끓인다. 과일로는 사과, 배, 귤, 밤 등 계절 과일을 이용한다. 상에는 밥과 나물, 국을 놓고, 다음에 생선, 전, 고기률 놓고 뒷 쪽에는 후식용 떡과 과일 놓인다. = = = = 진주장어구이 = = = = 민물장어구이는 전통 음식은 아니지만, 진주성 길목에는 장어구이 음식점들이 유명하며, 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비린 내가 없고 맛이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유정장어와 풍국민물 장어가 전문 요리점으로는 유명하다. = = = = 진주냉면 = = = = 진주냉면은 함흥냉면이나 평양냉면처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있지 않으나, 조선시대부터 양반들이 권번가에서 야참으로 주로 먹었던 것이며, 1994년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민족전통식생활풍습 부분에 "냉면 중 제일로 여기는 것은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이다" 고 적혀있기도 하다. 일반적인 냉면과 달리 해물을 육수의 재료로 사용하며, 모양새가 화려하다는 특징이 있다. = = = 축제 = = = 진주에서는 매년 10월에 축제가 벌어지며, 이중에서도 남강을 테마로 해서 개천예술제와 전야제로 벌어지는 진주남강유등축제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내에서도 진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이 독특한 행사는 진주 남강에 유등을 띄워 1593년 7월 29일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전몰한 7만여명의 민관을 위로하는 행사로, 논개 축제와 더불어 드라마 축제, 전국 소싸움 대회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의 한국과 아시아드라마 관련 행사인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이 매년 가을 진주성과 남강변에서 개최된다. = = = = 진주남강유등축제 = = = = 개천예술제와 함께 개최되는 테마 축제이다. 1592년 진주대첩 당시 진주 남강에 유등을 띄워, 남강을 건너려던 왜군을 저지한 전술을 사용했는데, 이것에서 유래된 축제이다. 개천예술제의 부속행사로 개최되다가 2002년부터 본격적인 테마 축제로 발전되기 시작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연속으로 문화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었고, 2011년에는 국가대표축제로 선정되었다.홈페이지 = = = = 개천예술제 = = = = 개천예술제는 매년 10월 초에 10일간 개최되며, 진주 시내의 모든 거리가 축제의 장으로 바뀐다. 외국에도 널리 알려져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잡았다. 이 기간에 진주남강유등축제가 함께 개최된다. = = = = 진주논개제 = = = = 진주논개제는 매년 5월에 개최되며, 의기 논개의 아름다움과 그 애국심을 기리고 있으며, 의암에서 왜장과 함께 빠져죽은 충절의 넋을 기리고 있다. = = = = 전국 소싸움 대회 = = = = 진주의 전국 소싸움 대회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싸움 대회로 진양호 근처의 전문 경기장에서 치러지며, 투우와는 또 다른 한국적인 독특한 미를 맛볼 수 있다. = = = =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 = = = 농업에 과학을 접목한 기존 농업박람회에 식품·축산분야 전시와 체험을 추가하면서 농업의 과학화와 산업화에 큰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세계시장 개방화에 따라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농업의 현실과 미래농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공간을 마련하고도시민에게는 첨단농업 기술전시와 농업을 이해할 수 있는 체험형 박람회로 운영하고 있다. 첨단농기계관, 농자재관, 해외관/미래산업관, 녹색식품관, 6차산업관, 종자생명관, 펫산업관으로 구성된다. = = = = 진주 문화자산과 문화산업 = = = = 진주의 민속예술 분야 문화자산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진주삼천포농악’,'진주검무'등 2종목의 국가무형문화재와 ‘한량무’, '진주포구락무', '진주교방굿거리춤', '신관용류가야금산조', '진주오광대' 등 5종목의 경상남도 무형문화재가 있다. 한국형 써커스‘솟대쟁이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로 등재를 앞두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 기록자산인 ‘교방가요’는 153년 전 저술되어 지역의 민속예술 전통을 뒷받침 해왔다. 현재 진주의 문화자산에 기반 한 공연예술 산업에는 무형문화재보존회 8개와 전문예술단체 12개, 협회 11개, 생활예술교육단체 16개 등 총 47개 집단이 활동하고 있다. 공예분야의 문화자산으로는 ‘소목장,'장도장','두석장' 등 3종목의 경상남도 무형문화재와 1.000년의 역사를 지닌 진주비단(실크) 문화가 있다. 또한 노동부에서 지정한 1명의 대한민국 가구제작 명장이 활동한다. 전승된 전통 공예기술은 185개의 공예 제작업체를 통해 산업화되고 있다. = = 경남일보 = = 1909년 10월 15일 창간한 한국 최초의 지방신문인 경남일보가 진주시 상평동에 자리를 잡고 있다. 경남일보는 대한민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문이며 경남일보의 회사소개, 제1대 주필로는 시일야 방성대곡으로 필화를 입은 위암 장지연 선생이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매천 황현의 '절명시'를 실어 정간을 당하는 등 일제와 공산주의, 군사정권에 항거하다 수차례 강제 폐간을 당하였고, 1980년 신군부의 언론 통폐합 작업으로 그 해 11월 25일 강제 폐간을 당했다가 1989년 11월 25일 신경남일보로 개칭하여 복간하였다. 2000년 다시 제호를 경남일보로 변경하였다. 경남일보의 연혁 = = 자매 지역 = = 체결 연월일 도시 이름 국가 기타 1961년 1월 10일 댈러스 자매도시 1985년 5월 16일 기타미 자매도시 1984년 4월 1일 위니펙 자매도시 1999년 11월 10일 마쓰에 우호교류도시 2000년 7월 25일 정저우 우호교류도시 2007년 8월 4일 옴스크 우호교류도시 2016년 5월 16일 시안 자매도시 1999년 4월 27일 교토 파트너시티(학술분야 파트너시티 협정) 1998년 9월 25일 순천시 국내 자매결연도시 2004년 6월 11일 아산 국내 자매결연도시 2004년 11월 19일 안동 국내 자매결연도시 2004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국내 자매결연도시 = 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272조 = 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272조는 변론의 집중과 준비에 대한 민사소송법조문이다. = 분류:아이슬란드의 가수 = = 로미 슈나이더상 = 로미 슈나이더상은 연간 프랑스 영화상으로, 프랑스 영화 산업에서 활동하는 젊은 여자 배우들을 대상으로 한 상이다. 프랑스의 저널리스트인 마를린 무와누와 외젠 무와누가 만들었으며 1984년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상 이름은 프랑스의 배우 로미 슈나이더의 이름에서 따왔다. 매년 심사위원들이 파리에서 파트릭 드베르상과 함께 시상한다. = = 역대 수상자 = = 1984 – 크리스틴 브와송 1985 – 엘리자베스 부르진 1986 – 쥘리에트 비노슈 1987 – 카트린 무셰 1988 – 패니 바스티앙 1989 – 마틸다 메이 1990 – 바네사 파라디 1991 – 안 브로셰 1992 – 아누크 그랭베르 1993 – 엘자 질베르슈테인 1994 – 잔드라 스파이샤트 (독일) 1995 – 상드린 키베를랭 1996 – 마리 질랭 (벨기에) 1997 – 쥘리 가예 1998 – 이자벨 카레 1999 – 마틸드 세니에르 2000 – 클로틸드 쿠로 2001 – 엘렌 드 푸제롤 2002 – 엠마 드 콘 2003 – 뤼디빈 사니에 2004 – 로라 스메트 2005 – 세실 드 프랑스 (벨기에) 2006 – 멜라니 로랑 2007 – (미수여) 2008 – 오드리 다나 2009 – 데보라 프랑수아 (벨기에) 2010 – 마리조제 크로즈 (캐나다) 2011 – 아나이스 드무스티에 2012 – 베레니스 베조 2013 – 셀린 살레트 2014 –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2015 – 아델 에넬 2016 – 루 드 라주 2017 – (미수여) 2018 – 아들린 데르미 2019 – 디안 룩셀 = 니우에 = 니우에는 오세아니아의 폴리네시아에 있는 나라이다. 뉴질랜드 북동쪽, 통가의 동쪽, 사모아의 남쪽에 있다.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에 있으며, 군사와 외교는 뉴질랜드에 위임되어 있다. 국민은 뉴질랜드 국적이다. 총 면적은 259km2이며, 총 인구는 1,500-2,000명 정도지만, 경제 침체 등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수도는 알로피이고, 공용어는 니우에어와 영어이다. 입헌군주제로 원수는 영국 국왕 찰스 3세이며, 총독은 뉴질랜드 총독이 겸임하고 있다. = = 역사 = = 니우에에 인류가 언제 도달했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으며, 고고학 연구에서 유추하면, 기원전 10세기 무렵 사모아와 통가에 라피타인이 도달함에 이어 식민지가 되었거나, 혹은 1세기에서 5세기 무렵 마르키즈 제도와 소시에테 제도에 폴리네시아 문화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식민지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니우에는 태평양의 다른 섬들과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있었기 때문에 니우에의 역사가 기록되기 전까지의 많은 부분을 다른 태평양 지역의 공동체에서 전해지는 구전이나 설화에 의존한다. Owing to its geographical isolation (Figure 1) and the observation that ‘Niuean prehistory has been characterised by isolation, rather than by interaction with other islands or archipelagoes’,4 authentic indigenous myths from Niue may be more likely than those of similar antiquity from other Pacific Islands to have been preserved unchanged. 언어학적 연구에서는 13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통가 해상제국이 번성했던 시기에 이 세력권 아래에 들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유럽인들이 폴리네시아 나타난 이후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1774년 - 쿡 선장이 내항한다. 1846년 - 누카이 페니아미나들의 사모아인 기독교 선교사단이 진출한다. 1900년 - 니우에 국왕의 요청에 따라 영국보호령이 된다. 1901년 - 쿡 제도의 일부로 뉴질랜드의 속령이 된다. 1974년 - 내정 자치권을 획득하여,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국가가 된다. = = 지리 = = 니우에와 가장 가까운 것은 정 서쪽으로 420 km 떨어진 통가의 바바우 군도이다. 뉴질랜드는 남서로 2300km나 떨어져 있다. 니우에에는 세계 최대의 산호초 섬이 있고, 해면상 약 60m에 걸쳐 있는 석회암 절벽이 서 있고, 그 지형이 거의 섬 전체로 이어지고 있다. 즉 대지 형태이며, 산악이나 호수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섬의 모양은 남북이 조금 긴 타원꼴이다. 수도 알로피와 남부 아바테레는 만 형태의 지형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알로피를 중심으로 하여 북서부에서 서쪽 해안 지대에 집중되어 있다. 기후는 사바나로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가 우기가 된다. 시차는 뉴질랜드 본토와 23시간이며, 본토 서머타임 채용 시 24시간 (하루 1일)이다. = = 문화 = = 니우에인은 언어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사모아인과 통가인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니우에인은 섬의 북쪽인 모투해변에 거주하는 사모아 계통의 사람들과 남쪽 타파이에 거주하는 통가 계통의 사람들로 이뤄져있다. 1849년 런던선교사회(London Missionary Society, LMS)는 첫번째 사모아인 선교사를 니우에섬에 파견했고, 그의 유럽인 아내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니우에섬에 처음으로 유럽인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니우에인들은 주로 개신교를 믿으며 이외 다른 기독교 종파로는 가톨릭, 후기성도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사도교회(Apostolics), 여호와의 증인 등이 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니누에섬으로 들어오면서 니누에인 외에도 뉴질랜드인, 호주인, 사모아인, 통가인, 투발루인, 피지인들이 니우에섬을 구성하게 되었다. 니우에 신화는 후아나키와 파오 두 사람이 니우에에 처음으로 정착한 사람들이라고 전한다. 여기서 후아나키와 파오라는 사람이 처음 니우에에 정착한 사람들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것인지 아니면 하와이의 마우이 설화에 등장하는 반인반신 쿠푸아를 뜻하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태평양 지역의 신화들과 비슷한 특징을 공유한다. authentic indigenous myths from Niue may be more likely than those of similar antiquity from other Pacific Islands to have been preserved unchanged. Traditions concerning the ‘first’ people to settle on Niue state that they were named Huanaki and Fao. Some recall that Huanaki and Fao were the leaders or chiefs of a group of five persons who were or became tupua, translated as ‘deified personages’ by Percy Smith and cognate with kupua, the demigods of Hawai’ian tradition. = 사모안 웨딩 = 사모안 웨딩(Sione's Wedding)은 뉴질랜드에서 제작된 크리스 그레이엄 감독의 2006년 코미디 영화이다. 오스카 카이틀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존 바넷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스카 카이틀리 이아헤토 아 히 = = = 조연 = = = 심팰 렐리시 로비 마가시바 매들린 새미 데이비드 페인 나다니엘 리즈 데이빗 반 혼 켈슨 헨더슨 딜런 타비타 사라 와이즈먼 레이첼 길크리스트 고어레티 채드윅 플러 세빌 파시투아 아모사 아레니 터푸가 = = 제작진 = = 미술: 닉 바셋 = 651 = 651(육백오십일)은 650보다 크고 652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3, 7, 21, 31, 93, 217, 651이다. = = 기타 = = 연도: 651년 기원전 651년 6e02 651 = 볼린 = 볼린은 다음 등을 가리킨다. 볼린():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인 볼히니아의 우크라이나어 이름 볼린주(): 우크라이나 북서부에 위치한 주 볼린섬(): 발트해에 위치한 폴란드의 섬 볼린(): 폴란드 북서부 서포모제주에 위치한 도시 우크라이나의 아나키스트 프셰볼로트 아이헨바움의 필명. = 나가이 히토시 = 나가이 히토시(永井 均)는 일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의 한 명이다.Mamoru Katsumori mentions Nagai as one of the four distinguished contemporary philosophers in Japan 現代日本哲学への問い 니혼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형이상학과 메타윤리학이다.See Special Issue on Hitoshi Nagai's philosophy in the journal Tetsugaku 저서 중에는 독특한 형이상학적 관점으로 유아론을 해석한 <아이>를 위한 철학(〈子ども〉のための哲学), 전학생과 블랙 잭: 독재성을 둘러싼 세미나(転校生とブラック・ジャック――独在性をめぐるセミナー) 등이 있다. 나가이의 철학은 비트겐슈타인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으나 나가이는 비트겐슈타인이 자신의 철학적 작업에서 미처 다 밝히지 못한 유아론의 중요한 측면을 성공적으로 설명한다. 나가이는 (<나>와 같이) 유아론적 주제는 일반 언어를 사용하여 지적될 수 있으나 우리의 일반 언어의 독특한 기능 때문에 이러한 지적은 매번 실패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특성을 독재성(独在性)이라고 부른다."Philosophy for Kids!" = 분류:아이슬란드의 기념물 = = 크로스본즈 (마블 코믹스) = 크로스본즈는 마블 코믹스에서 출간한 만화책에 등장하는 슈퍼빌런 캐릭터이다. 본명은 브록 럼로이다.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에서는 프랭크 그릴로가 연기하였다. = 김정혜 (1868년) = 김정혜(金貞蕙, 1868년 ~ 1915년)는 대한제국의 여성 교육계몽운동가이다. = = 생애 = = 경기도 파주에서 남원 양씨(南原梁氏) 문중의 여식으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황해도 수안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훗날 황해도 개성에서 성장하였으며 1878년 11세 시절 출가하여 1881년 14세 시절에 상배(喪配)하면서 미망인이 되었다. 이후 1908년 개성 송계학당(開城 松桂學堂)을 인수하여 젊은 미망인들 혹은 젊은 과부들을 위한 신학문 학습처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그 해(1908년) 개신교 신자 입문하면서 이름을 김정혜로 개명하였다. 1910년 대한제국 학부(大韓帝國 學部)의 설립 인가되면서 함께 정화여자고등보통학교(貞和女子高等普通學校)로 개칭되었으며, 훗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화여학교 재단으로 개편되었다. 1915년 사재를 털어 재단법인 정화학교를 설립한 후 사망, 장례는 개성군 사회장(社會葬)으로 치러졌다. 훗날 캐나다 출신의 대한민국 항일 사회 운동가 석호필(石虎弼) 前 장로회신학대학교 전임교수가 그녀를 사모(師母)로 섬기는 등 해외 출신 기독교 신자들의 추모를 받기도 하였다. = 분류:브라질의 십대 영화 = 브라질 십대 en:Category:Brazilian teen films = 프리츠 랑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안톤 "프리츠" 랑(Friedrich Christian Anton "Fritz" Lang, 1890년 12월 5일 ~ 1976년 8월 2일)은 오스트리아-독일-미국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영화 제작자이며, 독일 표현주의 예술가이다. 가장 중요한 그의 작품은, 그가 미국으로 가기 전 만든 혁명적인 영화 메트로폴리스와 M이다. = = 생애와 경력 = = = = = 초기 경력 = = = 랑은 빈에서 건축가였던 아버지 안톤 랑과 그의 아내 폴린 랑의 두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890년 12월 28일 세례를 받았다. 그의 부모는 모라비아 출신이었다. 랑의 부모는 종교를 심각하게 받아들였고, 랑을 가톨릭 교도로 기르는 데 전념했다. 랑은 훗날 영화에서 가톨릭에서 영향을 받은 주제를 갖게 된다. 학교를 마치고, 랑은 빈 공과대학에 진학하여 토목 공학을 배우다 갑작스레 예술로 전과한다. 1910년, 그는 세계를 여행하기 위해 빈을 떠났다. 그는 유럽, 아프리카를 여행했으며, 이후에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까지 여행했다. 1913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회화를 공부했다. 갑작스레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랑은 빈으로 돌아와 오스트리아 군에 자원입대했다. 그는 러시아와 루마니아 지역에서의 전투에 참가하였고, 그곳에서 세 차례 부상을 입었다. 1916년, 랑은 전쟁에서 입은 상처와 전투 피로증에서 회복되는 동안 몇몇 시나리오와 영화를 위한 아이디어를 썼다. 그는 1918년 중위의 신분으로 제대하였으며 에리히 포머의 영화사인 데클라에 고용되기 전까지 빈에서 잠시 연기 활동을 하기도 했다. 랑은 무신론자였다. = = = 표현주의 영화: 바이마르 시기 (1918~1933) = = = 그가 독일 UFA 스튜디오, 그리고 이후에 네로 필름에서 감독으로 일하기 시작한 때는 막 표현주의 영화가 고개를 들던 시점이었다. 이 그의 경력에 있어 초기에 해당하는 시점에서, 그는 운명과 스파이더 같은 인기있는 스릴러를 교차해서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영화에서 대중적인 장르와 표현주의적 기술을 섞어 대중 문화와 예술 영화 간의 전례 없는 통합을 창조하고자 하였다. 1920년, 랑은 훗날 자신의 아내가 되는 작가 테아 폰 하르보우를 만난다. 하르보우와 랑은 1921년부터 1933년까지 네 시간이 넘는 마부제 박사 삼부작의 첫 번째 작품인 도박사 마부제 박사 (1922), 다섯 시간의 니벨룽겐의 노래 (1924), 유명한 1927년 작품 메트로폴리스, SF 영화 달의 여인 등의 각본을 함께 썼다. 메트로폴리스는 제작 예산을 훌쩍 넘었으며, 우파 사업가이자 정치인인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에게 인수된 UFA 스튜디오를 거의 파산으로 몰고 갔다. 또한 훗날 랑이 자신의 회사에서 제작한 마지막 무성영화인 스파이 (1928)와 달의 여인 역시 상업적으로 실패하게 된다. 1931년, 독립 제작자인 시모어 네벤잘은 영화 M의 제작을 위해 랑을 네로 필름에 고용한다. 그의 첫 번째 유성 영화이자, 많은 영화 학자들에게서 초기 유성 영화 시대의 걸작으로 여겨지는 M은 추적당하고 베를린의 지하 범죄 세계로 끌려가게 되는 아동 살해자의 이야기를 다룬 혼란스러운 작품이다. M은 위대한 작품으로 남았으며, 1951년 조지프 로지에 의해 리메이크되었으나, 관객들에게 냉대받았고, 오늘날 이 리메이크는 원작보다 보기 어려워졌다. 당시 증언에 따르자면, 랑은 M의 마지막 씬에서 주연 배우 페터 로레의 초라한 모습에 사실성을 부여하고자 그를 계단에서 던졌다고 한다. 함께 작업하기가 고된 것으로 알려진 랑은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이나 오토 프레밍거와 함께 독재적인 독일 감독의 스테레오타입으로 여겨진다. 그의 외알 안경 또한 스테레오타입의 한 요소로서 여겨지고 있다. 랑은 독일 시기의 영화의 반복되는 테마인 정신적 혼란, 편집증, 운명, 애매모호한 도덕 등으로 훗날 필름 누아르에 영향을 주게 된다. 1932년 말, 랑은 마부제 박사의 유언의 촬영을 시작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33년 1월에 정권을 잡았고, 3월 30일, 새로운 정권은 이 작품을 사회적 혼란을 선동한다는 이유로 금지했다. 마부제 박사의 유언은 가끔 반나치 영화로 간주되기도 한다. 랑은 부분적으로는 그의 유대 혈통의 탓에 나치 정권의 도래에 긴장했지만, 이에 반해 그의 아내이자 각본가인 테아 폰 하르보우는 1930년대 초반, 나치의 이념에 공감하기 시작했으며, 1940년에는 나치당에 가입했다. 랑과 하르보우는 곧 이혼했다. 랑의 공포는 그가 오스트리아를 떠나자 현실화되었다. 뉘른베르크법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개종한 가톨릭 교도이며 랑 역시 가톨릭 교도로 길러졌음에도 그는 유대인으로 인식되었다. = = = 이민 = = = 랑의 증언에 따르면, 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랑의 작품, 마부제 박사의 유언이 국가로부터 금지당했음에도 랑의 영화감독으로서의 능력에 감화되어 (특히 메트로폴리스) 랑을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 그에게 독일 영화 스튜디오 UFA의 수장을 맡으라고 제안했다. 랑은 자신이 파리로 떠나리란 결심을 굳건히 한 때가 이 만남 도중이었다고 밝혔다. 랑은 만남이 끝날 무렵엔 은행들이 닫혀 있어 자신은 이른 아침에야 떠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증언은 랑이 1933년 독일을 여행했다는 여권 기록이 밝혀짐에 따라 틀린 증언이었음이 밝혀졌다. 랑은 1933년 7월 31일, 괴벨스와의 만남 후 4개월이 지나 베를린을 떠났다. 그는 파리를 향했다. 파리에서 랑은 몰나르 페렌츠의 희곡을 원작으로, 샤를 보예를 주연으로 하여 릴리옴을 제작했다. 이 작품은 프랑스어로 제작된 유일한 랑의 작품이다. 그는 이후 미국으로 떠났다. = = = 할리우드에서의 경력 (1936~1957) = = = 처음으로, 할리우드에서 랑은 MGM과 계약했다. 그의 첫번째 미국 작품은 스펜서 트레이시를 주연으로 한 범죄 드라마 분노였다. 범죄 누명을 쓴 주인공이 유죄 판결을 받고 그를 린치하려는 폭도들이 감옥에 불을 질러 거의 죽을 뻔 한다는 내용의 영화이다. 시작부터 랑은 미국의 제약들에 맞서 고군분투했다. 그러므로, 격노에서 그는 흑인들이 린치당하는 시나리오나 인종주의에 대한 비판을 영화 내에 삽입할 수 없었다. 그의 반나치 영화들과 브레히트, 한스 아이슬러와의 친분 탓에 랑은 조지프 매카시의 의심을 받기도 했다. 랑은 1939년 미국에 귀화했다. 그는 20년간 미국에서 활동하며 23편의 영화를 제작했으며, 모든 메이저 스튜디오에서 다양한 장르에 손댔고, 때때로 독립 영화의 형식으로 그의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랑의 미국 시절 영화들은 그의 초기 영화들에 비하면 오늘날의 비평가들에게 지지받지 못하는 편이나, 이 영화들의 절제된 표현주의는 필름 누아르와 같은 미국 장르 영화의 발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다. 랑의 1945년 작품인 진홍의 거리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랑의 가장 유명한 필름 누아르는 리 마빈이 글로리아 그레이엄의 얼굴에 펄펄 끓는 커피를 쏟는 장면 같은 부분에서 타협 없는 잔혹성이 지적되곤 하는 경찰 드라마 빅 히트이다. 랑의 시각적 스타일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제약으로 인해 그의 세계관은 한층 더 염세적이고, 차갑고, 기하학적으로 변해갔다. 이런 특징은 랑의 마지막 미국 영화들인 도시가 잠든 사이에와 이유 없는 의심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그의 성미에 맞는 제작 환경이나 후원자를 찾기 어려워지고, 나이가 듦에 따라 건강도 악화되자, 랑은 은퇴를 고심했다. 이때, 독일 프로듀서인 아르투어 브라우너가 테아 폰 하르보우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인도의 무덤을 리메이크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랑은 1920년대, 인도의 무덤의 영화화 과정에서 제작에만 참여했다). 랑은 이 '인도 서사시'를 완성하기 위해 독일로 돌아갔다 (인도의 무덤과 벵갈의 호랑이가 '인도 서사시'의 작품들이다). 두 작품의 제작 이후, 브라우너는 랑이 마부제 박사 시리즈의 신작을 만들고 싶다며 접근하자 촬영을 준비했다. 결과물은 마부제 박사의 천 개의 눈 (1960)이었으며, 이 작품의 상업적 성공은 마부제 박사 시리즈를 계속하여 제작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브라우너는 이 시리즈 전체의 제작에 참여하였으나, 랑은 그 어떤 후속작도 감독하지 않았다. 랑은 이 영화를 제작하던 중 시력을 잃어 갔고, 이 작품은 랑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1963년, 랑은 장 뤽 고다르의 영화, 경멸에 본인 역할로 출연하였다. = = = 말년과 사망 = = = 1960년 2월 8일, 랑은 현대 영화 산업에 대한 공로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1976년, 랑은 뇌졸중으로 사망했고,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힐스의 포리스트 론 메모리얼 파크에 묻혔다. 랑의 후기 영화들은 널리 평가받지 못한 편이나, 그의 작품들은 카예 뒤 시네마의 프랑수아 트뤼포나 자크 리베트와 같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랑의 영향을 받은 감독들로는 자크 리베트나 윌리엄 프리드킨이 꼽힌다. = = 작품 목록 = = 프리츠 랑의 감독 작품 연도 작품명 원제 기타 1919 할블루트 Halbblut 유실된 작품이다. 1919 사랑의 주인 Der Herr der Liebe 유실된 작품이다. 1919 거미 Die Spinnen 1. Teil: Der goldene See 1919 할복 Harakiri 1920 거미 2 Die Spinnen 2. Teil: Das Brillantenschiff 1920 떠도는 이미지 Das wandernde Bild 1921 여자를 둘러싼 넷 Vier um die Frau 1921 운명 Der müde Tod 1922 도박사 마부제 박사 Dr. Mabuse, der Spieler 1924 니벨룽겐의 노래 Die Nibelungen 1927 메트로폴리스 Metropolis 1928 스파이 Spione 1929 달의 여인 Frau im Mond 1931 M M 1933 마부제 박사의 유언 Das Testament des Dr. Mabuse 1934 릴리옴 Liliom 1936 분노 Fury 1937 단 한번 뿐인 삶 You Only Live Once 1938 당신과 나 You and Me 1940 프랭크 제임스의 귀환 The Return of Frank James 1941 웨스턴 유니언 Western Union 1941 인간 사냥 Man Hunt 1942 문타이드 Moontide 랑은 촬영 초기에 촬영장을 떠났으며, 엔드 크레디트엔 감독 아치 마요로 명시되어 있다. 1943 사형집행인 또한 죽는다 Hangmen Also Die! 1944 공포의 내각 Ministry of Fear 1944 창 속의 여인 The Woman in the Window 1945 진홍의 거리 Scarlet Street 1946 클록 앤 대거 Cloak and Dagger 1948 비밀의 문 Secret Beyond the Door 1950 강가의 집 House by the River 1950 필리핀의 미국인 게릴라 American Guerrilla in the Philippines 1952 오명의 목장 Rancho Notorious 1952 밤의 충돌 Clash by Night 1953 블루 가디니아 The Blue Gardenia 1953 빅 히트 The Big Heat 1954 인간의 욕망 Human Desire 1955 문플릿 Moonfleet 1956 도시가 잠든 사이에 While the City Sleeps 1956 이유 없는 의심 Beyond a Reasonable Doubt 1959 벵갈의 호랑이 The Tiger of Eschnapur 1959 인도의 무덤 The Indian Tomb 1960 마부제 박사의 천 개의 눈 The Thousand Eyes of Dr. Mabuse = 온 더 록스 = 온 더 록스는 2020년 개봉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소피아 코폴라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2020 뉴욕 영화제에서 전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 분류:동래구 출신 = = 제랄딘 = 제랄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제랄딘 펠라스: 프랑스의 배우 제랄딘 나카시: 프랑스의 배우 =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9년 제21주 = = = 백: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이 무사히 종료되었습니다 = = 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이 무사히 종료되었습니다. 에디터톤 결과는 백: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결과에서 학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방 에디터톤은 앞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며 여성 편집자들과 위키백과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다음은 5월 18일 에디터톤에서 나눈 대화입니다. Motoko C. K. (토론) 2019년 5월 20일 (월) 14:24 (KST) 백: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대화/2019년 5월 18일 = = 편집 요약 삭제 요청 = = 2018년 10월 4일부터 8일까지의 편집 요약은 사용자: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편집한 것으로 삭제를 요청합니다. 117.111.24.1 (토론) 2019년 5월 20일 (월) 18:56 (KST) = = 한국위키미디어협회 정회원 모집 알림 = = 한국위키미디어협회는 대한민국 지역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후원하고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2019년 위키미디어재단 가맹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정식 지부이기도 합니다. 협회의 목표는 자유 라이선스나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되는 교육 컨텐츠를 수집하거나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확신시키는 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을 지원하고 이러한 활동을 촉진하는데 있습니다. 자원 활동가와 사용자들을 돕기 위해 여러분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이 본 회의 정회원을 모집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회원 대상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총회에 참여하여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납부하신 회비에 대해 기부금 세액 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회원 가입 양식(입회신청서)를 제출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회원 가입 신청 다른 문의사항이 있으면 officewikimedia.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19년 5월 20일 (월) 19:02 (KST) = = 위키백과에 관리자가 몇 명이던가요? = = 백:문서 이동 요청이 4월 11일 이후로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저 24시간, 하루이틀 늦어지는 것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여지가 있습니다만 무려 한 달 이상이 지나도록 지체되는 것에 있어서는 현재 위백에 등록되어 있는 백:관리자님들 모두의 속시원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맡은 바 소임을 열심히 해주시는 관리자분들이 계시다는 걸 모르는 바가 아닙니다만 현재의 위백 규모상 관리자임에도 관리를 등한시하는 분들을 언제까지고 그저 모른 척할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9년 5월 20일 (월) 20:05 (KST) = = 문서 이동 요청란의 개선 제안 = = 현재 백:문서 이동 요청의 가부를 관리자가 섣불리 판단하지 못하는 이유엔 (제 나름대로 그분들의 입장을 헤아려본다면) 관리자 1인이 그 이동에 따른 책임을 지고 싶지 않다는 심리가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히려 관리자의 판단이 필요없는 문서 이동의 경우 어떠한 토론이나 총의의 동의도 없이 일단 바꾸고 보는 행태가 너무나 완연합니다. 오히려 관리자의 판단 내지 총의의 판단을 기다리다가 불이익을 보는 문서 이동의 사례가 한두 건이 아닙니다. 사실 백:이동은 백:삭제나 백:차단에 비해 그 폐단이 거의 없고 규정상으로도 그에 대한 규제가 적습니다만 지금껏 백:다중 계정 악용자들의 터무니없는 공격이 꾸준했던 분야이기도 합니다. 다중 계정 악용자 내지 규정 위반자들은 일부러 문서 역사에 엄한 기록을 남겨 그 이동을 방해하고 조금이라도 트집을 잡아 건실한 사용자 및 관리자들을 끌어내리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문서 이동에 있어서는 현행 백:삭제 토론처럼 백:문서 이동 토론을 신설해 각 사용자들의 총의를 묻는 구조가 어떨까 합니다. 그만큼 백:관리자의 부담은 줄이면서도 백:사용자들의 의견을 보다 쉽게 모을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건에 있어서는 현행 관리자님들의 의견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9년 5월 20일 (월) 20:26 (KST) = = 그런 상상 안 해보셨나요? = = 현실적으로 터무니 없긴 하지만, 세상의 고민을 모으는 위키 문서를 만들고, 거기에 근거를 달아서 이런 저런 조언을 하는거죠. 재밌긴 할 거 같은데 문제는 거의 하는 사람이 없을 것 같은... ㅎㅎ; Gcd822 (토론) 2019년 5월 21일 (화) 07:39 (KST) = = 궁금했던 것 = = 위키하시는 분 중에 뼈독자 또는 졸꾸러기가 있나요 혹시? 있을 것 같은데... 없으면 말구요 ㅎㅎ 있으시면 손 한번 들어주세요. Gcd822 (토론) 2019년 5월 21일 (화) 07:45 (KST) = = 도서관과 함께 하는 위키백과 교육 강사 모집 = = 안녕하세요. 오는 6월과 7월에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는 한국도서관협회와 협업하여 (주로 서울, 인천, 경상도 지역)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위키백과를 교육할 예정입니다. 참가자들의 실습을 도와 주실 강사를 모집하며, 교통비 등의 경비를 지원합니다. (강사료는 별로로 지급되지 않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강사로 봉사해 주실 분은 위키미디어 아이디를 첨부하여 officewikimedia.kr 로 지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강사로 선정되신 분께는 별도로 답장을 드리고 일정을 조율할 예정입니다. Motoko (WMKR) (토론) 2019년 5월 21일 (화) 18:21 (KST) = = 백:위키탐방 참가 신청 개시 = = 위키탐방 참가 신청이 6월 2일까지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해 주세요. 여러분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 Motoko (WMKR) (토론) 2019년 5월 23일 (목) 11:40 (KST) = = 모든 사립대학 병원 문서를 의료원에서 분리합시다. = = 이강철씨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문서에서 어처구니없게 실수한 일 같은걸 막기 위해 분리가 시급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001:2d8:e12d:2a1::2068:90a1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파산자 대우전자 문서 삭제 요청 = = 파산자 대우전자는 (주)나 주식회사가 표시되어 있지 않아 잘못된 법인명으로 이 문서를 삭제 합니다. 117.111.18.238 (토론) 2019년 5월 25일 (토) 09:45 (KST) = 분류:구북구 = = 분류:2008년 아메리칸사모아 = 아메리칸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 사가현 = 사가현은 일본 규슈 지방 북부에 있는 현이다. 규슈에서 가장 작은 현이며 현청 소재지는 사가시이다. 가라쓰, 이마리, 아리타등은 예로부터 도자기의 산지로 유명하며 겐카이나다 와 아리아케해의 두 바다에 접하며 율령국과 히젠국의 동부에 속했다. 메이지 시대에 부현으로 성립할 때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의 2현으로 분립하였다. 규슈 지방안에서는 가장 면적이 작다, 경제규모가 작은 현인 한편, 인구밀도는 전국에서 16번째로 높다. = = 지리·지역 = = 사가현은 일본 내에서 서북부 (서일본)에 위치하거나 혹은 남부(남일본)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에서는 북부(북부규슈) 또는 서부(서규슈)에 위치하고 있다.인구·면적 모두 구슈 7현안에서는 가장 적고, 또 인구·면적 모두 전체 도도부현중 42번째이다.그러나 인구밀도는 전도부현중 16번째로 중위에 있어, 규슈에서도 3번째로 높다. 가라쓰시를 중심으로 한 북부(북서부)와 사가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남동부)로 나누는 2구분이 가장 자주 이용된다. 현 이름의 인지도 조사에서는 2002년의 조사결과에서는(초등학교 4학년~초등학교 6학년 대상) 제44위, 2004년(2004년)의 조사결과에서는(중학생 대상) 제30위였다. = = 역사 = = 고대에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으로 이루어진 지역은 히젠국으로 불렸다. 현재의 이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이어진 것이다. 고대에 벼농사 문화로 번영하였고 가라쓰시의 나바타케 유적과 요시노가리정의 요시노가리 유적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까지 100여개의 가문이 존재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이때 겐카이나다를 따라 마쓰라토라 불리는 사무라이 씨족이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센고쿠 시대에 들어서면서 류조지 씨는 히젠 국과 지쿠고국 및 히고국과 지쿠젠국의 일부까지 지배력을 확장하였다. 다이묘 류조지 다카노부가 사망한 후에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정치적인 지배권을 확보하였고 1607년에 류조지 씨의 모든 영지는 나베시마 씨가 지배하게 되었다. 에도 시대에 사가번은 3개의 지번인 하스노이케 번, 오기 번, 가시마 번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현재의 사가 현 영내에는 가라쓰번과 쓰시마 후추 번의 영토가 있었다. 사가 번과 그 지번들은 계속해서 나베시마 씨가 통치하였고 정치적으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가사키의 방어 비용이 증가하면서 어려움이 시작되었고 교호의 대기근으로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으며 1828년에는 태풍이 내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가 번은 광대한 아리아케해의 매립지 덕분에 1840년대에 200년 전의 두 배에 이르는 67만 석으로 증가하였다. 19세기 중반에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영지의 재정을 건전하게 하기 위해 관리의 수를 줄이고 이마리 도자기, 녹차, 석탄과 같은 지역 산업을 장려하였다. 또한 국제항인 나가사키 항과 근접한 덕분에 해외로부터 반사로와 증기 기관차와 같은 신기술을 도입하였다. 보신 전쟁 이후 사가 번의 많은 사람들이 메이지 유신에 협조하였다. 메이지 시대에 철도의 부설과 함께 기시마군과 히가시마쓰우라군의 탄광이 현대화되었다. = = 지역 = = 현재 사가현내에는 10시 6군 10정이 있으며 아울러 20개의 정이 있다.2004년 12월 시점에서는 7시 8군 38정 4촌 합계 49정촌이었지만, 시정촌 합병에 의해 마지막 합병이 이루어진 2007년 10월 1일에 현재의 수가 되어 시정촌 수는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다. 합병으로 폐지된 기초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사가현의 폐지된 시정촌 일람을 참조하라. 덧붙여 2006년 3월 20일에 세후리촌이 간자키시가 된 것을 마지막으로, 사가현내의 촌은 모두 소멸했다. 사가현에서는, 에호쿠정이 「정」이라고 하고 있는 것 외에는, 「정」은 모두 「초」라고 읽는다. 현내 자치단체의 목록과 제원 시정촌 코드 시정촌 군 면적(km2) 인구(명) 인구밀도 41201 사가시 - ※ 41202 가라쓰시 - 41203 도스시 - 41204 다쿠시 - ※ 187 41205 이마리시 - 41206 다케오시 - ※ 41207 가시마시 - 41208 오기시 - 41209 우레시노시 - 41210 간자키시 - ※ 41327 요시노가리정 간자키군 41341 기야마정 미야키군 41345 가미미네정 미야키군 ※ 41346 미야키정 미야키군 ※ 41387 겐카이정 히가시마쓰우라군 41401 아리타정 니시마쓰우라군 41423 오마치정 기시마군 41424 고호쿠정 기시마군 ※ 41425 시로이시정 기시마군 41441 후지쓰군 다라정 면적은 2014년 10월 1 일 시점의 국토 지리원 「전국 도도부현 시구정촌별 면적조」에 의한다.덧붙여※는 경계 미정이 있는 시초이며 .인구는 시점의 이다. = = = 시 = = = 사가시() - 현청 소재지 가라쓰시() 도스시() 이마리시() 다케오시() 가시마시() 다쿠시() 오기시() 우레시노시() 간자키시() = = = 군 = = = 간자키군() 요시노가리정() 미야키군() 기야마정() - 가미미네정() - 미야키정() 히가시마쓰우라군() 겐카이정() 니시마쓰우라군() 아리타정() 기시마군() 오마치정() - 고호쿠정() - 시로이시정() 후지쓰군() 다라정() = = 경제 = = 농업, 임업, 연안 어업이 현 경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 특산품으로 소고기, 양파, 딸기가 있다. 사가 현은 일본에서 모치고메(찹쌀)와 귤의 생산량이 제일 많은 곳이다. 2002년 통계에 따르면 지역의 수출은 북아메리카(29.3%), 서유럽(26.1%)과 신흥 공업국인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19.9%)에 집중되어 있다. 수입은 주로 북아메리카(40.6%), 아세안(23.3%), 중국(12.2%)이 차지했다. = = = 인구 = = = 사가현의 인구는 2012년 4월 기준으로, 약 84만 3천명으로 전 도도부현중 42위, 규슈·오키나와 지방에서는 가장 적으며 합계출산율 1.56(2002년)은 4번째로 높고 연소인구(0-15세)도 15.8%(2002년)로 3번째로 높다. 또 인구 피라미드를 보면 18세까지의 인구 비율이 비교적 높고, 20세 전후의 진학·취업에 의한 전출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이에 맞춰 생산가능인구(16~64세)는 62.8%(2002년), 38번째로 비중이 적다.노인 인구(65세 이상)는 21.4%(2002년), 전년 대비 21번째로 중위에 있다.평균수명은 남녀간에 차이가 있으며 남성은 78.31세·동 32번째로 국내 평균인 78.79세보다 짧고, 여성은 86.04세·동 17번째로 국내 평균 85.75세보다 길다(2005년) 도도부현별 생명표). 현 인구는 전쟁 전의 60만명대에서 제1차 베이비붐을 거쳐 1954년경에 97만 7,000명으로 정점을 맞았으나, 고도경제성장의 진전과 함께 급속히 감소해 1973년(쇼와 48년)에는 82만 2,000명으로 바닥을 쳤다.그 후 완만하게 회복되어 80만 명대의 절반을 추이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7]. 또한 2007년의 추계에 따르면 2020년에 80.4만 명, 2035년에 71.2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8].인구 감소와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출생률이 높기 때문에 그 진행 속도는 비교적 완만하다. 인구가 많은 것은 사가시(약 24만명), 가라쓰시(약 13만명), 도스시(약 7만명) 등이지만, 중소규모의 도시가 많이 점재해 경제적·인구적으로 구심력이 강한 도시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현 면적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남동부의 사가 평야에 현 인구의 반수인 40만명이 살고, 현계탄 연안이나 기시마 구릉의 분지에도 인구 집적이 있다.평지에 편중된 것을 제외하면 인구 분포에 큰 편중은 없다.2005년의 국세조사에 의하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DID(인구 집중 지구) 인구의 비율이 28.4%로 시마네현에 이어 47 도도부현중 2번째로 낮고, 인구가 도시에 치우치지 않고 비교적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 =인구추이 = = = 현재 2021년 7월 1일 기준으로 807,323명까지 감소하였으며 사가현의 인구 감소는 일본 내에서도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 그래도 증가하는 지역은 몇몇 있긴하므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 = 교통 = = = = = 공항 = = = 사가 공항 = = = 철도 = = =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나가사키 본선 사세보선 지쿠히선 가라쓰선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선 아마기 철도 아마기선 = = = 도로 = = = 고속도로 나가사키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 니시큐슈 자동차도 국도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202호선 국도 제203호선 국도 제264호선 국도 제382호선 = = = 버스 = = = 니시테쓰 버스 사가 사이히 자동차 = = 문화 = = 아리타, 이마리, 가라쓰에서는 아름다운 도자기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유명하다. = = 관광 = = 가라쓰성은 인기있는 관광지이다. 요시노가리의 야요이 시대의 마을 또한 많은 관광객들을 불러모으고 있다. 요토쿠 이나리 신사는 일본의 3대 이나리 신사의 하나이다. = 상업은행 야구단 = 상업은행 야구단은 1962년부터 1993년까지 존재했던 실업 야구단이다.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국상업은행이 보유했으며, 1987년을 끝으로 선수 선발을 중단하면서 해체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고 한양그룹 파동의 여파 탓인지 축구 사격 테니스팀과 함께 1993년 7월 1일 전격 해체됐다. = =주요 선수 = = 유백만 김충 김윤겸 김영춘 하기룡 오기봉 허구연 유제룡 조충열 김현재 김영직 = 제이 데이비드슨 = 제이 데이비드슨(, 1968년 3월 21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캣워크 (1995) 스타게이트 (1994) 크라잉 게임 (1992) = 어머나 = 어머나는 2003년에 발표된 장윤정의 노래인데 원래 주현미, 송대관 등이 부를 뻔 했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좌절됐으며 탤런트 강성연에게도 제안이 갔는데 윤명선 작곡가가 강성연이 '보보'로 활동했던 시절 두 곡을 함께 했었음에도 강성연이 발라드만 원한다며 스스로 포기했다. = 분류:1982년 정치 = = NGC 180 = NGC 180은 물고기자리에 위치한 막대나선은하이다. 1790년 12월 29일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다. 2001년, 이 은하에서 II형 초신성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SN 2001dj로 명명되었다. = 분류:조지아의 각료 = = 분류:청주중학교 동문 = = 분류:모델에 관한 틀 = = 로슨 (밴드) = 로슨(Lawson)은 잉글랜드의 팝 록 밴드이다. 초기의 밴드 이름은 'The Groves'였다가, 앤디 브라운 본 밴드의 리드 싱어이자 기타인 앤디 브라운의 뇌종양 수술을 집도한 의사 데이비드 로슨(David Lawson)의 이름에서 따와 'Lawson'으로 개명하였다. 009년 말에 결성되어 본격적인 커리어는 2010년부터 쌓기 시작했다. 유명 팝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편곡하여 공개하며 명성을 쌓았고, 그러던 중 2011년 9월 8일 메이저 기획사인 Polydor Records사와 계약을 맺는다. = = 음반 =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게시물 작성일 기준) 총 6개의 정규앨범을 발매했다. Chapman Square (Standard Ver.) - 정규 (2012.10.22) Chapman Square (Standard Ver.) - 정규 (2012.10.22) 1 Standing In The Dark 2 Gone 3 Taking Over Me 4 Everywhere You Go 5 Waterfall 6 When She Was Mine 7 Make It Happen 8 Learn To Love Again 9 Stolen 10 You`ll Never Know 11 You Didn`t Tell Me 12 The Girl I Knew Chapman Square (Deluxe Ver.) - 정규 (2012.10.22) Chapman Square (Deluxe Ver.) - 정규 (2012.10.22) 1~12 Chapman Square (Standard Ver.) 앨범과 동일 13 Anybody Out There? 14 Who You Gonna Call? 15 Red Sky 16 Touch 17 Taking Over Me (Acoustic) 18 When She Was Mine (Acoustic) Chapman Square Chapter II (Deluxe Edition) - 정규 (2013.10.18) Chapman Square Chapter II (Deluxe Edition) - 정규 (2013.10.18) 1~12 Chapman Square (Standard Ver.) 앨범과 동일 13 Brokenhearted 14 Juliet 15 Love Locked Out 16 Are You Ready? 17 Back To Life 18 Parachute 19 Standing In The Dark (Acoustic) 20 When She Was Mine (Acoustic) 21 Brokenhearted (Acoustic) 22 Taking Over Me (Acoustic) 23 Learn To Love Again (Acoustic) 24 Juliet (Acoustic) 25 Stolen (Acoustic) = 분류:아이티 주재 공관 = = 조지퍼스 대니얼스 = 조지퍼스 대니얼스(Josephus Daniels, 1862년 5월 18일 ~ 1948년 1월 15일)는 미국의 민주당 정치인이며 신문 편집자로 41대 해군장관 (1913년 ~ 1921년)과 멕시코 주재 대사 (1933년 ~ 1941년)를 지냈다. = = 초기 생애 = =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워싱턴에서 조지퍼스와 메리 클리브스 시브룩 대니얼스의 5명의 자녀 중 4째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 토머스 대니얼스는 18세기 후반에 아일랜드로부터 로어노크섬으로 이주하였다. 남북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휘그당과 국민연방당에 속했던 부친은 선박 목수였고 전쟁이 일어난 동안 윌밍턴에 있는 남군의 조선소에서 일하였으며 1865년 1월 28일 자신이 탑승했던 증기선에서 워싱턴에 있던 남군에 의한 발포에 살해되었다. 모친은 그러고나서 윌슨으로 이주하여 1866년 12월 그 공동체의 여주인이 되었다. 그녀는 어린 대니얼스를 독실한 감리교 신앙으로 키워 윌슨 공립 고등학교로 보냈다. 그는 "윌슨 애드밴스"의 지방 편집자가 되는 데 1880년 학교를 떠났다. 2년 후에 그는 신문을 매입하였다. 1885년까지 그는 또한 자신의 형 찰스와 함께 소유한 "킨스턴 프리 프레스"와 자신이 일부 소유자였던 "로키 마운트 리포터"를 위하여 사설을 쓰고 있었다. = = 초기 경력 = = 1884년 대니얼스는 편집자로서 자신의 선택한 직업에서 계속했던 동안 법률 실행에 관한 아이디어를 구상하였다. 그는 1885년의 여름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의 로스쿨에 들어갔다. 그 동안 더럼의 부유한 산업가 줄리어스 S. 카의 관대를 통하여 그는 "스테이트 크로니클"과 "파머 앤드 메캐닉"의 최근 조합 주간지 "롤리 위클리"의 소유권을 얻었다. 새로운 주간지는 성공하였고, 대니얼스의 자라나는 명성은 자신을 주의 인쇄업자 (1887년, 1889년, 1891년과 1893년)로 임명하는 데 입법부를 설득하였다. 상대적 번영에 의하여 용기를 얻은 그는 1890년 스테이트 크로니클을 2년 후에 재정적으로 실패한 기업 일간 신문으로 변경하였다. 그는 스테이트 크로니클을 처분하였으나 재빨리 주간 신문 "노스캐롤라이니언"을 설립하였다. 이 세월 동안 대니얼스의 사설 저작은 클럽이 창립된 1년 후에 1885년 와토가 클럽에서 자신의 회원직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이 조직의 목적들 중에는 남부에서 대중 교육의 흥행과 산업의 장려였다. 대니얼스는 원칙에 이 목적들을 성원하였고, 노스캐롤라이나 농업 · 기계 예술 칼리지의 교육과 설립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그는 "큰 기업"을 신임하지 않았고, "담배 신탁"을 싸웠다. 인민당원들처럼 그는 주립 철도 위원회, 독점 금지 입법부, 은화자유주조, 누진적 소득세와 상원들의 직접 선거의 설립에 호의를 가졌다. 더우기 그는 여성 참정권, 노동자 보상법과 아동 노동 규제의 초기 지지자였다. 자신의 편집란을 통하여 자주 이 논점들을 지지하였어도 그는 자신의 경력을 통하여 충성스런 민주당원으로 남아있었다. 참으로 1880년대에 그의 당파심은 윌슨에서 자신의 모친이 여주인으로서 그녀의 직업을 잃는 원인을 일으켰고, 1892년 그의 효과적인 선거 운동은 1년 후에 미국 내무부에서 직위로 그로버 클리블랜드의 그의 임명에 결과를 가져왔다. = = 롤리 뉴스 앤드 업저버 = = 세월에 신문 비지니스에서 대니얼스의 주요 라이벌들 중의 하나는 새뮤얼 A. 애시에 의하여 편집된 "롤리 뉴스 앤드 업저버"였다. 1894년 대니얼스가 그 편집자가 될 이해와 함께 대니얼스와 협력하여 줄리안 카의 특약점이 그 신문을 매입하였다. 동년 8월 대니얼스는 "뉴스 앤드 업저버"를 위하여 워싱턴 D. C.로부터 사설들을 쓰기 시작하였고, 1895년 초순에 완전히 통제하는 데 롤리로 돌아왔다. 대니얼스는 정치적 혼란에 주로 돌아왔다. 1894년 공화당원과 인민당원들의 합동이 주의 입법부의 통치를 얻었고, 1896년 공화당원 대니얼 L. 러셀이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대니얼스는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의 헌신적인 신봉자였고 1896년 대통령 후보 지명을 얻기 위한 브라이언의 전략을 계획하는 도움을 주었다. 당의 일꾼으로서 자신의 유효성을 증명한 대니얼스는 1896년 노스캐롤라이나주로부터 민주당 전국 위원으로 임명되어 1916년까지 지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그는 공화당-인민당 연정을 분할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1898년의 "백인 우월주의" 운동에서 뉴스 앤드 업저버는 "흑인 지배"의 위험에 관하여 백인 투표인들에게 감정적으로 경고하였다. 2년 후에 대니얼스는 주지사를 위하여 자신의 장기적 친구 찰스 B. 에이콕을 열광적으로 후원하였고, 가장 많은 흑인 투표인들을 효과적으로 박탈한 주의 헌법에 수정 조항을 지지하였다. 이 세월 동안 또한 대니얼스는 주의 재정적 성원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를 빼앗으려고 하는 자들을 상대로 싸움을 지도하였고, 주류의 판매, 특히 1908년 전국적으로 금주법을 위한 국민 투표를 통치할 조치를 지원하였다. 대니얼스의 활발한 편집 아래 뉴스 앤드 업저버는 성공적이 되었다. 그는 1894년에 아마 2,500의 유통량과 함께 사실상 파산한 신문을 차지하여 그 빚을 갚았고, 1905년 줄리안 카의 주식을 사서 유통량이 꾸준히 증가한 것을 보았다. (1947년까지 그 유통량은 대략 100,000에 도달하였다.) 그는 또한 1909년부터 1913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 이어북 앤드 비지니스 디렉터리"를 창설하였고, 문학적 보충물 "더 노스캐롤라이나 리뷰"를 발간하였다. = = 해군장관 = = 그 동안 대니얼스는 우드로 윌슨의 친구이자 정치적 지지자가 되었다. 그는 윌슨과 브라이언 사이에 어떤 차이점을 고치는 데 성공하여 1912년 윌슨의 후보 지명을 확보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고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윌슨의 홍보 책임자가 되었다. 해군장관으로 임명된 그는 윌슨의 2개 기간들을 통하여 지내는 데 4명의 내각 장관들 중의 하나였다. 해군장관으로서 그는 많은 입대 남성들에 전례없는 관심을 보여 군함을 타고 해군 공창에서 그들에게 교육을 마련하였다. 그는 그 위치들에 주류의 사용을 금지시켜 해군 황동을 화나게 하여 1914년 베라크루즈의 점유에 윌슨의 명령들을 수행하였고, 사적인 착취에 대항하여 해군의 석유 매장량을 보호하는 데 지속적으로 싸웠다. 1915년 대니얼스는 거대한 건설 프로그램을 발포하였고 토머스 에디슨에 의하여 앞서진 해군 고문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이어진 해 그는 정부 운영의 장갑판 공장의 건설을 위한 의회적 찬성을 이겼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 동안 그느 또한 검열 제도를 위한 책임이자 전쟁 노력을 선전한 정부 기관 공립 정보 위원회에는 물론 전쟁 노력을 감독하는 독립 대리 기관 국방 회의에 지내기도 하였다. = = 이후의 생애 = = 1921년 대니얼스는 롤리와 뉴스 앤드 업저버로 돌아왔다. 그는 1901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수탁 이사회 회원이 되었고, 자신의 사망까지 현역 수탁자로 남아있었다. 1920년대 동안 그는 롤리, 채플힐과 그린스보로에 있는 3개의 주 지원의 칼리지의 하나의 대학으로 합병의 끈질긴 옹호자였으며, 또한 1930년 대학의 총장으로서 해리 우드번 체이스를 대체하는 데 프랭크 P. 그레이엄의 지명을 옹호하였다. 정치에서 그는 쿠 클럭스 클랜과 싸웠으며 대통령직을 위한 민주당 후보 지명을 위하여 1924년 윌리엄 깁스 매커두와 1928년 코델 헐을 지지하였으나 두 경우 모두 당의 지명자들을 충성적으로 성원하였다. 효과적인 직무를 위하여 출마를 피하는 데 오랜 원칙에 불구하고, 그는 아마 자동차 사고에 자신이 심각하게 부상을 당한 1932년 주지사를 위한 후보 지명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1932년 대니어르는 처음에 민주당 후보 지명을 위하여 후보로서, 그러고나서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지지하였다. 루스벨트는 1913년부터 1921년까지 대니얼스 아래 해군차관을 지냈고, 약간의 차이에 불구하고 각각 다른이를 진심으로 존중하게 되었다. 1933년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니얼스를 멕시코 주재 대사로 임명하였다. 이 직위에서 1934년 대니얼스는 최근 멕시코 혁명 동안 발생한 손실로 미국 시민들에 관한 특별 주장들을 해결을 협상하였으며 장기간에 걸쳐 그는 외국 소유의 석유 소유권에 관한 멕시코 정부에 의한 수용 조건을 정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루스벨트의 찬사와 전 계급의 멕시코인들의 애정을 얻는 데 자신을 칭찬하였다. = = 개인 생활 = = 자신의 인생을 통하여 대니얼스는 헌신적이고 참으로 감성적인 가족 남자였다. 1888년 5월 2일 그는 롤리의 애디 워스 배글리와 결혼하였다. 그들은 6명의 자녀를 두었다. 2명의 딸은 유아기에 사망하였다. 생존한 4명의 아들들은 조지퍼스 3세, 워스 배글리, 조너선 워스와 프랭크 아서였다. 자신의 부인의 증가적으로 큰 타격을 준 류마티즘은 1941년 멕시코 주재 대사로서 그의 사임으로 이끌었다. 그들은 1943년 그녀가 사망한 롤리로 돌아왔다. 다시 전임 편집자가 된 대니얼스는 주에서 9개월 학교 기간과 "좋은 건강" 프로그램을 위하여 싸웠다. 국내적으로 그는 전쟁 후에 의무적 군사 복무를 반대하였고, 1944년 루스벨트의 재지명을 지지하였다. 민권의 의문에 그는 1944년 민주당 정강 선언으로 백인 우월주의 판자를 쓰는 데 남부 대표들의 일부에 노력들을 반대하였다. 그는 흑인들을 위하여 공정한 대우를 옹호하였으나 연방 민권 입법을 반대하고, 사회적 혼합을 두려워하였다. 그가 1898년과 1900년 자신을 격려한 극단적인 인종 차별을 부끄러워 했어도 그는 교육을 통하여 인종 문제들을 해결하는 에이콕의 접근이 되는 데 자신이 숙고한 것에 지속적으로 호의를 가졌다. 대니얼스는 자신의 건강이 쇠퇴했을 때 1947년 11월까지 활발하게 남아있었다. 그럼에 불구하고, 그는 1948년 1월 3일까지 정규적으로 자신의 사무실에 갔다고 한다. 12일 후에 85세의 나이에 롤리에 있는 저택에서 폐렴으로 사망하여 오크우드 묘지에 안장되었다. = = 저서 = = 대니얼스는 다음과 같이 포함한 다수의 책을 저서하였다. - 〈타락한 영웅 : 군기 U. S. N. 워스 배글리의 전기 스케치〉 (1898년) 〈해군과 국가 : 전시가 강연하며 ... 〉 (1919년) 〈전쟁에서 우리의 해군〉 (1922년) 〈우드로 윌슨의 일생, 1856년 ~ 1924년〉 (1924년) 〈타 힐 편집자〉 (1939년) 〈정치에서 편집자〉 (1941년) 〈윌슨 시대 : 평화의 세월, 1910년 ~ 1917년〉 (1944년) 〈윌슨 시대 : 전쟁과 그후의 세월, 1917년 ~ 1923년〉 (1946년) 〈직접적인 외교관〉 (1947년) 〈루스벨트와 대니얼스 : 정치에서 우정〉 (1952년) = 후나 = 후나(Hoonah, Xunaa)는 미국 동남부 알래스카주의 팬핸들(주 사이에 좁고 길게 끼어 든 지역)에 위치한 치차고프섬의 틀링깃족 커뮤니티이다. 주노에서 서쪽으로 30마일(48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 수는 760명으로, 2000년 인구조사의 860명보다 하락한 것이다. = 경기버스 (기업) = 경기버스(京畿―)는 KD운송그룹 계열의 경기도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자회사이다. = = 역사 = = 1968년 8월 27일: 대진운수(大進運輸)로 설립되었다. 1998년: 도시형버스 7-5번 광릉내 ~ 청량리역 구간 신설했다. 2004년 하반기: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인수 및 사명이 대진운수(大進運輸)에서 선진상운(先進商運)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경기운수) 직행좌석버스인 1001번 노선을 인수하였다. 따라서 기점이 소학1리로 연장되었다. 2005년: 자사의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2006년 8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우수보급업체로 선정되었다. 2007년: 선진상운의 7-5번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에 매각과 동시에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의 23번을 인수했다. 그리고 7번(광릉내 ~ 일동)을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2008년 11월 15일: 도시형버스 23번이 스펀지 2.0에서 '시어머니 버스'로 나온 적이 있다. 2009년 12월 1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은 선진상운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와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 및 사명이 선진상운에서 경기버스로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1일: 선진시내의 도시형버스 11번 (구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선진시내에서 인수하였다. 2010년 4월 1일: 도시형버스 11번에서 직행좌석버스 11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2010년 5월 24일: 직행좌석버스 6006번 광릉내 ~ 잠실역 구간을 신설하였다. 2010년 9월 1일: 직행좌석버스 6006번에서 간선급행버스 8012번으로 노선이 변경하였다. 2010년: 자사의 도시형버스 8번과 도시형버스 7-3번을 통폐합해 도시형버스 73번으로 변경하였다. 2012년: 광릉내차고지 계약기간 만료로 일부노선을 내촌차고지로 나머지노선을 진벌리차고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1월 1일: 도시형버스 7-4번이 배양리 구간이 단축되어 사릉역에서 회차하며, 기존 배양리 구간은 대원운수 91번이 대체운행하게 되었다. 2014년 9월 1일: 직행좌석버스 7008번에서 도시형버스 74번으로 전환 및 내촌 ~ 진벌리 간 단축 및 청량리역 ~ 석계역 간 단축하였다. 2014년 12월 22일 ~ 12월 26일: 간선급행버스 8012번 노선에 2층 버스(Enviro 500)를 시범 운행하였다.2층버스 시범운행, 시야가 확 트이네요 , 경기도 공식블로그, 2014년 12월 19일 2015년 11월 2일: 도시형버스 7-7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2015년 11월 2일: 도시형버스 74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도록 변경되었다. '진접읍사무소입구 - 반도유보라아파트'였던 기존 노선이 '진접읍사무소입구 - 진접읍사무소 - 금곡리입구 - 반도유보라아파트'로 변경된 것이다. 상하행 양방향 적용된다. 2015년 11월 2일: 도시형버스 3-1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이 결과로 '금곡리입구.신동아아파트' 정류소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2015년 10월 11일: 도시형버스 73번은 별내지구를 경유하고 도시형버스 74번과 덕송터널을 경유한다. 2015년 12월 19일: 직행좌석버스 7007번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이 내촌차고지에서 광릉내차고지로 단축되었다. 2016년 10월 24일: 도시형버스 23번이 하남 스타필드로 종점을 연장하였다. 2017년 1월 7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이 잠실광역환승센터로 기점변경 2020년 2월 9일: 땡큐90번이 신설하였다. 2023년 4월 1일 : 도시형버스 3-1번이 땡큐31번, 땡큐32번으로 전환하였다. 2023년 6월 30일: 도시형버스 73번 폐선 되었고 땡큐32번이 땡큐31번으로 통합하였다. 2023년 7월 1일: 도시형버스 115번 신설하였다. 2023년 7월 22일: 도시형 72번 신설하였다. 2024년 1월 1일 : 707번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 = = 현황 = = 2021년 1월 기준이다.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21년 3월 29일 작성.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보유 노선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등록 대수 운행업체 노선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대수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경기버스 (KD) 14 - 3 - 11 114 - 33 - 81 = = 운행 노선 = = = = = 진벌리 본사 운행 노선 = = = ● 707번: 진벌리차고지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갈매역 ↔ 중랑경찰서후문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홍릉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7번 통폐합 노선,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 ● 땡큐31번: 진벌마을 ↔ 75사단입구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진접읍 행정복지센터 ↔ 반도유보라 ↔ 진접역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 (구 3-1번-> 땡큐32번) ● 72번: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역 ↔ 양지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반도유보라아파트 ↔ 금곡리입구 ↔ 진접농협 ↔ 봉현마을 (2023년 7월 22일부터 신설노선) = = = 사능 본사 운행 노선 = = = ● 115번: 사능차고지 ↔ 진건읍사무소 ↔ 사릉역 ↔ 진관사거리 ↔ 빛과소금교회앞 ↔ 관사, 일신건영, 새마을금고 ↔ 주을래마을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화랑대역, 2번출구 ↔ 석계역 (구 태릉교통 1156번, 2023년 7월 1일 노선 신설) = = = 내촌 본사 운행 노선 = = = ● 23번: 내촌차고지 ↔ 광릉내 ↔ 장현 ↔ 오남역 ↔ 독정리 ↔ 용정리 ↔ 사릉 ↔ 금곡역 ↔ 양정동 ↔ 도농역 ↔ 구리역 (롯데백화점 구리점)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워커힐아파트 ↔ 천호역 ↔ 강동역 ↔ 상일 나들목 ↔ 풍산택지지구 ↔ 하남 스타필드 (구 1-3번, 이 노선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 전기버스 운행중) ● 88번: 내촌차고지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주공1단지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금란교회 ↔ 망우역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구 선진상운 7-8번) ● 11번: 소학1리 ↔ 베어스타운 ↔ 내촌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 1001번) (시내버스 11번 형간전환 후 이 노선은 유성운수(현.경기운수), 선진시내버스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 = = = 광릉내 본사 운행 노선 = = = ● 71번: 금곡산업단지 ↔ 진접역 ↔ 신영지웰아파트 ↔ 진접하우스토리 ↔ 진접농협 ↔ 장현대교 ↔ 진접고, 화봉초교, 신안인스빌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신영지웰아파트 ↔ 진접역 ↔ 금곡산업단지 ● 7-4번: 경복대학 ↔ 금곡2리 ↔ 진접택지지구 ↔ 장현 ↔ 연평리 ↔ 신월리 ↔ 용정리 ↔ 사릉역 ● 7-7번: 광릉테크노밸리입구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진접읍사무소 ↔ 진접고등학교 ↔ 진접역 ● 7-8번: 광릉테크노밸리입구 ↔ 팔야리 ↔ 광릉내 ↔ 접동마을 (2022년 5윌 30일부로 팔야리 일대의 민원으로 노선다시 환원) ● 7-9번: 진접오남읍 행정복지센터 ↔ 진접농협 ↔ 오남읍 ↔ 팔현리 ↔ 도인박사 ↔ 팔현2리 ● 땡큐90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역 ↔ 사노리나들목 ↔ 다산 지구 ↔ 다산1동주민센터 - 도농역 - 가운고등학교 (2020년 2월 19일 신설노선) ● 7007번: 광릉내차고지 ↔ 서희스타힐스 ↔ 장현 ↔ 내각리 ↔ 임송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8012번: 광릉내차고지 ↔ 경복대학 ↔ 닥내미 ↔ 진접역 ↔ 연평대교, 이마트 ↔ 퇴계원 나들목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광역환승센터 (간선급행버스, 구 6006번, 2층버스 운행중) = = 폐지 및 타사로 양도된 노선 = = ● 3번: 광릉내차고지 ↔ 경복대학(2009년에 21번이 연장됨에 따라 폐선) ● 3-1번: 진벌마을 ↔ 75사딘입구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진접사무소 ↔ 진접역 ↔ 극동.성호A (땡큐31번으로 노선변경) ● 3-3번: 광릉내차고지 ↔ 국립수목원(경기운수 21번과의 중복 때문에 폐선) ● 7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상봉역 ↔ 청량리역 ↔ 경동시장 (2007년 7월 경기도에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실시될 때 707번이 입석으로 전환됨에 따라 폐선) ● 7번 (내촌 ↔ 경동시장): 내촌차고지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번 (어냄이 ↔ 경동시장): 오남읍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번 (갈매동 ↔ 경동시장): 갈매동 (담터)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번 (직동리 ↔ 경동시장): 직동리 ↔ 국립수목원 ↔ 광릉 ↔ 봉선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번 (매화동 ↔ 경동시장): 매화동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번 (어냄이 ↔ 장현): 오남읍 ↔ 장현 ● 7번 (팔현리 ↔ 장현): 팔현리 ↔ 오남읍 ↔ 장현 ● 7번 (광릉내 ↔ 일동): 광릉내 ↔ 내촌 ↔ 베어스타운 ↔ 소학리 ↔ 서파 ↔ 일동 ↔ 제일온천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 7번 (광릉내 ↔ 현리): 광릉내 ↔ 내촌 ↔ 베어스타운 ↔ 소학리 ↔ 서파 ↔ 현리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 7번 (광릉내 ↔ 내촌): 광릉내 ↔ 마명리 ↔ 고장촌 ↔ 내촌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 7번 (광릉내 ↔ 서파): 광릉내 ↔ 내촌 ↔ 베어스타운 ↔ 소학리 ↔ 서파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 7-1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돌다리 ↔ 구리역 ↔ 도농역 ↔ 남양주시청 제2청사 (2000년대 중반 폐선) ● 7-2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택지지구 ↔ 구리여자고등학교 ↔ 이문안길 ↔ 정각사 ● 7-3번: 퇴계원 ↔ 태릉선수촌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입구 ↔ 국철 화랑대역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경복대학 연장후 73번 통합) ● 7-5번: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지구 ↔ 오남체육공원 ↔ 사릉 ↔ 퇴계원역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이노선은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으로 이관후 202-1번으로 변경후 노선 배탈고개으로 변경) ● 7-6번: 뱅이삼거리 ↔ 퇴계원역 ↔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 구리 나들목 ↔ 북부간선도로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1-2번: 금곡1리 ↔ 진접택지지구 ↔ 장현(71번에 통합) ● 73번: 경복대학 ↔ 진접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별내지구 ↔ 삼육대학교 ↔ 태릉선수촌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7-3번 통합된 노선, 2023년 6월 30일부로 폐선) ● 74번: 경복대학 남양주캠퍼스 ↔ 광릉내 ↔ 진접읍사무소 ↔ 연평대교 ↔ 비석거리 ↔ 별내지구 ↔ 삼육대학교 ↔ 태릉선수촌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구 7008번 직행좌석버스, 2020년 3월 3일부로 운행중단) ● 78-1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 인창택지지구 ↔ 구리여자고등학교 ↔ 이문안길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 8번: 광릉내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지구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이문안길 ↔ 벌말삼거리 ● 80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택지지구 ↔ 구리여자고등학교 ↔ 이문안길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 88-1번: 진벌리차고지 ↔ 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택지지구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구 7-9번) ● 땡큐32번: 진벌1리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진접읍 행정복지센터 - 반도유보라 - 진접역 - 화봉초등학교 - 연평리입구 - 오남역 (구 3-1번, 땡큐31번으로 통합) ● 138번: 경복대학 ↔ 포천시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이 노선은 포천교통, 영종여객, 명진여객, 대진운수와 공동 배차하다가 현재는 포천교통에서만 운행한다.> ● 138-1번: 경복대학 ↔ 포천시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5리,축석검문소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포천교통에 매각후, 2012.03월부로 폐선) ● 705번: 오남읍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2000년경 폐선) ● 707-1번: 내촌차고지 ↔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신내동 ↔ 신내역 ↔ 신내차량사업소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08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택지지구 ↔ 구리여자고등학교 ↔ 이문안길 ↔ 광나루역 ↔ 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2000년경 폐선) ● 7008번: 내촌차고지 ↔ 광릉내 ↔ 진접중학교 ↔ 장승마을 ↔ 화접초등학교 ↔ 삼육대학교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먹골역 ↔ 중화역 ↔ 청량리역 ↔ 경동시장 <2014년 9월 1일부로 74번 시내버스로 전환 및 내촌~진벌리 간 단축 및 청량리역~석계역 간 단축> ● 6006번: 광릉내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지구 ↔ 연평대교, 이마트 ↔ 퇴계원 나들목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간선급행버스) (현 8012번으로 노선변경) ● 7007-2번: 광릉내차고지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 토평 나들목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출퇴근용, 경기고속, 대원고속 버스운영) = = 보유 차량 = = = = = = 자일대우버스 = = = =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자일대우 FXⅡ116 크루징 애로우 자일대우 FX116 하모니 = = = = 현대자동차 = = = = 현대 e-카운티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 = = CHTC 킨윈 = = = = CHTC 에픽타운 CHTC 에픽시티 = = = = 우진산전 = = =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 = = = 볼보버스 = = = = 볼보 B8RLE = = 본점 및 지점 현황 = = 본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경복대로 497 광릉내영업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내로 102 내촌영업소: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고개길 9-26 = 분류:청나라 = 전임::분류:명나라1368년 ~ 1644년 중국의 역사:분류:청나라1644년 ~ 1912년 후임:분류:중화민국1912년 ~ 1949년 = 분류:연료 첨가제 = = 분류:시리아의 인터넷 인물 = 인물 en:Category:Syrian Internet celebrities = 분류:아우구스텐부르크가 = = 틀:난징 대학살 = = 휘티어 (알래스카주) = 휘티어는 미국 알래스카주의 도시로, 인구는 182명이다. 휘티어 공항이 위치하고 있다. = 분류:접속 (수학) = = 피지원숭이얼굴박쥐 = 피지원숭이얼굴박쥐(Mirimiri acrodonta)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1976년 윌리엄(William)과 베컨(Ruth Beckon)이 타베우니 섬에서 두번째로 높은 봉우리(1,195m) 데스 보욱스 피크의 오래된 운무림에서 발견했으며, 피지의 유일한 토착종 포유류이다. 서식지 감소때문에 멸종위금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피지원숭이얼굴박쥐속(Mirimiri)의 유일종이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9년 3월 21일 = = 문재인 정부의 2017년 5월 정책 = 이 문서는 2017년 5월에 추진한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관한 것이다. = = 2017년 5월 10일: 일자리 위원회 설치 = = 문재인 대통령은 일자리 대책 마련과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첫번째 업무로 지시했다. 지난 19대 대선 기간에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발표하면서 '일자리 대통령'으로 실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래서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통해 10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여 우선, 2017년 하반기까지 소방관과 근로감독관, 경찰, 교사 등 공무원 1만 2천 명을 추가로 채용하고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투자를 늘리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경제정책을 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일자리 창출을 통해 최근 경기 회복의 불씨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방침이다. 2017년 5월 16일, 일자리 위원회 설치안이 국무회의에 통과하여 정식 출범하였다. = = 2017년 5월 12일: 인천공항공사 비정규직 1만명, 2020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 = = 문 대통령은 비정규직 문제 해소를 위해 첫 외부 공식일정으로 인천공항공사를 방문하여 인천공항공사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만나서 비정규직 문제로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화돼 경제성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공공부문부터 비정규직을 한명도 없게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래서 문 대통령은 우선, 환경미화원과 상시·지속적 업무와 경비직 등 생명·안전 관련 업무는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했고 빠른 시일 내에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실태를 전면 조사해서 올해 하반기까지 구체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라고 관련 부처에 지시했다. 그리고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공공기관에 대해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공공기관 평가 지침을 바꿀 것도 기획재정부에 주문했다. 인천공항공사는 2018년 1월 1일부터 비정규직 1천여 명을 정규직으로 우선 전환하고 2020년까지 완료하기로 하였다. = = 2017년 5월 12일: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 = 문 대통령은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이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에서 제창으로 바꿨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2009년 12년 동안 5·18 기념식에서 참석자 전원이 제창했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 영화에 등장한 노래라는 점 등을 이유로 공연단의 합창으로 바꾼 적이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에 광주를 찾을 때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약속하였다. 그래서 해마다 보수와 진보 이념 갈등의 상징이 됐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9년 만에 부활하게 되었다. = = 2017년 5월 12일: 국정 역사교과서 폐기 = = 문 대통령은 상식과 정의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역사 교육 정상화를 위해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기 하였다. 지난 2015년 10월, 박근혜 정부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발표하면서 곧바로 집필에 착수하였으나 집필진도 편찬기준도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 '불통 교과서', 공개 이후에는 박정희 정권 미화에 크고 작은 내용 오류로 부실 집필 논란까지 일면서 반발이 거셌다. 여기에 국정농단 사태까지 터지자 교육부는 전면 적용 방침을 철회하고 올해 연구학교에서만 시범 사용하기로 결정했지만 연구학교를 희망한 학교는 경산 문명고등학교 단 한 곳이었고 이마저도 지정효력 정지 소송으로 실제 수업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국정 교과서를 '적폐'로 규정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육부 홈페이지에서는 국정 역사교과서 연결 배너가 사라졌다. 40억 넘는 나랏돈을 투입한 국정 역사교과서, 예산 낭비와 학교 현장 혼란만 가져왔다는 비판 속에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 2017년 5월 15일: 세월호 참사로 사망한 기간제교사 순직 인정 = = 문재인 대통령은 스승의 날을 맞아 세월호 참사로 사망한 기간제 교사 2명을 순직 인정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공무를 수행하다 사망한 공직자의 경우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등 신분과 관계없이 순직 처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세월호참사 이후 3년이 지났으나 제도 해석의 문제로 김초원·이지혜 기간제 교사에 대한 순직 인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그래서 이제 세월호 기간제교사 순직 인정에 대해 논란을 끝내고 고인의 명예를 존중하며 유가족 위로하는 게 마땅하고 순직을 인정함으로써 스승에 대한 국가적 예우를 다하기로 하였다. 앞서 국가인권위원회는 세월호참사로 사망한 기간제 교사에 대한 순직 인정을 권고했고 문 대통령 역시 대선후보 시절 국민공약으로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을 국민들에게 약속했다. = = 2017년 5월 15일: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일시 가동 중단 = =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양천구 은정초등학교 '미세먼지 바로 알기 교실'을 방문하여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생활 속 대처방법 교육을 참관하고 미세먼지 감축을 약속했다. 그래서 30년 이상 된 석탄화력발전소 8곳을 대상으로 6월 한 달 동안 일시적으로 가동을 중단하고, 내년부터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적은 3∼6월 4개월간 가동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삼천포 화력발전소 1·2호기 등 노후 석탄발전소 10기는 임기 내 모두 폐쇄하고, 폐쇄 시기도 최대한 앞당길 방침이다. 그리고 김수현 사회 수석에게 이른 시일 내 미세먼지 대책기구를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청와대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8곳의 가동을 한 달간 중단할 경우 1∼2%가량 미세먼지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석탄화력발전소 일시 가동중지에 따른 전력 공급 차질을 피하기 위해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의 가동률을 높일 경우 0.2% 정도의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봄철 석탄화력발전소 일시 셧다운, 30년 이상 노후석탄발전소 10기 조기 폐쇄, 건설 중인 화력발전소 중 공정률 10% 미만인 곳은 원점에서 재검토 등의 미세먼지 공약을 발표했다. = = 2017년 5월 22일: 4대강 사업 재조사 = = 문 대통령은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가려내기 위해 감사를 지시했다. 4대강 사업에 대한 첫 감사 결과는 이명박 대통령이 재임하던 2011년에 나왔으며 사업에 별 문제가 없다고 밝혔고 이 대통령의 퇴임을 앞둔 2013년 1월 두 번째 감사에서 "15개 보가 부실하고, 수질 악화의 우려도 있다"는 감사원 발표가 나왔었다. 반년 뒤 박근혜 정부 때 이뤄진 3차 감사에선 수질 관리의 문제점과 함께 건설사들의 담합 사실이 대거 적발했다. 그리고 6월 1일부터 녹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달성보와 공주보 등 6개 보를 상시 개방하기로 했다. 민관 합동 조사·평가단이 앞으로 1년 동안 모든 보를 관찰한 뒤, 일부 보는 철거도 추진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로 나눠져 있던 물관리 체계를 환경부로 합치고, 업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국무조정실에서 '통합 물관리 상황반'을 가동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 수생태계 파괴 주범으로 지목된 16개의 4대강 대형 보를 상시 개방해 종합평가를 실시하는 내용의 4대강 재자연화 추진 공약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자유한국당은 전 정부의 사업을 모두 백지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고 옛 친이계 출신이 많은 바른정당도 "비위 적발에 무게가 실린다면 취지가 왜곡될 수밖에 없다"며 '정치 감사' 가능성을 우려했다. 국민의당은 4대강 사업 감사는 적절한 조치라면서도, 청와대가 감사원에 업무를 지시하는 것은 절차적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2조 원이 넘는 혈세를 들여 생태계를 파괴한 '비정상적 사업'을 정상화하는 것이라면서, 책임자 처벌을 엄격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도 4대강 사업 결정권자와 이권개입자들을 상대로 청문회를 열 것을 주장했다. = = 2017년 5월 24일: 일자리 상황판 설치 = = 청와대는 여민관에 있는 대통령 집무실에 설치된 일자리 상황판을 공개했다. 일자리 상황판은 일자리의 양과 질을 보여주는 고용률과 청년실업, 임금 격차 등 14개 지표와 경제성장률 같은 경제지표 4개를 더해 모두 18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각 지표별로 현재 상황과 장기적 추이를 보여주면서 지역과 연령, 성별 상황도 파악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상황판을 시연하면서 높은 청년 실업률,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 비율, 또 지나치게 긴 노동시간 등을 특히 시급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장년 고용률이 높은 건 청년 세대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부모 세대가 다시 취업 전선에 나선 탓이라며 그나마 대부분 질 낮은 일자리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당선되면 일자리 위원회를 만들고 집무실에 상황판을 설치하겠다는 공약을 지켰다면서 이제부터 성과와 실적을 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고용 관련 전산망과 연계해 각종 지표들이 일자리 상황판에 실시간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국민이 인터넷 등을 통해 일자리 상황판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 분류:2004년 여자 핸드볼 = = 이노우에 겐지 (소설가) = 이노우에 겐지(, いのうえ けんじ, 1980년~)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이다. 대표작은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다. 주위에는 자신이 글을 쓴다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 = = 작품 =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그랑블루 = 제10(마그데부르크)검기병연대 = 제10(마그데부르크)검기병연대은 프로이센 육군의 검기병 연대 중 하나다.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당시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인 1813년 말에 편성되어 제4육군단에 배속되었다. 제10검기병연대는 1814년에서 1884년 사이에는 아셔슐레벤, 1884년 이후에는 슈텐달에 주둔했다. = 분류:동남아시아의 문화 = = 숲속의 방 = 숲속의 방은 작가 강석경의 중편소설이다. 문예중앙(1985년 겨울호)을 통해 처음으로 발표되었고 이듬해인 1986년 단권으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1980년대 학생운동가를 다루면서 사회라는 틀 안에서 자아의 실체를 적극적으로 쫓는 서사로써 1980년대 집단주의와 개인성의 갈등을 잘 보여주었다. = = 줄거리 = = 소양은 프랑스어문학과 대학생이자 한 부르주아 가정의 셋째 딸이다. 소양은 학생 운동 집단에 완전히 속하지도 못하고 일신의 안위를 도모하는 삶도 완전히 긍정하지도 못한 채 진실을 추구하며 정신적으로 방황하다가 스스로 세상을 떠난다. 언니 미양은 그런 소양의 모습을 추적한다. = = 수상 = = 1985년 제10회 오늘의 작가상 = = 단권 출간 = = 《숲속의 방》. 민음사. 1986년. ISBN 9788937400698 = 테베 (위성) = 테베(Thebe)는 1979년 3월 5일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을 분석해 스티븐 P. 시넛이 발견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두 번째로 크다.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신 아소포스의 딸인 테베에서 따왔다. 지름은 116×98×84 km 정도이며, 목성 중심과의 거리는 22만 1895km로 목성의 안쪽 위성들 중에서는 가장 바깥에 위치해 있다. 목성의 표면으로부터 분출된 먼지로부터 형성된 테베 고리의 바깥 가장자리 안쪽에 있으며, 아말테아와 비슷한 구조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테베는 보이저 1호와 2호가 각각 1979년과 1980년에, 그리고 1990년대에 갈릴레오에 의해 촬영되었다. = = 참조 문헌 = = * * * * * * * * * = 유로파 타워 = 유로파 타워는 발트 3국 내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 시 교외 쉬니피스케스라고 불리는 교외 지역에 위치한다. 층 수는 33 층이며, 지상 148 m 높이이다. 빌뉴스 시에 위치한 "오드리우스 암프라사스 건축 회사"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이 건물은 새롭게 개발된 빌뉴스 시 신도심의 스카이라인을 이룬다. 리투아니아의 유럽 연합의 가입을 기념으로 겸사겸사해서 2004년 5월 1일 공식 완공되었다. 일부 시민들과 환경 단체에 의해 빌리니우스 구 시가지의 풍치를 해친다는 비난을 받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비난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이 건물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 시의 랜드마크로 여겨지고 있다. 114 m 높이에 위치한 건물 옥상 테라스에 전망대가 위치한다. 이 전망대는 일요일에는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된다. 이 건물의 좌표는 북위 54.696도, 동경 25.278도이다. = = 건설 역사 = = 이 건물 계획과 관련한 발표 중 최초의 것은 2002년 인터넷에 등장한 것이었다. 한 건축 웹사이트가 컴퓨터로 생성된 렌더링 몇 개를 노출하고 있었다. 최초의 건물 설계 안은 30 층 건물이었으나, 나중에 층 수는 변경되어 33 층이 되었다. 건축 회사와 개발 회사에 의한 이러한 층 수 변경 등은, 전통 보존 지지자들에 의해 심한 반대를 겪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끝내 지방 자치체에 의해 승인을 받았고 새 계획대로 건설되었다. 2002년 말쯤에 건축이 시작되었고, 2004년 4월에 완공되었다. 이 타워는 유로파 스퀘어 콤플렉스의 일부이다. 네리스 강 오른쪽 신도심에 위치해 있다. = = 트리비아 = = 2006년 9월 1일 "스파이더-맨"이라는 별칭으로 잘 알려진 알라인 로버트라는사람이, 유로파 광장을 면하는 유로파 타워의 동쪽 측면(위 사진에서 연한 줄무늬가 있는 쪽)을 오른 바 있다. 그는 검은색 옷을 착용하고 안전 끈을 이용하여 올랐지만, 그는 적어도 3번은 그립을 놓친 바 있다. 그는 결국 약 40분 만에 전망대에 등정하였다. = 분류:1862년 북아메리카 = = 바나나 학살 = 바나나 학살(Masacre de las bananeras)은 1928년 12월 6일 콜롬비아 산타마르타 근처 시에나가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이다. 바나나 플랜테이션에서 더 나은 노동 조건을 요구하면서 노동조합이 벌인 한달간의 파업을 끝내기 위해, 콜롬비아 정부가 군대를 보내 진압하기로 결정한 뒤,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최소 47명부터 최대 약 2000여명까지 추정됨)이 군당국의 발포에 의해 살해됐다.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그의 소설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 바나나 학살을 묘사했다. 미국의 바나나 회사였던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nited Fruit Company)'는 파업을 진압하기 위해 콜롬비아 정부를 압박했다. 콜롬비아 정부는 계엄을 선포하여 헌법의 효력을 중단시키고, 파업 진압에 군을 동원했다. 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황에서 바나나 농장의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은, 파업 및 항의 차원에서 시에네가 시 광장에서 열리는 예배에 참석하기 위해서 모였다. 5분 안에 구역을 깨끗이 비우라는 명령을 받은 콜롬비아 군인들이 기관총으로 민간인들을 무차별 사격을 가했다. 이날 미국 대사는 콜롬비아 군인들이 1,000명 이상을 사살했다고 보고했다. = 김홍수 게이트 = 김홍수 게이트는 90년대 초 초등학교 동창인 법조인 친구를 통해 서울지방법원에서 근무하던 A모 판사를 소개받아 법조인과 경찰들과 친분을 쌓아가며 인맥을 넓혀 판사와 검사들의 술자리에 나가 술값을 대신 계산하거나 인사때는 최고 300만원의 전별금을 주고 휴가비를 챙겨주었던 이란산 카펫수입 업자인 법조 브로커 김홍수(58)씨가 2006년에 폭로하여 유발된 사건이다.서초동발 대형법조비리 장본인 김홍수는 누구안희, ‘김홍수게이트’서 재확인된 법조비리 원인, 연합뉴스 조관행 당시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김영광 검사, 현직 경찰서장인 민오기 총경 등이 김홍수로부터 돈을 받고 재판이나 사건 처리과정에 도움을 준 혐의로 구속돼 실형 또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 = 사건 = = 2006년 7월 13일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김현웅 검사는 2005년 7월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같은해 12월 서울중앙지법에서 징역 1년6월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법조 브로커 김홍수가 2002년 ∼ 2005년 사이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조관행과 전직 검사 김영광, 현직 경찰서장 민오기 총경 등 10여명에게 사건청탁과 관련해 수백만∼수천만원씩의 금품과 고급 카펫 등을 전별금 명목으로 제공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법부장판사등 10여명 `금품수수' 수사(종합) 앞서 김홍수가 구속되기 전에 서울중앙지검 7급 직원 차모씨와 서울 노량진경찰서 경사 김모씨 등을 적발, 구속기소한 바 있다. = 964년 = = = 연호 = = 북송(北宋) 건덕(乾德) 2년 요(遼) 응력(應曆) 14년 일본(日本) 오와() 4년 / 고호() 원년 남한(南漢) 대보(大寶) 7년 후촉(後蜀) 광정(廣政) 27년 북한(北漢) 천회(天會) 8년 = = 기년 = = 북송(北宋) 태조(太祖) 5년 요(遼) 목종(穆宗) 14년 고려(高麗) 광종(光宗) 15년 = = 탄생 = = 고려(高麗)의 왕비(王妃) 헌애왕후(獻哀王后) = = 사망 = =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박수경(朴守卿)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박승위(朴承位)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박승경(朴承景)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박승례(朴承禮) * = 분류:불가리아의 제조업 = 제조업 en:Category:Manufacturing in Bulgaria = 이성남 (1947년) = 이성남(李成男, 1947년 11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이다. 민주통합당 18대 국회의원이다. 18대 총선에서는 통합민주당 비례대표 1번을 받았다. = = 학력 = = *경기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이창섭 (1956년) = 이창섭(李昌燮, 1956년 5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과 프리랜서 앵커다. = = 생애 = = 1984년 MBC 아나운서로 입사 이후 1991년 SBS 서울방송 기자로 이적하였으며, 2000년 1월 9일에 SBS 서울방송을 퇴사하였다. 이어 2000년 1월 16일 이후 자민련 당무위원 겸 부대변인, 대전 유성지구당 지구당위원장을 지냈다. 그 후 프리랜서 앵커 신분으로 굿모닝 세상은 지금, 생방송 투데이, 생방송 광화문의 아침, 이창섭의 인사이드 등을 진행하였다. = = 진행 프로그램 = = = = =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 = = = G1방송 《이창섭의 인사이드》 (2011년) ~ (2020년) TV조선 《생방송 광화문의 아침》 (2015년 ~ 2017년 6월 30일) = = = 과거 진행했던 프로그램 = = = MBC 《MBC 0시 뉴스》 (1986년 ~ 1989년) MBC 《퀴즈아카데미》 (1987년 ~ 1991년) SBS 《출발! 서울의 아침》 (1991년 ~ 1993년) SBS 《SBS 8 뉴스》 (1997년 ~ 1998년) SBS 《출발! 모닝와이드》 (1995년 ~ 1998년) SBS 《생방송 행복찾기》 (2001년 ~ 2002년) SBS 《도전 퀴즈 퀸》 (2001년 ~ 2002년) SBS 《생방송 투데이》 (2003년 ~ 2009년) SBS 《굿모닝 세상은 지금》 (2007년 ~ 2008년) tbs TV 《안녕하세요 서울입니다》 (2007년) SBS CNBC 《굿모닝 경제와이드》 (2010년 ~ 2011년) SBS 《톡톡! 행복예감》 (2009년) TV조선 《모닝 뉴스 깨》 (2011년 ~ 2012년) TV조선 《생생라이프》 (2012년) = 분류:도덕공동체 = = 분류:유다이아 총독 = = 저스트 댄스 = Just Dance는 유비소프트가 개발하고 발매하는 댄스 게임 시리즈이다. 시리즈의 제목은 레이디 가가의 동명 노래에서 유래한다. 1편은 2009년에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매된 Wii 대응 게임이다. = =이 앱이 나온 영화 = = 이모티: 더 무비 = = 시리즈 = = = = = 메인 시리즈 = = = 저스트 댄스 저스트 댄스 2 저스트 댄스 3 저스트 댄스 4 저스트 댄스 2014 저스트 댄스 2015 저스트 댄스 2016 저스트 댄스 2017 저스트 댄스 2018 저스트 댄스 2019 저스트 댄스 2020 저스트 댄스 2021 = = = 일본판 = = = JUST DANCE Wii JUST DANCE Wii 2 JUST DANCE Wii U 요괴워치 댄스 JUST DANCE 스페셜 버전 = = = 저스트 댄스 키즈 시리즈 = = = 저스트 댄스 키즈 저스트 댄스 키즈 2 저스트 댄스 키즈 2014 = = = 디즈니 시리즈 = = = 저스트 댄스 디즈니 파티 저스트 댄스 디즈니 파티 2 = = = 익스피리언스 시리즈 = = = 마이클 잭슨: 더 익스피리언스 블랙 아이드 피스 익스피리언스 힙합 댄스 익스피리언스 = = = 스핀오프 = = = 댄스 온 브로드웨이 스머프 댄스 파티 아바: 유 캔 댄스 = = = 그레이티스트 히트 = = = 저스트 댄스 그레이티스트 히트 = = = 특별판 = = = 저스트 댄스 썸머 파티 저스트 댄스 나우 저스트 댄스 언리미티드 = 분류:도미목 = = 모듈:Sports color/esports/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Sports_color/esports/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삽교리 = 삽교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삽橋里)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삽교리(揷橋里) = 분류:북아일랜드 집행부 = = 분류:나라별 시트콤 = = 집단강간 = 집단강간(集團强姦, genocidal rape)이란 전쟁 등의 상황에서 집단학살의 일환으로 적성세력에 대한 집단적 강간을 벌이는 행위로서 대량강간의 일종이다. 유고슬라비아 내전과 르완다 집단살해 당시 집단강간이 극심하여 그 개념이 국제적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 전쟁강간은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이 사라지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또 발생하는 문제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전쟁에 의해 발생하는 부차적 결과이지, 강간 자체가 군사적 의도성과 목적성을 가진 것은 아니라는 데서 집단강간과 차이점을 갖는다. 집단강간으로 간주할 수 있는 대량강간 사례는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때 발생한 대량강간과 구유고슬라비아 내전 때의 강간공장, 르완다 학살 때 벌어진 강간 등을 꼽을 수 있다 = 분류:울산 HD FC의 축구 감독 = = 분류:대한제국의 사당 = = 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명단 = = 분류:1365년 설립된 단체 = 단체 en:Category:Organizations established in 1365 = 쇼타 초치슈빌리 = 쇼타 삼소니스 제 초치슈빌리(, , 1950년 7월 10일~2009년 8월 27일)는 소련의 유도 선수, 조지아의 유도 지도자이다. 소련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했으며,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 유도 경력 = = 삼보와 유도를 병행하며 활동했으며, 1972년에 처음으로 소련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그 해에 뮌헨에서 열린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 = 신일본 프로레슬링 (1989년) = = 1989년 초치슈빌리는 잠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나갔다. 4월 24일 그는 안토니오 이노키를 상대로 종합격투기에 나가 그를 녹아웃에 의하여 꺾고, 이노키의 WWF 세계 무술 헤비급 챔피언십을 우승하였다. 5월 25일 이노키가 항복에 의하여 이긴 5월 25일에 열린 이노키를 상대로 또다른 종합격투기 타이틀을 유지하였다. 그는 1989년 새해의 전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신일본 프로레슬링 이벤트에 관련되었다. 태그 팀 매치에서 초치슈빌리는 전 올림픽 레슬링 선수 사이토 마사와 브래드 레인건즈를 꺾었다. 그는 전임적인 프로레슬링 선수가 되는 데 최후적으로 따르지 않고, 이 카드와 함께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났다. = = 개인 생활 = = 은퇴 후, 초치슈빌리는 유도 코치로 일하였으며 또한 조지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와 조지아 유도 연맹의 부의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그의 아들 라마즈는 국제적 유도 선수가 되어 우크라이나를 대표하여 나갔다. 2003년 초치슈빌리는 심장 수술을 받고, 암과 함께 진단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그는 화학요법을 받았으나, 2009년 59세의 나이에 백혈병으로 사망하였다. = 다테이시 = = = 지명 = = 다테이시역: 일본 오이타현 기쓰키 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닛포 본선의 정차역 게이세이 다테이시 역: 일본 도쿄도 가쓰시카 구에 위치한 게이세이 전철 오시아게 선의 철도역 = = 인명 = = 다테이시 미쓰오: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다테이시 도모노리: 일본의 축구 선수 다테이시 아스카: 일본의 축구 선수 타테이시 케이타: 일본의 만화가 = 틀:조선의 개국공신 = = 키야트 = 키야트(Qiyad)는 몽골 부락 보르지긴(Borjigin) 씨족에서 나온 한 지파로서, 카불 칸(Khabul Khan)에서 시작된 씨족집단이다. 키야트(Qiyad, 乞牙惕)는 키얀(Qiyan, 乞顔) 혹은 캬운(Kiyoun, 奇渥温)의 복수형으로 '분류(奔流)'를 뜻한다.佐口 1968,P27 징기스칸의 일족인 키야트 보르지긴 씨는 그 한 일족이다.村上 1970,65-66 = = 기원 = = 카불 칸 일족이 칭한 키야트 씨는 아주 오래전에 '키얀'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였다. 전승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佐口 1968,P19宮脇 2002,p39 이 전승은 돌궐(突厥) 시조 설화와도 닮았으나, 『원조비사(元朝秘史)』 이외의 몽골사료에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기사이다.佐口 1968,P20 이 몽골 민족 조상들이 에르게네 쿤 산맥에서 나와 일부 씨족으로 나뉘어 갔지만 차차 '키얀'이란 이름은 끊기게 되어 잊혀져 갔다.佐口 1968,P27 그러나 카불 칸은 전 몽골민족을 통일하자 그 자손들이 고전승에 근거하여 '키얀'(Qiyan, 乞顔)이라고 영예높은 씨를 친하는 씨족집단을 만들었고, 한데 묶어 '키야트(Qiyad, 乞牙惕)'라고 칭하였다.村上 1970,65-66 한편 동족 차라카이 린쿠(Charakai Linku) 일족은 네구스(Negus) 씨라고 칭하였고 그 손자 암바카이 칸(Ambaghai Khan)이 몽골 부락의 칸을 이었으나, 그의 계통은 타이치우트 씨라고 하여, 키야트 씨와 타이치우트 씨가 보르지긴 씨족 2대 씨족이 되어 3대에 걸쳐 몽골 칸 위를 독점하였다. = = 키야트씨에서 나뉜 분족 = = 카불 칸에서 시작된 키야트씨는 이후에 여러 씨족으로 나뉘었다. 키야트 주르킨(Qiyad Jurkin) : 카불 칸의 장남 오킨 바르카크(Ökin Barqaq)의 일족 키야트 창시우트(Qiyad Čangši'ud) : 카불 칸의 차남 바르탄 바가투르(Bartan Baghatur)의 장남 몽게투 키얀(Mönggetu Qiyan)의 일족 키야트 사야르(Qiyad Sayar) : 카불 칸의 차남 바르탄 바가투르(Bartan Baghatur)의 차남 네쿤 타이시(Nekün Taiši)의 일족, 혹은 카불 칸의 사남 쿠툴라 칸(Qutula Khan)의 일족 키야트 보르지긴(Qiyad Borjigin) : 카불 칸의 차남 바르탄 바가투르의 삼남 예수게이 바가투르(Yesügei Baghatur)의 일족村上 1970 = 분류:일본의 상징 = = 틀: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 = 개석 = 개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개석(開析) 개석고원 개석(蓋石) 제스() 장제스() 카이세키 (동음이의)() = 분류:디바 알푸자이라 클럽 = = 분류:Tellthetruth7의 다중 계정 = 사용자:Tellthetruth7의 다중 계정들입니다. = 검은코박쥐 = 검은코박쥐 또는 검은코작은발윗수염박쥐(Myotis melanorhinu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1890년에 기재되었고, 캐나다와 멕시코, 미국의 토착종이다. = 데이브 체케츠 = 데이브 체케츠(Dave Checketts, 1956년 ~ )은 미국의 기업인이자 스포츠 재벌로, 유타 재즈와 메이저 리그 사커의 레알 솔트레이크의 구단주로 NBA 역사상 가장 젊은 CEO이기도 하다. 1991년 3월 뉴욕 닉스의 구단주가 되었고, 1994년 NBA로 가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레인저스, 뉴욕 닉스, 뉴욕 리버티와 MSG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회장이 되었다. 1997년 MSG는 라디오 시티 뮤직 홀을 인수하였고, 2001년 9월 스포츠 캐피털 파트너 월드 와이스(Sports Capital Partners Worldwide)를 설립하였고, 2002년 SCP가 스포츠웨스트 통신과 대학 스포츠 연합 방송국을 인수하였다. 2005년 9월 29일 SCP는 세인트루이스 블루스를 인수하였다. = 분류:튀르키예 문학 = = 모듈:Location map/data/Bangladesh Khulna division/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Bangladesh_Khulna_division/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신촌블루스 = = 입술난초족 = 입술난초족( 蘭族, 학명: )은 석곡아과의 족이다.Pfitzer, Ernst Hugo Heinrich. Entwurf einer naturlichen Anordnung der Orchideen 100. 1887. = = 하위 분류 = = 새우난초속(Calanthe R.Br.) 입술난초속(Collabium Blume) Acanthophippium Blume Ancistrochilus Rolfe Ania Lindl. Cephalantheropsis Guillaumin Chrysoglossum Blume Devogelia Schuit. Diglyphosa Blume Eriodes Rolfe Gastrorchis Schltr. Hancockia Rolfe Ipsea Lindl. Nephelaphyllum Blume Pachystoma Blume Phaius Lour. Pilophyllum Schltr. Plocoglottis Blume Risleya King & Pantl. Spathoglottis Blume Tainia Blume = 배정대 = 배정대(裴梃旲, 1995년 6월 12일 ~ )는 KBO 리그 kt 위즈의 외야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배병옥(裵秉玉)'이다. = =LG 트윈스 시절 = = 2014년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나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시즌 후 신생 팀 kt 위즈의 전력 보강 선수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 = =kt 위즈 시절 = = 이적 후 2015년부터 1군 경기에 출전했다. 2015년 3월 29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 =경찰 야구단 시절 = = 2016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 = =kt 위즈 복귀 = = 2020년 시즌 청백전과 연습 경기에서 맹활약했다. 특히 2020년에는 클리프 브룸바의 단일 시즌 최다 끝내기 안타와 타이를 기록했다.4번째 끝내기 기록한 kt 배정대 "어제 조기 교체, 좋은 자극" - 연합뉴스 = = 출신 학교 = = 서울도신초등학교 서울 성남중학교 서울 성남고등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 = 응원가 = = kt 위즈 시절 kt 배정대 나나나나나나 kt 배정대 나나나나나나 kt 배정대 나나나나나나 kt 위즈 승리를 위해 x2 1루 2루 3루 홈 빵야!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5 kt 0.092 66 65 8 6 1 0 1 10 2 3 0 1 1 23 1 0 2016 kt 0.260 65 50 10 13 1 0 0 14 3 2 1 4 0 18 0 2 2018 kt 0.200 14 5 1 1 0 0 0 1 0 0 0 0 0 2 0 0 2019 kt 0.203 66 74 15 15 4 0 0 19 6 0 2 7 1 23 2 1 2020 kt 0.289 144 533 88 154 25 3 13 224 65 22 13 68 5 142 9 5 2021 kt 0.259 144 510 85 132 23 1 12 193 58 19 7 65 12 132 9 3 2022 kt 0.266 144 508 64 135 24 2 6 181 56 19 4 54 4 126 2 3 2023 kt 0.277 97 311 48 86 16 0 2 108 38 13 3 38 3 76 2 1 통산 8시즌 0.264 740 2056 319 542 94 6 34 750 237 65 30 237 26 542 25 15 = 분류:청일초등학교 동문 = = 분류:캐나다의 여자 = = 구로카와 다카야 = 구로카와 다카야 (1981년 4월 7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 분류:로제르주의 캉통 = = 터보클럽 = 터보클럽은 1989년 1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있던 한국의 폭주족 그룹이다. = = 개요 = = 1989년 1월, 여의도 한강고수부지에서 대학생과 재수생 등이 경주용 모터사이클을 즐기던 중 이들이 우연히 만나게 되어 만들어진 모임이지만 1990년 6월에 여회사원과 여고생 등을 폭행한 혐의로 경찰에 구속되면서 해체되었다. 회원의 대부분은 부유층 자녀들이며, 부모에게 부탁하거나 고등학교 졸업 선물로 경주용 모터사이클을 선물을 받았다. 1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회원들은 대학 입시에서 낙방했거나 성적 부진으로 아예 진학을 포기했으며, 회원의 대부분은 대학생과 재수생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회원 수는 6명일 정도로 소수였다. = = 관련 자료 = = 10代「폭주族」극성동아일보 1990.06.04 性폭행「오토바이暴走族」넷검거경향신문 1990.06.04 = 아노아 루루 = 아노아 루루(, 1988년 3월 8일 ~ )는 일본의 성인 비디오 여배우였다. 프라임 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제명되었다. 2007년 베가 팩토리에서 발매된 빙빙걸로 그라비아 모델로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9월 양해x신인 아슬아슬 모자이크을 통해서 성인 비디오에 데뷔하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로 신작 성인 비디오 출연이 끊겼으며, 블로그 역시 활동을 중단했다. = = 작품 목록 = = = = = 성인 비디오 = = = 2008년 2008년 2008년 2008년 2008년 발매일 비디오 제목 제작사 / ID 감독 비고 2008년 9월 19일 양해×아슬아슬 모자이크 : 신인 아슬아슬 모자이크 S1 No.1 StyleSOE-066 잣쿠 아라이 2008년 10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6개의 코스츔으로 파코파코! S1 No.1 StyleSOE-086 cobo 2008년 11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끈적하고 농후한 섹스 S1 No.1 StyleSOE-106 아키 히데토 2008년 12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출렁이는 폭유, 채우지 못한 성욕 S1 No.1 StyleSOE-129 코하쿠 아오이 2009년 2009년 2009년 2009년 2009년 발매일 비디오 제목 제작사 / ID 감독 비고 2009년 1월 7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메종 TSUBAKI S1 No.1 StyleSOE-141 아키 히데토 Rio 미히로 사야마 아이 아사미 유마 요시자와 아키호 카스미 리사 타케우치 리카 하츠네 미노리 2009년 1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무한절정! 격렬히 가버리는 FUCK S1 No.1 StyleSOE-149 아이조메 토모히사 2009년 2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바코바코 난교 S1 No.1 StyleSOE-170 모리카와 케이 2009년 3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절규! 빅 매그넘 FUCK S1 No.1 StyleSOE-186 아이조메 토모히사 2009년 4월 19일 아슬아슬 모자이크 : 실금 수치 에스테틱 S1 No.1 StyleSOE-204 케이시 타케다 2009년 5월 13일 매혹적인 정액 마시는 여교사 MOODYZMIDD-498 2009년 6월 13일 사랑하는 정액 MOODYZMIGD-248 쿠로사와 아라라 2009년 6월 19일 메종 S1 별관 S1 No.1 StyleSOE-240 이기 코엔 Rio 미히로 사야마 아이 아사미 유마 요시자와 아키호 카스미 리사 타케우치 리카 하츠네 미노리 2009년 7월 13일 진짜 질내사정 MOODYZMIGD-252 아오키 타츠야 2009년 7월 19일 메종 S1 : S1 여배우와 24시간 섹스 삼매경! S1 No.1 StyleONSD-340 아키 히데토 Rio 미히로 사야마 아이 아사미 유마 요시자와 아키호 카스미 리사 타케우치 리카 하츠네 미노리 2009년 9월 7일 소리가 나오지 않아, 전부 다 끝나고 말테니까… 신인 OL, 계획된 혼약 어태커즈SHKD-380 나가시메 2009년 10월 19일 기분 좋아 죽을 것 같아 란마루TYOD-064 이치고마루 2009년 11월 20일 Tokyo A·GE·HA 10 그레이즈GST-020 2009년 12월 11일 아파트 단지 유부녀 질내사정15 TMA17ID-027 카미야마 안나 키사키 유아 외 1명 2009년 12월 13일 E-BODY SPECIAL : 육식계 여자들의 축제 E-BODYEBOD-097 미나미 하오 나미키 루카 나츠카와 아사키 마츠키 아야 모로보시 세이라 세리자와 모에 아리사와 미사 아이자와 렌 호시 유우노 후쿠야 마유 2010년 2010년 2010년 2010년 2010년 발매일 비디오 제목 제작사 / ID 감독 비고 2010년 1월 13일 육식계 여자들의 축제 두번째 밤 : 옷을 입어도 감출수 없는 E-BODY E-BODYEBOD-100 나미키 루카 나츠카와 아사키 마츠키 아야 모로보시 세이라 세리자와 모에 아리사와 미사 아이자와 렌 호시 유우노 후쿠야 마유 2010년 4월 1일 경기용 수영복에 로션을 바른 엉덩이로 사정 FetishistFETI-002 나다사카 마이 미즈나 레이 미즈키 나오 사나 아사카 유키 아오이 시노 카이바 유 코이즈미 리나 하나이 메이사 2010년 4월 9일 로션 수영복 02 TMAMIZ-015 모리 나나코 = = = 이미지 비디오 = = = 《빙빙걸》() 2007년 7월 19일, 베가 팩토리 《AV무리》() 2008년 4월 1일, 미만 《AV무리2》() 2008년 5월 1일, 미만 《극유》() 2008년 6월 13일, garo* 《음유》() 2008년 10월 19일, GNS 《맛있는 아내》() 2009년 11월 27일, 올스택 픽쳐스 = = 출연 정보 = = = = = TV = = = 《오네가이! 마스캇토》() 2008년 4월 9일 ~ 2008년 6월 4일, TV 도쿄 《에로 생☆파라다이스》() 2008년 11월 4일, 2009년 1월 27일 게스트 출연, GyaO조키 《데라☆에로파라》() 2009년 7월 21일 게스트 출연, GyaO조키 《복숭아의 풍만함》() MONDO TV 《두근두근!? 뉴스~캐스터》() MONDO21 = 백효주 = 백효주(白孝珠, ? ~ ? )는 고려 후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남포(藍浦). 백이정(白頤正)의 동생이다. = = 생애 = =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으로 1299년(충렬왕 25) 5월 장군(將軍)으로 원나라에 요(鷂, 새매)를 바치는 헌사로 갔다.고려사 세가 충렬왕 25년 5월 조 신호위(神虎衛) 대호군(大護軍)을 지냈다. = = 가족관계 = = 조부 : 백경선(白景瑄, ? ~ ? ) 예부낭중(禮部郞中) , 증(贈) 우복야(右僕射) 부 : 백문절(白文節, 1208년 ~ 1282년)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모 : 성주 이씨(星州李氏) 이세주(李世柱)의 딸 * 형 : 백이정(白頤正, 1247년 ~ 1323년)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 상당군(上黨君) 문헌공(文憲公) * 형수 : 구 안동 김씨(舊 安東金氏) 중대광(重大匡) 상락군(上洛君) 김순(金恂)의 딸 * 부인 : 평양 조씨(平壤趙氏)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양군(平壤君) 조인규(趙仁規, 1237년 ~ 1308년)의 3녀 = 암태 = 암태는 다음을 의미한다. 암태면 암태도 = 프로토시폰과 = 프로토시폰과(Protosiphonaceae)는 녹조강 클라미도모나스목에 속하는 녹조류과의 하나이다. 3속 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속 = = 프로토시폰속 (Protosiphon) Klebs, 1886 - 2종 스폰기오사르키놉시스속 (Spongiosarcinopsis) A.Temraleeva, S.Moskalenko, E.Mincheva, Y.Bukin & M.Sinetova, 2018 - 유일종 S. terrestris 우르넬라속 (Urnella) Playfair, 1918 - 2종 = 박홍규 (1919년) = 박홍규(박홍규, 1919-1994)는 대한민국의 형이상학자이다. 호는 소은(소은). 1919년 광주 서창면 서창리에서 박하정과 송계남의 3남1녀 중 2남으로 태어났다. 광주 서방소학교와 서 중학교, 서울 중앙중학교, 일본 와세다 제1고등학교를 거쳐 와세다 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가 다시 와세다 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했다. 해방 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불어 강사로 출발하여 1955년부터 같은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그 사람은 죽을 때까지 평생 공부만 했으나 그 사람이 남긴 글은 논문 7편뿐이었다. 이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던 제자들이 그 사람의 강의를 녹음했고 이 녹음은 그대로 녹취되어 그 사람이 죽은 뒤에 전 5권의 박홍규전집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그 사람은 특히 플라톤과 베르크손을 가장 완벽한 형이상학자로서 소개했는데 지금 남은 강의도 주로 그 두 사람에 관한 것이다. = = 철학 = = 그 사람의 철학은 한마디로 실증성을 띤 형이상학이라 할 수 있다. 학문이 專門에 속하지 않는 생각이나 사상과 다른 점은 그것이 단순한 의견意見;doxa;opinion. 『국가』편의 맥락에서 의견은 지식과 agnoia와 대비를 이루며 구분된다. gnosis의 대상이 있는 것(to on)이고 agnoia의 대상이 있지 않은 것이라고 할 때 doxa의 대상은 있는 것도 있지 않는 것도 아니라서 doxa은 agnoia도 gnosis도 아니다. doxa는 sapheneia에서 gnosis을 능가하지도, asa -pheia에서는 agnoia를 능가하지도 못한다. gnosis보다 어둡지만, agnoia보다는 밝은 doxa은 gnosis와 agnoia의 중간이다. 혼이 어둠과 섞인 것(완전한 어둠인 無와 밝음인 존재의 중간)에, 즉 생성 소멸하는 것에 고착할 때는 doxa을 갖게 되고 이런 doxa를 이리저리 바꾸어 가짐으로써 혼이 침침한 상태에 있게 된다. 『국가』편478b-d, 508d참조이 아니라 참된 인식참된 認識;episteme;knowledge. 『국가』편의 맥락에서 episteme는 doxa와 구분된다. episteme와 doxa는 그것이 관계하는 諸 대상에 따라서 나뉜다. Episteme는 있는 것(to on)에 관계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아는 능력이며, 잘못할 수 없는 것(to anamarteton)인데 doxa의 대상은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며, doxa는 오류 가능성이 있다. 『국가』편478b-d, 508d참조이라는 것이다. 철학도 학문이라면 당연히 참된 인식이어야 한다. 어떤 생각이 참된 인식이 되려면 주장하는 내용이 근거가 있어야 하고 근거가 있으려면 주장하는 정보내용을 상대로 삼은 자료에 부합해야 한다. 즉 참된 인식인지 아닌지의 기준은 정보라는 것이 그의 철학의 출발점이다. 철학은 특히 정보 일반을 상대로 삼은 반성이므로 우선으로 정보 일반을 상대로 삼은 분류(classification)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려면 우선 모든 존재자를 상대로 삼아 하나도 소홀하지 않게 자기동일성이 주어져야 한다. 어떤 존재자를 다른 것으로 환원하지 말고 그것을 바로 그것으로 인정해야 분류도 제대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각 존재자의 이데아를 확립하는 작업인데 이 세상의 각 존재자는 서로 구별될 뿐만 아니라 서로 연관한다. 그렇게 연관하게 하는 원리가 아페이론이다. 세계는 이데아들과 아페이론ἄπειρον;apeiron. 고대 철학자 아낙시만드로스의 핵심 개념으로서 우주의 근원으로 불멸하는 무규정자나 무한정자를 이른다. '없다'를 뜻하는 그리스어 ἀ[아]와 '한계' 혹은 '끝'을 뜻하는 πεῖραρ[페이라르]의 합성어로서 ‘무한’을 이른다. 고대 사상가들이 세계의 기원을 사유할 때에는 chaos, formless, 어두움의 개념이 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8세기의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에 의하면 원초가 되는 신은 chaos나 바닥이 없는 abyss다. 그리스 철학자인 탈레스는 우주의 기원을 물로 생각했지만, Pherecydes of Syros는 물을 역시 혼돈으로 생각하였다. 고대의 창조설에 비추어 보았을 때 원초가 되는 세계는 물의 심연으로, 무형이었고 비어 있었다. 바빌로니아의 창세 서사시인 에누마 엘리쉬나 창세기에서도 우주의 초기 단계는 물의 혼돈으로 묘사된다. 이 혼돈은 헤시오도스에게 불확정스럽고 규정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러한 사유가 추상화하여 아페이론이라는 개념으로서 발전되었다. 세상의 근원이 신비주의다운 혼돈이나 무형과 같은 개념에서 합리하고 추상화한 개념인 아페이론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아낙시만드로스가 특별해서가 아니라 아낙시만드로스의 이전 철학자들이 자연의 근본이 되는 원소를 물, 공기, 불, 흙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신비주의다운 색채가 섞인 원초가 되는 개념이었던 물, 공기, 불, 흙을 관찰한 아낙시만드로스는 서로 반대의 상태에 있는 이런 원소가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서로 섞이거나 분리되면서 조화를 이루어 내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이 4원소가 각각 반대의 상태에 있어서, 한 상태가 무한정 상태가 된다면 다른 상태의 소멸로 이어지기에 이런 원소 중 어느 한 원소도 원질로 인정할 수 없어서 아낙시만드로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처음과 근원인 중립이고 미분화한 무한정자 즉 아페이론을 상정하였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근원을 아페이론으로 생각했기에, 모든 사물이 필연으로 아페이론에서 나올 뿐만 아니라 그곳으로 다시 사라진다고 주장하였다. 그것에 의하면 생성물들이 생겨나고 소멸하는 과정은 불의이다. 예컨대 겨울에는 찬 요소가 다른 여러 요소를 침탈하기에 불의를 범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불의를 범한 물질은 다시 정당히 벌받아 여름에 의해 소멸하고 또 다시 시간이 지난 후에 보상받아 다시 생성된다. 4원소가 이렇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것은 무한정자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다. 모든 것의 원질인 아페이론 즉 무한정자는 4원소들의 중간에 위치하여 아페이론은 중간자나 중성자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은 불변하는 중간자다우면서도 규정될 수 없는 원질만이 공간다운 분리와 결합으로써 우주에 존재하는 다양하고도 개별성을 띤 물질들을 생성한다는 아낙시만드로스의 생각에 토대한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아페이론을 자신의 우주론에 접목하게 했으며 4원소는 생성과 소멸로 말미암아 멈추지 않는 회전운동을 하지만, 아페이론이 지구와 우주의 모든 것을 지탱하는 힘을 필연으로 제시한다고 주장하였다.이 섞여서 이루어진 것인데 이 둘은 성질이 반대되는 것이므로 가만히 놓아 두면 서로 섞일 수가 없어서 이것을 섞어 주는 원리가 필요한데 그것이 능동성을 띤 운동이다. 이데아, 아페이론, 능동성을 띤 운동 이 세가지가 기본이 되는 형이상학상 원리가 되는데 이것은 플라톤의 세 원인 그대로이므로 플라톤의 최대 업적은 이 세 원리를 발견한 것이라고 박홍규는 생각하나 철학이 이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후에는 플라톤을 넘어서서 능동성을 띤 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베르크손의 철학이다. 그 사람의 지속은 끊임없이 움직이면서도 자기동일성을 잃지 않는 운동이다. 현대의 형이상학은 모두 그 사람의 능동성을 띤 운동에 기초하고 이루지는 변형이다. = = 저서 = = 박홍규 전집 1. 희랍철학 논고, 1995, 민음사. 2. 형이상학 강의1, 1995, 민음사. 3. 형이상학 강의2, 2004, 민음사. 4. 플라톤 후기철학, 2004, 민음사. 5.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강독, 2007, 민음사. = = 연구서 = = 최화, 박홍규의 철학.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2011,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K5리그 강원 = K5리그 강원(K5 League Gangwon)은 K5리그의 강원 권역 대회이다. 강원 권역 최하위는 K6리그 강원으로 강등되며 우승팀은 K5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 = 역대 우승팀 = = 시즌 우승팀 준우승팀 2019 하늘 FC 주문진축구단 2020 하늘 FC 영월 FC 2021 파란 FC 관동축구단 2022 막장 FC 파란 FC = = K5리그 챔피언십 성적 = = 시즌 출전팀 결과 2019 하늘 FC 조별리그 2020 하늘 FC 10강 토너먼트 = 영국공주 (북송 태조) = 영국공주 조씨(永國公主 趙氏, ? ~ ?)는 중국 송나라의 초대 황제인 송 태조 조광윤의 여섯째 서녀(庶女)이다. = = 생애 = = 송 제국 태조 조광윤의 서륙녀(庶六女)로 출생한 그녀는 일생을 독신으로 지내었고 또한 젊어서 병으로 요절하였다 한다. = 사유기 = 〈사유기〉(四遊記)는 중국의 명대에 성립한 네 개의 신마소설을 집성한 저작. 명대 이후에 오승은의 전기소설 〈서유기〉가 대히트 한 후, 명대로부터 청대에 걸친 서점·오원태, 오정태와 여상두가 불교와 도교에 관련된 희곡·잡극과 신화전설에 근거해 편찬한 것이 〈동유기〉·〈남유기〉·〈북유기〉. 양시와의 희곡에 소설화한 〈서유기전〉도 더해, 이 사대유기를 집성한 것이다. 주로 천계의 신선과 괴물 등을 그린다. = 오토 카리우스 = 오토 카리우스(Otto Carius, 1922년 5월 27일 ~ 2015년 1월 24일)는 독일 국방군 육군의 기갑사단 소속 전차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때 적 전차 150대 이상을 격파한 전차 에이스 지휘관이다.Ashley Hart, p. 41 혁혁한 전공으로, 전장에서 대단한 용기를 발휘한 자 또는 훌륭한 군사적 지도력을 발휘한 자에게 수여되는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서훈받았다. 카리우스는 두 번 입대를 지원했으나, 체중 미달로 두 번 다 탈락했다. 우여곡절 끝에 1940년 5월에 겨우 입대하여 제 104 보병보충대대에 배치되었다. 훈련 과정에서 카리우스는 기갑병과를 지망했다. 홀슈타인의 푸틀로스에서 제7기갑보충대대 소속이 되어 기갑전의 기초를 학습했다. 1941년 6월, 카리우스의 부대는 새로 조직된 제21기갑사단에 편입되어 동프로이센으로 출발했다. 카리우스는 1941년 6월 말 하사관 계급의 사관생도로 복무 중이던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38(t) 전차의 탄약수로 첫 실전 경험을 했다. 이 때 탑승하고 있던 38t 전차가 피탄당해 중경상을 입었다. 1943년, 카리우스는 독일 제502중전차대대로 전출되었다. 이 부대는 레닌그라드 및 에스토니아 나르바 등지에서 6호 티거 전차를 가지고 보병들과 함께 소련군과 싸웠다(나르바 전투). 잠시 무장친위대 외인부대 사단과 협동해서 소련군과 싸워보기도 하였다. 60톤이 나가는 6호 전차는 상당히 다루기 힘들었다고 전해진다. 그가 근무하던 중대에는 카리우스 말고도 하사관 계급의 전차 에이스 지휘관들이 많았다. 1944년 7월 24일에 아군 전차보다 앞서 중대에 마지막 하나 남은 오토바이로 운전병과 함께 마을을 정찰하던 카리우스는 소련군에게 기습 공격을 당해 심한 부상을 당했다. 당시 카리우스 소위는 제 502전차대대 제2중대장 권한대행을 맡고 있었는데, 정식 중대장으로 임명받은 바로 그 날에 팔다리에 관통상, 등에 4발, 목에 1발이라는 치명상을 입었다. 그 뒤에는 1945년에 서부전선에서 제512중구축전차대대의 야크트티거 중대 중대장이 되었다. 이 중대는 발터 모델 원수가 지휘하는 B집단군 소속이었다. 1945년 3월 8일, 훈련을 끝마친 카리우스의 2중대는 곧장 지크부르크 근교 최전선으로 향했다. 중대는 라인강 방위선을 담당했으며, 1945년 4월 15일에 미국 육군에게 최종 항복했다. 이후 모델 원수는 숲 속에서 미군에게 체포되기 직전 권총으로 자살을 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약학을 공부한 후 라인란트팔츠주의 헤르슈바일러페테르쉐임에서 티거 전차의 이름을 딴 호랑이 약국을 개업해서 2011년까지 운영했다. 자신의 전쟁 경험을 서술한 자서전 진흙 속의 호랑이("Tiger im Schlamm")를 저술했다. 2015년 1월 24일에 향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 서훈 내역 = = 전상장 은장 전상장 금장 2급 철십자 훈장 1급 철십자 훈장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 Careful What You Wish For = Careful What You Wish For는 2003년 10월 20일에 발매된 텍사스의 음반이다. 머큐리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명령형 = 명령형이란 일본어의 용언에서 활용형 중 하나이다. 일본어의 동사나 형용사등은 어형변화를 일으키지만, 활용형이란, 학교문법에 있어서 어형변화후의 어형을 6개로 분류한 것이고, 명령형은 그 중 하나로 6번째에 위치한다. = = 정의 = = 명령형은 청자에 대하는 명령이나 지시를 하는 뜻으로 문말에 단언할 때에 사용되는 어형이다. 토조 기몬의 일본어 설약도 (1833년)에 있어서는 희구어로 되어있지만, 타나카 요시카도 소학교 일본 문전(1874년)에서 명령형으로 되었다. 4단동사・ナ변동사 · ラ변동사에서는 이연형과 같고, エ단음으로 되고, 1단동사 · 2단동사에서는 イ단음 혹은 エ단음+“よ(ろ)”가 된다. 한편,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かれ” “なれ”로 되지만, 현대구어에서는 “大きくなれ” “靜かにしろ”와 같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명령형은 위치되지 않는다. 분류 문어 문어 문어 문어 구어 구어 구어 구어 구어 품사 활용의 종류 어형 어형 예시 활용의 종류 어형 어형 예시 동사 4단활용 書く かけ -e 5단활용 書く かけ -e 동사 ラ행변격활용 あり あれ -e 5단활용 書く かけ -e 동사 ナ행변격활용 死ぬ しね -e 5단활용 書く かけ -e 동사 하1단활용 蹴る けよ -eよ 5단활용 書く かけ -e 동사 하2단활용 受く うけよ -eよ 하1단활용 受ける うけろうけよ -eろ-eよ 동사 상1단활용 着る きよ -iよ 상1단활용 起きる おきろおきよ -iろ-iよ 동사 상2단활용 起く おきよ -iよ 상1단활용 起きる おきろおきよ -iろ-iよ 동사 カ행변격활용 來 こ(こよ) -o(-oよ) カ행변격활용 來る こい -oい 동사 サ행변격활용 す せよ -eよ サ행변격활용 する しろせよ -iろ-eよ 형용사 ク활용 なし なかれ かれ 형용사 シク활용 美し うつくしかれ しかれ 형용동사 ナリ활용 靜かなり しずかなれ なれ 형용동사 タリ활용 堂々たり どうどうたれ たれ = = 문제점 = = 명령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1단활용・2단활용・カ변・サ변의 「よ(ろ)」이고, 이것을 조사에 분류하고 제외하면 이것들은 미연형과 같은 어형이다. = = 언어학에서 본 명령형 = = 형태론에서 단어의 변화하지 읺는 부분은 어간이라고 부르고, 거기에 함께함으로써 어형 변화를 가져줌과 같이 문법 의미의 표현을 어미라고 부른다. 이것에 의하면 일본어의 동사는 자음어간동사와 모음어간동사로 나뉜다. 자음어간동사는 4단동사・ラ변동사・ナ변동사를 말하고, 로마자 분석과 변화하지 어간 부분은 자음으로 끝나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는 1단동사・2단동사이다. 문어에서 어간모음은 모음변환을 일으키고 2가지 어형을 갖고 있지만, 현대구어에서는 모음변환은 일어나지 않는 어간은 일정이다. 이렇게 보면, 명령형이란, 자음어간동사(4단동사・ラ변동사・ナ변동사)에서는 모음/e/에서 만들어진 어미-e가 어간자음에 붙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진 어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에서는 -yo/-ro라는 다른 어미가 두 가지 어형을 갖고 있지만, 붙여진 것이다. 또한 이 「よ/ろ」는 각각 거의 서/동일본의 방언형이고, 동국의 「ろ」는 만요슈의 시대부터 있었던 것이 알려지고 있다. 또 형용사・형용동사에서 カリ활용이나 ナリ활용이라고 말해지는 활용을 가지지만, 이것은 어간과 어미와의 사이에서 -ar-(あり)들어간 것을 말하고 있다. 「あり」는 단체에서는 존재를 가리키는 단어지만, 어미로서 사용되면, 지정・조정의 문법기능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그 활용도 자음어간동사「あり」에 따라서 -e에 의해서 명령형이 만들어지다. = = 관련항목 = = 활용 명령형 = 가나가와현립 이세하라 고등학교 = 가나가와현립 이세하라 고등학교(神奈川県立伊勢原高等学校)는 일본 가나가와현 이세하라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통칭은 이세고(伊勢高). = 신가키 = 신가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신가키 타루스케: 일본의 성우 신가키 유토: 일본의 가수 = 쉐보레 업랜더 = 쉐보레 업랜더(Chevrolet Uplander)는 제너럴 모터스가 쉐보레 브랜드로 생산·판매한 대형 미니밴으로, 2005년에 벤처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 = 1세대 = = = = = 업랜더(2005년~2008년 9월) = = = 전형적인 GM의 뱃지 엔지니어링된 차량으로, 형제 차종으로는 폰티액 몬타나 SV6, 새턴 릴레이, 뷰익 테라자가 있다.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과 4륜구동으로 나뉘었다. 2008년 9월에 저조한 판매 실적으로 인해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고, 현재 업랜더의 자리는 대형 SUV인 트래버스가 채우고 있다. = 틀:문장 정보/설명문서 = = = 사용 방법 = = *예: {{문장 정보 }} { "description": "", "format": "block", "params": {} } = 가가미 신사 = 가가미 신사(鏡神社)는 일본의 사가현 가라쓰시에 있는 일본의 신사이다. 현재는 마쓰우라 총진수 가가미 신사(現在は松浦総鎮守鏡神社)라 불리며, 예전에는 가가미노미코토 묘궁(鏡尊廟宮), 가가미 궁(鏡宮), 마쓰우라 궁(松浦宮), 판액사(板櫃社), 구리대명신(久里大明神)이라고 불렸다. 가가미 신사는 마쓰우라 국(松浦国)의 총사(総社)로써 존숭을 받았으며, 마쓰우라 3대 신사의 하나로 꼽힌다. 양류관음보살(楊柳観音菩薩)을 비롯한 신상 등도 신도 제사로써 거행되었고, 메이지 시대의 신불분리령 이후로도 그 잔재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신사이다. 또한 한국에서 건너온 고려불화 양류관음도가 소장되어 있는 신사로도 알려져 있다. = = 연혁 = = 신사의 전승에서는 전설적인 인물인 진구 황후가 가가미 산 꼭대기에서 삼한정벌의 전승을 기원하면서 거울을 봉납했고, 훗날에 이 거울이 영험한 빛을 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은 진구 황후는 자신의 생령을 거울에 담아 제사지내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삼한정벌에서 돌아오면서 진구 황후가 이 땅에서 진통을 앓았는데 마을 사람이 떠다 바친 샘물을 마시고 진통이 치유되었고 우미(宇美)에서 무사히 오진 천황(応神天皇)을 낳았다고 하는데서 안산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후지와라노 히로쓰구(藤原広嗣)의 난 당시 히로쓰구가 이곳에서 처형되었고, 그로부터 10년 뒤인 덴표쇼호(天平勝宝) 2년(750년)에 히젠(肥前)의 고쿠시(国司)로 좌천된 기비노 마키비(吉備真備)가 히로쓰구를 제사지내는 니노미야(二ノ宮)를 지었다. 히로쓰구가 죽은 뒤 승려 겐보(玄昉)가 지쿠시(筑紫)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을 맞았는데, 사람들은 이를 히로쓰구의 원령 때문이라고 믿어 이를 위로하였다고 한다. 원래는 마쓰우라 궁(松浦宮) ・ 마쓰우라 묘궁(松浦廟宮)으로도 불렸는데, 구카이(空海)가 가가미 신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다마가즈라(玉鬘)의 권에서는 히고(肥後)의 호족(豪族) 대부감(大夫監)이 다마가즈라에게 보낸 노래에 「마쓰우라라는 거울의 신」(松浦なる鏡の神)라고 읊고 있다. = 샤이닝 포스 II = 샤이닝 포스 II(シャイニング・フォースII 古えの封印, Shining Force II)는 1993년 소닉! 소프트웨어 플래닝이 개발한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 콘솔용 전략 롤플레잉 게임이다. 스토리라인은 오리지널 샤이닝 포스와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게임 기어 타이틀 샤이닝 포스 외전: 파이널 컨플릭트는 이 두 게임의 줄거리를 연결한다. 이 게임은 첫 번째 작품에 비해 훨씬 더 길며 더 자유로운 배회가 가능하다. 챕터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이전에 방문했던 장소로 돌아갈 수 있다. = 그레이엄 핸콕 = 그레이엄 핸콕(Graham Hancock, 1950년 8월 2일 ~ )은 영국의 작가이다. = = 경력 = =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지의 동아프리카 특파원 선데이 타임스(Sunday Times)지의 기자를 역임했다. = = 저서 = = 신의 지문(Fingerprints of the Gods) 창세의 수호신(Keeper of Genesis) 우주의 지문:화성 멸망의 수수께끼(The Mars Mystery: The Secret Connection Between Earth and the Red Planet) = 안녕, 전우치! 도술로봇대결전 = 안녕, 전우치! 도술로봇대결전은 2015년 10월 8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 시놉시스 = = 조선시대에서 백성을 괴롭히는 왕을 혼내준 뒤 입술 엘리베이터를 타고 500년의 시간을 훌쩍 넘어 2015년 현재로 오게 된 전우치는 서울 부암동으로 이사 온 초등학생 석이와 무술 신동 산초를 만나게 되고 셋은 친구가 된다. 그 사이 조선에서는 전우치의 친구이자 라이벌인 도사 우당탕과 왕이 손잡고 전우치에게 복수를 계획하며 비밀병기 도술로봇까지 만들게 된다. 한편 시간을 넘나들며 우정과 모험을 쌓아가던 우치와 친구들은 왕과 우당탕의 계략에 의해 째깍째깍 물고기가 살고 있는 시간의 방에 갇히게 되는 최대 위기에 빠지게 된다. 째깍째깍 물고기에게 시간을 빼앗겨 아이가 된 전우치가 능력을 잃어버린 틈을 타 왕은 도술로봇을 이용해 백성들을 또 다시 괴롭히는데! 어린이들의 최고의 친구, 최고의 영웅! 명랑 히어로 전우치의 대모험이 시작된다! = = | CAST | = = 김율: 전우치 역 김새해: 석이/석이엄마/앵커/선생님/여자어린이1 역 정선혜: 산초 역 홍범기: 도둑/왕/신하/의금부포졸 5,6 역 류점희: 우당탕/거북할멈/여자/남자어린이2/파주댁 역 안장혁: 의금부지사/랑호 역 김소형: 따오밍스/곰/진휼청 관리/조선시대 할아버지/의금부포졸1,2/백성 2,4,6,7,9,10,11/뱀괴물/사자괴물/엿장수/도술로봇 컴퓨터 역 김기흥: 석이아빠/학/임만식 기자/남자어린이1/조선시대 소/포졸병장,궁궐병졸1/의금부포졸3,4/백성 1,3,5,8,11/괴물1/원숭이괴물/머리괴물/째깍째각물고기 역 = = | STAFF | = = 대본감수: 윤강비 더빙연출: 조일호 원작: 하민석 ("안녕 전우치?" | 도서출판 보리) 기획: 김대창, 임만식 제작: ㈜얼리버드픽쳐스, ㈜쏘울크리에이티브 제작지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배급: ㈜리틀빅픽처스 공동제공: 와이드 릴리즈㈜ = = = | STAFF | Animation = = = 감독: 김대창 Executive Producer: 김대창, 임만식 애니메이션 감독: 황철 Producer: 박기원, 이별남 각본: 김대창, 권오현, 신현덕, 최인희 각색: 김대창, 김미희 애니메이션 연출: 이정현 애니메이션 PD: 이지민, 김미희 컨셉디자인: 김시헌 캐릭터디자인: 정달희, 김다정, 한승우 Location 디자인: 김학철 소도구 디자인: 정달희, 김다정, 이정현 콘티: 한승우, 이기용, 최지원 레이아웃 Supervisor: 한승우 레이아웃/원화: 한승우, 전은희, 이기용, 한수진, 이지원, 김우신, 김윤희, 신창섭, 김성만, 이찬웅, 정달희, 김다정 원화작감: 전은희 애니메이션 Supervisor: 이정현 애니메이션: 이정현, 한주석, 장수진, 한세화, 김성령, 송하나, 양선인, 김성수, 이승주, 최진혁, 김부용, 이소라, 박현수, 차정연, 원혜민, 김미연, 이하나 배경 Supervisor: 김학철 배경: 김학철, 이현정, 김은희, 김은영, 김혜성, 이희경, 박세일, 서은경 일러스트 디자인: 정연주 애니메틱스 촬영: 홍예솔 편집: 황철 제작지원: 신장선, 장류진, 김범섭, 추동문 오프닝(3D): 지혜천 = = = | STAFF | Pilot = = = 애니메이션 연출: 곽영진 애니메이션 PD: 이지윤 원화: 곽영진, 이지윤, 김지현 디자이너: 김혜민 = = = | STAFF | Post Production = = = 음악: 나잠 수(삽입곡<너흰 아무것도 몰라>노래: 김간지, <우리는 친구>노래: 나잠 수) 포스트제작: ClCMEDIA 녹음: 박지혜, 박지혜(s) 믹싱: 박지혜 효과: 박지혜, 파란슐츠, 최옥순, 박지혜(s) 예고편: 김지선 DCP제작: 고재식 = = = | STAFF | Movie = = = 배급책임: 안수현 배급진행: 박선미, 박진수 진행: 한정윤 홍보마케팅: -모 비- 이은하, 최미선, 조근희 온라인 마케팅: -클루시안- 박선희, 유현지, 김경미, 권혜진 디자인: 최선희 타이틀 캘리그래피: 봉봉오리 = = = | 도움주신 분들 | = = = 도서출판 보리: 양병희 콩미디어: 이강민 새한프로덕션: 송정율(「송정률」명의) 스튜디오 카브: 김신화, 안성은 스튜디오 홀호리: 서석준, 김현주 그리메: 신주영 아트플러스 엠: 서동원, 김수명 꽃다지: 유정주 카툰네트워크: 장국상, 이영석, 김도연, 서현아, 김효은, 김영조, 이재원 재능TV: 노민석, 박주연, 김다빈, 김상현 챔프: 구본승, 정헌식 고래가 그랬어: 안현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Copyright ©2015 Haminseok/earlybird/SOULCREATIVE. All Rights Reserved. = 분류:여수시 = = 견융 = 견융(犬戎)은 중국 주나라 때 활동한 부락이다. 주나라의 서부(현재의 간쑤성 동부와 닝샤 일대)에 위치했으며, 서융으로 분류된다. 기원전 771년에 신후(申侯)와 연합해 서주를 공격해 주 유왕을 죽였다. = 분류:BMW의 컨셉트 카 = = 반포1동 = = 일제 헤스 = 일제 헤스(혼전성 프뢸(Pröhl), , 1900년 6월 22일 ~ 1995년 9월 7일)는 루돌프 헤스의 아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그녀는 유명한 작가가 되었다. = = 가족 = = 일제 프뢸은 민족주의적 보수주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부유한 의사이자 의사인 프리드리히 프뢸과 그의 아내인 엘자 마인케의 세 딸 중 하나였다. 그녀의 아버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7년 5월에 사망했다. 그녀의 어머니는 브레멘 미술관의 관장인 예술가 카를 호른과 결혼했다. = = 루돌프 헤스와의 관계 = = 일제는 1920년 4월 뮌헨에서 루돌프 헤스를 만났다. 그녀는 뮌헨 대학교에서 공부한 최초의 여성들 중 한 명이었다. 1921년에는 처음으로 나치당에 입당했으며 1925년에는 당원번호 25,071번으로 재가입했다. 그녀는 처음부터 루돌프 헤스에게 끌렸다고 느꼈지만, 헤스는 관계를 맺기를 꺼렸다. 일세는 부유한 여성들 사이를 여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아돌프 히틀러에게 헤스를 소개했다. 히틀러는 마침내 1927년 12월 20일 뮌헨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히틀러는 또한 1937년 11월 18일에 태어난 외아들 볼프 뤼디거 헤스의 대부였다. 루돌프 헤스가 스코틀랜드로 간 후, 일제는 힌델랑에 살기 위해 아들과 함께 뮌헨을 떠났다. = = 전쟁 이후 = = 1947년 6월 3일,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당한 전범들의 아내들과 마찬가지로 일제 헤스는 체포되어 아우크스부르크 괴징겐의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1948년 3월 24일 석방되어 알제우에 정착하여 1955년에 연금을 개설했다. 일제 헤스는 확신에 찬 국가사회주의자였다. 그녀가 죽을 때까지 그녀는 히틀러와 그의 견해에 충실했고, 전쟁 후에도 슈틸레 힐페를 지지했다. 그녀의 1952년 책인 England – Nürnberg – Spandau. Ein Schicksal in Briefen은 극우파 드루펠-베를라그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녀는 특히 히틀러를 계속 존경했던 비니프레트 바그너와 서신 왕래를 유지했다. = 분류:한국의 야구 코치 = = 고종 암약설 = 고종 암약설(高宗暗弱說)은 조선 후기의 군주 고종이 암우(暗愚)하고 유약했다는 이론이다. = = 개요 = = 고종 암약설은 고종이 무능했다는 이론인데, 나아가 군주의 무능뿐만 아니라 나아가 나라 전체에 대한 평가가 암약했다는 비약을 이끌었다. 이웃한 일본제국은 서둘러 서양화를 이룩하여 부강한 제국주의 국가로 발전한 반면, 조선은 쇄국 끝에 개국은 하였으나 대원군과 민왕후 일족, 수구당과 개화당이 계속 대립하는 가운데 황제마저 무능하여 밀어닥치는 외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결국 국권을 일본에 내주고 말았다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일본 침략주의자들이 고의로 만들어낸 이론임에도 한국사의 일반론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고, 식민지 근대화론의 근거로서 이용되어 왔다. 동시대의 주장으로는 위안 스카이, 윤치호, 황현 등의 비판이 존재하고 있고, 이준용이나 박영효는 기록을 남기지는 않았으나 고종을 축출하려는 쿠데타를 기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제1차 사료나 논리적 근거에 대한 정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교과서를 비롯한 대부분의 서적은 고종의 암약설과 비슷한 논조로 서술하고 있다. 이는 앞서 말한 위안 스카이, 윤치호, 황현 등의 비판도 마찬가지로 논리적 근거를 밝히고 있지는 않다. = = 고종에 대한 외국인의 평가 = = 마르티나 도이힐러(Martina Deuchler)는 고종이 주변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에 대해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진지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데넷 타일러(Dennett Tyler)의 견해는 반대로 부정적이다. 그는 1905년 황제와 조정 관료의 을사조약 무효화 운동 때 11월 25일자로 데오도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루트(Root) 국무장관에게 보낸 서신과 12월 19일 루트가 민영찬 공사에게 보낸 회신 등을 근거로, 미국의 잘못보다는 대한제국의 군주였던 고종의 잘못이 큼을 역설하였다. 게다가 한국에서 머문지 10년이나 된 미국 공사 안련은 고종에 대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한국 백성들이 불쌍하다. 내 일찍이 구만 리를 돌아다녔지만 상하 4000년에 한국 황제 같은 이는 처음 보는 인종이다." 해링턴(Harrington)은 알렌(Horace Newton Allen)이 톨레도에서 쓴 1903년 10월 14일자 일기를 근거로 삼아 고종을 “유약한” 사람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해링턴의 의견은 앨런이 쓴 다른 날의 일기에서는 오히려 고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함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결과만을 근거로 삼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스워터트는 미국인 데니(O. Denny) 가 남긴 평가, 즉 “고종은 위대한 국가의 지배자다운 강건, 낙관 및 인내를 보였다.”라는 평가를 지지하면서, 위 해링턴 연구의 잘못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고종이 고빙한 서양인 고문 가운데 헐버트(Homer Hulbert)는 고종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강하게 부정하였다. 그는 황제가 “유약하다는 사람은 틀렸다.”라고 하면서 고종이 주권 수호에 대한 확고한 의지 아래 사생결단의 조치를 단행했던 것들을 열거하였다. 고종에 대한 서양인의 평가는 1896년 10월에 간행된 코리언 레퍼지터리 3권 11책에 실린 〈한국의 국왕 폐하〉(His Majesty, Th King of Korea)의 글이 가장 구체적이다. 지금까지 고종에 대한 외국인의 평가가 나타난 자료 가운데 객관적이라고 볼 수 있는 〈한국의 국왕 폐하〉는 고종에 대해 가장 자세하며, 또한 매우 긍정적인 내용이 나타나 있다. 또한 영국의 지리학자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개신교 선교사 언더우드 부인의 주선으로 경복궁에서 고종 황제를 알현하는 모습을 기록하면서, “조선의 왕은 온화한 성품으로 유명하며, 성실하고 유능한 군주이지만 너무 착한 사람이다. 그에게 강인한 성격이 있었다면 훌륭한 통치자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한국과 그 이웃나라, 이사벨라 버드 비숍 지음, 이인화 옮김, 살림. 1883년 조선에 진주한 위안 스카이는 조선의 군주를 배알하는 자리에서도 기립하지 않을 것이며, 고종을 ‘혼군(昏君)’이라 칭하면서 폐위를 주장하고 나선다. 조선 정부관료 스무명을 일거에 자신의 측근으로 갈아치웠다. 미국공사 포크는 이를 ‘무혈 정변’이라고 이름했다.위안스카이 ‘골수까지 병든 조선’ 의 최고 권력자 조선일보 2004.03.25 한편 코리언 레퍼지터리에 실린 〈한국의 국왕 폐하〉는 현존하는 고종에 대한 외국인의 평가 가운데 가장 자세하면서도 가장 호의적이지만, 비숍의 평가는 일본에서 고종이 암울하고 유약한 군주였다는 소위 “고종 암약설”의 근거로 쓰이기도 한다. = = 고종 암군설의 기원과 심화 = = = = = 암군설의 등장 = = = 고종 암약설은 처음에 고종 암군설이라는 이론이었다. 이는 고종이 암우(暗愚)한 군주였다는 이론이며, 뒤에 고종이 유약하다는 평가(앞서 말한 테넷 타일러의 논평과 앨런의 일기)가 덧붙여져 고종 암약설로 발전한다. 1883년 조선에 진주한 위안 스카이는 고종을 암군이라 부르며 고종의 폐위를 기도하기도 했다. 윤치호는 고종이 어리석은 군주라는 평을 듣고 있다고 보았다. 그가 판단하기에 다른 사람들도 황제를 혐오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즉, 윤치호는 사람들은 황제를 “너무나 증오해서 그를 망신 주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환영하는 것 같다. 그가 왕좌에서 물러나는 것만이 사람들의 혐오감이나 정의감을 만족시킬 것 같다”고 보았다.박지향, 윤치호의 협력일기 (이숲, 2010) 112페이지 고종이 암우한 군주였다는 비평은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 파견 사건을 구실로 일본 측이 고종 황제를 강제 퇴위시킬 때 다시 나왔다. 오사카 마이니치신문사 경성 지국의 기자였던 나라사키(楢崎桂園)가 그해 12월 출판한 한국정미정변사(韓國丁未政變史)(1907.12, 京城, 日韓書房)에서 언급되는 암주(暗主)와 암우(暗愚)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하였다. = = = 일제 시대의 고종 = = = 그 뒤 1910년 10월 한일 병합 조약을 계기로 일본인이 쓴 한국 근대사 서적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고종 유약설(柔弱說)이 나오게 된다. 병합한 그해에 일본인이 펴낸 서적으로는 이케다(池田常太郎, 秋旻) 편, 일한합방소사(日韓合邦小史)(1910년 9월 20일 발행, 東京 讀賣新聞日就社)와 일본역사지리학회 편, 한국의 병합과 국사(1910년 10월) 등이 있다. 특히 이케다가 펴낸 일한합방소사의 서문이 8월 29일자로, 바로 한일 병합 조약이 공포된 날짜이다. 당시 병합 예정일이 비밀에 붙여져 있었는데, 편자가 그 날짜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책 출간을 추진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이러한 1910년을 전후하여 일본인이 출판한 한국 근대사 서적의 공통점은, 주로 고종이 즉위하였을 때부터 1907년 강제 퇴위할 때까지를 다루고 있는데, 고종에 대한 언급이 매우 미미하다는 데에 있다. 더구나 한국 근대사를 다루고 있는 책임에도 한국에 대한 내용보다는 한국을 병합한 일본의 영광을 서술하는 데에 더 치중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조선과 대한제국을 “전제군주”가 다스리는 나라임을 강조하면서도 그 전제군주에 대한 서술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는 치밀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방법은 그 뒤에 나온 서적에서도 일관되이 지켜진다. 이렇듯 일본인이 편찬한 고종 시대에 대한 전문서적이나 연구서에서 일본인이 전제군주 또는 암군 등으로 묘사한 고종의 존재를 이유 없이 오랫동안 빼놓고 있었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그 존재를 빼놓을 수 없게 되었고, 국왕이 무능했음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필요가 있게 되었다. 1940년에 나온 다보하시(田保橋潔)의 근대일선관계의 연구 상·하(조선총독부 중추원)이라는 책이 그 대표적 예이다. 이 책에서는 국왕이 했던 행위, 특히 진보적 정책을 대원군과 민왕후 또는 민씨 척족이 한 일로 왜곡해 버린다. 결국 1910년 한일 병합 당시부터 시작된 고종에 대한 평가 왜곡 작업은 일제 강점기 내내 이어졌으며,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종 암군설에 고종 유약설이 합쳐져서 고종 암약설로 왜곡이 심화된다. 특히 광무개혁의 결과로 이루어진 각종 근대적 기구의 설립과 신문물의 도입을 의도적으로 폄훼하였다. 심지어 국왕이 주도한 독립문 건립과 같은 사업을 독립협회 단독으로 또는 개화당(독립당)이 단독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왜곡한 일이나서재필은 독립신문 논설에서 독립문 건립을 정부에서 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당시 한국의 신민이 고종에 대해 많은 존숭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극구 부인하고 있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 발행된 한국사 전문서나 교과서도 고종의 역할에 대한 일본인의 시각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고종 시대를 서술할 때 고종에 대한 서술이 극히 미미하게 되거나 무능한 군주로 오해하게끔 표현되었다. = = 반대 의견 = = 고종이 암우하다는 이론과는 달리 당시 고종과 그 시대상을 나타내는 여러 자료의 기록이 여럿 있다. 특히 독립신문의 논조는 당시 신민이 국왕에 대해 매우 존숭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896년 6월 20일자 독립신문에서 밝히고 있는 신민이 국왕에 대해 존숭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독립문을 정부에서 건립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는 독립신문의 서술에도 불구하고 독립협회에서 독립문 건립을 주도했다고 많은 학자가 주장해 왔다. 그밖에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사건이나 그에 이어지는 강화도 조약에서도 고종의 역할을 두드러진다. 뒷날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비롯한 각종 외국과의 조약에서도 역시 고종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일본인이 서술한 조선 근대사 전문서에서는 전혀 부각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다. 게다가 당대에 일본인이 아닌 외국인이 고종에 대해 악평을 한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더욱 고종에 대해 좋지 않게 서술한 조선 근대사 서적의 논조와 배치된다. 그리고 1895년에 한성신문 기자로서 을미사변에 직접 가해자로 참여하기도 했던 기쿠치 겐조(菊池謙讓)가 쓴 근대조선사 상·하(1936년, 1939년, 鷄鳴社, 京城)에서 상당히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다. 기쿠치는 근대조선사를 쓰기 전에 고종태황제실록의 편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많은 자료를 모으게 된다. 그의 논조는 대체로 코리아 레퍼지터리와 비슷하여, 고종이 암군이 아닌 명군이었으며, 단지 열강에 포위되어 내정보다는 외교에 힘쓰다가 국세를 끝내 세우지 못한 불운한 군주라고 묘사하였다. 또한 기쿠치는 다른 일본 학자가 거론하지 않은 평양 이궁 조영(造營)에 대해서 다루고 있으며, 그러한 고종의 치적을 러시아와 일본의 사이가 나빠짐에 대비한 시책이라고 평가하였다. 1903년 8월 15일 고종 황제가 러시아 황제에게 친서를 보내어 동맹을 요청하였는데, 그 친서에는 일본이 황성을 침탈하게 됨을 고종이 이미 예측하였음이 밝혀져 있고, 이러한 동맹 요청을 평양 이궁 조영의 연장으로 보았다. 그밖에도 고종 시기에 설치된 각종 근대적 기구나 받아들여진 서양 문물을 개화파나 독립협회의 치적으로 보지 않고 고종의 업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오히려 일본에 합병됨으로써 결실을 보지 못하고 산멸했다고 보았다. 최근, 일본에 의해 고종이 안중근 의거의 배후로 지목된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고종 암약설을 부정할 수 있는 또다른 근거가 되었다.日, 안중근 의거 배후로 고종 지목 , 연합뉴스, 2009년 8월 29일 = = = 암약설에 대한 반대 논거 = = = 고종이 이루었던 업적과 일본 침략주의자들이 주장했던 암약설에 따라 왜곡되게 알려진 사실 또는 고종의 업적을 매몰시키기 위해 일어난 사건에 대해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868년부터 1875년 사이에 일어난 국서 거부와 운요호 사건에 대해 고종이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는 고종이 나서서 개항을 주도하였으며, 오히려 일본이 방해하였다. 강화도 조약을 비롯한 외국과의 조약에 고종이 관심을 가지고 직접 지시를 내렸다. 1886년 사노비 세습제의 혁파를 천명하였다. 1896년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하여 주필(駐蹕)한 일을 아관파천이라 부르며 외세 의존의 망국적 처사로 보았다. 반면에 《고종실록》에서는 아예 “파천”이라는 말이 없다. 암약설 지지자들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만 틀어박혀 지낸듯이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복궁과 경운궁을 오가면서 지냈다. 또한 이 기간에 도시개조가 이루어진다. 1896년 독립문 건립으로부터 시작된 한양의 도시 개조 사업을 개화파의 업적 또는 한성 판윤 이채연(같은 해 10월 6일 임명)·총세무사 맥레비 브라운(같은 해 7월 12일 조칙을 내려 반드시 그의 결재를 받아야만 예산 입출이 가능하게 했다.) 두 사람의 업적으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개화파는 아관파천이나 경운궁 환어를 부정적으로 보았으므로 경운궁 중심의 도시 개조를 했다고 보기 어렵고, 9월 28일 조칙(내부령 제9호)을 내려 도시개조를 고종이 명하였음이 밝혀졌다. 《독립신문》 1896년 11월 7일 논설에서 이를 “조선이 이제 문명 진보의 길로 들어서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1896년 독립문의 건립을 고종 또는 조선 정부가 주도했으나, 이를 독립협회 또는 서재필이 주도한 듯이 왜곡하였다. 경운궁을 중심으로 방사형 도로와 환상 도로 및 그 외접 도로를 새로 개통하였으며, 기존 도로를 정비하였다. 경운궁 중심체제를 무너뜨리기 위해 1905년부터 1910년 사이에 통감부에서는 남산 밑에 소재한 통감부의 북쪽 정면 방향으로 도로를 놓는 계획(경성시구개수예정계획노선도)을 수립하였고, 1919년 6월 25일에 공개된 총독부안(경성시구개수예정계획선도)에 따르면, 경복궁에서 남대문을 거쳐 용산 신시가지를 직결하는 중심도로체계를 구성하였다(이는 오늘날 서울 도로 체계의 근간이다). 시민공원 또는 시민광장이 등장했다. 예컨대 탑골공원도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1897년 대한제국 출범을 보수회귀로 보았다. 그러나 초기 독립협회 활동을 도와준 일이나 만민공동회를 허용한 일 등을 볼 때 보수회귀로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1898년에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전차(노면전차)를 운행하였다. 이를 고종의 신문물에 대한 넓은 이해와 포용 등은 무시해 버리고, 고종이 민심을 외면하고 오로지 죽은 왕후(명성황후)만을 생각하여 노면전차를 도입했다고 왜곡하였다. 1902년 6월에 고종이 설치한 정보기관 제국익문사를 놓고 “한제(韓帝)의 이른바 전제정치란 것은 실상은 밀정정치·잡배정치(雜輩政治)의 폐단에 빠진 것”이라고 비난하였다. 1903년 5월 일본의 침략을 대비하여 육군과 해군의 창설을 위한 준비를 지시한 일을 두고, “민생을 외면하고 황실의 안위만을 챙긴 군주”라고 혹평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러일전쟁의 와중에 일본제국군은 중립국 대한제국의 수도 한성을 침탈한다. 1903년 3월 15일 징병제도 실시를 예정하는 조칙을 내렸으며, 서양의 징병제와 조선의 5위(五衛) 제도를 절충하는 새로운 군제의 일대 경장을 도모할 터이므로 모두 이 일을 위해 뜻과 충애와 흥원을 함께 모아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을사조약 이후에 계획 자체가 없어지고, 급기야 1907년 군대가 해산된다. 1903년 시위대 1만2천(최종적으로 1만6천) 병력을 갖추고, 용산에 군부 총기제조소를 건립하였다. 1905년(광무 9년) 4월 29일 근대적 형법전인 《형법대전》(법률 제2호)을 편찬하여 반포하였다. 한국 최초의 일반형법전이며 근대적 형식을 갖춘 형법전으로, 일본의 형법전을 계수하지 않고 이전의 대전회통·대명률과 갑오개혁 이후의 형사법령을 참고하여 제정되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총 680개조였던 《형법대전》은 1906년 2월 2일 법률 1호로 제1차 개정하고, 1908년 7월 23일 법률 19호로 제2차 개정을 하여, 총 680개조였던 법률 가운데 100개조를 개정, 252개조를 삭제하여 원래 모습을 없애 버렸다. 결국 1910년 《한국법전》에 형법으로 개명 삽입하였다. 《형법대전》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고문을 금지하는 등 민권 신장의 성과였으므로 도리어 삭제해 버렸다. = = 참고 자료 = = * 강준만, 《한국근대사산책 2:개신교 입국에서 을미사변까지》 (인물과 사상사, 2006) 109쪽 위안스카이 ‘골수까지 병든 조선’ 의 최고 권력자 조선일보 2004.03.25 = 아이치현 제1구 = 아이치현 제1구(愛知県 第1区)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1994년 공직선거법으로 신설되었다. 이 선거구는 아이치 현청와 나고야 시청이 위치해 있어서 나고야시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 = 지역 = = 나고야시 나카구 (나고야시) 니시구 (나고야시) 기타구 (나고야시) 히가시구 (나고야시) = = 역대 중의원 의원 = = 나카무라 다카시 (소속 정당: 신진당→민주당, 임기: 1996년 ~ 2009년) 사토 요코 (소속 정당: 민주당, 임기: 2009년 ~ 2012년) 쿠마다 히로미치 (소속 정당: 자유민주당, 임기: 2012년 ~ 현재) = 사원전 = 사원전(寺院田)은 고려 시대 전시과의 제정(制定)과 더불어 사찰에 분급된 토지이다. 고려 때의 사원은 전시과의 규정에 따라 분급된 토지 이외에 왕의 기증 또는 신도(信徒)들의 시납(施納)으로 막대한 토지를 차지하였다. 또한 별사전(別賜田)으로 승직에 있는 대덕(大德)·대통(大通) 등에게도 토지를 주었으므로 사원은 많은 토지를 가질 수 있었다. 사원전은 사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한편 그 영역 내에서 넓은 전장(田莊)을 경영하고 있었다. 경작(耕作)은 승려의 노동 또는 사노(寺奴)의 사역에 의하기도 하였으나 예속 농민의 경작이 지배적이었다. 사원전은 면세(免稅)·면역(免役)의 특권을 가지고 있어서 그 토지가 점차 확대해 갔고, 또 고리대적 활동을 통해서 승려들은 종교적 귀족으로서 세속적 유락(愉樂)과 권력을 누릴 수 있었다. = 갤럭시 캘린더 = 삼성 갤럭시 캘린더(Samsung Galaxy Calendar) 또는 '갤럭시 캘린더'는(삼성 갤럭시 탑재 어플리케이션 정보-갤럭시 A31 자급제향 탑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2020년기준) 구분 삼성계열 구글계열 필수앱 Galaxy Store, 전화, 메시지, 카메라, 갤러리, 시계, 연락처, 설정, 캘린더, 게임런처, 내 파일, FM 라디오, AR Zone, Google,Play 스토어,Chrome,Gmail,지도,YouTube,Duo 선택앱 Samsung Members,계산기,Samsung Notes,Global Goals,SmartThings,음성 녹음, 삼성 인터넷, Samsung Health,Galaxy Wearable,Samsung Pay,Office Mobile,OneDrive,Outlook,Facebook YT Music,드라이브,Play 무비,포토 (삼성 갤럭시 탑재 어플리케이션 정보-갤럭시 S20+ 5G 자급제향 탑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삼성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본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중 하나이다. = 이국종 = 이국종(李國鍾, 1969년 4월 22일 - )은 아주대학교병원 소속 외과 의사이다. 대한민국 전국 각 지역에 권역외상센터가 설치되는데 공헌을 한 인물로도 익히 잘 알려져 있다. = = 생애 및 경력 = = 이국종 교수의 아버지 이범홍 선생은 한국 전쟁 당시 부상당한 국가유공자이다. 어린 시절 집은 가난했고, 축농증을 앓아 가족에게 주어지던 의료복지카드를 들고 여러 병원을 다녔지만 거절당했다. 하지만 외과 의사 김학산은 병원비를 받지 않으면서 공부해서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1988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1995년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대한민국 해군 단기 사병 복무를 마친 후 2002년 아주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2003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병원 외상센터 단기연수 후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아주대학교 외상외과 조교수,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영국 로열 런던 병원 외상센터 연수 후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외과학교실 및 응급의학교실 부교수로 재직했고, 2013년부터는 외과학교실 및 응급의학교실의 교수로 재직중이며, 2010년부터 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장 및 외상외과장을 겸임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 복합중증외상치료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심각한 부상을 당한 석해균 선장을 오만에서 수술한 바가 있는 그는 2014년 교통사고로 사망한 걸그룹 레이디스코드의 멤버 권리세 수술에 참여했으며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당시 귀순한 조선인민군 병사의 수술을 집도 했다. 이 공로로 명예역 대위 이후 명예역 소령을 거쳐 명예역 중령으로 진급했다. 명예역이지만 해당 보직은 군의관이다. 2020년 아주대학교 의료원과의 갈등으로 인해 권역외상센터장에서 사퇴할 뜻을 밝혔다. 2023년 12월 27일 국군대전병원 병원장으로 임명되었고 해군 명예 중령에서 대령으로 진급했다. = = 주요 출연작 = = = = = 예능 = = = JTBC 《말하는대로》 24회 2017.3.8 채널A 《나는 몸신이다》 200회 2018.11.6 KBS2 《대화의 희열》 10회 2018.11.10 = = 상훈 = = 2009년 백악관 감사장 2010년 백악관 감사장 2010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2011년 대한민국 국민포장 2012년 제22회 여의대상 길봉사상 2017년 제11회 포니정 혁신상 2018년 대한적십지사 박애장 금장 201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 논란 = = = = = 아덴 만 사건 시절 이후 6년간 수술 관련 논란 = = = 잃어버린 총알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부상당한 석해균 선장을 수술할 때 '부상이 심각하지 않은 환자를 데리고 언론 플레이를 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후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는 '인지도를 좀 높여보자고 연예인처럼 행동한다.', '주변과 문제가 많을 것 같다.'는 댓글이 달렸다. 그러나 실제로는 석해균 선장의 외상 점수는 다른 의사들이 주장한 수준보다 더욱 심각한 수준이었음이 확인되었다.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당시에는 귀순한 조선인민군 병사의 개인의료정보를 과도하게 공개하여 귀순한 병사의 인격권을 침해했다는 김종대 의원의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오히려 의료계에서는 김종대 의원에게 비판의 빗발을 날리면서 사과를 요구했으나, 이국종은 의료계 내에서도 '이국종만 없으면 모두가 행복하다'면서 이국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고 주장한다. 아주대학교병원 내에서 이국종을 정리하자는 연판장이 돌고, 중증외상환자를 수술하는 도중에 차라리 그만하고 사직서를 쓰라는 전화를 하기도 한다는 주장도 있다. = = =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선임 논란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패배한 이후 여러 인사가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천되는 와중에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 없이 비상대책위원장 후보군에 추천되었다. 실제로 김성태가 이국종을 2018년 7월 6일에 여의도에서 만나 비대위원장직을 맡아달라고 요청했으나 이국종은 '아직 너무도 역량이 부족하다.'면서 거절했다. 이와 관련해 안상수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준비위원회 위원장은 '이국종이 재미로 생각해서 언론에 흘린 것 같고, 해프닝일 뿐이다.'라고 말했지만 2018년 7월 2일에 안상수가 직접 '이국종은 우리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추천되어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이국종은 안상수에 대해 그러면 안된다면서 '어느 당이든 야당에서 신경을 많이 써주고, 자유한국당의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도 평가할 능력이 없다.'고 밝혔다. = = = 문재인케어 비판 논란 = = = 문재인케어에 대해서 정부가 당위성에 얽매이고 인기와 지지에만 편승하고 있을 뿐 의료계의 고질적인 적폐는 덮어두고 대통령 공약사항의 이행에만 관심이 있다면서 의료 정책이 정치에 휘둘리면 될 일도 되지 않는다면서 포퓰리즘에서 벗어나 의료계의 기초체력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겉치레에만 신경쓰느라 진료의 질이 떨어지는 상황을 개선해야 하며, 이런 부분을 개혁 혁신하지도 않고 고치지도 않으면서 새로운 공약사업만 시작하면 그것은 가능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과거 자유한국당(구 새누리당)과 연루된 사건과 연결하여 정치적 개입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 = 저서 = = 《골든아워 1 (생과 사의 경계, 중증외상센터의 기록 2002~2013)》 (흐름출판) 2018년 10월 《골든아워 2 (생과 사의 경계, 중증외상센터의 기록 2013~2018)》 (흐름출판) 2018년 10월 = 비스카로스 = 비스카로스(Biscarrosse)는 프랑스 남서부 지방 누벨아키텐의 랑드에 위치한 프랑스의 코뮌이다. 보르도에서 남서쪽으로 65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다. = = 교육 = = 국립민간항공학교 = 분류:마니사 = = 반지초등학교 = 반지초등학교는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2007. 01. 28 반지초등학교 인가 2007. 09. 01 제1대 정근성 교장 부임 2007. 09. 01 16학급 편성 개교 2007. 09. 06 3학급 증설 인가 2007. 09. 14 19학급 편성 2008. 02. 15 제1회 졸업식(28명) 2008. 03. 01 28학급 편성 2008. 10. 10 초등 거점영어체험센터 개관 2009. 02. 11 병설유치원 제1회 수료식(33명) 2009. 02. 12 제2회 졸업식(84명) 2010. 02. 09 병설유치원 제2회 수료식(30명) 2010. 02. 10 제3회 졸업식(174명) 2010. 03. 01 32학급 편성(특수학급 1) 2011. 02. 15 병설유치원 제3회 수료식(29명) 2011. 02. 16 제4회 졸업식(165명) 2011. 03. 01 32학급 편성(특수학급 1) 2011. 09. 01 제2대 김기형 교장 부임 2012. 02. 08 병설유치원 제4회 수료식(27명) 2012. 02. 14 제5회 졸업식(177명) 2012. 03. 02 34학급 편성(특수학급 2) 2013. 02. 08 병설유치원 제5회 수료식(19명) 2013. 02. 15 제6회 졸업식(173명) 2013. 03. 04 39학급 편성(특수학급 2) 2014. 02. 13 병설유치원 제6회 수료식 2014. 02. 14 제7회 졸업(178명) 2014. 03. 03 44학급 편성(특수학급 2) = 이타즈촌 = 이타즈촌(板津村)은 다음을 의미한다. 이타즈촌 (니가타현) - 니가타현 기타칸바라군 이타즈촌. 현 시바타시. 이타즈촌 (이시카와현) - 이시카와현 노미군 이타즈촌. 현 고마쓰시. = 난창역 = 난창 역이란 이름의 역에는 다음이 있다. 난창 역 (장시 성) 난창 역 (홍콩) = 분류:고등학교 스포츠단 = = 622 = 622(육백이십이)는 621보다 크고 623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 = 수학 = =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311, 622이다. = = 기타 = = 날짜: 6월 22일 연도: 622년 기원전 622년 2010년 칠레에서 발생한 2010년 산호세 광산 붕괴 사고에서 33인의 광부들은 지표로부터 622미터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6e02 622 = 체코 엑스트랄리가 = 체코 엑스트랄리가 또는 엑스트랄리가 레드니호 호케예는 1993년 시작한 체코 최상위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이다. 2009년 기준으로 IIHF의 의해 유럽에서 세 번째로 강한 리그로 공인받았다. 엑스트랄리가는 체코슬로바키아 퍼스트 아이스하키 리그의 후신이며 슬로바키아와 분열시 현재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 분류:온두라스의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 분류:335년 = = 분류:아다치구의 철도역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5주 = = = 2chbb 차단요청 = = 끈벌레에 관하여 조선왕조에서 식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근거없는말을 16권, 10년(1669기유/청 강희(강희)8년)4월 8일(경오)2번째기사 에있다고하여 기입하였습니다. 살펴본바 5번의 수정행위를 하는등 악의적인 행동으로 간주합니다. = = 사:철철도도로로 차단 요청 = = * 해당 계정은 사:철도로의 사칭 계정과 동시에 사:Dokdo is republic of korea의 다중 계정으로 보입니다. 해당 사용자 문서에는 차단 틀이 붙여져 있으나, 차단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렇게 요청합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3:52 (KST) = = = 추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당 계정들도 모두 'Dokdo is republic of korea'로 보이는 다중 계정으로 과거에 한 번 요청이 되었으나, 당시에는 기여가 없다는 이유로 아직 차단이 되어있지 않았습니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남은 다중 계정들도 모두 차단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3:52 (KST) * * * * * * * * * * * * * 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4:00 (KST) 해당 사용자가 계정명을 만드는 것은 차단 회피 및 타 사용자 사칭을 통한 자기 만족, 회피 능력 과시 등이 목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만들어진 계정 대부분은 서로 다른 공개 프록시 IP를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계정을 생성하자마자 다른 계정을 만들기 위해 IP 변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만들어지는 계정을 일일이 차단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며, 차단의 필요성이 낮습니다. 무엇보다 대응하는 쪽에서 만들어지는 계정에 대해 일일이 차단을 거는 것은 현재 피요청자가 어그로 끌기에 성공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 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계정들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물론 제 눈에 걸리면 국물도 없지만 말입니다. 우선 기여가 없는 계정들에 대해서 딱히 차단을 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해당 계정들이 공개 프록시를 이용해 계정을 생성한 것이 확실시 되므로, 해당 계정들에 대한 공개 프록시 대역을 역추적할 것을 검사관 측에 요청하여 처리하시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RedMosQ (토론) 2015년 4월 7일 (화) 00:19 (KST) = = 사:Jwseo21 재차단 요청 = = * 이전에 수차례의 차단 이력에도 불구하고 독자연구 추정 및 저작권 침해 내용을 상습적으로 게시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차단을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3:53 (KST) 저 역시도 6개월이나 1년 정도의 강력한 차단을 요청합니다.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4월 6일 (월) 13:57 (KST) = = 라칸제국 무기한 차단 요청 = = * 최근 활동기여는 없지만 차단 회피를 염두하고 차단 신청했습니다. 이유는 해당 계정은 의 다중 계정이며, 지난번 차단 기간중에 이라는 계정으로 나타나 문서 훼손을 반복하다 차단 회피로 차단 된적이 있습니다. 해당 계정의 기여 자체가 전부 문서 훼손인게 확인되었습니다. 문서 훼손 증거 그리고 최근 라칸이 차단기간이 끝나자마자 또 장난성 기여를 한게 확인되었습니다. 과거 문서 훼손 증거 최근 문서 훼손 증거 다중 계정(라칸1)으로 나타나 허위 및 문서 훼손 증거 모바일로 편집한다는 점과 문서 훼손한다는 점으로 봐서는 2개의 계정은 동일인물이 맞습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6:44 (KST) = = IP 차단 요청 = = * * 이 두 IP의 공통점은 '리' 단위 넘겨주기 문서를 주로 생성하는데 중간에 전땅크, 윤희클로와 같은 장난성 넘겨주기 지속 생성으로 차단된 이력이 있는 IP입니다. 현재 117.111.175.61은 차단이 해제되자 그 사이에 차단이 풀린 121.149.101.135로 같은 기여를 하는 것을 확인하여 두 IP는 서로 차단 회피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21.149.101.135의 차단 및 117.111.175.61의 차단 기간 연장을 요청하며, 아울러 두 아이피가 생성한 모든 넘겨주기 문서에 대해서 차단 회피 사유로 삭제를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6:50 (KST) = = ‎1.236.0.219 차단 요청 = = * 경고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골드바흐의 추측 및 다른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17:53 (KST) = = 223.62.213.112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릐 기여를 확인해본 결과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8주 211.206.11.199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1주 119.204.229.227 차단 요청때 언급된 인물의 우회 IP입니다. 동일 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 인물이라는 증거 2 해당 IP 사용자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21:43 (KST) = = Leesolhwi 긴급 차단 요청 = = * 상기 계정은 이수정 문서에다가 지속적인 장난성 편집을 일삼고 있습니다. 해당 사용자에게 경고나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장난성 편집을 강행하고 있으니 해당 사용자가 편집했던 문서의 변경 내력을 참고하시면서 긴급 차단 부탁드립니다. 상황이 심각합니다. 211.214.215.4 (토론) 2015년 4월 6일 (월) 22:57 (KST) = = 다중계정 검사결과에 따른 차단해제 요청 = = 여러차례 검사 결과 다섯 계정은 동일인이 아닌 것으로 나왔으며 이중 하나는 유니폴리의 다중 계정일 가능성이 있으나 네명이 차단을 당하는 것의 피해가 더 큽니다. 123.228.75.116 (토론) 2015년 4월 7일 (화) 08:30 (KST) = = 61.85.233.46 차단 요청 = = * 경고에도 불구하고 범적으로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7일 (화) 13:55 (KST) = = 사용자:Shyoon1 차단 신청 = = 청라국제도시역‎ 문서를 악의적이고 반복적이고 집요하게 훼손. 왜 그렇게 편집이 되어 있는지 계속 설명해도 들을 생각이 없음. 안우석 (토론) 2015년 4월 7일 (화) 16:57 (KST) 두분 모두 언행에 주의하여 주십시오. "위키백과는 왜 합니까?" "중국어 표기를 한국어 한자 표기라고 우기는 게 잘하는 건지는" 등은 해석에 따라 인신 공격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일단 관련 토론을 읽고 결정하겠습니다. — regards, Revi 2015년 4월 7일 (화) 19:06 (KST) = = 여러 IP들의 동원 계정 여부 = = * * * 해당 IP들은 천안함 침몰 사건 문서에 지속적으로 비중립적인 내용을 삽입하는 IP들입니다. 문서 역사를 보니 다중 계정 또는 동원 계정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조치 부탁드립니다. Skky999 (토론과 기여) 2015년 4월 7일 (화) 22:01 (KST) = = 2.27.230.0/24 대역 차단 요청 = = * * * 이전에 서진주 나들목, 산청 나들목, 단성 나들목 문서에 장난을 일삼던 IP들로 이중에서 같은 IP 대역의 훼손이 최근 다시 발견되어 대역 차단을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0:03 (KST) = = 120.142.215.115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5주#IP 차단 요청에서 언급된 IP의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차단 및 이 IP가 생성한 모든 넘겨주기 문서에 대해서 차단 회피 사유로 삭제를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1:27 (KST) = = Jakal 사용자 차단 요청 = = * 수차례 편집 분쟁을 멈추고 토론을 거칠 것을 요구했으나 무시하고 계속 되돌리기를 강행합니다. 차단 부탁드립니다. Xakyntos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1:36 (KST) = = 168.126.12.137 관리요청 = = * 김진우 악법도 법이다 문서에서 자꾸 자기 친구로 보이는 사람에 대하여 비방하는 내용으로 추가하고 있습니다. 되돌렸는데 또 이러네요. 그리리고 악법도 법이다 역사보기 문서에 그 사람이름과 특정학교 이름이라는 개인정보를 기재하였습니다. Backtothe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1:41 (KST) = = 14.35.183.2 차단 요청 = = * 해당 IP 사용자는 문서마다 장난 및 문서 훼손을 반복했을 뿐만 아니라 북미 자유 무역 협정 & 부마민주항쟁문서에 스팸 링크를 삽입한게 확인 되었습니다. 문서 훼손 증거 1 문서 훼손 증거 2 스팸 삽입 증거 1 스팸 삽입 증거 2 차단 신청 할수밖에 없는 사유는 해당 IP 사용자가 요 며칠간 장난 및 문서 훼손을 반복한게 확인되었고, 북미 자유 무역 협정 & 부마민주항쟁에 삽입한 url은 해당 문서의 내용과 관련없는 내용이며, 스팸 url이 맞습니다.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스팸 삽입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4:20 (KST) = = 220.124.106.68 관리 요청 = = * 과거 각종 야구선수 문서에서 신체사항이나 출신지 등을 교묘하게 바꿔놓는 행위를 반복했고 반달을 그만두라고 요청했음에도 또다시 반복하고 있습니다. 김하성 문서, 홍성갑 문서, 서동욱 문서, 조상우 문서 등 여러 문서에서 반달 행위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또 조상우 문서에서는 공식 보도 및 출처가 없는 허위 사실을 본인이 직접 물어봤다는 식의 주장을 내세우면서 삽입을 반복하고 있으며, 반복된 반말 사용 등 예절에 맞지 않는 언행을 하기도 했습니다. 조상우 신체사항 조상우 문서 히스토리 39.120.152.248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6:31 (KST) = = 27.101.109.193 토론 잠금 요청 = = * 해당 IP는 관리자님들도 잘 아는 의 다중 IP 라는걸 알고있을겁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전혀 개선하지 않고 토론란에 장난을 반복하고 있으며,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계속 토론란에 장난을 한게 확인되어 해당 IP의 토론란 잠금 요청 부탁드립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17:29 (KST) = = 문서 훼손 계정 차단 요청 = = * 지속적으로 Board75, Skky999와 같은 장난성 문서를 생성하고 있으며 해당 장난성 문서 내에는 욕설이 담긴 비방 내용을 삽입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용자는 사토:Yongong에 백괴사전 관련 내용을 삽입한 사용자로서 사:마리나베이센즈와의 다중 계정이 확실해 보입니다. 빠른 차단 부탁드립니다. Skky999 (토론과 기여) 2015년 4월 8일 (수) 20:38 (KST) = = 상록수역 재차단요청 = = * 지난주에 초등학교 문서에 동요제 관련 내용을 삽입해 1주간 차단되었습니다만, 차단이 해제되자 똑같은 편집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03:24 (KST) = = 64.1.31.9 긴급차단 요청 = = 1. 다른 사용자들이 달아놓은 삭제신청태그를 임의로 계속하여 제거하고 있습니다. 2. 저명성 없는 광고성 문서를 계속해서 반복 작성하고 있습니다. 61.72.193.238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08:50 (KST) = = Jakal 사용자 차단 재요청 = = * 흉노 문서에서 계속 되돌림 분쟁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분쟁을 멈추고 토론을 거칠 것을 요구했으나 무시하고 계속 되돌리기를 강행합니다. 두번째 위반이니 확실한 제제 부탁드립니다. Xakyntos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1:28 (KST) = = 사용자:Jeong Bo-seok 차단 요청 = = * 문서 훼손 목적의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4주#사:2011년 7월 한국 중부 집중호우 차단 요청 참조) Bluemersen (+) 2015년 4월 9일 (목) 14:35 (KST) = = 49.142.9.93 차단 요청 = = * 차단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전혀 개선하지 않고 문서 훼손을 반복한게 확인되어 차단 신청했습니다. 차단 사유는 계속되는 주의 및 경고에도 이를 무시하고 상습적으로 허위 사실 삽입을 반복으로 차단 신청했습니다. 상습적으로 허위 사실 삽입 반복 증거 1 상습적으로 허위 사실 삽입 반복 증거 2 해당 IP 사용자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1 해당 IP 사용자의 기여가 허위라는 증거 2 위에 제시한 증거 자료외에도 이전에 다른 IP로도 상습적으로 나타나 허위 기여를 반복하다 차단된적도 있습니다. * * * * * * *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3 위에 제시한 IP들의 편집 내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비슷한 문서(김경호 (가수) & 심신 & 마법사의 아들 코리 & 달려라 하니)만 상습적으로 훼손한것만 봐도 100% 동일인이 사용한 IP가 맞고, 기여 패턴까지 유사합니다. 과거에 해당 인물의 IP에 대해 차단 요청이 2번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50주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주) 올라온적도 있고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비슷한 IP로 나타나 훼손하다 IP 대역 49.142.9.0/24이 차단되는 상황까지 왔고 총 3번 차단되었습니다. 현재 가 차단 되있는 상태라 차단 회피로 차단 신청도 가능한 상태이며,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및 허위 사실 삽입 반복 & 차단 회피 등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8:19 (KST) = = 112.164.1.0/24 , 대역 재차단 요청 = = * 현재 이 아이피 1개에서만 반달이 발견되고 있으나 해당 대역은 2014년 12월 27일에 같은 패턴의 훼손으로 인해 3개월 대역 차단이 된 전력이 있는 IP입니다. 따라서 해당 IP 대역에 대해서 3개월 이상의 장기간 재차단을 요청합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8:43 (KST) * * * * * 과거에 수없이 다중 IP로 나타나 아이돌 가수 문서마다 훼손을 반복하다 차단된적이 있으며, 해당 IP의 대역 차단 요청이 필요합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8:47 (KST) = = 프록시계정 및 다중계정 신고 = = * * * * * 1. 아이피가 위와 같이 이상하게 표시되는 표시되는 계정(2601:d:cc00:a30:30f4:1cd6:a589:468c 등)은 프록시 계정이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2. 위 계정들은 편집 내역으로 보아 모두 동일인물입니다. 편집 내용, 편집 방향이 동일하며, 특정 문서(박원순 문서)에 집요하리만큼 집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Ukkppro가 위키백과를 자신의 정치적 목적(특정 정파에 대한 비방 및 자기 정파에 대한 홍보선전)을 위해 악용하는 것이 좌절되자, 다중계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동일인에 의한 다중계정이라는 또 하나의 증거입니다. 편집 시각을 살펴보면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이상하게 시리 거의 비슷한 시각에 나타나 동일문서에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61.72.193.238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8:51 (KST) = = Matjisloth 차단 요청 = = * 이 사용자는 5월 6일, 2월 23일 문서에다가 지속적인 장난성 편집을 일삼았습니다. 주의나 경고를 줬는데도 장난 편집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 사용자에 대한 차단 요청을 의뢰했는데도 불구하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기여 목록을 보시면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211.214.215.4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22:29 (KST) = = Canendo 사용자 차단 요청 = = * 사용자토론:Xakyntos에서 인신공격을 했습니다. 이외에도 현대 토론:하느님, 토론:하나님에서 엄청난 장광설로 독자연구를 늘어놓고 있습니다. 차단까지는 아니더라도 뭔가 조치가 필요할 듯... Xakyntos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10:34 (KST) 환국 운운하는 것부터가 출처로서 1차로 실격입니다. 환국은 환단고기라고 하는 책에서만 등장하는 것이며, 환단고기는 역사학적으로 명명백백한 위서로서 환국 역시 언급할 가치도 없는 위설로 치부되는 것이 학문적 사실입니다. 여기서 환단고기가 위서냐 아니냐를 따져봤자 아무 쓸모 없습니다. 위키백과의 원칙에 따라 환단고기는 위서이며, 이를 뒤집기 전까지 위키백과에서 환단고기에 근거한 어떤 내용도 중심적인 내용으로 서술 불가능합니다. Xakyntos (토론) 2015년 4월 8일 (수) 20:50 (KST) 본 내용에 대한 것으로 단군조선은 인정하지도 않는다. 고대사에 대한 환단고기 등 우리의 사서는 위서고 위설이다. 그러면서 한군현, 김일제가 흉노다 아니다를 중국사서로 곳곳에 편집을 하는 이유를 물었습니다. 위서와 위서보다는 환국은 삼국유사에도 나와 있는 환국-배달-단군조선의 우리나라 역사인데, 환국이라고 했다고 환단고기를 인용한 것도 아닌데, 환국처럼 우리는 역사가 오래되었다는 내용에 저렇게 쓰는 것은 인신공격이 아닌지요. 반도사관인 경우에는 반도사관이라고 해야 합니다. 없어져야할 이 병도 사관이지 우리나라의 정당한 사관이 되면 절대 안됩니다. 환단고기가 아니라도 우리말, 언어, 유적으로도 우리를 증명할 수 있는데도 위키백과의 편집자인지는 몰라도, 심히 역사인식에 대한 지식의 정도가 의심스럽습니다. Canendo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12:05 (KST) 토론에 있어서 과도하다는 부분은 이야기하면 시정이 될 부분이지만, 계속 인신공격이라고 하는 것은, 편집자야 삭제하고 내용편집을 수시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물어본 것이고요. 기자조선 등은 상고사부분으로 한군현 등 김일제가 흉노다 이든 아니든, 그 부분은 환단고기를 제외하고는 전부 중국사서들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즉 중국사서에 내용이 아닌 진한조선(김일제), 한군현(마한조선) 그리고 기자조선은 우니나라 역사중 일부 번한조선 침략사로 보는데, 이러한 부분을 자신의 입맛에 안맞고 대립된다고 해서, 즉 우리나라 사서는 인정도 할 수 없는 위서고 위설이다. 그러면서 삭제, 편집이다.. 그래서 물어보는데, 여기에 인신공격이다. 반도사관이다고 해서 그것이 인신공격이라고 할 수는 없지요. 우리사서도 있으니, 좀 인정해달라는 요청이지요. 좋은 자리에 있을 때, 그래도 토론인데, 토론으로 쓴 내용이라도 조금은 인정해주고 그런다음, 어느부분은 심하다고 해야, 위키백과의 원 자유스럽게 토론하고 지식화하는 장이 되지, 이렇게 나와는 입맛이 달라.. 그러니 이것은 인신공격이야.. 하면.. 할 말은 없지만, 정말 알고 싶은 사항은 우리나라 상고사는 다 위서인데, 왜 기자조선하고 상고사에서 편집하고 계신지요? 그게 제일 걱정이 됩니다. Canendo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12:51 (KST) 토론 2014 "xakyntos님이 관리하시는거 편집할때는 대립이 되는 내용 편집 해봐야. 돌려버리니 대립이 되지 않는 내용을 토대로만 편집해보도록 하죠. 님이 관리하시는 기자조선을 현재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인정하고 있지 않은데 기자조선 관련해서 다 지워드릴까요?? 저는 그래도 번조선의 맥으로 보고 있기에. 기자 관련해서 그냥 놓아두고 있는데 말이죠. 1. 그렇다면 고조선 부분에. 단군세기 내용을 추가시킨 후, 님이 기자조선에서 취하는 방식처럼. 이 내용은 학계에서는 부정적으로 본다고 적으면 되겠네요?? 2. 삼국유사. 제왕운기는 엄연히 역사책인데 신화타령 그만하시죠?? 그런식으로면 사기를 바탕으로 한 년도수 모두 신화가 되는데요. 그렇다면 질문이 있습니다. BC2333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고고학적 발굴로 BC2333까지 증명되면 인정을 하신다는건가요?? 아니면 BC2333 가능성을 닫아두고, 고고학적 발굴이 되더라도 인정하지 않으신다는건가요?? (대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글 작성중이신가요??)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 (고)조선이 언급되어 있고. 그 지역으로 고고학적 발굴이 나타나고 있는데. 고조선의 실존을 인정하지 않는다는게 논리적으로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Canendo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12:52 (KST) = = 117.111.176.36 차단 요청 = = * 장난성 문서를 대량 생성할 뿐만 아니라 문서 훼손까지 반복하고 있습니다. 문서 훼손 증거 1 문서 훼손 증거 2 장난성 편집 증거 토론을 통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장난 및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으며, 해당 IP 사용자를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 등으로 차단 요청하며, 해당 IP 사용자가 생성한 장난성 문서(위키백과:위키백과에 & 위키백과:위키백과에서 & 위키백과:으앙 & 위키백과:임의 문서로 가자 & 키위백과 & 키위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키위백과키위백과 & 키위백과키위백과키위백과 & ㅂㅋㅈㅌ & 위키백과:키위백과) 대량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13:19 (KST) = = 59.86.221.161 사용자 차단요청 = = * 59.86.221.161는 러블리즈문서훼손으로 다른 사용자의 차단신청에 의해 2번이나 차단된 사용자입니다. 또한 나인뮤지스 문서를 지속적으로 훼손합니다. 타 문서들도 마찬가지고, 재차단이 필요합니다. Ajcw (토론) 2015년 4월 10일 (금) 21:56 (KST) = = ‎118.44.250.203 긴급 차단 요청 = = * 며칠전에 차단된 의 우회 IP입니다. 또다시 새로운 IP로 나타나서 여러차례 삭제된 단순 생성 문서를 재생성하고 있습니다. 동일 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 인물이라는 증거 2 동일 인물이라는 증거 3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8주 211.206.11.199 차단 요청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11주 119.204.229.227 차단 요청때 언급되었듯이 이미 여러차례 다중 IP로 나타나다 차단 이력이 있는 사용자이며, 과거에는 무정도시문서 및 그 드라마에 출연한 배우 문서마다 반달을 반복한적이 있습니다. 해당 IP를 지속적인 장난 및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하며, 해당 IP 사용자가 생성한 장난성 문서(이창주 & 배성종 & 오순태 & 장지건 & 손상현 & 이범훈 & 임기혁 & 스페이스 파라다이스 & 이명하 & 배제기) 대량 삭제 부탁드립니다. 175.197.32.247 (토론) 2015년 4월 11일 (토) 12:37 (KST) = = :사용자:파란루봇군 차단 요청 = = * 사용자:파란루봇군는 사칭 계정 입니다, 그래서 사용자:파란루봇군을 차단 시켜주세요! 112.164.39.179 (토론) 2015년 4월 11일 (토) 14:47 (KST) = = 마리나베이센즈 계정 잠금 요청 = = 마리나베이센즈는 지금도 다중 계정을 만들어, 위키백과를 반달을 일삼고 있습니다. 다중 계정 생성을 막기 위하여, 계정을 잠구세요. 지하철 (토론) (기여) (이메일) 2015년 4월 11일 (토) 16:00 (KST) = = Wliek351 차단 요청 = = *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장난 및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1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2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3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4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5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6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7 장난 및 문서 훼손 증거 8 몇몇 지인분들이 해당 사용자의 기여를 되돌린 상태지만 해당 사용자가 계속 장난을 반복하고 있어 차단 신청할수 밖에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39.115.9.158 (토론) 2015년 4월 11일 (토) 21:47 (KST) 증거 관리자님들께서는 해당 사용자의 차단을 부탁드립니다. 39.115.9.158 (토론) 2015년 4월 11일 (토) 21:50 (KST) = = 특수기능:기여/121.167.178.5 차단 요청 = = * 경고에도 불구, 지속적으로 이현서 문서에 붙은 삭신틀을 제거합니다. Board75(토론 · 기여) 2015년 4월 12일 (일) 00:02 (KST) = = 182.219.157.227 차단 요청 = = * 이전에 차단된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단이 해제되자 같은 방식의 저작권 침해 의심 내용을 삽입하고 있습니다.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12일 (일) 02:23 (KST) = = 사:Abe Shinjo2의 다중 계정 차단 요청 = = * * * * 해당 계정은 무기한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다중계정이며, 특히 사:Meeoalpha의 경우에는 사:Neoalpha를 사칭했습니다. 이 계정들을 처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cfc2349 (토론) 2015년 4월 12일 (일) 16:37 (KST) = = 사:돌아오세요 차단 요청 = = * 누가 봐도 박모씨네요.ㅡ커뷰 (토론) 2015년 4월 12일 (일) 21:36 (KST) = = 211.234.43.193, 211.234.43.208, 211.171.205.209 사용자 차단요청 = = * * * 211.234.43.193, 211.234.43.208, 211.171.205.209 사용자 차단요청합니다. 인피니트, 호야 (가수), 인피니트 H의 문서를 출처를 지우는 등의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훼손패턴이 똑같은 것으로 보아 셋 다 동일인물으로 보여집니다. Ajcw (토론) 2015년 4월 12일 (일) 23:02 (KST) 토론에 경고를 줬더니 또 다른 IP로 훼손하네요. * * * = 아루나 샨바우그 사건 = 아루나 람찬드라 샨바우그(Aruna Ramchandra Shanbaug, 1948년 6월 1일 ~ 2015년 5월 18일)는 인도의 간호사로, 성폭행으로 인해 42년 간 식물 인간 상태에 빠진 후 안락사에 대한 법정 소송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1973년 뭄바이 파렐에 위치한 킹 에드워드 메모리얼 병원에서 수련 간호사로 일하던 샨바우그는 병실 청소부 소한랄 바르타 왈미키에게 성폭행을 당했고, 그로 인해 식물인간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샨바우그가 그 상태로 37년을 보낸 후인 2011년 1월 24일, 인도 연방 대법원은 언론인 핑키 비라니의 안락사 청원에 응하여 그녀를 진찰하기 위한 의료 자문단을 준비했다. 법원은 2011년 3월 7일 청원을 각하하였다. 그러나 이 역사적 판결을 통해, 인도는 소극적 안락사를 허용하게 되었다. 샨바우그는 42년 간 식물 인간 상태로 지내다 2015년 5월 18일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 = 피해자 = = 아루나 샨바우그는 1948년 인도 카르나타카 주 우타르칸나다 할디푸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뭄바이의 킹 에드워드 메모리얼 병원(KEM)에서 간호사로 근무하였다. 범행 당시, 그녀는 같은 병원의 의사와 약혼한 상태였다. = = 범행 = = 1973년 11월 27일 밤, 샨바우그는 킹 에드워드 메모리얼 병원에서 청소부 소한랄 바르타 왈미키에게 성폭행을 당했다. 소한랄은 그녀가 병원 지하실에서 옷을 갈아입을 때 범행을 저질렀다. 그는 쇠사슬로 그녀의 목을 조르고 항문 성교를 시도했다. 샨바우그는 질식으로 인해 뇌로 가는 산소가 차단되면서 뇌줄기 좌상, 경부 척수 손상, 피질맹의 피해를 입었다. 그녀는 다음날 오전 7시 45분 다른 청소부에 의해 발견되었다. 경찰에서는 사건을 강도와 살인 미수로 기록하였는데, KEM 병원장 데시판데의 지시로 의사들이 항문 강간을 은폐했기 때문이었다. 이 지시는 샨바우그를 사회적 거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또는 임박한 그녀의 결혼에 끼치는 영향을 피하고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 = 간호사 파업 = = 범행 이후, 뭄바이의 간호사들은 샨바우그의 상황과 자신들의 근무 환경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을 단행했다. 1980년대, 뭄바이 시 자치 단체(BMC)는 7년 간 KEM 병원 침대에 누워있던 샨바우그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 두 번의 시도를 하였다. KEM 간호사들이 항의에 착수하자 BMC는 계획을 포기하였다. = = 대중문화 = = 1998년 핑키 비라니가 사건에 대해 쓴 아루나의 이야기라는 논픽션 책이 출판되었다. 두타쿠마 데사이는 마라티어 연극 Katha Arunachi의 극본을 1994~95년에 썼다. 이 연극은 대학을 통해 상연된 후 2002년 비나이 아프테가 공연하였다. 1985년 출판된 구자라트어 소설 Jad Chetan은 인기 작가 하키산 메흐타가 아루나 샨바우그 사건을 토대로 쓴 것이다. 아누몰은 2014년 말라얄람어 영화 Maram Peyyumbol에서 아루나를 연기하였다. = 앤 드보락 = 앤 드보락(Ann Dvorak, 1911년 8월 2일 ~ 1979년 12월 10일)는 미국의 배우, 각본가, 연극 배우, 영화배우이다.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호놀룰루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위암이다. = = 영화 = = 라이프 오브 허 원 (1950년) 벨아미의 고백 (1947년) 블레임 오브 바바리 코스트 (1945년) 메레리 위 리브 (1938년) 맨하튼 메리-고-라운드 (1937년) 히트 라이트닝 (1934년) - 마이라 역 쓰리 온 어 매치 (1932년) - 비비안 리비어 커크우드 역 더 크라우드 로어스 (1932년) 스카페이스 (1932년) - 체스카 역 마치 오브 타임 (1930년) 러브 인 더 러프 (1930년) 로드 바이론 오브 브로드웨이 (1930년) 굿 뉴스 (1930년) 프리 앤 이지 (1930년) 칠드런 오브 프레져 (1930년) 체이싱 레인보우 (1930년) 이츠 어 그레이트 라이프 (1929년) 소 디스 이즈 칼리지 (1929년) 데빌-메이-케어 (1929년) = 우글레고르스크 (사할린주) = 우글레고르스크(, , 1946년까지는 에스토루)는 러시아 연방 사할린 주 우글레고르스키 군에 속한 도시이다.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359km 북쪽 지점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9,871명(2013년)이다. 1905년 ~ 1945년 사이 남부 사할린이 일본령 시절이었을 때는, 에스토루 정이었다. = 레바논 농구 국가대표팀 = 레바논 농구 국가대표팀은 레바논의 농구 대표팀이다. 올림픽 농구 본선 경험은 현재까지도 전무하며 FIBA 농구 월드컵 본선에는 3번 참가하여 모두 중하위권 성적에 그쳤고 과거 FIBA 유로바스켓 본선에는 2번 참가하여 2번 모두 하위권 성적에 그쳤다. 다만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는 9번 참가하여 은메달 3개를 수확했으며 서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에는 11번 출전하여 금메달 5개, 은메달 4개를 획득하면서 서아시아 대회 최다 우승국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아랍 네이션스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과 동메달 각각 1개씩 수확했고 팬아랍 게임에는 12번 출전하여 1957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 주요 선수 = = 찰스 테이벳 (베이루트 농구단) 엘리에 스테판 (호메네트멘 베이루트 BC) 아테르 마조크 (뉴질랜드 브레이커스) 자드 칼릴 (챔프빌 SC) = 분류:스위스 산사태 = = 분류:베일 (콜로라도주) 출신 = = 미녀와 야수 (2014년 영화) = 미녀와 야수는 2014년 공개된 프랑스의 로맨틱 판타지 영화이다. = = 출연 = = 뱅상 카셀 - 야수 / 왕자 역 레아 세두 - 벨 역 앙드레 뒤솔리에 - 르 마르샹 (벨의 아버지) 역 에두아르도 노리에가 - 페르뒤카 역 미리암 샬레인 - 아스트리드 역 오드리 라미 - 안 역 사라 지로도 - 클로틸드 역 조나탕 드뮈르주 - 장바티스트 역 니콜라 고브 - 막심 역 루카 말리아바 - 트리스탄 역 이본 카터펠드 - 공주 역 = 분류:1980년 해체된 축구단 = = 틀:Golden-Melody-M = = 라이브 닷컴 = 라이브 닷컴(Live.com)은 2005년 11월 초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작한 사용자 맞춤식의 포털 사이트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작한 첫 윈도우 라이브 서비스들 가운데 하나였다. 모든 온라인 라이브 서비스는 라이브 닷컴의 서브도메인에 위치해 있다. = = 기능 = = 라이브 닷컴은 사용자가 한눈에 소식을 볼 수 있게 RSS 피드를 추가해 준다. 마이크로소프트의 start.com 테스트 페이지에서 출발한 라이브 닷컴은 사용자 맞춤식의 가젯과 조그마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젯이나 프로그램들은 편지 읽기, 날씨 확인, 슬라이드 쇼, 찾기, 오락과 같이 거의 모든 일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떠한 가젯들은 핫메일, 라이브 검색, 즐겨찾기와 같은 다른 윈도 라이브 서비스를 통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사이트 탭을 만들고 저마다 다른 피드, 가젯, 레이아웃, 색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iGoogle, 페이지플레익스와 경쟁하고 있다. 사용자가 라이브 닷컴을 방문한 다음 개인화 홈페이지를 만들지 않았을 경우나 "검색만"을 클릭한 경우, 개인화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사용하지 않고 찾기 상자가 사용된다. "나만의 홈페이지"를 클릭하면 자신만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창으로 전환한다. = 분류:1803년 교육 = = 고대 (동음이의) = 고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고대(古代)는 먼 옛날부터 이어져온 역사 시대 부분의 하나이다. 고전 고대(Classical Antiquity) 고대 후기(Late Antiquity) *고대(高岱)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다. *고대(高大)는 고려대학교의 약자이다. = 몬테카를로 발레단 = 몬테카를로 발레단(Ballet Russe de Monte Carlo)은 디아길레프의 죽음으로 해산한 발레 뤼스의 뒤를 이어 드 바질 대령(Col. Wassily de Basil)에 의해서 1932년에 조직된 러시아의 발레단이다. 드 바질 대령은 발레의 단순한 애호자에 불과했으나 디아길레프의 생존 중에 모나코 왕국이 그에게 경제적 원조를 준 관계도 있고 해서 몬테카를로의 오페라 극장 지배인 르네 블룸의 협력으로 결성되었다. 이 몬테카를로 발레 뤼스는 안무가에 마신이나 발란친, 무용수에 다닐로바나 그 밖의 많은 발레 뤼스 출신자를 규합하여 조직되었으며 그 후계자로서 런던이나 미국에도 원정, 한때는 큰 인기를 획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몬테카를로 발레 뤼스는 1936년에 둘로 갈라지고 말았다. 하나는 드 바질 대령이 이끄는 드 바질 대령의 발레 뤼스(Les Ballets Russes de Col. W.de Basil)라고 개칭했으며, 또 하나는 블룸에 의해 결성된 몬테카를로 발레단(Ballet de Monte Carlo)으로, 전자는 마신, 후자는 포킨이 안무를 담당했으나 이 두 발레단은 그 후 개칭을 거듭하여 판별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고, 후자는 마침내 1938년에 이르러 해산하고 말았다. 그리고 드 바질 대령의 발레단도 그 후 차차 약체화되면서도 존속, 바질 대령이 죽은 후는 그 뒤를 이어받은 몬테카를로 발레단이 현재까지 그 이름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최초의 몬테카를로 발레 뤼스나 그 후 분열된 두 발레단이나 모두 구미 각지를 순회공연하여 발레의 보급에 공헌했으며 뛰어난 무용수를 배출시킨 공적은 높이 평가되고 있다. = 득량면 = 득량면(得粮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의 면이다. = = 행정 구역 = = 도촌리(道村里) 마천리(馬川里) 비봉리(飛鳳里) 삼정리(三亭里) 송곡리(松谷里) 예당리(禮堂里) 오봉리(五峰里) 정흥리(正興里) 해평리(海坪里) = = 학교 = = 예당초등학교 득량분교 (2008년 폐교) 득량남초등학교 득량서초등학교 (1997년 폐교) 비봉초등학교 (1997년 폐교) 예당초등학교 득량중학교 예당중학교 예당고등학교 = = 문화재 = = 비봉리 공룡알화석 산지 : 천연기념물 제418호 = 분류:1228년 사망 = = 분류:웨스트레이크빌리지 = = J. P. 아렌시비아 = 조너선 폴 "J. P." 아렌시비아(, 1986년 1월 5일 ~ )는 미국출신의 메이저 리그 전 탬파베이 레이스의 선수이자, 포지션은 포수이다. = = 메이저 리그 이전 = =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쿠바계 3세로 태어났다. 일찍이 알렉스 로드리게스를 배출했던 그의 모교인 웨스트민스터 크리스천 고등학교에서 그는 로드리게스에 이어 그 학교에서 최다인 통산 17홈런을 기록하는 등, 농구, 풋볼 등 여러 가지 스포츠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2004년에 있었던 MLB드래프드에서 시애틀 매리너스로부터 14라운드 때 지명되었지만 그는 입단하지 않고 테네시 대학교로 진학한다. 그 후 2007년에 있었던 MLB드래프드에서 토론토 블루제이스로부터 1라운드 전체 21순위로 지명되고, 132만 7000달러에 계약하며 입단한다. 입단 첫해에는 싱글A에서 63경기 출장했다. 2008년에는 싱글A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그리고 도중에 더블A로 승격되며, 시즌에서는 싱글A와 더블A 합하여 126경기에 출장하여 맷 위터스와 함께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최다인 27홈런을 때려낸다. 또, 시즌이 끝난 후에 발표된 베이스볼 아메리카지의 유망주 랭킹에서는 블루제이스산하에서 트래비스 스나이더 다음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고, 메이저 리그전체 중에서도 43위로 평가를 받았다. 메이저 리그승격이 기대됐던 2009년에는 트리플A에서 시즌을 맞이한다. 하지만, 아렌시비아는 야구인생에서 처음으로 염좌를 경험하였고, 더해서 난시가 크게 문제가 된다. 그 결과 21개의 홈런과 75개의 타점을 냄으로써 파워에서는 문제가 없는듯이 보였지만, 타율과 출루율은 각각 .236와 .284를 기록하며 크게 저하된 것을 느낄수 있었다. 결국, 시즌이 종료된 후에 난시교정을 위해 라식수술을 받게 된다. = = 메이저 리그 = = =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2010년시즌에는 5월말까지 홈런개수가 8개 불과했지만 6월과 7월연속으로 두자릿수 홈런을 쳐내며 95경기에서 타율 .303, 31홈런, 79개의 타점을 남기며 활약한다. 결국, 8월 5일에 존 벅이 부상자 리스트에 오르며 아렌시비아는 메이저 리그로 승격된다. 그리고 얼마 안된 8월 7일에 있었던 탬파베이 레이스전에서 메이저 리그데뷔를 한다. 그리고 그 날 제임스 쉴즈로부터 데뷔와 동시에 맞이한 첫타석에서 홈런을 때려내는 등 5타수 4안타 2홈런을 쳐내며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화려한 데뷔전을 치른다. 더해서 데뷔전에서 2홈런을 쳐낸 것은 역대 5번째의 일이며, 데뷔전에서 2홈런과 4안타를 동시에 친 것은 1900년이래 처음나온 일이다. 2011년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주전포수로 낙점된다. 그와 동시에 23홈런을 때려내며 팀의 포수 홈런기록을 갱신시키는 한편 메이저 리그에서도 파워 있는 타자로 이름을 날린다. 반면에 타율은 .219, 출루율도 .282로 아주 낮았으며, 수비에서도 양대리그에서 가장 많이 공을 놓쳤고, 송구도 좋지 않아 여러면에서 과제를 남겼다. 2012년에는 사구에 의해 골절을 당하는 바람에 102경기에 출장하며 시즌을 마쳤다. 18홈런을 기록하며 장타력을 마음껏 발휘했다. 하지만, 저번 시즌에서도 문제였던 타율과 출루율은 .233와 .275로 변함없었고, 오히려 OPS는 조금 하락하기까지 했다. 그래도 도루저지율이 전년에 비해 24%에서 29%로 5%상승했고, DRS(수비방어점)도 전년에는 -5였지만 +3으로 올라가는 등 수비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오프시즌에는 R. A. 디키와의 트레이드 될 것처럼 보였지만, 최종적으로는 특급 유망주로 불리던 포수 트레비스 다노가 트레이드 되었다. 결국, 아렌시비아는 팀의 골칫거리이던 주전포수 자리를 메꿔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맡게 되는 것이 확실시 되었다. 2013년에는 제 3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미국대표로 선출되어 출전하게 된다. 그리고 시즌에서는 138경기에 출장하여 자기기록을 세우고, 2년만에 20홈런을 달성하는 등 장타력을 마음껏 뽐냈다. 하지만, 계속 문제였던 타율은 .194로 떨어지며 1할대를 기록하게 되고, 출루율도 .227로 자신에게 있어 가장 낮은 타율과 출루율을 달성하게 된다. 또, 지난시즌보다 36경기나 더 치뤘지만 전시즌과 같은 18개의 볼넷을 골라냄으로써 선구안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보였다. 그래도 DRS에서는 정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공을 놓치는 일이 13번이나 발생하며 이 부문에서 리그 1위를 차지하는 등 수비에서도 좋아진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 = = 텍사스 레인저스 = = = 블루제이스에서 기대를 받으며 여러번 기회가 왔었지만 자리를 잡지 못한 채 12월 2일에 논텐더FA가 된다. 하지만, 12월 10일에 텍사스 레인저스가 아렌시비아와 1년 계약을 했다고 공식발표를 함으로써 아렌시비아는 팀을 찾게 된다.‘21홈런’ 아렌시비아, 백업 포수로 텍사스 공식 입단 스포츠동아, 2013년 12월 12일 공식발표에서는 계약기간은 1년이라고 밝혔지만 정확한 금액을 밝히지 않았다. =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2015년 1월 8일에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는다. = = 별 타격 성적 = = 2010년 TOR 11 37 35 3 5 1 0 2 12 4 0 0 0 0 2 0 0 11 0 .143 .189 .343 .532 2011년 TOR 129 486 443 47 97 20 4 23 194 78 1 1 0 3 36 3 4 133 6 .219 .282 .438 .720 2012년 TOR 102 372 347 45 81 16 0 18 151 56 1 0 1 3 18 1 3 108 4 .233 .275 .435 .710 2013년 TOR 138 497 474 45 92 18 0 21 173 55 0 2 0 2 18 0 3 148 8 .194 .227 .365 .592 통산:4년 통산:4년 380 1392 1299 140 275 55 4 64 530 193 2 3 1 8 74 4 10 400 18 .212 .258 .408 .666 2013시즌 종료 기준 = 모이스 켄 = 모이스 비오티 킨( , 2000년 2월 28일 ~ )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유벤투스에서 뛰고 있다.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2016년 11월,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2000년대 생으로는 최초로 득점을 넣은 선수이며, 2017년 5월, 유럽 5대 리그를 통틀어 2000년대 생으로는 최초로 득점을 한 선수가 되었다. = = 클럽 경력 = = 이탈리아 베르첼리에서 코트디부아르계 이탈리아인으로 태어났다. 2007년 아스티 유소년팀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2007~2010까지 토리노 유소년 팀에서 활동한 후, 2010년에 유벤투스 유소년 팀으로 이동하였다. = = = 유벤투스 = = = 모이스 켄은 2016년 11월 19일에 유벤투스에서 16세의 나이로 프로 데뷔를 했다. 그 당시 유럽 4대 메이저 리그에서 최초로 데뷔한 2000년대 선수이다. 또한 2016년 11월 22일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데뷔하며 최초의 2000년대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2017년 5월 27일, 볼로냐전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유럽 4대 메이저 리그에서 최초로 득점한 2000년대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 = 국가대표 경력 = = 코트디부아르와 이탈리아의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다. 2015년 이탈리아 U-15 대표로 출전하였고, 2017년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골을 기록하였다. UEFA 유로 2020 예선에서 2019년 3월 23일 이탈리아 대 핀란드 경기에 참가하여 최초 이탈리아 성인 대표팀으로 뛰고 첫 골을 넣었다. 이 경기 참가로 이탈리아 대표팀으로만 뛸 수 있게 되었다. = 시사마이크 = 시사마이크는 MBN의 평일 오후 시간대에 방영했던 뉴스· 보도 프로그램이었다. = = 방송 시간 = = 과거: 평일 오후 3시 20분 ~ 4시 50분(1시간 30분) 일 오후 5시 ~ 6시 20분 현재: 평일 오후 3시 ~ 4시 20분(1시간 20분) = =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 = = = = 평일 오후 3시대 = = = KBS 뉴스 (1500) (KBS 1TV) MBC 뉴스 (1500) (MBC TV) 이언경의 직언직설 (채널A) 돌아온 저격수다 (조선방송) TV조선 뉴스 4 (조선방송) = = = 평일 오후 4시대 = = = OBS 뉴스&이슈 (OBS 경인TV) = 분류:베를린의 구 = = 분류:서울 서초구의 고등학교 = = 분류:FK 추카리치키의 축구 선수 = = 유이촌 (도쿄도) = 유이촌은 도쿄도 미나미타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하치오지시에 해당한다.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가나가와현 미나미타마군 유이촌이 설립. 1893년 4월 1일 - 미나미타마군이 기타타마군, 니시타마군과 함께 도쿄부에 편입. 1943년 7월 1일 - 도쿄도제 시행. 1955년 4월 1일 - 요코야마촌, 모토하치오지촌, 온가타촌, 가와구치촌, 가스미촌과 함께 하치오지시에 편입됨. = FNB 필드 = FNB 필드(FNB Field)은 미국의 다목적 경기장이다.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에 위치하고 있으며 USL 펜 FC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더블A 이스턴 리그 해리스버그 세너터스의 홈 경기장이다. = Heart Attack (데미 로바토의 노래) = 〈Heart Attack〉은 데미 로바토의 노래이다. 네 번째 정규 앨범 Demi의 리드 싱글이다. 빌보드 핫 100 10위와 영국 싱글 차트 3위를 한 곡이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인증 더블 플래티넘 등급을 받은 곡이다. = 분류:모노닥틸루스과 = = 대비염색 = 대비염색(對比染色, )은 주염색액과 색상이 대조되는 염색액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을 사용하여 염색된 구조를 쉽게 볼 수 있게 해준다. 대비염색법(對比染色法), 대조염색(對照染色)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지메네즈 염색에서 푸크신 염색에 대한 말라카이트 그린 대비염색과 H&E 염색에서 헤마톡실린에 대한 에오신 대비염색이 있다. 그람 염색에서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그람양성세균만 염색하고, 사프라닌 대비염색은 모든 세포를 염색하기 때문에 그람음성세균도 식별이 가능하다. 대체 방법은 희석된 카보플루오자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대비염색은 때때로 미생물학 연구에서 유기 쇄설물로부터 동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 분류:CF 몬테레이의 축구 선수 = = 홍상삼 = 홍상삼(洪相三, 1990년 2월 13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 =선수 시절 = = = = =아마추어 시절 = = = 2006년 9월 제 4회 미추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서 충암고등학교의 대회 2연패에 기여했다. 이 대회 4경기에서 3승, 평균자책점 0.41을 기록하며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충암고, 미추홀기 고교야구 대회 2연패 한국일보, 2006년 9월 4일 작성 2008년 서울 지역 신인 1차 지명에서 서울고등학교의 이형종, 서울 성남고등학교의 진야곱에게 밀려 1차 지명을 받는 데 실패했고프로야구 신인 1차 지명 '투수 싹쓸이' 옛말 오마이뉴스, 2007년 6월 6일 작성, 두산 베어스의 2차 3라운드(전체 20순위) 지명을 받았다.'최대어' 정찬헌 LG행, 최원제 삼성 지명(종합) Osen, 2007년 8월 16일 작성 2007년 8월 마지막 고교 야구 대회였던 제 37회 봉황대기 고교 야구 대회 결승전에서 10.1이닝 3피안타, 1실점으로 충암고등학교의 우승에 공헌했고, 대회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봉황대기 고교 야구 - 충암고, 12년 만에 정상 탈환 연합뉴스, 2007년 8월 23일 작성봉황대기- MVP 홍상삼 투수 "프로에서도 잘 하겠다" 한국일보, 2007년 8월 23일 작성 = = =두산 베어스 시절 = = = 2007년 9월 10일 계약금 8,000만원, 연봉 2,0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두산, 김재환 등 2008년 신인 2차 지명 선수 5명과 계약 마이데일리, 2007년 9월 10일 작성 2007년 10월에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고, 2008년에는 재활에만 매진했다.'홍삼' 홍상삼, "제가 자신감 빼면 시체라구요" 아이뉴스, 2009년 1월 9일 작성 2009년 5월 2일 롯데전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5이닝 2피안타, 1실점, 7탈삼진을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거뒀다.프로 첫 등판 홍상삼, 화끈한 투구로 '만점 데뷔' 조이뉴스, 2009년 5월 2일 작성 특히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만 4승을 기록해 천적으로 자리매김했다. 2009년 5월 8일 한화전에서 5이닝 2실점 호투로 팀의 4연패를 끊었고 시즌 2승을 기록했다. 그 해 9승 6패,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선발의 한 축을 맡았다. 그러나 2010년에는 선발 등판한 경기에서 4승 3패,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며 슬럼프에 빠졌고, 선발 경쟁에서 밀렸다. 2011년에는 6경기에 등판해 1패에 그쳐 가뜩이나 그 해 투수난에 시달린 팀에 힘이 되지 못했다. 2012년에는 셋업맨으로 전환해 팀의 약한 불펜을 거의 홀로 책임졌다. 그는 프록터와 함께 삼-프 라인으로 불렸고, 그의 홀드 후 프록터의 세이브로 이어졌다. 2012년 준플레이오프에서 박준서, 용덕한에게 2경기 연속 홈런을 허용하며 부진했다. 2013년 6월 8일 삼성전에서 2연속 끝내기 홈런을 허용했는데 이는 KBO 리그 사상 최초였다.동일 투수 상대 연속 끝내기포는 사상 처음 - 스포츠조선 = = =경찰 야구단 시절 = = = 2015년에 입대하였다. = = =두산 베어스 복귀 = = = 2016년 9월 4일에 복귀하였다. 당시 감독이었던 김태형은 그를 곧바로 기용하겠다고 밝혔다. 그 해 11경기에서 1패, 5세이브, 1홀드,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6년 당시 팀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뒷문 불안을 해소하는 데 어느 정도 일조했다. 그러나 공황 장애가 오며 부진했고, 2019년 시즌 후 방출됐다. = = =KIA 타이거즈 시절 = = = 2019년 11월 26일에 이적했다. 당시 단장이었던 조계현은 투수코치 시절부터 지켜봤던 투수였다고 밝혔다. 2020년 2월 21일 미국 독립 리그 연합 팀을 상대로 최고 구속 146km/h의 강속구를 던졌으나 0.2이닝 4실점으로 부진했다. 5일 뒤 같은 팀을 상대로 구원 등판해 3이닝 4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고, 3월 4일에 구원 등판해 3.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2020년 6월에 1군으로 올라왔다. 2022년에는 성적 부진에 시달리며 구단에 방출을 요구했고, 7월 8일에 방출됐다.KIA 유니폼 벗은 홍상삼 "직접 구단에 방출 요청, 쉬면서 현역 연장 고민할 것" - 스포츠춘추 = =야구선수 은퇴 후 = = '육로'라는 고깃집을 운영하고 있다. = = 트리비아 = = 양상문이 그의 이름을 발음하기 어려워 해 '홍샹삼'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양상문 해설위원 "홍상삼 피하고 싶은 투수죠" - 스포츠조선 = = 별명 = = 이름을 발음하기 어려워 '홍삼상'으로 잘못 부르는 것이 계기가 돼 '홍삼'이라고 불린다. 2013년 6월 7일 ~ 6월 8일 삼성전에서 각각 채태인, 박한이에게 두 경기 연속 끝내기 홈런을 맞아 '두끝홈', '두바이'라고 불렸다.'개만두' 배영수-'두바이' 홍상삼 아픈 기억은 잊어라 - 스포츠월드 송용준기자 2013년 10월 23일 = = 에피소드 = = 2013년 10월 9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그가 구원 등판했는데 박병호를 고의 사구로 내보내려고 했으나 폭투가 나오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지며 3루에 있던 서건창이 득점했다. 2018년부터 자동 고의 사구 제도가 생기며 이런 상황이 벌어질 수 없게 되자 많은 사람들은 그를 위한 제도라고 말했다. = = 출신 학교 = = 서울영일초등학교 충암중학교 충암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09 두산 5.23 30 0 0 9 6 0 3 0.600 527 117 114 21 71 4 96 75 68 2010 두산 6.42 30 0 0 4 3 0 1 0.571 436 96.2 102 17 49 5 86 74 69 2011 두산 6.33 6 0 0 0 1 0 0 0.000 96 21.1 26 6 10 2 5 16 15 2012 두산 1.93 53 0 0 5 2 1 22 0.714 260 65.1 35 2 29 2 69 18 14 2013 두산 2.50 55 0 0 5 4 5 9 0.556 309 72 51 8 45 2 77 22 20 2014 두산 8.57 12 0 0 0 3 0 1 0.000 109 21 26 4 20 2 17 21 20 2016 두산 5.25 11 0 0 0 1 5 1 0.000 54 12 12 0 9 0 17 7 7 2017 두산 7.94 11 0 0 1 1 0 0 0.500 84 17 20 2 11 2 7 17 15 2018 두산 4.30 17 0 0 1 0 0 0 1.000 66 14.2 13 1 12 2 13 7 7 2019 두산 4.76 3 0 0 0 0 0 0 - 26 5.2 5 1 4 1 5 3 3 2020 KIA 5.06 57 0 0 4 5 0 17 0.444 229 48 32 5 54 3 61 27 27 통산 11시즌 4.86 285 0 0 29 26 11 54 0.527 2196 490.2 436 67 314 25 453 287 265 = 모듈:Location map/data/USA Minnesota/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SA_Minnesota/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날치자리 = = 비판적 합리주의 = 비판적 합리주의는 칼 포퍼가 자신의 겸손하고 자기비판적인 합리주의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는 이 관점으로 모든것은 원인과 경험으로써 증명된다는 무비판적 혹은 종합적인 합리주의와 대조한다. 포퍼는 종합적인 합리주의는 어떻게 증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고, 그리고 그런 사실은 모순이라고 주장한다. 오늘날의 비판적 합리주의는 칼 포퍼의 접근을 모든 생각과 행동으로 넓히는 프로젝트이다. 각각의 분야에서 중요한 비판적 합리주의의 역할은 아무런 근거 없이 정당화 시키는 방법들을 비판적인 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 츠네마츠 아유미 = 츠네마츠 아유미(, 1981년 9월 26일~)는 일본의 여자 성우다. = = 출연 작품 = = = = = TV 애니메이션 = = = 어벤져(피터) 위험최강 단거 할아버지(손자) 메이저 1기(하세가와) 조이드 퓨저스(챠오)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긴죠 미키) 키라링 레볼루션(티나 거랜드) 서쪽의 착한 마녀(빈센트 클레멘시아 다키테느) 슈팅 바쿠간(하피) 기동전사 건담 OO(마리나 이스마일) 히토히라(아야세 사치에) 스킵 비트(아사미 하루키) 기동전사 건담 OO 세컨드 시즌(마리나 이스마일) SD 건담 삼국전(초선 큐베레이) 페이트 제로(히사우 마이야) 꽃이 피는 첫걸음(가와지리 다카코) = = = OVA = = = 이 세계의 성기사 이야기(메자이아 프란) = 솅겐 지역 = 솅겐 지역은 1985년에 서명된 솅겐 조약이 적용되는 유럽의 26개 국가의 영역을 의미한다. 솅겐 지역은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등 유럽 연합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가 포함되어 있지만, 솅겐 협정의 법적 틀인 솅겐 아키가 1999년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유럽 연합법의 아퀴 코뮈노테에 내장되어 있다. 아일랜드를 제외한 모든 유럽 연합 회원국은 솅겐 협정을 시행하는 것을 요구되고 있으며, 키프로스, 불가리아, 루마니아를 제외하고는 솅겐 협정과 관련 규정이 시행되고 있다. 솅겐 지역은 4억 이상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면적은 4,312,099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고 있다. 공항이나 호텔에서 경찰의 인증 검사는 여권이나 유럽 연합이 승인한 국가의 인증 카드도 필요하다. 이 요구 사항은 협정에 가입한 국가별 법령이 다르다. = = 회원국 = = 솅겐 지역은 27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국은 국경 관리를 유지하면서도 협력하는 국가로 참여하고 있다. 솅겐 지역 중 4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유럽 연합에 가입했으며 이 외에도 솅겐 지역과의 경계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인 제한적으로 개방된 미니 국가가 있다. 유럽 연합에 가입하지 않은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는 2001년 솅겐 지역에 편입되었지만 이 2개의 나라는 1996년 솅겐 지역에 편입된 다른 국가와 함께 북유럽 여권 동맹을 형성했다. 또 이 2개국과 마찬가지로 스위스도 2008년 솅겐 지역에 편입되었다. 솅겐 협정은 원래 유럽 연합의 테두리 밖에서 이뤄진 것인데,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한 당시의 10개국 중 5개국이 체결한 것이었다. 솅겐 관련 규칙의 완전한 시행에 있어서 솅겐 지역에 편입하려는 나라는 영역 관제, 비자, 경찰 협력,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준비 상황의 심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이 심사 과정에는 서면에 의한 것이나, 유럽 연합 담당관에 의한 해당 국가의 관련 기관에 조사가 있다. 아일랜드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있지만, 솅겐 조약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또한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솅겐 관련 법의 적용 제외를 받고 있다. 영국은 2020년에 유럽 연합에서 탈퇴하기 이전까지 경찰·사법 공조 관련 규정에 참여했다.2004/926/EC:Council Decision of 22 December 2004 on the putting into effect of parts of the Schengen acquis by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OJ L 395, 31.12.2004, pp. 70-80 아일랜드 정부는 2002년 암스테르담 조약 부속 의정서 4호에서 솅겐 아키의 적용을 요구했다.2002/192/EC:Council Decision of 28 February 2002 concerning Ireland's request to take part in some of the provisions of the Schengen acquisOJ L 64, 7.3.2002, pp. 20-23 또한 유럽 연합 이사회에 의한 심사를 요구하는 등 솅겐 지역 진입을 위한 새로운 요청을 하지 않았다. 나라 면적 (km2) 인구 (2021년 기준) 서명일 또는적용 대상이 된 날 시행 일자 대상 밖의 영역 1985년 6월 14일 1995년 3월 26일 1985년 6월 14일 1995년 3월 26일 모든 해외 영토 1985년 6월 14일 1995년 3월 26일3 1985년 6월 14일 1995년 3월 26일 1985년 6월 14일 1995년 3월 26일 , , , , , 1992년 6월 25일 1995년 3월 26일 1992년 6월 25일 1995년 3월 26일 1990년 11월 27일 1997년 10월 26일 1995년 4월 28일 1997년 12월 1일 1992년 11월 6일 2000년 3월 26일 1996년 12월 19일 2001년 3월 25일 4, 4 1996년 12월 19일 2001년 3월 25일 1 1996년 12월 19일 2001년 3월 25일 1 1996년 12월 19일 2001년 3월 25일 스발바르 제도5 1996년 12월 19일 2001년 3월 25일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2004년 5월 1일 2007년 12월 21일2 1 2004년 10월 26일 2008년 12월 12일6 1 2008년 2월 28일 2011년 12월 19일 2011년 12월 9일 2023년 1월 1일7 1 유럽 연합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솅겐 조약과 관련된 경우에는 유럽 연합과 연계하여 활동한다. 2 육상의 경계 및 항구를 대상으로 한다. 공항에 대해서는 2008년 3월 30일부터 대상이다. 3 1990년 10월 3일에 일어난 동서독 통일에 따라 동독이 서독에 편입되면서 옛 동독 영토도 솅겐 지역에 편입되었다. 그 이전까지 동독은 솅겐 협정의 대상 밖에 있었다. 4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는 사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여행자는 간접적으로 솅겐 지역에 포함된다. 덴마크 이외의 솅겐 지역 가입국이 발행한 솅겐 사증의 경우에는 그린란드, 페로 제도에 들어갈 수 없다. 또한 덴마크에서 발행한 사증에서도 특례가 인정되어 있는 경우, 사증에 "페로 제도에서 유효", "그린란드에서 유효"라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 이를 보충하는 설명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 영역에 들어오지 못한다. 5 다만 얀마옌섬은 솅겐 지역에 포함된다. 6 육상의 경계 및 항구를 대상으로 한다. 공항에 대해서는 2009년 3월 29일부터 대상이다. 7 육상의 경계 및 항구를 대상으로 한다. 공항에 대해서는 2023년 3월 26일부터 대상이다. = = = 확장 = = = 1985년 6월 14일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한 베네룩스(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서독, 프랑스 5개국은 제1차 솅겐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을 시행하기 위한 제2차 솅겐 협정은 1990년 6월 19일에 서명했다. 그렇지만 솅겐 협정이 실제로 시행된 날은 1995년 3월 26일이었다. 이때까지 포르투갈, 스페인이 협정에 서명했고 동서독 통일로 인해 동독이 서독에 편입되었다. 이탈리아와 그리스는 협정에 서명했지만 이탈리아는 1997년에, 그리스는 2000년에 시행되었다. 이들 이외의 나라에서도 솅겐 협정은 늦게 시행되었다. 오스트리아는 1995년에 서명했고 1997년에 시행했다. 북유럽 국가들은 1996년에 서명했으며 2001년에 시행했다. 북유럽 국가들은 공동체와는 별도로 독자적인 여권 동맹을 형성했다. 2007년에는 2004년에 유럽 연합에 가입한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솅겐 지역에 편입되었다.2007/801/EC:Council Decision of 6 December 2007 on the full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Schengen acquis in the Czech Republic, the Republic of Estonia, the Republic of Latvia, the Republic of Lithuania, the Republic of Hungary, the Republic of Malta, the Republic of Poland, the Republic of Slovenia and the Slovak RepublicOJ L 323, 8.12.2007, pp. 34-39 또한 2008년 12월 12일에는 스위스가 솅겐 지역에 편입되었다. 리히텐슈타인은 솅겐 지역에 편입되기 이전까지 스위스에 한해서 국경을 개방했지만 2011년 12월 19일을 기해 솅겐 지역에 공식 편입되었다. 키프로스는 2004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여 솅겐 협정에 서명하고 있지만, 키프로스 분쟁으로 인해 시행 시기는 적어도 2010년 이후로 연기되었다. 키프로스는 "솅겐 협정에 의한 엄격하고 완전한 국경 관리는 터키계 키프로스인의 일상 기반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것"이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키프로스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솅겐 협정 시행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 영국군 기지인 아크로티리 데켈리아는 유럽 연합의 영역 밖에 있기 때문에 "이외의 대응이나 제도"가 필요한 상황이다. 크로아티아는 2011년 12월 9일에 솅겐 조약에 서명했으나 솅겐 조약 적용에 관한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한동안 솅겐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다가 2019년 10월 22일에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로부터 솅겐 지역 가입 예비 절차를 충족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2022년 12월 8일에 크로아티아의 솅겐 지역 합류에 관한 안건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2007년에 유럽 연합에 가입한 루마니아과 불가리아는 솅겐 지역 편입에 필요한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국경 관리가 계속된다. 나라 면적 (km2) 인구 서명일 또는적용 대상이 된 날 시행 예정일 2004년 5월 1일 키프로스 분쟁 상황에 따라 유동적임 2007년 1월 1일 솅겐 조약 적용에 관한 기준을 충족할 때까지 무기한 연기됨 2007년 1월 1일 솅겐 조약 적용에 관한 기준을 충족할 때까지 무기한 연기됨 = = = 솅겐 지역에서 입국 심사가 없는 국가 = = = 다음과 같은 나라들은 솅겐 지역에는 정식으로 가담하지 않고, 솅겐 비자를 발행할 수 없지만 입국 심사가 없고 모든 국경이 솅겐 지역과 접하고 있어 사실상 솅겐 지역의 연장선상에 있다. 나라 상황 시작 시기 비고 회원국과 동등함 1995년 3월 26일 모나코는 유일한 이웃 나라인 프랑스와의 국경을 개방하고 있다. 솅겐 관련 법령에서는 모나코를 프랑스 영토의 일부분처럼 다루며, 모나코의 항만의 출입국 관리는 프랑스 당국이 실시하고 있다. 모나코로 가는 육로에는 의례적으로 경비원이 배치되어 있는데 입국자를 중간에 멈추는 일은 실시하지 않았다. 사실상의 가맹국 1997년 10월 26일 산마리노는 유일한 이웃 나라인 이탈리아와의 국경을 개방하고 있다. 다만 총기병대, 시민 경찰, 성채 수비대의 임의적인 검사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사실상의 가맹국 1997년 10월 26일 바티칸 시국은 유일한 이웃 나라인 이탈리아와의 국경을 개방하고 있다. 바티칸 시국은 솅겐 정보 시스템에 의한 정보 공유 등의 밀접한 협력에 관심을 갖고 있다. = = = 아일랜드와 영국의 상황 = = = 나라 면적 (km2) 서명일 또는적용 대상이 된 날 시행일 비고 ( 포함) 1999년 5월 20일 2004년 12월 22일 왕실령과 해외 영토는 유럽 연합의 영역 밖이며 또 영국에는 적용되는 솅겐 아키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다만 주권 기지 영역은 사실상 솅겐 지역에 포함된다. 2002년 2월 28일 시행되지 않음 영국은 2004년 확장 이전부터 2020년에 유럽 연합에서 정식 탈퇴할 때까지 1990년 제2차 솅겐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다. 영국과 아일랜드 양국은 상호 국경을 개방하는 공통 여행 구역을 적용하고 있다. 공통 여행 구역은 영국과 아일랜드가 섬나라라는 점에 맞춰 시행되었다. "광범위하고 통과하기 쉬운 육상의 국경"을 가진 유럽 국가보다 입국 관리를 실시하기 쉬웠기 때문에 영국은 일찍부터 솅겐 지역 편입을 거부했다. 이에 대해서 아일랜드는 솅겐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솅겐 지역 진입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공통 여행 구역과 북아일랜드 간의 경계의 개방을 계속하기 위해서 솅겐 지역 편입은 이뤄지지 않았다. 솅겐 협정은 암스테르담 조약을 통해 유럽 연합의 조약에 편입되었지만 아일랜드와 영국은 솅겐 협정 관련 규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유럽 연합 조약 및 유럽 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 부속 의정서 19호 제4조 이 의정서에서 양국은 개별 사례에서 솅겐 협정에 참여 또는 적용을 받을 권리가 주어지고 있지만 실제에 관여하는 데 있어서는 기존의 솅겐 조약 가맹국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유럽 연합 조약 및 유럽 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 부속 의정서 19호 제4조 유럽 사법 재판소의 판결문에서도 언급되어 있다. Case C-77/05,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v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2007]ECR I-11459 Case C-137/05,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v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2007]ECR I-11593 1999년 영국은 솅겐 아키의 경찰·사법 공조와 관련된 규정에 동참할 것을 인정하도록 정식으로 요구했고, 2000년 5월 29일에 유럽 연합 이사회는 이에 동의하는 결정을 내렸다.2000/365/EC:Council Decision of 29 May 2000 concerning the reques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to take part in some of the provisions of the Schengen acquisOJ L 131, 1.6.2000, pp. 43-47 2004년 이사회 결정에 따라 영국은 2005년 1월 1일을 기해 이 분야에 정식으로 참여하게 되었다.2000/365/EC:2004/926/EC:Council Decision of 22 December 2004 on the putting into effect of parts of the Schengen acquis by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OJ L 395, 31.12.2004, pp. 70-80 또한 영국 귀족원 산하 기구인 유럽의 공동체 특별 위원회는 1999년 보고서에서 "영국의 솅겐 조약 전면 참여"를 권고했다. = = 국경 관리에 관한 규정 = = = = = 역내의 국경 검사 없이 비행 = = = 솅겐 조약이 시행되기 이전은 서유럽 국가들의 대부분의 국경에서 경비가 이루어지고 또 유럽 대륙 각지에 국경 검문소가 설치되어 국경을 넘어 이동하려는 사람의 개인 인증 및 자격 여부가 확인됐다. 비자 발급이 필요한지도 다르고 또 어떤 유럽 국가들에 입국하기 위한 사증을 취득하더라도 이와는 별개의 사증을 취득하지 않으면 다른 유럽 국가들에 입국 할 수 없었다. 솅겐 관련 규정이 시행되면서, 솅겐 참가국 간의 국경 검문소가 폐쇄, 일부는 완전히 철거됐다. 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법은 솅겐 조약 회원국에 대해서 솅겐 지역 내의 국경에서의 자유로운 항행의 방해가 될 것을 모두 제거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 제22조 이 때문에 도로, 철도, 항공을 이용하고 월경하는 사람은 개인 증명 확인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 제21조(b) 솅겐 조약 회원국을 방문하려는 개인에 대해서는 지역 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솅겐 비자"가 발행된다. = = = 솅겐 지역 외부의 경계 관리에 관한 규칙 = = = 솅겐 조약 관련 규정에서는, 솅겐 지역 안으로 진입하거나 밖으로 나오는 영역에 거주하는 개인에 대해서 엄격한 검사를 실시하도록 했다. 이들 검사는 유럽 연합의 유럽 대외 국경 관리 협력 기관이 통일된 규칙에 따라서 실시하고 있다. 국경 검사, 감시, 솅겐 지역에 출입 허가에 대한 요건 같은 것의 상세는 "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으로 불리는 유럽 연합의 규칙에서 정하고 있다.Regulation(EC)No 562/2006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5 March 2006 establishing a Community Code on the rules governing the movement of persons across borders(Schengen Borders Code) OJ L 105, 13.4.2006, pp. 1-32 솅겐 지역과 비솅겐 지역 간의 경계를 넘는 개인 전원에 대한 최소한의 신분 확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솅겐 지역에 진입할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인을 받을 필요가 있다. 출국 관리에서는 특히 솅겐 지역으로 출역하는 개인이 처음에 들어간 곳에서 솅겐 지역으로 진입한다. 자격이 있었는지, 그 개인이 허용 기간을 넘어 체류했는지 여부가 판단하고 솅겐 정보 시스템이나 각국의 데이터 파일에 등록된 인물이나 물건에 대한 주의 사항, 예를 들어 솅겐 지역 가입국에서 체포 영장이 발부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 제7조(b)및(c) 솅겐 지역 밖과의 국경 검사소는 경계를 가로지르는 도로, 공항, 항구에 설치되었으며 열차, 차량 안에서도 검사를 실시한다.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 부속 문서 6호 세우타를 제외하면 역외의 경계에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다만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의 국경 등 일부 관리 강화 지점에는 감시 카메라와 적외선 장치 등이 배치되고 있다. 또한 솅겐 지역 남부에서는 연안 경비에 의해서 민간 선박이 허가 없이 침입하지 않도록 상시 경계하고 있다. 솅겐 관련 규정으로는 솅겐 지역 밖에서 온 모든 여객 사업자에게 승차·탑승 전에 승객이 출입하는 과정에 필요한 여행증명서 및 사증을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제2차 솅겐 협정 제26조 제1항(b) 이는 솅겐 지역 안에 진입한 뒤에 여권 검사소에서 망명을 신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이다. = = = 제3국의 국민이 솅겐 지역에 들어가기 요건 = = = 솅겐 관련 규정은 회원국의 영역에 90일을 넘기지 않는 단기 체류용으로 발행되는 사증의 종류에 대해서 통일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이 규정에는 솅겐 지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요건, 진입 거부를 위한 규정이 있다. 솅겐 협정 회원국 출입국 관련 법률은 다른 나라 국민이 솅겐 지역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정하고 있다.솅겐 조약 회원국 출입국 규정 제5조 유효한 도항 문서 또는 해당 국민에게 월경을 허용하는 문서를 소지하고 있는 것(그 도항 문서의 허용 여부는 회원국 재량에 속한다.)Council Regulation(EC)No 539/2001 of 15 March 2001 listing the third countries whose nationals must be in possession of visas when crossing the external borders and those whose nationals are exempt from that requirementOJ L 81, 21.3.2001, pp. 1-7(제6조에 의한) (필요한 경우) 유효한 사증 또는 유효한 거주 허가증을 소지하고 있는 것 예정되어 있는 체류 목적 및 사정을 정당하게 밝히는 한편 예정 기간의 체류를 위한 수단과 출신 국가에의 귀국, 또는 여행자가 출국을 인정받고 있는지 그러한 수단을 합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제3국 통과를 위한 충분한 수단을 가진 것 솅겐 정보 시스템에서 접근 거부와 관련된 경계 정보의 대상이 되지 않음 하나의 솅겐 협정 회원국의 통상 지역의 치안, 위생, 국제 관계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은 것 이들을 다시 말하면 솅겐 사증을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솅겐 지역에 진입할 권리가 부여되는 것은 안 되는 것이다. 솅겐 지역으로 진입할 권리를 얻으려면 체류 목적과 사연, 그 기간 중에서의 체류를 위한 수단이라는 유럽 연합의 법령에 규정된 사증의 취득 이외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유효한 솅겐 사증을 소지하고 솅겐 지역 내에 머물고 있는 제3국의 국민은 키프로스의 사증 없이 같은 나라에 도항하는 것이 인정되었고, 또 솅겐 사증의 나머지의 유효 기간 안에 같은 나라에 체류할 수 있다. = = = 체류권 = = = 진입이 인정 받고 있는 제3국의 국민은 솅겐 지역 내에 머물면서 솅겐 지역으로 진입할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한 솅겐 지역의 나라를 이동할 수 있다.제2차 솅겐 협정 제19조, 제20조 3개월 이상의 체류에 대해서는 각국의 사증(타입 D)이 해당 솅겐 조약 회원국에 의해서 발행한다. 솅겐 조약 회원국으로부터 3개월 이상의 거주에 대해서 허가를 받은 다른 나라 국민은 3개월을 상한선으로 정하고 있으며 다른 솅겐 가입국에 체류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제2차 솅겐 협정 제21조 = = = 솅겐 사증 = = = 솅겐 지역 내에서의 취업 또는 개인 활동을 수반하지 않는 단기 체류를 위한 사증 요건은 유럽 연합의 규칙에서 정하고 있다.Council Regulation(EC)No 539/2001 of 15 March 2001 listing the third countries whose nationals must be in possession of visas when crossing the external borders and those whose nationals are exempt from that requirementOJ L 81, 21.3.2001, pp. 1-7 단기 체류에 사증을 요하는 국민의 명단(부속서 1리스트)과 사증이 면제되는 국민의 명단(부속서 2목록)에서는 대상이 되는 제3국의 국적을 열거하고 있으며 소지할 여권이나 여행증명서는 열거하지 않고 있다(단 홍콩과 마카오에서 발행된 여권, 난민 여행 증명서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이 있다). 취업 또는 개인 활동을 예정하고 있는 제3국의 국민에 대해서는 솅겐 비자 면제 대상이 되면 회원국에서 사증을 받지만 통상의 출장 여행은 취업 활동로는 간주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회원국은 자국의 영역에 출입하거나 체류하는 것에 관해서 추가적으로 사증 발행을 필요로 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외교, 공용, 기타 특별한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 인물에 대해서는 추가로 면제할 수 있다. 솅겐 통일 사증은 2012년 현재 스티커에서 카드 형식으로 옮겼으며, 솅겐 지역에 진입하는 시점에 출입할 수 있는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면 회원국에서 여권, 여행증명서와 그 외의 월경을 인정하는 내용의 유효한 문서에 부여된다. 솅겐 사증에 다음의 타입이 있다.Common consular instructions on visas for the diplomatic missions and consular postsOJ C 326, 22.12.2005, pp. 1-149 또한 2010년 4월 5일에 사증에 관한 새 규칙이 시행되며 타입 B와 타입 D+C 발급은 폐지되었다. 타입 A - 공항에서의 환승용 사증. 일부의 국적의 여행자는 국제선 2개 노선을 중계 또는 환승을 하다가 공항 국제선 환승 지역을 통행하기 위해서 발급이 필요하다. 타입 C - 단기 체류용 사증. 이주 이외의 이유로 발행된다. 소지자는 처음으로 들어간 날부터 6개월 안에 체류일수가 90일을 넘지 않는 범위 안에서 1회 이상 체류가 인정된다. 타입 D - 회원국 자체의 사증. 카드 형식의 통일 양식을 사용하되 회원국 각각의 법령으로 정하는 조건으로 발행되는 것이다. 이 사증에서도 타입 C처럼 소지자는 입국일로부터 6개월 간 체류 일수가 90일을 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발행 국가 및 다른 솅겐 지역의 체류가 인정된다. 2010년 4월 5일 이전까지는 다른 솅겐 조약 회원국에 도항하려면 목적국에 도착해서 거주 증명서를 취득했는지, 또는 사증 유형 C+D를 발급해야 했다. FTD 및 FRTD - 러시아 본토와 칼리닌그라드주 간의 이동에서 솅겐 지역을 통과할 때 발행되는 특별한 사증. FTD는 도로용 사증, FRTD는 철도용 사증이다. 솅겐 사증을 발급하려면 여행자는 다음 절차를 거쳐야 한다. 도항자는 우선 솅겐 지역의 어느 나라를 주된 목적지로 할 지를 정해야 한다. 이로써 솅겐 사증 신청에 대해서 관할하는 나라와 신청서의 제출처가 되는 대사관 또는 영사관이 결정된다. 주된 목적지를 결정하지 못할 경우 방문자는 솅겐 지역에 처음 진입하는 나라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사증 신청을 제출해야 한다.제2차 솅겐 협정 제12조 제2항 또한 주된 목적지 또는 처음으로 진입한 솅겐 협정 회원국이 도항자의 국내에 외교 공관 및 영사관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여행자는 그 국내의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의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문의해야 한다. 도항자는 관할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솅겐 사증 신청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통일된 서식에 필요 사항을 기입하고 유효한 여권으로 필요하다면 솅겐 지역에 체류하는 목적이나 사정을 알리는 내용의 문서를 추가로 제출한다. 또 여행자는 기간 체류 비용과 귀국 경비 등 경제적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또 대사관 영사관 중에는 비자 신청 이유를 여행자 본인이 구두로 설명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있다. 도항자는 응급 치료와 건강 상의 이유로 귀국에 드는 비용을 조달하는 최소 보상액이 30,000유로인 여행자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여행자보험 가입 증명서는 원칙적으로 사증 신청 절차가 완료할 때까지 발부 받아야 한다.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 시민의 가족에 대해서는 상기의 절차는 다르다. 취업에 대한 사정이나 체류 중인 경제적 능력을 증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사증 발행에 있어서 비용이 들지 않는다. = = = 거주 증명서를 소지하는 개인 내에서의 이동 = = = 솅겐 협정 회원국이 발행된 거주 증명서를 소지한 제3국의 국민은 최대 3개월까지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 입국과 체류가 허용되고 있다.제1차 솅겐 협정 제21조 보다 장기에 체류하기 위해서는 체류를 예정한 솅겐 조약 회원국의 거주 증명서가 필요하다. 솅겐 조약 회원국에 장기 체류하는 제3국의 국민은 특정 조건에서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에 거주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Council Directive 2003/109/EC of 25 November 2003 concerning the status of third-country nationals who are long-term residentsOJ L 16, 23.1.2004, pp. 44-53 = = = 지역에서 이동과 거주 카드 = = = 추가적인 사증의 발급을 받지 않고 솅겐 지역으로 진입한다. 이러한 권리는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 국민의 가족이고,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의 국적을 가지고 있지 않는 거주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도 주어지고 다른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에서 최장 90일간의 단기 체류가 허용되고 있다.Decision of the EEA Joint Committee No 158/2007 of 7 December 2007 amending Annex V(Free movement of workers)and Annex VIII(Right of establishment)to the EEA AgreementOJ L 124, 8.5.2008, pp. 20-23 이는 자유로운 이동과 거주에 관한 EU의 지령Directive 2004/3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on the right of citizens of the Union and their family members to move and reside freely within the territory of the Member States amending Regulation(EEC)No 1612/68 and repealing Directives 64/221/EEC, 68/360/EEC, 72/194/EEC, 73/148/EEC, 75/34/EEC, 75/35/EEC, 90/364/EEC, 90/365/EEC and 93/96/EEC(Text with EEA relevance)OJ L 158, 30.4.2004, pp. 77-123의 제5조 제2항에서 규정된 것으로, 이 규칙 제6조 제2항은 해당하는 개인이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 국민과 함께 이동한다는 것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회원국 중에는 이 지령에 따르지 않는 나라가 있다.Report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n the application of Directive 2004/38/EC on the right of citizens of the Union and their family members to move and reside freely within the territory of the Member States, 솅겐 조약에 가입하지 않은 유럽 연합 회원국에 사는 가족이 유럽 경제 지역 참가국의 국적을 가지고 있고 자신은 그 국적을 가지지 않은 개인이 거주 카드만을 소지하고 특정의 솅겐 협정 회원국에 도항하면서 여객선 사업자에서 승선을 거부되거나 국경 경비대로부터 입국을 거부당하거나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또 이와 같이, 솅겐 조약에 가입하지 않은 유럽 연합 회원국이 추가적인 사증을 소지하지 않은 솅겐 거주 카드를 갖고 있는 개인의 입국을 거부한다는 것이 있다. = = = 솅겐 지역 이외의 현지의 국경 교통 = = = 솅겐 협정에 가입하지 않은 나라와 경계를 접한 솅겐 조약 회원국은 유럽 연합의 규칙에 의해서, 인접하는 제3국과 사이에서 로컬 국경 교통을 인정하는 양국 간 합의를 체결 또는 유지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Corrigendum to Regulation(EC)No 1931/2006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0 December 2006 laying down rules on local border traffic at the external land borders of the Member States and amending the provisions of the Schengen Convention(OJ L 405, 30.12.2006)OJ L 29, 3.2.2007, pp. 3-9 이 규칙은 그런 양국 간 합의가 충족해야 하는 조건을 정하고 있으며, 해당 제도에서 로컬 국경 교통 허가증을 도입하는 규정을 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허가증에는 소지자의 이름과 얼굴 사진이 게재되지 않으면 안 되는 외에 소지자가 국경 지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위반한 경우 처벌이 부과된다는 점을 기술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국경 지대라는 솅겐 지역 이외의 경계에서 30km 이내의 행정 구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솅겐 정보 시스템에서 진입 거부 경계 정보가 등록되지 않고 특정 회원국의 통상, 치안, 위생, 국제 관계에 대한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면 허가증 소지자는 솅겐 지역과의 경계를 넘는 것이 인정된다. 월경에 맞아 추가적인 개인 증명 문서가 필요한지, 허가증 소지자가 국경 지대에 얼마만큼의 기간을 체류할 수 있느냐는 점에 대해서는 당사국 간으로 규정되지만 체류 기간에 대해서는 3개월을 넘는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허가증의 서식은 다른 나라 국민에 대해서 발행되는 거주 허가증의 통일 방식에 따라야 한다. 또 허가증 유효 기간은 1년에서 5년까지로 한다. 허가증은 솅겐 조약 회원국에 인접하는 나라의 국경 지대에 적법하게 거주하는 개인에 대해서 당사국 간 정해진 기간, 통상은 1년 이상에 대해서 발행된다. 허가증 신청자는 로컬 국경 교통 제도 하에서 자주 월경하는 합리적인 이유를 보여야 하며, 또한 앞에서 언급한 솅겐 지역 입역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솅겐 협정 회원국이 발행한 허가증의 기록을 보관하고 다른 회원국 발행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솅겐 협정 회원국이 인접한 회원국 사이에서 협정을 체결할 때에는 미리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에서 협정안의 타당성에 대해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협정 체결 시에는 솅겐 조약 비회원국들이 솅겐 협정 회원의 당사국에 최소한 상호적인 권리를 인정하고 또한 솅겐 조약 비회원국 출신인 불법체류자의 귀환이 확보되어야 한다. = = = 크로아티아에 대한 특별 조치 = = = 크로아티아의 시민에 대해서는 예외적인 조치가 채용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와 인접한 유럽 연합 회원국인 이탈리아, 헝가리, 슬로베니아와 솅겐 조약 이전에 체결된 양국 간의 합의에 의하여, 크로아티아의 시민은 ID 카드만에서의 월경이 인정되고 있다. 국경 부근의 주민은 월경해서 출퇴근하거나 상대방 국가에 토지를 소유하는 등 하루에 국경을 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이나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인 것에서 몇 세기에 걸쳐서 국경 표지판이 아닌 데 따른 것이다. 크로아티아는 2012년경 유럽 연합에 가입할 전망되고 있어 월경에 대해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동의 아래 잠정 조치가 채용되고 있다. 즉, 모두 크로아티아의 시민은 ID 카드와 출국 검사장에서 크로아티아 경찰이 발행한 증명 카드를 소지하고 있으면, 솅겐 지역과의 경계를 넘어 헝가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에 출국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헝가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의 경찰 당국은 출입국 시에 그 카드에 스탬프를 찍으며 크로아티아의 시민은 헝가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와 간의 도항은 인정되고 있지만,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에 입국할 때에는 유효한 여권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 조치는 크로아티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크로아티아의 시민은 ID카드 소지만 해도 모든 솅겐 협정 회원국에 입국할 권리를 인정받게 된다. = = = 서발칸 국가 = = = 2009년 11월 30일 유럽 연합의 사법·내무 이사회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의 시민에게 사증 발급 조건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는 그 해 12월 19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2010년 말까지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시민에 대해서도 똑같은 조치가 실시될 전망이다.[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amending Regulation(EC)No 539/2001 listing the third countries whose nationals must be in possession of visas when crossing the external borders of Member States and those whose nationals are exempt from that requirement] 코소보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 코소보의 시민, 세르비아의 전자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 코소보에 거주하는 사람은 유럽 연합 방문에 비자가 필요하다. 세르비아는 이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조정국을 창설했지만, 코소보에 대한 비자 자유화에 대해서는 조기에 발표, 협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8년 전반에는 유럽 연합과 크로아티아 및 코소보를 제외한 서발칸 국가들 사이의 비자 면제 협상이 개시되었으며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협의가 진행되었다.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공화국,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의 서발칸 국가들은 2008년 솅겐 조약 가맹국 간에 사증 간소화에 대해서 합의하고 이들 국가의 시민은 솅겐 비자의 타입 C유형, D유형, C+D의 발급을 필요로 하는 다른 나라의 국민과 비교해서 발행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또 그 비용이 무료 또는 감액된다. = = 경찰 협력에 관한 규정 = = 솅겐 관련 규정으로는 솅겐 정보 시스템을 통해서 사람, 분실 또는 도난된 문서와 차량 등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은 솅겐 가입국 간에 이동하는 것만으로 문제가 될 인물이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 = 집행 공조 = = = 제2차 솅겐 협정 제39조에 따르면, 솅겐 조약 가맹국은 범죄의 방지와 발견의 과정에서 관련 국내 법에 따른 적절한 권한의 범위에서 각국의 경찰에 의한 집행을 서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각국의 경찰 당국은 중앙 기관을 통해서, 또는 긴급 상황시에는 직접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솅겐 관련 규정에서는 회원국의 관할 부처에 국경 지역에서의 협력 체제를 정하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 = = 월경 감시 = = = 제2차 솅겐 협정 제40조는 감시 대상이 되고 있는 인물이 국가 간에 반환한 범죄 행위에 가담했다는 혐의가 있는 경우에는 경찰은 국경을 넘어 감시를 계속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월경 감시에는 혐의가 제2차 솅겐 협정 제40조 제7항에 있는 강력한 경우나 감시 계속에 긴급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대국의 사전 승낙이 필요하다. 이때 후자의 경우에 대해서는 당사국은 상대국의 당국에 그 나라의 영내에서의 감시가 끝날 때까지 계속 감시를 전달 가능한 한 신속하게 승낙을 요구해야 하고 또 그 상대국이 요구한 경우나 승낙을 거부할 경우, 당사국은 5시간 이내에 계속 감시를 종료해야 한다. 당사국의 경찰관은 무기 소지가 허용되고 있으나 상대국의 법령에 구속되고 경찰관임을 나타내는 신분증을 휴대해야 한다. 또 당사국의 경찰관은 감시 대상이 되고 있는 인물을 정지시키거나 체포할 인정되지 않으며, 또 활동 종료 후에는 상대국에 대하여 보고해야 한다. 한편 상대국은 당사국에 의한 활동에 이어 수사와 사법 절차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 = = = 긴급 월경 추적 = = = 제2차 솅겐 협정 제41조는 한 솅겐 협정 회원국의 경찰관이 추적하는 때 다른 솅겐 조약 참가국에 입국할 때까지 그 상대국 경찰에 통보할 수 없는 경우나 그 해당국에 추적의 인수가 늦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월경해서 추적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솅겐 협정 회원국은 자국 내에서 긴급 월경 추적에 대해서 시간적, 지리적 범위를 제한할 지, 또 이웃 나라에 대한 자국에서 체포를 인정할지를 정할 수 있다. 다만 상대국은 추적 대상이 되는 인물을 추적하는 나라에서 요구할 경우 그 인물의 동일성을 확립하거나 체포하기 위해서 그 인물의 신병을 구속할 의무를 지고 있다. 긴급 월경 추적의 권리는 육상의 국경에 대해서만 한정되어 있다. 추적하는 경찰관은 제복을 착용해야 하며, 승용한 차량이 경찰의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러한 경찰관은 무기 소지도 인정되고 있지만, 그 사용 목적은 자기 방어에 국한된다. 긴급 월경 추적을 실시한 경우에는 당사국은 그 경과를 상대국에 보고해야 한다. = = = 의무와 권리 = = = 제2차 솅겐 협정 제42조로 근무 중에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에서 범죄 피해자가 된 한 나라의 경찰관은 그 상대 국가의 경찰관과 동등한 보상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 제43조는 한 나라의 경찰관이 다른 솅겐 조약 가맹국 내에서 불법 행위로 손해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그 경찰관의 소속 국가가 책임을 진다. = = = 연락원 = = = 제2차 솅겐 협정 제47조는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에서 연락원의 상시 배치를 규정하고 있다. = = = 양국간 조치 = = = 인접한 솅겐 조약 가맹국에서는 국경 지대에서 경찰 협력에 관한 양국간 조치를 정하고 있으며, 이런 것은 제2차 솅겐 협정 제39조 제5항에서 인 받고 있다. 이러한 협력에는 경찰 무선 주파수대, 경찰 관제부 국경 지대에서 추적 부대의 공유 등이 있다.대표적인 사례로서 독일과 폴란드 국경 지대에서의 협력이 있다. 독일의 브란덴부르크 주의 보도자료 (2007년 11월 22일) 를 참조. 여기에 몇몇 솅겐 조약 가맹국의 경찰 관련 법률들은 다른 유럽 연합 회원국의 경찰관에 임시적인 경찰 권한 부여를 인정하고 있는 곳도 있다.프륌 조약(제3차 솅겐 협정) 제24조. 또 예로서 독일 연방 경찰법 제64조 제4항 = = = 프륌 조약과 관련 규정 = = = 2005년 5월 27일 독일, 스페인,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는 독일 프륌에서 합의문에 서명했다. 이 합의는 2004년 3월 11일 스페인에서 일어난 2004년 마드리드 열차 폭탄 테러를 계기로 논의가 시작된 가용성의 원칙에 따른 것이지만, 이에 따라 회원국들 사이에서 문제 인물의 DNA, 지문이나 자동차 등록 정보에 관한 모든 데이터의 교환, 테러리즘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게 했다. 프륌 조약은 솅겐 지역 내에서 운항하는 항공편에 무장한 항공 경찰관의 탑승과 경찰의 공동 순찰 경찰 부대에 의한 매우 중요한 위험 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타국의 영역으로 진입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또 어떤 나라에서의 행동 책임자인 경찰관은 원칙적으로 그 행동에 참가하는 다른 나라 경찰 부대가 무기의 사용 범위 및 권한 행사를 규정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륌 조약으로 불리는 이 문서는 "제3차 솅겐 협정"이라고도 불린다. 2008년 6월 유럽 연합 이사회가 유럽 연합의 세 개의 기둥 가운데 하나인 조약의 일부 규정을 유럽 연합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유럽 연합의 법령으로 편입시켰다.Council Decision 2008/615/JHA of 23 June 2008 on the stepping up of cross-border cooperation, particularly in combating terrorism and cross-border crimeOJ L 210, 6.8.2008, pp. 1-11 유럽 연합의 제1의 기둥인 유럽 공동체의 틀 내에서 규정하는 안건에 대해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가 제1의 기둥에 관한 입법 발의권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집행에 있어서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발의가 필요하다. 유럽 연합 이사회의 결정Council Decision 2008/616/JHA of 23 June 2008 on the implementation of Decision 2008/615/JHA on the stepping up of cross-border cooperation, particularly in combating terrorism and cross-border crimeOJ L 210, 6.8.2008, pp. 12-72에서는 주로 지문, DNA, 자동차 등록 정보 교환에 관한 형사 사건의 경찰 기관 협력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이 정보 교환 규정은 2012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 = 사법 공조 = = = = = 직접적인 사법 공조 = = = 솅겐 협정 회원국은 제2차 솅겐 협정 제50조에 규정되고 있는 경미한 범죄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범죄에 대해서 형사 사법에 상호 간에 협력할 의무를 지고 있다. 모든 솅겐 조약 가맹국은 다른 회원국의 법정에 문서를 송부하고 제출할 수 있지만 수신 측이 그 문서의 원어판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번역문을 첨부하여야 한다(제2차 솅겐 협정 제52조). 사법적 지원 요청은 외교 루트를 통할 필요는 없으며 솅겐 조약 가맹국의 사법 당국 간 직접적으로 주고받는다(제2차 솅겐 협정 제53조). 제2차 솅겐 협정 제54조부터 제58조는 솅겐 조약 가맹국 내에서의 일사부재리의 적용에 관한 세부 사항이 규정되어 있으며 제59조 내지 제69조는 솅겐 협정 회원국 간의 범죄 용의자 인도나 한 회원국에서 내려진 실형 판결의 다른 회원국들이 집행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 = = 규제 약물 = = = 제2차 솅겐 협정 제67조부터 제76조에서는 규제 약물 거래에 대해서 규정되어 있다. 솅겐 조약 가맹국은 마약 불법 거래를 적발할 의무를 지고 있으며 가맹국은 규제 약물의 불법 거래에서 얻은 이익을 몰수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의 국경을 초월한 합법적인 거래의 규제는 국경 부근이 아닌 각국의 영내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개인은 솅겐 협정 회원국에서 허가한 약물 목록이 담긴 문서를 소지하고 있으면 다른 솅겐 협정 회원국의 영내에 규제 약물을 들여올 수 있다. = = = 무기·총탄 = = = 제2차 솅겐 협정 제77조부터 제91조는 무기와 총탄의 규제에 대해서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무기 소지에 관한 제한은 협정 자체, 또는 유럽 연합의 법령에서 규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솅겐 관련 규정에서도 무기와 총알의 제조, 구입, 거래의 허가에 관한 조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특히 1991년 이사회 지령Council Directive 91/477/EEC of 18 June 1991 on control of the acquisition and possession of weaponsOJ L 256, 13.9.1991, pp. 51-58은 다른 회원국령 내에 무장 괴한의 반입을 허용하는 허가증 제도를 도입했다. = 분류:네덜란드-필리핀 관계 = = 펠릭스 파팔라디 = 펠릭스 파팔라디(, 1939년 12월 30일 ~ 1983년 4월 17일)는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작곡가, 보컬리스트, 베이시스트였다. 그는 밴드 마운틴의 베이시스트이자 보컬리스트로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그의 노래인 〈Mississippi Queen〉은 빌보드 핫 100에서 21위를 정점으로 하여 클래식 록 라디오의 주류가 되었다. 뉴욕의 그리니치빌리지의 다양한 음악계에서 탄생한 그는 영국의 파워 트리오 크림과 친하게 지내며, 그들의 두 번째 음반 Disraeli Gears의 작곡, 편곡, 프로듀싱을 맡았다. 애틀랜틱 레코드의 프로듀서로서, 그는 기타리스트 레슬리 웨스트와 함께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1969년에 그들의 파트너쉽은 마운틴으로 발전했다. 이 밴드는 5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작품은 헤비 메탈과 하드 록 음악의 1세대에게 영향을 미쳤다. 파팔라디는 1983년 그의 아내 게일 콜린스의 총에 맞아 사망할 때까지 프로듀서, 세션 음악가, 작곡가로 계속 활동했다. = = 초기 생애 = = 파팔라디는 뉴욕주 브롱크스에서 태어났다. 고전적으로 훈련된 음악가였던 그는 뉴욕 시립 음악 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시간 대학교에 다녔다.The Encyclopedia of Dead Rock Stars: Heroin, Handguns, and Ham Sandwiches By Jeremy Simmonds (C)2006 = 친안철수계 = 친안철수계(親安哲秀系)라 일컬어지며 그와 동시에 친안(親安)이라고도 불리는 친안철수 세력(親安哲秀 勢力)은 국민의당 대표 등을 지낸 안철수(카이스트 석좌교수 역임)가 2013년 4월 24일 재보선 당선 등으로 인하여 정치 분야에 본격 입문한 이듬해 2014년 2월 당시 새정치연합 대표위원장 겸 상임고문 시절부터 현재까지 안철수(安哲秀) 교수의 외골수 버금가는 초지일관 성향의 급진적 중도주의(急進的 中道主義)인 중립성 중도개혁실용주의 정치(中立性 中道改革實用主義 政治)라는 이념 사상에 상당히 크게 공감 및 동조를 하는 정치 계파 세력들을 통칭 및 총칭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며 흔히 안철수계(安哲秀系)라고도 부르기도 하고 대학 교수 출신의 극렬 중도파 극중립주의자(極烈 中道派 極中立主義者)를 표방하는 정치인들이 친안철수계(親安哲秀系)의 구성원으로 소소히 포진되어 있다. 이 집단의 여집합은 "비안(非安)"이라 지칭되고 있다. = 분류:구포초등학교 동문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 = 다음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고양시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고양시의회는 지역구의원 31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 결과 = = = = = 덕양구 = = = = = = 일산구 = = = = 가이후키촌 = 가이후키촌(貝吹村)은 에히메현 히가시우와군에 설치된 촌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문화재자료 (제1호 ~ 제100호)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는 문화재자료 중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내에 있는 문화재자료를 의미한다. = = 지정목록 = = = = = 제1호 ~ 제100호 = = =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남고사지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2가 724번지/del> 1984년 4월 1일 지정, 1985년 8월 16일 해제, 전북 기념물 제72호로 재지정 2호 동고사</br>(東固寺)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1가 산10 동고사 1984년 4월 1일 지정 3호 학소암</br>(鶴巢庵) 전북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 2가 산 51번지 학소암 1984년 4월 1일 지정 4호 화산서원비</br>(華山書院碑)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 산 33-2번지 전주시 1984년 4월 1일 지정 5호 관성묘</br>(關聖廟)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2가 613번지 모성희 1984년 4월 1일 지정 6호 천양정</br>(穿楊亭) 전북 전주시 중화산동 1가 196번지 김래진 1984년 4월 1일 지정 7호 (미상) 8호 추천대</br>(楸川臺)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3가 26 전주이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9호 서서학동석불입상</br>(西棲鶴洞石佛立像)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345번지 김수희 1984년 4월 1일 지정 10호 인후동석불입상</br>(麟後洞石佛立像) 전북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1가 146-1(용화사) 김격선 1984년 4월 1일 지정 11호 반곡서원</br>(盤谷書院)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2가 210번지 이준형 1984년 4월 1일 지정 12호 황강서원</br>(黃岡書院)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295-3번지 이존칠 1984년 4월 1일 지정 13호 모현동부도</br>(慕懸洞浮屠) 전북 익산시 모현동1가 719 하규호 1984년 4월 1일 지정 14호 진안향교대성전</br>(鎭安鄕校大成殿) 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527-1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15호 영모정</br>(永慕亭) 전북 진안군 백운면 노촌리 676 거창신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16호 수선루</br>(睡仙樓)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57 송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2019년 12월 30일 해제, 보물 제2055호로 승격 17호 용담향교대성전</br>(龍潭鄕校大成殿) 전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2202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18호 와룡암</br>(臥龍庵) 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135 광산김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19호 (미상) 20호 영천서원</br>(寧川書院) 전북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203 안재연 1984년 4월 1일 지정 21호 주암서원</br>(舟岩書院) 전북 임실군 지사면 방계리 713-1 전주최씨최용호 1984년 4월 1일 지정 22호 신안서원</br>(新安書院) 전북 임실군 임실읍 신안리 447 한도수 1984년 4월 1일 지정 23호 신흥사대웅전</br>(新興寺大雄殿) 전북 임실군 관촌면 상월리 360 .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유형문화재 제112호로 재지정 24호 해월암</br>(海月庵) 전북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715 해월암 1984년 4월 1일 지정 25호 죽림암</br>(竹林庵) 전북 임실군 임실읍 성가리 525 죽림암 1984년 4월 1일 지정 26호 임실향교대성전</br>(任實鄕校大成殿) 전북 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27호 신광사대웅전</br>(新光寺大雄殿) 전북 장수군 천천면 와룡리 16 .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유형문화재 제113호로 재지정 28호 (미상) 29호 (미상) 30호 (미상) 31호 월강사</br>(月岡祠) 전북 장수군 장계면 월강리 562-1 김순지 1986년 9월 8일 지정 32호 어서각</br>(御書閣) 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118-1 장종연 1984년 4월 1일 지정 33호 금남군정충신영정각</br>(錦南君鄭忠信影幀閣) 전북 장수군 장계면 금곡리 413-4 정주석 1984년 4월 1일 지정 34호 화산사</br>(華山祠) 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136 박대식 1984년 4월 1일 지정 35호 압계서원</br>(鴨溪書院) 전북 장수군 산서면 학선리 산76 육종영, 육동수 1984년 4월 1일 지정 36호 창계서원</br>(創溪書院) 전북 장수군 장수읍 선창리 566-1 배윤창 1984년 4월 1일 지정 37호 (미상) 38호 정충복비</br>(丁忠僕碑) 전북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203-1 향교재단 1985년 8월 16일 지정 39호 (미상) 40호 수열비</br>(樹烈碑) 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935-4 장수군 1984년 4월 1일 지정 41호 원흥석불입상</br>(元興石佛立像) 전북 장수군 산서면 마하리 477-1 김용호 1985년 8월 16일 지정 42호 (미상) 43호 (미상) 44호 (미상) 45호 선원사대웅전</br>(禪院寺大雄殿) 전북 남원시 도통동 392 선원사 1984년 4월 1일 지정 46호 (미상) 47호 (미상) 48호 대복사극락전</br>(大福寺極樂殿) 전북 남원시 왕정동 283 대복사 1984년 4월 1일 지정 49호 (미상) 50호 운봉향교대성전</br>(雲峰鄕校大成殿) 전북 남원시 운봉읍 산덕리 600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51호 창주서원</br>(滄州書院) 전북 남원시 도통동 315 노진 1984년 4월 1일 지정 52호 유천서원</br>(楡川書院) 전북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187 방화원 1984년 4월 1일 지정 53호 용장서원</br>(龍章書院) 전북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 644 양상욱 1984년 4월 1일 지정 54호 풍계서원</br>(楓溪書院) 전북 남원시 대강면 풍산리 137 김수복 1984년 4월 1일 지정 55호 호암서원</br>(湖岩書院) 전북 남원시 덕과면 만도리 682-1 소병완 1984년 4월 1일 지정 56호 오리정</br>(五里亭) 전북 남원시 사매면 월평리 27 남원시 1984년 4월 1일 지정 57호 유애묘</br>(遺愛廟) 전북 남원시 동충동 186 이한왕 1984년 4월 1일 지정 58호 구천사</br>(龜川祠) 전북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688 박정인 1984년 4월 1일 지정 59호 십로사</br>(十老祠) 전북 남원시 대강면 생암리 산47-1 장수호 1984년 4월 1일 지정 60호 창덕암삼층석탑</br>(昌德庵三層石塔) 전북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산107(중절마을) 창덕암 1984년 4월 1일 지정 61호 과립석불두및좌대</br>(科笠石佛頭 및 坐臺) 전북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 520-1 김희원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7년 4월 28일 해제, </br>전북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재지정 62호 미륵암석불입상</br>(彌勒庵石佛立象) 전북 남원시 이백면 효기리 123 김화종 1984년 4월 1일 지정 63호 (미상) 64호 덕음암석불좌상</br>(德蔭庵石佛坐象) 전북 남원시 노암동 176(어현부락) 덕음암 1984년 4월 1일 지정 65호 미륵암석불</br>(彌勒庵石佛) 전북 남원시 노암동 751 미륵암 1984년 4월 1일 지정 66호 (미상) 67호 150px 귀래정</br>(歸來亭) 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2-1 신진식 1984년 4월 1일 지정 68호 순창향교대성전</br>(淳倉鄕校大成殿) 전북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 134-1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69호 합미성</br>(合米城) 전북 장수군 장수읍 사천리 177-1 장수군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기념물 제75호로 재지정 70호 홀어머니산성</br>(홀어머니山城) 전북 순창군 순창읍 백산리 산55 순창군 1984년 4월 1일 지정 71호 합미성</br>(合米城) 전북 순창군 동계면 신흥리 산51 순창군 1984년 4월 1일 지정 72호 낙덕정</br>(樂德亭) 전북 순창군 복흥면 상송리 산4 울산김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73호 정읍향교대성전</br>(井邑鄕校大成殿) 전북 정읍시 장명동 39-2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74호 고부향교대성전</br>(古阜鄕校大成殿)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6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75호 태인향교대성전</br>(泰仁鄕校大成殿)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581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76호 남고서원</br>(南皐書院) 전북 정읍시 북면 보림리 537 이동운 1984년 4월 1일 지정 77호 동죽서원</br>(東竹書院) 전북 정읍시 덕천면 상학리 산13-1 전주최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78호 창동서원</br>(滄東書院) 전북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 609-1 부안김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79호 도계서원</br>(道溪書院) 전북 정읍시 이평면 도계리 84-1 의성김씨종중 1984년 4월 1일 지정 80호 정읍정충사지</br>(井邑旌忠祠址) 전북 정읍시 흑암동 597 .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기념물 제74호로 재지정 81호 고암서원묘정비</br>(考巖書院廟庭碑) 전북 정읍시 상평동 378 정읍교육청 1984년 4월 1일 지정 82호 150px 망제동석불입상</br>(望帝洞石佛立像) 전북 정읍시 망제동 산75-1 . 1984년 4월 1일 지정, 1985년 8월 16일 해제, 전북 유형문화재 제118호로 재지정 83호 여산향교대성전</br>(礪山鄕校大成殿)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101-1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84호 익산향교대성전</br>(益山鄕校大成殿)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389-1 . 1984년 4월 1일 지정, 1985년 8월 16일 해제, 전북 유형문화재 제115호로 재지정 85호 함열향교대성전</br>(咸悅鄕校大成殿) 전북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579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86호 용안향교대성전</br>(龍安鄕校大成殿) 전북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163-1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87호 심곡사대웅전</br>(深谷寺大雄殿) 전북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176 심곡사 1984년 4월 1일 지정 88호 남원사미륵전</br>(南原寺彌勒殿) 전북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 224 남원사 1984년 4월 1일 지정 89호 문수사대웅전</br>(文殊寺大雄殿) 전북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69 문수사 1984년 4월 1일 지정 90호 백운사보현전</br>(白雲寺普賢殿) 전북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65 백운사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96년 3월 29일 해제, </br>화재로 소실 91호 불지사대웅전</br>(佛智寺大雄殿) 전북 군산시 나포면 장상리 836 .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유형문화재 제117호로 재지정 92호 고산향교대성전</br>(高山鄕校大成殿) 전북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 144 . 1984년 4월 1일 지정, </br>1985년 8월 16일 해제, </br>전북 유형문화재 제116호로 재지정 93호 부안향교대성전</br>(扶安鄕校大成殿)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266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94호 (미상) 95호 임피향교대성전</br>(臨陂鄕校大成殿) 전북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 538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96호 옥구향교대성전</br>(沃溝鄕校大成殿) 전북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626 향교재단 1984년 4월 1일 지정 97호 (미상) 98호 고창향교 대성전</br>(高敞鄕校 大成殿) 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248-1 향교재단 1985년 8월 1일 지정 99호 (미상) 100호 (미상) = = = 제101호 ~ 제200호 = = = = 확률 게임 = 확률 게임은 기술 게임과 대조된다. 어떤 무작위 장치에 의해 결과가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게임이다. 쓰이는 일반적인 장치에는 주사위, 팽이, 카드 놀이, 룰렛 바퀴 또는 상자에서 뽑은 번호가 매겨진 공이 포함된다. 확률 게임은 플레이어가 돈이나 금전적 가치가 있는 것을 지불하는 경우 도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반면, 기술 게임은 결과가 확률이 아니라 주로 정신적 또는 육체적 기술에 의해 정해지는 게임이다. 확률 게임에는 약간의 기술 요소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운이 결과를 결정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한다. 기술 게임에는 확률 요소가 있을 수 있지만 기술이 결과를 결정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한다. 많은 사람들이 도박을 제한하는 법을 통과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도박은 거의 모든 인간 사회에서 알려져 있다. 초기 사람들은 양의 발가락뼈를 주사위로 썼다. 어떤 사람들은 도박에 심리적 중독을 일으키고, 계속하기 위해 음식과 주거지까지 위험에 빠트린다. 일부 확률 게임에는 어느 정도의 기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블랙잭처럼 플레이어가 이전 또는 불완전한 지식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릴 때 특히 그렇다. 룰렛과 바카라처럼 다른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베팅 금액과 베팅하려는 항목만 선택할 수 있다. 나머지는 운에 달려 있으므로 이러한 게임은 여전히 소량의 기술이 필요한 확률 게임으로 간주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확률 게임이 불법이거나 적어도 규제되지만 기술 게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확률'과 '기술'의 구분은 관련이 있다. 표준화된 정의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포커는 독일에서 확률 게임으로 판정되었고, 적어도 한 명의 뉴욕주 연방 판사는 기술 게임으로 판정했다. = = 중독 = = 확률 게임과 도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에 대한 강한 의존성을 키울 수 있다. 이를 "병적 도박"의 정신병리학 (중독)이라고 한다. 정신분석가 에드먼드 베르글러에 따르면 병적 도박꾼의 6가지 특징이 있다: 규칙적으로 플레이해야 한다: 여기서 문제는 대상이 "과하게" 하는지 아는가다. 게임을 다른 모든 관심사보다 우선한다. 반복되는 실패 경험으로 배우지 못하는 낙관주의가 있다. 이길 때까지 멈추지 않는다. 약속했던 예방책에도 불구하고 결국 너무 많은 위험을 감수한다. 플레이 중 "황홀감" (떨리는 감각, 흥분, 긴장, 고통과 즐거움의 양방)의 주관적인 경험이 있다. = 문화로 = 문화로(文化路, Munhwa-ro)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로 이름이다. 문화로는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대구광역시 서구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남동구를 잇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북도 증평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북도 군산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남도 함평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상북도 상주시와 김천시를 잇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도로이다. 문화로는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도로이다. = Does Fort Worth Ever Cross Your Mind = Does Fort Worth Ever Cross Your Mind는 1984년 9월 26일에 발매된 조지 스트레이트의 음반이다. MCA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피터 디바이 =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혈액 배양 검사 = = 스틸러 : 일곱 개의 조선통보 = 스틸러 : 일곱 개의 조선통보는 2023년 4월 12일부터 2023년 5월 18일까지 방송되었던 tvN 수목 드라마였다. = = 프로그램 소개 = = 베일에 싸인 문화재 도둑 스컹크와 비공식 문화재 환수팀 카르마가 뭉쳐 법이 심판하지 못하는 자들을 상대로 펼치는 케이퍼 코믹 액션물 = = 제작진 = = = = = 극본 = = = 신경일 = = = 연출 = = = 최준배 : MBC 수목 드라마 《누구세요?》(조연출), MBC 주간 드라마 《심야병원》(조연출), MBC 주말 드라마 《아들녀석들》(공동 연출), MBC 일일 대하 드라마 《제왕의 딸 수백향》(공동 연출), MBC 드라마 페스티벌 2013 《하늘재 살인사건》(연출), MBC 일일 특별 기획 드라마 《압구정 백야》(조연출), MBC 일일 드라마 《최고의 연인》(공동연출), MBC 수목 드라마 《이리와 안아줘》(연출), tvN 수목 드라마 《마우스》(연출) 연출 민정아 = = 출연진 = = = = = 주요 인물 = = = 주원 : 황대명 (30대 중반) 역 - 문화재청, 특별조사과 공무원. 어릴 적부터 공부는 물론 운동에도 큰 재능을 보이는 엄친아 계의 일인자였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큰 슬픔에 빠진다. 과거 대명의 눈에 비친 아버지는 고고학자로서 사회 고위층이 불법적으로 도굴해 은닉한 문화재의 강제 환수를 위해 줄곧 노력해온 인물이었다. 그런 아버지의 뜻을 잇기 위해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 진학했고, 문화재청 소속 특별조사과 정규직 공무원이 됐다. 문화재 강제 환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지만 쉽지 않았다. 윗선의 반발로 인해 번번이 무산되자 대명은 결국 현실과 타협한다. 칼퇴는 기본, 모든 연월차 수당까지 꼼꼼히 챙기는 월급 루팡의 길로 접어든다. 하지만 고도의 흑막이었을까? 그의 행보가 어딘가 수상쩍다. 서울지방경찰청 문화재 전담팀은 대명이 문화재 전문 도둑인 스컹크와 은밀하게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스컹크 섭외를 위해 대명에게 접근한다. 반강제적으로 비공식 문화재 환수팀 ‘카르마’에 합류하게 된 대명,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대명은 좀처럼 스컹크와 같은 자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주원 : 스컹크 역 - 신원 미상 / 전국구 골동품 도둑 사회 고위층들이 불법적으로 은닉 중인 문화재들만 골라 턴다. 지금까지 100여 개의 문화재들을 훔쳤지만, 피해자가 불법적으로 소유하고 있었기에 신고자도 도난품도 없다. 도둑을 터는 도둑이라 좋은 놈인지 나쁜 놈인지 분간이 안 된다. 항상 범죄 현장에 특이한 악취를 남겨 스컹크라 불린다. 최화정 : 이춘자 (49세) 역 - 스컹크의 비밀 파트너 학창 시절 그녀가 취미로 개발한 해킹 프로그램 때문에 국가의 부름을 받아 안기부에서 비밀 첩보 요원들의 정보 수집과 장비 제작을 맡는 서포터로 활약했다. 냉전 시대가 막을 내리고 안기부가 해체되자 실직하게 됐지만, 미리 사둔 미래형 주식과 각종 특허로 벼락부자가 됐다. 돈으로 누리는 기쁨이 줄고, 삶이 무료해질 무렵 스컹크를 만나며 삶의 활력을 되찾는다. 이후, 팀 카르마에 합류해 마음껏 재능을 펼치게 된다. = = = 서울지방경찰청 문화재전담팀 = = = 이주우 : 최민우 경위 (27세) 역 -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문화재 전담팀 경찰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한 엘리트 경찰로 천부적인 추리 능력은 물론 격투 실력까지 수준급이다. 나쁜 놈은 지구 끝까지 쫓아가서라도 반드시 잡겠다는 열정도 지녔다. 하지만 그 열정이 종종 선을 넘는다. 상관의 성희롱을 참지 못하고 턱을 날려버린 탓에 문제아로 낙인 찍혔다. 그 후, 그녀가 발령된 곳은 서울지방경찰청 문화재 전담팀. 오갈 데 없는 문제적 경찰들만 모여있는 곳이란 사실을 알고 좌절하지만, 곧 만만치 않은 곳이란 걸 깨닫게 된다. 문화재 범죄자들이 강력반에서 상대하는 흉악범들 못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위험천만한 세계에 첫발을 들이는데, 천직을 만난 듯 짜릿하기 그지없다! 조한철 : 장태인 경감 (51세) 역 -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문화재 전담팀 강력계 마약반의 유능한 반장이었던 10년 전, 전국 최대의 마약 조직을 검거했다. 엄청난 수훈이었지만 도자기 속에 숨겨둔 마약들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도자기 24개를 박살 낸 게 문제였다. 바로 대한민국의 국보급 고려청자들이었던 것! 징계가 끝난 후 서울지방경찰청 문화재 전담팀으로 발령 난다. 문화재의 문자도 몰랐던 그는 문화재의 가치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값진 것이란 걸 깨닫게 되고, 역사와 문화재에 관해 공부에 매달린다. 그 결과 10년이 지난 지금은 장 박사로 불릴 정도로 풍부한 문화재 학식을 갖추고 있다. 오랫동안 쫓고 있던 문화재 전문 도둑 스컹크가 결국 자신과 같은 노선을 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대명을 통해 그를 극적 섭외하여 팀 ‘카르마’를 창단하고, 은닉된 문화재를 수단 불문 환수하는 비밀 프로젝트를 본격 시작한다. 김재원 : 신창훈 경장 (29세) 역 -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문화재 전담팀 폭력계 형사 출신으로 일당백의 엄청난 전투력을 보유했다. 악명 높은 문화재 사범의 검거를 위해 태인이 특별히 선발한 인재다. 그의 주먹과 발길질에 나가떨어진 범죄자들만 모아도 한 트럭이다. 우락부락한 외모와는 달리 따뜻함, 사명감, 의리가 충만한 그는 팀 카르마의 분위기 메이커이자 없어서는 안 될 전투 병기다. = = = 문화재청 특별조사과 = = = 최설 : 진애리 (24세) 역 - 문화재청 특별조사과 막내 공무원 문화재청 막내 공무원이자 대명의 직속 부하직원, 대명을 한심하게 생각해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며, 돌직구도 서슴없이 날린다. 어느 날, 대명의 비밀을 알게 되고, 자의 반 타의 반 팀 카르마에 합류한다. 박용 : 민 국장 역 문화재청 국장. = = = 문화재 관련 범죄자들 = = = 이덕화 : 김영수 (88세) 역 - 추악한 권력가, 흰달의 비밀 고용주. 일제강점기 친일파 가문에서 태어나 부와 명예를 누렸고, 해방 이후엔 독립운동가 가문으로 신분 세탁해 승승장구했다. 검사로 시작해 국토부 장관까지, 정부의 온갖 요직을 거치며 사리사욕을 채웠다. 하지만 부패한 정권을 지나 민주화의 바람이 불자 점점 설 자리는 좁아져 갔다. 그럼에도 굴하지 않고, 각종 권모술수를 통해 권력가의 뒤에 숨어 이끼처럼 끈질기게 생존했다. 자신이 가진 걸 사수하려는 집착은 갈수록 깊어져 갔다. 피어나는 욕망과 달리 시들어가는 몸뚱이가 야속해질 즈음, 대한민국 땅 어딘가 숱한 문화재와 함께 그의 마지막 염원을 이뤄줄 '영험한 구슬'이 묻혀져 있음을 알게 된다. 그 비밀의 장소를 알려줄 유일한 단서인 '일곱 개의 조선통보', 이를 찾기 위해 그는 그가 가진 모든 것을 걸게 된다. 김재철 : 조흰달 (40대 초반) 역 - 전대미문의 암살자, 골동품 도둑, 영수의 수족. 태어날 때부터 손목에 반달 모양의 흰색 점을 가지고 태어났다. 아무런 연고도 없는 고아 출신으로 14살 때부터 골동품 도둑집단에 끌려가 도굴, 절도, 살인 기술을 배우며 자랐다. 그렇게 최고의 골동품 전문 도둑이자 킬러로 명성을 날리게 된다. 하지만 그를 향한 포위망은 조금씩 좁혀져 왔다. 공개수배로 인해 발이 묶인 어느 날, 김영수가 찾아왔다. 완벽한 신분 세탁을 조건으로 자신의 수하가 되어줄 것을 제안한다. 영수의 첫 번째 미션을 성공한 흰달은 새로운 신분을 얻게 된다. 그 후, 일곱 개의 조선통보를 찾으라는 영수의 명을 받들어 전국을 누비던 중, 팀 카르마와 피할 수 없는 대립을 펼치게 된다. 최정우 : 고 박사 (60세) 역 - 전설의 도굴꾼이자 보물 사냥꾼 40년 전 활발히 활동하던 도굴꾼으로 천부적인 사기 지능을 발휘해 현재까지도 태인의 검거 리스트 꼭대기에 올라 있다. 일곱 개의 조선통보에 대한 비밀을 알게 된 팀카르마가 이를 얻기 위해 특별 고용한 인물로 극의 활력과 짜증을 동시에 몰고 온다. 말끝마다 거짓말을 달고 사는 그는 아군인지 적군인지, 도움이 되는지 방해가 되는지 도무지 감을 잡을 수 없다. 정은표 : 최송철 (56세) 역 - 최송철 역사 문화 연구소 소장 최송철 역사문화 연구소 소장. 간판과 직함은 번듯하지만, 앞뒤 다른 인물. 헌 책방에서 직지 상권을 훔친 뒤, 정부와의 협상에 실패하자 분실을 주장하며 능청스럽게 오리발 내민다. 전진오 : 김영찬 (45세) 역 - 골동품과 문화재 전문 장물아비 골동품과 문화재 전문 장물아비, 삼합회와 거래하며, 국내 은닉 문화재들을 해외로 불법 유통한다. 골통 중에서도 최고 악질로 불리며, 태인의 주요 검거 리스트에 올라 있다. 장광 : 양 회장 (80세) 역 - 골동품 디렉터 일명 골렉터, 소장 목적이 아닌, 되팔기 위한 목적으로 골동품을 수집한다. 개인 별장에 수많은 은닉 문화재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곱 개의 조선 통보를 수집하고 있다. 김하원 : 한 비서 (31세) 역 - 영수의 비서 영수의 생활 전반에 걸친 모든 것을 관리해주는 총괄 비서. 송재희 : 장춘펑 역 - 삼합회의 보스 우연히 조선통보 한개를 갖고 있어 팀 카르마와 김영수의 타깃이 된다. 이태희 : 쇼타 역 - 영수의 심복 = = = 기타 = = = 이설아 : 안연지 (14세) 역 - 태백 탄광 마을에서 동생 연석과 단둘이 살고 있으며, 실질적인 가장 역할을 하고 있다. 돌아가신 할머니가 물려주신 유품인 조선통보를 감정받고자, TV프로그램에 출연한다. 연석의 누나. 정민준 : 안연석 (9세) 역 - 연지의 동생 미상 : 백 사장 역 = = = 특별 출연 = = = 왕종근 : TV 프로그램 《보물을 찾아서》 MC 역 이상준 : 박쥐 역 - 골동품 도둑 김영재 : 황대명 아버지 역 김학철 : 왕인철 회장 역 김원효 : 김영배 역 - 사기 부부단 남편 심진화 : 심미영 역 - 사기 부부단 아내 = = 시청률 = = 2023년 2023년 2023년 2023년 2023년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AGB 시청률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회차 방송일 한국(전국) 수도권 1회 4월 12일 4.678% 5.964% 2회 4월 13일 3.668% 4.397% 3회 4월 19일 3.582% 3.913% 4회 4월 20일 3.766% 3.926% 5회 4월 26일 3.638% 4.224% 6회 4월 27일 3.140% 3.677% 7회 5월 3일 2.396% 2.951% 8회 5월 4일 2.225% 2.213% 9회 5월 10일 2.418% 2.739% 10회 5월 11일 2.325% 2.521% 11회 5월 17일 1.939% 2.287% 12회 5월 18일 2.320% 2.812% = 불순물준위 = 불순물준위란 물질 사이에서 불순물이 만드는 준위이다. 특히 반도체의 띠틈에서 이 불순물준위가 가능한 경우가 매우 중요하다. 띠틈에서 가능한 준위의 위치에 의하여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깊은 준위, 예시로 띠틈의 한가운데에서 준위를 형성해버리기도 한다.) 준위의 위치는 그 반도체와 불순물의 종류에 의하여 결정되어서 P형 반도체가 되는 경우를 억셉터 준위, N형 반도체가 되는 경우를 도너 준위라고 부른다. = 함평영화학교 = 함평영화학교는 전라남도 함평군에 있는 사립 특수학교이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두고 있다. = = 설립목적 = =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교육과정을 통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장애를 극복하고, 사회의 일원으로 자활할 수 있는 생활능력을 길러주기 위함. = = 연혁 = = 1984년 3월 19일 : 학교법인 정양학원 설립인가 1984년 11월 5일 : 함평영화학교 실립 인가 1985년 1월 12일 : 초등학교 인가 1985년 3월 16일 : 중학교 인가 1985년 3월 19일 : 함평영화학교 개교 1994년 1월 12일 : 고등학교 인가 1997년 3월 31일 : 재택순회학급 인가 1999년 5월 3일 : 유치원 인가 2014년 2월 18일 : 졸업(유치원 제14회, 초등학교 제24회, 중학교 제27회, 고등학교 제17회, 전체졸업생 804명) 2014년 3월 3일 : 입학(유치원 제15회, 초등학교 제30회, 중학교 제30회, 고등학교 제20회) = 레든홀 마켓 = 레든홀 마켓은 잉글랜드 런던 시티오브런던 그레이스처치가에 있는 실내형 시장이다. 시장 건물은 1972년에 영국 지정 기념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 스팅 (영화) = 스팅은 1973년 미국 유니버설 픽처스가 제작한 범죄 영화이다. 조지 로이 힐이 감독을 맡고, 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퍼드, 로버트 쇼 등이 주인공으로 출연했다. 1936년 9월, 미국 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치밀한 계획으로 갱단 두목을 속이는 사기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극의 마지막 부문 반전이 이 영화의 백미를 이룬다. 영화 스팅은 스콧 조플린의 피아노곡 엔터테이너(The Entertainer)를 편곡하여 주제곡으로 사용하였는데, 영화 흥행과 더불어 이 곡이 1974년 빌보드 차트 3위에 오를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스팅은 1974년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미술상, 편집상, 의상디자인상, 편곡상 등 7개 부문을 수상했다. = = 줄거리 = = 노름에 빠진 후커(로버트 레드포드)는 친구 루터의 죽음에 복수하기 위해 헨리 콘도르프(폴 뉴먼)과 손을 잡고 거물 로니건(로버트 쇼)을 골탕 먹일 계획을 세운다. 포커와 경마광인 로니건에게 큰 돈을 벌 수 있다고 유혹해 콘도르프의 술집으로 데려가 사기를 친다.네이버 영화 '스팅' = = 출연 = = 폴 뉴먼 - 헨리 곤돌프 로버트 레드퍼드 - 조니 후커 로버트 쇼 - 도일 로네건 찰스 더닝 - 윌리엄 스나이더 형사 레이 월스턴 - J. J. 싱글턴 아일린 브레넌 - 빌리 해럴드 굴드 - 키드 트위스트 존 헤퍼넌 - 에디 나일스 다나 엘카 - FBI 포크 형사 = = 한국판 성우진 (KBS, 1985년 9월 22일) = = 유강진 - 곤돌프(폴 뉴먼) 김도현 - 후커(로버트 레드포드) 김병관 - 로네건(로버트 쇼) 박상일 정기항 남궁윤 온영삼 이경자 탁원제 손정아 노민 이정구 이종구 정동열 = = = KBS판 스태프 = = = 그래픽 - 김경민 녹음 - 박용규 편집 - 윤수야 번역 - 차미례 연출 - 김종건 우리말제작 - KBS = 체르케스인 = 체르케스인은 북캅카스 일대의 원주민이다. 1817년부터 1864년 사이에 러시아 제국이 북캅카스 일대를 정복하고 체르케스인 집단학살을 벌이기 전에는 체르케스에 거주하던 주된 주민이었으나 지금은 소수 민족으로 남아 있다. 체르케스인은 러시아 이외에 터키,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이란, 레바논, 세르비아, 이집트, 팔레스타인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다. 아디게야 공화국에 사는 체르케스인을 아디게인이라고 한다. = 오게 = 오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게섬: 일본 시코쿠 도쿠시마현에 있는 섬 오게 닐스 보어: 덴마크의 핵 물리학자이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분류:17세기 동물학자 = = CCB = CCB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카오스 클랜 배틀(Chaos Clan Battle) C-C-B - 일본의 팝 록밴드 중국 건설 은행(China Construction Bank) 배위 결합(Coordinate covalent bond) = 틀:나라자료 콜롬비아 = = 이그레인 = 이그레인(Igraine)은 아서왕의 어머니이다. 본래, 콘월 공작의 아내였다. 공작과의 사이에 일레인, 모르간 르 페이 두 딸을 두었다. 우서 펜드래건 멀린의 마법으로 콘월 공작의 모습으로 변신하고 이그레인과 동침했으며, 두 사람 사이에서 아서왕이 태어났다. 바로 그 시간 공작은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죽음을 맞았다. 그 때에 임신된 아서는 멀린에게 마법의 대가로 넘겨졌다. 이 후로는 우서왕이 사망한 후 종적을 감추었으며, 온갖 금은보화를 북쪽지방으로 가져가 바위언덕에서 성을 지었다고 한다. 백발의 왕비. 나이를 꽤 먹었지만 여전히 고운 얼굴에 하얀 옷을 입고 머리에 꽃을 꽃고 다닌다. = 아르파드 = 아르파드(, 헝가리어 발음 : [ˈaːrpaːd]; 845년 경 ~ 907년 경)는 9세기 말 10세기 초 마자르족 연합의 수장이다. 그는 마자르족의 종교 지도자인 켄데 (kende)였거나 군사 지배자인 쥴러 (gyula)였던 것으로 사료되지만, 그의 생애에 관한 세부 정보는 여러 자료들이 서로 상반되는 정보를 담고있는고로 역사가들의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헝가리인들은 그를 “조국의 설립자”로 부르며, 마자르족의 카르파티아 분지 정복에 있어 아르파드가 한 역할은 그 후의 몇몇 연대기들에서 강조되었다. 아르파드부터 이어진 아르파드 왕조는 1301년까지 헝가리 왕국을 통치하였다. 헝가리 대공국이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 관계를 수립한 이후에 불가리아 제1제국을 공격했지만 패배하고 만다. 헝가리인들이 페체네그인의 공격을 받은 이후에는 서쪽으로 이동했고 895년부터 896년까지 도나우강 중류에 위치한 판노니아 평원을 정복했다. 판노니아 평원에 정착한 헝가리인들은 이 곳을 본거지로 삼았고 바이에른, 작센, 롬바르디아, 대모라바 왕국 원정에 나섰다. 그의 공작위는 아들인 졸탄이 승계받았다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 = 생애 = = 아르파드는 마자르 연대기에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수장으로 언급되는 알모시Álmos의 아들이다. 그의 모친의 이름과 가문은 미상이다. 사학자 쥴러 크리스토Gyula Kristó에 따르면, 아르파드는 845년 경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튀르크 기원의 헝가리 단어로 보리를 뜻하는 아르퍼árpa에서 유래하였다.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 포르피로옌니토스(913년 ~959년즉위)는 마자르족에 대해 아르파드 전까지 “어떠한 시기에도 군주가 없었다”고 말하나, 이것은 마자르 연대기에서 아르파드의 부친에관해 언급된것과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포르피로옌니토스의 서술에서는 하자르 카간이 마자르족에 대한 그의 종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마자르족의 중앙집권화를 촉발시켰다고 쓰여있다. 그러기 위해 카간은 첫번째로 마자르족 통솔을 위해 레베디 Levedi라는 족장을 임명했다. 하지만 레베디는 이 임명을 거부했고 알모스나 아르파드가 그 대신 그 자리에 올라야 한다고 제안했다. 카간은 레베디가 제안한대로 마자르족에게 제안했는데, 그들은 아르파드를 알모스보다 선호했는데 아르파드는 그의 용맹함과 지혜, 그리고 좋은 조언가라는 점에서 크게 인정받았으며, 족장이라는 역할에 적절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후, 아르파드는 방패 위로 올라가며 ‘하자르의 관습에 따른 군주’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 포르피로옌니토스는 아르파드를 “튀르크 (마자르를 뜻함)의 대군주”로 언급했다. (그리스어 : ὁ μέγας Τουρκίας ἄρχων) 아르파드의 선출에 대해 비잔티움 황제가 서술한 기록의 신뢰성은 현대 사학자들에 있어 의견이 분분하다. 예를 들자면, 빅토르 스피네이는 이 기록을 “확실치 않을 뿐더러 거의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으나, 언드라스 로너-터스는 기록의 주요 부분들은 믿을만 하다고 서술하였다. 후자의 사학자들은 아르파드의 선출이 레베디에게 종교 지도자 (kende) 직위를 포기하게 한 알모스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덧붙히기도 한다. 그런 고로, 로너-타스의 관점에서 보자면 아르파드는 그의 아버지의 직위인 실실적인 마자르족 수장, 즉 군사 지배자 (gyula)역을 유지하게 하고자레베디의 뒤를 이어 종교 지도자가 되었다. = = = 헝가리 정복을 향해 = = = 아르파드의 생애에 대한 가장 오래된 믿을만한 자료는 10세기 초의 기록인 수도사 죄르지의 연대기 속편이다. 이 기록에서는 비잔티움 황제인 현제 레온 6세 (886년 ~ 912년 즉위)가 894년 혹은 895년 마자르족에게 니케타스 스클레루스를 마자르족에게 외교 사절로써 보내어 “선물을 주어” 그들을 불가리아 제국에 맞서게 하고자 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스클레루스는 다누브 강 하류에서 마자르족의 두 지도자, 아르파드와 쿠르산을 만났다. 스클레루스의 임무는 성공했다. 마자르족의 군대는 이내 비잔티움 선박에 타서 다뉴브 강을 건너 불가리아를 적대했다. 포르피로옌니토스의 기록에 삽입된 부분은 마자르족 군대가 아르파드의 아들인 리윈티커 (Liüntika)의 지휘 하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스클레루스와의 교섭에 있어 보인 아르파드와 쿠르산의 위계관계에 대해서는 사학자들이 논쟁 중이다. 스피네이는 아르파드가 군사 지배자이고 쿠르산은 종교 지도자라고 주장하나, 반대로 크리스토는 쿠르산이 군사 지배자이고 아르파드는 종교 지도자인 그의 아버지를 대표했다고 말한다. = 올보르시 = 올보르시는 덴마크 북윌란 지역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올보르이며 면적은 1,140km2, 인구는 197,426명(2010년 기준)이다. 윌란반도 북부에 위치한다. = 리그 (단위) = 리그(league)는 야드파운드법에서 3 마일을 뜻한다. = = 기타 = = 쥘 베른의 과학 소설 해저 2만리는 한국의 전통 단위인 '리' 가 아니라, 2만 리그이다. = 케네스흰이빨쥐 = 케네스흰이빨쥐 또는 매켄지흰이빨쥐(Berylmys mackenziei)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중국과 인도, 미얀마, 베트남에서 발견된다. = = 특징 = = 큰 설치류로 꼬리 길이 248~262mm를 제외한 몸길이가 233~272mm이다. 발 길이는 50~61mm, 귀 길이는 27~31mm이고 몸무게는 최대 265g이다.Charles M. Francis, A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0-691-13551-9. = 분류:중학교 축구 대회 = = 분류:2023년 체코 = = 클로렐라과 = 클로렐라과(Chlorellaceae)는 트레보욱시아강 클로렐라목에 속하는 녹조류과의 하나이다. 50속 219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속 = = 바늘공말속 (Acanthosphaera) Actinastrum Apatococcus Apodococcus Auxenochlorella Catena Chlorella Chloroparva Closteriopsis Compactochlorella Coronastrum Cylindrocelis Dicellula Dicloster 정구공말속 (Dictyosphaerium) Didymogenes Fissuricella Follicularia Geminella 글로에오틸라속 (Gloeotila) Golenkiniopsis Hegewaldia Helicosporidium Heynigia Hindakia Hormospora Kalenjinia Keratococcus Leptochlorella Marasphaerium Marinichlorella Marvania Masaia Meyerella 미세보리수염말속 (Micractinium) Mucidosphaerium Muriella Nannochloris Nanochlorum Palmellochaete Parachlorella Planktochlorella Podohedra Prototheca Pseudochloris Pseudosiderocelopsis Pumiliosphaera Raphidonema Siderocelis Zoochlorella =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 =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는 2009년 9월 29일에 발매한 머라이어 캐리의 열 번째 정규 음반이다. = = 차트 = = = = = 주간 차트 = = = 차트 최고순위 미국 (빌보드 200) 3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 9 = = = 연간 차트 = = = 차트 최고순위 미국 (빌보드 200) 101 = 분류:1717년 유럽 = = 장경 = 장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장경(長徑) 장경(長慶)은 당나라의 연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서성구역 장경 1동 (長慶 1洞) 장경 2동 (長慶 2洞) 장경(藏經) 여래장경(如來藏經) = = 인명 = = 장경(張慶, ? ~ ?)은 전한 중기의 관료이다. 장경(張經, 1492 ~ 1555)은 명대의 무관이다. 장경(張庚, 1685년 ~ 1760년)은 청나라 중기의 화가이다. 장경왕후 장경(長庚) 정장경(程長庚) 장경(長卿) 서장경(徐長卿)은 중국의 비디오 게임 겸 텔테비전 드라마 의 등장인물이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중국 전한의 문학자이다. 자는 장경(長卿)이다. 손무(孫武)는 중국 춘추시대의 전략가로, 자는 장경(長卿)이다. 설광덕(薛廣德,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경(長卿)이다. 이장경 (동음이의) 장경(蔣敬)은 중국의 사대기서 중 하나인 《수호전》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최유(崔濡, 1072년 ~ 1140년)는 1090년(선종 7) 19세로 문과에 급제하고, 인종(仁宗)조에 관직이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경(莊敬)이다. 장경화석공주 (莊敬和碩公主, 1781년 ~ 1811년)는 중국 청나라 제7대 황제 가경제(嘉慶帝)의 서녀(庶女)이며, 제8대 황제 도광제(道光帝)의 이복 누나이다. = 이누이트어 = 이누이트어 또는 이누이트어군은 북아메리카의 북극 지역에 사는 에스키모계 민족 이누이트들의 고유 언어 또는 언어군이다. 현재 알래스카 북부, 캐나다 북부, 그린란드에 걸쳐 분포한다. 유픽어, 알류트어와 먼 친연 관계로서 함께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라는 분류를 이룬다. = = 현황 = = 오늘날 이누이트 사람 중 얼마나 많은 인구가 이누이트계 언어를 구사하는지에 대해서는, 자료가 대부분 자기 보고를 토대로 한 인구조사에 근거하기 때문에 명확히 파악하기 힘드나, 대략 10만 명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린란드 인구조사에서는 사용자 수를 대략 5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덴마크 본토에 거주하는 7천여 명의 그린란드인도 고려하여야 한다. 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서는 65,030명의 이누이트 중 36,545명이 이누이트어를 모어로 보고하였으며, 알래스카에서는 13,000여 명의 이누이트 중 약 7,500명이 알래스카 이누이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 하위 분류 = = 크게 알래스카의 이누피아크어, 캐나다의 이누비알룩툰어와 이누크티투트어, 그린란드의 그린란드어로 나뉘며, 이들 각각 역시 더 세부적인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 빌리 웨스트 (동음이의) = 빌리 웨스트(Billy West)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빌리 웨스트: 미국의 성우 빌리 웨스트 (야구인): 프로 야구선수 빌리 웨스트 (무성 영화 배우): 미국의 영화 배우, 프로듀서, 감독 = 분류:1799년 기재된 포유류 = =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 =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은 1944년 태평양 전쟁 당시 마리아나 제도에서 일어난 미군과 일본군의 전투이다.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섬, 길버트 제도 전역을 지배하고 있던 미군은 마리아나 제도 점령을 목표로 했다. 당시 사이판섬과 티니언섬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20년 동안 일본 제국의 영토로 남아 있었으며 일본군의 대규모 비행장이 있던 사이판섬이 미국에 점령된다는 것은 일본 제국이 미국의 전략 폭격기의 사정권 안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했다. 대본영은 도조 히데키를 주축으로 한 절대 국방권을 설정하는 한편 마리아나 제도 사수를 목표로 9척의 항공모함을 앞세운 기동부대와 50,000명 이상의 수비대를 파견했다. = = 결과 = = 일본의 기동부대는 마리아나 해전에서 미국의 기동부대에 대패를 당했다. 일본군은 지상전에서 제공권과 해상권을 완전히 상실했고 수비대는 미군의 폭격을 당했다. 펠렐리우 전투는 격전으로 치러졌다. 일본 해군은 전통적인 해안 방위 전술에만 집착해 연이어 미국에 봉쇄당했으며 특히 사이판 전투에서는 상륙한 지 3일 만에 30,000명의 수비대가 전멸당했다. 일본이 절대 국방권을 상실하자 도조 히데키는 내각총리대신에서 사임했다. 미군은 필리핀 해 해전에서 필리핀 탈환을 목표로 삼았는데 이는 당시 일본군의 생명선이었던 남방 유전 지대와 일본 본토와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 = 작전/전투 = = 사이판 전투; 1944년 6월 15일 ~ 7월 9일 괌 전투; 1944년 7월 21일 ~ 8월 10일 티니안 전투; 1944년 7월 24일 ~ 8월 1일 펠렐리우 전투; 1944년 9월 15일 ~ 11월 27일 앙가우르 전투; 1944년 9월 17일 ~ 10월 22일 =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山淸 斷俗寺址 西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단속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단속사 터의 금당터 앞에는 동서로 두 탑이 서 있는데 그 중 서쪽에 세워진 것이 이 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나, 동탑에 비하여 많이 부서지고 안에 봉안된 사리함이 도난당하는 등 많은 수난을 겪었다.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아랫단은 가운데에 2개씩을 두고 윗단은 1개씩 두었다. 탑신의 지붕돌은 처마를 직선으로 처리하였으며, 밋밋한 경사가 흐르는 윗면은 네 귀퉁이에서 하늘을 향해 살짝 들어 올렸다. 지붕돌을 경쾌하게 처리한 점이나, 탑의 윗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어드는 수법에서 통일신라 석탑의 전형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랫기단의 너비가 넓어지고 4면에 새긴 가운데기둥의 수가 아랫기단은 2개, 윗기단은 1개로 줄어든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의 수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 = 참고 자료 = = *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 아이폰 8 = 아이폰 8은 애플이 설계, 개발한 스마트폰이다. 2017년 9월 12일에 아이폰 8 플러스, 아이폰 X와 더불어 애플 파크의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애플의 CEO 팀 쿡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2017년 9월 22일 아이폰 8 플러스와 함께 출시되었다. 이 제품은 아이폰 7의 후속작이다. 아이폰 8은 Qi 기반 무선 충전을 지원하며 생활방수는 1m까지 가능하다. The phone now has a glass back instead of the completely aluminum housing found on the iPhone 5S and beyond. = = 사양 = = = = = 하드웨어 = = = 아이폰 8과 8 플러스는 이전 모델에서 볼 수 있는 레티나 HD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금은 아이패드 프로와 신형 아이폰 X에서도 볼 수 있는 트루 톤 기술을 탑재했다 아이폰 8은 전작과 동일한 카메라를 갖추고 있으나 새로운 센서가 포함된다. 아이폰 8 플러스 또한 아이폰 7 플러스와 동일한 2개의 카메라를 갖추고 있지만 일부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두 전화 둘 다 6요소 렌즈, 오토포커스, IR 필터, 버스트 모드, f/1.8 F-넘버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 광학 이미지 안정화를 포함하는 12 MP 와이드 앵글 카메라를 갖추고 있다. 24, 30, 60 fps의 4K 또는 30, 60 프레임의 슬로 모션 비디오(120, 240 fps의 1080p), 안정화 기능이 있는 타임랩스로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파노라마도 캡처할 수 있다. 8 플러스는 또한 2배 광학 줌, 10배 디지털 줌, 포트레이트 라이팅(베타), f/2.8 애퍼처를 갖춘 텔레포토 렌즈를 포함하고 있다. 쿼드 LED 트루 톤 플래시는 현재 슬로 싱크도 갖추고 있다. 두 모델 모두 f/2.2 애퍼처의 7 MP 페이스타임 HD 카메라를 갖추고 있다. 버스트 모드로 캡처가 가능하며 노출 제어, 안면 인식, 자동 HDR, 자동 이미지 안정화, 레티나 플래시, 1080p HD 동영상 녹화 기능을 포함한다. 아이폰 8은 애플 A11 바이오닉 SoC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10 나노미터 공정을 사용하는 헥사 코어 프로세서이다 두 아이폰 모두 64 GB와 256 GB 옵션이 있다. 3개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실버, 골드, 스페이스 그레이, 레드 아이폰 8은 Qi 기반 무선 충전을 지원하며 IP67 방수가 지원된다. = Life Is Too Short = Life Is Too Short는 다음을 의미한다. Life Is...Too Short: 투 쇼트(Too Short)의 1988년 음반 Life Is Too Short: 모던 토킹의 2003년 음반 Universe의 노래 Life Is Too Short: 스콜피언스의 2001년 음반 Acoustica의 노래 = 포자 = 포자(胞子)는 무성 생식 식물 중에서 양치식물, 선태식물, 조류, 균류(버섯, 곰팡이)에서 분리되는 개체의 생식 세포이다. 보통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며, 배우자에 비해 훨씬 나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수중생활을 하는 조류나 균류는 세포벽이 두껍지 않으며, 편모로 자유롭게 운동하는 이동 포자(유주자)와 비운동성인 부동 포자가 있다. 포자로 생식을 하면 포자 생식이라 부른다. = = 정의 = = 아래의 조건을 일부 또는 전부 따르면 포자로 정의한다. 특유의 기관으로 형성되는 단세포, 또는 소수 세포의 구조다. 많은 양이 형성되어서 넓게 분산된다. 적당한 조건하에서 발아하여 단독으로 성장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한다. 비교적 두꺼운 막으로 보호되어 내구성이 있다. 그렇지만 이 정의가 절대적이진 않다. 오히려, 민들레에서 생기는 걸 포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 = 진정포자(眞正胞子) = = 일반적으로 홍조류·갈조류·담자균류·선태식물·양치식물 등에서 볼 수 있는 포자를 편의상 '진정 포자'라고 한다. 이것은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긴 무성 생식 세포로 핵상이 단상(n)이다. 동물은 보통 배우자를 만드는 유성 세대의 개체밖에 없으므로 자연히 배우체에 성의 분화, 즉 암수의 성(자웅성)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은 무성 세대와 유성 세대가 교대로 나타나므로 성의 분화가 무성 세대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보통 대포자, 소포자와 같이 크기로 분간할 수 있는 2형의 포자가 생기는데 대포자에서는 암배우체가, 소포자에서는 수배우체가 만들어진다. 한 가지 형의 포자만 존재하는 경우를 '동형 포자'라고 하는 데 대하여, 이러한 경우는 '이형 포자'라고 하며 양치식물의 일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종자식물의 꽃가루와 배낭을 형성하는 세포도 이에 해당한다. 진정 포자는 4개씩 짝을 지어 만들어지는데, 이들 4개씩이 분리되지 않고 모인 채로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선태식물과 종자식물 중 철쭉 등의 꽃가루에서 그 예를 볼 수 있으며, 갈조류나 홍조류에서는 1개의 모세포에 1개씩의 포자낭이 있어 이 속에 4개씩의 포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것을 특히 '4분 포자'라고 한다. 또한, 균류도 진정 포자가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의 자낭균은 1개의 포자낭에 8개의 자낭 포자를 내생적(內生的)으로 만든다. 이와 같은 포자수의 배가는 감수 분열 후에 한번 더 보통의 세포 분열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담자균류에서는 접합한 핵이 감수 분열을 하면 그 세포에서 4개의 돌출부가 나오며, 핵은 각각의 돌출부 안으로 이동하여 외생적(外生的)으로 담자 포자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포자낭 안에 만들어지는 포자를 '내생 포자', 포자낭 밖에 분리되어 만들어지는 포자를 '외생 포자'라고 한다. = = 접합포자(接合胞子) = = 식물은 동물과 달라 환경이 나빠졌다고 하여 좋은 곳을 찾아 이동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생활사 가운데 나쁜 조건에도 견뎌낼 수 있는 시기를 갖는 것이 생존에 꼭 필요하다. 많은 식물의 진정 포자가 이에 해당하며 종자식물에서는 씨가 이를 대신한다, 한편, 물 속은 육상에 비해 사람의 손이 미치지 않는 이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적기 때문에 진정포자는 두꺼운 벽이 없고, 이동 포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식물에 따라서는 진정 포자를 만들지 않고 세대 교번을 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종류에서는 유성 생식의 결과로 생긴 접합자가 두꺼운 세포벽을 뒤집어쓰고 휴면에 들어가 발아에 적합한 때가 되기를 기다린다. 동형 배우자, 또는 배우자낭의 접합으로 생긴 접합자의 경우, 이와 같이 휴면에 들어가는 접합자를 '접합 포자'라고 한다. 클로스테리움속, 수면속 등이 접합할 때 2개의 세포 내용이 합체하면 복상의 핵을 1개 가진 접합 포자가 되며, 발아할 때 감수 분열을 하여 수면 속에서는 단상의 4핵이 생기는데 그 중의 3핵은 퇴화하고 1개밖에 남지 않는다. 한편, 클로스테리움속에서도 감수 분열의 제1분열에서 생긴 2핵 중 1개가 퇴화해 버리기 때문에, 제2분열에 의해 2핵밖에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결국 2개의 개체가 된다. 또한, 접합균류인 털곰팡이는 몸의 구분이 없는 다핵 세포로 2개의 균사 끝이 접촉되면 각기 끝부분에 배우자낭을 만든다. 이 때 배우자낭도 다핵이며, 접촉부에서 융합하여 핵과 세포질이 섞이게 된다. 얼마 후 이것은 두꺼운 세포벽에 둘러싸여 접합 포자가 되는데, 접합된 핵은 휴면한 후 포자에서 나오는 균사로 이동하여 그 앞끝의 포자낭 안에서 감수 분열을 한다. = = 난포자(卵胞子) = = 유성 생식이 정자와 난자로 뚜렷하게 분화되어 행해지며, 생긴 수정란이 접합 포자와 같은 행동을 취할 때 이것을 '난포자'라고 한다. 난균류(卵菌類)인 물곰팡이속에서는 균사에서 자루가 튀어나와 그 끝에 1개 내지 수개의 알을 포함한 생란기가 만들어지고, 자루 부분에서는 다수의 정핵을 가진 장정기를 만드는 가지가 자라, 곧 생란기와 장정기 사이에 몇 개의 접합관이 생긴다. 이와 같이 하여 수정된 알은 휴면에 들어가며, 이어서 발아와 감수 분열을 한다. = 분류:세기별 베냉 = = 분류:카자흐스탄의 새 = = 가와사키 닌자 = 가와사키 닌자는 1984년에 GPZ900R로 시작된 여러 시리즈의 가와사키 중공업의 스포츠 바이크에 부여된 이름이다.NINJA - Trademark Details Justia, Retrieved 24 December 2020 __TOC__ = = 모델 = = = = = 4행정 = = = 가와사키 닌자 H2 SX (2018년) 가와사키 닌자 H2 (2015년) 가와사키 닌자 ZX-14 (ZZR1400; ZX-14R after 2012) (2006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ZX-12R (2000년~2006년) 가와사키 닌자 ZX-11 (ZZ-R1100) (1990년~2001년) 가와사키 닌자 ZX-10R (ZX1000) (2004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1000 (Z1000SX) (2011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ZX-10 (톰캣 ZX-10) (1988–1990)Motoplanete: Kawasaki ZX-10 1000 TOMCAT 1990 가와사키 닌자 1000R (GPZ1000RX) (1986년~1988년) 가와사키 닌자 ZX-9R (1994년~2003년) 가와사키 닌자 900 (GPZ900R) (1983년~2003년) 가와사키 닌자 ZX-7R & ZX-7RR (ZXR-750/ZXR-750R) (1989년~2003년) 가와사키 닌자 750R (ZX750F/GPX750R) (1986년~1991년)Kawasaki Ninja ZX750 Repair & Service Manual가와사키 닌자 ZX-6R (ZX600) (1995년) 가와사키 닌자 600 (ZZR600/ZX-6E) (1990년~2008년) 가와사키 닌자 600R (GPZ600R/GPX600R) (1985년~1997년) 가와사키 GPZ400R (ZX400D) (1985년~1990년) 가와사키 닌자 ZX-4R (ZXR400) (1989년~2003년) 가와사키 닌자 ZX-25R (2020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ZX-2R (ZXR250) (1989년~2004년) = = = 2행정 = = = 가와사키 닌자 650R (ER-6f/EX-6) (2006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500R (EX500/GPZ500S) (1986년~2009년) 가와사키 닌자 400R (ER-4f) (2011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400 (EX400) (2018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300 (EX300) (2013년~2017년) 가와사키 닌자 250R (EX250) (1986년~현재) = = = 단일 행정 = = = 가와사키 닌자 250SL (BX250) (2015년~) 가와사키 닌자 ZX-150RR (KR-150/KRR 150/세피코) (1992년~2017년; 2행정) 가와사키 닌자125 (BX125) (2018년~) 가와사키 닌자 80RR (AR80K) (1992년~1998년; 2행정) = = = 레이싱 = = = 가와사키 닌자 H2R (2015년~현재) 가와사키 닌자 ZX-RR (2002년~2009년) MotoGP = 틀:중동 신화 = = 훌리오 안토니오 메야 = 훌리오 안토니오 메야 맥파틀랜드(: 1903년 3월 25일 - 1929년 1월 10일)는 쿠바의 정치인이며, 오리지널 쿠바 공산당의 설립자들 중 한 명이다.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다 1925년 퇴학당했다. 헤라르도 마차도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하다 국외로 망명했다. 멕시코시티에서 다른 망명자, 공산주의자들과 만나 반(反)마차도 투쟁을 이어나갔다. 1929년 암살당했는데, 누구의 사주로 암살당한 것인지 아직도 불확실하다. 21세기 현재 쿠바 정부는 메야를 영웅적인 공산주의 선구자이자 순교자로 높이 평가한다. = 디플레이터 = 명목국민소득(GNP)에서 실질국민소득을 구하려 할 경우, 물가의 변동을 고려하여 계산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러려면 물가지수를 디플레이터(실질화 인자)로서 수정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명목금액을 물가 수정하여 실질 단위로 고치기 위해 쓰이는 물가지수와 같은 것을 일반적으로 디플레이터(deflator)라고 말하고 있다. 특히 GNP 디플레이터(국민소득 디플레이터)는 물가지수의 일종으로서 국민소득이란 거시적 총계량의 물가 수정의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다. = 전구 (전쟁) = 전구(戰區, , )는 전쟁에서 중요한 군사적 사건이 일어나거나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나 장소를 뜻한다. 전구는 전쟁 작전이 잠재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육상전, 해상전, 공중전의 전 구역을 포함한다. theater는 전역(戰域)이나 작전 구역, 작전 지구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 = 전쟁 전구 = = 전쟁 전구는 독자적으로 전쟁이 벌어지는 구역을 나타내는 가장 포괄적인 용어로,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그의 저서 전쟁론에서 이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 작전 전구 = = 작전 전구는 전쟁 전구의 하위 지역이다. 작전 전구의 경계는 작전 전구에서 특정한 전투 작전을 지휘하는 지휘관에 의해 정의된다. 작전 전구는 전시인지 아니면 평시인지에 따라 전략 사령부 또는 전역으로 나뉜다. 미군의 작전 전구는 특정 군사적 작전 전구에 할당된 통합 전투 사령부로 나뉜다. 또한 미군에서 사용하는 전략이라는 용어는 종종 미국 전략 사령부와 같이 미사일 사령부와도 연관이 있다. 이는 군사 작전의 전구에서 군사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전략 사령부이다. 일반적으로 전략 사령부는 전술적 군사 편성이나 작전 명령과 결합한다. 현대 군사전에서 전략 사령부는 군집단과 조합된 전투 사령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분류:네덜란드의 고생물학자 = = 분류:마가단주 = = 원스토어 = 원스토어(Onestore)는 대한민국 이동통신 3사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와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통합 안드로이드앱 스토어이다. = = 역사 = = 2015년 6월 3일, 기존의 T 스토어, 올레 마켓, U+ 스토어가 통합되었다. 클라이언트는 통합되었으나 각 스토어의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후 2016년 네이버 앱스토어가 사업을 원스토어로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기존 통신사 스토어도 완전히 통합됨을 발표했고 2016년 5월 24일부터 통합 애플리케이션 "원스토어"가 제공되며, 2016년 6월 1일부로 네이버 앱스토어가 원스토어에 통합되었다. 기존 휴대폰들의 경우 설치되어 있는 통신사 앱스토어를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원스토어로 업데이트된다. 원스토어는 원스토어 북스라는 웹툰·온라인 소설 연재 사이트를 2017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오픈하여 운영하고 있다. = 요리코 = 요리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가와구치 요리코: 일본의 정치인 오카모토 요리코: 일본의 은퇴한 여자 태권도 선수 = 분류: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음식점 = = 2015년 3월 = __NOTOC__ = = 2015년 3월 30일 (월요일) = = 파푸아뉴기니에서 29일(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 = 2015년 3월 28일 (토요일) =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종합운동장역)이 개통했다. = = 2015년 3월 24일 (화요일) = = 프랑스의 알프스 상공에서 저먼윙스 소속 에어버스 A320 여객기가 비행 중 추락, 탑승자 전체가 모두 숨졌다. = = 2015년 3월 22일 (일요일) = =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소재 동막해수욕장에 마련된 야영지(캠핑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당했다. = = 2015년 3월 21일 (토요일) = = 예멘의 수도 사나의 시아파 사원에서 테러가 발생해 140명이 사망하였다. = = 2015년 3월 18일 (수요일) = = 튀니지의 바르도 국립 박물관에서 무장괴한이 총기를 난사해 21명이 사망하였다. = = 2015년 3월 13일 (금요일) = = 경상남도 김해시의 내삼공단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층짜리 공장이 불에 타 재산피해를 입었다.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 해역에서 해경헬기가 착륙도중 추락하여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었다. 검찰이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을 압수 수색했다. = = 2015년 3월 11일 (수요일) = =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실시되었다. = = 2015년 3월 10일 (화요일) = = 아르헨티나 라리오하주에서 두 대의 헬리콥터가 서로 충돌하여 10명이 사망하였다. = = 2015년 3월 5일 (목요일)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가 김기종의 흉기에 의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직 = = 2015년 3월 3일 (화요일) = = 대한민국 국회 본회의에서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은 통과되고 어린이집 CCTV 녹화를 의무화하는 취지의 법률안은 부결되었다. = 분류:1992년의 달 = = Sawdust = Sawdust는 2007년 11월 9일에 발매된 킬러스의 음반이다. 아일랜드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손오공 (동음이의) = 손오공(孫悟空)은 중국의 4대기서 중 하나인 서유기의 주인공이며, 서유기에 영향받은 모티브로 여러 작품의 등장인물 및 기타 대상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손오공은 일본의 만화 《드래곤볼》의 주인공이다. 손오공은 대한민국의 만화 《날아라 슈퍼보드》의 주인공이다. 손오공은 대한민국의 기업 이름이다. 손오공은 학습 만화 《마법천자문》의 주인공이다. 《별나라 손오공》은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다. = = 영화 = = 손오공 (2017년 영화) 손오공 (1962년 영화) = 분류:64년 이탈리아 = = 분류:1912년 회화 작품 = = 룩셈부르크 (동음이의) = 룩셈부르크는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 = 장소 = = 영어에서 ‘룩셈부르크’는 대개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서유럽에 있는 나라이다. 룩셈부르크구는 위 국가의 북서쪽에 위치한 곳이다. 룩셈부르크주는 룩셈부르크 지역을 분할한 한 곳의 이름이다. 룩셈부르크시는 위 국가인 룩셈부르크의 수도이다. 국가명과 구분하기 위해 룩셈부르크시라고도 한다. 룩셈부르크 공국과 대공국의 주는 역사적 설명 룩셈부르크 (유럽 의회 선거권자)는 유럽 의회에서 선거권자를 말한다. 뤽상부르주는 벨기에 발로니아(Wallonia)의 지방을 말한다. 뤽상부르 라디오는 지역 라디오 방송국을 말한다. 또 ‘뤽상부르’로 말할때는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뤽상부르 궁전은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 있는 궁전이다. 현재 프랑스 상원의회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뤽상부르 공원은 위 뤽상부르 궁전에 딸린 정원이다. 뮤즈 뒤 뤽상부르는 프랑스 파리에 있다. 또 미국에서 ‘룩셈버그’는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위스콘신 룩셈버그 미네소타 룩셈버그 군구 기타 장소: Lüksemburq - 아제르바이잔 Lyuksemburg - 러시아 다게스탄 = = 사람 = = 뤽상부르 공작 프랑수아 앙리 드 몽모랑시는 프랑스 원수이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독일의 공산주의 혁명가이다. 루트 블레 룩셈부르크는 독일 사진작가이다. 룩셈부르크 왕가는 중세 독일 왕실가문이다. 크리스토프 룩셈부르크는 익명의 저자이다. = 유우석 = 유우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유우석(劉禹錫, 772년 ~ 842년)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다. 유우석(柳愚錫, 1899년 ∼ 1968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 극노화 = 극노화는 항노화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생물학적 노화를 극복하여, 생체 시계를 다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최근, 줄기세포, 게놈학의 발달, 게놈편집기술 발달등으로, 노화를 방지하는 수동적 개념에서 노화 자체를 제거하는 단계의 기술과 비젼들이 현실화 되고 있다. 특히 게놈조작, 세포조작 및 조직공학을 통해, 노화를 완전히 정복하려는 분야가 주류 연구분야에도 들어오기 시작했다. 극노화는 항노화와 역노화의 두개의 개념을 포함하는 가장 포괄적인 용어이다. 연구사례로, 하바드의 데이비드 싱클레어 박사가 한 늙은 쥐와 젊은 쥐의 혈관을 교차시켰을때, 늙은 쥐가 다시 젊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 CRISPR-cas9을 통해 게놈 편집을 하여, 노화현상을 되돌리는 역노화 시도 등이다. 스탠포드대학의 헬렌 블라우 박사는 염색체의 말단체의 길이를 말단체효소를 통해 늘릴 경우, 노화가 번복되고, 근육질환에 걸린 쥐의 질병도가 떨어지는 것을 증명했다. 세포의 말단체를 인위적으로 늘리는 것은 극노화중의 한 예이다. 노화가 극복이 된다고 하여, 모든게 역노화 이지 않을 수 있고, 노화현상은 개체내에서 한가지의 지표로만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 = 관련 용어 = = 노화체학 말단체학 회춘체학 = 김석원 (기업인) = 김석원(金錫元, 1945년 4월 22일~2023년 8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김해로 쌍용그룹 제2대 회장을 지냈다. = = 생애 = = 달성군에서 쌍용그룹을 창업한 성곡 김성곤과 김미희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프랭클린 피어스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75년 2월 25일 아버지 김성곤이 갑작스레 사망하자 만 29세의 나이로 쌍용그룹 회장이 되었다. 1986년에는 동아자동차를 인수하여 쌍용자동차를 설립했다.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대구 달성군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이듬해인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쌍용그룹이 해체되자 1998년 2월 17일에 쌍용양회공업 회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 2023년 8월 26일 노환으로 인해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가족 = = 2번 결혼하여 김지용, 김지명, 김지태, 김설리, 김문영, 김지수 등 3남 3녀의 자녀가 있다. = FreeSBIE = FreeSBIE는 설치 과정이나 하드 디스크 없이 부팅 가능한 CD로부터 직접 적재가 가능한 라이브 CD 운영 체제이다. FreeBSD 운영 체제에 기반을 둔다. 원반 장난감 프리스비(frisbee)에서 이름을 땄다. 현재 FreeSBIE는 Xfce와 플럭스박스를 사용한다. FreeSBIE 1.0은 FreeBSD 5.2.1에 기반을 두었으며 2004년 2월 27일 출시되었다. 최초 버전의 FreeSBIE 2는 구글 서머 오브 코드 덕분에 2005년 여름에 개발되었다. FreeSBIE 2.0.1은 완전히 재작성된 툴킷으로 FreeBSD 6.2 기반이며 2007년 2월 10일 출시되었다. 디스트로워치에 따르면 FreeSBIE 프로젝트의 개발은 중단되어 있다. = 산배암 = "산배암"은 198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김종아 : 탄실 역 남궁원 : 우만찬 사장 역 김영애 : 우만찬의 부인 역 한윤진 김지현 김지영 정찬실 = 알부민뇨 = 알부민뇨(알부민尿, Albuminuria)는 알부민이 신장에서 걸러지지 않고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단백뇨의 일종이다. = 분류:홍콩의 로마 가톨릭교회 = = 송빈 = 송빈은 조선시대의 의병이다. 본관은 청주 송씨이며 사충신의 한 사람이고, 일본과 김해 회현동에서 싸우다가 순절한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 이름은 송공순절암이다. = 모듈:Location map/data/Delaware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USA Delaware') = 분류:성소수자 오락 = = 공동 성명 = 공동 선언(共同宣言) 또는 공동 성명(共同聲明)은 지자체나 서로 다른 나라 사이에 논의한 사항을 발표하는 외교 문서 또는 그 발표를 가리킨다. 조약처럼 강제력을 가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단순한 경과의 설명이나 어떤 사항의 설명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 = 공동성명의 예 = = 7·4 남북 공동 성명 6·15 남북 공동 선언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 분류:나라별 사적 = = 분류:대만의 역사가 = = 분류:1980년 컴필레이션 음반 = = 녹색좌파당 = 녹색좌파당은 다음을 가리킨다. 녹색좌파당()은 네덜란드의 중도좌파 정당이다. 녹색좌파당()은 튀르키예의 녹색 및 좌파 자유주의 정당이다. = 틀:태블릿 정보 = = = 사용법 = = {{태블릿 정보 }} = 분류:왓카나이시의 지리 = = 분류:1977년 건축 = = 최문수 = 최문수(본명 : 최문숙, 1973년 5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최문수-다음인물정보 = = 학력 = = 배재대학교 물리학과 = = 출연작 = = = = = 영화 = = = 《어부바》 (2022년) - 장만옥 역 (특별출연) 《카오산 탱고》 (2020년) - 소정 (목소리) 역 《비스트》 (2019년) - 터미널 노란팔찌 소녀엄마 역 《궁합》 (2018년) - 주모 역 《내일의 시간》 (2016년) - 최진영 역 《스틸 플라워》 (2016년) 《들꽃》 (2015년) - 거리의 여인 역 《그놈이다》 (2015년) - 동네여 2 역 《미나문방구》 (2013년) - 아줌마 3 역 《악마를 보았다》 (2010년) - 주연 이모 역 《뭘 또 그렇게까지》 (2010년) - 점성술사 역 《감자 심포니》 (2009년) - 미스 리 역 《미인도》 (2008년) - 사대부집 여인 역 《서양 골동 양과자점 앤티크》 (2008년) - 부자녀 역 《나의 노래는》 (2008년) - 아버지의 여자 역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1995년) - 윤희 역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 (1995년) - 진우 부인 역 = = = 드라마 = = = 《배가본드》 (SBS, 2019년) - 비행기 추락사고 피해자 가족 역 《호텔 델루나》 (tvN, 2019년) 《구해줘 2》 (OCN, 2019년) 《구해줘》 (OCN, 2017년) - 채민화 역 《혼》 (MBC, 2008년) - 임산부 역 《일지매》 (SBS, 2008년) - 봉달이 엄마 역 = 분류: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 웨어스 찰리? = 웨어스 찰리?(Where's Charley?)는 영국에서 제작된 데이빗 버틀러 감독의 1952년 영화이다. 레이 볼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사이 푸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레이 볼거 알린 앤 맥레리 = = = 조연 = = = 하워드 마리온 크로포드 헨리 휴잇 마틴 밀러 = = 제작진 = = 원작자: 브랜던 토머스 원작자: 조지 애봇 의상: 데이빗 폴크스 세트: 데이빗 폴크스 = 분류:1760년대 신조어 = = 2058년 5월 22일 일식 = 2058년 5월 22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다. 지구가 달의 반그림자를 지날 때 일어난다. 2058-05-22 2058-05-22 일식 2058-05-22 = 분류:핀란드계 러시아인 = = 한국쌀연구회 = 한국쌀연구회는 미곡의 생산·가공·유통, 소비정책에 관한 연구와 정책개발 목적으로 1996년 10월 14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09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쌀에 관한 연구, 발표회, 연찬회 등의 개최 및 정보교환 연구회지 및 소식지의 정기발행 쌀에 관한 홍보 및 정책건의 기타 본회의 발전에 필요한 사업 = 쿠보타 마사시 = 쿠보타 마사시(, 1981년 5월 17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 분류:시키조군 = = 자동차 엔진 = 자동차 엔진은 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기관이다. = = 4행정 내연기관 = = 현대의 자동차 엔진은 대부분 4행정 기관이다. 4행정 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 = 연료 및 추진 기술 = = = = = 증기 기관 = = = 역사상 가장 초기의 자동차들은, 증기 기관을 사용하여 동력을 얻었다. = = = 경유 엔진(CI엔진) = = = 경유(디젤)을 주 연료로 하여 압축 착화 방식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으며 낮은 엔진 회전수에서 높은 토크를 얻으므로 주로 대형기관, 버스, 트럭등에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분사기술의 발달로 소형승용차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 휘발유 엔진 (SI엔진) = = = 휘발유(가솔린) 주 연료로 하여 점화 착화 방식으로 동력을 얻으며 주로 높 회전수를 요구하는 기관에 사용된다. 소형 발전기부터 승용차, 모터사이클(오토바이)등에 사용되는게 일반적이다. = = = 전기 엔진 = = = 축전기로부터 동력을 얻는 방식인데, 초기에는 가솔린 엔진에 비해 널리 이용되는 듯하였으나 축전기의 충전용량의 한계로 이동거리가 매우 짧아 시장에서 사라지고 말았지만, 축전지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친환경 동력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 = = 하이브리드 엔진 = = = 둘이상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방식. 현재에는 휘발유+전기모터 구동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대형트럭을 시작으로 디젤+하이브리드 방식도 개발되어 점차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2010년에 현대자동차에서 LPG+하이브리드라는 기술을 아반떼 LPi하이브리드에 적용하여 양산한 사례가 있다. = 틀:진행 = = 작은원근 = 소원근(혹은 작은원근, teres minor)은 회전근개(rotator cuff)의 가늘고 긴 근육이다. 좌측 혹은 우측 견갑골 외측연(lateral border)과 인근 후방표면(posterior surface)에서 시작하여, 상완골(humerus) 대결절(greater tubercle)과 관절낭(joint capaule) 후방표면에서 만입된다. 주요 기능은 팔이 외전(abduction)할 때 상완골두(humeral head)가 위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삼각근(deltoid)의 활동을 조절한다. 또한 상완골을 외회전(lateral rotation)시키는 기능이 있다. 액와신경(axillary nerve)이 분포되어 있다. = = 구조 = = 상부 2/3지점인 견갑골(scapula) 액와연(axillary border) 배측면(dorsal surface), 그리고 두 건막판(aponeurotic lamina)에서 시작되는데, 두 건막판 중 하나는 극하근(infraspinatus)에서 갈라지고, 다른 하나는 대원근(teres major)에서 갈라진다. 섬유는 상방과 외측으로 비스듬히 뻗어나간다. 상부섬유(upper fiber)는 상완골 대결절의 세 압흔(impression) 중 최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만입되는 힘줄에서 끝난다. 하부섬유(lowest fiber)는 이 자국 바로 아래에 있는 상완골로 만입된다. = = = 관계 = = = 소원근은 견갑골 외측연과 인근 후방표면에서 시작된다. 상완골 대결절에서 만입된다. 힘줄(tendon)은 가로질러 가고 어깨관절(shoulder joint)의 관절난 상부부위와 합쳐진다. = = = 신경분포 = = = 거짓신경절(pseudoganglion)을 형성하는 액와신경(axillary nerve)의 후지(posterior branch, 뒷가지)가 분포되어 있다. 거짓신경절은 신경세포(nerve cell)가 없지만 신경섬유(nerve fiber)는 있는 것을 말한다. 이곳에 분포하는 신경섬유가 손상되는 것은 상당히 심각하다. = = = 변형 = = = 소원근 근육섬유군은 극하근과 혼동되기도 한다. = = 기능 = = 극하근과 소원근은 상완골두(head of the humerus)에 붙어있다. 회전근개의 일부로서 이 두 근육은 견갑골 관절와의 상완골두를 붙잡는 것을 돕는다. 후방삼각근(posterior deltoid)와 함께 상완골 외회전과 내전(adduction)을 한다. 소원근은 최대수축(maximal contraction) 시에는 어깨의 45도 내회전(internal rotation)에서 0.2cm의 내전근 모먼트암(moment arm, 돌림축과 힘 간의 수직거리), 어깨의 45도 외회전(external rotation)의 0.1cm의 내전근 모먼트암으로, 매우 작은 수준의 견갑골면(scapular plane) 내전만을 만들 수 있다. = = 임상적 의의 = = = = = 부상 = = = 회전근개(rotator cuff) 부상은 급성 파열(acute tear)과 만성파열(chronic tear) 두 가지가 있다. 급성파열은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발생한다. 이는 강력한 건지기, 수상스포츠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줄 잡기, 넘어지면서 손 뻗치기, 카약 중에 노를 갑자기 세게 젓는 것 등이 있다. 만성파열은 장기간 발달한다. 힘줄 밑을 지나는 뼈와의 마찰로 인하여, 힘줄이나 그 부근에서 발생한다.Bahr, Ronald. Ed. Clinical Guide to Sports Injuries. Gazette bok. . 소원근은 회전근개파열 이후에도 정상이다. = = = 영상 = = = 소원근 위축(atrophy)은 회전근개파열의 결과로 발생한다. 그러나 단독적인 소원근위축도 있다. 사변공증후군(quadrangular space syndrome)은 해부학적 터널을 지나는 구조의 과도한 혹은 압착을 일으킨다. 액와신경과 후방상완골선회동맥(posterior humeral circumflex artery)은 사변공을 지나간다. 처음엔 어깨통증과 팔 아래 저림(paresthesia)을 느끼고 외전(abduction), 신전(extension), 외회전(external rotation), 머리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에서 느낀다. 소원근 선택적 위축이 보이면 해당 액와신경지맥이나 후방상완골선회동맥의 압축과 함께 견인된다. 섬유대(fibrous band), 관절순(glenoid labrum)의 낭종(cyst), 지방종(lipoma)이나 정맥팽창(dilated vein)은 사변공을 점령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다. 전방어깨탈구(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상완골 경부골절, 완신경총(brachial plexus) 부상, 흉곽출입구증후군(thoracic outlet and inlet syndrome)에서도 증상이 흔하다. 초음파검사(ultrasonography)는 소원근의 지방 퇴행성 위축을 탐지하며, 다친 근육의 에코발생(echogenicity)가 늘어나고 근육부피의 약간의 감소가 보이기도 한다. MRI는 신경성 근위축(neurogenic muscle atrophy) 진단에 유용하다. 외상 후 세포외수종(extracellular edema)은 신경 손상을 일으키며, MRI T2강조영상(T2-weighted MRI) 결과에서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증가와 T1강조영상 결과물에서의 신호강도 정상을 보인다. 후방상완골선회동맥 압축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팔 위치나 조작으로 인한 혈류 감소는 도플러초음파검사(Doppler ultrasonography)로 진단할 수 있다. 혈관 옆 신경이 탐지된다. 팔을 들어올린 자세에서는, 액와신경혈관다발(axillary neurovascular bundle)이 삼각근을 관통하기 바로 직전에 후방겨드랑주름(posterior axillary fold)에서 보일 수 있지만, 팔을 내린 자세에서는 후방 코스(posterior course)가 잘 보인다. 동맥의 자세한 진단을 위하여, 공명혈관영상(MR angiography)이 필요하다. 초음파검사는 무게를 갖는 공간을 탐지하는 것이다.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는 신경전도(nerve conduction) 속도 감소와 관련 근육의 신경제거(denervation) 상태를 밝혀내는데 유용하다. = Adventure (텔레비전의 음반) = Adventure는 미국의 록 밴드 텔레비전의 두 번째 정규 음반으로, 엘렉트라 레코드를 통하여 1978년 4월에 발매하였다. = = 크레딧 = = 텔레비전 빌리 피카 – 드럼 리처드 로이드 – 기타, 보컬 프레드 스미스– 베이스, 보컬 톰 벌레인 – 리드 보컬, 기타, 피아노, 프로듀싱 기술 크레이그 비숍 – 엔지니어링 제이 보든 – 엔지니어링 존 얀센 – 프로듀싱, 엔지니어링 폴 얀센 – 아트 디렉션 그레이 러셀 – 엔지니어링 Gerrit van der Meer – 사진 = 리그컵 = 리그컵은 각국 프로축구에서 정규리그 이외에 벌어지는 컵대회를 말한다. 특히 해당 프로축구를 주관하는 연맹 (League)에 가입된 팀들만이 참가하기 때문에 축구협회에 가입된 모든 팀들이 참가하는 FA컵과 이 부분에서 차별화가 있다. = = 리그컵 목록 = = = = = 아시아 = = = = = = = 일본 = = = = J리그컵 = = = 유럽 = = = = = = = 잉글랜드 = = = = EFL컵 EFL 트로피 = = = = 프랑스 = = = = 쿠프 드 라 리그 = = = = 포르투갈 = = = = 타사 드 리가 = = = = 스코틀랜드 = = = = 스코티시 리그컵 스코티시 챌린지컵 = = 폐지된 리그컵 = = = = = 아시아 = = = = = = = 대한민국 = = = = 리그컵 = = = = 일본 = = = = 일본 사커 리그컵 = = = 유럽 = = = = = = = 잉글랜드 = = = = 콘퍼런스 리그컵 = = = = 스페인 = = = = 코파 데 라 리가 = 김영목 = 김영목이라는 동명이인에는 다음과 같은 이들이 있다. = = 일반성 동명이인 = = 김영목(金永睦, 1870 ~ 1944)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김영목(金永穆, 1953 ~ )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겸 정치가이다. = = 개명 이전 이름 = = 김영목(金永穆)은 대한민국 배우 겸 대학 교수 및 前 정치가 김희라(金熙羅, 1947 ~ )의 개명 前 이름이다. = 분류:글리제 876 = = 분류:부탄-중국 관계 = = 플럼에이앤씨 = 플럼에이앤씨는 대한민국의 연예기획사이다. = = 소속 연예인 = = 강소라 민효린 임시완 박종환 박주희 아키바 리에 조승연 최찬호 윤지민 이혜성 = = 전 소속 연예인 = = 김소진 박주희 우지한 전혜연 = TLC (음반) = TLC는 2017년에 발매된 TLC의 음반이다. = 분류:가이아나계 잉글랜드인 = =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2012 Pacific hurricane season)은 동태평양에서 2012년에 발생한 허리케인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동태평양 허리케인은 주로 5월 15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발생한다. 5월 14일 제1호 열대폭풍 알레타를 시작으로, 2012년 동안 총 17개의 열대저기압, 17개의 열대폭풍, 10개의 허리케인, 5개의 메이저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중태평양에서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__목차__ = = 통계 = = 평균적으로 동태평양에서는 열대폭풍이 16개, 허리케인이 9개, 메이저 허리케인이 4개 발생한다. 올해에는 각각 17개, 10개, 5개가 발생하여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폭풍누적에너지는 약 98로, 평균 범위인 86 이상 135 미만 안에 들었다. 육지에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으로는 허리케인 칼로타와 허리케인 폴이 있다. 작년에 이어 중태평양에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 = 활동한 허리케인 = = = = = 동태평양 (NHC) = = = = = = = 제1호 열대폭풍 알레타 = = = = 5월 12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에서 멕시코 아카풀코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890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열대 요란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그날 북서진하면서 5월 14일 새벽, 열대 요란은 제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될 정도로 발달하였다. 같은 날 더 발달하여 그 열대폭풍에 "알레타"(Alett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5월 16일, 열대폭풍 알레타는 최고풍속 45kt, 최저기압 1000hPa를 기록하였으나, 윈드 시어가 증가하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같은 날 밤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대류활동이 둔해졌으며, 이동 방향을 서북서쪽으로 틀었다. 5월 17일 밤, 북쪽으로 틀면서 둔해진 대류활동이 활발해졌으나, 다음 날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다시 서쪽과 남쪽의 대류활동이 완전히 사라졌다. 열대저기압 알레타는 5월 19일 대류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5월 21일 완전히 소멸하였다. = = = = 제2호 메이저 허리케인 버드 = = = = 5월 12일, 파나마 근처에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저기압은 점차 발달했고, 5월 15일부터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의 주시를 받게 되었다. 이 저기압이 서북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대류가 활발해지는 등 크게 발달하였으나 5월 17일에 증가한 윈드 시어로 인해 약화되었고, 5월 20일에 다시 급격히 발달하면서 5월 21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이 저기압을 제2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다음날에는 열대폭풍 버드(Bud)로 발달하였다. 5월 23일부터는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5월 24일 오전 풍속 75kt를 기록하여 첫 번째 허리케인이 되었고, 오후에는 풍속 95kt를 기록하여 2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고, 밤에는 100kt로 더 발달하여 첫 번째 메이저 허리케인이 되었다. 메이저 허리케인 상태로 버드는 멕시코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다. 5월 25일 새벽 다시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고, 또 강한 윈드 시어가 작용하기 시작함으로써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 다. 이 날 오후에는 멕시코 서부에 상륙하기 시작하면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계속 약화되어 결국 5월 26일 새벽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소멸하였다. = = = = 제3호 허리케인 칼로타 = = = = 칼로타로 발생할 저기압은 6월 11일 파나마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을 때부터 주시되기 시작했다. 이 열대 요란은 계속 서진했고, 6월 13일 오후 6시(UTC)에는 발달한 저층 순환이 과테말라 수 백 킬로미터 남쪽에서 발달하였다. 6월 14일 오전 0시, 멕시코 와툴코 남남동쪽 460해리(850 km) 부근 해상에서 제3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중층 고기압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서북서진에서 북서진으로 방향을 틀었다. 또한 수직 윈드 시어가 약해서, 6시간 후 열대폭풍 칼로타(Carlotta)로 발달하였다. 계속해서 발달하여, 칼로타는 6월 15일 오후 12시에 허리케인으로 지정되었다. 허리케인이 된 지 얼마 안 되어 급격한 발달을 시작했고, 9시간 후에 95 kt(175 km/h)의 풍속을 동반하게 되었다. 중앙아메리카 해안에 접근하면서 진로를 북북서쪽으로 틀었고, 이동 속도도 증가했다. 칼로타는 약간 약화한 뒤 6월 16일 오전 1시 멕시코 오아하카주에 상륙하였다. 그러나 멕시코의 지형적 영향으로 칼로타는 급격히 약화되었고, 6월 17일 오전 0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같은 날 소멸하였다. 칼로타로 인한 사망자는 3명이였다. 또한 피해액은 최소 1억 1천3백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 = = = 제4호 메이저 허리케인 대니엘 = = = = 허리케인 대니엘은 6월 20일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이 열대 파동은 대서양을 가로질러 6월 29일 중앙아메리카를 통과하였다. 이어 7월 1일, 테우안테펙 만의 남쪽에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계속 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4일 오전 6시 멕시코 만사니요 남쪽 425해리 (785 km) 부근 해상에서 제4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계속 발달하여 7월 5일 오전 6시에 열대폭풍 대니엘(Daniel)로 발달하였다. 처음에는 동풍 시어의 영향을 받아 중심이 대류가 주로 이루어지는 곳의 동쪽에 위치해있었다. 그러나 시어가 약화되어 발달하기 좋은 환경에 위치하게 돼, 7월 7일 오전 0시에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동시에 허리케인의 눈이 생성되었다. 세기가 서서히 강해졌고, 7월 8일 최대풍속 100 kt, 최저기압 961 hPa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수온의 하락과 안정된 대기로 인해 눈은 급격히 사라졌다. 대니엘은 계속 서진하며 약화되었고, 결국 7월 12일 오후 12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7월 14일 기압골로 바뀌면서 소멸하였다. = = = = 제5호 메이저 허리케인 에밀리아 = = = = 허리케인 에밀리아의 열대 파동과 열대 수렴대(ITCZ)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했다. 6월 23일 열대 파동이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하여 며칠 동안 빠르게 서진했다. 6월 28일, 소안틸레스 제도에서 동쪽으로 약 900해리(약 1665 km) 떨어진 열대 파동에 저기압이 동반되었다. 이 저기압은 며칠 후에 소멸하였지만, 열대 파동은 계속 서진하여 7월 4일 동태평양 해상에 진출했다. 한편, 테우안테펙 만에서 남쪽으로 수백 km 떨어진 ITCZ 안에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7월 6일 이 열대 요란과 열대 파동이 합쳐져 7월 7일 오전 6시에 발달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저기압은 계속 발달하여 같은 날 오후 6시에 멕시코 아카풀코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430해리 (800 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던 저기압이 제5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에밀리아(Emilia)로 발달하였다. 주변 환경이 발달하기에 적합하여, 며칠 동안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7월 8일 저녁, 허리케인의 눈 구조가 관찰되어, 7월 9일 오전 6시 허리케인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다음날에 최대 풍속 120 kt까지 발달하면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에밀리아는 최대 풍속 90 kt의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다. 이 약화의 원인은 이중 눈벽 구조(double-eyewall structure)이중 눈벽 구조란, 강한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에서 발생하는 구조로 눈벽이 이미 작거나 수축하여 작아지면서 바깥쪽 구름띠의 일부가 고리 모양으로 발달해 "바깥쪽 눈벽"이 형성되면서 생기는 구조이다. (이때 기존의 눈벽을 "안쪽 눈벽"이라고 한다.) 한편, 이런 구조가 생기는 과정을 눈벽 교체 주기(또는 이중 눈벽 주기)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열대 저기압이 약간 약화될 수 있으나, 바깥쪽 눈벽이 안쪽 눈벽을 소멸시키면 다시 발달할 수 있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눈벽 구조가 사라지면서 다시 세력을 되찾았고 7월 12일 오전 0시 105 kt의 풍속으로 2차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이후 수온이 낮고, 공기가 건조하고 안정된 곳에 진입하여 약화되었다. 허리케인의 눈은 7월 13일 오전 0시 완전히 구름으로 덮여 12시간 후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대류가 덜 활발해지면서 계속 약화되었고, 결국 7월 15일 오후 6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후 계속 서진하면서 7월 18일 오전 0시 기압골로 더욱 약화되어 소멸하였다. = = = = 제6호 허리케인 파비오 = = = = 허리케인 파비오는 6월 27일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한 평범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7월 5일 카리브 해 중부에 위치하고 있었을 때 대류가 증가하였고, 대류가 활발해진 이 열대 파동은 7월 7일 동태평양 해상에 진출했다. 동진하는 대기 켈빈파 (atmospheric Kelvin waves)에 의해 이 열대 파동이 발달하였고, 7월 9일에는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계속 발달하여 7월 12일 오전 0시 멕시코 만사니요에서 남쪽으로 약 350해리(650 km) 떨어진 곳에서 제6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당시 열대저기압은 서북서진하고 있었다. 잠시 후, 열대저기압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열대폭풍 파비오로 발달하였다. 이후 북동풍 시어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발달하여 7월 13일에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7월 15일 오전 6시 95 kt의 풍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후, 점점 낮아지는 수온에 의해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7월 16일 미국 서해상에 위치한 중상층 기압골에 의해 아열대 고압대가 크게 갈라지면서 파비오는 북서쪽, 그리고 7월 18일에는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한편 파비오는 7월 16일 저녁에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7월 18일 오전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같은 날, 열대저기압 파비오는 멕시코 푼타 아우헤냐 (Punta Eugenia) 서남서쪽 345해리(640 km) 부근 해상에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7월 20일 소멸하였다. = = = = 제7호 허리케인 길마 = = = = 허리케인 길마는 7월 24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고 8월 2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8월 4일을 시작으로 뇌우 활동이 비약적으로 발달하여 (당시 동태평양을 횡단중이었던 대기 켈빈파 때문일 수도 있다) 8월 6일 닫힌 저층 순환이 관측되었다. 8월 7일 오전 6시, 저기압에 대류가 충분히 발생하여 멕시코 만사니요 서남서쪽 520해리(965 km) 부근 해상에서 제7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열대저기압은 낮은 윈드 시어의 영향으로 빠르게 발달하였다. 같은 날 오후 6시, 열대폭풍 길마(Gilma)로 발달하였고, 8월 8일 오후 6시에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8월 9일 오전 6시에 이르러서는 풍속 70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길마는 수직 시어의 강화와 수온의 감소로 8월 11일까지 북북서진하며 약화되었다. 오전 6시에는 거의 모든 대류가 사라졌고, 낮 12시에는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저기압은 서-남서쪽으로 진행한 후 8월 14일 오전 0시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의 남쪽 끝에서 서쪽으로 약 750해리(1390 km) 떨어진 곳에서 소멸하였다. = = = = 제8호 열대폭풍 헥터 = = = = 허리케인 어네스토가 8월 9일 멕시코에 상륙하면서, 저층 중심은 시에라마드레 산맥의 영향으로 소멸하였다. 그러나 중층 중심은 계속하여 서남서진하여 8월 10일 동태평양에 진입하였다. 대규모의 활발한 대류를 동반한 이 구름계에는 동풍 시어에 의해 8월 11일까지 저층 중심이 발생하지 않았다. 저층 중심이 발생하면서 더욱 발달하기 시작했고, 8월 11일 오후 12시 만사니요 남남서쪽 110해리(205 km) 부근 해상에서 제8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헥터(Hector)로 발달했다. 계속된 동풍 시어 속에서 헥터는 발달하여 8월 12일 풍속 4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헥터는 이 세력을 6~12시간 동안 유지하고 강해지는 시어에 약화되기 시작했다. 며칠 동안 헥터는 서쪽 부분에서 일시적인 대류가 계속 발생하면서 35~40 노트의 세기를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류가 발생한 8월 14일 오전, 헥터는 약화되면서 남서쪽, 그리고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8월 15일,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서쪽의 중상층 저기압이 헥터 북쪽의 기압마루를 침식시켜 헥터가 하룻동안 북진하였다. 시어와 점차 감소하는 해수면 온도는 같은 날 오후 12시 헥터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시켰다. 계속 일시적인 대류가 발생하긴 했으나, 24~25°C의 수온으로 인해 8월 17일 오전 0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저기압은 8월 20일에 소멸하였다. = = = = 제9호 허리케인 일리나 = = = = 허리케인 일리나는 8월 12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고 8월 21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다음 날 파동축에 저기압이 발생했으나, 대류가 며칠 동안 발달되지 못했다. 8월 25일 드디어 발달된 순환 중심이 발생하였고, 8월 27일 낮 12시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일리나(Ileana)로 발달하였다. 며칠 동안 일리나는 중층 기압마루의 남서쪽을 따라 습하고 시어가 낮으며 수온이 높은 지역으로 북서진했다. 이러한 조건들은 일리나가 발달하는 것을 허용하여 8월 30일 오전 0시 일리나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이 때 허리케인은 계속 눈을 동반한 발달된 대류를 보임으로써 같은 날 오후 6시, 풍속 7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오래가지 않았다. 서북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수온이 매우 낮은 지역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8월 31일 오후 6시, 더 건조하고 안정한 환경에 진입하면서 내부 대류가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열대폭풍 일리나는 서진하기 시작하였고 며칠 동안 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남동풍 시어의 영향으로 서서히 약화되었다. 9월 2일 오전 6시, 일리나는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대류는 계속해서 사라졌고 9월 4일 낮 12시에 소멸하였다. 키가 작은 저기압이 된 일리나는 이후 서남서진, 그리고 남서진하였고 9월 6일 낮 12시에 완전히 소멸하였다. = = = = 제10호 열대폭풍 존 = = = = 열대폭풍 존의 발생 과정은 복잡했다. 8월 16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한 열대파동은 허리케인 아이작의 발생에 기여하였다. 이어서 이 열대파동은 8월 26일 중앙아메리카를 통과하였고, 며칠 후 테우안테펙 만의 남쪽을 지났다. 계속해서 서진하던 열대 파동은 멕시코 남부 해상에서 남쪽으로 수 백 해리 떨어진 곳에 저기압을 동반한 늘어진 기압골을 발생시켰다. 8월 31일 오전, 이 기압골에서 저기압 순환이 발생한 가운데 다른 열대 파동이 이 순환에 접근하였다. 9월 1일, 두 번째 열대 파동과 연관이 있는 저중층 와도 최대 지역에서 아카풀코의 남동쪽에 새로운 열대 요란을 발생시켰다. ASCAT 데이터에 의하면 이 열대 요란이 저기압의 북동쪽을 따라 서북서진할 때 이미 폭풍 수준의 바람을 동반하고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열대 요란이 9월 2일 오전 멕시코 남부 해안과 나란하게 이동하면서 저층 순환이 점차 발달하였다. 낮 12시가 되자 발달한 순환 중심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열대 요란을 멕시코 만사니요 남서쪽 약 200해리 (370km) 부근 해상에 위치해 있을 때 열대폭풍 존으로 지정하였다. 활동하는 동안 존은 미국 중남부에 중심이 위치해 있는 중층 기압마루를 따라 느리게 북서진하였다. 발생 6시간 후 약간 발달해서 풍속 40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9월 3일 오전 6시 직전, 존의 중심은 소코로 섬(Socorro Island) 바로 북쪽을 통과했다. 강한 동풍 시어는 존의 추가적인 발달을 막았고, 해수면 온도 감소와 건조하고 안정한 공기로 인해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활발한 대류는 소멸하였고, 9월 4일 낮 12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은 속도를 늦추며 서북서진 또는 북서진을 하였고, 결국 9월 7일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서쪽에서 소멸하였다. = = = = 제11호 열대폭풍 크리스티 = = = = 크리스티를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8월 31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9월 9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자 대류가 증가했다. 9월 10일, 테우안테펙 만 남쪽을 지나면서 파동 축을 중심으로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11일 오후 6시, 발달한 저기압이 발생하였고, 9월 12일 오전 6시에는 충분한 대류가 발생하여 제1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그 당시 열대저기압은 멕시코 만사니요 남남서쪽 약 150해리(280 km) 부근 해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활발한 대류는 세기와 범위가 커졌고, 6시간 후 열대폭풍 크리스티 (Kristy)로 발달하였다. 크리스티는 중층 기압마루의 남쪽을 따라 서북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여 9월 14일 오전 6시 풍속 50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당시 구름 패턴이 비대칭적이어서, 낮은 수온과 북북서풍 시어로 금방 약해지기 시작했다. 9월 16일 오후 6시에는 대류가 거의 사라져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9월 17일 오전 6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며, 9월 19일 오후 6시 직후 멕시코 카보산루카스 서쪽 약 350해리 (650 km) 부근 해상에서 완전히 소멸하였다. = = = = 제12호 허리케인 레인 = = = = 레인을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8월 26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9월 6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였다. 9월 8일 테우안테펙 만을 통과하면서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12일, 멕시코 카보산루카스 남남서쪽 약 500해리 (925 km) 부근 해상에 위치한 이 열대 요란으로부터 약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수 백 해리 동쪽으로 떨어진 열대폭풍 크리스티의 영향으로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9월 15일, 크리스티가 약화하고 저기압에서 멀어지면서, 이 저기압에 순환 중심이 발생하고 대류가 활발해지면서 9월 15일 낮 12시, 카보산루카스 남서쪽 약 940해리 (1740 km) 부근 해상에서 제12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좋은 주변 환경으로 6시간 후 열대폭풍 레인(Lane)으로 발달할 수 있었다. 9월 16일에도 서서히 발달하면서 북서-북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9월 17일 약간 낮은 해수면 온도를 지나기 시작했지만 레인이 허리케인으로 발달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9월 18일 오전 0시, 카보산루카스 서남서쪽 약 1000해리 부근 해상에서 풍속 7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직후, 낮아지는 수온과 증가하는 남서풍 수직 시어에 의해 레인은 다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활동하던 대류가 북동쪽으로 치우쳐지면서 더욱 더 약화되었다. 9월 19일 오전 6시 대류가 불충분하여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9월 20일 오전 6시 직후, 저기압은 카보산루카스에서 서쪽으로 약 1300해리 떨어진 곳에서 소멸하였다. = = = = 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미리암 = = = = 9월 7일, 한 열대 파동이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이 파동이 허리케인 나딘을 발생시켰고 이후 9월 16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였다. 구름 패턴은 발달의 조짐을 이때부터 보이기 시작했고, 9월 22일 오전 0시 이 열대 요란으로부터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멕시코에 중심을 잡고 있는 아열대고기압의 남서쪽을 따라 서북서-북서진하였고 같은 날 낮 12시에 열대폭풍 미리암(Miriam)으로 발달하였다. 낮은 시어와 높은 수온의 도움을 받아 9월 24일 오전 0시 미리암은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이후 급격한 발달이 시작되었고, 12시간 후 멕시코 클라리온 섬(Clarion Island) 근처에 위치해 있을 때 최저 기압 959hPa, 풍속 105 kt의 3등급 메이저 허리케인으로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때가 되어서는 허리케인은 매우 촘촘하고 대칭적인 구름 구조와 핀홀 눈(pinhole eye)급격히 발달하는 허리케인에서 볼 수 있는 매우 작고 선명하며 둥근 눈을 의미한다.을 가지고 있었다. 급격한 발달 직후 낮은 수온의 해수면을 지나게 되면서 급격히 약화되어 9월 27일 오후 6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은 저층의 지향류를 따라 남진하면서 며칠 후 소멸하였다. = = = = 제14호 열대폭풍 노르만 = = = = 노르만을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9월 12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9월 22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면서 파동 축 주변에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25일, 열대 수렴대와의 상호 작용으로 큰 규모의 뇌우가 파동의 북쪽 부분에서 발생하였다. 9월 27일이 되자 이 열대 파동은 이미 폭풍 수준의 풍속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당시 발달된 중심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발달된 중심은 9월 28일 오전 6시에 발견되어 카보산루카스 남동쪽 약 100해리 (185km) 부근 해상에서 열대폭풍 노르만(Norman)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그 때 최저 기압 997hPa, 풍속 4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발생 이후 서쪽의 중상층 저기압과 멕시코 만에 중심이 있는 중층 기압마루 사이에서 북진하였다. 이후 12~24시간 동안 캘리포니아만에서 북서진하기 시작하였고, 남서풍 시어와 육지와의 접촉으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노르만은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면서 9월 29일 오전 5시 멕시코 시날로아주 토폴로밤포(Topolobampo)에 상륙하였다. 같은 날 12시 열대저기압 노르만은 일반 저기압으로 약화하였다. 9월 30일 오전 6시 직후 로레토 (Loreto) 근처에서 소멸하였다. = = = = 제15호 열대폭풍 올리비아 = = = = 10월 초, 다가오는 매든-줄리안 진동과 동진하는 켈빈파의 동시 영향으로 열대 수렴대와 그 근처의 대류가 활성화되기 위한 대규모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것과 상층 기압골은 10월 3일에 서경 105도, 북위 12도~20도 사이에 표층 기압골을 생성시켰다. 이 표층 기압골은 서진하면서 다음 날 약화되었다. 그러나 기압골은 약화하기 전 서경 105~115도 주변에서 열대 수렴대가 북쪽으로 굽어지도록 유도했다. 10월 5일 이 굽어진 곳 안인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의 남쪽 끝에서 남쪽으로 약 600해리 (1110 km) 떨어진 곳에 저기압이 발생하였고, 같은 날 활발한 대류가 저기압 중심 주변에 모여들었다. 결과적으로 저기압이 발달하였고, 10월 6일 낮 12시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남쪽 끝에서 남서쪽으로 약 745해리 (1380 km) 떨어진 곳에서 제15호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수직 시어의 환경 속에서 서진하면서 같은 날 열대폭풍 올리비아(Olivia)로 발달하였다. 10월 7일, 북동태평양상에 위치한 중상층 기압골이 올리비아 북쪽의 기압마루를 약화시켜 올리비아가 북진하게 만들었다. 그러면서 같은 날 풍속 50노트, 기압 997 hPa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10월 8일, 강한 남서풍 수직 시어가 올리비아 위에 발생하여 올리비아의 수직적 구조가 위아래로 분리되었다. 이 시어는 올리비아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이제 얕아진 올리비아는 남서진을 시작했다. 올리비아는 급격히 대류가 없는 저기압으로 약화하였고, 이후 서남서진하면서 10월 10일 소멸하였다. = = = = 제16호 메이저 허리케인 폴 = = = = 폴을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9월 28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10월 3일 파동 축의 북쪽 끝이 열대폭풍 오스카로 발생하였다. 10월 10일 이후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면서 뇌우가 발달하였다. 대류는 10월 13일까지 많이 형성되어 있었고, 같은 시각에 저층 순환 중심이 발생하여 낮 12시 카보산루카스 남남서쪽 약 560해리(1035 km) 부근 해상에 이 열대 요란으로부터 제16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6시간 후 열대폭풍 폴(Paul)로 발달하였다. 아열대 기압마루의 남서쪽에 위치했던 폴은 열대폭풍으로 발달한 직후 서진하였으나 바하 반도 서쪽에 위치한 중상층 저기압에 의해 발생한 기압마루의 틈에 도달하면서 10월 15일 오전 0시가 되어서는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북진하고 있었다. 같은 시간, 폴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6시간 후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허리케인 폴은 남서쪽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북북동진하기 시작하여 이동 속도를 높였다. 또한 폴의 눈은 클라리온 섬의 동쪽을 지나며 오후 6시 최대 풍속 105 노트로 메이저 허리케인으로서의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메이저 허리케인 폴은 약간 약화되었지만 남남서풍 수직 시어가 상당히 강해진 10월 16일 오전 6시까지는 메이저 허리케인 세기를유지하였다. 한편 이 시어에 의해 바하 반도에 도달하던 폴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북진하다가 중상층 저기압과 상호작용하면서 순환 중심이 하룻동안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 해안에 평행하게 진행했다. 10월 17일 오전 0시 카보산라짜로(Cabo San Lazaro) 북서쪽에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활발한 대류가 급격히 사라지면서 곧 폭풍 수준의 풍속을 동반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 폴의 순환은 점차 약화되면서 북서진을 시작하였고 해안선을 스치면서 같은 날 오후 4시 35노트의 풍속으로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 주 바이아 아순시온(Bahía Asunción)에 상륙하였다. 10월 18일 오전 0시 직후 푼타 에우헤니아(Punta Eugenia) 북서쪽 약 60해리 (110 km) 부근 육상에서 소멸하였다. = = = = 제17호 열대폭풍 로사 = = = = 동태평양 상의 매든-줄리안 진동의 이동이 열대 수렴대에 틈을 만들었고, 이는 10월 25일 세 개의 소용돌이를 발생시켰다. 며칠이 지나면서 세 개 중 서경 105도에 위치한 소용돌이가 가장 발달하면서 나머지 두 소용돌이를 소멸시켰다. 중상층 고기압 아래 위치한 이 열대 요란은 서북서진하였지만 저중층 건조공기가 풍부해서 발달 속도가 느렸다. 10월 29일 밤이 되자 발달한 표층 저기압이 발생했으나 북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기압골에 의해 발생한 서풍 시어로 인해 활발한 대류가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았다. 10월 30일 오전 저층 중심 가까이에 대류가 발생하였고, 결국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남남서쪽 약 610해리 (1130 km) 부근 해상에 제17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6시간 후 열대폭풍 로사(Rosa)로 발달하였다. 로사는 중간 정도의 서풍 시어에도 불구하고 발달하여 10월 31일 오전 풍속 4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로사는 이후 느리게 남서진하였고, 11월 1일에는 이동 방향을 남남서쪽으로 틀었다. 로사는 강한 시어 지역을 벗어나면서 세력을 유지했지만, 11월 2일 캘리포니아주 남부와 동태평양을 빠르게 통과하는 쇼트웨이브(shortwave)에 의해 다시 시어가 강해졌다. 중심의 동쪽에 활발한 대류가 종종 발생했으나, 그 날 저녁에 로사는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열대폭풍 로사는 시어가 더욱 강해지면서 약간 빠른 속도로 서진하였고, 이 시어가 좁은 지역의 활발한 대류가 저층 순환 중심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만들었다. 이에 로사는 11월 3일 낮 12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6시간 후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며, 11월 5일 오전 완전히 소멸하였다. = = = 중태평양 (CPHC) = = = 중태평양에서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 히라타촌 = 히라타촌은 일본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동부에 위치한 이시카와군의 촌이다. = = 지리 = = 후쿠시마 현의 남동부, 아부쿠마 고지에 있고 산맥을 수놓듯이 농지가 펼쳐져 있다. = = 역사 = = 1955년 - 쇼와 대합병으로 오비라 촌과 요모기타 촌이 합병해 히라타촌이 되었다. 2015년 9월 - 동사무소 청사를 구 나가타초등학교 교사로 이전하였다. = = 경제 = = 기간산업은 농업이며 관광, 기업 유치에도 힘을 쓰고 있다. = = 교통 = = = = = 도로 = = = 아부쿠마 고원도로 국도 49호선 국도 349호선 = 분류:1628년 회화 작품 = = 오어 = 오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어(吳語): 중국어의 방언 오어(烏魚): 가물치 = = 인명 = = 존 보이드 오어: 영국 스코틀랜드의 교사, 의사, 생물학자, 정치인 토미 오어: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마이클 오어: 미국의 미식축구선수 제임스 오어: 아일랜드의 시인 = 대전쟁 = 대전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냥코 대전쟁 요정대전쟁 ~ 동방삼월정 세계대전의 다른 이름 = 분류:핀란드의 컬링 = = NNP = NNP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신국민당(New National Party,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이로비 국립공원(Nairobi National Park) = 케메로보주 = 케메로보주 (인구 289만9,142명(2002년))는 러시아의 주이고, 시베리아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서시베리아 평원과 남시베리아 산맥이 있다. 면적은 95,700 km2이고, 북쪽으로 톰스크주, 동쪽으로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과 하카스 공화국, 남쪽으로 알타이 지방, 서쪽으로 알타이 공화국에 접해 있다. 주민은 대부분이 러시아인이나, 우크라이나인, 타타르족, 추바슈인, 쇼르인, 독일인과 기타(중국인, 몽골인, 폴란드인)가 거주한다. 1943년 1월 26일에 신설된 새로운 주이지만, 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여기서 거주하고 있었다. 케메로보 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는 쿠즈네츠크(1961년까지는 노보쿠즈네츠크)로, 1618년에 지어졌다. 현재 케메로보 주의 주지사는 아만 툴레예프이다. = = 지리 = = = = = 시간대 = = = 옴스크 시간대 (OMST)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700 (OMST)이다. = = 행정 구역 = = = = = 군 = = = 벨롭스키 군 (Беловский) 체불린스키 군 (Чебулинский) 구렙스키 군 (Гурьевский) 이시모르스키 군 (Ижморский) 케메롭스키 군 (Кемеровский) 크라피빈스키 군 (Крапивинский) 레닌스크쿠즈네츠키 군 (Ленинск-Кузнецкий) 마린스키 군 (Мариинский) 메즈두레첸스키 군 (Междуреченский) 노보쿠즈네츠키 군 (Новокузнецкий) 프로코피옙스키 군 (Прокопьевский) 프리미실렌놉스키 군 (Промышленновский) 타시타골스키 군 (Таштагольский) 티술스키 군 (Тисульский) 톱킨스키 군 (Топкинский) 탸진스키 군 (Тяжинский) 야시킨스키 군 (Яшкинский) 야이스키 군 (Яйский) 유르긴스키 군 (Юргинский) = 분류:전국 시대의 군인 = = 타운젠드 법 = 타운젠드법은 대영제국 의회가 1767년 이후에 통과시킨 영국령 미국 식민지에 관한 일련의 법령을 말한다. 계획의 기획자가 재무장관이었던 찰스 타운젠드와 연관되어, 〈타운젠드법〉이라고 이름 붙였다. 어디까지를 ‘타운젠드법’에 포함하는 지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견해 차가 있지만, 대략 5개의 법령으로 언급된다. 1767년 〈세입법〉, 〈보상법〉, 〈관세위원회법〉, 〈부해사 재판법〉, 〈뉴욕 제한법〉이다. 타운젠드법의 목적은 식민지에서의 세수를 증대시키고, 현지 총독과 판사의 봉급에 맞추고, 식민지의 규칙에서 총독과 판사를 독립시키는 것. 법에 의한 철저한 무역 통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1765년 〈병영법〉에 응하려고 하지 않았던 뉴욕 식민지를 처벌할 본국 의회가 식민지에 대한 과세 권한이 있는 선례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타운젠드법은 식민지의 거센 저항을 가져왔으며, 1768년에는 영국군이 보스턴을 점거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이어 1770년의 ‘보스턴 학살 사건’으로 발전했다. 보스턴 학살 사건의 결과, 본국 의회는 타운젠드법에서 관세 일부를 없애는 것으로 식민지를 달래려 했다. 그리고 새로 도입된 세금의 대부분은 철폐되었지만, 차에 대한 과세는 계속되었다. 본국 정부는 식민지의 동의를 얻지 않고 과세를 계속 했지만 결국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났으며, 이것은 ‘미국 독립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 분류:양 (남조)의 음악가 = = 제75회 미국 감독 조합상 = 제75회 미국 감독 조합상은 2022년 뛰어난 활동을 보인 영화 감독을 기리기 위해 2023년 2월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감독상(영화부문) = =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다니엘 콴 외 1명 수상 TAR 타르 - 토드 필드 탑건: 매버릭 - 조셉 코신스키 이니셰린의 밴시 - 마틴 맥도나 더 파벨먼스 - 스티븐 스필버그 = = = 감독상(신인감독부문) = = = 애프터썬 - 샬롯 웰스 수상 생토메르 - 앨리스 디옵 레벤느망 - 오드리 디완 에밀리:범죄의 유혹 - 존 패튼 포드 무리나 - 안토네타 알라마트 쿠시야노비치 = = = 감독상(TV영화부문) = = = Station Eleven - 헬렌 쉐이버 수상 Weird: The Al Yankovic Story - 에릭 애펠 Obi‑Wan Kenobi - 데보라 초우 Station Eleven - 제레미 포데스와 Inventing Anna - 톰 베리카 = = = 감독상(TV정기편성부문) = = = Saturday Night Live - LIZ PATRICK 수상 Real Time with Bill Maher - 폴 G. 케이지 The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 짐 호스킨슨 The Daily Show with Trevor Noah, “Brandi Carlile Discusses Her New Deluxe Album and Performs - DAVID PAUL MEYER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 폴 페놀리노 = = = 감독상(특별부문) = = = The 75th Annual Tony Awards - 글렌 웨이스 수상 The Daily Show with Trevor Noah Presents: Jordan Klepper Fingers the Globe ‑ Hungary for Democracy - 이안 버거 Super Bowl LVI Halftime Show 2022 - 해미쉬 해밀턴 Norman Lear: 100 Years of Music and Laughter - JAMES MERRYMAN Mark Twain Prize 2022: Celebrating Jon Stewart - 마커스 라보이 = = = 감독상(드라마시리즈) = = = Euphoria - 샘 레빈슨 수상 Ozark - 제이슨 베이트먼 Better Call Saul - 빈스 길리건 Severance - 이파 맥아들 Severance - 벤 스틸러 = = = 감독상(코미디시리즈) = = = Barry - 빌 헤이더 수상 Wednesday - 팀 버튼 The Marvelous Mrs. Maisel, 밐ow Do You Get to Carnegie Hall? - AMY SHERMAN‑PALLADINO The Bear - 크리스토퍼 스토럴 The White Lotus - 마이크 화이트 = = = 감독상(리얼리티쇼) = = = Running Wild with Bear Grylls - BEN SIMMS 수상 The Big Brunch - JOSEPH H. GUIDRY The Go-Big Show - 캐리 하벨 Lego Masters - RICH KIM FBoy Island - MICHAEL SHEA = = = 감독상(어린이프로그램) = = = Best Foot Forward - 앤 렌튼 수상 Better Nate Than Ever - 팀 페델레 Amber Brown - 보니 헌트 Are You Afraid of the Dark? - 딘 이스라엘리트 Snow Day: The Musical - 마이클 렘벡 = = = 감독상(다큐멘터리부문) = = = 파이어 오브 러브 - 사라 도사 수상 레트로그레이드 - 매튜 하이네만 올 더 뷰티 앤 더 블러드쉐드 - 로라 포이트러스 나발니 - 다니엘 로허 숨쉬는 모든 것 - 샤우낙 센 = = = 감독상(광고부문) = = = KIM GEHRIG 수상 후한 캐브럴 CRAIG GILLESPIE 데이비드 쉐인 IVAN ZACHARIAS = = = 공로상 = = = ROBERT FISHMAN 수상 = = = 프랑크 카프라 상 = = = MARK HANSSON 수상 = = = 프랭크린 J. 샤프너 상 = = = VALDEZ FLAGG 수상 = 분류:청양군의 육상 경기장 = 육상 경기장 육상 경기장 청양군 청양군 = 카니발리제이션 = 카니발리제이션은 다음을 가리킨다. 동족 식인: 수리를 위해 사용 자기잠식효과 (마케팅) = 홀리 웨스턴 = 홀리 웨스턴(Holly Weston, 1985년 8월 30일 ~ )은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노랑땅다람쥐 = 노랑땅다람쥐(Spermophilus fulv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크고 튼튼한 종으로 뒷발(뒤꿈치는 제외) 발바닥에 털이 없다.Aulagnier S.; P. Haffner, A. J. Mitchell-Jones, F. Moutou & J. Zima (2009) Mammals of Europe,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A&C Black, London. 아프가니스탄과 중국,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에서 발견되며, 쑥과 퉁퉁마디 풀, 위성류 풀이 자라는 모래 스텝 지대에서 서식한다. 농경지와 다른 초원에는 다른 땅다람쥐류가 서식한다. 철저한 주행성 동물로 식물 위에 아직 물기가 남아 있는 아침에 주로 먹이를 찾는다. 대형 집단을 형성하고 높은 수준의 군집 생활을 한다. 다른 땅다람쥐류처럼 겨울잠을 자지만 여름잠을 자기도 한다. = 솅비더 암각화 = 솅비더 암각화는 스웨덴 예탈란드 류가른 서쪽 3 킬로미터 떨어진 솅비더에서 발견된 바이킹 시대의 암각화이다. 룬데이터에는 예탈란드 룬 명문 110호(Gotland Runic Inscription 110)로 등록되었다. 가로 1.2 미터, 세로 1.7 미터, 두께 0.3 미터의 넓적한 석회암으로, 1844년 발견되어 현재 스톡홀름의 스웨덴 국립유물박물관에 소장 중이다.The article Tjängvidestenen in Nordisk familjebok (1919). 어떠한 기독교적 요소도 찾아볼 수 없으며, 순전히 노르드 종교에서 파생된 물건으로 생각된다. = 우아스코 = 우아스코는 칠레 아타카마 주 우아스코 현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1,601.4km2, 높이는 30m, 인구는 8,977명(2012년 기준)이다. = 분류:튀르키예의 여자 뮤지컬 배우 = 뮤지컬 배우 뮤지컬 배우 터키 +여자 en:Category:Turkish musical theatre actresses = 틀:형광펜/설명문서 = = = 설명 = = {{형광펜|안녕하세요}}라고 쓰면, 아래와 같이 형광펜으로 색칠한 느낌이 들게 표시합니다. {{형광펜|#ffcccc|안녕하세요}}라고 쓰면, 아래와 같이 붉은 형광펜으로 색칠한 느낌이 들게 표시합니다. {{형광펜|#ccbbaa|안녕하세요}}처럼, 색상 코드를 설정하여, 다양한 배경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니버시아드 테니스장 = 유니버시아드 테니스장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에 있는 테니스 경기장이다. 개장 초기에 두류공원 경기장 혹은 두류공원 축구장으로 불린 약 20년 동안 축구 경기장으로 대부분 활용되었으나, 2003년부터 테니스 경기장으로 바꾸어대구 두류축구장 이달 말 폐장, 2002년 8월 27일, 오마이뉴스.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테니스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경기장 크기는 6,826m2이고 관람석은 3,095석이 마련되어 있다. = 분류:증거법 = = 바오우 = 바오우(, Baowu)는 중국 상하이시 푸둥 신구 바오스틸타워에 본사를 둔 중국 국유의 철강 기업이다. 이 기업은 2016년 바오스틸그룹(Baosteel Group)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기업은 세계 생산량 부문에서 2015년에 5위를 차지했다. 2000년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바오스틸그룹의 자회사의 기업공개가 이루어졌고 당시 중국 내 최대였다. (국내 투자자 국한 CYC 77억) = 삼성 갤럭시 A52s 5G = 삼성 갤럭시 A52s 5G은 2021년 9월에 출시한 삼성 갤럭시 A 시리즈의 모델이며, 지문인식, 삼성 페이 등이 탑재된 모델이다.“쉴틈이 없네” 삼성, ‘갤A52s 5G’ 공개…‘Z·A·S’ 잇따라 출격 출처:중앙일보 = = 하드웨어 = = = = = 카메라 = = = 후면 카메라는 메인 카메라, 초광각 카메라, 심도 카메라, 접사 카메라 총 쿼드 카메라 구성이며 메인 카메라는 64MP에 조리개 값 F1.8, 초광각 카메라는 12MP에 조리개 값 F2.2, 심도 카메라는 5MP에 조리개 값 F2.4 접사 카메라는 5MP에 조리개 값 F2.4이다. 후면 카메라(그중 메인카메라)의 경우 최대 4K 30fps까지 지원하며 메인 카메라에 OIS가 탑제되어있다. 전면 카메라는 32MP에 F2.2인 카메라 하나로 구성되어있다. = = = 메모리 = = = 6GB과 8GB 용량의 RAM을 탑제하였으며 내장메모리 용량은 128GB 및 256GB이다. 마이크로 SD 규격의 내장메모리를 최대 1TB까지 지원한다. 또 가상RAM도 지원한다. = = = 디스플레이 = = = 6.5인치 20:9 비율의 1080 x 2400 해상도를 가진 Super AM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전면 카메라가 기기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였고 카메라 부분의 베젤이 O자로 생긴 Infinity-O Display를 탑제하였다. 초당 120개의 화면을 보여주는 120Hz 디스플레이가 탑제되었다.삼성전자, 50만원대 보급형폰 갤럭시 A52s 5G 출시 - 뉴시스(2022년 6월 16일 확인) = = = 배터리 = = = 4500mAh 배터리를 탑제하여 최대 비디오 재생 시간은 20시간이다.삼성전자 공식 사이트 고객 지원 페이지 출처: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 25W 충전을 지원한다. = = = 연결 = = = 단말기의 하단에 USB type-C 규격의 단자 1개, 3.5mm 단자 1개가 있다. 블루투스 버전은 5.0이다. = = = 기타 = = = IP67 등급의 방수방진과 스테리오 스피커를 지원한다. 지문인식은 디스플레이 내장형 광학식 지문인식을 탑제하였다. = = 한국 출시 = = 2021년 9월 3일 출시하였으며 가격은 59만 9500원이다.‘폴더블 흥행’ 삼성전자, 중저가 시장 정조준…갤럭시 A52s 5G 출시 - 조선비즈 (2022년 4월 8일 확인) = 혹몬현 = 혹몬현은 호치민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 2010년을 기준으로 혹몬 현에는 358,640명의 인구가 있고, 전체 면적은 109km2이다. = = 역사 = = 1698년과 1731년, 베트남 북부와 중부의 일부 사람들이 응우옌 가문과 찐 가문 사이의 전란을 피해 혹몬으로 이주를 해왔다. 당시에 이 지역은 미개발 지역이었으며, 호랑이와 같은 야생동물이 자유로이 어슬렁거리는 지역이었다. 그곳 습지대에서 자라는 엄청난 양의 타로 덕분에 새로 정작한 정착민들은 이곳을 타로가 자라는 변방이라는 의미의 혹몬(Hóc Môn)이라고 불렀다. 1885년에는 이곳에서 반란이 발발했다. 지옹 T-로드 교차로는 프랑스 식민지 군대에 의해 1941년 8월 28일 판당러우, 하허이텁(何輝集), 응우옌 티미카이(阮明開), 보반떤(武文秦), 응우옌반꾸(阮文渠)와 같은 독립군 수감자들이 총살된 지역이다. 1997년, 타인록, 안푸동, 떤토이히엡, 동흥투언, 떤토이녓, 떤짜인히엡의 일부, 쩡미떠이의 일부 7개의 사가 분리되어 12군이 되었다. = = 지리 = = 혹몬현은 북쪽으로 꾸찌현에 경계를 접하고, 동쪽으로 트득군과 빈즈엉성과 경계를 접한다. 남쪽으로는 12군과 서쪽으로는 빈짜인현과 빈떤군과 경계를 접한다. = = 행정 구역 = = 혹몬현에는 혹몬 티쩐(市鎭)과 11개의 싸(社)가 있다. = = = 티쩐 = = = 혹몬(Hóc Môn / 旭門) = = = 싸 = = = 바디엠 (Bà Điểm / 婆點) 동타인 (Đông Thạnh / 東盛) 니빈 (Nhị Bình / 二平) 떤히엡 (Tân Hiệp / 新協) 떤터이니 (Tân Thới Nhì / 新泰二) 떤쑤언 (Tân Xuân / 新春) 터이땀톤 (Thới Tam Thôn / 泰三村) 쭝짜인 (Trung Chánh / 中正) 쑤언터이동 (Xuân Thới Đông / 春泰東) 쑤언터이선 (Xuân Thới Sơn / 春泰山) 쑤언터이트엉 (Xuân Thới Thượng / 春泰上) = 핀란드화 = 핀란드화는 큰 나라가 주변의 작은 나라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서독의 정치적 논쟁 중에 나온 말로 경멸스러운 어조를 가지고 있다. 독일과 NATO 국가에서 사용하였던 의미는 한 나라가 자주 독립을 유지하면서, 대외 정책은 주변에 있는 큰 나라를 건드리지 않는 것이다. 냉전 시기의 핀란드와 소련 사이의 관계를 이야기할 때 이 말을 자주 사용하며, 1871년부터 1940년까지 덴마크와 독일 사이의 관계 같은 유사한 상황을 설명할 때에도 사용한다. = = 기원 = = 독일에서는 미국의 정책을 더 많이 따르자고 주장하였던 사람, 대표적으로 프란츠 조세프 슈트라우스가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 독일의 정치학자 발터 할슈타인과 리하르트 뢰벤탈 등에 의해서 널리 알려졌다. 이들은 독일에서 미군이 철수했을 때를 두려워했다. NATO 국가 정상들이 빌리 브란트의 동방 정책을 비판할 때나, 독일이 NATO의 상호주의 전략을 의심할 때 사용하였다. 이후 소련이 해체된 후, 우르호 케코넨 시대의 후반부부터 시작된 1968년 이후 대 소련 정책을 가리킬 때에도 사용한다. = = 핀란드의 인식 = = 핀란드에서는 이 단어가 비판적인 의미를 가지며, 작은 국가가 옆에 있는 문화와 사상이 다른 초강대국과 협상을 하면서, 주권을 유지하는 행위가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은 말이라고 한다. 핀란드화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살아가야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른 쪽에서는 소련의 위협 때문에 핀란드화가 더 가속화되었다고 한다. 핀란드는 1940년대 후반 이오시프 스탈린과도 협상을 했으며, 이는 1991년 소련이 붕괴될 때까지 핀란드의 여러 정당에서 존중하였다. 핀란드의 정치인 및 지식인들은 다른 나라의 외교 정책을 비판할 때 이 단어를 많이 사용하므로, 핀란드인들은 이 단어를 모욕적으로 받아들인다. 때때로 익살스럽게 '서방 세계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동구권과 친하게 지내는 예속'으로 평하기도 한다. = = = 역사적 배경 = = = 핀란드의 외교 정책은 계속 변했다. 1917년 독일 제국의 힘을 빌려서 러시아에서 독립하였을 때,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삼국 협상과 함께 러시아 내전에 선전 포고 없이 참여하였을 때, 1922년 폴란드와 동맹을 맺었을 때, 1930년대부터 1939년까지 중립이었던 스칸디나비아 국가와 노선을 공유했을 때, 1940년 당시 소련에 대항할 수 있었던 유일한 세력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어 1941년 계속 전쟁까지 갔을 때 모두 달랐다. 독일 국방군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졌을 때 핀란드는 19세기 전통으로 되돌아갔다. 핀란드의 지도자들은 소련에 대항할 수 없으며, 핀란드의 입장을 지지하는 국제 세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치 독일은 힘을 잃고 있었고, 스웨덴은 충분히 크지 않았으며 반러시아 정책을 취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들을 제외한 서방 국가들은 소련과 동맹 관계였다. 그래서 핀란드는 주변 강대국의 보호 없이 혼자서 소련과 맞서야만 했다. 19세기에 했던 것처럼, 핀란드는 소련의 대외 정책을 반대하지는 않았으나 독립을 지켰다. = = = 파시키비 독트린 = = = 소련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핀란드는 1947년 파리 조약에서 민주주의와 의회주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 때부터 핀란드의 대외 관계는 소련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의 정책을 따랐다. 이후 1948년 핀란드와 소련은 협정을 체결하였다. 협정에 의하면 핀란드는 독일 및 동맹국의 핀란드 및 소련을 향한 공격에 저항할 의무가 있었고, 필요하다면 소련의 힘을 빌릴 수 있었다. 같은 시기에, 이 협정에 의해서 핀란드는 냉전 시기 중립 국가가 되었다. 이 때문에 핀란드는 마셜 계획에 참가하지 않았고, 소련의 대외 정책에 대해서도 중립을 취했다. NATO 및 서방 군사 세력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바르샤바 조약에 참가하지 않아도 되었다. = = = 소련화 = = = 1968년 이후 정치계의 풍경이 달라지면서, 대중 매체는 소련의 영향을 받았다. 반 소련 매체는 자체 검열되었고, 정치인과 기자들은 2차 대전 당시 소련의 행동이나, 소련의 정치범 억압을 이야기하지 않았다. 공공 도서관 및 서점에서는 반 소련 도서를 유통할 수 없었고, 금서 목록도 관리되었다. 핀란드의 영상물 등급 위원회에서는 반 소련 영화를 금하였다. 당시 금지된 영화는 1962년 존 프랑켄하이머가 감독한 더 만추리안 캔디데이트, 1970년 카스파 뢰데가 감독한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1986년 레니 하를린이 감독한 본 아모리칸 등이 있다. UN 세계 인권 선언에서 보장한 정치적 망명은 러시아인에 대해서는 지켜지지 않았다. 러시아인이 핀란드로 망명하면 망명자들을 소련으로 돌려보내기도 하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집권한 이후에야 핀란드의 대중 매체에서는 소련을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고르바초프가 중앙유럽 국가에 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는 것을 허용하면서, 핀란드를 모델로 제시하였다. = = 비판 = = 미국의 대외 정책 전문가들은 서유럽이나 일본이 핀란드화되어 주요 동맹국들이 반소련 정책을 취하지 않을까봐 두려워하였다. 밴드왜거닝 정책은 미국이 반공 국가를 돕지 않았을 경우 NATO 및 미일 동맹이 붕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핀란드의 외교 담당자들은 "핀란드화"라는 말 자체가 소련과의 겨울 전쟁 및 계속 전쟁에서 거둔 협상자의 위치를 무시한다고 비판한다. = 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코칭스태프 = = 시지키촌 = 시지키촌(志々伎村)은 나가사키현 기타마쓰우라군에 설치된 촌이다. = 704 인테람니아 = 704 인테람니아는 지름 330 km의 F형 소행성으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다.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3.067 천문단위이다. 1910년 10월 2일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빈첸초 체룰리가 발견하였으며, 체룰리가 근무했던 이탈리아 테라모의 라틴어 이름을 따 이름이 붙여졌다. 질량으로는 소행성 중 5번째 ~ 8번째로 큰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 소행성대 질량의 1.2%가량을 차지한다. 15 = 0.0124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거대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한 결과와 엄폐 관측 결과를 종합한 결과, 인테람니아는 이론적으로 자전 주기가 7.6시간인 정역학적 평형을 이룬 천체로, 굳은 이후 충돌로 인해 자전 주기가 변하여 현재의 8.7시간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 = 특징 = = 인테람니아는 5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인 것 치고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7년 이전까지는 모양이나 구성 성분이 알려져 있지 않았고, 광도곡선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전축 기울기도 불명이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거대 망원경이 인터암니아를 관측하여 지름을 332 km로 특정하였고, 베스타와 유사하게 타원 모양임을 밝혀냈다. 밀도 측정치는 구성 성분을 추정하기에는 정밀도가 낮긴 하나,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하는 점과, 세레스와 스펙트럼 특징이 비슷한 점을 통해, 주로 얼음으로 구성된 천체로 보인다. 소행성족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인테람니아에서는 베스타나 히기에이아와 달리 최근 30억 년 동안에 큰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다. 인테람니아는 표면이 어둡고 태양과 멀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다. 근일점 충에서의 겉보기등급도 9.9밖에 되지 않아 베스타보다 40배가량 어둡다. = = 질량 = = 2001년 19 포르투나, 29 암피트리테, 16 프시케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암니아의 질량을 로 추정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2011년에는 로, 2014년에는 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2019년에는 기존의 추정치 21개의 평균을 구해, 질량을 으로 추산하였다. = = 표면 = = 초거대 망원경의 관측 결과에서는 깊은 분지는 보이지 않았다. 얼음질 F형 소행성의 특징으로 보아, 충돌구가 있다면 바닥이 평평할 것으로 보인다.Hanuš et al. 2020 = 호니에우송 다 시우바 바르보사 = 호니에우송 다 시우바 바르보사(, 1995년 5월 11일 ~ )는 호니라고 불리고 있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현재 SE 파우메이라스에서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2014년 클루비 두 헤무에서 데뷔하자마자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우승을 맛본 후 2015년 크루제이루 SC로 이적했다가 2016년 나우치쿠 카피바라비로 임대 이적하여 팀의 2016 시즌 2부 리그 5위의 호성적에 일조했으나 아쉽게도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까지는 이뤄지지 못했다. 그 후 크루제이루와 계약을 해지한 뒤 2017년 1월 9일 일본 J1리그의 알비렉스 니가타와 입단 계약을 체결하며 데뷔 후 처음으로 아시아 무대에 진출했고 입단 첫 해인 2017 시즌 1부 리그에서 7골을 터뜨리며 팀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렸지만 차기 시즌 J2리그 강등까지는 막지 못했고 2018 시즌 종료 후 니가타와의 계약을 해지했다. 1년간의 해외 생활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와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로 이적한 뒤 2020년까지 활동하며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2019년 브라질컵과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우승의 기쁨을 맛보았다. 그리고 2020년 SE 파우메이라스로 이적하여 현재까지 2020년 브라질컵 우승,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 202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의 성과를 거두었다. = = 수상 = = = = = 클럽 = =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 우승 (2014) 코파 수다메리카나 : 우승 (2018) 브라질컵 : 우승 (2019)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 우승 (2019) 브라질컵 : 우승 (2020)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 우승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우승 (2020) = 미카 아르가냐라스 = 미카 아르가냐라스(Mica Argañaraz, 1992년 5월 16일 ~ )는 아르헨티나의 모델이다. = 분류:노르웨이에 거주한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가니스탄 노르웨이 en:Category:Afghan expatriates in Norway = 분류:발해의 관직과 칭호 = = 분류:10세기 대주교 =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09년 = 2009년 문서 관리 요청 색인 목록입니다. __TOC__ = = 2009년 1월 = = 홍석천 문서 보호 요청 위 (전국 시대) → 위 (전국) 진 (위진) → 진 (왕조) 중국사 문서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젼 →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 일본식 돌정원→가레산스이 이동요청 단국대학교의 저작권 침해 부분 특정판 삭제 요청 LG그룹의 역사 연보 사용자 문서 특정판 삭제 요청 카스트제 → 카스트 파리 (동물) → 파리 리가 사그레스 이동 요청 블로거닷컴 → Blogger로 제목 변경 요청합니다 나카우미 → 나카우미 호로의 변경을 요청합니다.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보호 요청. 헤타리아 Axis powers 준보호 요청. 강기갑 문서 편집 충돌 발생 보호 필요해 보입니다. 여러가지 분류:야구 국가대표팀 틀에 분류된 틀 삭제 요청 섬 흑인 여러가지 고구마속을 서양나팔꽃속으로 잘못 이동시켰습니다. 월곡역 (지하철) -> 월곡역 브뤼셀조약 -> 브뤼셀 조약외 심슨 → 심슨 (동음이의) 흉노, 훈족 분류:공해→분류:오염 진짜 사소한 요청 분류:유적 및 유물→분류:유적 채플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파랑 구조대·빨강 구조대 파일:Killer KANG.jpg 긴급삭제 = = 2009년 2월 = = 채플→경당 사용자:RedMosQ 문서 특정판 삭제 및 무기한 준보호 요청 경의선 (1950년) 이동 요청 등 수원 삼성 블루윙즈 보호 요청합니다. 틀:대통령 정보 시안화 수소 → 사이안화 수소 지미 뉴트론->천재소년 지미 뉴트론 만성골수성백혈병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카라 (밴드) → 카라 (음악 그룹)으로 이동 요청 광개토대왕 문서 이동 요청 분류 이동 2건 공기펌프자리 성단 → 공기펌프자리 은하단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준보호 요청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외 사용자:65.0.187.115[2]가 2월 15일 작성한 한줄 문서들 저기.. 성승헌 무기한 준보호 요청 기모노 문서 특정판 삭제 요청 세종대왕함 문서 이동 요청합니다. 오바마 행정부 -> 버락 오바마 행정부 남해문서 추가 보호 요청 우구데이 칸국→오고타이 한국 마산용마고 재신청 흉노 Hoopa8314의 전 기여 부분 제거 요청 ㄴㅇㄻㄴㅇㄹ → 아편 전쟁 2020년 하계 올림픽외 생성 보호 해체 이지투디제이->EZ2DJ JuBeat->Jubeat 위키백과:대문 편집이 필요한 문서 중에서 미국의 미사일 명명법 삭제 요망 헤라클레스의 기둥 국민카드 와 BC카드에 대해 "내부순환로 (부산)" 문서를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으로 되돌리고, "내부순환로 (부산)" 및 "내부순환도로 (부산)" 제목은 넘겨주기로 설정 예스이십사 -> 예스24 이동 요청 마을버스 개별 노선 문서 폴크스바겐 -> 폭스바겐 국가 (정치학)→국가 = = 2009년 3월 = = 갓바위 그림 삭제 요청 (저작권 태그가 없는 그림) 타타르스탄 공화국‎->타타르스탄 토론:엑스박스 360 중재 요청 저작권 위반 문서 삭제 요청 마산용마고가 정식 명칭 연 날리기를 연날리기에, 연날리기에 있던 넘겨주기는 삭제 문서 준보호 요청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ASCII 용의 눈물 문서 보호 요청 엉뚱한 사람 이름이 들어간 표제어 일본국 헌법 문서 특정판 삭제 요청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 문서 보호요청 용의 눈물 문서 재보호 요청 타이완 섬 → 타이완 조르주외젠 오스만->오스만 남작 비씨카드(카드사) -> 비씨카드 ICBM -> 대륙간 탄도 미사일 군주 명 이동 광개토대왕→광개토왕 이동 요청 주오즈샹->루오즈샹 용인 경전철→용인경전철 이동 요청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 기업의 분류를 제작 기업에서 제작사로 바꿔주세요 영국의 웨일스 공 찰스 왕세자 → 찰스 왕세자 고야를 고야 (동음이의)로 이동 요청 필립 공 코메트상 중국 도시명 꼴데 문서에 대한 보호 해제를 요청합니다. 히어로즈 (야구 팀) 문서와 서울 히어로즈 문서를 합쳐 주십시오 란마 1/2->란마 ½ = = 2009년 4월 = = 표제어 이동 하기아 소피아 성당 아민타스 3세 (마케도니아)->아민타스 3세 롯데 자이언츠 문서 보호 요청 에든버러 공작 필립 주 강->주장 강 MBC 뉴스 (500) 보호 요청 쓰키야마 아키히로 문서의 생성 허용 요청 후쿠오카 지하철 명 변경요청 [문서 보호] 후쿠오카 지하철에 대한 문서 보호를 신청합니다. 리노이에 모토히로→ 이경보 팜므 파탈 (문학) → 팜므 파탈 붙여쓰기 지방도 제926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 이동 요청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샌디에이고 파드레 저작권 불분명 자료 삭제 룬문자→룬 문자 송정리역 (광주 도시철도) -> 송정리역 이동 요청. 2달 넘게 토막글 미만 틀 붙은 문서 삭제 요청 박정희문서 보호 요청 날아라 슛돌이 준보호 요청 샤를루이 드 세콩다 몽테스키외→몽테스키외 박헌영 문서 여명의 눈동자 편집 분쟁 장 베델 보카사 → 장베델 보카사 웨일스 공 찰스 왕세자→웨일스 공 찰스 브로콜리너마저->브로콜리 너마저 틀:Info box 대천 나들목 (보령시) -> 대천 나들목 굿모닝FM 오상진입니다 -> 굿모닝FM 키보드 워리어 관련 준보호 요청 분류:실업계 고등학교 -> 전문계 고등학교 "키보드 워리어" 라는 단어에 대해 표제어 이동 웨일스 공 찰스 왕세자 제목 변경 요청 고려대학교 및 고려대 학생 출교 논란 보호 요청 고던 나들목 -> 고덕 나들목 웨일스 공 찰스 왕세자 제목 변경 요청 요시키 (음악가) 준보호 요청 롯데 자이언츠 해제 요청합니다. 웨일스 공 찰스 왕세자→웨일스 공 찰스 공항리무진 제목 변경 키보드 워리어 준보호 요청 대천 나들목 (보령시) -> 대천 나들목 재차 요청 문서 이동 요청 문서 이동 요청 분류:인문계 고등학교 -> 일반계 고등학교 아래 문서들의 이동을 요청합니다 표제어 이동 요청 분류:의사과학 변경 요청 이동 정수성 문서를 정수성 (야구 선수)로 옮겨주세요 고려대학교 보호 요청 빌헬름 폰 프로이센 표제어 이동 요청 하이퍼노바 -> 극초신성 = = 2009년 5월 = = '하이퍼노바' 문서를 '극초신성'이라는 잘못된 용어로 옮긴 것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여명의 눈동자 문서 중재 요청 합니다. 강서구역->강서군 새 브랜드 QOOK에 대해 솔트레이크 시티 -> 솔트레이크시티 성승헌 준보호 문서를 보호 문서로 전환 요청 틀:Info box 삭제 IP (동음이의)->IP 명지외국어고등학교 드림시어터->드림 시어터 제사 문서의 괴편집(?) 방지위한 보호 요청 교명 개칭 사용자토론:Buanosiras/비회원 활동->사용자토론:125.132.155.221 군사 분계선→한반도의 군사분계선 이동 요청 소중화사상 학교명 시난주 (모빌슈트) 삭제 및 신안주 (모빌슈트)->시난주 (모빌슈트)로 이동 요청 그레고어 멘델, 솔트레이크시티 손자→손무, 손자 (동음이의)→손자 홍진호 런던 히드로공항 -> 런던 히드로 공항 김혁 서울 강남구 문서 하위 행정구역 판 수정 요청 김연경과 김연경 (배구 선수) 바오샨 구 ☞ 바오산 구, 장닝 구 ☞ 창닝 구 두산 존 타이터 문서 보호 요청. 알라딘과 마법의 램프 -> 알라딘 표제어 이동 요청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대하여 원희룡 노상방뇨 사건 문서 이동 지진 해일 → 쓰나미 판교역 (한국철도공사) -> 판교역 문서 이동 부탁드립니다. 장안성 문서 이동을 부탁드립니다. 거창군부인 토론:5∙18 광주 민주화 운동 아이리버 문서 보호 요청 위키백과:오늘의 역사/5월 23일 조선 문조 그레이엄의 육각형 복원 요청 문화기술연구→민족지 한나라당 국제 공산주의자 연맹 → 국제주의 공산주의자 연합 챔피언스리그 (동음이의) → 챔피언스리그 조갑제, 변희재 변희재 준보호 요청 조어도 제도 → 센카쿠 열도 일본 천황 정치적 주체→정체 = = 2009년 6월 = = 국가올림픽위원회 → 국가 올림픽 위원회 사용자:Greensoju80님이 올린 사진 검토 요청 분류:군정기를 분류:한국의 군정기로 다음 문서의 조속한 삭제 요청. 위키백과:삭제 토론/어느 기동단 전투경찰대 대장 보호요청 일산 (동음이의)→일산 타이어 (바퀴)→타이어 삼성 뉴SM5 -> 르노삼성 SM5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준보호 요청 원희룡 노상방뇨&주민폭행&파출소 기물 파손 이시다 미쓰나리 문서 보호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보호요청 생명의 말씀사 -> 생명의말씀사 벡터 공간 -> 벡터공간 2MB 생성보호 해제 요청 에프타니소스 공화국 = 일곱섬 공화국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보호요청 도요토미 히데요시‎ 보호 요청 위키백과:알찬 글/대문/리즈 위더스푼 '리대수' 문서를 '리 대수' 문서로 이동 요청합니다. 필요없는 부분에 대해 삭제해주세요. 곽한구 문서 보호 요청 롱아일랜드 섬→롱아일랜드 사용자:RedMosQ 지금 버전 이전 부분 삭제 요청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보호 요청 사용자:khlee560 옛 버전 부분 삭제 요청 페르소나 (동음이의) → 페르소나 동래부 (1895년)→동래부, 청원 (권리)→청원 독수리 오형제를 과학닌자대 갓챠맨으로 옮겨주십시오. 위키백과:오늘의 역사/6월 24일 요코야마 성 (동음이의) → 요코야마 성 웨스트뱅크 → 서안 지구 홍릉·유릉 마이클 잭슨 준보호 요청 대구부 (1910년)→대구부 이동 요청 박정희보호 요청 샤를르 드 골 란마 1/2 → 란마 ½ ㅄ, 병신 준보호 필요 시공탐정 겐시군을 원래대로 복구시켜주세요. 수색역 (지하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색역 (코레일) -> 수색역 이동 요청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준보호 요청 2 '삼각팬티 (남성용)' 제목 변경 진수희 문서 보호 요청 주 강->주장 강 = = 2009년 7월 = =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를 삭제하고 서울 우리캐피탈 ->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 라이선스 문서 보호 요청 한국의 유교 사상→한국의 유교 대성산성 (평양직할시)→대성산성 카드무스 → 카드모스 클로드 빅토르 페랭 -> 벨루노 공작 클로드 빅토르 페랭 윤영하급 고속함 문서 이동 요청 K2 산→K2 서울 공동화 정책→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예산 나들목 -> 예산수덕사 나들목 이동 요청 서울특별시의 축구단 -> 서울 축구로 다시 제목 변경 요청 둥사 군도→프라타스 군도 지우 (포켓몬스터) -> 지우 멘도사 (동음이의)→멘도사 위키백과: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준보호 요청 청해진 사진 포서즈_시스템 보호 요청 단양 시 (전장 시)→단양 시 디노밴 문서 히스토리 삭제 재요청 이동 요청 덕고, 덕고양이, 덕고수호대 보호 요청 지다 (도시)→지다 서희 (고려) 문서 보호 요청 - 이순신 쿠컬린 → 쿠후린 FC 포항 스틸러스 → 포항 스틸러스 구기미야 리에 문서의 보호요청 광명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과학고등학교 보호요청 부산 지하철 2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옥천 옹씨 특삭 요청 토론:광명역 (대한민국)을 토론:광명역으로 이동 요청 분류 이동 요청 주례역 덮어쓰기 코드기어스 재이동 요청 최장호, Crownw 생성 보호 요청 동촌역, 반야월역 농어촌버스로 이동 = = 2009년 8월 = = 스페인 정당명칭 저의 문서인 김트롤이 삭제 되려 하네요 소비에트 블록 → 동구권 판교역 (한국철도공사) -> 판교역 Part. A : Peace Love & Icecream -> Part. A Peace Love & Ice cream Remixing the human soul→Remixing the Human Soul 김대중 문서의 준보호를 요청합니다. 뉴 양키 스타디움 -> 양키 스타디움 과달라하라 (멕시코) 장 베델 보카사 밤을 잊은 그대에게와 밤을 잊은 그대에게 소유진입니다 문서 정리 요청 안혜왕후→안혜태후, 왕석→정성군 국악고등학교 틀:GFDL-self 태조대왕→태조왕 문서 이동 부탁드립니다. 문화 유씨 (유차달) → 문화 유씨, 제주 양씨 (양을나) → 제주 양씨 문서 박정희 보호 요청 허경영 준보호 요청 '강만수' 문서 관련 보호 요청 Gackt → 각트로 이동요청 친일파 매국노 문서 보호 요청 경대 (가구) -> 경대로 이동 요청 경대 농어촌버스로 이동 (재요청) 홋카이도 니혼햄 파이터스 긴급 특정판 삭제 요청 마비노기 영웅전 문서 준보호 요청 온양읍 문정왕후 뉴타입 (건담) 문서의 뉴타입 으로 이동 원작이 대표 문서가 되어야 함. = = 2009년 9월 = = 삭제 토론의 종결과 관련하여 GTO (만화) → 반항하지마, GTO (드라마) → 반항하지마 (드라마) BoA (음반) 문서를 BoA로, 장진영 (배우)를 장진영으로 이동 요청 2012년 문서 준보호 요청 유일한 명칭 아티키와 아티키 주 (그리스 지명) 포서즈 시스템 보호 요청 삼릉역 토론:2PM '인민행동당 (싱가포르)'를 '인민행동당'으로 옮겨주십시오. 에이엔 (음반) → 에이엔/UNIVERSE feat.Crystal Kay & VERBAL(m-flo) /Believe in LOVE feat.BoA 토론:2PM 팬분들의 유입 대한민국 보호요청 Gackt -> 각트 로 이동 요청 박정희문서 분쟁 야마나시 역 -> 야마나시 시 역으로 이동 요청 문서 생성 보호요청 교의품 복원 요청 사용자 문서 플랜더스의 개 (소설)→플랜더스의 개 존 윌리엄스 (작곡가) 멕시코 시→멕시코시티 반송선을 부산 도시철도 4호선으로 Heartbreaker, G-드래곤 준보호 요청 문서 박정희 보호 요청 하나로카드 문서 재재요청 과학닌자대 갓챠맨으로 바꾸는게 좋을 듯 하네요. 틀 추가 양 원제 사어 (死語) 하나은행문서에 대한 경고를 주셨으면 합니다. 홍정욱 문서에 대한 준보호를 했으면 합니다 각 프로야구단의 문서 오류 김재박, 박용택 보호 요청 포켓몬스터‎ 보호 요청 하시시→해시시 박용택 트라시메누스 호수 전투 삭제 처리 → 트라시메누스 전투 '레옹 블륑'을 '레옹 블룸'으로 옮겨주세요 SBS 드라마플러스 문서 재이동 요청 브라이언 퓨리 준보호 요청 = = 2009년 10월 = = 모든 들머리의 준보호 요청 '최원의' 문서의 준보호 신청합니다. 고양시내버스 360번 → 파주시내버스 360번 변경 요청 강호순 준보호 요청 삭제 토론 종결 요청 - 칼뱅의 해석학 삭제 토론 종결 요청 - 애국주의 표제어 생성 보호 삭제 토론 종결 및 삭제 요청 - 일본기원설 유이 (김유진) 나주 성모 발현설 준보호 또는 보호 요청 엘렉트라 (그리스 신화)를 엘렉트라로 한성대학교 준보호 요청 노량진역 (한국철도공사) → 노량진역 (지상) 아세안 자유무역지역 → 아세안+3 박정희와 신동아 틀:한국의 라면 → 틀:대한민국의 라면 이동 요청 서울시의회 남산고 김정은 한성대학교 준보호 2차 요청 2018&2022년 월드컵, 2022년 동계올림픽 문서 주시해제 부탁드립니다.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문서 보호 요청 나주환 문서 보호 요청 취리히 연방공과 대학교 →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이동 요청 부산 개성중 학생사망사건 Flumpool→플럼풀 이동신청 키르키스스탄의 국기, 국장 → 키르기스스탄의 국기, 국장 이동 신청 뉴스와 경제 → MBC 뉴스와 경제 이동 요청 시스루룩, 파워숄더 문서 관련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보호요청 'G20 공업화 국가' → 'G20' 이동 요청 분류:미국의 축구팀 이동 요청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이동 요청 뉙스를 닉스 (신화)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보호 요청 부산 개성중 학생사망사건 준보호 요청 안티 닉스 문서와 닉스 (청바지업체) 문서가 삭제토론없이 삭제되었는데 복구시켜주시거나 삭제토론에 붙여주십시오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준보호 요청 워크래프트 III: 혼돈의 시대 국민은행 → KB국민은행 이동 요청 211.115.156.195, 58.237.1.30이 작성한 문서의 작성자 변경 요청 인왕초의 습격 등 국제연합일 → 국제 연합일 재벌 국제고정력 → 국제 고정력 송암스님복구 요청 희방사역 → 소백산역 부산 개성중학교 폭행치사사건보호요청(재) Pretty Girl (노래) → Pretty Girl(2nd Mini Album) 이천군 명씨에 관한 문서 관리 요청 워크래프트 2 관련 문서 이동 요청 수련 (식물) → 수련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사용자:Chasj의 기여 롤백 혹은 특정판 삭제 요청 국민카드문서를 KB카드로 이동해 주세요. 준보호 요청합니다. 김영구 코리아와이즈넛 → 와이즈넛 보아뱀을 보아과로 가수 김국환이 둘이 있는데요 = = 2009년 11월 = = 후제스탄 → 후제스탄 주 변경 요청 리드자 보호해제 부탁합니다. 그리스의 현 일부 문서 이동 개성고등학교 준보호요청 G-드래곤 엄재경 Gackt→각트로 이동 신청 팀 호튼 & 팀 호튼 (기업) 뉴욕대 문서 이동 요청 게이볼그 서울 히어로즈 (야구 팀) → 서울 히어로즈 루저, 홍대녀 긴급 생성 보호 요청 Loser 문서도 생성 보호 요청 SK 와이번스 관련 이규서 문서의 잠금해제를 요청합니다 홍익대학교 문서도 보호 요청 ㄱ-;;; 강만수 2PM 준보호 요청 이호 (축구 선수) → 이호 (1984년) 변경 요청 서부역사 → 서부역 양천군 등 이씨 스파잉 → 간첩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THE END OF EVANGELION 에어/진심을, 너에게 특정판 삭제 신청 요청 문서 보호 요청 이천군 (동음이의) → 이천군 + 문서 보호 요청 코드 기아스 → 코드 기어스 이동 요청 도형 입력판 → 태블릿 이동 요청 대청 해전 → 대청해전 영일군, 영풍군 (경상북도) '최원의' 문서 잠금 해제 요청 '최우석' 문서 복구 강력요청 틀: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컵 미국 선수 명단 → 틀: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미국 선수 명단 변경 요청 진중권 보호 요청 박정희 문서 다케시마 (동음이의) → 다케시마 허 현 준보호 요청 및 특정 히스토리 삭제 국제고정력 → 국제 고정력 2010년 FIFA 월드컵 문서 준보호 요청 틀:에버튼 FC 선수 명단 → 틀:에버턴 FC 선수 명단 변경 요청 링딩동 러브히나 → 러브 인 러브 빨갱이 (물고기)를 빨갱이로 이동 요청 토론중에 있는 문서. 넓이 우선 탐색 → 너비 우선 탐색 넘버락 → 넘버 락 폴의 미라클 대작전 → 이상한 나라의 폴 슈퍼 마리오 더 로스트 레벨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 특정 문서 보호 요청합니다 플랜더스의 개 (소설) → 플랜더스의 개 ‘개신교의 예배’, ‘삭제부탁’ 두 문서 삭제 부탁 MISSHA 계백, 황산벌 전투 준보호 요청 '김대중' 항목의 준 보호 요청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교육/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교육 →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교육/학교 도쿄 (정의) → 도쿄 초식남 문서 복구 요청 르노삼성 SM5와 삼성 SM5 = = 2009년 12월 = = 동대문운동장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KB카드(국민은행) → KB카드 파픈 뮤직 → 팝픈뮤직 고려대학교 및 이와 관련된 문서 보호 요청 삭제 토론 종결 및 관련 문서 삭제 요청 이런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안트베르펜 → 앤트워프 인물 보아 문서 관리 재 요청 질문방 준보호 요청 오타 심페이 빠른 삭제 및 생성 보호 요청 나경민 → 라경민 몬터레이 공과대학교 → 몬테레이 공과대학교 변경 요청 영풍군 이천군 현 → 군 재요청 철도승차권 위탁발매소 → 갑종위탁발매소 KBS 가요대제전 → KBS 가요대축제 아나르코 생디카리즘 → 아나르코 생디칼리즘 애프터스쿨 (음악 그룹)→애프터스쿨 광주시 (경기도) → 광주시 국립과학표준연구소→국립표준기술연구소 남원군 (1914년 이전) → 남원군 공화 주의 → 공화주의 대한민국의 대중가요 → K-pop 운동과 심리 광주시 문서 보호 요청 G-드래곤 준보호 요청 광주시 (경기도) → 광주시 재요청 대통령과의 대화 (이명박) → 대통령과의 대화 롯데월드 준보호 요청 이천군 2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 고교평준화 오스만 제국의 국장 넘겨주기 해제 요청 도쿄 (도시) → 도쿄 (구) 대구선 → (구)대구선 도쿄 지하철 5호선 도자이 선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하씨 당진상주고속도로 → 당진영덕고속도로 이동 요청 남부연합 - 띄어쓰기 마술 (기술)→마술 대장정→장정 가자 시→가자 넷피아 준보호 내지는 보호 요청 노재환 (1961년) 문서 생성 보호 요청 HLKZ-TV → 대한방송 이동 요청 박정희 문서 보호 요청 '분류:진양 하씨' 보호 요청 진안군 피아퐁 → 피아퐁 푸에온 변경 요청 빵꾸똥구 → 빵꾸똥꾸 에마르사 → 에마르 프로퍼티스 잉카제국 -> 잉카 제국 = 오지의 마법사 = 오지의 마법사는 2017년 7월 30일부터 2018년 5월 27일까지 방송되었던 예능 프로그램이다. = = 출연자 = = 김태원 김수로 윤정수 엄기준 최민용 김진우 (위너) 한채영 에릭 남 돈 스파이크 = = 시청률 = = = = = 2017년 = = =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전국) 1 7월 30일 5.2% 5.1% 2 8월 6일 5.9% 6.2% 3 8월 13일 5.7% 5.8% 4 8월 20일 6.0% 7.5% 5 8월 27일 4.9% 6.3% 6 9월 3일 5.5% 5.9% 7 11월 19일 6.1% 5.8% 8 11월 26일 6.5% 6.9% 9 12월 3일 5.2% 5.6% 10 12월 10일 6.3% 7.2% 11 12월 17일 7.3% 6.3% 12 12월 24일 8.3% 8.8% 13 12월 31일 5.9% 5.3% = = = 2018년 = = =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전국) 14 1월 7일 6.8% 7.0% 15 1월 14일 7.2% 6.6% 16 1월 21일 7.3% 6.3% 17 1월 28일 7.6% 6.7% 18 2월 4일 7.4% 7.9% 19 2월 25일 7.3% 7.2% 20 3월 4일 7.4% 6.0% 21 3월 11일 7.8% 6.6% 22 3월 25일 8.1% 6.3% 23 4월 1일 7.2% 6.2% 24 4월 8일 6.4% 5.8% 25 4월 15일 6.2% 5.4% 26 4월 22일 6.8% 5.7% 27 4월 29일 5.6% 5.9% 28 5월 6일 5.1% 4.5% 29 5월 13일 5.7% 4.5% 30 5월 20일 5.4% 5.0% 31 5월 27일 5.0% 5.0% = =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 = 일요일이 좋다 런닝맨 (경쟁 프로그램) 집사부일체 (2부 프로그램) 해피선데이 슈퍼맨이 돌아왔다 (1부 프로그램) 1박 2일 (경쟁 프로그램) 일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1부 프로그램) = = 참고 사항 = = 2018년 이후부터 인기가 갈수록 떨어지자,《집사부일체》에 밀려서, 시청률이 너무 저조하여 폐지하였다. = =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 = = = = 2017년 = = = 9월 10일 ~ 11월 12일 : MBC 파업으로 인한 결방 = = = 2018년 = = = 2월 11일 ~ 2월 18일 :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3월 18일 : 평창 패럴림픽 폐막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분류:1879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 권오현 (뮤지컬 배우) = 권오현(1992년 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가수다. 2020년 싱글 앨범 [Music of the Gangwon pt.1 하늘에 바람에]로 데뷔했다. = = 방송 = = 더블 캐스팅 (2020) - Top24 = = 음반 = = Music of the Gangwon pt.1 하늘에 바람에 (2020) 만월 (2022) = = 공연 = = 영웅 (2017) 햄릿:얼라이브 (2017) 맨 오브 라만차 (2018) 지킬 앤 하이드 (2018) 이육사 (2019) = 분류:기원전 911년 = = 대법사 = 대법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대법사 -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안금리 98 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 대법사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 산 50-6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 = 전북특별자치도부안교육지원청 = 전북특별자치도부안교육지원청(全北特別自治道扶安敎育支援廳, )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을 관할하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산하의 교육지원청이다. 교육장은 장학관으로 보한다. = = 산하 기관 = = = = = 초등학교 = = = 격포초등학교 계화초등학교 곰소초등학교 동북초등학교 동진초등학교 백련초등학교 valign="top" 백룡초등학교 백산초등학교 변산초등학교 부안남초등학교 부안동초등학교 부안초등학교 valign="top" 상서초등학교 영전초등학교 우덕초등학교 위도초등학교 식도분교 valign="top" 주산초등학교 줄포초등학교 창북초등학교 하서초등학교 행안초등학교 = = = 중학교 = = = 계화중학교 낭주중학교 백산중학교 변산서중학교 valign="top" 변산중학교 보안중학교 부안중학교 삼남중학교 valign="top" 상서중학교 위도중학교 주산중학교 줄포중학교 valign="top" 하서중학교 = 도원리 = 도원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도원리(桃源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도원리(桃院里)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桃源里)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도원리(桃源里)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 도원리(桃源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도원리(桃源里)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도원리(挑源里)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도원리(桃源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도원리(桃源里)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桃源里) = 루스 마사카게 = 루스 마사카게(, 1549년 ~ 1607년 2월 28일)는 일본 센고쿠 시대, 에도 시대의 인물이다. 루스 가문의 18대 당주이며, 미즈사와 다테 가문의 초대 당주이다. 에도 시대 이후로는 다테 마사카게로도 불린다. 다테 가문의 15대 당주 다테 하루무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567년, 루스 가문 일부 가신들의 요청과 하루무네의 정략으로 인하여 루스 아키무네의 양자가 되어, 아키무네가 반강제로 은거한 상태에서 루스 가문의 대를 잇게 되었다. 이에 루스 가문의 일족과 중신인 무라오카 가문, 아마루메 가문이 마사카게의 가독 계승에 반발하였으나, 마사카게는 이들을 진압하고 형 데루무네와 조카 마사무네를 보좌하여 각지의 전투에서 활약하며 본가의 세력 확대에 공헌하였다. 일족인 관계로 다테 가문 당주를 대신하여 총대장을 맡기도 하였다. 1588년 오사키 전투에 참여하였으나, 다테 가문의 가신이자 마사카게의 장인인 구로카와 하루우지가 배신하면서 패전을 겪었다. 1591년, 오다와라 전투에 참전하지 않은 탓에 가문의 영지를 몰수당하였고, 이후 다테 가문으로 돌아와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출병하였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도 참전하여 모가미 가문을 구원하기 위해 우에스기 가문과 싸웠다. 이러한 공로로 성(姓)을 '루스'에서 '다테'로 되돌리는 것을 허락받았고, 1604년에는 마사무네로부터 이치노세키 2만 석 영지를 부여받아, 훗날의 미즈사와 다테 가문의 기초를 닦았다. 1607년 병사하였고, 맏아들 무네토시가 가독을 이었다. = 지목 = 지목(地目)은 필지의 목적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지번 앞에 붙어 행정상 분류가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각 국가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며, 대한민국의 경우 28개의 지목이 있다. 대지, 밭, 수로 등의 지목이 전세계적으로 존재한다. = = 대한민국의 지목 = =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28개 지목 밭 전 철도용지 철 대지 대 공원 공 논 답 하천 천 공장용지 장 체육용지 체 과수원 과 제방 제 학교용지 학 유원지 원 목장용지 목 구거 구 주차장 차 종교용지 종 임야 임 유지 유 주유소용지 주 사적지 사 광천지 광 양어장 양 창고용지 창 묘지 묘 염전 염 수도용지 수 도로 도 잡종지 잡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28개의 지목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2002년 확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오는 것이다. 지목의 역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 ~ 1950년 : 18개 종목으로 구분 당시의 지목은 전, 답, 대, 지소, 임야, 잡종지, 사사지, 분묘지, 공원용지, 철도용지, 수도용지, 도로, 하천, 구거, 제방, 성첩, 철도선로, 수도선로 1951년 ~ 1975년 : 21개 종목으로 구분 당시의 지목에서 지소가 지소와 유지로, 잡종지가 잡종지와 염전, 광천지로 구별되어 2개의 지목이 5개로 늘었다. 1976년 ~ 2001년 : 24개 종목으로 구분 과수원, 목장용지, 공장용지, 학교용지, 운동장, 유원지 종목이 새로 신설되었다. 철도용지와 철도선로가 합쳐져 철도용지가 되었고, 수도용지와 수도선로가 합쳐져 수도용지가 되었다. 유지와 지소는 다시 합쳐져 유지가 되었다. 공원지가 공원으로, 사사지가 종교용지로, 성첩이 사적지로, 분묘지가 묘지로, 운동장이 체육용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2년 ~ : 28개 종목으로 구분 유지가 유지와 양어장으로 분리되었다. 잡종지가 잡종지, 그리고 주차장, 주유소용지, 창고용지로 분리되어 28개 지목이 되었다. 지목은 지번의 뒤에 붙어 지적도 상에서 구별된다.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5-1사와 같은 형태로 지적도 상에 기록된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사격 = 2018년 아시안 게임 사격 종목은 2018년 8월 18일부터 27일까지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개최된다. 경기는 자카바링 스포츠 시티에 위치한 자카바링 국제 사격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사격의 세부종목이 20개 종목으로 대폭 축소되었다. 먼저 남녀 단체전이 모두 사라졌고, 남자 50m 권총과 남자 50m 소총 복사, 여자 50m 소총 복사 등의 종목도 제외되었다. 다만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제외된 더블트랩 종목은 살아남았다. = = 메달리스트 = = = = = 남자 = = = 10m 공기소총 10m 공기권총 10m 러닝타겟 10m 러닝타겟 혼합 25m 속사권총 50m 소총 3자세 300m 스탠다드 소총 트랩 더블트랩 스키트 = = = 여자 = = = 10m 공기소총 10m 공기권총 25m 공기권총 50m 소총 3자세 트랩 더블트랩 스키트 = = = 혼성 = = = 10m 공기소총 뤼사오취안린잉신 양하오란자오뤄주 라비 쿠마르아푸르비 찬델라 10m 공기권총 지샤오징우자위 김민정이대명 레틸린찌쩐꾸옥끄엉 트랩 라이 바실알렌 무사 리이쥔양쿤비 두위왕샤오징 = 신민아 (가수) = 신민아(1998년 8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 학력 = = 경인여자대학 실용음악과 (중퇴) = = 앨범 = = 2020 발매앨범아이러브 EP 앨범 [아이러브 뽀로로] 2019 발매앨범아이러브 싱글 앨범 [문을 열어줘] 2019 발매앨범아이러브 싱글 앨범 [Got It] 2019 발매앨범아이러브 싱글 앨범 [피페이송] = = 경력 = = 2019 그룹 '아이러브' 멤버 2019 사단법인 대한민국국가대표선수협회 홍보대사 = Papercut = Papercut는 2001년 6월 18일에 발매된 린킨 파크의 노래이다. 워너 브로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몰타의 대통령 = = 부정논리합 = 부정논리합(否定論理合)은 주어진 복수의 명제가 모두 거짓인지 보는 논리 연산이다. NOR라고도 한다. = = 특징 = = 일반적으로 NO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NOR B = NOT (A OR B) = = = 진리표 = = = 명제 P 명제 Q P NOR Q 참 참 거짓 참 거짓 거짓 거짓 참 거짓 거짓 거짓 참 = = = 응용 = = = 일반적으로 논리 연산은 논리곱(AND), 논리합(OR), 부정(NOT)의 구성으로 표현 가능하다. 하지만, NOR만으로도 모든 논리 연산을 표현할 수 있다. AND, OR, NOT 역시 NOR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NOT A = A NOR A A AND B = ( NOT A ) NOR ( NOT B ) = ( A NOR A ) NOR ( B NOR B ) A OR B = NOT ( A NOR B ) = ( A NOR B ) NOR ( A NOR B ) = 한응성 의병장 충의비 = 한응성 의병장 충의비(韓應聖 義兵將 忠義碑)는 전라남도 순창군 인계면 노동리에 있는 충의비이다. 2019년 1월 30일 순창군의 향토문화유산(유형) 제1호로 지정되었다.순창군 고시 제2019-14호, 순창군 향토문화유산 지정 고시, 순창군수, 2019-01-30 = = 지정 사유 =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창의하여 제2차 금산성 전투에서 조헌(趙憲, 1544~1592)과 함께 왜군과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한응성(韓應聖, 1557~1592) 의병장을 이조참의(吏曹參議)로 추증하고, 정려를 하사한 충의비이다. 조선시대 순창의 유교 선비문화와 충절, 호국 정신을 구현하는 문화유산으로서 역사상, 학술상 가치가 입증된 자료로 판단된다. = 대한민국의 교통 사고 = 다음은 대한민국의 교통 사고에 관한 발생한 것으로 자동차 중심의 가치 판단으로 법규 위반에 의한 사고에 대해 고의범이 아닌 과실범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보니 처벌 수위가 낮아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2018년 한국교통안전공단 안전연구처가 인체모형을 이용해 진행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시속 60km로 주행하는 자동차가 보행자와 충돌했을 때 보행자가 크게 다칠 가능성은 92.6%다. 자동차 속도가 시속 30km로 줄어들면 보행자가 크게 다칠 가능성은 15.4%로 급격히 줄어든다. 특히 속도가 빠르면 충돌 시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져 사망 확률도 80% 이상으로 커졌다. = = 역사 = = 1899년 5월 26일에 한성부 종로 2가 근처에서 운행되는 전차 앞을 지나가던 아이가 차에 치여 목숨을 잃었다. 1924년 종로경찰서 관내에서 교통사고는 94건(사망 3건 중상 11건 경상 80건) 법규 위반은 9200여 건이다1925년5월20일 동아일보 = = 통계 = = 다음과 같다.교통사고통계 변화 및 추세 - 경찰청 년도 사고건수 사망자수 부상자수 보행자 사망 1970년 37,243건 3,069명 42,830명 1975년 58,323건 3,800명 61,092명 1980년 120,182건 5,608명 111,641명 1985년 146,836건 7,522명 184,420명 1990년 255,303건 12,325명 324,229명 1995년 248,865건 10,323명 331,747명 2000년 290,481건 10,236명 426,984명 2005년 214,171건 6,376명 342,233명 2010년 226,878건 5,505명 352,458명 2011년 221,711건 5,229명 341,391명 39.1% 2012년 223,656건 5,392명 344,565명 37.6% 2013년 215,354건 5,092명 328,711명 38.9% 2014년 223,552건 4,762명 337,497명 40.1% 2015년 232,035건 4,621명 350,400명 38.8% 2016년 220,917건 4,292명 331,720명 1,714명 2017년 216,335건 4,185명 322,829명 1,675명 2018년 217,148건 3,781명 323,036명 1,487명 2019년 229,600건 3,349명 341,712명 1,302명 2020년 209,654건 3,081명 1,093명 2018년 사망자가 4천 명 이하로 내려온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이는 2018년 정부가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 박용철 (항공 조종사) = 박용철(, 1950년 9월 20일~1997년 8월 6일)은 지난 1986년 12월 당시에, 공군 예비역 소령 계급으로 전역을 한 후, 대한민국의 민간 항공 비행 경력 10년간 활약을 한, 항공 조종사였던 이였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1986년 12월에 예편한 공군 예비역 소령 출신인 그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의 사천에서 출생하여 1973년 경남대학교의 행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1975년 강원대학교 대학원의 전기공학과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75년 공군 조종 간부 14기로써 공군 소위로 임관, 이후 군복무 중이던 1981년 8월에 상지대학교의 경영학과에서 학사 학위(1978년 입학)를 받았으며 1984년 2월, 국방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그는 1975년 공군 조종 간부 14기로 입대, 비행안전장교 등으로 복무하다 1986년에는 공군참모총장이 수여하는 우수조종사상을 받기도 했다. 동년(1986년) 12월 소령으로 예편한 뒤 이듬해인 1987년 11월 2일, 경력 관련 합격으로 대한항공에 입사했다. 1989년에는 항공사가 우수기장에 수여하는 웰덴(Welden)상과 비행안전상을 받았다. 1992년 기장이 됐고 1995년부터 보잉 747기를 조종하기 시작했다. 1997년 8월 6일 발생한 대한항공 801편 추락사고의 사고기 기장이었으며, 그 역시 이 사고로 사망했다. 1997년 8월 사고시점까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내발산동 자택에서 거주했으며 슬하에 2명의 자녀(아들, 딸)를 두었다. = = 학력 = = 1973년 경남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1975년 강원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1977년 공군방공포병학교 졸업 1981년 상지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1984년 대한민국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 분류:1813년 독일 = = 분류:몰타의 유적 = = 히가시우라역 = 히가시우라역은 일본 아이치현 지타군 히가시우라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 기누우라 임해 철도의 철도역이다. 다케토요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기누우라 임해 철도 헤키난 선 등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한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 = = 여객 = = =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연도 승차인원 1950년도 951 1963년도 1,383 1976년도 1,301 1989년도 1,101 2002년도 1,566 1951년도 1,106 1964년도 1,313 1977년도 1,312 1990년도 1,294 2003년도 1,572 1952년도 1,118 1965년도 1,389 1978년도 1,280 1991년도 1,495 2004년도 1,583 1953년도 1,093 1966년도 1,405 1979년도 1,308 1992년도 1,591 2005년도 1,639 1954년도 1,058 1967년도 1,307 1980년도 1,217 1993년도 1,610 2006년도 1,686 1955년도 1,046 1968년도 1,181 1981년도 1,160 1994년도 1,666 2007년도 1,757 1956년도 1,178 1969년도 1,050 1982년도 1,135 1995년도 1,688 2008년도 1,800 1957년도 1,313 1970년도 1,011 1983년도 1,174 1996년도 1,702 2009년도 1,766 1958년도 1,312 1971년도 950 1984년도 1,104 1997년도 1,620 2010년도 1,779 1959년도 1,342 1972년도 891 1985년도 1,089 1998년도 1,572 2011년도 1,772 1960년도 1,501 1973년도 1,053 1986년도 1,029 1999년도 1,548 2012년도 1,772 1961년도 1,409 1974년도 1,180 1987년도 959 2000년도 1,557 1962년도 1,342 1975년도 1,263 1988년도 1,017 2001년도 1,558 = = = 화물 = = = 연도 발송 도착 연도 발송 도착 1950년도 2,588 8,836 1955년도 830 4,483 1951년도 2,934 9,655 1956년도 1,152 7,151 1952년도 1,049 7,267 1957년도 1,932 5,345 1953년도 1,905 6,317 1958년도 332 4,544 1954년도 993 22,284 1959년도 673 4,288 = = = 하물 = = = 연도 발송 도착 연도 발송 도착 1972년도 2,730 4,827 1978년도 2,109 1,764 1973년도 2,508 5,509 1979년도 2,149 2,059 1974년도 2,659 504 1980년도 2,116 2,065 1975년도 2,179 576 1981년도 1,483 2,072 1976년도 2,026 654 1982년도 753 1,885 1977년도 2,079 812 1983년도 381 1,189 = = 역 주변 = = 히가시우라 토건 기누우라 항 국도 제366호선 = = 역사 = = 1933년 12월 7일 : 다케토요 선 오가와 · 가메자키 간에 오와리이쿠지역을 신설. 1934년 8월 22일 : 오와리이쿠지 · 가메자키 간에 후지에역을 신설. 양 역과도 여객만을 취급하였다. 다만, 제한이 있어, 다케토요 선과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 오카자키역 · 기후역 간의 각 역 및 도카이도 본선 하마마쓰역 · 도요하시역 · 가마고리역, 간사이 본선 구와나역 · 욧카이치역을 발착하는 여객으로 제한 취급되었다. 1939년 7월 21일 : 양 역과도, 상기 각 역을 더해서 주오 본선 오조네역 · 지쿠사역 · 쓰루마이역을 발착하는 여객 취급도 개시. 1944년 11월 11일 : 히가시우라역 개업, 그것에 수반해 오와리이쿠지 역 · 후지에 역 폐지. 여객 취급만으로, 상기 취급 제한도 더해졌다. 1947년 11월 21일 : 하물의 취급을 개시. 여객 취급 구간의 제한은 폐지. 1948년 10월 1일 : 소형급 화물과 차급 화물의 취급을 개시. 1960년 1월 15일 : 화물의 취급을 전체 폐지. 1977년 5월 25일 : 기누우라 임해 철도 헤키난 선이 개업. 1984년 2월 1일 : 하물의 취급도 폐지.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도카이 여객철도가 승계. 1992년 11월 : 미도리노마도구치 영업개시. 2001년 2월 11일 : 다케토요 선이 열차 집중 제어장치 도입. 그 이전은 히가시우라 역에서 다케토요 선의 신호기나 분기기를 원격 조작하였다. 4월 1일 : CTC 도입에 수반해, 역장의 배치를 폐지. 2006년 11월 25일 : TOICA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2013년 10월 1일 : '집중 여객 서비스 시스템' 도입에 의해, 무인화. 2014년 3월 14일 : 배리어 프리 설비가 완료되어, 새로운 엘리베이터나 다기능 화장실의 설비가 사용가능하게 되었다. = 에두아르드 리모노프 = 에두아르드 리모노프(Эдуард Лимонов, 1943년 2월 2일 ~ 2020년 3월 17일)는 러시아의 유명 작가이자 정치인이다. 본명은 에두아르드 베니아미노비치 사벤코(Эдуард Вениаминович Савенко). 작가로서는 <It's Me Eddie(1979)> , <Anatomy of a Hero(1995)>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그의 작품 중 몇몇은 프랑스와 미국 등지에서 베스트 셀러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미국과 프랑스에서 작가로 활동하다 소련이 해체되고 귀국하여 민족 볼셰비키당을 창당, 당이 비합법화된 2007년 이후에도 정치활동을 계속하며 정권 탈환을 노렸지만, 결국 사망했다. = = 생애 = = 1943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다. 독서를 장려한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여러 문학 작품을 탐독하며 시인의 꿈을 키웠다. 청소년 시절에는 동네의 불량배들과 어울리며 각종 범죄와 기행을 저지른 끝에 정신병원에 수감되기도 했는데, 그의 재능이 썩는 것을 안타까워 한 의사의 소개로 하리코프 시의 '제 41 서점'에서 한동안 근무하게 된다. 이 서점은 사실 러시아의 언더그라운드 시인들이 자신들의 회합장소로 사용하는 곳이었고, 리모노프 역시 이들과 함께 어울리며 지낸다. 1974년 미국으로 이주한 그는 뉴욕에 정착해 러시아 출신 이민자들과 함께 지내며 러시아어 신문의 교정자로 일했다. 그는 또한 트로츠키주의를 신봉하는 그룹인 '사회주의 노동자당(Socialist Worker's Party)'의 일원이기도 했는데, 소련 출신의 공산주의 정당 당원이라는 사실 때문에 스파이라는 오해를 받아 FBI에게 지속적으로 시달려야 했다고 한다. 1980년, 에두아르드는 그의 첫 장편소설인 'It's Me Eddie'를 출판하기 위해 프랑스로 이주.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오르게된다. 1987년, 미하엘 고르바초프 치하의 자유화 분위기에 의해 리모노프의 소련 시민권이 복원되자 그는 부인인 나탈리아 메드베데바(Natalya Medvedeva)와 함께 조국으로 돌아온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자 그는 알렉산드르 두긴과 함께 민족 볼셰비키당을 창당. 소비에트 제국의 부활을 위한 대중운동을 이끌어갈 지도자로 부각되었다. 나치와 볼셰비즘, 펑크 무브먼트의 매력적인 상징들을 조합한 이 새로운 운동은 청년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불러 일으켰고, 90년 대 후반에는 러시아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가진 반체제 정당으로 성장했다. 2007년 당이 불법화 됨에 따라, 리모노프는 '다른 러시아(Other Russia)'라는 정당을 창당하고 지도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3월 17일 향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작품 성향 = =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의 작품들은 대체적으로 본인의 실제 체험에 근거한, 허구가 포함된 회고록의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냉소주의에 기반한 그의 작품 스타일은 그가 청년 시절에 느꼈던 상대적 박탈감과 열등의식, 사디즘적 성향, 파괴적인 본능 등을 도덕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풀어낸 작품으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 = 정치 사상 = = 그는 서방의 언론으로부터 종종 파시스트로 묘사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나, 실제로는 좌파 민족주의에 가까운 정치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의 대통령 출마 선언문을 보면, 에너지관련 기업들과 건설업의 국유화, 자본의 국외 유출 금지와 물가 동결 등의 좌파적 의제들이 러시아 민족주의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학규 = 학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학규(學規)는 학과의 규칙을 뜻한다. = = 가공 인물 = = 프리즌의 등장인물 마담 뺑덕의 등장인물 소리꾼의 등장인물 시실리 2km의 등장인물 슈퍼맨 일지매의 등장인물 = 에리카 살루매에 = 에리카 살루매에(, , 1962년 6월 11일 ~ )는 소련과 에스토니아의 사이클 선수이다. 올림픽에서 여자 사이클 스프린트 2연패를 달성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또한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세계 기록을 15번 갱신했다. = = 생애 = = 살루매에는 패르누에서 태어났으며, 탈린의 VSS 칼레프에 입단하여 훈련을 받았다. 1983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198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여자 스프린트 종목과 여자 5000m 독주 종목에서 프랑스의 이자벨 니콜로소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포인트 레이스 종목에서는 니콜로소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8년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열린 올림픽에 소련 대표 선수로 참가, 스프린트 종목에서 출전했다. 살루매에는 예선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으며, 결선에서 동독의 크리스타 루딩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에스토니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에는 에스토니아 국적을 취득했다. 1992년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올림픽에 에스토니아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스프린트 종목에서 독일의 아네트 노이만을 꺾고 지난 서울 올림픽 대회에 이어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 이후 1995년 콜롬비아의 보고타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프랑스의 펠리시아 발랑제와 러시아의 올가 슬류사레바의 뒤를 이어 스프린트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국의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스프린트 종목 6위를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에스토니아 스모 협회 부회장(1997~1998), 에스토니아 문화 기부 재단의 체육 부서 직원(1999~2001), 에스토니아 학생 체육 협회 회장(2005~2011), 에스토니아 페탕크 협회 부회장(2006~2009) 등의 에스토니아 체육 관련 요직을 지냈고, 현재는 스페인에 거주하고 있다. = 진평부정 = 진평부정 이승경(晋平副正 李承慶, 1598년 ∼ 1658년)은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익성군 이향령(益城君 李享齡)의 4남이다. = = 생애 = =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승경(承慶)이다.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선조의 백형 하원군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익성군 이향령(益城君 李享齡)이고, 어머니는 군수(郡守) 진주인(晋州人) 소수(蘇遂)의 딸로 진주군부인 소씨(晋州郡夫人 蘇氏)이다. 부인은 감역(監役) 부안인(扶安人) 임영(林英)의 딸로 신인 부안임씨(愼人 扶安林氏)이다. 익성군의 4남으로 무술(戊戌) 1598년(선조 31) 4월 17일 탄생하였다. 진평부정(晋平副正)에 책봉되었다. 1612년(광해 4) 대북파가 소북파를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김직재 옥사(金直哉 獄事, 임자옥사) 때 동복형 진릉군 이태경(晋陵君 李泰慶)을 왕으로 추대하였다는 대북파 이이첨(李爾瞻)의 모함을 받아 이때 온 가족이 연좌되어 정배되고, 진평부정은 흥양(興陽)에 정배되었다. 인조 즉위 후 신원되고, 1639년(인조 17) 6월 5일 창선대부(彰善大夫) 진평부정(晋平副正)에 책봉되었다. 1641년(인조 19) 12월 2일 파직되었다가 서용(敍用)되고, 무술(戊戌) 1658년(효종 9) 12월 23일 향년 61세로 별세하여 충남 논산시 은진면 선영 해좌에 예장하였다. = = 가족관계 = = 아버지 : 익성군 이향령(益城君 李享齡) 어머니 : 진주군부인 소씨(晋州郡夫人 蘇氏), 군수(郡守) 진주인(晋州人) 소수(蘇遂)의 딸. 부인 : 신인 부안임씨(愼人 扶安林氏, 1600년 - 1671년), 감역(監役) 부안인(扶安人) 임영(林英)의 딸. 후실 : 신인 광주박씨(愼人 光州朴氏, 1599년 - 1692년), 이름은 춘화(春花)이고, 자감참봉(資監參奉) 광주인(光州人) 박계선(朴啓先)의 딸. 아들 : 이광한(李光漢) = 302년 = = = 연호 = = 서진(西晉) 영녕(永寧) 2년 / 태안(太安) 원년 = = 기년 = = 서진(西晉) 혜제(惠帝) 13년 신라(新羅) 기림 이사금(基臨泥師今) 5년 고구려(高句麗) 미천왕(美川王) 3년 백제(百濟) 분서왕(汾西王) 5년 = = 사건 = = 미천왕이 현도군을 공격함. = 캐럴군 (일리노이주) = 캐럴군 또는 캐럴 카운티(Carroll County)는 미국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5,387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4,312명이다. =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Royal Shakespeare Company)는 영국의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을 거점으로 하는 극단이다. 줄여서 RSC라고도 불린다.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 스완 극장 등의 극장을 가지고 있다. = 매리언 베일리 = 매리언 베일리(, 1951년 5월 5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미스터 터너, 얼라이드 등에 출연했다. = = 작품 목록 = = 《미스터 터너》 《얼라이드》 = 틀:득표목록 = = 제일여객 (서울) = 제일여객자동차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시내버스 회사로, 계열사로는 신성교통, 한일운수, 대중교통, 문산타워, 한국비알티자동차 등이 있고, 친인척 관계회사로는 신인운수, 하성마을버스, 신성가스공업 등이 있다. = = 연혁 = = = =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 = 1954년 8월 20일: 회사 설립. 1992년: 신성교통에 인수되어 계열사가 됨. 2001년 초: 은평구 마을버스 12번, 13번이 지역순환버스 454-1번(현 지선버스 7723번), 454-2번(개편후 지선버스 7724번이었으나 2010년 12월 폐선)으로 각각 승격됨. 2001년: 신성교통 907번을 양도하여 제일여객에서 운행함. 2001년: 907번, 일산신도시~교보문고에서 교하신도시~교보문고로 노선 연장. 2002년: 907번에서 907-1번을 계통분리. 2003년: 신성교통 158번, 158-5번과 좌석 158번을 양도하여 제일여객에서 운행함. = =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 =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때 계열사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 704번(구 156번), 720번(구 154번), 7023번(구 156-1번), 7211번(구 154-1번), 7722번(구 155-1번), 7723번(구 454-1번), 7724번(구 454-2번), 7733번(구 158번), 7734번(구 158-5번), 9703번(구 158번), 9711번(구 907번), 9712번(구 907-1번), 주말맞춤버스 운행. 2004년 10월 25일: 9711번, 9712번이 각각 706번, 707번으로 형간전환. 2005년 2월 27일: 7734번, 7733번으로 통합. 2006년 12월 1일: 707번, 706번으로 통합. 2006년 12월: 7023번, 송추~서울역에서 기자촌~서울역으로 단축. 2007년 7월: 7023번, 기자촌~서울역에서 송추~서울역으로 연장(환원). 2008년 5월: 7023번, 7725번으로 변경 및 단축(송추~불광동). 2008년 6월: 7733번, 불광동에서 은평뉴타운으로 단축. 2008년 11월 1일: 7725번, 송추~불광동에서 송추~구파발역으로 단축. 2009년 6월: 7733번 지선버스가 은평뉴타운에서 구파발역으로 단축. 2009년 11월: 진관공영차고지 입주에 따른 720번, 7211번, 7722번, 7723번, 7724번 노선 변경. 2009년 12월 24일: 7725번 폐선. 2010년 8월 21일: 7724번 폐선. 2012년 10월: 7733번 지선버스가 교하에서 일산까지 단축운행. 2013년 4월 19일: 제일여객, 한국비알티와 올빼미버스 N37번(진관공영차고지~송파공영차고지) 첫 운행. 2014년 3월 6일: 706번 간선버스가 운정신도시에서 일산까지 직선화 변경. 2014년 8월 9일: 7733번, 진관차고지~삼송역~원흥지구~서정마을~상암동~마포구청~홍대입구역으로 노선 변경. 2015년 3월 2일: 7733번, 진관차고지~구파발역~삼송역~원흥지구~서정마을~상암동~마포구청~홍대입구역으로 노선 연장. 2017년 9월 14일: 지선버스 7722번, 7723번, 7733번 3개 노선, 광역버스 9703번 1개 노선을 서울운수로 양도 후 광역버스 9714번 1개 노선을 양도 받음. = = 운행 노선 = =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년 4월 27일 작성. 운행노선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배차간격(분) 인가대수 비고 704번 양주시 부곡리(송추) ↔ 서울역 10~20 17 구 156번 720번 진관공영차고지 ↔ 답십리 6~12 33 구 154번 & 구 157번 통합 773번 교하동 ↔ 녹번동 15~22 17 구 907, 9711, 706번. 2017년 11월 1일 노선 단축. 7211번 진관공영차고지 ↔ 신설동 4~10 22 구 154-1번. 신수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8772번 진관공영차고지 ↔ 북한산성입구 10~15 0 주말에만 운행. 720번 차량으로 운행. 9714번 교하동 ↔ 숭례문 30~55 7 신수교통에서 양도받은 노선. N37번 진관공영차고지 ↔ 송파공영차고지 30 4 한국brt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며, 진관 측 첫차의 배차를 맡는다. N75번 진관공영차고지 ↔ 서림동차고지 25~30 6 심야버스. 한남여객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 폐선되거나 면허 이관된 노선 = = = = = 간선버스 = = = *● 706번: 운정신도시 - 탄현동 - 강선마을 - 백석동 - 화정역 - 원당동 - 삼송지구 - 통일로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숭례문 → 서울특별시청 → 사직단 → 이하역순 <구 907번, 구 9711번> *● 707번 (교하읍 ~ 서울역 / 구 907-1번 도시형버스 ( ~ 2004년 6월 30일, 9712번 광역버스 (2004년 7월 1일 ~ 2004년 10월 24일) 간선버스 (2004년 10월 25일 ~ 2006년 11월 30일, 2006년 12월 1일부로 706번에 통폐합) (현 동해운수의 707번 (구 9708번)과는 무관함.) = = = 지선버스 = = = *● 7722번: 진관공영차고지 - 은평뉴타운 - 구파발역 - 갈현1동 - 선진운수 - 구산역 - 역촌역 - 녹번역 <구 155-1번> (신수교통으로 양도) *● 7723번: 진관공영차고지 - 지축교 - 진관초교 - 진관중고교 - 구파발역 - 신도초교 - 하나고등학교 (은평뉴타운 순환) <구 454-1번 변경> (신수교통으로 양도) *● 7724번 (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 <구 454-2번> (2010년 8월 21일 폐선) *● 7725번 (송추 ~ 구파발역 / 구 156-1번 도시형버스 ( ~ 2004년 6월 30일, 7023번 지선버스 (2004년 7월 1일 ~ 2008년 6월 30일) 지선버스 (2008년 7월 1일 ~ 2009년 12월 23일, 이후 350번 도시형버스로 대체 운행, 현재는 350번도 폐선후 양주시면허인 진명여객에서 19번, 19-1번 운행.) *● 7733번: 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 - 삼송지구 - 원흥지구 - 서정마을 - MBC - 난지천공원 - 마포구청드컵경기장 - 합정역 - 홍대입구역 <구 158번 단축, 7734번 통합, 7733번 변경> (신수교통으로 양도) *● 7734번: 교하 ~ 불광역 (2005년 2월 27일 7733번에 통합) *● 8775번 (구파발역 ~ 은평뉴타운) 맞춤버스 (2009년 6월 29일 ~ 2009년 11월 14일, 이후 7211번 지선버스로 대체 운행) = = = 광역버스 = = = *● 9703번: 일산신도시 - 홀트학교 - 고양시청 - 원당역 - 삼송지구 - 통일로 → 사직단 → 세종문화회관 → 서울역 → 경찰청 → 이하역순 <구 158번 좌석버스> (신수교통 → 서울매일버스로 양도) *● 9711번 (교하읍 ~ 서울역 / 구 907번 도시형버스 ( ~ 2004년 6월 30일) 광역버스 (2004년 7월 1일 ~ 2004년 11월 14일, 이후 706번 간선버스로 전환 운행, 9711번 (서울매일버스)은 현재 일산신도시 ~ 양재 시민의 숲을 운행하는 9711번과는 무관하다.) (신수교통 → 서울매일버스로 양도) *● 9711B번: 진관공영차고지 - 양재역 (신성교통과 공동 배차한다. 진관공영차고지-DMC 구간 탑승이 불가능하며 DMC부터 운행시작) (2014-07-16 ~ 2016-04-23) *● 9712번 (교하읍 ~ 서울역 / 구 907-1번 도시형버스) ( ~ 2004년 6월 30일) 광역버스 (2004년 7월 1일 ~ 2004년 10월 24일, 이후 707번 (現 폐선) 간선버스로 전환 운행) ● 은평·강남선: 구파발역 - 양재역 (2013년 5월 4일에 운행 중단) = = 본사 및 사업소 현황 = = 진관공영차고지 본사 (720번, 7211번, 8772번, N37번) 교하 사업소 (773번, 9714번) 송추 사업소 (704번) = = 보유 차량 = = = = = = 현대자동차 = = =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 = 황해버스 = = = = NEW E-SKY 11 = = = = CRRC 중국중차 = = = = CRRC 그린웨이 1100 = 분류:고기국 = = 틀:창가학회 = = 사원총회 = 사원총회(社員總會, )는 사원 전체로 구성되는 총회를 말하는 민법, 회사법상의 개념으로 사단법인이나 비법인사단의 최고의결기관이다. 주식회사에서도 사원총회가 존재하는데 상법에서는 주주총회라고 부른다. 사단법인의 사무는 정관에서 규정한, 이사 또는 기타 임원에게 위임한 사항 외에는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야 한다(민법 제68조).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한, 각 사원의 결의권은 평등하며 서면이나 대리인으로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다.(73조) 사단법인과 어느 사원과의 관계사항을 의결하는 경우에는 그 사원은 결의권이 없다.(74조) 총회의 결의는 본법 또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으면 사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사원의 결의권의 과반수로써 한다.(75조) 총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하며, 의사록에는 의사의 경과, 요령 및 결과를 기재하고 의장 및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하여 주된 사무소에 비치하여야 한다.(76조) = =이의 제기 = = 사원총회가 날치기나 정족수 미달 기타 관련규정에 위배된 경우, 이의가 있는 사원은 민사법원에 사원총회결의무효확인의소를 제기하여 확인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재건축조합이나 노동조합의 회원이 재건축조합이나 노동조합의 정책결정 총회절차가 내부규정에 위배된 경우, 최종적으로는 민사소송, 즉 사원총회결의무효확인의소로 구제받을 수 있다. = =총회의 종류 = = 통상총회: 사단법인의 이사는 매년 1회이상 통상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민법 제69조) 임시총회: 사단법인의 이사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임시총회를 소집할 수 있으며, 총사원의 5분의 1이상으로부터 회의의 목적사항을 제시하여 청구한 때에는 이사는 임시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이 정수는 정관으로 증감할 수 있다. 사원들이 임시총회 소집을 청구한 후 2주간내에 이사가 총회소집의 절차를 밟지 아니한 때에는 청구한 사원은 법원의 허가를 얻어 이를 소집할 수 있다.(민법 제70조) = 분류:유니버시아드 알파인스키 메달리스트 = = 공공투자관리센터 = 공공투자관리센터(Public and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 PIMAC)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투자의 검토, 사업타당성의 분석, 사업계획의 평가 등의 지원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개발연구원 부설기관이다.KDI 공공투자관리센터 현판식 서울경제2005년 3월 30일공공투자관리센터의 적격성검토에 대하여한국건설신문2008년 9월 29일 김성근 법무법인 동인 변호사국책사업 576건 타당성 조사… 다양한 외부의견 반영 높여야월간조선2015년 1월 김강수 공공투자관리센터 소장 2005년 국토연구원 부설 민간투자지원센터와 통합하였다.KDI 공공투자관리센터 현판식뉴스와이어2005년 3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 길재길15 (반곡동 203-40)에 소재하고 있다. = = 설립 근거 = =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제23조(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설치)① 대상사업의 검토, 사업타당성의 분석, 사업계획의 평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원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별표에 따른 한국개발연구원의 부설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공공투자관리센터를 둔다. = = 연혁 = = = = = 민간투자지원센터 = = = 1998년 8월 '인프라시설에 대한 민자유치 종합대책'수립 1998년 12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공포 1999년 4월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 설립, 초대 이규방 소장 취임 2003년 2월 제2대 김흥수 소장 취임 2004년 9월 PPP(민간투자사업)에 관한 국제세미나 개최 = = = 공공투자관리센터 = = = 1999년 5월 예산회계법령 시행령 제9조 2 예비타당성조사 도입 2001년 1월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초대 김재형 소장 취임 2002년 1월 타당성재검증조사 수행 2003년 8월 제2대 심상달 소장 취임 = = = 공공투자관리센터 (통합기관) = = = 2005년 1월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 통합(법률 제7386호) 한국개발연구원 부설 공공투자관리센터 발족.공공투자관리센터 출범《일간투데이》2005년 3월 30일 초대 전홍택 소장 취임 2005년 1월 임대형민간투자사업 BTL 유형 추가 및 적격성조사(제안서검토) 제도 도입 2006년 4월 김재형 소장 취임 2007년 10월 2007 아시아·태평양 민간투자 장관회의 2007년 12월 자금재조달 검토 도입 2008년 2월 국가재정법 및 시행령에 예비타당성조사 및 타당성재조사 제도 2011년 1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수행 2012년 2월 박현 소장 취임 2013년 7월 김강수 소장 취임KDI, 부설 공공투자관리센터장에 김강수 선임연구위원《뉴스토마토》2013년 7월 24일 박진아 기자 2016년 3월 김기완 소장 취임 = = 조직 = = = = = 공공투자관리센터 소장 = = = = = = = 재정투자평가실 = = = = 예비타당성조사1팀 예비타당성조사2팀 타당성재조사팀 = = = = 민간투자지원실 = = = = 사업조사팀 사업지원팀 사업관리팀 = = = = 공공투자정책실 = = = = 공공투자정책팀 공공기관사업팀 조세지출평가팀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데 알바 공작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이 피멘텔 데 알바 데 토르메스 공작(: 1507년 10월 29일-1582년 12월 11일), 통칭 알바 대공작은 에스파냐의 귀족, 군인, 외교관이다. 제3대 알바 공작이며, 제4대 코리아 후작, 제3대 살바티에라 백작, 제2대 피에드라히타 백작, 제8대 발데코르네하 영주, 에스파냐 대귀족, 황금양모 기사 등의 작위를 가졌다. 에스파냐 국왕 카를로스 1세(카를 5세)와 그 후계자 펠리페 2세의 고문관으로서, 밀라노 공국 총독(1555년-1556년), 나폴리 왕국 부왕(1556년-1558년), 네덜란드 총독(1567년-1573년), 포르투갈 왕국 부왕 겸 무관장(1580년-1582년)을 역임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알바 공작을 당대 최강의 장군으로 여기며,De la Fuente Arrimadas, Nicolás. Fisiografía e historia del Barco de Ávila. Ávila. Tipografía y encuadernación de Senén Martín. 1925. P. 251. 역사를 통틀어서도 손에 꼽는 우수한 장군이라고 평가한다.Belda Plans, Juan. Grandes personajes del Siglo de Oro español. Ediciones Palabra S.A. Madrid. 2013. P. 20. . 가혹한 지휘관이었지만 병사들의 존경을 받았고, 연설을 통해 병사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데 능했다. 알바 공작은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에서 해적왕 하이레딘 레이스를 쳐부숴 에스파냐가 서지중해의 패권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고, 독일에서 종교개혁의 결과 벌어진 슈말칼덴 전쟁에서도 루터교 제후들을 진압하는 데 총사령관 역할을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유명한 것은 네덜란드 총독으로서 80년 전쟁 초기에 에스파냐군을 지휘한 것이다. 알바 공작은 네덜란드 독립운동 지도자 빌럼 1세 판 오라녜와 로데비크 판 나사우를 여러 차례 격파했고, 메헬렌, 쥣펀, 나르던, 하를럼을 함락시킨 뒤 대학살을 벌였다. 하지만 알바 공작의 공포정치에도 네덜란드 독립운동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알바 공작은 에스파냐로 소환되었다. 알바 공작의 마지막 군사적 업적은 포르투갈 계승전쟁에서 승리하여 펠리페 2세가 포르투갈 국왕을 겸하게 한 것이다. 이로써 에스파냐는 이베리아 반도를 통일하고, 포르투갈의 식민지들까지 동군연합으로 묶는 대제국(이베리아 연합)을 이루게 된다. =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 = 프란시스코 카레온 마르코스(Francisco Carreón y Marcos, 1868년 8월 5일 - 1939년 혹은 1941년)은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혁명가, 정치가이다. 카티푸난의 멤버였으며 아기날도의 항복 후에도 계속 미국에 대항해 항전하였다. 카티푸난의 부지도자이자 1902년 5월 6일부터 1906년 7월 14일까지 카타갈루간 공화국의 부통령이며, 필리핀 임시 혁명정부의 제3대 부통령이었다. 그러나 미국과의 거듭된 교전에서 패하고 마닐라 남부 바탕가스까지 후퇴했다가 1906년 7월 체포되었다. 그 후의 행방은 알 수 없지만 1939년이나 1941년에 죽었다는 설이 있다. = 분류:돼지를 소재로 한 노래 = = 분류:말레이시아의 음악 공연장 = = 예브게니 코로티시킨 = 예브게니 예브게니예비치 코로티시킨(, 1983년 4월 30일 ~ )은 러시아의 수영 선수이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100m 접영 은메달을 땄다. = = 수영 경력 = = 예브게니의 첫번째 코치는 그의 어머니 류드밀라 코로티시키나였다. 그는 나중에 블라디미르 예르마노프, 비아체슬라프 루킨스키와 훈련했다. 코로티시킨은 베이징 올림픽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2009년 초에 이탈리아로 이주했고 안드레아 디 니노의 지도 아래 훈련을 시작했다. 그는 로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세계 기록을 세웠다. 2011년 봄에, 그는 심각한 식중독 때문에 7월에 열린 상하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6위에 머물렀다.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 100m 접영에서 51.44초의 점수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분류:장크트갈렌 출신 = = 코다 (영화) = 코다는 2021년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2014년 프랑스 영화 미라클 벨리에의 영어 리메이크 작품으로, 샨 헤이더가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2021 선댄스 영화제에서 미국 극영화 부문 관객상과 심사위원특별대상을 수상했다. 제94회 아카데미상 작품상, 각색상 수상작이다. 제28회(2022년)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 앙상블 캐스트 수상작이다. = = 줄거리 = = 24/7 함께 시간을 보내며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가족을 세상과 연결하는 코다 "루비"는 짝사랑하는 "마일스"를 따라간 합창단에서 노래하는 기쁨과 숨겨진 재능을 알게 된다. 합창단 선생님의 도움으로 마일스와의 듀엣 콘서트와 버클리 음악 대학 오디션의 기회까지 얻지만 자신 없이는 어려움을 겪게 될 가족과 노래를 향한 꿈 사이에서 루비는 망설이는데... = = 출연 = = 에밀리아 존스 - 루비 로시 역 에우헤니오 데르베스 - 베르나르도 비야로보스 역 트로이 코처 - 프랭크 로시 역 퍼디아 월시필로 - 마일스 역 대니얼 듀랜트 - 리오 로시 역 말리 매틀린 - 재키 로시 역 에이미 포사이스 - 거티 역 존 피오르 - 토니 살가도 역 로니 파머 - 아서 역 케빈 채프먼 - 브래디 역 호세 군스 알베스 - 몬도 역 오웬 버크 - 지미 역 아멘 가로 - 지오 살가도 역 멜리사 맥미킨 - 바브 역 에리카 맥더멋 - 앤젤라 역 = 인천 나들목 = 인천 나들목(Incheon IC)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2동과 용현5동에 걸쳐 설치된 인천대로의 교차로이자 과거 경인고속도로의 기점이었다. 접속 도로와 평면 교차로를 이루고 있으며, 나들목 진출입로는 중구 신흥동3가와 접하고 있다. 인항로와 직결되며, 아암대로를 통해 제2경인고속도로 본선 구간의 기점인 능해 나들목과 간접 연결되고, 인항로를 통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항사거리와 간접 연결된다. 2017년 12월 1일 경인고속도로 노선 단축으로 고속도로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 = 연혁 = = 1969년 7월 21일 : 경인고속도로 가좌 나들목 ~ 인천항(인천 나들목) 구간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 2017년 12월 1일 : 경인고속도로 인천 ~ 서인천 구간 단축으로 고속도로 지정 해제국토교통부고시 제2017-776호 , 2017년 12월 1일. 및 도로관리권을 인천광역시로 이관국토교통부고시 제2017-768호, 2017년 12월 1일. = = 구조물 정보 = = 위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2동, 용현5동 = = 접속하는 도로 = = 아암대로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인항로 간접 연결 :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본선 구간 (능해 나들목(제2경인시점 교차로) 이용),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항사거리 이용) 고속종점지하차도 = 거대 여분 차원 = 거대 추가 차원(巨大追加次元, large extra dimensions, LED) 또는 아르카니하메드-디모풀로스-드발리(ADD) 모형이란 계층 문제를 풀기 위하여 기존의 4차원 밖의 추가의 차원을 도입하는 모형이다. 이에 따르면, 표준 모형의 장은 기존의 4차원 안에서만 존재하지만, 중력은 이 말고도 다른 차원에도 존재한다. = = 역사 = = 1998년에 니마 아르카니하메드와 사바스 디모풀로스, 기오르기 드발리가 도입하였다. = Stay the Night (제드의 노래) = Stay the Night는 2013년 9월 10일에 발매된 제드의 노래이다. 인터스코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1978년 정치 = = 크라쿠프 국립미술관 = 크라쿠프 국립미술관은 폴란드의 도시 크라쿠프에 있는 미술관이다. = 위키백과:소개 = 위키백과는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다중 언어 웹 기반 자유 콘텐츠 백과사전 프로젝트입니다. “위키백과”라는 이름은 참여형 웹사이트 기술인 ‘위키’(하와이어로 “빠른”을 뜻함)와 ‘백과사전’을 합한 혼성어입니다. 위키백과 항목은 정보가 링크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익명의 인터넷 사용자와 대가 없이 공동 작성합니다. 문서를 훼손하지 못하게 편집을 제한한 경우를 제외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누구나 위키백과 항목을 쓰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익명으로든 필명으로든 실명으로든 자의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책으로 된 백과사전과 달리 실시간으로 편집됩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는 끊임없이 새로 만들어지고 갱신되므로 역사적 사건에 관한 항목은 수분 내에 생성됩니다. 오래 전에 작성된 항목은 시간이 지나 점점 더 일반화되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변합니다. 새로 만들어진 항목은 잘못된 정보, 백과사전에 싣기에 부적절한 내용 또는 문서를 훼손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명심해 유용한 정보는 취하고 잘못된 정보는 피하세요. 위키백과의 취급 범위에서 위키백과가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 확인해 주세요. 자주 묻는 질문과 도움말도 읽어 보세요. 위키백과는 비영리 단체인 위키미디어 재단이 운영하며, 컨텐츠에 법적인 책임을 부담합니다. 위키미디어 지부나 사용자 그룹 등의 가맹 단체나 협력 단체는 위키미디어 재단으로부터 독립된 단체로서 위키백과 운영에 대한 법적인 책임이 없습니다.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안내가 필요하신가요? = = 프로젝트 목적 = = 위키백과의 목적은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위키백과의 바뀌지 않는 백:다섯 원칙 중 하나입니다. 백과사전은 특정한 표제어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모은 것입니다. 따라서 위키백과는 사용자 개인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나 대화방 서비스가 아닙니다. 또한 위키백과의 표제어에 모인 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위키백과의 표제어를 만드는 방법과 편집하는 방법은 아래의 기여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 = 기여 방법 = = 위키백과는 버튼 또는 아이콘을 클릭해 누구나 기여할 수 있습니다. 보통 위키백과에 방문하는 100명 중 10명은 적극적으로 편집에 참여하는 사람입니다. 또한, 위키백과에 방문한 사람은 누구나 글을 고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키백과가 다양하고 많은 사람의 기여로 성장하는 데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위키백과에 처음 기여하시는 분은 백:빠른 길라잡이를 먼저 읽어 주세요. = = 정책 = = 위키백과는 다섯 원칙에 바탕을 둔 정책과 지침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섯 원칙은 위키백과가 기반을 두고 있는 있는 변하지 않는 원칙입니다. 다섯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적 시각’에서 바라봅니다. 위키백과의 글은 우리 모두의 것입니다. 위키백과에서는 다른 사용자를 존중합니다. 위키백과에는 엄격한 규칙이 없습니다. 정책과 지침은 위키백과의 사용자들이 총의로써 결정한 것으로 언제든지 다시 총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책은 누구나 지켜야 할 규범이며, 지침은 모범적인 사례를 모은 것입니다. 처음 편집을 시작할 때에는 모든 정책과 지침을 숙지할 필요가 없지만, 다른 사용자가 여러분의 사용자 토론에 남긴 안내는 꼭 읽어 주시고,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백:질문방에 질문을 남겨 주세요. = = 역사 = = 위키백과는 2000년 누피디아(지금은 폐기된 프로젝트)라는 곳에서 시작하였습니다. 누피디아는 전문가가 검토하는 무료 백과사전이었지만 항목 생성이 너무 느렸습니다. 그래서 누피디아의 설립자인 지미 웨일스는 그가 프로젝트 작업을 위해 고용한 래리 생어와 누피디아를 보완할 더 개방적인 보조 프로젝트에 대해 토의했습니다. 그러던 중에 위키라는 웹사이트 형식이 대중이 기여하기 쉬울 것이라고 여러 소식통이 암시하여 2001년 1월 10일에 누피디아 최초의 위키가 온라인에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누피디아 편집자와 검토자는 위키 형식으로 누피디아를 바꾼 것에 매우 반대했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젝트는 “위키백과”라는 이름으로 독립된 도메인인 wikipedia.com에서 1월 15일(“위키백과의 날”이라 부름)에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생긴 위키백과는 영어 위키백과였고 2001년 5월부터 다른 언어 위키백과가 생겼습니다. 오늘날 200개 이상의 언어로 된 지식을 전 세계 사람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도 2002년 10월에 시작하여, 현재 개의 항목을 싣고 있는 백과사전으로 자라났습니다. = = = 상표와 저작권 = = = 위키백과의 문서(text)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은 백:저작권을 읽어 주세요. 텍스트가 아닌 멀티미디어 파일은 다른 저작권 라이선스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작권 라이선스는 각 파일의 섬네일 이미지를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 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나라에 등록되어 있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상표입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의 상표 정책은 foundation:Trademark policy를 참고해 주세요. = = 활용 방법 = = 많은 사람이 위키백과에 필요한 지식을 검색하기 위해 방문합니다. 또는, 자신이 가진 지식을 위키백과에 올려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도록 이바지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지금도 많은 글이 성장하고 있고, 최근의 변경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강점 및 약점 = = = 위키백과는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고, 수많은 기여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편집 지침과 정책에 따라 합의를 거쳐 쓰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위키백과의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이며 특징입니다. 위키백과에는 다양한 편집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기 상이한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 덕분에 위키백과에서는 다른 출판물들에서 발견되곤 하는 지역적·문화적 편견을 줄이고, 내용이 특정 집단에 편향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 다양한 편집자들이 있기에 다른 백과사전에는 잘 실리지 않는 주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떤 주제가 중요한지를 판단하는 정규 검토 절차가 따로 있지 않기 때문에, 위키백과에는 간과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문서가 여러 사람에 의해 편집되는 동안 편집자의 나이, 성별, 빈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영향을 받게 되며 편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편집 가능하다는 것은 쉽게 훼손되거나, 삭제되어야 하는 내용이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키백과의 문서 훼손에 대한 정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의적인 문서 훼손 행위로 인해 문서가 어지럽혀졌다가 교정되는 일이 흔히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문헌들과는 달리 위키백과는 그런 과정 속에서 관점의 변화가 조금씩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일반적으로 위키백과 문서들은 편집을 거치면서 적정 수준으로 개선되지만, 미성숙되거나 감시가 부족한 문서들은 문서 훼손이나 거짓정보 삽입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극단적인 개방성은 어떤 문서든지 저급하거나 논쟁거리가 될만한 편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반면 위키백과는 이러한 개방성으로 인해 특정 사실에 대한 오류나 잘못된 표현을 빠르게 바로 잡을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위키백과 문서는 찬성과 반대 입장들을 아우르는 투명하고 개방된 합의에 따라 쓰입니다. 검열을 하거나 어떤 공식 입장에 따르도록 하는 일은 위키백과 내에서 달성하기 어려우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실패하게 될 것입니다. 여러 사람의 편집을 거치고 나면 대부분의 문서들은 모든 주요 관점들이 공정하게 기술되는 중립적 관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중립적 위치를 찾아가는 동안 문서는 유동적으로 변합니다. 이렇게 합의에 도달하는 과정은 어쩌면 길고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 토론하여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만, 저급하거나 편향된 내용이 삭제되기까지 수개월 동안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많은 부분은 아마추어들이 작성합니다. 전문가의 기여분이라고 해서 특별히 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마추어들의 기여분보다 전문가의 기여분이 오히려 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위키백과는 과학, 의학, 공학 학술 논문처럼 학계의 검토를 거치는 대상이 아닙니다. 아마추어들이 위키백과를 작성함으로써 얻는 이점 중 하나는, 많은 수의 아마추어들이 그들이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기여함으로써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중의 흥미를 끄는 주제일수록 비전문가의 참여가 많아집니다. = = 기술적 특징 = = 위키백과는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위키백과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웹사이트에서도 사용하는 오픈 소스 프로그램입니다. 위키백과를 지원하는 하드웨어는 세계 몇 군데에 있는 호스팅 센터의 수백 대 서버에 기반합니다. 각 서버의 역할에 대해서는 여기 메타위키 문서에서 설명합니다. 위키백과에 관한 기술 정보는 기술 FAQs를 참고하십시오. 위키백과는 다양한 유형의 메타데이터를 공개하고 있고 수천 개의 마이크로포맷이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한국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위키미디어 계정 로그인 관련 쿠키를 제외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쿠키나 그 밖의 추적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거나 설치하지 않습니다.Angwin, Julia, 웹의 새 금광: 당신의 비밀: 그들은 무엇을 아는가 (a Wall St. J. Investigation) (1st in ser.), in 월스트리트 저널., § Weekend Journal, Jul. 31–Aug. 1, 2010 (4-star ed.), p. W1, col. 2 (위키백과, 추적 소프트웨어 설치하지 않았다). = 분류:피부병으로 죽은 사람 = = 분류:영어 음반 = = 분류:나라별 외국인 배구 선수 = = 매켄지강 = 매켄지강은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그레이트슬레이브호에서 발원하여 북극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길이 1,705km로 캐나다에서 첫 번째로, 북아메리카에서 두 번째로 길고, 유역 면적도 1.8백만km2로 캐나다에서 가장 넓다. = = 지리 = = 매켄지강은 그레이트슬레이브호의 서쪽 끝에서 시작하여 대부분이 영구동토층 지대인 북서쪽으로 흘러서 북극해에 이르기 전에 주기적으로 습지를 이루는 삼각주를 형성한다.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오지에 위치한 하구 삼각주는 연중 7달 정도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는 변화무쌍한 극한의 땅이다. 보통 10월 중순부터 강 하류가 얼어 다음 해 6월 초순에 녹는데, 이로 인해 강이 흐르지 못하고 범람하여 습지를 이루게 된다. 매켄지강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1.5~6.5km의 폭을 유지하고 경사가 가파른 하안을 따라 자갈이 퇴적되어 있다. 대부분의 운반물질은 그레이트슬레이브 호에서 침전되기 때문에 메킨지강이 시작되는 구간은 맑은 강물이 흐르다가 로키산맥 동쪽 사면으로 흐르면서 점토질 토사가 많은 리어드강과 합류한 지점부터 320km 구간까지는 양상이 달라진다. 강 중류를 지나면서 그레이트베어호에서 발원하는 그레이트베어강과 합류하고 하류에서는 로키산맥에서 흐르는 필강과 만난다.editor in chief James F. Luhr, "EARTH" 4th ed. p216, Smithsonian Institution, New York (2009) = = 동식물 = = 매켄지 강 유역의 저지대에는 관목림과 늪지대, 초원이 섞여 있는 툰드라 지역으로 북미산 순록인 카리부들이 무리를 이루어 살아간다.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연회 = = 분류:키프로스에 거주한 슬로베니아인 = = 모듈:Message box/configuration = Message box configuration This module contains configuration data for Module:Message box. return { ambox = { types = { speedy = { class = 'ambox-speedy', image = 'Ambox warning pn.svg' }, delete = { class = 'ambox-delete', image = 'Ambox warning pn.svg' }, content = { class = 'ambox-content', image = 'Ambox important.svg' }, style = { class = 'ambox-style', image = 'Edit-clear.svg' }, move = { class = 'ambox-move', image = 'Merge-split-transwiki default.svg' }, protection = { class = 'ambox-protection', image = 'Semi-protection-shackle-keyhole.svg' }, notice = { class = 'ambox-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notice', allowBlankParams = {'talk', 'sect', 'date', 'issue', 'fix', 'subst', 'hidden'}, allowSmall = true, smallParam = 'left', smallClass = 'mbox-small-left', substCheck = true, classes = {'metadata', 'ambox'}, imageEmptyCell = true, imageCheckBlank = true, imageSmallSize = '20x20px', imageCellDiv = true, useCollapsibleTextFields = true, imageRightNone = true, sectionDefault = 'article', allowMainspaceCategories = true, templateCategory = '문서 알림 상자', templateCategoryRequireName = true, templateErrorCategory =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은 문서 알림 상자', templateErrorParamsToCheck = {'issue', 'fix', 'subst'}, removalNotice =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ambox.css' }, cmbox = { types = { speedy = { class = 'cmbox-speedy', image = 'Ambox warning pn.svg' }, delete = { class = 'cmbox-delete', image = 'Ambox warning pn.svg' }, content = { class = 'cmbox-content', image = 'Ambox important.svg' }, style = { class = 'cmbox-style', image = 'Edit-clear.svg' }, move = { class = 'cmbox-move', image = 'Merge-split-transwiki default.svg' }, protection = { class = 'cmbox-protection', image = 'Semi-protection-shackle-keyhole.svg' }, notice = { class = 'cmbox-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notice', showInvalidTypeError = true, classes = {'cmbox'}, imageEmptyCell = true,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cmbox.css' }, fmbox = { types = { warning = { class = 'fmbox-warning', image = 'Ambox warning pn.svg' }, editnotice = { class = 'fmbox-edit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system = { class = 'fmbox-system',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system', showInvalidTypeError = true, classes = {'fmbox'}, imageEmptyCell = false, imageRightNone = false,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fmbox.css' }, imbox = { types = { speedy = { class = 'imbox-speedy', image = 'Ambox warning pn.svg' }, delete = { class = 'imbox-delete', image = 'Ambox warning pn.svg' }, content = { class = 'imbox-content', image = 'Ambox important.svg' }, style = { class = 'imbox-style', image = 'Edit-clear.svg' }, move = { class = 'imbox-move', image = 'Merge-split-transwiki default.svg' }, protection = { class = 'imbox-protection', image = 'Semi-protection-shackle-keyhole.svg' }, license = { class = 'imbox-license licensetpl', image = 'Imbox-license.svg' }, ["license-related"] = { class = 'imbox-license', image = 'Imbox-license.svg' }, featured = { class = 'imbox-featured', image = 'Cscr-featured.svg', imageNeedsLink = true }, notice = { class = 'imbox-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notice', showInvalidTypeError = true, classes = {'imbox'}, imageEmptyCell = true, below = true, templateCategory = '파일 알림 상자',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imbox.css' }, ombox = { types = { speedy = { class = 'ombox-speedy', image = 'Ambox warning pn.svg' }, delete = { class = 'ombox-delete', image = 'Ambox warning pn.svg' }, content = { class = 'ombox-content', image = 'Ambox important.svg' }, style = { class = 'ombox-style', image = 'Edit-clear.svg' }, move = { class = 'ombox-move', image = 'Merge-split-transwiki default.svg' }, protection = { class = 'ombox-protection', image = 'Semi-protection-shackle-keyhole.svg' }, notice = { class = 'ombox-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notice', showInvalidTypeError = true, classes = {'ombox'}, allowSmall = true, imageEmptyCell = true, imageRightNone = true,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ombox.css' }, tmbox = { types = { speedy = { class = 'tmbox-speedy', image = 'Ambox warning pn.svg' }, delete = { class = 'tmbox-delete', image = 'Ambox warning pn.svg' }, content = { class = 'tmbox-content', image = 'Ambox important.svg' }, style = { class = 'tmbox-style', image = 'Edit-clear.svg' }, move = { class = 'tmbox-move', image = 'Merge-split-transwiki default.svg' }, protection = { class = 'tmbox-protection', image = 'Semi-protection-shackle-keyhole.svg' }, notice = { class = 'tmbox-notice', image = 'Information icon4.svg' } }, default = 'notice', showInvalidTypeError = true, classes = {'tmbox'}, allowSmall = true, imageRightNone = true, imageEmptyCell = true, templateCategory = '토론 알림 상자', templatestyles = 'Module:Message box/tmbox.css' } } = 서천교 = 서천교는 다음의 다리를 가리킨다. 서천교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경상북도 영주시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전라남도 광양시를 잇는 교량이다. 서천교는 전라남도 순천시를 잇는 교량이다. = 틀:학교알리미/설명문서 = 이 틀은 학교알리미와 연계된 외부 링크를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 = 사용법 = = = = = 위키데이터 = = = 학교의 위키데이터 항목에 속성 P5744: URL 값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를 넣으면 틀이 자동으로 위키데이터의 값을 가져옵니다. = = = 변수 입력 = = = {{학교알리미|id}} {{학교알리미|id|표시할 제목}} <id>는 URL 뒤에 달린 값입니다. http://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D100001661 여기서 ‘D100001661’ 부분이 id입니다. {{학교알리미|D100001661}} = = 학교알리미 id 확인 = = 학교알리미 사이트에서 학교명을 조회하면 해당 학교에 대한 정보 화면으로 바뀝니다. 오른쪽 중간에 보면 청색으로 "전체항목 열람" 박스가 있는데 여기에 마우스커서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박스에서 "바로가기 복사"를 선택합니다. 메모리에 입력된 "바로가기 주소"를 메모장이나 브라우저 입력창 등에 붙여 넣으면 서울대치초등학교의 경우 "javascript:goGongsiPage('B100000749');"가 보이게 됩니다. 여기서 괄호안의 "B100000749" 가 학교 <id> 값입니다. * = 헨토 = 헨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프란시스코 헨토: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 프란시스코 요렌테 헨토: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 분류:벨라루스의 자연보전 = = 지로나 = 지로나 또는 헤로나는 스페인 카탈루냐 북동부에 있는 도시이다. 지로나 주의 주도이다. = = 자매 도시 = = 레조넬에밀리아 알비 블루필즈 페르피냥 누에바헤로나 내슈빌 웨이크필드 = 시로이시역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시로이시역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13이다. JR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과 지토세 선에도 동명의 시로이시 역이 있지만 두 역의 거리는 약 1.6km정도 떨어져 있고 환승역은 아니다. = = 역 구조 =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이다. 예전에는 이 역이 도자이 선의 동쪽 종점이었다. 두 방향에 전철기를 가진 긴급 시 회차 운행에 대응하고 있다. 출구는 7번 출입구까지 있지만, 3번 출입구의 기재가 지워져 있다(지상 부분도 마찬가지). 정기 매표장을 병설하고 있다. 승강장과 개찰구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는 서쪽 개찰구로 지상에 엘리베이터는 버스 터미널 안에 있다. 2015년 1월 19일보다 시라이시 구 복합 청사 건설 공사에 따라 6번 출입구가 폐쇄되었다. 또한, 6번 출입구는 2016년 10월 19일부터 복합 청사에 들어가는 형태로 운용 재개되어 동년 11월 7일부터 복합 청사와 직결되고 공용 개시되었다 . = = = 타는 곳 = = = 1 도자이 선 신삿포로 방면 2 도자이 선 오도리・미야노사와 방면 = = 역 주변 = = 난고도리와 환상도리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하고, 역 주변은 중간 규모의 상업 지구로 매일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시로이시난고이치 우체국 호쿠요 은행 난고도리 지점 시로이시추오 자동차 학원 SD 엔터테인먼트 삿포로 푸드 센터 시로이시 점 토코 스토어 시로이시 터미널점 삿포로 시 시로이시 구청, 삿포로 시 시로이시 구민 센터 삿포로 시 시로이시 보건 센터 야마히코 공원 삿포로 시립 히가시삿포로 초등학교 삿포로 시립 미나미시로이시 초등학교 진학회 본사 = = 역사 = = 1976년 6월 10일: 고토니 ~ 시로이시 역간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 1982년 3월 21일: 시로이시 ~ 신삿포로 역간 연장 개통에 따라 영업 개시, 중간역이 됨. 2008년 11월 11일: 스크린도어 사용 개시스크린도어의 설치 상황 > 삿포로 시 도자이 선 국토교통성 2016년 1월 26일 열람. 2016년 10월 19일: 2015년 1월 19일부터 폐쇄되었던 6번 출입구 운용 재개. = 영변 100메가와트 경수로 = 영변 100메가와트 경수로는 북한이 2012년까지 완공하겠다고 발표한 경수로를 말한다. 아직까지 영변 원자력 연구소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관측 되었으나 최근 완공 되어 가동하기 시작했다. 2010년 착공하여 2년만인 2012년 11월 외벽공사가 마무리되었다. 한국정부는 발전용량 30메가와트로 보고 있다. 발전용량 30MWe는 열출력 100MWt에 해당한다. 보통 발전용량으로 호칭하므로 영변 30메가와트 경수로라고 부를 수도 있다. 미국 싱크탱크 ISIS는 2013년 하반기에 완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2024년 1월 영변 100메가와트 플루토늄 경수로가 완공되었다 = =영변 원자력 연구소 = = 2016년 기준으로, 영변 원자력 연구소에는 3개의 원자로가 설치되어 있다. 영변 IRT-2000, 1963년 착공, 1965년 준공, 열출력 8MWt, 스위밍풀형원자로, 고농축우라늄 사용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 1980년 착공, 1985년 준공, 열출력 30MWt, 전기출력 5MWe, 흑연감속로, 천연우라늄 사용 영변 30메가와트 원자로, 2010년 착공, 2013년 준공, 열출력 100MWt, 전기출력 30MWe, 경수로, 저농축우라늄 사용 = =플루토늄 생산 = = 열출력 100MWt인 영변 100메가와트 경수로에서 매년 얼마의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도는 없다. 그러나 1/3배인 열출력 30MWt인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 뉴스를 통해 플루토늄 생산량을 추론해 볼 수는 있다.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는 3년마다 8000개의 핵연료봉 또는, 매년 2500개의 핵연료봉을 교체하며, 폐연료봉 2500개를 재처리하여 25-30 kg의 무기급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다.국정원의 '북한 핵보유'평가 / 폐연료봉 8000개중 2500개 재처리, 문화일보, 2005.02.16 폐연료봉 2500개의 재처리에 한달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1993년 4월 12일, 러시아 시사주간 골로스(목소리)지는 폐연료봉 2500개에서 15∼18kg의 플루토늄을 매년 생산한다고 보도했다.北韓, 60년대 中蘇에 핵개발 지원 요청, 연합뉴스, 1993-04-13 북한 핵개발 시설에서 10년간 일하다 1994년 망명한 김대호는 북한이 원자로 가동을 중단했던 89년, 90년, 91년에 핵연료봉에서 (매년) 플루토늄 12 kg을 추출했다고 진술했다.북한 80년대말에 핵폭탄 개발 성공, 전 북한 핵기술자들 폭로-< 인디펜던트 >, 뉴시스, 2004-02-11 즉,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는 매년 2500개의 폐연료봉을 생산하며, 여기서 플루토늄 12∼30 kg을 생산할 수 있다고 보도되고 있다. 따라서, 3.3배 출력이 높은 영변 100메가와트 경수로에서는 매년 플루토늄 40∼100 kg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은 "경수로의 플루토늄 생산 규모는 기존 북한이 보유한 원자로의 5배에 이른다"고 말했다.美전문가들 "北영변서 핵물질 추가생산 정황", 조선일보, 2018-11-26 = =외벽공사 이후 = = 신고리 2호기의 경우, 2009년 2월 돔 건물 내부에 원자로를 설치, 2009년 7월 돔 지붕을 얹는 외벽공사를 완료하고, 10월에 시운전에 들어갔다. 각종 시운전 이후, 2012년 7월 상업운전을 시작했으며, 2012년 12월 4일 준공식을 가졌다. 북한의 경수로도 비슷한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즉 2012년 11월 외벽공사를 완료했으므로 3개월 뒤인 2013년 2월 시운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 루벤 다리오 로시 = 루벤 다리오 로시(Rubén Dario Rossi, 1973년 10월 28일~ )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축구 선수로 1994년 K리그 대우 로얄즈 (현 부산 아이파크)에서 활약하였다. 당시 대우 로얄즈와 선수 수급 협약을 맺은 아르헨티나 산로렌소 출신으로 먼저 입단했던 루벤 베르넌시오가 산로렌소 돌아가자 대체 선수로 입단하였다. = 분류:U-19 스포츠 = = D. G. 하트 = D G. 하트 (1956년- )는 미국 출신의 기독교 역사학자이다. 힐스데일 대학교에서 역사 교수로 재직중에 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학장으로 재직 하였다.(2000-2003) 그는 OPC 교단에서 장로로 섬기고 있다. = = 저서 = = The Lost Soul of American Protestantism Defending the Faith: J. Gresham Machen and the Crisis of Conservative Protestantism in Modern America = 위키백과:이동 요청/2021년 7월 = = = 신한생명보험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 회사명 변경 121.161.13.220 (토론) 2021년 7월 1일 (목) 12:13 (KST) = = 케이티하이텔 → KT알파 = = 회사명 변경 121.161.13.220 (토론) 2021년 7월 1일 (목) 12:13 (KST) 이견이 확인되어 이동 요청의 안내문에 따라 미완료 처리합니다. ted (토론) 2021년 7월 11일 (일) 22:32 (KST) = = :대교베이비TV → :대교 노리Q = = 채널명 변경 121.161.13.220 (토론) 2021년 7월 1일 (목) 12:14 (KST) = = :평양직할시 → :평양시 = = 나무위키에서는 "평양시"라는 이름으로 문서가 나와있습니다. 실제로 북한에서 쓰이지 않는 명칭입니다. 문서 이름을 바꾸어 주세요. 183.90.128.11 (토론) 2021년 7월 1일 (목) 20:47 (KST) 위키백과:이동 요청은 총의를 모으는 장소가 아닙니다. 이동 요청의 안내문에도 나와있듯이 문서 토론에서 토론을 통해 의견을 정리한 후에 요청을 올려주십시오. ted (토론) 2021년 7월 11일 (일) 22:31 (KST) = = :초안:시간상의 보안사각(공백) → :시간상의 보안사각(공백) = = 초안 완료에 따른 이동 요청(링크: Wschoi Amazing (토론) 2021년 7월 2일 (금) 09:04 (KST) = = :환드퓨카 해협 → :후안데푸카 해협 = = 사람 이름을 살려 적어야함 2001:2D8:E53D:DA60:0:0:546:B45 (토론) 2021년 7월 4일 (일) 11:31 (KST) = = :초안:취소된 마천루 목록 → :취소된 마천루 목록 = = 관리자(맞나?)분이 문서에 문제가 없다하시고 초안으로 이동시킴 건물매니아 (토론) 2021년 7월 4일 (일) 16:34 (KST) = =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 → :클레오파트라 = = = = 코미디TV → IHQ (텔레비전 채널) = = 7월 5일부터 IHQ로 채널명 변경되었습니다. 121.161.13.220 (토론) 2021년 7월 6일 (화) 13:53 (KST) = = :존 C. 칼훈 → :존 C. 캘훈 = = 표준국어대사전 외래어표기용례 2016년에 표기가 변경되었습니다. 닭살튀김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00:21 (KST) = = :분류:카스티야 국왕 → :분류:카스티야의 군주 = = 총의 없이 임의로 이동된 분류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01:05 (KST) = = :오스 (동음이의) → :오스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11:02 (KST) = = :이재명 (1964년) → :이재명 = = = = :바리살 구 → :바리살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치타공 구 → :치타공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다카 구 → :다카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쿨나 구 → :쿨나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마이멘싱 구 → :마이멘싱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라지샤히 구 → :라지샤히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랑푸르 구 → :랑푸르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실렛 구 → :실렛구 = = 한글 맞춤법 개정에 따라 붙여 써야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7일 (수) 21:35 (KST) = = :도나우강 → :다뉴브강 = = 문서 명칭 변경 토론 결과에 따른 이동 Jjw (토론) 2021년 7월 8일 (목) 14:16 (KST) = = :중화민국 행정원 몽장위원회 → :몽장위원회 = = 이동 시도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서 처리가 안 되고 있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11일 (일) 08:03 (KST) = = :김천 도로공사 하이패스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가 정확한 명칭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7월 12일 (월) 00:33 (KST) = =GM (텔레비전 채널) → GMTV (텔레비전 채널) = = 이동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121.161.13.220 (토론) 2021년 7월 12일 (월) 12:58 (KST) = = :남양주 부영 e그린타운 → :다산 플루리움 = = 명칭 변경 183.90.128.11 (토론) 2021년 7월 12일 (월) 13:18 (KST) = = :마르쿠스 아오아스 코헤아 → :마르키뉴스 = = 3년 간 토론:마르쿠스 아오아스 코헤아에서 어느 정도 의견이 모아진 것 같네요. 대표 문서가 되기에 적합하다고 봅니다. Bart0278 (토론) 2021년 7월 14일 (수) 06:20 (KST) = = :이동관 (1957년) → :이동관 = = 동명의 일제강점기의 관료는 검색을 해봐도 친일사전에 등록되었다는 사실 외의 정보가 거의 전무합니다. 현재 이동관 문서를 삭제하고 이동관 (1957년)을 이동관으로 이동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art0278 (토론) 2021년 7월 14일 (수) 06:34 (KST) = = 안승 (보덕국) → 안승 = = 해당 문서는 원래 보덕왕으로 등재되어 있던 문서를 제가 안승으로 이동시키려다 실패해서 임시로 안승 (보덕국)으로 이동시킨 문서입니다. 우선 안승이란 인물은 신라로부터 보덕왕으로 임명돼서 보덕왕으로 재임했던 기간은 극히 일부이며 마지막에는 신라 귀족으로 편입돼서 생애를 마감했던 인물이므로 해당 문서는 보덕왕이란 이름으로 등재하는건 적절치 않습니다. (두산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화원형백과) (인명사전) 등 각종 백과에서 공통적으로 안승이란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 인물입니다. 따라서 해당 문서는 안승이란 명칭으로 등재하는게 타당합니다. 또한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 내에 안승이란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 문서는 안승 (보덕국) 문서 외에는 없으므로 굳이 해당 문서 제목을 안승 (보덕국)으로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Dhkdrkfql (토론) 2021년 7월 16일 (금) 05:57 (KST) = = :초안:뷰티 아미노산 → :뷰티 아미노산 = = Overwrite77 (토론) 2021년 7월 16일 (금) 11:45 (KST) = = :킬러의 보디가드2 → :킬러의 보디가드 2 = = 속편의 경우 띄어쓰기합니다. 영등위에서도 띄어쓰기로 등재. 잿빛동공 (토론) 2021년 7월 16일 (금) 17:59 (KST) = = :김현주 (1995년) → :송이재 (배우) = = 현재 예명입니다. 잿빛동공 (토론) 2021년 7월 16일 (금) 18:03 (KST) = = :의회제 → :의원내각제 = = 알 수 없는 이유로 사용자 Tumei에 의해 바뀐 제목입니다. 해당 유저는 여러 문서의 이름을 자의적으로 바꾸다가 제지당한 전력(특수:기여/Tumei, 사용자토론:Tumei)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의회제는 의원내각제와 분명히 다른 말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Sayongjada (토론) 2021년 7월 17일 (토) 04:15 (KST) = = 정치가 → 정치인 = = 현재 정식 명칭은 정치인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를 이유로 정치가로 되어있는 제목을 정치인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김희철 (정치가) → 김희철 (정치인) 풍도 (정치가) → 풍도 (정치인) 김헌태 (1954년생 정치가) → 김헌태 (1954년생 정치인) 경건 (정치가) → 경건 (정치인) 이동을 요청드립니다. 211.36.131.194 (토론) 2021년 7월 17일 (토) 09:44 (KST) = = :스메타나 (음식) → :스메타나 = = 대표 표제어로 적합합니다. Scudsvlad (토론) 2021년 7월 18일 (일) 16:43 (KST) = = :폭풍의 당 →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 = 문서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였고, N국당이 실제로 폭풍의 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는지 불확실해서 신청을 합니다. Killer F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01:32 (KST) = = :멕시코도롱뇽 (우파루파) → :아홀로틀 = = 총의 없이 임의로 이동된 문서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13:51 (KST) = = :SYSTRAN → :시스트란 = = 해당 기업의 한국 법인 이름이 "한국 시스트란"입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동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21:29 (KST) = = :분류:종교 이탈자 → :분류:종교 이탈 = = = = :조민 (1991) → :조민 (1991년) = = 잘못된 제목입니다. 211.36.156.69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08:20 (KST) = = 삼산역 (양평) → 삼산역 외 = = 삼산역 → 삼산역 (동음이의) 삼산역 (양평) → 삼산역 운산선 역은 홍수에 쓸려가 폐선되어 현업역은 중앙선이 유일 2001:2D8:E883:CD55:0:0:20AA:A0A4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2:40 (KST) = = :대영제국의 훈장 → :대영 제국 훈장 = = 문서 이동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서 처리가 안 되고 있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5:53 (KST) = = :초안:슈퍼 히어로 타임 → :슈퍼 히어로 타임 = = 초안 문서를 일반 문서로 이동하려고 했는데 특정 IP 사용자가 생성한 문서로 인하여 처리가 안 되고 있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6:06 (KST) = = :제천 여성도서관 → :제천여성도서관 = = 정식명칭으로 여성도서관과 제천여성도서관이 혼용되고 있습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6:42 (KST) = = :초안:별의 순간 → :별의 순간 = = 원본 문서에서 나무위키를 표절한 내용이 확인되어 제가 만든 초안 문서를 일반 문서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8:15 (KST) = = :토론:고바야시 가오루 (배우) → :고바야시 가오루 (배우) = = 2021년 7월 9일에 일반 문서가 토론 문서로 잘못 이동되었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21년 7월 26일 (월) 13:46 (KST) = = :토론:이동관 (1957년) → :토론:이동관 = = 일반 문서는 이동이 완료되었으나 토론 문서는 이동이 안 되고 있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27일 (화) 15:35 (KST) = = :짐 팩 → :백지선 = = 백지선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감독에 대한 문서 표제어 변경을 요청합니다. 2018년 한국으로의 특별귀화가 되어 한국 국적을 보유한 점, 국가대표팀 감독과 국내 프로 팀 감독을 함께 역임하는 점을 감안했을 때, 백지선이라는 제목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여겨집니다. trainholic (T, C) 2021년 7월 27일 (화) 15:56 (KST) = = :이맹구 → :맹구 (짱구는 못말려) = = 한국판 에피소드들에서 맹구의 성씨가 언급된 적 없습니다. 유미사카 (토론) 2021년 7월 28일 (수) 13:17 (KST) = = :표고 (버섯) → :표고 = = 대표 표제어로 적절합니다. Scudsvlad (토론) 2021년 7월 29일 (목) 14:36 (KST) = = :김지완(드라마작가) → :김지완 (드라마 작가) = = 지침에 따라 이동 필요. 211.36.156.169 (토론) 2021년 7월 29일 (목) 15:55 (KST) = = :구하리 (신비아파트) → :구하리 = = '구하리'라는 이름을 가진 대상 중 애니메이션 캐릭터 구하리가 저명성이 높습니다. 유미사카 (토론) 2021년 7월 30일 (금) 09:30 (KST) = = :구하리 → :구하리 (동음이의) = = 상대적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저명성이 높으며, 링크 시 혼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미사카 (토론) 2021년 7월 30일 (금) 09:31 (KST) = = STX조선해양 → 케이조선 = = 7월 27일부로 케이조선으로 사명변경되었습니다. 121.161.13.104 (토론) 2021년 7월 30일 (금) 13:00 (KST) = = :서보 (동음이의) → :서보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30일 (금) 15:03 (KST) = = :데미 (동음이의) → :데미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31일 (토) 22:54 (KST) = = :드미 (동음이의) → :드미 = =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7월 31일 (토) 22:54 (KST) = 후안 아라우호 = 후안 아라우호 피노(; 1920년 11월 24일, 안달루시아 주 라 카롤리나 ~ 2002년 11월 4일, 안달루시아 주 세비야)는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그는 현역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였다. = = 경력 = = 그는 세비야의 아마추어 부에서 축구를 시작해, 1943년에 헤레스로 임대되어 프로 무대에 첫 발을 디뎠다. 2년 후, 그는 세비야로 복귀해 1945-46 시즌 소속 구단의 리그 우승에 공헌했는데,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 자책골을 유도해 세비야에 우승을 선사했다. 2년 후, 그는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을 거두었다. 그는 1956년까지 세비야에서 11시즌을 연속으로 활약했는데, 그는 210번의 리그 경기에 출전해 136골을 기록했다. 그는 세비야를 떠나고 코르도바에서 1957년까지 1년 활약했다. 그의 은퇴 무대는 헤레스로, 1958년에 축구화를 벗었다. = = 수상 = = 라 리가: 1945-46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7-48 = 모듈:Lang/data/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ang/data/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헨리 윈터 데이비스 = 섬네일 헨리 윈터 데이비스(Henry Winter Davis, 1817년 8월 16일 ~ 1865년 12월 30일)는 미국 남북 전쟁 기간 중에 급진공화원 중 한 명으로 유명한 미국 하원의원이다. = = 생애 = =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서 태어난 헨리 윈터 데이비스의 아버지 레버런드 헨리 라이언 데이비스(1775-1836년)는 저명한 메릴랜드주 성공회 성직자였으며 수년 간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다. 아들은 1837년 오하이오주 케니언 칼리지를 졸업하고 1841년 버지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 = 경력 = = 자신 스스로가 노예 소유주였음에도 불구하고 반노예제적 시각에 물들은 헨리 윈터 데이비스는 휘그당에서 정치적 삶을 시작했다. 휘그당이 붕괴되자 노우 나씽이 되었다. = 미역 =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이다. 식물과 유사하지만, 분류상으로는 식물이 아니라 원생생물에 속한다. 무기질, 비타민 및 섬유질 성분, 점질성 다당류, 아이오딘을 함유하고 있어 식용된다. 중국과 일본, 한국 등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 한국 기록에는 고려 시대인 12세기에도 먹었다는 기록이 보이고, 중국 기록에는 8세기에 이미 한국 사람들이 먹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 등 오래전부터 널리 식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산모에게 미역국을 먹이는 풍습도 있다. 한방에서 미역은 해채(海菜)나 감곽(甘藿), 자채(紫菜), 해대(海帶) 등으로 불린다. = = 생물의 분포 정보 = = 종래에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의 비교적 낮은 수온의 온대성 연안지역에 자연 서식하여 왔으나, 최근 수십 년간 남태평양 동안, 북대서양 동안, 지중해, 오스트레일리아 남안에서 발견되어 빠르게 침투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대한민국 전 해안에 분포하나, 한류와 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겨울에서 봄에 걸쳐서 주로 채취되며, 이 시기에 채취된 것이 가장 맛이 좋다. = = 이용정보 = = 다시마와 함께 전복 양식의 주요 먹이로 이용되며,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만 식용으로 이용된다. 식이섬유와 칼륨, 칼슘, 아이오딘 등이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산후조리, 변비와 비만 예방, 철분과 칼슘 보충에 탁월하여 일찍부터 애용되어 왔다. = = 역사 = = 당나라 때 서견(徐堅 : 659~729)과 그의 동료들이 지은 백과사전 초학기(初學記)에 “고래가 새끼를 낳은 뒤 미역을 뜯어 먹어 산후의 상처를 낫게 하는 것을 보고 고려(=고구려) 사람들이 산모에게 미역을 먹인다”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미역국 한 그릇 , 조선닷컴, 2013.03.07.미역의 침입 김희봉(수필가), 미주한국일보 2009년 8월 29일. 송나라 때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서는 ˝미역은 (고려에서) 귀천이 없이 널리 즐겨 먹고 있다.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그저 먹을 만하다.˝라고 나와 있다.완도 미역 kocca 문화컨텐츠닷컴 조선 헌종 때 실학자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산부계곽변증설〉(産婦鷄藿辨證說)에는 구전 전승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미역냉국, 무더위 싹~ 정책브리핑 〈Weekly 공감〉 고려시대에 이미 몽골에 수출했다는 기록도 있다. 고려사에는 “고려 11대 문종 12년(1058년)에 곽전(藿田 : 바닷가의 미역을 따는 곳)을 하사하였다”라는 기록과 “고려 26대 충선왕 재위 중(1301년)에 미역을 원나라 황태후에게 바쳤다”라는 기록도 있다. 민간에서는 산후선약(産後仙藥)이라 하여 산모가 출산한 후에 바로 미역국을 먹이는데, 이를 ‘첫국밥’이라 하며, 이때 사용하는 미역은 ‘해산미역’이라 하여 넓고 긴 것을 고르며 값을 깎지 않고 사오는 풍습이 있다. 동의보감에선 “해채는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효능은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氣)가 뭉친 것을 치료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20세기 이후 양식기술의 발달로 가공품으로 많이 이용·수출되고 있으며, 국이나 냉국 혹은 무침·볶음·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식용한다.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 = 효능 = = = = = 항산화제 = = = 해조류는 비타민 A, C 및 E를 포함한 항산화제가 풍부하다. 또한 해조류에는 자유 라디칼 손상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하는 것으로 입증된 플라보노이드 및 카로티노이드를 비롯한 광범위한 식물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 = = 심장 질환 = = = 해초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8주 동안 동결 건조된 해조류가 10% 첨가된 고지방식이를 먹인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은 쥐보다 총 콜레스테롤이 40%, LDL 콜레스테롤이 36%, 중성지방이 31% 더 적었다. 과도한 혈액 응고는 또한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 해조류에서 발견되는 탄수화물인 푸칸은 혈전 형성을 늦출 수 있다. 사실, 한 동물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푸칸이 혈액 응고를 예방하는 데 응고 촉진제만큼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체중 감량 = = = 해조류는 섬유질이 풍부한 저칼로리 식품이다. 해초에는 위를 비우는 속도를 늦추는 섬유질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포만감을 더 오래 느끼고 배고픔을 피할 수 있다. 해초는 항비만 효과도 있다고 한다. 여러 동물 조사에서 푸코잔틴이라는 해조 성분이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 = = 섬유 및 다당류 = = = 해조류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의 대부분은 건조 중량의 25~75%로 구성된다. 이것은 대부분의 과일과 채소의 섬유질 함량보다 많다(섬유질은 소화에 저항할 수 있으며 대신 대장에서 박테리아의 식품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해조류에 함유된 황산화 다당류는 "건강한" 장내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황산화 다당류는 또한 장에 있는 세포를 돕고 영양을 공급하는 단쇄 지방산(SCFA)의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 = 참고 = = * 보기 미역국 다시마 김 = 분류:1859년 과학 = = Home for Christmas (켈틱 우먼의 음반) = Home for Christmas는 2012년에 발매된 켈틱 우먼의 음반이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안도라 선수단 = 2008년 하계 올림픽 안도라 선수단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안도라 선수단이다. = = 참고 자료 = = * 안도라 = 이숙 (1626년) = 이숙(李䎘, 1626년 ~ 168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우봉이고, 자는 중우(仲羽), 호는 일휴정(逸休亭)이다. 시호는 충헌공(忠獻公)이다. 우암 송시열의 문인이며, 퇴우당 김수흥과도 사돈을 맺었다. 그리고 문곡 김수항과도 가족관계를 맺었다. 숙종 때 우의정을 지냈다. 이조참판 타우 이상이 그의 형이다. 그리고 이조판서를 지낸 농재 이익은 그의 동생이다. 그리고 병조판서 귀락당 이만성은 그의 아들이며, 대사성 묵재 오백령의 딸과도 혼인을 맺었다. 따라서 남인 청남의 핵심인물인 수촌 오시수와도 가족관계로 연결이 되어있다. = = 생애 = = 어린나이에 병자호란 때 심양에 끌려가서 포로가 되었다가 나중에 귀국하고 1648년, 진사시에 급제하고 1655년, 춘당대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에 1657년에 설서가 되면서 관직으로 진출을 했다. 현종 즉위 후인 1659년에 봉교가 되었으며 1661년에는 통진현감에 제수되어 외직으로 나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지평에 제수되어서 내직으로 돌아왔고 1662년, 호남 진휼어사가 되어서 민생을 돌봤으며 이후 다시 수찬을 거쳐서 정언에 제수되었다. 이후 다시 양남어사로 나갔다가 곧 수찬으로 돌아왔다. 그 뒤에 부수찬, 수찬 등을 거쳐서 1663년에는 이조좌랑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다가 1666년에는 이조정랑으로 승진을 했고 이후 응교를 거쳐서 보덕이 되었다. 1667년에는 집의가 되었다. 그러나 진주사 벌금 사건 때 김징, 조성보 등 8명의 간관들과 함께 영의정 정태화, 좌의정 홍명하, 진주사였던 허적과 남용익의 파직과 체직을 요청하다가 현종의 노여움을 사서 갑산에 부처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방면이 되면서 1668년에 부교리로 복직되었다. 이후 1669년에 당상관에 올라서 광주부윤이 되었고 곧 충청도관찰사로 승진했다. 이후 내직에 다시 돌아와서 1670년에 우부승지가 되었으며 1671년에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우승지로 내직에 돌아와서 현종을 보필했다. 그러나 곧 다시 경상도관찰사로 나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1673년에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서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송시열의 제자로써 서인 산당을 대변하다가 현종의 노여움을 다시 사게 되면서 김만중과 함께 삭탈관직되고 문외출송 되었다. 숙종 즉위 후인 1675년에 문외출송에서 풀렸으며 1676년에 서용되면서 조정에 다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1679년에 다시 명천에 귀양갔다. 그러다가 곧 방면되었고 경신환국 이후인 1680년에 다시 등용되면서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이후 강화유수가 되었다가 대사헌이 되었고 곧 정경의 반열에 오르면서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후 인현왕후가 왕비로 봉해진 1681년에는 병조판서로 옮겨서 제수되었고 곧 이조판서로 옮겼다. 1682년에는 다시 대사헌이 되었으며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자 서인 중진이던 그는 송시열의 수제자이자 김수흥의 사돈으로 노론의 편에 서서 노론계의 중진이 되었다. 이후 1682년에는 다시 대사헌이 되었고 1683년에는 다시 이조판서에 제수되면서 입각을 했다. 그 뒤 예조판서로 옮겼다가 좌참찬에 임명되었으며 1684년에는 강화유수에 제수되면서 다시 외직으로 나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우참찬에 제수되면서 내직으로 돌아왔고 곧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그 뒤 1685년에는 다시 형조판서로 제수되어 입각을 했고 곧 한성부판윤으로 임명되었다. 그 뒤 다시 대사헌을 거쳐서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대사헌에 제수되었고 1686년에는 다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 뒤에는 다시 한성부판윤을 하다가 1687년에 다시 대사헌으로 제수되었고 좌참찬으로 승차했다가 곧 이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정승으로 발탁되면서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서인의 영수가 되었다. 그 뒤에 1688년에 별세한다. = = 오시수, 오백령 가문과의 관계 = = 우의정 이숙은 송시열의 문인으로 철저한 서인계 당원이자 서인의 영수였지만 남인인 오백령의 딸과 혼인을 했다. 그리고 오백령의 증손자가 오시수인데 이숙은 오시수와도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 오케아노스 (동음이의) = 오케아노스는 다음을 가리킨다. 오케아노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대지를 둘러싼 거대한 강 오케아노스 (천왕성 탐사선) 오케아노스 (타이탄 탐사선) = Utopia Banished = Utopia Banished는 1992년에 발매된 네이팜 데스의 음반이다. = 분류:중국의 화산 =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인권교육센터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인권교육센터(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교육센터)는 「서울특별시 학생인권 조례」, 「서울특별시교육감 소속 학생인권옹호관 조례」, 「서울특별시 학생인권 조례 시행규칙」 등에 따라 학생인권옹호관과 학생인권교육센터가 서울특별시교육청 내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생인권침해 상담과 권리구제활동을 하며, 인권 관련 정책 관련 모니터링을 하고, 학생과 교직원과 학부모 등에 대한 인권교육을 하고 있다. 학생을 비롯한 학부모, 선생님도 학교 내의 인권 관련 문제에 대해 상담한다. 홈페이지: studentrights.sen.go.kr = 앙겔라 메르켈 = 앙겔라 도로테아 메르켈(, 카스너(Kasner), 1954년 7월 17일~)은 독일의 정치인이다.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재임했던 독일의 제8대 연방총리이다. 독일 역사상 최초로 연방총리직에 오른 여성이기도 하다. 동독에서 물리학자로 활동한 후 통일 과정에서 정치에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헬무트 콜 내각에서 환경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2000년에 독일의 보수 정당인 기독교민주연합의 의장직에 취임한 이후 2005년 총선에서 제1당을 차지했지만 어느 세력도 과반을 점하지 못한 헝 의회가 발생하자, 메르켈은 사회민주당과 대연정을 구성하여 총리직에 올랐다. 2009년 총선에서는 더 보수적인 성향의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했지만, 2013년 총선에서는 다시 헝 의회가 발생하여 대연정을 구성하였다. 총리로 재임하는 동안 그리스 경제 위기와 우크라이나 분쟁, 시리아 난민 사태 등 국제적 현안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메르켈은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2010년을 제외하고, 포브스는 메르켈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위"에 선정하였으며, 2015년 '타임'은 '자유 세계의 총리(Chancellor of the Free World)'이라는 이름으로 '올해의 인물'에 선정하였다. = = 생애 = = = = = 초기 = = = 앙겔라는 1954년 7월 17일 함부르크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호르스트 카스너 목사, 어머니는 헤어린트 카스너이며 태어날 때 이름은 '앙겔라 도로테아 카스너'였다. 아버지는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해, 함부르크 대학에서 학업을 마쳤다. 라틴어와 영어 교사인 어머니는 사민당 당원이었다. 1954년에 태어나서 몇 주가 지난 메르켈은 부모님과 함께 동독으로 이주했다. 아버지가 당시 동독에 속한 브란덴부르크주 지방의 개신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가족은 목사관에서 살았으며, 독일의 재통일 이전에는 공산국가였던 동독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목회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1957년부터 동생 마쿠스, 이레네와 브란덴부르크 지방의 작은 도시인 템플린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1971년 기술고등학교에 입학했으며, 1970년대 초반에 자유독일청년회(FDJ)에 가입한다. 고등학생 시절에는 수학과 어학 과목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특히 러시아어 경시 대회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을 정도로 러시아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여 디플롬학위(석사학위에 해당)를 받는다. 1978년 동독 국가보안부(Ministerium für Staatssicherheit)에서 일자리를 제안 받지만 거절한다. 슈타지는 그녀의 동독과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정부통제에서 벗어나 노동자들의 의사에 따라 운영되는 자유노조를 주장한 폴란드 자유노조 운동에 대한 동조적 성향을 기록하고 있다. 1986년 루츠 췰리케 교수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은 간단한 탄화수소의 반응속도 상수 계산에 대한 내용이며, 제목은 〈양자화학적, 통계적 방법에 기반한 단순결합 붕괴와 그 반응상수 계산 메커니즘에 대한 조사〉 (Untersuchung des Mechanismus von Zerfallsreaktionen mit einfachem Bindungsbruch und Berechnung ihrer Geschwindigkeitskonstanten auf der Grundlage quantenchemischer und statistischer Methoden)이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물리화학 연구소에서 양자화학분야의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 동안 그녀는 자유독일청년회 과학 아카데미에서 지구선도위원, 선전부 의장을 지낸다. 그러나 동독의 정당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 = = 정치 경력 = = = = = = = 통일 전후 = = = = 메르켈은 1989년 독일 통일 이전까지는 구 동독 반대 그룹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1989년의 격동 중 결성된 민주 개혁(Demokratischer Aufbruch, DA)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입문했고, 후에 대변인이 되었다. 1990년 민주 선거로 성립된 동독의 로타어 드 메지에르(Lothar de Maizière) 정권에서 정부 대변인을 맡았으며 1990년 8월 DA와 기민당(CDU)의 합당으로 기민당원이 되었다. 12월에 하원 의원 후보로 뽑힌 그녀는 1991년 1월 헬무트 콜 내각에서 여성 청소년부 장관을 지냈다. 그리고 1993년 6월부터 2000년까지는 기민당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의 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하다 1994년 11월 17일 클라우스 툅퍼의 후임으로 환경부 장관이 되었다. = = = = 기민련 대표 시절 = = = = 1998년 11월 볼프강 쇼이블레로부터 기민당의 당수 자리를 물려받아 2000년 4월부터 보수 정당인 기민당의 대표로 활동했다. 1999년 겨울 기민당의 암거래 헌금이 발각되자 메르켈은 재빨리 헬무트 콜 전 총리와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당원에게 호소했다.(현재는 콜 전 총리와 화해했다.) 2000년 비밀 헌금 문제로 기민당 볼프강 쇼이블레 대표가 물러나자, 후임 대표로 취임했다. 2000년의 시점에서는 기민당 대표 겸 CDU/CSU 연방 의회 의원 단장이라고 하는 쇼이블레의 직위가 대표가 메르켈에, 의원 단장이 메르트 CDU 재무 담당에 따로 인계된 것은 구 동독 출신의 반발이었다. 여성이며, 게다가 이혼 경력이 있는 메르켈은 CDU에서는 비주류 보수인 온건 보수주의자로 간주되었고 보수 주류에서는 회의적인 눈길을 받았다. 톱의 암거래 헌금 의혹에 쇼크를 받은 CDU의 지방 당원·일반 당원이, 보수의 비주류인 메르켈을 보수 주류 및 중도보수층의 대표로 만들었다. = = = = 총리 재직 = = = = = = = = = 제1기(2005년~2009년) = = = = = 그녀는 결국 독일 총리에 취임하였으나 정치적 성향이 다른 사회민주당과 대연정을 했다. = = = = = 제2기(2009년~2013년) = = = = = 2009년에 실시된 독일 하원 선거에서 보수 세력이 승리하여 성향이 유사한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했으나 금융위기로 인해 그녀의 독일 내 인기가 점점 줄어들고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독일에서 대통령을 뽑을 때 연정 세력 중 일부가 반란표를 던지는 등 그녀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러나 남유럽 경제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독일의 대유럽 영향력을 한껏 끌어올려 사회민주당보다 앞선 지지도를 유지하였다. = = = = = 제3기(2013년~2017년) = = = = = 2013년 9월 22일에 치른 선거에서 기민당은 41.5%의 득표율로 전체 의석 630석 중 311석을 얻었다. 과반 316석에서 5석이 부족하긴 하지만 압승이라 표현해도 무리 없을 성과다. 다만 연정 파트너였던 자유민주당이 5% 득표율을 달성하지 못하면서 의회 입성에 실패해 기민당은 사민당과 대연정을 했다. = = = = = 제4기(2017년~2021년) = = = = = 2017년 선거 결과 32.9%득표로 제1당을 유지했다. 이후 20.5%에 그친 사회민주당과 대연정을 우지하여 4기 내각을 발족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지도 하락 및 지방선거 패배로 2018년 12월 기독교민주연합 당대표직에서 물러나며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후 2021년 선거 결과로 사회민주당의 올라프 숄츠가 집권하며 12월 8일에 공식 퇴임했다. = = 사생활 = = 1977년 물리학자인 울리히 메르켈과 결혼했으나 1982년에 이혼했고, 1998년 베를린 출신 화학과 교수인 요아힘 자우어와 재혼했다. 재혼 후에도 전 남편의 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자우어가 전처 사이에서 낳은 의붓아들이 두 명 있으며 메르켈은 아이를 가진 적이 없다. 이 외에도 메르켈은 러시아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0년 선거 하원의원 (스트랄순드-뤼겐-그리멘 선거구) 12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8.5% -표 1위 1994년 선거 하원의원 (스트랄순드-뤼겐-그리멘 선거구) 13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8.6% -표 1위 1998년 선거 하원의원 (스트랄순드-뤼겐-그리멘 선거구) 14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37.3% -표 1위 2002년 선거 하원의원 (스트랄순드-뤼겐-그리멘 선거구) 15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1.6% -표 1위 2005년 선거 하원의원 (슈트랄준트-포어포메른-뤼겐 선거구) 16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1.31% 57,131표 1위 2009년 선거 하원의원 (슈트랄준트-포어포메른-뤼겐 선거구) 17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9.33% 57,865표 1위 2013년 선거 하원의원 (포어포메른·뤼겐-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제1선거구) 18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56.2% 87,142표 1위 2017년 선거 하원의원 (포어포메른·뤼겐-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제1선거구) 19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44.0% 73,746표 1위 = 클루브 시클리스타 데 산세바스티안 = 클루브 시클리스타 데 산 세바스티안(, 산 세바스티안 사이클링 클럽)은 스페인 바스크 주 산 세바스티안을 연고로 하는 사이클링 및 축구 구단이다. 축구부는 1909년에 코파 델 레이 우승을 거두었다. = = 역사 = = 산 세바스티안에 축구가 전래된 시기는 1900년대 초로, 브리튼 섬에 갔다 돌아온 학생과 노동자들이 전파했다. 1904년, 이들은 산 세바스티안 레크리에이션 클럽을 1905년에 창단하였고, 코파 델 레이에 참가했다. 1905년 5월, 산 세바스티안 축구단은 구단의 별도 지부로 창단되었다. 1909년 구단은 코파 델 레이 참가 신청을 했지만, 등록 허가 절차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산 세바스티안 사이클링 클럽으로 참가했다. 이 구단은 결승전에서 에스파뇰 마드리드를 3-1로 이겼다. 이 구단의 후신이 레알 소시에다드이다. = = 수상 = = 코파 델 레이 우승 1회 우승: 1909 = 연합국 = 연합국(聯合國, , )은 주의·사상이나 목적을 같이하여 행동통일을 취하기로 연합한 국가들을 일컫지만 고유명사로 쓰일 때는 대개 제1차 세계 대전의 동맹국(독일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오스만 제국·불가리아 왕국),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일본 제국·헝가리 왕국·루마니아 왕국·불가리아 왕국)에 맞서 싸운 국가 연합을 말한다. = = 제1차 세계 대전 = = 전쟁 전, 삼국 동맹을 맺은 독일·오스트리아·이탈리아에 대항하여, 삼국 협상을 맺은 러시아·영국·프랑스가 연합국의 중심이다. 미국은 완전한 연합국으로 참전하지 않았다. 독일 제국(1917년 4월 6일부터)과 오스트리아(1917년 12월 6일부터)와만 전쟁을 벌였을 뿐, 오스만 제국에 대해서는 선전 포고를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오스만 제국이 교역 단절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일본도 영국으로부터 참전 요청을 받아 연합국에 참가한다. 이탈리아는 프랑스 전선이 교착되고 독일군의 공세가 불리하게 진행하자 1915년 4월 런던 비밀 조약에 참가하여 단독 강화를 포기하고 연합국 측에 가담하였다. 한편, 러시아는 혁명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1918년에는 단독으로 독일과 강화를 맺어 전선에서 이탈했다. 노르웨이는 중립국이기 때문에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세계 대전 초기의 미국과 마찬가지로 친(親)연합국적 정책을 취했기 때문에 ‘중립의 연합국’이라고 불렸다. = = = 주요 연합국 = = = (오스트레일리아·영국령 인도 제국·캐나다를 포함) (1917년 11월까지) 프랑스 제3공화국 (1915년 5월 23일 참전) (1917년 4월 6일 참전) = = = 기타 연합국 = = = * * * * 루마니아 왕국 (1916년 참전) (1916년 8월 ~ 1918년 5월) (1917년 참전) 중화민국 (1917년 참전) = = 제2차 세계 대전 = =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폴란드와 동맹국인 프랑스와 영국 그리고 영국 연방의 여러 나라가 차례로 연합국으로 참전하였다. 현재의 유엔은 이 연합국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그중에서도 주요 연합국인 아메리카 합중국(미국), 그레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영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중화민국(자유중국) 및 프랑스 공화국(프랑스)은 유엔 헌장에 따라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의 지위가 주어져 거부권 등의 특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 = = 주요 연합국 = = = (을 포함) (를 포함) * 중화민국 ( 레바논을 포함) 5개 주요 연합국은 전후 국제 연맹을 계승한 유엔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상임 이사국에 선출되었다. = = = 기타 연합국 = = = (1939년 참전) (1939년 참전) (1939년 참전) (1939년 참전) (1939년 참전) (1939년 참전) (1940년 참전) (1940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0년 참전) (1940년 참전)) (1940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1941년 참전) 몽골 인민공화국 (1941년 참전) 타누 인민공화국 (1942년, 소련과 영국의 협공으로 인해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2년 참전) (1943년, 영국의 공격으로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3년 참전) (1943년 참전) (1943년 참전) (1943년 참전) (1942년 참전) (1943년 베니토 무솔리니 체포 이후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4년 추축국의 협력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4년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4년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 (1944년 참전) (1944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1945년 참전) = = = 연합국에 협조한 나라들 = = = 포르투갈 (아조레스 제도에 영국군 기지 건설을 묵인하였으며 연합군 참전을 제의하였으나 영국이 사양함. 한편 일본군에 점령당한 티모르, 마카오 식민지의 주민과 포르투갈인이 연합군 측 저항 세력에 다수 가담하였음.) 아이슬란드 (미국은 영국에 보낼 공급물자의 수송로를 확보하고 전략적인 공군기지로 이용하기 위해 1941년 7월 아이슬란드의 통행권을 획득하였다.) = 분류:룩셈부르크의 강 = = 옹진 백령도 패총 = 백령도 패총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에 있다. 1985년 12월 12일 옹진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1958년 이후 백령도의 사회학 및 인류학적 조사가 실시되어 진촌리에서 말등조개더미가 발견되었으며, 1981년에는 서울대 고고학과 주관으로 용기부락과 말등부락에서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가 발견되었다. 백령도 패총 = 공주 탄천 장승제 = 공주 탄천 장승제(公州 灘川 長丞祭)는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에서 행해지는, 정월 대보름날 남·여 장승을 합궁시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생산의식이다. 1989년 12월 29일 충청남도의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장승제는 백제시대부터 전해진 고유의 민속신앙으로서 정월 대보름날 남·여 장승을 합궁시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생산의식이다. 탄천지방의 지형이 등잔모양의 성리봉과 소리실이 마주보는 형상이라 하여 액땜으로 시작된 장승제는 400여 년을 지속되어오면서 토속신앙과 민속놀이로 정착되었다. 탄천장승제는 음력 1월 7일에 농악을 울리며 시작되어 각 집에서 걷은 쌀로 술을 빚고, 15일까지 주민들은 부정한 것을 금한다. 마을의 계곡을 사이에 두고 동쪽은 신랑, 서쪽은 신부로 나뉘어 대보름날 마을 중앙에서 기세배로 시작한다. 각자 농기를 둘러싸고 놀다가 제사장 앞에서 신부가 4번 절하고 신부가 2번 절하면 신랑마을에서 비단을 묶어준다. 날이 어두워지면 농악에 맞추어 동구다리에서 장승의 혼례식을 거행한 후 색깔이 있는 베짜치로 신랑신부를 묶어 합궁시켰다가 떼어 놓는다. 합궁의식이 끝나 각자 마을로 돌아가면 주민들은 질병과 액운을 쫓는 의미에서 방포 3발을 쏘고, 동쪽마을에서는 씨름, 서쪽마을에서는 널을 뛰어 장원을 뽑고, 다시 모여 밤새도록 한바탕 논다. 공주 탄천장승제는 장승의 합궁을 표현하며 마을의 결속을 다지는 행사로 신앙의식과 민속놀이가 함께 어울리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탄천출신의 박영혁씨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 = 참고 자료 = = * 탄천 장승제 = 수도권 뉴스 845 = 수도권 뉴스 845(首都圏 ニュース 845)은 1996년 4월 1일에 첫방송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영되고 있는 일본 간토지방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방송시간은 월~금 오후8시 45분 ~ 9시이다. = 스피시즈 = 스피시즈(Species)는 다음을 가리킨다. 스피시즈는 생물학에서 종(種)을 가리킨다. 스피시즈 (영화): SF 호러 영화이다. 스피시즈 II 스피시즈 III = 한성훈 = 한성훈(韓成勳, 1969년 1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 프로듀서이자 색소폰 연주가이다. 현재 영화사 주연이엔디 소속이다. = = 생애 = = 전라북도 정읍시 출생으로 전주 완산고등학교와 공주영상대학교 실용음악과를 졸업하였다. 1992년 영화 수입 제작, 배급사 유호 프로덕션에 공채로 입사하여 제작부장으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2007년부터 충청남도 지역에서 한승헌 색소폰 클럽을 운영하며 색소폰 연주가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현재 주연이엔디의 제작 프로듀서로 픽업, 야간 업소 색소폰 연주자의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과 부정(父情)을 소재로 한 주연이엔디의 장편 상업 영화대니 보이(감독 이창열)와 저예산 독립 장편 영화진실 모독 그리고..(가제)를 제작, 프로듀싱 중에 있다. 언더 음악계에선 색소폰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한승헌, 쏘니한 등의 예명(무대명)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 = 테아노 (철학자) = = 테아노 (철학자) 문서의 내용이 어디서 퍼온 것 같은데요. 출처가 어딘지 입증이 안되었으므로 이에 삭제 토론 개최합니다. 과거에도 한 번 삭제 토론이 있었으나 유지되었지만, 아직도 출처가 올라오지 않아 저명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노승희 (토론) 2010년 3월 23일 (화) 17:46 (KST) 등의 소개로 보아 저명성 자체의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hun99 (토론) 2010년 3월 23일 (화) 18:01 (KST) 유지합니다. 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3월 23일 (화) 19:07 (KST) = SOC = SOC 또는 SoC는 다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사회()의 약어. 단일 칩 시스템( 또는 ) - 단일 칩에 모든 기능이 집적된 집적회로. 사회 간접 자본() 스토커: 쉐도우 오브 체르노빌() - 2006년 컴퓨터·비디오 1인칭 슈팅 게임. 잔존용량() - 축전지 등의 잔존 용량. 카탄의 개척자() - 1995년 보드 게임 특수 작전 사령부() 관심사 분리(Separation of concerns) = 뉴욕의 예술 단체 = 뉴욕을 본부로 하는 예술 단체는 다음과 같다. 아메리칸 댄스 패스티벌 브롱크스 카운슬 온 디 아츠 브루클린 음악 협회 브루클린 역사적 철도 협회 도시 공원 재단 크리애이티브 타임 링컨 센터 지방 예술 사회 협회 뉴욕 예술 재단 미국 공공 극장 = 청주양씨 묘역 = 청주양씨 묘역(淸州楊氏 墓域)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내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청주양씨 묘역이다. 2005년 5월 24일 증평군의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 인큐베이터 (생물학) = 인큐베이터(incubator) 또는 항온기(恒溫器)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물 등을 배양하기 위한 장치이다. 인큐베이터는 최적의 온도, 습도 및 내부 대기의 CO2 및 산소 함량과 같은 기타 조건을 유지한다. 인큐베이터는 세포 생물학, 미생물학 및 분자 생물학의 많은 실험 작업에 필수적이며 박테리아 및 진핵 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된다. 인큐베이터는 온도가 조절되는 챔버로 구성된다. 일부 인큐베이터는 해당 챔버 내 습도, 가스 구성 또는 환기도 조절한다. 가장 간단한 인큐베이터는 조정 가능한 히터가 있는 절연 상자로, 일반적으로 최대 60~65°C(140~150°F)까지 올라가지만 일부는 약간 더 높을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100°C 이하). 자주 사용되는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와 포유류 세포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는 약 37°C(99°F)이다. 이러한 유기체는 이러한 조건에서 잘 자란다. 신진 효모인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와 같이 생물학적 실험에 사용되는 다른 유기체의 경우 성장 온도는 30°C(86°F)가 최적이다. 보다 정교한 인큐베이터에는 온도를 낮추는 기능(냉장을 통해)이나 습도 또는 CO2 수준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 습도가 일반적으로 >80%이고 CO2 수준을 5%로 유지하여 약산성 pH를 달성하는 포유류 세포 배양에 중요하다. = 배리나 = 배리나(, 1997년 4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자 작가이며, 본관은 대구 배씨이다. 2017년에 뷰티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데뷔했으며 2018년에 탈코르셋을 선언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 = 생애 = = 배리나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당시에 통통한 체격을 갖고 있었고 친구가 많았다고 한다. 초등학교 2학년 시절에 친구들과 함께 놀이터에서 놀던 도중에 정글 짐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여 병원으로 옮겨졌는데 골반에서 종양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았다. 배리나는 침대에서 누워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운동을 할 수 없게 되었고 급격하게 살이 찌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배리나는 초등학교 3학년 시절에 같은 반에 다니던 남자 어린이들로부터 자살하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따돌림을 받았고 10세 시절에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배리나는 초등학교 6학년 시절에 부모의 권고를 받고 캐나다 유학을 떠났다. 배리나의 증언에 따르면 캐나다는 대한민국과는 달리 외모 차별을 받지 않는 사회였고 자신도 학교에서 따돌림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어려운 집안 상황 때문에 불과 1년 만에 대한민국으로 귀국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배리나는 못 생긴 외모 때문에 우울증, 대인기피증, 식사장애에 시달려서 외출을 못 했고 원푸드 다이어트, 디톡스 요법, 한약 요법, 퍼스널 트레이닝을 비롯한 각종 다이어트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한다. 배리나는 2016년에 일어난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을 계기로 모든 여자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여성주의(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또한 대학교(2년제 전문 대학교로 추정됨)에서 방송영상학을 전공했고 화장과 분장에 관심을 가지면서 분장사 자격증도 취득했다. 배리나는 2017년 8월에 뷰티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데뷔하면서 화장법을 주제로 한 동영상을 게재했다. 배리나의 유튜브 채널은 15만 명에 달하는 구독자 수를 기록했지만 한편으로는 네티즌들의 악플 공격을 받기도 했다. 그러던 중에 2018년 6월 4일에 나는 예쁘지 않습니다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게재하면서 탈코르셋을 선언했다. 이 동영상은 500만 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인터넷 커뮤니티의 주목을 받았고 많은 여성 네티즌들도 공감의 표시를 전했다. 유튜브 채널의 유명세에 힘입어 배리나는 2018년 10월에 탈코르셋을 주제로 한 나는 예쁘지 않습니다라는 에세이를 출간하였다. = = OECD 포럼 참석 = = 2019년 5월 21일부터 5월 2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포럼에서 '소셜 미디어와 정체성'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 패널로 참여하여 의견을 교환했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이 배리나가 대한민국 정부의 추천을 받고 OECD 포럼에 참여해서 "대한민국은 몰카 천국"이라는 등의 젠더 갈등을 조장하고 대한민국의 국격을 떨어뜨리는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청와대 국민청원에서는 배리나를 처벌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와 배리나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특히 배리나는 자신이 OECD의 초청을 받고 참여했다고 해명했고 자신에 대한 의혹이 사실이 아님을 입증하는 이메일을 공개하기도 했다. = = 사생활 = = 배리나는 2017년 4월 27일에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토론회에서 동성애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동성애는 '취향'이 아니라 '정체성'일 뿐이며 그 누구도 찬성과 반대를 논할 수 없다. 동성애는 같은 성별을 사랑하는 한 '사람'일 뿐이다."라고 비판하고 자신이 남자와 여자 모두를 사랑하는 양성애자임을 커밍아웃했다. 또한 배리나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혼주의자라고 밝히기도 했다. = = 저서 = = 《나는 예쁘지 않습니다》 (2018년 10월 24일, 북로그컴퍼니) = 분류:청벌상과 = = 하나조노촌 (이시카와현) = 하나조노촌(花園村)은 이시카와현 가호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2018년 방글라데시 도로 안전 시위 = 2018년 방글라데시 도로 안전 시위는 2018년 7월 29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학생 시위이다. 이 시위는 다카에서 버스 2대가 학생을 치어 2명이 사망한 사건 이후 일어났다. 이후 시위가 방글라데시 전역으로 퍼졌다. 8월 4일 이후 방글라데시 경찰과 집권여당인 아와미 연맹의 학생분파인 방글라데시 차트라 연맹이 시위대 및 기자를 공격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오고 있다. 8월 6일 오전까지 방글라데시 정부의 무력진압으로 대략 115명 이상의 부상자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 = 배경 = = 7월 29일, 샤히드 로미주딘 캉통망 대학생 2명이 다카의 샤잘랄 국제공항 도로변에서 버스에 치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두 버스는 사고 당시 경주하듯 달리다 한 버스가 인도로 돌진하여 2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 1시간여 후 학생들이 도로를 점거하고 버스 5-60여대를 방화하는 등 시위가 시작되었다. = = 전개 = = = = = 7월 29일 = = = 사고가 일어난지 1시간여 후 학생들이 다카 내의 주요 도로를 점거하고 사고를 일으킨 버스를 비롯한 버스 5-60여대를 방화하며 시위하였다. = = = 8월 1일 = = = 시위가 다카 외 다른 도시로도 퍼지기 시작했다. 13세에서 15세 학생들로 이루어진 시위대는 다카의 주요 도로를 점거하고 지나가는 운전자에게 신분증 및 운전면허증 제시를 요구하며 단속을 벌였다. = = = 8월 5일 = = = 방글라데시 정부가 시위 차단 명목 24시간동안 모바일 인터넷 접근을 차단했다. 다카의 지가탈라 지역에선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로 100여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 = 더 보기 = = 2018년 방글라데시 쿼터 개혁 시위 = 박은실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박은실: 대한민국의 YTN 앵커 = = 가공 인물 = = 착하지 않은 여자들의 등장 인물 내 마음의 보석상자의 등장 인물 = 습유 와카집 = 습유와카집(拾遺和歌集, 슈이와카슈)은 일본 헤이안 시대의 세 번째 칙찬 와카집이다. ≪고금와카집≫, ≪후찬와카집≫을 이어받아, 새로운 와카적 방법을 모색해 중세 와카로 연결하는 과도기적 작품들이 실려 있다. 한문이 아니라 일본 고유의 문자인 가나로 노래한 와카가 귀족 사회의 문화로 정착하는 모습에서 중국 문학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우기 시작한 일본의 국풍 시대를 엿볼 수 있다. = = 배경 = = 이치조(一条) 임금의 치세(10세기경)는 와카에 대한 이전까지의 헤이안 귀족들의 인식이 조금씩 변화해 간 시기다. 이전까지 헤이안 궁중을 석권하던 중국과 한문학 존중의 의식은 견당사(遣唐使) 폐지와 더불어 점차로 옅어지고 특히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나 ≪베갯머리 서책(枕草子, 마쿠라노소시)≫ 같은 가나를 사용한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여방(女房 : 궁중에서 왕비들을 모시며, 시녀 겸 교육자의 역할을 담당했던 여성 관리) 문학의 발전은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가속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의 파도는 여성뿐만 아니라, 오로지 한문학만을 숭상하던 남성 귀족들 사이에서도 현저해지기 시작했고 사적 영역에 머물러 있던 일본의 가나 문학이 남성을 중심으로 한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어 가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처럼 중국 문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일본의 독자적인 문화로 눈을 돌리던 당시의 문화적 변화의 흐름을 국풍 문화(国風文化)라고 칭한다. 이러한 변화는 와카 문학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습유와카집≫ 이전까지 와카는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 ≪후찬와카집(後撰和歌集)≫의 선자 기노 쓰라유키(紀貫之)나 오시코치노 미쓰네(凡河内躬恒),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大中臣能宣) 등 낮은 신분의 전문 가인들을 중심으로 한 기예 정도의 인식에 머물러 있었다. 물론 신분이 높은 귀족들 사이에서도 와카를 즐기는 이들이 많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취미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10세기경까지 상류 귀족들 사이에서 와카를 읊는 것은 그다지 사회적으로 내세울 만한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치조 조정의 후반에 접어들자, 후지와라노 긴토(藤原公任)와 같은 상류 귀족들이 전문적인 와카 제작의 전면에 나서면서 점차로 상류 귀족들 사이에서 와카가 가지는 사적, 공적인 역할이 확대되어 가기 시작했다. 귀족들 사이에서 와카는 우아하고 미려한 소통의 수단이자, 자신의 문화적 소양을 인정받기 위한 중요한 예술적 작업으로 인식되어 간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대의 ≪고금와카집≫, ≪후찬와카집≫에 이어 세 번째 칙찬 와카집인 ≪습유와카집≫이 편찬되게 되었다. ≪습유와카집≫은 ≪고금와카집≫, ≪후찬와카집≫ 시대의 와카를 많은 부분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그 와카 양식에 정주하지 않고, 새로운 와카적 방법을 모색하려 했던 당시의 변화를 반영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습유와카집≫은 고대의 와카를 계승하면서도 이후 중세 와카로 이어지는 변화의 맹아를 품은 과도기적 작품이라 평할 수 있다. = 분류:미니애폴리스의 음악 = = 현악 사중주 15번 (베토벤) = 현악 사중주 15번 가단조, 작품 번호 132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인 현악 사중주이다. = = 개요 = = 이 작품이 쓰인 시기는 1823년에서 1825년 사이로, 베토벤이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의 의뢰를 완수하기 위해 쓴 세 개의 사중주 중 두 번째로 완성된 것이었다. 12번 사중주, 작품 번호 127이 처음으로 완료되었고, 이어 이 사중주가 뒤따랐으며, 13번 사중주, 작품 번호 130이 마지막으로 완료되었다. 완성된 작품의 공개 초연은 1825년 11월 6일에 빈에서 슈판치히 사중주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베토벤의 조카 카를은 이 초연에 관하여 그의 삼촌에게 이렇게 말했다: "사중주는 많은 박수를 받았습니다. 그것은 매우 조화로웠고, 링케는 그 어느 때보다 잘 연주했습니다." 악보의 초판은 베토벤의 사망 이후인 1827년 4월에 마인츠의 쇼트 출판사를 통해 간행되었다(출판 순서로는 열 다섯번째이지만, 작곡 순서로는 열 세번째이다). 헌정은 작품을 의뢰한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에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사중주는 제3악장의 악보에 적힌 메모(실제로는 프랑스어)로 인해 "성스러운 감사의 노래"(Heiliger Dankgesang)라는 별칭이 붙여졌다. 메모와 함께 작품의 작곡 시점에서 분명히 소리를 듣지 못하는 위기를 안전하게 추론할 수 있는데, 이는 베토벤이 1825년 4월부터 그해 8월까지 겪은 긴 질병과 관련이 있다. 이 시기에 베토벤은 이 사중주의 2악장까지 작업하고 병상에 눕게 되어 작업을 중단했으며, 그 병, 아니 그보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 병으로부터 회복된 그의 병은 베토벤이 "건강을 회복한 자가 신에게 감사하는 신성한 노래, 리디안 선법을 따름"이라고 불렀던 15번 사중주의 깊이가 느껴지는 느린 악장을 착수하게 한 것으로 기억되었다. 작곡가는 병에 걸린 동안 자신의 감정을 묘사하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의 증상이라고 느꼈을, 고통과 괴로움을 극복한 것에 대해 숙고하고, 이 악보에 감사를 표했다. = = 악장 구성 = = 작품은 전 다섯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연주 소요 시간은 50분 정도이다. = = = 제1악장. 아사이 소스테누토 — 알레그로 = = = "2/2 박자 — 4/4 박자", 가단조, 서주가 있는 소나타 형식, 10분 소요. 14번 사중주와 같이, 짧지만 완만한 서주가 작품 전체와 대푸가에도 등장하는 동기의 기초가 된다. 제1악장의 이례적인 악곡 구성에 대해 로저 세션스는 표준 소나타 형식과는 달리 제시부가 삼중 구조로 되어 있다고 논했다. = = = 제2악장. 알레그로 마 논 탄토 = = = 3/4 박자, 가장조, 세도막 형식, 10분 소요. 교향곡 3번 이후 베토벤이 되풀이 해 온 스케르초 보다는 오히려 트리오가 달린 미뉴에트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트리오는 으뜸음(여기에서는 "라")의 보속음 위에 선율이 연주되기 때문에 뮤제트를 연상시킨다. = = = 제3악장. 건강을 회복한 자가 신에게 감사하는 신성한 노래, 리디안 선법을 따름 (몰토 아다지오) — 새로운 힘을 느끼네 (안단테) — 몰토 아다지오 — 안단테 — 몰토 아다지오 (가장 깊은 느낌으로) = = = 4/4 박자, 가단조. 바조(바調)의 리디안 선법, 다섯도막 형식, 20분 소요. 가장 긴 제목에 20분 가량의 가장 긴 연주 시간을 갖고 있는 악장이다. 전체 악장에서 클라이맥스에 위치한 악장으로, "건강을 회복한 자가 신에게 감사하는 신성한 노래"(Heiliger Dankgesang eines Genesenen an die Gottheit)라고 하는 느린 바조(바調)의 리디안 선법에 의한 부분과 좀 더 빠른 라장조 부분의 "새로운 힘을 느끼네"(Neue Kraft fühlend)의 전환으로 구성된다. 악장의 제목은 이 사중주의 제2악장을 완료하고 병상에 눕게 된 베토벤이 두려워 했던 그 중병에서 쾌유한 후에 작곡을 이어나간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실제로 그는 작금에 거의 치명적인 질병에서 살아 남았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서양 음악의 정상을 형성한다고 믿는 그의 이 말기 현악 사중주를 마치고 2년 후 세상을 떠났다. 베토벤의 열 여섯개의 현악 사중주는 많은 감정가들에 의해 인간의 가장 위대한 예술적 업적 중 하나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 특별한 악장은 아마도 여전히 작곡을 한 천재의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섬세한 아름다움에 숨이 멎을듯한 이 악장은 단순히 신에게 바치는 찬송가가 아니라, 그가 저주받은 귀머거리에도 불구하고 창조주와의 화평(和平)을 이루는, 신과 사람 사이의 조용한 대화를 암시한다. = = = 제4악장. 알라 마르시아, 아사이 비바체 — 피우 알레그로 (아타카) = = = 4/4 박자, 가장조, 두도막 형식, 3분 소요. 짧은 간주곡이다. 행진곡 풍의 전반부 뒤에 레치타티보 풍의 악구가 있고, 바로 종악장으로 이어진다. = = = 제5악장.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 — 프레스토 = = = 2/4 박자, 가단조. 론도 형식, 7분 소요. 베토벤의 스케치장에는 가단조의 론도 주제로서 비슷한 주제가 있었는데, 이것은 당초에는 교향곡 9번의 포기된 기악으로, 종악장으로 계획했던 것 같다. 두 가지 형태의 코다에서 가장조로 바뀌어 끝난다. = = 영향 = = 어떤 사람들은 이 사중주를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이 그의 장시, "네 개의 사중주"를 쓰게 한 자극제였다고 여긴다. 확실히 스티븐 스펜더에게 보낸 그의 편지에서는 축음기에 베토벤의 사중주 가단조를 소유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배울 게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엄청난 고통을 겪은 후에 화해와 안도의 결실을 맺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그의 후기 일들에 관하여 일종의 천상의, 또는 적어도 인간 이상의 유쾌함이 있습니다. 나 또한 죽기 전에 시로 그 같은 것을 넣고 싶습니다." 올더스 헉슬리는 그의 소설 "연애 대위법"에서 등장 인물인 모리스 스팬드럴의 죽음/자살과 관련하여 후반부에 이 사중주에 대한 광범위한 언급과 설명을 한다. = 마룻대 = 마룻대는 한옥등 건축에서 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되는 도리이다. 한편 용마룻대(龍마룻대)는 지붕 꼭대기에 있는 가장 중요한 마룻대를 가리킨다. = 쳉스토호바 = 쳉스토호바는 폴란드 남부의 바르타강 유역에 있는 도시로 248,894명이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2004년 기준). 쳉스토호바는 1999년부터 실롱스크주(행정 구역)에 있으며, 1975년부터 1998년까지는 쳉스토호바주의 주도였던 곳이다. 그렇지만, 쳉스토호바는 역사적으로 실롱스크가 아닌 마워폴스카의 일부이며, 1795년 이전에는(폴란드의 행정 구역 참조) 크라쿠프주에 속해 있었다. 쳉스토호바는 검은 성모 성화를 보관한 야스나고라의 바오로회 수도원이 자리 잡은 성모 순례지로서 유명하다. 매년 세계 각지에서 수백만 명의 순례자가 검은 성모 그림을 보려고 이곳 쳉스토호바를 방문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또한 루사티아 문명 발굴지와 박물관이 있으며, 도시 중심부에서 약 15킬로미터 떨어진 올슈틴에는 중세 시대 성채의 옛 터가 있다. = 아사케 신호장 = 아사케 신호장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신호장이다. = = 구조 = = 단선 구간(구와나 방면)과 복선 구간(아사히 방면)의 접속 지점에 설치되었던 신호장이다. 위치는, 나고야 기점 27.5km, 구와나 역부터 1.6km의 지점이다. 예전에는, 단선 구간 열차 교환형의 신호장으로, 현재 위치부터 아사히 역 보다도 1km의 지점에 있었지만, 복선화에 의해 단선 복선 접속형 신호장으로 되었다. 신호장 이북(구와나 역 - 아사케 신호장 간)에는 복선에 대응하는 용지는 대략 확보되어 있었지만, 구와나 역 남쪽에 있는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교 아래의 공간이 단선이 통행하는 넓이밖에 없어, 옆에도 1개 차선 분의 도로가 있기 때문에, 같은 구간의 복선화는 곤란하다. 1982년의 간사이 본선 전철화의 때에 일본국유철도(당시 국철)는 복선화를 희망해, 호쿠세이 선의 교량 재가설 비용의 부담에 대해서 국철 측의 재가설 분은 국철 부담,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재가설 분은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 당시 호쿠세이 선을 운영)부담을 필요로 하는 제안했던 것의 긴테쓰 측이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 측도 포함해서 부담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교섭은 부조없이 끝났다. 그 때문에 이 지점으로의 복선화는 보류되었다. 현재의 위치 사업화의 전망은 없다. = = 주변 = =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 마스오 역 = 분류:스위스의 산장 = = 분류:네덜란드의 여자 중거리달리기 선수 = = 브루스 맥길 = 브루스 맥길(Bruce McGill, 1950년 7월 11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맥가이버 = = = 영화 = = = 더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 모범시민 밴티지 포인트 - 필 맥걸러프 역 매치스틱 맨 마지막 보이스카웃 = 분류:수리남의 과학자 = = 분류:1931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 = 주걱박쥐과 = 주걱박쥐과(Phyllostomidae)는 멕시코부터 아르헨티나 북부 지역에 이르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전역에서 발견되는 박쥐 과이다. 신세계잎코박쥐과 또는 아메리카잎코박쥐과 등으로도 불린다. 박쥐목에 속하는 박쥐 과 중에서 생태학적으로 가장 다양하고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의 종이 식충성 동물이지만, 잎코박쥐류는 전형적인 포식성 종들과 과식성 종(스테노데르마아과와 짧은꼬리잎코박쥐아과)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박쥐인 흡혈박쥐사촌 (Vampyrum spectrum)는 비둘기 크기의 조류를 포함하여 척추동물을 포식한다. 이 과 종들은 나무 열매와 꽃꿀, 꽃가루, 양서류, 다른 박쥐류, 작은 척추동물 그리고 흡혈박쥐의 경우에는 피 등과 같은 먹이를 먹으며 진화해 왔다. = = 하위 분류 = = 56속 192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과일먹는박쥐아과 (Brachyphyllinae) - 1속 2종 짧은꼬리잎코박쥐아과 (Carolliinae) - 2속 12종 흡혈박쥐아과 (Desmodontinae) - 3속 3종 긴혀박쥐아과 (Glossophaginae) - 4족 17속 43종 꽃박쥐아과 (Phyllonycterinae) - 2속 5종 창코박쥐아과 (Phyllostominae) - 4족 16속 스테노데르마아과 (Stenodermatinae) - 2족 19속 = 다카세정 (가가와현) = 다카세정은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존재하는 지구이며, 또한 과거 가가와현에 있던 정이다. 이 기사에서는 자치체 시대의 다카세 정, 현재의 미토요시 다카세 지구 양쪽에 대해 기술한다. = = 역사 = = 1955년 3월 31일 - 가미타카세촌, 가쓰마촌, 히지후타촌, 니노미야촌, 아사촌이 합병해 다카세정이 되었다. 2006년 1월 1일 - 니오정, 사이타정, 도요나카정, 야마모토정, 다쿠마정, 미노정과 합병해 미토요시가 되었다. = = 자매 도시 = = 경상남도 합천군 = = 교통 = = = = = 철도 = = = 시코쿠 여객철도 요산 선 도산 선 = = = 도로 = = = (다카세PA) 국도 제11호선 * = 이스라엘 정착촌 = 이스라엘 정착촌(-定着村, )이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래로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는 지역 안에 이스라엘 국적의 유대인들이 옮겨와 모여 사는 공동체를 말한다. 요르단강 서안 지구, 동예루살렘, 골란고원 및 가자 지구 등에 퍼져 있다. 국제사회에서 이러한 정착촌 설립은 불법적으로 여겨지나 이스라엘 측은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예전의 중동 전쟁에서 이집트로부터 빼앗은 시나이반도 지역에도 정착촌을 세웠으나, 이 지역의 정착촌은 1982년에 철거되었으며, 가자 지구에 있던 정착촌도 2005년에 철거되었다. 반면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정착촌 건설은 강행, 계속되어 2023년 기준 서안지구에는 144개의 정착지(동예루살렘의 12개 포함)가 있으며, 이스라엘 정부의 승인도 받지 않은 이스라엘 전초지도 100개 이상 존재한다. 합하여 45만 명 이상의 유대인들이 동예루살렘을 제외한 여러 정착지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 죽속 = 죽속은 일본의 방패의 일종이다. 한자 그대로 대나무(竹)를 여럿 밧줄로 묶어(束) 원기둥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센고쿠 시대 이후 전투에서 종자도총이 등장하여 기존의 나무판자 방패가 무용지물이 되자 고안되었다. 당시의 화승총은 총알이 커서 파괴력은 컸지만, 총알이 둥근 구형이고 강선도 없었기 때문에 관통력은 약했기 때문에 죽속을 관통할 수 없었다. 또 만들기 위한 재료가 구하기 쉽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그러나 불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크기는 작은 것은 길이 여섯 척(약 180 cm), 지름 한 척(약 30 cm). 대형은 길이 여덟 척(약 240 cm)에 지름 네 척(약 120 cm)정도였다. 또 병사들이 들고 다니는 죽속 외에도 나무 방패의 전면에 나란히 놓거나, 그렇게 나란히 놓은 것에 바퀴를 달아 이동식으로 만든 것도 있었다. 방어구이지만 수비보다는 공세용 무기로 더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공성전에서 수비군이 퍼붓는 화살과 총알을 막아내는 데 큰 효과가 있었다. = 틀:위키백과 이름공간 = 위키백과 이름공간 위키백과 이름공간 위키백과 이름공간 위키백과 이름공간 기본 이름공간 기본 이름공간 토론 이름공간 토론 이름공간 0 일반 토론 1 2 사용자 사용자토론 3 4 위키백과 위키백과토론 5 6 파일 파일토론 7 8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9 10 틀 틀토론 11 12 도움말 도움말토론 13 14 분류 분류토론 15 100 포털 포털토론 101 102 위키프로젝트 위키프로젝트토론 103 118 초안 초안토론 119 710 TimedText TimedText talk 711 828 모듈 모듈토론 829 2300 소도구 소도구토론 2301 2302 소도구정의 소도구정의토론 2303 2600 주제 주제 주제 가상 이름공간 가상 이름공간 가상 이름공간 가상 이름공간 -1 특수 특수 특수 -2 미디어 미디어 미디어 현재 목록 (API 호출) 현재 목록 (API 호출) 현재 목록 (API 호출) 현재 목록 (API 호출) = 분류:일본의 평화주의 = = 타케미야 = 타케미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타케미야 케이코: 일본의 만화가 타케미야 유유코: 일본의 소설가 = 티엔쯔엉 스타디움 = 티엔쯔엉 스타디움은 베트남 남딘에 있는 30,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현재 텝싸인 남딘 FC가 사용하고 있다. = 분류: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노래 = = 케니 먼데이 = 케네스 데일 "케니" 먼데이(, 1961년 11월 25일~)는 미국의 레슬링 선수, 지도자이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자유형 웰터급 금메달, 1992년 하계 올림픽 남자 자유형 웰터급 은메달을 획득했고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2001년에 미국 레슬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현재 모건 주립 대학교 레슬링팀 감독을 맡고 있다. = 플렉스터 = 플렉스터(, ; )는 광학 디스크 레코더와 SSD로 잘 알려진 중화민국의 브랜드이며, 2010년 이전에는 일본의 브랜드였다. = = 개요 = = 플렉스터(Plextor)라는 브랜드 이름은 일본의 기업 시나노 켄시의 100% 소유 자회사인 일본의 기업 플렉스터사(Plextor Inc.)의 전자장비부서와 인쇄장비부서가 제조한 모든 제품에 사용되었다. 이 브랜드는 과거에 텍셀(TXEL)로 알려져 있었으며 이 이름을 통해 1989년 최초의 CD-ROM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보이게 되었다. 이 브랜드는 CD-ROM 버너, DVD-ROM 버너, CD 및 DVD 미디어,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버너, 네트워크 하드 디스크, 포터블 하드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제품에 사용된다. "플레스터"라는 브랜드는 2010년 라이트온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필립스 & 라이트온 디지털 솔루션스 코퍼레이션(Philips & Lite-On Digital Solutions Corporation)에 라이선스되었다. 극러므로 모든 플렉스터 제품들은 그 이후로 특히 SSD는 일본의 브랜드가 아닌 타이완의 브랜드이다. 그러나 이 이름을 탄생시킨 일본의 기업 플렉스터사는 계속 플렉스로거(PLEXLOGGER)와 플렉스토크(PLEXTALK) 등의 다른 브랜드로 새로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 제품 = = 스토리지 리더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플렉스터는 최초의 SSD인 M1 SSD 시리즈를 선보였으며, 64 GB와 128 GB 모델로 출시되었다. M1을 출시한지 얼마 되지 않아 플렉스터는 M2 시리즈 128 GB, 256 GB를 출시했으며, SATA 6 Gbit/s 인터페이스의 이용이 가능하였고 플렉스터는 당시 최초의 SATA 3 SSD라고 주장하였다. 2011년 10월, 플렉스터는 M2 시리즈의 성능을 상당히 끌어올린 한정판 M2P 시리즈를 발표하였다. 특히 플렉스터는 "ironclad" 5년 보증을 SSD에 도입하였는데 이러한 일을 하는 제조업체들은 얼마 되지 않았다. 5년 보증 외에도 플렉스터는 M2P 시리즈에 트루스피드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였다. 트루 스피드 테크놀로지는 실제 컴퓨팅 환경에서 빠른 속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장기적으로는 원래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른 SSD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쓰기 속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동작한다. 2011년 12월, 2012년 1월, 플렉스터는 M3와 M3 프로 시리즈를 64 GB, 128 GB, 256 GB, 512 GB 용량으로 출시하였다. 전작과 비슷하게 M3는 마벨 칩셋의 SATA 6 Gbit/s 인터페이스이다. 신형은 24 nm 토글 NAND 플래시(M1, M2, M2P에 사용된 32 nm 토글 NAND 플래시 대신)를 사용하였다. M3 시리즈의 연속 최대 읽기-쓰기 속도는 540/450 MB/s에 이르며 랜덤 읽기-쓰기 속도는 최대 75,000/69,000이다. = 쑨밍첸 = 쑨밍첸(, , 2000년 6월 19일~)은 홍콩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이스턴에서 윙어, 공격수로 뛰고 있다. = 분류:네덜란드의 수학자 =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1631년)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1631년 12월 30일 ~ 1700년 8월 16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다. 어릴적 이름은 쓰루마쓰마루이며, 관위는 종오위하, 시모사노카미, 종사위하, 시종에 서임되었다. 야마토 고리야마 번주이던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634년에는 아버지를 따라 에도로 가서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알현하였다. 1639년에 아버지 다다아키라가 히메지번으로 전봉된 후 1644년에 사망하자, 12세의 나이로 히메지 18만 석 영지를 상속하였고, 동생 기요미치에게 영지 3만 석을 분할해 주어 히메지 신덴 번을 세우게 했다. 4년 뒤인 1648년,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야마가타번으로 이봉되었다. 1668년, 우쓰노미야 번으로 옮겨가게 되었는데, 우쓰노미야 번주이자 같은 오쿠다이라 가문인 오쿠다이라 마사요시가 조루리자카의 복수를 저지르면서 다다히로와 영지를 교체하는 조치를 받았기 때문이다. 1681년에 시라카와번으로 들어온 이후 후계자 문제를 둘러싼 소동이 벌어졌다. 다다히로에게는 장남 쓰루치요(훗날의 마쓰다이라 기요테루) 외에도 세 명의 아들이 더 있었다고 하나 모두 요절하였다. 그런데 쓰루치요마저도 건강 면에 있어서 불안해보이자, 둘째 사위 마쓰다이라 다다나오(松平忠尚)를 무리하게 양자로 입적시켜 대를 잇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다다나오의 아들이 일찍 죽고, 그 아내마저 반년 만에 사망하니, 그의 존재 가치도 점차 희미해졌다. 50세를 넘긴 다다히로에게 아직 후사 문제가 결정되지 않자 불안해진 가신들은, 마침 가문 계승권으로부터 멀어진 기요테루가 아들 사이구(斎宮, 훗날의 마쓰다이라 다다마사)를 낳자, 사위파와 손자파로 나뉘어 대립 관계를 형성했고 정국은 악화되었다. 막부는 이 소식을 듣고 시라카와 번의 영지 몰수를 결정했으나, 1692년, 야마가타 10만 석 영지로 삭감 전봉되는 것으로 몰수 위기는 면하였다. 다다히로는 소동의 책임을 지고 은거하였으며, 기요테루의 아들 사이구가 그 뒤를 이었다. 다다히로는 1700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분류:리투아니아의 배드민턴 = = 덕은 이씨 = 덕은 이씨(德恩 李氏)는 충청남도 논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조(高麗朝) 대대로 태사(太師)를 엮임하였던 고려의 정치 교육 명문가의 직계후손 가문이다. 시조 이전(李筌)은 고려(高麗) 고종(高宗)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檢校將軍)을 지낸 진위군(振威君) 진위 이씨(振威 李氏) 이자영(李自英)의 5세손이며,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덕은군(德恩君)에 봉해졌다. = = 시조 = = 시조 이전(李筌)은 경주 이씨(慶州李氏)에서 분적(分籍)했다고도 전하는 진위 이씨(振威 李氏)이자영(李自英)의 5세손이며, 공양왕(1392년)의 왕태자(王太子) 정성군(定城君) 왕석(王奭)의 태사(太師)를 지냈고, 조선 태종(太宗)의 태부(太傅)이자 명신(名臣)이었던 문간공(文簡) 이지(李至)의 아들이다.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지내고 후에 덕은군(德恩君)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덕은(德恩)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 = 본관 = = 덕은(德恩)은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의 옛 지명으로, 본래 백제에는 덕근군(德近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덕은군(德恩郡)으로 개명하였다. 고려 초에는 덕은(德恩)으로 고쳤다가 1017년(현종 9) 공주에 속하였고, 1406년(태종 6)에 시진현(市津縣)과 합하여 감무를 두었으며 1419년(세종 1) 은진(恩津)으로 고치고 현감(縣監)을 두었다. = = 과거급제자 = = 덕은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명을 배출하였다. 이기수(李麒壽, 1542 壬寅生) : 문과(文科) 선조12년(1579) 식년시 병과(丙科) 이인무(李仁茂, 1652 壬辰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이기수(李麒壽, 1542 壬寅生) : 사마시(司馬試) 선조3년(1570) 식년시 이등(二等) 이붕수(李鵬壽, 1550 庚戌生) : 사마시(司馬試) 선조21년(1588) 식년시 삼등(三等) 이창립(李昌立, 1584 甲申生) : 사마시(司馬試) 인조5년(1627) 식년시 삼등(三等) = = 역대유명인물 = = 이운생(李芸生) : 조선 개국후 가선대부(嘉善大夫) 종2품으로 형조참판(刑曹參判) 종2품에 이르러 덕진군(德津君)군에 봉해졌다. 이인수(李麟壽) :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6품, 진해현감(鎭海縣監) 종6품 이기수(李麒壽) : 조선 부제학(副提學) 정3품,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중추부 1품 이정추(李廷樞) : 조선 부호군(副護軍) 종4품 이의춘(李宜春) : 조선 통정대부(通政大夫) 정3품 이윤섭(李允燮) : 조선 부호군(副護軍) 종4품 이명근(李命根) : 조선 부호군(副護軍) 종4품 이명태(李命泰) : 조선 참봉(參奉) 종9품 이응규(李應奎) : 조선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3품 이시진(李時陳) : 조선 도사(都事: 중추부 의금부) 종5품 = = 인구 = =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덕은이씨는 1985년에는 총 512가구 2,321명, 2000년에는 총 652가구 2,033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공황 = 공황(恐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공황 (심리학) 경제 공황 = 분류:1900년 줄다리기 = = 분류:일본의 영화 단체 = = 비주얼 베이직 = 비주얼 베이직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의 일종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제품군의 하나이다. 비주얼 베이직은 사건 기반 프로그래밍의 3세대 프로그래밍 언어이면서,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컴포넌트 오브젝트 모델에 따른 풍부한 구성 요소를 가진 통합 개발 환경 및 RAD을 가리키기도 한다. 비주얼 베이직은 초보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시각적인 개발 환경과 더불어 베이직 언어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으로 간주된다.비주얼 베이직은, 비주얼 베이직과 비주얼 베이직 닷넷 간의 소스 코드의 이동이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비주얼 베이직 닷넷의 관점에서 종종 비난을 받아왔다. 비주얼 베이직은 베이직의 영향을 받았으며, GUI 응용 프로그램의 RAD개발을 가능하게 해 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데이터 액세스 오브젝트, 원격 데이터 오브젝트, 또는 ActiveX 데이터 오브젝트들, 그리고 Active X컨트롤과 개체의 생성을 통해 가능하게 한다. 비주얼 베이직 포 애플리케이션이나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들은 문법적으로 비주얼 베이직과 유사하지만, 그 기능은 다르다.예를 들면, S="ABC" : S = S & "DEF" : S = S & "GHI"는 일반적으로 비주얼 베이직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ASP 페이지에서 사용할 경우 문제를 일으킨다. 왜냐하면 두 언어의 정적 상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위 코드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에서는 중대한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다. 프로그래머는 비주얼 베이직에서 제공하는 구성 요소를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비주얼 베이직으로 만든 프로그램은 윈도우 API를 사용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외부 함수 선언이 필요하다. 비주얼 베이직의 마지막 버전은 1998년에 출시된 비주얼 베이직 6.0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연장 지원 기간은 2008년 3월에 끝났으며, 공식적인 후계 제품은 비주얼 베이직 닷넷이다. = = 특징 = = 프로그래밍 언어 베이직과 마찬가지로, 비주얼 베이직은 쉽게 배우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주얼 베이직은 간단한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뿐만 아니라 복잡한 프로그램의 개발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비주얼 베이직에서의 프로그래밍은 폼(Form)위에 놓인, 시적으로 정렬된 GUI 위젯(비주얼 베이직에서는 컨트롤이라고 한다)들의 조합이다. 이 컨트롤들은 특별한 속성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능의 확장을 위해 추가적인 코드의 입력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속성과 역할이 이들 컨트롤에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래머는 그다지 많은 코딩 없이 만들 수 있다. 성능상의 문제가 이전 버전에서 많이 보고되었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른 컴퓨터 성능 향상과 원시 코드(Native Code) 컴파일을 통해 이 문제는 많이 사라졌다. 비주얼 베이직 5.0부터 원시 코드로 컴파일된 실행 파일 작성이 가능해졌지만, 비주얼 베이직으로 작성된 실행 파일은 여전히 1메가바이트 정도 크기의 라이브러리 파일을 필요로 한다. 이 파일은 윈도우 2000과 이후 윈도 버전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었지만, 그 이전의 윈도우 95, 윈도우 98, 윈도우 NT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때문에 비주얼 베이직으로 만든 실행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이 라이브러리 파일 또한 함께 배포하여야 했다. 폼은 끌어다 놓기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커서를 통해 텍스트 상자, 단추 등과 같은 컨트롤들을 폼 위에 놓는다. 컨트롤들은 속성을 가지며 이벤트 처리자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기본값들은 컨트롤이 만들어질 때 함께 제공된 것이지만 프로그래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많은 속성값들은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의 조작이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동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해 준다. 예를 들면, 창의 'Resize(크기 변경)' 이벤트 처리자에 컨트롤들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특정 컨트롤이 계속해서 창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거나 창 전체를 다 채우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텍스트 상자의 'KeyPress(키 눌림)' 이벤트 처리자에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자동적으로 입력된 문자의 대소문자를 변환하거나 특정 문자의 삽입을 막을 수도 있다. 비주얼 베이직은 실행 파일, ActiveX 컨트롤, DLL 파일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비주얼 베이직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 용도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조작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다. 덜 기능적인 대화 상자들은 팝업 능력에 사용된다. 프로그래머가 추가적인 코드를 적당한 이벤트 처리자에 삽입해야 하긴 하지만, 컨트롤들은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적인 기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문자열의 입력이 가능한 드롭 다운 리스트 컨트롤은 자동적으로 자신이 가진 목록을 보여주며 사용자가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에 의해 항목이 선택될 때 이벤트 처리자가 호출되며, 이 이벤트 처리자는 프로그래머가 추가적으로 코딩한 코드를 처리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관련 항목의 출력과 같은, 사용자의 컨트롤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비주얼 베이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컴포넌트 오브젝트 모델을 통한 Active X 개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서버 측면에서의 처리나 추가 모듈을 가능하게 해 준다. 비주얼 베이직은 레퍼런스 카운팅을 통한 쓰레기 수집을 수행하며, 방대한 규모의 추가적인 라이브러리들과, 기본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대다수의 일반적인 위젯들이 초기 프로젝트 구성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머가 추가적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른 대다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비주얼 베이직은 일반적으로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으며, 대신에 키워드를 표준 대소문자 설정으로 변환한 뒤, 강제로 변수명의 대소문자를 기호 테이블의 내용으로 변환시킨다. 문자열 비교에 관해서는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만, 프로그래머가 원한다면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주얼 베이직의 컴파일러는 다른 비주얼 스튜디오 제품군(C, C++)과 호환성이 있지만, IDE상의 제한으로 인해 윈도 모델 DLL이나 스레드의 사용 등은 불가능하다. = = 다른 언어와의 비교 = = 비주얼 베이직은 C 언어 계열의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C 언어에서 가능한 다중 할당은 불가능하다. 비주얼 베이직에서 코드 A = B = C는 변수 A, B, C의 값을 같게 하지 않는다. "Is B = C?" 불린 결과값이 A에 들어간다.이는 A = CBool(B = C)와 같은 결과이며, C 언어에서 A = (B == C);라고 쓴 것과 같다. 결국 A에 들어가는 결과치는 거짓(0) 또는 참(-1)이 될 것이다. 불린 상수 True는 숫자값 -1을 갖는다.대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True는 0이 아닌 숫자값으로 매핑되며, 이 값은 보통 1 또는 -1이다.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는, 비주얼 베이직에서 불린 자료형은 16비트 부호 있는 정수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이다. 이 구조에서 -1은 16진수 1로 계산되고(불린 값은 True이다), 0은 16진수 0으로 계산된다.(불린 값은 False이다.) 이것은 16비트 부호 있는 정수값 0인 Not 연산을 할 때 정수값 -1을 반환하는 것을 통해 명백하게 설명되는데, 다시 말해 True = Not False이다. 이러한 비주얼 베이직의 고유한 처리 방식은 And, Or, Xor, Not과 같은 정수 비트의 논리 연산에 유용하다. 이러한 True의 정의는 1970년대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들었던 베이직 제품에서의 처리와 일치하며, 이것은 당시의 CPU 명령어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논리 및 비트 연산자가 통합되어 있다. 이것은 논리 연산자와 비트 연산자가 구분되어 있는 펄과 같은 C 언어 계열의 언어와는 다르다. 이 요소는 베이직 언어의 전통적인 특징이다. 가변 배열 기반이다. 배열의 정의는 파스칼이나 포트란과 같이, 유사한 최대 인덱스(Upper Bound)와 최소 인덱스(Lower Bound)의 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Option Base 구문을 통해 최소 인덱스의 지정을 할 수 있다. Option Base 문의 사용은 비주얼 베이직 코드를 볼 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것을 피하는 최선의 방법은 언제나 명시적으로 배열의 최소 인덱스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 최소 인덱스는 0 또는 1뿐만 아니라, 선언에 따라서는 다른 값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최소 인덱스와 최대 인덱스 모두 프로그래머의 제어가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서브스크립트 제한적 언어(Subscript-Limited Language)들에서 배열의 최소 인덱스는 가변적이지 않다. 이러한 독특한 특성은 비주얼 베이직 닷넷에서도 나타나지만,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에는 없다. 상대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및 컴포넌트 오브젝트 모델과 강력하게 통합되어 있다. 실수를 정수로 바꿀 때, 기본적으로 Round함수를 통해 반올림을 한다. 반올림 방법으로는 Round-to-even 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나누기 연산자인 /를 통해 자동적으로 정수가 실수로 변환되므로, 짝수 정수부에 의한 홀수 정수부는 직관적으로 올바른 연산 결과를 보여준다. 한편, 자동으로 반올림을 하는 정수 나누기 연산자인 \도 있다. 기본값으로, 만약 변수가 선언되지 않았거나 자료형이 선언되지 않을 경우, 변수는 Variant형으로 선언 된다. 그러나 이것은 DefInt, DefBool, DefVar, DefObj, DefStr와 같은 DefType 구문을 통해 바꿀 수 있다. 비주얼 베이직은 6.0의 경우 12개의 DefType 구문이 지원된다. 기본 형은 특별한 접두어인 #를 통한 선언을 통해 Double형으로, !를 통해 Single형으로, &를 통해 Long 형으로, %형으로 Integer형으로, $를 통해 String형으로, @를 통해 Currency 형으로 오버라이드되거나, 예약어 As (type)를 통해 오버라이드 될 수 있다. 또한 무조건 명시적인 변수 선언만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때는 Option Explicit 명령을 사용한다. = = 발전 = = 비주얼 베이직 1.0은 1991년 5월 발표되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있어서의 끌어다 놓기 방법은 앨런 쿠퍼가 개발한 프로토타입 폼 제작기에서 온 것이며, 쿠퍼가 재직했던 회사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트라이포드라고 불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3.0용 프로그래밍 가능 폼 제작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쿠퍼의 개발팀과 계약한 후 프로젝트의 코드네임을 루비라고 명명하였다. (루비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관계 없다.) 트라이포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비주얼 베이직을 만들기 위해 루비와 베이직 언어를 합치기로 결정했다. 루비 인터페이스 개발기는 비주얼 베이직의 "시각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이것은 다시 마이크로소프트의 취소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오메가"용으로 설계된 "EB"(임베디드 베이직 엔진)와 합쳐졌다. 루비는 또한 훗날 비주얼 베이직 확장(VBX)이라고 명명될 추가적인 컨트롤들을 포함하기 위한 DLL 로드 기능을 지원하였다.The Birth of Visual Basic 버전 5.0에서 Win16 코드와의 호환성을 버리고 전반적인 기능을 강화했다. 버전 6.0에서는 인터넷 관련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다. 비주얼 베이직 닷넷은 기존 버전과 다르게, 닷넷의 일부분으로 동작하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강화되었다. 또한 기존 버전과의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기존 비주얼 베이직 코드를 비주얼 베이직 닷넷 코드로 옮겨 주는 마법사가 있다. 그러나 네이티브 비주얼 베이직은 버전 6.0 이후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완전히 포기하여 사라진 언어가 되고 말았다. 하지만 2011년 기준으로, 프로그래밍 입문 언어로서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변수, 메모리 등)이 없이도 프로그래밍의 시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또, 액셀 등 오피스에서 사용되는 VBA의 문법이 비주얼 베이직 6.0 버전과 호환됨에 따라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입문용으로도 또 실무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 = = 개발 및 발전 과정 = = = '선더(Thunder)'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1991년 5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컴덱스에서 윈도용 비주얼 베이직 1.0이 발매되었다. 1992년 3월, 도스용 비주얼 베이직 1.0이 발표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도스 기반 베이직 컴파일러인 퀵베이직과 베이직 전문 개발 체계(BASIC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의 차기 버전으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언어적인 특성 자체는 윈도우용 비주얼 베이직과 전혀 호환되지 않았다. 도스용 비주얼 베이직은 문자 기반 윈도(Character Oriented Windows)를 사용했으며, 확장 아스키문자를 통해 GUI를 구현해 내었다. 1992년 11월, 비주얼 베이직 2.0이 발매되었다. 프로그래밍 환경이 더욱 쉽게 개선되었으며 속도 또한 향상되었다. 특히, 폼이 인스턴스적인 개체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클래스 모듈의 개념은 후에 비주얼 베이직 4.0에서 적용된다. 1993년 7월, 비주얼 베이직 3.0이 발매되었다. 이 때는 스탠다드 에디션과 프로페셔널 에디션으로 구분되어 발매되었다. 이 비주얼 베이직 3.0은 제트(또는 액세스)1.x 데이터베이스를 읽을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제트 데이터베이스 엔진 1.1을 포함하고 있었다. 1995년 8월, 비주얼 베이직 4.0이 발매되었다. 비주얼 베이직 4.0은 32비트와 16비트 윈도 프로그램 둘 다 개발할 수 있는 첫 번째 버전의 비주얼 베이직이었다. 또한 GUI가 없는 클래스를 비주얼 베이직에서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비주얼 베이직 4.0 제품들간의 비호환성은 설치와 운영상의 문제를 낳았다. 이전 버전의 비주얼 베이직은 VBX 컨트롤을 써 왔었지만 비주얼 베이직 4.0은 OLE 컨트롤(확장자가 .OCX인 파일)을 썼다. 이 OLE 컨트롤은 훗날 ActiveX 컨트롤이라고 이름지어진다. 1997년 2월 발매된 비주얼 베이직 5.0은 32비트 버전으로만 발매되었다. 16비트 프로그램의 개발을 계속 했던 프로그래머는 비주얼 베이직 4.0의 소스 코드를 비주얼 베이직 5.0으로 옮길 수 있었으며, 비주얼 베이직 5.0 프로그램이 비주얼 베이직 4.0으로 옮겨 가기도 쉬웠다. 비주얼 베이직 5.0은 또한 사용자 정의 컨트롤을 만들 수 있는 기능, 또한 원시 코드로 윈도용 실행 파일을 컴파일 할 수 있는 기능, 대량의 계산에서의 속도 향상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Active X 컨트롤의 개발을 위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무료 버전 또한 배포되었는데, 이 버전은 일종의 시험판으로, 일반적인 .exe 프로젝트가 IDE에서는 실행되었지만 컴파일되지는 않았다. 1998년 6월, 많은 영역에서 개선을 이룬 비주얼 베이직 6.0이 발매되었다.What's new in VB6? 특히 비주얼 베이직 6.0은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기능이 추가되었다. 비주얼 베이직 6.0은 2008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 안함" 단계에 해당 됨으로써 종료되었다. 이처럼 비주얼 베이직 6.0의 개발 환경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기는 하지만,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서버 2008, 그리고 윈도우 7에 계속 지원되고 있다.Support Statement for Visual Basic 6.0 on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and Windows 7 2005년 3월 31일,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베이직 6.0의 주요 지원이 종료되었다. 확장 지원은 2008년 3월 종료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주얼 베이직 유저 커뮤니티는 우려를 표현하고 제품의 계속적인 지원을 청원하였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흐름도 있다.윈도7에서의 비주얼 베이직 6.0 지원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시기(2005년)에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인 마이크로소프트 앤티스파이웨어는 비주얼 베이직 6.0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었다.마이크로소프트의 앤티스파이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 중단 소프트웨어로 만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대체품인 윈도우 디펜더는 C++ 코드로 재작성되어 개발되었다. = = 다른 언어들과의 관계 = = 마이크로소프트의 여러 스크립트 언어들은 비주얼 베이직으로부터 파생한 것이다. 비주얼 베이직 자체는 베이직과 강력한 연관성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닷넷 프레임워크 플랫폼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다음 언어들은 비주얼 베이직에서 파생한 것이다: 비주얼 베이직 포 애플리케이션(VBA)는 많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응용 프로그램들(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및 솔리드웍스, 오토캐드, 워드퍼펙트 오피스, 아크GIS, 그리고 ACCPAC와 같은 서드 파티 제품들에 포함되어 있다.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간에 약간의 불일치는 존재하지만, 이것들은 전체적으로 비주얼 베이직 6.0과 같은 언어이며, 같은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는 액티브 서버 페이지의 기본 언어이다.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는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스크립팅과 클라이언트측 웹 페이지 스크립팅에도 사용된다. 비주얼 베이직과 문법적으로 닮아 있지만, 이 언어는 비주얼 베이직 런타임 라이브러리와 대립되는 vbscript.dll을 통해 실행된다는 점에서 두 언어는 구분 된다. ASP와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는 컴파일된 웹 페이지용 닷넷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액티브 서버 페이지 닷넷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비주얼 베이직 닷넷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베이직 6.0의 후속작으로 설계된 제품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닷넷 프레임워크 플랫폼의 일부분이다. 비주얼 베이직 닷넷은 닷넷 프레임워크를 통해 실행되며, 실행 파일을 컴파일한다. 비주얼 베이직 닷넷은 비주얼 베이직 6.0과 하위 호환성이 없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Visual Basic 6.0 to Visual Basic .NET Upgrade Assessment Tool를 이용하여 변환시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9639 스타 베이직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스타 오피스 제품군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며, 비주얼 베이직과 호환성이 있다. 감바스는 비주얼 베이직의 영향을 받은 GNU/리눅스용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감바스는 비주얼 베이직의 클론은 아니지만,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램을 감바스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다. K베이직은 비주얼 베이직의 영향을 받은 리눅스, 매킨토시, 윈도용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K베이직은 비주얼 베이직의 클론은 아니지만,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램을 K베이직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다. = = 지원 중단 = = MS는 무료 지원과 중요 업데이트 제공을 끝으로 2005년 3월 말 VB6에 대한 표준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두 서비스 모두 앞으로 3년 동안은 유료 서비스로 남아있게 된다. MS는 2000년 VB.NET을 내놓았으며 그 후 VB6 이하 버전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끊임없이 감소해왔다. 비주얼 베이직을 등지고 떠난 많은 개발자들은 VB.NET으로 옮겨가지 않고, MS의 언어가 아닌 자바로 옮겨갔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있다. 2005년 현재, 북미 전체 개발자 중 비주얼 베이직 닷넷 개발자가 34%인데 비해 비주얼 베이직 개발자들은 45%다. 기존 VB6 응용 프로그램을 VB 닷넷으로 옮기는 게 어려운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MS 비주얼 베이직 지원 중단「올 것이 왔다!」 Matthew Broersma, News.com CNET News.com 2005/03/16 다만 2008년 VB6 SP6에 대한 일부 취약한 보안 문제와 관련된 패치가 있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추후 공개할 윈도우 8부터 비주얼 베이직 및 기반 프로그램들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 = 예제 코드 = = 다음은 이 언어의 예제 코드이다. 창이 호출되면 "Hello, World!" 메시지 상자를 표시한다: Private Sub Form_Load ' Hello, World라는 내용의 메시지 상자를 띄웁니다. MsgBox ("Hello, World!") End Sub 아래 코드는 Count 변수가 1초에 1씩 올라가도록 한다.(작동을 위해서는 타이머 컨트롤이 필요하다) Option Explicit Dim Count As Integer Private Sub Form_Load Count = 0 Timer1.Interval = 1000 ' 밀리초 단위 End Sub Private Sub Timer1_Timer Count = Count + 1 lblCount.Caption = Count End Sub = 고리 히로무 = 고리 히로무(1997년 9월 11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분류:마이들링 = = 안로 김씨 = 안로 김씨(安老金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김지경(金之敬)은 신라 경순왕의 후손이며, 고려의 중윤(中尹)으로 안로에 세거했다. = 분류:2004년 러시아 = = 이해영 (영화 감독) = 이해영(李海永)(1973년 10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 학력 = = 서울예술대학 광고창작학과 = = 작품 목록 = = 2000년 《커밍 아웃》 - 각본 2001년 《신라의 달밤》 - 원안 2002년 《품행제로》 - 각본 2004년 《안녕! 유에프오》 - 각본 2004년 《아라한 장풍 대작전》 - 각본 2006년 《천하장사 마돈나》 - 연출, 각본 2010년 《페스티발》 - 연출, 각본 2012년 《26년》 - 각본 2014년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 연출, 각본 2018년 《독전》 - 연출, 각본 2023년 《유령》 = = 방송 출연 = = EBS1 《시네마 천국》 OBS경인TV 《꿈꾸는 U》 KBS2 《이야기쇼 두드림》 KBS1 《역사저널 그날》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tvN 《수요미식회》 - 학교 앞 떡볶이 = = 경력 = = 2011년 제1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심사위원 2011년 제5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본선 심사위원 = = 수상 = = 2006년 제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 (천하장사 마돈나) 2006년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감독상 (천하장사 마돈나) 2006년 제27회 청룡영화상 신인감독상, 각본상 (천하장사 마돈나)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시나리오상 (천하장사 마돈나) = 분류:서울특별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알렝카르 = 알렝카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움베르투 지 알렝카르 카스텔루 브랑쿠: 브라질의 군인이자 정치인 조제 알렝카르: 브라질의 정치인 하파에우 알렝카르: 브라질의 포르노 배우 후비우 알렝카르 다 시우바: 브라질의 축구인 = 숨은 그림 찾기 (동음이의) = 숨은 그림 찾기는 다음을 의미한다. 숨은 그림 찾기: 복잡하게 그려 놓은 그림에서 제시된 숨겨진 그림을 찾는 놀이 숨은 그림 찾기 (드라마) = = 노래 = = 숨은 그림 찾기는 조갑경의 3집 정규 앨범 《조갑경 3집》의 7번 수록곡이다. 숨은 그림 찾기는 패닉의 3집 정규 앨범 《Sea Within》의 2번 수록곡이다. 숨은 그림 찾기는 엄정화의 4집 정규 앨범 《Invitation》의 2번 수록곡이다. 숨은 그림 찾기는 자우림의 2집 정규 앨범 《戀人 (연인)》의 9번 수록곡이다. 숨은 그림 찾기는 드라마 《다섯 손가락》의 OST인 정승원의 싱글이다. = 분류:아프리카계 북아메리카인 = = 바실리스 = 바실리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바실리스 토로시디스: 올림피아코스에서 뛰고 있는 그리스의 축구 선수 바실리스 하치파나기스: 그리스와 소련의 전직 축구 선수 바실리스 라키스: 은퇴한 그리스의 축구 선수 바실리스 스테파노우스: 라트비아의 역도 선수 = 피아노 소나타 22번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2번 바장조, 작품 번호 54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인 피아노 소나타이다. = = 개요 = = 이 22번 소나타는 1804년경에 오페라 피델리오가 쓰이던 시기에 틈틈이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1804년은 교향곡 3번 ("영웅")이 완성된 시기로, 베토벤이 창작 중기에 접어들며, 독자적 양식의 확립과 함께 전에 없던 작품을 정력적으로 발표하던 시기였다. 소나타는 소규모로 2악장제를 취하며, 소나타이면서도 소나타 형식의 악장을 갖지 않는다. 내용상으로도 화려하다고 할 수 없고, 수많은 대작이 차례로 완성된 이 시기에 왜 이같은 이색적인 작품이 나오게 되었는지, 자세한 작곡 동기도 밝혀지지 않았다. 앞뒤로 21번 "발트슈타인" 소나타, 23번 "열정" 소나타라는 두 개의 거대한 작품에 끼여 있어 존재감이 미미하고 역사적으로도 본 작품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로베르트 슈만은 높이 평가했다는 후문이다. 도널드 토비는 다음과 같은 해설을 하고 있다: 작품 전체는 심원한 유머를 갖추고 있다. 그 유머는 음악을 통해 표현된 순수한 성격이라기보다 작곡가에게서 비롯된다. 이 소나타와 관련해 베토벤이 특정 인물이나 친숙한 신을 염두에 두었다는 얘기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 소재는 어린아이와 같거나 혹은 개와 같다고도 할 수 있는 천진난만함이며, 어린이나 개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이 음악을 적절히 해석하고 즐길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다. 동물의 정신으로 미소 짓는 것이지, 그 정신을 비웃는 것이 아니다. 자기 꼬리일 것이다라며 멋대로 움직이고 도망다니는 그 무엇이든지 간에, 물리지 않고 쫓아다니는 장난에 어울려서 열심히 분투한다. 그리고 1악장 및 종악장의 무궁동 속에서 긴 도정을 되돌아보는 부분에서조차 집요하게 나타나는 탐욕스러운 애정에 걸맞게 보답해주는 것이다. 악보는 1806년에 빈의 예술과 음악 상점 사를 통해 봉헌 정보 없이 출판되었다. 초판 악보의 표지에는 "51번 소나타" 작품 번호 54라고 적혀 있었다. "51번"이라는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연구원들이 다양한 해석을 시도했지만, 아직 확실한 것은 밝혀지지 않았다. = = 악장 구성 = = = = = 제1악장. 인 템포 둔 미뉴에트 (바장조) = = = = = = 제2악장. 알레그레토 - 피우 알레그로 (바장조) = = = = 모듈:Location map/data/Pakistan Punjab/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Pakistan_Punjab/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틀:수인·분당선 표 =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100-400mm F5-6.3 렌즈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100-400mm F5-6.3 IS 렌즈는 올림푸스에서 생산한 초점거리 100-400mm의 마이크로 포서드 마운트 망원 줌렌즈이다. = = 개요 = = 올림푸스 M.Zuiko ED 100-400mm 렌즈는 2020년 8월 4일 OM-D E-M10 MarkⅣ와 함께 발표되었다. 발표 시점까지 가장 긴 초점거리를 가지는 M.Zuiko 렌즈로, M.Zuiko PRO와 동급인 IPX1 수준의 방진방적을 갖추었고 올림푸스의 1.4x, 2.0x 텔레컨버터와 호환이 가능하여 각각의 경우 140-560mm/200-800mm의 초점거리를 가지며, 135포맷 환산 1600mm에 이른다. 렌즈 내장 손떨림보정은 공식 3스탑의 보정치를 가지며, 올림푸스 고급 기종의 5-Axis Sync IS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 = 사양 = = M.Zuiko Digital ED 100-400mm F5.0-6.3 IS M.Zuiko Digital ED 100-400mm F5.0-6.3 IS 제품 사진 화각(대각선) 12°~ 3.1° 광학 구성 15군 21매 특수 광학군 슈퍼HR 2매, HR 2매, ED 4매 조리개 구성 9매, 원형 최소 조리개 F22 손떨림 보정 있음 방진방적 있음 크기 ⌀86.4 x 205.7mm 최단촬영거리 1.3m / 6m (리미터 사용) 무게 1,120g / 1,325g 필터 직경 ⌀72mm 발매년월 2020/09 권장 소비자 가격 $ 1499.99$ = 요한 (작센) = 요한은 작센 왕국의 왕이다. 그는 막시밀리안 폰 작센 왕세제(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폰 작센 선제후의 막내아들)의 셋째 아들로 그의 첫 번째 부인인 카롤리나 디 보르보네파르마 공녀에 의해 태어났다. = 틀:데이비드 O. 러셀 = = 프레드 노리스 = 프레드 노리스(Fred Norris, 1955년 7월 9일 ~ )는 미국의 라디오 DJ, 배우, 각본가이다. = = 출연 작품 = = 룰루 온 더 브릿지 (1998, Lulu on the Bridge) Cold Hearts (1999) - 조이 역 두 명의 니나 (1999, Two Ninas)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 (1999) = 모빌 시빅 센터 = 모빌 시빅 센터(Mobile Civic Center)는 미국 앨라배마주 모빌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과거 D-리그 모빌 레블러스와 ECHL 모빌 미스틱스의 홈경기장으로 사용했다. = 돈커부트 D8 = 돈커부트 D8는 돈커부트에서 1993년부터 생산 중인 초경량 스포츠카이다. = = 모델 = = Donkervoort D8 key specifications 모델명 모델명 엔진 아웃풋 전비중량 치수(L×W×H/휠베이스) Notes/Refs. Zetec Classic 1.8L or 2.0L DOHC 포드 Zetec Zetec 스포트 1.8L or 2.0L DOHC 포드 Zetec 코스워스 Classic 2.0T DOHC 코스워스 YB 코스워스 스포트 2.0T DOHC 코스워스 YB 아우디 AGU 1.8T DOHC 아우디 R4 20v 아우디 E-gas 와이드 트랙 1.8T DOHC 아우디 R4 20v 아우디 270 (RS) 1.8T DOHC 아우디 R4 20v 아우디 GT 1.8T DOHC 아우디 R4 20v GTO 투어링 2.5L DOHC Audi R5 20v TFSI GTO 성능 2.5L DOHC Audi R5 20v TFSI GTO-S (스포트) 2.5L DOHC Audi R5 20v TFSI GTO-RS GTO-RS 2.5L DOHC Audi R5 20v TFSI GTO-40 GTO-40 2.5L DOHC Audi R5 20v TFSI Limited edition of 40. GTO-JD70 GTO-JD70 2.5L DOHC Audi R5 20v TFSI Limited edition of 70. = 후지사토촌 = 후지사토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후지사토촌 (이와테현)(藤里村) - 이와테현 에사시군 후지사토촌. 현 오슈시.(ふじさとむら) 후지사토촌 (나가노현)(富士里村) -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 후지사토촌. 현 시나노정.(ふじさとむら) = 분류:고려 예종 = = Sôl austan, Mâni vestan = Sôl austan, Mâni vestan는 2013년에 발매된 버줌의 음반이다. = 동굴캐슬 = <동굴캐슬>은 TvN STORY에서 방송중인 예능 프로그램이다. = = 기획의도 = = 단군신화 속 곰과 호랑이가 인간이 되기 위해 마늘과 쑥만 먹으며 100일을 버텼다는 '동굴' 그 동굴 속에서 벌어지는 부부들의 극현실 동굴멘터리 = = 방송 일정 = = 방송국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TvN STORY 2021년 11월 2일 ~ 2021년 12월 28일 매주 화요일 10:00 = = 출연진 = = 현재 VCR 출연진 출연진 방송 기간 비고 박건형 & 이채림 2021년 11월 2일 ~ 2021년 12월 28일 서현철 & 정재은 2021년 12월 14일 ~ 2021년 12월 28일 홍성흔 & 김정임 2021년 11월 23일 ~ 2021년 12월 28일 하차 VCR 출연진 출연진 방송 기간 비고 현주엽 & 박상연 2021년 11월 2일 ~ 2021년 11월 23일 함연지 & 김재우 2021년 11월 2일 ~ 2021년 12월 7일 = = 방영목록 = = 회차 방송 일자 출연진 비고 1 2021년 11월 2일 박건형&이채림, 현주엽&박상현, 함연지&김재우 박건형&이채림, 현주엽&박상현, 함연지&김재우 합류 2 2021년 11월 9일 박건형&이채림, 현주엽&박상현, 함연지&김재우 3 2021년 11월 16일 박건형&이채림, 현주엽&박상현, 함연지&김재우 4 2021년 11월 23일 박건형&이채림, 현주엽&박상현, 함연지&김재우 현주엽&박상연 하차 5 2021년 11월 30일 박건형&이채림, 함연지&김재우, 홍성흔&김정임 홍성흔&김정임 합류 6 7 = 분류:1918년 완공된 건축물 = = 남면초등학교 (경기) = 남면초등학교는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21년 9월 28일 연천군 남면공립보통학교(4년제 4학급) 개교 1938년 4월 1일 남면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1938년 3월 3일) 1939년 4월 1일 6년제로 개편 1941년 4월 1일 남면공립국민학교로 개칭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1941년 2월 28일) 1963년 12월 10일 상수국민학교 분리 1966년 12월 15일 양덕국민학교 분리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남면초등학교로 개칭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2018년 3월 1일 제33대 박홍익 교장 취임 2019년 2월 15일 제95회 졸업식(17명)(8188명) 2019년 3월 1일 본교 11학급(특수 1, 유치원 1), 분교 7학급(특수 1) 인가 2020년 1월 17일 제96회 졸업식(17명)(8205명) 2020년 3월 1일 본교 10학급(특수 1, 유치원 1), 분교 7학급(특수 1) 인가 = = 학교 상징 = = 교화 - 개나리 : 가장 먼저 봄을 알려주는 꽃으로 화사하고 아름다운 어린이의 모습을 나타내며 희망을 상징함. 교목 - 소나무 : 늘 푸른 잎처럼 변함없는 모습과 푸른 꿈을 지닌 굳세고 성실한 성품과 역경을 이겨내는 강인함을 상징함. = 메리엄-웹스터 =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는 본래 메사추세츠 주 스프링필드의 G. & C. 메리엄 컴퍼니(또는 C. & G. Merriam Co.)구텐베르크 프로젝트, The 1913 Webster Unabridged Dictionary였으며, 참조 서적, 특히 노아 웹스터의 웹스터 사전 (1828년) 파생 사전을 출판하는 미국의 기업이다. 메리엄-웹스터사는 1964년 이후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자회사이다. = 분류:아랍에미리트의 기업 = = 분류:오스만 제국의 여자 가수 = = 벨기에의 국가 = 브라반트(브라방)의 노래은 벨기에의 국가이다. 제네발이 작사하였다고 전해지며 현재의 버전은 샤를 로지에가 지었다. 작곡은 프랑수아 폰 캄펜후르가 하였다. = = 역사 = = 1830년 8월, 벨기에는 "라 파리지엔"와 프랑스의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를 응용하여 다른 애국적인 노래를 만들기로 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테너 가수들을 부르기도 했는데 그중 프랑수아 폰 캄펜후르와 리옹 출신의 프랑스 배우 제네발(Geneval)이 발령이 나와, 그들에게 각각 벨기에 국가로서 '브라반트(브라방) 행진곡'을 각각 작사·작곡해달라고 시켰다. 전설에 따르면 이 노래는 카페 라모 아이글레 디부 아니면 회의실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음악과 노래는 1830년 9월 처음으로 연주되었다. 현재 브라반트 행진곡의 가사는 1860년 당시의 벨기에 혁명 중 아르 제네발이 작사하였을 뿐, 로지엘에 의해 작성되지 않았다. 1830년 8월, 알렉상드르 데쉬 제네발은 이 가사 중 원 가사의 어느 단어가 원래 벨기에의 약탈품을 모욕하는 네덜란드의 왕의 지혜를 예찬하기 위한 것일 뿐, 그것은 벨기에의 주장에 충족하지 않는 것이라며 "아버지"와 "왕의 예제"를 들기도 했다. = = 1830년 8월 당시의 가사 = = = = = 가사 = = = 초기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 = 1830년 9월 당시의 가사 = = = = = 가사 = = = 이 시절에도 프랑스어 가사만 있었다. = = 1860년 당시의 가사 = = = = = 가사 = = = 현재의 가사가 개정되기 전에는 프랑스어 가사만 존재했다. = = = 해석 = = = = = 현재 가사 = = 현재의 가사는 1921년 8월 개정된 것이다. 여기에 네덜란드어, 독일어, 왈롱어가 추가되었으며, 그 밖에 언어당 절의 수도 늘어났다. = = = 프랑스어 가사 = = = = = = = 한국어 번역 = = = = = = = 네덜란드어 가사 = = = = = = = 한국어 번역 = = = = = = = 독일어 가사 = = = = = = = 한국어 번역 = = = = = = = 왈롱어 가사 = = = = 세케슈페헤르바르구 = 세케슈페헤르바르구는 헝가리 페예르주에 위치한 구로 구청 소재지는 세케슈페헤르바르이며 면적은 1,032.05km2, 인구는 156,935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152명/km2이다. 북동쪽으로는 비치케구, 동쪽으로는 가르도니구, 남쪽으로는 샤르보가르드구, 서쪽으로는 에닌그구, 베스프렘주 벌러토널마디구, 바르펄로터구, 북서쪽으로는 모르구와 접한다. 25개 지방 자치체(1개 도시주, 2개 시, 22개 마을)를 관할한다. = 스카이 ICT = 스카이 ICT(Sky ICT)는 대한민국의 방송채널 사용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티브이가 운영하는 과학 및 정보기술 전문 텔레비전 채널이다. = = 프로그램 = = 생방송 스마트 쇼 거의 모든 IT의 역사와 미래 IT 인간을 꿈꾸다 스마트 버스 IT 스타일 IT 다빈치 프로젝트 트루N쇼 BBC 클릭 테크 토이 IT 멘토스 파퓰러 사이언스 사이언스 오브 무비 겟 커넥티드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우주의 진실 혹은 거짓 SF 예언자들 앱 센트럴 형태근의 토크 IT 스마트 쇼 Q 타이드 인사이트 BBC 호라이즌 IT 스퀘어 = 쌍꼬리부전나비 = 쌍꼬리부전나비는 나비목 부전나비과의 곤충이다. 날개길이는 13~18mm이다. 날개 앞면은 흑갈색으로 수컷은 보라색 광택을 띤다. 뒷날개의 후각은 주황색으로 검은 점이 속에 있고 2개의 미상돌기가 있다. 뒷면은 담황색에 검정 줄무늬이지만 점무늬의 줄이 있어서 아름답다. 6~8월에 나타나고, 나뭇잎 위에 잘 앉으며 화초에도 온다. 개망초 등의 꽃에서 꿀을 빤다. 유충은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가 소나무밭 등에서 집으로 운반해 자라며 월동후 가까이에 있는 나무껍질 등에서 번데기가 된다. 한국, 일본,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통폭탄 = 통폭탄(Barrel bomb)은 드럼통에 폭약을 넣어 만든 급조폭발물(사제폭탄)이다. 배럴폭탄, 드럼통 폭탄이라고도 번역한다. = = 시리아 = = 2013년 12월 친미 시리아 반군 시리아 국가평의회는 2011년 3월 시리아 내전이 발생한 이후 2만명 이상이 통폭탄에 살해되었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2014년 3월 현재 통폭탄 5,000-6,000발이 투하되었다. 시리아 2대 대도시이자 친미 시리아 반군의 거점인 알레포에서, 시리아 정부군의 통폭탄 공격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통폭탄은 드럼통에 폭약과 쇠붙이 등을 넣어 만들어 헬기에서 공중 투하된다.시리아 장례식장 통폭탄공격으로 어린이 11명 사망, 중앙일보, 2016.08.28. 통폭탄은 폭탄과 못, 기름이 가득 든 통으로 헬기 등에서 지상으로 떨어뜨리면 30분~1시간쯤 지난 후 터진다. 불발탄인가 싶어 사람이 접근할 때 폭발한다.[시리아 내전의 비극]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복합내전’, 이코노미스트, 2016.08.29 통폭탄을 사용한 시리아 민간인 폭격에 북한 헬기 조종사들이 참가했다.<오후여담>못폭탄과 통폭탄, 문화일보, 2016.03.25. 북한은 2013년 11월 북한 공군 조종사들이 시리아 내전에 참전해 반군 공습에 가담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을 "허위·날조자료를 유포하고 있다"며 내전 개입을 부인했다.북한군 추정 시리아 정부측 민병대원, 사살돼, 경향신문, 2015.04.22. 북한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1973년 4차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에 전투기 조종사 수십명과 공군을 보낸 적이 있다. 이들은 시리아 공군 훈련을 돕고 실전에 투입되기도 했다.북한 철마 부대, 시리아 내전에 참전해 정부군 도와, 경향신문, 2016.03.24. 1973년 10월 4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군은 이집트 영공에서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는 전투기 조종사의 무전을 포착했다. 북한은 당시 조종사를 파견해 이집트와 시리아군을 훈련하고, 직접 전투기를 출동시켜 이스라엘과 맞붙었다. 이스라엘에 북한말을 이해하는 병력이 필요했다. 일시적으로 한국군의 지원을 받아 북한 조종사의 무전 내용을 파악했다.[기자의 시각] 해야 하면 해내는 나라, 조선일보, 2016-06-25 2016년 8월 1일 밤, 알레포에 염소가스가 든 통폭탄 4개가 투하되었다. 1일 오전에 알레포 상공에서 친미 시리아 반군이 러시아군의 밀 Mi-8 헬리콥터를 격추해 탑승자 전원 5명이 사망했으며, 러시아 국방부가 크게 분노했다.러시아, 알레포 독가스 공격 주체로 시리아 반군 지목, 뉴스1, 2016-08-04 반군 세력들이 피투성이 러시아 조종사의 시신을 땅바닥에 끌고 다니며 훼손하는 끔찍한 사진도 인터넷에 올렸다.시리아 반군 "러시아 헬기 격추"…러 "탑승자 5명 사망", 연합뉴스, 2016-08-01 알레포에서 140 km 떨어진 흐메이밈 공군기지로 돌아오다 지대공 대공포 공격을 맞아 추락했다.시리아 반군, 러시아 헬기 격추동영상 공개, 뉴시스, 2016-08-02 시리아 공군의 밀 Mi-8, 밀 Mi-25 헬리콥터가 통폭탄을 투하하는 사진들이 인터넷에 많이 게시되어 있다. 2015년 시리아 정부군이 통폭탄 만7천여 개를 투하해 민간인 2천32명이 숨졌다고 시리아인권네트워크(SNHR)가 밝혔다.작년 시리아 정부군 통폭탄에 민간인 2천명 사망, KBS, 2016-01-11 2016년 9월 29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수요 일반 알현에서 "알레포에서는 어린이와 노인, 병자와 젊은이 등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며 알레포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깊은 고통과 심각한 우려를 느낀다"고 말했다. 교황은 이어 "폭격에 책임 있는 사람들의 양심에 호소한다"며 "그들은 신 앞에 심판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교황 "알레포 폭격책임자, 신 앞에 심판 받아야", 연합뉴스, 2016-09-28 = 스칼라 곱셈 = 수학에서 스칼라 곱셈 또는 스칼라배(-倍, )는 벡터와 스칼라에 대한 연산이다. 벡터의 길이를 스칼라의 절댓값 배수로 늘이거나 줄이고, 방향은 스칼라가 양수면 그대로, 음수면 정반대를 취한다. = = 정의 = = V를 노름 벡터 공간, K를 스칼라들의 체라고 하자. 스칼라 곱셈은 스칼라 k와 벡터 \mathbf{v} 각각 하나로부터 새로운 벡터 k\mathbf{v}를 만드는 연산 로, 노름에 대해 이고, 방향은 k > 0이면, \mathbf{v}와, k < 0이면, -\mathbf{v}와 같도록 정의된다. = = 예 = = 몇 가지 특별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1을 임의의 벡터에 곱하면, 자신과 같은 벡터가 된다. 즉 1\mathbf{v} = \mathbf{v} . 0을 임의의 벡터에 곱하면, 영벡터가 된다. 즉 0\mathbf{v} = \mathbf{0} . -1을 임의의 벡터에 곱하면, 그 벡터의 덧셈 역원이 된다. 즉 (-1)\mathbf{v} = -\mathbf{v} . = 킨클리도투스속 = 킨클리도투스속(Cinclidotus)은 침꼬마이끼목에 속하는 이끼 속의 하나이다. 킨클리도투스과(Cinclidotaceae)의 유일속이다. = = 하위 종 = = Cinclidotus acutifolius Cinclidotus aquaticus Cinclidotus danubicus Cinclidotus fontinaloides Cinclidotus herzogii Cinclidotus nyholmiae Cinclidotus pachyloma Cinclidotus pachylomoides Cinclidotus riparius = 분류:태국의 농업 = = 대릉 = 대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대릉은 고려 제11대 문종의 비인 인예왕후 이씨의 능이다. 대릉(戴陵, ? ~ ?)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장수이다. = 분류: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 = = 분류:나라별 1592년 = = 분류:1895년 10월 = = 엄기두 = 엄기두(嚴基斗, 1966년 ~ )은 대한민국의 제16대 해양수산부 차관인 공무원이다. = = 학력 = = 장충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행정학 학사 = = 경력 = = 1992년 제36회 행정고시 합격 2005.06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과 과장 2007 ~ 2010 주 러시아 대사관 참사관 2012.08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과 과장 2013.03 해양수산부 기획재정담당관 2013.07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원장 2015.07 해양수산부 해양산업정책관 2017.01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 국장 2019.09 ~ 2021.01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 2021.02 ~ 2021.05 해양수산부 기획조정실장 2021.05 ~ 2022.05 해양수산부 차관 2022.07 ~ 수산업협동조합 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장 = 분류:후쿠오카현의 섬 = = 김진태 (만화가) = 김진태(1968년 3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 = 활동 = =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에 재학 중 학보에 4단만화 외고집을 연재했으며, 1988년 음악신문에 음악기행을 연재하면서 데뷔했다. 1989년 호산문화사 주최 주간만화 카툰 부문 신인상을 수상했다. 1990년 주간만화에 스커트 밑의 극장을 연재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1991년 역시 주간만화에 연재한 대한민국 황대장으로 자기 스타일을 확립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개그만화가로 다양한 소재와 장르를 소화해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음악기행에서 음악을, 스커트 밑의 극장에서 속옷을, 대한민국 황대장에서 슈퍼히어로를 다루는 등 작품마다 변화무쌍한 소재를 채용하여 인지도를 넓혔고, 이후 같은 작품으로 공중파 코미디 프로그램 진출, 시민쾌걸로 스포츠신문 장기연재를 실현했다. 슈퍼히어로(황대장 시리즈, 시민쾌걸, 영웅열공전), 조폭물(굿모닝 보스), 홈드라마(하드보일드 뉴패밀리), 미스터리 음모론(보글보글, 2급비밀), 직장 시트콤(체리체리 gogo, 바나나걸), 동물만화(엔터 더 팻), 의학 드라마 (왕십리 종합병원), 교도소 영화(호텔 캘리포니아), 사극(사또 IN DA HAUS) 등등 다양한 테마와 코드를 넘나들며 독특한 풍자와 웃음으로 인기를 모았다. 길창덕, 신문수, 윤승운을 잇는 한국 명랑만화의 마지막 계승자로, 작가 본인도 아동용 만화를 발표할 때는 '명랑 만화가'로 자기를 소개한다.비룡소 작가 소개 - 김진태 참조. 황가두, 마귀, 깍귀, 치타 선배 등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을 다수 배출했으며 작품 내용에 따라 이들 캐릭터를 전혀 다른 배역으로 다시 출연시켜 세계관을 이어 나가는 '김진태 월드'를 형성하고 있다. 개그작가이면서도 순간 순간 웃기는 것에만 주력하지 않고 긴 호흡속에 캐릭터들의 개성을 모두 살려내는 능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패러디 만화를 개척한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작가 본인은 '패러디란 극의 중간에 잠깐 삽입해 흐름을 부드럽게 해주거나 캐릭터를 유쾌하게 돋보이도록 해주는 역할로만 사용'하며, 패러디가 이야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 = 학력 = = 서울전농초등학교 졸업, 1980년. 전농중학교 졸업, 1984년. 청량고등학교 졸업, 198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문학사, 1994년. = = 대표작 = = = = = 연재 만화 = = = 《음악기행》 - 1988년, 《음악신문》 연재. 실질적인 데뷔작. 《샐러리맨 24시》 - 1988년, 《만화 선데이》 연재. 《스커트 밑의 극장》 - 1990년, 《주간만화》 연재. 《다락방 아몽》 - 1990년, 《소년만화 탱크》 연재. 《대한민국 황대장》 - 1991년, 《주간만화》 연재. 단행본 전1권. 《그건 말야...!》 - 1993년, 《보물섬》 연재. 《TV TV》 - 1993년, 《댕기》 연재. 《신한국 황대장》 - 1993년 9월 8일자~1995년 7월 《보물섬》 연재. 《하드보일드 뉴 패밀리》 - 1994년, 《영점프》 연재. 단행본 전2권. 《굿모닝 보스》 - 1996년, 《영점프》 연재. 단행본 전4권. 《대마왕》 - 1996년, 《소년챔프》 연재. 단행본 전4권. 《보글보글》 - 1997년, 《영점프》 연재. 단행본 전3권 《체리체리 gogo》 - 1997년, 《나인》 연재. 단행본 1권~ (미완) 《시민쾌걸》 - 1999년 3월 11일~2004년 10월 9일 《스포츠투데이》 연재. 단행본 32권. 《시민의 왕국》 - 《AM7》 및 엠파스 온라인 연재. 전 57화 완결. 《왕십리 종합병원》 - 2000년, 주간만화잡지 《부킹》 연재. 단행본 전4권. 《호텔 캘리포니아》 / 2002년, 《Na》 연재. 전 29화. 2005년 제2회 부천만화상 일반만화 부문 수상작.만화, 위기속 기회의 재발견 (경향신문, 2005년 9월) - 2012년 9월 23일 확인 《엔터 더 팻》 - 야후! 코리아 온라인 연재. 전 152화 완결. 《코리아 후라이드 코믹》 - 이코믹스 온라인 연재. 전 54화 완결. 《2급비밀》 - 야후! 코리아 온라인 연재, 이코믹스로 옮겨 연재 재개 (미완) 《바나나걸》 - 네이버 웹툰 2005년 12월 8일~2007년 5월 9일 온라인 연재. 전 87화 완결. 《바나나걸 시즌2》 - 일간스포츠 온라인 연재. 시즌1의 프리퀄. 완결. 《사또 IN DA HAUS》 - 단행본 1권~ (미완) 《와일드 와일드 워커스》 - 네이버 웹툰 2010년 4월 5일~2010년 11월 8일 온라인 연재. 전 32화 완결. 《사랑과 슬픔의 피맛골》 - 2009년, 《카툰마니아》 제1호~제6호 연재. 《시스터즈》 - 《머니투데이》 2010년 3월 2일~2011년 2월 10일 온라인 연재. 전 55화 완결. 《영웅열공전》 - 네이버 웹툰 2011년 3월 21일~ 2013년 11월 24일 온라인 연재. 전 141화 완결. 《굿모닝 보스》 - 네이버 웹툰 2013년 3월 19일~ 온라인 연재중. 동명 연재만화의 리메이크 작품으로, 모바일웹 환경을 의식한 스마트툰 형식으로 구성. = = = 중·단편 만화 = = = 〈굴욕과 슬픔의 여행기〉 - 《팝툰》 32호(2008년 6월 15일) 〈S라인 뱀파이어〉 = = = 학습만화 = = = 《황대장의 탐정특급》 (글/ 우리기획) - 1999년 12월 20일, 대교출판, 세계 추리 명작 만화 시리즈 1. 《셜록 홈즈》 (원작/ 아서 코난 도일) - 2003년 1월 5일, 시공사, * 〈빨간머리 연맹〉, 〈바스커빌가의 개〉, 〈푸른 다이아몬드〉 수록. 2. 《브라운 신부》 (원작/ G.K.체스터튼) - 2003년 6월 10일, 시공사, * 〈푸른 십자가〉, 〈플랑보의 마지막 범죄〉, 〈태양신의 눈〉, 〈공포의 책〉 수록. 3. 《에큘 포와르》 (원작/ 애거서 크리스티) - 2003년 9월 30일, 시공사, * 〈요리사의 실종〉, 〈유언장을 찾아라!〉, 〈이집트 무덤의 모험〉 수록. 《논술고수들이 꼭 읽어야 할 세계명작 33》 (해설/ 전성건) - 2005년 7월 25일, 마더텅, 《과학특파원 황당맨》 - 《과학동아》 2010년 12월~2012년 3월 연재. 전 16화. 《으랏차차 삼국유사》 (원작/ 일연, 감수/ 한양대 고운기 교수) 제1권 - 2010년 3월 8일, 비룡소, 제2권 - 2010년 6월 22일, 비룡소, 제3권 - 2011년 7월 29일, 비룡소, 제4권 - 2012년 5월 21일, 비룡소, 제5권 - 2012년 10월 11일, 비룡소, 《만화 최창조의 풍수 강의》 (글/ 최창조) 제1권 - 2015년 3월 10일, 비룡소, = = = 정책 홍보만화 = = = 김진태의 개그터치 - 문화체육관광부 공감코리아 게재. 잠깐만요 - 2008년 3·4월호 주부 9단 - 2008년 5·6월호 여름 패션 제안 - 2008년 7·8월호 획기적 에너지 - 2008년 9·10월호 한식사랑 연구소 - 2008년 11·12월호 바람의 화백 - 2009년 1·2월호 릴레이 만화 '이야기 만발' - 문화체육관광부 공감코리아 게재. 군대의 손바닥 - 2008년 1·2월호 = 채기두 = 채기두(蔡基斗, 1883년 ~ ?)는 일제강점기의 관료로, 호는 동산(東山), 본적은 경성부 현저동이다. = = 생애 = = 1904년 일진회 사찰원을 역임했으며, 1905년 헌정연구회 사무원을 역임했다. 일본 도쿄에 유학 중이던 1907년 대한유학생회 평의원을 역임했고, 1908년 4월 7일에 열린 안창호 송별회 전별위원을 역임했다. 대한학회 총대와 부회장(1908년), 대한흥학회 회장(1909년)을 역임했고, 1909년 7월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1910년 실업신문(實業新聞)을 경영했으며, 1910년 6월 6일 청년구락부 부장으로 선임되었다. 1919년 7월 16일 박병철, 심우섭, 이기찬, 고희준, 박승빈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간 뒤 자치청원서를 제출했으며, 1923년 10월 잡지 농민(農民) 편집인 겸 발행인을 역임했다. 유민회 간사(1921년 4월), 조선소작인상조회 발기인 및 이사(1921년 8월 27일 ~ 1922년), 각파유지연맹 발기인(1924년 3월), 동민회 평의원(1924년 6월 ~ 1929년), 시국대동단 발기인, 집행위원, 총무(1925년 1월)를 역임하는 등 각종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다. 1922년부터 1923년까지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과 6차례 면회를 가지는 한편 1925년 일본 외무성 아시아국장을 내방한 자리에서 당시 만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항일 독립운동가에 대한 귀순 공작 계획에 협조할 것을 요청했다. 1930년 2월 만몽개발단(滿蒙開發團)이 단체의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경성부 내 부호들을 상대로 기부를 강요한 이른바 만몽개발단 사건에 연루되어 몇몇 언론들로부터 큰 비난을 받기도 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각사 (서울 종로구) = 대각사(大覺寺)는 한국의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불교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으로 행정구역상 주소는 도로명주소 기준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10길 87이다. 1911년 한국의 불교 승려인 용성진종이 봉익동 1번지 일대를 사들여 대각사를 창건하였다. 1916년 만해용운이 대각사를 찾았으며, 이후 만해는 서울에 있을 때 주로 대각사에 머물곤 하였다고 한다. 용성진종은 만해용운과 함께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으로 3.1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일본 경찰에 피체되어 2년여 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출소한 뒤에는 불경 번역과 전법 및 독립운동 지원에 나섰다. 이 가운데는 경남 함양의 화과원을 운영하거나, 만주 용정에 27만 여 평의 농지를 사들여서 화과원을 운영하면서 그 잉여 농산물을 독립자금으로 쓰기도 하였다. 용성진종이 1922년 불교 단체인 대각교(대각회)를 설립한 뒤, 이곳 대각사를 중심으로 대각교는 확장을 거듭하여 1928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각일요학교가 설립되었고, 이듬해에는 선회가 개설되었으며, 1930년에는 대각성전과 요사채가 새로 지어지기도 하였다. 이후 1939년 조선불교선종총림, 1944년에 다시 경성포교당 대각선원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무렵 대각교가 대각사를 중심으로 조선인의 민족자주성을 일깨우고 있다고 판단한 조선총독부에 의해 1931년 대각사의 재산이 몰수되는 등 본격적으로 탄압받기도 하였다. 용성진종은 해방을 5년 앞둔 1940년 음력 2월 24일 입적하였다. 1945년 12월 12일 백범 김구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의 귀국을 환영하는 귀국봉영회가 이곳 대각사에서 마련되었다. 1969년 용성진종의 제자인 완규, 동헌을 비롯한 승려들이 대각교 창립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재단법인 대각회를 대각사에 설립하였고, 1986년 경내에 있던 건물들을 모두 철거, 총건평 400평의 현대식 건물로 재신축하였다. = 가스등 (동음이의) = 가스등은 다음을 가리킨다. 가스등은 석탄 가스를 도관에 흐르게 하여 불을 켜는 등이다. 가스등 (1944년 영화): 미국 영화 가스등 (1940년 영화): 영국 영화 = Love Letters = Love Letters는 대한민국의 보이 밴드 대국남아의 첫 번째 일본어 스튜디오 음반으로, 2012년 1월 18일 일본의 레이블 소닉 뮤직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되었다. = = 곡 목록 = = = = =Regular edition / Limited edition A CD = = = = = =Limited edition B CD = = = = = =Limited edition A DVD = = = = Plague Angel = Plague Angel는 2004년 11월에 발매된 마덕의 음반이다. = 디멘션 = 디멘션(dimension)은 다음을 의미한다. 차원을 뜻하는 영어 낱말이다. 디멘션 필름스: 영화 회사 《Dimensions》: 박스 탑스의 음반 = 우슬체육공원 = 우슬체육공원(牛膝體育公園, )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스포츠 시설 단지이다. 우슬경기장, 우슬체육공원 보조경기장, 우슬실내육상경기장 등 여러 스포츠 시설이 갖춰져 있다. = 요 노 크레오 엔 로스 옴브레스 = 요 노 크레오 엔 로스 옴브레스은 스페인어로 ‘나는 남자를 믿지 않는다.’을 뜻한다. = = 텔레비전 = = 요 노 크레오 엔 로스 옴브레스은 1991년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요 노 크레오 엔 로스 옴브레스은 2014년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 1718년 = 171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 연호 = = 청(淸) 강희(康熙) 57년 일본(日本) 교호() 3년 후 레 왕조(後黎朝) 빈틴(永盛) 14년 = = 기년 = = 류큐(琉球) 쇼케이왕() 6년 청(淸) 성조 강희제(聖祖 康熙帝) 57년 조선(朝鮮) 숙종(肅宗) 44년 후 레 왕조(後黎朝) 유종(裕宗) 14년 = = 사건 = = 장 노비와 이 내시가 결혼한날 = = 사망 = = 조선 19대 국왕 숙종의 후궁 빈, 조선 21대 국왕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 조선 20대 국왕 경종의 정비 단의왕후(사망한 해에 시아버지 숙종으로부터 '단의'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남편 경종이 즉위하면서 왕후로 추존되었다) * = GPI = GPI는 다음을 가리킨다. 성 평등 지수(Gender Parity Index) 세계 평화 지수(Global Peace Index) 글루코스 인산 이성화효소(Glucose Phosphate Isomerase) 참진보지수(Genuine progress indicator) = 틀:라오스의 행정 구역 = = 조선에 관한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서 = 1945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영국 ·소련 3국의 외상이사회에서 체결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戰後)문제 처리에 관한 협정인 모스크바협정 가운데 특히 한국에 대한 부문만을 말한다. 이 결정서가 공식 발표된 것은 한국 시각으로 1945년 12월 28일 오후6시였다. = = 핵심 내용 = = 결정서의 내용은 크게 보아 세 가지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 1항에 언급되었듯이, '임시 조선민주주의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한반도에 정부를 세우는 과정에서 한국인들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조직이다. 둘째, '임시 조선민주주의정부'를 지원할 목적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미군과 소련군이 미·소공동위원회를 조직하는 것이다. 2항에 언급된 이 내용은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등 4개국이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를 실시하기로 얄타회담에서 이미 합의했지만, 현실적으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고 있는 미국과 소련 두 나라가 위원회를 만들어 정부 수립을 위한 방안을 한국인들과 논의한다는 것이다. 셋째, 최고 5년을 기한으로 하는 신탁통치를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신탁통치안의 실시를 위해 '조선임시정부와 민주주의단체가 참여하고', '조선임시정부와 협의한 후' 신탁통치의 방안을 제출해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 조항이 조선인들의 찬반 여부에 따라 신탁통치를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조선인들의 참여를 보장하려고 했다. = 감옥정사 = 감옥정사(jailbait)는 2014년 공개된 미국의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사라 말라쿨 레인 = = = 조연 = = = 에린 오브라이언 스티브 행스 안드레이 존슨 제니퍼 로빈 제이콥스 = 분류:낮음 중요도 한국 문서 = = 남평 조씨 병자일기 = 남평 조씨 병자일기(南平 曺氏 丙子日記)는 조선(朝鮮) 인조(仁祖)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남이웅(南以雄)의 부인인 남평 조씨(1574년 ~ 1645년)가 쓴 일기이다. 약칭 병자일기(丙子日記). 필사본. 72매. 1991년에 예전사에서 현대어로 번역된 단행본이 간행되었고, 2015년에 나의 시간에서 재번역되어 간행되었다.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세종특별자치시 고시 제2012-63호, 세종특별자치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세종특별자치시장, 2012-12-31 = = 개요 = = 저자 남평 조씨는 현감 조경남(曺慶男)의 딸로 어머니는 예조정랑(禮曹情郞) 윤강원의 딸이다. 17세에 남이웅과 혼인하였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났던 당시 나이는 이미 예순세 살이었다. 일기의 내용은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난 인조 14년(1636년) 12월 5일부터 저자가 식솔을 거느리고 피난길에 오르면서부터 동왕 18년(1640년) 8월 9일까지의 3년 10개월 동안 식솔들을 거느리면서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병자호란 당시 조씨와 그녀의 동서, 질부들남평 조씨는 일기에서 피난생활을 함께한 자신의 동서와 질부들을 의주댁(남이웅의 남편 남이영의 부인 즉 손윗동서), 닭잣골댁, 삼등댁 등 살고 있는 곳의 이름을, 혹은 판관댁(남이걸의 둘째 아들인 종2품 판관 남두춘의 부인), 감찰댁(시동생 남이걸의 셋째 아들이었던 정6품 감찰 남두화의 부인) 등 남편의 관직명을 따서 지칭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은 변변한 가재도구 없이 쌀궤짝 하나만 지고, 서산(瑞山), 당진(唐津), 여산(礪山), 충주(忠州) 등지를 떠돌았으며, 무인도에서는 대나무로 지은 막에서 눈을 긁어다 녹여 식수로 마시는 고단한 생활을 했다(특히 여산에서 오래 머무르게 되는데, 호서는 남편 남이웅의 친족들이 사는 곳으로 여산은 남이웅의 맏형 남이영의 부인, 즉 조씨 본인의 손윗동서가 살고 있는 곳이었다). 충주에서의 피난 생활 중에 남평 조씨는 서울 주변 및 지방의 집안 소유의 전답을 관리하며 몸소 농사를 짓기도 했다. 한편 인조를 따라 남한산성(南漢山城)에 있었던 남이웅은 병자호란 이후 인질이 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호종하여 심양(瀋陽)으로 갔는데, 남이웅이 없는 집안을 관리하며 남평 조씨는 평소 사대부 집안으로써 맺은 연줄에 따라 사교 목적의 선물을 친척 및 지인의 집안에 보내거나 찾아온 일가 친척을 대접하기도 하고, 심양에 억류된 남편에게 물품을 보내주기도 했다. 그 동안의 작업일자, 농지의 이름, 농사 내용, 동원된 인물, 소출의 내용뿐 아니라 손님의 이름과 주고 받은 물품, 대접한 음식은 잔의 숫자까지 일일이 적어두었다. 또한 일기에서 남평 조씨는 일찍 세상을 떠난 두 아들과 며느리의 생일과 기제사를 챙기며 먼저 자식을 떠나보낸 외로움과 그리움을 가감없이 드러내고, 친정아버지와 어머니의 기제사에서의 자신의 감상을 서술하고 있다. 유교 사회 조선의 가족제도 속에서 중요한 연례행사의 하나였던 조상 제사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마음구조와 감정의 미묘한 흐름을 여성의 입장에서 감지하는 서술에서도 문학적 가치가 높다. 아울러 남편의 친부모와 선조, 남평 조씨 자신의 친정 제사를 남편 집안의 여섯 형제와 그 부인들이 돌아가며 지내며 출가한 딸도 친정 아버지의 제사에 참석했던 사회 모습, 피난 생활과 집으로 돌아온 뒤 그리고 남편 남이웅이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에 주고 받은 물품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어 17세기 초 조선 시대 생활사 자료로써의 가치도 크다. = = 현대 한국어 번역 = = 전형대 등 옮김, 《남평 조씨 병자일기》, 예전사, 1991 박경신 옮김, 《병자일기: 노부인, 일상을 기록하다》, 나의 시간, 2015년 7월 4일 = 뇌동맥류 = 뇌동맥류(腦動脈瘤, )는 뇌혈관 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비정상적으로 부풀어오른 혈관 질환이다. 이 질환에 의해 사망한 인물로는 미국의 유명 가수인 로라 브래니건이 대표적이다. 뇌동맥류를 예방하려면 달걀, 연어, 호두, 굴 등을 적당한 범위 내에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대한민국의 법정 감염병 = 법정감염병(法定感染病, )는 제1급, 제2급, 제3급, 제4급, 지정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대한민국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 *법률 제13474호, 2015.8.11, 타법개정 이 법은 국민 건강에 위해(危害)가 되는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고, 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 건강의 증진 및 유지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 제1군 감염병 = = 파라티푸스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 O-157 A형 간염 = = 제2군 감염병 = = 디프테리아 백일해(百日咳) 파상풍(破傷風) 홍역(紅疫) 유행성 이하선염(流行性耳下腺炎) 풍진(風疹) 소아마비 B형간염 일본뇌염 수두(水痘)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뇌수막염 폐렴구균 코로나-19 = = 제3군 감염병 = = 말라리아 결핵(結核) 한센병 성홍열(猩紅熱) 수막구균성 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 패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탄저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인플루엔자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매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및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KNU) = = 제4군 감염병 = = 흑사병 황열 뎅기열 바이러스성 출혈열-에볼라열, 마버그열, 라싸열 두창 보툴리눔독소증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동물 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조류 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 인플루엔자 야토병 큐열(Q熱) 웨스트나일열 신종감염병증후군 라임병 진드기매개뇌염 유비저(類鼻疽) 치쿤구니야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중동호흡기증후군 지카바이러스(소두증) = =제5군 감염병 = = 회충증 편충증 요충증 간흡충증 폐흡충증 장흡충증 = = 지정 감염병 = = C형 간염 수족구병 임질 클라미디아 연성하감 성기단순포진 첨규콘딜롬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감염증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다제내성녹농균(MRPA) 감염증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장관감염증 급성호흡기감염증 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 As You Wish = As You Wish는 대한민국의 걸 그룹 우주소녀의 미니 음반이다. 타이틀 곡은 '이루리'이다. 2019년 11월 19일에 발매되었다. = = 발매 과정 = = *2019년 10월 25일, 컴백 사실이 발표되었다. *11월 3일 개인 이미지 티저가 공개되었다. 5일에는 단체 이미지 티저가 공개되었다. 이어 11월 9일과 11월 10일에 걸쳐 단체 티저를 2개 공개했다. *11월 7일에는 트랙 리스트가 공개되었다. *11월 15일에 '이루리'의 뮤직 비디오 티저가, 11월 17일에는 앨범 프리뷰 영상이 공개되었다. *11월 19일 오후 6시, 음반이 공개되었다. = = 차트 = = 차트 (2019)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차트 ‘주간’) 2 대한민국 (가온 차트 ‘월간’) 8 = = = 음원 차트 = = = 2020년 1월 1일, 타이틀 곡 '이루리'는 멜론 실시간 차트에서 4위, 지니에서 4위, 벅스에서 3위, 플로에서 2위를 기록했다. 2021년 1월 1일에는 멜론, 벅스, 지니 등 국내 주요 음원 실시간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 = 분류:우간다의 종교 = = 분류:상트르발드루아르의 주 = =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이 참전한 전쟁 = = 전인택 = 전인택(全仁澤, 1952년 6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다. = = 데뷔 = = 1976년 연극배우 첫 데뷔한 그는 같은 해 1976년 MBC 8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를 했다. = = 학력 = = 1973년 동양공업전문대학 정보전자학과 전문학사 1987년 5년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1995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학 석사 = = 출연작 = = = = = 드라마 = = = = = = = MBC = = = = 1977년 일일연속사극 《옥녀》 1979년 6.25특집극 《최후의 증인》 1979년 일일연속극 《당신은 누구시길래》 1980년 주간드라마 《청춘의 초상》 1980년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 영애 남편 원식 역 1981년 주간드라마 《암행어사》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 마마》 ... 진안대군 이방우 역 1983년 반공드라마 《3840 유격대》 1984년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 안평대군 역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 권필 역 1985년 베스트셀러극장 《야망의 땅》 1986년 조선왕조 오백년 《회천문》 ... 권필 역 1988년 조선왕조 오백년 《인현왕후》 ... 김만중 역 1989년 미니시리즈 《대도전》 ... 무룡 역 1992년 대하드라마 《일출봉》 ... 염동 역 1992년 주말연속극 《아들과 딸》 ... 서준표 역 1993년 미니시리즈 《일지매》 ... 포도대장 역 1993년 8.15특집극 《낙동강》 1993년 대하드라마 《제3공화국》 ... 이병두 역 1994년 미니시리즈 《마지막 승부》 ... 한영대학교 농구부 코치 유학수 역 1994년 대하드라마 《야망》 ... 천민 출신 천주교도 김여삼 역 1995년 미니시리즈 《호텔》 ... 최기훈 역 1995년 미니시리즈 《거미》 ... 이강준 역 1997년 미니시리즈 《의가형제》 ... 강릉병원 치과 강준섭 과장 역 1998년 미니시리즈 《해바라기》 ... 장현우의 형 장현준 역 2001년 대하드라마 《홍국영》 ... 육손이 역 2002년 미니시리즈 《로망스》 2002년 미니시리즈 《리멤버》 ... 이영태 역 2003년 일요아침드라마 《1%의 어떤 것》 ... 민혁주 역 2003년 대하드라마 《대장금》 ... 내의원 내의정 정윤수 역 2003년 미니시리즈 《다모》 ... 덕수 역 2004년 대하드라마 《영웅시대》 ... 김재홍 역 2005년 대하드라마 《제5공화국》 ... 특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장 박희도 장군 역 2005년 대하드라마 《신돈》 ... 이색 역 2006년 일일연속극 《얼마나 좋길래》 ... 서필두 역 2008년 설날 특집극 《쑥부쟁이》 ... 차남 박영두 역 2008년 미니시리즈 《스포트라이트》 ... 우진 아버지 역 2009년 미니시리즈 《돌아온 일지매》 2009년 미니시리즈 《2009 외인구단》 ... 외인구단 감독 손병호 역 2010년 4부작 드라마 《런닝, 구》 ... 구상만 역 2010년 주말연속극 《민들레 가족》 ... 영수 역 2011년 8.15특집극 《절정》 ... 이육사 부 역 2014년 주말연속극 《왔다! 장보리》 ... 박종하 역 2015년 아침연속극 《내일도 승리》 ... 한태성(1~10회 특별출연) 역 = = = = 타 방송사 = = = = 1994년 SBS 아침연속극 《그대의 창》 ... 정진서 역 1995년 KBS2 다큐드라마 《역사의 라이벌》 1996년 KBS2 납량 특집 전설의 고향 《숫돌바위》 1998년 KBS1 대하드라마 《왕과 비》 ... 수양대군의 집사 임운 역 2001년 KBS2 대하드라마 《명성황후》 ... 이용익 역 2002년 KBS2 대하드라마 《장희빈》 ... 김석주 역 2003년 EBS TV로 보는 원작동화 《멋진 내 남자친구》 ... 목우 아빠 역 2003년 SBS 설날특집극 《도토리묵》 ... 박 선생 역 2003년 EBS TV로 보는 원작동화 《과외전쟁》 ... 예나 부 역 2003년 EBS TV로 보는 원작동화 《꿈속의 친구》 ... 하윤 아빠 역 2004년 EBS 어린이드라마 《네 손톱 끝에 빛이 남아있어》 ... 연구소장 역 2005년 SBS 미니시리즈 《패션 70's》 ... 고창회 역 2005년 EBS 청소년드라마 《겨울아이》 ... 상원 역 2007년 SBS 주말 특별기획 《푸른 물고기》 ... 이만재 역 2009년 SBS 주말 특별기획 《찬란한 유산》 ... 고평중 역 2011년 JTBC 대하드라마 《인수대비》 ... 엄자치 역 2012년 SBS 드라마 스페셜 《유령》 ... 조경문 역 2013년 SBS 월화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 ... 현종 역 2013년~2014년 SBS 드라마 스페셜 《별에서 온 그대》 ... 서이화의 아버지 역 2016년 KBS2 수목드라마 《태양의 후예》 ... 유시진의 아버지 유영근 역 2016년 네이버 TV 웹드라마 《투모로우보이》 ... 공방사장 역 2017년 KBS1 일일연속극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차상철 역 2022년 KBS2 일일연속극 《황금 가면》... 유대성 역 = = = 영화 = = = 1985년 《에미》 1986년 《뛰는 자 나는 자》 1987년 《박철수의 헬로 임꺽정》 1987년 《두 여자의 집》 ... 윤지호 역 1991년 《젊은 날의 초상》 ... 칼갈이 역 = = = 연극 = = = 《대한제국 조선 융희양제 이왕 순종》 ... 고종 황제 이형 역(주연) = 틀:요즘 화제 처음/2019년 11월 28일 = 올레tv 모바일이 seezn이라는 이름으로 바꿈과 동시에 정식으로 서비스하였다. = 로드아일랜드 (동음이의) = 로드아일랜드(Rhode Island)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로드아일랜드주 아퀴드넥섬 로드아일랜드 대학교 = 분류:헤레스 CD의 축구 선수 = = 분류:원주시의 교육 = = 송종국 = 송종국(宋鍾國, 1978년 3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오른쪽 미드필더이었다. 前 MBC 축구 해설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FC안양의 어드바이저이다. = = 학력 = =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출생이다. 서울명원초등학교,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연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 = 클럽 경력 = = 2001년 부산 아이콘스에 입단하여, 그 해 K리그 신인상을 받았다.신태용 2번째 MVP 영예…신인왕 송종국 2002년 FIFA 월드컵 직후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페예노르트에 국내선수 해외 진출 사상 최고액인 400만 달러를 받고 입단하면서 2002년 FIFA 월드컵 멤버 중에서 처음으로 유럽 무대에 진출하였다.태극전사 송종국, 네덜란드 페예노르트로 이적 부산 아이콘스에서는 송종국을 기리면서 그의 번호 24번을 영구 결번으로 정했으나, 논란 끝에 번복되었다.K리그 영구 결번 영예는 '김주성'뿐 페예노르트 이적 직후인 2002-03 시즌에는 대한민국 선수로는 2번째로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무대에 진출하여 데뷔전 상대로 유벤투스를 맞아 맹활약을 펼쳤고,송종국, 챔피언스리그에서 맹활약 한 때 에레디비시의 모든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랭킹에서 22위에 오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송종국, 네덜란드리그 선수 중 22위 하지만 베르트 판 마르바이크 감독이 떠난 뒤 새로 부임한 뤼트 휠리트 감독과 의사소통 문제 등으로 불화를 일으켰고,송종국, 의사소통 문제로 '위기의 계절' 잦은 부상과 2경기 연속으로 레드카드를 받는 등 부진한 경기력을 보여 결국 시즌 중반부에 거의 출전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보았을 때, 이는 이혼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가 제일 크다는 설이 있다. 결국, 2005년 1월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여 국내에 복귀했다.송종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복귀, 다시 한번 비상을 노린다 국내 복귀 이후에도 부상 등의 원인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2006년 K리그 후반기부터 오른쪽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를 오가며 팀 내에 없어서는 안 될 선수로 성장하였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후기 리그 우승을 이끈 주요 선수로 꼽혔다. 2007년 12월, 송종국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3년 재계약에 합의했다.수원, 송종국과 3년 재계약 합의 2008년에는 선수들의 투표로 초대 '직선제 주장'으로 선출되었고,'쿠키' 송종국, 2008년 수원 주장으로 선임 그 해 팀을 2008 우승으로 이끌었다.'수원 四星 주역' 송종국ㆍ에두, 우승의 힘은 '믿음과 신뢰' 2010년 7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바브로 이적하여 7경기를 뛰었고, 2골을 넣었다. 2011년 2월 8일, 울산 현대와 1년 계약을 맺고 고국으로 복귀하였다. 2011년 3월 13일 경남전에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팀은 0-1로 패배하였다. 송종국은 2011년 7월 3일까지 리그 13경기를 치렀다. 그러나 7월 5일, 울산 현대는 재계약 협상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하여 송종국을 방출하였다. 결국 리그 후반기에는 중국으로 건너가 톈진 터다에 이적했다. 2012년 3월 28일, 현역 은퇴를 발표하였다. 송종국은 후일 은퇴 이유를 2012년 10월 30일에 방송된 SBS 예능프로그램 강심장에 출연하여 “2012년 2월 어머니께서 갑작스럽게 돌아가셨다”고 밝히며 “계속된 해외 활동으로 돌아가신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라고 하며 이어 “내가 넘어질 때 마다 나를 일으켜 세워주셨던 어머니가 안 계시니 더 이상 축구가 하고 싶지 않더라”라고 은퇴 이유를 밝혔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00년 6월 7일, LG컵에서 마케도니아와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히딩크의 황태자'라는 별명이 생겼을 만큼 거스 히딩크 감독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2001년 11월에는 크로아티아, 세네갈과의 경기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쳐 'AFC 11월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하였다.송종국 ‘11월의 선수’ 에…아시아축구연맹 선정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오른쪽 윙백으로 맹활약하면서 대한민국의 4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예선 3차전 포르투갈전에서 상대 공격의 핵 루이스 피구를 이영표와 함께 완전 봉쇄하였고, 3-4위전인 터키전에서 중거리 슛으로 골을 넣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또한 당시 축구대표팀 필드 플레이어 중에서는 유일하게 대표팀이 치른 7경기에서 모두 선발 출장하여 풀 타임(687분)을 소화하였다. 페예노르트 후반 시절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적 초기에 부상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우여곡절 끝에 2006년 FIFA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다시 한 번 선발되었다. 예선 1차전 토고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였으나, 나머지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국가대표팀에서 유일하게 2002년 FIFA 월드컵 전 경기(7경기)를 소화했다. = = 가족 = = 2003년 김정아와 결혼하였으나 2005년에 이혼하였다. 2006년 12월 배우 박연수와 재혼하였고, 딸 송지아(2007년 출생)송종국, 결혼 후 6개월 만에 첫 딸 얻어, 아들 송지욱(2008년 출생) 두 자녀가 있으나, 2015년 10월 6일 박연수와 이혼했다.‘우승’ 수원의 겹경사…송종국 득남, 안영학-남궁웅-이현진 백년가약 - 스포탈코리아 = = 축구 선수 은퇴 후 = = TV조선 축구해설위원 MBC 《2012 코이카의 꿈》 MBC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2》 MBC 《일밤 - 아빠! 어디가?》 아빠의 예체능 MBC 축구해설위원 브라질 월드컵 축구 해설위원 JTBC 《뭉쳐야 찬다》 (2020년) MBN 《현장르포 특종세상》 (2021년) tvN 《전설이 떴다 군대스리가》 (2022년) 송종국 축구교실, 이강, 김용대와 함께 U-12 SLFC 운영 중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코이카 홍보대사 FC안양 어드바이저 2013년 한국GM 쉐보레 (자동차) ※송지아, 윤후 2013년 레고 키마 (장난감)※송지아, 윤후 2013년 KT 올레 TV 스마트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 《도농교류의 날 기념 2013농어촌 여름휴가 페스티벌》 (공익광고) 2013년 경찰청 우리 사회가 행복해지는 번호112/182 (공익광고)※송지아 2013년~2014년 코베아 (캠핑) 2013년~2014년 삼성테스코 《홈플러스》 = = 수상 = = = = = 클럽 = = = = = = = 부산 아이콘스 = = = = K리그 컵 준우승: 2001 = = = = 페예노르트 = = = = KNVB 컵 준우승: 2002-03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K리그: 2008 FA컵: 2009 K리그 컵 우승: 2005, 2008 대한민국 슈퍼컵: 2005 A3 챔피언스컵: 2005 팬퍼시픽 챔피언십: 2009 = = = = = = = = AFC 아시안컵 : 3위 (2007) CONCACAF 골드컵 : 4위 (2002) FIFA 월드컵 : 4위 (2002) = = = = 개인 = = = = K리그 올스타: 2001 2001년 K리그 신인상: 2001 백상체육대상 최우수신인상: 2001 AFC 선정 11월의 선수: 2001 체육훈장 맹호장: 2002 자황컵 체육대상 남자 최우수상: 2002 MBC방송연예대상 대상 : 2013 = 펠리스 올랜디 = 펠리스 올랜디(Felice Orlandi, 1925년 9월 18일 ~ 2003년 5월 21일)는 미국의 배우, 연극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아베차노에서 태어났으며 버뱅크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48시간 2 (1990년) 네온의 왕국 (1989년) 암살 묵시록 (1988년) 롱 라이더스 (1980년) - 칼 레드딕 역 드라이버 (1978년) 투쟁의 그늘 (1975년) 아웃핏 (1974년) 암흑가의 대결 (1973년) 샌프란시스코 수사반 (1972년) 캐치 22 (1970년) 블리트 (1968년) 제5전선 (1966년) 호간의 영웅들 (1965년) 서부를 향해 달려라 (1965년) 네버 러브 어 스트레인저 (1958년) 하더 데이 폴 (1956년) 킬러스 키스 (1955년) = 스싱현 = thumb 스싱현은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사오관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217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250,000명이다. = = 기후 = = 연평균 기온은 19.6°C이고 1월 평균기온은 9.4°C, 7월 평균기온은 28.4°C이다. 무상일수는 296일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825mm이다. = = 행정 구역 = = 9개 진, 1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진: 太平镇, 马市镇, 澄江镇, 顿岗镇, 罗坝镇, 司前镇, 隘子镇, 城南镇, 沈所镇. 민족향: 深渡水瑶族乡. = 삼색큰귀박쥐속 = 삼색큰귀박쥐속(Glyphonycteris)은 주걱박쥐과에 속하는 박쥐 속의 하나이다. 창코박쥐아과로 분류하며, 3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종 = = 벤박쥐 또는 벤큰귀박쥐 (Glyphonycteris behnii) 데이비스큰귀박쥐 (Glyphonycteris daviesi) 삼색큰귀박쥐 (Glyphonycteris sylvestris) = 분류:프랑스의 귀족 가문 = = 루겔 = 루겔은 리히텐슈타인의 지방 자치체로, 인구는 1,937명(2008년 기준), 면적은 7.38km2, 높이는 433m이다. 루겔이라는 지명은 라틴어로 "청량한 육지"를 뜻하는 단어인 "론칼레"(roncale)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틀:토끼자리 = = 게이세이마쿠하리역 = 게이세이마쿠하리역은 일본 지바현 지바시 하나미가와구에 위치한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S 5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승차 인원 2003년 3,254 2004년 3,134 2005년 3,242 2006년 3,309 2007년 3,495 2008년 3,594 2009년 3,687 2010년 3,790 2011년 3,758 2012년 3,889 2013년 3,937 = = 역 주변 = = 국도 제14호선 방송대학학원 간다 외어대학 지바 현 종합 교육센터 = 분류:볼리비아의 국가대표팀 틀 = = 분류:프티부르 = = 제로 아워 = 제로 아워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제로 아워》는 2004년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제로 아워》는 2013년 드라마이다. = 가소세역 = 가소세역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국도 제101호선 가소세 해수욕장 = = 역사 = = 1954년 11월 20일 : 개업.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2010년 4월 1일 : 후카우라역으로부터 고쇼가와라 역으로 관리역 변경. = 츠루마키 카즈야 = 츠루마키 카즈야(, 1966년 2월 2일 ~ )는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터이다. 일본 니가타현 고센시 출신. = = 개요 = = 고교 졸업 후, 마사유키(摩砂雪)의 화풍을 동경해 스튜디오 자이언츠에 입사(실제는 엇갈리게 되었다). 다카하시 나오히토(高橋ナオヒト)에게 사사받았다. 스즈키 슌지로부터의 가이낙스 작품 참가를 사장 카도야 테츠오로부터 거절당하면서 동 회사를 그만두고, 가이낙스에 입사했다.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가 가이낙스 첫 참가작품.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감독 안노 히데아키로부터 그 소질을 인정받고, 동 작품의 부감독을 마사유키와 함께 담당하고, 그 후 가이낙스의 여러 요직을 맡았다. 2000년에는 첫 감독작품 『프리크리』, 2004년에는 『톱을 노려라2!』의 감독을 맡았다. 『프리크리』에 등장하는 베스파는, 자신의 아끼는 차. 아이돌광, 안경 미소녀광으로도 알려져 있다. 애칭은 맛키(マッキ). 호소다 마모루의 팬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 = 참가작품 = = = = = TV애니메이션 = = = 게게게의 키타로 (1985년)원화 시티 헌터 (1987년)원화 메종일각 (1988년)원화 F (1988년)원화 명문! 제3야구부 (1988년)원화 천공전기 슈라토 (1989년)원화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1990년)작화감독·원화 구름처럼 바람처럼(雲のように風のように) (1990년)원화 미소녀전사 세일러문(美少女戦士セーラームーン) (1992년)원화 기동전사 V건담 (1993년, 원화) 신세기 에반게리온 (1995년)부감독·그림콘티·연출·작화감독·설정보(設定補)·원화 요리왕 비룡 (1997년)원화 소녀혁명 우테나(少女革命ウテナ) (1997년)원화 검풍전기 베르세르크(剣風伝奇ベルセルク) (1997년)연출 아키하바라 전뇌조(アキハバラ電脳組) (1998년)그림콘티 그 남자! 그 여자!(彼氏彼女の事情) (1998년)그림콘티·연출·작화감독 마호로매틱(まほろまてぃっく) (2001년)그림콘티·오프닝 원화 파라파 랩퍼(パラッパラッパー, PaRappa the Rapper) (2002년)OP콘티 연출 월면토병기 미나(月面兎兵器ミーナ) (2007년)시리즈 원안·시리즈 감수 천원돌파 그렌라간(天元突破グレンラガン) (2007년) 원화·제2원화·그림콘티 = = = OVA = =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1988년)원화 오타쿠의 비디오 (1991년)원화 오! 나의 여신님 (1993년-1994년)원화 요세기수호전 -마성강림-(妖世紀水滸伝 -魔星降臨- (1993년)원화·작화협력 마크로스 플러스(1994년)작화감독보좌 SM걸즈 세이버 마리오네트R(1995년)그림콘티・연출 청의 6호(青の6号) (1998년)그림콘티・원화 프리크리 (2000년)원안・감독・그림콘티・원화 톱을 노려라2! (2004년)원안・감독・그림콘티・연출・원화 = = = 극장판 애니메이션 = = = 노인Z (1991년)레이아웃・원화 아랑전설 -THE MOTION PICTURE- (1994년)원화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THE END OF EVANGELION 에어/진심을, 너에게 (1997년)감독・그림콘티・연출・설정 디자인 극장판 포켓몬스터 -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1999년)원화 미니모니. THE 무비 오카시나 대모험!(お菓子な大冒険!) (2002년)그림 콘티 ※츠루마키 카즈야명의 에반게리온 신극장판(ヱヴァンゲリヲン新劇場版) 시리즈 (2007년-)감독・그림콘티 = = = 게임 = = = 와일드 암즈 어드밴스트 서드(WILD ARMS Advanced 3rd) (2002년) OP그림콘티・연출 = = = 소설 = = = 닐 스티븐스『스노우 크래쉬』상・하 (2001년 하야카와 문고판)커버 일러스트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보호지 = 영어 위키백과의 보호지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 = Top-importance Protected areas articles (8/12) = = :en:Marine reserve (11) :en:National park (100+) → 국립공원 :en:Natural monument (40+) → 천연기념물 :en:Nature reserve (70+) → 자연보전지역 :en:Protected area (50+) → 보호 지역 :en:Provincial park (4) :en:State park (13) :en:World Network of Biosphere Reserves (24) = = High-importance Protected areas articles (263/324) = = :en:30 by 30 (8) :en:Aammiq Wetland (8) :en:Ain Elshakika Wetland (3) :en:Ain Elzarga Wetland (2) :en:Akagera National Park (20) :en:Alaksen National Wildlife Area (2) :en:Alejandro de Humboldt National Park (30+) :en:Ambohijanahary Special Reserve (3) :en:Ambohimanga (40+) → 암보히망가 왕실 언덕 :en:Ankarana Special Reserve (17) :en:Antiquities Act (6) :en:Arctic National Wildlife Refuge (18) :en:Area de Conservación Guanacaste World Heritage Site (25) :en:Arnold Islets (4) :en:Ash Meadows National Wildlife Refuge (6) :en:Aula Magna (Central University of Venezuela) (3) :en:Babia Góra National Park (22) :en:Bacalar Chico National Park and Marine Reserve (2) :en:Baie de l'Isle-Verte (3) :en:Banc d'Arguin National Park (40+) :en:Bandiagara Escarpment (40+) :en:Bao Bolong Wetland Reserve (3) :en:Belovezhskaya Pushcha National Park (30+) :en:Bénoué National Park (20) :en:Berbak National Park (20) :en:Białowieża National Park (30+) :en:Bia National Park (11) :en:Bieszczady National Park (23) :en:Bitter Lake National Wildlife Refuge (3) :en:Blakeney Point (3) :en:Blue Mountains National Park (22) → 블루마운틴스 국립공원 :en:Bolinas Lagoon (4) :en:Botum Sakor National Park (11) :en:Buir Lake (24) → 부이르호 :en:Bundala National Park (27) :en:Cabo de Gata-Níjar Natural Park (18) :en:Cache River National Wildlife Refuge (3) :en:Caddo Lake (8) :en:Caerlaverock National Nature Reserve (3) :en:Carlos Anwandter Nature Sanctuary (3) :en:Caroni Swamp (6) :en:Catahoula Lake (4) :en:Caucasus Nature Reserve (21) :en:Central Highlands of Sri Lanka (26) :en:Chang Tang Nature Reserve (6) :en:Cheyenne Bottoms (2) :en:Chinhoyi Caves (8) :en:Cley Marshes (6) :en:Coiba (30+) :en:Comoé National Park (50+) :en:Congaree National Park (28) → 콩가리 국립공원 :en:Conservation in Brazil (2) :en:Conservation in India (2) :en:Conservation in Indonesia (2) :en:Conservation in Papua New Guinea (3) :en:Corkscrew Swamp Sanctuary (5) :en:Cors Caron (2) :en:Crooked Tree Wildlife Sanctuary (4) :en:Daintree National Park (14) :en:Danube Delta (50+) → 다뉴브강 삼각주 :en:De Groote Peel National Park (14) :en:Desembarco del Granma National Park (30+) → 데셈바르코 델 그란마 국립공원 :en:Detroit River International Wildlife Refuge (2) :en:Dewey Soper Migratory Bird Sanctuary (2) :en:De Zoom–Kalmthoutse Heide Cross-Border Park (18) :en:Digya National Park (11) → 디그야 국립공원 :en:Dja Faunal Reserve (30+) :en:Eagle Island (Queensland) (3) :en:Eduardo Avaroa Andean Fauna National Reserve (14) :en:Edwin B. Forsythe National Wildlife Refuge (3) :en:El Pinacate y Gran Desierto de Altar Biosphere Reserve (22) :en:El Yali National Reserve (2) :en:Emiquon National Wildlife Refuge (2) :en:Fernando de Noronha (60+) → 페르난두 지 노로냐 :en:Francis Beidler Forest (2) :en:Franks Tract State Recreation Area (2) :en:Funafuti Conservation Area (4) :en:Garajonay National Park (40+) :en:Gibraltar Nature Reserve (4) :en:Gila Wilderness (2) :en:Göreme (30+) → 괴레메 :en:Gran Sabana (15) :en:Grasslands Wildlife Management Area (2) :en:Great Arctic State Nature Reserve (17) :en: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8) :en:Great Bear Rainforest (7) :en: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40+) →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 :en:Gulf of Tendra (9) :en:Habitats Directive (21) :en:Harike Wetland (9) :en:Harpers Ferry National Historical Park (5) :en:Havergate Island (4) :en:History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2) :en:Hluhluwe–Imfolozi Park (16) :en:Hopewell Culture National Historical Park (8) :en:Horicon Marsh (3) :en:Huascarán National Park (30+) :en:Human–wildlife conflict (11) :en:Humboldt Redwoods State Park (7) :en:Iguaçu National Park (30+) → 이구아수 국립공원 (브라질) :en:Iguazú National Park (40+) → 이과수 국립공원 (아르헨티나) :en:Isla Contoy (9) :en:Isle Royale National Park (29) :en:IUCN protected area categories (17) →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 :en:Izembek National Wildlife Refuge (6) :en:Jubho Lagoon (2) :en:Kanangra-Boyd National Park (7) :en:Karimunjawa National Park (11) :en:Kawainui Marsh (3) :en:Kaziranga National Park (60+) → 카지랑가 국립공원 :en:Keoladeo National Park (50+) :en:Kinabalu Park (40+) → 키나발루 공원 :en:Klondike Gold Rush National Historical Park (8) :en:Koli National Park (20) :en:Komodo National Park (50+) → 코모도 국립공원 :en:Kootenay National Park (30+) :en:Kopački Rit (21) :en:La Amistad International Park (40+) → 라아미스타드 국제공원 :en:Laguna de Sayula (3) :en:Lake Arpi (26) :en:Lake Chivero (8) :en:Lake Ichkeul (20) :en:Lake Kutubu (11) :en:Lake Kuyucuk (3) :en:Lake Sentarum National Park (16) :en:Lake Skadar (50+) → 슈코더르호 :en:Lassen National Forest (6) :en:Litovelské Pomoraví Protected Landscape Area (8) :en:Loch Leven (Kinross) (19) :en:Loktak Lake (22) :en:Lopé National Park (24) :en:Lorentz National Park (50+) :en:Malpelo Island (30+) :en:Mamirauá Sustainable Development Reserve (4) :en:Mammoth Cave National Park (40+) → 매머드 케이브 국립공원 :en:Mana Pools National Park (30+) :en:Mangroves National Park (8) :en:Manovo-Gounda St. Floris National Park (50+) → 마노보 군다 세인트 플로리스 국립공원 :en:Manu National Park (30+) :en:Manzanar (23) :en:Marine park (11) → 해양공원 :en:Masoala National Park (24) :en:Matobo National Park (18) :en:Matsalu National Park (29) :en:McConnell River Migratory Bird Sanctuary (2) :en:Mer Bleue Bog (2) :en:Midongy du sud National Park (13) :en:Morne Trois Pitons National Park (30+) :en:Mosi-oa-Tunya National Park (15) :en:Mungo National Park (14) :en:Nahal Me'arot Nature Reserve (21) :en:National Conservation Lands (2) :en:National forest (United States) (15) :en:National Natural Landmark (8) :en:National parks of Rwanda (6) :en:National Wilderness Preservation System (8) :en:National Wildlife Refuge (9) :en:Neretva Delta (6) :en:New Forest (28) :en:Ngorongoro Conservation Area (50+) → 응고롱고로 분화구 :en:Niassa Reserve (10) :en:Oak Hammock Marsh (3) :en:Okapi Wildlife Reserve (50+) :en:Okefenokee National Wildlife Refuge (4) :en:Old Crow Flats (7) :en:Olympic National Park (50+) → 올림픽 국립공원 :en:Palmyra Atoll (70+) → 팔미라 환초 :en:Pantanal Matogrossense National Park (12) :en:Papahānaumokuākea Marine National Monument (30+) → 파파하노모쿠아키아 해양국립기념물 :en:Pelican Island National Wildlife Refuge (5) :en:Peneda-Gerês National Park (24) :en:Persina Nature Park (5) :en:Phoenix Islands Protected Area (17) :en:Pirin National Park (40+) :en:Poda Protected Area (11) :en:Point Calimere Wildlife and Bird Sanctuary (4) :en:Polar Bear Provincial Park (6) :en:Protected areas of Albania (5) :en:Protected areas of Australia (5) :en:Protected areas of Brazil (6) :en:Protected areas of Chile (7) :en:Protected areas of Indonesia (3) :en:Protected areas of Madagascar (13) :en:Protected areas of Pakistan (4) :en:Protected areas of Poland (7) :en:Protected areas of Romania (11) :en:Protected areas of Sri Lanka (5) :en:Protected areas of the United States (4) :en:Protected areas of Turkmenistan (4) :en:Protected area with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4) :en:Pyrénées National Park (30+) :en:Queen Elizabeth National Park (27) :en:Queen Maud Gulf Migratory Bird Sanctuary (4) :en:Quivira National Wildlife Refuge (3) :en:Ranomafana National Park (20) :en:Rapa Nui National Park (30+) :en:Redgrave and Lopham Fens (3) :en:Rila National Park (30+) :en:Rio Abiseo National Park (30+) :en:Río Pilcomayo National Park (15) :en:Río Plátano Biosphere Reserve (30+) :en:Rokel River (14) :en:Sabkhat al-Jabbul (15) :en:Sakumo Ramsar Site (2) :en:Salar de Surire Natural Monument (3) :en:Sand Lake National Wildlife Refuge (3) :en:Sarstoon-Temash National Park (5) :en:Selous Game Reserve (40+) :en:Serra do Divisor National Park (10) :en:Sian Kaʼan Biosphere Reserve (30+) :en:Siberut National Park (16) :en:Sinharaja Forest Reserve (30+) :en:Sitka National Historical Park (7) :en:South African National Parks (15) :en:St. Clair National Wildlife Area (2) :en:Stephen Mather (8) :en:Strandzha Nature Park (7) :en:Strict nature reserve (19) :en:Sundarbans National Park (50+) :en:Sundarbans West Wildlife Sanctuary (2) :en:Tablas de Daimiel National Park (23) :en:Table Mountain National Park (20) :en:Taï National Park (40+) :en:Tajik National Park (30+) :en:Talampaya National Park (30+) → 타람파야 :en:Tassili n'Ajjer (60+) → 타실리나제르 :en:Teide National Park (50+) → 테이데 국립공원 :en:Tel Be'er Sheva (20) :en:Terkhiin Tsagaan Lake (17) :en:Thirlmere Lakes National Park (7) :en:Tijuana River National Estuarine Research Reserve (3) :en:Titchwell Marsh (5) :en:Tsingy de Bemaraha National Park (17) :en:Tsingy de Bemaraha Strict Nature Reserve (40+) → 친지 데 베마라하 자연보호구역 :en:Tso Moriri (19) :en:Tubbataha Reef (30+) :en:Ujung Kulon National Park (40+) :en:Ulla Ulla National Reserve (8) :en:Ulu Temburong National Park (13) :en:Upper Mississippi River National Wildlife and Fish Refuge (3) :en:Valley of Flowers National Park (40+) :en:Valley of Geysers (29) :en:Vilsandi National Park (30+) :en:Volcanoes National Park (25) :en:Volcanoes of Kamchatka (30+) → 캄차카 화산군 :en:Wadden Sea (60+) → 바덴해 :en:Wadi Wurayah (7) :en:Wasur National Park (16) :en:Western Forest Complex (3) :en:White River National Wildlife Refuge (2) :en:William Penn Mott Jr. (3) :en:W National Park (40+) :en:Wood Buffalo National Park (40+) :en:Wooroonooran National Park (10) :en: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14) :en:Wrangell–St. Elias National Park and Preserve (30+) :en:Yangoupokpi-Lokchao Wildlife Sanctuary (2) :en:Yugyd Va National Park (24) :en:Zakaznik (19) :en:Zapata Swamp (19) :en:Zapovednik (13) :en:Zwin (16) :en:Þingvellir (50+) → 팅크베틀리르 보호지 = 명혜부인 = 명혜부인(明惠夫人, 생몰년 미상)은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자 혜종(太祖)과 궁인 애이주(宮人 哀伊主) 딸이다. = = 가계 = = 부왕 : 혜종(惠宗, 912~945 재위:943~945) 모후 : 궁인 애이주(宮人 哀伊主) 동생 : 왕제(王濟) 공주 : 명혜부인(明惠夫人)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全國大學野球選手權大會)는 한국대학야구연맹과 대한야구소프드볼협회에서 주최하는 전국 규모의 대학야구대회이다. 1946년에 시작되어 2018년에 73회를 맞이했다. = =역대 우승대학 및 최우수선수 = = 회수 연도 우승대학 결승전 스코어 준우승대학 개최 구장 대회 최우수선수 우수투수상 타격상 감독상 비고 1회 1946 한양대학교 2회 1947 서울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3회 1948 성균관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4회 1949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2 : 1 성균관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5회 1950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6.25 전쟁 6회 1951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6.25 전쟁 7회 1952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6.25 전쟁 8회 1953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6.25 전쟁 9회 1954 성균관대학교 3 : 1 한양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10회 1955 성균관대학교 7 : 5 서울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김의석(서울대) 11회 1956 중지 중지 중지 중지 중지 중지 중지 중지 8월 23일부터 4일간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9월 27일로 연기된 후 주최 측 사정으로 개최 중지됨 12회 1957 성균관대학교 4 : 1 동아대학교 육군야구장 동아대와 성균관대 두 팀 참가 13회 1958 성균관대학교 육군야구장 리그전 진행성균관대, 고려대, 동아대, 신흥대가 출전해 리그전으로 펼쳐져 2승 1무를 거둔 성균관대가 우승하였다. 14회 1959 15회 1960 동아대학교 3 : 1 6 : 2 성균관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박정일(동아대) 홍당길(동아대) 결승전을 2회전 진행대회 참가팀이 동아대, 성균관대 총 두 팀이 참가하여 양일 경기 형태로 진행 16회 1961 연세대학교 5 : 0 성균관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주성현(연세대) 17회 1962 성균관대학교 3 : 0 동아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한을룡(성균관대) 박영길(동아대) 18회 1963 성균관대학교 7 : 4 연세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김용길(성균관대) 이영기(연세대) 19회 1964 연세대학교 3 : 2 경희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김창진(연세대) 김양남(고려대) 정태수(연세대) 20회 1965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1회 1966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2회 1967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3회 1968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4회 1969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5회 1970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6회 1971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7회 1972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8회 1973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29회 1974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30회 1975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31회 197611년만에 부활하였다. 한양대학교 4 : 1 고려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장효조(한양대) 정순명(한양대) 장정호(한양대) 서영무(한양대) 32회 1977 연세대학교 3 : 2 한양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이광은(연세대) 최동원(연세대) 김한근(한양대) 이재환(연세대) 33회 1978 한양대학교 1 : 0 건국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장효조(한양대) 김용남(한양대) 장효조(한양대) 김동엽(한양대) 34회 1979 동아대학교 4 ; 2 한양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박용성(동아대) 임호균(동아대) 김종모(영남대) 강병철(동아대) 35회 1980 연세대학교 3 : 0 성균관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손영주(연세대) 최동원(연세대) 박해성(연세대) 당시 연대는 감독이 공석으로, 감독상 대신 연세대 야구부장인 정종진이 지도상, 전 연세대 감독인 이재환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36회 1981 동아대학교 5 : 2 중앙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김상훈(동아대) 김재열(동아대) 김상훈(동아대) 강병철(동아대) 37회 1982 인하대학교 2 : 1 동국대학교 서울운동장 야구장 김명성(인하대) 오영일(인하대) 김경표(한양대) 김진영(인하대) 38회 1983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39회 1984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40회 1985 한양대학교 2 : 1 고려대학교 동대문야구장 김건우(한양대) 김종석(한양대) 김성규(연세대) 김보연(한양대) 41회 1986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42회 1987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43회 1988 동아대학교 8 : 6 고려대학교 동대문야구장 김석련(동아대) 최태곤(동아대) 양준혁(영남대) 44회 1989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미개최 45회 1990 경성대학교 한양대학교 박정태(경성대) 46회 1991 인하대학교 8 : 3 한양대학교 동대문야구장 김일혁(인하대) 위재영(인하대) 김종훈(경희대) 주성로(인하대) 47회 1992 건국대학교 2 : 0 연세대학교 동대문야구장 추성건(건국대) 김민국(건국대) 서석영(인하대) 48회 1993 홍익대학교 10 : 1 경남대학교 동대문야구장 문희성(홍익대) 최상덕(홍익대) 문희성(홍익대) 박종회(홍익대) 49회 1994 고려대학교 9 : 8 한양대학교 동대문야구장 손민한(고려대) 진갑용(고려대) 50회 1995 고려대학교 3 : 2 한양대학교 동대문야구장 김종국(고려대) 손민한(고려대) 이학균(한양대) 조두복(고려대) 51회 1996 인하대학교 12 : 10 연세대학교 잠실야구장 이득수(인하대) 52회 1997 고려대학교 9 : 3 연세대학교 동대문야구장 손인호(고려대) 53회 1998 경희대학교 3 : 2 경성대학교 동대문야구장 홍성흔(경희대) 54회 1999 한양대학교 9 : 5 연세대학교 동대문야구장 전근표(한양대) 전근표(한양대) 55회 2000 홍익대학교 동국대학교 이용우(홍익대) 56회 2001 한양대학교 고려대학교 강철민(한양대) 57회 2002 인하대학교 동아대학교 정재복(인하대) 58회 2003 원광대학교 경희대학교 주창훈(원광대) 59회 2004 중앙대학교 경성대학교 이혁수(중앙대) 60회 2005 경성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장원삼(경성대) 김기표(경성대) 김강석(경성대) 윤영환(경성대) 61회 2006 동국대학교 원광대학교 강민욱(동국대) 이문광(동국대) 김다원(성균관대) 김학용(동국대) 62회 2007 성균관대학교 단국대학교 이희근(성균관대) 정종국(성균관대) 김영관(한양대) 이연수(성균관대) 63회 2008 중앙대학교 원광대학교 유희관(중앙대) 김상록(중앙대) 이규환(원광대) 정기조(중앙대) 64회 2009 건국대학교 중앙대학교 장승욱(건국대) 장우람(건국대) 김현우(건국대) 윤병선(건국대) 65회 2010 경성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임현준(경성대) 정수봉(경성대) 고영우(성균관대) 윤영환(경성대) 66회 2011 동아대학교 동국대학교 나규호(동아대) 김성호(동아대) 김동영(동국대) 김석연(동아대) 67회 2012 동의대학교 영남대학교 서용주(동의대) 배준빈(동의대) 최승민(영남대) 이상번(동아대) 68회 2013 동국대학교 동의대학교 양석환(동국대) 홍영현(동국대) 양석환(동국대) 이건열(동국대) 69회 2014 동국대학교 인하대학교 이현석(동국대) 백찬이(동국대) 최재원(동국대) 이건열(동국대) 70회 2015 경성대학교 인하대학교 김명신(경성대) 공수빈(경성대) 채상현(인하대) 윤영환(경성대) 71회 2016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박창빈(동국대) 박승수(동국대) 조석환(동국대) 이건열(동국대) 72회 2017 홍익대학교 경성대학교 최태성(홍익대) 안도원(홍익대) 고우송(한양대) 장채근(홍익대) 73회 2018 74회 2019 75회 2020 76회 2021 77회 2022 78회 2023 = 위키프로젝트:말하는 위키백과/문서 선택하기 = __NOTOC__ __NOEDITSECTION__ = = 1단계: 문서를 선택해주세요 = = 선호하는 문서 하나를 선택합니다. 특별히 선호하는 문서가 없다면 다음에 해당하는 문서를 선택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오늘의 알찬 글 알찬 글 요청된 글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마다 꼭 있어야 하는 문서 문서를 선택하기에 앞서 몇 가지 유의 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싱글 버전 사용: 녹음본은 문서의 싱글 버전이어야 하며 업로드 부분에서 설명된 대로 업로드 되어야 합니다. 안정성 고려: 문서를 녹음하기에 앞서 반드시 문서의 안정성에 대해 고려해야 합니다 — 편집 분쟁에 말려 있거나 자주 수정되는 문서는 안정적이지 않은 문서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저작권 있는 글은 피하기: 저작권이 있는 글이 포함된 위키백과 문서의 오디오 클립은 법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크리에이트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하기 때문에 저작권이 있는 글은 문제가 생길 수도 있음). 이러한 문서들은 피해주세요. = =2단계: 내용을 정리해보세요 = = 문서를 선택하고 녹음을 하기 전에 문서를 주의 깊게 살펴본 후에 교열을 합니다. 또한, 문서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편집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편집하는 동안 오류나 어려운 구절이 나타나면 문서의 다른 버전과 엉망진창이 될 수도 있습니다. = =3단계: 대본을 준비해보세요 = = 읽을 내용이 적힌 대본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위키백과는 문서를 PDF 형식의 파일로 변환할 수가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내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첫 번째와 마지막 대사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사진 설명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틀이 있는지 없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필요에 따라 메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 =4단계: 커뮤니티에 알려보세요 = = 선택사항.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서 문서의 편집자와 말하는 위키백과 커뮤니티에서 작업할 것임을 알릴 수도 있습니다. = 김완주 = 김완주(金完柱, 1946년 5월 25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전주시장, 전라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 생애 = = = = = 전라북도지사 = = = 민선 전라북도지사 재직 중 2012년 3월, 이전에 대회가 열렸던 강원도 고성을 본보기로 삼아 전라북도에서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를 개최하는 것을 최초로 추진했다. 김완주의 전라북도정은 ‘한국잼버리 겸 국제패트롤잼버리'대회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2013년 8월 1일에는 ‘2013 새만금 국제 청소년 야영대회'를 개최해 세계대회 의지를 대내외에 알렸으며, 2012년 4월 27일 김완주는 자신의 집무실에서 한국스카우트연맹 관계자들에게 "세계 잼버리에 필요한 350만평 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인 새만금에서 잼버리가 개최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위와 같이 김완주는 직접 해외 출장길에 오르는 등 2021년 월드마스터게임과 2023년 세계 잼버리대회 유치에 공들였다. = = 부동산 명의 신탁 = = 2000년 1월경 김완주는 자신 소유의 서울 반포동 아파트를 친척에게 명의신탁을 하였다(부동산실명법 위반). 2006년 전주지방검찰 제2형사부는 김완주의 부동산실명법위반 죄 공소시효가 2005년 1월부로 만료되었다며 불기소 처분했다. = = 학력 = = 1959년 전주풍남국민학교 졸업 1962년 전주북중학교 졸업 1965년 전주고등학교 졸업 1970년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197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1987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 = 경력 = = 1973년 제14회 행정고시 합격 1974년~1980년 전라북도청 기획계장 1980년~1981년 전라북도청 상정과장 1988년~1988년 전라북도청 기획담당관 1989년~1991년 전라북도 고창군수 / 임명직 1991년~1992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1994년 전라북도 남원시장 직무대리인사 매일경제 1996.07.12. 1994년~1995년 제7·8대 전라북도 남원시장 / 임명직 1995년~1996년 전라북도 기획관리실장 1998년~대한체육회 이사 1998년 7월 1일~2006년 3월 10일: 제34·35대 전라북도 전주시장(재선) 2001년~2004년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 2003년~지방분권특별추진위원회 위원장 2003년 전국시장군수구청장 협의회 회장 2006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제32·33대 전라북도지사(재선) = 다 데르가 여관의 파괴 = 〈다 데르가 여관의 파괴〉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얼스터 대계에 속하는 이야기 중 하나이다. 고대 아일랜드어 및 중세 아일랜드어 필사본 세 점에 보존되어 전하고 있다. 아르드리 에테르스켈 모르의 아들 코나러 모르가 기아스를 어긴 탓에 다 데르가 여관에서 살해되는 이야기이다. = = 줄거리 = = 코나러는 이미 기아스를 몇 개 어긴 상태였는데, 그 상태로 해안을 따라 아일랜드 남부로 이동하고 있었다. 어느 날 밤 다 데르가의 여관에 묵으려고 여관으로 가는데, 붉은 옷을 입고 붉은 말을 탄 남자 세 명이 자기 일행보다 먼저 여관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코나러는 이 세 남자가 자기를 앞질러 붉은 남자의 집("다 데르가"란 "붉은 신"이라는 뜻이다)에 들었고, 자신의 기아스 하나가 또 어겨졌음을 깨닫는다. 과거 코나러는 돈드 데사의 죄를 물어 그를 알바(스코틀랜드)로 추방했는데, 그의 세 아들은 브리튼의 왕과 연합하여 아일랜드를 치러 왔다. 그들은 다 데르가 여관을 공격했고, 세 차례에 걸쳐 불을 지르려 했으나 방어자들은 세 차례 모두 불을 껐다. 코나러의 대전사 막 케크트와 울라 영웅 코날 케르나크는 코나러를 보호했는데, 코나러는 무기를 가지러 가는 길에 적을 6백 명 죽이고 무기를 들고 나서 또다시 적을 6백 명 죽였다. 기아스를 어긴 것으로 인하여 그는 저주의 갈증에 시달렸으나, 모든 물이 불을 끄는 데 사용되어 마실 물이 없었다. 막 케크트가 코나러의 잔을 들고 물을 뜨러 온 에린 땅을 돌아다녔으나 모든 강이 그에게 물을 주기를 거부했다. 막 케크트가 간신히 물을 떠서 돌아왔으나 바로 그 순간 두 남자가 코나러를 잡고 그 목을 베었다. 막 케크트는 그 둘을 쳐죽였다. 코나러의 잘린 머리는 막 케크트가 떠온 물을 마시고 그를 찬양하는 노래를 불렀다. 그 뒤로도 싸움은 3일 밤낮이 더 이어졌고, 막 케크트도 죽었으나 코날 케르나크는 탈출했다.Jeffrey Gantz (trans.), Early Irish Myths and Sagas, Penguin Classics, 1981, pp. 37–106 = 해리슨군 (인디애나주) = 해리슨군 또는 해리슨 카운티(Harrison County)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39,364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40,354명이다. = 분류:보드 게임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용산구의회 = 다음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용산구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용산구의회는 지역구의원 20명을 선출했다. = 삼한벽공도대장군목상 = 삼한벽공도대장군목상(三韓壁控都大將軍木像)은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밀성박씨 문중에서 밀양주신(密陽主神)으로 섬겨오던 박욱(朴郁)의 모습을 나무로 깎아 만든 상이다. 1995년 5월 2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13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밀성박씨 문중에서 밀양주신(密陽主神)으로 섬겨오던 박욱(朴郁)의 모습을 나무로 깎아 만든 상이다. 박욱은 밀성대군 박언침의 아들이자 박혁거세 거서간의 31대손이다. 이 목상은 붉은 바탕에 구름무늬가 새겨진 흉배가 있는 청색의 관복을 입고 있다. 빗살무늬가 교차하는 듯한 무늬가 있는 붉은색의 띠를 허리에 두르고 긴 칼을 두손으로 힘 있게 잡고 의자에 앉아있는 무인의 모습이다. 이 상은 추화산 추화사(推火祠)에 모셔져 있다가 1937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남쪽에 세워진 밀성박씨 재실에 옮겨 모셔졌으며 이후 새 사당을 익성사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 분류:슬로베니아의 반공주의자 = = 양정규 = 양정규(梁正圭, 1933년 2월 5일 ~ 2011년 10월 12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7·9·12·14·15·16대 국회의원이다. = = 에피소드 = = = = = 연임 징크스 = = = 그는 15대 총선 이전까지 집권여당의 중진임에도 불구하고 연임을 해 본 경험이 없었다. 8대 총선에서 민주공화 공천심사에서 낙천된 뒤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했고, 9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뒤 공화당에 복당했으나 1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변정일 변호사에게 패배해 금배지와 지구당위원장직을 내줘야만 했다. 이 징크스는 정치활동규제자로 4년간(1981년-1984년)의 휴지기를 가진 뒤에도 좀처럼 깨지지가 않아 13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공천을 받았으나 무소속 이기빈 후보에게 패배해 또 다시 금배지와 지구당위원장직을 내줘야 했고, 신한국당의 공천을 받은 15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의 강희찬 의원에게 대승을 거둔 뒤에야 깨졌다. 그러나 16대 총선에서는 장정언에게 과반득표를 내주며 다시 낙선하였지만 2002년 재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DO-178B = DO-178B (항공기 시스템과 장비 인증에 관한 소프트웨어 고려사항)는 RTCA 사에 의해 발표된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이다. 이 표준은 RTCA SC-167과 EUROCAE WG-12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를 미국 연방 항공국(FAA)이 항공기 소프트웨어 인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것을 인정하여 현재 업계에서 상용 항공기이 탑재되는 safety-critical 소프트웨어를 위한 사실 상의(de facto) 표준으로 자리잡았다.FAA 권고(Advisory Circular) 20-115B. = = 소프트웨어 레벨 = = 안전 평가 프로세스(safety assessment process), 위험도 분석(hazard analysis)으로부터 결정된 레벨로서 시스템의 고장 영향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가 있다. Catastrophic - 추락의 위험을 갖는 고장 위험 수준 Hazardous - 성능 또는 안전에 큰 부정적인 요소를 갖거나 물리적인 변형 또는 과도한 업무 부하로 인해 조종사가 비행을 유지할 수 없는 위험 수준 Major - 심각한 수준이지만 위험한 상태는 아님( 예를 들어 승객이 다치는 것보다 불편한 상태) Minor - 고장 상태가 보이지만 Major 상태보다는 덜한 상태 수준(예를 들어 승객에게 불편을 초래하거나 비행 경로를 변경하는 상태) No Effect - 안전, 비행 조정 또는 조종사 과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고장 수준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레벨에 따라 만족시켜야할 요건의 수와 독립성 수준이 정해진다. 표준에 따르면, "독립성"이란 해당 개발 산출물의 개발자와 그 산출물을 검증하는 책임을 가진 사람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RTCA/DO-178B "Software Considerations in Airborne Systems and Equipment Certification", p.82. 레벨 고장영향성 만족요건의 수 독립성 만족요건의 수 A Catastrophic 66 25 B Hazardous 65 14 C Major 58 2 D Minor 28 2 E No effect 0 0 = = 프로세스와 문서들 = = 소프트웨어 레벨(A에서 D까지, E의 경우에는 DO-178B 상 요건이 없음)에 따른 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DO-178B에서 프로세스 자체가 구체적으로 명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추상적인 수준으로 기술되어 있고, 이를 구체적인 실제 프로젝트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각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이를 계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만족시킨다기보다는 DO-178B의 각각의 요건(objectives)을 만족시키기 위한 활동들이 진행된다. 그리고 사실 그러한 활동이 계획 단계에서 계획된다. = = = 기획 프로세스 = = = 이 프로세스의 결과물들은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인증 계획서(Plan for software aspects of certification: PSAC)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서(Software development plan: SDP) 소프트웨어 검증 계획서(Software verification plan: SVP)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계획서(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plan: SCMP)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계획서(Software quality assurance plan: SQAP) 시스템 요구사항(System requirements)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표준서(Software requirements standard: SRS) 소프트웨어 설계 표준서(Software design standard: SDS) 소프트웨어 코딩 표준서(Software code standard: SCS) 위에서 시스템 요구사항은 전체 프로젝트의 시작을 위한 일반적인 입력 요구조건이다. 그리고 마지막 세개의 표준서 결과물은 레벨 D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에는 요구되지 않는다. = = = 개발 프로세스 = = = 이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하위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요구사항 분석 설계 코딩(구현) 통합 개발 프로세스의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데이터 (Software requirements data, SRD)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서 (Software design description, SDD) 소스코드 실행가능한 오브젝트 코드 개발시 일반적으로 시스템 요구사항에서 모든 소스 코드 또는 실행가능한 오브젝트 코드로의 추적성이 요구된다. (요구 수준은 소프트웨어 레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나선형 모델 (spiral model) V 모델 (V model) = = = 통합 프로세스 = = = 검증, 형상관리, 품질보증, 인증지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검증 프로세스 = = = 이 프로세스에서 산출되는 문서는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시험 절차서 (Software verification cases and procedures, SVCP) 소프트웨어 시험 결과서 (Software verification results, SVR) 모든 요구사항, 설계, 코드에 대한 검토 결과 모든 실행 오브젝트에 대한 시험 결과 코드 커버리지 분석 결과 이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모든 코드에 대한 검토 분석 결과와, 시험 및 시험 결과로부터 요구사항으로의 추적성 요건 만족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소프트웨어 레벨에 따라 요건의 수준은 다소 상이할 수 있음.) 이 프로세스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도구들을 적용하게 된다. 요구사항 기반의 소프트웨어 시험 도구 코드 커버리지 분석 도구 또한 이 프로세스 내에서 다음과 같은 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단위 시험 통합 시험 블랙 박스(black box) 및 수락 시험 = = = 형상 관리 프로세스 = = = 형상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 유지되는 문서들은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형상 색인 (Software configuration index, SCI)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환경 형상 색인 (Software life cycle environment configuration index, SECI) 이 프로세스를 통해 결함 보고 및 변경과 관련된 활동을 정의하고 통제한다. 형상 관리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보관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스 코드 개발 환경 기타 개발 환경 (예를 들어 시험 및 분석 도구) 소프트웨어 통합 도구 모든 산출 문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 = = 품질 보증 프로세스 = = = 품질 보증 (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에 의한 산출 문서는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기록 (Software quality assurance records, SQAR) 소프트웨어 적합성 검토 (Software conformity review, SCR) 소프트웨어 개발실적 요약서 (Software accomplishment summary, SAS) 이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DO-178B 적합성에 대한 검토(review)와 감사(audit)를 수행한다. 또한 DO-178B 인증 기관인 FAA 또는 이를 위임한 DER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의 연결 역할을 수행한다. = = = 인증 절차 프로세스 = = = 일반적으로 미 항공국에서 그 권한을 위임받은 DER (Designated Engineering Representative)이 항공기 제조사 내에 고용되어 인증 절차를 진행한다. = = 유럽에서의 항공용 소프트웨어 인증 = = Replace FAA with EASA, JAA or CAA Replace FAR with JAR or CS Replace AC with AMJ = = 도구 인증(Tool Qualification) = =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면 DO-178B가 요구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며 쉽게 적용할 수 있다. DO-178B 기반의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모든 소프트웨어 도구는 인증 프로세스의 부분이다. 따라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개발 도구는 소스 코드와 동일하게 그 개발 도구로서의 인증(qualification)을 보장해야한다. 이는 그러한 개발 도구가 생성한 코드가 최종 항공 시스템에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단 해당 생성 코드에 대해 수동으로 독립적인 검토를 수행할 경우에는 인증 데이터(qualification data)를 제출할 의무는 사라진다. 또한 검증 프로세스에서 소스 코드를 시험/검증하기 위한 도구(시뮬레이터, 시험 실행 환경, 커버리지 분석 도구, 보고서 생성 도구 등)은 대개 소스 코드 자체에 결함을 발생시킬 위험은 낮다. 따라서 검증 도구로서의 적격 검토는 개발 도구의 요건보다는 가벼울 수 있으며, 도구에 대한 동작 요구사항(Tool Operational Requirements) 정의와 그에 대한 시험을 통한 검증을 통해 데이터를 제출한다. = 진목항 (남해군) = 진목항은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진목마을 인근에 있는 어항이다. 2002년 8월 6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남해군수이다. = = 어항 연혁 = = 옛날 마을 북쪽 등허리에 울창한 참나무 숲이 있어 '진목정리(眞木亭里)'라고 했는데 현재 진목(眞木)으로 불리고 있다. = = 어항 시설 = = 선착장 L=146m, B=6.0m, 호안 L=250, B=5.5m = = 주요 어종 = = 감성돔, 도다리, 노래미, 바지락, 전어, 낙지 등 = 8명의 친척들 = 8명의 친척들(Eight Cousins)은 1875년 미국의 소설가 루이자 메이 올컷이 쓴 소설이다. = =주요 등장 인물 = = *로즈 캠벨 *알렉 캠벨 *아치볼드 캠벨 *찰스 캠벨 *매켄지 캠벨 *스티븐 캠벨 *윌리엄 캠벨 *조지 캠벨 *제임스 캠벨 = 주니치 = = = 인명 = = 주니치 사이토: 현직 브라질 공군의 참모총장 미사와 주니치: 일본의 축구 선수 = = 기타 = = 주니치 신문: 일본의 지방 일간 신문 = 비앙카 라이언 = 비앙카 라이언(Bianca Ryan, 1994년 9월 1일 ~ )는 미국의 가수로, 아메리카스 갓 탤런트 첫 번째 시즌에서 우승하였다. = 최보림 = 최보림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 = 극본 = = = = = 드라마 = = = 2008년 MBC 일일 시트콤 《코끼리》 (공동 집필) 2008년 tvN 금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4》 (공동 집필) 2009년 tvN 금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5》 (공동 집필) 2009년 tvN 금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6》 (공동 집필) 2010년 ~ 2011년 tvN 금요 시트콤 tvN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8》 (공동 집필) 2012년 tvN 목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11》 (공동 집필) 2013년 tvN 목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12》 (공동 집필) 2014년 tvN 목요 시트콤 《막돼먹은 영애씨 시즌13》 (공동 집필) 2016년 tvN 월화 드라마 《혼술남녀》 (공동 집필) 2018년 tvN 수목 드라마 《김비서가 왜 그럴까》 (공동 집필) 2019년 tvN 수목 드라마 《진심이 닿다》 (공동 집필) = 오시리스 = 오시리스(Osiris, Asar, Aser, Ausar, Ausir, Wesir, Usir, Usire, Ausare)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오는 풍요, 농업, 내세, 부활, 생명, 초목의 신으로서 저승 세계를 믿는 고대 이집트의 종교에서 죽은 사람을 다시 깨운다고 믿었다. 오시리스를 둘러싼 신화는 특히 아내이자 누이인 이시스 그리고 세트와의 싸움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파라오는 오시리스의 화신으로 받들어졌다. 생산의 신인 오시리스는 이집트의 왕으로서 군림하여 사람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지만, 이것을 시기한 세트에 의해 살해당한다. 이 때 오시리스의 시체는 뿔뿔이 흩어지게 되어 나일강에 뿌려졌지만, 이시스에 의해 수습되어 부활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죽은 상태라 지상으로 나올 수는 없고, 명계의 왕으로서 군림해 죽은 자들을 재판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그리스의 철학자 플루타르코스, 이시스와 오시리스에 대해 그 이후로 오시리스는 부활과 재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의 모티브는 계절에 따른 식물의 죽음과 탄생을 설명하며, 식물신(농경신)으로서의 입장을 나타낸다. 그의 피부가 그림이나 조각상에서와 같이 녹색을 띄우는 것도 그러한 의미가 담겨져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온기를 잃고 차갑게 식어버린 시체의 피부색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의 몸은 죽은 상태라는 것을 보여주듯 아마천에 싸여 있는 미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 발해고분 = 발해고분(渤海古墳)은 남북국 시대 발해의 고분이다. = = 개요 = = 길림성 돈화현 육정산(六頂山), 화룡현 북대지(北大地), 흑룡강성 영안현 삼령둔(三靈屯), 대목단둔(大牧丹屯), 풍수위자(風水威子) 및 대주둔(大朱屯), 임구현의 두도하자(頭道河子), 북참서산(北站西山), 사하자(沙河子) 등지에 발해고분이 밀집되어 있다. 그리고 연해주와 함경남북도에서도 고분군이 발견된다. 이 가운데 돈화현 육정산 고분군은 발해 초기의 왕실 무덤들이 있는 곳이고, 상경(上京) 근처에 위치한 영안현 삼령둔, 대목단둔, 풍수위자 및 대주둔의 고분군은 그 이후 시기의 발해 왕실 무덤들이다. 발해고분은 축조의 재료와 규모로 볼 때 돌방무덤「石室墓」·돌덧널무덤「石槨墓」·돌널무덤「石棺墓」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 밖에도 널무덤「土壙墓」·벽돌무덤「塼築墓」 등도 있다. 돌방무덤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돈화현 육정산 고분에서 발견된 정혜공주(貞惠公主) 무덤과 삼령둔 고분에서 발견된 삼령 고분을 들 수 있다. 특히 1949년에 발견된 정혜공주 무덤은 천장이 말각천정(抹角天井)의 구조인데, 이것은 고구려 후기의 큰 봉토돌방무덤「封土石室墓」의 구조와 같은 것이다. 여기에서 정혜공주묘비가 발견됨으로써 육정산 고분군이 발해 초기의 왕실 무덤들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돌덧널무덤으로는 육정산 고분군의 12호·103호·104호·203호 고분과 대주둔의 작은 고분들, 두도하자 2호분 등이다. 이들 고분들은 모두 무덤안길「甬道」이 없고 관 1개를 겨우 들여놓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한편 화룡현 용두산(龍頭山) 고분군에서 발견된 정효공주(貞孝公主) 무덤은 벽돌무덤으로서 축조 재료나 그 안에 그려진 벽화 양식으로 보아 당(唐)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발견된 벽화는 회화사 연구뿐만 아니라 당시의 생활상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대체로 돌방무덤과 벽돌무덤은 왕족 등을 비롯한 비교적 높은 신분층이 사용한 무덤 양식이고, 돌덧널무덤은 그보다 하위의 신분층이나 관리들이 쓰던 것들이다. 일반인들은 주로 돌널무덤이나 널무덤을 썼다. 매장 방식으로는 단인장(單人葬), 부부합장(夫婦合葬), 여러 사람을 한꺼번에 묻는 다인장(多人葬), 화장(火葬), 이차장(二次葬) 등이 있다. 발해고분에서 발견된 유물 중에는 도기류가 주류를 이루며, 하남둔(河南屯) 성터 안에서 발견된 하남둔 고분군에서는 순금으로 만든 각종 장식품들이 쏟아져 나온 바 있다. = 야마토 = 야마토는 일본을 가리키는 아어(雅語)다. 한자로 대화(大和), 왜(倭), 일본(日本)이라고 쓰고 "야마토"라고 읽는다. 야마토라고 불린 땅(오늘날의 나라현)에 야마토 왕권이 있었던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처음에는 한자로 왜(倭)라고 썼으나, 원명천황 치세 때 국명을 두 글자로 하기로 했으며,新村出編 『広辞苑』1983年 岩波書店 왜와 동음(일본 발음 "와")인 화(和)에 크다는 의미의 대(大)를 붙여 "대화"로 표기하고 "야마토"로 훈하도록 결정하였다.国語辞書-大辞泉「やまと【大和/倭】」国語辞書-大辞泉「おお‐やまと〔おほ‐〕【大倭/大日本】」 원래 야마토 왕권의 본거지였던 나라분지의 동남쪽 지역만이 "야마토"라 불린 지역이었고, 이후 야마토 왕권이 나라분지 전체와 카와치 방면까지 지배하게 되자 그 지역(후의 근기・기내) 또한 야마토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야마토 왕권의 본거지가 소재한 나라분지 주변에 설치된 율령국을 야마토국으로 삼았다. 나아가 야마토 왕권의 지배・제압이 일본열도의 대부분(동북지방 남부에서 규슈 남부까지)에 미치자 이 지역들을 통틀어 야마토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리하여 일본열도의 다른 이름이 야마토가 된 것이다. = = 어원 = = "야마토"라는 말의 어원에는 제설이 있다. 산기슭이라는 설 (왜(倭) 참조) 산()에 둘러싸인 지역이기 때문이라는 설 "야마토"는 원래 산문(山門)이며 산에 신이 머문다는 자연신앙의 거점이었던 지명이 국명으로 바뀌었다는 설賀茂真淵、本居宣長等が主張 "야마토"가 원래 산적(山跡)이라는 설『釈日本紀』、『神皇正統記』より 미와산 동쪽 기슭, 즉 산동()을 중심으로 야마토 왕권이 발전했기 때문이라는 설 야마타이국의 이름이 변형된 것이라는 설. "야마토"는 원래 "평화로운 곳"을 의미하는 "야와토"(やはと, やわと)이며, "시키시마노 야와토"가 와전되어 "야마토"가 되었고, 이후 "시키시마"는 "야마토"의 침사(枕詞)가 되었다는 설『日本国号論』(著:井乃香樹)より。古事記には神武天皇の東征を「言向(ことむ)け平和(やわ)して」と説明していることから。 아이누어에서 "야"는 접두어, "마토"는 찬칭(讃称)으로, 고귀함을 의미하는 "무치(ムチ)"나 상서로움을 의미하는 "마츠(ミツ)" 등과 어원이 같다는 설. 히브리어로 "야 우마토" = "신의 백성"이라는 설 (일유동조론)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역도 선수 = = 클리난투스족 = 클리난투스족(clinanthus族, 학명: )는 수선화아과의 족이다.Meerow, Alan William. Systematic Botany 25: 722. 2000. = = 하위 분류 = = 클리난투스속(Clinanthus Herb.) Pamianthe Stapf Paramongaia Velarde = 고쿠라 D.C. 타워 = 고쿠라 D.C. 타워(/小倉D.C.TOWER)는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에 위치하고 있는 초고층 아파트이다. 2011년 3월 5일 준공된 뒤로부터 후쿠오카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으나, 2016년 3월 25일 아이타워가 준공되기 전까지 후쿠오카현 내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로 기록되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총 가구수는 195호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이 건물에서는 1층은 주로 점포를 이용하고 있으며 2층에서 4층 사이에는 주차장을, 5층부터 41층까지는 분양 아파트를 이루고 있다. 또한 옥상에는 헬리포트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및 테러 등 대형 재난 사고가 벌어질 때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는 시설도 물론 갖추어져 있다. = = 주변 시설 = = 리버워크 기타큐슈 * 옛 청사 = = 시공사 = = 이 건물의 설계는 오바야시구미와 가 전담하였고, 시공사 역시 오바야시구미가 전담되었다. = 존 데이비드 워싱턴 = 존 데이비드 워싱턴(John David Washington, 1984년 7월 28일 ~ )은 미국의 배우, 전직 미식 축구 선수이다. 배우 덴절 워싱턴의 아들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말콤 X (1992) 블루 데블 (1995) 일라이 (2010) 블랙클랜스맨 (2018) 미스터 스마일 (2018) 테넷 (2020) - 주도자 역 맬컴과 마리 (2021) - 맬컴 역 베킷 (2021) - 베킷 역 암스테르담 (2022) 크리에이터 (2023) - 조슈아 역 = = = 텔레비전 = = = 볼러스 (2015-19) = 넬슨 만델라 = 넬슨 롤리랄라 만델라(, 1918년 7월 18일 ~ 2013년 12월 5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평등 선거 실시 후 뽑힌 세계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었다. 대통령으로 당선되기 전에 그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지도자로서 반아파르트헤이트운동 즉, 남아공 옛 백인 정권의 인종차별에 맞선 투쟁을 지도했다. = = 개요 = = 1962년 8월 5일 반역죄로 체포되었고 1964년에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27년 만인 1990년 2월 11일에 출소했다. 1993년 데 클레르크 대통령과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4년 실시된 평등 선거에서 ANC는 62%를 득표하여 ANC의 지도자인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고 진실과 화해위원회(TRC)를 결성하여 용서와 화해를 강조하는 과거사 청산을 실시했다. TRC는 성공회 주교인 데스몬드 투투 주교가 참여하였으며, 수많은 과거사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인종차별 시절 흑인들의 인종차별 반대투쟁을 화형, 총살등의 잔악한 방법으로 탄압한 국가폭력 가해자가 진심으로 죄를 고백하고 뉘우친다면 사면하였으며, 나중에는 경제적인 보상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피해자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피해자 무덤에 비석을 세워줌으로써,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국가폭력 피해자들이 잊히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저서로 뉴욕 타임스가 뽑은 20세기 최고의 책에 선정된자유를 향한 긴 여정이 있었다. 2013년 12월 5일 향년 95세를 일기로 타계했다.만델라 남아공 전 대통령 타계…‘시대 빛’ 지다 - KBS NEWS 2003-12-08 = = 생애 = = = = = 유년기 : 1918-1936 = = = 1918년 7월 18일 그는 남아공화국 케이브 지방의 일부였던 움타타에 위치한 작은 마을, 음베조에서 태어났다.; ; . ‘롤리흘라흘라(Rolihlahla)’는 이름이 주어진 것은 코사족 구어체로 ‘말썽꾸러기’라는 의미이며, 이후에는 그의 씨족명인 ‘마디바’가존경받는어른이 된다.; . 1832년에 사망한 그의 증조부 응구벵쿠카가 오늘날의 이스턴케이프주에 있는 트란스케이 지역; .에서 '인코시 엔크훌루' 혹은 군주로서 템부 족을 다스렸던 추장이었다. 만델라라는 이름은 그의 증조부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고, 이후 그의 성씨의 출처가 되었다.; .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주 트란스케이를 통치한 템부 부족의 분파에 속한다. 만델라가 익시바 씨족(소위, 왼손잡이 집이라고 불리는)의 왕의 하나 밖에 없는 부인에게서 태어난 독자였기 때문에 왕가의 분가된 후손들은 왕위를 물려받는데 있어서 귀천 상혼이었으며, 부적격자였지만 세습이 가능한 왕손으로 인정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임자가 백인 판사로부터 부패 혐의로 기소되자, 지역의 족장이자, 왕손이었던 그의 부친 가들라 헨리 음파카니스와가 1915년 군주의 자리에 지명을 받았다.. 1926년 가들라도 부패혐의로 퇴출당하였지만, 넬슨은 판사의 비합리적인 요구를 거부할 수 있는 그의 직위를 잃어버렸다는 말을 들었다. = = = 반 아파르트 헤이트의 투사 = = = 비트바테르스란트(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재학 중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등 수많은 사상을 접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그의 정치적 식견을 공고히하게 하였다. 그리고 그는 재학 중 1944년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에 들어가 그 청년동맹을 설립하고, 청년동맹 집행 위원을 취임하여 반 아파르트 헤이트 운동을 벌인다. 이후 1950년, ANC 청년동맹 의장으로 취임한다. 1953년 8월에 요하네스버그에서 올리버 탐보와 함께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한다. 그 해의 12월에 ANC 부의장 취임하여, 1961년 11월, 움콘트 웨 시즈웨(민족의 창)라고 하는 군사 조직을 만들어 최초의 사령관이 된다. 그러한 활동으로 1962년 8월에 체포된다. 1964년에 국가 반역죄 종신형을 선고받아, 로벤섬에 수감되게 된다. 1982년, 케이프타운 교외의 포르스모아 형무소로 이감되었다. = = = 민족 화해의 상징 = = = 1989년 1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와 회담을 통해, 1990년 2월 11일 석방된다. 석방 후 ANC 부의장으로 취임한다. 데 클라크와 예비 회담 시에는 ANC 대표로 참석했다. 1991년, ANC 의장에 취임하였고, 데 클레르크와 협력하여 모든 인종 대표가 참석한 민주 남아공화국 회의를 두 번 개최하였고, 또한 다당 협상 포럼을 열어, 임시 정부 잠정 헌법을 만들었다. 이 10월 5일, 베이징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993년 12월 10일에 데 클레르크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1994년 모든 인종이 참가한 총선이 실시되었다. ANC가 승리하고, 넬슨은 대통령에 취임했다. 잠정 헌법의 권력 분배 조건에 따라 연립 정권을 세워 국민 통합 정부를 수립했다. 넬슨은 민족 화해 협력을 호소하면서, 화해와 관용이라는 톨레랑스 정신을 기초로 인종차별 체제 하에서 흑백의 대립과 격차의 시정하려고 노력을 했고, 흑인 간 충돌의 해소, 경제 불황을 회복하는 부흥개발 계획 (RDP)을 공개했다. 1997년 12월 ANC 전당 대회에서 넬슨은 의장의 자리를 부통령 터보 음베키에게 양보한다. 1999년 2월 5일 국회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 같은 해 열린 총선을 계기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 = = 은퇴 후 = = = 2000년 1월 19일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처음으로 연설을 실시했다. 2001년 7월 전립선암이 발견되었고, 7주간의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2005년 1월 7일에 전처 위니와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는 것을 공개했다. 유네스코 친선 대사로 일을 했다. 2010년 6월 11일에 열린 FIFA 월드컵 남아공 대회의 개회식에 참석하려 했지만, 전날 증손자가 교통 사고로 사망하여 참석을 포기하는 대신 영상 메시지를 보냈으며, 폐회식에는 참석을 했다. 이때 이후 공개적으로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90세를 넘어 고령 몸에 쇠약해지기 시작했으며, 2012년 12월 8일에는 폐 감염으로 인해 수도 프리토리아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2013년 4월 6일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을 했다. 그러나 2013년 6월부터 상태가 악화되었고, 감염이 재발되어 6월 8일 다시 입원하게 되었다. 2013년 6월 23일 남아프리카 대통령궁은 넬슨이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고 발표했다. 그후 넬슨의 용태는 안정되었고, 7월 18일 병실에서 95번째 생일을 맞았다. 딸 인사는 7월 16일에, "헤드폰을 착용하고, 텔레비전을 보고 있어 웃음을 보였다"라는 모습을 전했다. 넬슨의 생일에 맞춰 2013년 7월 18일에 유엔은 본부에서 "넬슨 만델라의 날" 행사를 열고 넬슨의 공적을 기리는 것과 함께 회복을 기원했다. 2013년 12월 5일 95세로 자택에서 가족들의 품에서 서거하였다. 그의 서거는 제이컵 주마 대통령에 의해서 발표되었다. 2013년 12월 6일 이희호 여사(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부인)는 김대중평화센터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은 전 인류에 자유와 인권,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영면했다”면서 “증오를 넘어 사랑의 위대한 힘을 보여줬다”라고 애도를 표했다.[서울신문 2013년 12월 5일 ] = = 연보 = = 1918년 7월 18일 - 트란스케이 움타타에서 템부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남. 1934년 1월 - 클라크뷔리 중등학교에 입학해 백인중심의 교육을 받음. 1940년 - 포트 헤어 대학에서 네덜란드 법학을 전공하던 중 학생운동을 하다가 퇴학당함. 1941년 - 정략결혼을 피해 요하네스버그로 감. 다양한 일을 전전하다가 법률사무소에 근무하며 독학으로 법률 공부 증진함. 1943년 -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 입학. 1944년 1월 25일 - 다니얼 밀란에 의해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용어가 남아프리카 국회에서 최초로 표명. 1948년 - 스머츠 장군이 이끄는 연합당과 다니엘 밀란이 당수인 국민당이 선거에서 경합을 벌여 국민당이 승리했다. 이후 백인종의 안전과 기독교 문명을 보장하겠다는 명분하에 아파르트헤이트원칙이 본격적인 인종차별정책으로 이어짐. 1953년 - 만델라는 정식 변호사가 되어 비백인(非白人)으로는 처음으로 요하네스버그에 법률상담소를 열고,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반대하는 등 본격적인 흑인인권운동에 참여하게 됨. 1956년 12월 5일 - 시민 불복종 캠페인, '자유헌장'작성등 관련해 반역죄로 체포당함. 요하네스버그의 마셜 스퀘어 감옥에 수감됨. 이 무렵 첫 번째 아내 에블린 메이즈와 이혼했다. 1957년 -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동등 직업에서 흑인이 백인 대신 복무할 수 없고, 계서상 백인보다 우위에 있는 자리를 맡을 수 없다는 두가지 원칙을 제안하다. 뒷날,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1959년 4월 - 로버트 소부퀘를 당수로 범아프리카 회의가 출범. 1960년 3월 - 범아프리카 회의가 주도한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경찰이 발포해 67명이 사망, 400명이 부상당하는등 유혈사태 발생. 이를 계기로 만델라는 평화시위운동을 중단하고 무장투쟁 노선에 착수한다. 1960년 3월 30일 - 3월 30일에 긴급사태 선포 직전 두 번째로 체포되어 수감된다. 한편, 이무렵 만델라와 두 번째 부인 위니 사이에 둘째 딸 찐지스와가 태어났다. 1961년 3월 29일 - 반역죄 재판 종결되다. 검찰이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이적성과 폭력성을 증빙하지 못했다는 판결이 내려짐. 1961년 6월 - 만델라는 무장투쟁으로 선회를 제안하고 그안이 루툴리 대장에 의해 승인되다. 1962년 2월 -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신생 독립국을 대상으로 '국민의 창'에 적극 동참해달라는 대의를 천명하다. 1962년 8월 - 요하네스버그의 은신처로 돌아가던 중, 거주지 명령 위반 및 사보타주 혐의로 체포되다. 1962년 10월 15일 - 시나고그에서 열린 재판에 코사족 전통의상인 카로스를 착용하고 참석해 아프리카 정신을 고취하려 했다. 그러나, 판결 결과 반란선동에 대해 3년형, 허가 없는 거주지 이탈에 대해 2년의 강제노역을 선고받고 프리토리아 형무소에 수감. 1963년 5월 - 에스퀴티니섬의 로벤 아일랜드 감옥으로 이감되다. 1964년 6월 11일 - 만델라를 포함한 아프리카인 6명, 인도인 1명, 백인 1명이 종신형 선고받음. 1965년 - 로벤 아일랜드 감옥으로 귀환하다. 이후 27년간 이곳에서 복역하기에 이른다. 1968년 - 로벤 아일랜드 감옥에서 만델라는 50세 생일을 맞았다. 1969년 5월 12일 - 만델라의 올랜도 자택에서 부인 위니 만델라가 체포, 수감되다. 이무렵 장남인 템비가 트란스케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 1976년 - 교도소를 총 관할하는 지미 크루거가 만델라를 방문해 반투스탄 정책에 대해 회유하나 만델라는 이를 거절했다. 1985년 1월 31일 - 의회에서 피터르 빌렘 보타는 폭력을 정치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다는 조건하에 만델라를 석방하자고 제안. 1988년 7월 - 넬슨 만델라는 감옥에서 70세 생일을 맞이했다. 끝없는 협상으로 인한 과로로 폐결핵 초기라는 진단이 내려지고 수술을 받는다. 12월 9일에는 빅토르 페르스테르 감옥 내부의 별장으로 이송되어 특별대우를 받는다. 1990년 인도 명예 바라트 라트나(honorary BR) 수훈. 1990년 2월 2일 - 의회의 개회식에서 데 클레르크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범아프리자주의자 회의, 남아프리카 공산당을 위시해 31개의 불법 조직에 대해 내려진 금지령을 철회하고, 사상범의 석방과 사형 중지를 선포한다. 2월 11일에 넬슨 만델라는 27년간의 수감 생활을 마치고 출감한다. 그 뒤 만델라는 아프리카, 인도, 유럽등을 순방한다. 1990년 6월 26일 - 미 의회 연설에서 넬슨 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입장을 천명하다. 1991년 7월 - 더번에서 30년만에 최초로 아프리카 국민회의 전국회의가 개최. 만델라는 만장일치로 의장에 선출된다. 이후 만델라는 실용주의 노선으로 선회하여 데 클레르크의 백인정부와 협상을 벌여 350여 년에 걸친 인종분규를 종식시킨다. 토지법, 집단 지역법, 인종 등록법이 폐지되고 아파르트헤이트가 폐지된다. 1991년 12월 20일 - 민주 남아프리카를 위한 공회(CODESA)가 개최되어 정부와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포럼이 시작되다. 1993년 6월 3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로 1인 1표제에 입각한 민주적인 선거가 1994년 4월 27일에 실시될 것이 결정되다. 만델라는 아파르트헤이트 폐지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1994년 4월 27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참여 자유 총선거가 실시. 65%의 압도적인 지지를 획득한 만델라는 5월 10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이는 46년간 걸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질적으로 마감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1995년 영국 명예 메리트 훈장(honorary OM) 수훈.'자유를 향한 머나먼 여정' 출간. 1996년 3월 - 3년간의 별거 끝에 위니 만델라와 이혼 수속을 시작, 동시에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한 헌법 제정을 주도함. 1997년 -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의 의장으로서,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스와질란드와 잠비아에 대한 제재를 제안하다. 동시에 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의장에서 퇴임한다. 1998년 - 그사라 마셀 여사와 결혼식을 올린다. 1999년 2월 5일 - 국회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 같은 해 열린 총선을 계기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2002년 6월 8일 -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등 인권운동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프랭클린 루즈벨트 4개 자유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5월 11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화 10주년을 기념, 의회에서 연설함. 2005년 -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 출생한 외아들이자 장남인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로 사망. 2008년 7월 18일 - 90세 생일을 맞이한다. 은퇴한 세계 지도자들의 모임인 세계원로회의 출범을 선포하다. 여기서 지미 카터, 코피 아난, 메리 로빈슨 등등 전직 지도자들이 총 망라돼 있다. 2013년 12월 5일 - 자택에서 95세를 일기로 타계.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4년 선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 8대 아프리카 민족회의 94.25% 377표 1위 = 분류:콜럼버스 (오하이오주)의 대학교 = = 분류:1993년 스피드스케이팅 = = 분류:251년 사망 = = 러건 = 러건은 북아일랜드 아마주의 도시로 인구는 25,069명(2001년 기준)이다. 벨파스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29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도시 이름은 "기어오르는 언덕"을 뜻하는 아일랜드어 표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기타히쓰사촌 = 기타히쓰사촌(北比都佐村)은 시가현 가모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틀: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로스터 = 마이크 슈셉스키 짐 베이하임 톰 티보듀 몬티 윌리엄스 *클럽 – 대회 출전 당시 소속팀 기준 *나이 – 2016년 8월 6일 기준 = 틀:패럴림픽 정보 우루과이 = = 분류:미국의 항공기 제작사 = 미국 항공기 제작사 항공기 제작사 항공기 제작사 = 201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01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2019 Recopa Sudamericana)는 2019년 5월 22일과 5월 30일에 열린 26번째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대회이다. 201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팀인 리버 플레이트와 2018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팀인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가 맞붙었다. 1차전 경기는 브라질 쿠리치바에 위치한 아레나 다 바이샤다에서, 2차전 경기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엘 모누멘탈에서 열렸다. 리버 플레이트가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를 합계 3-1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경기 = = = = = 1차전 = = = GK 1 산투스 RB 2 조나탕 CB 13 파울루 안드레 CB 4 레우 페레이라 LB 12 헤낭 로지 CM 5 웰링통 CM 16 브루누 기마랑이스 RW 11 니캉 AM 3 루초 곤살레스 (c) LW 7 호니 CF 9 마르코 루벤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25 카이우 DF 6 마르시우 아제베두 DF 21 루카스 아우테르 DF 23 마드송 MF 15 이리크 MF 18 레우 시타지니 MF 20 마테우스 호세투 MF 22 토니 안데르송 FW 8 브루누 나자리우 FW 10 마르셀루 시리누 FW 17 브라이안 로메로 FW 19 비치뉴 감독: 감독: 감독: 치아구 누니스 치아구 누니스 치아구 누니스 = = = 2차전 = = = GK 1 프랑코 아르마니 RB 13 곤살로 몬티엘 CB 21 루카스 마르티네스 콰르타 CB 22 하비에르 피놀라 LB 4 파브리시오 앙힐레리 DM 23 레오나르도 폰시오 (c) CM 24 엔소 페레스 CM 15 엑세키엘 팔라시오스 AM 10 이그나시오 페르난데스 CF 19 라파엘 산토스 보레 CF 9 루카스 프라토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14 헤르만 룩스 DF 2 로베르트 로하스 DF 3 나우엘 가야르도 DF 6 루시아노 로요 MF 5 브루노 수쿨리니 MF 8 호르헤 카라스칼 MF 11 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 MF 18 카밀로 마야다 FW 7 마티아스 수아레스 감독: 감독: 감독: 마르셀로 가야르도 마르셀로 가야르도 마르셀로 가야르도 2019 = 분류:요시다 다이하치 감독 영화 = = 분류:부산광역시의 소방서 = = 분류:조슈번 가신단 가문 = = 나카쓰촌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 나카쓰촌은 나가노현 기타사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사쿠시에 해당한다. = 분류:조직학 = =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 =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南原 眞基里 느티나무)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신기마을에 있는 느티나무이다. 1982년 11월 9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600년 고목의 느티나무로 높이 23m, 가슴높이의 둘레가 8.25m로, 뿌리 근처의 둘레와 가지의 길이가 각각 13.5m, 25.8m에 이른다. 조선 세조(1455~1468년) 당시 단양 우씨가 처음 이 마을에 들어올 때 심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기마을 주민들은 매년 정월에 주민화합과 마을 안녕을 기원하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 = 개요 = = 느티나무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 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 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진기마을의 정자나무 구실을 하고 있는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는 나이가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며, 크기는 높이 23m, 가슴 높이의 둘레가 8.25m이다. 단양 우씨가 처음 이 마을에 들어올 때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힘이 장사인 우공(禹貢)이라는 무관(武官)이 뒷산에서 나무를 뽑아다가 마을 앞에 심고 마을을 떠나면서 나무를 잘 보호하라고 했다고 한다. 그는 세조 때 함경도에서 일어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워 적개공신 3등의 녹훈을 받았으며 그 후 경상좌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고 한다. 후손들은 사당을 짓고 한식날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가까운 곳에 우씨 집안의 열녀문(烈女門)이 있다.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는 단양 우씨가 마을을 이룬 유래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문화적 가치가 있고, 오래된 나무라 생물학적 보존가치도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 = 참고 자료 = = * 진기리 느티나무 * = 흰수염바다오리 = 흰수염바다오리(, rhinoceros auklet)는 바다오리와 친족인 바닷새이다. Cerorhinca속의 유일한 현존종이다. 바닷새와 가까운 관계에 속해 있어서 이 종에 rhinoceros puffin라는 이름이 제안되었다.AOU. (2008) AOU Committee on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North & Middle America) Proposals 2008-A Accessed 28 May 2008. 북태평양에 걸쳐 볼 수 있으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군집생활을 하면서 둥지를 튼다. = = 분포 = = 캘리포니아주(채널 제도)에서 북아메리카 알래스카주 알류샨 열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번식한다. 일본의 홋카이도, 혼슈, 그리고 한반도와 사할린섬에서도 볼 수 있다. = = 먹이 = = 바다에서 흰수염바다오리는 물고기를 먹이로 삼으며 일부 크릴과 오징어도 먹는다. 먹이를 잡기 위해 149초에 걸쳐 57미터를 잠수한다. = 아라과이아강돌고래 = 아라과이아강돌고래 또는 아라과이아강보토 (Inia araguaiaensis)는 고래목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강돌고래의 일종이다. 2014년 아마존강돌고래(아마존강보토)로부터 별도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브라질의 아라과이아강-토칸칭스강 분지의 토착종이다. = 도라에몽 노비타의 우주소전쟁 = 도라에몽 노비타의 우주소전쟁(리틀 스타워즈)은 〈월간 코로코로 코믹〉 1984년 8월호부터 1985년 1월호까지 연재된 대장편 도라에몽 시리즈의 작품이자 그것을 원작으로 한, 1985년 3월 16일에 개봉한 도라에몽의 영화 작품이다. 대장편, 영화 모두 제6작이다. 동시 상영작은 닌자 핫토리군+파만 닌자 괴수 짓포우 VS 미라클 타마고이다. = = 개요 = = 걸리버 여행기의 리리팟트 국가 모험담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의 영화인 스타워즈에 대한 오마주 요소, 이외에도 고전 SF 작품인 수축하는 남자도 발상의 힌트가 되었다(수축하는 남자에서 작아진 주인공이 장난감 집에서 생활하는 장면이 본작에 영향을 미쳤다.후지코 F. 후지오 원더랜드 난, 도라에몽 제3호, 쇼가쿠칸, 2004년, 15쪽.). 또한 저자는 이전에 전술한 소설, 영화의 오마주인 단편 작품 〈천장에서의 우주 전쟁〉(텐토우무시코믹스 19권 수록)을 발표하였다. = = 목소리 출연 = = 도라에몽 - 오오야마 노부요 노비타 - 오하라 노리코 시즈카 - 노무라 미치코 자이언 - 다테카베 가즈야 스네오 - 기모쓰기 가네타 노비타의 엄마 - 지지마쓰 사치코 데키스기 - 시라카와 스미코 시즈카의 엄마 - 마쓰바라 마사코 = 주우 (문통) = 주우(周䊸, ? ~ 97년)는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문통(文通)이며 하비국 서현(徐縣) 사람이다. = = 생애 = = 사람됨이 각박하고 한비의 학문을 좋아하여 정위의 사(史)가 되었다. 영평 연간에 남행당장(南行唐長)을 보임하였는데, 어느 날 새벽에 관리에게 예고하고는 죄인 수십 명을 주살하여, 사람들이 몸서리쳤다. 이후 박평령(博平令)이 되었다. 임지에서 간악한 이들을 찾아내 심리하였고, 잡힌 이들 중 감옥을 나온 이가 없었다. 위엄으로 명성을 떨쳐 제상으로 승진하였고, 역시 임지를 엄하고 가혹하게 다스리고 판결문을 잘 꾸며 형법을 오로지하였다. 결국 무고한 이를 죽이고 말아 다시 박평령으로 좌천되었다. 건초 연간, 발해태수가 되었다. 칙령을 받아 군에 부임할 때마다 두문불출하였고, 먼저 사람을 보내 속현의 형사사건을 처리한 다음 조서를 받들었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정위의 심리를 받고 파면되었다. 주우는 사람됨이 검소하여 재산이 없었다. 장제는 주우를 가련히 여겨 다시 낭(郞)으로 임용하였고, 소릉후상(召陵侯相)으로 전출시켰다. 소릉후국의 정연(廷掾)은 주우의 위엄을 두려워하여, 그를 꺾어누르기 위해 밤중에 시체의 손발을 잘라다가 관청 문에 내걸었다. 이보다 앞서 소식을 들은 주우는 먼저 시체가 있는 곳을 찾아, 일단 그 시체와 생전에 글을 주고받은 적이 있었던 것처럼 일을 꾸몄다. 그리고 시체의 입과 눈에 볏짚이 붙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몰래 문지기를 통해 정연이 짚단을 이고 성에 들어왔었음을 알아냈다. 이후 정연을 고문하여 일체를 자백받으니, 사람들은 주우를 감히 거스르지 못하였다. 이후 낙양령(洛陽令)이 되었다. 임지에 도착한 주우는 낙양의 호족을 파악하고는 그들을 꺾어누르며 통치하였기 때문에, 귀족과 외척들은 어쩔 줄을 몰라했다. 두태후의 동생 두독은 밤중에 궁에서 돌아와 간정(姦亭)에 이르렀는데, 정장(亭長) 곽연(霍延)이 가로막아 두독의 창고지기가 곽연과 실랑이를 벌였다. 이때 곽연은 칼을 뽑고 욕설을 내뱉었고, 두독은 이를 조정에 일러바쳤다. 장제는 조서를 내려 사례교위·하남윤으로 하여금 사건을 심리하게 하였고, 주우는 책임을 물어 정위의 옥에 갇혔다가 며칠 후 풀려났다. 장제는 주우가 법을 받들어 간악한 이들을 미워하고 귀족들에게 굴복하지 않은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를 불쌍히 여겼으나, 담당 관리가 여러 차례 상주하였기 때문에 결국 파면하였다. 이후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었다. 화제가 즉위하고, 태부 등표가 주우는 잔혹하여 서울의 일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상주하였기 때문에 파면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후 두씨가 득세하여 두독 형제가 권력을 잡으니 굴복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나, 주우는 아랑곳하지 않고 화를 입을 각오를 하였다. 두독 등은 주우와 원한이 있었지만 감히 그를 해치지 못하였다. 영원 5년(93년), 다시 부름을 받아 어사중승이 되었다. 두씨들은 이미 주살되었으나 하양후(夏陽侯) 두괴는 아직 조정에 있었기 때문에, 이를 불쾌히 여긴 주우는 글을 올려 두괴를 봉국으로 쫓아냈고, 자신은 사례교위로 영전되었다. 나중에 기도위로 좌천되었다가 장작대장으로 승진하였고, 재임 중 죽었다. = = 출전 = = 범엽, 《후한서》 권77 혹리열전 = 분류:부산 동구의 건축물 = = 분류:세르비아의 스포츠 = = 보주 = 보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보주(寶珠)는 보배로운 구슬을 뜻한다. 글로부스 크루키게르(globus cruciger)의 번역어중 하나이다. 여의주(如意珠)의 다른 말이다. 보주(Vaud 州)는 스위스의 주이다. 보주주(Vosges 州)는 프랑스의 주이다. 보주산맥은 보주주 일대 등에 걸쳐있는 산맥이다. 보주태후(普州太后)는 허황혹의 시호이다. *보주(保州)는 의주군의 옛 이름이다. 서희의 담판에 의해 외교적으로 고려의 땅으로 여겨졌지만 1014년 거란이 압록강을 건너와 쌓아 실효적으로는 거란의 땅이 되었다. 고려에서는 계속 반환을 요구했으며, 여진족이 금나라를 세운 후 1117년에 고려가 탈환해 의주로 바꾸었다. 보주(Bozoo) = 문영철 = 문영철(, , 1915년 7월 25일~1952년 9월 3일)은 상하이(上海)와 광저우(廣州)에서 조선인 권투 선수 등으로 활약을 한, 일제 시대의 항일 독립운동가 출신의, 대한민국의 제1공화국 시절의 반공 청년 운동가 겸 우익 활동 관련 사회 운동가였었다. 1950년 한국 전쟁에 민간 종군원으로 참전 당시 188cm이자 81kg의 거체였던 이로 알려져 있으며, 어린 시절 농가의 농한기를 맞이한 을 전후한 시절에 홀홀(忽忽)한 혈혈단신(孑孑單身)으로 만주에 홀로 건너가, 1924년부터 자신의 이름도 문운경에서 문영철로 개명까지 하였을뿐더러, 1927년에서부터 이듬해 1928년까지 일제강점기 시대의 만주의 지린(吉林)의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출신의 백야 김좌진 장군(白冶 金佐鎭 將軍)의 특사 등으로 활약한 그는, 1928년 상하이로 건너가 권투 선수로 활약을 한 후, 1941년 경성부로 귀국하여 1945년 광복(을유 해방)이 도래한 후에는 미군정 시대부터 의송 김두한(義松 金斗漢)의 친구이자 참모장으로도 알려져 있다. 1945년 을유 해방 후 문영철은, 우남 이승만 대통령(雩南 李承晩 大統領)의 귀국시 미군정 조선 시대의 경기도 김포군에서부터 서울 이화장까지 미군과 함께 많은 부하들을 비롯한, 조선의 팔도 강산의 약2만여명과 더불어 차라리 무급 경호대장으로까지 활동하였다. 지난 1928년에 상하이로 건너갔었던 문영철은 1941년까지 일제강점기 시대의 조선인 청년 시절 상하이 및 광저우 등지에서 권투 선수로 이름을 알렸다. 그 이후 권투를 접고, 경성부로 귀거의 길을 떠나면서 만주국의 퉁화를 거쳐 함북의 무산과 함남의 혜산과 평남의 평양을 경유하여 1941년 경성부로 귀거한 당시 스물여섯 남짓의 문영철은, 1945년 을유 해방 이후 김두한과 같이 우익 활동 등을 했으며, 1946년에 불교를 이탈함과 동시에, 아내를 따라 기독교로 귀의하였다.1950년 6월 25일 문영철 선생은 한국 전쟁 (6,25) 때 참전하였으나 결국 참전하여 전투하던 중, 중공 인민 해방군의 사주를 받은 북한 공산당 인민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 후 김두한, 김무옥, 김관철 등 이들과 함께 민간 종군원으로, 학도병을 이끌고 1950년 9월 8일 영천 전투를 거쳐, 2년 후 1952년 9월 3일 경기도의 연천군의 불모고지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결국 불모고지에서는 중공 인민 해방군의 사주를 받은 북한의 북괴 공산당 인민군이 쏜 총포에 맞아 향년 38세로 사망(전사)하였다. = = 문영철이 등장한 작품 = = 장세진 - 2002년 《야인시대》 SBS 드라마 = 미드시 익스프레스 = 미드시 익스프레스은 필리핀의 지역 항공사로 총 9개 노선을 취항하고 있다. 본사는 필리핀 세부에 위치해 있으며 2008년에 설립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허브 공항으로 딱빌라난 공항, 막탄 세부 국제공항이 있다. = = 보유 기종 = = 2012년 3월 기준으로 미드시 익스프레스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미드시 익스프레스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이코노미) 노선 비고 BN-2A 1 0 8 국내선 파이퍼 PA-31 나바죠 1 0 10 국내선 제트스트림 32 1 0 19 국내선 벨 206L-1 1 0 5 국내선 합계 4 = 분류:260년 중국 = = 분류:2016년 슬로바키아 = = 분류:21세기 정치 = = 광팔 = = = 가공 인물 = = 지운수대통의 등장 인물 홀리데이 (2005년 영화)의 등장 인물 스톤 (2013년 영화)의 등장 인물 = 분류:잠비아의 기업 = = V12 엔진 = V12 엔진은 6개 실린더의 두 뱅크가 공통 크랭크 샤프트 주위에 V 구성으로 배열 된 12기통 피스톤 엔진이다. 최초의 V12 엔진은 경주용 보트에 사용하기 위해 1904년에 제작되었다. 엔진의 균형 잡힌 특성과 원활한 동력 전달로 인해 V12 엔진은 초기 고급 자동차, 보트, 항공기 및 탱크에서 발견되었다. 항공기 V12 엔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정점에 도달했으며 그 후 대부분 제트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포뮬러 원 레이싱에서 V12 엔진은 196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에 일반적이었다. = = 디자인 = = = = = 균형과 부드러움 = = = V12 엔진의 각 뱅크는 본질적으로 1차 및 2차 엔진 균형을 완벽하게 유지하는 6기통 직렬 엔진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올바른 V-앵글을 사용함으로써 V12 엔진은 완벽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4행정 V12 엔진의 균등 발사 순서는 60도 간격이므로 V12 엔진은 60도의 V각이 사용되는 경우에만 완벽하게 균형을 맞출 수 있다. = 틀:정신과 둘러보기 = = 분류:영암군의 스포츠 행정 기구 = *행정 기구 스포츠 행정 기구 영암군 영암군 = 리처드 키스 (1950년) = 리처드 키스(Richard Keith, 1950년 12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음악가이다. 라페이엣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C 미 댄스 (2009년) 폭소 대소동 (1977년) 왈가닥 루시 (1951년) = 분류:베냉의 남자 스포츠 선수 = = 분류:1696년 개교 = 개교 +개교 en:Category: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in 1696 = 틀:세계의 통화 = = 분류:서울특별시의 국보 = = 분류:미국 공군의 특수부대 = = 분류:교도소별 수감자 = = 삼각형의 외접원과 두 변에 접하는 원 = 아래는 삼각형의 외접원과 두 변에 접하는 원(Mixtilinear Incircle)에 대한 설명이다. = = 개요 = = 삼각형의 외접원과 두 변에 접하는 원은 3개가 있다. 그리고 이 원들의 두 변과의 접점의 중점이 삼각형의 내심이 된다. 또한 이 원들과 삼각형 외접원과의 접점과 마주보는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은 세 개의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이 점은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잇는 선 위에 있다. = = 기하학적 성질 = = O_a, O_b, O_c를 각각 변 AB, CA에 접하고 삼각형 ABC의 외접원에 내접(접점을 X라 하자)하는 원, 변 AB, BC에 접하고 삼각형 ABC의 외접원에 내접(접점을 Y라 하자)하는 원, 변 AC, BC에 접하고 삼각형 ABC의 외접원에 내접(접점을 Z라 하자)하는 원이라 하자. = = = 원의 위치 = = = 선분 AX, BY, CZ는 한 점에서 만나고, 그 점은 직선 OI위의 점이다.(O는 외심, I는 내심) 점 A는 내심과 O_a의 중심의 R(내접원의 반지름):(O_a의 반지름) 외분점이다.(이는 닮음을 이용하여 쉽게 보일 수 있다.) 또한 X는 외심과 O_a의 중심의 r(외접원의 반지름):(O_a의 반지름) 외분점이다.(외접원과 O_a가 접하므로 자명) 그러므로 달랑베르 정리에 의해 O와 I의 R:r 외분점은 선분 AX위에 존재한다. 같은 방법으로 선분 AX, BY, CZ는 O와 I의 R:r 외분점을 지난다. 내심 I는 B_a(O_a와 변 AB의 접점)와 C_a(O_a와 변 AC의 접점)를 잇는 선분의 중점이다. 직선 XC_a와 외접원이 만나는 또 다른 점을 C_1이라 하자. (외접원에서 열호 AC_1과 열호 BX의 원주각의 합)= \angle BC_aX=(O_a에서 열호 C_aX의 원주각)=(외접원에서 열호 C_1X의 원주각) 이므로 C_1은 열호 AB의 중점이 된다. ISW (B_1,I,B)collinear 이제 A, B, B_1, X, C_1, C에 대한 파스칼의 정리에 의하여 내심 I는 B_a와 C_a를 잇는 선분 위에 있다. 그런데 내심 I는 각 BAC의 이등분선 위에 있으므로 = = = 원의 반지름 = = = O_a의 반지름은 \frac{r}{cos^2(\tfrac{\angle A}{2})}이다. C_a, B, X, I는 한 원 위에 있다. = = 두 원의 근축에 대한 성질 = = 선분 XI는 각 BXC를 이등분한다. = = = 세 원의 근심에 관한 성질 = = = A_1(A를 포함하지 않는 호 BC의 중점)은 원 O_b, O_c의 근축 위의 점이다. 마찬가지로 \overline{A_1A_b}\overline{A_1Z}=\overline{A_1B}^2=\overline{A_1C} 이므로 A_1은 원 O_b, O_c의 근축 위의 점이다. = 분류:얼티밋 마블의 등장인물 = = 송창현 = '송창현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송창현(宋昌現, 1989년 8월 17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송창현(1981년 6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바트외인하우젠 = 바트외인하우젠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휴양 도시로 면적은 64.8km2, 인구는 48,294명(2013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750명/km2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데트몰트 현에 속한다. 인접한 도시로는 빌레펠트(남서쪽으로 39km), 하노버(동쪽으로 80km)가 있다. = 오버 더 레인보우 (영화) = "오버 더 레인보우"는 200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정재 : 진수 역 장진영 : 연희 역 정찬 : 상인 역 엄지원 : 은송 역 이영주 : 유나 역 김서형 : 경희 역 신은정 : 영미 역 박윤현 : 혜영 역 조승연 : 사진남 역 송용태 : 방송국 부장 역 배장수 : PD 역 최규환 : FD 역 이정화 : 여자 캐스터 역 맹봉학 : 정신과 의사 역 염철호 : 헌병 1 역 최보은 : 모델 역 공형진 : 보험 역 (우정출연) 최재원 : 동아리 선배 역 (우정출연) = 분류:미카사군 = = 위키백과:오늘의 역사/8월 26일 = 8월 26일 1071년 - 비잔티움-셀주크 전쟁: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알프 아르슬란이 이끄는 셀주크 군이 로마노스 4세를 포로로 잡다. 1346년 - 백년 전쟁 중 처음으로 잉글랜드 군대가 프랑스를 크레시 전투(사진)에서 승리하다. 1789년 - 프랑스 혁명으로 만들어진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이 제헌 의회에서 채택되다. 1978년 - 요한 바오로 1세가 263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하다. 2008년 - 남오세티야 전쟁: 러시아가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의 독립을 승인하다. = 이펠강 = 이펠강 또는 이포이강은 슬로바키아, 헝가리에 위치한 강으로 길이는 232km, 유역 면적은 5,151km2이다. 슬로바키아 중부 반스카비스트리차주에 위치한 롬나트리마비초우(Lom nad Rimavicou) 마을에서 발원한다. 슬로바키아-헝가리 국경 지대까지 남쪽 방향으로 흐른 다음에는 남서쪽, 서쪽,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서 흐르며 헝가리 북부 페슈트 주에 위치한 소브(Szob) 마을 인근에서 다뉴브강과 합류한다. 슬로바키아 반스카비스트리차주, 니트라주, 헝가리 노그라드주, 페슈트주를 흐른다. = 틀:서울특별시의 성 = = 양잔란 = 양잔란(兩盞蘭, 학명: )은 투구난초족의 단형 아족인 양잔란아족(兩盞蘭亞族, 학명: )의 단형 속인 양잔란속(兩盞蘭屬, 학명: )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Salazar Chávez, Gerardo Adolfo & van den Berg, Cássio. Phytotaxa 173(2): 136. 2014.Schlechter, Friedrich Richard Rudolf. Repertorium Specierum Novarum Regni Vegetabilis 15(438/443): 417. 1919. 속명인 "디스키푸스"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둘"을 뜻하는 "디스"와 "잔"을 뜻하는 "스퀴포스"이다. = = 종내 분류군 = = D. s. var. longiauriculata Szlach. = 201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2010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또는 2010년 AFF 스즈키컵(2010 AFF Suzuki Cup)은 2010년 12월 1일부터 12월 29일까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개최된 8번째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 참가 팀 = = 다음 6개국이 본선에 직행했다. * * * * * * 다음 2개국이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 1위 팀) (예선 2위 팀) = = 예선 = = 예선은 2010년 10월 22일부터 10월 26일까지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진행되었다. 브루나이는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출전이 금지되었다.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5 3 1 2 0 8 3 +5 5 3 1 2 0 7 2 +5 5 3 1 2 0 4 2 +2 0 3 0 0 0 3 15 -12 = = 조별 리그 = = = = = A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9 3 3 0 0 13 2 +11 4 3 1 1 1 6 6 0 2 3 0 2 1 3 4 -1 1 3 0 1 2 3 13 -10 = = = B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6 3 2 0 1 8 3 +5 5 3 1 2 0 3 1 +2 4 3 1 1 1 3 3 0 1 3 0 1 2 2 9 -7 = = 결선 토너먼트 = = = = = 준결승전 = = = 말레이시아가 합계 2 – 0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인도네시아가 합계 2 – 0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 = = 결승전 = = = 말레이시아가 합계 4 – 2로 우승을 차지했다. = = 우승 = = 2010년 AFF 스즈키컵 말레이시아1번째 우승 = 보와니 분기점 = 보와니 분기점(Bhowani Junction)은 영국에서 제작된 조지 큐커 감독의 1956년 드라마, 모험,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에바 가드너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팬드로 S. 버먼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에바 가드너 스튜어트 그레인저 = = = 조연 = = = 빌 트래버스 아브라함 소페어 프란시스 매튜즈 만 메이트랜드 피터 일링 에드워드 챔프먼 프리다 잭슨 리오넬 제프리스 앨런 틸번 해롤드 카스켓 = = 제작진 = = 원작자: 존 마스터스 미술: 존 하우웰 의상: 엘리자베스 하펜든 = 분류:가나의 행정 구역 틀 = = 분류:조지아의 음악가 = = 문세광 = 문세광(, 1951년 12월 26일~1974년 12월 20일)은 ,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던, 일본 조총련 오사카 지부 활동 관련 사회 운동가 출신의 재일 한국인으로, 대한민국 영부인 육영수 여사를 사살하였다. 일본식 이름은 난조 세이코였다. 1951년 12월 26일 일본 오사카시에서 석면 제품 제조업자로 일하던 경상남도 진주 출신의 문병태의 셋째 아들로 출생하였며, 본관은 단성인 그는 지난날 한때 일가족과 함께 1955년 3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의 창원과 진주와 산청을 거쳐, 대한민국의 전라남도의 나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1956년 11월, 일본의 오사카로 귀환하였다. 문세광은 그 후 1968년 10월, 세이키 상업고등학교 2학년을 중퇴하고 1972년 3월, 강성숙과 결혼했다. 문세광은 원래 오사카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이쿠노키타(生野北)의 지부에 가입했지만 고등학교 시절에 김일성 선집, 마오쩌둥 어록 등을 탐독하면서 좌익 사상에 심취하게 된다. 1973년 9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이쿠노니시(生野西)의 지부 정치부 부장 직으로 근무하고 있던 김호룡(金浩龍)을 처음 만난 문세광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던 박정희를 암살해서 인민 봉기의 기폭제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1973년 10월경에는 자신의 여자 친구이자 공범인 요시이 미키코(吉井美喜子)에게 대한민국에서 혁명을 이루기 위해서는 박정희 대통령을 죽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고 1973년 11월에는 공작금 50만 엔을 받았다. 문세광은 갑자기 장염을 앓다가 1974년 2월 6일에 도쿄도 다이토구 히가시우에노(東上野)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인 가와카미 유지(川上勇治)라는 이의 이름을 이용하는 등의 가명을 사용하면서 병원에 며칠간을 입원했다. 1974년 5월 2일에는 오사카에 정박 중이던 만경봉호에서 몇주간의 사상 교육을 받았다. 문세광은 1974년 7월 17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 사이에 오사카 시 주오구 고즈(高津)의 파출소의 창문을 깨고 침입했다. 문세광은 경찰관 4명이 잠을 자고 있던 사이에 실탄 5개가 들어간 권총 2자루를 빼냈다. 문세광은 자신의 중학교 시절의 여자 친구였던 요시이 미키코의 남편인 요시이 유키오(吉井行雄)의 호적 등본을 이용해서 여권을 신청했다. 8월 1일에는 오사카 경찰이 문세광이 작성한 "전투 선언"이라는 문서를 발견했다. 8월 6일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트랜지스터 라디오 속에 권총을 감췄고 8월 8일에 김포국제공항을 거쳐 서울에 도착했다. 위조 없이 통과된 여권을 이용해서 대한민국에 입국한 문세광은 8월 15일 광복절 경축행사가 열린 국립극장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저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육영수 여사를 잘못 살해하였다. 해당 관련 형사 재판 1심 선고 최후진술에서 "역사는 나에게 차라리 무죄를 선고해 줄 것"이라고 말한 문세광은 판결 선고 4개월만에 속행으로 사형이 집행되었다. 사형이 집행되는 날, "박정희 대통령과 대한의 국민 전체에게 송구하고도 거듭 죄송한 마음 금할 수 없다. 지금 과오를 깊이 뉘우치고 있으니, 차라리 본인한테 속히 올바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면 감사하겠다."라는 유언을 남겼다. 아울러 그는 옥중 수기를 통해 "나는 조국의 하늘 아래 살고 싶다. 아무리 암살 목적으로 고국 땅을 밟았을 때에도 조국의 하늘이 이처럼 이토록 푸른 것을 처음 알았다."고 말했지만 결국 1974년 12월 17일, 대한민국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됐고, 그로부터 3일이 지난 12월 20일, 서울구치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 제4공화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이 주요적인 영향력을 뻗치고 있던, 이른바 일본의 수도인 도쿄에 소재한 해외동포단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의 지령을 따르면서, 그토록 문세광은 조총련 상부의 명령과 지시를 극진히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쪽에서는 〈차라리 문세광이는, 그저 순전히 이렇다 할 의미도 신념도 없이 공산주의를 믿었던, 오히려 단순한 공산주의자〉로 분류하기도 한다. = = 가족 관계 = = 아버지: 문병태(1918년~1969년) 어머니: 육말란(1927년~?) 부인: 강성숙(1954년~) * 장남: ?(1973년~) = = 문세광을 연기한 배우 = = 백찬기 - 1986년 《멀고먼 사람들》 한국방송공사 드라마 김상중 - 1995년 《제4공화국》 문화방송 드라마 = 애펄루사 = 애펄루사(Appaloosa) 또는 아팔루사는 색채로운 점털 패턴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마종이다. 종 안에서도 다양한 체형을 보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마종들의 영향을 받았다. 애펄루사는 말 재발성 방광염(equine recurrent uveitis, ERU), 선천성 야맹증(congenital stationary night blindness)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애펄루사는 미국의 가장 대중적인 품종들 가운데 하나이다. 1975년에 아이다호주의 주마(州馬, state horse)가 되었다. = 지산중학교 = 지산중학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지산중학교 (경기)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지산중학교 (광주)는 광주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지산중학교 (대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 분류:2003년 라이베리아 = = 칭기즈 칸 국제공항 = 칭기즈 칸 국제공항은 울란바토르의 두번째 국제공항이다. 2021년 7월 4일에 개장했으며 울란바토르와 수도권의 주요 공항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공항은 부얀트 우카 국제공항의 국제선을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 = 개요 = = 공항의 면적은 104,200 km2이다. 길이 3,600m, 폭 45m의 하나의 활주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3,339m(너비 23m)의 평행 유도로, 2개의 고속 유도로, 3개의 출구 유도로가 있다. = = = 승객 = = = 공항의 여객 터미널의 면적은 25,300km2,이며, 도착지는 1층이고 출발지는 2층이다. = = = 화물 = = = 화물 터미널의 면적은 3,750km2이고 공항의 연간 화물 용량은 11,900톤이다. 위험물, 고가품, 냉장물의 수출입을 위한 별도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 = = 교통 = = = 공항은 수도로 연결되는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울란바토르 시내 4개 지점, 드래곤버스터미널, 부얀트 우카, 울란바토르 철도역, 던진가라프시장 등 셔틀버스가 운행되며 편도 80~100분 소요된다. 약 60대의 택시도 승객을 태울 예정이다. = = 운항 노선 = = = = = 국제선 = = = 항공사 목적지 MIAT 몽골 항공 도쿄(하네다, 나리타),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방콕(수완나품), 베를린(테겔), 베이징(수도), 서울(인천), 부산, 홍콩(첵랍콕), 광저우, 무안 훈누 에어 도쿄(나리타), 알타이, 얼렌하오터, 톈진, 홍콩(첵랍콕) 에어로 몽골리아 우루무치, 이르쿠츠크, 후허하오터 이즈니스 항공 하이라얼 대한항공 서울(인천) 아시아나항공 서울(인천) 에어부산 부산 티웨이 항공 서울(인천)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야쿠티아 항공 야쿠츠크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수도) 톈진 항공 톈진, 후허하오터 터키항공 이스탄불(아르나부코이) = = = 국내선 = = = 항공사 목적지 훈누 에어 바잉홍거르, 초이빌산, 달란자드가드, 호브드, 무론, 오보트, 오유톨고이, 타반톨고이 에어로 몽골리아 바잉홍거르, 초이발산, 도노이, 호브드, 바안울지, 오유톨고이, 오보트, 울란곰 이즈니스 항공 바잉홍거르, 바안울지, 초이발산, 달란자드가드, 홉드, 헙스걸, 오보트, 오유톨고이, 타반톨고이, 울란곰, 울란바우드, 자브항 = 분류:영국의 제26대 하원 의원 = = 네팔 APF 클럽 = 네팔 APF 클럽은 네팔의 축구단이다. 현재 마티어스 메모리얼 A 디비전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 분류:2013년 유럽 = = 의소 = 의소(義沼, 1746년 ~ 1796년)는 조선후기의 중이다. 일명 의첨(義沾), 호는 인악(仁岳), 자는 자의(子宜). 18세에 중이 되어 벽봉(碧峰)에게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서악(西岳) 등에게서 배웠다. 영조 44년 벽봉에게 돌아와 법을 이어받고, 설법, 상언(尙彦)에게 가서 <화엄경(華嚴經)> <선문염송(禪門拈頌)>을 배운 다음, 비슬산(琵瑟山) 등을 유력하면서 불경을 강의하였다. 정조 14년 수원 용주사(龍珠寺) 창건시 증사(證師)로서 <불복장원문경찬조(佛腹藏願文慶讚疏)> 등을 지었다. 저서로 <인악집(仁岳集)>과 수편의 경론(經論) 사기(私記)가 있다. = = 관련 문화재 = = 대구 동화사 인악당대사 의첨 진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 노 문공 = 노 문공(노나라의 임금으로 시호가 문인 사람)은 다음 사람들이 있다. 노 문공 (20대) 노 문공 (36대) = 최하람 = 최하람(2001년 8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다. 2022년 뮤지컬 '인간의 법정'으로 데뷔했다. = = 방송 = = 2021 DIMF 뮤지컬 스타 (2021) - 최우수상 팬텀싱어 4 (2023) - Top74 빌드업 : 보컬 보이그룹 서바이벌 (2024) = = 공연 = = 인간의 법정 (2022) = = 수상 = = DIMF 뮤지컬스타 최우수상 (2021) = 무비 = 무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무비(movie)는 영화를 뜻하는 영어 단어이다. = = 인물 = = 무비(無比)는 고려 중기의 궁녀로, 의종의 애첩이다. 시무비(柴無比)는 고려 후기의 궁녀로, 충렬왕의 애첩이다. = = 노래 = = MOVIE는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비투비의 Feel'eM 음반 중 타이틀 곡이다. = 파란만장 = "파란만장"(Paranmanjang, Night Fishing)은 한국에서 제작된 박찬경 감독의 2010년 판타지 영화이다. 이정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박찬욱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정현 오광록 = = = 조연 = = = 이용녀 김환희 = = 기타 = = 총괄프로듀서: 진원석 프로듀서: 정원조 제작부장: 정한선 제작부: 이병현, 강한글 제작지원: 모일영 라인프로듀서: 박경서 촬영부: 강지량, 양현석 조명: 최종하 = 유창수 = = = 가공 인물 = = 상류사회 (드라마)의 등장 인물 제국의 아이들의 등장 인물 챔피언 (2018년 영화)의 등장 인물 = 케밥체 = 케밥체 또는 체밥체는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를 비롯한 동남유럽 지역의 고기 요리이다. 케이싱 없는 소시지처럼 만들어 그릴에 구워 먹는 음식이며, 그리스의 케바피아, 발칸 지역의 체바피, 루마니아의 미티테이와 비슷하다. = = 이름 = =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 명사 "케밥체/체빕체"는 두 언어에서 "케밥"을 뜻하는 "케바프(/체바프"에 지소형 접미사 "체"를 붙인 말로, "작은 케밥"이라는 뜻이다. 북마케도니아: 체밥체(, 복수: ) 불가리아: 케밥체(, 복수: ) = = 만들기 = =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진 고기를 소금, 후추, 쿠민가루나 파프리카가루 등 향신료, 다진 양파, 마늘 등과 섞은 다음 소시지 기계에 넣어 케이싱 없이 뽑아 내거나 손으로 길쭉하게 빚는다. 그릴이나 팬에서 구워 낸다. 흔히 감자 튀김, 시레네, 류테니차 등을 곁들여 먹는다. = 차코투코투코 = 차코투코투코 또는 검은등투코투코(Ctenomys dorsalis)는 투코투코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파라과이의 토착종이다. = BTNHResurrection = BTNHResurrection는 2000년에 발매된 본 석스-엔-하모니의 음반이다. 루슬러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KV-85 = KV-8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이 개발한 중전차다. "KV"는 1940년부터 1943년까지 생산된 소련의 중전차의 공식 명칭으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장군의 이름에서 따왔다. 숫자 85는 전차의 주무장인 85 mm 방공포 M1939 (52-K)에서 유래했다. KV-85는 1943년 5월과 7월 사이에 독일에서 새로운 중전차 "티거"가 출현하자 시험 공장 100의 설계국에 의해 개발되었다. 1943년 8월 8일 붉은 군대가 KV-85를 채택했고 1943년 10월까지 첼랴빈스크 키로프스키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KV-85의 생산이 중단된 이유는 KV-85 생산 공장이 KV-85보다 성능이 개선된 IS-1 중전차로 생산을 전환했기 때문이다. 총 148대의 KV-85가 건조되었는데, 1944년 전투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생산된 KV-85 대부분은 1944년과 1945년 사이에 파괴되었고, 러시아에는 한 대의 진짜 KV-85와 한 대의 초기 실험용 탱크 "Element 238"만이 남아있다. = = 개발 = = 1942년 말부터 1943년 초까지 독일의 신형 중전차 "티거"가 도입되면서 소련의 중전차 KV-1과 KV-1의 "빠른" 개량형은 구식이 되었다. 1941년과 1942년 초에 독일군 전차와 대전차포가 관통하지 않았던 KV 전차 장갑은 티거가 쉽게 관통할 수 있었고, KV에 장착된 76mm ZIS-5포는 200m 미만의 거리에서만 티거 전차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붉은 군대는 티거의 장갑을 뚫을 수 있는 새로운 IS 중전차와 대전차포의 시제품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다. 소련이 노획한 "Tigra"의 탄흔을 분석한 결과, 최대 1,000m 거리에서 티거의 정면 장갑이 85 mm 방공포 M1939 (52-K)의 포탄에 의해 뚫린 것이 발견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1943년 5월 5일 국무위원회 회의에서 "전차의 무장 강화 및 자주포 설비에 관한" 결의안 제3289호가 채택되었다. 전차와 포병 설계자들은 85 mm 방공포를 장착한 전차와 자주포를 개발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포들은 KV-1의 사령 포탑과 새로운 중전차 IS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85mm 포를 장착하는 아이디어는 1941년 이전에 등장했고 KV 전차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 여러 차례 제안되었지만, 티거 전차가 등장하기 전에는 다양한 이유로 거부되었다. 바실리 가브릴로비치 그라빈이 지휘하는 중앙포병설계국(CACB)과 표도르 페트로프가 지휘하는 9번 포병설계국이 이 임무를 맡았다. 해당 조직들은 각각의 무기 설계를 수행하려고 노력했고, 국장들은는 "경쟁자"에 대한 고발과 특정 기술적 또는 조직적 문제에 대한 답변을 담은 편지를 상급 기관에 반복적으로 보냈다.Yevgeny Boldyrev. Heavy tank KV-85. The Russian Battlefield. April 28, 2012. 그러나 1943년 6월 14일, 두 팀은 실험용 전차에 장착하기 위한 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중앙포병설계국은 76 mm ZIS-5 계열 전차포를 기반으로 85 mm S-31 포를 개발했다. 9번 포병설계국은 76 mm 전차포 M1940 F-34에서 가져온 자주포 85mm D-5C 포를 사용했다. 1943년 7월 20일, 실험 공장 100호는 85 mm S-31 포와 85mm D-5C 포를 장착한 2대의 KV 전차를 조립했다. 이 중 첫 번째는 "Obj.238"이라 불리는 KV-85G였다. 이 기관차는 KV-1S 전차의 기술적 요구에 완전히 부합했고, 포탑에 장착한 포는 76mm ZIS-5 포를 85mm C-31 포로 대체했다. 두 번째 실험 전차는 요제프 야코블레비치 코틴의 지시로 CHKZ와 100호 공장의 설계자들이 주도적으로 제작한 "Obj. 239" 또는 KV-85였다. 새로운 IS 전차의 포탑에 재고분이 있었기 때문에, IS 전차의 포탑이 KV-1의 차체에 장착되어 전투 부대가 사용하는 포탑의 하부 기어 지름이 1,535mm에서 1,800mm로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전방 포신의 지름이 전투용 차체 부분의 상부 폭을 초과했기 때문에, 이 포탑을 운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웠다. 이는 전방 포신의 움직이는 부분 아래에 원통형 장갑 부속품을 녹임으로서 해결했다. "Obj. 239"의 무장을 위한 두 번째 S-31 포가 없었기 때문에, KV-85에는 9번 포병설계국의 85mm D-5T 포를 장착했다. KV-85는 두 대의 IS 전차 시제품과 함께 공장 시험에 참가했다. KV-85는 284.5 km/h의 평균 속도로 시험되었다. 붉은 군대의 새로운 전차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이 시험들은 소련 정부가 주도했고, KV-85의 완성을 기다리지 않고 소련 정부는 KV-85의 채택과 일련 생산에 관한 결의안 제3891호를 채택했다.Желтов И. Г. и др. Танки ИС // Танкомастер (спецвыпуск). — 2004 = 남선혜 = 남선혜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 = 극본 = = = = = 드라마 = = = 2015년 중국드라마 《오로라를 찾아서》... 집필 2019년 KBS 1TV 저녁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집필 2021년 SBS 아침 일일연속극 《아모르 파티 - 사랑하라, 지금》... 집필 2024년 KBS1 저녁 일일연속극 《수지맞은 우리》 ... 집필 = Shine (이어스 앤 이어스의 노래) = Shine는 2015년 7월 3일에 발매된 이어즈 앤 이어즈의 노래이다. 폴리도르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분류:기원전 416년 사망 = = 틀:국제여객터미널 정보/설명문서 = = = 견본 코드 = = {{국제여객터미널 정보 }} = 분류:1944년 인도네시아 = = 분류:대한민국 주재 공관 = = 분류:상파울루의 관광 = = 영북항 = 영북항은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오송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3년 2월 3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거제시장이다. = = 어항 구역 = = 수역: 미지정 육역: 미지정 = = 주요 어종 = = 굴, 멸치 = 분류:멕시코의 고기 요리 = = 쉐보레 몬자 = 쉐보레 몬자는 쉐보레의 중국형 세단이며, 기존에 중국 시장에서 팔렸던 크루즈를 대체하는 차종이다. = 밀레토스 = 밀레토스 (그리스어: Μίλητος)는 아나톨리아 서부 해안에 있던 고대 그리스 이오니아의 도시의 이름으로, 현재는 터키에 속하는 지역이다. 후기 청동기 시대인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시대에는 사람이 살던 것으로 보이며, 이 시대에는 히타이트와도 경쟁하였다. 이후 그리스 암흑기 시대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다가 기원전 6세기 중반에 이오니아 인들이 건너가 도시를 세웠다. 당시 그리스 동쪽에서 가장 큰 도시였으며, 나중에 뤼디아와 경쟁하였고 결국 뤼디아에 굴복한 것으로 추정된다. 키루스 2세의 페르시아 제국이 성립한 이후에는 페르시아에 복속되었고, 기원전 502년 이오니아 반란이 일어났을 때 반란의 중심 도시였다. 페르시아가 무자비하게 반란을 진압하자 그리스인들은 모두 밀레토스의 함락을 슬퍼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그리스가 승리한 후 밀레토스는 아테네의 델로스 동맹에 속해 있었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완전히 페르시아에서 벗어났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방의 상업적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같은 유명한 철학자들을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200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제10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2003년 7월 12일에서 7월 2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다. = = 메달 집계 = = 1 12 13 6 31 2 10 5 6 21 3 8 12 6 26 4 7 4 8 19 5 5 6 5 16 6 3 3 3 9 7 3 2 2 7 8 2 3 3 8 9 2 3 2 7 10 2 2 1 5 11 2 0 1 3 12 1 4 1 6 13 1 2 3 6 14 1 1 0 2 15 1 0 2 3 16 1 0 1 2 17 1 0 0 1 18 0 2 0 2 19 0 1 1 2 20 0 1 0 1 20 0 1 0 1 22 0 0 2 2 23 0 0 1 1 23 0 0 1 1 23 0 0 1 1 23 0 0 1 1 23 0 0 1 1 23 0 0 1 1 합계 합계 62 65 59 186 = 피르다우시 = 피르다우시(935년~1020년, )는 중세 페르시아의 서정시인이다. 투스 지주의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페르시아 문학사상 최대의 서정시의 거장(巨匠)으로서 호메로스와 대비되기도 한다. 이란 민족 고유의 신화·전통·역사를 기초로 980년 경 웅대한 민족적 서사시 샤나메(شاهنامه)의 저작에 마스나비(Masnavi) 시형(詩形)으로 집필하여 30여년의 세월에 걸쳐서 1010년에 약 6만 구절에 이르는 대작을 완성하였다. 작품은 술탄 마흐무드에 헌상하였으나 오히려 노여움을 사서 유랑의 길을 계속하다가 고향에서 쓸쓸히 타계하였다. 샤나메는 4왕조 역대 50명 왕자의 치세를 기술한 것이며, 역사 서적이기보다도 문학적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많은 무용전기(武勇傳記)와 사랑의 이야기가 실려 있고 작품 전반에 걸쳐 운명론이 저류(低流)를 이루며 진리와 격언도 많다. 특히 <루스탐과 소흐라브의 이야기>는 가장 유명하여 구미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었다. = 분류:2007년 콜롬비아 = = 분류:2005년 야구 틀 = = What Now = What Now는 2013년 8월에 발매된 리한나의 노래이다. 데프잼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아르카디 로텐베르크 = 아르카디 로마노비치 로텐베르크(, 1951년 12월 15일 ~ )는 러시아의 억만장자 사업가이자, 과두정치인이다. 그의 형제 보리스 로텐베르크와 함께 그는 러시아 최대의 가스 파이프라인 및 전력 공급 라인 건설 회사인 스트로이가스몬타스(Stroygazmontazh, SGM 그룹)의 공동 소유주였다. 2021년 포브스는 로텐베르크의 재산을 19억 달러로 추산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절친한 소꿉친구이자, 비즈니스 파트너이다. 로텐베르크는 수익성 있는 국가 후원 건설 프로젝트와 송유관을 통해 억만장자가 되었다. 판도라 페이퍼스 유출은 로텐베르크가 러시아 정치 및 경제 엘리트를 위한 정교한 해외 부의 네트워크를 촉진하고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2014년부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아르카디 로텐베르크는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았다. = = 생애 = = 로텐베르크는 유대인 가계이다. 그는 1951년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 로만은 가족이 공동 아파트에 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드돈(Red Dawn) 전화 공장의 관리직에서 일했다. 1963년 그가 12살이었을 때 로텐베르크와 블라디미르 푸틴은 둘 다 아나톨리 라흘린의 삼보 클럽에 합류했다. Archived on compromat.ru on 9 October 2019 as Как расцвел "Путус" Вовы-Однорукого и Лени-Спортсмена: История питерского "авторитета" Владимира Путырского и бывшего тренера Путина дзюдоиста-рецидивиста Леонида Усвяцова (How Vova-One-Armed and Leni-Sportsman's "Putus" blossomed: The story of the St. Petersburg "authority" Vladimir Putyrsky and the former coach of Putin, the judoka-recidivist Leonid Usvyatsov). 1978년에 로텐베르크는 레스고프트 국립 체육, 스포츠 및 보건 대학을 졸업하고 유도 트레이너가 되었다. 1990년대 푸틴이 러시아로 돌아온 후, 로텐베르그는 일주일에 여러 번 그와 함께 훈련을 받았다. 1990년대에 로텐베르크와 핀란드로 이주한 그의 형제 보리스는 석유 제품을 거래했다. 푸틴이 부시장이 되었을 때, 로텐베르크는 겐나디 팀첸코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프로 유도 클럽인 야바라-네바를 설립했다. 이후 구단이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9회 우승한 후 4명의 올림픽 챔피언을 훈련시켰고, 1,000석 규모의 경기장과 요트 클럽을 포함하여 국가에서 1억 8,000만 달러를 지원하는 새로운 시설을 받았다. 2000년 러시아 대통령 이된 푸틴은 러시아 보드카 시장의 30%를 장악하고 있는 국영기업 로스피르트프롬을 만들고, 로텐베르크가 장악했다. 2001년 로텐베르크와 그의 형제는 SMP 은행을 설립했다. 이 은행은 러시아 40개 도시에 100개 이상의 지점이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모스크바 지역에 있다. SMP는 900대 이상의 ATM 기계의 작동을 감독한다. SMP 은행은 또한 선도적인 대구경 가스 파이프 공급업체가 되었다. 가스프롬은 종종 로텐베르크에 부풀려진 가격을 지불한 것으로 보이다. 2007년 가스프롬은 350마일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려는 이전 계획을 거부하고, 대신 로텐베르크에 보통 비용의 300%인 450억 달러를 지불하여 북극권까지 1,500마일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 2008년 로텐베르크는 가스프롬에서 3억 4,800만 달러에 인수한 5개 회사와 함께 스트로이가스몬타스(SGM)를 설립했다. 이듬해 회사는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로텐베르크는 이후 가스프롬의 대구경 파이프의 90%를 공급하고 업계 평균의 두 배인 30%의 이윤으로 운영되는 북유럽 파이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2013년 가스프롬은 크라스노다르 파이프라인에 대한 로텐베르크의 계약을 45% 늘린 후 불가리아 세그먼트가 취소된 후에도 1년 동안 계속 지불했다. 2004년 5월 20일부터 2012년까지 러시아 연방 교통부 장관으로 재직한 동안 이고리 레비틴은 2010년에 아르카디 로텐베르크의 회사(Mostotrest)가 러시아 연방 고속도로에 유료 도로를 건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로텐베르크는 하키클럽 다이나모 모스크바의 회장이다. 2013년 국제유도연맹 위원이 되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로텐버그는 평균 비용의 300%에 드는 20억 달러 규모의 해안 고속도로와 수중 가스 파이프라인을 포함하여 7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로텐베르크는 파나마 페이퍼스에서 명명되었다. 유출된 법률 문서에 따르면 로텐베르크는 2013년에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의 한 회사에 2억 3,100만 달러를 대출했다. 2013년에 로텐베르크는 한때 소련 최대 교과서 공급업체였던 프러스시니어 출판사(Просвещение, 계몽사)의 회장이 되었다. 프러스시니어가 2011년에 민간 기업이된 후, 러시아 연방 정부는 해당 부문에 몇 가지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2013년에는 모든 교과서를 점검하기 위해 교육부가 내부협의회를 구성했다. 프러스시니어의 경쟁사 책 중 상당수가 이 새로운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여 2014년 러시아 연방의 새 교과서 계약의 약 70%를 프러스시니어가 수주했다. 2015년 아르카디 로텐베르크는 가스프롬 드릴링(Bureniye)의 최대 79%, 도로 건설 회사 모스토트레스트의 28%, 저지섬에 기반을 둔 TPS 부동산 홀딩스의 33.3%를 포함하여 다수의 자산을 그의 아들 이고리 로텐베르크에게 매각했다. 알렉산더 포노마렌코와 알렉산드르 스코로보고고는 TPC 부동산 홀딩스의 66.6%를 소유하고 있다. 아르카디 로텐베르크가 미국의 제재 목록에 오른 후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고 보고되었다. = = 제재 = = 러시아 연방이 크림반도를 병합한 결과, 당시 미국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는 세르게이 이바노프와 겐나디 팀첸코를 포함한 푸틴 대통령의 친한 친구인 로텐베르그 형제와 다른 친우들을 제재하도록 정부에 지시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 사람들은 특별 지정 국민 목록에 등재 되었다. 제재의 결과 비자와 마스터카드는 SMP 은행 서비스를 중단했다. 2014년 9월, 이탈리아는 사르데냐와 타르퀴니아에 있는 빌라 4개와 로마에 있는 호텔을 포함하여 3천만 유로의 로텐베르그 부동산을 압수했다. 미국은 아르카디와 이고리 로텐베르크 부자를 러시아 과두정치인의 블랙리스트에 추가하여 같은 해에 6천 5백만 달러에 자산을 동결했다. 2016년 11월, 유럽 연합 일반 법원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와 2014년 7월 30일에 발효된 아르카디 자금의 동결을 확인했지만, 2015년 3월 유럽 평의회에서 추가한 새로운 자산으로 제한된다. 2014년 9월, 노바야 가제타는 안나 폴릿콥스카야와 알렉세이 나발니에 대한 저널리즘 조사를 발표하여 아르카디의 아들인 이고리 로텐베르크가 바두스(Vaduz)에 등록된 사회를 통해 몬테아르젠타리오 부동산을 비밀리에 통제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가 두마는 승인된 러시아인이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텐베르그법으로 알려진 법안을 제안했지만, 거부되었다. 로텐베르그는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제재를 통한 미국의 적대국 대응법(Counting America's Adversaries Through Sanctions Act, CAATSA)에 이름이 붙은 많은 러시아 "과두정치가" 중 한 명이다. 2022년 3월 3일, 미국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로텐베르그와 그의 아들, 딸의 비자를 제한하고 자산을 동결했다. = = 재산 = = 로텐베르크의 개인 자산은 2021년 7월에 29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그는 2009년 봄바디어 글로벌 5000(등록된 M-BRRB)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그에게 부과된 제재로 인해 매각해야 했다. 그는 Rahil이라는 2011 베네티 65미터 요트를 소유하고 있다. 요트는 7개의 선실에 10명의 손님을 수용할 수 있다. = = 사생활 = = 2005년에 로텐베르크는 약 30세 연하의 두 번째 아내 나탈리야 로텐베르크와 결혼했다. 그들의 두 자녀인 바르바라와 아르카디는 나탈리야와 함께 영국에서 살고 있다. 그들은 2015년 영국에서 이혼했다. 이혼에 대한 재정적 세부 사항은 비공개이지만 계약에는 3,500만 파운드의 서리 맨션과 런던의 800만 파운드 아파트 사용 분할이 포함된다. 부부의 변호사는 영국 언론이 이혼에 대해 보도하지 못하도록 하는 비밀유지 명령을 받았지만, 항소심에서 명령이 뒤집혔다. 그의 큰 세 자녀는 러시아의 억만장자 사업가인 이고리(러시아어 : Игорь Аркадьевич, 1974년 9월 9일 출생), 릴리야(러시아어 : Лилия Аркадьевна, 1978년 4월 17일 출생)로 2014년부터 의사로 활동하고 있다. 독일에 거주하며, TPS Nedvizhimost (러시아 모스크바, 소치, 크라스노다르, 노보시비르스크 및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오션 플라자에 쇼핑몰 및 엔터테인먼트 단지를 소유한 투자 그룹) Russians intend to return Ocean Plaza Aliyev – media , Ukrayinska Pravda (12 February 2019)., 그리고 경쟁적인 하키 선수인 아들 파울(러시아어 : Павел Аркадьевич, 2000년 2월 29일 출생). BBC에 따르면 아르카디 로텐베르크는 대통령의 비평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자신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아니라 호화로운 흑해 저택인 푸틴 궁전의 소유자라고 말했다. = 국방전비태세검열단 = 합참전비태세검열실(合參戰備態勢檢閱團)은 대한민국 국군의 부대와 기관에 대한 전투준비태세의 검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소속기관이다. 주요 수행업무는 아래와 같다. 1.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육군·해군·공군의 작전부대에 대한 전투준비태세 검열 2. 합동부대에 대한 지휘검열 3. 합동참모본부 및 합동부대에 대한 감찰 업무 = = 설치 근거 = = 합동참모본부 직제(대통령령 제29819호, 2019.6.19. 일부 개정) 제7조. = 송 대공 = 송 대공(宋戴公, ? ~ 기원전 766년)은 중국 서주 시대, 춘추 시대의 인물로, 제11대 송공이다. 성은 자(子), 이름은 백(白)이다. 10대 송공 송 애공의 아들로, 아버지가 죽은 후 그 뒤를 이었다.사마천: 사기 권38 송미자세가 송 대공의 아들들에게서 황씨(皇甫 氏), 화씨(華氏), 악씨(樂氏) 등이 갈려나와, 송나라의 유력 세경가로 발전했다. 이들은 대공의 자손이므로 통틀어서 대씨(戴氏)라고 한다. 일설에는, 대씨의 후손에서 척성군이 나와 무공의 자손에서 세습되던 송나라 임금의 자리를 빼앗았다고 한다. = = 가계 = = 송 애공 송 대공 * 송 무공 * 황보 충석 (황보 씨의 시조) * 공자 열 (화씨의 시조) * 공자 간 (악씨의 시조) = 달인Show = 달인Show는 중화민국의 가수 뤄즈샹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이다. = = 뮤직 비디오 = = 제목 감독 기기왜왜 뇌위강, 비이가 연애달인 광성 소축어 진정도 할교화 - 회색공간 - 일기주파 뇌위강 = 조지 비번 = 조지 비번(George Beban, 1873년 12월 13일 ~ 1928년 10월 5일)은 미국의 배우, 연극 배우, 영화배우, 영화 감독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폰 오브 페이트 (1916년) = 분류:아르미니아 빌레펠트의 축구 감독 = = PGC 1772 = = 베타 나선 = 베타 나선(Beta Helix)은 평행한 베타 병풍을 두 개 또는 세 개의 면과 나선 패턴으로 연관시켜 형성된 탠덤 단백질 반복 구조이다. 베타 나선은 솔레노이드 단백질 도메인의 한 유형이다. 구조는 가닥 간 수소 결합,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및 결합된 금속 이온에 의해 안정화된다. 또한 이중 가닥 베타 나선은 단백질의 매우 일반적인 특징이다. 34Å(3.4 nm)에 이르는 7회전 나선을 함유하고 있는 펙테이트리에스(Pectate Lyase)에서는 최초의 베타 나선이 관찰되었다. P22 박테리오파지의 성분인 P22 페이지 꼬리 스파이크 단백질은 13회 회전하며, 조립된 동형 삼량체의 길이는 200Å(20 nm)이다. 내부에는 중앙 모공이 없고 소수성 잔류물과 염교에 의해 중화된 충전 잔류물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베타 나선은 얼굴을 맞대고(삼각형 프리즘의 얼굴을 맞추는 것) 또는 끝에서 끝까지(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것) 서로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타 나선은 코일-코일 세그먼트와 유사한 다른 단백질이 결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태그로 사용될 수 있다. 펜타펩타이드 반복 패밀리의 구성원은 사변형 베타 나선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모여라!! 메이드 인 와리오 = 모여라!! 메이드 인 와리오(일본어: あつまれ!!メイド イン ワリオ, 영어: Warioware, Inc. Mega Party Game$)는 게임큐브용으로 개발한 아케이드 게임이다. 일본에서 가장 먼저 발매되었고, 그 뒤에 미국, 유럽 연합에서 차례로 발매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게임큐브가 나오지 않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희망소비자가격은 38,000원이다. 모여라!! 메이드 인 와리오는 게임큐브를 활용하는 게임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이 게임에 수록된 미니게임은 모두 게임큐브를 활용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 발매지역에 따라 게임 내용은 변하지 않지만 게임 표지의 색상은 지역별로 다르다. = 가와하라 슈고 = 가와하라 슈고( 1980년 2월 15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파지아노 오카야마에서 활동하였다. = 원소 주기율표 = =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718년)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나(, 1718년 9월 18일 ~ 1744년 12월 16일)는 오스트리아의 여대공으로 카를 6세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사이에서 태어난 1남 3녀 중 둘째딸이다. = = 생애 = = 마리아 아나의 형제들 가운데 오빠 레오폴트 요한과 여동생 마리아 아말리아는 어려서 죽었고 마리아 아나와 언니 마리아 테레지아만이 유년기를 무사히 넘겼다. 마리아 아나는 형부 프란츠 슈테판의 동생이자 자신에게는 사돈이 되는 로트링겐 공자 카를 알렉산더와 결혼했다. 1744년 두 사람은 네덜란드 총독으로 브뤼셀에 부임했지만 임신 중이던 마리아 아나는 카를 알렉산더가 프러시아와의 전쟁에 참전한 사이 아이를 사산하고 사망했다. = 베타-하이드록시 베타-메틸글루타릴-CoA =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 HMG-CoA) 또는 3-하이드록시 3-메틸글루타릴-CoA는 메발론산 경로 및 케톤체생성 경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는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 생성효소(HMG-CoA 생성효소)에 의해 아세틸-CoA와 아세토아세틸-CoA로부터 생성된다. 1950년대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의 마이너 제서 쿤(Minor Jesser Coon)과 비말 쿠마르 바크하와트(Bimal Kumar Bachhawat)의 연구가 이러한 발견을 이끌었다.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는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과 같은 가지사슬 아미노산의 대사 과정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β-메틸글루타코닐-CoA(MG-CoA)와 β-하이드록시 β-메틸뷰티릴-CoA(HMB-CoA)는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의 직접적인 전구물질들이다. = = 메발론산 경로 = = 메발론산의 합성은 두 분자의 아세틸-CoA가 싸이올레이스에 의해 클라이젠 축합되어 아세토아세틸-CoA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다음 반응은 아세틸-CoA와 아세토아세틸-CoA가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 생성효소(HMG-CoA 생성효소)에 의해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를 생성하는 반응이다. 메발론산 생합성의 마지막 단계는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가 NADPH 의존성 산화환원효소인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 환원효소(HMG-CoA 환원효소)에 의해 메발론산으로 전환되는 것이며, 이 단계는 메발론산 경로의 주요 조절 지점이다. 메발론산은 사람에서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다양한 최종 산물들을 포괄하는 아이소프레노이드들의 전구물질로 역할을 한다. = = 케톤체생성 경로 = =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 분해효소(HMG-CoA 분해효소)는 β-하이드록시 β-메틸글루타릴-CoA(HMG-CoA)를 아세틸-CoA와 아세토아세트산으로 분해한다. = 오나카야마역 = 오나카야마역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역 구조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양 승강장은 과선교로 연결되어 있다. 역사는 목조로, 나나에 역에서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야간 연락처는 고료카쿠 역으로 되어있다. = = = 승강장 = = = 1 ■ 하코다테 본선 고료카쿠하코다테 방면 2 ■ 하코다테 본선 오누마모리오샤만베 방면 = = 역 주변 = = 나나에 정사무소 오나카야마 출장소 하코다테 중앙 경찰서 나나에 주재소 오나카야마 우편국 나나에 정립 오나카야마 초등학교 = = 역사 = = 1946년 12월 1일 - 임시승강장으로 개업. 여객 취급 개시. 1950년 1월 15일 - 여객역으로 승격. 수하물 취급 개시. 1984년 2월 1일 - 수하물 취급 폐지. 1984년 11월 1일 - 역무 간이 위탁화.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계승. 1992년 4월 1일 - 간이 위탁 폐지 및 무인화. 2007년 10월 - 역 번호 부여. H72. = 모듈:Location map/data/Ningxia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China Ningxia') = 돈 사이 = 돈 사이(Sai, サイ)는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 원피스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이다. 성우는 소정환센고쿠, 파티와 겹친다.(투니버스 에피소드 오브 사보), 박요한(대원방송). = = 소개 = = 돈 칭자오의 첫째 손자로, 현 팔보수군 13대 두령. 등에 커다란 언월도를 들고 다닌다. 몸에다 13대 두령을 나타내는 숫자 문신을 하고, 성게머리를 하는 등 굉장히 험악한 인상을 보여주며, 성격 또한 성급하며, 자신이 한 말을 남이 한 말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루피와 똑같은 C블록이다. C블록에서 싸울 때, 엄청난 활약을 하며, '팔충권(八衝拳)'이라는 진동파 같은 기술을 쓴다. 또한 무장색을 쓰기도 한다. 자신의 동생이자 부하인 부우를 쓰러뜨린 펑크형제를 일격에 털어버림으로서 복수한다. 라오 G와 대결에서 라오 G를 '추룡 송곳못' 발차기로 쓰러뜨린다. 해적선은 큰 '팔보새(八寶塞)' 1척과 7척의 장갑선 '일보새(一寶塞)' 총 8척의 배를 갖고 있다. 드레스로자 사건 이후, 자신과 자신이 이끄는 팔보수군 1천명은 몽키 D. 루피가 이끄는 밀짚모자 해적단에 산하 해적단으로 들어가기로 마음을 먹고, 술잔을 나눈다. 881화에서는 베이비 5랑 결혼을 한다. 나이는 28세. 현상금: 2억 1000만 베리.원피스 비브르 카드 18탄에서 밝혀짐. 카리브 현상금과 동일. = 한서영 = = = 가공 인물 = = 탐정: 더 비기닝의 등장 인물 동화처럼의 등장 인물 3.5교시의 등장 인물 = 분류:시슈만 왕조 = = 백스테이지 = 백스테이지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극장이나 콘서트장에서 메인 스테이지의 뒤쪽 백스테이지 (드라마) w-inds.의 싱글 〈Back Stage〉 Backstage (음반) = 쿠프리얀 키르키시 = 쿠프리얀 오시포비치 키르키시(, 1886년 11월 29일 ~ 1932년 5월 24일)는 벨라루스의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1927년부터 1929년 4월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제2차 총서기장을 역임했다. = = 생애 = =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1901년에 비쳅스크주의 제지 공장에서 노동자가 되었다. 그리고 나서 그는 리가로 이주하여 에두아르트 브룬스 & 코 제지 공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키르키시는 1910년에 RSDLP의 볼셰비키 파벌에 합류했다. 그는 처음에 RSDLP의 비뎁스크 위원회의 일원이었고 리가에서 지하 정당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하리코프에서 활동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에 10월 혁명과 러시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키르키시는 하리코프에 있는 RSDLP의 페틴스키 지구 위원회 위원장, RSDLP의 하리코프 위원회 위원, 하리코프 평의회 위원, RSDLP의 지방 위원회 위원장이었다. 1918년에 그는 모스크바 포병 공장 대학의 위원장이었다. 그는 안톤 데니킨과 네스토르 마흐노의 군대에 대항하여 싸웠다. 내전이 끝난 후 1922년까지 하리코프 주 의회 집행위원회의 부위원장을 지냈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그는 벨로루시아 공산당 하리코프 지방위원회의 간사였다. 1925년에 그는 CPB 중앙위원회 조직부장으로 일했다. 1925년 11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그는 CPB 하리코프 지방위원회의 간사였다. 1925년 12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벨로루시아 공산당 서기장을 지냈다. 1926년 11월부터 1927년 2월까지 소련 노동자와 농민 검사국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우크라이나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27년 2월부터 1929년 4월까지 우즈베키스탄 중앙위원회 제1서기와 중앙위원회 중앙아시아국 부주석을 지냈다. = = = 사망 = = = 1932년 5월 21일, 코브로프 공구 공장을 방문한 후, 키르키시의 차는 모스크바로 돌아오는 길에 충돌했고 그와 다른 승객들은 심하게 다쳤고 치료를 위해 블라디미르에 있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5월 23일, 키르키시는 부상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크렘린 벽 네크로폴리스에 묻혔다.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07년 8월 = = 대니얼 이노우에 = 대니얼 켄 "댄" 이노우에(, , 1924년 9월 7일~2012년 12월 17일) 또는 대니얼 이노에이(/iːˈnoʊˌeɪ/)는 미국의 정치인이다. = = 생애 = = 일본 출신 이민자의 아들로 하와이주 호놀룰루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후쿠오카현, 할머니와 어머니는 히로시마현 출신이다. 하와이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던 중,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계 미국인 집단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미육군 소위로 자원 입대하여 일본계 부대인 442연대 소속으로 유럽 이탈리아 전선에서 싸웠다. 전투에서 총을 3번이나 맞고 한쪽 팔을 잃으면서도 소대를 지휘해 독일군 기관총 방어진지를 무력화 시키는 뚜렷한 공적을 세워, 수훈십자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이후 2000년, 빌 클린턴의 추천으로 최고 영예인 의회 명예훈장을 받았다. 전후 하와이 대학교를 정치학 전공으로 졸업하고 조지 워싱턴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다. 그는 하원과 상원 통틀어 아시아계 최초로 미국 의원이 된 인물로서 하와이 준주 의회에서 활동하다가, 1959년 하와이가 미국 정식 주가 되면서 신설된 연방 하원 자리에 도전하여 민주당 소속으로 초대 하와이주 연방 하원의원을 지냈다. 이후 1962년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 당선되어 그 이듬해부터 상원의원이 되었다. 이후 상원에서만 6년 주기 선거에 9번이나 당선되어 53년 넘게 재직하며 미국 역사 통틀어 4번째로 가장 긴 시간 동안, 비(非)백인으로는 가장 오랫동안 미국 중앙 정계에 몸담은 인물로 기록되었다. 주로 외교·국방·상공 분야에서 활동했다. 미 정계의 대표적인 거물이자 가장 높은 지위까지 올라간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워터게이트 사건 상원 6인 청문위 조사위원, 이란-콘트라 사건 청문회 의장직 등을 맡아 입지를 넓혔으며, 상원 상무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2009년 미국 예산지출 문제를 담당하는 세출위원회 위원장으로 영전되었고, 미국 역사상 가장 긴 기간 동안 재직했던 로버트 바드 의원이 2010년 별세한 후 최고 원로 상원의원이 되어 전통에 따라 상원의장 대행인에 임명되어 미국 대통령 승계서열 3위까지 올랐다. 일본계로 일본군 위안부 비난 결의안 통과를 저지하기 위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의혹을 받아 다소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2012년 12월 17일, 호흡기 문제로 미육군병원에서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의 마지막 유언은 Aloha(하와이어 작별인사)였다. 사후에는 기존에 있던 호놀룰루 국제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하였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58년 선거 하원의원 (하와이 선거구) 86대 민주당 57.40% 99,854표 1위 1960년 선거 하원의원 (하와이 선거구) 87대 민주당 74.37% 135,827표 1위 1962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88대 민주당 69.41% 136,294표 1위 1968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91대 민주당 83.40% 189,248표 1위 1974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94대 민주당 82.91% 207,454표 1위 1980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97대 민주당 77.95% 224,485표 1위 1986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100대 민주당 73.57% 241,887표 1위 1992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103대 민주당 57.27% 208,266표 1위 1998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106대 민주당 79.18% 315,252표 1위 2004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109대 민주당 75.51% 313,629표 1위 2010년 선거 상원의원 (하와이 제3부) 112대 민주당 74.81% 277,228표 1위 = 분류:피낭 FA의 축구 선수 = = 분류:1952년 스페인 = = 폴란드 국립 쇼팽 음악 대학교 = 폴란드 국립 쇼팽 음악 대학교 또는 프레데리크 쇼팽 음악 대학교(Uniwersytet Muzyczny Fryderyka Chopina w Warszawie)는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 위치한 1810년에 설립된 국립 음악대학으로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음악 학교이자, 유럽에서 규모가 큰 음악 학교로 꼽힌다. 지휘, 작곡, 음악 이론, 기악, 성악, 재즈, 무용, 사운드 엔지니어링 등 예술 분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과정을 운영하며, 예비 과정과 전문연주자과정도 개설되어 있다. 1826년부터 1829년까지 프레데리크 쇼팽이 이 학교에서 공부하였고 이그나치 얀 파데레프스키,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카롤 시마노프스키, 그라지나 바체비치, 안제이 파누프니크, 미에치스와프 카르워비치, 완다 란도프스카 등 폴란드 음악을 대표하는 거장들 역시 모두 이 학교 출신이다.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아르보 패르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플라시도 도밍고, 장피에르 랑팔, 나디아 불랑제, 얀 에키에르, 크리스타 루트비히,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등이 폴란드 국립 쇼팽 음악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23년, QS 세계 대학 랭킹 공연 예술 부문에서 3년 연속 51~100위를 기록하였다. (QS 세계 대학 랭킹의 전공별 순위는 50위까지만 순위가 공개되고, 그 외의 학교에 대해서는 51위~100위 등의 범주로 공개한다.)[] 한국에서는 예전 이름인 바르샤바 음악원, 쇼팽 음악원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폴란드 국립 쇼팽 음악 대학교라 불린다. = 존 와너메이커 = 존 워너메이커 (John  Wanamaker  (1838년 7월 11일 – 1922년 12월 12일)는 광고의 선두자이며 마케팅의 개척자로 인정받는 미국의 상인이며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인물이고, 백화점으로 최초로 만든 존 와너메이커 백화점을 만든 기업가이다. 1889년 미국의 벤저민 해리슨 대통령에 의해서 체신부 장관으로 임명을 받았다. 부흥가 무디와 미국의 저명한 목회자 피어선 박사에게 많은 후원한 신앙인 이었다. = = 생애 = = 그는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서 체신부 장관을 하였다. 그는 박애주의자로서 주일날 아침식사후원 선교회(Sunday Breakfast Rescue Mission)를 만들어서 집없는 사람들을 도왔다.[Cnaan, Ram A.; Wineburg, Robert J.; Boddie, Stephanie C. The Newer Deal: Social Work and Religion in Partnership(1999). p. 265 베다니 장로교회의 주일학교를 성장시킨 기독교 교사였으며,성경이 만든 백화점 왕, 존 워너메이커 무디와 피어선의 친구였다. 펜실베니아 대학 박물관에 기증도 많이 하였고, YMCA와 같은 단체도 많이 후원하였다. = = 평가 = = 워너메이커의 성공적인 신화에도 불구하고 그의 삶의 방식과 후손들의 삶의 문화에 대하여 비판이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사학과 윌리엄 리치(William Leach) 교수는 와너메이커와 그의 후손들에 대한 비판적 연구(욕망의 땅)를 출판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그는 미국 자본주의가 발달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워너메이커를 조명했는데, 워너메이커가 "주일학교와 YMCA 사역을 병행하면서 소박한 생활 운동을 후원하고 동참했던 측면이 있지만, 소비의 쾌락과 탐닉에 빠져들게 했던 자본주의 사회를 통찰하는 신앙은 없었다"고 비판한다.백화점 왕은 정말 "성경이 만든 사람"일까 = 알멘트 역 = = 분류:일본어 로마자 표기법 = = 조소희 = = = 가공 인물 = = 프레지던트 (드라마)의 등장 인물 그대 목소리의 등장 인물 = 하이네켄 = 하이네켄은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맥주 브랜드이다. 보통은 하이네켄 인터내셔널이 1873년부터 시판하는 페일 라거인 하이네켄 라거 맥주를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하이네켄 라거 맥주의 알콜 도수는 5.0%이고 녹색병에 빨간 별을 그린 상표가 붙어있다. = = 역사 = = 1864년 2월 15일 헤라르트 아드리안 헤이네컨(Gerard Adriaan Heineken, 1841–1893)은 부유한 어머니의 도움으로 암스테르담의 데 후이베르그(De Hooiberg, 건초 더미) 양조장을 인수하였다. 이 양조장은 1592년부터 값싼 맥주를 만들어 왔다. 하이네컨은 1873년 루이 파스퇴르의 제자였던 엘리온 박사를 고용하여 하이네켄-아(Heineken-A) 효모를 개발하고 하면발효 방식으로 맥주를 양조하였고, 하이네켄 양조 회사(, HBM)를 설립하였다. 1875년 하이네켄은 파리 해양 박람회에서 맥주 부분 금매달을 획득하였고 이를 계기로 프랑스에 꾸준히 수출하였다. 초창기 하이네켄의 수상 실적은 다음과 같다. 1875년 파리 국제 해양 및 운하 산업 박람회 금메달() 1883년 암스테르담 국제 식민지 수출 박람회 명예상()THE HEINEKEN LABEL , The Heineken Collection Foundation 1889년 파리 세계 박람회 대상()DE WINNENDE SMAAK VAN HEINEKEN, Heineken.com 1900년 파리 세계 박람회 심사위원 특별상()HEINEKEN HORS CONCOURS MEMBRE DU JURY PARIS 1900 GRAND PRIX 1889 DIPLOME D'HONNEUR AMSTERDAM 1883 MEDAILLE D'OR PARIS 1875 Trademark Information, Trademarkia 이 가운데 1875년 금메달과 1900년 심사위원 특별상은 오늘날에도 라벨에 표기되어 있다. 2013년 하이네켄은 음주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국제 음주 책임 연맹에 가입하였다. 하이네켄은 2014년 출시 150주년을 자축하였으며 올해의 생산자 상을 수상하였다. 헤라르트 아드리안 헤이네컨이 최초로 맥주를 만들기 시작한 양조장은 하이네켄 박물관이 되어 운영중이다."Holland Pass". Heineken Experience. N.p., n.d. Web. 14 April 2015. = = 증류 = = 하이네켄 맥주는 페일 라거로 옅은 색의 맥주이다. 1886년 헤라르트 아드리안 헤이네컨(Gerard Adriaan Heineken)이 하이네켄 맥주를 생산한 뒤 그 당시의 효소를 아직까지 쓰고 있다. 맨 처음에는 보통 물을 수조 탱크에서 정화한다. 그러고 나서 보리를 다른 탱크에서 발효시킨다. 하루 반 정도가 지나고 나면 보리 발효가 시작된다. 일주일 혹은 8일이 지나고 나면 발효된 보리를 방앗간에서 말리면서 보리의 뿌리를 다 잘라낸다. 맥아와 물을 섞고 끓이면 맥아즙이 된다. 맥아즙을 말리고 나서 효소를 발효 탱크에 넣는다. 발효를 하고 설탕을 넣어서 효모가 알코올로 변하고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7일이 지나면 맥아즙이 푸른 빛의 알코올이 되고 4.5도가 된다. 4주에서 6주간 푸른 맥주를 다른 곳에 옮겨 두면 발효가 되면 5도로 된다. 정화 탱크로 옮겨지고 나서 효모를 제거하고 저온살균법을 하여 미생물을 죽여 완성한다. = = 생산 = = 1975년 이후 하이네켄 맥주의 대부분은 네덜란드 서부의 주터바우더에 있는 양조장에서 생산되었다. 2011년 하이네켄 라거 맥주의 세계 생산량은 27.4 억 리터이며, 하이네켄 브랜드의 모든 제품 생산량은 164.6 억 리터이다. 하이네켄은 170 여개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멕시코,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및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 합자 회사를 두고 있다. 하이네켄 맥주는 전 세계 39개국에 위치한 40개소의 양조장에서 생산된다. 대한민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하이네켄 맥주는 1981년부터 동양맥주(현 OB맥주)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다가한국의 맥주 변천사, Timeout 1987년 동양맥주가 안호이저-부시와 손잡아 버드와이저를 생산하게 되면서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전량 네덜란드에서 수입되고 있다.동양맥주, 10년계약 미버드와이저 맥주 공급, 중앙일보, 1987년 3월 23일 = 분류:이란-이라크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 분류:코크 백작 = = 여상훈 = 여상훈(呂相薰, 1956년)은 대한민국의 법관이다. 제10대 의정부지방법원장과 제38대 서울가정법원장을 역임하고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직 중이다. 법원 내 불교신자 모임인 서초반야회 회장을 맡고 있다. = = 생애 = = 1956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난 여상훈은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제13기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치고 1983년 9월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이후 1987년 9월에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1990년 3월에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1994년 3월에 서울고등법원, 1996년 3월에 서울지방법으로 전보되어 판사로 재직하다가 1997년 3월부터 1년동안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 재직하다가 퇴직하여 법무법인 율촌에서 변호사를 하였다. 법무법인 율촌에서 3년동안 변호사를 하다가 2001년 2월에 법관으로 복직하여 대구지방법원, 2004년 2월에 수원지방법원, 2006년 2월에 의정부지방법원, 2008년 2월에대전고등법원, 2009년에서울고등법원으로 전보되어 부장판사를 하였으며 의정부지방법원과 대전고등법원에서는 수석부장판사를 겸하였다.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하던 2013년 5월에 양형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제3기와 제4기에서 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13년 11월에 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가 되었다. 2014년 2월에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의정부지방법원과 서울가정법원에서 법원장으로 재직하다가 2017년 2월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판에 복귀하였다.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하면서 수사기관의 부당한 긴급구속에 대해 국가가 위자료를 지급할 것을 명령하였고,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재직할 때는 언론전담재판부를 담당해 멜라민 분유 보도, 미디어법 보고서 통계조작 보도, 문화일보의 신정아 보도, 청산가리 살해범 허위보도 등 언론보도와 관련한 재판을 하였다. = 충청도의 마천루 목록 = 아래는 대한민국 충청도에 위치한 마천루 목록이다. 충청북도의 마천루 목록 충청남도의 마천루 목록 대전광역시의 마천루 목록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천루 목록 = 분류:1965년 서독 = = 태풍 오마이스 (2021년) = 태풍 오마이스 (OMAIS)는 2021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12호 태풍으로,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주위를 어슬렁거리는'을 의미한다. 2021년 한반도에 상륙한 첫 태풍이다. = = 개요 = = 태풍 오마이스는 8월 20일 21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8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8월 22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6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동중국해로 진출하며 강한 연직시어로 ,빠르게 약화가 진행되는 와중에 제주도를 관통하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8월 24일 0시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에 상륙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3일 23시 50분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경남 고성군에 상륙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4일 2시 50분경 경북 포항시에서 동해상으로 진출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4일 3시에 경북 포항시에서 동해상으로 진출하였다. 빠른 속도로 북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4일 6시에 울릉도 남서쪽 약 60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4일 9시에 울릉도 북동쪽 약 56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 = 영향 = = 태풍 오마이스는 2021년에 대한민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첫 번째 태풍이다.동년에 발생한 인파는 서해상과 제주도 부근에만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고, 루핏은 대한해협-규슈를 지나가면서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단, 인파는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제주도가 강풍 반경에 들어가서 사실상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고 봐도 무방하다. 24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오마이스는 중심기압 996hPa, 최대 풍속 초속 18∼19m, 강풍 반경 110km로 비교적 소형 태풍에 속했으나 많은 비와 강풍을 몰고 왔다. 태풍 영향권에 든 남부지방에 시간당 100mm에 달하는 물폭탄이 쏟아져 도로 곳곳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경상남도와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이고,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또한 꽤나 큰 피해를 입었다. 전체적으로 바람 피해보다는 비 피해가 더 큰 비 태풍이었다. 태풍에 따른 부상, 사망 등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 태상노군 = 태상노군(太上老君)은 노자(老子)를 신격화한 것으로 장자와 함께 도가의 시조이다. 이 계보가 그대로 신선설을 주장한 신선가(神仙家)를 거쳐서 도교에 도입되어 도교의 교조로 숭앙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실재는 의문이다. 한대(漢代)에 와서는 성(姓)이 이(李)라고 말하기도 하고 주(周) 왕조의 역사를 기록하던 고관(高官)으로서 유교의 개조인 공자도 노자에게 예(禮)를 물었다고도 전하며, 끝에는 함곡관(函谷關)에서 관리의 청탁으로 도덕경을 남기고 서방으로 사라져 행방이 묘연해졌다고도 한다. 또 어머니의 태내(胎內)에서 81년이나 있다가 어머니의 좌액(左腋)에서 태어났는데 그때 벌써 머리털이 백발이었기 때문에 '노자(老子)'라 말하고 태어날 때에 오얏나무(李樹)를 가리켰기 때문에 이(李)라는 성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역대(曆代)마다 나타나서 황제(黃帝) 시대에는 황성자(黃成子), 요(堯)의 시대에는 무성자(務成子)가 되었다는 등 갖가지 전설이 더하여 차차로 신격화되었으며 마침내는 원시천존의 화신(化身)으로까지 되었다. 영보천존(靈寶天尊)과 함께 삼청을 구성한다. 태상노군이 된 것은 6세기 경부터로 당대(唐代)에는 당 왕실의 성과 노자의 성이 같은 이(李)라는 점에서 당실(唐室)의 조상으로도 숭앙되었으며 절대적인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신천사도 기타 교단 도교 제파는 노자와의 사이에 어떠한 관계를 지어서 자파(自派)의 가르침에 권위를 부여하려 하였다. 그 때문에 이들 교단의 창시와 관련된 여러 신화에는 자주 태상노군이 등장하여 창시자들에게 그 정통성을 인가해 주는 부록이나 그 교단의 근본경전·비법을 주는 등, 주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 민중 도교에서도 근본 성전인 <태산감응편(太山感應篇)>은 태상노군의 가르침이라고 말하고 있다. 드래곤볼에서는 여자가 되어 "안닌"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 하일랜더 (고양이) = 하일랜더(Highlander) 또는 하일랜더 쇼트헤어는 집고양이의 새로운 품종이다. 하일랜더의 독특한 외관은 최근 개발된 사막 링스와 정글 컬 품종 사이의 인위적인 교배에서 비롯된다. 비록 이 고양이들 둘 다 야생종 혈통에서 유래하지만, 둘 다 완전히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인 것으로 밝혀졌다. = = 설명 = = 하일랜더는 사막 링스 품종과 정글 컬의 교배종으로 시작되었는데, 후자의 곱슬곱슬한 귀를 전자에 추가하기 위해서였다. 짧은 꼬리를 갖고 있으며, 반점 또는 전형적인 밥캣과 유사하다. 하일랜더는 긴 경사진 이마와 매우 넓은 코를 가진 뭉툭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눈은 넓고, 귀는 곧게 서 있으며, 약간 컬이 있고 뒤로 약간 돌아간다. 일부는 다지증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고양이에게 바람직한 특성이 아니며 고양이가 나이가 들면서 무릎과 엉덩이에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일랜더는 알려진 건강상의 문제가 없고 물을 좋아한다. 몸은 매우 근육질이다. 암컷은 10~14파운드, 수컷은 15~20파운드까지 자랄 수 있다. "큰 고양이"임에도 불구하고, 하일랜더는 인간 지향적이고 친근하며 장난기 많은 고양이이며, 매우 활동적이고 자신감 넘친다. 하일랜더는 다양한 색을 가진다. 다만, 이색 고양이는 품종 표준에서 허용되지 않는다. 일부 고양이들은 다지증이지만, 표준의 일부가 아니며 쇼링에서 실격이다. = = 역사 = = 이 품종의 개발은 2004년 "큰 고양이"에 중점을 두어 만들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2005년, 하일랜더라는 이름이 정착되었고, 사육업자들은 TICA에서 챔피언십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하면서 품종과 품종을 정의하는 데 주력했다. 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고양이들은 기존의 어떤 인정된 품종이 아닌 도메스틱 유전자 중에서 신중하게 선택되었다. 귀는 하일랜더의 주요 특징이다. TICA는 2008년 5월 1일부터 시작되는 예비 신품종 클래스에서 하일랜더를 선발했다. 2015년 하일랜더는 어드밴스드 뉴 브리드로 승격하였다. 하일랜드 링스는 현재 다른 품종과의 교배 때문에 이 품종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ICA는 하일랜더를 HGS(Highlander Shorthair)와 HG(Highlander)라는 이름으로 두 가지 품종으로 나눈다. TICA는 하일랜더를 HGS(Highlander Shorthair)와 HG(Highlander)라는 이름으로 두 가지 품종으로 나눈다. = 분류: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대표팀 = = 야마토촌 (아이치현 야나군) = 야마토촌은 아이치현 야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1954년 쇼와 대합병으로 호이군 이치노미야촌(후의 이치노미야정)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도요카와시에 해당한다. = As the Flower Withers = As the Flower Withers는 1992년에 발매된 마이 다잉 브라이드의 음반이다. = Never Give Up on You = Never Give Up on You는 영국의 가수 루시 존스의 노래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7의 참가곡이다. =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 =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은 인터넷주소자원 보유기관의 IP 주소, AS 번호를 PKI표준(RFC3779)으로 암호화된 인증서를 발행하고 해당 주소의 라우팅 정보 무결성을 보장하는 인터넷 라우팅 보안 기술이다. IP 주소, AS 번호 주소자원(Resoruce)을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표준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증서를 발행하여서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RPKI)'로 정의하여 지칭한다. 인증서는 할당된 IPv4, IPv6 주소 및 AS 번호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증거와 권한을 제공하며 암호화된 방식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운영자가 BGP(Border Gateway Protocol)의 결함(缺陷)으로 발생하는 경로 누수(Route Leak), 경로 하이재킹(Route Hijacking) 사고들에 대비하여 인증된 정보에 입각하여 안전한 라우팅을 결정 할 수 있도록 한다. 2011년부터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의 SIDR(Secure Inter-Domain Routing) 워킹그룹에서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 기반 인증에 필요한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여 2014년 2월에 구성 요소들에 대한 표준이 완료되었으며, 운영 이슈 및 운영 지침 등에 대해서도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관련 주요 구성 요소인 주소자원 인증서(Certification), 경로 원점 인증서(ROA), 경로 검증(Validation) 그리고 RPKI 라우터 등에 대한 표준은 아래 표[1]과 같다. 표[1].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관련 주요 표준(RFC) 구분 표준번호 제목 인증서(Certification) 6484 Certificate Policy (CP) for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인증서(Certification) 6485 The Profile for Algorithms and Key Sizes for Use in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인증서(Certification) 6489 Certification Authority (CA) Key Rollover in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인증서(Certification) 7730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Trust Anchor Locator 경로 검증(Validation) 6480 An Infrastructure to Support Secure Internet Routing 경로 검증(Validation) 7115 Origin Validation Operation Based on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경로 검증(Validation) 8481 Clarifications to BGP Origin Validation Based on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경로 원점 인증서(ROA) 6482 A Profile for Route Origin Authorizations (ROAs) 경로 원점 인증서(ROA) 6483 Validation of Route Origination Using the Resource Certificate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nd Route Origin Authorizations (ROAs) RPKI 라우터 6810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to Router Protocol RPKI 라우터 6945 Definitions of Managed Objects for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to Router Protocol RPKI 라우터 8210 The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 (RPKI) to Router Protocol, Version 1 = = 인증과 검증 = = = = =주소자원 인증서 = = = 인터넷의 안전한 라우팅을 위해 주소자원을 합법적 절차에 의해 보유하고 사용하는 기관, 기업 등이 보유한 주소자원에 대해 인증서를 발급 받는 것이다. 주소자원 인증서는 주소자원에 대한 전자 서명된 증명서로 주소자원이 할당될 때마다 발행되며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 Regional Internet Registry)에서 발행한다. 주소자원 인증서는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시스템 내의 EE(End-Entity) 인증서, CRL(Certicate Revocation List), 경로 원점 인증서(Route Origination Authorization) 등 여러 구성 요소와의 관계에서 생성, 폐지, 갱신, 검증 등의 프로세스를 거쳐 관리된다. 주소자원을 할당 받아 사용(라우팅)하는 기관, 기업 등은 이러한 주소자원 인증서를 기반으로 자신이 보유한 IP 대역에 대한 BGP 라우팅 정보를 암호화하고 증명을 할 수 있다. 주소자원 인증서 발행과 관리는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의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시스템 운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보유한 주소자원을 할당해준 상위 인터넷 관리기구 RIR 또는 NIR(National Internet Registry)이 어떤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는지 사전에 검토가 필요하다. = = =경로 원점 인증서 = = = 주소자원 인증서를 기반으로 주소자원 보유자는 보유한 IP 주소 대역에 대한 BGP 라우팅 권한이 있음을 AS 번호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객체(Objects) 정보들로 작성하면 전자 서명된 경로 원점 인증서(Route Origination Authorization, ROA)가 등록된다. 경로 원점 인증서는 인증서 내에 포함된 IP 주소 대역의 보유자가 해당 IP 주소 대역에 대한 라우팅 권한이 있는 AS(Autonomous System)를 사용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인증서 내에는 'AS 번호', 'IP 주소 대역 목록', 그리고 각 대역(Prefix)에 대해서 AS가 라우팅 하도록 권한을 부여 받은 좀 더 정교한 IP 대역의 최대 길이(Max Prefix Length)가 작성되어야 한다. 최대 대역 길이는 특정 AS 네트워크에서 BGP로 라우팅 할 권한이 있는 IP 주소 대역의 최대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며, 일반적인 경로 원점 인증서는 아래 표[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표[2] 경로원점인증서(ROA) Prefix 1.16.66.0/24 Max-Length /25 Origin-AS AS2022 예를 들어 IP 주소가 1.16.66.0/24 이고 최대 대역 길이(Max Prefix Length)가 /25이면 AS가 라우팅하는 인증된 규격의 IP 대역 최대 길이는 /25내에서 세분화된(more specific) 대역이다. 즉 1.16.66.0/24, 1.16.66.128/25, 1.16.66.0/25는 인증 받은 대역이고 1.16.66.0/26은 인증된 정보가 아니다. = = =경로 원점 검증 = = = 라우팅 경로의 검증(Validation)은 경로 원점 인증서(ROA)에 있는 IP 주소 대역과 AS 번호를 사용한다. 인증서 저장소(Repository)와 경로 검증(캐시) 서버 간의 신뢰 관계 검증(Relying Party, RP) 프로세스가 인증서의 유효성을 체크한 후에 최종적으로 검증된 경로 원점 인증서(ROA)를 제공한다. 이 인증서로 RPKI 라우터는 BGP 라우팅 정보의 경로(Route) 속성을 결정하며 이 속성을 'Validity state'라고 한다. 'Validity state'는 아래 표[3]과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표[3] Route's Validity State Prefix \backslash Route(AS) matching AS non-matching AS Non-Intersecting (교차되는 부분없음) unknown unknown Covering Aggregate (ROA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고 Length는 작음) unknown unknown match ROA prefix valid invalid More Specifi than ROA (ROA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고 Length는 큼) invalid invalid 라우팅 경로(route)의 경로 원점 검증(ROV) 결과(Validity state)들 중에서 'valid'가 존재하면 유효한(valid) 경로이며, 'invalid는 있으나 'valid'가 없다면 유효하지 않은(invalid) 경로이다. 'valid', 'invalid' 두 가지가 모두 없으면 'unknown 또는 Not found' 알 수 없는 경로이다. = =시스템 구성 = = = = = 인증 서버 = = = 인증(CA, Certification Authorities) 서버는 CA(Certification Authorities) 인증서, EE(End-Entity) 인증서,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경로 원점 인증서(Route Origination Authorization) 등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저장소(Repositories)를 이용해 검증(캐시) 서버에 인증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 시스템의 위임(Delegation) 방식 체계에서는 인터넷주소자원 할당 체계와 같이 각 주소자원 관리기구(RIR, NIR, LIR) 들이 각각의 인증 서버들을 구성하여 상호 연결해야 인증 서버를 작동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인 통합(Hosted) 방식 체계에서는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에서 하위 관리기구(NIR, LIR)의 주소자원에 대한 인증서를 통합 관리한다. 저장소(Repositories)는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자 서명된 인증서 객체와 경로 원점 인증서(ROA)를 저장하여 캐시(검증)서버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캐시(검증)서버는 TAL(Trust Anchor Locator) 정보를 이용해 RSYNC 또는 RRDP(RPKI Repository Delta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저장소에 연결할 수 있다. TAL 정보는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의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으며, 아래는 아태지역 인터넷주소관리 기구 APNIC TAL의 URL이다. APNIC TAL(Trust Anchor Locator) APNIC rsync://rpki.apnic.net/repository/apnic-rpki-root-iana-origin.cer = = = 검증(캐시) 서버 = = = 저장소(Repository) 서버들로부터 수신(gathering)한 인증서 상태를 검증하며, 검증된 경로 원점 인증서(ROA)는 RTR(RPKI to Router)프로토콜을 통해 RPKI 라우터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AL URL을 참조하여 저장소에 연결하고 저장소의 인증서 유효성 체크는 RP(Relying Party)라는 프로세스가 담당한다. 인증서 검증(Validator) 기능과 RTR 프로토콜을 이용해 라우터와 통신하는 캐시(Cache) 기능을 하나의 서버나 분리된 구성으로 운영할 수 있다. 검증(캐시) 서버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표[4])로 제공되고 있다. 표[4] 검증(캐시) 소프트웨어 OctoRPKI Cloudflare GoRTR Cloudflare RIPE NCC Validatior RIPE NCC Routinator NLnet Labs RTRlib INET research group = = = RPKI 라우터 = = = RTR(RPKI to Router)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캐시(검증)서버로부터 검증된 경로 원점 인증서(ROA)를 수신하여서 BGP 라우팅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라우터를 지칭한다. 라우터는 캐시(검증)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로 검증 인증서(ROA) 데이터(IP prefix, Max Prefix Length, Origin AS)를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 로드하는데 이것을 VRP(Validated ROA Payload) 라고 한다. 라우터는 이웃한(neighbor) 라우터에서 수신한 BGP 업데이트 메시지의 경로(Route)와 VRP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의 속성(Validation state)값을 찾고, 운영자가 설정한 BGP 라우팅 정책에 따라 라우팅을 수행한다. RTR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라우터 운영 시스템(소프트웨어)는 아래 표[5]와 같다. 표[5] RTR 프로토콜지원 라우터와 OS 버젼 구분 OS 버젼 Cisco IOS release 15.2 이상 Cisco IOS/XR release 4.3.2 이상 Juniper JunOS release 12.2 이상 Nokia SR OS release R12.0R4 이상 Huawei VRP release 8.150 이상 = =지원 방식 = = = = = = 통합 방식 = = = = 통합(Hosted) 방식은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 유지 관리 및 유연성 간에 공정한 환경을 제공한다. 주소자원 인증서, 경로 검증 인증서(ROA)의 생성, 인증서 키 갱신과 같은 모든 암호화 작업이 자동화되고, 생성된 인증서들은 글로벌 저장소(Repository)에 게시 된다. 통합 방식을 이용하려는 기관은 주소자원 할당 정보와 IRR(Internet Routing Registry)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검증 인증서(ROA)만 생성하는 일 외에는 관리해야 할 것이 없다. = = = = 위임 방식 = = = = 위임(Delegation) 방식은 주소자원 할당체계와 같은 구성으로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에서 주소자원을 할당 받은 하위 관리 기관(NIR, LIR)이 인증(CA, Certification Authorities) 서버를 구성하여 할당받은 주소자원에 대한 주소자원 인증서, 경로 원점 인증서(ROA)를 생성,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구성은 주소자원 보유기관이 주소자원에 대한 인증(CA) 기관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시스템의 가용성을 확대한다. 위임 방식을 사용하는 인증 기관은 저장소를 호스팅 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고, 위임 구조에 맞게 상위 인증 서버와 주기적으로 통신하며 인증서 생성, 폐기, 암호화 등을 직접 관리해야 한다. 대륙별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구(RIR)의 인터넷주소자원 인증 안내 웹페이지(표[6])를 참고하여 관리기구별 통합 방식과 위임 방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표[6]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구(RIR)의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RPKI) 소개 웹 RIR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기반 인증 AFRINIC APNIC ARIN LACNIC RIPE NCC = 거거 = 거거(車渠, giant clam)는 크기가 가장 큰, 생존하는 이매패류 연체동물인 대왕조개속에 속하는 조개이다. 1521년 초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이 생물에 대해 자신의 저널에 기고하였다. 남태평양과 인도양의 얕은 산호초에서 자생하는 수많은 대형 조개종 가운데 하나이며 무게는 200킬로그램이 넘고 크기는 120cm 정도이며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100년이 넘는다. 필리핀과 남중국해 해안에서도 볼 수 있다. 거거는 평평한 산호모래나 부서진 산호에서 살며 최대 20미터 깊이에서도 볼 수 있다.Knop, p. 10. = 분류:온양여자중학교 동문 =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42조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415조는 재항고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 분류:마약 카르텔 = = 분류:1966년 야구 = = HOT 군마 640 = HOT 군마 640(ほっとぐんま640)은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영되고 있는 NHK 마에바시 방송국에 유일한 TV 로컬 뉴스 프로그램이다. = = 방송 소개 = = 2012년 4월 2일에 첫방송되어 유일한 NHK 마에바시 방송국에 TV 프로그램으로 도쿄도 NHK 방송 센터의 수도권 네트워크 방송 후 저녁 6시 40분에 20분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마에바시시를 비롯한 군마현 지역의 뉴스와 정보를 전달한다. = = 방송 시간 = = 월 ~ 금 오후 6시 40분 ~ 7시(20분) 18:10부터의 30분간은 계속해 "수도권 네트워크"를 도쿄에서 방송. 공휴일과 겹쳤을 경우는 휴지되어 18:45 - 18:58.55에 도쿄로부터 " 뉴스 645(관동지방·야마나시현 전용)을 방송. 현내 관련의 큰 뉴스가 들어갔을 때의 대응은 미정. 2018년 5월 1일 2일은 평일이었지만 휴지가 되어, "수도권 네트워크"를 18:52까지 확대 넷(실질적으로는 전국 기상 정보 종료의 18:54까지).18:54 -18:58.55에 본 프로그램 휴지 대체의 현내 뉴스·기상 정보를 방송했다(이즈미등은 출연하지 않고, 리포터의 관구가 담당). = 테나세림흰배쥐 = 테나세림흰배쥐(Niviventer tenaster)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분포 지역은 미얀마(테나세림 구릉 지대의 아라칸산맥과 도나산맥, 빌라욱따웅산맥)과 태국(타논 통차이산맥), 캄보디아(카다몸산맥 남단), 라오스, 베트남(안남산맥), 중국(윈난성과 하이난성)이다.CeroPath - Niviventer tenaster Thomas, 1916 종소명과 일반명은 테나세림 구릉 지대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해발 1,000m 이상의 숲 석회암 지대 산악 지역에서 발견된다. = 알렉산드르 보로닌 = 알렉산드르 니키포로비치 보로닌(, 1951년 5월 23일 ~ 1992년 9월 26일)은 소련의 역도 선수였다. 첼랴빈스크에서 태어난 보로닌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플라이급 부문의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러시아-페루 관계 = = 구니타촌 = 구니타촌은 이바라키현 나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나카시 서부, 미토시 북부에 해당한다. = Nostalgia (가넷 크로우의 노래) = Nostlagia는 GARNET CROW의 34번째 싱글이자, 마지막 싱글이다. 2012년 9월 26일 기자 스튜디오에서 발매되었다. 전곡의 작곡은 나카무라 유리, 작사는 아즈키 나나, 편곡은 후루이 히로히토가 맡았다. 싱글은 초회한정반(GZCA - 7168)과 통상반 (GZCA - 4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작 Misty Mystery 발매 이후, 1년 이상의 공백기를 가진 것은 Smiley Nation이래 2번째가 되었다. 또 초회한정반(GZCA - 7168)과 통상반(GZCA - 4136)의 두 가지 형태로의 발매와 자켓과 수록곡이 다른 것은 花は咲いて ただ揺れて (꽃은 피고 그저 흔들려)이후 5싱글 연속 계속되고 있다. 통상반에만 커플링이 1곡 더 추가로 수록되는 것로 Misty Mystery과 같은 구조다. 싱글 Nostlagia에는 타이틀 그대로 가사에 나오지 않는데, 이는 싱글로서는 Mysterious Eyes, 千以上の言葉を並べても...(천 이상의 말을 늘여 놓아도...)에서는 타이틀 제목이 가사에 등장한 반면에, 제목이 가사에 나오지 않은 것은 처음이다. 초회한정반(GZCA-7168)은 Nostalgia Music Clip이 수록된 DVD가 첨부되어있는 대신에, CD에는 3번 트랙 Happy Swallow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통상반(GZCA-4136)의 경우는 3번 트랙 Happy Swallow가 수록되어 있다. 타이틀 곡 Nostalgia는 니혼TV계열 해피 Music 9월의 엔딩 테마로 기용되었으며, 오리콘 차트 최고 순위는 주간 10위를 기록했고, CDTV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3년 GARNET CROW livescope ~Terminus~에서 나카무라 유리의 가넷 크로우 해체 발언을 하면서, Nostalgia는 사실상 마지막 싱글이 되었다. = 토니 호크 = 토니 호크(Tony Hawk, 1968년 5월 12일 ~ )는 미국의 배우 및 스케이트보더이다. 199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제 5회 X게임에 참가하여 공중 900도 회전을 성공하면서 유명해졌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게임제작사 네버소프트에서는 토니 호크와 초상권 계약을 맺고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Tony Hawk's Pro Skater)라는 스케이트보드 게임 시리즈를 제작하기도 했다. = 마에다 가즈야 = 마에다 가즈야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킨다. 마에다 가즈야 (1982년) 마에다 가즈야 (1984년) = 케리건 메이 = 케리건 메이 (Kerrigan May, , 1993년 5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 = 출연 작품 = = = = = 방송 = = = 《선다방》 (2019)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 (2019) 《수퍼비의 랩 학원》 (2019) - Top12 《쇼미더머니 9》 (2020) - 2차 예선 탈락 《드랍더비트》 (2022) - Top48 (42위) = = = 영화 = = = 개봉 연도 제목 배역 2019년 미성년 여고생3 2020년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진태 친구 파트너2 = 분류:인삼 = = 분류:버지니아 군사 학교 동문 = =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각료 = = 엠 (동음이의) = 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엠(M): 로마 문자의 하나 엠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의 단위 중 하나 클로틸드 엠: 프랑스의 배우 = 분류:이란-이스라엘 관계 = = 린나이코리아 = <서비스문의 1544-3651> 1974년 1월 설립한 린나이는 창립 초기 내수 시장 제한 발목에 묶여 어려움을 겪었으나 내수시장 개방에 맞춰 정부의 가스 연료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활황을 맞이했다. 1976년도에는 1공장을 증축하며 사세를 확장해 나갔고 80년대에 이르러서는 연 40%의 매출신장을 기록하면서 가스레인지 분야 M/S 50% 달성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1986년 가스보일러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린나이는 체계화된 서비스와 우수한 기술력으로 업계를 선도해 나갔다. 2017년에는 업계 최초로 가스레인지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였고, 2020년 친환경 보일러가 법제화 되기 이전인 2018년부터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저녹스 보일러를 출시하며 친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계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린나이는 1974년 국내최초로 가스레인지 국산화를 통해 주방문화의 혁신을 이끌었으며 1983년 국내 최초 가스성화대 제작, 1997년 국내 최초 적층형 열교환기 개발, 2003년 세계최초 인터넷제어 보일러 개발, 2011년 국내최초 스마트 보일러 출시, 2017년 업계최초 가스레인지 친환경 인증 획득 등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의 시기를 거쳐왔다. 린나이는 1974년 창립 이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하게 해오고 있다. 특히 2020년부터 시작되어 온 <온세상으로 갑니다>캠페인을 통해 사회 취약계층과 저소득층,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직접 찾아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린나이의 사회공헌 활동은 2023년 상반기만 해도 전국 6개 시도 지역을 대상으로 관공서, 공공기관, NGO단체와 함께 16건의 협약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친환경적 행보도 눈에 띈다. 1974년 석유, 연탄문화에서 조금 더 친환경적인 주방의 가스사용을 선도해 온 린나이는 2017년에는 업계 최초로 가스레인지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여 현재까지도 유일하게 친환경 인증을 유지하고 있고, 2020년 친환경 보일러가 법제화 되기 이전인 2018년부터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저녹스 보일러를 출시하며 친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 = 본점 및 지점 현황 = = 본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577번길 48 (십정동) 제1공장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로29번길 38 (가좌동) 제3공장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로12번길 39 (가좌동) 대구지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47, 1층 (신천동) 서울지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12, 18층 (당산동3가, 코레일유통사옥) 부산지점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538, 6층 (범일동, 신성빌딩) 광주지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 80, 1층 (유동) 대전지점 : 대전광역시 동구 한밭대로 1307, 8층 (용전동, 우성빌딩) = 틀:프리미어리그 2023-24 순위 = READ THIS BEFORE UPDATING: Please do not forget to update the date .AFTER UPDATING: Pages with the template might not be updated immediately so the page can be updated with a WP:NULL on the article in question.CHE 순위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5조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5조는 서류·증거물의 열람·등사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 = 해설 = = = = =피고인의 열람•등사권 = = = 공판조서에 대한 열람•등사권(제55조) 소송계속 중의 관계서류 또는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제35조) 증거개시제도로서의 열람•등사권(제266조의3) 증거보전절차에서 작성•수집된 서류나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제I85조) 공판준비기일에서의 열람•등사권(규칙 제123조의5) = = =변호인의 열람•등사권 = = = 소송계속 중의 관계서류 또는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제35조) 증거개시제도로서의 열람•등사권(제266조의3) 증거보전절차에서 작성•수집된 서류나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제185조) 공판준비기일에서의 열람•등사권(규칙 제123조의5) 공소제기 전 구속영장실질심사와 체포구속적부심사절차에서 수사기록에 대한 열람•등사권(규칙 제96조의21, 제104조의2) = = =검사의 열람 • 등사권 = = = 증거개시제도로서의 열람•등사권(제266조의11) 증거보전절차에서 작성•수집된 서류나 증거물에 대한 열람• 등사권(제185조) 공판준비기일에서의 열람•등사권(규칙 제123조의5) = = =기타의 열람. 등사권 = = = 범죄피해자의 공판기록에 대한 열람•등사권(제294조의4) 국민일반의 재판확정기록에 대한 열람•등사권(제59조의2) 긴급체포 후 석방된 자의 열람•등사권(제200조의4 제5항) 재정신청에 있어서 예외적인 경우의 열람•등사권(제262조의2 단서) = 모듈:In lang = require('strict'); [[ < _ I N _ L A N G > implements Module entry point from another module (in <language>) ]] local function _in_lang (args) local synonym_table = mw.loadData ('Module:Lang/ISO 639 synonyms'); ISO 639-2/639-2T code translation to 639-1 code local list_cats = 'yes' == args['list-cats']; make a boolean local list = {}; local cats = {}; local maint_msgs = {}; if not args[1] then local template = (args['template'] and table.concat ({'{{', args['template'], '}}: '})) or ; make template name (if provided by the template) return table.concat ({'error: ', template, 'missing language tag'}); end local module = 'Module:Lang' .. (mw.getCurrentFrame:getTitle:match ('/sandbox') or ); if this module is the sandbox, local name_from_tag = require (module)._name_from_tag; use Module:Lang/sandbox; Module:Lang else local namespace = mw.title.getCurrentTitle.namespace; used for categorization local this_wiki_lang = mw.language.getContentLanguage.code; get this wiki's language code for i, lang in ipairs (args) do local code = args[i]:lower; local t = {code, ['link'] = args['link'], ['template'] = args['template']}; build an 'args' table lang = name_from_tag (t) get the language name table.insert (list, lang) add this language or error message to the list if not ({['ca-valencia'] = true, ['gsw-fr'] = true, ['pt-br'] = true, ['nl-be'] = true})[code] then except for these exact IETF tags; TODO: a better way/place to do this? code = code:match ('^%a%a%a?%f[^%a]'); strip off region, script, and variant tags so that they aren't used to make category names end if synonym_table[code] then if 639-2/639-2T code has a 639-1 synonym if (0 == namespace) and not list_cats then when listing cats don't include this cat; TODO: right choice? table.insert (cats, table.concat ({'', code ..''})); end table.insert (maint_msgs, ' ') table.insert (maint_msgs, table.concat ({'code: ', code, ' promoted to code: ', synonym_table[code]})); table.insert (maint_msgs, ';'); code = synonym_table[code]; use the synonym end if (0 == namespace) or list_cats then when in article space if lang:find ('[Ee]rror') then add error category (message provided by Module:Lang) if not list_cats then don't include this cat when listing cats; TODO: right choice? table.insert (cats, 'Category:in lang template errors'); end elseif this_wiki_lang ~= code then categorize article only when code is not this wiki's language code elseif lang:match ('%[%[.-%]%]') then wikilinked collective languages name lang = lang:match ('%[%[(.-)%]%]'); end neither of these then plain-text language name if lang:find ('languages') then add appropriate language-name category table.insert (cats, table.concat ({'Category:Articles with sources in ', lang, ' (', code, ')'})); else table.insert (cats, table.concat ({'Category:Articles with ', lang, '-language sources (', code, ')'})); end end end end if list_cats then local cats = table.concat (cats, ', '):gsub ('[%[%]]', ); make a string of categories and then strip wikilink markup return cats end local result = {'('}; opening span and ( table.insert (result, 'yes' == args['cap'] and 'In ' or 'in '); add capitalized or uncapitalized 'in' table.insert (result, mw.text.listToText (list, ', ', (2 < #list) and ', and ' or ' and ' )); and concatenate the language list table.insert (result, ')'); add closing ) and closing span table.insert (result, table.concat (maint_msgs) or ); add maint messages, if any table.insert (result, table.concat (cats)); add categories return table.concat (result); make a big string and done end [[ < I N _ L A N G > implements Module entry point from an ]] local function in_lang (frame) local args = require ('Module:Arguments').getArgs (frame); return _in_lang (args); end [[ < E X P O R T E D F U N C T I O N S > ]] return { in_lang = in_lang, module entry from _in_lang = _in_lang, module entry from another module } = 초점 심도 = 초점 심도(Depth of focus)는 렌즈와 관련된 이미지 평면(카메라의 필름 평면) 배치 허용 오차를 측정하는 렌즈 광학 개념이다. 카메라에서 초점 심도는 카메라 내 필름 변위의 허용 오차를 나타내므로 때때로 "렌즈 대 필름 허용 오차"라고도 한다. = = 초점 심도 vs 피사계 심도 = = 초점 심도라는 표현은 수용 가능한 초점의 렌즈 앞 영역인 피사계 심도(DOF)를 나타내기 위해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초점 심도의 진정한 의미는 렌즈 뒤 영역을 의미한다. 초점이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름면이나 센서가 배치된다. 초점 심도는 약간 다른 두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는 단일 물체 평면이 허용 가능한 선명한 초점을 유지하는 동안 이미지 평면이 변위될 수 있는 거리이다. 두 번째는 피사계 심도의 이미지 측 공액이다. 첫 번째 의미로 깊이는 초점은 이미지 평면에 대해 대칭이다. 두 번째 방식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거리가 대략 동일하지만 초점 깊이는 이미지 평면의 먼 쪽에서 더 크다. 피사계 심도는 미터나 피트와 같은 거시적 단위로 측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초점 심도는 일반적으로 밀리미터의 분수 또는 1/1000인치와 같은 미세한 단위로 측정된다. 피사계 심도를 결정하는 동일한 요소가 초점 심도도 결정하지만 이러한 요소는 피사계 심도와는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리개가 작을수록 피사계 심도와 초점 심도가 모두 증가한다. 멀리 있는 피사체(매크로 범위 너머)의 경우 초점 심도는 고정된 f값에 대해 초점 길이와 피사체 거리에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매크로 영역에서는 초점 거리가 길거나 피사체 거리가 가까울수록 초점 심도가 증가하는 반면 피사계 심도는 감소한다. = = 계산 = = 초점 심도가 물체 공간의 단일 평면과 관련된 경우 다음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총 초점 심도이고 N은 F 값의 렌즈, c는 착각원(착란원), v는 상의 거리, f는 렌즈 초점 거리이다. = = 출처 = = Hart, Douglas C. 1996. The Camera Assistant: A Complete Professional Handbook. Newton, MA: Focal Press. Hummel, Rob (editor). 2001. American Cinematographer Manual, 8th edition. Hollywood: ASC Press. Larmore, Lewis. 1965. Introduction to Photographic Principles. 2nd ed.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Lipson, Stephen G., Ariel Lipson, and Henry Lipson. 2010. Optical Physics. 4th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heduled release October 2010) * Ray, Sidney F. 2000. The geometry of image formation. In The Manual of Photography: Photographic and Digital Imaging, 9th ed. Ed. Ralph E. Jacobson, Sidney F. Ray, Geoffrey G. Atteridge, and Norman R. Axford. Oxford: Focal Press. = 구산 박씨 = 구산 박씨(龜山朴氏)는 경상남도 창원시 구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박천(朴蕆)은 신라 경명왕의 후손으로 고려의 정승과 조선의 영의정을 지냈으며, 대마도 정벌에 공을 세워 구산군(龜山君)에 봉해졌다. = ZARD Forever Best ~25th Anniversary~ = ZARD Forever Best ~25th Anniversary~는 일본의 밴드 ZARD의 다섯 번째 베스트 음반이며, 2016년 2월 10일 발매되었다. (BSCD2: JBCJ-9055~58) ZARD의 데뷔일에 맞춰 발매되었으며, 출시 직후의 기사에서는 B-Gram RECORDS 관계자의 말을 빌려 "본 작품이 마지막 베스트 음반"이라고 확언하고 있다. ZARD의 종합 프로듀서인 나가토 다이코와 데뷔부터 함께해온 테라오 히로시, 이 두 명이 주축이 되어 최종적으로 52곡이 선곡되었다. 이들 곡은 다시 '계절'을 테마로 4장의 CD에 나뉘어 담겼다. = = 수록곡 = = = = = Disc 1 = = = 이 장의 테마는 조춘( )이다. = = = Disc 2 = = = 이 장의 테마는 초하( )이다. = = = Disc 3 = = = 이 장의 테마는 성하( )이다. = = = Disc 4 = = = 이 장의 테마는 추동( )이다. = 분류:1990년대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 1990년대에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작품들에 관한 분류 = 공화국영웅 = 공화국영웅(共和國英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당과 국가에 대하여 위훈을 세우고 대중적 영웅주의와 애국주의를 보여준 자에게 수여되는 최상급의 명예 칭호이다.김일성은 공화국영웅들이 "자기 혼자서 모범을 보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다른 군인들에게 자기의 경험을 가르쳐주며 그들이 자기 임무를 성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고 연설하여 한 개인이 영웅시되는 '영웅주의'라는 어휘 대신 '대중적 영웅주의'라는 집단주의적 어휘로 공화국영웅을 정의내린다. (김일성, <공화국영웅들은 조국해방전쟁에서 세운 불멸의 위훈을 계속 빛내여나가야 한다> 1953. 8. 16 전국전투영웅대회 연설) '공화국 영웅 금별메달'과 국기훈장 제1급, 그리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의의 영웅증서가 함께 수여된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6월 30일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제정됐다. 김일성은 휴전 협정 체결 무렵인 1953년 7월 28일을 포함하여 총 4회를 받아Warren E. Sessler & Paul McDaniel jr. Military and civil award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50p. '4중 공화국영웅'이며, 김정일은 1982년 2월 16일 40회 생일 때 영웅 칭호를 받았다. 초기에는 강건 등 한국 전쟁 전사자들에게 주로 칭호를 수여했으나 점차 범위가 넓어졌다. 백학림은 '2중 공화국영웅'이며 김책, 김용순은 사망 후 추서 받았다. 야세르 아라파트와 같은 외국인이나 마라톤 선수 정성옥도 이 칭호를 받았다. 최다 수훈자는 김일성(1953, 1965, 1969, 1978)과 김정일(1971, 1972, 1982, 2011)로 각각 4회 수훈했으며 3회 수훈자는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해상처장인 김동원(1980, 1995, 1997)이다. 현재까지 공화국영웅을 3회 이상 수훈한 자는 이 3명이 전부이다. = =한국전쟁 중 수여 횟수 = = 조선인민군 : 533회5명의 2중 공화국 영웅 포함. William A. Boik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8 중국 인민해방군 : 10회 = =변천 과정 = = 년도 제조국 재질 패용 방식 1950년 7월 소련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스크류백(Screw-back) 1950년 후반 - 1960년대 소련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스크류백(Screw-back) 1960년대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스크류백(Screw-back) 혹은 핀 백(Pin back) = = 참고자료 = = 《세계일보》 (2004.4.11) 최운섭의 평양 엿보기/ 영웅만들기 성행…주민독려 안간힘 《로동신문》 (2003.8.31) 빛나는 영웅시대 《조선일보》 (2001.7.15) NK리포트/ ‘영웅’들이 너무 많다 김일성, 〈공화국영웅 안동수의 유가족들과 한 담화〉 (1994년 4월 11일) Warren E. Sessler & Paul McDaniel jr. 《Military and civil award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2009 = 심영 (배우) = 심영(沈影, 1910년 9월 3일 ~ 1971년 7월 24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이다. 본명은 심재설(沈載卨)이며, 아오키 진에이는 창씨개명이다. 아버지는 철원군수를 지낸 심완섭(沈琬燮)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심영(沈影)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였다. 고등학교 재학 때 연극에 무명배우로 참여했다가 퇴학당했다가 복학했다. 초기에는 무용수로도 활동했고 무명 단역 연극배우를 전전하다가 1929년부터 연극배우로 이름이 알려졌다. 이후 연극배우로 활동하면서 영화에도 진출하여 영화배우로도 활약하였다. 해방 직후에는 조선영화동맹, 문화전위대 등의 조직에 참여하고 전국 순회공연을 하였다. 주로 대구와 주변 지역에서 순회공연을 하다가, 시민들을 선동한다는 이유로 김두한, 대한민청 등의 표적이 되기도 하였다. 1946년 3월 14일 오후 극작가 박영호의 님 공연을 마치고 귀가하다 광통교에서 김두한이 쏜 총에 맞아 하복부를 관통상당했다. 흔히 고환을 맞았다고 하는데 그것은 드라마 야인시대의 설정이다. 1947년 12월에서 1948년 4월경 사이에 북한으로 월북했다. 월북 이후에는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연기국 연기과장, 조선영화인동맹 위원장, 평양연극영화대학 교수로 활동하였다. 1920년 초반에는 단역 배우로 활동하면서, 잠시 무용수로도 겸업 활동하였다. 1930년대 중반에는 한때 연극배우, 영화배우 생활을 하면서 경성에서 구두수선점을 해방 직전까지 같이 운영하기도 했다. 심영과 비슷한 심장(沈彰)이라는 가명도 사용하였다. = = 생애 = = = = = 초기 생활 = = = 1910년(융희 3년) 9월 3일 강원도 철원군 서변면 관전리 구 철원관아 객사에서 태어난 뒤부터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심영이 서울에서 태어났다고 되어 있으나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경성부 북부 출장소 재동정(현 서울특별시 재동)에 거주했으며, 그의 출생년대에 대해서는 일설에는 1909년생, 1908년생 설도 있다. 보통 1910년생 설을 취하지만, 잡지 삼천리지와의 인터뷰에서는 1936년 당시 만 27세라고 자신을 소개하기도 했다. 1971년 이후로 한국의 인명사전이나 백과사전에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의 집안 족보에는 1910년생으로 수록되었기에, 보통 1910년생 설을 통설로 채택한다. 아버지는 철원군수를 지낸 심완섭(沈琬燮)이고, 어머니는 군수 김병섭의 딸 강릉 김씨이다. 아버지 심완섭은 서자였는데, 할아버지 심상학(沈相學)은 1873년(고종 10년) 문과에 급제해 고종 때 이조참의와 예조참판을 지냈고, 외교관으로도 활동하였다. 증조부 심경택(沈敬澤)은 1833년(순조 33년)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조참판, 도승지,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지냈지만, 할아버지 심상학은 본부인 연안 이씨에게서 자녀가 없었고, 첩에게서 심완섭을 얻었다. 할아버지 심상학은 14촌 형제 심상갑(沈相甲)의 아들 심기섭(沈琦燮)을 양자로 들였다. 의붓 큰아버지 심기섭은 1894년(고종 31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홍릉참봉을 역임했다. 서자 출신이었지만 아버지 심완섭도 품팔이꾼을 하다가 관직에 올라 철원군수를 역임했다. 경성부 북부 출장소 재동정(현 서울특별시 재동)에 집이 있었는데 넓은 단독주택 기와집에서 자랐을 정도로 그의 집은 부유했다. 그의 집에는 다양한 식객이 몰려들었다. 1918년 파리 강화 회의가 열릴 때 그의 집에 머무르던 김철(金徹, 1919년 당시 39세)은 1919년 고종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전라남도 장성군 사람으로 고종의 장례식을 보러 상경한 기산도(奇山度)에게 파리 강화 회의와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선전하고,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지를 돌아다니며 독립운동을 홍보했다가"奇山度 等을 煽動하야", 동아일보 1922년 7월 3일자, 3면 사회면"假金徹은 警察密偵", 동아일보 1922년 8월 26일자, 3면 사회면, 3년만에 발각되어 체포되기도 했다. 1918년 당시, 혹은 김철이 체포된 당시 1922년 8월 무렵의 심영은 이미 만 15세 이상의 나이였을 것으로도 추정된다. 소년 시절 이씨와 결혼했으나 본관과 이름은 알려져있지 않다. 본부인과 사별인지 이혼했는지 여부도 정확하지 않다. 경성제이고보 졸업 후 일본 유학을 다녀온 뒤 이명희와 재혼했는데, 이명희는 1947년 심영이 광교에서 총에 맞고 병원에 입,퇴원할 당시에도 생존해 있었다. 의정부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현재의 경복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경성제이고보에 입학하기 전인 의정부공립보통학교 6학년 때(1922년)에 처음으로 연극 무대에 섰다. = = = 무용과 연극 데뷔 = =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재학 시절 그는 무용에 관심을 가지다가, 결국 1928년에 무명 연극배우로 단편 연극 몇 편에 출연하였는데, 이수일과 심순애(李守一과 沈順愛), 방아타령, 바다여 말하라, 은하에 흐르는 정열 등에도 단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밖에 종로5가 미나도 극장에서 상연된 김자양문(金子洋文) 작 영화 하사(荷事)에도 출연했다. 그러다가 학교에 알려져 학교의 승인 없이 연극 활동과 사회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경성제이고보 일본인 학생지도 교사에 의해 퇴학 처분을 받았고 토월회 연구생으로 입단하면서 연극계에 입문했다. 이후 그는 무명 배우로 단역을 전전하였다. 연극, 무용에도 참여하면서 그는 몇몇 연극에 단역으로 참여하는가 하면 연극발표회에도 참여했지만 수상하지 못했다. 심영은 자신이 배우가 된 동기에 대해 잡지 조광의 한 설문에서 "'배우'는 사람이 아니라는 말을 듣고 말다툼 끝에 배우가 되었다"라고 밝혔다. 잠시 일본에도 건너갔지만 작품 출연도 없고 일거리가 없어 한때 동경 사거리에서 구쯔나오시(구두닦이)를 하기도 했다. 이때 일본으로 건너가기 직전 박제행을 우연히 만났다가 "배우만 되면 크게 인기를 얻을 기회가 생기고 그러면 출세한다"는 조언을 듣고 자극을 받았다고 한다. 그의 첫 작품이나 단역으로 출연했던 작품들은 알려져있지 않다. 다만 출연진 속에 심영의 이름이 나타나는 작품은 1929년 11월 14일부터 11월 16일까지 경성부 조선극장에서 공연한 연극 간난이의 설움이었다. 춘향전에서는 황철이 이몽룡 역을, 심영이 방자 역을 맡았으며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에서는 심영이 주인공 홍도의 남편 역을, 황철이 홍도의 오빠 역을 맡았다. 다시 복학하여 1930년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직후 미국인 무용가 A. C그라운드에게서 무용 지도를 받았고, 그의 딸이 가까이에서 도와주며 1년간 무용 연습을 했지만 그만두고 1931년부터는 영화에도 단역으로 출연하면서 영화배우도 겸하게 되었다. = = = 연극, 영화배우 활동 = = = 이후 극단에 들어가 극단 태양극단(太陽劇團)에 있었고 태양극단의 연출부도 담당하다가, 극단 동경(東京)으로 옮겨가서 활동했다. 연극 인삼(仁三)에서 단역으로 젊은 청년 역을 했으며, 동학 농민 운동을 소재로 한 연극 어둠에서에서 처음 주인공 역을 맡았다. 그는 주인공 역과 악역 등을 번갈아 가면서 맡게 되었다. 1936년 춘향전에서도 방자 역을 맡았고, 삼남 지방 순회공연을 다녀왔다. 1932년 대경영화양행에서 제작한 이수일과 심순애, 신흥프로덕션에서 제작한 방아타령에 참여했다. 1932년 9월 조선영화제작소(朝鮮映畵製作所)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12월 태양극단 소속으로 콜롬비아 레코드 회사의 부탁으로 박제행(朴齊行) 등과 인도의 달이라는 드라마를 촬영해서 비디오로 녹화하였으나 판매금지 조치를 받았다. 1932년 9월 18일 만주사변이 발생하여 그해 말 태양극단은 만주동포 위문공연을 추진하여 그도 만주를 다녀왔다. 1930년대 초 동양극장(東洋劇場)에도 소속되어 있다가 탈퇴하였다. 동양극장에서는 청춘좌(靑春座)라는 곳을 전속 대여받아 그곳에서 연극 촬영을 했다. 또한 일본에 잠깐 체류하면서 구두닦이를 하던 실력으로 구두수선술도 어깨너머로 익혔던 그는 1930년대 초반부터 1936년 무렵까지 연극생활 외에 경성부 종로구의 한청빌딩에 구두수선 가게를 운영하기도 했고, 직원을 고용하였다. 1934년 여름, 경상, 전라, 충청 삼남지방에 수해가 발생하자 그는 수재 의연품으로 의복을 두 번 기증하였는데"三南水災義捐金品", 동아일보 1934년 8월 3일자, 2면 사회면, 의류의 종류나 개수는 확인되지 않는다. 1935년 금강시네마에서 제작한 아름다운 희성, 1936년 청도영화사 제작 바다여 말하라의 주연, 금강시네마의 은하에 흐르는 정열 등에 참여하였다. 1937년 6월 6일 동양극장 출신 송영, 서월영 등의 주도로 극단 중앙무대(中央舞臺)를 설립하자, 여기에 참여하였다. 1938년 8월 1일 잡지 삼천리지 1938년 제10권 8호에서 현대 여성의 악취미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할 때 참여하여, 그는 현대 여성의 악취미로 격에 맞지 않은 양장을 입고, 얼굴에 어울리지 않는 파마를 한 것, 젊은 여자들의 담배 유행병, 길에서 츄잉껌을 씹으며 다니는 것 등을 응답했다. 1938년 11월 함경북도 무산에서 영화 지복만리(福地萬里) 촬영에 출연하였다. = = = 중일전쟁, 태평양전쟁기 활동 = = = 1939년 극단 고협의 대표로 활동하였다. 그해 고협의 함경도 순회공연 중 그는 원산지역 순회공연에 참여했다. 고협을 비롯한 여러 연극 단체들이 조선총독부의 후원으로 친일 연극 단체 조선연극문화협회를 결성했을 때 이 단체의 간부를 맡았는데 고협은 태평양 전쟁 중 임선규의 빙하, 상아탑에서, 송영의 해당화 피는 섬, 김태진의 아름다운 고향 등 친일 연극을 다수 공연했다. 한편 그의 극단에는 한학수 등의 후원자가 있었고, 부인 이명희가 잡지 삼천리지와의 인터뷰에서 고마움을 표하기도 했다. 1941년 8월 1일 조선총독부의 조선영화령으로 영화배우를 등록할 때, 영화배우 명단에 수록되었다. 1941년 9월 촬영하여 1942년 상영한 학도병을 주제로 한 일본영화 그대와 나(君と僕) 촬영에 출연하였다. 1941년 12월 22일 오후 2시 경성부 부민관 중강당에서 열린 조선연극협회의 조직에 참여하고 감사에 선출되었다. 1943년에 친일 선전 영화 망루의 결사대(원제:望樓の決死隊)에 출연하고 이후 몇몇 관변 영화에 참여하면서 그는 친일 연기자로 지목받게 되었다. 1943년 9월 16일부터 12월 26일까지 열린 제2회 연극경연대회(演劇競演大會)에서 일어극 부문 개인 연기상을 수상했고 친일 영화 너와 나, 망루의 결사대에도 출연했다. 이러한 행적으로 인해 2008년에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연극/영화 부문에 선정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는 심영을 문예봉과 함께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대상자 명단에 올렸지만 배우로서 친일반민족행위를 주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하여 기각했다. 1941년에 발매된 가수 박향림의 앨범 걸작집에 수록된 노래 메들리 〈코스모스 탄식, 쓸쓸한 여관방, 흐르는 남끝동〉, 〈요즈음 다방, 맹서 한 토막, 청춘이별〉에서 대사 파트를 담당했다. 1943년 9월 16일부터 12월 26일 경성부 부민관에서 개최된 제2회 연극공연대회에 참가, 1944년 3월 17일 입선상을 수상하였다.每日新報 1944.3.17일자 상격은 개인부문 3등이었다.每日新報 1944.1.29일자 광복 이후 미 군정 시기에 혁명극장 등 좌익 계열 단체 연극동맹에서 활동했다. = = = 피격과 구속 = = = 1945년 9월 심영은 박제행, 박창환, 박춘명, 김양춘, 박영호 등과 함께 혁명극장을 창립하고 극장장이 되어 운영하였으나 몇번의 피습 끝에 극장 문을 닫았다. 해방 이후의 군정기에는 심영이라는 예명 외에 원래 예명과 비슷한 심장(沈彰)이라는 이름도 사용하였다. 김두한이 기억 착오나 혹은 정확하게 기억할 수도 있는 심형일 역시 그의 다른 가명이나 예명일 가능성도 높다. 1946년 3월 초부터 그는 경성부 명치정 국제극장에서 친일이자 좌파 성향의 극작가 박영호의 님의 공연에 출연하였다. 1946년 3월 14일 오후 8시 30분경 극작가 박영호의 님 공연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광통교에서 괴한에게 총을 맞아 중상을 입어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외과 김성진(金晟鎭)외과에 입원했다. 서울신문은 당시 상황을 ‘다리 위 자욱한 안개 속에서 누런 바바리코트와 회색 모자를 쓴 괴한이 나타나 권총을 발사했다’고 묘사했다. 이때 그는 하복부(아랫배 주변)을 관통상되었다. 심영에게 총을 쏜 사람이 정확하게 누구였는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김두한이 1969년 동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심영에게 총을 쐈으며 이후에 백병원을 찾아가 심영을 죽이려고 했지만 심영의 어머니 때문에 마음이 약해져서 그러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김두한이 심영을 ‘심형일’이라고 부르고 있고 극장과 병원 이름이 당시 기사와 모두 일치하지 않아 일부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심영이 피격된 곳은 종로구와 중구의 경계선이었다. 아주 애매한 위치에서 총격당했다. 심영은 이후 1946년 11월 경성부에 민중극장과 극단 민중을 창설하여 원야 (原野), 태백산맥, 별하나 등의 연극을 공연하였다. 1946년 12월 24일 오후 2시 경성 종로 YMCA에서 조선연극동맹 서울지부가 조직되자 허집(許執), 함세덕(咸世德), 한일송(韓一松), 서일성(徐一星), 조현(曺鉉), 황철(黃澈), 김산초(金仙草), 이상백(李象伯), 김선영(金鮮英), 박창환 등과 함께 참석하였다."演盟 서울지부 결성", 자유신문 1946-12-27 2면 7단 1947년에는 연극 원야 (原野)를 상영하였다. 1947년 7월 21일 연극 조직인 문화공작대의 제2대, 3대가 지방 순회공연을 할 때 그는 제4대를 이끌고 경상북도 지역의 대구, 포항, 경주, 안동, 영주, 상주, 김천 지역을 순회 공연하였다."[문화] 文化工作 제2·제4대도 출발", 자유신문 1947-07-21일자, 2단 9면 1947년 7월 26일 문화공작대를 이끌고 대구에서 공연 도중, 총격을 받고 중상을 입어 연극이 중단되었다."대구서도 피습", 자유신문 1947-07-26일자, 2단 7면 1947년 파업 선동 혐의로 미 군정 경찰에 피검되는 등 좌익 극단에 대한 탄압이 계속되자 1947년 12월 말 혹은 1948년 4월 남북협상을 전후로 하여 월북하였다.드라마 야인시대의 영향으로 흔히 심영이 피격 직후 곧바로 월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는 1947년에도 한반도 남부에서 순회 연극공연을 한 바 있다. 그러나 그의 정확한 월북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월북할 당시 황철과 힘을 합쳐서 어려 사람들을 납북했는데 그 중에서 자신이 피습당했을 때 자신을 치료해준 의사인 백인제와 배우 최은희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최은희는 납북당하자마자 바로 탈북했다. = = = 월북 이후 = = = 1948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연기국 연기과장, 조선영화인동맹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8년 4월 19일~4월 30일 평양에서 개최된 제1차 남북협상에는 문화예술인 대표자로 협상을 지지하였다. 1948년 6월 29일의 제2차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에도 참여하였다. 1950년 6월 29일 한국 전쟁 당시 리승엽 및 조선인민군과 함께 서울에 상륙, 영화배우, 연극배우, 탤런트, 가수, 희극인들에게 같이 북한으로 갈 것을 권고하거나 꾀거나 강제로 수십여 명을 데려가기도 했다. 연예인 뿐만 아니라 자신을 치료해 준 의사인 백인제 박사도 데려갔다. 전쟁으로 남북 경계선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으로 대체되면서 실향민이 되었다. 월북 이후의 출연 작품으로는 내고향(1949), 향토를 지키는 사람들(1952), 정찰병(1953), 벗들이여 우리 함께 가자(1960), 두만강(1960), 다시 찾은 이름(1963) 등 출연하였고 1952년 조선연극인동맹 중앙위원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 연극극장 배우, 연극극장장, 1959년 조선연극인동맹 부총장을 맡았다. 1961년 조선영화인동맹 위원장 겸 조선문화예술인총동맹 부위원장을 지냈으며 같은 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화대표단 단장으로 소련을 방문했다.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연기과장과 평양연극영화대학 강좌장을 역임했으며 1957년 공훈배우 칭호, 1964년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다. 1966년부터 평양연극영화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71년 숙청되어 중앙 무대에서 사라졌다. 그의 최후에 대해서는 친일인명사전에는 심영이 1971년 7월 24일 지병으로 사망하였다고 되어 있다. 한편 1971년 숙청되어 평양직할시 인근의 삼석구역 삼신탄광에서 노역을 하다가 1973년 폐결핵으로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고추절단기’를 생산하는 심영산업?, 주간경향 1065호, 2014년 3월 그가 왜 숙청되었는가의 이유는 알려져있지 않다. = = = 사후 = = = 그는 월북 인사였고 한국 전쟁 중 남한의 영화배우, 연극배우, 희극인들을 납치하거나 월북하도록 권고, 속임수를 썼으므로 휴전 후 한동안 금기대상이 되었다가 1971년부터 한국의 인명사전, 백과사전에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심영의 죽음은 탈북자에 의해 1970년대 중반쯤에 알려졌다. 그러나 심영의 사망장소와 사망년도, 사망 날짜에 대한 것은 다소 정확하지 못하다. = = 작품 출연 = = = = = 연극 = = = 《간난이의 설움》(1929) 《춘향전》 (1936) 《빙하》 《상아탑에서》 《해당화 피는 섬》 《아름다운 고향》 《원야 (原野)》(1946) 《태백산맥》(1946) 《별하나》(1946) 《님》(1946) 《원야 (原野)》(1947) = = = 영화 = = = 아름다운 희성 (1935) 바다여 말하라 (1936) 은하에 흐르는 정역 (1936) 지복만리 (1938) 君と僕 (1941) 望樓の決死隊 (1943) 너와 나 내 고향 (1949) 향토를 지키는 사람들 (1952) 정찰병 (1953) 벗들이여 우리 함께 가자 (1960) 두만강 (1960) 다시 찾은 이름 (1963) = = = 드라마 = = = 라디오 드라마, 《인도의 달》 (1932) = = = 기타 = = = 박향림 노래 메들리〈코스모스 탄식, 쓸쓸한 여관방, 흐르는 남끝동〉 박향림 노래 메들리〈요즈음 다방, 맹서 한 토막, 청춘이별〉 = = 기타 = = 1936년 6월 삼천리지와의 인터뷰가 삼천리지 1936년 제8권 6호로 발행되었는데, 그에 의하면 좋아하는 색상은 파란 하늘 색이고, 좋아하는 꽃은 장미 꽃이라 한다. 그는 유행가요는 싫어한다 하지만 인생안내(人生案內)라는 작품의 주제곡은 좋아한다 하였다. 삼천리지, 개벽지 등의 잡지나 언론에 스스로 공개한 취미로는 댄스와 무용, 검도였는데, 1936년 무렵 검도 초단을 취득하였다. 작고 덩치있는 체구였지만 그는 무용과 발레를 할 줄 알았다. 야인시대에서 묘사된 심영은 '고자라니' 패러디로 유명해지면서 디시인사이드를 중심으로 넷상에서 큰 화제가 된 인물이다. = = 수상 경력 = = 1944년 3월 17일 제2회 연극공연대회 수상 = = 가족 관계 = = 증조부 심경택과 할아버지 심상학은 모두 과거 급제자였고 각각 고종 때 증조부 심경택은 판서와 한성부판윤, 할아버지 심상학은 참판(차관급)을 역임했다. 그러나 아버지 심완섭은 서자라서 생애 초반에는 품팔이꾼을 전전하기도 했다. 열조부 : 심건지 고조부 : 심의복(沈宜復,1788년~?) 고조모 : 전주 이씨 이정규(李鼎圭)의 딸 증외고조부친증조할머니의 아버지 : 조이순(1786년~?) 증외고조모친증조할머니의 어머니 : 광산 김씨 증조부: 심경택(沈敬澤, 1809년 ~ 1869년 5월 10일) 증조모: 양주 조씨(1808년 ~ 1877년) * 할아버지: 심상학(沈相學, 1830년 ~ 1890년 5월 18일) * 할머니: 연안 이씨(1847년 ~ 1913년 6월 8일) ** (의붓)큰아버지 심기섭(1878년 ~ 1932년 2월 16일 * 할머니: 이름 미상의 첩 ** 아버지: 심완섭(沈琬燮, 1886년 ~ 1968년 12월 14일) ** 어머니: 강릉 김씨 (1886년 ~ ?), * 16촌 할아버지 : 심상섭 * 외할아버지 : 군수 김병섭(金秉燮) *** 부인: 이씨(李氏) *** 부인: 이명희(李明嬉) = = 등장한 작품 = = 1986년 《북으로 간 여배우》 - 이문수, MBC 텔레비전 드라마 2001년 《동양극장》 - 박철호, KBS 텔레비전 드라마 2003년 《야인시대》, 2013년 《일말의 순정》 - 김영인, SBS 텔레비전 드라마, KBS 텔레비전 드라마 = 분류:스웨덴의 회고록 작가 = = 옹스트롬 = 옹스트롬(, 기호: Å)은 길이의 단위로서 10-10 미터 또는 0.1nm를 나타낸다. 옹스트롬은 원자 하나의 지름과 그 척도가 비슷하여 미시세계를 다룰때 많이 사용하는 단위이다. 옹스트롬은 종종 자연 과학과 과학 기술에서 원자나 분자의 크기, 미생물 구조, 화학결합, 크리스탈의 원자 배열, 전자기 방사선의 파장, 집적회로의 규모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단위는 스웨덴의 물리학자 안데르스 요나스 옹스트룀(1814-1874)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기호는 스웨덴 철자처럼 항상 동그라미 부호와 함께 쓰인다. 기호 이름이 가끔 그 부호가 없는 로마자로 쓰일 때도 공식적 의미로 그 부호를 포함한다. = = 유니코드 문자 = = 호환성의 이유로 유니코드는 의 기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옹스트롬 문자는 에도 대응하고 있다.. 유니코드 컨소시엄은 일반 문자(00C5)의 사용을 권고한다. = 분류:캘거리에서 촬영한 영화 = = White Wishes = 「White Wishes」(화이트 위시스) 9nine의 12번째 싱글이다. 2012년 12월 12일에 SME Records로부터 발매되었다. = = 개요 = = 2012년 4번째・2개월 연속 싱글. 타이틀곡의 타이업은 「Cross Over」로부터 8번 연속. 「少女トラベラー」이후 애니메이션 타이업으로, 테레비도쿄계열 애니메이션 『이웃집 괴물군』 엔딩테마. 「통상판」외에, DVD에 「White Wishes」의 뮤직비디오등이 수록된 『초회생산한정판A』、2012년5월6일에 일본청년관에서 실시된 원맨라이브 『청년관의9nine』의 영상이 수록된 『초회생산한정판B』, 『초회생산한정판C』, 애니메이션과 타이업을 내세운 『기간생산한정판』, 위 5가지 형태로 발매되었다.。차트성적은 전과 마찬가지로 주간차트 TOP10은 놓쳤지만 초동매상은 1.2만장으로 최고기록을 새웠다. = = 수록곡 = = White Wishes [5:20] #: 작사:小林夏海, 작곡:浅利進吾, 편곡:ha-j Romantic Moon [4:35] #: 작사:Nozomi Maezawa, 작곡:Kazao Fuzisawa, 편곡:Hiroaki Yokoyama チクタク☆2NITE (tofubeats remix) White Wishes (Instrumental) Romantic Moon (Instrumental) = = 첫회 특전 = = DVD *# 초회생산한정판A *## 「White Wishes」Music Video *## 「White Wishes」Music Video Making *## 「White Wishes」Dance Shot ver. *# 초회생산한정판B *#* 『9nine원맨라이브“청년관의9nine”@일본청년관대홀/2012.5.6』라이브영상 *#*# Cross Over *#*# #girls *#*# 流星のくちづけ *# 초회생산한정판C *#* 『9nine원맨라이브“청년관의9nine”@일본청년관대홀/2012.5.6』라이브영상 *#*# Fly *#*# オレンジdays *#*# Wonderful World = = 타이업 = = 곡명 타이업 White Wishes 테레비도쿄계열 애니메이션 『이웃집 괴물군』엔딩테마 = 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스포츠 리그 = = 분류:빈 대교구장 = = 그로잉 업 = 그로잉 업(Eskimo Limon)은 이스라엘에서 제작된 보즈 데이비슨 감독의 1978년 코미디, 드라마,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이프타크 카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요람 글로버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프타크 카저 아냇 아츠몬 = = = 조연 = = = 조나단 사갈 자키 노이 드보라 케달 메나쉐 워샤브스키 레이첼 슈타이너 루이스 로젠버그 애비 해다쉬 사비치 골드레이치 아리엘라 라비노비치 = 분류:일본의 제독 = = 분류:21세기 미국의 여성 정치인 = = 분류:1855년 경제 = = 분류:1994년 동계 패럴림픽 = = 김영민 (연출가) = 김영민은 KBS 소속 대한민국의 프로듀서다. 2003년 KBS 우수프로그램 평가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영등포구청 탁트인 영등포 홍보자문단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 작품 목록 = = = = = 지상파, 위성 = = = 작품명 기간 웹사이트 스테이지 W 인 목포 KBS2 2022.11.12 촌스럽게 : in 시크릿 아일랜드 KBS2 2022.01.02.~2022.01.16. STAGE W : MUSIC SHOW 2021.12 ~ 류수영의 동물티비 KBS2 2021.05.01.~2021.07.17. 감성애니 습지를 부탁해 KBS1 2020.12.28.~2021.01.08. myK Awesome Live 2019.02.16.~ KBS WORLDTV / seezn 우리집 상전 20부작 : 2022.09.02 ~ 집사 크루(상전) : 이승훈(오뜨) / 윤지성(베로) / 루다(방구) / 예린(해피) = = = 유튜브 채널 = = = KBS WORLDTV KBS DRAMA 깔깔티비 크큭티비 뭉클티비 인물사전 WE KPOP = = = 기타 = = = 2021 소편한 남자(MC 류수영) 2021 우리집 상전 (류수영의 동물티비 스핀오프) 2003 KBS 1.2TV 스테이션 ID 및 캐릭터 학술논문집 (방송문화연구 : 2017년 제29권 2호, 제30권 1호,2호) = 유어초등학교 회룡분교 = 유어초등학교 회룡분교는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대대길 8 (대대리)에 있었던 분교이다. = = 연혁 = = 1946.10.01 회룡공립국민학교로 개교(인가 9월 1일) 1959.11.21 신축 교사로 이전 1988.03.15 병설유치원 개원 1994.03.01 유어국민학교 회룡분교장 1996.03.01 유어초등학교 회룡분교장 1997.03.01 본교로 통합 = 아담 도나치 = 아담 마이클 도나치(Adam Michael Donachie, 1984년 3월 3일 ~ )는 전 메이저 리그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야구 선수이자, 전 KBO 리그 화성 히어로즈의 배터리 코치이다. = = 선수 시절 = = = = = 미국 프로야구 시절 = = = 2002년에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입단하였다. = = 야구 선수 은퇴 후 = = 2016년에 화성 히어로즈의 배터리 코치로 활동했다. = 분류:K4리그의 외국인 축구 선수 = = 분류:선무공신 = = 하남도 (고려) = 하남도(河南道)는 고려 시대에 존재했던 한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다. = 분류:7세기 한국 = = 잔디 코트 = 잔디 코트는 테니스 코트의 네 가지 종류 중 하나이다. 잔디 코트는 잔디의 종류 중 하나인 라이 그라스(Rye Grass)로 만들어지며, 대회마다 혼용율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잔디 코트 대회인 윔블던의 경우 100% 라이그라스만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조성된 코트는 런던의 퀸즈 클럽이나 네덜란드 's-Hertogenbosch의 잔디 코트보다 느리다. 잔디 코트는 다른 코트 재질에 비해 좀 더 품격이 있게 느껴지기는 하지만 잔디 관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매년 추가 파종을 해주어야하며, 비로 인해 잔디가 미끄러워질 경우 하루 정도 사용을 쉬어야만 한다. 현재 잔디 코트는 영국 잉글랜드 지방에 가장 많다. = =플레이상의 특징 = = 잔디 코트는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공이 잘 미끄러지고 낮게 바운드되며 무릎 높이 이상으로 튀는 일이 거의 없다. 바운드된 이후에도 공의 속도가 거의 줄어들지 않으며 불규칙 바운드도 많다. 바운드가 낮고 빨라 따라잡기 어려우므로 랠리가 다른 재질의 코트에 비해 짧아지며 공격적인 플레이가 유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잔디 코트에서는 서브를 넣는 쪽이 매우 유리하며, 서브 게임을 잃지 않는 것이 승리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잔디 코트에서는 서브 앤 발리를 구사하는 공격적인 스타일의 선수가 좋은 성적을 내는 경우가 많다. = =잔디 코트에서 열리는 프로 대회 = = = = =그랜드 슬램 = = = 윔블던 (런던, 영국) = = =ATP = = = Artois Championship (런던, 퀸즈 클럽(Queen's Club), 영국) 게리 웨버 오픈(Gerry Weber Open) (Halle, North Rhine-Westphalia, 독일) Ordina Open ('s-Hertogenbosch, 네덜란드) 노팅엄 오픈(Nottingham Open) (노팅엄, 영국) - 2009년부터 중단되며 이스트본 대회(Eastbourne event)로 대체될 예정임 Campbell's Hall of Fame Tennis Championships (Newport, Rhode Island, 미국) = = =WTA = = = AEGON Classic (Edgbaston, 버밍엄, 영국) AEGON International (Eastbourne, 잉글랜드, 영국) Ordina Open ('s-Hertogenbosch, 네덜란드) = 이경운 (축구 선수) = 이경운(2002년 11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K3리그의 울산시민축구단 소속이다. = 해적방송 = 해적방송(海賊放送)은 정식 방송 면허를 가지지 않고 방송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배에 송신기를 달아서 공해상에서 방송을 하는 행위도 여기에 포함된다. 해적방송 중에서 방송 단체나 송신소의 소재지를 위장하고 있는 것을 지하방송이라고도 부른다. 적대시하는 지역, 국가의 반체제파를 가장해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선전한다. 전쟁에서 항공기를 통한 방송을 실시해, 적병에게 투항을 재촉하는 선전 방송도 있다. = 분류:1894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분류:테아타투 AFC = = 더 나일 힐튼 인시던트 = 더 나일 힐튼 인시던트(The Nile Hilton Incident)는 덴마크에서 제작된 타릭 살레 감독의 2017년 스릴러,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타레크 압달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타레크 압달라 야세르 알리 마헬 = = = 조연 = = = 나엘 알리 하니아 아마르 슬리만 다지 게르 두아니 페레스 파레스 히쳄 야코우비 = = 제작진 = = 미술: 로저 로젠버그 의상: 루이제 니센 = 틀:토막글/그림/에티오피아 = 틀:토막글/그림/아프리카 틀:토막글/그림/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 뗏목말과 = 뗏목말과 또는 때목말과(Scenedesmaceae)는 녹조강 스파이로플레아목에 속하는 녹조류과의 하나이다. 43속 29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뗏목말(Scenedesmus acuminatus) 등을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속 = = Acutodesmus Asterarcys Astrocladium Bilgramia Chodatodesmus Closteriococcus Coelastrella Coelastropsis Coelastrum Comasiella Crucigeniopsis Danubia Desmodesmus 쌍둥이공말속 (Dimorphococcus) Enallax Gilbertsmithia Gloeoactinium Hariotina Hofmania Hylodesmus Komarekia Lauterborniella Neodesmus Pectinodesmus Pseudodidymocystis Pseudotetrastrum 뗏목말속 (Scenedesmus) Schistochilium Schmidledesmus Schroederiella Soropediastrum Staurogenia Steinedesmus Suxenella Tetradesmus 고리말속 (Tetrallantos) Tetranephris Tetrastrum Truncatulus Verrucodesmus Westella Westellopsis Willea = 레 현종 (27대) = 레 현종(, 1717년 5월 20일(음력 4월 10일)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속편(續編) 권1 - 유종화황제(裕宗和皇帝) - 빈틴(永盛) 13년 4월 기사 ~ 1786년 8월 10일(음력 7월 17일))은 대월 후 레 왕조의 제27대 황제(재위: 1740년 ~ 1786년)이다. 성명은 레 주이 지에우대월사기전서,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 또는 레 주이 도안청실록, 청사고·월남전(越南傳)이다. 레 순종의 아들이자 레 의종의 조카이다. 절일은 청화성절(淸和聖節)이다. = = 생애 = = 1735년 부황이 사망하자 장자의 신분이였으니 뒤를 이어 즉위해야 했지만 정왕태비 무씨(武氏)의 압력에 의해 정주의 왕 정장이 여유조의 즉위를 취소하고 순종의 동생이자 여유조에겐 숙부인 여유신(의종)을 황제로 옹립한다. 5년 후에야 숙부 의종이 양위하여 황제로 즉위한다. 즉위 이후 정왕의 허수아비 노릇을 했기에 별 다른 행적은 없지만 재위 말기에 베트남 역사상 최대 농민 규모인 떠이선 농민 운동이 일어나 광남국과 찐씨 정권이 축출당한다. 찐씨가 축출당하자 외형상 현종은 친정을 시도했지만 며칠 후 사망한다. 재위기간은 가장 길었으나 오랫동안 실권을 잡지 못했으며 그의 치세동안 정영, 정삼, 정종이 실권을 잡고 대신 통치했다. = = = 서산 농민 봉기 = = = 경흥(景興)현종의 연호. 46년 명목상 제후국인 광남국에서 완악이 농민봉기를 일으킨다. 자세한 것은 떠이선 농민 운동과 광중제 항목 참조, 애초 실권이 없어 중립을 유지했고 떠이선 세력의 완혜(광중제)가 정씨를 축출하자 그를 정왕처럼 대우했으며 공주와 혼인시킨다. 명목상으론 정씨가 없어지니 레 왕조가 서서히 힘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 = 사망 = = = 찐씨가 축출되고 완혜를 대면한 후, 명목상 실권을 잡은지 며칠만에 사망한다. 대월사기전서엔 현종의 사인을 단순 병사라고 하나 청사고 월남전엔 현종이 농민봉기로 놀라고 두려워한 나머지 죽게 된 것이라고 적혀있다. 시신은 반석릉(磐石陵)에 매장되었다. = = 기타 = = 승려 원소(元紹)월남불교 원소선파의 시조.에게 행단(行端)시호를 내렸으며, 그의 손자 민제는 완복영이 서산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이 왕조를 건국하자 가경제의 배려로 유해가 본국으로 송환되어 반석릉 아래에 매장되었다. = = 연도별 기록 = = 영우永佑. 의종의 연호. 6년 (1740년 6월 14일) 즉위하고 연호를 경흥(景興)으로 개원하다. 경흥 46년 (1785년) 신하들이 존호 '연의흠공인자덕수황제'를 올리다 경흥 46년 (1785년 9월) 광남국에서 봉기가 일어나다. 경흥 47년 (1786년 7월) 완혜를 원수부정익운위국공(元帥扶正翊運威國公)으로 책봉하다. 경흥 47년 (1786년 8월 10일) 황제가 만수전(萬壽殿)에서 죽다. = = 가계 = = = = = 후비 = = = 정순황태후(Tông Thuần Hoàng thái hậu/貞順皇太后) 진씨(Trần Thị/陳氏) - 원래는 황후에서 폐위 되었으나 민제 즉위 후에 복원되어 황태후로 추존됨. 소의(昭儀) 응우옌 티 후옌(Nguyễn Thị Huyền/阮氏玄/완씨현) 소의(昭儀) 응우옌 티 디에우(Nguyễn Thị Điều/阮氏綢/완씨주) = = = 황자 = = = 안정황태자(An Định Hoàng Thái tử/安定皇太子) 레 주이 비(Lê Duy Vĩ/黎維禕/여유의) - 민제(愍帝)의 아버지. 숭양공(Sùng Nhượng Công/崇讓公) 레 주이 껀(Lê Duy Mật/黎維/여유근) 황자 레 주이 호안(Lê Duy Hoán/黎維𬓋/여유) (1759년 ~ 1817년) - 응우옌 왕조 건국 후, 연사공(延嗣公)으로 봉하여 레 왕조의 제사를 받듬. = = = 황녀 = = = 공주(公主) 여씨(Lê thị/黎氏) - 찐끄엉(鄭棡)의 아들 찐미엔(鄭𣏜)의 부인. 공주(公主) 레 티 응옥한(Lê thị Ngọc Hân/黎氏玉昕/여씨옥흔) (1770년 ~ 1799년) - 응우옌후에(阮惠)의 황후. 공주(公主) 레 티 응옥빈(Lê Thị Ngọc Bình/黎氏玉評/여씨옥평) (1785년 ~ 1810년) - 응우옌꽝또안(阮光纘)의 황후이자 자롱 황제(嘉隆帝)의 후궁. = = 기년 = = 기년 현종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력(西曆) 1740년 1741년 1742년 1743년 1744년 1745년 1746년 1747년 1748년 1749년 간지(干支)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연호(年號) 경흥(景興)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현종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서력(西曆) 1750년 1751년 1752년 1753년 1754년 1755년 1756년 1757년 1758년 1759년 간지(干支)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연호(年號)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현종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서력(西曆) 1760년 1761년 1762년 1763년 1764년 1765년 1766년 1767년 1768년 1769년 간지(干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연호(年號)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현종 31년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 39년 40년 서력(西曆) 1770년 1771년 1772년 1773년 1774년 1775년 1776년 1777년 1778년 1779년 간지(干支)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연호(年號) 31년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 39년 40년 현종 41년 42년 43년 44년 45년 46년 47년 서력(西曆) 1780년 1781년 1782년 1783년 1784년 1785년 1786년 간지(干支)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유(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병오(丙午) 연호(年號) 41년 42년 43년 44년 45년 46년 47년 = 아쿠아스토리 = 아쿠아스토리는 위메이드플레이가 만든 물고기 키우기 게임이다. 2014년 7월 29일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출시되었으며 네이버 아쿠아스토리는 2016년 3월 12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016년 6월 2일에 낚시가 가능한 시즌2로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었다. = = 게임플레이 = = 레벨을 올릴려면 물고기를 키워서 사료와 애정 수확을 해야 한다. 하트를 모으려면 물고기 재능을 터치한 후 낭만 뒤에 있는 선택하기를 터치하여 교육 보내기를 터치하면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고급 물고기를 키우려면 수 많은 골드, 하트, 캐럿을 모아 구입이 가능하다. 2017년 기준 레벨은 최대 레벨 85까지 올릴 수 있다. 물고기 나이 5살 이상이 되면 진화가 가능한데, 황금, 말하는, 말하는 황금, 변종 이렇게 4가지로 진화를 시킬 수 있다. 모든 물고기 진화체를 다 채우면 도감을 완성시킬 수 있다. = = 수조 목록 = = 일반 수조, 테마 수조, 낚시 수조로 구성된다. 물고기를 넣을 수 있는 어항은 최대 10마리까지 넣을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하면 최대 11마리식, 총 4번 업그레이드하면 최대 15마리까지 넣을 수 있다. 일반 수조: 일반 수조는 8개의 수조가 존재한다. 1번 수조부터 8번 수조까지 있고 일반 물고기나 VIP 포인트를 모아 VIP 카드를 터치해 물고기만 넣을 수 있다. 테마 수조: 테마 수조는 7개의 수조가 존재한다. 심해 수조, 대형 수조, 토이 수조, 산호 수조, 빙하 수조, 토종 수조, 퍼즐 수조가 존재한다. 물음표에는 마지막 신규 수조가 생길 예정이다. 낚시 수조: 낚시 수조는 2개의 수조가 존재한다. 심연의 바다와 여신의 바다는 총 3층으로 구성된다. = 쿄토 제국대학 = = 2008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 제5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2008년 9월 4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BEST EXiS AWARD = = = 아, 자유! - 벤 리버스 수상 = = = EXiS AWARD = = = 포크송 - 리앤 에릭슨 수상 = = = KOREAN EXiS AWARD = = = 에덴 - 김혜원 수상 = = = 후지상 = = = 숨 - 장민용 수상 = = = 엑스-나우 = = = 숨 - 장민용 설탕 발림 필름 - 서원태 원 마인드 - 정지나 스틸 라이트 - 제프 윈치 삭사포야 - 크리스티나 본 그레베 곡예사 - 크리스 케네디 나이트스틸 - 엘케 그륀 딥 식스 - 사미 반 잉엔 물러서시오! - Stadtmusik 나르크 - 미리엄 베셋 빨주노초파남보 - 홍지현 매크로 드로잉 - 주재형 LlIiGgHhTt - 박찬호 크로니콘 - 미셸 파블로 사이의 영역 - 마르틴 반 보벤 불안한 마음 - 치웬 로 일,휴식,그리고 놀이 - 피플 라이크 어스 켄터키 블루스 - 김학순 쇼핑 - 세바스티앙 모르 900미터 아래 - 에멜리 칼손 그라스 포크송 - 리앤 에릭슨 위대한 타자들 - 조혜정 아, 자유 - 벤 리버스 ‘그’를 찾아서 - 정윤석 락 - 쿠르트 드 헤슬레 살아있는 대지 - 조나단 프랑코 아니한덛 - 이종신 래나코스타블르 - 오렐리 패드롬 픽스 - 야스토 유우라 오하루의 일생을 보다 - 황선숙 정원/가꾸기 - 에리코 소노다 서울 극장 - 임미랑 초봄에 우울해지다 - 김해민 '특별한'주거지 - 최규완 넘버나인 - 거도 반 데어 베르베 아둔한 - 지크프리트 프뤼하우프 현기증 - 요한 루어프 부드러운 - 얀 베르트랑 외 1명 앙리트 - 미하이 그레쿠 경계의 저편 - 슈테판 리히터 에덴 - 김혜원 님프 - 켄 제이콥스 또 하나의 소실점 - 변재규 의식의 관통 - 아론 먼슨 트란스팔루미네이션 연군 - 피터 로즈 대장장이의 모루대 - 미키오 사이토 외 1명 이것은 닻이 아니다, 이배는 닻이 아니다 - 마리아나 밀로라 빅밴드 프로젝트 - 다니엘 칼보 신체교육 - 안드레스 테누사르 바아씨 - 클레멘스 코글러 인생을 담는 조이트로프 - 마크 사이먼 휴이스 = = = 엑스-초이스 = = = 해피엔딩 - 박지훈 토니 콘래드, 꿈의 미니멀 리스트 - 마리 로시에 반달 게임 - 박병래 유년의 샘 - 존 카니자로 수준 없는 사람 - 라스 아르헤니우스 LIQST_액체 상태 - 아나벨라 코스타 타일 메일 - 게르규 소모지바리 외 1명 치유하기 힘든 마음을 위한 찬가 - 에밀리 베이듀크 외 1명 취한 - 마리안네 토이니센 애니 로이드 - 세실리아 콘디트 왜곡된 영역 - 마누엘 크납 df/dx - 토머스 핼먼 가을 - 샌드라 파워스 외 1명 플라잉 소시 - 마리 로지에 VOC/VIP: 네덜란드 체험! - 아르노 쾨넨 외 1명 홍등가 그래피티 - 가스키 히라오카 창 너머 푸른 하늘 - 조던 래리 노 데미지 - 가스파 슈트라케 큐브릭 공간 - 사크파 스트라케 S.I.T.E - 빠블로 올로프스키 클로디아와 폴 - 헬리 기즈다 최종 목적지 - 필립 비트만 캐치44 - 백남준 생명의 빛 - 스탠 브래키지 인푼데 루멘 코르디부스 - 브루스 엘더 플리커 - 토니 콘라드 One 11과 103 - 존 케이지 외 1명 존 케이지, 제임스 조이스를 공연하다 - 타카히코 이이무라 마르셀 뒤샹과 존 케이지 - 시게코 쿠보타 존 케니지에 대한 헌정 - 백남준 이탈리안 노트북 - 요나스 메카스 서스펜션 - 니콜라 프로보스트 = = = 엑스-레트로 = = = 케이크와 스테이크 - 에비게일 차일드 미래는 당신 뒤에 있다 - 에비게일 차일드 서프 앤드 터프 - 에비게일 차일드 서문들 - 에비게일 차일드 B/Side - 에비게일 차일드 위기 - 에비게일 차일드 어두워 어두워 - 에비게일 차일드 표면 소음 - 에비게일 차일드 자비 - 에비게일 차일드 은밀한 행동 - 에비게일 차일드 거울 세상 - 에비게일 차일드 기우제(레인댄스) - 헬렌 힐 배 - 헬렌 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시장 - 헬렌 힐 스크래치와 울음 - 헬렌 힐 사랑의 터널 - 헬렌 힐 너의 새끼돼지가 기다리고 있어 - 헬렌 힐 로지를 위한 영화 - 헬렌 힐 윙어부인 영화를 만들다 - 헬렌 힐 쥐구멍들 - 헬렌 힐 보헤미아 타운 - 헬렌 힐 플로리스틴 콜렉션 - 헬렌 힐 발 밑에 - 알렉스 맥킨지 케이크 좀 먹지 - 헬렌 브렌딘 홀리브 각오하다 - 실로엔 데일리 V=d/t - 에이미 록하트 인어와 피클 - 트릭시 스윗비틀즈 네가지 토론토 영화 - 닉키 해믈린 = = = 엑스-인 = = = 이디오피아 프로젝트 - 김계중 루프 더 루프- 차이와 반복 - 김연정 유리 운동 2001~2004 - 허욱 반란 - 에비게일 차일드 = = = 인디 비주얼 = = = 모헨죠다로 - 고창수 손은 태양을 등지고 - 고창수 어떤 가을날 - 고창수 햇빛 속의 손 - 고창수 샤먼의 환상 - 고창수 렌즈를 통하여 어둡게 - 고창수 천체 관측 - 진 리오타 과학자의 10가지 가장 아름다운 실험 #10 - 진 리오타 과학자의 10가지 가장 아름다운 실험 #2 갈릴레오 - 진 리오타 언젠가 이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 진 리오타 오니즈카를 위한 하이쿠 - 진 리오타 월식 - 진 리오타 낮과 밤을 만드는 것 - 진 리오타 묵티카라 - 진 리오타 우리 인간이 영원히 오류를 범하는 것 - 진 리오타 창 - 진 리오타 마법의 땅 - 진 리오타 좋은 친구 - 제이 로젠블라트 기도 - 제이 로젠블라트 나는 한 때 필름메이커였다 - 제이 로젠블라트 너무 좋아해 - 제이 로젠블라트 나는야 찰리 채플린 - 제이 로젠블라트 환각 사지 - 제이 로젠블라트 난 단지 의미 있는 사람이고 싶다 - 제이 로젠블라트 9개의 생 : 지금이라는 영원한 순간 - 제이 로젠블라트 벌레 - 제이 로젠블라트 금지 가쁜 숨 인간의 잔재 유대인의 왕 불타는 개미 냄새 = = = 랩 프로그램 = = = 해빙 - 샤나 맥도널드 펄션 - 이자벨라 프루스카 올덴오프 무제 - 댄 브라운 주름펴기...나방이 고치에서 나올 때 - 타일러 타카치 씨: 원 아이드 제일 - 켈리 이건 죽음 파트 - 세바스찬 헨릭슨 소리 없이 끈기 있는 거미 - 앤드류 르녹스 신체를 가로지르는 - 새라 맥클린 벽 이면과 계단 아래에서 - 크리스티나 배틀 은총으로 - 조슈아 보네타 천국이 있다면, 우리 엄마는 꼭 가게 될거야 - 켈리 이건 수호천사 - 마이클 스탠리 유한성 - 세바스찬 헨릭슨 랩무비 - 세바스찬 헨릭슨 유령, 그리고 자갈로 된 길 - 마이크 롤로 빛의 움직임 - 칼 르미외 불안정한 고리 - 줄리앙 이드락 피노체트의 여인들 - 에두아르도 멘스 페이퍼 노틸러스 - 앰버 굿윈 서부에서의 그을림 - 칼 르미외 두 갈래 길이 있는 정원 - 말레나 슬램 유물 - 스티븐 레이도우스 비록 그녀가 아무 말 하지 않았어도, 이곳이 그녀의 목소리가 자리하던 곳이라네 - 린제이 맥킨타이어 소동 - 에두아르도 멘즈 무제 - 루치아 페주오글리오 롤라 - 마이크 롤로 시차 - 마이크 롤로 떠오르는 모든 것 - 다이치 사이토 호프 레코딩 디스크 - 정지나 외출 - 홍수경 과거의 사람들 - 이두나 오토바이 - 이원우 교미기 - 장은주 더스트 - 채훈정 쿡 - 이채민 새 - 김은정 남희의 노래 - 서유리 나는 본다 - 홍수경 대안적 연대기 - 조혜정 = 분류:언주중학교 동문 = = 분류:알타이 변경주 출신 = =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慶州 孝峴洞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6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탑이 세워진 이 터는 신라 법흥왕이 죽기 전까지 승려로서 불도를 닦았다는 애공사(哀公寺)가 있었던 곳이라 전해오기도 하지만 주변이 논밭으로 변하여 사찰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사방 네 면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탑신에 비해 과중한 비율을 보이고 있어 무거운 느낌을 준다. 탑신(塔身)은 각 층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고, 지붕돌은 하늘을 향해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어 경쾌한 곡선을 이룬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이 4단으로 되어있고 각 부분의 조각이 가늘고 약하게 나타나 있어 9세기 무렵 통일신라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 = 사진 = = Three-story Stone Pagoda at Hyohyeon-dong in Gyeongju, Korea 02.jpg = 웨스틀랜드 = 웨스틀랜드는 다음을 의미한다. 웨스틀랜드 (미시간주) 웨스틀랜드 (버지니아주) = MBZ = MBZ, mbz, MbZ는 다음을 의미한다.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Mohammed bin Zayed Al Nahyan) 메벤다졸(mebendazole) = 인디아나 존스 (동음이의) = 인디아나 존스는 미국의 영화 프랜차이즈이다. 인디아나 존스는 다음 뜻도 있다. 인디아나 존스 (등장인물) (박사 헨리 존스 주니어): 시리즈의 주인공 《인디아나 존스 (영화)》: 1984년 개봉한 두 번째 본편 영화. 원제 《인디아나 존스와 종말의 사원》() 《인디아나 존스: 더 핀볼 어드벤처》: 1993년 핀볼 기계 = 로알드 = 로알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로알드 호프만: 폴란드 제2공화국에서 태어난 미국의 화학자 로알드 달: 영국의 소설가 = 샤흐리잣 압둘 잘릴 = 샤흐리잣 압둘 잘릴은 말레이시아의 여성 정치인으로 前 여성가족지역사회개발부(이하 여성부) 장관을 지냈다. 과거 13년간 름바흐판타이 지역의 국회의원 및 상원의원을 지냈다. 2011년부터 2012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그녀와 가족들이 국립 가축사업 기업의 공금을 유용한 사실이 밝혀져 큰 논쟁이 되었으며, 이 일로 상원의원직 및 여성부 장관직을 사임하였다.Shahrizat To Step Down As Minister Of Women, Family And Community Development, 버르나마, 2012년 3월 11일 2012년 5월 반부패위원회(MACC)에 의해 그녀가 국립 가축사업 기업과 했던 혐의가 벗겨졌다. 현재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과 국민전선(BN)의 여성의장이다. 모하마드 살레흐 이스마일과 결혼했으며 슬하 3명의 아이를 두고 있다. = 해주 석씨 = 해주 석씨(海州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석성(石星)은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에 원병을 파견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명나라 국운이 쇠하여진 책임을 지고 투옥(投獄)되자, 그의 아들 석담(石潭)이 조선으로 망명하였다. = = 역사 = = 시조(始祖) 석성(石星)은 명나라 위군(魏郡) 동명(東明) 사람으로, 1559년(가정 38년) 진사(進士)가 되고, 이과급사중(吏科給事中)에 발탁되었으며, 신종(神宗) 때 호부(戶部)와 공부(工部)의 상서(尙書)를 지내고, 병부 상서(兵部尙書)에 이르렀다. 1584년(신종 12년) 종계변무에 힘써 성공시켰으며, 임진왜란 때 조정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에 원병(援兵)을 파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해주석씨족보(海州石氏族譜)에 따르면, 석성의 계부인(繼夫人) 류씨(柳氏)는 남경 호부시랑(戶部侍郞)의 딸로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곤란을 당하던 중 조선의 역관(譯官) 홍순언의 구호를 받은 바 있어, 그 보은의 뜻으로 조선의 종계변무와 임진왜란 때의 원병을 지원하게 하는데 숨은 공적이 컸다고 한다. 그 후 명나라 신종(神宗)은 사신(使臣) 심유경을 조선에 보내 왜군과의 화의(和議)를 추진했으나 실패하자, 막대한 군비 조달로 국운이 쇠하여진 책임을 석성(石星)에게 물어 투옥시켰다. 석성의 옥중(獄中) 유언에 따라 그의 아들 중 차남 석천(石洊)은 1597년(만력 25년, 조선 선조 30년) 배를 타고 요동과 호남을 거쳐 동래하여 가야산(伽倻山) 남쪽 군성산(君聖山) 아래 성주 대명동(星州大明洞)에 정착하면서 성주 석씨(星州石氏)가 되었고, 장남 석담(石潭)은 유배지에서 풀려나와 어머니 류씨(柳氏)를 모시고 해주(海州)에 이르자 왕(王)이 수양군(首陽君)에 봉하고 수양산 아래의 땅을 식읍으로 하사하여 해주(海州)로 사적(賜籍)하였다. 그 후 석담(石潭)의 작은 아들 석귀당(石貴棠)과 손자 석난(石亂 : 귀실의 아들)이 청나라 사람을 피하여 산음현(山陰縣) 모호리(毛好里 :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평촌리 추내동)에 이거(移居)하여 세계를 이어왔다.네이버 지식백과 = = 항렬자 = = 12世 13世 14世 15世 16世 17世 상(尙) 종(宗) 장(章) 봉(鳳) 상(相) 희(熙) = = 집성촌 = =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경상남도 함양군 *1985년 580가구 2,664명 *2000년 270가구 942명 = 아케메네스 = 아케메네스( ; ; )는 페르시아 제국을 통치한 아케메네스 왕조의 공통 조상이다. 그가 아케메네스 왕조의 공통 조상이라는 것 외에는 그의 삶에 대해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지 않다. 아케메네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만 알려진 실존하지 않는 전설적 존재일 수도 있고, 역사에 존재하는 인물이라면 그는 기원전 8세기 후반과 기원전 7세기 초반에 살았을 것이다.. = = 이름 = = 유럽에서 쓰이는 명칭인 '아케메네스'( , )는 고대 페르시아어 , 엘람어 Hâkamannuiš, 그리고 베히스툰 비문에 표시된 아카드어 Aḫamaniišʾ에서 유래한다. 그의 고대 페르시아어 이름은 전통적으로 '친구'라는 뜻의 와 '생각하는 힘'이라는 뜻의 으로부터 유래되어 '친구의 마음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최근의 해석은 를 '추종자, 지지자'로 해석하며 '추종자들의 영혼이 깃든 사람'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현대 페르시아어로는 (Haxâmaneš)로 쓰인다. = = 일생에 대한 기록 = = 베히스툰 비문(기원전 490년)에서 다리우스 1세는 아케네메스를 테이스페스의 아버지와 키루스 2세(키루스 대제)와 다리우스 1세의 선조로 묘사한다. 기원전 5세기 중반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베히스툰 비문과 비슷한 내용을 다루지만, 키루스 2세와 다리우스 1세를 합쳐서 설명한다. 원시적 자료들과 역사적 기록에서는 그에 대한 짧은 설명만 나오며, 그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진 정보는 거이 없다. 아케메네스는 역사에 실존하는 인물이 아닌, 신화적인 공통 조상 일수도 있다.Bourke, Stephen (ed.) The Middle East: The Cradle of Civilization Revealed p. 216 많은 학자들은 그가 메디아 제국의 속국이였던 파르수아의 군주였으며, 아케메네스는 그곳에서 기원전 681년 군대를 이끌고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립에 대항했다고 생각한다. = = = 베히스툰 비문 = = = 베히스툰 비문의 아케메네스에 대한 기록은 다리우스 1세가 자신의 왕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든 허구일 가능성이 있다. 키루스 2세는 키루스 원통의 상세한 계보에 아케메네스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아케메네스의 후견인(haxāmanišiya)은 키루스 2세의 죽음 이후 다리우스 1세에 의해 건설된 파사르가다에에 언급된다.Bruce Lincoln. Religion, empire, and torture: the case of Achaemenian Persia, 2007,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age 4–5 이처럼 아케네메스는 다리우스 1세가 키루스 2세와의 왕조적 관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든 허구의 인물일지도 모른다. 다리우스 1세는 키루스 2세와의 연관성을 주장할 수 있는 공통 조상이 필요했고, 키루스의 딸 아토사와의 후속 결혼을 통해 더 강하게 연관시켰다. = = = 그리스 작가들 = = = 고대 그리스의 작가들은 아카메네스를 둘러싼 여러 전설들을 만들었다.. 기원전 4세기 후반에 플라톤이 쓰였다고 알려진 알키비아데스 1(120e)는 그리스가 헤라클레스에서 기원되었다는 전설과 같이 아케메네스를 페르시아의 영웅적 창시자로 묘사하며, 아케메네스와 헤라클레스를 제우스의 아들인 페르세우스의 아들로 설명한다. 이 이야기의 다른 버전은 아케메네스를 아이게우스의 아들로 설명하며 위 페르시아의 영웅적 창시자로 묘사한다. =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 = 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Club Universitario de Deportes) 또는 우니베르시타리오(Universitario)는 페루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으로, 페루의 수도 리마를 연고로 하고 있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알렉스 발레라(2020 ~ 2022, 2023 ~ ) = = = 역대 = = = 라울 루이디아스(2008 ~ 2011, 2013 ~ 2014, 2015 ~ 2017) = 운주중학교 = 운주중학교(雲洲中學校)은 전라북도 운주면 장선리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1년 1월 16일 : 운주중학교 6학급 설립 인가 1971년 1월 28일 : 초대 유맹수 교장 취임 1971년 3월 5일 : 운주중학교 개교 1998년 3월 1일 : 3학급 편성 2021년 1월 8일 : 제48회 졸업생 9명(졸업생 총수 3,483명) 2021년 3월 2일 : 신입생 5명 입학 2021년 9월 1일 : 제19대 류인일 교장 부임 = 분류:기원전 505년 사망 = = 분류:지저우구 (톈진시) = = 분류:가공의 늑대 = = 심정 (1418년) = 심정(沈泟, ? ~ 1418년)은 조선의 무신이자 척신이다. = = 생애 = = 1407년(태종 7년) 대호군, 1409년 상호군, 1414년 의흥삼군부 첨지총제, 1417년 의흥삼군부 좌군 동지총제를 거쳐,태종실록 1418년(세종 즉위년)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에 이르렀다. 그러나, 형 영의정 심온이 사은사(謝恩使)의 수장(사은주문사)으로, 명나라에 가 있는 동안, 〈강상인의 옥〉에 연루되어, 의금부에서 심한 심문을 받고, 좌의정 박은 등의 무고로 인해, 심온이 귀국하기도 전에, 대질심문도 못 받고 처형당한다.세종실록 = = 가계 = = 고려조 문하시중, 조선조 좌정승을 지낸 조선개국공신 청성백 심덕부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 세종의 국구 청천부원군 영의정 심온, 태조 이성계의 부마 청원군 심종의 동생이다. 소헌왕후, 영의정 심회, 영중추부사 심결의 숙부이다. 성종의 후궁 숙용 심씨의 할아버지이다.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형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왕우(王瑀)의 사위이다. = = 가족 관계 = = 부 : 심덕부 형 : 심인봉 - 의흥삼군부 도총제 형 : 심의귀 형 : 심도생 - 본명은 심계년(沈繼年), 성주 지사(成州 知事) 형 : 심징 형 : 심온 형수 : 순흥부부인 안씨 - 순흥 안씨, 좌의정 안천보(安天保)의 딸 조카 : 소헌왕후 조카사위 : 조선 제4대 세종 조카 : 심준 조카 : 심회 조카 : 심결 형 : 심종 형수 : 경선공주 - 태조 이성계의 딸 부인 : 개성 왕씨 - 정양부원군 왕우(王瑀,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동생, 고려 신종의 7대손, 영문하부사)의 딸 아들 : 심견(沈堅) 아들 (서자) : 심말동(沈末同) - 첨정 * 손녀 : 숙용 심씨(淑容 沈氏) - 조선 제9대 성종의 후궁 * 손녀사위 : 조선 제9대 성종 아들 : 심동(沈童) = = 심정이 등장하는 작품 =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SBS, 2011년~2011년, 배우: 김승욱) = 분류:토막글급 올림픽 문서 = = 분류:톰과 제리 게임 = = 분류:미평가 중요도 과학 문서 = = 분류:적도 기니의 교통 = = 콘라트 추제 = 콘라트 추제(Konrad Zuse, 1910년 6월 22일 - 1995년 12월 18일)는 독일의 전자공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이다. 그는 최초의 튜링 완전 계산기인 Z3를 설계하였다. 또한, Z3의 후속작인 Z4를 판매하는 회사를 차려, Z4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가 되었다. = = 젊은 시절 = = 추제는 1910년 6월 22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공학과 건축을 공부하였으나, 토목공학에 더 큰 흥미를 느꼈다고 한다. 졸업 후에는 포드 모터 컴퍼니에 잠시 몸담았다가 헨셸사로 옮겨 비행기 설계사로 일했다. 비행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계산을 손으로 해야 했으므로, 이 때부터 복잡한 계산을 수행해주는 기계를 꿈꿨다. 1935년부터 추제는 베를린에 있는 부모님의 아파트에서 실험적인 계산 기계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1937년에는 폰 노이만 구조와 유사한 내용의 특허를 제출했다. 1938년 완성된 첫 번째 작품 Z1은 부동소수점 연산을 수행하는 기계식 계산기로, 35mm 필름에서 명령어를 읽어들일 수 있어 일부 제한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했다. 그러나 Z1과 그 설계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베를린 폭격으로 인해 유실되었다. Z1은 이후 1989년 지멘스 사의 지원을 받아 추제 본인의 손으로 복원되었다. = = Z2, Z3 및 Z4 = =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39년 추제는 독일군에 입대하였다. 추제의 독일군의 재정적 도움을 받아 전자계전기를 바탕으로 한 Z1의 후속작을 설계하였다. 1940년 9월 추제는 Z2를 완성하여 독일 항공 연구소에 시연하였다. 1941년 Z2의 기본 설계를 발전시킨 Z3가 완성되어, 5월 12일에 일반에 공개되었다. Z3는 22 비트의 이진 부동소수점 연산을 할 수 있었고, 전자계전기로 만들어진 연산장치와 기억장치가 달려 있었다. 반복문은 있었지만 조건 분기 명령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Z3는 튜링 완전 컴퓨터였다. 컴퓨터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데 관심이 있었던 추제는 Z3가 튜링 완전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데는 관심이 없었으며, 이 사실은 그의 사후인 1998년에 증명되었다. Z3의 후속작인 Z4를 연구하던 중, 베를린에 있던 그의 연구실과 부모님의 아파트가 차례로 영국의 폭격을 받았다. 이로 인해 Z1과 Z2가 파괴되었으나, 제작 중이던 Z4는 급히 베를린에서 탈출시킬 수 있었다. 전쟁 후 독일의 경제 사정으로 인해 Z4의 연구는 1949년까지 중단되었다. 1949년 ETH 취리히에 Z4를 한 대 판매하여, Z4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가 되었다. = = 플란칼퀼 = = 추제는 1948년 최초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플란칼퀼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플란칼퀼은 실제 컴퓨터로 구현되지 않았으므로 초기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 = 사망 = = 추제는 1995년 12월 18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 학계와의 교류 = =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추제는 초창기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던 다른 수학자나 공학자들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로 인해 컴퓨터 과학의 주류였던 영국과 미국의 학자들은 오랜 시간동안 추제의 연구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그러나 IBM은 1946년 추제의 특허들을 구입한 기록이 있어, 그의 연구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아돌프 마이어 = 아돌프 마이어(독일어:Adolf Meyer, 1881년 6월 17일~1929년 7월 14일)는 독일 건축가이다. 1910년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세운 건축사무소의 동업자가 되었으며 1911년부터 1925년 사이에 발터 그로피우스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거의 모든 건축물(바우하우스, 파구스 공장)을 함께 작업했다. 1922년 미국 시카고의 트리뷴 타워(Tribune Tower) 설계경기에 제출된 그로피우스 출품작의 공동 디자이너로 기록되어 있다. 1919년 그로피우스에 의해 바우하우스의 마이스터로 임명되어 작업 도면과 건설 기술을 가르쳤다. 1926년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시의 공공주택사업인 '뉴 프랑크푸르트' 프로젝트에서 건축가로 일했다. = = 생애 = = 아돌프 마이어는 목수로 견습을 마친 후 헤르만 무테지우스(Hermann Muthesius)가 설립하고 페터 베렌스(Peter Behrens)가 학장이었던 뒤셀도르프 응용예술학교(Düsseldorf School of Applied Arts)에 진학하여 마티유 라우웨릭스(Mathieu Lauweriks)의 수업을 통해 건축을 공부했다. 1907년 피터 베렌스를 따라 베를린으로 간 뒤 1908년까지 에르드만쇼프(Erdmannshof)에 있는 작업실에서 근무했다. 1909년에는 브루노 폴(Bruno Paul)의 사무실에서 일했고, 1910년부터는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와 함께 공동 건축 사무소를 관리했다. 1925년 바우하우스가 데사우로 이전할 때 따라가지 않고 독립 건축가로서 바이마르에 머물렀다. 1926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 있는 슈테델슐레(Städelschule, State University of Fine Arts)에서 강사로 일했으며 1928년에는 프랑크푸르트에서 "October Group"을 설립했다. 1929년 발트럼(Baltrum) 앞바다에서 수영하다가 익사했다. = = 건축물과 디자인 = = 1911년 3월/4월: 발더제 거리의 하노버에 있는 은행가 칼 헤르츠펠트(Karl Herzfeld)의 인테리어 디자인 및 가구 제작 1911년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와 알펠트(Alfeld) 의 파구스 공장 건설 1913–1914: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와 함께 아이진 숄레 정착 1923: 월터 마치(Walter March)와 함께 암 호른(Am Horn)모델 하우스 실행 1924: 발터 그로피우스와 함께 프리드리히 프뢰벨 하우스(Friedrich-Fröbel-Haus) 1926: 프랑크푸르트의 라디오 방송국, Rebstockgelände 1926: 프랑크푸르트의 가스베르크(Gaswerk Ost, 코크스 공장), 피터 베렌스의 건물 확장 1929년: 프랑크푸르트의 시험 사무소 건설 1929년: 프랑크푸르트 시립 전기 공장의 작업장 및 창고 건설 = = 문헌 = = Susan R. Henderson. "Building Culture: Ernst May and the New Frankfurt Initiative, 19261931." Peter Lang, 2013. Meyer, Adolf. A Bauhaus Experimental House Bauhausbuecher 3. Lars Muller, 2020. = 돌턴 플랜 = 돌턴 플랜(Dalton Plan)은 파커스트(H. Parkhurst) 여사가 버크의 영향을 받아 교육조직을 갖추고 개별조직을 시도한 교육 개념이다. 돌턴 플랜에서는 학과를 자유학습학과(自由學習學科)와 학급학습학과(學級學習學科)의 둘로 구분하고 전자는 오전 중에, 후자는 오후에 과(課)하였다. 학생은 1개월간씩 학습재(學習材)를 교사와 계약하고, 이를 다시 주별(週別)로 세분하여 계약하되 교사의 지도를 받아가며 학습한다. 교사는 수시로 학생의 학습록을 검열하여 평정한다. = 세일럼 (매사추세츠주) = 세일럼(Salem)은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도시이다. 인구는 40,922명이다. 1690년대 있었던 세일럼 마녀재판의 중심지이며, 다수의 주민들이 살해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1년 제18주 = = = 아이피 유저 차단 요청 = = 3개월간 차단 후에도 동일한 문서 훼손 행위를 함. 아나고라니 (토론) 2021년 5월 3일 (월) 10:32 (KST) = = 고구마부각 = = 문서훼손 및 사칭 ❤리바이 사랑해❤말걸기❤ 2021년 5월 3일 (월) 19:13 (KST) = = 토론란에서 차단 신청 협박 등 무례한 태도 계속 = = * Reiro님께서는 돈가스의 의미에 대해 서양의 포크커틀릿도 돈가스에 포함되느냐가 문제가 되었을때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 동의어 기호를 오해해 잘못된 발언을 하셨고, 제가 표준국어대사전의 동의어 표기 기호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미리 제시하지 않긴 했으나, Reiro님의 의견에 부동의한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관리 요청에 회부한다는 의견을 내었습니다. 백: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을 지속적으로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5월 3일 (월) 22:33 (KST) 토론에서의 의견 차이만을 가지고 상대방을 차단시켜달라고 사용자 관리 요청까지 끌고 오는 것은 좋지 않아 보입니다. 사용자 차단 요청에서도 "문서 내용에 대한 이견만 가지고는 성급하게 차단 신청을 하지 마세요"라고 적혀져 있고요. 약간 강압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발언일 수도 있으나 그것이 인신 공격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시급하게 차단 조치를 취해야 할 만한 사유나 상황이라고 보이지 않습니다. 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5월 6일 (목) 20:38 (KST) = = 사용자:신화 (음악 그룹) = = 사용자:신화 (음악 그룹)의 무기한 차단을 요청합니다. 그분은 전광훈목사 대한 집착을 하고 문서훼손을 반복했습니다 1.238.69.184 (토론) 2021년 5월 3일 (월) 23:50 (KST) = = 사:신화 (음악 그룹) = = = = 사:이청주 차단 요청 = = 문서에 욕설을 씀. 쇼와 천황 문서에 지속적인 반달 신해윤♡ 2021년 5월 4일 (월) 9:23 (KST) = = 58.77.255.42 차단 요청 및 오리 실험 요청 = = 58.77.255.42는 ← 제가 지난번에 신고한 , 와 마찬가지로 구미호 문서에서 다른 유저들을 유사한 방식으로 비방(중국놈 타령, 동북공정 타령)하며 똑같은 방식의 문서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58.77.255.42 차단 요청 및 58.77.255.42, Loltodaytommorrow, Coreanhistory 이 3명의 오리실험 요청합니다. Dhkdrkfql (토론) 2021년 5월 4일 (화) 14:11 (KST) = = 사용자:한국농수산대학 = = 부적절한 계정명 = = 연예인 문서 훼손 비로그인 사용자 차단 요청 = = * 연예인 문서의 학력을 프로필에서 내려갔다는 이유로 아예 삭제하는 반달을 꾸준히 하는 사용자입니다. 상습적으로 반달을 저지르는 걸로 보입니다. 공효진 문서 훼손 정인선 문서 훼손 이요원 문서 훼손 이다희 문서 훼손 Braveattack (토론) 2021년 5월 4일 (화) 18:15 (KST) = = 218.149.241.0/24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37주#218.149.241.180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41주#218.149.241.187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8주#218.149.241.141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21주#218.149.241.0/24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39주#218.149.241.142 긴급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5년 제48주#218.149.241.174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주#218.149.241.0/24 차단 요청 (2) 관리자님들께서 모두 보셔야 할 것 같아서 적었습니다. 에서 반달이 연이어 지고 있고, 편집 패턴 등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0년 제29주#14.45.141.0/24 차단 요청때 차단된 인물의 또다른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어린 왕자 (드라마) 문서 편집 내역 - 계속 같은 인물에 의해 반달이 반복되는 문서 1 좋은 남자 좋은 여자 문서 편집 내역 - 계속 같은 인물에 의해 반달이 반복되는 문서 2 또 하나의 시작 문서 편집 내역 - 계속 같은 인물에 의해 반달이 반복되는 문서 3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보존2#방송 관련 훼손 IP 대역 또한번 이 요청을 작성하는 사태가 오게 되었습니다. 4월 30일부터 계속 실시간 문서 훼손 및 허위 남발을 하고 있어 차단이 필요합니다. 해당 인물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백:선의로 볼 수 없는 상황까지 왔고, 차단 회피를 계속 반복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IP에 각각 차단 기록이 있고, 대역 차단도 3번이 있으며, 한번더 IP 대역 차단 부탁드립니다. 218.38.143.242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01:44 (KST) = = 오혁 (가수) = = 문서 훼손 반복 및 차단 회피 사용자입니다. 211.36.133.235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07:55 (KST) = = 58.230.133.15 긴급 차단 요청 = = * 2주전에 작성한 요청을 확인해주신 관리자님이 아무도 없어 요청을 재작성했습니다. 계속 문서 훼손 및 지속적인 장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서 훼손 반복 및 지속적인 장난 증거 1 문서 훼손 반복 및 지속적인 장난 증거 2 기여 되돌려서도 해결될 상황이 아닙니다. 게다가 2주전 요청에서 언급한 그대로 차단 사유중에 차단 회피까지 포함되있고, 이후로도 훼손 가능성이 큰만큼 차단 부탁드립니다. 183.101.168.223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12:39 (KST) 증거 1 증거 2 요청 확인 후 답변 부탁드립니다. 183.101.168.223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11:34 (KST) * 다중 및 우회 IP입니다. 183.101.168.223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17:27 (KST) = = 203.255.89.122 차단 요청 = = * 허위 편집,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으며 과거에 차단되었던 특정 IP 사용자의 기여와 비슷합니다. 해당 사용자의 차단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14:07 (KST) = = 222.100.217.67 긴급 차단 요청 = = 이전 경고 부여에도 학력, 생일 등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차단 요청 부탁드립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65524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61857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51397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43256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43153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38647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38622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34166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34137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20985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20979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205976 https://ko.m.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8%EB%B0%94%EC%9D%BC%EC%B0%A8%EC%9D%B4/29199518 Azzzz120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0:17 (KST) = = 58.234.189.72 차단요청 = = 허위 편집,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차단 및 이 사람의 훼손 모두를 편집취소해 주십시오. = = 39.115.91.248 차단 요청 =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여수·순천 사건, 진보당 조봉암 사건, 한국민주당 등을 지속적으로 문서 훼손 중입니다. 특히 사용자토론:39.115.91.248에서 대놓고 "차단"까지 언급하며 공개적으로 특정 사용자를 저격하고 있습니다. 사토란에 "저 사람은 4-5명 정도 되는 유저랑 편집 분쟁을 빈번하게 겪었을 뿐만 아니라"라고 언급한 것을 보면 순수히 '문서 내용' 때문이 아니라 '특정 유저 공격'을 위해 이러고 있는 게 분명합니다(저와 분쟁을 겪었던 아이디 사용자가 IP로 들어와 공격하고 있는가 하는 의심이 듭니다). 또한 가능하면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여수·순천 사건, 진보당 조봉암 사건, 한국민주당 이상 4개 문서의 준보호~보호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10:05 (KST) 김구 문서에 대한 훼손도 반복되고 있으므로 김구 문서에 대한 준보호~보호 요청도 추가합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19:07 (KST) 상기 5개 문서 또는 그 이상에서 토론 합의를 거치지 않은 되돌리기가 수십회 반복되고 있으며 사용자:Anti-distortion에서 지속적으로 저격 행위하고 있습니다. 빠른 조치 바랍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0:55 (KST) "글을 제대로 읽지 않는지, 아니면 글을 못 읽는지 모르겠지만", "금방 들킬 거짓말은 하지 맙시다.", "글을 제대로 못 읽으시는 것 같은데" 등 제 인격을 모독한 발언도 추가합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2:04 (KST) Anti-distortion은 또 다시 저에게 "세계적으로 역사 수정주의자들이 하는 좋지 않은 행동입니다"라고 역사수정주의자에 비유하며 인신공격/인격모독을 하였습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3:19 (KST) 상대방이 저를 '역사수정주의자'로 비유하는 인신공격을 한 것에 대해 제가 경고를 했음에도 또 다시 "소수설을 다수설처럼 얘기하는 행위는 역사수정주의자들의 공통적인 특성입니다."라면서 저를 인신공격 하였습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3:33 (KST) 정리하겠습니다. 저는 KCI논문,국사편찬위원회 자료,저명한 언론사 기사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들을 왜곡없이 인용하려는 입장이고, 상대는 체리피킹이나 무지에 의한 논증 등을 이용해 출처를 왜곡하거나 아예 대량 삭제해버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토론:한국민주당 및 토론:진보당 조봉암 사건에서 제가 '호남지역주의' -> '호남 지주 중심'으로 수정하는 등 제가 1~2개 양보한 것 외에는 사실상 한 치도 좁히지 못하고 합의 도달에 실패했습니다. 중재자로 개입한 양념파닭님은 본 다툼을 "A판(저 등이 관여한 최신판) 대 B판(2020년도 판)"으로 보셨는지 B판에 되돌리기 하신 후 합의 도달 전에 문서 편집은 불이익이 있을 거라고 하셨지만, 사실상 본 다툼은 몇몇 문장들만이 문제되는 사안이기에 B판으로 묶어두는 것은 부당합니다. 오히려 A판으로 묶어두고 타사용자들이 논쟁되는 문장을 검토할 수 있게끔 해야 됩니다. 아무튼 합의 도달에 실패했으므로 지금은 사용자 관리 신청 결과만을 기다립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5:01 (KST) 사용자:Anti-distortion에서 저를 계속 공개 저격하고 있다는 사실도 덧붙입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5:07 (KST) 저의 편집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갑자기 저의 "정치적 성향"을 운운하며 또 다시 인신공격을 하였습니다. Jhysoccer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5:11 (KST) = = 사용자:Jhysoccer 차단 요청 = = 해당 사용자는 각 역사적 사건, 역사적 인물을 편집할 때 출처를 기입하면서도, 출처에 없는 문장을 자의적인 독자 연구를 통해 넣거나, 출처에서 밝히지 않은 내용을 넣거나, 소수설을 과다 서술합니다. 이미 이 편집자가 하는 편집 행위 대부분이 정치적 중립성에 크게 어긋나며, 특정 지엽적 사건을 과도하게 확대하여 왜곡된 시선을 주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는 과거에도 여러 사용자와 분쟁이 있던 것 같던데, 해당 차단 요청에서 제기된 문제가 그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가 행한 편집분을 검토해주세요. 조금의 역사적 지식만 있다면 쉽게 비중립적 서술을 하고 있다는 걸 압니다. 39.115.91.248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10:07 (KST) 이 사용자(Jhysoccer)에 대한 제대로 된, 그리고 신속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사용자는 과거부터 여러 유저들에게 출처에 없는 정보를 독자 연구를 통해 과도하게 기입한다고 지적을 받은 바 있습니다. 심지어 차단 요청도 소수 존재했습니다. 현재까지도 해당 사용자는 고질적인 편집 방식을 시정하지 않고 있으며, 제기된 문제에 대해서 시정할 생각이 없는 듯한 행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Anti-distortion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21:38 (KST) = = 패티 = = * 토론을 무시하며, 여러 문서에 걸쳐 논란 문단을 부적절하게 편집하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10:53 (KST) 사용자기여들어가서 어떤거 편집했나 누르면 사용자권한이 뜹니다. 참고로 한국어위키백과에는 23명의 관리자가 있습니다. 양념파닭은 관리자가 아닙니다. Fly-플라이✨✨ 2021년 5월 7일 (금) 10:12 (KST) 1주일간 편집을 차단합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00:07 (KST) = = 58.234.189.72 차단 요청 = = 자신의 정치성향에 맞춰 지속적으로 위키백과 문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더불어민주당 문서를 주로 훼손하고 있습니다. 2021년 5월 6일 (목) 15:28 ChongDae 님이 1개월간 편집을 차단하였습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00:04 (KST) = = 사용자:2001:E60:A008:FB7F:11CB:C5D8:D22:F273 차단 요청 = = 유재석, 펭수, 무한도전 등 문서를 대량으로 훼손하여 차단요청합니다 Kth696586 (토론) 2021년 5월 6일 (목) 21:15 (KST) = = Samsungtree 무기한 차단 요청 = = * 삼성 이재용 문서를 훼손할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입니다. 이미 수차례 차단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0:18 (KST) = = 58.238.43.172 = = * 문서에 음담패설을 적는 등의 훼손 행위 반복. 양념파닭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1:53 (KST) = = Xinxunghuangdi 차단 요청 = = 차단 회피 사용자입니다. 기여를 주시해 주세요. 211.36.156.22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8:44 (KST) = = 웩 이삳 드러 ㅆㅂ = = 부적절한 계정명. 삐2021년 5월 7일 (금) 09:08 (KST) 사용자링크 제대로 걸어드렸습니다 Fly-플라이✨✨ 2021년 5월 7일 (금) 10:08 (KST) 그런데 사용자기여보면 이분이 계정명 변경 요청도 하셨는데 차단요청을 할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Fly-플라이✨✨ 2021년 5월 7일 (금) 10:08 (KST) = = 어몽가이즈 = = * 훼손 목적의 계정이며, 몇 주 전부터 요청이 올라오던 사용자인 걸로 기억하는데 아직도 차단이 안된게 의아하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9:33 (KST) Sotiale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23:56 (KST) = = 2001:E60:303E:D2D0:0:45:296B:2E01 = = 지속적인 바둑 관련 문서에 대한 훼손 양념파닭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09:49 (KST) 이후로 다른 훼손이 없고 KT IPv6 대역의 아이피이므로 이미 다른 아이피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차후에 훼손이 있다면 바둑 문서 등을 단기 준보호하는 것이 더 유효한 수단일 것 같습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00:21 (KST) = = 사용자:난 안티위뷁 부게정이야 차단 요청 = = = = SotiaIe is commonism = = 반달 전용 계정입니다. 1 672599th user (talk and contribs) 2021년 5월 7일 (금) 11:48 (KST) = = 방탄소년단 문서를 훼손하는 IP 계정 차단 요청 = = * 특수:이동/29285792 2021년 2월 2일 (화) 13:31 메이 토론 기여님이 110.15.240.253 토론님을 3개월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문서 훼손 반복) 2020년 11월 26일 (목) 22:55 Sotiale 토론 기여님이 110.15.240.253 토론님을 61일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문서 훼손 반복: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0년 제48주) 2020년 10월 12일 (월) 14:31 메이 토론 기여님이 110.15.240.253 토론님을 1개월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문서 훼손 반복) 2020년 10월 5일 (월) 13:17 *Youngjin 토론 기여님이 110.15.240.253 토론님을 1주일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지속되는 문서 비우기 반복) 위와 같이 문서 훼손으로 여러번 차단되었고, 다른 유명 연예인 문서를 오타 수정이라는 핑계를 대고 통편집 하였습니다. Dand_music ö 2021년 5월 7일 (금) 11:52 (KST) = = 2001:2D8:E250:D630:2149:4464:24D4:9C67 차단 요청 = = = = 221.163.167.171 차단 = = 221.163.167.171 성관련 반달치고 있는 계정입니다. Fly-플라이✨✨ 2021년 5월 7일 (금) 21:08 (KST) 단기 차단합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5월 7일 (금) 23:50 (KST) = = 현대무벡스 = = 각 시·군 문서에 욕설을 적고 있습니다 曹操孟德(寧敎我負天下人休敎天下人負我) 2021년 5월 7일 (금) 22:20 (KST) = = 사용자:장윤정(가수) = = 부적절한 계정 이름 = = Kimberlyuhan 차단 요청 = = 과거에 악조 문서로 장난친 차단 회피 사용자입니다. 211.36.156.76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06:48 (KST) = = 58.127.201.114 긴급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1년 제17주#58.127.201.114 긴급 차단 요청 - ChongDae님께서 1주일 차단 한번 더 요청하겠습니다. 차단 풀린 이후에도 전혀 개선하지 않고 또 문서 훼손을 실시간으로 반복하고 있습니다. 1주일 차단은 약합니다. 과거에 작성된 요청들만 해도 이미 개선하는 모습이 전혀 없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차단 회피자에 해당되어 그동안 수없이 사관에 보고되어 전부 차단 될 정도입니다. 개선의 여지를 보이지 않는게 확인되었고, 더 엄중한 제재 부탁드립니다. 183.101.168.223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10:42 (KST) = = 2001:E60:104F:6244:0:4A:CEE5:B001차단 요청 = = 이 사용자가 질병의 관한 문서에 나쁜 말을 붙입니다. 정확히 차단을 해야하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행동은 분명 위키백과에 피해를 주는 행동이라 생각하여 차단 요청을 합니다. (전에 라론 증후군문서에도 나쁜 말을 붙인적이 있는 것 같은데 [기여]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지 않습니다. 라론 증후군 문서를 눌러 문서 역사를 클릭하면 나올것 같습니다.) = = 아이피 유저 차단 요청 = = , 사실 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내용들 서술 아나고라니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14:41 (KST) = = 낯선사람 = =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 차단 기록] · [ 편집 필터 기록]] · · 차단) 도티 문서 비우기 반복, Vandalism Only Account(VOA) —Jerrykim306 토론기여 2021년 5월 8일 (토) 23:47 (KST) = = 사용자:리하영 차단 요청 = = * 모든 편집이 돌나라한농복구회 훼손으로 문서 훼손을 목적으로 한 계정에 해당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5월 9일 (일) 12:10 (KST) = = 218.149.241.162 차단 요청 = = * 위에 작성된 218.149.241.0/24 차단 요청이 처리되지 않아 이 요청을 작성했습니다. 대역 IP로 차단 회피를 반복하고 문서 훼손 및 허위 남발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83.101.168.223 (토론) 2021년 5월 9일 (일) 12:10 (KST) = = 110.47.109.9 차단 요청 = = * 위 IP에서 특정 블로그에 대한 홍보성 링크를 여러 게시물에 지속적으로 게시하고 있습니다. 주로 홍보하는 블로그는 kbc1823.tistory.com woosh33.tistory.com travelbreak.tistory.com swimming79.tistory.com inform-news.tistory.com ginter3.tistory.com sogeuni.tistory.com 등이며, 이러한 티스토리 주소 외에도 다른 홈페이지 주소로 각종 문서의 본문, 참조 등을 훼손하고 있습니다. 이 IP만으로 수정을 시도하고 있지 않으니, 제가 나열한 블로그 주소 자체의 입력을 차단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달조각 (토론) 2021년 5월 9일 (일) 13:37 (KST) = = LimelimeC 차단 요청 = = * 계속되는 장난성 (비속어 관련) 편집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Answerer 5do 👻 2021년 5월 9일 (일) 17:31 (KST) 저도 찬성합니다 Fly-플라이 '사토 2021년 5월 9일 (일) 17:40 (KST) 의 신청이유를 ㅈㄹ이라고 바꿔놨던데요...? Fly-플라이 '사토 2021년 5월 9일 (일) 17:44 (KST) 사용자 관리 요청과 관련없는 사담을 나누지 말아주세요. 해당 계정은 차단되었습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5월 9일 (일) 17:46 (KST) = = Dolbye 차단 요청 = = 악조 문서 생성자이자 차단 회피 사용자입니다. 211.36.156.76 (토론) 2021년 5월 9일 (일) 18:57 (KST) = = = = 부적절 계정명— 이 의견은 183.90.128.11 (토론)님이 2021년 5월 9일 (수) 21:14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 사링 걸어드렸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서명을 해주세요 Fly-플라이 '사토 2021년 5월 9일 (일) 21:24 (KST) 엥? 없는 계정 이라는데요..? Fly-플라이 '사토 2021년 5월 9일 (일) 21:27 (KST) = 분류:경복대학교 = = 타깃 센터 = 타깃 센터(Target Center)는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NBA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WNBA 미네소타 링크스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원익IPS = 원익IPS(Wonik IPS)주식회사는 반도체 장비를 제조하여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등의 반도체 업체에 공급하며, 여기서 나오는 매출이 60% 이상이다. 또한 LCD TV용 광학 필름, 차량 및 건축용 윈도우 필름, 비디오/CD 등의 손상 방지를 위한 미디어 필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원익IPS "반도체부터 태양광까지 망라" = 분류:미얀마의 주 = = 스튜던트 = 스튜던트(student)는 다음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학생을 가리킨다. 스튜던트 t 분포(Student's t-distribution) 스튜던트: 윌리엄 고셋의 필명 스튜던트 (잡지): 1968년 리처드 브랜슨의 첫 사업 유 콜 잇 러브(The Student): 1988년 영화 = 분류:대한민국의 도핑 위반 선수 = = 주증녀 = 주증녀(朱曾女, 1926년 2월 11일 ~ 1980년 9월 18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생애 = = 1926년 함남 영흥 출생하여 함남여고를 졸업했다. 극단 고협(高協)에서 유치진 작 무영탑의 ‘시녀’ 역을 시작으로 청춘의 윤리, 유령, 맹진사댁 경사등에서 연기하며 배우 경력을 쌓아나갔다(여성영화인사전). 1949년 윤대룡 감독의 조국의 어머니로 영화계에 데뷔하여 같은 해 한국 최초의 컬러 영화인 여성일기(홍성기)에 출연하였다. 이후 애인(1965), 실낙원의 별(1957) 등의 흥행작에 출연하면서 연기력도 인정받아 1958년 부일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당대 여러 유망 감독들과 호흡을 맞추며 개성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두 여우들의 리드로 극이 전개되는 그 여자의 죄가 아니다(1959), 중산층 가정의 아내 역을 맡은 하녀(1960), 폐비 윤씨로 분한 연산군(1961), 노파 역으로 열연을 펼친 고려장(1963) 등 주증녀는 한 캐릭터에 고착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역할을 무게감 있게 선보였다. 1962년 허영과 이혼 후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나(여성영화인사전), 김수용 감독의 산불, 만선(1967)에서의 연기로 대종상, 청룡상, 부일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재기하였다. 특히 <산불>에서는 전후 과부촌이 된 마을에 사는 과부 역으로 성욕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적극적인 여성상을 열연하여 호평을 얻었다. 이후 안개(1967), 피해자(1969), 토지(1974), 황토(1975), 야행(1977) 등 김수용의 작품에서 열연하였다. 1970년대 후반까지 왕성한 활동을 선보이던 주증녀는 1980년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54세로 일생을 마감했다(경향신문). = = 출연작 = = = = = 영화 = = = 야행 (1977) 청색시대 (1976) 내마음의 풍차 (1976) 발가락이 닮았다 (1976) 애종 (1975) 황토 (1975) 졸업시험 (1975) 눈물젖은 샌드백 (1975) 청춘극장 (1975) 아내들의 행진 (1974) 회상 (1974) 뱃고동 (1974) 철면객 (1974) 황홀 (1974) 토지 (1974) 본능 (1974) 증언 (1973) 모정에 우는 두아들 (1972) 여고시절 (1972) 대지옥 (1972) 이별의 길 (1972) 작은 꿈이 꽃필 때(일명:불타라 청춘) (1972) 결혼반지 (1972) 팔도졸업생 (1972) 홍살문 (1972) 인생유학생 (1971) 상감마마 미워요 (1971) 그대 가슴에 다시한번(열대어) (1971) 공포의 황금부두 (1971) 분례기 (1971) 사녀의 한 (1970) 꼬마신랑 (1970) 저 하늘에도 슬픔이(속) (1970) 꼬마신랑(속 꼬마신랑) (1970) 여자이기 때문에 (1970) 돌아온 아기신랑 (1970) 청춘무정 (1970) 잃어버린 면사포 (1970) 위험한 관계 (1970) 팔도여군 (1970) 물망초 (1969) 가슴에 맺힌 눈물 (1969) 회전목마 (1969) 울고 가는 외기러기 (1969) 이조 여인잔혹사 (1969) 후취댁 (1969) 여자의 모든 것 (1969) 윤심덕 (1969) 추격자 (1969) 재생 (1969) 상해 임시정부 (1969) 모르는 여인의 편지 (1969) 꽃버선 (1969) 구슬공주 (1968) 춘향 (1968) 갈망 (1968) 잘돼갑니다(경무대 비화 잘돼갑니다) (1968) 피해자 (1968) 감자 (1968) 미니아가씨 (1968) 못다한 사랑 (1968) 흐느끼는 백조 (1968) 수전지대 (1968)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1968) 밤하늘의 트럼펫 (1968) 강산에 꽃이 피네 (1968) 동경특파원 (1968) 일본인 (1968) 순애보 (1968) 젊은 느티나무 (1968) 언니의 일기 (1968) 대괴수 용가리 (1967) 동심초 (1967) 고발 (1967) 인조반정(반란 인조반정) (1967) 산불 (1967) - 점례 만선 (1967) 여대생과 노신사 (1967) 엘레지의 여왕 (1967) 고향 (1967) 울려고 내가 왔나 (1967) 애인 (1967) 빙우 (1967) 사격장의 아이들 (1967) 가슴 아프게 (1967) 안개 (1967) - 이모 나그네 임금 (1967) 해방동이 (1967) 그늘진 삼남매 (1966) 흰벽 검은벽 (1966) 법창을 울린 옥이 (1966) 세상은 요지경 (1966) 마지막 황후 윤비 (1966) 저 강은 알고 있다 (1966) 나는 왕이다 (1966) 살인명령 (1965) 맹꽁이(일명 여고3년생) (1965) 이 여자를 보라 (1965) 무명가의 지배자 (1965)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65) - 박우옥 쥐구멍에도 볕들날 있다 (1965) 어머니의 청춘 (1965) 나도 연애할 수 있다 (1965) 과거를 가진 여자 (1965) 여자 19세 (1964) 떠날 때는 말없이 (1964) 십자매 선생 (1964) 두고만 보세요 (1964) 단장록 (1964) 월급봉투 (1964) 삼통 팔반 여반장 (1964) 맨발의 청춘 (1964) - 오여사 아스팔트 (1964) 원앙선 (1964) 단종애사 (1963) 여도 (1963) 급행열차를 타라 (1963) 남자 조종법 (1963) 언젠가 어머니라 불러다오 (1963) 조강지처 (1963) 행복한 고독 (1963) 고려장 (1963) - 과부 새엄마 (1963) 대지의 지배자(大地의 支配者) (1963) 사명당 (1963) 청춘교실 (1963) 쌀 (1963) 사나이의 눈물 (1963) 율곡과 그 어머니 (1963) 나는 비밀이 있다 (1963) 백년한 (1963) 칠공주 (1962) 인목대비 (1962) 월급쟁이 (1962) 슬픔은 나에게만 (1962) 새댁 (1962) 아름다운 수의 (1962) 일편단심 (1961) 붉은 두목 (1961) 아버지 (1961) 당쟁비화 (1961) 악의 꽃 (1961) 내몸에 손을 대지 마라 (1961) 연산군(장한사모편) (1961) - 폐비윤씨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1961) 슬픔은 없다 (1961) 장희빈 (1961) 현해탄은 알고 있다 (1961) - 히데꼬의 어머니 그리운 얼굴 (그리운 그 얼굴) (1960) 어머니의 힘 (1960) 아아 백범 김구선생 (1960) - 아내 로맨스빠빠 (1960) - 어머니 하녀 (1960) - 동식 아내 물망초 (1960) - 수녀(고아원장) 두 여인 (1960) 홀로 우는 별 (1959) 그 여자는 행복했던가 (1959) 다시 피는 꽃 (1959) 황혼의 애상 (1959) 동심초 (1959) 황금의 상처 (1959) 아내 (1959) 그 여자의 죄가 아니다 (1959) - 성희 자나 깨나 (1959) 행복의 조건 (1959) 백진주 (1959) 낭만열차 (1959) 모녀 (1958) 마도의 향불 (1958) 별만이 아는 비밀 (1958) 꽃도 생명이 있다면 (1958) 흐르는 별 (1958) 실락원의 별(후편) (1958) 별아 내 가슴에 (1958) 인생화보 (1957) 사랑 (1957) 청실홍실 (1957) 실락원의 별 (1957) 처와 애인 (1957) 그 여자의 일생 (1957) 여성의 적 (1956) 인생역마차 (1956) 애인 (1956) 자유전선 (1955) 원한의 성 (1955) 애원의 향토 (1954) 여인애사 (1950) 놀부와 흥부 (1950) 조국의 어머니 (1949) 여성일기 (1949) = = 수상 = = 1958년 제1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실락원의 별》 1967년 제6회 대종상 영화제 여우조연상 《만선》 1967년 제5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산불》 1968년 제11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산불》 = 라이즈맨 = 라이즈맨은 스튜디오 도파라가 제작한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이다. = = 방송 일시 = = 방송 채널 방송일 방송 시간 카툰 네트워크 2023년 10월 18일 ~ 현재 매주 수 오전 8:30 = = 방영 목록 = = 화차 제목 방송 일자 1화 2023년 10월 18일 = 웅앵웅 = 〈웅앵웅〉은 대한민국의 래퍼 산이가 2018년 12월 3일 남성혐오 사이트 워마드와 메갈리아를 저격하며 만든 곡이다. 제목은 트위터와 각종 메갈 성향 사이트에서 사용되던 남성혐오 용어인 웅앵웅 초키포키가 모티브다. 댄스팀인 '웨이브야'가 이 곡을 배경 음악으로 트월킹하는 댄스 커버 영상도 등장하였다. = 탄원하는 여인들 (아이스킬로스) = 탄원하는 여인들(, Hiketides)은 고대 그리스의 비극 시인인 아이스킬로스가 쓴 고대 아테네 비극이다. 기원전 463년경에 공연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나오스 딸들의 운명을 주제로 다룬 “다나오스 3부작”의 첫 번째 비극이다. 나머지 두 작품은 아이귑토스의 아들들과 다나오스의 딸들이다. = = 배경 = = 이오의 자손 아이깁토스와 다나오스는 각각 아들 50명, 딸 50명을 낳았다. 아이깁토스의 아들들은 사촌인 다나오스의 딸들에게 청혼했고, 이를 싫어한 다나오스의 딸들은 아르고스로 도망친다. 극은 이집트 나일강 하구에서 아버지인 다나오스와 함께 배를 타고 도망쳐 아르고스 해변에 상륙한 다나오스 딸들의 탄원하는 코로스로 시작한다. 이 작품에서 이오는 문명과 야만의 경계를 오가는 인물이다. 문명 세계 아르고스 출신인 그녀는 제우스 신과 사랑을 나누다가 헤라 여신이 보낸 쇠파리에 쫓겨 야만인의 나라 이집트로 가게 된다. 가무잡잡한 피부를 가진 이집트의 아이깁토스 아들들은 검은색을 칠한 배를 타고 다나오스의 딸들을 추격한다. 아르고스인들에 따르면 그들은 오만하고 호전적이며 간교하고 불경스런 야만인들이다. 야만인들은 탄원하는 여인들을 추격하고 문명 세계 아르고스의 왕 펠라스고스는 백성들의 동의를 받아 그들을 보호하기로 결심한다. 아르고스와 이집트를 두고 적용된 문명과 야만의 대립이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 = 등장 인물 = = 다나오스 - 벨로스와 안키노에의 아들, 아이깁토스의 쌍둥이 형제 코러스 - 다나오스의 딸들로 구성 펠라고스 - 아르고스의 왕 아이귑토스의 아이들의 전령 다나오스 딸들의 시녀들 = 병영상업고등학교 = 병영상업고등학교(兵營商業高等學校)는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성남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5년 12월 18일 : 병영상업고등학교 설립 인가 (각학년 1학급) 1966년 3월 2일 : 개교(상업과 1학년) 2008년 3월 1일 : 교명 변경(병영정보과학고등학교) 2014년 3월 1일 : 교명 변경(병영상업고등학교) 2014년 3월 3일 : 학칙 변경(금융회계과) 2021년 3월 1일 : 학과 변경(사무행정과) 2021년 3월 1일 : 제24대 서병태 교장 부임 2022년 1월 5일 : 제54회 22명 졸업(총 졸업생 5,184명) = = 설치 학과 = = 사무행정과 금융회계과 = 바인 퍼 = 바인 퍼는 퍼를 만들 때 쓰는 쌀국수이다. = = 이름 = = 베트남어 "바인 퍼"는 "퍼 국수"라는 뜻이다. = 틀:2015년 AFC 아시안컵 일본 선수 명단 = = 분류:1372년 예술 = = 앤드루스 합동기지 = 앤드루스 합동기지, 미국의 비행장은 미국 메릴랜드주 프린스조지스 군 캠프스프링스에 있는 미국 해군과 미국 공군의 합동기지다. 미국의 대통령을 위한 에어포스원이 이 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워싱턴 공군지구 소속의 제11비행단이 배치되어 있다. 2009년, 앤드루스 공군기지와 워싱턴 해군 비행장을 합동기지로 합쳤다. = = 주둔 부대 = = 정규군 제11비행단 미국 공군 공중기동사령부, 제89항공수송비행단 제459공중급유비행단 미국 공군 군악대 워싱턴 D.C 공군 방위군 제113비행단 민간항공순찰대 앤드루스 민간혼성비행전대 = 틀:파이널 파이트 = = 김주영 (1983년) = 김주영(1983년 9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백제예술대학교 뮤지컬과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과(석사) = = 드라마 = = 2015년 KBS1 《징비록》 2015년 KBS1 《오! 할매》 2015년 JTBC 《디데이》- 홍종학 역 2016년 KBS2 《페이지터너》 2016년 ~ 2017년 KBS1 《빛나라 은수》 2017년 MBC 《세가지색 판타지 - 우주의 별이》 2017년 SBS 《달콤한 원수》 2019년 KBS2 《하나뿐인 내 편》 = = 공연 = = 2011년 : 서울탱고 2019년 : 갈매기 = = 뮤지컬 = = 2014년 : 락앤롤 = = 뮤직 = = 2013년 : 타루 - Rainy 2015년 : 더룸 - 어젯밤에 라면을 끓이다 = 진퍼리잔대 = 진퍼리잔대(Adenophora palustris)는 전라남도 지리산과 조계산 이북, 강원도 이남의 깊은 산 습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7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았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고, 다소 얇으며, 긴 타원형, 난형, 밑이 둥글거나 둔하고,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다. 꽃은 보라색 또는 연한 누른빛이 도는 자주색이며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밑으로 처진다. 포는 넓은 난형 혹은 피침형이며 잎 모양은 톱니가 있고,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의 갈래는 난형, 톱니가 1-2개 있으며, 화관은 넓은 종 모양이다. =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 2021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은 32번째 카트라이더 리그이다. = = 개요 = = = = = 일정 = = = 선발전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선발전을 통해서 팀전 6팀, 개인전 12인을 선발한다. *팀전 선발전 - 10월 24일 본선 - 11월 13일 ~ 12월 4일 포스트시즌 - 12월 11일 ~ 12월 18일 *3위 결정전 - 12월 15일 *결승전 - 12월 18일 개인전 선발전 - 10월 24일 본선 - 11월 13일 ~ 12월 8일 결승전 - 12월 18일 = = = 경기장 = = = V.SPACE - 전 경기 = = = 진행 방식 = = = 팀전 8강 풀리그를 A, B조로 나누어 4팀 1조로 치른다. 조별 상위 2개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4강에서는 조 1위와 조 2위끼리 맞붙는다. 4강 승리 팀이 결승에서 붙는다. 개인전 16강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치러지며, 결승전은 80점 이상을 얻는 선수가 나오는 즉시 레이스가 종료되고, 이후 1위와 2위를 기록한 선수가 5판 3선승제의 2라운드를 치른다. = = = 상금 = = = 상금은 대한민국 원 기준. 팀전 상금 상금 비고 우승 1억 블레이즈 준우승 5,000만 리브 샌드박스 3위 2,000만 아프리카 프릭스 4위 500만 팀 GP 5~8위 각 100만 NTC 크리에이터즈 5~8위 각 100만 Xpec 5~8위 각 100만 SGA 인천 5~8위 각 100만 THREAT 개인전 상금 상금 비고 우승 1,000만 이재혁 준우승 500만 박인수 3위 300만 배성빈 4~8위 각 20만 송용준 4~8위 각 20만 유창현 4~8위 각 20만 박현수 4~8위 각 20만 김기수 4~8위 각 20만 김지민 특별 시상 상금 비고 헤이영 MVP 각 100만팀전 1인, 개인전 1인에게 시상함. 팀전은 포스트시즌 진출 선수 중, 개인전은 16강 진출 선수 중에서 시청자 투표와 리그 관계자 투표를 합산하여 최고 득표자에게 시상함. 유창현 (팀전) 헤이영 MVP 각 100만팀전 1인, 개인전 1인에게 시상함. 팀전은 포스트시즌 진출 선수 중, 개인전은 16강 진출 선수 중에서 시청자 투표와 리그 관계자 투표를 합산하여 최고 득표자에게 시상함. 이재혁 (개인전) 헤이영 스페셜 라이더 50만종합 1인에게 시상함. 팀전과 개인전을 동시에 참가한 모든 선수 중, 참가 선수 투표로 최고 득표자에게 시상함. 박현수 총 상금 총 상금 2억 = = = 참가 팀 및 선수 = = = 참가 자격 기준 참가 자격 기준 참가 자격 기준 구분 팀전 선발전 비고 시드시드가 중복되면, 시즌 2 차순위 팀에 시드가 이양됨. 2021 시즌 1, 시즌 2 팀전 우승 2개팀 참가 자격 2021 시즌 1, 시즌 2 팀전 본선에 진출한 인원 6개팀 구분 개인전 선발전 비고 시드시드가 중복되면, 시즌 2 차순위 선수에게 시드가 이양됨. 2021 시즌 1, 시즌 2 개인전 우승 2인 시드시드가 중복되면, 시즌 2 차순위 선수에게 시드가 이양됨. 2021 시즌 1, 시즌 2 개인전 준우승 2인 참가 자격 2021 시즌 1, 시즌 2 개인전 16강전에 진출한 인원 12인 = = = = 팀전 선수 = = = = 이름 퇴단 전 소속팀 현 소속팀 입단 퇴단 사유 이준용 10월 1일 튜브플 게이밍 Team GP 10월 8일 - 유민선 10월 1일 튜브플 게이밍 Team GP 10월 8일 - 박대한 10월 1일 튜브플 게이밍 Xpec 10월 8일 - 김의열 10월 1일 튜브플 게이밍 Team GP 10월 8일 - 전대웅 10월 8일 Dynamite TBP 게이밍 10월 8일 팀 해체 김태준 10월 8일 Dynamite TBP 게이밍 10월 8일 팀 해체 오성현 10월 8일 Dynamite TBP 게이밍 10월 8일 팀 해체 정승민 10월 8일 Dynamite TBP 게이밍 10월 8일 팀 해체 이재혁 10월 12일 ROX NTC 크리에이터즈 10월 12일 계약 종료 송용준 10월 12일 ROX NTC 크리에이터즈 10월 12일 계약 종료 신종민 10월 12일 ROX - - 계약 종료, 팀전 은퇴 사상훈 10월 12일 ROX - - 계약 종료 노창현 10월 12일 ROX - - 계약 만료 박온유 - - Xpec 10월 24일 - 한정진 - - Xpec 10월 24일 - 박기성 - - Xpec 10월 24일 - 이은서 - - Xpec 10월 24일 - 전대웅 10월 29일 TBP 게이밍 Team GP 10월 29일 팀 합병 김태준 10월 29일 TBP 게이밍 Team GP 10월 29일 팀 합병 오성현 10월 29일 TBP 게이밍 Team GP 10월 29일 팀 합병 정승민 10월 29일 TBP 게이밍 Team GP 10월 29일 팀 합병 정유민 10월 29일 TBP 게이밍 Team GP 10월 29일 팀 합병 그룹 팀 팀 선수 선수 선수 선수 선수 감독 구분 A조 리브 샌드박스 LSB 박인수 김승태 정승하 박현수 박준석 시드 A조 Xpec XP 이은서 박기성 박온유 박대한 한정진 - 선발 A조 THREAT THR 김민준 박민호 최태원 김택진 임성준 - 선발 A조 팀 GPTBP 게이밍의 팀 소유권, 리그 출전권이 Team GP에 양도됨. GP 전대웅 김태준 정유민 오성현 정승민 - 선발 B조 블레이즈 BD 최영훈 배성빈 유창현 김지민 문호준 시드 B조 NTC 크리에이터즈 NTC 이재혁 김기수 이명재 송용준 강석인 김승래 선발 B조 SGA 인천 SGA 한승철 민은기 김주영 최민석 석주엽 박인재 선발 B조 아프리카 프릭스 AF 유영혁 노준현 임재원 장건 이은택 최대섭 선발 = = = = 개인전 = = = = 그룹 선수 선수 선수 선수 선수 선수 선수 선수 비고 16강 1경기 유창현 박현수 김정제 김승태 배성빈 정승하 이명재 최영훈 16강 2경기 이재혁 박인수 송용준 고병수 노준현 김지민 김기수 신종민 = = = 페널티 = = = 날짜 구분 대상 위반 사항 조치 사항 누적 2021년 10월 27일 팀전 BLADES (최영훈)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팀전 SGA 인천 (박인재)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팀전 NTC Creators (강석인)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팀전 NTC Creators (송용준)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1 2021년 10월 27일 팀전 NTC Creators (이명재)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1.5 2021년 10월 27일 팀전 Afreeca Freecs (임재원)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팀전 Liiv SANDBOX (정승하)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개인전 최영훈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개인전 이명재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개인전 송용준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개인전 정승하 규정 외 상황 발생(1장 5조) 주의 1회 0.5 2021년 10월 27일 팀전 BLADES 선수 품위 유지 위반 (10장 3조) 경고 1회 1.5 2021년 10월 27일 개인전 최영훈 선수 품위 유지 위반 (10장 3조) 경고 1회 1.5 규정에 의거하여, 주의 2회 누적 시, 경고 1회가 부여되며, 경고 2회는 라운드 패, 3회는 세트 패, 4회는 경기 패의 페널티가 적용된다. 주의 및 경고는 해당 대상의 차후 경기 전에 소멸된다. 주의 및 경고를 받은 대상은 11장 4조의 페널티 기준표에 의거하여 리그 위원회의 의결 또는 심판장, 심판의 판정으로 처벌할 수 있다. 10월 27일, 경기에 사용될 트랙을 공개적으로 선정하는 과정에서 공정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관련된 팀, 선수, 관계자에 대해 주의 1회를 부여하였다. 또한 최영훈의 부적절한 언행이 확인되어 소속 팀인 블레이즈와 최영훈에 경고 1회가 부여되었다. 총 7명, 5개팀에게 페널티가 부여되는 대대적인 징계가 이루어졌다. = = 팀전 = = = = = 8강 조별 풀리그 = = = A조 A조 A조 A조 A조 A조 A조 순위 팀 승 패 세트 득실 트랙 득실 결과 1 리브 샌드박스 3 0 6 15 4강 2 팀 GP 2 1 1 1 4강 3 THREAT 0 2 -3 -7 탈락 4 Xpec 0 2 -4 -9 탈락 B조 B조 B조 B조 B조 B조 B조 순위 팀 승 패 세트 득실 트랙 득실 결과 1 블레이즈 2 1 2 3 4강 2 아프리카 프릭스 2 1 1 1 4강 3 NTC 크리에이터즈 1 2 0 3 탈락 4 SGA 인천 1 2 -3 -7 탈락 = = = 4강 토너먼트 = = = 1, 2경기 4강 1경기 순위 팀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순위 팀 1세트 2세트 3세트 결과 A-1 리브 샌드박스 LSB LSB - 승리 B-2 아프리카 프릭스 LSB LSB - 패배 4강 2경기 순위 팀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순위 팀 1세트 2세트 3세트 결과 B-1 블레이즈 BD BD - 승리 A-2 팀 GP BD BD - 패배 3위 결정전 3위 결정전 순위 팀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순위 팀 1세트 2세트 3세트 결과 A-2 팀 GP AF AF - 최종 4위 B-2 아프리카 프릭스 AF AF - 최종 3위 = = = 결승전 = = = 순위 팀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순위 팀 1세트 2세트 3세트 결과 A-1 리브 샌드박스 BD BD - 최종 준우승 B-1 블레이즈 BD BD - 최종 우승 = = 개인전 = = = = = 16강전 = = = 1, 2경기 16강 1경기 순위 1 2 3 4 5 6 7 8 이름 박현수 배성빈 유창현 최영훈 김승태 정승하 이명재 김정제 점수 52 32 30 24 23 21 13 8 결과 승자전 승자전 승자전 승자전 패자전 패자전 패자전 패자전 16강 2경기 순위 1 2 3 4 5 6 7 8 이름 박인수 이재혁 김지민 김기수 송용준 고병수 신종민 노준현 점수 51 44 38 38 27 26 19 18 결과 승자전 승자전 승자전 승자전 패자전 패자전 패자전 패자전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 16강 승자전 순위 1 2 3 4 5 6 7 8 이름 이재혁 박인수 배성빈 김기수 유창현 최영훈 박현수 김지민 점수 56 49 46 34 15 14 12 6 결과 결승 결승 결승 결승 최종전 최종전 최종전 최종전 16강 패자전 순위 1 2 3 4 5 6 7 8 이름 신종민 송용준 정승하 김정제 김승태 고병수 이명재 노준현 점수 52 34 33 30 25 21 15 기권 결과 최종전 최종전 최종전 최종전 탈락 탈락 탈락 탈락 16강 최종전 순위 1 2 3 4 5 6 7 8 이름 박현수 송용준 김지민 유창현 김정제 정승하 신종민 최영훈 점수 52 38 32 29동점자 재경기 승리. 29 26 25 1 결과 결승 결승 결승 결승 탈락 탈락 탈락 탈락 = = = 결승전 = = =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결승 1라운드 박인수 83 이재혁 80 배성빈 66 송용준 56 유창현 56 박현수 55 김기수 51 김지민 46 2라운드 진출 2라운드 진출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결승 2라운드 = = 결과 = = = = = 팀전 = = = 순위 팀 비고 1 블레이즈 우승 2022 시즌 1 진출 2 리브 샌드박스 2022 시즌 1 진출 3 아프리카 프릭스 4 팀 GP 5 NTC 크리에이터즈 6 Xpec 7 SGA 인천 8 THREAT = = = 개인전 = = = 우승 이재혁 준우승 박인수 3위 배성빈 = = 방송 및 운영 = = = = = 방송 = = = 플랫폼 - 유튜브 트위치 중계진 - 성승헌 김대겸 정준 아나운서 - 최시은 *프리쇼 - 최시은 이준용 = = = 리그 위원회 = = = 직전 시즌인 2021 시즌 2의 리그 위원회가 구성원의 변동없이 승계되었다. 리그 위원회 (2차) 구분 구분 명단 비고 위원 개발, e스포츠 조재윤 김세환 심현 위원 방송국 박종남 김가희 VSPN 위원 구단 정회윤 문호준 위원 선수 김의열 임재원 위원 해설 김대겸 자문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정현우 (연구위원) 자문단 한국e스포츠협회 이재균 (사무국장) = 여수대학교 = 여수대학교(麗水大學校, )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었던 국립 산업대학이다. 2006년 전남대학교와 통합되어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가 되었다. = = 연혁 = = 1917년 여수공립간이수산학교 개교 1921년 2년제 여수공립수산학교로 개편 1924년 3년제 여수공립수산학교로 개편 1941년 5년제 여수공립수산학교로 개편 1946년 6년제 여수공립수산중학교로 승격 1951년 3년제 여수수산고등학교로 개편 1963년 여수수산고등전문학교로 승격 (5년제) 1975년 국립 여수수산전문학교 개편 1979년 여수수산전문대학으로 개편 1987년 여수수산대학으로 승격 (4년제 7개학과) 1993년 여수수산대학교로 명칭 변경 1998년 여수대학교로 교명 변경 2006년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로 통합 = 강주희 = 강주희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강주희(1961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강주희(1983년 ~ )는 대한민국의 여성 음악 그룹 윙크의 구성원이다. 강주희(1986년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이다. 강주희(1991년 ~ )는 대한민국의 킥복싱 선수이다. 로시(1999년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강주희의 본명이다. = ABU 송 페스티벌 = ABU 송 페스티벌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바탕으로 구상된 음악 경연회이다.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이 주최한다. = 틀:에피소드 표/부분 = = 분류:경기공업고등학교 동문 = = 분류:이스라엘-체코 관계 = = 킨타데틸코코 = 킨타데틸코코는 칠레 리베르타도르헤네랄베르나르도오이긴스 주 카차포알 현의 코무나이다. = Merry & Happy = Merry & Happy는 트와이스의 정규 1집 Twicetagram의 리패키지 음반이다. 타이틀곡은 〈Heart Shaker〉이며, 2017년 12월 11일 6시에 음원과 뮤직비디오가 동시 공개되었다. = = 개요 = = 박진영이 작사한 캐럴인 'Merry & Happy'가 추가되었다. 앨범 커버 종류는 Merry와 Happy 2가지 버전이다. = = 발매일 = = 국가 날짜 포맷 레이블 2017년 12월 11일 디지털 음원 JYP 엔터테인먼트, 지니뮤직 2017년 12월 11일 CD JYP 엔터테인먼트, 지니뮤직 2017년 12월 13일 디지털 음원 JYP 엔터테인먼트, 지니뮤직 = 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 캐서린 로이드 번즈 = 캐서린 로이드 번즈(Catherine Lloyd Burns, 1961년 4월 19일 ~ )는 미국의 텔레비전 배우, 전기 작가, 영화배우, 작가이다. 뉴욕에서 태어났다. = = 도서 = = It Hit Me Like a Ton of Bricks : A Memoir of a Mother and Daughter (Paperback ) It Hit Me Like a Ton of Bricks (Hardcover) It Hit Me Like a Ton of Bricks = = 영화 = = 백스터 (2005년) 에브리씽 풋 투게더 (2000년) - 주디스 역 키핑 더 페이스 (2000년) 말콤네 좀 말려줘 (2000년) 에어 콘트롤 (1999년) 마피아 (1998년) 세컨드 시빌 워 (1997년) 마이클 (1996년) 그 남자의 방 그 여자의 집 (1993년) = 분류:알렉스의 음반 = = 구시 칸 = 구시 칸(, , 1582년 ~ 1655년 1월 14일)은 별명 그시리 칸, 본명 토르바이크(Трбайх, Torbaikh Khan)는 17세기 중반 몽골 오이라트부의 네 씨족 중 하나인 코슈트의 귀족으로, 코슈트 칸국의 창업군주다. 본명은 토로바이쿠 (, Төрбайх)이다. 알탄 칸의 후예들이 점해 오던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수호자 역할을 대신하여, 1637년 청해호 근교에서 카규파를 지지한 할하의 튀멩켄 촉투 콩타이지를 격파했다. 이후 몇 년간 티베트를 통일하여 칸국을 세웠다. 귀시 칸은 달라이 라마 5세가 자치정부인 간덴 포드랑을 세워 티베트의 내정을 맡게 했으며,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의 정치적 지도자가 되는 데 기여했다. = = 개요 = = 카나이 노얀 콩고르의 아들로, 칭기즈 칸의 동생 주치 카사르의 후손이라 한다. 일설에는 에센 타이시의 직계후손이라는 설도 있다. 17세기 초반 티베트에서는 카르마파(Karmapa)와 위창 지방의 신샤크씨가 대두하고 있었다. 어린 제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Lozang Gyatso)를 섭정하고 있던 겔룩빠(dge lugs pa) ‘소남 랍뗀’(Sonam Rapten)의 원조의 요청에 응하여 구시 칸은 1637년에 칭하이(당시 코코노르)에서 쵸크트 쿤타이지를 격파하고, 달라이 라마로부터 「호교법왕」(護教法王, śasin i bariγci nom un qaγan)의 칭호를 받았다. 1640년 창군(위창)과 그 아군인 차하르 및 칼카(할하)의 몽골 연합 부족을 격파하고 캄 지방을 평정하였다. 1642년에는 위창 지방도 평정하고, 동년 4월에 지배권을 정식으로 달라이 라마에게 헌상했다. 5대 달라이 라마는 구시 칸에게 〈티베트의 왕〉이라는 지위를 부여했다. 그의 딸 중 1명은 준가르부의 에르데니 콩타이지에게 출가했다. = = 사후 = = 쿠시 칸은 1655년에 10명의 아들을 남기고 죽었다. 그의 10명의 아들 중 8명은 암도의 전략적 요충지인 코코노르 지역(칭하이 호수) 주변에 부족과 함께 정착하여 다스렸다. 5대 달라이 라마는 1656년과 1659년에 여러 명의 지사를 파견했고, 이때 정착한 몽골인 집단은 점차 티베트화되어 갔다. = 호시 = 호시(Hoshi, (權純永), 1996년 6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세븐틴의 퍼포먼스팀 리더, 서브보컬, 메인댄서를 맡고 있다. 그리고 3인조 그룹인 부석순의 맏형이다. = = 학력 = = 창현초등학교 (졸업) 마석중학교 (졸업) 마석고등학교 (졸업)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중퇴) 한양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재학) = = 음반 활동 = = = = = 믹스테이프 = = = 2021년 <Spider> 2022년 <호랑이 (Feat. 타이거 JK)> 2023년 <stay> = = 커리어 = = 2011-2014: 데뷔 전 호시는 2011년 말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에 합류하여 이후 4년간 훈련을 받았다. 2013년, 그는 플레디스의 연습생들을 소개하는 온라인 리얼리티 쇼인 세븐틴 TV에 출연했고 공식적인 데뷔 전에 보이 그룹 세븐틴의 예비 멤버들을 보여주었다. 훈련생들이 훈련하고, 노래하고, 안무를 만들고, 게임을 하는 것을 보여주면서 유스트림에서 정기적으로 방송되었다. 쇼에서는 또한 "열일곱 살처럼"이라는 제목의 콘서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5-현재: 17회 및 솔로 활동 2015년 5월 29일, 17캐럿의 연장 플레이로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세븐틴의 멤버로 데뷔했다.[10] 멤버 승관과 도겸과 함께 호시는 세븐틴, BSS, 부석순의 유닛을 결성했는데, 이는 세 멤버의 공통된 유닛명이다. 2018년 3월 21일에 데뷔 싱글 "Just Do It"을 발매했다. 2021년 4월 2일, 첫 솔로 믹스테이프 거미를 발매했다. 호시는 가사와 공연을 포함한 노래의 전반적인 제작 과정에 참여했다. 스파이더는 아이튠즈 노래 차트에서 48개 지역에서 10위 안에 들었다. = = 가수 외 활동 = = = = = 라디오 = = = 2015년 SBS 파워FM 《이국주의 영스트리트》 2015년 KBS Cool FM 《케이팝플래닛》 - DJ 2015년 SBS 파워FM <VIXX N K-pop> 2015년 KBS Cool 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 = = 뮤직비디오 = = = 2012년 뉴이스트 〈FACE〉 2012년 헬로비너스 〈Venus〉 2015년 오렌지캬라멜 〈나처럼 해봐요〉 = = = 작사 = = = 세븐틴 《17 CARAT》〈Jam Jam〉 세븐틴 《LOVE&LETTER》〈이 놈의 인기〉 세븐틴 《LOVE&LETTER》〈떠내려가〉 세븐틴 《LOVE&LETTER REPACKAGE》 〈NO F.U.N〉 세븐틴 《Going Seventeen》 〈Highlight〉 세븐틴 《Going Seventeen》 〈빠른 걸음〉 세븐틴 《Al1》 〈울고 싶지 않아〉 세븐틴 《Al1》 〈WHO〉 세븐틴 《TEEN, AGE》 〈박수〉 세븐틴 《TEEN, AGE》 〈CHANGE UP〉 세븐틴 《TEEN, AGE》 〈날 쏘고 가라〉 세븐틴 《TEEN, AGE》 〈모자를 눌러쓰고〉 세븐틴 《DIRECTOR's CUT》 〈CHANGE UP〉 세븐틴 부석순 〈거침없이〉 BUMZU&한동근 〈FOREVER YOUNG〉 세븐틴 《An Ode》 〈247〉 세븐틴 《YOU MAKE MY DAY》 <MOONWALKER> 세븐틴《YOU MADE MY DAWN》 <SHH> 세븐틴《헹가래》 <같이가요> 세븐틴《;[Semicolon]》 <마음에 불을 지펴> 세븐틴《Mixtape Vol.17》 <Spider> 세븐틴《Your choice》 <WAVE> 세븐틴《Attaca》 <PANG> 호시 <호랑이 POWER> 호시 <HURRICANE> 세븐틴 <IN THE SOOP> = = = 작곡 = = = 세븐틴 《Going Seventeen》 〈Highlight〉 세븐틴 《Al1》 〈Swimming fool〉 세븐틴 《TEEN, AGE》 〈CHANGE UP〉 세븐틴 《YOU MADE MY DAWN》 〈Getting Closer〉 세븐틴 <IN THE SOOP> = = 기부 활동 = = 코로나 19사태에 소속사도 모르게 5천만원을 기부 했으며, 장학금 명목으로 마석고등학교에 2천만원을 기부했다. 2021년 6월 10일 남양주시 학대피해아동 등 위기가정을 위해 경기북부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남양주시복지재단에 1억원을 기부했다. 2021년 10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남양주 복지센터에 친환경 살균수 원액을 기부했다. 2021년 11월 9일 남양주시 지역 저소득층을 위해 경기 남양주시복지재단에 연탄 1만장을 기부했다. 자선사업 2020년 3월, 호시는 개인적으로 5천만 파운드(4만 2천 694달러)를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부금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분들을 위한 방역용품 구입과 의료진과 자원봉사자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2020년 4월, 호시의 아버지 권혁두씨가 남양주 화도동 행정복지센터를 대신 방문하여 154만원 상당의 친환경 살균수를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하였다. 2020년 10월 29일, 경기도 마석 고등학교는 호시가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2,310만 파운드를 기부했다고 발표했다. 경기북부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따르면 호시는 2021년 6월 10일 남양주복지재단에 1억원을 기부하고 고액의 사랑 기부자 모임인 아너 소사이어티에 가입했다. 호시의 기부는 그의 26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고 그는 지역사회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후원 활동에 참여했다. 이 금액은 학대받는 아동, 한부모 가정,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위해 남양주 어린이집을 통해 사용될 예정이다. 남양주시는 2021년 12월 기부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호시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조광한 남양주시장을 대신해 감사패를 전달한 최대집 화도수동행정복지센터장은 "지역사회를 잊지 않고 다양한 방법과 지속적인 기부를 통해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는 기부천사 호시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 분류:시대별 소말리아 사람 = 소말리아 en:Category:Somalian people by period = 분류:스위스의 식물학자 = = 분류:2014년 안도라 = = 분류:357년 = = 칭원법 = 칭원법(稱元法)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군주의 재위 원년(元年)을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군주의 재위년을 기년(起年)으로 사용하던 동아시아에서 군주가 교체되었을 때, 그 해의 기년이 어떤 군주의 재위년인가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크게 훙년칭원법(薨年稱元法)과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으로 더 다양하게 구분된다. 중국은 대체로 유년칭원법을 사용하였고, 한국은 원래 훙년칭원법을 사용하였으나 고려 말기부터 유년칭원법을 사용하였다. = = 개요 = = 전근대 동아시아에서는 군주의 재위년을 기년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모든 연도는 군주의 재위년으로 표기되었는데, 군주가 교체되었을 때는 어떤 재위년을 사용해야 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군주가 교체된 해는 전임(前任) 군주의 재위년인가, 아니면 신임(新任) 군주의 원년(1년)인가를 정하기 위해 칭원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단순히 연도를 세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정통성과 명분도 칭원법의 사용과 관련이 있다. 크게 새로 즉위한 군주의 원년을 즉위한 해에 바로 사용하는 훙년칭원법과 즉위한 해는 전임 군주의 재위년을 기년으로 하고 이듬해를 원년으로 칭하는 유년칭원법이 있다. = = 훙년칭원법 = = 일반적으로 군주의 교체는 전임 군주가 사망함에 따라 후계자가 뒤를 잇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훙년(薨年)은 전임 군주가 훙(薨 : 군주의 사망을 높여 부르는 말)한 해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후계자가 즉위한 즉시 원년을 칭하는 칭원법이 훙년칭원법이다. 훙년칭원법은 전임 군주가 사망했을 때까지의 기간을 어떤 기년으로 사용하는가를 구분하기 위해 다시 몇 가지로 구분된다. 전임 군주가 사망한 날짜까지는 전임 군주의 재위년을 기년으로 사용하고 그 다음날부터 신임 군주의 원년을 기년으로 사용하는 훙월칭원법(薨月稱元法), 사망한 달까지는 전임 군주의 재위년으로 보고 그 다음달부터 신임 군주의 원년으로 보는 유월칭원법(踰月稱元法)이 대표적이며, 사망한 해 전체를 신임 군주의 원년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신라의 혁거세 거서간은 서기 4년 3월에 사망하였으며, 남해 차차웅은 뒤를 이어 즉위하여 같은해(서기 4년) 4월부터 원년을 칭하였다. 이것이 훙년칭원법 중에서도 유월칭원법이다. 한편, 본래 유년칭원법을 사용하였더라도 전임 군주가 폐위되거나 기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교체되었을 때는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훙년칭원법을 적용하여 즉시 원년을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유년칭원법 = = 신임 군주가 즉위한 즉시 원년을 칭하지 않고 해를 넘겨 이듬해부터 원년을 칭하는 방법을 말한다. 전임 군주가 사망하고 현재 새로운 군주가 재위중인 상황이라도 계속해서 그 해가 끝날 때까지 전임 군주의 재위년으로 연도를 세는 것이다. 이 경우 현재 군주가 새로운 군주임에도 계속해서 사망한 전임 군주의 치세로 보는 것이므로,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사망한 이후부터 그 해가 끝날 때까지를 즉위년으로 바꿔 부르는 경우도 있다.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대표적이다. = = 용례 = = 중국은 《춘추》의 기록에서 유년칭원법을 사용한 이래 계속 유년칭원법을 사용하다. 그러나 은나라 시기에는 훙년칭원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삼국사기》 〈신라본기〉 남해차차웅 원년 사론(史論), 김부식, 1145년 한국은 전통적으로 훙년칭원법을 사용하였으나 고려 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중국의 법도를 따라 유년칭원법으로 바꿔 사용하였다. 《삼국사기》는 삼국의 실제 기록을 존중하여 모두 훙년칭원법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조선시대에 편찬된 《동국사략》은 유년칭원법을 적용하여 모든 연도가 1년씩 차이가 난다. 《동국통감》은 다시 훙년칭원법으로 회귀하였다. 《동사강목》은 삼국의 경우 모두 훙년칭원법으로 연도를 세고 있으나, 사건에 대한 기록은 모두 전왕의 재위년으로하여 양자를 절충하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실제로는 훙년칭원법을 사용하였으나, 고려시대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는 조선시대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현전하는 모든 기록은 유년칭원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삼국유사》는 훙년칭원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임 군주의 사망한 해를 모두 신임 군주의 원년으로 표기하는 특수한 훙년칭원법을 사용하고 있다. = 마이크로피디어 = 마이크로피디어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소항목 백과사전이다. = = 중국어판 = = 간명브리태니커백과전서는 중국어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소항목 백과사전이다. = = = 내용과 만들기까지 = = = 총 10권이다. 1985년에 완성되었고, 5년간 작업으로 완성되었다.그러나 개방된 중국의 모습을 반영하기 위해 1999년에 20권으로 다시 개정되었다. 전 항목보다 20% 늘어났다.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와 미국의 브리태니커 사의 합작이며 이 백과사전은 1966년부터 1969년 사이에 중국에서 일어난 문화 대혁명 기간에 정지되었던 교육 설비를 근대화하고 복구하려는 중국 정부의 정책을 반영해 만들어진 백과사전이다. 이 백과사전은 마이크로피디어인 소항목사전을 번역하여 만들어진 중국어 백과사전이며 중국 항목들은 모두 중국대백과전서출판사가 서술하여 자세하다. 이 백과사전 총 책임은 류쭌치와 프랭크 B. 기브니이다. 프랭크 B. 기브니는 브리태니커 편집위원회 부위원장이다. = 분류:야마구치 대학 교수 = = 연수구 갑 = 인천 연수구 갑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인천광역시 연수구 일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박찬대 (재선, 2016년~)이다. = = 관할 구역 = = 대수 관할 구역 20대~21대 연수구 옥련2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동춘3동 22대~ 연수구 옥련1동, 옥련2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동춘1동, 동춘2동, 동춘3동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정당 정당 의원 2016년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2020년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2024년 = =역대 선거 결과 = = =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 = 틀:2010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 = 슬로 모션 = 슬로 모션은 영상의 효과로, 실제보다 느린 속도로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영화는 초당 24 프레임, 텔레비전은 30 프레임이지만, 보통의 속도로 촬영한 것을 천천히 재생하면 움직임이 직선화되고 결점이 있다. 따라서 나중에 슬로 모션으로 재생할 것이라면, 고속 촬영을 하고 초당 평소보다 많은 매수를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내용 = = 슬로 모션은 영화 제작에서 시간이 느려지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이다. 이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의 성직자 아우구스트 머저(August Musger)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는 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해당 카메라로 제작된 영상을 30fps와 같은 일반 속도로 재생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후반 작업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스타일은 각 필름 프레임이 재생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캡처될 때 달성된다. 정상 속도로 재생하면 시간이 더 천천히 흐르는 것처럼 보인다. 슬로 모션 영화 제작에 대한 용어는 오버크랭킹(overcranking)이다. 이는 초기 카메라를 평소보다 빠른 속도(즉, 초당 24프레임보다 빠른 속도)로 수동으로 크랭킹하는 것을 의미한다. 슬로 모션은 일반적으로 녹화된 영상을 느린 속도로 재생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기술은 영화보다 즉시 재생되는 비디오에 더 자주 적용된다. 세 번째 기술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후처리를 사용하여 촬영된 프레임 사이에 디지털 방식으로 보간된 프레임을 제작한다. 예를 들어 오버크랭크된 프레임 간 보간 등의 기술을 결합하면 모션을 더욱 느리게 할 수 있다. 슈퍼 슬로 모션을 구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고속 사진 촬영을 통한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과학적 응용을 위해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빠른 현상을 기록하는 보다 정교한 기술이다. 슬로 모션은 현대 영화 제작에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감독이 사용한다. 슬로 모션의 일부 고전적인 주제는 다음과 같다. 기술과 스타일을 보여주기 위한 모든 종류의 운동 활동. 일반적으로 리플레이로 표시되는 운동 경기의 중요한 순간을 다시 포착한다. *물방울이 유리잔에 부딪히는 등의 자연현상. 슬로 모션은 예술적 효과, 로맨틱하거나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순간을 강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세볼로트 푸돕킨은 1933년 영화 더 데저터(The Deserter)에서 자살 장면에 슬로 모션을 사용했는데, 이 장면에서 한 남자가 강으로 뛰어내리는데, 천천히 튀는 파도에 빨려 들어가는 것처럼 보인다. 또 다른 예는 오우삼이 날아다니는 비둘기 떼의 움직임에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 페이스 오프 (영화)이다. 매트릭스 (영화)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액션 장면에 효과를 적용하고 다른 장면에서는 슬로 모션과 라이브 액션을 혼합하는 데 뚜렷한 성공을 거두었다. 일본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는 1954년 영화 7인의 사무라이(Seven Samurai)에서 이 기술을 사용한 선구자였다. 미국 감독 샘 페킨파(Sam Peckinpah)는 슬로 모션을 즐겨 사용하는 또 다른 고전적인 인물이었다. 이 기술은 특히 폭발 효과 장면 및 수중 장면과 관련이 있다. 슬로 모션의 반대말은 패스트 모션이다. 촬영감독은 빠른 모션을 언더크랭킹(undercranking)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원래는 수동으로 카메라를 일반 속도보다 느리게 작동시켜서 구현되었기 때문이다. 만화나 가끔씩 문체 효과를 내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극도로 빠른 모션은 타임랩스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성장하는 식물의 프레임은 몇 시간마다 촬영된다. 프레임이 정상 속도로 재생되면 시청자의 눈앞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처럼 보인다. 슬로 모션의 개념은 영화가 발명되기 이전에도 존재했을 수 있다. 일본의 연극 형식인 노 (연극)(Noh)는 매우 느린 동작을 사용한다. = = 동작 원리 = = 현대 영화 촬영법에서 슬로 모션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오버크랭킹, 타임 스트레칭)가 있다. 둘 다 카메라와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프로젝터는 영화관의 고전적인 영화 프로젝터를 말하지만 TV 화면과 일정한 프레임 속도로 연속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타 장치에도 동일한 기본 규칙이 적용된다. = = = 오버크랭킹 = = = 위 그림을 읽기 쉽게 만들기 위해 투사 속도는 초당 10프레임(fps)이 선택되었다. 24fps 필름 표준에서는 느린 오버크랭크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장비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Offers frame rates of 1-60 fps = = = 타임 스트레칭 = = = 두 번째 유형의 슬로 모션은 후반 작업 중에 구현된다. 이를 타임 스트레칭(time-streching) 또는 디지털 슬로 모션(digital slow mo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유형의 슬로 모션은 실제로 촬영된 프레임 사이에 새로운 프레임을 삽입하여 구현된다. 실제 동작이 더 오랜 시간에 걸쳐 발생하므로 이 효과는 오버크랭킹과 유사하다. 필요한 프레임을 촬영한 적이 없기 때문에 새 프레임을 제작해야 한다. 새 프레임이 단순히 이전 프레임의 반복인 경우도 있지만 프레임 간 보간을 통해 생성되는 경우가 더 많다. (종종 이 모션 보간은 사실상 스틸 프레임 사이의 짧은 디졸브이다.) 프레임 간의 동작을 추적하고 해당 장면 내에서 중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는 복잡한 알고리즘이 많이 존재한다. 이는 절반 속도와 유사하며 진정한 슬로 모션이 아니라 단순히 각 프레임을 더 길게 표시하는 것이다. = 포허스카 = 포허스카(Pawhuska)는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도시로, 인구는 3,584명이다. = 분류:알파-1 차단제 = = PGC 29329 = = 분류:핵전쟁과 무기를 소재로 한 노래 = = U-12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 = U-12 오세아니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WBSC 오세아니아가 주관하는 국제 야구 대회로 12세 이하의 선수들이 참가한다. WBSC U-12 야구 월드컵 대회의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한다. = = 대회 결과 = = 연도 개최지 우승 준우승 3위 2017 2019 대회 취소뉴질랜드의 불참 통보로 2019년 12세 이하 야구 월드컵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와일드 카드의 피지가 출전하게 되었다. 대회 취소뉴질랜드의 불참 통보로 2019년 12세 이하 야구 월드컵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와일드 카드의 피지가 출전하게 되었다. 대회 취소뉴질랜드의 불참 통보로 2019년 12세 이하 야구 월드컵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와일드 카드의 피지가 출전하게 되었다. = 분류:1795년 폐지 = =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carrier-sense multiple access, CSMA)은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의 하나로, 근거리 전산망에서 지국이 데이터의 전송시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전송을 하기 전에 지국은 반송신호의 유무 확인을 통해 네트워크의 상태를 점검한다. = = 액세스 모드 = = 1-persistent Non-persistent P-persistent O-persistent = 분류:세종초등학교 (서울) 동문 = = 위키프로젝트:필기구/카탈로그 = 필기구 제조사의 또는 수입사 카탈로그입니다. 모닝글로리 = 분류:1963년 설치 = = 카파리스과 = 카파리스과(Capparis科, 학명: )는 십자화목의 과이다.Jussieu, Antoine Laurent de. Genera Plantarum 242. 1789. 현재까지 33개 속에 약 7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큰 속은 카파리스속(Capparis, 약 150종)과 마이루아속(Maerua, 100종 이내), 보스키아속(Boscia, 37종) 그리고 카다바속(Cadaba, 30종) 등이다. = = 하위 분류 = = 아래 속들은 다음과 같이 다른 과로 재분류되었다. = 분류:1820년 교통 = = 분류:히가시노 게이고 = = 분류:오페라의 유령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 = = 메리다작은귀땃쥐 = 메리다작은귀땃쥐(Cryptotis meridensis)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베네수엘라의 고유종이다. = 리코타 = 리코타는 치즈를 만들고 남은 유청으로 만드는 유청 치즈이다. 유청을 끓는 점까지 가열한 뒤 레몬즙이나 식초 등 산성 용질을 넣으면 덩어리가 생기는데, 이를 미세한 구멍이 있는 치즈 천으로 걸러주면 된다. 크림색이며 외관상 두부와 유사하다. 사용되는 우유나 산성 용질에 따라 향과 맛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부패하기 쉬우나 오래 보존할 수 있게 만든 종류도 있다. 리코타(문자 그대로 "다시 조리된", "정제된"을 의미) 단백질은 추가 발효(상온에서 12~24시간 동안 방치)를 통해 유청이 먼저 더욱 산성화되면 얻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산성화된 유청을 거의 끓을 때까지 가열한다. 낮은 pH와 높은 온도의 조합은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응집시켜 미세한 응유를 형성한다. 냉각되면 액체를 고운 천에 통과시켜 분리하고 응유만 남긴다. 리코타 커드는 외관이 크림 같은 흰색이고 맛이 약간 달콤하다. 지방 함량은 사용되는 우유에 따라 다르다. 이 형태에서는 일부 신선한 치즈 변형과 질감이 다소 유사하지만 상당히 가벼우며 부패하기 쉽다. 그러나 리코타는 훨씬 더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숙성된 품종으로도 만들어진다. = 배 = 배는 다음 뜻으로 쓰일 수 있다. *배는 배나무속 나무의 과일이다. 주로 다음 세 종을 널리 재배한다. 배나무(Pyrus pyrifolia var. culta): 돌배나무의 재배종. 서양배나무(Pyrus communis) 중국(Pyrus × bretschneideri): 산돌배(Pyrus ussuriensis)의 재배종. *배는 물에서 이동하는 운송 수단이다. *배는 인간이나 동물의 몸통 앞 부분을 나타낸다. *배(裵)는 한국의 성씨이다. *배(胚)는 다세포 진핵생물의 초기 발생 과정이다. 배 (공포 작가) = 사하 공화국의 국가 = 사하 공화국의 국가는 K.A. Gerasimov에 의해 작곡된 사하 공화국의 국가이다. 본래의 야쿠트어 가사는 S.I. Tarasov에 의해 쓰여졌고 러시아어 가사는 M.E. Timofeyev에 의해 쓰여졌다. 1993년 지정되었다. = = 가사 = = = = =야쿠트어 가사 = = = 키릴문자Республика Саха Якут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имволы России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 Сахам сирэ дьоллоох тускуга Саһарҕалыы ыҥыра ыллыыр, Илинтэн арҕаа ол кустуга Алмаас таас курдук сандаара сырдыыр. Барҕа быйаҥнаах Сахам дойдута Модун Россия киэн туттуута, Өркөн-өрөгөй тойугун туойдун, Үүнэр үйэҕэ үрдүү туруохтун! Үллэр үөстээх Өлүөнэ Эбэ Өлбөт-мэҥэ угуттуур уулаах. Элбэх омукка эрчим эбэр, Или-эйэни олохтуур уохтаах. Ааспыт кэммит айхаллаах суола Арчылыыр аар алгыһын биэрдэ, Сахабыт сирэ дьоһун дуолан Сайдыы аартыгар түөрэҕэ түстэ. Saqam sire çollooq tuskuga Saharƣalьь ьꞑьra ьllььr, Ilinten arƣaa ol kustuga Almaas taas kurduk sandaara sьrdььr. Barƣa вьjaꞑnaaq Saqam dojduta Modun Rossija kien tuttuuta; Өrkөn ɵrɵgɵj tojugun tuojdun, Yyner yjeƣe yrdyy turuoqtun! Yller yɵsteeq Ɵlyɵne Eвe Ɵlвɵt-meꞑe uguttuur uulaaq. Elвeq omukka ercim eвer, Ili-ejeni oloqtuur uoqtaaq. Aaspьt kemmit ajqallaaq suola Arcьlььr aar algьhьn вierde, Saqaвьt sire çohun duolan Sajdьь aartьgar tyɵreƣe tyste. [sɑχɑm siɾe̞ ɟ͡ʝo̞ɫːo̞ːχ tusqugɑ] [sɑhɑɾʁɑɫɯː ɯŋɯɾɑ ɯɫːɯːɾ] [ilinte̞n ɑɾʁɑː o̞ɫ qustugɑ] [ɑɫmɑːs tɑːs quɾduq sɑndɑːɾɑ sɯɾdɯːɾ ‖] [bɑɾʁɑ bɯjɑŋnɑːχ sɑχɑm do̞jdutɑ] [mo̞dun ro̞sːijɑ kie̞̯n tutːuːtɑ] [ø̞ɾkø̞n ø̞ɾø̞gø̞j to̞jugun tu̯o̞jdun] [yːne̞ɾ yje̞ɣe̞ yɾdyː turu̯o̞χtun ‖] [ylːe̞ɾ y̑ø̞ste̞ːx ø̞ly̑ø̞ne̞ e̞be̞] [ø̞lbø̞t me̞ŋe̞ ugutːuːɾ uːɫɑːχ] [e̞lbe̞x o̞muqːɑ e̞ɾc͡çim e̞be̞ɾ] [ili e̞je̞ni o̞ɫo̞χtuːɾ u̯o̞χtɑːχ ‖] [ɑːspɯt ke̞mːit ɑjχɑɫːɑːχ su̯o̞ɫɑ] [ɑɾc͡çɯɫɯːɾ ɑːɾ ɑɫgɯhɯm‿bie̞̯ɾde̞] [sɑχɑbɯt siɾe̞ ɟ͡ʝo̞hun du̯o̞ɫɑn] [sɑjdɯː ɑːɾtɯgɑɾ ty̑ø̞ɾe̞ɣe̞ tyste̞] = = =러시아어 가사 = = = = = =한국어 번역 = = = = = =영어 가사 = = = = 틀: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일본 선수 명단 = = 산짜이족 = 산짜이족(Người Sán Chay)은 베트남 동북부 뚜옌꽝성뿐 아니라 일부 인근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 까올란족(Cao Lan)이라고도 불린다. 그들은 태국어의 한 종류를 말한다. 그들의 인구는 2009년에 169,410명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벼농사를 지을 수 있을 만큼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벼농사를 이용하여 외딴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신꼬(, 연가)를 부르고 슬랙틀린 마이축제(, 햅쌀 축제)를 기념한다. =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사 = = 분류: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감독 = = 분류:방글라데시의 교통 회사 = = 묵계초등학교 = 묵계초등학교는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36년 5월 1일: 청암보통학교 부설 묵계간이학교 설립인가 1942년 4월 1일: 묵계국민학교 개교 1996년 3월 1일: 묵계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청암분교장개교 = 자마시나이데 Here We Go!/도큐노코사인/와카인다시! = 자마시나이데 Here We Go!/도큐노코사인/와카인다시!는 2017년 10월 4일 발매된 모닝구무스메'17의 예순네 번째 싱글이다. = = 개요 = = 14기 멤버(모리토 치사키)가 합류 후 첫 발매되는 싱글. 쿠도 하루카의 마지막 참가 싱글 초회한정반 A, B, SP, 통상반 A, B, C, 쿠도 하루카 (모닝구무스메'17)반의 6 형태로 발매. 초회한정반 A, B, SP, 쿠도 하루카 (모닝구무스메'17)반에는 DVD가 같이 수록되고 있다. 모든 초회한정반에는 이벤트 추첨 일련 번호 카드가 봉입되고 있다. = = 수록곡 = = = = = CD = = =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오쿠보 카오루 # #: 작사 : 코다마 아메코 / 작곡 : 호시베 쇼우 / 편곡 : Yocke # #: 작사, 작곡 : 층쿠 / 편곡 : 히라타 쇼이치로 (Instrumental) (Instrumental) (Instrumental) = = = DVD = = = (Music Video) (Music Video) (Music Video) (Dance Shot ver.) (Dance Shot ver.) (Dance Shot ver.) (쿠도 하루카 Solo Ver.) (촬영 메이킹 영상) = = 차트 = = 일간최고순위 1위 (오리콘 차트) 주간최고순위 2위 (오리콘 차트) = 분류:산마리노의 여성 = = 분류:짐바브웨의 텔레비전 = = .рф = thumb .рф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의 약자, 러시아연방을 의미함)는 러시아의 국가 도메인이다. 인터넷에서 키릴 문자로 된 최초의 도메인이다. рф는 새로운 도메인으로 러시아에서 처음으로 생겨났다. 로마자 표기로는 rf를 의미한다. 2008년 11월에 국제인터넷주소기구로부터 등록받았다.러시아 첫 키릴 문자 도메인 탄생 = = 비판 = = 러시아에서 생겨났지만 러시아에서도 비판차단 등을 이유로 키릴도메인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게다가 아직 키릴도메인을 등록한 기업은 10%로 거의 미미하다. 하지만 러시아 정부측은 키릴도메인이 편리하고 통제를 할 근거는 없다고 키릴주소를 옹호하고 있다.러' "키릴어 인터넷주소 확산, 어렵네!" = 틀:전국체전이름 광주 =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가봉 축구 연맹에서 관리한다. 1960년 4월 13일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스타드 오마르 봉고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 국제 대회 경력 = = = = = FIFA 월드컵 = = = 현재까지 가봉의 월드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나 그나마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대회는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으로 이 대회에서 최종 예선까지 올랐고 최종 예선에서도 3승 3패·A조 2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7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1996년과 적도 기니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한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리면서 가봉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2014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 = = 하계 올림픽 = = = 올림픽 축구 본선 기록은 현재까지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12년 대회가 유일하며 그나마도 2무 1패의 성적으로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 = 기타 국제 대회 경력 = = CEMAC컵에서는 10번의 대회 가운데 2번의 대회에서 우승(2013년)과 준우승(2007년)을 각각 1번씩 거머쥐었고 1999년 UNIFAC컵에서도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UDEAC컵에서도 7번의 대회 중 2번의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다. = = FIFA 월드컵 (본선) = =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4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8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4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8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62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1966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4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8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2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6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90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4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6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0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4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합계 = = = FIFA 월드컵 (예선) = = =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4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38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0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4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8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62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없음가봉 축구협회 창립 이전 1966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4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8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2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6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90년 6 2 0 4 5 9 6 1994년 4 2 1 1 7 5 7 1998년 7 2 1 4 4 11 7 2002년 2 1 0 1 1 2 3 2006년 12 3 5 4 15 14 14 2010년 12 7 0 5 17 10 21 2014년 6 2 1 3 5 6 7 2018년 8 2 3 3 3 8 9 합계 57 21 11 25 57 65 74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7위 (아프리카 21위)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7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9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62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3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5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8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74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6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8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2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84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86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8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0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1994년 조별리그 12위 2 0 0 2 0 7 0 1996년 8강 7위 3 1 1 1 4 3 4 199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0년 조별리그 16위 3 0 1 2 2 6 1 2002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4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6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08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0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2 2 4 2012년 8강 5위 4 3 1 0 7 3 10 2013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2015년 조별리그 12위 3 1 0 2 2 3 3 2017년 조별리그 9위 3 0 3 0 2 2 3 2019년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예선 탈락 총계 7회 진출(7/30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8강(2회) 21 6 7 8 19 26 25 순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8위 =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7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59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독립 이전 1962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3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5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8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2년 2 0 0 2 1 3 0 1974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76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8년 2 0 1 1 5 6 1 198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2년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기권 1984년 2 0 1 1 2 6 1 1986년 2 0 1 1 1 3 1 1988년 2 1 0 1 1 1 3 1990년 6 3 0 3 6 6 9 1992년 6 2 3 1 3 2 9 1994년 6 4 2 0 10 2 14 1996년 4 3 0 1 8 2 9 1998년 6 1 4 1 5 5 7 2000년 8 5 1 2 15 10 16 2002년 8 3 3 2 13 10 12 2004년 6 2 0 4 7 7 6 2006년 12 3 5 4 15 14 14 2008년 4 2 1 1 6 5 7 2010년 12 7 0 5 17 10 21 2012년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2013년 2 0 1 1 2 3 1 2015년 6 3 3 0 9 4 12 2017년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자동진출(개최국) 2019년 6 2 2 2 7 5 8 합계 102 41 28 33 133 104 151 = = 하계 올림픽 = =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4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68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72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1976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0년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불참 1984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1988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1992년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1996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0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4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08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2012년 조별리그 12위 3 0 2 1 1 3 2 2016년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진출 실패 합계 1회 진출(1/15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조별리그(1회) 3 0 2 1 1 3 2 = = 주요 선수  = = 피에르에므리크 오바메양 마리오 레미나 브뤼노 에퀴엘르 망가 로이 팔룽 아롱 아팽당고예 레비 마딩다 겔로르 캉가 디디에 은동 말리크 에부나 앙드레 비요고 포코 디디에 오보노 프레데릭 뷜로 악셀 메예 = 김만식 = 김만식(金晩植, 1834년 ~ 1900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자는 기경(器卿)이고 호는 취당(翠堂)이며 온건개화파 거두인 김윤식의 사촌 형이기도 하다. 유신환의 문인이다. = = 생애 = = 그는 사촌 동생인 김윤식과 함께 유신환의 영향을 받아 동도서기론을 주장하게 되었으며 수신사로 일본에 가게 되어 개화 사상을 갖게 되었다. 1883년 8월 17일에는 박문국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1894년에 청일전쟁이 일어났을 때 병부(兵符)를 잃어버려 원주로 유배되었다. = 틀:하위 문서 가능/설명문서 = 현재 문서의 이름공간이나 주어진 이름공간이 하위 문서가 허용된 이름공간인지를 판별합니다. 하위 문서가 허용되는 이름공간이면 예를 출력하고, 아니면 빈 문자열을 돌려줍니다. 구체적으로, 다음 네 종류의 이름공간은 하위 문서가 허용되지 않으므로 빈 문자열을, 나머지에 대해서는 예를 출력합니다. *일반 문서(이름공간 없음) *파일: *미디어위키: *분류: 이 틀은 풀어서 쓸 수 있습니다. = =기술적인 사항 = = *일반 문서, 파일, 미디어위키, 분류 이름공간의 경우 문서 이름에 /(슬래시)가 사용되면 미디어위키는 이것을 하위 문서로 처리하지 않고 문서 자체의 이름으로 처리합니다. = 틀:슬라브어파 = = M36 구축전차 = 'M36 구축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중 미군이 사용한 구축전차이다. 비공식명칭으로 잭슨(Jackson)으로도 불렸다. = = 개요 = = 미군은 유럽에 본격적으로 상륙하면서 당시 주력이었던 M4 셔먼보다 강력한 독일의 중전차인 티거 전차를 만나게 되었다. 그래서 미군은 구축전차인 M10 울버린 또는 M4A3 셔먼 포탑을 개조해 이미 보유하고 있던 M3 90mm포를 장착하게 했다. 본 차량은 독일군 구축전차의 개념과 같았다. 당시 모든 독일군 기갑차량을 격파할 수 있는 미국의 유일한 기갑 차량 이었다. = = 활약 = = 그 후 티거와 티거B형(쾨니히스티거 티거2) 전차를 상대하며 전과를 올렸으며 태평양 전선과 벌지 전투에서 매우 큰 활약을 하였다. 그 후 한국전쟁에 투입되어 M26 퍼싱과 함께 공산군의 T-34/85을 상대하는 데 사용되었다. 후에 대한민국 해병대에 공여되어 195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 분류:다르드어군 = = 분류:후쿠오카 교육대학 교수 = = 못말리는 패밀리 = 못말리는 패밀리는 미국 FOX에서 방영된 시트콤이다. 2003년 11월 2일부터 방영되어 2006년 2월 10일 시즌 3를 끝으로 종영하였다가 7년후인 2013, 2018~2019년에 넷플릭스에서 시즌 4~5가 방영되었다. 미첼 허위츠(Mitchell Hurwitz)가 기획하였으며, 론 하워드가 총감독과 내레이션을 맡았다. 2003년 첫 시즌 방송 이후 6번의 에미상과 한번의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했다. = = 등장인물 = = = = = 주요 등장인물 = = = 마이클 블루스(Michael Bluth)는 이 시트콤의 주인공이다. 제이슨 베이트먼이 연기하였다. 조지 마이클 블루스(George Micheal Bluth)는 마이클 블루스의 아들이다. 마이클 세라가 연기하였다. 조지 블루스 시니어(George Bluth Sr.)는 마이클 블루스의 아버지로, 블루스 사의 설립자이다. 제프리 탬버가 연기하였다. 루실 블루스(Lucille Bluth)는 마이클 블루스의 어머니이자 조지 블루스 시니어의 아내이다. 제시카 월터가 연기하였다. 조지 오스카 블루스 2세(George Oscar Bluth II)는 마이클 블루스의 형으로, 마술사이다. 본명보다는 약자 좁(G.O.B.)이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윌 아넷이 연기하였다. 바이런 "버스터" 블루스(Byron "Buster" Bluth)는 마이클 블루스의 동생이다. 토니 헤일이 연기하였다. 린지 블루스 퓐케(Lindsay Bluth Fünke)는 마이클 블루스의 누나이다. 포셔 드 로시가 연기하였다. 토바이어스 퓐케(Tobias Fünke)는 린지의 남편이다. 데이비드 크로스가 연기하였다. 메이 "메이비" 퓐케(Mae "Maeby" Fünke)는 린지와 토바이어스 부부의 딸이다. 앨리아 쇼캇이 연기하였다. = 분류:우럭과 = = 서라벌여자중학교 = 서라벌여자중학교(徐羅伐女子中學校)는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0년 12월 15일 : 서라벌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1981년 3월 1일 : 초대 이동화 교장 취임 1981년 10월 20일 : 제1회 개교 기념 2012년 3월 1일 : 경상북도 독서교육시범교육청 연구중심학교 선정 2019년 3월 1일 : 제19대 전상수 교장 취임 2019년 3월 4일 : 제39회 입학식(162명) 2020년 2월 7일 : 제37회 졸업식(159명, 총 졸업생 11,633명) = 분류:독일의 록 기타 연주자 = = 이스라엘 항공우주 산업 = 이스라엘 항공우주 산업은 이스라엘의 항공기를 생산하는 국영 방산업체이다. 전투기 생산 외에도 민간 항공기의 생산과 해외 항공기의 유지 업무, 미사일과 항공전자 시스템에 대한 업무도 담당한다. 뿐만 아니라 육, 해군을 위한 군사 체계의 개발과 생산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제품들은 이스라엘 방위군의 수요에 맞추어져 있지만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2006년 11월 6일 정식 명칭이 이스라엘 항공 산업(Israel Aircraft Industries Ltd.)에서 이스라엘 항공우주 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현재 IAI의 활동이 항공 분야 뿐만 아니라 위성, 로켓 등 우주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반영하기 위해서다. = = 제품 = = IAI 헤론 서처 II RQ-2 파이오니어 하피 IAI 이단 POP-300 EL/M-2055 = = 각주와 참고자료 = = 방위산업 강국 이스라엘을 가다 주간한국 2005-04-06 90년대에 개발된 서처의 경우 대한민국을 포함해 전 세계 12개국에서 200대가 운용되고 있다. 1986년 개발된 초기 제품 파이오니어는 미 해군과 해병대가 20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뒤이어 나온 헌터도 미 육군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방위산업의 자부심, IAI 노컷뉴스 2005-03-29 = 공이 = 공이(firing pin, striker)는 뇌관(primer)을 때려서 폭발시키는 금속 막대이다. 뇌관이 폭발하면서 장약(gunpowder)이 같이 폭발한다. 공이치기(hammer)가 공이를 때려서 작동한다. 한자어로 격침(擊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진주 동방씨 = 진주 동방씨(晋州 東方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충렬서원 중수록 = 충렬서원 중수록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책이다. 1990년 11월 22일 용인시의 향토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 아리스타 = 아리스타는 다음과 같다. 아리스타 레코드: 미국의 음악 레이블 마리아노 아리스타: 멕시코의 정치인, 군인 = 분류:스몰란드 = = 융무제 = 융무제(隆武帝, 1602년 5월 25일(음력 4월 5일) ~ 1646년 10월 6일(음력 8월 28일)사문대기(思文大紀))는 남명의 2대 황제(1645년 - 1646년), 명나라로는 18대 황제이다. 묘효는 소종(紹宗). 시호는 배천지도홍의숙목사문열무민인광효양황제(配天至道弘毅肅穆思文烈武敏仁廣孝襄皇帝)이며, 휘는 율건(聿鍵)이다. 동생은 남명의 3대 황제 문종이다. 어릴적 휘이자 자(字)는 장수(長壽)이다. = = 생애 = = 1602년 명나라의 제후국인 당왕(唐王) 주석황(朱碩熿)의 손자이자, 주기성(朱器墭)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주원장의 23번째 서자로 제후국 당(唐)에 봉작된 주경(朱桱)의 8대손으로 명나라 황실과는 먼 친척이었다.만력제에게 18촌 동생이 되고 태창제에게는 19촌 아저씨이며 숭정제, 홍광제에게는 20촌 할아버지뻘 된다. 아버지 주기성은 주석황의 서이자(庶二子)였다. 1632년 할아버지 주석황의 뒤를 이어 당왕에 올랐는데, 이는 아버지 주기성이 요절했기 때문이었다. 당왕에 오르자 그는 아버지 주기성을 왕으로 추존하여 유왕(裕王)이라 하고 조부에게는 시호를 단왕(端王)이라 했다. 홍광제가 청나라군에 포로로 붙잡혀서 압송되어 처형당하자 명나라 부흥군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부흥군의 다른 분파는 연락이 되지 않아 주이해를 황제로 옹립하는 등 혼선이 빚어졌다. 1646년 푸젠성으로 진격한 청나라 군대에 의해 포로로 잡혀갔다. 그러나 그는 단식으로 저항하다 세상을 떠났다. 그의 나이 45세였다. 양황후 증씨에게서 아들 주림원과 9명의 딸을 뒀으나, 나이 40이 넘어 얻은 아들 주림원은 요절했다. 동생 주율모는 이미 이자성의 난 당시 이자성에게 살해당했고, 그가 후계없이 죽자 다시 명나라 부흥군은 후계자 선정을 놓고 내분에 휩싸였다. = = 기타 = = 명나라 황실과 촌수가 멀었던 주율건은 황제로 즉위하자 자신의 4대 선조를 황제로 추증하고 묘호와 시호를 올렸다. 제후에 봉작받지 못하고 사망한 아버지 당유왕(唐裕王) 주기성(朱器墭)에게는 선황제(宣皇帝), 모친 모씨(毛氏)에게는 선황후(宣皇后), 조부 단왕 주석황에게는 단황제(端皇帝) 조모 위씨(魏氏)에게는 단황후(端皇后), 증조부 순왕 주주영(朱宙栐)에게는 순황제(順皇帝), 증조모 주씨(周氏)에게는 순황후(順皇后), 고조부 당경왕(唐敬王) 주우온(朱宇溫)에게는 혜황제(惠皇帝) 고조모 조씨(趙氏)에게는 혜황후(惠皇后)로 각각 추존했다. = = 가계 = = 증조부 : 순황제 주주영(順皇帝 朱宙栐) 조부 : 단황제 주석황(端皇帝 朱碩熿, ?~1632년) 부친 : 선황제 주기성(宣皇帝 朱器墭, ?~?) 황후 : 효의양황후 증씨(孝毅襄皇后曾氏, 정식 시호는 효의정렬자숙현명승천창성양황후(孝毅貞烈慈肅賢明承天昌聖襄皇后), ?~1646년 5월생원 증문언(曾文彦)의 딸) 장남 : 장경태자 주림원(莊敬太子 朱琳源, 1646년~1646년) 동생 : 주율모(朱聿鏌, 1641년 이자성에게 살해됨) = = 기년과 연호 = = 연호 사용기간 사용기간 년수 비고 융무(隆武) 1645년 1646년 2년 = 래빗 스쿨 = 래빗 스쿨은 유럽의 부활절 토끼 설화를 소재로 동명의 독일 명작 동화를 각색한 애니메이션이다. 제67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제13회 취리히영화제 어린이영화 관객상을 수상했다. = = 줄거리 = = 힙합을 즐기는 도시 토끼 맥스가 우연한 사고로 황금알을 지키는 가디언즈가 되려는 토끼들로 가득한 ‘래빗 스쿨’에 가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 = 한국어판 목소리 출연 = = 황창영: 맥스 민아: 에미 최정현: 헤르미온느 임채헌: 프릿츠 박상훈: 안톤 = 파일:카르노순환.gif = = 모래알처럼 = 모래알처럼(渚のシンドバッド: Like Grains Of Sand)은 일본에서 제작된 하시구치 료스케 감독의 1995년 영화이다. 오카다 요시노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하야시 카즈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카다 요시노리 쿠사노 코우타 하마사키 아유미 = = = 조연 = = = 타카다 쿠미 조방호 야마구치 코우지 하카마다 요시히코 야마구치 미야코 네기시 토시에 무라이 쿠니오 = 분류:독일의 여자 원반던지기 선수 = = 파일:Imagine.ogg = = 주한 스위스 대사관 = 주한 스위스 대사관은 스위스 정부가 대한민국에 설치한 대사관이다. 관할 구역은 영사관 없이 대사관의 단독으로 대한민국 전 지역을 관할한다.관할 구역 중 영토 분쟁 지역인 독도와 이어도가 따로 포함된다. 독도는 일본이 주장하지만, 이어도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주한 대사가 겸임한 경우도 있으나, 실질적인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스위스 대사 겸직 대상국은 주중국 스위스 대사관이 겸임하게 된다. = = 연혁 = = 1962년 3월 : 한국과 스위스의 외교 관계 수립 1963년 3월 : 주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개관 1969년 6월 : 주한 스위스 대사관 개관 = = 주요 업무 = = 주요 업무로는 한국 정부와의 외교 및 교섭, 자국산 제품의 소개와 투자에 대한 정보 제공, 각종 자료 제공, 입국 사증 및 여권 발급, 약간의 법률 상담만 취급한다. = = 관할 구역 = = 관할 구역은 대한민국 전 지역을 관할한다. 다만 세종특별자치시에 분관이 마련되면 세종 분관 신설 시 세종, 대전, 충남, 충북, 전북 관할이 권역 내에서 먼저 분리되며 충청권과 전라북도를 제외한 대한민국 전 지역 관할로 조정될 계획에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겸임국으로 삼을 계획에 있다. = 콘스탄틴 바실례프 = 콘스탄틴 알렉세예비치 바실례프(Константи́н Алексе́евич Васи́льев, ~ )는 20세기 소련 시대 상징주의 서양화가이다. 마이코프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키예프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고 훗날 모스크바에서 성장한 그는 1959년 서양화가로 첫 입문하였으며 그가 그린 주요 작품에는 주코프 장군, 향수 등이 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400m 개인혼영 =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수영 남자 400m 개인혼영 종목은 8월 9일부터 8월 1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열렸다. 22개국에서 29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경기장 =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400m 개인혼영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비고 베이징(Beijing) 베이징 국가수영장(Beijing National Aquatics Center) 전 경기 = = 경기 일정 = =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날짜 시간 경기 2008년 8월 9일 18:33-18:57 예선 2008년 8월 10일 10:04-10:13 결선 = = 신기록 = = = = = 기존 기록 = = = = = = 대회 기록 = = = 날짜 경기 선수 국가 기록 올림픽 기록 세계 기록 8월 9일 예선 4조 마이클 펠프스 4:07.82 OR 8월 10일 결선 마이클 펠프스 4:03.84 OR WR = = 경기 결과 = = = = = 예선 = = = 순위 조 레인 선수 국가 기록 비고 1 4 4 마이클 펠프스 4:07.22 Q, OR 2 2 4 라슬로 체흐 4:09.26 Q 3 4 5 루카 마린 4:10.22 Q 4 3 4 라이언 록티 4:10.33 Q 5 4 3 게르괴 키시 4:10.66 Q 6 2 3 알레시오 보자토 4:10.68 Q 7 3 7 브라이언 존스 4:11.41 Q NR 8 3 5 치아구 페헤이라 4:11.74 Q 9 4 2 키스 비버스 4:12.75 10 2 1 브래들리 앨리 4:14.01 NR 11 2 8 갈 네보 4:14.03 NR 12 3 3 리안 쇼에만 4:14.09 13 3 1 안드레이 크릴로프 4:14.55 14 4 6 트래비스 니더펠트 4:15.37 15 2 2 딘코 유키치 4:15.48 16 2 7 알렉산드르 티호노프 4:16.49 17 2 5 토머스 해필드 4:16.76 18 2 6 바실레이오스 데메티스 4:18.40 19 3 6 유언 데일 4:18.60 20 4 8 바딤 렙스키 4:20.96 21 3 8 오마르 핀존 4:22.31 22 4 7 피에르 앙리 4:22.41 23 1 4 닉샤 로키 4:22.44 24 3 2 하비에르 누녜스 4:22.69 25 4 1 로마노스 알리판티스 4:23.41 26 1 6 드미트리 고르디옌코 4:25.20 27 1 2 바실리 다닐로프 4:29.20 28 1 3 데니즈 나자르 4:30.80 29 1 5 호키네 하키아네 4:32.00 Q 결선 진출 OR 올림픽 기록 NR 국가 기록 = = = 결선 = = = 순위 레인 선수 국가 기록 비고 4 마이클 펠프스 4:03.84 WR 5 라슬로 체흐 4:06.16 ER 6 라이언 록티 4:08.09 4 7 알레시오 보자토 4:12.16 5 3 루카 마린 4:12.47 6 2 게르괴 키시 4:12.84 7 1 브라이언 존스 4:13.38 8 8 치아구 페헤이라 4:15.40 WR 세계 기록 ER 유럽 기록 = = 메달리스트 = = 남자 400m 개인혼영 = 자넷 존스 = 자넷 존스(Janet Jones, 1961년 1월 10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 = 영화 = = 더 사운드 앤 더 퓨리 (2014년) - 캐롤라인 바스콤 컴슨 역 팔로 알토 (2013년) - 쉐리 역 지.지.지 (2011년) 투 티켓 투 파라다이스 (2006년) 알파 독 (2006년) 그들만의 리그 (1992년) 폴리스 아카데미 5 - 마이애미 비치 임무 (1988년) 불타는 도전 (1986년) 코러스 라인 (1985년) - 주디 역 플라밍고 클럽 (1984년) 스테잉 얼라이브 (1983년) 비스트마스터 (1982년) = D.Va = thumb D.Va(디바, 본명 송하나)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사의 2016년작 게임 오버워치에 등장하는 게임 캐릭터이다. 본명은 송하나라고 설정되어 있다. 19세의 대한민국 부산에서 활동하는 로봇 조종사로, 이전에는 프로게이머였다. D.Va의 목소리는 한국어판은 김현지, 영어판은 샬렛 정이 담당하였다. = = 개발과 디자인 = = 게임 정식발매 이전인 2015년 10월 겐지와 메이와 함께 처음 발표된 캐릭터이다. '돌격' 영웅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부산에서 활동하는오버워치 펜 페스티벌 1일차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프로게이머 세계 챔피언, 대한민국 육군 로봇 조종사로 설정되어 있다. = = 등장 = = = = = 오버워치 = = = 오버워치에서는 D.Va는 그녀의 게이머 태그 "D.Va"가 진행하는 19세의 전 프로게이머인 송하나다. 2018년 8월 단편 애니메이션 "슈팅 스타"에 출연했다. = = = 기타 게임들 = = = 오버워치가 세계 챔피언 스타크래프트 II 플레이어로 그녀를 예고했으므로 D.Va는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의 게임 플레이 아나운서로 추가되었다. 원래 블리즈컨 2016의 참석자를 위한 아나운서 및 플레이어 초상화 기능을 포함한 선물 묶음의 일부인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이다. D.Va는 2017년 5월에 출시된 이 게임의 버전 2.0 업데이트에서 블리자드의 크로스오버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인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영웅 명부에 추가되었다. D.Va는 그 게임에 추가된 다섯 번째 오버워치 캐릭터였다. 또한, "넥서스 체인지 2.0"- 히어로즈의 버전 2.0 출시 이벤트에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을 연주한 사람들은 오버워치에서 D.Va의 캐릭터를 위한 화장품을 받았다. = = 리셉션 = = 2016년 오버워치 유저들이 캐릭터 D.Va를 게이머 스테레오타입으로 묘사한 "그렘린 D.Va"(Gremlin D.Va)를 들 수 있다. = 차도 (연호) = 차도(奲都)는 서하 의종(西夏 毅宗) 이양조(李諒祚)의 치세에 쓰던 연호이다. = = 연대 대조표 = = 차도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서기(西紀) 1057년 1058년 1059년 1060년 1061년 1062년 간지(干支)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북송(北宋) 가우(嘉祐)2년 가우(嘉祐)3년 가우(嘉祐)4년 가우(嘉祐)5년 가우(嘉祐)6년 가우(嘉祐)7년 = 리틀비턴 = 리틀비턴(Little bittern, 학명: Ixobrychus minutus)은 왜가리과에 속하는 섭금류이다. 리틀비턴의 학명 중 Ixobrychus는 "갈대같은 식물"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낱말 ixias와 "우렁찬 소리를 내다"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낱말 brukhomai, 그리고 "작은"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 minutus에서 비롯되었다. 구세계에서 자생하며 아프리카, 유럽 중부/남부, 서아시아, 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 번식한다. 유럽과 서아시아의 온난 지대의 새들은 철새로서 아프리카, 그리고 더 나아가 남쪽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겨울을 나며 열대 지역의 새들은 상주하다시피 한다. = = 아종 = = I. m. minutus – (Linnaeus, 1766): nominate, found in Europe, Asia, northern Africa; winters in sub-Saharan Africa and southern Asia I. m. payesii – (Hartlaub, 1858): found in sub-Saharan Africa, resident I. m. podiceps – (Bonaparte, 1855): found in Madagascar, resident = Sd.Kfz 251 = 251번 특수목적차량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나치 독일의 하노마크사에서 설계하고 생산한 장갑 전투 차량이다. 연합군과 독일군 모두 그냥 제조사 이름을 따서 "하노마크"라고 불렀다. 약 15,000대가 생산되었으며 2차대전 기간중 독일이 제일 많이 생산한 기갑차량이다. 초기형은 1939년 제1기갑사단에 장비되었다. 주 생산형은 크게 A에서 D까지 네 가지가 있었으며, 다시 세부적으로 22종류로 나눠진다. 최초 고안 목적은 적의 소화기 공격과 포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보병 부대를 전장으로 수송할 수 있는 차량이었다. 그러나 개방된 천정은 탑승원이 여전히 공격, 특히 고폭탄과 포탄의 파편에 취약함을 의미했다. 초기 두 생산형은 소량만이 생산되었다. C형은 더 많은 수가 제작되었으나, 소총탄 보호를 위한 각진 금속판이 많이 쓰여 제작하기가 복잡했다. D형의 설계는 보다 단순하였으며 기울어진 뒷면으로 쉽게 식별된다. 야지에서도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앞바퀴에 동력이 없어서 약간의 제한이 있었다. 표준적인 인원수송형은 7.92 mm MG34 또는 MG42 기관총 1정이 운전사의 뒷쪽 위에 개방된 정면을 향해 탑재되었다. 두 번째 기관총은 대개 뒷편의 대공총좌에 장착되었다. 이러한 차량들은 기갑척탄병(기계화보병)이 전차와 함께 작전을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보병 지원을 제공하기 위함이었으나, 실제로는 각 부대에 배치된 수량이 크게 부족하여 많은 수의 기갑척탄병들이 트럭으로 수송되었다. 기갑교도사단 등과 같이 우선적으로 장비 보급을 받았던 소수의 사단만이 충분히 보급받아 장비를 완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유형들이 특수한 목적으로 생산되었는데, 그중에는 대공포, 대전차 로켓이 장착된 것도 있었고, 판터 전차가 적외선 감지기로 목표를 찾을 수 있도록 적외선 서치라이트가 장착된 유형도 있었다. = = 파생형 = = Sd.Kfz 251에는 23가지의 공식 파생형이 존재하며, 이외에 잡다한 파생형이 존재했다. 각 파생형은 모델 번호에 첨가 숫자를 붙여 구분했으나, 번호상으로는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 Sdkfz 251/1 - Schutzenpanzerwagen. 표준형 병력 수송 장갑차. 251/1-I - 251/1과 똑같지만, 내부 통신장비를 갖췄다. 251/1-II - 로켓 발사기형이다. 일명 "걸어다니는 슈튜카(급강하폭격기)"("Stuka zu Fuß") 또는 부르프라멘 40이라 불렸다. 이 차량은 280 mm 또는 320mm 부르크쾨퍼 로켓을 차체 측면에 6기를 장착했다. SdKfz 251/1 - Falke SdKfz 251/20 우후와 함께 작전했으며, 적외선 감지 장치를 장착했다. Sdkfz 251/2 - Schutzenpanzerwagen (Granatwerfer). 81 mm 박격포 장착 차량 Sdkfz 251/3 - Funkpanzerwagen. 통신용 차량으로 지휘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분의 무전기를 장비했다. 251/3 I FuG8 및 FuG5 무전기 장착. 251/3 II FuG8 및 FuG5 무전기 장착. 251/3 III FuG7 및 FuG1 무전기 장착. 251/3 IV FuG11 및 FuG12 무전기와 9 m 높이의 원거리 통신용 마스트를 장착한 지휘용 차량이다. 251/3 V FuG11 무전기 장착. Sdkfz 251/4 - Schutzenpanzerwagen fur Munition und Zubehor des leIG18. 대포 견인용 차량. 주로 75mm 경보병포 18을 운반했으나, 나중에는 50mm Pak 38이나 75mm Pak 40 그리고 105 mm 경야포를 운반했다. Sdkfz 251/5 - Schutzenpanzerwagen fur Pionierzug. 돌격공병용 차량으로 도하용 주정이나 부교 등을 실어 날랐다. 공병소대 지휘용 차량이었다. Sdkfz 251/6 - Kommandopanzerwagen. 지휘형, 암호기인 에니그마를 설치한 지휘관용 차량. Sdkfz 251/7-I - Pionierpanzerwagen. 또 다른 돌격공병용 차량으로 도하용 부교 램프를 양쪽에 운반했다. 251/7-II - 위와 같은 것이나 장착한 무전기가 달랐다. Sdkfz 251/8-I - Krankenpanzerwagen. 장갑 병원차. 251/8-II - 위와 같은 것이지만, 장착한 무전기가 달랐다. Sdkfz 251/9 - Schutzenpanzerwagen (7.5cm KwK37). 75mm KwK37 L/24를 장비했다. 별명으로 "Stummel(그루터기)"이라 불렸다. Sdkfz 251/10 - Schutzenpanzerwagen (3.7cm PaK). 37mm 대전차포인 Pak 36을 장비했다. 소대 지휘관용 파생형이다. Sdkfz 251/11 - Fernsprechpanzerwagen. 전화선 가설 차량. Sdkfz 251/12 - Messtrupp und Geratpanzerwagen. 포병용 관측 차량. Sdkfz 251/13 - Schallaufnahmepanzerwagen. 포병대용 음향 녹음 차량. Sdkfz 251/14 - Schallaufnahmepanzerwagen. 포병대용 음향 녹음 차량. Sdkfz 251/15 - Lichtauswertepanzerwagen. 포병대용 섬광 관측 차량. Sdkfz 251/16 - Flammpanzerwagen. 기관총 두정과 함께 화염투사기 두정을 탑재하였으며 뒷쪽에 차량과 직접 연결된 화염방사기 한정이 탑재되어 있었다. 기갑척탄병 연대마다 6대가 배정받도록 되어있었다. Sdkfz 251/17 - Schutzenpanzerwagen (2cm FlaK38). 20 mm Flak 30이나 20mm Flak 38을 장착한 대공용 버전. Sdkfz 251/18-I - Beobachtungspanzerwagen. 포병 관측 차량. 251/18-Ia - 차이점이 알려지지 않음. 251/18-II - 장갑관측차량. 251/18-IIa - 무전기가 달랐다. Sdkfz 251/19 - Fernsprechbetriebspanzerwagen. 전화 교환 차량. Sdkfz 251/20 - Schutzenpanzerwagen (Infrarotscheinwerfer) Uhu 야간 전투용 적외선 서치라이트 장착형 Sdkfz 251/21 - Schutzenpanzerwagen mit Fla MG Drilling. 3연장 MG151 기관포 장착형. 초기형은 MG151/15 mm 기관포를 장착했고, 후기형에는 MG151/20mm 공군용 기관포를 장착했다. Sdkfz 251/22 - 7.5cm PaK40 L/46 auf Mittlerem Schutzenpanzerwagen. 75 mm PaK 40 대전차포 탑재형. Sdkfz 251/23 - 2cm Hangelafette 38 auf Mittlerem Schutzenpanzerwagen. 수색용 차량.양산은 되지 않았다.드물게 차체 후방에 Sdkfz 234/1이나 222와 동일한 포탑이 설치되었다. OT-810 Ganomag -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생산한 모델이다. 이 차량은 공랭식 디젤 엔진을 장비했으며 보병 탑승 공간에 장갑 지붕을 얹었다. 이 차량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으며, "히틀러의 복수"라는 별명이 붙었다. 생산은 타트라 사와 프라가 호스티발 사에서 이뤄졌다. = 웨일스 변경 = 웨일스 변경은 잉글랜드와 웨일스 사이의 변경지대를 뭉뚱그려 가리키는 표현이다. 그 정확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중세에 웨일스 변경이란 잉글랜드 왕국이 웨일스 국경지대에 지정한 변경들을 말했다. 웨일스 변경들의 영주들은 국경방어의 임무를 맡는 대신 어느 정도 국왕에게서 독립적인 권한을 누렸다. 근현대에 "웨일스 변경"이란 웨일스와 닿아있는 슈롭셔와 헤리퍼드셔 같은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중세의 웨일스 변경들은 오늘날의 슈롭셔와 헤리퍼드셔뿐 아니라 체셔, 우스터셔, 글로스터셔에도 존재했다. = 연상은 = 연상은(延尙恩, 1989년 9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XTM, 2015년에는 Sky Sports에서 스포츠 아나운서로 활동한다. = = 학력 = =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 = 경력 = = 2013년 ~ 2014년 XTM 아나운서 2015년 Sky Sports 아나운서 2017년 5월 ~ 2019년 3월 KL스타엔터테인먼트 전속게약 2019년 3월 ~ 야마 엔터테인먼트 전속계약 = = 방송 = = 베이스볼 워너비 = 틀:필드하키 선수명단 (골 포함) = = 도살자 (2009년 영화) = 도살자(The Butcher)는 미국에서 제작된 제시 V. 존슨 감독의 2009년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에릭 로버츠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찰스 아서 버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에릭 로버츠 로버트 다비 키스 데이비드 = = = 조연 = = = 제프리 루이스 이리나 비요크룬드 폴 딜론 제리 트림블 마이클 아이언사이드 보킴 우드바인 기예르모 디아스 줄리 카르멘 베론 웰스 = 분류:헬륨 = = 안개 낀 거리 = 안개 낀 거리는 한국에서 제작된 강범구 감독의 1963년 영화이다. 황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최찬두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황해 이경희 김석훈 이향 = = 제작진 = = 조명: 윤창화 미술: 원제래 = 틀:요즘 화제 처음/2016년 12월 21일 = 몽골 정부가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몽골 방문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차관(借款) 제공 회담 연기 등의 경제적 보복 조치로 정부 임기내 재방문 불가를 확인하였다. 상투메 프린시페가 타이완과 단교(斷交)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미국 가수 제임스 테일러(James Taylor)가 내년 2월에 예정되었던 필리핀 마닐라 공연을 취소하였다. 트위터를 통해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벌이고 있는 과정에서의 즉결 처형에 대한 항의 차원임을 밝혔다. = 아름다운 기사단 = 아름다운 기사단는 1893년부터 1910년까지 사용한 니카라과의 국가이다. 후에는 사랑하는 나의 조국을 국가로 사용했다. = 3RACHA = 3RACHA는 JYP 엔터테인먼트 보이 그룹 스트레이 키즈 내 자체 앨범 프로듀싱 팀이다. = = 개요 = = 3RACHA(쓰리라차)는 Stray Kids(스트레이 키즈) 내 자체 프로듀싱 팀으로 전반적으로 앨범 프로듀싱을 한다. 3RACHA(방찬, 창빈, 한)는 작사, 작곡은 물론 트랙 메이킹, 편곡까지 할 수 있는 프로듀싱 팀이다. 2017년 프리데뷔 유닛 팀 3RACHA(방찬, 창빈, 한)을 결성. 힙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을 시도한 음원을 1st MIXTAPE EP J:/2017, 2nd MIXTAPE EP 3Days, 3rd MIXTAPE EP Horizon, <Start Line> 사운드클라우드에 업로드했다. 3RACHA(쓰리라차)의 뜻은 라차는 스페인어로 '돌풍'이란 뜻으로 세 명이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것과 '스리라차'는 핫소스의 이름이기도 해 '매콤한 돌풍을 일으키자'는 의미다. = = 구성원 = = 이름 사진 소개 방찬 이름 : 방찬 (方燦) 생년월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학력 : 청담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프로듀싱 ·랩 ·보컬 창빈 본명 : 서창빈 (徐彰彬) 생년월일 : 출생지 : 경기도 용인시 학력 : 보라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프로듀싱 ·랩 ·보컬 한 본명 : 한지성 (韓知城) 생년월일 : 출생지 : 인천광역시 학력 : 페어뷰 국제학교 포지션 : 프로듀싱 ·랩 ·보컬 = = 음반 = = = = = Stray Kids = = = = = = 3RACHA = = = = = = = Mixtape = = = = 연도 Artist 발매 발매일 발매 형식 앨범명 비고 2017 3RACHA 사운드클라우드・유튜브 2017.04.26 EP J:/2017 MIXTAPE 2017.08.16 EP 3Days 2017.12.20 EP Horizon 2018 3RACHA 사운드클라우드・유튜브 2018.01.18 싱글 <Start Line> MIXTAPE 유튜브(Stray Kids : SKZ-PLAYER) 2018.09.09 싱글 <ZONE> SKZ-PLAYER = = 뮤직 비디오 = = = = = Stray Kids = = = = = 특징 = = = = = 3RACHA = = = Artist 비고 비고 비고 비고 시작・결성 2017년 방찬, 창빈, 한의 프리 데뷔 유닛 팀 3RACHA(쓰리라차)를 결성 힙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선보인 음악을 사운드클라우드, 유튜브에 업로드・발매 2017년 방찬, 창빈, 한의 프리 데뷔 유닛 팀 3RACHA(쓰리라차)를 결성 힙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선보인 음악을 사운드클라우드, 유튜브에 업로드・발매 2017년 방찬, 창빈, 한의 프리 데뷔 유닛 팀 3RACHA(쓰리라차)를 결성 힙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선보인 음악을 사운드클라우드, 유튜브에 업로드・발매 2017년 방찬, 창빈, 한의 프리 데뷔 유닛 팀 3RACHA(쓰리라차)를 결성 힙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선보인 음악을 사운드클라우드, 유튜브에 업로드・발매 그룹명 : 3RACHA 3RACHA의 뜻은 라차는 스페인어로 '돌풍'이란 뜻으로 세 명이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것과 '스리라차'는 핫 소스의 이름이기도 해'매콤한 돌풍을 일으키자'는 의미 3RACHA의 뜻은 라차는 스페인어로 '돌풍'이란 뜻으로 세 명이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것과 '스리라차'는 핫 소스의 이름이기도 해'매콤한 돌풍을 일으키자'는 의미 3RACHA의 뜻은 라차는 스페인어로 '돌풍'이란 뜻으로 세 명이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것과 '스리라차'는 핫 소스의 이름이기도 해'매콤한 돌풍을 일으키자'는 의미 3RACHA의 뜻은 라차는 스페인어로 '돌풍'이란 뜻으로 세 명이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것과 '스리라차'는 핫 소스의 이름이기도 해'매콤한 돌풍을 일으키자'는 의미 3RACHA 활동 예명 방찬의 예명 'CB97'은 영문명 CB (Chris Bang) + 97 (태어난 해) 방찬의 예명 'CB97'은 영문명 CB (Chris Bang) + 97 (태어난 해) 방찬의 예명 'CB97'은 영문명 CB (Chris Bang) + 97 (태어난 해) 방찬의 예명 'CB97'은 영문명 CB (Chris Bang) + 97 (태어난 해) 창빈의 예명 'SPEARB'는 본명 SPEAR (창) + B (빈) 한의 예명 'J.One'은 한의 본명 J (지성) + One (한) Stray Kids 프로듀싱 팀 3RACHA는 Stray Kids 팀 내 프로듀싱 그룹 3RACHA는 작사, 작곡은 물론 트랙 메이킹, 편곡까지 가능한 팀 3RACHA는 Stray Kids 팀 내 프로듀싱 그룹 3RACHA는 작사, 작곡은 물론 트랙 메이킹, 편곡까지 가능한 팀 3RACHA는 Stray Kids 팀 내 프로듀싱 그룹 3RACHA는 작사, 작곡은 물론 트랙 메이킹, 편곡까지 가능한 팀 3RACHA는 Stray Kids 팀 내 프로듀싱 그룹 3RACHA는 작사, 작곡은 물론 트랙 메이킹, 편곡까지 가능한 팀 = = = Stray Kids = = = Artist 참조 문서 참조 문서 참조 문서 참조 문서 Stray Kids Stray Kids 특징 Stray Kids 특징 Stray Kids 특징 Stray Kids 특징 Stray Kids 특징 Stray Kids 음반 Stray Kids 음반 Stray Kids 음반 Stray Kids 음반 Stray Kids 음반 Stray Kids 음악 Stray Kids 음악 Stray Kids 음악 Stray Kids 음악 Stray Kids 음악 Stray Kids 유닛 Stray Kids 유닛 Stray Kids 유닛 Stray Kids 유닛 Stray Kids 유닛 Stray Kids 방송 클립 Stray Kids 방송 클립 Stray Kids 방송 클립 Stray Kids 방송 클립 Stray Kids 방송 클립 = = 음악 방송 = = = = = Stray Kids = = = = = = 3RACHA = = = = = = = Stray Kids = = = = 연도 Artist 구분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9 3RACHA Stray Kids 3RACHA (of Stray Kids) 〈잠깐의 고요〉 〈잠깐의 고요〉는 무엇을 향해 가고 있는지 어디쯤을 지나고 있는지 도통 알 수 없는, 어둡고 험난한 터널을 헤쳐가는 것 같은 격랑의 삶. 터널과 터널 사이 그 잠깐의 고요한 순간, 마음에 가득 쌓여있던 고민과 생각의 먼지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나를 덮쳐온다. "Never give up 내 말을 들어 난 조금 달라, Never give up 내일을 보고 조금 더 달려" 2019.09.29 KCON 2019 THAILAND KCON KCON official 2018 3RACHA Stray KidsSKZ-PLAYER 방찬 X 창빈 X 한 〈ZONE〉 <BR> 2018.09.09 SKZ-PLAYER JYP Ent. JYP Ent. = = = = Mixtape = = = = 연도 Artist 구분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7 3RACHA 3RACHAMixtape 창빈 X 한 〈Matryoshka〉 2017.11.21 스트레이 키즈 M.net M.net Official 3RACHA EP Horizon 수록곡 〈Matryoshka〉 2017.08.30 3RACHA (of Stray Kids) - 유튜브 3RACHA 3rd MIXTAPE EP Horizon (Full, YouTube) 2017.12.20 3RACHA (of Stray Kids) - 유튜브 3RACHA 3rd MIXTAPE EP Horizon (Full, Soundcloud) 2017.12.20 3RACHA (of Stray Kids) - 사운드클라우드 방찬 X 창빈 X 한 〈Runner's High〉 JYP 연습생 쇼케이스<BR> 2017.08.22 JYP 연습생 쇼케이스 JYP Ent. V LIVE = = = 참여 음반 = = = 연도 Artist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20 Stray Kids Stray Kids 〈TOP〉 (“신의 탑” OST) 2020.06.182020.06.20 엠카운트다운쇼! 음악중심 MnetMBC Mnet K-POPMBCkpop Stray Kids 〈TOP〉 (“신의 탑” OST) 2019 Stray Kids Stray Kids 〈끝나지 않을 이야기〉 ("어쩌다 발견한 하루" OST) 2019.12.21 쇼! 음악중심 MBC MBCkpop = = = 참여 무대 = = = = = = = Stray Kids = = = = 연도 Artist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9 Stray Kids Stray Kids 〈Again & Again〉 (원곡 : 2PM) 2019.12.07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KBS KBS Kpop 2020 Stray Kids Stray Kids 〈으르렁 (Growl)〉 (원곡 : EXO) 2020.10.14 엠카 댄스 챌린지 Mnet Mnet K-POP Stray Kids 〈캔디 (Candy)〉 (원곡 : H.O.T.) = = = = 3RACHA = = = = 연도 구분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20 3RACHA 3RACHA (of Stray Kids) 〈KCON 2019 LA BOY'S LINE UP〉 2020.01.18 KCON 2019 LA KCON KCON official = = = = 방찬・창빈・한 = = = = 연도 Artist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20 창빈 창빈 (이등병) 〈Tomorrow〉 (원곡 : 타블로) 2020.06.28 복면가왕 MBC MBC 2019 한 한 (임걱정) 〈D (half moon)〉 (원곡 : DEAN) 2019.03.31 복면가왕 MBC MBC = = = = 협업 = = = = 연도 구분 제목 방송일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20 창빈 이등병(창빈) VS 말년병장(양동근) 〈Tic Tac Toe〉 (원곡 : 부가킹즈) 2020.06.28 복면가왕 MBC MBC 2019 3RACHA 3RACHA(Stray Kids), 홍중(ATEEZ), 소연((여자)아이들) 〈Runner's High〉 *원곡 : 3RACHA 2019.09.29 KCON 2019 THAILAND KCON KCON official 한 추노(알렉스) X 임걱정(한) 〈너를 만나〉 (원곡 : 폴킴) 2019.03.31 복면가왕 MBC MBC 2018 창빈 & 한 JYP Of All Time <J (Jackpot)> (창빈 & 한) 2018.12.28 KBS 가요대축제 KBS KBS = = 수상 목록 = = 2023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베스트 크리에이터상 = 분류:제2차 세계 대전 중 헝가리의 군사사 = = 상봉제2동 = = 준실험 = 준실험은 무작위 배정 없이 대상 인구에 대한 개입의 인과적 영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경험적 개입 연구이다. 준실험 연구는 전통적인 실험 설계 또는 무작위 대조 시험과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특히 치료 또는 통제에 무작위 배정 요소가 부족한다. 대신에, 준실험 설계는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치료 조건에 대한 할당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지만 무작위 할당 이외의 일부 기준(예: 적격성 컷오프 표시)을 사용한다. 준실험은 치료 그룹과 통제 그룹이 기준선에서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 타당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즉, 치료 조건과 관찰된 결과 사이의 인과 관계를 설득력 있게 입증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통제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교란 변수가 있는 경우 특히 그렇다. 무작위 배정을 통해 연구 참가자는 중재 그룹 또는 비교 그룹에 배정될 확률이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관찰된 특성과 관찰되지 않은 특성 모두에서 그룹 간의 차이는 치료와 관련된 체계적인 요인(예: 질병 중증도)이 아니라 우연에 의한 것이다. 무작위 배정 자체는 그룹이 기준선에서 동등하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다. 개입 후 특성의 변화는 개입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 = 설계 = = 준실험 설계를 만드는 첫 번째 부분은 변수를 식별하는 것이다. 준 독립 변수는 종속 변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조작되는 변수인 x-변수가 된다. "X"는 일반적으로 수준이 다른 그룹화 변수이다. 예측된 결과는 y-변수인 종속 변수이다. 시계열 분석에서 종속 변수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변경 사항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된다. 변수가 식별되고 정의되면 절차를 구현하고 그룹 차이를 조사해야 한다. 무작위 배정 실험에서 연구 단위는 주어진 치료 조건에 배정될 확률이 동일하다. 따라서 무작위 할당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모두 동등함을 보장한다. 준실험 설계에서 주어진 치료 조건에 대한 할당은 무작위 할당이 아닌 다른 것을 기반으로 한다. 준실험 설계의 유형에 따라 연구자는 치료 조건에 대한 할당을 제어할 수 있지만 무작위 할당 이외의 일부 기준(예: 컷오프 점수)을 사용하여 치료를 받는 참가자를 결정하거나 연구자가 치료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치료 조건 할당에 대한 통제 및 할당에 사용된 기준이 알려지지 않았을 수 있다. 비용, 실행 가능성, 정치적 우려 또는 편의성과 같은 요소는 참가자가 주어진 치료 조건에 할당되는 방식이나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준실험은 내부 타당성에 대한 우려의 대상이 된다. 준실험도 "사후 테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즉,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혼동하는 사람이 있는지 또는 참가자에게 특정 경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실제 실험은 사후 테스트 결과를 기록하여 수행된다. 이 데이터는 연구의 일부로 비교되거나 사전 테스트 데이터가 실제 실험 데이터에 대한 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준실험에는 연령, 성별, 눈 색깔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독립 변수가 있다. 이러한 변수는 연속형(연령)이거나 범주형(성별)일 수 있다. 즉,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수는 준실험 내에서 측정된다. = = 윤리학 = = 예를 들어 진정한 실험은 다른 모든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무작위로 아이들을 장학금에 배정하는 것이다. 준실험은 사회 과학, 공중 보건, 교육 및 정책 분석 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연구 참가자를 치료 조건에 무작위 배정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거나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 = 장점 = = 준실험 설계는 무작위화가 비실용적이거나 비윤리적일 때 사용되기 때문에CHARM-Controlled Experiments 피험자를 무작위로 할당해야 하는 실제 실험 설계보다 설정하기가 더 쉽다. 또한, 준실험 설계를 활용하면 잘 통제된 실험실 환경과 비교하여 자연 환경이 인공성의 문제를 겪지 않기 때문에 생태학적 타당성 에 대한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준실험은 자연적인 실험이기 때문에 한 연구의 결과를 다른 주제와 환경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모집단에 대한 일반화를 일부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 방법은 다른 환경에서 추적할 수 있는 더 긴 기간을 포함하는 종단 적 연구에 효율적이다. 준실험의 다른 장점은 실험자가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이다. 자연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조작이 스스로 일어나도록 해야 하며 조작을 전혀 통제할 수 없다. 또한 준실험에서 스스로 선택한 그룹을 사용하는 것도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윤리적, 조건부 등의 우려를 없애준다. = = 단점 = = 영향에 대한 준실험적 추정치는 교란 변수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때리기에 대한 아동의 반응의 변화는 쉽게 측정하고 통제할 수 없는 요인, 예를 들어 아동의 본질적인 거칠음 또는 부모의 과민 반응에 의해 그럴듯하게 영향을 받다. 준실험 설계 방법에서 무작위 할당이 없기 때문에 연구의 실행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이는 내부 타당성 측면에서 조사자에게 많은 과제를 안겨준다. 무작위화의 이러한 결함은 교란 변수 를 배제하기 어렵게 만들고 내부 타당도 에 대한 새로운 위협을 도입한다.Lynda S. Robson, Harry S. Shannon, Linda M. Goldenhar, Andrew R. Hale (2001)Quasi-experimental and experimental designs: more powerful evaluation designs , Chapter 4 of Guide to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Work Injuries: How to show whether a safety intervention really works , Institute for Work & Health, Canada 무작위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일부 지식은 근사할 수 있지만 사회적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외부 및 교란 변수로 인해 인과 관계의 결론을 결정하기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내적 타당도에 대한 위협을 평가하더라도 실험자가 외부 변수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완전히 확립할 수 없다.Research Methods: Planning: Quasi-Exper. Designs 또한 연구 그룹이 무작위성이 없기 때문에 약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무작위성은 결과를 확장하여 전체 모집단을 더 잘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연구에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불평등한 그룹을 사용하는 것도 내부 타당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룹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때로는 준실험의 경우), 실험자는 결과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 = = 내적 타당도 = = 내적 타당도는 인과 관계 또는 인과 관계에 대한 추론에 대한 대략적인 진실이다. 이것이 모두 인과 관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준실험에서 타당성이 중요한 이유이다. 실험자가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변수를 통제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 통계적 회귀, 역사 및 참가자는 모두 내부 타당도에 대한 가능한 위협이다. 내적 타당도를 높게 유지하려고 하는 동안 묻고 싶은 질문은 "내가 원하는 이유 외에 결과에 대한 가능한 다른 이유가 있는가?"이다. 그렇다면 내적 타당도가 강하지 않을 수 있다. = = 외적 타당도 = = 외적 타당도는 연구 표본에서 얻은 결과가 일부 잘 지정된 관심 모집단과 사람, 시간, 맥락 및 연구 방법의 하위 모집단 "전체"로 일반화될 수 있는 정도이다.Cook, Thomas D. and Donald T. Campbell (1979), Quasi-experimentation: Design & Analysis Issues for Field Settings. Boston: Houghton-Mifflin Lynch는 우리가 투영하고자 하는 모집단이 정의상 샘플링할 수 없는 미래 행동의 척도이기 때문에 모집단을 일반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Lynch, John G., Jr. (1982), "On the External Validity of Experiment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December), 225–239. 따라서 보다 적절한 질문은 치료 효과가 연구자에게 두드러지지 않을 수 있는 배경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전체" 하위 집단을 일반화하는지 여부이다. 외적 타당성은 치료 연구가 사람들, 시간, 맥락 및 연구 방법의 여러 하위 집합에 걸쳐 균질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또는 치료 효과의 부호와 크기가 하위 집합에 걸쳐 연구자가 인정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Cronbach, Lee J. (1975),"Beyond the two disciplines of scientific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30 (2), 116. Athey 와 Imbens, Athey와 Wager는 이질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귀납적 이해를 위한 기계 학습 기술을 개척했다.Athey, Susan, and Guido Imbens (2016), "Recursive partitioning for heterogeneous causal effec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3, (27), 7353–7360.Wager, Stefan, and Susan Athey (2018), "Estimation and inference of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using random forest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13 (523), 1228–1242. = 분류:벨라루스 정부 = = 네일샵 파리스 = 네일샵 파리스는 2013년 5월 3일부터 2013년 6월 28일까지 방영된 MBC QueeN의 드라마이다. = = 소개 = = 꽃미남으로 이루어진 네일샵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담은 드라마이다. 케이블 채널 MBC QueeN, MBC Drama, MBC Music, MBC every1에서 방송되었다. = = 등장 인물 = = 박규리 : 홍여주 역 전지후 : 알렉스 역 송재림 : 케이 역 박상현 : 진 역 변우민 : 우민 역 김채연 : 금미려 역 한소영 : 김지수 역 이승엽 : 현우 역 김결 : 형식 역 김민혁 이대로 이정혁 임지후 이원장 강덕중 정다혜 : 희영 역 길은혜 : 미혜 역 정소영 : 태희 역 = 티타니아 = 티타니아(Titania)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한여름 밤의 꿈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이다. 연극에서 요정의 여왕으로 등장한다. 셰익스피어의 영향력으로 인해 이후의 픽션은 요정 여왕 등장인물에 대해 "티타니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전통 민속 전승에서 요정 여왕은 이름이 없다. 셰익스피어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티타니아"라는 이름을 가져왔으며, 이는 티탄의 딸들에게 주어진 명칭이다.Holland, Peter, ed. A Midsummer Night's Dream (OUP, 1994) 셰익스피어의 티타니아는 자신의 남편 오베론과 다툴 정도로 매우 거만한 창조물이다. = 이철수 목판글꼴 = 이철수 목판글꼴은 판화가 이철수의 글자체를 딴 글꼴이다. = 분류:1919년 철도 교통 = = 분류:그리스의 대중 매체 관계자 = = 부강초등학교 = 부강초등학교(芙江初等學校, Bugang Elementary School)는 세종특별자치시가 교육기본법에 따라 설치한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17년 10월 2일 청주군 부강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설립인가 8월 2일 1923년 4월 1일 6년제로 개편 1938년 4월 1일 부용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1941년 4월 1일 부용공립국민학교로 개칭 1957년 4월 15일 부강국민학교로 개칭 1981년 12월 12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부강초등학교로 개칭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소속으로 변경 2019년 1월 9일 제100회 졸업식(11641명) 2020년 1월 8일 제101회 졸업식(11675명) 2021년 1월 8일 제102회 졸업식(11715명) = = 부강초등학교 강당 = = 부강초등학교의 전면에 있는 강당은 1926년 건립되었으며,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분류:토칸칭스주의 강 = = Les Misérables: Highlights from the Motion Picture Soundtrack = Les Misérables: Highlights from the Motion Picture Soundtrack는 2012년 12월 21일에 발매된 Various artists의 음반이다. 유니버설 리퍼블릭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바투파핫 = 바투파핫은 말레이시아 조호르주의 타운으로, 바투파핫 구역의 중심 도시이다. 무아르로부터 남동쪽, 클루앙으로부터 남서쪽, 폰티안으로부터 북서쪽, 스가맛으로부터 남쪽에 있다. = 분류:모로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반혼녀 = "반혼녀"(返魂女, A Woman With Half Soul)는 한국에서 제작된 신상옥 감독의 1973년 영화이다. 이승룡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신태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승룡 리칭 고선애 = = = 조연 = = = 김무영 주영 = 홍감펭속 = 홍감펭속(Helicolenus)은 양볼락과에 속하는 조기어류 속이다. 인도양과 대서양, 태평양에서 발견된다. = = 하위 종 = = 10종이 알려져 있다. H. alporti (Castelnau, 1873) H. avius T. Abe & Eschmeyer, 1972 H. barathri (Hector, 1875) H. dactylopterus (Delaroche, 1809) H. fedorovi Barsukov, 1973 홍감펭 (H. hilgendorfii) (Döderlein, 1884) H. lahillei Norman, 1937 H. lengerichi Norman, 1937 H. mouchezi (Sauvage, 1875) 페르코감펭 (H. percoides) (J. Richardson & Solander, 1842) = 코케 테무르 = 코케 테무르(, , ? ~ 1375년)는 원나라와 북원의 장군이었다. 다른 이름은 왕보보(王保保)이다. 원 소종 아유르시리다르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원나라가 북천한 뒤 한지 회복을 꿈꾸었으나 실패했다. = = 생애 = = 침구(沈丘, 현 안후이 성 린취엔(臨泉) 서북 지역) 출신으로, 코케 테무르의 먼 선조는 어렸을 때 칭기즈 칸의 목숨을 구해준 공적이 있는 바야우드 부족의 천호장(밍간) 소르칸 시라로, 소르칸 시라의 증손자인 사인 치다크(賽因赤荅忽)와 나이만 부족의 차간 테무르의 누이동생 사이에서 코케 테무르가 태어났다. 중국의 명사(明史)에 따르면 우카안투 칸(원 순제 토곤테무르)로부터 「코케 테무르」(擴廓帖木児)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는 기술이 있는데, 「왕보보」(王保保)라는 중국식 이름이 바로 그의 본명이라는 설이 유력하지만 1990년에 발견된 사인 치다크의 묘지명 (「賽因赤荅忽墓誌」)의 기술을 통해 「코케 테무르」(Kökö temür)야말로 그의 진정한 본명이라 여겨지고 있다.일본의 학자 무라오카 준(村岡倫)은 몽골어 '코케(kökö)'를 한자음으로 옮겨 적었을 때 '확곽'(擴廓)이라는 문자가 사용되는 경우는 희귀하며,「코케 테무르(擴廓帖木兒)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는 명사의 기록은 그의 이름을 한자로 표기할 때 통용되는 한자가 아닌 어떤 특수한 의미를 담은 한자를 사용하게 하였다는 정도의 의미는 아닐까 추정하였다(村岡倫「洛陽出土『賽因赤荅忽墓誌』より」『13、14世紀東アジア諸言語史料の総合的研究』、2007년, 126쪽) 일설에는 그의 어머니는 위구르인 출신 여성이라는 설도 있다. 사인 치다크의 묘지명에 따르면,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총명하였으나 어렸을 때는 병약하였고 이를 걱정한 큰외삼촌 챠간 테무르가 자신의 자식들보다도 애지중지 길러서 양자로 삼기까지 하였다고 한다. 챠간 테무르는 원 왕조 말의 혼란기에 하남(河南)에 군벌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1362년에 산동(山東)에서 홍건적을 진압하다 사망하였고, 코케 테무르는 그 군벌과 관직을 이어받아서 산동 지역의 정벌에 나서서 큰외삼촌 못지 않은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그 직후 큰외삼촌과 생전 적대관계에 있던 산서(山西) 대동(大同) 지역의 군벌 볼루드 테무르 장군과의 대립이 깊어졌고, 산서 남부의 태원(太原)에서 볼루드 테무르와 대치하였다. 또한 원의 수도인 대도(大都)에서는 우카안투 칸(토곤 테무르)의 측근들과 황제의 친아들으로 황태자였던 아유시리다르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고 있었는데, 코케 테무르와 대립하던 볼루드 테무르는 반황태자 파벌에 서서 아유시리다르와 대립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1364년 반황태자파였던 볼루드 테무르가 대동에서 병사를 거느리고 대도로 나아가 대칸을 자신의 손아귀에 쥐고 정권을 탈취하고, 황태자 아유시리다르는 수도를 빠져나와 태원의 코케 테무르에게로 달아나는 사태에 이르렀다. 이에 코케 테무르는 황태자와 연합해 볼루드 테무르와의 결전에 나섰고, 이듬해인 1365년 코케 테무르의 군대는 대도로 진격했고, 볼루드 테무르는 측근의 배반으로 살해되고 그의 세력은 멸망하였다. 코케 테무르는 대도에 입성해 황태자를 중앙 정계로 복귀시키고 이 공으로 중서좌승상(中書左丞相)의 지위와 하남왕(河南王)의 작위를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내분 와중에 그러나 이 내전을 틈타 강남에서 반원 농민봉기를 일으킨 이들 가운데 한 명이었던 주원장(朱元璋)이 세력을 모을 수 있었다. 한국의 고려사(高麗史) 공민왕세가에는 공민왕 14년(1365년)에 처음 사신을 보내 원에 보내 황태자 아유시리다르 및 코케 테무르와 심왕(瀋王) 토크토아부카 등에게 예물을 주게 하였는데고려사 공민왕세가 14년(1365년) 4월 13일(신축) 원의 난리 때문에 원으로 들어가지도 못하고 끝났고, 이듬해 3월과 5월에 재차 감찰대부(監察大夫) 전녹생(田祿生), 정원비(鄭元庇)를 보내 코케 테무르를 만나게 하였으나 전녹생은 황태자 아유시리다르의 명령으로 사명을 다하지 못하고 귀국하여야 했다. 코케 테무르는 11월 중서검교(中書檢校) 곽영석(郭永錫)을 보내 앞서 전녹생 등을 따라 원에 갔다가 병을 이유로 귀국하지 않고 있던 서장관 김제안(金齊顔)과 함께 고려로 가서 예방하게 하였다.고려사권제41 세가제41 공민왕 15년(1366년) 11월 23일 신축 코케 테무르는 황태자의 신임 아래 원군 총사령관을 맡아 당시 중국 대륙 각지에서 벌어지던 반원 운동 진압을 총지휘하게 되지만, 하남 군벌 이래로 한인(漢人) 출신의 장교들이 군대에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 한인 출신 장병들은 서서히 코케 테무르의 지휘에 반발하며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1367년에는 토곤 테무르로부터 정치와 군사의 전권을 부여받아 사실상 칸이나 다름없는 지위를 얻은 아유시리다르는 차츰 권력과 군사력을 가진 코케 테무르를 멀리하기 시작했고, 원군 내부의 분열도 깊어졌다. 코케 테무르는 대칸이었던 혜종 토곤 테무르에 의해 겨우 정치 군사적인 권한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제껏 용맹하다는 명성을 떨쳐 오던 코케 테무르의 군은 주원장이 선포한 새로운 왕조 명(明)의 군세 앞에 패배해 하남과 태원 지역을 잃고 감숙성으로 달아났고, 1368년 원은 결국 대도를 버리고 북방으로 옮겨가지 않으면 안 되었다(북원). 1370년 토곤 테무르가 사망하고 아유시리다르가 뒤를 이었을 때(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태원에서 감숙성으로 달아나 있던 코케 테무르는 몽골 고원의 카라코룸 방면에서 아유시리다라의 군과 합류해 대칸을 보좌하며 원을 계속해서 추격해오던 명의 군대에 맞서 방위를 맡았다. 1372년에는 몽골 고원을 침공해 온 명의 장군 서달(徐達)이 이끄는 15만 대군을 몸소 병사를 거느리고 쳐부수어 2만 명이 넘는 명군을 죽이는 대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감숙성에서 다시 서달과 대적할 때 북원군은 심하게 몰려 고비 사막으로 달아나야 했다. 그 뒤 원의 중국 대륙 회복을 노리고 원군을 이끌고 남하했던 코케 테무르는 일시적으로 산서성(山西省)까지 세력을 확대시켰으나 1375년에 병사하였다. 그로부터 3년 뒤에는 대칸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도 사망한다. 이들의 죽음 이후 북원은 급격히 힘을 잃었고, 중국 대륙을 회복한다는 북원의 계획은 끝내 좌절되었다. 그의 동생 토린 테무르(脱因帖木儿)는 1388년 부이르 누르 전투에서 패한 후, 지원(知院) 톡타이(托台)의 배신으로 명나라 장군 남옥(蓝玉)에게 사로잡혀 끌려간 뒤 쑤저우(蓟州)에서 처형당했다. = = 코케 테무르가 등장하는 대중매체 = = = = = 소설 = = = 김용(金庸) 《의천도룡기》(倚天屠龍記) 구파도(九把刀) 《소림제팔동인》(少林第八铜人) 장경 《성라대연》 가막가막새 《등하불명》 = = = 영화 = = = 우영(于荣) : 1978년작 《의천도룡기》 , 장옥해(张玉海) : 2001년작 《무사》 = = = 드라마 = = = 초웅(焦雄):《의천도룡기》(1978년) 공소명(孙小明)、팽금방(彭金万):《의천도룡기》(1984년) 풍국(冯国):《의천도룡기》(1986년) 소문석(苏文赐): 《의천도룡기》(1994년) 금소룡(金少龙):《걸개황제전기》(乞丐皇帝传奇)(1998년) , 해준휴(海俊杰): 《의천도룡기》(2001년) 양광(洋光): 《의천도룡기》(2003년) 손조양(孙祖杨): 《의천도룡기》(2009년) 바트볼드:《제후시대》(诸侯时代)(2014년) 진엽(陈烨): 《걸개황제여대각황후전기》(乞丐皇帝与大脚皇后传奇)(2016년) 공역범(孙亦凡): 《의천도룡기》(2019년) = = = 가부키 = = = 기려려(纪丽如): 《주홍무》(朱洪武)(1988년) = 분류:카노푸스 = = 분류:가공의 선박 =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4월 20일 = 스웨덴의 전자 음악가 아비치가 28세를 일기로 숨졌다. = 역사적 우파 = 역사적 우파란 19세기 하반기 이탈리아의 정파다. 자유주의 성향의 중도우파 제세력이 결집해서 형성되었다. 앵글로색슨식 개인주의적 자유주의자부터 신헤겔주의적 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에 이르기까지 잡다한 이념적, 문화적, 계급적 배경을 가진 이질적인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정파의 주요 정치인은 다제글리오 변경백, 카보우르 백작, 베니토 리카솔리, 조반니 란차, 마르코 밍게티, 안토니오 스타라바, 시드니 손니노 등이었다. = 생지 = 생지(生地)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오이지 다케로(生地竹郎) 온지씨(生地氏) 이쿠지역(生地駅) 이쿠지 온천(生地温泉) 이쿠지정(生地町) 이쿠지하나(生地鼻) 이쿠지하나 등대(生地鼻灯台) 이쿠지하나나카 교(生地中橋) = 분류:라트비아-조지아 관계 = = 틀:요즘 화제 처음/2024년 6월 26일 = = 분류:첼로 협주곡 = = 분류:사가현의 기업 = = 십각목 = 십각목(十脚目)은 새우, 보리새우, 바닷가재, 가재, 게 등을 포함하는 연갑강에 속해있는 갑각류의 목이다. 대부분의 십각류는 청소동물이다. = = 해부학적 특징 =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십각류는 10개의 다리를 가진다. 이는 갑각류의 특징인 8쌍의 가슴다리 중 마지막 5쌍의 다리이다. 앞부분 3쌍 다리는 입부분으로써 기능하고, 일반적으로 턱다리로써, 나머지 2쌍은 가슴다리로 간주된다. = = 분류 = = 십각목(Decapoda) Latreille, 1802 수상새아목(Dendrobranchiata) Bate, 1888 — 참새우 보리새우상과(Penaeoidea) Rafinesque, 1815 젓새우상과(Sergestoidea) Dana, 1852 범배아목(Pleocyemata) Burkenroad, 1963 해로새우하목(Stenopodidea) Claus, 1872 * 마크로막실로카리스과(Macromaxillocarididae) Alvarez, Iliffe & Villalobos, 2006 * 스퐁기콜라과(Spongicolidae) Schram, 1986 * 해로새우과(Stenopodidae) Claus, 1872 생이하목(Caridea) Dana, 1852 * 딱총새우상과(Alpheoidea) Rafinesque, 1815 * 새뱅이상과(Atyoidea) de Haan, 1849 * 브레실리아상과(Bresilioidea) Calman, 1896 * 캄필로노투스상과(Campylonotoidea) Sollaud, 1913 * 자주새우상과(Crangonoidea) Haworth, 1825 * 갈라테아카리스상과(Galatheacaridoidea) Vereshchaka, 1997 * 네마토카르키누스상과(Nematocarcinoidea) Smith, 1884 * 오플로포루스상과(Oplophoroidea) Dana, 1852 * 징거미새우상과(Palaemonoidea) Rafinesque, 1815 * 도화새우상과(Pandaloidea) Haworth, 1825 * 돗대기새우상과(Pasiphaeoidea) Dana, 1852 * 피세토카리스상과(Physetocaridoidea) Chace, 1940 * 짧은뿔새우상과(Processoidea) Ortmann, 1890 * 프살리도푸스상과(Psalidopodoidea) Wood-Mason & Alcock, 1892 * 긴손가락새우상과(Stylodactyloidea) Bate, 1888 가재아재비하목(Axiidea) de Saint Laurent, 1979 * 가재아재비과(Axiidae) Huxley, 1879 * 쏙붙이과(Callianassidae) Dana, 1852 * 칼리아니데아과(Callianideidae) Kossmann, 1880 * 미켈레아과(Micheleidae) K. Sakai, 1992 * 스트라락시우스과(Strahlaxiidae) Poore, 1994 * 토마시니아과(Thomassiniidae) de Saint Laurent, 1979 프로카리스하목(Procarididea) Felgenhauer & Abele, 1983 * 프로카리스상과(Procaridoidea) Chace & Manning, 1972 폴리켈레스하목(Polychelida) Scholtz & Richter, 1995 * 폴리켈레스과(Polychelidae) Wood-Mason, 1875 닭새우하목(Achelata) Scholtz & Richter, 1995 * 닭새우과(Palinuridae) - Synaxidae 포함 * 꼬마매미새우과(Scyllaridae) * † Cancrinidae * † Tricarinidae 가재하목(Astacidea) Latreille, 1802 - 바닷가재와 가재 * 암초가재상과(Enoplometopoidea) de Saint Laurent, 1988 * 가시발새우상과(Nephropoidea) Dana, 1852 * 가재상과(Astacoidea) Latreille, 1802 * 남방가재상과(Parastacoidea) Huxley, 1879 쏙하목(Gebiidea) de Saint Laurent, 1979 * 악시아나사과(Axianassidae) Schmitt, 1924 * 가재붙이과(Laomediidae) Borradaile, 1903 * 탈라시나과(Thalassinidae) Latreille, 1831 * 쏙과(Upogebiidae) Borradaile, 1903 집게하목(Anomura) MacLeay, 1838 * 아이글라상과(Aegloidea) Dana, 1852 * 새우아재비상과(Chirostyloidea) Ortmann, 1892 * 새우붙이상과(Galatheoidea) Samouelle, 1819 — 공생게 * 게가재상과(Hippoidea) Latreille, 1825 * 왕게상과(Lithodoidea) Samouelle, 1819 * 로미스상과(Lomisoidea) Bouvier, 1895 * 참집게상과(Paguroidea) Latreille, 1802 — 소라게 단미하목(Brachyura) Linnaeus, 1758 — 게 * 호몰로드로미아상과(Homolodromioidea)Alcock, 1900 * 해면치레상과(Dromioidea)de Haan, 1833 * 호몰라상과(Homoloidea)de Haan, 1839 * 닭게상과(Raninoidea) de Haan, 1839 * Cyclodorippoidea상과 Ortmann, 1892 * Dorippoidea상과 MacLeay, 1838 * 금게상과(Calappoidea) Milne Edwards, 1837 * 밤게상과(Leucosioidea) Samouelle, 1819 * Majoidea상과 Samouelle, 1819 * 말랑게상과(Hymenosomatoidea) MacLeay, 1838 * Parthenopoidea상과 MacLeay, 1838 * Retroplumoidea상과 Gill, 1894 * Cancroidea상과 Latreille, 1802 * 꽃게상과(Portunoidea) Rafinesque, 1815 * Bythograeoidea상과 Williams, 1980 * 부채게상과(Xanthoidea) MacLeay, 1838 * Bellioidea상과 Dana, 1852 * Potamoidea상과 Ortmann, 1896 * Pseudothelphusoidea상과 Ortmann, 1893 * Gecarcinucoidea상과 Rathbun, 1904 * Cryptochiroidea상과 Paulson, 1875 * 속살이게상과(Pinnotheroidea) de Haan, 1833 * 달랑게상과(Ocypodoidea) Rafinesque, 1815 * 바위게상과(Grapsoidea) MacLeay, 1838 = Someday (윤하의 음반) = Someday는 2008년 8월 28일 발매된 가수 윤하의 정규 2집 음반이다. = = 2집 음반 발표 예고 및 트랙리스트 공개 = = 2008년 8월 20일, 소속사 스탐은 가수 윤하의 정규 2집 음반 발표를 알렸다.돌아온 윤하 '더 세련되고 성숙해졌네~' :: 네이버 뉴스 음반명은 Someday로, 2008년 8월 28일 발매되었다. 에픽하이의 타블로, 싱어송 라이터 조규찬, 재즈피아니스트 송영주 등이 음반에 참여하였고, 윤하 자신이 직접 작곡과 연주를 맡은 트랙도 수록되었다. 타이틀 곡은 '텔레파시'로 정해졌다. 윤하의 소속사 측은 이번 음반에 대해 "팝 발라드, 모던 록, 프로그레시브 록, 일렉트로니카,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담아냈으며, 상당한 음악적인 성장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웰 메이드 된 음반으로 들을 만한 곡들이 많은 ‘좋은 음반’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주요 활동 곡 = = "텔레파시" (8월 말 ~ 10월 초) "Gossip boy" (10월 중순 ~ 11월 중순) "빗소리" (11월 말 ~ 12월 말) = = = 수록곡 = = = = 페이튼 호 사건 = 페이튼 호 사건(, Phaeton Incident)는 1808년 10월 분카 5년, 쇄국 체제 하의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일어난 영국 군함 침입 사건이다.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가 극동의 일본에까지 미친 사건이다. = = 배경 = = 1641년 이후 일본은 유럽 국가들 중 네덜란드 공화국(후의 네덜란드)만 통상을 허용하였고, 나가사키 데지마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길드사무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영국도 에도 시대 초기에는 히라도에 길드사무소를 설치하고 대일 무역을 하고 있었다. 네덜란드와의 영업 경쟁에 패배하면서, 경영 부진에 빠졌고, 1623년에 나가사키 히라도의 길드사무소를 폐관한 후 다시 재개를 하려했으나 에도 막부로부터 거절을 당했다. (히라도 영국 길드사무소는 영국 히라도 길드사무소 참조)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면서, 1793년에 네덜란드는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네덜란드 대통령인 빌렘 5세는 영국으로 망명했다. 네덜란드 현지 혁명파에 의한 바타비아 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798년에 해산되었다. 바타비아 공화국은 프랑스의 영향 하에 있다고는 해도 일단 네덜란드의 정권이었다. 나폴레옹 황제는 1806년에 동생 루이 보나파르트를 네덜란드 국왕으로 임명하고, 프랑스인에 의한 네덜란드(홀란트 왕국)이 성립되었다. 이 때문에 세계 각지에 있던 네덜란드 식민지는 모든 혁명 프랑스의 영향 하에 있게 되었다. 영국은 망명해온 빌렘 5세의 의뢰로 네덜란드의 해외 식민지를 접수하기 시작했다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을 관할하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있던 바타비아(자카르타)는 여전히 구 네덜란드(즉 프랑스)가 지배하는 식민지였다. 그러나 아시아의 제해권은 이미 영국이 쥐고 있었기 때문에, 바타비아에서는 구 네덜란드 (즉 프랑스) 지배 하의 무역상은 중립국인 미국 국적선을 고용하여 나가사키와 무역을 계속했다. = = 과정 = = 1808년 10월 4일(분카 5년), 네덜란드 선박 나포를 목적으로 하는 영국 해군의 프리깃 함 페이튼 호(플리트우드 펠로 함장영웅으로 유명한 에드워드 펠로의 둘째 아들)는 네덜란드 국기를 게양하고 국적을 속여, 나가사키에 입항했다. 이것은 네덜란드 선박으로 오인하고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은 길드사무소 직원 고즈만(Dirk Gozeman)과 시멜(Gerrit Schimmel) 두 사람을 작은 배에 파견하여 관례에 따라 나가사키 봉행소 네덜란드 통역사와 함께 마중을 가기 위해 선박에 탑승했다가 무장선에 의해 길드사무소 직원 2명이 배에 납치되었다. 동시에 배는 네덜란드 국기를 내리고, 영국 국기를 게양하였고, 네덜란드 선박을 요구하면서 무장선으로 나가사키 항에서 수색을 했다. 나가사키 봉행소에서는 페이튼 호에 대해 네덜란드 상관원을 석방하라고 서신으로 요구했지만, 페이튼 호 측에서는 물과 식량을 요구하는 회답만 했을 뿐이었다. 네덜란드인 상관장(데지마 상관장) 헨드릭 데프는 나가사키 봉행소 내로 피난하였고, 길드사무소 직원의 생환을 원했기에 교전을 피할 것을 권했다. 나가사키 봉행 마쓰다이라 야스히데는 길드사무소 직원의 생환을 약속하는 한편, 항만 경비를 담당하는 나베시마 번, 후쿠오카번(영주 : 구로다 나리키요) 양 번의 영국 측 습격에 대비하고, 또 페이튼 호를 억류하거나 방화 준비를 지시했다. 그런데 나가사키 경비를 담당하는 번이었던 나베시마 번은 태평성대에 익숙해 경비 절감을 위해 수비병을 무단으로 줄이고 있으며, 나가사키에는 본래의 주재해야 할 병력의 1할 정도에 불과한 100명 정도 밖에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쓰다이라 야스히데는 다급히 사쓰마번, 구마모토번, 구루메번, 오무라번 등 규슈 여러 번에 출병을 요청했다. 다음날 16일 펠로 함장은 인질 중 한 명인 길드사무소 직원 고즈만을 석방하면서 장작, 물과 음식(쌀, 야채, 고기)의 제공을 요구하고 물품을 주지 않을 경우 항구 내에 있는 일본 배를 불태우겠다고 위협했다. 인질극에, 충분한 병력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마쓰다이라 야스히데는 어쩔 수 없이 요구를 받아들이려 했지만, 요청된 물은 소량 밖에 제공하지 않았다. 내일 이후에 충분한 양을 제공하겠다고 속여 응원 병력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 벌기를 시도했다. 나가사키 봉행소에서 음식과 음료수를 준비하여 배에 싣고 네덜란드 상관에서 제공된 돼지와 소를 페이튼 호에 보냈다.도진야시키의 중국인의 중국인에게서 구입했다고 한다. 이것은 당시 일본 내에서 육식의 습관이 없어서 고기(특히 저장용 고기)를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 당시의 군함에 신선한 식육의 공급원으로 산 돼지 등이 실리는 것은 별로 신기한 일이 아니었다. 이에 따라 펠로 함장은 나머지 길드사무소 직원인 시멜 등도 석방하고 출항 준비를 시작했다. 17일 새벽 인근의 오무라번주 오오무라 스미요시가 번 병력을 이끌고 나가사키에 도착했다. 마쓰다이라 야스히데는 오오무라 스미요시 등과 함께 페이튼 호를 억류하거나, 방화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었지만, 그 사이에 페이튼 호는 닻을 올리고 나가사키 항 밖으로 빠져나갔다. = = 결과 = = 결과만 놓고 보면 일본에 인적, 물적 피해가 아니라 인질이 된 네덜란드인들도 무사히 석방되었고, 사건은 평온하게 해결되었다. 그러나 준비된 병력도 없이 침입한 선박의 요구에 쉽사리 응할 수밖에 없었던 마쓰다이라 야스히데는 나라의 체면을 욕보였다고 스스로 할복하였고, 마음대로 병력을 줄였던 나베시마 번 가로 등 몇 사람도 책임을 지고 할복했다. 또한 막부는 나베시마 번이 나가사키 경비 책임을 게을리 했기 때문에 11월에는 영주 나베시마 나리나오에게 100일 폐문을 명령했다. 페이튼 호 사건 이후 두후와 나가사키 봉행 마가 리부치케이 등이 임시 점검 체제 개혁을 실시하였고, 비밀 신호기를 이용하는 등 외국 선박의 입국 절차가 강화되었다. 그 후에도 영국 선박의 출현이 잇따라 있었으며, 막부는 1825년에 이국선 타격령을 발령하게 된다. 이 굴욕을 맛본 나베시마 번은 차세대 나베시마 나오마사가 근대화에 노력하고 메이지 유신 때 큰 힘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 사건 이후 지식인 사이에서 영국을 침략성을 가진 위험한 국가 ‘영국 오랑캐’로 간주하기 시작했고, 조직적인 연구 대상이 되어 막부는 1809년에 모토키 쇼웨이 등 6명 나가사키를 통해 영국학 수업을 명했다. 그 뒤에 네덜란드를 통해 모두 영어와 러시아어 연수를 명령했다. 모토키 등은 네덜란드 상인 얀 콕 블롬호프로부터 영어를 배웠다.ザビエルそして洋学、留学生ザビエル渡来450周年記念シンポジウム委員会図書出版 南方新社, 2000 1811년에는 일본 최초의 영일사전 암액리아흥학(諳厄利亜興学) 10권이 완성되었고, 1814년에는 막부의 명에 의해 본격적인 사전 암액리아어림대성(諳厄利亜語林大成) 15권이 완성되었다. 한편, 영국은 1811년이 되어 인도에서 자와섬에 원정군을 파견하고 바타비아를 공략 동인도 섬 전체를 지배 하에 두었다. 영국이 점령한 바타비아에서 나가사키의 네덜란드 상관은 아무런 연락도 없이 길드사무소장은 데프 등은 나폴레옹 제국 몰락 후까지 나가사키 데지마에 방치되었다. 데프 등은 본국의 지원도 없이 7년의 세월을 일본에서 보내고 귀환하게 된다. = = 관련항목 = = 이국선 타격령 = 어븀 = 어븀(←) 또는 에르븀(←)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Er(←), 원자 번호는 68이다. 은색의 란타넘족 금속에 속하는 희토류 원소로, 다른 희토류 원소와 함께 스웨덴의 위테르뷔에서 나는 가돌린석에서 얻는다. 광섬유에 도핑되어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 광증폭기로 활용된다. = 틀:2018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캐나다 선수 명단 = = 중양 = = = 시간, 절기 = = 중양(仲陽): 음력 2월을 이르는 말 중양절(重陽節): 동아시아 지역의 세시 명절. 음력 9월 9일 = = 생물학 = = 중양화(重陽花): 국화과, 국화속 등 국화꽃의 다른이름 = = 지명 = = 중양(中洋): 아시아의 중서부 지역인 서아시아 및 인근의 북아프리카 등 중동을 이르는 말 중양리(中陽里):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의 리 중양산맥(中央山脈): 중앙산맥. 타이완의 남북으로 뻗은 산맥 중양현(中阳县):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뤼량시의 행정구역 = ADN = ADN은 다음을 가리킨다. 애플리케이션 배포망(Application Delivery Network) App.net: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디지털 네거티브(Digital Negative): 어도비 시스템즈가 설계한 Raw 이미지 포맷 DNA의 다른 이름 = Isle of Wight = Isle of Wight는 지미 헨드릭스의 음반이다. 폴리도르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포트로열 (동음이의) = 포트로열(Port Royal) 또는 포르루아얄(Port-Royal)은 다음을 일컫는다. = = 지명 = = 포트로열은 자메이카의 옛 도시이다. 포르루아얄 데샹(Port-Royal des Champs)은 1204년 세워진 프랑스의 수도원이다. = 효목동 = 효목동(孝睦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법정동이다. 행정동(효목1동·효목2동)의 통칭이기도 하다. = = 지명 유래 = = 소목골 또는 소목곡(昭穆谷)으로 불리었는데 조선 숙종 재위시 동래 정씨가 이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으며, 이후 동래정씨 11대손인 정종악이 진사시에 장원급제하고 학문에 능할 뿐 아니라 일가 친척과 이웃간에 늘 화목하게 지내자 숙종이 정종악의 호(號)를 따 지명을 고치게 하여 효목리라 불리게 되었다. = = 역사 = = 조선시대 효목동/검정동 1895년 음력 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수북면 효목동/검정동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효목동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효목동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1938년 11월 2일: 편입된 수성면을 관할로 동부출장소 설치부조례 제22호 (1938년 11월 2일)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부출장소 효목동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효목동법률 제1174호 (1962년 11월 21일) 1979년 5월 2일: 경부선을 경계로 효목1동, 효목2동으로 분동시조례 제1181호 (1979년 4월 30일)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 효목동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 = 교육 = = = = = 효목1동 = = = 대구효동초등학교 대구효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동부공업고등학교 대구동부공업고등학교 = = = 효목2동 = = = 대구효목초등학교 = = 명소 = = 효목동성당 조양회관 망우당공원 아양아트센터 대구지방기상청 동촌유원지 = 프로토자동차 = 프로토자동차(PROTO MOTORS)는 대한민국의 자동차 회사다.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으며 1997년 6월 14일에 설립했다. 프로토자동차는 2007년 5월 어울림모터스에 인수되었다프로토 자동차, 진짜 회사명은 프로토모터스이다. 프로토모터스 의 설립일은 명확하지 않다. 프로토모터스는 애당초 존재하지 않는 회사였으니까. 흔히들 김한철씨가 처음으로 설립한 회사가 프로토모터스 인줄 안다. 하지만 그의 첫 자동차 회사는 프로토디자인이다. 프로토디자인은 제1회 서울모터쇼가 개최되기 몇년 전 설립된 디자인 및 용역회사이다. 기아 , 아시아자동차 , 대우 , 현대 등이 주로 용역 일을 맡겼는데 여기서 현대가 프로토디자인에게 제안을 하나 한다. '프로토디자인은 다른 자동차회사들과도 거래를 한다며 현대와의 거래 때 모양새가 좋지 않다며 서류 상에서 회사를 만들어낸게 바로 프로토모터스이다.프로토디자인은 97년 부도를 맞이했지만 프로토모터스는 현대자동차가 건재했기에 살아남은 것이고 PS-2 (proto sports car 2) 또한 프로토모터스의 이름으로 공개를 하게 된것이다. 흔히들, 스피라는 시작만 화려했다고들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아무도 도전해보지 않은 영역을 회사까지 잃어가면서 자동차를 만들어낸게 과연 화려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어울림모터스로 넘어가고나선 여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김한철과최지선 은 이미 퇴사를 하고 난 뒤였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본인또한 두분이 무슨 이유로 퇴사를 하신 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스피라, 세계를 향한 영혼의 승부> 라는 책을 보면 김한철과 박동혁 (어울림그룹 , 프로토모터스를 인수한 장본인) 사이가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김한철이 박동혁과 뜻이 맞지 않아 퇴사했다니.. 본인이 생각하기엔 돈이 문제였지 않나 싶다. [한마디만 하고 싶습니다. 보기 싫으신 분들은 이 내용을 지워버리셔도 좋습니다. 저는 현재 스피라를 아카이브 하고 있습니다. 아카이브라 할것도 그저 사진과 스피라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것 뿐이지만요. 페이스북에서 스피라 아카이브 페이지와 페이스북에서 스피라 그룹 도 개설해 놓았습니다. 한분이라도 더 이 글을 읽으시고 스피라 아카이브에 동참 해주셨으면 합니다. 이상 아띠 였습니다.] 잘 빠진 녀석들이 온다…해외 정통 스포츠카 속속 국내 진출동아닷컴 자동차뉴스 2007. 7.06 = = 연혁 = = 1998년 - 티뷰론 리디자인 모델 RT-X 개발 2000년 - 대한민국 최초 미드십 스포츠카 PS-II 개발 2002년 - 프로토 스피라(Spirra) 모델 발표 2006년 - 기아 그랜드 카니발 리무진(Kia Grand Carnival Limousine) 발표 2007년 - 어울림그룹에 인수 =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24주 = = = 여기를 잡학사전인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네요? = = 언더테일 문서에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이 마구마구 들어가고 있습니다. 출처가 없을 뿐더러 다른나라 출처라도 어떤 식으로든 찾아서 단다고 해도 그대로 있어서는 안되는 주관적인 내용을 삭제하고 영어 위키백과에서 사용된 원 출처를 달아 독자연구가 아니게 만들었는데 다시 또 주관적인 내용을 왕창 넣어놓고 있으니 미치고 팔짝 뛸 노릇입니다. 위키백과글을 출처랑 저자 밝히고 퍼가도 되는 리브레위키로 가라고 해야 되나 아니면 여기 위키랑 동맹인 곳중에 게임 공략집같은거 쓸 수 있는 곳이 있다면 거기로 가라고 해야되나 참 짜증이 납니다. Halfkimoon (토론) 2016년 6월 15일 (수) 21:48 (KST) = = 서양 철학 & 역사 공동 편집 = = 지난 11일에 열린 위키 라운드 테이블 토의 과정에서 포털 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7월 2일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서양 철학과 역사에 관련된 포털과 문서를 정비하려고 합니다. 서양 철학과 역사에 관심있으신 분은 누구나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 MOTO (토론) 2016년 6월 16일 (목) 20:59 (KST) = 분류:다하라시 = = 챈드라 = 챈드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챈드라 치즈보로: 전 미국의 육상 선수 챈드라 윌슨: 미국의 배우 = 스파이더맨 2: 엔터 일렉트로 = 스파이더맨 2: 엔터 일렉트로는 마블 코믹스의 스파이더맨을 소재로 한 2001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2000년 게임 스파이더맨의 후속작이다. 비케리어스 비전스에서 개발하여 2001년 액티비전에서 플레이스테이션판을 발매하였다. 전편처럼 드림캐스트, 닌텐도 64판이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다. 악당으로 쇼커, 해머헤드, 리저드, 샌드맨, 일렉트로가 등장한다. = = 성우진 = = 리노 로마노 - 스파이더맨 디 브래들리 베이커 - 일렉트로, 리저드, 해머헤드, 비스트 대런 노리스 - 샌드맨, 비틀, 쇼커, 프로페서 X, 졸개 제니퍼 헤일 - 로그, 닥터 와츠 = 트윗덱 = 트윗덱(TweetDeck)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 관리를 위한 소셜 미디어 대시보드 애플리케이션이다. 다른 트위터 애플리케이션처럼 이 소프트웨어도 트위터 API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고 받거나 프로필을 볼 수 있다. 2009년 6월 기준으로 트위터 사용 인구 중 트위터 공식 홈페이지 45.7%에 이어 19%를 차지해 트위터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맥 OS X, 크롬 OS, 리눅스 등 여러 운영 체제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2009년 6월 19일 아이폰 버전이 출시되고 이어 2010년 5월에 아이패드 버전이 출시되었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베타 테스트를 거치며 곧 출시될 예정이다. 트윗덱은 원래 2011년 5월 25일까지 이안 도즈워스가 개발하고 있다가, 트위터가 트윗덱을 현금 및 주식 자산 총합 4~5천 달러에 매입했다는 루머가 나오고, 이후 2011년 12월 8일, 트위터가 "트위터와 함께하는 트윗덱" (TweetDeck by Twitter)이라는 이름과 함께 트위터의 서비스 중 한 부문으로 새로 출시된다. = 사이타마 시티컵 = 사이타마 시티컵은 매년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에서 개최되는 국제 친선 축구대회이다. 사이타마시 연고 구단들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혹은 오미야 아르디자와 초청팀 간의 경기로 진행된다. 2003년 대회부터 2008년 대회까지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주최하여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열렸다. 2009년 대회는 개최되기로 예정되었지만 당해 인플루엔자A(H1N1)가 창궐하면서 취소되었다. 2010년 대회와 2011년 대회는 오미야 아르디자가 주최하여 오미야 공원 축구장에서 열렸다. 2012년에는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으며, 2013년에 대회가 재개되었다. 2013년 대회부터는 다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주최한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으며, 2017년에 대회가 재개되었다. 역대 사이타마 시티컵에 초청된 K리그 구단으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 FC 서울이 있다. = = 역대 대회 = = = = = 2003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04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05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06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07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08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10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11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13 사이타마 시티컵 = = = = = = 2017 사이타마 시티컵 = = = = = 우승 = = = = = 구단별 우승 횟수 = = = 구단 우승 준우승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5회 (2003†, 2004, 2006, 2007†, 2017†) 4회 (2005, 2008, 2011, 2013) 오미야 아르디자 2회 (2010, 2011) FC 바이에른 뮌헨 1회 (2008) 1회 (2006) 페예노르트 1회 (2003†) FC 바르셀로나 1회 (2005)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회 (2007†) 아스널 FC 1회 (2013) FC 서울 1회 (2017†)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회 (2004) 수원 삼성 블루윙즈 1회 (2010) † 무승부일 경우 별도의 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없이 공동으로 우승한다. 공동우승한 해에는 준우승 구단이 없다. = 분류:RC 아르바 = = 옥천 조씨 (曺) = = 소울 푸드 (동음이의) = 소울 푸드()는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식이다. 《쏘울 푸드(Soul Food)》는 미국의 1997년 영화이다. 소울 푸드(soul food)는 위안을 주는 음식을 뜻하는 한국식 영어이다. 소울 푸드(Soul Food)는 한국의 힙합 그룹이다. = 모듈:Location map/data/Ireland Youghal = return { name = 'Youghal', top = 51.9592, bottom = 51.9376, left = -7.8758, right = -7.8404, image = 'Location map Ireland Youghal.png' } = 분류:하노이의 관광지 = = 율동공원 = 율동공원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문정로 145(율동 318)에 위치한 공원으로 율동과 분당동을 경계로 하고 있다. 총넓이는 263만 7316m2이고 공원시설로 개발된 넓이는 30만 8648m2이다. 1996년 12월 착공하여 1999년 8월 30일에 개원하였다. = = 개요 = = 성남시에서 1999년 12월 26일부터 토지매입비 181억9천5백만원, 시설비 146억8천만원, 기타 16억4천 1백만원 등 총 345억1천6백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성하였으며, 1999년 8월 30일에 완공 및 개원하였다. 실제 공원은 율동과 분당동에 걸쳐 있으며, 성남시의 대형 근린공원으로써 많은 시민들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율동공원은 TV드라마나 쇼프로그램들 (런닝맨, 1박2일, 우리 결혼했어요), 영화 (내 남자의 로맨스, 광복절 특사) 등의 촬영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13만 5,000m²(4만 여평)의 분당저수지 주변으로 2.5km의 산책로와 자전거도로가 개설되어 있고, 또한 분수, 인공암벽, 어린이 놀이터, 배드민턴장, 잔디광장, 발 지압장, 사계절 꽃동산, 갈대밭, 국궁장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9년 8월 공원 안에 높이 45m의 번지점프대가 설치되어 번지 점프를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청풍랜드에 62m의 번지점프대가 설치되기 전까지 대한민국 최대 높이였다.신도시 분당의 맞춤형 휴식공간 '율동공원', 경향신문, 2011년 9월 11일 작성. = = 이용시간 = = 오전 10시 ~ 오후 9시(주말 10시) = 푸둥 국제공항 역 = 푸둥 국제공항 역은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행선과 상하이 지하철 2호선의 시종착 역으로, 2002년 12월 31일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1터미널과 2터미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 =역 정보 = = 2호선, 자기부상열차 역은 지상 상대식 승강장이다. = = =승강장 구조 = = = 2F 지하철 대합실 개찰구, 서비스 센터 2F 자기부상열차 대합실 1F 1F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1F ■2호선 당역 종착 1F ← ■2호선 광난루·시내구역·쉬징둥 방면(하이톈산루) → 1F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1F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1F ■자기부상 룽양루 방면(룽양루) → 1F ■자기부상 룽양루 방면(룽양루) → 1F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1F = = =대합실 = = = 푸둥 국제공항 역은 1번과 2번 터미널 중간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터미널 사이에 길이 150m의 복도 6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도보로 약 5분 소요된다. 자기부상과 지하철 역사 대합실은 중간 복도 좌우에 있으며, 각각 4만 5000m2 규모로 2개의 올리브형(橄榄型)이다. 자기부상 대합실은 중앙 대합실 북쪽에 6000m2의 면적을 두고 있다. 진입로는 대합실 남북 양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방은 식당이다. 대합실 천장은 나뭇잎 모양의 입체 램프로, 바닥은 대리석 벽돌로 장식했다. 지하철 대합실은 중앙 대합실 남쪽에 있으며 길이 400m, 폭 50m이다. = = =승강장 = = = 푸둥 국제공항 역 승강장은 모두 지상 1층에 위치한다. 자기부상선 승강장은 사각형으로, 두 개의 상대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승강장 양쪽 끝이 폐쇄되어 있다. 자기부상선은 두 승강장 모두 룽양루 방향 열차를 탈 수 있다. 지하철 승강장은 자기부상선 승강장 동쪽에 위치하여 두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두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하차 전용 승강장, 다른 하나는 승차 전용 승강장이다. 열차가 역에 도착한 후 승강장 남쪽에서 회차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2호선이 정상 운행후에 런민광창에서부터 급행열차로 운행하여, 중간에는 촨사, 광란루, 스지다다오에만 하차한다. = =연결 교통 = = = = = 버스 = = = 공항 1선(机场一线), 공항 2선(机场二线), 공항 3선(机场三线), 공항 4선(机场四线), 공항 5선(机场五线), 공항 6선(机场六线), 공항 7선(机场七线), 공항 8선(机场八线), 공항 순환1선(机场环一线), 守航专线 = = 역세권 정보 = = 푸둥 국제공항 제1터미널 푸둥 국제공항 제2터미널 = 분류:1948년 체조 = 체조 en:Category:1948 in gymnastics = 분류: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 가이모토 = 가이모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가이모토 겐지: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 가이모토 고지로: 일본 출신의 축구 선수 = 분류:1961년 완공된 건축물 = = 반교리 = 반교리(盤橋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반교리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반교리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 송도 센트로드 = 송도 센트로드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송도동)에 위치한 초고층 건축물이다. 2008년에 분양이 완료되었다. 같은 해 포스코E&C(구 포스코건설)가 착공하여 2011년에 완공했다. A동 최고 45층, 145m, B동 최고 34층, 148m, C동 최고 33층, 190m으로 구성되어 있다. A동은 1층~5층 : 연수 세무서, 6층~33층 : 오피스, B동 오피스 건물인데 C동은 아파트 디자인 건축물이 오피스텔 254세대로 이뤄져있고 오피스텔은 1층 ~ 5층 투룸세대를 제외하면 6층부터 45층까지는 모두 중대형평형으로 이뤄져있다. = 레이 창 = 레이 창은 레이먼드 창의 애칭으로,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Raymond Chang, 1939~2017) - 미국의 화학자. (G. Raymond Chang, 1948~2014) - 자메이카·캐나다의 기업인. (Ray Chang, , 1983~) - 미국의 야구 선수. 레이 창(Ray Chang): 대만의 배우인 장루이자(, 1985~)의 영어 이름. = 분류:칸타브리아주의 강 = = 대한민국 민법 제368조 = 대한민국 민법 제368조는 공동저당과 대가의 배당, 차순위자의 대위에 대한 민법 물권법 조문이다. = = 판례 = = 대법원 2020. 4. 9. 선고 2014다51756, 51763 판결 = 분류:아르헨티나의 대통령 권한대행 = = 분류:1930년 아시아 = = 풍계리 = = = 지명 =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풍계리(豊界里)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풍계리(豊溪里)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豊溪里) = = 장소 = = 풍계리 핵 실험장(豊溪里 核 實驗場) =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해리엇 터브먼 = = 타인 (동음이의) = = = 미디어, 문학 = = 타인: 1980년대 드라마 타인 (희곡) = = 인물 = = 타인 데일리: 미국의 배우 T. J. 타인: 미국의 배우 조지 타인: 미국의 배우, 연극 배우 타인 똥: 황제 = = 기타 = = 타인 브리지: 잉글랜드 북동부의 타인 강을 가로지르는 아치교 = 분류:미우라군 = = 분류:몽골의 경연회 = = 정대상 = 정대상(鄭大相, 1957년 9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별명은 "속기의 명수"로 불렸다. = = 약력 = = 1982년에 입단하였고, 1984년 제왕전 본선과 1985년 패왕전, 박카스배 본선에 진출했다. 1987년 대왕전, 신왕전 본선에 올랐다. 1984년 ~ 1995년까지 3기 ~ 13기 MBC 제왕전 기록자, 1988년과 1990년 신왕전 본선 그리고 1992년 박카스배 본선에 진출했다. 1995년, 1997년 ~ 2000년 14기, 16기 ~ 19기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했고, 1996년 7단으로 승단했고 1999년 4회 삼성화재배 세계 바둑오픈 본선에 진출했다. 2000년 8단 승단을 거쳐 2005년 4월에 9단으로 승단하였다. 2016년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본선에 진출했고 2017년 시니어바둑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제5회 대주배 본선에 올랐다. = 리비아 육군 = 리비아 육군은 리비아 및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의 육상 방위를 담당하는 국가기관이다. 1951년 왕립 리비아 육군에서 시작, 1969년 무아마르 카다피가 군사 쿠데타로 국왕 이드리스 1세를 몰아내고 지금의 명칭으로 바꾼 것이다. 1978년 리비아 국가원수 무아마르 카다피가 당시 36세 나이로 리비아 육군 소장 예편한지 33년 후 2011년 현재, 카다피가 사망하고 과도국가위원회가 군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 = 전쟁 경험 = = 리비아는 1977년 이집트와 전쟁을 치렀으나 패배, 1978년에는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에서 우간다의 편을 들어주었으나 패배했다. 우간다가 탄자니아에 패배하자 우간다의 국가원수였던 이디 아민은 반(反) 이디 아민 세력과 탄자니아 육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1980년에는 차드와 국경 분쟁이 일어났는데, 곧 전쟁으로 발전했다. 리비아는 차드보다 무장이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패배했다. 결국 1987년 리비아군은 차드 국경에서 물러났다. 2011년에는 반(反) 카다피 세력이 친(親) 카다피 세력과의 교전에서 승리했다(리비아 내전 참조). 이후, 과도국가위원회가 리비아군의 통수권을 행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육군 = 보크몰 = 보크몰(원어 bokmål의 글자 뜻은 "책 언어")은 노르웨이어에서 뉘노르스크(란스몰)와 함께 공식 표준어이다. 보크몰은 노르웨이 인구의 약 85~90%가 사용하고 있으며, 노르웨이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일반적으로 학습하는 표준어이다. 보크몰은 수백 년 동안 덴마크가 지배하던 시절에 노르웨이화한 덴마크말인데, 대도시 주민들과 권력층에서 주로 쓰는 말이다. 단어는 남성, 여성, 중성 중 하나로 3성 체계를 이루고 있으나, 여성형 명사를 그대로 쓰지 않고 남성형으로 쓰는 이들 또한 존재한다. 최초의 보크몰 맞춤법은 1879년부터 연구되어 릭스몰(riksmål)이라는 이름으로 1907년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시행되었다. 보크몰(Bokmål)의 3성체계에 따른 단어의 변화 부정관사+단수형 (영어) 정관사+기본형 (영어) 부정관사+복수형 (영어) 정관사+복수형 (영어) 남성 en stol (a chair) stolen (the chair) stoler (chairs) stolene (the chairs) 여성 ei bok (a book) boka (the book) bøker (books) bøkene (the books) 중성 et vindu (a window) vinduet (the window) vinduer (windows) vinduene (the windows) = 분류:헝가리의 역사가 = =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이 오세게라(, 1780년 7월 27일 ~ 1853년 2월 6일)는 멕시코의 대통령이었다. 그는 1830년에서 1832년까지, 1837년에서 1839년까지, 1839년에서 1841년까지 총 3차례 자리에 올랐었다. 보수주의자였으며, 최초로 비센테 게레로 대통령에 대항한 쿠데타를 이끌어 권력을 쟁취했었다. 부스타만테는 두 차례 면직당했으며, 매번 유럽으로 망명했었다. = 분류:페놀 에터 = = 분류:2008년 교육 = = 한삼덩굴 = = 분류:이란의 스포츠에 관한 틀 = = 죽어도 좋아 = 죽어도 좋아는 다음을 가리킨다. 《죽어도 좋아》는 196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죽어도 좋아》는 200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죽어도 좋아》는 2018년에 방영된 KBS 수목드라마이다. = 분류:스위스 슈퍼리그 구단 = = 틀:토막글/그림/오세아니아 = 틀:토막글/그림/지리 틀:토막글/그림/오세아니아 * 틀:토막글/그림/나우루 * 틀:토막글/그림/뉴질랜드 * 틀:토막글/그림/마셜 제도 * 틀:토막글/그림/미크로네시아 연방 * 틀:토막글/그림/바누아투 * 틀:토막글/그림/사모아 * 틀:토막글/그림/솔로몬 제도 * 틀:토막글/그림/오스트레일리아 * 틀:토막글/그림/키리바시 * 틀:토막글/그림/통가 * 틀:토막글/그림/투발루 * 틀:토막글/그림/파푸아뉴기니 * 틀:토막글/그림/팔라우 * 틀:토막글/그림/피지 오세아니아 = 더 셰프 = 더 셰프는 2015년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존 웰스가 감독하고, 스티븐 나이트가 각본을 맡았으며, 마이클 칼레스니코가 스토리를 썼다. 이 영화에는 브래들리 쿠퍼, 시에나 밀러, 오마르 시, 다니엘 브륄, 매슈 리스, 리카르도 스카마르초, 알리시아 비칸데르, 우마 서먼과 엠마 톰슨이 출연한다. 영화는 와인스타인 컴퍼니 배급으로 2015년 10월 30일 개봉되었다. = = 줄거리 = = 미슐랭 2스타라는 명예와 부를 거머쥔 프랑스 최고의 셰프 ‘아담 존스’(브래들리 쿠퍼). 모든 것이완벽해야만 하는 강박증세에 시달리던 그는 괴팍한 성격 탓에 일자리를 잃게 되고 기나긴 슬럼프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이내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마지막 미슐랭 3스타에 도전하기로 결심한 ‘아담’은 각 분야 최고의 셰프들을 모으려는 불가능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런던으로 떠나는데! = = 출연 = = 브래들리 쿠퍼 - 애덤 존스 역 시에나 밀러 - 헬렌 역 오마르 시 - 미첼 역 다니엘 브륄 - 토니 발레르디 역 리카르도 스카마르초 - 맥스 역 샘 킬리 - 데이비드 역 알리시아 비칸데르 - 앤 마리 역 매슈 리스 - 몽고메리 리스 역 우마 서먼 - 시모네 역 엠마 톰슨 - 닥터 로실드 역 릴리 제임스 - 세라 역 세라 그린 - 케이틀린 역 제이미 도넌 - 리언 스위니 역 (삭제 장면) = 분류:덕양구의 법정동 = = 포털:로봇/분류 = 로봇 가공의 로봇 군사용 로봇 소셜 로봇 장난감 로봇‎‎ 탐사차 휴머노이드 로봇‎ 로봇공학 로봇에 관한 토막글 * = 나비 부인 = 나비 부인은 자코모 푸치니가 작곡하고, 루이지 일리카와 주세페 자코사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한 2막, 혹은 3막의 오페라이다(처음에는 2막으로 작곡하였다가 나중에 3막으로 개정하였다). 나비 부인은 미국의 흥행주 겸 각색가인 데이비드 벨라스코(David Belasco)가 번안하여 희곡을 각색한 존 루터 롱의 단편 소설에 기초한다. 또한 피레르 로티의 소설, Madame Chrysanthème(1887)도 참조한다. 1904년 2월 17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하지만 청중의 야유와 혼란 속에 큰 실패로 끝이 났다. 그 이유는 동양풍 무대와 의상, 연출, 요상한 선율들과 일본어 가사 등이 당시의 청중들에게는 낯설었기 때문이다. 실패에 분노한 푸치니는 두 번 다시 스칼라 극장에 자신의 작품을 올리지 않으리라 마음 먹었고 실제로 그렇게 하였다. 그는 지휘자 토스카니니의 조언대로 개정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지루하다시피 긴 2막을 반으로 나누고 야쿠시데, 관리와 신관, 초초상의 가족들과 친구들 등 조연이 등장하는 부분을 대부분 삭제하였으며 핀커튼이 일본인의 외모와 행동을 노골적으로 비하하고 깔보는ㅡ예를 들어 일본인 하인들의 이름을 듣고 우스워하거나(nomi di scherno o scherzo) 외모를 보고 '주둥이들(musi)'이라고 부르는ㅡ장면도 삭제하였다. 그리고 핀커튼의 아리아를 추가하고 기존의 선율과 조성, 가사를 조금씩 손보았다. 초연 3개월 후인 5월 28일 브레시아에서 무대에 올린 이 개정판은 대단히 큰 성공을 거두어 마침내 1907년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하기에 이르렀고 푸치니의 명성은 대서양을 건너 미대륙 널리 퍼졌다. 오늘날 이 오페라는 이탈리아에서는 2막으로 여겨지나 미국에서는 3막 개정판이 더 인기가 있다. 많은 국가에서 개정판이 연주되나 최근에는 초연판이 푸치니가 들려주고 싶던 나비 부인의 이야기라 하여 초연판도 간혹 연주되고 있다. Opera America에 따르면 나비 부인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품이라고 한다. = = 등장인물 = = 배역 음역 유형 1904년 2월 17일 초연 배우진 지휘자: 클레오폰테 캄파니니 1904년 5월 28일 지휘자: 클레오폰테 캄파니니 초초상(나비 부인) 소프라노 로시나 스토르키오 솔로미야 크루셸니츠카 하녀 스즈키 메조소프라노 주세피나 자코니아 기오반나 루차셰프스카 미국 해군 중위 B.F. 핑커턴오페라의 첫 리브레토 두 가지 판본에는 샤플레스가 '프랜시스 블러미 핑커턴 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일부 배역 목록에는 등장인물 이름이 F. B. 핑커턴으로 되어 있다. 세 번째와 그 이후 리브레토 판본에는 원작 단편의 이름인 '벤저민 프랭클린 핑커턴'으로 돌아간다. 마크 D 루, 오페라 리브레티 각주 . 테너 조반니 체나텔로 조반니 체나텔로 주 나가사키 미국 영사 샤플레스 바리톤 주세페 데 루카 비르질리오 벨라티 중매쟁이 고로 테너 가에타노 피니코르시 가에타노 피니코르시 야마도리 공 테너이 배역의 창시자 에밀리오 벤투리니는 테너였다. 아래 인디애나 대학교 웹사이트에서 열람 가능한 1905년 미국 리코르디 2막 악보에는 바리톤 배역으로 표기하나 음악은 높은음자리표로 되어 있다. 야마도리 공의 테시투라와 음역은 수많은 바리톤이 이 배역으로 공연해온 정도이다. 에밀리오 벤투리니 페르난도 자놀리 갈레티 초초상의 삼촌 본조 베이스 파올로 불만 주세페 티시루비니 초초상의 삼촌 야쿠시데 베이스 안토니오 볼포니 페르난도 자놀리 갈레티 신관 베이스 아우렐리오 비알레 루이지 볼파니 호적공무원 베이스 에토레 젠나리 안셀모 페라리 초초상의 어머니 메조소프라노 티나 알라시아 세레나 파티니 이모 소프라노 불명 아델레 베르가마스코 사촌 소프라노 팔미라 마지 카를라 그레멘티에리 케이트 핑커턴 메조소프라노 마르게리타 만프레디 엠마 데치마 초초상의 아이 돌로레("비애") 무언 에르실리아 기소니 에르실리아 기소니 초초상의 친척과 친구, 하인 초초상의 친척과 친구, 하인 초초상의 친척과 친구, 하인 초초상의 친척과 친구, 하인 = = 시놉시스 = = = = = 1막 = = = 1904년 미국 해군 장교 핑커턴은 자신의 아내가 될 "나비 부인"을 위해 일본 나가사키의 언덕에 있는 집을 빌린다. 그는 이 15세 일본 소녀 초초상(蝶々さん, 나비)과 현지에서의 편의를 위해 결혼하는 것으로, 일본의 이혼법이 매우 느슨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미국인 아내를 찾게 되면 이 소녀를 떠날 작정이다. 결혼식은 빌린 집에서 치를 예정이다. 나비 부인은 미국인과의 결혼에 너무 신이 나서 일찍이 비밀리에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결혼식이 끝난 뒤, 초상의 개종을 알게 된 초대받지 않은 본조 삼촌이 집으로 찾아와 그를 저주하고 모든 하객들에게 떠나라고 명령하고, 하객들은 전부 자리를 떠난다. 핑커턴과 나비 부인은 사랑의 이중창을 부르고 첫날밤을 보낼 준비를 한다. = = = 2막 = = = 3년 후, 나비 부인은 결혼식이 끝난 직후에 떠나버린 핑커턴이 돌아오기를 여전히 기다린다. 하녀 스즈키는 핑커턴이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계속해서 설득하지만, 나비 부인은 하녀의 말을 듣지 않는다. 결혼을 주선했던 중매쟁이 고로가 재혼을 하라고 제안하지만, 나비 부인은 그의 말도 듣지 않는다. 미국 영사 샤플레스가 핑커턴에게 받은 편지를 가지고 집을 찾아온다. 샤플레스는 핑커턴이 일본으로 돌아온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편지를 가져온 것이지만, 그가 돌아온다는 소식만으로 매우 흥분한 나비 부인의 모습을 보고 차마 편지의 좋지 않은 내용까지 읽어주지는 못한다. 핑커턴이 일본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샤플레스의 질문에 나비 부인은 핑커턴의 아들을 낳았다고 밝히고 이 사실을 그에게 전해달라고 부탁한다. 나비 부인은 언덕 위의 집에서 항구에 도착하는 핑커턴의 배를 보고, 스즈키와 함께 그의 도착을 준비하고 기다린다. 스즈키와 아이는 잠들지만, 나비 부인은 그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며 밤을 새운다. = = = 3막 = = = 아침이 되어 스즈키가 일어나고 나비 부인은 마침내 잠에 든다. 샤플레스와 핑커턴은 핑커턴의 새 미국인 아내 케이트와 함께 집에 도착한다. 케이트가 아이를 키우는 것에 동의하였기에 방문한 것이다. 핑커턴은 자신이 돌아올 날을 위해 나비 부인이 집을 어떻게 장식했는 지를 보고 큰 실수를 저질렀음을 깨닫는다. 핑커턴은 자신이 겁쟁이여서 나비 부인을 마주할 자신이 없음을 인정하고, 자리를 뜬 스즈키와 샤플레스, 케이트가 나비 부인을 만나 대신 소식을 전한다. 핑커튼이 30분 뒤에 자신을 직접 찾아오는 조건으로 아이를 포기하는 것에 동의한 나비 부인은 불단에 기도를 올리고 아들과 작별 인사를 한 뒤 아이의 눈을 가리고 작은 성조기를 쥐어준다. 병풍 뒤로 간 나비 부인은 아버지의 유품인 단도를 들고 자결한다. 샤플레스와 함께 뒤늦게 찾아온 핑커턴은 나비 부인의 시신을 안고 절규한다. = = 유명한 아리아 = = 1막 : 나비 부인의 등장 "Quanto cielo! Quanto mar!" (나비 부인, 합창) 저녁이 되었네 "Viene la sera" (나비 부인, 핑커튼) 2막 1장 : 어느 갠 날 "Un bel dì vedremo" (나비 부인) 안녕, 꽃들의 피난처여 "Addio, fiorito asil" (핀커튼) 나비 부인의 죽음 - 명예롭게 죽다 "Con onor muore" = 아일랜드 내전 = 아일랜드 내전(Irish Civil War)는 1922년 ~ 1923년에 일어난 아일랜드 자유국을 건국하고 아일랜드를 북아일랜드와 남아일랜드로 나누는 대신 영국 지배하 아일랜드 자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한 영국-아일랜드 조약을 지지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 사이 전쟁이었다. = = 배경 = = = = = 조약 = = = = = = = 아일랜드 독립전쟁 = = = = 영국-아일랜드 조약은 아일랜드의 독립주의자들과 영국 정부가 1919년 ~ 1921년까지 벌인 아일랜드 독립전쟁에서 비롯했다. 조약은 아일랜드의 32개 군 중에서 26개 주의 자치를 보장하고 아일랜드 자체 군대와 경찰을 인정했다. 많은 독립주의자가 독립된 공화국을 바랐지만 이 조약에서의 아일랜드 자유국은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마찬가지로 영국 군주를 수장으로 섬기는 대영 제국의 일원이었다. 또 국회의원은 다음과 같은 충성서약을 해야 했다. = = = = 조약반대 = = = = = = = = =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반대 = = = = =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영국군에 대항해 싸웠던 IRA대원의 약 70%가 조약을 반대했고 이들은 영국과 아일랜드간의 공식적인 법적 관계를 완전히 끊고 완전한 아일랜드의 독립을 이뤄내야된다고 주장했다. = = = = = 6개 카운티의 반대 = = = = = 또한 북아일랜드의 6개 카운티가 자유국 영토에 속하게 되지 않는다는 것에도 반대했다. 조약반대파는 또한 빈부격차 문제보다는 영국에 대한 민족의 독립이 우선이라 생각하여, 영국에 대해서는 비타협적인 태도를 취하고 민족적인 상공인과도 연합하려 하였다. = = = = = 찬성주장 = = = = = 그러나 조약 지지 세력은 조약을 미래에 있을 완전독립의 발판으로 삼아야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가난한 농민, 노동자 계급을 대변하고 영국과는 타협적인 입장에 있었다. = = = = 결과 = = = = 전쟁은 결국 IRA의 궤멸로 끝이 났다. 이 내전은 아일랜드 사회를 분열시켰고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후 IRA는 과격한 소수의 테러조직 형태로 운영되고 여러 가지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영국으로 남은 북아일랜드 지역의 아일랜드 인들 중에는 종교적으로 아일랜드 성공회 신도가 늘어났다. 내전의 절정은 더블린의 오코넬 거리에서 벌어진 더블린 전투였다. = = 영화 = = 켄 로치 감독에 의해 제작된 아일랜드 독립운동과 내전을 다룬 영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 2006년 개봉되어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다. = 모듈:Greek/설명문서 = = 사이 켄들 = 사이 켄들(Cy Kendall, 1898년 3월 10일 ~ 1953년 7월 22일)은 미국의 배우이다.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났으며 우들랜드힐스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낸시 리오 가다 (1950년) 농부의 딸 (1947년) 위드아웃 레저베이션스 (1946년) 천일야화 (1945년) 키스밋 (1944년) 로라 (1944년) 레이디 테이크 어 찬스 (1943년) 위험한 이웃 (1943년) 자니 이거 (1942년) 뉴욕으로 간 타잔 (1942년) 모로코 가는 길 (1942년) 훌라벌루 (1940년) 앤디 하디 미츠 드뷰탄트 (1940년) 그린 호넷 (1940년) 더 걸 오브 더 골든 웨스트 (1938년) 데이 원트 포겟 (1937년) 샤도우 스트라이크 (1937년) = 영국 왕립 공군의 사령부 목록 = 이 문서는 영국 왕립공군에서 현재 운영중이거나 옛날에 운영했었던 사령부급 조직의 목록이다. = = 현재 = = 이름 본부 창설일 비고 RAF 항공사령부 RAF 하이위컴 2007년 4월 1일 RAF 타격사령부와 RAF 인사훈련사령부를 병합하여 편성함. 합동헬리콥터사령부 말버러 라인 1999년 10월 5일 육군본부 직할 주지브롤터 영국 왕립공군 지브롤터 공항 1942년 주지브롤터 영국군 = = 과거 = = = = = 기능 = = =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RAF 군수사령부 1994년 4월 1일 1999년 10월 31일 국방군수기구로 병합됨. RAF 기술훈련사령부 1940년 5월 27일 1968년 6월 1일 RAF 훈련사령부로 병합됨. RAF 벌룬사령부 1938년 11월 1일 1945년 2월 폐지됨. RAF 비행훈련사령부 1940년 5월 27일 1946년 5월 1일 RAF 국내사령부로 병합됨. RAF 비행훈련사령부 1959년 4월 1일 1968년 6월 1일 RAF 국내사령부로 병합됨. RAF 수송사령부 1943년 3월 25일 1967년 8월 1일 RAF 항공지원사령부로 병합됨. RAF 예비군사령부 1939년 2월 1일 1940년 5월 27일 RAF 국내사령부로 병합됨. RAF 예비군사령부 1946년 5월 1일 1959년 4월 1일 RAF 비행훈련사령부로 병합됨. RAF 육군협력사령부 1940년 12월 1일 1943년 3월 31일 제2전술공군, 그레이트브리튼 방공대로 분리됨. RAF 인사훈련사령부 1994년 4월 1일 2007년 4월 1일 RAF 항공사령부로 병합됨. RAF 전투사령부 1936년 7월 14일 1968년 4월 30일 RAF 타격사령부로 병합됨. RAF 정비사령부 1938년 4월 1일 1973년 8월 31일 RAF 지원사령부로 분리됨. RAF 지원사령부 1973년 8월 31일 1994년 4월 1일 RAF 인사훈련사령부와 RAF 군수사령부로 분리됨. RAF 타격사령부 1968년 4월 30일 2007년 4월 1일 RAF 항공사령부로 병합됨. RAF 통신사령부 1958년 11월 3일 1969년 1월 1일 RAF 제90통신부대로 재편성됨. RAF 페리사령부 1941년 7월 20일 1943년 3월 25일 RAF 수송사령부로 재편성됨. RAF 폭격사령부 1936년 7월 14일 1968년 4월 30일 RAF 타격사령부로 병합됨. RAF 항공지원사령부 1967년 8월 1일 1972년 9월 1일 RAF 타격사령부로 병합됨. RAF 향토사령부 1939년 2월 1일 1940년 5월 27일 RAF 비행훈련사령부로 병합됨. RAF 향토사령부 1946년 5월 1일 1959년 4월 1일 RAF 비행훈련사령부로 병합됨. RAF 해안사령부 1936년 7월 14일 1969년 11월 27일 RAF 항공지원사령부로 병합됨. RAF 훈련사령부 1936년 5월 1일 1939년 7월 1일 RAF 비행훈련사령부와 RAF 기술훈련사령부로 분리됨. RAF 훈련사령부 1968년 6월 1일 1977년 1월 31일 RAF 지원사령부로 병합됨. = = = 전술공군 = = =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북아프리카 제1전술공군 1941년 10월 21일 1946년 6월 30일 AHQ 이탈리아로 재편성됨. 유럽 제2전술공군 1943년 6월 1일 1954년 1월 1일 주독 영국 왕립공군으로 재편성됨. 동남아시아 제3전술공군 1943년 12월 19일 1944년 12월 4일 RAF 벵갈-버마로 재편성됨. = = = 지역 = = = 유럽 지역사령부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독일 주독 영국 왕립공군 1959년 1993년 폐지됨. 독일 주라인 공군 1918년 1919년 폐지됨. 북부 연합원정공군 1944년 194?년 오버로드 작전을 위한 연합항공사령부 영국 RAF 해안지역 1919년 7월 14일 1945년 2월 RAF 해안사령부로 대채됨. 영국 그레이트브리튼 방공대 1925년 1월 1일 1936년 7월 14일 RAF 전투사령부로 재편성됨. 프랑스 주불 영국 왕립공군 ? ? ? 지중해 지역사령부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전체 지중해 항공사령부 1943년 2월 18일 1943년 12월 10일 지중해 연합공군으로 재편성됨. 전체 지중해 연합공군 1943년 12월 1945년 지중해 연합군의 항공사령부 전체 지중해 연합해안공군 1943년 1945년 8월 1일 지중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지중해 해안공군으로 재편성됨. 전체 지중해 연합전술공군 1943년 1945년 지중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전체 지중해 연합전략공군 1943년 1945년 지중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전체 지중해 해안공군 1945년 8월 1일 10월 1일 AHQ 이탈리아로 개편됨. 그리스 주그리스 영국 왕립공군 1940년 11월 15일 1941년 4월 그리스 함락에 따른 폐지. 그리스 AHQ 그리스 1944년 10월 15일 1947년 1월 11일 폐지됨. 동부 AHQ 동지중해 방공 1943년 3월 4일 1944년 2월 1일 AHQ 동지중해로 개명됨. 동부 AHQ 동지중해 ? ? ? 몰타 AHQ 몰타 1941년 12월 28일 1968년 6월 30일 폐지됨. 발칸반도 발칸 공군 1944년 1945년 지중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영국 왕립공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의 연합항공사령부. 사이프러스 AHQ 사이프러스 1954년 1월 9일 1956년 12월 15일 폐지됨. 사이프러스 AHQ 사이프러스 1956년 12월 15일 1976년 4월 1일 폐지됨. 이탈리아 AHQ 이탈리아 1945년 10월 1일 1946년 10월 6일 폐지됨. 아프라카 지역사령부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동부 AHQ 동아프리카 1941년 12눨 15일 1942년 11월 16일 폐지됨. 동부 AHQ 동아프리카 1961년 2월 1일 1964년 12월 11일 폐지됨. 북서 북서아프리카 연합공군 1943년 1월 18일 1943년 12월 북아프리카 전역, 지중해 연합공군으로 재편성됨. 북서 북서아프리카 해안공군 1943년 1945년 북서아프리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북서 북서아프리카 전술공군 1943년 1945년 북서아프리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북서 북서아프리카 전략공군 1943년 1945년 북서아프리카 연합공군의 예하사령부 수단 AHQ 수단 1940년 8월 17일 ? ? 아덴 아덴 사령부 1928년 3월 8일 1961년 12월 15일 주걸프 영국군 본부 휘하로 재편성됨. 중동 지역사령부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아덴 아덴 사령부 1928년 3월 8일 1936년 7월 1일 아덴 영국군으로 재편성됨. 아덴 주아덴 영국군 1936년 7월 1일 1957년 9월 30일 주아라비아 반도 영국군로 재편성됨. 아덴 주아라비아 반도 영국군 1957년 9월 30일 1961년 3월 1일 중동사령부 (아덴)로 재편성됨. 아덴 중동사령부 (아덴) 1961년 3월 1일 ? 주걸프 영국군으로 재편성됨. 중동 HQ RFC 중동 본부 1917년 12월 14일 1918년 4월 1일 RAF 중동 지역으로 개명됨. 중동 RAF 중동 지역 1918년 4월 1일 1920년 3월 18일 RAF 중동으로 개명됨. 중동 RAF 중동 지역 1922년 2월 23일 1922년 4월 1일 RAF 중동으로 개명됨. 중동 RAF 중동 1920년 3월 18일 1922년 2월 23일 RAF 중동지역으로 개명됨. 중동 RAF 중동 1922년 4월 1일 1943년 1월 11일 RAF 중동사령부로 이어짐. 중동 RAF 중동사령부 1943년 1월 11일 1945년 2월 8일 RAF 지중해 중동으로 병합됨. 중동 RAF 지중해 중동 1944년 1월 14일 1950년 1월 23일 중동공군으로 이어짐. 중동 중동공군 1950년 1월 23일 1962년 7월 16일 근동공군으로 이어짐. 근동 근동공군 1962년 7월 16일 1976년 3월 31일 AHQ 사이프러스로 대채됨. 레반트 AHQ 레반트 1941년 12월 1일 1955년 폐지됨. 이라크 AHQ 이라크 1941년 11월 1일 1955년 5월 폐지됨. 동남아시아/극동 지역사령부 지리 이름 창설일 폐지일 비고 전체 동남아시아 항공사령부 1943년 12월 1946년 RAF 극동사령부로 이어짐 전체 RAF 극동사령부 1946년 1949년 6월 영국 극동왕립공군으로 이어짐. 전체 영국 극동왕립공군 1949년 6월 1971년 1월 11일 ANZUK 항공구성군으로 대채됨. 벵골 AHQ 벵골 ? ? RAF 벵골버마로 재편성됨 인도 AHQ 인도 ? ? 벵갈로 후퇴하고 AHQ 벵갈로 개명함. 홍콩 RAF 홍콩 ? 1997년 폐지됨. = 모듈:Location map/data/Australia and New Zealand = return { name='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top= -9, bottom= -48.3, left= 109, right= 179.4, image= 'Map of Australia and New Zealand.png', } = 분류:2019년 그리스 = = 북일초등학교 = 북일초등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북일초등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팔결로46번길 23-19 북일초등학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신흥로 574 북일초등학교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백도로 849 이리북일초등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동서로19길 100 전주북일초등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336 = 분류:에콰도르의 법률가 = = 분류:원주시의 스포츠 대회 = = 분류:대한민국의 동물학자 = = 분류:명나라의 정치 = = 95 내일은 늦으리 = 95 내일은 늦으리 (환경보전 슈퍼앨범)는 대한민국의 환경보전 슈퍼 콘서트 내일은 늦으리의 출연자들이 모여 기획한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공연은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개최되었고, 과거 주제곡을 만들어 온 바 있는 신해철(N.EX.T)이 음악감독을 맡았다. 그 외에 서태지와 아이들, DJ DOC, 신효범, 윤종신, 김건모, 지니, 솔리드, R.ef, 룰라, 강산에가 참여했다. = 전북혜화학교 = 전북혜화학교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 있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이다. 현재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 = 연혁 = = 1962년 6월 28일 : 전북농아학교로 개교 1980년 : 전북혜화학교로 변경 = 분류:1770년대 책 = =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 민주당(民主黨, )은 1963년에 창당됐다. = = 역사 = = 1963년 7월 18일 박순천 등을 중심으로 민주당이 재건되었다. 1963년 8월 17일 등록하였다. 1963년 총선에서 14석을 얻어 제2야당이 되었다. 1964년 6월 10일 - 국민의당(김병로)을 흡수. 1965년 5월 3일 - 원내 제1야당인 민정당과 함께 민중당으로 신설합당하여 소멸하였다. = = 역대 지도부 = =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비고 1 박순천 총재 1963년 7월 18일 ~ 1964년 12월 12일 2 박순천 대표최고위원 1964년 12월 12일 ~ 1965년 5월 3일 민중당으로 신설합당 = = 주요 선거 결과 = = = = = 국회의원 선거 = = = = = 역대 전당대회 = = 1963년 7월 18일 민주당 창당대회 당헌 및 정강정책 채택 총재 박순천 전 민주당 최고위원 추대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에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출마 시 야권단일화를 위해 후보 무공천 확인 정치인정화법 해금 촉구 결의 1964년 12월 12일 민주당-국민의당 통합 전당대회 국민의당 흡수통합 결의 집단지도체제 도입 대표 박순천 민주당 총재 추대 박정희 정권 퇴진 결의 재야정당 통합 결의 김종필-오히라 메모 백지화, 초당외교 촉구 결의 1965년 5월 3일 민중당 창당선언대회 민정당과 민주당의 통합교섭 30인 전권대표들은 만장일치로 양당의 합당을 의결하고 합당선언문을 채택했으며, 민정당 윤보선 총재와 민주당 박순천 대표가 합당선언문에 서명함으로써 민정당과 민주당은 민중당으로 신설합당되었다. = 즈다노프 = 즈다노프(Zhdanov)는 다음을 가리킨다. 마리우폴의 이전 이름 (1948~1989) 안드레이 즈다노프 - 소련의 문화 이론가이자 정치가 블라디미르 즈다노프: 소련군 전차 부대의 중장 = 더 컴퍼니 (영화) = 더 컴퍼니(The Company)는 미국에서 제작된 로버트 알트만 감독의 2003년 드라마,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니브 캠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로버트 알트만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영화의 배경은 Joffrey Ballet라는 기업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니브 캠벨 말콤 맥도웰 = = = 조연 = = = 제임스 프랭코 바바라 E. 로버트슨 윌리엄 딕 수지 쿠삭 마릴린 도즈 프랭크 존 로던 마리안 메이버리 로더릭 피플스 야센 페얀코브 마이클 스미스 마이클 레빈 에린 스미스 마크 그레이피 대니 맥카시 로버트 브류러 킴버 클로슨 존 G. 코놀리 = = 기타 = = 라인프로듀서: 카린 맥카시 협력프로듀서: 로웰 두브린스키 협력프로듀서: 조셀린 하예스 미술: 게리 보우 세트: 카렌 브럭 의상: 수잔 카프만 배역: 팜 딕슨 배역: 믹키 파스칼 배역: 제니퍼 루드닉크 = 미셸 모네 = 미셸 모네(, 1878년 3월 17일 ~ 1966년 2월 3일)는 프랑스의 화가인 클로드 모네의 둘째 아들이다. 프랑스 파리에서 클로드 모네와 카미유 모네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878년 8월에 가족들과 함께 베퇴유로 이주했다. 그러나 1877년에 파리의 백화점 거물이었떤 에르네스트 오슈데가 파산하고 1879년 9월 5일에 카미유 모네가 자궁암으로 사망하는 불운을 겪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자신의 이복형인 장피에르 오슈데와 함께 프랑스 육군에서 복무했다. 1927년에는 가브리엘 보나방튀르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1964년 2월 2일에 아내와 사별했고 1966년 2월 3일에 베르농 근처에서 교통 사고로 사망했다. = 분류:1980년 동계 올림픽 = = 대전광역시한밭도서관 = 대전광역시한밭도서관(大田廣域市-圖書館, )은 도서 및 그 밖의 자료를 비치하여 대전광역시민이 열람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방문화예술 발전과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청 산하에 설치된 사업소이다. 도서관장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연혁 = = 1989년 12월 20일: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으로 개관 1991년 6월 1일: 향토샤료관 개실 199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으로 변경 = = 조직 = = 관리과 자료정책과 자료운영과 = 분류:진해중학교 동문 = = 분류:기타 중요도 색 문서 = = 분류:19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 = = 요시다 고세이 = 요시다 고세이(吉田輝星, 2001년 1월 12일 ~ )은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퍼시픽 리그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의 소속 투수이다. 2018년 신인 드레프트 1순위로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했고 입단 계약금은 1000만엔이다. = = 인물 = = = = = 생애 및 야구입문 = = = 아키타현 아키타시 출신으로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그러다가 아키타현립 가나아시 농업고등학교 입학하고 진학해, 1학년 여름부터 벤치에 들어갔고 3학년이 되어서야 요시다의 이름을 알린 나이였다.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아키타 대회부터 여름의 고시엔이라고 불리는 제100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기념 대회 준결승까지 10경기 연속 완투승을 올리고 결승전 오사카 도인 고등학교와의 결승전에서는 5회 12실점으로 패전. 사이토 유키, 마쓰이 히로키와 타이를 이루어 제100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기념 대회 일명 여름의 고시엔에서 4경기 출전해 연속 두 자리 탈삼진을 기록했다. 2018년 10월 25일에 행해진 드래프트 회의에서 드레프트 1순위로 닛폰햄 파이터스에 지명을 받아 입단을 했다. 등번호는 에이스의 상징인 18번을 받았다. = = 2018 고시엔 대회 활약 = = 요시다는 지난해 고시엔 대회에서 무명의 가나아시농고를 결승전까지 홀로 이끈 요시다 고세이(닛폰햄)가 데뷔 시즌부터 18번을 받았다. 요시다는 지난해 아키타현 대회에서 5경기 749구, 고시엔 6경기에서 881구를 던지며 소속 팀 가나아시농고를 결승전까지 올려놨다.요시다는 청소년 대표팀 출신이 즐비한 야구 명문 오사카 도인 고교에 져 준우승에 그친 대신 스포트라이트를 독점했다. '고시엔 영웅' 혹은 '혹사 논란'이라는 단어가 그를 뒤따랐다. = = = 선수로써의 특징 = = = 투구폼은 오버스로이며. 고교시절에는 스트레이트의 최고속은 152km/h를 계측. 슬라이더, 스플릿등의 변화구를 가지고 있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아키타현립가나아시농업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2019년 ~ ) = = = 개인 기록 = = = 첫 등판・첫선발・첫승리: 2019년 6월 12일 대 히로시마 카프 2차전(삿포로 돔), 5회 4안타 1실점 첫 탈삼진:상동, 1회 초에 니시카와 료마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 = = = 등번호 = = = 18 (2019년 ~ ) = 제13여단 = 제13여단은 다음과 같다. 제13기갑척탄병여단, 독일 연방군 제7보병사단, 2여단, 옛 미국 제13보병여단 영국 제13보병여단 (영국) 제13여단, 왕립기마포병 제4기마사단, 13기마여단 영국 인도 제13기병여단 제13인도보병여단 제13인도기병여단 제13여단 (오스트레일리아) 제13여단 (육상자위대), 일본 제13외인군단반여단, 프랑스 제13보병여단 (헝가리) = 페림섬 = 페림섬은 예멘 아덴주의 섬으로 면적은 13km2, 높이는 65m이다. 홍해 남쪽 입구의 바브엘만데브 해협에 위치한 화산섬이다. 1513년 포르투갈인이 이 섬을 방문했고 1738년 프랑스가 점령했다. 1799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이집트 침공 준비를 위해 단기간 점령했고 1857년 다시 영국이 점령했다. 1869년 이후에는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는 선박에 석탄을 공급하는 장소가 되었다. 1916년에는 오스만 제국이 이 섬을 점령하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만다. 1967년 독립한 남예멘의 영토가 되었고 1990년 통일된 예멘의 영토가 되었다. = 레몽 푸앵카레 = 레몽 푸앵카레는 프랑스의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1860년 8월 20일 바를르뒤크(뫼즈)에서 태어나 1934년 10월 15일 파리에서 사망했다. 푸앵카레는 1913년 2월 18일부터 1920년 2월 18일까지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이었다. 수 차례 장관직과 국무회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1913년부터 1920년까지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레몽 푸앵카레는 제3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정계 거물 가운데 하나였다. 또한 푸앵카레는 대통령 임기 동안 제1차 세계 대전을 이끈 지도자로서, 전쟁중이던 1917년에 조르주 클레망소를 국무회의 의장직에 임명했다. 대통령 임기 이후 푸앵카레는 1922년부터 1924년까지, 그리고 1926년부터 1929년까지 다시끔 국무회의 의장직을 맡았다. = = 유년기, 학업, 개인사, 가정사 = = 레몽 푸앵카레, 출생명 레몽 니콜라 랑드리 푸앵카레(Raymond Nicolas Landry Poincaré)는 바를르뒤크의 유복한 가정에서 1860년 8월 20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에콜 폴리테크니크 출신(1845년) 공학자로 토목 총감, 니콜라 앙토니 푸앵카레(1825-1911)였다. 부계쪽 가계를 거슬러 올라가면 17세기 뇌샤토 (보주) 근처 랑다빌 출신의 장 푸앵카레가 있다. 플로랑탱 피카티에 장군의 친척이던 어머니 나닌 마리 피카티에(1838-1913)은 독실한 신앙자였다. 레몽 푸앵카레는 바를르뒤크에 있는 독퇴르 뇌브 로에 위치한 외가쪽의 부르주아 저택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외조부모는 뇌이쉬르센에서 목재 거래로 재산을 모았다. 한편 모계쪽으로 레몽 푸앵카레는 루이 필리프 치세의 하원의원이던 장 랑드리 질롱의 증손자였다. 레몽 푸앵카레는 또한 낭시 대학교 의대 학장이던 에밀 푸앵카레의 조카이자, 훗날 물리학자이자 파리 학술원 부원장이 되는 뤼시앵 푸앵카레의 형이며, 석학이자 수학자인 앙리 푸앵카레의 친사촌이기도 하다. 앙리 푸앵카레는 언론인 니콜라 푸앵카레의 증조부가 된다. 부모의 저택은 프로이센 점령 시기 징발되었다. 이 사건에 뒤이어 1871년 푸앵카레는 자기 개의 이름을 독일 제국 수상의 이름에서 따와 비스마르크라고 불렀다. 낭시에서 교육을 받은 뒤, 파리의 리세 루이르그랑에서 학업을 마치고 이후 파리 대학교 법대에 들어간다. 법학사와 문학사를 취득하고, 푸앵카레는 수습 변호사가 되고, 이후 변호사협의회 서기가 되었다. = = 정치인 시절 = = = = = 정계 입문 = = = 푸앵카레는 유명한 변호사이던 앙리 뒤 뷔 씨의 비서가 되었다. 이후 1883년에 푸앵카레는 변호사협의회 개막식에서 2년 전 작고한 전 변호사회 회장이자 전 국무회의 의장 쥘 뒤포르를 기리는 연설을 했다."저명인사의 죽음을 기리는 추도사를 통해 그를 본받는 열망을 일깨우고자 할 때, 뒤포르의 삶에 관한 솔직한 이야기는 제 생각에, 우리 세대에게 일과 자유와 존엄의 귀중한 모범을 보여줍니다."— 1883년 파리 지부 변호사협의회 개막식에서의 뒤포르 추도사 푸앵카레는 쥘 드벨을 통해 정계에 입문한다. 1886년 쥘 드벨이 농업장관을 맡고 있을 때 18개월 동안 그의 비서실장을 맡다가, 이후 뫼즈 데파르트망 의회에서 피에레피트 캉통 지역구 의원으로 선출된다. 푸앵카레는 1887년 뫼즈 하원의원으로 첫 임기를 시작할 때부터 온건하고 타협적인 공화주의자로서 명성을 얻는다. 공학자의 아들이던 푸앵카레는 비록 정계에 망설이며 들어갔으나, 얼마 안되어 거기서 인정을 받게 된다. 1895년, 푸앵카레는 변호사 사무실을 여는데 명성 높은 의뢰인이 드나들며 이내 큰 성공을 거뒀다. 푸앵카레는 파리언론조합의 변호사로서 언론 문제를, 작가 쥘 베른의 변호사로서 문학 문제를, 당대 가장 거대했던 제조업, 금융업 기업들을 의뢰인으로 두며 회사 문제를 담당했다. = = = 국회의원 = = = 푸앵카레는 1887년 정치에 입문하여, 뫼즈 지역구 하원의원으로 선출된다. 그는 최연소 국회의원이었다. 1892년, 푸앵카레는 파나마 스캔들 당시 재정의원회 보고자였으며, 다음 해 재선된다. = = = 국무회의 의장(1912-1913) = = = = = = 1913년 대선 = = = = = =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1913-1920) = = = = = = 대통령 임기 이후(1920-1934) = = =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1913년 선거 대통령 10대 민주 공화국 동맹 49.48% 429표 56.23% 483표 1위 1920년 선거 대통령 11대 민주 공화국 동맹 0.92% 8표     4위 낙선 = 한신 고시엔 구장 = 한신 고시엔 구장은 일본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에 있는 야구장이다. 1924년 8월 1일에 개장하여 고교 야구대회가 매년 열리는 등 일본 고교 야구의 상징으로 알려진 구장이다. 고시엔 구장 혹은 그냥 고시엔, 혹은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은 갑자원(甲子園)이라 부르고 현재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 팀인 한신 타이거스가 1936년부터 현재의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1948년부터 1949년까지 프랜차이즈 제도가 시범 도입될 당시 난카이 호크스가 사용하기도 했지만 프랜차이즈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1952년부터는 한신 단독 홈구장으로 쓰이고 있다. 2011년에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대체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 분류:서울구암초등학교 동문 = = 분류:2019년 영화상 = = 분류:부산 동구의 중학교 = = 조정명 = 조정명(趙呈明, 1993년 12월 24일~)은 대한민국의 루지 선수이다. 2014년과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 분카방송 = = 분류:목포시 출신 음악가 = = 마준가사우루스 = 마준가사우루스(Majungasaurus) 혹은 마준가톨루스(Majungatholus)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7,000만년 전~6,500만년 전), 오늘날 마다가스카르에서 서식했던 공룡이다. 용반류-수각아목에 속하는 종이다. 학명은 '마중가의 도마뱀(Mahajanga lizard)'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전체 몸 길이는 약 5.6~7m, 체중은 750~1100kg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의 길이는 60~70cm 정도이다. 머리뼈가 일부 발견되었을 때에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와 같은 무리로 생각되었었다. 기낭의 흔적이 발견된 공룡들 중 하나이며 동족상잔 흔적이 실질적으로 보고된 공룡이다. = 분류:1973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 분류:NESiCAxLive 게임 = 타이토가 제작한 NESiCAxLive 아케이드 기판으로 발매된 게임들의 모음이다. = 오이시 다카야 = 오이시 다카야 (1972년 7월 7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베르디 가와사키,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활동하였다. = 알론조 모닝 = 알론조 하딩 모닝 주니어(, 1970년 2월 8일 ~ )는 미국의 은퇴한 농구 선수이며, 전미 농구 협회(NBA)에서 활동했다. "조(Zo)"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뛰어난 수비로 올해의 NBA 올해의 수비수상(1999, 2000)을 수상하였고, 신장 수술을 마치고 돌아와 2006년 마이애미 히트의 우승을 맛보았다. 2010년에는 버지니아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 경력 = = = = = 초기 경력 = = = 버지니아주 체서피크(Chesapeake)에서 출생하여 인디언 리버 고등학교(Indian River High School)에 입학한 모닝은 1987년 자신의 팀을 51승으로 이끌어 주니어 타이틀을 얻었다. 시니어 팀으로서는 경기당 평균 25 포인트, 15 리바운드, 12 스틸을 기록 하였다. 그는 USA 투데이, 퍼레이드, 게이터레이드, 네이스미스에 의하여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조지타운 대학교 호야스에서 대학 농구를 시작하였다. = = = 샬럿 호네츠 = = = 모닝은 1992년에 샬럿 호네츠에 의하여 신인 선수로 선발되었다. 그는 21.0 포인트, 10.3 리바운드, 3.47 스틸의 평균과 함께 1993년 올-루키 팀에 임명되었으며, 샤킬 오닐에 밀려 2위로 왔다. 모닝과 오닐은 1989-90 시즌의 데이비드 로빈슨 이래 20개 이상의 득점과 10개 이상의 리바운드를 평균하면서 그들의 첫 시즌에서 첫 루키들이었다. 모닝은 호네츠의 스틸숏 기록들을 손상하면서 시즌의 49번째 경기에서 팀의 올타임 경력 지도자가 되었다. 모닝의 루키 시즌의 최대 순간은 퍼스트 라운드 플레이오프 시리즈의 4번째 경기에서 보스턴 셀틱스와 경기였다. 그의 20피트 기적이 호네츠를 104-103의 승리로 이끌었다. 1994-95 시즌에서 모닝과 팀메이트 래리 존슨은 호네츠를 50승 팀으로 이끌어 플레이오프로 진출하였다. 모닝은 21.3개의 득점, 9.9점의 리바운드, 2.92점의 스틸과 함께 팀의 1위로 왔다. = = = 마이애미 히트 = = = 래리 존슨과 불화와 분쟁 이점들이 모닝의 샬럿 호네츠 경력 3년 후에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하는 결과를 가져와 다음 7년 동안 그 팀에서 뛰게 된다. 그는 한 경기의 20개 득점, 10개의 리바운드에 가까운 평균하고 자신의 스틸숏을 협박하면서 팻 라일리가 감독을 맡았던 히트의 가장 중요한 선수였다. 이 시기에 그는 올해의 디펜시브 플레이어 상을 수상하였고 1998-99 시즌에는 득점 20.1, 리바운드 11.0, 스틸숏 3.9개의 평균으로 히트를 이끌면서 올 NBA 퍼스트 팀에 임명되었다. 그와 팀 하더웨이는 히트를 1997년 플레이오프로 이끌어 뉴욕 닉스와의 라이벌 사이를 강력하게 만들었다. 히트와 닉스는 그해에 동부 콘퍼런스 준결승전에서 대결하여 닉스가 3-1로 이끌었다. 다음 라운드 경기에서 히트는 동부 콘퍼런스에서 시카고 불스에 의하여 3-0으로 패하였고 모닝은 4번째 경기에서 승리를 보증받았다. 히트는 87-80으로 이겼으나 5개의 경기 시리즈를 패하고 말았다. 다음 시즌에서 히트는 모닝이 전 팀메이트 래리 존슨과 싸우면서 5번째 경기에서 퇴장당한 시리즈 경기 닉스와 첫 라운드에서 탈락되었다. 마이애미는 다음 2개의 시즌에서도 닉스에 의하여 탈락되고 말았다. 2000년 마이애미 히트는 결승전을 우승하기 위하여 큰 준비를 하고 다음 시즌을 고단적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2000-01 시즌의 시작에서 모닝은 신장 질병에 걸려 그 시즌의 첫 5개월을 놓치고 말았다. 진단을 마치고 복귀하여 2002년 올스타 경기에서 활약하였다. 자신의 컨디션이 더 안 좋아진 이유로 2002-03 시즌에 뛰지 않고 그의 만기된 계약은 히트의 재건에 의하여 새로 일신되지 않았다. = = = 뉴저지 네츠 = = = 자유 계약 선수로서 2003년 뉴저지 네츠와 4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11월 25일 자신의 다른 신장 질병에 의하여 NBA에서 은퇴하였다. 2004년 그는 다시 네츠와 경기 연습을 시작하였고, 2004-05 시즌에서 팀의 정식 시즌 출석을 만들었다. 그러나 그는 네츠와 의미있는 활약을 보이지 않고 특히 팀이 케니언 마틴을 이적시킨 후에 자신이 팀을 떠나고 싶었다고 대중매체에 불평하였다. 2004년 12월 17일에 모닝은 토론토 랩터스로 이적되었고, 이듬해 2월 11일 남아있는 5백만 달러에 자신의 계약에 포기하게 되었다. 랩터스 팀장들은 후에 모닝이 팀의 활약을 위한 의료적 컨디션을 만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 = = 히트로 복귀 = = = 선수의 전망을 위한 특권을 잃은 후, 모닝은 2005년 3월 1일 마이애미 히트로 복귀하였다. 그의 활약이 대명성 선수 샤킬 오닐의 이유로 지원으로서 감소되었으나, 그들은 모닝이 파워적 포워드를 뛰면서 함께 여러번 활약하기로 알려졌다. 육체적 제한의 이유로 그의 순간이 감소되었으나 아직도 확고한 공헌자였다. 모닝의 끈기있는 방어, 확고한 공격, 그리고 여러번의 재촉이 히트를 2005-06 시즌 동안에 동부 콘퍼런스에 두 번째 최고 기록을 세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그의 강렬이 히트의 팬들에 의하여 "최후의 전사"로 별명이 붙었다. 모닝은 한 경기에 20분 만을 뛰는 데 불구하고, 2.66개의 스틸숏으로 3위에 오면서 정식 시즌을 마쳤다. 마이애미 히트와 모닝은 결국 2006년 NBA 결승전에서 댈러스 매버릭스를 꺾고 4-2로 꺾고 우승하였다. 결승전 동안에 오닐의 뒤에 후보 센터로 이용되었으면서도 6번째 경기에서 득점 8점, 리바운드 6개, 스틸 5개를 공헌하여 경기를 통하여 강한 힘이었다. 결승전 타이틀을 우승한 후,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포함한 다른 팀들로부터 더 많은 돈을 받음에 불구하고 모닝은 타이틀을 보유하기 위하여 2006-07 시즌에 히트로 돌아온다는 선언을 하였다. 2007년에는 히트와 자신의 15번째 시즌에 1년 더 머물겠다고 하였다. 12월 19일에 열린 애틀랜타 호크스와의 준준결승전에서 그의 오른쪽 무릎에 슬개골이 찢어졌다. 부상은 경력을 위협하였으나 2008-09 시즌에 자신이 돌아온다는 풍설이 퍼지고 그것이 자기가 경력을 끝내려하는 길이 아니였다고 말하였다. 2009년 1월 22일 NBA로부터 은퇴를 선언하였다. 2월 28일 히트는 그를 팀의 첫 선수로서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33번 셔츠를 영구 결번하였다. 5월에는 버지니아주 남동부에서 스포츠에 공헌한 선수, 코치, 관리자들을 기념하는 햄프턴 로드 스포츠 명예 전당에 임명되었다. 6월 26일 마이애미 히트에 선수들의 프로그램과 발전을 위한 부의장으로 돌아온다는 선언을 하였다. = 우루과이 국기 = = 분류:대륙별 차별 = = 검은 일요일 폭풍 = 검은 일요일은 1935년 4월 14일 일요일 일어난 극심한 모래폭풍으로, 황진의 일부였다. 미국 역사상 가장 끔찍한 모래폭풍이었으며, 심각한 경제적 농업적 피해를 끼쳤다. 이 폭풍으로 인해 프레리 지역에서 3억 톤 이상의 표토가 소실되었다.Black Blizzard, History Channel documentary. = 틀:User zh-wuu = = NGC 185 = NGC 185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타원 은하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위성 은하이며, 세이퍼트 은하 2번 타입에 속한다. 0185 018 002329 00396 = PCB (소프트웨어) = PCB는 gEDA 프로젝트에서 PCB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CAD프로그램이다. PCB는 Unix, Linux, Windows 및 Mac 시스템용 인쇄 회로 기판 편집기이며 PCB는 래트 네스트 기능과 회로도 / 네트리스트 가져 오기, 디자인 규칙 검사를 포함하여 보드 제조 및 조립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산업 표준 RS-274X (일명 '거버'), NC 드릴 및 중심 데이터 (XY 데이터) 출력을 제공한다. 포토 리얼리즘 및 디자인 검토 이미지를 잘 나타낸다. PCB는 레이아웃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할 수 있는 오토 루프 및 트레이스 옵티 마이저와 같은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커스텀 요구 사항을 위해 PCB는 새로운 기능을 삽입하고 GUI 내에서뿐 아니라 스크립트에서 그 기능을 사용하기위한 플러그인 API를 제공한다.우분투 = = 기능 = = GUI 환경은 Gtk(Gimp Toolkit)로 구현됐으며, 출력 포맷은 다음을 지원한다. = 산유화 (1957년 영화) = "산유화"(山有花)는 한국에서 제작된 이용민 감독의 1957년 영화이다. 신귀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이재명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신귀환 이영미 강계식 주선태 이택균 장혜경 = = 기타 = = 원작자: 정비석 조명: 고해진 녹음: 최칠복 미술: 정우택 = 헨켈홈케어코리아 = 헨켈홈케어코리아는 1988년에 창립을 하여 생활용품와 살충제 제조판매한 회사이며 2004년 11월 인수한 한국크로락스 (Clorox Korea)가 2005년 1월 사명을 변경하여 헨켈홈케어코리아가 되었다. = = 제품 = = 퍼실 프릴 프릴 시크릿 오브 맑은 식초 프릴 시크릿 오브 베이킹 소다 버넬 버넬 100일 버넬 센서티브 브레프 브레프 파워액티브 브레프 파워스프레이 브레프 파워젤 식스이펙트 브레프 향기스위치 브레프 듀오액티브 브레프 듀오큐브 르샤 홈키파 홈키파 수성에어졸 홈키파 수성에어졸 (다이소 판매용) 홈키파 모기향 홈키파 초파리싹 내츄럴 홈키파 마이키파 홈키파 제로 홈매트 홈매트 훈증기 홈매트 리퀴드 홈매트 3D홈네트 홈매트 홈솔루션 홈매트 제로 컴배트 (컴배트 프로패셔널) 컴배트 프로패셔널 파워형 바퀴용 * 컴배트 프로패셔널 파워형 바퀴용 (다이소 판매용) 컴배트 프로패셔널 에어졸형 * 컴배트 프로패셔널 프리즈 스프레이 컴배트 프로패셔널 바퀴겔 컴배트 프로패셔널 맥스 바퀴용 (타게트/울트라슬림/에어졸) 컴배트 프로패셔널 개미용 (파워/실버미니) * 컴배트 프로패셔널 파워형 개미용 (다이소 판매용) 컴배트 프로패셔널 맥스 개미용 (타게트/듀오) 컴배트 진드기싹 컴배트 진드기싹 (시트/스프레이) 컴배트 좀벌레싹 = = 단종제품 = = 컴배트 컴배트골드 컴배트매트 컴배트제트 실버컴배트 홈키파,홈매트 아로마 홈키파,홈매트 가보 컴배트 프로패셔널 내츄럴데코 홈키파제트샷 = = 논란 = = = = = 대한민국에 가습기 살균제 판매 논란 = = = 2007년 홈키파 가습기싹을 출시하였다. 2009년에 판매가 2년만에 중단이 되었다. 2011년 정부가 2011년 실시한 가습기 살균제 전수조사에서 헨켈홈케어코리아의 '홈키파 가습기싹' 제품을 누락한 것으로 26일 밝혀졌다. 그러나 문제의 제품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최소 수만 개 이상 유통됐다"고 지적했다.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분실했다며 독성 성분이 들어있는지의 여부도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MSDS는 화학 물질에 대한 안전, 보건상의 기초 자료로서 유해한 물리·화학적 특성, 유독성, 취급 주의사항, 응급조치요령 등을 다룬 문서이다. 2016년 9년전에 헨켈홈케어코리아가 생산판매한 '홈키파 가습기 한번에 싹' 제품에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등의 유독물질이 쓰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조사대상에 포함됐다가 뒤늦게 사실을 확인했는데. = 성인 신고식 = "성인 신고식"는 한국에서 제작된 김두영 감독의 1990년 영화이다. 이상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신현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이상아 민규 주민 = = 기타 = = 조명: 김석진 = 분류:B.A.P의 노래 = = 이소영 (1961년) = 이소영(1961년 12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인이다. = =사회적 논란 = = = = =사기 행위 = = = *도니제티 음악원 교수, 서울대 오페라연구소 소장 등으로 자신의 경력을 알려왔으나 감사원의 조사결과 그 경력들이 허위임이 드러났다.여정민.'제2의 신정아'? 이소영 국립오페라단장, 경력 대부분 허위.프레시안.2010년10월20일.여정민.감사원 "이소영 단장, 허위경력에 비위까지"…프레시안 보도 사실로.프레시안.2011년5월23일. = 레카 타파 = 레카 타파(, 1982년 ~ )는 네팔의 배우, 모델, 영화 제작자이다. 네팔 국립 영화상 여우주연상 2회(2006, 08) 수상자이다. 1999 미스 네팔 선발 대회 10위 권까지 오른 경력이 있다. = 대니얼 키스 = 대니얼 키스(Daniel keyes, 1927년 8월 9일~2014년 6월 15일)는 소설가이다.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영미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전미SF판타지작가협회(SFWA)에서 수여하는 명예공로상을 받았으며,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의 대표작 『앨저넌에게 꽃을』은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잇따라 수상하며 장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후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창작을 가르치는 한편, 여러 정신과 의사와 함께 다중인격 환자를 직접 관찰하며 다중인격장애(정식 명칭: 해리성정체장애)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법원에서 다중인격장애로 무죄가 선고된 최초의 인물, 빌리 밀리건의 실화를 극화한 『빌리 밀리건』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장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에드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 생애 = = 대니얼 키스는 남부 플로리다에서 살았다. 뉴욕에서 태어난 그는 17에 미국 해양 서비스에 가입하고 선박의 사무장으로 취직하여 바다로 갔다. 몇년 뒤 키스는 바다를 떠나 브루클린 칼리지(현재 CUNY)에서 학업을 재개했고, 심리학 학위를 받았다.그는 이후 연작 소설 편집자로 고용되었으나 얼마 후 패션 사진 사업을 위해 편집분야를 떠났다. 그 후 키스는 뉴욕시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칠 수있는 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종신 재직권을 부여받았다. 낮에는 가르치고 주말에는 글을 쓰면서, 그는 영문학 대학원 공부를 위해 밤에는 브루클린 칼리지로 돌아왔다. 석사 학위를받은 후, 그는 웨인 주립 대학에서 창의적 글쓰기를 가르치기 위해 뉴욕을 떠났다. 그는 영어와 문예 창작 교수로 임명되었고, 1966년 오하이오 대학교의 교수진에 합류했으며, 2000년 명예 공로상을 받았다. 브루클린 칼리지는 키스에게 1988년 '명예로운 졸업생 훈장'을 수여했다. = = 작품 = = = = = 앨저넌에게 꽃을 = = = IQ 70의 바보에서 IQ 180의 천재가 되어버린 빵가게 점원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을 그려내고 있다. 인간의 유전자 지도 완성이라는 게놈 프로젝트에 주인공 찰리가 실험 대상이 된다. 찰리는 어릴 적부터 I.Q 70인 자신의 모습이 싫었고 흔쾌히 실험에 참여하여 그곳에서 천재가 된 생쥐 앨저넌을 만나게 된다. 결국 천재가 된 찰리는 정신적 변화가 있는 앨저넌의 상태에서 자신의 미래를 알게 되는데.. 『앨저넌에게 꽃을』은 찰리의 보고서이자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격한 지능변화를 겪는 찰리는 천재가 되기까지 스스로 자신의 정신상태를 담담히 서술해 나가는데, 이러한 형식은 설득력 있게 다가오는 긴장감과 마력, 감동을 한층 더해준다. 그의 때묻지 않은 순수한 모습과 저자 특유의 감성적 문체로 인해 순수했던 우리의 옛 모습을 한번 뒤 돌아보게 만든다. 성취지향적이고 물질 만능주의적인 사회 속에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매몰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이 책은 인생에 있어 많은 지식의 섭렵만이 과연 최고의 가치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준다. 한국에서는 생쥐에게 꽃다발을, 알게논 무덤 위에 꽃을, 찰리, 모래시계, 빵가게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 앨저넌에게 꽃을 등의 제목으로 번역 및 출간되었다. 한국에서는 2006년 1월 kbs 월화드라마 <안녕하세요 하느님>으로 각색되어 방영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유형의 tv, 라디오, 극 등으로 각색되었다. = = = The Touch = = = (Harcourt, 1968) 방사능 사고와 관련하여 인간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 = = = The Fifth Sally = = = (Houghton Mifflin, 1980) 다중인격을 다룬 첫 소설, = = = Until Death... = = = 플로리다에서 일어난 두 건의 살인 사건에 대한 소설. 1998.2.18에 Until Death Do Us Part: The Sleeping Princess라는 제목에서 일본에서 출간되었다. = = = The Asylum Prophecies = = = = = = 논픽션 소설들 = = = The Minds of Billy Milligan (Random House, 1981; Bantam 1982 & 1992) 1977년 납치와 강간 혐의로 기소됐다가 다중인격장애와 정신이상으로 무죄 혐의를 받은 ' 빌리 밀리건 '의 일대기를 소설 형식으로 구성한 논픽션. <앨저넌에게 꽃을>의 작가 다니엘 키스가 집필했으며, 인간 정신, 인격, 자아에 관한 전혀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현대 심리학의 고전'으로 평가받았다. 현재 2008년 개봉을 목표로 '배트맨 시리즈'의 조엘 슈마허 감독이 영화 제작 중이다. 어렸을 때 양부로부터 성적 학대에 시달린 빌리 밀리건. 그는 고통스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양부를 죽이는 게 삶의 목표인 에이프릴, 육체파 행동주의자 레이건, 마약에 찌든 절도범 케빈, 영국 신사 아서, 사기꾼 앨런, 애정에 굶주린 레즈비언 에이들라나, 3세의 영국 소녀 크리스틴, 예술가 타미, 뉴욕 출신의 폭력배 필립 등 다양한 연령대와 성을 가진 24개의 인격으로 분열되었다. 이 24명의 인격들은 밀리건이 여덟 살 때 성학대를 당한 이후 20년 가까이 상황에 따라 번갈아 '자리'를 차지하며 활동해왔다. 그러나 정작 밀리건 자신은 그런 사실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다. 성폭행사건을 일으킨 주범은 평소 그들 사이에서 불량자로 취급받던 레즈비언 '에이들라나'인데…. 이 책은 '24개의 인격을 가진 사나이'의 사랑과 고통, 눈물을 추적한 휴먼 스토리이다. 작가는 2년 동안 빌리 밀리건과 함께 지내면서, 그를 이해하려 노력한 정신과 의사들은 물론 그의 가족, 친구, 지인들을 모두 인터뷰하여 이 복잡한 이야기를 소설처럼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The Milligan Wars: A True-Story Sequel In Unveiling Claudia, (Bantam, 1986, 1987) 콜럼버스, 오하이오 : 추운 겨울밤 트리플 살인 사건과 함께 폭발했다. 미키 맥캔, 미키의 Eldorado 클럽, 그와 함께 살았던 고고 댄서, 그리고 노인 어머니를 모시고 살던 맥캔씨- 셋은 맥켄씨의 고급 가정 내부에서 총에 맞아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세 사건의 현장에 모두 있었던 클라우디아. 그러나 살인사건은 계속되고-진실은 무엇인가를 책은 밝혀내려 한다. = = 출판 내역 = = Flowers for Algernon (short story) (1959) Flowers for Algernon (novel) (1966) (adapted to cinema as Charly, 1968) The Touch (1968) The Fifth Sally (1980) The Minds of Billy Milligan (1981) (adapted to cinema as The Crowded Room, 2008) Unveiling Claudia (1986) Daniel Keyes Collected Stories (Japan, 1993) The Milligan Wars: A True-Story Sequel (Japan, 1994) Until Death (1998) Algernon, Charlie, and I: A Writer's Journey (2000) The Asylum Prophecies (2009) = = 대한민국 출판내역 = = 모래시계 (조미옥 역, 청림출판, 1992.05.01) 생쥐에게 꽃다발을 (조윤경 역, 잎새, 1992.07.01) 다섯번째 샐리 (조윤경 역, 잎새, 1992.07.01) | 다중인격자 (현준만 역, 미래사, 1992.09.01) 24인의 사이코 (최현 역, 하서출판사, 1993.04.01) | 알게논 무덤 위에 꽃을 (삼성출판사, 1998) 찰리 (김선호 역, 문원북, 1998.10.20) 빵가게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 (김인영 역, 동서문화사, 2004.03.01) 앨저넌에게 꽃을 (김인영 역, 동서문화사, 2006.01.01) 빌리 밀리건 (박현주 역, 황금부엉이, 2007.07.20) = = 수상내역 = = = = = 수상 = = = 1960: Hugo Award for the short story Flowers for Algernon (short story) 1966: Nebula Award for the novel Flowers for Algernon (novel) 1986: Kurd Lasswitz Award for The Minds of Billy Milligan 1998: Locus Award, 40th best novel before 1990 for Flowers for Algernon (novel) = = = 최고상 = = = 1967: Hugo Award for the novel Flowers for Algernon (novel) 1982: Edgar Award for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ystery Writers for The Minds of Billy Milligan 1987: Edgar Award for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ystery Writers for Unveiling Claudia. = = 참고페이지 = = Daniel Keyes 공식홈페이지 네이버 인물검색 및 책검색 영문 위키피디아 Daniel Keyes 페이지 영문 위키피디아 Flowers for algernon 페이지 = 잠 (1964년 영화) = 잠(Sleep)은 미국에서 제작된 앤디 워홀 감독의 1964년 영화이다. 존 지오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실험 영화로서 시간은 5시간 20분이며 당시 워홀 감독의 애인 존 지오노의 반복되는 수면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존 지오노 = 미드나잇 가든 = 미드나잇 가든(Midnight In The Garden Of Good And Evil)은 미국에서 제작된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1997년 스릴러, 미스터리 영화이다. 케빈 스페이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케빈 스페이시 존 쿠삭 잭 톰슨 = = = 조연 = = = 일마 P. 홀 주드 로 앨리슨 이스트우드 폴 힙 레이디 샤빌스 제프리 루이스 = = 제작진 = = 원작자: 존 베렌트 공동제작: 톰 루커 협력프로듀서: 마이클 모럴 미술: 헨리 범스테드 배역: 필리스 허프먼 = 분류:인도의 로마 가톨릭교회 = = 공포의 집 = 공포의 집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소재한 박물관이다. 20세기 헝가리에서 벌어진 파시스트 및 공산주의에 의한 양민 대상 범죄를 기념하기 위한 추모박물관이다. 2002년 2월 24일 개관했고 슈미트 머리아 박사가 개관 이래 현재까지 관장을 하고 있다. 유럽 기억양심정강 가맹 기관이다. = 분류:캐나다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 분류:이집트 주재 대사 = = 폭소 대소동 = 폭소 대소동은 1977년 미국의 코미디 영화이다. 2005년 딘 패리소 감독, 짐 캐리, 테이아 레이오니 주연의 개작 뻔뻔한 딕 & 제인이 개봉했다. = = 줄거리 = = 항공우주공학자 딕은 상사 찰리에게 해고 당한 뒤 7만 달러의 빚을 지게 된다. 아내 제인과 함께 새 일자리를 찾아본 노력들이 모두 수포로 돌아가자 부부는 강도 행각을 벌이기 시작한다. TV에서 청문회에 나온 찰리를 보고 찰리가 국회의원 뇌물용으로 비자금 20만 달러를 숨겨뒀다는 사실을 깨달은 딕은 찰리의 사무실을 턴다. 찰리는 딕과 제인을 현장에서 붙잡지만 경찰이 오자 자신의 비리가 들통날 것을 우려해 딕 부부를 신고하지 않는다. 찰리가 사임한 사장 자리엔 딕이 취임한다. = = 출연진 = = 조지 시걸 - 딕 하퍼 역 제인 폰다 - 제인 하퍼 에드 맥마흔 - 찰리 블랜처드 딕 고티에이 - 윌 박사 앨런 밀러 - 대부업체 직원 행크 가르시아 - 라울 에스테반 존 데이너 - 제인의 아버지 메리 잭슨 - 제인의 어머니 월터 브룩 - 위크스 씨 숀 프라이 - 빌리 프레드 윌러드 - 밥 존 브랜던 - 피트 윈스턴 세이어 데이비드 - 디컨 버크 번스 - 로저 드웨인 제시 - 강도 앤 램지 - 입사 지원자 크리스천 에릭슨 - 트랜스섹슈얼 글로리아 스트룩 - 밀드레드 블랜처드 아트 에번스 - 바 손님 리처드 포론지 - 풍경화 남자 해리 홀컴 - 약사 제임스 지터 - 이민국 직원 제이 레노 - 목수 = 유복 (양향경후) = 유복(劉福, ? ~ ?)은 전한 말기의 제후로, 조공왕의 아들이다. = 맥스 먼시 = 맥스웰 스티븐 먼시(Maxwell Steven Muncy, 1990년 8월 25일 ~ )는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위하여 내야수를 맡고 있다. 그는 베일러 베어스를 위하여 대학 야구를 활약하였다. 그는 201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의 5번째 라운드에서 선발되었고,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애슬레틱스를 위하여 활약하다가 후에 2018년 다저스에 입단하였다. = = 경력 = = = = = 아마추어 경력 = = = 텍사스주 미들랜드에서 태어난 먼시는 켈러에 있는 켈러 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200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의 41번째 라운드에서 그를 선발하였다. 그는 인디언스와 계약을 맺지 않고, 베일러 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베일러 베어스를 위하여 대학 야구를 하였고, 또한 2010년과 2011년 케이프코드 야구 리그의 웨어햄 게이트멘을 위하여 대학 하계 야구를 하기도 하였다. 베일러에서 자신의 3년간 먼시는 27개의 홈런과 함께 .311 타구 평균을 가졌다. 그는 두번이나 올 빅12 컨퍼런스 팀으로 선택되었다. =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201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의 5번째 라운드에서 먼시를 선발하였다. 그는 클래스 A 미드웨스트 리그의 벌링턴 비스와 함께 자신의 프로 데뷔를 하여 64개의 경기에서 4개의 홈런과 함께 .275/.383/.432 점을 타구하였다. 그는 클래스 AA 텍사스 리그의 미들랜드 록하운즈로 승진되기 전에 클래스 A 진출의 캘리포니아 리그의 스톡턴 포츠와 함께 2013년 시즌을 시작하였다. 자신의 승진 당시 그는 21개의 홈런과 76개의 타점과 함께 캘리포니아 리그를 이끌고 있었다. 총수로 먼시는 25개의 홈런과 100개의 타점과 함께 .273/.381/.476 점을 쳤다. 시즌 후에 그는 애리조나 폴 리그의 메사 솔라삭스를 위하여 활약하였다. 그는 2014년 미들랜드로 돌아왔다. 먼시는 클래스 AAA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내슈빌 사운즈와 함께 2015년 시즌을 시작하였으나 2루수 벤 조브리스트가 15일간 장애자 명단에 놓인 후, 4월 25일 메이저 리그로 승진되었다. 2015년 5월 17일 먼시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투수 제프 서마저에 자신의 첫 메이저 리그 홈런을 쳤다. 그는 2015년 애슬레틱스를 위하여 45개의 경기에서 .206 점을 타구하였다. 그는 내슈빌과 오클랜드 사이에 2016년 시즌을 갈라놓아 그해 51개의 메이저 리그 경기에서 .186 점을 타구하였다. 애슬레틱스는 2017년 스프링 트레이닝의 말기를 향하여 먼시를 내보냈다. =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먼시는 2017년 4월 27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고, 조직은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오클라호마시티 다저스로 그를 지정하였다. 109개의 경기에서 그는 12개의 홈런과 44개의 타점과 함께 .309 점을 쳤다. 먼시는 2018년 4월 17일 다저스로 소집되었다. 그는 자신의 183번째 타수에서 다저스를 위하여 자신의 20번째 홈런을 쳐 프랜차이즈 기록을 세웠다. 먼시는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게임을 위하여 올스타 최종 투표를 위한 후보로 선택되었으나 투표에서 3위를 하고 말았다. 그는 또한 올스타 브레이크 동안 홈런 더비에 참가하는 데 제공을 받아들였다. 더비의 첫 라운드에서 하비에르 바에스를 꺾은 후, 그는 준결승전에서 결국적인 챔피언 브라이스 하퍼에게 패하였다. 먼시는 .263 점을 타구하여 홈런에서 다저스를 이끌어 35개와 함께 내셔널 리그에서 5위를 하였다. 그는 137개 만의 경기에서 활약하였음에 불구하고 79개와 함께 다저스를 위하여 타구한 득점에서 2위였다. 먼시는 1루 (58), 3루 (30)와 2루 (12)에서 경기를 시작하면서 자신의 다재다능함을 발휘하였고 또한 외야수에서 6개의 경기를 활약하였다. 플레이오프들에서 그는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상대로 2개의 홈런을 쳤어도 디비전 시리즈와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둘다에서 .182 점만을 쳤다. 보스턴 레드삭스를 상대로 2018년 월드 시리즈의 3번째 경기에서 먼시는 13번째 이닝에서 동점을 득점하였고, 그러고나서 18번째 이닝에서 끝내기 홈런을 쳐 7 시간 20 분 후에 월드 시리즈 역사상 가장 장기적 경기를 끝냈다. 시리즈의 5개의 경기에서 그는 하나의 홈런과 함께 .235 점을 쳤다. 2019년 먼시는 부상 대체로서 그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게임으로 선발되어 자신의 첫 올스타 출연으로 워싱턴 내셔널스의 3루수 앤서니 렌던을 대체하였다. 8월 30일 먼시는 손목 골절상과 함께 부상자 명단에 놓였다. 그는 2019년 정규 시즌을 142개의 경기에서 활약하고, 35개의 홈런과 경력 사상 98개의 타점과 함께 .251/.374/.515 점을 치면서 끝냈다. 먼시는 또한 2개의 MVP 투표를 받기도 하였다. 2020년 2월 6일 다저스와 먼시는 4번째 해를 위한 1천 3백만 달러 선택권과 함께 3년, 2천 6백만 달러 확장 계약으로 동의하였다. 2020년 시즌은 북아메리카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의 이유로 연기되었다. 먼시는 다저스의 60개 경기 중에 58개에서 활약하였고, 12개의 홈런과 27개의 타점과 함께 .192/.331/.389 점을 쳤다. 그해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의 3번째 경기에서 먼시는 그랜트 데이턴에 그랜드슬램을 쳐 첫 이닝에서 11의 득점을 제한하였다. 결국적으로 다저스는 5개의 홈런을 친 그 경기에서 기록을 깼다. 4년의 세월에 3번째로 월드 시리즈로 진출하기 전에 브레이브스와 7개의 경기에서 자신들이 아직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를 우승하면서 15 대 3으로 우승하였다. 2020년 월드 시리즈애서 그는 하나의 홈런과 6개의 타점과 함께 .318 점을 타구하여 다저스가 챔피언십을 우승하는 도움을 주었다. = = 연도별 타격 성적 = = 2015년 OAK 45 112 102 14 21 8 1 3 40 9 0 0 0 1 9 0 0 31 0 .206 .268 .392 .660 2016년 OAK 51 133 113 13 21 2 0 2 29 8 0 0 0 0 20 1 0 24 2 .186 .308 .257 .565 2018년 LAD 137 481 395 75 104 17 2 35 230 79 3 0 0 2 79 6 5 131 4 .263 .391 .582 .973 2019년 LAD 141 589 487 101 122 22 1 35 251 98 4 1 0 4 90 1 8 149 5 .251 .374 .515 .889 통산 4시즌 374 1315 1097 203 268 49 4 75 550 194 7 1 0 7 198 8 13 335 11 .244 .364 .501 .866 2019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토털라이즈 작전 = 토털라이즈 작전은 제1캐나다군이 오버로드 작전의 일환으로 개시한 공세로, 1944년 8월 8일부터 8월 9일까지 이어졌다. 토털라이즈 작전의 목적은 캉 남쪽에 위치한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하고 남쪽으로 진격해 팔레즈 북쪽의 고지대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이 작전을 통해 캐나다군은 독일군 전선을 붕괴시키고 서쪽의 연합군을 공격하는 독일군의 철수로를 차단하고자 했다. 이 작전은 1944년 7월 23일 활동을 재개한 제1캐나다군의 첫 작전으로 알려져 있다. 1944년 8월 8일 아침, 제1캐나다군단이 기계화보병을 파견하면서 작전이 시작되었다. 캐나다군은 독일군 전선을 돌파하고 독일군 방어선의 종심에 위치한 여러 지역들을 점령했다. 이후 두 개의 기갑사단이 공격을 이어갈 예정이었으나, 기갑사단이 공격을 머뭇거리고 독일군 기갑사단이 반격을 가하면서 공세가 늦어졌다. 연합군은 14km를 진격했지만, 팔레즈로부터 북쪽으로 11km 떨어진 지역에서 공세를 중지하고, 새로운 작전을 준비해야 했다. = = 배경 = = 캉은 노르망디 상륙 당시 소드 해변을 공격하는 영국군의 주요 목표였다. 하지만 독일군의 캉 방어는 철저했으며, 노르망디에 파견된 독일군의 강화 병력은 캉을 방어하는데 투입되었다. 이후 6주 간 캉을 둘러싼 전투가 이어졌다. 영국군과 캐나다군은 캉을 점령하려고 몇 번이고 시도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으며, 1944년 7월 9일이 되어서야 캉의 북쪽인 오른강 북안을 완전히 점령했다. 7월 18일 영국군은 굿우드 작전을 개시해 도시의 동쪽과 남쪽을 공격했으며 캐나다군은 애틀랜틱 작전을 통해 오른강을 도하하여 캉에 남아있는 독일군을 소탕했다. 굿우드 작전으로 수많은 전차를 잃었지만, 연합군은 굿우드 작전과 애틀랜틱 작전 덕택에 오른강 남쪽에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독일군은 캉으로부터 남쪽으로 8km 떨어진 베리에르 능선에서 저항을 이어갔다. 미국 제1군이 독일군 전선을 돌파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동안 영국군과 캐나다군은 독일군의 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캉 주위에서 공격을 개시했고, 독일군은 이에 맞서 베리에르 능선의 방어를 강화하고 제1SS기갑군단을 비롯한 3개 SS기갑사단을 베리에르 능선 주위에 배치했다. 굿우드 작전이 끝난 지 48시간이 지난 후, 제2캐나다사단은 베리에르 능선의 독일군 방어선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그러나 캐나다군은 1,300명의 사상자를 내면서도 능선을 돌파하지 못했다. 7월 25일 스프링 작전의 일환으로 능선의 일부를 점령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틀 간의 격전 끝에 캐나다군은 1,500명의 사상자를 낸 채 소득을 얻지 못했다. 베리에르 능선 전투라 불리는 이 싸움에서 2,800명 이상의 캐나다군 사상자가 발생했다. 여전히 베리에르 능선은 독일군이 장악하고 있었지만, 제2캐나다사단은 베리에르 마을과 생마르탱드퐁테니 사이의 교두보를 확보하였고, 이 덕분에 캐나다군은 독일군의 감시를 피해 군대를 모을 수 있었다. 7월 25일 미국 제1군은 코브라 작전을 개시했고, 작전 이틀 만에 생로 남쪽의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했다. 작전 3일 차에 미군은 남쪽으로 24km 진격했다. 7월 30일, 미군은 코탕탱 반도의 입구인 아브랑슈를 점령했고, 이로 인해 독일군의 좌익이 완전히 붕괴되었다. 미국 제3군은 브르타뉴에 진입했고, 독일군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은 채 서쪽과 남쪽으로 거침없이 진격했다. 제1SS기갑사단과 제9SS기갑사단, 그리고 제116기갑사단은 베리에르 능선에서 브르타뉴 지역으로 이동해 미군의 공격을 막아야 했다. 버나드 몽고메리 사령관은 팔레즈를 점령하기 위해 동쪽에서 공격을 개시하기를 원했고, 이 공격을 통해 독일군을 완전히 붕괴시키고자 했다. 제1캐나다군의 해리 크레러가 연합군의 동쪽 지역을 맡고 있었다. 해당 지역에는 영국 제1군단과 제2캐나다군단이 캉의 남쪽에 배치되어 있었다. 토털라이즈 작전을 개시할 예정이었던 제2캐나다군단은 제2캐나다사단, 제49보병사단, 제51하일랜드 보병사단, 제4캐나다사단, 폴란드 제1기갑사단, 제2캐나다기갑여단 그리고 영국 제33기갑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 캐나다군의 계획 = = 캐나다군은 독일군의 베리에르 능선 방어가 여전히 철저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독일군 보병 거점들을 은닉하기 좋았고, 캐나다군을 향한 야포 공격도 이어졌다. 독일군의 75mm 및 88mm 대전차포가 크레메스닐과 생아이그난드크레메스닐 사이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캉-팔레즈 도로를 돌파하려는 시도를 봉쇄하기 위함이었다. 독일군은 제85보병사단, 제89보병사단이 해당 지역을 맡고 있었고, 제272척탄보병사단의 잔병들이 이 지역에 남아 있었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중전차 티거 대대로, 50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베리에르 능선에서 남쪽으로 4.8km 떨어진 지역에서 예비 부대로 주둔 중이었다. 몇몇 보병부대는 독일 제86군단의 지휘를 받았지만, 제12SS기갑사단을 비롯한 대부분의 구역은 굿우드 작전 중 이 지역에 도착한 제1SS기갑군단 소속이었다. 시먼즈는 대규모 포격을 동반한 보병 공격은 애틀랜틱 작전과 스프링 작전의 결과를 통해 독일군 전선을 상대로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굿우드 작전 당시 왕립공군 폭격기 사령부가 영국 전차들이 독일군 전선을 돌파할 수 있도록 폭격으로 지원했지만, 폭격 범위를 벗어났던 종심 지역의 독일군 방어 지역이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아 영국군이 큰 피해를 입었다. 보병은 지휘 전차를 따라잡거나 주변 지역을 확보하기에는 너무 느렸고, 이에 따라 후속 부대의 속도도 지연되었다. 지형과 종심 방어로 인한 전략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먼즈는 기계화보병을 통한 대규모 공격을 제안했다. 노르망디 상륙 당시 몇몇 캐나다 및 영국 보병사단들은 일시적으로 M7 프리스트 자주포를 갖추고 있었는데 이 자주포는 오드넌스 QF 25 파운더 포로 교체되었다. 시먼즈는 프리스트 자주포를 캥거루 기갑수송차량으로 교체하여 보병이 어떤 지형에서든 전차를 따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시먼즈는 독일군의 전략적 지역을 돌파하기 위한 계획에서 공군을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 1944년 8월 7일 영국 공군 폭격기들이 양익에 위치한 독일군 방어 거점을 공격하고 캉-팔레즈 도로의 축을 따라 6.4km의 협곡을 만들기 위해 호출되었다. 캐나다군의 계획에 따르면 8월 8일 아침 전차와 병력 수송차량으로 구성된 공격부대가 이 협곡을 따라 진격힌다. 캐나다 제4보병여단과 제2기갑여단은 도로 서쪽에 배치되었다. 도로 동쪽에는 영국 제51하일랜드사단과 제154하일랜드여단, 제33기갑여단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선을 방어하는 이들을 그대로 통과해 크라메스닐과 생아이그난드크라메스닐 인근의 주요 독일 대전차 방어거점을 점령할 예정이었다. 이후 제2캐나다사단과 제51하일랜드 사단의 남아있는 4개 보병여단이 고립된 독일군 방어기지를 정리하고, 제1군단의 제3캐나다사단과 제49사단은이전 공세 때 점령한 지역들을 넓히는 공격을 개시하고, 제4캐나다기갑사단과 폴란드 제1기갑사단은 크라메스닐로 향하는 협곡으로 이동해 남쪽으로 진격을 준비할 예정이었다.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미국 제8곤군은 하우츠메스닐에 위치한 독일 예비군 거점을 폭격할 계획이었다. 토털라이즈 작전의 궁극적인 목표는 팔레즈 북쪽의 고지대로, 공세 개시 지역으로부터 24km 떨어진 지역이었다. = = 캐나다 제1군의 공격 = = 1944년 8월 7일 저녁, 공격 부대는 6개의 분대, 4개의 차량, 전차 다수, 캥거루 병력수송차량, 반궤도차량, 대전차 자주포, 지뢰 제거 전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오후 11시 폭격기 사령부는 캉 전선의 독일군 거점에 폭격을 개시했다. 오후 11시 30분 기갑부대가 폭격이 끝난 직후 진격을 개시했다. 초기의 진격은 느렸는데, 이는 다수의 병력수송차량이 차량에서 일어나는 먼지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부 차량들은 폭격으로 인한 구덩이에 갇히기도 했다. 시먼즈는 공세의 축을 유지하기 위해 몇몇 가지 방법을 시도했다. 일부 차량에는 방향탐지기가 장착되어 있었고, 야포가 목표 확인 포탄을 발사했으며, 보포스 40mm 대공포의 추적탄으로 진격 방향을 알려주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혼란이 발생해 몇몇 차량은 충돌하거나 망가졌다. 캐나다군은 몇몇 지역에서 독일군의 방어선을 돌파했다. 새벽이 되자 제51하일랜드사단의 공격부대가 목표 지역에 도달했다. 크라메스닐 마을에서 180m 떨어진 지역에 도착한 보병은 캥거루 병력수송차에서 내려 신속하게 독일군을 제압했다. 제2캐나다사단의 부대들은 안개로 인해 진격이 지연되었고, 우익에서 예상치 못한 반격을 받았으나, 8월 8일 정오에 연합군은 베리에르 능선을 점령했다. 연합군은 생토를 향해 진격하려고 했으나, 시먼즈는 야포 부대와 캐나다 제4기갑사단, 폴란드 제1기갑사단이 배정받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공세를 중지했다. = = 독일군의 대응 = = 제12SS기갑사단의 사단장 쿠르트 메이어는 폭격과 기갑부대의 공격으로 인해 흩어진 보병들에게 생토를 점령할 것을 지시했다. 쿠르트는 또한 사단에서 공격포, 보병, 그리고 티거 전차로 구성된 2개의 전투단을 이끌고 캐나다 전선 건너편에 위치했다. 정오가 지난 후, 쿠르트는 2개의 전투단에게 연합군의 지휘부대를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이 무렵 연합군은 캐나다 제4기갑사단과 폴란드 제1기갑사단이 남쪽으로 진격하기 전 미국 제8공군에게 추가 폭격을 요청한 상황이었다.. 제12SS기갑사단의 반격은 실패했지만 쿠르트의 전차들은 제8공군의 폭격 지역에서 북쪽으로 떨어져 있었다. 폭격의 효과를 분산시키기 위해, 전차들은 폴란드 제1기갑사단의 진격을 지연시켜 도로 동쪽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하게 했다. 서쪽 도로에서 생토에 있던 독일군 보병들은 캐나다 기갑사단의 진격을 막아냈다. 두 사단 모두 시먼즈가 요구한만큼 공격을 감행하지 못한 채 방어 태세를 유지하고 있었고, 차량들과 병력이 해가 진 후에 도착했다. 공격 당시의 병력을 보충하기 위해, 시먼즈는 캐나다 제4기갑사단의 분대에게 도로 바로 서쪽의, 생토와 팔레즈 사이에 위치한 195고지를 포위할 것을 명령했다. 워싱턴 부대와 HQ 중대가 브리티시 컬럼비아 연대가 브레테빌르라베에서 SS사단과 싸우고 있던 할프페니 부대와 조우했고, 그들을 돌아간 뒤 연락이 두절되었다. 8월 9일 동이 틀 무렵, 워싱턴 부대는 195고지에서 7.2km 동쪽에 있는 140고지를 포위했다. 그들은 독일 기갑부대의 반격에 맞서 고지를 사수했지만 전차 대부분을 잃었다. 오후 5시에 워싱턴 부대의 잔병들은 포로가 되거나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워싱턴 부대가 목표보다 훨씬 더 멀리 진격했기 때문에 워싱턴 부대를 구원하기 위해 파견된 다른 부대는 워싱턴 부대를 찾을 수 없었다. 결국, 워싱턴 부대가 아닌 다른 부대가 195고지를 8월 10일 밤에 점령했다. 하지만 독일군은 철수할 시간을 벌었고, 이들은 레종강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했다. 8월 11일, 영국-캐나다 연합군의 공세가 끝났다. = 산림박물관 = 산림박물관은 산림과 임업에 관한 자료의 수집과 교육 및 현장학습, 표본 분류·동정, 수장, 전시 및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산림청 국립수목원 소속의 국립박물관이다.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국립수목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 = 개요 = = 건물은 철근콘크리트조 지하 1층, 지상 2층의 4,617m2(1,400평)로 외부는 국산석재인 화강암 등 근대 신재료를 사용하여 자연에 순응하는 한국 건축의 전통사상에 입각하여 건축하였다. 내부는 잣나무, 낙엽송 등의 광릉산 국산재를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박물관 전면 벽은 백제시대 벽화인 산수문전을 현대감각으로 그래픽하여 음각한 돌벽화로서 산, 나무, 물, 바위, 구름 등 자연을 조화있게 배열하여 표현하였다. 현관 입구 천장은 낙엽송 간벌재를 집성하여 구조물을 만들어 간벌소경재 이용의 좋은 사례를 보이고 있다. 입구 산림박물관 표석은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하천에서 수집한 화강암에 음각하였으며 “□”자형 건물의 중정에는 암석표본 34종을 전시하였다. = 프로젝트 님 = 프로젝트 님은 2011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 한국판 성우진(KBS) = = 손정아 - 스테파니 라파지(본인) 오수경 - 로라 앤 페티토(본인) 홍진욱 - 허버트 테라스 교수(본인) 이미연 - 제니 리(본인) 박영재 - 빌 타이넌(본인) 이병용 - 밥 잉거솔(본인) = 세계 성경번역 선교회 = 세계 성경번역 선교회, 또는 위클리프 성경번역 선교회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본부를 둔 개신교 계통 비영리기구 및 선교단체이다. 주요 목표는 성경을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으로서 개신교의 영향이 약한 국가의 언어/민족의 언어에 치중하고 있다. 이 선교회의 이름은 중세 영어로 성경을 번역한 14세기 존 위클리프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1942년 윌리암 카메론 타운센드에 의해 시작된 선교회는 현재 50개국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국가지부 단체인 성경번역 선교회(Global Bible Translators, GBT)가 활동하고 있다. = = 활동 과정 = = 성경을 전 세계의 다언어 사회에 전파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침이다. 대부분의 경우 파견 이후 그 지역에 살면서 언어를 배우고, 언어조사를 거쳐 단어와 문법을 정리한다. 이 과정에서 국제 SIL이 개발한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는다. 위의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음성학이 파악되면 알파벳을 결정하고, 문법 체계를 정리한 이후 사복음서부터 그 부족의 언어로 점차 번역을 한다. 동시에 문자해독 교육을 통해 부족인들이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도록 교육한다. 초역된 번역본은 언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그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지,이미 다른나라의 말로 번역된 성서와 이차, 삼차에 걸쳐 대조하면서 수정 작업을 거친다. 이후 확정된 내용을 다른 단체들의 도움을 받아 출판한다. 신약성서 번역이 완성되기에는 평균 10년 정도가 걸리며, 대개는 20년 이상이 되어야 완벽하게 한 언어판 성서가 완성 단계에 오른다고 본다. = = 자매 기구 = = 국제 SIL은 사실 세계 성경번역 선교회의 단기 여름 훈련과정으로 생겨났다. 1934년 출범하였고 지금에 와서는 독립적인 자매기구로 성장했다. 또다른 자매기구는 현재는 SIL에 부속된 정글비행 및 무선통신 지원단(JAARS)인데 교통이나 정보가 희박한 지역에 파견되는 선교사를 비행으로 운송하는 등의 활동으로 봉사한다. = = 비판 = = 여러 인류학자를 비롯해 제3세계 민족주의자들은 이 기구들에 대해 많은 비판을 내놓고 있다. 한 미국의 인류학자는 성경 번역 활동에 대해서 정치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는 인상이 역력하며 상대적으로 약하고 가난한 국가들에 강대국의 이데올로기와 사상을 주입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한다. 오늘날에도 개발도상국과 빈민국에서 관련 번역과 사역이 하나의 논쟁거리로 자리잡은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 혁명적노동자협회 (사회당·사청동 해방파) = 혁명적노동자협회 (사회당·사청동 해방파), 약칭 혁노협(革労協)은 사청동계의 일본 신좌파 정파다. 원래의 해방파/혁노협이 분열한 뒤 그 중 주류 정파다. 1981년의 주류파-노대파 분열, 1999년 주류파의 현대사파-적채사파 재분열 이후 분열로 형성된 제정파가 모두 자신들이 혁노협이라고 자칭하지만 편의상 구분하기 위해 주류파를 타칭으로 지도격 인물인 하자마 요시아키에서 딴 하자마파(狭間派) 또는 커버단체인 출판사 현대사의 이름을 딴 현대사파(現代社派)이라고 한다. 이하 현대사파라고 통칭. 현대사파는 사청동 해방파의 기본 사상을 내세우며 무장투쟁을 중시했고, 1990년대에 적채사파와 치열한 내부 경쟁을 벌이는 한편 다수의 도시 유격대 사건을 일으켰다. "내란세력"을 자처하는 공개적 활동가(합법적 활동을 수행)의 수는 100명 미만으로 추측된다. 규슈, 특히 후쿠오카에서 일정한 동원수를 확보하고 있다. 반면 간토 등지에서는 집회 동원 인력이 스무 명 이하에 불과한 경우가 드물지 않다. 공개적 활동가들은 조선사연구회, 현대법연구회, 사회사상연구회, 부락해방연구회, 장애자해방연구회, 주민운동연구회 등의 단체를 자칭한다. 무장투쟁을 담당하는 비합법 부문으로 "혁명군(革命軍)"이 존재하지만, 2008년 나리타 공항에 금속탄을 박는 유격활동을 벌인 이후로는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다. 현대사파는 1977년 혁노협 서기장 피살사건 때 혁마르파에게 살해당한 사청동 해방파 지도자 가사하라 마사요시의 사상을 이념으로 내건다. 이는 기본적으로 레닌주의 비판, 마르크스주의 복원, 프롤레타리아 세계혁명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주의, 레닌주의는 공산주의 혁명의 가능성을 말살하는 "중간주의"로서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반역이며, 정통 마르크스주의에 의거한 세계혁명을 추구해야 한다. 현대사파의 시각에서 일본공산당은 우익기회주의, 대중영합주의 집단이며, 혁공동계나 공산동계는 "중간주의" 집단이기에 모두 비판의 대상이다. = 손병욱 = 손병욱(孫炳旭, 1975년 10월 27일, 경북 경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5년 영화 꼬리치는 남자로 데뷔했다. = = 학력 = = 경주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 영화학과 (졸업) = = 출연 = = = = = 영화 = = = 2020년 《남산의 부장들》 ... 중정요원 2 역 2017년 《꾼》 ... 남자(장두칠 수하) 역 2016년 《보고싶다》 ... 최중사 역 2014년 《레드카펫》 ... 석봉 역 2014년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미술학원 원장 역 2012년 《차형사》 ... 권 실장 역 2011년 《수상한 고객들》 ... 소연공터 사채 1 역 (우정출연) 2011년 《챔프》 ... 깐죽이 역 2010년 《무적자》 ... 정복 역 2010년 《계몽영화》 ... 상주 역 2009년 《돌멩이의 꿈》 ... 마우송 역 2009년 《그림자 살인》 ... 막둥이 역 2008년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강도수 역 2007년 《바르게 살자》 ... 카메라맨 역 2007년 《검은 집》 ... 나이롱 환자 역 2007년 《소녀X소녀》 ... 피씨방 직원 역 2006년 《브레인웨이브》 ... 박성빈 역 2006년 《마이 캡틴 김대출》 ... 강구파 3 역, 무술지도 2006년 《방과후 옥상》 ... 태손 역 2006년 《야수》 ... 노랑머리 역 2006년 《싸움의 기술》 ... 용호 역 2005년 《태풍》 ... 기상요원 1 역 2004년 《하류인생》 ... 명동파 3 역 2004년 《범죄의 재구성》 ... 김 형사 역 2001년 《무사》 ... 용호군 역 1997년 《쁘아종》 ... 공장 건달 3 역 1996년 《투캅스 2》 ... 오렌지 역 1995년 《꼬리치는 남자》 = = = 드라마 = = = 2020년 OCN 토일드라마 《번외수사》 ... 강수 역 = 분류:모험 여행 = = 분류:카자흐스탄의 사이클 = = 선물 = 선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선물(膳物)은 타인에게 어떤 물건을 주는 것 또는 그 물건을 일컫는다. 선물: 법의 한 종류이다. 선물: 미래의 약속된 시기에 약속된 가격으로 자산을 이전하는 계약의 매매거래를 말한다. 선물: 2001년의 비디오 영화이다. 선물: 2019년의 비디오 영화이다. 선물: 드라마이다. = 타오청구 = 타오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헝수이 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590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47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4개 가도, 2개 진, 4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辦事處: 河西街道, 河东街道, 路北街道, 中华街道. 진: 郑家河沿镇, 赵圈镇. 향: 何家庄乡, 大麻森乡, 邓庄乡, 彭杜村乡. = 틀:문학 장르 정보/설명문서 = = = 사용법 = = {{문학 장르 정보 }} 문학 장르 = 분류: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생물상 = = 워드 힐 라몬 = 워드 힐 라몬(Ward Hill Lamon, 1828년 1월 6일– 1893년 5월 7일)은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의 친구이자, 스스로 임명한 보디가드이다. 라몬은 1865년 4월 14일 포드 극장에서 링컨이 암살당하던 밤에 자리를 비워서 유명해졌다. 당시의 부재는 링컨이 그를 버지니아주 리치몬드로 파견한 것이다. = = 배경 = = 링컨과 라몬의 관계는 클린트 클레이 틸턴이 쓴 링컨과 라몬에서 추적해 볼 수 있다. 라몬은 버지니아주 윈체스터 근처에서 태어나, 2년간 의학을 공부했고, 나이 19살 때 친척과 함께 살기 위해 일리노이주 던빌로 이주를 했다.Tilton, Clint Clay: "Lincoln and Lamon: Partners and Friends," Publication of the Illinois State Historical Library, page 175. Phillips Brothers State Printers, 1931. 그는 법학사 졸업장을 따기 위해 루이빌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1851년 일리노이 주에서 변호사를 개업했다.Hamand, L: "Lincoln's Particular Friend," Essays in Illinois History, page 19.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68. 1850년, 그는 다시 버지니아로 돌아가 앤젤리나 튜터와 결혼을 하고서, 다시 법률 활동을 하기 위해 일리노이 주로 돌아온다. 앤젤리나는 에후드와 프리실라 스트로드 터너의 딸로, 웨스트버지니아 베딩턴에 있는 그들은 집은 2002년 국립 사적지 등록소에 프리실라 스트로드 터너의 집으로 등재되었다. 앤젤리나는 1859년 4월에 딸 도로시 하나만 남기고 죽었다. 도로시는 던빌에서 라몬의 누이 윌리엄 모건 부인 슬하에서 길러졌다. 1860년 11월, 라몬은 스티븐 T. 로건 판사의 딸 샐리 모건과 재혼을 했다. 로건은 1841년부터 1844년까지 링컨의 법률 파트너였다.Lawson, S: "Logan, Stephen Trigg,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nline = = 링컨과 초기 = = 링컨과 라몬의 직업적 연대는 1852년 그가 링컨의 일리노이주 던빌에서 법률 동료가 되면서 시작되었다. 그들의 그러한 동업 관계는 라몬이 옛 제8 사법구역의 검사가 되어 1857년에 일리노이 블루밍턴으로 이사를 가게 되는 1857년까지 지속되었다.Tilton, pages 178-9, 182. 라몬은 남부에 동정적이었고, 노예제도 폐지론에 대한 증오가 링컨과 그를 갈라놓았지만, 상당히 서로 다른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친구로 남아있었다. 라몬은 공천을 받기 위해 당시 신생 공화당에 가입하였으며, 1860년에는 링컨의 선거운동을 도왔다. 링컨은 링컨은 뉴욕 상원의원 윌리엄 수어드와 지명을 받기 위해 경쟁관계에 있었고, 라몬은 링컨 지지자들로 홀을 채우기 위해 전당대회 참가를 위한 다른 티켓을 확보함으로써 그의 우정을 증명했다."I Beg Leave to Offer. . . Abraham Lincoln" New York Times, May 15, 1960. 링컨이 대통령에 선출되자, 라몬은 외교관 직을 희망했지만, 그의 친구에게서 다음과 같은 편지를 받게 된다. “친애하는 힐!, 나는 자네가 필요하네. 나는 자네가 나랑 워싱턴으로 갔으면 하네. 그리고 장기 체류를 위해 준비해 줬으면 하네.”Tilton, page 189. 그리하여 라몬은 1861년 2월 링컨을 동반해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서 워싱턴 D.C.로 여행하게 된다. 이 여행은 파란만장한 사건을 예고하고 있었다. = = 라몬과 볼티모어 음모 = = 라몬은 신체적으로 두드러진 사람이었으며,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동안 스스로가 링컨의 경호를 맡았다. 1861년 2월, 탐정 앨런 핑커턴이 워싱턴의 취임식에 가는 도중 볼티모어에 도착하여 링컨 암살 음모를 밝혀냈다. 핑커턴은 링컨에게 계획대로 기차역 사이의 도시를 관통하여 공개적으로 가지말고, 자정 열차를 타고 바로 의사당으로 가야한다고 조언했다.그리하여 라몬이 그를 동반한 선택된 유일한 친구였다. 라몬과 핑커턴은 대통령 선거 경호 때문에 자주 충돌했다. 라몬은 리볼버와 보위 나이프를 제공했지만, 핑커턴은 “링컨이 무장한 채 의사당에 들어갔다”고 세상이 떠들게 해서는 안된다고 항의를 했다.Cuthbert, N: Lincoln and the Baltimore Plot, 1861, page 79. Huntington Library, 1949. 두 사람들은 시카고 저널에 그들의 워싱턴의 이른 도착을 변경하고자 하는 라몬의 의견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였다. 핑커턴은 더 신중하게 그들의 계획 변경을 공개하길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다. 핑커턴은 음모를 설명하면서 라몬을 ‘무뇌아에, 자기본위의 멍청이’로 언급하면서 비난했다.Cuthbert, page 86. 핑커턴은 윌리엄 헌던에게 그들의 보고서를 복사하게 허용했으며, 이것은 라몬이 에이브러햄 링컨의 생애를 쓰기 위해 헌돈의 논문을 구매했을 때 라몬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다.Mackay, J: Allan Pinkerton: The First Detective, page 104. John Wiley & Sons, 1996 그러나 헌돈이 핑커턴의 보고서 사본을 최초로 요구했을 때, 핑커톤은 라몬에 대해 특정해서 언급한 자료에 대해서는 비밀로 해달라는데 동의를 했다.Wilson, D. and Davis R: Herndon's Informants, page 264.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라몬의 서술은 핑커턴의 조작을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볼티모어로 여행하기 몇 달 전에, 새뮤얼 M. 펠턴 필라델피아 윌밍턴과 볼티모어 철도 회장은 핑커턴을 고용한 바 있었다. 볼티모어에서는 고용한 바가 없었다. 펠턴의 보안 우려는 직업을 얻기 위해 다리를 파괴하려는 노동자들에 대한 것이었을 것이고, 게다가 노숙자들이 근처 철도 편의시설에 살고 있었다. = = 참고 자료 = = Barton, William Eleazar. The Soul of Abraham Lincoln. (1920) Cuthbert, Norma Barrett (ed.). Lincoln and the Baltimore Plot, 1861. (1949) Donald, David. Lincoln's Herndon. (1948) Downing, David C. A South Divided: Portraits of Dissent in the Confederacy (2007) Hamand, Lavern M. "Lincoln's Particular Friend" in Essays in Illinois History. (1968) Lamon, Ward Hill. The Life of Abraham Lincoln: From His Birth to His Inauguration as President. (1872) Lamon, Ward Hill. Recollections of Abraham Lincoln: 1847-1865. (1895) Lawson, Sylvia B. "Logan, Stephen T."; http://www.anb.org/articles/04/04-00636.html;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nline Feb. 2000. "Lincoln Stole into Washington to Foil Possible Assassination" New York Times, February 24, 1961, page 25. Lurie, Jonathan. "Lamon, Ward Hill"; http://www.anb.org/articles/11/11-00506.html;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nline Feb. 2000. Mackay, James. Allan Pinkerton: The First Private Eye (1996) Mitgang, Herbert. "'I Beg Leave To Offer. . . Abraham Lincoln'" New York Times, May 15, 1960, page SM26. Nevins, Allan. The War for the Union: Volume 1, The Improvised War, 1861-1862 (1959) Oates, Stephen B. With Malice Toward None: The Life of Abraham Lincoln (1977) Oedel, Howard T. "Lincoln Takes the Pulse of the Confederacy at Charleston in March, 1861" in Lincoln Herald 1971 73(3), pages 156-172. Tilton, Clint Clay. "Lincoln and Lamon: Partners and Friends" in Publications of the Illinois State Historical Library (1931) "Ward Hill Lamon."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1928–1936) Wilson, Douglas L. and Rodney O. Davis, editors. Herndon's Informants (1998) = 룩셈부르크의 국장 = 룩셈부르크의 국장은 룩셈부르크를 상징하는 문장이다. 국장의 원형은 중세 림뷔르흐 공국의 문장이다. 왕관이 올려진 망토 가운데에 그려져 있는 방패 안에는 하얀색과 하늘색 두 가지 색으로 구성된 열 개의 가로 줄무늬 바탕에 금색 왕관을 쓴 빨간색 사자 문양이 그려져 있다. 방패 위쪽에는 왕관이 올려져 있으며 방패 양쪽에는 왕관을 쓴 두 마리의 사자가 그려져 있다. = = 그 외의 문장 = = 국장 = 분류:광저우 FC 경기 = = 제1군단 (대한민국) = 제1군단(第一軍團, )은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며, 상징명칭은 고구려의 제19대 왕인 광개토대왕의 시호를 딴 광개토부대(廣開土部隊)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본부를 두고 예하 부대로 4개 상비사단과 1개 동원사단을 두고 있는, 한때 세계의 군단급 부대 중 규모가 가장 큰 군단이었으나 제72동원보병사단이 1군단 예하에서 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예속변경되고 제30기계화보병사단이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제30기갑여단으로 재편됨에 따라 현재는 사실상 7군단에게 최대 규모 군단이라는 타이틀을 넘겨주기도 하였다.그러나 부대 규모가 적은 6군단과 통합하면 1군단이 다시 최대 규모 군단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 경례구호는 충성이다. 제1군단은 한국 방어 계획상 제1 중요 접근로인 1번 국도, 즉 통일로를 중심으로 한국군의 방어 주력(병력·화력·장비·감시체제·방공시설, 지휘 및 통신시설, 진지 편성 장애물 등)을 집중 투입한 지역을 담당하며,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군단 중 서울과 가장 가까운 군단이다. = = 역사 = = = = = 한국 전쟁 = = = 한국 전쟁이 발발한지 3일째 되는 날, 조선인민군의 공세에 밀려 한강 이남으로 철수한 육군 본부는 1950년 6월 28일, 수도를 지키기 위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할 목적으로 경기도 시흥군 동면(지금의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임시로 시흥지구전투사령부(始興地區戰鬪司令部)를 창설하였다. 사령관으로 취임한 김홍일 소장은 수도사단, 제2사단, 제7사단을 지휘하여 7월 4일까지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지연시켰다. 다음날, 시흥지구전투사령부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구두명령에 의한 육군 1차 개편계획에 따라 제1군단으로 개편되고, 김홍일 소장이 초대 군단장으로 취임하였다. 예속된 부대는 제7사단에서 제1사단으로 교체되어 수도사단, 제1사단, 제2사단이었다. 1951년 10월 1일, 제3사단을 이끌고 동부 해안을 따라 진격하였으며, 10월 10일 원산에 주둔하고 있던 조선인민군 제12사단 예하 2개 경비여단과 맞닥뜨렸다. 제1군단은 미국 제7함대 예하 제77임무대의 함포 지원을 받아, 원산에 상륙할 예정이었던 미국 제10군단을 대신하여 2개 경비여단을 격퇴하고 원산을 점령하였다. 직후, 제3사단을 원주에 주둔시키고 수도사단을 이끌고 계속 북쪽으로 진격하여 10월 17일에는 함흥과 흥남을 점령하였다. 12월 24일, 흥남에서 철수하였다. = = = 휴전 이후 = = = 1953년 12월 15일, 제1야전군에 배속되었다. 1973년 7월 1일 제3야전군으로 제5군단, 제6군단과 함께 재배속되었다. 2019년 1월 1일, 국방부가 제1,3야전군을 병합하여 육군지상작전사령부를 설립하였다. 모든 군단은 지상작전사령부로 전속하였다. = = 편성 = = 제1보병사단 "전진" 제9보병사단 "백마" 제25보병사단 "비룡" 제30기갑여단 "필승" 제2기갑여단 "충성"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방공단 제101정보통신단 제711통신대대 제712통신대대 제301경비연대 제701특공연대 제11화생방대대 제141정보대대 = = 기록 = = = = = 배속 = = = 육군본부, 1950년 6월 28일 제1야전군, 1953년 12월 15일 제3야전군, 1973년 7월 1일 지상작전사령부, 2019년 1월 1일 = = = 계보 = = = 1950년 6월 28일, 시흥지구전투사령부 1950년 7월 5일, 제1군단 = = = 참전 = = = 한국 전쟁 부산 교두보 전투 경주 전투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제1·2차 원주 전투 = = 역대 군단장 = = 대수 성명 계급 임기 비고 제1군단 제1군단 제1군단 제1군단 제1군단 초대 김홍일 육군 소장 1950년 7월 5일 ~ 1950년 9월 1일 한국전쟁(제1군단전적비기록) 2대 김백일 육군 소장 1950년 9월 1일 ~ 1951년 3월 29일 한국전쟁(제1군단전적비기록) 3대 백선엽 육군 소장 1951년 4월 7일 ~ 1951년 12월 2일 한국전쟁(제1군단전적비기록) 4대 이형근 육군 중장 1952년 2월 2일 ~ 1954년 2월 2일 한국전쟁(제1군단전적비기록) 대리 박시창 육군 소장 1959년 3월 18일 ~ 1959년 3월 29일 대리 안춘생 육군 중장 1959년 3월 29일 ~ 1959년 5월 31일 최석 육군 중장 1960년 4월 28일 ~ 1960년 10월 1일 임부택 육군 중장 1960년 10월 1일 ~ 1961년 2월 26일 전부일 육군 중장 1961년 2월 26일 ~ 1962년 3월 2일 김익렬 육군 중장 1962년 3월 2일 ~ 1962년 7월 10일 21대 최우근 육군 중장 육사 3기 22대 박희동 육군 중장 육사 3기 23대 양봉직 육군 중장 육사 6기 24대 이희성 육군 중장 육사 8기 25대 황영시 육군 중장 육사 10기 26대 김윤호 육군 중장 육사 10기 27대 이기백 육군 중장 육사 11기 28대 백운택 육군 중장 육사 11기 대리 이광로 육군 중장 육사 11기 29대 박희도 육군 중장 육사 12기 30대 최세창 육군 중장 육사 13기 31대 류승국 육군 중장 육사 13기 32대 문영일 육군 중장 육사 14기 33대 이필섭 육군 중장 육사 16기 34대 이병택 육군 중장 육사 17기 35대 김상준 육군 중장 육사 19기 36대 조성태 육군 중장 육사 20기 37대 김척 육군 중장 육사 21기 38대 박영익 육군 중장 육사 23기 39대 강신육 육군 중장 육사 24기 40대 정중민 육군 중장 육사 25기 41대 오현구 육군 중장 육사 26기 42대 김선홍 육군 중장 육사 28기 43대 임충빈 육군 중장 2004년 10월 ~ 2006년 12월 육사 29기 44대 장광일 육군 중장 2006년 12월 5일 ~ 2008년 4월 3일 육사 31기 45대 황중선 육군 중장 2008년 4월 3일 ~ 2009년 11월 9일 육사 32기 46대 권오성 육군 중장 2009년 11월 9일 ~ 2010년 12월 27일 육사 34기 47대 최종일 육군 중장 2010년 12월 27일 ~ 2012년 5월 3일 육사 34기 48대 모종화 육군 중장 2012년 5월 3일 ~ 2015년 10월 31일 육사 36기 49대 엄기학 육군 중장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3일 육사 37기 50대 김용우 육군 중장 2015년 4월 13일 ~ 2016년 10월 17일 육사 39기 51대 서욱 육군 중장 2016년 10월 17일 ~ 2017년 9월 29일 육사 41기 52대 안영호 육군 중장 2017년 9월 29일 ~ 2019년 5월 10일 육사 42기 53대 황대일 육군 중장 2019년 5월 10일 ~ 2020년 12월 7일 육사 43기 54대 안병석 육군 중장 2020년 12월 7일 ~ 2021년 12월 9일 육사 45기 55대 이두희 육군 중장 2021년 12월 10일 ~ 2022년 12월 1일 육사 46기 56대 강호필 육군 중장 2022년 12월 1일 ~ 2023년 11월 6일 육사 47기 57대 주성운 육군 중장 2023년 11월 6일 ~ 육사 48기 = 분류:중국의 판타지 = = 한국농촌문제연구소 = 한국농촌문제연구소는 농어촌의 현안과제 연구 ·분석하여 선진복지 농어촌건설을 목적으로 1989년 8월 24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1-4, 라이프콤비 1215호에 있다. = 분류:1692년 학살 = = 분류:아제르바이잔의 과학자 = = 팝툰 = 팝툰(POPTOON)은 대한민국의 회사인 씨네21에서 펴낸 만화 잡지이다. 2007년 3월 1일에, 매월 1일, 15일로 월 2회 발행으로 창간되었다. ‘성인을 위한 고품격 만화,’ ‘장르 만화의 새로운 비전’를 목표로 한다고 창간호를 통해 밝혔다. 현재 1년 2~3번씩 정기적으로 창작만화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제호에서 'POP'은 'Popular'의 대중만화와 젊음의 느낌을 담고 있다.『씨네21』 새 만화 잡지 제호 『팝툰(POPTOON)』으로 결정 - 만, 2007년 1월 20일 기사 그러나 경제 악화로 인한 재정적인 이유와 만화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주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월간으로 간행주기를 전환하였고, 2010년 3월부로 무기한 휴간되었다. = = 잡지의 난항과 개편, 그리고 현재 = = 팝툰은 초기에 나병재, 석정현 등의 인터넷이나 인디, 언더그라운드 만화에서 기량이 출중하던 만화가를 기용하였다. 그러나 잡지 연재에 익숙치 않은 탓에 연재 중단이 된 작품이 많았다. 게다가 홍보가 부족하여 판매량이 계속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팝툰은 판매량과 작품 방향의 문제 때문에 제17호(2007년 11월 1일)부터 편집장이 씨네21의 취재팀장인 이성욱으로 교체되고 판형이 기존 씨네21 등 영화 잡지에서 많이 써오던 4x6배판형에서 크라운변형판으로 바뀌고 작품의 전체적인 노선이 언더그라운드 취향에서 여성적 취향으로 바뀌었다. 그와 동시에 가격이 2,500원에서 3,300원으로 32% 인상되어 씨네21의 3,000원보다 비싸지게 되었으나 비교적 일반적으로 바뀐 탓에 판매는 아직까지 괜찮은 편이다. 그러나 2008년 3월 현재 누적적자가 2억원이고 2008년 10월 즈음에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만화작가 창작활성화 사업 지원금이 중단이 예정되어있어2008년 만화,애니,캐릭터 지원사업 실시 - 머니투데이, 2008년 4월 11일 기사 잡지의 순항 여부는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팝툰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단행본 발간과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컨텐츠 부문 자회사 (주)컨텐츠플러그와 싸이더스FNH와 협약을 맺었다.만화잡지 ‘팝툰’, 다음·싸이더스와 손잡은 까닭 - 미디어오늘, 2008년 3월 26일 기사 팝툰은 영화 〈페르세폴리스〉의 시사회 이벤트와 KBS의 스토리 배틀 프로그램 이야기발전소의 협찬에 참여해 홍보를 서서히 넓혀가고 있으며, 2008년 7월 25일에는 (재)경기도디지털콘텐츠진흥원(GDCA), (사)한국만화가협회, (사)우리만화연대와 같이 '만화제작지원사업'에 대한 협약을 맺었다.‘놈놈놈 투자 대박’ 경기도, 내친김에… - 한겨레, 2008년 7월 25일 기사 그리고 42호(2008년 11월 30일)에서 1년 여만의 개편이 단행되었다. 개편은 주로 읽은 거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49호 (2009년 3월호)에서 월간으로 간행 주기가 바뀌었지만 42호에서 이루어진 개편의 방향을 그대로 잇는 방향으로 소폭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0년 3월부로 무기한 휴간에 들어갔고 구독기간이 남은 정기구독자들은 같은 출판사의 잡지 씨네21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 = 잡지에 대한 비판 = = 팝툰에 대한 비판은 주로 2가지로 나뉜다. 개편 이전의 비판으로는 잡지의 수위가 높고, 작품들의 연재 지연이나 중단이 많고, 홍보 부족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특히 홍보 부족에 대한 비판은 아직도 존재한다.) 개편 이후의 비판으로는 개편을 하면서 인디, 언더그라운드 취향이 많이 빠져 창간 당시의 목표와는 거리가 멀어졌다는 비판과 가격이 비싸져 사보기가 더 힘들어졌다는 비판이 나왔다.최근에는 배송 문제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 = 주요 참여 작가 및 필진 = = 강경옥 강재상 강지영 기선 김진태 김태권 박미향 심영섭 아롱(최은영) 코피 윤태호 이광열 이영곤 이우열 전지영(탄산고양이) 정은규(물먹은화장지) 조경규 조훈 진철수 한혜연 = = = 예전 주요 참여 작가 = = = August25(이은구) 권리 경연미 김낙호 김양수 김연서 김연승 나병재 네온비 노준구 마인드C 바스티앙 비베스 배준걸 석정현 송태욱 심차섭 이경석 이광열 이두호 이명석 이태경 장세인 정구미 조남준 조석 조주희 탁영호 토마 홍승우 = = 현재 연재 중인 작품 = = = = = 만화 및 카툰 = = = 《시간여행보고서》 : 조주희 - 1호(2007년 3월 1일) ~ 비정기 연재 중 원래 예정된 제목은 《시간회귀병》이었다. 작가의 출산 문제로 인하여 연재를 중단한 적이 있다. 작가의 사정으로 비정기로 연재를 하고 있다. 《Hola! Chicos!》(올라! 치꼬스!) : 조훈 - 17호(2007년 11월 1일) ~ 28호(2008년 4월 15일) 게재분의 글은 원종익이 썼다. 《플리즈, 플리즈 미》 : 기선 - 17호(2007년 11월 1일) ~ 제목은 비틀즈의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에서 따온 것이다.씨네21 631호 <컬쳐잼> 제발 그녀들의 연애를 어떻게 좀 해줘 내용 중에 등장하는 주인공 구애리의 일러스트는 모두 일러스트레이터 소희의 허락을 받고 사용한 작품이다. 《설희》 : 강경옥 - Part1 설희 : 17호(2007년 11월 1일) ~ 25호(2008년 3월 1일), Part2 세이 세라 : 27호(2008년 4월 1일) ~ 35호(2008년 8월 1일), Part3 非日常 : 37호(2008년 9월 1일) ~ 44호(2008년 12월 15일), Part4 폭풍(嵐) : 45호(2009년 1월 1일) ~ 51호(2009년 5월호), Part5 Dead or Alive : 52호(2009년 6월호) ~ 《Happy Copi》 : 코피- 17호(2007년 11월 1일) ~ 《와일드 와일드 워커스》 : 김진태 - 27호(2008년 4월 1일) ~ 연재 전에 논의되었던 제목은 《사형수를 위한 나라는 없다》, 《길로틴 컴퍼니》였다.편집장의 글 - 핑계가 좋아 - 팝툰 26호(2008년 3월 15일) 《애총》 : 한혜연 - 프롤로그 : 33호(2008년 7월 1일) ~ 35호(2008년 8월 1일), 제1장 학살의 밤 : 36호(2008년 8월 15일) ~ 연재 시작 전부터 영화 판권을 팔고,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의 2008 해외수출 기획만화 제작지원이 결정되었다.편집장의 글 - 애총, 팝툰 32호(2008년 6월 15일)2008 해외수출 기획만화 제작지원공모 본선심사 결과 발표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2008년 6월 2일 《애총》은 어린아이 무덤을 뜻하는 말이다. 《당신은 거기 있었다》 : 윤태호 - 42호(2008년 11월 30일) ~ GDCA 제작센터 만화 제작산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연재한다. 《팬더댄스 만화 씨리이-즈》 : 조경규 - 48호(2009년 2월 15일) ~ 일부 작품은 미디어다음 만화속세상에서도 동시 연재하고 있다. 《밝은 미래》 : 원작·각색·그림 이영곤, 글 진철수, 이우열 - 49호(2009년 3월 1일) ~ GDCA 제작센터 만화 제작산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연재한다. 원래 영화 시나리오로 만들어진 것을 만화로 형식을 바꾼 작품이다. 팝툰 최초로 글을 담당하는 사람이 두 명이다. = = = 소설 및 칼럼 = = = 소설 《심여사는 킬러》 : 글 강지영 - 42호(2008년 11월 30일) ~ 잡식동물들의 도시생존법 : 임경선, 강재상씨를 제외하고 매 호마다 다른 필진으로 구성된다. - 42호(2008년 11월 30일) ~ 모두 잘하고 있나요 - 42호(2008년 11월 30일) ~ 당신은 누구십니까 : 에디터 김송은 - 42호(2008년 11월 30일) ~ 맛있는 만화 : 박미향 - 42호(2008년 11월 30일) ~ 첫 연재 당시의 제목은 '식욕과 성욕 사이'였다. 캐릭터 심리학 : 심영섭 - 42호(2008년 11월 30일) ~ Pop-ing Culture - 42호(2008년 11월 30일)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기획, 씨네21 주관의 매주 예술문화전문가 초청 강연 '아트샤워 시즌 2'의 강연록을 독점 연재한다. Pop-ing Docu - 지현주 : 49호(2009년 3월호) ~ 다큐멘터리 형식의 연재 작품으로 매 회마다 특별한 주제를 다룬다. 내 인생의 만화 - 51호(2009년 6월호) ~ 매 호마다 유명 인사 두 명의 '내 인생의 만화'를 소개한다. 만화동네 사람들 Poptoon Ending (편집장의 글) = = 연재를 종료한 작품 = = 《혜숙씨》 : August25(이은구) - 1호(2007년 3월 1일) 원래 예정된 제목은 《스푸마토》였다. 작가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 다른 작품이 나왔다고 생각해서 1호(2007년 3월 1일) 만에 연재가 중단되었다. 《무지개일기》 : 나병재 - 1호(2007년 3월 1일) ~ 2호(2007년 3월 15일) 《Everybody Loves Papa》 : 이태경 - 1호(2007년 3월 1일) ~ 4호(2007년 4월 15일) 연재 중간에 경쟁지인 웹진《만끽》으로 작품을 옮겼다. 《푸른 하늘》 : 조석 - 1호(2007년 3월 1일) ~ 5호(2007년 5월 1일) 《동백아가씨》 : 석정현 - 1호(2007년 3월 1일) ~ 8호(2007년 6월 15일) 《즐거운 조이보》 : 홍승우 - 1호(2007년 3월 1일) ~ 13호(2007년 9월 1일) 《내 귀에 도청장치》(Souldiver) : 김연서 - 1호(2007년 3월 1일) ~ 14호(2007년 9월 15일) 1호(2007년 3월 1일)에서는 컬러로 게재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계속 흑백으로 연재되었다. 《품위생활백과》 : 기선 - 1호(2007년 3월 1일) ~ 16호(2007년 10월 15일) 그림보다는 글을 주로 사용하여 교양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만화였다. 《이두호의 가라사대》 : 이두호 - 1호(2007년 3월 1일) ~ 16호(2007년 10월 15일) 오래전에 모 학습월간지에 연재했던 《한국고금기인열전》를 작가가 그림체를 수정해서 연재한 만화였다. 《이두호의 가라사대》 출판사 : 행복한 만화가게, 2008년 7월 30일 발매 《아이템 팩토리》 : 네온비 - 3호(2007년 4월 1일) ~ 13호(2007년 9월 1일) 《히든 트랙》 : 김연승 - 4호(2007년 4월 15일) ~ 11호(2007년 8월 1일) : 장르 - 음악 뒷이야기 지식 만화 《2weeks issue》 : 김양수 - 5호(2007년 5월 1일) ~ 16호(2007년 10월 15일) 2주간의 시사, 문화 등의 소식을 다루는 1쪽짜리 만화였다. 《I Love Tokyo》 : 배준걸 - 5호(2007년 5월 1일) ~ 16호(2007년 10월 15일) : 장르 - 체험기 처음 연재 할 때의 제목은 《준니짱의 즐거운 일본》이었으나, 9호(2007년 7월 1일)부터 위의 제목으로 바뀌었고 연재 분량도 1장에서 2장으로 늘어났다. 《내 이름은 팬더댄스》 : 조경규 - 6호(2007년 5월 15일) ~ 16호(2007년 10월 15일) 인터넷에서 ‘팬더댄스’라는 캐릭터로 유명세를 탄 작가가 자신의 캐릭터로 연재한 작품이었다. 《내가 결혼할 때까지》 : 정구미 - 6호(2007년 6월 1일) ~ 29호(2008년 5월 1일) 특이하게도,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하고 결혼할 때까지 연재하는 만화이다. 처음에는 격호 연재였으나 18호(2007년 11월 15일)부터 매호 연재로 바뀌었다. 실제로 정구미는 2008년 3월 29일에 자신의 남자친구인 '블랙남자'와 전통 혼례를 치렀다.블랙남자 결혼식 - 정구미의 블로그, 노란구미 《원웨이 티켓》 : 조남준 - 8호(2007년 6월 15일) ~ 32호(2008년 6월 15일) 격호 연재작이었으나, 15호(2007년 10월 1일)부터 매호 연재로 바뀌었다. 《파밍걸 아샤》: August25(이은구) - 2호(2007년 3월 15일) ~ 36호(2008년 8월 15일) 20호(2007년 12월 15일)부터 작가의 사정으로 인해 격호 연재로 전환되었다. 《전원교향곡》 : 이경석 - 1부 : 1호(2007년 3월 1일) ~ 41호(2008년 11월 1일) 《D.O.G.》(Development Of the Gag) : 마인드C - 1부 : 1호(2007년 3월 1일) ~ 41호(2008년 11월 1일) 27호(2008년 4월 1일)부터 로고가 힙합 스타일로 변하였다. 《속 좁은 여학생》 : 토마 - 9호(2007년 7월 1일) ~ 52호 (2009년 6월호) = = = 1차 개편호(17호 - 2007년 11월 1일) 이후부터의 연재작 = = = 《오로의 카페》 : 글 이명석, 그림 조주희 - 시즌 1 : 17호(2007년 11월 1일) ~ 31호(2008년 6월 1일) 원래 조주희는 《프렌즈》라는 게이들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만화를 연재하려고 했으나 어떠한 사정으로 인하여 연재작이 바뀌었다. 《Culture Talk》 : 김양수 - 17호(2007년 11월 1일) ~ 26호(2008년 3월 15일) 《외로운 오기사》 : 오영욱 - 17호(2007년 11월 1일) ~ 31호(2008년 6월 1일) 《신지특경 卍》 : 장세인 - Season1 : 21호(2008년 1월 1일) ~ 36호(2008년 8월 15일) 팝툰의 첫 그래픽 노블 연재작이다. 《르네상스 탐정 바사리》 : 김태권 - 1부 : 17호(2007년 11월 1일) ~ 38호(2008년 9월 15일) 《돌아온 팬더댄스》 : 조경규 - 28호(2008년 4월 15일) ~ 34호(2008년 7월 15일) 31호(2008년 6월 1일)에서만 2쪽에서 4쪽으로 페이지를 늘려서 연재했다. 《별별이야기》 : 심차섭 - 17호(2007년 11월 1일) ~ 35호(2008년 8월 15일) 별자리마다 각각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재미있게 다룬 카툰 형식의 작품이다. 2004년 일간 무가지 《데일리줌》에 연재했던 작품을 다시 연재한다. 원래는 네컷 만화였으나 이번에 연재하는 것은 한 별자리당 하나의 칸을 그리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소설 《카오스모폴리탄》 : 글 권리, 일러스트 정은규(물먹은화장지) - 17호(2007년 11월 1일) ~ 40호(2008년 10월 15일) 팝툰의 첫 소설 연재작이다. 《싸이코가 뜬다》로 제9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권리와 인터넷에서 ‘물먹은화장지’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정은규가 참여했다. 소설가가 직접 여행을 다니면서 자신이 여행을 다녀온 곳을 주제로 글을 쓴다는 '실시간 여행 소설'로 주목을 받았다. 원래 예정 제목은 《아시안 콤플렉스》였으나 한정적인 이유로 바꾸었다.씨네21 633호 <컬쳐잼> 여행 본능, 소설 본능을 만나다 《만화프리즘》 : 김낙호(capcold) - 5호(2007년 5월 1일) ~ 41호(2008년 11월 1일) 권말 시사 칼럼. 《Cover Essay》 : 전지영(탄산고양이) - 17호(2007년 11월 1일) ~ 41호(2008년 11월 1일) 《팬더댄스와 명화극장》 : 조경규 - 39호(2008년 10월 1일) ~ 41호(2008년 11월 15일) 원래 씨네21에서 《정훈이 만화》의 후속으로 연재가 이루어졌던 작품이었다가, 《팝툰》으로 옮겨졌다. 《차이니즈 봉봉클럽》 : 조경규 - 1부 서울편 : 17호(2007년 11월 1일) ~ 47호(2009년 2월 1일) 2008 북경올림픽 기념 특선 3부작 《팬더댄스와 차이니즈 봉봉클럽》 : 35호(2008년 8월 1일) ~ 37호(2008년 9월 1일) 《Now in the city》 : Seoul 오기사, Beijing 배은식, Frankfurt 전우연, Paris 이은화 - 17호(2007년 11월 1일) ~ 51호(2009년 5월호) 작가들이 세계의 도시별로 1장 분량의 컬러 에스프리를 연재했다. 경연미는 26호(2008년 3월 15일)에서 뉴욕에서 인도의 우다이푸르로 장소를 옮겼다가 27호(2008년 4월 1일)에서 다시 뉴욕으로 돌아왔다. 《Now in the city》 Newyork 편은 38호(2008년 9월 15일)부터 격호로 연재한다. 개편 전에는 London 노준구, Paris 이은화, Tokyo 오연경, Newyork 경연미였다. 《신드롬》 : 이광열 - 30호(2008년 5월 15일) ~ 48호(2009년 2월 15일) 이광열은 제1회 팝툰 신인만화공모전 우수작 수상자이다. 《The day》 : 아롱(박은영) - 17호(2007년 11월 1일) ~ 48호(2008년 2월 15일) = = = 2차 개편호(42호 - 2008년 11월 30일) 이후부터의 연재작 = = = = = = = 만화 및 카툰 = = = = 《시사 만담》 : 김태권 - 42호(2008년 11월 30일) ~ 48호(2009년 2월 15일) 《또 돌아온 팬더 댄스》 : 조경규 - 42호(2008년 11월 30일) ~ 48호(2009년 2월 15일) 《그녀(들)》(ELLE(S)) : 바스티앙 비베스 - 49호(2009년 3월호) ~ 52호(2009년 6월호) 팝툰 최초의 해외 연재작이자, 최초의 프랑스 만화 연재작이다. 프랑스에서는 2007년에 나왔던 작품이다. = = = = 소설 및 칼럼 = = = = 만화에서 배우는 생존법 : 김낙호 - 42호(2008년 11월 30일) ~ 51호(2009년 5월호) 도시전설 : 세키 아키오, 이다혜 - 42호(2008년 11월 30일) ~ 51호(2009년 5월호) 소설 《구글》 : 이우 - 49호 (2009년 3월호) ~ 51호(2009년 5월호) 월간으로 개편되고 추가된 소설이었으나, 인기 부족을 이유로 연재 3회 만에 중단되었다. = = 역대 게재 중단편 = = 《멸망의 날》 : 김달님 - 1호(2007년 3월 1일) 《키스의 공식》 : 이유정 - 2호(2007년 3월 15일) 《좌뇌 찾기》 : 송태욱 - 2호(2007년 3월 15일) 2호의 팝툰 목차에서는 《좌뇌우뇌》로 실려있다. 송태욱의 홈페이지와 팝툰 공식 블로그에는 위의 제목 그대로 나와 있어 목차의 오류인 것으로 보인다. 《애리조나 드림》 : 송태욱 - 3호(2007년 4월 1일) 《어떤 미소》: 억수 - 3호(2007년 4월 1일) 《사랑에 눈멀다》: 송태욱 - 4호(2007년 4월 15일) 《피노키오》: 최덕규 - 4호(2007년 4월 15일) 《왜 여자들은 내게...》 : 강영수 - 5호(2007년 5월 1일) 《신은 외로움을 모른다》 : 송태욱 - 5호(2007년 5월 1일) 《여인, 프리》 : 김문희 - 6호(2007년 5월 15일) 《라디오 고쳐지다》 : 송태욱 - 6호(2007년 5월 15일) 3호의 《애리조나 드림》과 같은 세계관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메모리즈》 : 문흥미 - 6호(2007년 5월 15일) 《그 남자는 왜 그 여자를 좋아하는가》 : 강영수 - 6호(2007년 5월 15일) 《커피 case》 : 강영수 - 6호(2007년 5월 15일) 《뭐 없나?》 : 마영신 - 7호(2007년 6월 1일) 《우리들은 누군가의 마음》 : 송태욱 - 7호(2007년 6월 1일) 《아들과 딸》 : 탁영호 - 7호(2007년 6월 1일) 《너의 엉덩이를 차주고 싶어!》 : 강영수 - 8호(2007년 6월 15일) 《하모니카 원쓰 어게인》 : 훵크D - 8호(2007년 6월 15일) 《영원히 안녕》 : 권용득 - 9호(2007년 7월 1일) 《개변기》 : 김수박 - 9호(2007년 7월 1일) 《그의 낡은 하모니카》 : 훵크D - 9호(2007년 7월 1일) 8호에 실린 《하모니카 원쓰 어게인》의 후속편이다. 《괴담》 : 탁영호 - 10호(2007년 7월 15일) 《일상》 : 마영신 - 12호(2007년 8월 15일) 《첫사랑》 : 김수박 - 12호(2007년 8월 15일) 《날개》 : 탁영호 - 13호(2007년 9월 1일) 《마가렛, 사랑의 행방》 : 김문희 - 14호(2007년 9월 15일) 《밍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소녀》 : 박형동 - 15호(2007년 10월 1일) 이 작품은 작가의 단편집 《바이바이 베스파》에 실려있다. 참고로 단편집에는 작가가 《팝툰》에 그렸던 표지그림도 들어있다. 《바이 바이 베스파》 출판사 : 애니북스, 2008년 3월 10일 발매 《괜찮아질거야》 : 송태욱 - 15호(2007년 10월 1일) 《나이트 그녀》 : 마영신 - 26호(2008년 3월 15일) 《선수 뜩구》 : 송태욱 - 31호(2008년 6월 1일) 《시선》 : 마영신 - 31호(2008년 6월 1일) 소설 《점》 : 글 강지영, 일러스트 김지은 - 36호(2008년 8월 15일) 《팝툰》 최초의 단편 소설. 여름 특선 공포 단편으로서 약간의 동성애적 감각이 들어있다.팝툰 36호(2008년 8월 15일) - Poptoon Ending 소설 《낙원고시원》 : 글 강지영, 일러스트 김지은 - 37호(2008년 9월 1일) 《시간여행보고서 : 뫼비우스의 띠》 : 조주희 - 41호(2008년 11월 15일) 《우주의 끝》 : 송태욱 - 42호(2008년 12월 1일) 《부쉬 드 노엘》 : 한혜연 - 44호(2008년 12월 15일) '부쉬 드 노엘'은 크리스마스 때 먹는 장작 모양의 케이크를 말한다. 《제주 자전거 여행 2009》: 김혜원 - 52호(2009년 6월호) = = = 2007 섬머 스페셜 단편 = = = 《누구야?》 : 정병식 - 9호(2007년 7월 1일) ~ 11호(2007년 8월 1일) 《동기감응》 : 한혜연 - 11호(2007년 8월 1일) 《Moment》 : 네온비 - 11호(2007년 8월 1일) 《논픽션》 : 김달님 - 11호(2007년 8월 1일) 《저주받은 공포의 커피테이블》 : 훵크D - 11호(2007년 8월 1일) = = = 2008 설 특집호 특선 중단편 = = = 《특전》 : 유시진 - 23호(2008년 2월 1일) 《지구와 가족에 대한 연구》 : 김진태 - 23호(2008년 2월 1일) 《한성유전》 : 한혜연 - 23호(2008년 2월 1일) 《비빔툰 외전》 : 홍승우 - 23호(2008년 2월 1일) 《오래된 습관》 : 글 남지은, 그림 김인호 - 23호(2008년 2월 1일) 《농곡》 : 이지현 - 23호(2008년 2월 1일) 《발광소년》 : 정병식 - 23호(2008년 2월 1일) 《허깨비가 살아간다》 : 장경섭 - 23호(2008년 2월 1일) = = = 여행 특집호 ‘떠나버리자!’ 단편 = = = 《굴욕과 슬픔의 여행기》 : 김진태 - 32호(2008년 6월 15일) 《메이드 인 홍콩》 : 억수 - 32호(2008년 6월 15일) 《일본 문학 + 맛 기행》 : 김혜원 - 32호(2008년 6월 15일) 《팝툰》과 일본국제관광진흥기구(JNTO)의 지원을 받고서 작가가 일본으로 여행을 갔고, 단행본은 7월 중에 발간될 예정이다. 《시간여행보고서 : 엄마의 시간》 : 조주희 - 32호(2008년 6월 15일) 《시간여행보고서》연작 중 하나이다. 《소년의 맛, 소녀의 맛》 : 박형동 - 32호(2008년 6월 15일) 《삼삼여행사》 : 장어진 - 32호(2008년 6월 15일) 여담으로, 정작 본 만화에서는 작가의 이름을 ‘장어준’으로 잘못 썼다. = = = = KBS 〈이야기 발전소〉 공동 기획 작품 = = = = 《숲을 향하다》 : 원안 이근혜, 글·그림 이지현 - 32호(2008년 6월 15일) 《가장소중한것을잃어버리는방법》 : 원안 조용래, 글·그림 김도연 - 32호(2008년 6월 15일) 실수로 원안자의 이름이 본지에서는 '조경래'로 잘못 출력되었다.32호 가장소중한것을잃어버리는방법 관련 - 팝툰, 독자 엽서, 2008년 6월 18일 = = = = Recommended Travel - 여행, excursion, 旅行, tour, trip = = = = 여행 《문득 떠났어요》 : 오기사 - 32호(2008년 6월 15일) 충청남도 서산의 개심사, 경상북도 안동의 병산서원을 다루고 있다. excursion 《눈물의 충청남도 백제불상 답사기》 : 호연 - 32호(2008년 6월 15일) 원래 병산서원을 담으려고 했으나 이미 오기사님이 원고를 내는 바람에, 급히 바꾸어서 낸 작품이다. 충청남도 태안의 태안 마애삼존불, 예산군의 예산리 사면석불, 국립부여박물관의 청양리 출토 도제대좌를 다루고 있다. 旅行 《화려하지 않은, '오래됨'의 도시 교토》 : 전지영 - 32호(2008년 6월 15일) tour 《서울의 궁, 맴맴맴》 : 코피 - 32호(2008년 6월 15일) 경복궁, 창덕궁, 경희궁, 경운궁, 창경궁을 다루고 있다. trip 《Africa? 탐방기》 : 아롱 - 32호(2008년 6월 15일) 서울특별시 안국동의 아프리카 미술관을 다루고 있다. = = 역대 〈팝툰〉 신인만화공모전 수상작 = = = = = 제1회 팝툰 신인만화공모전 수상작 = = = 우수작 《ALIVE》 : 이광열 - 14호(2007년 9월 15일) 우수작 《마누라, 호러퀸》 : 이지현 - 15호(2007년 10월 1일) 우수작 《나와 함께》 : 정필원 - 16호(2007년 10월 15일) 정필원은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과 학생으로, 2008년 졸업전에 발표했던 3개의 단편 중 하나를 출품했다. = = = 제2회 팝툰 신인만화공모전 수상작 = = = 우수작 《오룡예대로 오세요》 : 장어진 - 25호(2008년 3월 1일) 장편으로 기획되었으며, 1회에서 출품하였으나 탈락하고 다시 수정해서 당선되었다. 가작 《부드러운 인생》 : 김도연 - 25호(2008년 3월 1일) 3부작으로 기획된 작품 중, 1회만 출품하였다. = = = 제3회 팝툰 신인만화공모전 수상작 = = = 가작 《립스틱 감별사》 : 정서 - 38호(2008년 9월 15일) 가작 《동산빌라 사람들》 : 주영은 - 38호(2008년 9월 15일) 가작 《If I could meet again》 : 이경희 - 39호(2008년 10월 1일) 가작 《꽃을 피운 새싹》 : 이원후 - 40호(2008년 10월 15일) = = 역대 발간 〈팝툰 컬렉션〉 = = 팝툰 컬렉션 01 《전원교향곡》 1 : 이경석 2008년 4월 22일 발매 팝툰 컬렉션 02 《속 좁은 여학생》 1 : 토마 2008년 4월 22일 발매 팝툰 컬렉션 02 《속 좁은 여학생》 2 : 토마 2009년 2월 14일 발매 팝툰 컬렉션 03 《트레이스》(TRACE) VOL.1 : 고영훈(Nasty Cat) 2008년 4월 22일 발매 팝툰 컬렉션 03 《트레이스》(TRACE) VOL.2 : 고영훈(Nasty Cat) 2008년 5월 19일 발매 팝툰 컬렉션 03 《트레이스》(TRACE) VOL.3 : 고영훈(Nasty Cat) 2008년 12월 15일 발매 팝툰 컬렉션 04 《뭐 없나?》: 마영신 2008년 6월 17일 발매 팝툰 컬렉션 05 《자전거사신기》 : 송태욱 2008년 7월 14일 발매 팝툰 컬렉션 06 《좀비의 시간》 : 이경석 2008년 9월 8일 발매 팝툰 컬렉션 06 《애총》 : 한혜연 2009년 2월 26일 발매 팝툰 컬렉션 07 《플리즈, 플리즈 미!》 : 기선 2009년 4월 10일 발매 《설희》 1 : 강경옥 2008년 8월 12일 발매 《설희》 2 : 강경옥 2008년 11월 7일 발매 《설희》 3 : 강경옥 2009년 5월 8일 발매 《미스 문방구 매니저》 1 : 캐러멜 2008년 8월 29일 발매 《미스 문방구 매니저》 2 : 캐러멜 2009년 1월 30일 발매 《미스 문방구 매니저》 3 : 캐러멜 2009년 2월 13일 발매 = = 관련 상품 = = 팬더댄스 다이어리 2008 : 조경규 2007년 11월 1일 발매 ISBN 97889956659617 반양장본, 가격 : 13,500원, 판형 : 165x125mm, 분량 : 272쪽 = = 역대 편집장 = = 제1대 : 전재상 전재상은 《댕기》, 《마인》, 《윙크》, 《나인》, 《영점프》의 편집장을 맡았었고, 출판사 〈애니북스〉의 팀장을 맡았던 경력자이다. 제2대 : 이성욱 이성욱은 《한겨레》기자, 《씨네21》 취재팀장을 맡았었다. 현재는 《팝툰》의 편집장 및 《씨네21》의 출판사업부장을 맡고 있다. = = 뒷이야기 = = 제호는 제호 공모전에서 나온 이름이 아니라, 내부에서 나왔다.<대담> 창간 앞둔 새 만화 잡지 『팝툰』의 전재상 편집장을 만나다 - 만, 2007년 2월 7일 기사 처음에는 윤태호와 장경섭도 연재할 예정이었다. 창간 전에 홍대 앞의 만화 전문 서점 〈한양문고〉에서 실시되었던 설문조사를 참고하면 어떤 작가진이 예상되어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씨네21』의 만화잡지, 창간 준비를 위한 설문조사 중 - 서울 홍대 앞 <한양문고>에서 - 만, 2006년 12월 4일 기사 = = 특이사항호 = = 1호(2007년 3월 1일) 10호(2007년 7월 15일) 11호(2007년 8월 1일) 17호(2007년 11월 1일) : 전면 개편호 23호(2008년 2월 1일) 25호(2008년 3월 1일) 32호(2008년 6월 15일) 42호(2008년 11월 15일) : 전면 개편호 49호(2009년 3월호) : 월간으로 나오는 첫 호이자, 창간 2주년 기념호. 〈2주년 기념 팝툰 선물잔치〉가 열렸다. = 몽골저빌 = 몽골저빌 또는 몽골저드(Meriones unguiculatus)는 쥐과 메리오네스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황무지쥐아과(저빌)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종으로 애완동물 또는 실험용 동물이다. = = 특징 = = 몽골의 건조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위해, 몽골저빌은 포식자로부터 뛰거나 도망칠 수 있는 긴 다리와 씨앗과 거친 풀을 씹을 수 있는 날카로운 이빨, 건조한 먹이를 이용하거나 지방을 축적하기 위한 물 저장 기술을 발달시켰고, 물질대사를 통해 물을 만들어낸다. 야생에서, 등쪽 털은 일반적으로 불그스레한 색을 띠지만 배 쪽은 땅의 강한 열을 반사시키기 위해 흰색을 띤다. 포획 상태에서는 다양한 색을 띤다. 눈은 검거나 루비색을 띤다. 방어 매커니즘때문에 꼬리는 쉽게 벗겨진다. = = 생태 = = 야생에서 한 쌍의 부모와 마지막에 낳은 새끼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무리를 형성하여 살아간다. 지배적인 한 쌍의 저빌만이 번식을 한다. 한 무리가 차지하는 영역은 보통 325~1,150m2이다. 이 무리는 10~20개의 출구가 있는 주요 굴에서 만난다. 서식 영역 전체에 흩어져 있고, 1~3개의 출구가 있는 더 깊은 굴이 있어서 무리가 주요 굴에서 너무 멀어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사용한다. 표본의 평균 수명은 3~4년, 예외적으로 5년이 될 때도 있다. = = 분포 및 서식지 = = 몽골 스텝 지대와 준사막 지대에서 서식한다. 서식지의 토양은 모래로 풀과 관목이 흩어져 있다. 이 지역 기후의 특징은 건조하고 추운 겨울과 뜨거운 여름이다. 온도가 50 ° C에 달하지만 한해 대부분은 약 20 ° C 정도이다. 가혹한 날씨때문에 조류와 뱀을 제외하고는 포식자가 많지 않다. 하루 중 가장 더운 때를 굴 속에서 보내는 주행성이자 야행성 동물이다. = 도조정 (효고현) = 도조정(東条町)은 효고현 남동부에 있던 정으로, 가토군에 속했다. 2006년에 가토군 야시로정, 다키노정과 신설합병해, 가토시가 되었기 때문에 소멸하였다. = = 역사 = = 1955년 3월 31일 - 나카토조촌, 가미토조촌이 합병해 성립하였다. 2006년 3월 20일 - 다키노정, 야시로정과 합병해 가토시가 성립하였다. 동일 도조정은 폐지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서일본 여객철도 가코가와 선 = = = 도로 = = = 주고쿠 자동차도 = 타임즈 업 = 타임즈 업(Time's Up)은 다음을 가리킨다. Time's Up (운동) Time's Up: 아만다 레아의 1987년 노래 Time's Up: 리빙 컬러의 1990년 노래 Time's Up: 제이다키스의 2004년 노래 = 존 메이너드 스미스 = 존 메이너드 스미스(John Maynard Smith,"스미스"가 아니고 "메이너드 스미스"가 성이다. 1920년 1월 6일 ~ 2004년 4월 19일)는 영국의 이론진화생물학자이자 유전학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항공 엔지니어로 일했으나 이후 J. B. S. 홀데인에게 배워 유전학자가 되었다. 메이너드 스미스는 진화의 여러 주제에 게임 이론을 적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히가시코모로역 = 히가시코모로역은 일본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2010년도 : 86명 2011년도 : 95명 = = 역 주변 = = 국도 제141호선 = = 역사 = = 1952년 7월 10일 : 국철의 역으로서 개업. 여객 영업만.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 베리 제도 = 베리 제도는 바하마의 군도로 면적은 78km2, 인구는 798명(2010년 기준)이다. 30개의 섬과 100여 개에 달하는 작은 환초로 구성되어 있다. 1836년 영국의 바하마 총독인 조지 콜브루크(William Colebrooke)가 해방 노예들과 함께 정착했다. = 분류:가나의 대회별 축구 선수 = = 포털:요즘 화제/달력/2022년 1월 = = = = 부고 = = = 2021년 12월 2022년 1월 2월 = = = 선거 = = = 19일: 바베이도스 총선거 24일: 이탈리아 대통령 선거 30일: 포르투갈 총선거 편집하기 = 분류:작센바이센펠스가 = = 분류:케냐 정부 = = 분류:브리즈번의 거리 = =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1884년 출판한 유물사관 논문이다. 이 논문은 루이스 모건의 책, 고대 사회(Ancient Society)에 대한 카를 마르크스의 주석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이 책은 초기 인류학적 저술이며 가족 경제학에 대한 최초의 저술 중 하나이다. = = 배경 = = 사상적 동반자이자 친구인 카를 마르크스가 1883년 죽은 이후,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실제로 마르크스의 다양한 저술을 정리하고 출판을 준비하여 마르크스 사상의 실행자로 활동하였다. 엥겔스가 자신의 시간을 전부 이러한 활동에 쓴 것은 아니었고 자기 자신만의 관심에 대한 독서와 저술을 이어나가려고 하였다. 1883년 저술한 자연변증법의 원고가 완성되지도 출판되지도 않은 상태로 남은 반면, 취리히에서 1884년 봄에 출판된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엥겔스는  초기 인류학자 루이스 모건의 고대 사회에 대하여 마르크스가 손으로 쓴 요약을 읽은 후 가족의 기원 저술을 1884년 4월 초에 시작하여 5월 26일에 완료하였다.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모건이 처음 제기한 아이디어에 대한 책 길이의 비평적 논의를 의도하였다고 믿었으며, 마르크스의 문학적인 지령을 충족하는 수단으로서 원고를 출판하기로 결심하였다. 엥겔스는 자신의 저술 동기를 인정하는 것을 잊지 않았으며, 초판 서문에서 "자신의 유물사관과 관련하여 모건의 연구 결과를 드러낸 영예는 마르크스에게 있다."고 언급하였다. = = 내용 = =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은 고대 사회에 대한 집중적 논의에서 시작한다. 고대 사회는 엥겔스의 시대에 일반적으로 이해되던 바와 같이 인류의 발전의 주요 단계를 서술하였다. 이 책은 인간 사회에서 최초의 가정(domestic) 집단은 가족이 아니라 모계 집단이라고 주장하였다. 엥겔스는 루이스의 고대 사회를 요약하며 모건의 견해를 따른다. 모건은 미국의 변호사였으며, 미국 원주민의 토지 권리를 옹호하여, Seneca Iroquois 족의 명예 부족원이 되었다. 전통적으로 Iroquois 족은 모계에 기반한 긴 공동 주택에서 거주하였으며 처가살이를 하였다. 엥겔스는 모건의 모계 집단의 발굴의 이론적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모건과 엥겔스에 따르면 원시 공산제는 여성이 자신의 자매와 살며 "나의 자매의 아이는 나의 아이"라는 원리를 적용하는 모계 집단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은 함께 살면서 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동 가구에서 사는 여성은 다른 여성에 대하여 강한 연대감을 느끼며 필요할 때는 비협조적인 남성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모건에 따르면 양도 가능한 재산의 등장은 시집살이와 부계로의 이행을 촉발하여 여성의 힘을 약화시켰다. = 이재명 (동음이의) = = = 19세기 = = 이재명(李在明, 1830~189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명(李載明, 1842~?): 조선 후기의 무신 이재명(李在明, 1887~1910): 구한말의 독립운동가 = = 20세기 = = 이재명(李載明, 1908~1987):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의 영화인 이재명(1946~): 대한민국의 성우 이재명(李在明, 1948~):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제14·15대 국회의원 이재명(李在明, 1963~): 대한민국의 변호사, 정치인. 제19·20대 성남시장. 민선 7기 경기도지사 이재명(1991~):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재명: 대한민국 가수 제이원의 본명 = 장덕진 (1898년) = 장덕진(張德震, 1898년 ~ 1924년)은 구한말의 독립운동가이다.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상받았다. 독립운동가 겸 언론인으로 활약한 큰형 장덕준과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여 발기인 성명서 작성을 기초하였다. 그의 둘째 형은 한국민주당 수석총무를 역임하였던 장덕수이다. 장덕진은 상해 임시정부의 행동대원으로 상하이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 카지노를 털다가 사살되었다. =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鷄卵自助金管理委員會)는 계란자조금의 소비 홍보, 정보 제공, 조사 연구, 수급 조절을 통해 계란농가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이다.화제의 인물 / 안영기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위원장현대축산뉴스2013년 12월 31일 류필선 기자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계란, 여름철 건강관리 도움” 서울경제2013년 6월 27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553-14 경희빌딩 3층에 위치하고 있다. = = 설립 근거 = = 축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제3조축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제3조(축산자조금의 설치) ① 축산단체가 축산자조금(이하 "자조금"이라 한다)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축산물별로 의무축산자조금(이하 "의무자조금"이라 한다)과 임의축산자조금(이하 "임의자조금"이라 한다)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② 하나의 축산물에는 하나의 자조금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쇠고기의 경우에는 한우와 육우를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라 자조금을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축산물에 2개 이상의 축산단체가 있는 경우에는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동으로 하나의 자조금을 설치하여야 한다. = = 연혁 = = 2009년 6월 계란의무자조금 설립 = = 조직 = = = = = 대의원회 = = = = = = = 위원장 = = = = 관리위원회 감사 사무국 부위원장 당연직 위원 (6인)대한양계협회장,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축산지원부장,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장, 소비자대표(소비자시민모임 이사), 학계(건국대학교 교수) 선출직위원 (13인) = 분류:나라별 노예 = = 틀:토막글/그림/인터넷 = 틀:토막글/그림/인터넷 틀:토막글/그림/웹사이트 틀:토막글/그림/도메인 이름 틀:토막글/그림/컴퓨터 인터넷 = 화양연화 (동음이의) = 화양연화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화양연화: 2000년 개봉한 홍콩 영화. 왕가위 감독 화양연화 pt.1: 2015년 4월 발매한 방탄소년단의 EP 화양연화 pt.2: 2015년 11월 발매한 방탄소년단의 EP 화양연화 Young Forever 2016년 발매한 방탄소년단의 리패키지 음반 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 2020년 방영한 tvN 토일 드라마 = 1999년 삼성 라이온즈 시즌 = 1999년 삼성 라이온즈 시즌은 삼성 라이온즈가 KBO 리그에 참가한 18번째 시즌이다. 서정환 감독이 팀을 이끈 마지막 시즌이며, 류중일이 주장을 맡았다. 팀은 4팀 중 매직리그 1위(한화 이글스를 1경기 차로 따돌렸다.), 8팀 중 정규시즌 통합승률 3위에 오르며 3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고 1985년 1992년 1993년 1995년 1997년 스프링캠프를 치른 베로비치 대신 플로리다 포트 마이어스의 보스턴 레드삭스 전용훈련장에서 전지훈련을 치뤘는데 1997년 LA 다저스에서 자매결연을 전제로 고액의 스프링 캠프 사용료를 요구하자 포트 마이어스에서 해당 년도에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하지만, 확실한 에이스의 부재 뿐 아니라 전년도 15선발승을 기록한 베이커가 이 해(1998년) 연봉의 배 이상의 연봉을 불러온 것 외에도 딸까지 둔 가장이었으나 경기가 끝날 때마다 여자를 요구한 데다 평소 주심의 스트라이크 존에 불만이 많아 어느 날 심판 판정에 불복하여 심판에게 욕설을 하는 등 좋지 않은 인성을 가졌던 터라 삼성과 재계약에 실패하여 미국으로 돌아간 데다 고참 성준도 롯데로 이적하여 쓸만한 좌완 투수 부재에 시달린 데 이어 시즌 초중반 구위가 아주 좋았던 이준호 정현욱이 페이스를 유지하는 데 실패해 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3승 4패로 통한의 역전패를 당했고 이후 한화 이글스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면서 삼성은 통합 4위가 되었는데 10선발승을 기록한 노장진 (15선발승)(4위) 김상진(12선발승)(강병규와 공동 9위) 김진웅 (11선발승) 이들 3명의 평균자책점이 4점대 이상이었던 데다 에이스 김상엽과 외야수 강동우가 부상으로 정규시즌 뿐 아니라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했고 중견투수 김인철도 발목부상 때문에 전지훈련 도중 중도 귀국했으며 이 탓인지 삼성은 1999년 이후 플로리다 전지훈련과 인연이 끊겼고 타격에서는 백업멤버를 키우지 못한 데다 2~3명 있는 대타요원마저 수비능력이 떨어지거나 기량차가 커 시즌 도중 스미스 김한수 정경배 김기태 신동주 등 주전들이 차례로 한두달씩 슬럼프를 맞아 고전을 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1997년 10월 30일부터 3년 계약 형식으로 삼성 감독에 취임한 서정환 감독이 계약기간을 1년 남겨둔 채 11월 1일 사임했고 서정환 감독은 잔여연봉을 챙겨주기 위해 11월 12일부터 사장 보좌역을 맡았으며 해태 김응룡 감독을 영입할 예정이었으나 김 감독이 갑작스럽게 마음을 바꾸자 김용희 수석코치가 같은 날 2년 계약 형식으로 감독 취임했다. 하지만, 김용희 감독 부임 첫 해인 2000년에도 쓸만한 좌완투수 부재에 시달려 같은 해 준플레이오프 2승 1패를 거둔 뒤 진출한 플레이오프에서 4패를 당하자 김용희 감독이 1년 만에 해임당했고 이 과정에서 서정환 사장 보좌역도 물러났으며 삼성은 2001년 정규시즌 1위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역시 쓸만한 좌완투수 부재를 극복하지 못한 채 충격의 역전패를 당해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 =특이 사항 = = 플레이오프 당시, 삼성은 4차전까지 3승 1패로 앞섰으나, 확실한 에이스의 부재 뿐 아니라 전년도 15선발승을 기록한 베이커가 이 해(1998년) 연봉의 배 이상의 연봉을 불러온 것 외에도 딸까지 둔 가장이었지만 경기가 끝날 때마다 여자를 요구한 데다 평소 주심의 스트라이크 존에 불만이 많아 어느 날 심판 판정에 불복하여 심판에게 욕설을 하는 등 좋지 않은 인성을 가졌던 터라 삼성과 재계약에 실패하여 미국으로 돌아간 데다 고참 성준도 1997년 플레이오프에서의 부진 탓인지 전년도(1998년) 플레이오프 엔트리에서 제외되었으며 결국 1998년 시즌 뒤 롯데로 이적해 쓸만한 좌완 투수 부재에 시달려 5~7차전을 모두 1점 차로 내주고 탈락했는데 이 중 5, 7차전은 연장 승부였으며 삼성은 2000년 시즌 후 쓸만한 좌완 선발투수 보강을 위해 베니토 바에스를 영입할 예정이었지만 바에스가 계약 직전 메이저리그(플로리다 말린스) 스프링캠프에 합류하여 무산됐다. = 2017년 K7리그 신안 = 2017년 K7리그 신안은 K7리그 신안의 2017년 시즌 축구 대회이다. 각 경기는 전·후반 각 35분씩 70분 경기로 진행되었다. = = 선수단 = = 선수단 첫 참가 참가 횟수 연고지 홈 경기장 수용좌석 신안 압해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신안 지명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신안 회오리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신안 후광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신안 AT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신안 FC 2017 1 신안 신안공설운동장 880 = = 경기 결과 = = = = = 1라운드 = = = = = = 2라운드 = = = = = = 3라운드 = = = = = = 4라운드 = = = = = = 5라운드 = = = = = 최종 순위 = = 선수단 비고 신안 FC (C) (P) 12 5 4 0 0 1 18 10 +8 승격: 2018년 K6리그 전남 신안 후광 FC 12 5 4 0 0 1 17 6 +11 3 신안 압해 FC 12 5 4 0 0 1 18 11 +7 4 신안 AT FC 6 5 2 0 0 4 11 18 -7 5 신안 지명 FC 3 5 1 0 0 4 10 14 -4 6 신안 회오리 FC 0 5 0 0 0 5 2 17 -15 승점 부여 방식: 승리 3점, 승부차기 승리 2점, 승부차기 패배 1점, 패배 0점 순위 결정 방식: 1) 승점, 2) 승자승, 3) 승리수(필드승), 4) 추첨 범례: (C) 우승, (P) 승격 = 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 = 분류:2010년 설립된 축구단 = = 최상돈 = 최상돈(崔相敦, 1869년 음력 5월 8일 ~ 1916년 양력 12월 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다. = = 생애 = = 1895년 대한제국의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했다. 3년여간 일본의 체신과 철도 업무에 대한 실무를 익힌 그는 귀국하여 철도 기사로 근무했다. 러일전쟁 때 군용철도 종사원으로 일본군을 도운 공로를 인정받아 1908년 훈4등 서보장을 받았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 중추원 부찬의에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도 서훈받았다. 일본 유학파인 그는 일찍부터 일본과 가깝게 지낸 것으로 보인다. 이미 1905년에 일본 정부로부터 훈5등 서보장을 받은 바 있고,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의 저격으로 사살당하자 추도회에 참가했으며, 1914년 일본 메이지 천황의 부인인 쇼켄 황태후가 사망했을 때는 중추원을 대표하여 박제순, 민상호와 함께 조문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 High Stakes & Dangerous Men = High Stakes & Dangerous Men는 1992년에 발매된 UFO의 음반이다. = 필립스 판 마르닉스 = 필립스 판 마르닉스 판 신트알데혼데는 남네덜란드 출신의 네덜란드의 백작이다. 그는 현 네덜란드의 국가인 빌헬무스 판 나소우베를 작사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 분류:아프가니스탄의 재무장관 = = 315년 = = = 연호 = = 서진(西晉) 건흥(建興) 3년 성한(成漢) 옥형(玉衡) 5년 전조(前趙) 가평(嘉平) 5년 / 건원(建元) 원년 = = 기년 = = 서진(西晉) 민제(愍帝) 3년 신라(新羅) 흘해 이사금(訖解泥師今) 6년 고구려(高句麗) 미천왕(美川王) 16년 백제(百濟) 비류왕(比流王) 12년 = 분류:나미비아의 자연재해 = = 분류:고대 척추동물 = = 석기시대 = = 구위안시 = 구위안(고원, )은 중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지급시이다. 자치구의 최남단부를 차지한다. = = 행정 구역 = = 1개 시할구, 4개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위안저우 구(原州区) 현 시지 현(西吉县) 룽더 현(隆德县) 징위안 현(泾源县) 펑양 현(彭阳县) = 분류:조동희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조동희가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상속결격 = 상속 결격은 한국 민법 제1004조에 규정되어 있는 상속을 받을 수 없는 이유를 말한다. = =미국의 살인자법 = = 살인자법(Slayer rule)은 피상속인을 살해한 상속인은 상속을 받을 수 없다는 미국 상속법 규칙이다. 상속인이 형사적으로 살인죄 유죄 평결을 받을 필요는 없고 민사적 판결로 충분하다. 한국 민법의 수증자의 망은 행위, 즉 증여자에 대한 수증자의 범죄 행위가 있는 경우 증여자는 그 증여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는 조항과 유사하다.(제556조 제1항 제1호) = 동대문고속버스터미널 = 동대문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 289-3번지에 있던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1970년대에 잠시 존재하였다. = = 개요 = = = = = 건립 및 통합 = = = 1968년에 서울전차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전차 차고지 부지가 유휴지로 변하게 되었다. 그러다 1970년 전차 차고지에 동대문종합시장이 건립되면서 그 중 한동으로 고속버스터미널이 건립되었다. 실제 고속버스터미널 건립은 동대문종합시장이 건립되고 난 후인 1972년에 이루어졌다. 1972년 건립 당시 터미널은 도로를 두고 서쪽은 군산, 이리, 연무대, 전주 방면 노선이 운행하였으며, 건너편 동쪽은 김천, 경주, 포항, 울산 방면 노선이 운행하였다. 그러다 5월 11일에 광주고속, 천일고속, 한남고속, 한일고속으로 이루어진 벤즈고속이 서쪽 터미널 옆으로 이전하여 부산, 대구, 대전 방면 노선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벤즈고속 5월11일부터 경부선 터미널 동대문으로 이전, 동아일보 광고, 1972년 5월 10일 게재. 1973년 7월 1일에는 종로구 관철동에 위치했던 삼화고속버스터미널과 중구 을지로3가에 위치했던 속리산고속버스터미널, 중구 충무로3가에 위치했던 유신고속버스터미널을 이 터미널로 통합하였다. 통합 당시 이 터미널에는 한일고속, 한남고속, 광주고속, 천일고속, 동부고속, 중앙고속 6개 회사가 운행하고 있었다.삼화·유신·속리산 버스터미널 없애 東大門(동대문)에 집결, 경향신문, 1973년 6월 11일 작성. = = = 이전 및 폐지 = = = 그러나 버스터미널이 서울 강북 지역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교통부에서는 1977년 4월 21일부터 운행 구간이 서울에서 200km 이상 되는 고속버스 노선을 모두 강남으로 옮기게 하면서 서울시에서는 이를 따라 서울 도심지에 있던 6곳의 고속버스터미널 중 가장 먼저 이 터미널 부지에 대해 정류장 시설에서 주차장 시설로 바꾸어 고시해버렸다. 이는 도시계획법 상 정류장 시설을 폐쇄하면 더이상 매표 업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강제로 터미널을 옮기고자 하는 조치였다.東大門高速(동대문고속)버스 터어미널 「駐車場(주차장)」으로 바꿔, 동아일보, 1977년 4월 9일 작성. 사실 서울시에서 기존 터미널 부지를 주차장 시설로 고시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서울시에서 강북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버스 터미널들을 모두 강남으로 이전하려고 하자 터미널 소유주들이 이 자리에 빌딩이나 종합시장을 개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새롭게 빌딩이나 시장이 들어설 경우 안그래도 교통 혼잡과 인구 집중 문제 때문에 강남 지역으로 터미널을 옮기려는 서울시의 목적과 어긋났기 때문에 이 부지들을 주차장 지역으로 고시하여 당시 부족했던 서울시 내 주차 공간을 확보하여 주차장 이외의 용도로는 활용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江北(강북)6개 高速(고속)버스터미널 駐車(주차)전용 지역으로 묶기로, 경향신문, 1977년 4월 11일 작성. 이로서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 노선을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옮기기 시작하여 1977년 8월 20일에 남은 잔여 노선이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모두 이전하면서 완전히 폐지되었다.東大門(동대문) 高速(고속)버스 터어미널 20日(일)부터 완전閉鎖(폐쇄), 동아일보, 1977년 8월 12일 작성. = = 현황 = = 터미널이 이전하고 남은 부지는 서울시에서 주차장 시설로 고시하였기 때문에 인접한 동대문종합시장의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2011년 JW 매리엇 호텔에서 이 부지에 호텔을 짓기 시작하여 2014년 2월 4일에 'JW 매리엇 동대문 스퀘어 서울'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했다.JW메리어트, 동대문에 럭셔리 호텔 개관, 연합뉴스, 2014년 2월 4일 작성. = 분류:스위스의 카지노 = = 4·19 운동 = 4·19 운동은 콜롬비아의 좌익 유격대였다. 해산 이후 M-19 민주동맹이라는 정당으로 전환되었다. 1970년 부정선거 때 군사독재자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의 정당인 국민대중연합(ANAPO)선거 승리를 부정하면서 탄생했다. M-19는 좌익 국민주의 조직으로, 콜롬비아의 민주화를 목적으로 활동했다. 남미의 다른 도시유격대들(우루과이의 투파마로스, 아르헨티나의 몬토네로스 등)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85년 중순 유격대원 수는 1,500-2,000 명이었다. 활동 당시 M-19는 콜롬비아 무장혁명군(FARC)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좌익 유격대였다. = 대한민국 형법 제328조 = 대한민국 제328조는 친족간의 범행과 고소에 대한 형법각칙의 조문이다. = 5인조 (자유민주당) = 5인조는 2000년 4월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오부치 게이조가 병으로 쓰러지자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모였던 자유민주당의 유력 의원 5명을 말한다. 멤버는 모리 요시로 간사장, 아오키 미키오 관방장관, 무라카미 마사쿠니 참의원 의원회장, 노나카 히로무 간사장 대리, 가메이 시즈카 정조회장이다. 후임으로는 모리가 결정됐는데 무라카미가 "당신이 하면 되지 않나"라고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 = 경위 = = 4월 2일 오전 1시경 오부치가 준텐도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에 긴급 입원했다. 한 시간 정도 지난 뒤 후루카와 도시타카 총리대신정무비서관이 아오키에게 총리의 입원 사실을 알렸고 6시경 주치의가 아오키를 방문했다. 정오에 아오키가 호텔 뉴 오타니 도쿄에서 5인조를 모아 총리 대리와 후임 총리에 대한 논의를 했다. 오후 7시 아오키가 의원을 찾아 오부치와 면담을 했으며일부 언론은 실제로 만났는지 의심하는 보도를 내기도 했다. 4시간 뒤에 아오키가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총리가 컨디션 불량으로 입원했음을 정식으로 공표했다. 자정 무렵에 5인조가 다시 호텔 뉴 오타니에 모여서 아오키가 총리 대리를 맡고 후임 총리는 모리로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내각총사퇴, 국회 본회의 등의 일정도 함께 정했다. 오전 11시 아오키가 정례 기자회견에서 오부치의 병명이 뇌경색임을 공표하고 오부치의 뜻에 따라 자신이 총리 대리가 되었음을 발표했다. 4월 4일 내각이 총사퇴를 결의했다. 다음 날 오전 자민당 양원총회에서 모리를 신임 총재로 선출하고 오후 국회 양원 본회의에서 모리가 총재로 지명받고 조각을 단행했다. 이후 오부치는 5월 14일 병을 이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한편, 자민당 3역 중에서 이케다 유키히코 총무회장만 참여하지 않았다. 모리가 이케다에게도 출석을 요청했지만 이케다가 당시 당무가 서툴러 컨디션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출석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한다. 다만 모리를 후임 총리로 결정할 때 전화를 통해 이케다의 동의도 구했다. = = 비판 = = 아오키는 자신이 총리 대리로 취임한 것이 오부치가 병상에서 지명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사실 관계에 대해서는 의혹도 많고 정당성 논란도 있다. 다만 오부치가 총리로 재직하면서 외유를 나갔을 때 총리 대리를 맡았던 건 항상 관방장관이었다. 야당인 민주당은 아오키가 총리 대리 자격으로 양원 의장에게 내각총사퇴 통지서를 보낸 것에 대해 관직 사칭과 공문서 위조 등의 혐의가 있다며 고소했지만 불기소처분되었다. 하지만 일국의 총리 후임을 소수의 5명이 호텔에 모여 밀실에서 정한 것에 대한 국민적 비판은 끊이지 않았다. = = = 5인조의 반론 = = = 모리는 훗날 "심야 회의에서 순식간에 '모리 씨, 후임자는 당신밖에 없다'라는 결론이 나왔다. 노나카 씨는 '공명당도 모리 씨라면 좋다고 한다'고 말했다. 가메이 시즈카 정조회장도 무라카미 마사쿠니 참의원 의원회장도 나를 지지했다. 이케다 유키히코 총무회장에게는 전화로 연락해 '저도 그걸로 좋습니다'라고 대답해줬다"라고 술회했다.『나의 이력서 - 모리 요시로 회고록』, 니혼게이자이신문사, 2013년, 210-211쪽 또한 모리는 "5명의 모임에서 이루어진 합의는 당 집행부로서 차기 총재 선거 후보로 나를 추천한 것입니다. 차기 총재 선거를 양원 의원 총회에서 진행하면 다른 사람도 입후보할 수 있습니다. 밀실에서 정한 것이 아니죠. 가토 고이치 씨도 나오고 싶다면 손을 들었으면 됐을 일입니다. 하지만 손을 들지 않고 모리가 돼도 좋다고 말하셨죠"라며 밀실 주장을 부정했다.모리 요시로 『자민당과 정권 교체』, 아사히신문사, 2007년, 226쪽 또한 당시 자민당은 연립 정권에서의 이탈을 막아야 하는 중요한 국면이었다는 점, 예산안은 통과되었지만 부속 법률안들이 아직 통과되지 않았다는 점, 통상적인 절차를 밟았을 경우 한 달 정도의 시간이 걸렸을 거란 점 등을 들며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주장했다.「롱 인터뷰 모리 총리 「한」의 1년 - 2시간동안 매스컴에 대한 비난을 이야기하다」 『월간경영숙』 2001년 6월호「총리란 부자유다」 『분게이슌주』 2000년 10월호 모리가 총리로 재직할 당시 분게이슌주와의 인터뷰 때 야당의 비판을 두고 "자민당 내부의 비판은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야당이 그런 말을 할 자격은 없다"고 말했다. 이는 민주당 총재 선거에 입후보한 고미야마 요코와 가와무라 다카시가 당내의 기류 때문에 출마를 포기한 점과 일본공산당 당직 인사가 투명하게 진행되지 않은 점을 저격한 것이었다. 이후 나카소네 재정을 통해 다케시타 내각이 발족한 것이 모리 내각 발족과 비슷하다고 기자가 말하자 모리는 "재정과 같은 그런 방법에 비하면 내가 선출된 방법이 더 투명하다", "나는 딱히 총리의 자리를 원했던 것이 아니다", "그리 간단하게 총재를 바꿔도 좋은가라는 생각도 든다", "연립 문제도 있다. 또 자유당이 연립을 이탈할지 결정되지 않은 시점이니 (중략) 연립 얘기를 이어왔던 공명당과 자유당 사람들과 합이 맞지 않는 사람을 총리로 내세워도 되는 것인가, 절대 그럴 리가 없다――그런 기분이었다"라고 답했다. 이는 나카소네 재정 당시보다 지금의 매스컴의 비판이 더 심한 것에 대한 반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부치 내각에서 교육 문제 담당 보좌관으로 근무하던 마치무라 노부타카는 모리에게 "교육 개혁은 어차피 이번 정권에서는 힘들다. 자네가 다음 정권을 맡을텐데 딱 좋은 주제가 아닌가"라고 말했다고 모리가 훗날 밝혔다.모리 요시로 『자민당과 정권 교체』, 아사히신문사, 2007년, 214쪽 오부치가 사전에 모리를 후임자로 생각하고 있었다는 얘긴데 제3자 증인이 없어서 사실 여부는 불투명하다. 무라카미는 주간신조에 발표한 수기를 통해 "확실하게 당내 수속을 밟아 자민당 양원 의원 총회를 통해 총재를 선출한 것이니 밀실에서 정했다고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노나카는 "아오키 씨에게 그러한 설명이 있었고 잠시 무거운 침묵이 이어진 뒤에 무라카미 마사쿠니 씨가 '모리 씨, 당신이 하는 것 외엔 방법이 없지 않은가'라고 말하고 가메이 씨가 동조하여 모리 씨가 후계를 잇는 것이 결정되었다"라고 회고록에서 밝혔다.노나카 히로무, 『노병은 죽지 않는다 - 노나카 히로무 전 회고록』, 분게이슌주, 2003년, 156-157쪽 가메이는 "이대로 계속 아오키 씨가 총리 대리를 할 수 없으니 무라카미와 내가 모리에게 수상을 해라는 식으로 유도하자 모리가 기다렸다는 듯이 반응했다. 아오키 씨와는 와세다 대학 선후배 사이로 사이도 좋았고 인망도 있었고 반대도 없었고",슈칸겐다이 2018년 12월 8일호, 가메이 시즈카의 정계 교차점 / 모리 요시로-오부치 게이조가 쓰러지도 모리 후계를 밀실에서 정하다, 66~67쪽 "자민, 자유, 공명 3당 연립 정권은 확실히 오자와에게 휘둘리고 있었다. 오부치의 병과 인과 관계가 있는지는 별개로 하고 자민당이나 정부 간부는 급히 호텔에서 대응을 얘기했다. 그래서 무라카미가 '네가 하면 어떻겠나, 간사장도 맡고 있으니'라고 하자 모리도 싫지 않다는 태도를 보였다. 나도 '하고 싶지?'라고 등을 밀어줬다. 세간은 밀실 정치라고 말하지만 굉지회 말고도 각 파벌의 수장격이 모여있었다. 양원 의원 총회도 열렸고 모의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 = 후일담 = = 나중에 가토의 난이 일어나게 된 원인으로 이때의 후임자 선출 과정에서 모리가 선출된 것을 들기도 한다. 무라카미는 "오부치의 후임을 노리던 가토를 무의식 중에 경계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무라카미 마사쿠니, 히라노 사다오, 후데사카 히데요 『자민당은 왜 무너졌나 - 격동하는 정치를 읽는 법』 45쪽 저널리스트 세리카와 요이치는 "총재 파벌이었던 오부치파는 어떻게 권력을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을까 하는 점이 가장 큰 과제였다. 내각의 아오키 관방장관, 모리의 후임으로 간사장이 된 노나카와 함께 오부치파가 권력의 축을 억누른 셈이다. 무라카미·가메이파도 참의원과 정조회를 억눌러 권력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이상 이를 내버려둘 수는 없었다. 모리파, 오부치파, 무라카미·가메이파는 각자의 사정에 따라 연합을 한 셈이다. 이는 오부치의 후임자로 유력시되던 가토 고이치 전 간사장을 막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하지만 형식적으로라도 총재 선거를 실시하지 않아 모리 정권은 언제까지고 5인조의 밀실 협의를 통해 탄생했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정통성에 문제가 있다고 보였던 것이다"라고 자신의 저서에서 밝혔다.세리카와 요이치, 헤이세이 정권사, 2018년, 147쪽, 니혼게이자이신문출판사 한편 오부치의 사례처럼 총리가 갑자기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비상 사태를 대비하여 모리 내각부터는 총리 대리 예정자 5명을 미리 지정하여 관보에 게재하는 관례가 생겼다. = 분류:대한민국의 범죄 = = 알리 사당 = 블루 모스크(Blue Mosque, Shrine of Hazrat Ali)는 아프가니스탄 마자르이샤리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있는 모스크이다. 셀주크 왕조의 술탄 아흐메드 산자르는 마지르이샤리프에 첫 사당을 지었다. 1220년대의 칭기즈 칸의 침략 기간 동안 일정 부분이 파괴되거나 둑에 묻혔다. 그리고 15세기에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가 현재의 블루 모스크를 지었다. 이는 마자르이샤리프에서 가장 중요한 명소이며 도시의 이름도 (귀족 사당, 샤리프의 무덤) 이 사당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 AOD = AOD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주문형 오디오(Audio on demand) 진공 산소 탈탄법(Argon oxygen decarburization) 포드 AOD 트랜스미션 민주주의의 병기창(Arsenal of Democracy) Always on Display: 삼성 갤럭시의 특정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슈퍼 AMOLED 기능 = 분류:일본의 도도부현별 가수 = = 분류:볼드 필름스 영화 = = 강만우 = 강만우(姜晩寓, 1959년 5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한국기원 소속의 바둑 기사이다. 오래전부터 본원 연구생 지도사범을 역임했으며, 제자로 목진석과 백대현이 있다. 이후 2019년 포항으로 이주하여 제2의 인생을 하고 있다. = = 약력 = = 충암고 시절 제8회 전국고교생 아마추어 바둑대회에서 준우승했고, 1978년에 입단했다. 1983년 박카스배 본선과 1985년 신왕전 본선에 진출했다. 1989년 제1기 기성전 본선과 1990년 신왕전, 최고위전, 바둑왕전 본선에도 올랐다. 1991년 바둑왕전 본선과 1992년 국기전, 패왕전 본선, 1993년 국기전, 제왕전 본선에도 진출했다. 1996년 제5기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본선에 진출했고, 1997년 8단을 거쳐 2005년 9월에 9단으로 승단하였다. 2007년 10월, 제9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 본선과 2008년 9월 제10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 본선 1회전에 진출했다. = 김사량 =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 ~ 1950년)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 = = 학력 = = 1931년 평양고등보통학교 퇴학 (1947년 명예 졸업장 획득) 1933년 구제 사가 고등학교 입학 1939년 도쿄 제국대학 문학부 독일문학과 졸업(졸업논문 주제는 하이네), 같은 해 도쿄 제국대학 대학원 입학 1941년 도쿄 제국대학교 대학원 독일어문학과 문학석사 졸업 = = 가족관계 = = 양친의 성명은 알려지지 않음. 단 모친은 미국 유학을 다녀오고 만주에 지점을 가진 백화점을 경영하는 기독교인이자 사업가였다고 함. 4남매로 김사량은 차남. 형 시명(時明), 누나 특실(特實), 누이동생 오덕(五德). 형 시명은 교토 제국대학 법학부 재학 중 동생 김사량의 도일을 도왔음. 홍천군과 평창군수를 지냈으며 황해도청 농상부장 겸 도참여관을 역임. 조선총독부 사상 유일한 조선인 전매국장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 교수, 중앙산임조합 연합회 이사장 등을 지냈으나 전쟁 중 인민군에 납치됨. 누이 오덕은 결혼하여 서울에 거주했다고 하나 흔적을 찾기 힘듦. 1939년 최창옥과 결혼, 교회에서 식을 올림. 두 남매를 둔 것으로 추정됨. = = 생애 = =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의 소설가, 희곡 작가. 일본어와 조선어 모두 작품을 남겼다. 1914년 3월 3일 평양부 인흥정 458의 84번지에서 출생했다. 김사량은 필명이고 본명은 시창(時昌)이다. 모친과 아내가 열렬한 기독교인으로 전해진다. 1940년 재일 조선인을 다룬 단편소설 <빛 속에>로 조선인 최초로 아쿠다가와 상 후보에 선정되었다. 여러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1년 12월 9일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날 예방검속법에 의해 구금되었다. 도쿄 제국대학 문학부 독일문학과를 졸업하고 평양 대동공업전문학교 독어교사로 부임했다. 일제 학도병 위문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된 틈을 타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에 입대하여 각종 희곡과 르포를 썼다. 이 때의 경험을 쓴 <노마만리>는 르포문학의 걸작이자 귀중한 사료로 꼽힌다.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귀국한 다음 북한 문학조직 정치활동 및 대학 강의, 창작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비김일성계파이기에 작품집에 실을 작품이 누락되는 등 부침을 겪는다. 1947년 시인 구상의 데뷔 작품집인 시집 <응향> 검열위원으로 관여했다. 이후 약 2년 간 침묵을 지키다가 1950년 6.25 종군 작가로 남하하여 종군기를 집필한다. 같은 해 10월경 강원도 원주 문막 부근에서 심장병으로 낙오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6월 25일 북한 전승기념일에 공화국영웅 칭호를 추서받았다. = = 인간 관계 = = 1936년 이마이 교헤이, 우메사와 지로, 신다니 도시오, 사와카이 스스무, 나카지마 요시히토와 동인 '제방'을 만들고 동명 잡지 발행. 1937년 <춘향전> 공연을 준비하던 무라야마 도모요시를 평양에 안내함. 1938년 이광수의 <무명> 번역하여 <모던일본>에 게재. 이광수는 이 작품으로 제1회 조선예술상 수상. 1939년 장혁주의 소개로 <문예수도> 편집장 야스타카 도쿠조에 사숙. <문예수도>에 아쿠다가와 상 후보작 <빛 속에>등 발표. 1942년 조선 방문에 나선 유아사 가쓰에, 야스타카 도쿠조, 나라사키 쓰토무, 미우라 이쓰오 등을 평양에서 맞이. 1945년 5월 학도병 위문으로 중국 파견. 가족에게 남기는 편지를 시인 노천명에게 전달하고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에 합류함. 같은 해 12월 한설야 등과 함께 조선문학가 동맹 결성을 위해 서울 방문, 이태준 등과 봉황각 좌담회 참가. = = 주요 작품 = = 해방 전 작품(*표시 조선어) : <빛 속에>(이하 단편소설) <향수> <풀숲 깊숙이> <천마> <도둑놈> <Q백작>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 <십장꼽새> <태백산맥>(장편소설, 국민문학 연재) 해방 후 작품 : <호접>(이하 희곡) <봇똘의 군복> <더벙이와 배뱅이> <노마만리>(르포) <칠현금>(이하 단편소설) <마식령> <차돌의 기차> = = 평가 = = 김사량은 남한에서는 월북 문인이자 일본어로 쓴 작가로, 북한에서는 비김일성계로 분류되어 오랫동안 그 존재가 잊혀져 있었다. 그러나 재일 한인 문학계에서는 효시적인 작가로 꼽히고 있다. 재일 한인문학계의 꾸준한 평가도 1984년 북한에서 복권된 배경 중 하나로 추정된다. 남한에서도 일부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었으나 월북 문인으로 분류되어 금지대상으로 묶여 있었다. 현재 남한에서 김사량은 비록 일본어로 썼으나 민족문학의 일원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조선어와 일본어 양쪽 모두 창작언어로 사용한 이중어적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입장, 탈식민주의와 트랜스내셔널리즘 문학이론의 관점으로 보는 입장 등이 산개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김사량을 소시민적 안주에서 벗어나 민족적 양심을 지킨 작가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 영어로 재일 한인문학을 소개하는 선집이 출간되었으며 김사량의 <빛 속에>가 표제작으로 포함되어 있다. = = 일화 = = 김사량의 집안은 상당히 부유했으며 일제 말기 비행기 헌납을 강요당한 나머지 모친이 구금되기도 했다. 최승희에게 검무를 가르쳤다고 하며 술자리에서 자를 들고 춤을 추어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빛 속에>의 주인공 남선생은 무용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친일 조선 지식인을 통렬하게 비판, 풍자한 <천마>는 평론가 김문집을 모델로 하고 있다. 김문집은 해방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태평양 전쟁 다음날 구금당한 뒤 풀려나서 옥중에서 만난 경제학자에게 들은 '총력전으로 가면 경제적으로 약한 일본이 질 수 밖에 없다'는 말을 친한 사람들에게 전했다고 한다. 일부 연구자는 이 때 연안 탈출을 결심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중국에서 가족에게 전하는 편지를 노천명에게 맡기고 탈출했으나 해방 후 그녀의 전집에 의하면 당시 수모를 당하던 노천명을 모른 척 했다고 한다. 사망 후 북한에서 김사량의 모든 활동은 문학사에서 삭제되고 <종군기>만이 남았다. 황석영 방북 시 김사량에 대해 물어보았으나 모두 모른다는 답변만 되돌아왔다. 그에 관심을 가진 남한 연구자들이 일본에서 출간된 전집을 들여오다가 공항에서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 부슈뒤론주의 코뮌 목록 = 이 문서에서는 프랑스 부슈뒤론주의 코뮌 목록에 대해 다룬다. 총 113개의 코뮌이 있다. = = 복합지자체 = = 2020년 기준으로 부슈뒤론주에는 다음과 같은 복합지자체가 설치되어 있다.BANATIC, Périmètre des EPCI à fiscalité propre. Accessed 3 July 2020. 메트로폴 애마르세유프로방스 (일부) 아를크로카마르그몽타녜트 복합공동체 테르드프로방스 복합공동체 보잘피유 코뮌공동체 = = 코뮌 = = 다음은 113개 코뮌의 목록이다. INSEE 우편번호 코뮌 13001 13090 엑상프로방스 13002 13190 알로슈 13003 13980 알레앵 13004 13200 아를 13005 13400 오바뉴 13006 13930 오레이유 13007 13390 오리올 13008 13121 오롱 13009 13330 라바르방 13010 13570 바르방탄 13011 13520 레보드프로방스 13012 13100 보르퀴에이유 13013 13720 벨코덴 13014 13130 베르레탕 13015 13320 부크벨레르 13016 13720 라부이야디스 13017 13150 불봉 13018 13440 카반 13019 13480 카브리에스 13020 13950 카돌리브 13119 13470 카르누장프로방스 13021 13620 카리르루에 13022 13260 카시스 13023 13600 세레스트 13024 13350 샤를르발 13025 13790 샤토뇌프르루주 13026 13220 샤토뇌프레마르티그 13027 13160 샤토르나르 13028 13600 라시오타 13029 13250 코르니용콩푸 13118 13111 쿠두 13030 13780 퀴주레팽 13031 13112 라테스트루스 13032 13510 에기유 13033 13820 앙쉬에라르돈 13034 13810 에갈리에르 13035 13430 에기에르 13036 13630 에라그 13037 13580 라파르레졸리비에르 13038 13990 퐁비에이유 13039 13270 포쉬르메르 13040 13710 퓌보 13041 13120 가르단 13042 13420 제메노스 13043 13180 지냐크라네르트 13044 13450 그랑 13045 13690 그라브종 13046 13850 그레아스크 13047 13800 이스트르 13048 13490 주크 13049 13113 라마농 13050 13410 랑베스크 13051 13680 랑송프로방스 13052 13910 멜란 13053 13370 말모르 13054 13700 마리냔 13055 13001~13016 마르세유 INSEE 우편번호 코뮌 13056 13500 마르티그 13057 13103 마블랑데잘피유 13058 13520 모산레잘피유 13059 13650 메라르그 13060 13590 메뢰이유 13062 13105 미메 13063 13140 미라마 13064 13940 몰리에주 13065 13890 무리에스 13066 13550 노브 13067 13660 오르공 13068 13520 파라두 13069 13330 펠리산 13071 13170 레펜미라보 13070 13821 라펜쉬르위본 13072 13790 페니에르 13073 13124 페팽 13074 13860 페롤장프로방스 13075 13380 플랑드퀴크 13076 13750 플랑도르공 13077 13110 포르드부크 13078 13230 포르생루이뒤론 13079 13114 피루비에르 13080 13610 르피생트레파라드 13081 13340 로냐크 13082 13840 로뉴 13083 13870 로뇨나 13084 13640 라로크당테롱 13085 13830 로크포르라베둘 13086 13360 로크베르 13087 13790 루세 13088 13740 르로브 13089 13670 생탕디올 13090 13100 생탕토냉쉬르베용 13091 13760 생카나 13092 13250 생샤마 13096 13460 생트마리드라메르 13093 13610 생테스테브장송 13094 13103 생테티엔뒤그레 13095 13100 생마르크좀가르드 13097 13310 생마르탱드크로 13098 13920 생미트르레랑파르 13099 13115 생폴레뒤랑스 13061 13150 생피에르드메조아르그 13100 13210 생레미드프로방스 13101 13119 생사부르냉 13102 13730 생빅토레 13103 13300 살롱드프로방스 13104 13960 소세레팽 13105 13560 세나스 13106 13240 셉템레발롱 13107 13109 시미안콜롱그 13108 13150 타라스콩 13109 13100 르톨로네 13110 13530 트레 13111 13126 보브나르그 13112 13880 벨로 13113 13770 베넬 13114 13122 방타브랑 13115 13116 베르네그 13116 13670 베르키에르 13117 13127 비트롤 = = 더 보기 = = 부슈뒤론주 부슈뒤론주의 아롱디스망 부슈뒤론주의 캉통 프랑스의 코뮌 목록 부슈뒤론주 * = 리치 리치 (영화) = 리치 리치(Richie Rich)는 미국에서 제작된 도날드 페트리 감독의 1994년 코미디, 가족 영화이다. 맥컬리 컬킨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존 데이비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맥컬리 컬킨 ... 리치 리치 역 신징향쟤 재산의 5000분의 1만큼 부자이다. = = = 조연 = = = 존 라로케트 ... 로렌스 반 더그 역 에드워드 허먼 ... 리처드 리치 역 조나단 하이드 ... 허버트 아서 런 시블 캐드버리 역 크리스틴 에버솔 ... 레지나 리치 역 스테피 라인버그 ... 글로리아 파진스키 역 마이클 맥쉐인 ... 프러페서 킨빈 역 마리안젤라 피노 ... 다이안 파진스키 역 셸시 로스 ... 퍼거슨 역 마이클 맥카론 ... 토니 역 조엘 로빈슨 ... 오마르 역 조나단 힐라리오 ... 피 위 역 레지 잭슨 ... 베이스볼 코치 역 클라우디아 쉬퍼 ... 에어로빅 강사 역 = = 기타 = = 공동제작: 재클린 조지 공동제작: 제프리 A. 몽고메리 협력프로듀서: 웬디 원더먼 조감독: 엘렌 듀스 조감독: 제프리 핸슨 조감독: 더글러스 S. 온스타인 조감독: 마이클 샘슨 조감독: 밥 사운더스 미술: 제임스 H. 스펜서 세트: 존 H. 앤더슨 세트: 패트리시아 말론 의상: 리사 젠슨 분장부문: 돈 아비낸티 분장부문: 스티브 아트몬트 분장부문: 라이넬 커티스 분장부문: 데보라 K. 디 분장부문: 린다 멜라조 분장부문: K.G. 램지 분장부문: 린다 리주토 분장부문: 릭 샤프 배역: 마저리 심킨 프로덕션매니저: 리처드 H. 프린스 = 커다란 노트 = 커다란 노트(A nagy fuzet, The Notebook)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야노스 자즈 감독의 2013년 드라마, 전쟁 영화이다. 안드라스 게먼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샌더 소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드라스 게먼트 라슬로 게먼트 피로스카 몰너 = = = 조연 = = = 기욘기베르 보그너 율리히 톰센 오르소냐 토스 야노스 데르즈시 피터 안도레이 미클로 제케리 B. 울리히 마트데스 다이아나 키스 = = 제작진 = = 원작자: 아고타 크리스토프 = 김민경 (1960년) = 김민경(金旻徑, , 1960년 9월 27일~2021년 8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김민경-다음인물정보 = = 학력 = = 서울사이버대학교 중퇴 = = 출연작 = = = = = 영화 = = = 《1947 보스턴》(유작) 《초록밤》(2022년) - 어머니 역(유작) 《유체이탈자》(2021년) - 전 회장 역 《파이프라인》(2021년) - 현순 역 《얼굴없는 보스》(2019년) - 상구 모 역 《소공녀》(2018년) - 현정 시모 역 《헬머니》(2015년) - 한복집여주인 역(특별출연) 《시선》(2014년) - 송권사 역 《33리》(2013년) 《심장이 뛴다》(2011년) - 안숙희 역 《페어 러브》(2011년) - 형수 역 《이태원 살인사건》(2009년) - 중필 모 역 《처음 만난 사람들》(2009년) - 양 마담 역 《울학교 이티》(2008년) - 치마 1 역 《두 사람이다》(2007년) - 지선 모 역 《전설의 고향》(2007년) - 현식 모 역 《타짜》(2006년) - 고니 모 역 《공공의 적》(2002년) - 홍식 처 역 《애니깽》(1997년) 《러브 스토리》(1996년) - 강의실 여학생 역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5년) - 미숙 역 《두 여자 이야기》(1994년) 《간통》(1989년) - 귀부인 2 역 《불춤》(1986년) 《양귀비》(1985년) 《밤을 먹고 사는 여인》(1985년) 《홍병매》(1984년) 《여자는 남자를 쏘았다》(1984년) 《초대받은 성웅들》(1984년) = = = 드라마 = = = 《마우스》(2021년, tvN) - 피해자 송수정 송수호 모 역 《밥이 되어라》(2021년, MBC) - 맹순 역 《터널》(OCN, 2017년) - 명의도용 피해자 고아라의 어머니 역 《옥중화》(MBC, 2016년) - 김상궁 역 《너를 기억해》(KBS2, 2015년) - 박수용의 어머니 역 《불꽃 속으로》(TV조선, 2014년) - 태형 母 역 《주군의 태양》(SBS, 2013년) - 쓰레기통 귀신의 부인 역 《특수사건 전담반 TEN 2》(OCN, 2013년) - 정희주의 어머니 역 《내 딸 서영이》(KBS2, 2012년) - 이은숙 역 《신들의 만찬》(MBC, 2012년) - 바자회에 참석한 여자 역 《해를 품은 달》(MBC, 2012년) - 민상궁 역 《서울의 달》(MBC, 1994년) - 보람엄마 역 《인현왕후》(MBC, 1988년) 《한지붕 세가족》(MBC, 1986년) = = 수상 = = 1981년 대한민국연극제 신인상 = 대전광역시장 = 대전광역시장(大田廣域市長)은 대전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다. = = 역대 시장 = = = = = 충청남도 대전부윤 = = =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시정 구호 시정 방침 관선 초대 황인식(黃仁植) 1945년 8월 16일~1945년 11월 2일 관선 2대 방두환(方斗煥) 1945년 11월 3일~1946년 3월 29일 관선 3대 방두환(方斗煥) 1946년 4월 4일~1946년 5월 9일 관선 4대 이석기(李錫基) 1946년 5월 11일~1947년 10월 29일 관선 5대 이석기(李錫基) 1947년 10월 30일~1948년 5월 10일 관선 6대 유광준(兪光濬) 1948년 5월 11일~1948년 10월 30일 관선 7대 손영도(孫泳道) 1948년 10월 30일~1949년 10월 29일 = = = 충청남도 대전시장 = = =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시정 구호 시정 방침 관선 초대 손영도(孫泳道) 1949년 10월 30일~1952년 12월 19일 민선 2대 임지호(林志浩) 1952년 12월 29일~1955년 11월 18일 민선 3대 박완식(朴完植) 1955년 12월 27일~1954년 12월 2일 민선 4대 조병순(趙炳順) 1954년 1월 10일~1959년 3월 19일 관선 5대 정인권(鄭寅權) 1959년 5월 19일~1960년 5월 13일 관선 6대 김양현(金良鉉) 1960년 5월 13일~1960년 10월 7일 민선 7대 신기훈(申基勳) 1960년 12월 30일~1961년 2월 25일 민선 8대 김정우(金正雨) 1961년 4월 6일~1961년 5월 24일 관선 9대 유문호(柳文鎬) 1961년 5월 24일~1961년 7월 29일 관선 10대 배무남(裵武南) 1961년 8월 12일~1963년 5월 9일 관선 11대 이완종(李完鐘) 1963년 6월 17일~1964년 2월 20일 관선 12대 이남호(李南鎬) 1964년 2월 20일~1966년 10월 12일 관선 13대 이준규(李俊圭) 1966년 10월 12일~1968년 4월 15일 관선 14대 이완종(李完鐘) 1968년 4월 15일~1970년 11월 24일 관선 15대 최재영(崔在英) 1970년 11월 25일~1971년 8월 10일 관선 16대 심재홍(沈載鴻) 1971년 8월 11일~1974년 11월 13일 관선 17대 김보성(金保城) 1974년 11월 13일~1977년 7월 19일 관선 18대 이남두(李男斗) 1977년 7월 20일~1978년 8월 1일 관선 19대 김보성(金保城) 1978년 8월 2일~1980년 3월 11일 관선 20대 박봉휘(朴奉輝) 1980년 3월 13일~1980년 7월 31일 관선 21대 이병내(李炳內) 1980년 8월 1일~1981년 8월 24일 관선 22대 심대평(沈大平) 1981년 8월 24일~1983년 12월 27일 관선 23대 권희탁(權熙卓) 1983년 12월 27일~1986년 3월 8일 관선 24대 심대평(沈大平) 1986년 3월 8일~1986년 10월 14일 관선 25대 김홍식(金泓植) 1986년 10월 15일~1987년 8월 11일 관선 26대 김용성(金容成) 1987년 8월 11일~1988년 12월 31일 = = = 대전직할시장 = = =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시정 구호 시정 방침 관선 초대 이봉학(李奉學) 1989년 1월 1일~1990년 12월 27일 관선 2대 홍선기(洪善基) 1990년 12월 28일~1992년 4월 20일 관선 3대 김주봉(金柱奉) 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 관선 4대 염홍철(廉弘喆) 1993년 3월 4일~1994년 12월 31일 = = = 대전광역시장 = = = 구분: 선출 방식 대수 이름 임기 정당 시정구호 관선 1대 염홍철(廉弘喆) 1995년 1월 1일~1995년 3월 29일 관선 2대 김보성(金保城) 1995년 3월 30일~1995년 6월 30일 민선 3대 홍선기(洪善基)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위대한 대전, 긍지 높은 시민의 시대 민선 4대 홍선기(洪善基)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위대한 대전, 긍지 높은 시민의 시대 민선 5대 염홍철(廉弘喆)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한나라당(2002~2005)열린우리당(2005~2006) 가장 살기좋은 대전 건설 민선 6대 박성효(朴城孝)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한나라당 함께 가꾸는 대전 함께 누리는 행복 민선 7대 염홍철(廉弘喆) 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자유선진당(2010~2012)선진통일당(2012)새누리당(2012~2014) 세계로 열린 대전 꿈을 이루는 시민 민선 8대 권선택(權善宅) 2014년 7월 1일~2017년 11월 14일 새정치민주연합(2014~2015)더불어민주당(2015~2017) 시민을 행복하게, 대전을 살맛나게 민선 권한대행 이재관(李在官)권선택 대전광역시장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시장직을 상실하여, 남은 임기 동안을 대행 2017년 11월 14일~2018년 6월 30일 행정부시장 시민을 행복하게, 대전을 살맛나게 민선 9대 허태정(許泰鋌) 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새로운 대전! 시민의 힘으로 민선 10대 이장우(李莊雨) 2022년 7월 1일~ 국민의힘 일류 경제도시 대전 = 틀:유엔이 통치 중인 영토 = = 스트라이커 장갑차 = 스트라이커 장갑차는 2002년 실전배치된 미국 육군의 8륜구동(Eight-wheel drive) 장갑차이다. 스위스 피랴냐-3 8륜구동 장갑차에 기초한 캐나다 LAV-3의 파생형이다. 제너럴 다이내믹스 랜드 시스템즈(General Dynamics Land Systems 캐나다에서 생산한다. 4륜구동(8×4) 방식이며 전륜구동(8×8)으로 전환할 수 있다. 미국 육군의 4,466대를 포함하여 4,900대를 생산했다. = = 스트라이커 여단 = = 미국 육군은 스트라이커 장갑차로 구성된 기계화 여단을 9개 창설했다. C-130 허큘리스 수송기로 전세계에 96시간만에 파병할 수 있다. 사단 규모의 파병은 120시간 만에, 5개 사단 규모는 30일만에 파병 가능하다. 스트라이커 여단은 3개 보병대대, 1개 정찰기병대대, 1개 포병대대, 1개 여단지원대대, 1개 여단본부중대, 1개 여단정비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300대의 스트라이커 장갑차와 4,500명의 군인으로 구성된다. 1개 스트라이커 보병중대는 21대의 스트라이커 장갑차로 구성된다. = = 주한미군 철수 = = 스트라이커 여단은 주한미군의 철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 한국전쟁 직후 30여만명이 주둔하던 주한미군은 2016년 현재 주한미군 2사단만 남고, 모든 사단이 철수했다. 1970년 베트남 전쟁에 패배한 미국이 충격을 먹어 닉슨 독트린을 선언, 일방적으로 동두천 캠프 케이시의 주한미군 7사단을 철수했다. 그리고 의정부 캠프 레드 클라우드의 주한미군 2사단 조차도 2개 보병여단은 모두 철수해 미국 워싱턴주 7사단 산하에 배치하고, 210화력여단만이 동두천 캠프 케이시에 잔류중이다. 즉, 현재 주한미군 2사단에는 보병부대가 없다. 모두 미국으로 철수해 있다. 9개의 스트라이커 여단 중에 최초 창설된 것이 미국으로 철수한 주한미군 2사단 3보병여단이다. 마지막으로 창설된 스트라이커 여단도 주한미군 2사단 2보병여단이다. 현재 한국에서 철수해 모두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의 7사단에 배속되어 있다. = = 사용국가 = = - 미국 육군은 9개의 스트라이커 기계화 여단을 창설했다. = 몽고궁 = 몽고궁(蒙古弓)은 중근세 몽골 지역에서 사용된 반곡 합성궁이다. 몽골의 궁술 전통은 매우 유구하나, 청나라에게 정복당한 뒤 몽골 땅에선 궁술이 금지되었다. 만주인 군인들이 게르들을 뒤져 활을 찾아내는 대로 부러뜨렸고, 이후 2백년 동안의 궁술 금지로 인해 고대의 궁시 제작법과 궁술이 소실되었다. 현대의 몽고궁은 중국-만주의 전통에 따른 것으로 칭기즈 칸이 사용했던 진짜 몽고궁에 비해 크기가 크고 시위발이 있다. = 분류:보이오티아현 = = 김영준 (2000년) = 김영준(, 2000년 5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K리그1 대구 FC 소속이다. = = 유소년 시절 = = 서울숭곡초등학교에서 처음 본격적으로 축구를 배우기 시작했고 이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유스팀어서 활약했다. 어린시절 부상이 많았고 심지어 1년을 쉬게 된 적도 있어 항상 최악의 상황에 준비했다. 그러다 매탄고 3학년 때 장기 부상을 당해 재활에 전념하던 중 고양 FC U-18의 감독인 이용권 감독의 도움으로 축구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대학 진학 이후 또다시 부상을 당하며 이제는 정말 축구를 그만두어야 할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다가 끝까지 해 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선수 재기 전문 독립 구단인 TNT FC에 들어가서 세미프로 팀인 포천시민축구단의 입단에 성공하게 된다. = = 클럽 경력 = = K4리그에 대한 정보도 많지 않고 낮은 단계의 리그이기에 리그에 대한 큰 기대를 갖지 않았었지만 실제로 만나 본 선수들 대부분이 프로에서 활약하던 좋은 선수들이 많았다.실제로 K3, K4리그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프로필을 살펴보면 프로 출신 선들이 대부분이다.그 선수들한테서 몸 관리법이나 프로 시절의 이야기 등을 들으면서 지냈고 후에 인터뷰에서 이 때가 자신의 축구 실력이 제일 많이 늘었을 때라고 회상했다. 하지만 적은 급료와 프로 진출에 대한 꿈 때문에 팀을 떠나고 싶어 했으며 특히 박승욱 선수와 김범수 선수를 보며 꿈을 키웠고 이후 K4리그 우승과 K3리그 영플레이어상을 받는 등의 활약을 통해 드디어 프로 무대인 대구 FC에 입단하게 되었다. = = 플레이 스타일 = = 인터뷰에서 밝히기를 공격수지만 많은 활동랑을 통해 주위 선수들에게 공격 기회를 만들어주며 수비 가담까지 참여하며 공격 상황에서는 최대한 간결한 플레이를 하도록 노력한다고 한다. = = 수상 내역 = = = = = 대회 기록 = = = 매탄중학교 (2013 ~ 2015) 춘계 한국중등축구연맹전 우승: 2015 추계 한국중등축구연맹전 우승: 2015 전국소년체육대회 우승: 2015 매탄고등학교 (2016 ~ 2017) 전국 고등 축구리그 왕중왕전 우승: 2017 = = = 개인 = = = = = 참고 자료 = = 매탄고 출신’ 포천 김영준 “김범수처럼 기적 꿈꿔요” - Kfa Live 매탄고 출신’ 포천 김영준 “K4리그, 어린 선수 성장하기에 정말 좋은 무대” - Kfa Live '역행자' 꿈꾸는 대구FC 김영준 "응원가 울려 퍼지는 홈에서 득점하고 싶다" - 스포츠니어스 = 분류:워싱턴하이츠 (맨해튼) = = 이석규 (1999년) = 이석규(1999년 12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윙어이다. 현재 K리그2 천안 시티 FC 소속이다. = HR 4844 = = 대추귀고둥과 = 대추귀고둥과(Ellobiidae)는 진유폐류에 속하는 작은 공기 호흡하는 육상 유폐류 복족류 연체동물 과이다.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 의하면, 대추귀고둥상과의 유일한 과이다. 주로 바닷물이 드나드는 늪지 그리고 바다와 유사한 서식지에서 사는 달팽이로 염분에 견디는 성질인 내염성을 지니고 있다. = = 형태 = = 이 과에서 하플로이드 염색체 수는 16개에서 20개 사이(이 표의 값에 의하면)이다.Barker G. M.: Gastropods on Land: Phylogeny, Diversity and Adaptive Morphology. in Barker G. M. (ed.): The biology of terrestrial molluscs. CABI Publishing, Oxon, UK, 2001, . 1-146, cited pages: 139 and 142. = = 하위 분류 = = 대추귀고둥과(Ellobiidae) Pfeiffer, 1854 (1822) Ellobiinae Pfeiffer, 1854 (1822) * Ellobium Röding, 1798 * Leucophytia Winckworth, 1949 Carychiinae Jeffreys, 1830 * Carychium O. F. Müller, 1774 Melampinae Stimpson, 1851 (1850) * Melampus Montfort, 1810 Pedipedinae P. Fischer & Crosse, 1880 * Pedipes Férussac, 1821 Pythiinae Odhner, 1925 (1880) * Cassidula * Pythia Röding, 1798 - 아과 Pythiinae의 모식속. Phytia은 가칭이다. * Myosotella Monterosato, 1906 * Laemodonta Philippi, 1846 † Zaptychiinae Wenz, 1938 * † Zaptychius Walcott, 1883 - 아과 Zaptychiinae의 모식속 아과 분류가 불확실한 속 * Auriculinella Tausch, 1886 * Blauneria Shuttleworth, 1854 * Creedonia Martins, 1996 * Detracia Gray in Turton, 1840 * Leuconopsis Hutton, 1884 * Microtralia Dall, 1894 * Ovatella Bivona, 1832 * Tralia Gray, 1840 = 틀:위치 지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 = 분류:잉글랜드의 배드민턴 = = 행위지배설 = 행위지배설( 行爲支配說, Tatherrschaft)이란 형법상 이론으로 행위자가 자기의 행위로부터 발생하는 인과의 과정을 주체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행위지배에 따라 정범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 틀:Cite DGRBM = = 금강수 = = HTO = HTO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호만 전이 궤도(Hohmann transfer orbit) 공개매수(Hostile takeover) = 분류:스페인어 위키백과에서 번역된 문서 = = 오스구드역 = 오스구드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의 역이다. 이 역은 유니버시티 애비뉴 250번지에 위치해있으며 퀸 스트리트 서부와 맞닿아있다. 이 역은 근처에 오스구드 홀이 있어서 이름지어졌다. 근처에는 사계절 센터와 토론토 시청, 나탄 필립스 스퀘어, 그리고 토론토 미국 영사관이 있다. = = 대중교통 연결편 = = 오스구드역에서 연결되는 지상 교통 연결편은 아래와 같다. 지하철에서 버스 또는 노면 전차로 갈아타려면 역 밖에 있는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하며 이 때 프레스토 카드 또는 환승 표 등 출발 지점에서 요금을 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노선 노선 노선 종점 종점 종점 경유지 비고 301 퀸 Queen 롱브랜치역 ↔ 네빌파크 루프 심야 노면 전차 501 퀸 Queen 롱브랜치역 ↔ 네빌파크 루프 매일 상시 운행 = 분류:1745년 정치 = = 분류:동남아나톨리아 지역 = = 경파-해파 논쟁 = 경파-해파 논쟁은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중국에서 이른바 베이징을 거점으로 하는 '경파'(京派)와 상하이를 거점으로 하는 '해파'(海派) 간의 치열한 문학 논쟁이다. = = 경파와 해파 = = 경파(京派)는 베이징이 베이핑으로 이름을 바꾼 20세기 1920년대, 1930년대 중국의 특정 시기에 나타난 엘리트 문화만을 가리키는 관념이다. 해파(海派)는 상하이의 문화를 가리키는 관념으로 20세기 초에 생겨난 이래 시기마다 성격이 변질되면서도 현재까지 사라지지 않고 존재하고 있다. = = 문학 논쟁 = = 일반적으로, '경(京)'과 '해(海)' 의 차이는 전통 회화에서 비롯된 인식이다. 청나라 말(淸末)부터 상하이의 화가들은 과거의 문인화가 보여 온 자유로운 화풍을 계승, 재야에서 베이징의 궁정 화풍과 대립하며 독자적인 '해파'의 풍격을 형성해왔다. 민국 초기부터는 경극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베이징의 경극에 맞서 독자적인 해파의 경극을 발전시켰다. 해파 경극은 혹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이는 해파의 명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191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일어난 신문화운동의 와중에, 베이징에는 '경파 소설', 상하이에는 '해파 소설'이 각각 등장하여 각기 다른 문학 유파가 형성됐다. 이후 발전을 거듭한 문학계의 두 흐름은 1930년대 초 경파-해파 간 문학 논쟁을 야기했다. 이 논쟁은 문학계 내의 유파 논쟁에 그치지 않고, 베이징과 상하이 사람의 인격, 문화 체계, 문화 가치의 차이에 대한 논쟁으로까지 발전해 갔다.중국의 두 얼굴 68쪽 = = 논쟁 배경 = = 경파-해파 논쟁은 1933년 10월 18일, 톈진(天津)에서 발행된 대공보(大公報) 문예면에 실은 선충원의〈대학자의 태도〉라는 문장에서 발단됐다. 선충원은 이 글에서 "최근의 해파 문인들은 몸에 명사와 같은 풍모를 걸치면서 사실은 물장수처럼 문학을 갖고 논다"고 비난했다. 특히 "이들 문인은 상하이에서 어슬렁거리는 것도 모자라서 매주 4번에서 5번 정도는 반드시 잡담회라는 것을 연다"라는 언급은 상하이 문인들에게서 거센 반감을 샀다. 두헝(杜衡)은 〈문인은 상하이에 있다〉라는 글을 통해 해파 문학을 변호하면서, 자신은 경파 문인으로부터 비판받을 만한 불성실한 문학 활동을 한 기억이 없다고 반론했다. 이에 대해 선충원은 격렬히 반응, 1934년 1월 10일에서 발행된 대공보 문예면에 〈해파를 논하다〉라는 격문(檄文)을 발표했다.중국의 두 얼굴 93쪽 = 틀:사운드클라우드/설명문서 = = = 사용법 = = :분류:위키데이터에 없는 사운드클라우드 틀을 사용하는 문서 중, 연결된 위키데이터에 사운드클라우드 계정명(ID) 값이 없는 문서는 위 분류로 자동 분류·수집됩니다. = 외계물질 = 외계물질(Extraterrestrial materials)이란 우주에서 유래하여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연물을 말한다. 이러한 물질에는 우주진과 운석뿐만 아니라 달에서 샘플 리턴 미션을 통해 지구로 가져온 샘플, 소행성과 혜성, 태양풍 입자도 포함된다. 외계 물질은 태양과 태양계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가스와 먼지의 원시적 구성을 보존하므로 과학에 가치가 있다. = 연방공민교육국 = 연방공민교육국은 독일의 연방정부기관으로서 공민교육 진흥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연방내무부에 딸린 아문이다. 2000년 이래로 토마스 크뤼거가 국장으로 재임 중이다. = 개브리엘 월컷 = 개브리엘 월컷(Gabrielle Walcott, 1984년 6월 26일 ~ )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배우, 가수, 모델이자 미인 대회 우승자이다. 2008년 미스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승자이며 2008년 미스 월드와 미스 유니버스 2011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표로 참가했다. = 40 데이즈 40 나이트 = 40 데이즈 40 나이트(40 Days And 40 Nights)는 미국에서 제작된 마이클 레만 감독의 2002년 멜로/로맨스,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조쉬 하트넷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팀 베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조쉬 하트넷 = = = 조연 = = = 샤닌 소세이먼 비네사 쇼 폴로 코스탄조 = = 기타 = = 공동제작: 스튜어트 M. 베저 미술: 샤론 세이모어 의상: 질 M. 오하네슨 배역: 숀 코시 배역: 조세프 미들톤 = = 개봉 = = = = = 박스 오피스 = = =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95,000,000 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둬들였다. = 한국화원협회 = 한국화원협회는 국민정서함양 및 문화생활에의 기여와 화원의 복리증진을 위한 화훼산업발전에 기여 목적으로 1995년 3월 30일 설립된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327-2, 금호팔레스빌딩 701에 있다. = = 주요 사업 = = 화훼류 통신배달사업의 이용개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및 보급 화훼류 유통구조의 개선에 관한 사업 화원의 복리증진에 관한 사업 국내화훼산업 발전을 위한 조사연구 화훼문화의 국제적인 교류와 정보수집 및 행사유치 등 = 조제학 = 조제학(調劑學), 제약학(製藥學, )은 사회의 환자가 새로운 화학적 실체(NCE)를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으로 변환하는 모든 과정을 다루는 약학의 한 갈래이다. 또, 조제학은 투약 형태 설계를 다루는 학문이기도 하다. 알려져 있는 약리학 특성을 지닌 화학 물질은 많지만 순수 화학 물질은 환자에게 무익하거나 해가 될 수 있다. 조제학에는 다음과 같은 분야로 나뉜다: 약물동태학 약력학 약물 역학 약학유전체학 약물 감시학 제제 설계학 조제 기술학 = 분류:한부모가족을 소재로 한 작품 = = 레이클랜드 대학교 = 레이클랜드 대학교(Lakeland University)는 미국 위스콘신주 플리머스에 주 캠퍼스가 위치한 사립 대학이다. 레이클랜드 대학교는 미국 연합 그리스도의 교회와 연합하고 있다. 레이클랜드 대학교는 밀워키, 매디슨 (위스콘신주), 위스콘신 래피즈, 치페와 폴스, 니나, 그린베이, 셰보이건 (위스콘신주) 등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여러 저녁, 주말, 온라인 센터들이 7곳 존재하며 일본 도쿄도에서 4년제 국제 캠퍼스가 한 곳 있다. = 분류:우즈베키스탄의 체조 선수 = = 유회 (당향애후) = 유회(劉恢, ? ~ 기원전 6년)는 전한 말기의 제후로, 교동공왕의 아들이다. = = 행적 = = 수화 원년(기원전 8년), 당향후(堂鄕侯)에 봉해졌다. 당향애후 3년(기원전 6년)에 죽어 시호를 애(哀)라 하였고, 후사가 없어 봉국은 폐지되었다. = = 출전 = = 반고, 《한서》 권15하 왕자후표 下 = 대한지질학회 = 사단법인 대한지질학회(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GSK)는 지질과학의 기초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을 목적으로 1947년 4월 10일에 설립된 학술단체이다. 1963년 4월에 사단법인으로 설립 허가됐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813호에 있다. 학술대회를 비롯한 각종 행사를 개최, 학술지 및 관련 분야의 서적을 발행, 국내외 단체와의 교류 등을 활동하고 있다. 1964년에 창간된 학술지 지질학회지를 발행하고 있다. = = 주요 사업 = = 학술대회, 심포지움, 강연회, 야외답사 및 강습회 개최 학술회지, 간행물 및 도서의 발간 학술의 국제교류 학계, 산업계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강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적합한 사업 = = 임원 = = 회장 부회장 총무이사 재무이사 기획이사 학술이사 섭외·홍보이사 국제협력이사 감사 = = 학술지 = = 《지질학회지》 - 1964년에 창간하여 매년 발행 《Geosciences Journal》 - 1997년에 창간 《Episodes》 = = 주요 논문 = = 다음은 한국의 지질과 관련된 대한지질학회 지질학회지의 주요 논문이다. = = = 1960년대 = = = 논문 제목 (한국어) 및 url 링크 논문 제목 (영어) 날짜 호 쪽 (쪽수) 저자 내용 1권 1권 1권 1권 1권 1권 1권 1권 카나다 쾌백주 동하드슨만 남호-프웰해협지역의 화강암과 미그마타이트 Granites and Migmatites in the South Hopewell Sound Area, East of Hudson Bay, Province of Quebec, Canada 1964.8 1 1-23 이상만 캐나다 퀘백 주의 화강암과 미그마타이트. 대한지질학회 최초의 논문 江原道 銅店의 所謂 「蟲蝕石灰岩」에 對하여 The so-called "Worm-eaten Limestone" at Dongjeom, Kangweon-do 1964. 8 1 24-34 (11) 정창희 동점동 조선 누층군 화절층의 충식석회암 2권 2권 2권 2권 2권 2권 2권 2권 上東鑛山 및 그 附近의 地質構造와 重石鑛床의 鑛化作用과의 關係 Relations of Structural Pattern and Tungsten Deposition in the Sangdong Mine and its Vicinity 1966. 6 1 1-16 (16) 윤석규 상동광산의 지질과 광화작용 洛東亞層群(下部白堊系)의 層序 및 堆積 Stratigraphy and Sedimentation of Naktong Subgroup (Lower Cretaceous),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1966. 6 1 17-51 (35) 장기홍 경상 누층군 낙동아층군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의 암상과 화석 達城鑛山附近의 地質과 鑛化作用에 對하여 On the Geology and Mineralization in Dalsung Mine Area 1966. 6 1 52-69 (18) 원종관, 김기태 대구광역시 달성광산의 광화작용 濟州道의 火山岩類 Volcanic Rocks in Cheju Island 1966. 12 2 1-7 (7) 이상만 제주도의 화산암 江陵炭田 東部의 地質構造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Gangreung Coal Field 1966. 12 2 8-17 (11) 손치무 강릉탄전 동부의 층서와 습곡구조 卯谷層과 後大同紀 地殼運動 The Myogog Formation and Its Tectonic Significance 1966. 12 2 21-35 (16) 정창희, 이하영 경상 누층군 묘곡층의 식물화석 3권 3권 3권 3권 3권 3권 3권 3권 慶北 玉房重石鑛床의 地質 및 成因 Geology and Ore Deposits at the Okbang Scheelite Mine,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1967.3 1 1-19 (19) 이상만 봉화군-울진군 옥방광산의 지질 寺洞統 砂岩의 堆積岩石學的 研究 Petrographic Study of the Sadong Sandstones 1967.3 1 21-35 (15) 정창희 평안 누층군 사동층 將軍망간鑛山의 地質과 鑛床 Geological Study of Janggun Manganese Mine 1967.3 1 51-59 (9) 이대성 봉화군 장군 망가니즈광산의 지질과 광상 펀치볼의 생성원인 The Origin of the so-called Punch Bowl 1967.3 1 61-66 (6) 김봉균, 박용안 인제군 펀치볼의 생성원인은 변성암과 이를 관입한 화강암의 차별침식에 의한 것이다. 白堊紀 化石빗자국의 한 出産 An Occurrence of Late Cretaceous fossil rain prints in Korea 1967.3 1 67-70 (4) 장기홍 장기홍이 의령군 의령읍의 경상 누층군 함안층에서 발견한 빗방울자국[雨痕]에 대한 논문으로, 이 빗방울자국은 1968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96호로 지정되어 오늘날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으로 남아 있다. 新羅礫岩舌層의 堆積環境과 層序關係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Stratigraphic Relations of the Silra Conglomerate Tongue,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1967.6 2 101-112 (12) 장기홍 경상 누층군 신라 역암층의 퇴적환경 江原道 襄陽鑛業所 附近 閃長岩內의 퍼어사이트의 形成作用 Formation of the Perthite in the Syenite at the Yangyang Mining District, Kangwon Province, Korea 1967.6 2 113-125 (13) 김형식 4권 4권 4권 4권 4권 4권 4권 4권 安養川流域의 地下水資源에 對하여 Summary Report on the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Anyang Chon Basin 1968.5 1 1-21 (21) Joseph T. Callahan 외 경기도 안양천의 지하수 慶尙層群의 層序槪要 An Introduction to the Stratigraphy of Gyeongsang (Kyongsang) Group, Gy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1968.5 1 41-44 장기홍 경상 누층군의 전반적인 층서와 암상 將軍鑛山의 酸化망간 鑛物에 關하여 Manganese Oxide Minerals From Janggun Manganese Mine, Korea 1968.8 2 57-76 (20) 김수진 장군 망가니즈광산의 광물 慶尙盆地 北西部의 白堊紀 古水流 및 堆積 Cretaceous Paleocurrent and Sedimentation in Northwe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Southern Korea 1968.8 2 77-97 (21) 장기홍, 김항묵 경상 분지 북서부의 고수류(古水流; Paleocurrent)와 연흔 中生代 玄武岩中의 自然銅鑛床 成因硏究 Genesis of the Native Copper Deposits in Mesozoic Basalt Flows in the Yongyang Basin, Korea 1968. 10 3 111-162 (52) 이정환 영양군 경상 누층군 도계동층 내 세천동 현무암 내 자연구리 5권 5권 5권 5권 5권 5권 5권 5권 長省炭田 一帶의 地質構造 Geologic Structure of Jangseong Coal Field and its Vicinity 1969.3 1 1-11 (11) 손치무, 김형식 삼척탄전 장성광업소 일대의 지질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1969. 3 1 13-55 (43) 정창희 이 논문에서 정창희는 삼척탄전을 평안 누층군의 표식지로 삼고, 그 층서를 밑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로 설정하였다. 慶尙系內의 鑛化作用에 관하여 On the Mineralization within the Gyeongsang System 1969.3 1 68-70 (3) 이상만 경상 분지 내 발달하는 금-은, 동-아연, 철, 중석-휘수연, 납석(蠟石)광상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 = 1970년대 = = = 한국의 지질학자인 정창희는 1974년 4월부터 1976년 4월까지 대한지질학회의 회장으로 재임했다. 논문 제목 (한국어) 및 url 링크 논문 제목 (영어) 날짜 호 쪽 (쪽수) 저자 내용 6권 6권 6권 6권 6권 6권 6권 6권 慶尙北道에 있어서의 上部中生層의 地質 (I) Geology of Upper Mesozoic Strata, N. Gyeongsang Province, Southern Korea (I) 1970.3 1 1-12 (12) 장기홍 경상북도 북부의 경상 누층군 지층과 층서 江原炭鑛 長省層에서 發見된 植物化石 數種 Some Fossil Plants from the Jangseong Formation of the Gangweon Coal Mine, Korea 1970.3 1 13-28 (16) 정창희, 이하영 삼척탄전 강원탄광 평안 누층군 장성층에서 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한국의 신 제3기 퇴적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in Korea 1970.6 2 77-96 (20) 김봉균 한반도의 제3기 퇴적분지 (길주-명천 분지, 북평 분지, 영해 분지, 포항 분지, 어일 분지, 울산 분지) 景汀洞層과 卯谷層의 層位 Stratigraphic Position of Gyeongjeongdong and Myogog Formations 1970.6 2 129-133 (5) 장기홍, 양승영 묘곡층은 경상 누층군 낙동층에 대비된다. 韓國의 地質系統과 不整合 Unconformity and Geological Sequences of Korea 1970.9 3 187-198 (12) 예미각력석회암의 존재, 정선 석회암층과 막골층은 부정합 義林吉 附近의 地質―特히 禮美角礫石灰岩層에 關하여 Geology of Euirimgil and its Vicinity―Special Emphasis on the so-called "Yemi Limestone Breccia Bed" 1970.12 4 213-220 (8) 김옥준, 권영직 예미각력석회암은 여러 층준에 흩어져 있으며 기저 역암이 아니다. 7권 7권 7권 7권 7권 7권 7권 7권 南韓의 鑛床生成時期와 鑛床區 Metallogenic Epochs and Provinces of South Korea 1971.3 1 37-59 (23) 김옥준 한국 광상의 형성시기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1971.6 2 63-85 (21) 정창희 단양탄전 지역 평안 누층군(만항층~동고층) 및 대동 누층군(반송층군 : 사평리층, 현천리층, 덕천리층)의 층서, 암상 및 화석 江原道 三陟郡 銅店附近에 分布된 大石灰岩統의 Conodont 化石群과 그의 層序學的 意義 Conodont Fauna from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Dongjeom District, Samcheog-Gun, Gangweon-Do and its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1971.6 2 89-101 (13) 이하영, 이종덕 동점동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대기층, 화절층, 두무골층, 막골층, 두위봉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과 층서 대비 平昌北西部의 地質 Geology of the Northwestern Part of Pyeongchang District, Gangweon-do, Korea 1971.9 3 143-152 (10) 손치무, 정지곤 평창군 북서부 방림층군, 안미리층군, 조선 누층군 평창층군 및 지질구조 韓國 中部 沃川 地向斜帶에 있어서의 火成活動에 關한 硏究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Middle Og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1971.9 3 153-216 (64) 이대성 丹陽炭田 地區의 古生代 및 中生代의 古水流 Paleozoic and Mesozoic Paleocurrents of the Danyang Coalfield District, Korea 1971.12 4 257-276 김항묵 단양탄전의 고수류는 서북서 (방위각 295°) 방향으로 흘렀으며 쇄설성 퇴적물의 공급지는 동쪽 8권 8권 8권 8권 8권 8권 8권 8권 서울 화강암의 Rb-Sr방법에 의한 암석년대 측정 Whole-rock Rubidium-Strontium Age of the Seoul Granite 1972.9 3 156-162 박병권 서울특별시 서울 화강암의 루비듐-스트론튬 전암 연대측정 결과는 160±10 Ma로 중기 쥐라기 栗里統과 遠南統과의 關係에 對하여 Relation between Yulri and Weonnam Series 1972.9 3 174 (1) 최유구 선캄브리아기 고선리층, 각화사층, 두음리층 古汗層의 高坊山植物群 産出과 그 層序的 意義 Occurrence of Gobangsan Flora in the Gohan Formation and its Stratigraphic Significance 1972.9 3 175-176 (2) 장기홍 삼척탄전 평안 누층군 고한리층에서의 식물 화석 산출 聞慶炭田 一帶의 地質構造 Geologic Structure of the Mungyeong Coalfield 1972.12 4 181-190 손치무, 백광호 문경탄전의 층서와 습곡 구조 沃川系內 香山里돌로마이트層에서의 Archaeocyatha의 發見과 그 意義 Discovery of Archaeocyatha from Hyangsanri Dolomite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and its Significance 1972.12 4 191-197 (8) 이대성, 장기홍, 이하영 옥천 누층군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에서 발견된 고배류(Archaeocyatha) 화석에 대한 논문으로 장기홍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을 고생대 지층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최덕근 외(2012)는 이 화석이 고배류 화석이 아니라고 하였다. 寧越圖幅 北西部 地域 三方山層의 層序 Stratigraphy of Sambangsan Formation in the Northwestern Area of Yeongweol Quadrangle 1972.12 4 211-216 (7) 김항묵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을 하부층원, 상부층원으로 구분하고 '삼방산층의 최하부는 암질상으로는 선평안계-후캄브리아기에 속함을 암시한다.' (아직 삼방산층에서 캄브리아기 화석이 발견되기 전이라 학자들은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에서 정해진 대로 삼방산층이 조선 누층군 이후의 지층이라고 생각했다.) 상동 광산 Bi광의 분포 조사 The Distribution of Bi-minerals in the Sangdong Mine 1972.12 4 217-221 (5) 문건주 상동광산의 비스무트 광상 분포 상태 9권 9권 9권 9권 9권 9권 9권 9권 한국 지하수 자원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연구의 필요성 The Need of Geological Investig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 Water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1973.3 1 24-29 (6) Joseph T. Callahan, 최승일 지하수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연구와 지질학자 육성의 필요성 三陟炭田産 紡錘蟲의 古生物學的 硏究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1973.6 2 47-88 (42) 정창희 삼척탄전 층서와 방추충 화석 慶尙盆地 北西部 地域 慶尙累層群의 堆積構造 Sedimentary Structures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Nor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1973.9 3 125-147 (23) 김항묵 경상 분지 북서부 경상 누층군의 퇴적환경은 호성, 하성 환경 韓國 全州-木浦一帶의 미그마타이트에 關한 硏究 On Migmatites in the Jeonju-Mogpo Area, Korea 1973.12 4 207-234 (28) 김형식 전라도 전주-목포지역 변성암으로부터 유래한 미그마타이트와 화학성분 10권 10권 10권 10권 10권 10권 10권 10권 韓國 永同層群의 古水流 分析 Paleocurrent Analysis of the Yeongdong Group, Southern Korea 1974.3 1 1-24 (24) 김항묵 옥천대 영동 분지 영동층군의 고수류와 퇴적 환경, 경상 분지 신라층군과의 대비 韓半島의 地體構造上의 位置 플래이트構造와 關聯하여 The Tectonic Setting of Korea, with Relation to Plate Tectonics 1974.3 1 25-36 (23) 이상민 한반도의 경기 육괴와 소백산 육괴(오늘날의 영남 육괴)는 중국의 산둥 및 복건 육괴에 대비되며 1960년대 말 공식화된 판 구조론을 적용하여 한반도는 남동아시아 대륙판과 태평양판의 중간에 놓여 있고 한반도 동해안을 따라 고대에 해구가 형성되었다고 추정하였다. 韓國產 新屬 Xenostaffella와 數種의 新種 紡錘蟲 化石 Some New Forms of FUSULININAE, including a New Genus Xenostaffella, from Korea 1974.6 2 59-88 (30) 정창희 석탄기의 평안 누층군 만항층과 금천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聞慶炭田의 層序와 地質構造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Mun-gyeong Coalfield, Gyeongsang-bug-do, Korea 1974.9 3 129-148 (20) 박정자 문경탄전의 새로운 층서 구분과 습곡, 단층, 부정합, 화석, 석탄층 春川附近에 分布하는 角閃岩의 成因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Origin of Amphibolites in Chuncheon Area 1974.9 3 149-168 이문원 춘천시 부근 각섬암의 광물과 화학, 성인에 대한 연구 洛東層群의 堆積岩石學的 硏究 (1) Sedimentary Petrology of Nagdong Group (1) 1974.12 4 207-224 고인석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 사암의 구성성분, 조직, 퇴적환경 韓國 永同層群의 堆積 Sedimentation of the Yeongdong Group, Southern Korea 1974.12 4 225-241 (17) 김상묵 영동 분지 영동층군의 퇴적암 조합, 층서 11권 11권 11권 11권 11권 11권 11권 11권 韓半島 東南部의 白堊系 層序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1975.3 1 1-23 (23) 장기홍 경상 누층군이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으로 재설정되고 하양층군에서 함안층과 반야월층이 처음으로 정해졌다. 忠北 丹陽 附近의 쥬라紀 沙坪里 礫岩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Jurassic Sapyeongri Conglomerate in the Vicinity of Danyang, N. Chungcheongdo, Korea 1975.3 1 24-37 (14) 박인수, 정창희 단양군에 분포하는 대동 누층군 반송층군 사평리 역암층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와 퇴적환경 斗務洞層으로부터 產出된 코노돈트化石群 Conodonts from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South Korea 1975.6 2 75-98 (24) 이하영 삼척시와 영월군의 두무골층에서 산출된 20종 7속의 코노돈트 화석 韓國 浦項ㆍ甘浦一帶 新第三紀層의 化石珪藻群 Neogene Diatoms of Pohang and Gampo areas, Kyongsangbug-Do, Korea 1975.6 2 99-113 (15) 이영길 포항 분지 눌대리 조면암질응회암층, 이동층, 대곡층 및 감포 지역 어일층의 제3기 지층에서 발견된 51속 130종의 규조류 화석 甲山層의 地質時代 The Age of the Gabsan Formation 1975.6 2 139-143 (5) A. J. Reedman 단양군 북동부 갑산층의 지질시대는 홍점층, 석탄기에 대비된다. 永春附近의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Yeongchun 1975.9 3 145-165 (21) 손치무 南韓, 江原道地域의 上部캠브리아系에서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Conodonts from the Upper Cambrian formations, Kangweon-Do, South Korea 1975.9 3 172-185 (14) 이하영 태백시 동점동의 화절층과 영월군 마차리의 마차리층에서 발견된 5속 8종의 코노돈트 화석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1部-地質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Ⅰ. Geology 1975.12 4 187-214 (28) 윤선 韓國 結晶質 岩層의 地下水 Ground Water from Fractured Crystalline Rocks in Korea 1975.12 4 215-232 (18) 최승일 한국의 지하수 岩石力學的으로 考察한 서울花崗岩의 節理에 關한 硏究 Rock Mechanical Analysis of the Granite Joints in Seoul Area 1975.12 4 233-239 소칠섭, 최병렬 서울특별시 서울 화강암의 절리의 방향과 생성 원인 慶北 迎日地域에 發達하는 褐炭層의 層序的 硏究 Stratigraphic Studies on the Lignite-bearing Strata Distributed in the Yeongil District, North Gyeongsang-Do, Korea 1975.12 4 240-252 (13) 김봉균, 정창희, 김수진 포항시 장기분지의 지질(연일층군, 장기층군, 범곡리층군) 12권 12권 12권 12권 12권 12권 12권 12권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2部 古生物 (軟體動物) 第1編 雙殼類의 記載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 Part 2, Paleontology (Mollusca) No. 1, Systematic Description of Bivalvia 1976.3 1 1-21 (21) 윤선 의창층군(현재의 연일층군)에서 산출된 31종의 쌍각류(雙殼類; 조개류) 화석 기재 慶尙層群産 化石에 關하여 : 特히 數種의 軟體動物化石을 中心으로 On Fossils from the Gyeongsang Group : Especially on some of the molluscan fauna 1976.3 1 23-30 (8) 양승영 경상 누층군 내 연체동물 화석(Trigonioides 및 Nagdongia 속)과 연구 역사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2部 古生物 (軟體動物), 第2編 掘足類 및 腹足類의 記載와 化石產地의 記載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 Part 2, Paleontology(Mollusca), No. 2, Systematic Description of Scaphopoda and Gastropoda, with descriptions of fossil localities 1976.6 2 63-78 (16) 윤선 의창층군(현재의 연일층군)에서 산출된 1종의 굴족류(掘足類) 화석과 9종의 복족류(腹足類) 화석 기재 LANDSAT-1 映像에 의한 嶺南地域 地質構造와 鑛床과의 關係 硏究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Geologic Structures and Ore Deposits in Ryeongnam Province using Landsat-1 Images 1976.6 2 79-89 (11) 김종환, 강필종, 김정웅 영남 지방 선구조(Tecto-lineament)와 선구조가 수계, 해안, 광상에 미치는 영향 韓國地質學發展의 발자취 A Historical Sketch of Geology of Korea 1976.6 2 101-102 (2) 손치무 한국의 지질학 발전 역사. 지질학회지가 창간된 1964년과 연세대학교에 지질학과가 설치된 1965년을 한국 지질학계의 전환기라고 평하였다. 沃川層群의 틸라이트와 그 層序學的 意義 Tillites of the Ogcheon group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1976.9 3 107-112 A.J. Reedman, C.J.N. Fletcher 옥천 누층군의 빙력암(氷礫岩)으로 중국, 북한지역과의 대비를 통해 옥천 누층군이 선캄브리아기 지층이라는 증거다. 忠南炭田의 地質 및 古生物學的 硏究 Geological and Paleontological Studies of Chungnam Coalfield 1976.9 3 124-143 김봉균 보령시 충남탄전의 암석과 대동 누층군 식물화석 南韓 江原道에 分布된 莫洞石炭岩과 旌善石炭岩(오오도비스紀)으로부터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Conodonts from the Maggol- and the Jeongseon Formation(Ordovician), Kangweon-Do, South Korea 1976.12 4 151-181 (31) 이하영 조선 누층군 막골층과 정선 석회암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 창동터널의 지질 The Geology of the Changdong Tunnel, Chungcheongnamdo 1976.12 4 183-188 (6) L.P. Thomas, 박석환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연장 3,340 m의 급수용 터널 창동터널의 내부 지질로 쥐라기 퇴적암류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이 충상단층으로 접하고 습곡이 발달한다. 터널 내부의 석탄층들은 모두 단층파쇄되었고 대개 화강암류에 의해 관입당했다. 沃川-槐山一帶의 泥質變成岩類중의 黑雲母에 關한 硏究 Biotites from Metapelites of the Ogcheon-Goesan District, Korea 1976.12 4 189-206 (18) 김형식 옥천군-괴산군 일대 옥천 누층군 니질변성퇴적암의 흑운모에 대한 화학, 변성도 연구 金海附近 酸性火成岩類에 關한 岩石學的 硏究 A Petrologic study on the Acidic Igenous Rocks, Kimhae Area 1976.12 4 227-241 (15) 이창진, 박희연 김해시 지역에 발달하는 산성 화성암류(유문암, 각섬석반려암, 불국사 화강암류, 마산암류)와 그 화학성분 13권 13권 13권 13권 13권 13권 13권 13권 北坪層내의 化石珪藻群에 對하여 On the Fossil Diatoms in the Bukpyeong Formation, Bukpyeong area, Gangweon-do, Korea 1977.3 1 23-40 이영길 삼척시 북평 분지 북평층의 규조류 화석 Landsat-1 映像에 依한 太白山地域 地質構造와 岩石分布 狀態에 관한 硏究 (I) A Study on Geologic Structure and Rocks in Mt. Taebaek Area using Landsat-1 Image (I) 1977.6 2 53-70 강필종, 김의홍, 임정웅 Landsat-1 영상에 의한 선형구조(lineament) 판독과 보고된 단층, 암석 분포, 수계와의 관계. 충상단층은 거의 추적되지 않는다. 韓國 慶尙盆地 산내 및 일광광산의 鑛化作用 時期 Age of Mineralization at Sannae and Ilkwang Mines, Gyeongsang Basin, Republic of Korea 1977.6 2 71-75 C.J.N. Fletcher, C. C. Rundle 일광 동-중석광상 내 각력파이프에서 채취한 견운모의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는 69±2.6 Ma이다. 일광 광산의 광화작용 시기는 백악기 후기~제3기 전기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慶尙盆地 上部中生界의 層序堆積 및 地構造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 1977.6 2 76-90 (15) 장기홍 경상 분지 경상 누층군의 전반적인 층서와 지질시대, 하양층군의 층서, 지층대비 韓半島, Gondwanaland 및 Pangaea에 관한 소고 Discussion on the Korean Peninsula, Gondwanaland and Pangaea 1977.6 2 91-96 (6) 박병권 중생대 이전 한반도는 북중국 강괴의 일부였고 곤드와나의 일부분으로 판게아의 연변부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 Conodont 化石群에 의한 文谷層(三台山層)의 時代와 層序對比 Age and Biostratigraphy of the Mungog(Samtaesan) Formation by means of the Conodont fauna 1977.6 2 97-107 (11) 원문주, 이하영 浦項지역 第三紀層 底棲性有孔?의 species diversity Species Diversity of Benthonic Foraminifera in the Tertiary Strata of Pohang Basin, Korea 1977.9 3 111-120 (10) 김봉균, 최덕근 포항 분지 저서성(底棲性) 유공충 화석의 종다양성과 환경적 의미 南韓 江原道에 分布된 織雲山세일과 斗圍峰石灰岩으로부터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Conodonten aus den Jigunsan-und den Duwibong-Schichten (Mittelordovizium) von Kangweon-Do, Südkorea 1977.9 3 121-150 (30) 이하영 (독일어 논문) 삼척군 장성동과 영월군 상동광산의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과 두위봉층에서 산출된 68개체의 코노돈트 화석 寧越炭田 海成堆積岩(石炭紀)의 堆積環境 및 紡錘蟲에 관한 연구 Fusulinid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the Marine Sediment (Carboniferous) of the Yong-weol Coalfield, Korea 1977.9 3 151-178 (28) 정창희, 박용안 영월탄전 지역 평안 누층군 요봉층, 판교층, 밤치층의 해석 석회암층에서 산출되는 방추충 연구 蔚山鐵山附近의 地質構造와 鑛化作用에 關한 地質學 및 地球物理學的 硏究 Geolgical and Geophysical Studies on the Geologic Structures and Mineralization in the Ulsan Iron Mine Area 1977.9 3 179-189 (11) 최광선, 박희인, 정봉일 울산광역시 울산철광상의 지질과 광물, 지질구조 韓國 先캠부리아紀의 鐵鑛床의 成因에 關한 鑛物岩石學的 研究 Mineralogy and Petrology of the Precambrian Iron Deposits, Korea 1977.9 3 191-212 (22) 김형식 한반도 양양, 충주, 포천, 서산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철광상의 성인 沃川群 時代未詳 暗灰色低度變成泥質岩에서의 痕迹化石 콘드라이트의 産出과 意義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trace fossil Chondrite from age-debated dark gray low-grade metamorphic argillaceous rock of Ogcheon Supergroup, southern Korea 1977.12 4 263-266 장기홍, 박봉순 괴산군 청천면의 옥천 누층군 백봉리층군 운교리층(PZCEoun)에서 암회색 저도변성니질암에서의 흔적 화석 콘드리테스(Chondrites)의 화석을 발견하였다. 콘드리테스의 범세계적인 산출 시기 범위는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의 해성층이므로 운교리층의 지질시대는 고생대 전기일 가능성만 유효하다. 14권 14권 14권 14권 14권 14권 14권 14권 慶尙盆地의 構造解釋과 Igneous Pluton에 관한 硏究 Study on the Tectonic Interpretation and Igneous Pluton in the Gyeongsang Basin 1978.9 3 79-92 (14) 원종관, 강필종, 이상훈 Landsat-1 영상에 의한 선형구조(lineament)와 단층, 화성암의 화학성분. 양산 단층을 비롯한 북북동 주향의 단층을 따라 대규모 화강암체의 관입이 있었다. 沃川系 含우라늄 變成地層의 鑛物學的 地球化學的 硏究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Uranium-bearing black Slates in the Ogcheon Group, Korea 1978.9 3 93-102 (10) 소칠섭, 강정극 옥천 누층군 내 탄질셰일층에 부존된 우라늄, 조성광물과 화학 洪濟寺花崗岩의 岩石學的 硏究 Petrological Study of Hongjesa Granite 1978.9 3 103-112 나기창, 이동진 홍제사 화강암의 주 변성작용은 원생대(1880±32.4 Ma), 최후 변성작용은 쥐라기 초기에 발생하였다. 沃川系 含우라늄 地層 周邊에 貫入·分布하는 花崗岩類의 地球化學 Geochemical Study of Granite Intrusions in the Area of Uranium Bearing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1978.9 3 113-119 (7) 이민성 괴산군 옥천 누층군 함우라늄 지층 주변에 분포하는 청주 화강암(대보 화강암류), 속리산 화강암(불국사 화강암류)의 화학, 우라늄 분포상태 慶尙盆地의 層序, 堆積 및 地構造 (II) (堆積環境과 構造解析-에너지資源 부존검토를 겸하여)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II) - with discussion on petroleum possibility 1978.9 3 120-135 (16) 장기홍 경상 분지의 퇴적 중 서북서 방향의 단층이 활동, 화산성 구조함몰, 경상 누층군 내 무연탄과 석유 산출은 없음, 석유 저류층이 될 만한 사암 지층도 없음 蓮花鑛山 地域에 있어서의 朝鮮系累層의 構成岩石, 化學成分 및 堆積環境 Petrography, Chemical Composi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Sequence in the Yeonhwa I Mine Area, Southeastern Taebaegsan Region, Korea 1978.12 4 145-174 (30) 윤석규 제1연화광산의 조선 누층군 묘봉층과 풍촌 석회암층의 암상과 화학 韓國 蔚山地域 마이오世 華峯里層產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from the Miocene Hwabongri Formation, Ulsan District, Korea 1978.12 4 186-194 (9) 윤선, Tamio Kotaka, 권명미 울산광역시 신생대 마이오세 화봉리층에서 발견된 화석 Dasybatus nipponensis Hatai and Kotaka 15권 15권 15권 15권 15권 15권 15권 15권 山蔚盆地의 第三紀層 2. 軟體動物化石 The Tertiary Deposits of the Ulsan Basin No. 2. Molluscan Fossils 1979.3 1 1-35 (35) 윤선 울산광역시 울산 분지 제3기 마이오세 신현층과 화봉리층의 화석과 대비 한국의 중부 오오도비스계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의 생층서 대비와 생물구 특성에 관한 연구 - 영흥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ostratigraphy and Bioprovince of the Middle Ordovician Conodonts from South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odonts from the Yeongheung Formation 1979.3 1 37-60 (24) 이하영 조선 누층군 영흥층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 蓮花-蔚珍 鉛·亞鉛 鑛山地帶 火成岩類의 K-Ar 年代에 對하여 K-Ar Geochronology of Igneous Rocks in the Yeonhwa-Ulchin Zinc-Lead District and Southern Margin of the Taebaegsan Basin, Korea 1979.3 1 89-99 (11) 윤석규, M. L. Silberman 연화광산~울진군 지역 알칼리계 화성암류의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값 忠北 丹陽 附近의 쥬라紀 沙坪里層의 石灰岩礫에서 產出되는 紡錘蟲에 관한 硏究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 Gravels of the Jurassic Sapyeongri Formation, Danyang Coalfield, Korea 1979.6 2 168-182 (15) 정창희, 박인수 사평리층의 역암을 구성하는 석회암력에서 발견된 방추충 화석 갑산층에서 발견된 식물화석 Linopteris neuropteroides와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Some Plant Fossils, Linopteris neuropteroides and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from the Gabsan Formation, Korea 1979.9 3 192-200 전희영 갑산층 하부 층준에서 발견되어 Neuropteris sp.로 발표되었던 식물화석이 Linopteris neuropteroides로 밝혀졌다. 지질시대는 홍점층에 대비된다. 光州斷層 一帶의 地質과 地年代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1979.9 3 201-208 (8) 백광호, 윤건신, 김의홍, Michael H. Freeland 광주광역시 서쪽 약 20 km를 지나는 광주 단층의 생성 연대와 해당 지역의 층서, 암석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On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1979.12 4 253-258 (6) 이기화 한반도의 지체구조 분석을 위해 지리산 쌍계사 지진의 주시 자료를 분석하고, 지각의 두께는 약 35 km, P파 및 S파의 속도는 각각 초속 5.8 km 및 3.5 km이다. 釜山 荒嶺山 一帶의 球狀 斑糲岩質岩에 對한 硏究 Orbicular Gabbroic Rocks from the Hwangryeong Mountain District, Pusan, Korea 1979.12 4 295-313 (19) 김형식, 김진섭, 김항묵 부산광역시 황령산 기슭에서 나타난 구상 반려암의 노두에 대한 연구로, 이 반려암은 1980년 10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67호로 지정되어 오늘날 부산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으로 남아 있다. = = = 1980년대 = = = 논문 제목 (한국어) 및 url 링크 논문 제목 (영어) 날짜 호 쪽 (쪽수) 저자 내용 16권 16권 16권 16권 16권 16권 16권 16권 南韓의 쥬라기 花崗岩質岩과 白堊紀 花崗岩質岩의 地質學的 및 同位元素 比較 Geological and Isotopic Contrasts of the Jurassic and the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1980.12 4 205-215 (11) 진명식 쥐라기 대보 화강암류와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의 화학, 동위원소비, 광화작용 17권 17권 17권 17권 17권 17권 17권 17권 江原道에 分布하는 農村 및 花折層에 關한 堆積學的 硏究 Sedimentological Study on the Pungchon and the Hwajeol Formations, Gangweon-do, Korea 1981.12 4 225-240 (16) 김정률, 박용안 삼척탄전 지역 풍촌 석회암층과 화절층의 퇴적환경 韓國의 古地震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Historical Earthquakes in Korea 1981.12 4 257-268 (12) 정봉일 서기 0년부터 1900년까지 한반도에서 총 1766회의 지진이 발생 德山溫泉地域의 地熱狀態에 관한 地質學的 및 地球物理學的 調査硏究 Geological and Geophysical Studies on the Geothermal State in the Duksan Hot Spring Area 1981.12 4 269-280 (12) 정봉일, 이기화 덕산온천의 지온, 방사선량, 선구조 浦項地域의 斷裂現象에 對한 地質工學的 考察 Studies in the Viewpoint of Engineering Geology on Active Faults in Pohang Area 1981.12 4 281-293 (13) 김영기 포항시 괴동동, 동촌동, 장흥동 지역의 절리와 단층 18권 18권 18권 18권 18권 18권 18권 18권 上部慶尙層群에서 發見된 白堊紀 恐龍의 足痕化石에 關하여 On the Dinosaur's Footprints from the Upper Cretaceous Gyeongsang Group, Korea 1982.3 1 37-48 (12) 양승영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가 경상 누층군 진동층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에서의 Vicarya의 發見 Discovery of Vicarya from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1982.3 1 49-52 (4) 윤선, 이상훈 포항 분지의 천곡사층에서 발견된 Vicarya 화석 Trigonioidcs(s.s) kodairai의 模式地 一帶의 地質과 洛東亞層群의 地質時代 Geology around the Type-Locality of Trigonioides(s.s.) kodairai and Age of the Nagdong Subgroup 1982.6 2 67-72 (6) 양승영 하동군 금남면의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에서 발견된 이매패류 화석 構造線 豫想地域에 있어서의 物理探査 適用例 An Example of a Geophysical Survey in an Inferred Fault Area 1982.6 2 73-82 (10) 김영화 거제시 장승포동 옥명리 일대에서 지하수 조사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南韓에 分布하는 花崗岩類의 岩石化學的 硏究 The Petrochemical Study of the Granitoids in South Korea 1982.9 3 132-148 (17) 박미령, 김규한 대한민국의 쥐라기 대보 화강암류와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에 대한 산출 상태와 분포, 암석화학, 광상 技川面 一帶에 分布하는 晋州層의 分離面에 對한 力學的 考察 Kinematic Consideration on the Discontinuous Plane of Jinju Formation in Jicheon-Myeon 1982.9 3 156-166 (11) 김영기, 석종기, 정교철 칠곡군 지천면 경상 누층군 진주층에 발달한 불연속면(절리)에 대한 역학적 연구 韓國 魚日盆地의 第三紀 層序 Tertiary Stratigraphy of the Eoil Basin, Korea 1982.12 4 173-180 (8) 윤선 어일 분지의 제3기 지층 층서 義城郡 塔里 부근의 恐龍肢骨化石 Occurrence of a Dinosaur Limb Bone near Tabni, Southern Korea 1982.12 4 195-202 (8) 장기홍, 서승조, 박순옥 의성군 금성면 탑리와 청로동 사이 경상 누층군 후평동층 구계동층원 하부에서 발견된 공룡 뼈 화석 19권 19권 19권 19권 19권 19권 19권 19권 楸哥嶺裂谷의 地構造的 解析 Geotectonic Interpretation of Choogaryong Rift Valley, Korea 1983.3 1 19-38 (20) 이대성, 유기주, 백광호 추가령 구조곡 현무암의 지질시대(플라이스토세에 분출)와 고지자기 韓國의 댐 基礎基盤과 그 處理 Basements of Dams and Dam Building in Korea 1983.6 2 85-100 (16) 양재만 대한민국의 댐의 기초지반과 기반암 불량의 문제 韓國地質學界의 先驅者 雲巖 朴東吉 博士(1897年 8月~1983年 2月) - 1983.6 2 112-113 (2) 이정환 (학회장) 대한민국의 지질학자 박동길에 대한 평가와 이력 韓國에서 發見된 自堊紀 恐龍化石과 그 層序 Cretaceous Dinosaurs from Korea 1983.9 3 115-126 (12) 김항묵 한국의 공룡화석 산지(의성군 탑리, 합천군 지릿재, 고성군 하이면 해안)의 층서와 공룡화석의 기재 梁山斷層의 微震活動에 관한 研究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1983.9 3 127-135 (9) 이기화, 나성호 양산 단층에서 발생한 미소 지진 韓半島에서의 第四系 火山活動에 관한 研究 - 楸哥嶺裂谷內에서 A Study on the Quarternary Volcanism in the Korean Peninsula - in the Choogaryong Rift Valley 1983.9 3 159-168 (10) 원종관 추가령 구조곡 지역 현무암의 구성 광물, 화학 丹陽·永春地域에 分布된 興月里層에 관한 堆積岩石學的 硏究 Sedimentary Petrological Study on the Heungwolri Formation 1983.9 3 190-202 (13) 이원국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암상, 퇴적구조, 층서적 위치, 화학성분 돌로마이트의 산출상태 寧越炭田 밤치層의 石灰岩에서 產出되는 페름紀 紡錘蟲 Permian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s of the Bamchi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1983.12 4 203-226 정창희, 김봉균, 이창진 영월탄전의 평안 누층군 밤치층 석회암 지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韓國 浦項盆地에서 發見된 마이오세 Archaeomondas 化石 Miocene Archaeomonads from Pohang Area, Korea 1983.12 4 247-251 (5) Hsin Yi Ling, 김봉균 포항 분지 송학동층과 이동층에서 발견된 마이오세 Archaeomonads 화석 신제3기 포항분지 동부 연변(칠포부근)의 층서 Stratigraphy of East Margin of the Pohang Tertiary Basin near Chilpo 1983.12 4 252-257 (6) 윤혜수, 김봉균 흥해읍 칠포리~오도리 일대의 '두호층'은 백악기 지층과 천북 역암층, 학림층으로 재분류되어 포항 분지의 동부 경계가 발견되었다고 주장 20권 20권 20권 20권 20권 20권 20권 20권 火旺山 및 靈鷲山일대 花崗岩類의 岩石學的 硏究 Petrology of Granitoid in Mt. Hwawang and Mt. Youngchu Area 1984.3 1 1-14 (14) 김중욱, 이윤종 화왕산과 영추산 일대 화강암류의 구성성분과 화학 韓國卯谷層產 軟體動物化石群에 關한 古生物學的 研究(二部)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from Myogog Formation, Korea. (pt. 2) 1984.3 1 15-27 (13) 양승영 묘곡층에서 발견된 이매패, 소라류 화석 慶尙束 楡川層群 基底의 不整合 Unconformity at the Base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1984.3 1 41-50 (10) 장기홍 외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의 광역적 부정합 관계, 유천층군 고성층의 층서 쥬라기 서울 및 안양화강암의 암석지화학적 연구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urassic Seoul and Anyang Granites, Korea 1984.3 1 51-71 (21) 홍국영 쥐라기 서울 화강암 및 안양 화강암의 암석 구성성분, 화학, 광물, 미량 및 희유원소 南韓의 同位元素 水文學에 關한 研究 Studies on Isotope Hydrology in South Korea 1984.3 1 72-84 (13) 한정상, 안종성, 이창근 방사성 동위원소을 이용한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강 하류, 서울특별시와 교외, 한강 상류 석회암지대, 제주도 지역) 소위 栗里層群 및 遠南層群의 變成岩石學的 研究 Metamorphic Studies on the so-called Yulri and Weonnam Groups in the Mt. Taebaeg Area 1984.9 3 195-214 (20) 이상만, 김형식 봉화군 북부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율리층군과 원남층군의 일반지질, 화학조성, 광물, 변성작용 韓國 梨洞 및 浦項層(마이오世)產 타스마니티드 Tasmanitids from Idong and Pohang (Miocene) Formations of Korea 1984.9 3 215-221 (7) 최덕근, 봉필윤, 김봉균 포항 분지의 이동층과 포항층에서 산출된 2종의 Tasmanitids 화석 기재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研究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1984.9 3 222-240 (19)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양승진 경상 분지 내 가장 높은 지진활동은 양산 단층과 연관되어 발생했으며 1982년 8~12월 사이 100여 차례의 미소 지진들이 양산 단층, 동래 단층에서 발생했다. 엔트로피 극대법에 의한 한반도 고지진 시계열의 스펙트럼 분석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for Ancient Earthquake Records in Korean Peninsula 1984.9 3 241-251 (11) 홍순복 서기 1029년에서 1879년까지 발생한 한국의 지진 기록을 분석하고 1년 주기의 절정기(peak)가 나타났으나 그 원인은 알지 못하였다.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의 古環境 - 1. 古海岸線 Paleoenvironments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 No. 1. The paleocoastal line 1984.9 3 252-255 (4) 윤선 포항 분지 천곡사층에서 산출되는 화석 대비로 마이오세 포항 분지의 고(古)해안선을 설정하였다. 南韓에 分布되어 있는 쥬라紀 및 白堊紀 花崗岩類에 含有되어 있는 인회석의 휫션트랙 年代測定에 對하여 Fission Track Dating of Apatite from the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1984.12 4 257-265 (9) 진명식, A.J.W. Gleadow, J.F. Lovering 대보 화강암과 불국사 화강암에서 인회석을 채취하여 피션트랙(Fission Track) 절대연령 측정을 실시. 연대와 시료 채취지점의 고도와의 관계는 한반도가 제3기 중 100만 년에 약 20 m 상승했음을 지시 부암스카른광상의 광물지화학 및 유체포유물 연구 Mineral Geochemistry and Fluid Inclusion Study On the Buam Skarn Deposit 1984.12 4 266-281 (16) 문건주 청주시 부근 부암 회중석 스카른광상의 지질, 광체(Orebody), 구성 광물과 화학조성, 유체포유물 한국 山內 重石광산의 硫黃同位元素, 流體包有物 및 稀有元素 연구와 그의 探査에의 활용 S Isotope, Fluid Inclusion and Trace Element Studies of the Sannae Tungsten Deposit and its Application to the Ore Prospecting 1984.12 4 282-295 (14) 소칠섭 밀양시 산내면 중석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시기, 유체포유물 울릉島의 火山活動과 岩石學的 特性 The Volcanism and Petrology of alkali Volcanic rocks, Ulrung Island 1984.12 4 296-305 (10) 원종관, 이문원 울릉도의 화산활동과 화산암의 화학과 기원 濟州火山岩類에 含有된 mafic 捕獲岩 Petrology of mafic inclusion in Jeju volcanic rocks 1984.12 4 306-313 (8) 이문원 제주도 화산암에 포획된 고철질암의 화학조성과 성인 釜山 花崗岩地域의 地盤應力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earth stress of the granite area in Pusan, Korea 1984.12 4 314-325 (12) 최재우, 김정진, 김영기 부산광역시 금정산 남측 화강암체의 절리와 지반 응력 寧越炭田 요봉層 下部에서 산출된 바쉬키리안 紡錘蟲 Bashkirian Fusulini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Yobong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1984.12 4 345-359 (15) 이창진 영월탄전 지역 요봉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21권 21권 21권 21권 21권 21권 21권 21권 三寶鑛山產 主鑛石鑛物의 物性研究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Ore Minerals from the Sambo Lead-Zinc-Barite Mine 1985.3 1 1-25 (25) 박맹언, 성우현, 최상훈 경기도 남양군 봉담읍에 소재한 삼보 연-아연-중석광상 白堊紀 慶尙盆地의 堆積과 그의 層序分類와의 聯關性 Sedime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atigraphic Classification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1985.3 1 26-37 (12) 최현일 경상 누층군의 층서와 퇴적 구조 梁山斷層의 活性問題에 關하여 On the Seismic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1985.3 1 38-44 (7) 이기화 양산 단층의 활동성과 관련하여, 김성균과 조동행(1984)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남한 강원도 평창 삼방산 지역에 분포하는 삼방산층에서 산출된 삼엽충화석군 Trilobites from the Sambangsan Formation in the eastern side of the Pyeongchang Area, Kangweon-Do, South Korea 1985.3 1 45-49 (5) 김인석, 정창희, 이하영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의 삼엽충 화석의 보고 釜山 影島一帶의 球狀호온펠스에 對한 硏究 Orbicular Hornfelses from the Yeongdo District, Pusan, Korea 1985.3 1 50-62 (13) 김형식, 김영균, 정호종, 김항묵 부산광역시 영도 지역의 응회암질 지층에서 발견된 구상(球狀) 혼펠스 南韓에 분포되어 있는 白堊紀 花崗岩類의 化學組成과 造構造環境에 對하여 A Relationship between Tectonic Setting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Southern Korea 1985.6 2 67-73 (7) 진명식 한반도 남부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에서 13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 마그마가 진화하는 동안 지각의 두께는 30 km 내외 한국 주변 지역의 地熱流量과 換算地熱流量에 관하여 On the Regional Heat Flow around Korea and Reduced Heat Flow 1985.6 2 74-78 (5) 한욱, David S. Chapman 한국의 지열류량의 상승현상은 지표에 분포하는 방사능과 관련 있음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硏究 (II)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II) 1985.6 2 79-89 (11)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중력, 지전기, 방사능 탐사를 실시하였고 양산 단층의 존를 확인하였다. 韓國 東南部에 分布하는 白堊紀 彥陽 및 楡川花崗岩의 地化學的 硏究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Eonyang and Yoocheon granites in the Southeastern Korea 1985.6 2 90-108 (19) 홍영국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언양 화강암 및 유천 화강암의 지화학, 원소 함량 洪城一帶의 重力探査 A Gravity Survey of the Hongsung Area 1985.9 3 127-132 (6) 이기화, 장태우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서 중력 탐사를 실시한 결과 홍성읍을 통과하는 동북동 주향의 단층이 발견되었다. 중력 이상은 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며 단층 지역의 쇄설성 퇴적물은 40 m 깊이까지 연장된다. 全南 靈光 附近 花崗石 mylonite 微構造의 順次的 發達 Sequential Development of the Microstructures of Granite Mylonite in the Vicinity of Yŏngguang-ŭp, Chŏllanam-do 1985.9 3 133-146 (14) 장태우 영광군 영광읍 부근 쥐라기 화강암체 내 발달한 연성 전단대에서 발견된 압쇄암(Mylonite) 조선누층군 상부 캠브리아계 화절층 Rhythmite의 성인 Genesis of the Rhythmite of Upper Cambrian Hwajeol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1985.9 3 184-195 (12) 박병권 조선 누층군 화절층 상부에 발달하는 리듬암(rhythmite)의 특성과 성인(成因) 강원도 長省의 朝鮮系 막골層에서 산출되는 蒸發殘留岩 광물의 캐스트 Evaporite Mineral Casts in the Maggol Formation(Ordovician), Jangseong, Kangweondo 1986.1 4 219-226 (8) 백인성 태백시 장성동 조선 누층군 막골층 상부에서 발견된 증발잔류암의 캐스트 韓半島의 地震危險度에 關한 硏究 (I) Studies on the Seismic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I) 1986.1 4 227-240 (14) 이기화, 이민성, 권병두, 양우선 서기 2년부터 1982년까지 한반도와 그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MM 진도 V 이상의 923개 지진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중부 캠브리아계 조선 누층군 세송스레이트층의 퇴적환경 : 고기 해저 선상지 퇴적층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Cambrian Sesong Slate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and ancient submarine fan deposits 1986.1 4 241-259 (19) 박병권, 오재경, 윤호일 조선 누층군 세송층의 암상과 퇴적환경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들의 tectonic한 환경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cs and their Tectonic Environment of Southern Korea 1986.1 4 260-280 (21) 이민성, 전용원 한반도 추가령 구조곡, 울릉도, 제주도 지역 제4기 화산암의 화학조성 및 마그마 발생 심도 韓國 東南海岸과 그 海域에서의 白堊紀-新第三紀 層序變移와 慶尙堆積 以後의 造構造的 發展 Cretaceous/Neogene Stratigraphic Transition and Post-Gyeongsang Tectonic Evolution Along and off the Southeast Coast,, Korea 1986.1 4 281-296 (16) 최현일, 박관순 한반도 남동부 해안과 연근해역에서의 제3기 층서, 지질구조 22권 22권 22권 22권 22권 22권 22권 22권 한반도 지각의 진화에 관한 연구 : 태백산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 I 편: 삼척탄전 동부의 층서, 고생물 및 지질구조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stern part of Mt. Taebaeg Area : Part I: Stratigraphy, Paleontology and the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1986.3 1 21-39 (19) 김봉균, 정창희, 백광호, 김정환, 김정률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에서 발견된 두족류 화석과 도계 지역의 지질구조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성분 Carbon and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3 1 40-52 (13) 박병권, 우경식 풍촌 석회암층 탄산염암의 탄소, 산소 동위원소 값과 퇴적 환경 江原道 寧越-平昌間에 分布하는 三方山層과 이에 隣接한 堆積層의 堆積,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Sedimentological, Stratigraphical and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Sambangsan Formation and Its Adjacent Formations in the Yeongweol-Pyeongchang Area, Kangweondo 1986.3 1 69-86 (18) 이하영, 유강민, 이종덕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의 암상과 화석 慶北 富邱地域 花崗片麻巖內의 地下水 流動 The Flow of Ground Water in Granite Gneisses of the Buku Area, Korea 1986.3 1 87-100 (14) 김영기, 성익환 울진군 부구리 화강편마암 내 지하수 유동 상태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미량 원소 Trace Elements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6 2 105-122 (18)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미량원소 함량과 퇴적환경 聞慶炭田 鳥井山一帶의 地質構造 Structures of the Ojeongsan Area, Mungyeong Coalfield, South Korea 1986.6 2 135-145 (11) 김정환 문경탄전 오정산 하부의 스러스트 단층 韓半島의 地震活動(I) : 洪城一帶의 地震活動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I) : Seismicity of the Hongsung Area 1986.6 2 164-175 (12) 이기화, 정봉일, 김광호 중부 캠브리아기 우이드 여울 퇴적층 : 풍촌석회암층 하부의 어란상 탄산염암 Middle Cambrian Ooid Shoal Deposits: The Oolitic Carbonate Rocks of Lower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9 3 183-199 (17)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어란상 탄산염암 慶尙盆地 南西部 新洞層群 砂岩에 대한 岩石學的 硏究 Sandstone Petrology of the Sindong Group,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1986.9 3 212-223 (12) 최현일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의 사암의 유형과 퇴적물 공급지, 구성 광물 洛東層群의 起源岩에 關한 硏究 Study on the Source Rocks of the Nagdong Group 1986.9 3 233-256 (24) 고인석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의 기원암 三陟-竹邊 一帶 先캠브리아紀 片麻岩類에 關한 變成岩石學的 硏究 Metamorphic Petrology of Precambrian Gneisses in Samcheok-Jukbyeon Area 1986.9 3 257-277 (21) 이상만, 김형식, 오인석 삼척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의 변성시기, 암석화학 韓國產 玉에 對한 鑛物學的 및 寶石學的 硏究 A Mineralogical and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Korean Jade from Chuncheon, Korea 1986.9 3 278-288 (11) 김수진, 이동진, 장세원 춘천시 옥에 대한 광물학, 화학, 보석학적 연구 23권 23권 23권 23권 23권 23권 23권 23권 풍촌석회암층 내에 협재된 캠브리아기 조간대 이암층 Cambrian Peritidal Mudstone Deposits Interbedded in the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3 1 60-66 (7) 박병권, 한종환,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하부에 협재된 이암의 화학성분과 퇴적환경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에 함유된 적색 이질 성분의 기원 Origin of Red Argillaceous Composition in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6 2 97-108 (12) 박병권, 한상준 下部 慶尙層群에 發達하는 分離面의 特性 硏究 Mechanical Properties of Discontinuous Rocks in Lower Kyeongsang Group 1987.6 2 120-135 (16) 김영기 경상 누층군 하부에 발달하는 불연속면(절리)의 연구 三陟炭田 黃池一帶의 地質構造硏究 Structural Analysis of Hwangji-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1987.6 2 136-144 (9) 김정환, 원종호 삼척탄전 태백시 황지동 지역의 지질구조(혈암, 황지, 서북 스러스트 단층) 江原道 銅店斷層 東部에서의 先캠브리아-캠브리아系의 境界 The Precambrian-Cambrian Boundary in the East of the Dongjeom Fault, Gangweon-do, Korea 1987.6 2 145-158 (14) 김정률, 정창희 태백시 동점 단층 동부에서 선캄브리아기 암석과 캄브리아기 조선 누층군 사이에 있는 면산층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忠州一圓 滑石鑛床의 成因에 關한 巖石學的 硏究 : 原岩의 종류 및 成因 Origin of Talc Deposit in the Chungju Area: Origin and Types of Initial Rocks and their Origin 1987.6 2 173-188 (16) 이종혁 충주시 옥천 누층군 증평층 내 활석광상의 원암과 성인 풍촌석회암층 상부의 중부 캠브리아계 탄산염 초 전사면 퇴적층 Middle Cambrian Carbonate Fore-reef Slope Deposits of the Upp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9 3 195-215 (21)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암상과 퇴적 환경 해석 韓半島의 地震危險度 分析 An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1987.9 3 229-241 (13) 경재복, 이기화 지진의 분포는 지체구조구의 경계와 지체구조구 내에 발달한 단층들과 연관된다. 韓半島의 地震活動: 3. 京畿陸塊의 地震活動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 3. Seismicity of the Kyeonggi Massif 1987.9 3 257-276 (20) 이기화, 권병두, 장태우 경기 육괴 지역에서의 지진 활동 浦項地域에 分布하는 新第三紀 延日層群의 有機地球化學的 硏究 Organic Geochemical Study of the Neogene Yeonil Group in Pohang Area, Korea 1987.9 3 277-284 (8) 송요헌, 장호완, 곽영훈 포항 분지 신생대 연일층군의 유기물질과 석유 부존 가능성 연구 南韓에서의 祥原系 分布와 그 意義 G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angwon System in South Korea 1987.9 3 285-286 (2) 원종관, 나기창, 이문원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상원계 중부 캄브리아계 초 후사면 퇴적층 : 하부 풍촌석회암층에 협재된 탄산염 퇴적층 Middle Cambrian Back-Reef Deposits: Carbonates Interbedded in the Low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12 4 287-305 (19)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의 탄산염 각력암층의 암상과 퇴적 환경 태백시 동점역부근의 하부 오오도비스기 두무골층의 퇴적학 예비연구 Sedimentology of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in the Vicinity of the Dongjeom Station, Taebaeg City: a preliminary study 1987.12 4 331-337 (7) 이용일, 최덕근 조선 누층군 두무골층의 암상과 퇴적환경 南韓의 白堊紀~第三紀 火成活動과 地構造的 意義 Igneous Activities of the Cretaceous to the Early Tertiary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in South Korea 1987.12 4 338-359 (22) 이상만, 김상욱, 진명식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의 분출 및 관입이 백악기 초(120 Ma)에 시작되어 제3기 초까지 단속적으로 진행되었고 이때 한반도와 일본 열도는 인접해 있었으며 마그마의 형성 심도는 180~260 km, 침강하는 해양 지각의 경사는 30°정도이다. 백운산 향사지역 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계 막골층의 퇴적환경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Ordovician Maggol Formation, Southern Part of the Baegunsan Syncline Area 1987.12 4 360-373 (14) 백인성 조선 누층군 막골층의 암상과 화학, 퇴적 환경 太白市 一帶 斗圍峰層(오오도비스系)의 介形蟲 群集 Ostracodes from the Duwibong Formation (Ordovician) in Taebaek City, Korea 1987.12 4 374-380 (7) 백광호, 김봉균, 정창희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에서 발견된 개형충 군집화석의 기재 구룡포에 분포하는 진주암의 생성과 변질작용 Formation and Alteration of Perlite in Guryongpo Area 1987.12 4 381-390 (10) 원종관, 노진환, 이문원 포항시 구룡포 지역에 분포하는 진주암(眞珠岩, perlite) 24권 24권 24권 24권 24권 24권 24권 24권 九龍浦地域에 分布하는 新生代 火山岩의 地質과 岩石學的 硏究 Geolog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Guryongpo, Korea 1988.3 1 1-15 (15) 이문원, 원종관, 백광호, 노진환 구룡포 지역 화산암류의 지질, 광물조성, 절대연령측정, 고지자기 측정 韓國 浦項盆地 新第三紀層의 硏究 - 堆積岩石學的, 古生物學的 및 鑛物學的 硏究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Neogene Deposits in the Pohang Basin, Korea: With Emphasis on Sedimentological, Paleontological and Mineralogical Studies 1988.3 1 16-30 (15) 이유대, 이재영, 이영길 포항 분지 사암의 광물조성과 퇴적 환경, 규조 화석 경주 남쪽을 중심으로 한 양산단층의 구조에 관한 지전기학적 연구 A Geoelectric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outh of Kyeongju 1988.3 1 47-61 (15) 김영화, 이기화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언양읍 간 양산 단층의 조사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 (I) 1988.3 1 62-70 (9) 이기화, 노명현 한국의 지진위험도 평가 상동지역 금천층의 코뉴라리드 A Conulariid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Sangdong Area, Korea 1988.6 2 87-92 최덕근 평안 누층군 금천층의 암회색 셰일에서 발견된 한국 최초의 코뉴라리드 화석 Paraconularia geumcheonensis 경북 감포지역 제3기층에 산출되는 불석광물 및 점토광물의 산상 및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Zeolites and Clay Minerals from the Tertiary Rocks in the Gampo Area, Kyeongbuk 1988.6 2 105-112 (8) 황진연 경주시 감포읍 제3기 지층에서 산출되는 변질광물의 광물과 성질 [ 해남 백악기 우항리층의 비투멘(II) : 오조커라이트의 생성 및 이동에 관하여 The Bitumen of th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II) : On the Generation and Migration of the Ozocerite 1988.6 2 113-126 (14) 김홍렬, Alan Cook 우항리층의 역청(bitumen)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 그의 층서적, 지구조적 의의 Palaeomagnetism of Cretaceous Tadaepo Formation, Pusan Area: Its Stratigraphic and Tectonic Significances 1988.9 3 211-233 (23) 김인수 경상 누층군 다대포층의 고지자기를 조사하고 다대포층이 유천층군이 아니라 하양층군에 대비된다고 주장 태백시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기 두위봉층의 폭풍의 퇴적작용 Storm Sedimentation in the Middle Ordovician Duwibong Formation, Southern Taebaeg City 1988.9 3 234-242 (9) 이용일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의 폭풍하 퇴적작용 華山 環狀火成岩複合體의 發達史 및 콜드른構造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of Its Cauldron of the Hwasan Ring Igneous Complex, Northern Kyeongsang Basin, Korea 1988.9 3 267-288 (22) 윤성효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영천시 화산면 화산 칼데라의 발달 역사와 지질구조 동점지역 두무골층(하부 오오도비스계)의 무척추동물 화석 Invertebrate Fossils from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of Dongjeom Area, Korea 1988.9 3 289-305 (17) 최덕근, 이용일 태백시 구문소 인근 두무골층에서 산출된 12종의 무척추동물 화석 25권 25권 25권 25권 25권 25권 25권 25권 黃江里層의 石灰質礫에서 산출된 微化石과 그의 層序的 意義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1989.3 1 1-15 (15) 이재화, 이하영, 유강민, 이병수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에서 발견된 오르도비스기 화석군 韓半島 金-銀 熱水 鑛床의 地化學的 硏究 : 楊東地域 鑛化帶 Geochemical Studies of Hydrothermal Gold-Silver Deposits, Republic of Korea : Yangdong Mining District 1989.3 1 16-29 (14) 소칠섭, 윤성택, 치세정 양평군 양동면 양동 금-은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작용 치술령지역의 화성암류와 광화작용시기 - 유천층군의 화산활동시기에 대한 고찰 The Age of Granitoid Intrusions and Related Mineralisation in the Chisulryoung Mountain Area, South-East Korea :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and Yucheon Group Volcanism 1989.3 1 51-58 (8) Antony John Reedman, 박기화, Jane Alison Evans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치술령 화산암에 대한 지질과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및 화산작용 시기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II) 1989.3 1 59-71 (13) 이기화, 진영근 한국의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 聞慶炭田 北部地域의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Mungyeong Coalfield, Korea 1989.3 1 72-81 (10) 김정환, 기원서, 김일석 문경탄전 북부지역 지질구조와 부운령 역암층의 분포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의 관음굴과 환선굴내에 발달한 동굴생성물의 초기 광물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에 관한 연구 Original Mineralogy and Carbonate Diagenesis of Speleothems in Kwanum and Hwansun Cavern, Kangweondo, Korea: Preliminary Results 1989.3 1 90-97 (8) 우경식, 원종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관음굴과 환선굴의 동굴생성물(종유석, 동굴산호)의 구분 濟州島 地下水의 水質特性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Cheju Island 1989.9 3 230-238 (9) 최순학, 김영기 제주도 지하수의 지질과 특성 영동분지(백악기)내의 영동단층대 주변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Yongdong Fault Zone in Cretaceous Yongdong Basin, Korea 1989.9 3 259-272 (14) 이동우, 백광호 홍천철광상의 성인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ies on the Genesis of the Hongcheon Iron Deposits, Korea 1989.9 3 239-258 (20) 이종혁, 이상헌 어일분지일대에 분포하는 제 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Pala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in the ?il (Eoil) Basin and its Vicinities, Southeast Korea 1989.9 3 273-293 (21) 김인수, 강희철 포항-울산지역 제3기 퇴적분지에서 보고된 잔류자기의 시계방향 편향 沃川褶曲帶 南西部의 剪斷帶에 分布하는 淳昌葉狀 花崗閃綠岩의 地化學 및 微構造硏究 Geochemical and Microstructural Studies on the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at a Shear Zone in the SW Part of the Ogcheon Fold Belt, Korea 1989.9 3 294-311 홍국영, 이병주 남원시-순창군 호남전단대에 발달하는 엽리상 화강섬록암의 압쇄암과 화학, 호남전단대의 연성전단 운동 시기 江原道 太白市 北部地域의 上部 花折層(上部 캄브리아-最下部 오오도비스系)에서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Conodonts from the Upper Hwajeol Formation (Upper Cambrian-Lowest Ordovician) in Northern District of Taebaeg City, Kangweon-Do, Korea 1989.9 3 322-336 (15) 이병수 태백시 북부 하사미동 상부 화절층의 코노돈트 화석과 생층서 강원도 영월 마차리부근 하부 오도비스기 문곡층에 발달된 폭풍퇴적층 Storm Deposits of the Lower Ordovician Mungog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Machari, Yeongweol, Kangweondo, Korea 1989.9 3 337-346 (10) 백인성, 이용일 조선누층군 퇴적암의 퇴적환경과 속성작용 : 과거, 현재와 미래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ary Rocks, Choseon Supergroup, Korea :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tate of the Art 1989.9 3 347-363 (17) 우경식, 박병권 조선 누층군의 퇴적학적 연구. 기존 논문의 문제점으로 속성 작용 연구의 부재 = 삼장법사 = = 디에고 고딘 = 디에고 로베르토 고딘 리알(, 1986년 2월 16일 ~ )은 우루과이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중앙 수비수였다. 2010년대 세계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CA 체로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이후 자국의 명문 나시오날로 이적했다. 현역 대부분을 스페인 라리가에서 보냈는데, 비야레알과 아틀레티코의 일원으로 활약하였으며, 후자에서는 8개의 주요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이후 이탈리아 세리에의 인테르나치오날레, 칼리아리에서도 활약하였다. 그는 2005년부터 우루과이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4번의 월드컵과 6번의 코파 아메리카 대회에 참가하였고, 2010년 월드컵 4강과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을 경험하였다. = = 클럽 경력 = = = = = 초기 경력 / 비야레알 = = = 로사리오 출신으로, 고딘은 17세에 CA 세로에서 프로 무대에 첫 발을 드리웠다. 우수한 활약 이후, 그는 1부 리그의 강호 클룹 나시오날 데 푸트볼로 이적하였고, 그는 성숙함과 프로 의식으로 짧은 시간내에 주장이 되었다. 2007년 8월, 고딘은 라 리가의 비야레알과 5년 계약을 체결하였고,Villarreal put faith in Godín; UEFA.com, 2007년 8월 2일 10월 7일, 2-3으로 패한 오사수나 원정 경기에서 겨우 두 번째 출전만에 첫 골을 뽑았고,Osasuna 3–2 Villarreal ; ESPN Soccernet, 2007년 10월 7일 클럽이 역대 최고 성적 (2위) 을 기록한 이 시즌에 24경기를 출전하였다. 그는 이어지는 몇 시즌간 그의 주전 입지를 굳혔고, 주로 4백의 중심에서 아르헨티나인 곤살로 로드리게스와 한 쌍을 이루었다. =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 2010년 8월 4일, 36경기 출전, 3골로 그의 최고 시즌을 보낸 고딘은 같은 1부 리그 소속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상호 합의 하에 €8M (£6.6M)의 비용에 5년 계약을 체결하고 이적하였다.Atlético get Godín from Villarreal; UEFA.com, 2010년 8월 4일 그는 8월 27일, 인테르나치오날레와의 이 시즌 UEFA 슈퍼컵 경기에서 매트릭스 제작자들 (Colchoneros)의 일원으로 데뷔하여 풀 타임을 소화하였고, 2-0 승리에 일조하였다. 2013년 11월 1일, 고딘은 아틀레티코와의 연장 계약으로 2018년까지 클럽에 남게 되었다. 그는 "클럽과 더 오래 남게 되어서 기쁩니다. 이 곳의 저의 집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2014년 5월 17일 팀의 리그 우승이 결정되는 캄프 누의 FC 바르셀로나와의 38라운드 마지막 경기에서 귀중한 동점골을 넣고 단단한 수비를 보여주면서 팀은 무승부를 기록, 18년 만의 우승컵을 들게 하였다. = = = 인테르나치오날레 = = = 2019년 7월 1일 인터 밀란은 자유 계약으로 고딘을 영입하였음을 발표하였다. = = = 칼리아리 = = = 2020년 9월 24일 칼리아리 칼초와 3년 계약을 맺고 입단하였다. = =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 = 2022년 1월, 브라질의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1년 계약을 맺었다. = = = 벨레스 사르스필드 = = = 2022년 6월, 아르헨티나의 벨레스와 1년 반 계약을 맺었다. 2023년 7월 30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불과 19세의 나이에, 그는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친선경기에서 우루과이 국가대표로 데뷔하였다. 그는 2007년 코파 아메리카에 국가대표로 출전하였다. 고딘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에 발탁되었고,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프랑스와의 1차전 (0-0)에서 선발로 출전하였으며, 4위를 기록한 이 대회에서 4경기를 더 출전하였다. = =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결과 대회 1. 2006-05-27 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1 1–1 친선경기 2. 2006-08-16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이집트 0–1 0–2 친선경기 3. 2006-10-18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1–0 4–0 친선경기 4. 2014-06-24 아레나 다스 두나스, 나타우, 브라질 이탈리아 1-0 1-0 2014 FIFA 월드컵 조별리그 5. 2015-10-08 에스타디오 에르난데스 실레스, 라파스, 볼리비아 볼리비아 1-0 2-0 2018 FIFA 월드컵 예선 6. 2015-10-13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콜롬비아 1-0 3-0 2018 FIFA 월드컵 예선 7. 2015-11-17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칠레 1-0 3-0 2018 FIFA 월드컵 예선 8. 2016-06-05 피닉스 스타디움, 글렌데일, 미국 멕시코 1-1 1-3 2016 코파 아메리카 = = 수상 = = = =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 = 라리가 : 2013-14 국왕컵 : 2012–13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 2014 UEFA 슈퍼컵 : 2010, 2012, 2018 UEFA 유로파리그 : 2011–12, 2017–18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 2013-14, 2015-16 = = = = 인테르나치오날레 = = = = UEFA 유로파리그 준우승 : 2019-20 = = =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 = =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 2022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 2022 = = = = = = = = FIFA 월드컵 4위 : 2010 코파 아메리카 : 2011 차이나컵친선 대회 : 2018, 2019 = = = 개인 = = = 라리가 최우수 수비수 : 2015-16 라리가 올해의 팀 : 2013-14, 2015-16 라리가 이 달의 선수 : 2014년 4월, 2014년 5월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스쿼드 : 2013–14, 2015–16, 2016–17 UEFA 챔피언스리그 그룹 스테이지의 팀 : 2015 UEFA 유로파리그 시즌 스쿼드 : 2017-18 UEFA 올해의 팀 : 2014 ESM 올해의 팀 : 2015-16 FIFA 월드컵 드림팀 : 2018 IFFHS 남자 월드팀 : 2018 = 보물/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 〈보물/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는 시카고 푸들의 여섯 번째 싱글이다. 2013년 8월 28일 기자 스튜디오에서 발매됐다. = = 내용 = = 〈보물〉은 앨범 3.0에서의 리컷시카고 푸들 신작은 감동 발라드와 코난 엔딩의 양 A면 natalie시카고 푸들, 42만 영상 PV의 화제곡 “보물”을 양A면 싱글로 긴급 발매 RO69(알오록쿠). 안경의 다나카 창업 100주년 이미지 송.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ytv 제작 닛폰 TV계 명탐정 코난 닫는 곡시카고 푸들, 명탐정 코난 닫는 곡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MV 공개 OKMusic。 초회한정반은 DVD가 있으며, 통상반은 〈보물〉의 피아노 어레인지 버전이 수록되어있다. = = 수록곡 = = 전체 작곡: 하나자와 코타 = = = 초회한정반 = = = 보물 #* 작사: 야마구치 노리히토, +DN, 편곡: 시카고 푸들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 작사: 츠지모토 켄지, 야마구치 노리히토, +DN, 편곡: 이와쿠라 사토시 보물 (Voiceless Ver.)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Voiceless Ver.) 〈보물〉 Music Clip (웨딩 편) 〈보물〉 Music Clip (가족 사랑 편)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Music Clip = = = 명탐정 코난반(초회한정생산) = = =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보물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TV SIZE Ver.)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Voiceless Ver.) 보물 (Voiceless Ver.) = = = 통상반 = = = 보물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보물 (Piano Arrange Ver.) #* 편곡: 오쿠스 유조 보물 (Voiceless Ver.) 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Voiceless Ver.) = = 녹음 참가 = = 오가 요시노부(Sensation) - 기타 (#1) *이와쿠라 사토시 - 기타 (#2) = = 관련항목 = = 빙 (기업) TV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닫는 곡2013년 8월 10일 (705화) ~ 2013년 12월 7일 (721화) TV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닫는 곡2013년 8월 10일 (705화) ~ 2013년 12월 7일 (721화) TV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닫는 곡2013년 8월 10일 (705화) ~ 2013년 12월 7일 (721화) 이전 곡:보이프렌드〈눈동자의 멜로디〉 시카고 푸들〈그대의 미소가 무엇보다도 좋았어〉 다음 곡:다이고〈지금 보고 싶어서…〉 = 대량응징보복 = 대량응징보복(大量膺懲報復, Korea Massive Punishment and Retaliation, KMPR)은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할 경우 대규모 미사일 발사로 보복한다는 한국군의 군사전략이다. 원래 전세계적인 군사전략인 대량보복(massive retaliation)을 한국군이 채용했다. 한국 국방부는 압도적 대응이라는 명칭으로 바꾸기로 했다. = = 더 보기 = = 킬 체인 KAMD = 분류:보스턴의 신문 = = 분류:청나라 사람 = = 사토 데루아키 = 사토 데루아키(, 1999년 3월 13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센트럴 리그인 한신 타이거스의 소속 선수(내야수)이다.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출신이다. NPB에서의 신인 좌타자 최다 홈런 기록 보유자(24개)이며 또한 NPB 역사상 유일한 좌타자 신인으로부터 2년 연속 20홈런 달성자이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니가와 가쿠인 고등학교 긴키 대학 = = = 선수 경력 = = = 한신 타이거스(2021년 ~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일본 국가대표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센트럴 리그 연맹 특별 수상 : 1회(신인 특별상: 2021년) 월간 MVP : 2회(2021년 5월, 2023년 9·10월) ※야수 부문 월간 JERA 센트럴 리그 AWARD : 1회(2023년 9·10월) 올스타전 감투 선수상 : 1회(2021년 2차전) 올스타전 마이나비상 : 1회(2021년) 한신 타이거스 DID 어워드 월간상 : 2회(2022년 3·4월, 2023년 9월) 연간 대상 : 1회(2023년) = = = 개인 기록 = = = = = = = 첫 기록 = = =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 2021년 3월 26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번·우익수로 선발 출장 첫 타석·첫 타점 : 상동, 2회초에 오가와 야스히로로부터 좌측 희생 플라이 첫 안타·첫 홈런 : 2021년 3월 27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초에 다구치 가즈토로부터 중월 2점 홈런 첫 도루 : 상동, 7회초에 2루 안착(투수: 데라시마 나루키, 포수: 나카무라 유헤이) = = = = 그 외의 기록 = = = = 신인으로서의 교류전 6홈런 : 2021년 ※신인 최다 기록 신인으로서의 교류전 12타점 : 상동 ※신인 최다 타이 기록 4번 타자 첫 경기에서 만루 홈런 : 2021년 5월 2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7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5회말에 노무라 유스케로부터 우월 만루 홈런 ※신인 사상 최초 한 경기 3홈런 : 2021년 5월 28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차전(메트라이프 돔), 다카하시 고나로부터 중월 솔로, 다카하시 고나로부터 좌월 솔로, 리드 가렛으로부터 우월 3점 홈런 ※신인 선수로서의 달성은 1958년 나가시마 시게오 이후 63년 만이며, 구단 신인으로서는 사상 최초 한 경기 5삼진 : 2021년 7월 4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0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역대 19번째(센트럴 리그 신인 야수로서는 최초) 시즌 173 삼진(2021년) ※공동 6위인 최악의 기록, 신인으로서는 역대 최다, 구단 역사상 최다 신인 시즌 24홈런(2021년) ※좌타자 기록, 구단 기록 59연속 타석 무안타 : 2021년 8월 22일 ~ 같은 해 10월 3일 ※오카다 요시후미와 함께 야수로 등록한 선수에 있어서의 2위 타이 기록, 센트럴 리그 최악의 기록, 한 시즌의 것으로서는 역대 최악 데뷔 이후부터 3년 연속 20홈런 ※역대 7번째, 좌타자로서는 사상 최초 올스타전 출장 : 3회(2021년 ~ 2023년) ※2021년에는 팬 투표 부문에서의 신인 최초로 센트럴 리그 최다 득표로 선출 = = = 등번호 = = = 8(2021년 ~ ) 7(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22) = = = 연도별 타격 성적 = = = 2021년 한신 126 455 425 56 101 25 0 24 198 64 6 2 0 2 25 4 3 173 2 .238 .284 .466 .749 2022년 한신 143 603 541 70 143 35 8 20 254 84 11 3 0 7 51 5 4 137 5 .264 .328 .470 .798 2023년 한신 132 548 486 70 128 30 6 24 242 92 7 5 0 4 54 5 4 139 4 .263 .339 .498 .837 통산 : 3년 통산 : 3년 401 1606 1452 196 372 90 14 68 694 240 24 10 0 13 130 14 11 449 11 .256 .319 .478 .797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 = 연도별 타격 성적 소속 리그내에서의 순위 = = = 연도 연령 리그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도루 출루율 2021 22 센트럴 리그 - - - - 6위 - - - 2022 23 센트럴 리그 - 8위 2위 2위 - 4위 9위 - 2023 24 센트럴 리그 - - 4위 4위 4위 3위 - - 연도에서 굵은 글씨는 규정 타석을 도달한 연도 ‘-’는 10위 미만(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는 규정 타석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로 표기) = = = 연도별 수비 성적 = = = 연도 소속 2루 2루 2루 2루 2루 2루 3루 3루 3루 3루 3루 3루 외야 외야 외야 외야 외야 외야 연도 소속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21 한신 - - - - - - 13 8 23 1 2 .969 102 168 7 3 1 .983 2022 한신 1 1 1 0 0 1.000 73 43 96 9 6 .939 115 144 2 3 0 .980 2023 한신 - - - - - - 129 89 213 20 15 .938 - - - - - - 통산 통산 1 1 1 0 0 1.000 215 140 332 30 23 .940 217 312 9 6 1 .982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분류:보코니 대학교 동문 = = 분류:워싱턴주의 섹슈얼리티 = = 분류:1971년 살인 사건 = = 분류:아틀란테 FC의 축구 감독 = = 유령 (희곡) = 유령은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의 희곡이다. 그것은 1881년에 쓰여졌고 1882년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 덴마크 회사의 순회 공연으로 초연되었다. 19세기 도덕에 대한 통렬한 논평이다. 종교, 성병, 근친상간, 안락사를 포함하는 주제 때문에Ibsen, Henrik, Ghosts. Four Major Plays. Oxford World's Classic.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즉시 강력한 논쟁과 부정적인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그 이후로 연극은 더 나은 성과를 거두었고 역사적으로 "엄청난 중요성"의 위치를 차지하는 "위대한 연극"Ibsen, Henrik. Four Great Plays. Bantam Books (1984) 으로 간주된다.Ibsen, Henrik. Ibsen. Plays: 1: Ghosts; The Wild Duck; The Master Builder. Dramatists Play Service Inc. (1980) . Page 24 연극평론가 모리스 발랑시는 1963년에 “현대 비극의 관점에서 보면 유령 은 새로운 방향으로 도래한다. . . . 정기적인 비극은 주로 도덕 규범을 어기는 불행한 결과를 다루었다. 반대로 유령 은 그것을 부수지 않을 때의 결과를 다룬다."Valency, Maurice. The Flower and the Castle: An Introduction to Modern Drama. Macmillan, 1963. pp. 160–162. = = 캐릭터 = = 부인. 헬렌 알빙, 미망인 화가 오스왈드 알빙, 헬렌의 아들 헬렌 알빙의 오랜 친구인 맨더스 목사 목수 Jacob Engstrand 레지나 엥스트란드 strand 레지나 엥스트란드 = = 구성 = = 헬렌 알빙은 돌아가신 남편을 기리기 위해 지은 고아원을 헌납하려고 한다. 그의 불륜에도 불구하고 부인. Alving은 스캔들의 오염으로부터 그녀의 아들을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지역 사회에서 외면당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그와 함께 머물렀다.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그녀는 아들 오스왈드(그의 아버지에게 타락하지 않기 위해 보내진)가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았다고 생각하는 매독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레지나와 오스왈드의 남매 관계가 폭로되자 레지나는 떠나고 오스왈드는 고뇌에 빠진다. 그는 어머니에게 치명적인 모르핀 과다 복용으로 매독의 후기 단계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한다. 그녀는 동의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만 동의한다. 연극은 부인과 함께 끝이 난다. 알빙은 아들의 뜻에 따라 안락사를 할지 말지 결정을 내려야 했다.Ibsen, Henrik, Ghosts. Four Major Plays. Oxford World's Classic.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 = 쓰기 = = 다른 희곡과 마찬가지로 입센은 당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공용어인 덴마크어로 유령 을 썼다.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로 된 원래 제목은 Gengangere이며, 문자 그대로 "다시 걷는 사람", "돌아오는 사람" 또는 " 망령 자"로 번역될 수 있다.Watts, Peter. Notes, p. 291, in Henrik Ibsen, Ghosts and other Plays, Penguin Classics, 1964. 입센은 1881년 가을에 희곡을 저술하여 같은 해 12월에 출판했다. 일찍이 1880년 11월, 그가 로마에 살고 있을 때 입센은 새로운 희곡에 대해 명상하고 있었다. 1881년 여름에 소렌토에 갔을 때 그는 열심히 일했다. 그는 1881년 11월 말까지 완성했고 12월 13일 코펜하겐에서 출판했다. 그것의 세계 무대 초연 은 1882년 5월 20일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 있는 덴마크 회사 에 의해 노르웨이어에서 있었다. = = 상연 이력 = = 1882년 5월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오로라 터너 홀에서 덴마크 여행 회사가 제작했을 때 초연되었다. 이 연극은 1883년 8월 22일 스웨덴 헬싱보리에서 초연되었다 연극은 1889년 9월 베를린의 Die Freie Bühne에서 독립적으로 제작되었다. 연극은 1891년 3월 13일 로열티 극장에서 단독 런던 공연을 했다. 사생아와 성병이라는 주제 때문에 체임벌린 경의 검열 문제는 연극을 제작하기 위해 가입만 가능한 독립 극장 협회를 결성함으로써 피할 수 있었다. 1894년 1월 5일 뉴욕에서 처음 상연되었다. = 분류:파나마 주재 대한민국 대사 = = 미나미오미촌 = 미나미오미촌(南大海村)은 이시카와현 하쿠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브라보 웰빙 라이프 = 브라보 웰빙 라이프는 SBS의 교양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행복한 삶, 아름다움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즐거움과 재미를 더한 웰빙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 카슈브어 = 카슈브어는 서슬라브의 카슈브인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의 하위어군인 레흐 제어에 속하는 슬라브어의 한갈래로, 폴란드 포메라니아 지역에서 쓰인다. 사용인구는 약 10만명이다. 폴란드어는 카슈브어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나, 폴란드 내에서는 정치-사회적인 이유로 폴란드어의 방언으로 여기고 있다. 카슈브어 문헌은 16세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1879년에는 현재 쓰이고 있는 근대 정서법이 도입되었다. 폴란드 포메라니아에서 학교 교습언어, 지방행정어 등으로 쓰이고 있으며, 캐나다의 카슈브인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 분류:이바라키시의 교통 = =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 =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Microsoft Access)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다. 1992년 11월 13일 액세스 1.0 버전으로 처음 개발되었으며 현재 최신 버전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16이다. 2003 버전까지는 .mdb 확장자를 기본으로 사용했으나 2007 버전부터는 .accdb를 사용하고 있다. 액세스는 대기업의 부서와 프로그래머를 포함하여 소형 비즈니스에서 사용된다.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액세스에서 볼 수 있는 이점들 가운데 하나는 SQL과 연동이 잘된다는 점이다. 또한 액세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와 액티브 서버 페이지(ASP) 위에서 기본 웹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 = 파일 확장자 = =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는 다음과 같은 파일 형식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파일 형식 확장자 액세스 프로젝트 .adp 액세스 빈 프로젝트 탬플릿 .adn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2007~현재) .accdb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런타임 (2007~현재) .accdr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탬플릿 (2007~현재) .accdt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2003 및 이전) .mdb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추가 기능에 쓰임 (2,95,97), 이전에는 워크그룹 (2)에 쓰였음. .mda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탬플릿 (2003 및 이전) .mdt 액세스 워크그룹,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수준 보안). .mdw 액세스 (SQL 서버) 제거된 데이터베이스 (2000) .mdf 보호된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with compiled VBA (2003 및 이전) .mde 보호된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with compiled VBA (2007~현재) .accde 윈도우 바로 가기: 액세스 매크로 .mam 윈도우 바로 가기: 액세스 쿼리 .maq 윈도우 바로 가기: 액세스 보고서 .mar 윈도우 바로 가기: 액세스 테이블 .mat 윈도우 바로 가기: 액세스 폼 .maf = = 버전 = = 날짜 버전 버전번호 지원 OS 오피스 제품군 버전 1992년 액세스 1.1 1 윈도우 3.0 1993년 액세스 2.0 2.0 윈도우 3.1x 오피스 4.3 Pro 1995년 8월 24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포 윈도우 95 7.0 윈도우 95 오피스 95 프로페셔널 1997년 1월 16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97 8.0 윈도우 9x, NT 3.51/4.0 오피스 97 프로페셔널, 디벨로퍼 1999년 6월 7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00 9.0 윈도우 9x, NT 4.0, 2000 오피스 2000 프로페셔널, 프리미엄, 디벨로퍼 2001년 5월 31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02 10 윈도우 XP 오피스 XP 프로페셔널, 디벨로퍼 2003년 11월 27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03 11 윈도우 2000, XP 오피스 2003 프로페셔널, 프로페셔널 엔터프라이즈 2007년 1월 27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07 12 윈도우 XP SP2, 비스타 오피스 2007 프로페셔널, 프로페셔널 플러스, 얼티밋, 엔터프라이즈 2009년 4월 24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07 SP2 12 윈도우 XP SP2, 비스타 오피스 2007 서비스 팩 2 2010년 7월 15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액세스 2010 14 윈도우 XP SP3, 비스타 SP1, 7 오피스 2010 프로페셔널, 프로페셔널 플러스, 프로페셔널 아카데믹 2012년 10월 2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3 15 윈도우 7 이상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3 2015년 9월 22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6 16 윈도우 7 이상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6 2.0과 7.0 사이에는 액세스 버전이 없다. 왜냐하면 윈도우 95 버전이 워드 7로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모든 오피스 95 제품들은 OLE 2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액세스 7은 워드 7과 호환된다. = 분류:윈청시의 행정 구역 = = 분류:베네수엘라의 변호사 = = 분류: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 신갈나무 = 신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며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이다. = = 특징 = = 신갈나무는 중국, 몽골,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국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30 m, 지름은 1m 정도에 이른다. 오래된 나무껍질은 검은빛이 도는 갈색을 띠고 세로로 갈라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에 파도 모양의 톱니가 나 있다. 잎 끝은 둥글고 잎 밑은 귓불 모양으로 늘어져 있다. 이 식물은 잎자루가 거의 없이 줄기에 바로 잎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5월에 피는 꽃은 수꽃이삭이 새로 난 가지 밑에 달려 아래로 처지며 암꽃이삭이 그 윗부분에서 자란다. = 카오 마니 = 카오 마니 또는 다이아몬드 아이Khao Manee: "Diamond Eye")는 태국에서 기원한 희귀한 고양이 품종으로,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조상이 있다. 그들은 탐라모우에서 언급된다. 카오 마니는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진 순백색이다. 눈 색으로는 푸른 눈, 금색 눈, 오드아이가 있다. 오드아이인 카오 마니는 가장 희귀한 품종이다. 근육이 발달하고 운동성이 강한 중형의 외래종 고양이로 활동적이고,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며, 지적인 동물로 알려져 있다. 비록 이 품종은 태국에서만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서양의 고양이 사육업자들이 키우기 시작하였고, 2009년 5월 TICA로부터 등록 가능한 지위를 얻었다. 2011년 9월 3일, 이 품종은 2012년 5월 1일부터 "예비 신품종"으로 승격되었고, 2013년 8월 30일에는 "고급 신품종"으로 승격되었다. 2015년 1월 24일, 카오 마니 품종은 2015년 5월 1일부터 TICA에서 챔피언십 단계로 승격되었다. 2010년 9월 8일, GCCF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카오 마니는 GCCF에서 품종명을 부여받았다. 카오 마니 캣 클럽은 2011년 10월 26일 이사회에서 GCCF 가입을 승인받았다. 2018년 2월 7일 가장 큰 고양이 등록소인 CFA에서도 받아들여졌고, 2018년 5월 1일부터 CFA의 쇼에 등장했다. = = 역사 = = 카오 마니는 샴고양이, 코랏 등 태국의 고양이 품종에 필적하는 고대 고양이 품종이다. 카오 마니는 고양이 책인 탐라모우(Tamra Mau)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 책에는 샴 고양이 품종과 태국, 또는 시암에 서식하는 다른 털 색깔 고양이들도 언급되어 있다.  카오 마니 고양이는 짧고 매끄럽고 가까운 털을 가진 순백색이다. = = = 아유타야 왕국 = = = 아유타야 왕국(1351-1767)에는 샴 고양이, 코랏 고양이, 수팔락 고양이, 곤자 고양이 등 고양이를 기록하는 고대 시암 고양이에 관한 책이 많이 있다. 아유타야에는 23종이 있다. 아유타야 왕궁에서 17종이 있었으나 카오 마니에 대한 기록은 없다. 흰 고양이에 대한 기록은 몇 가지 있지만 카오 마니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다. = = = 톤부리 왕국 = = = 아유타야 왕국이 버마-시암 전쟁(1765-67)에서 무너진 후, 시암인들은 톤부리 왕국(1768-1782)으로 이주했다. 방콕에서 가장 중요한 사원 중 하나는 왓 아룬에 도달했다.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왓 아룬의 자리에는 불교 사원이 존재했다. 아유타야가 함락된 후, 탁신왕이 신전 근처에 그의 새로운 수도 톤부리를 세웠을 때에 기록한 카오 마니에 관한 내용이 그곳에서 발견되었다. = = = 라타나코신 왕국 = = = 라타나코신 왕국의 낭클라오왕(1824-1851)의 통치 기간에는 카오 마니가 더 자주 언급된다. 카오 마니 고양이는 유명하며 사찰에서 발견된 고양이 그림이 있다. 흰 고양이는 원래 '카오 플롯'으로 알려졌으나, 쭐랄롱꼰(1868-1910) 왕의 통치 기간에 '카오 마니'로 알려지게 되었다. 카오 마니는 시암이나 외국 백색 시암을 포함한 시암고양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모두 공통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시암고양이와 카오 마니는 유전 구조, 혈통, 번식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카오 마니는 태국에서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완전히 다른 품종으로 간주된다. = = 성격 = = 주인에게 헌신적이고 호기심 많고 똑똑하다. 따뜻한 낮잠에 들기 전 좋은 사냥감을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한다. '하얀 보석'으로 알려진 카오 마니는 태국 왕족들이 많이 탐낸다는 소문이 나 있어 운이 좋은 이들에게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믿음이 있다. = = 기타 특징 = = 카오 마니는 샴과 같은 희귀한 색깔의 고양이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시암 왕족이 길렀다고 한다. 태국의 사육자들은 카오 마니의 혈통과 품종 표준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카오 마니를 홍보하고 번식시키고 있다. 1999년 콜린 프라이무스가 카오 마니 12마리를 수입하면서 미국으로 최초의 카오 마니 고양이가 들어왔다. 2004년 프랑스의 프레데리크 라초 괴데르트와 함께 다른 사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자넷 폴센의 도움으로, 그들은 이 품종을 세계의 모든 고양이 등록소에서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카오 마니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고양이 품종 중 하나이다. 가격은 상대적으로 비싸다. 금색 눈과 장애를 가진 고양이는 미국 달러 약 1,800달러에 거래된다. 반면 서양이나 태국의 명문 번식 업소에서 태어난 어린 오드아이 개체는 3500달러 선에서 팔린다. 단일 눈동자 색이나 매우 희귀한 특징을 가진 이들은 최대 10,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 카오 마니는 왕정과도 관련이 있지만, 언론에 의해 행복과 치유에 관한 전설이 보도되었기 때문에 매우 인기가 있다. 이는 종교적 발견과 갑작스러운 운명에 관한 것이다. 어떤 이야기들은 수도원 건설에 자금을 대준 보석 같은 눈을 가진 주제에 대해 1993년에 4백만 달러 이상에 달하는 금액을 언급한다."The Legend of Siamese Cats" by Martin R. Clutterbuck 출생 12주 후, 아기 고양이들은 기본적인 접종을 받고 새로운 환경에 신체적, 사회적으로 안정되는 과정을 거친다. 귀한 물건은 실내에 보관하고, 중성화 수술을 하거나, 스크래처(긁개)를 준비하는 것은 건강하고, 길고, 즐거운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태국 밖에서는 수입 선조들의 진짜 카오 마니임을 확보하기 위해 한 주요 협회에 고양이 등록이 의무화되어 있다. = 틀:도장 = = 홉킨턴 (매사추세츠주) = 홉킨턴(Hopkinton)은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도시로, 인구는 14,925명이다. = The Runaways (음반) = The Runaways는 1976년에 발매된 더 런어웨이즈의 음반이다. 머큐리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오수 나들목 = 오수 나들목(Osu IC)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에 설치된 순천완주고속도로의 8번 교차로다. 임실군 오수면, 지사면, 남원시 사매면 등지로 진출할 수 있으며, 17번 국도를 통해 사매면, 향교동을 거쳐 남원시내로 빠르게 갈 수 있다. 수도권에서 남원공용버스터미널을 오고가는 고속버스도 남원IC 대신 이 나들목을 이용한다. = = 연혁 = = 2004년 12월 30일 : 2011년까지 나들목 신설을 위해 임실군 도시계획시설 교통광장에 오수면 대명리, 오산리 일원을 오수 나들목으로 고시건설교통부고시 제2004-455호, 2004년 12월 30일. 2010년 12월 28일 : 순천완주고속도로 완주 ~ 서남원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국토해양부공고 제2010-1032호 , 2010년 12월 23일. 2020년 2월 17일 : 사매2터널에서 31중 추돌사고 발생으로 인해 순천완주고속도로 북남원 나들목 ~ 오수 나들목 구간 전면 통제 2020년 3월 24일 : 순천완주고속도로 북남원 나들목 ~ 오수 나들목 구간 보수공사 완료에 따라 통제 해제 = = 구조물 정보 = = 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 = 접속하는 도로 = = 국도 제17호선 (춘향로) = = 교통량 정보 = = 요금소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통행량 (대/일) 각주 요금소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각주 오수 (폐쇄식) 1,779 2,415 2,506 2,629 2,751 2,961 2,908 2,756 2,843 3,057 한국도로공사 > 고속도로안내 > 교통통계 > 통계자료 > 영업소이용차량 = KBO 승률상 = KBO 승률상은 연말 KBO 리그 시상식에서 해당 연도 정규 리그의 승률 1위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기존 명칭은 한국프로야구 승률1위 투수상이었으나 KBO의 브랜드 아이덴디티 통합 작업에 따라 2015년 시즌부터 "KBO 승률상"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KBO 보도자료 - KBO, 프로야구 브랜드 아이덴티티 통합 1982년부터 1985년까지는 규정이닝을 채운 투수 중 승률 1위에게 상이 주어졌지만, 1985년 OB 베어스 윤석환이 5승 1패로 삼성 라이온즈 김시진의 25승 5패와 동률을 이뤄 공동으로 수상한 이후에 논란이 생겨 1986년부터 규정이닝 이상과 10승 이상이라는 조건이 추가되었다. 이후 1999년부터 규정이닝과 관계 없이 1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에게 상이 수여되고 있다. = = 연도별 수상자 = = 연도 이름 소속 승률 비고 1982년 박철순 OB 베어스 0.857 24승 4패 1983년 이길환 MBC 청룡 0.682 15승 7패 1984년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0.833 10승 2패 1985년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0.833 25승 5패 1985년 윤석환 OB 베어스 0.833 5승 1패 1986년 최일언 OB 베어스 0.826 19승 4패 1987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0.875 14승 2패 1988년 윤석환 OB 베어스 0.813 13승 3패 1989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0.875 21승 3패 1990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0.786 22승 6패 1991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0.826 19승 4패 1992년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1.000 13승 0패, 단일 시즌 최고 승률 1993년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0.813 13승 3패 1994년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0.800 12승 3패 1995년 이상훈 LG 트윈스 0.800 20승 5패 1996년 구대성 한화 이글스 0.857 18승 3패 1997년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0.909 20승 2패 1998년 김용수 LG 트윈스 0.750 18승 6패 1998년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0.750 12승 4패 1999년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0.810 17승 4패 2000년 송진우 한화 이글스 0.867 13승 2패 2001년 신윤호 LG 트윈스 0.714 15승 6패 2001년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0.714 15승 6패 2001년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0.714 10승 4패 2002년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1.000 10승 0패, 단일 시즌 최고 승률 2003년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0.895 17승 2패 2004년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0.895 17승 2패 2005년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0.909 10승 1패 2006년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0.778 14승 4패 2007년 리오스 두산 베어스 0.815 22승 5패 2008년 채병용 SK 와이번스 0.833 10승 2패 2009년 김광현 SK 와이번스 0.857 12승 2패 2010년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0.833 10승 2패 2011년 윤석민 KIA 타이거즈 0.773 17승 5패 2012년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0.824 14승 3패 2013년 류제국 LG 트윈스 0.857 12승 2패 2014년 소사 넥센 히어로즈 0.833 10승 2패 2015년 해커 NC 다이노스 0.792 19승 5패 2016년 니퍼트 두산 베어스 0.880 22승 3패 2017년 헥터 KIA 타이거즈 0.800 20승 5패 2018년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0.857 18승 3패 2019년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0.870 20승 3패 2020년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0.909 20승 2패 2021년 수아레즈 LG 트윈스 0.833 10승 2패 2022년 엄상백 kt 위즈 0.846 11승 2패 2023년 쿠에바스 kt 위즈 1.000 12승 0패, 단일 시즌 최고승률 =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비에트 연방 무기 목록 = = = 소화기 = = = = = 소총 = = = 모신-나강 소총 M91/30 SVT-40 AVS-36 = = = 기관단총 = = = PPD-40 PPSh-41 PPS-42 PPS-43 PPD-34 = = = 권총 = = = 나강 M1895 TT-33 = = = 기관총 = = = 러시아 M1910 맥심 DP-28 SG-43 고류노프 DShK = = = 수류탄 = = = F1 수류탄 RG-42 RGD-33 RPG-40 대전차 수류탄 RPG-41 대전차수류탄 RPG-43 HEAT (High Explosive Anti-Tank) 수류탄 = = = 기타 = = = PTRD-41 PTRS-41 ROKS-2/3 화염방사기 = = = 박격포 = = = 50-PM-38/39/40/41 50mm 박격포 82-PM-36/37/41/43 82mm 박격포 107-PM-38 107mm 박격포 120-HM-38/43 박격포 = = 야포/곡사포/대전차포 = = = = 전차 = = = = = 경전차 = = = T-26 *T-26-4 : T-26 경전차 차체에 76mm 단포신 포 장착 T-37A T-40 T-50 T-60 T-70 T-80 BT 전차 시리즈 (BT-2,BT-5, BT-7) RBT-5 : BT-5 경전차 포탑 측면에 420mm 로켓 2개 장착 = = = 중(中)전차 = = = T-28 다포탑전차 10000대 T-34/76 (1940년형,1941년형,1942년형,1943년형)약 30000대 T-34/85 약 20000대(전후 30000대 생산) T-44 약 2000대 = = = 중(重)전차 = = = T-35 61대 KV 전차 (SMK, KV-1(L-11), KV-1S, KV-1(ZIS-5), KV-1E,KV-6 : KV-1 화염방사형, KV-85, KV-220, KV-2(1939), KV-2(1940)) IS 전차 (IS-1, IS-2, IS-3) = = = 구난전차 = = = T-34 구난전차 = = = 미국 및 영국의 지원전차/차량(랜드리스) = = = M3 스튜어트 경전차 (미국) M3 리 중형전차 (미국) M4 셔먼,파생형들 (미국) A12 마틸다II 보병전차 (영국) 발렌타인 보병전차 (영국) 처칠 보병전차 (영국) SU-M10 : M10 울버린 대전차자주포 M3 하프트랙 *M2 하프트랙 *테트라크 경전차 *M31B2(T2) 구난전차 : M3 리 중형전차를 구난전차로 개조 *M3A1 정찰차량(Scout car) = = = 노획전차 = = = T-I : 1호전차 T-II : 2호전차 T-III : 3호전차 T-IV : 4호전차 T-V : 5호전차 판터 T-VI : 6호전차 티거 6호전차 B형 티거2 38(t) 경구축전차 헷쳐 38(t) 경전차 나스호른/호르니스 대전차자주포 3호 돌격포 = = = 공수전차 = = = A-40 : T-60 정찰용 경전차 차체에 글라이더를 장착한 공수부대용 전차 (프로토타입 1대) = = = 대공차량(자주대공포) = = = GAZ AAA 4M : 러시안 M1910 맥심 기관총 4연장을 GAZ AAA 트럭에 탑재한 대공트럭 GAZ AAA Dshk : 12.7mm DShk 중기관총 1정을 GAZ AAA 트럭에 탑재한 대공트럭 GAZ MM 72-K : 25mm 72-K 1940년형 대공포를 GAZ MM트럭에 탑재한 대공트럭 = = = 돌격포/자주포 = = = SU-57B : 57mm 포를 탑재한 자주포. SU-5-1 : T-26 경전차 차체에 76mm 포를 장착한 자주포. SU-76i -소련군이 노획한 독일군의 3호전차에 ZIS-3 76mm 사단포(야포/대전차포)를 탑재해 자주포로 개조. 독일군이 노획하고 또다시 소련군이 노획한다. SU-76D SU-76M 300대 SU-85 200대 SU-100 SU-122 : T-34 중형전차 차체 기반으로 만들어진 122mm D-10 곡사포 탑재 자주포. SU-152 : KV-1 중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152mm 곡사포 탑재 자주포. ISU-122 : IS-2 중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122mm 곡사포 탑재 자주포. ISU-152 : IS-2 중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152mm 곡사포 탑재 자주포. BM-13N 카츄사 다연장로켓포 "스탈린의 오르간" BM-8-24 : T-60 정찰용 경전차 차체에 카츄샤 로켓 발사대 장착. ZIS-30 = = = 장갑차 = = = BA-10 1000대 BA-20 BA-27 BA-64 = = 항공기 = = = = = 전투기 = = = 폴리카르포프 I-185 La-5 La-7 LaGG-1 LaGG-3 MiG-1 MiG-3 폴리카르포프 I-15 폴리카르포프 I-16 야코블레프 Yak-3 = = = 미국/영국 지원 항공기(랜드리스) = = = P-39 에어코브라 P-40 워호크 P-47 썬더볼트 지상공격기 B-25 미첼 폭격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 = = 공중항공모함 즈베노 = = = * = = = 지상공격기 = = = 일류신 IL-2 지상공격기(1941년형,1942년형) (역사상 가장 많이 생산된 군용기; 2위는 나치 독일의 메서슈미트 Bf-109(Me-109)) 일류신 IL-10 지상공격기 = = = 폭격기 = = = 페틀랴코프 Pe-2 일류신 IL-4 *TB-3 2 = 분류:싱가포르의 법률가 = = 분류:방글라데시의 예술가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仁川空港 磁氣浮上鐵道)는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용유역을 잇는 6.1km 길이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에 따른 시범노선으로 선정되어 건설되었으며, 2016년 2월 3일에 개통하였다. 이 노선에 운행되는 차량은 에코비이다. 사업비는 기술개발비 800억원, 건설비 3150억원이며, 건설비는 정부가 69%, 인천광역시가 6%, 인천국제공항공사가 25%를 부담하고 있으며 철도부지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공하였다. 시범 노선이 놓이는 인천국제공항 이외에도 자기부상 열차를 건설하는 지방 도시에 대하여는 60%까지, 서울은 40%까지 정부가 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수도권 전철의 요금 제도를 따르지 않으며 인천 도시철도와도 별도로 시행된 사업이므로 인천 도시철도는 물론 수도권 전철도 아니다. 다만, 80km/h급 속도로 영업 운행하며 일정액의 국비 지원이 있으므로 도시철도의 조건은 법령상 충족한다. 노선 안내도 등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밝은 노란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 = 역사 = = 2004년 7월: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 추진 결정 2006년 10월 26일: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 계획 확정 2007년 2월 13일: 전국 시도 중에서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입지 후보로 5개 시인천, 대구, 대전, 광주 위 4개의 광역시 및 창원시 선정 2007년 6월 8일: 자기부상열차 사업제안서 제출 2007년 6월 26일: 인천으로 최종 선정 2009년 4월 9일: 기본 계획 고시 2010년 8월 3일: 1단계 구간 착공 2012년 5월: 노선 명칭 공모 2012년 8월: 1단계 구간 준공 2012년 8월 16일: 역명 결정인천광역시고시 제2012-212호, 2012년 8월 16일. 2012년 11월 28일: 공식 시운전 시작 2016년 2월 3일: 개통 2017년 6월 19일: 국제업무단지역의 이름을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개정인천광역시고시 제2017-144호, 2017년 6월 19일.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 영업 개시로 인천국제공항역의 이름을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개정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0호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역명 개정 고시". 2018년 1월 2일. 2022년 7월 14일: 시설 재정비로 활동중단 = = 논란 = = 노선 명칭은 2012년 5월 인천공항 홈페이지를 통한 일반공모 결과, 총 904건이 접수되어 3차에 걸친 내부 심사와 관계기관의 협의를 거쳐 최우수작으로 뽑힌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선정되었다.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명칭 공모 당선작 발표, 인천국제공항 공항소식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최우수작 선정 배경에 대하여 인천국제공항에 국내 최초로 운영한 자기부상열차라는 특징을 가감 없이 가장 잘 표현하였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공모전 최우수작을 낸 사람에게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이 수여된 등 예산 낭비 논란이 있다.명칭공모 16번 입상자는 누구?, 헤럴드경제, 2012.7.24 = = 역 목록 = = 역명은 인천광역시 고시 제2012-212호로 2012년 8월 16일에 확정되었다. 역 번호 역명 한자 역명 로마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거리 영업거리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소재지 M01 인천공항1터미널 仁川空港1터미널 Incheon Int'l Airport Terminal 1 인천광역시 중구 M02 장기주차장 長期駐車場 Long Term Parking 0.4 0.4 인천광역시 중구 M03 합동청사 合同廳舍 Administration Complex 0.5 0.9 인천광역시 중구 M04 파라다이스시티 Paradise City 0.4 1.3 인천광역시 중구 M05 워터파크 Water Park 3.0 4.3 인천광역시 중구 M06 용유 龍遊 Yongyu 1.2 5.5 인천광역시 중구 = 로켓 앵커 = 로켓 앵커는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장비이다. = = 개요 = = 오리지널 시리즈에서는 미야타케 카즈타카로망 앨범 엑설런트 54 우주전함 야마토 PERFECT MANUAL 2 도쿠마 쇼텐, 1983년 1월 30일, 150쪽.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시리즈에서는 타마모리 준이치로우주전함 야마토 2199 공식 설정 자료집 [EARTH] 18-19쪽.가 설정을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현실 세계의 선박 등에 사용되는 닻과 동일한 장비로, 로켓 추진력을 가진 닻과 사슬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야마토의 함수부 양현에 1기씩 장비되어 있다. 해상에 정박 시에는 바다에 닻을 내리고, 우주 공간에서는 주변의 큰 부유물에 박아 선체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박은 뒤에 닻을 감아올려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도 가능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응용성은 높지만, 첫 작품 이후에는 "로켓 앵커"로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아 일반적인 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우주전함 야마토 2199에서 지구 측 메카닉 디자인을 담당한 타마모리 준이치로는 로켓 앵커에 강한 집착을 가지고 있어서우주전함 야마토 2199 "야마토 계획" 기록집 카도카와 쇼텐, 2013년 10월, 20쪽. (ISBN 978-4-04-110597-9) 후속편에서의 취급 방식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우주전함 야마토 2199 제5장 망향의 은하간 공간 극장 팜플렛 쇼치쿠, 2013년 4월, 27쪽 및 우주전함 야마토 2199 공식 설정 자료집 [EARTH] 252쪽에 기술된 인터뷰. 그래서 이 작품 내에서의 로켓 앵커의 설정도 상당히 세세하게 그려져 있으며 작품 내에서도 반영되고 있다. = 분류:일본의 고사사단 = = 분류:코드 쿤스트의 음반 = = 분류:골프 관련 매체 = = 단양팔경 = 단양팔경(丹陽八景)은 충청북도 단양군 주위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이며 단양국가지질공원의 일부이다. 아름다운 경치는 금강산에 비길 만하며 이 팔경은 남한강과 그 지류 계곡에 승경을 이루고 단양읍에서 8~12km 안팎에 있다. 단양 서쪽 9 km 지점, 한강 본류 남안에 자리 잡은 옥순봉(玉荀峯)은 행정상으로는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에 있다. 절벽에는 청송이 곁들여 있고 산봉우리는 죽순처럼 깎아 세운 듯하며 고목과 등덩굴이 얽혀 있어 그림과 같고, 경치가 빼어나 예로부터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하였다. 구담봉(龜潭峯)은 단양읍 단성면 장회리에 있으며 절벽 위의 돌이 거북 모양이라 해서 이런 명칭이 봄의 꽃도 좋지만, 가을의 단풍은 그 절경이 아름답다. 단양 북쪽 13km 지점 한강 본류 매포읍 도담리에는 도담삼봉(島潭三峯)이 있다. 팔경 중에서 제일가는데 이는 한강 수중에 있다. 둘레의 수심은 약 7m, 강폭은 150m가량인데 강 가운데 괴암(怪巖)으로 된 봉우리 셋이 깎아 세운 듯한 절벽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절벽을 따라 200m쯤 되는 곳에 석문(石門)이 있다. 부근에는 천연기념물인 측백나무들이 절벽 위에 자생한다. 옥순봉, 구담봉과 함께 1984년에 충주 댐이 완성되면서 일부가 수몰되었다. 한강 지류 우화천을 따라 단양 남쪽 12km 지점 단양읍 단성면 벌천리에 하선암(下仙巖)·중선암(中仙巖)·상선암(上仙巖) 등이 차례로 있다. 특히 상선암이 있는 일대에는 조그만 폭포가 많고 또 노송이 우거졌으며 좌우에는 1,000m를 바라보는 용두산·도락산에 이어진다. 중선암은 가산리에서 벌천리로 가는 숲 왼쪽 송림과 계곡 사이에 있는 바위인데 여름철 휴양지로 최적지이고, 하선암은 선유동 상류에 있으며 물속에 비친 바위가 무지개 같다 하여 홍암이라고도 하는데, 봄철의 진달래와 가을철의 단풍이 아름답다. 대강면 사인암리에 있는 사인암(舍人巖)은 소백산맥에서 발원하는 운계천을 따라 굽이굽이 열리는 운선구곡의 일곱 번째 계곡에 있으며 단양에서 8km쯤 남으로 떨어져 있다. 고려 말기에 우탁(禹倬, 1263~1342)이 사인 벼슬로 있을 때 이곳에 와 휴양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이 불렀다. 기암괴석이 꽃병풍을 두른 듯 하늘에 치솟고 계벽수의 유유한 자태는 해금강(海金剛)을 연상케 한다. = = 개요 = = 단양팔경은 주로 산악지대의 기암과 산봉우리로 다음을 일컫는다. = = = 단양 도담삼봉 = = = 명승 제44호「단양 도담삼봉(丹陽 島潭三峰)」은 절경이 특이하고 아름다워 단양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며 단양군수를 지낸 이황을 비롯하여 황준량, 홍이상, 김정희, 김홍도, 이방운 등이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 곳이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개국공신인 정도전 탄생에 관련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정도전은 자신을 삼봉이라 자호할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한다. 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봉우리로 남한강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크고 높은 장군봉을 중심으로 고생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로 구성된 세 개의 봉우리가 우뚝 솟아 그 형상이 기이하고 아름다우며 남한강과 어우러져 뛰어난 절경을 보여주고 있다. = = = 단양 석문 = = = 명승 제45호「단양 석문(丹陽 石門)」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로 구성된 암석이며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 낸 자연유산으로 석회동굴이 붕괴되고 남은 동굴 천장의 일부가 마치 구름다리처럼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석문 자체의 형태도 특이하고 아름답지만, 석문을 통해 바라보는 남한강과 건너편 농가의 전경이 마치 사진 프레임을 보는 듯이 아름답다. 구름다리 모양의 돌기둥 자연경관자원 중 동양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으며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 학술적 가치도 클 뿐만 아니라, 석문 안에 살았다는 마고할미의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등 희귀하고 아름다운 경승지이다. = = = 단양 구담봉 = = = 명승 제46호「단양 구담봉(丹陽 龜潭峰)」은 절벽 위의 바위가 거북이를 닮아 구담봉(龜潭峰)이라 한다고 전한다. 구담봉 장회나루 쪽으로는 퇴계 선생을 사모하던 기녀 두향의 묘가 있으며, 조선 인종 때 백의재상이라 불리던 주지번이 이곳에 낙향하여 칡넝쿨을 구담봉의 양쪽 봉우리에 연결하여 타고 다녀 사람들이 그를 신선이라 불렀다는 전설이 전해오는 등 이야기가 많은 명승지이다. 구담봉은 남한강 물줄기를 따라 펼쳐지는 깎아지른 듯한 장엄한 기암절벽이 제비봉과 금수산, 멀리는 월악산에 감싸여 있어 예로부터 이황, 이이, 김만중 등 수 많은 학자와 시인묵객이 그 절경을 극찬한 바 있으며, 지금도 충주호 수상관광의 최절경지로 꼽힌다. 구담봉 화강암에는 우라늄이 67~1378 ppm, 토륨이 41~662 ppm 포함되어 있으며 SHRIMP 저어콘 U-Pb 연령 측정 결과는 중생대 백악기에 해당하는 90.4±0.5 Ma이다. = = = 단양 사인암 = = = 명승 제47호「단양 사인암(丹陽 舍人巖)」은 남조천(일명 운계천)변에 병풍처럼 넓은 바위가 직벽을 이루며 위엄을 자랑하고 있는 곳으로 추사 김정희가 이곳을 두고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 그림과 같다고 찬양했을 정도로 그 경관이 특이하고 아름답다. 고려시대 경사와 역학에 능통했던 역동 우탁 선생이 정4품 벼슬인 사인(舍人) 재직 시 이곳에서 머물렀다는 사연이 있어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였던 임재광이 사인암이라 명명했다고 전하며, 암벽에는 우탁의 글이 남아 전한다. 사인암 화강암에는 우라늄이 73~9791 ppm, 토륨이 42~2908 ppm 포함되어 있으며 SHRIMP 저어콘 U-Pb 연령 측정 결과는 중생대 백악기에 해당하는 90.4±1.5 Ma이다. = = = 제천 옥순봉 = = = 명승 제48호「제천 옥순봉(堤川 玉荀峰)」은 비가 갠 후 희고 푸른 여러 개의 봉우리가 죽순이 돋아나듯 우뚝우뚝 솟아있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고 전하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남한강 위로 솟아오른 봉우리가 매우 특이하고 아름답다. 옥순봉은 본래 제천(당시 청풍) 땅인데 이곳이 단양팔경에 속하게 된 것은 조선 중종의 때 단양군수였던 이황이 옥순봉을 단양에 속하게 해 달라고 청풍부사에게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자 옥순봉 석벽에 ‘단구동문(丹丘洞門)’이라 새기면서 이곳을 단양의 관문으로 정했다는 설화가 전해지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며, 인근의 구담봉과 함께 여러 시인묵객들의 시문이 다수 전하는 절경지이다. = = = 상선암 = = = 상선암은 단양군 단성면 대잠리, 단양의 선암계곡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선암은 크고 널찍한 바위는 없으나,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는 화강암 바위가 계곡을 따라 발달한다. = = = 중선암 = = = 중선암은 단양 선암계곡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백색의 웅장한 화강암 바위이며 옥염대와 명경대라고 불리는 두 개의 바위에는 암각자가 있다. = = = 하선암 = = = 삼석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첫 명승지로 3층으로 된 화강암의 수평절리가 발달한다. 월악산 초입에 위치하며, 퇴적암과 화강암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 이란 핵협정 프레임 워크 = 이란 핵 협상 프레임 워크는 2015년에 체결된 이란의 핵프로그램 대상으로 하는 핵협정이 결실을 걷도록 하기 위한 예비 기본 협정이었다. 이란 및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그룹 P5+1(즉 UN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 5개 국가 -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및 중국 – 독일) 및 유럽 연합이 이란과의 핵협정 협상의 주요 국가 들이었다. 2015년 3월 26일부터 4월 2일까지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일련의 회의에서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협정 협상이 진행되었다. 2015년 4월 2일 회담이 마무리 되었고,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 연합 외교 문제·안보 정책 고위대표와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부 장관이 기자 회견을 열었다. 이란의 핵협정 프레임 워크 거래의 합의에 도달했다. 양측은 "오늘 우리는 핵협정에 결정적인 조치를 취했다. 라고 발표했다 " 우리는 6월 30일까지 완료 할 계획 인 공동 종합 행동 계획의 주요 변수(핵 프로그램의 논쟁이 되는 이슈들)에 대한 해결책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란 핵협정 프레임 워크를 발표하면서, 이란의 외무 장관 자리프 (Zarif)는 말했다 : "우리가 아직 의무를 지켜야할 합의가 확정된것 없다. 2013년 11월 제네바에서 채택한 공동 행동 계획에 따라 이미 수행 한 핵협정 의무 이외의 다른 의무는 없다. " 이란 비핵화 프레임 워크 계약은 유럽 연합 (EU)의 발행 문서에 구현 된 유럽 외부 활동 서비스, 유럽 연합 (EU) 높은 대표 페데리카 모 게리니 이란 외무 장관 자리프 자리프가 스위스 공동 성명 제목 과 발행 문서에 미 국무부의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관한 포괄적 인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 = 계약 내용 = = 스위스의 공동 성명에 따르면 P5 + 1 국가 와 이란은 이란 핵협정 거래의 틀에 동의했다. 이 프레임 워크에 따르면,이란은 모든 핵 관련 경제 제재를 해제하기 위해 원자력 시설을 재 설계, 전환 및 축소하고 추가 의정서 (잠정적 적용)를 채택하여 수백억 달러의 석유 수입 및 냉동 자산을 확보 할 것이다. 공동 성명서 외에도 미국과이란은 자체 사실 자료를 발표했다. = = = 공동 성명 = = = 공동 성명서는 다음을 요약한다. = = = = 핵물질 농축 = = = = 이란의 농축 능력, 농축 수준 및 비축량은 지정된 기간 동안 제한된다. 나탄 즈 이외의 농축 시설은 없다. 이란은 합의 된 범위와 일정으로 원심 분리기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할 수 있다. 지하 농축 센터 인 이란의 포르도(Fordo) 은 "핵, 물리 및 기술 센터"로 전환 될 것이다. = = = = 핵물질 재 처리 = = = = 국제 벤처의 도움으로 이란의 아라크에 있는 중수 시설은 무기 급 플루토늄 부산물없이 "중수 연구 반응기"로 재 설계되고 현대화 될 것이다. 사용 후 핵연료는 수출되고 재 처리는 없다. = = = = 모니터링(감시) = = = = 수정 된 코드 3.1의 구현 및 추가 프로토콜의 잠정적 적용. 이란은 과거와 현재의 문제를 명확히하기 위해 현대 기술에 의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국제 원자력 기구 IAEA 절차에 동의했다. = = = = 경제 제재 = = = = IAEA가 이란의 주요 핵 공약 이행을 검증 할 때 : EU는 모든 핵 관련 경제 제재를 종료 할 것이다. 미국은 모든 핵 관련 2 차 경제 및 금융 제재의 적용을 중단 할 것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전의 모든 핵 관련 이란에 대한 경제 제제 결의를 종료하고 상호 합의 된 기간 동안 특정 제한 조치를 포함하는 결의로 본 계약을 승인한다. = = = 미국 및이란의 기타 나열된 매개 변수 및 반응 = = = 최종 성명서 외에도 미국과이란은 합의에 대한보다 자세한 설명을 공개했다. 양측 관계자는이 초안에 대해 다른 서술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한다. 미국 정부는 이번 계약의 요점을 요약 한 팩트 시트를 발표했다. 이란 최고 지도자와이란 국방 장관을 포함한이란 고위 관리들은 문서가 발표 된 직후 해결되지 않은 핵심 요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 = = = 검사 및 투명성 = = = = 이란은 국제 원자력기구 (IAEA)에 선언 된 모든 시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하여 핵 프로그램의 평화적 성격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미국 정부가 발표 한 거래의 세부 사항에 따르면, IAEA 조사관은 이란의 농축 시설, 핵 프로그램 및 우라늄 광산을 지원하는 공급망을 비롯하여 모든 우라늄 공장, 원심 분리기 및 벨로우즈 생산 및 보관 시설. 이란은 전국 어디에서나 비밀 농축 시설, 전환 시설, 원심 분리기 생산 시설 또는 옐로 케이크 생산 시설의 의심스러운 장소 또는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IAEA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이란은 프로그램의 군사적 차원 (PMD)에 관한 IAEA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합의 된 조치를 시행할 것이다. = = = 핵협정 계약 요약 = = = 유엔 상임 이사국 5개 국가 및 유럽 연합 ((P5 + 1)에 의한 이란의 예상 행동의 엑션 최종 계약 후 4 ~ 12 개월 이내에 모든 제재를 해제 한다. 이란이 IAEA 보고서 및 검사에 따라 준수하지 않으면 구 제재 복원 메커니즘을 개발 한다. EU는 에너지 및 금융 제재를 제거할 것이다. 미국은이란과 거래하는 국내외 기업에 대한 제재를 철폐 할 것이다. 이란 을 제재하는 모든 유엔 결의안 은 취소 될 것이다. 이란에 대한 모든 유엔 관련 제재가 철폐 될 것이다. = = 국제 반응 = = = = = 국제기구 = = = – 반기문 유엔 사무 총장 은이 협정을 환영했다. "이란 핵 문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협상 된 해결책은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그는 말했다. IAEA – 국제 원자력기구 (IAEA) 사무국 장 아마노 유키야 (Yukiya Amano)는 이번 발표로 타협을 환영했다. Amano는“IAEA는 공동의 포괄적 인 행동 계획을 위한 주요 변수에 관한 E3 + 3 (5 + 1 그룹)과이란의 발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 = = 정부 = = =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이 협정이 파트너 협상에 잘 반영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   – 베냐민 네타냐후 (Benjamin Netanyahu)는 현재의 행동 계획이 이스라엘의 생존을 위협한다고 이란 핵협정 프레임 워크에 강력히 반대 했다 . 그는 또한 "이런 거래는이란의 핵폭탄 개발하는 길을 막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이란은 핵무기 개발을 비밀리에 포장 하며 진행 할 것이다. " 벤자민 네타냐후 (Benjamin Netanyahu)는 모든 최종 계약에는 "이스라엘의 국가의 존재 권에 대한 명백하고 확실한 이란의 인정"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란은 이 중동 지역에서의 침략을 하는 행각을 중단 할 것을 요구했다. = 고진영 (레이싱 모델) = 고진영(1993년 4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이다. = = 경력 = = 2014 - 부산국제모터쇼 레이싱모델 2014 - 서울오토살롱 레이싱모델 2014 - KIC 오프로드 그랑프리 레이싱모델 2014 - 미스디카 아웃도어 모터쇼 레이싱모델 = = 수상 = = 2013 - 제2회 한국 레이싱모델 어워즈 신인유망주상 2014 - KMS & HIN 모델 콘테스트 대상 2014 - 제3회 한국 레이싱모델 어워즈 올해의 모터쇼 우수모델상 = 체서피크만 = 체서피크 만(Chesapeake Bay)은 미국 동쪽, 메릴랜드주와 버지니아주에 걸쳐 위치한 거대한 만이다. 면적은 165,800 km2이다. 사냥개의 일종인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의 출생지로 유명하다. 총 길이 6.946 km에 달하는 체서피크 베이 브리지(Chesapeake Bay Bridge)가 놓여있다. 이 근방에서 잡히는 게 요리가 유명하다. = 고후쿠지 = 고후쿠지(興福寺, 흥복사)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불교 사원이다. 절은 일본 법상종의 대본산이다. = = 역사 = = 고후쿠지의 기원은 669년에 후지와라노 가마타리가 그의 아내 가가미노 오키미(鏡大君)의 병환의 회복을 기원하며 절을 세운데서 비롯된다. 원래 부지는 야마시로국 야마시나(오늘날의 교토시)였다. 672년에 절은 일본 최초의 계획적으로 건설된 수도인 후지와라쿄로 이전하였다가 710년에 새롭게 건설된 수도인 헤이조쿄(오늘날의 나라시)의 동쪽의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고후쿠지는 후지와라씨가 후견인인 사원으로 후지와라 씨가 권력을 잡는 동안 번창하였다. 절은 불교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황실을 넘어서는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수도를 헤이안쿄로 이전한 후에 도다이지와 같은 남도 7대사는 쇠퇴하였으나 고후쿠지는 후지와라 씨와의 관계 덕분에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절은 여러 번 내전과 화재로 파괴되었다가 여러 번 재건되었다. 그러나 세 개의 금당 중 두 개와 남대문, 중문은 오늘날에도 아직 재건되지 못했다. = = 건축과 보물 = = 고후쿠지는 나라 시의 가스가타이샤를 포함한 몇몇 사원들, 헤이조 궁 유적, 기타 장소들을 포함해 고도 나라의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되어있다. 절의 건물과 보물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 = 건축 = = = 동금당(東金堂) - 원래 세 개의 금당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것이다. (국보) 오층탑(五重塔) (국보) 삼층탑(三重塔) {국보) 북엔당(北円堂) (국보) 남엔당(南円堂) (중요 문화재) = = = 보물 = = = 건칠팔부중립상(乾漆八部衆立像) (국보) 건칠십대제자립상(乾漆十大弟子立像) {국보) 동조불두(銅造仏頭) (국보) 목조금강력사립상(木造金剛力士立像) {국보) =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두룽족 자치지방 = = 로널드 월레스 = 로날드 월레스(Ronald Wallace, 1911 ~ 2006)는 콜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성경신학을 가르쳤던 교수였다. 그는 또한 유명한 신학명문가인 토렌스 가문의 일원이었다. 그는 에덴버그 대학교에서 H.R. Mackintosh교수와 William Manson 교수에게 공부를 배웠고 PhD 논문은 칼빈의 말씀과 성찬론 (Calvin's Doctrine of the Word and Sacraments) 이었다. = = 경력 = = 브로라에서 목회 1940 글래스고 폴락 교회 스코틀랜드 Huts and Canteens 교회 1951년 Lanark St Kentigern 's Church 1958 에든버러 Lothian Road Church 1964 조지아 디케 이터 콜럼비아 신학대학원의 성경 신학 교수 1977 베이루트 이스트 신학교 = = 가족과 신학네트웍 = = 1937년 7월 그는 토머스 F. 토렌스의 자매 인 Mary Moulin Torrance와 결혼했다. 그들은 아들 David와 두 딸, Elizabeth와 Heather를 두었다. 월리스의 조카에는 신학자 이언 토 런스 와 앨런 토런스가 있다. 그의 사위 조지 뉴랜즈 도 학문적 신학자이다. = = 출처 = = Torrance, I.R. (1 March 2006) "Obituary: Professor Ronald Wallace" The Scotsman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18년 9월/그림 = }} 2018-09 그림 2018-09 = 싸이언 디스코 = 싸이언 디스코는 LG전자가 2008년 4월 22일에 출시한 휴대 전화이다. = = 세부 모델 = = 세무 모델과 각 모델별 차이는 아래와 같다. 모델명 통신사 통신 방식 LG-SH650 SK텔레콤 HSDPA, W-CDMA, 블루투스 2.0 LG-KH6500 KT HSDPA, W-CDMA, 블루투스 2.0, 적외선 통신 = 남현성 = 남현성(, 1985년 5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 보건소 = 보건소(保健所, public health center 또는 community health center)는 지역 주민의 건강과 질병관리, 보건위생을 지원하는 공공 기관의 하나이며, 지역 보건법에 따라 설치된다. = = 업무 = = 전염병 및 질병의 예방관리 보건통계 및 보건의료정보 관리 지역보건의 기획 및 평가 보건교육 영양의 개선 식품위생 및 공중위생 학교보건에 대한 협조 구강보건, 정신보건, 노인보건 및 장애인의 재활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의 직원 및 업무에 대한 지도 감독 의약에 대한 지도 기타의료사업 및 국민보건의 향상, 증진 보건증 등 보건과 관련된 서류 발급 = 박문재 = 박문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박문재(1922 ~ )는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다. 박문재(1942 ~ )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박문재(1964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분류:아이유가 작사한 노래 = = 로저 로이드팩 = 로저 로이드 팩(Roger Lloyd-Pack, 1944년 2월 8일 ~ 2014년 1월 15일)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해리 포터 영화 시리즈에서 바티 크라우치 역할로 출연하였다. 영국시간 기준 2014년 1월 15일 수요일 밤에 췌장암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71세 = = 출연 작품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 분류:연도별 스포츠 틀 = = 웰스 파고 아레나 (디모인) = 웰스 파고 아레나(Wells Fargo Arena)는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과거 AHL 아이오와 스타스와 아이오와 찹스의 홈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현재 G 리그 아이오와 울브스와 AHL 아이오와 와일드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위키프로젝트:천문학 = = = 관련 프로젝트 = = 위키프로젝트:천체 위키프로젝트:우주 개발 = = 문서 제작 = = = = = 들머리 = = = 포털:천문학 = = = 배너 = = = 를 달아 주세요. = = = 천체 문서의 제목 규칙 = = = 천체 프로젝트의 통합에 따라 이 곳으로 옮겨왔습니다. = = = = 행성 = = = = 태양계 행성의 경우 이름만 적는다. 외계 행성의 경우 어머니 항성 이름 뒤에 한 칸 공백을 두고 영문 소문자를 붙이며, 공백 없는 넘겨주기 문서를 함께 만든다. 예)HD 209458 b, 넘겨주기 HD 209458b 왜행성의 경우는 명왕성을 제외하고는 "이름 (왜행성)" 형태를 기본형으로 한다. = = = = 위성 = = = = 일관성을 위해 "이름 (위성)" 형태를 기본형으로 하지만, 동음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시 붙이지 않는다. 단, 달은 예외이다. = = = = 소행성 = = = = "소행성 번호 + 이름" 형태를 기본형으로 한다. 단, 아직 소행성 번호를 부여 받지 못한 경우는 임시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2003 UB313 = = = = 혜성 = = = = 국제천문연맹이 정한 혜성 이름을 따른다. 이름,번호,혜성 예: 슈메이커-레비 9 혜성 = = = = 항성/성단/성운/은하 = = = = 널리 쓰이는 이름이 있을 경우 이를 쓴다. 바이어 명명법, 메시에 번호, NGC 번호가 따로 있을 경우 넘겨주기 처리를 한다. 예: 시리우스(큰개자리 알파), 게 성운(M1) 바이어 명명법을 따를 경우, "별자리 이름 + 그리스 문자의 한국어 표기" 식으로 읽는다. 알파 센타우리 (X)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O) 메시에 천체는 "메시에 XX"를 기본형으로 삼는다. ("M번호" 형태는 동음이의 혹은 넘겨주기 처리를 한다.) M2(X) 메시에 2(O) NGC 천체는 "NGC 번호"를 기본형으로 삼는다. 메시에 천체와 NGC 천체가 동일 천체일 경우 메시에 번호를 기준으로하고 NGC 번호는 넘겨주기로 처리를 한다. = = 참가자 =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의 참가자가 되셨다면, 다음 틀을 추가해주세요. = = 문서 역사 = = 프로젝트 관련 문서는 :분류:천문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요하네스 케플러 - 2009년 11월 243 이다 - 2010년 9월 고양이 눈 성운 - 2010년 5월 전리수소영역 - 2015년 1월 주계열 - 2015년 1월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 2008년 6월 페가수스자리 IK - 2012년 12월 항성 - 2008년 5월 행성상성운 - 2014년 12월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 2012년 10월 헨리에타 스완 리비트 - 2013년 12월 가니메데 (위성) - 2014년 10월 고래자리 타우 - 2011년 2월 수성 - 2011년 3월 외계 행성 - 2011년 7월 가니메데의 지질 구조 목록 - 2015년 2월 딥 임팩트 (우주선) 오퍼튜니티 (탐사차) = = 토막글 통계 = = 문서에 적절한 하위 분류가 존재할 경우 옮겨 주세요. 1 1-1 1-2 1-3 1-4 1-4-1 1-4-2 1-4-3 1-4-4 1-4-5 1-4-6 천문학 식 우주 천문학자 천체 극대거성 성단 성운 은하 항성 혜성 소행성 2015년 5월 24일 375 35 59 219 4 55 55 110 237 26 2016년 2월 10일 483 39 55 218 3 55 52 107 228 26 2017년 11월 6일 137 61 52 116 239 26 84 2018년 1월 17일 1,077 73 59 2020년 10월 31일 376 708 68 64 166 59 52 126 221 29 106 = = 기여가 필요한 문서 = = = = =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마다 꼭 있어야 하는 문서: 천문학 관련 = = = = = = 천문학 관련 미번역 문서 = = = 천문학 태양계 화성 달 = = = 우주 과학 관련 문서 = = = 우주배경 탐사선;COBE(Cosmic Background Explorer), WMAP(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 = = 천문학, 천체물리학 관련 문서 = = = 빅뱅 이론의 역사(History of the Big Bang theory), 도표로 된 빅뱅의 연표(Graphical timeline of the Big Bang) = = = 천문학자, 천체물리학자 관련 문서 = = = 랄프 알퍼(Ralph Asher Alpher), 조르주 르메트르(Georges Lemaître), 조지 가모프(George Gamow), 프레드 호일(Fred Hoyle) = = 프로젝트 반스타 = = 반스타 설명 사용 방법 Visit the project on Wikidata. = 반니 = 반니(1990년 5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다. 2016년 싱글 앨범 [No Way]로 데뷔했다. = = 방송 = = 글로벌 슈퍼 아이돌 (2012) - Top6 = = 음반 = = No Way (2016) 나쁜놈 (2020) 너 같은 사람은 너밖에 없네 (2021) 달을 건너 (2021) 잠든 밤은 아무 말도 (2022) = = 피처링 = = Ryan <널 보고 있으면> (2017) 비비 <좋은 밤> (2019) = 분류: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 변태 성욕 = 변태 성욕(變態)(, 이상성욕)은 비정상이라고 생각되는 성적 기호를 가리킨다. 어떤 성적 기호가 정상 혹은 비정상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문화별로 큰 차이가 있으며, 같은 문화 내에서도 개인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기에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 때문에, 정신의학에서는 현재 성도착(paraphilia)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성폭력을 저지른 사람을 흉볼 때 부르기도 한다. = = 일본 = = 일본에서는 1910년대부터 속어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당시 변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 문학자부터 민속학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변태 성욕에 대해 논한 바 있다. 자위나 성교 불능증도 변태로 간주되는 일이 있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러한 인식은 바뀌게 된다. '변태'의 말이 일본에서 널리 사용된 데에는, 1914년에 크라프트에빙(Krafft-Ebing)의 「Psychopathia Sexualis」가, 「변태 성욕 심리」로 번역, 간행된 영향이 컸다고 알려져 있다. = 분류:20세기 지진 = = 분류:포르투갈의 싱어송라이터 = = 분류:2008년 여자 양궁 = = = 틀:대한민국의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 =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지정 제도는 해당 문서에 적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11학년도부터 자율형 사립고로 모두 전환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틀:대한민국의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에 기재되어 있는 학교는 동 제도가 폐지될 당시의 학교만 기재되어 있고, 그동안 지정이 해제된 학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현재 기재되어 있는 학교도 제도 폐지와 동시에 해제된 것이므로, 동 틀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각 학교에 본 틀을 표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삭제한 바 있습니다. 그동안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로 지정.해제되었던 학교 내역은 필요하다면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문서에 서술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여 삭제 토론에 회부합니다. Nosu (토론) 2013년 7월 26일 (금) 13:18 (KST) 삭제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8월 21일 (수) 19:26 (KST) = 크로크 파크 = 크로크 파크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게일 게임 경기장으로, 게일 체육 협회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두 흐름 가설 = 두 흐름 가설 (two-streams hypothesis)은 시각과 청각의 신경 처리 모델이다. 1992년 데이비드 밀너(David Milner)와 멜빈 구데일(Melvyn A. Goodale)의 논문에서 제시된 이 가설은 인간이 두 가지 별개의 시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청각 역시 두 흐름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 시각 정보가 후두엽을 빠져나가고 소리가 음운론적 네트워크를 떠날 때 두 가지 주요 경로, 즉 "흐름"(stream)을 따른다. 배쪽 흐름("무엇 경로"(what pathway)라고도 함)은 물체와 시각적 식별 및 인식과 관련된 측두엽으로 이어진다. 등쪽 흐름(또는 "어디 경로"(where pathway))은 두정엽으로 이어지며, 이는 보는 사람에 대한 물체의 공간적 위치 처리 및 음성 반복과 관련된다. = = 역사 = = 몇몇 연구자들은 이전에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저자들은 로렌스 웨이스크란츠(Lawrence Weiskrantz)의 실명에 대한 연구와 이전의 신경과학적 시각 연구에서 영감을 얻었다. = = 두 가지 시각 시스템 = = Goodale과 Milner는 해당 모델에 대한 일련의 해부학적, 신경심리학적, 전기생리학적, 행동학적 증거를 축적했다. 그들의 데이터에 따르면 배쪽의 '지각' 흐름('perceptual' stream)은 시각적 입력으로부터 세계의 상세한 지도를 계산하여 인지 작업에 사용될 수 있으며, 등쪽의 '행동' 흐름('action' stream)은 들어오는 시각적 정보를 필수적이며 자기 중심적(머리 중심)인, 숙련된 운동 계획을 위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 모델은 또한 시각적 인식이 시야의 다른 개체에 비해 크기 및 위치와 같은 개체의 공간적 속성을 인코딩한다고 가정한다. 즉, 상대적 측정항목과 장면 기반 참조 프레임을 활용한다. 반면 시각적 행동 계획 및 조정은 자기 중심적 기준 프레임을 통해 결정된 절대 측정 기준을 사용하여 관찰자와 관련된 개체의 실제 속성을 계산한다. 따라서 크기 대비가 모호한 장면에 포함된 물체를 향한 쥐는 움직임은 이러한 환상의 효과를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상의 인식과 쥐는 행위의 실행에 서로 다른 기준 및 측정 기준 프레임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Norman은 유사한 이중 프로세스 비전 모델을 제안하고 다른 두 시스템 모델과 일치하는 두 시스템 간의 8가지 주요 차이점을 설명했다. 인자 배쪽 시스템 (무엇) 등쪽 시스템 (어디) 기능 인식/식별 시각적으로 안내되는 행동 감광도 높은 공간 주파수 - 세부정보 높은 시간적 주파수 - 움직임 기억 장기 저장된 표현 매우 단기적인 보관만 가능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비교적 빠르다 의식 일반적으로 높음 일반적으로 낮음 참조 프레임 동일중심 또는 객체 중심 자기중심적이거나 시청자 중심적 시각적 입력 주로 중심와 또는 파라중심와 망막을 가로질러 단안 시력 일반적으로 합리적으로 작은 효과 종종 큰 효과 (예: 운동 시차) = = = 등쪽 흐름 = = = 등쪽 흐름(dorsal stream)은 행동을 안내하고 물체가 공간에 있는 위치를 인식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등쪽 흐름은 일차 시각 피질에서 후두정 피질(posterior parietal cortex)로 돌출된다. 등쪽 흐름이 물체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처리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디" 경로("where" pathway)라고 불렸다. 그러나 나중에 유명한 신경심리학 환자인 환자 DF(Patient DF)를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에서는 등쪽 흐름이 조작하려는 물체의 표현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으로 인해 등쪽 흐름의 별명은 "어떻게" 경로("how" pathway)로 업데이트되었다. 등쪽 흐름은 V1에서 측두엽으로 아래쪽으로 흐르는 평행 배쪽 흐름("무엇" 흐름("what" stream))과 상호 연결된다. = = = = 일반 기능 = = = = 등쪽 흐름은 공간 인식 및 행동 안내(예: 손 뻗기)에 관여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뚜렷한 기능적 특징이 있다. 즉, 시야에 대한 상세한 지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움직임을 감지하고 분석하는 데에도 능숙하다. 등쪽 흐름은 후두엽에서 순수한 시각 기능으로 시작하여 두정엽의 끝 부분에서 점차적으로 공간 인식으로 전환된다. 후두정피질(posterior parietal cortex)은 "공간적 관계의 인식과 해석, 정확한 신체 이미지, 공간에서의 신체 조정과 관련된 작업 학습"에 필수적이다. 그것은 개별적으로 기능하는 소엽을 포함한다. 외측 두정내 고랑(LIP)에는 주의가 자극으로 이동하거나 동물이 시각적 자극을 향해 단속 운동(saccade)할 때 향상된 활성화를 생성하는 뉴런과 시각 및 체감각 정보가 통합되는 복측 두정내 고랑(VIP)이 포함되어 있다. = = = = 손상이나 병변의 영향 = = = = 후두정엽 피질의 손상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공간 장애를 유발한다. 동시실인증 (Simultanagnosia): 환자가 단일 개체만 설명할 수 있는 경우(예: 나무에 대한 숲과 같은 시나리오에서와 같이) 상황에 따른 세부 정보 또는 개체 집합의 구성 요소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시각 운동실조 (Optic ataxia): 환자가 팔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시공간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편측 공간 무시 (Hemispatial neglect): 환자가 반대측 공간 절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즉, 왼쪽 시야에 있는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른쪽 시야에 있는 물체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 한 시야에 있는 사물을 다른 시야에서 인식할 때). 예를 들어, 이 장애가 있는 사람은 시계를 그린 다음 얼굴 한쪽에 12개의 숫자를 모두 표시하고 그림이 완성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무운동증 (Akinetopsia): 움직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 실행증 (Apraxia): 근육 장애 없이 임의적 또는 의지적 움직임을 생성할 수 없음. = = = 배쪽 흐름 = = = 배쪽 흐름 (ventral stream)은 물체 인식 및 형태 표현과 관련이 있다. "무엇" 흐름("what" stream)이라고도 설명되는 이 흐름은 내측 측두엽(장기 기억과 관련됨), 변연계(감정을 제어함) 및 등쪽 흐름(물체 위치 및 동작을 처리함)과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측 경로란 일차 시각 피질에서 하측두피질로 가는 경로를 말한다. 복측 경로는 배측 경로에 비해 상세하고 색깔이 포함된 정보를 전달하지만, 속도는 더 느리다. 배쪽 흐름은 시상의 외측 슬상핵의 세포내 세포(parvocellular cell. 거대세포(magnocellular cell)와 반대) 층에서 주요 입력을 받는다. 이들 뉴런은 V1 하위층 4Cβ, 4A, 3B 및 2/3a에 연속적으로 투영된다. 거기에서 배쪽 경로는 V2와 V4를 거쳐 하측두엽 영역, 즉 PIT(후측 하측두엽), CIT(중앙 하측두엽) 및 AIT(전측 하측두엽)로 이동한다. 각 시각적 영역에는 시각적 공간의 전체 표현이 포함된다. 즉, 수용 영역이 함께 전체 시야를 나타내는 뉴런을 포함한다. 시각 정보는 일차 시각 피질을 통해 배쪽 흐름으로 들어가고 나머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V1에서 AIT로 스트림을 따라 이동하면 수용 필드의 크기, 대기 시간 및 튜닝의 복잡성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최근 연구에 따르면 V4 영역은 인간의 색상 인식을 담당하고 V8(VO1) 영역은 모양 인식을 담당하며, 이들 영역과 해마주위 피질 사이에 위치한 VO2 영역은 정보를 통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의 색상과 모양을 전체적인 이미지로 표현한다. 배쪽 흐름의 모든 영역은 수용 영역의 자극 특성 외에도 망막외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에는 주의력, 작업 기억, 자극 현저성이 포함된다. 따라서 배쪽 흐름은 시각적 세계의 요소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소의 중요성을 판단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쪽 흐름의 손상으로 인해 얼굴을 인식하거나 얼굴 표정을 해석할 수 없게 된다. = = 두 개의 청각 시스템 = = = = = 배쪽 흐름 = = = 시각 처리에 중요한 시각 배쪽 경로와 함께 일차 청각 피질에서 나타나는 배쪽 청각 경로도 있다. 이 경로에서 음소는 음절 및 환경음보다 나중에 처리된다. 그런 다음 정보는 중간 측두이랑과 측두극에서 시각 배쪽 흐름과 합류한다. 여기서 청각적 대상은 시청각 개념으로 변환된다. = = = 등쪽 흐름 = = = 청각 등쪽 경로의 기능은 청각 감각 표현을 조음 운동 표현에 매핑하는 것이다. Hickok & Poeppel은 "말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본질적으로 운동 학습 작업이기 때문에 청각 등쪽 경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주요 입력은 감각, 특히 언어이다. 따라서 인스턴스를 코딩하고 유지하는 신경 메커니즘이 있어야 한다. 소리가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도록 이러한 감각 추적을 사용하여 음성 제스처 조정을 안내할 수 있다." = = 비판 = = Goodale & Milner의 혁신은 객체 위치 대 속성과 같은 입력 구별에 대한 강조에서 행동, 인식 또는 행동에 대한 비전의 기능적 관련성에 대한 강조로 관점을 전환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 20년 동안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얻은 현대적 관점은 단순히 기능을 두 가지 흐름으로 분리하는 것보다 더 복잡한 설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최근의 실험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견에 이의를 제기하고 인식과 행동에 대한 환상의 영향 사이의 명백한 분리가 주의력, 작업 요구 사항 및 기타 혼란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쉽게 무시할 수 없는 다른 경험적 발견이 있는데, 이는 잡기와 같은 숙련된 행동이 그림 환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생각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 데오반드파 = 데오반드파(-派)는 19세기 후반 인도의 데오반드 마을의 다르울울룸 이슬람 신학교를 중심으로 결성된 수니파(주로 하나피파) 이슬람 내 이슬람 부흥운동이다. 신학교는 1857-58년 세포이 항쟁이 일어난 지 8년 만인 1866년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 그 밖의 여러 인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복합 민족주의 교리의 전파를 통해 인도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데오반드 학파는 초기에는 평화적 갈림길에서 기독교 및 힌두교 학자들과의 종교간 논쟁을 벌였고, 설립 초기 단계에서는 당시의 데오반드 철학자들이 힌두교, 기독교, 무슬림의 단결을 이야기했기 때문에 운영비는 힌두교도가 일부 부담했다고 한다. 다문화주의와 인도의 분할에 대한 반대, 현재의 살라피스트적 입장과 이슬람 근본주의와는 크게 다르다. 현재 주로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를 중심으로 한 데오반드 운동은 영국으로 확산되어 남아공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파키스탄과 아프간 지부와 원래의 인도 마드라사는 인도-파키스탄 국경과 관련된 정치적 이유로 '인도 분할' 이후 접촉이 훨씬 적었다. 데오반드 운동은 예언자 시대에 실천된 대로 이슬람의 기본을 되찾고자 하며, 도덕적이고 물질적인 서구화 영향으로부터 그것을 정화하기를 희망한다. 살라프파 또는 비 살라프파로 묘사되어 왔지만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살라프파의 영향을 받았다. 데오반드 학파의 설립자들, 즉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와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는 이슬람 학자의 종교-정치적 교리에서 영감을 이끌어 냈고, 무자드 샤 왈리울라도 와하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았다.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일부 데오반드 추종자는 사우디 아라비아로부터 많은 자금을 지원받았다. 파키스탄 정부는 (카슈미르에서) 소련과 인도와 싸우기 위해 일부러 데오반드파에 전투성을 배양했다. 공급된 돈과 총은 후에 시민 갈등을 부채질했다., , , 최근에는 국방주택청과 같은 파키스탄의 시설들이 공공주택단지 내 이슬람 사원의 다른 종파 이맘을 임명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데오반드 운동의 추종자들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비폭력을 옹호하고 어떤 사람들은 파키스탄 탈레반(TTP)과 같이 전투적이다. TTP, SSP, 라슈카레 타이바 등 데오반드 무장세력. 라호르의 다르바르, 카라치의 압둘라 샤 가지 묘, 발루치스탄의 칼 마가시, 페샤와르의 라만 바바 묘 등 바렐비 운동의 수니파 무슬림에게 거룩한 수피 유적지를 공격해 파괴했다. 다양한 바렐비 지도자들의 살해도 데오반드 무장세력에 의해 저질러졌다. 일부 데오반드 지도자들은 반시야 및 무장단체와도 유대관계를 맺고 있으며, 무장단체를 모집하고 있다; 다른 디반디 지도자들은 그러한 활동이 파키스탄 정치를 그들의 종교에 침입하는 것과 같은 것을 분개한다. 다르울울룸 데오반드는 탈레반의 시민적 행동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으나 2000년대 이슬람 테러리즘을 거듭 규탄하며 2008년 이에 대한 파트와를 내놓았다. = 분류:대한민국의 강 = = IEEE-488 = IEEE-488은 단거리 디지털 통신 버스이다. 1960년대 후반 전자 측정 장비에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IEEE-488은 HP-IB(Hewlett-Packard Interface Bus)로서 개발되었으며, 보통 GPIB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로 불린다. = = 장단점 = = = = = 장점 = = = 단순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단일 호스트에 다수의 기기 연결 가능 저속 기기와 고속 기기를 혼합해 연결 가능 기술적으로 안정적이고 폭넓게 이용됨 단자가 튼튼하고 나사로 고정해 USB 등과 같이 쉽게 빠지지 않음 케이블이 튼튼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연결 가능 = = = 단점 = = = 큰 단자와 두꺼운 케이블 명령 프로토콜 표준이 없다 (SCPI로 개선) 전송 종료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한 통일된 구현 방법이 없어 IEEE-488.2 이전 세대 기기와의 호환성 문제가 있음 버스와 기기 사이에 전자교란 분리에 대한 의무가 없음 대역폭이 낮음 RS-232/USB/FireWire/이더넷 등에 비해 고가 RS-232/USB/FireWire/이더넷 등에 비해 구하기가 힘듦 = 분류:종교 만화 = = 백도훈 = = = 가공 인물 = = 야왕 (드라마)의 등장 인물 숨바꼭질 (드라마)의 등장 인물 하자전담반 제로의 등장 인물 = 히라야마 기요쓰구 = 히라야마 기요쓰구(, 1874년 10월 13일 ~ 1943년 4월 8일)는 일본의 천문학자이다. = = 생애 = = 미야기현 센다이시에서 태어났다. 데라오 히사시의 제자로, 천체역학 및 태음력 연구로 유명하다. 히라야마 소행성족을 발견한 공적으로 달 뒷면의 크레이터에「히라야마」로 이름이 붙여졌다. 같은 성을 가진 천문학자 히라야마 마코토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제자로는 하기하라 유스케, 가부라기 마사키, 히로세 히데오 등이 있다 일본 천문학자 계도. = 분류:소모전 = = 나주여자중학교 = 나주여자중학교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산길 10 (죽림동)에 있었던 중학교이다. 폐교 후에는 현재 나주중학교가 들어와 있다. = = 연혁 = = 1960년 4월 7일 나주여자중학교 개교(설립인가 2월 28일) 1968년 2월 23일 죽림동 교사로 이전(나주중앙국민학교와 교사 교환) 1974년 1월 5일 숙직실, 변소 3동, 관사 준공 1976년 12월 17일 급수시설 준공 1977년 1월 20일 창고 및 양호실 준공 1998년 3월 1일 나주중학교와 통합 = 유럽 지방 언어·소수 언어 헌장 = 유럽 지방 언어·소수 언어 헌장(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ECRML)은 1992년 유럽 평의회의 후원 하에 채택된 유럽의 조약(CETS 148)으로, 유럽의 역사적 지역 언어와 소수 언어를 보호하고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 이 헌장으로 보호되는 언어 = = 비준: 2002년 1월 25일 아시리아어 그리스어 러시아어 쿠르드어 (야지디의 언어) 비준: 2001년 6월 28일오스트리아 비준 부르겐란트주의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케른텐주 및 슈타이어마르크주) 헝가리어 (부르겐란트, 빈) 체코어 (빈) 슬로바키아어 (빈) 롬어 (부르겐란트) 비준: 2010년 9월 21일 알바니아어 몬테네그로어 체코어 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마케도니아어 독일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루신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유대어 (이디시어, 라디노어) 비준: 1997년 11월 5일 체코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루신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우크라이나어 비준: 2002년 8월 26일 아르메니아어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비준: 2006년 11월 5일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파트 II만) 롬어 (파트 II만) 비준: 2000년 9월 8일구상서, 덴마크 비준 독일어 비준: 1994년 11월 9일 카렐리야어 사미어 스웨덴어 (공용어) 비준: 1998년 9월 16일독일 비준 덴마크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고지 소르브어 (작센주) 저지 소르브어 (브란덴부르크주) 북프리슬란트어 동프리슬란트어 (니더작센주) 롬어 저지 독일어 비준: 1995년 4월 26일 크로아티아어 독일어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비준: 1997년 11월 18일 지역 언어, 소수 언어 없음 비준: 2005년 6월 22일 지역 언어, 소수 언어 없음 비준: 2006년 2월 15일 알바니아어 롬어 비준: 1996년 5월 2일 서프리슬란트어 (프리슬란트주) 림뷔르흐어 (림뷔르흐주) 네덜란드 저지 작센어 롬어 이디시어 비준: 1993년 11월 10일 사미어 (파트 II, III) 크벤어 (파트 II만) 롬어 (파트 II만) 스칸디나비아 롬어 (파트 II만) 비준: 2009년 2월 12일 벨라루스어 체코어 히브리어 이디시어 카라임어 카슈브어 리투아니아어 루신어 독일어 아르메니아어 롬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타타르어 우크라이나어 비준: 2007년 10월 24일 파트 II 적용: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마케도니아어 폴란드어 롬어 루신어 크림 타타르어 이디시어 파트 III 적용: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독일어 헝가리어 러시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비준: 2006년 2월 15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비준. 2005년 12월 22일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어 헝가리어 롬어 루마니아어 루신어 슬로바키아어 우크라이나어 블라크어 비준: 2001년 9월 5일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독일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롬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비준: 2000년 10월 4일 헝가리어 이탈리아어 롬어 비준: 2001년 4월 9일 아라곤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갈리시아어 비준: 2000년 2월 9일 핀란드어 메앤키엘리 사미어 롬어 이디시어 비준: 1997년 12월 23일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비준: 2005년 9월 19일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크림 타타르어 가가우스어 그리스어 독일어 헝가리어 히브리어 몰도바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비준: 2001년 3월 27일 콘월어 아일랜드어 맨어 스코트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 이상수 (1959년) = 이상수(李相洙, 1955년 5월 19일 ~ , 전라북도 정읍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강북구의원을 지냈다. = = 학력 = = 경민대학교 자치행정과 졸업 = = 경력 = = 우이동 자율방범대 자문위원 강북재향경우회 사무국장 강북재향군인회 운영이사 강원도 춘천경찰서 교통조사계장 강북경찰서 인수 강북경찰서 수유2파출소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20.04 ~ 2022.06 제8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의원 2020.07 ~ 2022.06 제8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후반기 행정보건위원회 위원 2020.07 ~ 2022.06 제8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2022.07 ~ 제9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의원 2022.07 ~ 제9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전반기 복지건설위원회위원장 2022.07 ~ 제9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전반기 경전철 교통환경 개선 특별위원회 위원 2022.07 ~ 제9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회 전반기 청소행정서비스 특별위원회 위원 = = 수상 = = 녹조근정훈장 수상 = 틀:음력 4월 = = 가정 (남송) = 가정(嘉定, 1208년 ~ 1224년)은 남송 영종(寧宗) 조확(趙擴)의 네번째 연호이다. 17년 가량 사용하였다. 영종(寧宗)이 죽고난 후에 이종(理宗)이 보경으로 개원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 = 개원 = = 개희(開禧) 3년 12월 26일정묘년(丁卯年) 12월 정묘일(丁卯日)(1208년 1월 15일)에 연호를 가정(嘉定)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무진년(戊辰年) 1월 신미일(辛未日)(1208년 1월 19일)에 개원함.《송사》(宋史) 권38 〈본기〉(本紀) 제38 - 영종(寧宗) 2《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58 〈송기〉(宋紀) 158《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예(禮) 54 - 개원소(改元詔)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가정(嘉定) 17년 11월 25일갑신년(甲申年) 11월 정해일(丁亥日)(1225년 1월 5일)에 연호를 보경(寶慶)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을유년(乙酉年) 1월 임술일(壬戌日)(1225년 2월 9일)에 개원함.《송사》(宋史) 권41 〈본기〉(本紀) 제41 - 이종(理宗) 1《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62 〈송기〉(宋紀) 162 = = 연대 대조표 = = 가정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기(西紀) 1208년 1209년 1210년 1211년 1212년 1213년 1214년 1215년 1216년 1217년 간지(干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금(金) 태화(泰和)8년 9년대안(大安)원년 2년 3년 숭경(崇慶)원년 2년지녕(至寧)원년정우(貞祐)원년 2년 3년 4년 5년흥정(興定)원년 가정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서기(西紀) 1218년 1219년 1220년 1221년 1222년 1223년 1224년 간지(干支)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금(金) 흥정(興定)2년 3년 4년 5년 6년원광(元光)원년 2년 정대(正大)원년 = = 동시대 연호 = = = = = 중국 = = = 태화(泰和) (1201년 ~ 1209년) 대안(大安) (1209년 ~ 1211년) 숭경(崇慶) (1212년 ~ 1213년) 지녕(至寧) (1213년) 정우(貞祐) (1213년 ~ 1217년) 흥정(興定) (1217년 ~ 1222년) 원광(元光) (1222년 ~ 1223년) 정대(正大) (1224년 ~ 1232년) 응천(應天) (1206년 ~ 1209년) 황건(皇建) (1210년 ~ 1211년) 광정(光定) (1211년 ~ 1223년) 건정(乾定) (1223년 ~ 1226년) 천개(天開) (1205년 ~ 1225년) 천희(天禧) (1177년 ~ 1211년) 천통(天統) (1213년 ~ 1216년) 천위(天威) (1216년) 천덕(天德) (1216년 ~ 1217년) 천태(天泰) (1215년 ~ 1223년) 대동(大同) (1224년 ~ 1233년) 유영창(劉永昌) 천사(天賜) (1214년) 양안아(楊安兒) 천순(天順) (1214년) 장경(張鯨) 대한(大漢) (1216년) 장치(張致) 흥륭(興隆) (1216년 ~ 1217년) 학정(郝定) 순천(順天) (1216년) = = = 베트남 = = = 찌빈롱응(治平龍應) (1205년 ~ 1210년) 끼엔자(建嘉) (1211년 ~ 1224년) 티엔쯔엉흐우다오(天彰有道) (1224년 ~ 1225년) = = = 일본 = = = 조겐(承元) (1207년 ~ 1211년) 겐랴쿠(建曆) (1211년 ~ 1213년) 겐포(建保) (1213년 ~ 1219년) 조큐(承久) (1219년 ~ 1222년) 조오(貞應) (1222년 ~ 1224년) 겐닌(元仁) (1224년 ~ 1225년) = = 관련 항목 = = 중국의 연호 목록 = 분류:1534년 기독교 = = 전장의 안개 = 전장의 안개란 군사 작전에서의 불확실성이다. 이 말은 1837년 프로이센의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에서 처음 언급했다. = = 게임 = = 보드 게임, PC 게임에서의 '전장의 안개'는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측에서 알 수 없는 상대방의 위치 또는 움직임이다. 플레이어가 탐색하지 않은 지역을 안개로 처리하거나 어둡게 표시하여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게 한다. 특히 전술 보드 게임이나 전쟁 시뮬레이션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움직이는 부대(캐릭터)의 이동 거리, 사정 거리 밖을 '전장의 안개' 지역으로 처리하여 긴장감, 불확실성 등을 높이는 용도로 활용한다. = 분류:누벨칼레도니의 상징 = = 카를레스 렉사치 = 카를레스 렉사치(1947년 1월 13일 ~ )는 스페인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 = 국가대표 경력 = = 그는 1969년 스페인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는 1978년 FIFA 월드컵 대표 선수로 선발되었다. 그는 국제 A매치 15경기에 출전해서 2골을 득점하였다. = = 통계 = = 연도 출전 골 1969 2 0 1970 2 1 1971 3 1 1972 1 0 1973 0 0 1974 2 0 1975 3 0 1976 0 0 1977 0 0 1978 2 0 합계 15 2 = 요로센! = 요로센!은 2008년 10월 6일부터 2009년 3월 27일까지 TV 도쿄 계열에서 평일 심야에 방송되었던 헬로! 프로젝트 멤버 출연의 TV 프로그램이다. = = 개요 = = *'요로센'이라는 타이틀은 '부탁해요 선생님'이라는 의미인 '요로시쿠 센세'(よろしく先生)의 준말이다. *『베리큐!(ベリキュー!)』의 후속 프로그램이며, 하로모니@의 종영으로 인해서, 헬로! 프로젝트의 멤버가 고정 출연하는 유일한 TV 프로그램이 되었지만, 이것도 2009년 3월 27일에 종영하였다. *HD 제작. = = 출연자 = = = = = 헬로! 프로젝트 = = = 모닝구무스메。 Berryz코보 ℃-ute 마노 에리나(真野恵里菜) = = 프로그램 내용 = = *각 그룹별로 나뉘어서 방송되며, 멤버 중 한 명이 선생님의 역할을 맡아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일주일 동안 강의를 하게 된다. *선생님의 역할을 맡지 않은 다른 멤버들은 기본적으로 학생이라는 설정으로 전부 교복을 착용한다(교복은 그룹별로 다르다). *마지막 수업에서는 배운 내용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야외 수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마노 에리나는 본편에서는 등장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등장해 「오늘의 마노포인트」라는 코너를 통해서 그 회에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코멘트를 한다. = = = 테마 수업 = = = 다나카 레이나(田中れいな) - 2008년 10월 6일 ~ 10월 10일 : 총리대신 쿠스미 코하루(久住小春) - 2008년 10월 13일 ~ 10월 17일 : 스모 다카하시 아이(高橋愛) - 2008년 10월 20일 ~ 10월 24일 : 에도시대 카메이 에리(亀井絵里) - 2008년 10월 27일 ~ 10월 31일 : 마구로(다랑어) 스가야 리사코(菅谷梨沙子) - 2008년 11월 3일 ~ 11월 7일 : 판타지의 세계 시미즈 사키(清水佐紀) - 2008년 11월 10일 ~ 11월 14일 : 불고기 츠구나가 모모코(嗣永桃子) - 2008년 11월 17일 ~ 11월 21일 : 최신가전 스즈키 아이리(鈴木愛理) - 2008년 11월 24일 ~ 11월 28일 : 골프 나카지마 사키(中島早貴) - 2008년 12월 1일 ~ 12월 5일 : 낫키적, 세계위인 DEN!! 쿠마이 유리나(熊井友理奈) - 2008년 12월 8일 ~ 12월 12일 : 패션 야지마 마이미(矢島舞美) - 2008년 12월 15일 ~ 12월 19일 : 세계의 반찬 우메다 에리카(梅田えりか) - 2008년 12월 22일 ~ 12월 26일 : 스위츠를 만드는 조리실습 니이가키 리사(新垣里沙) - 2009년 1월 5일 ~ 1월 12일 : 성인식 미츠이 아이카(光井愛佳) - 2009년 1월 13일 ~ 1월 22일 : 애완동물 링링(リンリン) - 2009년 1월 23일 ~ 1월 30일 : 중국최신정보 아리하라 칸나(有原栞菜) - 2009년 2월 2일 ~ 2월 6일 : 미술 오카이 치사토(岡井千聖) - 2009년 2월 9일 ~ 2월 13일 : 학활 미치시게 사유미(道重さゆみ) - 2009년 2월 16일 ~ 2월 20일 : 철도 쥰쥰(ジュンジュン) - 2009년 2월 23일 ~ 2월 27일 : 전국에키벤구루메 나츠야키 미야비(夏焼雅) - 2009년 3월 2일 ~ 3월 6일 : 게임 토쿠나가 치나미(徳永千奈美) - 2009년 3월 9일 ~ 3월 13일 : 에코 스도우 마아사(須藤茉麻) - 2009년 3월 16일 ~ 3월 20일 : 탁구 하기와라 마이(萩原舞) - 2009년 3월 23일 ~ 3월 27일 : 반년간의 총집편원래 영어회화편이였으나, 총집편으로 바뀌었다. 영어회화편은 요로센! DVD Vol.7에 수록되었다. = = 방송국과 방송 시간 = = 아래의 방송국은 모두『베리큐!(ベリキュー!)』를 방송한 이후 계속해서 방송하고 있다. 주요 방송 지역 방송국 계열 방송 요일과 방송 시간 간토 광역권 TV 도쿄 (제작국) TV 도쿄 계열 월요일・화요일・목요일 24:53 ~ 25:00, 수요일 25:13 ~ 25:20, 금요일 25:53 ~ 26:00 오사카부 TV 오사카 TV 도쿄 계열 월요일・화요일・목요일 24:53 ~ 25:00, 수요일 25:13 ~ 25:20, 금요일 25:53 ~ 26:00 *그 외에도 방송전파 월경을 통해 야마나시현이나 교토부, 효고현, 나라현, 도쿠시마현의 일부, 시즈오카현, 나가노현, 시가현, 와카야마현, 가가와현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 *다른 TXN 계열의 방송국 4곳에서는 방송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BS JAPAN은 음악 제작자 연맹과의 저작권·초상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방송하지 않고 있다. = = DVD = = *요로센! Vol.1 (2009년 9월 30일) *요로센! Vol.2 (2009년 9월 30일) *요로센! Vol.3 (2009년 10월 28일) *요로센! Vol.4 (2009년 10월 28일) *요로센! Vol.5 (2009년 11월 25일) *요로센! Vol.6 (2009년 11월 25일) *요로센! Vol.7 (2009년 12월 23일) = 종각 = 종각(鐘閣)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가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 보신각을 지칭하는 단어이기도 했으며, 이 이름에서 여러 명칭이 다시 유래되었다. 종각역 - 서울지하철 1호선의 역. 이 역의 이름을 두고 '종각'이라 칭하기도 한다. 종각지하쇼핑센터 - 종로1가의 지하상가. = 동방문화첩 ~ Shoot the Bullet = 동방문화첩 ~ Shoot the Bullet은 동방 프로젝트의 첫 외전 작품이자,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이 제작한 게임이다. = 마훙빈 = 마훙빈(중국어: 马鸿宾, Xiao'erjing: مَا خٌ‌بٍ, 1884년 9월 14일 ~ 1960년 10월 21일)은 주로 중화민국 시대에 활동한 저명한 중국 무슬림 군벌이며 마가군의 일부였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간쑤성 및 닝샤성의 의장 대행을 역임했다. = = 생애 = = 마훙빈은 간쑤성의 린샤현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1900년 의화단의 난에서 북경 전투(1900)에서 외국인과 싸우다 사망한 마푸루의 아들이었다. 마푸샹의 조카로서 그는 그를 따라 나중에 펑위샹이 군대에 입대했다. 그와 마푸샹은 가로회의 공격으로부터 산다오허의 가톨릭 선교부를 보호했으며 그는 레오폴드 훈장(벨기에)을 받았다. 그는 장개석과 협력하여 국민혁명군 24군 22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21년부터 1928년까지 닝샤 총독, 1930년 닝샤 정부 주석을 역임했다. 그러나 마훙빈은 그의 사촌인 마홍규이와 권력투쟁을 일으켰고 결과적으로 패했다. 1930년에 장제스는 마훙빈을 간쑤 지방의회 의장으로 지명하여 1931년까지 재직했다. 간쑤에 대한 홍빈의 통제는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그 지방은 그의 라이벌인 마중잉이 대부분 통치했기 때문이다. 1934년 7월 중잉이 소련으로 떠난 후에도 간쑤의 군대와 민간인들은 여전히 중잉에 충성했다. 홍빈은 1934년 초 동료 장군 손뎬잉의 닝샤 침공에 맞서 싸울 마홍규를 도왔다. 일본은 1939년 쑤이위안에서 닝샤를 침공하고 후이족 무슬림 꼭두각시 국가를 만들 계획을 세웠다. 이듬해인 1940년, 일본군은 마훙빈에게 군사적으로 패해 계획이 무너졌다. 마훙빈의 후이족 무슬림 군대는 일본에 대한 추가 공격을 시작했다. 제2차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81군단 사령관이 되었다. 1940년 마훙빈의 무슬림 군대는 일본과 그들의 몽골 꼭두각시 국가인 몽강을 상대로 한 전투에 참전했다. 같은 해 우위안 전투에서 마훙빈은 일본에 대항하는 81 군단을 이끌었다. 일본군은 중국 무슬림 세력에게 패하고 우위안을 탈환했다. 일본은 우위안 전투와 서수이위안 전투에서 중국 무슬림 군대에 독가스를 사용했다. 전쟁 내내 마훙빈은 일본과 몽골 동맹국에 대한 군사 작전을 계속했다. 마훙빈의 군대는 씨족 중심의 봉건적이었다. 81군단 참모총장은 처남인 마장량이었다. 미국아시아협회는 그가 84군단을 지휘했다고 보고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북서부 육군 본부 내에서 선임 고문이 되었다. 그의 사촌인 마홍규가 사임하고 대만으로 도피하자 그 자리는 마훙빈에게 넘어갔다. 1949년 국공내전 중 인민해방군이 북서쪽으로 다가오자 마훙빈과 그의 아들 마둔징이 81군단을 이끌고 공산군 쪽으로 건너갔다. 그는 간쑤 지방의 부회장(나중에 부주지사로 변경됨)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민족사무위원회 부주임이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이었다. 1960년 란저우에서 사망했다. = 분류:스웨덴의 헤비 메탈 음악가 = = 옥포 = = = 지명 = = = = = 현존하는 명칭 = = = *옥포읍(玉浦邑)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읍이다. *옥포동(玉浦洞)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법정동이다. 옥포1동, 옥포2동은 행정동이다. = = = 소멸하는 명칭 = = = 옥포면(玉浦面, 1895 - 2018)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면이다. 현재는 옥포읍으로 승격하였다. = 이창원 = 이창원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이창원(李昌遠, 1960~) - 대한민국의 행정학자, 교수. 이창원(李昌源, 1975~)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감독. 이창원 - 롯데 자이언츠의 사장. 이창원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 내 친구 아서 = 내 친구 아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오랜기간 방송되고 있는 아이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다. 전 세계 82개국에서 방송됐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교어린이TV와 EBS에서 방송됐다. (1999년~2001년, 2006년) 배경은 미국 인디애나주의 엘우드와 캐나다 몬트리올이며 EBS2에서는 한국버전과 캐나다버전을 번갈아 방송한다. 현재 EBS1에서는 2013년 가을개편으로 새로운 에피소드를 방영중이다. = = 등장 인물 = = 성우는 대교/EBS 순. 아서 리드 - 이미자/정옥주 버스터 백스터 - 우정신/유지영 (2000년 ~ 2001년) → 문남숙 (2013년 ~ 현재) 브레인 - 김필진/최향윤 (2000년 ~ 2001년) → 전해리 (2013년 ~ 현재) 도라 위니프레드 리드 - 이선주/홍소영 빙키 반스 - 전광주/이소영 프랜신 프렌스키 - 이계윤/문지현 (2000년 ~ 2001년) → 김은아 (2013년 ~ 현재) 머피 크로스와이어 - 윤미나/함수정 (2000년) → 장경희 (2001년) → 이혜영 (2006년) → 이주희 (2013년 ~ 현재) 래트번 - 변현우/엄상현 아서의 선생님이다. 모든 학생들은 '무서운 선생님' 이라고 알려져있는데 사실은 성격이 순하며, 공부와 숙제를 과도하게 내준다. 헤이니 - 이상헌/이종구 (2000년 ~ 2001년) → 홍진욱 (2013년 ~ 현재) 아서가 다니는 학교의 교장 선생님이다. 넬라 - 정윤정 (EBS, 2000년 ~ 2001년, 2013년 ~ 현재) 데이빗 리드- 신한호/이인성 (2000년 ~ 2001년) → 홍진욱 (2013년 ~ 현재) 아서의 엄마(제인 리드) - 안현서/이향숙 (2000년 ~ 2001년) → 문남숙 (2013년 ~ 현재) 직업은 회계사이다. 케이트 아서의 할머니 - 유재옥 (EBS, 2000년 ~ 2001년) 아서의 할아버지 - 김무규? 월버 레빗 *샤키: 도라 위니프레드 리드가 아끼는 상어인형. 어떨때는 사람들이 살아있는겄처럼 착각할때도 있다. = = 각 화별 제목 = = = = = 시즌 1 (1996년~1997년) = = = 아서의 시력(Arthur's Eyes)/프랜신의 학교 사진 찍기(Francine's Bad Hair Day) 아서와 래트번 선생님의 정체(Arthur and the Real Mr. Ratburn)/아서의 철자 외우기 대회(Arthur's Spelling Trubble) 도라의 물 공포증(D.W. All Wet)/공룡에 빠진 버스터(Buster's Dino Dilemma) 도라의 상상속의 친구(D.W.'s Imaginary Friend)/아서가 잃어버린 책(Arthur's Lost Library Book) 아서의 애완동물 사업(Arthur's Pet Business)/따라쟁이 도라(D.W. the Copycat) 도서관에 갇힌 아서와 프랜신(Locked in the Library!)/범인으로 몰린 아서(Arthur Accused!) 캠프에 간 아서(Arthur Goes to Camp)/유급 위기에 처한 버스터(Buster Makes the Grade) 아서의 강아지(Arthur's New Puppy)/아서의 달나라 신발(Arthur Bounces Back) 아서의 아이 돌보기(Arthur Babysits)/아서의 사촌(Arthur's Cousin Catastrophe) 아서의 생일(Arthur's Birthday)/프랜신, 주인공 되다(Francine Frensky, Superstar) 아서의 아기 돌보기(Arthur's Baby)/도라의 아기 돌보기(D.W.'s Baby) 아서, 작가가 되다(Arthur Writes a Story)/아서, 팔을 잃어버리다(Arthur's Lost Dog) 스팽키 안녕(So Long, Spanky)/버스터의 새 친구(Buster's New Friend) 파괴자 아서(Arthur the Wrecker)/아서와 정직한 프랜신(Arthur and the True Francine) 아서 가족 캠프(Arthur's Family Vacation)/데이브 할아버지 농장(Grandpa Dave's Old Country Farm) 아서와 크런치 시리얼 대회(Arthur and the Crunch Cereal Contest)/도라의 도전(D.W. Flips) 1주일간의 내기(Meek for a Week)/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절도범, 아서(Arthur, World's Greatest Gleeper) 수두에 걸린 아서(Arthur's Chicken Pox)/너무 아파요(Sick as a Dog) 도라, 다시 자전거에 도전하다(D.W. Rides Again)/야구팀에 들어간 아서(Arthur Makes the Team) 비오는 날은 지루해(Arthur's Almost Boring Day)/할머니의 끔찍한 요리솜씨(The Half-Baked Sale) 새 이웃이 된 수 엘렌(Sue Ellen Moves In)/완벽한 형제(The Perfect Brother) 사라진 눈덩이(D.W.'s Snow Mystery)/팀의 분열(Team Trouble) 심술쟁이 빙키(Bully for Binky)/신기한 점(Misfortune Teller) 아서의 젖니(Arthur's Tooth)/길을 잃은 도라(D.W. Gets Lost) 루시 이모의 결혼식(D.W. Thinks Big)/청소부 아서(Arthur Cleans Up) 청소부 아빠(My Dad, the Garbage Man)/프랜신과 머피의 동거(Poor Muffy!) 도라의 담요(D.W.'s Blankie)/랫번 선생님의 여동생, 대리교사로 오다(Arthur's Substitute Teacher Trouble) 나는야 시인(I'm a Poet)/무서운 이야기 클럽 책 지키기(The Scare-Your-Pants-Off Club!) 클럽의 규칙(My Club Rules)/프랜신의 낡은 자전거(Stolen Bike) 아서의 첫 야영(Arthur's First Sleepover)/아서의 새해 맞이하기(Arthur's New Year's Eve) = = = 시즌 2 (1997년~1998년) = = = 로저스 씨의 방문(Arthur Meets Mister Rogers)/만화 그리기(Draw!) 미술 전문가 빙키(Binky Barnes, Art Expert)/아서의 행운의 연필(Arthur's Lucky Pencil) 도라의 까다로운 식성(D.W. the Picky Eater)/버스터와 무모한 도전자들(Buster and the Daredevils) 영화배우 아서(Arthur Makes a Movie)/도라의 벌서기(Go to Your Room, D.W) 바지 소동(Arthur's Underwear)/프랜신의 말타기(Francine Frensky, Olympic Rider) 고양이를 구한 버스터(Buster Baxter, Cat Saver)/도라의 노래 사랑(Play it Again, D.W.) TV 없는 일주일(Arthur's TV-Free Week)/밤이 무서워요(Night Fright) 아서와 피아노의 대결(Arthur vs. the Piano)/큰 싸움(The Big Blow-Up) 아서가 없어졌어요(Lost!)/여름이 너무 짧아요(The Short, Quick Summer) 워싱턴에 간 도라(D.W. Goes to Washington)/의문의 봉투(Arthur's Mystery Envelope) 도라의 사슴 친구(D.W.'s Deer Friend)/버스터, 책과 씨름하다(Buster Hits the Books) 아서의 떠나간 친구(Arthur's Faraway Friend)/아서와 사교댄스(Arthur and the Square Dance) 물과 브래인(Water and the Brain)/썰렁한 아서(Arthur the Unfunny) 수 엘렌의 잃어버린 일기장(Sue Ellen's Lost Diary)/아서의 무릎(Arthur's Knee) 할머니의 날(Grandma Thora Appreciation Day)/펀의 파자마 파티(Fern's Slumber Party) 머피의 연애 편지(Love Notes for Muffy)/도라의 후루라기(D.W. Blows the Whistle) 프랜신의 방 새로 꾸미기(Francine Redecorates)/패배자, 아서(Arthur the Loser) 아서와 못된 건널목 안전 지킴이(Arthur vs. the Very Mean Crossing Guard)/도라가 기분이 안 좋은 이유(D.W.'s Very Bad Mood) 도라와 아서의 한 판 승부(D.W.'s Name Game)/줍는 사람이 임자(Finders Key-pers) 머피의 쿠키 만들기(How the Cookie Crumbles)/수 엘레의 여동생(Sue Ellen's Little Sister) = = = 시즌 3 (1998년~1999년) = = = 돌아온 버스터(Buster's Back)/버스터는 외로워(The Ballad of Buster Baxter) 도라의 소방 훈련(D.W., All Fired Up)/내가 읽고 싶어요(I'd Rather Read It Myself 아서의 머피 따라하기(Arthur Goes Crosswire)/수 엘렌과 브래인의 공룡 만들기(Sue Ellen and the Brainasaurous) 가족의 역사(Background Blues)/어린이 프로그램 출연(And Now Let's Talk to Some Kids) 감자칩 소동(The Chips are Down)/감자칩의 복수(Revenge of the Chip) 빙키가 지배하는 세상(Binky Rules)/빙키를 만나다(Meet Binky) 아서의 유행 따라가기(Arthur Rides the Bandwagon)/아빠의 후식(Dad's Dessert Dilemma) 청소년 잡지 소동(Popular Girls)/억울한 버스터(Buster's Growing Grudge) 아서의 보물찾기(Arthur's Treasure Hunt)/왕의 귀환(The Return of the King) 티블스 쌍둥이의 공격(Attack of the Turbo Tibbles)/도라의 이빨 요정 속이기(D.W. Tricks the Tooth Fairy) 티블스 되기(Double Tibble Trouble)/아서의 상상 뮤직 비디오(Arthur's Almost Live Not Real Music Festival) 겁 없는 아이, 수 엘렌(What Scared Sue Ellen?)/할머니의 인형(Clarissa is Cracked) 인형 열풍(Arthur's Dummy Disaster)/프랜신과 고양이(Francine and the Feline) 엄마, 아빠의 부부싸움(Mom and Dad Have a Great Big Fight)/도라의 소원(D.W.'s Perfect Wish) 방 정리(Arthur and D.W. Clean Up)/지루한 겨울(The Long, Dull Winter) = = = 시즌 4 (1999년) = = = 도라의 도서 대출증(D.W.'s Library Card)/아서의 주먹(Arthur's Big Hit) 뱀 소동(Hide and Snake)/머피의 새 친구(Muffy's New Best Friend) 버스터의 천식(Buster's Breathless)/유령의 집(The Fright Stuff) 공모전(The Contest)/증명해봐!(Prove It!) 눈보라(The Blizzard)/선생님이 우리 집에 산대요(The Rat Who Came to Dinner) 도라는 이야기꾼(D.W. Tale Spins)/프루넬라의 생일 선물(Prunella Gets it Twice) 빙키의 나비 채집(Binky Barnes, Wingman!)/이기느냐 지느냐 그것이 문제로다(To Beat or Not To Beat) 아버지의 날(1001 Dads)/프루넬라의 예언(Prunella's Prediction) 저게 뭐지?(What is that Thing?)/버스터가 제일 잘하는 것(Buster's Best Behavior) 나의 음악적 원칙(My Music Rules)/그건 애들이나 보는 거야!(That's a Baby Show!) = = = 시즌 5 (2000년) = = = 아서와 수수께끼(Arthur and the Big Riddle)/무모한 도전(Double Dare) 우리 엄마, 아빠는 이상해(Kids are from Earth, Parents are from Pluto)/도둑질(Nerves of Steal) 수학 퀴즈 대회(It's a No-Brainer)/바닷가 이야기(The Shore Thing) 세계기록(The World Record)/동굴(The Cave) 머릿니 소동(The Lousy Week)/넌 아서야!(You Are Arthur) 선거(The Election)/전쟁에 나선 프랜신(Francine Goes to War) 버스터의 잠 못 드는 밤(Sleep No More)/고양이 돌보기(Pet Peeved) 매리 무 카우 마지막 회(The Last of Mary Moo Cow)/비치의 남자친구(Bitzi's Beau) 과식(Just Desserts)/할아버지의 보물지도(The Big Dig) 아서와 도라의 다툼(Arthur's Family Feud)/머피의 청소년 되기(Muffy Gets Mature) = = = 시즌 6 (2001년) = = = 수 엘렌의 컴퓨터 게임(Sue Ellen Gets Her Goose Cooked)/제1인자(Best of the Nest) 블루스 연주자 아서(Arthur Plays the Blues)/버스터의 달콤한 성공(Buster's Sweet Success) 프루넬라의 특별한 책(Prunella's Special Edition)/개와 아기의 세상(The Secret Life of Dogs and Babies) 더피와 축구(Derpy's Soccer Shocker)/빙키의 클라리넷(Brother Can You Spare a Clarinet?) 버스터와 혜성(The Boy Who Cried Comet)/아서와 이웃(Arthur and Los Vecinos) = 춘천중앙시장 = 춘천중앙시장(春川中央市場) 또는 춘천낭만시장(春川浪漫市場)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앙로2가 42-18에 위치한 상설시장으로 지상3층으로 되어있다. 춘천의 대표적 재래시장으로서 2002년부터 실시한 활성화 사업으로 현대화 모습을 갖추었으며, 한복, 가방, 신발, 의류, 가전, 귀금속, 각종 먹거리 등이 있는 시장이다. TV드라마 "겨울연가"의 인기로 일본 및 동남아 관광객들이 찾아옴에 따라 시장에서 소비자들을 위한 이벤트사업을 유치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뽑은 외국인이 가기 좋은 전통시장으로 선정되었다. = =낭만 FM 방송국 = = 2015년 5월부터 시작한 장내 라디오 방송으로 매일 오후 5시부터 30분간 상인들이 소소한 일상을 담은 사연이 소개되며 전통시장 소통의 창구 역할을 맡고 있다. = =주요 주변 시설 = = 약사명동주민자치센터 제일중앙전통시장 M백화점 춘천명동닭갈비골목 명동 CGV 춘천명동 춘천지하상가 브라운5번가 중앙초등학교 = 이란의 국가 =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는 이란의 국가이다. 사에드 바게리가 작사하였으며 하산 리야히가 작곡하였다. 1990년 이란의 국가로 지정되었다. = =페르시아어 가사 = = 페르시아어 가사 로마자 표기 발음(IPA 표기) Iran - National Anthem of Islamic Republic of Iran. NationalAnthems.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2. Retrieved 28 November 2011. National Anthem of Iran - Soroud-e Melli-e Jomhouri-e Eslami-e Iran - 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today24.su. 2017 = = =한국어 해석 = = = = = 역대 이란의 국가 = = 왕의 행복 (Salamati-ye Shah) (19세기–1933년) 이란의 황제를 찬양하라 (Sorood-e Shahanshahi Iran) (1933년–1979년) 이란이여! (Ey Iran) (1979년–1980년)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1980년–1990년) = 분류:1904년 발견한 천체 = = 하느님의 아들들 = 하나님의 아들들(Sons of God, Heb: bənê hā'ĕlōhîm, בני האלהים)이란 히브리어 성경과 외경에서 사용된 문구이다. 또한 이 문구는 유대인의 천사 계층 구조에서 베네 엘로힘(Bene elohim)으로 역할되었는데 카발라에 나온다. = = 히브리어 성경 = = = = = 창세기 6장 본문 = = = (6:1) 땅 위에 사람이 불어나면서부터 그들의 딸들이 태어났다 (6:2) 하느님의 아들들이 그 사람의 딸들을 보고 마음에 드는 대로 아리따운 여자를 골라 아내로 삼았다. (6:3) 그래서 야훼께서는 "사람은 동물에 지나지 않으니 나의 입김이 사람들에게 언제까지나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사람은 백이십 년밖에 살지 못하리라." 하셨다.다른 번역으로는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생명을 주는 나의 영이 사람 속에 영원히 머물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은 살과 피를 지닌 육체요, 그들의 날은 백이십 년이다."' (새번역) (6:4) 그 때 그리고 그 뒤에도 세상에는 2)네피림이라는 거인족이 있었는데 그들은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 사이에서 태어난 자들로서 옛날부터 이름난 장사들이었다. = = = = 우가릿 텍스트 = = = = 클라우스 베스터만은 우가릿 문서에 근거하여 브네 엘(bn 'il)은 우가릿 바알 써클에서 나타나는 문구라고 한다.C. Westermann, Genesis, BKAT 1/3.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82), 42 .Mark S. Smith The Ugaritic Baal cycle 1994 p249 "all the divine sons" (or "all the sons of God"). ESA sources may support this point." = 피스피사 카눔과 쥐 베이 = 피스피사 카눔과 쥐 베이(Pıspısa xanım və Siçan bəy)는 1974년 소련 시기의 아제르바이잔에서 제작된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1910년에 출판된 압둘라 샤이그의 동화 Tig-tig khanum을 원작으로 했다. = = 줄거리 = = 카눔은 외로운 곤충이었다. 그래서 친구를 찾고 싶어했으며 얼굴을 하얗게 하고 꽃잎으로 치마를 만든 후 어떤 사람을 만났지만 카눔은 그 사람과 친구가 되는 것을 거부하게 되었다. 카눔은 또 다시 친구를 만나러 늑대와 마주쳤지만 늑대가 위협해 친구가 되지 못했다. 그런데 카눔은 위협하지 않는 쥐 베이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베이는 카눔에게 고양이 왕의 궁정에서 벌어지는 결혼식이 있어 고양이 왕의 결혼식에 가고 말았다. 카눔은 잠시 후 고슴도치와 만났다. 강에 떨어져 헤엄쳤고 마차를 타는 고양이들에게 구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베이는 카눔이 강에 빠진 것을 알고서 강으로 달려갔지만 카눔은 거절했다. 베이는 돌아가고 카눔은 처음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다시 외로워졌다. = = 출연 = = 젬피라 이스마일로바 아그하한 살마노프 노래: 플로라 카리모바 = 조토구 (도쿄도) = 조토구는 도쿄부 도쿄시에 설치되었던 구이다. 현재의 고토구에 해당한다. = = 역사 = = 1932년 10월 1일, 미나미카쓰시카군 전역이 도쿄시에 편입되면서 가메이도정, 오지마정, 스나정 구역으로 조토구를 설치. 1943년 7월 1일, 도쿄도제 시행으로 도쿄도 조토구가 됨. 1947년 3월 15일, 후카가와구와 조토구 구역을 합쳐 고토구를 설치함. = 뉴스보이스 = 뉴스보이스(Newsboys)는 호주의 밴드이다. = = 구성원 = = ImageSize = width:800 height:auto barincrement:18 PlotArea = left:100 bottom:60 top:10 right:10 Alignbars = justify DateFormat = mm/dd/yyyy Period = from:01/01/1985 till:08/22/202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format:yyyy Colors = id:vocals value:red legend:Vocals id:guitar value:green legend:Guitar id:bass value:blue legend:Bass_guitar id:drums value:orange legend:Drums id:keys value:purple legend:Keyboards id:album value:black legend:Album id:ep value:gray(0.6) legend:EP Legend = orientation:horizontal position:bottom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5 start:1990 ScaleMinor = unit:year increment:1 start:1986 BarData = bar:PF text:"Peter Furler" bar:JJ text:"John James" bar:MT text:"Michael Tait" bar:GP text:"George Perdikis" bar:PY text:"Phil Yates" bar:JG text:"Jonathan Geange" bar:VB text:"Vernon Bishop" bar:JD text:"Jody Davis" bar:BO text:"Bryan Olesen" bar:PC text:"Paul Colman" bar:ST text:"Sean Taylor" bar:KM text:"Kevin Mills" bar:PJ text:"Phil Joel" bar:CP text:"Corey Pryor" bar:JF text:"Jeff Frankenstein" bar:DP text:"Duncan Phillips" PlotData= width:11 bar:PF from:01/01/1985 till:02/01/1992 color:drums bar:PF from:01/01/1985 till:02/01/1992 color:vocals width: 3 bar:PF from:02/01/1992 till:10/01/1997 color:vocals bar:PF from:02/01/1992 till:10/01/1997 color:drums width: 3 bar:PF from:10/01/1997 till:03/09/2009 color:vocals bar:PF from:10/01/1997 till:03/09/2009 color:guitar width:3 bar:JJ from:01/01/1986 till:10/01/1997 color:vocals bar:MT from:03/09/2009 till:end color:vocals bar:GP from:01/01/1985 till:12/31/1986 color:guitar bar:GP from:01/01/1989 till:12/31/1989 color:guitar bar:PY from:01/01/1987 till:12/31/1988 color:guitar bar:JG from:01/01/1990 till:12/31/1990 color:guitar bar:JG from:01/01/1992 till:01/31/1992 color:guitar bar:VB from:01/01/1991 till:12/31/1991 color:guitar bar:JD from:02/01/1992 till:12/31/2002 color:guitar bar:JD from:01/05/2009 till:end color:guitar bar:BO from:01/01/2003 till:12/31/2005 color:guitar bar:PC from:01/01/2006 till:01/05/2009 color:guitar bar:ST from:01/01/1986 till:12/31/1991 color:bass bar:KM from:01/01/1992 till:12/31/1993 color:bass bar:PJ from:01/01/1994 till:12/31/2006 color:bass bar:PJ from:01/01/1994 till:12/31/2006 color:vocals width:3 bar:CP from:01/01/1988 till:12/31/1988 color:keys bar:CP from:01/01/1990 till:01/01/1993 color:keys bar:DP from:01/01/1993 till:10/01/1994 color:keys bar:DP from:10/01/1994 till:end color:drums bar:JF from:10/01/1994 till:end color:keys LineData = layer:back at:12/01/1988 color:album at:07/31/1990 color:album at:08/09/1991 color:album at:09/29/1992 color:album at:07/26/1994 color:album at:02/20/1996 color:album at:04/09/1998 color:ep at:06/30/1998 color:album at:11/16/1999 color:album at:03/26/2002 color:album at:04/08/2003 color:album at:11/02/2004 color:album at:09/12/2006 color:ep at:10/31/2006 color:album at:09/30/2008 color:album at:05/05/2009 color:album at:01/05/2010 color:ep at:07/13/2010 color:album at:10/01/2010 color:ep at:10/26/2010 color:ep at:11/15/2011 color:album at:10/22/2012 color:album at:09/10/2013 color:album at:11/04/2014 color:album at:03/04/2016 color:album at:05/10/2019 color:album = 분류:1911년 = = 분류:일드프랑스의 역사 = = 에든버러 축제 = 에든버러 축제(Edinburgh Festival)는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매년 8월에 개최되는 여러 문화 예술 축제의 총칭으로,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상처받은 국민들을 치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어, 지금은 대한민국, 일본, 중국, 홍콩, 대만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참여함으로써, 세계적인 축제. 즉, 글로벌 축제로 급부상하였다. 에든버러 성에서는 군악대의 백파이프 연주와 하이랜드 댄스가 펼쳐진다. 밀리터리 타투가 상연되고 시내 곳곳에서 다양한 거리 예술이 퍼포먼스를 펼친다. = = 축제 목록 = = 다음은 에든버러에서 여름에 열리는 많은 축제를 창설 연대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또한, * 표시는 각 축제를 총괄하는 공적 조직이 있는 축제이다.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 (1947)* 에든버러 페스티벌 프린지 (1947)* 에든버러 국제 영화제 (1947) 로열 에든버러 밀리터리 타투 (1950)* 에든버러 재즈 앤 블루스 페스티벌 (1978)* Edinburgh Mela (1995) Edinburgh International Internet Festival (1999) Edinburgh People's Festival (2002) Edinburgh Interactive Festival (2003) Edinburgh Art Festival (2004)* Edinburgh Annuale (2004) Edinburgh Free Fringe (2006) Free Edinburgh Fringe Festival (2004) Festival of Politics (2005) Festival of Spirituality and Peace (2005) iFest (2007) Edinburgh Comedy Festival (2008)* West Port Book Festival (2008) Edinburgh Book Fringe Islam Festival Edinburgh Edinburgh Swing Festival Edinburgh Harvest Festival = 바른손카드 = 바른손카드는 1970년 창업주 박영춘이 설립한 대한민국 종이 카드 및 청첩장 회사로 (주)바른컴퍼니의 이전 상호명이다. 1970년 당시 카드로는 미8군에서 흘러나온 것을 베낀 모방 카드나 물감을 칠해 만든 수제 카드가 대부분이던 시절, 바른손카드는 서구식 카드를 전문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시작했다. 주요 생산 제품은 청첩장, 연하장, 크리스마스 카드, 편지지 등이며 민들레꽃을 형상화한 CI를 사용했다. 1982년 (주)바른손팬시를 별도 법인으로 설립해 문구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4년 (주)바른손카드와 (주)바른손팬시 합병 후 (주)바른손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이후 1998년 문구 사업 부문을 (주)바른손으로, 카드 사업 부문을 (주)바른손카드로 다시 법인 분리해 각기 독자 경영에 나선다. (주)바른손카드는 2005년 (주)유사미, 2013년 (주)비핸즈카드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15년 (주)바른컴퍼니로 다시 상호를 변경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바른컴퍼니 연혁 현재 바른손카드는 회사명의 기능은 상실했지만, (주)바른컴퍼니의 청첩장 브랜드 이름으로 남아 유지되고 있다. = = 참고자료 = = 《가리봉 오거리 (구로공단 반세기 기념 특별전)》(한양도성박물관, 2015) = 분류:1906년 폐지 = = 신작 (전한) = 신작(神爵)은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의 네 번째 연호이다. 기원전 61년 3월에서 기원전 58년까지 3년 10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 = 연대대조표 = = 신작 원년 2년 3년 4년 서력 기원전 61년 기원전 60년 기원전 59년 기원전 58년 육십간지(六十干支)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 = 관련항목 = = 중국의 연호 =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남미 축구 연맹에 속한 10개국이 월드컵에 진출하기 위해 2020년 3월 23일부터 2021년 11월 16일까지 진행되는 대회이다. 보통 최종 예선 이전에 1차, 2차, 3차 또는 4차 예선까지 치르는 다른 대륙과는 다르게 남미는 나라 수가 적고 축구 실력도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다른 대륙과 마찬가지로 홈/어웨이 방식인건 동일하나 풀 리그 형식으로 진행한다. 총 18경기를 치르며 1위부터 4위까지는 본선에 진출하고, 5위는 2019년 7월 타 대륙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 여부가 가려진다. 이번 남미 지역예선은 4.5장이 걸린 월드컵 32개국 체제의 마지막 남미 지역예선이다. = = 진행 방식 = = 남미 축구 연맹 평의회는 2019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이전 6개 대회에서 사용된 같은 지역 예선 구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남미 지역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리그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대진은 추첨으로 결정되며, 2019년 12월 17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 = 일정 = = 지역예선 일정은 FIFA 국제경기달력 안에서 떨어질 날짜에 치러질 예정이다. 1차전 2020년 10월 8일~9일 2차전 2020년 10월 13일 3차전 2020년 11월 12일~13일 4차전 2020년 11월 17일 5차전 2021년 10월 10일 6차전 2021년 9월 5일 7차전 2021년 6월 3일 8차전 2021년 6월 8일 9차전 2021년 9월 2일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2022년 6월 13일에 시행되었다. = = 경기 결과 = = = = = 매치데이 1 = = = = = = 매치데이 2 = = = = = = 매치데이 3 = = = = = = 매치데이 4 = = = = = = 매치데이 7 = = = = = = 매치데이 8 = = = = = = 매치데이 9 = = = = = = 매치데이 6 = = = = = = 매치데이 10 = = = = = = 매치데이 11 = = = = = = 매치데이 5 = = = = = = 매치데이 12 = = = = = = 매치데이 13 = = = = = = 매치데이 14 = = = = = = 매치데이 15 = = = = = = 매치데이 16 = = = = = = 매치데이 17 = = = = = = 매치데이 18 = = = = = = 매치데이 6에서 재경기 = = = = = 아시아-남미 대륙간 플레이오프 = = = = 본선 진출 = = 다음 팀이 2022년 FIFA 월드컵에 남미 대표로 출전하는 팀이다. 국가대표팀 조별 순위 본선 진출 확정일 1위 2021년 11월 11일 2위 2021년 11월 16일 3위 2022년 3월 24일 4위 2022년 3월 24일 = 분류:한국의 명절 = 한국의 명절과 세시를 함께 분류하였다. 명절 = 금빛 모자이크: 프리티 데이즈 = 금빛 모자이크: 프리티 데이즈은 2016년 공개된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 성우진 = = 니시 아스카 - 시노부 역 타네다 리사 - 아야 역 우치야마 유미 - 요우코 역 타나카 마나미 - 앨리스 역 토야마 나오 - 카렌 역 = 티투스 리비우스 =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 기원전 59년 ~ 17년)는 고대 로마 역사가다. 파타비움 (오늘날의 파도바) 출신으로, 비슷한 나이인 아우구스투스와 우정을 나누었으나 정치생활과는 인연을 맺지 않고 142권이라는 방대한 로마사 저술에 몰두하였다. = = 로마사 = = 현존하는 것은 제1권-제10권, 제21권-제45권(제41권과 제43권은 불완전) 등 불과 35권이다. 전자는 로마 도시국가의 전설적 기원에서 시작하여 왕정시대를 거쳐 공화정의 초기를 취급했고, 후자는 포에니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는 로마를 위대하게 만든, 왕년의 로마 사람을 묘사하고 그가 사는 시대의 혼란을 낳게 한 도덕적 퇴폐를 탐구하여 여기에서 독자가 교훈을 얻기를 바랐다. 이러한 윤리적 주제에 대한 진지한 정열과 극적인 묘사와 표현이 풍부하고도 명확한 문체로 해서 이 로마사는 연대기적 역사기술의 정상에 올라서 있다. = 머리 챈들러 = 머리 그레이엄 챈들러(, 1960년 4월 4일 ~ )는 뉴질랜드의 체스 선수이다. 1980년대 초반 영국 시민권을 등록하였다. = = 서훈 = = 2017년 뉴질랜드 공로 훈장 5등급(MNZM) 수훈 = 분류:리바디아 = = 프륌 = 프륌은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22.86km2, 인구는 5,488명(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는 240명/km2이다. = 말버러 공작부인 사라 처칠 = 말버러 공작부인 사라 처칠 (이전 성은 제닝스 , 1660년 6월 5일 – 1744년 10월 18일)은 앤 여왕과의 친분으로 당시 가장 영향력 있던 여성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사라와 앤 공주 사이의 친분과 영향력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고, 당시 유명한 대중인사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라에게 관심을 가졌다. 그 결과 앤이 여왕이 되었을 때에는 사라의 정부에 대한 지식과 여왕과의 친밀감이 그녀를 강력한 친구이자 위험한 적으로 만들었다. 사라는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과 결혼해 40년 동안 이 관계를 유지했다. 사라는 앤 공주의 아버지였던 제임스 2세가 명예혁명 기간 동안 퇴출되었을 때 앤의 대리인으로써 활동했다. 이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영국의 공동 왕으로 즉위했을 때 사라는 자신의 이익을 챙겼다. 1702년 윌리엄 3세의 사망 후, 사라와 앤 여왕의 친분 관계 덕택에 말버러 공작과 제1대 고돌핀 백작 시드니 고돌핀은 정부의 수반이 되었다. 말버러 공작이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으로 인해 해외로 가 있을 당시, 사라는 법조계로부터 말버러 공작이 원하는 요구사항들과 정치적 자문을 받았고, 이를 앤 여왕에게 전달했다.Murray, p. 12, 13 vol 1 사라는 휘그당의 입장을 대변해 여러 활동을 벌였고, 블레넘 궁전과 같은 건축 사업에도 시간을 할애하였다. 의지가 강했던 사라는 정치나 법, 또는 교회 임명권 등에 있어서 앤 여왕과 대립할 때마다 관계가 경색되었다. 1711년 앤과 완전히 결별한 이후, 사라와 말버러 공작은 의회로부터 해임되었고, 사라는 앤의 죽음 이후 하노버가 휘하에서 복수를 했다. 사라는 딸 제2대 말버러 여공작 헨리에타, 블레넘 궁의 건축가 존 밴브루, 총리 로버트 월폴, 국왕 조지 2세, 그리고 왕비 카롤리네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와 대립했다. 말버러 공작으로부터 물려받은 실질재산 덕분에 사라는 당시 가장 부유한 여자 중 한 명이었다. Field, p. 315. 사라는 1744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Field, p. 453. = = 유년기 = = 사라 제닝스는 1660년 6월 5일에 태어났으며 하트퍼드셔주 세인트올번스 홀리웰하우스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사라의 아버지는 국회의원이었던 리처드 제닝스였고, 어머니는 프랜시스 톤허스트였다. 사라의 친할아버지는 존 제닝스였고, 친할머니는 엄청난 대가족의 일원이었던 앨리스 스펜서였다. 사라의 삼촌 마틴 리스터는 유명한 박물학자였다. 리처드 제닝스는 1663년 시어머니 수잔 리스터의 소유였던 켄트에 있던 부동산의 회수를 위한 협상 중에 찰스 2세의 남동생이자 후일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 제임스와 만났다. 제임스의 첫인상은 호의적이었고, 1664년 사라의 언니 프랜시스는 요크 공작부인 앤 하이드의 명예가정부가 되었다.Field, p. 8. 프랜시스가 가톨릭 신도와 결혼했기 때문에 제임스는 프랜시스에게 직책을 포기하라고 강요했지만, 제임스는 프랜시스의 가족을 잊지 않았다. 1673년 사라는 제임스의 두번째 부인인 모데나의 메리의 명예가정부로써 입궁했다. 사라는 1675년경부터 어린 앤 공주와 친해졌고, 둘이 성장할수록 우정은 깊어졌다. 1675년, 사라가 아직 15살이었을 때 사라는 자신보다 10살 더 많은 존 처칠과 만나 사랑에 빠졌다.Churchill, pp. 108–109 vol 1 찰스 2세의 정부 바바라 팔머의 연인이었던 처칠은 그의 사유지들에 빚이 많았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게 거의 없었다. 사라는 제임스 2세의 부유한 정부이자 가족의 재산을 회복하는 것을 고민하는 처칠의 아버지 윈스턴 처칠이 선택한 캐서린 세들리와 경쟁 관계였다. 존은 프랑스로 떠난 클리블랜드 공작부인을 대신하여 사라가 정부가 되기를 바랐을 지도 모르지만, 사라가 존에게 보낸 편지들 중 남아있는 것들은 사라가 그런 역할을 맡지 않기를 원했다는 것을 보여준다.Field, p. 21.Churchill, p. 128 vol 1 = = = 결혼 = = = 1677년 사라의 오빠인 랄프가 죽었고, 사라와 여동생 프랜시스는 하트포드셔와 켄트에 있는 제닝스가의 부동산을 공동으로 맡게 되었다. 이 무렵 존은 캐서린 세들리 대신 사라를 선택했지만 사라와 존의 가족 모두 결혼을 반대했기 때문에 사라와 존은 1677년 겨울 비밀리에 결혼했다. 존과 사라는 둘 다 개신교도였지만, 궁정은 정치적 입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톨릭 신자가 많았다. 정확한 날짜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사라는 요크 공작부인과 자신의 친구들 몇몇에게만 결혼 사실을 알렸고, 이 덕분에 사라는 궁정에서 명예가정부 직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Field, p. 24. 사라가 임신을 했을 때, 그녀의 결혼은 1678년 10월 1일 공표되었고, 사라 자신은 자신의 첫째 아이인 해리엇을 낳기 위해 궁정에서 은퇴했다. 그러나 사라는 아이를 사산했다. 요크 공작이 가톨릭교도 계획으로 인해 스코틀랜드로 스스로 망명했을 때, 존과 사라가 그를 따라갔고, 찰스 2세는 존을 스코틀랜드 아이머스 남작 처칠에 봉함으로써 존의 충성에 보답했다. 사라는 이에 따라 처칠 부인이 되었다. 요크 공작은 종교적 긴장이 완화되자 잉글랜드로 돌아왔으며, 사라는 1683년 앤이 결혼하자 앤의 궁녀가 되었다. = = = 제임스 2세 통치기 = = = 제임스 2세의 재위 기간 초기는 비교적 성공적인 편이었다. 가톨릭 군주였던 제임스 2세가 열렬한 개신교도 국가이자 반가톨릭 국가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리라고 예상하지 않았다.Speck, James II and VII (1633–1701). Retrieved on 8 August 2007. 덧붙여 제임스 2세의 딸과 왕위계승자는 모두 개신교도였다. 하지만 제임스 2세가 국교를 바꾸려고 시도하자, 제임스 2세와 그 정부에 대한 대중의 불만이 퍼져 나갔다. 1688년 8월 10일 왕비 메리가 로마 가톨릭교도 아들이자 왕위 계승자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를 낳았을 때, 대중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었다.Miller, 186–187; Harris, T., 269–272. 이모털 세븐이라 알려진 정치인들은 제임스 2세의 개신교도 딸이었던 메리의 남편 오라녜 공작 빌럼에게 잉글랜드를 침공해 제임스를 권력에서 제거할 것을 주장했는데, 이러한 계획은 빠르게 대중이 알게 되었다. 제임스는 여전히 영향력이 있었고, 처칠 부인과 앤 공주를 앤이 사는 화이트홀 궁전의 콕핏인코트에 가택연금시켰다. 하지만 사라는 회고록에서 탈출이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기록에서 사라는 앤 공주의 안전을 위해 도주를 격려한 것처럼 묵시하고 있지만, 사실상 사라 자신과 남편 존을 보호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Field, pp. 54, 55. 제임스 2세가 오라녜 공을 저투에서 패배시켰다면, 제임스는 존 처칠과 사라를 수감하고 처형했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제임스 2세는 1688년 12월 프랑스 왕국으로 피신했고, 빌럼은 제임스 2세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 = = 윌리엄 3세 및 메리 2세 통치기 = = = = 브라쇼브 = 브라쇼브는 루마니아의 도시로, 브라쇼브 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1951년부터 1961년까지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따 오라슐스탈린(Oraşul Stalin)으로 불렸다. 이 도시는 루마니아의 중앙부에 있다. 카르파티아산맥에 둘러싸여 있고, 수도 부쿠레슈티와는 166km 떨어져 있다.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일부이다. = = 인구 = =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253,200명 정도이며, 이는 2002년 인구조사 때 집계된 수치인 284,596명보다 더 낮아진 수치이다. 브라쇼브의 인구는 1983년의 조사까지는 급증하였으나Statele Lumii, Editura Stiintifica si Enciclopedica Bucuresti, 1985 (루마니아어), 이후로는 계속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011년에 조사된 브라쇼브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루마니아인: 208,019 (91.3%) 헝가리인: 16,172 (7.1%) 독일인: 1,079 (0.5%) 로마인: 916 (0.4%) 기타 민족 집단(유대인, 러시아인, 이탈리아인 등): 1,037 (0.7%) 2005년에는 브라쇼브와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도시권인 브라쇼브 도시권이 형성되었다. = = 관광 명소 = = 근교 - 브란 성 = 앤 소던 = 앤 소던(Ann Sothern, 1909년 1월 22일 ~ 2001년 3월 15일)는 미국의 가수, 연극 배우, 영화배우, 텔레비전 배우, 배우이다. 노스다코타주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8월의 고래 (1987년) - 티샤 더그티 역 리틀 드래곤 (1980년) 크레이지 마마 (1975년) 골든 니들 (1974년) 추바스코 (1968년) 베스트 맨 (1964년) 블루 가디니아 (1953년) 낸시 리오 가다 (1950년) 세 부인 (1949년) 워즈 앤 뮤직 (1948년) 싸우잰드 치어 (1943년) 파나마 해티 (1942년) 레이디 비 굿 (1941년) 데인저-러브 앳 워크 (1937년) 워킹 온 에어 (1936년) 키드 밀리언스 (1934년) 후피! (1930년) 송 오브 더 웨스트 (1930년) 홀드 에브리씽 (1930년) 굿 뉴스 (1930년) 쇼 오브 쇼 (1929년) = 맥앨리스터 필드 하우스 = 맥앨리스터 필드 하우스(McAlister Field House)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이다. = 분류:대한민국의 영농법인 = = 하야테 = 하야테는 일본어로 질풍을 뜻한다. 도호쿠 신칸센의 하야테 (열차) 하타 켄지로의 만화 하야테처럼! 나루토의 등장인물 하야테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의 등장인물 야가미 하야테 = 알이슬라 = 예멘 개혁을 위한 연합 또는 알이슬라(Al-Islah)는 예멘의 정당이다. 정당의 목표는 부족주의에 기반을 둔 느슨한 종교 연합이다. 당의 기원은 무슬림 형제단에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상당한 재정 지원을 받았으며 1990년 예멘의 통일 이후에 창당하였다. 외교 정책으로는 "아랍 자매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걸프 협력 회의 국가들과 협력하는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 대추리평화마을 = 대추리평화마을은 캠프 험프리스 확장으로 고향을 잃은 팽성읍 대추리 주민들이 노와리에 정착한 마을이다. 정부에서 제정한 공식 명칭은 노와이주단지로 행정리 노와2리의 일부이다. 원래 천안국립축산과학원 부지의 일부였고 현재도 천안 축산자원개발부(성환종축장) 이전 부지 일부가 평택시에 속하여 이 마을에 접해있다. = = 행정리 명칭 문제 = = 노와이주단지를 포함한 행정 구역의 명칭을 대추리로 하기로 정부와 주민들이 약속했지만 기존 노와2리 주민의 반대로 약속이 지켜지지 못해 논란이 되고 있다. = 오빠생각 (노래) = 오빠생각은 최순애 작사, 박태준 작곡의 동요 작품이다. 최순애(1914~1998)가 12살 때인 1925년 11월 그의 친오빠 최영주를 그리는 동시 '오빠생각'을 써 잡지 "어린이"에 투고해 입선하였다. 일제 시대의 서양 클래식 음악 오르간 연주가였던 작곡가 박태준이 5년 후 1930년 이 시에 곡을 붙여 만든 것이 일제강점기 시대의 동요 오빠생각이다. 최순애는 훗날 1936년 6월, 결혼하여 시인 겸 아동문학가 이원수 작가의 배우자가 되었다. = = 트리비아 = = 최순애의 남편은 아동문학가 겸 시문학 작가 이원수로, 이원수는 최순애의 입선 다음해인 1926년 같은 잡지 "어린이"에 '고향의 봄'으로 당선되었으며, 이 시에는 서양 클래식 음악 바이올린 연주가였던 작곡가 홍난파가 곡을 붙였다. 《오빠생각》의 노랫말 1절 주요 몇 소절 중에서는 "우리 오빠 말 타고 경성 가시면 / 비단 댕기 사가지고 오신다더니"라는 노랫말이 있었지만 훗날 이 노랫말은 1945년 을유 해방 이후 국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즉 "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면 / 비단 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로 노랫말이 바뀌었다. = 분류:2007년 트라이애슬론 = = 분류:일본의 게이 빌리지 = = 엘리자베스 바우어 = 엘리자베스 바우어(Elizabeth Baur, 1947년 12월 1일 ~ 2017년 9월 30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보스톤 교살자 (1968) = = = 텔레비전 = = = 아이언사이드 (1971-75) = 파라솜니아 = 파라솜니아(Parasomnia)는 미국에서 제작된 윌리암 말론 감독의 2008년 공포, 멜로/로맨스, 스릴러 영화이다. 딜런 퍼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베로니카 하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딜런 퍼셀 패트릭 킬패트릭 = = = 조연 = = = 제프리 콤스 셰릴린 윌슨 티모시 바톰즈 캐스린 레이 스콧 브레넌 베일리 도브 타이펜버치 알리슨 브리 매디슨 대번포트 제프 듀세트 메키타 페이예 제인 해밀턴 로널드 헌터 마티 잉겔스 자넷 트레이시 사라 레인 존 랜디스 다니엘 랑글로스 샌디 마틴 숀 맥휴 필립 뉴비 찰스 슈나이더 켄 쇼크넥 말콤 포스터 스미스 데이빗 우리 숀 영 = = 제작진 = = 라인프로듀서: 베로니카 하트 미술: 캐서린 G. 밸린 세트: 닉키 루트로프 의상: 제니퍼 L. 벡 배역: 자넷 트레이시 = 전지완 = 전지완(田志玩, 200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이다. 현재 J3리그 FC 류큐 소속이다. = 주가수익률 =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간단히 PER)은 주가의 상황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지표 가운데 하나로, 주가순자산비율(PBR)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미국에서는 P/E 또는 PE로 표시하기도 한다. = = 개요 = = 주가수익률은 주가를 1주당 순이익 (EPS)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주가 10,000 원짜리 기업이 주당 1,000 원의 순익을 거뒀다면 PER은 10배가 된다. 주가 5,000 원짜리 기업이 주당 1,000 원의 순익을 거뒀다면 PER은 5배가 된다. 즉 두 기업은 이익은 같은데도 전자의 기업은 주가가 두배로 평가되어 있는 셈이다. = 스테이시 라이언 = 스테이시 라이언(Stacey Ryan)은 캐나다의 가수이자 작곡가이다. 그녀는 2022년 1월 자신의 싱글 'Don't Text Me When You're Drunk'의 일부를 게시하고 사용자들에게 가사를 완성해 달라고 요청한 후 처음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그녀의 후속 싱글 "Fall in Love Alone"은 2022년 빌보드 인도네시아 노래 차트 1위를 차지했다. 그녀는 현재 Island Records 와 계약을 맺고 있다. 그녀는 2023년 4월 7일 데뷔 EP I Don't Know What Love Is를 발매했다. =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구단별 남자 축구 선수 = = 정산고등학교 = 정산고등학교(定山高等學校)는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2년 3월 8일 : 정산종합고등학교(보통과 3학급, 상업과 3학급) 개교 1973년 9월 5일 : 정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3년 8월 19일 : 12학급 인가 1997년 3월 14일 : 성덕재(기숙사) 준공 2001년 3월 1일 : 청양정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1년 9월 20일 : 본동 2층 8개교실 증축 2003년 10월 14일 : 성덕재(기숙사) 증축 2004년 3월 30일 : 탁구부 창단 2011년 11월 1일 : 여학생 기숙사 준공 2012년 3월 1일 : 정산고등학교로 교명 환원 2019년 9월 1일 : 제20대 조진영 교장 취임 2021년 1월 8일 : 제47회 졸업식(졸업생 누계 6,898명) 2021년 3월 2일 : 입학식(52명) 2021년 9월 1일 : 제21대 황의도 교장 취임 = 나광현 = 나광현(羅光鉉, 1982년 6월 21일~)은 대한민국의 전 직축구 선수이자 현재 축구 지도자로 선수로, 활동할 당시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국내 구단에 활동 뒤 이외에 태국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 앵글로아메리카 = 앵글로아메리카, 앵글로 색슨 아메리카(Anglo-Saxon America)라고도 일컬어진다.)By the 16th century the term Anglo-Saxon came to refer to all things of the early English period, including language, culture, and people. While it remains the normal term for the latter two aspects, the language began to be called Old English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ly strong anti-Germanic nationalism in English society of the 1890s and early 1900s. However many authors still also use the term Anglo-Saxon to refer to the language. 는 가장 흔히 영어권 지역을 가리킨다. 영어는 영국의 주요 언어이자 문화이며 대영 제국은 역사적, 인종적, 언어적,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Anglo-America", vol. 1, Micropædia, Encyclopædia Britannica, 15th ed., Chicago: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90. . 앵글로아메리카는 라틴 아메리카와 구별되는데, 라틴 아메리카는 낭만어(스페인어)가 있는 아메리카의 한 지역이다.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와 프랑스어)가 일반적이다. = = 지리적 지역 = = 앵글로아메리카라는 용어는 특히 미국과 캐나다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북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두 개의 영어권 국가이다."North America" The Columbia Encyclopedia , 6th ed. 2001-5.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앵글로폰 카리브해를 구성하는 다른 지역으로는 옛 영국령 서인도 제도, 벨리즈, 버뮤다, 가이아나가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앵글로폰적 다수를 차지하는 두 개의 주목할 만한 영토는 종종 비언어적 이유로 영미권에 포함된다. 캐나다에서, 프랑스어권 지역인 퀘벡, 뉴브런즈윅의 아카디아 그리고 코크레인 구역의 일부는 때때로 문화적, 경제적, 지리적, 역사적, 정치적 이유로 영미권의 일부로 여겨진다. 비슷하게,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푸에르토리코는 미국의 비법인 영토로서의 지위 때문에 영미의 일부로 여겨진다. 반대로, 신트 유스타티우스, 신트 마르텐, 사바 등은 영어를 사용하는 다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영미 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네덜란드 왕국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국가 기관이기 때문이다. 나라별 2010년 인구CIA world factbook 2010 나라 인구 면적(km2) 인구밀도명/km2 앵귈라 (영국) 14,764 86,754 310,426 285,653 314,522 버뮤다 (영국) 68,268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 24,939 34,255,000 케이맨 제도 (영국) 50,209 72,813 107,818 748,486 2,847,232 49,898 160,922 104,217 1,228,691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영국) 23,528 310,232,863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미국) 109,775 = 분류:인천부평초등학교 동문 = =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스페인 관계 = = 이호범 (바둑 기사) = 이호범(李浩範, 1992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경기고 안성시 출신으로 7세에 바둑에 입문했고, 양천대일 도장에서 바둑을 배웠다. 동양공업고등학교에 재학하던 2008년 제115회 입단대회에서 김세동과 함께 공동1위를 통해 입단하였다. 2010년 2단을 거쳐 2011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12년 제14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서 탄샤오를 상대로 1승을 했다. 2013년 4단을 거쳐 2015년 7월에 5단으로 승단하였다. 2016년 제3회 바이링배 본선에 진출했고 6단으로 승단했다. 2021년 7단에 올랐다. = 한국민속촌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민속촌로 90에 위치한 테마파크이다. 한국의 민속적인 삶을 종합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사실적이고도 흥미로운 곳이다. 한국의 전통 문화를 보고 체험해 볼 수 있다. 에버랜드와 가까운 곳에 있으며,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유명한 관광지이다. 울창한 나무들과 맑은 시내가 굽이쳐 흐르는 아늑한 분지에 조선시대 500년의 생활상을 재현하였다. 그리고 최근 다양한 캐릭터 아르바이트생을 선발하여 다양한 재미를 주고있다. 온라인 화제가된 거지 알바, 사약 마시기 체험, 관상 알바 등이 있다. 한국민속촌 30만여평의 부지에 북부지방, 중부지방, 남부지방, 제주지방, 울릉도 지방까지 각 도의 270여 동의 각종 농가(초가집과 기와집)와 그 생활 양식, 당시의 관가 등을 비롯하여 대장간, 도요굴, 글방, 떡전, 한약방, 관상소, 99칸짜리 양반집, 유기공방, 도자기 가마 등의 생산공장, 각종 민속음식과 생활용품을 파는 민속 장터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민속촌〉 등 옛 모습을 구경할 수 있으며, 승마 체험, 천연 염색 체험, 전통 생활 체험 등도 할 수 있다. 또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선정된 농악놀이와 전통혼례 및 마상무예 공연을 볼 수 있다.놀이동산 및 도깨비 집, 시장, 박물관 등도 있다. 겨울에는 눈썰매장과 빙어 체험도 한다. = 분류:작센주의 지리 = = 분류:푸이 = = 분류:부에노스아이레스주의 스포츠 = = 광화문연가 뮤지컬 = <광화문 연가>는 1980년대부터 대중가요계에 큰 획을 그었던 故 이영훈 작곡가(1960~2008)의 삶과 사랑 그리고 예술을 주제로 한 곡들로만 이루어진 뮤지컬이다. 그의 노래는 서정적인 멜로디와 아름다운 가사로 한국을 대표할 만한 발라드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이영훈이 작사, 작곡하고 가수 이문세가 불렀던 스무 곡 넘는 서정적 발라드들의 향연은 '기억 소환, 추억 정산'을 표방하는 뮤지컬다운 매력을 강력히 발산한다. 이영훈이 들려준 음악은 현재의 40, 50대에게 그들의 청춘과 떼어놓을 수 없을 만큼 소중한 추억의 산물이며, 그중 다수의 곡들은 이후 후배 가수들이 리메이크해서 어린 학생들에게도 친숙한 멜로디로 남아 있다. 2막으로 구성된 <광화문연가>의 극 형식은 기형도의 대표작 '빈집'의 의장(意匠)을 차용한 것이다. 극 중 명우가 월하의 안내를 받아 기억의 빈집을 여행하는 내부의 이야기를 감싸는 액자 이야기의 형식이 바로 기형도의 시 '빈집'인 것에서 알 수 있다. <광화문 연가>의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월하의 대사에서 '빈집'의 시행들이 변주되어 낭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 = 공연 = = *2017.12.15. ~ 2018.01.04.: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2018.01.20. ~ 2018.01.21.: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2018.01.27. ~ 2018.01.28.: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 *2018.02.02. ~ 2018.02.04.: 계명아트센터 *2018.02.09. ~ 2018.02.11.: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2018.02.23. ~ 2018.02.25.: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2018.03.02. ~ 2018.03.04.: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2018.03.09. ~ 2018.03.10.: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웅부홀 *2018.03.16. ~ 2018.03.18.: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 = 스태프 = = 대본: 고선웅 작곡: 이영훈 연출: 이지나 안무: 서병구 음악감독: 김성수 편곡: 김성수 무대디자인: 오필영 음향디자인: 조영진 조명디자인: 신 호 의상디자인: 도 연 영상디자인: 박 준 분장: 김유선 소품디자인: 최혜진 = = 수록곡 = =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 #깊은 밤을 날아서 2 #소녀 #나의 사랑이라는 것은 #그게 나였어 #가을이 오면 #해바라기 #내 오랜 그녀 #서로가 #그게 나였어 #붉은 노을 #오늘 하루 #휘파람 #그녀의 웃음소리뿐 #슬픈 사랑의 노래 #광화문 연가 #회전목마 #옛사랑 #이 세상 살아가다 보면 #사랑이 지나가면 #애수 #영원한 사랑 #기억이란 사랑보다 = = 시놉시스 = = 죽음 직전에 스치는 추억,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봤을 죽기 전 1분, 그 짧고도 긴 여행길, 추억 속 진실한 사랑을 찾는 이야기 2017년, 중년의 명우는 지금, 임종을 눈앞에 두고 응급실에서 사경을 찾아 헤매는 마지막 심폐소생 중이다. 그는 기억의 전시관을 찾아가고 그곳에서 인연을 관장하는 미지의 인물, 신(神) 월하를 만난다. 월하의 안내로 중년의 명우는 첫사랑의 기억인 수아를 만나고 젊은 시절로 되돌아간다. 월하가 중년 명우를 처음 데려간 기억 속 장면은 명우가 첫사랑 수아를 처음 만난 1984년 봄 덕수궁 사생대회. 당차고 명랑한 수아에게 반해 사랑을 키워가던 젊은 명우는 먼저 대학에 진학한 수아의 광화문에서의 시위장면을 목격하고, 폭력적인 진압에 저항하던 수아를 백골단이 폭행하고 연행한다. 명우는 경찰의 진압과정에서 수아를 보호하지 못했다는 자책감에 시달리며 차츰 수아와 멀어지게 된다. 이후 명우는 군에 입대하고 수아는 운동권에 투신한다. 두 사람의 인연은 더 깊어지지 못한 채 그리움만 깊어간다. 중년 명우는 월하와 함께 자신의 기억 속 장면을 여행하며 젊은 시절의 아쉬움과 후회, 알 수 없는 기억 속 빈집과 마주하게 되면서 월하의 안내로 환상과 기억, 현실이 교차하는 미묘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상처와 하나씩 마주한다. = = 등장 인물 = = 월하: 유머러스하고 인생을 달관한 듯한 말을 아무렇게나 한다. 사람의 수많은 인연을 주선한 탓에 그 시작과 끝을 담담하게 묶고 끊는다. (정성화, 차지연) 중년 명우: 구김살 없이 자란 미술학도였으나 현재는 작곡가, 첫사랑의 기억을 간직한 채 추억의 노래만을 작곡한다. 현재는 임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안재욱, 이건명, 이경준) 젊은 명우: 중년 명우의 회상 속 인물. 아직은 생각이 정리되지 않고 수줍음이 많은 청년이다. 시위 때 수아를 보호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빠지면서 철이 들기 시작한다. 군대를 가고 실연의 아픔을 겪으면서 내면이 성장한다. (허도영, 김성규, 박강현) 중년 수아: 이제는 어느덧 중년이 되었다. 평범하지만 중년의 명우에게 여전히 보호본능을 느낀다. 그러나 그것이 예전의 그 감정은 아니다.(이연경, 임강희) 젊은 수아: 당차고 명랑하다. 학생시위대를 진압하는 장면을 보고 운동권에 투신한다. 명우와의 사랑보다는 현실인식에 대한 고뇌를 선택하면서 의식이 성장한다.(홍은주, 임민지) 시영: 천방지축이고 씩씩하나, 소유욕이 강하고 다소 충동적이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명우를 배려할 만큼 깊이가 생겨난다.(유미, 이하나) 중년 중곤: 듬직함. 젊은 날에는 학구적이고 냉철한 이성의 소유자. 중년이 되면서 현실적으로 변한다. (박성훈) 젊은 중곤: 듬직함. 젊은 날에는 학구적이고 냉철한 이성의 소유자. 중년이 되면서 현실적으로 변한다. (김범준) = 분류:미야기현의 도시 = = 스리랑카의 미술 = 스리랑카의 미술 또는 실론의 미술은 여러 그림과 조각 건축물을 포함한 다양한 미술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미 아소카왕(王) 시대(기원전 3세기)에 불교가 유포되고, 수도 아누라다프라 근처에 투파라마라는 불탑이 처음으로 세워졌다. 사리(舍利)나 탑파 숭배(塔婆崇拜)를 중심으로 하였으나, 장로부(長老部) 등의 소승부파(小乘部派)가 득세(得勢)하여 조형활동은 별로 활발치 못하였고, 유구유품(遺構遺品)이 그리 많지 못하다. 물론 탑파(塔婆)나 석굴승원(石窟僧院)·탑원(塔院) 등도 만들어져 8∼9세기에 적으나마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조불활동도 진행되고 있었다. 실론의 불탑은 일반적으로 '다가바'라고 불리는 3층의 원형기대(圓形基台) 위에 반구형복발(半球形覆鉢), 또는 평두(平頭)·산석(傘石)이 정상에 만들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어, 인도 스투파의 기본형을 모방한 것이었다. 더구나 소승부파(小乘部派)의 보수성(保守性)을 뒷받침이나 하는 듯이 스투파의 기본형을 언제까지나 보존하며 고형(古形)을 답습하고 있다. 불상의 사당(祠堂)인 금당 건축(金堂建築)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에 다가바의 규모형식(規模形式)이 대단히 크게 만들어져 있는 것도 그 특색의 하나일 것이다. 아누라다프라의 4대탑(四大塔), 그 중에서도 루반에리탑(기원전 2세기 말 건립)은 복발(覆鉢)의 직경이 77m나 되며, 제타바나라마탑(塔) 등과 더불어 작은 산 같은 인상조차 주고 있다. 복발부분(覆鉢部分)은 연와축조(煉瓦築造)로 기단(基壇)에 와하르카다라고 불리는 석대(石臺)가 있으며, 거기에 건축 장식으로 상두(象頭)·마카라어(魚) 등의 조각이 있다. 실론 벽화로 유명한 것은 시기리야 석굴벽화(石窟壁畵)이다. 5세기 말에 그려진 풀가사리 모르타르 벽화(壁畵)로 운중부인공양도(雲中婦人供養圖)라는 주제아래 하반신(下半身)이 운무 속에 묻혀 있고, 상반신 나형(上半身裸形)의 육감적인 여성이 연화(蓮華)를 산화(散華)하는 순간을 묘사하고 있다. 유동감(流動感)이 넘쳐 흐르는 듯한 거침없는 살결의 윤곽과 미태(媚態)를 머금은 매혹적인 큰 눈매는 황색 바탕에 적갈색 피부색의 채색 효과(彩色效果) 등과 더불어 우수한 작품으로서 주목을 받으며, 인도식(式) 고화(古畵)의 일례(一例)라고 알려져 있다. 불상유례(佛像遺例)도 시기리야에서 석불두(石佛頭)가 출토되고 그것은 실론섬(島)에 가까운 인도의 키스트나강(江)의 안드라조(朝) 후기 벤기파(派)의 유품과 유사하다. 그리고 아누라다프라 출토의 청동제불입상(靑銅製佛立像, 6세기)을 위시하여 각지에서 비슷한 석조(石造)·동조(銅造)의 유품도 출토되어, 남(南)인도 벤기파(派)의 영향하에 조립되었음이 밝혀졌다. 재미있는 것은 8세기∼9세기 아누라다프라에 삼고저나 방울(鈴) 등의 밀교법구(密敎法具)가 출토되어 이 고장에 밀교(密敎)가 행해졌던 것과, 그리고 힌두교 사당(祠堂)도 만들어져 인도의 힌두교 건축의 모방이 행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南)인도의 힌두교 청동소상(靑銅小像)도 이 고장에 박재(舶載)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실론섬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12세기에 제2의 수도가 되었던 곳인 포론나르와에도 불교유적이 많고 불상이나 불전도(佛傳圖)·열반상(涅槃像) 등이 만들어졌으나 조형상으로는 쇠퇴해 있었다. = 코니 존슨 = 코니 존슨(, 1922년 12월 27일 ~ 2004년 12월 28일)은 전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이다. = 후쿠오카 공항 = 후쿠오카 공항(, IATA: FUK, ICAO: RJFF)은 일본 후쿠오카시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규슈(九州) 제1의 도시인 후쿠오카시의 동부 시내에 위치하고 있고, 2015년 이용 여객 수 기준으로 하네다, 나리타, 간사이에 이어 일본 4위의 공항이다. 이 공항은 도심의 동쪽에 인접한 하카타구에 있어서 도심에서 지하철로 10분도 걸리지 않아 접근성이 매우 용이한 반면, 동부 시내의 한가운데에 있어서 소음 문제 때문에 오후 10시부터 오전 7시까지 커퓨타임(야간운항통제 시간)을 적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미국 공군 기지인 이타즈케 기지였던 일본의 제2종 공항이다. = = 역사 = = 1945년 5월 - 활주로 완성 1951년 10월 - 민간항공의 항공 노선 개설(후쿠오카 - 오사카 - 도쿄) 1960년 6월 - 일본항공, 도쿄 국제공항 - 후쿠오카 공항 간에 여객기 취항 1965년 9월 - 국제선(후쿠오카 - 부산)이 개설. 1970년 12월 - 운수성 이관 결정 1972년 4월 - 미군에게서 대부분 반환되어 제2종 공항으로서 공용 개시. 1993년 3월 -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 연장. 1996년 6월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865편이 이륙직후 폭발, 3명 사망 1999년 5월 - 신국제선 여객빌딩 완성. 2004년 1월 - 활주로 34의 ILS 운용 개시. 2008년 6월 - 공항 법개정에 의해, 4조 1항5호에 해당하는 공항으로서 정령으로 정하는 공항으로 구분. 2019년 4월 1일 - 공항 운영권을 후쿠오카국제공항주식회사로 이관하며 민영화福岡空港民営化へ地場連合が特別目的会社設立 = = 구성 = = = = = 여객 터미널 빌딩 = = = 여객 터미널 빌딩은 후쿠오카 국제 공항 주식 회사(2019년 1월 31일까지 주식 회사 후쿠오카 공항 빌딩)이 운영하고 있어 2016년 10월 4일까지는 국내선 제1, 제2, 제3및 국제선 4동으로 운용되고 있었다. 복수의 터미널 빌딩을 갖는 공항에서 항공사마다 입주하는 빌딩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지만 후쿠오카 공항 제1터미널은 전면 지점에 계류할 수 있는 기제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 중소형기 전용 터미널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소형기를 사용하는 지방 노선은 제1터미널에서 하네다·이타미·중부 등 대형기를 사용하는 주요 간선은 제2터미널, 기본적으로 행선지별로 이용하는 터미널 빌딩이 달랐다. 3개 국내선 터미널 빌딩은 옆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건설되고 있다. 제2, 제3터미널은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건물로 이용 가능하지만 제1터미널은 접속되지 않아 이동하려면 일단 터미널 밖으로 나올 필요가 있었다. 다만, 승선 브릿지 부분만을 제1, 제2터미널 사이로 연결되며, 제2터미널을 발착하는 것의 일부는 제1터미널에 위치한 10번 지점을 사용한다. 그래서 스타플라이어의 일부 편 등은 도착만 제1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다. 국내선 탑승 수속은 제1과 제2터미널 빌딩에서 열리며 도착 고객의 출구는 제1 제2, 제3터미널 빌딩에 있다. 단 국내선 제1터미널 건물로부터 떠나는 일본 항공 그룹과 전 일본 항공 마일리지 선임 회원은 제2터미널 빌딩 제한 구역 내 라운지에 들어가고 출발 시각에 늦지 않도록 10번 탑승구 부근에 가서 항공 회사 직원의 유도에서 제1터미널 빌딩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국내 여객 터미널은 활주로 동쪽, 국제선 터미널은 활주로 서쪽에 위치하고 두 지방 구간에는 약 10분 간격으로 셔틀 버스가 운행된다. 셔틀버스 비용은 취항 항공사가 승객수에 따라 분담한다. 덧붙여 지하철역은 국내선 터미널 남쪽 지하에 있다. 국내선 제1터미널 폐쇄로 2016년 10월 5일부터는 잠정적으로 기존의 제2·3터미널을 하나의 건물로 보는 형태로 국내선 터미널로 리뉴얼하여 임시로 운영된다. 2020년까지 실시할 예정에 있는 재개발이 마무리된 뒤에는 제1터미널 부지 등에 증축될 새로운 터미널을 포함한 1개의 국내선 터미널로 본격적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 = 운항 노선 = = = = = 국제선 = = = = = = 국내선 = = = = = 교통 = = = = = 지하철 = = = 후쿠오카 공항역 - 후쿠오카 지하철 공항선 = = = 버스 = = = = = = = 셔틀 = = = = 공항내 국내선(제1터미널, 제2터미널, 제3터미널), 화물터미널, 국제선터미널을 연결하는 셔틀버스가 니시테쓰 버스에 의해 운행되고 있다. 승차 운임은 무료이지만, 공항시설 근무자, 공항 견학자, 공항 이용자 이외의 이용은 불가능하다. = = = = 일반 버스 = = = = 후쿠오카 공항 내의 버스 정류장에서 아래의 지역을 운행하고 있다. 국내선 터미널 출발 시모노세키시 구루메시 구마모토시 사가시 가라쓰시 유후인 / 벳푸 후쿠오카 시내행(하카타 / 덴진방향) 국제선 터미널 출발 벳푸시 사가시 사세보시 나가사키시 구마모토시 후쿠오카 시내행(하카타 / 덴진방향) = = 사건 및 사고 =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865편 = 분류:기원전 3세기 중국 = = 가상 스크리닝 = 가상 스크리닝(, VS)은 약물 표적, 일반적으로 단백질 수용체 또는 효소에 결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구조를 식별하기 위해 저분자 라이브러리를 검색하는 약물 발견에 사용되는 컴퓨터 기술이다. 가상 스크리닝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우 큰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가상 스크리닝은 1060개 이상의 상상할 수 있는 화합물의 막대한 화학 공간을 합성, 구매, 테스트할 수 있는 관리 가능한 숫자로 필터링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숫자 게임이었다. = = 더 읽을거리 = = * * * * * * * = 분류:한국에서 활동한 남자 축구 선수 = = 스폰딜로모룸과 = 스폰딜로모룸과(Spondylomoraceae)는 녹조강 클라미도모나스목에 속하는 녹조류과의 하나이다. 5속 1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 = 하위 속 = = Chlorcorona - 유일종 C. bohemica Pascherina - 유일종 P. tetras 피로보트리스속 (Pyrobotrys) - 10종 스폰딜로모룸속 (Spondylomorum) - 2종한때 좁쌀공말과로 분류(Kudo (1954))하기도 했다. Uva - 유일종 U. stellata = 분류:곡성군의 교통 = = 산마르코 국립박물관 = 산마르코 국립박물관은 이탈리아 피렌체 산마르코 광장에 있는 박물관이다. 원래 이 건물은 산마르코 대성당의 수녀원 건물이다. = 분류:카타르의 도시별 출신 = = 기타하마역 (오사카부) = 기타하마역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에 있는 게이한 전기철도와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게이한이 KH02, 오사카 시영 지하철이 K14이다. = = 역사 = = 1963년 4월 16일: 게이한 철도 영업 개시. 1969년 12월 6일: 사카이스지선 영업 개시, 환승역이 됨. 1985년 4월: 게이한 전철 승강장 8량으로 확대. 1993년 6월 1일: 기타하마역 개량 공사 준공. = = 역 구조 = = = = = 게이한 전기 철도 =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다. = = = = 승강장 = = = = 번호 노선 방향 행선 1 게이한 본선 상행 히라카타시・주쇼지마・산조・데마치야나기 방면 2 게이한 본선 하행 요도야바시 행 = = = 오사카 시영 지하철 = =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다. 개찰구와 대합실은 지하 2층,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개찰구는 게이한 기타하마 역 근처의 북쪽 개찰구와 옛 미쓰코시 오사카점 근처의 남쪽으로 개찰구는 2곳이 있다. = = = = 승강장 = = = = 승강장 노선 행선 1 사카이스지 선 사카이스지혼마치・닛폰바시・덴가차야 방면 2 사카이스지 선 덴진바시스지 6초메・기타센리・다카쓰키시・가와라마치 방면 = = 역 주변 = = 난바바시 나카노시마 공원 오사카 시립 동양 도자 미술관 게이한 나카노시마 선 나니와바시 역 기타하마 우체국 오사카 후지미초 우체국 오사카 시 신용금고 오사카 회의 개최지 오사카 증권거래소 The Kitahama 자유민주당 오사카 부 지부 연합회 = 리무영 = 리무영(李武榮, 1948년 4월 8일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내각 부총리 겸 화학공업상이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다.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이다. = = 경력 = = 1946년에 태어났다. 남흥청년화학연합기업소 기사장을 거쳐, 2002년 남흥청년화학연합기업소 지배인에 임명되었다. 2003년 8월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9월 내각 화학공업상에 임명되었으며, 2009년 4월 유임되었다. 2011년 5월부터 내각 부총리를 맡고 있다.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 =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과 2003년 9월 제11기 대의원을 연이어 지냈다. 2009년 4월이후 제12기 대의원을 맡고 있다. = = 기타 = = 2010년 조명록 사망, 그리고 2011년 김정일 사망 당시에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 랄랄 (인터넷 방송인) = 랄랄(, 1992년 12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유튜버이자 방송인이다. 첫 방송은 2019년 11월 21일 아프리카TV에서 시작했다.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유튜브 활동과 트위치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었으나, 방송 시작하는 방법을 몰라 비교적 쉬운 아프리카TV로 방송을 시작했다"라고 했다. 그러나 2021년 12월 28일을 기점으로 더이상 아프리카TV 방송은 하지 않는다. 현재 MBC every1, 디즈니+에 출연하고 있다. 아프리카TV BJ들과 몽키즈(파퀴, 소먀, 쎄히), 나가리(채림, 쎄히) 두가지 크루를 만들었으며, 크루 활동은 간간히 하고 있다. = = 방송 = = 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2020년 Mnet 부캐선발대회 2020년 JTBC 장르만 코미디 2021년 E채널 어머어머 웬일이니 2021년 MBC 볼빨간 신선놀음 1회, 2회 게스트 2021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713회 게스트 2021년 MBC 전지적 참견 시점 148회 게스트 2021년 MBC 에브리원 대한외국인 137회, 148회 게스트 2022년 MBC 에브리원 쇼킹받는 차트 진행 2022년 SBS 미운 우리 새끼 257회 게스트 2022년 MBC 호적메이트 24회 게스트 2022년 MBC 심야괴담회 69회 게스트 2023년 SBS 신발 벗고 돌싱포맨 95회 2023년 tvN 댄스가수 유랑단 6회 2023년 tvN 코미디빅리그 510회 2023년 tvN 놀라운 토요일 277회 2023년 JTBC 아는형님 399회 2023년 MBC 에브리원 & 라이프타임 나는 지금 화가 나있어 1회, 8회 (최종회) 게스트 2023년 JTBC 부름부름 대행사 4회 게스트 = 아티야 = = = 인명 = = 마이클 아티야: 영국의 수학자 나세르 알 아티야 아티야 셰티: 인도의 배우 = = 수학 = = 아티야 준군: 매끄러운 주다발에 대하여 표준적으로 대응되는 리 준군 = 봉주르 (음식점) = 봉주르(Bonjour)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1976년에 개업하였으며, 2016년 불법영업에 대한 강제조치로 폐업되었다. 그러다가 2018년 4월에 재개업을 하였다. = = 개요 = = 1976년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24제곱미터 크기의 음식점으로 양주군의 허가를 받아 세워졌다. 봉주르의 창업주는 본래 팔당댐 건설 인부들을 위한 음식점으로 허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봉주르가 세워진 곳은 1975년에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인 팔당호변 지역으로 해당 지역은 법률 상으로는 음식점의 설립이 허가되지 않는 지역이다. 하지만 어떤 근거로 양주군청으로부터 허가가 되었는지 설명하는 기록은 1980년 양주군과 남양주군(1995년 미금시와 남양주군과 통합하여 남양주시로 승격)으로 분리되면서 허가 당시의 기록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봉주르는 1982년 서울 대학로에서 생긴 봉주르라는 카페가 1992년에 현재의 봉주르로 불리는 곳(1976년에 세워진 곳)으로 이전하면서 봉주르로 불린것으로 추정된다.옛 기찻길 하얀 추억을 밟는다··· 아련한 기적소리, 귓가엔 뽀드득 소리, 동아일보 2011년 1월 14일자 봉주르 주변의 경치가 좋다는 소문으로 손님이 늘어나자 봉주르는 1993년에 처음으로 남양주시(당시의 남양주군)에 적발되었으나 1995년에 인근 개발제한구역까지 무단으로 점유해 시설과 주차장 등을 확장해 규모를 5300제곱미터로 확장했으며, 배출시설을 무단으로 설치해 많은 양의 오·폐수를 상수원으로 흘려보내기도 했다. 이 문제로 2003년부터 이행강제금, 과태료, 벌금 등을 내면서도 이행강제금, 과태료, 벌금 등보다 영업수익이 많아 2016년 폐업할때까지 운영되었다. 2003년부터 폐업한 해인 2016년까지 봉주르 업주가 낸 이행강제금은 3억 3300만원이었다.북한강변 명소 카페 '봉주르' 강제 철거 , TBS 2016년 8월 10일자 2012년 이후에는 구 중앙선에 한강 자전거길까지 생겨 매출이 늘고, 직원 수도 100명이 넘기도 하였다. 봉주르의 연 매출은 신용카드 매출 기준으로 100억여원이었다고 한다.남양주 봉주르, 연매출 100억 넘는 카페 강제폐쇄 '불법확장에 폐수 혐의' , 티브이데일리 2016년 8월 8일자 2015년 8월, 남양주시가 봉주르의 업주를 검찰에 고발했으며 같은해 9월 1심 재판에서 징역 10개월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다가 2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의정부지방검찰청은 봉주르의 시설을 무단으로 증축 및 신축해 용도변경을 하고도 남양주시청의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았으며 2016년 4월 영업정치 처분을 받고도 같은해 6월까지 영업을 한 것을 들어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과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봉주르의 업주가 2016년 8월에 구속되었다. 봉주르 업주가 구속되기 전인 2016년 7월 6일에는 남양주시에서 봉주르에 대한 영업허가를 취소해 봉주르가 폐업되었으며, 같은해 8월 9일에는 봉주르의 일부 시설물이 남양주시에 의해 강제철거되었다. 남양주시청 관계자는 "봉주르가 북한강에서 추억을 안겨주면서 지역 명물로 자리매김했지만 대부분 불법시설인 데다 각종 규제에 막혀 양성화할 방법도 없어 아쉬워도 폐쇄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후 의정부지방검찰청이 봉주르의 하수관 불법 확장 특혜 의혹 관련 수사로 2016년 10월 18일에 남양주시청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이기도 했다.의정부지검, 봉주르 하수관거정비사업 특혜 시공 의혹 남양주시청 압수수색(종합), 경기일보 2016년 10월 18일자 = 데드 맨 워킹 (영화) = 데드 맨 워킹은 1995년 개봉한 미국의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팀 로빈스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헬렌 프레진의 동명 논픽션이 영화의 원작이다. 주연을 맡은 수전 서랜던은 헬렌 프레진 수녀 역을 연기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 출연 = = = = = 주연 = = = 수잔 서랜든 숀 펜 = = = 조연 = = = 로버트 프로스키 레이몬드 J. 배리 R. 리 이메이 셀리아 웨스턴 로이스 스미스 스콧 윌슨 로버타 맥스웰 = = 기타 = = 협력프로듀서: 알랜 F. 니콜스 협력프로듀서: 마크 셀디스 미술: 리차드 후버 의상: 르네 에를리히 칼푸스 배역: 더글러스 아이벨 = 1988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다음은 1988년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드라마 프로그램을 나열한 목록이다. = = 1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용꿈이었네 1988.01.01 KBS2 돈 1988.01.011988.01.02 MBC 산행 1988.01.03 MBC 강촌 1988.01.08 KBS2 원무 1988.01.09 KBS1 세 여인 1988.01.091988.07.24 MBC 사촌들 1988.01.10 MBC 선생님 우리 선생님 1988.01.111988.02.02 MBC 인현왕후 1988.01.131988.10.13 MBC 물새둥지 1988.01.15 KBS2 줄 1988.01.16 KBS1 제3의 사나이 1988.01.17 MBC 아버지와 달 1988.01.22 KBS2 기다리는 빛 1988.01.23 KBS1 부자수업 1988.01.24 MBC 내일은 무지개 1988.01.29 KBS2 바드레 1988.01.30 KBS1 연애개인교수 1988.01.31 MBC 애나벨라 1988.02.05 KBS2 찻집 여자 1988.02.06 KBS1 달빛 밟기 1988.02.07 MBC 원미동 사람들 1988.02.081988.02.29 MBC 지금은 밀월중 1988.02.12 KBS2 매 1988.02.13 KBS1 극락산 1988.02.14 MBC 건너지 못하는 강 1988.02.19 KBS2 우리들 뜨거운 노래 1988.02.20 KBS1 겨울아리랑 1988.02.21 MBC 금지된 웨딩마치 1988.02.26 KBS2 강설 1988.02.27 KBS1 세번째 만남 1988.02.28 MBC 해후 1988.03.01 MBC 황금의 탑 1988.03.021988.07.28 KBS2 기로에서 1988.03.04 KBS2 사로잡힌 영혼 1988.03.051988.03.06 KBS1 순심이 1988.03.051988.09.11 KBS2 연인들 1988.03.06 MBC 그것은 우리도 모른다 1988.03.071988.04.12 MBC 침묵의 도시 1988.03.09 MBC 또 다른 봄 1988.03.11 KBS2 뻐꾸기 둥지 1988.03.13 MBC 겨울의 그림자 1988.03.18 KBS2 매우 잘 생긴 우산 한 개 1988.03.19 KBS1 어머니의 깃발 1988.03.20 MBC 내 탓이로소이다 1988.03.26 KBS1 벌레 이야기 1988.03.27 MBC = = 2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열두 발자국 1988.04.02 KBS1 거울 속의 행복 1988.04.08 KBS2 아름다운 비밀 1988.04.09 KBS1 이별여행 1988.04.15 KBS2 시인과 촌장 1988.04.16 KBS1 거리의 악사 1988.04.181988.05.10 MBC 일단 정지 1988.04.22 KBS2 슈퍼스타를 위하여 1988.04.23 KBS1 어떤 사나이 1988.04.24 MBC 인연의 길 1988.04.29 KBS2 연극연습 1988.05.01 MBC 사랑의 기쁨 1988.05.021989.03.03 KBS1 파문 1988.05.06 KBS2 애너벨 리를 위하여 1988.05.08 MBC 미로의 끝 1988.05.13 KBS2 목마와 달빛 1988.05.15 MBC 인간시장 1988.05.161988.06.07 MBC 벼랑 위의 남자 1988.05.20 KBS2 미망인 1988.05.22 MBC 여고 동창생 1988.05.27 KBS2 한 소년 1988.05.29 MBC 바람과 새 1988.06.03 KBS2 홍도화 1988.06.05 MBC 황혼 1988.06.10 KBS2 커피와 할머니 1988.06.12 MBC 내일이 오면 1988.06.131988.07.05 MBC 한낮의 만가 1988.06.17 KBS2 일요일의 손님들 1988.06.19 MBC 여사원 일지 1988.06.24 KBS2 그 겨울의 긴 계곡 1988.06.25 MBC = = 3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타인들 1988.07.01 KBS2 비늘 1988.07.03 MBC 하늘아 하늘아 1988.07.041989.03.28 KBS2 사슴의 노래 1988.07.08 KBS2 전야 1988.07.10 MBC 마지막 우상 1988.07.111989.08.02 MBC 돌아선 여자 1988.07.15 KBS2 동그라미 1988.07.17 MBC 사랑의 변주곡 1988.07.22 KBS2 무적 1988.07.24 MBC 잃어버린 여름 1988.07.29 KBS2 내일 잊으리 1988.07.301989.02.26 MBC 해운대 극비 1988.07.31 MBC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8.08.031988.09.22 KBS2 새 언니 1988.08.05 KBS2 아내의 두 얼굴 1988.08.12 KBS2 서울 특파원 1988.08.14 MBC 동방의 북소리 1988.08.15 MBC 위험한 여름 1988.08.19 KBS2 춤 1988.07.21 MBC 대검자 1988.08.221988.09.06 MBC 망각의 계절 1988.08.26 KBS2 꽃자리 1988.08.28 MBC 연가 1988.09.02 KBS2 무지개의 끝 1988.09.04 MBC 그 여름의 왈츠 1988.09.09 KBS2 어머니의 성 1988.09.11 MBC 모래성 1988.09.121988.10.18 MBC 양심선언 1988.09.16 KBS2 은혜의 땅 1988.09.171989.04.16 KBS2 바람 저편 1988.09.18 MBC 한국 고전 시리즈 1988.09.231988.09.25 KBS1 마음의 벼랑 1988.09.30 KBS2 = = 4분기 = = 작품명 극본 연출 방송 기간(시작/종영) 방송횟수 방송사(채널) 유형 방송여부 비고 한낮에 부는 바람 1988.10.07 KBS2 아이 러브 유 1988.10.09 MBC 풍객 1988.10.121988.12.01 KBS2 엄마의 고향 1988.10.14 KBS2 행복연습 1988.10.16 MBC 영원한 촛불 1988.10.21 MBC 아빠 소도 얼룩소 1988.10.21 KBS2 끈 1988.10.23 MBC 우리 읍내 1988.10.241988.11.15 MBC 사랑의 저편 1988.10.28 KBS2 여 1988.10.30 MBC 풍차 1988.11.04 KBS2 샴푸의 요정 1988.11.06 MBC 꿈꾸는 자유 1988.11.11 KBS2 제3의 국경 1988.11.13 MBC 사십 팔십 1988.11.18 KBS2 호수의 눈 1988.11.20 MBC 우울한 연가 1988.11.25 KBS2 가을이 있는 풍경 1988.11.27 MBC 도시의 흉년 1988.11.281988.12.20 MBC 만남 1988.11.301988.12.02 MBC 높이 나는 새 1988.12.02 KBS2 학의 노래 1988.12.04 MBC 훠어이 훠어이 1988.12.071989.02.02 KBS2 새벽에 뛴다 1988.12.09 KBS2 개는 왜 짖는가 1988.12.11 MBC 조약돌 1988.12.16 KBS2 돈 그리기 1988.12.18 MBC 3세대를 위하여 1988.12.23 KBS2 촛불동네 1988.12.25 MBC 겨울 소나타 1988.12.30 KBS2 = 분류:크레모나 출신 = = 개러지 록 = 개러지 록은 '개러지(차고)'같이 음악을 할 만한 좋은 환경과 능력을 갖추지 않아도 충분히 멋진 음악을 할 수 있다는 DIY 정신을 담은 록 장르이다. 개러지 록'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 영국에서 펑크와 구별을 주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인 밴드: MC5 」 차고를 가진 사람들이 하는 음악이니 주류에 대항하는 노동자 계급을 뜻하는 펑크와는 늬앙스가 다른 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개러지 록의 음악적 특징은 '독특함'과 '아마추어'로 요약될 수 있으며, '개러지 록(Garage Rock)'이란 단어가 익숙해진 것은 스트록스(The Strokes), 화이트 스트라입스(The White Stripes) 등의 21세기 '개러지 록 리바이벌' 영향이 컸다. = = 특징 = = '개러지 록'이라는 용어는 많은 연주자들이 어리고 서툴고, 가끔은 차고에서 리허설을 했다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 만들어졌다. 몇몇 밴드들은 교외의 중학생들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밴드들이 이십대의 전문적인 음악가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몇몇은 시골이나 도시 지역 출신이다. 개러지 록 밴드의 연주는 보통 서투르고, 어수룩하다. 개러지 록의 가사는 당시의 흔한 가사들보다 잘 알아들을 수 없는 스크리밍, 샤우팅, 그로울링 창법을 사용하는 등 특히 공격적인 성향을 보인다. 개러지 록의 악기는 보통 퍼즈박스(fuzzbox)를 통해 왜곡된 기타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러지 록은 음악적 능력과 표현 방식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 서조호 침몰 사고 = 서조호 침몰 사고는 1968년 5월 24일 오전 11시 30분경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제련소 앞 1.6km 해상에서 무허가 여객선 소조호가 정원 인원 20명을 3배나 초과한 60여명을 태우고 개야도를 출발하여 군산항으로 향하던 중 항로를 이탈해 갯벌 암초에 부딪혀 침몰한 사고이다. = 분류:멕시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축구 국가대표팀 틀 = = 아카네 = 아카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하가 아카네: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모닝구무스메의 최연소 타카야나기 아카네: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 SKE48 팀KII의 멤버 타키야마 아카네: 일본 여성 아이돌 그룹 전 NMB48 연구생의 멤버 히노 아카네: 토에이 애니메이션 제작의 애니메이션《스마일 프리큐어!》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이자, 본 작의 주역 중 한 명 토모나가 아카네: 일본의 여성 성우 쿠마다 아카네: 일본의 여성 성우 마츠나가 아카네: 일본의 여성 성우 아카네 호타루 오오사와 아카네: 일본의 여성 탤런트 오마에 아카네: 일본의 성우 아카네 가즈키: 일본의 애니메이션 연출가이자 감독 사토미 아카네: 일본의 모델 아카네 타카다: 일본의 발레리나. 영국 로열발레단 수석무용수이다. = 분류:말레이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 틀:순환/설명문서 = 이 틀은 단순 루프를 생성하는 데 사용합니다. 모듈:String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수행할 수 있는 반복 횟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 = 예제 = = 복제되는 문자열에 "=""가 포함될 경우, 두번째 매개변수 앞에 "2="를 넣거나 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주변에 입력된 공백은 모두 제외됩니다. 공백을 보존하려면 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 =틀 데이터 = = { "description": "이 틀은 반복되는 문자열의 단순 루프를 생성하는 데 사용합니다.", "params": { "1": { "label": "숫자", "description": "반복할 횟수", "type": "number", "required": true }, "2": { "label": "문자열", "description": "반복할 문자열. 문자열에 등호 기호가 포함될 경우 =를 사용합니다.", "type": "string", "required": true } } } = 분류:가가와현의 축구 선수 = = 한국여자프로농구 2018-19 = 우리은행 2018-19 한국여자프로농구는 한국여자프로농구의 28번째 시즌이다. 정규리그가 2018년 11월 3일 개막하였으며, 2019년 3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 결정전은 2019년 3월 14일부터 3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올스타전은 2019년 1월 6일 서울특별시 장충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 = 변경된 점 = = 외국인 선수 보유와 출전 규정이 변경되었다. 보유 규정이 기존 2명 보유에서 1명 보유로 변경되었고, 재계약 제도가 폐지되었다. 출전 규정은 기존 1, 2, 4세트 1명, 3세트 2명 출전에서 1, 3, 4세트에만 외국인 선수가 출전하도록 변경되었다. 2017-18 시즌을 끝으로 KDB생명이 재정악화로 구리 KDB생명 위너스의 운영을 포기하였다. 이후 WKBL이 위탁 운영하며, 시즌 시작 직전 OK저축은행의 네이밍 스폰서를 받아 수원 OK저축은행 읏샷으로 팀명을 변경하여 참가했다. = = = 참가 팀 = = = 팀명 연고지 홈경기장 좌석수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용인실내체육관 1,914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인천 도원실내체육관 3,300 OK저축은행 읏샷 수원 서수원칠보체육관 4,400 아산 우리은행 위비 아산 이순신빙상장실내체육관 3,300 청주 KB 스타즈 청주 청주체육관 4,180 부천 KEB하나은행 부천 부천실내체육관 6,400 = = 선수 변화 = = = = = 은퇴 = = = 선수 마지막 소속팀 김연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박소영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박언주 부천 KEB하나은행 신재영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우수진 구리 KDB생명 위너스 이은혜 아산 우리은행 위비 최세영 부천 KEB하나은행 허윤자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 = 자유계약 = = = 대상 선수 18명 가운데 14명(1차 10명, 2차 3명, 3차 1명)이 계약하였고, 4명은 은퇴하였다. 선수 계약일 새 소속팀 이전 소속팀 참고 조은주 4월 13일 구리 KDB생명 위너스 구리 KDB생명 위너스 한채진 4월 13일 구리 KDB생명 위너스 구리 KDB생명 위너스 강이슬 4월 13일 부천 KEB하나은행 부천 KEB하나은행 김단비 4월 13일 부천 KEB하나은행 부천 KEB하나은행 백지은 4월 13일 부천 KEB하나은행 부천 KEB하나은행 박혜진 4월 13일 아산 우리은행 위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임영희 4월 13일 아산 우리은행 위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최희진 4월 13일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유승희 4월 13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김보미 4월 13일 청주 KB 스타즈 청주 KB 스타즈 고아라 4월 23일 부천 KEB하나은행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염윤아 4월 23일 청주 KB 스타즈 부천 KEB하나은행 이경은 4월 23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구리 KDB생명 위너스 박태은 4월 27일 아산 우리은행 위비 아산 우리은행 위비 = = = 보상선수 = = = 보상 선수 보상 지명 구단 FA 영입 구단 FA 영입 선수 참고 김보미 부천 KEB하나은행 청주 KB 스타즈 염윤아 이하은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부천 KEB하나은행 고아라 = = = 트레이드 = = = 시즌 전 시즌 전 시즌 전 시즌 전 4월 30일 부천 KEB하나은행행 이하은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행 김보미 7월 24일 구리 KDB생명 위너스행 정선화 부천 KEB하나은행행 이정현 시즌 중 시즌 중 시즌 중 시즌 중 1월 24일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행 박혜미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행 강계리 = = = 복귀 = = = 선수 마지막 시즌 및 소속팀 김소니아 2013-14, 춘천 우리은행 한새 김수연 2016-17, 청주 KB 스타즈 = = = 웨이버 = = = 선수 새 소속팀 이전 소속팀 참고 김희진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청주 KB 스타즈 박다정 아산 우리은행 위비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박유진 청주 KB 스타즈 박진희 청주 KB 스타즈 = = = 임의탈퇴 = = = 선수 이전 소속팀 참고 김시온 구리 KDB생명 위너스 박태은 아산 우리은행 위비 엄다영 아산 우리은행 위비 홍보람 아산 우리은행 위비 이은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 정규리그 = = 정규리그는 2018년 11월 3일 개막하였으며, 2019년 3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청주 KB 스타즈가 2006년 여름리그 이후 13년 만에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 = 포스트시즌 = = 2019년 3월 14일 플레이오프가 시작되며 2019년 3월 21일 챔피언 결정전이 시작된다. = = = 대진표 = = = = = = 플레이오프 = = = 정규리그 상대 전적 우리은행이 5승 2패로 우위.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 우리은행이 6승 4패로 우위 = = = 챔피언 결정전 = = = = = 수상 = = = = = 정규리그 시상 = = = 정규리그 시상식은 플레이오프 미디이데이와 같은 날 개최되며, 국내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통계에 의한 부문과 기자단 투표에 의한 투표에 의한 부문으로 나뉘어 시상이 진행된다. = = = = 통계의 의한 부문 = = = = 부문 선수 팀 기록 득점상 김단비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15.32 3점 득점상 강이슬 부천 KEB하나은행 77개 3점 야투상 강이슬 부천 KEB하나은행 37.6% 2점 야투상 최은실 아산 우리은행 위비 56.4% 자유투상 박하나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86.3% 리바운드상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12.11 어시스트상 안혜지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6.37 스틸상 김한별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2.00 블록상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1.74 윤덕주상 최고공헌도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1119.7 = = = = 투표에 의한 부문 = = = = 상 수상자 후보 최우수선수상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박혜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염윤아 (청주 KB 스타즈) 기량발전상 안혜지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김민정 (청주 KB 스타즈), 이주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우수수비선수상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파커 (부천 KEB하나은행), 염윤아 (청주 KB 스타즈) 신인선수상 박지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이소희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식스우먼상 김소니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이주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진안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외국인선수상 쏜튼 (청주 KB 스타즈) 단타스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파커 (부천 KEB하나은행) 지도상 안덕수 (청주 KB 스타즈) 위성우 (아산 우리은행 위비), 정상일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모범선수상 임영희 (아산 우리은행 위비) 특별상 임영희 (아산 우리은행 위비) 최우수심판상 김민석 WKBL 베스트 5: G 박하나,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G 박혜진, 아산 우리은행 위비 F 김정은, 아산 우리은행 위비 F 쏜튼, 청주 KB 스타즈 C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 = = 라운드별 MVP, MIP = = = 라운드별 MVP와 MIP는 기자단 투표에 의해 시상이 진행된다. 라운드 MVP MIP 참고 1라운드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윤예빈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2라운드 박혜진 (아산 우리은행 위비) 김민정 (청주 KB 스타즈) 3라운드 박혜진 (아산 우리은행 위비) 안혜지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4라운드 박지수 (청주 KB 스타즈) 신지현 (부천 KEB하나은행) 5라운드 쏜튼 (청주 KB 스타즈) 이주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6라운드 배혜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한엄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7라운드 강이슬 (부천 KEB하나은행) 진안 (수원 OK저축은행 읏샷) = 마쓰다 패밀리아 = 마쓰다 패밀리아(Mazda Familia)는 일본의 마쓰다가 생산했던 승용차이다. = = 연혁 = = = = = 1세대 = = = 경차나 소형 트럭을 주력 상품으로 내세우던 당시의 마쓰다는 새로운 소형차를 개발해 패밀리아라는 차명을 출시했다. 아름다운 디자인이 호평을 얻으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 = 2세대 = = = 1세대보다 곡선이 더 가미되었고, A필러 옆에 있던 쿼터 글래스는 없어졌다. 고객에 따라 선호하는 사양을 선택할 수 있는 풀 초이스 시스템을 도입했다. 세단과 쿠페는 1973년에 빅 마이너 체인지를 감행했으나, 밴과 트럭은 1978년까지 생산되었다. = = = 3세대 = = = 2세대 패밀리아의 빅 마이너 체인지 차종이다. 헤드 램프가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바뀌었고, 리어 주위의 디자인이 큰폭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차체 크기도 약간 늘어났다. 엔진은 62마력의 1,000cc와 87마력의 1,300cc 등 2가지가 적용되었다. 세단과 쿠페만 나왔다. 한국에서는 기아 브리사의 베이스 차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 = 4세대 = = = 당시 소형차의 트렌드에 맞춰 2박스 스타일을 채용했으나, 전륜구동이 아닌 여전히 후륜구동이었다. 해치백은 1980년까지 나왔다. = = = 5세대 = = = 왜건과 밴은 라인업에 없고, 해치백만 있었으나, 이후에 세단이 추가되었다. 4세대까지 이어지던 후륜구동 방식은 5세대부터 전륜구동 방식으로 바뀌었다. 시트는 풀 플랫이 가능한 앞 좌석과 5:5 분할로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정(리클라이닝)이 가능한 등받이를 가진 뒷 좌석을 통해 편의성을 높였다. 1980년 일본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 1982년 7월에는 패밀리아의 누적 생산 대수가 100만 대를 돌파했다. = = = 6세대 = = = 당초 1984년에 풀 모델 체인지 할 예정이었지만, 5세대가 호평을 얻어서 다음 해인 1985년에 출시되었다. 5세대의 성공으로 인해 새로운 느낌의 디자인보다 5세대의 디자인을 답습했다. 해치백과 세단은 물론, 역대 패밀리아 중 유일하게 컨버터블도 있었다. 해치백과 세단은 1989년까지 나왔다. = = = 7세대 = = = 3도어 해치백과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의 디자인이 완전히 달리해 같은 패밀리아라는 차명을 사용해도 전혀 다른 차의 형상을 띠고 있었다. 5도어 해치백은 패밀리아 아스티나라는 차명으로 독자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4도어 세단과 패밀리아 아스티나는 1994년까지 나왔다. = = = 8세대 = = = 3도어 해치백에는 네오라고 하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다. 8세대에서는 왜건과 밴은 라인업에 없었고, 이를 대신해 닛산으로부터 OEM 공급을 받았다. 1995년 12월에는 패밀리아의 누적 생산 대수가 1,000만 대를 돌파했다. = = = 9세대 = = = 패밀리아의 마지막 풀 모델 체인지 차종이다. 개발비를 억제하기 위해 주요 부품은 카펠라와 공용했다. 2003년에 40년에 가까운 역사를 뒤로하고 후속 차종인 '마쓰다 악셀라'가 출시되어 단종되었으나, 닛산으로부터 OEM 공급 받는 밴에는 여전히 패밀리아라는 차명이 사용되어 판매되고 있다. = = 연혁(OEM 공급) = = = = = 1세대 = = = 이 때부터 밴은 닛산으로부터 OEM 공급을 받아 패밀리아라는 차명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타겟을 업무용으로 분명히 했다. = = = 2세대 = = = 밴과 차별화를 한 비즈니스 왜건이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2007년에 신형이 나왔으나, 한동안 병행 판매되었다. = = = 3세대 = = = 2010년부터 조수석 에어백, 전원 콘센트, 어시스트 그립을 기본 사양으로 했다. = 인석 = = = 가공 인물 = = 날나리 종부전의 등장 인물 가시꽃 (영화)의 등장 인물 게임의 법칙: 인간사냥의 등장 인물 폐교 (영화)의 등장 인물 = 토트 베르털런 = 토트 베르털런(, 1975년 11월 10일 ~ )은 헝가리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18년 몰나르 줄러의 사퇴 이후 헝가리 사회당의 대표로 선출되었다. = 분류:정치 이념별 캄보디아 사람 = = Undertale = = 분류:대한민국의 무법자 = = 제갈량의 남정 = 제갈량의 남정(諸葛亮- 南征) 또는 남중 평정전(南中平定戰)은 삼국 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이 225년 대군을 이끌고 남만 지역을 정벌하고 남만의 왕 맹획의 항복을 얻어낸 사건이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각종 허구 인물들과 사건이 많이 등장한다. 사서에서는 남중 지방(익주 남쪽의 월수, 장가, 익주, 영창 4군)의 난을 평정한 것으로 나오며, 삼국지, 화양국지 등에 관련 기록이 보인다. = = 남중 4군의 반란 = = 남중 4군은 한나라의 익주자사부의 관할을 받는 군 중 남쪽에 있는 월수·장가·익주·영창(永昌) 4군을 가리키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 촉한과 그 전신인 유비 정권의 통치를 따르지 않고 반기를 든 사례는 이미 건안 23년(218년) 이후에 나타나며, 월수군의 비한족계 민족의 수장 고정이 광한군 최남단의 현인 신도현을 포위했으나, 건위태수 이엄의 공격을 받아 격파당했다.진수: 삼국지 권40 유팽요이유위양전 건안 말기, 익주군의 호족 옹개는 손권 측의 교지태수 사섭의 유도를 받아, 익주태수 정앙(正昻)을 살해하고, 후임 장예는 사로잡아 손권에게 압송했다.상게서, 권49 유요태사자사섭전상게서, 권52 장고제갈보전상게서, 권41 곽왕상장양비전 손권은 옹개를 영창태수로 임명하였으며,상게서, 권43 황이여마왕장전 한편 이미 죽은 옛 익주목 유장의 아들 유천(劉闡)을 익주자사로 삼아 교주와 익주의 경계에 두었다.상게서, 권31 유2목전상거: 화양국지 권4 남중지 장무 3년(223년), 유비가 죽자 고정은 월수태수 초황(焦璜)을 죽이고 군을 들어 스스로 왕이라 칭하여 모반했다. 유비가 죽었으므로 제갈량은 남쪽으로 병사를 더 보낼 수가 없어서, 공록(龔祿)을 월수태수로 파견하여 안상현에서 통치하게 했고, 익주종사 상기(常頎)를 부남으로 들여보냈다. 유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옹개는 더욱 교만해져, 도호 이엄이 편지를 보내 회유하려 했으나 옹개는 다음과 같은 답을 보냈다.“듣기에 하늘에는 두 해가 없으며, 선비에게는 두 임금이 없다는데, 천하가 정립하여 정월이 셋이니, 먼 곳에 있는 사람으로써는 두렵고 당혹하여 어디로 돌아갈지 알지 못합니다.” 한편, 익주의 비한족들이 옹개를 따르지 않자, 옹개는 익주군 사람 맹획으로 이족과 수족을 회유하게 했고, 맹획은 촉한에서 이민족들에게 터무니없는 공물을 부과한다는 말을 퍼트리니 마침내 비한족들이 옹개를 좇았다. 영창태수가 된 옹개를 영창군의 오관연공조 여개와 군승 왕항이 군의 경계를 닫아걸고 저항하여 받아들이지 않자, 옹개는 격문을 보내 이들을 회유하려 했으나 여개 등이 받아들이지 않고 영창군의 군민들이 여개를 신임하여, 옹개는 영창군을 핍박했으나 태수로 부임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가 장가군에 이르러 주부를 조사하려 하자, 장가군승으로 장가태수를 대리하는 주포가 이 틈을 타 상기를 죽이고 모반했다. 건흥 3년(225년), 장가태수 주포가 모반했다.진수: 전게서, 권33 후주전 주포의 모반에 대해서 위씨춘추에서는 익주종사 상방(常房)이 소속 부를 순행하다 주포의 속셈을 알아차리고 주포의 주부를 심문하여 죽이자, 주포가 분노하여 상방을 죽이고 상방이 모반했다고 무고하였으며, 제갈량은 상방의 일족들을 처벌하여 주포를 회유하려 했으나 주포가 잘못을 뉘우키기는커녕 도리여 모반하여 옹개에 붙었다고 서술했으나,위씨춘추 (진수의 삼국지 권33 후주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배송지는 주포가 무고한 것인데 무죄한 자(상방의 일족들)를 죽여 간특한 자(주포)를 기쁘게 했을 리 없다고 이 기록을 비난했다.배송지: 삼국지주 = = 진압 = = 제갈량은 등지를 파견하여 옹개의 반란을 유도한 손권과 우호를 맺었고, 또 옹개가 사로잡아보낸 옛 익주태수 장예를 석방시켜 촉한으로 회송하는 교섭에 성공했다.진수: 전게서, 권45 등장종양전 건흥 3년(225년) 3월, 제갈량은 마침내 남쪽의 반란을 평정하고자 출진했다. 월수군에 진입한 후, 따로 마충은 장가태수를 겸하게 하여 장가군을 치게 했고, 내강도독 이회는 익주군으로 파견했다. 고정은 정착(定笮), 비수(卑水)에 많은 보루를 쌓고 지키려고 했으나, 제갈량은 고정이 그 무리를 모으기를 기다렸다가 아울러 토벌했다. 한편 이회는 익주군으로 들어갔다가 곤명에서 적에게 포위당했는데, 적이 이회군의 두 배였고, 제갈량과도 소식이 끊겼다. 이회는 남중 사람들에게 군량이 다 되었고 돌아갈 수도 없게 되었으니 장차 함께 모반을 일으키겠다고 했다. 익주군 사람들은 이를 믿고 포위를 느슨하게 하도록 만들었고, 출격하여 크게 무찌르고 남쪽으로는 반강(槃江), 동쪽으로는 장가군에까지 이르렀다. 마충은 장가를 토벌했다. 남쪽의 반란군 사이에서는 동요가 일어나, 고정의 부곡이 옹개를 살해했다. 제갈량은 주포를 베었다. 맹획이 옹개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다. 여름 5월, 제갈량은 맹획이 비한족과 한족 모두 복종하는 인물이라 함을 듣고한진춘추 (진수의 삼국지 권35 제갈량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노수(瀘水)를 건너 맹획을 생포하여 군중에 두고, 자신의 진영을 두루 둘러보게 했다. 맹획은 제갈량이 묻자 자신은 지난번에는 이쪽의 허실을 알지 못해서 졌으나 지금 진영을 다 둘러보았으니 다음에는 쉽게 이기리라고 했다. 제갈량은 맹획을 풀어주고 다시 잡았는데, 일곱 번 풀어주고 일곱 번 사로잡았다. 맹획은 제갈량에게 완전히 심복하여, 다시는 반란을 일으키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 = 평정 후 = = 가을, 남중은 평정되었다. 익주군을 건녕군으로 개칭하고, 이회를 태수로 삼았으며 안한장군을 더했다. 건녕군과 월수군의 몇 현을 나누어 운남군을 설치했고, 여개를 태수로 임명했다. 건녕군과 장가군의 몇 현을 나누어 흥고군을 설치했고, 마충을 장가태수로 임명했다. 12월, 제갈량이 남정을 끝내고 귀환했다. 또 건녕군 사람 찬습(爨習), 주시군 사람 맹염, 맹획을 데려와 관직에 임명했다. 한편, 앞서 손권이 익주자사로 파견한 유천은 오나라로 귀환했다. = = 소설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 = 224년 여름 제갈량은 익주의 늙은 장수 옹개가 남만의 왕 맹획과 결탁해 10만 대군을 이끌고 남부 지방에서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이 들리자 조운을 성도로 불러들이고 군마를 정비해 남만을 정벌할 채비를 한다. 그리고 225년 맹획이 10만 대군을 일으켜 경계를 침범하고 건녕 태수 옹개와 장가 태수 주포, 월준 태수 고정 등이 이에 가담한다. 오로지 영창 태수 왕항만이 부하 공조 여개와 함께 항복하지 않고 끝까지 저항하고 있었다. 그러자 제갈량은 간의대부 왕련의 반대를 물리치고 황제 후주를 설득하며 직접 남만으로 가겠다고 선언한다. 그리고 장완을 참군으로, 비의를 장사로, 동궐과 번건을 연사로, 조운과 위연을 대장으로, 왕평과 장익을 부장으로 삼고 수십 명의 서천 장수와 50만 대군을 일으켜 익주를 향해 떠나고 도중 촉의 옛 맹장이던 관우의 셋째 아들 관색과도 합류한다.(당시의 상황으로 보아 50만의 병력은 신빙성이 없다. 1차 북벌 당시 동원했던 병력이 오와의 접경지역의 수비군까지 포함하여 6만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 당시 위에 대한 변방수비군은 놔둬야 했으므로 4만 정도의 병력으로 추정된다.) 이에 옹개는 고정, 주포 등과 상의해 각각 5 ~ 6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고정은 가운데, 옹개는 왼쪽, 주포는 오른쪽으로 촉군을 막을 태세를 갖추고 고정은 부하 악환을 선봉으로 세운다. 제갈량이 익주 경계에 다다르자 선봉장 위연과 부장 장익, 왕평이 악환의 군사와 맞닥뜨린다. 그러나 악환은 위연을 추격하다가 장익과 왕평의 협공으로 사로잡히고 제갈량의 명령으로 고정을 설득하도록 명령한다. 그러자 옹개는 직접 3만 군사를 이끌고 나가지만 패배해 후퇴하고 옹개와 고정은 다시 두 길로 군사를 나눠 촉군을 공격했으나 위연 등의 매복에 걸려 군사를 태반이나 잃었다. 제갈량은 반간계를 써 악환에게 설득된 고정을 옹개의 영채를 공격하도록 하고 결국 옹개는 악환에 의해 살해당하고 주포도 고정과 악환의 공격으로 악환에게 살해당한다. 제갈량은 고정을 익주 태수로 삼아 세 고을을 다스리게 하고 악환을 아장으로 삼았으며 옹개 등에 맞서 계속 저항하던 영창에 입성해 태수 왕항 등을 만나 여개를 행군교수 겸 향도관에 봉한다. 이로써 촉나라의 반란 세력들을 모두 평정하고 마량의 동생 마속의 지원군과도 합류한다. 촉군이 남만의 영내로까지 진격하자 남만의 왕 맹획은 각 동의 추장들을 소집해 제1동은 금환삼결 원수, 제2동은 동도나 원수, 제3동은 아회남 원수 등을 불러 세 길로 나누고 15만 명의 군사를 주어 제갈량을 치게 한다. 그러나 조운과 위연이 정예병 5000명을 이끌고 금환삼결을 기습해 금환삼결은 조운에게 죽고 남은 만병들과 동도나와 아회남도 왕평과 마충의 협공으로 패하고 결국 장익, 장의에게 사로잡힌다. 제갈량은 동도나와 아회남을 돌려보내고 이에 맹획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맞선다. 맹획은 왕평과 관색을 추격하지만 도중 장의와 장익이 협공하고 달아났던 왕평, 관색도 반격하면서 결국 맹획은 패하고 도주 중 조운의 습격으로 다시 군사를 크게 잃고 위연에게 사로잡힌다. 그러나 맹획이 항복하지 않자 제갈량은 맹획을 풀어준다. 맹획은 다시 각 동의 추장들을 소집하고 만병들을 수습해 10만 명의 군사를 모았다. 그리고 노수 남쪽에 토성을 쌓고 촉군을 기다렸다. 이에 제갈량은 마대를 보내 협산욕을 점령하게 하고 맹획의 진채로 진군한다. 그러자 맹획은 부장 망아장에게 군사 3000명을 주어 맞서나 마대에게 단번에 죽고 만다. 동도나 역시 3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마대를 공격하나 제갈량의 옛 정으로 물러나고 맹획은 이를 의심해 동도나에게 곤장 100대의 형을 내린다. 이에 불만을 품은 동도나는 다른 추장들과 함께 맹획을 붙잡아 제갈량에게 데려가지만 이번에도 맹획은 거절해 풀려난다. 맹획은 다시 진채로 돌아와 도부수들로 동도나와 아회남을 살해하고 동생 맹우를 불러 후한 예물을 제갈량에게 보내고 그 틈을 타 제갈량의 진채를 기습한다. 그러나 이를 간파한 제갈량의 계책으로 왕평, 위연, 조운의 협공으로 패하고 마대에게 사로잡힌다. 이번에도 다시 풀려난 맹획은 은갱동으로 가 보물을 가지고 8번 93전과 그밖의 남만 고을을 돌며 정병 수십만을 모아 제갈량에 맞서지만 결국 패하고 위연에게 사로잡혔다가 풀려난다. 맹획은 동생 맹우의 건의로 타사대왕을 만나 독룡동에 주둔했다. 제갈량은 왕평을 독룡동으로 보냈으나 독룡동의 독한 기후로 많은 군사가 사상당한다. 다행히 제갈량은 맹획의 형 맹절의 도움으로 독룡동을 함락시킨다. 한편 독룡동 서쪽의 은야동의 21동주 양봉은 다섯 아들과 군사 3만 명을 이끌고 맹획을 도와주러 오는 척하면서 맹획과 타사대왕을 사로잡아 제갈량에게 바친다. 그러자 이번에도 맹획을 풀려나와 맹획의 처남 대래동주의 건의로 팔납동의 동주 목록대왕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그리고 타사대왕을 삼강성으로 보내 촉군에 맞서게 했으나 제갈량은 조운과 위연을 보내 삼강성을 함락시키고 전투 도중 타사대왕이 전사한다. 그러자 맹획의 아내 축융부인이 나서 촉장 장의와 마충을 사로잡았으나 다음날 조운과 위연을 요격하다가 매복에 걸려 사로잡히고 만다. 제갈량은 축융부인과 마충, 장의를 교환하고 목록 대왕은 맹수들을 꾀어 촉군을 공격했으나 제갈량은 목각 짐승을 만들어 이를 물리치고 목록대왕을 죽인 뒤 은갱동을 점령한다. 맹획은 가족들과 함께 도망치나 처남 대래동주에게 붙잡혀 다시 제갈량에게 왔다가 풀려난다. 맹획은 남은 만병 1000명을 수습하고 마지막 방법으로 동남쪽으로 700리 떨어진 오과국의 왕 올돌골에게 구원을 요청한다. 올돌골은 부장 토안과 해니, 강한 등나무 갑옷을 입은 군사 3만 명을 이끌고 진군한다. 이에 위연이 이를 요격했으나 패하자 제갈량은 오과국 군대를 반사곡으로 유인한 뒤 화약을 폭발시켜 오과국 군대를 무찌른다. 이로써 올돌골과 토안, 해니 등 오과국 군대가 전멸하고 맹획은 장의, 마충에게 협공을 당해 사로잡혀 제갈량에게로 끌려온다. 마침내 맹획은 제갈량에게 항복하고 제갈량은 군사를 물려 회군한다. 촉군은 영창에 당도해 제갈량은 왕항과 여개에게 4군을 지키도록 한 뒤 성도로 돌아온다. 이로써 남만을 평정되고 이때부터 먼 변방에서 조공을 바쳐왔는데 그 수가 무려 200곳에 이르렀다고 한다. =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는 2008년 개봉한 역사 로맨스 드라마 영화로, 배즈 루어먼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니콜 키드먼과 휴 잭맨이 남녀 주인공으로 출연한다. 오스트레일리아를 무대로, 영국인 귀족 여성과 거친 소몰이꾼 남성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2023년 11월, 6부작 미니시리즈 파러웨이 다운스(Faraway Downs)로 재편집되어 훌루와 디즈니+를 통해 공개됐다. = = 줄거리 = =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시기의 미개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영국 귀족인 레이디 세라 애슐리는 그녀의 남편을 찾아 편안하고 안전한 영국의 저택을 떠나 오스트레일리아의 미개척지를 향한 긴 여행을 시작한다. 어렵사리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도착한 그녀는 곧 남편의 죽음을 알게 되고, 자신에게 벨기에 국토만한 오스트레일리아의 거대한 농장과 2,000여 마리의 소떼가 남겨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남편의 죽음을 슬퍼할 겨를도 없이 애쉴리는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마 같은 거친 농장 관리인과 함께 그녀의 농장을 빼앗으려는 무리로부터 남편의 유산을 지켜내기 위해 함께 싸워 나가야 하는 운명에 처하게 된다. 한편, 평화로운 오스트레일리아의 대지는 다윈까지 공격한 일본군의 연이은 폭격으로 쑥대밭이 될 위기에 처하고, 낯선 나라에서 홀로 재산뿐 아니라 자신의 목숨까지 지켜내야 하는 세라에게도 태평양 전쟁의 전운은 찾아온다. = = 출연 = = 니콜 키드먼 - 세라 애슐리 귀부인 휴 잭맨 - 소몰이꾼 데이비드 웨넘 - 닐 플레처 브라이언 브라운 - 킹 카니 잭 톰슨 - 키플링 플린 데이비드 걸필리 - 킹 조지 브랜던 월터스 - 눌라 데이비드 응굼부자라 - 마가리 벤 멘덜슨 - 더튼 대위 에시 데이비스 - 캐서린 카니 배리 오토 - 올솝 관리인 케리 워커 - 머틀 올러트 샌디 고어 - 글로리아 카니 어설라 요비치 - 데이지 릴리언 크롬비 - 밴디 레그스 원화 - 싱 송 앵거스 필라쿠이 - 굴라이 야체크 코만 - 이반 토니 배리 - 캘러핸 중사 레이 배럿 - 램즈든 맥스 컬런 = = 기타 = = 공동제작: 캐서린 마틴 미술: 캐서린 마틴 세트: 베벌리 던 의상: 캐서린 마틴 배역: 닉키 바렛 배역: 론나 크레스 = 핫야이 국제공항 = 핫야이 국제 공항 핫야이 시 근처에 있는 태국 남부의 국제 공항이다. 태국의 공항 관리소 태국 신공항 공사(AOT)의 관리하에 있으며 메카로의 순례 여행에서 이슬람교 인들에게 중요한 공항이다. 매년 1,500,000 명 이상의 승객과 9,500 편의 항공편 및 12,000 톤의화물을 처리한다. 공항은 250 만명의 승객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2015년 9월에 이미 356 만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8년까지는 450 만대, 2030년에는 1,000 만대로 확장 되었다. = = 운항 노선 = = 항공사 목적지 방콕항공 푸껫 쿤밍 항공 쿤밍 녹에어 방콕(돈므앙) 스쿠트 싱가포르 타이 에어아시아 방콕(돈므앙), 치앙마이, 치앙라이, 콘깬, 쿠알라룸푸르, 라용 타이 라이온 에어 방콕(돈므앙), 우돈타니 타이 스마일 항공 방콕(수완나품) = = 사고 및 사건 = = 2005년 4월 3일, 송클라 폭탄테러때 파타니 분리주의자들이 출국 라운지에 심은 폭탄이 폭발해 승객 1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쳤다. = 틀:SPARQL = = 분류:무로란 공업대학 = = 패닉 런 = 패닉 런(The Desperate Hour)은 미국에서 제작된 필립 노이스 감독의 2021년 스릴러 영화이다. 나오미 왓츠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나오미 왓츠 : 에밀리 역 제이슨 클락 : 그레그 역 = = 기타 = = 수입: 찬란 제공: 인터파크INT = 놀런 부슈널 = 놀런 카이 부슈널(, 1943년 2월 5일 ~)은 미국의 전기공학자 겸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1972년에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 회사인 아타리를 설립하고,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 퐁을 만들었다. 현재는 척 E. 치즈라는 피자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다. 놀런은 "배우기는 쉽지만 마스터하기는 어렵게"라는 경구인 부슈널의 법칙을 만들어냈다. = 틀:번역 틀 = = 산업체 부설학교 = 산업체 부설학교는 노동과 학업을 병행하는 근로청소년을 위해 회사에서 사원인 근로청소년을 위해 만든 학교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만 설립 가능했다. 오늘날에는 근로청소년의 수가 줄어들어 시온실업고등학교를 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초중등교육법에 근거규정은 남아있다. 일부 학교는 전문계 고등학교(현재는 특성화 고등학교)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전환했고 대부분은 폐교되었다. = 분류:고대 이집트의 의학 = = 분류:김일성종합대학 교수 = = 김소은 (육상 선수) = 김소은(2003년~)은 대한민국의 단거리 육상 선수로 소속팀은 가평군청이다. 쌍둥이 동생 김다은 (육상 선수)도 육상 선수다. = 분류: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 부바카르 = 부바카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부바카르 바리: 기니계 코트디부아르인 축구 선수 이브라임 부바카르 케이타 부바카르 사노고: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 전진희 = 전진희는 대한민국의 작곡가, 싱어송라이터이다. 인디밴드 하비누아주의 리더이다. 2017년 첫 솔로 싱글 앨범 [피아노와 목소리]를 발매했다. = = 음반 = = 싱글 앨범 앨범 제목 발매일 타이틀 피아노와 목소리 2017.03.20 별 (with 이영훈) 피아노와 목소리 2017.04.27 어디에 있나요 피아노와 목소리 2017.05.19 불안 (with 나인 of 디어클라우드) 밤을 걷는다 2018.11.12 밤을 걷는다 (with 지언) 크리스마스의 추억이 2018.11.27 크리스마스의 추억이 정규 앨범 앨범 제목 발매일 타이틀 피아노와 목소리 2017.9.14 한숨 (with 지언) 어디에 있나요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   2019.9.25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 = = 공연 = = 2018.4.21 전진희 단독공연 [피아노와 목소리 - 안부] 2018.8.24 전진희 [Room] 2018.10.6 서울숲재즈페스티벌 2018 2018.12.25 전진희x이설아 크리스마스의 추억 @망원 벨로주 *2019.9.7 전진희 솔로 콘서트 [우리의 슬픔이 마주칠 때] @파랑새극장 *2019.9.29 서울숲재즈페스티벌 2019 *2019.10.26 전진희 2집 앨범 콘서트 [우리의 사랑은 여름이었지] @언더스탠드에비뉴 아트스탠드 = 캔자스시티 뮤니시펄 스타디움 = 뮤니시펄 스타디움(Municipal Stadium)은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과거 MLB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NFL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 박맹우 = 박맹우(朴孟雨, 1951년 12월 6일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9·20대 국회의원이다. 제44대 함안군수, 제3·4·5대 울산광역시장 등을 지냈다. = = 학력 = = 1964년 삼호초등학교 졸업 1967년 울산제일중학교 졸업 1971년 경남고등학교 졸업 1980년 국민대학교 행정학 학사 2001년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2006년 동의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 = 경력 = = 1981년: 제25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1982년: 총무처 1983년: 경상남도청 1989년: 내무부 종합상황실 실장 1994년: 경상남도청 기획담당관 1995년: 제44대 함안군수 1997년: 울산광역시청 기획조정실 실장 1997년: 울산광역시청 내무국 국장 1998년: 울산광역시 동구 부구청장 울산 동구청장 권한대행 2000년: 울산광역시청 건설교통국 국장 2002년 ~ 2014년: 제3·4·5대 울산광역시장 2005년: 영호남시도지사협의회 회장 2007년: 울산대학교 겸임교수 2008년: 동의대학교 겸임교수 2009년: 동아대학교 특임강사 2012년: 광역시장협의회 회장 2012년: 제5대 울산광역시 생활체육회 회장 2013년: 제7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2014년 7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2014년 8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5년 6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2017년 11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 2018년 7월 ~ 2019년 7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2018년 10월 ~ 2019년 6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에너지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7월 ~ 2020년 5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2016년 7월 ~ 2017년 2월: 새누리당 울산시당 위원장 2016년 9월 ~ 2016년 12월: 새누리당 전략기획부총장 2016년 11월 ~ 2017년 2월: 새누리당 사무총장 2017년 2월 ~ 2017년 7월: 자유한국당 울산시당 위원장 2017년 2월 ~ 2017년 3월: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2017년 5월 ~ 2017년 6월: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2018년 12월 : 자유한국당 울산시당 남구(을) 당협위원장 2019년 3월 : 자유한국당 미세먼지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6월 ~ 2019년 12월 :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2019년 7월 : 자유한국당 에너지정책 파탄 및 비리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9월 ~ 2019년 12월 :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 2019년 11월 ~ 2019년 12월 : 4·15총선 자유한국당 총선기획단 단장 2020년 3월 : 미래통합당 울산시당 대한민국 바로잡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상임선거대책위원장 2020년 3월 ~ 2020년 4월 : 미래한국당 4·15총선 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 2020년 9월 ~ 2022년 4월 : 국민의힘 울산시당 상임고문 대한민국헌정회 시·도지회장(울산) 2021년 10월 ~ 2021년 11월 :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지역본부 권역별 선거대책위원회 울산광역시 직능위원장 2022년 1월 ~ 2022년 3월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선거 울산을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사)대한민국독도협회 고문 = = 저서 = = 1991년: 지방의회운영총람 1993년: 지방자치단체조합이란 무엇인가 2002년: 울산의 힘 '뿌리와 비전' = = 논문 = = 2001년: 지방자치단체 계약직공무원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 논문) 2006년: 지방정부 조직진단의 모형정립과 적용 (박사 논문) = 피로 (동음이의) = 피로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피로(疲勞)는 지치고 고단한 상태를 일컫는다. 피로(疲勞)는 금속 등의 재료가 응력이 바뀜에 따라 그 세기가 약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피로(披露)는 일반에게 널리 알리는 것을 뜻한다. = J/FPS-5 = J/FPS-5는 일본의 지상배치 레이다의 일종이다. = = 배치 = = 2006년도부터 2009년도에 예산이 계상되어 2008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4 기가 배치되었다. 1 기당 약 180 억엔. 2009년 3월 31일에 양산 1호기가 시모코시키 섬(下甑島) 레이다 기지에 배치되었다. 대형이기 때문에 취득 비용뿐만 아니라 설치를 향한 토목 공사에도 비용이 소요되므로 4기로 조달을 완료, C 형까지 3 개의 하위 유형이있다. 시모코시키섬 (下甑島) 기지: J/FPS-2에서 업그레이드, 2008년말 운용 개시 . 사도 분둔기지: J / FPS-2보다 업데이트 2009년말 운용 개시 . 오미나토 분둔기지: J / FPS-2보다 업데이트, 2010년 말 운용 개시 . 2008년도 예산에서 조달 시작 J / FPS-5B 배치 요자 다케 분둔기지: J / FPS-2보다 업데이트 2011년말 운용 개시 . 2009년도 예산에서 조달 시작 J / FPS-5C 배치 = = 제원 = = 이름 : J/FPS-5 종류 : 지대공 AESA 레이더 탐지거리 : 1,800km (971해리) = 분류:공익법인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 = 맥스 마티니 = 맥스 마티니(Max Martini, 1969년 12월 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작품 목록 = = 50가지 그림자: 심연 콘택트 50가지 그림자: 해방 - 테일러 역 비거 일라이 - 폴 역 SGT. 윌 가드너 - 윌 가드너 역 (감독, 제작, 각본) = 한스 뮌히 = 한스 빌헬름 뮌히(, 1911년 5월 14일~ 2001년 12월 6일)는 독일의 의사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인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무장친위대 소속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 = 생애 = = 아우슈비츠에서 행해진 대량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 했기에 소위 "아우슈비츠의 선인"이라고 불렸다. 전후인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에 힘입어 피고인들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 재판 이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일했다. 말년에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려 나치즘을 지지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등의 언행을 하다가 여러 번 기소되었다. 하지만 모든 재판부는 뮌히가 망령이 나서 심신상실 상태에 있다고 보고 유죄를 선고하지 않았다. = 분류:독일의 연방법집행기관 = = 분류:2024년 피겨스케이팅 = =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지명 타자) =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연도별 수상자 연도 이름 소속 득표수 후보 1982 시상 안 함 1983 시상 안 함 1984 양세종 OB 1985 김용희 롯데 1986 김봉연 해태 1987 유승안 빙그레 1988 김용철 롯데 1989 박철우 해태 1990 박승호 삼성 1991 장종훈 빙그레 1992 김기태 쌍방울 1993 김기태 쌍방울 1994 김기태 쌍방울 1995 김형석 OB 1996 박재용 해태 1997 박재용 해태 1998 양준혁 삼성 1999 댄 로마이어 한화 2000 타이론 우즈 두산 2001 양준혁 LG 2002 마해영 삼성 2003 김동주 두산 2004 김기태 SK 192 / 311 표 (61.7%) 김재현 (SK) / 페레즈 (롯데) 2005 김재현 SK 266 / 326 표 (81.6%) 양준혁 (삼성) / 이도형 (한화) 2006 양준혁 삼성 2007 양준혁 삼성 343 / 397 표 (86.4%) 브룸바 (현대) / 크루즈 (한화) 2008 홍성흔 롯데 282표 획득 김태완 (한화, 40표) / 양준혁 (삼성, 23표) / 브룸바 (히어로즈, 1표) 2009 홍성흔 롯데 최준석 (두산) / 페타지니 (LG) 2010 홍성흔 롯데 박석민 (삼성) / 김동주 (두산) / 송지만 (넥센) / 박용택 (LG) 2011 홍성흔 롯데 김동주 (두산) / 박용택 (LG) = 분류:벨기에에서 활동한 여자 축구 선수 = = 마이컬슨-몰리 실험 = 앨버트 마이컬슨(Albert Abraham Michelson)과 에드워드 몰리(Edward Morley)는 1887년, 현재의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물리학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실험 중 하나인 마이컬슨-몰리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광학적 에테르 이론을 부정하는 최초의 유력한 증거가 되었다. 이 실험은 또한 두 번째 과학 혁명(Second Scientific Revolution)의 이론적 관점의 시발점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Earl R. Hoover, Cradle of Greatness: National and World Achievements of Ohio’s Western Reserve (Cleveland: Shaker Savings Association, 1977). 앨버트 마이컬슨은 이 실험으로 190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 받았다. = = 에테르 측정하기 = = 19세기의 물리학에서는, 수면파 또는 음파 등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매개물(물,공기)이 필요하듯, 빛이 진행하기 위해서도 "광학 에테르"라는 매개물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빛은 진공상태의 공간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진공상태에는 빛의 매개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빛의 속도가 너무 커서, 에테르의 존재여부와 그 성질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교함이 요구되었다. 지구는 태양 주위의 궤도를 따라 30km/s의 속력으로 이동한다. 태양 또한 우리 은하의 중심 주위를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 운동에 의해, 지구를 가로지르는 에테르의 흐름은 "에테르 바람"을 형성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일시적으로 지구의 움직임과 에테르의 흐름이 일치할 수 있지만, 지구는 방향과 속력이 수시로 변화하는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모든 시간에서 지구는 에테르의 흐름에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을 수는 없다. 지구 표면의 어느 지점에서나, 바람의 크기와 방향은 하루의 시간대와 계절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여러 시간대에서 여러 방향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의 속도를 측정하여, 에테르에 대한 지구의 상대적인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지구가 공전궤도를 빛의 속도의 10,000분의 1의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측정된 빛의 속력의 차는 꽤 작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1800년 대 중반에 일부 물리학자들이 빛의 속도 차를 측정하려고 시도하였지만, 이 작은 물리량을 측정하기에 요구되는 정교함을 가진 실험 장치가 없었다. 예를 들어 피조-푸코(Fizeau-Foucault) 장치는 빛의 속력을 5%의 오차범위 내에서 측정할 수 있지만, 이는 에테르 바람을 측정하기에는 정확도가 많이 부족하였다. = = 실험 = = 마이컬슨은 에테르 바람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한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추후 간섭계(interferometer)라고 알려진 그의 장치는 백색광의 단일 광원을 반투명 거울(half-silvered mirror)을 통해 직각으로 나누어 두 개의 광선으로 만든다. 이 나눔계(splitter)를 지나고 나면, 광선은 길게 뻗은 팔(arm)을 지나 그 끝에 장착된 거울을 통해 다시 중간지점으로 반사되어 온다. 중간으로 반사된 파는 나눔계(splitter)를 통해 다시 결합이 되어 빛이 각 팔(arm)에서 이동한 시간차에 따라 보강 또는 상쇄 간섭 무늬가 일어난다.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서도 간섭무늬의 주름(interference fringe)의 위치가 변화한다. 만약 에테르가 태양에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다면, 지구의 운동은 간섭무늬 주름 한 개의 1/25배 크기만큼의 간섭무늬의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1881년 마이컬슨이 독일에서 상기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간섭무늬의 변화 값을 측정하였지만, 간섭무늬의 변화가 기대 값인 0.04값(간섭무늬 한 개의 0.04크기되는 만큼의 변화) 보다 작은 0.02 값을 얻었다.Michelson, Albert Abraham, The Relativ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Luminiferous Ether, American Journal of Science, 1881, 22, 120–129 그러나 그의 초창기 실험장치는 에테르 바람의 존재에 대해 확신을 갖고 말하기에는 실험적 오차가 너무 컸다. 에테르 바람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정교하게 통제된 실험이 필요하였다. 그 후 그는 에드워드 몰리와 합작하여, 에테르 바람에 의한 간섭무늬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한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Michelson, Albert Abraham & Morley, Edward Williams, On the Relativ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Luminiferous Ether, American Journal of Science, 1887, 34, 333–345 그들의 실험에서는 광선이 긴 팔(arm)을 앞 뒤로 반사하여 여러 번 왕복하게 설계되어 총 경로가 11m가 되도록 하였다. 광선이 11m를 이동하면 이론적으로 간섭무늬의 변화가 주름 한 개의 0.4배의 크기만큼 나타나야 한다. 이를 보다 쉽고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은 열과 진동의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벽돌로 된 빌딩 지하의 폐쇄된 방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보다 진동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은으로 채운 욕조에 대리석을 띄워 그 위에 실험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장치는 간섭무늬 한 개의 주름의 1/100배 크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였다. 수은 욕조에 의해 실험장치가 회전할 수 있어, 모든 각도에서 에테르 바람의 측정이 가능하였다. 짧은 측정 시간에도, 실험장치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실험오차 원인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긴 낮과 밤의 사이클과 연간 사이클에 의한 영향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실험 장치가 한 바퀴를 도는 동안, 실험장치의 두 개의 팔(arm)은 각각 에테르 바람과 평행하게 두 번, 직각으로 두 번 나열되게 된다. 이에 의해 결과는 두 개의 최고값과 두 개의 최저값을 갖는 사인파 형태로 나타난다. 추가적으로 에테르 바람이 지구 자전운동에서만 발생한다면, 바람은 12시간의 주기로 그 방향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뀔 것이다. 이러한 이상적인 개념화에서는 사인파가 낮과 밤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가질 것이다. 지구의 공전 운동이 에테르 바람에 추가적인 성분을 제공할 것이므로, 에테르 바람의 크기 변화가 1년 단위의 주기를 가지고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앞으로 날아가는 헬리콥터가 이러한 예가 될 수 있다. 헬리콥터가 공중에 제자리에 떠 있을 때는 헬리콥터 날개의 끝 부분이 300 km/h의 속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만약 헬리콥터가 150 km/h의 속력으로 앞으로 날아가고 있다면, 회전 날개의 끝부분이 공기를 150 km/h의 속력으로 통과하는 곳이 있고(아래방향 바람) 450 km/h의 속력으로 통과하는 곳이 있다(윗방향 바람). 이와 동일한 효과로 에테르 바람의 크기는 1년을 주기로 증가했다 감소했다 할 것이다. = = 실패한 것으로 유명한 실험 = = 이 실험은 많은 생각과 준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유명한 실패한 실험으로 불린다. 마이컬슨과 몰리는 미국 과학 학회지에 에테르의 속성에 대한 내용 대신에 실험에 의한 측정값이 작게는 변위(displacement)의 기대값의 1/40배라는 내용을 실었다. 그러나 변위(displacement)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측정된 속도는 지구의 공전속도의 기댓값의 1/4배 보다 작은 1/6배의 값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러한 작은 속도의 값은 에테르의 존재에 대한 증거로 쓰기에 너무 작은 값이었고, 추후 이 결과는 실험적 오차 범위내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1887년의 논문이후로, 각각 다른 실험을 시작하였지만, 두 사람 모두 이 분야에 여전히 연구를 계속하였다. 이후 훨씬 정교한 장치에 의해 동일한 실험이 반복되었다. 케네디(Kennedy)와 일링워스(Illingworth)는 거울을 개선하여 반파장 단계(half-wave step)를 포함시킴으로써 실험장치 내부에 정상파 패턴 형태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시켰다. 일링워스의 실험장치는 대략 간섭무늬 주름 한 개의 1/300배 되는 크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고, 케네디(Kennedy)의 실험장치는 간섭무늬 주름 한 개의 1/5000배 크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였다. 나중에 밀러(Miller)는 자기장으로부터 영향이 없는 반자성체적인 실험장치를 제작하였고, 마이컬슨은 온도변화에 영향이 없도록 실험 장치를 팽창하지 않는 강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제작하였다. 이들 이외에도 세계의 여러 과학자들이 보다 정교하고 부작용이 없는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몰리는 자신의 실험결과를 납득하지 못하여, 데이톤 밀러(Dayton Miller)와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밀러(Miller)는 윌슨 산 천문대(Mount Wilson observatory)에 32m 길이의 간섭계를 설치하여 큰 규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는 에테르 바람이 단단한 벽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캔버스로 만든 얇은 벽으로 된 창고에서 실험을 하였다. 그는 실험 장치를 한 번 회전시킬 때마다 변화하는 작은 명확한 효과(positive effect)들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의 측정값은 지구의 공전운동 자체에 의한 기댓값인 ~30 km/s 보다 훨씬 작은 ~10 km였다. 그는 이러한 결과가 부분적인 동반이행(entrainment)에 의한 것이라고 믿었으나,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비록 케네디가 나중에 윌슨 산 천문대에서 실험을 통해 밀러의 결과보다 1/10배인 변화(drift)값을 얻었으나, 그 당시에는 밀러(Miller)의 발견이 중요하게 여겨졌고, 1928년에 개최된 학회에서 이 내용이 발표되었고 마이컬슨과 로런츠등은 이에 대해 토론하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의견은 밀러의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더 많은 실험이 실행되어야한다는 것이었다. 로렌츠는 밀러의 실험결과의 원인이 무엇이 됐건 자신의 또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아인슈타인은 그 당시 학회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그는 그 결과가 실험적 오류에 의한 것이라고 여겨도 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오늘날까지도, 누구도 밀러의 결과를 다시 재현한 사람은 없으며, 현대 실험장치들의 정확성은 밀러의 결론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름 년도 실험장치 크기(미터) 예상되는 무늬 이동 측정된 무늬 이동 실험 장치 분해능 에테르 속도 Vaether 상한 마이컬슨 1881 1.2 0.04 0.02 마이컬슨과 몰리 1887 11.0 0.4 0.01 8 km/s 몰리와 밀러 1902–1904 32.2 1.13 0.015 밀러 1921 32.0 1.12 0.08 밀러 1923–1924 32.0 1.12 0.03 밀러(햇빛) 1924 32.0 1.12 0.014 Tomascheck (별빛) 1924 8.6 0.3 0.02 밀러 1925–1926 32.0 1.12 0.088 케네디 (윌슨 산) 1926 2.0 0.07 0.002 일링워스 1927 2.0 0.07 0.0002 0.0006 1 km/s Piccard and Stahel (Rigi) 1927 2.8 0.13 0.006 마이컬슨 외. 1929 25.9 0.9 0.01 Joos 1930 21.0 0.75 0.002 근래에는 마이컬슨-몰리 실험이 매우 흔한 실험이 되어 버렸다. 레이저와 메이저는 잘 조율된 공동(cavity) 속에서 빛이 계속 앞뒤로 움직임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의 원자를 만들어 강한 빛이 나갈 수 있게 증폭시킨다. 따라서 빛은 킬로미터 단위의 거리를 움직이게 된다. 하나의 동공에서 나온 빛은 직각으로 설치된 다른 공동(cavity)에 동일한 단계를 반복하게 할 수 있어, 매우 정확도가 높은 간섭계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은 메이저의 발명자중 하나인 찰스 타운스(Charles H Townes)에 의해 처음 실행되었다. 그의 1958년 실험은 30 m/s 내의 오차범위를 가졌고, 1974년에 레이저로 반복된 실험은 이 수치를 0.025 m/s 로 낮췄다. 1979년에는 오차범위가 0.000001 m/s까지 낮아졌다. = = 마이컬슨-몰리 실험 이후 = = 이러한 결과는 빛의 파동이 정지된 에테르 속에서 진행한다는 그 당시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놀라운 결과였다. 이러한 의외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실험자체에 드러나지 않은 결함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었고(마이컬슨이 이렇게 생각하였다) 또한 지구의 중력장이 에테르를 어떠한 방법으로 움직여서 에테르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였다는 주장도 있었다. 밀러는 자신의 실험 외에는 실험이 실험실안에서, 즉 실험실의 벽 또는 실험장치에 의해 에테르 바람이 차단된 상태에서 행해져서 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첫 번째 가설(First Postulate)로 알려진 에테르에 대한 아이디어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에테르의 끌림(dragging) 현상 또는 움직임을 조사해보기 위해 몇 가지 실험이 행해졌다. 해머(Hammer,1935)는 간섭계 팔의 한쪽을 큰 두개의 납 블록으로 양쪽을 감싸게 설계하였다. 만약 에테르 바람의 끌림 현상(dragging)이 질량에 의해 나타난다면, 납 블록의 질량은 에테르 바람의 끌림 현상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컸으나 실험결과 아무런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walter‘s emitter 이론(ballistic 이론)은 에테르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론으로, 상기 실험의 결과들과 일치하고 보다 직관적이고 모순적이지 않았다. 그의 이론은 두 번째 가정 (Second Postulate)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이론에 의하면, 연성(binary stars)에서 나온 빛을 간섭계에 의해 측정할 시 몇 가지 명백한 광학적 효과를 가져야 하나, 실제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만약 두 번째 가정(Second Postulate)이 참이라면, 빛의 속도에 별의 이동속도가 더해져서 간섭무늬 주름(fringe)의 모양변화가 일어나야 하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Sagnac 실험은 실험 장치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테이블위에 놓아 빛의 궤도가 영역을 포함하도록 개선하였다. 이 실험은 빛이 실험장치의 한쪽방향으로 도는 경우와 그 반대 방향으로 도는 경우에 이동거리의 차이가 있으므로, Ritz의 ballistic 이론 등이 성립하는지 직접적으로 시험해 볼 수 있다. Ritz의 이론에 따르면 광원과 탐지기(detector)사이의 알짜 속도(net velocity)는 0이기 때문에 간섭무늬 주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험에 의해 간섭무늬 주름의 변화가 나타났고 그로인해 ballistic 이론은 포기되었다. 오늘날에는 이 주름-편이 현상(fringe-shift effect)이 레이저 자이로스코프에 사용된다. 주름-편이 현상(fringe-shift effect)은 로런츠-피츠제럴드 수축(Lorentz–FitzGerald contraction) 또는 길이 수축이라고 불리는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 이 물리 법칙에 따르면, 움직이는 모든 물체는 길이 수축을 한다고 한다. 따라서 빛이 한쪽 팔에서 더 느린 속도로 운동을 하더라도, 동시에 빛이 이동하는 팔의 길이가 수축하여 상기효과(시간팽창효과)를 무효화 시킨다. 1932년 Kennedy-Thorndike 실험에서는 마이컬슨-몰리 실험장치의 한 쪽 팔을 다른 팔보다 더 짧게 하여 splitter에 의해 나뉜 빛이 각각 이동하는 거리를 다르게 하였다. 이 경우에 시간팽창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지구의 이동속도의 변화에 의해 간섭무늬 주름(fringe)의 모양변화(shift)가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고, 이는 상대성이론의 핵심인 길이 수축과 시간 팽창 이론을 증명해주는 결과였다. 에른스트 마하는 상기 실험 결과들이 에테르의 부존재를 증명하는 것이라고 처음으로 주장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 가설로부터 로런츠-피츠제럴드 수축을 유도해냈다. 그러므로 그의 특수상대성이론은 상기 실험의 결과(간섭무늬 주름의 변화가 없는 결과)와 일관되는 것이었다. 오늘날에는 특수상대성이론이 마이컬슨 몰리 실험의 간섭무늬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결과에 대한 해답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이러한 점이 널리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늦게는 1920년대까지 심지어 아인슈타인 자신도 에테르에 대해 '무게를 잴 수 없는 매질이 아닌 실체를 지닌 무엇' 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Trouton-Noble 실험은 마이컬슨-몰리의 광학적 실험에 대응되는 정전기학적 실험이었다. 그러나 이 실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충분한 감도(sensitivity)를 지닌 실험인지는 논란이 있다. 한편 1908년 Trouton-Rankine 실험은 Kennedy-Thorndike실험에 대응되는 정전기학적 실험으로 놀라운 감도(sensitiviy)를 지닌 실험이었다. = = 다른 설명 = = Proceedings of the Natural Philosophy Alliance라는 제목의 간행물에서 고전적인 도플러 효과로 마이컬슨-몰리 실험의 결과(간섭무늬의 주름 모양변화가 없는 결과)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것도 설득력있는 해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실험은 마이컬슨 간섭계 실험이라는 또다른 명칭을 가지고 있다. = = 중력 파동 측정에의 응용 = =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중력파동이 존재한다고 예측하였다. 하지만 2006년까지 이들 파동은 오직 간접적으로만 관측되었다. 최근에 LIGO 와 VIRGO 등의 중력 파동을 직접적으로 관측하기 위하여 매우 예민하고 킬로 미터 크기의 마이컬슨 간섭계(Fabry-Perot 간섭계와 결합되어 사용됨)가 이용되고 있다. LISA 프로젝트는 NASA와 ESA의 공동 미션으로 50만 킬로미터 길이의 마이컬슨 간섭계 3개를 우주공간에 띄워 낮은 주파수의 중력 파동을 관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에드거 카스틸로 = 에드거 에드워도 카스틸로 카릴로(, , 1986년 10월 8일 ~ )는 멕시코계 미국의 축구 선수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이후에는 현재까지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있다. = 유에역 = 유에역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타는 곳 = = 1 ■ 나가사키 본선 (상행) 히젠카시마 · 히젠야마구치 · 사가 · 도스 방면 2 ■ 나가사키 본선 (하행) 이사하야 · 나가사키 방면 3 ■ 나가사키 본선 (대피 열차등) (대피 열차등) = = 이용 현황 = = 연도 하루 평균 승차 인원 2000년도 331 2001년도 314 2002년도 304 2003년도 296 2004년도 309 2005년도 306 2006년도 288 = = 역 주변 = = 이사하야 시청 다카키 지소 야마토 운송 이사하야유에 센터 = 분류:브라질-카타르 관계 = = 네스타 = 네스타(Nesta)는 다음을 가리킨다. 알레산드로 네스타(Alessandro Nesta, 1976년 ~ )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네스타 카터(Nesta Carter, 1985년 ~ )는 자메이카의 육상 선수이다. 네스타 쿠퍼(Nesta Cooper, 1993년 ~ )는 캐나다의 배우이다. = 센노 리큐 = 센노 리큐(, 1522년 ~ 1591년 4월 21일)는 일본에서 일본다도를 정립한 것으로 유명한 역사적 인물이다(승려, 정치가). 특히 와비챠(わび茶, 草庵の茶) 전통의 원조가 되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다조(茶祖)라 부르기도 한다. 조화와 존경, 맑음과 부동심을 의미하는 화경청적(和敬淸寂)의 정신을 강조하여 차마시는 것을 단순한 마시는 행위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로서 차도를 만든 사람이다. 리큐는 오늘날 오사카 지방인 사카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릴적 이름은 '요시로'였다. 58세때 오다 노부나가의 다도 스승이 되었으며 그가 죽은 이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도 선생이 되었다. 1585년의 오기마치 천황을 위해 일본 황궁에서 연 다도회에서 코지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는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총애를 받았으며 그를 위해 크고 작은 다도회를 열었다. 하지만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고언(古言)을 하다 미움을 사게 되어 사형을 명받아 1591년 2월 28일, 주라쿠 다이에서 할복하였다. 그의 죽음 이후에도 일본다도는 17세기를 거쳐 자손들과 제자들에 의해 계승되며 귀족층과 일본 중산계급에도 널리 보급되게 된다. = = 와비 = = 센노 리큐는 간소하고 차분한 일본의 미의식인 와비(侂び)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의 와비(侂び)를 구현하기 위해 다도는 작은 족자 하나와 꽃 한 송이 꽂힌 꽃병 이외엔 아무 장식이 없는 작고 수수한 다다미 2장짜리 다실과 또한 소박하지만 기품 있는 다기들을 가지고 행하는 문화적 행위였다. 리큐는 이러한 미의식 추구를 바탕으로 차 달이기의 의례적인 측면, 다회의 진행순서, 회석요리 등을 양식화하여 다도를 확립한다. = = 다도와 조선 도자기 = = 당시 일본은 좋은 도자기를 만들어내지 못하였고 중국산 도자기는 지나치게 화려하여 소박한 미를 추구하는 일본 다도에 적절하지 않았다. 그래서 조선에서 만든 도자기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는데, 임진왜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략하였을 때 조선 도공들을 납치하고 조선 백자를 수집하는 데 혈안이 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정작 센노 리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출병을 반대했는데, 이는 출병이 실질적으로 그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던 세상의 균형이나 평화의 미학에 반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정작 스님으로서 리큐가 설파했던 다도속의 이상향은 히데요시의 정치적 목적과 현실에 대치되어서 크게 미움을 사게 된다. 리큐가 자결을 하도록 명령받은 이유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으나 리큐가 히데요시의 출병을 만류했던 것은 비교적 분명하게 사료로 남아있으며 자결을 하도록 명을 받은 이유로도 추정되고 있다. 이후 리큐의 다도는 그 제자들에 의해 여러 문파로 갈라져서 일본에서 발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막부와 왕가의 모든 귀족들은 다도는 할 수 없어서는 안 되는 교양이 되었다. 조선의 도자기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원했던 이유중에는 당시 일본에서는 자체적으로 고령토나 백토의 산지를 찾지 못하고 있었으며 수요는 극에 달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동아시아에서 일본은 비교적 늦게 도자기가 발달했는데, 정작 다도는 융성하고 있었다. 게다가 17세기에 도자기는 엄청난 가치가 있었다. 일본의 당대 기록에 따르면 하급 무사의 토지와 녹봉 전체가 다완(茶碗) 하나의 가치와 맞먹었을 정도였다. 따라서 일본의 다도 예절 중에 다도 도구를 감상하는 시간이 있는 것은 당대 다도구들이 모두 예술품이고 엄청난 고가의 제품들이었기 때문이기에 어찌보면 당연하달 수 있겠다. 오다 노부나가 시절에 일본과 교류하기 시작한 네덜란드 상인들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였는데 이 당시로부터 이후 백년간 유럽에서는 고령토를 생산하지 못 했고 중국은 이를 이용해서 막대한 수출액을 챙기고 있었으며, 교역상대역시 중국측에서 고를 수 있었다. 중국의 주요 교역국이 되지 못 했던 네덜란드는 대체품을 원하고 있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일본의 도공들에게 중국에서 들여온 고령토를 쥐어주고 생산을 하도록 시키게 된다. 그리고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의 도공들을 가족까지 모두 잡아가서 도자기를 만들도록 시킨다. 일본에 건너간 조선 도공들은 규슈로 이주해 도공 마을에 한데 묶여 감시를 받으면서 막부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했던 고령토를 이용해서 초기 일본 도자기를 만들었고 이삼평과 심수관 등의 이주 도공들은 규슈에서 고령토를 찾아낸 이후 일본의 도자기는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들의 상품은 네덜란드에 고가에 판매되어 막부에 막대한 수익을 남기게 되었다. 막부는 특히 이도 다완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도다완으로 정부 인증을 붙여 고가에 판매하여 규슈는 도자기 산지로서 명성을 떨치게 된다. 일본의 판화를 세계에 알렸던 1867년 파리만국박람회에 일본이 도자기를 출품했던 것을 보면, 당대의 일본이 무엇으로 유럽에 알려져 있었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일본의 도예가 발전한 것에 대한 치하 이유로 귀화를 한 많은 도공 일가에 대해 막부는 무사의 지위를 주고 비교적 윤택한 삶을 누리게 했다. 그러나 이와는 별도로 차별대우와 감시는 여전해서, 이도 다완에는 숨어서 하는 외출에 대한 이야기나 고향을 그리는 시같은 것들이 적혀있는 경우가 왕왕있다. 메이지 시대 말까지 귀화하지 않은 조선 도공들의 후손들은 자신의 영지이자 마을을 떠날 수가 없었다고 하며 그럼에도 상당수가 귀화하지 않고 조선인으로 살았으며 이들은 도공 이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현재 14대째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심수관요는 일본의 대표적인 이도다완이며 현재 한일 민간 외교사절이자 주한 가고시마 대사관 역할을 겸하고 있다. = = 관련 작품 = = 《불멸의 이순신》 (KBS1, 2004년~2005년, 배우:정욱) = = 참고 서적 = = 다도와 일본의 미 - 한림신서일본학총서 17, 야나기 무네요시 지음, 김순희 옮김, 소화, 2004년,ISBN(13) : 9788984102606 일본다도의 이론과 실기, 곤니치안 지음, 박민정 옮김, 다도사, 2007년, ISBN(13) : 9788988651117 일본 기행 조선도공을 생각한다, 최승범 지음, 신영출판사, 1994년, ISBN : 6000029702 = 국립 나가사키 원폭사망자 추도 평화기념관 = 국립 나가사키 원폭 사망자 추도 평화기념관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사망한 사람들과 그 후에 사망한 피폭자를 추모하고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시설이다. 재단법인 나가사키 평화 추진 협회가 운영 및 관리를 하고 있다. = 난초족 = 난초족(蘭草族, 학명: )은 난초아과의 족이다.Vermeulen, Pieter. In: Landwehr, J.. Wilde Orchideën van Europa 2: 556. 1977. 가장 큰 난초 족으로 1,700여 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2개의 아족, 난초아족(Orchidinae)과 해오라비난초아족(Habenariinae)으로 나뉘었으나, 이후 계통학 연구를 통해 해오라비난초아족이 난초아족에 병합되었다. 2015년 분류 체계에서는 디사난초족(Diseae Benth. & Hook.f., 1883)이 난초족에 병합됨에 따라, 난초족이 난초아족 외에도 디사난초아족, 봉선란아족, 부자란아족을 포함하게 되었다. = = 하위 분류 = = 난초아족(Orchidinae Verm.) 디사난초아족(Disinae Benth.) 봉선란아족(Brownleeinae H.P.Linder & Kurzweil) 부자란아족(Coryciinae Benth.) = CMU = CMU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카네기 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Central Michigan University) 중국의약대학(China Medical University) = 비안카 발티 = 비안카 발티(Bianca Balti, 1984년 3월 19일 ~ )는 이탈리아의 모델이다. = 분류:울릉군의 고등학교 = = 분류:구니토미정 = = 틀:올림픽 정보 부룬디 = = 사이드암 = 사이드암(Sidearm)은 야구에서 투수의 투구 동작 중 하나이다. 몸을 웅크렸다가 팔을 어깨와 수평으로 맞힌 뒤에 공을 옆으로 던지기 때문에 채찍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 = = 개요 = = 어깨 위로 던지는 오버핸드에 비해 볼끝의 변화를 강조할 수 있는 투구폼. 내리꽂는 폼이 아니기 때문에 중력의 도움을 받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디메리트를 상쇄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팔꿈치와 손목의 힘이 강조되는 점이 특징이다. 오버핸드의 경우 릴리스 포인트가 흔들리면 종 방향 제구에 난조가 오는 반면 사이드암 스로는 횡 방향 제구가 흐트러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반대로 말하면 일정 수준에 오를 경우 바운드볼 블로킹에 취약한 포수와 궁합이 좋다. 더욱이 투구법의 특성상 좌완 투수가 우타자를 상대할 때나 우완 투수가 좌타자를 상대할 경우엔 공이 먼 바깥에서부터 평행한 궤적을 그리며 다가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략 당하기 쉽다는 약점도 가지고 있다. 물론 정통파라도 좌투수가 우타자에게 약하고 우투수가 좌타자에게 약하긴 하지만 팔각도가 수평한 사이드암 투수는 그런 경향이 특히 두드러진다. 위에 언급한 약점 때문에 선발투수로 활약하기는 어려운 편이지만 선수에 따라 사이드암에서 유독 강력한 구위로 윽박지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Case By Case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좌완 선발투수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 선발투수 로테이션 레파토리를 조금이나마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방편 중 하나가 우완 사이드암 투수인지라 4이닝 이상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검증된다면 하위선발 후보로 활약할 수는 있다. 위에 설명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일정 경지에 오른 사이드암 투수는 강력한 메리트를 하나 가지고 있는데, 공을 잘 채는 사이드암 투수의 패스트볼은 포심과 투심을 막론하고 극심한 횡변화를 보인다는 점이다. 오버핸드 패스트볼이 종변화로 인해 히팅포인트가 점으로 형성되는 데에 비해 히팅 포인트가 횡선으로 형성되어 헛스윙을 이끌어내기는 어려우나 스윗 스팟을 빗겨나가는 타구를 양산해 맞춰잡는 투수로 특화되어 본인의 노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투구수를 아낄 수 있다. 여기에 어느 정도의 종변화구가 더해지면 사이드암으로서의 단점을 어느 정도 절충할 수도 있다. = = 대한민국의 사이드암 투수 = = KIA 타이거즈 - 전우엽, 박준표, 임창용, 임기영, 변시원, 박진태 두산 베어스 - 김창훈(좌완), 박민석, 이정호, 김성배, 박치국,최원준 롯데 자이언츠 - 배장호, 이재곤, 김성호, 오현택, 이강준 삼성 라이온즈 - 신용운, 권오준, 심창민, 이영욱, 임현준 (좌완) 한화 이글스 - 임경완, 정재원, 정대훈, 김재영, 강재민, 신정락 LG 트윈스 - 김선규, 신승현, 정우영, 김대유 (좌완) SSG 랜더스 - 백인식, 임치영, 조웅천, 박민호 키움 히어로즈 - 마정길, 한현희, 양현, 신재영, 김동혁 NC 다이노스 - 이재학, 원종현 KT 위즈 - 김기표, 고영표 = = 일본의 사이드암 투수 = = 모리후쿠 마사히코 (좌완) 다카쓰 신고 마스다 나오야 마쓰나가 다카히로 (좌완) 마이클 나카무라 미야니시 나오키 (좌완) = 분류:1895년 기재된 종 = = 틀:2014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라트비아 선수 명단 = = 교타자 = 교타자란 장타보다는 단타를 많이 노리는 선수나 정확하게 치는 선수 혹은 의도적으로 그러는 선수를 말한다. = = 타순 = = 주로 1, 2번으로 많이 기용하지만 3, 4, 5번으로 기용하는 경우도 있다. = = 관련 용어 = = 단중거리형 타자 중거리 타자 중장거리 타자 장거리 타자 = 포켓북 = 포켓북(pocketbook)은 다음을 의미한다. 동전 지갑 손가방 공책 페이퍼백 포켓북 인터내셔널: 포켓북 브랜드의 전자책 단말기 제조사 = 분류:중앙그리스 신화 = = 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모로코인 = = 조원국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조원국: 프로듀서 고고데이: 음악가 (본명: 조원국) = = 가공 인물 = = 마담 앙트완의 등장 인물 = 목포 보광사 석조석가여래좌상과 짓샘 = 보광사 석조석가여래좌상과 짓샘은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에 있다. 2012년 5월 21일 목포시의 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유달산 난공원의 좌측면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보광사는 1929년 10월 30일 박운계 (朴雲溪) 스님이 창건하였다. 법당 건물이 하나 밖에 없는 작은 절인데, 석조미륵상을 모시고 있다. 석조미륵상 밑에는 산고(産苦)에 효험이 있다는 ‘짓샘’이 있다. 보광사 석조석가여래좌상과 짓샘 = 틀:구인회 회원 = = 김현중 = 김현중(金賢重, 1986년 6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다. 1986년 서울특별시 송파구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가수가 되길 원했고 박정민의 소개로 SS501에 합류한다. 2005년 6월 SS501의 리더로 미니 앨범 1st SS501을 발매하며 가요계에 데뷔했다. 이후 SS501 활동과 시트콤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 영화 파이 스토리, 음악중심 MC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하며 활발한 활동을 했다. 2009년에는 드라마 꽃보다 남자에서 윤지후 역으로 출연하며 성공을 거뒀다. 이 드라마를 통해 제4회 서울드라마어워즈 인기상, 제4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제2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최고인기아이콘상 등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드라마 장난스런 키스에 출연해 MBC 연기대상 인기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DSP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이 끝나면서 키이스트로 소속사를 옮겼다. 이후 2011년 Break Down, Lucky 2013년 ROUND 3 세 장의 솔로 미니 앨범 모두 1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공했다. 2014년에는 드라마 감격시대 : 투신의 탄생 역시 좋은 성과를 거두면서 음악, 연기 두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15년 5월 12일 입대를 하였다. 2017년 2월 11일 제대를 하였다. = = 어린 시절 = = 김현중(연안 김씨)은 1986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김현중은 잠실초등학교를 다닐 당시 공부를 매우 잘했다. 그러나 잠실중학교를 다닐 때 서태지의 〈울트라맨이야〉를 듣고 서태지의 팬이 되면서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되었는데, 이 때문에 공부와 멀어지게 되었다. 중학교 시절 록 음악을 좋아했다. 실제로 중학교 3학년부터 고1때까지 밴드에서 베이시스트로 활동했었고, 베이시스트가 꿈이었다. 학교를 막 졸업할 시기 길거리 캐스팅이 되어 5인조 댄스 그룹 B2Y의 멤버로 데뷔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기획사가 합병되면서 모두 무산되었다. 결국 김현중은 SS501로 먼저 데뷔하게 되고 B2Y는 2009년 4인조 혼성 그룹으로 데뷔하게 된다. 이후 영동고등학교에 진학했지만 1학년때 가수 서태지의 영향으로 자퇴를 했고 가출도 했다. 하지만 복학을 결심하고 한양공업고등학교를 다니며 가수의 꿈을 키웠다. 또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한 기획사가 한류 프로젝트 그룹을 준비한다며 캐스팅을 했으나, 계약금 500만원을 주고 중국에서 데뷔하라는 유령회사였었다. 그러다가 아는 누나의 동생이자 후에 같은 그룹의 멤버가 되는 박정민의 소개로 DSP엔터테인먼트 오디션을 보게되고 지금의 SS501 세 번째 멤버로 합류하게 된다. = = 경력 = = = = = 2005–10: SS501 시절 = = = SS501 데뷔를 준비하기 위해 연습생 시절을 거친 뒤 2005년 6월 23일 미니 앨범 1st SS501을 발매하면서 정식 데뷔한다. 같은 해 12월 5일에는 두 번째 미니 앨범 2nd SS501를 발매하면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2005년 11월 7일부터 KBS 2 시트콤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에 윌리엄 HJ리 역할로 출연했다. 하지만 2006년 1월 음악 활동을 하기 위해 중도 하차했다. 2006년 7월에는 애니메이션 영화 파이 스토리에 맥스 목소리 역으로 출연했다. 2006년 11월부터는 브라이언과 함께 음악중심 MC를 맡았으나, 2007년 3월 일본 활동으로 인해 하차를 결정했다. 이후 간간히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하며 인지도를 쌓았다. 이후 2009년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에서 윤지후 역을 맡으며 많은 인기를 얻었다. 2010년 6월 초 김현중은 DSP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이 끝나면서 키이스트로 소속사를 옮겼다. = = = 2011–현재: 솔로 활동 = = = 이후 솔로로 활동을 시작했는데, 2011년 5월 31일 첫 솔로 앨범 발매에 앞서 선공개 싱글 〈제발 (Please)〉를 발매했다. 6월 7일에는 첫 미니 앨범이자 솔로 데뷔 앨범 Break Down을 발매했다. 동명의 타이틀곡 "Break Down"은 뮤직뱅크와 엠카운트다운에서 2주간 1위를 했고, 110,000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 7월 중순부터는 후속곡 "Kiss Kiss"로 활동을 했고, 7월 24일 인기가요를 끝으로 첫 미니 앨범 활동을 마쳤다. 한국에서 활동을 끝낸 후, 김현중은 8월 말까지 한 달간 일본, 베트남,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을 방문하는 아시아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2011년 10월 11일에는 두 번째 미니 앨범 Lucky를 발매했는데, 타이틀곡 "Lucky Guy"로 뮤직뱅크에서 컴백하자마자 1위를 했다. Lucky는 가온 앨범차트에서 두 번째로 1위를 했고,가온 앨범차트 가온 차트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5위에 올랐다. 그리고 이 앨범 역시 10만 장의 판매량을 돌파하면서 두 장의 앨범으로 200,000만 장이 넘는 누적 판매량을 기록했다. 2012년 1월 25일 김현중은 일본 데뷔 싱글 "KISS KISS/Lucky Guy"를 발매하면서 데뷔를 치렀다. 이 싱글은 첫 날에만 72,000만 장이 팔렸는데, 이는 2009년 3월 이후 일본에서 데뷔한 해외가수들의 데뷔 싱글 중 가장 높은 첫 날 판매량이였다. 이후 100,110만 장을 팔아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2위에 올랐고, 발매 첫 주 골드 인증을 받았다. 5월 16일에는 일본 콘서트 실황을 담은 DVD First Impact를 발매해 첫 주 16,000만 장을 팔아 일본 이외의 솔로 가수로는 마이클 잭슨에 이어 두 번째이며, 한국 가수로는 최초로 오리콘 주간 DVD 차트 1위를 했다. 2012년 7월 4일에는 김현중의 일본 두 번째 싱글 앨범 "HEAT"가 발매와 동시에 약 13만 8천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오리콘 데일리 차트 1위에 오르며 해외가수들 중 첫 날 가장 높은 판매량을 올린 싱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위클리 차트 에서도 약 18만 3000장 판매고를 기록하며 위클리 차트 역시 정상에 등극했다. 2013년 6월 5일에는 세 번째 일본 싱글 "TONIGHT"을 발매해 첫 주 11만 6000장을 기록해 1위를 하면서 한국 솔로 가수로는 최초로 3개 싱글 연속 10만 장 돌파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3년 7월 18일 김현중은 새 앨범 발매에 앞서 박재범이 피처링으로 참여한 "Unbreakable" 뮤직비디오와 음원을 공개했다. 7월 22일에는 세 번째 미니 앨범 ROUND 3를 발매했다. = = 자선 활동 = = 2010년 김현중은 필리핀 자선 콘서트의 수익금을 필리핀 미혼모와 그 가정을 위해 쓰이도록 기부했으며, 콘서트 전에 필리핀의 AHF(Abiertas House of Friendship) 사이트를 방문해 아이들 사정을 보고는 아무도 모르게 기부금 100만 페소(한화 약 2,580만원)를 기부하였고, AHF는 이 기부금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한 학교 건물을 지는 데 사용하고 건물 이름을 '김현중'이라 명명했다. 2011년 김현중은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일어나자 일본 소속사 디지털어드벤처측에 1억 원을 기부했다. 이후 대중과 소속사에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일본 후쿠시마현 요쓰바보육원에 5000만원, 대한적십자사에 5000만원, 사랑의연탄나눔운동에 5000만원 총 1억 5천만 원을 기부했다. 2012년 8월에는 팬클럽이 아름다운재단의 "홀로 사는 어르신을 위한 무더위 캠페인"에 참여해 1000만원을 기부했다는 소식을 듣고 같은 캠페인에 자신도 5000만 원을 기부하면서 총 6000만 원을 기부했다. 2013년 5월에는 쓰촨성 지진 피해자들을 위해 리롄제가 설립한 자선단체 원 파운데이션 재단에 1억 원을 기부했으며 기부 자선 콘서트에도 참가했다. 또 환경 캠페인에도 자주 참여하고있는데, 2010년 판매 수익금을 유엔환경계획(UNEP) 한국위원회의 지구환경프로그램(GEP)에 전액 기부하는 키이스트의 두 번째 환경 캠페인 에코 캘린더에 참여했다. 2012년 6월 13일에는 서울에서 열린 행텐코리아 SAVE THE EARTH 리폼 클래스 환경 캠페인에 직접 참여했다. = = 음반 목록 = = 제목 음반 정보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가온 앨범 차트 판매량 제목 음반 정보 주간 월간 연간 판매량 Break Down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발매일: 2011년 6월 7일 레이블: CJ E&M 1 1 9 114,642 Lucky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발매일: 2011년 10월 11일 레이블: CJ E&M 1 2 10 101,705 ROUND 3 포맷: CD, 디지털 다운로드 발매일: 2013년 7월 22일 레이블: CJ E&M 2 5 20 111,776 2011: "Marry Me" 2013: "나 살아있는 건" 2013: "Unbreakable" 2014: "HIS HABIT" OST : 드라마《꽃보다 남자》 OST Luxury Edition - 내머리가 나빠서 (솔로곡) OST : 드라마《장난스런 키스》 OST - One More Time (솔로곡) OST : 드라마《결혼의 꼼수》 OST - 그대도 나와 같다면 (솔로곡) OST : 드라마《감격시대》 OST - 오늘이 지나면 (솔로곡) 2shai〈그녀... 웃었다〉 이루〈까만안경〉 김준〈준비 O.K〉 거미 〈남자라서〉 완.두.콩 (작사 2009년 10월 SS501 Rebirth) Do You Like That (작사 2011년 10월 Lucky) Marry Me (작사 2011년 12월 Marry Me) Marry You (작사 2011년 12월 Marry Me) HAZE (작사,작곡,편곡 2017년 11월 HAZE) NEW WAY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WHY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LOVE SONG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MISERY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TAKE MY HAND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四季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ASTRAEA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SO WHAT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PARADISE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WAIT FOR ME (작사,작곡,편곡 2019년 2월 NEW WAY) 포장마차에서 (작사,작곡,편곡 2019년 8월 SALT) 널 지워간다 (작사,작곡,편곡 2019년 8월 SALT) Bark Matic (작사,작곡,편곡 2019년 8월 SALT) What Are We Fighting For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물구나무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I'm a Million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Green Light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Pure Love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Oasis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변심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이별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THIS IS LOVE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A Bell of Blessing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You are a Miracle (작사,작곡,편곡 2020년 10월 A Bell of Blessing)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05 MBC 논스톱 5 김현중 카메오 2005~2006 KBS2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 윌리엄 HJ리 2009 KBS2 꽃보다 남자 윤지후 2010 MBC 장난스런 KISS 백승조 2011 KBS2 드림하이 기린예고 출신 톱스타 특별출연 2014 KBS2 감격시대 : 투신의 탄생 신정태 2018 KBS W 시간이 멈추는 그때 문준우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6 파이 스토리 맥스 더빙 = = = CF = = = 롯데면세점 핫썬치킨 한국코카콜라 DK사이다 = = 수상 경력 = = 2014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최다 검색 한국 남자 연예인상' 2013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올해의 인기 검색 한국 아티스트상' 2013년 - 日'한류 10주년 대상'남성 솔로 그랑프리 수상 2013년 - 제5회 오키나와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2013년 - 크리에이터즈 팩토리 시상식 (럭키가이 Lucky Guy) 2012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10년 인기 대상' 2012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아시아 최고 영향력을 지닌 아티스트상' 2012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홍콩에서 최고 영향력을 지닌 아티스트상' 2012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대만에서 최고 영향력을 지닌 아티스트상' 2012년 - 중국 모바일 음악 시상식(MIGUHUI AWARDS)에서 최고 인기 해외 가수상 (연간모바일 통계로 선정하는 중국최대음악상) 2012년 - 올케이팝 어워드 남자 솔로 아티스트상 2011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대만 네티즌 선정' 선정 최고 아티스트상 2011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홍콩 네티즌 선정' 선정 최고 아티스트상 2011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아시아 최다 검색 인기 대상' 2011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K-POP 버즈 싱글 아티스트상' 2011년 -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남자가수상 2011년 -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기아 소울 피플스초이스 2011년 - '2011 MTN 방송 광고 페스티벌' 그랑프리 남자 CF 모델상 2010년 - MBC 연기대상 인기상 (장난스런 키스) 2010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the best searched 상 2010년 -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시청자선정 최고인기아이콘상 2010년 - Mnet 20's Choice 워너비스타, 가장 영향력있는 스타 2009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국내/대만 네티즌 선정 최고 남자스타상 2009년 - 야후! 아시아 버즈 어워드 아시아 최고 남자스타상 2009년 - 제2회 코리아 주니어 스타 어워즈 TV드라마부문 신인상 (꽃보다 남자) 2009년 -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시청자선정 최고인기아이콘상 2009년 - 서울 드라마 어워즈 2009 남자부문 인기상 (꽃보다 남자) 2009년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인기상 (꽃보다 남자) 2008년 - MBC 방송연예대상 시청자가 뽑은 베스트커플상 (with 황보) 2008년 -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상 2008년 - MBC 방송연예대상 베스트 브랜드상 = = = 가요 프로그램 1위 = = = 연도 수상 내역 (총 5회) 2011년 (총 5회) Break Down (총 4회) 6월 1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6월 17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6월 23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6월 24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Lucky Guy (총 1회) 10월 21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 분류:변광성 = = 성산가야 = 벽진국(碧珍國), 통칭 성산가야(星山伽倻)는 경상북도 성주(星州) 부근에 있던 가야의 소국이다. 벽진가야(碧珍伽耶)라고도 하며 육가야 중 하나다. 가락국 시조 수로왕(首露王)과 함께 구지봉에서 태어난 6명의 동자 중에서 다섯째 김벽로(金碧露)가 건국하였다. = = 역사 = = 본래 성산가야에서는 벽진국이라는 독립소국이 있었다가 4세기 말 이후 힘이 약해져서 신라 영향권에 편입되었고, 결국 6세기 초에 완전히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한다. 성산가야의 수도는 현재의 경상북도 성주였다. = = 국명 = =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 성산가야를 벽진가야라고 했는데, 이는 성주군 벽진면의 지명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성산이라는 지명은 현재 고령군의 한 면으로서 성산면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지리적 위치로 보아 지금의 성산은 고령가야의 영역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므로, 오해를 막기 위해 성산가야는 벽진가야로 부르는 것이 옳을 듯하다. 벽진(碧珍)의 ‘珍’은 옛 지명에 쓰인 ‘돌’·‘들’의 한자 표기이다. 그러므로 벽진가야는 ‘벽들가야’ 또는 ‘벼들가야’였을 것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성산가야를 “지금(고려 초)의 경산(京山)”이라고 하였다. 경산은 오늘날 성주군의 중심인 성주읍에 있는데, 옛 지명인 경산부(京山府)가 그대로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벽진가야는 지금의 성주군을 중심으로 한 가야였음을 알 수 있다. = = 역대 국왕 = = 성산가야의 왕 세계는 김영창의 『6가야국사실록』에 1세 벽로왕, 2세 니차왕, 3세 유충왕의 기록만 전해지고 있다. 대수 제호 재위 비고 1 벽로왕(碧露王) 42년 ~ ? 성산가야의 건국 시조 2 니차왕(尼次王) 3 유충왕(幼沖王) ? ~ 400년경 성산가야의 마지막 국왕 = NTU 프로그램 = NTU (New Threat Upgrade)은 기존 순양함 및 구축함의 능력을 개선하고 현대화하여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미 해군 프로그램이다. 그것은 당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600척 해군 계획 의 핵심 요소였다. = = 역사 = = = = = 냉전 소요 = = = 80년대 말, 냉전이 사실상 종식되던 시기의 미 해군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같은 낡은 군함들이 있었다. 80년대엔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같은 이지스함들이 개발돼 있었고 미국은 이런 기술이 있었지만, 대다수의 퇴역함들이 문제였다. 이들은 이지스함보다 대공능력이 떨어졌는데도 매우 많은 숫자들였고, 이들을 교체하자니 예산도 많이 들었다. 당시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군비삭감을 했다. 따라서, 이지스함에 준하는 성능을 가진 군함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인 NTU 프로그램을 벌였다. 비유하자면, 이지스함은 새로 뽑은 스포츠카여서 성능이 우수하지만, NTU함은 폐차시킬 때가 다 된 대형차 2대의 부품을 1대에다 몰아넣어서 합체시키고 2배의 성능을 내게 하는등 개량을 억지로 해서 스포츠카의 성능을 내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 = = 추진 배경 = = = 1980년대는 미국과 소련의 군비경쟁이 격해졌던 시대였는데, 미국 경제학자들이 "GDP의 5퍼센트를 군비로 지출하면 경제에 위험신호다."라고 발언했었다. 그런데 미국은 5퍼센트였고, 소련은 15퍼센트였다. 1980년, 미국의 국방비는 2,700억 달러, 소련은 4,000억 달러였다. 80년대는 소련이 미국의 국방비를 넘어선 시대였다. 이 때문에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600척 함대 프로그램을 천명하고, NTU 사업을 밀어붙인다. 미국의 낡은 군함들을 모두 신형 기술였던 이지스함에 못지 않는 대공 방어 능력을 가진 NTU 군함으로 개조하는게 목적였다. = = = 사업 취소 = = = 1980년대에 NTU함이 본격적으로 나왔다. USS  Mahan  (DDG-42) 은 향상된 Standard Missile Two Block II (Extended Range)를 사용하여 Terrier New Threat Upgrade (NTU) 전투 시스템을 설치하고 테스트했다. 테스트는 1981년 10월부터 1985년 3월까지 지속되었었다. 그러나 냉전이 끝났고 이지스함이 오히려 가성비가 더 좋아서 사업은 취소됐다. 결국, 많은 돈을 들여 개발했던 NTU 사업의 기술과 노하우는 고스란히 ,, 으로 수출됐다. = = = 무기 수출 관련 역사 = = = = = = = 대만 = = = = 에 수출된 NTU함은 키드급 구축함이다. 원래 에게 수출될 예정이었으나, 친미정부인 팔레비 왕조가 혁명으로 실권하고, 이란이 반미국가로 돌아서자, 미국은 이란행을 취소하고 대만에게 판매했다. 256개 목표물을 탐지하고 10개의 표적을 동시에 미사일 조준할 수 있기 때문에 10개의 공중표적이 공격해올지라도, 맞서 싸울 수 있다. 동시교전능력이 10개다. 대만은 2020년대에도 키룽급이라는 이름으로서 키드급 구축함을 운용중이다. = = = = 이란 = = = = 은 친미정부인 팔레비 왕조일 때, 미국에게서 그 당시 최고급 무기를 구매했다. 페르시아만을 국방하기 위한 방공구축함 6척을 주문했으나, 미 의회에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건조 인프라 재가동을 반대해서 4척으로 축소하고 대신,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여러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조한 키드급 구축함을 개발해냈다. 70년대~80년대 당시 지금의 F-22 랩터와 비견되는 세계최강의 전투기로 평가받았던 F-14 톰캣도 70대 구매했다. 그러나 이란 혁명이 터지고 친미정부인 팔레비 왕조가 무너지고, 반미정부가 드러서자 미국은 키드급 납품을 취소한다. 대신 F-14 톰캣 70대를 보유하는데 성공한 이란은 1980년대 당시 중동 지역에서 최강의 공군력을 갖게 됐다. = = = = 한국 = = = = 에겐 KD-2, 즉,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에 이 기술이 적용됐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대공능력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적이 끊이질 않는데, 레이더 AN/SPS-49는 지도상의 2차원 표적 위치 밖에 알 수 없어서 높이를 모르며, STIR-240 레이더는 높이를 잴 수 있으나, 원래 STIR-240이나 STIR 레이더는 탐지가 목적이 아니라 사격통제 레이더라서 조준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춘 장비다. 더불어 탐지거리도 100km에서 130km 내외다. 따라서 한 번에 1개 표적 밖에 탐지를 못 하는데다 배 1척에 STIR 2개가 전부다. 동시교전능력은 20km~100km 거리에서는 2개 밖에 안 된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으로부터 20km 거리까지 표적이 접근해 들어오면, 3차원 탐지가능한 MW-08 레이더가 최대 100개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지만, 문제는 20km까지 적의 비행체가 들어온다는 시점에서 이미 매우 위험하고 너무 불리한 상황이다. 일반 여객기나, 일반 대함 미사일, 순항미사일 같은 속도의 아음속 비행체도 1분에 15km는 간다. 20km 거리에서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이 요격에 실패할 경우, 남은 시간은 80초 내외정도다. 방공구축함이 요격 미사일로 대공 요격 교전을 하는 과정인 아래와 같은 여러개의 대공 탐색 레이더로 공중 표적 탐지 슈퍼 컴퓨터로 여러개의 레이더 탐지정보 융합 작업 교전 스케줄을 작성해서 사격 우선순위별로 표적 정리 교전 정보 업데이트 표적 좌표 데이터를 대공 미사일에 입력해서 발사 사격통제 레이더와 지령기로 수정 데이터를 대공 미사일에 실시간 업데이트 이 과정을 80초 안에 처리해야하는 촉박함이 있다. 배에 부딪히기 전 20초를 제외하면 60초 안에 이 작업을 처리해야 한다. 물론 구축함에 있는 슈퍼컴퓨터의 처리속도가 빠르고, 미국제 Mk 수직발사대는 10초에 4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정도로 연사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적이 20km까지 접근한 시점에서는 10개 이상의 표적과 동시교전할 수 있다. 하지만 대만과 호주가 쓰는 NTU기술로 기반된 군함들은 100km 거리에서도 적의 전투기를 상대로 1대10으로 싸울 수 있으나, 같은 조건에서 대한민국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1대2다. = = = = = 문제 있는 군함의 도입 배경 = = = =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을 도입할 당시 한국은 외환 위기였다. 거대한 군함을 건조해서 국민에게 전시하고 신뢰를 받으려면 레이더 같은 민간인, 국민들의 눈에 잘 안띄는 걸 떼서 부족한 예산을 충족하는 수 밖에는 배를 완성시킬 방법이 없었다. 전시 군대로서 = = = = = 비슷한 시기에 건조된 일본의 같은 크기의 구축함 = = = = = 무라사메급 구축함 (1994년)은 이순신급과 비슷한 시기에 건조된 군함인데, 레이더 탐지거리 400km인 OPS-24 대공 레이더와 동시교전능력 10개 이상인 FCS-2 사격통제 레이더, 미국 이지스함하고 같은 슈퍼 컴퓨터를 썼다. 실제로 무라사메급 구축함, 다카나미급 구축함이 쓰는 AN/UYQ-21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초기형도 쓰고 있다. = = 설계 = = = = = 이지스함과 NTU함의 성능 차이 = = = NTU함을 시험 평가한 결과, 대공 요격 능력에 있어, 이지스함과 동등이상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일부 성능은 이지스함보다 나은 점도 있었다. 이지스함과 NTU함의 성능 차이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 NTU 시스템 NTU 시스템 역할 부품 스펙 부품 스펙 공중 표적 탐지 AN/SPY-1 4기 전투기 크기를 450km거리서 3차원 표적 완벽히 탐지 AN/SPS-49, STIR-240 전투기 크기를 460km거리 2차원 탐지 /130km 높이 한정 탐지 탐지정보 개선 AN/UYK-43/44 1990년대 슈퍼 컴퓨터 AN/SYS-2 IADT 1980년대 슈퍼 컴퓨터 사격 우선순위 정리 AN/UYQ-70 WDS Mk.14 교전 정보 업데이트 AN/UYQ-70 Mk.74 GMFCS 대공 미사일 발사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 사격 통제 레이더 AN/SPG-62 2기 305km 탐지, STIR-240 2기 130km 탐지, = = = NTU함들의 실제 부품 = = = NTU함들의 실제 부품 NTU 시스템 키룽급 키룽급 이순신급 역할 부품 부품 스펙 부품 공중 표적 탐지 AN/SPS-49, STIR-240 AN/SPS-48E 450km 3차원 대공탐지 AN/SPS-49, STIR-240 탐지정보 개선 AN/SYS-2 IADT AN/SYS-2 IADT AN/SYS-2 IADT 사격 우선순위 정리 WDS Mk.14 WDS Mk.14 WDS Mk.14 교전 정보 업데이트 Mk.74 GMFCS Mk.74 GMFCS Mk.74 GMFCS 대공 미사일 발사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 사격 통제 레이더 STIR-240 2기 AN/SPG-60 1기, AN/SPG-51D 2기, 10개 동시교전 STIR-240 2기 = = = 이지스함들의 실제 부품 = = = 이지스함들의 실제 부품 이지스함 알레이버크급 세종대왕급 세종대왕급 무라사메급 (일본형 이지스함) 무라사메급 (일본형 이지스함) 역할 부품 부품 부품 스펙 부품 스펙 공중 표적 탐지 AN/SPY-1 4기 AN/SPY-1 4기 AN/SPY-1 4기 450km 탐지 OPS-24 1기 440km 탐지 탐지정보 개선 AN/UYK-43/44 AN/UYK-43/44 AN/UYK-43/44 90년대 슈퍼 컴퓨터 OYQ-9, AN/UYK-43 90년대 슈퍼 컴퓨터 사격 우선순위 정리 AN/UYQ-70 AN/UYQ-70 AN/UYQ-70 AN/UYQ-21 교전 정보 업데이트 AN/UYQ-70 AN/UYQ-70 AN/UYQ-70 AN/UYQ-21 대공 미사일 발사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 사거리 170km, 20G 기동 RIM-162 ESSM 사거리 50km이상, 50G 기동 사격 통제 레이더 AN/SPG-62 2기 AN/SPG-62 2기 AN/SPG-62 3기 16개 동시교전 FCS-2 2기 8개 동시교전 이지스 소프트웨어 베이스라인7 베이스라인7 = = = = 이지스 소프트웨어 = = = = 현대의 많은 첨단 무기들이 그렇듯이 이지스함 역시 소프트웨어가 대단히 중요하다. 일본은 이지스함 전용 소프트웨어를 미국에 수출까지 하는 나라인데, 일본의 이지스함들에도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 세종대왕급 BATCH-1 구축함(베이스라인7) - 무라사메급 구축함(베이스라인3) - 아타고급 구축함(베이스라인7) - 곤고급 구축함(베이스라인4 혹은, 5) - 세종대왕급 BATCH-2 구축함(베이스라인9) - 추가건조 아타고급 구축함(베이스라인9) = = = 가격대 성능비 여부 = = = 해군은 자본주의적인 군대다. 미국,일본,중국같은 세계 경제 3위권 경제대국들이 방공구축함 보유량 역시 세계 3위권인건 우연이 아니다. 소련도 1950년대 당시, 미국하고 대등한 항공모함을 건조하여 경쟁하는게 불가능하다는 군 내부의 목소리가 올라올 정도로 소련의 경제력으론 미국 해군과 정상적인 경쟁이 불가능했다. 미국 경제력의 30%도 안되는 소련으로선 독일처럼 잠수함같은 비대칭 전력으로 경쟁하는 것만이 싸울 방법이었다. 1980년대 레이건 정부가 한 NTU 사업의 본연의 목적은 바로 가격대 성능비에 있다. 기존의 구형 구축함들을 유지보수만 잘 해준다면 업그레이드 한 번으로 21세기까지 쓸 생각였다. 레이건 대통령의 600척 해군 계획을 실현시켜주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계획였다. = = = = 건조비용 = = = = - 아키즈키급(레이더 5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8천억원(700억-750억엔,건조연도 2010-2012년) - 무라사메급(레이더 4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6천억원(609억 3천만엔엔,건조연도 1994-2000년) - 아사기리급(레이더 4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4천억원(432억 7천700만엔,) - 충무공이순신급(레이더 17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5천억원~7천억원(건조연도 2002-2006년) - 세종대왕급(레이더 45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9천억원~1조원 (건조연도 2007-2011년)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I(레이더 45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6천억원(건조연도 1991-1997년)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III(레이더 2,0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1조 8천억원 - 055형 구축함(레이더 4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1조원(200억위안) - 45식 구축함(레이더 400km 탐지급 성능) 1척 건조비 : 1조 8천억원 = = = = 세종대왕급의 한척당 연간유지비 (2013년 자료) = = = = KDX-III(세종대왕급) : 514억원 KDX-II(충무공이순신급) : 63억원 KDX-I(광개토대왕급) : 57억원 = 다치바나촌 (효고현) = 다치바나촌은 효고현 가와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아마가사키시에 해당한다. = 분류:태국 주재 미국 대사 = = 노섬벌랜드군 = 노섬벌랜드군 또는 노섬벌랜드 카운티(Northumberland County)는 다음을 의미한다. 노섬벌랜드군 (펜실베이니아주) 노섬벌랜드군 (버지니아주) = 분류:1961년 기재된 종 = = 고추 (종) = 고추(학명: )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고추속 식물 가운데 가장 흔히 재배하는 종이다. 온대지방에서는 겨울에 죽기 때문에 한해살이 식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 = 분포 = =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북아메리카(멕시코, 미국), 카리브해(과들루프, 그레나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마르티니크, 몬트세랫, 바베이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앵귈라, 자메이카, 케이맨 제도, 푸에르토리코),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니카라과, 벨리즈,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남아메리카(콜롬비아)가 원산지이다. = = 종내 분류군 = = Capsicum annuum var. glabriusculum (Dunal) Heiser & Pickersgill = = 생태 = = 키는 60~90 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은 길둥글고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 다섯 갈래로 옅게 찢어진 흰 통꽃이 핀다. 열매는 장과로서 길둥근 모양이고, 처음에는 짙은 녹색이나 익어 가면서 점점 붉어지며 껍질과 씨는 매우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 = 재배 = = 열대 아메리카,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서 집중적으로 작물화되어 재배되었다. 한국에서는 녹광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 할라페뇨고추가 주로 재배된다. 한반도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지역의 기후적 특징과 토양의 비옥도를 고려하여 식재 간격을 조절한다. 고추는 일반적인 경우 약 40센티미터 간격으로 심으면 좋다. 온도가 낮은 지역은 수확기간이 짧으므로 밀식하여 일정한 수확을 노리는 것이 좋다. 즉 많은 수의 모종을 약 20센티미터 간격으로 심어 두세번 수확하고 마치는 것이다. 지주대의 높이는 심는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설치 간격은 1.2 미터 정도가 적당하다. = = 재배종 = = 매운 고추와 맵지 않은 단고추가 재배되며, 다음과 같은 재배종이 있다. = = 쓰임 = = 열매는 식용하거나 조미료 등으로 쓰이고, 고춧잎은 무쳐서 깻잎처럼 먹는다. = 데이터 뱅크 = 전기 통신, 컴퓨팅, 정보 아키텍처에서 데이터 뱅크 또는 데이터뱅크는 하나 이상의 주제에 관한 정보의 저장소, 즉 데이터베이스로서, 로컬 또는 원격의 정보 검색을 용이케하는 방식으로 정리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적인 수많은 쿼리들을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뱅크는 중앙집중화하거나 탈집중화 할 수 있으나 이 용어를 사용할 때 대부분의 경우 금융은행과 유사한 중앙집중화된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을 의미한다. 데이터 뱅크의 데이터는 전 세계 온도 등의 과학 정보, 인구 통계 등의 정부 정보, 신용 카드 거래 등의 금융 시스템 기록, 다양한 공급업체로부터 사용 가능한 인벤토리 등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데이터 뱅크"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및 유지보수와 주로 관련된 단체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데이터 뱅크"라는 용어는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를 가리키는 구식의 컴퓨터 자곤이기도 하며(1960년대부터 1970년대) 해당 시기에 작성된 자료에 주기적으로 사용되었다. = = 출처 = = *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en:Houghton Mifflin, 2000. = 분류:청벌과 = = 크리스토퍼 홀든 = 크리스토퍼 홀든(Christopher Holden, 1974년 12월 26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데스 정션 (1994년) 피노키오의 새로운 모험 (1999년) 펠리시티 (드라마) (2005년) - 조감독 사일런트 힐 (영화) (2006년) - 조감독 = 정찬 = 정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정찬(丁贊, ?~?)은 고려의 무신이다. 정찬(1953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정찬(1971 ~ )는 대한민국의 배우다. 정찬(正餐)은 식당에서 값을 정해 놓고 파는 식사이다.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는 아제르바이잔의 통화이다. ISO 4217 부호로는 AZN이다.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10년에서 1923년까지 독자적인 화폐를 발행했다. = = 어원 = = "마나트"(manat)라는 단어는 페르시아어 "munāt"와 "동전"을 뜻하는 러시아어 "монета"(모네타)에서 유래했다. 아제르바이잔어와 투르크멘어에서는 소련 통화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 = 첫 번째 루블, 1919–1923 = =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과 그 뒤를 이은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19년과 1923년 사이에 자국 통화를 발행했다. 아제르바이잔어에서는 마나트(منات)로, 러시아어에서는 루블(рубль)로 불렸으며, 지폐에는 두 언어로(때로는 프랑스어로도) 쓰여 있었다. = 백룸 = 백룸은 무작위로 생성된 방들이 끝없이 나열된 미로를 묘사하는 도시전설 및 크리피파스타이다. 젖은 카펫의 냄새, 노란 단색 톤의 벽, 윙윙거리는 형광등이 특징이다. 네티즌들은 백룸의 여러 "레벨"과 여기에 거주하는 "엔티티(entity)"를 창작하며 이 개념을 확장했다. 백룸의 개념은 "불안하게 만드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포챈 게시물에서 나왔는데, 여기서 한 익명 사용자는 업로드된 사진 중 하나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창작했다. 백룸은 리미널 스페이스의 사진, SCP 재단 협업 픽션 프로젝트, <Everywhere at the End of Time> 음반 시리즈 등 여러 공포 트렌드 및 미디어와 비교되었다. 이후 비디오 게임, 협업 픽션 위키, 유튜브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및 인터넷 문화로 확장되었다. = = 기원 및 묘사 = = 백룸은 2019년 5월에 포챈의 /x/ 게시판에 게시된, 불안감을 조성하는 이미지를 올려달라고 요청하는 스레드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백룸을 묘사한 첫 번째 사진이 업로드되었는데, 이는 노란색 복도의 약간 기울어진 이미지였다. 한 익명 사용자는 사진에 댓글을 달면서 "엉뚱한 곳에서 현실로부터 노클립(noclip)되었을 때" 백룸에 들어간다고 주장했다. 포챈 게시물이 인기를 얻자, 몇몇 네티즌들은 백룸 관련 공포 이야기를 창작했다. 많은 밈이 만들어지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면서 백룸은 더욱 대중화되었다. <소맥 뉴스>의 케이틀린 큐브릭은 이를 "저주받은 꿈에 대한 무서운 크리피파스타"라고 평하며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레벨 디자인과 비교했다. 백룸 사진의 원본이 촬영된 장소는 시어스의 쿠퍼티노 지점을 철거하기 직전에 찍은 사진이라고 한다. = = 영향 및 인기 = = = = = 영화 = = = 당시 16세였던 케인 파슨스 감독(유튜브 활동명 케인 픽셀스)은 2022년 1월에 <The Backrooms (Found Footage)>라는 단편 공포 영화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했다. 이는 젊은 카메라맨이 1996년에 녹화한 영상으로 소개되었고, 그가 우연히 백룸에 들어가 엔티티들로부터 도망치며 다른 레벨로 들어가는 모습을 담았다. 감독은 실사 장면과 3D 블렌더 렌더링을 모두 사용했고, 카메라 셰이크 및 VHS 필터 등의 효과도 있었다. 영화는 몇몇 평론가들에 의해 "아날로그 호러"로 분류되어 찬사를 받았다. WPST의 에리카 러셀은 이를 "인터넷에서 가장 무서운 영상"이라고 평했고, <드레드 센트럴>의 메리 맥앤드류스는 이를 <컨트롤>과 비교했다. <팝호러>의 제이 알렉시스는 감독의 나이에 놀랐고, <더 어서머>는 영화가 적은 예산으로 긴장감을 조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파슨스는 2022년 8월 24일 기준 11개의 영상 - <The Third Test>, <First Contact>, <Missing Persons>, <Informational Video>, <Autopsy Report>, <Motion Detected>, <Prototype>, <Pitfalls>, <Report>, <Presentation>, <Found Footage #2> - 을 더 업로드했다. 영상들은 "현재 및 미래의 모든 보관 및 주거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백룸을 찾고 탐색하는 가상의 에이싱크 재단(Async Foundation)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Informational Video>에서는 백룸을 프로젝트 KV31로 지칭했다. <The Backrooms>는 애플 TV+의 <세브란스: 단절>에 영향을 주었다. = = = 비디오 게임 = = = 인디 게임 스튜디오 파이 온 어 플레이트 프로덕션스는 2019년에 동명의 공포 게임을 출시했다. 이는 찬사를 받았으며, <블러디 디스거스팅>의 마이클 샌들은 이를 작가 샬럿 퍼킨스 길먼의 작품과 비교했다. <구루 게이머>의 시그마 클림은 이를 <유메닛키>와 비교하며 이 게임이 대부분의 공포 콘텐츠의 "진부하고 과도하게 사용된 모티프"와 달리 독특하다고 평했다. <PC 매거진>은 "최고의 무료 스팀 게임" 목록에서 이를 언급하며 이 게임이 상당히 짧음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어들을 "불안하게 하고 미치게 만든다"고 평했다. = 198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198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은 119번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시즌이다. = = 정규 시즌 = = 지구 우승팀 = = = 아메리칸 리그 = = = AL 동부 팀 경기 승 패 승률 승차 홈 원정 보스턴 레드삭스 162 89 73 .549 - 53 - 28 36 - 45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162 88 74 .543 1.0 50 - 31 38 - 43 밀워키 브루어스 162 87 75 .537 2.0 45 - 36 42 - 39 토론토 블루제이스 162 87 75 .537 2.0 47 - 34 40 - 41 뉴욕 양키스 161 85 76 .528 3.5 46 - 34 39 - 4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62 78 84 .481 11.0 44 - 37 34 - 47 볼티모어 오리올스 161 54 107 .335 34.5 34 - 46 20 - 61 - = = = 내셔널 리그 = = = NL 동부 팀 경기 승 패 승률 승차 홈 원정 뉴욕 메츠 160 100 60 .625 - 56 - 24 44 - 36 피츠버그 파이리츠 160 85 75 .531 15.0 43 - 38 42 - 37 몬트리올 엑스포스 162 81 81 .500 20.0 43 - 38 38 - 43 시카고 컵스 162 77 85 .475 24.0 39 - 42 38 - 43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62 76 86 .469 25.0 41 - 40 35 - 46 필라델피아 필리스 161 65 96 .404 35.5 38 - 42 27 - 54 = 라그랑주 정리 (군론) = 군론에서 라그랑주 정리는 유한군의 부분군의 크기가 원래 군의 크기의 약수라는 정리다. = = 정의 = = 임의의 군 G 및 부분군 H\le G가 주어졌다고 하자. 라그랑주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군 G의 부분군 H\le G과 이에 대한 부분군 K\le 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라그랑주 정리는 (G가 무한군일 수 있는 경우) 선택 공리와 동치이다. 물론, 유한군의 경우 이는 선택 공리 없이 증명할 수 있다. = = 증명 = = 가 전단사 함수이기 때문이다. 또한 H의 왼쪽 잉여류들의 집합 G/H는 G의 분할을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g,g'\in G에 대하여, 만약 gH\cap g'H\ne\varnothing이라면, g\in gH\cap g'H인 g\in G가 존재한다. 인 h,h'\in H를 취하면 이다. 이에 따라, G는 G/H 속 서로 다른 왼쪽 잉여류들의 분리 합집합이다. 선택 공리에 의하여, 임의의 왼쪽 잉여류 A\in G/H에 대하여, g_A\in A인 군의 원소 g_A\in G를 취하는 함수 g_\bullet\colon G/H\to G가 존재하며, 이 경우 임의의 A\in G/H에 대하여 A=g_AH이다. (G가 유한군일 경우 이러한 함수의 존재는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증명할 수 있으므로 선택 공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가 성립한다. = = 역사 = = 라그랑주는 이 정리를 1771년 논문인 방정식의 대수적 해법에 관한 고찰(Réflexions sur la résolution algébrique des équations)에서 언급하였으나 증명은 하지 않았다.agrange, J. L. (1771) "Réflexions sur la résolution algébrique des équations" (part II), Nouveaux Mémoires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et Belles-Lettres de Berlin, pages 138-254 이 정리가 최초로 완전하게 증명된 것은 이탈리아 수학자 피에트로 아바티 마레스코티(Pietro Abbati Marescotti)의 1803년 출판된 글에서였다.P. Abbati (1803) "Lettera di Pietro Abbati Modenese al socio Paolo Ruffini da questo presentata il di 16. Décembre 1802", Memorie di Matematica e di Fisica della Società Italiana delle Scienze, vol. 10 (part 2), pages 385-409. 이 정리는 이후에 코시 정리가 탄생하는 데 영감을 주기도 하였다. = 분류:1650년 작품 = = 분류:어덜트 비디오 = = 엘레나 페트로비치네고시 몬테네그로 왕녀 = 엘레나 페트로비치네고시 혹은 엘레나 델 몬테네그로(, 1873년 1월 8일 ~ 1952년 11월 28일)는 몬테네그로 왕국의 공주결혼 당시에는 아직 왕국으로 승격되기 전으로 공녀의 신분이었다이자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왕비이다. = = 생애 = = 1873년 몬테네그로 공작 니콜라 1세의 3남 9녀 중 다섯 번째 딸로 태어났다. 형제들과 함께 체티네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뒤, 러시아의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아내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보살핌을 받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공부했다. 엘레나는 1896년 10월 24일 로마의 퀴리날레 궁전에서 이탈리아의 왕위 계승자인 나폴리 공작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 결혼했다. 1900년 시아버지 움베르토 1세의 암살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가 새 국왕으로 즉위했고, 엘레나는 이탈리아 왕비 및 알바니아 왕비, 에티오피아 황후 등을 겸임하게 되었다. 1946년 왕정이 폐지된 뒤에는 이집트의 국왕 파루크 1세의 비호를 받으며 알렉산드리아에서 살았다. 1947년 남편과 사별한 엘레나는 1952년 프랑스의 몽펠리에에서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키는 180cm로 키가 크다. = 노키아 루미아 625 = 노키아 루미아 625(Nokia Lumia 625)는 4.7인치 IPS LCD WVGA(480x800) 화면에 4G 지원을 포함한 대형 윈도우 폰이다. 2013년 7월 23일 공개되었다. 윈도우 폰 8.1의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노키아의 펌웨어 업데이트 'Denim'(일부 기능 제외)의 적재가 가능하다. 노키아 루미아 1520, 루미아 1020, 루미아 925의 기능들을 가져왔다. = = 기능 = = 기능을 다음을 포함한다: 마이크로SD 카드를 통해 최대 128 GB 외부 메모리 지원 색 선택 - 블랙, 화이트 (오렌지, 그린, 옐로 반투명색과 함께) 시그너처 카메라 앱 - 스마트 캠, 시네마그래프, 파노라마 FM 라디오 = 분류:우후시 = = 다이쇼촌 (나가사키현) = 다이쇼촌(大正村)은 나가사키현 미나미타카키군에 설치된 촌이다. = 분류:핀란드의 남자 세단뛰기 선수 = = 로쿠고촌 = 로쿠고촌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로쿠고촌 (지바현) - 지바현 인바군 로쿠고촌. 현 인자이시. 로쿠고촌 (시즈오카현 슨토군) - 시즈오카현 슨토군 로쿠고촌. 현 오야마정. 로쿠고촌 (시즈오카현 시다군) - 시즈오카현 시다군 로쿠고촌. 현 시마다시. 로쿠고촌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로쿠고촌. 현 구로이시시. 로쿠고촌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로쿠고촌. 현 쓰루타정. 로쿠고촌 (미야기현) - 미야기현 나토리군 로쿠고촌. 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로쿠고촌 (아키타현) - 아키타현 센보쿠군 로쿠고촌. 현 미사토정 (아키타현) → 로쿠고정 (아키타현) 로쿠고촌 (야마가타현) - 야마가타현 미나미오키타마군 로쿠고촌. 현 요네자와시. 로쿠고촌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현 기타소마군 로쿠고촌. 현 도리데시. 로쿠고촌 (군마현 오라군) - 군마현 오라군 로쿠고촌. 현 다테바야시시. 로쿠고촌 (군마현 군마군) - 군마현 군마군 로쿠고촌. 현 다카사키시. 로쿠고촌 (도쿄부) - 도쿄부 에바라군 로쿠고촌. 현 도쿄도 오타구. → 로쿠고정 (도쿄부) 로쿠고촌 (야마나시현) -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로쿠고촌.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 로쿠고정 (야마나시현) 로쿠고촌 (시즈오카현 오가사군) - 시즈오카현 오가사군 로쿠고촌. 현 기쿠가와시. 로쿠고촌 (아이치현 니시카스가이군) - 아이치현 니시카스가이군 로쿠고촌. 현 나고야시 히가시구. 로쿠고촌 (아이치현 하즈군) - 아이치현 하즈군 로쿠고촌. 현 니시오시. 로쿠고촌 (가가와현) - 가가와현 나카타도군 로쿠고촌. 현 마루가메시. 로쿠고촌 (구마모토현) - 구마모토현 가모토군 로쿠고촌. 현 야마가시. = 분류:이탈리아-자메이카 관계 = = 1984 (동음이의) = 1984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1984 1984년 1984 (소설)(Nineteen Eighty-Four):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1956년 영화)(원제: 1984) 1984 (1984년 영화)(원제: Nineteen Eighty-Four) 1984 (광고): 애플 사의 매킨토시 광고. 1Q84: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 = 음악 = = 1984 (반 헤일런의 음반): 반 헤일런의 음반 1984 (릭 웨이크먼의 음반) 1984 (For the Love of Big Brother): 유리스믹스의 1984년 음반 = 원빈 홍씨 = 원빈 홍씨(元嬪 洪氏, 1766년 6월 22일(음력 5월 27일) ~ 1779년 6월 9일(음력 5월 7일))는 조선 정조의 첫 번째 간택 후궁이다. 정조 치세 초기 권신 홍국영의 동생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시호는 인숙(仁淑)이다. 조선 역사상 삼간택과 가례의 절차를 거쳐 처음부터 빈으로 입궁한 최초의 후궁이다. = =가족 관계 = = 원빈 홍씨의 친할아버지 홍창한은 홍봉한, 홍인한, 홍상한 등의 8촌 형으로, 조선시대의 유교 종교법과 종교법에 근거한 대전통편, 그리고 1970년 이전의 대한민국 관습법에 의하면 법적 친척이었다. 그러나 1910년 이전까지는 8촌 범위를 바로 벗어난 친척은 무복친이라 하여, 조선왕조는 사회통념상 친척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할아버지: 홍창한(洪昌漢, 1698년 ~ ?) 할머니: 유씨(兪氏) - 유두기의 딸 백부: 홍낙순(洪樂純, 1723년 ~ ?) * 사촌: 홍복영(洪福榮) 숙부: 홍낙빈(洪樂彬, 1732년 ~ ?) 아버지: 홍낙춘(洪樂春) 어머니: 우봉 이씨 오빠: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 (음력 4월 5일) 남편: 정조(正祖, 1752년 10월 28일 (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 (음력 6월 28일)) 자식 없음 양자: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 11촌 대고모: 혜경궁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 (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 (1815년 음력 12월 15일)) = =원빈 홍씨가 등장하는 작품 = =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 한중록》 - 홍성숙 2001년 MBC 드라마 《홍국영》 - 이애정 2008년 MBC 드라마 《이산》 - 황금희 (48회~59회) 2021년 MBC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 박서경 = 위차 = 위차(衛侈, ? ~ 기원전 135년)는 전한 중기의 제후로, 위위 위무택의 손자이다. = = 행적 = = 경제 후2년(기원전 142년), 아버지 위승의 뒤를 이어 악평후(樂平侯)에 봉해졌다. 건원 6년(기원전 135년), 불법으로 집과 밭을 사들이고, 또 관리에게 뇌물을 준 죄로 처형되었다. = = 출전 = = 사마천,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 반고, 《한서》 권16 고혜고후문공신표 = 20th Century Masters – The Millennium Collection: The Best of Billy Ray Cyrus = 20th Century Masters – The Millennium Collection: The Best of Billy Ray Cyrus는 2003년 3월 23일에 발매된 빌리 레이 사이러스의 음반이다. 머큐리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공손씨 = 공손씨(公孫氏)는 중국의 성씨로, 복성이다. 고대의 요동(遼東)에서 활동한 호족 집안이며, 본래 공손찬 때부터 위나라의 조씨(曹氏)와 가까웠지만 이후 공손연 때에는 위나라에 대립하다 참수되어 세력이 약화되었다. = 위키백과:도구/편집요약 상용구 = 편집 요약에 상용구를 정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사용 방법 = = 환경 설정의 “소도구” 탭의 “인터페이스 소도구”에서 편집요약 상용구에 체크를 하고 저장합니다. 자신의 사용자 자바스크립트에 아래 코드를 활용하여 설정을 추가합니다 /* = = 위키백과:도구/편집요약 상용구 = = */ window.esSummaries = [ /* ['버튼 이름', '입력될 편집 요약', '툴팁으로 뜨는 설명', '사소한 편집 여부(0/1/undefined)', '상용구 넣기 전에 요약 지우기(0/1, 생략 가능)'] 위와 같은 형식으로 새로운 버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줄을 제외한 줄 끝에 쉼표가 들어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위의 형식 대신 '텍스트'의 형태로 임의의 글을 입력하면 그 글이 그대로, 'br'을 입력하면 줄바꿈이 삽입됩니다. */ ['의견', '의견', '의견 남김', 0, 0], ['분류', '분류 수정', '분류 추가, 삭제 및 정리', 1], ['오자', '오탈자 수정', '잘못되거나 빠진 글자 수정', 1], ['정리', '문서 정리', '문서의 모양 및 구성을 정리함'], ['동음', '동음이의 링크 수정', '동음이의 문서를 가리키거나 잘못된 문서를 가리키는 링크 수정', 1], ['토막', '{\{토막글}}', '토막글 틀을 닮', 1], ['RV', '문서 훼손 복구', '훼손된 문서를 과거 판으로 되돌림', 1, 1], ['삭신', '삭제 신청', '삭제 신청 틀을 닮', 1, 1], ['특삭', '특정판 삭제 신청', '특정판 삭제 신청 틀을 닮', 1, 1], ['삭토', '삭제 토론 회부', '삭제 토론 틀을 닮', 1, 1] ]; 편집요약 상용구 = 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체조 = = 이별없는 아침 (1985년 영화) = "이별없는 아침"은 198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상숙 강재일 양일민 김지영 곽건 최석 박혜숙 박광진 현석 특별출연 = 분류:당나라의 군사 = = 분류:논쟁 = = 데니스 리어리 = 데니스 리어리(Denis Leary, 1957년 8월 18일 ~ )는 미국의 배우, 희극인이다. MTV 등에서 스탠드업 코미디로 먼저 두각을 나타냈으며, 연기로 활동 영역을 넓혀 킬러 나이트(1993), 왝 더 독(1997) 등의 영화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공동 창작자로 이름을 올린 FX 드라마 레스큐 미(2004-11)에서 주연까지 맡아 에미상 드라마 부문 각본상·남우주연상 후보와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리틀 야구왕 (1993) 누가 왕초지? (1993) 데몰리션 맨 (1993) - 에드거 프렌드리 역 원초적 무기 (1993) 킬러 나이트 (1993) 사랑의 금고털이 (1994) 올리버 스톤의 킬러 (1994) 덤보 낙하 작전 (1995) 투 이프 바이 씨 (1996) 왝 더 독 (1997) 수어싸이드 킹 (1997, Suicide Kings) 와이드 어웨이크 (1998) 스몰 솔저 (1998) 벅스 라이프 (1998) - 목소리 트루 크라임 (1999) 두 낫 디스터브 (1999)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1999) 블로우 (2001) 아이스 에이지 (2002) - 디에고 역 (목소리) 아이스 에이지 2 (2006) 아이스 에이지 3: 공룡시대 (2009) 아이스 에이지 4: 대륙 이동설 (2012) 아이스 에이지: 지구 대충돌 (2016) 리카운트 (2008)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2014) 드래프트 데이 (2014) 프릭스 오브 네이처 (2015) = = = 텔레비전 = = = 레스큐 미 (2004-11) 아이스 에이지: 매머드 크리스마스 (2011) - TV 스페셜 아이스 에이지: 알 찾기 대소동 (2016) - TV 스페셜 로앤오더: 조직범죄 전담반 (2022) = 도쿄지헨 = 도쿄지헨은 일본의 록 밴드로서 일본의 여성 가수인 시나 링고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이 대중 앞에 처음 모습을 보인 것은 시나 링고의 2003년 전국 투어 쌍육 엑스터시였고 이 때는 시이나 링고의 백밴드로서 소개되었다.2003년 12월 17일 일본어에서 발매한 DVD비디오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밴드로서 활동을 시작한 것은 2004년 여름이다. 2004년 9월 8일 싱글 ""(남청색 날씨)로 데뷔했다. 2006년에 발매한 앨범 ""(어덜트)는 일본의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했다. 2012년 1월 11일, 2월에 굿바이 콘서트를 가진 후 해체하기로 공식 선언했다. 이후, 2020년 1월 1일부터 밴드를 재결성했다. = = 약력 = = = = = 1기 = = = 2003년 가을 시이나 링고의 라이브 「쌍육 엑스터시」를 위해서 결성된다. 2004년에 후지 락 페스티벌 등의 라이브 참가를 거쳐, 9월에 싱글 ""(남청색 날씨)로 메이저 데뷔. 10월에는 싱글 『조난』, 11월에는 앨범 『교육』, 12월에는 PV집 『tokyo incidents vol. 1』을, 4개월 연속으로 릴리즈했다. 2005년에는 처음으로 라이브 투어 「도쿄지헨 live tour 2005 "Dynamite!"」을 개최한다. 그러나 그 해 7월1일에, 에이치 제토 엠(H 是都 M)과 히라마 미키오가 각각의 활동으로, 탈퇴를 발표한다. 한편, 이 2명의 탈퇴는 「Dynamite!」 투어가 행해지기 전에 이미 결정된 일이라고 알려진다. 지금까지 활동한 멤버는, 이후 「제1기 멤버」로 언급된다. = = = 2기 = = = 싱글 『아수라장』, 앨범 『어른(어덜트)』의 제작에 아울러, 이자와 이치요우, 우키구모 2명이 밴드에 참가. 이 2명의 영입으로 현재의 멤버가 된다. 2006년 1월 25일에 발매된 2번째 앨범 『어른』은, 발매 1주째로 17.0만장을 판매하고, 처음으로 오리콘 차트 1위를 획득했다. 또, 2월에는 일본 무도관과 오사카성 홀에서 새 멤버로 첫 라이브 「DOMESTIC! Virgin LINE」, 4월부터는 약 2개월에 걸쳐, 전국 17개 도시에서 앨범을 내걸어 라이브 투어 「"DOMESTIC!" Just can't help it.」을 연달아 실시. 그 해 말에는, COUNTDOWN JAPAN 06/07 에도 출연했다 (12월 30일:마쿠하리, 12월 31일:오사카). 2007년 7월 11일에는 4번째 싱글 『OSCA』, 8월22일에는 5번째 싱글 『킬러 튠』을 발매. 더욱 9월 26일에 3번째 작품의 앨범 『오락』의 릴리즈와 10월 18일부터 전국 7도시 라이브하우스(live house) 투어 「도쿄지헨 live tour 2007 Spa & Treatment」가 실시. 시이나가 전작 『어른』의 발매 인터뷰에서 「(향후에 관해서) 자신은 곡을 쓰지 않고, 작사와 노래에만 전념한 앨범을 만들어 보고 싶다」라고 한 발언 그대로, 『OSCA』, 『킬러 튠』,『오락』에서는 작사와 노래만을 담당했다. 11월 21일에는, 「도쿄지헨 live tour 2007 Spa & Treatment」에서 보여 준 신곡 『섬광소녀』가, DVD로 시판되었다. 이 다음, 모 프로그램에서 「결국 내가 어레인지를 더해버려, 곡을 쓰는 수고로 변함없이 바빴다.」라고 말했다. 2008년, 시이나 링고로써 10주년이란 것도 있어, 그녀는 오랜만에 솔로로 활동을 재개했다. 그 때문에 여름에 개최된 RISING SUN ROCK FESTIVAL에서는 그녀의 솔로와 밴드의 양쪽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또 동경사변으로써의 활동도 한정적이었다. 2009년, 지난해에 이어서 시이나 링고 솔로로써의 활동을 계속해 오랜만에 뉴 앨범을 발표했다. 그 때문에, 한 해의 전반은 시이나 이외의 멤버도 저마다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가메다는 본업인 프로듀서로 여러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하타는 후지 패브릭의 레코딩이나 라이브에서 서포트 멤버로서 참가했다. 또 이자와는, ELLEGARDEN(현재활동중지중)의 호소미 타케시(細美武士)가 결성한 신 밴드「the HIATUS」의 투어 멤버(호리에 히로히사(堀江博久)가 출연 못한 때의 대역)으로 참가. 10월 1일, 연말의 COUNTDOWN JAPAN 09/10에 출연이 발표되었다. 또 같은 해의 연말, 4번째 앨범을 향해 2년만에 활동을 재개. 12월 2일에는 6번째 싱글「능동적 삼분간」을 릴리즈. 자체 처음으로 오리콘 싱글 차트의 첫등장 1위를 획득했다. 이 곡은 에자키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 껌」의 CM송으로 기용되어, 그 이미지 캐릭터로 시이나가 기용되었다(또, 같은 CM의 내레이션은 우키구모가 담당하고있다.). 시이나가 CM에 출연하는 것은 처음있는 일이었다. 2010년 2월 24일에는 대망의 4번째가 되는 앨범『스포츠』가 릴리즈 되어, 앨범으로는『어른(어덜트)』이래 오리콘 차트 1위를 획득했다. 같은 해 3월부터는 전국 투어「동경사변 live tour 2010 울트라C」가 시행했다. 7월 21일부터 TV 아사히계열 금요드라마「아타미 수사관(熱海の捜査官)」주제가인「천국에 어서오세요」가, 28일에는「워터링 키스민트」CM송으로 시용되었던「도파민트!」가 배급한정으로 릴리즈 되었다. 2011년 2월 23일에는 7번째 싱글「하늘이 울리고 있다/여자애는 누구라도」를 릴리즈 예정.「여자아이는 누구라도」는 시세이도(資生堂)「마키아쥬」의 CM송으로 기용되는 동시에 이미지 캐릭터로 시이나가 기용되는 것이 결정되어 있었지만, 금회의 불상사에 의해, 키스민트CM에는 16일부터 명의를「시이나 링고」로 하여, 같은 곡의 다른 어레인지 버전(심해판)이 사용되는 일이 됐다. 마키아쥬CM도 같은 형식의 처치가 내려져, 일정대로 방송되었다. 또, TV 아사히계열 뮤직 스테이션에 2주 연속 출연 예정이 캔슬되는 사태도 일어났었다. 2011년 3월 14일 하타는 약식제판에 의해 벌금형이 되었기 때문에 협의결과 4월 5일부터 활동을 재개할 수 있게 된 것 외, 발매미정이었던 상기의 싱글을 5월 11일에 릴리즈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번의 일련 사건에 대해서는 하타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사죄하고 있다. 2011년 6월 29일 다섯 번째 정규 음반 대발견이 발매됐다. 2012년 2월 굿바이 콘서트로 정식 해체했다. = = = 3기 = = = 2020년 1월 1일 밴드 재결성을 했다. = = 구성원 = = ImageSize = width:850 height:240 PlotArea = left:90 bottom:80 top:15 right:5 Alignbars = justify DateFormat = dd/mm/yyyy Period = from:01/01/2003 till:28/02/2021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format:yyyy Legend = orientation:vertical position:bottom ScaleMajor = increment:1 start:2003 Colors = id:vox value:red legend:main_vocal id:bvox value:pink legend:vocal id:leadgt value:teal legend:lead_guitar id:guitar value:brightgreen legend:guitar id:bass value:blue legend:bass id:keys value:purple legend:keyboards id:drums value:orange legend:drums id:cd value:black legend:Studio_albums id:bars value:gray(0.9) BackgroundColors = bars:bars Legend = position:bottom columns:1 BarData = bar:Ringo text:Ringo Sheena bar:Kameda text:Seiji Kameda bar:Hirama text:Mikio Hirama bar:Ukigumo text:Ukigumo bar:HZM text:H Zett M bar:Izawa text:Ichiyo Izawa bar:Hata text:Toshiki Hata PlotData= width:15 textcolor:black align:left anchor:from shift:(10,-4) bar:Ringo from:23/08/2003 till:29/02/2012 color:vox bar:Ringo from:01/07/2005 till:29/02/2012 color:keys width:3 bar:Ringo from:01/07/2005 till:29/02/2012 color:guitar width:7 bar:Ringo from:23/08/2003 till:01/07/2005 color:guitar width:3 bar:Ringo from:01/01/2020 till:end color:vox bar:Ringo from:01/01/2020 till:end color:keys width:3 bar:Ringo from:01/01/2020 till:end color:guitar width:7 bar:Kameda from:23/08/2003 till:29/02/2012 color:bass bar:Kameda from:17/01/2005 till:29/02/2012 color:bvox width:3 bar:Kameda from:01/01/2020 till:end color:bass bar:Kameda from:01/01/2020 till:end color:bvox width:3 bar:Hata from:23/08/2003 till:29/02/2012 color:drums bar:Hata from:17/01/2005 till:29/02/2012 color:bvox width:3 bar:Hata from:01/01/2020 till:end color:drums bar:Hata from:01/01/2020 till:end color:bvox width:3 bar:Hirama from:23/08/2003 till:01/07/2005 color:leadgt bar:Hirama from:23/08/2003 till:01/07/2005 color:bvox width:3 bar:Ukigumo from:01/07/2005 till:29/02/2012 color:leadgt bar:Ukigumo from:01/07/2005 till:29/02/2012 color:bvox width:3 bar:Ukigumo from:01/01/2020 till:end color:leadgt bar:Ukigumo from:01/01/2020 till:end color:bvox width:3 bar:HZM from:23/08/2003 till:01/07/2005 color:keys bar:Izawa from:01/07/2005 till:29/02/2012 color:keys bar:Izawa from:07/04/2006 till:29/02/2012 color:guitar width:7 bar:Izawa from:07/04/2006 till:29/02/2012 color:bvox width:3 bar:Izawa from:01/01/2020 till:end color:keys bar:Izawa from:01/01/2020 till:end color:guitar width:7 bar:Izawa from:01/01/2020 till:end color:bvox width:3 LineData = at:25/11/2004 color:black layer:back at:26/01/2006 color:black layer:back at:26/09/2007 color:black layer:back at:24/02/2010 color:black layer:back at:29/06/2011 color:black layer:back 탈퇴한 히라마 미키오와 에이치 제토 엠은 '1기 멤버'로 언급된다. 그 뒤 영입된 이자와와 우키구모는 '2기 멤버'로 분류되나 후에 멤버의 변동 여부를 알 수는 없어, 편의상 언급되고 있다. 나머지 멤버들(시이나, 카메다, 하타)은 원 멤버, 1기 멤버 등으로 언급된다. = = = 현 멤버 = = = 시이나 링고() : 보컬 카메다 세이지() : 베이스 기타 하타 토시키() : 드럼 우키구모() : 기타 ※2005년 가입 이자와 이치요우() : 전자 키보드 ※2005년 가입 = = = 이전 멤버(1기 멤버) = = = 에이치 제토 엠 (H M) : ※2005년 탈퇴, 히이즈미 마사유키(ヒイズミマサユ機)(PE'Z)로도 활동。솔로 및 H ZETTRIO 활동 땐 H ZETT M이란 이름 사용 히라마 미키오 (☃☃)☃☃: 전기 기타 ※2005년 탈퇴 히라마 미키오() : 전기 기타 ※2005년 탈퇴 = = 디스코그래피 = = = = = 싱글 = = = 순서 타이틀 발매일 1 남청색 날씨(군청일화) 2004년 9월 8일 2 조난 2004년 10월 20일 3 아수라장 2005년 11월 2일 4 OSCA 2007년 7월 11일 5 킬러튠 2007년 8월 22일 6 능동적 삼분간 2009년 12월 2일 7 하늘이 울리고 있다/여자애는 누구라도 2011년 5월 11일 = = = 전달 한정 싱글 = = = 발매일 타이틀 비고 2006년 3월 23일 비밀 for DJ(秘密 for DJ) 아날로그반 뿐인 앨범「ADULT VIDEO ORIGINAL SOUND TRACK」수록곡에서 3곡을 1곡씩 싱글화한것.이 밖에 음원으로는 앞서 설명된 아날로그반, 영상으로는 DVD「ADULT VIDEO」에 수록. 2006년 3월 23일 사랑은 환상 for musician(恋は幻 for musician) 아날로그반 뿐인 앨범「ADULT VIDEO ORIGINAL SOUND TRACK」수록곡에서 3곡을 1곡씩 싱글화한것.이 밖에 음원으로는 앞서 설명된 아날로그반, 영상으로는 DVD「ADULT VIDEO」에 수록. 2006년 3월 23일 황혼울음 for musician(黄昏泣き for mother) 아날로그반 뿐인 앨범「ADULT VIDEO ORIGINAL SOUND TRACK」수록곡에서 3곡을 1곡씩 싱글화한것.이 밖에 음원으로는 앞서 설명된 아날로그반, 영상으로는 DVD「ADULT VIDEO」에 수록. 2006년 8월 30일 소녀로봇(少女ロボット) 「“DOMESTIC!”Just can't help it.」에서 셀프커버하여, DVD「Just can't help it.」의 발매에 앞서 릴리즈했다.앨범에는 수록되지는 않았지만, 라이브 음원과 같은 것. 2007년 11월 21일 섬광소녀(閃光少女) 스바루「경(軽) STELLA R2」CM송.2010년 2월 24일 발매의 앨범『스포츠(スポーツ)』에 수록되었다. 2010년 7월 28일 천국에 어서오세요(天国へようこそ) TV아사히계 금요 나이트 드라마「아타미의 수사관」주제가. 모바일 전송은 7월 21일부터 전송개시. 2010년 7월 28일 도파민트!(ドーパミント!)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CM송. 2011년 4월 12일 새벽의 노래(夜明けのうた) 키시 요우코(岸洋子)의 커버곡. YouTube에서 공식전달되었다.영상은 PV(프로모션 비디오)풍 어레인지로 되어, 멤버 전원이 출연하고 있다. = = = 앨범 = = = 순서 타이틀 발매일 1 교육 2004년 11월 25일 2 어덜트 2006년 1월 25일 3 오락(Variety) 2007년 9월 26일 4 스포츠 2010년 2월 24일 5 대발견 2011년 6월 29일 6 color bars 2012년 2월 15일 = = = 아날로그 = = = 발매일 타이틀 비고 2004년 11월 25일 군청일화/조난(群青日和/遭難) 초회생산한정 2006년 3월 23일 ADULT VIDEO ORIGINAL SOUND TRACK 초회생산한정 2007년 11월 21일 오락(버라이어티) 증간호(娯楽 (バラエティ) 増刊号) 초회생산한정 = = = DVD = = = 발매일 타이틀 비고 뮤직 클립집 2004년 12월 8일 tokyo incidents vol.1 초회생산한정판 픽쳐 라벨 사양 라이브 비디오 2005년 7월 13일 Dynamite in 라이브 비디오 2005년 8월 17일 Dynamite out 초회생산한정판 “출입구 케이스”(Dynamite in & out)사양 뮤직 클립집 2006년 3월 23일 ADULT VIDEO 초회생산한정판 디지팩 사양 라이브 비디오 2006년 9월 6일 Just can't help it. 초회생산한정판 디지팩 사양 뮤직 클립집 2007년 11월 21일 섬광소녀(閃光少女) 초회생산한정판 들쑥날쑥 사양 라이브 비디오 2010년 3월 26일 Spa & Treatment 라이브 회장・통신판매한정 라이브 비디오 2010년 8월 25일 Spa & Treatment 일반판매 라이브 비디오 2010년 8월 25일 울트라C(ウルトラC) 초회생산한정판 “출입구 케이스”사양 뮤직 클립집 2011년 9월 21일 CS Channel 초회생산한정판 “출입구 케이스”사양 라이브 비디오 2012년 2월 15일 Discovery 라이브 비디오 2012년 6월 13일 Bon Voyage 초회생산한정판 “슬리브 케이스”사양 라이브 모음집 2012년 8월 29일 珍プレー好プレー 초회생산한정판 “슬리브 케이스”사양 클립 모음집 2013년 2월 27일 Golden Time 초회생산한정판 “슬리브 케이스”사양</small> = = = BD = = = 발매일 타이틀 비고 라이브 비디오 2010年년 9월 8일 울트라C(ウルトラC) 뮤직 클립집 2011年년 9월 21일 CS Channel 라이브 비디오 2012年년 2월 15일 Discovery 라이브 비디오 2012年년 6월 13일 Bon Voyage 라이브 모음집 2012年년 8월 29일 珍プレー好プレー 클립 모음집 2013年년 2월 27일 Golden Time = = 콘서트 = = 0724 YAMABIKARI(2004년 7월24일) MEET THE WORLD BEAT(2004년 7월25일) FUJI ROCK FESTIVAL '04(2004년 7월30일) SUNSET LIVE 2004(2004년 9월3일) 동경사변 live tour 2005 “dynamite!”(2005년 1월17일 - 3월16일) 제1회 링고반 대회 어덜트・온리 DOMESTIC! Virgin LINE 동경사변“DOMESTIC!”Just can't help it.(2006년 4월7일 - 5월30일) SOCIETY OF THE CITIZENS vol.1 COUNTDOWN JAPAN 06/07 동경사변 live tour 2007 Spa & Treatment(2007년 10월18일 - 11월21일) RISING SUN ROCK FESTIVAL 2008 in EZO(2008년 8월15일) SOCIETY OF THE CITIZENS vol.2 COUNTDOWN JAPAN 09/10(2009년 12월30일) 동경사변 live tour 2010 울트라C(2010년 3월26일 - 5월23일) EMI ROCKS = = 타이업 일람 = = 군청일화(群青日和) - 산요전기(三洋電機)「Au (휴대전화)|au W21SA」CM송 아수라장(修羅場) - 후지 TV계 드라마 《오오쿠: 화의 난》 주제가 금붕어 상자(金魚の箱)(앨범『오락 (버라이어티)』수록) - 영화「망량의 상자」주제가 섬광소녀(閃光少女) - 스바루「경(軽) STELLA R2」CM송 능동적 삼분간(能動的三分間) -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CM송 ※시이나 본인 출연, 내레이션은 우키구모 승전(勝ち戦)(앨범『스포츠』수록) -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CM송 ※시이나 본인 출연, 내레이션은 우키구모 천국에 어서오세요(天国へようこそ) - TV 아사히계 금요 나이트 드라마 《아타미의 수사관》 주제가 도파민트!(ドーパミント!) -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CM송 ※시이나 본인 출연, 내레이션은 이자와 하늘이 울리고 있다(空が鳴っている) - 글리코「워터링 키스민트」CM송 ※시이나 본인 출연/내레이션 여자애는 누구라도(女の子は誰でも) - 시세이도「마키아쥬(MAQuillAGE)」CM송 ※시이나 본인 출연, 일부 내레이션도 담당 새로운 문명개화(新しい文明開化) - 도쿄메트로 CM송 = = 밴드 외 활동 사항 = = 가메다 세이지 = 신구 (배우) = 신구(申久, (申淳基), 1936년 8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경기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중퇴) 서울연극학교 연극과 전문학사(졸업) = = 생애 = = 1962년 연극 〈소〉에 출연하면서 연극배우로 연예 분야에 처음 발을 내딛은 후, 1969년 서울중앙방송(지금의 KBS 한국방송공사) 특채로써 텔레비전 연기자로 입문, 1972년, 드라마 허생전으로 일약 이름을 날렸다. 주로 서민적인 아버지 역할을 맡았다.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에서 '4주후에 뵙겠습니다', 2002년에 롯데리아 광고에서 "니들이 게맛을 알아?", 2005년 한국야쿠르트 쿠퍼스에서 "토끼 끝이야. 쿠퍼스야! 너나 걱정하세요."라는 말을 유행어로 만들어 보다 많은 세대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2007년 ~ 2008년에 방송된 일일시트콤김치 치즈 스마일에서는 사진관을 운영하는 아버지로 출연하였다. 같은 해에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2009년에는 MBC 연기대상에서 PD상을 수상했다. = = = 특기 사항 = = = 1987년 12월 8일 민주정의당 대통령후보 노태우에 대해 TV 지지연설을 했다. = = 출연작 = = = = = 드라마, 시트콤 = = = 《허생전》 (KBS, 1972년) 《대동강》 (KBS, 1975년) 《포교 석일도》 (KBS, 1975년) 실화극장-《타향》 (KBS, 1975년~1976년) 《황희정승》 (KBS, 1976년) 《나루터 3대》 (KBS, 1977년) 《옥녀》 (MBC, 1977년) 《임진강》 (KBS, 1978년) 《대한국인》 (KBS, 1979년) - 마나베 판사 역 《물무늬》 (KBS, 1979년) 《흐르지 않는 강》 (KBS, 1979년) 《입춘대길》 (KBS, 1980년) 《벼랑위의 사람들》 (KBS, 1980년) 《파천무》 (KBS, 1980년) - 김종서 역 《순교자》 (KBS, 1980년) 《동심초》 (KBS, 1980년) 《소망》 (KBS, 1980년) 《옛날 나 어릴적에》 (KBS1, 1981년) 《무지개》 (KBS2, 1981년) 《은하수》 (KBS2, 1981년) 《환상의 공포》 (KBS2, 1981년) 《봄에는 개나리》 (KBS1, 1982년) 《순애》 (KBS2, 1982년) 《약속의 땅》 (KBS1, 1982년) 《형사》 (KBS2, 1982년) - 신반장 역 《개국》 (KBS1, 1983년) - 최영 역 《딸의 미소》 (KBS1, 1984년) 《가족》 (KBS2, 1984년) 《딸이 더 좋아》 (KBS2, 1984년) 《아직도 내사랑 끝나지 않았네》 (KBS1, 1984년) 《새벽》 (KBS1, 1985년) - 이승만 역 《오성장군 김홍일》 (KBS1, 1985년) - 조만식 역 《여심》 (KBS1, 1986년) 《그러게 말야》 (KBS2, 1986년) 《남십자성》 (KBS1, 1986년) 《큰형수》 (KBS2, 1987년) - 원장 역 《이화》 (KBS1, 1987년) 《토지》 (KBS1, 1987년) - 공노인 역 《TV 손자병법》 (KBS1, 1987년) - 관우 아버지 역 《어머니》 (KBS1, 1987년) 《마음》(KBS1, 1988년) 《사로잡힌 영혼》 (KBS1, 1988년) - 대한제국 고종 역 《은혜의 땅》 (KBS2, 1988년) 《지리산》 (KBS1, 1989년) - 의사 역 《조명하》 (KBS1, 1989년) 《무풍지대》 (KBS2, 1989년) - 장면 역 《꽃피는 둥지》 (KBS2, 1989년) 《배반의 장미》 (MBC, 1990년) - 서영철 역 《봉숭아꽃물》 (KBS1, 1990년) 《반민특위》 (MBC, 1990년) - 박흥식 역 《여명의 그날》 (KBS1, 1990년) - 이승만 역 《왕도》 (KBS1, 1991년) - 홍봉한 역 《너두 늙어봐라》 (KBS1, 1991년) 《둥지를 찾아서》 (KBS1, 1991년) 《여자의 시간》 (KBS2, 1991년) 《아스팔트 내고향》 (KBS2, 1991년) 《내일은 사랑》 (KBS2, 1992년) - 사학과 교수 역 《궁합이 맞습니다》 (SBS, 1992년) 《들국화》 (KBS1, 1993년) 《청춘극장》 (KBS2, 1993년) 《은하의 강》 (KBS1, 1993년) 《겨울 도화리》 (KBS1, 1994년) 《5월의 여행》 (KBS1, 1994년) 《서궁》 (KBS2, 1995년) - 이원익 역 《사랑을 기억하세요》 (MBC, 1995년) - 우 형사 역 《바람의 아들》 (KBS2, 1995년) - 허봉출 역 《MBC 베스트극장 - 약속》 (MBC, 1995년) 《MBC 베스트극장 - 그 여름의 사흘》 (MBC, 1996년) 《화려한 휴가》 (MBC, 1996년) - 대통령 역 《댁의 딸, 우리 아들》 (KBS1, 1997년) 《KBS 드라마 스페셜 - 고목에 꽃피는 거 봤수?》 (KBS2, 1997년) - 김일만 역 《이웃집 여자》(SBS, 1997년) - 나갑석 역 《SBS 70분드라마 - 가족수첩》 (SBS, 1997년) 《예감》 (MBC, 1997년) 《MBC 베스트극장 - 5월의 사랑》 (MBC, 1998년) 《왕과 비》 (KBS1, 1998년) -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 역 《MBC 베스트극장 - 공춘택씨의 계약결혼》 (MBC, 1998년) - 공춘택 역 《애드버킷》 (MBC, 1998년) - 진형만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역 《학교1》 (KBS2, 1999년) - 윤리교사 신문수 역 《토마토》 (SBS, 1999년) - 최기감 역 《퀸》 (SBS, 1999년) - 승리 부 역 《태조 왕건》 (KBS1, 2000년) - 왕륭 역 《줄리엣의 남자》 (SBS, 2000년) - 장삼부 역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SBS, 2000년~2002년) - 노구 역 《네 멋대로 해라》 (MBC, 2002년) - 고복수의 아버지 고중섭 역 《그 여자 사람잡네》 (SBS, 2002년) - 백선달 역 《해 뜨는 집》 (SBS, 2002년) - 대호 역 《똑바로 살아라》 (SBS, 2002년) - 신구 역 《아내》 (KBS2, 2003년) - 서씨 역 《드라마시티 - 부엉이 박물관》 (KBS2, 2003년) - 이강일 역 《상두야, 학교가자》 (KBS2, 2003년) - 송종두 역 《애정만세》 (SBS, 2003년) - 이덕보 역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SBS, 2004년) - 김회택 역 《북경 내 사랑》 (KBS2, 2004년) - 황 회장 역 《미안하다, 사랑한다》 (KBS2, 2004년) - 민현석 역 《토지》 (SBS, 2004년) - 문 의원 역 《귀엽거나 미치거나》 (SBS, 2005년) 《열여덟 스물아홉》 (KBS2, 2005년) - 강치수 역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MBC, 2005년) - 한필봉 사장 역 《소나기》 (MBC, 2005년) - 소녀의 증조 할아버지 역 《서울 1945》 (KBS1, 2006년 - 몽양 여운형 역 《열아홉 순정》 (KBS1, 2006년) - 양복점 사장 홍영감 역 《쩐의 전쟁》 (SBS, 2007년) - 사채업자 독고철 역 《왕과 나》 (SBS, 2007년) - 노내시, 조치겸의 수양아버지 역 《고맙습니다》 (MBC, 2007년) - 치매노인 미스타 리 역 《김치치즈 스마일》 (MBC, 2007년~2008년) - 사진관 사장 신구 역 《쩐의 전쟁 the Original》 (tvN, 2008년) - 사채업자 사장 독고철 역 《가문의 영광》 (SBS, 2008년~2009년) - 하만기 역 《선덕여왕》 (MBC, 2009년) - 을제 역 《신기생뎐》 (SBS, 2011년) - 오화란과 한순덕을 아는 남자 역 (특별출연)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년) - 이동진 역 《신들의 만찬》 (MBC, 2012년) - 이촌 역 (특별출연) 《백년의 유산》 (MBC, 2013년) - 엄팽달 역 《신의 선물 - 14일》 (SBS, 2014년) - 추병우 역 《디어 마이 프렌즈》 (tvN, 2016년) - 김석균 역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KBS2, 2016년~2017년) - 이만술 역 《나의 아저씨》 (tvN, 2018년) - 장회장 역 《고래먼지》 (네이버TV, 2018년) - 역무원 역 《옥란면옥》 (KBS2, 2018년) - 황달재 역 《장애인의 날 특집 드라마 - 오늘도 안녕》 (KBS2, 2019년) - 우중 역 《카이로스》 (MBC, 2020년) - 유서일 역 《디 엠파이어 : 법의 제국》 (JTBC, 2022년) - 함민헌 역 = = = 영화 = = = 《겨울 이야기》 (2023년) - 김 노인 역 《천문: 하늘에 묻는다》 (2019년) - 영의정 역 《첫잔처럼》 (2019년) - 신정희 대표 역 (특별출연) 《비밥바룰라》(2018년) - 순호 역 《아빠는 딸》(2017년) - 외할아버지 역 《해빙》(2017년) - 정 노인 역 《특별수사: 사형수의 편지》(2016년) - 할배 역 《내 심장을 쏴라》(2015년) - 십운산 선생 역 《기술자들》(2014년) - 오 원장 역 《사랑만의 언어》 (2014년) - 할아버지 역 《저스틴》 (2013년) - 더빙(구야올리오 역) 《천국의 우편배달부》 (2009년) - 최근배 역 《압록강은 흐른다》(2009년) 《모던 보이》(2008년) - 이해명 부 역 《방울토마토》(2008년) - 할아버지, 박구 역 《거룩한 계보》(2006년) - 치성 부 역(특별출연) 《간 큰 가족》(2005년) - 김 노인 역 《박수칠 때 떠나라》(2005년) - 윤 반장 역 《내츄럴 시티》(2003년) - 경무관 역 《YMCA 야구단》(2002년) - 호창 부 역 《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1년) - 다카하시 역 《반칙왕》(2000년) - 아버지 역 《주노명 베이커리》(2000년) - 노 신사 역(특별출연) 《북경반점》(1999년) - 한 사장 역 《8월의 크리스마스》(1998년) - 정원 부 역 《일팔일팔》(1997년) - 왕자 역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1992년) - 최 선생 역 《피와 불》(1991년) - 정보국장 역 《하와의 행방》(1983년) 《청색시대》(1976년) 《성춘향전》(1976년) 《진짜 진짜 잊지마》(1976년) 《간난이》(1976년) 《조총련》(1975년) 《야간비행》(1973년)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가족오락관》 (KBS2)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KBS2) (1999~2009) - 조정위원회 판사 역 《꽃보다 할배》 (tvN) (2013~2014) - 꽃할배 F4 멤버 역 《청춘 익스프레스》 (KBS2) 《윤식당》 (tvN) (2017) - 아르바이트생 《꽃보다 할배 리턴즈》 (tvN) (2018) 《EBS 다큐프라임 - 넘버스》 (EBS1) (2022) - 내레이션 = = = 라디오 프로그램(진행, 출연) = = = 《고승열전》 (불교방송) 만공 역 《대한민국 경제실록》 (KBS 제1라디오)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EBS FM, 2015년) = = = 연극 = = = 《소》 (1962) - 아버지 역 《생일파티》 (1970) - 스탠리 역 《파우스트》 (1997) - 메피스토텔레스 역 《느낌, 극락 같은》 (1998) - 함묘진 역 《에쿠우스》 (1990) - 다이사트 역 《사로잡힌 영혼》 (1991) - 장승업 역 《맹진사댁 경사》 (2009) - 맹진사 역 《안티고네》 (2013) - 크레온 역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 (2013) - 아버지 역 《황금연못》 (2014) - 노만 역 《3월의 눈》 (2015) - 장오 역 《장수상회》 (2017 | 2018 | 2019 | 2023) - 김성칠 역 《앙리할아버지와 나》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앙리 역 《라스트 세션》 (2020 | 2022) - 지그문트 프로이트 역 《두 교황》 (2022) - 교황 베네딕토 16세 역 《넓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내 마음은 춤춘다》 (2022~2023) - 조병식 역 = = = 광고 = = = 종근당 나이킨(김무생하고 동반 출연) 한일약품 프로헤파룸 LG전자 금성팩토링장기할부, 전자식VTR (임동진, 이순재와 동반 출연) 삼양식품 쇠고기라면 롯데주류 백화소주 일양약품 원비에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명선거캠페인 남양유업 불가리스 (With. 강석우, 홍요섭, 김영철, 오현경) 두루넷 차티스 손해보험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 롯데리아 크랩버거 신구건설 휴엔하임 오뚜기 미소라면 농심 둥지냉면 진양제약 소부날 공익광고협의회, 서울특별시 쓰레기 분리 수거 캠페인 한국야쿠르트 쿠퍼스 - 용왕 LG유플러스 TV G, 제로클럽 시즌 2 넷마블 모두의마블 귀뚜라미보일러 동원F&B 동원리얼크랩스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신무 손오공 개구쟁이 펭토킹 러시앤캐시 OK! 저축은행 대성에너시스 대성쎌틱가스보일러 (정애리하고 동반 출연) 명인제약 메이킨Q (김영옥하고 동반 출연) 알바천국 농심 신라면 블랙 한국야쿠르트 발효홍삼 원기진액 쉐보레 스파크 한라상조 롯데리아 오징어버거 = = 유행어 = =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 4주 후 뵙겠습니다 ~ 롯데리아 크랩버거: 니들이 게 맛을 알아 ~ = = 수상 = = 2016년 제1회 tvN Awards 예능아이콘상 2014년 제9회 골든티켓어워즈 연극 남자배우상 2013년 제13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원로배우부문 인기영화인상 2010년 제3회 대한민국연극대상 연기상 2010년 보관문화훈장(3등급) 2009년 MBC 연기대상 프로듀서상 2007년 SBS 연기대상 공로상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공로상 2007년 모바일 연예대상 대스타상 2006년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2005년 KBS 연예대상 공로상 2003년 제3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원로배우부문 인기영화인상 2002년 SBS 연기대상 단막/특집부문 연기상 2001년 SBS 연기대상 공로상 1999년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1999년 제35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94년 제30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81년 제1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80년 제1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76년 제4회 한국방송대상 TV 연기상 1976년 제1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73년 제9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애독자인기상 1971년 제8회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1969년 제6회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1966년 제3회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1939년 제7회 교토의정상 아역연기상(남) = 분류:영국 육군의 요먼연대 = = 그리피스 스타디움 =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과거 MLB 워싱턴 세너터스 (I), 워싱턴 세너터스 (II)와 NFL 워싱턴 레드스킨스의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외야 주변 토지 매입에 실패하자 주변 주택 라인에 따라 외야를 지그재그로 만들었고 보스턴 브레이브스가 제 2차 세계대전 시기였던 1945년 해당 구장에서 스프링캠프를 치뤘다. = 가이아 (우주망원경) = 가이아(Gaia)는 2013년에 발사되어 2025년까지 운영될 예정인 유럽 우주국(ESA)의 우주망원경이다. 천문학용으로 설계되었다. 즉, 전례 없는 정밀도로 별의 위치, 거리 및 움직임을 측정하고 외계 행성의 위치를 측정한다. 겉보기 등급 및 색상과 같이 궤도를 도는 별에 대한 속성을 측정한다. 이번 임무의 목표는 별을 중심으로 행성, 혜성, 소행성, 퀘이사 등 총 약 10억 개의 천체를 포함하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중 가장 크고 정확한 3D 우주 카탈로그를 구축하는 것이다. 목표 물체의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을 연구하기 위해 이 우주망원경은 5년간의 명목상의 임무(2014~2019) 기간 동안 각 물체를 약 70회 모니터링했으며, 확장 기간 동안 계속 모니터링했다. 2025년 2분기까지 작동할 수 있는 충분한 마이크로 추진 연료가 있다. 탐지기가 처음 예상했던 것만큼 빠르게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임무를 더욱 확장할 수 있다. 가이아는 근자외선과 근적외선 사이의 확장된 가시 범위를 포괄하는 넓은 측광 대역에서 20등급보다 밝은 물체를 목표로 한다. 해당 물체는 은하수 인구의 약 1%를 차지한다. 또한 가이아는 천문학 방법을 사용하여 태양계 너머에 있는 목성 크기의 외계 행성 수천에서 수만 개, 이 은하계 외부에 있는 500,000개의 퀘이사, 태양계 내에 알려진 수만 개의 새로운 소행성과 혜성을 탐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이아 임무는 계속해서 은하수 전체에 걸쳐 천체의 정확한 3차원 지도를 만들고 은하수의 기원과 후속 진화를 인코딩하는 움직임을 매핑한다. 분광광도계 측정은 관측된 모든 별의 광도, 유효 온도, 중력 및 원소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한 물리적 특성을 제공한다. 이 대규모 별 인구 조사는 은하계의 기원, 구조 및 진화 역사와 관련된 광범위한 중요한 질문을 분석하기 위한 기본 관측 데이터를 제공한다.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임무(1989~1993년 작전)의 후속작인 가이아는 ESA의 호라이즌 2000+ 장기 과학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가이아는 2013년 12월 19일 아리안스페이스가 프랑스령 기아나의 코우로우에서 소유즈 ST-B/Fregat-MT 로켓을 사용하여 발사했다. 현재 태양-지구 L2 라그랑주 점 주위의 리사주 궤도에서 작동하고 있다. = 분류:러시아 여대공 = = 분류:1840년대 스위스 = = 분류:우타라칸드주의 지형 = = Wild Planet = Wild Planet는 1990년에 발매된 The B-52's의 음반이다. 워너 브로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아나 울라루 = 아나 울라루(, 1985년 6월 26일~)는 루마니아의 배우이다. = = 작품 목록 = = = = = 방송 = = = 에메랄드 시티 = = = 영화 = = = 시베리아 (2018년) - 카탸 역 찰스톤 (2017년) 더 마커 (2017년) 1944 워 히어로 (2016년) 댓 트립 뒤 툭 위드 대드 (2016년) 목요일이었던 남자 (2016년) - 토요일 역 에메랄드 시티 (2016년) 인페르노 (2016년) - 바옌사 역 인덱스 제로 (2014년) 세레나 (2014년) 베리 언세틀드 썸머 (2013년) 울프맨 : 비스트 헌터 (2012년) - 카지아 역 아웃바운드 (2010년) 암호명 (2006년) = 신 페인 = 신 페인은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모두에서 활동 중인 정당이다. 1947년 더블린 태생의 아서 그리피스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현재의 당 대표는 메리 루 맥도널드이다. 1970년 북아일랜드 통일운동에 대한 의견차이로 기존의 신페인당이 분리될 때,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PIRA)를 지지한 파벌이 오늘날의 신페인당이 되었다. 1980년까지 신페인당은 PIRA의 우당으로 상호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The political counterpart of PIRA": entry under Provisional Sinn Féin, W.D. Flackes & Sydney Elliott (1994) Northern Ireland: A Political Directory 1968-1993. Belfast: Blackstaff Press 당시 아일랜드 공화국군 공식파(OIRA)를 지지한 파벌은 "공식 신페인파"으로 분리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아일랜드 노동자당으로 계승되었다. "신페인"은 아일랜드어로 '우리 스스로(we ourselves)', '우리들' 등을 의미하는 낱말이다.Niall Ó Dónaill (1977). (advisory ed. Tomás de Bhaldraithe). ed (in Irish). Foclóir Gaeilge-Béarla [Irish-English Dictionary]. Dublin: An Gúm. pp. 533, 1095. . = = 역사 = = = = = 창립기 = = = 신페인이 창립 백주년을 기념하여 발간한 자료집 신페인:분투의 한 세기에 따르면 신페인이란 이름의 유래는 1901년 4월 27일 게일어 연맹이 발간한 빛나는 검에 실린 〈우리 스스로, 우리 스스로〉라는 문서에서 비롯되었다.Mícheál MacDonncha, ed (2005) (in Irish / English). Sinn Féin: A Century of Struggle. Dublin: Sinn Féin. . 성 파트리치오의 날이었던 1902년 3월 17일, 게일어 연맹의 회원을 중심으로 신페인:올드캐슬 월보가 발행되었다. 첫 번째 기고가는 패트릭 피어스였다. 이 잡지는 말미에 "억압받는 노동자 계급이 존재하는 한, 억압에 저항하는 신페인은 계속될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처음 창립되었을 때에는 신페인은 정당이라기 보다는 비슷한 성향을 갖는 사람들의 사적인 회합 정도에 가까웠다. 신페인에는 민족주의 선전가인 아서 그리피스를 비롯하여 공화파 사무실의 서기를 맞고 있던 윌리엄 루니 같은 사람들이 있었다. 초기 신페인에 참여했던 선전가 와드 드 블라캄은 "신페인은 정당이 아니었다. 그것은 게일어를 사용하여 선전하려는 젊은 아일랜드 남녀의 틀이 안잡힌 모임이었다."라고 술회하고 있다.What Sinn Féin Stands For, Aodh de Blácam, Dublin, Mellifont Press, 1921. 아서 그리피스는 더블린 지역의 인쇄업자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신문을 제작하고 있었다. 그는 신페인 출판사를 창립하고 유나이티드 아일리쉬와 신페인을 발간하였다. 그의 민족 자족 사상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1867년 타협과 독일의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리스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당시 아일랜드에서는 켈트 육상 협회나 어베이 극장과 같은 곳에서 게일어를 사용하자는 운동이 벌어지는 등 민족주의에 대한 자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1905년 11월 28일 더블린의 로투나에서 신페인은 정당으로 창립하였다. 창립 발기인으로는 아서 그리피스, 에드워드 마틴, 토머스 마틴, 존 스위트먼, 제니 위즈파워, 패트릭 피어스, 메어 드 뷔트레이, 패트릭 맥컬턴, 올리버 세인트 존 고거티, 피더 키니, 신 토머스 오켈리, 마이클 오핸라한, 윌리엄 코스그레이브 등이 참석하였다. 메어 드 뷔트레이는 처음에 당 이름을 신페인으로 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초창기 신페인의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1909년 8월 신페인의 당원은 581명에 불과했으며 이 중 211명이 더블린에 있었다. 슬리고 주에서는 당원이 학생 한 명과 점원 한 명에 불과했다.Michael Laffan, The Resurrection of Ireland: The Sinn Féin Party 1916—1923 (Cambridge, 1999) = = = 부활절 봉기 = = = 영국 정부는 더블린에서 1916년에 발생한 부활절 봉기를 신페인이 주도하였다고 오인했는데, 이로 인해 오히려 인기가 급상승했다. 1918년 아일랜드 총선에서 아일랜드에 배정된 105석의 의석 중 73석을 차지하면서, 아일랜드 의회당을 누르고 지배적인 정치세력이 되었다. 이들은 영국 의회에 출석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아일랜드 의회의 구성과 함께 아일랜드 공화국(Irish Republic)으로의 독립을 선언했다. 1919년 당시 신페인의 지도자였던 마이클 콜린스당수는 무장혁명단체인 아일랜드 공화국군을 창건하였다. 영국 정부는 이들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탄압했으나, 아일랜드 독립전쟁을 통해 승리하게 된다. 북아일랜드의 6개 주를 제외한 아일랜드는 1925년 독립하였다.수잔 와이즈 바우어, 보라 역, 세계 역사 이야기, 꼬마이실, 2007, 26-27쪽 = = = 독립과 분열 = = = 북아일랜드의 영국 통치를 인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아일랜드의 독립은 필연적으로 정파간 분열과 갈등을 가져왔다. 독립 후 3년 뒤 과격파과 온건파로 나뉘게 되어 각각 통일 아일랜드당과 아일랜드 공화당을 창당했다. 아일랜드 공화당은 1932년에 있었던 아일랜드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집권정당이 되었다. 한편, 북아일랜드에서는 새롭게 결성된 아일랜드 공화국군이 영국을 상대로 무장 투쟁을 계속하였다.수잔 와이즈 바우어(2007), 357쪽 = = = 1970년 이후 = = = 1969년 아일랜드 공화국군은 무장 투쟁의 종식을 선언하였다.Bell (1997), p.366; Feeny (2002), pp.250-1; MacDonncha (2005), pp.131-2; Coogan (2000), pp.337-8; Bew & Gillespie (1993), pp.24-5 이에 따라 신페인과 아일랜드 공화국군 내부에서는 격렬한 갈등이 있었고 결국 급진파가 분리되어 나왔다. 계속적인 무장 투쟁을 주장한 급진파는 자신들을 "임시 신페인"과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으로 불렀다. 이들은 무장 투쟁의 방편으로 민간인을 향한 폭탄 테러 등을 시작하였다. 테러 단체로 널리 알려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는 이들 급진파를 가리킨다. 1970년 사실상 재 창당된 신페인은 오랫동안 급진주의 아일랜드 공화국군과 연관이 있어왔으며,Independent,UK, Irish government allegations about IRA army council 1980년대 말까지 영국 당국에 의해 불법 정치 조직으로 취급되었다.Brendan O'Brien, the Long War, the IRA and Sinn Fein (1995) p128 = = = 1990년 평화 조약 = = = 교회력으로 성 금요일이었던 1998년 4월 10일 신페인의 게리 아담스와 사회민주노동당의 존 흄은 무장투쟁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으로 아일랜드의 통일을 모색할 것을 협약하였다. 성 금요일 협약이라 불리는 이 협약으로 신페인 무장투쟁의 중지를 선언하고 대중 정치 조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페트리샤 레비, 이동진 역, 아일랜드, 휘슬러, 2006, 57쪽 신페인과 사회민주노동당의 협상은 미국의 은퇴한 상원의원 조지 미첼이 중재하였다. 조지 미첼은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서 양진영의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 아일랜드계 미국인은 1920년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한 미국 상원의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모국의 독립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었다.페트리샤 레비(2006), 139쪽 성금요일 협약은 다음 달 열린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의 국민투표에서 절대 다수의 찬성으로 확정되었다. = = 최근 선거 결과 = = 2007년 북아일랜드 총선 결과 신페인은 현재 북아일랜드 의회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을 가지고 있으며 북아일랜드의 부수상을 배출하였다.bbc, Historic return for NI Assembly, 2007-3-7 2009년 유럽 의회 총선 결과 신페인은 북아일랜드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정당이 되었다.BBC, Sinn Fein tops poll in Euro count, 2009-7-8 이로써 신페인은 당 역사상 최초로 북아일랜드의 다수당이 되었다. = 푸단 대학교 상하이 의대학 = 푸단 대학교 상하이 의대학(复旦大学上海医学院)는 1902년 10월 27일 첫 개교되어 1908년 10월 1일 전격 개편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길고 유서 깊은 의과 대학교이다. 이전 명칭은 상하이의과대학교(上海医科大学)로, 2000년 푸단 대학교와 합병하여 단과대학이 되었다. = 유럽민주연합당 = 유럽민주연합은 폴란드의 중도좌파 정당이다. 현재 폴란드 하원에서 폴란드 인민당과 연합을 맺고 있다. = 중고36가선 = = = 명단 = = 훈야노 야스히데(, 문옥강수) 오에노 치사토(, 대강천리) 아리와라노 무네야나(, 재원동량) 노인 법사(, 능인) 다이라노 사다후미(, 평정문) 후지와라노 타다후사(, 등원충방) 아리와라노 모토카타(, 재원원방) 기요하라노 후카야부(, 청원심양부) 후지와라노 사다요리(, 등원정뢰) 조키 법사(, 증기) 에교 법사(, 혜경) 안포 법사(, 안법) 소네노 요시타다(, 증니호충) 스가와라노 스케아키(, 관원보소) 후지와라노 다카토오(, 등원고원) 후지와라노 나가토(, 등원장능) 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 등원도강모) 오나카토미노 스케치카(, 대중신보친) 오에노 마사히라(대강광형) 아카조메 에몬(, 적염위문) 후지와라노 사네카타(, 등원실방) 후지와라노 요시타카(, 등원의효) 오에노 요시토키(, 대강가언) 후지와라노 미치노부(, 등원도신) 카네미 왕(, 견람왕) 후지와라노 긴토(, 등원공임) 세이 쇼나곤(, 청소납언) 미나모토노 미치나리(, 원도제) 승정 도묘(, 도명) 우마노 나이시(, 마내시) 무라사키 시키부(, 자식부) 이즈미 시키부(, 화천식부) 사가미(, 상모) 이세노 다이후(, 이세대보) 후지와라노 미치마사(, 등원도아) 죠토몬인노 중장(, 상동문원중장) = 보령시장 선거 = 보령시장 선거는 충청남도 보령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 = 역대 민선 보령시장 = = 선거 정당 정당 시장 1995년 자유민주연합 김학현 1998년 무소속 신준희 2002년 자유민주연합 이시우 2006년 한나라당 신준희 2010년 자유선진당 이시우 2014년 새누리당 김동일 2018년 자유한국당 김동일 2022년 국민의힘 김동일 = = 역대 선거 결과 = = =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네덜란드어 연합 = 네덜란드어 연합은 네덜란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간의 국제 기구이다. 1980년 9월 9일에 설립되었다. 본부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다. = = 회원국 = = = = = 정회원국 = = = * * * = = = 가입 후보국 = = = * * * = = = 특별 파트너 = = = * * = = :박근혜에 대한 비판 = = 삭제로 총의가 모인 것으로 보여 삭제로 종결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8월 9일 (화) 06:37 (KST) 위키백과:삭제 토론/정치인 비판 문서들에서 세부적으로 분류했습니다. 삭제 근거는 링크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agika (토론) 2022년 6월 29일 (수) 22:46 (KST) = 임현경 = 임현경 (1983년 5월 16일 ~ )은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이다 = = 학력 = = 원촌중학교 반포고등학교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연기학과 학사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달마야 놀자》 (2001) ... 연화 스님 역 = 온누리 평정해산 = 온누리 평정해산(Onnuri Guyot)은 서태평양에 있는 평정해산이다. 제22차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에서 등재되었다. '온누리'는 이 해역을 탐사한 한국해양연구원의 조사선인 온누리호의 이름에서 따왔다. 온누리호 조사선은 1992년부터 태평양에서 조사활동을 해오고 있는 종합해양관측선으로 국제해저지명 명명 원칙(조사선)에 부합된다. = 앰버 연대기 = 앰버 연대기는 미국의 과학 소설 작가 로저 젤라즈니가 1970년부터 발표한 일련의 판타지 시리즈이다. = = 개요 = = 앰버 연대기(The Chronicles of Amber)는 로저 젤라즈니의 판타지 시리즈로, 두 개의 장편 시리즈와 여러 개의 단편을 포함한다. 특유의 현학적이고 화려한 문체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심리 게임과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복잡한 플롯, 치밀한 인물 조형과 타로카드와 패턴으로 대표되는 강렬한 상징성 등 젤라즈니의 역량이 모두 집중된 작품으로, 평론과 대중 양쪽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의 장르 구분은 항상 논란거리였다. 진세계(眞世界)에 해당하는 불멸의 도시 앰버Amber가 존재하며 지구를 포함한 병행 세계는 모두 앰버의 불완전한 반영-그림자Shadow에 지나지 않는다는 설정은 플라톤의 이데아에서 직접 영감을 얻은 것처럼 보인다. 이는 명백히 과학 소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법이지만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결과는 환상적인 피카레스크 풍의 모험담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독자는 이 작품을 판타지소설로 간주한다. 그러나 걸출한 과학 소설의 목록을 작성할 때 <앰버 연대기>의 이름이 빠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 = 시리즈 = = 클래식 앰버 시리즈라고 불리는 첫 번째 5부작은 1970년부터 1978년까지 2, 3년에 한 권 꼴로 출간되었다. 속편에 해당하는 신(新) 앰버 5부작은 1985년에 첫 편이 간행되고 1991년에 끝을 맺었지만 미완성에 가까운 엔딩으로 많은 독자들의 아쉬움을 샀다. 이 두 시리즈와 단편들을 합친 합본은 1999년에 The Great Book of Amber라는 이름의 합본으로 출간되었다. = = = 앰버 연대기 (예문판) / 김상훈 옮김 = = = 앰버의 왕족 코윈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첫 번째 장편 시리즈이다. 대한민국에는 김상훈의 번역으로 1999년에 도서출판 예문에서 처음 출간되었으며, 2010년에는 최용준으로 번역자가 바뀌어 사람과책 출판사에서 다시 출간되었다. 1. 앰버의 아홉 왕자(1970) 2. 아발론의 총(1972) 3. 유니콘의 상징(1975) 4. 오베론의 손(1976) 5. 혼돈의 궁정(1978) = = = 앰버 연대기 (사람과책판) / 최용준 옮김 = = = 1. 앰버의 아홉 왕자(1970) 2. 아발론의 총(1972) 3. 유니콘의 의미 (1975) 4. 오베론의 손(1976) 5. 혼돈의 궁정(1978) = = = 新 앰버 연대기(국내 미번역) = = = 코윈의 아들, 프로그래머이자 마법사인 멀린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두 번째 장편 시리즈이다. 6. Trumps of Doom(1985) 7. Blood of Amber(1986) 8. Sign of Chaos(1987) 9. Knight of Shadows(1989) 10. Prince of Chaos(1991) = = = 단편들 = = = "The Salesman's Tale" (1994) "The Shroudling and the Guisel" (1994) "Blue Horse, Dancing Mountains" (1995) "Coming to a Cord" (1995) "Hall of Mirrors" (1996) "A Secret of Amber" (Ed Greenwood 공저, 2005) = 무로마치 시대 = 무로마치 시대는 무로마치 막부가 일본을 통치하던 시기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막부를 세운 1336년부터 1573년까지를 가리킨다. 아시카가 가문이 중앙 권력을 장악했기 때문에 아시카가 시대(足利時代)라고도 한다. 일본 중세의 안정기로, 그 시기에 제아미에 의한 노의 완성이 이루어지며 또한 니조 요시모토에 의한 렌가의 발전도 주목할 만하다. = = 시대 구분 = = 넓은 의미로는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1336년에 겐무시키모쿠(建武式目)를 제정하고 1338년에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에 취임하고부터, 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1573년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당하기까지의 237년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 신정(建武新政)기를 포함한 최초의 약 60년간을 난보쿠초 시대(南北朝時代, 남북조 시대), 오닌의 난(応仁の乱, 1467년) 혹은 메이오 정변(明応の政変, 1493년) 이후를 센고쿠 시대(戦国時代, 전국 시대)로 구분하여 별도로 다루어 메이토쿠의 화약(明徳の和約, 1392년)으로 남북조가 통일된 이후부터 메이오 정변까지의 약 100년간을 가리켜 좁은 의미의 무로마치 시대라고 구분하는 경우도 많다. = = 특징 = = 1336년, 고다이고 천황과 대립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지묘인 계통(持明院統)제 89대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의 자손들.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고후카쿠사 천황의 동생인 제 90대 천황 가메야마 천황의 자손인 다이카쿠지 계통(大覚寺統)의 고다이고 천황에게 대항하기 위하여 이 계통의 천황을 옹립하였다.의 고묘 천황을 옹립하고 막부를 개창하여 한동안 남북조가 대립하였으나 1392년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에 의해 남북조가 통일되어 최종적으로는 무가가 우위를 점했다. 쇼군 직할의 군사력과 재정 기반이 그다지 강고하지 못하여 중앙의 막부가 상위에 서고 지방권력에 해당하는 슈고 다이묘가 그 감독 아래에 있는 모양새를 취하면서도 일방적 상하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정치적·경제적 지배를 전개했다. 3대 쇼군 요시미쓰가 교토의 무로마치에 꽃의 어소(花の御所)을 만든 이후 역대 쇼군을 무로마치 도노(室町殿)라 부르게 되어 그 정권을 무로마치 막부, 시대를 무로마치 시대라고 부른다.덧붙여, 쇼군의 정권·지배기구를 가리켜 막부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은 후세의 일이다. 요시미쓰 시대에 국내는 안정되었지만, 오닌의 난(応仁の乱, 1467-77년), 혹은 메이오 정변(明応の政変, 1492년)이후는 전국동란의 시대(센고쿠 시대)를 맞게되어 그때까지의 막부-슈고체제, 장원공령제가 붕괴함과 동시에, 각지의 지역 국가(센고쿠 다이묘)가 병립하게 된다. 무로마치 시대는 가마쿠라시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출신 불명의 농민, 상인층의 사회진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일본 역사상 최초로 크게 활약한 민중을 등장시킨 시대이기도 하다. 구세력의 몰락과 신세력의 부흥의 시대로 파악할 수 있다.(하극상) 전란이 계속되는 시대였지만, 경제면에서는 농업·공업과 함께 기술의 향상으로 생산도 증대되어 내외의 유통이 활발해졌다. = = 개관 = = = = = 남북조 내란기 = = = 1333년의 가마쿠라 막부 멸망 후에 시작된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 신정은 은상과 영지를 둘러싼 불만과 혼란으로 오래 가지 못하고 붕괴의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불만을 품은 무사들은 세이와 겐지(清和源氏)의 혈통으로 가마쿠라 막부 격파의 공로자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모여들게 되어 고다이고 천황과 다카우지의 대립관계가 깊어지게 되었다. 1336년, 다카우지는 고다이고 천황을 퇴위시키고, 북조의 고묘 천황을 옹립하여 막부를 개창하고, 2년 뒤에는 세이이타이쇼군에 취임하였다. 이에 맞서 고다이고 천황은 교토를 탈출하여 야마토국 요시노(吉野)에 조정을 열어(남조(南朝) 내란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게 된다. 남조는 구스노키 마사시게·기타바타케 아키이에·닛타 요시사다 등 주요 무장이 잇따라 전사하고 1339년에는 고다이고 천황이 사망하였다. 그 후,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가 남조를 지탱하였으나, 각지의 무사들도 점차 남조에 등을 돌려서 결국 가와치국의 구스노키 마사쓰라(楠木正行), 규슈의 가네나가 친왕(懐良親王)정도만 남조 측에 남게 되었다. 1348년에 마사쓰라가 고노 모로나오가 이끄는 막부군에 패배하여 전사하고, 모로나오가 요시노로 진격하여 요시노 행궁을 불태워 남조는 더욱 변방인 아노(賀名生)까지 밀려난 상황이었다. 이렇듯 내란의 귀추가 거의 결정된 것처럼 보였지만, 막부에선 다음해 1349년에 정무를 맡고 있던 다카우지의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와 군무에 뛰어난 쇼군의 시쓰지 고노 모로나오 사이의 대립이 일어나 결국엔 슈고와 각국의 고쿠닌이 다카우지·모로나오 파와 다다요시 파로 나위어 전국 규모의 항쟁으로 발전하였다(간노의 소란. 1352년에 고노 모로나오가 살해당하였으나, 그 이후에도 동란이 계속되어 세력을 회복한 남군이 교토를 침공하여 북조의 스코 천황(崇光天皇)을 폐위시키고, 고곤, 고묘, 스코 세 상황과 황태자 나오히토 친황(直仁親王)을 납치하였다. 규슈, 주고쿠 지방에서는 다다요시의 양자 다다후유(直冬)가 세력을 키우고 야마나 씨(山名氏)와 연계하여 교토를 공격하는 등 반막부 저항이 계속되었다. = = = 막부 안정기 = = = 1367년, 제 2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가 사망하고 10세의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제 3대 쇼군에 취임하였다. 이 즈음까지는 반막부세력의 하타케야마 구니키요(畠山国清), 오우치 히로요(大内弘世), 우에스기 노리아키(上杉憲顕), 야마나 도키우지(山名時氏)가 막부 측으로 돌아서서 규슈에서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 정서장군 가네나가 친왕(懐良親王)이 명나라에서 “일본국왕”으로 책봉받아 더욱 세력을 확장한 것을 제외하면 중앙의 남조는 저항력을 거의 잃어버렸다. 간레이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어린 쇼군을 보필하고 1368년에는 남군의 장수 구스노키 마사노리를 배반하게 하고, 규슈의 남조세력 제거를 위해 이마가와 사다요를 파견하였으며, 내정에 있어서는 신흥 선종인 난젠지(南禅寺)와 구 불교세력인 히에이 산과의 대립문제의 대응과 한제이(半済)의 실시 등 활발한 활동으로 막부권력의 안정화를 추진하였다. 1379년에는 고랴쿠 정변(康暦の政)으로 요리유키가 실각하고 후임으로 시바 요시유키(斯波義将)가 취임한다. 요시미쓰는 호코슈(奉公衆)라고 하는 군사력을 갖추고, 유력 슈고 다이묘인 야마나 씨와 오우치 씨를 도발하여 각각 메이토쿠의 난, 오에이의 난으로 토벌하고, 쇼군 권력을 굳혀나가 남북조를 통일을 하여 강력한 권력을 확립한다. 이후 1408년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급사하자 4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시바 요시유키의 보좌를 받으며 요시미쓰에게 내려진 태상천황의 시호를 사양하고 감합무역에서 명과의 통상을 일시 정지하는 등 요시미쓰의 정책을 부정하여 막부를 수구적인 자세로 전향하였다. 이는 귀족색이 짙어진 요시미쓰 말년의 정책에 반감을 품은 무사들의 불만에 응한 것이었다. 1423년 친자식인 아시카가 요시카즈에게 쇼군을 물려주었으나, 요시카즈가 요절하고 더욱이 요시모치 자신도 후계자를 정하지 못한 채로 사망하였다. 그래서 후임 쇼군은 제비뽑기로 정하기로 하여 요시미쓰의 자식이며 불문에 귀의하였던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제 6대 쇼군이 되었다. = = = 막부 쇠퇴기 = =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남북조 통합을 달성하여 막부권력을 절대화하였으나, 요시미쓰의 급사 이후로 다시 다이묘 합의제로 돌아가 상대적으로 쇼군의 권력도 저하되었다. 더욱이 민중에 의한 쓰치잇키(土一揆)무로마치 시대 후반기에 활발하게 벌어진 민중들의 정치적인 요구 활동. 채권·채무의 탕감을 명령하는 도쿠세이레이를 발해줄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의 발생이나 후남조에 의한 남조 재흥운동 등 막부가 지금까지 직면하지 않았던 사태에 처하게 된다. 이렇게 혼란스러운 상황이 되자 각 다이묘들도 영국 통치의 필요상 쇼군의 더 이상의 권위의 저하는 막고 싶다는 의중도 있어 막부를 지지하여,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제비뽑기로 쇼군으로 취임하자, 도키 씨(土岐氏), 아카마츠 씨(赤松氏), 오우치 씨(大内氏) 등 유력 슈고 다이묘의 후계자 싸움에 적극적으로 간섭하여 쇼군 권력의 강화에 힘썼다. 게다가 막부에 반항적이었던 가마쿠라 구보 아시카가 모치우지(足利持氏)를 에이쿄의 난(永享の乱)으로 토벌하고, 그 잔당도 유키 전투(結城合戦)에서 궤멸시켜 전국에 아시카가 쇼군에게 표면적으로 반항하는 세력은 없어져 일견 사회가 안정되는 듯 보였다. 하지만, 너무나 강경한 정치 태세가 사람들에게 공포정치라는 반발을 불러일으켜, 결국 슈고다이묘 아카마츠 미쓰스케(赤松満祐)가 쇼군 요시노리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하여(가키쓰의 난), 이후 쇼군 권력은 쇠퇴일로로 치달았다. 그 후에는 연이어 어린 쇼군이 취임하였기 때문에 유력 다이묘 간의 합의로 나라가 운영되었다.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예술과 건축에 관해서는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치적 관심은 전무하여 자연스럽게 정치는 쇼군의 정실 히노 도미코와 쇼군의 측근, 유력 다이묘 사이의 권력 항쟁의 장으로 변하여, 간토에서 가마쿠라 구보의 부활을 둘러싸고 발생한 교토쿠의 난(享徳の乱)이 발생해도 막부는 방관하며 적절한 대책을 세우려고 하지 않았다. 요시마사는 늦게까지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인 아시카가 요시미(足利義視)를 양자로 삼아 후계자로 세울 예정이었지만, 히노 도미코와의 사이에서 아들 요시히사가 태어나자 후계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간레이 호소카와 가쓰모토(細川勝元)를 필두로 하는 요시미 지지파와 야마나 소젠(山名宗全)이 이끄는 요시히사 지지파가 대립하고 있는 와중에 간레이를 배출하는 하타케야마 가문과 시바 가문에서도 가독 승계를 둘러싼 싸움이 발생하여 곧 이것이 쇼군의 후계자 싸움과도 얽히게 되어 문제는 한층 복잡해지고 있었다. 결국, 양자의 대립이 격화된 끝에 전국의 다이묘들이 병력을 이끌고 정치의 중심지인 교토로 집결하여 대규모의 군사충돌이 발생하게 되었다(오닌의 난). 그러나 참가한 각 다이묘의 의욕이 높지 않아 자연히 군사들의 사기는 낮았으나, 그렇다고 해서 승리할 경우 얻을 이익을 완전히 포기한 것도 아니어서 결과적으로 수도 근교에서 소규모의 충돌이 되풀이되어 11년간이나 결판이 나지 않는 지지부진한 동란이 계속되었다. 그 때문에 요시마사가 정치에 싫증을 내고 요시히사에게 갑자기 쇼군 직을 물려주고 은거하고 양군의 총대장인 호소카와 카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이 잇달아 병사하였으나, 각 다이묘는 병사를 물리고 영지로 돌아가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병사를 물리게 되면 긴 전쟁으로 많은 손해를 입었으나 별 소득이 없이 돌아가게 되는 꼴이 되어 각자의 영지에서 다이묘의 지위가 흔들릴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오닌의 난은 수도 교토를 초토화 시켰을 뿐 아무런 승패를 결정짓지도 못하고 흐지부지하게 종결되었다. 하지만 이 난을 계기로한 전란은 오닌의 난 종결 후에도 지방으로 확대되어, 간토의 교토쿠의 난도 10년 가까이 싸움이 계속되었다. 이 소란에 의해 막부의 정치적·경제적 기반이 완전히 붕괴되어 쇼군의 권위는 이름뿐인 것이 되었다. 새로운 쇼군 요시히사는 젊었을 때 병사하고, 은퇴한 요시마사는 긴카쿠지(銀閣寺)를 비롯한 히가시야마 산장의 조영 등 예술의 세계에 몰두하며 여생을 보내고 있었다.그렇지만, 요시마사의 예술보호가 후의 히가시야마 문화(東山文化) 발전의 기초가 되어, 후세의 일본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얄궃게도 이제까지 쇼군의 권위를 경시하며 멋대로 굴던 각 다이묘들도 정작 슈고 임명권자인 쇼군이 권위를 완전히 상실해버리자 자신들의 슈고로서의 통치권의 정통성과 권위까지도 잃어버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수하의 슈고다이, 고쿠진 등에 의한 하극상, 더욱이 가가 잇코 잇키와 야마시로 잇키로 대표되는 민중의 잇키로 그 영국 지배를 위협받아 다수의 다이묘가 몰락하였다. = = = 센고쿠 시대 = = = 오닌의 난으로 쇼군의 권위가 완전히 실추되고 막부의 권력도 쇠퇴하였지만, 쇼군의 군사적인 실권은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었다. 난 후에 쇼군의 권위에 기댄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절대적인 권력자로 대두하였다. 요시히사의 사후, 쇼군의 자리는 요시미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키(足利義材)가 계승하였지만, 요시키와 대립한 마사모토는 요시키와 손잡은 전 간레이 하타케야마 마사나가(畠山政長)를 토벌하고 메이오 정변으로 쇼군 요시키를 추방하고 아시카가 요시즈미를 새로운 쇼군으로 옹립했다. 센고쿠 시대의 시작은 앞서 일어난 오닌의 난을 계기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메이오 정변을 계기로 보는 설이 유력해지고 있다. 가신인 간레이가 쇼군을 쫓아낸 이 사건에 의해 마사모토는 호소카와 가문에 의한 간레이 직의 세습화와 독점상태를 확립하고 쇼군의 폐위권마저 손에 넣었지만, 그 천하도 그리 오래가지는 않았고 자신의 후계자를 둘러싼 가문의 내분으로 살해당했다. 이후 마사모토의 양자인 호소카와 스미모토(細川澄元)와 호소카와 다카쿠니(細川高国)가 간레이 직을 두고 싸움을 시작했다. 이를 안 전 쇼군 요시타네(요시키)는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으로 상경하여 호소카와 다카쿠니의 마중을 받아 쇼군 직에 복귀했다. 하지만 오우치 요시오키가 자신의 영지의 정세에 의해 귀국하자, 다카쿠니는 태도를 바꾸어 망명처에서 죽은 요시즈미의 아이인 아시카가 요시하루(足利義晴)를 새 쇼군으로 옹립하고 요시타네와 스미모토의 연합군을 물리쳤다. 최종적으로 스미모토의 자식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晴元)가 다카쿠니를 물리치고 요시하루를 새 쇼군으로 인정하여 그의 간레이가 되는 것으로 20년 이상에 걸친 내분에 종지부를 찍었다. 결국, 일련의 내분으로 막부 자체가 쇠퇴하여 교토 주변을 다스리는 데 불과한 일개 지방정부로 전락하여 가까스로 슈고를 대신하여 전국을 할거한 센고쿠 다이묘에의 권위 부여 기관 정도의 존재감 밖에 갖지 못하는 존재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하루모토는 정권 획득의 최종단계에서 큰 공을 세운 가신 미요시 모토나가(三好元長)를 살해한 것이 후년에 큰 맹점으로 남는다. 모토나가의 자식인 미요시 나가요시 형제는 부친의 복수를 위하여 반기를 들고 거병하여 하루모토를 추방하고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괴뢰화하였다. 나가요시는 하루모토의 후임으로 괴뢰 간레이를 세워 그 정권을 빼앗고 쇼반슈의 일원으로서 막부정치의 전권을 장악했다. 하지만 말년에는 그 역시 중신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병사했다. 이 상황을 본 쇼군 요시테루는 우에스기 겐신(간토 간레이)을 비롯한 친 쇼군 파의 센고쿠 다이묘의 지원을 받으면서 쇼군 권위의 재건을 꾀해보지만, 마쓰나가 일파의 쿠데타(에이로쿠의 변)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 동생 아시카가 요시아키는 간레이 시바 가문의 전 가신 오다 가문의 오다 노부나가의 지원을 받아 상경하여 마쓰나가 일파를 굴복시키고 쇼군에 취임하였다. 하지, 얼마 안 있어 천하포무를 외치며 새로운 질서 형성을 향하는 노부나가와 종래의 쇼군, 막부 중심의 질서의 재건을 향하는 요시아키는 적대하여 1573년에 요시아키는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당하고 막부 조직은 노부나가가 만든 정치기구에 해체, 흡수당했다. 이후에도 요시아키는 세이이타이쇼군에서 해임당하지 않은 정통성을 가지고 각지를 전전하며 다이묘를 회유하여 노부나가 토벌 활동을 벌였으나, 노부나가에 의한 새로운 질서 형성의 기세 앞에서는 무력하여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여 요시아키의 교토 추방 시점으로 무로마치 막부 및 무로마치 시대는 끝을 맞게 된다. = 데이비드 아출레타 (킥복싱 선수) = 데이비드 아출레타(David Archuleta)는 전직 미국 공군 출신의 미국의 킥복싱 선수이다. 오키나와인이다. 1982년 5월달에 태어났으며, 앨버커키에서 태어났다. 총 전적은 23전이고, 그 중 승은 20승이다. = 엘리사베타궁 = 엘리사베타 궁전은 루마니아의 수도인 부쿠레슈티에 있는 궁전으로, 현재는 명목상의 루마니아 왕국의 국왕인 미하이 1세와 그 가족들인 로므니아 왕가의 구성원들이 거주하는 장소이다. = = 개요 = = 1930년에 루마니아의 국왕이었던 카롤 2세가 그의 누이 엘리사베타(前 그리스 왕비)를 위한 목적으로 의뢰하여 처음 설계되었으며, 실제로 궁전이 건설된 것은 1936년의 일이었다. 그러나 1947년에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이 궁전에 거주하던 왕실 일가가 스위스로 대거 추방되었고, 이후로 궁전은 오랫동안 비워져 있었다. 현재는 루마니아 정부의 승인을 받아 과거에 추방되었던 국왕 미하이 1세의 가족들이 다시 거주하게 되었고, 현재도 이 곳은 옛 루마니아 왕실의 중심이 되어있다. = 메르사마트루 전투 = 메르사마트루 전투는 1942년 6월 26일부터 1942년 6월 29일까지 이집트 메르사마트루에서 일어난 제2차 세계 대전의 서부 사막 전역의 전투이다. 이 전투는 영국의 제8군단, 제10군단을 주축으로 한 연합군, 독일의 아프리카 군단 기갑사단을 주축으로 한 독일-이탈리아 추축군이 맞붙은 전투로서 가잘라 전투에서 연합군이 패전한 이후에 벌어진 전투이다. = 분류:기원전 8세기 아시아의 군주 = -92 아시아 en:Category:8th-century BC monarchs in Asia = 데이터 마케팅 = 데이터 마케팅이란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케팅의 기획, 이행, 성과 측정까지 전 분야를 아우르는 마케팅 기법을 말한다. 최근 마케팅에 기술을 접목시킨 마테크가 유행하며 마케팅 업계의 트렌드로 부상했다. = = 정의 = = 데이터 마케팅은 소비자 개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하는 맞춤형 디지털 마케팅 기법 중 하나다. 데이터 마케팅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전략 기획에서부터 이행, 성과 측정과 같은 마케팅 수행 과정 전체를 진행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며 데이터 산업 시장이 확대되고, 정보기술 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업종의 비즈니스 단계 전반에 데이터가 유입되며 확산되었다. = = = 데이터의 종류 = = = 데이터 마케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내부 데이터는 고객정보 등이 담긴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자료나 판매정보가 담긴 매출 등과 같이 해당 기업만 보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기업은 내부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취향을 예측한 제품 및 콘텐츠를 기획하고 추천할 수 있으며, 충성 고객을 관리하고 잠재 고객을 발굴하는 등 자사만의 노하우가 담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는 지역별 날씨정보, 고속도로 교통량 등과 같이 공공데이터를 비롯하여 외부에서 가져올 수 있는 자료를 의미한다. 외부 데이터에는 고객이 기업의 제품/서비스를 구매하고자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Customer Decision Journey)이나 포털 사이트에 남기는 연관 검색어, 검색량 등과 같은 수많은 흔적 데이터도 포함된다. 외부 데이터는 시장 트렌드 및 브랜드 포지션을 확인하거나 자사 대비 경쟁사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를 분석하고 고객 만족도를 측정하는 등 마케팅 전략 수행 과정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 = 특징 = = 데이터 마케팅은 마케팅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기존 마케팅은 '감'에 의존하는 기획, 마케팅 ‘성과’에 대한 불분명한 정의, 매출 외 뚜렷한 비재무적 성과 측정 지표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마케팅 수행 과정이 전적으로 마케터의 경험에 의존해 진행됐기 때문이다. 데이터 마케팅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 수행 과정에 접근하기 때문에 기존 마케팅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 = 효과 = = 데이터 마케팅은 키워드 검색량 트렌드나 연관 검색어 등과 같은 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소비자 버즈 및 자사 SNS 채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획, 이행, 성과 측정에 이르는 마케팅 전략 수행 과정 전체를 뒷받침할 수 있다. = = 사례 = = = = = 해외 사례 = = = = = = = 코카콜라 컴퍼니 = = = = 코카콜라 컴퍼니(이하 코카콜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식음료 회사로, 제일 유명한 코카콜라 외에도 환타, 스프라이트, 미닛메이드 등 500개 이상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전세계 200개 이상 국가에 진출해있는 코카콜라는 서로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는 각 로컬 시장에서 브랜드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코카콜라는 마케팅을 포함한 비즈니스 전반에 적극적으로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코카콜라는 소비자의 90% 이상이 SNS를 기반으로 구매 결정을 내리고 있다는 점에 기초해 인공지능을 이용해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제품을 사용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코카콜라는 SNS에서 소비자들이 자사 제품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40여 개의 ‘소셜 센터’를 구축한 바 있다. 한편 코카콜라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사용해 맞춤형 디지털 마케팅을 진행하기도 했다. 자사 제품 사진뿐 아니라 경쟁사 제품 사진에도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해 잠재 고객을 판별하고 그에 맞춰 광고를 타겟팅했다. 이렇게 타겟이 설정된 광고는 일반 광고 4배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 = 참고 = = 빅데이터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 밤티마을 큰돌이 = 밤티마을 큰돌이는 KBS 2TV에서 2001년 9월 16일부터 2001년 9월 23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시티이다. = = 등장 인물 = = 이요섭 조양자 차기환 남능미 김조은 = 판지시르계곡 = 판지시르계곡(Panjshir Valley, )은 아프가니스탄 동북부의 계곡으로 수도인 카불에서 동북쪽으로 약 150 km 떨어진 힌두쿠시산맥 능선 인근에 있다. 계곡 안을 흐르는 판지시르강이 판지시르계곡을 둘로 가르고 있다. 판지시르계곡에는 약 10만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민 대부분은 아프가니스탄의 다수 민족인 타지크인이다. 2004년 4월에는 원래 파르반주에 속해 있던 지역에서 독립해 새롭게 판지시르주가 창설되었고 판지시르주의 중심부가 판지시르계곡이 되었다. = = 역사 = =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소련의 지원을 받은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에 대항해 지역 군벌 아흐마드 샤 마스우드를 사령관으로 한 무자헤딘이 여러 차례 방어한 판지시르 공세가 있던 장소이다. 판지시르계곡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진행된 아프가니스탄 내전 당시 마수드가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전선(북부동맹)과 탈레반 사이 내전이 일어난 주 장소였다. 판지시르계곡은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지원을 받는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집권하던 시절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제일 안전한 지역으로 손꼽혔으며, 2021년 8월 말 군벌들이 아프가니스탄 국가저항전선을 조직해 아프가니스탄 내 탈레반 저항지의 보루로 만들고자 했다. 탈레반은 8월 22일 수백 명의 전투원을 판지시르계곡으로 보냈다고 발표했다. 2021년 9월 6일 탈레반은 판지시르계곡에서 저항세력을 분쇄하고 아흐마드 마수드의 저항전선 대변인이었던 파힘 다시티를 살해했다고 발표했지만, 저항조직은 판지시르계곡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 경제 및 지하자원 = = 판지시르계곡에는 에메랄드 채취 광업의 근거지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원 후 1세기 초 대플리니우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도 판지시르계곡의 보석에 대해 언급하였다. 중세 시대 판지시르계곡은 은광으로 유명했고 사파르 토후국과 사만 토후국의 왕조들이 판지시르계곡에서 은화를 주조했다. 1985년 판지시르계곡에서는 190 캐럿 (38 g)이 넘는 에메랄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콜롬비아 무조의 가장 우수한 결정과도 견줄 정도라고 평가받고 있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후 진행하기 시작한 재건 사업으로 판지시르계곡에 새로운 현대식 도로가 건설되고 수도인 카불로부터 날아오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타워도 건설되면서 계곡에 건설붐이 일어났다. 또한 판지시르계곡에 있는 판지시르강의 댐과 수력발전소로 아프가니스탄의 전력 생산 중심지가 될 가능성도 있다. 판지시르계곡에는 아프가니스탄의 중요 고속도로도 있다. 거의 100 km에 달하는 길이로 힌두쿠시를 지나는 고속도로로, 이 고속도로는 해발고도 3,848 m의 아프가니스탄 북부 평원으로 이어지는 카왁 고개와 해발고도 4,430 m의 바다흐샨으로 이어지는 안주만 고개로 이 고속도로가 지나는 길은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더 대왕)와 티무르 시절 군사 원정에서부터 사용되었던 경로이다. 2008년 4월에는 판지시르계곡에 10터빈 풍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 킹역 = 킹역 (King station)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의 지하철역으로, 토론토의 금융가의 영과 킹 스트리트에 위치해있다. = = 역사 = = 킹역은 1954년에 토론토 지하철이 유니언에서 에글린턴역까지 개통하면서 동시에 개장하였다. 기존 주소는 영 스트리트 70번지였지만 토론토 교통국 홈페이지는 사거리가 위치해있는 주소인 킹 스트리트 3번지를 사용한다. 개통 당시 킹역 북쪽에는 회차선이 설치되었지만 1984년 5월에 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회차선을 제거하였다. 2012년, TTC는 신호 개량 이후 지하철에 문제가 생길 때 이 역에서 회차할 수 있도록 회차선을 다시 설치하였다. 2017년 6월에 TTC는 공공 미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킹역에 숀 마틴데일의 "채광창" (Light Canopy)을 설치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작품은 킹역 서쪽 출입구 계단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 작품으로 낙엽진 거리를 지나는 듯한 인상을 준다. = = 역 구조 = = 이 역은 영과 킹 스트리트 사거리 바로 밑에 있으며, 세 층으로 나뉘어있다. 출입구 다섯 개 모두 지상층에 위치해있고 세 개는 사거리 북동쪽, 남서쪽과 남동쪽에 인도로 나있다. 북서쪽 출입구는 스코샤 플라자로 연결되어있고 멜린다 스트리트 21번지의 커머스 코트 이스트에 반자동 출입구가 있으며, 평일 러시 아워에는 직원이 상주해있다. 멜린다 스트리트 남쪽에 있는 유니언 방면 승강장에는 역 밖으로만 나올 수 있는 출구가 있다. 이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관계로 휠체어 승객이 이용할 수 없는 곳이다. 지상층 바로 밑에는 대합 공간이 두 곳으로 나뉘어있는데, 북쪽에 있는 킹 스트리트 콩코스와 남쪽에 있는 커머스 코트 콩코스로 나뉘어있다. 멜린다 스트리트 출입구를 제외한 모든 출입구는 북쪽 대합 공간으로 이어진다. 밑층에는 핀치와 본 방면 승강장까지 계단으로 이어져있다. = = 근처 명소 = = 이 역은 금융가의 중심이 되는 지하철역으로 PATH 지하 통로를 통해 캐네디언 퍼시픽 빌딩, 스코샤 플라자, 커머스 코트, 토론토 도미니언 센터, 퍼스트 캐네디언 플레이스 등의 오피스 빌딩으로 연결된다. 이 역 근처에는 또한 원 영 스트리트, 킹 에드워드 호텔, 세인트제임스 대성당, 토론토 조각상 공원, 세인트로렌스 홀과 세인트로렌스 시장이 있다. = = 대중교통 연결편 = = 2020년 10월 9일 기준 킹역에서 연결되는 버스와 노면 전차 연결편은 아래와 같다. 지하철에서 버스 또는 노면 전차로 갈아타려면 역 밖에 있는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하며 이 때 환승 표 또는 프레스토 카드 등 출발 지점에서 요금을 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노선 노선 노선 종점 종점 종점 경유지 비고 97B 영 Yonge 요크밀스역 ↔ 영 / 퀸스키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304 킹 King 던다스 웨스트역 ↔ 브로드뷰역 심야 노면 전차 320 영 Yonge 영 / 스틸즈 ↔ 영 / 퀸스키 심야 버스 503 킹스턴 로드 Kingston Rd 세인트앤드루역 ↔ 빙햄 루프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 504A 킹 King 던다스 웨스트역 ↔ 디스틸러리 루프 매일 상시 운행 504B 킹 King 더퍼린 게이트 루프 ↔ 브로드뷰역 매일 상시 운행 = 아벌타스만 국립공원 = 아벌타스만 국립공원(Abel Tasman National Park)은 뉴질랜드 남섬의 북쪽 끝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이 공원은 1942년에 조류학자와 작가 페린 몬크리프에 의해 발견되었다. 면적은 225.3 km2이며, 뉴질랜드에서는 가장 작은 국립공원이다.DoC - Abel Tasman National Park = = 개요 = = 이 국립공원은 숲과 타카카 계곡 북쪽의 언덕진 시골과 리와카 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쪽으로는 골든 만과 태즈먼 만의 바다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 룡남 타워 = 룡남 타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룡남산지구에 위치한 마천루이다. = 헤일리 스타인펠드 = 헤일리 스타인펠드(, 1996년 12월 11일 ~ )는 미국의 배우, 가수이다. 스타인펠드는 2010년 영화 더 브레이브의 매티 로스 역할로 널리 이름을 알렸고, 그녀의 연기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미국 배우 조합상(SAG),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을 비롯한 수많은 사상식에 후보 지명되었다. 그 후 스타인펠드는 엔더스 게임(2013), 로미오 앤 줄리엣(2013), 비긴 어게인(2013)과 쓰리데이즈 투 킬 (2014)에서 역할로 유명세를 얻었다. 그녀는 피치 퍼펙트: 언프리티 걸즈(2015)와 피치 퍼펙트 3(2017)에 에밀리 정크 역할로 출연했으며, 2016년 영화 지랄발광 17세의 네이딘 버드 역할로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피치 퍼펙트: 언프리티 걸즈에서 "Flashlight"를 연기한 후, 스타인펠드는 노래의 커버 버전을 발표하고 리퍼블릭 레코드와 계약하였다. 그녀는 데뷔 싱글 Love Myself(2015)를 발표하고, 이 곡은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등급을 받았으며, 뒤이어 그녀는 데뷔 EP Haiz(2015)를 발매했다. 그녀는 이후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 12위를 기록했던 "Starving"(그레이와 제드의 공동 작업)과 "Let Me Go"(알레소,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과 앤드류 와트와의 공동 작업)를 포함한 일련의 솔로 싱글을 발표했고, 미국의 메인 스트림 TOP 40 차트에서 14위를 기록했다. = = 성장 과정 = = 스타인펠드는 1996년 12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타자나에서 개인 피트니스 트레이너인 아버지 피터 스타인펠드와 인테리어 디자이너 어머니 셰리 (결혼전 성씨는 도메인)의 딸로 태어났다.Garza, Oscar (February 25, 2011). "Hailee Steinfeld’s True Colors" . L.A. Forward. Retrieved March 5, 2011. 그녀의 형제자매로는 오빠 그리핀이 한 명 있다. 그녀의 친삼촌 제이크 스타인펠드는 피트니스 트레이너이고, 그녀의 외삼촌은 전직 아역 배우 래리 도메인이다. 그녀의 외사촌인 트루 오브라이언은 스타인펠드가 8세였을 때 TV 광고에 출연하여 그녀가 연기를 하는데 영감을 주었다. 스타인펠드 가족의 종교는 유대교이다. 그녀의 외할아버지는 하프 필리핀계와 하프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이다. 그녀는 아구라힐스와 사우전드오크스에서 성장했고, 어센션 루터란 스쿨, 코네호 초등학교, 콜리나 중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이후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2008년부터 2015년 6월까지 홈스쿨링을 했다. = = 경력 = = = = = 2007-2014: 초기 경력과 더 브레이브 = = = 스타인펠드는 만 10세때부터 연기를 시작했다. 그녀는 영화제에서 수상을 한 단편 영화 쉬즈 폭스에서 탈리아 알든 역할을 포함한 여러 편의 단편 영화에 출연했다. 그녀는 여러 TV 프로그램의 게스트 출연과 광고에 출연했다. 스타인펠드는 만 13살 때, 15000:1의 경쟁을 뚫고 영화 더 브레이브의 매티 로스 역할에 캐스팅 됐다. 이 영화는 2010년 12월에 전세계에 공개되었고, 타임 매거진의 리처드 콜리스는 그녀의 연기를 2010년 Top 10 영화 연기 중 하나로 꼽았으며, 스타인펠드에 대해 "거만한 대화를 가장 쉬운 모국어처럼 전달하고, 나쁜 놈들을 노려보고, 마음을 이긴다. 그것은 진정한 선물이다."라고 썼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평론가 로저 이버트와, 롤링 스톤 또한 찬사를 보냈다. 스타인펠드는 제83회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지명됐다. 더 브레이브이 공개된 지 5개월 만인 2011년 5월 스타인펠드는 이탈리안 디자이너 브랜드 미우 미우의 새로운 얼굴로 발탁되었다. 또한 2011년 스타인펠드는 만 14세 때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를 각색한 2013년 영화에서 줄리엣 카플렛 역할에 캐스팅 되었다. 이 역할은 원래 22세 여배우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영화의 노출에 대한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감독은 미성년자인 스타인펠드의 출연이 결정됐을 때 14세의 나이에 적합하도록 각본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시나리오 작가는 영화의 순결성을 중요하게 여겨 주인공은 "결혼하기 전까지는 사랑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영화는 2013년 10월 미국과 전세계적으로 공개되었지만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 스타인펠드는 2013년 영화 비긴 어게인에서 마크 러팔로이 분한 주인공 댄의 딸 바이올렛 역할을 연기했다. 이 영화는 2014년 6월 27일 미국에서 한정 개봉되었고, 7월 11일에 확대 개봉된 주말에 134,064 달러를 벌어 들였다. 8월 29일 와인스타인 컴퍼니에서 재개봉되었다. 스타인펠드는 올슨 스캇 카드가 쓴 동명의 공상 과학 액션 모험 소설을 각색한 영화 엔더스 게임에서 패트라 아카니안 역할을 연기했다. 이 영화는 2013년 11월 1일에 공개되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2011년 캣 패트릭의 소설 포가튼에 대한 영화 제작에 대한 권리를 구입하였고, 2015년에 촬영 될 프로젝트로 그녀가 런던 레인을 연기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4년 스타인펠드는 다니엘 핸들러의 로맨틱 코미디 소설 와이 위 브로크 업을 각색한 영화에서 민 그린 역할로 출연한다고 발표되었지만 영화는 아직까지 제작되지 않았다. = = = 2015-현재: 피치퍼펙트 2, EP 앨범 Haiz와 기타 프로젝트 = = = 그녀는 2015년 1월 23일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 된 영화 일만명의 성자들에서 엔더스 게임(2013)에서 공연한 배우 에이사 버터필드와 재회하며 상대 역할인 엘리자 역할에 캐스팅 되었다. 스타인펠드는 당초 2015년 영화 포 더 도그의 여주인공에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결국 엠마 로버츠로 대체되었다. 2014년 봄, 스타인펠드는 톨레랑스 박물관에서 열린 안네 프랑크 전시회에서 안네의 목소리를 맡아 나레이션을 했다. 10월에는 제니퍼 E. 스미스가 쓴 동명의 소설 The Statistical Probability of Love at First Sight을 바탕으로 한 영화에 해들리 역할로 출연했다고 발표 되었다. 스타인펠드는 2015년 1월, 카렌 리스너의 청소년 소설 캐리 필비을 각색한 영화에 출연했다고 발표 되었다. 3월 스타인펠드는 일본 애니메이션 추억의 마니에서 애나를 연기하는 키어넌 십카의 상대 역할인 주인공 마니의 목소리 더빙을 연기했다. 스타인펠드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싱글 "Bad Blood"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했다. 이 비디오는 2015년 5월 17일 2015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첫 공개되었다. = = 필모그래피 = = = = = 영화 = = =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8 헤더: 어 페어리 테일 Heather: A Fairytale 헤더 단편 영화 2008 쉬즈 폭스 She's a Fox 탈리아 앨던 단편 영화 2010 위드아웃 윙스 Without Wings 알리슨 단편 영화 2010 그랑 크뤼 Grand Cru 소피 단편 영화 2010 더 브레이브 True Grit 매티 로스 2013 미워하고 사랑하고 Hateship Loveship 사비샤 2013 마법 팔찌 The Magic Bracelet 안젤라 단편 영화 2013 로미오 앤 줄리엣 Romio & Juliet 줄리엣 카플렛 2013 엔더스 게임 Ender's Game 페트라 아케니언 2014 비긴 어게인 Begin Again 바이올렛 2014 쓰리데이즈 투 킬 3 Days to Kill 주이 러너 2014 더 홈즈맨 The Homesman 타비사 허친슨 2014 키핑 룸 The Keeping Room 루이스 2015 일만명의 성자들 Ten Thousand Saints 루이자 2015 피치 퍼펙트: 언프리티 걸즈 Pitch Perfect 2 에밀리 정크 2015 유니티 Unity 내레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2015 추억의 마니 When Marnie Was There 사사키 안나 (더빙) 애니메이션 영화, 영어판 2015 베어리 리셀 Barely Lethal 메건 월시 2016 텀 라이프 Term Life 케이트 바로우 2016 지랄발광 17세 The Edge of Seventeen 네이딘 버드 2017 피치 퍼펙트 3 Pitch Perfect 3 에밀리 정크 2018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 스파이더 그웬 (목소리) 2018 범블비 Bumblebee 찰리 왓슨 2019 비트윈 투 펀스: 투어 스페셜 Between Two Ferns: The Movie 본인 2019 미녀 삼총사 Charlie's Angels 앤젤 지원자 카메오 2023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Spider-Man: Across the Spider-Verse 스파이더 그웬 (목소리) = = = 텔레비전 = = =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7 백 투 유 Back to you 어린 소녀 에피소드: "Gracie's Bully" 2010 여름 캠프 Summer Camp 샤이야 맷슨 텔레비전 영화 2010 썬즈 오브 투싼 Sons of Tucson 베다니 에피소드: "Chicken Pox" 2019-2021 디킨슨 Dickinson 에밀리 디킨슨 주연 및 제작 2021 아케인 Arcane 바이 목소리 출연 2021 호크아이 Hawkeye 케이트 비숍 / 호크아이 주연 = = = 뮤직 비디오 = = = 년도 노래(곡) 가수 참고 2012 "Endlessly" The Cab 2015 "Bad Blood" 테일러 스위프트 2015 "Love Myself"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5 "Sing" 펜타토닉스 2016 "Rock Bottom" 헤일리 스타인펠드 feat. DNCE 2016 "Starving" 헤일리 스타인펠드, 그레이 feat. 제드 2017 "At My Best" 머신 건 켈리 feat.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7 "Most Girls"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7 "Let Me Go" 헤일리 스타인펠드, 알레소 feat.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앤드류 와트 2018 "Capital Letters" 헤일리 스타인펠드, BloodPop Sam Prance "Hailee Steinfeld Shines In Stunning 'Capital Letters' Music Video",MTV, February 1, 2018 = = 음반 목록 = = = = = EP = = = Haiz (2015) = = 투어 = = = = = 오프닝 액트 = = = 메건 트레이너 – The Untouchable Tour](2016) 케이티 페리 – Witness: The Tour(2018) 찰리 푸스 – Voicenotes Tour(2018)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작품 시상식 부문 결과 출처 2010 더 브레이브 얼라이언스 오브 우먼 필름 저널리스트(여성 영화기자협회) 최우수 신인 연기상 2010 더 브레이브 얼라이언스 오브 우먼 필름 저널리스트(여성 영화기자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센트럴 오하이오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가장 유망한 연기상 2010 더 브레이브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2010 더 브레이브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인디아나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캔사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라스베이거스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아역배우상 2010 더 브레이브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 올해의 여우주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피닉스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 부문 아역연기상 2010 더 브레이브 사우스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밴쿠버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0 더 브레이브 워싱턴 D.C. 아레아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1 더 브레이브 영 아티스트 어워드(젊은 예술가상)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 부문 아역연기상 2011 더 브레이브 미국 배우 조합상(SAG) 영화 부문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1 더 브레이브 영국 아카데미상(BAFTA) 최우수 여우주연상 2011 더 브레이브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2011 더 브레이브 내셔널 무비 어워드 올해의 연기상 2011 더 브레이브 엠파이어상 최우수 여자 신인상 2011 더 브레이브 새턴상 아역 배우 부문 최우수 연기상 2011 더 브레이브 MTV 무비 & TV 어워드 최고의 신인상 2011 더 브레이브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주목할만한 여자배우상 2013 자신 막스 마라 미래의 얼굴 2015 피치 퍼펙트: 언프리티 걸즈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씬 스틸러상 2016 자신 아이하트 라디오 뮤직 어워드 빅거스트 트리플 트리트상 2016 지랄발광 17세 워싱턴 D.C. 아레아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아역연기상 2016 지랄발광 17세 여성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자 아역연기상 2017 지랄발광 17세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2017 지랄발광 17세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코미디 여우주연상 2017 지랄발광 17세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2017 자신 니켈로디언 키즈 초이스 어워드 좋아하는 신인 아티스트상 2017 자신 라디오 디즈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주목할만한 가수상 2017 "Starving" 라디오 디즈니 뮤직 어워드 최우수 크러쉬 노래상 2017 지랄발광 17세 MTV 무비 & TV 어워드 영화부문 최고의 배우상 2017 자신 빌보드 뮤직 어워드 Top 커버드 아티스트상 2017 지랄발광 17세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드라마 여자배우상 2017 자신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뮤직: 여성 가수상 2017 "Most Girls"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싱글: 여성 가수상 2017 자신 MTV 유럽 뮤직 어워드(EMA) 최우수 푸쉬 액트 2018 "Let Me Go" 디즈니 라디오 뮤직 어워드 최우수 댄스 트랙상 2018 피치 퍼펙트 3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코미디 여자배우상 2018 MTV 유럽 뮤직 어워드 최우수 팝상 =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春川 槿花洞 幢竿支柱)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6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버티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춘천시내에서 의암호를 따라 춘천역으로 돌아가는 도로 옆에 세워져 있는 이 당간지주는 아무런 꾸밈새가 없는 간결한 형태이다. 마주 보고 있는 두 기둥 사이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당간의 받침돌이 놓여져 있는데, 아랫단은 둥근조각이 있고, 윗단은 16잎의 연꽃조각이 돌려져 있다. 기둥의 꼭대기는 반원형을 이루고 있고, 한 곳에만 깃대를 고정시켰던 홈의 흔적이 남아 있다. 돌을 다듬은 기법이나 연꽃잎을 새긴 수법으로 보아 고려 중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 참고 자료 = = *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에 있는 사진 근화동 당간지주 = 분류:패턴 = 패턴, 무늬. : 같은 부류가 반복되거나 여럿이 나타나는 것. 꼭 무늬일 필요는 없다. = 웨스트민스터궁 = 웨스트민스터궁은 영국 런던에 소재한 국회의사당이다. 영국의 상원과 하원의회장이 모두 이 건물에 자리하고 있다. 런던 자치구의 시티 오브 웨스트민스터의 템스강 북쪽에 있으며, 정부 청사들이 있는 화이트홀과 가깝다. 궁전의 배치는 복잡한 편이다. 기존 건물을 포함하여 약 1,100개의 방과 100여개의 계단 그리고 4.8km의 복도가 있다. 건물 대부분은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초기의 원형 건물 가운데 살아남은 요소는 오늘날에는 유해의 정장(正裝) 안치와 같은 중요한 국가행사를 치를 때 사용하는 웨스트민스터 홀과 보석 탑 등이다. 웨스트민스터 궁전의 빅토리아 탑에는 200만 건이 넘는 서류가 보관되어 있으며 궁전의 북쪽 끝에는 빅벤이라 불리는 대형 탑시계가 있다. 웨스트민스터 궁전과 궁전 주위는 시종 장관이 여왕을 대신하여 몇 세기 동안 관리하고 있다. 1965년 왕실과의 협정에 따라 두 채의 건물 관리를 통과시켰다. 몇몇 의식용 방들은 시종 장관이 계속 관리하고 있다. 1834년 큰 화재를 겪은 후 소실되었으며, 오늘날의 의사당은 건축가 찰스 배리(1795-1860)와 그의 조수 아우구스트 웰비 노트모아 푸긴(1812-1852)에 의해 30년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웨스트민스터 홀과 화재에서 살아남은 세인트 스티픈 경당을 통합하도록 설계했다. = = 역사 = = = = = 옛 궁전 = = = 오늘날에는 웨스트민스터 궁전이 자리잡고 있는 템스강 뒤쪽은 중세 동안 중요한 전략 요충지였다. 적어도 앵글로-색슨족 시대부터 이곳에 건물을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 시절 크누트 대왕이 1016년과 1035년 사이에 최초로 궁전을 세웠고 후에 참회왕 에드워드에 의해 시티 오브 런던 서쪽 섬에 그의 궁전과 웨스트민스터 사원(1045-1950)이 세워지게 되었다. 세월이 흘러 궁전과 사원의 인근 지역을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서쪽 수도원(West Monastery)의 약칭인 것으로 보인다. 1066년 노르만 정복 후 윌리엄 1세가 런던 탑을 자신의 주거지로 삼았지만 나중에 웨스트민스터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색슨족들이나 윌리엄 1세가 살았던 건축물은 오늘날에는 이미 자취를 감추었다. 궁전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들은 윌리엄 1세의 후계자인 윌리엄 2세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궁전은 중세 후반기 이래 왕의 주거지로 계속 사용되었으며, 공공시설의 상당수가 웨스트민스터 인근에 세워지게 되었다. 의사당의 전신인 추밀원은 웨스트민스터 홀에 설치되었다. 1295년 궁전 안에서 최초의 잉글랜드 의회가 열렸다. 이처럼 거의 모든 의회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왕이 거주하는 이곳 웨스트민스터 궁전에서 열리게 되었다. 1512년에 웨스트민스터 궁전의 왕실 주거 공간에서 대화재가 일어났다. 그러자 당시 왕이었던 헨리 8세는 1534년 토머스 울지 추기경에게서 요크 궁전을 사들인 후 그 건물의 이름을 화이트홀 궁전으로 바꾸고 자신의 궁전으로 사용했다. 이후에도 웨스트민스터 궁전이 영국 왕실의 공식 왕궁이긴 했지만, 실제로는 상하원의 의회와 재판소로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본래 이곳은 궁전이었던지라 의회 건물로 이용하기에는 구조가 적합하지 못했다. 의회 개회식과 같은 중요한 국가 행사들은 원래 헨리 3세의 침실로 지어진 페인티드 챔버(Painted Chamber)에서 거행하였다. 상원은 건물 남쪽 끝에 있던 왕비의 방(Queen's Chamber)에서 회합을 가졌고, 왕자들이 쓰던 방은 의회 개회기간동안 왕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그 용도가 바뀌었다. 그러나 나중에 잉글랜드가 아일랜드와 연합 국가를 만들며, 의회의 업무가 급격하게 늘어나자 상원은 더 큰 화이트 챔버(White Chamber)로 그 회의장을 옮겨 사무를 처리하였다. 하원은 고정된 개최 장소가 없었으며 이따금씩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챕터 하우스(Chapter House)에서 회합을 가졌다. 나중에 하원은 헨리 8세의 후계자인 에드워드 6세 치세 아래 궁전 내 왕실 전용 성당이었던 세인트 스티픈 경당을 회합 장소로 얻어낼 수 있었다. 이후 300년 동안 성당은 하원 회의장의 용도에 맞추어 개조되었으며 점차 그 외관을 바꾸어나갔다. 17세기 후반에 있었던 대대적인 수리작업은 하원 회의장의 내부 인테리어까지 완벽하게 바꾸어놓았다. 의회는 점점 노후화되가는 좁은 웨스트민스터 궁전 건물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8세기부터 궁전에 본격적인 변화가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지어지는 시대에 따라 그 시대만의 고유 양식과 스타일들의 건물들이 점차 추가되었다. 1775년에 팔라디안 양식의 새로운 서쪽 파사드가 완공되었으며 이는 문서 저장 공간과 회의장을 추가로 제공해주었다. 하원 대변인의 사무실이 1795년에 세인트 스티븐 경당 바로 옆에 지어졌다. = = = 대화재와 복구작업 = = = 1834년 10월 16일에 문서를 태우는 용도로 사용되던 화로에서 불이 났고, 상원과 하원 회의장과 함께 웨스트민스터 궁의 건물들이 대부분 전소되고 말았다. 하지만 다행히도 웨스트민스터 홀과 보석 탑, 세인트 스티픈 경당의 지하실, 회랑은 화마를 피해갈 수 있었다. 화재 직후, 윌리엄 4세는 거의 완공 단계에 들어서고 있었던 버킹엄 궁전을 새로운 국회의사당으로 제공함으로써 그가 싫어하던 웨스트민스터 궁전을 아예 없어버리려 하였다. 하지만 버킹엄 궁전은 의회 시설을 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고, 의회는 왕의 제안을 거부하였다. 그 외에도 다른 건물들도 새 국회의사당으로 검토되었으나 모두 묵살되었다. 이와 같은 결정은 웨스트민스터 궁이 가지고 있던 상징성과 역사, 전통이 강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음 의회 일정을 위하여 상원과 하원 회의장은 임시로 빠르게 재건되었고 1835년 2월에는 임시 가건물이 모두 완성되었다. 1835년 국왕은 의회건물에서 일어난 화재가 그저 우연이었음을 의원들에게 설득시켰고, 새롭고 영구적인 의회 건물을 짓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후 국회의 각 부처마다 모두 위원회를 만들었고 새로운 국회의사당의 설계에 대한 안을 제출하였다. 1836년 왕립 위원회는 97가지 설계안을 검토한 후, 건축가 찰스 베리가 설계한 고딕 양식의 설계안을 최종적으로 채용하였다. 1840년 주춧돌을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1847년과 1852년에 각각 상원의사당과 하원의사당이 완공되었다. 건물의 주요 부분도 1860년에 들어서야 완공되었다.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난방용 증기관과 에어컨 시설도 처음으로 갖추게 되었다. = = = 전쟁 시기 = = =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웨스트민스터 궁전은 무려 14차례나 공습에 피격당했다. 1940년 9월 한 개의 폭탄이 궁전 내의 정원에 떨어져 남측 회랑과 벽들이 무너졌으며, 정원에 서있던 사자왕 리처드의 동상이 땅으로 떨어졌다. 같은 해 12월에 떨어진 또다른 폭탄은 궁전의 회랑과 벽들을 심각하게 파괴하였다. 최악의 공습은 1941년 5월에 일어난 공격이었다. 이 때 무려 12번의 공습이 있었으며, 경찰관 2명과 상원의원 1명이 이때 사망했다. 한 폭탄은 하원 회의장 바로 위에 떨어져 회의장을 불로 휩싸이게 만들었으며, 또다른 폭탄은 웨스트민스터 홀 바로 위에 떨어졌다. 소방관들은 두 곳을 동시에 구할 수 없었으며, 어느 곳을 구할지 선택을 해야만 했다. 소방관들은 웨스트민스터 홀에 물을 뿌려 성공적으로 홀을 지켜냈지만, 결국 하원 회의장은 전소되고 말았다. 상원 회의장에도 폭탄이 떨어졌지만, 폭발하지 않아 큰 피해는 없었다. 빅 벤에는 비행기 잔해와 작은 폭탄들이 떨어져 시계를 덮고 있던 유리를 박살냈지만 그 안에 있던 종과 기어들은 파괴되지 않아 전쟁 내내 시계탑은 종소리를 낼 수 있었다. 하원 회의장이 완전히 파괴되자, 상원의원들은 상원회의장을 하원에 제공하였고 대신 여왕의 대기실을 상원 회의장으로 사용하였다. 하원 회의장은 전쟁이 끝난 후 조금 더 단순한 형식으로 다시 재건되었다. 이 복원 작업은 1950년까지 계속되었는데, 조지 6세가 웨스트민스터 홀에서 의회의 개회를 선언하며 완전히 완료되었다. 이후 하원은 원래의 회의장으로 돌아갔고, 상원도 원래대로의 회의장을 되찾을 수 있었다. = = = 노후화와 보수공사 = = = 시대가 흐르며 자연히 영국 의회의 업무량도 늘어났고, 이에 따라 국회 건물의 개보수, 확장도 필수적이게 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웨스트민스터궁의 노후화 문제가 크게 불거졌다. 가장 큰 문제는 궁전 지하에 설치된 시설들로, 대화재 복구사업 당시 설치된 증기관과 환풍구를 따라 상하수도관과 전기선, 전쟁 당시 설치된 전화선, 최근에 설치된 인터넷선 등이 차례로 덧붙여졌다. 이러한 설비의 정확한 매설 규모와 작동 여부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은 것은 물론, 각각의 설비 시설이 노후화된 채로 방치되어 접선을 일으켜 발생한 화재 사고가 총 60건에 달하기도 했다. 건물 외적인 문제도 적지 않아서, 2017년 10월에는 외벽에서 떨어져나온 돌조각으로 유리창이 부서지고, 2018년 4월에는 석조 천사상의 받침대 일부가 떨어지는 사건도 벌어졌다. 2012년 예비 검사를 통해 건물을 새롭게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했고, 리모델링 기간 동안 의회 일정은 궁전 밖에 있는 다른 건물에서 진행하는 안이 검토되었다. 2015년 정밀조사 결과, 보수공사 자체 비용이 최소 35억 파운드, 의회일정과 동시에 동시에 진행하면 무려 71억 파운드라는 거금이 들어간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영국 정부의 긴축 정책을 의식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으나, 수리를 미룰수록 오히려 예산규모가 1억 파운드씩 증가한다는 사실로 인해 리모델링에 조기 착수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2017년 1월부로 수리를 결의하였다. 영국 국회의원들은 결의에 따라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총 6년 간 웨스트민스터 궁을 비우게 되었다. 하원은 임시로 화이트홀에 있는 리치몬드 하우스에서 회의를 가지게 되고, 상원은 엘리자베스 2세 컨퍼런스 센터에서 회의를 하게 된다. = = 외부 = = 고전주의 양식 건축가 찰스 베리 경이 디자인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은 19세기에 다시 유행한 고딕 양식의 건물로 지어졌다. 그는 고딕 양식 건축가인 아우구스투스 푸긴과 함께 작업했다. 웨스트민스터 홀은 베리 경의 설계와 어우러지게 되었으나, 푸긴은 베리 경의 디자인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푸긴은 그의 설계에 대해 '그는 고대 그리스의 고전적인 아름다움에 튜더 양식을 억지로 덧입혔다'라고 평했다. = = = 석조 건축 = = = 1839년 찰스 베리 경은 새로운 의회 건물에 쓸 석재를 구하기 위해 영국 전역의 채석장을 돌아다녔다. 그는 지질학자와 조각가로 구성된 위원회의 도움을 받았으며, 102개의 후보지 중 결국 안스톤에 있는 모랫빛 석회암 채석장을 채택하였다. 안스톤에 있는 채석장에서 끌어올려진 돌들은 템즈 강을 통해 곧바로 공사장으로 들어올 수 있었고 정교한 조각이 가능할 정도로 석질이 좋았다. 베리 경이 디자인한 새로운 궁전은 모랫빛으로 아름답게 재건되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궁전은 오염과 저급한 석재로 인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영국 정부는 1849년에 이와 같은 붕괴를 알아차렸으나, 19세기 내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그러나 결국 1910년에 석재를 조금씩 대체하기 시작했다. 1928년에는 러틀랜드에서 공수해 온 꿀색 석회암을 대신 사용하여 복원작업을 시작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쟁이 일어나 이 작업은 중단되었다. 복원 작업은 전쟁이 끝난 후인 1950년대에 완공되었다. 하지만 60년대에 또다시 국회 건물은 오염으로 인해 망가지기 시작했고 또다른 복원 프로젝트는 1981년에 시작되어 1994년에 끝났다. 2012년 10월, 웨스트민스터 홀의 북쪽 벽이 완성되었고 안뜰의 복원도 완공되었다. = = = 탑 = = = = = = = 빅토리아 타워 = = = = 웨스트민스터 궁전에는 모두 3개의 주요한 탑들이 있다. 이 중 가장 높은 탑은 '빅토리아 타워'로 98.5m의 높이이고 궁전의 서남쪽 모서리에 세워져 있다. 이 탑은 한때 '왕의 탑'이라 불렸으며 베리 경의 독창적인 설계도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그는 이 탑을 궁전의 입구와 기록 보관소로 사용하였다. 빅토리아 타워는 꾸준히 개축 작업을 거쳤으며, 그때마다 그 높이도 증가했다. 1858년에 완성되었을 때, 이 탑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세속적 건축물이었다. 탑의 하부에는 왕이 출입하는 문이 있다. 영국의 왕들은 이 문을 통해 의회로 들어섰으며, 주로 의회의 개회나 중요한 행사들을 공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입구는 15m 크기의 아치 형태이고 성 조지, 빅토리아 여왕 등의 조각상들로 장식되어 있다. 빅토리아 타워는 12층에 달하는 철제 선반에 3백만 개에 달하는 의회 문서들을 보관하고 있다. 여기에는 1497년 이후 의회에서 표결된 모든 법령들이 들어있으며, 권리 장전, 찰스 1세의 사망 선고서와 같은 영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서들도 바로 여기 보관되어 있다. 지붕 꼭대기에는 22m에 달하는 깃대가 있으며, 왕이 국회의사당에 있을 때는 왕실의 깃발을 달고 그 외의 경우에는 유니언 잭을 단다. = = = = 엘리자베스 타워 = = = = 궁전의 북쪽 끝에는 엘리자베스 타워가 있다. 보통 이 탑은 빅 벤이라는 명칭으로 훨씬 더 유명하다. 엘리자베스 타워라는 이름은 2012년에 지어진 것이다. 이 탑의 높이는 96m이고, 빅토리아 타워보다 훨씬 더 두께가 얇다. 탑 속에는 거대한 시계가 들어있다. 이 시계는 19세기 시계 제작자들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던 정확도를 맞췄고 1859년 처음 가동을 시작한 이후 가장 믿을만한 시계로 불려왔다. 시계의 직경은 23피트이고, 유리로 완성되어 있으며 야간에는 뒤에 조명을 비춘다. 시침은 2.7m이고 분침은 4.3m이다. 시계탑 내부의 종탑에는 무려 5개의 종들이 걸려있다. 이 종들은 매 시간마다 종을 쳐 도시 전체에 시간을 알렸다. 본래 이 종을 부르던 명칭이었던 '빅 벤'이 나중에 확장되어 탑 전체의 별칭으로 변한 것이다. 이 종들은 영국에서 3번째로 무거운 종으로, 무게는 무려 13.8톤이다. = = = = 센트럴 타워 = = = = 팔각형 모양을 한 센트럴 타워는 궁전에서 가장 작은 탑으로 91m이다. 탑은 건물의 중앙 로비 바로 위에 우뚝 솟아 있다. 이 탑은 복구 작업 당시 환기를 담당했던 책임자에 의해 설계에 추가되었는데, 그는 이 탑을 환기용 굴뚝으로 사용되기를 원했다. 당시 담당자였던 베리 경은 이 탑을 세우기 위해 측면의 창문들을 좁게 만들고 벽을 두껍게 함으로써 이 탑을 추가했다. 이 탑은 환기라는 면에서 보면 실패했으나, 실용적인 용도가 설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는 주목할 만하다. = = 내부 = = 웨스트민스터 궁전은 1,100개의 방들과 100개의 계단, 4.8km의 회랑을 가지고 있다. 총 4층의 규모인데, 맨 아래층은 정부 기관들이 들어차 있으며 2층은 왕실용 공간, 의회 회의장, 도서관들이 입주해 있다. 나머지 2개의 층은 회의실과 사무실들로 쓰이고 있다. = = = 설계 = = = 궁전에는 출입자들의 신분에 따라 각기 다른 출입구들이 있다. 왕의 출입구는 빅토리아 타워의 하단에 있으며 의회 개회식에 여왕이 바로 이곳으로 들어온다. 이 문은 대기실, 왕실 갤러리, 왕자들의 방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원 회의장으로 향할 수 있다. 상원의원들은 옛 궁전 정원에 있는 현관으로 입장한다. 현관 뒤의 계단은 복도를 통해 왕자들의 방으로 곧바로 연결된다. 하원 의원들은 새 궁전 정원에 있는 현관으로 들어온다. 그들은 휴대품 보관소를 통과하고 하원 회의장 로비로 도착하게 된다. 건물의 서쪽 중앙에 있는 현관은 일반인들을 위한 입구이다. 이 입구를 통과하여 세인트 스티븐 홀까지 걸어갈 수 있으며, 궁전의 중심부로 들어갈 수 있다. = = = 노르만 포치 = = = '포치'란 중요 인사가 건물로 들어갈 때 햇빛이나 비를 맞지 않고 차에서 곧바로 내려 들어갈 수 있게 건물 외부에 튀어 나온 돌출 시설이다. 웨스트민스터 궁은 의회 개회식 때마다 여왕이 방문하는데, 이때 여왕이 출입하는 빅토리아 타워의 입구를 통해 웨스트민스터 궁 내부로 들어간다.여왕은 정식 왕관과 망토, 검을 모두 착용한 채 이 곳을 통해 출입하며, 총리나 상원 의원들, 혹은 왕실 인사들이 곁에서 보좌한다. 이 곳은 여왕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국의 수상들을 맞을 때 사용되며, 평시에는 웨스트민스터 궁을 관람하는 관광객들이 관람 코스를 시작하는 곳이다. 이 곳을 지나면 26개의 회색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계단이 나온다. 이 곳에 행사가 열릴 때에는 양 옆으로 검을 찬 호위병들이 나란히 늘어서 여왕을 호위한다. 이 호위병들이 유일하게 궁전 내에서 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며, 이마저도 공식 행사에서만으로 엄격히 제한된다. 계단을 지나면 드디어 노르만 포치가 나온다. 노르만 포치의 한가운데에는 거대한 기둥이 서있어 천장의 하중을 떠받치고 있다. 노르만 포치라는 이름은 이 곳을 장식하고 있는 무늬들이 옛 노르만 역사에 나온 것들에서 따온 것임에서 기인한다. 다만 이 곳에는 노르만 왕들의 조각상도, 프레스코화도 없고, 다만 참회왕 에드워드의 석상만이 유일하게 이 곳의 이름과 어울리게 서있다. 빅토리아 여왕은 이 방에 2번이나 그려져 있는데, 첫 번째는 거대한 스테인드글라스 속에 젊은 날의 여왕의 모습이, 두 번째는 벽에 그려진 그림 속에 말년의 여왕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기둥들 아래에는 얼 그레이와 같은 유명한 영국의 총리들의 흉상이 모셔져 있다. 노르만 포치로 올라오는 계단 반대편에 있는 2개의 문 가운데 한문에는 왕실 갤러리로, 나머지 한 문은 여왕의 대기실로 향할 수 있게 한다. = = = 여왕의 대기실 = = = 여왕의 대기실은 흔히 그저 '대기실'이라고도 불린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곳은 여왕이 개회식을 준비하며 머무르는 곳인데, 여왕은 이 곳에서 로브와 왕관을 착용하고 본격적으로 의회를 열 준비를 한다. 이 화려한 방에서 특별히 이목을 끄는 것은 방 한쪽에 마련된 왕좌인데, 이 왕좌는 3개의 단 위에 올려져 있고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상징이 새겨진 캐노피 아래에 위치해 있다. 보라색 벨벳으로 쿠션을 댔으며, 왕실 문장이 황금실로 새겨져 있다. 왕좌 반대편에는성인들의 모습이 조각된 대리석으로 만든 벽난로가 있다. 이 곳의 장식 주제는 바로 전설적인 아서 왕이다. 1848년에 그와 관련된 프레스코화들이 그려졌고, 각각 전설 속의 장면들을 묘사하며 기사도와 왕의 가치와 명예를 표현하고 있다. 가장 거대한 프레스코화는 출입문들 사이에 그려진 거대한 그림인데, 왕에게 환대의 덕목을 가르치려는 목적으로 그려졌다. 원래 7개의 프레스코들이 그려질 예정이었으나 중간에 화가의 사망으로 인해 2개는 그려지지 못했고, 대신 빅토리아 여왕의 모습이 그 자리를 채웠다. 독일군의 공습으로 인해 하원의회장이 파괴되었을때, 상원이 하원에게 의회장을 내주고 대신 이 곳에서 상원 의회를 열었다. = = = 상원 회의장 = = = 상원 회의장은 궁전의 남쪽 부분에 위치해 있다. 이 방은 13.7*24.4m의 면적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상원용 가구들처럼, 회의장 양 옆에 나열되어 있는 소파들은 상원의원들의 상징인 붉은색 쿠션이 대어져 있다. 회의장 벽 위쪽에는 왕실과 종교, 의회를 묘사한 스테인드글라스들이 끼워져 있다. 회의장의 남쪽 끝에는 황금 왕좌가 있다. 이론상으로는 국왕이 회의 도중 언제나 들어와 이 곳에 앉을 수 있지만, 왕이나 여왕이 실제로 이 곳에 앉는 경우는 의회 개회식이 거의 유일하다. 다른 왕실 일원들이 상원 회의를 참관할 경우, 왕좌 옆에 있는 작은 의자들에 앉게 된다. 왕좌 앞에는 거대한 태피스트리가 걸려있는데, 이는 영국 산업 혁명의 기반이 된 방직 산업을 상징하는 것이다. 한편 왕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메이스가 태피스트리 뒤에 놓여져 있다. 상원 회의장을 둘러싸고 있는 3면의 소파열들에 모두 의원들이 앉게 되는데, 상원 의장 오른쪽에 있는 소파에는 주교들이 앉고, 왼쪽에는 귀족 의원들이 앉는다. 상원 회의장은 종종 국가적인 행사가 열리는 중심지가 되는데, 가장 중요한 행사로는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는 의회 개회식이다. 이 때만은 이 곳은 궁전 내에서 가장 북적이는 장소가 되는데, 국가를 상징하는 모든 인물들이 이 곳에 다 모인다. 일단 모든 상원 의원들과 국왕이 이 곳에 참석하고, 사법부, 총리 등을 포함한 행정 각료들, 그리고 수많은 손님들이 초대받아 여왕의 연설을 지켜본다. 하원의원들은 이 때 회의장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다른 곳에서 방청해야만 한다. 독일군의 대공습 당시, 하원 회의장이 파괴되자 하원의원들은 이 곳으로 대신 옮겨 회의를 했고 상원의원들은 여왕의 대기실로 옮겨 회의를 했다. = = = 하원 회의장 = = = 하원 회의장은 궁전의 북쪽 끝에 위치해 있다. 방의 크기는 14*20.7m이고, 상원 회의장에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수수한 분위기이다. 이 곳에 놓여진 벤치들은 하원을 상징하는 연한 녹색 쿠션들이 덧대어져 있다. 일반인들은 이 벤치에 앉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코먼웰스에 소속된 다른 나라들, 예를 들면 인도, 캐나다, 뉴질랜드 등과 같은 나라들도 이와 같은 색깔 구분법, 상원은 붉은색 하원은 녹색을 채용하여 쓰고 있다. 회의장 북쪽 끝에는 하원의장석이 있다. 의장석 앞에는 거대한 테이블이 있는데, 이 곳에는 보좌관들이 앉아 회의록을 기록하는 역할을 하거나 대기하고 있다. 이 테이블 위에는 하원 회의를 상징하는 메이스가 놓여있다. 상원회의장과는 약간 다르게, 하원회의장에는 양 옆으로 벤치들이 열을 지어 나열되어 있다. 의장석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벤치에는 정부 여당 의원들이 앉고, 왼쪽에는 야당 의원들이 앉는다. 방이 워낙 옛날에 지어진 터라, 650명에 달하는 하원 의원들을 다 수용할 수 없어서 오직 427명만 앉을 수 있고 나머지는 뒤에 서있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영국의 국왕은 하원회의장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이런 행동을 한 사람은 1642년에 찰스 1세가 마지막이었다. 당시 왕은 하원의장에게 5명의 의원들을 반역 혐의로 체포하기를 원했지만, 왕이 그에게 명령을 내렸을 때 그는 '죄송하지만 전하, 저는 이 곳(하원 회의)의 시종이기 때문에 그들이 원하지 않는 일은 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응수했다. 그 때 이후로 왕을 대변하는 흑장관이 하원의원들을 소집하러 의회장 내로 들어오려 할 때, 장관의 면전에서 문을 쾅 닫아버리는 전통이 생기게 되었다. 흑장관은 닫힌 문을 3번 두드리고, 그때서야 하원의회장의 문이 열리게 된다. 예외적으로 독일의 대공습으로 인한 회의장의 피해가 모두 복구된 후, 하원 대표들이 특별히 조지 6세에게 새롭게 단장한 내부를 안내한 적이 있다. 하원 회의장 중간에는 2개의 붉은 선이 그어져 있다. 이 선들 사이의 거리는 2.5m인데, 정확히 2개의 검이 서로 맞닿을 거리이다. 구전에 따르면 이 선이 회의나 토론 도중 서로 검을 빼들고 공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미리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그 당시에 하원의원들이 검을 들고 의회장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가능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다. 당시 검을 회의장 내부에서 착용하는 것이 허락된 사람은 근위병들 뿐이었고, 의원들은 들어오기 전 검을 미리 따로 맡겨야만 했다. 게다가 의원들이 정작 검을 들고 들어오는 것이 허락되던 시절에는 이 선이 그어져 있지 않았다. 이 선의 용도는 검을 이용한 결투가 아니라, 토론이나 연설 도중 상대파 의원들이 이 선을 넘어 주먹이나 폭력을 사용하여 연설을 가로막는 것을 막기 위해 그어진 것이라는 설이 우세하다. = = = 웨스트민스터 홀 = = = 웨스트민스터 홀은 현재 궁전 내부에 있는 가장 오래된 방이다. 윌리엄 2세에 의해 1097년에 처음으로 지어졌고, 당시 유럽에서 가장 거대한 방이었다. 원래는 거대한 기둥들로 천장을 받치고 있었으나, 리처드 2세의 치세 아래 현재와 같은 독특한 양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는 3개나 되는 천장의 다락 구조를 모두 없애버리고 하나의 거대한 공간으로 탁 트이게 했고, 중세 건축의 걸작으로 인정받았다. 1393년에 새로운 천장을 깔았고, 또한 이 때 실물 크기의 왕 조각상 15개를 천장에 조각했다. 웨스트민스터 홀은 현재 영국에서 가장 거대한 중세 시대 홀이다. 20.7*73.2m의 면적을 자랑한다. 천장을 이루고 있는 참나무 목재들은 햄프셔에 있는 왕실 소유 숲에서 베어왔다. 웨스트민스터 홀은 다양한 용도로 쓰였다. 12세기에서 19세기까지 이 곳에서 새로운 국왕의 탄생을 축하하는 즉위 연회가 열렸다. 마지막 연회는 조지 4세가 1821년에 즉위하였을 때 열렸다. 하지만 그의 후계자 윌리엄 4세는 이 연회가 너무나 많은 돈을 잡아먹는다는 이유로 결국 폐지했고, 그 때 이후 전통이 끊겼다. 하지만 이후로도 이 곳은 왕실 행사와 국왕 직속의 사무로 종종 사용되었고, 왕실의 일원이 아닌 일반인들이 이 곳을 사용한 경우는 극히 적다. 상원과 하원 모두가 이 곳에 모여서 국가의 중대사를 축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 곳에서 엘리자베스 여왕의 즉위 25주년, 50주년, 6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 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식도 1995년에 바로 이 곳에서 열렸다. = = 전통과 관습 = = = = = 먹고 마시고 담배피우기 = = = 웨스트민스터 궁 내부에서 담배는 17세기부터 허용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의원들은 편법으로 연기가 나지 않는 담배를 가지고 다녔고, 심지어는 보좌관들까지도 이를 위한 재떨이를 가지고 다녔다. 이에 대한 많은 루머들이 있지만, 2005년부터 담배는 절대 허용되지 않는다. 의원들은 회의장에서 먹거나 마실 수도 없다. 이에 대한 유일한 예외는 재무장관으로, 장관이 예산안을 발표하는 동안 장관은 자신이 특별히 고른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전통적으로 술 종류들이 많이 골라졌지만, 최근의 장관들은 물을 선호한다. = = = 드레스 코드 = = = 남성들은 궁전 내에서 정식으로 예의를 갖춘 복장을 갖추는 것이 요구되며, 여성들은 간단한 양복을 입는 것이 권장된다.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들은 허용되지 않는다. 모자를 착용할 수 없으며, 의원들은 군대 무늬가 들어간 옷들을 입을 수 없다. = = = 그외의 전통 = = = 궁전 내에 허용된 유일한 동물들은 오직 안내견 종류 뿐이다. 그외에 탐지견들과 경찰용 말들도 특별한 경우에 들어올 수 있다. 하원 회의 중에는 원고를 보고 읽으면서 발표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간단한 노트 정도는 참고할 수 있다. 신문을 읽는 것도 허락되지 않으며, 시각적인 자료들도 웬만해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환호와 큰 박수소리도 대부분 금기시되는 분위기이고, 예외는 수상이나 장관들이 명연설이나 좋은 언행을 했을 때 정도이다. = =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 = 웨스트민스터 궁의 외관은 세계적으로도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템즈 강변에 있는 빅 벤의 모습이 매우 유명하다. 이 곳은 영국에서 가장 관광객들이 많이 몰려드는 곳들 중 하나이다. = 내가 넘은 38선 = "내가 넘은 38선"은 한국에서 제작된 손전 감독의 1951년 영화이다. 손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용수가 제작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부산에서 처음으로 개봉했으며 시대적 상황에 힘입어 흥행에 크게 성공한 작품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손전 송태호 노경희 송미남 = = 기타 = = 녹음: 이경순 = 시쓰미촌 = 시쓰미촌(質美村)은 교토부 후나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게이샤 (1983년 영화) = 게이샤(The Geisha, 陽暉楼)는 일본에서 제작된 고샤 히데오 감독의 1983년 영화이다. 오가타 켄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오카다 시게루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가타 켄 이케가미 키미코 = = = 조연 = = = 아사노 아츠코 니노미야 사요코 바이쇼 미츠코 카자마 모리오 키타무라 카즈오 소가노야 메이초 탄바 테츠로 타무라 렌 = = 기타 = = 원작자: 미야오 토미코 = = 수상 및 지명 = = 수상: Best Supporting Actress - 바이쇼 미츠코 = 분류:2000년 벨기에 = = 채피군 = 섬네일 채피군 또는 채피 카운티(Chaffee County)는 미국 콜로라도주의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7,809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356명이다. = 분류:원주시의 고등학교 = = 후잔트 공항 = 후잔트 공항은 타지키스탄 수그드주 후잔트에 위치한 공항이다. = =운항 노선 = = = = =국제선 = = = = = =국내선 = = = = Captured = Captured는 저니의 음반이다.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 파일 설명 = = {{파일 정보 = 블루 (잡지) = 블루(Blue)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게이 잡지이다. = 분류:웨일스의 축구단 틀 = = 분류:당나라의 도교 = = 피터 샐리스 = 피터 샐리스(Peter Sallis, 1921년 2월 1일 ~ 2017년 6월 2일)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월레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 (2008) 컬러 미 큐브릭 (2005) 월레스와 그로밋 - 거대 토끼의 저주 (2005) 월레스와 그로밋 - 양털 도둑 (1995) 월레스와 그로밋 - 전자바지 소동 (1993) 월레스와 그로밋 - 화려한 외출 (1989) 검찰측 증인 (1982) 유럽 최고 요리사의 죽음 (1978) 인크레더블 사라 (1976) 크라운 코트 (1972) 드라큘라 피의 맛 (1970) 폭풍의 언덕 (1970) 찰리 버블스 (1967) VIP (1963) 약소국 그랜드 펜윅 이야기 2 (1963) Z 카스 (1962) 늑대인간의 저주 (1961) 데이비드 앤 브로콜리 (1960) 한여름 밤의 꿈 (1947) = 분류:대륙별 1915년 = = 네드 스팍스 = 네드 스팍스(Ned Sparks, 1883년 11월 19일 ~ 1957년 4월 3일)는 캐나다의 배우, 연극 배우, 영화배우, 각본가이다. 궬프에서 태어났으며 빅터빌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마법의 도시 (1947년) 스테이지 도어 캔틴 (1943년) 더 스타 메이커 (1939년) 웨이크 업 앤 라이브 (1937년) 원 인 어 밀리언 (1936년) 조지 화이트의 1935 스캔달 (1935년) 하이, 넬리! (1934년) - 샤미 맥클루 역 스윗 애더라인 (1934년) 슬픔은 그대 가슴에 (1934년) 1933년의 황금광들 (1933년) 투 머치 하모니 (1933년) 고잉 헐리우드 (1933년) 하루 동안의 숙녀 (1933년) 42번가 (1933년) 빅 시티 블루스 (1932년) 아이언 맨 (1931년) 레더넥 (1930년) 데블스 홀리데이 (1930년) = 이제석 = 이제석(1982년 10월 1일~)은 대한민국의 광고 제작자로 이제석 광고연구소의 대표이다. 대구에서 출생했다. 타칭 '광고천재'라는 수식어를 사용한다. = = 학력 = = 협성중학교 계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 학사 뉴욕에 위치한 스쿨 오브 비주얼아트(School of Visual Arts/SVA) 광고디자인학 학사 예일대학교 그래픽디자인 석사 = = 경력 = = JWT BBDO FCB 이제석 광고연구소 대표 = = 저서 = = 《광고천재 이제석》,학고재, 2010, = = 수상 = = 2009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올해의 인물 부문리 2011 올해의 광고인올해의 광고인 이제석 소장… 올해의 홍보인 조현민 상무정재윤《동아일보》2011-12-01 2011 서울AP클럽 올해의 광고상서울AP클럽 ‘올해의 광고상’ 이제석·조현민·이의자씨류지영《서울신문》2011-11-29 뉴욕 원쇼 페스티벌 최우수상 *클리오 어워드 동상 미국 에디어워드 금상 = 제이미 클레이턴 = 제이미 클레이턴(, 1978년 1월 15일)은 미국의 배우, 모델이며, 트랜스젠더 여성이다. 넷플릭스 제작 드라마 센스8에서 주연 '노미' 역을 맡아 연기했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네온 데몬 (2016) - 캐스팅 디렉터 역 스노우맨 (2017) - 에다 역 헬레이저 (2022) - 핀헤드 역 = = = 드라마 = = = 센스8 시즌 2 (넷플릭스) 지정생존자 시즌 3 샤샤 역 (넷플릭스) = 플로레스양털박쥐 = 플로레스양털박쥐(Kerivoula flora)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 = 분포 및 서식지 = =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은 보르네오섬과 발리섬, 소순다 열도, 숨바섬으로 추정된다. 베트남 껀까낀, 푸맛 국립공원에서도 발견될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산림에 의존하여 서식하며, 지난 10년 동안 30% 이상의 개체수가 감소했다. = 구성초등학교 (경북) = 구성초등학교는 경상북도 김천시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0.04.15 구성공립심상소학교로 설립인가 1940.04.25 개교 1941.03.01 구성국민학교로 교명 개칭 1970.09.12 방산국민학교 분리 개교 1996.03.01 구성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1999.03.01 방산초등학교 통폐합 1999.09.01 임천분교장 통폐합 2005.12.20 전국 100대 교육과정 최우수 학교로 지정 2009.03.01 과곡분교장 통폐합 2011.03.01 양각분교장 통폐합 2014.09.01 제30대 이윤태 교장 부임 2015.02.13 제70회 졸업(졸업생 총 3,947명) 2023.04.01 졸업생 이지응 장학금 장학생 수여 2024.01.05 제 78회 졸업 = 젊은평론가상 = 젊은평론가상은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2000년부터 매해 활발한 비평 활동을 펼친 신진 평론가들 중 한 명을 선정하는 문학상이다. = = 역대 수상 작품 = = 2001년 1회 홍용희 <내국 망명자와 생활 세계적 가능성의 지형> 2002년 2회 권명아 <맨몸의 숭고와 ‘비판적 삶’의 종결 2003년 3회 오형엽 <신체적 주체의 시 쓰기> 2003년 4회 김춘식 <시적 위반, 한 줌의 불온성(?)> 2004년 5회 이재복 <마돈나에서 사이보그까지> 2005년 6회 이상숙 <한국의 생태시와 불교적 세계관> 2006년 7회 고인환 <이복형제들의 교감과 연대-이명랑론> 2007년 8회 홍기돈 <문학이라는 마경(魔鏡)?엄창석의 ≪비늘 천장≫에 대하여> 2008년 9회 김문주 <곤혹스러운 비평의 시대, 비평의 감각과 윤리> 2009년 10회 이성천 <우울한 일상의 무가(巫歌), 신처용가-김기택의 시 세계> 2010년 11회 허혜정 <여자인가, 죄인인가, 광인인가> 2011년 12회 고명철 <‘민중(적) 서사’의 논쟁성과 운동성> 2012년 13회 오태호 <고요한 정신의 깊이들-신달자, 최동호, 유안진, 임보 시집론> 2013년 14회 이경재 <장편소설의 새로운 가능성> 2014년 15회 김종훈 <갇힌 주체의 부정성> 2015년 16회 고봉준 <‘주체’에서 멀어지는 목소리들> 2016년 17회 이경수 <곤경을 넘어 애도에 이르기까지> 2017년 18회 백지연 <가능한 미래를 성찰하는 문학> 2018년 19회 박혜진 <알레고리와 거리> 2019년 20회 권희철 <아이러니와 아날로지> 2020년 21회 강동호 <희망의 이름> = 올리비에 마르티네즈 = 올리비에 마르티네즈(Olivier Martinez, 1966년 1월 12일 ~ )는 프랑스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바울 (2018) 텍사스 라이징 (2015) 피지션 (2013) 다크 타이드 (2012) 어 플레이스 인 타임 (2007) 블러드 앤 초콜렛 (2007) 테이킹 라이브즈 (2004) 스톤 부인의 로마의 봄 (2003) S.W.A.T. 특수기동대 (2003) 천사의 살인 (2002) 언페이스풀 (2002) 슬래머 (2000) 토레로스 (2000) 비포 나잇 폴스 (2000) 내 안의 남자 (1996) 코끼리의 섬 (1995) 지붕 위의 기병 (1995) 1, 2, 3 태양 (1993) = 분류:산시성 (산서성)의 군 = = 이 사람이 사는 세상 = 이 사람이 사는 세상은 MBC 표준FM에서 방송되었던 프로그램이다. 또한 2013년 9월 가을개편부터 2014년 4월 11일 금요일까지 평일 밤 9시 50분에 방송된 휴먼라디오, 우리의 후속으로 방송했는데, 2017년 6월 23일을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 =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 프로그램 지역 방송국 진행자 사람이 좋다! 문화가 좋다! (매일 오전 11시 10분 ~ 낮 12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중북부 광주문화방송 류권형 = 분류:고창 국왕 = = 화물 기관차 = 화물 기관차는 화물을 운송하는 기관차이다. = = 개요 = = 기관차가 화차를 견인하는 형태가 주류이지만, 화차 자체가 동력을 가지는 전동화차나 기동 화차 , 혹은 동력 분산 방식의 화물 기관차도 볼 수 있다. 객차와 화차를 병결하는 혼합열차 형태도 있다. = 사마귀과 = 사마귀과(Mantidae)는 사마귀목의 하위 과이다. 대부분의 사마귀들이 사마귀과에 속한다. = =한국의 사마귀과 = = 왕사마귀 사마귀 항라사마귀 넓적배사마귀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좀사마귀 = 분류:야마나시현 = = 나소군 = 나소군(Nassau County)은 미국에 2개의 군이 있다. 나소군 (플로리다주) 나소군 (뉴욕주) = 볼드윈군 (앨라배마주) = 볼드윈군 또는 볼드윈 카운티(Baldwin County)는 미국 앨라배마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82,265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23,234명이다. = 틀:대한민국의 관현악단 = 이 틀을 달면 자동으로 :분류:대한민국의 관현악단에 분류 됩니다. 관현악단 * = 분류:CA 핀토의 축구 선수 = = 보너빌호 = 보너빌 호수(Bonneville Salt Flats)는 약 1만년 전까지 미국 유타주, 네바다주, 아이다호주에 걸쳐 존재한 거대 밀물 호수이다. 현재 유타 주의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는 보너빌 호수가 증발해 소멸하는 과정에서 남아있는 잔여물이다. = 분류:몰디브의 산업 = = 틀:텍사스 여성 명예의 전당 = = 분류:2018년 e스포츠 = = 분류:장르별 영화 등장인물 = = 헨리 O. 갓원 = 헨리 오 갓윈(Henry O. Godwinn)은 본명은 마크 캔터베리(Mark Canterbury, 1964년 3월 16일 ~ )다. 키는 193 cm 몸무게는 135kg이다.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선수며 전에 WCW, WWF활동을 하는 사람이다. 일명 돼지우리복장으로 등장하는 사람이다. 피니쉬는 슬랍 드롭(리버스 DDT), 펌프핸들 슬램으로 사용을 한다. = = 수상 = = ICWA 태그팀 챔피언 1회 - 크래쉬 더 터미네이터 (1회) PWI 랭크드 힘 #106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1996 워스트 태그팀 (1996, 1997) - 피니어스 아이 갓윈 WWF 태그팀 챔피언 2회 - 피니어스 아이 갓윈 (2회) 슬래미 어워드 1회 모스트 스멜리트 (1994) - 듀크 드로이스 = 분류:아일랜드의 트라이애슬론 = = 천년여왕 = 천년여왕은 마쓰모토 레이지의 만화 및 이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이다. 1980년 게재 당시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제목은 新竹取物語1000年女王(しんたけとりものがたり; 신타케토리모노가타리)였다. = = 개요 = = 〈산케이 신문〉의 조간과 〈니시닛폰 스포츠〉(규슈, 야마구치현 지역, 산케이는 규수지구에서 발행되지 않기 때문에)에서 1980년 1월 28일부터 1983년 5월 11일까지 월요일에서 금요일판에 1페이지씩 연재되었다. 총 1000회(전 1000페이지). 1978년에서 1980년에 걸쳐 히트한 은하철도999(애니메이션)/은하철도999(만화)의 후속작으로 〈후지산케이 그룹〉과 도에이가 〈마쓰모토 레이지〉의 원작을 제공받아, 산케이 신문에는 만화연재 〈후지테레비〉에서는 〈TV 애니메이션〉시리즈로 방영, 극장 애니메이션 공개 시에는〈닛폰방송〉에서 라디오 드라마가 방송되는 등, 그룹 전체를 동원한 미디어믹스 전개를 행했다. 극장 애니메이션판은 후에 많은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쓰이게 되는 제작위원회 방식의 시초가 되었다. 하지만, 이미 우주전함 야마토, 은하철도999로 폭발적인 붐을 일으켰던 〈마쓰모토 레이지〉의 인기가 천년여왕에 이르러 그림자를 드리우기 시작하였고, 애니메이션 팬들의 관심은 같은 시기의 기동전사 건담으로 옮겨가 은하철도999만큼의 인기는 얻지 못하고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또, 만화판, TV 애니메이션판, 극장판에서는 스토리, 캐릭터 디자인 및 성격의 설정에 차이가 있다. 〈야모리 다이스케〉처럼 TV판에서는 흉악한 인간으로 등장하지만 극장판에서는 천년여왕을 지키기 위해 조국을 배신하고 특공에 몸을 던진 비극의 인물로서 그려져 그 성격이 완전히 바뀐 캐릭터도 있다. = = 서적정보 = = 상/하권 My First WIDE(쇼우가쿠칸)() = = 등장인물 = = 인물 안내에서 왼쪽은 후지 TV, 오른쪽은 MBC 방영 당시임. 성우-한 게이코/송도영 성우-도다 게이코/우문희 성우-아사가미 요쿄 성우-후루야 도오루/이도련 (성우-나가이 이치로/김용식 TV판 성우-한 케이코,영화판 성우-고야마 마미 TV판 성우-나카니시 다에코,영화판 성우-무토 레이코 성우-스기야마 가즈코/이성 TV판 성우-야나가 가즈코,영화판 성우-마스야마 에이코 = = TV 애니메이션 = = 1981년 4월 16일부터 1982년 3월 25일까지 〈후지테레비〉계열국에서 매주 목요일 19시부터 방송되었다. 전 42화. 방송시 타이틀은 신 다케토리이야기 천년여왕. 은하철도999의 후속 프로그램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화방송에서 1983년 1월 23일에 방영을 시작하였으나새 만화영화 2편 방영〈천년여왕〉〈소공녀〉 경향신문 1983년 1월 19일자, 천년 여왕이 일본의 신화에 근거하였다는 여론에 따라 방송한지 두 달 만에 종영되었다. 하지만 완전히 종영된 것은 아니었고,네티즌들의 증언들은 총합해볼 때 공휴일 또는 명절 특선만화 방영으로 편성이 바뀌어 1984년 현충일을 끝으로 최종 종영되었다.천년여왕 - 1983년(MBC TV) 방영 중단(도중하차) 이유는?호평받은 외화·드라머 재방도 현충일 낮 방송 스포츠 중계로 경향신문 1984년 6월 5일자 = = = 대한민국에서의 방영 목록문화방송연지, 1984년 문화방송 발행, 국회도서관 소장 = = = 천년 도둑의 음모(1983년 1월 23일) 천년 도둑의 음모 2(01.30) 신비의 여인(02.06) 지하의 비밀 요새(02.13) 한나의 두 얼굴(02.20) 누가 우리의 적이냐(02.27) 설계도를 찾아라(03.06) 위험한 대결(03.13) 공포의 대지진(03.20) 저주의 라메탈(03.27) = = 극장판 = = 1982년 3월 13일에 도에이계열에서 공개되었는데, TV 애니메이션의 재편집이 아닌 캐릭터 디자인도 새로운 신규제작이었다. ‘천년여왕의 정체는 메텔인 것인가?’라는 광고문을 내걸었다. 주제가와 배경 음악은 뉴에이지 음악으로 유명한 키타로가 담당하였다. 같은날에는 쇼우치쿠계열에서 기동전사 건담III 만남의 우주편이 공개되었다. 이 결과 흥행수입 10억엔의 천년여왕에 대해 12억엔의 기동전사 건담의 흥행이 앞섰다. 여담이지만 본작의 캐스트 중에는 〈건담〉에 출연한 사람이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말에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적이 있다. = = 무대 = = 1981년 3월 7일부터 같은 해 6월 17일까지 〈쇼우치쿠 가극단〉이 국제극장에서 공연했다. = 포르투갈의 인구 = = = 인구학적 동향 = = 유엔에 따르면 포르투갈의 인구는 1950년 841만 명, 1970년 865만 명, 1990년 989만 명, 2010년 1059만 명까지 증가했으며, 2015년에는 1036만 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연간 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1955년 0.5%, 1965-1970년 -0.5, 2005-2010년 0.2%, 2010-2015년 -0.4%로 둔화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볼 때 낮은 편이다. 연균 평균 1세 미만 신생아 1000명당 사망률은 1950-1955년 92명에서 2015-2020년 3명까지 떨어졌으며, 출생시 기대수명은 1950-1955년 60.3세에서 2015-2020년 81.8세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포르투갈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저출산, 기대수명의 증가 등으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1950년 7.0%에서 계속 증가해 2019년 22.4%에 달한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구유지가 가능한 대체출산율 2.1을 밑돌아 현재까지 저출산 국가로 분류된다. = = = 포르투갈의 인구 통계(2019년, 유엔) = = = 총인구: 1020만 명 15세 미만 인구: 13.3% 15~24세 인구: 10.5% 25~64세 인구: 53.9% 65세 이상 인구: 22.4%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2.4명 인구 성장률: -0.3%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7.7명 합계출산율: 1.30명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10.8명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3명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3명 기대수명: 82.1세 = = 인구 통계 = = = = = 1850-1899 합계출산율 = = = 출처: Our World In Data, Gapminder Foundation. 연도 1850 1851 1852 1853 1854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합계출산율 4.5 4.47 4.44 4.41 4.38 4.35 4.33 4.3 4.27 4.24 4.21 연도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1870 합계출산율 4.18 4.15 4.12 4.09 4.1 4.11 4.12 4.14 4.15 4.16 연도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합계출산율 4.17 4.18 4.19 4.2 4.21 4.22 4.23 4.24 4.23 4.22 연도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1890 합계출산율 4.91 4.19 4.18 4.17 4.16 4.15 4.38 4.3 4.38 4.24 연도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합계출산율 4.16 4.06 4.15 3.86 3.9 3.9 3.95 3.93 3.89 = = = 1900-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 = = B.R. Mitchell. European historical statistics, 1750–1975.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1000명당) 조사망률 (1000명당) 자연 증감률 (1000명당) 합계출산율 1900 5,410,000 165,245 110,330 54,915 30.5 20.3 10.2 3.96 1901 5,460,000 170,773 114,130 56,643 31.3 20.9 10.4 4.07 1902 5,490,000 176,029 108,378 67,651 32.0 19.7 12.4 4.16 1903 5,560,000 183,138 111,685 71,453 33.0 20.1 12.8 4.29 1904 5,600,000 176,726 105,572 71,154 31.6 18.9 12.7 4.11 1905 5,660,000 179,746 112,756 66,990 31.8 20.0 11.8 4.13 1906 5,690,000 182,920 125,243 57,677 32.1 22.0 10.2 4.17 1907 5,730,000 176,417 113,254 63,163 30.7 19.7 11.0 3.99 1908 5,790,000 175,268 115,876 59,392 30.3 20.0 10.2 3.94 1909 5,850,000 174,753 112,421 62,332 29.9 19.2 10.8 3.89 1910 5,890,000 186,953 113,161 73,792 31.7 19.2 12.6 4.12 1911 5,960,000 230,033 130,900 99,133 38.6 22.0 16.6 5.02 1912 5,960,000 207,870 119,578 88,292 34.9 20.1 14.8 4.54 1913 5,970,000 193,906 123,054 70,852 32.5 20.6 11.9 4.22 1914 5,980,000 188,479 115,526 72,953 31.5 19.3 12.0 4.09 1915 5,990,000 195,225 122,513 72,712 32.6 20.5 12.0 4.24 1916 6,000,000 192,780 129,389 63,391 32.1 21.6 10.7 4.17 1917 6,000,000 188,391 134,082 54,309 31.4 22.3 9.0 4.08 1918 6,020,000 178,687 248,978 -70,291 29.7 41.4 -11.6 3.86 1919 6,020,000 166,162 152,856 13,306 27.6 25.4 2.2 3.59 1920 6,040,000 202,908 142,862 60,046 33.6 23.7 9.9 4.37 1921 6,070,000 197,022 126,316 70,706 32.4 20.8 11.7 4.21 1922 6,170,000 203,727 125,747 77,980 33.1 20.4 12.6 4.3 1923 6,240,000 207,172 141,775 65,397 33.2 22.7 10.4 4.32 1924 6,310,000 207,440 126,052 81,388 32.8 20.0 12.8 4.26 1925 6,370,000 208,434 117,413 91,021 32.6 18.4 14.3 4.24 1926 6,470,000 214,633 127,959 86,674 33.5 19.8 13.8 4.36 1927 6,550,000 199,399 123,382 76,017 31.0 18.8 12.2 4.03 1928 6,620,000 211,314 124,088 87,226 31.9 18.7 13.1 4.15 1929 6,720,000 200,874 118,824 82,050 29.9 17.7 12.2 3.89 1930 6,804,000 202,529 116,352 86,177 29.7 17.1 12.8 3.86 1931 6,860,000 204,120 115,225 88,895 29.7 16.8 13.0 3.86 1932 6,968,000 208,062 118,895 89,167 29.9 17.1 12.8 3.89 1933 7,057,000 204,315 120,996 83,319 28.9 17.2 11.8 3.88 1934 7,147,000 203,158 118,539 84,619 28.4 16.6 11.8 3.74 1935 7,237,000 203,943 123,051 80,892 28.2 17.0 11.2 3.59 1936 7,326,000 205,615 119,003 86,612 28.1 16.2 11.8 3.45 1937 7,416,000 198,217 117,291 80,926 26.7 15.8 10.9 3.39 1938 7,506,000 199,467 115,331 84,136 26.6 15.4 11.2 3.34 1939 7,595,000 198,888 116,075 82,813 26.2 15.3 10.9 3.28 1940 7,696,000 187,892 120,486 67,406 24.4 15.7 8.8 3.22 1941 7,750,000 184,336 134,937 49,399 23.8 17.4 6.4 3.12 1942 7,810,000 187,503 126,531 60,972 24.0 16.1 7.8 3.14 1943 7,890,000 198,101 121,887 76,214 25.1 15.3 9.7 3.27 1944 7,960,000 201,373 119,275 82,098 25.3 14.8 10.3 3.28 1945 8,040,000 209,131 115,596 93,535 26.0 14.2 11.6 3.39 1946 8,100,000 205,825 120,800 85,025 25.4 14.9 10.5 3.29 1947 8,180,000 200,488 110,437 90,051 24.5 13.5 11.0 3.14 1948 8,262,000 220,981 107,576 113,405 26.7 13.0 13.7 3.42 1949 8,333,000 212,260 117,499 94,761 25.5 14.1 11.4 3.23 1950 8,405,000 205,163 102,798 102,365 24.4 12.2 12.2 3.1 1951 8,459,000 207,870 105,473 102,397 24.6 12.5 12.1 3.1 1952 8,496,000 211,213 100,486 110,727 24.9 11.8 13.0 3.1 1953 8,534,000 202,135 97,460 104,675 23.7 11.4 12.3 3.1 1954 8,570,000 197,536 95,088 102,448 23.0 11.1 12.0 3.1 1955 8,610,000 209,790 99,472 110,318 24.4 11.6 12.8 3.1 1956 8,647,000 202,667 106,919 95,748 23.4 12.4 11.1 3.11 1957 8,680,000 211,494 101,784 109,710 24.4 11.7 12.6 3.12 1958 8,725,000 212,467 91,891 120,576 24.4 10.5 13.8 3.13 1959 8,826,000 213,062 97,754 115,308 24.3 11.1 13.1 3.15 1960 8,865,000 213,895 95,007 118,888 23.9 10.6 13.3 3.16 1961 8,929,000 217,516 99,590 117,926 24.3 11.1 13.2 3.18 1962 8,994,000 220,200 96,864 123,336 24.4 10.7 13.7 3.18 1963 9,031,000 212,152 98,011 114,141 23.4 10.8 12.6 3.19 1964 9,034,000 217,136 96,878 120,258 23.8 10.6 13.2 3.19 1965 8,999,000 210,299 95,187 115,112 23.0 10.4 12.6 3.18 1966 8,931,000 206,940 100,088 106,852 22.7 11.0 11.7 3.16 1967 8,875,000 202,061 95,816 106,245 22.2 10.5 11.7 3.13 1968 8,837,000 194,962 94,661 100,301 21.4 10.4 11.0 3.09 1969 8,758,000 189,739 101,088 88,651 20.9 11.1 9.7 3.05 1970 8,663,000 180,690 93,093 87,597 20.4 10.5 9.9 2.99 1971 8,624,000 181,243 98,688 82,555 21.0 11.4 9.6 2.94 1972 8,637,000 174,685 90,315 84,370 20.2 10.5 9.8 2.88 1973 8,630,000 172,324 95,435 76,889 20.0 11.1 8.9 2.83 1974 8,879,000 171,979 96,928 75,051 19.6 11.1 8.6 2.77 1975 9,308,000 179,648 97,936 81,712 19.8 10.8 9.0 2.71 1976 9,404,000 186,712 102,027 84,685 20.0 10.9 9.1 2.65 1977 9,508,000 181,064 96,111 84,953 19.2 10.2 9.0 2.57 1978 9,609,000 167,467 96,194 71,273 17.5 10.1 7.5 2.48 1979 9,714,000 160,311 92,732 67,579 16.6 9.6 7.0 2.39 1980 9,819,000 158,352 94,971 63,381 16.2 9.7 6.5 2.29 1981 9,884,000 152,102 95,892 56,210 15.4 9.7 5.7 2.18 1982 9,940,000 151,029 92,551 58,478 15.3 9.4 5.9 2.07 1983 9,976,000 144,327 96,367 47,960 14.6 9.7 4.9 1.97 1984 10,017,000 142,805 97,227 45,578 14.4 9.8 4.6 1.87 1985 10,031,000 130,492 97,339 33,153 13.2 9.8 3.3 1.78 1986 10,035,000 126,748 95,828 30,920 12.7 9.6 3.1 1.71 1987 10,025,000 123,218 95,423 27,795 12.3 9.5 2.8 1.65 1988 10,014,000 122,121 98,236 23,885 12.3 9.9 2.4 1.60 1989 9,996,000 118,560 96,220 22,340 11.9 9.7 2.2 1.53 1990 9,983,000 116,383 103,115 13,268 11.8 10.4 1.3 1.51 1991 9,950,000 116,415 104,361 12,054 11.7 10.5 1.2 1.43 1992 9,955,000 115,018 101,161 13,857 11.5 10.2 1.4 1.49 1993 9,974,000 114,030 106,384 7,646 11.4 10.7 0.8 1.54 1994 10,009,000 109,287 99,621 9,666 10.9 10.0 1.0 1.42 1995 10,044,000 107,184 103,939 3,245 10.7 10.4 0.3 1.37 1996 10,084,000 110,363 107,259 3,104 11.0 10.7 0.3 1.45 1997 10,134,000 113,047 105,157 7,890 11.2 10.4 0.8 1.48 1998 10,187,000 113,510 106,574 6,936 11.2 10.5 0.7 1.48 1999 10,249,000 116,038 108,268 7,770 11.4 10.7 0.8 1.49 2000 10,331,000 120,071 105,813 14,258 11.8 10.4 1.4 1.57 2001 10,395,000 112,825 105,582 7,243 11.0 10.3 0.7 1.45 2002 10,445,000 114,456 106,690 7,766 11.0 10.3 0.7 1.47 2003 10,473,000 112,589 109,148 3,441 10.8 10.5 0.3 1.44 2004 10,495,000 109,356 102,371 6,985 10.4 9.7 0.7 1.40 2005 10,512,000 109,457 107,839 1,618 10.4 10.2 0.2 1.40 2006 10,533,000 105,514 102,362 3,152 10.0 9.7 0.3 1.36 2007 10,553,000 102,567 103,888 -1,321 9.7 9.8 -0.1 1.33 2008 10,563,000 104,594 104,280 314 9.8 9.8 0.0 1.37 2009 10,573,000 99,491 104,434 -4,943 9.4 9.8 -0.4 1.32 2010 10,573,000 101,381 105,954 -4,573 9.5 10.0 -0.5 1.37 2011 10,542,000 97,000 102,500 -5,500 9.2 9.7 -0.5 1.30 2012 10,487,000 90,026 107,598 -17,572 8.5 10.2 -1.7 1.28 2013 10,427,000 82,787 106,543 -23,756 7.9 10.2 -2.3 1.21 2014 10,375,000 82,367 104,790 -22,423 7.9 10.1 -2.2 1.23 2015 10,341,000 85,500 108,511 -23,011 8.2 10.5 -2.3 1.30 2016 10,309,000 87,126 110,535 -23,409 8.5 10.7 -2.2 1.36 2017 10,291,000 86,154 109,758 -23,604 8.4 10.7 -2.3 1.37 2018 10,277,000 87,020 113,051 -26,031 8.5 11.0 -2.5 1.41 2019 10,296,000 86,579 111,793 -25,214 8.4 10.9 -2.5 1.42 2020 10,298,000 84,558 123,467 -38,909 8.2 12.0 -3.8 1.40 = = = 기대수명 = = = 기간 기대수명 기간 기대수명 1950–1955 60.3 1985–1990 74.0 1955–1960 62.4 1990–1995 74.9 1960–1965 64.5 1995–2000 76.0 1965–1970 66.4 2000–2005 77.6 1970–1975 68.3 2005–2010 79.3 1975–1980 70.4 2010–2015 80.6 1980–1985 72.5 2015-2019 81.8 = = 체류 외국인 현황 = = 국적별 외국인 주민 국적 인구 (2019) 151,304 37,436 34,358 31,065 29,718 27,839 25,408 23,125 22,691 18,886 17,619 16,849 15,848 14,669 10,241 10,038 7,964 6,839 6,551 5,310 포르투갈 시민권 소유 국적 인구 (2020) 20,847 20,782 5,049 2,613 1,960 1,868 1,547 1,542 1,394 1,120 = 분류:영국의 철도 노선 = = 분류:해상자위대의 항공군 = = 틀:단위 변환/단위 목록/단위 주서 없음 = = 플랜 Z = 플랜 Z는 2016년 공개한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스튜어트 브레넌이 각본, 감독을 맡았다. = = 출연 = = 스튜어트 브레넌 - 크레이그 역 마크 폴 웨이크 - 빌 역 빅토리아 모리슨 - 세렌 역 유진 호란 - 로넌 역 브룩 버핏 - 케이트 역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국기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국기는 1979년 11월 10일에 채택되었다. 바탕의 하늘색은 태평양을 뜻하며 하양색 별 4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4개의 큰 섬(추크 라군, 폰페이섬, 야프섬, 코스라에섬)을 뜻한다. = = 역사 =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국기는 미크로네시아가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에 속해있던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은 1962년 10월 24일에 현재 국기와 흡사한 깃발의 초안을 채택했는데, 이 깃발에는 유엔기를 기반으로 한 파란색 바탕 중앙에 6개의 흰색 별이 원을 그리며 둘러져 있다. 이 깃발은 곤졸라 산토스가 디자인했으며 1965년 국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6개의 별은 야프, 트루크 (현 추크), 폰페이, 팔라우, 마셜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를 나타낸다. 후자의 세 국가는 1979년 출범한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포함되지 않았다. 독립 전인 1978년 11월 30일, 현재의 국기가 채택되었다. 코스라에가 폰페이에서 분리되었으며 이는 네 번째 별이다. 유엔기를 기반으로 한 파란색 바탕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1986년 11월 3일, 미국과 자유연합협약을 채결한 후 유엔기의 파란색보다 더 진한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 = 색상 = = 색상 하늘 하양 RGB 117–178–221(#75B2DD) 255–255–255(#FFFFFF) = 론 카디널 = 론 카디널(Lorne Cardinal, 1964년 1월 6일 ~ )은 캐나다의 배우, 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각본가, 성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마지막 전사 터컴사 (1995, Tecumseh: The Last Warrior) 인썸니아 (2002) Ice Bound (2003) Elijah (2008) Wolf Canyon (2009) - 호이트 역 Rust (2010) 스노우 아마겟돈 (2011, Snowmageddon) - 래리 역 Pilgrim (2013) - 단편 If I Had Wings (2013) 인투 더 포레스트 (2015) - 제리 역 부그와 엘리엇: 늑대 인간의 공포 (2015) - 목소리 고독 (2017, Never Steady, Never Still) = = = 텔레비전 = = = 파고 (2014) Molly of Denali (2019-현재) - 목소리 FBI: 모스트 원티드 (2020-현재) = 알렉시 = 알렉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알렉시 카렐: 프랑스 생트푸아레리옹에서 태어난 외과 의사, 생물학자 알렉시 드 토크빌 자작 알렉시 오간도: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이자, 미국 아메리칸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투수 알렉시 클로드 클레로: 프랑스의 수학자 알렉시 랄라스: 미국의 축구 선수, 지도자 알렉시 콩탱: 프랑스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알렉시 팽튀로: 프랑스의 스키 선수 알렉시 라이호: 핀란드의 기타리스트, 작곡가, 보컬 알렉시 부바르: 프랑스의 천문학자 로베르트 알렉시: 독일의 법학자 알렉시 보세티: 니스에서 뛰는 프랑스의 축구 선수 = 분류:이루마시의 역사 = = 분류: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사람 = = 분류:대만의 농업 = = 분류:이란 문학 = = 산폴리노역 = 산폴리노 (Sanpolino) 역은 이탈리아 북부 브레시아의 브레시아 지하철에 속한 역이다. 브레시아의 신개발 교외 구역인 산폴리노 구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산폴리노 역은 고가로 된 역인 탓에 대형 콘크리트 기둥이 떠받치고 있는 구조이며, 건설 당시 주변 지역과 도로망을 재정비해야 했다. 상부 승강장의 하층에는 두 열짜리 기다란 주차공간이 있으며 최대 1,400대까지 수용할 수 있다. 이곳은 근처의 산테우페미아델라폰테와 부팔로라 지역에서 오는 승객들을 위한 주차공간으로 지어진 것이다. = 분류:1957년 철도 교통 = = 상망동 = 상망동(上望洞)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의 동이다. = = 개요 = = 상망동은 배치암이라는 선비가 이곳을 개척한 후 치바위 아래서 살았는데 거기서 마을을 넘어다 보인다고 하여 ‘망동’ 또는 ‘보름골’이라 불렀으며, 치바위 위의 마을이라 하여 상망동이라고 칭하게 되었다.영주 지명 유래, 2012년 7월 8일 확인 = = 법정동 = = 상망동 조와동 하망동 = = 아파트 = = 한국토지신탁 상망동 코아루 - 2007년 10월 입주 / 우정건설(주) 영주자이 시그니처 - 2026년 11월 (예정) / GS건설 = 니시키오카역 = 니시키오카역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1이며,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국도 제36호선 도마코마이 신용금고 · 무로란 신용금고 니시키오카 지점 도마코마이 코마자와 대학 = = 역사 = = 1898년 2월 1일 :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니시탓푸역으로서 개업. 일반역. 1906년 10월 1일 :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철도 노선 국유화에 의해, 일본국유철도로 이관. 1917년 11월 : 역사 개축. 1950년 9월 10일 : 니시키오카역으로 개칭. 1952년 : 역사 개축. 1980년 5월 15일 : 화물 취급 폐지. 1984년 2월 1일 : 소화물 취급 폐지.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승계. = 이올루 아빌 = 이올루 존슨 아빌(, 1942년 2월 17일 ~ )은 바누아투의 정치인으로, 2009년 9월 2일부터 2014년 9월 2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 2021년 5월 26일 월식 = 2021년 5월 26일 월식은 2021년 5월 26일의 개기월식으로, 2021년 첫 월식이다. 달의 크기가 평소보다 큰 슈퍼문이며, 2018년 1월 31일 월식 이후 3년만에 슈퍼블러드문이 떠오르게 되었다. 개기월식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레일리 산란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 = 관측 = = 이 월식은 남아시아 전체,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오세아니아 전체, 대부분의 알래스카와 캐나다, 대부분의 미국 48개 주, 하와이 전체, 멕시코 전체, 중앙아메리카 전체, 대부분의 남아메리카에서 관측되었다. 대한민국은 관측 가능한 지역이었고 8시 9분부터 8시 27분까지 일어날 예정이였지만, 하늘이 흐려 월식을 관측할 수 없었다. 그에 따라 일부 관측 유튜브에서는 당황하며 개기월식이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하기도 하였다. <BR>시야의 반구 <BR>월식 관측 지도 = = = 시간 = = = 시간대별 월식 진행 시간표 UTC에 따른 시간대 UTC에 따른 시간대 +8h +10h +12h -10h -8h -7h -6h -5h -4h UTC에 따른 시간대 UTC에 따른 시간대 AWST AEST NZST HST AKDT PDT MDT CDT EDT 시간 시간 5월 26일 오후 / 5월 27일 오전 5월 26일 오후 / 5월 27일 오전 5월 26일 오후 / 5월 27일 오전 5월 26일 오후 / 5월 27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5월 26일 오전 P1 반영 시작 4:48 pm 6:48 pm 8:48 pm 10:48 pm 12:48 am 1:48 am 2:48 am 3:48 am 4:48 am U1 부분 시작 5:45 pm 7:45 pm 9:45 pm 11:45 pm 1:45 am 2:45 am 3:45 am 4:45 am 5:16 am U2 개기 시작 7:11 pm 9:11 pm 11:11 pm 1:11 am 3:11 am 4:11 am 5:11 am 6:11 am - 최대 월식 7:19 pm 9:19 pm 11:19 pm 1:19 am 3:19 am 4:19 am 5:19 am 6:19 am - U3 개기 끝 7:26 pm 9:26 pm 11:26 pm 1:26 am 3:26 am 4:26 am 5:26 am - - U4 부분 끝 8:52 pm 10:52 pm 12:52 am 2:52 am 4:52 am - - - - P4 반영 끝 9:50 pm 11:50 pm 1:50 am 3:50 am 5:50 am - - - - =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 =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Me, Myself & Irene)은 미국에서 제작된 피터 패럴리 감독의 2000년 다크 코미디 영화이다. 짐 캐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브래들리 토머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짐 캐리 르네 젤위거 = = = 조연 = = = 크리스 쿠퍼 로버트 포스터 리차드 젠킨스 = = 기타 = = 공동제작: 마크 S. 피셔 공동제작: J.B. 로저스 공동제작: 마크 카펜티어 미술: 시드니 J. 바소로미우 주니어 의상: 파멜라 위더스 Ass-PD: 린다 필즈 Ass-PD: 크리스 메이어 배역: 릭 몽고메리 = = SBS 성우진 (2004년 12월 5일) = = 김환진 - 찰리 (짐 캐리) 김서영 - 아이린 (르네 젤위거) 김준 장승길 박영화 이선호 이재용 성완경 김영진 이명선 소연 윤세웅 이상훈 = = 음악 = = "I'd Like That" – XTC "Breakout" – Foo Fighters "Do It Again"+ – Smash Mouth "Deep Inside of You" – Third Eye Blind "Totalimmortal" – The Offspring "The World Ain't Slowin' Down" – Ellis Paul "Any Major Dude Will Tell You"+ – Wilco "Only A Fool Would Say That"+ – Ivy "Can't Find The Time To Tell You" – Hootie & The Blowfish "Bodhisattva"+ – Brian Setzer Orchestra "Bad Sneakers"+ – The Push Stars "Reelin' In The Years"+ – Marvelous 3 "Strange Condition" – Pete Yorn "Barrytown"+ – Ben Folds Five "Razor Boy"+ – Billy Goodrum "Where He Can Hide" – Tom Wolfe = 조지 스티븐슨 = 조지 스티븐슨(George Stephenson, , 1781년 6월 9일 ~ 1848년 8월 12일)은 영국의 발명가이다. 뉴캐슬 부근의 와이램이라는 탄광촌에서 태어나 집안이 가난하여 학교에도 다니지 못하고 아버지와 함께 탄광에서 일하였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어려움을 무릅쓰고 열심히 기계를 연구하여 1814년 처음으로 석탄 운반용 기관차를 탄광에서부터 항구까지 달리게 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1825년 스톡턴-달링턴 간에 철도를 부설, 세계 최초의 여객 철도용 기관차 ‘로커모션 호’가 발명자인 그에 의하여 움직였다. 그 후 본격적으로 리버풀-맨체스터 간의 철도를 개설하여 지방민의 반대와 사고, 곤란한 공사를 무릅쓰고 1829년 개통하였다. 같은 해인 1829년에 최초의 실용적인 기관차 로켓호를 개발했다. 그로부터 증기 철도의 가치가 인정되어 그의 명성이 굳어졌다. 그 후에도 여러 곳의 철도 부설 기사로서 활약하여 1830년 ~ 1840년 사이에 만들어진 주요한 철도는 그의 기술적인 지도를 받았다. 처음으로 증기 기관차를 발명한 그는 ‘철도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그가 발명한 증기 기관차는 영국의 산업 혁명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세계의 교통 수단에 새로운 혁명을 가져왔다. = 샤오정하오 = 샤오정하오(, 1988년 10월 5일 ~ )는 중화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천창칭 도장 출신으로 대만기원 소속의 9단이다. 국수전과 천원전에서 각 3회 우승했다. = = 경력 = = 1996년 세계청소년바둑선수권대회 소년조에서 3위에 올랐고 1998년에 2위를 차지했다. 1998년 중환배 아마추어 10강전에서 6위를 기록했고 2001년에 프로바둑에 입단했다. 2005년 4단이었던 17세의 나이로 제1회 국수전에 우승을 차지해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5단을 거쳐 2007년 6단으로 승단했다. 2008년 역조배와 신인왕전, 동강배, 장쉬배의 4개 기전에서 우승했다. 2009년 7단이 되었고 2010년 9회 천원전 결승에서 린즈한을 누르고 최연소로 우승했다. 2008년부터 중국 을조리그에 대만기원팀으로 출전했다.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트 게임즈 대회에 타이베이 대표로 출전하여 4위에 올랐다. 2007년 제3회 중환배 본선에 진출했지만 다카오 신지에게 패해 탈락했고 2010년 제15회 LG배 세계기왕전와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에 출전했다. 2012년 8단으로 승단했고, 제17회 LG배 16강에 진출했다. 2013년 국수전과 천원전, 동강배, 중정배, 왕좌전에서 우승하여 5관왕을 차지했다. 2014년 9단으로 승단했다. 2014년과 2015년의 제19회와 20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에 각각 출전했고 2015년 오카게배 바둑토너먼트에 출전했다. 2007년과 2014년, 2015년 창기배에 타이완 대표로 출전했다. = 대방부부인 송씨 = 대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1434년 ~ 1507년)는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첫 부인이며, 단종의 부인 정순왕후의 친고모이다. 몸이 병약하여 강제 이혼당하였으나 영응대군은 그를 잊지 못하여 재결합했다. 그러나 남편 사후 군장사(窘長寺)의 중 학조와 간통하여 물의를 빚었다. 본관은 여산이다. = = 생애 = = 판중추부사 송복원의 딸이며 지돈녕부사 송현수의 누이이다. 몸이 병약하여 강제 이혼당하여 친정으로 돌아갔다.조선왕조실록, 세종 123권, 세종31(1449) 3월 18일 1번째기사 그 뒤 영응대군은 재혼했지만 아내를 잊지 못하여 송씨의 사가에 찾아갔고 두 사람 사이에 두 딸이 태어났다.조선왕조실록, 단종 9권, 단종 1(1453) 11월 28일 4번째기사 결국 단종 때 송씨는 영응대군과 재결합했다. 영응대군과의 사이에 아들을 여럿 낳았으나 모두 죽고 살아남은 것은 딸 길안현주 뿐이다.조선왕조실록, 성종 86권, 성종8(1477) 11월 10일 6번째기사 1479년 성종 대에 중전 윤씨가 폐위되자 어린 원자는 잠시 송씨의 집에서 보살핌을 받았다.김태형,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심리학자가 만난 조선의 문제적 인물들), 역사의 아침, 2009, p.309, 영응대군은 이 때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군장사란 절에 올라가 설법을 듣다가 계집종이 깊이 잠들면 승려 학조와 사통을 했다.박홍갑, 사관 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 (가람기획, 1999) 114페이지이덕일, 사화로 보는 조선 역사 (석필, 2005) 312페이지 무오사화 당시 이 사실도 사초에 들어 있었다. = = 인물 = =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송씨의 성품이 질투심이 많고 사나워 영응대군이 그녀를 매우 총애하다가 나중에는 두려워했다고 적고 있다.조선왕조실록, 예종 8권, 예종1(1469) 10월 6일 3번째기사 누군가에게 낡은 옷을 한 벌 주려해도 송씨의 허락이 필요했으며 허락없이는 주지 못했다고 한다. 송씨는 평소 궁중에 자주 드나들면서 외명부 중에서도 각별히 총애를 받았는데 그 조카인 송영이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송씨 덕분이었다.조선왕조실록, 성종 157권, 성종14(1483) 8월 26일 2번째기사 송영이 논핵을 당했을 때 그 처가 8촌 오라비 홍석보의 집을 찾아가 남편의 일을 청탁하며, 시고모인 송씨가 마음이 불편해 병이 났다고 전하자 윤은로 등이 송영을 탄핵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이를 듣지 않고 윤은로 등을 벌하였다. 또한 송현수의 아들인 송거가 아버지의 죄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못할 때 송씨는 조카의 과거 응시를 성종에게 부탁하기도 했다.조선왕조실록 성종 69권, 성종7년(1476), 7월 11일 1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에는 성종과 연산군이 송씨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 노비와 쌀, 베 등 물품을 하사한 기록이 등장한다.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송복원 친정 오라비 : 송현수 친정 올케 : 민씨 * 조카 : 정순왕후 * 조카사위 : 단종 남편 : 영응대군 딸 : 길안현주 억천(吉安縣主 億千) 사위 : 능천부원군 구수영(綾川府院君 具壽永) * 외손자 : 능양위 구문경(綾陽尉 具文璟) * 외손부 : 휘신공주(연산군의 딸) * 외손녀 : 구순복(具順福) * 외손서 : 임희재(任熙載, 1472년 ~ 1504년, 임사홍의 아들) 정인 : 학조 = = 기타 = = 승려 학조와의 간통 사건은 후일 무오사화의 원인의 하나가 된다. 학조를 매우 혐오한 김종직은 이를 두고 경멸, 비판했는데, 김종직의 제자들 중 누군가 실록을 편찬할 때 송씨와 학조의 불륜 사실을 기사로 넣어서 문제가 됐고, 이는 무오사화까지 이어진다. 박경은 김일손과 기맥이 통하여 홍인문 밖에서 '영응대군 부인 송씨가 중 학조와 사통(私通)을 했다'는 방문(榜文)을 보고 알렸다가, 김일손이 사초에 적는 바람에 호된 고문을 당하고 겨우 살아난 적이 있었다.말과 글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프레시안 2007-11-26 = = 관련 서적 = = 박홍갑, 《사관 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 (가람기획, 1999) 이덕일, 《조선 선비 살해사건》 (다산초당, 2006) 이덕일, 《사화로 보는 조선 역사》 (석필, 2005) = 크라우스-마파이 베크만 = 크라우스-마파이 베크만(, KMW)은 독일의 방위산업체이다. 주로 군사용 차량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레오파르트 2, PzH 2000, 퓨마 보병전투차 등이 있다. = = 역사 = = 1838년 요제프 안톤 폰 마파이(Joseph Anton von Maffei)는 뮌헨의 첫 기차 공장을 설립하였다. 이 공장은 1931년 크라우스 & Co.(Krauss & Co.)와 크라우스-마파이 AG라는 이름으로 합쳐져 1930년대에 처음으로 군사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63년 그라우스-마파이는 레오파르트 1 전차의 종합 계약자로 생산을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도 크라우스-마파이에서는 게파드 자주대공포와 레오파르트 2 주력 전차를 생산하였다. 한편 1882년 페터 베크만(Peter Wegmann)과 리하르트 하르코르트(Richard Harkort)는 함께 베크만, 하르코르트 사의 카셀 자동차 공장(Casseler Waggonfabriken von Wegmann, Harkort & Co.)을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베크만 & Co.(Wegmann & Co.)의 시초이다. 1912년 아우구스트 보데(August Bode)와 콘라트 쾰러(Conrad Köhler)에게 인수된 베크만은 1930년대에 헨셸-베크만 기차의 차량 제작사로 명성을 얻게 된다. 1960년대에 베크만에서는 레오파르트 1, 게파드 자주대공포, 레오파르트 2의 포탑 제작과 화포 및 정찰 체계에 전문성을 갖추게 된다. 1999년 크라우스-마파이 AG(Krauss-Maffei AG)의 방산 분야와 와 베크만 & Co. GmbH(Wegmann & Co. GmbH)가 합병하여 크라우스-마파이 베크만으로 거듭나 기갑 차량 및 화포, 방공 분야에서 유럽 최고의 방산기업 중 하나가 되었다. = = 주요 생산품 =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2 게파드 자주대공포 퓨마 복서 PzH 2000 도나르 = 나고야 사겐타 = 나고야 사겐타(, 1820년 2월 12일 ~ 1881년 6월 16일)는 일본 에도 시대 말기의 사쓰마번 무사이다. 자는 세이란, 휘는 도키토시 또는 도키유키이다. 겐타로, 베에, 다이조 등의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나고야 모리쓰구의 아들이다. 가고시마 성 아래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가격(家格)은 요리아이였다. 시마즈 쓰구토요의 생모의 오빠인 나고야 쓰네와타의 자손으로, 사겐타라는 이름은 나고야 가문의 역대 당주나 적자가 쓰던 것이지만 보통 사겐타라 하면 이 나고야 도키토시(도키유키)를 가리킨다. 1850년 반란에 연루되어 아마미오섬에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이 때 난토자쓰와, 엔토닛키 등 아마미오섬의 실정에 관한 저서를 남겼다. 1855년 사면되었으며, 그 후 지샤부교(寺社奉行) 등을 지냈다. = 이승민 (1993년) = 이승민(1993년 5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아리랑 TV의 기상캐스터로 활동하고 있다. = = 학력 =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경영학과 카네기멜런 대학교 Tabor Academy = = 경력 = = 아리랑 TV 뉴스 기상캐스터 = 템페라 = 템페라(Tempera)는 기름과 아교질로 된 유제(乳劑)의 수용성 매제(媒劑, 고착제)로서 안료를 이긴 화구이다. = = 역사 = = 포도주에 물을 타는 것과, 회화에서 안료를 이겨서 화구로 만들기 위하여 고착제를 섞는 것을 템페라레(temperare)라고 하며, 그 혼합물 즉 고착제(固着劑)를 템페라라고 하였다. 달걀을 비롯하여 아교, 아라비아 고무, 수지, 기름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달걀이 대표적이었다. 한편, 고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프레스코가 14세기에 이르러 넓게 보급되자 그와 구별하기 위하여 고착제를 사용하는 화법, 그리고 그 화법에 의한 회화를 아 템페라(a tempera)라고 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에는 세코(secco) 화법(밑칠이 건조한 다음 안료에 고착제를 가하여 그리는 기법)에 의한 벽화, 판화. 미니어처 등 프레스코 이외의 모든 회화가 포함되어 있다. 16세기 이후 유채화(유화)가 회화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자, 유채화 이외의 주로 달걀을 사용한 종래의 화법은 모두 템페라라고 하였다. = = 특징 = = 템페라화는 빨리 마르고 튼튼하며 내구성이 풍부한 화구층을 만들며, 유화구와 달라서 건조하면 색조가 더 밝아진다. 그러나 속히 건조하므로 색면의 평도(平塗)와 번지기 기법에는 부적합하여 선묘적(線描的)인 성격을 띠나, 가끔 유화구와 병용하면 그 결점이 보완된다. 달걀은 흰자위 또는 노른자위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양쪽을 모두 쓰는 경우가 있다. 유제 중에서 기름의 비율이 큰 것은 유성 템페라라고 함. 근래에는 합성수지의 새로운 용제를 사용한 것도 템페라라고 할 때도 있다. = 분류:폴란드의 범죄 피해자 = = 파일:SnulifeLogo.jpg = = 웬디 테스터버거 = 웬디 테스터버거(Wendy Testaburger)는 사우스 파크 시리즈에 나오는 가상의 주인공이다. 웬디는 메리 케이 버그만, 모나 마쉘, 엘리자 슈나이더가 성우를 맡았지만 현재 성우는 에이프릴 스튜어트이다. 파일럿 형식인 "Cartman Gets an Anal Probe" 판에서는 Rochelle Leffler이 목소리를 내었다. = = 삶 = = 웬디는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에서 논쟁의 여의가 있지만 가장 똑똑하고 친절한 여자애인데, 종종 자신이 하고 싶은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하곤 한다. 그녀의 제일 친한 친구는 금발 머리를 가진 베베이다. 때때로 그녀는 카트먼을 매우 싫어하지만, 그녀는 "Chef Goes Nanners" 에피소드에서 잠시 동안 카트먼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키스도 하게 된다. 웬디는 카트먼이 만든 보이밴드인 핑거뱅에 5번째 단원으로 참가하게 되고, 나중에 애들이 노래를 부를 때, 널리 알려진 완곡한 Miss Susie 리듬으로 흥을 깨게 된다. 웬디는 자유주의와, 여성주의자적인 특성은 몇몇 에피소드에서 일치되지 않는다. 6 시즌의 "Bebe's Boobs Destroy Society" 에피소드에서, 웬디는 베베의 가슴이 다른 남자들의 관심을 끌었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질투심으로 가슴 수술을 받게 된다. 나중 에피소드에서 웬디는 패리스 힐튼이 널리 유행시킨 '더러운 창녀' 유행에 빠지지 않는 여자 중의 하나이다. = = 스탠과의 우정 = = 사우스 파크의 초기 부분에서, 웬디는 종종 스탠과 이야기를 하려고 하지만, 스탠은 그 말에 반응해서 구토를 하게 되고, 그래서 그녀는 기겁을 하면서 가버리게 된다. 사우스 파크의 초기에서, 웬디는 스탠의 여자친구가 되었는데, 시리즈가 가면 갈수록 그 둘 사이는 점점 소원해져 갔다. "Tom's Rhinoplasty"에서는 스탠이 임시 교사인 엘렌 선생에게 푹 빠지자 웬디는 엘렌 선생을 질투했고, 나중에 이라크 군인들에 살인 청부를 의뢰하고 군인들은 엘렌 선생을 끌고 로켓에 태운 후 쏘아 올리며 죽는 것을 바라본다. 그리고 7 시즌의 "Raisins" 에피소드에서 공식적으로 둘은 깨지게 되었다. 이 에피소드에서 웬디는 토큰과 같이 데이트 하는 것을 볼 수 있고, 그리고 그가 제일 중요한 역할로 나온 "Stupid Spoiled Whore Video Playset"에서 그 둘의 사이는 더 멀어졌음이 확실했다. 극장판 사우스 파크에서, 그녀는 야데일의 그레고리와 사귀게 되는데, 야데일은 그 전 에피소드에서 나타난적이 없었고,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러나 스탠은 "Follow the Egg!" 에피소드에서 그녀에 대한 감정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스탠은 그녀와 짝이 된 카일을 질투하고, 카일에게 그녀와의 관계를 추궁하였다. 그래서 스탠과 웬디가 다시 합쳐서 다닌다는 루머가 나돌기도 하였다. 그러다 "The List"에서 리스트의 실체를 파헤친 끝에 스탠과 재결합했으나, "Elementary School Musical"에서 브라이든이라는 3학년 남학생과 어울리게 되자 스탠은 웬디를 잃을까봐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웬디가 스탠의 볼에 키스를 하는 것을 보면 "The List" 이후 스탠이 구토를 하는 패턴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You Have 0 Friends"에서는 페이스북의 프로필 설정을 커플이 아닌 애인 없음이라 설정했다며 스탠에게 화내는 모습을 보였고, "Butters' Bottom Bitch"에서도 스탠에게 화내는 묘사가 나온다. 다만 "Ass Burgers"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의심한 스탠이 걱정되자 카일에게 스탠과 얘기해보라고 설득하는 것을 보면 걱정해주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Gluten Free Ebola"에서 스탠을 포함해 4인방(카일, 카트먼, 케니)과 버터스가 벤처 사업을 하게 되고 스탠은 웬디와 헤어지지만 나중에 가선 후회하며 다시 화해를 선언하고, "Skank Hunt"에서는 다시 편지를 통해 스탠과 헤어지게 되는 묘사가 등장한다. = = 생김새 = = 웬디는 자주색 베레모를 쓰고 있고, 노란 바지를 입고 있다. 그녀는 또한 남색 벙어리 장갑을 끼고 있다. 웬디의 베레모 밑에는 이마에 드린 검은 긴 머리가 나타난다. 웬디의 캐릭터는 사우스 파크 제작자인 트레이 파커를 좋아한 리안 아다모를 기초로 하였다. 웬디는 또한 콜로라도주의 페어 플레이에 있는 Wendy Gamsey를 기초로 하였다.페어플레이가 사우스 파크에 미친 영향 = = 그 밖에 = = 어떤 이들은 웬디의 이름이 유명한 패스트 푸드 체인점의 이름을 따왔다고 말하고, 웬디의 성이 "Tastyburger"에서 변형되었다고 주장한다. "Weight gain 4000" 에피소드의 주석에서,, 웬디의 이름은 맷 스톤의 친구의 아내인 웬디 웨스터버거에서 나왔다고 한다. = = 웬디가 특출하게 나온 에피소드 = = "101 Cartman Gets an Anal Probe" - 스탠과 웬디가 처음 만난 에피소드. 스탠은 웬디를 보면 구토를 하는데, 웬디와 그 구토물을 보면서 대화를 나누게 된다. "102 Weight Gain 4000" - 카트만은 환경에 대한 수필로 상을 타게 되고, 웬디는 카트만이 "월든"을 베낀것을 밝혀낸다. "107 Pink Eye" - 웬디는 츄바카 옷으로 대상을 받게 되고, 광대 복장을 한 스탠은 애들에게 놀림 당하게 된다. 나중에 스탠은 복수를 꿈꾸지만, 자기를 덮치러온 좀비가 된 웬디를 죽이지 않는다. "111 Tom's Rhinoplasty" - 웬디는 새로 온 선생님이 스탠의 마음을 홀리는 것을 보고, 선생님에게 처절한 복수를 가한다. "209 Chef's Chocolate Salty Balls" - 웬디는 스탠과 같이 독립 영화제를 보러가게 된다. "212 Clubhouses" - 웬디는 스탠에게 클럽 하우스를 만들자고 제의하게 된다. "408 Chef Goes Nanners" - 웬디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있는 사우스 파크의 깃발을 바꾸는 입장에 서게 된다. 그 와중에 카트맨과 같이 작업을 하게 되고 꿈에서 사랑에 빠져 결국 서로 입맞춤을 하게 된다. "409 Something You Can Do with Your Finger" - 웬디는 카트먼의 밴드(핑거뱅)에 들어오려고 오디션을 보게 된다. 하지만 카트먼은 여자는 보이 밴드에 들어갈 수 없다고 항의하지만 나머지 셋은 웬디를 합격시킨다. "507 Proper Condom Use" - 웬디는 남자들에 대해서 적개감을 느끼게 되고, 다른 여자애들과 남자들을 막는 요새를 만들게 되지만 남학생들에 의해 요새가 파괴된다. "610 Bebe's Boobs Destroy Society" - 웬디는 베베의 가슴에 모든 남자애들이 끌리는 것을 보게 되고, 가슴 확대 수술을 받기로 한다. "714 Raisins" - 웬디가 스탠과 헤어지게 되며, 스탠은 잠시 고스 키즈에 들어가고 웬디는 잠시 토큰과 교제한다. "812 Stupid Spoiled Whore Video Playset" - 모든 여학생이 창녀가 되었을 때 웬디는 패리스 힐튼의 추잡스러움을 닮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결국에는 따라하지 못한다. "910 Follow that Egg!" - 웬디는 카일과 같이 조가 되지만, 스탠은 카일의 조를 의심하게 되는데 동성애 결혼을 반대하는 게리슨 선생은 스탠과 카일을 맺어주게 된다. "1114 The List" - 웬디는 스탠과 함께 여자 애들의 리스트에 얽힌 비리를 밝히게 된다. 이 사건을 계기로 둘은 재결합한다. "1209 Breast Cancer Episode Ever" - 유방암에 관한 발표 도중 카트먼에게 시비가 붙자, 웬디는 후에 카트맨과 싸우게 된다. "1213 Elementary School Musical" - 학교에 갑자기 뮤지컬 붐이 일게 되고 웬디는 그런 뮤지컬을 잘하는 브라이든에게 (스탠의 눈 앞에서)호감을 표시한다. "1304 Eat, Pray, Queef" - 테런스 & 필립의 주 소재인 방귀는 개그가 되었지만 Queef(여자의 질을 이용해 공기를 내뿜는 일종의 방귀같은 행위)는 심각한 행위라고 인식하는 남자들에게 Queef를 먹이는 계략을 만든다. "1313 Dances with Smurfs" - 카트맨에 의해 웬디는 스머프 마을을 침략하는 악당이 되는데, 웬디는 이를 역 이용해 카트맨이 만들어낸 이야기를 영화사에 팔아버리고 카트맨에게 전교 회장자리를 넘긴다. "1404 You Have 0 Friends" - 스탠이 'Susan92'라는 아이디에게 토끼옷을 입고 찍은 사진을 보여준 것을 보고 분노하여 스탠에게 화내고 간다. 하지만 Susan92는 스탠의 할머니이다. "1508 Ass Burgers" - 아스퍼거 증후군을 의심한 스탠이 친구들에게 외면받자, 웬디는 이를 걱정하며 카일에게 스탠과 얘기해보라며 조언한다. "1710 The Hobbit" - 웬디는 킴 카다시안을 좋아하는 버터스에게 화를 낸 후 포토샵을 이용해 리사 버거를 보정하는 것을 예로 들며 자아상을 훼손한다며 우려했지만 버터스는 보정한 리사의 모습을 업로드하며 리사에게 고백을 하러 간다. "1906 Tweek x Craig" - 웬디는 야오이에 대해 소개하는데 그 중에서 크레이그와 트윅과 엮은 사진들을 보여준다. "2002 Skank Hunt" - Skankhunt42라는 악플러 때문에 SNS를 끊게 된 하이디로 인해 성차별 문제가 불거지자 결국 웬디를 포함한 여학생들은 편지를 통해 남자친구들과 헤어지게 되며 스탠도 마찬가지로 웬디와 헤어지게 된다. = = 통합 보존문서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보존1 (2009년 5월 이전)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보존2 (2014년 ~2018년 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보존3 (2018년 2월 이후) = = 월별 보존문서 (2009년 5월~2013년 6월) = = = = = 2009년 =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6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7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8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9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10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1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09년 12월 = = = 2010년 =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2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3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4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5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6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7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8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9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10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1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0년 12월 = = = 2011년 =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2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3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4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5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6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7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8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9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10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1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1년 12월 = = = 2012년 =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2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3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4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5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6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7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8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9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10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1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2년 12월 = = = 2013년 =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1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2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3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4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5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6월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2013년 하반기 = Galaxy of 2PM = 이 앨범에 수록된 싱글 이 앨범에 수록된 싱글 2015년 10월 21일 〈Higher〉 Galaxy of 2PM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2PM의 일본에서 발매된 다섯번째 정규 앨범이다. 멤버들의 입대 전 마지막 싱글로 기존 앨범과 달리 10번째 싱글 〈Higher〉가 이 앨범의 싱글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일반판에는 CD반, CD+DVD반과 기존 수록곡에 멤버별 유닛곡을 수록한 3종류의 사양, 뒤이어 신곡 〈天の川 ~Milky Way~〉를 추가 수록한 리패키지반에는 CD반 및 앞서 개최된 〈2PM Six "Higher" Days〉의 공연 실황을 수록한 DVD반을 포함하여 총 7종의 사양으로 발매되었다. = = DVD = = Prologue of GALAXY OF 2PM GALAXY OF 2PM Making Movie 2PM Six "Higher" Days Document Movie 'Higher' Making Movie 뮤직비디오 #一緒に過ごした時間 #Higher (Close Up Ver.) CHANSUNG's Day #Wanna Love You Again #Miss You #僕は #Boyfriend #Mine JUNHO's Day #Crush #INSANE #Turn It Up #So many girls #SO GOOD #Don’t Tease Me WOOYOUNG's Day #R.O.S.E #COCKTAIL #ハンパない #Happy Birthday #Give Up TAECYEON's Day #I LOVE U, U LOVE ME #결혼전야 Part 2 #Traicion #Slender Man #Never Give Up NICHKHUN's Day #Maybe You Are #Let It Rain #SO WONDERFUL #Miss Wonderful #My Valentine Jun. K's Day #NO LOVE #TRUE SWAG #No Goodbyes #LOVE & HATE #EVEREST = = 차트 기록 = = 차트 최고 순위 총 판매량 오리콘 일간 앨범 차트 1위 122,685장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 1위 122,685장 오리콘 월간 앨범 차트 5위 122,685장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 36위 122,685장 차트 진입 기간 - 7주 차트 진입 기간 - 7주 차트 진입 기간 - 7주 = 브라우너 공간 = 함수해석학에서 브라우너 공간(Brauner空間, )은 모든 콤팩트 집합을 포함하는 콤팩트 집합렬을 갖는 완비 콤팩트 생성 국소 볼록 공간 X이다. 스테레오 공간의 이론에서, 프레셰 공간의 개념의 쌍대 개념이다. = = 정의 = = X는 (균등 공간으로서) 완비 균등 공간이다. (여기서 사용된 균등 공간 구조는 아벨 위상군의 표준적 균등 공간 구조이다.) 콤팩트 생성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d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콤팩트 집합의 열 K_0 \subseteq K_1 \subseteq K_2 \subseteq \dotsb \subseteq X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브라우너 공간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 *: 임의의 콤팩트 집합 K\subseteq X에 대하여, K\subseteq K_i인 자연수 i\in\mathbb N가 존재한다. (즉, \min\{i\in\mathbb N\colon K\subseteq K_i\} < \infty이다.) = = 성질 = = 임의의 \mathbb K-프레셰 공간 X의 연속 쌍대 공간 X^* 위에, X의 모든 완전 유계 집합에서 균등 수렴하는 위상을 부여한 것을 스테레오 쌍대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스테레오 공간 X이 브라우너 공간이다. 스테레오 쌍대 공간 X^*은 프레셰 공간이다. 즉, 브라우너 공간의 개념은 프레셰 공간의 개념과 서로 쌍대이다. = = 예 = = = = = 국소 콤팩트 공간 위의 측도 공간 = = = 시그마 콤팩트 국소 콤팩트 공간 M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연속 함수의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수렴 필요 충분 조건으로 정의되는 위상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이는 위상 벡터 공간을 이룬다. 그 연속 쌍대 공간 은 측도의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은 수렴 필요 충분 조건으로 정의되는 위상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X는 브라우너 공간이다. = = =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분포 공간 = = = 매끄러운 다양체 M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매끄러운 함수의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수렴 필요 충분 조건으로 정의되는 위상을 부여하자. 임의의 콤팩트 공간 K\subseteq M에 대하여, 함수열 f_i의 임의의 차수 도함수 \nabla_{X_1}\nabla_{X_2}\dotsb\nabla_{X_n}f_i는 K 위에서 \nabla_{X_1}\dotsb\nabla_{X_n}f로 균등 수렴한다. 이제, 이 위상 벡터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 은 분포의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은 수렴 필요 충분 조건으로 정의되는 위상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X는 브라우너 공간이다. = = = 슈타인 다양체 = = = M이 슈타인 다양체라고 하자. {\mathcal O}(M)을 M에 있는 콤팩트 집합의 균등수렴의 일반적인 위상을 가진 M에 있는 정칙함수의 공간이라고 두자. {\mathcal O}(M)에 있는 유계 집합의 균등수렴의 일반적인 위상을 가진 M에 있는 해석적 범함수의 쌍대 공간 {\mathcal O}^\star(M)은 브라우너 공간이다. 또한, G를 콤팩트 생성 슈타인 군이라고 하자. G의 지수형 정칙 함수의 공간 {\mathcal O}_{\exp}(G)은 자연위상의 관점에서 볼 때 브라우너 공간이다. = = 역사 = = 칼만 조지 브라우너 2세가 이 개념을 최초로 연구하였다.. = 고흥도화고등학교 = 고흥도화고등학교(高興道化高等學校)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5년 3월 11일 : 흥양고등학교 보통과 12학급 설립 인가 1978년 3월 1일 : 고흥도화고등학교로 개명 1992년 3월 1일 : 고흥도화종합고등학교로 학과 개편 (전자과 신설) 1994년 3월 1일 : 고흥포두고등학교 통합 2002년 3월 1일 : 고흥도화고등학교로 개명 2020년 3월 1일 : 학과 개편(전기전자과) 2021년 3월 1일 : 제18대 문석균 교장 부임 2022년 1월 5일 : 제45회 22명 졸업(졸업생 총수 4,510명) 2022년 3월 2일 : 제48회 신입생 입학(18명) 2023년 3월 2일 : 제 49회 신입생 입학(17명) = = 설치 학과 = = 전기전자과 = 한국여자프로농구 2013-14 = 2012-2013 KDB생명 여자프로농구는 대한민국 프로농구의 13-14시즌이며 23번째 한국여자프로농구 시즌이다. 2013년 11월 10일에 개막했으며 2014년 3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 = 변경된 점 = = *프로 선수들의 처우 개선을 통해 여자농구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리고, 이를 저변확대로 이어간다는 방침 속에 최고 연봉을 샐러리캡(12억원)의 25%인 3억원으로 인상하고, 최저 연봉을 종전 24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고액 연봉자와 최저 연봉자의 격차를 줄이고, FA제도 개선을 통해 선수의 이동을 활성화 하여 구단 간 전력 평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보상 자유계약(FA)선수 규정이 변경되었다. 보상 FA선수 이적 시 선수 보상을 원하는 경우 보호 선수를 4명까지 지정할 수 있었던 기존 규정에 공헌도 순위에 따른 차등을 적용했다. 당해 연도 공헌도 서열 20위 이내의 보상 FA 선수의 경우 4명을, 당해 연도 공헌도 21위 이하의 보상 FA선수 중 전년도 서열이 30위 이내 선수의 경우 5명을 지정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 = 선수 변화 = = = = = 이적 = = = 4월 18일, 삼성생명 FA 이유진, 원 소속구단인 삼성생명과 계약결렬, 하나외환과 계약(3년) 4월 18일, KDB생명 FA 김보미, 원 소속구단인 KDB생명과 계약결렬, 하나외환과 계약(3년) 8월 2일, 우리은행 배혜윤 <=> 삼성생명 이선화 1:1 트레이드 12월 4일, 신한은행 최희진 <=> 삼성생명 박다정 1:1 트레이드 = = = 은퇴 = = = 선수 마지막 소속팀 박정은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김지윤 부천 하나외환 양정옥 부천 하나외환 = = 정규리그 = = 정규리그는 2013년 11월 10일 개막하였으며, 2013년 3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아산 우리은행 위비가 정규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ALORANT Champions Tour, 약칭 VCT)는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발로란트의 e스포츠 대회이다. 매해 개최되는 시즌은 발로란트 챔피언스에서 최종 결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VCT는 2020년 첫 연간 계획 발표, 2021년에 첫 대회를 개최했다. = = 역사 = = = = = 2021~2022: 공개 예선 구조 = = = 2020년 11월, 라이엇 게임즈는 챌린저스, 마스터스, 챔피언스의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누어진 발로란트 e스포츠의 연간 계획인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를 발표했다. 챌린저스는 가장 하위 대회로 북아메리카, 브라질, 라틴아메리카, EMEA, 동남아시아, 대한민국, 일본의 7개 권역으로 나뉜다. 챌린저스 상위 팀은 국제 대회 격인 마스터스에 진출하고, 권역 구분 없이 최상위 16개 팀이 챔피언스에 진출한다. 2021년 2월, 라이엇 게임즈는 여성을 위한 별도의 대회인 VCT 게임 체인저스를 발표했다. = = = 2023~현재: 파트너십 구조 = = = 2023시즌을 앞두고 라이엇 게임즈는 새로운 구조 도입을 발표했다. 이전 권역 구분을 아메리카(AMER), EMEA, 태평양(PAC)의 3개 권역으로 통폐합했다. 각 권역에는 챌린저스를 대체하여 마스터스와 챔피언스 진출을 위한 국제 리그가 개최된다. 2022년 9월 21일, 라이엇 게임즈는 파트너십에 선정된 권역 별 10개 팀, 총 30개 팀을 발표했다. 2024시즌을 앞두고 중국(CN)이 새로운 권역으로 합류했다. = = 대회 방식 = = 대회 방식은 2024년 기준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의 구조이다. 티어 1 챔피언스 최종 선발전 마스터스 국제 리그 (아메리카, EMEA, 태평양, 중국) 티어 2 챌린저스 * 챌린저스 스플릿 * 챌린저스 어센션 (승강전)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게임 체인저스 프리미어 = = = 티어 1 = = = = = = = 국제 리그 = = = = 2023년 기준, 권역 별 10개 팀이 5년 동안 파트너 팀으로 선정되어 국제 리그 활동을 보장받는다. 비파트너 팀은 어센션을 통해서 승격해야 한다. 여러 챌린저스 최상위 팀이 각 권역에 어센션이 진출하고, 어센션 우승 팀은 향후 2년 동안 국제 리그 활동을 보장받는다. 국제 리그에 참여하는 팀은 국제 대회(마스터스, 챔피언스)에 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라이엇 게임즈는 2027년까지 최대 14개 팀이 각 권역 국제 리그에 참가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2023년 기준, 각 국제 리그 소속 팀은 아메리카 리그는 로스앤젤레스, EMEA 리그는 베를린, 태평양 리그는 서울에서 경기를 치른다. 아메리카(Americas) EMEA(EMEA) 태평양(Pacific) 파트너 팀 (2023-27) 파트너 팀 (2023-27) 파트너 팀 (2023-27) 라우드 팀 리퀴드 페이퍼 렉스 NRG 프나틱 DRX 이블 지니어스 FUT e스포츠 T1 클라우드 나인 나투스 빈체레 Gen.G 레비아탄 팀 바이탈리티 팀 시크릿 퓨리아 e스포츠 자이언츠 제타 디비전 센티넬즈 BBL e스포츠 렉스 리검 퀀 100 씨브즈 팀 헤레틱스 글로벌 e스포츠 메이드 인 브라질 코이 탈론 e스포츠 크루 e스포츠 카민 코프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어센션을 통해 승격한 팀 (비파트너 팀) 어센션을 통해 승격한 팀 (비파트너 팀) 어센션을 통해 승격한 팀 (비파트너 팀) G2 e스포츠더 가드가 어센션을 통한 승격을 거절하여, G2 e스포츠가 시드를 인수하여 대신하여 참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젠틀 메이트 블리드 e스포츠 = = = = 차이나 리그 = = = = VCT 출범 이후, 중국에서 발로란트 게임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라이엇 게임즈는 현지 제3자 조직의 대회를 통해서 중국 팀이 국제 대회(마스터스, 챔피언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중국에 대한 호의를 보였다. 2024시즌을 앞두고 중국 출시를 확정 지은 라이엇 게임즈는 국제 리그와 유사하거나 거의 동일한 형식으로 중국 단일 국가 대회를 직접 출범하고, 마스터스와 챔피언스에서 중국 팀만을 위한 시드 슬롯을 편성했다. 라이엇 게임즈는 또한, 2024시즌 마스터스 스테이지 2를 상하이에서 개최할 것을 예고했다. 파트너 팀 (2024-27) 올 게이머스 빌리빌리 게이밍 에드워드 게이밍 펀플러스 피닉스 JD 게이밍 노바 e스포츠 타이루 타이탄 e스포츠 클럽 트레이스 e스포츠 울브즈 e스포츠 어센션을 통해 승격한 팀 (비파트너 팀) 드래곤 레인저 게이밍 = = = = 마스터스 = = = =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마스터스는 2021년부터 매년 2~3회 가량 개최하고 있는 국제 대회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와 유사하며, 챔피언스 다음으로 중요한, 즉 두 번째로 중요한 티어 1 대회이다. 마스터스 진출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각 권역의 국제 리그에서 상위권에 위치해야 한다. = = = = 챔피언스 = = = = 발로란트 챔피언스는 2021년부터 매년 한 차례씩 개최하고 있는 국제 대회로 각 시즌의 결산을 책임지는 국제 대회이다. 챔피언스에 진출한 팀은 발로란트 e스포츠의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놓고 경쟁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월드 챔피언십(Worlds, 롤드컵)과 유사하다. = = = 티어 2 및 기타 대회 = = = = = = = 챌린저스 및 어센션 = = = = 비파트너 팀은 각 권역 국제 리그에 대한 승격 자격 대회인 어센션 진출을 위해서 챌린저스 대회에서 경쟁한다. 각 권역 어센션 우승 팀은 향후 2년 동안 국제 리그 활동을 보장받는다. 2023년 기준, 현재 3개의 권역에 걸쳐 23개의 챌린저스(지역)이 있다. = = = = VCT 게임 체인저스 = = = = 여성을 위한 대회이다. 각 지역 게임 체인저스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팀은 게임 체인저스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게임 체인저스 부문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놓고 경쟁한다. = = 역대 대회 및 결과 = = = = = 국제 리그 및 차이나 리그 우승 팀 = = = 연도 회차 대회 아메리카 EMEA 태평양 중국 2023 1 2023 라우드 팀 리퀴드 페이퍼 렉스 출범 이전 2024 2 2024 킥오프 ? ? ? ? 2024 3 2024 스테이지 1 ? ? ? ? 2024 4 2024 스테이지 2 ? ? ? ? = = = 어센션 우승 팀 = = = 연도 아메리카 EMEA 태평양 중국 2023 더 가드 젠틀 메이트 블리드 e스포츠 드래곤 레인저 게이밍 2024 ? ? ? ? = = = 국제 대회 (마스터스 및 챔피언스) = = = = = = = 국제 대회 우승 기록 = = = = 팀명 권역 챔피언스 횟수 마스터스 횟수 챔피언스 시즌 마스터스 시즌 어센드어센드는 EMEA 권역 소속 동유럽 챌린저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기준) EMEA 1 0 2021 라우드 아메리카 1 0 2022 이블 지니어스 아메리카 1 0 2023 센티널즈 아메리카 0 1 2021-2 갬빗 e스포츠갬빗 e스포츠는 2022년 8월 해체했다. EMEA 0 1 2021-3 옵틱 게이밍옵틱 게이밍은 2022년 12월 해체했다. 아메리카 0 1 2022-1 펀플러스 피닉스펀플러스 피닉스는 2024시즌을 기해 소속 권역을 EMEA에서 중국으로 옮겼다. 2022 스테이지 2 우승 기록은 EMEA 소속 시절 기록했다. 중국 0 1 2022-2 프나틱 EMEA 0 1 2023 = = 지역 목록 = = 권역 지역 챌린저스 아메리카(AMERICAS) 북미 발로란트 챌린저스 북아메리카 아메리카(AMERICAS) 브라질 발로란트 챌린저스 브라질 아메리카(AMERICAS) 라틴아메리카 북부 발로란트 챌린저스 라틴아메리카 북부 아메리카(AMERICAS) 라틴아메리카 남부 발로란트 챌린저스 라틴아메리카 남부 EMEA(EMEA) 동유럽 발로란트 챌린저스 동유럽 EMEA(EMEA) 튀르키예 발로란트 챌린저스 튀르키예 EMEA(EMEA) 스페인 발로란트 챌린저스 스페인 EMEA(EMEA) 이탈리아 발로란트 챌린저스 이탈리아 EMEA(EMEA) 포르투갈 발로란트 챌린저스 포르투갈 EMEA(EMEA) 북유럽 발로란트 챌린저스 북유럽 EMEA(EMEA) 다흐(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발로란트 챌린저스 DACH EMEA(EMEA) MENA(중동 및 북아프리카) 발로란트 챌린저스 MENA EMEA(EMEA) 프랑스 발로란트 챌린저스 프랑스 태평양(PACIFIC) 일본 발로란트 챌린저스 재팬 태평양(PACIFIC) 한국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태평양(PACIFIC) 태국 발로란트 챌린저스 타일랜드 태평양(PACIFIC) 인도네시아 발로란트 챌린저스 인도네시아 태평양(PACIFIC) 베트남 발로란트 챌린저스 베트남 태평양(PACIFIC) 대만 발로란트 챌린저스 타이완 & 홍콩 태평양(PACIFIC) 홍콩 발로란트 챌린저스 타이완 & 홍콩 태평양(PACIFIC) 말레이시아 발로란트 챌린저스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태평양(PACIFIC) 싱가포르 발로란트 챌린저스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태평양(PACIFIC) 필리핀 발로란트 챌린저스 필리핀 태평양(PACIFIC) 오세아니아 발로란트 챌린저스 오세아니아 태평양(PACIFIC) 남아시아 발로란트 챌린저스 남아시아 중국(CHINA) 중국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여자 400m 개인혼영 =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수영 여자 400m 개인혼영 종목은 8월 9일부터 8월 1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열렸다. 28개국에서 3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 = 경기장 = = 2008년 하계 올림픽 수영 여자 400m 개인혼영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도시 경기장 비고 베이징(Beijing) 베이징 국가수영장(Beijing National Aquatics Center) 전 경기 = = 경기 일정 = =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날짜 시간 경기 2008년 8월 9일 예선 2008년 8월 10일 결선 = = 신기록 = = = = = 기존 기록 = = = = = = 대회 기록 = = = 날짜 경기 선수 국가 기록 올림픽 기록 세계 기록 8월 10일 결선 스테퍼니 라이스 4:29.45 OR WR = = 경기 결과 = = = = = 예선 = = = 순위 선수 국가 기록 조 레인 비고 1 Elizabeth Beisel 4:34.55 3 4 Q 2 케이티 호프 4:34.63 5 4 Q 3 알레시아 필리피 4:35.11 3 5 Q 3 스테퍼니 라이스 4:35.11 4 4 Q 5 야나 마르티노바 4:36.25 3 3 Q 6 리쉬안쉬 4:36.35 4 3 Q 7 커스티 코번트리 4:36.43 4 5 Q 8 해나 마일리 4:36.56 5 5 Q 9 카타지나 바라노프스카 4:36.95 4 7 10 캐서린 미클림 4:37.11 4 1 11 후지노 마이코 4:37.35 3 7 12 호시주 커틴커 4:37.55 5 3 13 야커보스 주잔나 4:37.86 5 2 14 미레이라 벨몬테 4:37.91 5 7 15 케리앤 페인 4:38.69 3 6 16 아냐 클리나르 4:38.90 5 8 17 조안나 마라나오 4:40.18 2 3 18 사라 노르덴스탐 4:40.28 2 7 19 카미유 뮈파 4:40.29 4 6 20 타냐 헌크스 4:40.63 3 8 21 제시카 펜겔리 4:41.04 5 1 22 서맨사 해밀 4:41.89 3 1 23 Joanne Andraca 4:43.88 5 6 24 헬렌 노퍽 4:44.22 3 2 25 류징 4:44.96 2 5 26 요르디스 스테이네거 4:45.15 2 1 27 하루구치 사오리 4:45.22 4 2 28 남유선 4:46.74 1 3 29 알렉사 코머니츠키 4:46.98 4 8 30 수사나 에스코바르 4:47.32 2 8 31 스베틀라나 카르페예바 4:50.22 2 6 32 팅 쿠아 4:51.25 1 6 33 카타리나 실러 4:51.52 2 2 34 이흐 레우 4:55.83 1 4 35 안나 펄드 4:58.21 1 5 36 게오르기나 바르다치 5:00.87 2 4 37 니미타 타베수프손토른 5:02.18 1 7 38 마로우아 마틀로우티 DNS 1 2 Q 결선 진출 = = = 결선 = = = 순위 레인 선수 국가 기록 비고 6 스테퍼니 라이스 4:29.45 WR 1 커스티 코번트리 4:29.89 AF 5 케이티 호프 4:31.71 4 4 엘리자베스 베이즐 4:34.24 5 3 알레시아 필리피 4:34.34 6 8 해나 마일리 4:39.44 7 2 야나 마르티노바 4:40.04 8 7 리쉬안쉬 4:42.13 WR 세계 기록 AF 아프리카 기록 = = 메달리스트 = = 여자 400m 개인혼영 = 세그웨이 PT = 세그웨이는 전동으로 움직이는 이륜 이동 수단이다. 딘 케이먼이 세그웨이사를 세우고 만들었으며, 'Segway'란 이름은 '부드러운'이란 뜻을 지닌 'segue'로루터 유래되었다. 또한 PT는 '개인 수송 기관'의 영어 뜻인 'Personal transporter'의 약자로 풀이된다. = = 개요 = = 세그웨이 내의 PC, 센서, 전기 모터가 가동 중 기기가 균형있게 서 있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제로 전기를 동력으로 달리기 때문에 내연기관도 없고 환경오염 요소가 없어서 친환경적인 면이 강하다. 구동 과정을 설명하자면, 이용자가 세그웨이를 앞뒤로 운행하고 싶을 때에는 무게중심을 옮기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세그웨이 내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가속도계에 기반한 수평 센서가 있다. 이 두 센서는 기기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측정하고, 각도의 변화에 따른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무게중심을 앞뒤로 움직이는 정도와 지속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속도 조절을 원하는 대로 할 수가 있다. 방향 전환을 하고자 할때에는, 핸들을 좌우로 움직이면 된다. 이 과정 중에도 세그웨이는 전환하는 방향의 반대쪽의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균형을 항상 유지한다. 제자리에서 좌우로 힘을 주게 되면 제자리에서 돌게 된다. 세그웨이는 최대 20.1 km/h의 속도를 낼 수 있고 내장된 한개의 배터리로 약 24km 주행이 가능하다. = = 역사 = = 세그웨이는 원래 'Ginger' 혹은 'IT'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Ginger'는 딘 케이먼의 균형기술이 접목된 IBOT 휠체어의 형태로 출시되었고, 처음에 이 IBOT 휠체어는 계단을 오를 수 있다는 기능때문에 'Fred Upstairs'이란 별명이 있었고 후에는 개발부의 필름파트너인 'Ginger Rogers'의 이름을 본따 'Ginger'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애초에 세그웨이의 조상 격인 IBOT이 발명된 계기는 딘 케이먼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좁은 길에서 방향을 틀지 못하고 고생하는 걸 보고 스스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휠체어를 만들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신형 휠체어 아이봇(IBOT)이 만들어지게 된다. 후에 세그웨이로 발전되기까지의 과정 중 세그웨이의 발명, 발전과정과 자금조달적인 부분에 대해 다룬 'Code Name Ginger'라는 책이 출시되었는데 이 책으로 인해 새로운 'IT' 장비의 출시가 미리 알려지고 말았다. 이는 제품에 대한 예상치 못한 추측성 글 등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 때 당시 스티브 잡스는 'PC만큼 어마어마 할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리고 존 도어는 세그웨이가 인터넷보다 훨씬 큰 가치를 갖게 될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와 같이 수많은 주요 언론사들에서는 제품에 관한 수없이 많은 추측성 글들을 도보하였다. 결국 세그웨이는 2001년 12월 3일에 ABC 뉴스의 아침 프로그램 '굿 모닝 아메리카'에서 브라이언트 공원을 배경으로 출시되었다. 세그웨이에 관한 특허는 1999년 6월에 신청되었고 2001년 10월에 출원되었다. = = = 역변 = = = 세그웨이는 첫 개발 후 생산되기까지 세그웨이사의 제품이였고 특허 또한 세그웨이가 출원하였다. 그러나 세그웨이사는 2015년 4월에 중국의 나인봇사에 인수되었다. 샤오미의 자회사 중 하나인 나인봇은 세그웨이사의 세그웨이 PT를 그대로 카피하여 특허 소송을 하는 동안이었다. 그러나 나인봇사는 샤오미의 막대한 자본지원으로 세그웨이사를 인수를 하였고, 이후 특허와 세그웨이 PT는 나인봇에 귀속된 일이 생겼다. 이후, 현재 나인봇은 100만 원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는 나인봇이라는 세그웨이들을 개발하여 판매 중인데 대중들의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 = 기술 = = 세그웨이의 역학은 핵심은 자체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과 앞뒤로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세그웨이는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류로 충전가능한 전기 모터를 기반으로 구동된다. 이 전기 모터는 다시 인산염 기반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얻는 원리이다. 이에 따라 전기모터의 동력들은 기기 내의 컴퓨터와 센서들에 전력을 공급하고, 기기 내의 장치들은 세그웨이의 균형을 잡는 부분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좀 구체적으로는 BAE 시스템 고급 기술 센터에서 개발된 다섯 가지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두 개의 기울기 센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듀얼 컴퓨터가 세그웨이의 균형을 항상 맞추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세그웨이를 균형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앞뒤로 운행하게 할 때에는 서버 드라이브 모터(Servo drive motor)가 필요에 따라 바퀴를 앞뒤로 구동시킨다. 기기 이용자가 세그웨이 위에서 무게 중심을 앞뒤로 이동시킴에 따라 기울기의 정도가 속도에 정확히 반영이 된다. 마지막으로 방향 전환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과거의 모델에서는 왼쪽 핸들바의 그립을 조정함에 따라 양쪽 바퀴의 모터의 속도를 따로 적용함으로써 가동되었는데 최근의 모델에서는 핸들바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 = 사용 = = 세그웨이는 보도나 경사로와 같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쓰일 수 있다. 몇몇 테마파크들에서는 방문자나 직원들의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쓰이기도 한다.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베이의 'Angel Island State Park'에서는 세그웨이 투어를 제공하지만, 장애인 방문자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개인 세그웨이를 금지한다. 왜냐하면 공원 내의 모든 이용자가 세그웨이를 사용하면 밀집된 지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세그웨이는 자동차나 오토바이처럼 교통법규같은 것들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사용부문으로는 200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대중을 보호하는 훈련을 특수 경찰 병력은 세그웨이를 사용했다. 이와 유사하게 미국에서는 공항 내에서 안전 요원들이 이동 시에 세그웨이를 운용하고, 일부 기업 등에서도 사내에서 이동이 필요할 시 세그웨이를 이용하고는 한다. 이처럼 세그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부분은 무궁무진하다. = = 한계점 = = 기술적으로 세그웨이는 현시대에서는 최고이다. 환경적으로는 공해,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측면에서는 별도의 기계적 움직임 없이 작동할 수 있다는 이점들이 있다. 이에 불구하고 세그웨이가 갖는 한계점이 몇 가지 있다. = = = 세그웨이에 대한 인식 = = = 비록 기계의 센서들에 의해서 정확히 구동되기는 하지만 배터리가 낮을 때에 발생하는 오류들에 의해 일어나는 사고들이 세그웨이의 이미지에 타격을 주고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하다는 인식이 굳어진 경향이 있다. 2000년대 한국에서 출시되었던 힐리스(Heelys)라는 제품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이 제품은 바퀴에 신발이 달려 있는 형태로 일상에서도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상품이였다. 하지만 몇몇 이용자가 힐리스 이용 도중 뒤로 넘어져 골절상을 입거나 앞으로 고꾸라져 한강에 빠져 실종되는 등 사고들이 발생하여 제품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고 대중들의 흥미를 완전히 잃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세그웨이도 비슷한 일이 있다. 2010년 9월 28일 세그웨이 생산업체의 사장 지미 헤셀든(Jimi Heselden)은 세그웨이를 타다가 사망하는 불행한 일이 있었고 이외에도 일상에서 아찔한 사고들이 많이 일어났다. 이렇게 세그웨이에 대한 사고의 위험성을 사람들이 인식하기 때문에 그 한계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세그웨이를 다른 방향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세그웨이가 오히려 사람들의 비만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현대화 사회에 이르러 사람들의 비만율이 높아지는 현실이고 비만인 사람들이 더욱 편하게 생활하기 위해 세그웨이를 타고 다닌다 라고 바라보는 인식들 또한 존재하고 있다. = = = 세그웨이의 기능 및 가격 = = = 초기 세그웨이의 가격은 1000만 원 대를 훌쩍 뛰어넘었다. 일반 대중들이 레져용 혹은 일상에서 생활하려고 구매하기에는 부담스런운 금액이었다. 2015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격이 점점 하락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는 대중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비싼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세그웨이사를 인수한 중국의 나인봇사가 2015년 10월 19일 '나인봇 미니'이라는 세그웨이를 개량한 기기를 발매하여 중국내수시장에서 한화로 약 35만원의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기기의 기능적 측면에서 한계점으로는 가동거리를 꼽을 수 있다. 한 번 충전을 하면 최대 25~30km까지밖에 운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위키백과:오늘의 알찬 글/스테고사우루스 = 스테고사우루스(Stegosaurus)는 장순아목 검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στέγοςσαῦρος로, "지붕 도마뱀" 또는 "덮인 도마뱀"이라는 뜻이다. 스테고사우루스는 1억 5천 만년 전 쥐라기 후기(키메리지절부터 티톤절까지)에 오늘날의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서식했다. 2006년 포르투갈에서 표본이 발견되면서 유럽에서도 서식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유의 꼬리 가시와 골판으로 스테고사우루스는 가장 잘 알려진 공룡 중 하나이다. 모리슨층 상부에서 최소한 세 개의 종과 약 80 개체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크고 육중한 체격, 네 개의 짧은 다리를 가진 초식공룡이다. 뒷다리에 비해 짧은 앞다리를 가져 등이 둥글게 굽어지면서 머리가 꼬리보다 땅에 가까운 독특하고 보기드문 자세를 취했다. 골침과 골판의 배열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골침은 주로 방어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이 우세하며, 골판은 방어, 과시, 체온조절 등 이견이 많다. 커다란 몸에 비해 뇌의 크기는 비교적 작았다. 짧은 목과 작은 머리를 가졌는데, 낮은 곳의 수풀과 관목을 먹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대략 버스 크기만해서 모든 검룡류들 중 가장 크지만, 골침, 골판 등의 해부학적 특징은 스테고사우루스과의 다른 속과 비슷하다. 스테고사우루스 = 분류:갈륨 = = 중화항공 358편 추락 사고 = 중화항공 358편 추락 사고는 1991년 타이완에서 일어난 항공사고이다. = = 개요 = = 1991년 12월 29일, 타이베이시를 출발해 미국 앵커리지로 가던 중화항공 358편인 보잉 747-200F 항공기가 엔진 분리와 제어 손실로 인해 산으로 추락해 부조종사와 비행 엔지니어를 포함해 5명 전원 사망했다. = 희평 (북위) = 희평(熙平)은 중국 북위(北魏) 효명제(孝明帝)의 첫 번째 연호이다. 516년에서 518년 2월까지 2년 2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같은 시기에 사용된 다른 연호로는 양(梁)에서 사용한 천감(天監 : 502년 ~ 519년)이 있다. = = 개원 = = 희평(熙平) 원년 1월 1일병신년(丙申年) 1월 무진일(戊辰日)(516년 2월 18일)에 희평(熙平)으로 개원함. = = 연대대조표 = = 희평 원년 2년 3년 서력 516년 517년 518년 육십간지(六十干支)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양(梁) 천감(天監)15년 16년 17년 = = 삭일(1일) = = 희평 원년(516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무진일(戊辰日) 무술일(戊戌日) 무진일(戊辰日) 정유일(丁酉日) 정묘일(丁卯日) 병신일(丙申日) 병인일(丙寅日) 을미일(乙未日) 을축일(乙丑日) 갑오일(甲午日) 갑자일(甲子日) 계사일(癸巳日) 율리우스력 516년2월 18일 3월 19일 4월 18일 5월 17일 6월 16일 7월 15일 8월 14일 9월 12일 10월 12일 11월 10일 12월 10일 517년1월 8일 희평 2년(517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계해일(癸亥日) 임진일(壬辰日) 임술일(壬戌日) 신묘일(辛卯日) 신유일(辛酉日) 신묘일(辛卯日) 경신일(庚申日) 경인일(庚寅日) 기미일(己未日) 기축일(己丑日) 무오일(戊午日) 무자일(戊子日) 율리우스력 517년2월 7일 3월 8일 4월 7일 5월 6일 6월 5일 7월 5일 8월 3일 9월 2일 10월 1일 10월 31일 11월 29일 12월 29일 희평 3년(51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윤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삭일(음력) 정사일(丁巳日) 정해일(丁亥日) 병진일(丙辰日) 병술일(丙戌日) 을묘일(乙卯日) 을유일(乙酉日) 갑인일(甲寅日) 갑신일(甲申日) 계축일(癸丑日) 계미일(癸未日) 계축일(癸丑日)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율리우스력 518년1월 27일 2월 26일 3월 27일 4월 26일 5월 25일 6월 24일 7월 23일 8월 22일 9월 20일 10월 20일 11월 19일 12월 18일 519년1월 17일 = = 관련항목 = = 중국의 연호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25주 = = = 223.62.178.87 차단 재요청 = = 제 사용자 문서에 욕설 남겼습니다. 이 내용으로 이미 한 달 전에 신고했는데, 아무도 처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처리 좀 해주십시오. Ohmstr (토론) 2018년 6월 18일 (월) 12:37 (KST) = = Onniorix 관리 요청 = = 의도적 문서훼손입니다. 확인바랍니다. = = ‎‎미아사거리역 안내 무기한 차단 요쳥 = = * 토론란에 나타나 인신 공격을 작성하고 장난성 문서 생성하는 걸로 봐서는 백:분쟁 & 백:반달 & 백:방해를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입니다. 183.101.168.123 (토론) 2018년 6월 20일 (수) 21:17 (KST) = = ‎‎‎박창호 (선생님) 무기한 차단 요쳥 = = * 박창호 삭제 기록 차단 회피 계정. 183.101.168.123 (토론) 2018년 6월 20일 (수) 21:20 (KST) = = 차단회피 반달 신고 = = 차단회피입니다. 야생동물 문서에서 전에 무기한 차단당한 사람들과 똑같은 문서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GNWN (토론) 2018년 6월 20일 (수) 22:31 (KST) = = Yoyoma88isgaesaekki = = * 부적절한 계정이름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6월 21일 (목) 10:07 (KST) = = 야 기분좋다 차단 요청 = = * 노무현 전 대통령 모욕을 위한 계정으로 추측됨. 223.62.216.153 (토론) 2018년 6월 21일 (목) 13:18 (KST) = = 스페니쉬 코리안 = = * 안내에도 불구하고 축구 관련 문서에서 반복적으로 문서 훼손을 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기여가 문서 훼손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6월 23일 (토) 10:37 (KST) = = 183 101 168 123 개 무기한 차단 요쳥 = = *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부적절 및 비방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83.101.168.123 (토론) 2018년 6월 23일 (토) 14:34 (KST) = = 문서 훼손 IP 차단 신청 = = * 전기여가 문서 훼손이며, 안내에도 불구하고 훼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Bluemersen (+) 2018년 6월 23일 (토) 18:26 (KST) =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이익을 위해 문서 훼손을 하는 사용자군에 대한 영구차단 또는 편집제한 총의 수렴 = =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8년 제25주에서 가져옵니다. 1차로 회부할 분은 사용자:1533ask 한분입니다.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이익을 위해 문서 훼손을 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내용은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35주#1533ask, 위키백과:의견 요청/하나님의교회 등에서 몇년 전에도 논의된 바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사용자:1533ask는 그 편집의 목적, 방향에서 볼 때 안상홍을 아버지 하나님으로, 장길자를 어머니 하나님으로 믿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신도로 보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신도들로 보이는 사용자들은 지금까지 위키백과에서 수년에 걸쳐 장길자문서에서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신도들에게 어머니 하나님로 신앙의 대상이 된다는 서술과 출처를 지우는 문서훼손을 반복하여 왔습니다. 또한 백:중립적 시각을 무시하고 하나님의교회 예수증인회의 정통성은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측에 있는 것처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거의 차단받지 않아 왔는데, 한국어 위키백과 관리자들 가운데 반기독교적인 관리자들이 편향적으로 직무를 유기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1533ask님은 하나님의 교회 문서 편집으로 과거에도 경고를 받은 적 있고, 1533ask님의 경우 과거에도 장길자 문서를 훼손 한 만큼 앞으로 경고에도 불구하고 관련 문서를 훼손하는 신도들에 대해서는 관련 문서의 편집을 전면 금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왜 장길자교 신도들이 문서훼손을 계속하는지는 위키백과:의견 요청/하나님의교회 에 잘 나와있는데, 사실 살아있는 사람을 신으로 신앙시하는 것은 종교의 자유입니다만 충분히 해당 종교에 입문하지 않은 사람들이 이미 그 사실을 안다면 포교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1. 문서 훼손을 반복한 사용자(사용자:1533ask)를 영구 차단한다. *2. 해당 종교와 무관한 분야에는 기여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교회 예수증인회 및 그 후신 교단들 문서에 대한 편집을 금지한다. 이 두 가지 선 사이에서 이해관계가 있는 문서의 문서 훼손을 금지할 대책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영구차단보다는 관련 문서 편집제한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 Gaeho77 차단 해제 요청 = = 이미 5년이나 지난 얘기이지만, 다시 꺼내려니 상황이 좀 복잡해서 여기에다가 올립니다. 제 토론 글에 올라와 있는 내용을 그대로 싣겠습니다. 일단 말씀드리기에 앞서, 지금까지 숨겨왔던 사실을 고백해야겠습니다. 저는 사실 몇 년 전, 그러니까 2012년 당시 RedMosQ라는 분한테 차단을 당한 Gaeho77이라는 계정입니다. 저는 2010년 위키백과를 처음 시작했고요, 그 동안 쭉 이용해오다가 어느 날 갑자기 영문도 모른 채 영구 차단을 당한 겁니다. 그 분께서 '다중 계정의 악용'이라는 이유를 달아 놓으셨는데 저는 맹세컨대 그 때 어떤 다중 계정도 없었습니다. 그 분께서 잘못 아신 것 같습니다. 오로지 그 계정 하나뿐이었고, 이 Handan99란 계정은 그 계정이 차단당한 이후로 만든 계정입니다. 저는 처음에는 이메일로 호소해 보려고 했지만 그 분께서 사용자토론도 막아놓고 이메일도 막아놓는 등 거의 모든 활동을 다 막아 놓으셔서 저로서는 어쩔 도리가 없었습니다. 하는 수 없이 저는 이 계정을 만들어서 지금껏 사용해 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 증거로, 제가 이 계정을 만든 날짜는 그 계정이 차단을 당한 날짜 이후입니다. 그 당시 나이가 14세로 어렸던 저는 마땅한 호소책을 더 찾지 못하고 하는 수 없이 궁여지책으로 이 계정을 사용해 오고 있었습니다. 제 대처가 틀렸단 것을 안 것은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그렇게 차단당한 계정을 숨기면서 회피하고 있다가는 후에 더 큰 처벌 사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위키백과 규칙으로부터 알게 된 것입니다. 저는 제 스스로 그 계정으로 활동하고 있었을 당시 결백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제 의도는 절대로 처벌의 회피가 아니라 그저 순수히 지식기여를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맹세합니다. 이것도 용기를 내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제가 알아보니, 지금은 안 계신 그 RedMosQ라는 분께서는 불확실한 사유로 사용자들을 차단하는 것으로 소요가 있으시더군요. 만약 그 일단의 행위가 위키백과 내에서도 문제가 될 만한 행위였다면, 저는 그 희생양 중 하나입니다. 제가 다중 계정을 악용했다는 증거는 저 스스로도 모를 뿐더러 찾지도 못하겠습니다. 저는 집단지성의 신봉자로서, 순수히 지식기여를 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위키백과에서 언제까지나 활동하고 싶습니다. 이곳에서 좋은 글이나 알찬 글 활동을 하면서 보람을 느낍니다. 그런데 한 스탭분의 오해로 그만 억울하게 무기한 차단되고 이 계정을 궁여지책으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본 계정으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정말 한이 없겠습니다. 제가 왜 이렇게 되어야만 했는지 재조사를 해주실 수 있으면 그것도 함께 요청드립니다. 물론, 뒤늦게 깨달았지만 저의 대처가 독단적이고 부적합했다는 것은 이제 알겠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결코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약속드립니다. 하지만 저는 너무나도 억울하게 차단을 당했고 거기에 대해서 아무런 항의도 할 수 없었습니다. 제가 차단을 당해야만 하는 이유부터가 궁금합니다. 맹세컨대 저는 gaeho77과 그 계정이 차단된 이후 만든 handan99 이외의 계정은 단 하나도 없었으며 그 계정으로 나쁜 짓은 추호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저에게 "다중 계정의 악용"이라니, 너무합니다. 제발 제가 여기서 지식기여를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어떠한 전후 사정도, 영문도 모른 채 그저 차단당한 사용자로 남기는 싫을 뿐더러, 과거에 벌어진 그 불상사 때문에 더더욱 억울하게 다시 차단당할 수는 없습니다. 명예를 회복하고 싶습니다. 만에 하나라도 제가 2012년 3월 당시 진짜로 차단당할 만큼 잘못한 사유가 있었다면 앞으로 다신 그러지 않을 것을 약속합니다. 그 계정에 걸린 차단이 풀리기만 하면 이 계정은 앞으로 쓰지 않겠습니다. Handan99 (토론) 2018년 6월 24일 (일) 06:43 (KST) = = 위키페디아는 개뷰 무기한 차단 요쳥 = = * 실시간 인신 공격 반복 증거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부적절 및 비방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83.101.168.123 (토론) 2018년 6월 24일 (일) 15:29 (KST) = = 115.88.109.26 차단 요청 = = * 로 반달 반복하다 여러번 차단된 인물의 우회 IP입니다.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3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4 방영 날짜 허위 작성 및 편집 지침 위반 그리고 다수 문서에 허위 남발 등을 반복하고 있고, 차단중인 사용자가 차단 중에 다른 계정 및 IP로 나타나 같은 행위를 하고 있어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83.101.168.123 (토론) 2018년 6월 24일 (일) 16:08 (KST) = 쇼부시 간지 = 쇼부시 간지(勝武士幹士, , 1991년 11월 4일 ~ 2020년 5월 13일)는 일본의 오즈모 리키시이다. 작은 체구를 살려서 스모 본대회 전 공연에 해당하는 와 등에 주로 출연했다. 코로나19 범유행중인 2020년 4월 4일 고열 증세를 보였지만, 4월 8일 객혈 증상을 보이고 나서야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4월 10일 PCR 검사로 코로나19 확진을 받았고, 치료중 5월 13일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일본 내 프로 스포츠 선수 중에서는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사망한 첫 사례이며, 20대 일본인 중에서도 일본 후생노동성에 알려진 사망 사례 중 가장 처음이었다. = 분류:아브얀주 출신 = = 분류:독일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 = 유럽 위원회 위원 유럽 위원회 위원 유럽 위원회 위원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 = 가디언 에인절 = 가디언 에인절(Guardian angel) 또는 가디언 앤젤은 다음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수호천사를 뜻하는 영어 낱말이다. Guardian Angel (음반): 더 섀도스의 1984년 음반 가디언 에인절 (레슬링 선수): 레이 트레일러의 별명 = 후지와라노 쇼시 (988년) = 후지와라노 쇼시(藤原彰子, 988년 ~ 1074년)는 일본 이치조 천황의 제2황후이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로 1000년 입궁해 황후가 되었다. 쇼시를 보좌한 궁녀들은 무라사키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 아카조메 에몬, 이세노 다이후 등 당대의 유명 문인들로 일대 궁정 르네상스를 이루었다. 쇼시가 낳은 두 아들은 각각 고이치조 천황과 고스자쿠 천황이 되었다. 쇼시가 황후가 된 이후의 궁중 분위기는 겐지모노가타리의 모델이 된 것으로 보인다. = 민영화 = 민영화(民營化, ) 또는 사영화(私營化)는 국가나 공기업의 재산 등을 민간 자본에 매각하고 그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과정이다. = = 민영화의 효과가 발생되는 구조 = = = = = 자연선택 측면에서의 접근 = = = 국영기업과 민간기업의 차이는 근거 법률에 의거하여 정해진 독점시장의 유무이다. 신규참가가 격렬한 자유시장에서는 자연선택설을 적용할 수 있고 기업은 시장 환경에 적응한 다른 기업으로 대체된다. 근거 법률의 폐지 또는 개정에 따라 국영기업에서 독점시장을 빼앗아 시장 환경을 적절하게 정하면 자연선택의 힘으로 최적화된 기업이 탄생한다. = = = 주식시장 측면에서의 접근 = = = 민영화된 중앙·지방 공기업은 보통 주식을 공개한다. 단계적으로 주식을 방출하고 마침내 시장이 모든 것을 유지하게 된(국가 소유분의 주식이 완전히 방출된)경우 완전 민영화라고 한다. 나라에 따라서는 한시적으로 황금주를 붙이는 등으로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경우도 있다. 시장에 의해 유지되는 기업은 이윤증대가 필수 명제이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은 이익을 올리기 위해 기업 차원에서 노력하게 된다. 이익이 늘어나지 않는 경우, 시장에서 경영자의 교체를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또 이익이 가장 희박한 경우 주가가 낮아져 매수에 의한 효율화가 추진되는 경우도 있다. = = = 자원배분에서의 접근 = = = 완전한 민영화 과정이 갖추어진 경우, 기업은 가격과 이윤의 관계를 적정화한다. 가격기구가 정상화되면 시장에의 공급에 있어 과잉이나 부족이 없어지고 경제 전체가 효율화된다. 공급 과잉이었을 경우는 사용하던 자원을 풀어놓게 되기 때문에 다른 산업의 활동을 지원하게 된다. 공급 부족이었을 경우는 필요한 양이 공급되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 활동이 활성화된다. = = 대한민국의 공기업 민영화 = = 대한항공공사: 1969년 3월 1일 한진그룹이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개명, 민영화되었다. 한국담배인삼공사: 2002년 KT&G로 사명 변경과 동시에 민영화되었다. 한국전기통신공사: 2002년 KT로 사명을 변경, 민영화되었다. 포항종합제철(주): 2000년 산업은행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모두 매각하여 민영화되었다. 2002년 포스코로 사명을 변경했다. 대한석유공사 : 1980년 선경(현.SK그룹)이 미국 걸프 사가 갖고 있던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하여 민영화된 후 1982년 (주)유공으로 사명을 바꿨다. 한국중공업(주): 1962년에 민영기업 현대양행(주)로 설립했다가 1980년에 공기업으로 전환하였으나 2000년 12월 두산그룹이 지분을 인수, 2001년 3월에 두산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꿨다. 국정교과서(주): 1998년 11월 대한교과서(현.미래엔)에 인수되어 민영화되다가 1999년 5월에 흡수합병되었다. 한국기계공업(주): 1968년 신진자동차가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해서 민영화되었다. = = 해외의 공기업 민영화 = = 일본국유철도 : 1987년 JR 7사로 분할 민영화되었다가 2002년 6월에 JR동일본, 2004년 3월에는 JR서일본, 2006년 4월에는 JR도카이, 2016년 10월 25일에는 JR큐슈가 완전 민영화되었다. JR화물, JR시코쿠, JR홋카이도는 지금도 주식회사형 공기업이다. = = 의견 = = 민영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낮아지고, 품질이 향상되고,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부패가 줄어들고, 관료주의가 줄어들고, 배송이 빨라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지지자들은 모든 것이 민영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들에 따르면 시장실패 와 자연독점은 문제가 될 수 있다."Review of Kosanke's Instead of Politics – Don Stacy" Libertarian Papers Vol. 3, ART. NO. 3 (2011) 일반적인 민영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사회의 모든 사람이 공공재와 특정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공재와 서비스가 주로 정부의 손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예: 법 집행, 기본 의료 서비스, 기초 교육 ). 정부가 국방, 질병통제 등 공공재 및 특정 서비스를 사회 전반에 제공할 때 긍정적 외부효과가 발생한다. 실제로 일부 국가 헌법은 정부의 "핵심 사업"을 정의, 평온, 국방, 일반 복지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부의 보안, 안정성 및 안전에 대한 직접적인 제공은 장기적인(후손을 위한) 관점에서 공동선(공익)을 위해 수행되도록 의도되었다. 자연독점의 경우, 민영화 반대자들은 그것이 공정한 경쟁의 대상이 아니며 국가가 더 잘 관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분류:파비아도 = = 스텔라리스 = 스텔라리스(Stellaris)는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의 자회사인 패러독스 개발 스튜디오에서 개발하고 배급한 은하계를 배경으로 한 4X 및 실시간 대전략 SF 게임으로, 게임스컴 2015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기획자인 Henrik “Doomdark” Fåhreus은 개발 다이어리에서 자신들의 꿈인 '인류 연대기'를 모두 게임 안에 이루기 위해서라고 스텔라리스의 개발 이유를 밝히고 있다. 패러독스 사의 크루세이더 킹즈,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빅토리아, 하츠 오브 아이언 시리즈를 이어 다음 시대의 게임 축을 담당하고 있다. = = 게임 개요 = = 스텔라리스는 2200년도에 초광속 항해를 갓 개발한 문명에서부터 시작하는 게임으로, 종족을 선택하고 원하는 여러 가지 기술과 함선 디자인을 만들수 있으며, 다른 항성계로 식민선을 보내서 식민지를 개척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을 넓혀가며, 다른 종족들과 만남을 통해 외교를 벌이고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 불가침 조약을 맺고 상호방위 조약등을 맺으며 연맹 및 연합을 결성할 수 있고 게임이 진행되다 보면 고대에 몰락 했던 몰락 제국이 각성을 하여 은하계를 위협할 수 있고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차원의 존재나 세력들이 플레이어의 은하계를 침공할 수도 있으며, 은하계의 여러 기계들의 반란이 발생 할 수도 있다. = = 확장팩 DLC = = = = = 플랜토이드 (Plantoid) = = = 2016년 8월 4일 출시되었으며, 식물형의 종족들의 도시 및 함선등이 추가되었다. = = = 레비아탄 (Leviathans) = = = 2016년 10월 20일 출시되었으며, 천상의 전쟁, 수호자, 엔클레이브 컨텐츠가 추가되었다. 천상의 전쟁은 몰락제국이 각성하게 되면 다른 반대 성향 라이벌의 몰락제국이 같이 각성하게 되며 한쪽이 멸종할 때까지 전쟁을 이어간다. 일반제국들은 전쟁에 응하여 한쪽 세력에 가담하거나 중립 세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중립세력은 두 세력을 모두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수호자는 은하계 곳곳에 랜덤으로 나타나는데 시작하는 은하의 크기에 따라 나타나는 수도 다르고 크면 클수록 종류도 다양해진다. 엔클레이브를 통하여 이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거나 수호자들을 도와주거나 물리칠 경우 매우 좋은 보상이 주어진다. (에테르 드레이크, 무한의 기계, 차원의 괴물, 수수께끼 요새, 자동화 드레드노트, 스펙트럼 유령, 항성 포식자, 하이브 소행성대) 엔클레이브는 우주 스테이션에 거주하는 중립적인 상인, 예술가, 학자들이며, 이들과 거래하거나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더 좋은 보너스를 얻을 수 있거나 여러 이벤트가 존재하며 이들을 파괴할 수도 있다. 다만 파괴하면 모든 엔클레이브와 관계가 나빠진다. = = = 호라이즌 시그널 (Horizon Signal) = = = 2016년 12월 5일 출시되었으며, 무료 확장팩이다. 이 DLC의 이벤트 체인은 블랙홀에 진입할 때마다 낮은 확률로 시작되는데 이벤트가 상당히 길며 심오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여러 희생을 하면 좋은 보상들이 있을 수 있고 희귀 연구등을 얻을 수 있다. = = = 유토피아 (Utopia) = = = 2017년 4월 7일 출시되었으며, 상당한 많은 컨텐츠를 담은 확장팩이다. 여러 다양한 체제와 승천이라는 메뉴가 등장하고 노예의 세분화 및 정화기능, 거대 구조물등의 주요 컨텐츠이다. 종족의 승천에는 3가지 라인이 존재하며 생물학적, 정신적, 기계적 승천이 존재하며 하나의 승천루트를 결정하면 다른 2가지의 승천을 할 수 없다. 각 승천에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그에 비해 엄청난 장점과 재미가 있다. 생물학적 승천에는 종족의 DNA의 모든 것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정신적 승천은 종족에게 사이오닉 특성을 부여하며 장막이라는 특수 컨텐츠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 기계적 승천은 육체를 버리고 신체를 기계로 대체하여 엄청난 특성과 불멸을 가지게 된다. 거대 구조물은 거주 가능한 행성 말고도 다른 가스행성이나 불모지 행성의 궤도에 거주지를 건설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궤도 거주지, 한 항성을 거대 구조물로 막아 에너지를 쓴다는 상상의 구조물 다이슨 스피어, 항성계의 모든 행성들과 소행성들 자원으로 항성을 둘러 가공의 공간을 만드는 링 월드, 행성등 궤도에 거대한 과학기지를 만들어 엄청난 과학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과학 넥서스등이 있다. = = = 초상화 기념일 (Anniversary Portraits) = = = 2017년 5월 9일에 출시되었으며 호라이즌 시그널과 마찬가지로 무료 확장팩이다. 5개 외계종족 초상화와 3개 종족이 포함되어 있다. = = = 신스의 여명 (Synthetic Dawn) = = = 2017년 9월 21일에 출시된 기계 제국의 확장팩이다. 기존과 다르게 시작부터 기계제국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이들은 기계적 승천을 한 다른 제국들과 다르게 하나의 마음(하이브 마인드) 체제이다. 3가지의 사회체제가 기계제국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계 제국에 맞게 승천메뉴가 달라지며 기계제국용의 승천이 포함되어 있다. = = = 인간형 종족 팩 (Humanoids Species Pack) = = = 2017년 12월 7일에 출시된 종족 팩이다. 인간형의 종족 초상화와 서양 SF에서 따온 함선과 기지, OST, 조언자 음성등이 추가 된다. = 김종성 (1988년) = 김종성(, 1988년 3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 = 축구인 경력 = = = = = 선수 경력 = = = 2010년 아주대학교를 졸업하였으나 K리그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하고 내셔널리그 용인시청에 입단하였다. 2012년 수원 FC로 이적한 후에도 드래프트에 지원하였으나 지명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2013년 팀이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하게 되며 팀과 함께 프로 무대에 데뷔하게 되었고 첫 시즌 24경기 2골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2014년 FC 안양으로 이적하였다. 2016시즌을 앞두고 K3리그의 화성 FC에 입단했다. = 레딧 = 레딧(Reddit)은 미국의 소셜 뉴스 집계, 콘텐츠 등급 및 토론 웹 사이트이다. 등록된 사용자(일반적으로 "레디터"라고 함)는 링크, 텍스트 게시물,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사이트에 제출한 후 다른 회원에 의해 투표된다. 게시물은 주제별로 "커뮤니티" 또는 "서브레딧"이라고 불리는 사용자가 만든 게시판으로 구성된다. 더 많은 업보트가 있는 제출물은 하위 레딧의 맨 위에 표시되며, 충분한 업보트를 받은 경우 최종적으로 사이트의 첫 페이지에 표시된다. 레딧 관리자는 커뮤니티를 관리하며 중재는 레딧 직원이 아닌 커뮤니티별 중재자에 의해 수행된다. 이 사이트는 등록된 사용자(기본적으로 게시판 시스템)가 제출한 게시물 모음이다. "Reddit"이라는 단어는 "read it"이라는 문구가 있는 단어에 나오는 단어다. 사이트의 콘텐츠는 수 많은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으며, 이 서브레딧의 가장 인기 있는 게시물은 첫 페이지에서 계정없이 사이트를 탐색하는 사람들에게 표시된다. 2016년 5월 기준 11,400개가 넘는 활성 서브레딧이 있다. = = 역사 = = 2005년 6월 레딧은 스티브 호프만, 알렉시스 오하니안에 의해 설립되었다. 2006년 10월 31일 와이어드의 소유자인 컨데나스트 퍼블리케이션스가 레딧을 인수했으며 팀은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했다. 2010년 5월, 레딧은 Lead411의 "2010년 가장 인기 있는 샌프란시스코 기업" 목록에 선정되었다. 2011년 9월 6일, 레딧은 컨데나스트와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현재 모회사인 어드밴스 퍼블리케이션즈의 별도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다. 2015년 레딧에는 약 100명의 직원이 있었다. 2017년, 그 수는 1월에 약 140명으로 증가하였고 7월에 230명으로 증가했다. = = 커뮤니티와 문화 = = 이 웹사이트는 다방면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공개적인 특성과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커뮤니티로 유명하다. 레딧 웹사이트 내에 존재하는 '서브레딧'들은 다양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하며, 목적 또한 여러가지이다. 예를 들어, 레딧 대학은 공동으로 가르치기 위해 존재하는 서브 레딧이며 온라인 포럼, 강의실, 의지, 컴퓨터 과학에서 음악, 미술 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하위 게시판이 존재한다. 이처럼 서브레딧이 제공하는 고유한 기능은 특정 주제에 대해 관심을 높이고 여러 영역에서 토론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한다. 고유한 사용자 측면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레딧은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의 장이 되었다. 또한 관심과 잠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넷에서 가장 큰 커뮤니티 중 하나를 새롭고 혁신적이며 영향력이 있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한번 유저네임을 정한 후 다시 바꿀 수 없다는 것이다. = = 한국과 관련된 서브레딧 = = /r/korea - 한국을 주제로 한 서브레딧이다. 한국인들 보다는 한국에 관심이 있거나 현재 한국에 머물고 있는 영미권 유저들이 사용자층의 주를 이룬다. /r/korean -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서브레딧이다. 자신의 한국어 레벨에 따라 초/중/고/원어민 플레어를 자신의 아이디에 나오게 해서 사용할 수 있다. /r/hanguk - /r/korea와는 달리 한국인 레딧 사용자들이 주를 이루는 서브레딧이다. 글들도 한국어 위주이다. /r/koreanvariety -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다루는 서브레딧이다. 한류의 영향으로 사용자가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 = 한국어 인스턴스 = = 레딧의 공개된 소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로 서비스하고 있는 주디스라는 서비스가 있다. = 틀:2017년 KBO 리그 순위 = 순위 구단 경기 승 무 패 승률 승차 포스트시즌 1위 KIA 타이거즈 144 87 1 56 0.608 - 한국시리즈 진출 2위 두산 베어스 144 84 3 57 0.596 2.0 플레이오프 진출 3위 롯데 자이언츠 144 80 2 62 0.563 6.5 준플레이오프 진출 4위 NC 다이노스 144 79 3 62 0.560 7.0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5위 SK 와이번스 144 75 1 68 0.524 12.0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6위 LG 트윈스 144 69 3 72 0.489 17.0 진출실패 7위 넥센 히어로즈 144 69 2 73 0.486 17.5 진출실패 8위 한화 이글스 144 61 2 81 0.430 25.5 진출실패 9위 삼성 라이온즈 144 55 5 84 0.396 30.0 진출실패 10위 KT 위즈 144 50 0 94 0.347 37.5 진출실패 = 스피드웨이 (모터사이클) = 스피드웨이는 4명의 선수가 평평한 타원형 코스의 트랙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4바퀴 주행하는 모터사이클 경기이다. 트랙 레이싱의 한 종목으로 국제 모터사이클 연맹 (FIM)이 국제적으로 총괄하고 각 국내 대회는 FIM의 산하 단체가 총괄하고 있다. 각 국내 및 국제 규모의 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국가별 대항전인 스피드웨이 월드컵 (SWC)과 개인이 출전해 세계 챔피언을 다투는 스피드웨이 그랑프리 (SGP)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부 유럽부터 북부 유럽까지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그에 버금가는 규모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북아메리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로서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미국과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초반 무렵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이미 스피드웨이 레이스가 실시되고 있던 기록이 남아 있다. = 추 (성씨) = 추(秋, 鄒)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 = 가을 추 秋 = = 추(秋, 병음 : Qiu)씨는 중국 제나라 환공(桓公)의 대부(大夫) 중손추(仲孫湫) 아들 추호(湫胡)가 추(湫)를 추(秋)로 바꾸어 생겨난 성씨이다. 추(秋)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60,483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64위이다. 추계 추씨(秋溪 秋氏)의 시조 추엽(秋饁)은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인 1141년 문과에 급제하여 적부라(籍符羅)를 역임하였다. 그는 인종 때 가솔을 이끌고 고려에 들어와 함흥 연화도(蓮花島)에 정착하였다. 2세손 추황(秋簧 = 추영수(秋永壽))이 1209년(고려 희종 5년) 진사시에 장원급제하고,고려사 권74, 지제28, 선거(選擧)2 문하시중에 올랐다. 3세손 추적(秋適)이 고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민부상서(民部尙書)와 예문관(藝文館)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하였다.고려사 권106, 열전19 추적(秋適)은 시랑(侍郞) 겸 국학교수(國學敎授)로 재임할 때 명심보감(明心寶鑑)을 편찬하였다. 추적의 손자인 추유(秋濡)가 중국으로 귀환하여 명나라 개국공신이 되었다. 추유(秋濡)의 5대손인 추수경(秋水鏡)은 중국 귀주성(貴州省) 오현군(五賢郡) 출신으로 1591년 명나라의 무강자사(武康刺史)가 되었으며, 이듬해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병되어 공을 세운 후 전주에 정착하였고, 완산부원군에 추봉되면서 전주 추씨(全州秋氏)로 분관하였다. = = 추나라 추 鄒 = = 추(鄒, 병음 : Zou)씨는 중국 범양에서 계출된 성씨로 전한다. 추(鄒)씨는 중국 백가성 제35위이다. 인물로는 한나라 헌제(獻帝) 때 어양태수(漁陽太守)를 지낸 추단(鄒丹)이 있다. 추(鄒)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78명으로 조사되었다. 고구려의 추발소(鄒勃素)가 32년(대무신왕 15년) 남부사자(南部使者)로서 비류부장(沸流部長)에 임명되었다. 추허조(鄒許祖)는 후백제 견훤의 장군이다. = 프란티셰크 코우베크 = 프란티셰크 코우베크(, 1969년 11월 16일 ~ )는 체코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다. K리그에서 등록명은 쿠벡을 사용하였으며 공격수로 활약하였다. = = 클럽 경력 = = 안양 LG 치타스 (현 FC 서울)에 2000년 7월 히카르도와 같이 입단하여 2000 시즌 한 시즌 동안 시즌 통산 33경기 9득점-0도움 (정규리그 23경기 7득점-0도움 / 리그컵 10경기 2득점-0도움)의 기록을 남겼다. = 케일리 쿼코 = 케일리 크리스틴 쿼코(Kaley Christine Cuoco, , 1985년 11월 30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6살 나이인 1992년 영화 퀵샌드: 노 이스케이프로 연기를 시작했다. 시트콤 빅뱅 이론의 페니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퀵샌드: 노 이스케이프 (1992, Quicksand: No Escape) 가상현실 (1995) 웨딩 소나타 (1997) 13번째 여인 (2005) 바니 버디 (2011) 더 웨딩 링거 (2015) 앨빈과 슈퍼밴드: 악동 어드벤처 (2015) 와이 힘? (2016) 맨 프롬 토론토 (2022) = = = 텔레비전 = = = 레이디스 맨 (2000-01) - 보니 스타일스 역 아빠는 연애코치 (2002-05) - 브리짓 헤너시 역 브랜디와 미스터 위스커스 (2004-06) - 브랜디 해링턴 역 (목소리) 브랏츠 (2005-06) - 커스티 스미스 역 (목소리) 참드 (2005-06) - 빌리 젱킨스 역 빅뱅 이론 (2007-19) - 페니 역 영 쉘든 (2019) - 목소리 출연 할리 퀸 (2019-현재) - 할리 퀸젤 박사 / 할리 퀸 역 (목소리) 플라이트 어텐던트 (2020-22) - 캐시 보든 역 = 분류:아라곤 요리 = = 기자실 = 기자실(記者室), 또는 프레스룸(Press Room)은 기자실은 정부, 정당, 기업 등의 출입처가 기자들에게 마련해준 장소이다. 기자들이 상주하는 기자실도 있고 상주하지 않는 기자실도 있다. 기자들이 상주하는 기자실을 따로 상주 기자실이라 부르기도 한다. 정부 부처 내에 기자실을 설치한 국가는 대한민국, 일본, 미국, 이탈리아 등이다.정부 기자실, 선진국에는 없다 - 국정브리핑 그러나 정부 부처에서 일선 경찰서까지 곳곳에 기자실을 설치해 두고 취재 기자가 기자실에 출퇴근하면서 뉴스 거리를 수집하는 출입처 시스템을 유지하는 나라는 대한민국과 일본밖에 없다. 출입기자단(일본의 경우 기자클럽)이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제한하는 나라도 대한민국과 일본뿐이다. = = 대한민국 = = 대한민국의 기자실은 정부 부처, 정당, 기업, 사법기관 등에 설치되었으며 기자단 소속 기자들이 상주하였다. 기자단은 1920년대에 처음 나타났다. 일본의 기자클럽의 영향을 받아 같은 출입처를 가진 기자들이 결성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효과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청와대에 기자실을 설치하고 출입 여부를 승인하였다. 이때부터 기자실은 공식적인 취재 제도로 정착하였다. 1972년에 프레스 카드를 도입하여 주간지와 월간지 기자의 기자실 출입을 금지하였다. 이때부터 출입기자단 가입이 까다로워지고 출입기자단이 기자실을 독점적, 폐쇄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언론 통폐합으로 언론사가 줄어들어 기자실은 특권을 공유하는 곳으로 변질되었다. 1990년대 신생 언론사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언론사 간에 경쟁이 치열해졌다. 그러나 출입 기자단은 가입하지 않은 언론사는 기자실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출입기자단 미가입 언론사들은 기자실의 폐쇄적 운영을 비판하였다. 2003년 노무현 정부는 정부 부처에 설치된 기자실을 개방하여 브리핑룸과 송고실로 개편하는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기자실을 되살리기로 결정했다. = = 일본 = = 일본의 기자실은 대한민국과 매우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기자실은 정부 부처 및 정당에 설치되어 있고, 자동차, 철강, 전력, 무역 등의 업계 단체에도 설치되어 있다. 특집 / 기자실이 바뀐다 : 일본 기자클럽의 변화 - 신문과 방송 기자실에는 기자클럽 소속 기자들이 상주한다. 기자클럽은 기자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독점하고 가입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 = 미국 = = 미국은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의회 등의 정부 부처 내에 기자들이 상주할 수 있는 기자실을 설치해두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기자실이 브리핑룸의 기능까지 했던 것과 달리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다. 기자실에 상주하지 않는 기자라고 해도 정식 출입증이나 임시 출입증을 가지고 있으면 브리핑룸에 들어가 브리핑을 듣고 질의응답을 할 수 있다.특집 / 기자실이 바뀐다 :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 신문과 방송 = = 기타 국가 = = 이탈리아는 총리실 기자실에 통신사 기자 6명만 상주하고 있다. = 슈퍼탤런트 메가 인플루언서 어워즈 = 전 세계160국가의 SNS 인플루언서와 유튜브 크리에이터, 그리고 전 세계의 슈퍼탤런트 광고주가 후원하는 국제 인플루언서 어워즈이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50만 이상, 유튜브 구독자 50만 이상 팔로워를 보유한 메가 인플루언서만 참가할 수 있다. 패션(FASHION), 뷰티(BEAUTY), 식품(FOOD), 헬스(HEALTH), 라이프스타일(LIFESTYLE) 등 총 5개 산업 분야의 혁신적이고 다양한 기업의 우수 브랜드와 제품들을 세계 시장에 소개하는 인플루언서들을 선정하여 주는 시상식 및 선정된 인풀루언서들과 국내외 기업들의 디지털 비즈니스 창구역할을 한다. 글로벌 마케팅이 필요한 푸드 프랜차이즈 기업, 유통기업, 제조 및 서비스 기업들이 어워즈에 참가하는 인플루언서들과 1대1 비즈니스 할 수 있도록 크리에이터 펀딩 네트웍 행사도 있다. 글로벌 콘텐츠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전 세계에 송출하여 아시아 태평양, 유럽, 아프리카, 북남미를 잇는 크리에이터 시스템을 구축하는 콘텐츠이다. 관계 어워즈 슈퍼탤런트 스타 어워즈(레코드)는 한국영화배우협회, 도전한국인본부 등과 협업하여 개최하여 왔으며, 최수종, 강소라, 한주완, 하희라, 이외수, 홍수환, 가수 싸이, 방송인 송해, 역도 영웅 장미란 등이 수상을 한 영광의 주인공들이다. = 분류:가공의 티베트 사람 = = 생루이 = 생루이는 프랑스어의 인명 및 지명이다. = = 지명 = = 프랑스 생루이 (오랭주) 생루이 (과들루프) 생루이 (레위니옹) 생루이섬 생루이 교 세네갈 생루이 (세네갈) 생루이주 생루이섬 (세네갈) = 오바야시 겐쇼 = 오바야시 겐쇼(, 1982년 1월 27일~)는 일본의 남자 보디빌더이자 프로레슬링 선수로, 제우스(ゼウス)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국 이름은 김본우(金繁優)이며, 2011년 일본으로 귀화했다. = 분류:체코어권 = = 양위 = 양위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양위(讓位)는 군주가 왕의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揚威號無防護巡洋艦)는 청나라 해군의 전함이다. = = 인명 = = 양위(楊威, Yeung Wei)는 홍콩의 배우이다. (杨雨, 1985~)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이다. (杨宇, 1985~)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이다. 양위(杨雨, 1991~)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이다. = 틀: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여자 웰터급 금메달리스트 = = 날개이끼과 = 날개이끼과(Plagiochilaceae)는 망울이끼목에 속하는 우산이끼류과의 하나이다. 주로 열대 기후 지역에 자생하며, 약 500~13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온대와 극지방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 = 하위 속 = = Acrochila Chiastocaulon Dinckleria Pedinophyllopsis Pedinophyllum Plagiochila Plagiochilidium Plagiochilion Xenochila = 분류:일본에서 활동한 여자 축구 선수 = = 아가씨 = 아가씨는 젊은 여성을 일컫는 호칭이다. 친족어로서는 손아래 시누이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 = 어원 = = 아가씨의 어원은 아기씨이며, 이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의 딸"을 뜻하는 존대의 의미였다. = = 변질된 의미 = =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에서 아가씨라는 표현은 존대의 의미가 배제되고, 사회적으로 폄하되는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에 대한 호칭(술집 아가씨 등)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단어에 희롱하는 숨은 의미가 정착되면서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부를 경우 소수에게 불쾌하고 무례한 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각은 소수 집단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의미가 은어로 쓰인다고 아가씨라는 표현 자체가 사어가 될 순 없다. 반대로 생각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대부를 생각하며 아가씨를 호칭하지 않기에, 해당 표현을 쓰지 말라고 하는 것은 사회적 통념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다. 2015년 육군 여단장 남성이 부하 여군을 성폭행한 사건에 대하여 새누리당 국회의원 송영근은 "그 하사 아가씨가 옆의 아가씨와는 이야기했어요."라고 말하며 여성 부사관을 모두 아가씨로 표현하였다. 이 사건으로 예비역 중령 피우진을 비롯한 예비역 여군들이 항의차 방문하는 등 논란이 되었으며, 송영근은 발언에 대한 책임으로 30일 출석정지 징계 의견을 받고 군 병영문화혁신 특위 위원직을 사퇴하였다. 조선일보 논설위원 김태익은 "일반 직장에서 여자 동료를 '아가씨'라고 부르는 것은 금기가 된 지 오래다."라고 말하였다. 서비스와 판매직 여성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아가씨 호칭에 대해 35.4%가 불쾌하게 느꼈다. 매일경제신문은 2010년에 대부분의 아가씨들은 남성이 낯선 여성을 아가씨로 부르는 것을 불쾌해한다고 보도하였다. 국립국어원은 과거에 손님이 직원에게 나이나 성별을 기반으로 한 호칭(아가씨, 총각, 젊은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나이 차이나 손님으로서 갖게 되는 사회적 힘의 차이를 드러내려는 의도로 보일 수 있다고 지적하며, 사회적 관계를 드러내지 않는 표현(여기요, 저기요)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임을 설명하였다.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김미현은 아가씨의 사전적 의미에는 부정적인 의미가 전혀 없으므로 기분 나쁘게 하려는 의도로 부르는 것이 아니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나, 호칭 자체가 상호 간의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 부분인 만큼 단언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말하며, "언어는 계속 바뀌어 간다. '아가씨'라는 단어 또한 수십 년 후에 부정적인 인식이 더 강해진다면 그렇게 정착될 수 있다”며 ”현재는 과도기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친족어로서 아가씨 호칭의 사용에 대해서도 논란이 존재한다. 2018년 국립국어원이 진행한 일상 속 호칭 개선 방안 설문조사에서는 여성 응답자의 93.6%, 남성 응답자의 56.8%가 '도련님, 서방님, 아가씨'라는 호칭을 바꿔야 한다고 답하였다. = = 필수 지정 장소 = = = = = 원주 혁신도시 = = = = = = = 미리내공원 = = = = = = = 원주종합체육관 = = = = = = 원주향교 = = = = = = 임윤지당 선양관 = = = = = 자율 지정 장소 = = = = = 강원감영 = = = = = = 장미공원 = = = = = = 원주역 = = = = = 기타 장소 = = = = = 혁신도시 인근 = = = = = = = 다리 = = = = = = = 원주 북부 = = = = = = = 구 원주역 = = = = = = = 원주 서부 = = = = = = 원주 남부 = = = = = = = 박경리문학공원 = = = = = = = 원주 외부 = = = = 분류:군국주의 = = 분류:245년 아시아 = = 분류:스코틀랜드의 개신교 = = 우아한잎가락도마뱀붙이 = 그레이스풀 리프토 게코(graceful lead-toed gecko)라 불리는 우아한잎가락도마뱀붙이(Hemidactylus gracilis)는 인도에 서식하는 소형 도마뱀붙이류의 일종이다. 모식지는 오늘날에는 암라바티(Enhanced VOB)에 속해있는, 영국령 인도의 베라르 지방이다. = = 형태 = = 머리는 좁고 길며, 주둥이는 눈과 귓구멍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길다. 이마는 아래로 들어가있지 않고, 귓구멍은 작고 둥글다. 몸과 다리는 가늘다. 주둥이는 주름진 사각형 비늘로, 뒤통수는 작고 볼록한 비늘로 덮여있다. 몸뚱이의 윗부분은 거칠고 볼록한 비늘과, 고르지 못한 열세 줄의 타원형, 삼각뿔형, 크게 용골진(keeled) 형태의 결절로 덮여있다. 꼬리는 둥글지만 밑부분이 살짝 쳐져있다가 끝부분에 가까워질수록 그러한 경향이 없어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겉에 결절이 없다. 윗부분은 회색을 띄며, 사각형에 가까운 검은색 점들이 종방향의 줄을 이룬다. 머리 옆면에는 테두리가 흰 검은 무늬가 눈을 가로질러 나있다; 밑부분은 희며, 종방향의 회색 줄무늬들이 나있기도 하다.Boulenger, G. A. (1890) Fauna of British India. Reptilia and Batrachia. 모식지는 영국령 인도 당시 베라르(Berar)지방 남동부, 라이푸르(Reipur)지방, 센트럴프로빈스(Central Provinces)지방이다. = 틀:ETM = = 분류:사우스다코타주의 호수 = = 스티브 잔 = 스티브 잔(Steve Zahn, 1967년 11월 13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내셔널 시큐리티 사하라 - 알 지오르디노 역 스튜어트 리틀 스튜어트 리틀 2 윔피 키드 조지 클루니의 표적 유브 갓 메일 혹성탈출: 종의 전쟁 - 배드 에이프 역 린 온 피트 - 실버 역 블레이즈 어디갔어, 버나뎃 - 데이비드 워커 역 톨 걸 - 리치 크레이먼 역 8비트 크리스마스 = 분류:미국의 주별 영화인 = = 분류:오스트리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 틀:FNS 가요제 그랑프리 수상자 = = 분류:1643년 범죄 = = 틀:요즘 화제 처음/2019년 6월 26일 = = 이은지 = 이은지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이은지(1985년~)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은지(1986년~)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은지(1989년~)는 대한민국의 자전거 경기 선수이다. 이은지(1989년~)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새송(본명: 이은지, 1991년~)는 대한민국의 유튜버이다. 이은지(1992년~)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이은지(1992년~)는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이은지(1995년~)는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이다. 이은지(1996년~)는 대한민국의 치어리더이다. 이은지(2003년~)는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이은지(2006년~)는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이다. = 라이트닝 타게팅 포드 = 라이트닝 타게팅 포드는 이스라엘 라파엘이 개발한 타게팅 포드이다. 2010년 10월 현재 수천개의 라이트닝이 전세계에 판매되었다. = 쿠어스 (맥주) = 쿠어스는 미국의 맥주 회사로, 세계에서 3번째로 규모가 큰 맥주회사이다. = 분류:남해군의 중학교 = = 라카토로 = 라카토로는 바누아투의 도시이다. 말람파주의 말레쿨라섬에 위치한 도시이다. 인구는 2009년 추산 705명이다. = 산지목화쥐 = 산지목화쥐(Sigmodon zanjonensis)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설치류이다. 멕시코 치아파스주와 과테말라의 고원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의 동부와 남부 한계선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Reid, Fiona A. (2009).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Central America and Southeast Mexico: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 나미오카촌 = 나미오카촌은 지바현 기미쓰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기사라즈시에 해당한다. = Mr.Children 2005-2010 <macro> = Mr.Children 2005-2010 <macro>(Mr.Children 니센고 니센쥬 마크로)는 Mr.Children의 베스트 음반이다. 2012년 5월 10일에 Mr.Children 2001-2005 <micro>와 함께 발매됐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한 싱글과 음반의 수록곡이 수록되어 있다. = = 수록곡 = = Worlds end 우리들의 소리 혜성 증표 페이크 채색 여행의 노래 GIFT HANABI 꽃의 향기 에소라 fanfare 의태 365일 = = 차트 순위 = = 차트 최고순위 오리콘 주간 음반 차트 1 빌보드 재팬 탑 앨범 1 오리콘 연간 음반 (2012년) 1 기관 인증 출하수 일본 (RIAJ) 밀리언 1,000,000+ = 자크 뒤센 = 자크 샤를 르네 아실 뒤센(, 1837년 3월 3일 ~ 1918년 4월 27일) 장군은 19세기 프랑스군 장교이다. 그는 상스에서 태어나 1855년 생시르 사관학교에 들어갔고, 1861년 18세의 나이로 중위가 되었다. = = 경력 = = 뒤센은 1870년에서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전했다. 1881년, 그는 중령이 되었다. = = = 통킹과 포모사 = = = 1884년에서 1885년 사이에 벌어진 청불전쟁 기간에 뒤센 중령은 베트남 북부 통킹과 포모사(지금의 대만)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1884년 3월 12일, 박닌 공격에서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 장군은 뒤센을 2여단을 전방 방어군에 배치하여, 청나라군이 장악하고 있던 케로이 마을에 성공적인 공격을 가했다. 1884년 11월, 뒤센은 군단병, 해병 보병 및 통킹 소총을 이끌고 뚜옌꽝 포위망을 완화시키기 위해 11월 19일 벌어진 유옥 전투에서 유영복의 흑기군을 물리쳤다. 1884년 12월, 그는 대만 북부 지룽에 있는 포모사 원정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885년 1월, 그는 지룽 주변의 중국 물자들을 공격해 포크 Y의 청나라 선봉 초소를 점령했다. 1885년 3월, 그는 지룽에서 청나라군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시작하여 대담한 측면을 행진하여 노출된 동부 측면의 청나라 방진을 공격했다. 프랑스 공세는 완전히 성공했다. 3월 5일과 3월 7일, 뒤센의 병력은 각각 라 테이블(La Table)과 뱀부 요새(Fort Bamboo)의 주요 청나라 초소를 점령하여 청나라가 지룽강 남쪽의 새로운 요새로 후퇴하게 만들었다. = = = 1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 = = = 1895년, 뒤센은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에서 프랑스군을 이끌고 마다가스카르 침공해 15,000명의 군대를 마하장가에 상륙시켰다. 7개월 후 안타나나리보를 점령했다.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이 끝나기 전에 20명의 프랑스군이 전투에서 사망했지만, 말라리아와 다른 질병으로 6,000명이 사망했다. 정부는 프랑스 당국에 상당한 권한을 부여하는 조약에 서명했지만, 군주제는 그대로 두었다. 그렇게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 = 참고자료 = = * Lecomte, J., Lang-Son: combats, retraite et négociations (Paris, 1895) = 운터젠 = 운터젠(Unterseen)은 스위스 베른주에 있는 인터라켄-오버하슬리에 속한 역사적 자치체이다. 운터젠은 글자그대로 하자면, 저지대 호수(Lower Lake)를 의미한다. 독일어로 ‘운터(unter)’는 ‘아래에’를 뜻하고, ‘젠(seen)’은 ‘호수’를 의미한다.(현대 독일어는 –제 see) 운터젠은 툰 호수의 동쪽 기슭의 평지에 위치해 있다. 북쪽으로 치엔베르크강 아래의 롬바흐강, 남쪽으로는 아레강 사이의 두 수로 사이에 있고, 이 두 강 모두 툰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그러나 이 역사적인 마을은 주로 아레강의 북쪽 강 언덕에서 발견된다. 강은 브리엔츠호에서 툰호로 흐른다. 아레강 건너편에는 인터라켄 마을이 있다. 두 지방 자치체 모두 가파른 산들 사이에 있는 평평한 충적지에 위치해 있으며, 뵈델리(Bödeli)라고 불렸다. 2014년을 기준으로 23,300명의 주민이 살고 있고 소규모 복합체 인터라켄(Interlaken)에 속해 있다. 인터라켄과 함께 운터젠도 베른고원의 중요한 관광지로, 소위 알프스 3대봉이라고 일컫는 아이거, 묀히, 융프라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 지리 = = 운터젠의 면적은 13.99 km2이다.스위스 연방 통계청, 2022년 1월 24일 확인 이 중 전체 면적의 18.2%인 2.55km2가 농업용이며, 60.1%인 8.43km2가 산림용이다. 나머지 지역 중 2.15km2 (15.3%)는 건물이나 도로, 0.36km2 (2.6%)는 강이나 호수, 0.57km2 (4.1%)는 불모지이다.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Land Use Statistics 2009 data accessed 25 March 2010 건설 면적 중 주택과 건물이 5.8%, 교통 인프라가 3.2%를 차지했다. 공원, 그린벨트, 운동장이 5.5%를 차지했다. 전체 면적의 58.6%가 산림이고 1.5%는 과수원이나 작은 나무 군락으로 덮여 있다. 농경지 중 5.7%는 작물 재배에, 11.8%는 목초지에 사용된다. 시의 물 중 0.2%는 호수에, 2.4%는 강과 하천에 있다. 비생산적인 지역 중 2.7%는 비생산적인 식물이고 1.4%는 식물에게 너무 바위가 많다. 운터제인은 행정구역상 툰 호수와 브리엔츠 호수 사이에 있는 뵈델리(Bödeli)라는 충적지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인터라켄에서 북쪽으로 아레강 맞은편에 해당하는 위치이다. 툰 호수에 가까운 시골 지역, 강안, 운터레스 스타트펠트(Unteres Stadtfeld)의 골프 코스, 델레보데(Délebode), 치엔베르크(Chienberg), 하더(Harder)의 가파른 산허리에 흩어져 있는 정착지와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 12월 31일 시할구였던 암츠베지르크 인터라켄이 해체되었다. 2010년 1월 1일, 새로 창설된 베르발퉁슈크레이스 인터라켄-오버하슬리에 편입되었다.Nomenklaturen – Amtliches Gemeindeverzeichnis der Schweiz accessed 4 April 2011 = = 경제 = = 2011년 기준 운터젠은 1.72%의 실업률을 기록했다. 2008년 기준으로 2,243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중 1차 경제 분야에 종사하는 인원은 63명, 이 부문에 종사하는 사업체는 21개 정도였다. 2차 부문에는 397명, 이 부문에는 50개 사업장이 있었으며 3차 부문에는 1,783명이, 이 부문에는 178개 사업장이 고용하고 있었다. 자치단체에는 2,725명의 주민이 고용되어 있으며, 이 중 여성이 전체 노동력의 47.2%를 차지하고 있다. 2008년에는 총 1,754개의 정규직이 있었다. 1차 부문의 일자리는 40개로 이 중 농업과 어업 분야가 39개로 가장 많았다. 2차 부문의 일자리는 355개로 이중 제조업은 240개(67.6%)가, 건설업은 108개(30.4%)가 가장 많았다. 3차 부문의 일자리 수는 1,359개였다. 3차 부문은 도소매 판매 또는 자동차 수리업 174명(12.8%), 호텔 또는 음식점업 237명(17.4%), 정보산업에는 28명(2.1%), 보험 또는 금융업에는 72명(5.3%), 기술 전문가 또는 과학자 55명(4%), 교육에는 588명(43.3%)이 건강 관리에 종사했다.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Betriebszählung: Arbeitsstätten nach Gemeinde und NOGA 2008 (Abschnitte), Sektoren 1-3 accessed 28 January 2011 2000년을 기준으로 운터젠에는 1,125명의 시내 통근 근로자와 1,761명의 시외 통근근로자가 있었다. 지자체는 근로자 순수 전입으로 1명씩 들어올 때마다 약 1.6명의 근로자가 시군으로 전출한다.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Statweb accessed 24 June 2010 근로인구 중 11.5%가 출근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했고, 35.2%는 자가용을 이용했다. = 분류:대륙별 폭포 = = 분류:가이아나의 축구팀 = 가이아나 축구팀 축구팀 가이아나 en:Category:Football teams in Guyana = 분류:지사초등학교 동문 = = 분류:볼리비아의 언어 = = 오순옥 = = = 가공 인물 = = 결혼해주세요의 등장 인물 맨발의 청춘 (2005년 드라마)의 등장 인물 시니어퀸: 58년 개띠 여고동창생의 등장 인물 = 분류:1831년 아프리카 = = 아욱과 = 아욱과( 科, 학명: )는 아욱목의 과이다.Jussieu, Antoine Laurent de. Genera Plantarum 271. 1789. 남북 양반구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자라며, 세계적으로 200여 속에 약 2,3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 큰 과Judd & al. 인데, 한국에는 목화·수박풀·어저귀·황촉규 등의 초본종과 무궁화 등의 목본종이 분포하고 있다. 초본이나 관목 또는 교목인 것도 있으며, 턱잎을 가지고 있다. 잎은 보통 홑잎이지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모두 어긋난다. 꽃은 일반적으로 크고 방사대칭이며 5수화인데, 5개의 꽃잎은 기와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수술은 여러 개가 있지만, 모두 통 모양으로 합쳐져 단체 수술을 이루며, 그 중앙부에서 암술대가 나온다. 암술대·암술머리는 5개 또는 그 이상(심피와 같은 수)으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길쭉한 삭과로 익으면 몇 갈래로 벌어진다. 꽃이 아름다워 대부분 관상용으로 심는데 가장 유용한 종류는 목화이다. = = 하위 분류 = = 까치깨아과(Dombeyoideae Beilschm.) 목면아과(Bombacoideae Burnett) 벽오동아과(Sterculioideae Burnett) 불암초아과(Byttnerioideae Burnett) 브라운로아과(Brownlowioideae Burret) 아욱아과(Malvoideae Burnett) 장구밤나무아과(Grewioideae Dippel) 피나무아과(Tilioideae Arn.) 헬릭테레스아과(Helicteroideae Meisn.) 워디안투스속(Woodianthus Krapov.) = ComicFesta = ComicFesta(코믹 페스타)는 웨이브가 운영하는 전자 코믹 착신 사이트. 출판사 직영의 사이트인 것이 특징으로 오리지널 작품도 많이 착신하고 있어, 이것이 후발임에도 불구하고 존속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 = AnimeFesta = = 2021년 5월 10일부터 웨이브가 운영하고 있는 서브 스크립션 방식의 애니메이션 전송 사이트. 전신인 사이트는 ComicFesta 사이트 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2017년 3월부터 〈애니메Zone〉로서 개설. ComicFesta의 사이트 내에 있는 애니메이션 전송 사이트. 2019년 2월부터 〈ComicFesta 애니메〉로 개명했다. 아래와 같은 오리지날 작품 외, 타 작품의 모션 코믹판이나, 코믹 유신 원작의 드라마 작품 등의 전달도 실시하고 있다. = = = AnimeFesta 오리지널 = = = 2017년부터 웨이브의 그룹사가 제작하고 있는 작품. 처음에는 〈ComicFesta 애니메〉 명칭을 사용했지만, 2021년 5월부터 〈AnimeFesta 오리지널〉로 개명했다. 틴즈 러브나 성인 만화이기 때문에 이들 작품은 성인용의 〈완전판〉이 제작되어 독점 전달되고 있다.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이나 인터넷 전달 사이트에서도 통상판(일부 방송국에 의해서는 부분적으로 완화한 R-15판)가 방송 · 착신되고 있다. 거인족의 신부 이후의 작품은 〈통상판〉을 〈온에어판〉, 〈완전판〉을 〈프리미엄판〉으로 호칭이 개정되어 있다. 또한 최초로 방송 · 전송한 작품 승려와 나누는 색욕의 밤에…를 빗대어 〈승려계〉라는 호칭도 받고 있다. 후에 이 호칭은 공식화해, 애니메이션화를 확약한 만화상 〈승려계 쟁탈 만화 대상〉 등에 사용된다僧侶枠争奪マンガ大賞 - 株式会社ウェイブ. = = = = 오리지널 작품 = = = = 승려와 나누는 색욕의 밤에… (2017년 4월 ~ 6월, 전 12화+특별편 1화) 스커트 안은 짐승이었습니다. (2017년 7월 ~ 9월, 전 12화) 맞선 상대는 제자, 기가 센, 문제아 (2017년 10월 ~ 12월, 전 12화) 25세의 여고생 (2018년 1월 ~ 3월, 전 12화) 달콤한 징벌 ~나는 간수의 펫~ (2018년 4월 ~ 6월, 전 12화) 천장에서 떨어진 그녀 ~2층에서 여자가...떨어졌다!?~ (2018년 7월 ~ 8월, 전 9화) 막차가 끊긴 뒤, 캡슐 호텔에서 상사에게 미열을 전하는 밤 (2018년 10월 ~ 12월, 전 12화) 아빠도, 하고 싶어 (2019년 1월 ~ 2월, 전 8화) 목욕관리사씨! ~나와 그 녀석이 여탕에서!?~ (2019년 4월 ~ 5월, 전 8화) 손끝에서부터 진심의 열정 -소꿉친구는 소방관- (2019년 7월 ~ 9월, 전 8화) XL 상사 (2019년 10월 ~ 11월, 전 8화) 오버플로 (2020년 1월 ~ 2월, 전 8화) 내 손가락으로 흐트러져라. ~폐점 후 둘만 남은 살롱에서~ (2020년 4월 ~ 5월, 전 8화) 거인족의 신부 (2020년 7월 ~ 8월, 전 9화) 늑대 씨는 잡아먹히고 싶어 (2020년 9월, 전 3화) 어른은 사랑하는 방법을 몰라! (2020년 10월 ~ 11월, 전 8화) 지미헨!! ~지미코를 바꾸는 순이성교유~ (2021년 1월 ~ 2월, 전 8화) 흑갸루가 됐으니까 절친과 해봤다. (2021년 4월 ~ 5월, 전 8화) 손끝에서부터 진심의 열정 2 -연인은 소방관- (2021년 7월 ~ 8월, 전 8화) 마왕 이브로기아에게 몸을 바쳐라 (2021년 10월 ~ 11월, 전 9화) 쇼타임! ~노래의 언니라도 하고 싶다~ (2021년 10월 ~ 11월, 전 8화) 왕자의 본명은 악역 영애 (2022년 1월 ~ 3월, 전 8화) 3초 후, 야수. ~미팅에서 구석에 있던 그는 육식이었습니다. (2022년 4월 ~ 6월, 전 8화) 숲 속의 곰, 동면 중. (2022년 7월 ~ 9월, 전 9화) 하렘 캠프! (2022년 10월 ~ 12월, 전 8화) 쇼타임! 2 ~노래의 언니라도 하고 싶다~ (2023년 1월 ~ 3월, 전 8화) 사자나미 소우시에게 순결을 바치다 (2023년 4월 ~ 6월, 전 8화) 부부 교환 ~돌아올 수 없는 밤~ (2023년 7월 ~ 9월, 전 8화) 시크릿 미션 ~잠입수사관은 절대 지지않아!~ (2023년 10월 ~ 12월, 전 8화) 괴롭혀줘, 아담 군 (2024년 1월 ~ ) 덧말 캐릭터인 주제에 스파다리 왕자의 총애를 받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 (예정)) 잉태할 때까지 흐트러져라 ~대신 신부와 군복의 맹애 (시기 미정) 놀고 싶다! (시기 미정) = 분류:대만의 외교관 = = 영문자 = = SUPER JUNIOR D&E JAPAN TOUR 2018 ~STYLE~ = SUPER JUNIOR D&E JAPAN TOUR 2018 ~STYLE~은 슈퍼주니어-D&E의 세 번째 일본 전국 콘서트 투어이다. = = 개요 = = 2018년 5월 16일, 슈퍼주니어 일본 공식 홈페이지는 17회로 예정된 슈퍼주니어-D&E의 세 번째 일본 투어의 일정을 공개하였으며 21일부터 27일까지 E.L.F. JAPAN 선행 예매가 7월 4일부터 일반 예매가 진행되었다. 3년만의 투어에도 불구하고 현지 팬들의 호응이 좋아 부도칸에서의 2회 공연이 추가되어 슈퍼주니어-D&E는 4년만에 부도칸에서 투어의 대미를 장식하게 되었다. = = 투어 일정 = = 일정 도시 장소 관객 수 2018년 9월 7일 요코하마시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통산 10,000명 2018년 9월 8일 요코하마시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통산 10,000명 2018년 9월 15일 고베시 고베 월드 기념 홀 통산 10,000명 2018년 9월 16일 고베시 고베 월드 기념 홀 통산 10,000명 2018년 9월 17일 고베시 고베 월드 기념 홀 통산 10,000명 2018년 9월 27일 도쿄시 도쿄 국제 포럼 홀 A 통산 20,000명 2018년 9월 28일 도쿄시 도쿄 국제 포럼 홀 A 통산 20,000명 2018년 10월 2일 도쿄시 도쿄 국제 포럼 홀 A 통산 20,000명 2018년 10월 3일 도쿄시 도쿄 국제 포럼 홀 A 통산 20,000명 2018년 10월 12일 나고야시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 홀 통산 2,000명 2018년 10월 13일 나고야시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 홀 통산 2,000명 2018년 10월 20일 히로시마시 히로시마 문화회관 HBG 홀 통산 4,000명 2018년 10월 21일 히로시마시 히로시마 문화회관 HBG 홀 통산 4,000명 2018년 10월 27일 후쿠오카시 후쿠오카 선 팰리스 통산 4,600명 2018년 10월 28일 후쿠오카시 후쿠오카 선 팰리스 통산 4,600명 2018년 11월 3일 삿포로시 삿포로 문화 예술 극장 통산 4,600명 2018년 11월 4일 삿포로시 삿포로 문화 예술 극장 통산 4,600명 2018년 11월 8일 도쿄시 일본무도관 통산 22,000명 2018년 11월 9일 도쿄시 일본무도관 통산 22,000명 = = 게스트 = = 일정 게스트 2018년 10월 13일 신동, 시원, 려욱 = = 제작 = = 슈퍼주니어-D&E (은혁, 동해) 기획 · 제작 : 에이벡스 엔터테인먼트, SM 엔터테인먼트 재팬 총연출 : 오오쿠보 마사오 = 회중석 = 회중석은 텅스텐을 추출할 수 있는 광물이다. 화학성분은 CaWO4이며, 정방정계의 결정형을 보인다. 자연상태에서는 순수한 회중석의 결정형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강도는 4.5~5정도의 굳기를 가지며, 비중은 5.9~6.1의 높은 비중을 갖는다. 주로 반투명의 백색 또는 노랑, 갈색, 회색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조흔색은 흰색이다. 광택은 지방광택을 보인다. 화학조성 CaWO4 CaWO4 CaWO4 강도 4.5-5 비중 5.9-9.1 색 노랑, 회색, 갈색 조흔색 흰색 광택 지방광택 투명도 반투명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시의회 = 다음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영주시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영주시의회는 지역구의원 12명과 비례대표의원 2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영주시 가선거구 순흥면, 단산면, 부석면, 상망동 2 영주시 나선거구 하망동, 영주1동, 영주2동 2 영주시 다선거구 가흥1동, 가흥2동 2 영주시 라선거구 이산면, 평은면, 문수면, 장수면, 휴천1동 2 영주시 마선거구 휴천2동, 휴천3동 2 영주시 바선거구 풍기읍, 안정면, 봉현면 2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국민의힘 41,419 2 2 더불어민주당 12,980 0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국민의힘 1 김정숙 국민의힘 2 김세연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국민의힘 9 2 11 무소속 3 - 3 = 취장구 = 취장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이다. 취장구 (사오관시)(): 광둥성 사오관시의 시할구. 취장구 (취저우시)(): 저장성 취저우시의 시할구. = 분류:도교의 역사 = = 라듐 걸스 = 라듐 걸스는 1917년을 전후하여 미국의 뉴저지주에 위치한 미국 라듐 회사의 라듐 제품 제조 공장에서 시계 야광판을 색칠하던 중에 피폭당한 여성 노동자들을 말한다. 이들의 죽음은 미국 기업 내에서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려는 논의를 일으켰고, 동시에 라듐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의 위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 = 개요 = = 20세기 초에서 폴란드 태생의 프랑스 물리학자인 마리 퀴리가 자신의 남편이자 프랑스의 물리학자인 피에르 퀴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악티늄족 원소인 라듐을 발견하는 데 성공하고, 그 공로로 퀴리 부부가 함께 1903년에 노벨 물리학상의 공동 수상자가 되면서 라듐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라듐을 이용한 제품이 속속들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뒷날 '라듐 걸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된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본래 라듐을 붓을 이용해 시계에 덧칠해서 형광 효과를 내는 작업에 종사하던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붓끝을 뾰족하게 만들기 위해 입으로 붓을 모으는 작업을 진행했는데, 그 과정에 치사량에 이르는 라듐을 섭취하게 되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손톱이나 치아에 야광물질이 묻으면서 지속적인 피폭이 일어났다. 결국, 작업하던 여성들 대부분이 재생 불량성 빈혈과 골절, 턱의 괴사 등의 증세를 나타냈다. 이후 5명의 노동자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며 회사측에 대책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노동자들이 라듐에 의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부인하며,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결국 회사 측이 소송에서 패하면서, 라듐 공장의 노동자들은 상당한 보상을 받게 되었다. = = 사고 이후 = = 라듐 걸스 사건 이후에 라듐의 위험성이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라듐 관련 제품들이 시장에서 퇴출되기 시작했고, 형광 도료의 주재료가 방사능이 훨씬 약하여 인체에 무해한 삼중수소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내의 노동운동이 더욱 격렬해지면서, 기업 내의 노동 환경의 개선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 성공회 환경연대 = 성공회 환경연대는 2007년 12월 6일(성 니콜라 축일)에 출범한 대한 성공회(大韓聖公會)의 환경운동기관이다. 현재 최상석(아타나시오) 신부가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1955년 5월 14일 폴란드 바르샤바에 모인 동구권 국가 8개국이 니키타 흐루쇼프의 제안을 통해 결성한 군사 동맹 조약 기구로, 정식 명칭은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이다. = = 창설 = = 바르샤바 조약 기구 창설 이전, 서유럽 국가와 미국, 캐나다가 NATO를 창설하였다. 이에 소련이 대응하여 동구권 국가들의 집단 군사 동맹 기구를 창설하였다. = = = 회원국 = = = 독일 민주 공화국 (1990년 서독과의 통일로 탈퇴)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 (1968년 9월 13일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소련의 군사 개입에 항의하여 탈퇴하였다.)《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구 제국의 정치〉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 = 경과 = = 1985년 4월 26일에 조약의 유효기간을 20년 연장하였으나, 1989년 10월 23일 헝가리 인민공화국 정권이 사라지면서 탈퇴했고, 12월 25일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도 붕괴되어 탈퇴했으나 1990년 2월,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도 몰락했다가 10월 독일이 통일하면서 동독이 탈퇴하고 폴란드 인민 공화국도 탈퇴함과 동시에 1991년 12월, 중심적인 국가인 소련도 해체되어 이 조약이 유명무실해졌다. 1991년 7월 1일 프라하에서 열린 모임에서 이 조약은 해체를 선언했다. = = 해체 이후 = = 1999년 3월 12일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이 나토(NATO)에 가입했으며, 뒤를 이어 2004년 3월 29일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가 나토에 가입했다. = = = 독립 국가 연합 = =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자 구소련 국가 10개국이 독립국가연합(CIS)를 구성했다. = Pump Up the Valuum = Pump Up the Valuum는 2000년에 발매된 NOFX의 음반이다. 에피타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화이트랜드 (인디애나주) = 화이트랜드(Whiteland)는 미국 인디애나주 존슨군의 도시이다. 이 지역의 인구수는 2010년 미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총 4,169명이다. = = 역사 = = 화이트랜드는 1863년 조엘 B. 화이트 등에 의해 구획되었다. = = 기후 = = 이 지역의 기후는 여름에 따뜻하고 습기가 있으며 겨울에는 보통 온화하고 시원한 편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화이트랜드는 온난 습윤 기후(Cfa)를 보인다.Climate Summary for Whiteland, Indiana = 기쿠치 료스케 = 기쿠치 료스케(, 1990년 3월 11일주간 베이스볼, 2012년 7월 2일자, p.57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센트럴 리그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소속 선수(내야수)이다. 도쿄도 히가시야마토시 출신이다. = = 경력 = = = = = 프로 입단 전 = = = 도쿄도에 있는 히가시야마토시에서 태어났다. 무사시 공업대학 제2 고등학교 (현 도쿄 도시 대학 시오지리 고등학교)에 다닐때는 3루수로 경기에 나섰으며, 3학년 여름에는 나가노 예선 4번째 경기에서 지며, 고시엔 출전 경험은 없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도카이 지구 대학 야구 연맹의 기후 학생 리그에 소속되어 있는 주쿄가쿠인 대학으로 진학한다. 1학년 봄에는 리그전에 출장한다. 리그에서 손꼽을 정도로 활약을 하며 유격수로 5번이나 베스트나인에 선정된다. 2학년때에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기도 했다. 미일 야구 선수권 대회의 후보합숙에서는 수비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11년 10월 27일에 있었던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게 2위로 지명을 받는다. 드래프트를 받은 후 지명 인사에서 노무라 겐지로감독이 달고 있던 등번호 7번을 달기를 희망했다. = = = 프로 입단 후 = = = 2012년 6월 29일에는 고쿠보 데쓰야를 대신해서 처음으로 1군으로 승격된다. 그 후, 7월부터는 신인이지만 부상으로 빠진 히가시데 아키히로를 대신해서 주전 2루수로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준다. 2013년에는 9월 26일에 있었던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원정경기에서 2루수로 선발출장하여 시즌 497번째 보살을 기록한다. 그로 인해 주니치의 아라키 마사히로가 가지고 있던 일본 프로 야구 2루수 한시즌 보살 기록을 경신시켰으며, 이 기록은 시즌 마지막 경기가 있었던 10월 6일까지 528개로 증가한다.히로시마의 기쿠치가 499번째 보살을 기록. 일본 프로 야구 2루수 기록 스포츠 닛뽄 2013년 9월 26일 작성 9월 29일에 있었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원정경기에서는 6회초 원아웃 주자 2루 상황에서 희생 번트를 성공시킨다. 이 번트는 시즌에서 기쿠치의 50번째 희생 번트였는데, 이로 인해 2001년에 히가시데 아키히로가 기록한 팀기록인 희생 번트 49개가 경신되었다. 11월에는 중화민국에서 열린 '2013 BASEBALL CHALLENGE 일본 VS 중화 타이베이'의 일본 대표로 선출된다. 2014년 8월 19일에 있었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원정경기에서는 1회 원아웃 주자 없는 상황에서 구보 야스토모를 상대로 2루타를 뽑아낸다. 이 2루타로 인해 20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게 되며, 한시즌에 20경기 연속 안타를 2번이나 기록하게 된다. 한시즌에 20경기 연속 안타를 2번이나 기록한 것은 히라이 사부로가 1950년에 기록한 것과 1994년에 스즈키 이치로가 기록한 이후 3번째였다. 9월 30일에 있었던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는 전년도에 자신이 기록했던 일본 프로 야구 2루수 한시즌 보살 기록을 535개로 다시한번 늘린다.히로시마의 기쿠치, 529번째 보살로 자신의 기록 데일리 스포츠 2014년 9월 30일 작성 시즌에서는 전경기에 출장하여 타율과 안타 부문에서 리그 2위를 차지한다. 또, 미일 올스타전의 일본 대표로 선출되어 올스타전에서 .381라는 타율을 기록하며 큰경기에서도 높은 타율을 기록한다. 특히 수비에서는 1차전에서 벤 조브리스트의 안타성 타구를 호수비로 잡아냈는데, 이는 메이저 리그 공식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에 엄청난 수비라고 개제되며 소개되었다. 3차전에서는 9회에 날카로운 타구를 가볍게 처리하며 이 경기에서 두번째로 좋은 수비로 투수진의 팀 노 히트 노런을 도왔다. 6차전에서는 아메리칸 리그의 수위타자인 호세 알투베의 높게 튀어오른 숏바운드 타구를 글러브 토스로 아웃시켰다. 이 수비를 가리켜 메이저 리그 공식 사이트에서는 글러브 토스의 이상상을 보여줬다며 기쿠치의 수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찬사를 보냈다.【미국은 이렇게 보고 있다】기쿠치의 수비에 찬사 「모든 글러브 토스의 이상상을 선보였다」 full-count 2014년 11월 20일 작성 기쿠치는 공수주에서 활약하며 내일한 메이저 리그의 선수들을 놀랬으며, 이를 본 호세 알투베는 "타격도 수비도 전부 메이저 리그에서 뛸 수 있는 수준이다"라고 말했다. = = 플레이 스타일 = = 몸집이 작으면서도 장타력을 갖춘데다가, 송구 능력까지 좋은 유격수이다. 프로에서는 주로 2루수를 본다. 포구부터 송구까지 기민한 것을 보며 12개 구단 스카우터들은 "수비로 프로에 들어갈 수 있겠다"라고 평가했다. 프로 입단 후에는 니시 토시히사와 미야모토 신야같은 유명한 야수들에게 수비범위가 넓다고 극찬을 받았지만, 일반인도 놓치지 않을 법한 타구를 놓치는 실책을 꽤 기록한다. 눈치를 살펴서 틈을 보고 뛰는 주루능력도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그래서 가끔 팬들을 엄청나게 놀래기도 한다. 그 예로 2012년 7월 3일에 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에서 있었던 한신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9회초 2아웃 2, 3루 상황에서 나온 주루 플레이다(기쿠치는 2루주자). 팀은 1점차로 뒤지고 있었으며, 타자는 소요기 에이신이었다. 소요기는 2볼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상대 투수인 에노키다 다이키가 던진 6구째에 헛스윙을 하며 삼진을 당했고, 그대로 경기가 끝나는 줄 알았다. 하지만, 포수인 코미야마 신지가 공을 놓치며 소요기는 낫아웃으로 출루를 했다. 3루 주자였던 아마야 소이치로는 여유롭게 홈인을 했고, 2루 주자였던 기쿠치는 3루를 돌던 중 잠시 멈췄다가 포수인 코미야마 신지가 잠시 방심한 틈을 놓치지 않고 헤드 퍼스트 슬라이딩으로 홈인을 했다. 2루 주자가 포수의 패스트 볼로 홈에 들어온 것은 기적이었는데, 이 주루는 기쿠치의 주력과 주루기술이 만들어낸 상징적인 플레이가 되었다. 또, 히로시마는 그대로 역전승을 거뒀으며, 현지 아나운서는 "(한신에게 있어 이 경기는) 마쓰야마의 비극입니다"라고 말했다. 또, 2014년 4월 24일에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원정경기에서 나온 주루도 꼽을 수 있다. 노아웃 1루에서 타자인 마루 요시히로는 3루쪽 파울 플라이들 쳤다. 여기서 1루 주자였던 기쿠치는 3루수인 가와바타 신고가 포구를 한 순간 스타트를 끊으며 2루에 들어갔다. 1루 주자가 3루수 파울 플라이가 나왔을 때 2루로 뛰는 것은 상식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로, 이 플레이로 많은 팬들을 놀라게 했다. 이러한 기쿠치의 이차원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수비와 주루 능력을 야구 해설자인 히로사와 가쓰미는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본인의 블로그에서 "이런 엄청난 플레이는 자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기쿠치의 스타트, 다릿심, 판단력에 놀랐다. 단지 나이스 플레이 등의 말로 끝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기쿠치는 레벨이 다르다. 가지고 있는 가능성이 보통이 아니다. 적이든지, 동료든지 상관없이 심장을 쿵쾅거리게 하는 선수로, 장래가 정말 기대된다"고 극찬을 했다. 대학 시절에는 공식 경기인 83경기에서 10개의 홈런을 기록했지만, 프로에 들어온 후에는 장타를 노리는 타격을 그만두고, 주루를 발전시켜 홈런은 많지 않지만 컨택 위주의 타격을 하려고 한다. 번트가 특기인 반면, 예상외의 순간에서 홈런을 치는 의외성도 있으며, 노무라 겐지로 감독(당시)은 "기쿠치는 잘 모르겠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또, 만루에서 강한 선수이기도 하다. 프로에 들어온 후, "프로에서는 홈런이 없어도 괜찮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홈런에 구애되는 일은 없었다. 하지만, 2013년 5월 12일과 2013년 7월 28일, 그리고 2014년 5월 11일에 각각 홈런을 때렸는데, 이는 프로 생활을 시작한 이후 매년 한개씩 만루홈런을 친 것이다. = = 인물 = = 유소년기부터 중학교까지 천식을 앓았지만, 야구 유학으로 나가노현의 시오지리시에 있는 무사시 공업대학 제2 고등학교에 진학한 이후에는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무사시 공업대학 제2 고등학교(현: 도쿄 도시대학 시오지리 고등학교) 주쿄가쿠인 대학 = = = 선수 경력 = = = 히로시마 도요 카프(2012년 ~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일본 국가대표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 = 타이틀 = = = = 최다 안타 : 1회(2016년) = = = = 수상 = = = = 베스트 나인 : 2회(2017년, 2020년)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 : 8회(2013년 ~ 2020년) ※2013년에는 마루 요시히로, 아사무라 히데토와 함께 헤이세이 시대에 태어난 선수로는 첫 수상 월간 MVP : 2회(2014년 6월, 2016년 8월) ※야수 부문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 : 1회(2018년) 센트럴 리그 연맹 특별 수상 : 1회(2020년) = = = 개인 기록 = = = = = = = 첫 기록 = = = = 첫 출장 : 2012년 6월 30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8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5회말에 브라이언 벌링턴의 대타로 출장 첫 타석 : 상동, 5회말에 후지이 슈고로부터 2루수 뜬공 첫 선발 출장 : 2012년 7월 1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9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7번·2루수로서 선발 출장 첫 안타 : 상동, 5회말에 야마모토 쇼고로부터 우월 3루타 첫 타점 : 2012년 7월 3일, 대 한신 타이거스 9차전(봇짱 스타디움), 9회초에 아베 도모히로의 대타로 출장, 에노키다 다이키로부터 좌전 적시타 첫 도루 : 상동, 9회초에 2루 안착(투수: 에노키다 다이키, 포수: 고미야마 신지) ※2루 주자 아마야 소이치로와 더블 스틸 첫 홈런 : 2012년 8월 21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5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1회뒤에 미우라 다이스케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 = = = 기록 달성 경력 = = = = 통산 1000안타 : 2019년 4월 27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역대 295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 : 2019년 7월 24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16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2번·2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501번째 = = = = 기타 = = = = 타격 시즌 희생타 : 50개(2013년) ※히로시마 구단 기록 시즌 최다 희생타 : 7회(2013년, 2015년 ~ 2020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6년 연속 시즌 최다 희생타(2015년 ~ 2020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시즌 2루타 : 39개(2014년) ※히로시마 구단 기록 최다 안타와 최다 희생타의 동일 시즌 동시 달성(2016년)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 수비 2루수 시즌 보살 : 535(2014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2루수 시즌 연속 수비 기회 무실책 : 503(2020년) ※센트럴 리그 기록 2루수 시즌 수비율 : 10할(2020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2루수로서 8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2013년 ~ 2020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기타 올스타전 출장 : 6회(2014년 ~ 2019년) = = = 등번호 = = = 33(2012년 ~ ) 4(2013 베이스볼 챌린지 등번호) = = = 연도별 타격 성적 = = = 2012년 히로시마 63 234 201 21 46 5 1 2 59 12 4 2 25 1 6 0 1 42 5 .229 .254 .294 .547 2013년 히로시마 141 633 538 69 133 27 4 11 201 57 16 7 50 5 38 0 2 121 4 .247 .297 .374 .671 2014년 히로시마 144 654 579 88 188 39 2 11 264 58 23 10 43 5 24 0 3 79 9 .325 .352 .456 .808 2015년 히로시마 143 644 562 62 143 20 3 8 193 32 19 9 49 2 29 2 2 92 7 .254 .292 .343 .640 2016년 히로시마 141 640 574 92 181 22 3 13 248 56 13 5 23 3 40 0 0 106 3 .315 .358 .432 .790 2017년 히로시마 138 629 565 87 153 28 3 14 229 56 8 7 30 1 32 0 1 107 9 .271 .311 .405 .716 2018년 히로시마 139 642 557 85 130 27 1 13 198 60 10 2 30 1 51 2 3 111 5 .233 .301 .355 .656 2019년 히로시마 138 619 547 77 143 36 2 13 222 48 14 5 28 2 41 0 1 102 5 .261 .313 .406 .719 2020년 히로시마 106 429 376 43 102 19 4 10 159 41 3 2 16 1 35 2 1 68 9 .271 .334 .423 .757 통산 : 9년 통산 : 9년 1153 5124 4499 624 1219 223 23 95 1773 420 110 49 294 21 296 6 14 828 56 .271 .317 .394 .711 2020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 = 연도별 수비 성적 = = = 연도 소속 2루 2루 2루 2루 2루 2루 3루 3루 3루 3루 3루 3루 유격 유격 유격 유격 유격 유격 연도 소속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경기 척살 보살 실책 병살 수비율 2012 히로시마 56 118 176 9 28 .970 1 0 0 0 0 .000 9 9 13 0 4 1.000 2013 히로시마 141 351 528 18 115 .980 - - - - - - 11 13 16 1 3 .967 2014 히로시마 144 359 12 109 .987 - - - - - - - - - - - - 2015 히로시마 143 324 484 10 81 .988 - - - - - - - - - - - - 2016 히로시마 141 307 525 4 102 .995 - - - - - - - - - - - - 2017 히로시마 138 281 407 5 81 .993 - - - - - - - - - - - - 2018 히로시마 139 296 420 3 92 .996 - - - - - - - - - - - - 2019 히로시마 138 272 387 10 80 .985 - - - - - - - - - - - - 2020 히로시마 103 193 310 0 66 - - - - - - - - - - - - 통산 통산 1143 2501 3772 71 754 .989 1 0 0 0 0 .000 20 22 29 1 7 .981 2020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성적, 는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고 성적. 연도에서의 굵은 글씨는 골든 글러브상 수상 연도. = 분류:1797년 1월 = = 모듈:Location map/data/New Zealand = return { name = '뉴질랜드', top = -34.0, bottom = -48.3, left = 165.8, right = 179.4, image = 'New Zealand location map.svg', image1 = 'New Zealand relief map.jpg', mark = 'Disc Plain red.svg', marksize = 5 } = 분류:우쿄구 = = 분류:2019년 노래 = = 하르츠부르크 전선 = 하르츠부르크 전선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단명한 우익 정치연정체이다. 1931년 중앙당 소속의 당시 국가수상 하인리히 브뤼닝에 맞서는 우익 연합전선을 만들기 위해 형성되었다. 연정에 참여한 세력으로는 언론재벌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의 독일 국가인민당(DNVP), 아돌프 히틀러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나치), 재향군인 준군사조직 전선병사동맹 철모단, 농본주의 정당 농업동맹, 초국민주의 단체 범게르만 동맹 등이 있었다. 1933년 1월 30일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마흐터그라이풍)하자 2월 11일 나치를 제외한 다른 단체들은 새로이 흑백적 투쟁전선을 조직했다. 그러나 이들 복고주의적 우익단체들은 나치의 글라이히샬퉁 과정에서 모두 해산당하였다. = 분류:12세기 이란 사람 = = 홍콩 지하철 메트로 캠멜 전동차 (교류) = 동철선 메트로 캠멜 전동차)은 홍콩의 구광철도(현 동철선)에서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로 메트로-캠멜에서 제조하였다. 구광철도 주식회사(KCRC)가 소유하고 있으며, 원래는 구광철도에서 운영하고 있었다. MTRC는 2007년 KCRC와 합병한 후 MTRC에서 운영하고 있다. 일부 MTR 자체 노선에서 운행되는 같은 제조사의 다른 전동차와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29개 편성 모두 2020년부터 운행이 중단되며, 2012년 12월에 긴키 차량제 신형 SP1900 전동차와, 현대로템 전동차로 대체될 예정이다. 37대 9량 편성인 "R-트레인"은 동충선, 정관오선, 군통선 등에서 운행하는 K-Stock과 같은 회사에서 생산된다. 이 열차의 차이점으로는 '3094형, K01형, K03형, K05형 등 다양한 차종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MLR은 회생 제동이 없는 유일한 전기 동력분산식 차량이며, 모터음이 부족하고 제동 중에 공기 제동소리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역사 = = 이 열차는 1978년 KCR 영단(현재의 MTR 동철선)의 전철화 과정에서 발주되었다. E1-E45와 E46-E61 편성은 1982년 5월에 훙함과 사틴 사이에 전철화가 되고, 1983년 8월 16일 로우와 다이보허이까지 전철화가 된 1982-1983년에 2개 배치로 KCRC에 인도되었다. KCRC는 또한 1986년(E62-E86편성)과 1990년(E87-E118편성)에 추가 열차 편성을 재주문했다. 이 열차들은 완전 전철화 초기 중문대학역을 통과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전력 공급이 끊길 수 있는데, 이는 절연구간에 내부 배터리 부족으로 인한 일이었다. 개조 전 열차의 외관은 열차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빨간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운전실을 감싸는 첫 번째와 마지막 칸의 전면부 디자인은 앞서 언급한 색깔 때문에 일반적으로 "옐로우 캡"이라고 불렸다. 1992년 각 열차의 차량 수를 12량으로 고정하는 규정이 제정되기 전에는 3량에서 12량까지 열차의 길이 면에서 일관성이 없었다. = = 개조 = = MTR 메트로 캠멜 EMU(Modernization Train)와 마찬가지로 KCR 메트로 캠멜 EMU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대대적인 개조를 거쳤으며 메트로 캠멜의 후속인 알스톰에서 진행되었다. 이 열차는 12량짜리 고정형 편성으로 개조되었고 파란색과 은색이 섞인 차체와 빨간색 출입문으로 된 새 외관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원래의 3개(측면당 2개의 문이 있는 1등석 제외) 대신 그들은 또한 원래 3개의 문이 아닌 비상탈출문이 없는 전면을 개조받았고, 차 측면당 5개의 문이 있었다. 내부 개조의 경우 입석 승객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크로스 시트를 롱시트로 교체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1등석 차량에는 크로스시트가 유지되었다.) 운전실과 1등석차 사이의 화물칸은 중간 운전실, 화장실, 통로문(1등석 제외)와 함께 제거되었다. 열차에는 다색 LED 안내판을 이용한 다음 역, 안전 지침, 시간 및 온도 등을 표시하는 새로운 승객 정보 시스템도 제공됐다. 또한 창문 위에 22인치 LCD 화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블 TV 홍콩에서 제공하는 TV 뉴스(신문직선(新聞直線)으로 불림)를 매일 방송하거나 광고를 지속적으로 내보낸다. 또한 보안장치는 1998년 AWS에서 TBL(ATP로 강화)으로, 2002년 ATC/ATO로 변경되었다. 이 개조는 신제의 신도시 개발로 인해 구광철로 영단 역할의 중요한 변화를 반영했다. 개조 열차는 Mid-Life Refurbishment Train(MLR Train)으로도 알려져 있다. 개조되지 않은 유일한 장치는 E44(144-244-444)이다. E44는 다른 모든 편성이 12량 차량으로 구성된후 남은 유일한 편성이기 때문에 개조되지 않았다. = = 사건 및 사고 = = = = = 열차 사고 = = = 1984년 11월 25일, 동철선 메트로 캠멜 EMU 열차가 성서이역과 로우역 사이에서 탈선했다. 이 사고는 성서이 역까지 열차를 후진시키려던 기관사가 열차가 제한속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속도/정지신호를 따르지 못해 발생했다. 열차는 처음 두 대의 차가 서로 쌓여있는 바윗 완충장치와 충돌했다. 손상 정도가 너무 심해서 차량은 다시 운행되지 못했다. 충돌 전에 승객들은 하차했고 운전사는 경미한 부상만 입었다. 그러나, 이 사고로 인해 열차 운행이 하루 종일 중단되었고, 철도 안전에 대한 대중적인 비난이 촉발되었다. 따라서 E45호(233-234-235)는 사고로 손상된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차량기지 사고에는 유일한 남은 E45호의 233번 객차, E58호의 272번 객차가 포함되었고, E58호의 파손된 272번을 인계받아 90년대 후반에 현재의 458번 객차가 되었다. 그 후, E45호 전 편성이 폐기되었고, 퇴역된 기관차 51호를 위한 공간이 생길 때까지 1:1 노란색 헤드 모델이 포함되었다. 2019년 9월 17일, 훙함역과 웡곡둥역 사이에서 메트로 캠멜 EMU 열차가 탈선했다. 승객 8명이 부상을 입었고 사고는 계속 조사되고 있다. = = = 언더프레임 균열 = = = 2005년 12월 21일, 동철선 메트로 캠멜 EMU 열차가 운행 중 고장났다. 열차 검사 후 KCRC 직원은 일부 차대 구성 요소에 대한 마운팅 브래킷 용접에 사소한 균열이 있음을 발견했다. KCRC가 의뢰한 검토 패널은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이 문제를 조사했다.: 열차의 가감속 변화율 부품의 마운팅 브래킷(mounting brackets) 용접 선로와 열차 바퀴 완충 장치 2002년 동철선 시스템에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이 전면 도입된 이후, ATO 주행에 따른 가속과 감속 변화율은 하부 프레임 구성 요소에 압박을 가중시켰다. 근본 원인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2006년 1월 15일 ATO 사용이 중단되어 열차 운행을 다시 열차 기관자의 손에 맡기고 자동 열차 방호 장치의 통제하에 열차 운행의 안전성이 유지되었다. 그 결과 빈도가 감소(시간당 24대에서 23대로)하고 주행시간(90초 증가하여 42.5분)이 증가했다. KCRC는 또한 최근 열차 정비에 대처하기 위해 서철선에서 일부 직원을 임시로 이동시켰다. 홍콩 환경운송공무국은 2005년 동철선 열차의 문제점을 발견했을 때 정부에 즉시 통보하지 않은 것에 대해 KCRC를 비판했다. 사라 랴오(Sarah Liao) 국장은 KCRC에 모든 열차를 점검할 것을 지시했으며, 안전성에 의문이 있을 경우 운행 중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랴오 박사는 회장에게 경영과 전반적인 시스템 등 회사의 운영을 검토하고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마이클 톈(Michael Tien) KCRC 회장은 회사가 시기적절하게 대중과 정보를 공유하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 2006년 1월 21일, 마이클 톈(Michael Tien)은 동철선의 안전 문제가 통제되어 왔으며, 춘절 열차 운행 등 열차 운행이 평상시처럼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ATO 시스템이 균열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2006년 8월 6일 KCRC 동철선 열차가 ATO 운행으로 되돌아갔다. = =기타 세부 사항 = = = = = 보존 사례 = = = 홍콩 철도 박물관에 1:1 축척 모델이 전시된 적이 있었는데, 이 모델은 E58 쳔성의 272대 객차요소로 만들어졌다. 이 모델은 51호 기관차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그 이후로 폐기되었다. = = =폐차 및 잉여 차량 = = = E45호(233-234-235)는 145-245-445로 되어있었다. 사고 이후 남은 객차는 233호 객차뿐이었다. 233호 객차는 E58에서 파손된 272호를 대체하고 공식적으로 272호, 그리고 458호 객차가 되었다. 1984년 사고 당시 234호, 235호 객차가 측면 사고로 난파됐고, 남은 역사적 열차는 E44호(144-244-444)뿐이었다. = 프레셔스 룽가 = 프레셔스 룽가(Precious Lunga)은 짐바브웨의 역학자, 사업가이다. 아프리카에서 모바일 헬스케어를 통하여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앱을 출시하였다. = = 일생 = = 1974년 로디지아에서 출생하였고, 이후 17세에 영국으로 유학하였다. 에든버러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신경과학을 공부한 후 UNAIDS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에코넷 와이어리스, 바오밥 서클 등의 기업에 참여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와 AI를 응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건강관리 앱을 제작하였다. = 분류:허큘리스자리 = = 보풀 (식물) = thumb 보풀은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Sagittaria aginashi이다. = = 특징 = =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겉모양은 벗풀과 비슷하지만 옆으로 뻗는 줄기를 만들지 않고, 잎새의 양쪽 가장자리는 무디며, 가을 무렵 잎자루 밑부분의 안쪽에 달걀모양의 구슬 눈을 여러 개 만드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잎은 화살촉 모양이고 어린잎은 긴타원형이다. 열매는 연녹색이며 날개와 부리가 있다. 종자·구슬눈으로 월동하고 주로 들판의 소택지에서 자생한다. = 분류:창원상남초등학교 동문 = = 플레이어스 = 플레이어스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플레이어스 리그 플레이어스 (영화) = 폴렌 우슬루페흘리반 = 폴렌 우슬루페흘리반(, 1990년 8월 27일 ~ )은 튀르키예의 여자 배구 선수이다. 현재 페네르바흐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 순충보조공신 = 순충보조공신은 조선시대의 공신호의 일종으로, 일종의 명예직이며 실제로 전쟁이나 병란, 반란 진압, 반정 등에 공을 세운 공신은 아니다. 수여 대상으로는 각 공신 중 정공신 1등공신의 아버지는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에, 정공신 2등공신의 아버지에게는 순충적덕보조공신(純忠積德補祚功臣)을, 정공신 3등공신의 아버지는 순충보조공신(純忠補祚功臣)을 추증했고 모두 군(君)에 봉했다. 그밖에 왕실의 외척으로서 정사에 간여하지 않고 공적이 현저한 자에게도 이 공신호를 추서했다. 그밖에도 이 공신호를 추서하는 사례가 있었으나 대상자와 추서 사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 = 분류:엘긴 백작 = = 분류:러시아의 시장 (행정가) = = 아리나 = 아리나는 다음을 의미한다. 하시모토 아리나: 일본의 AV 배우 다네무라 아리나: 일본의 만화가 = 틀:하키나라2 = 이 틀은 작은 국기그림과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으로의 연결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틀은 틀:국가대표팀을 이용해 자동으로 생성되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이 틀을 참고해주세요. = 스톤월 = 스톤월(Stonewall)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 = 영화 = = 스톤월 (2015년 영화) 스톤월 (1995년 영화) = 분류:룩셈부르크의 포유류 = =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은 베트남의 국가 최고 실권자로 베트남 공산당의 최고 책임자이다. = = 역대 총비서 목록 = = = = = 베트남 민주공화국 (북베트남, 1945년 - 1976년) = = = = = = = 제1비서 = = = =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1 쯔엉찐 1941년 1956년 2 호찌민 1956년 1960년 3 레주언 1960년 1976년 = =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1976년 - 현재) = = = = = = = 총비서 = = = = 대수 이름 초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1 레주언 1976년 1986년 2 쯔엉찐 1986년 1986년 3 응우옌반린 1986년 1991년 4 도므어이 100px 1991년 1997년 5 레카피에우 100px 1997년 2001년 6 농득마인 2001년 4월 22일 2011년 1월 19일 7 응우옌푸쫑 100px 2011년 1월 19일 (현직) = 가사기정 = 가사기정은 교토부 소라쿠군의 정이다. 정의 특산품은 표고 버섯, 오이이다.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소라쿠 군 가사기 촌이 탄생하였다. 1934년 1월 1일: 정으로 승격하였다. = = 교통 = = = = = 철도 = = =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 * (← 미나미야마시로촌 오카와라역) - 가사기역 - (기즈가와시 가모 역 →) = = = 도로 = = = * = 분류:베트남의 노래 = = 분류:동의대학교 총장 = = 체인징 사이드: 부부탐구생활 = 체인징 사이드: 부부탐구생활(De l'autre côté du lit)는 2008년 개봉한 프랑스의 코미디 영화이다. = = 캐스팅 = = 소피 마르소 - Ariane 대니 분 - Hugo = By2 = By2는 대만에서 활동하는 싱가포르의 쌍둥이 자매 듀엣이다. 멤버는 언니인 미코(Miko, 본명: 바이웨이펀(白緯芬))와 동생 유미(Yumi, 본명: 바이웨이링(白緯玲))로 1992년 3월 23일생이다. 일본풍의 이름을 자칭하고 있는 것은 대만 등 아시아에서는 일본 이름을 필명이나 예명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 음반 목록 = = = = =정규 음반 = = = *2008: NC 16 *2009: Twins *2010: Grown Up *2011: 90' Now *2013: Paradise = = =미니 앨범(EP) = = = 2012: 2020 Love You Love You = = =컴필레이션 음반 = = = *By2 Twins Collection = = 파일의 설명 = = 대구지하철 2호선 문양역 폴사인 촬영사진 2008년 7월 13일 촬영 촬영장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문양역 앞 = 울프섬 = 울프섬(Wolf island/Wolfe island)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울프섬 (갈라파고스 제도)(Isla Wolf):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울프섬 (온타리오주)(Wolfe Island):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섬 = 석계집 책판 = 석계집 책판(石溪集 冊板)은 저자 성종극이 남긴 글을 모아 1905년 간행할 때 판각한 책판이다.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28호로 지정되었다가, 관외 반출됨에 따라 20015년 2월 12일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경상남도고시제2015-65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해제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5-02-12 = = 개요 = = 저자 성종극은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 1777∼1861)의 문인으로서 한 평생 초야에 묻혀서 경학(經學)을 연구한 인물이다. 이 책판은 그가 남긴 글을 모아 1905년 간행할 때 판각한 것이다. 2권 1책 38매이며, 권1에는 시·서(書)·잡저(雜著)·기(記)·발(跋)·잠(箴)·축문(祝文)·제문(祭文)·사실(事實)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2에는 부록으로서 가장(家狀)·행록(行錄)·유사(遺事)·행장(行狀)·묘갈(墓碣)·만장(挽章)·제문(祭文)·사우서독(師友書牘) 등이 실려 있다. 서문은 김도화(金道和)·이만도(李晩燾)가 썼다. 석계집책판은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냉천리의 성준기가 소장하고 있으며,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 모용섭귀 = 모용섭귀(慕容涉歸, ? ~ 283년)는 선비족의 일파인 모용선비의 수령이며, 자는 혁락한(弈洛韓)이다. 모용목연의 아들이자 모용내의 형이며, 모용토욕혼, 모용외, 모용운의 아버지이다. = = 생애 = = 아버지인 모용목연의 뒤를 이어 모용선비의 수령이 되었으며, 유성(柳城)을 점령하였고 서진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여 약탈하였다. 이후 요동(遼東) 북부로 세력을 옮긴 뒤에는, 우문선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281년 서진을 공격하고 창려군(昌黎郡) 공격한 이후로 서진을 자주 침공하였다. 이후 283년 모용섭귀가 사망하자 아들인 모용토욕혼에게 그 지위를 물려주었으나, 동생인 모용내가 수령을 찬탈하였다. = = 가계 = = 조부 : 막호발(莫護跋, 생몰년 미상) 조모 : ? 아버지 : 모용목연(慕容木延, 생몰년 미상) 어머니 : ? * 족장 : 모용섭귀(慕容渉帰, ? ~283년) * 부인 : ? = = 자녀 = = 모용토욕혼(慕容吐谷渾) 모용외(慕容廆) 모용운(慕容運) = 신원천 = 신원천(新院川)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서 발원하여 여의천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1992년 3월 20일부터 8월 16일까지, 1993년 3월 15일부터 6월 10일까지, 1994년 3월 7일부터 6월 20일까지 1.24 km 구간에 한하여 제방 정비 공사를 진행하였다.동부엔지니어링 (1997). 소하천 정비 기본설계 보고서. 서초구청, p.47. = 워크래프트 II: 타이드 오브 다크니스 = 워크래프트 II: 타이드 오브 다크니스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워크래프트: 오크 앤드 휴먼의 후속편으로 개발한 게임이다. 전작에 비해 시스템과 그래픽이 매우 발전하였고,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스타크래프트의 원조로 불리는 게임이기도 하다. 워크래프트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해상전을 도입한 작품이다. 후속작인 워크래프트 3에도 해상전이 있기는 하지만, 육상전에 비해서 미약하다. 확장팩으로 워크래프트 II: 비욘드 더 다크 포탈이 있다. 대한민국에 보급될 당시의 상품명은 워크래프트 2게임물등급위원회 심의내용 또는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이었으며, 현재는 워크래프트 II: 타이드 오브 다크니스를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 = 배경 = = 아제로스에 있는 인간 국가인 스톰윈드를 멸망시킨 오크들은 여세를 몰아 또다른 인간 국가인 로데론에 쳐들어 간다. 인류는 드워프, 노움, 하이 엘프 종족과 함께 인간 연합을 결성하여 오크 종족에게 대항한다. 오크들도 오우거, 고블린, 트롤을 오크 호드에 가담시켜 전력을 강화한다. = = 개요 = = 플레이어는 인간, 오크의 어느 쪽이든 선택하여 캠페인을 플레이를 하거나, 컴퓨터와 대전을 하는 구도로 되어있다. 인간과 오크의 각 유닛이나 건물은 완전하게 일대일 대응하고 있어 기본적인 기능은 같지만, 마법에 대한 차이가 있다. 대전에서는 인간의 성기사의 치료(체력 회복)와 오크의 오우거 마법사의 혈욕(공격력 3배)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어, 공격적으로는 인간보다는 오크가 유리하고 방어적으로는 오크보다는 인간이 유리하다. 자원은 이 후의 작품인 워크래프트 3와 조금 달리 금, 나무, 석유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금과 나무는 인간의 농민과 오크의 노동자가, 석유는 유조선이 채취한다. = = 두 종족의 차이점 = = 오크와 인간 모두 유닛의 체력과 공격력이 모두 같다. 다만 마법 부분에서는 오크가 확실히 뛰어난 편이고, 인간의 경우는 오크의 1세대 죽음의 기사에게 효과적인 마법이 있다는 점이다. (팔라딘의 엑소시즘), 또한 대장간 무기, 방어구 업그레이드 가격도 약간 차이가 있다. = 도나휴 = 도나휴(Donahue)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헤더 도나휴: 미국의 영화배우, 연극 배우 트로이 도나휴: 미국의 배우 도나휴 (아이오와주) = 공동소송 =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 있을 경우, 즉 소송주체의 다수의 경우를 말한다. 공동소송에도 처음부터 공동소송의 형태를 취하는 형식 즉 소의 주관적 병합과 소송참가의 형식에 의하여 나중에 당사자가 늘어나는 경우 등이 있다. = =필수적 공동소송 = = 공동소송으로 병합되어 있는 몇 개의 소송이 어느 것이든 합일적으로 재판되지 않으면 아니 된다는 관계에 놓여 있는 경우로서 '합일확정 공동소송(合一確定共同訴訟)'이라고도 불린다. = =고유필요적 공동소송 = = 관계자 전원이 공동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그 법률관계를 소송에 있어서 주장하거나 다투거나 할 수 있으며 제각기 별도의 당사자가 될 때에는 그 분쟁을 해결할 재판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조합재산에 관한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조합원 전원이 공동원고가 되지 않으면 아니 되며 제3자가 어떤 부부의 혼인의 취소를 구하는 소를 제기하는 경우는 반드시 그 남편의 처를 공동피고로 하지 않으면 아니 되며 더욱 이와 같이 하여 성립하는 공동소송은 상대적 해결을 하는 것이 법률상 허용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논리상 해결이 제각기 다르다는 것이 이상하다는 것만으로는 필요적 공동소송이 되지 않는다. = =유사필요적 공동소송 = = 수 명의 당사자가 제각기 별도로 소를 제기할 수 있으나 이들 당사자 한 편에 대하여 내린 판결이 다른 편에도 효력을 미친다는 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그들에 대한 판결내용이 동일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는 요청에서 합일확정(合一確定)이 행하여지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A와 B가 공동원고가 되어 회사설립 무효의 소를 제기하였다고 가정한다. B가 원고가 되지 않더라도 법률의 특별규정에 의하여 A가 제기한 소에 대한 판결의 효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상 190조). B가 제기한 소에 소에 대하여도 A의 관계는 위의 경우와 같다. 그래서 A의 소와 B의 소가 내용이 상이한 판결을 받았다고 하는 경우, A의 입장에서 보면 자기에 대하여 내린 판결의 효력과 B에 대한 판결에서 간접적으로 미치는 효력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래서 A와 B에 대한 판결내용을 언제나 동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적 공동소송에서는 공동소송인의 한 사람이 행한 유리한 행위는 전원이 행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는 등 심리를 일률적으로 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 조문 = = = = = = =제65조 (공동소송의 요건) = = = = = 소송목적이 되는 권리나 의무가 여러 사람에게 공통되거나 사실상 또는 법률상 같은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긴 경우에는 그 여러 사람이 공동소송인으로서 당사자가 될 수 있다. 소송목적이 되는 권리나 의무가 같은 종류의 것이고, 사실상 또는 법률상 같은 종류의 원인으로 말미암은 것인 경우에도 또한 같다. = = = = =제66조 (통상공동소송인의 지위) = = = = =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의 소송행위 또는 이에 대한 상대방의 소송행위와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에 관한 사항은 다른 공동소송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 = = = =제67조 (필수적 공동소송에 대한 특별규정) = = = = = ① 소송목적이 공동소송인 모두에게 합일적으로 확정되어야 할 공동소송의 경우에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의 소송행위는 모두의 이익을 위하여서만 효력을 가진다. ② 제1항의 공동소송에서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에 대한 상대방의 소송행위는 공동소송인 모두에게 효력이 미친다. ③ 제1항의 공동소송에서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에게 소송절차를 중단 또는 중지하여야 할 이유가 있는 경우 그 중단 또는 중지는 모두에게 효력이 미친다. = = = = =제69조 (필수적 공동소송에 대한 특별규정) = = = = = 제67조 제1항의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이 상소를 제기한 경우에 다른 공동소송인이 그 상소심에서 하는 소송행위에는 제56조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 판례 = = 공동상속재산의 지분에 관한 지분권존재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필수적 공동소송이 아니라 통상의 공동소송이다.대판 2010. 2. 25, 2008다96963, 96970 민사소송법 제211조가 규정하고 있는 판결경정 결정은 원칙적으로 당해 판결을 한 법원이 하는 것이고, 상소의 제기로 본안사건이 상소심에 계속된 경우에는 당해 판결의 원본이 상소기록에 편철되어 상소심법원으로 송부되므로 판결원본과 소송기록이 있는 상소심법원도 경정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당해 판결에 대하여 상소를 하지 아니하여 사건이 상소심에 계속되지 아니한 부분은 상소심의 심판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므로, 통상의 공동소송이었던 다른 당사자 간의 소송사건이 상소의 제기로 상소심에 계속된 결과, 상소를 하지 아니한 당사자 간의 원심판결의 원본과 소송기록이 우연히 상소심법원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소심법원이 심판의 대상이 되지도 않은 부분에 관한 판결을 경정할 권한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대법원 1992. 1. 29. 91마748 결정, 대법원 2007. 5. 10. 2007카기35 결정 참조), 이와 같은 법리는 통상의 공동소송에서 상소의 제기로 소송사건이 상소심에 계속된 후에 그중 일부 당사자 간의 소송사건이 상소의 취하로 확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08. 10. 21, 자 2008카기172 결정 : “ 상표권이 공유인 경우에 각 공유자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얻지 아니하면 그 지분을 양도하거나 그 지분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을 설정할 수 없고 그 상표권에 대하여 전용사용권 또는 통상사용권을 설정할 수도 없는 등 일정한 제약을 받아 그 범위에서 합유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지만, 이러한 제약은 상표권이 무체재산권인 특수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일 뿐이고, 상표권의 공유자들이 반드시 공동목적이나 동업관계를 기초로 조합체를 형성하여 상표권을 소유한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표법에 상표권의 공유를 합유관계로 본다는 명문의 규정도 없는 이상, 상표권의 공유에도 상표법의 다른 규정이나 그 본질에 반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민법상의 공유의 규정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대판 2004. 12. 9, 2002후567 토지를 수인이 공유하는 경우에 공유자들의 소유권이 지분의 형식으로 공존하는 것뿐이고, 그 처분권이 공동에 속하는 것은 아니므로 공유토지의 일부에 대하여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공유자들을 상대로 그 시효취득 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하는 소송은 필요적 공동소송이라고 할 수 없다.대판 1994. 12. 27, 93다32880 민사소송법 제62조의 명문의 규정과 우리 민사소송법이 취하고 있는 변론주의 소송구조 등에 비추어 볼 때, 통상의 공동소송에 있어서 이른바 주장공통의 원칙은 적용되지 아니한다.대판 1994. 5. 10, 93다47196 주류공동제조면허의 경우 공동면허명의자의 상호관계는 민법상의 조합으로서 합유적 관계에 있고, 합유재산에 관한 소송은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주류제조면허의 공동면허명의자 중의 일인으로부터면허를 양수한 자는 공동면허명의자 전원을 상대로 하여야만 면허취소신청과 보충면허신청절차의 이행을 소구할 수 있지, 양도인만을 상대로 하여서는 그 이행을 소구할 수 없다.대판 1993. 7. 13, 93다12060 소송계속 중 당사자인 피상속인이 사망한 경우 공동상속재산은 상속인들의 공유이므로 소송의 목적이 공동상속인들 전원에게 합일확정되어야 할 필수적 공동소송관계라고 인정되지 않는 이상 반드시 공동상속인 전원이 공동으로 수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계되지 아니한 상속인들에 대한 소송은 중단된 상태로 그대로 피상속인이 사망한 당시의 심급법원에 계속되어 있다.대판 1993. 2. 12, 92다29801 : “ 순차경료된 등기 또는 수인 앞으로 경료된 공유등기의 말소청구소송은 권리관계의 합일적인 확정을 필요로 하는 필요적 공동소송이 아니라 보통공동소송이며, 이와 같은 보통공동소송에서는 공동당사자들 상호 간의 공격방어방법 차이에 따라 모순되는 결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변론주의를 원칙으로 하는 소송제도 아래서는 부득이한 일로서 판결의 이유모순이나 이유불비가 된다고 할 수 없다.대판 1991. 4. 12, 90다9872 : “ = = = = =필수적 공동소송 판례 = = = = = 상법상의 주주대표소송은 주주들 모두가 필수적으로 공동원고가 되어야 하는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은 아니고 단지 공동소송인이 된 원고들 사이에 그 승패를 일률적으로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유사필수적 공동소송의 성격을 가진다.서울중앙지판 2008. 6. 20, 2007가합43745 공동상속인이 다른 공동상속인을 상대로 어떤 재산이 상속재산임의 확인을 구하는 소는 이른바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라고 할 것이고,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에서는 원고들 일부의 소 취하 또는 피고들 일부에 대한 소취하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효력이 생기지 않는다.대판 2007. 8. 24, 2006다40980 공유물분할청구의 소는 분할을 청구하는 공유자가 원고가 되어 다른 공유자 전부를 공동피고로 하여야 하는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고, 공동소송인과 상대방 사이에 판결의 합일확정을 필요로 하는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에 있어서는 공동소송인 중 일부가 제기한 상소는 다른 공동소송인에게도 그 효력이 미치는 것이므로 공동소송인 전원에 대한 관계에서 판결의 확정이 차단되고 그 소송은 전체로서 상소심에 이심되며, 상소심판결의 효력은 상소를 하지 아니한 공동소송인에게 미치므로 상소심으로서는 공동소송인 전원에 대하여 심리·판단하여야 한다.대판 2003. 12. 12, 2003다44615, 44622 동업약정에 따라 동업자 공동으로 토지를 매수하였다면 그 토지는 동업자들을 조합원으로 하는 동업체에서 토지를 매수한 것이므로 그 동업자들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준합유하는 관계에 있고, 합유재산에 관한 소는 이른바 고유필요적공동소송이라 할 것이므로 그 매매계약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의 이행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려면 동업자들이 공동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대판 1994. 10. 25, 93다54064 [1] 은행에 공동명의로 예금을 하고 은행에 대하여 그 권리를 함께 행사하기로 한 경우에 그 공동명의 예금채권자들은 은행을 상대로 하여서는 공동으로 이행의 청구나 변제의 수령을 함이 원칙이라고 할 것이나, 그렇다고 하여 공동명의 예금채권자들의 은행에 대한 예금반환청구소송이 항상 필요적 공동소송으로서 그 예금채권자 전원이 당사자가 되어야만 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일 동업자들이 동업자금을 공동명의로 예금한 경우라면 채권의 준합유관계에 있어 합유의 성질상 은행에 대한 예금반환청구가 필요적 공동소송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나, 공동명의 예금채권자들 중 일인이 전부를 출연하거나 또는 각자가 분담하여 출연한 돈을 동업 이외의 특정목적을 위하여 공동명의로 예치해 둠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되기 전에는 공동명의 예금채권자가 자신의 예금에 대하여도 혼자서는 인출할 수 없도록 방지, 감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동명의로 예금을 개설한 경우에는 그 예금에 관한 관리처분권까지 공동명의 예금채권자 전원에게 공동으로 귀속된다고 볼 수 없을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은행에 대한 예금반환청구가 민사소송법상의 필요적 공동소송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2] 위 ‘[1]’항 뒤의 경우가 소송법상으로는 필요적 공동소송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공동명의 예금채권자는 그 예금을 개설할 때에는 은행과의 사이에 예금채권자들이 공동하여 예금반환청구를 하기로 한 약정에는 당연히 구속되는 것이므로, 그 예금채권자 중 일인이 은행을 상대로 자신의 예금의 반환을 청구함에 있어서는 다른 공동명의 예금채권자와 공동으로 그 반환을 청구하는 절차를 밟아야만 은행으로부터 예금을 반환받을 수 있음은 물론인 바, 이 경우 만일 다른 공동명의 예금채권자가 그 공동반환청구절차에 협력하지 않을 때에는, 예금주는 먼저 그 사람을 상대로 제소하여 예금주 단독으로 하는 반환청구에 관하여 승낙의 의사표시를 하라는 등 공동반환절차에 협력하라는 취지의 판결을 얻은 다음 이 판결을 은행에 제시함으로써 예금을 반환받을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약정에 의한 공동반환청구의 요건이 충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이 정당한 이유 없이 예금의 반환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그 예금주가 은행을 상대로 단독으로 예금의 반환을 소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미리 청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다른 공동명의 예금채권자와 은행을 공동피고로 하여 위와 같은 취지의 제소를 할 수도 있다.대판 1994. 4. 26, 93다31825 : 각 채권자대위권에 기하여 공동하여 채무자의 권리를 행사하는 다수의 채권자들은 유사필수적 공동소송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제1심에서 유사필수적 공동소송관계에 있는 다수의 채권자들의 청구가 모두 기각되고, 그중 일인만이 항소한 경우 민사소송법 제63조 제1항은 필요적 공동소송에 있어서 공동소송인 중 일인의 소송행위는 공동소송인 전원의 이익을 위하여서만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공동소송인 중 일부의 상소제기는 전원의 이익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어서 다른 공동소송인에 대하여도 그 효력이 미칠 것이며, 사건은 필요적 공동소송인 전원에 대하여 확정이 차단되고 상소심에 이심된다고 할 것이다.대판 1991. 12. 27, 91다23486 수인의 가등기채권자가 일인 채무자에 대한 매매예약완결권을 행사하는 경우, 즉 채무자에 대한 매매예약완결의 의사표시 및 이에 따른 목적물의 소유권이전 본등기를 구하는 소의 제기는 매매예약완결권의 처분행위라 할 것이고 복수채권자의 전부 아닌 일부로써도 할 수 있는 보존행위가 아니므로, 매매예약완결의 의사표시 자체는 채무자에 대하여 복수채권자 전원이 행사하여야 하며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하여 예약이 완결된 매매목적물의 소유권이전의 본등기를 구하는 소는 필수적 공동소송으로서 매매예약완결권을 준공유하고 있던 복수채권자 전원이 제기하여야 할 것이다.대판 1987. 5. 26, 85다카2203 구 파산법(2005. 3. 31. 법률 제7428호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7조에 의하면 파산재단에 속하는 재산의 관리처분권은 파산자로부터 이탈하여 파산관재인에게 전속하게 되고, 같은 법 제152조에 의하면 파산재단에 관한 소송에 있어서는 파산관재인이 원고 또는 피고가 되므로, 파산관재인이 여럿인 경우에는 법원의 허가를 얻어 직무를 분장하였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여럿의 파산관재인 전원이 파산재단의 관리처분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파산관재인 전원이 소송당사자가 되어야 하므로 그 소송은 필수적 공동소송에 해당한다.대판 2008. 4. 24, 2006다14363 = 김세현 (바둑 기사) = 김세현(金世炫, 1998년 4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1998년 경기도 안산에서 태어났다. 충암바둑도장에서 류동완 사범의 지도를 받았다.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과 2019년 제23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통합예선에 출전했다. 2020년 제145회 일반 입단대회를 통해 주치홍과 최진원, 곽원근, 양민석과 함께 입단했다. 실리형의 바둑을 둔다. 2021년 2단을 거쳐 2022년 3단으로 승단했다. = 분류:하노버 96의 축구 감독 = = 2.43 세이인 고교 남자 배구부 = 2.43 세인 고교 남자 배구부는 가쓰이 유카코가 쓴 배구를 소재로 한 스포츠 청소년 소설이다. 소설의 삽화는 야마카와 유이시가 맡았다. 애니메이션은 데이비드 프로덕션에서 만들었고, 2021년 1월 7일부터 3월 25일까지 후지TV에서 매주 목요일 24시 55분(밤 12시 55분)에 방영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우리말 자막으로 대원방송 계열인 애니박스·애니원·챔프TV에서 방영되었다. 우리말 녹음은 같은 해 10월 19일부터 11월 23일까지 매주 화요일 밤 10시에 방영했다. = = 개요 = = 이 작품에서는 산과 푸른 하늘로 둘러싼 후쿠이현의 현립 고등학교 세인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전국대회를 목표로 하는 남자 배구부원의 이야기를 담았다. 원작 소설에서는 ① 쿠로바 유니와 하이지마 키미치카를 중심으로 ② 아오키 미사오와 오다 신이치로, ③ 칸노 아키토와 스에모리 이바라, ④ 미무라 스바루와 오치 미쓰오미, ⑤ 유미카케 아쓰시와 아사노 나오즈미 등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내용이 전개되는 것과는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가운데 ① 쿠로바 유니와 하이지마 키미치카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가 펼쳐진다.참고로 애니메이션 기준으로 ⑤의 내용은 전혀 나오지 않으며, 나머지들은 조금씩 언급된다. ②는 9·12화에서, ③은 4화에서, ④는 6화에서 잠깐 나오는 정도다. = = 연재 및 발매 현황 = = 단행본 소설대한민국에서는 정식으로 우리말 단행본이 나온 적이 없다.은 일본 현지에서 2021년 기준으로 세인 고교 편 2권(1기), 대표 결정전 2권(2기), 봄철 배구 편 1권(3기), 후쿠호 공업고등학교 단편집 1권(파생작) 등 총 6권이 나왔다. 2021년 기준으로 4기에 해당하는 〈next 4 years〉가 연재되고 있다. 만화는 2018년 7월부터 나오고 있다. = = 한국어 녹음 목소리 출연 = = = = = 주연, 주요 인물 = = = 정주원: 쿠로바 유니 서반석: 하이지마 키미치카 박상훈: 아오키 미사오 이재범: 오다 신이치로 고구인: 칸노 아키토 이원찬: 오쿠마 유스케 정의진: 호카오 카즈마 서정익: 우치무라 나오야스 김수영: 쿠로바 이토코 홍후백: 쿠로바 요리미치 이호산: 미무라 스바루 윤용식: 타카스기 준고 이창민: 아사마쓰 잇세이 장서화: 토쿠라 코헤이 최현수: 진노 류다이 김주호: 카케가와 토모키 신범식: 야노메 케이타 박성영: 사와타리 유히 황창영: 오치 미쓰오미 = = = 조연, 단역 = = = 신경선: 하타 감독 이규창: 이치조다니(고문 선생님) 원에스더: 어린 쿠로바(1화) 이새벽: 어린 키미치카(″) 김민주: 감독(″) 김예림: 스에모리 이바라(4화) 김윤채: 카시와기 미나미(5화) 한만중: 이카와 오사무(1, 5화) 채안석: 요시노 쇼타(″) 이승행: 코무카이(″) 박주광: 나가토 료(1~4화) 전영수: 쿠로바 엄마(2화) 천지선: 키미치카 할머니(″) 민승우: 교장(2, 5화) 그 밖: 비주언, 김정훈 = = 방영 목록 = = 회차 제목 방송 일자(일본) 방송 일자(대한민국, 우리말 자막) 방송 일자(대한민국, 우리말 녹음) 1화 유니와 치카 2021년 1월 7일 2021년 1월 18일 2021년 10월 19일 2화 최고이자 최악의 플레이메이커 2021년 1월 14일 2021년 1월 25일 2021년 10월 19일 3화 개의 시점과 기린의 시점 2021년 1월 21일 2021년 2월 1일 2021년 10월 26일 4화 높게, 빠르게, 강하게 2021년 1월 28일 2021년 2월 8일 2021년 10월 26일 5화 스탠 바이 미 2021년 2월 4일 2021년 2월 15일 2021년 11월 2일 6화 웃는 킹과 울보 잭 2021년 2월 11일 2021년 2월 22일 2021년 11월 2일 7화 코트를 지배하는 히어로 2021년 2월 18일 2021년 3월 1일 2021년 11월 9일 8화 쿠로바와 치카, 재출전 2021년 2월 25일 2021년 3월 8일 2021년 11월 9일 9화 불패와 다크호스 2021년 3월 4일 2021년 3월 15일 2021년 11월 16일 10화 영웅과 천재 1 2021년 3월 11일 2021년 3월 22일 2021년 11월 16일 11화 영웅과 천재 2 2021년 3월 18일 2021년 3월 29일 2021년 11월 23일 마지막 화(12) 활주로 2021년 3월 25일 2021년 4월 5일 2021년 11월 23일 = 분류:1974년 남베트남 = = 니키 드로치 = 니키 딜로치(Nikki DeLoach, 1979년 9월 9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헌티드 (2013) 헐리우 (2011) 앤서 투 낫씽 (2011) 마스크 메이커 (2010, Maskerade) 더 리버 와이 (2010) 플라잉 레슨 (2010) 트라이얼 (2010) 러브 & 드럭스 (2010) 아메리칸 캐롤 (2008, An American Carol) 하우스 버니 (2008) 윈드폴 (2006) 네트 2.0 (2006) 사랑은 언제나 좋아 (2001) 여행자 (1997) Gunfighter's Moon (1995) = = = 텔레비전 = = = The All-New Mickey Mouse Club (1993-94) North Shore (2004-05) CSI: 뉴욕 (2006) 콜드 케이스 (2007) 우리 생애 나날들 (2007-09) 어쿼드 (2011-16) CSI: 과학수사대 (2013) 메이저 크라임 (2014) NCIS (2014) 크리미널 마인드 (2014) 캐슬 (2015) 매드맨 (2015) 그레이 아나토미 (2015) 9-1-1 (2021) = 분류:미나미구 (교토시)의 교통 = = The Beatles in Mono = The Beatles in Mono는 2009년 9월 9일에 발매된 비틀즈의 음반이다. 애플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하이브리드 차량 = 하이브리드 차량( - 車輛, )은 단일 동력원의 일반 자동차와 달리 두 개 이상의 동력원에 의해 차체가 구동되는 차량이고 이 용어는 내연 기관과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HEV)를 가리키는 데 주로 쓰인다.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다음을 포함하고 있다: 내장형 RESS (재생가능 에너지 축적 시스템), 연료 전원 (내연 기관이나 연료 전지) 공기 엔진과 내연 기관 = = 동력 = = 석탄, 나무 혹은 다른 연소물 천연/액체가스 전기 전자기장, 전자기파 전기자동차 인력 수소 내적 혹은 외적의 재생 에너지 저장시스템 (RESS) 석유 혹은 디젤 태양 바람 = = 차량 종류 = = = = = 개념 = = = 하이브리드란 2종류 이상의 요소를 조합했음을 의미하는 말로, 자동차에서는 두 가지 동력원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기존에는 가솔린 엔진뿐이었던 자동차에 모터를 동력으로 추가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엔진과 모터의 장점을 동시에 이용해 연비향상을 실현한다. 에너지 효율이 좋은 디젤 엔진과 모터를 조합한 디젤 하이브리드도 등장했지만, 높은 가격 탓에 많은 자동차 제조 회사가 디젤 하이브리드의 상용화를 뒤로 미루거나 이미 개발한 자동차를 상품군에서 배제하고 있다. = = = 원리 = = = 모터달린 자전거, 전기자전거, 그리고 전기 스쿠터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예이고, 전기가 내연기관 혹은 전기모터 그리고 운전자의 근육을 통해 전달된다. 일찍이 19세기 후에 원형 모터자전거는 같은 원리의 동력원리를 사용하였다. 인간과 동력원은 기계학적으로 페달과 앞바퀴의 뒤에서 연결된다. a hub motor를 사용함으로써, 롤러는 타이어를 누르게 되고, 바퀴와의 연결이 동력전달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인력과 돌림힘은 함께 작용하게 된다. 거의 대부분의 생산된 모터 자전거는 이런 형태의 분류에 . = = = 중(重)차량 = = = 중(重)차량 디젤-전기 전환 방식과 터보-전기 전환 방식을 사용해 기관차, 버스, 무거운 차량 상품, 이동성 수압 장치(잠수함), 배에 동력을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몇 종류의 열기관(일반적으로 디젤기관)은 여러개의 모터를 활용하는 전기발생장치와 수압모터를 이용한다. 줄과 파이프를 통한 동력분배가 몇가지 형태로 돌아가는 기관을 통한 동력분배에 비해 몇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구동륜과 프로펠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디젤연료에서 전기에너지로 혹은 수력에너지로 변환시에 손실되는 힘이 있고 이것이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큰 차량에서는 이러한 이점이 단점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데. 왜냐하면 차량의 크기에 따라서 힘손실의 정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현재에는 그 트렌트가 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비-핵 잠수함을 제외하고 중(重)차량에서 2차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2차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는 보조배터리와 유압 축압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잠수함은 가장 널리 퍼지고 오래된 하이브리드 기술의 예인데 잠수함은 수면에 올라갈 때나 잠수하며 battery power를 교체할 때 디젤엔진을 통해 돌아간다. series-hybrid and parallel hybrid drivetrains 은 2차 세계대전에 이용되었다. = = = = 철도교통 = = = = = 대나무쥐아과 = 대나무쥐아과(Rhizomyinae)는 소경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아과 분류군이다. 아시아 대나무쥐류와 아프리카 두더지쥐류를 포함하고 있다. 2개 하위 족과 3개 속에 1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Musser, G. G. and M. D. Carleton. 2005. Superfamily Muroidea. pp. 894–1531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 = 하위 속 = = 대나무쥐족 (Rhizomyini) 대나무쥐속 (Rhizomys) - 아시아대나무쥐류 작은대나무쥐속 또는 칸노미스속 (Cannomys) 아프리카두더지쥐족 또는 타키오릭테스족 (Tachyoryctini) 아프리카두더지쥐속 또는 타키오릭테스속 (Tachyoryctes) - 두더지쥐 = 분류:가톨릭 전례동작 = 이 분류에서는 가톨릭 전례에서 이루어지는 여러가지 동작들을 분류합니다. = 분류:인도네시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이중 해시 = 이중 해시법은 해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서로 다른 두 값들이 같은 해시 키를 갖게 되면 해시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충돌이 일어난 항목들을 따로 관리하지 않고 해시 테이블의 다른 주소 공간에 배열한다면 어디에 이것을 배열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생긴다. 이중 해시법은 다른 해시 함수로 값을 해시하여 그 값만큼을 현재 주소에 더하여 새 주소를 얻는다. 이렇게 되면 충돌시 건너뛰는 너비가 값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한 해시 값에 뭉치는 경우가 줄어든다. 그리고 운이 나쁜 경우 계속 충돌이 일어나서 탐색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보존2 = = = 토론토 주사랑 교회 생성자들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Ekim21c, 사용자:Cosmo153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주기적으로 토론토 주사랑 교회 문서 생성. 이 문서는 과거에 여러 차례 삭제된 적이 있음 위 내용은 누가 요청을 했는지 기록을 못찾겠습니다. Q0v9z8 (토론) 2009년 12월 31일 (목) 07:34 (KST) = = 심각한 분란을 조장하는 계정들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마키아벨리, 사용자:수사과장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1, 2, 3, 4, 5처럼 분란을 조장하고 있음. 121.166.156.55 (토론) 2009년 12월 10일 (목) 19:18 (KST) = = 사용자:조박사, 사용자:러브위키피디아, 사용자:Brushworth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조박사, 사용자:러브위키피디아, 사용자:Brushworth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세 계정의 편집 유형이 유사하며, 러브위키피디아의 경우는 문서를 엉터리로 생성, Brushworth의 경우는 상습적인 저작권 침해를 하였기 때문입니다. Şilver ßullet (토론) 2009년 12월 19일 (토) 12:02 (KST) 선수 치셨네요. 특히 조박사와 러브위키피디아는 여러 전투 등에서 상관없는 인물을 지휘관으로 기입하는 등, 사실에 어긋나는 편집을 여럿 저지르고 편집의 질 또한 좋지 않습니다. 증거가 쉽게 모아질테니 저도 돕겠습니다. 윤성현 論 · 기여 · F.A. 2009년 12월 19일 (토) 12:25 (KST) 사용자:211.223.188.47, 사용자:115.138.83.182, 사용자:211.223.188.232도 의심이 되는 군요. Şilver ßullet (토론) 2009년 12월 20일 (일) 15:58 (KST) 사용자:61.105.193.153, 사용자:221.163.77.167도 포함됩니다. 윤성현 論 · 기여 · F.A. 2010년 1월 20일 (수) 12:29 (KST) 검사가 이뤄져서 다중 계정 여부가 밝혀졌으면 합니다. Q0v9z8 (토론) 2009년 12월 31일 (목) 07:36 (KST)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1월 16일 (토) 13:58 (KST) 한 문서 同人多名 연속 생성은 확실합니다우~ P.J.S 군의 (lolipop)(흔적)(정비)mail 2010년 1월 17일 (일) 19:40 (KST) 동의합니다. 역사적으로 맞지 않은 내용을 기입하는 등, 여러 사항으로 인해 여러 사용자들로부터 해당 사용자 토론에서 많은 이야기가 오갔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바뀌지 않는 편집 성향엔 문제가 있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02:03 (KST) 한번 알아봅시다. Sand (man? peorson? human?) 2010년 4월 12일 (월) 16:06 (KST) = = 싹! 유니의 다중을 알아봐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 사용자:Unypoly, 사용자:아테놀, 사용자:프록시마, 사용자:위백개혁모임, 사용자:화성인, 사용자:유니폴리 외 다수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유니의 다중계정을 추정해 나가야 되어서, 위키의 다중, 즉 모든 다중계정을 알아보아야 하므로. 찬성표 부탁드립니다. 위키백과광팬 박틱스짱또6(토론)(기여 현장)(아무 문서나)메일 2009년 12월 25일 (금) 19:45 (KST) = = 다중 계정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 하상규 (토론 기여) Id3575 (토론 기여) Jonsoh (토론 기여) 125.57.90.39 (토론 기여) 119.149.150.220 (토론 기여) *검사 전 총의를 요청하는 이유 : 다중 계정을 악용한 문서 훼손, 공동체 분란 조장, 인신 공격 등이 의심됩니다. 백:체크 "체크유저가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총의를 얻은 후에 검사를 요청하게 됩니다." 라고 쓰여 있어서 총의를 구하려고 사관에 먼저 밝히는 것입니다. Q0v9z8 (토론) 2009년 12월 27일 (일) 17:29 (KST) 요청 이유가 의심일뿐으로, 한 사용자의 호기심으로 요청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다중 계정을 통해, 1인이 여러 사용자인척 부정하게 사용된 바도 없습니다. 있다면 그 자료를 제시하십시오. 또한 총의를 구성하지도 못한 요청입니다. Jonsoh (토론) 2010년 1월 11일 (월) 15:17 (KST) 자신이 뭘 잘못하고 있는지를 되돌아볼 생각을 안하기 때문에 토론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있습니다. 토론은 악순환의 연속입니다. Jyusin (토론) 2010년 2월 6일 (토) 23:27 (KST) = = 사용자:Conceqt 관련 최근 계정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RedMosQ, Would you mind shuting up your mouth? 사용자:Consept 사용자:SsibalAlbamhandae 사용자:알밤한대는씹새끼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특정 관리자에 대한 욕설, , 계정 생성 이름의 유사성 지속적인 공동체 분란 및 차단 회피 1년째 계속되고 있는 문서 훼손 *차단이 되었음에도 이런 식으로 위키백과 공동체를 분란을 한지, 벌써 1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불과 하루 전에도 저를 겨냥한 반달 계정이 들어와 몸살을 앓았습니다. 앞으로도 단순히 몰래 들어오는 계정만 차단한다면, 선의의 피해자가 계속 나올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이 계정들에 대한 체크유징을 강력하게 요청하는 바입니다. 이런 식으로 오랜 기간 동안 다른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고 문서를 훼손하는 사용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결단코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RedMosQ (토론) 2010년 1월 14일 (목) 16:33 (KST) 사용자:고구려는 중국의 역사입니다. 사용자:남양주 진접읍 광동중3 김찬우 비비케이 사용자:KwangDongMiddleSchoolKimChanU BBK 사용자:ConceptBot 165.194.77.55 (토론) 2010년 1월 14일 (목) 20:22 (KST) = = = 요청 상황 = = = 메타의 체크유저 신청 페이지 adidas (토론) 2010년 1월 18일 (월) 12:17 (KST) = = = 결과 = = = 메타위키에서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일단은 계정이 사용된지 오래되어 추적이 불가능한 ID는 총 3개이며, 아이디가 잘못 적혀 "고구려는 중국의 역사입니다."의 자료는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Conceqt, Consept, RedMosQ, Would you mind...? 계정은 같은 IP에서 사용된 다중 계정임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사용자:Militaryman이 같은 IP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 계정임이 확인되었고, 결과가 나온 즉시 무기한 차단했습니다. RedMosQ (토론) 2010년 1월 21일 (목) 15:53 (KST) = = 사용자:Lee Donghyeon, 사용자:Kjskjs0504, 사용자:123.111.230.139, 사용자:200.14.96.57 다중계정 검사 요청 = = 전두환, 박정희 문서에 부정적인 내용을 고집하여 편집분쟁을 조정하는 것을 볼때 사용자:Lee Donghyeon, 사용자:Kjskjs0504, 사용자:123.111.230.139 사용자:200.14.96.57 다중계정 검사 요청합니다. 사용자:Lee Donghyeon, 사용자:Kjskjs0504 그중 사용자:Lee Donghyeon, 사용자:Kjskjs0504는 자신을 과학고와 카이스트라고 소개했고, 사용자:Lee Donghyeon, 사용자:Kjskjs0504 사용자문서의 문체나 말투가 상당히 비슷합니다. 다중계정 체크 부탁합니다. 판델라 (토론) 2010년 2월 8일 (월) 18:05 (KST) = = 사용자:concept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Concept ...사용자:Conceqt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참으로 이상하지않습니까? 아시겠지만 2년동안 주로 이유없이 사용자:Concept만을 집중공격하고있습니다. 나머지 반달을당한 관리자들은 모두다 자신을 차단했다는이유로 공격당한것 뿐이지않습니까? 예전에도 다중계정 의혹이있었으니 충분히 가능성이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편집에 불만이있거나하는등의 다른이유도 있을수도 있지만,위키백과를 조롱하고있을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생각합니다.ADDON (토론) 2010년 2월 17일 (수) 12:22 (KST) 요청자 분께서 요청을 철회하셨습니다. Min's (T/L/M) 2010년 3월 4일 (목) 21:50 (KST) = = 115.22.165.199 체크유징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115.22.165.199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본인에 대한 중상모략을 하였습니다. 누군가 아이피로 다른 사용자인척 한것이 의심됩니다. Bogamer 2010년 2월 22일 (월) 15:25 (KST) = = 사용자:Sun123 체크 유징 요청 = =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제갈성렬,김정일 (아나운서) 문서에 반달 의심 행위를 하고 있으며, 위키백과토론:대사관에 장난성 글을 남겼습니다. 인용틀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위키백과 사용에 능숙한 사용자이며, 가입한지 3시간 된 사용자라 볼 수 없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01:37 (KST) 요청자 분께서 철회하셨습니다. Min's (T/L/M) 2010년 3월 4일 (목) 21:48 (KST) = = 사용자:예수를 비롯한 계정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예수, 사용자:윤형철, 사용자:하느님, 사용자:Pearly99, 사용자:하나님...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다중계정을 이용한 계속되는 문서훼손 행위. 확실하게 메타를 통하여 밝힐 필요가 있음.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0년 3월#사용자:예수 차단 요청 참조 59.10.94.216 (토론) 2010년 3월 18일 (목) 11:28 (KST) = = 3명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Hoyojamie, Hoyo1234, 윤성현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Hoyojamie와 윤성현은 이전에 다중계정 의혹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맘때에 Hoyojamie님이 어제 사용자문서만 편집하고, Hoyo1234님이 윤성현님 관선에 찬성표를 남겼습니다. 다중계정이 의심됩니다. 좋은약 (토론) 2010년 4월 5일 (월) 14:45 (KST) 유니폴리였군요. 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4월 9일 (금) 04:17 (KST) = = 공동체 분란 사용자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이 사용자들은 모두 사랑방에 유사한 주제로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를 이념의 잣대로 몰아세우고 비난하며 공동체 분란을 야기했습니다. 저는 위에 열거한 계정들, 그리고 제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계정들이 한국어 위키백과에 더 이상의 정상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으며, 이에 해당 계정들의 다중 계정 검사를 요청합니다. A Blue Squirrel Acorn 2010년 4월 9일 (금) 01:41 (KST) 추가 검사 요청 * 222.251.184.212 님께서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기존 요청 사항과 비슷한 이유로 추가 검사 요청합니다. 위 사용자들과 비슷하게 꾸준히 비슷한 방식으로 하는 것을 보아, 다중 계정을 악용한 사용자로 의심됩니다. Min's (민들라미)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4월 9일 (금) 13:10 (KST) 할 것이라면 유니폴리도 같이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의심계정이 여럿 있습니다. 누비에크 (담) 2010년 4월 12일 (월) 04:18 (KST) *다중 계정 검사 요청 사용자 정리: 더 이상 사용자가 추가되는 것 같지 않고, 여러 군데에 다중 계정 검사 요청 사용자 명단이 토롵 도중도중에 흩어져 있어서 위와 같이 다중 계정 검사 요청 사용자 목록을 정리합니다. 유니폴리 님에 대한 검사 요청은 위와 별개의 요청으로 생각하고 일단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Min's (민들라미)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4월 15일 (목) 17:41 (KST) 요청했습니다. 저 계정 중 몇 개는 오랫동안 안 썼기 때문에 기록이 안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10년 4월 16일 (금) 10:20 (KST) = = = 결과 = = = 만약 위에서 말씀하신, CEO와 이번에 검사가 끝난 계정이 연결된 다중 계정이라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결국 이번 건의 주인공 또한 이 사용자가 되겠군요. 어쨌든 다들 수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A Blue Squirrel Acorn 2010년 4월 16일 (금) 23:19 (KST) = = = 추가 정보 = = = = = = 추가 정보 2 = = = 한 IP 사용자(61.74.198.238) 분의 관련 계정 추가 검사 요청으로 추가 정보가 나왔습니다. 검사 요청 결과에 따르면 사용자:보안과장 사용자:RedFly 사용자:로이스터 사용자:카를로스 사용자:보안팀장 사용자:보수주의자 사용자:유진산 사용자:이근안 사용자:문귀동 사용자:CEO 사용자:노란벌 사용자:노란잠자리 사용자:노란파리 사용자:노란모기 계정은 모두 다중 계정입니다. Min's (토론 + / 기여 / 메일) 2010년 4월 23일 (금) 21:40 (KST) = = Bangeg, Happybek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단월드 문서에서 "민족기업임을 주장한다" 부분을 "민족기업이다" 등으로 바꿔 놓는 등 편향적인 편집을 하는 방식이 같습니다. 또한 이를 되돌린 데 대해서 명예훼손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토론글을 올릴 때 서명을 하지 않습니다. Happybek 사용자는 서명 달기 알림 틀을 받은 다음 날부터 서명을 달았습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문맥에 맞지 않는 말들이 잘 나옵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네이버 계정이 있는데, 계정 별명이 "행복나눔"입니다. Happybek이라는 계정 이름은 여기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행유 (토론) 2010년 4월 24일 (토) 11:00 (KST) = = 사용자:전라디언 다중계정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0년 4월#사용자:Jws401/부분 6에서 원색적인 Park4223님을 비난한 점과 또한 위키백과의 사정을 너무 잘 알고 있다는 점을 들어 검사를 요청합니다. 당사자인 사용자:Jws401이 아니고서야, 처음 온 사람이 사용자:Park4223님을 비난한 점을 보아하니 평소에도 사용자:Park4223님에게 원한을 품은 사람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다중계정 검사 요청합니다. OrangeK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09:34 (KST) - 24일 22:31 사용자 등록 - 24일 22:32 사용자 등록 - 24일 22:33 사용자 등록 - 24일 22:34 사용자 등록 이상 동시다발적으로 사용자 등록된 명단입니다. 등록했을 당시에 바로 확인하긴 했는데, 등록 할 때부터 단지 이름가지고 다중계정 이야기 하는건 아닌가 싶어, 우선은 지켜보고만 있었습니다. (근데 다른분들도 의심 제기는 안하셨네요.)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4월 25일 (일) 12:26 (KST) = = 사용자:Chzhdndb123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김재완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 = 사용자:Deadlypowers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Bangeg, 사용자:Happybek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 = 4명에 대한 다중 계정 검사 요청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위키백과 첫 기여가 삭제토론 의견부터 달았다는 점에서 의심이 될 만합니다. OrangeK (토론) 2010년 5월 16일 (일) 16:28 (KST) = = Gangreung Jeongdongjin과의 연관성 확인 필요 = = 차단된 사용자:Gangreung Jeongdongjin과 그에 딸린 수많은 다중계정 사용자:Cheongryang, 사용자:Ilovephos, 사용자:정준하뱃살, 사용자:정준하지방 등에 이어 유사한 주장을 펼치는 계정(사용자:연화는 멋쟁이이 또 등장해서 청량리, 부전역 등의 문서에 위해를 가하는 점, 문체나 서명, 편집습관이 유사한점 등을 들어 다중계정 검사를 요청하며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0년 5월#다중계정으로 의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5월 19일 (수) 16:29 (KST) = = Kanon18과 OrangeK의 연관성 조사 = = 사용자:Kanon18이 자문서를 마음대로 초기화한 것이 발단입니다. 비록 환영틀밖에 없었지만 기본적으로 토론문서는 초기화하는 것이 아님을 권장하는 글을 제기하며 되돌렸습니다. 하지만 그 글조차 되돌림되었고, 재차 되돌리면서 2차 경고를 주었습니다. 그렇게 여러 차례 되돌림 경합이 있어 3차 경고때 사관을 작성했죠. 제 의견이 좌절되는데 그러려니 했으나 퍼즐릿님이 사용자토론:OrangeK#Kanon18에 제기하신 말씀을 보고 의문이 들어 편집시간을 유추한 결과 21일 밤 이후 OrangeK로 기여를 하지 않다가 오늘 돌연 사관에 적은 제 기여에 나타났습니다. 그 후로 Kanon18의 되돌림이 멈칫할 때만 OrangeK님이 활동하는 등의 양상도 보였고, 퍼즐릿님의 말을 인용하자면 IRC에서 같은 IP로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OrangeK가 글을 작성하는 동안에도 유의한 시간차이가 있었으므로 분명 Kanon18이 계속 이용중이었다면 노랑메시지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의 성향이 그러하다면 초기화가 되었어야 정상입니다만 그렇지 않았고, OrangeK가 움직이지 않으면 Kanon18이 움직이는 식으로 보였습니다. 이에 다중계정검사 요청합니다. Phenomenart (토론) 2010년 5월 23일 (일) 14:04 (KST) = = Kiss65 다중 계정 의심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저는 저들 계정이 다중 계정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중 계정 문제인지 판별할 이유가 없다는 소립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Unypoly와 Kiss65, Blueknight7간에는 보다 확실한 연관성이 없습니다. 게다가 이들이 다중 계정을 악용해서 여론 조작을 크게 했다고 보이지 않습니다. Kiss65씨는 다중 계정일 확률이 "있는 것이지", 반드시 다중 계정이지는 않습니다. 아주 만약의 경우 IP 사용자였다가 다시 들어온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저도 다중 계정 같다고 느껴지기는 합니다만) - 츄군 (토론) 2010년 6월 21일 (월) 00:16 (KST) 다중 계정 검사 요청이 부적절했을 수 있겠지만, 적어도 '두 사용자간의 갈등을 이용하여 서로를 이간질시키는 (혹은 그러한 행위로 자신이 이득을 취하는) 행위'를 하는 사용자는 제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그것이 다중 계정 검사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6월 21일 (월) 00:25 (KST) 그러면 일단 보류하겠습니다. Leedors (토론) 2010년 6월 21일 (월) 00:38 (KST) = =사용자:개화역 다중 의심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저 사람 들어오자마자 유니폴리 사면하자는 둥, 편집 요약에 욕을 남기는 둥, 왠지 유니폴리 다중이 같군요. 또 분야도 최근에 차단된 사용자:꽈배기굴과 비슷한 철도.... 요청합니다. Saehayae (토론) 2010년 6월 25일 (금) 00:46 (KST) = =사용자:이글루 두목, 사용자:본전려객과 관련성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예전에 여기를 보듯이 위 기여는 정상적인 기여를 하지 않아 차단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그만 놔두게 되면 위키백과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두 계정 전부 문서 훼손을 여러번 반복한 전력이 있습니다. 게다가 정상적인 편집이 이루어 지지 않아 문제를 일으킨 바가 있습니다. 두 계정 모두 차단이 풀린 걸로 알고 있는데 이대로 놔두게 되면 위키백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조속한 다중 계정 검사를 부탁 드립니다. 천사의 유혹 (토론) 2010년 6월 26일 (토) 18:29 (KST) 이곳의 결과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7월 10일 (토) 18:54 (KST) = = 사용자:부산,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 사용자:구미시지킴이, 사용자:59.23.88.44, 사용자:Saga288, 사용자:Qq1423, 사용자:떠돌이, 사용자:1 다중계정 검사 신청 = = 요청 사유 사용자:부산과 사용자:떠돌이의 사용자 페이지가 유사 출처제시된 자료도 임의로 삭제하는가 하면, 자신이 제시한 장황하며 불필요한 서술 고집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의 행위 , , , , 사용자:Saga288의 행위 , , 사용자:구미시지킴이의 행위 , 사용자:Qq1423의 행위 사용자:59.23.88.44 , 사용자:떠돌이의 행위 , , , , , 사용자:1의 행위 , , 동일한 행동의 반복 의심 불필요하게 장황한 내용을 고집하는 행위의 유사성 , , , , 한 사용자가 사라지면 2번타자, 3번타자 식으로 나타나는 것도 한사람이 계정 버리고 다른 계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의심되며, 토론태도나 행동에 있어 상당부분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 다중계정 검사 신청을 합니다. Tarantius (토론) 2010년 7월 6일 (화) 19:07 (KST)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으니 처리해주시기 바랍니다. 체크유저 결과 *: user: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 59.23.88.44, user:Qq1423, user:Saga288 *: user:부산, user:떠돌이 *: 구미시지킴이, user:1 Shizhao 09:52, 7 July 2010 (UTC) 61.74.198.95 (토론) 2010년 7월 7일 (수) 19:48 (KST) 이곳의 결과를 참조헤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사용자들의 차단을 요청하신다면, 해당 사용자들이 '다중 계정을 악용'한 사례가 있어야 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7월 10일 (토) 18:57 (KST) = = 사용자:Kang Hyun Min 외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해당 계정은 주로 교통 분야의 문서를 중심으로 총의를 얻지 않은 편집을 강행하거나 문서에 장난을 치는 등 동일한 행동 양식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미 여러 계정이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행위를 하는 계정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볼 때, 이는 다중 계정을 악용한 차단 회피로 보입니다. 이에 관리의 편의를 도모하고 혼란을 막기 위해 다중 계정 검사를 요청합니다. 여러분의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IRTC1015 (토론) 2010년 7월 14일 (수) 21:46 (KST) 현재 위키백과:관리 알림판/2010년 7월#사용자:Kang Hyun Min 관련 계정·IP에 자세하게 그 목록이 나와있습니다. 덧붙여서 이 부분에 대해서 메타에 체크유징을 요청한 결과는 메타쪽의 문서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8월 4일 (수) 14:25 (KST) = =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와 사용자:Mimacds = =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 및 위 참고)와 사용자:Mimacds 등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본문과 직접적인 관련성(해당 인물의 생애)보다는 불필요하게 장황한 설명을 고집하는 점과 반복편집이 유사합니다. Tarantius (토론) 2010년 7월 16일 (금) 12:37 (KST) = = 사용자:100범, 사용자:Tarantius, 사용자:Oweshiver, 사용자:Leno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100범, 사용자:Tarantius, 사용자:Oweshiver, 사용자:Leno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이승만 문서에 대한 근거없는 되돌리기 및 문서훼손([]),([] 토론을 시도해봤으나, 이유없는 되돌리기. 적확한 용어를 토론게시판에 공시하였으나, 정정한 편집을 되돌리하는 등 반복적 문서훼손이 유사합니다. Mimacds (토론) 2010년 7월 19일 (월) 20:21 (KST) Mimacds (토론) 2010년 7월 20일 (화) 18:37 (KST) = = 사용자:떠돌이, 사용자:Mimacds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부산의 다중계정으로 확인됨 *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불필요한 내용 삽입및 고집사용자:떠돌이, 사용자:Mimacds 사용자:떠돌이 계정으로 김두한 문서에서 불필요하게 장황한 내용 서술 ( 외 참조) 사용자:Mimacds 계정으로 이승만 문서에서 불필요하게 장황한 내용 서술 (, ) 하고 이를 고집하는 태도가 상당히 유사합니다. 해당 내용은 해당문서의 인물 김두한과 이승만 본인의 행적이나 행위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해당 사용자들은 내용전개라는 빌미로 불필요하게 장황한 내용 편집을 고수하고 있읍니다. 사용자:부산의 마지막 편집이 2010년 5월 16일이고, 사용자:Mimacds 계정이 등장한 것은 2010년 5월 10일임. 사용자:떠돌이 계정이 등장한 시점은 2010년 5월 13일임. 이미 다른 사용자분의 검사결과 사용자:부산과 사용자:떠돌이가 동일인의 다중계정으로 확인되었읍니다. 사용자:부산이 차단회피 목적으로 사용자:떠돌이, 사용자:Mimacds 계정을 만들고 활동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읍니다. 사용자:부산 = 사용자:떠돌이의 다중계정이 확실하다면 그에 상응하는 조치가 필요하겠읍니다. 되돌리기는 누구나 할수 있으나 계속 본문과는 불필요한 장황한 내용, 지엽적인 내용 서술및 편집을 고집하는 점은 두 사용자가 상당부분 유사합니다. 아울러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 사용자:구미시지킴이, 사용자:59.23.88.44, 사용자:Saga288, 사용자:Qq1423, 사용자:1도 유사한 편집습관을 보이는 사용자입니다. 아니라고 판명났을 경우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 사용자:구미시지킴이, 사용자:59.23.88.44, 사용자:Saga288, 사용자:Qq1423, 사용자:1 등과도 다중계정 검사 요청 부탁드립니다. 100범 (토론) 2010년 7월 20일 (화) 12:58 (KST) = = 사용자:Unypoy외 = = *검사가 필요한 목록:사용자:Unypoy외 위키백과:관리 알림판/2010년 7월#분쟁을 일으키는 계정들, b:User:Betalph ...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유니폴리입니다. 최근 저도 이유없이 사칭당하고 있습니다. 저 관리 알림판의 계정들중 카를로스를 빼고 저 맞습니다. 위키책의 제 계정과 체크 유징을 하면 저라는게 확인될 것입니다. 사칭 계정이 누군지도 밝혀주세요. 저는 위키백과를 사랑하지만 어쩔수 없나 봅니다. 사칭그만해라 (토론) 2010년 7월 21일 (수) 21:35 (KST) = = 불순한 목적의 IP와 특정 사용자가 같은 계정인지 조사해 주십시오.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Mirk *사용자:58.123.52.38 *사용자:211.55.89.110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Mirk 님과 끝이지 않은 분쟁성 토론이 이어질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문서들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토론:Storytel# 신지애. 사용자토론:Storytel# 경고합니다., 사용자토론:Storytel#IP 사용자를 허수아비로 보지 마십시오., 사용자토론:Storytel#사과드립니다. *위 긴 글을 다 보긴 힘들겠습니다. 마지막 문서 초반에 <차단 당할 각오로 말씀드리기에 앞서 상기에 "경고합니다"라는 제목의 의견을 쓴 사람은 바로 접니다> 라고 두 아이피 사용자가 같다고 고백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문제의 아이피 사과 후 Mirk님과 또 긴 논쟁이 이어지고 있지요.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사용자를 허수아비로 보지 마십시오.>라는 문서와 <사과드립니다.> 문서에서 문체와 글을 쓰는 스타일, 특히 은근한 협박성 반격류의 글 등이 전 과거 Mirk과의 다툼에서 경험한 그 분과 너무 유사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IP로 문제를 일으키고 Mirk이 개입하고 아이피는 사과하면서 물러날 때 Mirk님이 계속 나를 공격하는 스타일입니다. Mirk와 아이피는 문체와 글쓴이의 성격도 비슷해 보이구요. *그래서 두 아이피와 Mirk님이 다중계정이 아닐까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같다면 아이피를 악용한 부당한 공격을 특정 사용자에게 퍼부운 질이 나쁜 행위라 하겠습니다. 이에 검사를 요청 드립니다. Storytel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18:37 (KST) 전 불순한 IP를 통해 부당한 공격을 받았다고 믿습니다. 그 아이피가 특정인과 같은 분일 것 같은 강한 의심도 있구요. <정당하고도 꼭 필요한 경우에만>에 맞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초보자라 잘 모르니, 같은 사례가 있는지 알아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Storytel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0:10 (KST) = = 사용자:Raisekept, 사용자:Hamek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Raisekept, 사용자:Hamek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오늘 가입한 사용자가 어제까지 분쟁이 있었던, 문서를 (사용자 문서를 제외한) 첫 기여를 하여서 주시하고 있었는데, 꼭 차단된 사용자:Raisekept 사용자와의 행동 및 말투 패턴이 비슷하며, 편집 문서 또한 일치합니다. 이에, '차단 회피' 및 '분란'을 목적으로 편집을 하는 '다중 계정' 사용자로 판단하여, 다중 계정 검사를 요청합니다. 가람 (토론 · ↺) 2010년 8월 8일 (일) 00:24 (KST) 편집 패턴은 일본 관련 편집 일본강치, 하테루마 섬, 도쿄 도, 오키노토리 섬 등에서 활발한 편집 분쟁을 하였던 사용자:Raisekept와 똑같은 편집을 반복하는 것 물론. 사용자토론:Raisekept에서 볼 수 있는 "인신 공격", "토픽" 등의 말버릇들이 보입니다.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0:27 (KST) = = 사용자:Irafox, 사용자:Tsuchiya Hikaru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사용자:Irafox, 사용자:Tsuchiya Hikaru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동시다발적 편집 방해와 집단 태클 이 분들이 근거 없이 저를 다중 사용 계정자라고 몰아붙이는데 이 분들중에 다중계정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물론 아래 아이디들이 전부 한 사람은 아닐것입니다만, 이 분들중에 일부는 동일 ID를 사용하리라 생각됩니다. 특히 Irafox라는 유저가 수상합니다. *사용자:Park4624 *사용자:Idh0854 *사용자:Irafox *사용자:Tsuchiya Hikaru *사용자:IRTC1015 *사용자:Carroback *사용자:Realidad y Illusion *사용자:ChongDae 만약 이 분들이 다중 계정 아이디를 사용해서 저를 공격하는 것이라면 끔찍하군요. 왜 편집을 못하게 집요하게 막을까요? Hamek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38 (KST) 하십시오. 지금 사용자(Hamek)와 한번도 개연성이 없는 사용자:ChongDae를 언급하였다는 것은 본인이 사용자:Raisekept라고 자인하는 것이군요.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40 (KST) 그 전에 토픽, 편집 차단 공격과 같은 말버릇들과 토론 분산 및 동일 분야의 토론없는 편집 강행부터 해명하시기 바랍니다. 현재도 경고를 받았음에도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이 다중 계정 검사에 동의함. 백 번 해보시오.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45 (KST) 암초를 섬이라며 독단적으로 바꾸신분은 이 분이 먼저입니다. 누가 독단적으로 바꿨는지요Hamek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49 (KST) 님도 누군가의 다중계정이 아닌지요? Hamek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50 (KST)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01:52 (KST) 음. 그럼 전 이것으로 다중 계정을 두 번씩이나 의심 받게 되었군요. 거참.. 가람 (토론 · ↺) 2010년 8월 8일 (일) 13:12 (KST) 저기에 사용자:ChongDae를 끼워넣었단 사실만으로 충분히 사용자:Raisekept라고 볼 수 있음.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13:13 (KST) 어제 Raisekept씨로부터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이상입니다. iTurtle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13:14 (KST) 신규로 온 사용자는 반달링 방어하면 절대 안된다는가요. 2주일은 보름 이상 아님. Raisekept와 Hamek의 행위를 보아 다중 계정의 악용으로 무기한이 되지 않은 것으로 다행스럽게 여기어야 하는 것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Irafox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13:18 (KST) 물론 다중 계정으로 판명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건 알고있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본인과 의견이 다른 사람이면 같은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니 이게 무슨 논리인가요; 차라리 그냥 빨리 처리해서 목록에 있는 분들의 무고함을 밝혀주세요 (...) Brne (토론) 2010년 8월 8일 (일) 20:42 (KST) 처음부터 지금까지 중립적인 입장에서 이번 사안을 바라보려 노력했습니다. Raisekept와 Hamek의 편집과 항의도 원래는 선의의 기여를 의도했다고 보고 이해하려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항의나 이의제기의 정도가 좀 지나친 느낌이네요. 좀 자중하시고 자신을 차분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조언, 충고드리고 싶습니다. 저도 경력이 많지 않고, 제 편집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의 심정을 잘 알고 있습니다만, 그것은 백과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작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을 때 특히 그러했었죠. 조금 더 참으면서 전체에 조화되려는 노력을 해줬으면 고맙겠습니다. Storytel (토론) 2010년 8월 9일 (월) 15:29 (KST) 아이고 ㅋㅋ 그냥 하세요, 어차피 이참에 아니라는걸 알리던지...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8월 9일 (월) 22:58 (KST) = = 다중 계정 검사 요청합니다.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이 사용자 님은 가입하자마자 첫 기여가 되돌리기 이후 활동이 없음. 100범 님이 사관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사용자:떠돌이 다중계정 검사 신청에 대해 확실함을 위해 포함함)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위 계정 사용자 분들과 김구, 이범석 (1900년), 김두한 문서분쟁이 현재까지 분쟁이 발생하였는데요. 유사한점 등 그리고 당사자 모두에게 확실함을 위해 요청합니다. 참조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두한 문서에 관하여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두한이 나온 드라마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두한을 다루는 드라마의 범위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넘겨주기 문서에 대해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구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토론없는 되돌리기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본문 존재 확인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구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입증은 님이 하셔야죠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이범석 (1900년) 사용자토론:떠돌이/보존문서#김두한 문서에서 사용자토론:100범#안녕하세요. 사용자토론:100범#무슨 의미이죠? 사용자토론:100범#또 의견이 없으시고 가신건가요 사용자토론:100범#뭐하시자는 거죠? 사용자토론:100범#김구 김두한 이범석 사용자토론:Tarantius#되돌림 사용자토론:Tarantius#다시 말씀드리죠. 김구, 김두한, 장덕수, 한근조 문서 사용자토론:Tarantius#문서 훼손 사용자토론:Longsword#김구 문서 사용자토론:Longsword#이유없이 되돌리기 하지마세요 사용자토론:행유/떼어두기 1#김두한 사용자토론:행유/떼어두기 1#토론 사용자토론:판델라#안녕하세요. 사용자토론:판델라#안녕하세요(2)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0년 6월#문서해제 또는 조정 요청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0년 6월#김구, 김두한, 한근조 문서 보호 요청 떠돌이 (토론) 2010년 8월 10일 (화) 15:18 (KST) = = 사용자:떠돌이 다중계정 검사 신청 = = 사용자:떠돌이는 원래 사용자:부산의 다중계정, 동일인물로 밝혀졌으니 예외 * * 2010년 6월 17일 당시 접속시간이 같고 동일한 문서 김구를 편집하였음. 사용자:떠돌이는 사용자:부산의 다중계정으로 확인되었읍니다. 이 두 사용자 다중계정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100범 (토론) 2010년 8월 10일 (화) 19:38 (KST) = = 위키백과:삭제 토론/명박산성에 참여한 사용자 중 일부 = = *의심되는 다중 계정 목록: *검사를 요청하는 이유: *벌써 2년이 지난 토론이지만 늦어진 만큼 빨리 처리해야 할 것 같아. 올려봅니다. *위키백과:삭제 토론/명박산성#삭제 토론 2 참조 *Taehyun3178, Ultramj, Bluelinks, Acep45, Hong17320, Dandykim, Cloudsim, Ryang, Intheweb 참조. 거의 전부 명박산성 삭제 토론에만 기여가 있음. 단지 명박산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의견 표명을 위해 가입한 듯 합니다만, 거의 계정 생성이라든가 의견 표명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게 다중 계정 검사를 해봐야 할 듯합니다. 더 설명이 필요 있을까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Leedors (토론) 2010년 9월 30일 (목) 21:26 (KST) = 분류:미국의 여자 비디오 게임 배우 = = 분류:글리콘 유형별 글리코사이드 = = 분류:스페인-지브롤터 국경 = = 시몽 은가판두에튼부 = 시몽 브라디 은가판두에튼부(, 2003년 4월 12일 ~ )는 카메룬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프랑스 리그 1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뛰고 있다. = EFV = EFV는 다음 뜻이 있다. (Expeditionary Fighting Vehicle) 에파비렌즈(Efavirenz): HIV/AIDS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 가야금 (영화) = "가야금"은 1964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김진규 김지미 최남현 황정순 신영균 최지희 신성일 이예춘 김희갑 주선태 구봉서 정애란 강미애 차유미 이수련 = 분류:6월 10일 = = 분류:안도라의 정치사 = = 타이거 우즈 PGA 투어 09 = 타이거우즈 PGA 투어 2009(Tiger Woods PGA Tour 09)은 일렉트로닉 아츠가 개발한 Wii용 게임 소프트웨어이다. 타이거 모드로 타이거우즈에 도전할 수 있으며 pga투어 fedex컵 등으로 프로에 도전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월 23일에 발매되었으며, 가격은 45,000원이다. = 분류:1896년 유럽 = = 금호사 = 금호사(錦湖祠)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내동 4-2에 있는 사당이다. 2018년 3월 27일 나주시의 향토문화유산 제47호로 지정되었다.나주시고시 제2018-42호,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지정을 위한 고시, 나주시장, 2018-03-27 = = 지정 사유 = = 나주나씨 금호사는 나주나씨 명현선조인 금호 나사침(錦湖 羅士沈)을 비롯한 그의 아들 모두 7위를 모신 사우로 금호사에서 배향된 인물의 행적이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다. 특히 나주목사 한복이 금호 나사침과 건재 김천일을 학행의 아름다움과 독실함을 근거로 천거 하는 등 당시 나주의 중요한 인물로 거론된 선비였으며 그의 아들들은 나주의 대표적인 사액서원이었던 경현서원 건립을 주도. 나주 지역의 향전에 있어서 거론되는 인물이었으며 나주나씨 문중은 수많은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여 조선시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나주지역 역사문화를 살펴보는데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김진용 (연극 배우) = = = 영화 = = 2016년 무더 - 카페사장 역 2016년 부산행 - 생존자 역 2013년 창수 - 공사장인부3 역 2010년 의형제 - 아파트단지 총격요원 4 역 2009년 세리와 하르 - 구경꾼들역 2008년 추격자 - 주택남 = = 연극 = = 2010년 서울테러 2009년 녹차정원 = 분류:아이슬란드의 온천 = = 청송 만우정 = 만우정은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2014년 3월 6일 청송군의 문화유산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1804년 현 위치로 이건 한 청송심씨 문중 정자이다. 만우정 * = 본초 자오선 = 본초 자오선(本初子午線, )은 영국 그리니치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으로, 경도의 기준이 된다. 현재의 경도 0°로 1884년에 국제 회의에서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표준으로 삼기로 결정했다. 1972년에 협정 세계시로 바뀌기 전까지는 시간대의 기준이 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그리니치 천문대 - 지구에 기준선을 긋고 시간을 정한 천문대 (대단한 하늘여행, 2011. 4. 8., 윤경철)]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본초자오선은 IERS기준자오선(reference meridian)으로, 이는 그리니치 자오선보다, 동(east)으로 5.3초(거리로는 102.5m) 떨어져 있다. 그리니치 천문대는 낮12시(오선)를 구분짓는 경계이며 지구 반대편으로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밤12시(자선-날짜변경선) 경계가 존재한다. = = 어원 = = 자오선이란 12간지에 따른 12시 중 자(子)시와 오(午)시를 뜻하는 것으로 자시는 밤12시(00시), 오시는 낮 12시를 나타낸다. 본초자오선은 '밤12시와 낮12시가 근본적으로 시작되는 선'이란 의미를 지닌다. = = 역사 = = 18세기에는 프랑스에서는 파리 자오선을, 독일에서는 베를린 자오선을, 덴마크에서는 코펜하겐 자오선을, 영국에서는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는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자국의 수도를 통해 자오선을 조정했다. 1765년에서 1811년까지 네빌 마스켈린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자오선을 기초로 한 49권의 항해연감을 출판했다. 마스켈린의 표는 육분의나 팔분의를 통한 천문항법을 실행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자오선을 보편적인 기준점으로 만들었다. 프랑스어 번역판마저도 파리 자오선이 아닌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마스켈린의 계산을 그대로 사용했다. 1884년에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22개국이 그리니치 자오선을 세계의 주요 자오선으로 채택하는데 표를 던졌다. 프랑스는 아소르스 제도와 베링 해협을 통한 중립 노선을 주장했지만 결국 기권하고 1911년 이후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인정했다. = = 통과지점 = =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본초 자오선은 다음 지점을 지나간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북극해 북극점 그린란드해 노르웨이해 북해 이스트라이딩오브요크셔주에서 이스트서식스주까지를 지나간다. 영국 해협 지중해 발렌시아 만 지중해 약 600 m 약 16 km 약 39 km 볼타 호를 지난다. 대서양 에서 적도를 통과한다. 이 지점을 통칭 널 섬이라고 한다. 남극해 남극 대륙 퀸모드랜드에서 남극점까지 가 영유권을 주장한다. = 분류:해병대를 소재로 한 작품 = = 주영국 이란 대사관 = 주영국 이란 대사관은 영국 런던에 위치한 이란 대사관이다. 주영국 이란 대사관은 웨스트민스터 사우스켄싱턴의 하이드 파크가 내려다보이는 테라스에 위치하고 있다. 이란은 또한 사우스켄싱턴의 켄싱턴코트 50번지에 영사부를 두고 있다. 대사관 건물은 주영국 에티오피아 대사관, 폴란드 연구소 및 시코르스키 박물관과 함께 2급 치장 벽토 건물에 입주하고 있다. 1980년에는 이란의 아랍 민족주의 단체인 아라비스탄 해방민주혁명전선 회원들이 영국 SAS 대원들의 탈환 작전 이전에 며칠 동안 건물을 점거한 주영국 이란 대사관 인질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대사관 청사가 손상되었고 1993년까지 폐쇄되었다. 2011년에 이란 테헤란에서 주이란 영국 대사관 습격 사건이 일어나자 영국 정부는 이란 정부의 해당 사건 지원 의혹을 제기하면서 주영국 이란 대사관을 폐쇄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주영국 오만 대사관은 영국 주재 이란 이익대표부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던 중에 2013년에 실시된 이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하산 로하니가 영국과의 관계 개선, 양국 주재 대사관 운영 재개 계획을 표명했다. 2014년 2월 20일에 이란과 영국 양국이 외교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하명서 주영국 이란 대사관이 운영을 재개했다. 2018년 3월 9일에는 이란의 이슬람학자인 후세인 알시라지가 곰에서 체포되자 시위대 4명이 이란 정부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대사관 1층 발코니에 게양되어 있던 이란의 국기를 떼어났다가 체포되었다. = 분류:평창군의 학교 = = 톰 앤드 제리 (혼성주) = 톰 앤드 제리(Tom and Jerry)는 미국에서 크리스마스철에 마시는 전통 칵테일이다. 19세기에 만들어졌다. 달걀술(크림, 우유, 달걀 등을 섞어 달짝지근하게 만든 술)에 브랜디, 럼를 섞고 뜨겁게 해 머그잔이나 사발에 마시는 술이다.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다. = 분류:아시아 태평양 골프 연맹의 가맹 단체 = = 회색머리아비 = 회색머리아비는 아비목 아비과의 새이다. = = 생김새 = = 옆구리 뒤쪽은 흑갈색이고 몸 위쪽으로 확장된 흰 반점이 없다. 부리는 큰회색머리아비에 비해 짧고 더 가늘다. 여름깃은 앞목이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겨울깃은 멱에 가늘고 검은 가로 줄무늬가 있다. 1회 겨울깃은 성조와 달리 어깨와 날개덮깃에 흰 반점이 없다. = = 생태 = = 북아메리카 북부, 시베리아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 알류샨열도, 쿠릴열도,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드문 겨울철새이다. 먼 바다나 연안 바다에서 생활하고 1마리 또는 여러 마리가 잠수해서 먹이를 잡는다.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nited_Kingdom/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인천여자중학교 (동음이의) = 인천여자중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인천여자중학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47 남인천여자중학교 : 인천광역시 남구 인하로 426 동인천여자중학교 : 인천광역시 서구 여우재로112번길 13 북인천여자중학교 : 인천광역시 계양구 아나지로85번길 12 상인천여자중학교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로169번길 30 = Anak Putih Abu Abu = Anak Putih Abu Abu는 1991년에 발매된 앙군의 음반이다. = 분류:기원전 4세기 이탈리아 = = 괴산고등학교 = 괴산고등학교(槐山高等學校)는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대사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1년 9월 1일 : 괴산고등학교 개교 (교육법 개정) 2009년 11월 24일 : 괴정학사(신 기숙사) 준공 (정원 122명) 2014년 3월 1일 : 일반고역량강화 시범학교 운영 2017년 3월 1일 : 기숙형고등학교(자율학교) 지정(~2022.02.28.) 2022년 3월 1일 : 충청북도 자율학교(KEDI 협력학교) 지정 2023년 1월 26일 : 제73회 108명 졸업(총 14,782명 졸업) 2023년 3월 1일 : 제36대 강대훈 교장 부임 2023년 3월 2일 : 2023년도 입학생 (남 65명, 여 69명 총 134명) =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쿠세비츠키(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усеви́цкий)는 러시아의 지휘자, 작곡가, 콘트라베이시스트이다. = 분류:히가시네시의 철도역 = = 그린 커리 = 그린 커리 또는 깽 키아오 완은 깽(태국식 커리)의 일종으로, 풋새눈고추를 넣어 만든 커리 페이스트로 만들어 초록색을 띤다. = = 이름 = = 태국어 "깽 키아오 완("은 "달콤한 초록색 커리"라는 뜻이다. "깽"은 태국의 국물 음식을 가리키는 말로, "태국식 커리"라고도 불린다. "키아오"는 "초록색"을 뜻하며, "완"은 "달콤한"이라는 뜻이다. = = 만들기 = = 그린 커리 페이스트는 풋새눈고추, 마늘, 샬롯, 큰고량강, 레몬그래스, 고수 뿌리, 카피르라임 제스트, 쿠민, 깟씨, 백후추, 소금, 까삐(새우장) 등을 막자사발에 빻아 만든다. 그린 커리는 코코넛 밀크와 커리 페이스트에 닭고기 등 고기, 태국가지, 동아, 죽순 등 채소, 카피르라임 잎 등을 넣어 끓이다가, 야자당과 소금 또는 남 쁠라(어장)로 간하고 마지막에 홍고추(치파고추)와 타이바질을 넣어 낸다. 주로 재스민쌀로 만든 쌀밥이나 카놈 찐 등 쌀국수와 함께 먹는다. =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 =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영어: 1Million Dance Studio)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댄스 학원으로, 성동구 성수동에 오프라인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2014년 설립되었으며, 수석 안무가 리아킴이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이다. 2015년 오픈한 공식 유튜브 채널은 2020년 3월 현재 구독자 수 20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한국 유튜브 채널 중 6위에 해당하고, 전체 유튜브 채널로 확대해도 164위에 해당한다. 유튜브 채널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영상은 Worth it - Fifth Harmony ft.Kid Ink / May J Lee Choreography으로 조회 수가 1억회를 넘어가며, 박재범과 콜라보레이션 했던 All I Wanna Do은 조회 수가 2300만 회에 달한다. = = 활동 = = = = = 안무제작 = = =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등의 기획사에 안무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박재범의 “All I wanna do”, Twice의 “TT”, “Knock Knock”, EXO의 "Ko Ko Bop", 마마무의 "HIP" 선미의 "가시나" 등의 안무가 있다. 협력 업체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카카오M 크래커엔터테인먼트 울림엔터테인먼트 콜라보 브랜드 *NIKE *Galaxy S8 *Guinness *제주관광공사 *FILA Tik Tok 안무 제작 작품 선미 - 가시나 선미 - 24시간이 모자라 선미 - 보름달 아이오아이 - 너무너무너무 원더걸스 - I Feel You EXID - 낮보다는 밤 Jay Park - All I Wanna Do Jay Park - Yacht Twice - TT Twice - Ooh-Ahh하게 Twice - Knock Knock Twice - One More Time BoA - Fox 마이크로닷 - 가위바위보 킬라그램 - 좋아 죽어 EXO - 백색소음 EXO - Ko Ko Bop EXO - Forever Lay - I'm Lay 수지 - Yes No Maybe ACE - 선인장 PlayBack - PlayBack PlayBack - 없을까 레인즈 - Juliette 에릭 남 - 솔직히 마마무 - 고고베베 마마무 - HIP = = = 해외 워크샵 = = = 아래와 같은 해외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연도 대표 활동 2017년 YTFF Jakarta YTFF Bangkok KCON NY WOD Korea (심사) Urban Dance Camp EU 2016년 KCON JP KCNO LA Mnet 힛더스테이지 WOD Korea (심사) Shanghai Show (Judge) FAIR play dance camp EU = = 유튜브 채널 = = 2015년 유튜브 채널을 생성해 현재 2000만명이 넘는 구독자가 있다. 매일 다양한 내용의 영상들이 올라오고 지금까지 700개가 넘는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가장 조회수가 많은 안무영상은 worth it 조회수는 1억이 넘으며 레슨을 수강한 수강생들이 댄스 동영상에 같이 출연한다. = = 소속 안무가 = = Ara Cho *Austin Pak *Bale *Debby *Harimu *Isabelle *Jin Lee *JJ *Jun Liu *Junsun Yoo *KOOJAEMO *Kyo Lia Kim *Minny Park *Shawn *Tarzan *Tina Boo *Woomin Jang *Woonha *Yeji Kim *Yoojung Lee *Youjin Kim *Youngbeen Joo *Yumeki *Root = 마이클 로젠바움 = 마이클 로젠바움(Michael Rosenbaum, 1972년 7월 11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코난 오브라이언 (Late Night with Conan O'Brien, 원제:"암스테르담 키즈 (The Amsterdam Kids)") 링키 딩키 쇼 (The Rinky Dinky Show, 우정출연) 잭 앤드 제인 (Zoe, Duncan, Jack and Jane (1999년~2000년) (역할:잭 (Jack)) 스몰빌 (Smallville, 2001년, 한국어 성우:안지환) = = = 영화 = = = 가든 오브 굿 앤드 에빌 (Midnight in the Garden of Good and Evil, 1997년) 마이 엑스보이프렌즈 (The Day I Ran Into All My Ex-Boyfriends, 1997년) 어번 레전드 (Urban Legend, 1998년) 아이볼 에디 (Eyeball Eddie, 2000년) 레이브 맥베스 (Rave Macbeth, 2001년) 스위트 노벰버 (Sweet November, 2001년) 풀홀 정키스 (Poolhall Junkies, 2001년) 소로리티 보이스 (Sorority Boys, 2002년) G스포트 (G-S.P.O.T., (2002년) 브링잉 다운 더 하우스 (Bringing Down the House, 2003년) 커스드 (Cursed, 2005년) 레이싱 스트라이프스 = = = 애니메이션 = = = 배트맨 비욘드 (Batman Beyond, 1999년~2001년)(역할 : Agent West) 저스티스 리그 (Justice League, 2001년~2004년) (역할 : 플래시)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Justice League Unlimited, 2004년) 제타 프로젝트 (The Zeta Project, 2001년~2002년) (역할 : Agent West) 스태틱 쇼크 (Static Shock 2000-2004년, 트래퍼 (Trapper), 시리즈 1편, 2편과 4편 (복귀)) 재키 찬 어드벤처 (Jackie Chan Adventures, 2000년~2005년) (역할:드라고 (Drago)) 틴 타이탄 (Teen Titans, 2005년) (역할 : 키드플래시) 베트맨 비욘드 (극장판) (Batman Beyond: Return of the Joker, 2000년) (역할:구울 (Ghoul)) = 분류:1893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 분류:1490년 = = 분류:1977년 매체 = = 입학 = 입학(入學)은 학생이 교육을 받기 위해 학교에 들어가는 것, 또는 반대로 학교가 새로운 학생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입학을 기념하는 행사를 입학식이라고 하는데, 입학식을 치르고 나면 정식으로 학생이 된다. = = 세계의 입학 제도 = = = = = 대한민국의 입학 제도 = = = 대한민국의 공교육제도에서는 6·3·3·4 학제를 채택하였으며(유치원은 제외), 학생은 초등학교 입학 6년 뒤에 중학교, 그 3년 뒤에 고등학교 입학을 하게 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나이는 2010년 현행법 기준으로 만 6세이며, 보호자의 뜻에 따라 그 시기를 1년 앞당기거나 뒤로 미룰 수 있다. 만 6세라는 기준 나이를 1년 줄여서 만 5세로 하는 방안이 2009년부터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데, 해당 게시판 참조. 이에 대해서 찬반의 논란이 있다. 입학 시기는 일반적으로 3월 2일 ~ 3월 4일이다. = = = 세계의 입학 제도 = = = 여러 나라는 각자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입학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OECD 가입국 중 20개 나라의 초등 교육 기관 입학 나이는 2005년 기준으로 영국에서 만 5세, 대한민국 등 16개 나라에서 만 6세, 덴마크 등 세 나라에서 만 7세이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남반구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는 2월에, 북반구의 대만·독일·미국 등은 8월에 입학을 실시하며 중국, 튀르키에, 영국에서는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한국은 3월에, 북한,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한국도 일제시대에는 일본하고 같은 4월이었지만 해방 이후 이승만 정부까지 4월에 입학을 실시해오다가 1962년부터 3월로 한 달 앞당겨졌다.일본에서 4월에 학년이 시작되는 이유는 일본의 정부회계년도 기준일이 4월 1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 = 세계의 입학 시기 = = = = = 입학 연령 = = = 4세 네덜란드(유치원 2년 과정 포함), 북아일랜드 5세 영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파키스탄, 이란, 터키 6세 노르웨이, 대한민국하지만 대한민국은 세는나이 관습에따라 여러 사회적 갈등이 있었고 2009년 이후로는 만 6세가 되더라도 1~2월생들은 1년 입학을 유예하도록 권고하는 제도가 생겼다. 1,2월생들은 만7세가 되면 입학한다. , 독일, 멕시코, 미국, 시리아, 베트남, 벨기에, 아일랜드,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중국, 체코, 캐나다, 포르투갈, 프랑스, 헝가리, 필리핀, 몰타, 스페인, 이집트, 일본, 북한, 싱가포르, 리투아니아,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스웨덴 7세 덴마크, 핀란드, 스위스, 폴란드 = = = 입학 시기 = = = 1월 , 2월 , , 3월 , , 4월 , , 미조람주, 5월 6월 7월 8월 , , , 9월 , , , , , , , , , , , , , , , 10월 , , , , , , 11월 , 12월 = = 세계의 입학식 = = = = = 대한민국의 입학식 = = = 초·중등교육법 제13조에 의거, 대한민국에서는 입학 전년도 11월부터 12월 사이에 취학이 결정되어 관할 지역 학교 학생 신분으로 결정되고 난 후 입학하는 해 1월 달에 자신이 거주하는 지방자치단체로 부터 취학통지서를 받게 되며, 분실했을 경우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보호자(미성년자에 대하여 친권을 행사하는 사람)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만 제출하면 바로 재발급해준다. 따라서 예비소집일에 자신이 받은 취학통지서를 지참하여 자신의 배정 받은 해당 소속 학교를 부모님과 함께 방문하여 예비신입생으로 등록을 하고 나서, 앞으로 공부하게 될 교실도 둘러보게 되는데, 일종의 면접 과정이다. 만일 예비소집일에 참석하지 않을 경우 관할 시도 교육청의 소재불명아동 실태조사를 거쳐 경찰에 의해 수사를 받게 되며, 자녀를 입학시키지 않을 경우 학부모는 초중등교육법 제68조에 의거하여 처벌을 받게 된다. 입학식은 학교에 처음 들어가는 신입생들이,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여러 선생님. 그리고 학교 선배, 학부모 앞에서 '오늘부터 이 학교의 학생이 되겠습니다' 하는 일종의 서약식이다. 거의 대부분은 3월 2일에 행사를 치르는데, 3월 1일은 국가에서 제정한 공휴일(삼일절)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날이 주말(토요일, 일요일)하고 겹칠 경우 그 다음주 월요일(3월 3일~4일 경)에 행사를 개최하게 되며, 본 행사를 치르고 나면 정식으로 학생이 된다. 이 시기에 대한민국의 계절은 봄으로, 이 때 아직은 쌀쌀한 날씨 탓에 대부분 점퍼나 코트를 입지만 여자 아이들은 원피스나 스커트를 입고 멋을 내기도 한다. 입학식 때의 학생 복장은 초등학교의 경우 따로 정하지 않은 평상복을 착용하고, 중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교복을 착용하고 입학식을 치른다(신설학교는 교복이 정해질 때 까지 평상복을 착용함). = = = 세계의 입학식 = = = 대부분의 입학식은 학년이 시작되는 봄에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북반구에서는 3월 봄철에, 남반구에서는 가을철에 입학식을 하게 된다. 예외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홍콩이다. 북반구하고 남반구의 계절시기가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 무사시야마토역 = 무사시야마토역은 일본 도쿄도 히가시무라야마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이 역과 다음역인 야사카 역 사이에 메구리타 신호장이 있으며, 복선 구간으로 운행한다.원래 다마코 선은 단선 구간이다. = = 타는 곳 = = ↑ 야사카 1 세이부 유원지 ↓ ■ 다마코 선 상행선 하기야마・고쿠분지・하이지마 선으로 직결 운행 고다이라・신주쿠 선으로 직결 운행 세이부 신주쿠 방면 ■ 다마코 선 하행선 세이부 유원지 방면 = = 역세권 정보 = = 도쿄 도립 사야마 자연공원 다마 호 = = 역사 = = 1930년 1월 23일: 무라야마 저수지 역()으로 영업 개시. 1936년 12월 30일: 무사시야마토역으로 역명 변경. = 분류:유대교 성지 = = 분류:절멸 = = 분류:1988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 분류:1811년 미술 = = 오정농수산물시장 = 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에 위치한 도매시장이다. 농·수산물이 주 거래 대상이다. 모든 시설들이 지상에 위치해 있다. 대전에 있는 도매시장 중 가장 오래된 시장이며 도매시장 법인으로는 농협대전공판장, 대전청과㈜, 한밭수산㈜가 있다. = = 개요 = = 위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밭대로 450(오정동 705) 개장일 : 1987년 11월 2일 종사자 : 474명 (임직원 85, 경매사 30, 중도매인 359) 규모 : 부지 - 74,437m2, 건물 - 20동 34,484m2, 주차장 - 800면 2009년 판매실적 : 거래량 - 228천톤/년 , 736톤/일 거래액 - 2,777억원/년, 896백만원/일 입주도매 시장법인 : 대전청과㈜, 농협대전공판장, 한밭수산㈜ = = 시설현황 = = 경매장 : 청과물경매장, 야채경매장, 수산물경매장, 건어물경매장, 축산경매장 등 종합상가동, 후숙장, 저온저장고, 관리동, 새마을금고, 전기실, 경비실 등 = = 특징 = = 시내 중심권에 위치해 있어서 도매상, 소매상으로부터 공급이 원활하다. 중부권 교통의 요충지로서 분산 및 반송이 유리하다. 불량식품 구입시의 신속한 리콜제 실시로 소비자 보호를 한다. = = 사용 시간 = = 개방시간 : 오전 4시 ~ 오후 6시 휴장일 : 매주 일요일, 1월 1일, 추석 3일, 설날 3일 = = 버스 = = 오정농수산물시장 : 102번, 605번, 606번, 614번, 617번, 703번, 706번 한밭대교 : 105번, 316번, 614번, 1001번 = 분류:필리핀의 일제 부역자 = = 분류:캐나다 주재 코트디부아르 대사 = = 대구하이텍고등학교 = 대구하이텍고등학교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1년 3월 11일 :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설립인가(13학급) (기계과 4학급, 전기과 2학급, 전자과 3학급, 건축과 2학급, 자동차과 2학급 계 13학급) 1992년 3월 1일 : 초대 김교경 교장 취임 1992년 3월 6일 : 1992학년도 신입생 입학식(681명) 1995년 2월 14일 : 제1회 졸업식(619명) 2011년 1월 11일 : 특성화학과 지정(건축인테리어과, 자동차테크과) 2011년 3월 1일 : 대구광역시교육청 지정 직업교육 연구학교 운영 2012년 3월 1일 : 학과명칭 변경(특성화학과 지정) (디지털자동차과→자동차테크과, 건축디자인과→건축인테리어과) 2013년 3월 1일 : 특성화학과 지정으로 인한 학과 명칭 변경 (컴퓨터응용기계과→제어가공기계과, 전기자동화과→전기시스템제어과, 정보전자과→전자제어설계과) 2018년 3월 1일 : 학과 개편(기계자동차과 폐지 → 금형제작과 신설) 2021년 9월 1일 : 제11대 김창호 교장 취임 2022년 1월 5일 : 제28회 졸업식(졸업생 182명) 2023년 3월 1일 : 교명변경{달서공업고등학교(남학교) → 대구하이텍고등학교(남여공학)} = = 설치 학과 = = 스마트메카닉스과 인테리어건축과 스마트테크과 IT전자과 = 분류:국도 제24호선 (일본) = = 분류:말레이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 맬컴 굿윈 = 맬컴 굿윈(Malcolm Goodwin, 1982년 11월 22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 A Love Supreme = A Love Supreme은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의 음반이다. 그는 1964년 12월 9일 뉴저지주 잉글우드 클리프의 밴 겔더 스튜디오에서 피아니스트 맥코이 타이너, 베이시스트 지미 게리슨, 드러머 엘빈 존스가 참여한 4인조를 이끌며 한 세션으로 녹음했다. A Love Supreme은 1965년 1월 임펄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콜트레인의 베스트셀러 음반 중 하나로, 그의 걸작으로 널리 여겨진다. = = 구성 = = A Love Supreme은 〈Acknowledgement〉(음반에 이름을 부여하는 구술 구호도 포함), 〈Resolution〉, 〈Pursuance〉, 〈Psalm〉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 모음곡이다. 콜트레인은 테너 색소폰을 모든 부분에서 연주한다. 한 비평가는 이 음반이 순수함을 위한 투쟁, 감사의 표현, 그리고 이 음악가의 재능이 더 높은 힘으로부터 온다는 인정을 표현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썼다. 롱아일랜드 딕스 힐스에 있는 콜트레인의 집이 음반에 영감을 주었을지도 모른다.Kahn 2002 또 다른 영향으로는 아흐마드파 이슬람이 있었을 것이다. 이 음반은 첫 번째 트랙인 〈Acknowledgement〉에서 공과 심벌즈를 울리는 소리와 함께 시작한다. 지미 게리슨은 이 활동의 토대를 이루는 4음표 모티브를 모티브로 더블베이스를 연주한다. 콜트레인이 솔로를 시작한다. 그는 네 음을 36번 반복할 때까지 모티브로 변주곡을 연주한다. 이 모티브는 콜트레인이 오버더빙을 통해 열아홉 번 부른 "최고의 사랑(a love supreme)"라는 성가가 된다.Porter, 231–249. 롤링 스톤에 따르면, 이 운동의 4가지 주제는 "모음곡의 초라한 기초"이다.Staff. RS 500: 47) A Love Supreme . Rolling Stone. Retrieved October 5, 2010. A Love Supreme은 록델룩스에 의해 모즐 재즈, 아방가르드 재즈, 프리 재즈, 하드 밥, 포스트밥으로 분류되었다. = = 반응 = = 1965년 1월 임펄스! 레코드에 의해 발매된 A Love Supreme은 가장 호평을 받는 재즈 음반 중 하나가 되었고, 동시대의 비평가들은 이것을 전후 재즈의 중요한 음반 중 하나라고 환영했다. 1970년까지 이 음반은 약 50만 장이 팔렸는데, 비록 빌보드 200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이는 콜트레인의 평소 판매량인 3만 장을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다.Porter, 232.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콜트레인이 일본에서 가장 사랑하는 음반"이라고 덧붙였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존 콜트레인에 의해 작곡하였다. = 분류:후쿠오카현의 미술관 = = 핫 로드 (2007년 영화) = 핫 로드는 2007년 공개된 미국의 코미디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앤디 샘버그 브리트니 어빈 = = = 조연 = = = 마크 아케슨 윌 아넷 아일라 피셔 제시 해독 빌 헤이더 애러너 허스밴드 제니퍼 라플래카 대니 맥브라이드 엘리자베스 맥카시 이안 맥쉐인 크리스 파넬 씨씨 스페이식 도너본 스틴슨 요르마 타코니 앤드류 모스햄 = 지옥행 특급택시 = 지옥행 특급택시는 미국에서 제작된 D.C. 해밀턴 감독의 2018년 SF, 액션 영화이다. = = 출연 = = 지노 안소니 페시 - 해리스 역 브리나 켈리 - 페니 역 제이슨 스튜어트 - 운행 관리원 역 존 제이콥스 - 연약한 남자 역 맷 몬타나 - 듀이 역 =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주계열 = = 유시원 = = = 한국어 = = 유시원(柳時元, 류시원, 1972년 10월 6일 ~ )이라는 대한민국 가수 겸 작사가이며 뮤지컬배우 겸 연기자. = = 중국어 = = 유시원(庾錫文, 유석문)은 호취훈(胡就勳, 1894년 5월 29일 ~ 1947년 2월 27일)이라는 대한제국 독립운동가 겸 기독교 감리회 목사가 1910년대 중반 시절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 성 쓰핑에 기독교 전도사로 잠시 거주하던 시절 사용한 가명이다. = Missa = Missa는 1997년 7월 25일에 발매된 디르 앙 그레이의 음반이다. = 미우라 류키 = 미우라 류키(1992년 5월 17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J1리그의 주빌로 이와타에서 뛰고 있다. = 강진 김씨 = 강진 김씨(康津金氏)는 전라남도 강진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김자앙(金子盎)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선공서령(繕工署令)을 역임했다. 혹칭 도강 김씨(道康金氏)라고도 한다. = = 역사 = = 시조 김자앙(金子盎)은 신라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 공민왕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선공서령(繕工署令)이었다.김씨 분관록·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 일명 김익(金益)이라고도 한다.『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 4650-10])에는 이름이 "김맹앙(金孟盎)"으로 나옴그는 도강 김씨 시조 김희조(金希祖)의 9세손이라 한다. 김희조(金希祖)는 고려조에 좌복야(左僕射)ㆍ병부상서(兵部尙書)를 거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러고 도강백(道康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도강(道康)은 곧 강진(康津)의 속현이다. = = 분파 = = *김안경(金安敬): 호군(護軍) - 파조가 되었다. *김분(金汾) : 부윤(府尹) - 파조가 되었다. *김익지(金益之) : 검교(檢校) 군기감(軍器監) - 세칭 도강 김씨 시조라 한다. *김승리(金承利) : 도염령동정(都染令同正) - 세칭 도강 김씨 파조라 한다. = = 분적 = = *풍덕 김씨(豊德 金氏) : 시조가 고려 공민왕 때 선공서령(繕工署令) 김자앙(金子盎)이라 한다. (사마방목에 의한 계대 : 김자앙(金子盎)-김분(金汾)-김운(金賱)-김언신(金言愼)-김한(金翰)) *통진 김씨(通津 金氏) : 시조가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김익지(金益之)라 한다. (《증보문헌비고 》에 관향은 있으나 시조를 상고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 = 본관 = = 강진(康津)은 전라남도 남서해안에 위치하며, 옛 도강현(道康縣)과 탐진현(耽津縣)이 합쳐진 지명이다. 도강현은 1018년(현종 9) 영암군(靈巖郡)에 속하게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 탐진현은 고려시대에 영암에 속하였다가 뒤에 장흥(長興)의 속현이 되었다. 1417년(태종 17)에 병마도절제사영(兵馬都節制使營)을 도강의 옛 관청소재지로 옮겨 설치하고 도강현과 탐진현을 강진현(康津縣)으로 병합하였다. 관할 관청을 탐진에 두었다가 1429년(세종 11)에 도강의 송계(松溪)로 옮겼고 1475년(성종 6)에 다시 탐진으로 돌아갔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으로 강진군이 되고 나주부(羅州府)가 관할하게 되었다. 1936년 강진면이 강진읍(康津邑)으로 승격되었다. = = 인물 = = 김분(金汾) : 시조 김자앙의 아들로, 1390년(공양왕 2) 문과에 급제하고, 자혜부주부(慈惠府主簿), 함감(咸監), 부윤(府尹)을 지냈다.아버지 이름이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에는 '김맹앙'(金孟盎), 『사마방목』에는 '김자충'(金子盅)으로 나옴. 김면성(金勉成) : 1483년(성종 14)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합격하였다. 김택(金澤) : 초명이 김영근(金永根)이고, 1894년(고종 31)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합격하였다. = = 인구 = = 2000년 통계청 인구 조사시 전국에 1,296가구 4,30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분류:2020년 분쟁 = = 분류:2000년 AFC 아시안컵 = = Black Celebration = Black Celebration는 1986년 3월 17일에 발매된 디페쉬 모드의 음반이다. = 오쿠산쥐 = 오쿠산쥐(Lamottemys okuensis)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오쿠산쥐속(Lamottemys)의 현존하는 유일종이다. 카메룬에서만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습윤 산지림이다. 서식지 감소로 위협을 받고 있다. = 사염화 티타늄 = 사염화 티타늄(Titanium tetrachloride), 사염화 티탄, 사염화 타이타늄은 화학식 TiCl4를 갖는 무기 화합물이다. 티타늄 금속과 안료인 이산화티타늄 생산에 중요한 중간체이다. TiCl4는 휘발성 액체이다. 습한 공기와 접촉하면 이산화티타늄(TiO2)과 염산의 두꺼운 구름이 형성되는데, 이는 이전에 연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해 활용되었던 반응이다. = = 독성 및 안전 = = 사염화티타늄으로 인한 위험은 일반적으로 염산을 방출하는 물과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염산은 그 자체로 심각한 부식성을 가지며 염산의 증기도 극도로 자극적이다. TiCl4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나 물과 같은 약한 염기와도 발열 반응으로 부가물을 형성하는 강한 루이스산이다. = 보코 하람 = 전도와 지하드를 위해 선지자의 가르침에 헌신하는 사람들, 속칭 보코 하람(Boko Haram)은 2001년 결성된 나이지리아의 이슬람 무장단체이다. 보코는 하우사어로 서양식 비 이슬람 교육을 의미하고 하람은 아랍어로 죄, 금기라는 의미로, 보코 하람은 서양 교육은 죄악이라는 뜻이 된다. 서구 문명뿐만 아니라, 생물학, 물리학, 우주학 등을 포함한 모든 과학을 부정하고 있다. 그중에서 다윈주의를 가장 혐오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북부의 완전한 이슬람 국가로서의 독립과 북부 각 주(州)에 샤리아를 도입을 목표로 무장 테러를 전개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의 탈레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ISIS는 보코 하람을 그들의 행정 구역으로 보아.이런 맥락에서 이슬람 국가 서아프리카 지부라고도 불리었다. 2014년 5월 20일 나이지리아 정부는 보코하람의 테러단체 지정과 무기 금수 조치, 자산동결 등의 제재를 유엔에 요청하였고, 5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보코하람을 알 카에다와 연계된 테러단체로 규정했다. 보코하람은 이슬람 국가(IS)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양자는 사상적으로 일치된 관계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투쟁 방법을 놓고 갈라졌다. = = 군사 반란과 테러 = = = = = 2009년 = = = 2009년 경찰은 암호명 '오퍼레이션 플러시'(Operation Flush)라는 조직에 대해서 조사에 들어갔다. 7월 26일에는 경찰은 9명의 보코 하람 조직원을 검거하고, 무기를 몰수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에 대한 보복과 폭동이 광범위하게 퍼져나가게 됐다. = = = 2014년 = = = 5월 나이지리아 북부 치복에서 여학생 200명을 납치했다. 납치당한 소녀들은 수차례 성폭행을 당하고 총을 들고 전투 훈련까지 받았다고 한다.보코하람, 납치한 소녀들 성폭행하고 전투 훈련도 시켰다 재경일보 2015년 4월 15일 보도내용 6월 3일 나이지리아 북동부 보르노 주(州) 궈자 지역의 고셰, 아타가라, 아가팔와, 아간자 마을에 침입해 400-500명의 마을 주민들을 살해하고 주택과 건물 등에 불을 질렀다. 최근 이들로 인해 나이지리아에서는 1년에 1만명 정도 죽어가고 있다고 한다. 8월 보코하람은 고대 이슬람 칼리프 국가 재건을 선포했다. = = = 2015년 = = = 2월 현재 나이지리아의 20%를 점령한 채 이웃 나라로 세력을 넓히고 있다.mbc뉴스 아프리카판 IS 보코하람, 세력 확장…잔혹함은 극단으로 3월 7일 보코 하람의 지도자 아부바카르 셰카우가 트위터를 통해 이슬람국가(IS)에 충성을 맹세하는 음성메시지를 업로드했다. 이는 IS가 중동과 남아시아에 이어 아프리카로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는 사례이다.나이지리아 보코하람, IS에 충성 맹세 - 연합뉴스 8월 28일 보코하람은 나이지리아 보르노주 주민 56명을 학살하였다. 12월 10일에는 나이지리아 북동부의 한 마을을 습격해 주민 14명을 살해했고 일부를 참수했다. = 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참가 선수 = = 분류:마인드맵 소프트웨어 = = 분류:메릴랜드주의 정치인 = = 오진태 = = = 가공 인물 = = 바람은 불어도의 등장 인물 내 손을 잡아의 등장 인물 짝 (드라마)의 등장 인물 그것만이 내 세상의 등장 인물 노리개 (영화)의 등장 인물 = 분류:지체 장애인 = = 목자들의 경배 = 목자들의 경배는 예술로 표현된 예수의 탄생에 나오는 것으로, 베들레헴에서 예수의 탄생을 거의 목격한 목자들이 실제 탄생 직후에 도착하는 장면이다. 그것은 종종 예술에서 동방 박사의 숭배와 결합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후자의 제목으로만 언급된다. 목자들에게 수태고지(Anunciation to the Shepherds)는 그들이 천사에 의해 현장으로 소환될 때 별개의 주제이다. = = 성경 이야기 = = 목자들의 경배는 누가복음의 탄생 이야기에 나오는 일화이다. 목자들은 베들레헴 근처에서 밤에 양 떼를 지키고 있는데 천사가 나타나 "오늘 다윗의 성에서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시라"는 기쁜 소식을 선포한다. 천사의 약속에는 표징이 수반된다. 그들은 "옷에 싸여 구유에 누워있는 아기"의 형태로 구세주를 발견한다. "홀연히 큰 무리의 하늘 군대"(여기서 사용된 헬라어 단어는 군대를 나타냄)가 나타나서 천사와 합류하여 "지극히 높은 하늘에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선하신 뜻을 가진 자들 중에 평화로다."로 언급된다. 경배에 앞서 목자들에게 보내는 수태 고지는 기독교 예술에서 뚜렷한 주제를 형성하며, 도메니코 기를란다이오(Domenico Ghirlandaio)의 1485년 장면에서와 같이 때때로 주변적 특징으로 성탄 장면에 포함된다(경배 이전에 발생한 일이더라도). 왼쪽 상단 모서리에서 볼 수 있다. 기를란다이오는 또한 선물을 가지고 도착하려는 동방 박사의 행렬을 보여준다. = 분류:대한민국의 풋살단 경기 = = 분류: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죽은 사람 = = 운현초등학교 = 운현초등학교(雲峴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열린교육 시행 초등학교이기도 하다. = = 개요 = = 1985년 12월 31일 학교법인 덕성학원이 학교 설립을 인가받아 1986년 3월 5일 개교하였다. 학교 설립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로 열린교육을 실시하였다. 사립 초등학교이지만 교복을 착용하지 않으며, 한 학년에 하나의 학급으로 이루어져 있어 입학 시부터 졸업 때까지 한 반을 유지한다. = = 학교 연혁 = = 1985년 9월 2일 - 학교설립위원회 설치 1985년 12월 31일 - 학교 설립 인가 = 분류:방아 = = 순화정 = 순화정(舜化貞, 877년 ~ 902년)은 남조국의 제14대 군주이자 대봉민(大封民)의 제3대 황제(재위: 897년 ~ 902년)이다. 전대 황제 륭순의 아들이다. = = 생애 = = 897년, 륭순이 죽자 뒤를 이었다. 청평관(淸平官) 정매사가 전권을 잡았다. 순화정은 당나라와 화해하려고 하였으나, 당 소종이 거부하였다. 902년, 순화정이 죽었고, 시호를 효애황제(孝哀皇帝)라고 하였다. 정매사가 순화정의 8개월 된 아들과 황족 800여 명을 모두 죽이고 남조를 멸망시켰고, 자신이 황제로 즉위하여 국호를 대장화라고 하였다. = 아이올로스 = 아이올로스(Aeolus)는 그리스 신화에서 나오는 헬렌의 아들이자 '바람의 신'이다. 포세이돈 또는 히포테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크수토스와 도로스의 형제이다. 헬렌은 그리스를 3등분하여 세 아들에게 물려주었는데, 아이올로스는 테살리아 지방을 물려받아 아이올리스인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에나레테와 결혼하여 시시포스와 크레테우스, 살모네우스, 아타마스, 데이온, 마그네스, 페리에레스, 마카레우스 등의 아들을 낳고, 트라키아 왕 케익스의 아내가 된 알키오네를 포함한 카나케, 페이시디케, 칼리케, 클레오불레, 페리메데 등의 딸을 낳았다. 그의 아들 가운데 시시포스는 코린토스를 창건하였으며 크레테우스는 이올코스를, 시시포스에게 쫓겨난 살모네우스는 엘리스 지방으로 가서 살모네 왕국을 세웠다. 또 아타마스는 오르코메노스의 왕이 되고 페리에레스는 메세네의 왕이 되는 등 아들 대부분이 그리스 도시의 왕이 되어 유력한 가문을 형성하였다. 아들 마카레우스와 딸 카나케는 근친상간의 죄를 저지른 뒤 모두 자살하였다고도 하고, 아이올로스가 카나케를 죽이자 마카레우스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도 한다. = 치과방사선학 = 치과방사선학(dental radiology) 또는 구강악안면방사선학(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은 치과학에 방사선촬영을 도입해 뼈 등의 구조를 알아내고 치료에 응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 흡혈메기과 = 흡혈메기과(Trichomycteridae)는 메기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 흡혈메기과는 사람의 요도 또는 성기에 들어가 기생하는 기생성 메기류인 칸디루(candiru)를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분류 = = 흡혈메기과는 42개 속 20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위 아과는 다음과 같다. Copionodontinae Glanapteryginae Sarcoglanidinae Stegophilinae Trichogeninae Trichomycterinae Tridentinae Vandelliinae = 애리조나회색청서 = 애리조나회색청서(Sciurus arizonensis)는 다람쥐과 청서속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미국 애리조나주 동부 지역과 멕시코 북부 지역의 낙엽수림과 혼합림으로 둘러싸인 협곡과 계곡의 토착종이다. 서식지 감소로 위협을 받고 있다. 같은 분포 지역 안에 있는 유일한 다른 다람쥐는 장식술이 덮힌 귀를 갖고 있으며 소나무 숲에서 서식하는 애버트청서이다. 겉모습과 행동은 회색청서처럼 보이지만, 실제 근연종은 여우다람쥐다. = = 아종 = = S. a. arizonensis S. a. catalinae S. a. huachuca = 분류:카타르의 육상 경기장 = = 분류:상하이시의 축구단 = = 분류:대한민국의 음반 = = 틀:이상 = = 아베파 = = 분류:태국의 부총리 = = 위키백과:삭제 토론/2012-13 독일 국가경쟁력 지수 = = = 2012-13 독일 국가경쟁력 지수 = = "2012-13 독일 국가경쟁력 지수"가 표제어임에도 독일에 관한 내용은 한 문단밖에 안 되며, 대부분의 내용은 국가 경쟁력이라는 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입니다. 개별 문서로서 존치시키기보다는 경쟁력 문서에 병합시키고 삭제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Bluemersen (+) 2013년 7월 8일 (월) 22:23 (KST) 발제자 의견에 동의합니다. - Mer du Japon (토론) 2013년 7월 14일 (일) 03:25 (KST) 병합할 내용이 그다지 없어보입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7월 30일 (화) 10:45 (KST) 병합할 내용이 그다지 없어보인다는 관인생략 님 의견에 동의하는 바입니다. Simona (토론) 2013년 8월 19일 (월) 21:46 (KST) DFSM (U • T • C) 2013년 8월 21일 (수) 15:44 (KST) 삭제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8월 25일 (일) 16:07 (KST) = 분류:인천광역시의 시장 = = 분류:아일랜드 독립 전쟁 영화 = = 마틴을 위한 노래 = 마틴을 위한 노래)/는 2001년에 개봉한 스웨덴 영화이다. = = KBS 성우진 (2004년 10월 17일) = = 안종국 - 마틴(스벤 볼터) 장유진 - 바바라(비베카 세달) 유만준 - 의사 탁원제 - 하트만 최문자 - 겔리치 박사(크리스티나 퇴른크비스트) 김영민 - 비더만(라인 브라이놀프슨) 임성표 - 시장 홍승섭 - 필립(피터 앤맨) 배정미 - 엘리자베스(리사 벨린데르) 주유랑 - 카린(린다 칼그렌) 이원준 - 에릭(클라스 달스테트) 김민아 - 엘린 = 환경부대 = 환경 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환경오염에 대응하는 부대이다. 2002년에 대한민국 국방부와 주한 미군 사이에 체결된 토지반환협약으로 반환된 주한 미군의 모든 시설이 세워져 있던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편성되었다. = = 역사 = = 2007년 6월 제1야전군의 1107공병단 예하 130공병대대와 제3야전군의 1101공병단 예하 117공병대대를 환경부대로 재편성하였다. 두 개 대대는 각각 4개 중대(262명)로 편성되었고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맡는다. 같은 달 6월 21일, 제117환경대대가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로 태안군에 파견되어 33일 동안 해양오염 정화 임무를 수행하였다. 2009년 12월 1일,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 소속된 제1115공병단과 제1117공병단에 각각 70명으로 구성된 1개 중대를 창설하였다. 각 공병단의 환경 중대는 논산시와 대구시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는 주한 미군의 시설에 대한 환경오염에 대응한다. = = 목록 = = 명칭 상위 본부 참고 제130환경대대 제1야전군, 1107공병단 강원도 횡성군 제117환경대대 제3야전군, 1115공병단 대전광역시 * ? 환경중대 제2작전사령부, 1115공병단 충청남도 논산시 현존 불분명 ? 환경중대 제2작전사령부, 1117공병단 대구광역시 현존 불분명 = 리타 블랑코 = 리타 블랑코(Rita Blanco, 1963년 1월 11일 ~ )는 포르투갈의 영화배우이다. 오에이라스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파티마 (2017년) 콜로 (2016년) 체커게임 (2015년) 더 길디드 케이지 (2013년) 아무르 (2012년) (2011년) 불안의 영화 (2010년) 노던 랜드 (2008년) (2005년) 오 파타리스타 (2005년) 암흑의 밤 (2004년) - 셀레스트 핀토 역 불안 (1998년) 라스트 다이빙 (1992년) - 이본느 역 하드 타임즈 (1988년)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 이 문서는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를 다룬다. 수상 지명 선거 혹은 수반 지명 선거라고도 한다. 내각 총사퇴의 경우나 내각총리대신의 자리가 궐위됐을 때 「일본국 헌법」 제67조에 따라 일본 국회에서 문민인 국회의원 중에서 총리대신을 지명하는 선거다. 중의원과 참의원은 정해진 순서 없이 독립적으로 선거를 행한다. 「국회법」과 의원 규칙에 따라 선거가 진행된다. 중참 양원에서 각각 기명 투표를 통해 한 명씩 지명자를 정하는데 과반수의 득표를 얻은 의원이 지명자가 된다. 양원의 지명자가 일치한다면 총리대신으로 지명하고 일치하지 않는다면 양원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통일한 뒤 총리대신으로 지명한다. 양원협의회에서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면 표결을 행해 출석 위원 2/3 이상의 득표를 얻은 의원이 총리대신으로 지명되며 이것도 이루어지지 못하면 중의원 우월 원칙에 따라 중의원의 지명자가 총리대신으로 지명된다. 이후 피지명자는 「일본국 헌법」 제6조에 따라 고쿄에서 친임식을 거행하여 일본의 천황으로부터 임명을 받은 뒤 정식으로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게 된다. = = 지명 자격 = = 총리대신 지명을 받기 위한 자격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일본국 헌법」 제67조제1항에 따라 일본의 국회의원이어야 하며 두 번째는 「일본국 헌법」 제66조제2항에 따라 문민이어야 한다. 첫 번째 조건이 국회의원일 것을 규정하고 있지만 참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으로 지명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총리대신이 사실상 가지고 있는 중의원 해산을 참의원 의원이 행사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중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에 취임하는 것이 맞다는 정치적 관례·풍조가 있기 때문이다. 2009년 3월 10일 야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이 참의원 의원이 총리대신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의를 한 적이 있는데 이에 대해 아소 내각은 「일본국 헌법」 제67조제1항을 언급하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했다. 또한 국회의원이어야 할 것은 총리대신 선임 요건이기도 하지만 재직 요건이기도 하다.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한 경우 그 의원이 총리대신일 때 총리대신의 지위가 어떻게 되는지 명시한 법령은 없지만 2000년 4월 25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내각법제국장관이 총리대신이 궐위된 때에 해당한다는 답변을 한 적이 있다. 한편 두 번째 조건은 문민일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문민이 아니면 국회의원 선거에도 출마할 수 없다. 자위관을 퇴직하면 문민이 되므로 총리대신으로 지명될 수 있지만 아직 실제 사례는 없다. 옛 일본군에서 복무한 이력이 있는 사람들이 신헌법하에서 총리대신이 된 사례는 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와 다케시타 노보루는 지원장교로서 각각 해군 소좌와 육군 소위에 오른 적이 있고 우노 소스케는 학도병이 되어 육군 소위를 지냈고 무라야마 도미이치도 징병되어 육군 군조에서 전역했다. = = 지명 절차 = = 내각은 「국회법」 제64조에 근거하여 내각총사직 혹은 내각총리대신 궐위시 중의원과 참의원 의장에게 통지해야 한다. 양원 의장은 양원 본회의에서 의원들에게 통지받았음을 보고해야 한다. 총리대신 궐위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국정에 중대한 지장을 빚을 우려가 있기에 보고가 끝나면 다른 모든 안건보다 우선하여 총리대신 지명을 시작한다. 폐회중일 때 통지가 이루어지면 개회 후에 지명 선거를 실시한다. 「중의원 규칙」 제18조제1항과 「참의원 규칙」 제20조제1항에 따라 지명은 투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중의원 규칙」 제18조제4항과 「참의원 규칙」 제20조제4항에는 투표 외의 방법으로도 지명이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투표 외의 방법으로 총리대신 지명이 이루어진 사례는 없다. = = = 투표 = = = 무기명 투표로 진행되는 양원 의장 투표와 달리 총리대신 지명 투표는 기명 투표로 진행된다. 배부된 투표 용지에 지명자의 이름을 기재하는데 중의원은 투표자 본인의 이름도 함께 기재하는데 참의원은 사전에 투표자의 이름이 압인된 용지를 배부하므로 이런 절차가 따로 없다. 옛날에는 하얀색 명찰표를 첨부해야 했지만 참의원은 1955년부터, 중의원은 2008년부터 해당 규정이 사라졌다. 투표를 진행하기에 앞서 의장은 투표 방법을 설명한다. 투표가 시작하면 참사가 의석번호 순서대로 점호하면 해당 의원이 단상에 올라가 투표함에 표를 넣는다. 중의원은 의원이 직접 넣지만 참의원은 참사에게 전달하여 참사가 표를 넣는다. 이때 참의원 의장은 투표를 하지 않는데 이는 단순한 정치적 관례다. 중의원 의장과 양원 부의장은 그런 관례가 없다. = = = 개표 = = = 투표가 끝나면 투표함은 폐쇄된다. 이후 의장의 명을 받아 참사가 개표를 행하는데 중의원에서는 각료 의석 뒤에 마련된 테이블에서, 참의원에서는 연단에서 개표한다. 표의 집계와 기록은 양원 사무차장이 담당하며 결과를 기재한 용지를 사무총장이 확인한 다음 의장에게 보고된다. 피지명자의 이름을 적지 않거나 특정하기 곤란한 경우, 투표자의 이름이 현역 국회의원이 아니거나 투표자 이름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 등은 모두 무효표가 된다. 성이 같은 의원이 두 명 있을 때 성만 적고 이름을 적지 않아 무효표가 된 사례도 있다. 결선투표를 할 경우에는 결선투표에 오른 자 이외의 이름을 적은 경우도 무효표가 된다. 개표 결과를 보고하기 전에 중의원은 의장이 총 투표수와 과반수·무효표를 의원에게 보고하고 사무총장이 개표 결과를 보고한다. 참의원은 총 투표수 보고 과정은 따로 없으며 사무총장이 아니라 의장이 개표 결과를 보고한다. = = = 지명 = = = 「중의원 규칙」 제18조제2항과 「참의원 규칙」 제20조제2항에 따라 투표 총수의 과반수를 얻은 의원은 피지명자가 된다. 이때 투표 총수는 무효표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한다. 과반수를 얻은 의원이 없을 때는 「중의원 규칙」 제18조제3항과 「참의원 규칙」 제30조제3항에 따라 가장 많은 표를 받은 두 명의 의원을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진행한다. 결선투표는 과반수 조건이 없기 때문에 두 사람 중 한 표라도 더 많은 표를 얻은 의원이 지명자가 된다. 1979년 40일 항쟁 당시 중의원에서 열린 결선투표에서 많은 야당 의원들이 투표를 포기해 오히라 마사요시가 138표, 후쿠다 다케오가 121표를 얻은 것에 비해 무효표가 252표가 나왔지만 오히라가 중의원의 지명을 받은 적이 있었다. 만약 첫 번째 지명 선거에서 과반수가 나오지 못한 상황에서 세 사람이 동일한 득표수로 공동 1위에 오르거나 두 사람이 동일한 득표수로 공동 2위에 오르는 등 상위 투표자 두 명을 선정할 수 없을 때는 「중의원 규칙」 제18조제3항과 「참의원 규칙」 제30조제3항의 규정대로 추첨을 해서 두 명을 선정한다. 추첨 방식은 은색 종이로 포장된 둥근 구슬을 추첨함에 넣어 하나씩 뽑은 뒤 포장지를 벗겨서 검은색 구슬일 경우 결선투표에 오르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제로 추첨 절차가 진행된 사례는 한 번도 없다. 투표 절차가 모두 끝나면 의장이 최종적으로 각 원의 지명자를 발표한다. 「일본국 헌법」 제67조는 국회의 의결로 지명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국회의 의사 결정에 의해 지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명과 별개로 의결 과정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옛날에는 지명과 의결을 별개의 것으로 해석하여 투표가 끝난 후 지명할지를 두고 다시 의결을 거쳤는데 1948년에 참의원에서 총리대신 지명 선거가 끝난 뒤 의결 과정에서 반대표가 찬성표보다 많이 나와 의장이 직권으로 의결을 무효로 한 후 요시다 시게루를 지명자로 선언한 일이 있었다. 지금은 「중의원 규칙」 제18조와 「참의원 규칙」 제20조가 개정되어 별도의 의결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 = 지명 후 = = = 각 원에서 총리대신 지명을 의결하면 「국회법」 제86조에 따라 다른 원에 이를 통지한다. 양원에서 모두 총리대신 지명을 의결했을 때 피지명자가 동일 인물이라면 그대로 총리대신이 된다. 그런데 양원의 지명 의결을 받은 의원이 다른 사람일 때에는 「국회법」 제86조제2항에 따라 양원협의회를 열어야 한다. 양원협의회에서 합의를 보거나 출석한 협의회 의원 중 2/3의 동의를 얻은 의원이 지명자가 되는데 어느 방식이든 한 명의 지명자를 도출해내지 못하면 중의원 우월의 원칙에 따라 중의원의 의결이 국회의 의결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중의원 지명자와 참의원 지명자가 달랐던 적은 다섯 번이 있는데 한 번도 양원협의회에서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해 중의원 우월 원칙에 따라 중의원 지명자가 총리대신이 되었다. 한편 중의원이 지명자를 의결하고도 참의원이 휴회 기간을 제외하고 10일 이내에 지명자를 의결하지 않으면 「국회법」 제67조제2항에 따라 그대로 중의원의 의결이 국회의 의결이 된다. 이 제도는 자연성립이라 하며 총리대신 지명 선거의 경우에는 자연지명이라고 하는데 자연성립의 예는 많이 있지만 자연지명의 예는 지금껏 한 번도 없다. 국회 지명자가 결정되면 중의원 의장이 내각을 통해 천황에게 상주하며 이와 별개로 참의원 의장이 참내하여 직접 천황에게 보고도 한다. 피지명자는 이후 「일본국 헌법」 제6조에 따라 교코에서 친임식을 거행한 뒤 천황으로부터 임명을 받아 정식으로 총리대신에 취임한다. = = 역대 선거 = = = = = 중의원 = = = 대수 회차 회차 지명일 1위 (피지명자) 1위 (피지명자) 1위 (피지명자) 2위 2위 2위 표차 비고 대수 회차 회차 지명일 이름 정당 득표수 이름 정당 득표수 표차 비고 46 1 특별국회 1947년 5월 23일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420 요시다 시게루 일본자유당 1 419 헌정의 상도에 근거해 선거 전에 정당 간에 합의가 있었다. 46 1 특별국회 1947년 5월 23일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420 사이토 아키라 입헌양정회 1 419 헌정의 상도에 근거해 선거 전에 정당 간에 합의가 있었다. 47 2 통상국회 1948년 2월 21일 아시다 히토시 민주당 216 요시다 시게루 일본자유당 180 36 48 3 임시국회 1948년 10월 14일 요시다 시게루 민주자유당 184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87 97 결선투표에서 요시다가 185표, 가타야마가 1표를 얻었다. 표차는 184표. 49 5 특별국회 1949년 2월 11일 요시다 시게루 민주자유당 350 아사누마 이네지로 일본사회당 86 264 50 15 특별국회 1952년 10월 24일 요시다 시게루 자유당 247 시게미쓰 마모루 개진당 88 159 51 16 특별국회 1953년 5월 19일 요시다 시게루 자유당 203 시게미쓰 마모루 개진당 104 99 결선투표에서 요시다가 204표, 시게미쓰가 115표를 얻었다. 표차는 89표. 52 20 임시국회 1954년 12월 9일 하토야마 이치로 일본민주당 257 오가타 다케토라 자유당 191 66 53 22 특별국회 1955년 3월 18일 하토야마 이치로 일본민주당 254 스즈키 모사부로 사회당 좌파 160 94 54 23 임시국회 1955년 11월 22일 하토야마 이치로 자유민주당 288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150 138 55 26 통상국회 1956년 12월 20일 이시바시 단잔 자유민주당 291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150 141 56 26 통상국회 1957년 2월 25일 기시 노부스케 자유민주당 276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129 147 57 29 특별국회 1958년 6월 12일 기시 노부스케 자유민주당 290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162 128 58 35 임시국회 1960년 7월 18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275 아사누마 이네지로 일본사회당 121 154 59 37 특별국회 1960년 12월 7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290 에다 사부로 일본사회당 141 149 60 45 특별국회 1963년 12월 9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280 가와카미 조타로 일본사회당 137 143 61 47 임시국회 1964년 11월 9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283 가와카미 조타로 일본사회당 137 146 62 55 특별국회 1967년 2월 17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279 사사키 고조 일본사회당 131 148 63 63 특별국회 1970년 1월 14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297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89 208 64 69 임시국회 1972년 7월 6일 다나카 가쿠에이 자유민주당 297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86 211 65 71 특별국회 1972년 12월 22일 다나카 가쿠에이 자유민주당 280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116 164 66 74 임시국회 1974년 12월 9일 미키 다케오 자유민주당 278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117 161 67 79 임시국회 1976년 12월 24일 후쿠다 다케오 자유민주당 256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122 134 68 86 임시국회 1978년 12월 7일 오히라 마사요시 자유민주당 254 시모다이라 쇼이치 일본사회당 116 138 69 89 특별국회 1979년 11월 6일 오히라 마사요시 자유민주당 135 후쿠다 다케오 자유민주당 125 10 결선투표에서 오히라가 138표, 후쿠다가 121표를 얻었다. 표차는 17표.자민당의 당내 항쟁인 40일 항쟁 과정에서 자민당에서 후보자가 두 명 나왔다. 70 92 특별국회 1980년 7월 17일 스즈키 젠코 자유민주당 291 아스카타 이치오 일본사회당 106 185 71 97 임시국회 1982년 11월 26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287 아스카타 이치오 일본사회당 102 185 72 101 특별국회 1983년 12월 26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265 이시바시 마사시 일본사회당 114 151 73 106 특별국회 1986년 7월 22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304 이시바시 마사시 일본사회당 84 220 74 110 임시국회 1987년 11월 6일 다케시타 노보루 자유민주당 299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145 154 75 114 통상국회 1989년 6월 2일 우노 소스케 자유민주당 285 도이 다카코 일본 사회당 139 146 76 115 임시국회 1989년 8월 9일 가이후 도시키 자유민주당 294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142 152 77 118 특별국회 1990년 2월 27일 가이후 도시키 자유민주당 286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146 140 78 122 임시국회 1991년 11월 5일 미야자와 기이치 자유민주당 276 다나베 마코토 일본사회당 140 136 79 127 특별국회 1993년 8월 6일 호소카와 모리히로 일본신당 262 고노 요헤이 자유민주당 224 38 80 129 통상국회 1994년 4월 25일 하타 쓰토무 신생당 274 고노 요헤이 자유민주당 207 67 81 129 통상국회 1994년 6월 29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사회당 241 가이후 도시키 무소속 220 21 결선투표에서 무라야마가 261표, 가이후가 214표를 얻었다. 표차는 47표. 82 135 임시국회 1996년 1월 11일 하시모토 류타로 자유민주당 288 오자와 이치로 신진당 167 121 83 138 특별국회 1996년 11월 7일 하시모토 류타로 자유민주당 262 오자와 이치로 신진당 152 110 84 143 임시국회 1998년 7월 30일 오부치 게이조 자유민주당 268 간 나오토 민주당 164 104 85 147 통상국회 2000년 4월 5일 모리 요시로 자유민주당 335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95 240 86 148 특별국회 2000년 7월 4일 모리 요시로 자유민주당 284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130 154 87 151 통상국회 2001년 4월 26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287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127 160 88 158 특별국회 2003년 11월 19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281 간 나오토 민주당 186 95 89 163 특별국회 2005년 9월 2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340 마에하라 세이지 민주당 114 226 90 165 임시국회 2006년 9월 26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339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115 224 91 168 임시국회 2007년 9월 25일 후쿠다 다케오 자유민주당 338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117 221 92 170 임시국회 2008년 9월 24일 아소 다로 자유민주당 337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117 220 93 172 특별국회 2009년 9월 16일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327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자유민주당 119 208 94 174 통상국회 2010년 6월 4일 간 나오토 민주당 313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유민주당 116 197 95 177 통상국회 2011년 8월 30일 노다 요시히코 민주당 308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유민주당 118 190 96 182 특별국회 2012년 12월 26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328 가이에다 반리 민주당 57 271 97 188 특별국회 2014년 12월 24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328 오카다 가쓰야 민주당 73 255 98 195 특별국회 2017년 11월 1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312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60 252 99 202 임시국회 2020년 9월 16일 스가 요시히데 자유민주당 314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134 180 100 205 임시국회 2021년 10월 4일 기시다 후미오 자유민주당 311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124 187 101 206 특별국회 2021년 11월 10일 기시다 후미오 자유민주당 297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108 189 = = = 참의원 = = = 대수 회차 회차 지명일 1위 (피지명자) 1위 (피지명자) 1위 (피지명자) 2위 2위 2위 표차 비고 대수 회차 회차 지명일 이름 정당 득표수 이름 정당 득표수 표차 비고 46 1 특별국회 1947년 5월 23일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205 시데하라 기주로 민주당 1 204 46 1 특별국회 1947년 5월 23일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205 오자키 유키오 무소속 1 204 47 2 통상국회 1948년 2월 21일 요시다 시게루 일본자유당 101 아시다 히토시 민주당 99 2 결선투표에서 요시다가 104표, 아시다가 102표를 얻었다. 표차는 2표.중의원 지명자와 불일치해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 48 3 임시국회 1948년 10월 14일 요시다 시게루 민주자유당 144 가타야마 데쓰 일본사회당 29 115 49 5 특별국회 1949년 2월 11일 요시다 시게루 민주자유당 167 아사누마 이네지로 일본사회당 28 139 50 15 특별국회 1952년 10월 24일 요시다 시게루 자유당 126 스즈키 모사부로 사회당 좌파 35 91 51 16 특별국회 1953년 5월 19일 요시다 시게루 자유당 141 스즈키 모사부로 사회당 좌파 47 94 52 20 임시국회 1954년 12월 9일 하토야마 이치로 일본민주당 116 오가타 다케토라 자유당 85 31 53 22 특별국회 1955년 3월 18일 하토야마 이치로 일본민주당 99 스즈키 모사부로 사회당 좌파 58 41 54 23 임시국회 1955년 11월 22일 하토야마 이치로 자유민주당 149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64 85 55 26 통상국회 1956년 12월 20일 이시바시 단잔 자유민주당 150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77 73 56 26 통상국회 1957년 2월 25일 기시 노부스케 자유민주당 147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70 77 57 29 특별국회 1958년 6월 12일 기시 노부스케 자유민주당 132 스즈키 모사부로 일본사회당 74 58 58 35 임시국회 1960년 7월 18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143 아사누마 이네지로 일본사회당 69 74 59 37 특별국회 1960년 12월 7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134 에다 사부로 일본사회당 62 72 60 45 특별국회 1963년 12월 9일 이케다 하야토 자유민주당 138 가와카미 조타로 일본사회당 55 83 61 47 임시국회 1964년 11월 9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146 가와카미 조타로 일본사회당 56 90 62 55 특별국회 1967년 2월 17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123 사사키 고조 일본사회당 60 63 63 63 특별국회 1970년 1월 14일 사토 에이사쿠 자유민주당 126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56 70 64 69 임시국회 1972년 7월 6일 다나카 가쿠에이 자유민주당 133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62 71 65 71 특별국회 1972년 12월 22일 다나카 가쿠에이 자유민주당 128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60 68 66 74 임시국회 1974년 12월 9일 미키 다케오 자유민주당 130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66 64 67 79 임시국회 1976년 12월 24일 후쿠다 다케오 자유민주당 125 나리타 도모미 일본사회당 64 61 68 86 임시국회 1978년 12월 7일 오히라 마사요시 자유민주당 126 시모다이라 쇼이치 일본사회당 52 74 69 89 특별국회 1979년 11월 6일 오히라 마사요시 자유민주당 78 아스카타 이치오 일본사회당 51 27 결선투표에서 오히라가 97표, 아스카타가 52표를 얻었다. 표차는 45표. 70 92 특별국회 1980년 7월 17일 스즈키 젠코 자유민주당 134 아스카타 이치오 일본사회당 49 85 71 97 임시국회 1982년 11월 26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130 아스카타 이치오 일본사회당 50 80 72 101 특별국회 1983년 12월 26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131 이시바시 마사시 일본사회당 47 84 73 106 특별국회 1986년 7월 22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유민주당 139 이시바시 마사시 일본사회당 45 94 74 110 임시국회 1987년 11월 6일 다케시타 노보루 자유민주당 143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72 71 75 114 통상국회 1989년 6월 2일 우노 소스케 자유민주당 124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65 59 76 115 임시국회 1989년 8월 9일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112 가이후 도시키 자유민주당 109 3 결선투표에서 도이가 127표, 가이후가 109표를 얻었다. 표차는 18표.중의원 지명자와 불일치해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 77 118 특별국회 1990년 2월 27일 가이후 도시키 자유민주당 111 도이 다카코 일본사회당 91 20 78 122 임시국회 1991년 11월 5일 미야자와 기이치 자유민주당 115 다나베 마코토 일본사회당 85 30 79 127 특별국회 1993년 8월 6일 호소카와 모리히로 일본신당 132 고노 요헤이 자유민주당 93 39 80 129 통상국회 1994년 4월 25일 하타 쓰토무 신생당 127 고노 요헤이 자유민주당 95 32 81 129 통상국회 1994년 6월 29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사회당 148 가이후 도시키 무소속 63 85 82 135 임시국회 1996년 1월 11일 하시모토 류타로 자유민주당 158 오자와 이치로 신진당 69 89 83 138 특별국회 1996년 11월 7일 하시모토 류타로 자유민주당 145 오자와 이치로 신진당 68 77 84 143 임시국회 1998년 7월 30일 오부치 게이조 자유민주당 103 간 나오토 민주당 98 5 결선투표에서 간이 142표, 오부치가 103표를 얻었다. 표차는 39표.중의원 지명자와 불일치해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 85 147 통상국회 2000년 4월 5일 모리 요시로 자유민주당 137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56 81 86 148 특별국회 2000년 7월 4일 모리 요시로 자유민주당 133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60 73 87 151 통상국회 2001년 4월 26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138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59 79 88 158 특별국회 2003년 11월 19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136 간 나오토 민주당 81 55 89 163 특별국회 2005년 9월 2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자유민주당 134 마에하라 세이지 민주당 84 50 90 165 임시국회 2006년 9월 26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136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85 51 91 168 임시국회 2007년 9월 25일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117 후쿠다 야스오 자유민주당 106 11 결선투표에서 오자와가 133표, 후쿠다가 106표를 얻었다. 표차는 27표.중의원 지명자와 불일치해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 92 170 임시국회 2008년 9월 24일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120 아소 다로 자유민주당 108 12 결선투표에서 오자와가 125표, 아소가 108표를 얻었다. 표차는 17표.중의원 지명자와 불일치해 양원협의회를 열었으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 93 172 특별국회 2009년 9월 16일 하토야마 유키오 민주당 124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자유민주당 84 40 94 174 통상국회 2010년 6월 4일 간 나오토 민주당 123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유민주당 71 52 95 177 통상국회 2011년 8월 30일 노다 요시히코 민주당 110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유민주당 85 25 결선투표에서 노다가 110표, 다니가키가 107표를 얻었다. 표차는 3표. 96 182 특별국회 2012년 12월 26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107 가이에다 반리 민주당 87 20 결선투표에서 아베가 107표, 가이에다가 96표를 얻었다. 표차는 11표. 97 188 특별국회 2014년 12월 24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135 오카다 가쓰야 민주당 61 74 98 195 특별국회 2017년 11월 1일 아베 신조 자유민주당 151 오쓰카 고헤이 민진당 48 103 99 202 임시국회 2020년 9월 16일 스가 요시히데 자유민주당 142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78 64 100 205 임시국회 2021년 10월 4일 기시다 후미오 자유민주당 141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65 76 101 206 특별국회 2021년 11월 10일 기시다 후미오 자유민주당 141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60 81 = 분류:중국의 남자 경보 선수 = = 분류:테르노필 = =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6-17 =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6-17은 아랍에미리트 최상위 리그의 42번째 시즌이다. 2017년 4월 29일 알자지라가 하타를 상대로 5-0 승리를 거두고, 구단의 두번째 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 = 2016-17 시즌 참가 클럽 = = 구단 연고지 경기장 수용인원 알아흘리 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알아인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알다프라 마디나트 자예드 알다프라 스타디움 알자지라 아부다비 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알나스르 두바이 알막툼 스타디움 알샤바브 두바이 막툼 빈 라시드 알 막툼 스타디움 샤르자 샤르자 샤르자 스타디움 알와흐다 아부다비 알나얀 스타디움 알와슬 두바이 자빌 스타디움 바니야스 아부다비 바니야스 스타디움 디바 알푸자이라 푸자이라 푸자이라 클럽 스타디움 에미리트 라스 알카이마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하타 하타 함단 빈 라시드 스타디움 칼바 칼바 이티하드 칼바 스타디움 = = 외국인 선수 명단 = = 아라비안 걸프 리그 구단들은 규정상 총 네 명의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있으며, 그 중 세 자리는 AFC 이외의 대륙 소속 선수만이 등록될 수 있다. 구단 선수 1 선수 2 선수 3 선수 4 디바 알푸자이라 브루누 모라이스 완데를레이 드리스 페투히 야신 알바키트 바니야스 아히 노비요 장필리프 망디 에제키엘 헨티 마크 밀리건 샤르자 디강 아드리안 미에르제예프스키 헬민 리바스 마스다 치카시 알나스르 완데를레이 지레 켐보 에코코 압델 바라다 조안 우마리 알다프라 이삼 엘아두아 아딜 헤르마크 칼리드 알하즈리 알샤바브 토마스 데 빈센티 나나 포쿠 엔히키 루바노르 아지즈베크 하이다로프 알아인 카이우 다닐로 아스프리야 나세르 알샴라니 이명주 알아흘리 아사모아 기안 이베르통 히베이루 마케테 디우프 알와슬 파비우 리마 호나우두 멘지스 세르지뉴 카이우 코헤아 알와흐다 세바스티안 타글리아베 호르헤 발디비아 주자크 벌라주 임창우 알자지라 아이우통 레오나르두 음바르크 부수파 박종우 에미리트 무라드 바트나 오스만 소우 호신 라게드 아흐마드 이브라힘 칼리프 칼바 바카흐 코네 시에우 모디보 마이가 살람 샤케르 하타 사무에우 하파에우 시우바 아드리안 로포탄 니콜라이 토포어스탠리 = = 시즌 통계 = = = = = 득점 순위 = = = 순위 이름 클럽 골 1 알리 맙쿠트 알자지라 33 2 파비우 리마 알와슬 25 3 마케테 디우프 알아흘리 21 4 세바스티안 타글리아베 알와흐다 19 5 카이우 코헤아 알와슬 14 = = 기타 = = 2016-17 = 분류:케이맨 제도의 환경 = = 분류:1960년 동계 올림픽 = = 다쓰야마촌 (오카야마현) = 다쓰야마촌은 오카야마현 구메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구메난정에 해당한다. = 분류:맹꽁이과 = = 아이즈 = 아이즈는 다음 등을 가리킨다. 아이즈(会津)는 일본 후쿠시마현의 지방이다. 아이즈 군은 아이즈 지방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다. 아이즈번은 아이즈 지방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다. 아이즈와카마쓰시 《아이즈》(ize)는 대한민국의 문화 전문 잡지이다. 아이즈(IZ)는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이다. 《아이즈》(I"s)는 카츠라 마사카즈의 로맨스 만화이다. = 분류:2018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트리니다드 토바고 = 모듈:Location map/data/USA Indiana Clinton County/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SA_Indiana_Clinton_County/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올리버 로 = 올리버 로(Oliver Law, 1899년 ~ 1937년 7월 9일)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산주의자로서, 노동운동 조직가, 사회운동가이며, 스페인 내전에 링컨 여단의 일원으로서 참전하였다. = = 배경 = = 택사스 출신으로 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그 후 시카고로 이주하여 여러 종류의 직군에 몸 담았다. 1929년 미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대공황 시기 동안 탁월한 활동가로 거듭났다. = = 스페인 내전 = = 파시즘에 강력히 반대하던 올리버 로는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전쟁을 규탄하는 시위를 이끌었으며, 1936년에는 스페인으로 여행을 떠나 프랑코와 국가주의자들에 맞서 저항하는 싸움에 동참하고자 했다. 1936년 올리버 로는 링컨 여단에 합류하여 스페인 내전 동안 공화파를 위해 싸우기를 자원한다. 1937년 1월에 스페인에 도착하여 국제여단에 합류한다. = 대전광역시립미술관 = 대전시립미술관(大田市立美術館)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시민의 미술문화의식 향상과 건전한 미술활동 보급을 위하여 대전광역시청 산하에 설치된 사업소이다. 시립미술관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 = 연혁 = = 1995년 6월 29일 공사 착공 1997년 12월 30일 건물 준공 1998년 3월 10일 관리운영조례 제정 1998년 4월 15일 개관 = = 조직 = = 관리과 학예연구실 = 분류:불가리아의 여자 레슬링 선수 = = 수송중학교 = 수송중학교(壽松中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0년 11월 25일 : 수송중학교 설립인가 2001년 3월 1일 : 초대 홍성무 교장 취임 2001년 3월 2일 : 제1회 입학식 2001년 5월 16일 : 개교기념일 2004년 2월 11일 : 제1회 졸업식(졸업생 360명) 2009년 7월 20일 : 솔빛관 개관 2013년 12월 17일 : 레슬링부 창단 2022년 9월 1일 : 제8대 박성희 교장 취임 2022년 12월 29일 : 제20회 졸업식(122명, 누계 4,817명) 2023년 3월 2일 : 제23회 입학식(120명) = 알 라드 = 알 라드는 꾸란의 13번째 수라(장)이다. 메디나에서 계시된 43구절로 이뤄져 있으며 죽은 자를 부활시키는 창조주의 능력을 드러내고 있다. 또, 이 수라는 최후로 선택된 예언자는 하나님의 메시지라는 사실과 함께 그가 인류에게 보내어진 선지자라고 분명히 밝히며 끝을 맺는다. = HIP 114341 = = 니콜라스 림바흐 = 니콜라스 림바흐(, 1985년 12월 29일 ~ )는 독일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사브르이다. 그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폴란드의 마르친 코니우시를 32강에서 15-7로 꺾었다. 그러나 이어지는 16강전에서 벨라루스의 알략산드르 부이케비치에게 14-15로 패하며 탈락하였다. 그는 예선전 경기에서 알도 몬타노를 10번 만나 9번 이기며 이기며 9번 시드를 획득하였다.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그는 동메달을 땄다. 그는 루마니아의 라레슈 두미트레스쿠를 이기고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그는 2010년과 2011년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딴 경험이 있다. 2009년 그가 금메달을 따기 이전까지, 그의 소속팀 TSV 바이어 도르마겐에서 사브르 금메달을 딴 경험이 있는 선수는 1994년의 펠릭스 베커가 유일하다. = 분류:대륙별 촬영한 영화 = = 오이가와 철도 오이가와 본선 = 오이가와 본선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마다시의 가나야역과 시즈오카 현 하이바라군 가와네혼정의 센즈 역에 이르는 오이가와 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 = 노선 정보 =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 39.5km 궤간 : 1,067mm 역 수 : 19역 (기·종점역 포함) 복선화 구간 : 없음 (전 구간 단선)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전철화 (직류 1500V) 폐색 방식 : 스탭 폐색식 (가나야 - 신카나야 역 간), 자동 폐색식 (신카나야 역 - 센즈 역 간) = = 역 목록 = = 역명 일어 역명 로마자 역명 역간거리 영업거리 SL급행 접속 노선 열차교환 소재지 가나야 金谷 Kanaya - 0.0 도카이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 | 시마다시 신카나야 新金谷 SHIN-KANAYA 2.3 2.3 ● ◇ 시마다시 다이칸초 代官町 DAIKANCHŌ 1.5 3.8 | | 시마다시 히기리 日切 HIGIRI 0.5 4.3 | | 시마다시 고카 五和 GOKA 0.7 5.0 | ◇ 시마다시 가미오 神尾 KAMIO 4.8 9.8 | ◇ 시마다시 후쿠요 福用 FUKUYŌ 2.5 12.3 | ◇ 시마다시 오와다 大和田 OWADA 2.5 14.8 | | 시마다시 이에야마 家山 IEYAMA 2.3 17.1 ● ◇ 시마다시 누쿠리 抜里 NUKURI 1.7 18.8 | | 시마다시 가와네온센사사마도 川根温泉笹間渡 KAWANEONSENSASAMADO 1.2 20.0 ▲ | 시마다시 지나 地名 JINA 2.9 22.9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시오고 塩郷 SHIOGO 1.4 24.3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시모이즈미 下泉 SHIMOIZUMI 3.1 27.4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다노쿠치 田野口 TANOKUCHI 3.6 31.0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스루가토쿠야마 駿河徳山 SURUGA-TOKUYAMA 3.1 34.1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아오베 青部 AOBE 2.0 36.1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사키다이라 崎平 SAKIDAIRA 1.1 37.2 |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센즈 千頭 SENZU 2.3 39.5 ● 오이가와 철도 이카와 선 ∧ 하이바라군가와네혼정 = 순천효천고등학교 = 순천효천고등학교(順天曉泉高等學校)는 전라남도 순천시 대룡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83년 4월 22일 : 학교법인 효천학원 설립 인가, 설립자 서채원 1983년 11월 21일 : 학교 법인 인가 (학년당 6학급/총 18학급) 1984년 3월 1일 : 초대 유영위 교장 취임 1984년 5월 3일 : 개교식(본관동, 제1교동 준공) 1986년 8월 30일 : 기숙사 준공 (총 424명 수용) 1986년 11월 13일 : 강당 준공(772평, 1,211석) 1988년 1월 11일 : 제2대 서동호 이사장 취임 1997년 12월 16일 : 효승관(야구부 합숙소) 준공식 1999년 3월 2일 : 학칙변경(남녀공학 시작) 1999년 10월 10일 : 효천 서채원 설립자 동상 제막 2002년 5월 28일 : 호연관(기숙사 도서관) 준공 2008년 2월 12일 : 홍의관(실내체육관) 준공 2009년 8월 13일 : 급식소 준공 2020년 3월 2일 : 제11대 윤석현 교장 취임 2022년 1월 7일 : 제36회 졸업식 (졸업생 243명) 총 졸업생 수 16,227명 = 분류:2010년대 칠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분류:도쿄도의회 의원 선거 = = 스터프 = 스터프(stuff)는 다음을 의미한다. 물리적 물질 《Stuff》: 빌 와이먼의 1992년 음반 = 분류:K7리그 김포 = = 멜리사 드 수사 = 멜리사 드 수사(Melissa De Sousa, 1967년 9월 25일 ~ )는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뉴욕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크루 (2014년) 더 베스트 맨 홀리데이 (2013년) - 셸비 역 애쉬즈 (2009년) 박쥐 2 - 휴먼 하베스트 (2007년) 론 클락 스토리 (2006년) 콘스텔레이션 (2005년) 바이커 보이즈 (2003년) 로렐 캐년 (2002년) 원 온 원 (2001년) 감금 (2000년) 미스 에이전트 (2000년) 라이드 (1998년) 리빙 싱글 (1993년) 못말리는 번디 가족 (1987년) = 나윤민 = (, 1987년 7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였다. = 틀:월식 정보 = = 미나미미노와촌 = 미나미미노와촌은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한 가미이나군의 촌이다. = = 지리 = = 시가지는 이나 골짜기를 흐르는 덴류강의 하안단구상에 위치한다. 또 서쪽의 월경지는 중앙 알프스 북부의 교가타케를 포함한다. = = 역사 = = 1875년 2월 18일 - 구보 촌, 오이즈미 촌, 기타토노 촌, 미나미토노 촌, 다바타 촌, 미코시바 촌이 합병해 미나미미노와 촌이 성립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교통 = = = = = 철도 = = =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 = = = 도로 = = = 주오 자동차도 국도 153호선 국도 361호선 = 가와라시로촌 = 가와라시로촌은 이바라키현 기타소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류가사키시 서부에 해당한다. = 화순 유마사 보안교 = 화순 유마사 보안교는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마리, 유마사에 있는 돌다리이다. 2007년 1월 5일 화순군의 향토문화유산 제3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보안교는 절에 들어가는 입구 계곡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현재는 그 옆에 일주문이 지어져 있다. 다리는 좁지 않은 계곡을 하나의 큰 돌로 가로질러 놓아 계곡의 동서 양편을 연결하고 있다. 재질은 화강암으로 크기는 가로가 가장 좁은 동쪽은 200cm이고 넓은 서쪽은 315cm에 이른다. 세로는 약 310cm이고 두께는 약 35cm로 윗면은 잘 다듬어져 있다. 다리 위에는 두개의 명문이 있는데, 계곡 아래쪽에 '維摩洞天普安橋'가 계곡의 북쪽에 '觀世音普薩 梁蓮浩'라고 쓰여 있다. 글씨의 크기는 17~24cm이다. 관세음보살의 옆에는 한글로 '관세음보살'이라고 쓰여 있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白雲居士書'라고 쓰여 있다. 보안교는 형태는 널다리 양식이지만 여러개의 돌을 결구하지 않고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돌다리와는 다르다. 따라서 건립시기를 추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보안교에는 유마사의 창건주 유마운의 딸인 보안이 놓았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그러나 보안교가 유마사 기록중에 나타난 것은 1919년에 쓴 '동복군유마사봉향각창건상량문'에서이다. 따라서 보안교는 1919년 이전에는 놓여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19년에 김영운 주지가 현재 다리의 서쪽에 있던 좁은 절터에서 더 너넓은 편평한 땅(현재 유마사 위치)으로 건물터를 옮긴 것은 다리를 건너기 용이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현지 안내문 '유마사 보안교'에서 인용 = 정지영 (방송인) = 정지영(, 1975년 5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 = 생애 = = 이화여대 4년 재학 중이던 1998년 11월 16일 SBS 공채 6기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2000년 SBS 파워FM에서 《스위트뮤직박스》를 진행하였다. 스위트뮤직박스는 장기간 동시간대 청취율 1위를 기록해 큰 인기를 얻었다. 2003년 결혼한 뒤 2004년 3월 SBS에서 퇴사하고 프리랜서가 되었다. SBS 퇴사 이후 여러 방송에서 활발히 활동하다가(EBS1 최고의 요리비결 MC 등) 2006년 《마시멜로 이야기》의 대리 번역 논란에 휘말리며, 큰 타격을 받고 7년여간 진행한 스위트뮤직박스와 출연하던 모든 방송에서 하차하였다. 그리고 2007년 하차 1년 만에 《스위트뮤직박스》에 복귀하였다. 2년 동안 《스위트뮤직박스》를 더 진행하였고, 2010년 3월 28일 《스위트뮤직박스》에서 완전히 떠났다. 2011년 12월 5일 결혼 8년 만에 아들을 낳았다. 대리 번역 관련 논란 이후 지상파 방송에서는 6년 가까이 제대로 활동하지 못했다. 2008년 6월 1일 KBS 2TV 《해피선데이》에 새로 생긴 코너인 《이 맛에 산다》의 고정 패널로 지상파 방송에 복귀하였지만 3개월 만에 코너가 폐지되면서 하차하였고, 2009년 4월 13일 KBS 2TV 《미녀들의 수다》에 패널로 출연하였다. 2009년 5월 4일 SBS 《야심만만 2》에 패널로 출연하였고, 2010년 4월 27일과 2010년 10월 18일 KBS 2TV 《낭독의 발견》에 출연하였다. 이후 2012년 6월 10일까지 지상파 방송에 출연하지 못하다가 2012년 6월 11일 MBC 《생방송 월화수목》의 진행을 맡았다. 《생방송 월화수목》이 2012년 10월 14일 종방한 이후 10월 22일부터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의 진행을 맡게 되었다. = = = 지상파 방송 진행 복귀 = = = 2006년 대리 번역 논란으로 유명 방송인의 자리에서 내려와 6년간 지상파 방송에 거의 출연하지 못하고 몇 개의 행사 진행자로 나선 것 외에는 대중에게 얼굴을 거의 드러내지 못하던 그녀는 2012년 6월 11일 MBC 《생방송 월화수목》의 진행을 맡아 지상파 방송 진행자로 6년 만에 복귀하였다. 이후 《생방송 월화수목》은 2012년 10월 14일 종방하였다. = = 학력 = = 괴정초등학교 (졸업) 부산중앙여자중학교 (졸업) 삼성여자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졸업) = = 대리 번역 관련 논란 = = 그녀는 2005년 마시멜로 이야기를 번역하였다고 출판사에 의해 소개되었지만 2006년 대리 번역 논란에 휘말리며 큰 타격을 받았다. = = 진행 및 활동 = = = = = 라디오 = = = 《정지영의 스위트뮤직박스》(1999년 9월 14일 ~ 2006년 10월 19일, 2007년 11월 6일 ~ 2010년 3월 29일) 《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2012년 10월 22일 ~ ) = = = 영화 = = = 《내 심장을 쏴라》(2015년) - 라디오 아나운서 역 (카메오 출연) 《히말라야》(2015년) - 라디오 DJ 역 (카메오 출연) = = = 드라마 = = = 《THE K2》(2016년, tvN) - 노지연 역 (특별 출연) 《20세기 소년소녀》(2017년, MBC) - 〈무비투나잇 정지영입니다〉 DJ 정지영 역 (특별 출연) 《남자친구》(2018년, tvN) = = = 예능 = = = 2005년 EBS1 《최고의 요리 비결》 MC 2013년 MBC 《나 혼자 산다》 = = = 광고 = = = 2005년 웅진코웨이 케어스 공기청정기 (송강호와 함께 출연) = = 수상 = = 2014년 MBC 방송연예대상 라디오 부문 여자 우수상 2022년 MBC 방송연예대상 라디오 부문 여자 최우수상 = 분류:보존 틀 = = 위키백과:알찬 목록 후보/300 승 클럽 = = 쿠키런 2 = #Redirect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마카오 관광 활동 센터 = 마카오 관광 활동 센터은 중국 마카오 세 당구에 있는 관광 센터이다. 1994년 4월 오픈하였으며, 마카오 관광청 산하에 있다. 센터 안에 그랑프리 박물관, 포도주 박물관 등이 있다. = 틀:Citation Style documentation/sep period = 기본적으로 각 항목의 마지막은 온점(.)으로 끝납니다. = 일본 열도 분국설 = 삼한 삼국의 일본 열도 분국설(日本列島分國說)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학자 김석형이 1963년에 처음 주장한 학설이다. 임나일본부설로 대표되던 당시의 일본 사학계를 비판하고자 저술되었다. 김석형은 초기 조일관계 연구를 통하여, 삼한 및 삼국 시대 사람들이 북규슈를 중심으로 일본 열도 전역에 분국(分國)을 설치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김석형은 조희승과 초기조일관계사를 지필하여, 분국설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하지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검증된 바 없다. = = 내용 = = 김석형의 학설에 의하면, 삼한과 삼국의 거주민들이 일본 열도에 도래하였고, 그들은 본국(本國)에 대응하는 분국을 세워 본국과의 교류를 하였다. 한 예로, 칠지도는 본국 백제왕이 분국 백제왕에게 활발한 교류의 결과로 하사한 것으로, 4세기 무렵, 일본 열도에 통일 왕조가 건설되었고, 통일 왕조가 그 중 분국 임나(가야)를 점령하면서 '임나일본부'를 설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 분류:위키데이터 항목이 필요한 생물 분류 식별자 문서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레오나르도 디 세르 피에로 다 빈치(, 1452년 4월 15일~1519년 5월 2일)는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석학(polymath)이다. 화가이자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해부학자, 지리학자, 음악가였다. 2007년 11월에 네이처 지가 선정한 인류역사를 바꾼 10명의 천재중에 가장 창의적인 인물 1위를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차지했다.YTN사이언스 - 다빈치의 위대한 유산 0분 04초 네이처는 과학 전문지이기 때문에 당연히 과학자를 1위에 뽑을 것이라는 모두의 예상을 뒤엎는 결과였으며 2위는 세익스피어였고,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간신히 6위를 차지했다. 르네상스형 만능인 다빈치가 역사상 가장 창의적인 융합형 인재로 평가된 것이다. 그는 평생 기술과 과학 그리고 예술을 하나로 융합하려는 창의적인 노력을 끓임없이 시도하였다. 그의 여러 작품 중 오늘날 가장 유명한 것은 모나리자이다. 모나리자 없이는 루브르 박물관을 논할 수 없다는 평가가 존재할 정도로 모나리자라는 작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며,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널리 알려진 매우 유명한 그림이다. 그 외에도 '최후의 만찬'은 그의 대표작으로 세기의 명작으로 손꼽을 수 있다. = = 초기 생애 = = = = = 출생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토요일 새벽 3시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레오나드로 다빈치 中에서에 토스카나 지방의 산골 마을 빈치(Vinci)에서 태어났다. 다빈치의 태어난 시간까지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은 공증인이었던 그의 조부 안토니오의 직업적인 습관때문이다. 그의 조부는 중요한 일들을 공증문서 노트 뒷 여백에 기록해두곤 하였다고 한다. 빈치(Vinci)는 현 피렌체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직선거리 약 25km 떨어진곳으로 아르노 강의 여러 지류중 위쪽에 자리한 산골 부락이다. 현재에도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대와 마찬가지로 포도밭과 올리브 과수원들이 많이 있는 지역이다. 다빈치의 생가는 보존되어 있어 1년에 약 50만명 가량의 방문객들이 레오나르도 박물관과 생가를 찾는다. 아버지 피에로 다 빈치(Piero da Vinci)는 법률가들을 배출한 지주 가문 출신으로 직업은 공증인이었고 어머니 카타리나는 가난한 집안의 딸이었다. 이들 사이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당시 부친의 나이 23살로 결혼전이었으나 모친은 사회적 신분이 낮았고 지참금을 낼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기에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5 = = = 성장기 = = = 다빈치를 낳은 뒤 8개월후 아버지는 16살짜리 처녀 알비에라와 결혼하였고 생모 카타리나는 수도원의 도기 가마공과 결혼하여 캄포제피에서 신혼살림을 차렸다.알레산드로 베초시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공사 2007.326, p15 다빈치는 처음에 생모와 함께 생활하였는데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6 결혼한 아버지가 계모 알비에라 사이에서 자식을 얻지 못하자 다빈치는 본가에 들어가 생활하게 되었다. 다빈치의 어린시절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많지는 않으나 1457년 경의 과세 기록에 따르면 부친과 한 집에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6 이 시기에 다빈치를 양육한 이는 조부모와 다빈치의 숙부였다. 아버지 피에로가 피렌체에 사무실을 개설하고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6...피렌체 시 중앙에 있던 유명한 감옥 바르겔르의 맞은편에 사무실이 있었다. 지역 공증인과 동업을 하게 되면서 집을 자주 비우고 피렌체로 나가는 일이 잦았다. 그러던중 계모 알비에라는 자식을 낳지 못한채 1464년에 사망했다.알레산드로 베초시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공사 2007.326, p16 1452년, 그의 아버지는 피렌체의 부유한 상인의 딸과 재혼했으나 새로운 계모 역시 아이 없이 사망했다. 이후에 아버지 피에로는 두 차례 더 재혼하였고 이때 아이를 많이 낳은 덕분에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모두 12명이나 되는 이복 형제가 생겼다.뷜렌트 아탈레이 <다 빈치의 유산> 말글빛냄 2004.12.1, p19Rosci, Marco (1977). Leonardo. Bay Books Pty Ltd. ISBN 978-0-85835-176-9. p20Magnano, Milena (2007). Leonardo, collana I Geni dell'arte. Mondadori Arte.ISBN 978-88-370-6432-7. p138 그러나 서자라는 이유 때문에 이복형제들과는 사이가 원만하지 못했다. 1504년 아버지 피에르가 77세 나이로 사망했을 때 이복형제들은 합심해서 음모를 꾸미고, 다빈치에게 아버지의 유산을 한푼도 나눠주지 않았다. 또한 훗날 숙부 프란체스코가 사망한후에는 상속문제를 두고 이복형제들과 민사소송을 하기도 했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59, p209 = = = 사생아의 한계 = = = 당시 피렌체에서는 혼외자에 대한 차별이 심한편은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수준의 차별과 무시는 존재하였다. 귀족 가문의 혼외자가 아닌 경우에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거나 대학교에 진학할 수 없었고[네이버 지식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거장 (인물세계사, 장석봉)] 의사, 약사, 법률가, 행정 공무원이 될 수 없는 등 직업 선택의 폭도 제한적이었다. 부친이 속한 길드(조합)에서도 혼외자가 행정관리나 공증인이 되는것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았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9 다빈치는 정식 학교에서 읽고 쓰기를 배우지 못했고, 비공식적으로 모어이자 모국어인 이탈리아어 등을 배웠을뿐이며 당대 귀족이나 식자층의 자녀들처럼 지식인들이 쓰는 언어들인 라틴어와 그리스어 등을 비롯한 여러 학문에 대한 정상적인 교육을 받지는 못했다. 다만 피렌체의 인문주의 학자들로부터 무시가 이어지자 마흔이 넘은 나이에 라틴어를 배웠고, 그 당시 라틴어를 연습했던 기록들이 현재에도 남아있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7 천주교 사제인 한동일 신부가 쓴 라틴어 수업(흐름출판)에 의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40대에 배운 라틴어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더 넓은 학문을 익히도록 하였다고 한다. = = = 사망 = = = 〈최후의 만찬〉(1495 ~ 1498,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의 수도원 식당) 1516년 이후 프랑스에서 계속 거주하며 활동하던 다빈치는 서서히 기력이 약해지자 소일거리를 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1519년 4월 23일, 죽음을 직감한듯, 유언장을 작성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21...유언장 서문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이에게 알리는 바, 현재 앙부아즈 근처의 클루라는 곳에 머물고 있는 국왕의 수석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죽음이 가까이 왔음을 충분히 숙지하여,...(이하생략)" 유언장에서 그는 사후 프랑스에 묻히길 희망했고 그의 연애상대였던 살라이와 다빈치의 하인 바티스타에게 밀라노 공작에게 받은 포도밭을 반씩 나누어 상속하며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모나리자' 등의 그림과 메모가 적힌 노트들을 제자인 멜치에게 상속한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22 1519년 5월 2일 그의 나이 67세의 프랑스 클로 뤼세(Clos Lucé)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했다.모니카 몸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74 조르조 바사리(1511~1574)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전기에서 다빈치가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 숨을 거뒀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의 임종시 그 자리에 없었다.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p281 유해는 다빈치의 유언에 따라 생 플로랑탱 교회에 묻혔다. 그런데 프랑스혁명으로 혼란스럽던 시기인 1802년 교회 건물이 해체되면서 그곳에 있던 모든 묘지들이 파묘된 후 모두 훼손되어 버렸기 때문에 그의 유골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p281...파묘된 후 모든 시체들을 다 갈아엎고 뼈들을 한 곳에 같이 묻어버렸다고 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평생 독신으로 살아 자식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제자이자 동반자였던 프란세스코 멜지(Francesco Melzi)가 그의 유산을 상속하였다. 1570년 프란세스코 멜지의 죽음으로 그가 평생 간직하고 있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엄청난 양의 크로키와 그림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 = 사회적 활동 = = = = = 예술 세계 입문 = = = 레오나르도는 1466년 열네 살 때, 가족과 함께 피렌체로 이주해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 들어갔다. 베로키오는 그 당시 피렌체에서 가장 유명한 공방을 이끌던 실력 있는 예술가였다. 레오나르도는 그곳에서 20대 초반까지 미술 및 기술 공작 수업을 받았다. 제자의 재능을 알아본 베로키오는 레오나르도에게 그림을 맡기고, 자신은 조각에만 몰두할 정도로, 레오나르도를 제자가 아닌 화가로서 존중했다. = = = 화가 조합 등록 = = = 1472년 수업을 끝내고 피렌체 화가 조합에 등록하여 한 사람의 화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1476년 예수가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는 그림인 베로키오의 작품 <그리스도의 세례>에 조력하고, 그 좌단에 천사를 그렸는데, 스승을 능가하는 천재성을 보였다. = = = 제1 피렌체 시대 = = = 레오나르도는 1481년까지 스승 베로키오의 영향에서 벗어나려고 많은 노력을 했으며, 1466-1482년을 그의 제1의 피렌체 시대라고 하는데, 당시의 작품으로 <석죽의 성모> ,성모 마리아가 천사 가브리엘에게 예수를 잉태할 것임을 들은 이야기인 <수태 고지>, <베노바 가의 성모> 등이 있다. 이 시기에 그려진 인물화와 풍경화에서 이미 레오나르도의 독창적인 구도와 분위기 표현 기술을 엿볼 수 있다. = = = 제1 밀라노 시대 = = = 1481년에 밀라노의 스포르차 귀족 가문의 화가로 초빙되어 갔는데, 1482-1499년을 제1의 밀라노 시대라고 부른다. 밀라노에 간 목적은 스포르차 가의 선조인 프란체스코의 기마상 제작과 음악 교수 때문이었다. 약 17년 동안 화가로서뿐만이 아니라 조각가, 건축가, 기사로서 오늘날 잘 알려진 레오나르도의 다방면에 걸친 천재성을 발휘했다. 이 시기에 세계 미술사에서 가장 뛰어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암굴의 성모〉(1483년, 루브르 박물관)와 〈최후의 만찬〉(1495~1498년, 밀라노)이 제작되었다. 〈암굴의 성모〉에서는 레오나르도 특유의 화법인 스푸마토(Sfumato)가 첫선을 보이게 되며, 뒤에 이 화법을 바탕으로 유명한 〈모나리자〉(1500~1503년, 루브르 박물관)가 그려졌다. 스푸마토는 원거리에서 물체를 둘러싼 공기(대기)까지 그림으로써 완전한 삼차원의 세계를 그리는 기법으로 대기 원근법(aerial perspective)이라고도 불렸다. 또한 당시 로마 가톨릭의 통제에 따라 제작되던 교회 미술계의 풍토를 깨고,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는 등 자신의 소신에 따른 작품 활동을 했다. 1489년 인체와 말의 해부학적 연구에 몰두하고, 인체의 해부와 조류의 비상에 관한 논문, 광학에 대한 연구에도 전심하였다. = = = 제2 피렌체 시대 = = = 1500-1506년을 그의 제2의 피렌체 시대라고 하는데, 1499년 프랑스 왕 루이 12세의 밀라노의 침입으로 1500년 피렌체로 돌아왔다. 여기서 제단화 <성 모자와 성 안나>를 그리고, 1502년에는 체잘레와 보르지아에 토목 사업 운하 개발 도시 계획을 위해 초청되었다. 1503년에는 다시 피렌체로 돌아와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이 시대에는 그의 과학 연구가 한층 성장하여 새가 나는 방법, 지질학과 물의 운동, 해부 등에 관한 수기를 남겼다. = = = 제2 밀라노 시대 = = = 1506년 밀라노에서 당시 프랑스 왕이었던, 루이 12세의 궁정 화가가 되었는데, 1506-1513년을 그의 제2의 밀라노 시대라고 부른다. </br></br> = = = 앙부아즈 시대 = = = 16세기 초, 왕위에 오른 ‘프랑스와 1세’는 선대의 프랑스 왕들 처럼 이탈리아 정복을 꿈꾸며 밀라노를 침공한다.야만 수준의 프랑스 생활을 하다가, 밀라노를 중심으로 발달한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에 깊은 감명을 받는단다. 당시, ‘메디치 가문’으로부터 팽 당하여, 실업자 수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국빈으로 초청하였다. = = = = 3년간의 로마 체류 = = = = 1513년 10월, 피렌체로 돌아왔다. 그간 피렌체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한해전인 1512년 9월에 교황 율리오 2세의 도움을 받은 메디치 가문이 공화정 정부를 와해 시키고 가문의 통치권을 회복한 상태였다.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가 피렌체를 침공한후 메디치 가문은 피렌체의 통치권을 상실한체 가문의 일족들이 국외로 흩어져서 망명생활을 하고 있었다. 18년만에 통치권을 회복하게 된것으로 장남 피에로 데 메디치는 1503년에 전사하였고 둘째 조반니와 막내 줄리아노 그리고 사촌 줄리오가 그의 일족들을 데리고 귀국하여 피렌체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피렌체의 실질적인 통치는 줄리아노 데 메디치(1479~1516)가 맡았고 그의 형인 조반니 데 메디치 추기경은 새로운 교황(레오 10세)으로 선출되어 로마에 있었다. 다빈치는 새로운 통치자인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게 되었는데 그가 교황군 사령관직을 맡게 되면서 1513년 10월에 함께 로마로 이주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16 로마에서도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계속 받으며 생활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일이 꼬여만 갔다. 1515년에 들어서면서 다빈치는 새로운 후원자를 찾아 로마를 떠나길 원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 = = = 새로운 후원자 물색 = = = = 1515년 1월, 프랑스 국왕으로 즉위한 프랑수아 1세는 그해 9월 마리냐노 전투에서 승리한후 밀라노를 점령하였다. 이후 7년 넘게 지속되어온 캉브레 동맹전쟁(1508~1516)을 종식 시키기 위해서 교황을 만나려고 이탈리아 볼로냐로 향했다. 같은해 12월 19일, 종전협약을 위해 교황 레오 10세와 회동한 자리에서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만났다.Georges Goyau, François I, Transcribed by Gerald Rossi.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 VI. Published 1909.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Retrieved on 4 October 2007Miranda, Salvador (1998–2007).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Antoine du Prat". Retrieved 4 October 2007. 선왕 루이 12세를 통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던 프랑수아 1세는 그곳에서 그를 프랑스로 초청하였다. = = = = 프랑스 이주 = = = = 1516년 3월, 줄리아노 데 메디치가 사망하였다. 메디치 가문 출신의 교황인 레오 10세와의 사이가 소원하던차에 후원자마저 사망하자 더 이상 로마에 대한 미련이 사라져 버렸다. 이때 다빈치는 프랑스 이주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던것으로 보인다. 그는 1516년 여름, 제자 프란세스코 멜치와 함께 알프스를 넘어 프랑스 앙부아즈로 향했다.하비 래클린 <스캔들 미술사> 리베르 1판 4쇄 2010.12.17, p29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21뷜렌트 아탈레이 <다 빈치의 유산> 말글빛냄 2004.12.1, p234 프랑수아 1세는 앙부아즈에서 가까운 클로 뤼세(Clos Lucé)에 저택을 마련해 주었다. 이때 다빈치는 3점의 그림 (모나리자라 조콘다, 성 안나와 성 모자, 세례자 요한)을 가져갔는데 프랑스에서 <성 안나와 성모자>와 <모나리자>를 완성하였다. 이때 이미 중풍 때문에 오른팔을 쓸 수 없었으나[네이버 지식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반 룬의 예술사, 2008. 5. 6., 헨드리크 빌렘 반 룬, 남경태)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는 왼손잡이였기 때문이다.EBS 다큐프라임-천재들의 생각구조, 2부 다빈치의 사랑법 #001 2분33초....다빈치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양손잡이였다. 젊은시절 노력을 통해 오른손으로도 그림을 그리고 글도 자유롭게 쓸수 있었다. 또한 양손을 동시에 사용할수도 있었는데 왼손으로는 그림을 그리면서 동시에 오른손으로는 글을 쓰곤 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49...사적인 이야기를 기록할때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자를 꺼꾸로 쓰는 습관, 일명 경자(鏡字)를 쓰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프랑수아 1세는 가끔 찾아왔고 두 사람은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다빈치는 왕을 위해 호화로운 연회를 준비하기도 했다. 또한 로모랑탱(Romorantin)에 큰 성을 건축한후 그곳을 새로운 수도로 만들자고 제안 하였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이 시대를 '앙부아즈 시대'라고 하는데 이 시기에 다빈치는 여러 방면에 대한 오랜 연구를 정리하고 운하도를 설계하였으며 수학 실험과 해부학 연구를 계속 진행하였다. = = = 사망 = = = 1516년 이후 프랑스에서 계속 거주하며 활동하던 다빈치는 서서히 기력이 약해지자 소일거리를 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1519년 4월 23일, 죽음을 직감한듯, 유언장을 작성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21...유언장 서문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이에게 알리는 바, 현재 앙부아즈 근처의 클루라는 곳에 머물고 있는 국왕의 수석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죽음이 가까이 왔음을 충분히 숙지하여,...(이하생략)" 유언장에서 그는 사후 프랑스에 묻히길 희망했고 그의 동성애 상대였던 살라이와 다빈치의 하인 바티스타에게 밀라노 공작에게 받은 포도밭을 반씩 나누어 상속하며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모나리자' 등의 그림과 메모가 적힌 노트들을 제자인 멜치에게 상속한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로저 마스터스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p222 1519년 5월 2일 그의 나이 67세에 프랑스 클로 뤼세(Clos Lucé)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했다.모니카 몸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74 조르조 바사리(1511~1574)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전기에서 다빈치가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 숨을 거뒀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의 임종시 그 자리에 없었다.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p281 유해는 다빈치의 유언에 따라 생 플로랑탱 교회에 묻혔다. 그런데 프랑스혁명으로 혼란스럽던 시기인 1802년 교회 건물이 해체되면서 그곳에 있던 모든 묘지들이 파묘된 후 모두 훼손되어 버렸기 때문에 그의 유골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p281...파묘된 후 모든 시체들을 다 갈아엎고 뼈들을 한 곳에 같이 묻어버렸다고 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평생 독신으로 살아 자식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제자이자 동반자였던 프란세스코 멜지(Francesco Melzi)가 그의 유산을 상속하였다. 1570년 프란세스지의 죽음으로 그가 평생 간직하고 있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엄청난 양의 크로키와 그림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 = 그 밖의 업적 = = 다 빈치는 파동 운동 이론, 연통관 내의 압력, 유체에 미치는 압력의 발견자이기도 하다. 그 응용면에 있어서 양수기와 수압의 발견자였다. 새의 나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 비행기의 원리를 생각하고 공기의 연구에서 바람의 발생과 구름과 비의 발생도 이론적으로 연구했다. 또 공기 역학, 조류의 비행 등의 연구 노트에는 낙하산, 헬리콥터, 플레이트 날개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해부학에 있어서도 인체 각 부분의 작용을 역학적 원리로서 분명히 하였다. 그 밖에 식물학 등에 관해서도 연구를 하였다. 그는 예술과 과학의 창조에 대한 비밀을 밝힌 천재였다. 저서로, 그림에 관한 르네상스 예술 이론의 중요한 문헌인 <회화론>을 비롯하여 많은 논문이 있다. 한동일 서강대학교 교수가 쓴 라틴어수업(흐름출판)에 따르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그림과 과학 뿐만 아니라 라틴어 공부도 했다. = = 대표 작품 = = 〈그리스도의 세례〉(1472년~1475년) – 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베로키오 공방 시절: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왼쪽의 천사를, [베로키오]는 오른쪽의 천사를 그린 것으로 알려짐. 교회의 통제를 거부하고, 자신의 소신에 따라 그렸다.) 〈수태고지〉(1475년~1480년) – 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예수를 잉태한 성모에게 천사 가브리엘이 왔다는 루가 복음서의 탄생 설화를 소재로 함 〈동굴의 성모〉(1483년~1486년) – 루브르 박물관, 파리, 예수가 헤로데를 피해 이집트로 갔다는 루가 복음서의 전승 내용을 소재로 함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1488년~1490년) – 차르토리스키 박물관, 크라코우 (Krakow), 폴란드 모델은 세실리아 가레라니(Cecilia Gallerani)로 뤼도빅 르 모르(Ludociv le More)의 정부(情婦)로 알려져 있다. 그림 속의 흰 족제비는 다양한 상징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순결함 혹은 순수함 그리고 모로 집안에 대한 상징으로 주로 해석된다. 〈음악가의 초상〉(1490년경) – 암브로시니아 미술관, 밀라노, 43 x 31 cmㅡ 다 빈치의 유일한, 남성을 그린 초상화로 알려졌다. 모델은 프란치노 가퓌리오(Franchino Gaffurio) 〈리타의 성모〉(1490년~1491년) – 에르미타지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최후의 만찬〉(1498년경) –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의 수도원 식당, 밀라노 〈모나리자〉(1503년~1506년) – 루브르 박물관, 파리 〈암굴의 성모〉(1508년경) – 내셔널 갤러리, 런던 〈성 안나와 성 모자〉 (1510년경) – 루브르 박물관, 파리, 프로이트가 다 빈치의 동성애를 증명할 수 있는 단서로 본 그림. 성 안나는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 즉, 예수의 외할머니이다. 〈세례자 요한〉(1514년경) – 루브르 박물관, 파리, 다 빈치의 손으로 완성된 마지막 작품으로 남성과 여성 사이의 모호한 아름다움으로 유명하다. = = 대중 매체 =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소설 《다빈치 코드》의 중요한 모티브이다.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 = 분류:강서구 (부산광역시) 출신 = = 유현성 = 유현성(劉玄成, ? ~ ?)은 전한 말기의 제후로, 동평사왕의 손자이다. = NOWorkend = NOWorkend는 2013년 아메바 컬쳐의 주도 아래 레이블 멤버 혹은 지원 아티스트들이 휴식 차원으로 원하는 곡을 지속적으로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는 프로젝트다. 2013년 2월 19일, 개코가 〈될 대로 되라고 해 (느낌 So Good)〉를 발매하면서 첫 주자로 나섰고, 그 이후로 얀키, 자이언티, 슈프림팀, 최자 등이 이어서 곡을 발표하였다. = = 프로젝트 곡 목록 = = 2013년 2월 19일 개코 - Gaeko Attic's 1st Piece - 〈될 대로 되라고 해 (느낌 So Good)〉[A] 2013년 2월 28일 얀키 - Yankie Proverbs Chapter 1 - 〈이놈 (I.N.D.O.) (Feat. 타블로)〉[A] 2013년 3월 6일 자이언티 - 《뻔한 멜로디》 - 〈뻔한 멜로디 (Feat. Crush)〉[A] 2013년 3월 19일 슈프림팀 - Thanks 4 The Wait - 〈그대로 있어도 돼 (Feat. Crush)〉, 〈이릿〉 2013년 4월 1일 최자 - Traveler - 〈없어〉[A] 2013년 5월 29일 Philtre - Philtre: Scene #1 - 〈잊혀지겠지 (With 윤하)〉[A] A^Instrumental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 = 분류:김천동부초등학교 동문 = = 서울 안양암 감로도 = 서울 안양암 감로도(서울 安養庵 甘露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안양암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감로도이다. 2004년 9월 30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86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감로도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죽은 자의 영혼을 구제하기 위해 불보살(佛菩薩) 앞에서 시식의례(施食儀禮)를 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안양암의 감로도는 대웅전 향우측(向右側) 극락왕생도(極樂往生圖)의 옆에 걸려 있다. 이 그림은 1909년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응석 스님은 청량사(淸凉寺) 극락보전(極樂寶殿) 신중도(神衆圖)․ 미타사(彌 陀寺) 삼성각(三聖閣) 칠성도(七星圖)․ 개운사(開運寺) 대웅전(大雄殿) 신중도(神衆圖)․ 개운사(開運寺) 지장전(地藏殿) 현왕도(現王圖)․ 진관사(津寬寺) 독성각(獨聖閣) 독성도(獨聖圖)․ 봉은사(奉恩寺) 북극보전(北極寶殿) 칠성도(七星圖)․독성도(獨聖圖)․산신도(山神圖)․ 봉은사(奉恩寺) 판전(板殿) 후불도(後佛圖)․ 봉은사(奉恩寺) 영산전(靈山殿) 십육나한도(十六羅漢圖) 등 불화 조성에 참여한 이 시기 대표적인 화승(畵僧)이다. 이 감로도 역시 일반적인 감로도 도상에 따라 공양물이 성대하게 차려진 제단(祭壇)을 중심으로 상단에는 다보여래(多寶如來)․보승여래(寶勝如來)․묘색신여래(妙色身如來)․응박신여래(應博 身如來)․이포외여래(離怖畏如來)․감로여래(甘露如來)․세간광대위덕(世間廣大威德) 등 7불(七佛)을 비롯해 그 좌우로 아미타불, 지장보살, 관음보살, 그리고 직접 영혼을 인도하는 인로왕보살(引路王菩薩) 등 불보살(佛菩薩)을 배치하고, 하단에는 천, 인, 아수라, 귀신, 축생, 지옥도 등의 6도(六途)를 표현하였다. 육도 부분에는 싸움하는 모습, 농부가 소를 끌고 가는 모습, 남사당 패거리가 놀이하는 모습, 형벌 받는 모습, 재판 받는 모습 등 인간사의 다양한 모습이 다채롭게 펼쳐져 있다. 이 그림은 이와 같이 전통적인 감로도의 도상 구도를 따르면서도 제단 주위에 아귀를 크게 묘사하는 등 19세기 이후 서울․경기지역 감로도의 새로운 도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수국사․불암사․흥국사 등의 감로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림의 하단 좌우로는 다음과 같은 화기(畵記)가 적혀 있어 1909년(隆熙 3년)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이 그려 삼각산(三角山) 감로암(甘露庵)에 모셨고 시주자는 이익수(李益洙)와 이흥수 (李興洙)이며, 이들이 돌아가신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로 이 불화제작에 시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른쪽> 大韓隆熙三年己酉閏二月日 三角山甘露 庵甘露幀 奉安 證師比丘虛無堂聖訓 誦呪比丘慧庵堂 守珎 畵師比丘慶船堂應釋 供司沙彌奉照 <왼 쪽> 幀畵獨瓣大施主 乾命己亥生李益洙 乾 命癸未生李興洙 伏爲亡母辛亥生開城金氏靈駕以此善根 功德往生極樂上品 上生之大願 제작연대와 화사․제작경위․최초 봉안장소․시주자 등을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서울이라는 지역적 특색이 강하게 나타난 도상인데다 작품성 또한 인정되며,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다. = 딥 스로트 (영화) = 딥 스로트(Deep Throat)는 1972년에 개봉된 미국의 포르노 영화이다. 목구멍 깊숙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제라드 다미아노가 각본, 감독을 맡았으며 린다 러브레이스가 주연을 맡았다. 주류 영화관에도 개봉하는 등 포르노 영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영화였으며 현대 미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 줄거리 = = 성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던 린다 러브레이스(주인공이 실제 이름으로 출연하였음)는 의사의 진찰 결과 클리스토리스가 목구멍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린다는 많은 남자들과 구강성교를 하면서, 진정한 오르가슴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영화의 상영 시간은 61분이다. 성적인 대사가 많이 등장하고 종이 울리는 것으로 오르가슴을 표현하기도 하는 등, 오늘날 일반적으로 유행하는 포르노 영화와는 다른 점도 많이 보인다. 구강 성교 및 항문 성교 장면도 포함하고 있어서 MPAA(미국 영화산업협회)로부터 X 등급을 받았다. = = 출연 = = = = = 주연 = = = 린다 러브레이스 해리 림스 = = = 조연 = = = 돌리 샤프 빌 해리슨 캐롤 코너스 밥 필립스 윌리엄 러브 = = 대중문화에 끼친 영향 = = 딥 스로트는 마찬가지로 1972년에 개봉한 초록문 너머(Behind the Green Door)와 함께 미국 사회에서 포르노 붐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서 일행과 함께 포르노 영화를 보러 가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다. 1973년부터 비디오 테이프로도 판매되었는데 이것은 미국에서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가 대중화된 1977년보다 훨씬 앞선 것이었다. 이 영화의 제목도 대중 문화의 중요한 아이콘이 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워싱턴 포스트의 하워드 시몬스가 워터게이트 스캔들의 베일에 싸인 정보원의 이름을 딥 스로트라고 부른 것이다. 이후에는 ‘딥 스로트’는 ‘내부제보자’라는 뜻의 일반명사처럼 사용되었다. 딥 스로트는 미국에서 전국적으로 개봉한 세 번째의 포르노 영화였다. 이보다 앞선 포르노 영화로는 1970년에 Mona, 1971년에 School Girl이 개봉했다. 영화제작에 2만 5천 달러를 들였지만, 약 6억 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주인공이었던 린다 러브레이스에게는 금전적인 이익이 거의 돌아가지 않았다. = 분류:컴퓨터 음악 = = 위키백과:울산광역시의 문화재 목록 = 반드시 이나 를 클릭해서 사진을 업로드해 주세요. 이미 사진이 업로드되어 있더라도 여러분이 촬영하신 더 좋은 품질의 사진을 올려 주세요! = 오협 = 오협(1973년 9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 학사 청주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 박사과정 수료 = = 경력 = = 2001년 : MBC 30기 공채 탤런트 2006년 : 장안대학교 엔터테인먼트과 전임교수 2010년 : 정화예술대학 방송영상학부 방송연예전공 교수 2011년 : 무대광풍 연기학원 대표 2015년 :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겸임교수 = = 연기 활동 = = = = = 드라마 = = = 2001년 MBC 금요단막극 《우리집》 2002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2002년 MBC 월요시트콤 《연인들》 2002년 MBC 일일연속극 《매일 그대와》 2002년 MBC 수목미니시리즈 《그 햇살이 나에게》 2002년 MBC 아침드라마 《내 이름은 공주》 2002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사랑을 예약하세요》 2002년 MBC 수목미니시리즈 《로망스》 2002년 MBC 주말연속극 《그대를 알고부터》 2002년 MBC 일일연속극 《인어 아가씨》 2002년 MBC 아침드라마 《황금마차》 2002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내 사랑 팥쥐》 2002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현정아 사랑해》 2002년 MBC 주말연속극 《맹가네 전성시대》 2003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기쁜 소식》 2003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러브레터》 2003년 MBC 수목미니시리즈 《남자의 향기》 2003년 MBC 기획특집 HD 월화미니시리즈 《다모》 ... 석부장 역 2003년 MBC 주말연속극 《회전목마》 2003년 MBC 특별기획드라마 《대장금》 ... 내금위 종사관 부관 역 2003년 MBC 소설극장 《성녀와 마녀》 ... 유민석 역 2003년 MBC 일일연속극 《귀여운 여인》 2004년 MBC 일요아침드라마 《물꽃마을 사람들》 2004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불새》 ... 김 비서 역 2004년 MBC 특별기획드라마 《영웅시대》 ...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민주공화당 국회의원 이만섭 역 2005년 MBC 수목미니시리즈 《슬픈연가》 2005년 MBC 소설극장 《김약국의 딸들》 2005년 MBC HD 일일연속극 《굳세어라 금순아》 ... 오지운 역 2005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원더풀 라이프》 2005년 MBC 수목미니시리즈 《영재의 전성시대》 2006년 MBC 아침드라마 《이제 사랑은 끝났다》 2006년 SBS 주말특별기획드라마 《사랑과 야망》 2006년 MBC 주말연속극 《누나》 ... 건우 후배 역 2007년 SBS 월화드라마 《사랑하는 사람아》 2007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히트》 2008년 MBC 주말연속극 《내 인생의 황금기》 2008년 MBC 아침드라마 《하얀 거짓말》 2009년 MBC 주말드라마 《잘했군 잘했어》 ... 호남 선배 역 2010년 MBC 월화미니시리즈 《역전의 여왕》 ... 구용준 역 *.(2021) jtbc 설강화(가제)~~ = = = 영화 = = = 2002년 《보스 상륙 작전》 ... 검사 2 역 2006년 《공필두》 ... 조폭 역 = = = 공연 = = = 2005년 《그리스》 ... 유진 역 = 분류:브라질의 올림픽 비치발리볼 참가 선수 = = 임도훈 = 임도훈(2001년 1월 22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현재 K리그2 김포 FC 소속이다. = SC 텔스타 = 스포츠 클럽 텔스타(Sportclub Telstar)는 1963년 7월 17일에 창단된 네덜란드 펠선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네덜란드 2부리그인 에이르스터 디비시에서 활동하고 있다. = = 성적 = = KNVB 컵 우승 1회 (1938), 준우승 1회 (1917) 에이르스터 디비시 우승 1회 (1963) = = 유명 선수 = = 지미 플로이트 하셀바잉크 = 엘 차보 아니마도 = 엘 차보 아니마도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멕시코 독립 방송국과 체스피리토에 의해 제작된 텔레비전 코미디 시리즈이다, 실사 TV 시리즈 엘 차보 델 오초를 기반으로 했다. = 분류: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 = 양털쇠주머니쥐 = 양털쇠주머니쥐(Woolly mouse opossum, 학명: Marmosa demerarae)는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유대류의 일종이다. 콜롬비아 중부, 베네수엘라, 프랑스령 기아나, 가이아나, 수리남, 페루 동부, 볼리비아 북부 그리고 브라질 북부 지역에 분포한다. 이전에는 별도의 양털쇠주머니쥐속(Micoureus)으로 분류했지만 2009년부터 양털쇠주머니쥐속을 쇠주머니쥐속(Marmosa)의 아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 박보영의 작품 목록 =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영의 작품 목록이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2005년 영화 《이퀄(Equal)》 ... 김다미 역 2008년 영화 《울학교 이티》 ... 한송이 역 2008년 영화 《초감각 커플》 ... 현진 역 2008년 영화 《과속스캔들》 ... 황정남 / 황제인 역 2009년 영화 《시선 1318》 - <릴레이> ... 김희수 역 2011년 영화 《리오》 ... 쥬엘 역 (목소리 더빙) 2012년 영화 《미확인 동영상: 절대클릭금지》 ... 세희 역 2012년 영화 《늑대소년》 ... 순이 / 은주 역 2012년 영화 《눈의 여왕》 ... 겔다 역 (목소리 더빙) 2014년 영화 《피끓는 청춘》 ... 박영숙 역 2015년 영화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 차주란 / 시즈코 역 2015년 영화 《돌연변이》 ... 주진 역 2015년 영화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 도라희 역 2018년 영화 《너의 결혼식》 ... 환승희 역 2023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 명화 역 = = = 드라마 = = = 2006년 EBS 청소년드라마 《비밀의 교정》 ... 차아랑 역 2007년 SBS 드라마스페셜 《마녀유희》 ... 어린 마유희 (한가인 아역) 역 2007년 SBS 토요 성장드라마 《달려라 고등어》 ... 심청아 역 2007년 SBS 월화 대기획 드라마 《왕과 나》 ... 어린 폐비 윤씨 (구혜선 아역) 역 2008년 KBS2 8부작 목요 미니시리즈 《정글피쉬》 ... 이은수 역 2008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최강칠우》 ... 최우영 역 (특별출연) 2008년 ~ 2009년 SBS 드라마스페셜 《스타의 연인》 ... 어린 이마리 (최지우 아역) 역 (특별출연) 2015년 tvN 금토 미니시리즈 《오 나의 귀신님》 ... 나봉선 역 2017년 JTBC 금토 미니시리즈 《힘쎈여자 도봉순》 ... 도봉순 역 2019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어비스》 ... 고세연 역 2021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 ... 탁동경 역 2023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 정다은 역 2023년 JTBC 주말 미니시리즈 《힘쎈여자 강남순》 ... 도봉순 역 (특별출연) 2024년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조명가게》 2024년 SBS 금토 드라마 《멜로 무비》 ... = = 기타 활동 = = = = = 뮤직비디오 = = = 연도 가수 제목 비고 2007 구정현 Goodbye Sadness 오죽했으면, 그러니까 2007 FLY TO THE SKY 오늘도 이쁜걸 2008 박혜경 사랑과 우정사이 2008 유리(Yuri) 가슴아 제발 2011 IU 나만 몰랐던 이야기 2011 BEAST Fiction 2013 SPEED 슬픈 약속 노개런티 출연 2013 SPEED It's over (Feat. 박보영) 노개런티 출연 = = = 음반 = = = 연도 제목 앨범 비고 2008 자유시대 과속스캔들 OST 2012 나의 왕자님(My Prince) 늑대소년 OST 원곡(그룹 '모자이크') 2013 It's over (Feat. 박보영) 1집 Superior Speed SPEED의 노래 피처링 2014 피끓는 청춘 피끓는 청춘 OST 원곡(그룹 '모자이크') 2015 떠난다 오 나의 귀신님 OST 2018 내 얘기 좀 들어봐 너의 결혼식 OST = = = 화보 = = = 연도 발행월 잡지명 2007 11월 Junior 2008 12월 Cine21(681호), Film2.0(417호), 대학내일, PC사랑, SCREEN 2009 1월 SCREEN, City life(162호) 2009 2월 VOGUE girl, Allure 2009 3월 Cine21(693호), Uway 2009 6월 Movie Week(381호) 2009 12월 ELLE 2011 6월 ELLE girl 2011 10월 NYLON 2012 6월 Movie Week(531호), NYLON, COSMOPOLITAN 2012 7월 Uway 2012 10월 VOGUE 2012 12월 Cine21(882호) 2013 1월 DAZED & CONFUSED, Esquire, InStyle 2013 5월 Harper's BAZAAR 2013 6월 W 2013 11월 THE STAR 2013 12월 Harper's BAZAAR, ELLE 2014 1월 magazine M(45호,48호), THE BIG ISSUE(76호), Cine21(940호), W 2014 2월 K WAVE, MAXMOVIE MAGAZINE 2014 3월 VOGUE girl 2015 6월 magazine M(118호), Harper's BAZAAR 2015 7월 SURE 2015 9월 MAXMOVIE MAGAZINE 2015 10월 magazine M(136호), Céci, OhBoy! 2015 11월 magazine M(140호), THE STAR, LADY경향, ELLE, COSMOPOLITAN 2015 12월 Cine21(1035호), NYLON 2016 3월 InStyle 2016 11월 ELLE 2016 12월 Céci 2017 5월 여성조선, 우먼센스 2018 8월 1stLOOK, 씨네21 = =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단순 게스트일 경우 공백 처리 날짜 비고 2006 선생님과 함께하는 5월 이야기 보조 진행자 내레이션 5.18 기념재단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교육 동영상 2007 SBS 김미화의 U 10월 1일 355회 2007 SBS 퀴즈! 육감대결 10월 28일 26회 2008 SBS 퀴즈! 육감대결 1월 6일 36회 2008 앙드레 김 패션쇼 메인 모델 10월 16일 제9회 세계지식포럼 2008 앙드레 김 패션쇼 메인 모델 10월 19일 제15회 제주 억새꽃 축제 2008 KBS 개그콘서트 12월 28일 447회 봉숭아학당-왕비호 2010 SBS 스타 금의환향 프로젝트 달고나 12월 25일 파일럿 프로그램 2011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9일 25회 부천 뮤지엄 만화규장각 2011 MBC 세바퀴 목소리 출연 이경실 전화연결 1월 22일 87회 다짜고짜 스피드 퀴즈 2011 MBC 무한도전 길 첫사랑 재연 1월 29일 234회 TV는 사랑을 싣고 특집 2011 MBC 7일간의 기적 2월 17일 26회 2011 KBS 해피투게더 시즌3 8월 18일 210회 동안 스타 특집 2011 MBC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20일 페루 편 2011 MBC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내레이션 11월 27일 페루 편 2012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3월 25일 379회 2012 KBS 개그콘서트 5월 27일 648회 생활의 발견 2012 SBS E! TV 컬투쇼 5월 28일 스타와 토킹 어바웃 2012 MBC 놀러와 6월 4일 391회 국민 여동생 스페셜 2012 KBS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10월 29일 96회 2012 SBS E! TV 컬투쇼 10월 31일 제2회 컬투쇼 UCC 웹툰 콘테스트 2012 Mnet 슈퍼스타K 4 11월 2일 12회 2012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1월 4일 118회 헌터의 역습 2012 SBS 접속! 무비월드 11월 10일 영화는 수다다 2012 MBC 2012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14일 엘살바도르 편 2012 MBC 2012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21일 엘살바도르 편 2012 KBS 연예가중계 11월 17일 게릴라 데이트 2012 MBC 휴먼다큐 사랑 내레이션 11월 29일 내겐 너무 예쁜 언니 편 2012 MBC 놀러와 12월 3일 411회~412회 트루맨쇼 2012 MBC 놀러와 12월 17일 411회~412회 트루맨쇼 2012 MBC 위대한 유산 아리랑 MC 12월 6일 생방송 2013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1월 6일 420회 2013 KBS 폭력 없는 학교-이제 네가 말할 차례 역할극 재연 내레이션 1월 23일 다큐멘터리 2013 채널CGV 선데이 시네마 내레이션 2월 ~ 10월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2013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22일 라이징 스타 2013 SBS 정글의 법칙 in 뉴질랜드 병만족 3월 8일 ~ 5월 10일 10부작 2013 On Style 겟 잇 뷰티-셀프 5월 27일 일주일 동안 방영 평일 오전 7시, 오후 1시, 11시 주말 오전 9시, 오후 2시, 12시 2013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9월 22일 457회 2013 MBC 2013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내레이션 10월 26일 인도네시아 편 2013 MBC 2013 코이카의 꿈 내레이션 11월 2일 인도네시아 편 2014 SBS 금요일엔 수다다 1월 18일 그들 각자의 영화관 2014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19일 181회 농촌 로맨스 2014 KBS W 애프터스쿨의 뷰티바이블 2월 25일 2015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3 차태현의 여사친'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 6월 14일 545회~547회 두근두근 우정여행 2015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3 차태현의 여사친'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 6월 21일 545회~547회 두근두근 우정여행 2015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3 차태현의 여사친'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 6월 28일 545회~547회 두근두근 우정여행 2015 tvN 코미디빅리그 7월 5일 127회 갑과 을 2015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0월 18일 269회 추억 유산 레이스 2015 MBC 섹션TV 연예통신 11월 15일 스타ting 2015 KBS 연예가중계 11월 21일 게릴라 데이트 2015 KBS 개그콘서트 11월 29일 823회 유.전.자 2016 Mnet, tvN 위키드(WE KID) 멘토 2월 18일 ~ 4월 7일 8부작 2016 Mnet 엠카운트다운 특별 MC 6월 30일 KCON 2016 뉴욕 2017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커밍순 2월 17일 0회 스페셜 2017 JTBC 한끼줍쇼 2월 22일 19회 2018 MBC 섹션TV 연예통신 7월30일 928회 2018 Comedy TV 맛있는녀석들 8월31일 184회 2021 TvN 어쩌다 사장 첫 알바생 3월 4일 2회 2022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4월 27일 151회 2023 TvN 어쩌다사장3 = = = 라디오 프로그램 = = = 연도 방송사 제목 날짜 비고회 2012 SBS 파워FM 최화정의 파워타임 5월 10일 2012 KBS 쿨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5월 14일 2012 MBC FM4U 푸른밤, 정엽입니다 5월 16일 2012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19일 2012 MBC FM4U 간미연의 친한친구 5월 20일 2012 MBC 표준FM 윤하의 별이 빛나는 밤에 5월 21일 2012 SBS 파워FM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5월 24일 2012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0월 23일 2012 MBC FM4U 유세윤과 뮤지의 친한친구 10월 24일 2012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16일 2012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2월 27일 2014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월 21일 2014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월 22일 2015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1월 18일 2015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23일 2017 팟캐스트 송은이&김숙 비밀보장 3월 29일 100회 특집 전화연결 2018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4월 18일, 4월 19일 스페셜DJ 2018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31일 깜짝전화연결 2018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5일, 6월 6일 스페셜DJ 2018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18일 스페셜DJ 2018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8월 3일 2018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8월 14일 2018 VLIVE 배우What수다 8월 16일 2019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9월 25일, 9월 26일 스페셜DJ = = 홍보대사 = = 연도 활동명 2009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행복공감봉사단 2기 단장 2009 굿 다운로더 스타 서포터즈 2010 서울 G20 정상회의 성공기원 스타 서포터즈 2011 제1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홍보대사 2012 인터넷 신문 '캠퍼스 오늘' 명예 기자 2013 생태교통 수원 2013 홍보대사 2013 한국국제협력단(KOICA) 홍보대사 2014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사랑, 하나 더' 캠페인 2014 경찰병원 명예 홍보대사 2014~2015 CJ CGV 글로벌 사회공헌 프로젝트 '토토의 작업실' 홍보대사 (베트남, 인도네시아) 2015~현재 관세청 홍보대사 2017 산돌초록우산어린이체 프로젝트 손글씨 재능기부 = = 광고 = = 연도 기업명 브랜드명 품목 비고 2006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공익 광고 2006 롯데제과 자일리톨 휘바 껌 2006 SK케미칼 트라스트 의약품 2006 한국석유화학협회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 행사 홍보 포스터 2006 이현어패럴 블루테일 의류 2006 오뚜기 맛있는 오뚜기밥 레토르트 식품 2006 오뚜기 진라면컵 인스턴트 식품 2006 우리금융지주 우리은행 금융 2006~2007 한국교육방송공사 EBSi 기업 PR 2007 웅진코웨이 룰루 비데 2007 한신공영 세븐밸리 아웃렛 2007 SK텔레콤 Ting 이동 통신 2007 예신퍼슨스 마루아이 의류 2008 한국존슨앤드존슨 클린앤클리어 화장품 2008~2009 농심 안성탕면 인스턴트 식품 2009 이베이코리아 G마켓 스타샵 의류 2009 기획재정부 행복공감 복권위원회 공익 광고 2009 빙그레 끌레도르 아이스크림 2009 농협목우촌 또래오래 치킨 2009 삼성그룹 하하하 캠페인 기업 PR 2009~2010 MPK그룹 미스터피자 피자 2009~2011 하이마트 하이마트 전자제품 쇼핑몰 2011~2013 이스트소프트 줌 인터넷 포털 사이트 2013 한국닌텐도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콘솔 게임 2013 스타럭스Starluxe, 레스포색 한국 공식 수입 업체 레스포색 가방 2013 ELCAThe Estée Lauder Companies Inc.한국 크리니크 화장품 2013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KOREA Paprika Growers Association Group 파프리카 채소 2013~2016 넥슨 코리아 서든어택 온라인 게임 2015~2016 와이디온라인 갓 오브 하이스쿨 모바일 게임 2015~2016 LG유플러스 홈IoT(IoT@home) 인터넷 서비스 2015~2016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 시리얼 2015~2016 코익KOICC, 안나 수이 향수 한국 공식 수입 업체 안나 수이 로맨티카 향수 지면 광고 2015~2016 삼성화재 애니카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2015~2017 무학 좋은데이 소주 2015~2018 클레어스코리아 게리쏭9컴플렉스 화장품 한국, 중국 2015~2018 클레어스코리아 클라우드9 화장품 2015~현재 LG유니참 쏘피 바디피트 생리대 한국, 중국 2016~2017 나눔씨엔씨 씽크네이처 헤어케어 2016~2017 나눔씨엔씨 씽크네이처 세라마데카 바디워시&바디로션 2016~2018 동원F&B 동원몰 식품 쇼핑몰 2016~2018 한국코카콜라 토레타 by 아쿠아리우스 음료수 2017 롯데하이마트 롯데하이마트 전자제품 쇼핑몰 2017~현재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파프리카 채소 2017~현재 동아제약 가그린 덴탈케어 2018~현재 지앤푸드 굽네치킨 치킨 = 너머 = 시민단체 너머는 국경넘어, 차별넘어라는 뜻의 추상적 의미로, 국내에 체류중인 고려인 동포의 모국생활 지원과,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가고자 뜻을 같이 하는 시민들의 모임이다. 국내체류 중인 고려인 동포를 지원하는 단체인 너머는 한글 야학을 통한 한국어교육, 모국 문화체험, 의료보험 사각지대에 처한 동포들의 긴급의료지원, 각종 생활 통번역, 노동상담 및 법률지원, 기타 모국생활상담 및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 = =국내체류 고려인 동포현황 = = 소련 와해 후 소수민족으로 자국의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으로 모국인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동포들로 외국인 노동자보다도 못한 열악한 일용직 고용환경 속에서 주로 안산을 중심으로 부산, 동대문 등에 집단 거주 지역을 형성하며 살고 있고 안산에만 5천여명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 스탈린의 강제이주와 오랜 이주역사로 모국어를 상실 한 탓에 한국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한민족 동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는 국내 정책이나 이를 지원하는 기관이 없다. = =너머 사업 = = 교육사업 한글야학 : 강제 이주로 인하여 모국어를 잃어버린 동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을 위한 실용 한국어 교육 실시하고 있으며 야근과 특근으로 인하여 심야수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매일 밤 10시 수업 시작) 어린이반 : 중도 입국한 자녀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자원봉사자 중심으로 운영된다. 책 읽어주기, 민속놀이체험, 야외활동체험, 만들기, 한국요리 등 문화교실 :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오해를 극복하기 위한 문화 교육 활동으로 역사배우기, 생활문화체험 등 실시 상담소 운영 사업 불안정한 고용의 형태인 파견근로자로 일하고 있는 동포들의 노동환경으로 인하여 파생되는 제반 문제 해결과 국내 생활에서 오는 다양한 고충들을 처리하고 있다. (지역 노무법인 및 연계단체의 자문체계구축) 산업재해, 임금체불 등 노동문제 상담 및 해결 조사사업 (노동실태) 일자리 취업상담 생활민원 상담 생활 통번역 지원사업 출입국사무소 비자 국민연금 공증 기타생활법률지원 지원 사업 및 긴급 구호활동 의료혜택을 받지 못해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이 있는 대부분의 고려인 동포들을 위한 의료지원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긴급 치료비 모금활동 지역의료보험가입 행정지원 병원 진료 시 통역 지원 지역 의료 단체 및 병원 연계 : 물리치료, 치과검진 등 임금 체불 등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동포를 대상으로 긴급생활지원금과 위로 기금 지원 = 홍람화 = = 요시오카 리호 = 요시오카 리호(, 1993년 1월 15일 ~ )는 일본의 배우이다. 출신지는 교토부 교토시 우쿄구(京都府 京都市 右京区)이며 소속사는 에이팀이다. = = 생애 = = 집이 교토시의 우즈마사(太秦)에 있어서 어릴 때부터 영화나 연극에 관심이 많았고 2011년 5월 현재의 소속사인 에이팀 그룹 오디션에 응모하여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교토에서 도쿄까지 매월 통학하여 연기자로서의 실력과 자신감을 키워나갔다. 학생주체의 독립영화 촬영에 참가했다.대학 입학 후 츠카코헤이, 미시마 유키오, 카라 쥬로 등의 고전이라 불리는 희곡에 열중하는 동급생들을 보며 연기의 폭을 목격하여 한 층 더 연기연습에 몰두한다. 현재도 소속사 에이팀에서 활동중이며 유명 결혼정보지 젝시의 9대 CM 걸에도 발탁되는 등 앞으로 기대되는 여배우 중의 한명이다. 2014년 7월 23일 공식블로그를 개설. 같은 달에 발매되는 주간 플레이보이에서 처음으로 그라비아에 도전했다. 특기는 서도와 알토 색소폰. 취미는 고양이와 노는 것, 신파관극. 고양이에 관해서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나는 중증의 고양이 의존증이다" 라고 할만큼 고양이를 좋아하고 2015년 5마리를 기르고 있다. = = 출연 = = = = = 영화 = = = 고래 소녀다, 나는 (2014년) - 주연 해피웨딩 (2014년) - 주연 망고와 빨간 휠체어 (2015년 2월 7일) 막이 오르다 (2015년 2월 28일) 아케가라스(明烏) (2015년 5월 16일) 츠무구모노 (2016년 3월 19일) STAR SAND -성사(星砂)이야기- (2017년 8월 4일 공개예정、The STAR SAND Team) - 호사카 시호 역 대결! 애니메이션 (2022년 5월 20일) - 사이토 히토미 역 = = = 극장판 애니메이션 = =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 (2017년 4월 15일, 토호) - 히라모토 미키코역 항구의 니쿠코짱! (2021년 6월 21일, 아스믹에이스) - 미우역 = = = TV 드라마 = = = 경시청수사1과 9계 시즌 10 제 5화 (2015년 5월 27일, 테레비아사히) 드라마10 미녀와 남자 제 10화 ~ 최종화 (2015년 6월 16일 ~ 8월 25일, NHK) 연속드라마W 연가(煙霞) ~GOLD RUSH~ (2015년 7월 18일, WOWOW) 왜 그래 수험생 (2015년 8월 30일, 후지테레비TWO) 만물상 조니 제 2화 (2015년 11월 27일, 후지테레비TWO) 연속TV 드라마소설 아침이 왔다 108화 ~ (2016년 2월 6일, NHK) - 타무라 노부 역 유토리입니다만 무슨 문제있습니까? (2016년 4월 ~ 6월, 일본테레비) - 사쿠라 에츠코 역 몽타쥬 2억엔 사건기담 (2016년 6월 25일 ~ 26일, 후지테레비) 사폐 -DEATH CASH- (2016년 7월 ~ 9월, TBS) - 하기모리 카즈에 역 메디컬팀 레이디 다빈치의 진단 (2016년 10월 11일 ~ , 칸사이테레비) - 타무라 아야카 역 콰르텟 (2017년 1월 17일 ~ 3월 21일, TBS) - 키스기 아리스 역 야마구치발 지역드라마 낭독자 (2017년 1월 18일, NHK BS프리미엄) - 사와다 히토미 역 미안하다 사랑한다 (2017년 7월 ~ , TBS) - 미타 린카 역, 한국드라마 리메이크 = = = 인터넷 드라마 = = = 잠못드는 진주 (2015년 4월 22일 배급개시, 전 4화, dTV) 키요사토 고원 홍보무비 (2016년 5월 20일 공개, NPO법인 키요사토관광진흥회) = = = 그 밖의 TV 방송 = = = 키네마의DAIGO☆맛 (2015년 4월 4일 ~, J COM TV) - 보조 요시오카 리호와 한 밤 아트나이트 (2017년 1월 25일, 후지테레비) = = = 무대 = = = Desperado Party 더 라스트 오더 (2013년, 덴부기획) 나이스가이 in 뉴욕 (2016년 12월) = = = 라디오 방송 = = = UR LIFESTYLE COLLEGE (2016년 4월 3일 ~, J WAVE) = = = 라디오 드라마 = = = FM시어터 두명의 딸 (2016년 1월 9일, NHK FM) - 주연 아이코 역 = = = CM = =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2014년 봄 원피스 프레미어쇼 캠페인 공지 (2014년 2월 ~ 5월) 리크루트社 결혼정보지 젝시 9대 CM 걸 [둘의 법칙] 춤추기 시작하면 편 (2016년 5월 ~ 2017년) JX에너지 「SS스탭의 마음・목표」편、「SS스탭의 마음・즐거움」편 (2016년 10월 5일 ~ ) = HIP 60074 = = 분류:귀네드가 = = 좀비오 2 = 좀비오 2(Bride of Re-Animator)는 미국에서 제작된 브라이언 유즈나 감독의 1989년 공포 영화이다. 브루스 애보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브라이언 유즈나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브루스 애보트 클로드 얼 존스 파비아나 우데니오 데이빗 게일 캐슬린 킨몬트 멜 스튜어트 제프리 콤스 = = = 조연 = = = 마이클 스트라저 아이린 포레스트 = = 제작진 = = 원작자: 러브크래프트 공동제작: 마이클 뮤스컬 미술: 필립 듀핀 특수효과: 스크리밍 매드 조지 특수효과: 데이빗 앨런 의상: 로빈 루이스-웨스트 배역: 빌리 다모타 = 분류:1419년 = = 관리회계 = 관리회계(管理會計, )란 경영자의 내부자원관리에 대한 의사결정과 부서 및 개인의 실적 평가를 위해 회계정보를 구별, 측정, 분석하는 과정이다. 내부 경영자를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는 면에서 외부 이해관계자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재무회계와 구별된다. = 분류:한자성어 = = 모듈:Location map/data/Cote d'Ivoire = return require('Module:Location map/data/Ivory Coast') = 레밍턴 M700 = 레밍턴 700은 미국의 총기 제작사인 레밍턴의 수렵총이다. 레밍턴 700은 윈체스터 1894, 마르린 336에 이은, 미국 역사상 베스트셀러 3위의 소총이다.Harold Murtz. Gun Digest Treasury (DBI ooks, 1994), p.190 볼트 액션 소총으로는 미국 역사상 베스트셀러 1위 소총이다. = = 소개 = = 1962년부터 생산하고 있으며, 가격은 약 150만원 정도 한다. 온라인 판매상점의 가격표를 보면, 레밍턴 700 시리즈는 50만원 대부터 200만원대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다. 대구경탄인 .338 라푸아 매그넘을 사용하여 유효사거리가 1500m나 되는 버전이 200만원 정도 한다. 레밍턴은 레밍턴 경찰용과 레밍턴 군사용의 상표로, 군사용과 경찰용으로도 마케팅을 하고 있다. 레밍턴 700의 경찰용 버전은 700P라 부르며, 정부가 요구하는 정확도, 핸들링, 외관을 선호하는 일반 사격인과 사냥꾼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 성공적인 파생 모델인 미국 육군의 M24 SWS와 미국 해병대의 M40의 디자인과 기능을 채용했다. 여러 다른 나라들과 같이, 미국 경찰의 약 90% 정도가 이 소총을 저격총으로 사용한다. 레밍턴 사에 의하면, 특별히 700PSS 모델(현재는 700P 모델이라고 함)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700P 모델은 표준 700P 모델과 700P 경량 전술형 소총의 두 가지가 있으며, 두 소총은 모두 망원 조준경, 양각대, 운반용 가방을 포함하는 전술 무기 장비패키지로도 판매한다. 모두 같은 리시버에 기반을 두고 있다. 레밍턴 700 시리즈는 센터파이어에 볼트 액션 방식을 사용하며, 3,4,5발의 내부 탄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 회사의 망원 조준경과 소총 개머리판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모델은 양각대, 멜빵 등의 기타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때로는 더 빠른 재장전을 위해 탈착식 탄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레밍턴은 미국 육군의 M24 SWS에 기본으로 채택된 레오폴드 마크IV M3 10 x 40 mm 망원 조준경(무게 340 g, 120 만원)도 옵션으로 판매하고 있다. = = 대중문화 = = 로블록스 팬덤포스에 12랭크 저격총으로 나온다 = 비디오 게임 개발자 = 비디오 게임 개발자 또는 게임 제작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중에서 비디오 게임을 개발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회사를 가리킨다. 크게 퍼스트파티 개발자, 세컨드파티 개발자, 서드파티 개발자 및 독립 개발자로 나뉜다. = 분류:니시토쿄시의 철도역 =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는 무라사키 유키야(작가), 츠루사키 타카히로(일러스트)가 원작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 소설 작품이다. 코단샤 라노벨에서 2017년 9월부터 간행했다. = = 줄거리 = = 「크로스 레버리」라고 하는 MMORPG에서 마왕이라고 두려워하고 있던 플레이어 디아블로 사카모토 타쿠마는 어느 날, 잠에서 깨면 낯선 장소에 있어, 눈앞에 있던 2명의 소녀에게 소환수로 소환된다. 그리고 예종 의식으로 두 사람의 키스를 받지만 게임 내에서 소지하고 있던 마왕의 반지의 효과로 인해 그 효과가 반사돼 거꾸로 두 사람을 거느리게 된다. 절망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약한 타쿠마는 MMORPG에서 행동하던 마왕의 언동을 구사하면서 마왕 디아블로로서 다른 세계에서의 생활을 보내게 된다. = 이환의 = 이환의(李桓儀, 1931년 4월 18일 ~ 2021년 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4대 국회의원과 한나라당 부총재를 지냈다. = = 생애 = =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본관은 전주, 이름은 환의(桓儀), 호는 백암(白岩)이다. 조선 제3대 태종의 2남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하였다. 1968년 2월 22일부터 전라북도지사, 경향신문 정치부장을 역임하고, 1971년부터 1980년까지 문화방송·경향신문 사장(제5대)을 역임하였다. 1979년부터 1981년 사단법인 청권사(淸權祠, 전주이씨효령대군파종회) 제5대 이사장을 역임하고,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객원교수, 백제문화 연구원 상임고문, 전통문화 예술진흥회 총재를 역임하였다. 1990년 학교법인 백암(百庵)학원(백제예술대학교)을 설립했다. 1991년 민자당 영암지구당위원장과 광주시지부장을 역임하였고, 1992년 5월 30일부터 1996년 5월 29일 민자당 소속으로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96년 신한국당 광주시지부장을 역임하고, 이해 9월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97년 신한국당 광주시지부 위원장과 광주시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1998년 한나라당 광주서구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무형문화재 종묘제례(宗廟祭享)의 제례집행위원장을 겸임하고, 재단법인 인석장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2000년 한나라당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 이후 한나라당 총재권한대행을 역임하고, 선대위 부위원장을 지냈다. 2003년 국책자문위원장을 역임하고, 2005년 이구 황세손이 일본에서 훙서하자 장례위원회 공동장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0년 한나라당 국책자문위원회 고문과 백제예술대학 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있고, 1996년 9월 21일부터 2011년 12월 16일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사장을 역임하고, 학교법인 백암(百庵)학원 이사장,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상임고문이었다. 2021년 1월 11일 으로 별세했다. = = 상훈 = = 황조근정훈장 대통령표창2회 이태리공화국 문화훈장 = = 저서 = = 시류따라 남긴 칼럼 매스컴 경영론 방송교육론 뉴미디어(총론) 21세기 TV 반신욕건강론(번역, 편저) = = 참고 자료 =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대한민국 헌정회 백제예술대학교 = 호세 나사시 = 호세 나사시 야르사(, 1901년 5월 24일 ~ 1968년 6월 17일)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이다.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에서 우루과이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었다. 그는 우루과이 축구계의 영웅이라 불린다. 우루과이는 1930년 월드컵 토너먼트에서 페루와 루마니아를 꺾은 후, 준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6-1로 이겼다.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만났는데, 전반전까지 2-1로 뒤지고 있었다. 그러나 나사시는 동료들을 이끌었고, 결국 4-2로 역전승했다. 비록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우승하지 못했으나, 1935년 코파 아메리카를 우승했다. 그는 또한 월드컵 이전에 올림픽에도 출전했는데,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차지했었다. 1968년 6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리고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골든 볼이 처음 제정되면서 그는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 골든 볼 수상자가 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것으로 나사시의 바톤(Nasazzi's Baton)이 있다. 이는 첫 FIFA 월드컵 우승국인 우루과이로부터 시작되며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과 같은 규칙을 따르며 한가지 다른 점은 오직 90분의 정규시간 결과만을 가지고 판단한다는 점이다. = 분류:신생대 남아메리카의 파충류 = 신생대의 남아메리카 파충류 분류 파충류 남아메리카 = 에리카 대셔 = 에리카 대셔(Erica Dasher, 1986년 10월 27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제인 바이 디자인에서 제인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쟌발쟌 = "쟌발쟌"은 한국에서 제작된 조긍하 감독의 1961년 영화이다. 김승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신종수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김승호 방수일 김혜정 이향 = = 기타 = = 원작자: 빅토르 위고 조명: 이병준 미술: 이명수 = 탬 이란 코드로 테헤란 FSC = 탬 이란 코드로 테헤란 FSC는 2009년 해체된 이란의 풋살 선수단이다. = = 우승 기록 = = 이란 풋살 슈퍼리그 우승(2): 2004-05, 2007-08 준우승(1): 2005-06 이란 풋살 디비전 1 우승(1): 2003-04 = = 역대 성적 = = 시즌 리그 순위 비고 2003-2004 이란 풋살 디비전 1 1 승격 2004-2005 이란 풋살 슈퍼리그 1 2005-2006 이란 풋살 슈퍼리그 2 2007-2008 이란 풋살 슈퍼리그 1 2008-2009 이란 풋살 슈퍼리그 3 = 분류:나라별 222년 = = 분류:채텀 컵 = = 틀:올림픽나라이름 COR = = 심장박동조작극 = "심장박동조작극"은 201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유미 : 혜은 역 윤정일 : 승빈 역 이가경 : 주리 역 홍예은 : 남자승빈 역 홍지영 : 다은 역 류혜린 : 나정 역 최광제 : 재원 역 차승환 : 철수 역 엄윤아 : 희아 역 조소빈 : 애리 역 펠라 : 인도처녀 역 아누팜 : 네팔주방장 역 박영웅 : 혜은새남친 역 이해성 : 간지만 역 장재만 : 주리남친 역 최복동 : 학생 1 역 류지열 : 학생 2 역 황종욱 : 학생 3 역 조한빈 : 학생 4 역 문민수 : 학생 5 역 = 육군예과사관학교 = 일본 육군예과사관학교(日本 陸軍予科士官学校)는 일본 제국 도쿄시 소재 일본 제국 육군 초급사관학교다. 1887년 8월 10일부터 1945년 8월 29일까지 운영되었다. = 제스 클리프 = 제스 클리프(, 1981년 6월 27일~)는 밸브 코퍼레이션의 컴퓨터 게임 디자이너로, 민 리와 함께 하프라이프의 모드인카운터-스트라이크를 제작하였다. 클리프의 목소리는 카운터-스트라이크의 라디오 명령음으로 녹음 되어 있으며, 하프라이프 2: 데스매치 의 맵을 제작하였다. 제스 클리프는 미국, 뉴 저지에서 자랐고 뉴 저지소재의 노스 헌터든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클리프는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 대학교을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재학하였다.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클리프는 현재 게임 디자이너로 일하는 회사인 밸브 코퍼레이션에 취직하였다. 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클리프는 하프라이프를 위한 사이트인 "Silo X"를 운영하였다. 이 사이트는 전 세계의 맵과 레벨의 디자이너들이 그들이 직접 만든 맵을 업로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리프가 민 리와 함께 카운터-스트라이크의 초기 버전을 제작할 때, 그는 "Silo X"의 운영을 그만 두었다. 1990년대 후반에 클리프는 JKMAG그룹의 리더이자 관리자로 일했다. 2007년 5월에 클리프는 자신의 블로그인 VintageSeattle를 운영하였는데, 이 블로그는 시애틀의 과거 고해상도 사진들과 우표, 역사적 건축물 정보 등을 담고있었다. = 대한민국 원주민 = 대한민국 원주민은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와 습지생태보고서로 알려진 만화가 최규석의 작품이다. 펴낸 곳은 (주)창비이며 2008년 5월 30일에 초판이 나왔다. = = 작품 성격과 특징 = = 작가가 머리글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그늘진 이면을 채운 이름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는데, 씨네21 기자와 가진 인터뷰2008년 5월 16일 씨네21 편집위원 김혜리와 가진 인터뷰를 가리키며, 대한민국 원주민 맨 뒤에 인터뷰 내용이 따로 수록되어 있다.에서 최규석은 그 이야기들이 바로 자신과 가족들이 겪은 삶을 그린 것들이라는 점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자전적 성격을 띤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책은 특별히 두드러지는 사건이나 기승전결을 갖춘 전개 방식, 일관된 줄거리 등이 없이 짧은 일화들을 모은 옴니버스식 구성을 띠고 있다. 하지만 굳이 형식상의 규칙을 찾는다면 작가 가족들이 차례로 각 일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명사항 = 명사항은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3년 2월 3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거제시장이다. = = 어항 연혁 = = 본래 명사동(明沙洞) 또는 밀개라 하였는데 저구만(猪仇灣)의 남쪽 망산(望山)이 막아 바다가 잔잔하고 얕아 갯벌이 넓은 백사장(白沙場)이라 거제의 명사십리(明沙十里)라 부르며 해수욕장(海水浴場)을 개장하고 있다. = = 어항 구역 = = 수역: 117,000m2(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248-14번지 수역) 육역: 11,000m2 = = 어항 시설 = = 물양장, 방파제 = = 주요 어종 = = 미역, 감성돔, 열기 등 = 틀:토막글/그림/권투 = 틀:토막글/그림/스포츠 틀:토막글/그림/골프 틀:토막글/그림/농구 틀:토막글/그림/무술 * 틀:토막글/그림/검도 * 틀:토막글/그림/권투 * 틀:토막글/그림/레슬링 ** 틀:토막글/그림/프로레슬링 * 틀:토막글/그림/씨름 * 틀:토막글/그림/유도 * 틀:토막글/그림/태권도 틀:토막글/그림/미식축구 틀:토막글/그림/배구 틀:토막글/그림/수영 틀:토막글/그림/야구 틀:토막글/그림/자동차 경주 틀:토막글/그림/축구 틀:토막글/그림/탁구 틀:토막글/그림/테니스 틀:토막글/그림/핸드볼 권투 = 나가노현 제3구 = 나가노현 제3구(長野県 第3区)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1994년 공직선거법으로 신설되었다. = = 지역 = = 우에다시 고모로시 사쿠시 도미시 미나미사쿠군 고우미정 가와카미 촌 미나미마키촌 미나미아이키촌 기타아이키촌 사쿠호정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 미요타정 다테시나정 지사가타군 아오키촌 나가와정 하니시나군 사카키정 = 틀:대구 FC 선수 명단 = = 기세훈 = 기세훈(奇世勳, 1914년 ~ 2015년 2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서울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 = 생애 = = 기세훈은 1914년에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퇴계 이황과 함께 이기론을 이끌던 고봉 기대승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일본 와세대 법학부를 졸업하고 1942년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다. 1949년 광주지검 차장검사로 재직하며 여순사건 당시 좌익 누명을 쓴 박찬길 검사 사건의 진상을 밝혀내기 위해 노력을 하다가 서울지방법원, 광주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를 했다. 1954년부터 10여년간 역임한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서울가정법원장, 청주지방법원장, 법원 인사위원장을 지내고 광주고등법원장에 재직 중이던 1969년 9월 2일 서울고등법원장에 임명되어 1971년 신설되는 사법연수원장을 겸직하여 1973년까지 재직했다. 서울고등법원장에 재직할 때 '정권에 밉보인' 소속 판사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된 후 전국 153명의 판사가 집단사표를 내는 사법파동이 있었다. 민복기 대법원장에게 "비장한 각오로 사법파동 해결 대책을 마련하라"고 말하면서 서울고등법원 전체 법관 명의로 사법권수호 결의문을 전달했다가 1973년 법관 발령에서 대법원 판사 8명과 함께 의원면직됐다. 서울고등법원장을 마치고 1973년 서울동부합동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 개업하여 한승헌 변호사 등을 변호하면서도 2006년까지 주로 공증 업무를 담당하였다. 서울가정법원장으로 재직하던 1966년 6월 2일에 기세훈은 7세의 소녀를 죽인 12세의 소녀가 아동보호소에 보호 조치되었다가 탈출하여 사회문제가 되자 "현행법상으로 어떻게 할 방법이 없어 제일 좋은 방법은 부모가 책임지고 선도해야 할 것이다"고 했다.동아일보 1966년 6월 2일 1968년 2월 24일에는 대법원에 의해 주재황 대법원 판사, 강안희 서울형사지방법원장과 함께 법원측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에 지명됐다.경향신문 1968년 2월 24일 재경 전남향우회 회장과 고봉학원 이사장을 맡았으며동아일보 1989년 12월 28일자 ‘고봉의 문집과 번역’이라는 4권짜리 성리학 이론서를 펴내고 선조 때부터 내려온 광주광역시 소재 고택 ‘애일당(愛日堂)’에 학술원을 열고 학술지인 ‘전통과 현실’을 펴내며 고봉의 학문에 대해 연구했다. 특히 고봉 기대승 문집 11책 1질을 다른 후손들과 함께 1971년 1월에 발간하였다.동아일보 1971년 1월 14일 1968년 5월 24일에 한국부인회가 보건사회부 후원으로 여성회관 강당에서 개최한 관혼상제 개선방안에 대한 심포지엄에서 '혼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주제로 강연하면서매일경제 1968년 5월 21일자 혼수 준비나 결혼식에는 최소한의 비용만 들이고 나머지 돈으로 신혼 부부가 살면서 고난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예금, 적금 통장이나 주권 등을 선물하는 실질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매일경제 1968년 5월 28일자기세훈은 서울고등법원장에 재직하던 1971년 7월 24일에 산악 전문지 '산' 독자들로 구성된 울릉도 성인봉 등반대회에 참가했으며경향신문 1971년 7월 26일자 1972년 2월 3일에 KBS <신혼 만세> 라는 프로그램에 배우자와 함께 출연하여 약혼 시절의 재미있는 경험을 털어놨다.경향신문 1972년 2월 3일자 인촌기념사업회가 1989년 12월 27일에 이희승 후임 이사장에 선출했으며 대한변호사협회가 개최한 제7회 법의 지배를 위한 변호사대회가 열린 1995년 8월 11일에 "국선변호를 통한 형사 피고인의 인권 옹호에 앞장서고 무료변론, 무료법률상담 등 서민의 권리구제에 기여했다"는 이유로 제7회 한국법률문화상을 받은동아일보 1995년 8월 12일자 기세훈은 "법조인은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구도자"라면서 "권력이나 어떤 물질적 유혹에도 굴하지 않고 국민들에게 봉사해야 한다"고 하면서 법조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지행합일이라며 "후배들도 인권수호와 정의구현을 위해 있는 힘을 다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동아일보 1995년 9월 3일자 전남대학교는 1997년 2월에 "초대 법대학장을 지내며 학교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변호사 개업 후에는 무료변론과 장학사업을 하는 등 사회에 공헌을 했다"는 이유로 명예박사학위를 수여했다.동아일보1997년 2월 27일 = 분류:유라시아 스텝 = = 분류:소련의 정치적 억압을 소재로 한 영화 = = 분류:1962년 법 = = 2022년 카라칼파크스탄 시위 = 2022년 7월 1일, 우즈베키스탄의 자치 지역인 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에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가 추진한 우즈베키스탄 헌법 개정안 발표 직후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였다. 헌법 개정안에는 카라칼파크스탄의 자치권 박탈과,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할 권리가 사라져 있었다. 카라칼파크스탄의 수도 누쿠스에서 시위가 열린 다음 날,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헌법 개정안을 철회하였다. 카라칼파크스탄 정부는 시위대가 정부 건물에 무단으로 침입하려 시도했다고 밝혔다. 우즈베키스탄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시위의 규모는 점차 늘어났으며, 7월 2일에는 카라칼파크스탄에서 인터넷이 차단되기에 이르렀고,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카라칼파크스탄에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시위는 7월 3일 아침 잦아들었으며, 비상사태는 7월 21일 해제되었다. = = 배경 = = 카라칼파크스탄은 우즈베키스탄 서부에 위치한 자치공화국으로, 카라칼파크인이 주로 거주한다. 언어는 우즈베크어보다 카자흐어에 더 가깝지만, 장시간 조화를 이루며 살아왔기 때문에 문화는 우즈베크인과 더 비슷하다. 지리적 크기에 비해, 카라칼파크인은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2.2%, 75만 2천 명밖에 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카라칼파크스탄의 영토는 여러 제국에 소속됨을 반복하다가, 17세기 히바 칸국에 소속된 유목 민족의 연합으로서 현재와 비슷한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카라칼파크인은 카자흐인과 문화적인 교류를 이루며, 우즈베크인과 다른 언어를 형성하였다. 소련의 수립을 거치며, 이오시프 스탈린 집권기 중앙아시아에서는, 제정 러시아와 소련 초기 인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국가주의 지도층이 참여한 지역 공산주의 기구의 주도로 공화국 간 경계를 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여러 지역에서 다중언어 사용 가능 인구가 많고 스스로를 여러 국가의 소속으로 보는 사람이 많았던 환경에서 새 경계가 그려지자, 언어와 인종으로 나눈 경계는 도시와 농촌을 정치적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1925년 카라칼파크 자치주가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공화국 소속으로 설립되었고, 이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속으로 옮겨졌다. 1932년에는 카라칼파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되며,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완전히 병합되었으나 자치권은 그대로 보장되었다. 1990년 12월 페레스트로이카 도중 카라칼파크 최고평의회는 소련으로부터 한 '국가 자주 선언'을 통해, 주민투표를 거쳐 독립할 수 있음을 선언하였다. 실패한 8월 쿠데타 직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도 독립을 선포하였으며, 이 당시 카라칼파크스탄은 소련 중앙정부에서 '국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1991년 11월 최고평의회의 결정에 따라 다울레트바이 샴셰토우가 카라칼파크스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1992년 6월 사퇴할 때까지 근무하였다. 소련의 붕괴 이후인 1992년 1월 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1992년 우즈베키스탄 헌법 도입과 함께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자치공화국이 되었다. 1993년에는 20년 간 지속되는 카라칼파크스탄의 우즈베키스탄 합병 조약을 논의하며, 주민투표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에서 독립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였다. 2013년 이 조약이 만료되었을 때는 이미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었다. = = = 아랄해의 수위 감소 = = = 아랄해는 원래 카라칼파크인 문화의 엘부를 차지했으며, 아랄해의 건조 현상은 카라칼파크스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랄해의 수위 감소로 인해 카라칼파크스탄은 우즈베키스탄 내에서도 빈곤한 지역으로 변하였으며, 식수 감소와 전염병 유행으로 인해 삶의 질도 악화하였다. 아랄해가 사라지며 경제적 투자 기회 자체도 줄어들고 있으며, 일부는 카라칼파크스탄 경제 악화의 원인을 아랄해에서 찾기도 한다. = = = 헌법 개정안 = = = 2022년 6월 말,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는 우즈베키스탄 헌법에 170가지 수정안을 제시해 국민투표에 부치기로 하였다. 수정안 중 대표적인 논란 사항은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7년으로 연장하고, 임기 횟수 제한을 없애며, 카라칼파크스탄의 자치권을 상당수 소멸시키고 주민투표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에서 독립할 권리를 없앤 것이었다. = = 시위 = = 2022년 7월 1일, 카라칼파크스탄 수도 누쿠스에서 헌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유라시아넷은 카라칼파크스탄의 변호사이자 기자인 다울렛무라트 타지무라토프가 누쿠스에서 사람들을 만나기 전 체포된 것이 시위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시위 다음 날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카라칼파크스탄의 자치권과 관련된 헌법 개정안을 취하하는 것에 동의하였다. 카라칼파크스탄 정부는 시위대가 정부 건물에 무단으로 진입하려 시도했다고 주장하였다. 카라칼파크스탄의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었으며,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의해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 7월 4일, 반대파 정치인 풀랏 아후노프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비상사태 선언과 통금령 개시를 통해 상황이 안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으나, 이 시위가 우즈베크인과 카라칼파크인 간의 분쟁으로 격화할 수도 있다는 걱정을 내비치며, "전체적으로 상황이 안정되어 가는 것 같지만, 다른 위험이 있다. 카라칼파크인과 우즈베크인 사이 충돌이 있었다. [...] 카라칼파크스탄의 분쟁이 아니라, 카르칼파크인과 우즈베크인 간의 분쟁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7월 2일이 낀 주의 주말에 미르지요예프는 카라칼파크스탄을 두 번 방문하여 카라칼파크스탄의 친정부파 인물들에게 헌법 개정안에 대한 대중의 반대를 미리 전하지 않은 것을 책망하였다. 7월 4일 열린 카라칼파크스탄 대리인과의 회담 이후, 미르지요예프는 시위대 지도층이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지방 정부 건물을 탈취하려고 시도했다면서, "사람 수가 많은 것을 이점으로 삼아, 사법부 소속 인물들을 공격해 심한 폭행으로 상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미르지요예프에 따르면, 유럽 연합 정상회의 대표 샤를 미셸과 시위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위한 회담을 열었으며, 여기서도 폭력 사태의 책임을 '범죄 조직'에게 돌렸다. = = = 사상자 = = = 시위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을 것이라는 우려가 폭 넓게 발생하였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민간인과 경찰 모두에게서 사상자가 나온 점을 인정하였으며, '폭동가들이 파괴적인 행동을 자행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풀랏 아후노프는 로이터에 최소 다섯 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카라칼파크스탄 보건부 장관 술탄벡 지야예프는 누쿠스의 병원이 경찰과의 충돌로 부상을 입은 시위대로 붐볐으며, '수천 명'이 병원에 실려갔다고 밝혔다. 7월 4일, 우즈베키스탄 대검찰청은 누쿠스에서 18명이 쥭고 243명이 부상을 입었다소 발표하였으나, 반대 측은 이 수치가 실제로는 더 높다고 밝혔다. 7월 18일 검찰청은 병원에서 3명이 더 사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우즈베키스탄 방위군 대변인 다브론 주마나자로프는 7월 1일부터 2일까지 516명이 구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국제엠네스티는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고무탄을 발포하였으며, 드론을 사용해 연막탄과 최루탄을 투하하였다는 검증하지 못한 보고가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국제엠네스티는 정부가 연막탄과 최루탄을 사용한 것을 인정했다고 발언하였다. 소셜 미디어에는 누쿠스 거리에 많은 피가 흘려진 것을 보여주는 영상이 전파되었으며, 이에 대해 이후 지역 매체에서 경찰이 물에 빨간색 염료를 섞어 살포한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제엠네스티는 인터넷 차단 사태로 인해 동영상 자체가 실제 촬영된 것인지, 동영상 속 액체가 피가 맞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폴란드 기자 아그니에슈카 피쿨리츠카는 당초 이 영상을 공유하였으나, 이후 가짜 뉴스를 퍼트렸다고 사과하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 시위는 173명이 죽었던 2005년 안디잔 학살 이래 가장 사망자가 많았던 시위였다. = = 국제적 반응 = = – 벨라루스의 독립기념일에 개최된 회담에서, 벨라루스의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외부인, 특히 서방 세력에서의 관여가 있었으며,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중앙아시아 영향력 행사에 대해서는 "중앙아시아는 우리처럼 중국이라는 한 불과, 미국과 유럽이라는 또 하나의 불에 둘러싸여 있다. 중국은 중앙아시아가 살아남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 싸움은 곧 중앙아시아에서 일어날 것이며, 이미 증상은 나타나고 있다"고 말하였다.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대변인 자오리젠은 기자 회담에서 중국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국가 안정 유지를 지지하며, 우즈베키스탄은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하에 평화롭게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 유럽 연합은 카라칼파크스탄에서 벌어진 일에 우려를 표했으며, 양 측에 자제를 요구했고, "우즈베키스탄의 국제적 기여와 발맞춰, 정부에 근본적인 표현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포함한 인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하였다. – 인도 외교부 대변인 아린담 바그치는 법과 질서를 복원하고, 사태의 확대를 저지하려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노력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시위 과정 중 사상을 입은 사람들을 애도하였다. – 카자흐스탄 외교부는 우즈베키스탄 정부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카라칼파크스탄 사태를 진정시키려는 우즈베키스탄 지도부의 결정을 환영하고 지지한다. 헌법의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라는 이 중요한 정치적 사건의 말에는 우즈베키스탄에 평화와 고요함이 찾아올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사디르 자파로프는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의 전화에서, 카라칼파크스탄의 상황을 진정시키려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노력을 완전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 러시아 외무부는 이 사건은 우즈베키스탄 국내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지만, 관련 세력이 폭동보다 '합법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하며, 우즈베키스탄 정부를 지지하였다. – 튀르키예 외교부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국민이 이 문제를 '상식과, 평화와 고요함의 분위기'에서 해결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밝혔으며, 우즈베키스탄의 안정과 번영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 투르크메니스탄 외교부는 "헌법적 질서, 법의 지배, 주민의 안전과 평화를 보호하기 위한 우즈베키스탄 지도부의 빠르고 결정적인 행동"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내놓았다. – 미국 국무부 대변인 네드 프리스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평화적인 집회와 표현을 보호"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폭력 사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 뒤플렉스 = 뒤플렉스(Dupleix)는 다음을 가리킨다. 조셉 프랑수아 뒤플렉스: 프랑스의 인도 지배의 공로자 조셉 프랑수아 뒤플렉스 (1861년): 선박 = 틀:원소 정보/안정 동위 원소 = = 현장부재증명 = 현장부재증명(現場不在證明, '다른 곳에(서)')은 범죄가 행해진 때에 피고인·피의자가 범죄의 현장 이외의 장소에 있었다는 사실을 주장하여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는 방법이다. 이는 범행의 일시에 현장에 없었다면 그 범죄를 행할 수 없으므로, 그 용의자를 범인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데에 근거한다. 따라서 알리바이를 입증하는 것은 무죄를 증명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공소장에서 공소사실을 기재할 때는 범죄의 일시·장소·방법을 명시하여 사실을 특정시키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법원의 심판 대상을 명확히 한다는 점과 함께 알리바이 입증 등 피고인의 방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리베이라궁 = 리베이라 궁전은 포르투갈의 군주들이 리스본에서 약 250년 동안 주거지였던 궁전이다. 마누엘 1세가 상조르즈 성이 살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뒤 명령을 내려 만들어졌다. 궁전은 수많은 재건설과 재건축 끝에 원래 마누엘 양식에서 마지막에는 매너리즘과 바로크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리베이라 궁전 뿐만 아니라 리스본은 리스본 대지진에 붕괴되었다. 지진 후에, 통치 중이던 주제 1세는 밀실공포증이였고, 그의 여생을 아주다의 언덕에서 보내고 싶어했기 때문에 리베이라 궁전은 다시 건설될 수 없었다. 현재, 리베이라 궁전이 있던 자리에는 코메르시우 광장이 대신해 있다. = 이청해 = 이청해(1948년 서울 ~ )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91년 문학사상을 통해 등단했다. = = 주요 작품 = = 장편소설 《막다른 골목에서 솟아오르다》, 《오로라의 환상》,《초록빛 아침》, 《아비뇽의 여자들》 중편소설 《체리브라썸》 소설집 《빗소리》, 《숭어》, 《플라타너스 꽃》, 《장미회 제명사건》 = 분류:1991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 문장 성분 = 문장 성분(文章成分)이란 문장 내에서 어휘가 하는 역할이다. 각 품사는 형태에 따라 쓰일 수 있는 성분이 정해져 있다. 대표적으로 문장을 주부와 술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체언이 주어에 쓰일 때 형태 변화를 하거나 격조사를 붙이고, 동사가 술부에 쓰일 때에 어미 규칙 변화를 하거나 불규칙 변화/변칙 등이 생기기도 한다. = 실톱 = 실톱(Fretsaw)은 톱니가 가늘고 얇은 줄같이 된 톱으로, 이를 이용해 미세한 톱질을 할 수 있다. 실톱은 목공 등 복잡한 외부 모양과 내부 컷 아웃을 절단하는 데 사용되는 일종의 활톱이다. 연귀 조인트가 아닌 코핑을 만들기 위해 몰딩을 절단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특히 얇은 재료에서 절단의 복잡도에 따라 실톱을 일치시킬 수는 없지만 프렛 워크를 만드는 데 종종 사용된다. 코핑 톱날은 일반적인 실톱날 및 그 밖의 많은 비슷한 구성원보다 더 두껍고 굵은 절단이다. 코핑 톱은 작업에서 약간의 구부러진 부분을 자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하면 원 모양을 자를 수 있다. = HIP 102831 = = 살가두 필류 국제공항 = 살가두 필류 국제공항(Salgado Filho Porto Alegre International Airport, )은 브라질포르투알레그리를 관할하는 공항이다. 이 공항의 이름은 제1대 브라질 공군장관 조아킴 페드루 살가두 필류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프라포트 브라질이 운영한다. = 분류:사운드트랙 음반 = = 규슈 유센 = 규슈 유센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에 본거지를 직접적으로 둔 해운회사이다. 그러나 이 해운회사는 규슈와 이키섬, 쓰시마섬을 이어주는 항로를 가지고 있으며, 가라쓰항과 인도지항을 왕래하게 되는 항로와 같이 하카타항을 기점으로 삼지 않는 항로도 물론 보유하고 있다. 이 업체는 1920년 8월 15일 정식으로 설립하였고, JR 큐슈 고속선의 비틀호 노선에 규슈 유센에 할당된 26개의 좌석을 판매하는 형태로 공동 운항을 따로 하고 있다. 또한 자본금은 2억엔(약 21.84억원)이며, 종업원 수는 육상부 49명, 해상부 156명 등 205명의 종업원(2015년 4월 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 = 주요 항로 = = = = = 페리 = = =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 :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후쿠오카시) ~ 고노우라항 혹은 아시베항 (이키시) ~ 이즈하라항 (쓰시마시) 가라쓰 ~ 인도지 항로 : 가라쓰항 (가라쓰시) ~ 인도지항 (이키시)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 : 하카타항 (후쿠오카시) ~ 히타카쓰항 (쓰시마시 가미쓰시마정) = = = 고속선 = = =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 :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 고노우라항 또는 아시베교항 ~ 이즈하라항 노선으로만 운항하게 된다. 다만, 하카타 ~ 히타카쓰 노선의 경우, JR 큐슈 고속선의 비틀호를 이용하여 26개의 좌석을 임차한 형태로 공동 운항하고 있지만, 추후 미래고속의 코비호를 통한 규슈 유센 공동운항편을 따로 선보일 예정에 있다. = = 보유중인 선박 = = 보유중인 선박은 페리 5종과 고속선 2종 등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페리 기즈나, 페리 지쿠시, 페리 아즈기, 에메랄드 가라쓰, 다이아몬드 이키, 페리 겐카이 등은 페리를, 비너스와 비너스2는 보잉 929라는 제트포일(고속선)로 운용된다.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Somerset North/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nited_Kingdom_Somerset_North/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이탈리아에 거주한 아프가니스탄인 = = 분류:뉴에이지 음악 그룹 = = 종로산업정보학교 = 종로산업정보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에 위치한, 직업교육을 원하는 서울특별시 소재 일반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3학년 때 직업위탁교육을 하는 각종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1년 5월 13일: 개교 *1990. 11. 10. 서울 특별시 조례 제 2661호 종로산업학교 전자과 외 6개과 24학급 설립인가(전자과, 전산 이용 설계과, 상업 미술과, 사진과, 자동차 정비과, 정보 처리과, 전기 설비과) *1990. 11. 14. 송종범 초대 교장 부임 *1991. 3. 13. 마포구 공덕동 소재 경서 중학교 내 임시 교사에서 제 1회 입교식 *1992. 1. 17. 종로구 숭인동 242 번지로 이전 *1992. 2. 7. 제 1회 수료식(727명) *1992. 3. 6. 제 2회 입교식 *1992. 9. 1. 제 2대 최창균 교장 부임 *1993. 2. 9. 제 2회 수료식(1,042명) *1993. 3. 6. 제 3회 입교식 *1994. 2. 7. 제 3회 수료식(1,043명) *1995. 2. 7. 제 4회 수료식(954명) *1996. 2. 8. 제 5회 수료식(554명) *1996. 3. 1. 제 3대 탁준과 교장 취임 *1997. 2. 5. 제 6회 수료식(519명) *1998. 2. 6. 제 7회 수료식(436명) *1998. 3. 1. ∼ 1999. 2. 28.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공업교육 시범학교 운영(1년) *1998. 3. 5. 제 8회 입교식(기계 CAD 코스 외 8개 코스 520명)(기계 CAD, 전자 CAD, 건축 CAD, 토목 CAD, 정보처리, 사무자동화, 일어관광통역, 자동차 정비, 상업미술) *1998. 9. 1. 제 4대 김이섭 교장 취임 *1999. 2. 5. 제 8회 수료식(기계 CAD 코스 외 8개 코스 468명) *1999. 3. 5. 제 9회 입교식(기계 CAD 코스 외 6개 코스 520명)(기계 CAD, 전자 CAD, 건축 CAD, 토목 CAD, 정보처리, 정보응용, 일어관광통역) *1999. 9. 1. 제 5대 제선억 교장 취임 *2000. 2. 9. 제 9회 수료식 (기계 CAD 코스 외 6개 코스 393명) *2000. 3. 7. 제 10회 입교식(기계 CAD 코스 외 5개 코스 450명)(기계 CAD, 건축 CAD, 도시계획 CAD, 정보처리, 사이버미디어통신, 일어관광통역) *2000. 9. 1. 제 6대 박용한 교장 취임 *2001. 2. 14. 제 10회 수료식(기계 CAD 코스 외 5개 코스 425명) *2001. 3. 1. ∼ 2003. 2. 28.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직업교육 시범학교운영(2년) *2001. 3. 30. 제 11회 입교식(멀티CAD/CAM 코스 외 5개 코스 450명)(멀티 CAD/CAM, 사이버건축 CAD, 도시계획 CAD, 웹마스터, 사이버미디어통신, 일어관광 통역) *2002. 2. 5. 제 11회 수료식(425명) *2002. 3. 1. 종로산업정보학교로 학교명 개명 *2002. 3. 5. 제 12회 입교식(멀티CAD/CAM 코스 외 5개 코스 431명)(멀티 CAD/CAM, 사이버건축 CAD, 지리정보·CAD, 웹마스터, 멀티미디어통신, 일어관광 통역) *2002. 9. 1. 제 7대 이태선 교장 취임 *2003. 2. 7. 제 12회 수료식(398명) *2003. 3. 4. 제 13회 입교식(멀티CAD/CAM 코스 외 6개 코스 461명)(멀티 CAD/CAM, 3D건축 CAD, 인테리어모델링, GIS/CAD, 웹마스터, 멀티미디어통신, 일어관광 통역) *2004. 2. 6. 제 13회 수료식(415명) *2004. 3. 3. 제 14회 입교식(컴퓨터 응용설계 코스 외 7개 토스 352명)(컴퓨터 응용설계, CAD/CAM, 건축설계 인테리어 모델링, 웹마스터, 웹 호스팅, 웹마케터, 일어관광통역) *2004. 9. 1. 제 8대 이명하 교장 취임 *2006. 3. 1. 웹마스터과 폐과/조리, 중국어관광통역과 신설 *2006. 9. 1. 제9대 김휘권 교장 취임 *2006. 12. 31.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운영 편성 우수학교 선정 *2007. 1. 24. 제 16회 수료식(338명) *2007. 3. 1. 제 10대 정영수교장 취임 *2007. 3. 1. 컴퓨터응용설계, 멀티미디어과 폐과/그래픽디자인과 신설 *2008. 1. 31. 제 17회 수료식(351명) *2008. 3. 1. ∼ 2010. 2. 28.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직업교육 시범학교운영(2년) *2008. 3. 1. 미용예술과 신설 *2008. 9. 1. 제 11대 최길호 교장 취임 *2009. 1. 22. 제 18회 수료식(370명) *2009. 3. 1. 건축디자인, 인테리어모델링과 폐과 / 인테리어디자인과 신설 *2010. 1. 28. 제 19회 수료식(365명) *2010. 12. 13. 제 12대 김철환 교장 취임 *2011. 1. 28. 제 20회 수료식(397명) *2011. 3. 1. CAD/CAM, 웹호스팅 폐과 / 시각디자인, 컴퓨터보안, 로봇자동화 개편 *2012. 1. 20. 제 21회 수료식(393명) *2013. 3. 1. 인테리어디자인, 로봇자동화 폐과/건축디자인, 중국어관광통역 개편/ 조리(30명) 증설 *2013. 2. 1. 제 22회 수료식(377명) *2014. 1. 24. 제 23회 수료식(440명) *2014. 3. 1. 제과제빵 신설 *2015. 1. 30. 제 24회 수료식(438명) *2015. 3. 1. 제 13대 조중기 교장 취임 *2015. 3. 3. 제 25회 입교식(위탁교육 16학급) *2016. 1. 29. 제 25회 수료식(403명) *2016. 3. 1. 2학년 직업위탁 조기연계 과정 신설(DIY공방, 디저트쿠킹 3학년 스포츠문화(30명), 관광서비스(30명)학과 개설 건축디자인, 시각디자인, 메카트로닉스, 컴퓨터정보 폐과 공간디자인, 건축인테리어, 비주얼아트디자인, 3D모델링 가공, 스마트IT, 관광중국어 개편 *2016. 3. 1. ∼ 2018. 2. 28.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교육과정 정책 연구학교 운영(2년) *2016. 3. 3. 제 26회 입교식(위탁교육 20학급) *2017. 1. 25. 제 26회 수료식(481명) *2017. 3. 1. 건축인테리어 통합개편 / 전기, 포장디자인, 정보컴퓨터, 골프서비스 개설 공간디자인, 3D모델링 가공, 비주얼아트디자인, 스마트IT, 스포츠문화(골프산업)폐과 컴퓨터보안(26명) 증설 *2017. 3. 3. 제 27회 입교식(위탁교육 20학급) *2018. 1. 26. 제 27회 수료식(493명) *2018. 3. 6. 제 28회 입교식(위탁교육 20학급) *2019. 1. 25. 제 28회 수료식(461명) *2019. 3. 1. 2학년 직업위탁 조기연계과정 폐과(DIY 공방, 디저트·쿠킹) 3학년 관광서비스과(26명), 제과제빵과(26명) 증설, 가구제작과(26명) 개설 *2019. 3. 5. 제 29회 입교식(위탁교육 20학급 455명) *2020. 1. 2. 제 29회 수료식(426명) *2020. 3. 1. 건축인테리어과(44명), 전기과(22명), 가구제작과(22명), 정보컴퓨터과(22명) 컴퓨터보안과(44명), 일본어관광통역과(44명), 관광중국어과(22명), 관광서비스과(44명), 골프캐디과(22명), 미용예술과(66명), 조리과(44명), 제과제빵과(44명) 학급인원 변경 *2020. 3. 3. 제 30회 입교식 (코로나 19로 인하여 입교식을 2020. 4. 10. 변경 위탁교육 20학급 346명) *2021. 1. 14. 제 30회 수료식(328명) *2021. 3. 3. 제 31회 입교식 (위탁교육 20학급 376명) *2021. 7. 6. 학과개편승인 관광서비스(20명), 항공서비스(20명), 뷰티아트(60명), 관광일본어(44명) 2022학년도부터 적용 13개과 20학급 *2021. 12. 31. 제 31회 수료식(356명) *2022. 3. 1. 제 14대 조용수 교장 취임 *2022. 3. 3. 제 32회 입교식(위탁교육 20학급, 302명) *2022. 6. 22. 학과개편승인 웹툰만화콘텐츠(20명), 인공지능컴퓨터(20명), 건축인테리어, 뷰티아트, 컴퓨터보안 각 1반 감축, 2023학년도 부터 적용 15학과 19학급 = = 2023학년도 개설 과 = = 건축인터리어과 18명 전기과 18명 웹툰만화콘텐츠과 20명 미디어크리에이터과 20명 컴퓨터보안과 18명 인공지능컴퓨터과 20명 관광일본어과 36명 관광중국어과 18명 관광서비스 20명 항공서비스 18명 레저스포츠과 18명 방송연예과 18명 뷰티아트과 36명 조리과 36명 제과제빵과 36명 총 15과 19학급 350명 =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스포츠팀 = = 분류:카보베르데계 프랑스인 = = 분류:지룽시의 행정 구역 = = 인천완정초등학교 = 인천완정초등학교(仁川완정初等學校)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2007. 7. 22 인천완정초등학교 설립 인가 2007. 9. 1 인천완정초등학교 개교 (12학급 322명) 2007. 9. 1 초대 이경로 교장 부임 2007. 10. 10 컴퓨터실 완공 2007. 10. 15 과학실 완공 2007. 11. 12 인천광역시교육청 영재학급 운영학교 지정 2008. 2. 19 제1회 졸업식(56명) 2008. 3. 1 인천완정초등학교 15학급 편성(3학급 증설) 2008. 3. 17 민간참여 제2 컴퓨터실 개관(코어2 듀얼 37대) 2008. 6. 13 스탠드 차양막 공사 완공 2008. 6. 23 도서실 완공 2008. 7. 17 아이누리 도서관 개관식 2008. 11. 12 제2과학실 완공 2008. 12. 19 영재학급 수료식(39명) 2009. 2. 13 제2회 졸업식(83명) 2009. 3. 1 인천완정초등학교 18학급 편성(3학급 증설) 2009. 5. 9 교실 안전봉 설치 2009. 5. 11 보육교실 구축 완료 (13명 입교) 2009. 11. 26 저작권연구학교 중간 보고회(1/2년차) 2009. 12. 16 인천완정초등학교 영재학급 수료식(75명) 2010. 2. 10 제3회 졸업식(94명) 2010. 3. 1 인천완정초등학교 20학급 편성(2학급 증설) 2010. 3. 1 제2대 김호덕 교장 부임 2010. 7. 19 어학실 구축(1개소) 2010. 12. 15 인천완정초등학교 영재학급 수료식(115명) 2011. 2. 11 제4회 졸업식(97명) 2011. 2. 18 민간참여 제1 컴퓨터실 개관(코어 2 듀얼 30대) 2011. 3. 1 인천완정초등학교 23학급 편성 2011. 7. 6 인쇄실 정비 2011. 9. 8 완정 쉼터 개소(3개소) 2011. 9. 22 복도 및 화장실 환경 개선 2011. 12. 8 인천완정초등학교 지역공동영재학급 수료식(113명) 2011. 12. 15 여교사 휴게실 구축(1개소) 2012. 2. 10 제5회 졸업식(115명) 2012. 9. 1 제3대 안종수 교장 부임 2012. 12. 7 인천완정초등학교 지역공동영재학급 수료식(75명) 2013. 2. 15 제6회 졸업식(111명) 2013. 3. 4 인천완정초등학교 28학급 편성 2013. 3. 4 교실 3개실 구축 2013. 5. 25 경비초소 공사 및 개소 2013. 10. 22 정문 외 1곳(총2대) HD급 CCTV 교체 2013. 12. 13 인천완정초등학교 지역공동영재학급 수료식(38명) 2014. 2. 14 제7회 졸업식(128명) 2014. 9. 1 제4대 김정수 교장 부임 2015. 2. 13 제 8회 졸업식(119명) = 분류:부르키나파소의 척추동물 = = 그레이트 월 (영화) = 그레이트 월은 2016년 공개된 미국과 중국 합작 영화이다. = = 출연 = = 맷 데이먼 - 윌리엄 가린 징톈 - 임매 페드로 파스칼 - 페로 토바 윌럼 더포 - 밸러드 경 류덕화 - 왕참모 장한위 - 소장군 펑위옌 - 오장군 루한 - 팽용 린겅신 - 진장군 천쉐둥 황쉬안 - 등장군 왕쥔카이 - 황제(송 인종) 정카이 - 심대인 = 도로역 = 도로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도로역 (사이타마현) - ()은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기타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철도역. 도로역 (홋카이도) - ()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시베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 = 저빌 = 저빌(gerbil)은 다른 말로 사막쥐(desert rats)라고 하며, 황무지쥐아과(Gerbillinae)에 속하는 설치류의 총칭이다. 저빌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jerboa"(뛰는쥐류)이며 Jird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 단어는 아랍어로 대형 사막 설치류를 뜻한다. 아프리카와 몽골, 중동에서 인도까지 아시아의 사막 지대에 서식한다.*McKenna, M. C. and S. K. Bell. 1997.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Musser, G. G. and M. D. Carleton. 1993. Family Muridae. Pp. 501–755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약 11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속 = = 황무지쥐족 또는 저빌족 (Gerbillini) 저빌아족 (Gerbillina) * 저빌속 (Gerbillus) * 짧은꼬리저빌속 (Dipodillus) * 소말리아피그미저빌속 (Microdillus) 큰저빌아족 (Rhombomyina) * 메리오네스속 (Meriones) * 큰저빌속 (Rhombomys) * 모래쥐속 (Psammomys) * 붓꼬리저빌속 (Sekeetamys) * 프르제발스키저빌속 (Brachiones) 주머니저빌아족 (Desmodilliscina) * 주머니저빌속 (Desmodilliscus) 파키우로미스아족 (Pachyuromyina) * 파키우로미스속 (Pachyuromys) 테터릴족 (Taterillini ) 테터릴아족 (Taterillina) * 인도저빌속 (Tatera) * 보엠저빌속 (Gerbilliscus) * 작은민발바닥저빌속 (Taterillus) 나미브저빌아족 (Gerbillurina) * 케이프짧은귀저빌속 (Desmodillus) * 나미브저빌속 (Gerbillurus) 소말리아저빌족 (Ammodillini) 암모다일속 또는 소말리아저빌속 (Ammodillus) = = 애완용 저빌 = = 몽골리안 저빌은 19세기에 중국으로부터 프랑스에 처음 애완동물로 소개되었고 1954년에 Dr. Victor Schwentker 박사에 의해 미국에 실험동물로 들어왔다. 저빌을 기를 때는 햄스터용 케이지는 알맞지 않으며,플라스틱제 터널이나 부속품은 건강상의 문제가 있으므로 모두 나무 장난감으로 바꿔주어야 한다. 저빌은 사회성 동물이지만,가족이 아닌 낯선 냄새를 풍기는 상대가 있으면 가끔 죽이기도 한다. 품종개량에 의해 애완동물 가게에서 팔리는 저빌의 모색 색깔은 20종이 넘는다. = 분류:키르기스스탄의 재외 공관 = = 분류:1955년 개항한 공항 = = 분류:프랑스의 펠로타 대회 = = 이와키아사카와역 = 이와키아사카와역은 일본 후쿠시마현 이시카와군 아사카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스이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315 2001 309 2002 284 2003 262 2004 255 2005 244 2006 234 2007 211 2008 221 2009 212 2010 189 2011 170 2012 180 2013 182 2014 173 2015 177 = = 역 주변 = = 국도 제118호선 아사카와 정청 후쿠시마 교통 아사카와 차고 = = 역사 = = 1934년 12월 4일 : 개업. 1983년 6월 1일 : 스이군 선 CTC화에 의해 무인화. 역사 내 상점에 승차권 발매를 위탁했던 간이위탁역이 됨.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2014년 12월 21일 : 시발 열차부터, 상 · 하행선도 1번선으로 통일되어, 과선교를 건너는 2번 선이 사용 정지됨. = 분류:1917년 이탈리아 = = 분류:아일랜드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 =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아올림피아 =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아올림피아(Princess Maria-Olympia of Greece and Denmark, 1996년 7월 25일 ~ )는 패션 모델, 사교계 인사, 그리고 비재위 그리스 왕가의 일원이다. 그녀는 그리스 왕세자 파블로스와 그의 아내 마리샹탈 밀러의 장녀이다. 그녀의 친조부모는 그리스의 콘스탄티노스 2세와 안나마리아 왕비이며, 그녀의 외할아버지는 면세사업가 로버트 워렌 밀러이다. = 분류:고시가야시의 교통 = = 분류:시에라리온의 군인 = = 박인규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박인규: 대한민국의 프레시안 이사장 = = 가공 인물 = = SKY 캐슬의 등장 인물 부부의 세계의 등장 인물 가고파의 등장 인물 = 함자 빈 라덴 = 함자 빈 오사마 빈 모하메드 빈 아와드 빈 라덴(Hamza bin Osama bin Mohammed bin Awad bin Laden, 1989년 6월 9일 ~ 2019년 7월)은 사우디아라비아 태생의 알카에다 일원이었다. 그는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 의 아들로, 2011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조직 내에서 떠오르는 지도자로 추종되었다. = = 초기 생애와 가족 = = 함자 빈 라덴은 1989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태어났다. 2001년 1월, 함자와 그의 아버지 그리고 다른 가족들은 아프가니스탄 남부 도시 칸다하르에서 열린 그의 형 모하메드 빈 라덴의 결혼식에 참석했다.Adam Robinson, Bin Laden: Behind the Mask of the Terrorist, p. 271 같은 해 11월 가즈니 지방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함자 빈 라덴과 그의 형제들이 미군 헬기 잔해를 처리하고 탈레반과 함께 일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2003년 3월, 함자 빈 라덴과 그의 형 사드 빈 라덴이 아프가니스탄 리바트에서 부상을 입고 체포되었다고 주장되었다. 이 주장은 결국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함자 빈 라덴과 다른 알카에다 지도자들은 9/11 테러 이후 이란으로 피신했다. 빈 라덴은 17살 때 압둘라 아흐메드 압둘라의 딸과 결혼했다. 2018년 8월, 가디언지는 빈 라덴의 삼촌들의 말을 인용하여 그가 9.11 테러범 모하메드 아타의 딸과 결혼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함자의 동생 오마르 빈 라덴은 이 보도를 부인했다. = = 알카에다 활동 = = 2005년 비디오에서 함자 빈 라덴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남부 와지리스탄 부족 지역에서 파키스탄 보안군에 대한 알카에다 공격에 참여하고 있다. 2007년 9월, 그는 알카에다와 함께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을 포함하는 부족 벨트에 다시 있다고 보고되었다. 2008년 7월, 한 극단주의 이슬람 웹사이트에 게재된 빈 라덴의 시 번역본이 공개되었다. 빈 라덴은 시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덴마크의 파괴를 가속화하라"고 썼다. 이에 대해 패트릭 머서 영국 하원의원은 함자 빈 라덴을 테러의 왕 세자라고 칭했다. 빈 라덴은 2007년 베나지르 부토 전 파키스탄 총리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 그러나 전 알카에다 대변인 술라이만 아부 가이스의 심문에 따르면, 부토가 암살되었을 때 빈 라덴은 이란에서 가택 연금 상태였으며 2010년까지 석방되지 않았다. 2011년, 그와 다른 빈 라덴 가족들이 파키스탄에 억류된 이란 외교관과 교환하여 석방되었다.. 2015년 8월 14일, 그는 처음으로 오디오 메시지를 공개했다. 그는 카불, 바그다드, 가자 지구의 추종자들에게 워싱턴, 런던, 파리, 텔아비브에서 성전을 벌일 것을 촉구했다. 2016년 5월 11일, 그는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내전 문제에 초점을 맞춘 오디오 메시지를 공개했다고 보도되었다. 그는 "축복받은 시리아 혁명"이 예루살렘을 "해방"할 가능성을 더 높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슬람국가는 알샴(시리아)의 지하드에 초점을 맞추고 무자헤딘의 대열을 결속시켜야 한다"고 말했으며 "전 세계가 무슬림에 대항하여 동원된 지금, 분열과 분쟁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 변명의 여지가 없다."말했다. 2016년 7월, 언론은 그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미국을 위협하는 오디오 메시지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함자 빈 라덴은 "우리는 모두 오사마"라는 제목의 21분 짜리 연설에서 "팔레스타인, 아프가니스탄, 시리아, 이라크, 예멘, 소말리아, 그리고 당신의 억압에서 살아남지 못한 나머지 이슬람 국가들에 대한 당신의 억압에 대응하여 우리는 당신의 나라와 해외에서 당신을 계속 공격하고 목표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슬람 국가가 셰이크 오사마에 대한 복수에 대해서는 알라가 그에게 자비를 베풀기를 바란다. 그것은 오사마에 대한 복수가 아니라 이슬람을 옹호한 사람들에 대한 복수이다." 2017년 5월, 함자 빈 라덴의 녹음이 알 사합에 의해 출판되어 서방 국가들에 대한 테러 공격을 장려했다. 그가 2017년 빌라드 알 샴의 안사르 알푸르칸에서 자마에게 충성을 맹세했다는 소문이다. 2017년 1월, 미국은 함자 빈 라덴을 특별지정 글로벌 테러범으로 분류했다. 이 지명은 그의 이동과 경제적 능력을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블랙리스트에 사실상 올려놓았다. 2017년 5월, 그가 추종자들에게 유대인, 미국인, 서양인, 러시아인들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고독한 늑대 공격을 감행할 것을 촉구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2019년 2월 28일, 미국 국무부는 빈 라덴의 국가에서 신원이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해 최대 100만 달러의 보상을 제안했다.. 2019년 3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2018년 11월에 서명한 국왕 칙령을 통해 빈 라덴의 시민권을 취소했다고 발표했다. = = 2011년 5월 습격 = = 함자 빈 라덴은 아보타바드에 거주하던 오사마 빈 라덴의 세 부인 중 한 명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카이리아 사바르의 아들이었다. 아보타바드에 대한 공습 이후 파키스탄 정보당국은 오사마 빈 라덴의 부인들에 대한 심문을 통해 함자가 유일한 실종자임을 밝혀냈다. 그는 죽거나 다친 사람들 중에 없었다. SEAL 팀 이 수행한 습격은 철저했다. 적외선 기술과 지상군은 건물 내부의 아무도 탈출하지 못했다고 확신했다. 화합물에서 숨겨진 출구 터널이 없었다. 오사마 빈 라덴이 자신의 참모총장 아티야 압드 알 라흐만에게 보낸 이번 공습으로 압수된 편지에서 빈 라덴은 아들 함자가 종교학자로서 카타르에서 교육을 받아 "지하드 주변에서 제기된 잘못된 것과 의혹을 반박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같은 편지에서 함자는 아보타바드에 있지도 않았기 때문에 습격을 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2009년 함자의 형 사드 빈 라덴이 미국 드론 공격으로 사망한 이후 오사마가 아들을 후계자로 기른 것으로 보이는 편지도 확인됐다. = = 죽음 = = 2019년 7월 31일, 뉴욕 타임스와 다른 뉴스 기관들은 익명의 미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하여 빈 라덴이 2017년 1월 20일 시작된 트럼프 행정부의 첫 2년 동안 살해되었다고 보도했다.당시 정보기관들은 그의 사망을 확인할 수 없었고, 2019년 2월, 미 국무부는 빈 라덴의 행방에 대한 정보에 대해 100만 달러의 보상금을 발행했다. 2019년 9월 1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빈 라덴이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지역에서 미국의 대테러 작전으로 사망했다고 확인했다. 다른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 아프간 언론인 빌랄 사르와리는 빈 라덴이 아프가니스탄 가즈니 주 게루 지역에서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함자 빈 라덴의 미망인이자 알카에다의 이집트 고위 조직원인 압둘라 아흐메드 압둘라(아부 무함마드 알마스리)의 딸인 마리암은 2020년 8월 이란 테헤란에서 아버지와 함께 사망했다. 그러나 이것은 이란에 의해 부인되었다. = 체굼스시 = 체굼스시는 라트비아의 지방 자치체로 행정 중심지는 체굼스이며 면적은 492.0km2, 인구는 6,386명(2009년 기준), 인구 밀도는 13명/km2이다. 1개 도시, 3개 교구를 관할한다. = 분류: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구단 = = 바르바라 미셸리니 두 몬치 바르보자 = 바르바라 미셸리니 두 몬치 바르보자(, 1988년 7월 4일 ~ )는 간단히 바르바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브라질의 여자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지 푸치보우 페미니누의 SE 킨데르망에서 활약하고 있다. = = 클럽 경력 = = SC 헤시피와 산타크루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2008년 가을에 이탈리아의 여자 축구 클럽인 나폴리에 입단했다. 2009년에는 스웨덴 다말스벤스칸 소속 여자 축구 클럽인 순나노로 이적했지만 순나노가 2010 다말스벤스칸 시즌에서 강등되면서 2011년에 SC 헤시피로 복귀하게 된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포스 카타라타스 소속으로 활동했고 2013년에는 상카에타누 소속으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독일 프라우엔-분데스리가 소속 여자 축구 클럽인 클로펜부르크로 이적했지만 리그 4경기 출전에 그쳤고 같은 해에 킨데르망으로 이적하게 된다. = = 국가대표 경력 = = 2006년 FIFA U-20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질이 3위를 차지하는 데에 기여했으며 2007년 9월에 열린 일본과의 친선 경기에 처음 출전하면서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데뷔했다. 브라질이 준우승을 차지했던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브라질이 금메달을 획득했던 2007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지만 당시에는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있던 안드레이아 순타키(Andréia Suntaque)의 백업 골키퍼로 남아 있었다.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서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되었는데 브라질은 해당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 후 3차례의 FIFA 여자 월드컵(2011년, 2015년, 2019년), 2차례의 하계 올림픽(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 사생활 = = 바르바라는 언론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레즈비언임을 공개적으로 표명했고 여자 동료인 리디아니(Lidiane)와의 관계를 맺고 있다. = AUX = AUX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A/UX -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AUX - CONFIG.SYS의 다이렉티브 AUX (음악 그룹)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まつだいら ただとも)는 다음 인물을 가리킨다.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634년)(): 도토미 가케가와 번 제2대 번주, 시나노 이야마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759년)() = 하희낭주 = 하희낭주(夏姬-)는 풍월주 제17세 염장공의 화주(花主)다. 하희의 아버지는 하종공이다. 하종공이 비록 어머니에게 효도하여 형세를 살펴 따랐으나 안으로 그 논의를 찬성하면서도 겉으로는 감히 말을 하지 못하였다. 당시 은륜 공주가 임금의 총애를 잃었는데 이는 바로 태상의 막내딸이었다. 태상이 대원을 염려하여 공에게 명하여 은륜공주를 받들게 해서 효종공을 낳았다. 앞서 설원공의 딸 미모낭주에게 장가들어 모종을 낳았었다. 효종의 누이는 하희와 월희이고 모종의 누이는 유모와 영모이다. 공은 청렴 검소하여 여색을 삼가고 아래 사람을 사랑하고 위를 잘 섬겨 세종의 풍토를 많이 지녔기 때문에 처음에는 복종하지 않는 파가 있었으나 결국은 모두 돌아왔다. = 분류:2020년 쿠바 = = 일진 3 = "일진 3"은 201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이승용 : 박영호 역 변준우 : 황대천 역 유지용 : 강학수 역 이훈희 : 최상운 역 지웅배 : 진수 역 윤준호 : 찬호 역 김윤지 : 영호 모 역 송민경 : 황지영 역 오민준 : 최성원 역 장우준 : 준혁 역 이용훈 : 재호 역 박기훈 : 재룡 역 장우진 : 우진 역 박경훈 : 경훈 역 한규성 : 재성 역 김경환 : 민수 역 전재현 : 재현 역 장주영 : 주영 역 이하경 : 하경 역 이준규 : 학생 1 역 김기범 : 학생 2 역 김민우 : 복싱장 수강생 역 이중규 : 정비소 동료 역 송이현 : 식당 손님 1 역 민채령 : 식당 손님 2 역 김정분 : 신흥쌀상회 역 전병운 : 담양식당 역 박종환 : 담임선생님 역 (우정출연) 이선구 : 복싱장 관장 역 (우정출연) 이철민 : 사장님 역 (우정출연) = 변영화 = 변영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변영화(卞榮和, 1886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다. 변영화(卞英花)는 중국 동포 가수이다. = 내짝남X날짝남 = 내짝남X날짝남은 대한민국의 웹드라마이다. = = 줄거리 = = 나랑 자고 잠수 탄 남사친, 차은환이 스타가 되어 돌아왔다!? 흔들리기 시작하는 해린. 그런 두 사람 사이에 새롭게 등장한 직진 연하남 지우진까지! 캠퍼스에서 펼쳐지는 청춘 삼각 로맨스, 당신의 선택은?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공찬 : 차은환 역 김시경 : 유해린 역 안세민 : 지우진 역 세이 : 손민주 역 지원 : 박서아 역 = = 참고 사항 = = 2023년 9월 21일, 대본리딩 현장 사진이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BPLAY_OFFICIAL/status/1704684371247304786 = 야나기다 노부아키 = 야나기다 노부아키(1970년 12월 9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 감독이다. = 분류:나라별 187년 = = 이타쿠라 가쓰미 = 이타쿠라 가쓰미(, 1851년 4월 22일 ~ 1924년 11월 20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후쿠시마번의 11대 번주이다. 가쓰히사라고도 한다. 관위는 종5위하, 가이노카미이다. 시게마사 류 이타쿠라 가(重昌流板倉家) 제14대 당주. 가에이 4년(1851년), 선대 번주 이타쿠라 가쓰아키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게이오 2년(1866년), 아버지가 은거하면서 번주직을 계승하였다. 막부로부터 에도 시내의 단속 임무를 명령받았다. 게이오 4년(1868년)에 영지로 돌아왔을 때 영내에는 근왕론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에 오우 진무총독 참모인 소장 다이고 다다유키가 후쿠시마 성에 입성하여 오우 군사국을 설치하였고, 그 후 가쓰미와 아버지 가쓰아키는 항복하고 시내에서 근신하였다. 메이지 원년, 이타카기 가쓰사다(이타쿠라 가쓰나가의 둘째 아들)의 맏아들 이타쿠라 가쓰사토를 양자로 삼아 번주직을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다이쇼 13년(1924년)에 사망하였다. = 자기불구화 = 자기불구화(self-handicapping)는 발생할 실패가 자존감(self-esteem)을 해하지 않도록 하는 바람에서 노력을 피하는 인지적 전략(cognitive strategy)을 말한다. 에드워드 존스(Edward E. Jones)와 스티븐 버글라스(Steven Berglas)가 처음 이론화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자기불구화는 실적이나 성적 등 수행한 것이 실패할 것을 예상한 사람이 만들어내거나 자신이 만들었다고 하는 장벽이다. 자기불구화가 만들어낸 장벽이다.Feick, D.L., & Rhodewalt, F. (1997). The Double-Edged Sword of Self-Handicapping: Discounting, Augmentation, and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Self-Esteem. Motivation and Emotion, Vol. 21, No. 2. 자기불구화는 자존감 보존 방식이기도 하지만 자기고양(self-enhancement)에도 사용 가능하며, 타인의에게 보일 인상을 관리하는데도 사용된다.Rhodewalt, F., & Vohs, K. D. (2005). Defensive strategies, motivation, and the self. In A. Elliot & C. Dweck (Eds.).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pp. 548-565). New York: Guilford Press. 자존감의 보존이나 증대는 인과 귀인(causal attribution)이나 자존감이 감당할 만한 성공과 실패의 귀인의 변화 때문에 발생한다. 자기불구화는 행동적 자기불구화(behavioral self-handicap)와 주장 자기불구화(claimed self-handicap) 두 가지가 있다. 사람들은 노력을 철회하거나 성공에 대한 장애물을 만들어서, 자신이 유능하다는 것에 대한 공적 사적 자아상을 유지할 수 있다. 자기불구화는 다양한 문화와 지리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어 온 인간의 행동이다. 예를 들어. 학생은 자기불구화 행동을 자주 보여서 성적이 좋지 않으면 스스로가 자기자신을 나쁘게 생각하지 않도록 한다. 자기불구화 행동은 사업계에서도 보인다. 자기불구화의 효과는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대를 받는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 = 개요와 관련성 = = 자기불구화 사용의 우선적인 이유는 과업 완수를 성공하지 못했을 때에 대한 두려움에 자기에게 과제를 더 어렵게 만들 때 발생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실패하면 자기가 아닌 과제로 책임을 돌린다. 연구자들은 이를 '행동불구화(behavioral handicapping)'라고 한다. 실제로는 사람이 수행에 방해되는 장애를 만들었던 것이다. 행동불구화 사례는 알코올 섭취(alcohol consumption), the selection of unattainable goals, 스포츠나 미술 등에서의 과업이나 기량 훈련 거절 등이 있다. 두번째 방식은 발생가능한 실패에 대한 정당화(justification)를 고안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실패하면 자신이 실패한 이유로 이러한 정당화를 변명거리로 삼는다. 이는 '주장 자기불구화(claimed self-handicapping)'라고 한다. 여기서 사람은 수행에 방해되는 장애물이 실제 존재한다고 말하기만 한다. 주장 자기불구화 사례는 신체 증상을 겪었다고 여기저기 말하는 것이다. 자기불구화 행동은 개인이 실패를 외부화하지만 성공은 내면화하게 하여, 성취에 대한 믿음을 받아들이지만 실패에 대한 변명도 허락한다. 사례로는 시험을 하루 앞둔 학생이 공부 대신 파티를 하는 것이다. 학생은 시험 낙제를 두려워하고 잘 할 수 없다는 모습을 취한다. 기험 전날 파티에서 학생은 자기파멸 행동(self-defeating behaviour)을 하여 시험 성적 저조의 가능성을 늘린다. 그러나 시험을 망친 이유에 대하여, 학생은 능력부재 대신에 피로와 숙취를 그럴듯한 변명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학생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면, 자신의 성취는 그가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성공하였다는 사실에 의해 고양된다. = = = 개인차 = = = 사람은 자기불구화의 차이가 다르며Rhodewalt, F. (1990) Self-handicapper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anticipatory self-protective acts. In R. Higgins, C. R. Snyder, & S. Berglas. Self-handicapping: The paradox that isn't. New York: Plenum Press. 개인차 연구들 대부분은 자기불구화척도(Self-Handicapping Scale, SHS)를 사용한다. SHS는 개인이 자존감을 지키고자 변명하고나 핸디캡을 만드는 경향을 측정하는 도구로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연구는 SHS가 적당한 구성 타당성(construct validity)을 지닌다고 밝혀졌다. 예를 들어, SHS 점수가 높은 사람은 주어진 과제 수행에 필요한 능력이 걱정될 경우, 노력과 연습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낮은 자기불구성 소유자(low self-handicappers, LSH)들보다 수행 전 장애나 외부 요인을 언급할 가능성이 더 높다. 심기증(hypochondriasis) 등 많은 특징들이 자기불구화와 연관이 있으며 연구는 자기불구화 경향이 많은 사람은 이런 방어전략에 의존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동기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수치(shame)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가 높고 실패에 대한 거북함(embarrasement)이 큰 실패에 대한 두려움(fear of failure)은 자기불구화 행동을 하는 동기를 제공한다. 실패를 두려워하는 학생들은 교실 내 성적 목표 혹은 유능한을 보여주는 것에 주목한 목표, 혹은 무능한을 보여주는 것을 회피하는 목표, 실패에 대한 민감도를 높여주는 목표를 채용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성적이 나쁘게 나오지 않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시험에 임할 수 있는데, 이는 능력 주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능력 귀인(ability attribution)과 실패에 대한 수치심을 피하기 위하여, 학생은 시험을 제대로 대비하지 않는다. 이것이 일시적 평온을 제공하지만 개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을 더 불확실하게 하여 더 큰 자기불구화를 초래한다. = = = 성별차 = = = 연구가 주장 자기불구화가 여성과 남성에게서 같다고 하지만Arkin, R. M., & Oleson, K. C. (1998). Self-handicapping. In J. M. Darley & J. Cooper (eds.), Attribution and social interaction: The legacy of Edward E. Jones (pp. 313-37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일부 연구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보고된 자기불구화 차이 평가 연구에서 성별차이를 보이지 않거나, 혹은 여성들에게서 자기불구화가 더 큰 반면, 연구 대부분에서는 남성의 경우 행동 자기불구화를 강하게 보인다고 말한다. 이 차이는 남성과 여성이 노력에 두는 가치관이 다르다는 것을 통해 해석 가능하다. = = 주요 이론적 접근 = = 자기불구화 행동에 관한 연구 근원은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자존감(self-esteem)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0년대 말, 고프만(Goffman)과 하이더(Heider)는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 목적의 외향성 행동(outward behavior)에 대한 조작에 관한 연구를 출판하였다. 이후 30년 동안 자기불구화의 원인으로 내적 요인을 지목하지 않았다. 이 지점까지 자기불구화는 알코올이나 약물과 같은 외적 요인만을 포함하였을 뿐이다. 자기불구화는 보통 실험적 환경에서 연구되었으며, 관찰적 환경에서 연구되기도 하였다. 이전 연구는 자기불구화의 동기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불확실성, 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예상되는 자존감 위협이라고 주장하였다.Snyder, C. R., & Smith, T. W. (1982). Symptoms as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 virtues of old wine in a new bottle. In G. Weary & H. L. Mirels (Eds.), Integrations of clinical and social psychology (pp. 104-12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자기불구화는 자기표현적 근심(self-presentational concerns)으로 악화되지만 이러한 근심이 최소화될 때에도 발생한다. = = 주요 실험적 발견 = = 자기불구화 실험은 자기불구화가 생기는 원인과 그 영향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자기불구화는 실험실 내부와 현실 세계에서 모두 관찰된다. 자기불구화의 심리적 육체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태도와 실적에 끼치는 극적인 효과를 목격할 수 있다. 존스(Jones)와 버글라스(Berglas)는 문제해결 시험(problem-solving test) 이후, 실제 성적에 상관 없이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참가자 절반은 매우 쉬운 문제를 주었지만 다른 참가자에게는 어려운 문제를 주었다. 참가자들은 성적 향상약과 성적 억제약을 고르도록 지시받았다. 어려운 문제를 받은 사람들은 억제약을, 쉬운 문제를 받은 사람은 향상약을 골랐다. 어려운 문제를 받은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은 우연때문이라는 생각에 억제약을 골랐는데, 이는 향후에 있을 저조한 성적을 예상하여 내적 귀인(internal attribution)이 아닌 '핑계(excuse)'라는 외적 귀인(external attribution)을 찾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존감(self-esteem)을 지키기 위하여 핸디캡(handicap)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미리 예상해 둔 실패(discounting failing)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에 대한 추가적인 신뢰를 보이는 것 등 자기향상(self-enhancement)을 위하여 핸디캡을 사용하려 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로드발트(Rhodewalt), 마프(Morf), 하즐렛(Hazlett), 페어필드(Fairfield)의 1991년 연구는 자기불구화척도(SHS) 지수가 높고 낮은 사람, 자존감이 높고 낮은 사람 모두 골고루 선발하였다. 이들은 핸디캡이 있는 참가자와 성공 혹은 실패 피드백을 받은 참아자를 지목하고, 이들에게 자신의 성적에 대한 요인이 무엇인지 물었다. 그 결과 자기보호(self-protection)와 자기향상(self-enhancement)을 꼽았지만, 그것들은 자존감 수준 기능으로서 그리고 자기불구화 성향 수준으로서 나타났다. 자기불구화가 높은 사람들은 자존감 수치에 상관없이 핸디캡을 자기보호 수단으로만 사용하였으며, 자존감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핸디캡을 자기향상을 위해 사용하였다. 1991년 추가 연구에서, 로드발트는 참가자 절반에게만 핸디캡을 제시하고 성공 혹은 실패 피드백을 주었다. 그 결과 자기향상이 아닌 자기보호에 대한 이증거를 제시하였다. 실패 피드백 참가자들, 핸디캡 비제시 그룹은 실패 원인을 자신의 능력 부재로 돌렸다. 그리고 자존감이 낮은 그룹은 핸디캡이 제시된 실패 피드백 조건으로 돌렸다. 더욱이 핸드캡 제시 그룹은 성공 그룹과 같은 수준의 자존감 수치를 보였다. 이는 자기보호에는 자기불구화가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나, 핸디캡이 자기향상에 끼치는 역할은 입증되지 않았다.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등의 실험에서는 수영선수의 설명 유형과 성적의 연관성 유무를 실험하였다. 예비 사건에 있어 실제와 다른 저조한 시간 기록을 제시한 후, 자신의 저조한 성적을 스스로에게 비관적으로 정당화하는 수영선수는 이후 성적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 반대로 자신의 저조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낙관적인 요인을 찾은 수영선수는 이후 성적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긍정적인 요인을 가지는 선수들은 거짓된 시간이 주어지더라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들은 자기불구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신의 실패를 자기에게서 찾고 자책하기 보다는 외부에서 찾았다. 따라서 이들의 자존감은 온전히 남아있었고 이는 이후에 성공을 가져다주었다. 이 실험은 자기불구화의 긍정덕 영향을 보여주는데, 이들이 실패를 외부 요인에서 찾으면 실패를 내면화하지 않고 심리적으로 이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전 연구는 자기불구화와의 결과에 주목하였고, 자기불구화는 최소 단기간 이상 동안 긍정적인 기분을 야기하거나 실패 이후 긍정적인 기분의 하락을 막는다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자기불구화는 자존감 보호 과정에서 감정 조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기분은 성공과 실패의 자기보호 귀인에 동기를 부여하고 부정적인 피드백의 회피를 증대시키며,Trope, Y., Ferguson, M., & Ragunanthan, R. (2001). Mood as a resource in processing self-relevant information. In J. P. Forgas (Ed.), Handbook of affect and social cognition. Mahwah, NJ: Erlbaum. 최근 연구는 자기불구화에 앞서 나타나는 것으로서의 기분에 주목해 왔다. 긍정적 기분이 자기불구화 행동을 증대하도록 기대한다. 그 결과, 긍정적 기분인 사람은 비록 미래 실적을 위태롭게 하는 희생을 치르더라도 자기불구화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연구는 자기불구화를 보이는 사람들 사이에 보이는, 자기에게 부과한 장애는 실적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고 과업에 더 집중하게 한다고 전한다.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어떤 상황에서 실적을 향상시키지만, 연구는 자기불구화가 실적, 자기 조절 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지속성, 내재적 동기와 부정적으로 연결된다고 지적한다. 장기적으로는 자기불구화가 치를 대가로서 건강 및 안녕의 악화, 부정적 기분의 잦은 발생, 다양한 약물 사용 등이 있다. 주커먼(Zuckerman)과 차이(Tsai)는 몇 달동안 두 상황에 처한 대학생들 사이에 보이는 자기불구화, 행복, 대처를 평가하였다. 첫번째 상황에서의 자기불구화는 거부(denial), 타인 비난, 자기 비판 및 우울과 신체 증상을 통한 문제 대처를 예측하였다. 우울과 신체 증상은 자기불구화의 수반을 예측하였다. 따라서 자기불구화의 사용은 능력에 관한 불확실성은 물론 좋지 못한 상태를 야기, 따라서 자기불구화에 더 의존하게 하였다. = = 적용 = = 자기불구화를 실세계에 적용한 사례는 많다. 예를 들어, 자신의 과업 수행이 저조할 것이라 예측하면, 사람들은 약물 복용이나 알코올 섭취 등의 장벽을 만들어서, 실제 자신이 실패한 경우에도 자신으로부터 책임 비난을 다른 곳으로 돌렸다고 느끼도록 한다. 또한, 또다른 자기불구화로서, 실패 시 전에 만들어 둔 핑계거리를 내놓는 것이 있다. 한 학생이 시험을 못 볼 것 같다고 생각되면, 시험날 아침에 몸이 좋지 않았었다고 말하는 식으로 미래의 실패에 대하여 미리 변명거리를 만들어 둔다. = = = 스포츠에서의 자기불구화 = = = 이전 연구는 한 학생이 체육 시간에 신체 능력을 과도하게 보여줄 것을 요구받아 타인들이 즉시 무능함을 볼 수 있게 되면, 체육 수업은 자기불구화를 관찰하는 이상적인 환경이 된다. 스포츠 세계에서 이러한 현상은 자주 보이며, 자기불구화 행동은 성적 증대에 관심을 보이는 스포츠 심리학자에게 관심거리가 된다. 최근 연구는 행동적 자기불구화와 주장 자기불구화 간의 관계, 체육 수행 능력Coudevylle, G., Martin Ginis, K., & Famose, J-P. (in press). Determinants of self-handicapping strategies in sport and their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International Journal (Toronto, Ont.)뿐만 아니라 운동 전에 보이는 불안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자기불구화가 끼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 논쟁 = = 한 논쟁거리는 와이오밍대학교(University of Wyoming)에서 수행한 한 연구에서 보인다."Psychology & Psychiatry Journal." (2011) Social Psychology; Study Data from University of Wyoming Update Knowledge of Social Psychology. 이전 연구는 자기불구화 행동과 자존감 상승 사이에 부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고 쩍하였다. 또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귀인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자기불구화를 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가 보이는 것은, 현존하는 자존감 위기와 무관한 영역에서만 자기불구화가 감소가 분명히 나타나기 때문에 이 주장은 부분적으로 정확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자존감 보호 시도는 그 영역에서 훗날 성공하는 데 있어 자존감을 지키는 행위는 오히려 손해가 된다. = 분류:가공의 요괴 = = 콩고 왕국 = 콩고 왕국(, 혹은 콩고 군주국)은 1390년에서부터 1862년까지 독립국으로, 1862년부터 1914년까지는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존재한, 현재의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과 앙골라 카빈다주에 걸쳐 6세기 남짓(524년)을 존속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였다. 수도는 상살바도르(, 현재 앙골라 자이르주의 음반자콩구)였다. 1914년 포르투갈이 콩고 반란을 진압하면서 포르투갈은 명목 상의 군주제를 폐지했다. 1915년부터 1975년까지 실권이 없는 존칭으로 콩고 왕의 칭호가 복원되었다. 왕국의 나머지 영토는 각각 앙골라, 벨기에령 콩고, 카빈다 보호령에 동화되었다. 오늘날의 분두디아콩고 종파는 앙골라,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부터의 분리를 통해 왕국을 부활시키는 것을 선호한다. = = 역사 = = 초기 역사에 대한 구전은 16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서면으로 기록되었고, 특히 17세기 중반에 카푸친 선교사 조반니 카바치 다 몬테쿠콜로가 쓴 것을 포함하여 상세한 기록이 있다. 역사적 상황에 따라, 재단에 대한 전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었다. 1910년대에 음페텔로 보카와 리반 사칼라 보쿠가 키콩고에서 글을 쓰면서 구전에 대한 현대적 연구가 시작되었고 장 쿠벨리에와 조제프 드 멍크와 같은 Redemptorist 선교사들에 의해 확장되었다. 1934년, 쿠벨리에는 은쿠타마 아 음빌라자 마칸다에서 이러한 전통에 대한 키콩고어 요약본을 출판했다. 쿠블리에와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전통들이 콩고 역사의 가장 초기 시기에 적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것들은 주로 마칸다 씨족의 지역 전통, 특히 1750년 이후의 시기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 = = = 왕국의 건국 = = = 1580년대 중반에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콩고가 건국되기 전에, 콩고가 지배하게 될 지역은 결국 몇몇 작은 왕국들의 지배하에 있었다. 은둔디 왕국, 음반구 왕국, 음바타 왕국, 잉기시 강을 따라 동쪽에 위치한 은둔디 왕국, 그리고 완두 왕국의 남쪽에 위치한 곤고 왕국들을 명명했다. 중앙에는 음펨바가 있고, 콩고 강 남쪽 해안에는 소요와 음밤바가 있다. 17세기 콩고의 전통에 따르면, 콩고 왕국의 기원은 콩고 강 북쪽에 위치한 작은 정치국인 붕구(Vungu)였고, 콩고 강을 건너 남쪽으로 150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음펨바 카시(Mpemba Kasi)라고 불리는 큰 왕국의 최북단 영토였다. 이 작은 왕국의 통치자들의 왕조가 콰이루 계곡을 따라 통치를 구축하거나, 냐 콰이루라고 불리는 것과 그 엘리트들이 그 중심부 근처에 묻힌다. 17세기의 전통은 이 신성한 매장지를 암시한다. 1650년부터 1652년까지 이 지역을 방문한 이탈리아의 카푸친 선교사 지롤라모 다 몬테사르치오에 따르면, 이 지역은 너무 신성해서 그것을 보는 것이 치명적이었다고 한다. 이 바위들은 적어도 15세기부터 시작된 광범위한 동굴과 바위 예술이 있는 로보의 험준한 고지일 것이다. 1375년경 음펨바 카시와 방구의 통치자 니미아 은지마가 이웃한 음바타 왕국의 통치자인 나사쿠 라우와 동맹을 맺었다. 니미아 은지마는 루케니 루안산제(루케니 루안산제)와 결혼했다. 이 동맹은 두 동맹국이 서로의 영토에서 동맹국의 혈통을 계승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보장했다. 음바타 주(Mbata)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앙골라 국경을 따라 동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주이다. 음바타는 콩고 왕의 할아버지인 '응카안디아 음메네 콩고'라는 칭호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원래 동맹의 수석 파트너였을 것이다. 니미아 은지마와 루케니루아 은산제의 아들 루케니루아 니미 (1380년경-1420년경)는 콩고 왕국을 설립하는 확장을 시작했다. 니미아 루케니라는 이름은 나중에 구전에 등장했고 일부 현대 역사학자들, 특히 장 쿠벨리에가 그것을 대중화했다. 루케니루아 니미, 즉 니미아 루케니는 남쪽으로 확장하여 음펨바가 통치하는 땅으로 들어갔다. 그는 몽고디아콩고 산에 새로운 기지를 세우고 음펨바에게 충성하던 시장 마을의 통치자 므웨네 음팡갈라와 동맹을 맺었으며, 또한 그 땅의 서쪽에는 확실하지 않은 충성심이 있지만 유명한 성지가 있는 므웨네 카붕가와도 동맹을 맺었다. 2세기 후에 므웨네 카붕가의 후손들은 여전히 상징적으로 매년 열리는 축제에서 정복에 도전했다. 그는 음펨바의 또 다른 종속 통치자인 분다와 두 번째로 중요한 동맹을 맺으면서 이것을 더욱 발전시켰다. 음바타와의 동맹과 마찬가지로 이 동맹을 공고히 하기 위해 루케니루아 니미는 그가 왕국의 선거인이 되는 것을 허락했다. 니미아 루케니가 죽은 후, 루케니의 뒤를 이은 통치자들은 그의 칸다 또는 혈통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고, 킬루케니로 알려져 있었다. = 다운주 = 다운주는 북아일랜드의 주로 주도는 다운패트릭이며 면적은 2,466km2, 인구는 531,665명(2011년 기준)이다. 주의 동쪽에는 스트랭포드 러프와 아스 반도가 있다. 가장 큰 마을은 북동쪽 해안에 있는 뱅고르이다. 다른 세 개의 큰 마을과 도시들이 국경에 있다: 뉴리는 주와 서쪽 경계에, 리스번 주와 벨파스트는 앤트림 주와 북쪽 경계에 있다. 다운은 북아일랜드의 최남단 지점(크랜필드 포인트)과 아일랜드의 최동단 지점(버 포인트)을 모두 포함한다. 2018년 3월, 선데이 타임즈는 북아일랜드의 5곳을 포함한 영국에서 살기 가장 좋은 장소 목록을 발표했다. 이 목록에는 County Down의 할리우드, 뉴캐슬, 스트랭포드가 포함되어 있다. = 분류:서독의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 토마시 네치트 = 토마시 네치트(Tomáš Necid, 1989년 8월 13일, 프라하 ~)는 체코의 축구 선수로, 1.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의 보헤미안스 1905 소속이며,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네치트는 2006년 9월, 17세의 나이에 슬라비아 프라하에서 첫 경기를 치르고, 한 달 후에 리그 첫 골을 넣었다. 2007-08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 데뷔하였으나, 시즌 후반에 FK 바우미트 야블로네츠(FK Baumit Jablonec)로 임대되었다. 네치트는 바우미트 야블로네츠에서 5골을 넣어, 자신이 오기 전 강등권에 있던 팀을 16개 팀 중 12위로 이끌어 영웅이 되었고, 임대가 끝난 후 슬라비아 프라하로 복귀하였다. 바우미트 야블로네츠에서 슬라비아 프라하로 복귀한 후, FC 슬로반 리베레츠를 상대로 골을 터뜨렸으며, 팀의 감브리누스 리가 2007-08 우승을 맛봤다. 2009년 1월, 2006년 이래로 자신에게 흥미를 보이고 있던 CSKA 모스크바로 이적하였다. CSKA 모스크바에서의 데뷔 경기는 2009년 루빈 카잔과의 러시아 슈퍼컵 경기였으며, 그는 이 경기에서 결승골을 성공시켰다. 그 밖에 네치트는 2006년 UEFA U-17 유럽 선수권대회에서 5골을 넣어 득점왕에 오르고,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며, 2년 후 체코에서 개최된 2008년 UEFA U-19 유럽 선수권대회에서는 4경기에서 4골을 넣고, 팀의 4강 진출에 공헌하였다. 2009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한 바 있으며, 2008년 11월 19일 자신의 대표팀 데뷔전이 된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산마리노 전에서 데뷔골을 터뜨렸다. = 오메테페섬 = 오메테페섬은 니카라과의 니카라과호에 위치한 섬으로 면적은 276km2, 길이는 31km, 넓이는 10km, 높이는 1,610m, 인구는 29,684명(2005년 기준), 인구 밀도는 107.6명/km2이다. 섬 이름은 나우아틀어로 "2개(ome)의 산(tepetl)"을 뜻한다. 콘셉시온 산과 마데라스 산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섬의 경제 활동은 목축과 관광업이 주를 이룬다. = 분류:1848년 국제 관계 = = 틀:나라자료 대한민국 제2공화국 = = 모듈:Location map/data/Canton of Ticino/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Canton_of_Ticino/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틀:경기도 광주시의 간선도로 = = 분류:피티카데나과 = = 20/20 = 20/20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20/20는 비치 보이스의 음반이다. 20/20는 조지 벤슨의 음반이다. 《20/20》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20/20: 시력 척도의 하나이다. 20/20: 미국 래퍼 Lil Tjay의 노래이다. = 공유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공유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시상식 수상 후보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공유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 = 텔레비전 = = = = = KBS 연기대상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2 제16회 거침없는 사랑 남자 신인상 2012 제26회 빅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2012 제26회 빅 베스트 커플상 = = = SBS 연기대상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3 제10회 스크린 뉴스타상 2005 제12회 건빵선생과 별사탕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 = MBC 연기대상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6 제22회 어느 멋진 날 남자 우수연기상 2006 제22회 어느 멋진 날 미니시리즈부문 연기상 2004 제23회 커피 프린스 1호점 남자 우수연기상 2004 제23회 커피 프린스 1호점 남자 인기상 2004 제23회 커피 프린스 1호점 베스트 커플상 = = =백상예술대상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7 제53회 도깨비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017 제53회 도깨비 TV부문 대상 2017 제53회 도깨비 TV부분 남자 인기상 =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제8회 빅 한류 드라마부문 남자연기자상 = = = 숨피 어워즈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8 제13회 도깨비 올해의 연기상 남자부문 2018 제13회 도깨비 베스트 커플상 = = =Mnet 20's Choice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7 제1회 베스트 스타일상 = = =드라마피버 어워즈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7 제5회 도깨비 남우주연상 2017 제5회 도깨비 베스트 커플상 = = =코리안업데이츠 어워즈 = = =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7 rowspan="2" 도깨비 최우수 남자배우상 2017 올해의 커플상 도깨비 = = 기타 시상식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2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연기자부문 베스트드레서상 2014 제48회 납세자의 날 대통령 표창 2016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상 시상식 스타상 남과 여 2017 제14회 서울영상광고제 올해의 모델 2017 2017 올해의 브랜드 대상(한국소비자포럼) 올해의 남자배우부문 2017 2017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 = 시간 순 목록 = =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수상 및 후보 내역을 시간 순으로 작성했다.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2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거침없는 사랑 2003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스크린 2004 제2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연기자부문 베스트드레서상 200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건빵선생과 별사탕 2006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어느 멋진 날 2006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연기상 어느 멋진 날 2007 제1회 Mnet 20's Choice 베스트 스타일상 2007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커피 프린스 1호점 2007 MBC 연기대상 남자 인기상 커피 프린스 1호점 2007 MBC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커피 프린스 1호점 2011 제32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 도가니 2011 제32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도가니 2012 제4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도가니 2012 K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남자우수연기상 빅 2012 KBS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빅 2013 제8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한류 드라마부문 남자연기자상 빅 2014 제48회 납세자의 날 대통령 표창 2014 제22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용의자 2014 제19회 춘사영화상 남우주연상 용의자 2016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상 시상식 스타상 남과 여 2017 제14회 서울영상광고제 올해의 모델 2017 제1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남우주연상 부산행 2017 드라마피버 어워즈 남우주연상 도깨비 2017 드라마피버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도깨비 2017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도깨비 2017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도깨비 2017 코리안 업데이트 어워즈 2017 최우수 남자배우상 도깨비 2017 코리안 업데이트 어워즈 2017 올해의 커플상 도깨비 2017 제22회 춘사영화상 남우주연상 부산행 2017 2017 올해의 브랜드 대상(한국소비자포럼) 올해의 남자배우부문 2017 2017 한국광고주대회 광고주의 밤 시상식 광고주가 뽑은 좋은 모델상 2018 제13회 숨피 어워즈 올해의 연기상 남자부문 도깨비 2018 제13회 숨피 어워즈 베스트 커플상 도깨비 = 분류:홍성고등학교 동문 = = 분류:고노하나구 = = 분류:히브리어 신문 = = 분류:크로아티아의 남자 배구 = = 분류:2024년 살인 사건 = = 구쓰카케촌 = 구쓰카케촌은 아이치현 아이치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요아케시에 해당한다. = 페이비언 델프 = 페이비언 델프(, 1989년 11월 21일 ~ )은 잉글랜드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였다. 브래드퍼드 시티 유소년팀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11살이 되던 해 리즈 유나이티드 유소년팀으로 이적하였다.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뛰던 시절 리그 1과 챔피언십에서 43경기를 출전하였으며, 2009년 8월 애스턴 빌라로 이적하였다. = 분류:바이애슬론에 관한 틀 = = 한화 이글스 연도별 선수 명단 (2011년 - 2020년) = = =포지션별 주전 선수 = = 연도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우익수 중견수 좌익수 지명타자 2011년 류현진 (11승) 신경현 장성호 (69) 한상훈 이여상 이대수 가르시아 강동우 최진행 김태균 2012년 류현진 (9승) 정범모 김태균 한상훈 오선진 이대수 고동진 김경언 최진행 2013년 유창식 정범모 김태균 한상훈 오선진 이대수 김경언 고동진 최진행 김태완 2014년 이태양 조인성 김태균 정근우 송광민 김회성 정현석 피에 최진행 이용규 2015년 탈보트 조인성 김태균 정근우 김회성 강경학 장운호 이용규 김경언 이성열 2016년 카스티요 차일목 로사리오 정근우 송광민 하주석 김경언 이용규 양성우 김태균 2017년 오간도 최재훈 로사리오 정근우 송광민 하주석 양성우 이동훈 이성열 김태균 2018년 샘슨 최재훈 정근우 강경학 송광민 하주석 호잉 이용규 양성우 이성열 2019년 서폴드 최재훈 김태균 정은원 송광민 오선진 제라드 호잉 정근우 양성우 이성열 2020년 윤대경 최재훈 노시환 정은원 김태연 오선진 워릭 서폴드 문현빈 유로결 오선진 = =전체 명단 = = 다음은 해당 연도 정규 리그에 최소 한 경기 이상 출장(녹색 칸의 경우 해당 포지션 최다 출장)한 선수 명단이다. = = =투수 = = =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권혁 김민우 김민우 김민우 김민우 김민우 김민우 류현진 (선 / 11승 7패) 류현진(선/ 9승 9패) 배영수 배영수 송은범 송은범 송은범 송은범 송은범시즌 중 LG로 이적 송창현 송창현 안영명 안영명 안영명 양훈 양훈 유창식 유창식 유창식 유창식 윤규진 윤규진 윤근영 윤근영 윤근영 윤근영 장민재 1군 기록 없음 공익 근무 요원으로 복무 공익 근무 요원으로 복무 장민재 장민재 장민재 장민재 장민재 = = =포수 = = =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나성용 조인성 조인성 최재훈 최재훈 최재훈 = = =내야수 = = =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강경학 강경학 강경학 강경학 강경학 김강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복무한 후 두산으로 이적했으나 이후 1군 기록 없음 김태균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이적 김태균(1루수) 김태균(1루수) 김태균(1루수) 김태균(지명 타자) 김태균(지명 타자) 김태균 김태균(지명 타자) 김태완 김태완 노시환 로맥 로맥 로맥 군 복무 군 복무 송광민 송광민 송광민 송광민 송광민 송광민 송광민 오선진 오선진(3루수) 오선진(3루수)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복무 오선진 오선진 오선진 오선진(유격수) 장성호(1루수) 장성호롯데로 이적 정근우 정근우 정근우 정근우 정근우 외야수로 전업 정은원 정은원(2루수) 하주석 하주석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복무 하주석 하주석(유격수) 하주석(유격수) 하주석(유격수) 하주석 = = =외야수 = = =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가르시아 강동우 (우익수) 강동우(우익수) 강동우 김원석 김원석 노수광 연경흠 연경흠 유장혁 이성열시즌 중 넥센에서 이적 이성열(좌익수) 이성열(좌익수) 이성열(지명 타자) 이성열 이용규KIA에서 이적 이용규 이용규 이용규 이용규 1군 기록 없음 장민석 장민석 정근우 정현석 (우익수 118) 정현석 (우익수 47) 정현석 최진행 최진행 최진행 최진행 최진행 최진행 최진행 호잉텍사스 레인저스에서 이적(우익수) 호잉(우익수) = 동광 (연호) = 동광(同光, 923년 4월 ~ 926년 4월)은 후당(後唐) 장종(莊宗) 이존욱(李存勖)의 연호이다. 3년 가량 사용하였다. 장종(莊宗)이 죽고 난 후에 명종(明宗)이 천성으로 개원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동광 연호를 차용한 십국(十國) 국가는 민나라(閩), 형남(荊南, 924년 3월 ~ 926년 4월)이 있다. = = 개원 = = 당(唐) 천우(天祐) 20년 4월 25일계미년(癸未年) 4월 기사일(己巳日)(923년 5월 13일)에 후당 건국 후, 연호를 동광(同光)으로 건원함.《구오대사》(舊五代史) 권29 〈당서〉(唐書) 5 - 장종(莊宗) 3《신오대사》(新五代史) 권5 〈당본기〉(唐本紀) 5 - 장종(莊宗) 下《자치통감》(資治通鑑) 권272 〈후당기〉(後唐紀) 1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동광(同光) 4년 4월 28일병술년(丙戌年) 4월 갑인일(甲寅日)(926년 6월 11일)에 천성(天成)으로 개원함.《구오대사》(舊五代史) 권36 〈당서〉(唐書) 12 - 명종(明宗) 2《신오대사》(新五代史) 권6 〈당본기〉(唐本紀) 6 - 명종(明宗)《자치통감》(資治通鑑) 권275 〈후당기〉(後唐紀) 4 = = 연대 대조표 = = 동광 원년 2년 3년 4년 서기(西紀) 923년 924년 925년 926년 간지(干支)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거란(契丹) 천찬(天贊)2년 3년 4년 5년천현(天顯)원년 전촉(前蜀) 건덕(乾德)5년 6년 함강(咸康)원년 - 남한(南漢) 건형(乾亨)7년 8년 9년백룡(白龍)원년 2년 양오(楊吳) 순의(順義)3년 4년 5년 6년 오월(吳越) - 보대(寶大)원년 2년 보정(寶正)원년 = = 동시대 연호 = = = = = 한국 = = = 천수(天授) (918년 ~ 933년) 정개(正開) (900년 ~ 936년) = = = 중국 = = = 천찬(天贊) (922년 ~ 926년) 천현(天顯) (926년 ~ 938년) 건덕(乾德) (919년 ~ 924년) 함강(咸康) (925년) 건형(乾亨) (917년 ~ 925년) 백룡(白龍) (925년 ~ 928년) 순의(順義) (921년 ~ 927년) 보대(寶大) (924년 ~ 925년) 보정(寶正) (926년 ~ 931년) 정우(貞祐) (921년 ~ 924년) 초력(初曆) (925년 ~ 926년) 동경(同慶) (912년 ~ 966년) = = = 일본 = = = 엔초(延長) (923년 ~ 931년) = = 관련 항목 = = 중국의 연호 목록 = 알렉산드레 푈킹 = 알렉산드레 푈킹(, 1976년 3월 12일 ~ )은 브라질 출신 독일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로 브라질과 독일의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다. = = 선수 시절 = = 1976년 3월 12일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 몬치네그루에서 태어나 2001년 피슈테 빌레펠트(2001-2003)에서 데뷔한 후 2007년 은퇴할 때까지 아르미니아 빌레펠트(2003-2004), 다름슈타트 98(2004-2005),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2005-2006, 2007), 아포엘 FC(2006) 등 독일과 키프로스에서 선수로 활동하며 피슈테 빌레펠트의 2001년 베스트팔렌리가 우승을 경험했다. = = 지도자 경력 = = 선수 은퇴 후 이듬해인 2008년 UAE 프로리그의 알아인 FC의 수석 코치로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한 뒤 2010년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의 FK 바쿠의 수석 코치로 근무했다. 그 후 2011년 남아프리카 프리미어 디비전의 라몬트빌 골든 애로우즈의 수석 코치를 지낸 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태국 A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지내며 2012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이끌어냈으며 2012년 6월 23일부터 7월 3일까지 태국 U-23 대표팀 감독을 맡기도 했다. 그리고 2012년 10월 태국 리그 1의 아미 유나이티드의 감독을 맡아 전 시즌 10위에 그쳤던 팀을 리그 6위까지 끌어올렸고 이듬해인 2014년 1월 수판부리 FC의 감독으로 지내다가 4개월만에 물러났다. 그 후 같은 해 6월 방콕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전격 부임한 후 2020년 10월까지 6년 4개월간 리그 2회 준우승(2016, 2018), 2017년 태국 FA컵 준우승, 2019년 태국 FA컵 4강, 2017년 리그 3위, 2번의 AFC 챔피언스리그 예선 2라운드 진출(2017, 2019)의 성과를 이끌어냄은 물론 3번의 리그 이달의 감독상(2016년 4월, 2018년 4월, 2019년 6월)까지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2020년 11월 베트남 V리그 1의 호찌민 시티의 감독으로 취임했지만 베트남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2021 리그가 5월 2일 취소되었고 결국 리그 취소 3개월만에 호찌민 시티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호찌민 시티 감독에서 물러난지 1개월만인 2021년 9월 28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종료 후 사임한 니시노 아키라 전 감독의 후임으로 태국 A대표팀의 감독으로 전격 부임하며 9년만에 태국 대표팀으로 복귀한 뒤 2021년 12월 개막한 2020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통해 태국 A대표팀 감독 데뷔전을 치렀다. 그리고 이 대회 조별리그 A조에서 4전 전승으로 가볍게 4강에 오른 후 4강과 결승에서 라이벌 베트남과 신태용 감독의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2승 2무의 성적으로 태국의 통산 6번째 AFF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어내며 태국 A대표팀 감독 데뷔 무대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1년 연기된 202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태국 U-23 대표팀의 임시 감독으로 출전했음에도 팀은 결승전에서 라이벌 베트남에 패하며 사상 첫 은메달 획득에 만족해야만 했다. 그래도 2023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서는 몰디브와 스리랑카를 연달아 꺾으며 우즈베키스탄에 이어 C조 2위로 2회 연속이자 통산 8번째 아시안컵 본선행을 이끌었고 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태국의 대회 2연패이자 통산 7번째 우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C조 1차전 홈 경기에서 1-2 충격패를 당했고 물론 같은 동남아시아팀인 싱가포르와의 2차전에서는 3-1 승리를 이끌기는 했지만 중국전 패배의 여파로 인해 3차 예선 진출이 어려워졌다고 판단한 태국 대표팀의 단장인 룬 판 여사로부터 경질 통보를 받으면서 결국 2년만에 태국 대표팀 사령탑 자리에서 물러났다. = = 수상 = = = = = 선수 = = = 베스트팔렌리가 : 우승 (2001) = = = 지도자 = = = 태국 리그 1 : 준우승 (2016, 2018), 3위 (2017) 태국 FA컵 : 준우승 (2017), 4강 (2019)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2020, 2022), 준우승 (2012)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은메달 (2021) = = = 개인 = = = 태국 리그 1 이달의 감독상 : 2016년 4월, 2018년 4월, 2019년 6월 = 분류:불가리아의 중세사 = = 분류:2015년 유러피언 게임 사이클 = =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은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시리즈이다. 틸티드 프로덕션과 라이언스게이트 텔레비전이 제작하였으며, 파이퍼 커먼의 회고록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여자교도소에서의 시간 (Orange Is the New Black: My Year in a Women's Prison, 2010)이 원작이다. 13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시즌 1이 2013년 7월 11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것을 시작으로 시즌 2이 2014년 6월 6일, 시즌 3이 2015년 6월 11일, 2015년 4월 15일 시즌 4가 2016년 6월 17일에 각각 13개 에피소드로 공개되었다. 2016년 2월 5일, 시즌 5~7의 제작이 확정되었다.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비평가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는데 첫 번째 시즌은 프라임타임 에미상 12개 부문에 후보에 올라 코미디 부문 작품상, 코미디 부문 각본상, 코미디 부문 감독상 3개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2015년에는 에미상의 규정 변화로 코미디 부문이 아닌 드라마 부문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 시즌은 에미상에서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포함한 4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우조 아두바가 드라마 부문 여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 드라마는 또한 골든 글로브상에 6번 후보로 올랐으며 미국 배우 조합상, 미국 제작자 조합상,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상, 피버디상을 수상하였다. 미국 여성 교도소 수감자들의 이야기 = = 출연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 = = 주요 출연진 = = = 배우 등장인물 역할 시즌 시즌 시즌 시즌 배우 등장인물 역할 1 2 3 4 테일러 실링 파이퍼 채프먼 수감자 주요 주요 주요 주요 로라 프리폰 알렉스 보스 수감자 주요 반복 주요 주요 마이클 J. 하니 샘 힐리 교도관 / 수감자 상담사 주요 주요 주요 주요 미셸 허스트 클로뎃 필리지 수감자 주요 케이트 멀그루 가리나 "레드" 레즈니코프 수감자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제이슨 비그스 래리 블룸 파이퍼의 약혼자 주요 주요 우조 아두바 수잰 "미친눈깔" 워런 수감자 반복 주요 주요 주요 대니엘 브룩스 타샤 "테이스티" 제퍼슨 수감자 반복 주요 주요 주요 너태샤 리온 니키 니컬스 수감자 반복 주요 주요 주요 타린 매닝 티퍼니 "펜사터키" 도깃 수감자 반복 주요 주요 주요 셀레니스 레이바 글로리아 멘도사 수감자 반복 반복 주요 주요 에이드리엔 C. 무어 신디 "블랙 신디" 헤이스 수감자 반복 반복 주요 주요 대샤 폴랑코 다야나라 "다야" 디아스 수감자 반복 반복 주요 주요 닉 샌다우 조 카푸토 부교도소장 반복 반복 주요 주요 야엘 스톤 로나 모렐로 수감자 반복 반복 주요 주요 사미라 와일리 푸세이 워싱턴 수감자 반복 반복 주요 주요 재키 크루즈 마리솔 "플라카" 곤살레스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주요 리아 델라리아 캐리 "빅 부" 블랙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주요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 = = 반복 출연진 = = = 배우 등장인물 역할 시즌 시즌 시즌 시즌 배우 등장인물 역할 1 2 3 4 매들린 브루어 트리샤 밀러 수감자 반복 마이클 처너스 캘 채프먼 파이퍼의 오빠 반복 반복 반복 트레이시 키모 네리 펠드먼 파이퍼의 올케 반복 반복 반복 라번 콕스 소피아 버셋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마리아 디지아 폴리 하퍼 파이퍼의 친구 반복 반복 베스 파울러 제인 잉걸스 수녀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다이앤 게레로 마리차 라모스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로런 랩커스 수전 피셔 교도관 반복 반복 맷 맥고리 존 베넷 교도관 반복 반복 반복 엘리자베스 로드리게스 알레이다 디아스 수감자 반복 반복 반복 바바라 로센블랫 로사 "미스 로사" 시스네로스 수감자 반복 반복 카메오 파블로 슈라이버 조지 "야동수염" 멘데스 교도관 반복 반복 게스트 키미코 글렌 브룩 소소 수감자 반복 반복 로리 페티 롤리 화이트힐 수감자 게스트 반복 로렌 투생 이본 "비" 파커 수감자 반복 마이크 버비글리아 대니 피어슨 교도소장 반복 블레어 브라운 주디 킹 수감자 반복 존 마가로 빈스 무초 로나의 남편 반복 루비 로즈 스텔라 칼린 수감자 반복 메리 스틴버건 딜리아 멘데스파월 야동수염의 엄마 반복 = = 방영 목록 = = = = = 시즌 1 (2013) = = = = = = 시즌 2 (2014) = = = = = = 시즌 3 (2015) = = = = = 수상 = = 연도 상 부문 후보 결과 참고 2014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코미디 시리즈 작품상 2014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코미디 시리즈 여우조연상 케이트 멀그루 2014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코미디 시리즈 여우조연상 라번 콕스 2014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코미디 시리즈 게스트상 우조 아두바 2014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시리즈 여우주연상 (드라마 부문) 테일러 실링 2014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의 코미디 시리즈 2014 그래미상 비주얼 미디어 최고의 노래 레지나 스펙터 〈You've Got Time〉 2014 피버디상 피버디상 피버디상 2016 미국 배우 조합상 코미디 부문 앙상블 연기상 코미디 부문 앙상블 연기상 2016 미국 배우 조합상 코미디 부문 여자배우상 우조 아두바 2016 골든 글로브상 텔레비전 드라마 작품상 (뮤지컬·코미디 부문) 텔레비전 드라마 작품상 (뮤지컬·코미디 부문) 2016 골든 글로브상 여우조연상 (드라마, 미니시리즈, 텔레비전 영화 부문) 우조 아두바 2016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상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편집상 윌리엄 터로 2016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의 코미디 시리즈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의원 = 다음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 교육의원 선거 부분이다. 교육의원 선거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총 5석을 선출했다. = = 선거구 = = 선거구 선거 지역 비고 제주시 동부 선거구 제주시 구좌읍, 조천읍, 우도면, 일도2동, 화북동, 삼양동, 봉개동, 아라동 제주시 중부 선거구 제주시 일도1동, 이도1동, 이도2동,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건입동, 오라동 제주시 서부 선거구 제주시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연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서귀포시 동부 선거구 서귀포시 남원읍, 성산읍, 표선면, 송산동, 효돈동, 영천동, 동홍동 서귀포시 서부 선거구 서귀포시 대정읍, 안덕면, 정방동, 중앙동, 천지동, 서홍동, 대륜동, 대천동, 중문동, 예래동 = = 당선자 = = 선거구 당선자 비고 제주시 동부 선거구 강동우 제주시 중부 선거구 고의숙 제주시 서부 선거구 김창식 서귀포시 동부 선거구 오승식 서귀포시 서부 선거구 정이운 = 레푸블리카 광장 = 레푸블리카 광장은 이탈리아에 다음과 같은 광장이 있다. 레푸블리카 광장 (로마) 레푸블리카 광장 (피렌체) = 커타나 = 커타나 또는 자비검은 영국 군주의 대관식에 사용되는 의장용 보검이다. 영국의 대관보기 중 하나로, 검날 끝이 뭉툭하고 네모나서 찌를 수 없는데 이것이 자비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트리스탄과 홀거 단스케가 사용한 검이라고도 한다. 길이 96.5 cm(38 인치)에 폭 19 cm(7.5 인치). 칼날은 강철인데 끝 2.5 cm(1 인치) 가량이 날아가 버리고 없다. 칼자루는 나무로 만들어 금속실을 감았고 폼멜은 무쇠에 도금을 했다. 칼집은 가죽으로 만들어 선홍색 우단으로 마감하고 황금으로 수를 놓았다. = 대덕산로 (무주군) = 대덕산로(Daedeoksan-ro)는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풍면 도계교에서 무주군 무풍면 원평삼거리까지 연결하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무주군 (무풍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고제로와 직결 고제로와 직결 고제로와 직결 고제로와 직결 고제로와 직결 도계교 무주군 무풍면 방곡교 무주군 무풍면 안실삼거리 오두재로 무주군 무풍면 칠목교 무주군 무풍면 무풍사거리 국도 제30호선(라제통문로) 무주군 무풍면 호봉교 무주군 무풍면 원평삼거리 현내로 무주군 무풍면 = 분류:미국 주재 파키스탄 대사 = = 여자 둘 남자 셋 = 여자 둘 남자 셋(The Favor)은 미국에서 제작된 도날드 페트리 감독의 1994년 코미디, 멜로/로맨스 영화이다. 할리 제인 코작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로렌 슐러 도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할리 제인 코작 엘리자베스 맥거번 = = = 조연 = = = 빌 풀만 = = 제작진 = = 제작팀장: 피터 프랑크프루트 제작팀장: 크리스타 보스빈더 제작부: 조산느 맥기본 제작부: 사라 패리엇 제작부: 찰스 스쿠라스 3세 미술: 데이비드 챔프먼 의상: 캐롤 오디츠 배역: 보니 티머먼 = 사토 다이 = 사토 다이 (1971년 8월 16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과거 가시와 레이솔에서 활동하였다. = 분류:서울 구로구의 행정 구역 = = 분류:래네주의 지형 = = 틀:대리국의 연호 = = 아테나이 = 아테나이는 고대 그리스 아티케의 오늘날의 아테네에 위치했던 폴리스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 스파르타의 펠로폰네소스 동맹과 대립하였다. 히피아스의 참주 정치 이후 클레이스테네스의 주도로 기원전 510년 민주정을 성립하였다. 아테나이 민주 정치는 매우 안정적이었으며, 170여 년 동안 약간의 짧은 혼란을 제외하고 제자리를 지켰으나, 기원전 338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가 아테나이를 정복하면서 종식되었다. 아테나이 패권은 페리클레스 시대인 기원전 440년대에서 430년대에 절정에 이르렀다. 그리스 고전기에 아테나이는 예술, 교육, 철학의 중심지였으며,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뤼케이온이 있었다. 또 아테나이는 소크라테스, 페리클레스, 소포클레스 등 고대의 수많은 철학자, 저술가, 정치가를 배출하였다. 아테나이는 기원전 5, 4세기에 당시 알려진 유럽 대륙 지역에 문화적, 정치적 업적으로 영향을 끼쳐 서구 문명의 요람이자 민주주의의 고향BBC History on Greek Democracy - Accessed on 26 January 2007으로 널리 평가받고 있다.Encarta: Ancient Greece - Retrieved on 26 January 2007 = = 정치 = = 폴리스의 형성과 더불어 집주(集住:시노이키스모스)가 형성되었는데, 아테나이를 중심으로 하는 집주는 정치 권력을 아테나이에 집중시켰으나, 지방의 전통이나 특수성을 완전히 없앤 것은 아니었다. 아테나이도 그리스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왕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토지 소유자에 의한 귀족 정치가 확립되었다. 이 귀족정 폴리스의 관리로서 아르콘(ἄρχων:집정관)이 정치를 하였는데, 처음에는 종신관(終身官)이었다가, 이후 10년 임기에서 1년 임기로 바뀌었다. 기원전 7세기 이후 아테나이는 상공업이 발달하고, 화폐가 유통됨에 따라 평민의 상승과 몰락을 야기시켜 귀족과 평민간의 불화가 심해져 드라콘의 성문법 제정, 솔론의 개혁,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권 수립, 클레이스테네스의 민주 개혁 등으로 양자간의 조정을 꾀하였고, 또한 민주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아테나이 민주주의는 직접민주주의 체제로서 입법과 행정에 대한 결정은 유권자의 투표에 의해 결정되었다. 참정권은 모든 주민에게 부여되지 않았으며, 유권자는 성인 남성으로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미성년자, 여성, 노예, 외국인 등은 투표에 참여할 수 없었다. 아테나이의 주민은 총 25만에서 30만 명 정도였으며 이 가운데 유권자는 3만에서 5만 명 정도였다. 가장 오랫동안 아테나이의 지도자 자리를 유지하였던 페리클레스가 죽은 뒤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거치면서 아테나이 민주주의는 과두제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 = 철학 = = 페르시아 전쟁에서 강대국이었던 페르시아에게 굴복하지 않고 기어이 자유의 승리를 쟁취한 아테나이는 그리스 전국의 도시 국가를 규합하여 델로스 동맹을 맺고 맹주국이 되었다. 신구세력의 격렬한 분쟁 속에서 특히 페리클레스가 실현한 적절한 민주정치는 아테나이 시민의 활동을 정치와 문화의 모든 영역에 걸쳐 충분히 신장시켰다. 이 시기에 그때까지 동과 서의 식민 도시에서 발생하여, 발전한 학문과 사상이 일시에 아테네로 모여들었다. 전수를 담당한 자는 아낙사고라스와 같은 자연 철학자와 프로타고라스나 고르기아스와 같은 소피스트들이었다. 아낙사고라스는 페리클레스의 초청을 받아 아테나이에서 30년간을 머무르며, 과학자로서 활동하면서 합리사상을 고취하는 한편 아르케실라오스와 에우리피데스를 가르쳤다. 페리클레스가 권력을 잡을 무렵 젊은 소크라테스는 불타는 지식욕으로 인하여 아낙사고라스의 서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아르케실라오스와 오랫동안 친교를 맺었으며, 유명한 소피스트들과 대담할 기회도 있었다. 아브데라에 있던 프로타고라스는 몇 차례나 아테나이를 방문하여 페리클레스와 알게 되었고, 범 헬레네 정신에 입각하여 식민 도시인 튜리오이의 헌법 제정을 위촉(전 444)받고, 에우리피데스와 사귀게 되었다. 그는 민주주의 사회에 유용한 지도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교사라 칭하여 당시 많은 청년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 인간 중심의 상대주의적 지식론은 혁명적이었으며 계몽적이고 실질적인 의의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고르기아스는 레온티노이의 사절로서, 기원전 427년에 아테나이에 와서 그 호화로운 변론으로 아테나이의 청년들을 매혹하였고, 그리하여 이소크라테스(전 436-전 338)와 아가톤(전 446?-?)과 아이스키네스(전 390?-전 330 이후)를 배출시켰다. 그는 변론술을 엠페도클레스에게 배웠고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을 정면에서 부정하는 회의적 니힐리즘을 역설하였다. 아테나이 사람은 외래의 것에 대하여 매우 포용적이기는 하였으나 종교심은 대단히 보수적이었다. 설혹 그것이 정치적인 의도로 더욱 촉진되었다고 해도 여하튼 아낙사고라스나 프로타고라스를 불경죄로 추방하였고, 심지어 소크라테스까지도 불경한 소피스트의 일당으로 몰아 옥사하게 하였다. 소피스트들의 언변술도 아류로 되면 에리스티케(문답 경기)에 빠져 플라톤의 격렬한 공격을 받게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인간 음미의 철학적인 사색과 활동에 전념하던 만년에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아테나이의 패배로 종결되었으며, 아테나이는 30인 참주 정치를 거쳐 폴리스로서는 쇠퇴 일로를 걷게 되었다. 소크라테스의 사후에 소규모 소크라테스 일파는 각국으로 흩어져 갔고, 그들의 철학은 논리 연구나 단순한 처세술로 변해버렸다. 한편 스승의 옥사를 당하여 아테나이의 정치에 등을 돌린 플라톤은 이상국가 건설의 꿈을 서쪽에 있는 시칠리아에 걸면서 아테나이에는 자신의 사상을 전수하기 위한 학원인 아카데미아를 세웠다. 이 학원은 이소크라테스의 학교에 대항해, 아테나이 그 자체가 페리클레스에 의하여 그리스 전체에 대한 학교(파이데우시스)라고 불리는 데에 대신하여 진정한 학문의 전당으로서 기원후 529년에 폐쇄될 때까지 천년에 가까운 역사의 제1보를 내딛게 되었다. 그 동안 북방 마케도니아 제국의 세력이 아테나이를 비롯한 그리스의 여러 도시국가에 미치게 된다. 여기에 대응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마케도니아로부터 아테나이로 와서 아카데미아에서 연구에 전념하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재차 아테나이로 돌아와(전 335) 리케이온을 설치하여 실증적·과학적 여러 학문의 길을 열었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이듬해에 아테나이로부터 망명하게 되면서 그의 철학적 활동도 끝났다. 플라톤은 순수한 아테나이 사람으로 폴리스 재건을 뜻하여 이데아의 철학을 설파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나이 사람은 아니었으나 플라토니스트로 출발하여 폴리스를 근거로 하면서 거기에서 나와 독자적인 실체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 두 사람은 아테나이의 고전기를 대표하고 동시에 후세 철학의 2대 조류의 시조가 되었다. 이 두 사람의 거두가 사라짐과 동시에 폴리스 시대에 종지부를 찍은 아테나이에는 아카데미아 학파와 페리파토스 학파, 그리고 아테나이 사람인 에피쿠로스의 유물론적인 학파인 에피쿠로스 학파와 이방인 제논을 시조로 하는 같은 유물론적인 스토아 학파의 병존이 시작되었다. = 십이사군의 난 = 십이사군의 난(十二使君의 亂, )은 응오 왕조의 마지막 왕인 '응오쓰엉반'(Ngô Xương Văn)의 사망 이후에 일어난 965년부터 967년에 걸친 내란이다. 응오 왕조의 공신이자 호안 쩌우의 자사인 딘꽁쯔(Đinh Công Trứ)의 적자인 딘보린(Đinh Bộ Lĩnh, 丁部領)에 의해서 반란은 평정되었고, 딘보린은 딘 왕조를 열게 된다. = = 12 장군 = = 응오녓카인(Ngô Nhật Khánh)은 당림(손 타이시)을 점거 끼에우꽁한(Kiều Công Hãn)은 봉우리주(푸토 성)를 점거 끼에우투언(Kiều Thuận)은 회호(푸토 성 캠 케이)를 점거 응우옌코안(Nguyễn Khoan)은 3대(비후크성 빈 투 온)를 점거 응우옌투띠엡(Nguyễn Thủ Tiệp)은 선유(바크닌성)를 점거 응우옌시에우(Nguyễn Siêu)는 서부열(하노이시 타인치)을 점거 레쿠에(Lý Khuê)는 초류(바크닌성 투 자기 인)를 점거 라드엉(Lã Đường)은 호소에(훈이엔성 바잔)를 점거 팜박호(Phạm Bạch Hổ)는 등주(藤州)(훙엔 성 킴돈)를 점거 도까인탁(Đỗ Cảnh Thạc)은 두동강(하 타이성 쿠오크오아이)을 점거 쩐람(Trần Lãm)은 타이빈 시 점거 응오쓰엉씨(Ngô Xương Xí)은 평교(타인호아 성 치에우손)를 점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호아르(華閭, 닌빈성)에 기반을 둔 이후에 딘 왕조를 세운 딘보린이 등장하였다. = = 평정 = = 사군(장군) 쩐람과 동맹을 맺어, 범백호를 아군으로 만든 딘보린은 다른 사군들을 차례로 토벌하였다.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연전연승했기 때문에 만승왕으로 존경받은 딘보린의 앞에 사군은 차례차례로 토벌되어 투항하였다. 967년에 베트남은 정부령에 의해 통일되었다. = = 그 후 = = 968년에 딘보린은 황제로 즉위하여, 국명을 다이꼬비엣(大瞿越)으로 바꾸고 연호를 타이빈(Thái Bình)으로, 호아르에 도읍를 두었다. 그러나 딘보린은 즉위 후 14년 후인 979년 장자인 딘리엔(Đinh Liên)과 함께 도틱에게 암살되었다. 딘보린이 건국에 공을 많이 세웠던 딘리엔 대신 막내 아들인 항랑을 후계자로 임명하자, 딘리엔이 항랑을 암살했으나, 그도 부왕인 딘보린과 함께 암살을 당하였다. 그 후 딘보린의 둘째 아들 딘또안이 6살의 어린 나이에 신하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자, 송나라가 침입을 하였고 그 사이 병권을 잡은 레호안이 왕권을 찬탈하고 레 왕조를 연다. = 무사시닛타역 = 무사시닛타역은 일본 도쿄도 오타구에 있는 도쿄 급행 전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M05이다. = = 역 구조 =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상하행선에서 역사와 개표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과선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개찰 내 승강장 간의 왕래는 어렵다. 화장실은 2번 승강장에 있는 다기능 화장실도 병설되어 있다. = = = 타는 곳 = = = 1 도큐 다마가와 선 가마타 방면 2 도큐 다마가와 선 시모마루코・다마가와 방면 = = 역 주변 = = 닛타 신사 오타 구청 야구치 특별 출장소 야구치 구민 센터 도쿄 도립 야구치 특별 지원 학교 지도리 우체국 오타 야구치하지메 우체국 오타 구립 시모마루코 도서관 무사시닛타 상점가 마루에쓰 닛타점 도큐 스포츠 오아시스 다마가와 세이조 무사시닛타점 = = 역사 = = 1923년 11월 1일: 닛타역으로 영업 개시. 1924년 4월 1일: 무사시닛타역으로 역명 변경. 1997년 3월 13일: 자동 개찰기와 자동 정산기를 설치함. 2000년 8월 6일: 메카마 선이 도큐 다마가와 선과 메구로 선으로 분할되어 다마가와 선의 역이 됨. = 쟈니브로스 = 쟈니브로스는 대한민국의 영상물 제작업체이다. = = 수상 = = 2017년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 신한류 뮤직비디오 작품상 수상 = 리제강 고리 = 리제강 고리는 라펠 에두아르트 리제강이 발견한 특이한 침전현상이다. 대류가 없는 상태에서 특정 농도 및 조건이 충족되면 발생한다. 우뭇가사리, 젤라틴, 규산제 장치를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주시의회 = 다음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파주시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파주시의회는 지역구의원 12명과 비례대표의원 2명을 선출했다. = = 지역구 선거구 = =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파주시 가선거구 탄현면, 교하동, 운정3동 3 파주시 나선거구 조리읍, 광탄면, 운정1동, 운정2동 3 파주시 다선거구 파주읍, 월롱면,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3 파주시 라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 장단면 3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 = = = 정당 투표 결과 = = = #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새누리당 79,489 1 2 새정치민주연합 69,328 1 3 통합진보당 8,246 0 = = = 비례대표 당선자 = = = 정당 순번 후보 새누리당 1 박희준 새정치민주연합 1 최영실 = = 전체 결과 = = 정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새누리당 7 1 8 새정치민주연합 4 1 5 통합진보당 1 0 1 = 쩐쫑낌 = 쩐쫑낌(, 1883년 ~ 1953년 12월 2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응우옌 왕조의 내각총장을 역임했다. 탄보 출신이며 프랑스 식민지 당시 반프랑스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 1945년 베트남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던 일본에 의해 괴뢰정부의 내각총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일본의 패전 후 사퇴하였다. = = 생애 = = = = = 생애 초반 = = = 소년기의 쩐은 프랑스 총독부의 인도차이나 북부 주에서 인터프리터 직원으로 근무하다가 1905년 개인 회사의 직원으로 취직하여 프랑스에 다녀오기도 했다. 그 뒤 반프랑스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요시찰인물로 찍혔다. 그러나 한동안 독립운동에서 물러나 1908년에는 식민지 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고 교육, 1911년 9월 베트남으로 되돌아와 교육자가 되어 초등학교 교사로 활동했으며, 학자로도 활동하여 유교, 불교, 베트남의 역사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그는 베트남의 지하 비밀 독립운동 조직의 조직원으로 활동했다. 1939년 통킹의 인민회의소 대표자가 되었다. = = = 독립 운동과 친일화 = = = 1943년 쩐은 일본이 베트남의 독립을 약속한다는 조건으로 협력을 구하자 이에 동조하였다. 곧 일본은 즉 베트남내 친일 정당과 단체(Phuc Quoc, Dai Viet, Phuc Viet, Ouoc Xa, Cao Dai, Phat Phay 등) 등을 규합하여 사이공에서 통합 대회를 소집하고 '베트남 복국동맹회'를 결성하였다. 그리고 임시 정부 수립의 준비와 재일 중인 끄엉 데(Cuong De) 황자를 귀국시켜 황제에 추대하기로 결정하였다.김성원 저,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116페이지 1943년 11월 프랑스 식민 당국은 이들 정당과 단체 수뇌부에 대한 검거를 시작하였다. 이들 가운데 쩐과 즈엉 바 짝(Duong Ba Trac) 등은 북부 베트남에서, 그리고 쩐 반 안, 당 반 끼 등은 남베트남에서 일본 헌병대의 보호를 받아 검거를 면하였다. 그는 일본군 주둔군으로부터 내각 수반직을 제의받았다. 일본은 친일적인 쩐과 응오 딘 지엠(Ngo Dinh Diem) 중에서 쩐통킴을 선택하여 내각을 구성하도록 명하였다.김성원 저,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119페이지 그러나 쩐 정부는 군대를 보유할 수 없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각에서는 국방부를 두지 않았다. = = = 총리 재직 = = = 1945년 4월 17일 바오다이 통치하에서 일본의 입김으로 총리직에 임명되었다. 일본은 내각에서 군사통수권을 행사할 수 없게 하여 그는 사실상 명목상의 총리였다. 또한 내각 휘하 국방부를 설치하려 하지 않은 것 역시 후일 호치민 등의 봉기를 진압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그는 처음에는 자신이 총리직에 부적절하다며 거부하였으나 결국 일본측의 총리직 제의를 받아들이게 된다. 프랑스군이 축출된 지 3개월이 지나도록 일본은 당초 약속과 달리 베트남의 독립을 위한 구체적인 보장 조치도 취하지 못하였다. 또한 쩐 내각도 이에 대해 어떠한 권리도 요구하지 못하는 무능을 드러내었다. 때문에 쩐의 정부는 완전히 일본의 하수인에 불과하였다. 이런 점은 일본의 패전 이후 쩐 내각이 베트남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붕괴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쩐 내각이 일본의 지지를 얻어 구성된 내각이었으므로 프랑스 식민지 때와 다를 바가 없다고 본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들은 쩐을 지탄하였고 각지에서 폭동과 소요전, 관공서 약탈 등이 발생했다. 쩐은 지역의 애국자들을 동원해서 이들을 진압하게 하였으나 그 수가 부족하여 진압하지 못했고 각지에서는 봉기가 계속되었다. 그 중 베트남 공산당(월맹)의 게릴라 조직은 그를 괴롭히는 가장 큰 적수였다. 쩐은 일본에 군대 설치나 국방부 설치를 위한 요구도 하지 않았고 민병대를 이용하여 치안을 담당하게 했다. = = = 반일 봉기 진압 실패와 퇴진 = = = 공산당이 봉기하자 그는 민병대를 조직하여 이들을 진압하게 했다. 그러나 일본의 하수인에 불과한 쩐쫑낌이 파견한 민병대들은 명분상에서 호치민에게 밀렸고, 결국 월맹에게 계속 패배하였다. 공산 월맹을 중심으로 한 이들 북베트남의 사회주의자들은 협상과 전투를 병행한 양면 전술을 기민하게 실천하였다. 그들은 1945년 3월 9일 일본이 불란서군을 축출 하자마자 소규모 부대를 조직하여 일본군을 공격하였다.김성원 저,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120페이지 남부 베트남과 달리 북부에서는 이렇다 할 친일 세력이 형성되어 있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하수인에 불과한 쩐쫑킴 정부가 파견한 민병대들은 결코 월맹의 적수가 되지 못하였다. 또한 북부의 친일 대월당 인사들은 오직 일본 당국에 접근하여 고위감투에만 혈안이 되어 있을 뿐 인민대중의 요구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였다. 쩐쫑킴은 공산당의 폭력성과 과격성을 지적, 비판하였지만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결국 그는 특단의 대책을 세워 병사들의 급여를 인상시키고 처우 개선, 애국심에 호소했지만 민병대의 사기는 저하되어 있었다. 공산월맹은 식량 창고 공격조를 조직한다거나 현지 관리들의 식량 공출과 부역 명령을 방해하는 일이 보다 용이하게 되었다.김성원 저,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121페이지 결국 인민 대중들은 친일 쩐통킴 정부의 무능에 허탈감을 갖게 되었으며 일본의 패망이 임박해 있다는 월맹의 선전에 더욱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1945년 8월 일본은 패전하였고, 1945년 8월 23일황제가 퇴위함과 동시에 총리직을 사퇴하였다. = = 관련 서적 = = 김성원 저,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5) 119페이지 Motoo Furuta, Takashi Shiraishi (1992). Indochina in the 1940s and 1950s: Transla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Scholarship on Southeast Asia. SEAP Publications. . McHale, Shawn (2004). Print and Power: Confucianism, Communism, and Buddhism in the Making of Modern Vietnam. University of Hawaii. . Vu Ngu Chieu (February 1986). "The Other Side of the 1945 Vietnamese Revolution: The Empire of Viet-Nam". Journal of Asian Studies 45 (2). = 틀:KBO 세이브상 = = 빨간집모기 = 빨간집모기는 모기과의 곤충이다. 일반적으로 빨간집모기는 옅은 갈색에서 밝은 갈색을 띠며, 복부에 밝은색 줄무늬가 있다. 몸길이는 3~7mm이다. 빨간집모기는 곤충의 복부에 옅은색의 띠가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다른 특징은 몸색깔이 갈색 또는 회갈색이다. = 분류:미국의 주별 축구 경기장 = = 김효자 = 김효자(金孝子, 1932~2022)는 대한민국의 수필가이자 일본문학자이다. 1932년 영암에서 출생하여 목포여고와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 일어과 대학원에서 일본 고전문학을 전공하였다. 정신여자고등학교와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국어과 교사를 지내고, 월간 '수필문학' 편집인 겸 주간을 역임하면서, '현대문학', '월간문학', '수필문학' 등에 많은 수필을 발표하는 한편, 수필가 찰스 램과 데라타 도라히코의 작품을 번역 소개하였으며, 1980년 한국수필문학진흥회가 수여하는 제3회 수필문학신인상을 수상하였다. 경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일본 고전문학 및 고전극 노가쿠(能樂)의 연구에 주력하여 여러 논문과 저술을 발표하였다. 일본 도쿄대학 연구교수, 러시아 극동대학 교환교수를 역임하였고, 정년 퇴임 후에는 모스크바 한국학센터 연구교수로 부임하여 한국의 고전 및 현대 수필 문학 작품을 해외에 소개하는 일에 힘썼다. 저서로 '그림속의 나그네'(1978), '나의 만남 나의 사랑'(1987), '두고 떠나는 연습'(2003), 일본연구총서 '일본 문학의 이해'(2001,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일본 민속의 이해'(1981), 엔도슈사쿠(遠藤周作)의 소설 '침묵'(1982), 이양지(李良之)의 소설 '내의(來意)' 제아미(世阿彌)의 '풍자화전(風姿花傳'(1993, 사상총서) 등이 있다. (출처: 김효자, 두고 떠나는 연습김효자, 두고 떠나는 연습, 도서출판 삼우반, 2003) = 분류:K7리그 제천 경기장 = = 분류:정당별 뉴저지주의 정치인 = = 삼성 갤럭시 S5 액티브 = 삼성 갤럭시 S5 액티브(Samsung GALAXY S5 Active)는 삼성전자에서 제조, 판매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갤럭시 S4 액티브의 후속 제품이다. 미국 AT&T 모델은 2014년 5월 30일에 출시했다. = = 연혁 = = 2014년 5월 30일 : 미국 AT&T 모델 출시 = = 외형 및 방수/방진 및 내구성 등급 = = 스피커와 마이크, 이어폰단자를 제외한 부분은 별도의 마개로 처리하였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물에서의 제한적인 사용을 위해 모든 외부버튼이 물리적인 버튼으로 되어있고, 뒷면은 고무재질을 입혔으며, 배터리 커버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닫을 시 볼트로 조여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방수/방진 수준에 대해서는 IP67 등급을 인증받았으며 (먼지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며, 물은 1m 이하의 수심에서 30분을 견딜 수 있다.), 내구성은 미국 국방성 내구성 표준인증 MIL-STD 810G을 인증받은 러기드폰이다. = = = 색상 = = = 티티늄 그레이 루비 레드 카모 그린 = = 카메라 = = 이미지 센서는 기존의 BSI CMOS 이미지 센서에서 아이소셀 이미지 센서로 변경하였으며, 크기는 1/2.6"로 전작보다 커져서 전작들에 비해 빛을 더 많이 받아들일 수 있으며, 색감을 더 뚜렷하게 구분한다. 또한 자동 초점의 속도는 0.3초로 전작들보다 향상되었다. = = 심장 박동 인식 = = 뒷면의 플래시 옆에는 심박 센서가 장착되어있어, 심장 박동수를 측정 할 수 있다. = = 운영 체제/소프트웨어 = = = = = 안드로이드 4.4 킷캣 = = = 안드로이드 OS 4.4.2 킷캣을 탑재하여 출시하였다. = = = = 특수 기능 = = = = 다운로드 부스터 : 모바일 데이터와 와이파이 채널을 하나처럼 사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증가한다. 리치 톤 HDR 촬영모드 :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시 HDR 기능을 실시간으로 적용해 어두운 실내나 역광상태에서도 풍부한 색감의 사진을 바로 촬영 할 수 있다. (※ HDR (High Dynamic Range) : 풍부한 색감의 사진 촬영을 지원하는 기능) 셀렉티브 포커스 : 초점이 다른 2가지 사진을 촬영해 합성하는 방식으로, DSLR 카메라에서 볼 수 있는 촬영기법인 아웃포커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하며, 피사체와 배경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출지 촬영 후에 선택해 원하는 사진을 꾸밀 수 있다. 그룹 플레이 : 그룹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각자 촬영한 동영상을 그룹 생성자가 편집할 수 있는 ‘그룹 캠코더’ 기능이 추가되었다. 울트라 파워 세이빙 모드: 휴대전화 사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종료시키며, 흑백화면 및 최소밝기 조정을 통해 배터리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공식발표 자료 기준 10%에서 24시간 동안 대기가능) 심박수 측정 : 기기 뒷면에 탑재된 심박수 측정 센서로 심박수르 확인하거나 기록할 수 있다. 긴급 모드 : 위급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손전등, 위급 상황 알람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필요한 기능을 홈 화면에 배치하고 배터리 수명을 최적화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도움 요청 메시지 : 긴급 상황에서 전원버튼을 3번 누르면 미리 설정한 연락처에 긴급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치와 함께 현장의 소리가 5초간 녹음되어 전송된다. Geo 뉴스 :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황사, 건조, 대설과 같은 기상특보 및 지진, 낙뢰 등의 재해정보를 제공한다. 운동 코칭 : 삼성 기어 2/기어 2 네오, 삼성 기어 핏을 연동하여 운동목표 및 운동계획에 맞춰 운동을 도와주는 개인 트레이너 기능이 탑재되었다. 액티브 키 : 왼쪽 볼륨키 윗부분의 액티브 키를 누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 = 변형 기종 = = 모델 넘버 지역, 이동통신사 (Carrier) 통신 방식 (대역) 특징 G870A 미국AT&T LTE-FDD = 할명수 = 할명수는 2020년 8월 26일부터 방송 중인 JTBC 웹예능이다. = = 방송 개요 = = 원조 별명 부자 박명수가 유튜브에서 주인공이 되어 펼치는 B급 감성 부캐쇼. = = 방송 목록 = = = = = 2020년 = = = 회차 방송일 제목 게스트 비고 1 8월 21일 본인등판 할 명수 유재환 2 8월 28일 ASMR(?) 할 명수 민성준, 정진하, 이재율 3 9월 4일 JTBC에서 유튜브 라방 할 박명수 4 9월 11일 입 짧은 박명수의 세계 과자 먹방 도전기 유민상 먹방 5 9월 18일 얼굴 믿고 노래할 K-pop Star 박명수 김태우 노래 6 9월 25일 어몽어스(among us) 도전 릴카 게임 7 10월 9일 폴가이즈(Fall Guys) 도전 짬타수아 게임 8 10월 16일 필라테스 솔직 후기 김동은 운동 9 10월 23일 사진사 박명수 누구나 조이(joy) 될 수 있다 에디터 M 사진 10 10월 30일 박명수가 찍은 충격적 비주얼의 사진들 에디터 M 사진 11 11월 6일 박명수 채널 구독하고 현금 5천원 받아가세요 12 11월 13일 면제 박명수의 군대 음식 먹방 유민상 먹방 13 11월 20일 자기계발서를 읽고 나의 성공시대 시작됐다 임재균 14 11월 27일 당신도 대머리가 될 수 있습니다 15 12월 5일 화덕 피자는 사드세요.....제발 승우아빠 구독자수 10만 돌파 16 12월 11일 박명수가 진지하게 노래 불렀을 때 #1 이승철 - 잊었니 정인경 노래 16 12월 12일 박명수가 진지하게 노래 불렀을 때 #2 아이유 - 푸르던 정인경 노래 16 12월 13일 박명수가 진지하게 노래 불렀을 때 #3 이승철 - 말리꽃 정인경 노래 17 12월 18일 밸런스 게임인 줄 알았는데 청문회였던 건에 대하여 18 12월 25일 사진입니다. 그런데 이제 아이돌을 곁들인... 정세운 사진 = = = 2021년 = = = 회차 방송일 제목 게스트 비고 19 1월 8일 숨겨왔던 나의 수줍은 명품 모두 네게 줄게 하하 패션 20 1월 15일 하... 이걸 사네? 중고거래 21 1월 22일 쯔양 곱창 해명합니다 쯔양 구독자수 30만 돌파 22 1월 29일 무인도에서 놀면 뭐하니? 선바 게임 23 2월 5일 막내가 사표 막 내 최보민 인턴 체험 24 2월 12일 대광어 잡다 광광 우럭따 수빙수 요리 25 2월 26일 실버버튼 언박싱(feat. 랜선팬미팅) 토크 26 3월 5일 배그를 누가 이렇게 해요 유민상 게임 27 3월 12일 B대면 잔소리 최준 토크 28 3월 19일 슈퍼주니어 신곡 가사를 바꿨더니 그만큼 신나시는 거지 슈퍼주니어 작사 29 3월 26일 누가 유튜브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들어 거성쇼를 보게 하라 이경규 토크 30 4월 2일 히든명수 특집 1탄 황광희 성대모사 31 4월 9일 히든명수 특집 2탄 황광희 성대모사 32 4월 16일 마인크래프트에서 펜트하우스 입주한 명단태 양띵 게임 33 4월 23일 맘스터치 햄버거 6종 플랙스해버렸다 쯔양 먹방 34 4월 30일 하와수 재결성 입 닫고 맥주나 마셔 정준하 구독자수 40만 돌파인기급상승 동영상 1위 35 5월 7일 박명수가 사진도 찍어주고 이게 꿈이냐?! 에디터M 사진 36 5월 14일 무엇이든 물어보쌉싸리와용 Q&A 구독자수 50만 돌파인기급상승 동영상 3위 37 5월 21일 유로트럭으로 운전 연수받으면 이렇게 됩니다 김준호 게임 38 5월 28일 조이 실제로 보면 안 착해요내 마음에 안착 조이 사진 39 6월 4일 쯔양을 배불리 먹이려면 얼마나 일해야 할까? 쯔양 아바타 & 먹방 40 6월 11일 제 여사친을 소개합니다 사유리 쇼핑 41 6월 18일 제가 사는 동네 소개해드립니다 브이로그 42 6월 25일 제시카는 물냉파일까 비냉파일까? 제시카 사진 43 7월 2일 몸보신 할 명수 쏘영 먹방 44 7월 9일 신서유기 출연 안 시켜주시면 조총으로 다 쏘려구요 규현 토크 & 먹방인기급상승 동영상 9위 45 7월 16일 박명수의 코인코인코인 노래방 규현 노래 46 7월 23일 하와 수 우정여행 1탄 정준하 여행인기급상승 동영상 14위 47 7월 30일 하와 수 우정여행 2탄 정준하 여행인기급상승 동영상 14위 48 8월 13일 작사 할 명수 노래 49 8월 20일 자가격리 할 명수 브이로그구독자수 60만 돌파 50 8월 27일 백문백답 할 명수 토크 51 9월 3일 개캉스 할 명수 애견 52 9월 10일 안주 리뷰 할 명수 유민상 먹방 53 9월 17일 바디프로필 할 명수 말왕 사진 54 9월 24일 공부왕 할 명수 박미선, 정준하, 홍진경 퀴즈 55 10월 1일 전투식량 리뷰 할 명수 에이전트 H 밀리터리 56 10월 8일 오징어 게임 할 명수 달고나 만들기 57 10월 15일 깨스팅 할 명수 정은지 소개팅 = 분류:미국의 형법 = = 제2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제2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78년 2월 22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황금곰상 = = = 아쎈소르 - 토마스 무노즈 수상 왓 맥스 세드 - 에밀리오 마르티네즈 라자로 수상 트라웃 - 조시 루이스 가르시아 산체즈 수상 = = = 은곰상:심사위원상 = = = 엠 빈파든 - 미셀 론구엣 수상 컨트랩션 - 제임스 디어든 수상 = = = 은곰상:감독상 = = = 어드밴티지 - 조르지 듈게로브 수상 = = = 은곰상:여자연기자상 = = = 오프닝 나이트 - 제나 로우랜즈 수상 = = = 은곰상:남자연기자상 = = = 아웃레이저스! - 크레이그 러셀 수상 = = = 황금곰상:단편영화상 = = = 워즈 하벤 위 덴 헨넨 게탠? - 블라디미르 이라넥 외 1명 수상 = = = 은곰상:공헌상 = = = 데스 오브 어 프레지던트 - 예르지 카발레로비치 수상 더 티쳐 - 옥타비오 코르타자 수상 = 시커우향 = 시커우향은 대만 자이현의 향이다. 넓이는 33.0463km2이고, 인구는 2015년 8월 기준으로 15,170명이다. = = 지리 = = 시커우향은 자이현 북부에 위치하고 북쪽은 윈린현 다피향와 동쪽은 다린진과 서쪽은 신강향과 남쪽은 민슝향과 접하고 있다. = = 역사 = = 시커우의 옛 이름은 쌍계구(雙溪口)이며 이것은 청대에 복건 및 광동으로부터 이민자들이 이주했을 때, 화흥계와 북항계가 만나는 지형으로부터 명명된 것이다. 일본 통치 시대 초기에는 가기 현 다나오 지청하에 소케이코 구(双渓口区)가 설치되었고 1920년 10월에 게이코 장(渓口庄)으로 개칭되어 다이난 주 가기 군의 관할이 되었다. 동시에 게이코의 서쪽을 신코 장(新港庄)으로 분할하였다. 전후에 시커우 향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이하라 가오리 = = 진도서초등학교 = 진도서초등학교는 전라남도 진도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4년 8월 17일: 군내공립국민학교 서부수역분교장 설치 1946년 12월 3일: 수역공립국민학교 승격 = = 본교 = = 진도서초등학교 가사도분교 = 분류:2023년 유러피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 성신여자중학교 (경북) = 성신여자중학교(聖信女子中學校)는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66년 12월 28일 : 학교법인 옥천학원 설립 인가 1967년 2월 24일 : 성신중학교 설립 인가 (6학급) 1967년 3월 10일 : 성신중학교 개교식 (6학급) 1967년 7월 25일 : 성신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 1967년 11월 9일 : 제1대 김갑준 교장 취임 1970년 1월 16일 : 제1회 졸업식 (108명) 1975년 4월 3일 : 육주학원 이사장 박병립 옥천학원 이사장으로 취임 1976년 2월 12일 : 학칙인가 변경 (15학급) 1977년 4월 11일 : 옥천학원을 육주학원으로 합병 2003년 10월 1일 : 성신도서관 개관 2004년 7월 1일 : 과학실 현대화 사업 2021년 2월 5일 : 제52회 졸업식(졸업생 121명, 총 10,868명) 2021년 3월 1일 : 제24대 장승철 교장 취임 2021년 3월 2일 : 입학식(신입생 131명) = 모듈:Location map/data/Australia Victoria Melbourne inse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Australia_Victoria_Melbourne_inse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분류:장례 예술 = = 아이패드 프로 (6세대) = 아이패드 프로(iPad Pro, 또한 6세대 아이패드 프로라고도 불림)는 애플이 개발한 태블릿 PC이다. 2022년 10월 18일에 발표되었다. = 씨 라이프 선샤인 코스트 = 씨 라이프 선샤인 코스트(Sea Life Sunshine Coast)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선샤인코스트 물루라바에 위치한 수족관이다. 퍼스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투명 전시터널을 따라 수중동물의 생활상을 관람할 수 있다. 과거 명칭은 언더워터 월드(UnderWater World)였다. = = 역사 = = 언더워터 월드는 공식적으로 1989년 문을 열었다. = 래브라도해 = 래브라도 해는 래브라도와 그린란드 사이의 바다이다. 중심부의 평균 깊이는 1,898m이고 최대 깊이는 4,316m다. 북쪽으로 데이비스 해협을 통해 배핀만과, 서쪽으로 허드슨 해협을 통해 허드슨만과 연결된다. = = 래브라도 해령 = = 래브라도 중앙 해령(Mid-Labrador Ridge)은 신생대 고제3기에 존재했던 북아메리카판과 그린란드판의 경계이다. 그린란드 남부에서 데이비스 해협까지 연장된다. 약 4천만년 전에 활동을 멈추었다.영어판 위키백과, <:en:Mid-Labrador Ridge> = 분류:러시아의 남자 축구 선수 = = 틀: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배드민턴 단식   남자   여자 복식   남자   여자 혼합 * 배드민턴 = 수빈운수 = 수빈운수는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마을버스회사이다. 1999년 설립되었으며, 사무실과 차고지는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으며 구로 11번만 수현운수로 다니고 있다. = = 운행 노선 = = ● 구로 10번: 대림역 ~ 구일역 (구 구로마을 15-26번) ● 구로 12번: 개봉역 ~ 거성아파트 (구 구로마을 15-13번) ● 구로 13번: 구로1동주민센터 ~ 연예인아파트 (구 구로마을 15-18번) = = 보유 차량 = =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범한자동차 - E-SKY 9 = 우지윈 = 우지윈(, 1982년 3월 8일 ~ 2019년 1월 20일) 또는 지지 우는 대만의 산악인이다. 대만 백악(百岳, 100대 명산) 정상에서 촬영한 비키니 수영복 차림의 사진으로 유명하다. 2019년 1월 초에 쥐펀산 아래에 위치한 우솽서루 구간에 오르던 도중에 발을 헛디뎌 약 20-30m 정도 깊은 계곡에 추락했는데 며칠 뒤에 구조대원들이 도착했을 때에 이미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 = 등산 경력 = = 우지윈은 학교를 졸업하고 무역 업계에서 근무했다. 그러다가 2013년경부터 등산을 접했고 4년 만에 대만 백악(百岳, 100대 명산) 등반에 도전해서 성공했다. 우지윈은 친구들과의 내기에 진 다음에 산 정상에 오를 때마다 비키니로 갈아입고 사진을 찍었기 때문에 "비키니 등산객"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그가 4년 동안 사진을 찍으면서 입은 비키니만 97벌에 달한다. 우지윈의 등반 기록은 화려한 편인데 1년 가운데 127일 동안에 걸쳐 산에 있었다고 한다. 우지윈은 생전에 "저는 외로움이 있기 때문에 항상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제가 산을 좋아하는 이유인지도 모릅니다."고 말했다. 우지윈은 2013년 1월에 높은 산을 오르기 시작했는데 1번째 등산 코스는 자밍호 코스였다. 2015년에는 대만 백악이 아닌 고난도 종주 코스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2016년 7월에 백악 등반 완성을 마친 우지윈은 대만 각지의 산을 등반하는 일정을 계속했다. 그는 2017년부터 2018년 사이에 많은 등산 기록을 발표했는데 상당수 코스가 산악인들이 거의 방문하지 않는 비인기 코스여서 많은 전문 산악인의 관심을 끌었다. 2017년에는 대만 백악이 아닌 높이가 3,000m가 넘는 168개의 높은 산과 긴 일수의 종주 코스를 밟기 시작했다. 우지윈은 2019년 1월 11일에 난터우현 신이향 둥푸에서 혼자 입산해 바퉁관, 마보라쓰산, 쥐펀산, 우솽서 등반을 계획했고 1월 24일에 쥔다린다오를 따라 하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월 19일에 쥐펀산 우솽서루 구간에서 우솽댜오차오 부근에 접근하다가 발을 헛디뎌 약 20-30m 정도 깊은 계곡에 추락했다. 의식이 어느 정도 깨어 있는 상태에 있던 그는 상체를 다쳤지만 하반신을 움직일 수 없어서 위성전화를 걸어 구조를 요청했다. 난터우현 소방서 제3대 수색 구조대원은 1월 21일 낮 12시경에 우지윈을 구조하기 위해 사고 현장에 도착했으나 악천후로 인하여 구조가 지연되었다. 1월 24일에는 난터우현 소방서 구조대원들이 우지윈의 시신을 발견했는데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법의학자들은 우지윈의 사망일이 2019년 1월 20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 = 사후 = = 미국의 스포츠 전문지인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는 2020년 8월 31일에 게재된 커버 스토리에서 〈우지윈이 어떻게 인생의 꿈을 추구하다가 자신의 목숨을 잃었는가〉(How Gigi Wu Found and Lost Herself in the Clouds)라는 기사를 실었다. 이 글은 우지윈이 등산 경험을 쌓은 이후에 2017년 5월에 혼자서 대만 중양산맥을 등반했다고 전했다. 우지윈은 생전에 인터넷에 올린 글을 통해 "자신이 혼자서 등반하는 동안에 한 가지 실수만 있으면 이번 여행이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우지윈은 실제로 불과 1년 만에 상처투성이가 된 다리 사진을 공개했고 등산 도중에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당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출신의 55세 등산객인 존 솔로몬과 가진 인터뷰를 인용했다. 솔로몬은 2018년 12월에 등산 캠프에서 우지윈과 이야기를 나눴다. 다음날 솔로몬이 산길에서 만난 우지윈의 배낭 무게는 약 31.7kg이었는데 솔로몬의 배낭 무게의 2배라고 전했다. 솔로몬은 대만 산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극경량 등산' 장비를 주장했다. 대만의 작가인 룽잉타이는 2019년 1월 23일 페이스북에 1,200자 이상에 달하는 평론인 대만에서는 '순수한 다우산'에 대한 계엄이 해제되어서는 안 된다(台灣未解嚴 純粹大武山)를 써서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9주 = = = 꼬추 무기한 차단 요청 = = 성적인 단어가 들어간 계정입니다. 계정 이름에 욕설 또는 성적인 단어가 들어가 있을 경우 즉시 통보 없이 차단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 = 사:223.39.145.160 차단 요청 = = * 누군지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남의 사용자 토론란에 들어와 다짜고짜 욕설을 남기고 남의 사용자 문서 히스토리 공개하며 비방까지 하는군요. 근거 자료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8년 2월 26일 (월) 20:42 (KST) = = Kys950 무기한 차단 요청 = = * 님 사칭 계정입니다. 175.197.33.96 (토론) 2018년 2월 26일 (월) 20:50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무기한 차단되었음을 확인, 완료로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02:31 (KST) = = 차단 회피 = = * 해당 사용자는 지난 수년간에 걸쳐 다방면의 문서 훼손과 차단 회피를 지속해오는 사용자입니다. 현재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48주#220.122.153.88 긴급 차단 요청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IP 주소가 차단된 상태이나, 차단 기간 중에 다른 IP로 우회하여 유사한 편집을 지속한 것이 확인(차단 회피)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IP(175.201.158.79)의 차단과 가장 최근에 이 사용자가 사용했던 IP인 "220.122.153.88"에 대해 차단 기한 연장을 요청합니다. 175.201.158.79 사용자의 기여 내역을 확인하면 기존에 차단되었던 IP들과 같은 문서에서 유사한 편집을 한 부분 확인 가능(시리아의 대통령 문서에서 임기 임의 조작 등)합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02:38 (KST) * * * * * 해당 사용자의 기여 내역과 IP 대역을 비교해본 결과 차단되지 않은 IP 중 220.122.153.88이 차단된 당일 전후로 이용한 175.201.158.82 등 다수의 우회 IP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02:50 (KST) = = 175.197.32,242 쓰 레 기 무기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 및 비방 계정입니다.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175 197 33 57 쓰래기 무기한 차단 요청 & 175 197 32 108 쓰래기 무기한 차단 요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단 회피 계정에도 속합니다. 175.197.32.242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18:27 (KST) = = IPhones-are-for-c0cks 무기한 차단 요청 = = *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1 동일인물이라는 증거 2 문서 훼손을 목적으로 생성된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2.242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18:40 (KST) 전역으로 잠겨있는 계정임을 확인, 완료로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02:28 (KST) = = Sivalsaeki 무기한 차단 요청 = = * 관리자 사칭 증거 악의적인 삭제 토론 개설 증거 문서 훼손 증거 차단 회피 계정이라는 증거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계정명 자체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부적절 계정에도 해당됩니다. 175.197.32.242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20:46 (KST) 다른 관리자에 의하여 무기한 차단되었음을 확인, 완료로 표시합니다. 메이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02:27 (KST) = = 220.116.27.137 차단 요청 = = * Mc 무현 삭제 기록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46주 광범위 다중 IP 대역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12주 211.36.0.0/24 긴급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2주 차단회피 IP 차단 요청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7년 제24주 차단회피 IP 차단 요청 장난성 넘겨주기(섹스섹스한 다른사진‎)를 생성한걸로 봐서는 전에 관리자님 사칭 및 다중 계정( * * * * * * ) * * * * ) 으로 나타나 반달한 인물과 동일인물입니다.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2 (토론) 2018년 2월 27일 (화) 21:19 (KST) = = 61.81.61.13 차단 요청 = = * 위키백과에서 짧은 문서를 대량으로 양산하는 행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차단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08:19 (KST) = = 49.175.212.76 긴급 차단 요청 = = * 지난주에 작성한 요청이 아직도 처리되지 않아 계속 장난 및 허위편집 반복되고 있습니다. 장난 및 허위 증거 허위라는 증거 출처가 포함된 문서에 고의로 허위로 바꾼 증거 차단 기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 관리자님이셨던 RedMosQ님을 포함해 Twotwo2019님 & Youngjin님 & Ykhwong님에 의해 각각 여러번 차단된걸 알 수 있고 전부다 허위 남발 및 문서 훼손에 의한 차단입니다. 지난 요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단 자체가 이행되야하는 요청이며, 이후에도 훼손행위를 반복할 가능성이 큽만큼 해당 IP를 문서 훼손 반복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2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12:32 (KST) = = 김진표 관련 문서 훼손 사용자 = = * * * * * 각 계정들은 동일인 또는 김진표 (정치인) 문서와 관련된 이해당사자로 보이며, 해당 문서에 불리한 내용이라 판단되는 내용을 대량 삭제하고 홍보성 내용을 대량 삽입하고 있습니다. 각 사용자들에 대해 다중 계정 사용 및 문서 훼손 이유로 장기간 차단을 요청합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14:01 (KST) = = 220.116.27.32 차단 요청 = = * 토론란 삭제 기록 220.116.27.137 차단 요청과 같은 사유에 해당되며 타 사용자 토론란에 장난 반복 및 비슷한 IP로 나타난걸로 봐서는 동일인물이며, 해당 IP를 차단 회피로 차단 요청합니다. 175.197.32.246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17:21 (KST) 증거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6년 10월 175.197.32.246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17:34 (KST) = = IRTC1021 무기한 차단 요청 = = * 관리자 사칭 증거 1 관리자 사칭 증거 2 님 사칭 계정입니다. 175.197.32.246 (토론) 2018년 2월 28일 (수) 20:23 (KST) = = 121.169.123.78 = = * 신연희, 신동빈 문서 등에 거주지에 수감처를 기재하는 등 상습적인 문서훼손을 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연희 문서의 경우 문서 훼손에 대한 되돌림이 반복되도 그치지 않고 계속 훼손행위를 지속하여 해당 문서의 보호 처리도 필요합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3월 1일 (목) 19:46 (KST) = = 사용자:커뷰 차단 요청 = = MBC의 뉴스데스크가 MBC의 대표 뉴스인 것처럼, OBS를 대표하는 뉴스인 OBS 뉴스 M을 삭제 신청하는 등 편집권한을 남용함. 싱싱 고향별곡, EBS 10시 뉴스, EBS 교육문화소식, EBS 교육소식, EBS 교육문화뉴스, EBS 현장리포트, 생방송 토요일.일요일 아침입니다,생방송 토요일.일요일 오후입니다, 생방송 토요일.일요일 저녁입니다, CBS 저녁종합뉴스, SBS 뉴스라인, SBS 뉴스레이더, MBC 저녁종합뉴스, OBS 경인투데이, OBS 뉴스&이슈, OBS 뉴스 M, OBS 뉴스 945 근거는 너무 오래되었으며 공동체에 충분히 알려지지 않아 (백:총의) 효력이 없음 이 사람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명예가 나무위키에서 실추되고 있음 = = ‎175.197 33.185 개 씨뱔새끼 무기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 및 비방 계정입니다.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계정이며, 175 197 33 57 쓰래기 무기한 차단 요청 & 175 197 32 108 쓰래기 무기한 차단 요청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단 회피 계정에도 속합니다. 그외에 다른 사용자 토론란에는 욕설까지 한게 확인되었습니다. 욕설 작성 증거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6:05 (KST) = = 섹스한 가시거리 무기한 차단 요청 = = * 장난 증거 요청사유는 220.116.27.137 차단 요청에 있는 사유와 동일하며, 부적절 및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6:21 (KST) = = 섹스할 차단 회피 무기한 차단 요청 = = * 또 다중 계정을 생성해서 나타난게 확인되었습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6:39 (KST) 게다가 사용자명도 부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제로스톤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6:40 (KST) = = 씨팔미친놈꺼져 무기한 차단 요청 = = * 부적절 및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7:27 (KST) = = ‎씨팔놈아 왜 차단해 죽고싶냐 무기한 차단 요청 = = * 또 다중 계정을 생성해서 나타난게 확인되었고 이젠 관리자님에게까지 인신 공격까지 하고 있습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7:49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실시간으로 다수 문서에 훼손을 반복하고 있어 차단이 필요합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7:59 (KST) 증거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2일 (금) 18:16 (KST) = = 220.122.153.88 긴급 차단 요청 = = * 기존 차단 기간이 종료함과 동시에 이와 같이 대규모 문서 훼손을 감행. 해당 사용자 장기간 차단과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9주#차단 회피에 기록된 차단 회피 IP 역시 모두 차단 요청합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02:28 (KST) 해당 사용자의 이전 차단 요청에 그간 기록들이 분석되어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02:30 (KST) 해당 사용자의 차단이 처리되지 않아 현재도 문서 훼손이 지속되고 있는 바(생년 조작 등), 부득이하게 이전 차단 요청을 처리하신 관리자 분의 확인을 요청합니다. Wikitori (토론) 2018년 3월 8일 (목) 19:31 (KST)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9주#차단 회피 요청에 대해서는 인지된 훼손 행위가 없다면, 차단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차단은 "선제적 조치"가 아니며, 사후적 판단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강철 (토론) 2018년 3월 10일 (토) 20:06 (KST) = = 사랑나무 차단 기한 연장 요청 = = * 차단 회피로 차단 기한이 연장된 상황에서 사용자토론:사랑나무#차단 재검토 요청의 최하단 문구와 같이 관리자를 협박하며 비아냥 거리는 행위가 포착됨. Wikitori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02:38 (KST) = = 175.197 33.185 (이) 무기한 차단 요청 = = * 최근 바뀜을 통해 생성된게 확인되었고,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12:09 (KST) = = 개념없는메이 무기한 차단 요청 = = * 님 비방 계정 및 다중 계정을 악용해서 반달하는 인물의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19:06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신속한 처리 부탁드립니다. 175.197.33.185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19:12 (KST) = = 58.140.202.128차단 요청 = = * 이 ip는 . 전북 현대 모터스 2018 시즌 문서 훼손을 반복하고 pen.을 PK로 되돌리는 사용자 입니다. Soccerfootballwiki (토론) 2018년 3월 3일 (토) 23:50 (KST) = = NUBIAREVIY 무기한 차단 요청 = = *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다중 및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4:19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문서 훼손 반복 증거 문서 훼손 증거 인신 공격 증거 차단된 계정의 토론란에 나타난 기여 -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기여 차단회피자라는 증거 해당 계정의 전체 기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부 문서 훼손입니다.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4:36 (KST) 토론란에 인신 공격 반복 증거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4:52 (KST) = = 개자식 무기한 차단 요청 = = * 토론란에 나타난걸로 봐서는 위 계정과 동일인물이며, 부적적 및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다중 및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4:26 (KST) 사용자 관리 요청 조작 증거 장난성 넘겨주기(섹스할 차단 정책)까지 생성한걸로 봐서는 정상적인 기여를 할 사용자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4:39 (KST) = = 이 개념없는 세끼 무기한 차단 요청 = = * 토론란에 나타난걸로 봐서는 위 2계정과 동일인물이며, 부적절 및 백:분쟁 & 백:방해 & 백:반달을 목적으로 생성된 다중 및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175.197.32.61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5:30 (KST) = = 차단 회피 계정 무기한 차단 요청 = = * * * 계열의 차단 회피 계정입니다. 관리자님 토론란에 장난 및 다수 문서에서는 훼손을 반복하고 있으며, 3개의 계정을 차단 회피 및 다중 계정 악용으로 무기한 차단 요청합니다. 121.128.78.189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20:02 (KST) = 춘향전 (1935년 영화) = 춘향전(t春香傳, 토키 춘향전)은 한국에서 제작된 이명우 감독의 1935년 영화이다. 문예봉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분도주차랑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개요 = = 1935년 10월 4일 경성촬영소(京城撮影所)의 제작으로, 서울 단성사에서 개봉된 영화 <춘향전>은 한국 영화사상 최초의 발성영화였는데, 이기세(李基世) 원작, 이구영 각색, 이명우(李明雨) 감독·촬영, 이필우(李弼雨) 녹음 및 현상과 조명으로 되어 있고, 배역은 문예봉(文藝峰)·한일송(韓一松)·김연실·노재신(盧載信) 등이 맡았다. 이 영화의 기술 과정을 맡은 이필우는 두 차례나 일본에 건너가 최신 영화 기술을 배운 후 귀국하여, 카본 라이트를 전구 라이트 시스템으로 바꾸어서 100kW를 사용했고, 현상을 배트(vat)현상으로 하고, 프린터는 '벨 엘 호웰'을 사용하여, 이른바 기술적인 혁신을 시도했다. 흥행 결과도 성공적이었다. = = 출연 = = = = = 주연 = = = 문예봉 한일송 = = = 조연 = = = 김연실 노재신 = = 기타 = = 원작자: 이기세 조명: 이필우 녹음: 이필우 = 분류:라인란트팔츠주의 지리 = = 분류:20세기 모리타니 사람 = 20 모리타니 사람 모리타니 en:Category:20th-century Mauritanian people = 길 호지스 = 길버트 레이 호지스(Gilbert Ray Hodges, 1924년 4월 4일 ~ 1972년 4월 2일)는 미국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1루수이자 감독이며, 18년간 브루클린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위하여 활약하였다. 또한 뉴욕 메츠를 감독하며 1969년 월드 시리즈의 우승으로 이끌었다. = = 초기 생애 = = 인디애나주 프린스턴에서 찰스 호지스와 아이린 호스트마이어 사이에 태어났다. 7세 때 호지스 가족은 30 마일 떨어진 피터스버그로 이주하였다. 호지스의 부친은 자신의 아들들이 탄광에서 일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찰스는 자신의 아들들에게 스포츠를 어떻게 하는가를 가르쳤고, 길은 피터스버그 고등학교에서 4개의 스포츠를 활약하였다. 육상, 야구, 농구와 미식축구를 한 호지스는 7회의 합쳐진 대학 편지들을 얻었다. 1941년 자신의 형처럼 호지스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 의하여 클래스 D 계약이 마련되었으나 거절하고 대신 육상 장학금에 세인트조지프 칼리지에 등록하였다. 인디애나폴리스에서 북부로 100 마일 떨어진 세인트조지프 칼리지는 잘 여겨진 체육 프로그램을 가졌고, 호지스는 대학 코치 경력에 계획들이 있었다. 그는 푸마스를 위하여 야구와 농구를 하고 해병대 예비역 장교 훈련단의 일원이었다. 자신의 2학년 해의 후에 그는 지방 스포츠 용품 상점 주인과 비상근의 다저스 스카우트 스탠리 피즐에 의하여 계약이 마련되었다.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의 매혹은 이 당시 너무였고 호지스는 칼리지를 떠나 그때 뉴욕주 올린으로 그를 보낸 브루클린과 계약을 맺었다. 그는 클래스 D 오일러스와 훈련하였으나 경기에 나오지 않았다. = = 선수 경력 = = = = = 브루클린/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브루클린 다저스는 1943년 시즌에서 19세의 호지스를 소집하였다. 그는 그해의 다저스의 마지막 경기인 10월 3일 크로슬리 필드에서 자신의 데뷔를 하였다. 신시내티 레즈의 조니 밴더미어를 향한 호지스는 본루에서 0 루 2 타로 가며 3루에서 2개의 손실이 큰 오류를 만들었다. 11일 후에 그는 해병대에 입대하여 하와이로 보내졌으며, 처음에 진주만에, 후에 카우아이섬으로 갔다. 호지스는 제16 고사포 부대의 준사관으로 지냈다. 그는 하와이에서 남태평양에서 사이판섬의 자매 섬인 티니안으로 갔다. 1945년 4월 하사관인 호지스는 이제 그의 부대의 작전과 정보부에 지정되어 돌격군들과 오키나와섬에 상륙하였고 즉시 청동 성장이 수여되었다. 1946년 2월 제대하여 다저스와 봄 훈련으로 갔다. 우투우타로 활약한 그는 그 시기의 야구 선수들에게 몸집이 큰 것으로 숙고되었다. 하지만 호지스는 온화한 거인 선수였으며 가끔 온필드 싸움의 조정자의 역할을 맡았다. 다저스의 회장 브랜치 리키는 이제 22세의 호지스가 내야수에서 포수로 자리를 옮긴 클래스 B의 피드먼트 리그에서 팀의 참가자인 뉴퍼트 뉴스 다저스로 보냈다. 그는 129개의 경기들을 활약하였고, 뉴퍼트 뉴스를 위하여 8개의 홈런과 함께 .278점을 안타하였다. 자신의 노력들을 위하여 호지스는 올리그 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역사적이며 소란스러운 다저스의 1947년 훈련으로 가 팀으로 이루었다. 그는 2번째 대상 포수였으나 브루스 에드워즈에게 대리 선수로서 본루의 뒤로 24개의 경기들 만을 활약하였다. 5월 17일 포브스 필드에서 투수 해리 테일러를 위하여 타구한 그는 자신의 첫 메이저 리그 안타를 위하여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프리츠 오스터뮬러에 1루타를 쳤다. 호지스는 시카고의 리글리 필드에서 6월 18일 자신의 첫 메이저 리그 홈런을 쳤다. 그의 강타는 시카고 컵스의 행크 보로위를 상대로 7번째 이닝에서 왔으며 3 루 3 타의 동점을 깼다. 1947년 호지스는 28개의 총경기들에 나와 빈혈적 .156점을 쳤다. 그는 명확하게 더 많은 활약 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루의 뒤로 시간을 얻으려고 하지 않았다. 에드워즈를 위하여 차지하는 데 로이 캄파넬라와 가는 길에 호지스를 위한 또다른 변화가 순서에 놓였다. 1948년 호지스는 1루에서 96개의 경기들을 활약하였으나 그는 물론 38개의 경기들에서 포수였다. 처음에 13개의 오류와 함께 그의 수비 퍼센티지는 .986였으며, 자신이 .990 아래에서 수비한 정규적으로 활약한 단 하나의 해였다. 추가로 그는 3위를 한 다저스를 위하여 11개의 홈런과 70개의 타점을 공헌하였다. 그는 다음 7개의 시즌들에 100개보다 적은 득점들에 히트를 쳐서 주자를 흠인시키려 하지 않았다. 그해 12월 26일 호지스는 베이리지 구역에서 온 브루클린의 소녀 조앤 롬바디와 결혼하였다. 호지스 부부는 브루클린에 영구적 집을 만들었고 4명의 자식들을 두었다 - 뉴욕 메츠의 마이너 리그 시스템에서 가끔 선수로서 지낸 길 주니어와 딸 아이린, 신시아와 바버라. 마지막으로 매우 바쁜 호지스는 1947년과 1948년 오프 시즌들 동안에 인디애자 주의 오클랜드 시티 칼리지에서 자신의 학위를 얻는 데 GI 증서를 썼다. 1949년으로 봐서 브루클린 다저스는 프랜차이즈 역사상 가장 생산적인 시기를 위하여 균형이 잡혔다. 캄파넬라가 본루에 뒤로, 재키 로빈슨이 2루수, 피 위 리스가 유격수, 빌리 콕스가 3루수, 듀크 스나이더가 중견수와 칼 퍼릴로가 좌익수에 교체의 배정과 함께 우익수로 놓이면서 정렬이 꾸며졌다. 실망하지 않은 다저스는 내셔널 리그의 페넌트를 우승하여 하나의 경기에 의하여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앞섰다. 호지스는 이제 주요한 기여 선수였다. 그의 첫 경력 그랜드 슬램은 보스턴 브레이브스의 빌 보이젤에 왔다. 호지스는 6월 25일 포브스 필드에서 17 대 10의 승리에서 순환기를 위하여 안타를 쳤다. 9회의 이닝에서 자신의 경기의 2번째 홈런을 치기 전에 그는 1루타, 2루타, 홈런, 그러고나서 3루타를 쳤다. 다음 2개의 해인 1950년과 1951년은 연속적 2위를 가져왔다. 자신이 2개의 시즌들을 위하여 36개의 홈런과 109개의 타점을 평균하면서 호지스의 권력적인 수들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는 118개와 함께 1951년에 매긴 득점에서 자신의 경력 최고를 설립하였으며, 자신이 100개를 쌓은 3개의 시즌들 중의 하나였다. 그는 또한 자신이 리그를 이끈 99개의 스트라이크아웃에서 경력 최고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1951년의 올스타 경기에서 호지스는 2개의 득점한 홈런을 포함하여 2 승 5 패로 갔다. 하지만 8월 31일 9개의 이닝 경기에서 4개의 홈런을 치는 데 4번째 메이저 리그 선수가 된 자신의 가장 큰 날이 왔다. 그는 5 승 6 패로 가고 에베츠 필드에서 9개의 타점을 가져 4명의 브레이브스 투수들에 4개이 홈런을 쳤다. 그의 17개의 총루는 또한 메이저 리그 기록을 동점 매기기도 하였다. 다저스는 1952년과 1953년 페넌트를 우승하였으며, 월드 시리즈에서 각각 뉴욕 양키스에게 다시 떨어졌다. 1952년 호지스는 자신의 32개의 홈런을 치고, 1953년 5월 23일을 통하여 .181점 만을 타구함에 불구하고 31개의 홈런과 122개의 타점을 가졌다. 1953년에 시작된 폭락이 사실 1952년 월드 시리즈로부터 연기되었고 호지스와 브루클린의 팬들 사이에 전설적 인연을 굳혔다. 7개의 경기 시리즈에서 그는 5개의 4구에 의한 출루와 함께 0 승 21 패로 갔다. 자신들의 1루수에 야유하는 대신 에베츠 필드는 그르 감싸고, 따뜻하게 그를 응원하였다. 1954년 시즌은 다저스가 2위를 하는 것을 보고, 호지스는 타구 평균(.304), 홈런 (42), 타점 (130)과 장타율 (.579)에서 최고 경력들을 계시하였다. 그 일은 .300 마크 위로 자신의 2연속 해였다. 또한 넓은 차이에 의하여 메이저 리그를 이끌던 아직 또다른 최고 경력인 19개의 희생 플라이들을 가졌다. 정규 시즌의 마지막 날에 호지스는 하나의 솔로 숏을 가지고 1 대 0의 승리를 위한 신인 선수 칼 스푸너가 필요로 한 단 하나의 득점을 마련하였다. 홈런은 그해 에베츠 필드에서 25번째 안타였으며 팀의 신기록을 설립하였다. 그의 42개의 홈런과 130개의 타점은 둘다 내셔널 리그에서 자신들의 각각의 분류들에서 2위였다. 1955년 브루클린 다저스는 자신들의 처음이자 단 하나의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였다. 이제 31세의 호지스는 다저스가 1위를 하는 데 27개의 홈런, 102개의 타점과 .500의 장타율을 공헌하였다. 다저스는 내셔널 리그의 80년간 역사에서 10 대 2의 구타와 함께 55개의 페넌트를 결말지었다. 9년에서 5번째로 그들은 월드 시리즈에서 양키스를 만났다. 호지스는 하나의 홈런, 3개의 4구에 의한 출루와 5개의 타점과 함께 .292점을 쳤다. 그는 7번째 경기와 시리즈의 결정적 경기에서 단 2개의 매긴 득점들에서 히트를 몰아 주자들을 흠인시켰고, 리즈로부터 투구에 최종적 척살을 기록하였다. 호지스는 1956년과 1959년 2개의 월드 시리즈 더 나왔다. 그는 그 해들의 순환에 정규 선수로서 지속적으로 활약하여 26개의 홈런과 82개의 타점들을 평균하였다. 호지스는 각각의 시리즈에서 단 1번의 홈런을 쳤으며, 1956년 양키스에게 패한 7개의 경기 시리즈에서 그는 다저스의 25개의 득점들의 12개에 착수하고,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우승한 1959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시리즈에서 .391점을 타구하였다. 그 시리즈에서 그는 4 대 4 동점을 집은 8번째 경기의 말기에서 솔로 홈런과 함께 4번째 경기를 우승하였다. 전체로 봐서 39개의 월드 시리즈 경기들에서 활약한 호지스는 5개의 홈런, 21개의 타점과 15개의 매긴 득점과 함께 .267의 평균을 수집하였다. = = = 뉴욕 메츠 = = = 호지스는 4개의 더 시즌들의 일부들을 위하여 활동적이었으나 무릎과 다른 부상들이 그의 활약 시간을 제한하였다. 다저스가 로스앤젤레스로 옮김에 불구하고 호지스 가족은 브루클린에서 자신들의 집을 유지하였고 1961년 시즌 이후에 새롭게 형성된 뉴욕 메츠가 첫 내셔널 리그 확장 드래프트에서 호지스를 선발하였다. 그는 1962년 4월 11일 메츠 역사상 첫 홈런을 쳤다. 전체로 봐서 그는 비참한 그해의 메츠를 위하여 54개의 경기들에 나와 .252점을 타구하였다. = = 감독 경력 = = = = = 워싱턴 세너터스 = = = 호지스는 활동적 선수로서 1963년을 시작하였으나 워싱턴 세너터스가 그에게 자신들의 감독이 되는 것을 의문할 때 은퇴하였다. 공개 이적을 처리한 후, 호지스는 5월 23일 외야수 지미 피어솔을 위하여 세너터스로 이적되어 자신의 선수 경력을 끝냈다. 적당하게 호지스의 마지막 메이저 리그 안타는 5월 5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1개의 타점 1루타였다. 1962년 7월 6일 그는 자신의 370번째이자 마지막 홈런을 쳤다. 다음 시즌의 4월 19일까지 윌리 메이스가 자신의 371번째 경력 홈런을 칠 때 호지스는 내셔널 리그 역사상 오른손 잡이 타자들에 의한 가장 많은 홈런 기록을 가졌다. 호지스의 도착 후 각각의 시즌에 확장의 세너터스는 이전 시즌으로부터 자신들의 기록을 향상시켜, 1967년 76 승 85 패의 기록을 세웠다. 1964년 12월 4일 세너터스의 감독 진영은 다저스와 함께 7년 이적을 꾸몄다. 세너터스는 호지스의 이전 동료 선수 강타의 외야수 프랭크 하워드, 투수들 필 오터가와 피트 리처트, 1루수 딕 넨과 3루수 켄 맥뮬런을 받았다. 이 선수들은 다음 몇년간 세너터스 프랜차이즈의 핵심이었고 1967년 자신들의 10위에서 놀라운 6위로 가져오는 데 호지스에 도움을 주었다. 자신의 계약에 1년이 남았어도 호지스는 1968년 세너터스를 지도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1967년 9월 웨스 웨스트럼이 뉴욕 메츠의 감독으로서 사임할 때 메츠는 호지스를 그의 대체로서 추구하였다. = = = 메츠의 감독과 월드 시리즈 = = = 길의 아내 조앤은 전혀 국가의 수도로 진기한 정기권 통근자보다 더 많이 가보지 못하였고, 호지스는 아직도 브루클린에 있는 볼링장들에 재정적 이익들을 가졌다. 뉴욕 지역에서 주어진 길 호지스의 인기에 그는 메츠를 위한 자연적 적합이었다. 세너터스의 총지배인 조지 셀커크는 호지스를 잃지 않기를 원하여 메츠의 1십만 달러의 지불에 의하여 원조되었고 결국적으로 임명될 선수를 다시 빌렸다. 호지스는 그러고나서 메츠를 감독하는 데 1십 5만 달러의 3년 계약을 맺었다. 메츠는 전혀 .500점 위로 끝낸 적이 없으나 그들은 1968년 올스타 브레이크에서 그 마크의 아래로 4개의 경기들 만에 있었다. 팀은 속도에 유지하지 못하였고 남은 80개의 경기들에 46개를 패하였다 9월 24일 44세의 호지스는 애틀랜타에서 경기가 열리는 동안에 순한 심근 경색에 걸렸다. 스트레스에 추가로 그는 오키나와섬에 흡연 습관을 개발하기도 하여 너무 이른 생애에 심근 경색을 위한 요인들에 기여하였다. 1968년의 메츠는 9위로 지위를 올려 1967년에 12개의 경기 향상을 이루었다. 거기에는 아직도 올 더욱 거대한 향상들을 예보하려 한 2번째 절반의 상연에 약간 있었다. 이전의 해보다 27개나 더 많이 우승한 100 승 62 패의 기록으로 간 1969년 메츠와 함께 감독으로서 호지스의 첫 우승 시즌이 왔다. 그들은 자라난 투수들 톰 시버, 제리 쿠스먼과 약속된 젊은 선수 놀런 라이언은 물론, 좌익수 클리언 존스와 중견수 토미 애기에 의하여 이끌어졌다. 메츠는 내셔널 리그 플레이오프의 3개의 연속적 경기들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꺾고 월드 시리즈의 5개의 경기들에서 거대하게 우승 후보로 보인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꺾었다. 호지스는 매력적인 패배 선수들을 월드 시리즈 챔피언으로 바꾼 공로로 인하여 "올해의 감독"으로 투표되었다. 메츠는 다음 2개의 시즌들의 각각에서 동일한 83 승 79 패의 기록들과 끝냈다. 호지스를 위하여 더 이상 챔피언십이 없었다. = = 사망과 영예 = = 1972년의 봄은 첫 근래의 선수들의 파업을 보았다. 4월 2일 부활절의 일요일 그는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코치 조 피냐타노, 루브 워커와 에디 요스트와 함께 골프를 치고 있었다. 요스트가 세너터스 세월 이래 호지스와 함께 한 동안에 피냐타노와 워커는 옛 브루클린 다저스의 동무였다. 그들이 라마다인에 있는 자신들의 방들로 향하며 자신들의 27 홀의 마지막 홀로 걸어가면서 피냐나토가 호지스에게 저녁 식사를 위한 시간을 물었다. 호지스가 "7시 30분"이라고 대답하고, 그러고나서 포장 도로로 쓰러졌다. 그는 47세의 나이로 오후 5시 45분 관상 동맥 발작으로 사망하였다. 장례식이 있던 날 4월 7일 메츠는 피츠버그에서 시즌을 여는 것으로 예정이 잡혔으나 선수들은 몰수 경기에 참석하는 데 동의하였다.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우아하게 경기를 취소하였다. 코치 요기 베라는 호지스의 대체로서 메츠를 차지하였고, 1973년 월드 시리즈로 돌아오는 데 메츠를 다시 이끌었다. 호지스의 장례식은 쉽게 맨해튼에 있는 성 패트릭 대성당에서 열릴 수 있었으나 그의 주제넘지 않은 방향들과 함께 지켜지지 않았다. 그의 플랫부시 교구 교회에서 장례식이 끝난 후, 그는 브루클린의 홀리 크로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호지스의 사망 이래 세월 동안에 명예의 전당으로부터 그의 결석에 수많은 주의들이 주어졌다. 호지스는 1969년부터 1983년까지 미국 야구 작가 협회를 위하여 자격이 있었다. 각해에 그는 전당으로 최후적으로 선출된 10명의 남자들 만큼 더욱 많은 투표들을 받았다. 호지스는 홈런 (310), 경기 (1477), 타석 (5313), 득점 (890), 안타 (1491), 타점 (1001), 총루 (2733)와 스트라이크아웃 (882)에서 1950년대의 메이저 리그 1루수의 전부를 이끌었다. 그는 1949년부터 1955년까지, 그리고 다시 1957년에 매년마다 8회의 올스타 팀에 이루어, 당시 여러 1루수들 중의 가장 많은 시간이었다. 추가로 호지스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첫 3개의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였고, 그 시기의 가장 좋은 방어적 1루수로 숙고되었다. 또한 그는 홈런과 타점에서 1950년대에 여러 선수들 중에 2위였다. 인디애나주 파이크 군의 북부에 있는 화이트 강의 이스트 포크를 순회하는 다리는 이제 길 호지스 메모리얼 다리로 이름이 지어졌다. = 분류:바이에른주의 교통 = = 분류:오키나와의 과자 = = 틀:2011년 스페인 총선거 결과 (상원) = 스페인 의회 선거 결과 (하원) (2011년 11월 20일) = 지방도 제897호선 = 지방도 제897호선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복흥우체국사거리를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 = 연혁 = = 2013년 9월 23일 : 화순군 남면 내리 ~ 다산리 구간 920m 확장 개통전라남도공고 제2013-843호, 2013년 9월 23일. = = 주요 경유지 = = = = = 전라남도 = = =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 송광사제3교 - 송광사삼거리 - (평촌) - 신평교 - 후곡리 - (미개통 구간 : 막거리재) 화순군 사평면 (미개통 구간 : 막거리재 - 유마리 - 다산리 - 송암제 - 용리 - 장전리) 백아면 (미개통 구간 : 복암리) - 복암삼거리 - 무포리 - 무포교 - 마산리 - 청궁저수지 - 청궁리 - (어림) 이서면 (어림) - 갈두리 - 안심제 - 안심리 - 영평리 - 화순초등학교 이서분교 - 인계리 담양군 가사문학면 만월리 - 무동리 - 남면인암리 교차로 - 남면초등학교 인암분교 (폐교) - 가암리 - 가암 교차로 - 가암교 - 풍암리 대덕면 입석리 - 입석제 - 운암리 - (미개통 구간 : 까마귀재 - 금산리 - 성곡리) 무정면 (미개통 구간 : 평지리) - 안평입구 - 안평교 - 안평리 - 덕곡리 - 수양재 금성면 수양재 - 봉황리 - 외추리 - 손곡교 - 대곡리 - 대곡 교차로 - 대곡교 - 반곡사거리 - 담양금성중학교 - 석현리 - 원천리 용면 두장리 - (미개통 구간) - 용면초등학교 - 용면우체국 - 용면사무소 - 추성삼거리 - 추성리 - 쌍태삼거리 - 쌍태리 - 빗재 월산면 빗재 - 밀재 = = = 전북특별자치도 = = = 순창군 복흥면 밀재 - 대방리 - 대방3교 - 대방2교 - 정산리 - 복흥초등학교 - 복흥면사무소 - 복흥우체국사거리 = = 중복 구간 = =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삼거리 ~ (평촌) :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27호선과 중복 담양군 용면 용면우체국 ~ 추성삼거리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 = 도로명 =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 송광사삼거리 : 송광사안길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삼거리 ~ (평촌) : 송광사길 순천시 송광면 (평촌) ~ 후곡리 : 후곡길 화순군 동면 복암삼거리 ~ 이서면 인계리 : 규봉로 담양군 가사문학면 만월리 ~ 남면임암리 교차로 : 무동길 담양군 가사문학면 남면임암리 교차로 ~ 가암 교차로 : 가사문학로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암 교차로 ~ 운암리 : 남대덕로 담양군 무정면 안평입구 ~ 금성면 반곡사거리 : 병목로 담양군 금성면 반곡사거리 ~ 용면 두장리입구 : 시암골로 담양군 용면 용면우체국 ~ 추성삼거리 : 추월산로 담양군 용면 추성삼거리 ~ 월산면 밀재 : 추령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밀재 ~ 복흥우체국사거리 : 추령로 = 조지 프랫 슐츠 = 조지 프랫 슐츠(George Pratt Shultz, 1920년 12월 13일 ~ 2021년 2월 6일)는 미국의 교수, 사업가이며 공화당의 정치인이자, 60대 국무장관(1982년 ~ 1989년)이다. 또한 미국과 해외에서 정부, 경영과 노동 기구들의 고문을 지냈고, 노동 분쟁의 중재인으로서 공정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2년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194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에서 1948년부터 1955년까지, 1956년부터 1957년까지 경제학을 강의하였다. 1957년에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노사관계의 교수가 되었고, 1962년에는 경영 대학원의 원장을 지냈다. 닉슨 내각에서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노동부 장관으로 근무하다가, 1970년부터 1972년까지 행정 관리 예산국의 국장을 지냈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재무 장관 겸 경제 정책 위원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정부의 경제 정책에 결정들을 조화시키는 성과를 얻는 데 책임을 지었다. 레이건 정부에 들어가기 전에 7년 동안 큰 국제적 토목 회사 베첼 그룹 주식회사(Betchel Group Inc.)의 사장으로 있었다. 1982년 알렉산더 헤이그가 국무 장관 직을 사임하자, 그의 뒤를 이어 국무 장관이 되었다. 1989년 내각을 떠나 다시 교수 생활을 하였다. = = 초기 생애 = = 뉴욕에서 벌 얼 슐츠와 마거릿 레녹스의 외동아들로 태어난 슐츠는 뉴저지주 엥글우드에서 자라왔다. 그의 증조부는 독일에서 온 이민자였다. 슐츠는 지방 공립 학교를 다니고, 후에 고등학교의 2년째에 엥글우드 남자 학교(오늘날 드와이트-엥글우드 학교)로 전학을 갔다. 그는 코네티컷주 윈저에 있는 정예 사립 예비 기숙사 고등학교인 루미스 채피 학교를 졸업하였다. 고등학교 후에 슐츠는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국제적과 공공적 정세에서 부전공과 함께 경제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42년 슐츠는 명예들과 함께 졸업하였다. 졸업 후에 그해부터 1945년까지 활동 임무에 미국 해병대에 복무하였다. 그는 대위의 계급에 도달하여 앙가우르 전투가 열리는 동안 미국 육군의 81 보병 연대로 파견되었다. 슐츠는 194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로부터 산업 경제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48년부터 1957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의 경제학부와 그 경영 슬론 학교에서 강의하였다. 1957년 시카고 대학교에 산업 관계의 교수로서 가입하여 노사관계를 강의하였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그는 노사관계 대학원의 학장을 지냈다. 1969년 슐츠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을 위하여 봉사하러 갔다. = = 닉슨 행정부 = = = = = 노동부 장관 = = =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슐츠는 노동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롱쇼어멘스 유니언의 파업 사건을 향하여 이론을 지원한 큰 문제를 해결에서 학계에서 개발되어 당들이 잘되어 가도록하였다. 슐츠는 후에 강제적인 사선들에 의하여 흑인들의 확실한 수를 인정하는 데 흑인 회원들을 거부한 펜실베이니아주 건설 조합들을 요청하는 필라델피아 계획을 강요하였다. 그는 닉슨의 비공식적 AFL - CIO 대사였다. 1970년 7월 1일 슐츠는 행정 관리 예산국의 초대 국장이 되었다. = = = 재무 장관 = = = 1972년 6월부터 1974년 5월까지 슐츠는 재무 장관을 지냈다. 이 직위에 있는 동안 그는 2개의 주요 논쟁들과 근심을 가졌는 데 존 코널리 장관 아래 시작된 닉슨의 "새경제 정책"의 국내적 행정을 지속하고, 1973년 2월에 일어난 달러 위기를 일신하였다. 1971년 슐츠는 물가통제를 들어올린 NEP의 다음 단계를 제정하였다. 그는 자신이 강하게 후원한 금본위제를 폐지하는 데 결정이 생긴 파리에서 열린 국제 통화 회담에 참석하였다. = = 60대 국무 장관 = = 1982년 7월 16일 슐츠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하여 60대 국무 장관으로 임명되어 사임한 알렉산더 헤이그를 대체하였다. 그는 딘 러스크 이래 직위에서 6년과 절반의 장기적 세월을 보냈다. 레이건의 외교 정책을 공식화하고 이행하는 데 그는 주로 해외 근무에 의지하였다. 자신의 재직 동안 슐츠는 자신의 전임자로부터 타이완에 관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협상하였다. 협상들의 몇달 후에 미국이 무기의 판매를 제한시키고, 중화인민공화국이 "평화적 해결"를 추구하는 데 동의한 타이완에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합동 성명서를 발포하였다. 슐츠는 또한 중동과 중앙아메리카에서 교전들을 끝내고, 국제적 테러리즘과 다루는 데 계획들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그는 우주에 기지를 둔 반미사일 방어 제도를 포함한 강한 국방 프로그램을 성원하였다. 슐츠는 소련과 미국의 무기 제한 회담들을 지도하였다. 충실한 국제적 여행자로서 그는 레이건의 소련 지도자들과 회담들에 참석하였다. 그의 학문적과 노동적 중재 배경은 국무 장관으로서 그의 업무에 그의 접근을 본받았다. = = 이후의 세월 = = 1989년 1월 20일 슐츠는 국무장관 직을 떠나 오락적 마약의 적법화를 요구하는 데 첫 현저한 공화당원이 되었다. 그는 공공적 보건과 마약의 이용에 접근하는 손해 감소를 요규한 마약 정책에 지구촌 위원회의 일부였다. 그는 2000년 대통령을 위하여 선거에 나가는 데 가능한 공화당 후보들로 평가되었던 마이클 보스킨, 존 테일러와 콘돌리자 라이스를 포함한 정치적 숙련가들과 자신의 전망들을 논의한 조지 W. 부시와 회담을 주최하였다.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열리는 동안 슐츠는 부시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위한 조언자와 부시를 위한 정책 선도자들의 단체 "벌칸스"(Vulcans)의 연장자 일원을 지냈다. 2005년 그는 쿠바의 봉쇄에 대항하는 연설을 하여 정책이 "재정신이 아니다"라고 불렀다. 그는 피델 카스트로의 지배를 떨어뜨리는 도움을 줄 자유 무역을 소개하는 것을 주장하였다. 워렌 버페이와 더불어 그는 2003년 캘리포니아주의 주지사 후보 아널드 슈워제네거의 선거 운동에 조언 단체인 캘리포니아주 경제 회복 회의의 공동 의장을 지냈다. 그는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여론을 공동으로 저술하였다. = = 사망 = = 2021년 2월 6일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 있는 저택에서 100세의 나이로 자연사 하였다. = 분류:세네갈-헝가리 관계 = = 지방도 제494호선 = 지방도 제494호선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점말마을과 횡성군 공근면 시동입구 교차로를 잇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2011년 6월 28일에 홍천군 서면 굴업리와 남면 화전리를 잇는 백양치 고개 구간에 터널을 건설하는 공사를 착공하여강원도 지방도 494호 굴업~화전간 백양치터널 기공식 개최, 강원타임즈, 2011년 6월 27일 작성. 2017년 7월 20일에 개통했다. = = 역사 = = 2002년 8월 10일 : 유목교 개축공사로 인해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 유목정리 33m 구간 도로구역 변경강원도고시 제2002-185호, 2002년 8월 10일. 2003년 2월 15일 : 노선 폐지 및 재지정강원도공고 제2003-69호, 2003년 2월 15일. 2017년 7월 20일 : 굴업 ~ 화전(백양치)간 도로 중 백양치터널 2.5 km 구간 개통, 기존 백양치고개 구간인 4.3 km 구간 폐지강원도공고 제2017-735호, 2017년 7월 19일. 2018년 6월 22일 : 굴업 ~ 화전간 도로(홍천군 서면 굴업리 ~ 남면 화전리) 700m 구간 개통, 기존 299m 구간 폐지강원도공고 제2018-991호, 2018년 6월 28일. = = 주요 경유지 = = 홍천군 서면 모곡리(점말) - 한서중학교 - 한서 남궁억 묘역 - (한서) - 한서교 - (모곡) - 모곡교 - 중방대교 - 종선교 - 중방대리 - (석산교 동단) - 석산교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구간 : 석산리) - 귀량교 - 대곡리 - 대곡고개 - 대곡초등학교 - 굴업리 - (백양치 입구 도계) - 백양치터널 남면 백양치터널 - 힐드로사이CC - 화전리 - 양덕원리 - 유목교 - 유목정리 - 자작고개 - 신대리 - 장승교 - 시동교 - 시동리 - 유치리 - 상창고개 횡성군 공근면 상창고개 - 시동입구 교차로 = = 중복 구간 = = 홍천군 서면 대곡고개 ~ (백양치 입구 도계)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 = 도로명 = = 홍천군 서면 모곡리(점말) ~ 남면 양덕원리 : 한서로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 횡성군 공근면 시동입구 교차로 : 시동로 = 모듈:Location map/data/USA Illinois/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SA_Illinois/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오픈캡쳐 = 오픈캡쳐(OpenCapture)는 윈도우용으로 개발된, 스크린샷을 찍는 프로그램이다. 본래 개인이 개발하던 프리웨어 프로그램이었으며, 이후 소스 코드를 공개하기도 하였다. 2012년 1월에 엣지소프트에 인수되었다. = = 논란 = = 오픈캡쳐는 본래 사용에 제한이 없는 프리웨어였지만, 엣지소프트에 인수된 이후 2012년 1월에 기업 사용자는 유료 라이선스를 판매하는 부분 유료화로 정책이 변경되었으며 2012년 12월부터 이에 대한 비용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개인 사용자의 경우,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광고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오픈캡쳐가 유료화된 이후 이용자의 MAC 주소를 수집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 1954년 대한민국 = 연도별 대한민국 이 문서는 1954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룬다. = = 사건 = = 1월 18일 - 독도에 한국영토표지를 설치하다. 3월 21일 - 한국 표준시가 동경 127도 30분을 기준으로 30분 환원됨. 4월 24일 - 인하공과대학 개교. 5월 22일 - 대한민국 정부, '한국통일에 관한 14개 원칙案' 발표. 8월 1일 - 《이창》 개봉. 8월 15일 독도 등대를 점등하다. 대한민국 정부, 전국 댄스홀에 폐쇄령. 경부선 급행열차 통일호 개통(운행시간 9시간 30분)하다. 9월 15일 - 3종의 독도 우표 발행. 11월 27일 - 대한민국, 개헌안 국회표결. 11월 29일 - 대한민국, 사사오입 개헌 실시. 12월 15일 -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 CBS 개국. 대한민국의 김포국제공항 사용이 허가되다. = = 탄생 = = 1월 1일 - MC,아나운서 왕종근. 1월 18일 - 프로듀서 이호연. 1월 30일 - 가수 유현상(백두산). 2월 22일 - 가수 김창완. 3월 19일 -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조광래. 3월 26일 - 가수 전영록. 3월 29일 -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임광수. 4월 1일 - 소설가, 영화감독 이창동. 4월 10일 - 정치인 정운천. 4월 27일 - 가수 구창모. 5월 19일 - 프리랜서 아나운서 원종배. 5월 20일 - 기업가 김헌태. 5월 23일 - 프로 야구 감독 김재박. 6월 22일 - 희극인 이홍렬. 7월 15일 - 희극 배우 최영준. 7월 17일 - 독일의 정치가 앙겔라 메르켈. 7월 26일 - 대학 총장 황선혜. 8월 18일 -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조영증. 9월 4일 - 가수 전인권. 10월 9일 - 성우 권혁수. 10월 10일 - 가수 정태춘. 10월 13일 - 성우 안소연. 12월 2일 - 정치가 천정배. 12월 5일 - 정치가 홍준표. = = 공급자 계약 관리 = = 인터위키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독립 문서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문서인지 심히 의심이 갑니다. 삭제냐 아니냐 가리기를 목적으로 하는 토론이기보다는 이 문서를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0월 1일 (목) 02:40 (KST) 삭제합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12월 1일 (화) 22:34 (KST) = 분류:유니버시아드 유도 메달리스트 = = 왕쉐얼 = 왕쉐얼(汪雪儿, 1998년 1월 15일 ~ )는 배영을 주종목으로 하는 중국의 수영 선수이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여자 배영 100m 결승 경기에서 동메달을 확득했다. = 오운여자상업고등학교 = 오운여자상업고등학교는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12에 있었던 산업체 부설 고등학교이다. 코오롱에서 설립하였다. = = 연혁 = = 1979년 : 개교 2000년 : 폐교 = 분류:몰타의 여자 국가대표팀 = = 월스 = = = 지명 = = 월스 (루이지애나주) 월스 (미시시피주) 월스 (온타리오주) = = 음악 = = 월스 (밴드) Walls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음반) Walls (루이 톰린슨의 음반) Walls (킹스 오브 리언의 음반) = Won't Go Home Without You = "Won't Go Home Without You"(〈원트 고 홈 위드아웃 유 〉)는 미국의 팝 록 밴드 마룬 5의 두 번째 정규 음반 It Won't Be Soon Before Long의 세 번째 싱글이다. = = 뮤직 비디오 = = 2007년 8월 16일, 마룬 5는 공식 홈페이지에 뮤직 비디오 만드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팬들이 직접 만든 영상을 보내달라고 공지사항을 올린다. 그 뒤 다른 비디오가 유럽과 호주에 공개되었다.. 공식 뮤직 비디오는 2007년 12월 1일 VH1 Top 20 Countdown과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개가 되었다. 이 곡의 뮤직 비디오는 애덤 리바인과 여자 역을 맡은 Tania Raymonde의 기억을 회상하면서 시작된다.Register at IMDb.com) 둘은 말다툼을 하다가 결국 애덤이 떠난다. 그 후 장면이 바뀌는데, 그 장면에서 애덤은 의자에 앉아서 생각을 하고, 나머지 마룬 5 멤버들은 그의 곁에서 연주를 한다. 생각 끝에 그는 그녀 없이는 집에 갈 수 없다는 생각('will not go home without you')에 그녀를 찾으러 나간다. 몇 시간 동안 그는 도시를 돌아다니다가 마침내 레스토랑에서 그녀를 보았지만, 안타깝게도 그녀는 이미 다른 남자와 함께 있었다. Sophie Muller에 의해서 제작되었다. 이 뮤직 비디오에서 제시 카마이클은 피아노와 기타를 둘 다 연주한다. = = 수상 실적 = = 이 곡은 제 51회 그래미 어워드 Best Pop Performance from a Duo or Group with Vocals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 = 수록곡 = = "Won't Go Home Without You" (라디오 믹스) 3:45 "Miss You Love You" (얼터네이트 버전) 3:10 "Happy Christmas (War Is Over)" 3:28 "Won't Go Home Without You" (라디오 믹스) 3:45 "Miss You Love You" (얼터네이트 버전) 3:10 "Happy Christmas (War Is Over)" 3:28 "Won't Go Home Without You" (비디오) 4:13 "Won't Go Home Without You" (어쿠스틱 버전) 4:06 = = 차트 성적 및 인증 = = 차트 (2007년-2008년)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ARIA) 7 오스트리아 16 벨기에 10 캐나다 (캐너디언 핫 100) Jam.canoe.ca 16 독일 11 아일랜드 (IRMA) 28 이탈리아 15 네덜란드 (Dutch Top 40) 28 뉴질랜드 (RIANZ) 20 스위스 65 영국 (오피셜 차트 컴퍼니)"Maroon 5 - Won't Go Home Without You global chart positions and trajectories". aCharts.us. Retrieved November 2007. 44 미국 빌보드 핫 100 48 미국 팝송 (빌보드 차트) 25 미국 어덜트 팝송 (빌보드) 3 미국 어덜트 컨템포러리 (빌보드) 14 = = = 연말 차트 = = = 차트 (2008년) 순위 독일 싱글 차트{{ 66 = = = 인증 = = =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오스트레일리아 (ARIA) 골드 35,000 = 사조선록 상 = 사조선록 상(使朝鮮錄 上)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명나라의 공용경(龔用卿)이 1537년(중종32)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출발에서 귀환까지 사행의 행적과 의식 수행 등 전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2019년 1월 30일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86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사조선록』은 명나라의 공용경(龔用卿)이 1537년(중종32)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출발에서 귀환까지 사행의 행적과 의식 수행 등 전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계명대학교 소장본은 그 중 상권이다. 이 책은 1537년경 국내에서 금속활자인 ‘갑진자’로 찍은 것으로, 수록된 내용은 다른 책자에서 발견하기 어려우며 이후 명나라에서 파견되는 사신과 이들을 접대하는 조선 관리가 모두 중요하게 참고한 책이었다. 사신의 출발과 외교 관계와 관련된 내용 서술이 특히 자세하여 조선전기 중국 사신의 국내 행적과 의식 수행 현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동일한 사행을 두고 조선에서 작성한 일기인『천사일로일기』와『황화집』의 일부가 남아 있어서 조선전기 명나라 사신의 구체적인 행적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을 가능하게 해 준다. = 분류:베른의 단체 = = 틀:축구 라운드별 순위/벨기에2021정규 = = 다이쇼지번 = 다이쇼지 번은 가가국 에누마군지금의 이시카와현 가가시과 노미군의 일부를 영유한 번이다. 번청은 다이쇼지 진야에 위치해있다. = 양혜공 김빈길의 묘역 = 양혜공 김빈길의 묘역(襄惠公 金贇吉의 墓域)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부곡리에 있다. 2009년 12월 28일 고창군의 향토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다.고창군 고시 제2012-334호,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지정 고시, 고창군수, 2012-04-06 = = 개요 = = 김빈길은 전라남도 낙안 태생으로 호는 죽강이며 본관은 고성이다. 태조 6년(1397년)에 왜구가 침입하자 의병을 일으켜 낙안에 최초로 토성(현 낙안읍성)을 쌓고 왜구를 토벌한 장수이다. 만년에는 고창에 와서 살았다. 이때 흥덕 사진포(현 흥덕편 사포리)에 왜구가 침입하자 앞장서 노구를 이끌고 왜구를 물리쳐 많은 전공을 세우고 순절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우의정에 추증하였고 앙혜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예관을 보내어 예를 갖추어 국장으로 장사를 치르도록 하였다. = = 한국음악 = = = = = 한국음악의 기초지식 = = = = = = = 기보법 = = = = = = = = 장 단 = = = = = = = = 율과 조 = = = = = = = = 한국음악의 분류 = = = = = = = = 창법과 주법 = = = = = = = = 한국의 악기 = = = = = 지중해 지역 (튀르키예) = 지중해 지역은 터키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면적은 90,348km2, 인구는 9,423,231명(2010년 기준)이다. 남쪽으로는 지중해, 서쪽으로는 에게해 지역, 북쪽으로는 중앙아나톨리아 지역, 북동쪽으로는 동아나톨리아 지역, 동쪽으로는 동남아나톨리아 지역과 접하며 남동쪽으로는 시리아와 국경을 접한다. = = 주 = = 아다나주 안탈리아주 부르두르주 하타이주 이스파르타주 메르신주 카흐라만마라슈주 오스마니예주 = = 기후 = = 지중해성 기후를 띤다. 연안 지방의 여름은 덥고 건조한 편이며 겨울은 온화하고 서늘하고 습한 편이다. 내륙 지방은 스텝 기후와 대륙성 기후를 띠는데 여름은 덥고 건조한 편이며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리는 편이다. = 분류:셰틀랜드 제도의 지리 = = 주역심전 = 주역심전(周易心箋) 또는 주역사전(周易四箋)은 정약용이 집필한 주역 해설서이다. 정약용은 생전에 주역사전(周易四箋)으로 표기한 책명을 최종적으로 주역심전(周易心箋)으로 정한바있다.(정약용)自撰墓誌銘 (集中本,1822년) = =정약용의 역학사상 = = 정약용 역학의 독창적인 철학적 근거와 사상은 주역사전에서 역학본질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 그리고 역학서언(易學緖言)에서 구체적인 고대부터 중국역학을 주도한 대학자들을 대상으로 역학체계,문헌, 인물을 분석하고 정리한 관점에서 잘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약용은 주역사전과는 별개로 본인의 저서 역학서언(易學緖言)중 한강백현담고(韓康伯玄談考)에서 한강백(韓康伯) 및 공영달(孔穎達)의 역학이 현학적으로 주역 주해를 가한점에 대해 비판한 바있다. 한편 '한강백현담고'는 주역정의(周易正義)와관련해서 한강백의 계사주(繫辭注)와 공영달의 계사전(繫辭傳)에대한 분석이다. 정약용은 시이자가계(示二子家誡)嘉慶戊辰中夏, 與猶病翁書于茶山精舍, 1808년에서 주역사전(周易四箋)과 상례사전(喪禮四箋)을 스스로 자신의 최고의 역작으로 평한바있다. = LDT = LDT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역 서술자 테이블 또는 로컬 서술자 테이블 Lightning Data Transport - 하이퍼트랜스포트 컴퓨터 버스의 옛 이름 샌디에고 차저스 러닝 백, LaDainian Tomlinson 이름의 준말 = 분류:1959년 철도 교통 = = 한나라 (동음이의) = 한나라는 다음을 가리킨다. 한나라(漢)는 진 이후 기원전 202년부터 220년까지 존재한 중국의 통일 왕조이다. 한나라(韓,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30년)는 전국시대의 칠웅(七雄) 가운데 하나이다. 한나라당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인 자유한국당의 옛 이름이다. = 틀:SPC그룹 = = MP3 = MP3(엠피쓰리 또는 엠피스리, MPEG-1 Audio Layer-3 또는 MPEG-2 Audio Layer-3, MPEG-1의 디지털 오디오 규격으로 개발된 손실 압축 오디오 코딩 포맷이다. MP1, MP2를 개량하여 만들어져 가장 대중적인 음악 파일 포맷으로 여겨진다. 컴퓨터 디스크 등의 PCMMPEG-2 AudioBC (Backward Compatible)이 정식 명칭이다. MPEG-2 MP3는 압축 방식은 동일하지만, 비트율이 낮은 매체를 위한 낮은 고정 비트율, 다채널 대응이 포함되어 있다. 이 형식은 유럽형 DVD에 채용되어 있다. 또한 ISO 표준 규격이 아닌 MPEG-2.5 Audio Layer 3이라는 것도 있으며, 저 비트레이트에서의 사용에 최적화되어 있다. = = 개요 = = MP3는 손실 오디오 압축 포맷이다. MP3는 PCM 오디오 데이터를 사람이 듣는 데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버리고 다시 표현한 것이다. (JPEG 이미지의 손실압축기법과 비슷하다) MP3에서 사용하는 기술의 대부분은 음향심리학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어느 부분을 폐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에 있다. MP3 오디오는 각기 다른 비트레이트로 압축된다. 데이터의 크기와 음질에 서로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면 음질은 좋아지는 반면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면, 음질과 성능은 떨어진다.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대 320Kbps 가 최대이다. = = 역사 = = = = = 개발 = = = MPEG, MP3를 포함하여 최근의 손실 압축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Buenos Aires) 대학 Oscar Bonello 교수의 초기 연구에 기본을 두고 있다. 그는 방송용 라디오 자동화를 위한 스튜디오 장비 설계에 관련이 있었다. 또한, 주된 연구 분야인 음향심리학과 음향학을 대학에서 가르쳤다(실내 음향 디자인에 관한 "Bonello Criterion"이라는 책을 낸 적도 있다.) 1983년, 그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할 때 필요한 비트 스트림을 줄이기 위해 크리티컬 밴드 마스킹(Critical Band Masking) 원리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마스킹 원리는 1924년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1959년 Egan-Hake와 Richard Ehmer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Bonello의 연구는 1987년 IBM 개인용 컴퓨터에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며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세계 최초의 비트 압축 시스템을 만들어 냈다. 이것은 ECAM이라고 불렸다. 이 플러그인 카드와 관련된 제어 소프트웨어는 완벽히 동작하는 하나의 제품으로써 1988년 오디컴(Audicom)이란 이름으로 처음 전시되었다. 그 뒤 1990년 미국 아틀란타의 국제 NAB 라디오 전시회(Radio Exhibition)를 통해 세계에 알려졌다. 기본적인 Bonello 구현은 현재 MP3와 다른 시스템에서 쓰이고 있다. 그는 이 기술과 관련하여 어떠한 특허 내는 것을 거절하였다. MPEG-1 Audio Layer 2 인코딩은 독일의 Deutsche Forschungs- und Versuchsanstalt für Luft- und Raumfahrt(나중에는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German Aerospace Center로 불림) 소속 Egon Meier-Engelen가 관리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EU-147(1987년부터 1994년까지 운영됨)로 알려진 유레카(EUREKA) 연구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써 유럽 연합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 독일의 Erlangen-Nuremberg 대학 박사 연구생인 Karlheinz Brandenburg는 1980년대 초반 디지털 음악 압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어떻게 사람들이 음악을 인지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1989년에 그의 박사 연구는 완성되었으며 Erlangen-Nuremberg에서 조교수가 되었다. 그 뒤 프라운호퍼 게셀샤프트(1993년 Karlheinz Brandenburg는 Fraunhofer Institute의 staff로 합류)에서 과학자들과 함께 음악 압축에 관한 연구를 이어나갔다. 1991년 적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제안이 있었으나 Philips(네덜란드),CETT(프랑스),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독일)이 제안한 Musicam 기술은 높은 음질의 압축 오디오를 인코딩하는 경우에 아주 적은 계산 능력으로 소화해 낼 뿐만 아니라 명료함과 오류 내구성 때문에 채택되었다. 서브밴드 인코딩(sub-band encoding)에 기반을 둔 Musicam 포맷은 MPEG 오디오 압축 포맷(샘플 레이트, 프레임 구조, 헤더, 프레임 당 샘플 수)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그 기술과 아이디어들은 ISO MPEG Audio Layer I과 Layer II, Layer III(MP3) 형식의 정의에 모두 추가되어 있다. Honnover 대학의 Mussmann 교수가 주도하며 Leon van de Kerkhof(Layer I)와 Gerhard Stoll(Layer II)의 책임하에 표준이 수정되었다. Leon Van de Kerkhof(네덜란드), Gerhard Stoll(독일), Leonardo Chiariglione(이탈리아), Yves-Franc,ois Dehery(프랑스), Karlheinz Brandenburg(독일)들로 구성된 연구 모임은 Musicam과 ASPEC으로부터 아이디어를 가져오는 한편 그들 스스로의 아이디어를 덧붙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192Kbps의 MP2와 같은 음질의 128kbps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만들어냈다. 모든 알고리즘은 1991년에 승인되었으며 1992년, MPEG의 첫 번째 표준 모음들 중의 한 부분으로써 완성시켰다. 그 뒤 1993년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IEC) 11172-3에서 국제 표준이 되었다. MPEG 오디오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1994년에 이루어졌다. 그것은 MPEG-2라고 하는 MPEG의 2번째 세트 가운데 한 부분이었으며 1995년 발행된 국제 표준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IEC) 13818-3로써 공식적으로 더 알려지게 된다. 인코더의 압축 효율은 일반적으로 비트 레이트에 따라 결정된다. 왜냐하면 압축율은 입력신호의 샘플링 레이트와 비트 깊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통 CD 매개변수를 레퍼런스(44.1kHz, 2 채널, 1채널 당 16 비트 또는 2x16 비트)로 사용하여 압축율을 나타내곤 한다. 때로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SP가 매개변수로 쓰이기도 한다.(48kHz, 2x16 비트). 이것을 레퍼런스로 사용한 압축률은 더 높아서 손실 인코더에서 "압축률(compression ratio)"이란 단어를 무색하게 만들기도 한다. Karlheinz Brandenburg MP3의 압축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했던 노래가 Suzanne Vega의 노래 Tom's Diner이다. 이 노래는 부드럽고 단조로웠기 때문에 재생하는 동안 압축 포맷에서의 잘못된 부분을 듣기가 쉬웠다. 어떤 사람들은 농담 삼아 Suzanne Vega를 "MP3의 어머니"라 하기도 한다. 오늘날의 MP3에 VBR(Variable Bit Rate) 기술은 프라운호퍼사가 아닌 Xing에서 추가한 기술이다 하지만 Xing Encoder 1.5에서는 16kHz가 잘리는 버그가 있었으나 추후 개선되었다. = = = 대중화 = = = 1994년 7월 7일, Fraunhofer Society는 I3enc라는 첫 번째 MP3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그 뒤 1995년 7월 14일 .mp3라는 확장자가 Fraunhofer팀에 의해 정의되었다.(이전까지는 .bit로 사용되었었다) 첫 번째 실시간 MP3 플레이어 프로그램(1995년 9월 9일 발표)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PC에서 MP3를 인코딩하고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때까지는 아주 작은 용량의 하드 디스크였기 때문에(~500MB) 컴퓨터에서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비악기 기반 음악(non-instrument based Music)을 저장해야 했다. = = = = MP2 = = = = 1993년 10월, MP2(MPEG-1 Audio Layer 2)파일이 인터넷에 모습을 드러냈다. MP2는 Xing MPEG Audio Player를 사용하여 재생할 수 있었다. 그 뒤 MAPlay라고 하는 Tobias Banding의 유닉스 프로그램(1994년 2월 22일 초기 버전 발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동작하는 버전도 있음)을 사용하여 재생하기도 했다. 초창기 MP2를 만들어 내는 프로그램은 Xing가 유일하게 가능하였으며 cdda2wav라든지, CD 오디오에서 웨이브 형태의 오디오 파일을 만들어내는 CD 리퍼 같은 것들이 함께 쓰였다. Internet Underground Music Archive (IUMA)는 온라인 음악의 대변화의 시작점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IUMA는 MP3와 웹이 대중화되기 앞서, 인터넷의 고품질 음악 웹 사이트였다. 그들은 MP3와 웹이 대중화되기 앞서 MP3 레코딩에 관한 수천가지의 권한을 제공했다. = = = = 인터넷 = = = = 1995년 전반기부터 1990년 후반기까지. MP3는 인터넷에서 퍼지기 시작했다. MP3의 대중성은 널소프트(Nullsoft)의 오디오 플레이어인 윈앰프(1997년 발표)와 유닉스 오디오 플레이어인 mpg123, 그리고 네트워크 P2P 파일 공유 프로그램인 냅스터(1999년 발표)의 출현과 함께 빠르게 성장해 나갔다. 이 프로그램들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MP3 공유와 수집, 제작, 재생을 보다 쉽게 해주도록 하였다. 작은 크기의 MP3파일은 P2P를 이용하여 음악을 광범위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그것은 이전까지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그렇게 무료로 음악을 공유하는 것은 음반 판매를 감소시킨다고 주장하는 주된 레코드 회사들은 냅스터에 법적소송을 걸어 냅스터를 폐쇄시켰다. 그리고 파일 공유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개인 사용자들에 대해서도 법적 소송을 걸었다. MP3의 대중성에 반하여, 온라인 소매상인들은 소유권이 있는 포맷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포맷은 DRM로 암호화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레코드 회사에 의해 특별히 인증되지 않은 경로로 구매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을 막았다. 레코드 회사들은 P2P로 네트워크에서 파일 공유되어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것은 꼭 필요한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이것은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사용자들이 정식으로 구입한 노래를 다른 형태의 장치에서 재생하는 것까지 막아 버린 것이었다.(이를테면, MP3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있지만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재생하지 못한다든지) eMusic과 같은 곳은 MP3 포맷으로 서비스를 계속하여 어떤 장치에서든지 사용자들이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있어도 꾸준히 판매가 늘어났지만 이런 일이 많아지고 계속되자 점점 판매가 줄어들었다. = = 인코딩 = = MPEG-1 표준은 MP3의 정확한 정의는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음향심리학적 예제 모델과, 비율 반복, 비규범적인 부분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에는, 구현에 대한 부분은 매우 진부하다고 암시하고 있다. 표준 구현자(표준에 따른 개발을 하는 개발자)들은 RAW 음원에 독립적인 알고리즘을 만드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인코딩 과정중 576회의 시간 도메인 샘플들이 576개의 주파수 도메인 샘플로 변환된다.(이부분은 실세계에서 음원과 컴퓨터 상의 음원의 원리를 비교해보면 이해할 수 있음) 만약 시간이 매우 짧다면, 576개 대신에 192개의 샘플만 추출될 수도 있다.(음원의 엔코딩 시간이 여유롭지 못할때). 이럴 때는 잠시동안의 약간의 노이즈가 동반 될 수 있다.(Jit) 결론적으로, 많은 MP3 인코더들이 존재하는데, 모두 생성하는 품질은 다를 수 있다. 그들에 대한 비교결과는 유효하며,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인코더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매우 높은 비트레이트 샘플링에 요구되는 숙련된 사용방법은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 = 파일 구조 = = MP3 파일은 여러 블럭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블럭에는 ID3v1, ID3v2 등의 태그들과 AAU(Audio Access Unit)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ID3v2 태그는 선택적으로 여러개 들어갈 수 있다. ID3v2 AAU AAU ... AAU APE Tags Lyrics3v2 ID3v1 = = = AAU = = = Audio Access Unit의 약자로서 실제 음향 데이터를 담고있다. AAU는 또 다시 여러개의 블럭으로 나뉜다. 헤더Header CRC 사이드 인포메이션Side information 메인 데이터Main Data 부가 데이터Ancillary Data AAU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AAU's size = 144 * bitrate / frequency + paddingbit (byte) 만약, 비트 레이트가 448,000 bit/s 이고 주파수가 48,000Hz, 패딩 비트가 on(true 또는 1)이라면 AAU's size = 144 * 448,000 / 48,000 + 1 = 1,345 byte 가 된다. 비트레이트와 주파수, 패딩 비트 정보는 헤더로부터 가져 올 수 있다. = = = = 헤더 = = = = 헤더에는 하나의 AAU 블럭을 디코딩 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모든 AAU 마다 헤더를 가지고 있으므로 AAU는 독립적으로 디코딩 될 수 있지만 대개 하나의 MP3에는 동일한 헤더를 가지고 있으므로 디코더는 주로 맨 첫번째 헤더만을 읽는다. 1 byte 1 1 1 1 1 1 1 1 2 byte 1 1 1 1 1 0 1 1 3 byte 1 1 1 1 1 0 1 1 4 byte 1 1 1 1 1 0 1 1 MP3 Sync Word 모두 1로 설정되어 프레임의 시작을 알린다. Version 00 MPEG 2.5 01 Reserved 10 MPEG 2 11 MPEG 1 = = = = CRC = = = = CRC는 프레임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대부분의 MP3 파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헤더에서 "Error Protection" 이 "on" 일때만 존재한다. 총 16 bit(2 byte)의 길이를 갖는다. = = = = 사이드 인포메이션 = = = = 사이드 인포메이션(Side information) 은 인코딩된 메인 데이터를 디코딩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Mode MPEG-1 MPEG-2, MPEG-2.5 Stereo, Joint Stereo, Dual (Dual Channel) 32 byte 17 byte Mono (Single Channel) 17 byte 9 byte 사이드 인포메이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구조 Name Bits Bits Name Single channel Dual channel main_data_begin 9 9 private_bits 5 3 scfsi 1 * 4 1 * 4 * 2 (8) Side Information for granule 1 59 59 * 2 (118) Side Information for granule 2 59 59 * 2 (118) total 136 (17 byte) 256 (32 byte) 만약, MP3가 듀얼 채널 이라면 위에 보이는 것처럼 하나의 granule 은 두개로 나뉘어 하나는 좌측, 나머지 하나는 우측 채널에 대한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담게 된다. 하나의 채널에 대한 사이드 인포메이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Name Name Bits Bits part2_3_length part2_3_length 12 big_values big_values 9 global_gain global_gain 8 scalefac_compress scalefac_compress 4 window_switching_flag window_switching_flag 1 if window_switching_flag == 1 block_type 2 if window_switching_flag == 1 mixed_block_flag 1 if window_switching_flag == 1 table_select 2 * 5 if window_switching_flag == 1 subblock_gain 3 * 3 if window_switching_flag == 0 table_select 3 * 5 if window_switching_flag == 0 region0_count 4 if window_switching_flag == 0 region1_count 3 preflag preflag 1 scalefac_scale scalefac_scale 1 count1table_select count1table_select 1 total total 59 main_data_begin private_bits scfsi 주파수 영역MP3 DECODER in Theory and Practice Group Scalefactor band 0 0 ~ 5 1 6 ~ 10 2 11 ~ 15 3 16 ~ 20 part2_3_length big_values global_gain scalefac_compress scalefac_compress slen1 slen2 0 0 0 1 0 1 2 0 2 3 0 3 4 3 0 5 1 1 6 1 2 7 1 3 8 2 1 9 2 2 10 2 3 11 3 1 12 3 2 13 3 3 14 4 2 15 4 3 window_switching_flag block_type block_type window type 0 reserved 1 start block 2 3 short windows 3 end mixed_block_flag table_select subblock_gain region0_count, region1_count preflag scalefac_scale count1table_select = = = = 메인 데이터 = = = = 인코딩된 실제 데이터를 담고있다.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바탕으로 디코딩 되어야만 실제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허프만 디코딩, 스케일 팩터 디코딩 로 변환해야 한다. 메인 데이터의 구조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Main data Granule Granule Granule Granule Granule Granule Granule Granule Left Channel Left Channel Right Channel Right Channel Left Channel Left Channel Right Channel Right Channel Scale Factor Huffman Coded Bits Scale Factor Huffman Coded Bits Scale Factor Huffman Coded Bits Scale Factor Huffman Coded Bits = = = = 부수 데이터 = = = = Ancillary Data(부수적 데이터)는 말 그대로 부수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부수 데이터는 프레임 내에서 크기가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지 않으며, 허프만 코드 정보가 끝나는 부분과 다음 프레임의 메인 데이터 시작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부분과의 거리가 부수 데이터의 크기가 된다. = = = APE Tag = = = APE 태그는 가수, 앨범명, 곡의 제목등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태그 포맷이다. = = = Lyrics3v2 = = = Lyrics3v2 태그는 가사와 노래 정보등을 담기 위한 태그 포맷이다. = = = ID3v1 = = = MP3 파일의 맨 끝에 존재하며 128 byte 길이의 태그이다. "TAG"라는 문자열로 시작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8 byte T A G Title 30 byte 16 byte 24 byte 32 byte 40 byte Artist 30 byte 48 byte 56 byte 64 byte Album 72 byte 30 byte 80 byte 88 byte 96 byte Year 4 byte 104 byte Comment 30 byte 112 byte 120 byte 128 byte Genre = = 참고 자료 = = MP3 DECODER in Theory and Practice http://www.cs.columbia.edu/~sedwards/classes/2010/4840/reports/KH.pdf http://www.mp3-tech.org/ https://web.archive.org/web/20111111055609/http://www.id3.org/ ISO-11172-3 = 체스 올림피아드 = 체스 올림피아드(Chess Olympiad)는 1927년부터 국제 체스 연맹 (FIDE)에 의해 개최되는 체스 대회이다. 최근에는 짝수년에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 분류:베트남의 악기 = = 삼계석문 = 삼계석문 (三磎石門)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에 있는 임각서이다. 2016년 10월 17일 임실군의 향토문화유산(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다. 삼계석문은 단구대 및 구로정으로부터 서쪽으로 약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높이 8m, 폭 4.7m, 두께 2.2m의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삼계석문(三磎石門)’ 네 글자의 총길이는 4m에 이르며, 각 글자의 크기는 가로 70cm, 세로 80cm이다. 삼계(三磎)란 구로정 아래로 오수천, 율천, 오천이 합수하는 곳을 말하며, 현종 4년(1663) 계축년 가을에 간호(艮湖) 최유지(崔攸之)의 아들 최기옹(崔綺翁)이 쓴 것이다. 서체의 필획이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의 글씨라고 전해지는 경남 하동 쌍계사 입구의 ‘쌍계석문(雙磎石門)’을 모작한 것이라고 한다. 삼계석문 = 로와사 = 로와사는 다음을 가리킬 수 있다. 에드워드 로와사 (Edward Lowassa) - 탄자니아의 정치인 메살라진의 상품명 중 하나인 로와사 (Rowasa) = 분류:나라별 기반 시설 = = 강영훈 (1927년) = 강영훈(姜永薰, 1927년 8월 3일 ~ 1960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 = 생애 = = 경기도 양주 출신이며 진주, 경성부에서 성장했다. = = = 학력 = = = 1946년 동국대학교 정치학과 중퇴 1948년 육군사관학교 6기 졸업 1949년 육군헌병학교 졸업 1949년 육군부관학교 졸업 1950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50년 국방부 호국군행정학교 졸업 1950년 육군고급부관학교 졸업 1951년 육군기갑학교 졸업 1952년 육군행정학교 졸업 1952년 육군포병학교 졸업 1954년 대한민국 육군대학 졸업 1956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 = = 전투 참전 경력 = = = 1950년에서 1953년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 = = 주요 이력 = = = 1954년 6월 - 육군 수도군단 예하 중대장(당시 육군 소령 계급 신분). 1955년 7월 - 육군 수도사단 예하 대대장 보임과 동시에 육군 중령 진급. 1957년 3월 - 육군 수도사단 예하 대대장 재직 당시 육군 중령 예편. 1957년 4월 - 대한상무회 상무이사. 1957년 5월 - 민주당 중앙정책위원. 1958년 5월 - 민주당 국회의원. = 이은 (만화가) = 이은(2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다. 2000년 만화잡지 NINE(나인)에서 〈비홀더〉로 데뷔하였다. 2012년 현재 만화잡지 윙크에서 DODORI(도도리)를 연재 중이다. = =작품 목록 = = = = =단편 = = = 작품명 잡지 연재 출판 특이사항 〈비홀더〉 2000년 NINE 데뷔작 〈모니카〉 〈용의 눈동자〉 〈지구수비대의 귀환〉 윙크 2007년 7월 15일자 없음 56쪽 〈너무 다정한 우리〉 윙크 2008년 없음 = = =장편 = = = 작품명 잡지 연재 출판 특이사항 36도씨의 반란 2001년 서울문화사 전6권 분녀네 선물가게 웹진 SUGAR 2004년 서울문화사 전10권 무속신앙 DIY GIRL(디아이와이 걸) 윙크 2009년 서울문화사 전5권 성형 DODORI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 세계의 소녀~(도도리) 윙크 2011년 4월 1일자 ~ 2012년 2011년 서울문화사 1~3권 SF, 판타지, 로맨스 = 분류:고비과 = = 마오리 하카 = 마오리 하카(Haka)는 뉴질랜드의 원주민 마오리족의 민족 춤이다. 원래는 원주민들과의 전쟁에서와 부족 간의 전쟁에서 자신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 하는 춤에서 비롯되었다. 지금은 주로 뉴질랜드 럭비대표팀인 올블랙스가 국가 연주 후 선보인다. 간단히 하카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워 크라이(War Cry)라고도 한다. = = 개요 = = = = = 전설과 역사 = = = 전설에 따르면 태양신 타마 누이 비트 라에는 2 명의 아내, 여름의 여신 히네 라우마티와 겨울의 여신 히네 타쿠루아가 있었다. 히네 라우마티가 낳은 아들, 타네 로레가 춤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전승에 의하면 올 블랙스(All Blacks)의 하카, 카 마테(Ka Mate)는 1810년에 가티트아 부족의 테 라우파라하 족장이 춤춘 것이다. 테라우파라하는 적에게 쫓겨, 지하의 식료품 창고에 도망쳐 숨어 있었다. 기어나와 보니 눈 앞에 사람이 있어 죽을 각오를 했지만, 다행스럽게 테 라우파라하와 친한 부족장이었다. 구출된 기쁨과 감사의 기분을 담아 춤춘 것이 카 마테이다. = = = 스포츠 = = = 1905년 영국 원정 시에 올 블랙스(All Blacks)가 전쟁무 하카를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대표 팀에 계승되게 된다. 리드 부분은 마오리의 혈통을 받는 선수가 담당했지만, 원래 올 블랙스의 타나 우마가는 마오리와 가까운 사모아 이민자의 자손이며, 주장으로 인정을 받았기 때문에 특별히 리드를 담당할 수 있었다. 그러한 관례는 현재는 없어졌고, 최근에는 대표팀의 주장이 담당하기도 한다. 럭비 대표팀의 하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카 마테(Ka Mate)와 카파 오 판고(Kapa o Pango)로 나뉜다. = = 방법 = = 처음에는 허리를 펴고 무릎을 살짝 굽힌 뒤 Ka mate Ka mate(캄마태 캄마태)라고 하면서 자신의 장딴지를 손바닥으로 때리고 Ka ora Ka ora라고 하며 팔을 굽히고 허리높이로 뒤로갔다 앞으로 갔다 한다.(2번한다.) Ka mete Ka mate whuru whuru(카마태 카마태 후루 후루)라고 하면서 1의 행동을 한 다음 손을 배꼽높이에서 손을 떨듯이 흔든다. '우카라카카라카라라라'를 3번 반복 손을 허리에 하고 허리를 피고 무릎을 좀 굽히고 하아~소리를 내며 눈을 부릅 뜨고 혀를 길게 밑으로 내민 다음 살랑살랑거린다 손을 머리에 얹고 우리키키키라하를 4번 외치고 끝낸다 = HD 175191 = = 분류:덴마크 틀 = = 박수경 = = = 실존 인물 = = 박수경은 고려의 무신이다. 박수경은 대한민국의 기계공학자이다. = = 가공 인물 = = 박수경: 미녀는 괴로워 (뮤지컬)의 등장인물 박수경: M (드라마)의 등장인물 박수경: 사랑과 야망 (2006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박수경: 내 사위의 여자의 등장인물 박수경: 좋은걸 어떡해 (2000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박수경: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의 등장인물 박수경: 블랙머니 (영화)의 등장인물 = 8000미터 봉우리 = 8000미터 봉우리는 지구상에서 해발 8,000미터가 넘는 14개 봉우리를 말하며, 모두 히말라야산맥과 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며 이를 14좌(座)라고 한다. 여기서 좌는 높은 산봉우리를 세는 단위이다.우리말샘 - -좌 등 14좌 외에 8,000미터가 넘으면서도 주봉과 산줄기가 같아 위성봉으로 분류되는 얄룽캉산(8,505m)과 로체샤르산(8,400m)를 더해 16좌라고 부르는 사람도 간혹 있으나 "좌"는 별자리의 항성(위성에 대비하여는 행성)이며 '위성봉'은 말 그대로 위성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16좌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14좌는 봉우리의 높이에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니라, 세계지리학회 등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구분한 '산군'의 분포에 따라 14개의 산군의 각 '주봉'에 붙여진 것으로 임의로 추가할 수 없다. 8000미터가 넘는 산 중에 처음으로 등반에 성공한 곳은 안나푸르나 1봉으로, 1950년 6월 3일 프랑스의 모리스 에르조그와 루이 라슈날이 등반에 성공했다. 처음으로 전체 14개 봉을 모두 등반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로 1986년 10월 16일 완등에 성공했다. 1년 후인 1987년에는 폴란드의 예지 쿠쿠츠카가 두 번째로 완등에 성공했다. 메스너는 전체 14개 봉을 모두 산소의 도움 없이 무산소로 등정에 성공했다. 메스너의 완등 9년 후인 1995년, 에르하르트 로레탕이 두 번째로 무산소 완등에 성공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박영석이 2001년 7월 22일 14좌를 처음 완등했다엄홍길은 2000년 7월 31일 14좌의 완등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나, 시샤팡마의 1993년의 등정 성공 여부에 논란이 있어 재등정에 성공한 2001년 9월 21일을 기준(아홉번째 완등자)으로 한다. 2007년에는 엄홍길이 위성봉을 포함한 세계 최초로 16좌를 완등했다. 2013년에는 김창호가 한국인 최초로 무산소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여성으로서 처음으로 14좌 완등에 성공한 것은 2010년 4월 27일 대한민국의 오은선이나, 칸첸중가의 등정 성공에 논란이 있어 대한산악연맹 등은 칸첸중가의 등반을 인정하지 않았다. 오은선과 경쟁하던 스페인의 에두르네 파사반은 2010년 5월 17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2011년 8월, 오스트리아의 게를린데 칼텐브루너는 여성으로서는 오은선 다음 2번째로 14좌 무산소 완등에 성공했다. = = 8000미터 봉우리 목록 = = 봉우리 높이 위치 최초 등정 최초 등정자 최초 겨울 등정 최초 겨울 등정자 등정 사망 사망률 에베레스트산 8,848m 1953년 5월 29일 에드먼드 힐러리   텐징 노르가이 1980년 2월 17일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레셰크 치히 5,656 223 3.8% K2 8,613m 1954년 7월 31일 아킬레 콤파뇨니 리노 라체델리 2021년 1월 16일 니르말 푸르자 님스다이 푸르자 다와 텐지 셰르파 밍마 G. 다와 템바 셰르파 펨 치리 셰르파 밍마 데이비드 셰르파 밍마 텐지 셰르파 겔제 셰르파 306 81 22.8% 칸첸중가산 8,586m 1955년 5월 25일 조지 밴드 조 브라운 1986년 1월 11일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예지 쿠쿠츠카 283 40 12.7% 로체산 8,518m 1956년 5월 18일 프리츠 루흐징거 에른스트 라이스 1988년 12월 31일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461 13 2.8% 마칼루산 8,465m 1955년 5월 15일 장 쿠지 리오넬 테레 2009년 2월 9일 시모네 모로 데니스 우르브코 361 31 8.2% 초오유산 8,203m 1954년 10월 19일 제프 외힐러  파상 다와 라마 헤레베르트 티히 1985년 2월 12일 마쳬이 베르베카 마쳬이 파브리코프스키 3,138 44 1.4% 다울라기리 1봉 8,169m 1960년 5월 13일 쿠르트 딤베르거 페터 디너  나왕 도르제  니마 도르제 에른스트 포러 알빈 셸베르트 1985년 1월 21일 안제이 초크 예지 쿠쿠츠카 448 69 13.6% 마나슬루산 8,165m 1956년 5월 9일 이마니시 도시오  갈첸 노르부 1984년 1월 12일 마쳬이 베르베카 리샤르드 가예프스키 661 65 9.0% 낭가파르바트산 8,128m 1953년 7월 3일 헤르만 불 2016년 2월 26일 시모네 모로 무하마드 알리 사드파라 알렉스 특시콘 335 68 17.2% 안나푸르나 1봉 8,092m 1950년 6월 3일 모리스 에르조그 루이 라슈날 1987년 2월 3일 예지 쿠쿠츠카 아르투르 하이제르 191 61 25.1% 가셔브룸 1봉 8,070m 1958년 7월 5일 앤드류 카프먼 피터 쇠닝 2012년 3월 9일 아담 비에레츠키 야누시 고와프 334 29 8.1% 브로드피크산 8,048m 1957년 6월 9일 헤르만 불 쿠르트 딤베르거 마쿠스 슈무크 프리츠 윈터스텔러 2013년 3월 5일 마쳬이 베르베카 아담 비에레츠키 토마시 코발스키 아르투르 마웨크 404 21 5.0% 가셔브룸 2봉 8,036m 1956년 7월 8일 프리츠 모라페크 요제프 라르히 한스 빌렌파르트 2011년 2월 2일 시모네 모로 데니스 우르브코 코리 리차즈 930 21 2.2% 시샤팡마산 8,027m 1964년 5월 2일 쉬징 장쥔옌 왕푸저우 천산 청톈량 우쭝웨 쒀난둬지 니마짜시 둬지 윈덩 2005년 1월 14일 표트르 모라프스키 시모네 모로 302 25 7.7% = = 8000미터 14봉 완등에 성공한 사람 = = 순서 무산소 등반(순서) 이름 기간 국적 1 1 라인홀트 메스너 1970-1986 2 예지 쿠쿠츠카 1979-1987 3 에라르 로레탕 1982-1995 4 카르솔리오는 1988년 마칼루를 내려오면서 응급 상황에 산소를 사용했다 카를로스 카르솔리오 1985-1996 5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1980-1996 6 3 후아니토 오아르사발 1985-1999 7 세르지오 마르티니 1976-2000 8 박영석 1993-2001 9 엄홍길 1988-2001 10 알베르토 이누라테기 1991-2002 11 한왕용 1994-2003 12 5 에드 비에스터 1989-2005 13 6 실비오 몬디넬리 1993-2007 14 7 이반 발레호 1997-2008 15 8 데니스 우르브코 2000-2009 16 랄프 두이모피츠 1990-2009 17 9 베이카 구스타프손 1993-2009 18 앤드류 록 1993-2009 19 10 주앙 가르시아 1993-2010 20 피오트르 푸스텔니크 1990-2010 21 에두르네 파사반 2001-2010 22 아벨레 블란크 1992-2011 23 셰르파 닝마 2000-2011 24 11 게를린데 칼텐브루너 1998-2011 25 바실리 피초프 2001-2011 26 12 막수트 주마예프 2001-2011 27 김재수 2000-2011 28 13 마리오 판체리 1988-2012 29 다케우치 히로타카 1995-2012 30 셰르파 창 다와 2001-2013 31 14 김창호 2005-2013 김홍빈 = = = 논란이 있는 완등 주장자 = = = 이름 기간 불확실한 등반 국적 파우스토 데 스테파니 1983-1998 1997년 로체 앨런 힝크스 1987-2005 1990년 초오유 블라디슬라우 테르지울 1993-2002 2000년 시샤팡마 카를로스 파우네르 2001-2013 2012년 시샤팡마 = 주쿄 TV 방송 = 주쿄 텔레비전 방송은 1969년 4월 1일 일본 아이치현에서 4번째로 개국한 민영방송국으로 아이치 현과 기후현 및 미에현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고 있다. 약칭은 CTV, 콜사인은 JOCH-DTV이다. = = 역사 = = 1968년 3월 1일 - 주쿄 UHF 텔레비전방송 주식회사설립. 1969년 4월 1일 - 니혼TV와 NET-TV(주식회사 일본교육TV, 현·TV 아사히)와의 크로스 네트워크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주쿄광역권에서 처음으로, 일본에서 4번째로 방송국 개국과 동시에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개국 당시 간사이 지역 준 중심방송국은 요미우리 TV 방송과 마이니치 방송. 1969년 10월 1일 - 도쿄 12채널(=현·TV도쿄)프로그램 방송 개시(1983년 8월 31일까지). 1970년 1월 - 이 해 발족한 ANN에나고야 방송(당시)과 함께 가맹(1973년 3월 31일까지). 1970년 4월 1일 - 주쿄 텔레비전방송 주식회사로 회사명 변경. 1971년 4월 - 이른 아침에 방송 개시(그 전에는 편성문제로 오전 9시 전후에 방송을 시작했다.) 1973년 4월 1일 - 니혼TV 계열국이 되었으나 TV 아이치 개국 전까지는 일부 도쿄 12 채널 계열 프로그램도 계속 방송하였다. 동시에 NNN에 가맹. 동시에 요미우리TV를 간사이 지역 준 중심방송국으로 삼는다. 1979년 6월 15일 - 음성다중방송 개시. 1983년 9월 1일 - TV 아이치 개국에 따라 니혼TV 완전가맹국이 된다. 2003년 12월 1일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개시. 2006년 4월 1일 - 원세그개시. 2011년 7월 25일 -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완전 종료. 2016년 11월 - 사사이마라이브24 지구 신사옥으로 본사 이전과 동시에 CI변경. = = 네트워크 변천사 = = 1969년 4월 1일 - 개국.나고야 방송와 맺은 니혼TV·NET TV의 인기없는 프로그램을 공급 받는다는 불합리한 계약때문에 경영상태가 좋지 않았다. 1969년 10월 1일 - 도쿄 12채널과 네트워크 관계를 맺게되고 이 계약을 통해 주쿄광역권의 12채널 계열국으로 자리매김했다. 1970년 1월 1일 - 나고야 방송과 함께 ANN에 가맹한다.뉴스는 ANN중심, 프로그램은 3개 방송국 프로그램을 조합한 편성체계를 이루었다. 1970년 4월 - 나고야 방송이 황금 시간대에 니혼TV계 프로그램을, 주쿄 TV가 황금시간대에 NET-TV와 도쿄12채널의 프로그램을 방송한다는 계약을 맺었다. 1972년 - 나고야 방송과 함께 NNS에 가맹. 1972년 9월 - 나고야 방송이 주쿄TV와 맺은 협정을 무시하고 토요일 황금시간대에 NET-TV의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한다. 1972년 12월 28일 - 니혼TV 네트워크 가맹국이 주쿄 TV로 정해진다. 1973년 4월 1일 - ANN을 탈퇴하면서 NET-TV의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NNN에 가맹하는 동시에 NNS의 주교광역권중심국이 되면서 니혼TV 계열국으로서 재출발하지만 도쿄 12채널의 일부 프로그램은 방송을 계속했으며 동시에 간사이 지역 준 중심방송국을 요미우리 TV 방송으로 결정. 1983년9월 1일 - TV 아이치 개국에 따라 TV도쿄 계열 프로그램 방송이 중단되면서 니혼TV 완전가맹국이 된다. = = 특징 = = 주쿄광역권을 방송구역으로 삼는 아이치 현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 4곳 중 유일하게 네트워크 중심방송국과 디지털 텔레비전 가상 채널번호가 같다.(두 방송국 모두 4번) 개국당시에는 NET TV(현재의 TV 아사히)의 프로그램도 같이 방송하는 크로스넷 방송국이었다. 개국 당시의 정식명칭은 주쿄 UHF 텔레비전방송 주식회사()였다. = = 아이치현에 있는 다른 방송국 = = = = = 텔레비전 방송국 = = = NHK 나고야 방송국(라디오 겸영) 도카이 TV(THK)(후지 TV계열) 주부닛폰 방송(CBC)(TV는 도쿄 방송 계열, 라디오는 JRN 계열) 나고야 TV 방송(NBN)(TV 아사히 계열) TV 아이치(TVA)(TV 도쿄계열, 아이치현만 방송구역) = = = 라디오 방송국 = = = 도카이 라디오 방송(SF)(NRN 계열, 기후현·미에현도 방송구역에 포함) FM아이치(JFN 계열, 아이치현만 방송구역) ZIP-FM(JAPAN FM LEAGUE 계열, 아이치현만 방송구역) Radio NEO(MegaNet 계열) = 김민지 괴담 = 김민지 괴담은 1990년대에 유행하던 대한민국 화폐의 도안과 관련된 도시전설 및 괴담이다. = = 내용 = = 괴담의 내용에 의하면 조폐공사 사장의 딸 김민지가 납치된 뒤 토막 살해당했으나 범인은 끝내 잡히지 못했고, 조폐공사 사장이 죽은 딸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화폐의 도안에 김민지의 이름과 토막난 사체를 마치 숨은그림 찾기처럼 그려넣게 했다는 것이다. 이 소문이 떠돌던 당시에는 이름과 사체를 모두 찾아낼 경우 귀신이 나타나 사지를 찢어죽인다는 공포스러운 소문까지 동반했다.‘화폐속 김민지 괴담’ 다시 화제, 서울신문, 2008년 3월 27일 작성. 화폐별 괴담 내용은 다음과 같다. 10원화: 다보탑의 밑면을 옆으로 보면 ‘김’과 비슷하게 보인다. 50원화: 꺾여진 벼잎이 범행당시 사용한 도구인 ‘낫’이라고 한다. (벼 알의 개수가 사망 당시 나이라는 얘기도 있었다) 100원화: 이순신의 수염을 거꾸로 보면 수염이 '머리카락'을 의미 한다고 한다. 500원화: 학의 다리가 꽁꽁 묶인 ‘팔’을 의미한다고 한다. 1000원권: 투호에서 아래로 비져나온 막대 끝에 ‘min’이라고 쓰여 있다. 5000원권: 뒷면에 한자로 ‘지(知)’ 자가 쓰여 있는 비석이 있다. 10000원권: 세종대왕이 입은 곤룡포에는 ‘다리’와 비슷한 것이 있다. = = 진실 = = 당시 조폐공사 사장이 경찰에 신고하지 않아 세간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는 논리가 이 괴담의 바탕에 깔려 있긴 하나, 광복 이후 오늘날까지 김민지라는 이름을 가진 조폐공사 사장의 딸이 유괴납치된 사건은 없으며 조폐공사 쪽에서도 유언비어라고 일축한 바 있다. 또한 화폐의 도안이라는 것이 사장 한 사람의 독단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 = 이전에도 있었던 소문 = = 화폐 도안과 관련된 괴 소문은 그 전에도 있었다. 1988년에는 10원 동전에 도안된 다보탑 조각물과 관련해 탑 기단 위에 놓인 작은 조각물이 "모든 국민이 불상 하나씩을 지니게 하면 대권을 잡을 수 있다"는 점괘에 따라 노태우 측이 한국은행에 영향력을 행사해 슬쩍 새겨넣은 불상이라는 괴소문이 나돌아 한국은행과 한국조폐공사에 문의전화를 받느라 곤욕을 치른 적이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1966년 10원 동전을 발행할 때 석사자 상을 빠뜨리고 도안했다가 1983년 1월 15일에 동전의 도안을 일제히 바꾸면서 금융통화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석사자상을 넣었다. 크기가 너무 작아 구분하기 어려워 불상이라는 헛소문이 퍼졌다"라고 해명했었다.동아일보 휴지통, 동아일보, 1988년 1월 12일 작성.화폐人物(인물) 집권자와 관련없다, 동아일보, 1993년 6월 28일 작성. = 닥터 진 = 닥터 진은 2012년 5월 26일부터 2012년 8월 12일까지 방영된 MBC에서 방영되었던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다. 무라카미 모토카의 만화 타임슬립 닥터 진을 원작으로 한 TBS 드라마 JIN-仁-이 원작이다. = = 등장 인물 = = = = = 주요 인물 = = = 송승헌 : 진혁 역 - 한국 최고의 신경외과 전문의 박민영 : 유미나 / 홍영래 역 - 진혁의 현재 연인 / 몰락한 가문의 양반집 규수 김재중 : 김경탁 역 - 홍영래의 정혼자. 좌의정 김병희의 서자로, 포도청 종사관 이소연 : 춘홍 역 - 장안 최고의 기생 이범수 : 이하응 역 - 조선시대 대표 양아치로 왕의 종친 = = = 홍 참판 댁 = = = 진이한 : 홍영휘 역 - 홍영래의 오라버니. 현 사회에 대한 불만과 개혁의식으로 가득 차 있다. 김혜옥 : 영휘 & 영래 母 역 = = = 안동 김씨 세력 = = = 김응수 : 김병희 역 - 안동김씨의 최고 실세로 좌의정 김일우 : 유홍필 역 - 내의원 최고 어의로 의술에는 관심없고 오로지 로비에만 힘을 쓴다. 김명수 : 김대균 역 - 안동김씨 세력가인 김병희의 적자 김병춘 : 김병옥 역 - 안동김씨. 김병희의 오른팔 = = = 흥선군 사람들 = = = 신소미 : 부대부인 민씨 역 - 고종의 어머니, 흥선대원군의 정실부인 이형석 : 어린 고종 역 = = = 기생집 사람들 = = = 노을 : 연심 역 윤주희 : 계향 역 - 매독에 걸린 기생 = = = 활인서 사람들 = = = 정은표 : 허광 역 - 허준의 후손이자 활인서 책임자 이승준 : 권익주 역 - 활인서 의원 중 하나로 허광의 수족 = = = 저잣거리 사람들 = = = 이원종 : 주팔이 역 - 흥선군이 주팔이에게 돈 빚이 있어 흥선군을 괴롭히다가 나중에 대원군이 되자 흥선군에게 충성함 김광식 : 깨복이 역 - 주팔이 부하 = = = 왕실 사람들 = = = 김병세 : 철종 역 - 조선 25대 임금 장영남 : 조씨 부인 역 정혜선 : 조 대비 역 - 고종의 양어머니, 조선 24대 임금의 어머니이자 왕대비마마 김명국 : 이교리 역 - 조대비의 조카사위. 이하응이 명복을 왕위에 올리는데 적극 협조 = = = 특별 출연 = = = 조미령 : 비단상인 역 방은희 : 식이 모 역 하수호 : 강선생 역 조우진 : 득칠 역 = = 시청률 = =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2012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 TNmS 시청률 AGB 시청률 AGB 시청률 회차 방송일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26일 10.7% 13.5% 12.2% 14.1% 제2회 5월 27일 10.2% 11.4% 11.8% 13.2% 제3회 6월 2일 13.8% 16.1% 14.0% 16.5% 제4회 6월 3일 13.6% 16.5% 14.4% 16.3% 제5회 6월 9일 13.5% 15.6% 13.6% 15.3% 제6회 6월 10일 14.2% 16.5% 13.8% 15.5% 제7회 6월 16일 14.4% 14.7% 14.5% 16.1% 제8회 6월 17일 13.3% 15.1% 14.0% 16.3% 제9회 6월 23일 13.2% 15.6% 13.1% 14.8% 제10회 6월 24일 13.9% 16.1% 12.7% 14.2% 제11회 6월 30일 13.0% 14.3% 13.0% 14.9% 제12회 7월 1일 14.2% 14.1% 12.4% 13.7% 제13회 7월 7일 12.8% 13.7% 12.8% 13.5% 제14회 7월 8일 13.6% 14.2% 13.2% 14.8% 제15회 7월 14일 12.9% 13.6% 12.1% 13.3% 제16회 7월 15일 13.0% 13.8% 11.9% 13.4% 제17회 7월 21일 12.5% 13.0% 11.4% 12.6% 제18회 7월 22일 12.4% 13.7% 11.0% 12.4% 제19회 7월 28일 14.7% 16.3% 13.7% 14.9% 제20회 7월 29일 11.6% 12.4% 11.8% 13.0% 제21회 8월 5일 12.1% 12.2% 13.4% 15.0% 제22회 8월 12일 8.4% 8.7% 8.8% 9.9% 평균 시청률 평균 시청률 12.8% 14.1% 12.7% 14.3% = = OST = = = = = Part.1 = = = = = = Part.2 = = = = = = Part.3 = = = = = = Part. 4 = = = = = = 닥터 진 OST = = = = = 수상 = = 2012년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 김재중 2013년 제8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한류드라마 주제가상 : 김재중 - 닥터 진 OST '살아도 꿈인 것처럼' = = 이모저모 = = 마지막 회의 시청률이 낮았는데, 그 이유로 올림픽 기간 중 경기 중계로 인해 늦어질 수 있다는 사전 예고는 있었으나 중계가 예상 밖으로 일찍 끝나면서 제대로 된 재차 공지 없이 방송이 되었던 탓으로 볼 수 있다. = = 결방 및 연장 = = 2012년 7월 23일 : 닥터진 방영 분량이 20부작에서 2회 연장되어 22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2012년 7월 28일 ~ 7월 29일 : 런던 올림픽 중계로 인해 밤 9시 40분으로 변경. 2012년 8월 4일, 8월 11일 : 21회 ~ 22회 방송분은 런던 올림픽 중계로 인해 결방. 2012년 8월 12일 : 런던 올림픽 중계로 인해 밤 10시 10분으로 변경. = = 동시간대 드라마 = = 신사의 품격 (SBS, 2012년 5월 26일 ~ 2012년 8월 12일) = 더 프랙티스 = 더 프랙티스(The Practice)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 멤피스 대학교 = 멤피스 대학교(University of Memphis)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위치한 공립 대학교이다. 약 21,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멤피스에서 가장 큰 대학이다. 이집트학, 지진 연구, 저널리즘 및 홍보, 간호 및 법률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전문으로 한다. 1912년 9월 10일 웨스트테네시 주립 보통학교(West Tennessee Normal School)로 설립되었으며, 1941년에 멤피스 주립 대학교(Memphis State College)로 개칭되었고, 1994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완도군청 = 완도군청(莞島郡廳, Wan-Do County)은 완도군의 행청을 총괄하기 위해 설립된 전라남도청 산하 기초자치단체로 완도군수는 지방정무직공무원으로, 부군수(4급)는 지방서기관으로 각각 보한다.제24대 이진 완도 부군수 취임 프라임경제2011년 1월 10일 김성태 기자36년 공직생활 마감 정하택 완도부군수, 문집 '꿈꾸는 섬, 완도에 가고싶다' 출간 무등일보2008년 6월 24일 강동준 기자인사 - 전남도 2010년 2월 1일자데일리안2010년 1월 29일 신영삼 기자"그대들이 있었기에..." 전남도 공무원 퇴직브레이크뉴스2011년 6월 29일 이학수 기자완도군청“BEST 간부공무원 선정”전남타임스2010년 10월 26일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남로 51(군내리 650-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 조직 = = = = = 완도군수 = = = = = = 부군수 = = = = = = = 기획예산실 = = = = 전략산업과 총무과 재무과 주민복지과 민원봉사과 관광정책과 해양수산과 친환경농업과 문화체육과 환경녹지과 지역경제과 도서개발과 건설방재과 = = = = = 완도읍사무소 = = = = = = = = = = 금일읍사무소 = = = = = = = = = = 노화읍사무소 = = = = = 노화읍넙도출장소 = = = = = 군외면사무소 = = = = = = = = = = 신지면사무소 = = = = = = = = = = 고금면사무소 = = = = = = = = = = 약산면사무소 = = = = = = = = = = 청산면사무소 = = = = = 청산면모도출장소 = = = = = 소안면사무소 = = = = = = = = = = 금당면사무소 = = = = = = = = = = 보길면사무소 = = = = = = = = = = 생일면사무소 = = = = = = = 소속기관 = = 완도군보건의료원 완도군농업기술센터 금일읍농업인상담소 노화읍농업인상담소 고금면농업인상담소 약산면농업인상담소 청산면농업인상담소 소안면농업인상담소 금당면농업인상담소 보길면농업인상담소 생일면농업인상담소 완도군상하수도사업소 장보고유적관리사업소 = = 사건·사고 및 논란 = = = = = 꾸준한 소년소녀가장돕기 행사 = = = 1993년 완도군청의 한 공무원이 “정신적 경제적으로 힘든 역경에도 불구하고 굴하지 않고 열심히 살아가는 소년소녀가장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운동을 펴자”고 제안한 뒤 완도군청 특수시책으로 채택해 지금까지 변함없이 실천해오고 있어 화제다. 개인적으로 매월 일정액을 후원하거나 소년소녀가장이 필요로 하는 학용품 등을 구입해 전달하는데 군내 소년소녀가장은 2007년 115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뒤 감소하기 시작해 2010년 80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운동에 처음부터 참여한 이명복(55) 완도군의회 사무과장은 “아이들이 잘 자라 지역사회의 참 일꾼이 되도록 계속 후원하겠지만 작은 봉사가 외부에 알려지는 것이 부끄럽다”며 “어려운 처지에서도 열심히 생활하는 소년소녀가장들에게 적으나마 정기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소년가장인 이군은 “공무원 아저씨로부터 ‘결코 외롭지 않다’는 마음의 위안과 함께 실제 생활에도 큰 도움을 받고 있다”며 “열심히 공부해 어른이 되면 도움을 받은 것 이상으로 남을 도우며 살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관이 꿈인 이군은 무릎 관절이 좋지 않아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64)와 남녀 동생 4명과 함께 10m2짜리 작은 방 한 칸에서 서로 부대끼며 생활하지만 학교 성적은 상위권을 유지할 정도로 열심히 살고 있다.소년소녀 가장돕기-전남 완도군청 공무원들 80여명 자발참여 17년째 봉사국민일보2010년 2월 26일 이상일 기자 = = = 완도군수 관외출장 관련 완도신문과 진실 공방 = = = 2008년 9월 26일 완도신문은 <김 군수 매주 금요일 나 홀로 ‘출장’ 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검찰이 지역토착 및 고위공직자 비리에 대해 고강도 사정 수사를 벌인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김종식 군수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며 김 군수가 지역 공식행사에 불참하고 관외출장이 잦은 이유가 대검·지검 조사를 받으러 출두했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8년 10월 7일 완도군청은 완도군수의 관외출장과 예산 낭비 의혹을 잇따라 제기한 완도신문을 허위보도로 인한 명예훼손으로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에 고발했다. 이와 관련하여 완도군청은 하루 전인 6일 직원명의의 성명서를 내 완도신문이 보도한 날 김 군수는 관외출장을 가지 않았으며, 행정선 사용도 조업 중에 실종된 주민수색 작업을 하는 공무원과 주민을 위문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완도신문은 완도군 업무연락망에 떠 있던 김 군수의 관외출장 부분을 직접 눈으로 확인했으며, 행정선을 사용해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주민(단기사병 동기)을 방문, 위로한 것을 공적업무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정호 완도신문 편집국장은 “단체장을 감시하는 것은 언론의 본분으로 사실에 입각해 보도한 것”이라며 “관내·관외 출장기록과 행정선 운항일지 등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사실여부를 입증하겠다”고 밝혔다.완도군청-완도신문 ‘군수행적’ 진실공방미디어오늘2008년 10월 5일 김상만 기자 = = = 5억원대 공금 횡령 = = = 2012년 10월 18일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은 완도군청 재무과 사무실에 수사관을 보내 회계 관련 서류 등을 압수했다.檢, 여직원 5억 횡령의혹 완도군청 압수수색연합뉴스2012년 10월 18일 손상원 기자 압수수색은 완도군청 9급 공무원 최 모씨(37·여)가 2년여간 공금 5억 원을 빼돌렸다는 감사원 감사에 따른 것이다.검찰, 직원 공금 횡령 완도군청 압수수색YTN2012년 10월 18일감사원, 완도군청 공무원 공금횡령 적발 시민사회신문2012년 10월 22일 한용현 기자 최 씨는 예산에 반영되지 않는 세입·세출 외 현금을 관리하면서 전산자료를 조작해 각종 사업 계약 보증금, 직원 소득세 등을 빼돌린 의혹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검찰, 여직원 5억 횡령의혹 완도군청 압수수색연합뉴스2012년 10월 18일완도군청 공무원 공직기강 '빨간불'소비자가 만드는신문2012년 10월 23일 오승국 기자 2013년 2월 11일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 제1형사합의부(장용기 재판장)는 5억 여원의 공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완도군청 공무원 최모(38·여)씨에 대해 징역 5년에 추징금 5억2177만2160원을 선고했다고 밝혔다.5억원 횡령한 완도군청 女공무원 징역 5년뉴스12013년 2월 11일 김호 기자 재판부는 판결문을 통해 "피고인은 공무원으로서 본분을 망각하고 장기간 거액의 공금을 빼돌려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것은 죄질이 나쁘다"고 판시했다.法, ‘5억 원대 공금 횡령’ 완도군청 女공무원에 실형일요서울2013년 2월 13일 고은별 기자 이어 "피고인이 빼돌린 공금이 국민의 세금인 점을 감안할 때 변상금 일부를 변제하고 전과가 없다하더라도 실형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판결 이유를 밝혔다.'5억원대 공금 횡령' 완도군청 女공무원에 5년 선고뉴시스2013년 2월 13일 박상수 기자 한편, 최 씨는 판결에 불복하고 곧바로 항소장을 제출했다. 최 씨는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면서도 징역 5년 등의 형량이 과도하다며 항소한 것으로 알려졌다.5억 횡령 완도군청 女공무원 ‘징역 5년’…항소뉴스웨이2013년 2월 13일 신영삼 기자 = 분류:쿠어의 교통 = = 스쿼드 (비디오 게임) = 스쿼드(Squad)는 캐나다의 인디 게임 개발사 오프월드 인더스트리스가 스팀 배급 플랫폼 전용으로 개발, 배급한 리얼리즘 기반 군사 전술 1인칭 슈팅 비디오 게임이다. 배틀필드 2의 프로젝트 리얼리티 모드의 정신적 후속작이다. 이 게임은 규모다 큰 전장터에서 군대와 준군사조직 파벌간 사실적인 현대전을 묘사한다. 스쿼드는 2015년 12월 앞서 해보기 액세스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으며 2020년 9월 스팀을 통해 공식 출시되었다. = 카몽이스상 = 카몽이스상(-賞, )는 포르투갈의 대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이름이 붙은 포르투갈어권 작가 대상의 문학상이다. 포르투갈어권에서는 노벨 문학상과 견줄 정도로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상이다. 매년 포르투갈의 국립 도서관 재단과 브라질의 국립 도서부에서 수상한다. 상금은 10만 유로이다. = = 수상자 목록 = = 연도 수상자 수상자 국적 활동영역 1989 미겔 토르가 (1907–1995) 시, 단편 소설, 장편소설, 희곡, 회고록, 수필 1990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 (1920–1999) 시 1991 조제 크라베이리냐 (1922–2003) 시, 언론 1992 베르질리우 페헤이라 (1916–1996) 장편소설, 단편 소설, 회고록, 수필 1993 center 하셰우 지 케이로스 (1910–2003) 장편소설, 단편 소설, 번역, 언론, 희곡, 회고록, 아동문학 1994 조르지 아마두 (1912–2001) 장편소설, 단편 소설, 시, 아동문학, 전기, 언론 1995 주제 사라마구 (1922–2010) 장편소설, 단편 소설, 희곡, 시, 회고록, 언론, 아동문학 1996 에두아르두 로렌수 (1923 – ) 철학, 문학 평론, 수필 1997 "페페텔라" 아르투르 카를루스 마우리시우 페스타나 두스 산투스 (1941 – ) 장편소설, 희곡 1998 안토니우 칸지두 지 멜루 이 소자 (1918 – ) 문학 평론, 문학 이론, 수필, 시 1999 center 소피아 드 멜루 브레이네르 (1919–2004) 시, 단편 소설, 희곡, 아동문학, 번역, 수필 2000 아우트랑 도라두 (1926–2012) 장편소설, 단편 소설, 수필, 회고록 2001 에우제니우 드 안드라드 (1923–2005) 시, 아동문학, 번역, 단편 소설 2002 center 마리아 벨류 다 코스타 (1938 – ) 장편소설, 단편 소설, 희곡, 수필, 각본 2003 후벵 폰세카 (1925 – ) 장편소설, 단편 소설, 각본 2004 아구스티나 베사루이스 (1922 – ) 장편소설, 단편 소설, 희곡, 수필, 아동문학, 전기, 회고록 2005 리지아 파군지스 텔리스 (1923 – ) 장편소설, 단편 소설 2006 조제 루안디누 비에이라 (1935 – ) – 수상 거절 / 장편소설, 단편 소설, 언론, 아동문학, 번역 2007 안토니우 로부 안투느스 (1942 – ) 장편소설, 단편 소설 2008 주앙 우바우두 히베이루 (1941 – 2014) 장편소설, 단편 소설, 언론, 아동문학, 수필 2009 아르메니우 비에이라 (1941 – ) 시, 언론 2010 페헤이라 굴라르 (1930 – ) 시, 단편 소설, 수필, 미술평론, 전기 2011 마누엘 안토니우 피나 (1943–2012) 시, 아동문학, 희곡, 단편 소설, 언론 2012 다우통 트레비장 (1925 – ) 단편 소설, 장편소설 2013 미아 쿠투 (1955 -) 장편소설, 단편 소설, 시 2014 알베르투 다 코스타 이 시우바 (1931 -) 역사, 시, 회고록, 수필, 전기 = = 국가별 수상자 수 = = 수상자가 이중국적일 경우 중복계산한다. 11 11 2 2 1 = MCL = MCL은 다음을 가리킨다. 빗장중간선(쇄골중간선, midclavicular line) 피부점막레슈마니아증(Mucocutaneous leishmaniasis) 로마 숫자 1150 = 요엘 포흐얀팔로 = 요엘 포흐얀팔로(, 1994년 9월 13일 ~ )는 베네치아에서 스트라이커로 활약 중인 핀란드의 축구 선수이다. HJK 헬싱키 유소년팀 출신이며, 2012년 18살의 나이로 키프로스와의 A매치 경기에서 테무 푸키와 교체되면서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2016-17 시즌 그는 2라운드 함부르크 SV와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 = = 수상 = = = = = 클럽 = = = 핀란드 2부리그 그룹 A: 2011 베이카우스리가: 2012, 2013 = 분류:영화 등장인물 목록 = = 분류:사천시의 고등학교 = = 창수루역 = 창수루역은 상하이시 상하이시 쉬후이구 화이하이 중로·창수로에 위치한 상하이 지하철 1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이다. 1호선역은 화이하이 중로(淮海中路)에 위치해 있으며, 베이징시건설계획원이 설계했고, 7호선은 창수로(常熟路)에 위치해 있다. 두 역 모두 지하 섬식 승강장이며, 두 노선은 통로를 통해 환승할 수 있다. = =역 인근 = = 상하이 음악학원(上海音乐学院) = = 역 구조 = = = = =1호선 = = = 1호선 역은 지하 섬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졌다. 상행 ■1호선 쉬자후이·상하이 체육관·상하이 남역·신좡 방면 하행 ■1호선 산시난루·런민광창·상하이 역·푸진루 방면 = = =7호선 = = = 7호선 역은 지하 섬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졌다. 상행 ■7호선 징안사·전핑루·상하이 대학·메이란후 방면 하행 ■7호선 둥안루·야오화루·룽양루·화무루 방면 = = 버스 환승 = = 15, 26, 40, 42, 45, 49, 93, 96, 167, 315, 320, 327, 816, 824, 830, 911, 911구간, 920, 926, 927 = = 출구 = = *1번 출구: 화이하이 중로 북쪽, 창수로(常熟路) 동부 *2번 출구: 화이하이 중로 남쪽, 펀양로(汾阳路) 서부 *3번 출구: 화이하이 중로 북쪽, 화팅로(华亭路) 동부 *4번 출구: 화이하이 중로 남쪽, 바오칭로(宝庆路) 동부 *6번 출구: 창수로 동쪽, 화이하이 중로 북쪽 *7번 출구: 화이하이 중로 북쪽, 창수로 서부 *8번 출구: 우위안로(五原路) 북쪽, 창수로 서부 비고 : 1번 출구에는 휠체어 리프트, 6번 출구에는 화장실이 있다. = 분류:평안남도의 철도역 = = 모듈:Location map/data/Netherlands Zeeland/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Netherlands_Zeeland/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가타카이역 = 가타카이역은 일본 군마현 마에바시시에 있는 조모 전기 철도 조모 전기 철도 조모 선의 역이다. = = 역 구조 = =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지상역으로 무인역이다. 코카콜라 자판기가 1대 설치되어 있다. = = 역 주변 = = 군마 현립 마에바시 고등학교 분신도 서점 가타카이점 시마무라 베이시아 마에바시 몰점 = = 역사 = = 1928년 11월 10일: 영업 개시. = 록먼드 던바 = 록먼드 던바(Rockmond Dunbar, 1973년 1월 11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시티 오브 라이즈 (2018) 더 치터스 클럽 (2017) 더 패스 (2016) 멘탈리스트 7 (2015) 멘탈리스트 6 (2013) 더 머니 (2013) 제이다 (2008) 에이리언 레이더스 (2008) 패밀리 댓 프레이스 (2008) 그레이 아나토미 시즌4 (2007) 더티 런드리 (2006) 프리즌 브레이크 시즌1 (2005) 키스 키스 뱅뱅 (2005) 더 그레이트 커미션 (2003) 펑크스 (2000) 어스 2 (1994) 생존 특명 (1994) = 분류:대륙별 스포츠 = = 이춘구 (이춘시) = 이춘 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이춘 시의 행정 구역이다. 넓이는 100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6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5개 가도를 관할한다. 가도: 旭日街道, 红升街道, 前进街道, 朝阳街道, 东升街道. = 꾸리스마스 = 〈꾸리스마스〉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맞춰 발매된 크레용팝의 스페셜 싱글이다. = = 설명 = = 크리스마스 시즌송 성격으로 나온 앨범이며, 전작인 빠빠빠처럼 드럼 앤드 베이스 기반의 반복되는 비트, 중독적인 훅, 귀여운 창법과 경쾌한 음색으로 곡의 특색을 살렸다. 트레이닝복 위에 치마를 입고 헬멧을 쓴 독특한 복장을 하던 전작의 빠빠빠와 차별을 두어, 크리스마스 시즌송에 맞게 성탄절 파티 복장으로 바뀌었다. 헬멧도 루돌프 뿔을 달며 기존의 헬멧 구조에서 많이 바뀌었다. 겨울철에 바람이 불면 잎이 없는 나무가 떠는 듯한 '사시나무 춤'으로 개성 있는 안무와 노래로 큰 인기를 얻었다. 크리스마스 당일인 12월 25일에는 차트에 10위권 안에 들기도 하는 등 시즌송으로서 큰 인기를 끌었다. 꾸리스마스 뮤비에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표현한듯한 복장으로 나오는 장면이 있다. 사시나무 춤을 추는 파트에서 초록색 베이스에 프릴을 단 치마로 나뭇잎을 표현하고 그 밑에 적갈색 스타킹으로 나무 밑동 같은 느낌을 받고 위에 선물 포장을 해둔 티셔츠로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제대로 냈다 = 오카 키요시 = = 분류:모로코의 모스크 = = HR 6060 = = 프레드 세이버트 = 프레드릭 "프레드" 사이버트(, 1951년 9월 15일~)는 미국의 텔레비전 및 영화 제작자이다. 애니메이션 제작소인 프레드레이터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 RP-25 = RP-25는 소련제 전투기 Mig-25에 탑재되는 레이더이다. = = 제원 = = 이름 : RP-25 Smerch-A 소형 전투기 탐지거리 : 47km 최대 탐지거리 : 100km 탑재기종 : MiG-25 = 분류:수산물 = = 분류: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 = 베이스볼 워너비 = 베이스볼 워너비(Baseball Wanna B)는 XTM에서 방송되는 야구 전문 프로그램으로, 프로 야구 시즌에만 방송된다. 방송 당일에 열렸던 프로 야구 경기들의 하이라이트 등을 주로 방송하고 있으며, 초반에는 인윤정, 조유영, 정순주, 김이선, 이솔지 아나운서의 집단 진행 체제로 시작되었다가 7월 하순부터 KBS N 스포츠에서 영입한 공서영 아나운서 단독 진행 체제로 전환되었다. = = 진행자 교체 = = 2012시즌부터 프로야구 중계권을 따낸 XTM은 이에 맞추어 야구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을 런칭하게 되는데 이것이 현재의 베이스볼 워너비이다. 기존 CJ E&M 계열의 타 채널에서 활동하고 있던 이솔지를 비롯, 새로 채용한 다른 진행자들까지 합쳐 총 5명의 진행자들이 요일별로 2명씩 번갈아 나오는 진행을 통해 다른 채널들과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경험 미숙 등으로 인한 진행의 미흡함과 산만함이 야구 마니아들에게 지적되어 왔고 이는 프로그램 경쟁력에 발목을 잡는 치명적인 약점으로 남아 있었다. XTM 측에서는 프로그램을 런칭한 지 3개월여가 지난 2012년 7월 하순부터 KBS N 스포츠 출신의 공서영 아나운서를 영입하여 프로그램 진행의 안정화를 꾀하였다. 기존에 있던 5명의 진행자는 전원 교체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그날그날의 경기 후 인터뷰와 리포팅 등 현장 역할에 집중하고 있다. 2013년은 공서영 MC 외에 패널로 민훈기 기자와 장강훈 기자가 함께하며, 하이라이트 캐스터로 이승종, 신일, 김민구가 있다. 2014년은 공서영과 KBSN 출신의 최희의 공동 진행 체제로 개편되고 경기 전에는 프리뷰 형식의 프로를 정순주와 연상은이 돌아가면서 진행했다. 2015 시즌부터 XTM이 KBO 리그 중계 포기를 선언하게 되면서 시즌3를 마지막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 = 역대 진행자 = = = = = 베이스볼 워너비 = = = 시즌1 - 인윤정, 조유영, 정순주, 김이선, 이솔지. (~2012년 전반기) , 공서영 (2012년 후반기 ~ ) 시즌2 - 공서영단독 진행 (2013시즌 이후 초록뱀과 전속 계약 선언) 시즌3 - 공서영 (주말) , 최희 (주중) = = = 워너비 투데이 매치업 = = = 시즌1 - 정순주, 연상은 = 분류:화물 철도 = = 페아나무쥐 = 페아나무쥐(Chiromyscus chiropus)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라오스와 미얀마, 태국, 베트남에서 발견된다. 페아나무쥐속(Chiromyscus)의 유일종이다. = 분류:고대 로마의 작가 이름을 딴 분류 = = 한칙 = 한칙(韓則, ? ~ 기원전 124년)은 전한 중기의 제후로, 궁고후 한퇴당의 손자이자 한언·한열의 배다른 형제이다. = = 생애 = = 궁고후(弓高侯)에 봉해졌다.습작 시기는 경제 전원년(기원전 156년)이라고 사기에만 기록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한퇴당이 이때 죽었다고 볼 경우, 한퇴당이 오초칠국의 난(기원전 154년) 진압에 나선 행적과 맞지 않게 된다. 또한 사기에서는 한퇴당의 뒤를 이어 한칙이 작위를 이었다고만 하나, 한서에서는 한퇴당의 아들이 누군지 알 수 없었다며, 1대가 누락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원삭 5년(기원전 124년)에 죽었고, 후사가 없어 봉국이 폐지되었다. = = 출전 = = 사마천,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 반고, 《한서》 권16 고혜고후문공신표 = 위키백과:사랑방/2010년 제34주 = = = 스타크래프트 알찬 글 해제 = = 한국어 위키백과 제 1호 알찬 글(FA)로 선정되었던 스타크래프트 문서가 오늘 부로 해제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좋은 글로 판단되었던 글이 시간이 지나면서 제대로 된 보수가 없었고, 또한 한국어 위키백과의 질적 향상으로 더이상 "알차다"라고 판단할 수 없어 해제되었습니다. 남은 알찬 글들의 유지 보수를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고, 또한 한국어 위키백과의 성장이 더 좋은 글을 요구하게 되지 않았나 싶네요 :) NuvieK (토론) 2010년 8월 23일 (월) 05:30 (KST) 아쉽네요. 이제 가장 먼저 선정된 알찬 글은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이 되는 건가요? User:Bart0278 (talk · cont.) 2010년 8월 23일 (월) 15:49 (KST) = = 콜론 = = 제가 문서를 지금까지 봐 오면서 느낀 거지만 ":"(콜론)의 사용법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예를 들어, 거의 모든 문서에는 (날짜 : 2010년 xx월 xx일)이라고 쓰여 있지만, 원래는 (날짜: 2010년 xx월 xx일)이 맞다고 합니다. 참고자료 (국립국어원)도 참고해 보세요. 그리고 이와 같은 위키백과 정책이 있는지 묻습니다.. 이 콜론에 대한 것도 시급한 것 같네요.. S7]]</span> ㅡ【Ta.】【Con.】 2010년 8월 23일 (월) 17:44 (KST) = = 본인의 요청 = = 이용신, 토론:이용신 참조. 링크를 확인한 결과, 성우 본인이 쓴 걸로 밝혀졌습니다. 내용에 따르면 나이가 나왔던 해당링크 된 기사 인터뷰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일단 본인이 출생년도에 대해서 밝히길 꺼려하시니 생년을 삭제하는 게 옳은 건지 알고 싶습니다. Park4624 (토론) 2010년 8월 23일 (월) 18:26 (KST) 1. 위키백과는 잘 알려져 있고 믿을 수 있는 출처에 의해 움직입니다. 본인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람의 주장이 위키백과에 그대로 실릴 수는 없겠죠. 그렇다고 의견을 무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단 위키백과 내에서의 의견은 다른 사람의 의견과 동일하게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이 경우는 공식 홈페이지에도 언급이 있으니 이것을 1차 출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이 경우에 대해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보다도 '정확도'에 대한 문제라고 생각해볼 수 있겠어요. 특정 성우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성우(혹은 연예인 전반?)의 나이는 그리 정확한 출처가 없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고려해봐야 하고, 역시 위키백과 문서에서 생년월일 부분의 정확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3. 일반적으로 생각해도 개인정보에 대해서는 출처 문제가 따라다니는 것이 보통입니다. 일단 출처가 부정확하거나 혹은 백과사전적이지 않은 부분은 빼는 것이 옳습니다. 그리고 나면 충돌하는 부분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부분은 실제 문제가 발생할 때 논의하면 될 것 같습니다. klutzy (토론) 2010년 8월 23일 (월) 22:54 (KST) = = 대학교 관련 사건들 기입에 대한 가이드라인 = = 현재 백토:대학에서 관련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참여자 수가 저조해서 관심있으신 분들의 참가를 부탁드립니다. 예전 사랑방에도 적었다시피 요 근래 있었던 편집 분쟁때문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해당 토론 페이지에서 좋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여 다수 언론에 충분히 노출된 사건 해당 대학의 본부가 직접적/주도적으로 관련된 사건 해당 대학의 구성원과 관련된 사건의 경우는 해당 기사에서 대학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사건. (모 대학 구성원의 특정집단 비하발언, 특정인 욕설파문 등) 진행중 사건의 경우는 종결사건보다 조금 더 엄격하게 적용(다수의 주요언론에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등) 모다   /토론/ 2010년 8월 23일 (월) 21:54 (KST) = = 아무나 이 사진 처리 좀 부탁드립니다. = = 작년 겨울에 바둑 축제에 갔다가 찍은 사진인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반인이 선명하게 찍혀있습니다. 찍을 때 공용에 올려두고 나중에 포토샵을 깔아서(그림판으로 하려니 사진 크기가 커서 작업이 불가능 했습니다) 사진을 자르려 했는데 그대로 잊고 있었습니다만 누군가 이 사진을 자를 줄 아신다면 왼쪽의 일반인 분 부분을 잘라없애주세요. Leedors (토론) 2010년 8월 24일 (화) 23:36 (KST) = = 한국어 위키백과의 역사 왜곡 = = 고려문서를 보면, 왕건은 고려를 건국한 것이 아니라 궁예가 원래 고려라는 이름으로 나라를 건국한뒤 국호를 바꿨고, 이후 실정으로 쿠데타로 쫒겨난 후 국호를 환원한 것인데 왕건이 건국한 것인양 써놓았습니다. 역사 왜곡입니다. Minglemangle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22:51 (KST) 고려문서 최상단을 보셨는지요. "고구려는 장수왕 이후 국호를 고려로 바꾸었다. 궁예가 세운 태봉의 초기국명도 고려이다." 고구려의 또다른 이름이었으므로 이곳저곳에서 많이 사용되어졌습니다. 궁예가 만든 국가의 이름은 태봉이었고, 고구려를 물려받았다 하여 후고구려를 자처하고 고려라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역사 중 "고려"라는 공식적인 국호로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졌던 나라는 고려이므로 고려를 왕건이 건국했다고 전해지는 것입니다. 역사 왜곡이라고 볼 수가 없으며. 한국어 위키백과가 역사를 왜곡했다는 말도 성립이 되지 아니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23:17 (KST) 이것은 새로운 재야 사학입니까..? 가람 (논의 · ↺) 『One day, one hour』 2010년 8월 26일 (목) 00:22 (KST) 고려는 어디까지나 고구려의 준말입니다. 장수왕 때에도 고구려를 고려라 칭했고 그 덕분에 중국에서도 현재 고구려를 고구려로 하면 잘 모르고 고려라고 해야 압니다. (덕분에 왕건의 고려는 왕씨고려로 불리죠.)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미 고구려를 왕조의 정식명으로 인정했고, 궁예가 세운 고구려는 사실.. 별 고구려와 상관도 없으나 고구려를 이어받았기에 후고구려라고 하기도 합니다만 이런 부분에 논쟁이 있어서 학계에서는 궁예가 죽기 전 갈아바꾼 국명 태봉을 씁니다. 윤성현 論 · 기여 · F.A. 2010년 8월 27일 (금) 00:57 (KST) 덧붙이자면 삼국유사 왕 목록에 901년 고려로 건국했다고 나와있습니다. 후고구려라는 말도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구별을 위해 목록에 붙인 말입니다. Aidepikiw (토론) 2010년 8월 30일 (월) 16:57 (KST) = = 갑자기 떠오른 것입니다만, = = 전에 있었던 '애국가' 저작권과 관련되서 하나 생각난 것이 있습니다만, 대한제국의 국가는 저작권법상 기간이 지난 것이 아닌가요? 년도상으로도, 기간상으로도 말이죠. 만약 그렇다면 업로드가 가능할 것 같은데, 왜 업로드가 안 된 걸까요? 가람 (논의 · ↺) 『One day, one hour』 2010년 8월 26일 (목) 00:25 (KST) = = 모 언어논술 대표와 위키백과 = = 위키백과를 통해 익숙해진 모 언어논술 대표님의 성함이 뉴스에 보이길래 확인해 봤더니, 이런 보도자료가 돌고 있나 봅니다. ‘화제를 모으고 있다’는데.. 다른 것은 모르겠고, 일단 영어 위키백과 어디에 소개되어 있는지 찾다가 포기했는데, 아시는 분은 귀뜸해 주세요. 예전에도 이런 뉴스가 나온 적이 있는데, 설마 사용자 페이지를 편집하고 보도자료를 돌리신 것은 아니겠지요? :) 정안영민 (토론) 2010년 8월 26일 (목) 20:43 (KST) 제시하신 링크에 있는 는 무엇인가요? 그 사용자의 문서 인가요? Irafox (토론) 2010년 8월 26일 (목) 20:58 (KST) = = 컴퓨터·비디오 게임 편집 지침 변경 = = 이런 논의가 있었고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게임 문서를 편집하시는 분들은 참조하셨으면 해서 사랑방에 글을 남겨 봅니다. Leedors (토론) 2010년 8월 26일 (목) 23:51 (KST) = = 북한 관련 문서에 첨부된 링크 = = 지금까지 별다른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 글에 쓰여 있는 것처럼 '북한과 관련 문서에 첨부된 링크 중 대한민국에서 접속이 금지된 사이트'가 많이 있는데, 그러한 링크에는 어떠한 문구라도 표시해놓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8월 28일 (토) 00:29 (KST) 제가 위에서 예로 들은 오게임은 그나마 문제가 없는 경우이지만, '북한 관련 문서'처럼 직접적으로 국가보안법에 저촉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들이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하기는 어럽다고 봅니다. 게다가 그러한 틀조차 붙어 있지 않은 문서들이 존재하는 상황은 확실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8월 28일 (토) 23:56 (KST)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초보자 안내 = =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제안#위키프로젝트:초보자 안내를 근거로 새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초보자 안내와 관련한 각종 정책·지침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또한 어떻게 하면 초보자들이 위키백과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합니다.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0년 8월 28일 (토) 15:24 (KST) = = 위키백과의 책임 한도 = = 최근 문서 관리 요청에 특정 인물의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 관련 글 삭제 요청이 올라왔는데, 제 의견은 해당 문단에 여러 개의 출처가 제시되어 있고, 해당 사건이 언론에서 여러차례 보도된 바 있어 해당 인물을 설명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일단 글 삭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입니다. 하지만, 명백히 출처가 제시되어 있다 하더라고 분명히 명예 훼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8월 28일 (토) 18:15 (KST) = = '일러스트레이션'인가 '삽화가'인가 = = 예전부터 알고는 있었던 일입니다만, 삽화 문서는 일러스트레이션 문서로 연결되고, 일러스트레이터 문서는 삽화가 문서로 연결되는 뭔가 꺼림칙한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삽화든 일러스트레이션이든 어느 한 쪽으로 통일해야 할 것 같은데요. 어느 쪽이 나을까요?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8월 28일 (토) 20:48 (KST) = A Decade = A Decade는 2006년에 발매된 아워 레이디 피스의 음반이다.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강동희 (농구인) = 강동희(姜東熙, 1966년 12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지도자로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였다. 2009년 프로 농구 원주 동부 프로미의 감독을 맡았다. 현역시절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었으나, 2011년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에서의 승부조작 혐의로 2013년 3월 11일 구속 수감되었고, 다음날인 3월 12일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13년 7월 18일, 징역 2년에 추징금 4700만원이 구형됐다.‘승부조작’ 강동희, 징역 2년 구형 2013년 8월 8일엔 징역 10개월이 선고됐다.한국농구 레전드 강동희의 추락... 징역 10월 선고 의정부지법 "농구팬들 애정·신뢰 배반... 지탄받아 마땅" 그리고 2013년 9월 6일, 영구제명됐다.승부조작한 강동희 전 감독. 프로농구 최초로 제명 조치 = = 경력 = = 1990년 ~ 2002년 기아자동차/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2년 ~ 2004년 창원 LG 세이커스 2005년 ~ 2009년 원주 동부 프로미 코치 2009년 ~ 2013년 원주 동부 프로미 감독 = = 학력 = = 인천송림초등학교 송도중학교 송도고등학교 중앙대학교 = = 뮤직비디오 = = 2004년 SG 워너비 - Don't Know Why = 인구감소 = 인구감소(人口減少, ) 또는 인구과소(人口過少, )는 인구가 어떤 도시에서 과소(過少)된 상태를 말한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이 일정한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가 곤란하게 된 상태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과소 문제(過疏問題)가 일어나고 있다. 대도시의 인구·산업 과밀화에 상대적으로 야기되는 사회문제이다. 대도시에의 인구 집중의 결과, 한편으로는 청장년층의 남자가 감소하고, 방재(防災)·교육·의료활동 등 지역사회의 기초적 조건을 유지하기가 곤란하게 된 지역도 출현한다. 인구감소의 원인은 범유행, 전쟁, 기근 등과 같은 단기적인 사건에서부터 저출산, 지속적인 인구 유출 등과 같은 장기적인 인구학적 요인까지 다양하다. 현재 지금도 세계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출산율이나 사망률 등의 변동과 같은 장기적인 인구학적 요인으로, 인구감소가 발생하는 국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은 2010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5년~2020년 연간 평균 -0.2%의 인구감소율을 보였으며, 중국은 2027년 내에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유럽은 2050년까지 연간 -0.3%의 인구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외에도 전세계 인구는 21세기 말 0%에 가까운 인구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감소 현상 자체는 세계적으로 이례적이거나 드문 현상인 것은 아니다. = = 현대의 나라별 인구 감소 = = 나라별 인구 감소 국가 인구 수 추산(2020년 7월 1일) 연별 평균 인구 변화량 (%) 2010–2015 연별 인구 변화량 (%) 2015–2020 저출산 높은 사망률 인구 유출 인구 고령화 높은 낙태율 안도라 77,543 -1.59 −0.19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알바니아 2,877,797 -0.39 −0.09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280,819 -1.55 −0.89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불가리아 6,948,445 -0.62 −0.71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크로아티아 4,105,267 -0.45 −0.61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에스토니아 1,326,535 -0.25 +0.17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조지아 3,989,167 -0.37 −0.17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그리스 10,423,054 -0.42 −0.45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헝가리 9,660,351 -0.30 −0.24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이탈리아 60,461,826 +0.42 −0.04 해당됨 해당됨 일본 126,476,461 -0.09 −0.24 해당됨 해당됨 라트비아 1,886,198 -1.18 −1.15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리투아니아 2,722,289 -1.27 −1.48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몰도바 4,033,963 -0.07 −0.18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폴란드 37,846,611 -0.15 −0.10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포르투갈 10,196,709 -0.43 −0.33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푸에르토리코 2,860,853 -1.14 −3.34 해당됨 해당됨 루마니아 19,237,691 -0.54 −0.70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세르비아 6,963,764 -0.26 −0.32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스페인 46,754,778 -0.11 +0.04 해당됨 해당됨 시리아 17,500,658 -3.43 −0.56 해당됨 해당됨 우크라이나 43,733,762 -0.38 −0.54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베네수엘라 28,435,940 +1.12 −1.12 해당됨 해당됨 = = = 동아시아 = = = = = = = 일본 = = = = 일본은 2005년 내국인 인구가 자연감소를 하기 시작했고, 2010년부터는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 = = = 한국 = = = = 한국은 2020년 합계출산율 0.84로 출생아 수가 27만명, 사망자 수가 30만명으로, 집계 사상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하회하면서 첫 주민등록 내국인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 = = = 대만 = = = = 대만은 2020년 출생아 수가 16만명, 사망자 수가 17만명으로, 처음으로 내국인 인구의 자연감소가 발생하였다. 합계출산율도 2010년(0.90) 이후 최저치인 0.99를 기록했다. = = = = 홍콩 = = = = 홍콩은 2020년 출생아 수가 4만3천100명, 사망자는 4만9천800명으로 인구 조사를 한 1960년대 이후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하회하면서 첫 인구감소를 기록했다. = = = 동유럽 및 구소련 국가들 = = = 구소련 국가들과 동유럽에 속한 국가들은 급속도로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낮은 출생률, 그리고 알코올 중독이나 결핵, 에이즈 같은 질병의 높은 전염률로 인한 높은 사망률, 매우 높은 인구 이동률(인구 유출) 등이 인구감소에 기인한다. 러시아와 과거 공산권에 속했던 국가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 급격하게 출산율이 낮아진 동시에, 사망률은 급격하게 올라갔다. 뿐만 아니라, 1989년 이후 25년간 200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동유럽을 떠나 서유럽이나 미국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산되었다. = = = = 알바니아 = = = = 알바니아가 인구 조사에서 인구가 정점을 찍은 것은 1989년으로, 당시 3,182,417명을 기록했으나, 2015년 1월 인구는 2,893,005명으로 추산되면서, 정점 기록에서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아르메니아 = = = = 아르메니아는 1991년 3,604,000명으로 인구가 정점을 찍었으나, 2015년 1월 3,010,600명으로 감소하면서, 정점 기록에서 1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벨라루스 = = = = 벨라루스의 인구는 1989년 인구 조사에서 10,151,806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5년 통계상 9,480,868명을 기록하면서, 정점 기록에서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수만여명의 사망자와 난민 등을 일으킨 유고슬라비아 전쟁 직전 1991년 인구 조사에서 4,377,033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6년 최신 조사에서 3,511,372명을 기록하면서, 정점 기록에서 1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불가리아 = = = = 불가리아는 1989년 9,009,018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01년 이래로 60만명가량 추가 감소하면서, 2011년 조사에서는 인구가 730만이 안되는 7,245,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정점 기록에서 24.3% 감소한 것이며, 지난 10년간 0.82%씩 감소한 것이다. = = = = 크로아티아 = = = = 크로아티나의 인구는 1991년 4,784,265명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Naselja i stanovništvo Republike Hrvatske 1857.-2001. (eng. Settlements and Population of Croatia 1857–2001) (in Croatian) , accessed 7 July 2013에서 2011 4,456,096명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2011, First Results by Settlements (PDF file), accessed 7 July 2013으로 8% 감소하였다. 감소의 가장 큰 원인는 낮은 출생률, 높은 인구 이동률(인구 유출), 그리고 크로아티아 전쟁에 있다. = = = = 에스토니아 = = = = 1989년 마지막 소련 조사에서, 1,565,662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6년 통계에서 1,314,370명을 기록하면서, 정점 기록에서 1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조지아 = = = = 1989년 마지막 소련 조사에서, 5,400,841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사실상 독립국에 가까운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를 포함한) 2014년 조사에서는 4,010,000명으로 추산되면서, 정점 기록에서 1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라트비아 = = = = 라트비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을 시점에 2,666,567명으로 거의 정점을 찍었으나, 2011년 최신 조사에서는 2,067,887을 기록하였고, 2015년 통계에서는 1,986,086으로 추산되면서, 정점 기록에서 정점 조사 기록에서 2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트비아는 전세계에서 1950년 이전 수준으로 인구가 감소한 2개국 중 하나이며, 감소의 원인은 인구 자연감소(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하회)와 높은 인구 이동률(인구 유출)에 있었다. = = = = 리투아니아 = = = = 리투아니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을 시점에 370만명으로 거의 정점을 찍었으나, 2001년 조사에서 340만을 기록했고, 2011년 최신 조사에서는 305만명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2012년 9월 1일 2,988,000명까지 감소했다. 이는 정점 조사 기록에서 23.8% 감소한 것이며, 2001년 기록 이래로 13.7% 감소한 것이다. = = = = 우크라이나 = = = = 1989년 우크라이나 조사에서는 51,452,034명을 기록했으며, 1993년 우크라이나 정부 산하 조사에서는 인구가 52,244,000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3년 12월 1일 45,439,822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tistical Table Dec 2013. 2014년 초부터 발생한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잇단 내전 등의 여파로 2014년 8월 42,981,850명까지 감소했고, 이는 총인구가 정점 기록에서 19.7% 감소한 것이다. = = = = 헝가리 = = = = 헝가리의 인구는 1980년 10,709,000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 감소가 진행되어 2010년 8월 기준 1000만명 밑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정점 기록에서 7.1% 감소한 것이다. 다만 동유럽에 속한 이웃 국가들과 달리, 인구는 10년 가까이 일찍 정점을 찍었으며, 인구감소도 그만큼 일찍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간동안 평균 인구성장률은 -0.23%로, 비교적 훨씬 낮은 인구감소율을 보였다. = = = = 루마니아 = = = = 루마니아의 1991년 조사에서는 23,185,084명을 보였으나, 2011년 10월 조사에서는 20,121,641명을 기록, 2014년 통계에서는 19,947,311명으로 추산되었다. 이는 역사상 정점을 찍은 1991년 이래로 16.2% 감소한 것이다. = = = = 세르비아 = = = =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있었던 1991년, 조사에서 7,576,837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1년 조사에서는 7,186,862명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점 조사 기록에서 5.1% 감소한 것이다. = = =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국가들 = = = = = = = 푸에르토 리코 = = = = 푸에르토 리코는 미국 등 다른 국가들로의 인구 유출 등으로 2002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나, 특히 2017년 발생한 허리케인 마리아의 영향으로 유출이 더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합계출산율도 1998년부터 2.0을 하회하며 2018년 1.04 Births: Final Data for 2018. p.23, 2019년 0.98 Births: Final Data for 2019. p.25을 기록하는 등 저출산 현상도 심해졌다. 결국 2010~2019년 동안 인구가 18% 감소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전 세계에서 시리아 다음으로 높은 인구 감소율을 기록한 국가가 되었다. = = = = 베네수엘라 = = = = 베네수엘라는 출생률은 높지만, 베네수엘라 위기로 인한 경제난으로 수백만명의 난민이 발생하며 인구 유출로 2019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베네수엘라를 떠난 사람은 2015년 이후 약 500만 명에 달했다. = = 인구 감소가 재개된 국가들 = = 다음은 인구 감소가 멈추었다가 다시 재개(再開)된 국가들이다: = = = 러시아 = = = 러시아의 총인구는 감소한 인구수로만 보면 가장 크게 감소하였지만, 감소한 비율 자체는 크지 않았다. 1991년 148,689,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이후 2008년 142,737,196명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총인구가 정점 조사 기록에서 4.0% 감소한 것이다. 하지만 그 이후 2018년 146,870,000명까지 인구가 다시 증가했다. 최근의 이러한 추세에는 비교적 더 낮아진 사망률, 더 높아진 출생률, 그리고 크림반도 합병, 주로 우크라이나와 아르메니아 등 다른 국가로부터 온 이민자 증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50년 인구보다 약 40% 이상 증가한 것이다. = = = 스페인 = = = 스페인은 2020년 10만명 이상 인구가 감소하였다. = = = 이탈리아 = = = = = 인구 감소가 멈춘 국가들 = = = = = 독일 = = = 독일에서는 수십 년간 인구 감소가 진행되었으나, 대규모 이민을 받은 이후로 이는 멈추었다. 2011년 정부 조사에서는 8020만 여명을 기록했으나, 2012년 말 연방 추산으로는 8200만 여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는 1950년보다 14% 증가한 것이다. = = = 아일랜드 = = = 아일랜드의 현재 구역에서는 인구가 기록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데, 1841년 아일랜드의 인구는 800만 여명에 달했으나, 이후 아일랜드 기근과 그 이후의 인구 유출로 1961년 조사에서는 280만 여명으로 바닥을 치다가 2011년 458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중앙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아일랜드의 인구는 500만 여명에 약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시리아 = = = 시리아는 2010~2019년 동안 인구가 감소한 국가 중에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인 국가로, 출생률은 높지만 시리아 내전으로 수백만명의 난민이 발생함에 따라, 시리아 인구는 2010년 2274만명에서 2017년 1810만명으로 20%나 감소했다. 그러나 2019년부터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 = 전망과 미래 = = 저출산, 높은 사망률 및 인구 이동률 등에 따른 장기적인 인구학적 요인으로 인한 인구감소의 경우, 주 요인은 저출산으로 꼽히며, 합계출산율이 일반적으로 인구 유지가 가능한 대체출산율 2.1을 지속적으로 하회하게 되면, 인구감소가 발생한다. 향후 점차 세계적으로 평균 출산율이 내려가고, 대체출산율 미만을 기록하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인구 감소가 시작하는 국가들이 점차 늘어가고, 전 세계 평균 인구 성장률도 점차 내려갈 전망이다. 30년 단위로 건너뛴 향후 미래 인구 성장률 예측 지역 2020–25 2045–50 2095–2100 아프리카 2.37 1.74 0.61 아시아 0.77 0.14 −0.39 유럽 −0.05 −0.26 −0.14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0.84 0.21 −0.46 북아메리카 0.59 0.38 0.25 오세아니아 1.21 0.80 0.37 전 세계 0.98 0.53 0.04 2019년 유엔의 인구전망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50년까지 55개국이 인구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 중에 가장 빠르게 감소할 국가는 동유럽에 위치한 리투아니아와 불가리아로, 이 기간동안 두 국가 모두 23%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다음으로는 라트비아가 22%, 왈리스 푸투나가 20%, 우쿠라이나가 20%, 그리고 그 밖에 다른 21개국이 10-2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1세기 말(2095~2100년)에는 아시아, 유럽,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세 지역이 모두 인구가 감소하고 있을 것이며, 전세계 인구 성장률도 0에 가까울 것으로 예측하였다. 북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지역은 대체출산율 미만을 기록함에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 이유는, 해외로부터의 이민 유입 때문이다. = = 지방의 인구 감소 = = 국가의 인구가 감소하듯이, 국가 내 지역도 인구 감소가 발생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생산 가능 인구 특히 청년 인구가 시골, 지방 도시를 떠나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출되고 있다. = 분류:조병옥 가 = = 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보존 = = B'Day = B'Day은 비욘세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이다. 빌보드 200차트에서 1위를 하였으며, 빌보드 탑 알앤비/힙합 앨범 차트에서도 1위를 하였다. 그 외에 영국 음반 차트, 스페인 음반 차트, 유럽 탑 100 음반 차트 등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였다. = = 트랙 리스트 = = "Déjà Vu" (featuring Jay-Z) "Get Me Bodied" "Suga Mama" "Upgrade U" (featuring Jay-Z) "Ring the Alarm" "Kitty Kat" "Freakum Dress" "Green Light" "Irreplaceable" "Resentment" = Passion (코요태의 음반) = Passion은 대한민국의 3인조 혼성그룹 코요태의 정규 3집 앨범이다. 코요태에서 탈퇴한 멤버 차승민을 대신해서 프렌즈의 백댄서 출신 객원 멤버 김종민을 영입하여 활동하였다. 3집 활동때부터 신지가 소속사의 무리한 스케줄, 1집과 2집에서의 비정상적인 음역대를 3집까지 소화 하다보니 목 상태가 최악으로 변하여 결국 성대결절이 발병했다. 사실상 성대결절전 신지의 청아한 목소리를 마지막으로 들을 수 있는 앨범이라고 할 수 있다. = = 개요 = = = = = 타이틀곡 〈Passion〉 = = = = = = 후속곡 〈파란〉 = = = 본래 코요태 측에서는 〈변심〉을 후속곡으로 내정한 상태였으나, 팬들의 요청 등으로 인하여 〈파란〉으로 바꾸었다. 〈파란〉 활동 시작 후, 그룹 결성 이래 최초로 공중파 1위를 달성하였다. = = = 삼속곡 〈자존심〉 = = = 본래 〈Blue〉를 삼속곡으로 하여 활동할 예정이었으나, 그 동안 활동한 〈Passion〉 · 〈파란〉과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인해 〈자존심〉으로 변경되었다. 〈자존심〉은 〈Passion〉 · 〈파란〉에 비하여 매우 짧게 활동하였으며, 코요태는 이 곡을 마지막으로 3집 활동을 끝마쳤다. = 분류:포르투갈의 음악 = = 분류:미타니 코키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일본의 각본가 미타니 코키가 각본 · 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분류:칠레의 경제학자 = = 포털:기독교/알찬 글/요약판 = = = 갱신 방법 = = <! 알찬 글 수 > 옆의 숫자를 알찬 글의 총 갯수에 맞게 수정. 일단 미리보기한 후, 표시되는 글의 이름을 확인. 현재 대문에 나와 있는 알찬 글과 다를 것이므로, <! 보정용 수치 > 옆의 숫자를 조정해서 대문에 있는 알찬 글과 같도록 수정. 모두 끝났으면 저장. = 분류:한림원 = = 분류:자메이카의 여성 = = 모크로노그트레벨노 = 모크로노그트레벨노는 슬로베니아의 도시로 면적은 73.4km2, 인구는 2,873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39.1명/km2이다. = Always (에이핑크의 노래) = 〈Always〉(올웨이즈)는 2017년 4월 19일에 에이핑크의 데뷔 6주년을 맞이하여 발매된 디지털 싱글이다. = = 개요 = = 6주년을 기념하는 팬송이다. 에이핑크가 4월 19일에 발매하는 디지털 싱글은 네 번째가 된다. = = 수록곡 = = 전체 작사: 김진환, 박초롱 전체 작곡 · 편곡: 김진환 = 틀:대한제국의 훈장 = = 분류:알바니아의 스포츠팀 =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안드레이 안토노비치 그레치코(, 1903년 10월 17일 ~ 1976년 4월 26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방장관을 역임한 군사지휘관이었다. 소비에트 연방원수의 계급까지 올랐다. 러시아 제국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우크라이나인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고, 1919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유명했던 부됸니의 제1기병대 소속으로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내전 이후 타간로그의 기병학교에서 학습하였고, 1928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가입하였다. 1936년에는 고급지휘관 코스인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였다. 이후 소련군 참모 학교를 1941년에 졸업하였다. 곧 얼마 안있어 독소 전쟁이 발발하였다. 그리츠코는 제34 기병사단의 사단장으로서 전쟁을 맞았고, 키예프 전투에 참가하였다. 1942년 1월 15일은 제5 기병군단의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후 차례로 12군, 47군, 18군, 56군의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 부대들은 모두 북코카서스 전선군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그레치코는 부대 지휘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1943년 10월 그레치코는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부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2월에는 제1 친위군의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제1 친위군은 이반 페트로프 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헝가리와 오스트리아를 점령하는 것으로 종전을 맞았다. 종전 이후, 1953년까지 그레치코는 키에프 군관구의 사령관으로 재임했고, 1953-1957년에는 주동독 소련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1955년에는 소련 원수의 계급으로 승진했고, 1957-1960년에는 소련 육군 총사령관, 1960-1967년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총사령관, 1967년에는 소련 국방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레치코는 임종시까지 국방장관으로 재임하였다. 또한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전사(戰史) 편집 위원회의 의장으로 재임하기도 하였다. 당직으로도 승진하여 1973년 소련공산당의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이는 군인으로서는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 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레치코는 국방장관 재임당시 소련군의 현대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고, 사망 후에 크렘린 벽묘지에 안장되었다. = 분류:기원전 410년 = = 분류:고 다쿠씨 = = 분류:가와고에번주 = = 사직여자중학교 = 사직여자중학교(社稷女子中學校)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6년 12월 28일 : 사직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30학급) 1977년 3월 1일 : 초대 김영석 교장 취임 1977년 3월 4일 : 개교 및 입학식 거행 (임시교사 중앙여고에서 8학급 495명) 2002년 1월 26일 : 다목적 교실(목련관) 준공 2004년 10월 18일 : 도서관(글여울 책바다) 개관 2007년 10월 5일 : 과학실 2차 현대화 사업 완료 2008년 11월 26일 :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교육 연구학교 운영 발표 2012년 3월 30일 : 부산광역시교육청 창의경영 건강증진모델 연구학교 지정 2021년 1월 12일 : 제42회 졸업식(7학급 223명, 누계 20,465명) 2021년 3월 2일 : 제45회 입학식(8학급 256명) 2021년 9월 1일 : 제18대 박은혜 교장 취임식 = 806년 = = = 연호 = = 당(唐) 원화(元和) 원년 일본(日本) 엔랴쿠() 25년 / 다이도() 원년 = = 기년 = = 당(唐) 헌종(憲宗) 원년 신라(新羅) 애장왕(哀莊王) 7년 발해(渤海) 강왕(康王) 13년 = = 사망 = = 4월 9일 (음력 3월 17일) - 일본 50대 천황 간무 *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시(, 덴분 6년 음력 2월 6일 (1537년 3월 17일) ~ 게이초 3년 음력 8월 18일(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豊臣)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성을 사용했다. 그 자신의 가신(家臣)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인 이토(伊藤)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 = 개요 = = 도요토미는 오와리국 아이치군 나카무라(中村)에서 빈농 아들로 태어났다. 오다 노부나가를 섬겼으며 오다 가문 안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변으로 죽자 주고쿠에서 대군을 이끌고 교토로 돌아와 야마자키 전투에서 역신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고, 노부나가를 대신해 그의 사업을 계승하였다. 그 후, 오사카성을 쌓았으며 관백(関白),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임명되었다. 또, 조정으로부터 도요토미성을 하사받아 일본을 통일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태합검지(太閤検地)와 가타나가리(刀狩)라는 정책을 펴 일본 국내를 안정시켰지만,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과오도 범했다. 임진왜란 중 조카인 관백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죽여 후계를 아들 히데요리에게 주었지만, 얼마 안 있어 죽음을 맞이한다. 이후 히데요리의 보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필두로 한 고다이로에게 위임하였다. = = 생애 = = = = = 출신 = = = 태합소성기에 의하면 오와리국 아이치군 나카무라(지금의 일본 나고야시 나카무라구)의 농민 출신이라고 알려진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과 어머니 나카(なか)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년에 관해서는 덴분 5년(1536년)이라고 전해져 오지만, 최근 덴분 6년(1537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아버지 야에몬의 성씨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출생일은 음력 1월 1일이며 아명은 히요시마루(日吉丸)라고 하지만조선의 이덕무도 이 설을 채택해 히데요시의 사주가 병신(丙申)·경인(庚寅)·정사(丁巳)·계묘(癸卯)가 된다고 했다. 청장관전서제59, 양엽기5, '히데요시의 사주'中., 이는회본태합기(絵本太閤記)의 창작으로 실제 태어난 날은천정기(天正記)와 가신 이토 히데모리(伊藤秀盛)가 기재한 덴분 6년(1537년) 음력 2월 6일생으로 보고 있다. 널리 유포된 설로는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이 전사한 후, 어머니 나카는 지쿠아미(竹阿弥)와 재혼하였지만, 양아버지 지쿠아미와 히데요시의 관계는 험악하여 언제나 학대를 받았다고 한다. 이에 히데요시는 집을 뛰쳐나와 무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스루가국으로 향했다고 한다. 태합소성기(太閤素性記)에 따르면 7세 때, 아버지 야에몬과 결별하고 8세에 고메이지(光明寺)에 가 불문에 입적하지만, 곧 뛰쳐나왔고, 15세에 망부의 유산 일부를 가지고 집을 나와 방랑했다고 한다. 그러나 태합기에서는 지쿠아미를 히데요시의 실제 아버지로 보고, 기노시타(木下)라는 성도 아버지로부터 받은 성이 아니라는 의혹과 아내 네네(ねね)의 어머니쪽 성이라는 투로 적고 있다. 히데요시의 출신에 관해서는 문학박사 겸 역사학자 오와다 데쓰오(小和田哲男)는 목수나 대장장이 등의 기술자 집단 출신설을 채택하였고, 역사학자 이시이 스스무(石井進)는 행상인 설 등 비농업종사자 설을 채택했다. 또, 일본가문연구회(日本家紋研究会)의 다카자와 히토시(高澤等)는 히데요시 일족이 사용한 택사문(沢瀉紋)과 히데요시의 통칭 도키치로(藤吉郎), 또, 누나 닛슈(日秀), 아사히(朝日)의 남편의 출신 및 미즈노씨(水野氏) 설이 있는 계부 지쿠아미 등을 포함해 히데요시 자신도 미즈노씨 출신이지 않느냐는 설을 역사독본(歴史読本)에 투고하였지만, 현 시점에서는 의혹 대부분이 불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출신성분이나 그의 과거 생활상, 생년월일 등은 그가 천출임을 의식하여 당대에나 후대에 왜곡, 미화, 윤색되어 기록된 경우가 종종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확실한 것은 미화에도 매우 낮은 한계가 있을 정도로 신분이 굉장히 천했기 때문에 나중에 일본을 지배하게 되었을 때 쇼군에 취임하지 못했으며 그 대신 태합을 칭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그의 비천한 신분과 인생은 여러 의미로 다이묘나 사무라이 혹은 평민 경쟁자들까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내심 매우 무시하게 만들었다. 일본 문화에서 성공하기 전 히데요시는 속은 검지만 천한 출신 때문에 심하면 일반 평민들에게도 굽신거리는 이미지로 등장하기도 하며 역사적인 히데요시도 더 나은 신분과 인생을 얻을 때마다 성과 이름은 당연하고 태도도 점점 거만하게 변했다. 심지어 이 서술 이후에 나온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일륜의 데마르카시온~에서도 놀라울 정도로 전통적 이미지와 비슷하게 묘사된다. = = = 이마가와 가신 = = = 처음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郎)로 이름을 올려 이마가와 가문의 가신 가문인 이노 가문이 지배하는 도토미국 나가카미군 즈다지 장원(현 일본 하마마쓰시 미나미구 즈다지정)의 즈다지성(頭陀寺城) 성주 마쓰시다 유키쓰나(松下之綱)를 섬겨 이마가와씨(今川氏)의 가신이 되었다. 도키치로는 어느 정도 성과를 냈지만, 곧 가신의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 후, 마쓰시다 유키쓰나는 다케다씨에 의한 스루가 침공(駿河侵攻)으로 이마가와씨가 몰락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덴쇼 11년(1583년) 히데요시에게 단바국과 가와치국의 1,600석을 받았다. 덴쇼 18년(1590년)에는 오다와라 정벌의 공으로 도토미국 구노성 16,000석을 받았다. = = = 오다 가신 = = = 덴분 23년(1554년) 무렵 오다 노부나가의 고모노(小者)허드레꾼.적으로 고용되어 주인의 집에 더부살이로 살면서 잡다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으로 주로 평민 출신. 로서 일한다. 기록에 보면 그는 노부나가의 눈에 들기 위해 온갖 잔일을 도맡으면서 게을리 하지 않았는데, 선조실록에는 그가 노부나가에게 고용되기 전에 그의 행차 앞에 옷을 벗고 드러누워 있었는데 부하들이 죽이려는 것을 노부나가가 제지하고 나서 소원을 물으니, "도저히 제가 가난해서 살 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여 노부나가가 그에게 변소지기 일을 시켰더니, 그가 청소한 변소에서 냄새는커녕 티 하나도 나지 않았고, 노부나가가 자신의 신발을 만들도록 시켰더니 정성을 다해 신발을 만들어 바쳤다는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하루는 노부나가가 금술잔을 깊은 우물 속에 빠뜨렸는데, 히데요시는 큰 물동이 수백 개를 구해서 물을 담았다가 한꺼번에 우물에 쏟아부어, 우물이 뒤집히면서 물 위에 떠오른 금술잔을 재빨리 집어내어 바쳤고 이로써 노부나가의 총애를 받아 출세길이 열렸다고 한다. 간양록에는 또, 노부나가가 매번 종들을 시켜 시장에서 물건을 사오게 하면 항상 비싼 값을 치르면서 조금만 값이 안 맞아도 사오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토키치로는 매번 싼 값으로 좋은 물건을 그때 그때 사다 바쳤으므로 노부나가는 그것을 흡족해했지만, 실은 도키치로가 매번 자기 돈으로 물건값의 반을 보탠 것임을 아무도 알지 못했다고 한다. 급기야 노부나가가 직접 북쪽을 치는데, 도키치로가 창을 잡고 돌격해 닥치는 곳마다 모두 쓰러뜨렸다고 한다.선조실록에서는 일본에 큰 도둑이 있어 노부나가가 이를 물리치기가 매우 어려웠는데 히데요시가 토벌을 자청하면서 군사를 모집하는데 노부나가에게 붉은 우산을 빌려 줄 것을 청했는데, 노부나가가 들어주면서 "싸움터에 도착해서 펼치되 길 위에서는 펴지 마라."고 당부했지만 히데요시는 성을 나서자마자 붉은 우산을 곧바로 펼쳐 행군했고, 이를 바라보고 '노부나가가 직접 행차한다'고 여긴 엄청난 사람들이 모여들어 그들을 거느리고 승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어느 때의 일을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기요스성의 성과 관련된 업무와 내방 업무 등에서 기발한 아이디어를 자주 발휘하고 솔선 수범하여 큰 성과를 보였다. 이렇게 하여 노부나가의 환심을 샀고, 점차 오다 가문에서 두각을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무렵 히데요시의 용모를 보고 노부나가가〈원숭이〉,〈대머리 쥐〉라고 부른 것 같다. 에이로쿠 4년(1561년) 아사노 나가카쓰의 양녀로 스기하라 사다토시의 딸 네네와 결혼한다. 미노국 사이토 다쓰오키와의 전투 중 스노마타성 축성에 관한 이야기가 유명하지만,무공야화등을 근거로 한 이야기는 당시 사료에는 기술이 없고, 에도 시대에 창작되었다는 설이 강하다. 이 무렵 사이토 가문의 영향하의 미노로부터 다케나카 시게하루, 하치스카 마사카쓰, 마에노 나가야스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인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음력 9월 오미 미쓰쿠리 성(箕作城) 공략에 활약한 이야기가신장기(信長記)에 기록되어 있다(간논지성 전투(観音寺城の戦い)). 같은 해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제15대 쇼군에 옹립하고 교토를 평정하자, 아케치 미쓰히데, 니와 나가히데와 함께 교토에서 정무를 보았다. 당시 문헌에 히데요시라는 이름이 눈에 띈다. 단, 히데요시란 이름이 적힌 기록은 1560년 3월 8일자 서장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겐키 원년(1570년) 에치젠국의 아사쿠라 요시카게 토벌에 종군하였고,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보였지만, 오미 북부의 맹우 아자이 나가마사의 배신으로 가나가사키에서 급히 퇴각하게 되었다. 이 때, 히데요시는 이케다 가쓰마사(池田勝正)와 아케치 미쓰히데와 함께 후위부대를 맡아 공을 세웠다. 그 후에도 아자이·아사쿠라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다. = = = 오다 정권 아래 = = = 덴쇼 원년(1573년) 아자이 가문이 멸문되자, 그의 영지였던 오미 3개군을 하사 받아 오다니 성에 입성하지만, 산성인 탓에 비와호 호변의 이마하마(今浜)에 성을 축조하고 지명을 나가하마(長浜)로 개명해 나가하마성주로 부임했다. 이 무렵 오다 가문 내 유력 가신 니와 나가히데와 시바타 가쓰이에로부터 한 자씩을 받아 성을 하시바(羽柴)로 개명하였다. 또, 오미의 인재를 발굴하여 옛 아자이 가문의 가신들과 이시다 미쓰나리 등 전도유망한 젊은이를 키워냈다. 덴쇼 4년(1576년) 에치고국의 우에스기 겐신과 대치중인 호쿠리쿠 방면군단장 시바타 가쓰이에를 구원하기 위해 파견되지만, 작전을 둘러싼 마찰로 무단으로 오미 나가하마로 귀환하였다. 그 후, 가쓰이에는 겐신에 패배하였다(데도리강 전투). 이에 오다 노부나가는 히데요시의 행동에 화가 났지만, 곧 용서하였고, 야마토국에서 반기를 든 마쓰나가 히사히데 토벌명을 받아 히사히데를 토벌했다(시기 산성 전투(信貴山城の戦い)). 그 후 노부나가의 주고쿠 공략을 명 받아 하리마국으로 진군했고, 하리마의 호족들은 히데요시 군에 굴복했다. 그들 중 고데라 가문의 가신 고데라 요시타카(小寺孝高; 후에 구로다 요시타카)는 히데요시에게 히메지성을 양도하였고, 히데요시는 가신으로 맞이하였다. 일부 히데요시에 반기를 표한 세력은 제1차 고즈키 성 전투(上月城の戦い)에서 멸하였다. 덴쇼 7년(1579년) 고즈키 성을 둘러싸고 주고쿠의 모리 가문과 일진일퇴를 거듭한 끝에 비젠국, 미마사카국 다이묘 우키타 나오이에를 복속시켜 모리 가문에 우위에 섰지만, 셋쓰국의 아라키 무라시게의 모반으로 인해 주고쿠 공략은 일시중단되었다. 덴쇼 8년(1580년) 오다 가문에 반기를 든 하리마 미키 성 성주 벳쇼 나가하루를 공격하던 도중 다케나카 시게하루와 후루타 시게노리(古田重則) 등 유력 가신을 잃었지만, 2년에 걸친 포위공격에 적들은 기아와 싸워야 했고, 마침내 항복하였다(미키 전투). 같은 해 다지마국 야마나 아키히로(山名堯熙)가 농성하는 아리코 산성(有子山城을) 공략, 다지마 국을 오다 가문 세력하에 둔다. 덴쇼 9년(1581년) 이나바 야마나 가문의 가신단이 야마나 도요쿠니(山名豊国)를 추방하고 모리 가문의 깃카와 쓰네이에(吉川経家)를 맞이하여 돗토리 성에서 반기를 들었다. 히데요시는 돗토리 주변의 병량을 매석해 돗토리 성을 병량고에 시달리게 하여 성을 함락한다(돗토리 성 전투(鳥取城の戦い)). 그 후에도 주고쿠 지방 일대를 세력하에 둔 모리 데루모토와의 전투를 계속하였다. 같은 해 이와야 성(岩屋城)을 공략해 아와지국을 세력하에 두었다. 덴쇼 10년(1582년) 빗추를 공략에 있어서 시미즈 무네하루가 지키는 다카마쓰 성을 수공으로 공략할 때, 모리 데루모토, 깃카와 모토하루,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등의 모리 가문의 대군이 맞이하여 오다 노부나가에게 원군을 요청하였다. = = = 혼노지의 변에서 기요스 회의 = = = 덴쇼 10년(1582년) 음력 6월 2일 주군인 오다 노부나가가 교토 혼노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반으로 자결한다(혼노지의 변). 빗추 다카마쓰 성 공략 중이던 히데요시에게도 이 사실이 알려졌는데, 히데요시는 노부나가가 혼노지에서 살해되었다는 소식이 바깥으로 새어나갈 것을 염려해, 소식을 갖고 온 사자를 직접 베어죽이고 성 공격을 더욱 급히 하면서, 바깥에는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성을 공격하는 한편으로, 모리 데루모토의 책사 안코쿠지 에케이에게 편지를 보내어 그를 군막으로 불러들여, "이 성의 함락은 조석간에 있소. 허나 난 수만 명의 목숨이 모조리 어륙(魚肉)이 되는 꼴은 차마 못 보겠구려. 성주께서 스스로 할복하신다면, 내 마땅히 군사를 파하고 화친을 하겠소." 하였다. 에케이는 이를 다카마쓰 성주 시미즈 무네하루에게 고했고, 무네하루는 곧 한 척의 배를 타고 나와서 강에서 할복하였다.(간양록) 그 직후 히데요시는 곧바로 데루모토와 강화를 맺고 당시로써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교토로 회군한다(주고쿠 대회군(中国大返し)). 히데요시의 출현에 당황한 아케치 미쓰히데는 음력 6월 13일 셋쓰(攝津) 야마자키(山崎)에서 히데요시와 전투를 벌였지만, 이케다 쓰네오키와 니와 나가히데, 더욱이 미쓰히데 예하의 나카가와 기요히데와 다카야마 우콘까지 히데요시 군에 가세하자, 미쓰히데는 패하여 토착민의 손에 살해된다(야마자키 전투). 미쓰히데를 죽인 뒤 히데요시는 군사를 거느리고 곧장 성으로 들어가 노부나가의 시신을 찾아내어, 그 머리를 갖고 산사(山寺)로 올라가 스무 하루 동안 재(齋)를 드렸다고 한다.(간양록) 이때 온 나라에 주군이 없어 군중들의 마음이 온통 걱정스럽고 불안했는데, 히데요시만이 태연스럽게 행동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었으므로, 여러 대신들이 감히 아무 소리도 내지 못했다고 간양록은 증언한다. 그 후, 히데요시는 미쓰히데 잔당을 토벌해 교토를 장악했다. 음력 6월 27일, 노부나가의 후계자 문제 및 영지 분할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기요스성에서 회의가 열린다(기요스 회의. 이 회의에서 오다 가문의 필두 가신 시바타 가쓰이에는 노부나가의 후계자로서 노부나가의 3남 간베 노부타카(神戶信孝, 후의 오다 노부타카)를 천거했지만, 미쓰히데 토벌로 공을 세운 히데요시의 입김과 이케다 쓰네오키·니와 나가히데의 지지도 있어 히데요시가 천거한 적손 산보시(三法師, 후의 오다 히데노부)로 결정되었다. 어린 산보시의 후견인으로서 간베 노부타카를 내세운 히데요시의 타협안에 시바타 가쓰이에도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오다 가문의 영지는 노부나가의 2남 노부카쓰에게 오와리, 3남 노부타카에게 미노, 조카 노부카네(信包)가 이세 북부와 이가가 주어졌고,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단고, 쓰쓰이 준케이는 야마토, 다카야마 우곤·나카가와 기요히데는 본령 안도가 주어졌다. 니와 나가히데는 오미 시가ᆞ다카시마의 15만 석이 가증되었으며, 이케다 쓰네오키는 셋쓰의 아마가자키(尼崎)·오사카의 15만 석이 더해졌으며, 호리 히데마사는 오미 사와야마(佐和山)를 받았다. 시바타 가쓰이에도 히데요시의 영지인 오미국 나가하마성 12만 석을 받게 된다. 히데요시 자신은 미쓰히데의 옛 영지였던 단바ᆞ야마시로ᆞ가와치의 28만 석이 더해졌다. 영지상으로는 히데요시가 오다 가문의 필두 가신이었던 가쓰이에보다 우위에 놓이게 되었다. = = =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대립 = = = 히데요시와 가쓰이에의 대립은 날이 갈수록 격화되었다. 원인은 히데요시가 야마자키에 호지 성(宝寺城)을 축성하였고, 더욱이 야마자키와 단바에 검지를 단행해 사적으로 오다 가문의 여러 다이묘들과 교분을 맺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덴쇼 10년(1582년) 음력 10월 가쓰이에는 다키가와 가즈마스와 오다 노부타카와 함께 히데요시에 대한 탄핵장을 여러 다이묘에 뿌렸다. 이에 히데요시는 음력 10월 15일 양자 하시바 히데카쓰(노부나가의 4남)를 상주로 해 오다 노부나가의 장례를 치려 위기를 빠져나갔다. 음력 12월 에치젠의 가쓰이에가 눈에 갇혀 움직이지 못한 것을 호기로 히데요시는 음력 12월 9일 이케다 쓰네오키 및 여러 다이묘를 규합하여 5만의 군을 이끌고 야마자키 호지 성을 출발해 11일 호리 히데마사의 사와야마 성에 들어갔다. 그리고, 가쓰이에의 양자 시바타 가쓰토요(柴田勝豊)가 지키는 나가하마 성을 포위한다. 원래 가쓰토요는 가쓰이에와 같은 양자인 시바타 가쓰마사(柴田勝政)와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히데요시의 조략에 응하여 항복하였다. 16일 미노로 출진해 이나바 잇테쓰(稲葉一鉄)를 항복시키고, 오다 노부카쓰의 원군에 힘입어 오다 노부타카의 가신 사이토 도시아키(斉藤利堯)가 지키는 가지키 성(加治木城)을 함락시켰다. 이렇게 하여 고립된 기후성의 오다 노부타카는 산보시를 히데요시에 넘겼고, 생모 사카씨(坂氏)와 딸을 인질로 보내 화의를 맺는다. 덴쇼 11년(1583년) 음력 1월 반 히데요시 파 중 한 명인 다키가와 가즈마스는 히데요시 측의 이세 미네 성(伊勢峰城)과 세키 성(関城), 이세 가메야마 성을 공략한다. 이에 히데요시는 음력 2월 10일 이세 북부로 군을 파견하였다. 12일 가즈마스의 거성 구와나 성을 공략하지만, 견고한 수비앞에 12 km 뒤로 후퇴하였다. 또, 히데요시가 조직한 별동대를 나가시마 성(長島城)과 나카이 성(中井城)에 파견했지만, 이마저도 맹열한 저항앞에 무위에 그쳤다. 그러나, 이세 가메야마 성은 가모 우지사토와 호소카와 다다오키, 야마우치 가즈토요의 공세앞에 음력 3월 3일 함락되었다. 이리하여 이세 전선에서는 점차 히데요시가 우위에 서게 된다. 음력 2월 28일 호쿠리쿠에서 가쓰이에의 마에다 도시이에가 선봉으로 출진했고, 음력 3월 9일에는 가쓰이에 자신이 이끄는 3만의 대군이 오미로 출발했다. 이에 히데요시는 이세 전선은 가모 우지사토에 맡기고 오미로 돌아와 11일 시바타 군과 대치하였다. 4월 13일 히데요시에 항복한 가즈토요의 가신 야마지 마사쿠니(山路正国)가 가쓰이에 측으로 이탈한 사건이 일어났고, 이에 더해 노부타카가 기후에서 다시 거병해 이나바 잇테쓰를 공격하는 등, 가쓰이에 측이 우위에 놓이게 된다. 20일 이른 아침, 가쓰이에의 중신 사쿠마 모리마사(佐久間盛政)는 히데요시가 미노로 출병한 틈을 노려 오이와산(大岩山)과 이와사키산(岩崎山)의 성채를 공격해 함락하였다. 그 후에도 모리마사는 공을 서둘러 가쓰이에의 명을 어긴채 함락한 성채에서 있었기 때문에 21일 신속히 회군한 히데요시의 반격을 받았고, 더욱이 도시이에의 배신도 있어 가쓰이에는 대패해 군을 에치젠으로 철수시킨다(시즈가타케 전투). 24일 가쓰이에는 마에다 도시이에를 선봉으로 한 히데요시 군에 기타노쇼 성이 공격당하자, 정실 오이치노 가타와 함께 자결하였다. 그리고, 가가와 노토를 마에다 도시이에에게 주었고, 에치젠은 이 전투에서 협력한 니와 나가히데에게 주었다. 음력 5월 2일(날짜에 관해서는 이설이 있음.), 미노를 공략해 오다 노부나가의 3남 오다 노부타카를 자결로 몰았고, 다키가와 가즈마스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리하여 반 히데요시 진영을 멸한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의 후계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한다. = = =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대립 = = = 덴쇼 12년(1584년) 오다 노부나가의 차남 오다 노부카쓰는 연하의 예를 하러 오라는 히데요시의 명령을 계기로 히데요시에 반발하며 대립하였다. 음력 3월 6일 히데요시와 내통하고 있다는 의심을 품고, 히데요시와의 전쟁을 말리는 중신 아자이 나가토키(浅井長時), 오카다 시게타카(岡田重孝), 쓰가와 요시후유(津川義冬)를 모살해 사실상 히데요시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 때, 노부나가의 맹우였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노부카쓰에 가담했으며, 이에 더해 이에야스와 내통하고 있던 조소카베 모토치카와 기이(紀伊) 사카이 무리(雑賀党)도 반 히데요시를 기치로 결기하였다. 이에 히데요시는 세키 모리노부(関盛信), 구키 요시타카, 오다 노부카네 등 이세의 여러 장수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다. 거취가 불분명한 미노의 이케다 쓰네오키를 오와리와 미카와를 주어 우군으로 맞이하였다. 음력 3월 13일 쓰네오키는 이누야마성을 지키고 있던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 나카야마 가쓰타다(中山雄忠)를 공략했으며, 이세에 있어서도 미네성을 함락하는 등, 공세를 펴갔다. 그러나, 이에야스, 노부카쓰 연합군도 곧 반격하여 하구로(羽黒)에 포진한 모리 나가요시를 격파했다(하구로 전투(羽黒の戦い)). 그런 후, 고마키(小牧)에서 진을 펴, 히데요시와 대치했다. 히데요시는 사이카 무리에 묶겨 오사카로부터 움직이지 않았지만, 21일 오사카를 출발해 27일 이누야마 성에 입성했다. 히데요시 군도 견고한 진지를 구축해 양 군은 장기대치 계속하여 전선은 교착되었다. 이 때, 하시바 군 10만, 오다·도쿠가와 연합군 3만이라고 한다. 그러던 중, 앞선 전투에 패해 설욕을 다짐하는 나가요시와 쓰네오키가 히데요시의 조카 미요시 히데쓰구(후의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총대장으로 옹립해 음력 4월 6일 미카와 기습을 단행한다. 그러나, 음력 4월 9일 이를 간파한 도쿠가와 군의 역습을 받고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쓰네오키, 모토스케 부자와 나가요시 등은 전사했다(나가쿠테 전투(長久手の戦い)). 이렇게 하여 히데요시의 압도적인 병력에도 불구하고, 전황은 교착되어 갔다. 이에 히데요시는 가가노이 시게모치(加賀井重望)가 지키고 있는 가가노이 성(加賀井城) 등, 노부카쓰 측 이가, 이세를 공략해 갔다. 음력 11월 11일 오다 노부카쓰는 사실상 히데요시에 굴복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상의 없이 무단으로 히데요시와 강화를 맺었다. 이에 대의명분을 잃은 이에야스는 미카와로부터 철퇴하였다. 그리고, 이에야스는 차남 오기마루(於義丸; 후의 유키 히데야스)를 히데요시의 양자로 삼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었다. 전후, 히데요시는 곤다이나곤(権大納言)에 임관되었다. 사실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하였으나 노부카쓰의 배신으로 인하여 이에야스가 대의 명분에서 밀리면서 전쟁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결국에게 굴복하고 말았다. 덴쇼 14년(1586년) 히데요시는 이미 소에다 요시나리(副田吉成)에게 시집을 가서 유부녀가 된 여동생 아사히를 강제로 이혼시킨 뒤 이에야스에 시집 보냈으며, 더욱이 어머니 오만도코로를 인질로 이에야스에게 보내 이에야스의 입경을 제촉하였다. 이에야스도 이에 승복해 상경하였고, 히데요시에게 신종을 맹세했다. = = = 도요토미 정권 = = = 덴쇼 11년(1583년) 이시야마 혼간지 터에 오사카성을 축조한다. 분고국 다이묘 오토모 소린이 그 화려함에 놀라〈삼국무쌍의 성이다.〉라고 칭했다. 그러나 성의 일부분에 방어상 문제가 있어 히데요시 자신도 그 점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후에 오사카 전투에서 사나다 노부시게가 방어가 취약한 남쪽에 사나다마루라고 불리는 성채를 쌓아 방어를 강화해 도쿠가와 측을 괴롭혔다.). 덴쇼 12년(1584년) 조정에서 쇼군 임관을 권했지만 일본의 첫 막부인 가마쿠라 막부를 설립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쇼군은 반드시 겐지(源氏)만이 될 수가 있다.'라는 것을 정해놓았기 때문에 평민 출신이었던 히데요시는 겐지와 연관될 그 어떤 것도 갖고 있지 않았고, 쇼군이 되지는 못했다. 덴쇼 13년(1585년) 음력 3월 10일 히데요시는 정2위 내대신(内大臣)에 위계 임관되었다. 그리고, 21일 기이 공략에 나서 사이카 무리와 전투를 벌인다. 최종적으로 도도 다카토라에 명하여 사이카 무리의 수령 스즈키 시게오키(鈴木重意)를 모살하여 기슈(紀州)를 평정하였다(기슈 정벌). 또, 시코쿠의 조소카베 모토치카에 대해서는 동생 하시바 히데나가를 총대장에 임명해 출진시겼다. 이 전투에서 모리 데루모토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등의 모리 군도 가세하여 음력 7월 25일 시코쿠를 평정했다. 모토치카에게는 도사국만 그에게 주었다(시코쿠 정벌). 음력 7월 11일 예전부터 관백직을 둘러싼 내분이 다시금 불거지자, 히데요시는 고노에 사키히사의 조카가 되어 관백(關白)직에 올랐고, 덴쇼 14년(1586년) 음력 9월 9일 조정으로부터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 음력 12월 25일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올라 정권을 확립했다(도요토미 정권). 이에 더해, 히데요시는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양자가 되어 도요토미 막부를 열려고 했지만, 요시아키가 거절해 칸파쿠 직에 올랐다는 속설이 있다. 이는 후세의 창작이다. 엣추의 삿사 나리마사에 대해서는 음력 8월 직접 군을 이끌고 도야마로 진군했지만, 거의 전투없이 음력 8월 25일 나리마사는 히데요시에 항복하였다. 오다 노부카쓰의 조력도 있었기 때문에 히데요시는 나리마사를 용서하고 엣추 국 니카와군(新川郡)을 주었다. 이리하여 기이, 시코쿠, 엣추를 세력하에 두었다. = = = 규슈 평정 = = = 규슈에서는 시마즈 요시히사가 세를 떨치고 있었고, 시마즈 가문에 압박에 오토모 소린은 히데요시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히데요시는 시마즈 요시히사에게 항복을 권고하지만, 요시히사를 이를 거부하여 규슈에 군을 보낸다. 덴쇼 14년(1586년) 분고 헤쓰기 강(戸次川; 현 오노강)에서 센고쿠 히데히사를 군감으로 해, 모토치카, 노부치카 부자, 소고 마사야스(十河存保), 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로 구성된 혼성군으로 시마즈 이에히사가 이끄는 시마즈 군과 싸워보지만, 센고쿠 히데히사의 실책에 의해 헤쓰기가와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조소카베 노부치카와 소고 마사야스는 전사했다. 덴쇼 15년(1587년) 히데요시 스스로 20만 대군을 이끌고 본격적으로 규슈를 공략한다. 이에 시마즈 군은 압도되어 시마즈 가문은 항복했다(규슈 정벌). 이렇게 하여 서일본 전역은 히데요시 세력하에 놓이게 된다. 전후, 하카타에서 히데요시는 바테렌 추방령을 반포했지만, 사실상 기독교인은 묵인되었다. 덴쇼 16년(1588년) 가타나가리를 실시했다. = = = 오다와라 평정 = = = 덴쇼 17년(1589년) 측실 요도도노 사이에서 쓰루마쓰(鶴松)가 태어나, 후계자로 지명하였다. 같은 해 고호조 가문의 가신 이노마타 구니노리(猪俣邦憲)가 사나다 가문의 가신 스즈키 시게노리(鈴木重則)가 지키고 있던 나구루미 성(名胡桃城)을 탈취한 일을 계기로 덴쇼 18년(1590년) 히데요시는 고호조 가문을 제압하기 위해 자신에게 복종하는 모든 다이묘들을 소집한 뒤 육군, 수군을 합친 총 병력 21만의 대군을 이끌고 간토로 출병, 호조 가문의 거성인 오다와라성을 포위했다. 당시 도요토미 군측 다이묘들 도요토미 군 총 병력 도합 21만명 약 17만명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구로다 요시타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이시다 미쓰나리, 다치바나 무네시게, 시마즈 요시히로, 오타니 요시쓰구,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다테 마사무네, 오다 노부카쓰, 도요토미 히데나가, 우키타 히데이에, 호소카와 다다오키, 깃카와 히로이에, 호리 히데마사, 이케다 데루마사, 아사노 나가마사, 나쓰카 마사이에, 이시카와 가즈마사, 마시타 나가모리, 다카야마 우콘, 쓰쓰이 사다쓰구, 하치스카 마사카쓰, 오토모 요시무네 등 약 1만명 조소카베 모토치카, 가토 요시아키, 구키 요시타카, 와키자카 야스하루 등 약 3만 5천명 마에다 도시이에, 우에스기 가게카쓰, 사나다 마사유키 등 태합기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무쓰, 데와의 여러 다이묘에게 오다와라 공격에 동참할 것을 명하지만, 다테 마사무네는 뒤늦게 동참한다. 히데요시는 마사무네를 '꿈틀데는 벌레'로 평했고, 마사무네는 히데요시를 두려워했다고 한다. 히데요시는 대기, 천위, 모든 사람에 미치지 않고 평했고, 격이 다름을 보였다. 마사무네가 보기 좋게 귀향하자, 여러 무장들은 호랑이를 풀어주면 위험하다고 진언했지만, “반항하면 토벌하면 그만”이라고 말했고, 여러 무장들은 그 말에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오다와라성은 우에스기 겐신과 다케다 신겐도 함락하지 못한 견성이였지만, 계절적 이유로 철병해야하는 여타 군과 달리 도요토미군은 히데요시에 의해 군사와 농민을 분리하는 정책인 병농 분리 정책으로 인해서 언제든지 출병과 철병이 가능했고, 당시 호조 가문의 당주였던 호조 우지나오와 당주 자리에서는 물러났지만 여전히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던 호조 우지마사의 의견 대립 등으로 인해서 내부의 단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호조 가문의 오다와라 성은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3개월의 농성 후, 개성하였다. 호조 우지마사, 호조 우지테루(北条氏照)는 할복을 명 받았고, 호조 우지나오(北条氏直)는 고야 산(高野山)으로 추방되었다(오다와라 정벌). = = = 일본 통일 = = = 최후의 적 고호조 가문을 굴복시켜 일본을 통일했다. 히데요시는 오랫동안 계속된 전국시대를 마감시겼다. 그러나, 다테 마사무네와 같이 군사력으로 제압하지 않은 다이묘가 많이 있었고, 이들 다이묘의 군사력은 온전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유력 다이묘의 처우문제가 도요토미 정권의 과제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신분이 너무 미천해서 정이대장군에 오를 수 없었다. 하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일본을 지배하고 싶어했으며 이 때문에 아시카가 요시아키까지만 정이대장군을 하는 것으로 규정을 선포하고 덴쇼 16년(1588년)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정이대장군에서 퇴직하자마자 바로 정이대장군 직을 폐지하고 관백 신분으로 일본의 지배자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이묘끼리 혼인을 맺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을 신설했는데 그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었다. 이 질문을 못하게 막기 위해서였다. 세력이 약한 다이묘가 저 질문을 하면 불경죄로 처단하면 그만이지만 다이묘들 간에 세력이 커지게 되면 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야 하는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절대 답변을 할 수가 없었다. 자기가 임명될 수 없어서 폐지했다고 말하기에는 매우 곤란했기 때문이다. 본인이 취임할 수 없어서 폐지했다고 인정할 경우 천황직도 폐지할 인간이라는 낙인이 찍혀 전 일본 민족 공공의 적이 되어버린다. 덴쇼 19년(1591년) 후계자로 지명했던 쓰루마쓰가 병사하자, 조카 히데쓰구를 양자로 맞이해 관백직을 양도했다. 그리고, 히데요시 자신은 태합(太閤)으로 불렸다. 또, 다도인 센노 리큐에 할복을 명했다. 이에 리큐의 제자 후루타 오리베(古田重然), 호소카와 다다오키 등의 탄원도 있었지만, 무위에 그쳤고, 리큐의 목은 이치조모도리 다리(一条戻橋)에 효수되었다. 센노 리큐가 할복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 해, 도호쿠 지방의 난부(南部) 가문 일족, 구노헤 마사자네(九戸政実)가 후계 다툼을 계기로 난을 일으킨다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히데요시는 난부 노부나오(南部信直)의 구원 요청을 받아들여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총대장으로 가모 우지사토,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로 구성된 군을 도호쿠에 파견하였다. 도호쿠의 여러 다이묘도 이에 동참하여 군은 6만으로 늘어났다. 구노헤 마사자네, 사네치카(実親) 형제는 항전하지만, 중과부적으로 끝내 항복하였다. 그 후, 구노헤 가문은 모두 참수되었고, 멸문되어 난은 종결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본에서 가장 낮은 신분이었던 자가 일본의 지배자로 등극했다. 이로 인해 현대의 일본인들은 정말 밑바닥부터 올라와서 최고의 자리에 도달한 사람을 금태합(今太閤: 현대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이라 부르게 되었다. = = = 임진왜란 = = = 분로쿠·게이초의 역라고도 하는 임진왜란은 분로쿠 원년(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도하에 일본이 명나라의 정복과 조선의 복속을 목표로 16만의 군으로 한반도 남부에 침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조선군을 격파하고 파죽지세로 한성, 평양을 점령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였지만,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과 명의 원군, 그리고 이순신의 조선수군으로 인해 전황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분로쿠 2년(1593년) 명과의 강화 교섭이 시작된다. = = = = 임진왜란의 원인 = = =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유력 다이묘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공명심과 영웅 심리에서 기인했다는 설. 뒤늦게 얻은 아들 쓰루마쓰가 죽은 비통함에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해외무역 장악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주군이었던 오다 노부나가의 대륙 진출 계획에 영향을 받아, 통일 이후 그것을 실현시켰다는 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야욕을 이루기 위해서였다는 설. 그래서 강화조건에 명나라 후비를 일본에 바치라는 것과 조선팔도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했다. 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가신이 없고 막부를 세워 쇼군의 권위로 통치하는 것도 불가능하자 도요토미 정권의 불투명한 영속성 개선 즉, 영지하사를 통한 정권안정을 확보하려고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일본 내부 갈등을 밖으로 돌리기 위했다는 설 일본 내에서 최고의 세력을 장악한다 할지라도 세력가는 결국 천황의 신하에 불과하다. 다만 그 세력가가 막부를 세운다면 천황의 명령을 수행하기 보다는 천황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독자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이는 12세기 겐페이 전쟁에서 승리한 겐지(源氏)에게 주어진 특권이었다. 다시 말해 겐지의 피를 이어 받은 자만이 쇼군의 지위에 올라 막부를 세울 자격이 있다는 게 상례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겐지는커녕 천출(무사 집안 출신이 아님)인 까닭에 상례적으로 쇼군이 될 수 없었다. 그가 쇼군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과거 자신들의 영토를 회복하고 그를 방해하는 오랑캐를 물리쳐 승전군이 되어 천황에게 다시 대장군의 칭호를 받아 막부를 구성하는 것뿐이었다. 이를 위해 과거 영토라고 주장하는 미나미(임나)에 해당하는 조선 남부를 회복(히데요시의 관점)하고 이에 반대하는 명나라 군대를 섬멸하는 것만이 막부를 구성하고 쇼군이 될 명분을 얻는 유일한 길이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영지들을 무사들에게 하사함으로써 천출인 까닭에 늘 불안했던 가신관계를 굳건히 만들고자 했다. 그것을 위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8년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 = = =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 = = = 도쿠가와 이에야스, 소 요시토시, 고니시 유키나가, 다테 마사무네, 시마즈 요시히로 등의 상당수의 다이묘들이 조선으로 군사를 내는 것에 반대 하였으나, 히데요시는 여러 다이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진을 강행했다. 이에야스는 풍토병과 황무지 개간 및 지배 지역의 치안 문제 등, 갖은 변명을 둘러대며 기어이 불참하였고, 자신의 군대를 온전히 보존시켰다. 사실 히데요시가 이에야스에게만은 임진왜란 출전을 강요할 수 없었던 까닭은 그가 자신과 맞상대가 가능한 세력이란 걸 의식했기 때문이다. 또 히데요시가 조선에 직접 출병하지 못하고 자기 수하만 보낸 까닭도 여기에 있다. 비록 일본 제일의 실력자가 되었다고는 하나 히데요시 자신이 자리를 비운다면 일본 국내 정세가 어떻게 돌아갈지 스스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 = = = 임진왜란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작전의 의도 = = = = 히데요시는 일찍이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가 종교간의 문제(유키나가는 로마 가톨릭, 기요마사는 불교), 성격적 문제(유키나가는 온건파, 기요마사는 급진파)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앙숙이라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에 오히려 그 둘을 임진왜란의 선봉장으로 삼았다. 그 이유인 즉 유키나가와 기요마사로 하여금 서로 경쟁하게 하여 최대한 빨리 조선을 점령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수군과 조선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활약으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들은 장기전에 돌입해야했다. 이순신은 남해의 재해권을 확보하면서 일본에서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에 군수물자 공급을 차단시켰고, 이것은 함경도까지 진출했던 기요마사와 평양성에 주둔해있던 유키나가가 남쪽으로 서둘러 후퇴하게 만드는 큰 원인이 되었다. = = = = 군사력 증강 = = = = 히데요시는 전투 부대의 병종을 기병과 보병 두 가지로 대별하고 사무라이대장(侍大將)의 지휘 하에 기병, 총병, 궁병, 창검병 등의 단위대를 편성한 후에 각조 지휘관으로서 기사와 보사를 두었다. 이렇게 변모된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여 1586년 무렵에 대규모 건조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조선 침공 직전에 전함 천여 척을 이미 확보한 데에 이어서 종전 무렵에는 3천여 척이나 되는 대규모 선단을 보유할 수가 있었고 조선을 침공하기 직전인 1591년에는 사이카이도, 난카이도, 산요도, 산인도, 기나이와 그 동방 일부 지역에 동원령을 내려서 병력 33만을 동원할 준비하였다. 1586년 히데요시는 일본 수군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럽의 범선인 카락과 갤리온 구입을 시도했었는데 포르투갈인의 거절로 구입에는 실패했다이상윤 (2010년 2월 22일)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297쪽. .대신 당시 일본에 진출한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를 통해 포르투갈 군함의 지원을 요청하고 승낙까지 받았으나 예수회와 관계가 악화되며 바테렌 추방령을 내리며 무산된다.윤재필16세기 예수회의 일본 선교 연구 : 일본 선교의 부흥과 쇠퇴의 요인 분석을 통한 적절한 일본 선교 전략의 모색(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 = = 바테렌 추방령 = = = 1586년 5월 예수회의 일본 선교 총책임자인 코엘료는 오사카 성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알현해 대환영을 받았다. 그 자리에서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규슈정복과 조선에 출병해 중국 대륙을 침공할 계획을 털어 놓았으며, 그 협력도 요청했다. 그리고 만약 조선과 중국 정복에 성공하면 중국 각지에 교회를 지을 수 있도록 선교사들을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실제로 그 때가 오면 포르투갈 군함 2척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무장한 포르투갈선의 채비를 의뢰했지만, 그것 보다도 규슈에는 예수회의 일본 선교의 본거지가 있으며, 거기에는 유력한 로마 가톨릭교도 영주도 있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에게는 큰 영향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코엘료는 히데요시의 계획에 찬동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는 큐슈의 로마가톨릭교도 영주들과의 합동 작전을 하는 것은 어떤지 제안을 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실제로 선교를 우위에 서서 실시하기 위해 크리스천 영주들을 지원하려고 필리핀으로부터 함대를 파견받도록 1585년에 요청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코엘료 뿐만 아니라 당시에 많은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 선교사들이 공유하는 것이었다. 코엘료로서는 원래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생각이라고 동조한 히데요시의 계획을 듣게 되어서 히데요시를 기쁘게 하면서 자신도 기뻐 신바람이 나서 그처럼 대답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대로 화가 되었다. 코엘료의 대답을 들은 히데요시는 큐슈의 크리스천 영주들의 군대는 코엘료를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의 생각으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히데요시는 이 때문에 예수회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게 된다. 코엘료는 한척의 후스타선(Fusta 船)을 건조하고 대포를 몇개 구입했다. 그리고 코엘료는 자신이 그것을 타고 일본의 여기저기 각지를 돌아다녔다. 히데요시가 규슈 정벌을 위해 하카타에 왔을 때 코엘료는 마치 대제독과 같은 모양으로 이 배를 타고 해상에서 히데요시를 방문했다. 1587년 6월 규슈평정을 끝마친 히데요시는 하카타 근처에 개선해 와서 같은 달 10일에 코엘료의 배에 탑승해 하카타만 위에서 매우 사이 좋게 담소했다. 히데요시는 그 배에 탑승해서 선내를 상세하게 관찰하고 많이 칭찬하면서도 이것은 틀림없이 군함이다고 말했다. 히데요시가 본 코엘료의 포르투갈 군함은 매우 훌륭한 것이어서 히데요시는 막강한 군사력과 기리시탄 영주들을 거느린 예수회에게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이후 히데요시는 곧바로 5개 항목에 걸치는 바테렌(反天連) 추방령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추방령은 예수회가 자숙하고 히데요시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배편이 없다는 문제도 있고 해서 실제로 이행되지는 않았다. 또 예수회의 동인도 순찰사인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동인도 선교 총 책임자로 코엘료 신부를 일본 책임자로 임명한 사람)는 1591년 3월 3일 (덴쇼 19년 윤 1월 8일 ) 주라쿠 다이에서 히데요시를 만나 히데요시의 추방령을 무효화 시키도록 값비싼 선물을 히데요시에게 뇌물로 주고 추방령을 유야무야 시킨다. 윤재필16세기 예수회의 일본선교 연구(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 = = 도요토미 히데쓰구 사건 = = = 한편, 분로쿠 2년(1593년) 측실 요도도노가 히데요리를 낳자, 히데쓰구와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심각한 상황에 빠진다. 2년 후인 분로쿠 4년(1595년) 관백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악정과 난행을 이유로 폐적시키고, 고야산으로 추방했다. 후에 모반의 혐의가 있다는 이유로 할복시킨다. 이 사건으로 인해 히데쓰구의 보좌역인 마에노 나가야스 등 유력 가신이 연좌되어 죽거나 유배되었다. 또, 히데쓰구 일가도 처형되었다. 히데쓰구의 난행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고, 아들 히데요리의 방해꾼이 될 가능이 있는 히데쓰구를 처분했다는 견해와 이 일로 인해 도요토미 다이묘의 결속이 저해되어 세키가하라 전투의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 = = 정유재란 = = = 분로쿠 5년(1596년) 계속되어 왔던 명과의 강화 교섭이 결렬되어, 게이초 2년(1597년) 14만의 군으로 조선을 재침략하였다. 칠천량해전을 시작으로 2개월 동안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석권하고, 경기도로 나간 후, 조선 남해안에 왜성을 축조하여 장기 점령을 꾀한다. 이 후, 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한 후, 전선을 축소하려는 무단파와 문치파간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 팔도 중에 남부의 4개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명나라 황녀를 일본 덴노와 혼례시킬 것 등의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만큼 무리한 요구를 한 탓에 강화가 결렬되었다. 문제는 중간에서 외교를 담당하던 심유경이 명나라에 거짓으로 보고를 했기 때문에 도요토미의 분노가 극대화되어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 = = 죽음 = = = 게이초 3년(1598년) 음력 8월 18일 고다이로 필두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보호역을 맡은 마에다 도시이에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후시미성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위암으로 병사했다고 알려져있다. 향년 62세. 그날 안으로 히데요시는 아미다산에 매장되었다. 히데요시의 묘는 화려하게 조성되었지만, 병력의 사기 문제에 미쳐가는 조선에 출병되어 있는 왜군들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을 알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장례는 치러지지 않았으며 그의 죽음을 비밀로 하였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무덤은 폭파되어 소멸되고 만다. 이는 조선과의 외교관계 회복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임진왜란의 원인이 된 장본인의 무덤을 처단함으로써 조선에 임진왜란이 히데요시의 강요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전쟁이었음을 보여야만 했기 때문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도요토미 히데요리 마저 후사가 없는 상태에서 1615년 도쿠가와 가문의 습격을 받아 어머니 요도도노와 오사카 성에서 자결하는 바람에 도요토미 가문은 2대로 끊어지고 말았다.(히데요리에게는 아들 도요토미 구니마쓰와 딸 나아히메(덴슈니)가 있었으나 어린 쿠니마쓰마루는 오사카 전투이후 초소카베 모리치카 등의 도요토미 가신들과 도주하다 잡혀 로쿠조와라에서 효수당하였고, 유이히메는 승려가되었으나 30대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게이초 7년(1603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이대장군으로 취임하면서 해당 관직은 부활하였다. = = = 임진왜란의 종료와 그 결과 = = = 이후, 조선에 주둔하고 있었던 일본군은 철수하였고, 노량 해전을 마지막으로 7년간 끌어오던 전쟁은 끝이 났다. 전쟁을 통해 도공을 납치 및 활자를 포함 많은 문화재의 약탈로 도자 문화나 인쇄기술의 발전을 꾀한 반면, 전쟁기간 동안에 일어난 문치파와 무단파간의 갈등 및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대두로 도요토미 정권은 막을 내리고, 도쿠가와 정권의 에도 시대가 도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병자호란이 겹쳐 조선과 일본의 관계는 급격하게 호전되기도 했다.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국토가 황폐화되어 재건에 박차를 가해야 했고 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 광해군 집권기에는 명과 후금 중에 조선에 유리한 외교정책을 펴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율했으나, 명의 은혜를 저버리면 안된다는 명분하에 인조반정이 일어난다. 인조반정 때문에 외교를 조율할 광해군이 없어진 조선은 후금과의 갈등이 극대화되었고, 때마침 명나라마저 멸망하여 곧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명나라는 임진왜란으로 인해 국방력이 약화되었고, 후금이 대두되어 왕조가 교체되었다. 한편 도요토미 정권 역시 내전으로 붕괴하고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이로 인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적극적으로 조선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 인물평 = = 도요토미는 내정보다는 전쟁에 어울리는 리더라는 견해가 있다. 특히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장기적으로 부하들을 응집시키는 데에 실패한 히데요시는 결국 그 특유의 전투 지휘관 기질을 발휘하는 쪽으로 정치노선을 변경했고, 이를 위해 임진왜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이는 #원인1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내정과 관련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타나가리나 태합검지를 통해 병농분리와 노동력의 생산력 향상에 힘썼으며, 이 정책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 막부의 정책으로 계승되기도 하였다. 간양록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일본을 찾아온 조선의 사신에게 회답 서신을 만들게 하면서 군사를 일으킬 것이라는 말을 분명히 적게 했다고 한다. 휘하 가신들이 "일단 좋은 말로 회답 서신을 만들어 보내고 나서 갑자기 쳐들어가야 합니다."라고 간하자 히데요시는 "그러면 자고 있는 사람의 목을 치는 것과 뭐가 달라? 지금 솔직하게 써서 보내고, 그래서 상대방이 미리 준비하게 해준 다음에 승부를 내야지."라고 대답하며 듣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명나라 사람으로 사쓰마국을 오가면서 약 장사를 하던 허의후(許宜後)가 일본의 사정을 상세하게 적은 기밀봉사(機密封事)를 명나라 조정에 보고하려다, 이웃에 사는 명나라 사람에게 고발당했다. 잡아들인 허의후를 좌우에서 모두 삶아 죽이자고 했지만, 히데요시는 "저 놈은 명나라 사람이야. 제 조국인 명나라를 위해 적국인 우리의 일을 알려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 게다가 나는 남이 생각지도 않는 틈을 노리는 건 싫어. 명나라가 미리 준비하게 하면 좀 어떤가? 그리고 예로부터 제왕(帝王)은 다 초야(草野)에서 일어났어. 명나라에, 난 원래는 천한 사람이었소 하고 알리는 것도 해로운 일은 아니야." 하고서, 거꾸로 허의후를 밀고한 사람에게 "네놈도 명나라 사람이면서 같은 명나라 사람을 밀고하다니, 너야말로 추악한 놈이야!"라 욕했다. 그리고 허의후는 끝내 죄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인물이 경박하고 탐욕스러우며 여자를 밝혔다. 또한 매우 잔인하여 조선 침략을 했을 당시 조선 주민들을 남김없이 살해하라고 지시했으며 그래서 수급을 모았는데 이게 너무 무겁자 수급 대신 귀나 코로 베어서 모아오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그래서 일본군에게 살해당한 조선 백성들의 귀를 모아서 일본에 가져가 만든 무덤인 귀무덤이 존재하게 되었다. 또한 순간 판단력과 순발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매우 뛰어났고 이로 인해 오다 노부나가의 총애를 받기도 했지만, 학문은 전혀 익히지 않아 문맹인 탓에 사이쇼 조타이가 히데요시에게 글을 읽어주는 역할을 전담해야만 했다. 또한 순간적으로 판단해서 즉석에서 일을 해결하는 능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장기적 안목으로 바라보고 해결해야 하는 일이나 정책현안에서 오랜 기간동안 추구해야 되는 부분에서 매우 무능했으며 이렇게 즉석에서 일을 처리하는 것에만 능한 탓에 이 문제를 극복하려고 임진왜란을 일으켰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는 별개로 모든 일을 적극적으로 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싸움을 못했지만 싸울 일이 있으면 제일 앞장서서 참전했다. 스노마타성, 이시가키 산성을 하룻밤에 완성했다는 이야기와, 가나가사키에서의 퇴각에 있어 후위부대를 맡은 일, 다카마쓰 성 수공(高松城の水攻め) 등 그의 재능을 살린 많은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고, 농민 출신에서 천하인의 자리에까지 오른 그의 생애는〈센고쿠 시대 제일의 출세가〉라는 정평이 나있다. 그는 출신이 하찮아서 당시 위세가 있던 쇼군이 될 수가 없었고 따라서 당시 실질적으로 대단한 취급을 못받던 천황가어떻게 보면 후기의 메이지 유신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기여한 바도 크다.의 위세파괴된 교토 황궁을 다시 건설해서 주고 부하들도 주고 엄청난 재산도 주었다.를 어느 정도 살려주고 천황이 내리는 최고의 명예직인 태정대신과 천황의 권한을 대행할 수 있는 관백에 제수받아 무사 귀족일본 위키백과에 의하면 쇼군은 시종에 불과한 사무라이와 달랐다. 그래서 명목상으로만 위세 있던 공가와 다르게 되기 어려웠다. 유럽에서 교황이 명목상으론 왕보다 높으나 교황의 위세가 점점 없어지는 시기가 되면 왕을 차지하는 가문들보다 하찮은 가문들도 교황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다.이 아닌 천황의 신하로서 일본 대부분의 주인이 되었다. 그는 사실 매우 쇼군이 되고 싶어 했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불러서 자신을 양자로 해달라고 부탁『義昭興廃記』『豊臣秀吉譜』 畿内戦国軍記集 和泉選書39 1989年1月15日初版第1刷発行 青木晃、加美宏、藤川宗暢、松林靖明編 和泉書院発行。そもそもは、加賀市立図書館聖藩文庫蔵하기도 했으나 실패하였고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도 쇼군이 되기 위해서였다는 주장도 있다. 과거 쇼군의 명분이 오랑캐 토벌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조선이라도 정복에 성공했다면 천황을 이용하여 쇼군이 되었을 수도 있다. 일본어 위키백과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문서에서는 사무라이들을 중시한 과거의 통설과 다른 견해도 있으나 아직도 무가관백제의 취약성에 대한 반론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도요토미의 정권 시스템은 본인이 억지로 유지하는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에서 순식간에 멸망해버렸다. 더구나 마찬가지로 좀 어이없이 망한 오다와 비교해서도 위세가 약한 면이 있었고 심지어 쇼군이 된 도쿠가와는 도요토미와 달리 천황파의 지지가 딱히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천민식 행패만 적을 뿐이지 천황조차 억누르는 금중병공가제법도천황가의 일거수 일투족을 통제하는 법령이다. 적어도 도요토미는 천황의 명령을 거부하는 선에서 그쳤으나, 도쿠가와는 숫제 위계서열이 역전되어 쇼군이 천황을 관리 및 통제하는 지경까지 갔다. 등으로 도요토미 정권을 능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가 어떤 의도로 임진왜란을 일으켰든 간에, 임진왜란으로 인해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무고한 조선인들을 대량 살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개전 초반 정발, 윤흥신, 송상현이 사또로 부임해 있는 부산진, 다대포, 동래는 마을 자체가 몰살 당했다.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나머지 인생이 어떻든 간에 임진왜란에 대한 비판은 절대로 피할 수 없다. 이는 일본인들의 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실제로 NHK 대하드라마 군사 간베에에서 진짜로 임진왜란이 나온다. = = 신체적 특징 = = 모습이 원숭이를 닮아 어렸을 때 이름이 였다. 또한 그는 키가 작고 추한 얼굴이었고, 오른손의 손가락이 6개인 다지증이였다.도요토미 히데요시 다지증 관련 기사 그의 키는 오늘날 기준으로 약 140cm 가량이며, 인류 역사상 이보다 키가 작은 국가 지도자는 멕시코의 대통령인 베니토 후아레스(137cm) 정도 밖에 없다. 다지증과 관련된 유일한 기록은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의 ' 프로이스 일본사 '(Historia de Iapam)뿐이다. = = 가족 = = = = = 처첩 = = = 정실 : 키타노만도코로 - 스기하라 사다토시의 딸. 네네 측실 : 미나미도노 - 일설로는 야마나 토요쿠니의 딸이라고 하나, 성씨가 불명. 또는 오요노카타 (아자이가 유필, 이시다 나가라쿠안의 딸) 장남 : 하시바 히데카츠 (이시마츠마루) 딸 : 이름 불명 측실 : 요도도노 - 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챠챠 차남 : 도요토미 츠루마츠 3남 : 도요토미 히데요리 측실 : 미나미노츠보네 - 야마나 토요쿠니의 딸 측실 : 마츠노마루도노 - 쿄고쿠 타카요시 딸 타츠코 측실 : 마아히메 - 마에다 토시이에의 딸 측실 : 카이히메 - 나리타 우지나가의 딸 측실 : 산노마루도노 - 가모 우지사토의 양녀. 오다 노부나가의 딸 측실 : 산죠도노 - 가모 카타히데의 딸 토라 측실 : 히메지도노 - 오다 노부카네의 딸 측실 : 히로사와노츠보네 - 나고야 케이카츠의 딸 측실 : 게츠케이인 - 아시카가 요리즈미의 딸 시마코 측실 : 코우노마에 - 타카다 지로에몬의 딸 타네. 후에 다테 마사무네, 오니니와 츠나모토의 측실이 됨 측실 : 엔유인 - 미우라 노토노카미의 딸 오후쿠 (호센니). 우키타 히데이에의 생모 = = = 양자 = = = 하시바 히데카츠 - 오다 노부나가의 4남 오츠기마루 도요토미 히데카츠 - 누나 토모와 미요시 요시후사의 차남. 하시바 히데카츠라는 이름으 이음. 도요토미 히데츠구 - 누나 토모와 미요시 요시후사의 장남 이케다 테루마사 - 이케다 츠네오키의 차남 이케다 나가요시 - 이케다 츠네오키의 3남 유우키 히데야스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 코바야카와 히데아키 - 키노시타 이에사다의 5남. 고다이인의 조카 = = = 양녀 = = = 고히메 - 마에다 토시이에의 딸. 우키타 히데이에의 정실 마아히메 - 마에다 토시이에의 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키쿠히메 - 마에다 토시이에의 서녀. 요절. 오히메 - 오다 노부카츠의 딸.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 요절 치쿠린인 - 오오타니 요시츠구의 딸. 사나다 노부시게의 정실 다이젠인 -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딸. 모리 히데모토의 정실 챠챠 - 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하츠 - 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쿄고쿠 타카츠구의 정실 고우 - 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사지 카즈나리의 정실 → 도요토미 히데카츠의 정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 이토히메 - 하치스카 마사카츠의 딸. 쿠로다 나가마사의 정실 우키타 나오이에의 딸 - 킷카와 히로이에의 정실 = = = 유자 = = = 우키타 히데이에 - 우키타 나오이에의 적남. 양녀의 사위이자, 데릴사위이기도하다 토시히토 친왕 - 사네히토 친왕의 6남. 후에 하치죠노미야 창설 다테 히데무네 - 다테 마사무네의 서자 코노에 사키코 - 코노에 사키히사의 딸. 고요제이 천황의 뇨고 = = 관련 작품 = = = = = 드라마 = = = = = = = 한국 = = = = 《불멸의 이순신》 (2004년 ~ 2005년, 배우 : 이효정) 《징비록》 (2015년, 배우 : 김규철) 《임진왜란 1592》 (2016년, 배우 : 김응수) 《임진왜란》 (1985년, 배우 : 정진) 《불의 여신 정이》 (2013년, 배우 : 안석환)'정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장, 중요한 이유 《왕의 여자》 (2003년 ~ 2004년, 배우: 정승현) = = = = 일본 = = = = 《태합기》(1965년, 배우:오가타 켄) 《하늘과 땅과》(1969년, 배우:하마다 미츠오) 《봄의 언덕길》(1971년, 배우:나카무라 시카쿠) 《나라 훔친 이야기》(1973년, 배우:히노 쇼헤이) 《황금의 나날》(1978년, 배우:오가타 켄) 《여자 태합기》(1981년, 배우:니시다 토시유키) 《도쿠가와 이에야스》(1983년, 배우:타케다 테츠야) 《독안룡 마사무네》(1987년, 배우:카츠 신타로) 《카스가노 츠보네》(1989년, 배우:후지오카 타쿠야) 《노부나가 KING OF ZIPANGU》(1992년, 배우:나카무라 토오루) 《류큐의 바람》(1993년, 배우:나카무라 토오루) 《히데요시》(1996년, 배우:타케나카 나오토, 주연) 《토시이에와 마츠~카가 백만석 이야기~》(2002년, 배우:카가와 테루유키) 《공명의 갈림길》(2006년, 배우:에모토 아키라) 《천지인》(2009년, 배우:사사노 타카시) 《고우~공주들의 전국~》(2011년, 배우:키시타니 고로) 《군사 칸베에》(2014년, 배우:타케나카 나오토) 《사나다마루》(2016년, 배우:코히나타 후미요) = = = 영화 = = = 《폭렬닌자 고에몬》 (2009년, 배우 : 오쿠다 에이지) 《키요스 회의》 (2013년, 배우 : 오오이즈미 요) 《레전드 & 버터플라이》 (2023년, 배우: 오토오 타쿠마) = = = 뮤지컬 = = = = = = = 한국 = = = = 《이순신》 (2008년, 배우 : 곽은태) 《이순신》 (2010년, 배우 : 이승헌) = 쓰가루이시촌 = 쓰가루이시촌(津軽石村)은 이와테현 시모헤이군에 존속했던 촌이다. = = 연혁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과 함께 히가시헤이군 쓰가루이시촌이 성립하였다. 1896년 3월 29일 - 히가시헤이군, 나카헤이군, 기타헤이군과 합병해 시모헤이군이 성립해 시모헤이군 쓰가루이시촌이 되었다. 1955년 4월 1일 - 오모에촌, 사키야마촌, 하나와촌과 합병해 미야코시에 편입하였다. = = = 철도 = = = 일본국유철도 야마다 선 = = 참고서적 = = 『이와테현 정촌 합병지』(이와테현 총무부 지방과, 1957년) = 분류:1764년 기재된 곤충 = = 편정택 = 편정택은 대한민국의 UBC 최고참 아나운서 겸 PD이다. = = 경력 = = 2013년 ~ 현재 울산방송 아나운서 = = 진행, 연출 프로그램 = = ubc 프라임뉴스 : 2013년 1월 1일 ~ 현재 TV와 시청자 시사진단 네.모.세.모 (네가 모르는 세상의 모든 정보) 문지영의 라디오스타 전선민의 유쾌한 데이트 잠 못드는 밤 김수희입니다 = 틀:축구 경기결과표/너비 16 = = 틀:User uk-1 = = 분류:기타 품질 영화 문서 = = 자셴구 = 자셴구는 중화민국 가오슝시의 구이다. 넓이는 124.0340km2이고, 인구는 2015년 8월 기준으로 6,320명이다. = = 지리 = = 자셴 구는 가오슝 현 동북부에 위치하고 동쪽은 타오위안 구, 류구이 구와, 서쪽은 타이난 현 난화 향과 북쪽은 나마샤 구와, 남쪽은 산린 구와 각각 접하고 있다. = Boom Clap = Boom Clap은 영국의 가수 찰리 XCX의 노래이다. 안녕, 헤이즐의 OST 앨범과 찰리 XCX의 두번째 정규 앨범 Sucker에 수록되었다. = = 곡 목록 = = "Boom Clap" – 2:49 "Boom Clap" (Aeroplane Remix) – 5:14 "Boom Clap" (ASTR Remix) – 3:19 "Boom Clap" (Surkin Remix) – 3:40 "Boom Clap" (Elk Road Remix) – 3:40 "Boom Clap" (Cahill Remix) – 5:28 "Boom Clap" – 2:50 "Boom Clap" (Aeroplane Remix) – 5:15 = = 차트 기록 = = = = = 차트 = = = 차트 (2009) 최고 기록 오스트레일리아 싱글 차트 9 오스트리아 싱글 차트 26 벨기에 싱글 차트 35 캐나디안 핫 100 8 체코 디지탈 핫 100 차트 1 프랑스 싱글 차트 15 헝그리 싱글 차트 34 이스라엘 싱글 차트 1 슬로바키아 싱글 차트 10 스웨덴 싱글 차트 14 = 분류:1959년 자살 = = 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참가 선수 = = 최홍건 = 최홍건(崔弘健, ~ )은 대한민국 관료 겸 정치가를 지낸 대학 교수이다. = = 주요 이력 = = 그는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예비후보 34위로 명단을 올렸다. 국회의원을 사퇴한 이후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여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2004년 4월 17대 제17대 총선 때에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기도 이천시, 여주군 선거구에 출마했다가 낙선하였다. 열린우리당이 민주당과 다시 통합 논의를 시작할 때 열린우리당을 탈당하였으며, 이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2010년 제5회 지방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시흥시장에 출마하면서 철새 정치인이라는 비난과 선거 직전에 시흥으로 전입했다는 논란이 있었고 시장 선거에서 낙선하였다. = = 학력 = = 경복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과 학사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 = 주요 경력 = = 상공자원부 상역국장, 산업정책국장 공업진흥청 차장, 중소기업청 초대 차장 통상산업부 기획관리실장 특허청장 산업자원부 초대 차관 대통령 자문 정책 기획위원 대통령직속 중소기업특위 위원장 (장관급) 한성대학교 겸임교수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광운대학교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초빙교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 (2대, 3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명예교수 중소기업연구원 원장 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열린우리당 당무위원 겸 중소기업특별위원장 한나라당 당무위원 재경이천시민회 회장 한국산악회 부회장 = = 상훈 = = 녹조근정훈장 전기문화대상 황조근정훈장 = = 저서 = = 최홍건. 《2만불 시대의 기술혁신 전략》. 푸른사상. 2003년 9월. = 허버트 후버 = 허버트 클라크 후버(, 1874년 8월 10일 ~ 1964년 10월 20일)는 미국의 제31대 대통령이다. 광산업으로 크게 성공한 후에 난민 구제위원회를 만들어 활동을 한 공학자, 박애주의자이자 행정 관료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난민 구제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1년에는 미국의 상무 장관이 되었으며, 1928년에는 미국의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미국의 31대 대통령이 되었다. 후버는 원래 훌륭한 인격을 가진 인물이었고, 취임연설부터 "모든 차고에는 자가용을! 모든 냄비에는 닭고기를!"(A chicken in every pot, a car in every garage)이라 선언하였다. 그러나 경제대공황 시기에 대통령 자리에 있었고, 후버 자신이 잘못된 일을 하자 사람들은 “후버! 후버가 다 망쳐놓았다!”고 하였다. 차기 선거에서는 뉴딜정책을 공약으로 내건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당선되었다. 오래도록 주변인 신세였던 아메리카 인디언들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였다. = = 초기 생애 = = 아이오와주 웨스트브랜치의 퀘이커 집안에서 태어난 후버는 구제와 19세기의 작은 촌의 생활의 기쁨들을 둘다 경험하였다. 후반의 세월에 기쁨들에 관하여 그가 추억한 것들은 댐에 충분하게 큰 시냇물에서 수영을 하고, 들판들에서 야생 딸기를 먹고, 철도 선로를 따라 마노와 산호를 수집하였던 것이다. 소년 후버에 감동을 준 구제는 디프테리아, 폐결핵과 장티푸스로 자신들의 자식들과 인척들을 잃은 서부 개척자들에게 정통한 형성에 왔다. 허버트가 6세때 심장병을 오랫동안 겪어온 농기구 거래인 부친 제시가 사망하였다. 항상 신앙심이 깊은 그의 모친은 절제와 주일 학교 활동들에서 열심히 일하였다. 그가 9세때 모친이 겨울 여행으로부터 돌아오는 길에 폐렴으로 사망하자 고아가 된 후버는 오리건주에 있는 삼촌의 집으로 보내졌다. 1885년부터 1891년까지 오리건주에서 후버의 세월은 그를 비지니스에서 훈련시켰다. 그와 살던 엄격한 삼촌 존 민손(John Minthorn)은 의사, 퀘이커 목사와 작은 사립 상급 초등학교의 우두머리였으나 그의 중앙적인 흥미는 부동산이었다. 다옥의 위러미티 밸리로 정착자들을 유혹하는 꿈을 꾼 그는 자두나무의 과수원들을 위하여 어울리는 개발되지 않은 대지를 파는 데 뉴버그에서 세일런으로 이주하였다. 후버는 오리건 대지 회사의 나날의 운영들을 감시하는 데 고등학교를 중퇴하였고, 부기, 타자와 사무 실력들을 배우러 야간 학교에 참석하였다. 1890년대의 공황에서 몬손의 회사가 실패하기 전에 후버는 이미 스탠퍼드 대학교에 입학하기로 결정하였다. 1891년에 창립된 새로운 학교에서 체재를 차하는 데 자신이 첫 소년이으로 지내온 것을 주장한 후버는 이수 과정을 혁신하는 장점을 택하였다. 그는 지질학에서 가장 좋은 교육을 받아 존 브래너 박사 아래 학과에서 자신의 명예들 중의 대략 절반을 가져가 미국 지질조사국을 위하여 여름에 일하였다. 그는 또한 비지니스에서 경력을 지속적으로 하여 세탁과 신문을 팔았다. 그의 사회적 전만들은 그들의 속물의 거래에 동업자들을 위하여 그의 경멸감에서 자신들을 표현하였고,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그 아무것에 가입하는 데 자신의 아들들을 허용하려고 하지 않았다. = = 광산 기술자 = = 1895년 지질학에서 문학사를 취득하면서 졸업 후, 후버는 캘리포니아주 그래스시티에 있는 리워드 금광에서 하루의 노동자로서 잠시 일하였다. 경험은 그에게 법적인 경우를 위하여 그래스밸리 광산들에 그의 실습적 상식을 필요하였던 중요한 샌프란시스코 상사와 직업을 획득하였다. 전환에서 이 일은 세계에서 지도적인 광산 고문회인 런던의 베윅·모라잉 회사의 하나와 함께 포지션으로 이끌었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금광들의 무더운 황무지들에 일하는 데 기꺼이 하는 합격한 광산 기술자들을 위하여 절망적인 찰스 앨거논 모라잉은 후버를 1897년 거기에 보냈다. 그 일은 곧 성공적으로 런던에 전설적인 선스 오브 그왈리아 금광의 매입을 추천한 후버와 상사를 위하여 좋은 동의서였다. 그의 다른 추천들은 정통적으로 유리함을 증명하였고, 그는 광산 담당자와 비지니스 상담자로서 증가하는 다능을 보였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미개척의 오지에서 생활은 쉽지 않았다. 밤에 마저 온도는 100° 위로 올라갔고, 과도한 노동에 의하여 가져와진 육체적 쇠약을 겪은 후버는 열린 수레의 뒤에서 매트리스에 누워 사막을 통하여 수백 마일을 여행하려고 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3년을 보낸 후, 24세의 나이로 그는 자신의 범위에서 인정받은 성공과 권위였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몬터리에서 온 스탠퍼드 대학교의 지질학을 주전공한 루 헨리에 전보를 쳐 자신에게 결혼하기를 요청하였고, 새로운 모험에 중국으로 그와 향하기 전에 1899년 결혼식을 올렸다. 베윅·모라잉 회사에 의하여 중국으로 보내진 후버는 대신 광대하고 유리한 석탄의 매장령을 개척하는 데 예정을 세웠다. 그는 1900년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중국 공학 광업 회사와 관계들을 설립하였다. 영국에 의한 보호를 위하여 교환에서 중국인들은 그 회사에서 공동 경영을 위한 교환에서 베윅·모라잉 회사에게 교역한 후버에게 회사를 넘기는 데 서명하였다.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중국에서 후버 가족은 톈진에서 잠시 가두어지고, 거기서 자신이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과 그 후에 성취하려고 한 유명한 업무로 비슷한 포위된 유럽인의 공동체를 위하여 구제 노력들을 수행하였다. 1901년 후버와 그의 부인은 런던에서 자신들의 집을 만들고 2명의 아들 - 허버트 주니어와 앨런을 두어 어쩌다 세계 주위에 광산 탐험 여행들에 그들을 데리고 다녔다. 이 해양의 항해에 후버는 그의 주목을 독서에 의지하여 스탠퍼드 대학교의 좁은 이수 과정에서 자신이 놓친 교양과목의 어떤 것들을 자신에게 주었다. 그는 또한 세계의 프로적 광산 잡지들에 나온 기술적 기사들을 쓰기도 하였다. 그와 루 여사는 1912년 자신들이 발간한 광산에 중세풍의 조약들 〈Latin of De re metallica〉로부터 번역을 지휘하고 주석을 달았다. 후버는 또한 지속적으로 공학의 새로운 전문직에 생각이 깊은 회담과 편집들을 하였다. 교과서 〈광업의 원리들〉(1909년)에서 그는 노동과 진보적인 거래들을 추천하여 집단적인 매매, 열심히 한 일을 위하여 높은 임금과 광산의 안전에서 향상들에 호의를 가졌다. 1900년 후에 후버의 가장 성공적인 모험적 사업들은 의지적인 수송 시스템에 가까운 어떤 비금속의 거대한 공급을 찾는 것에 연루되었다. 그는 필요한 기초적 미네랄들과 함께 철강업 같은 세계에서 성장하는 산업들을 공급하려고 하였다. 그는 자신의 거대한 성공들을 이루었으며 그 처음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있는 브로큰힐에서 광재 더미들로부터 아연의 추출과 함께 고통적으로 느린 실험 후 자신의 형 시오도어의 도움과 함께였다. 그의 2번째 성공적 모험적 사업은 풍족한 양에서 은, 금과 아연을 생산한 버마 회사와 함께 사업이었다. 1914년까지는 1907년 이래 자신 소유를 운영한 후버는 모든 대륙과 샌프란시스코, 런던,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만달레이에 있는 사무소들에 중요한 투자들을 가졌다. 한번 그는 "만약 한 남성이 자신이 40세 때에 1백만 달러를 만들지 않았다면 그는 거의 가치가 없다."고 의견을 말하였다. 후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시작에 대략 4백만 달러의 가치였다. = = 제1차 세계 대전과 구제 경영 = =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의 터짐이 후버를 위하여 우연한 시간에 왔다. 아마 러시아 제국을 제외하고, 귀금속과 비금속 둘다에서 광산의 붐이 그 자신을 쓰는 데 시작되고 있었다. 그는 공공적 관계들에서 이제 자신의 실력을 어떤 박애주의의 방향에서 고용을 생각하고 있었으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시험하고 광산 진흥의 자신의 세월에 구제하였다.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진보주의의 찬양자인 후버는 임명에 의한 사무직에서 정부의 업무의 어떤 세월들을 위하여 생각해왔다. 8월 전쟁이 일어난 때 그는 런던에 있었고, 주영 미국 대사 월터 하인스 페이지는 전쟁의 습격에서 오도가도 못해온 미국인들을 원조하는 데 그에게 의문하였다. 그는 후버가 자신들의 국가의 침입 후, 식량의 수입에 지금까지 의지한 벨기에인들을 위하여 식량을 마련하는 도움을 주는 데 후버가 파견되는 데 페이지 대사가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추천한 이런 능률과 함께 이 일을 하였다. 다음 3년 동안 후버는 벨기에에서 구제를 위한 위임(CRB)을 인솔하였다. 독일과 영국 양국의 완고에 불구하고, 고압적이고 어쩌다 법적의 방법을 이용한 후버는 작은 나라로 식량의 확고한 흐름을 가져오는 데 세계적으로 해운업에 관한 자신의 상식을 이용하였다. 그는 자신의 업무에 충분한 기술과 행정적 실력들을 가져왔으나 특히 자신의 성격의 더욱 냉혹한 에너지와 강렬함을 가져왔다. 벨기에의 구제에서 후버는 열광적으로 "그 일은 인류의 원인에서 미국인들이 착수한 거대한 직업"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결과는 "여태까지 보인 세계에 거대한 자선"일 것이었다. 후버는 자신에 수줍은과 광고에 반대로 남아있게 하였다. 그는 그렇게 보인 이런 것들을 위한 단순한 퀘이커의 혐오를 가졌는 데 퀘이커 정신에서 좋은 업무들은 만약 선전되었다면 더럽혀 질것이라고 하였다. 자신 일생의 전부에 후버는 수천개의 선광 처리들의 비밀을 만들었다. 의심할 나위 없이 야망적인 남자인 후버는 1917년 4월 나라가 정식으로 전쟁을 끝내기 더욱 이전에 윌슨 대통령으로부터 미국 식량 행정관의 직위를 추구하였다. CRB의 효과적에 의문하지 못한 윌슨 대통령은 후버에게 그 직업을 주었다. 후버는 벨기에에서 자신의 이른 업무가 전쟁 시기의 행정부를 위하여 유용한 모델이었고, "위대한 공학자"로 지내온 자신 소유의 평판이 전쟁을 이긴 도움을 주는 데 유일한 포지션에 자신을 놓은 것을 깨달았다. 그의 이름은 절약과 자제력과 함께 같은 뜻을 의미하게 되어 "후버화"는 "가치적 목적을 위한 경제화""로 의미하는 데 왔다. 선전은 식량 행정부의 주요 무기였다. 그 일은 고기 없고, 밀 없는 날들을 설교하였다. 대량의 캠페인은 특히 빵과 설탕의 보통 사용에 삭감으로 집 주인들의 통제의 것들에 명하였고, 학교와 교회들은 개혁 운동에 가입하였다. 아직 오히려 자유 지원제를 좋아한 후버는 정부가 보증한 밀의 가격을 세운 1917년의 수단 식량 지배 법령 같은 의회적 입법을 얻는 데 망설였다. 1919년 후버는 가끔 목적을 위하여 미국으로부터 빌린 유럽 정부에 팔면서 전쟁 시기의 식량 과잉의 거의를 처리하는 데 다루었다. 처리의 공적들에 무엇이든지 같은 이름을 지닌 사적인 1919년 중순에 대체된 공공적 대리 후버의 미국 구제 행정부(ARA)는 기대될 수 있던 것만큼 일을 잘 해냈다. 후버는 유럽에 가서 자신이 간 모든 곳에 관료적 형식주의를 통하여 대폭적으로 인하하였다. 교통과 통신의 유럽 시스템을 작용하지 않으면서 그는 자신 소유의 것을 창조하여야 했다. 후버는 법률을 위반하고, 새 법률을 만들어 식량을 가장 많이 필요하던 곳으로 그것을 얻는 데 국제 경계선의 존엄을 넘었다. 베르사유 평화 조약에서 특히 프랑스에서 온 대표들은 동유럽과 중유럽에서 볼셰비키-레닌주의의 진출을 단념시키는 데 후버에게 식량을 보휴하도록 강조하였다. 후버가 견실히 그렇게 하던지 아직도 논쟁의 문제이다. 정치적 목적을 위하여 후버의 가장 뻔뻔스러운 식략의 이용은 헝가리에서 반발적인 합스부르크가에 의한 쿠데타에 대항이었다. 헝가리를 위하여 볼셰비키-레닌주의자 쿤 벨러의 지도 아래 후버는 허용하지 않는 데 파리로부터 자신이 뚜렷한 지시들을 받았어도 나라로 가지고 들어가는데 이미 매입되어 온 식량을 허용하였다. 1919년 중반에 의하여 쿤이 정치적 사형들의 수백명에게 명령을 내린 후, 헝가리를 먹여살리는 데 후버의 근심은 중지되었고 그는 근본적인 노동 조합에 의한 정부의 축출을 환영하였다. 그에게 여러 것은 이 위기의 대지들의 연합국의 점령으로 오히려 좋아하는 것이었다. 굶주리는 독일인들을 먹여 살리는 것에 후버의 주장은 연합국들로부터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다. 연합국들과 싸워 온 피폐한 나라들을 먹여 살리는 데 자신이 어떤 오히려 좋음을 주는 동안 그는 독일인들이 굶주리는 데 허용을 한 베르사유 평화 조약의 정치인들의 의지를 결십하였다. 후버의 구제 노력들의 그 후의 삽화적인 일이 1921년 ~ 23년의 대기근 동안의 소비에트 러시아에 왔다. 소련인들이 ARA에 운동의 자유를 보증받을 때 선적들이 대량에 시작되었다. 날카로운 반공주의가 후버가 하고 있던 것에 관하여 공공적 회합에서 불평을 할 때 그는 "2천 만명의 주민들이 굶주리고 있다. 그들의 정치들이 무엇이든지 그들은 먹여살려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조지 케넌은 후에 "ARA가 혁명적 정부에 중요하게 원조하여 그 경제적 착수에서만 아니라 그 정치적 위신과 생존을 위한 재능에서이다."라고 진술하였다. = = 상무 장관 = = 1920년 주요 정당들의 어느 하나를 위하여 대통령 후보로서 자주 언급된 후버는 가능성에서 자격있는 흥미를 보였다. 그는 충성적인 윌슨주의자로 지내와 최소한 선전에 열렬히 국제연맹을 옹호하였다. 제2차 산업 회의의 부의장 (1919년 ~ 20년)으로서 그는 노동을 위한 단체 교섭의 원인을 제출하였다 그는 또한 적색공포의 원리들을 탄핵하기도 하였다. 그는 같은 달에 자신이 공화당원이었다는 것을 공고하였다. 워런 G. 하딩이 윌슨의 공공적 평판에서 쉽게 선거를 휩쓴 후, 새로운 대통령은 상무 장관이 되는 데 후버를 임명하였다. 후버는 능률과 표준화를 향상시키는 데 명령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데 워싱턴 회담으로 산업의 대표들을 데려왔다. 대표들은 자신들의 추천들을 위하여 선전하는 데 회의의 분별에 동의하고 집에 돌아오려고 하였다. 후버의 직위로부터 받은 맹렬한 무역 협회의 운동은 가격 협정을 방지하는 데 미국 법무부의 노력들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기가 꺾여졌다. 진보주의자들이 비지니스 개혁을 흥행하는 데 후버가 자신의 직무를 이용하고 있지 않았다는 것에 항의했을 때 그는 미국 상무부가 적당한 대리 업무가 아니었다고 답변하였다. 그러나 후버는 철강업에서 12 시간의 날을 끝내는 중요한 부분을 가졌고, 많은 역청탄 광산들에 일시적 노사 평화를 가져온 잭슨빌 동의서를 이겼다. 후버는 자유롭게 유창한 국제 무역을 흥행하는 데 외교와 국내 상무국의 4중의 인원을 늘였다. 그 상무국은 한해에 수억 달러에 의하여 미국의 비지니스를 늘였다. 후버는 특히 라틴아메리카에서 군사적 모험 주의를 대체하는 데 상업적 확장을 특별히 원하였다. 그는 미국과 세계의 나머지 둘다로 더 높은 생활 수준을 가지고 오려고 한 국외로 미국의 상업적 역할을 증가시킨 신임의 문제로서 그것을 차지하였다. 비강압적인 의미들을 통하여 그는 군사력의 후원과 위험한 투자들로부터 미국의 공채들을 멀리 전환하는 데 노력하였다. 전쟁에서 해방된 세계에 의미들로서 상업의 번짐으로 그 위탁은 후버의 정신정에 관하여 위대한 정책을 말하는 데 이성주의에서 그의 신임, 순서적인 마음, 근대의 산업과 무역의 속행들, 개인적 경제 활동과 정부적 계획의 일할 수 있는 조합을 위한 그의 추구, 그리고 산업적이며 평화로운 세계의 퀘이커 교도 같은 전망이다. 1928년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후버는 금주법의 논점에 온건적인 진행을 택하여 자신이 조심성 있게 목적에서 멀리 도달과 주제에서 거대한 사회적과 경제적 "그 일이 미국인의 관념들을 지배하지 않은 재산의 권리들을 보였기 때문에 개혁에서 실험의 고귀함"으로 교제한 공부로 법률의 준수에 국내적 위임을 약속하였다. 후버는 "재산권들이 미국인들의 관념을 지배하지 않았다"고 보였기 때문에 개혁에서 시도를 존중하였다. 그러나 그는 또한 "정직한 재판"이 주어진 후, 금주법이 실패한 구제를 받아들이는 데 오기도 하였다. = = 대통령 재임 = = = = = 국내적 논쟁들 = = = 대통령으로서 1919년 적색공포로부터 정부가 정치적 포로들을 보유하였다는 1929년 제임 애덤스의 고소에 응답에서 공민의 자유들에 완벽한 기록으로부터 멀리 가져 자신이 조사할 수 있었고, 그런 포로들이 하딩의 행정부 동안 몇년 전에 석방되어 왔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또한 1928년과 1932년 양년에 자신을 투표한 애덤스를 충성의 선서로부터 생략된 말과 함께 그녀의 평화와 자유를 위한 여성 국제 연맹의 사무 총장을 승인한 여권을 주문하면서 애덤스를 기뻐하기도 하였다. 후버는 법무 장관 윌리엄 D. 미첼에게 자신의 권리들이 위반되어 왔는지 보는 데 캘리포니아주의 노동 희생자 토머스 J. 무니의 경유로 들다보는 데 의문하였다. 대통령은 또한 간첩망 조직을 포함한 방법들을 가진 화려한 금주법의 집행자 법무 수석 메이블 워커 윌리브란트의 사임을 확신시키기도 하였다. 상무 장관으로서 후버는 윌슨의 세월에 남부의 정책들 후에 영역에 인종 차별 대우 폐지로 향하여 어떤 단계들을 가져갔다. 최고 경영자로서 후버는 다른 20세기 초기의 대통령들보다 인종의 문제들에 자신의 의무를 잘 배제하였다. 시어도어 루스벨트처럼 후버는 현저한 흑인 터스키기 연구소의 로버트 모튼을 백악관에서 공공 의식에 초청하였다. 후버는 적게 다루기 쉬었던 전미 유색인종 지위 향상 협회의 W. E. B. 두 보이스에 터스키기 철학의 대표들을 오히려 좋아하였다. 시카고의 흑인 의원 오스카 드 프리스트의 부인은 국회 다과회에 왔다. 애덤스의 평화와 자유를 위한 여성 국제 연맹은 정식으로 행사에 후버 여사를 축하하였다. 자신의 대통령 사면의 권력 아래 후버가 감형한 첫 판결은 백인 여성을 살인함에 유죄 판결이 내려진 흑인의 것이었다. 범죄에 아무 목격자들이 나타나지 않았고, 평결은 강요한 자백으로 보인 것에 의지하였다. 후버는 날카롭게 하워드 대학교를 위한 충당을 늘였다. 그는 흑인들을 정부의 관리와 그런 지도하는 연방 가석방들 같은 평의회들로 임명하기 위한 필요성에 민감하였다. 대통령은 그들이 일한 대지를 사는 기회를 주는 양인종들의 물납 소작인들을 주는 재단들을 체출하였다. 린치의 주제에 "최근의 탐험과 함께 국가에 걸쳐 전부의 중요한 중심지들에 자리잡은 연방군의 기지들을 통하여 "그 일은 만약 시스템이 이런 활동을 신속하고 가능하게 만드는 의회에 의하여 권위를 가졌다면 지방 권위들의 보조로 즉시 그들을 데려오는 데 가능하다"고 수석인에게 암시하였다. 미첼에 의하여 헌법적인 억제력이 주립 정부로부터 요구 없이 연방군의 이용을 방지하였다고 조언을 받은 후버는 공공적으로 린치를 비난하였으나 그것에 대항하는 입법을 제공하지 않았다. 분명히 그는 계몽된 여론의 병력에 의지하였다. 아직 후버의 아래 공화당원들은 남부에서 흑인들을 당으로부터 내쫓고, 전쟁 장관 패트릭 헐리는 정기선에 유럽으로 향하는 도중에 제1차 세계 대전 사망자의 미망인들과 흑인 금성장의 모친들을 인종적으로 갈라놓았다. 후버는 또한 정부의 기획을 위하여 기용에서 인종 차별을 끝내는 데 거의 성취에 실패하기도 하였다. 퀘이커 교도들에게 흥미의 넓은 분야인 교도소 개혁에서 후버의 업무는 8개의 법안의 통과로 이끌었다. 그의 지명된 샌퍼드 베이츠의 지도 아래 연방교도부는 죄수들의 작업용 숙사를 설립하고, 새로운 연방 교도소와 소년원을 건설하면서 사람들을 많이 수용한 교도소를 완화하였다. 교도관들을 위한 연방 학교가 창설되었고, 전부의 교도소 고용인들은 공무원 행정 아래 왔다. 후버 행정부 동안 교육적 기회들과 보건의 이익들은 향상되었고, 가석방에 다수의 죄수들이 증가되었다. 다시 자신의 퀘이커 유산에 의하여 격려된 후버는 인디언 정책의 개혁을 추구하였다. 그는 인디언 정세국을 운영하는 데 자신이 필라델피아의 퀘이커 교도들 찰스 J. 로즈와 J. 핸리 스캐터굿을 선택할 때 좋은 임명들을 가졌다. 로즈는 부패와 워싱턴 D. C.에서 자신이 찾은 둔감에 의하여 간담이 서늘어졌으나 그의 행정부는 번역상의 것이며 많은 존경들에 그 자신과 함께 차이들에 있었다. 개혁에 관한 토론은 인디언들이 자신들의 별개의 문화, 사회, 경제와 종교적 주체성을 유지하는 데 용기가 주어지는 데 친등에 중심을 두었다. 후버 행정부가 로즈 아래 거의 2배로 정세국에 의한 지출들 - 인디언들을 귀하게 기른 정부의 사회 보장을 반대하였다. 돈은 주로 나은 학교와 보건을 위하여 갔다. 뉴딜정책의 국장 존 콜리어는 후에 후버 아래 시작된 인디언의 권리들의 인정에 "현실의 변천"으로 승인하였다. 선거 운동의 보증 수행에 1929년 봄에 의회의 특별 입회가 있던 후, 후버 대통령은 더 나은 경제적 시간들에 다시 팔릴 과잉들을 사는 데 모금된 5억 달러를 포함한 농업 시장 법령을 서명하였다. 연방 농업부는 농장의 가격들을 올리는 데 농산물들에 투기하였으나 유용하지 않았다. 농장의 가격들은 그해 10월 주식 시장의 폭락 후에 곧 위험에 빠지게 되었고, 평의회는 단지 구제의 대리가 되었다. 농부들이 곡물의 에이커 수를 줄이는 데 자발적으로 마음 내키지 않으면서 정부는 그들이 그렇게 하는 데 강요하지 못하여 1932년 ~ 33년 대공황이 종말로 도달하기 전에 평의회의 기금은 단순하게 다 나가고 말았다. 후버는 콜로라도강이 그 전기 에너지를 동력화하는 데 계획에 동의하러 흘러 그 홍수의 가능성을 통제하여 그 물들을 공명하게 분배하는 데 상주 장관이 주들을 통하여 설득시킨 동안 인상적인 기록을 만들었다. 후버 댐은 이 작업에 기념이다. 자신의 대통령 임기 동안 후버는 결국 세인트로렌스강의 수로의 개발을 위하여 캐나다와 조약을 협상할 수 있었다. 다른 프로젝트들 - 샌프란시스코 베이 브리지, 로스앤젤레스의 수로와 다양한 공공 사업들도 또한 그의 재직 기간을 특정을 이루었다. 환경 보호의 운동은 후버 아래 진보되었다. 숲의 대지의 어떤 추가적으로 2백만 에이커는 국내적 보호 지역들이 되었고, 국립 공원들의 지역은 40%에 의하여 증가되었다. 그러나 환경 보호에 후버의 위임과 공공적 소유지의 행정의 어떤 추천들은 야심을 품은 특성을 가졌다. 예를 들어 목초지 만을 위하여 대지들의 이용에 권리들이 주들에 돌려줘야 한다고 암시하였다. 후버는 움추리는 연방의 통제들의 개념을 좋아하였고, 주의 환경 목표들의 고지식한 아이디어를 가졌다. 그는 컬럼비아강에 그랜드 쿨리 댐을 세우기 위하여 계획들을 세웠으나 테네시강 유역을 개발하는 데 네브래스카주의 상원 조지 노리스에 의하여 제안이 거부되어 그 사회주의적 그 특성을 반대하여 타락으로 라벨을 붙였다. 미국 대법원으로 후버의 임명들은 보수적 성향이라기 보다는 자유주의를 반사하였다. 1930년에 임명된 재판장 찰스 에번스 휴스는 1930년대 뉴딜 입법에 비판적인 결정들의 대부분에 자유주의자들과 편을 먹기로 한 사법의 온건한 사람이었다. 판사 오언 로버츠는 1930년대 법정에 결정표로 1알려지게 되었다. 후버의 최종적 임명은 아마 자신의 최고였다. 자신의 성실과 지성으로 알려진 벤저민 카도조는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의 자유주의 헌법적 철학과 함께 제휴하였고, 자신처럼 유대인이던 루이스 D. 브랜다이스는 법원에 앉아있었으며 유대인 반대자들이 2번째 유대인의 후보 임명에 항의하였다. = = = 대공황 = = = 후버는 주식 시장에 장기적으로 비판을 받은 사색을 가졌다. 그는 되풀이적으로 캘빈 쿨리지 대통령에게 개인 명의의 은행업과 재정적 실습들, 특히 내부의 교역과 고객들의 예금들을 위한 가가운 시장 가격에서 안전으로서 공공의 주식들의 이용에 추가적인 통제를 추구하는 데 의문하였다. 그는 또한 투기를 단념시키는 데 충분히 신용을 제한하는 데 연방 준비 회의 일원들을 몰아내기도 하였다. 그 회의는 혼란스러운 목표들을 속행하고 잘못된 논리를 보여 1927년 8월 3.5%로 후버의 전율에 재할인 비율을 떨어뜨렸다. 거기는 후버가 1929년 3월 대통령 직무에 들어갔을 때 억제된 주식 투기에 그가 할 수 있던 것이 약간 있었다. 그는 발행하는 데 마음 내키지 않는 재무 장관 앤드루 멜론를 위하여 진술문을 써 투기적인 주식들에 대조에서 보수적인 채권이 과소평가 되었다고 말하였다. 투기적인 주식에 강습이 당황을 시작할 수 있던 것에 위협을 느낀 후버는 그해 재할인 비율에서 상승을 추천에 관하여 신중하였다. 그러나 아마 후버가 할 수 있던 아무것도 그해 9월의 주식 시장의 폭락을 막을 수 없었다. 거기에는 어음을 발행하는 데 후버를 위한 약간의 역사적 대비들이 있었다. 후반의 20세기 수준들에 의하여 후버는 공황에 서서히 역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초반의 안내들에 의하여 그는 주목할 만한 활동가였다. 그의 시초적 응답은 임금을 유지하는 데 경영을 설득시키고, 더욱 나가서 디플레이션을 방지하는 데 재정적 이익들의 일부에 방책들의 공동 관리를 몰아내는 것이었다. 산업과 노동 대표들의 단체들은 대통령의 초청에 워싱턴 D. C.에 왔그며, 둘다 심각한 위기를 막는 시도를 하는 데 실행을 택하였으나 유용하지 않았다. 후버와 미국 경제 협회는 둘다 비지니스의 부흥에 의하여 곧 따라지는 데 건전한 디플레이션을 예기하였다. 대공황이 1930년의 말기로 전세계의 범위들에 도달했을 때 후버는 공황에 깨끗하게 응답하는 데 실패하였다. 그는 증가한 공공 사업들과 균형이 잡힌 예산에 주로 의지하였으며, 1931년에 의하여 소심한 이 답변들은 분명히 재앙이었다. 후버는 그해 2월 만약 그렇지 않으면 갈망과 고통이 방지되지 못한다면 "내가 연방 정부의 모든 방책의 원조를 묻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그는 마지못해 연방 구제 만을 성원하러 왔다. 경제 설립의 생각은 비생산적으로 지내오면서 구제의 신중함이었고, 후버는 그것이 보조금 수색자들의 다수를 가져올 것이란 것에 위협을 느꼈다. 그러나 그는 광대한 연방 구제를 마련하는 데 자신의 주저를 위한 다른 이유들을 가졌고, 그들은 냉정하고 반동적인 후버에 귀착시킨 많은 역사적 학문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사람들이었다. 자신의 대통령직 이전의 세월에 후버는 역사에서 어떤 가장 광대한 인도주의에서 숙고적인 활동력을 썼다. 그러고나서 자신의 퀘이커 신앙과 양육을 실행에 옮긴 그는 정신적으로 계몽된 일부에 사회적개혁과 동정심의 자발적, 합리적 행위에 시선을 돌렸다. 그렇게 보인 후버는 공황의 시기에 그것을 믿어 시민들은 이런 종류의 발의권을 가지고 가려고 했다. 그러고나서 그 일은 고통을 겪을 구제를 받는 자들의 의지 뿐만 아니라 후버는 가난한 자들이 자신을 핑계댄 우익의 국가에 주어지지 않았으나 후버가 그의 지지자들이 기근의 세월에 행동해 오면서 그렇게 해야 할 재산 소유주들의 의지였다. 관대한 행위에 후버의 신임과 그의 동료 시민들의 발의권은 경험이 없었고, 결국 그는 어떤 연방의 원조를 마련하는 데 오지 않고나서 뉴딜정책에 의하여 대체되어 그 일이 비참하게 소박함을 증명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 시민으로부터 그가 원하던 분배는 근로자들의 민주주의 안에서 민주주의가 남긴 계획들로부터 매우 멀지 않았다. 그 세월 이래 사생활의 가치들이 공공 시민권의 미덕 위에 격찬되는 데 와 협동의 진실에 후버의 믿음은 분명히 통쾌한 추억 만이 되었다. 1931년 후순에 효과적인 신용 협회를 형성하는 데 개인적 비지니스의 이익들을 설득시키는 비성공적인 시도가 있던 후, 후버는 1932년 1월 의회를 통과시킨 재건 재정 법인(RFC)의 창조를 배서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쟁 재정 법인에 기초를 둔 RFC는 은행, 주식회사와 농업 단체들에 돈을 빌려주려고 하였다. 그 시초적인 기부금들에 성향은 공화당이 큰 비지니스 기구들이 보통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때만 이익을 얻을 것에 의한 트리클다운 이론에 공화당이 호의를 가진 의무로 이끌었다. 위대한 법위로 의무는 엄밀하였으나 넓게 받아들여진 역사적 보고들은 구제를 위하여 연방 기금들을 마련하는 필요성을 후버가 최후적으로 본 것을 인정하는 데 실패하였고, 구제 목적들을 위하여 주들로 기금들을 빌려주는 데 RFC의 구실을 이용하였다. 그해 12월 기아 행진이 시작되었고, 다음 여름 유명한 보너스 아미 행렬에서 최고점에 달하여 필요성의 긴급을 각색하였다. 많은 잉여 농산물들이 실업자들에게 방출되었고, 1932년 초순에 후버는 구제를 위하여 주들로 RFC 기부금들에 3억 달러를 추천하였다. 1932년 중순에 후버가 결국 서명한 법률은 구제에 정부의 진행을 역전시켰다. 기부금들의 개념은 사실상 사라졌다. 기금들은 1935년에 예정인 고속도로 건설을 위하여 연방 원조의 밖으로 선불되었고, 주들은 후에 그것들을 다시 냈다. 대통령 고용 긴급 위원회(PECE)는 실업률이 대략 11% 도달할 때 1930년 가을에 세워졌다. 1921년 후버의 실업 회담에 중요한 역할을 맡은 아서 우즈 대령의 지도 아래 PECE는 개인적 자선을 생산하는 데 힘썼고, 공공 사업들의 소비를 늘이는 데 후버와 의회에 설복하였다. 1931년 8월 PECE는 미국 전화 전신의 사장 월터 S. 기퍼드에 의하여 인솔된 대통령 실업 구제 기구(POUR)에 방향을 주었다. 확장시키고, 협동하고 향상시킨 구제 노력들의 어떤 일은 성취를 이루었으나 실업률은 아직도 더욱 증가되었다. 그해 초순에 후버는 공공 사업들을 일으키는 데 연방 안정 회의를 세운 와그너-그레이엄 안정 법령에 서명하였다. 공공 사업들은 1929년 후에 10년간의 세월을 통하여 증가되었으나 대량의 규모는 전혀 실현되지 않은 실업률을 회복하는 데 필요하였다. 그리고 1931년 의회에서 법은 연방 구제에 강하게 반대하는 것으로 남아있었고, 사회 근로자 국립 회의 마저 5월에 그들의 집회에서 원칙을 보증하는 데 거부하였다. 이 당시에 "후버빌스"(Hooverviles)라고 불린 오두막집들이 국가의 가장 큰 도시들에 자라나고 있었으며, 뉴욕의 리버사이드 공원은 그들 중에 원기 왕성하였다. 1932년 후버는 최소한 공공연하게 예산 균형의 경제적 정설에 지속적으로 부착하였다. 그래서 양당으로부터 후원 아래 국내 판매 세금이 거의 통과된 의회도 그렇게 하였다. 후버는 의원 찰스 크리스프에게 비망록에서 더욱 진보적인 감정을 표현하여 사치품에 더 높은 국내 소비세와 부자들에 더 높은 소득세르 위하여 주장하였다. 후에 후버는 높은 유산세가 본질적이었다고 말하였다. 1932년 세입 법령은 이 아이디어들의 대부분을 구체화하였다. = = = 외교 관계 = = = 나쁜 교제들이 후버의 외교 정책을 지배할 무렵이었다. 선거 후에 라틴아메리카로 친선 순방에 후버는 쿨리지 아래 창설된 계몽의 정책을 수행하였다. 좋은 영향의 많은 것들은 외국 수입품들에 방책들을 올린 1930년 스뭇-홀리 관세법에 의하여 낭비되었다. 1931년에 의하여 유럽의 나리들은 세계적으로 대공황의 해독에 의하여 나쁘게 영향이 끼쳐져 왔다. 그들은 미국의 관세를 핑계대었으나 베르샤유 조약으로 돌아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던 경제적 붕괴에서 비교적으로 소수의 역할을 맡았다. 의회의 미국의 대중은 유럽에 의한 전쟁의 빚이 미국에 지불할 의무가 있다고 믿었으나 유럽은 내지를 못하였다. 후버는 그해 빚들에 18개월 지불 유예령을 세웠으나 유럽의 나라들 마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큰 은행이 실패하였고, 곧 영국은 금본위제를 포기하였다. 후버는 프랑스의 원조와 함께 국제 금본위제를 유지하는 시도에 자신의 에너지를 낭비하였다. 대공황은 더욱 악하게 자랐다. 항상 퀘이커의 전쟁 반재 주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후버는 국제적 군비 축소를 옹호하였다. 1930년에 열린 런던 해군 군축 회담은 태평양에서 효과적으로 군비의 균형을 안정시킨 1921년 ~ 22년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일을 넓히는 시도를 하였다. 런던 회담은 더욱 나아가서의 어떤 군비 경쟁의 연기에 성취를 이루었으나 1932년 제2차 제네바 군축 회담과 더불어 1931년 9월 일본의 만주 침략에 의하여 증거로서 증명된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는 데 두드러지게 비효과적이었다. 후버와 헨리 스팀슨 국무 장관은 일본제국주의에 미국의 응답을 대하는 데 달랐다. 후버는 인내심을 조언하여 지배적인 중국인의 문화가 최후적으로 침략자들을 동화하거나 쫓아낼 것이라는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주장하였다. 스팀슨은 더욱 호전적이었고 국제 연맹을 통하여 세계의 제재들을 후원하는 데 숙고하였다. 그들은 함께 1932년 1월 후버-스팀슨 독트린을 공표하여 개방 정책으로 아무 협정의 반대에 인정하는 데 미국의 거부를 공고하였다. 이 일로 대통령은 일본에 여론의 탐조등을 비출 것이라고 희망하였다. = = = 워싱턴 D. C.에 보너스 아미 행렬 = = = 거의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은 백악관에서 후버의 최종의 세월은 잘 되어갔다. 정치적 견해의 최악의 사건은 1932년 보너스 아미의 행렬이었다. 5월 워싱턴 D. C.에 내려간 제1차 세계 대전의 1만 5천명의 베테랑들이 1945년까지 분배를 위하여 예정이 잡히지 않은 군인들의 보너서의 이른 지불을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베테랑들, 극소수를 제외한 평화적 항의자들은 버려진 빌딩과 애너코샤 플래츠에 있는 텐트들에 정착하였다. 그들은 국회의사당과 백악관 앞에서 행렬을 하였고, 상원이 6월 보너스에 62 대 18로 투표할 때 베테랑들의 대부분은 연방적 비용에 집에 갔으나 대략 1만 명은 머물렀다. 상원이 그것 대로 투표했을 때 네브래스카주의 노리스 상원과 의원 피오렐로 라과디아와 뉴욕주 지사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같은 자유주의자들의 조언에 이어 많은 의원들은 국회의사당의 지하 회의장을 통하여 탈출에 의한 베테랑들을 맞서는 데 거부하였다. 7월 후순까지 후버는 어떤 위생 시설, 의류와 식량 등을 마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7월 28일 어떤 베테랑들은 정부의 건물들의 작은 다운타운 지역으로부터 퇴거되었다. 건물들은 실업자들을 위하여 직업들을 마련하는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위하여 방향을 만드는 데 파괴를 위하여 예정이 잡혀 왔다. 한명의 베테랑이 사망한 폭동이 뒤이어 일어날 때 컬럼비아 특구의 행정관들은 미국 육군으로부터 도움을 청하였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중비적으로 의무가 지어졌다. 후버는 맥아더에게 구역의 중심으로부터 베테랑들을 옮기는 데 명확한 명령들을 내렸고, 군인들도 그렇게 하여 기병들을 장악하고 최루 가스의 통을 들었다. 그러나 후버의 명령들의 직접적인 위반 행위에서 긴급한 맥아더는 애너코샤 플래츠에 있는 그들의 아까운 야영지로부터 베테랑을 메릴랜드주의 시골로 몰아냈다. 더욱 잔혹하게 보일 수 있던 여론의 이익을 위하여 아무 사건도 일어나지 않았다. 후버는 비밀적으로 자신의 참모를 질책하였으나 두려워 하는 공공적 불안정이 대통령이 핑계를 가져간 것으로 알려진 반항 행위가 되어야 했었다. 이어서 둘다는 공산주의자들과 범죄자들이 베테랑들의 나머지 사이에 숙고적인 힘을 얻어 온 아이디어에 매혹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대통령의 일부에 정치적 권리에 전환의 특정을 지었고, 그의 최종의 정치적 실패였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베테랑들의 불온 집회에 관하여 듣고 자신의 조언자 펠릭스 프랭크퍼터에게 "그래, 펠릭스, 이 일이 나를 선출할 것이야."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뉴욕주의 주민인 그는 쉬운 승자로서 아직 넓게 지각하지 않아 기회에 아무것도 남기지 않았다. 그는 지칠 줄도 모르면서 선거 운동을 벌였다. 아직 그의 연설들의 목차는 대통령 소유의 전망들로부터 겸손하게 틀렸다. 1932년 최소에 그들 사이의 대조는 더욱 정치적보다 개인적이었다. 루스벨트는 국가에서 자신감과 안정의 의식 - 상속받은 부유와 함께 온 품질을 스며들게 할 수 있었다. 성공적인 자율의 공학자 후버는 대공황에서 부끄러움을 제외한 좋은 시간들에 자본주의의 좋은 일하는 상태로 증언이었다. 어려운 세월들은 후버가 일을 한 모든 것을 조롱하였다. 그리고 그는 루스벨트를 대통령으로서 다른 종류의 당파들을 연합하고, 공동체의 타고난 균형에 힘을 주는 데 허용한 깊이 뿌리를 둔 보수주의의 일종에 부족하였다. = = 1932년 선거와 이후의 세월 = = 1932년으로 봐서 그가 경제와 함레 방해된 만큼 후버가 멀리 사라진 것으로 보였다. 그의 따분한 연설들은 그의 기록의 구제받지 못한 방어였고, 그는 유질 처분을 피하는 데 주택 융자의 국내적 시스템 같은 값의 요구의 확실한 입법을 의회에 핑계를 대었다. 10월 31일 뉴욕에 있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그는 탄핵 연설로 발포하여 그는 관세 없이 "잔디는 수백개의 도시들, 수천개의 촌들의 거리들에 자랄 것이며, 잡초들이 수백만개의 농장들의 필드에 퍼질 것입니다... 그들의 교회들과 교장 사택들은 쇠퇴할 것입니다."라고 말하였다. 농업부 장관 아서 하이드는 두려움에 아직도 더욱 뻔뻔스러운 호소를 해방놓아 "만약 루스벨트가 선출된다면 수억만명의 미국인들의 주택과 생활들이 위험성에 놓일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1932년 여름과 가을 일찍이 어떤 향상을 보이는 사실에 있었다. 주식 가격은 날카롭게 오르고, 은행의 실패들은 쇠퇴하였고, 후버는 루스벨트의 선거가 진행 중이던 회복을 실패하였다고 항상 주장하였다. 공화당원들에 의하면 정치 공백 기간 동안 후버와 협동하는 데 거부하면서 뉴욕주 출신은 회복을 끝내는 데 위협에 놓였다. 선거 후에 은행 시스템이 파산을 향하여 폭락하였다. 10월 31일의 시작에 네바다주의 은행들은 6주 동안 문을 닫았다. 실업률은 노동력의 20%보다 더 높게 증가하였다. 많은 농부들은 자신들의 대지를 잃었다. 장기적 정치 공백 기간에 후버는 균형이 잡힌 예산을 주창하고, 은행업에 법률들을 바꾸고, 금본위제에 머물면서 루스벨트를 자신에게 가입하는 설득을 시도하였다. 대통령 당선자는 자신을 위탁으로부터 자제하였다. 이 둘은 11월 22일 백악관에서 만날 때 그들은 표면적으로 친근감을 가졌다. 그러나 후버는 국제적 재정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루스벨트가 지적으로 불가능한 줄로 알았다. 1월 수순에 경보와 함께 무분별한 주요 은행의 폐문의 국가를 체웠다. 2월 중순에 미시간주에서 은행들이 8일 동안 문을 닫았다. 예금액들에서 은행이 7천 3백만 달러를 잃을 때 그달 말에 당황이 다가왔다. 후버는 어떤 은행들의 예금액들을 보증하는 약속으로 루스벨트를 비성공적으로 얻는 시도를 하였으나 신임의 대통령은 아무 공동의 해결에 참가하는 데 거부하였다. 긴급 은행 휴일과 루스벨트의 백일의 은행 입법이 후버와 그의 측근에 의하여 정통적 기간들에 드래프트되어왔다. 취임식의 날 3월 4일 토요일 아직 햇빛의 광선이 날씨로 난입할 때 바람이 비의 돌풍을 날렸다. 국가는 후버와 함께 회색의 바람과 루스벨트와 햇빛을 감정한 것을 제외하고 도울 수가 없었다. 후버는 직무를 떠난 후 3개의 10년간의 세월을 위하여 살았다. 뉴욕의 월도프 타워스에서 자신의 일행으로부터 그는 고립주의, 공화 주의, 보수주의와 자선 행위를 설교하였다. 그는 뉴딜에서 공산주의와 파시즘의 위협을 보았으나 그 많은 뚜렷한 법률들을 찬성하였다. 1945년 그는 원자 폭탄의 사용에 대항하는 유도법에 연설하면서 "이것과 독가스의 이용 사아의 단 하나의 다른 점은 보복의 두려움이다."고 말하였다. 1940년대 후반에 그는 공공적 생활로 돌아가 진상 조사의 국제적 구제 여행에 해리 트루먼 대통령을 섬기고, 그러고나서 정부 행정 지부 기구 위원회(후버 위원회)의 의장을 지냈다. 저축에 그의 많은 추천들이 채택되었다. 그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아래 비슷한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으나 적은 긍정적 결과들과였다. 1964년 10월 20일 뉴욕에서 내출혈로 사망하였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선거인단) 결과 당락 1928년 선거 미국의 대통령 31대 공화당 58.22% 21,437,277표 (444명) 1위 1932년 선거 미국의 대통령 32대 공화당 39.64% 15,760,684표 (59명) 2위 낙선 = 드루이드 (동음이의) = 드루이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드루이드: 고대 켈트족의 고위 전문직 계급 드루이드 (캐릭터 클래스) 아파치 드루이드: 자바로 작성된 컬럼 지향 오픈 소스, 분산 데이터 스토어 데빈 드루이드: 미국의 남자 배우 신드루이드교 드루이드 고대종단: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신드루이드교 종단 = 예금보험 = 예금보험(deposit insurance 또는 deposit protection)이란 금융기관이 영업정지나 파산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나 공공기관이 예금 일부를 보험료로 정해 기금을 적립해 두는 보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예금보험공사에서 피보험기관인 금융기관으로부터 예금보험을 받아 관리한다. 대한민국에서 예금자 보호한도는 2001년 1월 1일이후 금융기관별 1인당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포함하여 최고 5천만원이다. 개인이 가입한 보험계약,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및 개인퇴직 계좌적립금, 저축성 예금(정기예금, 저축예금, 주택청약예금, 표지어음 등), 외화예금, 적립식 예금, 은행 금전신탁, 상호저축은행 중앙회 발행 자기앞수표, 종합금융회사 어음관리계좌(CMA), 발행어음, 표지어음이 현행 보호 대상이며, 변액보험 최저보장보험금, 증권금융 예수금(실권주 청약 예수금, 일반법인 예수금 등), 장내파생상품거래 예수금은 앞으로 보호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 분류:기원전 826년 = = 분류:경제에 관한 목록 = = 분류:신라의 도교 신자 = = 류큐마쓰 = 류큐마쓰(, 학명: Pinus luchuensis)는 오키나와의 서식하는 나무이다. = 분류:대륙별 연도 = = 헬 카운트 = 헬 카운트(The Cellar)는 미국에서 제작된 브렌든 멀다우니 감독의 2022년 공포 영화이다. 엘리샤 커스버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엘리샤 커스버트 : 키라 우즈 역 이오인 맥큰 : 브라이언 우즈 역 = 라미네 기예 = 라미네 기예는 다음의 사람이 있다. 세네갈의 사회주의 운동가인 라미네 기예 (사회주의 운동가) 세네갈의 스키 선수인 라미네 기예 (스키 선수) = 분류:그리스에 거주한 이스라엘인 = = 향남환승터미널 = 항냠환승터미널은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424 (행정리 472-1번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시외버스터미널이다. 시외버스 운행은 2015년 8월 13일부터 개시하였으며 터미널 건물 정식 개관식은 2015년 8월 21일에 이루어졌다.화성시외버스터미널 향남시외버스터미널 문을 열었어요 화성 시외버스 노선시간표 운임요금 확인하세요! , 화성시청 공식블로그 - 화사함, 2015년 8월 21일 작성. 전체 건물 연면적은 887m2, 대합실 면적은 100m2이다. 2019년 1월 기준 하루 평균 250명이 이용하고 11개 노선이 운행중이다.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9년 2월 19일 작성. = = 개요 = = 제대로 된 시외버스터미널이 없었던 화성시 주민의 편의를 위해 화성시에서 건설한 최초의 시외버스터미널이며, 총 사업비 89억 4천만원을 들여 2012년 6월에 착공해 2015년 8월 21일에 완공했다. 대지 면적은 9,376m2이며 연면적은 887.15 m2인 2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터미널 개관식은 2015년 8월 21일 10시에 화성시장, 화성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 하에 시행되었으며, 터미널 내부에는 화성시의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으로 노노카페가 개점하였다.향남환승터미널 개관 및 시외버스 운행개시 , 향남읍사무소 공식홈페이지 공지사항, 2015년 8월 6일 작성. = = 연혁 = = 2015년 6월 25일 : 버스터미널 면허 인가 2015년 8월 21일 : 향남환승터미널 완공 = = 운행 노선 = = = = = 시외버스 = = = 2015년 8월 13일 기준으로 인천, 부천, 광명, 안산, 평택, 청주, 인천공항 방면 총 7개 노선이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9월 1일부터 가 개통된 고양, 대전, 세종시 방면 노선이 정식 운행에 들어갔다. 그리고 대전복합터미널행은 유성터미널행로 바뀌었다. 운행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시간표 향남 ↔ 고양 대원고속 향남 ↔ 고양 무정차 1회 19:50 향남 ↔ 광명/철산 충북리무진 향남 ↔ 철산 발안, 광명 2회 11:10, 18:20 향남 ↔ 대전 대원고속 향남 ↔ 유성시외 세종청사, 세종시, 대전청사 3회 08:30, 14:30, 17:40 향남 ↔ 부천 대원고속 향남 ↔ 부천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송내역 3회 09:00, 13:40, 18:10 향남 ↔ 안산(R8427) 경일여객 향남 ↔ 안산 발안, 상록수 60~80 첫차:07:40(향남 기준)막차:21:40(향남 기준) 향남 ↔ 청주 충북리무진 향남 ↔ 청주 무정차 2회 10:05, 13:55 향남 ↔ 목포 대원고속 향남 ↔ 목포 영광터미널 2회 08:10, 16:45 향남 ↔ 무안 경기고속 향남 ↔ 무안 영광, 함평 2회 09:10, 16:40 향남 ↔ 평택(R8427) 경일여객 향남 ↔ 평택 향남제약공단, 평택대 60~80 첫차:07:20(향남 기준)막차:21:00(향남 기준) 향남 ↔인천공항 대원고속 향남 ↔ 인천국제공항 화성시청, 남양터미널, 마도, 인천공항T1, 인천공항T2 30~60 첫처:05:05(향남 기준) 막차:18:25(향남 기준) = = = 시내버스 = = = 버스터미널 외부 향남로 길가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다. = 손불서초등학교 = 손불서초등학교는 전라남도 함평군에 있는 초등학교다. = = 학교 연혁 = = 1941. 05. 12 손불국민학교 부설 간이학교 개교 1945. 09. 28 손불서국민학교 개교 1996. 03. 01 손불서초등학교로 개명 2013. 09. 01 제22대 정대성 교장 부임 2014. 01. 08 전라남도교육청 지정 무지개학교(4년간) 2015. 02. 13 제66회 졸업(총 4,173명) = 알바니아 정교회 = 알바니아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중 하나이다. 1922년 교회 회의를 통해 독립을 선포했으며, 193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다. 알바니아 정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시련을 겪었으며, 특히 1967년 알바니아가 무신론 국가로 선언된 공산주의 시절에는 종교의 자유를 박탈당해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신앙을 표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하지만 1991년 종교의 자유가 회복된 이후 250개 이상의 성당이 재건되거나 복원되고 100명 이상의 사제를 배출하는 등 교회가 다시 부흥하고 있다. 알바니아 전역에는 909개의 성당이 퍼져 있으며, 비공식적으로 약 50만 명에서 550만 명 정도의 신자가 있다. 일부 정교회 통계상에는 70만 명에 달한다고 나와 있으며, 알바니아 디아스포라까지 포함한다면 수치는 더 높게 나온다. = 엔슈니시가사키역 = 엔슈니시가사키역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히가시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서측 ■ 엔슈 철도 철도선 상행 히쿠마 · 신하마마쓰 방면 1 서측 ■ 엔슈 철도 철도선 하행 하마키타 · 니시카지마 방면 2 동측 ■ 엔슈 철도 철도선 ※통상 사용하지 않음 ※통상 사용하지 않음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하루 평균 승차 인원 하루 평균 하차 인원 1980 334,680 334,663 1981 321,213 332,608 1982 305,571 320,910 1983 275,590 293,151 1984 261,620 279,088 1985 261,497 281,575 1986 262,995 283,806 1987 264,850 288,297 1988 280,334 303,053 1989 289,305 301,101 1990 320,295 326,438 1991 293,024 300,682 1992 276,680 282,618 1993 269,985 273,202 1994 276,574 282,392 1995 281,863 288,708 1996 273,922 280,108 1997 320,515 327,345 1998 296,452 301,451 1999 289,092 297,361 2000 290,987 297,907 2001 293,568 300,138 2002 283,083 288,160 2003 291,554 295,084 2004 281,413 290,220 2005 282,412 285,445 2006 281,616 284,826 2007 294,752 295,726 2008 282,995 284,405 2009 270,278 271,972 2010 262,360 263,273 2011 261,145 264,228 2012 269,419 271,229 2013 268,398 268,792 2014 270,504 271,048 2015 278,277 277,574 2016 289,152 289,350 2017 313,400 312,607 2018 324,074 323,017 = = 역 주변 = = 엔슈 철도 철도영업소 = 김서하 = 김서하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김서하(1980~)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서하(1993~) - 대한민국의 배우. = 분류:스페인계 브라질인 = = 수진기 = 수진기(受振器, )는 땅의 진동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변환된 정보는 기록소에 기록될 수 있다. 영어로는 지오폰(geophone)이라고 하며 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낱말 γῆ와 소리를 의미하는 "phone"에서 비롯되었다. = = 구조 = = 수진기는 역사적으로 수동 아날로그 장치였으며 일반적으로 용수철이 실장된 유선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코일은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내기 위한, 케이스가 실장된 영구 자석의 전기장 안에서 움직인다. 최근 설계는 MEM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광림교회 = 광림교회(光林敎會)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의 개신교 교회이다. = = 연혁 = = 1953년: 광희문교회가 고야사 자리(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에서 '광희문 제2교회'라는 이름으로 창립 1954년 11월 14일: 건축기공을 위한 정초식 거행. 이 무렵 '광희문 제2교회'에서 '광림교회'로 명칭이 변경 1971년 2월 28일: 제5대 담임목사 김선도 목사 부임 1978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으로 이전김선도 <26> 연 40%씩 성장하는 강남으로 교회 이전 국민일보, 2018년 8월 6월 29일: 신사동 571-1에 광림교회 본당 건물 건축 허가, 착공김선도 <27> 신축 건물 규제로 위기… 새벽마다 “성전 건축” 외쳐 국민일보, 2018년 8월 1979년 12월: 본당 건물 준공김선도 <28> 드디어 강남 입당예배, 4000여 좌석이 꽉 차 국민일보, 2018년 8월 1988년: 광림수도원 완공 1998년 10월 7일: 일산광림교회(김선도감독기념교회) 착공 1999년 12월 31일: 일산광림교회(김선도감독기념교회) 준공 2000년 6월 4일: 일산광림교회(김선도감독기념교회) 봉헌예배 6월: 터키 안디옥에 지교회 설립 2001년: 제6대 담임목사 김정석 목사 부임 2006년 10월 1일: 일산광림교회(김선도감독기념교회) 독립 2008년 5월: 중국 선전에 지교회 설립 2008년 12월: 국제광림 비전랜드 신축봉헌 2011년: 사회봉사관 착공 2013년: 사회봉사관 완공 2017년: 광림서교회 봉헌 2018년: 광림북교회 봉헌 2018년 9월: 광림수도원 샬롬하우스, 대성전 리모델링 착공 2019년: 광림수도원 샬롬하우스, 대성전 리모델링 완공 = = 역사 = = 1953년 광희문교회에서 지교회 설립을 결의하여, 동북 중고등학교 자리에 있었던 고야사 절간에서 ‘광희문 제2교회’라는 이름으로 창립예배를 드리는 것이 광림교회의 시작이다. 월남한 교인들과 민응식 목사를 중심으로 고야사 일부를 예배처소로 정하고 35명의 청장년이 모인 것이 첫 예배였다. 1954년 11월 14일 건축기공을 위한 정초식을 거행하였다. 이 무렵 교회의 명칭이 광림교회로 바뀌었는데 그것은 교회가 위치한 광희문과 쌍림동 두 개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 = 교회명의 유래 = = 광림교회는 광희문(光熙門)의 '光'과 쌍림동(雙林洞)의 '林'에서 유래되었으며, 이것을 성서적으로 해석하면 출애굽기 3장의 '떨기나무 가운데로부터 나오는 불꽃', 영어로 'Burning Bush'이다. 이는 모세가 호렙산에서 불에 타지 않는 가시 떨기나무를 통해서 살아계신 하나님을 만나고 애굽의 바로 통치 아래서 수난과 질고에 허덕이던 이스라엘 민족을 구출하라는 거룩한 소명을 받은 사건과 동일한 의미가 있으며, 광림(光林)이란 선교 공동체를 택하셔서 이스라엘 자손들의 부르짖는 소리를 듣고 이 민족과 세계 선교를 위해 쓰임 받고자 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 = 역대 담임목사 = = 대수 임기 이름 비고 제1대 1953년 10월 3일 ~ 1959년 민응식 목사 초대담임자 제2대 1959년 5월 ~ 1961년 한세홍 목사 1960년 12월 교회창립 7년 만에 성전준공(쌍림동 부지, 착공 후 6년) 제3대 1961년 5월 ~ 1965년 조화철 목사 1963년 3월 17일 1대 민응식 목사 원로목사 추대 제4대 1965년 8월 ~ 1971년 김용련 목사 제5대 1971년 2월 28일 ~ 2001년 고 김선도 목사 1979년 12월 16일 새성전(강남구 신사동) 입당예배 서울 전농감리교회 담임 (1957년 ~ 1962년) 공군기술교육단 군목(1962년 ~ 1967년) 공군사관학교 군종실장(1970년 ~ 1971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수상(1997년 1월 4일) 제21대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독회장, 광림교회 원로목사(2001년 ~2022년 ) 제6대 2001년 3월 25일 ~ 김정석 목사 2020년 4월 김정석 목사 목회 30주년 = = 시설물 = = = = = 본당 = = = 지하 1층, 지상 4층이며, 지상 2~4층에 대예배실이 있다. 1978년 착공하여, 1979년 12월 준공되었으며, 현대건설에서 건설하였다. = = = 교육관 = = = 지하1층, 지상 5층의 건물로, 부설 어린이집, 유년부 예배실, 소년부 예배실, 초등부 예배실이 있다. = = = 희망의 탑 = = = 지상 8층의 건물로 담임목사 및 감독 집무실 등 교회 운영진과 관련된 시설을 가지고 있다. = = = 웨슬리관 = = = 지하 3층, 지상 5층의 건물로 각 부의 모임장소로 사용한다. 지하에는 장천아트홀이 있다. = = = 베다니 하우스 = = = 지하 2층, 지상 5층의 건물로 목자관이 있다. = = = 사회봉사관 = = = 2011년 착공, 2013년 완공되었다. 부속기관인 빛의숲(서점), 따뜻한 집, 광림아트센터가 있다. = = 부속 기관 및 지교회 = = = = = 부속 기관 = = = 명칭 창립연도 위치 및 주소 빛의숲 2013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163길 33(신사동 568-2) 따뜻한 집 2013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163길 33(신사동 568-2) 광림아트센터 2013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163길 33(신사동 568-2) 광림수도원 1988년 경기도 광주시 추자길 107(추자동 525-4) 국제광림비전랜드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모꼬지로17번길 105(구암리 297-3 외) 광림세미나하우스 1995년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603-40(직동리 457-1) 광림노인전문요양원(사랑의 집) 1991년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경춘로 771-79(안보리 863) = = = 대한민국 국내 지교회 = = = 명칭 창립연도 위치 및 주소 광림남교회 1997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245(중동 419-1) 광림서교회 2017년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사파이어로 96(청라동 105-152) 광림북교회 2018년 경기도 의정부시 송현로82번길 5(민락동 775) = = = 해외 지교회 = = = 명칭 창립연도 위치 주소 뉴질랜드 광림교회 1995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543 Beach Road, Murrays Bay, Auckland 0630, New Zealand 모스크바 광림교회 1995년 러시아 모스크바 Koptevskaya Ulitsa, 30А, Moscow, Russia, 125239 어잉게렐교회 2002년 몽골 울란바토르 터키 광림교회 2000년 6월 터키 하타이주 안타키아 붕괴Kışla Saray Mahallesi, Saray Cd. No. 22, 31070 Hatay Merkez /Hatay, Turkey 심천 광림교회 2008년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선전시 中华人民共和国深圳市福田区 车公庙泰然九路 皇冠科技园2栋3楼C19 야마가타 광림교회 2014년 일본 야마가타현 사가에시 日本国山形県寒河江市西根北町6-7 호치민 광림선교센터(광림미션센터) 2017년 베트남 호찌민시 9, Đường số 14 Khu B, Khu đô thị An Phú An Khánh, Quận 2, Hồ Chí Minh, Vietnam = = 독립 교회 = = 일산광림교회(김선도감독기념교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숲속마을로 83(풍동 1281), 2000년 봉헌, 2006년 독립 광림동교회 *상계광림교회 *안산광림교회 *부천광림교회 *분당광림교회 *광명광림교회 = 분류:1538년 작품 = = HD 175190 = = 분류:일본의 민속 음악가 = = 분류:2014년 동계 올림픽 프리스타일 = = 양자 후 암호 = 양자 후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또는 의역하여 양자내성암호는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공격에 다항 시간내에 뚫리지 않을것으로 기대되는 암호이다. 기존의 암호는 크게 인수분해, 이산로그, 타원곡선 이산로그 문제 셋 중 하나에 기반하여 설계되었는데, 이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알고리즘인 쇼어 알고리즘에 뚫리게 된다. = = 필요성 = = 양자컴퓨터가 실용화 될 경우 양자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통신기술로서 양자 키 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와 양자 후 암호가 존재한다. 이 중 QKD는 키 교환 과정의 안전함을 제고하는 것이며, 앞서 언급한 인수분해 및 이산로그 문제를 이용하여 설계한 암호들이 쇼어 알고리즘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암호화가 깨질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되지 않는다. 英 NCSC가 모든 정부기관과 군사 분야에서 QKD사용을 보증하지 않고 양자컴퓨터 위협의 최적 대안은 PQC라고 발표한 바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실험실 차원의 양자 컴퓨터로 실제 암호 알고리즘을 깨뜨릴 수는 없지만[3], 암호학자들은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2006년 PQCrypto 컨퍼런스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및 Institute for Quantum Computing에서 주최한 Quantum Safe Cryptography와 같은 여러 워크샵을 통해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양자 컴퓨터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에 가하는 위협과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최신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또는 해시 함수는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로버(Grover)의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공격 속도를 높이기는 하지만 키의 크기를 두 배로 늘리면 이러한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8] 따라서 양자 컴퓨터에 내성을 갖는 대칭키 암호는 현재의 대칭키 암호와 크게 다르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 알고리즘 = = 현재 양자내성암호 연구는 아래의 여섯 가지 상이한 수학적 난제 또는 접근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격자기반 암호 LWE(Learning with errors), Ring-LWE 등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알고리즘과 Ring-LWE 키교환 및 Ring-LWE 전자서명, 구 버전의 NTRU 또는 GGH 암호 알고리즘과 새로운 버전의 NTRU 또는 BLISS 전자서명 등이 격자기반 암호에 속한다. 지난 수년 동안 NTRU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을 공격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후원하는 양자내성암호 연구 그룹(Post Quantum Cryptography Study Group)은 표준화를 위해 NTRU 알고리즘보다 Stehle-Steinfeld가 개선한 NTRU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연구에 따르면 NTRU는 다른 격자 기반 알고리즘보다 더 안전하다고 판단되는데, 특허에 묶여있었기 때문에 개선안을 권고한 것으로 보인다. 다변수 다항식 기반 암호 다변수 다항식의 해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Rainbow(Unbalanced Oil and Vinegar)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이 여기에 속한다. 그동안 암호 알고리즘 개발의 시도가 수차례 있었으나 실패했었고, Rainbow 전자서명이 양자내성을 갖는 스킴으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해쉬 기반 암호 Lamport 서명, Merkle 서명 알고리즘, XMSS, SPHINCS, 및 WOTS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이 여기에 속하는데, 일회 또는 수회로 서명 가능한 횟수가 제한된다. 해시 기반의 전자서명은 1970년대 후반 Ron Merkle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이후로도 RSA 및 DSA와 같은 대수적 전자서명 기법으로서 연구되어왔다. 해시기반 공개키 서명의 경우 개인키를 사용하여 서명할 수 있는 서명의 갯수에 제한이 있다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며, 양자내성암호의 기반문제로 주목을 받기 전까지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1989년 Moni Naor와 Moti Yung은 UOWHF 해싱 알고리즘과 그를 이용한 서명(Naor-Yung 체계)을 설계하였는데, 이 서명 방법은 트랩도어 속성이 필요하지 않은 첫 번째 서명이다. 부호(코드)기반 암호 McEliece, Niederreiter 암호 알고리즘과 Courtois, Finiasz, Sendrier 서명 알고리즘이 오류 정정부호에 의존하는 알고리즘에 속한다. 랜덤한 Goppa 코드를 사용하는 기존 McEliece 전자서명은 40년 이상 엄밀한 공격에도 공격되지 않았다. 그러나 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변형이 McEliece 체계의 안전성을 침해하였다. 유럽 위원회가 후원하는 양자내성암호 Study Group은 McEliece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을 양자내성암호의 장기적인 후보로 추천했다. *초특이 타원곡선 아이소제니 암호 이 암호 시스템은 초특이 타원 곡선과 초특이 아이소제니 그래프의 특성을 활용하여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Diffie-Hellman 및 타원 곡선 Diffie-Hellman 키교환 방법을 양자컴퓨터에 내성을 갖는 Diffie-Hellman 키교환 방법으로 변경한 것이다. 기존 Diffie-Hellman 구현과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정부의 대규모 감시를 방지하고 장기적인 비밀키 유출을 방지하는 데 모두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순방향 비밀성을 제공한다. 2012년 중국 국가 핵심 연구소(Chinese State Key Lab)와 Xidian University의 연구원 Sun, Tian 및 Wang은 De Feo, Jao 및 Plut의 작업을 확장하여 통합 서비스 네트워크를 위한 초특이 타원 곡선 아이소제니 기반 양자내성 전자서명을 개발했다. *대칭키 암호의 양자 내성 충분히 큰 크기의 암호키를 사용한다면 AES 및 SNOW 3G와 같은 기존의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은 이미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 내성을 갖는다. 또한 Kerberos 및 3GPP 모바일 네트워크 인증 구조와 같이 대칭키 암호를 사용하는 키관리 시스템 및 프로토콜도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 대해 본질적으로 안전하다.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배포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일부 연구자들은 오늘날 양자내성암호를 구현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Kerberos와 같은 대칭키 관리의 확장된 사용을 권장하기도 한다. = = 안전성 환원문제 = = 암호학에서 암호 알고리즘의 안전성 증명은 이미 알려진 수학적 난제와 그 알고리즘을 해독하는 것의 어려움이 동등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이를 ‘안전성 환원(security reduction)’이라고 부른다. 현재 양자내성암호의 안전성 증명에 사용되는 안전성 환원은 다음과 같다. *격자기반 암호 - Ring-LWE 전자서명 안전성 증명의 하한선으로서 일부 버전의 Ring-LWE 문제를 NP-hard 문제인 격자에서의 최단 벡터 문제(shortest-vector problem; SVP)로 환원한다. Güneysu, Lyubashevsky 및 Pöppelmann의 논문에 정의된 Lyubashevsky의 Ring-LWE 전자서명 변형은 증명 가능한 안전성 환원이 존재한다. GLYPH 서명 체계는 Güneysu, Lyubashevsky, Pöppelmann(GLP) 서명의 변형이다. 또 다른 Ring-LWE 전자서명으로 Ring-TESLA가 있는데, 이는 LWR(Learning with Rounding)이라고 하는 LWE의 변형이 있는데, 이는 “향상된 속도 및 대역폭”을 제공한다. LWE가 하위 비트를 숨기기 위해 작은 오류를 추가하는 것을 활용하는 반면, LWR은 같은 목적으로 반올림을 활용한다. *격자기반 암호 – NTRU, BLISS NTRU 암호 알고리즘과 BLISS 전자서명의 안전성은 격자의 ‘가장 가까운 벡터 문제(Closest Vector Problem; CVP)’와 관련이 있다고 믿어진다. CVP 역시 NP-hard 문제로 알려져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후원하는 양자내성암호 연구그룹은 안전성 증명이 가능한 NTRU의 Stehle-Steinfeld 변종을 기존의 NTRU 알고리즘 대신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다변수 다항식 기반 암호 – Unbalanced Oil and Vinegar Unbalanced Oil and Vinegar 전자서명 알고리즘은 유한체에서 다변수 다항식의 해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을 안전성의 기반으로 하는 암호 알고리즘이다. Bulygin, Petzoldt 및 Buchmann은 일반적인 다변수 이차 UOV 시스템을 NP-Hard Multivariate Quadratic Equation Solving 문제로 환원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해쉬 기반 암호 – Merkle 전자서명 2005년 Luis Garcia는 Merkle Hash Tree 전자서명의 안전성이 기본 해시 함수의 안전성으로 환원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Garcia는 논문에서 단방향 해시 함수가 존재하는 경우 Merkle Hash Tree 서명이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따라서 수학적 난제에 대한 안전성 환원이 입증된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Merkle 트리 전자서명의 안전성이 증명될 수 있다. *부호 기반 암호 – McEliece McEliece 암호 알고리즘은 NP-hard문제로 알려진 SDP(Syndrome Decoding Problem)으로 안전성 환원이 가능하다. *부호 기반 암호 – RLCE 2016년 Wang은 McEliece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랜덤 선형 코드 암호 알고리즘 RLCE를 제안했다. RLCE는 기본 선형 코드 생성기 행렬에 임의의 열을 삽입하여 Reed-Solomon 코드와 같은 선형 코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초특이 타원 곡선 아이소제니 암호 보안성은 같은 수의 점을 가진 두 개의 초특이 곡선 사이에 아이소제니를 구성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 문제와 관련된 NP-hard 문제는 없으나, 안전성에 대한 가장 최근의 조사에서 Delfs와 Galbraith이 어렵다는 것을 설명한 바 있다. = = 안전성 논란 해프닝 = = 2022년 한국의 일부 언론에서 ‘국내 연구진이 양자내성암호의 주요 기반 문제인 선형 잡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양자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해당 기사는 격자(Lattice) 기반 암호 알고리즘의 주요 기반문제인 LWE(Learning With Error)나 LWR(Learning With Rounding)과 논문에서 해결하였다고 주장하는 선형잡음문제(Noisy Linear Problem)를 구분하지 못한데서 발생한 해프닝으로 아직까지 격자기반 양자내성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 = 표준화 동향 = = 미 NSA(National Security Agency)는 2015.8월 양자내성암호의 필요성을 밝히고 2016년부터 NIST를 통해 양자내성 알고리즘 표준공모전을 진행 중이다. 이 공모전은 2020년 3라운드째의 심사 를 진행 중이며, 한국에서 제언한 시스템은 2라운드까지는 진출하였으나 3라운드에서는 탈락하였다. 3라운드 심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 =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 = = Classic McEliece CRYSTALS-KYBER NTRU SABER = = = 전자서명 알고리즘 = = = CRYSTALS-DILITHIUM FALCON Rainbow = 스트렙토미세스속 =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은 방선균의 가장 큰 속이며 스트렙토미세스과(Streptomycetaceae)의 유형 속이다. 500종 이상의 스트렙토미세스 세균이 연구되고 조사되었으며 자세히 설명되었다. 다른 방선균과 마찬가지로 스트렙토미세스는 그람양성세균이며 GC 함량이 높은 게놈을 가지고 있다. 토양과 썩어가는 식물에서 주로 발견되는 대부분의 연쇄상균은 포자를 생성하며 휘발성 대사산물인 지오스민의 생성으로 인해 독특한 '흙 냄새가 나는'(earthy) 냄새로 잘 알려져있다. = =병원체 혹은 치료제 = = 스트렙토미세스는 복잡한 2차 대사가 특징이다. 그들은 천연 유래의 임상적으로 유용한 항생제(예: 네오마이신, 사이페마이신, 그리세마이신, 보트로마이신 및 클로람페니콜)의 3분의 2 이상을 생산하는데 이용된다. 항생제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스트렙토마이세스에서 직접 이름을 따왔다. 스트렙토미세스는 드문 병원체이지만 진균종 병과 같은 인간의 감염은 S. somaliensis 및 S. sudanensis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식물에서는 S. caviscabies, S. acidiscabies, S. turgidiscabies 및 S. scabies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 석항리 = 석항리(石項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산솔면 석항리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석항리 = 틀:1999년 일본 시리즈 = 1999년 일본 시리즈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경기 시간 관중수 10월 23일(토) 1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0 - 3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후쿠오카 돔 18시 02분 2시간 52분 36,199명 10월 24일(일) 2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8 - 2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후쿠오카 돔 18시 15분 3시간 30분 36,305명 10월 25일(월)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이동일 10월 26일(화) 3차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5 - 0 주니치 드래건스 나고야 돔 18시 20분 3시간 12분 37,732명 10월 27일(수) 4차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3 - 0 주니치 드래건스 나고야 돔 18시 20분 3시간 8분 37,798명 10월 28일(목) 5차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6 - 4 주니치 드래건스 나고야 돔 18시 20분 3시간 20분 37,911명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우승: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35년 만에 3번째) * 1999 = 틀:스페인 둘러보기 = = 김륜희 = = = 데뷔 = = 2006년 1집 앨범 "눈썹짙은 그 사람" = = 음반 = = 2006년 1집 눈썹짙은 그 사람 2009년 2집 남자야 남자야 2011년 은빛 로맨스 2015년 남자야 = 분류:코트디부아르의 부통령 = = 틀:나라자료 전주 = = 분류:욧카이치시의 지리 = = 삼층석탑 = 삼층석탑(三層石塔)은 기단(基壇)과 상륜(相輪) 사이에 있는 탑의 몸이 삼층으로 되어 있는 석탑이다. = = 대한민국 = = = = = 국보 = = = 국보 제21호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 제34호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 국보 제35호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국보 제99호 갈항사 삼층석탑 국보 제112호 감은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122호 진전사지 삼층석탑 = = = 보물 = = = 보물 제13호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20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물 제29호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보물 제37호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제47호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물 제50호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보물 제51호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보물 제52호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제65호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72호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보물 제73호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보물 제79호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보물 제87호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91호 여주 창동 삼층석탑 보물 제92호 여주 하동 삼층석탑 보물 제112호 중흥사 삼층석탑 보물 제126호 무장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167호 은선리 삼층석탑 보물 제247호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보물 제250호 범어사 삼층석탑 보물 제294호 승안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298호 월남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73호 보천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95호 선암사 삼층석탑 보물 제397호 진양 효자리 삼층석탑 보물 제443호 향성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464호 흥법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465호 신월동 삼층석탑 보물 제466호 만어사 삼층석탑 보물 제467호 표충사 삼층석탑 보물 제469호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 보물 제510호 기성동 삼층석탑 보물 제606호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보물 제750호 거돈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795호 천관사 삼층석탑 보물 제831호 동화사 삼층석탑 보물 제912호 경주 마동 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945호 금둔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1656호 법수사지 삼층석탑 = = = 시도유형문화재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8호 삼층석탑 - 간송미술관 소장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호 약사사 삼층석탑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삼층석탑 -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현등사 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삼막사 삼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9호 중금리 삼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1호 상동리 삼층석탑 = = = 문화재자료 = =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9호 청주 백족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1호 삼룡동 삼층석탑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0호 언곡사지 삼층석탑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국보 제186호 정양사 삼층석탑 = PKMR = PKMR은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고속정이자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하는 고속정으로 PKX-B으로 불렸다. 함급명은 검독수리로 명명됐다. = = 개발 = = 제2연평해전의 영향과 노후화된 참수리급 고속정을 대체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군이 벌이고 있는 차세대 고속정사업으로 윤영하급 고속함과 함께 계획되었다. 총 16척이 계획되었고, 현재 9척이 취역하였다. = = 특징 = = 최신 전투체계로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230톤짜리 고속정의 운용인원이 20여명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화력도 대폭 강화되어 매우 낡고 약한 북한군의 함선들은 쉽게 파괴 가능하다. PKMR에 탑재된 비룡 로켓은 해상으로 침투하는 북한군의 공기부양정과 경비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으며 12.7mm K-6 중기관총은 직접 함정 레이더와 연동해 표적을 자동 추적, 적외선 카메라로 탄착점을 수정, 발사한다. 이로서 기존 고속정의 수병들이 직접 조작하는 기관총과는 달리 더 안전하게 사격이 가능해졌다. = = 함정 목록 = = 함번 이름 건조일 진수일 취역일 제작사 상태 211 참수리-211호정 2014년 10월 2016년 7월 28일 2017년 11월 1일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2 참수리-212호정 2016년 10월 2018년 12월 28일 2019년 12월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3 참수리-213호정 ? 2018년 12월 28일 2019년 12월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5 참수리-215호정 ? 2018년 12월 28일 2019년 12월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6 참수리-216호정 2017년 6월 28일 2019년 12월 13일 2020년 말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7 참수리-217호정 2017년 6월 28일 2019년 12월 13일 2020년 말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8 참수리-218호정 2017년 6월 28일 2019년 12월 13일 2020년 말 한진중공업 운용 중 219 참수리-219호정 2017년 6월 28일 2019년 12월 13일 2020년 말 한진중공업 운용 중 221 PKMR-221 ? ? ? 한진중공업 운용 중 = 에틸렌다이옥시기 = 에틸렌다이옥시기는 화학, 특히 유기화학에서 구조식이 R-O-CH2-CH2-O-R'인 작용기이다. 에틸렌다이옥시기는 페닐기와 같은 방향족 고리에 부착되며, 이 경우에 에틸렌다이옥시페닐 또는 다이하이드로벤조다이옥신이라고 한다. 에틸렌다이옥시 부분은 예를 들어 화합물 EDMA에서 발견할 수 있다. = 분류:영국의 농구 = = 김종순 = 김종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김종순(金鍾淳, 1886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다. 김종순(金宗順, 1907 ~ 1972)은 한국의 교육인, 법조인, 정치인이다. = 장기호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장기호: 음악인, 교수 장기호 (정치인) 장기호 = = 가공 인물 = = 그녀는 짱의 등장 인물 아무도 모른다의 등장 인물 = 분류:단국대학교 = = 페렌츠 딕 = 페렌츠 딕(Ferenc Deák)은 헝가리 출신의 축구 선수이다. 축구스포츠기록통계재단(RSSSF)에 따르면 개인 통산 793골을 기록하여 이 부분 전세계 4위 기록을 가지고 있다.‘통산 981골’ NO.1 득점자가 듣보잡?…호날두와 약 200골 차 = = 국가대표팀 경력 =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였다. = 대분노 (1987년 영화) = 대분노(Rage Of Honor)는 아르헨티나에서 제작된 고든 헤슬러 감독의 1987년 액션, 드라마 영화이다. 쇼 코스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돈 반 아타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쇼 코스기 = = = 조연 = = = 마르틴 코리아 로빈 에반스 게리 깁슨 = 분류:올림픽 모로코 선수단 = = Arp 273 = Arp 273은 지구에서 안드로메다자리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떨어진 2중 상호작용 은하인 UGC 1810과 UGC 1813 은하를 통틀어서 하는 말이다. = = 발견과 형태 여부 = = 이 은하 2쌍은 1966년, 영국의 할튼 알프의 특이은하 목록에서 처음 소개됐다. 이 2개의 은하은 서로의 중력에 의해 형태가 뒤틀려있는데, 이것은 오래전, UGC 1810 은하보다 5배 덜 무거운 UGC 1813 은하가 상대 은하의 중심부를 스치고 지나갔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 은하간 충돌 덕에 덜 무거운 UGC 1813은 중심부에서 폭발적 항성생성이 활발해졌고, 더 무거운 UGC 1810은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장미꽃 형태로 진화한 걸로 여겨진다. 01810 008961 273 = 로켓펀치 (플랫폼) = 로켓펀치(Rocket Punch)는 주식회사 알리콘에서 운영하는 스타트업 위주의 채용 플랫폼이다. = 도식 = 도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도식(圖式): 스키마 = = 가공 인물 = = 도식: 미드나이트 (2021년 영화)의 등장인물 도식: 량강도 아이들의 등장인물 도식: 테러리스트 2의 등장인물 도식: 삘구의 등장인물 도식: 투맨의 등장인물 도식: 웃음실격의 등장인물 = 당진 운정리 석장승 = 당진 운정리 석장승은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에 있는, 돌로 만든 장승이다. 1997년 6월 20일 당진시의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돌미륵 건립을 향리인 호장이 주도하고 사주, 화주 등이 참여하였음이 확인되어 신평현의 향리와 백성들이 성의 방어와 마을의 편안을 위해서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운정리 석장승 = 분류:1994년 카리브 제도 = = 산 블라스역 = 산 블라스 역은 마드리드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마드리드 산블라스카니예하스 구의 아르코스와 엘린 지역에 걸쳐 있으며, 포블라두라 델 바예 거리 지하에 위치해 있다. 요금구역상으로는 A구역에 속한다. = = 역사 = = 1974년 7월 17일 7호선의 첫번째 구간 (라스 무사스 - 푸에블로 누에보)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다. = = 환승 정보 = = 역 주변에 버스 정류장이 총 두 곳 있다. 시내버스 48, 165번 (주간) N6번 (야간) = 분류:나가사키현의 경찰서 = = 분류:이라크의 인권 운동가 = = 의혜공주·한경록 쌍분묘 = 의혜공주·한경록 쌍분묘는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에 있다. 2007년 7월 25일 의정부시의 향토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 1521~1563)와 남편 한경록(韓景祿)의 묘소이다. 의혜공주와 한경록은 ‘숯장수와 혼인한 공주’라는 설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져있는데,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느 날 중종이 공주들에게 “너희들이 편안하게 잘 살 수 있는 것은 누구의 덕이냐?” 라고 묻자 의혜공주를 제외한 나머지 공주들은 중종의 덕이라고 하였으나 의혜공주는 중종의 덕이 아니라 한 때의 영화는 물거품과 같은 것이라 들었다고 답하였다. 이에 노한 중종이 의혜공주를 다음 날 새벽 동대문에 가장 먼저 들어오는 자에게 시집보내겠다고 하였는데, 그가 바로 숯장수였던 한경록이었다. = 한아름초등학교 = 한아름초등학교는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2020. 03. 01 24학급 편성(특수1학급) 2020. 03. 01 제2대 이형숙 교장선생님 부임 2020. 02. 07 제3회 졸업식(70명, 총수 146명) 2019. 03. 01 22학급 편성 2019. 02. 15 제2회 졸업식(51명, 총수 76명) 2018. 03. 01 19학급 편성 2018. 02. 09 제1회 졸업식(25명) 2017. 03. 01 제1대 박옥희 교장선생님 부임 2017. 03. 01 13학급 개교 = = 상징 = = 교화 - 철쭉 : 강한 생활력으로 주변을 밝게 해주는 기쁨을 상징(끝없는 사랑, 맑은 품성) 교목 - 동백나무 : 사철 푸르며 겨울에 꽃을 피우는 강인한 의지를 상징(인내심, 굳은 의지) 교색 - 녹색 : 항상 새롭고 희망찬 미래를 상징(푸른 꿈, 높은 이상) = 틀:1938년 FIFA 월드컵 쿠바 선수 명단 = = 분류:조지아의 부총리 = = 현공사 = 현공사(悬空寺)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다퉁시 훈위안현에 위치한 사원이다. 다퉁 시 중심부로부터 남동쪽으로 60km 되는 곳의 항산의 기슭에 위치한다. 사원의 명칭은 현공각에서 유래되었다. 북위 때인 491년 건립되었다. 경내에 석가모니, 노자, 공자의 조각상이 모셔져 삼교융합의 모습을 보여준다. = 우쓰보역 = 우쓰보역은 일본 기후현 히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열차교환이 가능한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다카야마 본선 하행 도야마 방면 2 ■ 다카야마 본선 상행 다카야마 · 게로 방면 = = 역 주변 = = 국도 제360호선 = 클라우디아 제7군단 = 클라우디아 제7군단 (Legio septima Claudia, 클라우디우스 제7군단)은 로마 제국의 육군의 군단 중 하나이다. 상징은 모든 카이사르의 군단들과 같이 사자와 함께 숫소였다. 제7군단, 제6군단, 제8군단, 제9군단은 폼페이우스에 의해 창설됐다.Caesar's Legion, Stephen Dando-Collins, 269-270 제8군단, 제9군단, 제10군단과 함께 로마 제정 시기의 군대 중 가장 오래된 부대였다. 기원전 58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명령으로 갈리아 키살피나로 이동한 후 그와 함께 갈리아 전쟁 전역을 누볐다. 카이사르는 네르비족과 맞선 전투에 관한 그의 기록물에서 제7군단을 언급했으며, 카이사르의 대리 크라수스가 이끈 서부 갈리아 확장에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56년에는 베네티족 원정에 참여하였다. 베르킨게토릭스에 의해 일어난 사태에서는 루테티아 인근에서 교전했고, 알레시아에서도 활동했었을 것이며, 벨로바키족에 대한 소탕 작전에도 확실하게 관여했다. 제7군단은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기간에 사용한 두 개의 군단 중 하나이며,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도나우강 중부 지역을 지키며, 최소한 4세기까지는 존재했다.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데케발루스의 머리를 가져온 로마의 병사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막시무스가 클라우디아 제7군단 소속이였다. 폼페이의 한 비문은 플로로니우스도 제7군단에서 복무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 비문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제7군단의 영광스런 병사 플로로니우스가 이곳에 묻혔다. 여성들은 그의 존재를 알지 못 했다. 오직 6명만이 알았으며, 이것은 그에게 너무 적었다." = 교향곡 6번 (베토벤) = 교향곡 6번 바장조, 작품 번호 68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여섯 번째 교향곡이다. "전원 생활의 추억"이라는 제목의 공연을 위한 곡으로 위촉받아 1808년 여름 동안에 쓴 것으로, 흔히 전원 혹은 전원 교향곡이라는 부제로 가장 많이 알려진다. 고전주의 교향곡으로는 이례적인 다섯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3악장부터 제5악장은 연속으로 연주되고, 전 곡 및 각 악장에 묘사적인 표제를 다는 등 베토벤이 완성한 아홉 개의 교향곡 중에서는 합창을 도입한 9번과 함께 독특한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또한, 철저한 동기 전개를 통한 통일적인 악곡 구성법이라는 점에서 전작 5번과 함께 베토벤 작품의 한 궁극을 이룬다. = = 표제에 대해 = = 교향곡 6번은 베토벤의 교향곡 중 표제가 있는 유일한 작품이다. 베토벤이 자작에 표제를 단 사례는 이 밖에 고별 피아노 소나타등이 있지만 매우 드물다. 특히 이 6번은 베를리오즈나 리스트의 표제 음악의 선구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제는 초연 때 사용된 바이올린 파트보에 베토벤 자신의 손에 의해 "전원 교향곡"("Sinfonia pastorella"), 혹은 "시골 생활의 추억", "회화적 묘사라기보다 감정의 표출"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 각 악장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표제가 붙어 있다. 시골에 도착했을 때의 유쾌한 감정의 각성 시냇가의 정경 시골 사람들의 즐거운 모임 뇌우, 폭풍 목가(牧歌). 폭풍 후의 기쁜 감사의 기분 이들 표제는 악보 외에도 인정되어 1808년 12월 17일자 빈 신문에 실린 초연에 관한 예고에는 "시골 생활의 추억"이라는 부제가 보인다. 베토벤이 사용하던 스케치장에도 같은 내용이 있어, "성격적 교향곡"(“Sinfonia caracteristica”), 혹은 “시골 생활의 추억”이라고 되어 있고, “전원 교향곡”(“Sinfonia pastorella”)은 음에 의한 회화적 묘사가 아닌 감정의 표현임을 강조하고 있다. 베토벤이 "회화적 묘사가 아니라 감정의 대방출"이라고 강조한 데 대해서는 다음의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 베토벤 자신의 이상주의적인 작곡 이념에서 나온 것이며, 모방을 위한 모방인 묘사 어법을 안이한 것으로 치부하고, 음악적 맥락이나 전체적 구성 속에서 불가결하고 필연성을 갖게 하는 것, 다시 말하면 묘사 어법의 보다 높은 차원에서의 용법을 목표로 한 것이다. 스케치장에 적힌 "성격적 교향곡"도 마찬가지로, 이 말은 창작자의 세계관을 나타내는 순음악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베토벤은 "누구든지 전원 생활에 대한 생각만 있으면 많은 설명이 없어도 작가의 뜻하는 바를 스스로 생각할 수 있다"라고 하며 표제를 자세하게 하는 것을 피했다. 또 하나는 작곡 당시까지 잘 쓰인 베토벤의 자연 묘사 음악에 반하는 것이다. 그 전형적인 것으로, 베토벤보다 조금 빠른 세대의 작곡가 유스틴 하인리히 크네히트(1752-1817)의 열 다섯개의 악기를 위한 "자연의 음악적 묘사"(1784)라는 표제 음악이 있으며, 이 작품의 다섯 개 악장은 이 작품과 거의 같은 표제를 갖는다. 크네히트에게는 "뇌우에 의해 방해받은 목자의 기쁨의 때"(3194)라는 또 다른 오르간 작품도 있었다. 베토벤이 이들 작품을 인지하고 있었는지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원 교향곡과 표제 내용이 일치한다는 점을 볼 때, 베토벤이 이들 선행 작품을 의식하고 있었지 않았을까 추정해 볼 수 있다. 베토벤은 시골을 좋아했다. 빈에서는 근교를 돌아다녔고, 여름에는 시골에서 생활하며 대자연과 친해졌다. 그의 스케치장에는 「숲속에서―나는 행복합니다―나무들은 말합니다―그대를 통해서―오 신이여―참으로 훌륭합니다」, 「모든 나무가 나에게 말하지 않습니까―거룩하구나 거룩하구나―숲속은 황홀하도다」 등이라고 써 놓고 있다. 일본의 음악평론가 미몬마 나오에는 이런 심정을 음악으로 풀어낸 것이 이 교향곡 6번이라고 말했다. = = 배경 및 작곡 = = 하일리겐슈타트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쓰인 이 6번은, 그 유명한 5번과 비슷한 시기에 베토벤에 의해 쓰인 교향곡이지만, 내용은 다르다. 베토벤은 천성적으로 자연을 좋아해서 대부분의 시간을 들판을 돌아다니며 보냈다. 그는 외진 시골에서 일하기 위해 빈을 빈번히 떠났다. 그는 1808년의 여름 편지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숲 · 나무 · 잔디 · 바위 사이를 걸을 때 얼마나 즐거운지 모릅니다. 숲과 화초, 바위, 모두가 공감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사람들은 1803년에 그의 노트에서 이러한 말을 찾아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그동안 6번에 대한 시각은 5번과의 비교론이 중심이어서 두 작품의 성격 차이가 강조되는 추세였다. 예를 들어, "5번에서의 극도의 정신적 긴장, 창조력의 폭발적인 분출에 대해서, 베토벤 자신이 정신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창조 형식이 6번이다"라고 하는 견해이다. 그러나 이런 정서적 해석은 교향곡 양식의 혁신성 면에서 5번 못지않은 이 작품의 의의를 간과할 수 있다. 덧붙여 1803년 6월 경부터 1804년 4월 경까지 사용했던 "란츠베르크암레흐 6"이라고 불리는 스케치장에 6번 주제의 얼마 안되는 맹아를 볼 수 있다. 1807년 7월부터 8월까지 사용된 미사곡 다단조 스케치장에도 6번 1악장 주제로 발전하는 원형들이 나타나지만, 이들은 모두 단편적이어서 본격적인 창작은 "전원 교향곡"("Sinfonia pastorella") 스케치장의 사용기로 보인다. = = 초연 = = 이 교향곡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인 빈 시내의 빈 강 곁에 있는 테아터 안 데어 빈에서의 1808년 12월 22일 저녁 아카데미(Akademie. 당시에는 연주회를 Akademie라고 지칭함)에서 베토벤이 세계 음악사상 불후의 작곡인 자신의 몇 가지 새 작품들을 모두 자신의 지휘로 선 보일 당시에 함께 초연되었다(당시, 이 교향곡은 교향곡 5번이라고 되어 있었고, 현재 말하는 교향곡 5번이 교향곡 6번이라고 되어 있었지만, 1809년에 출판된 파트보에서 두 개의 교향곡은 각각 현재의 장르 일련번호로 변경되었다). 음악 연주회 역사상으로도 손꼽을 유명한 이 아카데미는, 현대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긴 연주시간(4시간 이상)을 기록했다. 첫 번째 부분: 교향곡 6번 바장조, 작품 번호 68 "전원" 콘서트 아리아: 아, 못 믿을 이여, 작품 번호 65 미사곡 다장조, 작품 번호 86 중 Gloria 악장 피아노 협주곡 4번 사장조, 작품 번호 58 (베토벤에 의한 협연 및 지휘) 두 번째 부분: 교향곡 5번 다단조, 작품 번호 67 "운명" 미사곡 다장조, 작품 번호 86 중 Sanctus 악장, Benedictus 악장 피아노 독주를 위한 환상곡(베토벤에 의한 즉흥곡으로 이후 작품 번호 77이 됨) 합창 환상곡 다단조, 작품 번호 80 (베토벤에 의한 협연 및 지휘) 그러나 이 초연은 환경과 조건이 이상적이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났다. 연주회 전의 리허설은 1회 만이 있을 뿐이었다. 당시의 "아카데미"에 관한 기록에 따르면, "당일 난방도 없는 극장에서 소수의 관객이 추위에 떨며 연주를 듣고 있었다"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1년 반 뒤에 이루어진 또 다른 연주회에서는 열광적인 호응과 찬사를 받았다. = = 출판 및 헌정 = = 악보는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트텔 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다(1809년 4월 - 파트보, 1826년 3월 - 총보). 그리고 20세기 말까지 원전판 ~ 브라운 교정에 의한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신판, 델 마르 판, 귈케 판이 출판되었다. 악보의 초판은 1809년 4월에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를 통해 파트보가 간행되었다. 헌정은 롭코비츠 공작과 라즈몹스키 백작에게 공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나오에 몬마는 헌정 대상을 롭코비츠 공작, 라주몹스키 백작으로 지목하고 있으나, 라주몹스키 백작에 대해서는 다른 문헌에서 확인할 수 없어, 여기에서 거론하지 않았다. 롭코비츠 공작은 라우드니츠 백작이기도 한 것으로 보아 착오가 아닌지 생각된다. 동년 중의 증쇄에 있어서는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다. 1824년 3월에는 같은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를 통해 총보가 간행되었다. 또한 20세기 말까지 원전판 ~ 브라운 교정에 의한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신판, 델 마르 판, 귈케 판이 출판되었다. 헨레에 의해 간행되고 있는 "신 베토벤 전집"에서는, 교향곡 5번과 교향곡 6번의 교정을 코지마 신이 담당하고 있었지만, 코지마는 1983년에 사망했다. 1996년에 한차례 발간이 예고되었으나 새로운 자료의 발견으로 재교정이 필요해 출판은 중단되었고, 오랫동안 교향곡 5번과 교향곡 6번은 교정자가 미정인 상태였으나 2007년에야 베토벤 연구소의 옌스 더프너에 의해 결정되었고, 2013년 말 교향곡 5번과 교향곡 6번이 "교향곡 제3권"으로 간행되었다. 헨레는 이 신판을 1악장만 무료 공개하고 있다. = = 악기 편성 = = 전작 5번과 비교하면, 콘트라바순이 사용되지 않고 있고, 트롬본은 3관에서 2관으로 감소되고 있지만, 통상의 2관 편성에 가세해 피콜로나 트롬본이 사용되고 있어, 이들 악기의 정착화와 악기 편성의 확대가 추진되고 있다. 목관 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금관 악기 타악기 타악기 현악합주단 현악합주단 플루트 2 호른 2 팀파니 ● 제1바이올린 ● 오보에 2 트럼펫 2 기타 제2바이올린 ● 클라리넷 2 트롬본 2 기타 비올라 ● 바순 2 기타 기타 첼로 ● 피콜로 1 기타 기타 콘트라베이스 ● = = 악장 구성 = = 이 교향곡에서는 새로운 형식의 5악장 구성이 시도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연주 시간은 약 40분 정도 소요된다. 이 시기의 베토벤은 악장 구성상의 유기적인 통일감을 추구하고 있어, 전작 5번과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악장 연결을 이어가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더욱 철저하게 제3악장 이후의 세 개의 악장을 연결시키고 있다. 제4악장의 「뇌우, 폭풍」은 실질적으로 제3악장과 제5악장 사이의 긴 삽입구이고, 교향곡 전체에서 맡은 역할은 소나타 형식의 전개부 기능과 비슷하다. 이는 베토벤이 전원교향곡에서 소나타 형식의 구성을 작품 전체로 확장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덧붙여,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는 초판 파트보 작성시 제1・4・5악장의 표제를 베토벤으로부터 송부된 원고의 형태로부터 개정해(제4악장에서는 「천둥 donner」을 「뇌우 gewitter」라고 하는 등), 원고나 친필 악보의 뉘앙스를 솔직하게 전하고 있지 않다. 이 개서는 구 베토벤 전집, 오렌부르크판 악보 및 복각판 파트보, 21세기 들어 출판된 하우실트 교정의 브라이트코프 출판사 신판에까지 미쳤다. 그러나 델마 교정의 베렌라이터판, 헨레사=두프너 교정의 신 베토벤 전집판은 베토벤이 관여한 친필 원고로 되돌아가고 있다. = = =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 = = 바장조, 2/4 박자, 「시골에 도착했을 때의 유쾌한 감정의 각성」. 소나타 형식.현 외에는 목관과 호른만이 사용된다. 첼로와 비올라의 5도 보속음 위에 제1바이올린이 제1주제를 낸다. 4마디에서 독립적이며, 반종지 늘임표는 교향곡 5번의 서두와 호응한다. 목관의 셋잇단음표와 바이올린의 경과구에서 사장조가 되고, 제2주제는 다장조, 4마디의 단순한 악구가 제1바이올린에서 점차 낮은 현으로 옮겨간다. 전개부에서는 철저하게 제1주제의 동기를 다룬다. 내림나장조에서 라장조(실은 사장조의 딸림음), 라장조로 조바꿈을 하면서 주제의 동기를 36회 반복한다. 일단락되면 이번에는 다장조에서 마장조(실은 나장조의 딸림음), 다장조로 바꾸어지면서 같은 반복이 된다. 재현부에서는 제2바이올린과 비올라에 의해 제1주제가 제시된다. 4마디 반종지 대신에 5마디부터 제1바이올린의 경쾌한 구가 나타나는데, 이는 5번 제1악장 재현부에서의 오보에 서창구와 같은 필법이다. 제2주제에서는 형식대로 바장조를 취한다. 코다에서는 전개부와 같이 시작하지만 곧이어 목관과 현의 흥정에서 현만으로 이루어지며 클라리넷과 바순의 중주, 바이올린, 플루트로, 이어 전체 합주로 끝난다. = = = 제2악장. 안단테 몰토 모소 = = = 내림나장조, 12/8 박자, 「시냇가의 정경」. 소나타 형식.첼로와 콘트라베이스의 피치카토에 제2바이올린, 비올라, 독주 첼로가 시냇물 소리 같은 음형을 더하고 그 위에 제1바이올린이 잔잔한 제1주제를 나타낸다. 두 번째 주제는 바장조로, 제1바이올린이 고음역에서 분산하행, 분산상승하지만, 다시 바순이 노래하는 주제에 다른 악기들이 모여 발전한다. 이후, 제1주제에 의한 짧은 코데타를 거쳐 전개부로 들어간다. 전개부에서는 주로 제1주제를 취급하면서 전조해 나간다. 여기에서는 목관 악기의 충실한 서법이 특징적이며, 목관의 프레이즈는 재현부에서도 장식적 용법으로 나타난다. 이윽고 F음의 지속 위로 플루트가 제1주제를 나타내 재현부가 된다. 재현부는 제1주제부가 단축되었지만, 제2주제 이후는 대체로 형식 그대로이다. 바이올린에서 자주 나타나는 트릴은 작은 새의 지저귐을 상징화한 것으로 이 작은 새의 묘사는 코다에 들어가면 명확하게 주석이 들어가며 플루트가 나이팅게일, 오보에가 메추리, 클라리넷이 뻐꾸기를 각각 모방하며 우는 매듭이 된다. = = = 제3악장. 알레그로 아타카 = = = 바장조, 3/4 박자, 「시골 사람들의 즐거운 모임」. 복합 세도막 형식을 취하며, 사실상 스케르초 악장.주부는 현의 스타카토 주제(바장조)에 목관의 선율이 라장조로 응답한다. 이것이 반복되면 이번에는 현이 라장조인 채로 주제를 내고 목관은 다장조가 된다. 다장조는 주조인 바장조의 속화음(딸림음) 조이며 투티로 앙양되어 바장조로 돌아간다. 베토벤이 자연스러운 음악의 흐름 속에서 지극히 훌륭한 음조 대조를 보이는 부분이다. 주부 후반부에서는 오보에의 경쾌한 주제가 클라리넷에서 호른으로 이어져, 이 작품의 큰 특징인 관악기의 효과적인 활용이 강조된다. 또한 오보에의 선율에 바순이 단순한 음형으로 추임새를 넣는 것은, 오스트리아의 시골 악대가 연주중에 졸다가 문득 깨어나 악기를 다시 잡은 모습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간부에서는 2/4 박자를 이루고, 여기로부터 트럼펫도 더해져 고조되지만, 성격이 다른 3,4,5악장이 연속적으로 연주되는 구성 때문인지, 중간부는 주부와의 대비가 베토벤의 다른 세도막 형식 악장만큼 강하지 않다. 이상이 반복되면서 템포 프리모에서 주부가 약간 변화된 형태로 돌아온다. 프레스토에 속도를 올려 절정을 쌓으면 아타카에서 제4악장으로 이어진다. = = = 제4악장. 알레그로 아타카 = = = 바단조, 4/4 박자. 「뇌우, 폭풍」. 팀파니, 트롬본(2개), 피콜로가 참가하며, 전 악장에서 가장 묘사적인 부분이다.제3마디에 나타나는 동기는 주요 재료이지만 고전주의 형식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음악 진행이 실시간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의 양상이 결코 시간적으로 복귀하는 일이 없도록 음악 형식의 일반적 구조인 시작 주부와 그 재현적 반복이라는 틀 구조를 따르지 않는다. 화성적으로는 주조의 단6도 위의 내림나장조로부터 시작하여 여러 조성 영역을 거쳐 종악장의 속조인 다장조에 수렴한다. 이 같은 화성적 불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다른 악장의 안정성을 돋보이게 한다. 우선 저현이 천둥과 같은 트레몰로를 치고 제2바이올린의 분주한 주구를 거쳐 곧 전 합주의 폭풍우가 된다. 여기에는 이 작품에서 추구된 중요한 혁신적 어법이 인정된다. 내림라장조에서 내림마단조, 바단조로 조바꿈하는 가운데 베이스의 성부는 반음계 상행하는데, 여기에는 각 조의 근음 약체(略體)의 제1전회형(도 음 베이스)에 의한 감칠화음이 이용되고 있다. 동시에 셈여림표 면에서도 피아니시모에서 포르티시모로 변화하여 불안과 긴장을 나타낸다고 하는 감칠화음의 성격이 이중적인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바단조 확립 후 베이스 성부에서 첼로의 다섯잇단음표에 의한 5도 상행, 콘트라베이스의 넷잇단음표에 의한 4도 상행이 겹쳐져, 일종의 음괴적인 불협화음을 낳고 있다. 이 두 베이스 성부의 삐걱거리는 소리에 팀파니의 연타, 관악기의 포효, 바이올린의 주구는 거센 비바람과 번개의 섬광을 암시한다. 이 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어법은 강약의 급전환에 의한 대비이다. 폭풍은 잠시 잦아드는 듯했으나, 멀리 천둥소리에 갑작스러운 번개 같은 피아니시모와 강타가 번갈아 나타나는 발전 속에서 다시 거세지는 모습이 나타난다. 폭풍의 맹위는 피콜로의 찬란함, 감칠화음을 동반한 반음계 악구의 상하행으로 표출된다. 그제서야 폭풍이 잔잔해지면, 오보에에 의한 다장조의 화창한 선율을 들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악장 서두의 내림라장조의 8분음표 음형이 4배로 확대되면서 2분음표의 움직임이 되어 부드럽게 노래되고 구름이 끊겨 햇빛이 비치기 시작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플루트의 사랑스러운 상승 음형(제7마디에서 이미 나타난 음형)이 되어 아타카에서 제5악장에 계속된다. = = = 제5악장. 알레그레토 = = = 바장조, 6/8 박자, 「목가(牧歌). 폭풍 후의 기쁜 감사의 기분」. 론도 형식과 소나타 형식의 혼성에 의한 론도 소나타 형식.서두에서 클라리넷의 소박한 음형에 호른이 음정을 확대하고 응하지만 호른 5번에 의한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울림이 정화된 느낌을 높인다. 또한 비올라와 첼로에 의한 제1악장과 같은 공백 5도의 보존음을 동반하고 있어 목가풍이 강조된다. 첼로의 피치카토 위에 제1바이올린이 전주에 나온 음형의 회전형에 기초한 주요 주제(1주제)를 제시하며, 제2바이올린, 더 낮은 현과 호른, 목관으로 옮겨간다. 주제(제2주제)는 다장조로 제1바이올린에 나타나며, 제1악장의 제1주제와 관련이 있다. 이 종지와 함께 서두의 주제가 회귀해 온다. 새로운 중간 주제는 내림나장조, 클라리넷과 바순의 옥타브로 나타나고, 이것에 제1주제에 근거하는 전개풍적인 경과구가 계속 된다. 이윽고 제1주제의 전주가 플루트로 돌아오고, 클라리넷이 이에 응하면, 재현부가 된다. 제1주제는 제2바이올린에 나오지만, 동시에 주요 주제에 근거한 변주가 무궁동풍인 16분음표의 오블리가토 대선율이 되어, 제1바이올린부터 제2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로 계승되어 고양된다. 제2주제는 바장조로 돌아온다. 제시부와 마찬가지로 재현부가 끝나면, 여기서부터 장대한 코다에 들어가, 제1주제에 의한 변주적 전개가 되어, 큰 고양을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는, 클라리넷이나 바순의 짧은 리듬 음형에 제2악장의 작은 새의 지저귀는 소리를 떠올리게 하는 음색이나 울림도 나온다. 첼로와 바순에 16분음표의 오블리가트 대선율이 다시 나오면 여기서부터 무궁동풍 율동이 큰 너울을 이루며 마지막 절정을 불러 일으킨다. 정점으로부터 급속히 음량을 줄여 피아니시모로 현악이 주요 동기를 나타내고, 마지막에는 약음기를 붙인 호른이 악장 서두의 클라리넷의 원주제를 회상하며, 각 현악이 호를 그리는 오브리가토 음형을 주고받으면서 하행, 전곡을 닫는다. = = 동일 소재 음악 = = 브람스 교향곡 2번 : 요하네스 브람스의 2번째 교향곡. = 피삭 = 피삭은 우리의 전통 한선(韓船)에서 배의 바닥판이나 타판(舵板)을 고착하는데 사용되는 가로로 길게 연결하는 긴 나무못인 장삭과 배의 외판 판재들을 상호 결착하는데 쓰여 지는 나무못을 말한다.이상윤 (2010년 2월 22일).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312쪽. = 분류:가정학 = = 국어문법 = 국어문법(國語文法)은 주시경이 지은 문법책이다. 이 책은 크게 음성학(音聲學)·품사론(品詞論)·구문론(構文論)으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명실공히 현대 문법의 체계를 개척하여 뒤에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기본 이론을 세웠다. = 포털:물리학/상자 = = 테라리움 = 테라리움(terrarium, 복수형: terraria 또는 terrariums)은 수족관과 상반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토양 및 식물을 포함하는 밀봉 가능한 유리 용기이며 유지 보수를 위해 열 수 있다. 지상이나 물가에서 생활하는 동식물 등을 사육·전시하는 사육장을 의미한다. 주로 파충류, 양서류나 육지게와 같은 무척추동물 등 습계성 동물을 여러 가지 화초와 함께 유리와 플라스틱 등 투명한 수조에 넣어 공개한다. 곤충 테라리움은 곤충관이라고 따로 칭한다. = = 역사 = = 기원전 500년경에 꽃을 전시하기 위하여 종 모양의 유리 병 속에 식물을 보관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테라리움의 시작은 영국의 외과의사인 나다니엘 배그쇼우 와드(Nathaniel Bagshaw Ward)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1829년 나방의 일종인 sphinx moth의 부화와 생장과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유리병 속에 번데기를 넣고 흙을 덮은 다음 덮개로 봉해 버렸는데, 정원에 재배를 시도했다가 런던의 대기 오염 때문에 실패한 양치 식물의 포자가 그 속에서 우연히 발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발아된 양치식물이 4년 동안이나 자라던 사실에 착안하여 입구가 큰 유리병에 식물을 심고 그 위에 덮개를 씌워서 기르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테라리움의 시작이었다. 특히 어떤 식물은 15년간이나 물을 주지 않아도 밀폐된 용기 속에서 자랄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어 1942년에 "유리상자 속의 식물생장에 관하여"라는 연구를 발표함으로써 테라리움 최초의 문헌이 되었다. 이 테라리움 용기는 와디언 케이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대항해시대에 희귀 식물을 소금물로부터 보호하며 운반하는 상자로 이용되었고, 장기간의 항해에 지친 선원들의 무료함을 달래거나 선실 내부를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이용되었다. Acanthoscurria geniculata - adult female in terrarium 1.jpg = 방화제1동 = = 분류:도가네시 = = 분류:북마케도니아의 음료 = = 고체시 = 고체시(古體詩)는 중국 성당(盛唐) 이전에 널리 쓰인 시의 형태로, 형식에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시의 형태를 말하며, 고시(古詩) 혹은 고풍(古風)이라고도 한다. 고체시라는 말은 육조 시대(六朝時代)와 그 이전 시대의 시를 말하며. 당대에 근체시가 완성된 이후에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체시 성립 이전의 시라 하더라도 악부체(樂府體) 시는 일반적으로 고시에 포함시키지 않고 따로 분류하고 있으며, 또 근체시 성립 이후라도 근체시의 형식에 따르지 않고 고체시의 형식을 따라서 지은 것은 여전히 고체시라고 명명한다. 고체시의 규칙은 근체시에 비해 자유롭다. 시의 길이와 압운(押韻)이 자유롭고, 각 장의 구수(句數)도 일정하지 않으며 구성상의 규칙도 없다. 4언(四言), 5언(五言), 6언(六言), 7언(七言) 등의 형식이 있으며, 오언과 칠언을 섞은 잡언(雜言)도 있다. 고체시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를 거치면서 현언시, 유선시, 산수시, 전원시, 궁체시 등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조식(曹植), 도연명(陶淵明), 사령운(謝靈運), 포조(鮑照) 등 수많은 문인들의 노력에 의해 표현 역량이 극대화되었고, 압운과 평측, 대구와 구성 등 각 방면에서 고도로 세련된 형태를 갖추어 나갔다. 근체시가 나타난 당대 이후에도 이백(李白), 두보(杜甫) 등의 문인들에 의해 계속 창작되었으며, 청 말에 이르기까지 근체시에 못지않게 높은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 로나 롬니 맥대니얼 = 로나 롬니 맥대니얼(, 1973년 1월 19일 ~ )는 미국 공화당 소속의 정치인으로, 전 공화당 미시간주 지역위원장, 현 전국위원장이다. 그녀는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도널드 트럼프 후보를 지지했는데, 이후 그녀가 전국위원장으로 지명된 것은 다양성 확보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마테 (음료) = 마테, 시마항, 또는 카아으는 마테나무 잎을 우려 만든 음료이다. 남아메리카 원주민인 투피·과라니인들의 전통 음료이며,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및 브라질 남부, 칠레 남부 지역과 볼리비아 차코 지역 등 남아메리카에서 즐겨 마신다. 서남아시아의 시리아와 레바논에서도 인기 있는 음료이다. = = 이름 = = "마테"는 스페인어 "마테"를 음차한 외래어이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식 발음은 "마치"이다. 어원은 "박"을 뜻하는 케추아어 "마테"이며, 스페인어 "마테"는 음료와 음료를 담는 박 용기를 모두 일컫는다. 포르투갈어 "시마항"의 어원은 "야생의"라는 뜻의 스페인어 "시마론"이다. 리오플라텐세 스페인어 낱말이 브라질 남부에 수입되어 "시마항"이 되었다. 과라니어 "카아으"는 "허브"를 뜻하는 "카아"와 "물"을 뜻하는 "으"가 합쳐진 말이다. 그 외에 스페인어권에서는 마테를 "파라과이 차"라는 뜻의 "테 델 파라과이"나 "녹색 금"이라는 뜻의 "오로 베르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 종류 = = 쓴 마테(, ):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에서 가장 흔히 마시는 기본적인 형태의 마테 음료이다. 단 마테(, ): 설탕 등 감미료를 타 달게 만든 마테이다.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칠레 일부 지역에서 흔히 마신다. 파라과이에서는 감미료로 스테비아를 쓴다. 밀크 마테(, , , ): 우유와 설탕을 넣어 만든 마테이다. 파라과이에서 "마테 둘세"가 이 음료를 가리킨다. 코코넛을 갈아넣기 때문에 "마테 데 코코"로도 부른다. 마테차( ): 마테 잎을 물에 넣고 끓인 다음 체나 거름종이에 여과시켜 낸다. 볼리비아,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 즐겨 마시며, 티백 제품이 흔히 생산·소비된다. 테레레(, ): 마테 잎을 얼음물에 우려 만들며, 허브를 함께 우리기도 한다. 파라과이 및 인접한 브라질·아르헨티나 지역에서 흔히 마신다. = = 만들기 = = 수확기인 가을과 겨울에 어린잎과 말단의 싹을 수확한다. 마테를 만들기 위한 잎의 건조 방법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브라질에서는 예열단계에서 줄기에 잎이 달려있는 그대로 1.8m2 넓이의 땅 위에 놓고 땅 주위로 불을 지핀다. 그 다음에 그 가지를 아치 모양으로 세워서 열기를 받아 건조 시킨다. 건조된 잎들은 땅속 구멍에 놓고 빻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거친 가루를 카 가주 또는 예르바 두 폴루스라고 부른다. 파라과이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는 불을 쬐기 전에 중앙맥을 제거하여 마테나무를 만드는데 이를 카미리라고 한다. 파라과이산(産) 마테 중 카쿠이스는 잎눈으로 만든 것이다. 최근에는 중국의 차잎 건조법과 비슷하게 커다란 주철 냄비에 넣고 잎을 볶는 방법도 행해지고 있다. = = 성분 = = 커피의 65%에 해당하는 카페인(200ml 당 80mg)이 들어있다. 마테나무는 칼슘과 철분 등 무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기 때문에 철분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철 함유량이 매우 높다. 마테에는 우리가 자주 마시는 녹차의 5배에 달하는 철 함유량을 가진다. 특히나 다른 차에는 철의 흡수를 방해하는 탄닌 성분이 들어있는데 반해 마테에는 탄닌이 거의 들어 있지 않아서 철분이 부족할 때 음용하면 도움이 된다. 마테의 많은 영양물의 상호작용이 학문적으로 체계적인 연구단계를 거친 것은 아니지만 실생활 속에서 영양학적으로 적용한 사례는 아주 많다. 마테나무 잎은 주식으로 사용되면서 빵과 야채같은 중요한 음식물을 대체한 샐러드로 이용된다. 마테는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어 식사를 충분히 한 것만큼의 활력을 얻을 수 있다. 평화유지군 대원들은 몇가지 사례들을 보고하는데 원주민들이 하루에 아주 적은 양의 한끼 식사를 먹는다 해도 오랜 건기와 굶주림 동안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여러 사례들이 많은 양의 마테를 마심으로써 가능한 것임이 밝혀졌다. 때문에 가난한 남미 엄마들은 마테를 어린 자녀들의 일상음식에 포함시키도록 노력한다. = = 마시기 = = 녹차와 같은 방법으로 뜨거운 물에 우려서 마시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녹차의 경우에는 한번 우려낼때 차 성분의 60%가 추출되므로 더 우려내면 그 맛과 향이 떨어지지만 마테의 경우에는 성분이 추출되는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5,6 번 우려내서 음용할 수 있다. 아직 보편화 되지않은 국내에서는 티백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잎차를 수입해 판매하는 곳도 있다. 최근에는 레몬, 우유, 설탕, 등을 넣어 홍차처럼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마테는 마테라고 불리는 동명의 전용용기에 봄비야하는 금속 빨대를 사용해서 마신다. 개인적으로 마테잎을 용기에 담아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다. 또 마테는 공동체를 결속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여러명이 함께 마시기를 즐기면서 같은 마테컵을 공유하면서 사람들간의 결속을 다지고 우리 사람으로 받아들인다는 표시로 사용되기도 한다. = = 효능 = = 마테에는 우리 몸에 필요한 미네랄,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고, 음용시에 포만감이 빨리 들기 때문에 식사 전에 마시면 식욕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한다. 때문에 유럽에서는 다이어트 차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에도 웰빙차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다이어트를 시행중인 사람이 마테를 다이어트 보조제로 이용하면 다이어트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고 부작용도 줄여 준다. 마테에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있어 산소에 의한 당분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능력이 있다. 그 결과 몸에 젖산이 쌓이는 속도를 지연시켜 주기 때문에 근육이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으며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당을 낮춰주어 피부를 좋게 하며 성인병 치료와 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마테인은 카페인의 이성질체가 아니라 카페인의 다른 말이다. 커피보다는 함유량이 적으나 과다 섭취 시 카페인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 부작용 = = 흡연 또는 음주를 하는 사람에게는 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 임산부, 수유부, 어린이는 섭취를 최소화해야한다고 조언하는 경우가 있다. 마테는 같이 복용하는 약품의 효능을 낮출 수 있다. = 분류:팔레르모 광역시 = = 엘라 렘하겐 = 엘라 렘하겐(Ella Lemhagen, 1965년 8월 29일 ~ )은 스웨덴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이다. 제35회 굴드바게상 감독상 수상자이다. = = 출연 작품 = = 로드 투 로마 (2015) 황금바지를 입은 소년 (2014) 소중한 유산 (2011) 패트릭 1,5 (2008) 투르 앤 리투르 (2003) 차스키 차스키 (1999) = 트레버 세인트 존 = 트레버 세인트 존(Trevor St. John, 1971년 9월 3일 ~ )은 미국의 배우이다. 스포캔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어 브레드 팩토리, 파트 투 (2018년) 더 스튜던트 (2017년) 컨테인먼트 (2016년) 더 그리프 오브 아더스 (2015년) 타잔 3D (2013년) - 윌리엄 클레이튼 역 인 더 패밀리 (2011년) - 코디 하인즈 역 마이 소울 투 테이크 (2010년) 본 얼티메이텀 (2007년) - 트랙티컬 팀 리더 역 킹스 가드 (2000년) 페이백 (1999년) 바이오돔 (1996년) Sketch Artist II: Hands That See (1995) 두 여자의 사랑 (1995년) 하이어런닝 (1995년) 크림슨 타이드 (1995년) = = = 텔레비전 = = = 원 라이프 투 리브 (2003-13) 로스웰, 뉴 멕시코 컨테인먼트 다크 스카이 (2013년) - 알렉스 홀콤브 역 뱀파이어 다이어리 (2013) 멘탈리스트 (2014) 더 영 앤 더 레스트리스 포스터 가족 CSI: 사이버 킹덤 (2007년) = 분류:21세기 미국의 가수 = = 다시남초등학교 = 다시남초등학교는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316-2 (문동리)에 있었던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39년 4월 1일 다시공립심상소학교 부설 죽포간이학교 개설 1944년 4월 1일 다시남공립국민학교로 승격 1950년 4월 1일 다시남국민학교로 개칭 1996년 3월 1일 다시남초등학교로 개칭 1999년 9월 1일 폐교 = 막스 레거 = 요한 밥티스트 요제프 막시밀리안 레거(Johann Baptist Joseph Maximilian Reger, 1873년 3월 19일 ~ 1916년 5월 11일)는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이자 음악 교육가이다. = = 생애 = = 바이에른에서 태어나 비스바덴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1886년부터 1889년까지 바이덴의 카톨릭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있은 후, 1890년에는 음악학자 리만에게 사사하였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나 요하네스 브람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엄격한 음악형식을 공부하였는데 이것이 뒤의 작풍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1년, 뮌헨에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하였다. 독자적 작풍을 확립한 것도 이 무렵이다. 신독일파의 세찬 비판을 받았으나 지지자는 점차로 증가하고, 1905년부터 2년간 그 곳의 음악학교에서 작곡법을 강의하며, 합창지휘자도 겸하였다. 1907년에 라이프치히로 초빙되어, 그 곳 대학의 음악학부 학장, 음악원의 작곡과 교사로 일하였다. 이 때 가르친 사람으로는 조세프 하스와 조지 셀이 있다. 1911년 한스 폰 뷜로의 후계자로서 마이닝겐의 궁정악장을 지냈고, 1914년 오케스트라가 해체되고 나서 거처를 예나로 옮겼다.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폭식증을 평생 앓았으며 이로 인해 비만으로 인한 각종 합병증에 시달렸다. 1916년 라이프치히에서 여행중에 심장마비로 43세의 일생을 마쳤다. = = 작품 = = 레거는 엄격한 음악구성을 수단으로 하여 절대음악의 영역에 작품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순독일적 고전주의에 투철하였지만, 화성에서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반음계적 수법의 영향도 나타난다. 매우 많은 작품을 남겼고, 그 중에서 BACH 주제에 의한 환상곡과 푸가 등의 오르간곡이 가장 유명하다. 관현악곡에서는 딱딱한 수법으로 성공한 힐러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모차르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가 유명하며, 몇 편의 가곡도 애호되고 있다. 작품 대부분이 푸가나 변주곡이며,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모차르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의 주제에 의함)도 이에 속한다. 이외에도 오페라를 제외한 거의 모든 형식의 음악을 썼다. 레거는 자신의 음악이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요하네스 브람스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프란츠 리스트와 리하르트 바그너의 화성을 확장한 것과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복잡한 대위법을 합쳐놓은 구조의 음악을 썼다. = 유리박물관 = 유리박물관은 다음과 같은 박물관이 있다. 코닝 유리박물관 유리박물관 (베네치아) = 사다모리 = 사다모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소 사다모리: 무로마치 시대 초기부터 중기까지의 무장으로 쓰시마 국의 슈고 다이묘 다이라노 사다모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 분류:JTBC의 심야 프로그램 = = 분류:1583년 일본 = = 분류:대한민국에 거주한 조지아인 = = 분류:이집트의 파충류 = = 분류:가야금 연주자 = = 퍼스 킨로스 = 퍼스 킨로스는 스코틀랜드의 의회 구역으로 행정 중심지는 퍼스이며 면적은 5,286km2, 인구는 147,000명(2010년 기준), 인구 밀도는 28명/km2이다. 애버딘셔, 앵거스, 아가일 뷰트, 클라크매넌셔, 던디, 파이프, 하일랜드, 스털링과 접한다. = 심혜지 = 심혜지는 대한민국의 래퍼다. 2019년 싱글 반xx로 데뷔했다. = = 방송 = = 쇼미더머니2 (2013) - Top25 쇼미더머니5 (2016) - Top42 쇼미더머니6 (2017) = = 음반 = = 반xx (2019) = 분류:벌링턴 (버몬트주)의 건축물 = = = Mindlramibot = = 봇의 이름 : Mindlramibot 봇 운영자 : 사용자:Ha98574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pywikipediabot) 자동/수동 : 수동 자세한 기능 설명 : 요청에 의한 치환 작업(replace.py), 당분간은 백:질문방/2010년 8월#봇 편집 요청할 때에서 언급한 내용과 관련된 대량의 치환 작업(이런식으로) & 당분간 토론 내용에 따라 올림픽 문서에서 사용된 전종목 -> 전 종목, 전경기 -> 전 경기로 수정할 예정 봇 플래그가 있는 다른 언어판의 봇 : 없음 추가 정보 (임의) : 단순 치환 대량 작업에 이용합니다. 치환 작업 이외의 봇 편집이나 소량 작업, 연습, 계속 주시가 필요한 작업 등은 사용자:Mindlrami 계정을 이용함. Min's (토론) 2010년 8월 27일 (금) 16:17 (KST) = = = 토론 = = = 기여를 확인하고 플래그를 드렸습니다. 봇을 이용한 치환은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오류가 많이 발견될 때에는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점 유념하시고, 치환 작업 이외의 작업을 하실 때는 사전에 알려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iTurtle (토론) 2010년 8월 31일 (화) 23:59 (KST) = 틀:백년전쟁 가계도 = = 분류:K7리그 의정부 축구단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틀:세자르상 여우조연 = = 틀:원소 정보/제논 = = 라이 (모델) = 라이(, , 1985년 2월 27일 ~ )는 일본의 모델, 디스크 자키이다. "라이" 이전에는 케이(Kei, ケイ)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 에스미역 = 에스미역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스사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역 구조 = = 섬식 1면 2선 구조의 지상역으로, 열차끼리의 교행이 가능하다. 역사는 선로 남쪽에 있으며, 승강장과는 건널목으로 이어져있다. 역사 안의 벤치에는 지역 주민들이 손수 만든 방석이 깔려있다. 신구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자동발권기와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는 없다. = = = 승강장 = = = 1 ■ 기노쿠니 선 기이타나베 와카야마 방면 2 ■ 기노쿠니 선 구시모토 신구 방면 = = 역세권 정보 = = 스사미정사무소 에스미 출장소 국도 제42호선 = = 역사 = = 1938년 9월 7일 - 일본국유철도의 역으로 개업하였다. 1940년 8월 8일 - 에스미 역에서 구시모토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87년 4월 1일 - 민영화에 따라 서일본 여객철도의 소속이 되었다. = 분류:이집트에 관한 목록 = = The Lion King: The Gift = The Lion King: The Gift는 2019년 7월 19일에 발매된 비욘세 놀스의 음반이다. = 대한미식축구협회 = 대한미식축구협회(大韓美式蹴球協會, Korea American Football Association, KAFA)는 대한민국에서 미식축구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70년 이상 동안 한국에 존재해 왔다. 한국에서 미식축구의 인기는 역사적으로 낮았지만 2006년 하인스 워드(피츠버그 스틸러스 소속의 한국 태생 NFL 축구 스타)의 방문으로 어느 정도 인기를 얻었다. 한국 내에서 KAFA는 패드를 사용하는 전통 축구와 깃발 축구를 모두 관리하는 스포츠 관리 기구이다. 한국의 전통적인 축구 리그는 대학 팀과 시니어(KNFL) 팀으로 나뉜다. 특히 주목할만한 세 번의 챔피언십 볼 게임은 시즌이 끝날 때 열린다. 타이거볼(Tiger Bowl)은 대학 리그의 챔피언을 결정하고, 광개토 볼은 KNFL의 챔피언을 결정하며, 마지막으로 일본의 라이스볼과 동격인 한국의 김치볼(Kimchi Bowl)은 대학 챔피언과 KNFL 챔피언을 맞붙인다. = 분류:이바노보주의 지리 = = 웅진로 = 웅진로(Ungjin-ro)는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금학교차로에서 공주시 신관동 전막교차로를 잇는 충청남도의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공주시 (금학동 . 중학동 . 웅진동 . 신관동)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우금티로와 직결 우금티로와 직결 우금티로와 직결 우금티로와 직결 우금티로와 직결 금학 교차로 우금티로 공주시 금학동 금학교 공주시 금학동 공주교육대학교 공주시 중학동 시청앞 봉황로 공주시 중학동 선인교 공주시 중학동 의료원삼거리 감영길 공주시 웅진동 중동 교차로 무령로 공주시 웅진동 공산성회전 교차로 국도 제40호선(왕릉로) 공주시 웅진동 국도 제40호선 구간 금강교 공주시 웅진동 국도 제40호선 구간금학동 방면만 통행 가능 금강교 공주시 신관동 국도 제40호선 구간금학동 방면만 통행 가능 전막 교차로 국도 제32호선(금벽로) 공주시 신관동 국도 제40호선 구간 전막1길과 직결 전막1길과 직결 전막1길과 직결 전막1길과 직결 전막1길과 직결 = = 주요건물및 시설 = = 공주교육대학교 (웅진로 27/봉황동 376) 농협 공주농협 봉황지점 (웅진로 83/중학동 227-3) GS25 공주고점 (웅진로 94/중학동 143-12) 미니스톱 공주사랑점 (웅진로 122/중동 328) 농협 공주시지부 (웅진로 147/중동 180) LG유플러스 중동초등학교점 (웅진로 148/중동 222) 던킨도너츠 공주중동점 (웅진로 162/중동 67-7) 파리바게뜨 공주중앙점 (웅진로 170/중동 73-6) 뚜레쥬르 공주중앙점 (웅진로 173/중동 128-4) 새마을금고 백제 새마을금고 본점 (웅진로 201/산성동 180-17) 새마을금고 웅진 새마을금고 산성지점 (웅진로 219/산성동 170-10) 공산성 (웅진로 280/금성동 65-3) = 분류:게이밍 = = 더스티 로즈 = 더스티 로즈(Dusty Rhodes, 1945년 10월 12일 ~ 2015년 6월 11일 )는 미국의 프로레슬링선수다. "아메리칸 드림 더스티 로즈" (The American Dream Dusty Rhodes)로 잘 알려져 있으며, 코디 로즈,골더스트 더스틴 로즈 둘다 그의 친아들이긴 하지만 어머니가 서로다른 배 다른 형제이다(이복형제). 1968년 프로레슬링 입문했으며 키는 185cm 몸무게는 131kg이다. 본명은 버질 러넬스 주니어(Vergil Reilly Runnels Jr.)다. 피니쉬는 아메리칸 드림 엘보우 드랍, 바이오닉 엘보우로 사용을 한다. 2015년 6월 11일,오전 5시45분(이하 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자택에서 쓰러진 채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병원에서 더스티 로즈는 신장 기능이 정지돼 탈수 증세가 있다는 진단을 받고 다음날까지 투병하다 2015년 6월 11일 오전, 향년 71세로 생을 마감했다. = = 수상 = = NWA 노스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 (하와이 버전) 1회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디트로이트 버전) 1회 - 딕 머독 NWA 센트럴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노스 아메리칸 태그팀 챔피언 (센트럴 스테이츠 버전) 1회 - 딕 머독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NWA 브래스 너클스 챔피언 (플로리다 버전) 2회 NWA 플로리다 바하미안 챔피언 1회 NWA 플로리다 글로벌 태그팀 챔피언 1회 - 매그넘 T.A NWA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 12회 NWA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4회 - 딕 머독 (1회), 딕 슬레이터 (1회), 보보 브라질 (1회), 앙드레 더 자이언트 (1회) NWA 플로리다 텔레비전 챔피언 2회 NWA 서던 헤비웨이트 챔피언 (플로리다 버전) 10회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 (플로리다 버전) 2회 - 벅시 맥그로 (1회), 블랙잭 멀리건 (1회) NWA 조지아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미드 아틀란틱 태그팀 챔피언 1회 - 버프 배그웰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1회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 3회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미드 아틀란틱 버전) 2회 - 딕 슬레이터 (1회), 매니 페르난데스 (1회) NWA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 2회 - 로드 워리어스 1995 WCW 명예의 전당 P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아메리칸 태그팀 챔피언 2회 - 바론 본 라쉬케 (1회), 딕 머독 (1회) NWA 브래스 너클스 챔피언 (텍사스 버전) 3회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샌 프란시스코 버전) 1회 NWA 노스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 (트라이 스테이트 버전) 1회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 (트라이 스테이트 버전) 1회 - 앙드레 더 자이언트 N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딕 머독 I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딕 머독 2007 WWE 명예의 전당 = 데미호보 차량 공장 = 데미호보 차량 공장은 직류·교류형 전동차를 생산하는 러시아의 기업이다. 1935년 창립 이후 여러 분야에 진출하였는데, 그 중에는 중화학 공업과 석탄 산업도 있었다. 현재의 주력 사업은 직류 3kV·교류 25kV 50Hz형 전동차이다. 회사 창설 이후로 17종류, 3000량 이상의 철도 차량을 만들어 왔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종업원 수는 약 3500명이고, 사장은 올레그 파블로프이다. 트란스마시홀딩의 일부분이다. 주력 차량은 ED4, ED9 계열 전동차이다. = = 역사 = = 1935년 소련의 중공업 활성화 정책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 분류:구레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제브라톱사슴벌레 = 제브라톱사슴벌레(학명: Prosopocoelus zebra)는 톱사슴벌레속에 속하는 사슴벌레이다. 크기는 최대 65mm이며, 서식지는 동남아시아이다. 몸의 색갈이 얼룩말을 닮아 '제브라'란 학명이 붙었다. = 오야마역 (도치기현) = 오야마역은 일본 도치기현 오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그리고 도호쿠 본선, 미토선의 정차역이며, 료모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3선, 도호쿠 본선을 포함한 일반 철도선은 4면 8선이다. = = 타는 곳 = = = = = 도호쿠 신칸센 = = = 1 ■ 도호쿠 신칸센 (하행) 우쓰노미야・후쿠시마・센다이 방면 4・5 ■ 도호쿠 신칸센 (상행) 오미야・도쿄 방면 = = = 기존선 = = = 승강장 형태: 혼합식 승강장 4개 8선 6・8 ■ 료모선 도치기・사노・기류 방면 9・10 ■ 우쓰노미야선 (하행) 이시바시・우쓰노미야 방면 12・13 ■ 우쓰노미야선(우에노도쿄라인)■ 쇼난 신주쿠 라인 (상행) 오미야・우에노・도쿄・시나가와・이케부쿠로・신주쿠・요코하마 방면(도카이도 선) 15・16 ■ 미토선 (상행) 시모다테・가사마・도모베・미토 방면 = 슬라이드 영사기 = 슬라이드 영사기(슬라이드 프로젝터, slide projector)는 네거티브(반전 현상) 필름으로 사진을 보기 위한 광학 기계이다. = = 들어가기 = = 슬라이드 영사기는 사진 필름에 빛을 투과시키고 멈춰 있는 영상을 비추는 장치로, 대부분 스크린에 확대하여 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원래는 환등기와 같은 유리판에 채색한 그림을 투영하는 장치가 존재했지만, 언제부터 환등기가 슬라이드 영사기로 변화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한편, 슬라이드 영사기를 환등기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확대할 영상이나 도표를 작은 필름에 넣어 이용하고 보관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보관하기 좋다. 또 영사기에 따라 수백 명의 사람들에게 동시에 영상을 보여 줄 수도 있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프레젠테이션이나 교육 장소에서 계속 쓰였으나, 20세기말부터 점차 다른 방식으로 교체되어 갔다. 또, 2000년대 들어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지만, 개인용 컴퓨터 등 정보 기기로 정지화면을 자동으로 차례차례 내보내서 표시하는 방법은 슬라이드 쇼라고 한다. = 이청미 = 이청미(1990년 8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이청미 - 다음 인물 정보 = = 학력 = = 2010년 ~ 2012년 한양여자대학교 뮤지컬과 전문학사 (졸업) = = 출연 = = = = = 방송 = = = = = = = 드라마 = = = = 2012년 KBS 2TV 《드림하이 2》 - 가영 역 2014년 SBS 《끝없는 사랑》 - 효리 역 2015년 TvN 《응답하라 1988》 - 남궁진희 (남궁늘보) 역 2016년 네이버TV 《첫 키스만 일곱번째》 - 지영 역 2017년 MBC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한덕 역 2017년 SBS 《달콤한 원수》 - 황금숙 역 2018년 JTBC 《제3의 매력》 - 미영 역 2018년 OCN 《플레이어》 - 양해주 역 2018년 KBS 2TV 《땐뽀걸즈》 2021년 SBS 《불새 2020》 - 서은주 역 = = = 영화 = = = 2013년 《마이 리틀 히어로》 - 썬더맨 단원 나비 역 2014년 《천 번을 불러도》 - 정하나 역 2016년 《한강블루스》 - 자살녀 역 = 찌르레기과 = 찌르레기류(Starlings)는 참새목 찌르레기과(Sturnidae)에 속하는 조류의 총칭이다. 상당수 아시아 종, 특히 대형 종들은 쇠찌르레기류(mynah)로 불리며, 아프리카 종들은 무지개빛을 띄는 깃털때문에 무지개찌르레기류(glossy starling)로 불리고 있다. 구대륙 토착종인 찌르레기류는 유럽,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열대 태평양 제도까지 분포한다. = = 하위 속 = = Acridotheres Ampeliceps Aplonis Basilornis Buphagus Cinnyricinclus Coccycolius Cosmopsarus Creatophora Enodes 구관조속 (Gracula) Grafisia Lamprotornis Leucopsar Mino Neocichla Onychognathus Poeoptera Sarcops Saroglossa Scissirostrum Speculipastor Spreo Streptocitta Sturnornis 찌르레기속 (Sturnus) = 신원보증 = 신원보증(身元保證)은 고용계약의 계속중에 피용자가 사용자에게 입힐지도 모르는 손해·불이익을 제3자(신원보증인)에게 책임을 부담시키는 제도이다. 이에는 협의(狹義)의 신원보증과 신원인수(身元引受)의 두 가지 구별이 있다. 협의의 '신원보증'은 피용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발생한 고용 계약상의 손해배상 채무를 사용자에 대해 보증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장래의 채무의 보증이며 민법상의 보증의 일종이다. '신원인수'는 사용자가 그 피용자를 고용함으로써 손해를 입지 않도록, 예컨대 피용자가 질병에 걸린 경우의 손해 등 피용자가 사용자에 대하여 그 책임에 의한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증인(신원인수인)이 일체의 책임을 부담하는 일종의 손해담보계약(損害擔保契約)이다. 그러나 위의 어느 경우에서나 보증인 내지 인수인의 책임은 지나치게 무겁다. 그 이유는 실제상 피용자(被傭者)의 신원을 보증하는 것은 사용자가 피용자의 인물이나 재능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그 염려가 없는 인물임을 보증하는 뜻에 지나지 않는 데 있다. 그러나 신원보증·신원인수의 계약증서에는 무제한의 광범한 보증의 뜻이 기재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부당한 결과를 일으키는 사례가 많다. 그리하여 종래의 판례는 당사자의 의사와 조리(條理)에 의하여 타당한 해석을 하여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국한하는 데 노력하여 왔다. 종래의 판례는 첫째로 사정변경(事情變更)의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보증인에게 해지권을 주었으며, 둘째로 구체적인 책임이 발생하기 이전의 보증인의 지위는 상속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론은 신원보증법이라는 특별법이 제정되어 이에 승계되었다(신보 6조, 7조). 글로벌 세계대백과〈신원보증〉 = = 신원보증법 = = 신원보증법(身元保證法)은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제한하고 신원보증계약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한 법률이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 = 신원보증금 = = 신원보증금(身元保證金)은 고용 등 계속적 계약관계에 있는 자(피용자)가 장래 사용자에게 손해를 입힐 경우에 그 손해배상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미리 교부하는 금전(또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보통은 당사자간의 채무만을 담보하는 것으로 보증금과 같은 성질의 것인데, 특수한 것으로 집달관(執達官)·공증인(公證人)·출납공무원(出納公務員) 등이 납부하는 신원보증금의 제도가 있다(법조 55조, 공증 18조). 글로벌 세계대백과〈신원보증금〉 = 압하지야의 인구 = 현재 압하지야의 인구는 정화히 얼마인지에 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정확히 240,70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Population census in Abkhazia 2011 Population censuses in Abkhazia: 1886, 1926, 1939, 1959, 1970, 1979, 1989, 2003, 2011 Georgian and Mingrelian figures have been conflated, as most of the "Georgians" were ethnically Mingrelian. 그러나 이 수치에 관해서는 조지아 당국으로부터 이의가 제기된바 있다. 조지아 통계청은 압하지야의 인구를 2003년 179,000명, 그리고 2005년 178,000명(조지아에서 발표된 마지막 추산치)으로 추산하였다.Statistical Yearbook of Georgia 2005: Population, Table 2.1, p. 33, Department for Statistics, Tbilisi (2005)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2007년 180,000명으로 추산하였으며,Origins and Evolutions of the "Abkhazi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09 Sep. 2008.Georgian-Abkhaz Conflict, by Stephen D. Shenfield 국제위기감시기구는 압하지야의 인구가 2006년 157,000-190,000명 사이일 추산했다. 1998년 유엔 개발 계획에서는 180,000-220,000명으로 추산되었다.Abkhazia Today.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Europe Report N°176, 15 September 2006, page 9. Free registration needed to view full report 압하지야의 인구 규모는 1992-1993년 전쟁으로 인해 절반 이상으로 감소했다. 1989년 인구 조사 당시에는 525,061명이었다. = = 인구 통계 = = = = = 2002-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 = = Abkhazia in Numbers 2014, Управл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Республики Абхазия [Department of State Statistics of the Republic of Abkhazia]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조사망률 자연 증감률 2002 1,557 1,059 498 7.3 5.0 2.3 2003 214,016 1,816 1,142 674 8.5 5.3 3.2 2004 217,281 1,919 1,233 686 8.9 5.8 3.1 2005 223,847 1,669 1,533 136 7.7 7.1 0.6 2006 223,847 1,715 1,493 222 7.9 6.9 1.0 2007 227,204 1,772 1,761 11 8.2 8.2 0.0 2008 230,611 1,990 1,553 437 9.2 7.2 2.0 2009 234,069 2,207 1,699 508 10.2 7.8 2.4 2010 237,579 2,156 1,699 457 8.9 7.0 1.9 2011 240,705 2,143 1,645 498 8.9 6.8 2.1 2012 241,414 2,258 1,723 535 9.3 7.1 2.2 2013 242,028 2,017 1,561 456 8.3 6.4 1.9 2014 242,756 2,004 1,467 543 8.2 6.0 2.2 2015 243,206 1,927 1,654 273 7.9 6.8 1.1 2016 243,564 1,768 1,465 303 7.2 6.0 1.2 2017 243,936 2018 244,832 2019 245,246 = 혼합 모델 = 혼합 모델(Mixture model)은 통계학에서 전체 집단안의 하위 집단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확률 모델이다. 좀 더 형식적으로는 전체 집단의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혼합 분포(Mixture distribution)에 해당한다. 그러나 "혼합 분포"와 관련된 문제들은 하위 집단들로부터 전체 집단의 특징들을 얻는 것에 관련된 반면, "혼합 모델"들은 관찰된 집단이 주어졌을 때 하위 집단들의 특징들에 대해 통계적 추론을 하기 위해 쓰인다. 혼합 모델의 좀더 구체적인 사용 용도로는, 만약 관찰된 변수와 잠재 변수의 결합 분포를 정의한다면, 관찰된 변수들의 분포는 모든 잠재 변수에 대해 주변화(marginalize)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찰된 변수의 복잡한 분포를 잠재변수를 사용하여 더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다. 혼합 모델은 이러한 잠재변수를 가정하여 복잡한 분포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또, 혼합 모델은 데이터를 군집화(clustering)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잠재 변수를 포함하는 모델의 최대 우도 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위해서는 기대값 최대화(expectation-maximization)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가우스 혼합 모델은 데이터마이닝, 패턴 인식, 머신 러닝, 통계분석 등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이 때 모델의 파라미터들은 EM 알고리즘을 통해 구한다. = = 혼합 모델의 배경 = = = = = 지도학습과 비지도 학습 = = = = = = =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 = = = 관측된 자료가 특징 벡터 x 와 관측 값이 속해있는 클래스 ω 로 이루어진 변수 쌍 {x, ω}으로 구성될 경우의 학습은 특징벡터와 정확한 답이 주어졌기 때문에 교사/감독/지도(supervised: 교사와 함께 훈련한/교사가 지도한) 학습이라고 한다. = = = =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 = = = 클래스 라벨 ω 가 주어지지 않고 특징 벡터 x={x1, x2,...,xN } 만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집합이 주어질 경우의 학습은 정확한 답은 제공 받지 못하므로 비교사/무감독/비지도 (unsupervised: 교사 없이 훈련한) 학습이라고 한다. = = = = = 비지도 학습의 두 가지 접근법 = = = = = 모수적(parametric) 방법(혼합모델을 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은 여러 개의 모수적 확률밀도함수(주로 가우스)를 혼합하여 주어진 확률밀도함수를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아래 식과 같이 모델링 되며, 모델 파라미터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이 방법을 “모수적 혼합 모델(parametric mixture models)”이라고 한다.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 이 방법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고 정해진 수의 클러스터들로 데이터를 나누는 방법으로 군집화 (클러스터링)라고 한다. 이 방법은 파라미터 최우추정(MLE)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 = 클러스터 구분의 최적화 규준 = = = 클러스터링을 통해 데이터들을 클래스로 분류를 하게 되면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클래스의 중심이 되는 값(클래스 내에 가장 밀도가 높은 지점)과 그 클래스로 분류된 데이터간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최적화 과정이다. 이 때 특징 벡터 x의 개수(N)는 항상 클래스의 개수(K)보다 훨씬 많고 서로 관계는 대부분 비선형이므로 직접적으로 최적의 값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최적화 과정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 = = 군집화에서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문제점 = = = = 1) 최적의 클래스(확률분포모델) 개수는 몇 개 인가?(K의 개수 결정) 2) 주어진 데이터에서 가장 근접한 클래스(확률분포모델)는 무엇인가?(클러스터링 과정) 3) 오차가 가장 최소가 되는 클래스(확률분포모델)는 무엇인가?(클래스 특징을 변화) 위의 3가지 문제를 고려하여 클래스 구성과 최적화 과정을 EM알고리즘을 통하여 진행한다. 패턴인식 개론 Matlab 실습을 통한 입체적 학습 개정판, 한학용 저, 한빛미디어 = = 혼합 모델의 구조 = = = = = 일반적인 혼합 모델 = = = 일반적인 유한 차원의 혼합 모델은 다음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계층적 베이즈 모델이다. : N 관측에 대응 되는 확률 변수, 각각의 관측은 'K'개의 요소의 혼합에 의해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각 구성요소는 같은 parametric family를 공유하는 확률 분포에 속한다. (즉, 모두 가우스 분포이거나 모두 Zipfian 분포에 속하는 등.) N 개의 잠재 변수들은 각각의 관측결과에 대해서, 혼합 구성요소의 존재를 나타낸다. 각각은 K 차원의 다항 분포를 따라 분포한다. K 개의 혼합 가중치 집합. 각각은 합이 1이 되는 확률값이다. K 개의 파라미터 집합, 각각은 대응되는 혼합 구성요소의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차원 가우스 분포의 혼합에 따라 분포된 관측 결과들은 각 구성요소마다 평균과 분산값이 있다. 또, V차원 다항 분포의 혼합에 따르는 관측(예를 들어, 각 관측결과가 V개의 단어집합에 속하는 단어일 경우)은 V개의 확률 값을 가지는 벡터를 가진다. (전체적인 확률 값의 합은 1이 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베이지안 세팅에서는 혼합 가중치와 파라미터들 자체가 확률 변수이며, 그러한 변수들에 대한 사전확률이 정의되어야 한다. 그런 경우에 가중치들은 보통 디리클레 분포로부터 뽑은 K차원의 랜덤 벡터라고 간주한다. (디리클레 분포는 다항 분포의 conjugate prior이다.) 따라서 파라미터들은 해당하는 conjugate prior에 따라 분포 될 것이다. 수학적으로, 기본적인 파라미터 혼합 모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K = 혼합 구성요소의 수 N = 관측 데이터의 수 \theta_{i=1 \dots K} = 구성요소와 연관된 관측의 분포의 매개변수 \phi_{i=1 \dots K} = 혼합 가중치 즉, 특정 구성요소의 사전 확률 \phi_{1 \dots K}로 이루어진 \boldsymbol\phi = K 차원의 벡터 </math> z_{i=1 \dots N} = 관측 데이터 i의 구성 요소 x_{i=1 \dots N} = 관측 데이터 i F(x|\theta) = 관측의 확률 분포 매개변수 \theta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F(\theta_{z_i}) 베이지안 세팅에서, 모든 파라미터들은 확률 변수와 다음과 같이 연관되어 있다. : K,N = 위와 같음 \theta_{i=1 \dots K},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위와 같음 z_{i=1 \dots N}, x_{i=1 \dots N}, F(x|\theta) = 위와 같음 \alpha = 구성요소 매개변수에 대한 공유 하이퍼 매개변수 \beta = 혼합 가중치에 대한 하이퍼 매개변수 H(\theta|\alpha) = 매개변수를 \alpha로 하는 구성요소 매개변수의 사전 확률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F(\theta_{z_i}) 위와 같은 정의에서 F와 H는 각각 관찰과 파라미터에 대한 임의의 분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H는 F의 conjugate prior이다. F분포의 가장 흔한 선택 두가지로는 가우스 분포(실수값을 가지는 관측) 그리고 다항 분포(이산적인 값을 가지는 관측)가 있다. 혼합 구성요소로 가능한 다른 일반적인 분포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이항 분포, 고정된 수의 전체 발생 중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횟수 다항 분포, 이항 분포와 비슷하나, 두가지 사건이 아닌 여러 가지 사건중에 하나가 일어나는 횟수 음이항 분포(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이항 분포와 같은 관측상황 하에서 주어진 성공 횟수가 일어나기 위해서 일어난 실패 횟수 푸아송 분포, 주어진 기간동안 특정 사건이 일어나는 횟수 (사건이 일어나는 비율 고정되어 있을 때) 지수분포, 다음 사건이 일어나기 까지의 시간 (사건이 일어나는 비율 고정되어 있을 때) 로그 정규분포,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실수 값 (수입이나 가격) 다변량 정규분포 결과가 관련되어 있는 벡터 값 , 각 값들은 가우스 분포를 가진다. = = = 구체적인 예 = = = = = = = 가우스 혼합 모델 = = = = 대표적인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은 다음과 같다. K,N = 위와 같음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위와 같음 z_{i=1 \dots N}, x_{i=1 \dots N} = 위와 같음 \mu_{i=1 \dots K} = 구성 요소 i의 평균 \sigma^2_{i=1 \dots K} = 구성 요소 i의 분산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mathcal{N}(\mu_{z_i}, \sigma^2_{z_i}) 베이지안 버전의 가우스 혼합 모델은 다음과 같다. K,N = 위와 같음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위와 같음 z_{i=1 \dots N}, x_{i=1 \dots N} = 위와 같음 \mu_{i=1 \dots K} = 구성 요소 i의 평균 \sigma^2_{i=1 \dots K} = 구성 요소 i의 분산 \mu_0, \lambda, \nu, \sigma_0^2 = 공유되는 하이퍼 매개변수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mathcal{N}(\mu_{z_i}, \sigma^2_{z_i}) = = = = 다변량 가우스 혼합 모델 = = = = 베이지안 가우스 혼합 모델은 흔히 미지의 파라미터 벡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확장되거나, 다변량 정규 분포로 확장된다. 다변량 분포에서(즉 N 개의 확률 변수를 모델링할 때, \boldsymbol{x} ), 파라미터 벡터를 모델링할 때, 다음과 같이 가우스 혼합 모델 사전 분포를 사용하여 추정 할 수 있다. p(\boldsymbol{\theta}) = \sum_{i=1}^K\phi_i \mathcal{N}(\boldsymbol{\mu_i,\Sigma_i}) 벡터의 ith 요소는 가중치 \phi_i, 평균 \boldsymbol{\mu_i} 그리고 공분산 \boldsymbol{\Sigma_i}을 갖는다. . 새로운 파라미터들은 \tilde{\phi_i}, \boldsymbol{\tilde{\mu_i}} and \boldsymbol{\tilde{\Sigma_i}} EM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업데이트된다. EM 기반의 파라미터 업데이트 방식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이미 잘알려져있지만,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초기 추정치를 알아내는 것은 현재에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공식화는 complete posterior 분포의 closed-form 해를 구할 수 있게 한다. 확률 변수\boldsymbol{\theta}의 추정치들은 여러개의 posterior 분포의 최댓값이나 평균 등의 추정자들 중 하나로 구할 수 있다. = = = = 다항 혼합 모델 = = = = 대표적인 다항 분포의 비(非)베이지안 혼합 모델 관측은 다음과 같다. K,N: 위와 같음 \phi_{i=1 \dots K}, \boldsymbol\phi: 위와 같음 z_{i=1 \dots N}, x_{i=1 \dots N}: 위와 같음 V: 다항 관측의 차원 (예, 단어의 수) \theta_{i=1 \dots K, j=1 \dots V}: 구성요소 i 가 데이터 j 을 관측할 확률 \boldsymbol\theta_{i=1 \dots K}: \theta_{i,1 \dots V};로 이루어진 V,차원 벡터, 합이 1이 되어야 함. 확률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text{Categorical}(\boldsymbol\theta_{z_i}) 대표적인 다항 분포의 베이지안 혼합 모델 관측은 다음과 같다. K,N: 위와 같음 \phi_{i=1 \dots K}, \boldsymbol\phi: 위와 같음 z_{i=1 \dots N}, x_{i=1 \dots N}: 위와 같음 V: 다항 관측의 차원 (예, 단어의 수) \theta_{i=1 \dots K, j=1 \dots V}: 구성요소 i 가 데이터 j 을 관측할 확률 \boldsymbol\theta_{i=1 \dots K}: \theta_{i,1 \dots V};로 이루어진 V,차원 벡터, 합이 1이 되어야 함. \alpha: 각 구성요소에 대한 공유 집중 하이퍼 매개변수 \boldsymbol\theta \beta: 집중 하이퍼 매개변수 \boldsymbol\phi 확률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text{Categorical}(\boldsymbol\theta_{z_i}) = = 식별성(Identifiability) = = = = = 정의 = = = 식별성은 특정 클래스에서의 어떠한 모델에 대해서 고유의 특성의 존재를 말한다. 모델이 식별 가능하지 않다면, 추정 과정이 잘 정의되지 않거나 점근적 이론(Asymptotic theory)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 = = 예시 = = = 잠재 변수 모델(Latent variable model)에 대한 p(θ|D)를 계산할 때 생기는 문제는 사후확률이 다수의 봉우리를 포함한(multi-modal)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예로 가우스 혼합 모델을 고려해보자. 만약 z_i값(각 가우스 분포의 비중)을 모두 알고 있다면, 매개변수 D를 이용하여 단봉형의 사후확률을 얻을 수 있다. p(\theta|D)=p(\pi|D)\prod_{k=1}^KN(\mu_k,\Sigma_k|D) 그 결과, 전역적인 최적의 최대 사후확률 추정(MAP)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만약 z_i값을 모른다면, z_i값을 채워 넣는 방법에 따라 다른 단봉형의 우도를 얻게 된다. 그래서 z_i 변수를 통합하여 식에서 제거한다면, p(θ|D)에 대해서 다수의 봉우리를 포함한 형태의 사후확률이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는 군집들의 서로 다른 라벨링(labeling) 때문에 발생한다. 단적인 예로, K=2인 2차원 가우스 혼합 모델의 데이터(\pi_k=0.5, \mu_1=-10, \mu_2=10)에 대해서 우도 함수 p(D|\mu_1,\mu_2)는 두 개의 피크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mu_1=-10, \mu_2=10인 피크이고, 다른 하나는 \mu_1=10, \mu_2=-10인 피크이다. 이 때 유일한 최대 우도 추정(MLE)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매개변수는 "식별 가능하지 않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전확률이 특정 라벨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유일한 최대 사후확률 추정(MAP)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사후확률이 다수의 봉우리를 포함한 형태라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Machine Learning:A Probabilistic Perspective,Kevin P. Murphy,2012 사후확률이 포함하는 봉우리의 개수가 몇 개인지 찾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문제다. K개의 모델이 혼합되어있는 혼합모델은 K!의 라벨링 경우의 수가 있는데, 이 중 몇 개의 피크는 하나로 합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우스 혼합 모델에 대한 최적의 최대 우도 추정을 찾는 방법이 NP-hard 문제라고 알려져 있다.Aloise et al. 2009; Drineas et al. 2004 = = 매개 변수 추정과 시스템 확인 = = 매개변수 혼합 모델은 우리가 Y의 분포를 알고 있거나 X의 샘플을 가지고 있을 때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우리는 ai와 θi의 값을 결정하기를 원한다. 그러한 상황은 몇 개의 다른 분포가 혼합된 것으로부터의 샘플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혼합 모델의 확률의 생각은 공통적으로 사라진 정보 문제에서부터 온다. 이때 사라진 정보는 샘플 데이터들이 어떠한 확률분포모델에 속해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이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데이터 좌표가 우리가 적용하고자 하는 모델의 분포 중에 하나의 모델에 적합하게 위치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다. 이 추정에서 할 일은 우리가 선택한 모델의 함수에 맞는 적절한 매개변수를 고안하는 것이다. 데이터 좌표에 대한 연결은 각각의 개별 모델의 분포의 연관성으로 표현 된다. 혼합의 분해에 대한 문제의 다양한 접근이 제시되었다. 대부분 expectation maximization (EM) 또는 maximum a posteriori estimation (MAP) 와 같은 maximum likelihood 방식에 초점을 많이 맞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매개변수 추정의 문제와 시스템 정체확인으로 분리하여 고려된다. 즉 다시 말하면, 샘플 데이터들이 어떠한 확률분포모델에 속하는지 결정을 하는 과정과 확률분포모델의 매개변수를 새롭게 업데이트 하는 과정의 반복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 = = EM(Expectation Maximization)알고리즘 = = = EM 알고리즘은 1958년에 Hartley에 의해서 처음 제안되었고 1977년에 Dempster에 의해서 체계화되어 된 군집 알고리즘이다. EM 알고리즘은 K-Means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초기 모델을 생성한 후 반복 정제과정을 통하여 모델을 최적화된 모델을 생성해간다. EM 알고리즘은 반복 정제 과정을 통하여 각 객체들이 혼합 모델(Mixture Model)에 속할 가능성(Probability)을 조정하여 최적의 모델을 생성해 간다. K-Means 알고리즘에서는 유클리디언(Euclidean) 거리 함수를 사용하는 반면에 EM 알고리즘은 log-likelihood 함수를 사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즉, K-Means가 거리 기반 군집 방법인 것에 비하여 EM은 확률 기반 군집(Probability-based clustering)이라고 한다. EM 알고리즘은 Finite Mixture Model 통계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 Mixture 하는 것은 여러 개의 확률 분포를 혼합된 것을 의미한다. 군집의 개수가 k라고 하면 k개의 확률 분포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EM 알고리즘에서는 각 레코드들은 여러 개의 확률 분포 모델(군집)에 속하는 가중치를 가지고 배정된다. EM 알고리즘은 최적해로 수렴한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 루프를 돌 때마다 우도가 결코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EM은 초기 해에 따라 최종 해가 달라지는 욕심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이고, 전역 최적 해(Global optimal solution)이 아닌 지역 최적 해(Local optimal solution)로 수렴할 수도 있다.패턴인식,교보문고,2008,오일석 = = = = EM 알고리즘 = = = = 입력: 군집의 개수 k, 입력 데이터(샘플데이터), 종료 조건 출력: Log-likelihood를 최대화하는 k 군집의 가중치 값과 군집의 매개변수 값 (1) 추정 단계(Expectation Step) k개의 확률 분포(군집)에 대하여 각 레코드들이 속할 확률을 계산하여 weight 로 변환하여 배정한다. (2) 최대화 단계(Maximization Step) 혼합모델의 매개변수들을 업데이트한다 (3) 종료 조건 반복하는 과정에서 Log-likelihood의 변화 정도가 입력받은 종료 조건 값보다 작아 질 때 종료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1)의 과정으로 다시 돌아가서 반복한다. = = = = EM알고리즘과 K-means 알고리즘과의 관계 = = = = K-mean 알고리즘은 임의의 데이터 셋을 클러스터링 할 때 쓰이는 알고리즘으로, 가우스 혼합 모델의 EM 알고리즘과 비슷하다. K-means 알고리즘의 경우, 각 데이터 포인트에 클러스터를 정확히 1가지 지정하는데에 반해(hard assignment), EM알고리즘은 여러개의 클러스터에 대해 사후 확률에 비례하도록 지정한다(soft assignment). 실제로 가우스의 혼합 EM 알고리즘으로부터 K-means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공분산 행렬이 I\epsilon인 가우스 혼합 모델을 고려하자. \epsilon은 모든 혼합 구성요소들이 공유하는 분산값이고 I는 항등 행렬이다. 따라서, 이제 위와 같은 K개의 가우스 혼합 모델을 위한 EM알고리즘을 고려하면, 특정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사후확률은 다음과 같다. \epsilon \to 0 일 때, 분모의 항중 가장 작은 -\rVert x_n - \mu_k \rVert^{2} 를 가진 항이 천천히 0 값에 가까워지므로, 데이터 포인트 x_n에 대한 사후확률 \gamma(z_{nk}) 은 j를 제외하고는 모두 0이 되고 j에 대한 사후확률은 1이된다. 이것은 모든 \pi_k값이 0이 아닌 한, \pi_k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 클러스터 지정은 k-means 알고리즘과 똑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데이터 포인트들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클러스터에 배정되게 된다. K-means 알고리즘에서는 클러스터의 평균값만 추정하고 공분산값은 추정하지 않는다.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EM Survey, 김완섭 = = 혼합 모델의 응용 = = = = = 가우스 혼합 모델의 응용 = = = 가우스 모델은 자연적인 현상을 표현하기에 좋은 모델이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가우스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봉우리를 가진 분포를 최소의 오류로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가우시언 분포를 사용하는 가우스 혼합 모델을 사용해야한다. 지금부터의 가우스 혼합 모델의 매개변수를 찾아내는 과정은 "패턴인식,교보문고,2008,오일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샘플의 집합이 X=(x_1,x_2,...,x_N)으로 주어진다면, 주어진 X를 바탕으로 추정해야 할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 가우시언의 개수 K * k 번째 가우시언의 매개 변수 (\mu_k,\Sigma_k), k=1,...,K * k 번째 가우시언의 가중치 \pi_k, k=1,...,K 최적화 대상이 되는 함수는 K개의 가우시언 분포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p(x)=\sum_{k=1}^K\pi_kN(x|\mu_k,\Sigma_k) 사용해야 하는 가우시언의 개수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준다고 가정하면 나머지 매개변수를 추정하면 된다.(실제로 몇 개의 가우시언을 사용해야할지 자동으로 결정할 수는 있다.) * 추정할 매개변수 \Theta=(\pi=(\pi_1,...,\pi_k),(\mu_1,\Sigma_1),...,(\mu_k,\Sigma_k)) 이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최대 우도 추정 문제로 발전시킬 수 있다. * p(X|\Theta)=\prod_{i=1}^Np(x_i|\Theta)=\prod_{i=1}^N(\sum_{k=1}^K\pi_kN(x_i|\mu_k,\Sigma_k)) * lnp(X|\Theta)=\sum_{i=1}^Nln(\sum_{k=1}^K\pi_kN(x_i|\mu_k,\Sigma_k)) 따라서 관찰된 X에 대해 이것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이 가장 큰 매개 변수 집합 \Theta를 찾아 그것을 해로 취하는 것이 최종 문제이다. * \Theta_m=argmax_{\Theta}lnp(X|\Theta) 이 최적화 문제는 두 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먼저 샘플이 어느 가우시언에 속하는 지를 추정하는 단계가 기대화(Expectation) 단계이다. 이 때 가우시언에 속하는 정도를 확률로 표현하는 연성 소속을 사용한다. E 단계를 마친 뒤 매개 변수 집합 \Theta를 추정하는 단계가 최대화(Maximization) 단계이다. \Theta에는 두 가지 매개 변수가 있는데, 하나는 K개의 \mu와 \Sigma이고, 다른 하나는 혼합 계수 벡터 \pi이다. 따라서 \mu와 \Sigma를 먼저 계산한 후 \pi를 계산한다. * E 단계를 위해 필요한 가우시언에 속하는 정도에 대한 값의 식은 다음과 같다.(자세한 과정은 EM 알고리즘 참고) * P(z_j=1|x_i)=\frac{\pi_jN(x_i|\mu_j,\Sigma_j)}{\sum_{k=1}^K\pi_kN(x_i|\mu_k,\Sigma_k)}, 샘플 x_i가 관찰되었을 때 그것이 j번째 가우시언에서 발생했을 확률(사후확률) * M 단계를 위해 필요한 매개 변수 값들의 식은 다음과 같다.(자세한 과정은 EM 알고리즘 참고) * \mu_j=\frac{1}{N_j}\sum_{i=1}^NP(z_j=1|x_i)x_i, N_j=\sum_{i=1}^NP(z_j=1|x_i) * \Sigma_j=\frac{1}{N_j}\sum_{i=1}^NP(z_j=1|x_i)(x_i-\mu_j)(x_i-\mu_j)^T * \pi_j=\frac{N_j}{N} 이들 E와 M단계를 번갈아 가며 반복하다가 수렴 조건이 만족되면 멈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우시언 혼합 모델을 아래와 같은 응용에 적용시킬 수 있다. = = = = 금융 모델 = = = = 금융은 경제가 정상적일 때와 위기 상황일 때의 흐름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모델링하기 위해서 혼합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 모델로는 점프-확산 모델(jump-diffusion model), 두 개의 정규 분포의 혼합 모델 등이 사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Financial economics#Challenges and criticism에서 찾아볼 수 있다. = = = = 주택 가격 = = = = 먼저 N개의 다른 주택의 가격을 관찰했다고 가정하자. 다른 거주 지역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주택 가격은 상당히 다를 것이다. 그러나 특정 거주 지역에 있는 특별한 종류의 주택의 가격은 평균 가격 주변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주택 가격은 K개의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 모델로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각 성분은 주택의 종류나 거주 지역의 특정 조합을 나타내고, 미지의 평균과 분산 값을 가지는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을 관찰된 가격에 E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용시킨다면, 주택의 종류나 거주 지역에 따른 가격을 분류할 수 있을 것이고, 주택의 종류나 거주 지역에 따른 가격의 분포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가격이나 수입과 같은 값은 항상 양수이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실제로 대수-정규 분포(Log-normal distribution)가 정규 분포보다 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 = = = 퍼지 영상 분할(Fuzzy image segmentation) = = = = 영상 처리나 컴퓨터 비전에서 전통적인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 모델은 하나의 픽셀을 오직 하나의 패턴에만 할당시켰다. 그런데 퍼지 영상 분할에서는 어느 패턴도 단일 픽셀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만약 패턴들이 가우스 분포라면, 퍼지 영상 분할은 가우스 혼합 모델 분포를 따르게 된다. 이 모델이 다른 분석적이고 기하학적인 기법(가령, 산만한 경계에서의 상전이)과 결합한다면, 공간적으로 정규화 된 혼합 모델로서 더 현실적이고 계산적으로 효율적인 분할 방법이 될 수 있다. = = = 문서의 주제 = = = 문서가 N개의 서로 다른 단어와 전체 크기가 V인 어휘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어는 K개의 주제 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단어들의 분포는 K개의 서로 다른 V차원 범주형 분포(Categorical distribution)의 혼합 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모델은 주로 토픽 모델(Topic model)이라고 한다. 그런데 많은 수의 매개변수 때문에, EM 알고리즘을 이 모델에 적용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몇 가지 추가 가정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두 종류의 추가 가정이 모델에 추가된다. 사전 분포(Prior distribution)는 아주 작은 수의 단어만 0이 아닌 확률을 가지고 있는 스파스 분포(Sparse distribution)를 만들기 위해 토픽 분포를 묘사하는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Concentration parameter를 1보다 상당히 작게 설정하여 적용한다. 자연적 집단화(natural clustering)를 이용하기 위해, 몇몇 종류의 추가 조건은 단어들의 토픽 유사성(identities)을 사용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토픽 모델(Topic model)의 참고문헌의 자료들로부터 알 수 있다. = = = 필기 인식 = = = 다음 예시는 Christopher M. Bishop,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의 한 예시를 바탕으로 하였다.Bishop, Christopher (2006).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New York: Springer. 손으로 쓴 0과 9 사이의 숫자를 스캔한 N*N 크기의 흑백 이미지가 있는데, 어느 숫자가 쓰였는지는 모른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K=10인 서로 다른 성분으로 되어 있는 혼합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각 성분은 크기가 N^2인 베르누이 분포(픽셀 당 하나)의 벡터로 되어 있다. 이 모델은 EM 알고리즘을 분류되지 않은 세트의 손으로 쓴 숫자에 적용시켜 훈련될 수 있고, 쓰인 숫자에 따라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델을 분류뿐만 아니라 다른 이미지의 숫자를 인식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모델에서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각 숫자의 확률을 계산하여 가장 높은 확률을 나타내는 숫자를 결과 값으로 나타내면 된다. 베르누이 혼합 모델은 손으로 쓴 숫자에 대한 전체적인 모델링에 사용된다. 하나의 데이터 x가 D개의 2진 변수 x_i를 가지고 있고, x_i가 매개변수 \mu_i에 대해서 베르누이 분포를 가진다고 하면 그 식은 다음과 같다. p(x|\mu)=\prod_{i=1}^D\mu_i^{x_i}(1-\mu_i)^{(1-x_i)}, x=(x_1,...,x_D)^T and \mu=(\mu_1,...,\mu_D)^T 이 분포에 대한 혼합 모델은 다음과 같다. p(x|\mu,\pi)=\prod_{k=1}^K\pi_kp(x|\mu_k), \mu=(\mu_1,...,\mu_K)^T, \pi=(\pi_1,...,\pi_K)^T, \pi: 혼합계수 이 혼합모델을 풀기 위해서 EM 알고리즘의 각 단계(E단계, M단계)를 위한 식을 구해야 하고, 이 혼합모델에 대한 최대 우도 추정을 구해야한다. 완전한 데이터 로그 우도(Complete data log likelihood) L(\theta)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P(X,Z|\mu,\pi)=Pr(X|Z,\mu,\pi)Pr(Z|\mu,\pi) = \prod_{n=1}^N\prod_{k=1}^K(\pi_k\prod_{i=1}^D\mu_{k,i}^{x_{n,i}}(1-\mu_{k,i})^{(1-x_{n,i})})^{z_{n,k}} L(\theta)=lnP(X,Z|\mu,\pi)=\sum_{n=1}^N\sum_{k=1}^Kz_{n,k}(ln\pi_k+\sum_{i=1}^Dx_{n,i}ln\mu_{k,i}+(1-x_{n,i})ln(1-\mu_{k,i})) 위 값을 최대화하는 z_{n,k}값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이 기댓값(Expectation) 과정이다. z_{n,k} = \frac{\pi_k\prod_{i=1}^D\mu_{k,i}^{x_{n,i}}(1-\mu_{k,i})^{1-x_{n,i}}}{\sum_{m=1}^K\pi_m\prod_{i=1}^D\mu_{m,i}^{x_{n,i}}(1-\mu_{m,i})^{1-x_{n,i}}} E 단계에서 구한 z_{n,k}을 이용하여 모델 매개변수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이 최대화(Maximization) 과정이다. \mu_m=\frac{1}{N_m}\sum_{n=1}^Nz_{n,m}x_n, N_m=\sum_{n=1}^Nz_{n,m} \pi_m=\frac{N_m}{N} 따라서 위 EM 과정을 반복할수록 로그 우도를 최대화하는 매개변수에 수렴하게 되고, 이를 통해 손으로 쓴 숫자를 0~9까지 분류하여 판별할 수 있다. = = =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응용 = = = 위의 금융에 적용한 예시는 혼합 모델의 직접적인 응용 중 하나이다. 왜냐하면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가정하여 각각의 관찰된 정보가 서로 다른 구성성분이나 범주 중 하나에 반드시 속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관찰될 수도 있고,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혼합 모델에서 각각의 구성 성분은 하나의 확률 밀도 함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 성분의 계수는 관찰된 정보가 이 성분으로부터 올 확률에 해당한다. 혼합 모델의 간접적인 응용에서는 위의 메커니즘처럼 가정할 수 없다. 혼합 모델이 단순히 수학적으로 다루기 쉽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2개의 정규 분포의 혼합 모델은 표준 범주형 분포(Standard parametric distribution)에 의해 모델링되지 않은 2개의 모드의 분포를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가우스 분포보다 더 평평한 꼬리 부분(tail)을 만들어서 극단적인 사건에 대해 더 잘 모델링되도록 하는 것이다. = AHC = AHC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스틴 히스토리 센터(Austin History Center) 아메리칸 히어로스 채널(American Heroes Channel): 미국의 TV 방송사 = 분류:나카가와시 = = 분류: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 분류:체스터 A. 아서 = = 한국토지신탁 = 한국토지신탁(韓國土地信托, , KOREIT)은 건전한 부동산문화 창달과 부동산시장 선진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종합부동산투자금융업 전문 자회사였으며, 2010년 이후로 민영화되었다.국내 첫 부동산신탁회사…개발ㆍ관리사업 규모 15조 한국경제2011년 5월 31일 박한신 기자LH공사, 한국토지신탁 지분 24% 할인 매각 머니투데이2012년 6월 22일 반준환·황국상 기자한국토지신탁 매각 난기류 서울경제2012년 4월 5일 이철균·성행경 기자 2016년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이전상장하였다.동서·한국토지신탁, 코스닥→코스피 이전 상장연합인포맥스2016년 7월 1일 권용욱 기자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37, 코레이트타워 16~20층(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아파트 브랜드는 코아루이다. = = 연혁 = = 1996년 3월 5일 부동산 신탁회사 설립인가 (재정경제원) 1996년 4월 4일 한국토지공사 전액출자로 설립 (자본금 300억원) 1996년 5월 2일 영업 개시 1997년 1월 27일 부산지점 개설 1997년 2월 24일 광주지점 개설 2001년 5월 22일 코스닥시장 등록 2002년 5월 16일 중부지점 개설 2004년 4월 8일 대구지점 개설 2006년 8월 16일 강원지점 설치 2006년 12월 27일 대구지점, 중부지점 폐쇄 2008년 12월 31일 강원지점 폐쇄 *2009년 PCF Master 신상품 출시 2010년 1월 29일 기타공공기관 지정 해제2010년도 공공기관 신규지정, 지정해제 및 변경지정《기획재정부》2010년 1월 29일 기획재정부 장관 2014년 KOREIT 투자운용 ((구)지이자산관리코리아(주)) 인수 2015년 대표이사 차정훈·김두석 취임 2016년 코스피 이전상장, BI/CI 변경KOREIT 자산운용 ((구)마이애셋자산운용(주)) 인수, 업계 최초 자기자본 5,000억원 돌파 2017년 대표이사 차정훈·최윤성 취임, 업계 최초 자산규모 1조원 돌파 *2020년 사옥이전(역삼동 코레이트타워) = = 조직 = = 이사회 경영위원회 감사위원회 * 감사실 ** 감사팀 준법감시인 준법감시팀 = = = 회장 = = = = = = = 사장 = = = = *기획실 기획팀 법무팀 마케팅팀 신상품개발팀 = = = = = 영업부분 = = = = = 신탁사업1본부 영업1팀 영업2팀 영업3팀 신탁사업2본부 영업1팀 영업2팀 영업3팀 전략사업본부 전략사업1팀 전략사업2팀 전략사업3팀 *리츠사업본부 리츠사업1팀 리츠사업2팀 도시재생1본부 도시1재생1팀 도시1재생2팀 *도시재생2본부 도시2재생1팀 도시2재생2팀 = = = = = 지원부문 = = = = = 경영지원본부 인사총무팀 재무팀 회계팀 사업지원본부 리스크관리팀 관리지원1팀 관리지원2팀 건축기술본부 건축기술1팀 건축기술2팀 건축기술3팀 사업관리본부 사업관리1팀 사업관리2팀 사업관리3팀 사업관리4팀 = 분류:올랜도의 기업 = = QCELP = QCELP는 초기에 CDMA 네트워크에 사용하든 IS-96A코덱의 음성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1994년 퀄컴사가 개발한 음성 코덱이다. 더 적은 비트로 더 나은 음성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나중에 EVRC로 대체되었다. QCELP8 및 QCELP13의 두 가지 버전은 각각 8Kbit/s 및 13Kbit/s에서 작동한다. CDMA 시스템에서 QCELP 보코더는 사운드 신호를 회로 내에서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 유선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는 일반적으로 8kHz(즉, 초당 8,000개의 샘플 값)로 샘플링된 다음 각 샘플 값에 대해 8비트 양자화로 인코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무선 시스템에서 비싼 속도인 64kbit/s로 전송한다. 가변 속도의 QCELP 보코더는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코딩하여 무선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화자의 볼륨이나 피치에 따라 자체 코딩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더 크거나 더 높은 음조의 목소리는 더 높은 레이트가 필요하다. = 전주 강씨 = 전주 강씨(全州 姜氏)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 시조 = = 시조 강대인(姜大人)은 조선 세종대왕 시대 부농 겸 유자(富農 兼 儒者)였다. = = 과거 급제자 = = 전주 강씨는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강세춘(姜世春, 1596년생) : 1637년(인조 15) 별시(別試) 무과. 거주지 죽산(竹山). 전력 보인(保人). 아버지 보인(保人) 강난손(姜난孫). 강응경(姜應京, 1610년생) : 1637년(인조 15) 별시(別試) 무과. 거주지 광주(廣州). 전력 겸사복(兼司僕). 아버지 보인(保人) 강의손(姜義孫) = = 인구 = = 1985년 4,570명 2000년 17,579명 2015년 827명 = 분류:베트남 인민군의 부대 = = 틀:요즘 화제 처음/2018년 3월 7일 = = 국립국악고등학교 = 국립국악고등학교(國立國樂高等學校)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강남 8학군 국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4년 10월 1일 : 국악사양성소 규정 공포(문교부령 제38호) 1954년 10월 1일 : 초대 소장 소남(召南) 이주환(李珠煥) 선생 취임 1955년 4월 1일 : 국악사양성소 개소(종로구 운니동 98) 1961년 11월 22일 : 문교부에서 문화공보부 소속으로 이관(문공보부령 제5호) 1967년 12월 29일 : 중구 장충동 2가 산 14의 67로 교사 이전 1972년 7월 11일 : 국립학교 설치령 중 개정령 공포(대통령령 제6279호) 1972년 9월 5일 : 초대 교장 성경린 선생 취임 1972년 9월 9일 : 국립국악고등학교 개교 1973년 9월 22일 : 제1회 목멱예술제(본교 강당) 1991년 12월 16일 : 강남구 포이동 272번지로 교사 이전 1992년 6월 24일 : 특수목적고등학교로 지정(교육부 고시 1992-10호) 2004년 11월 5일 : 국악교육정보관 개관식 2015년 10월 20일 : 국립국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21년 2월 4일 : 제61회 졸업(남 27명, 여 121명 계 148명) 2022년 3월 1일 : 제9대 모정미 교장 취임 = = 설치 학과 = = 무용과 국악과 = 분류:개그콘서트 = = 레이먼 = 레이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레이먼 킴: 캐나다 국적의 대한민국에서 활동중인 조리사 레이먼 존 나티신: 캐나다의 24대 총독 제임스 레이먼 윌리엄스: 미국의 사브르 펜싱 선수 존 레이먼: 미국의 만화가 = 분류:기술 관련 인물 = = 분류:일본의 지역별 배경으로 한 영화 = = 분류:이탈리아의 반공주의 = = 야마나촌 (아이치현) = 야마나촌은 아이치현 니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후소정 북부에 해당한다. = 언약 = 언약(言約, , )은 모든 아브라함의 종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성경적 언약이다.  언약의 원어는 '베리트'인데 '바라'(자르다, 끊다, 새기다)에서 왔다. 주로 모세 오경 또는 율법 이나 모세 오경인 처음 다섯 권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및 신명기에서 발견된다. 다른 언약들이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 맺어진 것에 반하여 노아언약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유일한 언약이다. 예레미아 31:30:33은 새 언약을 약속하는데 바로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집을 세울것이라는 것이다. = =구약에서 언약 = = 또한 아브라함과 할례로서 언약을 맺었고(창 17:9-14), 노아와는 무지개로 언약을 맺으셨다(창 9:8-17). 이외에도 성경에는 이삭(창 26:24), 야곱(창 28:13,14)등과 맺은 언약이 나오는데 이것들은 모두 구속사에 있어서 최고의 정점인 예수 그리스도 및 그의 구속사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나님께서 노아 개인과 언약을 맺으셨으나 그로 인해 가족과 동물까지도 생명을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은 대표 원리가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즉 아담의 타락으로 전인류와 피조계가 함께 저주를 받은 것과 마찬가지로(창 3:17) 노아의 의로움이 동물에게까지 그 영향력을 미쳤던 것이다. 이러한 대표 원리는 그리스도에게서 그 절정을 이루었는 데 곧 그분 한분이 대속의 죽음을 죽으심으로 모든 인류가 그 공로를 힘입어 속죄함을 받은 것이다(롬 5:17-19). 구약성경에는 세 가지의 언약 형태를 볼 수 있는데, 양쪽이 동등한 입장에서 맺는 언약(삼상 18:3-4), 유력한 쪽에서 일방적으로 맺는 언약(겔 17:13-14), 하나님께서 맺으신 언약 등이다. 이 중하나님과 사람 간에 맺는 언약은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행하시는 피로 맺은 은혜로운 약정이었다. 그 주도권은 언제나 하나님께 있고 사람은 수혜자가 되는 형태로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일방적으로 세우시는 약속이었다. 예레미야가 언급했던 새 언약은 마음에 기록되며(렘 31:33), 하나님의 용서에 기초한 언약이었다(렘 31:32). 신약에서 언약이란 말은 '디아데케'(diatheke)로 헬라 세계에서는 '의지, 뜻, 서약, 유언'이란 뜻으로 쓰였다. = =신약의 새 언약 = = 구약의 베리트는 신약에서 '디아데케'(diatheke)로 번역었는데 신약시대에는 '의지, 뜻, 서약, 유언'이란 뜻으로 쓰였다. 새 언약의 성취는 예수 그리스도로 완성되었다.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께서는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눅 22:20)고 하셨다. 새 언약은 예수를 통해 새롭게 시작한, 하나님과 그의 백성들이 맺은 언약이었다. 이제 새 언약의 성취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마다 죄사함을 받고(행 10:43, 롬 11:27) 죄악이 기억되지 않으며 구원을 받는다(사 43:25, 요 5:24, 요일 1:9). = 다카세촌 (야마가타현 히가시무라야마군) = 다카세촌(高瀬村)은 야마가타현 히가시무라야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헬레네 피셔 = 헬레네 피셔(Helene Fischer, 1984년 8월 5일 ~ )는 독일의 가수, 사회자이다. = 아리미네구치역 = 아리미네구치역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연도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1일 평균 승차 인원 1997 123 1998 108 1999 97 2000 91 2001 87 2002 91 2003 91 2004 88 2005 89 2006 91 45 2007 87 42 2008 91 46 2009 87 44 2010 88 46 2011 84 44 2012 85 44 2013 81 41 2014 79 40 2015 84 43 2016 38 = = 역 주변 = = 도야마 현립 오미 소학교 오미 지구 센터 = = 역사 = = 1937년 10월 1일 : 도야마 현영 철도의 오미역으로서 개업. 1942년 6월 1일 : 니혼하쓰 송전으로 양도. 1943년 1월 1일 : 도야마 지방 철도의 역이 됨. 1970년 7월 1일 : 아리미네구치역으로 개칭. = 분류:K7리그 군산 축구단 = = 분류:1969년 해체된 기업 = = 에어포트 타임 캡슐 = 에어포트 타입 캡슐은 애플 (Apple Inc.)이 개발 · 판매하는 백업용 하드 디스크를 탑재하는 무선 LAN 라우터이다. 2008년 1월 1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맥월드 컨퍼런스 & 엑스포 2008에서 발표되었다. 맥 OS X 10.5 이상에 탑재되는 백업 소프트웨어 타임 머신을 사용하여 간단한 초기 설정만으로 모든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다. = 이바라소네촌 = 이바라소네촌은 니가타현 나카칸바라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니가타시 미나미구에 해당한다. = 분류:콜롬비아 남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1965년 폐교 = = 쉘라쉘라 영어로 쿠킹 = 쉘라쉘라 영어로 쿠킹은 2010년 10월 2일부터 2010년 11월 20일까지 올리브 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방송 회차 = = = = = 2010년 = = = 회차 방영일 요리 비고 1 10월 2일 허니 파인소스 오징어볼 탕수 2 10월 9일 핫 스파이시 캘리포니아 연어 롤 3 10월 16일 해피빈 라조 두부 4 10월 23일 왕새우해물잡채 5 10월 30일 묵은지돼지고기말이튀김 6 11월 13일 단양박해물영양찜 마르코 불참, 유키스 기섭, 케빈 출연 7 11월 20일 속풀이도미완자탕 최종회 = 분류:국도 제24호선 = = 루시 워커 (영화 감독) = 루시 워커(Lucy Walker, 1970년 ~ )는 잉글랜드의 영화 감독이다. = 안승민 = 안승민(安承民, 1991년 6월 21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 = 아마추어 시절 = = 공주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좋은 체격으로 프로 팀 스카우트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연장 승부치기… 인천, 마지막에 웃다 동아일보, 2009년 3월 20일 작성 고등학교 3학년 시절 공주고등학교의 에이스로 활약했으나 전력이 약해 전국 대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문성현, 박화랑 등과 함께 제 8회 아시아 청소년 야구선수권대회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대한야구협, 亞청소년선수권 대표팀 선발 뉴시스, 2009년 7월 15일 작성 제39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2경기 연속 무사사구 완봉승을 거두면서 공주고등학교를 8강으로 이끌었다.안승민의 공주고, 8강행 확정 엑스포츠 뉴스, 2009년 8월 4일 = = 한화 이글스 시절 = = = = = 2010년 시즌 = = =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전체 20번)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10년 4월 9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1이닝 3실점을 기록하였다. 2010년 4월 13일 SK 와이번스전에서 0.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고, 경기 후반에 팀이 역전하여 자신의 프로 데뷔 첫 승을 기록하였다. 2010년 8월 17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이닝 2실점, 6탈삼진으로 자신의 프로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고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2승을 기록하여 '롯데 킬러'라는 별명이 붙었다. = = = 2011년 시즌 = = = 류현진이 난조를 보이고, 기대했던 데폴라가 부진하여 선발에서 탈락하고 방출당하는 등 선발진에 구멍이 나 안정적인 피칭을 지속하여 선발로 정착하여 활약했다. = = = 2012년 시즌 = = = 시즌 초 선발진에 있던 김혁민이 불펜으로 이동하고 그를 선발로 기용했지만 계속 부진해 결국 불펜으로 전향했다. 마무리 바티스타와 역할을 맞바꾸어 바티스타가 선발진에 들어가고 그가 마무리로 등판했다. 불펜이 전체적으로 부진한 상황에서 마무리 역할도 수행해 세이브도 종종 기록했다. 선발로는 4패, 17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으나 불펜으로 보직을 바꾸며 3승 3패, 16세이브, 5홀드를 기록했다. 시즌 기록은 72이닝동안 4점대 평균자책점, 16세이브, 5홀드이다. = = = 2013년 시즌 = = = 시즌 초반 마무리로 기용되었지만, 2013년 4월 30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선발로 다시 보직을 변경하며 594일만에 선발 승을 거뒀다. 그러나 어깨 부상으로 중도에 시즌을 마감했으며, 이듬해 4월 공익근무요원 입소를 결정했다.한화 안승민, 군입대 결정. 시즌 중 훈련소 입소 - 스포츠서울 = = 에피소드 = = 다른 또래 선수들보다 나이들어보이는 외모로 인해 1908년 시카고 컵스의 제 1선발로 우승을 견인한 레전드라고 불린다. = = 별명 = = 나이에 비해 성숙해 보이는 외모 때문에 프로에 입단한 후 '안승민옹', '안부장', '안과장' 등으로 불린다.`선배` 정수빈이 `후배` 안승민에게 인사한 사연 이데일리, 2011년 5월 29일 작성 = = 논란 = = 그가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하던 지난 2015년 3월~5월에 인터넷에 접속해 불법 스포츠 도박에 450만원을 베팅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재판 결과 그에게 4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 = = 연봉 = = 2010년 2,400만원 2011년 3,600만원 2012년 6,600만원 2013년 1억 600만원한화 김혁민-안승민, 생애 첫 억대 연봉 진입 《엑스포츠뉴스》, 2013년 1월 15일 작성 = = 출신 학교 = = 공주중동초등학교 공주중학교 공주고등학교 = = 통산 기록 = =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0 한화 5.43 25 0 0 4 4 0 0 0.500 280 63 80 10 15 2 28 43 38 2011 한화 5.89 29 0 0 7 9 0 0 0.438 618 139 177 22 30 8 90 101 91 2012 한화 4.75 62 0 0 3 7 16 5 0.300 305 72 69 6 21 5 53 41 38 2013 한화 7.49 18 0 0 3 4 0 2 0.429 161 33.2 51 5 9 1 12 31 28 통산 4시즌 5.70 134 0 0 17 24 16 7 0.415 1364 307.2 377 43 75 16 183 216 195 = 분류:군사 미술 = = 카탈리나 로레나가 = 카탈리나 로레나가(Catalina Larranaga, 1969년 11월 27일 ~ )는 미국의 텔레비전 배우, 배우, 포르노 배우이다. 엘패소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책처럼 당신을 읽다 (2006년) - 지나 역 노출증에 관한 기록 (2002년) 벌거벗은 증인 (2002년) 헐리우드 섹스 판타지 (2001년) 다운 엔젤 (2001년) 예견된 폭로 (1997년) = 공포의 별장 = 공포의 별장(Salem's Lot, 세일럼스 롯, 살렘스 랏, 세일럼 롯)은 미국 작가 스티븐 킹이 1975년에 발표한 공포 소설이다. 스티븐 킹의 두 번째 출판 소설이었다. 이 이야기에는 벤 미어스(Ben Mears)라는 작가가 메인 주의 예루살렘 롯(줄여서 '세일럼 롯)'이라는 마을로 돌아오는데, 그곳에서 그는 5세부터 9세까지 살았지만 주민들이 흡혈귀(뱀파이어)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도시는 킹의 이야기 모음집 죽음의 무도(나이트 시프트, Night Shift, 1978)에 수록된 단편 소설 "예루살렘의 터"(Jerusalem's Lot)와 "도로를 위해 한 잔"(One for the Road)에서 다시 방문된다. 이 소설은 1976년 월드 판타지 어워드(World Fantasy Award) 후보에 올랐고, 1987년에는 역대 최고의 판타지 소설 부문 로커스 어워드(Locus Award) 후보에 올랐다. 1980년대에 두 번의 별도 인터뷰에서 킹은 자신의 모든 책 중에서 '공포의 별장'이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고 말했다. 1983년 6월 플레이보이 인터뷰에서 인터뷰어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킹이 속편을 계획하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킹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다크 타워 시리즈가 이미 칼라의 늑대와 수잔나의 노래에서 이야기를 이어갔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더 이상 속편이 필요하지 않다고 느꼈다. 1987년에 그는 더 하이웨이 패트롤맨(The Highway Patrolman) 잡지에서 필 콘스탄틴(Phil Konstantin)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이다. 주로 작은 마을에 대해 말하는 내용 때문이다. 그들은 지금 당장 죽어가는 유기체와 같다. 그 이야기는 일종의 고향처럼 보인다. 내 마음속에는 특별히 냉담한 부분이 있다!" 공포의 별장은 토브 후퍼가 감독한 1979년 2부작 미니시리즈와 마이클 살로몬(Mikael Salomon)이 감독한 2004년 TV 미니시리즈로 각색되었다. 게리 도버먼(Gary Dauberman)이 각본 및 감독을 맡은 새로운 장편 영화 각색도 완료되었지만 개봉일을 기다리고 있다. 이 책은 킹의 딸 나오미에게 헌정되었다. = 틀:루카 구아다니노 =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Air/진심을, 그대에게)는 안노 히데아키의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 시리즈의 두 번째 극장용 작품이다. 이 애니메이션은 논란을 일으킨 TV 시리즈의 24화에서 스토리적으로 바로 연결되면서, 25, 26화로 이어져 TV판의 내용을 끝맺는다. 25화인 에어(Air), 26화인 진심을 너에게로 구성되어 있다. = = 줄거리 = = = = = 제25화 에어 = = = 사도들을 모두 물리치고 나서도 네르프는 해체되지 않은 상태다. 카오루의 죽음 이후 공황 상태에 빠진 신지는 혼수 상태의 아스카에게 와서 도와달라고 애원하다가 아스카의 부상당한 나체 상태의 가슴을 보고 자위 행위를 하는 지경에 이른다. 한편, 겐도와 제레는 인류보완계획의 진행 방식을 놓고 언쟁을 한다. 겐도는 제레에게 “죽음은 아무것도 낳지 않는다”면서 제레에 반기를 들고, 제레는 자기들의 말을 더이상 듣지 않는 네르프를 파괴하기 위해 마기 시스템을 해킹하지만 감금 중이었던 리츠코가 풀려나 해킹을 막아낸다. 결국 제레는 네르프가 인류 멸망의 서드 임팩트를 일으키려 한다는 거짓 정보를 일본 정부에 흘리고, 일본 정부는 자위대를 지오프런트에 급파, 비전투원인 네르프 직원들은 몰살당한다. 미사토는 에반게리온 파일럿들만은 구해내려고 하지만 레이는 행방불명, 신지는 네르프 본부에 고립된 상태였기 때문에 아스카만 에바 2호기에 태워 호수 깊은 곳에 숨겨 놓는다. 그러나 2호기의 소재를 알아낸 자위대는 호수에 맹공을 퍼붓는다. 이때 2호기 코어 안에 잠들어 있던 아스카의 어머니 소류 쿄코 제플린의 영혼이 눈을 뜨고, 어머니의 존재를 깨달은 아스카는 각성, 단숨에 자위대를 전멸시켜 버린다. 이에 제레는 양산형 에반게리온이었던 5호부터 13호기까지 총 9대를 긴급투입한다. 아스카는 양산기 8대를 파괴해 버리지만, 언빌리컬 케이블이 절단된 바람에 자체적으로 내장된 기본 전원이 종료됨과 동시에 복제 롱기누스 창이 날아와 에바 2호기는 머리가 꿰뚫리고 S2 기관이 내장되어 있던 양산기들이 되살아나 2호기를 뜯어먹어 버린다. 자신이 탑승한 채 조종하고 있던 에바 2호기와 싱크로가 차단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통이 그대로 전해져서 미쳐버린 아스카는 눈을 희번득이며 2호기를 폭주시키지만, 나머지 8개의 복제 롱기누스 창들이 날아와 에바 2호기는 완전히 파괴된다. 이때 에반게리온 2호기의 팔이 잘리는 통증의 싱크로로 아스카의 팔도 잘려서 나가는 듯한 신경적 쇼크로 아스카의 생사 여부가 미심쩍게 된다. 한편 네르프 건물 내부에서 고립되어 있다가 자위대에게 발견되어 총살당할 뻔한 신지는 미사토에게 구출된다. 미사토는 세컨드 임팩트 및 제레에 관한 모든 사실을 폭로한 뒤 신지를 에바 초호기로 데려다 주다가 자위대의 공격으로 중상을 입고, “어른의 키스란다. 돌아오면 이 다음을 계속하자.”라면서 신지에게 키스하고 엘리베이터로 밀어 넣은 뒤 자신은 폭발에 휘말려 사망한다. 하지만 신지는 초호기가 베이클라이트로 탑승불가 상태라는 것을 깨닫고 다시 절망한다. 그때 초호기가 폭주하여 스스로 움직여 베이클라이트를 뜯어내고 신지가 타도록 도와준다. 초호기를 타고 바깥으로 나간 신지는 양산기들에 의해 사지절단된 2호기를 보고 경악해 비명을 지른다. = = = 제26화 진심을, 너에게 = = = 자신만의 인류보완계획을 실행하려는 겐도는 세 번째 레이를 데리고 릴리스가 있는 터미널 도그마로 내려간다. 하지만 겐도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는 레이는 “나는 당신의 인형이 아니에요”라면서 겐도를 거부, 아담의 육체만 흡수하고 릴리스와 융합한다. 자신의 영혼을 되찾은 릴리스의 가면이 벗겨지자 레이의 얼굴과 꼭 닮은 얼굴이 드러난다. 릴리스는 십자가의 속박에서 벗어나 지상으로 솟아오르고 센트럴 도그마에 있던 네르프 생존자들은 공포에 떤다. 한편, 지상에서는 양산형 에바들이 에바 초호기에 돋아난 날개를 물어뜯고 하늘에 거대한 세피로트의 나무가 생겨난다. 동시에 달에 박혀 버렸던 롱기누스의 창이 되돌아와서 날아오고, 신지의 일그러진 자아와 릴리스의 힘이 만나며 양산형 에바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코어를 각자의 창들로 찔러서 서드 임팩트가 시작된다. 롱기누스의 창으로 자신의 코어를 찔러 세피로트의 나무가 된 초호기는 릴리스의 이마에 난 제3의 눈을 뚫고 릴리스의 몸 안으로 들어가고, 지오프런트 지하에 묻혀있던 검은 달이 떠올라 전 인류는 순식간에 자신의 AT 필드를 잃고 몸이 터져 LCL 용액으로 강제로 환원된다. 이때 죽어가는 사람들의 눈앞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환영이 보인다. 휴가는 짝사랑하던 미사토의 환영을 보고, 마야는 리츠코의 환영을, 후유츠키는 옛 제자였지만 제자 이상의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유이의 환영을 본다. 한편, 유일하게 사랑하는 사람이 없던 아오바는 수많은 레이의 환영을 보면서 공포에 떨며 죽어간다. 모든 것의 진정한 원흉인 제레의 수장 킬 로렌츠 자신도 LCL로 환원되어 죽어버린다. 유이, 카오루, 레이의 환영을 만난 겐도는 그 동안의 잘못을 뉘우치며 자신 역시 ‘남에게 다가갔다가 남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이 두려웠다’는 나약한 내면을 보이면서 초호기에 머리를 씹혀서 죽는다. 그러나 릴리스의 몸 안에서 만난 레이, 카오루와 철학적 담론을 나누던 신지는 모든 것이 하나가 된 세상에 허무감을 느끼고 세상을 원래대로 돌려놓기를 원하고, 릴리스의 목이 잘린다. 잘린 릴리스의 목에서 뿜어져 나온 피는 우주 공간까지 뻗어나가 달표면에 붉은 줄무늬를 남긴다. 그러자 갑자기 상가, 전봇대, 오고 가는 사람들 등의 실사 영상이 비추어지더니 극장의 좌석, 즉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들이 앉아 있는 좌석이 나타난다.와중에 극의 중요 캐릭터들의 실제 목소리를 담당한 성우들의 등장씬도 잠깐 나타난다. 다시 애니메이션이 계속되고, 릴리스(이자 레이)의 몸은 완전히 무너져 내린다. 양산기들은 머리가 터져 십자가 모양으로 굳어 바다에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신적 존재’가 된 초호기는 롱기누스의 창과 함께 우주 저 멀리 영원히 떠나 버린다. 신지는 “안녕히 가세요, 엄마”라고 초호기에 작별 인사를 한다. = = = 종장 I Need You = = = 지구는 붉은 바다와 완파된 구조물들로 인한 죽음의 세계가 되었다. 곳곳에는 토막나서 산산이 무너져 내린 레이(이자 릴리스)의 거대한 시체들이 널부러져 있다. 붉은 바다의 해변에는 신지와 아스카, 단 둘만이 누워 있다. 둘 다 살아있지만, 아스카는 사도와의 싸움으로 몸과 마음이 병들고 영혼까지 잃어버린 탓에 얼음처럼 차가운 상태. 레이의 환영을 보던 신지는 옆에 아스카가 있다는 것을 알고 반사적으로 아스카의 목을 조른다. 그러나 아스카가 신지의 뺨을 부드럽게 어루만지고 손의 따뜻한 온기를 느낀 신지는 자신이 틀렸음을 깨닫고는 결국 아스카에게서 손을 풀고 하염없이 운다. 그 모습을 본 아스카는 “気持ち悪い(기분 나빠.)”라는 말을 툭 던진다. 곧이어 흰 바탕에 終劇(종극)이라는 두 글자만 쓰여 있는 화면이 나오면서 신세기 에반게리온은 끝을 맺는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가타 메구미 - 이카리 신지 목소리 역 하야시바라 메구미 - 아야나미 레이 목소리 역 미야무라 유코 -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 목소리 역 미츠이시 코토노 - 카츠라기 미사토 목소리 역 야마구치 유리코 - 아카기 리츠코 목소리 역 타치키 후미히코 - 이카리 겐도 목소리 역 이시다 아키라 - 나기사 카오루 목소리 역 키요카와 모토무 - 후유츠키 코조 목소리 역 무기히토 - 킬 로렌츠 목소리 역 코야스 타케히토 - 아오바 시게루 목소리 역 나가사와 미키 - 이부키 마야 목소리 역 = 분류:아사 모리씨 = = PGC 27182 = = 197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 197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972년 11월 7일 미국에서 치러진 상원의원 선거다. = = 선거 결과 = = 정당 선거결과 의석 수 민주당 16석 56석 공화당 18석 42석 뉴욕보수당 - 1석 무소속 - 1석 = 대한민국 상법 제433조 = 대한민국 상법 제433조는 정관변경의 방법에 대한 상법 회사법의 조문이다. = = 해설 = = 정관변경은 정관자치가 허용되는 영역에서만 인정되며 강행규정을 위반하거나 주식회사의 본질이나 주주의 고유권을 침해하는 정관변경은 허용될 수 없다ㅔ 41, 김성탁, 회사법입문, 2011. 예를 들어 주주유한책임원칙을 배제하거나 1주에 대하여 복수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은 불가하다. = 니에리 = 니에리(Nyeri)는 케냐의 도시로, 중부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98,908명(1999년 기준)이다.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서 북쪽으로 약 150km 정도 떨어진 곳(자동차로 약 2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에 위치한다. = 분류:더블린의 극장 = = 알도 세레나 = 알도 세레나(, 1960년 6월 25일, 이탈리아 몬테벨루나 ~ )는 이탈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다. 그는 지난 1990년 FIFA 월드컵 당시 우루과이와의 8강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적이 있다. = = 경력 = = 1984년 하계 올림픽 국가대표 1986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1990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 = 수상 = = 1988-89 세리에 A 우승 1989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 1990-91 UEFA 컵 우승 1990년 FIFA 월드컵 3위 1988-89 세리에 A 득점왕 = 분류:보드룸 출신 = = 헤지아네 아우베스 = 헤지아네 아우베스(Regiane Alves, 1978년 8월 31일 ~ )는 브라질의 배우이다. = 케빈 P. 팔리 = 케빈 P. 팔리(Kevin Farley, 1965년 6월 8일 ~ )는 미국의 작곡가, 가수, 배우이다. 매디슨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피칭 텐츠 (2017년) 스틸 더 킹 (2016년) 더 앵크 (2014년) 아미 브랏츠 (2014년) 화이트 나이트 (2011년) - 부바 역 위너: 베스트 쇼트 필름 (2010년) - "디렉터" 역 헐리우드 & 와인 (2010년) 아메리칸 캐롤 (2008, An American Carol) - 마이클 역 블론드 앤 블론더 (2007년) - 리오 역 대니 로앤: 퍼스트 타임 디렉터 (2006년) 콜백 (2005년) 조이 (2004년) 존슨 가족의 휴가 (2004년) - 스톨 가이 역 딕키 로버츠 - 왕년의 아역 스타 (2003년) 헬로우 프랭크 (2002년) 조는 못말려 (2001년) 그 남자에겐 뭔가 특별한 향기가 있다 (2000년) 스트레이트 스토리 (1999년) 워터보이 (1998년) = = = 텔레비전 = = = 트루 잭슨 (2009-11) = 초전도 초충돌기 = thumb 초전도 초충돌기(Superconducting Super Collider, SSC)는 텍사스주의 웩서헤치 시 (Waxahachie) 근처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입자 가속기이다. 별명은 데저트론이다. 1993년 계획이 취소되었다. = = 계획 = = 책임자 : 로이 슈비터스 둘레길이 : 87 킬로미터 살 한 개당 에너지 : 20 테라전자볼트(TeV) = = 건설 = = 1983년 12월 : National Reference Designs Study에서 계획 1988년 11월 : 미국 에너지부가 건설 장소로 텍사스 선정 1991년 : 건설 시작 1993년 : 건설 계획 취소, 23.5 킬로미터의 터널 굴착 = Mind-Expander = Mind-Expander는 2008년 4월 29일에 발매된 랍티미스트의 정규 2집 앨범이다. = = 수록곡 = = #Intro : K.O Blessing #Triple Flow (Feat. 넋업샨 & RHYME-A-) #Amnesia (Feat. Simon Dominic & Lady Jane) #집시여행 (Feat. 리쌍) #One Night Dream (Feat. Blackliszt) #이빨 (Feat. Mad Clown) #Ticket (Interlude) #Ticket to London #널 사랑한 내가 밉다 (Feat. 샛별) #Coasal (Feat. DJ Wegun) #금메달리스트 (Feat. Leo Kekoa) #갈증 (Feat. P&Q) #D.A.R.K (Feat. ARK (Tablo, Mithra Jin, Yankie)) #Ghostwriter (Feat. Kebee, 경선 of Heritage) #기다린 편지 #Dedicated to MC (Bonus Track) = 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최후 통첩 = 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최후 통첩은 1939년 3월 20일에 나치 독일이 리투아니아에게 클라이페다 지역을 할양할 것을 요구한 최후통첩이다. 나치 독일은 최후통첩에서 리투아니아가 클라이페다 지역을 할양하지 않을 경우 독일 국방군을 움직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최후통첩으로 나치 독일은 클레이페다 지역을 획득하게 되었고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에 따라 남은 리투아니아의 영토는 1940년에 이웃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와 함께 소련에 병합되었다 = 틀:To USD/data/1979 = = =Examples = = = =References = = * = 분류: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바탕으로 한 작품 = = 오가와 지헤 = 오가와 지헤(, 1860년 음력 4월 5일 ~ 1933년 12월 2일)는 근대 일본 정원(日本庭園)의 선구자이다. 통칭은 우에지(植治). 성명인 오가와 지헤는 7대째 내려오는 이름이다. = 비둘기고기 = 비둘기고기는 비둘기의 고기이며, 태어난 지 약 한 달 이내의 어린 비둘기의 고기는 스쿼브(squab)라고도 한다. 숲비둘기나 우는비둘기 또는 현재 멸종된 여행비둘기 등 모든 비둘기들이 대상이 되며, 현대에는 주로 식용으로 길러지는 비둘기를 비둘기고기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외에도 종종 사냥감의 하나로 포함되기도 한다. 이름의 유래는 '두툼한 고기'라는 의미의 스칸디나비아 제어의 단어인 skvabb이며, 맛은 닭고기와 비슷하다. 고대 중동에서부터 비둘기를 가축으로 사육했으며, 고대 이집트나 고대 로마, 중세 유럽 등 다양한 시대와 국가의 사람들이 비둘기고기를 섭취하였다. 하지만 대다수의 지역에서는 주식이 아닌 별식으로 취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 비해 부유한 사람들이 비둘기고기를 많이 먹었다. = 우타르프라데시주 = 우타르프라데시주는 인도 북부에 위치한 주이다. 갠지스강 상·중류 유역에 위치하며 인도에서 네 번째로 넓은 면적을 갖고 있다. 주명은 북쪽 나라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구는 215,609,813명(2015)으로 각 주 가운데서 가장 많으며, 인구 밀도는 각 주 가운데서 비하르 주, 서벵골 주에 이어서 세 번째로 높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의 행정 구역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 구역이기도 하다. 주민은 75%가 농업에 종사하며 서부에서는 밀, 동부에서는 쌀이 주로 생산된다. 이 밖에 농산물로는 수수와 콩류가 있다. = = 지리 = = 총 면적이 243,290평방 킬로미터(93,935평방 마일)인 우타르프라데시주는 인도에서 4번째로 큰 국토 면적을 갖고 있으며 크기는 영국과 거의 같다. 인도의 북쪽 분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네팔과 국제 국경을 공유한다. 히말라야는 북쪽으로 주와 접해 있지만 주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평원은 높은 산과는 확연히 다르다. 더 큰 갠지스 평원 지역은 북쪽에 있다. 더 작은 빈디아산맥과 고원 지역이 남쪽에 있다. 단단한 암석 지층과 언덕, 평야, 계곡, 고원의 다양한 지형이 특징이다. 바브바르(Bhabhar) 지역은 키가 큰 코끼리 풀과 습지와 늪이 산재한 울창한 숲으로 덮인 테라이 지역에 자리를 제공한다. 바브바르의 느린 강물은 이 지역에서 더 깊어지고, 그 흐름은 얽힌 두꺼운 덤불 덩어리를 통과한다. 테라이는 얇은 띠 모양으로 바브바르와 평행하게 이어져 있다. 전체 충적 평야는 세 개의 하위 지역으로 나뉜다. 14개 지구로 구성된 동부 지역 중 첫 번째 지역으로, 주기적인 홍수와 가뭄에 취약하고 부족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 지역은 인구 밀도가 가장 높아 1인당 토지가 가장 낮다. 나머지 두 지역인 중부와 서부는 관개 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더 좋다. 이들은 침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게다가 이 지역은 상당히 건조하다. 이 주에는 32개 이상의 크고 작은 강이 있다. 그 중 갠지스강, 야무나강, 사라스바티강, 사라유강, 베트와강, 가가라강은 더 크고 힌두교에서 종교적으로 중요하다. 이 주에서는 재배가 집중적이다. 우타르프라데시주는 3개의 농업 기후 지역에 속한다. (Middle Gangetic Plains 지역(Zone–IV), Upper Gangetic Plains 지역(Zone–V) 및 Central Plateau 및 Hills 지역(Zone–VIII)) 계곡 지역은 비옥하고 비옥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계단식 언덕 경사면에 집중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개 시설이 부족한다.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을 형성하는 시왈릭 산맥(Siwalik Range)은 '바브바르(bhabhar)'라고 불리는 바위층으로 경사져 있다. 이 주 전체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과도기 벨트를 테라이(terai) 및 바브바르(bhabhar) 지역이라고 한다. 이곳에는 울창한 숲이 있고, 장마철이면 거센 급류로 불어나는 셀 수 없이 많은 시냇물이 가로지른다. = = = 기후 = = = 우타르프라데시주는 습한 아열대 기후를 갖고 있으며 사계절을 경험한다. 1월과 2월의 겨울, 3월과 5월 사이의 여름, 6월과 9월 사이의 몬순 시즌이 이어진다. 여름은 루(Loo)라고 불리는 건조하고 뜨거운 바람과 함께 주 일부 지역의 온도가 0~50°C(32~122°F) 사이에서 변동하는 극단적인 현상이다. 갠게스 평야는 반건조지에서 저습지까지 다양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주의 남서쪽 지역이 650mm(26인치)이고 주의 동부 및 남동쪽 부분이 1,000mm(39인치)이다. 주로 여름 현상인 인도 몬순의 벵골만 지류는 주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가 내리는 주요 원인이다. 여름 이후 이곳에 대부분의 비를 몰고오는 것은 남서 몬순이며, 겨울에는 서부 교란으로 인한 비와 북동 몬순도 주의 전체 강수량에 소량을 기여한다. = 특별한 하루 = 특별한 하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특별한 하루 (2012년 영화) 특별한 하루 (2020년 영화)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국공산당의 당수를 일컫는다. 사실상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권력자이며, 현재의 총서기는 시진핑이다. = = 개요 =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하며 총서기는 1명이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과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소집하여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의 활동을 주재한다. 직무상, 중국공산당의 최고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 중국공산당의 최고 지도자의 정식명칭은 역사상 여러 번이나 변경되었다. 제1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중앙국 서기. 제2차, 제3차 대회에서는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제4차 대회에서는 중앙집행위원회 총서기. 제5차, 제6차 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총서기. (제6차 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다'라는 설도 있다.) 1943년 3월 20일부터 1982년 제12회 대회까지는 중앙위원회 주석. 제12차 대회 이후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약칭은 "중공 중앙 총서기" 또는 "중국공산당 총서기", "중공 총서기"이다. 제8차 대회와 제12차 대회에서도 "총서기"는 있었지만, 중앙서기처의 일상업무 처리가 주된 일로 당의 최고지도자는 아니었다.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체제 아래에서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지도자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였다. 덩샤오핑도 일찍이 총서기였던 적이 있었지만 그때의 최고지도자는 "중국공산당 중앙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이었다. = = 역대 총서기 = = 기수 사진 이름 직함 임기 비고 1 천두슈 중앙국 서기 1921년 7월 1일~1922년 7월 16일 2 천두슈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1922년 7월 16일~1923년 6월 12일 3 천두슈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1923년 6월 12일~1925년 1월 11일 4 천두슈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1925년 1월 11일~1927년 4월 27일 5 천두슈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7년 4월 27일~1927년 8월 7일 4.12 사건과 난창 폭동 실패로 실각 임시 취추바이 임시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7년 8월 7일~1928년 6월 18일 6 샹중파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8년 6월 18일~1934년 1월 15일 실권은 리리싼→왕밍 등에게 임시 왕밍 중앙위원회 총서기 대리 1931년 6월~1931년 9월 7 보구 중앙위원회 총서기 1934년 1월 15일~1935년 1월 15일 8 장원톈 중앙위원회 총서기 1935년 1월 15일~1945년 4월 23일 실권자는 마오쩌둥 9 마오쩌둥 중앙위원회 주석 1945년 6월 19일~1956년 9월 28일 10 마오쩌둥 중앙위원회 주석 1956년 9월 28일~1969년 4월 28일 11 마오쩌둥 중앙위원회 주석 1969년 4월 28일~1973년 8월 30일 12 마오쩌둥 중앙위원회 주석 1973년 8월 30일~1976년 9월 9일 사망 임시 화궈펑 중앙위원회 주석 1976년 10월 7일~1977년 7월 16일 승계 13 화궈펑 중앙위원회 주석 1977년 7월 16일~1977년 8월 19일 14 화궈펑 중앙위원회 주석 1977년 8월 19일~1981년 6월 27일 15 후야오방 중앙위원회 주석 1981년 6월 27일~1982년 9월 11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6 후야오방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2년 9월 12일~1987년 1월 15일 다당제 주장으로 실각 임시 자오쯔양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7년 1월 16일~1987년 11월 2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7 자오쯔양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7년 11월 2일~1989년 6월 23일 천안문 항쟁 동조로 실각 18 장쩌민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9년 6월 23일~1992년 10월 19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9 장쩌민 중앙위원회 총서기 1992년 10월 19일~1997년 9월 19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20 장쩌민 중앙위원회 총서기 1997년 9월 19일~2002년 11월 15일 21 후진타오 중앙위원회 총서기 2002년 11월 15일~2007년 10월 22일 22 후진타오 중앙위원회 총서기 2007년 10월 22일~2012년 11월 15일 23 rowspan="3" 중앙위원회 총서기 24 2017년 10월 25일~2022년 10월 23일 중앙위원회 총서기 25 2022년 10월 23일~ 중앙위원회 총서기 = 분류:채식주의자 = = 틀:각주/styles.css = /* can we remove the font size declarations? .references gets a font-size in common.css that is always 90, and there is nothing else in reflist out in the wild. May affect column sizes. */ .reflist { font-size: 90%; /* Default font-size */ margin-bottom: 0.5em; list-style-type: decimal; } .reflist .references { font-size: 100%; /* Reset font-size when nested in div.reflist */ margin-bottom: 0; /* Avoid double margin when nested in div.reflist */ list-style-type: inherit; /* Enable custom list style types */ } /* columns-2 and columns-3 are legacy for "2 or more" column view from when the template was implemented with column-count. */ .reflist-columns-2 { column-width: 30em; } .reflist-columns-3 { column-width: 25em; } /* Reset top margin for lists embedded in columns */ .reflist-columns { margin-top: 0.3em; } .reflist-columns ol { margin-top: 0; } /* Avoid elements breaking between columns */ .reflist-columns li { page-break-inside: avoid; /* Removed from CSS in favor of break-inside c. 2020 */ break-inside: avoid-column; } .reflist-upper-alpha { list-style-type: upper-alpha; } .reflist-upper-roman { list-style-type: upper-roman; } .reflist-lower-alpha { list-style-type: lower-alpha; } .reflist-lower-greek { list-style-type: lower-greek; } .reflist-lower-roman { list-style-type: lower-roman; } = 분류:임고초등학교 동문 = = 틀:1908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 분류:2012년 캐나다 = = 틀:핀란드의 법무장관 = = 카시트 = 카시트, 또는 자동차 좌석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좌석이다. 대부분의 차량 좌석은 장시간 사용에 견뎌낼 수 있도록 비싸지 않은 견고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소재는 폴리에스터이다. = = 안전 = = 유아용 안전 시트는 충돌 시 유아를 붙잡을 수 있도록 안전 벨트로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이다. 미국에서는 50개 주 전체가 특정한 기준을 갖춘 유아용 시트를 요구한다. 유아의 나이, 몸무게, 키에 기반하여 그 요건은 다양하다. = = 접히는 좌석 = = 모든 관광용 차량은 접히는 보조 좌석을 갖추고 있어서 승객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 자율주행 시트 = = 주율주행차에 맞춰 제작된 시트를 말한다. 자율주행 시트는 휴식, 취침, 대화, 업무 등 상황에 맞출 수 있는 차세대 시트로 완성차 업체, 시트 업체에서 4단계 이상의 자율주행차를 위한 시트 및 인테리어를 개발 중이다. = 에어칼린의 운항 노선 = 에어칼린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20년 2월 자료) = = 운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동아시아 = = = = * 도쿄 - 나리타 국제공항 오사카 - 간사이 국제공항 = = = = 동남아시아 = = =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창이 공항(2022년 5월 신규 운항 예정) = = = 오세아니아 = = = * 시드니 -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국제공항 멜버른 - 멜버른 공항 브리즈번 - 브리즈번 공항 * 누메아 - 누메아 라 톤투타 국제공항 허브 = = 단항 노선 = = = = = 아시아 = = = = = = = 동아시아 = = = = * 인천 - 인천국제공항 * 오클랜드 - 오클랜드 국제공항 * 포트빌라 - 포트빌라 바우어필드 국제공항 * 왈리스 섬 - 히히포 공항 퓌티나 섬 - 퐁트 벨레 공항 * 난디 - 난디 국제공항 * 파페에테 - 파아아 국제공항 = 분류:방글라데시의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 분류:리투아니아의 민속학자 = = 포효 보이 WAO!/친구는 친구야! = 포효 보이 WAO!/친구는 친구야!는 2010년 3월 3일 발매된 Berryz코보의 22번째 싱글이다. = = 트랙리스트 = = 포효 보이 WAO! (雄叫びボーイ WAO!) 친구는 친구야! (友達は友達なんだ!) 포효 보이 WAO! (雄叫びボーイ WAO!) (Instrumental) 친구는 친구야! (友達は友達なんだ!) (Instrumental) = 최유미 = = = 가공 인물 = = 창밖에는 태양이 빛났다의 등장 인물 유감스러운 도시의 등장 인물 여제 (드라마)의 등장 인물 = 분류:알바니아의 도시별 교육 = = 위키백과:사랑방/2008년 제27주 = = = 위키미디어 한국재단 설립 = = 애드센스를 달아 수익금으로 설립합시다.준비된 관리자 예비후보 기호 5번 산토끼 2008년 6월 30일 (월) 08:54 (KST) 애드센스 다는것 부터가 재단의 허락을 받아야 되는건데, 마음대로 할수 있을것 같습니까? 영어판부터가 허용이 안되고 있는데, 한국어판이라고 재단이 허락해 줄지는 미지수죠. 해피해피 (토론) 2008년 6월 30일 (월) 23:58 (KST) 이런 식의 토론 제안은 성실한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제안의 이유와 효과 등에 대해서 설명하고 더 설득해 주세요. 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기부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자 설정에 '기부'라는 옵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하자는 Foundation-l에 올라왔던 제안에 공감하는 편입니다. 케골 (토론) 애드센스는 어렵습니다. 다만, 한국 지부 설립은 시기가 무르익는다면 설립에 찬성입니다. 대만, 홍콩에도 존재하는 데 대한민국에 세워지지 못할 이유는 없지요. 다만, 사용자 확충과 위키프로젝트의 발전이 전제되어야 하겠습니다만...재단이니만큼 재원도 연구해봐야겠지요. 참고로, 지부는 플로리다 주에 위치한 위키미디어 재단과는 법적으로 완전히 독립된 단체이고, 서로에 대해 어떤 간섭도 하지 못하고 책임도 분리해서 집니다. 지부에 가는 기부금도 위키미디어가 아닌 지부로 들어가고요. 다만, 위키미디어의 공인을 받으려면 상호간 계약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인된 지부는 현재까지 8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un99 (토론) 2008년 7월 1일 (화) 20:17 (KST) = = 여담 = = 오늘 새벽 기준으로 리투아니아어 문서 수를 제치고 한국어 위키백과가 전체 27위로 한 단계 올랐네요. Ta183 (토론) 2008년 6월 30일 (월) 14:28 (KST) (내 취미인 좋은분위기에 찬물 끼얹기)근데 애니, 성우, 정치, 이슈에 비해 기본적인 학문 분야가 허술하다는 생각을 감출수가 없다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6월 30일 (월) 20:17 (KST) = = 이글루스 유저입니다만 = = 가끔 이글루스의 다른 블로거의 포스트를 보다 보면 위키의 내용을 참고자료 등으로 쓰는 분이 많습니다. 그런 걸 생각해보니 그 분들이 그런 걸 옮길 자신이 있다면 위키 한국어판으로도 옮기는 것은 어떻겠냐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다른 나라 언어로 되었으니 그쪽 기준으로만 이루어지는 문서가 많아지는 것도 당연하지만 그건 차후 기여하실 분들이 보완해주시면 되겠지요. 다시 말하면 각 블로그 서비스마다 위키에 기여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도 만들어보자는 겁니다. 제가 사용하는 이글루스라면 '이글루스 위키편집단'이라고 가칭을 붙이면 되겠네요. 아무래도 이글루스에는 만화애니쪽이 강점이다 보니 만화애니쪽이 더욱 활발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실행한다면 대대적으로 광고를 해야겠지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Mirai (토론) 2008년 6월 30일 (월) 20:18 (KST) 혹시 공유 계정을 만들겠다는 말입니까?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6월 30일 (월) 20:19 (KST) 근데 찬물을 끼얹어 죄송하지만,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는, 기본적으로 있어야 하는 학문분야에 비해 애니가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발달되어 있거든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6월 30일 (월) 20:20 (KST) = = 대나무 = = 전에 언젠가 사랑방에서 언급되었던 대나무 문서를 일단 미약하나마 시작해보았습니다. 과거에 세번이나 삭제된 기록이 있는 문서라(너무 짧았거나 저작권 침해.. -_-;), 이번에는 내용이 풍성하게 살쪄서 좋은 문서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들해 (토론) 2008년 7월 1일 (화) 03:17 (KST) = = 한반도통일과 위키백과 = = 의 글에 위키백과에 남북통일에 대한 전망에 대하여 위키백과의 내용이 소개되었는데, 어디에 관련 내용이 있는지 아시면 알려주세요. 아마도 영어 위키백과에 있겠지요? 관련 사항을 위키백과:보도에 넣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케골 (토론) 2008년 7월 1일 (화) 11:22 (KST) 기사가 영어판 문서를 엉터리로 인용했네요. 기사를 읽으면 마치 위키백과가 상당히 비중립적이라는 인상을 받겠군요. 첫 번째 인용문은 통일할 경우 단순히 병사 수의 측면에서 '미국보다 더 큰 군대'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보다 더 강할 리가 없죠. 두 번째 인용문은 '몇몇 정치분석가들은 통일 작업이 이미 시작되었...라고 본다'는 내용입니다. 그 '정치분석가'가 위키백과에 속하는 사람들은 결코 아니죠. 실제로 영어판 문서는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인용문은, '중국 정부로서는 중국으로 밀려들 난민 문제가 중요한 골치거리이다'라는 뜻입니다. '최대'도 아니고, 무엇보다 '중국' 입장에서의 중요한 골치거리라는 거죠. 다른 나라들은 무엇이 '최대골치'인지에 동의하지 않을 겁니다. Acepectif (토론) 2008년 7월 2일 (수) 12:27 (KST) 피에르 알랭이라는 사람의 말을 통한 인용이네요. Puzzlet Chung (토론) 2008년 7월 3일 (목) 09:14 (KST) = = 기계번역 의심문서에 대해서 = = 특히, 기계번역으로 의심되니 삭제하라고 요청하는 건을 보면, 그 문서가 정말 기계번역인지 확신이 들어서 요청한 것이라면, 먼저 토론란에 적은 다음에 그 이유를 제시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몇몇 문서를 읽어보니, 어휘력 구사능력이 낮아 얼핏보면 기계번역처럼 보이는 몇몇 문서들도 있습니다. 일괄되게 기계번역이다 삭제해야 된다는 것은 일종의 반달행위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본어 문서를 소스한 문서들에서 말입니다. Gwpei (토론) 2008년 7월 1일 (화) 19:16 (KST) 저는 기계번역은 삭제되어야 한다는 지침이나 정책에 반대합니다. 기계번역은 삭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명운동란을 만듭니다. 공감하시는 분만 서명해 주세요. WonRyong (토론) 2008년 7월 3일 (목) 19:55 (KST) = = = 서명운동 = = = 기계번역은 삭제되지 않고 수정되어야 한다. 삭제는 부당하다. 수정이 맞다. WonRyong (토론) 2008년 7월 3일 (목) 19:55 (KST) 우리들도 알다모르게 기계번역투 문장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쳐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알비스 (토론) 2008년 7월 3일 (목) 20:32 (KST) 기계번역 삭제는 신중하게, 그리고 최소한도로 해야 합니다 adidas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00:17 (KST) 번역기와 거의 일치하는 수준의 문서이면 삭제, 그외의 경우 문서의 수정을 요구함. Gwpei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4:50 (KST) 퍼온 글도 고치면 완성도 높은 문서가 되듯이, 기계번역도 삭제하지 말고 고쳐서 보존해야 합니다. 위키백과에 오를 수 있는 충분한 글인데 기계번역이라는 이유만으로 삭제되는 것은 참 아이러니 할듯... RedmosQ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5:02 (KST) 번역투의 문제가 아니라(사실 저도 번역투로 많이 씁니다만), 그 항목과 언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없이 어떻게 백과사전을 편집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근데 웬 서명운동... Clockoon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9:01 (KST) 번역기를 사용하여 번역을 한다는 자체가 코미디입니다. 차라리 사전을 찾아보면서 자신이 직접 번역을 하던지, 자신이 번역하기 힘들면 아예 포기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번역 요청을 하던지 쓰려는 항목이 속한 분야에 실력이 뛰어나신 분이 쓰시기를 기다리는 느긋함이 필요합니다. 알밤한대(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9:50 (KST) 제발 얼렁뚱땅 투표로 넘겨가지 맙시다. 토론이 길어질거 같으면 툭하면 투표로 옮겨버리더군요 -_-. 전에 관리단 토론도 그랬고(전 토론을 요구했지만 누군가가 투표로 바꿔버렸어요), 이번에도... 스트로폴에서 그친다면 모를까 그걸 가지고 무언가를 결정하는건 별로 좋지 못한 행동입니다.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4일 (금) 18:45 (KST) 근데, 투표도 아니고 서명인데, "서명합니다" 뭐 이런 게 있어야 할 거 같네요. 서명운동하는데, 일부만 서명 반대 서명도 하는 건 아닌데요. 자기 이름 적고, "공감합니다" 뭐 이런 짧은 메시지 하나 남기면 되는게 서명인데...찬성 반대 뭐 이런 것은 투표에나 맞지 서명운동에는 맞지 않아 보입니다. WonRyong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9:12 (KST) 틀을 만들었습니다. WonRyong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9:27 (KST) 이 서명을 가지고 무언가를 정하지 마세요. 투표은 악이 아닙니다만, 이렇게 사용하면 악이 됩니다.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4일 (금) 19:29 (KST) 모두 간과하시는 점이 하나 있는 것 같아 집어드립니다. (내일이 시험인데 뭐하는 건지 OTL) 기계번역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을 정도의 검토능력을 가진 사용자는 기계번역 자체가 필요 없는 수준이다. 위의 지적에 공감하며, 위키백과 내에서 정치적인 색채를 띠는 서명운동에 반대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7월 5일 (토) 02:29 (KST) 기계번역을 참고자료로 쓰는 것이야 문제 없겠지만, 기계번역 자체는 반대합니다. 아들해 (토론) 2008년 7월 5일 (토) 12:14 (KST) = = 대문에서 오류가 나고 있습니다. = =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사용중인데 오늘의 역사 화면이 오류가 납니다. 비교를 위해서 익스플로러 창과 같이 띄워 보았습니다. 아래쪽 창이 익스플로러로 띄운 위키백과 화면이고 위쪽 창이 파이어폭스를 이용해 띄운 위키백과 화면입니다. Lsw0141 (토론) 2008년 7월 2일 (수) 19:50 (KST) = = 위키백과를 시작페이지로 = = 갑자기 생각난 것인데, 다른 포털 사이트에서 하듯이, "위키백과를 시작페이지로"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Yknok29 (토론) 2008년 7월 3일 (목) 10:25 (KST) 만약 한다면 안내 페이지를 만들고 거기로 가는 링크를 만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Puzzlet Chung (토론) 2008년 7월 12일 (토) 07:24 (KST) = = 훌륭합니다 위키백과! = =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현재 위키백과의 중립성은 정말 잘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요즘 사회 분위기 때문에 우리도 모르게 어느정도 치우쳐지는 건 분명 고쳐져야 하지만, 다른 커뮤니티나 포털들이 정치적인 논쟁에 휩싸여 갈 때까지 갈 때 위키백과는 그렇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위키피디아가 전세계인의 백과사전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강한 중립성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위키백과의 인지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도 그 때문이고요. 지금까지 잘 해왔듯이, 우리 모두 중립성 유지를 위해 더욱 노력합시다! :D Chul.Kwon/토론 2008년 7월 3일 (목) 14:37 (KST) = = 봇 사용과 관련된 토론방 = = 봇의 사용법이나 봇으로 공동작업을 하는 경우나 요청을 받거나 도움을 주거나 뭐 기타등등... 봇과 관련된 모든 토론이 오가는 포털은 어디인가요? 위키백과토론:봇 여기도 아닌 거 같고... 그냥 사랑방에서 봇과 관련된 논의를 하면 되나요? WonRyong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08:11 (KST) = = :분류:달력과 :분류:역법 - 상하위 분류가 서로 반대네요. = = 역법 :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으로 하여 세시(歲時)를 정하는 방법. 달력 : 1년 가운데 달, 날, 요일, 이십사절기, 행사일 따위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어 놓은 것. 위와 같이 세시를 정하는 방법이 없다면 달력은 그 존재 자체가 불가능함에도 달력이 상위 분류로 되어 있는 오류를 보이고 있습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2:19 (KST) = = ip 사용자의 반달 행위와 새로운 가입자의 회사 홍보성 글에 대해... = = 오늘 그 사람들 쫒아다니느라 힘들어 죽는 줄 알았습니다. 아무리 초보이고, IP사용자라고 해도 정말 너무 하지 않습니까? RedmosQ (토론) 2008년 7월 4일 (금) 18:40 (KST) = = -_- = = 여기가 정치적인 곳인가요? 의견 모으는데 서명운동을 하게?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4일 (금) 19:29 (KST) 그리고 투표나 스트로폴이 아닌 이상 의견, 질문, 답변, 정보, 기권을 제외한 표의 사용을 자제해주세요. 표 틀은 투표에서나 사용되는거지 토론에서 쓰이는게 아닙니다.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4일 (금) 19:32 (KST) = = 저명성 = = 위키백과:저명성 문서를 작성하였습니다. 현재는 영문 위키백과의 'Wikipedia:Notability'를 번역하여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옮겨 놓은 상태입니다. 이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평소에 생각하셨던 분들은 여기에 내용을 더해 주시기 바랍니다. jtm71 (토론) 2008년 7월 5일 (토) 10:30 (KST) = = 여기에 남겨도 되는 글인가요? = =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현재 위키피디아와 네이버 지식iN 등 온라인에서의 협업체계에 관한 페이퍼를 쓰고 있는 중인데요. 지금까지 위키백과의 수용자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아서 참고할 자료도 없고, 또 사실 제가 위키백과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지도 않아서요^^;(앞으로 열심히 참여해 볼 생각입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여러분들의 사용 경험 & 동기 등등을 듣고 싶습니다. 질문은 외국에서 위키피디아의 수용자 연구에 사용된 질문들을 좀 뽑아서 드릴 생각이구요. 혹시 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메일로 질문 드릴게요~^^ 메신저 주소 남겨주시고 가능한 시간 알려주시면 그 시간에 여쭤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또.. 혹시라도 위키백과 사용자 모임이 있는 까페나 블로그 등을 알려주시면 그 곳에서 도움 요청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제 메일 주소는 ***@***.com입니다. 그럼,, 도움 부탁드릴게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is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 45.1 = = 말씀해주신대로 이메일 인증하고 다른 사용자분들께 메일 보내려했더니 발신자에도 수신자에도 제이름만 나오네요. 어떻게 해야하는 거죠? ㅡ.ㅡ" (이런 질문만 드려 죄송해요ㅠㅠ) (그리고 댓글을 어떻게 다는 지 몰라서 새로 쓰기 했습니다-.-" 사용법도 제대로 모르고 사이트를 흐려놓는 것 같아 죄송ㅡ.ㅡ:) Kiso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01:40 (KST) = = 영어판 명박산성 삭제 = = 영어판에서는 삭제되었습니다. 일국적인 일시적 현상을 담을 수는 없다고 판단한 모양인데요 adidas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03:51 (KST) = = 오늘은 에멜무지로님이 돌아오시는 날 = = 정확히는 오후 세시 28분입니다. 그동안 백괴에 익숙해져있어서 참여를 안 하실수도 있겠지만 돌아와주신다면 열렬히 환영해 줍시다.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6일 (일) 09:17 (KST) = = 이건 지켜주셨으면 합니다. = = (25주꺼 계속) 제가 하는 말은 강제성이 없지만, 포털 틀(예: 축구 포털 틀->)의 배치를 문서 첫 부분 보다 문서 하단(같이 보기 문단 정도)에 배치했으면 합니다. 알밤한대(토론) 2008년 6월 19일 (목) 21:29 (KST) 그러면 쓸데없이 여백이 늡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8년 6월 20일 (금) 13:36 (KST) 토론하나 안하고 투표로 가는게 좋은 일인가요?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7월 6일 (일) 15:55 (KST) 틀토론:포털에도 적었습니다만, 우선적으로 해당 틀을 붙이는 사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리고 틀이 정히 필요하다면, 문서에 직접 보여주지 말고, 상단 탭(편집,역사,주시 등이 있는 곳)에 포털로 가는 고리를 추가하는 것은 어떨까합니다. 약간 주체스럽기는 하지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만 포털 두 개가 겹치는 경우가 생긴다면 낮은 해상도를 쓰는 사용자에게는 보기에 좋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둘러보기에 추가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일 수 있겠습니다. :) 정안영민 (토론) 2008년 7월 8일 (화) 22:21 (KST) = = www.wikipedia.org 상단의 10개 위키백과 = = 현재 www.wikipedia.org 상단에 있는 10개 위키백과는 문서 개수 순입니다. 메타위키에서 이것을 다시 생각해봐야 하지 않겠냐면서 어떤 기준으로 해야 할지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meta:Talk:Www.wikipedia.org template#rethinking the top ten meta:Top Ten Wikipedias Puzzlet Chung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12:34 (KST) = = '위키백과:저명성' 지침 제안 = = 최근의 문서 삭제 문제 논란과 관련, 위키백과:저명성을 제안하였습니다. jtm71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16:22 (KST) = = '트리비아'라는 용어의 순화 = = 사람들이 사소하고 잡다한 사실을 나열하기 위해 트리비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있는데 순화해서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좀 전에 처음 봤는데 검색해보니 의외로 많이 사용하고있네요. trivia라는 단어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다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는데 저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이 저로서는 좀 어처구니 없게 느껴집니다. 사소한 사실 정도면 어떨까요? 조우영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18:55 (KST) = =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 = 분명히 생물학이나 화학같은 자연과학분야의 항목은 영어를 혼용하지 않으면 이해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가 있어서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예 1 : 중앙연산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예 2 : AIDS 연관 레트로바이러스(AIDS-associated retrovirus, ARV) 예 1번은 영문 약자나 영문 full name으로 된것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겨 적어놓은 한자어가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경우고 예 2번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으로 적은 것입니다. 대식세포(macrophage)같이 영문을 번역한 한자어(단어)가 그 분야에서 통용되는 명칭이면 괜히 괄호치고 영단어를 적을 필요는 없겠지요? 그리고 HIV 항목을 보면 지저분하기 짝이 없습니다. 내용 이해는 가장 이상적으로 이루어질지 몰라도 표면적으로는 이상적이지 못합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Aisia (토론) 2008년 7월 6일 (일) 23:17 (KST) = 다리 (해부학) = 섬네일 동물의 다리는 몸에 직접 연결되어 동물을 지탱하고 움직이는 것을 돕는 기관이다. 운동하는 동안 다리는 "신장 가능한 버팀대" 역할을 한다. 모든 관절의 움직임 조합은 길이를 변경하고 전방향 "고관절"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단일 선형 요소로 모델링할 수 있다. 해부학적 동물 구조로서 이동에 사용된다. 말단부는 종종 힘(예: 발)을 분산시키기 위해 수정된다. 대부분의 동물은 다리 개수가 짝수이다. 가구의 구성 요소로서 테이블 상판이나 의자 좌석과 같은 유용한 표면을 지지하는 데 필요한 재료의 경제성을 위해 사용된다. = = 다리뼈대 = = 다리뼈대 62개 다리이음뼈 2개 볼기뼈(관골(臗骨), hip bone) 2개엉덩뼈, 궁둥뼈, 두덩뼈는 20세 이후 한 쌍의 볼기뼈로 합쳐진다. * 엉덩뼈(장골, ilium) 2개 * 궁둥뼈(좌골, ischium) 2개 * 두덩뼈(치골, pubis) 2개 다리뼈 8개 넙다리뼈(대퇴골, femur) 2개 무릎뼈(슬골, 슬개골, patella) 2개 정강뼈(경골, tibia) 2개 종아리뼈(비골, fibula) 2개 발뼈 52개 발목뼈(족근골, tarsal bone) 14개 * 목발뼈(거골, talus) 2개 * 발꿈치뼈(종골, calcaneus) 2개 * 발배뼈(주상골, navicular bone) 2개 * 쐐기뼈 6개 ** 안쪽 쐐기뼈(제1 설상골, first (medial) cuneiform) 2개 ** 중간 쐐기뼈(제2 설상골, second (intermediate) cuneiform) 2개 ** 가쪽 쐐기뼈(제3 설상골, third (lateral) cuneiform) 2개 * 입방뼈(입방골) 2개 발허리뼈(중족골, metatarsal) 10개 발가락뼈(족지골, phalanges) 28개 = 이사배 = 이사배(李思杯, 1988년 9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분장사, 유튜버, 엔터테이너이다. 2015년부터 뷰티 영역을 다루는 개인방송을 시작했으며, 방송시작 이전 MBC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두데' 이사배 "'무도' 좋아해서 MBC 입사, 박명수 분장한 적도"", 마이데일리 , 2018년 4월 24일자. 현재는 메이크업 관련 강의, 화보 작업 등과 함께 카카오TV와 유튜브에서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7월 23일 기준으로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는 225만명이다. = = 출연 목록 = = 2016년 온스타일 《겟 잇 뷰티》 2018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9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가왕석으로 오래매~ 오래매공주 (참가자) 2019년 MBC 《언니네 쌀롱》 2020년 tvN 《밥블레스유2》 게스트 2021년 MBC 《전지적 참견 시점》 2022년 MBN 《아트싱어》 = 용인역 = 용인역(龍仁驛)은 현재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있던 수려선의 역이다. 역 터에는 GS수퍼마켓 용인점이 자리잡고 있다. 현재 용인경전철의 김량장역과 운동장·송담대역이 주변에 있다. = = 역사 = = 1930년 12월 1일 : 수원-이천 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보통역)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0년 12월 4일. 1972년 4월 1일 : 수려선 폐선과 함께 폐지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2호, 1972년 3월 31일. = 변환 단층 = 변환 단층(變換斷層)은 주향이동단층의 하나로 주로 보존형 경계와 발산형 경계를 이룬다. 주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수직 방향 움직임 성분도 존재한다. 변환단층은 해양 지각에서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잘 알려진 캘리포니아주의 산안드레아스 단층과 같이 대륙 지각에서도 발생한다. 거의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산안드레아스 단층을 경계로 동쪽의 샌프란시스코가 위치하는 북아메리카 판과 서쪽의 로스앤젤레스가 위치하는 태평양 판이 분리된다. 태평양판은 북쪽으로 이동하고 북아메리카 판은 남쪽으로 이동한다. 두 판의 경계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때는 두 판에 있는 암석은 휘어진다. 고정되었던 경계부가 끊어지며 휘어진 암석들이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지진이 발생하지만 화산활동은 일어나지않으며 지진은 주로 천발지진이 일어나게된다. 단층이 매우 잘 발달될 경우에는 단층산맥처럼 산맥을 이루기도한다. 케인단층도 포함된다. = 암피사 = 암피사(, 고전 문헌에서는 Amphissa)는 그리스 중앙그리스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중앙그리스 주에 속하는 현인 포키다 현의 현청 소재지이며 면적은 315.174km2, 높이는 180m, 인구는 9,248명(2001년 기준), 인구 밀도는 29명/km2이다. 중세 시대에는 살로나(, Salona)라고 부르기도 했다. = 분류: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만 = = 분류:가나의 구단별 남자 축구 선수 = = 포털:국가/이 달의 국가 = 애국가(愛國歌)는 대한민국의 공식 국가이다. 가사의 작사자는 미상이나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안창호에 의해 스코틀랜드 민요인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에 삽입해서 부르기 시작하다가 1935년 한국의 작곡가 안익태가 지은 한국환상곡에 가사를 삽입해서 2012년 현재까지 부르고 있다. 가사의 작사자는 안창호 설, 윤치호 설, 윤치호와 최병헌 합작설 등이 있다. 윤치호의 작사설 때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애국가를 바꾸려 하였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변호로 계속 애국가로 채택하게 되었다. 이후 1948년의 정부 수립 이후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 제척 = 제척(除斥)에는 법원구성원의 제척과 권리의 제척이 있다. 제척이란 일반적으로 법원 구성원의 제척을 가리키는데, 재판권 행사의 공정을 기하고 재판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지키기 위하여 법관이나 사무관 등이 특정사건의 피해자이거나 또는 피해자나 피고인의 가족·친척관계일 때는 그 사건의 직무 집행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말한다. 반면 권리의 제척이란 재단의 청산 등의 경우에 일정한 기간 내에 신고를 하지 않는 채권자를 변제나 배당으로부터 제외시키는 것을 뜻한다(민법 제88조·제89조, 민사소송법 제37조, 형사소송법 제17조, 파산법 247조·제248조·제249조). = = 판례 = = = = =전심재판 = = = 법관의 제척원인이 되는 전심관여라 함은 최종변론과 판결의 합의에 관여하거나 종국판결과 더불어 상급심의 판단을 받는 중간적인 재판에 관여함을 말하는 것이고 최종변론 전의 변론이나 증거조사 또는 기일지정과 같은 소송지휘상의 재판 등에 관여하는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96다56115 본안사건의 재판장에 대한 기피신청사건의 재판에 관여한 법관이 다시 위 본안사건에 관여한다 하더라도 이는 민사소송법 제37조 제5호 소정의 전심재판관여에 해당하지 아니한다.91마631 피고 종중은 2008. 2. 24.자 임시총회에서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판시한 바와 같이 피고 종중의 회장 등 그 임원을 선출하고, 피고 종중 규약을 개정하는 결의(이하 ‘이 사건 결의’라고 한다)를 하였으며, 피고 종중의 종중원인 원고들은 이 사건 결의에 소집권한 없는 자의 소집으로 개최된 위법 등이 존재한다는 이유로 이 사건 결의에 대한 무효확인을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는데, 원심을 담당한 재판부를 구성한 심△△ 판사는 원고들과 마찬가지로 피고 종중의 종중원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피고 종중의 종중원인 심△△ 판사는 이 사건 당사자인 원고들과 마찬가지로 피고 종중 규약의 내용에 따라 피고 종중 소유 재산, 기타 권리의무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위에 있는데, 원고들은 이 사건 소를 통하여 피고 종중 규약을 개정한 이 사건 결의의 무효를 주장하였고, 원고들 주장의 무효사유 인정 여부에 따라 원고들뿐만 아니라 심△△ 판사의 종중에 대한 법률관계에 적용될 이 사건 결의에 따른 피고 종중 규약의 효력이 부인될 수 있다. 따라서 심△△ 판사는 이 사건 소의 목적이 된 이 사건 결의의 무효 여부에 관하여 원고들과 공통되는 법률상 이해관계를 가진다고 볼 수 있어 민사소송법 제41조 제1호 소정의 당사자와 공동권리자·공동의무자의 관계에 있는 자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민사소송법이 정한 제척사유가 있는 판사가 재판에 관여한 원심판결은 민사소송법 제424조 제1항 제2호가 정한 법률에 따라 판결에 관여할 수 없는 판사가 판결에 관여한 때에 해당하는 위법이 있다2009다102254. = =제척의 효과 = = 사건에 대하여 직무집행을 할 수 없으므로 일체의 소송행위에 관여할 수 없다. 민사소송법 제48조의 단서에 의해 종국판결의 선고만 관여하거나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직무를 할 수는 있다. = =위반시 구제수단 = = 판결 확정 전에는 상소제기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424조 제1항 제2호 판결 확정 후에는 재심의 소제기대한민국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2호 = = 참고 자료 = = 조상희, 『법학전문대학원 민사소송법 기본강의』. 한국학술정보(주), 2009. = 분류:핀란드의 원로원장 = = 애덤 바틀리 = 애덤 바틀리(, 1979년 1월 2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드라마 롱마이어, 디스 이즈 어스에 출연했다. = = 출연작 목록 = =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2-16 롱마이어 Longmire 퍼그 퍼거슨 2014-17 NCIS: 로스앤젤레스 NCIS: Los Angeles 칼 브라운 2017 디스 이즈 어스 This Is Us 듀크 = 분류:그리스의 남자 배구 = 그리스 배구 남자 en:Category:Men's volleyball in Greece = 셴롱 건담 = 셴롱 건담은 1995년에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신기동전기 건담 W에 등장하는 모빌 슈트(MS)로 분류되는 가공의 유인 조종식 인간형 로봇 병기이다. 동양의 용의 의장을 가지고 있는 격투전용 건담 타입 모빌 슈트(MS)로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창 우페이의 탑승기이다. 기체명인 "셴롱"은 "신룡(神龍)"을 중국어로 발음한 것이다. 적측 세력인 오즈(OZ)에서는 건담 05(제로 파이브)라는 코드 네임으로 불린다. 작품 후반부에서 강화형인 알트론 건담으로 개수된다. 메카닉 디자인은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담당하였다. TV 애니메이션 방영 종료 후에 발표된 OVA 및 극장판 애니메이션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에서는 카토키 하지메에 의해 새롭게 리파인된 디자인인 알트론 건담이 등장한다. 이에 수반해 개수 전의 셴롱 건담도 재디자인되었다. 이후 오오카와라 쿠니오 디자인의 기체는 "TV판", 카토키 하지메 디자인의 기체는 "EW판"으로 구별하지만, 설정 상으로는 동일기로 취급된다. 개수 전의 기체는 처음에 "얼리 타입"이라고도 불렸다. = 분류:독일계 아이티인 = = 틀:UEFA 유로 2004 그리스 선수 명단 = = 노티드 = 노티드는 대한민국의 제과 체인점이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과테말라 선수단 = 과테말라는 1976년 7월 17일부터 8월 1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1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 = = 종목 참가 선수 합계 사격 5 1 0 승마 3 1 0 축구 17 1 0 합계 28 0 0 0 0 = =종목별 성적 = = = = = 사격 = = = 남자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최종 순위 Víctor Giordan 50m 러닝타겟 504 27 Arturo Iglesias 50m 러닝타겟 506 26 Eduardo Echeverría 트랩 156 38 Edgardo Zachrisson 스키트 194 6 Francisco Romero Arribas 스키트 176 =56 = = = 승마 = = = 남자 선수 1명과 여자 선수 2명이 2개 세부 종목에 참가했다. 선수 세부 종목 벌점 순위 Silvia de Luna 종합마술 개인 실격 Rita de Luna 종합마술 개인 실격 선수 세부 종목 1라운드 (벌점) 2라운드 (벌점) 합계 순위 Oswaldo Méndez 장애물비월 개인 12 진출 못함 =22 = = = 축구 = = = 예선 통과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3 2 1 0 9 3 +6 5 3 0 3 0 3 3 0 3 3 0 2 1 4 7 −3 2 3 0 2 1 2 5 −3 2 = = 역도 = = 선수 세부 종목 추상 추상 인상 인상 용상 용상 합계 합계 선수 세부 종목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 Vroz = VROZ는 VTuber 전문 언론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청계산로 686에 위치해있다. = 분류:네덜란드의 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 분류:폴란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 분류:전북특별자치도의 전문대학 = = 빈투롱 = 빈투롱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원산의 사향고양이과 동물로 베어캣이라고도 불린다. 흔하게 보이는 동물은 아니며 IUCN 적색 목록에 "취약"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다. 지난 30년간 개체수의 30% 이상이 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빈투롱은 빈투롱속의 유일종으로서 단형종이다.Pocock, R. I. (1939).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Taylor and Francis, London. Pp. 431–439. = = 어원 = = 빈투롱(Binturong)이라는 낱말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 단어인 "ma-tuRun"과 관련이 있다. 인도네시아 리아우에서는 벤투롱(benturong), 혹은 텐투룬(tenturun)이라고 한다.Wilkinson, R. J. (1901). A Malay-English dictionary Kelly & Walsh Limited, Hongkong, Shanghai and Yokohama. 빈투롱의 학명인 아르크틱티스 빈투롱은 그리스어로 곰을 뜻하는 ‘아르크트’(arkt-)와 족제비를 뜻하는 ‘익티스’(iktis)에서 파생되었으며 그 뜻은 '곰 족제비'를 의미한다. = = 분류 = = 1822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Thomas Stamford Raffles)가 학계에 빈투롱을 기재할 당시에는 말라카의 표본을 토대로 사향고양이속에 속한 동물로 분류하여 비베라 빈투롱(Viverra binturong)이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이후 1824년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에 의해 사향고양이속과는 별개의 속으로 재분류되어 아르크틱티스 빈투롱(Arctictis binturong)으로 재명명되었다. 빈투롱속은 단형종으로, 그 형태는 아시아사향고양이 및 흰코사향고양이와 유사하다. 19세기 및 20세기에는 다음과 같은 동물 표본이 기술되었다. 1822년 프레데릭 퀴비에(Frédéric Cuvier)가 제안한 파라독수루스 알비프론(Paradoxurus albifrons)은 알프레드 뒤보셀(Alfred Duvaucel)가 부탄에서 기록한 빈투롱 그림을 기반으로 했다. 1835년 테밍크가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페니시리타(Arctictis penicillata)는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온 표본이었다. 1910년 조엘 아삽 알렌(Joel Asaph Allen)이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화이(Arctictis whitei)는 필리핀 팔라완섬에서 채집된 암컷 두 마리의 가죽이었다. 1911년 에른스트 슈바르츠(Ernst Schwarz)가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파겔리(Arctictis pageli)는 보르네오 북부에서 채집된 암컷의 피부와 두개골이었다. 1916년 올드필드 토마스(Oldfield Thomas)가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게이르드네리(Arctictis gairdneri)는 태국 남서부에서 채집된 수컷의 두개골이었다. 1916년 마르크스 와드 리온 주니어(Marcus Ward Lyon Jr.)가 제안한 Arctictis niasensis는 니아스섬의 빈투롱의 피부 조직이었다. 1936년 앙리 제이콥 빅터 소디(Henri Jacob Victor Sody)가 제안한 A. b. kerkhoveni는 방카섬의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 1987년 왕(Wang)과 리(Li)가 제안한 A. b. menglaensis는 중국 윈난성의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 현재 빈투롱은 9개의 아종이 2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시아 본토의 북부 군집은 끄라 지협에 의해 순다 열도의 군집과 분리되어 있다. = = 특징 = = 빈투롱은 길고 두꺼운 몸체와 짧고 튼튼한 다리, 거친 검은색의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다. 덥수룩하고 굵은 잡는꼬리는 시작 지점에서는 두꺼웠다가 점차 가늘어지며 끝쪽에는 안쪽으로 말리는 형태를 지닌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며 코에서 약간 위로 향하고 뻣뻣한 털로 덮여 있으며 뾰족한 부분이 갈색이며 갈라짐에 따라 길어지고 얼굴 주위에 특이한 방사형 원을 형성한다. 눈은 크고 검게 두드러진다. 귀는 짧고 둥글며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끝부분은 검은색을 띤다. 턱에는 6개의 짧고 둥근 앞니가 있고, 길고 날카로운 송곳니가 2개, 양쪽에 6개의 어금니가 있다. 다리의 털은 짧고 노란빛을 띤다. 발가락은 다섯 개이며 크고 강한 발톱이 있다. 발바닥에는 털이 없으며 발바닥 전체가 땅에 닿는 초목형으로 뒷발바닥이 앞발바닥보다 길다. 빈투롱은 아시아사향고양이 및 흰코사향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꼬리, 다리, 발의 길이, 후각선의 구조, 비강의 크기가 더 크고 볼록하다. 중앙 홈은 인중 위에서 훨씬 좁다. 털의 윤곽선은 훨씬 더 길고 거칠며, 귀 뒤쪽을 덮고 있는 긴 털은 끝 너머로 뚜렷한 술처럼 돌출되어 있다. 귀의 앞쪽 윤활낭 플랩은 더 넓고 덜 깊게 오목하다. 꼬리는 특히 기부 부분이 더 근육질이며 색상은 일반적으로 몸체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쪽 기부가 더 옅다. 체모는 체모는 흔히 부분적으로 희거나 담황색이어서 털에 얼룩덜룩한 모양을 주며, 때로는 너무 창백해서 몸 전체가 대부분 밀짚색이나 회색을 띄기도 한다. 새끼는 종종 성체보다 창백한 색이지만 머리는 항상 회색 또는 담황색으로 촘촘하게 얼룩져 있다. 길고 신비로운 동모는 눈에 띄는 흰색이며 검은색 귀 꼭대기에는 흰색 테두리가 있다. 선 부위는 희끄무레하다. 꼬리는 머리와 몸통을 합친 길이만큼이나 길다. 몸통은 71~84cm이고 꼬리는 66~69cm 정도이다. 일부 사육 상태의 빈투롱은 머리와 몸통 길이가 75~90cm이고 꼬리 길이가 71cm나 된다. 사육 상태의 암컷 빈투롱의 평균 체중은 21.9kg이며 보통 11-32kg 정도 된다. 포획되었거나 사육되는 동물은 종종 같은 종의 야생종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가는 경우가 많다. 12마리의 사육 상태의 암컷 빈투롱의 평균 무게는 24.4kg인 반면 22마리의 수컷은 평균 19.3kg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 연구에서 야생 암컷의 추정 평균 체중은 10.5kg이었다. 그러나 태국에 있는 7마리의 야생 수컷 빈투롱의 무게는 평균 13.3kg인 반면 암컷 1마리는 13.5kg으로 비슷한 무게로 밝혀졌다. 야생 빈투롱의 평균 체중에 대한 한 추정치는 15kg이었다. 암수 모두 분비샘을 가지고 있는데, 암컷은 외음부 양쪽에, 수컷은 음낭과 음경 사이에 있다. 분비샘에서는 마치 버터 팝콘을 연상시키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소변에 존재하는 휘발성 화합물인 화합물 2-AP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온의 마이야르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식육목 동물들과 달리 수컷 빈투롱은 음경뼈가 없다. = = 분포 및 서식지 = = 빈투롱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의 윈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칼리만탄, 자바, 필리핀의 팔라완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 빈투롱의 서식지는 키 큰 숲에 국한되어 있다. 아삼에서는 나무가 잘 덮인 산기슭과 언덕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숲이 우거진 평원에서는 그만큼 흔하지 않다. 마나스 국립공원, 라힘푸르 지역의 둘룽 및 카코이 보호림, 카르비 앙롱, 노스 카차르 언덕, 카차르 및 하일라칸디 지역의 구릉 숲에서 기록되었다. 미얀마에서는 타닌타리 자연보호구역 지상, 후카웅 계곡 해발 60m, 라카인 요마 코끼리 보호구역 해발 220~280m, 580m 및 최대 1,190m의 서로 다른 3개의 장소에서 빈투롱이 촬영되었다.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는 여러 개체가 무화과나무와 포도 덩굴에서 먹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라오스에서는 광대한 상록수림에서 관찰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1970년대에 벌목되었던 야자 농장 주변의 2차 숲에서 빈투롱이 기록되었다. 팔라완에서는 해수면에서 400m까지의 초원-숲 모자이크를 포함한 1차 및 2차 저지대 숲에 서식한다. = = 습성 및 생태 = = 빈투롱은 낮과 밤에 주로 활동한다. 팍케 호랑이 보호구역에서 낮에 세 번 목격되었다. 미얀마에 설치된 카메라 트랩은 황혼 무렵에 한 마리, 밤에 일곱 마리, 대낮에 다섯 마리 등 총 13마리의 동물을 포착했다. 모든 사진은 단일 동물의 것이며, 모두 땅에서 촬영되었다. 빈투롱은 그다지 민첩하지 않기 때문에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는 비교적 자주 땅으로 내려와야 할 수도 있다. 푸 키에오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무선 목걸이를 착용한 5마리의 빈투롱은 어두컴컴한 밤 활동 경향이 지배적인 부정맥 활동을 보였으며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최고조에 달했다. 반대로 정오부터 늦은 오후까지는 비활성 기간이 감소했다. 그들은 건기에는 매일 25m에서 2,698m 사이를 이동했으며 우기에는 일일 이동 거리를 4,143m로 늘렸다. 수컷의 범위 크기는 0.9 - 6.1km2로 다양했다. 우기에는 수컷 2마리가 약간 더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그 범위는 30~70% 사이에서 겹쳤다.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 무선 칼라를 착용한 암컷의 활동 범위는 4km2로 추산되었으며, 수컷은 4.5~20.5km2 (1.7-7.9 평방 마일)로 추산되었다. 빈투롱은 본질적으로 교목성 동물이다.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은 런던 동물원에서 여러 마리의 빈투롱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쉴 때는 머리를 꼬리 밑으로 집어넣고 웅크리고 누운다. 그들은 좀처럼도약하지 않고 비록 느리기는 하지만 능숙하게 기어올랐고, 나뭇가지의 윗면을 따라 또는 거꾸로, 아래에서 똑같이 편안하고 자신감 있게 전진했다. 잡는꼬리는 항상 보조 수단으로 준비되어 있다. 그들은 먼저 케이지 머리의 수직 막대를 내려와 발 사이에 쥐고 잡을 수 있는 꼬리를 점검용으로 사용했다. 그들은 짜증이 나면 사납게 으르렁거렸다. 배회할 때 그들은 주기적으로 낮은 끙끙거리는 소리나 부분적으로 열린 입술을 통해 공기를 내보내는 쉭쉭거리는 소리를 냈다. 빈투롱은 꼬리를 사용하여 서로 의사소통한다. 부드럽게 이리저리 움직이며 나뭇가지에 달라붙기도 하고, 종종 멈추기도 하며, 종종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꼬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털을 손질하거나 흔들고 핥고, 긁는 것과 관련된 뚜렷한 편안한 행동을 보여준다. 특히 흔들림은 편안함을 보여주는 행동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이다. = = = 먹이 = = = 빈투롱은 잡식성으로 작은 포유류나 새, 물고기, 지렁이, 곤충 및 과일을 먹으며 설치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빈투롱은 수생동물이 아니기에 물고기와 지렁이는 먹이에서 중요하지 않은 품목일 가능성이 높으며 기회가 있을 때만 먹는다. 또한 빈투롱은 포식성 포유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식단은 대부분 식물성 음식으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무화과는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포획된 빈투롱은 특히 질경이를 좋아하지만 닭의 머리와 알도 먹는다. 빈투롱은 씨앗의 단단한 외피를 분해할 수 있어 특히 교살자 무화과의 씨앗 분산에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육 상태의 빈투롱의 식단에는 가공육에 바나나, 사과, 오렌지, 복숭아 통조림 및 미네랄 보충제가 포함된다. = = = 번식 = = = 성적 성숙 연령은 암컷의 경우 평균 30.4개월, 수컷의 경우 평균 27.7개월이다. 빈투롱의 발정 주기는 18~187일, 평균 82.5일이다. 임신 기간은 84~99일입니다. 새끼는 1마리에서 6마리까지, 평균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빈투롱의 무게는 280~340g이며 종종 종종 어깨를 으쓱하는 동물이라고도 한다. 가임 능력은 15세까지 지속된다. 사육 상태에서 빈투롱의 최대 수명은 25세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 = 위협 = = 빈투롱에 대한 주요 위협은 서식지 전반에 걸친 벌목과 토지 개발로 인한 서식지 손실과 숲의 황폐화가 있다. 서식지 손실은 순다이 지역의 저지대에서 특히 심각했으며, 빈투롱이 자연림을 대체하는 농장을 이용한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에서는 만연한 삼림 벌채와 기회주의적 벌목 관행으로 인해 적절한 서식지가 파편화되거나 부지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필리핀에서는 야생 동물 거래를 위해 포획되며, 그 범위의 남쪽에서는 식용으로도 잡힌다. 라오스에서는 우리에 갇힌 살아있는 식육목 동물 중 가장 자주 전시되며 가죽은 적어도 비엔티안에서는 자주 거래된다. 라오스의 일부 지역에서는 진미로 간주되며 베트남에 식품으로 거래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슬리 부족은 빈투롱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 = 보존 = = 빈투롱은 CITES 부록 III과 1972년 인도 야생 생물(보호)법의 별표 I에 포함되어 있어 최고 수준의 보호를 받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기재되어 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완전히 보호받고 있으며 태국, 말레이시아 및 베트남에서는 부분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부분적으로만 합법으로 빈투롱 사냥이 허용되고 있으며, 브루나이에서는 보호받지 않는다. 매년 5월 둘째 주 토요일은 세계 빈투롱의 날로 지정되어 여러 동물원에서 빈투롱에 대한 인식과 보존을 위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 = 동물원 = = = 빈투롱은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로 장기 보전에 필수적인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 야생 개체를 포획하여 기르기도 한다. 현재 사육 상태의 빈투롱들의 시초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거나 여러 세대에 걸쳐 사육된 빈투롱들의 자손들로부터 온 것이다. = 시랑역 = 시랑역은 광저우 지하철 1호선과 광포 지하철(포산 지하철 1호선)의 환승역이다. 계획 당시 명칭은 광강역이었는데, 인근에 광저우 강철 그룹(广州钢铁企业集团)의 본사가 있기 때문이었다. 1997년 6월 28일에 운영을 시작했다. 이 역은 리완구 팡춘에 있는 남부 화디 대로의 지하에 있다.Xilang = =역 구조 = = 3층 - 비어있음 2층 대합실 고객 서비스, 상점, 티켓 자동 판매기, ATM 1층승강장 3번 승강장 → 사용되지 않음 1층승강장 섬식 승강장, 하차 전용 섬식 승강장, 하차 전용 1층승강장 2번 승강장 → 1호선 광저우 동역 방면(컹커우) →← 1호선 당역 종착 1층승강장 섬식 승강장, 승차 전용 섬식 승강장, 승차 전용 섬식 승강장, 승차 전용 1층승강장 1번 승강장 → 1호선 광저우 동역 방면 (컹커우) →← 1호선 당역 종착 1층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하차 전용 상대식 승강장, 하차 전용 상대식 승강장, 하차 전용 상대식 승강장, 하차 전용 지하 1층승강장 2번 승강장 ← 광포 선 신청 동 방면 (주수) 지하 1층승강장 섬식 승강장, 왼쪽 출입문이 열림 섬식 승강장, 왼쪽 출입문이 열림 지하 1층승강장 1번 승강장 → 광포 선 옌강 방면 (허둥) → = = =출구 = = = 출구 번호 소재지 인근 역세권 1호선 역출구 1호선 역출구 1호선 역출구 A 출구 화디대로 남(花地大道南) 화대대로 중, 시랑 버스 정류장, 시랑 버스 터미널 B 출구 화디대로 남(花地大道南) 화대대로 중, 시랑 버스 정류장, 시랑 버스 터미널 광포 선 역출구 광포 선 역출구 광포 선 역출구 D 출구 화디대로 중(花地大道中) 화디대로 남, 시일인민병원 허둥(鹤洞)지사, 화디 대로 중 버스 정류장(남행) F 출구 화디대로 중(花地大道中) 화디대로 남, 중해화만1호(中海花湾壹号), 화디 대로 중 버스 정류장(북행), 룽시(龙溪) 교차로 남 버스 정류장 (북행), 허둥(鹤洞) 서로 버스 정류장 (서행) J 출구 화디대로 남(花地大道南) 화디대로 중 시랑 버스 정류장 注: 시각 장애인 안내 경로 엘리베이터 注: 시각 장애인 안내 경로 엘리베이터 注: 시각 장애인 안내 경로 엘리베이터 = 쿠루사 = 쿠루사(Kouroussa)는 기니의 북서쪽에 있는 도시로, 쿠루사 현의 주도다. = = 지리 = = 이 도시에는 니제르강이 흐른다. = = 역사 = = 이곳에 처음 온 유럽인은 프랑스인 르네 카이에이다. 그는 1827년 말리의 젠네와 팀북투로 가는 여정 도중에 쿠루사를 들렸다. = 분류:맨섬의 스포츠 = = 틀:나라자료 나히체반 ASSR = = 지성렬 = 지성렬(池成烈)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한국의 화가이다. = = 생애 = = 전라남도 출신으로 윤재우, 문재덕, 오지호, 조복순, 천경자 등과 함께 '남도 화단의 구심점'으로도 꼽히는 서양화가였다. 중일 전쟁에 일본군 종군화가로 참전하였고, 1939년 중국 전장을 묘사한 종군 작품으로 중국 전장 사생전을 열었다. 지성렬의 사생전이 8월 19일부터 25일까지 화신갤러리에서 먼저 열렸고, 역시 종군화가인 송정훈의 작품전은 11월에 연이어 개최되었다. 지성렬은 이 종군화가전을 통해 "황군 격전의 자취"를 사생한 작품 55점을 전시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포함되었다. = = 참고자료 = = * * * = 분류:중요도별 해부학 문서 = = 적자인생 = "적자인생"은 한국에서 제작된 김수용 감독의 1965년 영화이다. 강신성일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박원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강신성일 엄앵란 최지희 도금봉 = = 기타 = = 원작자: 김석야 조명: 손영철 미술: 박석인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 펩토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Peptoclostridium difficile, 또는 C. difficile 또는 C. diff)로도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 동의어 Clostridioides difficile)은 그람 양성균의 포자 형성 박테리아이다. = 분류:아프가니스탄의 나무 = = 타우리 = 타우리 (Ταῦροι), 또는 스키토타우리, 타우리 스키타이는 크림반도에 정착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크림산맥과 흑해사이의 좁은 땅에 거주하며 고대에 타우리카, 타우리다, 타우리스로 알려졌다. 그들은 킴메리아인의 후손으로 생각된다. 그들을 스키타이인들이 그들의 원래 고향에서 더욱 북쪽으로 기원전 7세기에 추방했다. 그러나 다른 이야기에는 타우리아인들이 압카즈와 아디게 종족과 관련될 수 있다. 그 종족은 그 당시에 현재보다 더 서쪽에 살았다. 크림반도의 해변에 결국 그리스인이 주류를 이루었고 결과적으로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다. 그러나 타우리는 그리스 권력에 위협이었고 흑해상의 배에 해적질을 했고 심볼론(현재의 발라클라바)에서 산적질을 했다. 기원전 2세기에 그들은 스키타이왕 스킬루러스의 휘하가 되었다. = 세계와 세계의 한 가운데서 = 세계와 세계의 한 가운데서(世界と世界の真ん中で, 세카이-토 세카이-노 몬나카-데)는 Lump of Sugar의 2013년 8월 작 에로게다. 원화는 동사의 작품인 관계로 모에키바라 후미타케가 계속 맡고 있다. 다만 시나리오 부분에서는 세로리등 외주 인력이 추가로 참여했다. = = 개요 = = 에로게 메이커, Lump of Sugar가 계속해서 제작하고 있는 모에계의 에로게. 히로인 중 한명의 특징이 수인이라는 점을 광고하고 있으며, 동사가 자랑하는 캐릭터 모에를 집필하고 있는 테츠진의 집필이라는 점도 특징. 또한 모에키바라 후미타케의 아름다운 원화도 이 에로게의 볼 거리. = = 등장인물 = = 오우미 코코로 츠키타케 미노리 시라토리 아이라 아야네 하루카 = = 관련항목 = = Lump of Sugar = 서월영 = 서월영(徐月影, 1902년 4월 8일 ~ 1973년 2월 26일)은 한국의 배우이다. 연극배우로 출발하여 말년에는 영화 배우로 주로 활동했다. 본명은 서영관(徐永琯)이며, 월영(月影)은 예명이다. 서울 출신으로 토월회를 통해 연극배우가 되었다. 현철이 세운 조선배우학교를 제1기생으로 졸업했다. 초기에는 동양극장의 전속극단 청춘좌 소속으로 활동했다.예술로, 한국연극의 황금 시대를 구현한 동양극장 그러나 신파극의 인기와 함께 동양극장이 지나친 상업주의 경향으로 흘러가자 1937년 심영, 박제행, 남궁선 등과 더불어 청춘좌를 탈퇴한 뒤에는 신파극과 신극 사이의 타협점으로 중간극을 표방한 중앙무대를 창설했다. 1939년 조직된 극단 고협에서도 활동했다. 1927년 운명과 불망곡으로 영화계에도 데뷔해 지나가의 비밀(1928) 등에 출연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흙에 산다 (1942), 젊은 모습 (1943), 조선해협 (1943), 우러르라 창공 (1943), 거경전 (1944) 등 국책 영화에 잇따라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친일 영화 단체인 조선영화인협회에도 연기자 대표격으로 참여하여 임원을 맡은 바 있다.이효인, 영화계 친일행위의 논리와 성격 디지털 웹진 Now Art (2002년 광복 57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 문화예술의 친일 논리와 성격) 토월회와 청춘좌, 중앙무대, 고협 등에서 꾸준히 함께 했던 심영과는 광복 후 좌익과 우익 계열로 갈라졌다. 심영은 김두한에게 피습을 받고 월북했고, 그는 극단 청탑을 창설하고 반공 영화 성벽을 뚫고(1949)에 출연하는 등 남한에 남아 1950년대와 1960년대 많은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마지막 작품은 1967년 신상옥이 연출한 다정불심과 꿈이다. = 더치 인 세븐 레슨 = 더치 인 세븐 레슨(Nederlands in zeven lessen, Dutch in Seven Lessons)은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헤인즈 조셉슨 감독의 1948년 다큐멘터리, 코미디 영화이다. 섀니 데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섀니 데이 피아 벡 오드리 헵번 = 북채널 = 북채널은 출판, 도서 유통 및 컨텐츠 제작과 판매를 하는 종합교육 기업이다. 2016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공무원, 자격증의 수험서, 어학도서, 유·아동 및 인문서 등의 도서를 유통한다. = = 관련 사이트 = = 북채널 홈페이지 북채널 팜스토어 북채널 네이버 블로그 북채널 트위터 = 틀:패럴림픽 정보 연합 = = 분류:1992년 핸드볼 = = 카하마르카 = 카하마르카(Cajamarca)는 페루 카하마르카 주의 주도로, 인구는 216,757명이다. 해발 2750m로, 산에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한 도시이다. 잉카제국의 황제 아타우알파가 프란시스코 피사로에게 붙잡힌 곳이기도 하다. = 의화왕 = 의화왕(義和王)은 고창국의 국왕이다. 이름은 알 수 없다. 613년에 정변을 일으켜 국백아를 축출하고 국왕이 되었다. 620년에 국백아가 복위했다. = 영원 생성설 = 영원 생성설 (eternal generation) 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가 역사적으로 생성되는 데에 나온 것 중 하나이다. = = 역사적 근거 = = 325년에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삼위일체 교리 중 가장 기본적인 성부와 성자의 상관관계에 대한 중요한 회의가 있었다. '우리는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모든 것, 천지의 창조주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한 분을 믿습니다. 우리는 만세 전에 아버지로부터 나신 독생자 주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을 믿습니다.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하나님이시며, 빛으로부터 나신 빛이시며 참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참 하나님이시고 창조함 받지 않으셨으며 하나님과 같은 본성으로 만물을 창조하셨습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3.2에서는 하나님의 본체는 하나이시며 곧 동시에 삼위이신 것과, 본체와 능력과 영원성에 있어서 동일하신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을 설명한다. 또한, 성부는 아무에게서도 나시거나 나오시지 않으시고, 성자는 성부에게서 영원히 나셨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영원히 나오신다를 적시하였다. = = 의미 = = 루이스 벌코프는 그의 저서인 '조직신학'에서 영원 생성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영원 생성은 삼위일체에서 성부 하나님에 의해서 이루어진 행위이다. 또한, 성부 하나님의 이 행위는 필연적으로 영원히 행해졌다. 마지막으로, 이 행위의 결과는 삼위일체의 제 2 위격의 생성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신적 본질 전체는 재 1위격으로부터 제 2위격으로 전달된다.' = = 교리적 논란 = = 이 교리에서 생성(generation)이란 말이 시간 속에서 창조의 의미를 유추하기 때문에 많은 논쟁이 있어왔다. 또한 존재론적인 의존이라는 의미를 가져오기 때문에, 삼위일체에 대한 신비가 오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 말에 대하여 더 이상의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이 관습화되었다. 영원성과 필연성이 갖는 성질이 일시성과 종속성을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영원성은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며 시작과 끝이 없는 의미를 가져왔고, 필연성은 반드시 아들이 아버지로부터 나와야 하며, 아버지는 아들을 낳아야 한다는 결과가 종속성을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성경적 증거 = = 요한복음 1:1, 1:14, 1:18, 3:16,5:26, 14:11.17:21 히브리서 1:3 = = 반대하는 신학자 = = 웨인 그루뎀과 브루스 웨어는 이 교리를 부정하였다. = 분류:핀란드의 운하 = = 분류:유송 문제의 황자 = = 홍천시장 = 홍천시장(Hongcheon Market)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8길 13에 위치한 재래시장이다. = = 개요 = = 1955년 6월 3일 개설되었다. 한복류, 채소류, 슈퍼, 공산품, 식당, 전통식품, 생선 등을 취급하는 종합 상설시장이다. 홍천의 대표적 시장으로 해방직후인 1946년 영서지역 교통 중심지로 상인 및 인구가 유입되어 장터가 형성되었다. 1980년대부터 중앙시장과 더불어 크게 번성, 5일장과 함께 전통 민속장터로 자리잡았다. 총 6개 블록에 대부분 단층의 점포로 총 연면적 3,436m2, 점포수 119개, 상인 90명, 1일 방문객 약 560명이다. = 주비산경 = 주비산경은 고대 중국의 천문·수학서이다. = = 역사 = = 제목 주비산경에서 주(周)는 주나라를 뜻한다. 비(髀)는 원래 넓적다리를 뜻하며, 여기서는 해시계의 지시침을 뜻한다. 주비산경의 실제 집필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하권 1부는 여씨춘추(기원전 3세기 집필)를 인용하므로 적어도 이 문단은 전국시대 이후에 집필된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한나라(기원전 2세기~기원후 3세기) 때에 현재의 형태로 집대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유휘(3세기) · 조긍지(祖𣈶之, 6세기) · 이순풍(李淳風, 7세기) · 양휘(13세기) 등이 주비산경에 주석을 달았으며, 조상이 서문 및 삽화를 추가하였다. = = 내용 = = 주비산경은 주로 수학과 천문학을 다룬다. 주비산경은 상권(上卷)과 하권(下卷)으로 구성되며, 각각 3부로 나뉘어 있다. 부 내용 상권 1부 주공 단이 질문하며, 그를 섬기는 천문학자 상고가 답변하는 형식. 상권 2부 영방이 질문하며 진자가 답하는 형식. 상권 3부 역법에 대한 내용이다. 7개의 행(衡)에 대한 일련의 계산들로 구성되며, 특히 1년을 365¼일로 계산한다. 하권 1부 하늘과 땅의 모양과 크기를 다룬다. 하늘과 땅 사이의 거리는 8만 리이다. 하권 2부 천문 관측에 대한 내용이다. 하권 3부 절기와 역법에 대한 내용이다. = = = 천문학 = = = 주비산경 상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관이 묘사되어 있다. 하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관이 묘사되어 있다. = = = 피타고라스의 정리 = = = 주비산경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간단한 증명이 등장한다. 주비산경 상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이 3·4·5 직각 삼각형이 등장한다. 상권 2부에는 다음과 같이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등장한다. = 감비아의 역사 = 감비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9세기와 10세기에 아랍인 무역상들로부터 나왔다.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사하라 종단 무역에 의해 지배되었고 말리 제국이 지배했다. 16세기에 이 지역은 송가이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감비아강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들은 15세기 포르투갈인들이었는데, 그들은 1445년에 강둑에 정착하려고 시도했지만, 상당한 규모의 정착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포르투갈 정착민들의 후손들은 18세기까지 남아있었다. 16세기 후반, 영국 상인들은 감비아를 "포르투갈인들이 은닉한 무역과 부의 강"이라고 보고하면서 감비아와 무역을 시작하려고 시도했다. 17세기 초, 프랑스는 감비아의 정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리처드 잡슨 휘하에서 1618년부터 1621년까지 잉글랜드 연방이 시도되었으나 큰 손실을 입었다. 1651년 영국 상인들은 감비아로 탐험대를 보냈지만, 그들의 배는 다음 해에 루퍼트 왕자에 의해 나포되었다. 1651년 감비아에 대한 쿠로니아의 식민지화가 시작되었고, 여러 섬에 요새와 전초기지가 세워졌다. 1659년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에 소유권이 넘어갈 때까지 쿠를란더 가문은 지배적이었다. 1660년, 쿨란더 가문은 다시 소유를 시작했지만, 다음 해 새로 설립된 왕립 아프리카 회사에 의해 추방되었다. 1667년 감비아에 대한 왕실 모험가들의 권리는 감비아 모험가들에게 다시 주어졌지만, 후에 새로운 왕립 아프리카 회사로 되돌아갔다. 1677년 감비아와 세네갈에 대한 패권을 놓고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1세기 반에 걸친 투쟁이 시작되었다.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영국이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았다. 18세기 중반, 왕립 아프리카 회사는 심각한 재정 문제를 겪기 시작했고, 1750년 의회는 그 지역에서 회사의 권리를 박탈했다. 1766년, 왕국은 세네감비아 식민지의 일부를 형성하였다. 1783년 세네감비아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세네감비아의 중단 이후, 식민지는 사실상 버려졌다. 유일한 유럽인들은 피사니아와 같은 강둑의 몇몇 정착지에 존재하는 무역업자였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알렉산더 그랜트는 감비아에 다시 주둔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배서스트를 설립했고 영국의 영토는 일련의 조약을 통해 계속 커졌다. 1843년까지 시에라리온에서 관리되었으나 1866년에 시에라리온과 합병되었다. 감비아의 프랑스 양도는 19세기 말에 제안되었지만, 감비아와 잉글랜드 양쪽에서 상당한 항의를 받았다. 1888년, 식민지는 독자적인 정부 구조를 되찾았고, 1894년 감비아 식민지와 보호령이 독립할 때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1901년 감비아와 RWAFF의 감비아 회사를 위한 입법 및 집행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감비아 군인들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1920년대에 에드워드 프랜시스 스몰은 배서스트 무역 연합과 요금 지불자 협회를 설립하면서 해방을 위한 노력을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감비아 중대는 연대로 승격되었고, 특히 전쟁 말기에 버마 전역에도 참전했다. 194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감비아 방문은 현직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 대륙을 처음 방문한 것이다. 전쟁 후, 땅콩 생산에 경제적인 초점을 맞추고 식민지 개발 코퍼레이션에 의한 감비아 가금류 계획이라는 실패한 프로그램으로 개혁의 속도가 증가하였다. 자치 정부를 향한 추진은 그것의 속도를 증가시켰고, 1960년에 하원이 설립되었다. 피에르 사르 은지는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총리를 지냈으나 1962년 선거에서 다우다 자와라가 총리가 되어 이후 30년 동안 감비아 정치의 인민진보당의 지배를 시작하였다. 1963년 완전한 내부 자치 정부가 이루어졌고, 광범위한 협상 끝에 감비아는 1965년 독립을 선언했다. 감비아는 입헌군주제로서 독립하였으나 1970년에 대통령제 공화국이 되었다. 자와라는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94년까지 이 자리에 있었다. 쿠코이 산양이 이끄는 쿠데타는 1981년 시도되었으나 세네갈의 개입으로 실패하였다. 1981년부터 1989년까지 감비아는 세네감비아 연방에 가입하였으나, 세네감비아 연방은 붕괴되었다. 1994년 야히아 자메가 이끄는 쿠데타로 자와라는 타도되었다. 1996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2017년까지 이 역할을 계속했다. 이 기간 동안 자메의 정당인 APRC는 감비아 정치를 지배했다. 감비아는 2013년 영연방을 떠났고 2014년 쿠데타 시도에 실패했다. 2016년 선거에서 아다마 배로는 야당 연합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자메의 퇴진 거부는 헌법상의 위기와 ECOWAS 군대의 개입으로 이어졌다. = = 초기 역사 = = 카르타고의 탐험가 항해자 한노가 기원전 6세기 또는 5세기에 감비아강까지 항해했을 가능성이 있다.Harden, Donald (1971) [First published 1962]. The Phoenicians. Harmondsworth: Penguin Books. = = = 말리 및 송가이 제국 = = =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검증 가능한 서면 기록은 서기 9세기와 10세기 아랍 상인들의 기록에서 나온다.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사하라 종단 무역에 의해 지배되었다. 만딩고족의 통치자 만사 칸쿠 무사로 가장 잘 알려진 말리 제국은 엄청난 부, 학식, 그리고 문명 덕분에 이 지역에 세계적인 명성을 가져다 주었다. 13세기 초, 말리의 헌법인 쿠루칸 푸가는 땅의 법이었다. 북아프리카의 학자이자 여행가인 이븐 바투타는 1352년에 이 지역을 방문하여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송가이 제국은 16세기에 이 지역을 지배하기 위해 왕이 공식적으로 통치한 송가이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 15세기 및 16세기 = = 감비아의 유럽 발견은 15세기에 포르투갈의 엔히크 항해왕자의 탐험으로 시작되었다. 1446년 포르투갈의 선장 누노 트리스타오는 카보베르트의 주민들과 접촉하여 무역과 우호 조약을 맺었다. 그 후 매년 포르투갈에서 선박이 보내져 무역을 하게 되었다. 그들로부터 감비아강에 대한 정보가 엔히크 항해왕자에게 전해졌고, 그들의 보고에 따르면, 강둑은 많은 양의 금을 산출했다. 1455년 엔히크는 루이즈 데 카다모스토라고 불리는 베네치아의 배를 이끌고 강을 찾아 원정길에 올랐다. 같은 해 말, 그는 안토니오토 우소디마레라고 불리는 제노바 상인을 두 척의 배로 같은 탐험에 보냈다. 두 사람은 카보베르데 근처에서 힘을 합쳤고, 해안 가까이에서 감비아강 하구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Gray, p. 5 그들은 1455년 감비아강에 도착하여 상류를 향해 짧은 길을 나아갔다. 그들은 다음 해에 항해를 반복했고, 상류로 더 나아가 원주민 추장들과 접촉했다. 그들은 강 하구 근처에 있을 때, 이전에 열병으로 죽은 선원 중 한 명이 묻힌 섬에 닻을 내렸다. 그의 이름이 앤드류였기 때문에, 그들은 그 섬을 세인트 앤드류섬이라고 이름 지었다. 이 원정은 강둑에 정착지를 건설하려는 포르투갈의 시도가 뒤따랐다. 어떤 정착지들도 상당한 규모에 도달하지 못했고, 많은 정착민들은 포르투갈의 복장과 풍습을 유지하면서 원주민들과 결혼했고, 기독교인이라고 자처했다. 감비아에는 18세기까지 포르투갈계 공동체가 계속 존재했으며, 1730년 산도밍고, 게레지아, 탕쿠라 등지에 포르투갈 교회가 존재했다. 강의 포르투갈인 정착지는 파타텐다 근처의 세투쿠에 있었다. 16세기 말, 송가이 제국은 포르투갈의 끊임없는 공격 아래 무너졌다. 감비아라는 이름은 무역을 뜻하는 포르투갈어인 캄비오(Cambio)에서 유래되었다.Atlas Obscura 1580년 포르투갈 왕위가 펠리페 2세에게 빼앗긴 후, 많은 포르투갈인들이 영국으로 피난을 갔다. 이 난민들 중 한 명인 프란시스코 페레이라는 1587년에 감비아로 가는 두 척의 영국 배를 조종했고, 가죽과 상아로 된 수익성 있는 화물을 가지고 돌아왔다. 1588년 크라토의 안토니우 1세는 세네갈 강과 감비아 강 사이의 무역 독점권을 런던과 데번 상인들에게 팔았다. 이 보조금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서신 특허에 의해 10년 동안 수여자들에게 확인되었다. 상인들은 여러 척의 배를 해안으로 보냈지만, 포르투갈의 적개심으로 인해 강 어귀 북쪽 30마일 지점인 조알보다 남쪽으로 더 멀리 가지 못했다. 그들은 감비아가 "포르투갈인들이 은닉한 비밀 무역과 부의 강"이라고 보고했다. = = 20세기 = = = = = 초년 = = = 감비아는 1901년 자체 행정부와 입법부를 받았고 점차 자치 정부를 향해 나아갔다. 또한 1901년에는 감비아의 첫 식민지 군부대인 감비아 컴퍼니가 설립되었다. 서아프리카 변경군(후기 왕립 서아프리카 변경군)의 시에라리온 대대의 일부로 편성되었다. 1906년 법령은 노예제도를 폐지했다. = = = 감비아 독립 = = = 1964년 6월 말버러 하원 제헌 회의에서 영국과 감비아 대표단은 감비아가 1965년 2월 18일에 독립국이 되는 것에 동의하였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국가원수로 남아있고, 총독은 여왕을 대신하여 행정권을 행사하기로 합의되었다. 2월 18일, 켄트 공작 에드워드 왕자는 감비아를 대표하는 자와라 총리와 함께 공식적으로 독립을 승인했다. 그것은 "웨스트민스터 수출 모델의 세련된 버전"으로 묘사된 헌법과 함께 영연방의 21번째 독립 회원국이 되었다.Darboe, p. 132 1964년 7월 영국과 감비아 정부 간의 합의에 따라 감비아는 1965년 2월 18일 영연방 내의 입헌군주국으로 독립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정부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감비아의 여왕을 대통령으로 선출할 것을 제안했다. 국민투표는 헌법 개정에 필요한 3분의 2의 다수를 얻는 데 실패했지만, 그 결과는 감비아가 비밀 투표, 정직한 선거, 그리고 시민의 권리와 자유를 준수하고 있다는 증거로 해외에서 널리 주목을 받았다. = = = 자와라 시대 = = = 1970년 4월 24일 감비아는 두 번째 국민 투표에 따라 연방 내의 공화국이 되었고, 총리 다우다 자와라가 국가원수로 임명된다. 자와라 시대의 상대적 안정성은 1981년 쿠데타 시도에 의해 처음으로 산산조각이 났다. 쿠데타는 쿠코이 산양이 이끌었는데, 그는 두 차례에 걸쳐 의회 선거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수 백명의 사망자를 낸 1주간의 폭력사태 이후, 공격이 시작되었을 때 런던에서 자와라는 세네갈에 도움을 요청했다. 세네갈 군대는 반란군을 물리쳤다. 쿠데타 미수의 여파로, 세네갈과 감비아는 1982년 연방 조약에 서명했다. 세네감비아 연방은 두 국가의 군대를 통합하고 경제와 통화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감비아는 1989년에 연방에서 탈퇴했다. 1994년 7월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까지 감비아는 자와라 대통령이 이끌었으며, 자와라 대통령은 5번 재선되었다. = = = 자메 시대 = = = 1994년 7월 야히아 자메는 자와라 정부를 축출하는 쿠데타를 이끌었다. 1994년과 1996년 사이에 자메는 군사 임시 통치 위원회(AFRPRC)의 수장을 맡았고, 야당 정치 활동을 금지했다. AFPRC는 1996년 임시독립선거위원회(PIEC)를 설립하여 민주적 민간통치로의 회귀를 위한 과도기적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8월 제헌 국민투표 이후 대통령선거와 의회선거가 치러졌다. 잠메는 1996년 11월 6일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1997년 4월 17일, PIEC는 독립 선거 위원회(IEC)로 개편되었다. 자메는 2001년과 2006년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그는 2011년에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감비아가 중화민국과 외교 관계를 맺은 후 1995년에 감비아와 관계를 끊었다. 감비아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2013년 10월 2일 감비아 내무장관은 감비아가 "다시는 신식민지 조직의 일부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감비아가 즉시 영연방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4년 12월, 자메 대통령을 타도하기 위한 쿠데타가 시작되었다. = = = 배로 시대 = = = 2017년 4월 6일 총선에서 아다마 배로의 통합민주당이 37,47%를 득표하여 총 53석 중 31석을 차지하였다. 감비아는 2018년 2월 8일 연방에 재가입했다. 2021년 12월 4일 감비아의 대통령 아다마 배로가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야당 후보들은 불특정 비리로 인해 그 결과를 거부했다. = 푸켓 (영화) = 푸켓(Phuket)은 2009년에 개봉한 태국의 단편 영화이다. = = 정보 = = *제목: 푸켓 *개봉: 2009년 부산국제영화제 *감독: 아딧야 아사랏 = = 출연 = = 배우: 임수정, 소라풍 찻리 = = 비고 = = 푸켓은 한국 배우 임수정과 태국 영화계의 다크호스 아딧야 아사랏(Aditya Assarat) 감독, 태국 국민배우 소라풍 찻리(sorapong chatree)가 호흡을 맞춘 작품이다. 한국 배우 진과 태국 호텔 리무진 기사 퐁의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임수정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한국 배우 진 역할을 맡았다. 임수정은 태국 영화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태국 대사관으로부터 감사패를 수여받았다. 그는 "2주 정도로 짧은 촬영이었지만 즐겁고 행복한 작업이었다"며 "기억에 오래 남는 특별한 영화가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 영화는 비상업 영화이지만, 임수정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9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개봉하였다. = 멜로폰 = 멜로폰(Mellophone)은 키 F나 E4K에 달린 세개의 금이 있는 황동 악기이다. 그것은 유포니움과 플루겔호른처럼 원뿔형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멜로폰은 행진 밴드, 드럼, 나팔단 등에서 호른을 대신해 사용하는 중간음 금관 악기로 콘서트 밴드와 오케스트라에서 호른 부품을 연주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문화재 = = 분류:바르바리 전쟁 = = 하네다 투쟁 = 하네다 투쟁(羽田闘争)이란 1967년 10월 8일과 11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일본 도쿄도 오오타구에서 사토 에이사쿠 내각총리대신의 외국방문 저지를 도모한 신좌파와 기동대가 동경국제공항(이하 하네다공항)에서 충돌했던 사건이다. 하이바(게바헬)에 각목(게발트봉)이라는 신좌파 특유의 패션이 이 투쟁에서 확립되었다. = 분류:피폭자 = = 분류:강간죄 기결수 = = 분류:대만의 버스 교통 = = 에른스트 텔만 = 에른스트 요하네스 프리츠 텔만(, 1886년 4월 16일 ~ 1944년 8월 18일)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공산주의 혁명가, 독일 공산당의 지도자이다. 1932년 대통령 선거에서 힌덴부르크, 히틀러에 이어 10%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하였으나 1933년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한 후 비밀경찰 게슈타포에 의해 체포되어 11년간 독방에 감금되었고, 1944년에 히틀러의 지령으로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 1936년, 스페인 내전 당시의 국제 여단에는 그의 이름을 딴 텔만 대대가 있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1차 득표율 1차 득표수 2차 득표율 2차 득표수 결과 당락 1925년 선거 독일의 대통령 2대 독일 공산당 6.4% 1,931,151표     3위 낙선 1932년 선거 독일의 대통령 2대 독일 공산당 13.2% 4,938,341표 10.2% 3,706,759표 3위 낙선 = 분류:451년 출생 = = 갑옷땃쥐 = 갑옷땃쥐(Scutisorex somereni)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아프리카의 콩고 분지의 토착종이다. = 분류:모로코 축구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분류:체코의 바이올린 연주자 = = 합천가야초등학교 = 합천가야초등학교(陜川伽倻初等學校)는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2019년 3월 1일 : 가산초등학교, 해인초등학교, 숭산초등학교가 통합하여 개교 = 주통 (전한) = 주통(朱通, ? ~ 기원전 163년) 또는 주진(朱進)은 전한 초기의 관료이다. = = 행적 = = 집모(執矛)가 되어 고조를 따랐고, 중위가 되어 조구를 물리쳤다. 고후 4년(기원전 184년), 여나라 승상에 임명되고 중읍후(中邑侯)에 봉해져 식읍 6백 호를 받았다. 문제 후원년(기원전 163년)에 죽으니 시호를 정(貞)이라 하였고, 작위는 아들 주도가 이었다. = = 출전 = = 사마천, 《사기》 권19 혜경간후자연표 반고, 《한서》 권16 고혜고후문공신표 = 청라 = 청라는 다음을 의미한다. 청라동 청라면 청라 나들목 청라국제도시 푸른색의 가볍고 얇은 비단 = 포털:음식/분류 = 음식 분류에서 관련된 하위 분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음식 = 분류:프랑스의 과학 박물관 = = 실피움 = 실피움 또는 실피온(σίλφιον)은 고전 시대 지중해 사람들이 사용했던 식물로, 그 정체가 오늘날에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당시 사람들은 이를 식용·향수·최음제·약용으로 썼고, 고대 그리스·로마인들은 피임약으로도 썼다. 북아프리카 키레네의 특산물이었으며, 주화마다 식물의 모습이 새겨져 있을 정도로 그 도시에서 중요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실피움의 진이 ‘같은 무게의 데나리우스 은화와 같은 값’이라는 시가 남아 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로마 시대에 이미 키레네에서 실피움은 사라졌으며 마지막 남은 실피움은 네로 황제에게 바쳐졌다고 한다.Pliny, XIX, Ch.15 실피움이 구체적으로 어떤 식물이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보통 회향에 가까운 식물로 추측된다. 실피움이 멸종한 이유에 대해서도 과도한 채취와 가축 방목, 북아프리카의 사막화, 무분별한 경작에 따른 자생능력 상실 등 여러 가설이 있다. = 레트로 (동음이의) = 레트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레트로(retro): 복고풍 레트로 게임즈: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사 레트로 게임: 오래된 게임 및 옛날 게임 레트로 스튜디오(Retro Studios): 미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사 = 테오도시우스 법전 = 테오도시우스 법전(Codex Theodosianus)은 로마 제국의 법전으로 31년 이후로 황제들의 칙령과 기록을 담은 것이며 테오도시우스 2세 때인 429년에 직속 위원회가 설치돼 작업에 착수하게 됐다.LacusCurtius • Roman Law — Theodosian Code (Smith's Dictionary, 1875) 편집 과정은 동로마 제국에서는 438년 완성됐으며Boudewijn Sirks, The Theodosian Code, a Study (Editions du Quatorze Septembre, 2007) 1년 뒤 서로마제국에서 반포됐다. 429년 3월 26일 테오도시우스 2세가 콘스탄티노플에서 모든 법령 및 칙령을 성문화하고 기록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이에 22명의 학자들이 2개의 팀으로 나뉘어 429-438년까지 법전 제작에 착수했다.Lenski, pg. 337-340 313년부터 437년간의 법령을 모두 모은 것으로 2,500여 개 이상의 법령이 담겨 있으며 총 16권에 달한다.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12표법 이후 로마 제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착수한 것으로는 처음이었다.Matthews, pg. 17 정치, 과학, 문화, 종교 주제를 다뤄 4-5세기 로마 제국의 모습을 한눈에 알 수 있다.Matthews, pg. 10-18 = = 내용 = = 라틴어로 쓰여 있으며 콘스탄티노플과 로마 전체의 관련 용어와 문화가 담겨있다.Tituli Ex Corpore Codici Theodosiani 기독교와 다른 교도에 관련한 세금 징수에 대한 것도 적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법전 작업 시에도 여러 논쟁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교도에 관한 것으로는 65개의 조항이 있다.Mango, Cyril ; Oxford History of Byzantium (Oxford: 2002) pp 105 그는 법적인 근거를 둠으로써 고대 로마 학자들에게 충분한 근거와 사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는 후에 발견된 유스티니아누스의 법전과도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테오도시우스 법전이 그 분량이 나무 컸기 때문에 법령과 서체에 대해서도 상당한 공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그는 법 자체에만 온 힘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고 이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꼽히게 됐다. 그러나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당대에 존재하던 율법 문구나 수집된 것이 아니라 함께 언급된 적이 없었던 문구를 한데 모아 주요한 출처로서 역할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높다.John F. Matthews, Pg. 12John F. Matthews, pg. 10-12 법전에는 황제 스스로의 선언과 법령 외에도 도덕적, 원칙적 소신에 대한 서술도 포함돼 있다.Lenski, pg. 331 난해한 표혐을 없애고 명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간단한 표현법이 돋보이며 기독교를 유일 종교로 삼고자 했다. 1-5권은 현존하는 내용을 보면 크게 두 종류의 원고로 구분된다. 처으 것은 투린으로 "T"라고도 부르는데 43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내용상 연결이 즉각적인 것이 아니라 끊겨 나타난다.Matthews,pp. 87 두 번째 내용으로는 성무일도서( Breviarium)에 대한 내용이 있으며 1권에 원본 문구가 포함돼 있어 원래 법전의 내용을 알 수 있다.Matthews, pp. 87 다음 부분인 6-16권 또한 두 부분으로 나눈다. 6-8권은 "Parsinus 9643"로 부르며Matthews,pp. 86 중세 프랑스 도서관에서 널리 보급됐으며 9-16권 또한 도서관 시설에서 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9-16권의 경우에는 바티칸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9-16권을 학자들은 "V"로 규정하는데 내용 상으로는 완전히 변질된 것으로 보고 있다.Matthews,pp. 86 = 신한첩 = 신한첩(宸翰帖)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신한첩 - 신한첩 건(보물 제1629-1호) : 충청북도 청주시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신한첩 - 신한첩 곤(보물 제1629-2호) :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소장 =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은 다음을 의미한다.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2019년 ~ 현재)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2017년 ~ 2019년)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2015년 ~ 2017년)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2010년 ~ 2015년) 북아일랜드의 선거구별 의원 목록 (2005년 ~ 2010년) = 분류:에오세 북아메리카의 생물 = 에오세의 북아메리카 생물 분류 생물 북아메리카 *2 = 조예찬 = 조예찬(1992년 10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재 K3리그의 울산 시민축구단 소속이다. = = 축구인 생활 = = = = = 선수 생활 = = = 용인대학교에 진학하며 용인대의 2015시즌 U리그 우승에 기여한뒤, 2016년 대전에 자유선발로 입단하였다. 4월 24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경기서 프로 데뷔이후 데뷔전을 가졌으며, 중원에서 활약하며 대전의 2016시즌 리그 첫승에 기여했고, 2016년 K리그 챌린지 6라운드 베스트일레븐에 선정되었다.조예찬 챌린지 6라운드 베스트 11 선정 5월 1일 고양 자이크로 FC와의 경기에서 활약하며 경기 MOM에 선정되었다. 5월 14일 경남 FC와의 홈경기서 프로데뷔 이후 데뷔골을 성공시켰다.조예찬 골, 경남에 3대1 승리 하지만 2017시즌을 앞두고 이영익 감독이 새로 부임하면서 주전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고, 결국 시즌 중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으로 임대 이적하였다. 2019시즌을 앞두고 K3리그 베이직에 새로 창단하는 울산 시민축구단으로 이적했다. = = 수상 = = = = = 클럽 = = = = = =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 = = = 내셔널리그 우승 1회 : 2017 = 분류:뉴올리언스의 지구 = = 우리황실사랑회 = 우리황실사랑회 (우리皇室사랑會)는 단체에서 공표한 공식 연혁에 따르면 2001년 7월 4일에 인터넷 사이트 사이버 조선왕조 내의 소모임으로 처음 개설되었고, 8월 19일에 다음 포탈의 카페가 개설되어 2009년 현재까지 활동 중인 대한제국 황실 복원을 위한 정부기관 미등록 민간 단체이다. = = 설립과정과 발전과정 = = 설립자는 이승욱이며 2001년 사이버 조선왕조의 게시판을 할당받아 '대한제국황실복원추진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다음 사이트에 카페를 개설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대한제국 황실이 근정전에 우뚝 서는 그날까지'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대한제국황실복원추진위원회"(약칭 황추위)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제1기 위원장은 이승욱이며, 2001년 10월 1일 제1기 운영진이 정식 출범한 이후의 황추위는 대한제국시대 역사 재조명 작업과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황실의 명예회복, 우리나라의 역사 정통성을 세우기 위하여 대한 황실의 상징적 복원을 위한 홍보작업 등을 꾸준하게 진행하여 왔다. 2004년 10월에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의친왕의 9남 이충길(황실명:이갑)을 단체의 고문으로 모시고 귀국대책위원회를 발족하였으며, 2005년 1월 14일에 단체명을 "우리황실사랑회"(약칭 황사회)로 개칭하였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황실에 대한 민간 여론을 이끄는 대표 단체가 되었다. 이후 매년 종묘대제 때 대한황실에 대한 홍보작업을 하고 있으며, 고양시 환경연합과 함께 서삼릉 지키기 운동, 고종황제의 고명딸 덕혜옹주의 기제사 시행 사업 등을 전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의 성묘 형태 정도로 축소되었던 의친왕의 기제사를, 친왕의 격에 맞게 형식을 갖춘 기제향으로 올리는 사업을 전개함으로 그 성과를 이루어낸 바 있다. 그 후 2006년 1월 수석부위원장이던 전종현(회사원)을 제2기 위원장으로 선출한 후, 가짜 황손 척결, 문화재 보호 운동, 해방 이후 황실 역사 왜곡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등의 사업을 벌였고, 2009년, 2013년에는 3기 박태식 위원장을 선출하여 새 운영진을 구성하였다. 2021년 7월 현재 카페에 약 1,100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정 문중모임이 아니라, 성씨와 본관이 서로 다른 일반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대한황실의 재조명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인 것이 특징이다. = 분류:스코틀랜드의 교육 = = 최고의 연애 = 최고의 연애는 대한민국의 락 아티스트 전기뱀장어 (밴드)의 정규 1집 음반이다. 2012년 10월 12일 온라인, 10월 18일 오프라인으로 발매되었으며, 자우림의 멤버, 기타리스트 이선규와 베이시스트 김진만이 각각 프로듀싱/믹싱을 맡아 앨범의 완성도를 더했다. "2012년 11월 1주 네이버 '이주의 발견 - 국내' 앨범"에 선정되었다.2012년 11월 1주 네이버 '이주의 발견 - 국내' 앨범 13번 트랙 <수중분만>은 음반을 통해서만 만나볼 수 있는 온라인 미공개곡이다. = 추기 = 추기는 다음을 가리킨다. 추기(秋期)는 가을 기간을 가리킨다. 추기(秋氣)는 가을의 징조를 가리킨다. 추기(追記)는 본문에 덧붙여 기입하는 글을 가리킨다. 추기(鄒忌)는 중국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재상이다. = 틀: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 냉라멘 = 냉라멘은 차게 먹는 라멘을 의미한다. 히야시추카 히야시라멘 = 모든 비밀스러운 것들 = 모든 비밀스러운 것들은 2014년 공개된 미국의 범죄 영화이다. 로라 리프먼의 2004년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 출연 = = = = = 주연 = = = 다코타 패닝 엘리자베스 뱅크스 다이안 레인 다니엘 맥도날드 = = = 조연 = = = 콜린 도넬 빌 세이지 네이트 파커 클레어 폴리 잭 고어 톤예 파타노 줄리토 맥컬럼 릴리 필브래드 제이슨 펜더그라프트 = = 기타 = = 원작자: 로라 립먼 세트: 수잔 펄맨 의상: 엠마 포터 = 블러디 로어 3 = 블러디 로어 3(Bloody Roar 3)는 2000년 12월에 일본 허드슨 소프트에서 대전 격투 아케이드 게임을 개발하였다. 블러디 로어 시리즈 중에서 플레이스테이션 2 첫작으로 출시하였다. '블러디 로어 3'에서 처음으로 시온 (키메라) 캐릭터 출시되었다. = = 등장 인물 = = = = = 캐릭터 = = = 유고(Yugo) - 늑대 엘리스(Alice) - 토끼 롱(Long) - 호랑이 마블(Marvel) - 표범 시온(Hion) - 키메라 부스지마(Busuzima) - 카멜레온 제니(Jenny) - 박쥐 바쿠류(Bakuryu) - 두더지 우리코(Uriko) - 고양이 가도(Gado) - 사자 스턴(Stun) - 파리(곤충) 셴롱(Shenlong) - 흑호 = 체코슬로바키아어 = 체코슬로바키아어(Czech-Slovak, Czecho-Slovak)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방언연속체로, 크게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나뉜다. 대부분의 방언은 서로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지역에 따라 점진적인 변화를 보이나,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표준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다른 언어로 볼 수 있는 정도이다. 한편 방언연속체는 슬로바키아 동부 방언에 가서는 폴란드어와도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모라비아 방언을 별개의 언어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중세에 체코 지역의 보헤미아는 신성로마제국의 일부로 있었고 슬로바키아 지역은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보헤미아 지역은 근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 방언이 표준어로 통합되는 과정을 겪었으나 모라비아는 비교적 방언이 다양하게 남았다. 과거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절충한 표준 체코슬로바키아어를 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실제로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에서 공용어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성공적으로 보급되지 않았다. = 헌법 전문 = 헌법 전문 또는 헌법 서문은 헌법의 본문 앞에 위치한 문장으로서 헌법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헌법 서문을 말한다. 각국의 헌법 전문의 내용을 보면 그 형식과 내용은 다양하나, 대체로 헌법제정의 역사적 의미와 그 제정 과정, 헌법 제정의 목적, 헌법 제정권자, 헌법의 지도이념 내지 지도원리 등을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 일본국 헌법 전문 미국 헌법 서문 = = 법적 효력 = = 헌법 전문의 법적 효력은 다음과 같다. ( 헌법 전문은 헌법의 공포문이 아니라 헌법전의 일부를 구성한다. ( 헌법 전문은 대한민국의 법질서에 있어서 최고규범이다. 헌법 전문은 실질적으로는 헌법본문을 비롯한 모든 법령의 내용을 한정하고 그것이 타당성을 갖는 근거가 되며, 형식적으로는 헌법 본문을 비롯한 모든 법령에 상위하는 효력을 가진다. ( 헌법 전문은 법해석의 기준이다. 헌법 전문은 헌법 본문을 비롯한 모든 법령의 궁극적 해석기준이 된다. ( 헌법 전문은 재판규범이다. 헌법 전문은 헌법 본문을 비롯한 현행법의 해석기준이 되므로 재판과정에서 원용될 수 있는 재판규범이기도 하다. ( 헌법 전문은 헌법 개정에 있어서 개정금지 대상이 된다.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은 대한민국 여수시 교동의 여수구항에 위치하고 있는 여객선 터미널이다. = =시간표 및 운임 = = 여수연안여객선의 시간표와 운임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풍랑주의보 풍랑경보 태풍주의보 태풍경보 발효시 운행중지되기 때문에 기상이 나쁠 경우 탑승전에 전화확인을 할 필요가 있다. = 디지털 인디아 =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는 향상된 온라인 인프라와 인터넷 접근성 증가를 통해 전자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인도 정부의 캠페인이다. 디지털 인디아의 목표는 시골 지역을 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계획들을 포함한다. 보장되고 안전한 디지털 인프라 개발, 디지털화된 방법으로 정부 서비스 제공, 보편적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이라는 3가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디지털 인디아는 2015년 7월 1일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에 의해 시작했다. = 틀:국가대표팀/링크/밑그림 = = 분류:1977년 발굴 = = 분류:캔자스주 = = 초안:브리스틀 (버지니아주) = 브리스톨은 버지니아 연방의 독립 도시이다.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는 17,219명이다. 테네시주 브리스톨이라는 쌍둥이 도시로 메인 스트리트인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한가운데를 따라 흐르는 주 경계선 바로 건너편에 있다. 그것은 통계 목적을 위해 도시와 결합되는 버지니아 주 워싱턴 카운티로 3면이 둘러싸여 있다. = 랠프 애버내시 =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 1926년 3월 11일 ~ 1990년 4월 17일)는 미국의 아프리카계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이다. 랠프와 그의 부인 주아니타는 또다른 젊은 침례교 목사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코레타 스콧 킹 부부와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이 두 부부들은 만찬을 함께 하고, 아이디어들을 논의하고, 영감과 우정을 나누면서 많은 저녁 시간들을 나누었다. 최후적으로 계획들은 이 두 사람에 의하여 시작된 비폭력 공민권 운동을 위하여 제출되어 킹 목사에 의하여 지도되었다. 애버내시와 킹은 친구, 파트너와 동료들의 최고였다. 그들은 로자 파크스의 체포에 이어 가장 유명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그리고 남부에서 짐 크로우 법과 미국을 통하여 인종 차별에 대항하는 많은 행렬과 항의들을 시작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평화로운 항의들로 이어진 체포들에 이어 많은 감옥 살이를 나누었다. 애버내시는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암살범의 총탄에 의하여 킹의 일생이 짧아질 때 그의 뒤로 몇 보폭 만에 있었다. 킹의 사망에 이어 애버내시는 둘이 함께 창립한 남부기독교지도회의를 지도하러 갔다. = = 초기 생애 = = 앨라배마주 린던에서 태어난 애버내시는 가장 존경스러운 집안에서 윌리엄과 루이버리 애버내시의 10번째 자식이었다. 그의 세례명은 데이비드였다. 부모는 그가 같은 신앙과 성경의 다윗의 용기를 구체화하기를 희망하였다. 그의 강연에 원조한 조산원인 그의 외조모는 그가 가진 특별한 가능성을 느꼈다. 앨라배마주 린던에서 주민들의 대부분은 농부들로서 자신들의 생활을 만들었다. 애버내시 가족은 예외가 없었다. 부친은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열심히 일을 통하여 얻은 번영이었다는 것을 향상시키는 데 방향을 믿은 엄격하고 근면한 남자였다. 이 믿음의 실습을 통하여 그는 그 지역에서 가장 큰 농장들 중의 하나인 500 에이커를 소유했을 때까지 서서히 대지에 투자하였다. 윌리엄 애버내시의 열성적인 일과 절약의 이유로 가족은 린던에서 대부분의 백인 가족들보다 더 낳게 떨어졌다. 추가로 윌리엄은 호프웰 침례 교회의 집사로서 공동체에서 흑인 고등학교를 위한 학교부에 근무하고, 군에서 대배심을 지내는 데 첫 흑인이었다. 자신의 부친이 엄격했던 것만큼 모친은 친절하고 사랑적이었다. 그녀는 하나님과 자신의 가족에게 조용하고, 온화하고 헌신적이었다. 모친다운 사랑의 그녀의 예를 통하여 루이버리는 그녀의 어린이들에게 사랑과 책임에 관하여 가르쳤다. 대공황이 일어날 때 애버내시 가족은 농장이 식량의 전부 하사품을 생산한 이유로 그 영향들로부터 크게 고립되었다. 면화 같은 환금 작물들은 다른 필요한 자들을 만나는 데 팔리거나 교역될 수 있었다. 애버내시 가족은 편안하였으나 매우 절약적이었다. 데이비드가 학교를 시작할 때 그는 그의 형 윌리엄의 이용된 책들이 주어졌다. 애버내시는 자신의 매우 소유적인 새로운 책들을 위하여 애타게 바랬다. 그의 모친은 이것에 대하여 그의 격통을 보고, 데이비드를 대표하여 자신의 남편에게 중재하였다. 새로운 책들이 어린 학생들을 위하여 매입되었다. 그는 그것이 모친의 사랑이자 이 일이 일어나게 만든 자신의 필요성의 이해를 알았다. 그의 가족은 매우 신앙적이었고, 정규적으로 예배와 주일 학교에 참석하였다. 애버내시는 성경 이야기와 예수 그리스도의 일생의 상식을 열중시켰다. 어린 나이에 그는 목사가 되는 꿈을 꾸기 시작하였다. 그가 7세 밖에 안되었을 때 그는 하나님과 개인적 경험을 위하여 애타게 바랬다. 모친은 그에게 그가 하나님의 목소리를 듣고, 하나님이 자신의 영혼을 잡은 것을 가지는 데 단식하고, 기도하는 하루를 지내는 것을 가르쳤다. 한날에 애버내시는 아침식사를 넘기고, 외부에서 기도하는 데 하루를 보냈다. 오후 중반에 어린 애버내시는 자신이 기다렸던 것을 경험하였다. 자신의 저서에 그는 "나는 갑작스런 평화가 나의 영혼을 범람시켰던 것만을 알고, 즉시의 순간에서 나는 다른 인간이었다."고 말하였다. 한번 하나님에 의하여 감동시켜진 그는 비스킷의 식사를 위하여 부엌으로 향하였다. 농장 생활은 전체의 가족을 위하여 열성적인 일을 의미하였다. 가족의 나머지가 밭들을 손질하는 동안 애버내시는 집안에서 모친을 도우는 데 할당되었다. 그는 목재를 태우는 스토브에서 불을 피우는 데 일찍이 일어나 젖을 짜고, 달걀을 모으고, 가축들에게 먹이를 주고, 모친을 위하여 심부름을 하였으며 식사와 함께 도왔다. 그는 또한 자신의 동생들 - 수지와 제임스 얼을 돌보기도 하였다. 자유 시간에 그는 책을 읽거나 밭에서 자신의 누이와 향제들과 공놀이를 하였다. 이 일은 함께 식사 시간들을 즐긴 큰 행복한 가족이었다. 데이비드가 12세 때 그의 누이가 자신이 존경한 스승을 따서 그에게 랠프 데이비드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이름은 보유되고, 세상의 나머지가 그를 랠프 데이비드로 알게 되었다. 직접의 가족에 추가로 많은 친척들이 가까이 살았다. 랠프는 자신의 노예 세월들에 관하여 이야기를 해준 친조부 조지 애버내시에 가까웠으며, 쓰라림에 머무리기 보다 기쁨의 추억들에 전념하였다. 랠프는 인종 차별과 함께 적은 경험과 성장하면서 백인들과 적은 접촉을 가졌으나 그의 부친은 백인 어린이들과 노는 것은 곤란으로 이끌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그는 한번 미운 백인 남자와 위험한 마주침을 경험하였으나 자신의 부친을 알던 가게 주인에 의하여 구해졌고, 자신을 대표하여 말하였다. 랠프의 10대 시절에 부친이 치명타를 입었다. 그의 조부는 자신의 슬픔을 전혀 극복할 수 없어 몇년 후에 지나갔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랠프의 3명의 형은 군복무하러 집을 떠났다. = = 성인기 = = 1944년 4월 랠프는 자신의 육군 신체 검사를 위하여 조지아주 포트베닝에 보고하러 명령들을 받았다. 그는 간신히 18세였다. 그는 현역 근무로 불러들여 기초 훈련을 위하여 다른 신병들과 함께 매사추세츠주 포트디븐스로 보내졌다. 애버내시는 최선을 다하는 데 봉납되었다. 그는 중사로 진급되었고, 곧 후에 자신의 소대와 함께 프랑스로 떠나는 군함에 탔다. 그들이 도착했던 무렵에 유럽에서 전쟁이 끝나갔어도 그들은 소탕 복무를 위하여 대륙을 돌아다녔다. 랠프는 전쟁이 도시들에 데려와지고, 양쪽에서 국민들에 고통을 입힌 황폐가 넘겨진 것을 처음으로 보았다. 비가 내리는 한밤에 애버내시 상사는 깊은 구멍을 파는 데 명령이 내려진 자신의 2명의 군인들의 처벌을 감독하였다. 자신의 부대의 나머지가 남태평양으로 보내질 때 그는 그들에게 가입하는 데 충분히 좋치 않아 모국으로 보내졌다. 수많은 세월 후에 그는 자신의 부대에서 자신과 다른 1명의 군인이 전쟁을 생존하는 데 단 둘이었다는 것을 배웠다. 전쟁 동안 육군 복무 후에 애버내시는 몽고메리에 있는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0년 수학에서 학위와 함께 졸업하였다. 자신의 대학 과업으로 들어가는 데 멀지 않아 애버내시의 모친의 건강이 류머티즘의 관절염에 이유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947년 애버내시는 마지막으로 그녀를 보는 데 추수감사절을 위하여 고향에 왔다. 모친은 이틀 후에 사망하였다. 애버내시는 자신의 청춘의 정다운 추억과 모친을 잃은 슬픔에 의하여 정복되었다. 그가 최연소 자식 중의 하나였어도 그의 형제, 자매들은 가족의 우두머리로서 그에게 눈을 돌렸다. 그가 학생 정부와 카파 알파 사이 친목회의 회원이었던 동안 정치 운동에서 그의 연루가 시작되었다. 그는 자신의 기숙사에서 열과 뜨거운 물의 부족과 카페테리아에서 내어진 지독한 음식에 항의하는 데모들을 지도하였다. 추가로 한 시정학 교수는 투표가 흑인들을 위하여 가질 권력을 설명하였다. 애버내시는 자신이 몽고메리의 법원에 가고, 투표하는 데 등록하는 데 학생들의 단체에 확신시킨 아이디어에 의하여 영감을 받으면서 자라왔다. 그의 동료들은 장기적 난문 시험 용지에 공란을 체우는 데 실패하여 거부되었다. 그러나 애버내시는 용지에 모든 공란에 체워 투표 등록 카드와 함께 보답되었다. 애버내시는 더욱 더 하나님과 자신의 교회에 바치게 되었다. 1948년 어머니날에 그는 호프웰 침례 교회에 서서 예수 그리스도의 목사직에 자신의 부름을 공고하였다. 대학 시절에 랠프는 빠른 이해력과 강한 성격을 가진 여성 주아니타 오데사 존스를 만나 시간을 보내기 시작하여 그는 위대한 대접을 숭배하였다. 그녀는 결국적으로 그의 부인이 되었다. 1951년 그는 애틀랜타 대학교로부터 사회학에서 문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애틀랜타에서 보낸 세월 동안 애버내시는 그 지역에서 많은 교회들에 내빈 목사가 되는 데 기회가 주어졌다. 한 일요일에 그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로 불린 또한 학생이자 또다른 내빈 설교자를 듣는 데 에비니저 침례 교회에서 예배에 참석하였다. 그는 킹이 뛰어난 남자였다는 것을 즉시 알았다. = = 경력 = = 졸업에 이어 애버내시는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서 학생 부장으로서 직업을 차지하였다. 그는 또한 자신의 고향 근처에 있는 데모폴리스에서 이스턴 스타 침례 교회의 비상근 목사직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그가 26세 밖에 안 되었던 겨우 1년 후에 100년이 된 몽고메리의 퍼스트 침례 교회의 교인들이 그에게 자신들의 목사가 되는 데 의문하였다. 그는 역할을 받아들였다. 한번 퍼스트 침례 교회에서 공동체에 들어간 애버내시는 부인과 함께 자신의 저택과 인생을 나누는 데 준비되었다. 몇년의 세월에 그들은 부모가 되었다. 첫 자식 랠프 2세가 유아로서 사망하였다. 3명 더의 자식들 - 주안댈린, 돈잘레이와 랠프 3세는 가족에게 즐거움과 편함을 가져왔다. = =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 = 1955년 로자 파크스가 버스의 뒷자석으로 옮기는 것을 거부할 때 애버내시와 킹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결성하였다. 한해 후에 미국 대법원이 지방법원의 버스들에 인종적으로 분리된 것이 비헌법적이었다는 것을 단언할 때 보이콧은 결국 끝났다. 보이콧이 끝난 곧 후에 애버내시와 킹은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 목사들을 만나 남부에서 인생의 범위 전부에서 흑인들을 위한 공민권의 성취를 위한 평화로운 행렬과 항의들을 결성하는 데 남부기독교지도회의를 형성하였다. 킹은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애버내시는 비서관이 되었다. 기구의 주요 목적은 인종적 분리에 종말을 가져오고, 공민권 입법의 창조에 관한 것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1957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애틀랜타에 있는 에비니저 침례 교회에 불러졌다. 그는 자신의 좋은 친구 애버내시가 애틀랜타에서 그에게 가입하기를 원하였으나 애버내시 가족이 몽고메리에 뿌리들이 놓이면서 어떤 감언 이설이 걸렸다. 결국적으로 애버내시 목사가 가족이 이동한 웨스트 헌터 스트리트 침례 교회에 부름을 받으면서 킹 목사는 자신의 길을 가졌다. 이것은 애버내시가 자신의 목회 경력의 나머지를 위하여 목사로 지낸 교회가 되었다. = = = 버밍햄 시위 운동들 = = = 1963년의 봄 킹과 애버내시와 남부기독교지도회의는 버밍햄에 인종 차별 대우를 폐지하는 데 대량의 노력을 결집하였다. 국내적 대중매체는 버밍햄의 공동 전 기획부장 유진 코너에 의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항의자들의 거친 대우에 주의를 전념하였다. 킹과 애버내시는 체포되었고, 도시에서 인종 차별의 상태들에 항의한 3,000명의 다른이들과 더불어 투옥되었다. 이 시위들은 남부의 250개 도시들이 인종 차별 대우를 폐지하는 노력들을 시작한 이런 단계에 논쟁으로 주의를 끌어들여 처음으로 전부의 인종들에게 수천개의 학교와 다른 공공과 사립 시설을 열었다. = = = 워싱턴 행진 = = = 이 노력의 성공은 또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미국 의회에게 공민권 법안을 보내는 데 용기를 돋우는 도움을 주었다. 인권 운동가들은 1963년 8월 28일에 열린 워싱턴 D. C.에서 대량의 행진을 결성하면서 이 법안의 성원을 논증하였다. 25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행진에 가입하였다. 이 일은 킹 목사가 "〈I have a dream〉"이라는 유명한 연설을 한 순간이었다. 애버내시는 성령이 그날 킹의 담화를 안내하였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진 여름에 공민권 법령이 통과되었으며, 1965년 셀마 몽고메리 행진에 이어 투표권이 통과되었다. = = = 비극적인 파업들 = = = 공민권 운동의 대단한 시작 이래 애버내시 목사와 킹 목사는 나란히 서오면서 더 위대한 공동체와 함께 파트너로서 함께 계획을 세우고 자신들의 계획들을 이행해왔다. 1968년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흑인 청소부들에 의한 파업이 시작되면서 2명의 지도자들은 함께 가까이 있었다. 그들이 걸으면서 애버내시는 킹으로부터 몇 걸음 만에 있었다. 그 일은 4월 4일에 아무 다른 점이 없었다. 사실 그들은 멤피스의 로레인 모텔에서 307호 방을 나누고 있었다. 그들이 지방 목사의 저택에서 만찬을 위하여 가는 데 준비되면서 킹 목사는 방의 외부에 발코니로 나왔다. 그 순간 만에 애버내시는 갑작스런 날카로운 소리를 듣고, 자신의 장기적 친구이자 동료가 총에 맞은 것을 알아차렸다. 이 일은 모든 것이 바뀐 순간이었다. 앰뷸런스에 실린 킹과 함께 탄 애버내시는 그를 구하는 데 의사들이 일하면서 그와 함께 응급실에 머물었어도 잘 되지 않았다. 애버내시는 그가 숨을 거두면서 그의 팔을 잡았다. = = = 공민권 운동이 지속되며 = = = 킹의 사망 후에 애버내시는 남부기독교지도회의의 회장직을 취하였다. 암살 사건이 일어난 지 1주보다 적게 애버내시는 지속적으로 멤피스에서 파업을 벌인 청소부들을 성원하는 데 행진하였다. 그해 5월 그와 제시 잭슨을 포함한 다른이들은 워싱턴 D. C.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을 결성하였다. 국가의 가난하게 된 맹세로 주의를 가져오는 희망을 가진 그는 국가의 수도에 오두막들을 건설하여 경찰과 폭로를 몰아댔다. 청산은 "부활의 도시"로 이름이 지어졌다. 애버내시는 캠페인이 일어난 동안 호텔에서 잠을 잤다. 6월 19일 그는 링컨 기념관에서 수만명의 백인과 흑인 시민들 앞에서 연설을 하였다. 6월 24일 결국적으로 연방 정부는 항의자들을 해산하는 데 강요하였다. 애버내시는 불법 집회로 3주 가까이 투옥되었다.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 후에 애버내시는 지속적으로 남부기독교지도회의를 지도하였으나 기구는 킹 목사가 조종하고, 2명이 파트너들로서 활동할 때 추진력을 전혀 얻지 않았다. 애버내시는 1977년에 사임하고, 조지아주의 의석을 위하여 비성공적으로 나갔다. 1971년 애버내시는 유엔에서 세계 평화에 관한 연설을 하였다. 이 일은 애버내시 목사가 자신의 가족에게 바치는 데 더욱 시간을 가진 때였다. 1971년 4번째 자식 크와메가 태어났다. 랠프는 크와메에 애지중지하는 데 시간을 가져 그에게 아침식사를 만들고 그를 학교에 대다주었다. 그는 자신의 다른 3명의 자식들이 어릴 때 그들을 위하여 이런 것을 하는 데 시간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이제 그들의 재능들을 개발하고, 그들에게 후원과 격려를 제공하는 도움을 주는 데 시간을 가졌다. 1980년 애버내시는 호지어 윌리엄스와 찰스 에버스와 더불어 로널드 레이건을 보증하는 데 가장 두드러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애버내시는 후에 레이건 행정부의 공민권 정책들과 함께 매우 실망하였다고 말하고, 1984년 재선을 위하여 그를 보증하지 않았다. 1980년대에 애버내스는 로버트 그랜트와 함께 미국 자유 연합을 함께 창립하였다. 미국 자유 연합은 문선명의 통일교로부터 주요 기금과 워싱턴 타임스와 다른 통일교 계열 단체로부터 업무들을 받았다. 애버내시는 1990년 4월 17일 애틀랜타에서 사망할 때까지 미국 자유 연합의 부회장을 지냈다. 애버내시의 사망을 들은 앤드루 영은 애버내시가 "매우 필요하던 조용한 노동을 상연하였다. 애버내시는 다른이들의 업무에서 자신의 인생을 준 명랑하고, 깊고, 사랑하는 설교자였다."고 진술하였다. = = 유산 = = 애버내시는 많은 상들을 받았으며, 가장 두드러지게 뉴욕주 롱아일랜드 대학교, 애틀랜타 모어하우스 칼리지, 미시간주 캘러마주 칼리지와 자신의 모교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들이었다. 애틀랜타에서 주간 고속도로 20과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 로드는 그의 명예에 이름을 땄다. 법률에서 등등권이 실습에서 기회의 등등권을 보증하거나 많은이들의 마음에 아직도 존재하는 인종적 성향과 편견을 옮기지 않은 이래 그의 유산은 남부기독교지도회의와 공민권의 입법을 사실상의 현실로 번역하는 데 분투한 전부의 지속적인 업무에 의하여 대표되었다. = 틀:QFA = 공항 및 항공사 정보에 활용 QFA = 분류:나이아가라강 = = 분류:시가현의 시정촌 = = 분류:이라크의 경제 = = Mopsycho = Mopsycho(모싸이코)(, 2003년 9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 이청현 = 이청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린펀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149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1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6개 진, 4개 향을 관할한다. 진: 唐兴镇, 南梁镇, 里寨镇, 隆化镇, 桥上镇, 西闫镇 향: 中卫乡, 南唐乡, 王庄乡, 浇底乡 = 분류: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 = NBA G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NBA G League International Challenge)는 NBA G 리그의 올스타 선정이 돋보이는 국제 프로농구 대회다. 미국프로농구(NBA) 개발리그 소속 선수들이 클럽, 리그 올스타 선정, 세계 각국 대표팀과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 = 역대 NBA G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 = = 연도 개최지 경기장 우승팀 전적 준우승팀 3위팀 전적 4위팀 2018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88–67 멕시코 농구 국가대표팀 2019 몬테비데오 안텔 아레나 FC 바이에른 뮌헨 93–84 NBA G 리그 엘리트 팀 우루과이 엘리트 팀 89–81 CR 플라멩구 바스케치 = 다다미치 = 다다미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헤이안 시대 후기의 공경 구리바야시 다다미치: 일본의 육군 군인 사카이 다다미치 (1808년):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사카이 다다미치 (1856년):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혼다 다다미치: 혼다 가문 마사노부 파(政信系本多家) 제3대 당주 사카이 다다미치: 하리마 히메지 번의 제3대 번주 마치다 다다미치: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740년대 사망 = = 해피투게더(1기)의 에피소드 목록 (2003년) = 아래는 KBS의 탐사보도 프로그램인 해피투게더의 에피소드 목록 (1기)의 2003년 에피소드 목록을 나열한다. = = 에피소드 = = 회차 방영일 코너명 게스트 코너명 게스트 비고 61 1월 2일 학교 가는 길 : 반달 이혁재, 이유진, 김정훈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 대니, 황성환 62 1월 9일 학교 가는 길 : 그 집 앞 싸이, 이정현, 조미령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 애즈 원, 대니, 애니 63 1월 16일 학교 가는 길 : 겨울 나무 성시경, 장나라, 박효신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 애즈 원, 대니, 애니 2탄 64 1월 23일 학교 가는 길 : 산바람 강바람 강병규, 이수영, 아유미 쟁반극장 성시경, 빈 65 1월 30일 학교 가는 길 : 얼굴 김승수, 추소영, 정소영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 애니, 황성환 66 2월 6일 학교 가는 길 : 등대지기 이태란, 김호진, 추상미 쟁반극장 이혁재, 임유진 67 2월 13일 학교 가는 길 : 기다리는 마음 안재모, 김동완, 신혜성 쟁반극장 이기찬, 추소영 68 2월 27일 학교 가는 길 : 달 따러 가자 김영철, 김미화, 하춘화 쟁반극장 신정환, 조정린 69 3월 6일 학교 가는 길 : 섬집 아기 윤도현, 강산에, 남궁연 쟁반극장 신정환, 조정린 2탄 70 3월 13일 학교 가는 길 : 봄처녀 차승원, 성지루, 박지윤 쟁반극장 황보, 김흥수 71 3월 20일 학교 가는 길 : 방울꽃 이승연, 손태영, 황보 쟁반극장 강병규, 서민정 72 3월 27일 학교 가는 길 : 작은 별 이휘재, 이훈, 심은진 쟁반극장 서지원, 이수영 73 4월 3일 학교 가는 길 : 남촌 박준형, 정종철, 이정수 쟁반극장 김건모, 별 74 4월 10일 학교 가는 길 : 희망의 속삭임 + 성불사의 밤 김건모, 안재욱, 이성진 쟁반극장 최정원, 려원 75 4월 17일 학교 가는 길 : 바닷가에서 장나라, 박정철, 박명수 쟁반극장 이성진, 장나라 76 4월 24일 학교 가는 길 : 봄이 오면 사미자, 이혜숙, 정승호 쟁반극장 김상혁, 하리수 77 5월 1일 학교 가는 길 : 종이접기 윤종신, 이현우, 서민정 쟁반극장 탁재훈, 이유진 78 5월 8일 학교 가는 길 : 푸른 잔디 박선영, 이광기, 박예진 쟁반극장 오종혁, 신지 79 5월 15일 학교 가는 길 : 봄바람 서장훈, 탁재훈, 김제동 쟁반극장 오종혁, 신지 2탄 80 5월 22일 학교 가는 길 : 무지개 강타, 최정원, 세븐 쟁반극장 신정환, 심은진 81 5월 29일 학교 가는 길 : 그네 박미선, 조혜련, 송은이 쟁반극장 정태우, 사강 82 6월 5일 학교 가는 길 : 개구리 노총각 브이원, 이혁재, 이휘재 쟁반극장 정태우, 사강 2탄 83 6월 12일 학교 가는 길 : 산중호걸 차태현, 손예진, 신승환 쟁반극장 배기성, 박정아 84 6월 19일 학교 가는 길 : 서로서로 도와가며 이재용, 이원종, 원상연 쟁반극장 김제동, 유채영 85 6월 26일 학교 가는 길 : 뱃노래 김보성, 김민종, 조성모 쟁반극장 조성모, 김윤경 86 7월 3일 학교 가는 길 : 그리운 언덕 차태현, 이유진, 김동성 쟁반극장 김진, 간미연 87 7월 10일 학교 가는 길 : 클레멘타인 엄정화, 이범수, 김주혁 쟁반극장 세븐, 자두 88 7월 17일 학교 가는 길 : 어린이 행진곡 양택조, 윤문식, 서수남 쟁반극장 아유미, MC몽 89 7월 24일 학교 가는 길 2003년 상반기 Best3 학교 가는 길 2003년 상반기 Best3 학교 가는 길 2003년 상반기 Best3 학교 가는 길 2003년 상반기 Best3 90 7월 31일 학교 가는 길 : 독수리 오형제 박정아, 유진, 자두 쟁반극장 쟁반극장 Best 5 91 8월 7일 학교 가는 길 : 말괄량이 삐삐 쿨 쟁반극장 임창정, 한다감 92 8월 14일 학교 가는 길 : 고향 생각(이은상) 김진수, 정선희, 김제동 쟁반극장 이광기, 조정린 93 8월 21일 학교 가는 길 : 자장가 이성진, 김현정, 신지 쟁반극장 강병규, 유니 94 8월 28일 학교 가는 길 : 꽃동네 새동네 김승우, 김정은, 조정린 쟁반극장 김성수, 유리 95 9월 4일 학교 가는 길 : 가을 박상민, 김경호, 이세준 쟁반극장 김현정, 은지원 96 9월 11일 학교 가는 길 : 풍년가 이동건, 비, 빈(전혜빈) 쟁반극장 이범수, 신신애 97 9월 18일 학교 가는 길 : 노을 표인봉, 홍록기, 조은숙 쟁반극장 박명수, 윤은혜 98 9월 25일 학교 가는 길 : 깡깡충 체조 태진아, 은지원, 옥주현 쟁반극장 최정원, 정선희 99 10월 2일 학교 가는 길 : 봉숭아 윤도현, 이정현, 김C 쟁반극장 김경호, 황보 100 10월 9일 100회 특집 하이라이트 100회 특집 하이라이트 100회 특집 하이라이트 100회 특집 하이라이트 101 10월 16일 학교 가는 길 : 낮에 나온 반달 조영남, 양희은, 이성미 조영남, 양희은, 이성미 조영남, 양희은, 이성미 102 10월 23일 학교 가는 길 : 고래와 코끼리 박중훈, 정진영, 류승수 쟁반극장 이기찬, 옥주현 103 10월 30일 학교 가는 길 : 로렐라이 송대관, 주현미, 문희옥 쟁반극장 이기찬, 옥주현 2탄 104 11월 6일 학교 가는 길 : 새 색시 시집가네 신동엽, 이효리, 송은이 신동엽, 이효리, 송은이 신동엽, 이효리, 송은이 MC = 유재석, 김제동 105 11월 13일 학교 가는 길 : 마루치 아라치 강타, 신혜성, 이지훈 Quiz 속전속결 꿇어 yo 은지원, 애니 106 11월 20일 학교 가는 길 : 동물 농장 정준호, 김혜리, 김효진 Quiz 속전속결 꿇어 yo 앤디, 자두 107 11월 27일 학교 가는 길 : 들놀이 정선희, 비, 박예진 Quiz 속전속결 꿇어 yo 앤디, 자두 2탄 108 12월 4일 학교 가는 길 : 구름 김민종, 최성국, 진재영 Quiz 속전속결 꿇어 yo 김종민, 서민정 109 12월 11일 학교 가는 길 : 보리밭 홍록기, 김한석, 신정환 Quiz 속전속결 꿇어 yo 김종민, 서민정 2탄 110 12월 18일 학교 가는 길 : 아빠는 엄마를 좋아해 이승엽, 윤도현, 장나라 Quiz 속전속결 꿇어 yo 신지, 정철 111 12월 25일 학교 가는 길 : 징글벨(심형래) 강호동, 은지원, 이수영 Quiz 속전속결 꿇어 yo 김C, 조정린 = 분류:글래스고 주교 = = 오르페우스 (발레) = 오르페우스(Orpheus)는 1947년 캘리포니아 할리우드에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안무가 조지 발란신이 공동으로 만든 3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30분짜리 신고전주의 양식 발레다. 세트와 의상은 이사무 노구치가 제작했다. 3개의 장면과 12개의 댄스 에피소드로 나뉜다.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는 때때로 패러디로 확장된다. 그의 작품에서 가장 확장된 예 중 하나는 두 번째 tableau의 Air de Danse(Orphée)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곡에서는 하프, 팀파니, 현, 오보에 듀엣(cor anglais)의 감소된 힘을 위한 우아한 "Siciliana"가 있다. 막간 후 오보에 중 하나를 교체함)은 후기 바로크 협주곡을 연상시킨다. Stravinsky가 1934년의 Perséphone에서 Hades에서도 발생하는 장면에 대한 네오 바로크 양식의 패러디도 만들었다는 점은 흥미롭다. 초연은 1948년 4월 28일 뉴욕의 City Center of Music and Drama에서 열렸고, 직접적으로 City Center의 회장인 Morton Baum이 Balanchine과 Kirstein을 초대하여 상주 회사를 설립했다. 새로운 회사의 이름은 New York City Ballet (또는 Ballet Society)으로 변경되었으며 발란신은 그가 죽을 때까지 발레 마스터로 남아 있었다. = 카를로 갈림베르티 = 카를로 갈림베르티(, 1894년 8월 2일 ~ 1939년 8월 10일)는 이탈리아의 역도 선수로 1924년, 1928년과 1932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였다. = = 생애 = = 갈림베르티는 이탈리아 이민자의 아들로서 아르헨티나 로사리오에서 자랐고, 1차 세계 대전 이후 다시 이탈리아 밀라노로 돌아왔다. 그는 1924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들급 부문의 금메달을 획득하고, 1928년과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들급 부문의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 분류: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 분류:2021년 포르투갈 = = 틀:자치체 면적/오키나와현 = = 분류:휴스턴 대학교 = = 아와지정 = 아와지정(淡路町)은 효고현 쓰나군에 설치되었던 정이다. = 분류:한나라의 문화 = = 분류:미국 축구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최현욱 = 최현욱(본래 2002년 1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인성초등학교 (졸업) 수원북중학교 (졸업) 강릉고등학교 (전학) 수성고등학교 (전학)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연예과 (졸업) = = 출연 = = = = = 방송 = = = = = = = 드라마 = = = =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2019년 킼TV 리얼:타임:러브 시즌 1 문예찬 2019년 킼TV 리얼:타임:러브 시즌 2 문예찬 2020년 킼TV 리얼:타임:러브 시즌 3 문예찬 2020년 킼TV 리얼:타임:러브 시즌 4 문예찬 2020년 플레이리스트 만찢남녀 노예준 2021년 SBS 모범택시 박승태 2021년 SBS 라켓소년단 나우찬 2022년 tvN 스물다섯 스물하나 문지웅 2022년 WAVVE 약한 영웅 Class 1 안수호 2023년 넷플릭스 D.P. 시즌2 신아휘 2023년 tvN 반짝이는 워터멜론 하이찬 16부작 2023년 STUDIO X+U, LG U+ 하이쿠키 서호수 웹드라마 = = 뮤직비디오 = = 2023년 뉴진스 Ditto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21 S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라켓소년단, 모범택시 2022 제5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스물다섯 스물하나 2022 제8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남자 신인상 라켓소년단, 스물다섯 스물하나 2023 제2회 청룡 시리즈 어워즈 와이낫상 약한 영웅 Class 1 = 3 = 3(삼, 三, )은 자연수 2보다 크고 자연수 4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또한 수를 표기하기 위한 숫자이기도 하다. = = 수학 = = 3!= 6 3은 2번째 삼각수이다. 3은 2번째 소수이다. 앞의 소수는 2이고, 다음은 5이다. 바로 앞의 자연수도 소수인 유일한 소수이다. 연속하는 두 자연수 중 반드시 하나는 짝수이고, 나머지 하나는 홀수이므로 2를 포함해야 하는 경우여야 하며 (1, 2) 은 1이 소수가 아니므로 (2, 3)만 이를 만족한다. 3은 첫 번째 페르마 소수이다. (2^1 + 1 = 3) 두 번째 페르마 소수는 5이다. 3은 첫 번째 메르센 소수이다. (2^2 - 1 = 3) 두 번째 메르센 소수는 7이다. 3은 4번째 피보나치 수이다. 앞의 피보나치 수는 2이고, 다음은 5이다. 3은 이전 두 자연수의 합과 같은 유일한 자연수이다. 3은 이전 두 자연수의 팩토리얼의 합과 같은 자연수이다. 3의 제곱은 9이다. 3차원 공간 상의 세 점은 한 평면을 결정한다. 3을 포함하는 피타고라스 수 3^2 + 4^2 = 5^2 3의 배수는 거꾸로 써도 3의 배수이며, 각 자리수를 다 더해도 역시 3의 배수가 된다. 예: 18→81 (9), 144→441 (9), 123→321 (6) 각 자리의 숫자를 모두 더한 수가 3의 배수이면, 원래의 수도 3의 배수이다. 증명: 100a + 10b + c = 99a + a + 9b + b + c = 3(33a+3b)+(a+b+c) 3개의 직선이 만나면 삼각형을 이룬다. 삼각형은 꼭짓점이 3개이고 변도 3개인, 가장 적은 변을 가진 다각형이다. 3은 사진법에서 마지막 수이다. 3 다음에 4가 오는 것은 오진법부터 해당하고, 사진법에서는 0,1,2,3,10,11,12,13...하는 식으로 센다. 3개 이상의 숫자를 한꺼번에 : (콜론)을 써서 나타낸 비를 연비로 부른다. 3차마방진은 오직 1개만 존재한다.(회전,상하좌우대칭 제외) 3은 종교적으로 결혼수 또는 완전수라고도 한다. 그룹 파이브돌스의 3번째 미니앨범 '짝 1호'의 티저가 공개된 시간은 3시 33분이다. 3은 부족수이다. = = 과학 = = 리튬(Li, Lithium)의 원자번호이다. 지구는 태양계의 3번째 행성이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 고체, 기체의 3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다. *곤충의 몸은 머리,가슴,배로 이루어졌다 = = 나이 = =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는 만 3세에 황제에 즉위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 = 기타 = = 한국어의 단어 중 ‘삼세번(三~番)’이라는 말이 있다. 색의 삼원색은 마젠타, 노랑, 시안, 빛의 삼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다. 사람은 아침, 점심, 저녁 3끼를 먹는다. 축구에서 한 선수가 3점을 득점하는 것을 해트트릭이라고 부른다. 농구에서 2점슛 뿐만 아니라, 3점슛도 있다. 야구에서 1루수의 수비 위치를 나타낸다. 야구에서 스트라이크 3개면 삼진 아웃이다. 야구에서 아웃 3개면 공수교대를 한다.(9회, 콜드 게임인 경우는 예외이다.) 야구에서 외야수는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3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야구에서 주자 3명을 아웃시키면 트리플 아웃이다 보편교회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믿는다. 고구려, 신라, 백제의 세 나라가 세워져 삼국시대를 열었다. 중국에서는 후한이 무너진 후, 위, 촉, 오의 세 나라가 세워졌다. 소설 삼국지연의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시경, 서경, 역경(주역)을 묶어 삼경이라 부른다. 삼권분립은 국가권력을 입법, 행정, 사법으로 나누어 분담하는 걸 말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는 3개이다. 대한민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3학년까지 있다. 일부 단기 대학은 3년제까지도 있다. 노동삼권은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다. 권투 경기는 매 라운드 당 3분씩 겨룬다. 조선시대에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삼정승이 있었다. 여러 사람들에게 3은 '많다'라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 고대 사람들은 물건을 셀 때 1개, 2개를 세고 그보다 많으면(3개 이상) 곧바로 '많다'라고 말하기도 하고, 영어 단어 thrice는 '세 번'과 함께 '몇 번이고'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또 나무 목 자가 3개 들어간 森(빽빽할 삼)이란 한자가 있다. 대한민국 국군에 현역으로 복무하기 위해서는 병무청에서 실시하는 징병신체검사에서 3등급 이상으로 판정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도 상하로 셋 이상의 가족을 부양해야 할 때는 군대에 가지 않아도 되는 특권이 주어진다. 올림픽 메달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로 3등까지만 주어진다. 육군, 해군, 공군을 가리켜 3군이라고 부른다. 3중주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로 트리오라 불리기도 한다. 1988년까지도 세계는 크게 제 1세계, 제 2세계, 제 3세계로 나뉘었다. 대한민국의 형사 재판은 3심 제도로 이뤄지는데, 1심 지방법원, 2심 고등법원, 3심 대법원 순으로 이뤄진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에서 스타리그는 3회 우승시 골든 마우스이다. 돼지고기 3번 겹쳐져 있는 삼겹살이다. 3월 3일이란 삼겹살데이도 있다. 미국의 폴로 랄프 로렌이란 번호도 3번이 있다. 가톨릭 기도문이란 삼종기도가 있다. 대한민국의 삼권 분립은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이다. 동화의 아기돼지 삼형제도 있다. 역사의 삼국지도 있다. 일본의 요동반도 점령을 거부한 삼국 간섭도 있다. 갑신정변의 삼일천하 한국사에 삼한이 있다. 2000년 이후 태어난 남성의 주민등록번호 일곱번째 자리는 3이다. 우리가 살고있는 차원은 2차원 평면에 공간을 더한 3차원이다. IPTV의 tvN 채널 번호이다. 스카이라이프의 EBS1 채널 번호이다. 서울 도시형버스 3번 수도권 전철 3호선 = = = 인터넷 용어 (3체) = = = 대한민국에서는 문65장의 끝을 ~삼, ~3으로 끝내는 삼체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었었다. 03 = 송호초등학교 (전남) = 송호초등학교는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54. 04. 09 송지국민학교 송호분교장 개교 1963. 04. 06 송호국민학교로 승격 1985. 03. 20 병설유치원 개원 1993. 09. 01 통호분교장 본교로 귀속 1996. 03. 01 송호초등학교로 개칭 1998. 03. 01 통호분교장 통폐합 2014. 09. 01 제23대 문춘길 교장 부임 2015. 02. 13 제52회 졸업(총1,522명) 2015. 03. 01 ~ 2018. 12. 31 무지개학교 지정 = 예룬 판코닝스브뤼허 = 예룬 판코닝스브뤼허(, 1973년 9월 3일 ~ )는 네덜란드의 배우 겸 가수이다. 로센달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리파겐 (2016년) 내부의 적-클린핸즈 (2015년) - 에디 역 킬 미 달링 (2015년) - 야콥 역 사랑이란 언어 (2013년) 갱스터 보이즈 (2010년) 로프트 (2010년) - 빌렘 역 = 구일고등학교 = 구일고등학교(九一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90년 3월 1일 : 초대 송석영 교장 부임 1990년 3월 2일 : 1990학년도 신입생 입학(8학급 438명) 1993년 2월 12일 : 제1회 졸업(429명) 1993년 3월 20일 : 체육관 개관 2007년 8월 22일 : 학생식당 준공 2019년 9월 1일 : 제12대 이용식 교장 취임 2022년 2월 8일 : 제31회 졸업(10학급 229명) = 도쿄 6대학 = 도쿄 6대학은 일본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소속 6개 대학을 일컫는 말이다.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결성을 계기로 대학간 야구 경기 외에도 다양한 경기나 예술, 문화 관련 교류 및 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 = 구성 대학 = = 와세다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 메이지 대학 호세이 대학 릿쿄 대학 도쿄 대학 = = 6대학 연맹 = = 야구 외에 연맹을 결성하여, 대학간 협력을 통해 대학 및 학생들이 교류 활동을 하는 연맹이다.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도쿄 6대학 응원단 연맹 도쿄 6대학 연식야구 연맹 도쿄 6대학 준경식야구 연맹 도쿄 6대학 소프트 테니스 연맹 도쿄 6대학 합창 연맹 도쿄 6대학 학원제 연맹 도쿄 6대학 오케스트라 연맹 = = 6대학 대회 = = 대학간 연맹은 없지만, 대학, 학생, 졸업생이 교류하는 대회이다. = = = 공식 대회 = = = 도쿄 6대학 수영 대항전 도쿄 6대학 육상 경기 대회 도쿄 6대학 자전거 경기 대회 도쿄 6대학 글라이더 경기회 도쿄 6대학 경기 댄스 선수권 대회 도쿄 6대학 농구 리그전 도쿄 6대학 여자 농구 대항전 도쿄 6대학 레슬링 챔피언십 도쿄 6대학 자전거 경기 팀 로드 레이스 대회 도쿄 6대학 마술 대회 도쿄 6대학 가라테 대회 도쿄 6대학 사격 경기회 도쿄 6대학 요트 정기전 도쿄 6대학 라크로스 교류전 도쿄 6대학 양궁 정기전 도쿄 6대학 배구 교류전 = = = 자주 대회 = = = 각 대학의 학생 및 단체가 자주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대회이다. 도쿄 6대학 변론 대회 도쿄 6대학 마작 리그 도쿄 6대학 사진전 = = = 졸업생 대회 = = = 도쿄 6대학 졸업생들이 실시하고 있는 대회이다. 도쿄 6대학 요트 OB전 도쿄 6대학 OB 친목 골프 대회 도쿄 6대학 OB, OG 배드민턴 교류 대회 도쿄 6대학 OB 리그전 (볼링) = 박윤현 = 박윤현(1977년~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8년 SBS 공채 8기 탤런트로 데뷔하였다. 1996년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미스 경남 진'으로 입상하며 연예계에 데뷔하였다.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1998년 SBS 일일연속극 《서울 탱고》 1998년 SBS 주말극장 《사랑해 사랑해》 1998년 SBS 드라마 스페셜 《미스터Q》 1998년 SBS 주말극장 《로맨스》 1998년 SBS 일일연속극 《7인의 신부》 1998년 SBS 주말극장 《흐린 날에 쓴 편지》 1998년 SBS 일일시트콤 《순풍산부인과》 1998년 SBS 아침드라마 《엄마의 딸》 1998년 SBS 일일연속극 《미우나 고우나》 1999년 SBS 일일연속극 《약속》 1999년 SBS 드라마 스페셜 《토마토》 1999년 SBS 아침드라마 《그녀의 선택》 1999년 SBS 드라마 스페셜 《해피투게더》 1999년 SBS 월화드라마 《맛을 보여드립니다》 1999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달콤한 신부》 2000년 SBS 드라마 스페셜 《불꽃》 2000년 SBS 드라마 스페셜 《팝콘》 2000년 SBS 드라마 스페셜 《경찰특공대》 2000년 SBS 아침연속극 《용서》 2000년 SBS 드라마 스페셜 《여자만세》 = = = 영화 = = = 2002년 《오버 더 레인보우》 ... 혜영 역 = = 수상 = = 1996년 미스코리아 경남 진 1996년 미스코리아 미스한국일보 = 분류: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작품 = = 레셉스의 이주 = 레셉스의 이주(Lessepsian migration)는 수에즈 운하를 가로질러 일어나는 생물종의 이주이다. 페르디낭 드 레셉스의 이름을 따왔다. 수에즈 운하에는 갑문이 없으며, 바닷물이 양쪽 바다에서 그레이트비터호로 자유로이 흘러들어온다. 그러나 처음에는 그레이트비터호의 염도가 홍해, 지중해에 비해 훨씬 낮았기 때문에 이주를 막는 장벽으로 작용했다. 결국 그레이트 비터 호의 염분이 홍해나 지중해와 비슷해지면서 자유롭게 생명체가 이주하기 시작했다. 홍해의 염분이 지중해보다 높고 영양분이 적기 때문에 주로 홍해의 생명체가 지중해로 침입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아스완 댐이 축조되면서 나일강 하구로 유입되는 민물의 양이 줄어들어 동지중해의 염도가 홍해와 비슷해지면서 이주가 가속화되고있다. = 돗 = 돗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돗은 덫의 강원, 전남, 충청 방언이다. 돗은 돌의 제주 방언이다. 돗은 돼지의 제주 방언이다. 그레임 돗(Graeme Dott) = 기타오치촌 = 기타오치촌(北邑知村)은 이시카와현 하쿠이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옥정암지 마애석불좌상 = 옥정암지 마애석불좌상(玉井庵址 磨崖石佛坐像)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오지리에 있는 불상이다. 2017년 12월 14일 임실군의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노산에 위치한 옥정암지 마애불상이다. 높이 8m, 폭 25m의 암벽에 새겨진 것으로 대좌부터 육계까지의 높이가 약 6.43m에 이르는 대형 마애불이다. 옥정암에 대한 기록은 1904년 <운수지>에 처음 등장한다. 이보다 앞선 시기인 고려 말에 애꾸대사(一目大師)가 옥천사를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일목대사는 전국 명산을 두루 돌아 다니면서 만행을 하던 도중 마침 이곳 노산에 당도하였을 때,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소낙비가 쏟아지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갑자기 산중에서 만난 소낙비를 피하기 위하여 사방을 두리번거리는데 적당히 비를 피할 만한 곳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런데 일목대사 바로 옆에 있는 바위가 갑자기 무너지면서 큰 동굴이 나타났다. 대사는 동굴에서 밤을 세우는데 꿈 속에서 부처님의 계시가 있었다.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라” 대사는 부처님의 계시대로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고 옥천사(玉泉寺)라 이름하였다. 옥천사는 날로 번창하였다. 옥천사 아래 마을인 비아동에 쌀뜬 물이 강을 이룰 정도로 엄청난 사찰로 번창하였다. 당시에 옥천사 아랫마을에 정씨성을 가진 찰방이 살고 있었는데, 막강한 권력과 재력을 지니고 있었다. 정찰방은 옥천사 위에 대장군혈의 대명당이 있다하여 그곳에 묘를 쓰고, “옥천사를 비워라”고 명령을 했다. 일목대사는 이 수많은 수도승을 다 어찌하겠느냐고 하면서 애원을 했다. 그러나 정찰방은 목탁소리가 나니 대명당이 발복을 하지 않는다하여 강제로 절을 불태워 버렸다. 불타버린 절터 뒤에 부처님 상이 조각된 거대한 바위돌만이 그 흔적을 증명하고 있을 뿐이다. 몇 달 수에 일목대사가 변복을 하고 이곳에 나타나 “이곳 근방에 서광이 비친다”, “이 근방에 대장군혈의 대명당이 있지 않느냐?”고 하니 정찰방은 깜짝 놀라며 일목대사를 대동하고 명당자리에 이르렀다. 일목대사는 시치미를 떼고 “명당은 대단한 명당이로되 발목을 안하는 이유는 한 치를 높여 썼다. 한 치를 내려서 다시 치묘하면 대길 할 것이다.”하고 사라졌다. 정찰방은 부랴부랴 명당을 뜯어 고쳤다. 이후 정씨 가문은 점점 쇠퇴해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 대한민국 민법 제733조 = 대한민국 민법 제733조는 화해의 효력과 착오에 대한 민법 채권법 각칙의 조문이다. = = 사례 = = 갑이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을을 치어 을이 중상을 입었다. 을의 가족은 갑과 5천만원에 합의계약을 체결하였다. 피해자 을이 합의 후에 그 이상의 손해가 발생하여 착오를 이유로 추가 청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 = 판례 = = 민법상 화해계약은 착오를 이유로 취소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화해당사자의 자격 또는 화해의 목적인 분쟁 이외의 사항에 착오가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는 바, 화해의 목적인 분쟁 이외의 사항이라 함은 분쟁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서 분쟁의 대상인 사항의 전제 또는 기초되는 사항으로 양 당사자가 예정한 것이어서 상호 양보의 내용으로 되지 않고 다툼이 없는 사실로서 양해가 된 것을 말한다90다카22674 = 분류:1906년 다이빙 = = 태양의 눈물 (노래) = 〈태양의 눈물〉은 NEWS의 8번째 싱글이다. = = 개요 = = 〈NEWS CONCERT TOUR pacific 2007-2008〉의 도쿄 돔 공연에서 첫 피로되어 발매가 발표되었다. 또, 야마시타 토모히사 주연 영화 《쿠로사기》 주제가로도 사용되고 있다. 태양의 눈물의 PV에서는 마지막에 야마시타가 “매번 감사”()라고 말하고 (山)(P)라고 쓰여진 종이컵으로 눈을 가린다. 2월 22일 생방송인 TV 아사히 계열 《뮤직 스테이션》에서 물을 쓰는 등 기발한 피로를 했다. 오리콘 주간 차트 첫 등장 1위를 획득해, 오리콘 통산 1050곡째의 1위가 되었다. 또, 메이저 데뷔 싱글 〈희망~Yell~〉이후 계속되는, 첫 등장 1위의 기록은 8작 연속이 되었다. = = 수록곡 = = = = = 초회 생산 한정반 = = = / 태양의 눈물 #: 작사·작곡: 카와노 미치오 / 편곡: m-takeshi #* 야마시타 토모히사 주연 영화 영화 쿠로사기주제가 Beautiful Eyes / 정말 아름다워서 Beautiful Eyes #: 작사: 이쥬인 시즈카 / 작곡: Shusui, Peter Hallstrom / 편곡: 아베 쥰 / 밤비나 #: 작사: 마츠무라 류지 / 작곡·편곡: Shusui, Martin Ankelius, Henrik Andersson-Tervald # 6면 12페이지 자켓 = = = 통상반 = = = / 태양의 눈물 Beautiful Eyes / 정말 아름다워서 Beautiful Eyes Lady Spider #: 작사: 키즈키 미히로 / 작곡·편곡: m-takeshi 6면 12페이지 자켓 = 분류:UEFA 컵위너스컵 시즌 = = 존 카버 = 존 카버(John Carver, 1576년경 – 1621년 4월 5일)는 필그림 지도자이자 플리머스 식민지의 최초의 지사였다. = = 개요 = =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잉글랜드에서 탄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카버는 런던의 부유한 상인이었지만, 잉글랜드를 떠나 1607년에서 1608년경 종교적 박해를 이유로 네덜란드 레이던으로 가게 된다. 레이던 분리주의자들의 사회에서 카버가 등장하는 기록은 1615년에 처음으로 발견된다. 1617년에 그는 미국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토지임대와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은 필그림의 대리인이 되었다. 그는 메이플라워 호를 임대하고, 101명의 다른 개척자들과 함께 1620년 9월 잉글랜드의 플리머스를 출발했다. 또한 1620년 11월 11일 메이플라워 서약에 서명을 했고, 같은 날 1년 임기의 지사로 선출되었다. 1621년 3월 카버는 왐파노아그 부족의 대추장 마사소이트와 평화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1개월 후 들판에서 일을 하다가 병으로 쓰러져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말았다.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다. 매사추세츠주 플리머스 서쪽의 카버 타운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정치 = = 1834년 프랑스 총선 = 1834년 프랑스 총선은 1834년 프랑스에서 치러진 총선으로, 일정 이상의 납세자만 투표할 수 있는 제한선거였다. = = 선거 결과 = = 정당 의석수 보수파 320석 반대파 75석 제3당 50석 정통왕정파 15석 = 청평중학교 = 청평중학교(淸平中學校)는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49년 10월 3일 : 사립 청평중학교 설립 1954년 7월 7일 : 공립 청평중학교 설립 인가 1955년 6월 21일 : 초대 최상권 교장 취임 1978년 3월 1일 : 청평공고와 분리 1980년 3월 30일 : 현 장소로 학교교사 이전 1997년 10월 16일 : 실내체육관(정진관) 준공 2001년 12월 31일 : 급식소 및 특별교실 준공 2008년 3월 2일 : 특수학급(1) 신설 2019년 1월 8일 : 제64회 졸업식(남 48명, 여 49명, 총 졸업생수 11,759명) 2019년 3월 1일 : 제25대 이홍섭 교장 취임 = 북극 항해로 = 북극 항해로(北極航海路, )는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그리고 북극 얼음이 모두 녹으면 생길 북극횡단항로를 총칭하는 말이다. 현재 부산항에서 수에즈 운하를 거쳐 로테르담까지 연결되는 항로가 약 21,000㎞이고 24일이 걸리는데 반해 얼음이 모두 녹은 북극 항해로를 이용할 경우 운항거리는 12,700㎞, 운항기간은 14일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제적 중요성이 떨어지는 지역들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 분류:삼척시의 축구 = = 라파엘 아마야 = 라파엘 아마야(José Rafael Amaya Parra Núñez, 1977년 10월 2일 ~ )는 멕시코의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이다. 에르모시요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드러그 앤 골드 (2015년) - 대니 역 캔틴플라스 (2014년) 굿바이 크루얼 월드 (2010년) 블루스킨 (2010년) - 페르난도 역 어트로셔스 (2010년) 페페 & 산토 대 아메리카 (2009년) 로커 마리 (2009년) = 2018년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 2018년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2018 CONCACAF Women's Championship)는 2018년 10월 4일부터 10월 17일까지 미국에서 열린 10번째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는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의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였다. 또한 이 대회 본선에 진출한 팀들 가운데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 소속 대표팀,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소속 대표팀, 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 대표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특별 지명한 대표팀은 2019년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본선에 참가했다. = = 참가 팀 = = 다음 3개국이 본선에 직행했다. * * * 다음 2개국이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 * 다음 3개국이 카리브 해 지역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 * * = = 시드 배정 = = 2018년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조 추첨은 2018년 9월 4일 미국 마이애미에서 진행되었다. 미국은 A조, 캐나다는 B조에 각각 배정되었으며 나머지 6개 팀은 CONCACAF 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중앙아메리카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A1에 배정됨) (B1에 배정됨) = = 조별 리그 = = = = = A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18 0 +18 6 3 2 0 1 5 5 0 3 3 1 0 2 4 9 -5 0 3 0 0 3 1 14 -13 = = = B조 = = =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9 3 3 0 0 17 1 +16 6 3 2 0 1 10 2 +8 3 3 1 0 2 9 4 +5 0 3 0 0 3 0 29 -29 = = 결선 토너먼트 = = = = = 준결승전 = = = = = = 3·4위전 = = = = = = 결승전 = = = = = 우승 = = 2018년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미국8번째 우승 = = 대회 출전권 =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자메이카, 미국은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파나마는 2018년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3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9년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멕시코는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본선에서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 대표 자격으로 진출했다. 파나마는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본선에서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대표 자격으로 진출했다. 코스타리카는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본선에서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대표 자격으로 진출했다. 자메이카는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여자부 본선에서 카리브 축구 연맹 대표 자격으로 진출했다. = 루 부시 = 루 부시(, 1910년 ~ 1979년)는 댄스 음악과 무드 음악 분야에서 활약한 미국의 피아노 연주자이다. = = 생애 = = 켄터키주 태생으로 신시내티 음악원을 다녔다. 16살에 음악계에 데뷔한 뒤 클라이드 맥코이, 조지 올센, 할 켐프 등의 악단에서 활약하였으며, 1940년 중엽부터는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일을 하였다. 1949년부터 유머러스한 래그 타임 피아노를 조 핑거스 카의 이름으로 연주하여 호평을 받았다. = 분류:브라질의 철도 = = Taking Over = Taking Over는 미국의 스래시 메탈 밴드 오버킬의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87년 3월 애틀랜틱과 메가포스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Over Kill;". metallipromo.com. Retrieved June 15, 2014. 이 음반은 드러머 랫 스케이트가 1987년 밴드를 탈퇴하고 시드 팔크로 대체된 오버킬의 마지막 음반이다. 이 음반은 1994년 W.F.O.까지 밴드의 모든 음반을 발매한 최초의 음반이기도 하다. = = 투어 및 홍보 = = 오버킬은 Taking Over를 홍보하기 위해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투어를 했다. 1987년 3월부터 4월까지 헬로윈에서 Keeper of the Seven Keys: Part I 투어를 열었고, 5월부터 6월까지 Take Up Dead Tour에서 메가데스를 지원했다. 〈Wrecking Crew〉와 〈In Union We Stand〉는 현재까지 거의 모든 오버킬 쇼에서 라이브로 재생되고 있으며"Wrecking Crew by Overkill Song Statistics". setlist.fm. Retrieved December 27, 2013."In Union We Stand by Overkill Song Statistics". setlist.fm. Retrieved December 27, 2013., 전자는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공식 웹사이트(wreckingcrew.com)의 타이틀이기도 하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오버킬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분류:쿠바의 올림픽 요트 참가 선수 = = 안동 봉황사 대웅전 = 안동 봉황사 대웅전(安東 鳳凰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황산사에 있는 대웅전이다. 1980년 6월 17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황산사는 신라 선덕여왕 13년(644)에 창건되었다고 하는데, 누가 세웠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옛 이름은 봉황사이다. 전에는 극락전ㆍ관음전ㆍ범종각ㆍ만세루 등 많은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1592) 때 모두 불에 타 지금은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과 스님들이 생활하는 요사채만 전해진다. 황산사 대웅전은 앞면 5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이다.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건물 양식이 간결한 것 등으로 보아 조선 중기 이후에 다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설에 의하면 이 대웅전의 단청은 봉황이 칠했다고 한다. 단청을 칠할 때 사람이 쳐다보지 않도록 하였는데, 앞면을 칠한 다음 뒷면을 칠할 때 사람들이 쳐다보자 일을 다하지 않고 날아갔다고 한다. 이 전설로 인해 사람들이 이 절을 봉황사라 부르기도 한다. = = 참고 자료 = = * 봉황사 대웅전 봉황사 대웅전 = 틀:보호 문서 안내문/준보호 = = 분류:오세아니아의 기업 = = 틴 울프 (2011년 드라마) = 틴 울프(Teen Wolf)는 MTV에서 2011년 6월 5일부터 현재까지 방영중인 드라마이다. 1985년 동명의 영화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 = 등장 인물 = = = = = 기존 인물 = = = 스콧 매콜(Scott McCall) - 타일러 포시 스콧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16살 고등학생이다. 어느 날 갑자기 마을에 일어난 살인사건을 몰래 구경 갔다가 알 수 없는 동물의 습격을 받는다. 그 이후 그의 평범했던 삶은 송두리째 흔들리게 된다. 늑대인간의 특별한 능력을 얻게 되면서 학교에서는 아웃사이더였던 그가 갑자기 학교 라크로스 팀의 스타로 떠오르고, 섹시한 여자친구도 얻게 된다. 하지만 보름 달 뜨는 밤, 사랑하는 여자친구와의 데이트, 운동 경기 중 등 시도 때도 없이 늑대인간의 힘이 불끈 솟아올라 평범한 일상을 이어가기 힘들어 지면서 다시 사람이 되기 위해 해결책을 찾기 시작한다. 시즌 3에서는 공식적으로 앨리슨과 연애가 끝나며 지역을 위협하는 악의 무리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한다. 겉으로는 평범한 학생이자 일반적인 아들이 되고자 노력하지만 새롭게 등장하는 알파팩과 사라지는 늑대 친구들 그리고 앨리슨이 여전히 신경 쓰여 쉽지 않은 일상을 이어나간다. 앨리슨 아전트(Allison Argent) - 크리스털 리드 앨리슨은 자칫 어두워질 수 있는 <틴 울프>의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주는 여주인공이다. 스콧이 살고 있는 마을에 어느 날 갑자기 이사 온 전학생 앨리슨은 스콧의 사랑을 독차지 한다. 앨리슨의 아버지는 직업 때문에 자주 이사를 다니고, 이 때문에 앨리슨도 한 마을에 오래 거주하지 않는 특이한 삶을 살아왔다. 스콧과 열렬한 사랑에 빠지지만,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그들을 갈라놓는 존재가 등장하고, 앨리슨은 아버지의 사업인 ‘늑대인간 사냥’을 인수하게 되어 그들의 사랑도 위기를 겪는다. 시즌 3에서는 스콧과의 이별을 통해 그녀를 둘러싼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고, 스스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스타일스 스틸린스키(Stiles Stilinske) - 딜런 오브라이언 스타일스는 스콧의 베스트 프렌드이다. 스콧이 이상한 동물에게 습격을 받은 날, 그도 함께 있었지만 다행히 습격은 피했다. 미스터리 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는 그는 틴 울프의 탐정 같은 16세 소년이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답을 찾기 위해 자신이 위험에 빠지더라도 끝까지 파헤치려고 하는 집요한 면이 있으나, 극 중 예쁜 소녀 리디아를 짝사랑하는 순진한 면도 가지고 있다. 스콧의 비밀을 알고 있는 유일한 친구이며, 스콧을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듬직한 캐릭터이다. 데릭 헤일(Derek Hale) - 타일러 헤클린 숲의 폐허에서 생활하는 데릭은 세상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그 역시 늑대인간이기 때문이다. 늑대인간과 늑대인간을 없애려는 헌터 간의 비밀을 알고 있는 그는 스콧이 늑대인간으로 변했다는 사실을 눈치 챈 후 그의 주위를 맴돈다. 늑대인간 패거리의 새 리더이며, 스콧과 등을 맞대고 점점 악역으로 변해간다. 시즌 3에서 데릭은 두 명의 늑대를 잃게 되자, 다시 한 번 스콧을 자신의 팀으로 만들려한다. 그와 동시에 새로운 알파팩의 등장으로 비콘 힐즈의 모든 것을 무너뜨릴 악의 기운을 막기 위해 팀들과 노력한다. 잭슨 휘트모어(Jackson Whittemore) - 콜턴 헤인스 학교 라크로스 팀의 주장을 맡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남학생으로 손꼽히는 잭슨. 학교 최고 퀸카 리디아와 오랜 연인 관계이다. 스콧이 갑자기 능력을 발휘하자 그를 강력한 라이벌로 인지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잭슨은 스콧의 비밀을 파헤치면서 갑자기 위험에 빠지게 되고, 결국 늑대인간으로 변하게 된다. 리디아 마틴(Lydia Martin) - 홀랜드 로든 미모와 패션 감각, 부모의 배경과 만능 스포츠맨 남자친구까지 모든 것을 다 가진 리디아는 공부는 뒷전인 철부지 고등학생이다. 앨리슨이 전학 온 후 그녀와 친하게 지내고 스콧과 잘 되도록 큐피트 역할도 자청한다. 하지만 스콧이 잭슨을 제치고 라크로스 팀의 스타가 되자 그녀 역시 스콧에게 점점 끌리게 된다. 시즌 3에서 리디아는 피터 헤일이 죽음에서 돌아온 이후, 자신을 둘러싼 변화의 비밀을 조금씩 알아간다. 비밀을 알아가며 생겨나는 의시시한 기운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남자들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 = = 시즌 3 추가인물 = = = 에이든(Aiden) & 이선(Ethan) - 찰리 카버 & 맥스 카버 에이든과 이선은 늑대인간의 최고인 알파 쌍둥이다. 이 둘은 하나의 슈퍼알파보다도 더 위협적인 위력을 지니는데, 훈훈한 외모와 매력적인 그들이지만, 계속해서 스콧과 그의 친구들. 그리고 스콧과 여자까지도 위협한다. 시즌 3에 등장. 듀캘리언(Deucalion) - 기디언 에머리 듀캘리언은 자칭 ‘알파중의 알파’, 실제로도 가장 똑똑하고 설득력이 강한 알파이다. 그의 어두운 과거 속에서 그는 과거에 눈을 잃는 대가로 알파들의 리더가 되었다. 스스로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위협적인 존재이며, 스콧과 데릭을 갈라 놓기 위해 계획한다. 시즌 3에 등장. = = 에피소드 = = = = = 시즌 1 = = = # 제목 본방송일자 = = = 시즌 2 = = = # 제목 본방송일자 = = = 시즌 3 = = = 제목 본방송일자 파트 1 파트 1 파트 1 파트 1 파트 1 파트 1 파트 1 파트 2 파트 2 파트 2 파트 2 파트 2 파트 2 파트 2 = = 2차 창작 = = = = = 서적 = = = 2012, 낸시 홀더, On Fire: A Teen Wolf Novel, Simon & Schuster, 2012년 6월, MTV 북스가 낸시 홀더 작가의 "온 파이어"라는 서적을 출판했다. 표지 그림은 불을 배경으로 한 노란색 눈을 띈 타일러 포시 사진이다. 이 책은 시즌 1의 스콧 맥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 = 코믹스 = = = 2011년 9월, 이미지 코믹스에서 틴 울프 시즌 1의 코믹스를 발간했다. = = 수상 경력 = = 연도 수상 분류 후보 결과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판타지/SF 초이스 TV 판타지/SF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쇼 초이스 섬머 TV 쇼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최고 스타 타일러 포시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스타 - 남성 타일러 포시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스타 - 여성 크리스털 리드 2011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여배우: 판타지/SF 크리스털 리드 2012년 새턴상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2012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쇼 초이스 섬머 TV 쇼 2012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스타 - 남성 타일러 포시 2012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스타 - 여성 크리스털 리드 2012년 이메젠 어워드 최고 배우/텔레비전 타일러 포시 2012년 ALMA 어워드 인기 TV 스타 - 주연 타일러 포시 2013년 새턴상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2013년 영 할리우드 어워드 최고 배우들 타일러 포시, 크리스털 리드, 딜런 오브라이언, 타일러 헤클린, 홀랜드 로든 2013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쇼 초이스 섬머 TV 쇼 2013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섬머 TV 쇼 - 남성 타일러 포시 2014년 새턴상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최고 젊은층 대상 텔레비전 시리즈 2014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판타지/SF 초이스 TV: 판타지/SF 2014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판타지/SF 배우 타일러 포시 2014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TV: 악당 딜런 오브라이언 2014년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스틸러 신 - 남성 타일러 헤클린 2014년 영 할리우드 어워드 빙워티 TV 쇼 빙워티 TV 쇼 = = 나라별 방영 = = 지역 채널 MTV AXN MuchMusic (퀘백 주) Vrak.TV Sky Living Fox8 Sony Spin Sony Spin AXN India Sony Spin AXN Pakistan Panda Biggs 아시아 BeTV RTL II France 4 Plug RTL Fox AXN AXN Spin CNBC-e TV5 = = 추가 자료 = = Plunkett, John. "Creator/Executive Producer Jeff Davis Talks TEEN WOLF Season 2 and 3; Promises Big Changes Ahead", Collider], 2012년 7월 28일 작성. = 분류:요시다 쇼인 = = 분류:튀르키예의 사회주의자 = = 1959년 독일 대통령 선거 = = = 1차투표 = = 대통령 후보 정당 득표수 지지율 하인리히 뤼브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517 49.8% 카를로 슈미트 독일 사회민주당 385 37.1% 막스 베커 독일 자유민주당 104 10.0% 투표수 투표수 1031 99.3% 기권 기권 7 0.7% 선거권자 선거권자 1038 100.0 % = = 2차투표 = = 대통령 후보 정당 득표수 지지율 하인리히 뤼브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536 50.7% 카를로 슈미트 독일 사회민주당 386 37.2% 막스 베커 독일 자유민주당 99 9.5% 투표수 투표수 1033 99.5% 기권 기권 5 0.5% 선거권자 선거권자 1038 100.0 % = 레치시아 스필레르 = 레치시아 스필레르(Letícia Spiller, 1973년 6월 19일 ~ )는 브라질의 배우이다. = 분류:하지 뼈대 = = 분류:가톨릭 참회 관행 = = 홀로그램 콘서트 = 홀로그램 콘서트 (hologram concert 혹은 virtual concert)는 가수들이 직접 출연하지 않고 3차원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해 실제로 무대 위에서 공연하는 것처럼 연출한 것이다. = = 원리 = = 홀로그램 무대가 일반무대와 다른 점은 무대 앞쪽과 객석 사이에 얇고 투명한 막이 있다는 점이다. 무대 천장에 설치된 프로젝터 3대에서 아래쪽으로 영상을 쏘면, 바닥의 반사판에서 무대 뒤쪽의 투명 막에 빛이 반사된다. 각 프로젝트에서 보내진 영상이 투명막 스크린에서 겹쳐지면서 부위 별로 위상차를 일으켜 관람객이 입체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렇듯 레이저 홀로그램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말 그대로 허공에 영상을 맺게 하는 투명한 스크린 매체가 필요하다. 투명한 유리, 아크릴 또는 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투명막에 빛이 비추면 어두운 색 빛은 투영되고 색상이 있는 빛의 주파수들은 특수 화학약품이 처리된 스크린 위에 영상을 맺히게 된다. = = 역사 = = = = = 초기 (1998-2007) = = = 국내에서 홀로그램을 공연에 사용하려는 첫 시도는 SM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졌다. 1998년,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SM 엔터테인먼트의 대표 남성 그룹인 H.O.T의 데뷔를 홀로그램 공연으로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2004년 3월 20일을 시작으로 9번에 걸쳐 펼쳐친 보아의 일본 투어 공연에서는 공연의 일부로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첫 시도가 있었다. 첫곡 '더블(Double)'의 연주가 막 시작되자 보아는 홀로그램의 첨단 영상기법을 동원, 스크린 속 두명의 보아 이미지를 하나로 합쳐 관객에 모습을 드러냈다. = = = 죽은 자의 부활 (2008-2010) = = = 시간이 흐르며 홀로그램 기술은 공연의 시각 효과 중의 일부로 사용되는 것을 넘어서 공연의 핵심 요소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2008년 일본의 전설적 록그룹 X재팬의 부활 콘서트에서 홀로그램 기술을 사용해 1998년 세상을 떠난 멤버 히데의 모습을 재현해냈다. 그룹 '루나시'의 스기조가 대역으로 나섰고 이 연출에만 1억 5000만엔(약 15억원)이 들었다. 국내에서는 포크그룹 동물원이 2010년 4월 8-9일에 걸쳐 서울 구로아트밸리예슬국장에서 연 콘서트에서 홀로그램 기술을 사용해 원년 멤버인 고(故) 김광석과 협연을 해 큰 호응을 얻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공연하던 미공개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입체적으로 재현하여, 동물원과 김광석이 시공을 넘어 협연하는 무대를 선보였다. 2010년 5월 런던에서는 세계를 열광시켰던 스웨덴의 4인조 팝그룹 아바(ABBA)를 기념하는 박물관 겸 테마파크를 개장하고 팬들이 직접 공연장에 올라가 아바 멤버들의 홀로그램 사이에서 함께 춤추고 노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테마파크 측은 홀로그램 공연에서 1970년대 아바의 공연을 똑같이 재현하기보다는 일종의 만화 캐릭터는 등장시키는 컨셉트를 잡았다. 첨단 홀로그래픽 기술로 재현된 아바의 3차원 캐릭터는 마치 진짜 가수처럼 악기를 연주하고 춤추면서 그룹 아바의 전설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을 각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했다. 이처럼 홀로그램 기술은 죽은 자를 되살리는 것뿐만 아니라 공연을 화려하게 하는 시각 장치로써의 기능도 여전히 수행하고 있었는데, SM 엔터테인먼트의 남성 5인조 그룹 동방신기는 2008년 일본 투어에서 홀로그램 형식으로 동방신기 멤버들이 가상 공연을 펼치는 장면을 표현해 관객들의 큰 탄성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 = = 가상 캐릭터의 공연 (2011-2012) = = = 일본에서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제작된 가상 가수 캐릭터의 공연이 일반 가수 공연의 수익을 압도하는 일이 벌어졌다. 2012년 3월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증강현실 가수 하츠네 미쿠 콘서트에는 1만명에 이르는 관객이 몰렸다. 무대 위에는 드럼, 기타 등 연주자만이 실제 사람이고, 전면 스크린에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진 가상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지만 관객 반응은 인기 가수 공연 못지않다. 국내에서도 한국 최초의 보컬로이드 시유(SeeU)가 2012년 7월 22일에 방송된 SBS '인기가요'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시유는 SBS 아트텍에서 야마하의 보컬 음성합성 소프트웨어 보컬로이드3을 기반으로 제작한 소프트웨어로, 목소리는 글램(GLAM) 멤버 다희 목소리가 샘플로 사용됐다. 3D 홀로그램 형태로 등장한 시유는 직접 가창이 시연되지는 않았지만 인상적인 첫선을 보였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함께 무대를 꾸민 글램과 어울리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일본의 하츠네 미쿠의 공연보다는 입체성이 떨어져 그냥 스크린에 띄운 것 같아 보인다는 기술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 = 본격적인 투자의 시작과 전용관의 개관 (2013-현재) = = = 2013년에 들어 국내의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홀로그램 공연 사업에 투자를 시작한다. 2012년 8월 10일부터 9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M.ART EXHIBITION'에서는 홀로그램 상영관을 마련해 남성 5인조 그룹 샤이니의 무대를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2013년 1월 5일에는 SM 엔터테인먼트의 소녀시대가 오후 8시 서울 강남역사거리 엠스테이지에서 정규 4집 앨범 발매 기념 '소녀시대 V 콘서트'를 개최하고, 신곡 '댄싱 퀸(Dancing Queen)'과 '아이 갓 어 보이(I Got a Boy)'의 홀로그램 공연을 펼쳤다. 더 나아가 SM 엔터테인먼트는 2013년 5월 20일 KT와 홀로그램 공간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는 SM이 홀로그램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고 KT가 이를 상시 즐길 수 있는 전용체험공간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2013년 7월 22일에는 국내 테마파크 최초로 에버랜드가 상시 운영되는 홀로그램 공연장을 개관했다.‘K-Pop Hologram : YG at Everland’(K팝 홀로그램 : 에버랜드에 온 YG)으로 명명된 이 공연장은 에버랜드와 YG 엔터테인먼트가 손잡고 제작한 것으로 YG는 싸이, 2NE1 등 소속 가수들의 홀로그램 영상 제작을 담당했으며, 에버랜드는 인프라 및 디자인, 영상·음향 장비 등 공연장 시설 구축을 맡았다. 홀로그램 공연 사업에 있어서 YG 엔터테인먼트는 후발 주자였지만 2013년 5월 KT와 국내기업 '디스트릭트(d'strict)'와 손잡고 컨소시업 'NIK'를 만드는 등 본격적인 투자를 감행한다. 2013년 11월 4일부터 6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KBEE2013(코리아 브랜드 한류 상품 박람회)'에서는 가수 싸이와 2NE1의 홀로그램 콘서가 총 26회 시연되었다. 2014년 1월 17일에는 KT와 YG 엔터테인먼트, 미래창조과학부가 공동 지원한 'K-POP 홀로그램 상설 전용공연장(Klive)이 서울 롯데피트인(FITIN) 동대문점 9층에서 문을 열었다. KT와 미래부가 각각 83억원과 10억원을 출자 및 지원한 이 공연장은 모두 500평 규모로 홀로그램 콘서트홀과 디지털 어트랙션으로 구성되어 콘서트홀에선 YG엔터가 소속 가수인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맨’, 빅뱅의 ‘배드보이’, 2NE1의 ‘내가 제일 잘나가’ 등의 홀로그램이 1일 8회 유료공연을 한다. 클라이브 홀로그램 영상은 고해상도의 미디어 연출로 실사와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고 대형 콘서트장을 방불케 하는 14.2채널의 서라운드 음향시스템과 화려한 조명과 레이저, 포그, 개방형 벽면, 다이나믹 포토 등 각종 특수효과도 결합했다. = = 제작 비용 = = 하나의 홀로그램 공연을 제작하는 데는 대략 2억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며, 이는 보통 뮤직 비디오 제작 비용의 2-3배 이상에 해당하는 정도이다. = 분류:남일로코스주 = = 분류:2022년 동티모르 = = 야노정 = 야노정(矢野町)은 히로시마현 아키군의 옛 정이다. 현재의 히로시마시 아키구에 해당한다. = = 역사 = = 1889년 4월 1일 - 아키군 야노촌(矢野村) 설립. 1917년 10월 1일 - 야노촌이 정제 시행으로 야노정(矢野町)이 됨. 1975년 3월 20일 - 후나코시정과 함께 히로시마시에 편입되어 야노정이 폐지됨. = 오성찬 = 오성찬(1940년 4월 18일~2012년 9월 26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신문 기자이다. = = 생애 = = 1940년 4월 18일 제주도 서귀포에서 태어나 1969년에 소설 "별을 따려는 사람들"로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그는 생전에 제주신문 기자, 제남신문 편집부장, 제주도 민속 자연사 박물관 민속연구관, 제주역사연구회 회장 등을 지냈다. 그는 2012년 9월 26일 오전 1시 20분에 지병으로 별세하였다. = =작품 활동 = = 오성찬 소설가는 제주 토박이 소설가로 제주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알리는 작품을 많이 출간하였다. 그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제주 4·3 사건을 목격하였는데, "하얀 달빛", "잃어버린 고향" 등의 단편 소설로 사건의 상처를 형상화하였다. 특히 당시 4·3 사건에 대한 언급이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는데 오성찬 작가는 그 실상과 아픔을 가장 먼저 작품으로 알렸다.이외에도 그는 역사적 사건을 문학 작품에 많이 담아왔다. 또한, 오성찬 작가는 10년 동안 제주도 내의 마을들의 이름의 유래를 밝히는 마을시리즈를 발간하여 향토사 발굴에도 기여를 하였다. = =투병 생활 = = 오성찬 소설가는 투병 중에 2011년 '제주대학교, 책읽기 릴레이' 선포식에 참가하였다. 그는 거동이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위한 특별 의자를 거절한 채 자리에 서서 "제주어의 뿌리를 파서 제주어를 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언어로 정착시켜야 한다"는 강연을 하였다. = =작품 목록 = = 소설집 *<별을 따려는 사람들> (1973년) *<한라산> (1979년) *<습작우화> (1984년) *<세한도> (1986년) *<단추와 허리띠> (1988년) *<모래 위에 세운 도시> (1989년) *<한 공산주의자를 위하여> (1989년) *<추사 김정희> (1993년) *<그 짝글레기의 유품> (1993년) *<크는 산> (1994년) *<푸른 보리밭> (1998년) *<진혼 아리랑> (1999년) *<종소리 울려 퍼져라> (1999년) *<죽은 장군의 증언> (2000년) *<보제기들은 밤에 떠난다> (2001년) *<우리 시대의 애가> (2002년) *<버려지는 사람들> (2003년) *<나비와 함께 날아가다> (2004년) *<한라 구절초> (2004년) *<아아 삼별초> (2005년) *<바람난 마을> (2006년) *<슬픈 몽골반점> (2006년) *<꽃상여> (2007년) 등 총 35권의 저서 = =수상 기록 = = *요산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 *한국문학상 = 미디어팩토리 = 미디어팩토리는 일본의 출판사다. 본래는 비디오 대여 관련 사업으로 시작한 기업이다. 2011년 10월에는 가도카와 그룹 홀딩스(KADOKAWA)의 자회사가 되어 미디어 팩토리의 라이트 노벨 레이블 MF 문고 J를 가도카와 자사의 영향력으로 확대하게 되었다. 다만 가도카와 측은 미디어팩토리의 라이트 노벨과 만화 사업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사업체 = = 다빈치 MF 문고 J MF 북스 = = 만화잡지 = = 월간 코믹 얼라이브 코믹 플래퍼 코믹 진 = = 대표작 = = 나는 친구가 적다 마리아†홀릭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아따맘마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제로의 사역마 카노콘 캠퍼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 김용우 (정치인) = 김용우(金用雨, 1912년 4월 29일 ~ 1985년 9월 13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6대 국방부 장관이다. = = 이력 = = 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을 거쳐 연희전문학교 수물과 본과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을 나온 후 남가주 대학교 대학원 수물과를 수료하였다. 서울특별시 후생국장, 중앙기술교육위원회 사무총장, 중앙관재처 운영처장, 조선주택영단이사장을 거쳐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1954년 국회 사무총장을 거쳐, 1955년부터 1956년까지는 제6대 국방부차관, 1956년부터 1957년까지 제6대 국방부장관을 역임하고, 1957년 주영국 초대 대사에 임명되어 10월 28일, 영국 런던에 도착하였다.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대한적십자사 제11대 총재를 역임하였다. 국방부장관 재직시인 1957년 4월 3일 장관 특명 ‘국방총제2288호’를 통해 각 군 참모총장에게 안식교인 병사들을 위생병 또는 기타 직접 무기를 휴대치 않는 병과에 가급적 배치할 것을 명령했다.한겨레21 (2003.1.2.) 한홍구, 〈인민군도 무작정 처벌 안 했다〉 주영국 대사 김용우는 1958년 2월 24일부터 개막되어 4월 28일에 막을 내린 제네바 국제해양법회의에서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하였다. 중요 5개 의제 중 하나였던 영해 문제에 대하여, 미국은 영해를 6리로 하고, 영해선에서 다시 6리를 연안국의 독점어업구역으로 하되, 부대조건으로서 독점어업구역에 있어서는 동 구역 내에서 과거 5년 이상 어로를 한 실적이 있는 국가의 기득권은 인정하되 연안국가와 이의가 있을 경우에는 5개국으로 구성되는 중재위원회의 재결을 받도록 하자고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미국안에 대하여 한국 대표단은 전기한 독점어업권에 이의를 가져 이를 반대할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미국대표단에서는 사람을 통하여 은근히 한국 대표단에게 자국안을 지지해 줄 것을 바라는 눈치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 대표단은 부대조건에 찬동할 수 없다는 태도를 표명하였다. 미국대표단 아서 딘은 과거 판문점회담에서 유엔측 대표로 참석한 일도 있었고 제네바 회의에 나오기 전까지는 덜레스 미국무장관의 사설 법률사무소 사무국장으로 있었던 사람인데, 아서 딘은 일본정부 당국과 매우 친근한 사이로 널리 알려진 인사였다. 김용우 수석대표는 한국의 입장으로서는 도저히 미국안에 찬동할 수 없다고 결심하고 있었으니, 특히 한국은 당시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과 어노문제로 야릇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음을 생각할 때 아무리 불가분의 우호관계에 있는 미국안이라고 해도 이를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것이 김용우의 배짱이었다. 미국대표단 측에서는 한국 측에서 명백히 미국안에 반대하리라는 것을 예측하자 본국과 연락하여 즉각적으로 서울과 지시가 내려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하여 한국 외무부로 교섭이 닿았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4월 15일 총회에서 미국안에 대하여 김용우는 반대표를 던졌다. 표결 결과는 38대 36으로 아슬아슬하게 미국안이 부결되었다. 그런데 표결이 있던 날 아침 김용우는 돌연히 정부로부터 "긴급훈령"을 접수하였다. 긴급훈령의 내용은 영해6리를 제안하는 미국안에 찬동하라는 내용으로 추정되었다. 단, 미국안 중 중요한 부대조항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김용우는 이 훈령에 대하여 망설이다가 반대표를 던진 것이었다. 유럽지역 주재 공관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귀국한 김용우는 사표를 제출하였다. 어쨌든 정부는 미국측과의 외교 신의를 깨뜨린 체면을 세워야 했다. 사표를 냈지만 "의원면직"이 아닌 "해임"이 김용우 대사에게 내려졌다.(5월 14일) 1962년 동양방송 TV(현 KBS 2TV)를 설립하였다. = = 참고 자료 = = 엠파스 인물 검색 국방부 역대 장관 * = 이정우 (가수) = 이정우 (Lee Jung Woo, 1972년 12월 12일 서울특별시 ~ )는 대한민국의 남자 가수이다. 2010년 The Ballad Of Tears (Single)1집, 2011년 정규1집Parisien '빈말', 2012년 정규 2 집 '사랑한다 말하고' 발라드 음반을 발표하였고, 2018년 'Love' 이정우 Lee Jung Woo 정규 3집 발매, 2020년 'Endless Love' 이정우 Lee Jung Woo 정규 4집을 발표하였다, = = 학력 = = 반포초등학교 신반포중학교 서초고등학교 동국대 연극영화영상학과 = 리순신장군훈장 = 리순신장군훈장(李舜臣將軍勳章,)은 1950년 7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제정된 2급수제의 조선인민군 해군 군관 전용 훈장으로, 조선 중기의 무관 이순신의 이름을 본따 제정되었다. 한국 전쟁 개전 이후에 제정된 군사 훈장 중 유일하게 휴전 이후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며, 제2급만 전쟁 중 극소수 수훈되었다. = = 훈장 규정 = = 리순신장군훈장 제1급 제2급에 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 = 한국전쟁 중 수여 횟수 = = 급수 조선인민군 해군 제1급 0회 제2급 22회 리순신장군훈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대 훈장 중 가장 적은 수여량을 기록하며, 공식 문건은 제정 장시의 문헌만 확인할 수 있을 뿐 훈장 자체는 북한 현지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 제1급의 경우 수여된 적이 없으나 사전 제작은 된 것으로 추정되며, 폴란드 정부가 소장 중이다. = 로렌 런던 = 로런 런던(Lauren London, 1984년 12월 5일 ~ )는 미국의 배우, 모델이다.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더 퍼펙트 매치 (2016년) 웨딩 플라이트 (2013년) - 쉐리 무어 역 마디아스 빅 해피 패밀리 (2011년) 아이 러브 유, 베스 쿠퍼 (2009년) 넥스트 데이 에어 (2009년) - 아이비 역 디스 크리스마스 (2007, This Christmas) 에이 티 엘 (2006년) - 뉴-뉴 역 = = = 텔레비전 = = = 90210 (2008-09) = MNC = MNC는 다음을 가리킨다. 다국적 기업 (Multinational corporation) 이동망 코드 (Mobile Network Code) 만주어 = 분류:미네소타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 인코그니토 = 인코그니토(Incognito)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후니코 인코그니토 (밴드): 영국의 애시드 재즈 그룹 인코그니토 (운영 체제) Incognito (셀린 디옹의 음반) = 분류:막말 구보타번 (데와국) 사람 = = 분류:네바다주의 군 = = 분류:안도라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노래 = = 모듈:Location map/data/USA Louisiana Baton Rouge/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SA_Louisiana_Baton_Rouge/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사가라 요리히로 = 사가라 요리히로 는 히고국 히토요시번 2대 번주이다. = = 생애 = = 게이초 5년 (1600년) 12월 13일, 초대 번주 사가라 요리후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간에이 13년 (163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승계했다. 간에이 14년 (1637년), 시마바라의 난에서는 스스로 에도에 참근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신을 출진시켰다. 간에이 16년 (1639년), 요리히로는 아버지의 대부터 중신인 인도 요리모리를 "전횡의 선비"라며 막부에 고소했다. 이것에 의해, 요리모리는 막부에 소환되어, 오다와라번에 신변이 잠시 맡겨지게 되었다. 이 사이에는 에도 저택에서 고향으로 사신으로써 神瀬外記가 파견되었다. 파견된 사신이 전한 내용은, 요리모리의 양자 인도 요리마사를 계속해서 번사로 기용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시모야시키(お下屋敷)"라고 불리는 요리모리의 저택에 불려간 外記는 요리마사 등에게 살해되었다. 이는, 요리마사가 양아버지의 신변을 걱정하였고, 이는 모략이라고 의심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요리모리의 일족은 오시모야시키(お下屋敷)에서 농성해, 번병이 이것을 둘러싸고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요리모리의 일족 181명이 전원 전사하거나, 자살하였다. 그리고, 요리모리도 간에이 17년 (1640년), 막부의 조정으로 츠가루번으로 귀양갔다 (오시모의 난). 쇼호 2년 (1645년) 3월, 300석을 받는 상급번사 무라카미 아키타케가 일족을 초청해 선조 공양 법회를 지내던 중, 아키타케의 양자인 가쿠베에와 그의 친형 야나세 나가자에몬이 난입해, 일족 70여명을 참살한 사건이 일어난다. 직후에 가쿠베에와 나가자에몬은 자결했기 때문에, 사건의 자세한 내용은 현재까지도 밝혀지지 않았지만, 원인은 무라카미 아키타케에게 후계자가 없고, 후계자로서 가쿠베에를 양자로 맞이하려 했다. 그런데, 카쿠베의 생모의 신분이 낮았기 때문에, 아키타케의 아내가 양자 입양을 반대하며 남편에게 호소해, 아키타케도 양자 결연을 일시 중단했기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라고 여겨진다 (무라카미 일족 살해 사건) 간분 4년 (1664년) 윤5월 7일, 장남 요리타카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 간분 7년 (1667년) 6월 29일에 향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가족관계 = = 아버지 : 사가라 요리후사 (1574 - 1636) 어머니 아키즈키 타네자네의 딸 정실 : 키즈루(亀鶴) - 묘쇼인(明窓院), 인도 요리모리의 딸 계실 : 묘코니(妙光尼) - 와시오 타카나오의 딸 측실 : 쥬코인(周光院) - 카타오카 마사히데의 딸 장남 : 사가라 요리타카 (1641 - 1703) 측실 : 칸츠인(閑通院) - 시부야 시게하루의 딸 생모 불명 장녀 : 於積 - 사가라 요리토미의 계실 차남 : 사가라 요리토시 = 2000년 전국체육대회 = 제81회 전국체육대회는 2000년 10월 12일부터 2000년 10월 18일까지 부산광역시에서 개최되었다. 1976년 제57회 대회 개최 이후 24년만에 개최하였으며,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의 성공적인 개최의 기반을 조성하는 대회이다. = = 개요 = = 대회명칭 : 제81회 전국체육대회 개최기간 : 2000년 10월 12일 ~ 2000년 10월 18일 개최지 : 부산광역시 구호 : 새천년, 새출발, 한민족 힘찬 도약 참가인원 : 21,887명 종별 :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마스코트 : 부비 = = 종목 = = = = = 정식종목 = = = 검도 골프 궁도 근대5종 농구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보디빌딩 복싱 볼링 사격 사이클 세팍타크로 수영 (경영, 다이빙, 수구) 수중 승마 씨름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우슈 유도 육상 인라인롤러 정구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 = = 시범종목 = = = 소프트볼 트라이애슬론 = = 종합순위 = = 개최지 순위 지역 점수 금 은 동 합계 1 경기도 68,562 111 110 111 332 2 서울특별시 64,361 110 90 92 292 3 부산광역시 60,130 70 77 96 243 4 전라북도 42,111 63 44 68 175 5 충청남도 41,329 50 53 76 179 6 인천광역시 40,750 48 62 48 158 7 강원도 38,721 53 49 74 176 8 대구광역시 36,068 48 32 63 143 9 경상북도 35,920 31 44 70 145 10 대전광역시 34,516 49 46 49 144 11 전라남도 32,763 36 39 67 142 12 경상남도 31,422 42 35 69 146 13 충청북도 27,059 26 33 61 120 14 광주광역시 24,978 35 35 43 113 15 울산광역시 24,778 22 26 51 99 16 제주도 13,109 19 33 34 86 총계 총계 총계 813 808 1072 2693 = = = 최우수 선수상 = = = 최우수 선수상은 한국체육기자연맹 기자단의 투표로 결정된다. 최우수 선수상(MVP) : 순창고등학교 역도부 (전라북도) = 블랙히스 (런던) = 블랙히스(Blackheath)는 런던 동남쪽의 구역이다. 루이셤 특별구의 동부와 그리니치 특별구의 남부에 걸쳐 있다. = 앤서니 랩 = 앤서니 딘 랩(, 1971년 10월 26일 ~ )은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 = 출연 작품 = = 스타 트렉 : 디스커버리 (2017) 두 유 테이크 디스 맨 (2016) 오프닝 나이트 (2016) 21 이어스: 리차드 링클레이터 (2014) 특수기동대: 악의 말살 (2012) 러브 앤 어더 임파서블 퍼슈츠 (2009) 렛 뎀 치프 어와일 (2007) 대니 로앤: 퍼스트 타임 디렉터 (2006) 키드냅트 (2006) 윈터 패싱 (2005) 렌트 (2005) 뷰티풀 마인드 (2001) 로드 트립 (2000) 트위스터 (1996) 멍하고 혼돈스러운 (1993) 5번가의 폴 포이티어 (1993) 스쿨 타이 (1992) 유혹 (1989) 야행 (1987) = 율전초등학교 광문분교 = 율전초등학교 광문분교는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 169-1번지에 있었던 초등학교이다. 1999년 폐교당시 재학생은 4명 이었다. 상여차울,하여차울,아치네,우리울등의 마을(화전촌)에서 학생들이 등교하였다. = = 연혁 = = 1953. 4. 1 광문국민학교 개교 1977. 3. 1 방내국민학교 광문분교장 격하 1996. 3. 1 율전초등학교 광문분교 개칭 1999. 9. 1 폐교 = 배흥준 = 배흥준(1959년 11월 7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1983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부그룹의 동부제철(옛:동부제강) 전략기획팀 상무와 동부특수강 감사, 동부메탈 감사 등을 역임하며 28년간 국내 철강업계에서 철강전문가, 재무회계 전문가로 활동했다."중앙일보 조인스 인물정보, 배흥준"조인스인물정보, 2018년 11월 19일 확인"S&S Steel Conference 2007 - 판재류시장 공개토론회 토론자 배흥준 프로필(학력, 경력)" 스틸데일리, 2007년 12월 4일"작지만 강한 제철소 만들것 - 배흥준 동부제강 상무"한국철강신문, 2007년 12월 5일"한국철강협회, 철강산업 발전 세미나 개최 "산업일보, 2008년 9월 15일"동부메탈 임원 공시 배흥준 동부제철 전략기획 담당 상무 신임 감사 선임"아시아경제, 2009년 7월 8일"한국철강협회, 철강전문가 초청 간담회 개최"한국철강신문, 2011년 9월 20일"철강전문가 초청 임원 간담회 개최" 철강협회, 2011년 9월 20일"100대기업 설문조사에 응해주신 분들, 동부제철 배흥준"문화일보, 2012년 1월 25일 역서(譯書)로는 <협동으로 만드는 먹거리 혁명 (따비, 2013년)> <세계 철강산업 구조조정 역사와 현주소 (S&S스틸앤스틸, 2015년)> 등이 있다."게릴라 텃밭지기는 도시를 구할 수 있을까 - 협동으로 만드는 먹거리 혁명"한겨레, 2013년 11월 24일"협동으로 만드는 먹거리 혁명"네이버 책, 2014년 7월 6일 확인"세계 철강산업 구조조정 역사와 현주소" 스틸데일리 신문, 2015년 12월 14일 확인 = = 역서(譯書) = = *협동으로 만드는 먹거리 혁명 2013년 *세계 철강산업의 역사와 현주소 2015년 S&S스틸앤스틸 = 분류:브리기테나우 = = 분류:평창군의 스포츠 = = 분류:이슬람 건축 = = 분류:영덕군체육회 = = 분류:유타 대학교 동문 = = 분류:그래프 색칠 = = 아서스 패스 = 아서스 패스(Arthur's Pass)는 뉴질랜드 남섬 셀윈에 위치한 서던알프스의 타운이다. 이곳은 아서스 패스 국립공원을 탐험하기 위한 인기 있는 기지이다. 아서스 패스 타운은 아서스 패스 고개 남쪽 약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해발은 740m이며, 너도밤나무 숲에 둘러싸여 있다. 빌리 강이 시내를 관통해서 흐르고 있다. = 분류:중국의 불교 = = 분류:베트남의 여군 = = 분류:키프로스에 거주한 포르투갈인 = = 틀:로스앤젤레스 메트로 E선, 아이콘 = = 무사시 대학 = 무사시 대학는 일본 도쿄도 네리마구 토요타마카미 1-26-1에 있는 일본의 사립 대학이다. 1949년에 설립되었다. 줄여 무사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 Weather Report (슬롬의 음반) = Weather Report는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 슬롬의 데뷔 정규 음반으로, 스탠다드 프렌즈를 통해 2022년 10월 27일에 발매되었다.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R&B 음반 후보에 올랐고, 써클 앨범 차트 32위를 기록했다. = = 평가 = = <이즘>의 손민현은 음반에 5점 만점에 3점을 주었다. = = = 연말 목록 = = = 출판사 목록 순위 각주 <리드머> 2022년 최고의 한국 R&B 음반 10장 Honorable mention = = 수상 및 후보 = = 시상식 연도 부문 결과 각주 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R&B 음반 = = 차트 = = 차트 (2022) 최고순위 대한민국 음반 (써클) 32 = = 판매량 = = 지역 판매량 대한민국 3,379 = 1986년 인터콘티넨털컵 = 1986년 인터콘티넨털컵(1986 Intercontinental Cup)은 1986년 12월 14일에 열린 25번째 인터콘티넨털컵 대회이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85-86년 유러피언컵 우승 팀인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198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팀인 리버 플레이트가 맞붙었다. 리버 플레이트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1-0으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경기 = = GK 1 네리 품피도 DF 4 호르헤 고르디요 DF 2 넬손 구티에레스 DF 6 오스카르 루헤리 DF 3 알레한드로 몬테네그로 MF 8 엑토르 엔리케 MF 5 아메리코 가예고 (c) MF 11 로케 알파로 MF 10 노르베르토 알론소 FW 7 안토니오 알사멘디 FW 9 후안 힐베르토 푸네스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MF 14 다니엘 스페란디오 감독: 감독: 감독: 엑토르 로돌포 베이라 엑토르 로돌포 베이라 엑토르 로돌포 베이라 엑토르 로돌포 베이라 1986 = 위키배움터 = 위키배움터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Welcome speech, 지미 웨일스, 위키매니아 2006이다. URL은 www.wikiversity.org이다. 위키버시티는 2006년 8월 15일 영어판이 제일 먼저 시작했으며 새로운 언어판들이 위키배움터 베타에서 시험판으로 생기고 있다. 위키배움터는 모두에게 열린 학습공간을 지향한다. 수천 년 동안 교육 모델 기본 틀은 강의에 기초를 두고 교사가 중심이 되는 획일적·일방적인 형태였고, 산업혁명 이후에도 정부 주도의 공교육은 마찬가지로 획일적·일방적 교육을 통해 짧은 기간 내에 표준화된 지식을 주입하는 일에 치중하였다. by Piotr Konieczny;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January 2007, Vol. 4, No. 1. 위키배움터는 이런 패턴에서 벗어나 상호교류할 수 있으며 소비자 지향적이며 학생 중심적인 교육을 표방한다. 온라인을 통한 ‘e러닝 커뮤니티’를 형성, 새로운 교육을 이룩하려고 한다. = 다카하시촌 (아이치현) = 다카하시촌은 아이치현 니시카모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도요타시에 해당한다. = 외잘란 = 외잘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알파이 외잘란: 터키 이즈미르 출신의 전 축구 선수 압둘라 외잘란: 쿠르디스탄 노동자당(PKK)의 창립 인원 가운데 하나 = 레알 카슈미르 FC = 레알 카슈미르 FC(Real Kashmir Football Club)는 스리나가르를 연고로 하는 인도의 축구단이다. 현재 I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 = 우승 = = I리그 2부 리그: 2017–18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무하마드 하마드(2017 ~ ) = = = 역대 = = = 모로 라미네(2022 ~ 2023) = 초안:강소국 = 강소국이란 나라 규모가 작지만 작은 것에 비해 경제규모가 큰 나라를 말한다. 예를들어 경제규모가 적당하거나 나라 규모가 작지만 GDP 등이 높은 경우를 강소국으로 분류한다. = = 강소국 목록 = = 네덜란드 덴마크 룩셈부르크 싱가포르 중화민국 카타르 쿠웨이트 = 망가베이 = 망가베이(mangabey)는 구세계원숭이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가 있다. 볏망가베이는 볏망가베이속(Lophocebus) 원숭이의 총칭이다. 고지대망가베이는 키펀지속(Rungwecebus)의 유일 종이다. 흰눈꺼풀망가베이는 흰눈꺼풀망가베이속(Cercocebus) 원숭이의 총칭이다. = 김승규 (유도 선수) = 김승규(1967년 8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그는 198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미들급 경기에 출전했었다. = 신라중학교 축구부 = 신라중학교 축구부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신라중학교의 축구부이다. 신라중학교가 운영하는 축구부로 2005년에 창단 하였다. 또한 부산 아이파크가 U-15팀으로 낙동중학교 축구부를 지명하기 이전에 부산 아이파크의 U-15팀으로 활동했었다. = = 출신 선수 = = 이동준 최승인 = 신동엽 VS 김상중 - 술이 더 해로운가, 담배가 더 해로운가 = 신동엽 VS 김상중 - 술이 더 해로운가, 담배가 더 해로운가는 대한민국의 SBS에 2019년 9월 14일부터 9월 15일까지 방송된 추석 특집 교양 프로그램이다. = = 기획 의도 = = 애주가 신동엽과 애연가 김상중의 논리 대결 프로그램이다. = = 출연진 = = 신동엽 (희극인) 김상중 = 제27회 골든 글로브상 = 제27회 골든 글로브상은 1969년 상영된 영화 중 가장 뛰어난 영화를 수상하기 위해 1970년 2월에 열린 시상식이다. 미국, 엠버서더 호텔/코코넛 그로브에서 개최되었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세실 B. 데밀 상 = = = 조안 크로포드 수상 = = = 작품상-드라마 = = = 천일의 앤 - 찰스 재롯 수상 내일을 향해 쏴라 - 조지 로이 힐 미드나잇 카우보이 - 존 슐레진저 미스 진 브론디의 전성기 - 로널드 님 데이 쇼트 하우스 - 시드니 폴락 = = = 여우주연상-드라마 = = = 천일의 앤 - 쥬느비에브 뷰졸드 수상 해피 엔딩 - 진 시몬스 미스 진 브론디의 전성기 - 매기 스미스 푸키 - 앨런 J. 파큘라 데이 쇼트 하우스 - 제인 폰다 = = = 남우주연상-드라마 = = = 진정한 용기 - 존 웨인 수상 천일의 앤 - 리처드 버튼 미드나잇 카우보이 - 더스틴 호프만 미드나잇 카우보이 - 존 보이트 파피 - 알란 아킨 = = = 작품상-뮤지컬코미디 = = =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스탠리 크레이머 수상 선인장 꽃 - 진 삭스 굿바이 컬럼버스 - 래리 피어스 헬로 돌리 - 진 켈리 페인트 유어 웨건 - 조슈아 로간 = = = 여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 = = 미 나탈리 - 패티 듀크 수상 파트너 체인지 - 다이안 캐넌 선인장 꽃 - 잉그리드 버그만 제너레이션 - 킴 다비 헬로 돌리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존과 메리 - 미아 패로우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안나 마냐니 스위트 샤러티 - 셜리 맥클레인 = = = 남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 = = 굿바이 미스터 칩 - 피터 오툴 수상 존과 메리 - 더스틴 호프만 페인트 유어 웨건 - 리 마빈 리버스 - 스티브 맥퀸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안소니 퀸 = = = 여우조연상 = = = 선인장 꽃 - 골디 혼 수상 굿바이 미스터 칩스 - 시안 필립스 헬로 돌리 - Marianne McAndrew 미드나잇 카우보이 - 브렌다 바카로 데이 쇼트 하우스 - 수잔나 요크 = = = 남우조연상 = = = 데이 쇼트 하우스 - 긱 영 수상 천일의 앤 - 안소니 퀘일 이지 라이더 - 잭 니콜슨 리버스 - 멧치 보겔 데이 쇼트 하우스 - 레드 버튼즈 = = = 외국어 영화상 = = = 제트 - 코스타 가브라스 수상 Girls in the Sun 사티리콘 - 페데리코 펠리니 빅 딕 - Ephraim Kishon 아달렌 31 - 보 비더버그 = = = 감독상 = = = 천일의 앤 - 찰스 재롯 수상 헬로 돌리 - 진 켈리 미드나잇 카우보이 - 존 슐레진저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스탠리 크레이머 데이 쇼트 하우스 - 시드니 폴락 = = = 각본상 = = = 천일의 앤 - 브리짓 볼랜드 외 수상 내일을 향해 쏴라 - 윌리엄 골드먼 이프 이츠 튜즈데이 - David Shaw 존과 메리 - John Mortimer 미드나잇 카우보이 - 왈도 설트 = = = 음악상 = = = 내일을 향해 쏴라 - 버트 바카락 수상 천일의 앤 - Georges Delerue 굿바이 미스터 칩스 - 레슬리 브리커스 해피 엔딩 - 미셀 르그랑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어니스트 골드 = = = 주제가상 = = = 미스 진 브론디의 전성기 - Rod McKuen 수상 내일을 향해 쏴라 - 버트 바카락 선인장 꽃 - 퀸시 존스 굿바이 컬럼버스 해피 엔딩 - 미셀 르그랑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 - 어니스트 골드 진정한 용기 - 엘머 번스타인 = 에티엔 치세케디 = 에티엔 치세케디 와 물룸바(, 1932년 12월 14일~2017년 2월 1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민주사회진보연합(UDPS)의 지도자였다. 오랫동안 야당 지도자였던 그는 1991년, 1992년~1993년, 1997년 세 차례에 걸쳐 자이르의 총리를 역임했다. 치세케디는 수십 년 동안 콩고인들의 주요 야당 지도자였다. 비록 그는 독재자 모부투 세세 세코의 정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지만, 그는 또한 모부투 반대 운동을 이끌었고, 독재자에게 도전한 몇 안 되는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치세케디와 그의 UDPS 정당은 선거가 부정적이고 체계적으로 미리 조작되었다는 주장으로 콩고에서 조직된 2006년 선거를 보이콧했다. 카터 센터 등 국내외 관측통들이 신뢰성과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말한 2011년 콩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공식적으로 조제프 카빌라에게 패배한 치세케디는 자신을 콩고의 "선출된 대통령"으로 선언했다. 이후 경찰과 카빌라의 대통령 경호원들이 치세케디의 관저로 들어가는 모든 모퉁이에 배치되어 그를 비공식적으로 가택연금시켰다."DR Congo's Tshisekedi under unofficial house arrest", BBC News (26 January 2012). 2019년에는 아들 펠릭스 치세케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 = 초기 생애 및 경력 = = 1932년 벨기에령 콩고의 룰롸부르(현재의 카사이옥시당탈주 카낭가)에서 알렉시스 물룸바와 그의 아내 아그네스 카베나의 아들로 태어났다. 민족적으로 그는 루바족의 일원이었다. Per this source, Tshisekedi is sometimes known as the "Zairian Moise", Moïse being the French translation of Moses. 치세케디는 카발루안다주(서카사이주)에 있는 초등학교를 다녔으며 1961년 레오폴드빌(현재의 킨샤사)에 있는 로바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 정치 경력 = = 치세케디의 경력은 그의 나라의 정치 역사와 얽혀 있었으며 콩고는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을 쟁취하였다. = = 사망 = = 2017년 1월 24일 치세케디는 치료를 위해 벨기에로 떠났다. 그는 일주일 뒤인 2월 1일 브뤼셀에서 사망했다. = 분류:초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소설 = = 세리나 = 세리나 또는 세레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 = 지명 = = 세리나 (이탈리아) = = 영화 = = 세레나 (영화): 2014년 개봉한 미국,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 = = 인명 = = = = = 실존 인물 = = = 세리나 (가수):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SDN48의 전 멤버 세리나 윌리엄스: 세계 랭킹 1위인 미국의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 세리나 디브: 미국의 여자 프로레슬링선수 세리나 라이더: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세리나 빈센트: 미국의 배우 세리나 디브: 미국의 여자 프로레슬링선수 세리나 라이더: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세레나 로시: 이탈리아의 배우 알도 세레나: 이탈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 = = 가공의 인물 = = = 세레나 (포켓몬스터) = 분류:1944년 리투아니아 = = 시셀 쉬르세뵈 = 시셀 쉬르세뵈 (Sissel Kyrkjebø, 노르웨이식 발음: [ˈsɪ̀sːl̩ ˈçʏ̀ʁçəˌbøː])는 1969년 6월 24일 출생한 노르웨이 소프라노이다. 단순히 시셀로 불리며 시셀 슈사바(영어식 발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시셀 쉬르세뵈는 교회의 언덕이라는 뜻이다. 시셀은 세계 최고의 크로스 오버 소프라노 중 하나로 간주된다. 그의 음악 스타일은 팝 녹음과 민요에서 클래식 보컬과 오페라 아리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녀는 생상의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의 아리아 Mon cœur s'ouvre à ta voix 와 같은 메조-소프라노 음정부터 소프라노 C 위의 F 내츄럴에 이르기까지 넓은 보컬 범위를 가지고 있다. 그녀는 주로 영어와 노르웨이어로 노래를 부르지만, 스웨덴어, 덴마크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독일어, 나폴리어, 마오리어, 일본어, 라틴어로도 노래를 불렀다. 그녀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개최된 1994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과 폐막식에서 올림픽 찬송가 (Hymne Olympique)를 부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셀은 2007년 12월 6일 몰몬 태버 내클 합창단과의 콜라보로 미국 그래미상 후보에 처음 지명되었다. 템플 스퀘어에서 열린 합창단의 2006년 크리스마스 콘서트 노래 모음 인 Spirit of the Season 은 'Best Classical Crossover Album of the Year'와 'Best Engineered Classical Album'에 지명되었다. 시셀의 솔로 음반 판매량 (사운드 트랙 및 시셀이 참여한 기타 앨범 제외)은 1000만 장의 앨범이 판매되었으며, 대부분의 엘범은 인구 500만의 노르웨이에서 팔렸다. 이외의 스웨덴, 덴마크, 일본 등지에서도 잘 팔렸다. * = 모리시타촌 = 모리시타촌은 기후현 가이즈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가이즈시에 해당한다. = 모듈:Location map/data/CAN SK Frenchman Butte = return { name = 'Frenchman Butte No. 501', top = 53.812960, bottom = 53.268982, left = -110.023598, right = -109.059441, image = 'Frenchman Butte No. 501 Coloured Map.svg', } = 틀:번역 직후 = = 분류:나라현의 요괴 = = 틀:1998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캐나다 선수 명단 = = 발 데 데뷔탕트 = 발 데 데뷔탕트는 프랑스의 패션 행사이다. 세계 각 국 16~22세 여성 20~25명 정도가 참여한다. 매년 11월 파리에서 열린다. 르 발(Le Bal)이라고도 불린다. 1992년 9월 27일, 오필리아 르누아르(Ophélie Renouard)가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 행사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보통 유력 집안의 자제들이다. 재력만으로 참가자를 선정하진 않는다. 데뷔탕트들에게 르 발은 하이 패션계로 입문하는 행사 중 하나이다. = 분류:보철물 = = 로건 밀러 = 로건 밀러(Logan Miller, 1992년 2월 18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이스케이프 룸 2: 노 웨이 아웃 (2021) 프레이 (2019) 위 섬온 더 다크니스 (2019) 이스케이프 룸 (2019) 유 캔 추즈 유어 패밀리 (2018) 러브, 사이먼 (2018) 더 센트 오브 레인 앤 라이트닝 (2017) 베일리 어게인 (2017) 7번째 내가 죽던 날 (2017) 더 굿 네이버 (2016) 테이크 미 투 더 리버 (2015) 더 스탠포드 프리즌 엑스페리먼트 (2015)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 (2015) 어둠 속에서 (2013) 딥 파우더 (2013) 플러스 원 (2013) 우드 유 래더 (2012) 디 암 (2011) 고스트 오브 걸프렌즈 패스트 (2009) 아더와 미니모이 2 : 셀레니아 공주 구출 작전 (2009) = 텔레도사사우루스 = 텔레도사사우루스(학명:Teleidosaurus calvadosii)는 악어목 텔레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악어이다. 지금은 멸종된 악어로 몸길이가 4~6m인 거대한 악어에 속한다. = = 특징 = = 텔레도사사우루스는 바다의 생활에 적응하여 살았던 바다악어 중에 하나이다. 꼬리의 끝은 지느러미의 모습으로 변화했으며 발은 수영에 걸맞게 물갈퀴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바다에 적응하여 바다에서 살았던 악어인만큼 몸에는 바다의 염분을 조절하는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양턱에는 총 25~30개의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통해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생의 고래나 돌고래처럼 바다에서 자신의 어린 개체를 직접 출산하였는지 아니면 현생의 바다거북처럼 직접 자신의 알을 산란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정보가 없다. 분류학적으로 보면 텔레오사사우루스는 중학교 쥬라기로부터 프랑스 노르망디의 매장량( 늦Bajocian에 일찍Bathonian 무대)에서 주로 생존했던 육식성metriorhynchoid crocodyliform의 Teleidosaurus라는 멸종된 바다악어의 속이다. 그 이름 Teleidosaurus와 그리스 Teleidos-("완전한")는 σαῦρος -sauros("도마뱀")에서 유래되었다 그래서 이름의 뜻은 "완전한 도마뱀"을 의미한다. 그러한 모식종 자크 Amand Eudes-Deslongchamps에 의해 텔레오사사우루스 Calvadosii로 1866년에 지명된 후에 1869년에 텔레오사사우루스 calvadosii를 위한 일반적인 이름이 되는 텔레도사사우루스를 명명했다. 하지만 그것은 그의 아종인 외젠 Eudes-Deslongchamps. T.calvadosii의 그레이트 Oolite 형성에서 Teleidosaurus joberti를 가르킨다. T.calvadosii는 플라스토 타입이다. NHM R.2681 완전한 두개골과 아래 턱 뼈와 NHM 32612, T.joberti, 단편적인 오른쪽 아래 턱 뼈의 plastotype에서 알려져 있다. 그 holotype은 2차 세계 대전 중에 졌다. 텔레도사사우루스 내에 유일한 종은 그 모식종 T.calvadosii이다. 둘 다 T.bathonicus, Tgaudryi이 Eoneustes에 대해 언급했다. 모든 종은 칼바도스로 노르망디 프랑스 출신이다. 최근의 계통 분석 Teleidosaurus의 monophyly을 지지하지 않는다. 먹이로는 당대에 서식했던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 등을 잡아먹었던 육식성의 포식자로 추정된다. = = 생존시기와 서식지와 화석의 발견 = = 텔레도사사우루스가 생존하던 시기는 중생대의 쥐라기 초기로 지금으로부터 약 2억년전~1억 8천만년전에 서식했던 악어이다. 생존했던 시기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대서양, 북극해, 지중해에서 주로 서식했던 바다악어이다. 화석의 발견은 1866년에 유럽의 쥐라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이 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며 지금의 텔레도사사우루스란 정식적인 이름은 1869년에 새로이 받게 된다. = 의령 수성리 지석묘군 = 의령 수성리 지석묘군(宜寧 修誠里 支石墓群)은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수성리에 있는 고인돌 군이다. 1997년 12월 31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91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수성리의 가례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남북에 자리하고 있는데, 북쪽 들판에 3기, 남쪽의 밭에 1기가 있다. 북쪽의 1·2·3호는 모두 한 줄로 늘어서 있으며 바둑판식이다. 규모를 보면 1호는 길이 1.9m, 너비 1.6m이고, 2호는 길이 3.6m, 너비 1.6m이며, 3호는 길이 1.5m, 너비 1.2m이다. 남쪽에 위치한 4호는 길이 2.7m, 너비 1.7m이며 덮개돌 아래에 있는 받침돌들이 일부 드러나 있다. 현재는 4기 밖에 없으나 주민들에 의하면 예전에는 여러 기가 더 있었다고 한다. = 횃불쌈놀이 = 횃불쌈놀이는 오래전부터 음력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여러 농촌지역에서 행해 왔다. 특히 충청남도 지방에는 횃불이 융성을 상징한다는 뜻에서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웠던 백제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보름날 저녁에 각 부락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횃불을 들고 들로 나간다. 횃불을 만들기 위해서 헌 싸리비 또는 대비나 짚을 다발로 묶어 횃대를 만든다. 먼저 논두렁이나 개천 두렁에 불을 붙이고 놀다가, 양쪽 사람들의 대열이 정돈되면 횃불을 높이 들고 풍물을 치고 환성을 지르며 달려들어 서로 횃불을 빼앗으려고 실랑이를 벌이는데 이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차차 횃불을 빼앗겨 항복하는 이가 늘어나게 되어, 어느 한쪽의 횃불이 거의 없어지면 그친다. 이긴 편은 풍년이 들고 진편은 흉년이 든다고 하지만 청년들이 서로 흥겹게 노는 것이 목적이다. = 춘색한녀 = "춘색한녀"(Revenge Of A Woman)는 한국에서 제작된 임원식 감독의 1971년 공포 영화이다. 오수미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우기동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오수미 : 설 역 윤양하 : 완 역 우연정 : 버들 역 서영춘 : 노복 역 송미남 : 노파 역 이낙훈 : 최대감 역 전숙 : 부인 역 지방열 : 집사 역 김기범 : 노승 역 박경주 : 영의정 역 송일근 : 집사 역 김지영 : 침모 역 김신명 : 무당 역 박장섭 : 사나이 A 역 안창복 : 사나이 B 역 최훈 : 금부도사 역 최성관 : 머슴 역 = 발리해 = 발리 해(는 발리 섬의 북쪽, 캉게안 섬의 남쪽에 있는 바다이다. 플로레스해의 남서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마두라 해협이 있다. = 분류:오대호의 섬 = = 포르탈레자 EC = 포르탈레자 이스포르치 클루비(Fortaleza Esporte Clube)은 세아라 주 포르탈레자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 = 선수 명단 = = = = = 현역 = = = 에디뉴(2013 ~ 2014, 2018, 2019, 2021 ~ ) 헤나투 카이제르(2022 ~ ) = = = 역대 = = = 구스타부 소자(2018) 안드레 루이스(2019) 패트릭 올리베이라(2014) = = 역대 감독 = =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2011) = 클로리스 (동음이의) = 클로리스(Cloris, Chloris)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클로리스(Chloris):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용어 클로리스 리치먼(Cloris Leachman): 미국의 배우 클로리스 (식물) 클로리스 (새) 410 클로리스: 소행성 = Sleep Dirt = Sleep Dirt는 1979년 1월 19일에 발매된 프랭크 자파의 음반이다. = 강박관념 (1943년 영화) = 강박관념은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루치노 비스콘티 감독의 1943년 드라마, 범죄, 스릴러 영화이다. 제임스 M. 케인의 장편 소설인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를 원작으로 삼았지만, 원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개봉한 지 얼마 안 돼서 상영 금지당했다. 루키노 비스콘티가 처음으로 감독한 영화이며 비스콘티는 이 영화를 최초의 네오레알리스모 영화라고 주장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클라라 칼라마이 마시모 지로티 = = = 조연 = = = 디아 크리스티아니 엘리오 마르쿠조 비토리오 듀세 미셸 리카르디니 = = 기타 = = 조감독: 쥬세페 드 산티스 조감독: 안토니오 피에트란젤리 의상: 마리아 드 마테이스 = 분류:핀란드 대공국 출신 = = Around the Fur = Around the Fur는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 데프톤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97년 10월 28일 매버릭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My Own Summer (Shove It)〉와 〈Be Quiet and Drive (Far Away)〉는 뮤직 비디오와 함께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1999년 6월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고, 2011년 마침내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 배경 = = Around the Fur는 얼터너티브 메탈, 누 메탈, 포스트 하드코어, 얼터너티브 록으로 묘사되어 왔다. 기타리스트 스티븐 카펜터는 "우리는 그 점에 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저는 이 하위 장르 이름들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를 기억합니다. 그냥 메탈이었어요. 그래서 저는 우리가 그것을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는 그저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했고, 킬러 음반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을 뿐입니다." 프로듀서 테리 데이트는 밴드가 Around the Fur와 함께 "더 세련되고" 싶어했다고 말했다. 서정적으로, 이 음반의 많은 부분은 청소년 인식, 실존적 불안, 섹스, 가정 학대, 폭력,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 그리고 이별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 음반은 프랭크 델가도가 추가 인원으로 참여한 두 번째 음반이다. 〈Headup〉은 소울플라이의 맥스 카발레라의 보컬이 피처링되었다. 이 곡은 카발레라와 데프톤스의 가수 치노 모레노가 카발레라의 의붓아들이자 치노의 친구였던 다나 웰스의 죽음에 대한 그들의 고통을 표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썼다. 밴드명 "소울플라이"는 이 노래를 위해 발명된 포르망토에서 따왔다. 음반의 가사가 책자에 포함되었지만, 모든 단어가 인쇄되지는 않았다. 좋은 예가 〈Lhabia〉라는 노래이다. 구절에서 모레노는 해독하기 어려운 진술을 속삭인다. 〈Headup〉이라는 노래에도 한 구절이 빠져 있다. 음반 커버는 사진작가 릭 코식이 밴드가 녹음 중인 시애틀의 심야 파티 도중 촬영했다. 한 여성의 솔직한 사진을 본 밴드는 이 사진을 음반 커버로 사용하고 싶다고 결정했다. 코식은 그 여성이 누구인지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밴드는 사진을 사용할 수 있는 허가를 얻기 위해 그녀를 찾고 추적해야 했고, 결국 그녀는 그것을 허락했다.Bennet, J.Revolver. September 2007. Pg. 122 커버에 등장하는 여성은 스티븐 카펜터의 친구인 워싱턴주 거주자 리사 M. 휴즈다. 휴즈는 2017년 음반의 20주년 동안 처음으로 커버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했다. 이후 모레노는 커버에 대해 "끔찍하다"며 혐오감을 드러냈다. = = 발매 = = 이 음반은 큰 기대를 받았고, 싱글 〈My Own Summer (Shove It)〉(1997년 12월 22일 발매)와 〈Be Quiet and Drive (Far Away)〉(1998년 3월 9일 발매)의 라디오와 MTV 방송의 강세로 밴드를 얼터너티브 메탈 씬에서 유명하게 만들었다. 이 음반의 타이틀곡은 홍보용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Around the Fur는 발매 첫 주에 43,000장이 팔렸고, 빌보드 200에 29위(최고 순위)로 진입해 17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Glover, Adrian Gregory. Deftones: Running on Pure Passion, Circus, May, 1998. Around the Fur는 1999년 6월 24일에 미국 음반 산업 협회 골드, 2011년 6월 7일에 플래티넘 골드 지위에 올랐다. 이 음반이 스포티파이에서 발매되었을 때, 이 음반에는 원래 발매된 음반보다 1분 더 오래 실행되는 대체 버전의 〈Headup〉이 포함되어 있었다. = = 곡 목록 =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데프톤스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양지 축구단 = 양지 축구단(陽地 蹴球團)은 1967년 3월에 창단하여 1970년까지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양지 축구단의 역사는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체제 경쟁을 벌이던 1960년대 반공주의 운동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대통령 다음 가는 권력을 누린 김형욱이 직접 팀 창단을 주도하고 관리했기 때문에, 양지팀은 중앙정보부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었다. '양지'라는 이름 자체가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는 중앙정보부의 슬로건에서 따온 것이었으며, 선수들의 숙소도 중앙정보부가 있던 서울시 이문동에 마련했다. 일부에서는 양지팀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맞대결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김형욱이 직접 창단하고 운영에 깊이 개입했던 실미도 684부대와 비교하기도 한다. (양지팀은 실미도 684부대보다 1년 먼저 만들어졌다.) 양지팀과 사실상 마찬가지로 실미도 부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결하겠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운영되었으나, 남북 화해 분위기 때문에 본래의 목적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가 김형욱이라는 후원자가 실각하면서 결국 흐지부지 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 = 역사 = = = = = 설립 = = = 잉글랜드에서 열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박두익의 결승골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었고, 8강전에서 아깝게 역전패를 당했지만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과 대등하게 맞섰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의 선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극심한 체제경쟁을 벌이던 대한민국에게는 충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형욱은 축구팀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당시에는 프로 축구가 있기 전이었으므로 선수들이 체계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러한 조직적인 지원책을 강구한 것이다. 육군 축구단, 해군 축구단, 공군 축구단, 해병대 축구단 등 군에 입대한 병사 뿐만 아니라 당시 입대 연령대의 축구 선수들을 모두 모아서 축구팀을 만들었고 '황금 다리'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던 최정민 감독을 초대 감독으로 임명했다. 결국 이세연, 김호, 김정남, 서윤찬, 정병탁, 김삼락, 이회택, 임국찬 등 국내 최고의 선수들을 모을 수 있었다. 김형욱은 팀 운영에 깊히 개입했으며 최고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선수들의 월급으로 당시 국영기업체 중간 간부들 월급과 유사한 2만원 씩 지급했고, '이기라면 이기고, 죽으라면 죽어라'며 선수들에게 강한 정신력을 주문하기도 했다. 또한 그 당시 국가대표팀조차 허가 없이 사용하지 못하였던 이문동에 위치한 천연 잔디 구장을 선수들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1969년에는 한국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으로 105일 동안 전지훈련을 떠나 현지 팀들과 연습 경기를 가지기도 했으며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인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 = 해체 = = = 양지 축구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팀과 맞대결을 해도 부족함이 없도록 훈련받았으나, 막상 양지 축구단이 운영되는 동안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경기를 가지지 않았다. 1960년대 끝무렵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사이에서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양지 축구단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고, 무엇보다 양지 축구단의 든든한 후원자였던 김형욱이 실각하면서 존폐의 위기에 몰려 결국 1970년 3월 17일에 흐지부지 해체되었다. 양지 축구단은 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체제 경쟁이라는 정치적 논리로 설립된 팀이었으나 대한민국의 축구에 영향을 주었다. 양지에 소속되었던 여러 선수들은 축구단이 해체된 이후에도 대한민국 축구계에서 활발히 활동하였고, 대한민국 축구가 한 단계 도약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 = 성적 = =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준우승 (1) : 1969 메르데카 컵 우승 (1) : 1967 = = 유명 선수 = = 김정남 김호 이회택 = SASA = SASA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Sasa 슬로베니아 예술 과학 아카데미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 가가미사토촌 = 가가미사토촌은 니가타현 가리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가시와자키시에 해당한다. = 분류:2019년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 = 런닝맨 (2013년 영화) = 런닝맨은 2013년 개봉된 대한민국의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또한 대한민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20세기 폭스가 제작 투자하여 개봉한 첫 작품이다. = = 줄거리 = = 힌떼 도망실력이라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잡범이었지만 지금은 낮에는 카센터 직원으로 밤에는 콜기사로 일하는 남자 차종우. 가족이라고는 고교시절 사고쳐서 얻은 18살차 아들 기혁이 전부. 하지만 기혁과의 관계는 말이 좋아서 부자지간이지 실상은 서로의 인생을 갈라놓고 사는 콩가루 집안이며 학교에서 아들이 사고를 쳤다는 전화가 걸려와도 눈하나 깜빡않고 교칙대로 처리하라고 할 정도. 그러던 어느날, 콜기사로 일하던 그는 모든 계산을 수표로 하는 한 양복쟁이를 만나게 된다. 좀 짜증나긴 했지만 그를 대박손님이라 여기며 시키는대로 운전해주고 있는데 목적지에 다왔는데도 손님이 내리지 않았다. 자세히 보니 그는 이미 피를 흘린채 죽어있었다. 하루아침에 살인범이 되어 경찰들에게 쫓기던 종우는 이젠 정체모를 조직의 협박까지 받게된다. 게다가 하나뿐인 아들 기혁에게마저 의심을 사게 된 그는 잡범시절 쌓아온 도망실력을 발휘해 추격을 따돌리는 한편 기지를 발휘해 자신에게 누명을 씌운 자의 정체를 알아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아빠가 누명을 쓰고 쫓기고 있다는걸 알게 된 기혁 또한 문제의 사건의 담당형사인 안상기와 경찰서를 기웃거리는 여기자 박선영과 함께 진범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 = 캐스팅 = = 신하균 - 차종우 역 이민호 - 차기혁 역 김상호 - 안상기 반장 역 조은지 - 박선영 기자 역 오정세 - 장도식 역 주현 - 문 목사 역 김의성 - 김호 부장 역 정석용 - 정석용 경찰서장 역 남경읍 - 리차드마 역 원웅재 - 최 형사 역 정민성 - 최 기자 역 조운 - 다크남 역 김태훈 - 미 대사관 직원 역 한수연 - 김가연 역 권범택 - 홍성훈 박사 역 공윤찬 - 스킨쉽 커플남 역 한승현 - 호텔 보안실 직원 1 역 기세형 - 요원 4 역 박성일 - 기혁 담임 역 김수환 - 형사 1 역 정기섭 - 형사 2 역 김두봉 - 형사 3 역 박국선 - 카센터 차주녀 역 염동헌 - 취객 역 (특별출연) 박상욱 - 턱수염 역 (특별출연) = 분류:프랑스계 베네수엘라인 = = 청주 월리사 대웅전 = 청주 월리사 대웅전(淸州 月裡寺 大雄殿)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다.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월리사 대웅전은 1657년(효종 8)에 명현당(明玄堂) 원학대사(元學大師)가 이웃에 있던 신흥사(新興寺)를 옮겨 지은 것으로 사적비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처마 끝에 장식된 암막새기와에‘옹정경술(雍正庚戊)’이라는 양각글씨가 있어 1730년(영조6년)에 한차례 중수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축양식으로 보아서도 조선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데 정면3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다포식이다. 자연석으로 높게 쌓은 기단 위에 자연석의 주초석을 사용하였는데 우주(隅柱)가 평주(平柱)보다 훨씬 굵고 높다. 처마는 겹처마로 앞면의 양쪽 끝에는 활주를 세워 하늘을 향해 날아갈듯이 반전한 추녀 끝을 받치고 있어서 팔작지붕 건물에서 보이는 한국건축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대웅전 내부의 내목도리 윗벽,포벽,반자,대량은 신선,선승,동자 등의 모습이 담겨진 벽화로 장엄되어있는 데, 벽화로서 상당한 수준이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대웅전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힌다. = = 명칭 변경 = =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8호 청원월리사 대웅전(淸原月裡寺 大雄殿)으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1월 18일 청원 월리사 대웅전淸原 月裡寺 大雄殿)으로 변경되었고, 충청북도 고시 제2013-11호, 충청북도 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변경 고시, 충청북도지사, 2013-01-18 2014년 7월 1일 청주시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현재의 문화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충청북도 고시 제2014-190호 ,충청북도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명칭 및 소재지 변경 고시, 충청북도지사, 충청북도 도보 제2828호, 250-254면, 2014-06-27 = = 참고 자료 = = * 월리사 대웅전 = 분류:보은을 소재로 한 작품 = = 장주희 (아나운서) = 장주희는 대한민국 CBS의 아나운서이다. = = 학력 = = 1988 ~ 1992 :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 학사 2003 ~ 2006 : 원광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 석사 = = 입사년도 = = 1993년 2월 ~ 현재 : CBS 아나운서 = = 출연 프로그램 = = = = = 현재 = = = CBS 표준FM - 오늘 하루 장주희입니다 (2016년 4월 25일 ~ 현재) CBS 표준FM - CBS 뉴스 (1998년 12월 15일 ~ 현재) = = = 과거 = = = CBS 표준FM - 《교회 가는 길》 CBS 표준FM - 《든든한 삶》 CBS 표준FM - 《장주희의 뮤직플러스》 CBS 음악FM - 《장주희의 가요속으로》 CBS 음악FM - 《12시에 만납시다 장주희입니다》 CBS 음악FM - 《저녁스케치 939 장주희입니다》 CBS 음악FM - 《오후의 클래식 장주희입니다》 CBS 표준FM - 《정오의 문화저널》 CBS 표준FM - 《CBS 낮 종합뉴스》 CBS 표준FM - 《함께 사는 세상》 CBS 음악FM - 《내가 매일 기쁘게 장주희입니다》 CBS 표준FM - 《양병삼의 시사자키(주말 장주희)》 CBS 음악FM - 《Amazing Grace 장주희입니다》 CBS TV - 수호천사 사랑의 달란트를 나눔시다 CBS TV - 새롭게 하소서 CBS 표준FM - 《장주희의 해피송》 (2015년 9월 14일 ~ 2016년 4월 24일) = = 수상 = = 2005년 : 한국 아나운서대상 라디오진행자상 = = 저서 = = 2019년 12월 15일 : 들리는 설교 = 호간의 영웅들 = 호간의 영웅들은 미국의 텔레비전 시트콤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포로 수용소를 무대로 하였다. 1965년 9월 17일부터 1971년 4월 4일까지 CBS 방송을 통하여 총 168회가 방영되었다. 밥 크레인이 특수부대를 운용하는 수용소 내 연합군 팀을 조직한 로버트 E. 호간으로, 베르너 클렘페러가 수용소의 무능한 소장인 빌헬름 킬링크 대령으로, 존 배너가 실수 연발의 경비 대장 한스 슐츠로 출연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 9월부터 1981년 6월까지 문화방송에서 매주 토/일요일 저녁에 방송되었다. = Redfox = Redfox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붉은 여우, 홍색 여우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이다. 레드 폭스: 미국의 영화배우이다. 가질 레드폭스: 페어리 테일의 등장인물이다. = 분류:씨프 (시리즈) = = 틀:Chembox pKb/설명문서 = = 다카치호 = = = 교통 = = 다카치호 철도, 미야자키현의 다카치호선을 운영하던 지방 철도회사. 2009년 폐업. 다카치호선, 노베오카시 노베오카역과 니시우스키군 다카치호역을 잇던 철도선. 2008년 12월 28일 폐선. 다카치호, 도쿄역과 서가고시마 중앙역을 이었던 당시에 일본에서 가장 길었던 급행열차. = = 선박 = = 다카치호 (방호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의 2번함. 다카치호마루, 민간 여객선이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특설부설정으로 쓰인 선박. = = 지명 = = 다카치호봉, 기리시마산맥을 이루는 봉우리 중에서 미야자키현과 가고시마현 사이에 있는 하나의 봉. 다카치호정, 미야자키현 니시우스키군의 마을. 다카치호 교량, 미야자키현 니시우스키군 다카치호정에 있는 철도교. = 추라이 국제공항 = 추라이 국제공항은 중부 공항 공사에서 운영하는 베트남 추라이에 있는 공항이다. 추라이 국제공항은 원래 미국 해병대에 의해 베트남 전쟁때 추라이 공군기지로 설립되었다. 2004년 3월 22일 터미널 건설이 시작되었고 2005년 3월 22일 호찌민시의 떤선녓 국제공항으로의 첫 상업 항공편이 이곳에 착륙했다. 2008년 현재 추라이 국제공항은 베트남에서 면적이 30km2에 이르는 가장 큰 비행장이다. 활주로 길이는 3050m이다. 인근 2개 주요 도시로의 이동편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땀끼와 꽝응아이를 위한 공항까지 무료 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 국가주도주의 = = 디나 코르준 = 디나 코르준(, , 1971년 4월 13일 ~ )는 러시아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페어웰 (2009) 영혼을 빌려드립니다 (2009) 중재인 (2008) 로라 (2004) 테오리야 자포야 (2003) 라스트 리조트 (2000) = 틀:ATP가수분해효소 = = 산곡동 = 산곡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산곡동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법정동이다. 산곡1동, 산곡2동, 산곡3동, 산곡4동은 행정동이다. 산곡동은 경기도 의정부시의 법정동이다. 산곡동은 충청북도 제천시의 법정동이다. 산곡동은 전라북도 남원시의 법정동이다. 하산곡동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다. 상산곡동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이다. = 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영화 배우 = = 위키백과:관리자 목록 =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 목록입니다. 현재 활동 중인 관리자와 활동하지 않는 관리자를 분류해 놓았습니다. 활동 중이라는 것은 최근 100일 간 편집 행위 또는 권한 행사가 있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는 총 명이며, 그 중 18명이 활발히 활동 중이고, 4명이 틈틈이 활동 중입니다. = = 과거의 관리자 = = 예전에 관리자로 활동했으나 현재는 물러난 사용자 목록입니다. (? ~ 2004년 3월 27일) (임시 관리자, 2004년 3월 9일 ~ 2004년 10월) 로그, (임시 관리자, ? ~ 2005년) (임시 관리자, 2006년 3월 ~ 2007년 3월 17일) (2006년 1월 11일 ~ 2008년 7월 31일) , (임시 관리자, 2002년 ~ 2009년 3월 19일) (BongGon) (2008년 2월 18일 ~ 2010년 1월 13일) , (2008년 7월 13일 ~ 2010년 9월 5일) , (임시 관리자, ? ~ 2011년 1월 19일) 권한 회수 투표 가결, (2008년 2월 16일 ~ 2012년 7월 31일) (2010년 9월 3일 ~ 2013년 1월 25일) , (2008년 3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 (2011년 10월 17일 ~ 2014년 5월 3일) 권한 회수 투표 가결 (2009년 12월 23일~ 2016년 4월 18일) 사랑방에 관리자 사퇴 공지를 함 (2008년 8월 27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08년 12월 31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06년 4월 16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07년 2월 27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08년 8월 27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06년 10월 1일 ~ 2017년 10월 27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7년 (2010년 4월 4일 ~ 2010년 5월 18일, 2015년 4월 24일 ~ 2018년 10월 3일) 자진 사퇴, 권한 회수 토론 중 사퇴 (2011년 8월 31일 ~ 2019년 1월 2일) 사랑방에 관리자 사퇴 공지를 함 (2014년 8월 21일 ~ 2019년 7월 15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19년 7월 (2005년 10월 20일 ~ 2020년 1월 28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20년 1월 (2006년 3월 10일 ~ 2020년 7월 16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20년 7월 (2008년 12월 8일 ~ 2022년 7월 14일) 위키백과:비활동 관리자 권한 회수/2022년 7월 = 분류:나라별 일간신문 = = 분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 줄리 곤살로 = 줄리 곤살로(Julie Gonzalo, 1981년 9월 9일 ~ )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펀칭백 (2017) 어나더 타임 (2016) 알렉스 & 더 리스트 (2016) 와플 스트리트 (2015) 뱀프 유 (2013) 일라이스톤 (2008) 체리 크러쉬 (2007) 무비다스 (2007) 비밀과 거짓말의 차이 (2005) 크리스마스 건너뛰기 (2004) 피구의 제왕 (2004) 신데렐라 스토리 (2004) 베로니카 마스 (2004) 프리키 프라이데이 (2003) = 이종재 = 이종재(李宗宰, 1944년 2월 18일 ~ )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교육개발원 원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행정전공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미국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하다 2009년 정년퇴임하였다. 주요저서로는 “교사론”, “한국 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Education in the Public of Korea: Approaches, Achievement, and Current Challenges in An African Exploration of the East Asian Education Experience” 등이 있다. = 토월초등학교 = 토월초등학교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토월초등학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296번길 3 토월초등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 = 신용구 = 신용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신용구(申鏞九, 1883 ~ 1967)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천도교 지도자이다. 신용구는 대한민국의 퍼포먼스 아티스트이다. = SSP (소프트웨어) = SSP는 윈도에서 작동하는 우카가카 베이스웨어 (호환 애플리케이션)이다. 2001년 2월 9일에 DOIchan!이 개발을 표명하고 같은 해 2월 21일에 데모 버전(Phase 00.01)이 공개되었다. 일단 2002년 4월 15일에 DOIchan!이 개발 철퇴를 선언하고 배포를 중단하지만 그 다음날 Chameleon Ponapalt가 프로젝트를 이어받아 지금까지도 계속 개발 중이다. 한국어 언어 패키지와 중국어 언어 패키지도 존재한다. = 글리마 = 글리마(Glima)는 아이슬란드의 레슬링이다. 다른 레슬링에 비해 크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 항상 선 상태에서 경기를 한다. 상대는 서로의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돈다. 가능한 한 상대의 어깨 너머로 시선을 돌려야 하게 한다. = 최신유행 프로그램 = 최신유행 프로그램은 XtvN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 방송 개요 = = 토요일 밤 12시가 되면 최신유행 미드 나이-트가 시작된다! 핵인싸가 되고 싶은 아싸를 위한 하이브리드 버라이어티 미드나잇 쑈쑈쑈쑈! = = 방송 시간 = =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XtvN XtvN 시즌 1 : 2018년 10월 6일 ~ 11월 24일 토요일 오후 7시 30분 XtvN 시즌 2 : 2019년 9월 7일 ~ 12월 21일 토요일 밤 12시 00분 XtvN XtvN XtvN XtvN = = 시즌 1 = = = = = 출연자 = = = 권혁수 김민교 예원 이세영 문빈 지호 박규남 지예은 이재준 조엘 로버츠 = = = 코너 = = = 《요즘 것들 탐구생활》 《허트 시그널》 《김요한 이야기》 = = 시즌 2 = = = = = 출연자 = = = 권혁수 김민교 정이랑 예원 이세영 강율 문빈 아린 박규남 지예은 김은정 이홍렬 = 한국팜비오 = 한국팜비오는 제약, 도매, 의약품 수출입업을 전문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1999년 5월에 설립하였으며, 국내 최초의 요로결석 치료제인 유로시트라 액을 개발하였다.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 본사를 둔 우수 제약회사들과의 협력으로 다양한 전문 의약품의 개발을 맡고 있다. = 분류:기원전 260년대 = = 틀: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 = 스프링필드 인디언스 =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Springfield Indians/Syracuse Warriors/Springfield Kings)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스프링필드/뉴욕주 시러큐스/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를 연고지로 하는 1935년부터 1994년까지 AHL 소속되었던 아이스 하키팀이다. 1994년 연고지를 매사추세츠주 우스터 (우스터 아이스캐츠)로 이전했다. = = 역대 홈경기장 = =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 스프링필드 인디언스/시러큐스 워리어스/스프링필드 킹스 경기장 사용기간 수용인원 장소 비고 이스턴 스테이트 콜리시엄 1935년~1951년1954년~1972년 6,000명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스프링필드 온센터 워 메모리얼 아레나 1951년~1954년 6,159명 뉴욕주 시러큐스 스프링필드 시빅 센터 1972년~1994년 6,866명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 NAM = NAM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비동맹 운동 (Non-Aligned Movement) 베트남 (Vietnam) 나미비아 (Namibia) 핵산 대사 (nucleic acid metabolism) = 분류:오시마씨 = = 분류:쓰쿠바군 = = 분류:쿠웨이트의 축구단 틀 = = 안성 무양성 = 안성 무양성(安城 無陽城)은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방신리에 있는 성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이 성은 고성산 능선에 둥글게 쌓은 성으로, 내성 구간이 석축으로 축조되어 있다. 이 성곽의 축성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록과 산성 내에서는 삼국시대의 기와나 토기편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초축된 후 고려와 조선시대에 보강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안에는 운수암이라는 암자가 있는데, 설화에는 운수암(雲水庵)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양(無陽)이라는 사람이 축성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 잔존성벽은 북벽 상면 폭이 약 2.8m, 외벽 높이가 4m, 내벽 높이가 약 0.8~1m이며, 서벽은 외벽 높이가 약 4m 이상, 상면 폭이 2.2m, 내벽 높이는 2m 내외이다. 이외에도 남벽, 동벽, 내성벽, 문지 등이 일부 남아있다. = = 참고 자료 = = 무양성(무한성) - 안성문화관광 - 시지정문화재 무양성 = 알레나 이브 = 알레나 이브(, , , 1979년 11월 30일 ~ )는 이스라엘의 배우, 감독이다. 2020 오빌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다. = 모듈:Location map/data/USA Washington, D.C. central/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SA_Washington,_D.C._central/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가락식토기 = 가락식토기(可樂式土器)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이다. 1963년,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 시그트뤼그 실키스케그 = 시그트뤼그 실키스케그(, 970년경 - 1042년)는 더블린 왕국의 노르드게일인 군주다. "실키스케그"는 "비단수염"이라는 뜻이다. 이바르 가 사람이다. 999년-1000년 라긴에서 일어나 실패로 돌아간 반란에 관여했다가 붙잡혀서 먼스터의 왕 브리안 보루마에게 항복, 칭신했다. 시그트뤼그는 브리안의 딸 슬라너 잉겐 브리안과 결혼하고 동시에 과부가 된 어머니 고름플라흐 잉겐 무르카다를 브리안 보루마와 재혼시켜 이중 결혼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1012년-1014년 다시 라긴에서 일어난 반란에 참여하여 장인이자 새아버지인 브리안을 클론타르프 전투에서 죽였다. 시그트뤼그는 클론타르프 전투의 노르드인 측 지도자로서 12세기의 게일인과 이방인들의 전쟁, 13세기의 냘의 사가에 중요인물로 등장한다. 시그트뤼그는 46년이라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재위하다가 1036년 퇴위했다.Hudson, p 83 그의 재위 기간 중에 더블린의 군대는 아일랜드의 전통적 5대 지방 중 4개 지방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미데(오늘날의 미스 주), 라긴(오늘날의 위클로 주), 울라(오늘날의 얼스터) 일대에서 장기간의 원정을 벌였다. 또 확실하지는 않지만 웨일스 해안에서도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시그트뤼그는 아일랜드 토착 게일인들 뿐 아니라 코크, 워터퍼드의 노르드인 군주들과도 경쟁했다. 시그트뤼그는 1028년 로마에 순례를 다녀왔으며 더블린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을 지었다고 한다. 더블린의 국부는 그의 치세 동안 여러 차례 부침을 겪었으나 전체적인 무역은 융성했다. 1042년 죽었다. = 마에야마 = 마에야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마에야마역: 일본 아키타현 기타아키타 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 마에야마 쿄헤이: 일본의 축구 선수 = 에네켄 = 에네켄은 용설란속에 속한 속씨식물의 일종이다.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가 원산지이며, 이탈리아, 카나리아제도, 코스타리카, 쿠바, 히스파니올라, 케이맨제도, 소앤틸리스제도에 외래종으로서 정착했다. = 강동면 = 강동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강동면(江東面)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면이다. 강동면(江東面)은 경상북도 경주시의 면이다. 강동면(江東面)은 1997년까지 존재한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의 면이다. 강동동(江東洞) 글을 참조. = 야프 축구 국가대표팀 = 야프 축구 대표팀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요 섬 중 하나인 야프섬을 대표하는 공식적인 팀으로 이 팀은 국제 축구 연맹이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의 회원이 아니기 때문에 FIFA 월드컵과 OFC 네이션스컵에 참가할 수 없다. 다만 아시아 축구 연맹의 회원국인 괌이나 같은 비회원인 팔라우와도 경기를 가졌었다. = = 개요 = = 야프가 출전한 국제 대회는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가 유일하며 이 대회에서 2번의 우승(2001년, 2018년)을 차지했다. 그리고 2002년 8월 16일 미크로네시아 연방과도 친선 경기를 가졌으며 2007년 7월 31일 NF-보드의 잠정회원국이 되었다. = = 월드컵 기록 = = 연도 라운드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193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34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38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5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54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58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2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6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4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78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82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86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9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94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1998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02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06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1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14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18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2022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 합계 = = 수상 = = 2001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우승 2018년 미크로네시아 경기 대회 우승 = 쇼난 벨마레 = 쇼난 벨마레(, Shonan Bellmare)는 J리그에 소속된 축구팀으로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가 연고지다. 팀명인 벨마레는 '아름답다'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 벨룸(Bellium)와 바다를 뜻하는 마레(Mare)의 조어이다. = = 역사 = = 1968년 도치기현에서 후지타공업 축구부로 창단, 1972년 JSL 1부리그로 승격했다. 1992년 J리그 출범 당시 벨마레 히라쓰카라는 이름으로 야마하 발동기(현 주빌로 이와타)와 함께 J리그 준회원을 신청했고, 1993년 JFL 우승으로 J리그에 입성하게 된다. J리그 첫 해인 1994년에 후기리그 준우승과 천황배 우승으로 돌풍을 일으켰고, 1995년에는 고졸신인 나카타 히데토시의 활약으로 아시아 컵 위너스컵을 제패하며 전성기를 맞게 된다. 하지만 1998년 모기업인 후지타공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스폰서에서 철수한 이후 성적이 급하락해 1999년에는 종합순위 최하위로 J2리그로 강등되었고, 이후에는 2002년과 2008년 5위가 최고 성적일 정도로 J2리그 내에서도 약팀으로 전락하는 듯 했으나 2009년 J2리그 3위를 기록하며 11년 만에 J1 복귀에 성공한다. 2010년 리그 4라운드에서 알비렉스 니가타에게 2:0으로 승리, 1999년 8월 7일 이후 최장기간인 3,885일만의 J1 승리로 기록되었다(무실점 승리는 1998년 10월 18일 이후 4,178일만에). 시즌 내내 하위권에서 허덕이다가 꼴찌를 기록하여 1년 만에 다시 J2로 강등되었다. 2011년 J2에서도 부진하여 14위에 그쳤으나 조귀재 감독이 부임한 2012년에는 선전하면서 시즌 막판에 교토 상가 FC를 제치고 2위를 기록하여 2013년 J1 재승격을 확정했다. = = 성적 = = = = = J리그 = = = = = 역대 우승 = = 現 쇼난 벨마레 천황배 : 1994년 아시아 컵 위너스컵 : 1995년 J리그 디비전 2 : 2014년 J2리그 : 2017년 前 후지타사커클럽 일본 사커 리그 1부 : 1977년, 1979년, 1981년 천황배 : 1977년, 1979년 JSL컵 : 1973년 재팬 풋볼 리그 : 1993년 = = 선수단 = = = = = 현재 선수 = = = = = = 역대 = = = 비탈리 파라흐네비치(2000) = 분류:인천부평서초등학교 동문 = = 분류: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 = = 분류:기원전 931년 = = ZIL역 = ZIL 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의 역이다. 역명은 2012년까지 이 곳에서 운영되었던 전 자동차 제조 업체인 "ZIL"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 = 환승 = = ZIL 역에서는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의 테흐노파르크 역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지만, 거리가 1km가 넘어 환승을 하는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 분류:폴란드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 제20회 청룡영화상 = 제20회 청룡영화상은 1999년 12월 14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최우수 작품상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수상 송어 - 송어 프로덕션 쉬리 - 강제규 필름 유령 - 우노필름 텔 미 썸딩 - 쿠앤씨 필름 = = = 감독상 = = = 쉬리 - 강제규 수상 주유소 습격사건 - 김상진 송어 - 박종원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이명세 텔 미 썸딩 - 장윤현 = = = 남우주연상 = = = 태양은 없다 - 이정재 수상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박중훈 유령 - 최민수 쉬리 - 최민식 텔 미 썸딩 - 한석규 = = = 여우주연상 = = = 내 마음의 풍금 - 전도연 수상 송어 - 강수연 러브 - 고소영 링 - 신은경 텔 미 썸딩 - 심은하 = = = 남우조연상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장동건 수상 신장개업 - 박상면 주유소 습격사건 - 박영규 러브 - 박철 텔 미 썸딩 - 장항선 = = = 여우조연상 = = = 내 마음의 풍금 - 이미연 수상 닥터 K - 김하늘 텔 미 썸딩 - 송선미 자귀모 - 유혜정 = = = 신인남우상 = = = 미술관 옆 동물원 - 이성재 수상 북경반점 - 김석훈 송어 - 설경구 카라 - 송승헌 주유소 습격사건 - 유지태 = = = 신인여우상 = = = 노랑머리 - 이재은 수상 쉬리 - 김윤진 카라 - 김현주 자귀모 - 장진영 태양은 없다 - 한고은 = = = 신인감독상 = = = 내 마음의 풍금 - 이영재 수상 유령 - 민병천 미술관 옆 동물원 - 이정향 = = = 촬영상 = =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정광석 수상 = = = 기술상 = = = 유령 - 정도완 수상 = = = 각본상 = = = 미술관 옆 동물원 - 이정향 수상 = = = 인기스타상 = = = 한석규 수상 정우성 수상 심은하 수상 전도연 수상 = = =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 = = 쉬리 수상 = = = 정영일영화평론가상 = = = 양윤모 수상 = = = 시나리오 공모대상 = = = 김선미 수상 황금창 수상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미네소타주 = 이 문서는 2024년 11월 5일에 실시할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네소타주 지역 데이터이다. = = 경선 = = = = = 민주당 = = = = = = 공화당 = = = = = 본선 = = = = = 선거인단 = = =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미네소타주의 선거인단 단원 수는 10명으로, 승자독식 방식으로 미네소타주에서 이긴 후보의 단원이 모두 2025년 1월 6일에 있을 선거인단 선거에서 투표한다. 번호 구분 민주당 공화당 1 상원 2 상원 3 제1선거구 4 제2선거구 5 제3선거구 6 제4선거구 7 제5선거구 8 제6선거구 9 제7선거구 10 제8선거구 = = = 개표 결과 = = = 군명 지도 (민주당 후보) (민주당 후보) (공화당 후보) (공화당 후보) 군명 지도 득표 수 득표율 득표 수 득표율 에이트킨군 애너카군 베커군 벨트라미군 벤턴군 빅스톤군 블루어스군 브라운군 칼턴군 카버군 캐스군 치페와군 시사고군 클레이군 클리어워터군 쿡군 코튼우드군 크로윙군 다코타군 도지군 더글러스군 페리보우군 필모어군 프리본군 굿휴군 그랜트군 헤너핀군 휴스턴군 허버드군 이샌티군 이타스카군 잭슨군 카나벡군 칸디요히군 키슨군 쿠치칭군 라크퀴파를레군 레이크군 레이크오브더우즈군 르쉬외르군 링컨군 라이언군 마노먼군 마셜군 마틴군 맥러드군 미커군 밀랙스군 모리슨군 모워군 머리군 니컬렛군 노블레스군 노먼군 옴스테드군 오터테일군 페닝턴군 파인군 파이프스톤군 포크군 포프군 램지군 레드레이크군 레드우드군 렌빌군 라이스군 락군 로조군 세인트루이스군 스콧군 셔번군 시블리군 스턴스군 스틸군 스티븐스군 스위프트군 토드군 트래버스군 와바샤군 와데나군 와세카군 워싱턴군 와토놘군 윌킨군 위노나군 라이트군 옐로메디신군 전체 전체 선거구명 지도 (민주당 후보) (민주당 후보) (공화당 후보) (공화당 후보) 선거구명 지도 득표 수 득표율 득표 수 득표율 제1선거구 제2선거구 제3선거구 제4선거구 제5선거구 제6선거구 제7선거구 제8선거구 = 독점적 경쟁 = 독점적 경쟁(獨占的競爭, )이란 불완전 경쟁의 한 형태로 완전 경쟁과 독점의 중간적 시장형태이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단기에는 기업들이 독점과 같이 행동할 수 있지만, 장기에는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해오기 때문에 점점 완전 경쟁의 형태에 가까워져 독점적인 지위를 누릴 수 없게 된다. 완전경쟁은 상품이 동질적이라는 가정을 하는 데 반해, 독점적 경쟁은 시장 상품이 차별화되었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 모형은 현실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대도시의 음식점, 숙박업소, 주유소 등과 같은 서비스 산업이나 의류, 신발, 대학교, 휴대용 MP3 플레이어 등 무수히 많은 예시가 있다. = = 기본 가정 = =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 = = 차별화된 상품 = = =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는 다수의 기업들이 비슷하지만 질적으로 차별화된 상품(product differentiation)을 생산하고 있다. 때문에, 각 기업의 상품은 다른 기업의 상품에 대해 어느 정도 대체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기업은 불완전한 시장 지배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어떤 곳으로 안전하고 편안하게 갈 수 있게 해준다는 자동차(motor vehicle)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시중에는 승용차, 스쿠터, 오토바이, 트럭, SUV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자동차가 존재한다. = = = 다수의 기업 = = = 시장 내에 다수의 기업이 존재한다는 것은 기업들이 전략적 의사 결정과 무관하게 가격이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각의 기업의 행동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균형을 이루는 기업의 수는 고정 비용과 규모의 경제, 제품의 차별화 정도에 달려있다. 고정 비용이 높거나 제품의 차별화 정도가 높으면 균형을 이루는 기업의 수는 적을 것이다. = = =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 = = 이와 같은 특징은 장기(long run)에 해당한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는 기업이 얻는 이윤이 양수이기 때문에 진입을 시도하는 수많은 잠재적 경쟁자들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독점적 경쟁 시장은 완전 경쟁과 비슷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 = 자원 배분 = = = = = 단기 = = = 단기에는 시장에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시장의 기업의 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시장 전체의 수요곡선을 나누어 갖게 된다. 오른쪽 그림에서 AR, 즉 수요곡선이 우하향 하고 있다는 것은 기업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 시장 지배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한계수입(MR) 곡선과 한계 비용(MC)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할 것이다(Qs). 그리고 그 생산량에 해당하는 수요곡선 상의 점을 찾아 가격은 Ps로 설정될 것이다. 이 Ps라는 가격은 제품 한 개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인 평균 비용(ACs)보다 높으므로, 색칠해진 부분은 기업이 얻는 이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기업은 양(+)의 이윤을 얻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 = 장기 = = = 장기에는 시장에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워지면서 단기에서의 기업들의 독점적 지위는 더 이상 누릴 수 없게 된다. 양(+)의 이윤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시장 진입의 유인으로 작용한다. 기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 기업이 팔 수 있는 양은 줄어들기 때문에 잔여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더욱 완만해진다. 기업의 생산량 결정은 단기에서와 마찬가지로 MC와 MR이 만나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잔여수요곡선의 이동으로 인해 기업은 더 이상 가격을 AC보다 높게 책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이윤극대화 결과 기업이 얻는 경제적 이윤은 0, 즉 무이윤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진입은 일어나지 않는다. = = 평가 = = = = = 차별화된 상품 = = =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업들은 질적으로 차별화 된 상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에 소요되는 다양한 비용이 상품의 질적인 차별화가 아닌 단순히 피상적인 차별화에 집중한다면 이는 부정적인 측면이 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수요자가 차별화 된 상품에 의해 혜택을 누리게 된다면 이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 = 유휴시설 = = = 유휴시설(또는 초과설비, excess capacity)이란 평균 비용이 최소가 되는 시설규모(생산량)와 현재 규모의 차이를 뜻하는데, 위에 있는 장기 균형의 그래프에서 장기 균형점은 장기 평균 곡선(LRAC)의 최저점보다 왼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제품의 종류도 수요자의 후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 차별화를 위해 평균 비용이 높아진 것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는 없다. = = = 비효율적인 생산량 = = = 유휴시설의 존부와는 관계 없이 독점적 경쟁 시장의 장기 균형에서의 각 기업의 생산량 수준은 가격이 한계비용보다 높으므로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이것은 각 상품들이 서로 대체재가 될 수 있다면 이 비효율성의 정도는 줄어들 수 있다. = = = 비가격경쟁 = = = 비가격경쟁(非-, non-price competition)은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기업은 시장의 제품들이 서로 대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 외적인 요소로 경쟁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수요자들에게 제품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기업은 광고와 브랜드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광고를 통해 자사 제품의 차별성을 수요자들에게 쉽게 알릴 수 있고, 브랜드화를 통해 그 이름만으로도 제품의 질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완도향교 = 완도향교(莞島鄕校)는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죽청리에 있는 향교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완도향교는 광무 1년(1897)에 향토 유사 김광선이 향교 건립을 추진하여 지었다. 그 뒤 여러 번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 형식을 따르고 있다. 3층 계단식으로 맨 아래에는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 그 다음에 학생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맨 위쪽에는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지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또는 액와신경(腋窩神經)은 인체의 신경으로, 겨드랑이 높이의 팔신경얼기(위줄기, 뒤갈래, 뒤다발을 거침)에서 시작되어 C5와 C6의 신경 성분을 운반한다.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함께 네모공간을 통과하여 어깨세모근과 ,부리위팔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 = = 구조 = = 팔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후 처음에는 겨드랑동맥 뒤쪽과 어깨밑근 앞쪽에 놓여 있고, 어깨밑근의 아래쪽 경계를 따라 주행한다. 그 후 위팔뼈의 목 주변을 뒤위팔휘돌이동맥과 함께 앞에서 뒤로 감고 돈다. 이때 네모공간(위쪽 경계는 작은원근, 아래쪽 경계는 큰원근, 안쪽 경계는 위팔세갈래근 긴갈래, 가쪽 경계는 위팔뼈의 외과목)을 통과하며 앞가지, 뒤가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로 가는 곁가지로 나뉘게 된다. 앞가지(anterior branch, upper branch)는 위팔뼈 외과목 주변을 감고 돈다. 이때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어깨세모근 아래로 주행한다. 그 후 운동신경으로 분포하는 어깨세모근 앞쪽 경계를 따라간다. 또한 앞가지는 약간의 작은 피부신경 가지를 내며, 이 가지들은 어깨세모근을 관통하여 근육을 덮는 피부에 분포한다. 뒤가지(posterior branch, lower branch)는 어깨세모근 뒤쪽 부분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 뒤가지는 깊은근막을 관통하여 어깨세모근 뒤쪽 경계를 따라가는 위가쪽위팔피부신경으로 계속된다. 위가쪽위팔피부신경은 어깨세모근 아래쪽 2/3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를 덮는 피부를 지배한다.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의 운동신경 가지가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다. 갈라져 나오는 지점은 평균적으로 뒤다발이 끝나는 곳에서 6mm(범위는 2~12mm) 떨어진 지점이다. 겨드랑신경의 줄기는 어깨밑근 아래쪽에서 어깨관절로 들어가는 관절 신경섬유를 낸다. = = = 변이 = = = 전통적으로 겨드랑신경은 어깨세모근과 작은원근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카데바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들은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를 지배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 = 기능 = = 겨드랑신경은 팔에서 어깨세모근(어깨의 근육)과 작은원근(돌림근띠 근육 중 하나)을 지배한다. 또한 어깨관절에서 감각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어깨세모근 아래쪽 부위를 덮는 피부에도 분포한다. 피부신경 지배는 겨드랑신경의 가지인 위가쪽위팔피부신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 = 임상적 중요성 = = 어깨 탈구가 앞쪽, 아래쪽으로 발생하면 겨드랑이 부위가 목발로 눌리거나 위팔뼈 외과목이 골절되며 겨드랑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 겨드랑신경이 손상되는 예시로는 겨드랑신경 마비가 있다.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작은원근과 어깨세모근 마비. 팔의 벌림(15~90도), 약한 굽힘, 폄, 돌림을 할 수 없게 된다. 겨드랑신경이 분포하는 피부 부위의 감각 소실. 신경에 직접적인 외상이 생겨도 마비와 감각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 = 뇌 (음식) = 다른 대부분의 부속 고기처럼 뇌도 영양식으로 보충할 수 있다. 여기에는 돼지, 다람쥐, 말, 소, 원숭이, 닭, 염소의 뇌를 포함한다. 수많은 문화에서 여러 종류의 뇌가 진미로 간주된다. = = 문화적 소비 = = 짐승의 뇌는 프랑스 요리에서 볼 수 있는데 이를테면 비프 브레인(cervelle de veau), tête de veau와 같은 요리가 있다. 마가즈(Magaj)라는 요리는 인도의 구자라트 주,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의 지역에서 유명하다.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진미로 멕시코의 타코 de sesos가 있다. 카메룬의 안양족에게는, 사냥한 고릴라의 뇌를 새로운 추장이 먹고 다른 부족 구성원들은 심장을 먹는 풍습이 있다. 미낭카바우족의 인도네시아의 요리에도 소의 뇌가 포함되기도 한다. 파푸아뉴기니의 식인 부족들은 사망한 친족의 뇌를 먹는 풍습이 있으며, 과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풍습이 광우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제공되기도 했다. = = 영양적 가치 = = 주요 오메가 3 지방산인 DHA는 젖먹이짐승의 뇌에 함축되어 있다. 영양 데이터 웹사이트에 따르면, 요리한 소 뇌의 3온스가 727 밀리그램의 DHA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NIH는 조그마한 닭에게 날마다 적어도 150 밀리그램의 DHA가 필요하며 임신하여 젖을 제공하는 여성은 적어도 300 밀리그램의 DHA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 = 지방과 콜레스테롤 = = = 뇌에는 약 12% 지방이 있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이 말이집에 위치해 있다.(그 자체가 70~80% 지방) 특정 지방산 비율은 부분적으로 짐승이 무엇을 먹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뇌는 콜레스테롤 함량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를테면 밀크 고깃국물에 든 돼지고기의 뇌가 들어있는 140그램 통조림 하나에 3500밀리그램의 콜레스테롤이 들어있는데, 이는 USRDA의 1170%나 된다. = 분류:간쑤성의 교통 = = 뤄메이링 (1969년) = 뤄메이링(, 1969년 5월 1일 ~ )은 타이완의 정치인, 제10, 11대 입법위원이다. = 백자 태항아리 = 백자 태항아리(白磁 胎壺)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1991년 1월 2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55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태항아리란 왕실에 왕자나 왕녀가 태어났을 때 태를 담은 항아리로, 그 안에 이름과 생년월일이 기록된 태지석을 함께 묻었다. 조선시대 태항아리로 크기는 외항아리는 높이 42.5㎝, 아가리 지름 25㎝, 밑지름 25.3㎝, 내항아리는 높이 27.6㎝, 아가리 지름 10.6㎝, 밑지름 11.7㎝이다. 안쪽 항아리와 바깥 항아리가 거의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뚜껑은 냄비 뚜껑처럼 생겼고, 꼭지에는 사방으로 구멍이 뚫려 있어 몸통 윗부분에 있는 4개의 고리와 연결하여 뚜껑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했다. 몸통의 아가리 부분은 넓고 밖으로 말려 있으며, 넓은 어깨에서부터 서서히 좁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어 단정하고 풍만해 보인다. 옅은 청색을 띠는 백자 유약이 고르게 퍼져 있으며 은은한 광택이 있다. = 분류:다네국 = = 바이부르트 = 바이부르트은 터키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바이부르트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3,652km2, 높이는 1,550m, 인구는 32,141명이다. 초루흐 강과 접한다. 수많은 모스크와 하맘(터키의 전통적인 목욕탕), 묘비, 자탈제스메 지하도시, 시라카얄라르 폭포로 유명하다. 마르코 폴로와 오스만 제국의 탐험가 에빌리아 셀레비가 탐험했던 실크로드의 요충지였으며, 1세기에 대아르메니아 왕국에 의해 요새가 건설되었다. 이후 비잔틴 제국 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요새를 보수 및 확장했으며, 바이베르돈 (Baiberdon) 으로 불렸다. = = 자매 도시 = = 도모 메켈레 사피 모하메디아 마그데부르크 루셀라레 샨 리머릭 사라고사 이포 바르나 = 틀:듀스 =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백과사전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백과사전은 총 10권으로 구성된 아제르바이잔의 종합 백과사전이다. 1976년과 1987년 사이에 바쿠에서 출판되었다. = = 출판 연도 = = 각 권의 출판 연도는 다음과 같다. 권 출판 연도 제1권 1976년 제2권 1978년 제3권 1979년 제4권 1980년 제5권 1981년 제6권 1982년 제7권 1983년 제8권 1984년 제9권 1986년 제10권 1987년 = 분석법 = 분석법(分析法) 또는 어세이는 대상 개체(분석물질)의 존재, 양 또는 기능적 활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거나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의학, 약리학, 환경생물학, 분자생물학 실험실에서의 분석 방법이다. 분석물질은 생물체 또는 유기 샘플에서의 약물, 생화학 물질 또는 세포일 수 있다. 측정되는 대상은 분석물질(analyte), 측정물질(measurand), 분석대상이라고 한다. 분석법은 일반적으로 분석물질의 집약적인 특성을 측정하고 관련 측정 단위(예: 몰 농도, 밀도, 효소, 국제 단위의 기능적 활성, 표준과 비교한 효과의 정도 등)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에 외인성 반응물(시약)이 포함되는 경우, 표적의 양과 품질이 유일한 제한 요소가 되도록 그 양은 고정(또는 초과)으로 유지된다. 분석 결과의 차이는 해당 대상의 알려지지 않은 품질 또는 수량을 추론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분석(예: 생화학적 분석)은 화학적 분석 및 적정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분석은 일반적으로 구성이나 행동, 또는 둘 모두에서 본질적으로 더 복잡한 생물학적 물질 또는 현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분석 결과를 읽는 것은 시끄럽고 정확한 화학적 적정보다 해석에 더 큰 어려움을 수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세대 정성적 분석, 특히 생물학적 분석은 훨씬 더 총체적이고 덜 정량적일 수 있다(예: 개체군 내 유기체 또는 세포의 사망 또는 기능 장애, 또는 동물 그룹의 일부 신체 부위의 일부 설명적 변화를 계산). 분석은 현대 의학, 환경, 제약 및 법의학 기술의 일상적인 부분이 되었다. 다른 기업에서도 산업, 도로변 또는 현장 수준에서 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높은 상업적 수요에 대한 분석은 전문 산업의 연구 및 개발 부문에서 잘 조사되었다. 그들은 또한 여러 세대에 걸쳐 발전과 정교함을 거쳤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에 부여된 특허와 같은 지적 재산권 규정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산업 규모의 분석은 시설이 잘 갖추어진 실험실에서 분석 주문부터 분석 전 시료 처리(시료 수집, 필요한 조작, 예를 들어 분리를 위한 회전, 필요한 경우 분주, 저장, 검색, 피펫팅, 흡인 등). 분석물은 일반적으로 고처리량 자동 분석기에서 테스트되며 결과가 확인되어 주문 서비스 제공업체 및 최종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반환된다. 이는 최종 사용자, 중앙 서버, 물리적 자동 분석기 기기 및 기타 자동 장치가 있는 여러 컴퓨터 터미널과 인터페이스하는 고급 실험실 정보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 = 일반 단계 = = 분석은 사전 및 사후 분석 절차와 함께 수행되어야 하므로 결코 분리된 프로세스가 아니다. 통신 명령(분석 및 관련 정보 수행 요청)과 표본 자체의 처리(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수행되는 수집, 문서화, 운송 및 처리)는 모두 사전 분석 단계이다. 마찬가지로 분석이 완료된 후 결과를 문서화하고 검증하고 전달해야 한다(분석 후 단계). 모든 다단계 정보 처리 및 전송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최종 결과 보고의 변동 및 오류에는 분석 자체에 고유한 것뿐만 아니라 분석 전 및 분석 후 절차에서 발생하는 오류도 포함된다. 분석 자체의 단계는 많은 관심을 받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오류를 누적하는 것은 사전 분석 및 분석 후 절차인 사용자 사슬의 관심을 덜 받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의료 실험실 분석의 사전 분석 단계는 모든 실험실 오류의 32-75%를 기여할 수 있다. 분석은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탐지 시스템에 식별 가능하거나 측정 가능한 형태로 대상을 선택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시료 처리 및 조작. 이는 간단한 원심 분리 또는 세척 또는 여과 또는 일부 형태의 선택적 결합에 의한 포획을 포함하거나 표적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면역학적 분석에서 에피토프 검색 또는 표적을 조각으로 절단 질량 분석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분석 전에 수행되는 여러 개별 단계가 있으며 사전 분석 처리라고 한다. 그러나 일부 조작은 분석 자체의 불가분의 일부일 수 있으므로 사전 분석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표적별 식별 원칙: 유사한 구성요소의 배경(소음)을 구별하고 생물학적 물질의 특정 특성을 통해 특정 표적 구성요소("분석물")를 구체적으로 식별한다. (예를 들어, PCR 분석에서 특정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표적에 고유한 특정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염기쌍을 통해 표적을 식별한다). 신호(또는 표적) 증폭 시스템: 해당 분석물의 존재 및 양은 일반적으로 일부 신호 증폭 방법을 포함하는 검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노이즈와 쉽게 구별되고 측정될 수 있다. DNA 염기서열의 혼합물 중 PCR 분석에서 특정 표적만이 DNA 중합효소에 의해 수백만 카피로 증폭되어 다른 잠재적 구성요소에 비해 더 두드러진 구성요소로 식별될 수 있다. 때로는 분석물의 농도가 너무 커서 분석에 샘플 희석 또는 음성 증폭인 일종의 신호 감소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신호 감지(및 해석) 시스템: 증폭된 신호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 해석 가능한 출력으로 해독하는 시스템이다. 시각적 또는 수동 매우 조잡한 방법이거나 매우 정교한 전자 감지기일 수 있다. 신호 향상 및 노이즈 필터링: 위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분석 중 단계/프로세스의 다운스트림이 많을수록 이전 프로세스의 노이즈를 전달하고 증폭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교한 분석의 여러 단계에는 신호별 선명화/향상 배열 및 노이즈 감소의 다양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 장치. 이들은 단순히 좁은 대역 통과 광학 필터의 형태이거나,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는 결합 반응의 차단 시약 또는 배경 물체의 "자가형광"을 방지하는 형광 검출 시스템의 소광 시약의 형태일 수 있다. = = 분석 유형 = = = = = 측정 시간 및 횟수 = = = 분석이 단일 시점을 보는지 또는 여러 시점에서 취한 시간 측정 판독인지에 따라 분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고정된 잠복기 후에 단일 측정이 수행되는 종말점 분석. 측정이 고정된 시간 간격에 걸쳐 여러 번 수행되는 운동 분석. 동역학 분석 결과는 수치적으로(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신호 변화율을 나타내는 기울기 매개변수로) 또는 그래픽으로(예를 들어, 각 시점에서 측정된 신호의 플롯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운동 분석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된 반응의 크기와 모양 모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처리량 분석은 일반적으로 96, 384 또는 153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형식(고처리량 스크리닝)의 자동화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종점 또는 운동 분석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많은 수의 화합물 또는 분석물을 테스트하거나 테스트 중인 자극 및 화합물에 대한 반응으로 기능적 생물학적 판독을 할 수 있다. = = = 검출된 분석물 수 = = = 일반적인 분석은 다중화라고 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기본값인 단순 또는 단일 표적 분석이다. 다중 분석(Multiplex assays)은 단일 테스트에서 여러 분석 물질의 존재, 농도, 활성 또는 품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중 분석의 출현으로 면역학, 세포화학, 유전학/유전체학, 약동학 및 독성학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샘플 테스트가 가능해졌다.Banks, Peter (7 June 2010). "Multiplexed Assays in the Life Sciences". biotek.com. BioTek Instruments Inc. Retrieved 13 August 2016. = = = 결과 유형 = = = 정성적 분석, 즉 일반적으로 합격 또는 불합격, 또는 양성 또는 음성 또는 정확한 양보다는 약간의 정성적 변화를 제공하는 분석이다. 반정량적 분석, 즉 물질의 양에 대한 정확한 수치보다는 대략적인 방식으로 판독값을 제공하는 분석. 일반적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두 가지 결과보다 몇 가지 더 많은 계조가 있다. 그룹화 시약(혈액형 항원에 대한 항체)에 대한 RBC 응집을 기반으로 하는 혈액 그룹화 검사에 사용되는 1+에서 4+의 척도로 점수를 매긴다. 정량적 분석, 즉 샘플에 있는 물질의 양에 대한 정확하고 정확한 수치적 정량적 측정을 제공하는 분석이다. 예시는 흔한 유전성 출혈 질환인 폰 빌레브란트병에 대한 응고 검사 실험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의 예는 혈액 샘플에 존재하는 VWF의 양이 면역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VWF 항원 분석이다. 기능적 분석, 즉 활성 물질의 양보다는 활성 물질의 기능을 정량화하려는 분석이다. VWF 항원 분석의 기능적 대응물은 외인성 포르말린 고정 혈소판을 추가하고 고정 혈소판의 응집을 측정하면서 리스토세틴이라는 약물의 양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환자 혈장에 존재하는 VWF의 기능적 활성을 측정하는 리스토세틴 보조인자 분석이다. 유사한 분석법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리스토세틴 유도 혈소판 응집 또는 RIPA라고 하며, 이는 리스토세틴(외인성) 및 VWF(일반적으로 내인성)에 대한 반응으로 환자의 내인성 살아있는 혈소판의 반응을 테스트한다. = = = 샘플 유형 및 방법 = = = 생물학적 분석(Bioassay): 반응이 살아있는 물체의 생물학적 활동인 경우 예는 다음과 같다. 생체 내, 전체 유기체(예: 쥐 또는 약물이 주사된 기타 대상) 생체 외 신체 부위(예: 개구리 다리) 생체 외 기관(예: 개 심장) 기관의 생체 외 부분(예: 장의 한 부분). 조직(예: 리물루스 용해물(limulus lysate)) 세포(예: 혈소판) 리간드(보통 작은 분자)가 수용체(보통 큰 단백질)에 결합할 때 리간드 결합 분석. 반응이 항원 항체 결합형 반응인 경우 면역검정. = = = 신호 증폭 = = = 효소 분석: 효소는 기질의 손실 또는 제품 제조가 특정 파장 또는 빛 또는 전기화학발광 또는 전기/산화환원과 같은 측정 가능한 속성을 가질 수 있는 색상 또는 흡광도를 가질 수 있는 경우 다수의 기질에서 고도로 반복되는 활성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증폭을 사용할 수 있는 빛 감지 시스템. 광다이오드 또는 광전자 증배관 또는 냉각 전하 결합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방사성 면역 분석 및 평형 투석 분석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된 기질로 감마 계수기, X선 플레이트 또는 인광 영상기에서 증폭하여 검출할 수 있다. 신호가 아닌 DNA(또는 RNA) 표적을 증폭하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 분석. 조합 방법. 분석은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위의 방법과 다른 증폭 방법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소 결합 면역 분석 또는 EIA,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 등이 있다. = = = 탐지 방법 및 기술 = = = 콜로니 형성 또는 가상 콜로니 수: 예. 박테리아를 증식시키거나 세포를 증식시켜 그 개수를 세거나 크기 등으로 측정한다. 측광 / 분광 광도법 액체 시험 시료의 큐벳을 통해 고정된 경로 길이의 빛을 통과하면서 특정 파장의 빛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흡광도를 블랭크 및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목표 화합물의 등급을 매기는 것이다. 방출된 빛이 특정 가시광선 파장인 경우 이를 비색법이라고 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를 사용하여 매우 특정한 파장의 광학 필터를 통해 감지되는 다른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방출한다. 빛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혈소판 응집 반응 동안 덩어리 수 감소로 인해 부유 입자에 의해 생성된 액체의 불투명도 제거된다. 액체 샘플을 통과하는 직선 투과광의 불투명도가 광원을 가로질러 직선으로 배치된 검출기로 측정되는 탁도 측정법. 빛의 광선이 용액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광산란의 양을 측정하여 시료에 있는 입자의 크기 및 농도 및 크기 분포를 결정하는 네펠로메트리(Nephelometry) 기법."Nephelometry". The Free Dictionary. Farlex. 2016. Retrieved 9 September 2016. 반사 측정법 (일반적으로 건조한) 샘플 또는 반응물에서 반사된 빛의 색상을 평가할 때 예를 들어 스트립 소변 계량봉 분석의 자동 판독. 계수 분석: 예. 광학 Flow cytometric 셀 또는 입자 계수기 또는 coulter/임피던스 원리 기반 세포 계수기. 수동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포함하는 사진 분석: 세포계측법: 세포의 크기 통계가 이미지 프로세서에 의해 평가될 때. 전기 감지 예. 전류 측정법, 전압 전류법, 전기량 측정법과 관련된 많은 유형의 정량적 측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물리적 특성 기반 분석은 이하 내용 등이 있다. 삼투압계 점탄성 측정 예. 점도계, 탄성조영술(예: 혈전탄성조영술) 이온 선택 전극 증후군 검사 = = 신뢰도 = = 여러 분석이 동일한 목표를 측정할 때 분석의 특성과 방법론, 신뢰성 등에 따라 결과와 유용성이 비교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비교는 분석의 일반적인 품질 속성 연구를 통해 신뢰도를 증명받는다. 측정 원리(식별, 증폭 및 검출 포함), 검출의 동적 범위(일반적으로 표준 곡선의 선형성 범위), 분석 감도, 기능적 감도, 분석 특이성, 양성, 음성 예측 값, 전환 시간 즉 소요 시간 사전 분석 단계에서 마지막 사후 분석 단계(보고서 발송/전송)가 끝날 때까지 전체 과정을 완료해야 한다. 처리량, 즉 단위 시간당 수행된 분석 수(일반적으로 시간당으로 표시) 등 전문가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조직 또는 실험실 목적 예 의학적 진단 및 예후, 환경 분석, 법의학 절차, 제약 연구 및 개발은 방법 검증, 정기적인 교정, 분석적 품질 관리, 숙련도 테스트, 테스트 인증, 테스트 허가를 포함하여 잘 규제된 품질 보증 절차를 거쳐야 하며 관련 규정의 적절한 인증을 문서화해야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문서는 분석의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해, 특히 분석 결과의 품질에 대해 법적으로 허용되고, 책임을 유지하고, 또한 고객이 분석을 상업적으로/전문적으로 사용하도록 설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영남대학교 축구부 = 영남대학교 축구부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대학교 축구부이다. 영남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대학 축구부이며, 1968년에 창단되었다. = 서계문화재단 = 서계문화재단은 서계 박세당선생에 대한 학술연구활동과 유물․유적보존과 복원 관리하기 위하여 2004년 1월 20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197에 있다. = = 주요 사업 = = 서계에 대한 연구논문, 저술활동의 지원 서계 저술의 주해․번역․발간 학술대회, 학술강연회의 주최 및 후원 서계유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유적의 보존 및 복원 = 스윈번 공과대학교 = 스윈번 공과대학교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는 호주 멜버른 동부에 위치한 공립 대학이다. 1908년에 설립된 스윈번 공과대학교는 호주의 대표적인 교육 도시 멜버른 지역에 위치한 파라한, 완티나, 호손, 릴리데일, 크로이동과 말레이시아 사라와크주에 총 6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학사, 석사 프로그램 이외에 TAFE를 운영하고 있다. = = 역사 = = 1908년 조지 스윈번에 의해 Eastern Suburbs Technical College 라는 이름의 단과대학으로 개교하였다. = = 교육 = = 문학, 심리학, 사회 과학 비즈니스, 상업 및 관리 디자인, 영화 및 텔레비전 디지털 미디어 (통신 및 멀티미디어 게임 등) 엔지니어링, 항공 기술 보건 및 사회 서비스 호텔 경영, 관광 및 이벤트 관리 정보 기술 및 통신 과학 = = 명성 = = 2007년, 2008년, 2009년 3년 연속으로 ‘우수 대학 가이드(Good Universities Guide)’ 교육수준 부문에서 멜버른의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 = 동문 = = 샘 해밍턴 - 마케팅 및 한국어 전공 수학 = 페르디낭 브륀티에르 = 페르디낭 뱅상드폴 마리 브륀티에르(Ferdinand Vincent-de-Paul Marie Brunetière)는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문학사가로, 1849년 7월 19일 툴롱에서 태어나 1906년 12월 9일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 = 생애 = = 해군 감찰관(inspecteur général)의 아들로 태어난 브륀티에르는 태어난지 얼마 안되어 고향인 프로방스와 멀리 떨어진 퐁트네르콩트에서 유년기를 보내게 된다. 브륀티에르는 리세 티에르드마르세유의 우등생이었다. 그는 1869년 고등사범학교 입시를 실패하여, 1870년에는 학원 강사가 된다. 브륀티에르는 1875년부터 <르뷔 데 되 몽드>의 편집일을 하기 시작하여, 1877년부터 1893년까지는 편집 비서가 되었고, 이후 1893년에는 국장이 되었다. 브륀티에르는 작가 폴 부르제와 가깝게 지낸다. 1886년 고등사범학교 부교수가 된 브륀티에르는 188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게 된다. 뒤이어 그는 소르본 교수가 된다. 1893년 6월 8일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된 브륀티에르는 28번 의석의 존 르무안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는 1894년 2월 15일 폴-가브리엘 도손빌에 의하여 입회를 허락받는다. 1897년 브륀티에르는 미국으로 강연을 하러 간다. 그는 1900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브륀티에르는 본질적으로 17세기 이성주의적 고전주의의 지지자였으며, 그런 고로 동시대 문학 조류들과는 가끔은 심할 정도로 반목하였다. 브륀티에르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특히 플로베르의 <세 가지 이야기>에 대하여) 졸라에 반대하는 (<자연주의 소설>에서) 기사를 쓰기도 했으며, 1892년에는 샤를 보들레르의 동상을 세우는 계획에 반대하여 항의하기도 했다. 브륀티에르는 당대의 주류였던 과학만능주의에도 적대적이였는데, 이 같은 이유로 그는 옥타브 미르보같은 무정부주의자의 시대로 더 다가갔다. 반드레퓌스파였으나, 반유대주의자는 아니었던 (그는 1886년 <르뷔 데 되 몽드>에서 반유대주의자 에두아르 드뤼몽이 쓴 <프랑스 유대인>을 강하게 반박했다) 브륀티에르는 1898년 드레퓌스파 지식인들이 자신들의 전문 분야가 아님에도 드레퓌스 문제에 관하여 전공 영역을 벗어나서 논하는 것을 비난했다. 브륀티에르의 친구이자 드레퓌스파이던 플로르 생제는 몇 차례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브륀티에르의 입장을 바꾸고자 시도했다.앙투안 콩파뇽, <브륀티에르를 아십니까? 반드레퓌스주의자와 그의 친구들에 관한 조사Connaissez-vous Brunetière ? Enquête sur un antidreyfusard et ses amis>, 파리, 쇠유, 1997. 브륀티에르는 다윈의 이론에 영향받은 문학 장르 진화론을 옹호하기도 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1909년 브륀티에르에게 장레노 상을 수여했다. = = 주요 작품 = = <프랑스 불문학사에 대한 비판적 연구> Études critiques sur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1849-1906), 8부작, 1880-1907 : 1부 : 중세 불문학, 파스칼, 몰리에르, 라신, 볼테르, 제1제정기 불문학, 17세기의 자연주의, 2부 : 보쉬에, 페넬롱, 마실롱, 마리보, 디드로, 3부 : 데카르트, 파스칼, 르 사주, 마리보, 볼테르, 루소, 4부 : 알렉상드르 아르디, 파스칼, 몽테스키외, 볼테르, 루소, 스탈 부인, 5부 : 보쉬에, 피에르 벨 등, 6부 : 모리스 세브, 피에르 코르네유, 니콜라 부알로, 보쉬에, …, 7부 : 롱사르, 보줄라, 라 퐁텐, 몰리에르, 보쉬에, 위고, 발자크, 8부 : 몽테뉴, 몰리에르, 부르달루, 조제프 드 메스트르) ; <자연주의 소설> Le Roman naturaliste, 1883 ; <역사와 문학> Histoire et littérature, 3부작, 1884 ; <비평의 제문제> Questions de critique, 1888 ; (문학에서의 여성의 영향, 몽테스키외, 쇼펜하우어, 테오필 고티에, 보들레르 등) <비평의 새 제문제> Nouvelles questions de critique, 1890 ; <비평의 진화> Évolution de la critique, 1890 ; <문학사에서의 장르의 진화> Évolution des genres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2 volumes, 1890 : 1부 : 르네상스부터 오늘날까지의 비판의 진화 L'évolution de la critique depuis la renaissance jusqu'à nos jours, 2부 : 프랑스 연극의 시대 Époques du théâtre français (1636-1850), 2부, 1891-1892 ; (오데옹 강의 conférences de l'Odéon, 1892) <고전불문학사> 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classique (1515-1830), 4부, 1891-1892 ; (1부 : 마로부터 몽테뉴까지 De Marot à Montaigne, 2부 : 17세기 Le dix-septième siècle, 3뷰 : 18세기 Le dix-huitième siècle, 4부 : 19세기 Le dix-neuvième siècle) <동시대 문학에 관한 에세> Essais sur la littérature contemporaine, 1892 ; (la critique impressionniste, Alfred de Vigny, la philosophie de Schopenhauer, Sully-Prudhomme, Alexandre Vinet, le symbolisme contemporain, critique et roman, etc.) <19세기 프랑스 서정시의 진화> Évolution de la poésie lyrique en France au dix-neuvième siècle, 2 volumes, 1892-1894 : volume 1 : Objet, méthode et esprit du cours ; les origines du lyrisme contemporain ; Bernardin de Saint-Pierre, Chateaubriand et André Chénier ; la poésie de Lamartine ; l'émancipation du moi par le romantisme ; la première manière de Victor Hugo ; l'œuvre poétique de Sainte-Beuve ; Alfred de Musset ; la transformation du lyrisme par le roman ; volume 2 : Alfred de Vigny ; l'œuvre de Théophile Gautier ; la seconde manière de Victor Hugo ; la renaissance du naturalisme ; M. Leconte de Lisle ; MM. de Heredia, Sully Prudhomme et François Coppée ; le Symbolisme ; conclusions. <동시대 문학에 관한 새 에세> Nouveaux essais sur la littérature contemporaine, 1895 ; (Bernardin de Saint Pierre, Lamennais, Victor Hugo, Octave Feuillet, Baudelaire, Leconte de Lisle, Paul Bourget, …) <믿음의 토대> Bases de la croyance, 1896 ; <관념론 르네상스> La renaissance de l'idéalisme, 1896 ; <불문학사 교과서> Manuel de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1898 ; <아카데미 강연> Discours académiques (1894-1900), 1901 ; <믿음에 대한 오늘날의 이유> Les raisons actuelles de croire, 1901 ; <빅토르 위고> Victor Hugo, 2 volumes, 1902 ; <문예 잡록> Variétés littéraires, 1904 ; <에르네스트 르낭에게 보낸 다섯 통의 편지> Cinq lettres sur Ernest Renan, 1904 ; <믿음의 길에 관하여> Sur les chemins de la croyance, 1904 ; <오노레 드 발자크> Honoré de Balzac, 1799-1850, Calmann-Lévy, Paris, 1906 ; <언쟁> Discours de combat, 3 volumes : première série, 1900 : la renaissance de l'idéalisme (Besançon, 2 février 1896) ; l'art et la morale (Paris, 18 janvier 1898) ; l'idée de patrie (Tours, 23 février 1901) ; les ennemis de l'âme française (Lille, 15 mars 1899) ; la nation et l'armée (Paris, 26 avril 1899) ; le génie latin (Avignon, 3 août 1899) ; le besoin de croire (Besançon, 19 novembre 1898) ; nouvelle série, 1903 : les raisons actuelles de croire (Lille, 18 novembre 1900) ; l'idée de solidarité (Toulouse, 16 décembre 1900) ; l'action catholique (Tours, 23 février 1901) ; l'œuvre de Calvin (Genève, 17 décembre 1901) ; les motifs d'espérer (Lyon, 24 novembre 1901) ; l'œuvre critique de Taine (Fribourg, 18 janvier 1902) ; le progrès religieux (Florence, 8 avril 1902) ; dernière série, 1907 : le génie breton ; la liberté d'enseignement dans la morale contemporaine ; les difficultés de croire ; l'évolution du concept de science ; la modernité de Bossuet ; la renaissance du paganisme ; l'action sociale du christianisme ; le dogme et la libre pensée ; la réunion des Églises. Lettres de combat, 1912. = 에듀테인먼트 =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는 에듀케이션(education, 교육)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오락)의 합성어로 게임을 하듯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형태이다. 에듀테인먼트는 학습과정에서 게임과 같은 오락성 즉, 도전성, 몰입성, 모험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이러한 에듀테인먼트의 기본적인 속성이 포함된 교수∙학습용 콘텐츠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라고 한다. 그러나 에듀테인먼트의 ‘오락성’은 단순한 흥미유발 차원이 아닌 학습에의 ‘재미’요소를 부가함으로써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전략으로 이용된다. = 분류:오베르뉴론알프의 문화 = = 하야키타역 = 하야키타역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비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이용 현황 = = 1981년도 : 394명 1992년도 : 388명 = = 역 주변 = = 국도 제234호선 아비라 정청 호쿠요 은행 하야키타 지점 = = 역사 = = 1894년 8월 1일 : 홋카이도 탄광 철도 무로란 선의 도마코마이 역 - 오이와케 역 간에 신설 개업. 일반역. 1904년 12월 : 미쓰이 물산 합명 회사가 목재 운반용으로 7km의 마차 궤도 부설. 1906년 10월 1일 :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철도 노선 국유화에 의해, 일본국유철도로 이관. 1909년 10월 12일 : 선로 명을 무로란 본선으로 제정, 그것에 수반해 이 선의 역이 된다. 1911년 4월경 : 역사, 구내 개축. 1922년 1월 18일 : 하야키타 궤도 개통. 1951년 3월 27일 : 하야키타 철도선이 전 노선 폐지 허가. 버스로 전환. 시기 불명 : 업무 위탁화. 1980년 5월 15일 : 화물 취급 폐지. 1984년 2월 1일 : 소화물 취급 폐지. 4월 1일 : 무인화.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승계. 1989년 : 현 역사 준공. = 분류:태국의 고고학 = = JDT = JD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조호르 다룰 탁짐 FC(Johor Darul Ta'zim F.C.) 율리우스일과 시간(Julian date and time) 자바 개발 도구(Java Development Tools): 이클립스 IDE의 일부 = 건퍼레이드 마치 = 건퍼레이드 마치는 플레이스테이션용 게임으로 원제는 고기동 환상 건퍼레이드 마치이다. 알파시스템에서 제작했다. 2001년, 게임으로서는 최초로 성운상 미디어부문을 수상했다. 애니메이션 〈건퍼레이드 마치 ~ 새로운 행군가~〉로도 제작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방송되었다. 현재 후속작인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가 게임이 출시되기에 앞서 2005년에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하였다. = 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크리켓 참가 선수 = = 분류:스위스 챌린지리그의 축구 선수 = = 분류:아동 성매매를 소재로 한 작품 = = 분류:1657년 일본 = = 에드푸 = 에드푸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이집트의 도시로, 룩소르와 아스완의 중간 지대에 위치한다.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인 호루스에게 봉헌된 에드푸 신전은 기원전 237년부터 기원전 57년까지 건설된 신전이며 현재 이집트에 남아 있는 신전 가운데 보존 상태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위키백과:삭제 토론/송홍진 = = = 송홍진 = = (저명성은 있습니까?) (무단팔극권) (토론) 2011년 5월 26일 (목) 11:04 (KST) 바로 삭제 처리 합니다. 위키백과에 독립된 문서로서의 존재 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됩니다. Erio-h (토론) 2011년 5월 28일 (토) 03:41 (KST) = 분류:연복초과 = = Gambling with the Devil = Gambling with the Devil은 2007년 발매한 독일 파워 메탈 밴드 헬로윈의 정규 13번째 앨범이다. = = 곡 목록 = = = = = Disc 2 (스페셜 에디션) = = = = 린 (마약) = 린 (Lean), 퍼플 드링크(purple drank), 퍼프(purp)나 기름(oil)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코데인과 프로메타진이 함유된 처방용 기침 시럽을 청량 음료와 혼합하여 제조된 레크리에이션에 사용되는 마약성 음료로, 휴스턴에서 유래되었으며 미국 남부의 힙합 문화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 = 이름 = = 린(lean)이라는 용어는 똑바로 일어서기가 어려운 사용자의 성향을 가리킨다.Richard Klemme, USE OF PROMETHAZINE WITH CODEINE SYRUP: COUGH/COLD EPIDEMIC OR SIGNIFICANT ABUSE? , Texas State Board of Pharmacy Newsletter, Volume XXV, Number 2, Spring 2001. The name "lean" refers to "users’ propensity of having difficulty in standing up straight." 퍼플 드링크(Purple drink)는 일반적으로 보라색이고, 사용되는 기침 시럽은 보라색이며, 아프리카계 미국 영어로는 알코올 음료 또는 취하게 하는 음료를 의미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시저프 (sizzurp), 시럽 (syrup), 드링크 (drank), 바레 (barre), 보라색 젤리 (purple jelly), 웍 (wok), 텍사스 차 (Texas tea), 멤피스 머드 (Memphis mud), 더티 스프라이트 (dirty Sprite) 등이 있다.Bryan Robinson, Cough Syrup Abuse in Texas Takes Center Stage, ABC News, August 17, 2005Shaheem Reid, Lil Wayne On Syrup: 'Everybody Wants Me To Stop ... It Ain't That Easy', MTV.com, February 28, 2008 = = 재료 = = 일반적으로 린의 기본은 강력한 처방 감기약, 특히 프로메타진과 코데인을 모두 함유한 기침 시럽이다. 덱스트로메토르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시판 감기약도 사용됐는데,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고, 의사의 처방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실 수 있는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 기침 시럽은 청량 음료, 특히 사이다, 마운틴 듀, 환타 같은 과일 맛이 나는 음료와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컵 두 개를 겹친 형태에 제공된다. 보통 졸리렌처 같은 딱딱한 사탕은 혼합물에 더 달콤한 맛을 주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원치 않는 맛을 가리는 것은 과다복용의 한 요인인 효능에 대한 판단을 손상시킬 수 있다. = =상업적 제품 = = "보라색 음료"라는 개념에 느슨하게 기반을 둔 몇몇 합법적 상업 제품들이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2008년 6월, 텍사스주 휴스턴에 본사를 둔 혁신 음료 그룹은 드렁크(Drunk)라는 음료수를 출시했다. 상용 제품에는 코데인 또는 프로메타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멜라토닌 호르몬뿐만 아니라 발레리안 루트 (valerian root), 로즈힙과 같은 허브 성분들의 조합으로 "Slow Your Roll"을 주장했다.Adventures in Press Releases: The Anti-Energy Drink By Sarah DiGregorio in Edible News, June 4, 2008 상업 시장에서 유사한 "반에너지" 또는 휴식 음료는 퍼플 스터프 (Purple Stuff), 시핀 시럽 (Sippin Syrup), 린 (Lean) 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Sippin Syrup' being sold in stores creates controversy, theGrio website, September 25, 2009. Retrieved November 27, 2009.Jemimah Noonoo, Anti-Energy Drink Fuels Concerns Over Marketing , Houston Chronicle, November 28, 2008; retrieved from commercialalert.org website on November 27, 2009Boyce Watkins, Company Makes Money from Deadly Urban Trend: "Sipping Syrup" , AOL Black Voices, September 29, 2009 = = =비판 = = = 이 상업용 제품들은 위험한 불법 혼합물에 대한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비판을 받아왔다.Kim Horner, Anti-energy drink hard for some mental health experts to swallow , Dallas Morning News, February 18, 2010그 마케팅 추진은 사탕 담배 (andy cigarettes를) 만드는 것과 비슷한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松平頼元)는 히타치 누카다번 초대 번주이다. 1629년 미토번 초대 번주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4남으로 태어났다. 요리모토 요리모토 = 분류:1831년 예술 = = 제12회 가치봄영화제 = 제12회 가치봄영화제는 2011년 11월 7일에 열린 시상식이다. = = 수상 및 후보 = = = = = 대상 = = = 오하이오 삿포로 - 김성준 수상 = = = 금상 = = = 숨 - 함경록 수상 = = = 은상 = = = 약속 - 양현아 수상 = = = 동상 = = = 나비는 지금 여기에 있었다 - 황규일 수상 귓가에 맴도는 하루 - 김상혁 수상 = = = 감독상 = = = 나는 2급이다 - 이한규 수상 = = = 시나리오상 = = = 다슬이 - 박철순 수상 = = = 작품상 = = = 달팽이의 별 - 이승준 수상 = = = 상영작 = = = 가로등 - 임형은 우리결혼할까요? - 성기석 외1명 구인광고 - 최화진 그들이 달리는 이유 - 이성종 그 여름의 바다 - 이제희 그의 이름은 트레버 - 김석환 나는 2급이다 - 이한규 나도 때론 물속을 날고 싶다 - 김재한 나비는 지금 여기에 있었다 - 황규일 나오길 잘했다 - 강지원 나의 순정씨 - 안평윤 내 사촌동생 이지영을 소개합니다 - 한금비 넬라판타지 - 김영범 다슬이 - 박철순 달팽이의 별 - 이승준 당신을 듣다 - 박주영 댄스 어빌리티인 서울 - 윤정원 또 다른 나 - 차상원 멋쟁이 나그네 - 임동규 외5명 발자국 - 구지영 외3명 방송국 홈페이지 = 시내버스 - 정승천 비워두세요 - 정규수 비정상인 - 정승천 빛을 듣다 - 한지수 사랑만들기+ - 신두란 사이 - 박준석 사정 - 이대영 숨 - 함경록 슈퍼맨의 희망사항 - 노여래 스쿠터의 하루 - 김광운 슬리퍼 - 이연지 新콩쥐팥쥐 - 신두란 애벌레의 꿈 - 심재향 약속 - 양현아 어느 날개의 꿈 - 최윤경 어느 멋진 날 - 휘 어제와 오늘 - 최상순 엄마가 오는 날 - 김영규 여자가 여자에게 - 최병화 오하이오 삿포로 - 김성준 온감 - 임규철 요술신발 - 신두란 우애 - 김모영 유치원에 간 대평씨 - 이성종 유쾌한 삼총사 - 양재철 장미맨션 - 신현탁 장애인외출탐구 - 김영호 제작과情 - 이준상 페인트 통 - 강철우 피아니스트 - 김은혜 마이 대디 - 김진영 외1명 녹턴 - 심재향 더 캐리어 - 우창수 = 파브리시오 오베르토 = 파브리시오 라울 헤수스 오베르토(, 1975년 3월 21일~)는 아르헨티나의 농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와 파워 포워드이다. 전미 농구 협회(NBA)의 샌안토니오 스퍼스, 워싱턴 위저즈,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서 뛰었으며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04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2008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 분류: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에 관한 둘러보기 틀 = = 로체스터 (인디애나주) = 로체스터(Rochester)는 미국 인디애나주의 도시로, 인구는 6,414명이다. = 분류:548년 사망 = = 이사벨 리처 = 이사벨 리처(Isabel Richer, 1966년 6월 14일 ~ )는 캐나다의 배우이다. 퀘벡주에서 태어났다. = = 영화 = = 앙드레 마티유 (2010년) 바빈 (2008년) 삼형제 (2007년) 보이지 않는 숨결 (2004년) - 지지 역 엘도라도 (1995년) 루이의 리얼리티쇼 (1994년) = 분류:과테말라에서 활동한 축구 감독 = = 만다린피시 = 만다린피시는 농어목 돛양태과의 바닷물고기이다. = = 특징 = = 만다린피시의 몸길이는 5~6cm이다. 이들은 먹이를 세심하게 관찰한 후에 사냥에 나서는데 주로 원생동물이나 단각류, 등각류와 같은 갑각류가 표적이 된다. 만다린피시는 몸을 보호하는 비늘이 없는 대신 몸 전체에 고약한 냄새가 나는 점액질로 덮여있다. 또한 지느러미 촉수에는 강한 독이 있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느리고 별다른 자기 방어 수단이 없는 바다동물이 몸에 독을 지니며 화려한 몸색깔로 몸을 치장한다. 이것은 자신을 방어하는 수단이며 포식자에게 자신이 만만하지 않은 존재임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방법이다. = 유예도 = 유예도(1896년 8월 15일~1989년 3월 2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자 유관순의 사촌언니이며 한필동의 어머니이다. = 오카와 히로시 = 오카와 히로시(, 1956년 7월 10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에히메현 이요군 도베정 출신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투수였다. = = 인물 = = 닛타 고등학교 시절인 1973년에 에이스로서 추계 시코쿠 대회 현 예선 준결승에 올랐지만 이마바리니시 고등학교한테 패하여 탈락했다. 이듬해 1974년 춘계 시코쿠 대회 현 예선 결승에서 마쓰야마히가시 고등학교를 눌렀지만 선발 출전했던 니하마 상업고등학교와의 챌린지 매치에서 패한 바람에 본선에는 오르지 않았다. 그해 여름 고시엔 에히메현 예선에서 3차전 상대인 이마바리미나미 고등학교전에서 역대 5번째의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지만 준결승전에서 데이쿄 제5고등학교에게 패했다. 1974년 드래프트 3순위로 다이요 웨일스에 입단하면서 프로 3년차인 1977년 1군에 합류하여 좌완 구원 투수로 활약, 그 해에 첫 승도 기록했다. 이듬해 1978년에는 개인 최다인 40경기에 등판했고 1979년 오프에 이케다 히로시 투수와의 맞트레이드로 세이부 라이온스에 이적했다. 1980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25경기에 등판했지만 이듬해부터는 등판 기회가 없었고 1982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세이부의 타격 투수, 전력분석원으로 활동했다. 다이요 시절인 1978년 8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오 사다하루에게 개인 통산 800호 홈런을 맞은 투수로도 알려졌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닛타 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1975년 ~ 1979년) 세이부 라이온스(1980년 ~ 1982년) = = = 등번호 = = = 49(1975년 ~ 1976년) 23(1977년 ~ 1979년) 48(1980년 ~ 1981년) 66(1982년) 97(1983년 ~ 1985년)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1977년 다이요 24 0 0 0 0 1 1 0 .500 101 20.2 28 4 11 0 1 8 0 1 16 13 5.57 1.89 1978년 다이요 40 2 0 0 0 0 2 0 .000 133 30.2 28 4 19 2 0 19 0 0 25 25 7.26 1.53 1979년 다이요 19 1 0 0 0 0 0 0 79 16.0 15 3 15 2 2 11 1 0 14 14 7.88 1.88 1980년 세이부 25 2 0 0 0 0 1 0 .000 139 32.1 25 3 17 0 2 23 1 0 17 15 4.22 1.30 통산 : 4년 통산 : 4년 108 5 0 0 0 1 4 0 .200 452 99.2 96 14 62 4 5 61 2 1 72 67 6.03 1.59 = 분류:동학 농민 운동 = = 아와자역 = 아와자역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니시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이용 가능 철도 노선 =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 주오 선 ■ 센니치마에 선 = = 타는 곳 = = = = = 주오 선 = = = 1 ■ 주오 선 혼마치·이코마·갓켄나라토미가오카 방면 2 ■ 주오 선 벤텐초·오사카코·코스모스퀘어 방면 = = = 센니치마에 선 = = = 1 ■ 센니치마에 선 난바·쓰루하시·미나미타쓰미 방면 2 ■ 센니치마에 선 노다한신 방면 = = 역세권 정보 = = 오사카 니시 우체국 국도 172호선 한신고속 16호선 에노코지마 아타치보리 = = 역사 = = 1964년 10월 31일: 주오 선 영업 개시. 1969년 4월 16일: 센니치마에 선 영업 개시, 환승역이 됨. = 비키퍼 (영화) = 비키퍼(O Melissokomos, The Beekeeper)는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테오도로스 앙겔로플로스 감독의 1986년 드라마 예술 영화이다. 디노스 일리오폴로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테오 앙겔로풀로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 영화는 제43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에 지명되었다. = = 출연 = = 디노스 일리오폴로스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나디아 모로우지 세르주 레지아니 제니 로우세아 = 분류:세이셸의 올림픽 카누 참가 선수 = = 분류:베트남의 남자 사격 선수 = = 화순교통 = 화순교통(和順交通)는 전라남도 화순군의 농어촌버스를 담당하는 회사이고 기업이다. 1972년 9월에 광주고속 화순군 시내버스 화순영업소 신설 설립 창립 하였다. 1986년 9월에 광주여객 화순군 시내버스 화순영업소 변경 하였다. 화순교통은 1987년 9월 28일에 광주여객 화순군 시내버스 화순영업소 분리 독립 신설 설립 창립 하여 본사는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자치샘로 26-1 (교리)에 있다. = = 현황 = = 현재 농어촌버스 6개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 = 운행 노선 = = = = = 농어촌버스 = = = 200번(화순읍 경유 도곡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구 통계청)↔신우아파트↔주월주택단지↔장미아파트↔봉선중입구↔남광교↔남선교회↔남광주4거리↔조선대병원↔학동증심사입구역↔삼익세라믹↔동구문화센터↔남초등학교↔무등중학교↔소태역↔녹동부란↔주남마을↔남계↔광주정보학교↔내지↔선교↔화순터널↔이십곡리↔유창아파트↔스파랜드일부시간대 '감도리|200-1'를 달고 운행한다. 217번(사평 경유 화순군 동부, 북부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구 통계청)↔신우아파트↔주월주택단지↔장미아파트↔봉선중입구↔남광교↔남선교회↔남광주4거리↔조선대병원↔학동증심사입구역↔삼익세라믹↔한센협회↔남초등학교↔무등중학교↔소태역↔녹동부란↔주남마을↔남계↔광주정보학교↔내지↔선교↔화순터널↔이십곡리↔유창아파트↔화순사평( 이후 행선지는 전면에 부착된 보조 행선판에 따라 달라진다.) 217-1번(구암리 경유 화순군 동부, 북부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신우아파트↔주월주택단지↔장미아파트↔봉선중입구↔남광교↔남선교회↔남광주4거리↔조선대병원↔학동3거리↔삼익세라믹↔한센협회↔남초등학교↔무등중학교↔소태역↔녹동부란↔주남마을↔남계↔광주정보학교↔내지↔선교↔화순터널↔이십곡리↔유창아파트↔화순읍↔자치샘삼거리↔고려병원↔화순미륭아파트↔화순부영아파트↔화순부영3차아파트↔화순용곡마을↔화순전남대병원입구↔화순전남대병원↔정수장입구↔한보요업↔다지2구↔백동↔용생↔동면농공단지↔신운↔장동↔농소↔찰동↔동면↔동암↔천운장↔넘은골↔화순광업소↔구암1리↔구암2리구암2리 이후 행선지는 전면에 부착된 보조 행선판에 따라 달라진다. 218번(능주 경유 도암, 한천, 춘양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신우아파트↔주월주택단지↔장미아파트↔봉선중입구↔남광교↔남선교회↔남광주4거리↔조선대병원↔학동3거리↔삼익세라믹↔한센협회↔남초등학교↔무등중학교↔소태역↔녹동부란↔주남마을↔남계↔광주정보학교↔내지↔선교↔화순터널↔이십곡리↔유창아파트↔능주 218-1번(능주경유 이양, 청풍면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신우아파트↔주월주택단지↔장미아파트↔봉선중입구↔남광교↔남선교회↔남광주4거리↔조선대병원↔학동3거리↔삼익세라믹↔한센협회↔남초등학교↔무등중학교↔소태역↔녹동부란↔주남마을↔남계↔광주정보학교↔내지↔선교↔화순터널↔이십곡리↔화순읍↔능주면 220번: 화순전남대병원↔화순전남대병원입구↔화순용곡마을↔부영3차↔우체국↔화순교(동)↔읍사무소↔전통시장↔중앙병원↔화순제일중↔대리교통광장↔서라아파트↔오성초↔화순역↔오성아파트↔계소리↔주도리 318번(천암리,도곡 방면):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신우아파트↔백운광장↔대광여고↔대성여고↔동성고↔광주대↔노대↔칠구재터널↔세량리↔앵남↔도곡온천↔신덕↔도곡 318-1번: 덕흥동↔화니미지로↔유덕동주민센터↔유덕치안센터↔극락초등학교↔버들주공1단지↔유덕초교↔광명하이츠후문↔기아차중문↔광주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화정중흥파크멘션↔상공회의소↔건강관리협회↔월산4동↔월산5동↔신우아파트↔백운광장↔대광여고↔대성여고↔동성고↔광주대↔노대↔칠구재터널↔세량리↔앵남↔도곡온천↔신덕↔도곡↔천태↔도암면↔운주사↔중장터 200-1번: 덕흥동↔만인리 215번: 화순터미널↔구 이서중(5-11월만 운행) 215-1번: 화순터미널↔하서마을(하서마을 막차는 덕흥동까지 운행) 216번: 덕흥동↔미곡리 216-1번: 화순터미널↔미곡리 220번: 화순전남대병원↔주도리 1111번: 덕흥동->광주종합버스터미널->소태역->화순우체국->대리교통광장(심야버스) = = 차량 = = = = = = KGM커머셜 = = = = KGM 스마트 110 = = = = 현대자동차 = = = = 현대 뉴 카운티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 = = = 자일대우버스 = = = = 자일대우 NEW BS090 = 쇼덴역 = 쇼덴역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국도 제46호선 = = 역사 = = 1955년 7월 10일 : 국철 아보나이 선의 역으로서 센보쿠 군 다자와코 정에 개업. 1966년 10월 20일 : 아보나이 선이 다자와코 선에 편입되어, 다자와코 선의 역이 됨.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 틀:2017년 K7리그 구리 축구단 = = = 달 행성설 = = 달 행성설은 농담으로 보이며 위키백과에 적합하지 않다. Xods (토론) 2009년 10월 26일 (월) 10:52 (KST) = 분류:비디오 게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 = = 박경석 = 박경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박경석(朴經錫, 1875 ~ ?)은 일제 강점기의 재산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박경석(朴慶錫, 1933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작가, 시인, 소설가, 문필가, 군사평론가, 문학평론가, 시사평론가, 언론인, 정치인(전직 통일원 예하 정책 담당 공무원 출신)이다. 박경석(朴敬錫, 1937 ~ )은 제11,12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박경석(朴敬石, 1960 ~ )은 대한민국의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다. 박경석(朴瓊奭)은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박명렬(朴命烈, 1912 ~ 2003)의 아명(兒名)이다. = 다케다 노부시게 (1525년) = 다케나 노부시게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가이 다케다 가문 제 18대 당주 다케다 노부토라의 아들이며, 다케다 신겐의 동생이다. 관직인 사마노스케(左馬助)의 당명(唐名, 중국 풍의 별칭)인 덴큐(典厩)라고 불렸으나, 적자 다케다 노부토요(武田信豊)도 덴큐라고 자칭하였기 때문에 후세에는 고텐큐(古典厩)라고 불렸다. 다케다 24장에서는 다케다 가문의 부대장 격으로 여겨진다. = = 생애 = = 다이에이 5년(1525년), 다케다 노부토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명은 지로(次郎). 덴분 10년(1541년)에 형 하루노부(후의 신겐)가 아버지 노부토라를 스루가의 이마가와 가문으로 추방하였다. 고요군칸(甲陽軍鑑)에 따르면, 노부토라가 노부시게를 어렸을 때부터 총애하여 적남인 하루노부를 폐하고 노부시게에게 가독을 물려주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루노부 대에 다케다 가문은 시나노 침공을 본격화하여, 무라카미 요시키요를 비롯한 시나노의 고쿠진 영주와 에치고의 우에스기 겐신과의 고에쓰 대립구도가 생기게 된다. 노부시게는 하루노부의 보좌역으로서 시나노 경략에 종사하여 덴분 20년(1551년) 7월 무라카미 공격에 선진으로 출진하였고, 덴분 22년(1553년의 시나노 카리야하라 성(苅屋原城) 공략, 무라카미 가문의 가쓰오 성(葛尾城) 공략 등에서 공을 세웠다. 다케다 가문은 정복한 시나노 제후에 대해 일족을 양자로 보내는 회유책을 택하여, 노부시게의 아들도 시나노 사쿠 군(佐久郡)의 모치즈키 가문(望月氏)의 양자로 들어갔다. 에이로쿠 4년(1561년) 9월 10일, 제 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적군인 우에스키군이 쏜 조총탄알에 왼쪽가슴을 맞아 가와나카지마 (현 나가노현 나가노시)에서 전사하였다. 향년 36세. 신겐 대에는 다케다 일족에서도 다케다 성을 쓰도록 허락받은 사람이 많지 않았는데, 노부시게는 동생인 다케다 노부카도(武田信廉)와 함께 다케다 성을 쓰는 것을 허락받았다. 노부시게·노부토요의 다케타 덴큐가문(典厩家)은 노부카도의 다케다 쇼요켄가문(逍遥軒家)과 함께 일문의 필두로서 지배지의 성을 지키는 역할이 아니라, 다케다 가문의 본거지 고후(甲府)에 주재하며 다케다 가문의 외교에 참여하며 전투 시에는 선봉을 통솔하는 역할로 출진하는 중책을 맡았다. = = 인물 = = 노부시게는 상당한 교양을 갖추고 있었던 듯, 구게 요쓰쓰지 스에토오(四辻季遠)등이 가이에 방문하였을 때, 와카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논어 등의 중국 고전에서 인용한 구절이 보이는 99개 조항의 가훈을 작성하였다. 가와나카지마에서 노부시게가 전사하자 신겐은 노부시게의 유해를 안고 통곡했다고 전해지며, 우에스기 겐신 쪽에서도 그의 죽음을 애석해했다고 한다. 다케다 가신단에서도 만일 노부시게가 살아있었다면 신겐의 장남 요시노부의 모반은 일어나지 않았을 거라며 아쉬워하는 자가 많았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도 “진짜 무장”이라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아, 적자 노부토요(信豊)에게 남긴 다케다 노부시게 가훈은 부시의 수칙으로서 널리 읽혔으며, 유학자 무로 규쇼(室鳩巣)는 “덴분, 에이로쿠 연간에 현자라고 칭할만한 인물이 있었다. 고슈(甲州) 다케다 신겐 공의 아우, 고텐큐 노부시게 공이다.”라고 칭송하였다.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network programming)은 다음을 가리킨다.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스케줄링 방송 프로그램 = 토리노디산그로 = 토리노디산그로는 이탈리아 아브루초주 키에티도에 있는 코무네이다. = 미시리촌 = 미시리촌은 사이타마현 하라군·오사토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현재의 구마가야시에 해당한다. = 학교 행사 = 학교 행사(學校行事) 또는 행사 활동(行事活動)은 학교에서 교과(敎科) 이외에 교육 목적으로 실시하는 특별 활동의 일종으로, 행사를 위주로 하는 활동이다. = 분류:나이지리아의 군인 = = 주위안하오 = 주위안하오(, 1990년 9월 6일~)는 중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갑조리그 사천팀 소속 2005년 후지쯔배 U15소년대회 준우승 2004년 신수배 우승 2005년 서남왕배 준우승 2009년 제16회 신인왕전 준우승(대 스웨 0:2) 2012년 제1회 바이링배 64강 2014년 기성전 8강 = 토룬 화약 = 토룬 화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제1차 토룬 화약 - 1411년 제2차 토룬 화약 - 1466년 토룬 조약 - 1709년 = 분류:370 mm 포 = = 웨인 그루뎀 = 웨인 A. 그루뎀(Wayne A. Grudem, 1948년 2월 11일-)은 미국의 복음주의 신학자이며 신학교수이며 저자이다 . 그는 성경적 남성과 여성에 관한 협회를 공동으로 창설하고 ESV Study Bible 편집자이다. 하바드 대학교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그리고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 = 정치적 견해 = = 그는 2020년에 있던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보다 도널드 트럼프가 보다 더 성경적인 후보라고 주장하였다. = = 출판 = = Biblical Foundations for Manhood and Womanhood (editor) Bible Doctrine (edited by Jeff Purswell) * Business for the Glory of God: The Bible’s Teaching on the Moral Goodness of Business Christian Beliefs: Twenty Basics Every Christian Should Know Christian Beliefs DVD Discipleship Course Countering the Claims of Evangelical Feminism: Over 40 Biblical Responses Evangelical Feminism: A New Path to Liberalism? Evangelical Feminism and Biblical Truth: An Analysis of Over 100 Disputed Questions Fifty Crucial Questions: An Overview of Central Concerns About Manhood and Womanhood (co-authored with John Piper) Pastoral Leadership for Manhood and Womanhood (co-editor with Dennis Rainey) Politics According to the Bible (2010) ISBN 978-0-310-33029-5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A Response to Evangelical Feminism (co-edited with John Piper)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The First Epistle of Peter The Gender-Neutral Bible Controversy: Muting the Masculinity of God's Words (co-authored with Vern Poythress) The Gift of Prophecy in 1 Corinthians The Gift of Prophecy in the New Testament and Today The Poverty of Nations: a Sustainable Solution (2013; co-authored with economics professor Barry Asmus) The TNIV and the Gender-Neutral Bible Controversy (co-authored with Vern Poythress) Why Is My Choice of a Bible Translation So Important? = 분류:산마르코스 국립 대학교 동문 = = 틀: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 = 2017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 제23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2017년 독일에서 열릴 예정이다. = 안양 삼막사 감로정 석조 = 삼막사 감로정 석조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삼막사 경내 종무소 앞의 삼층석탑 아래에 위치한 귀부형의 석조석조(石槽)는 큰 돌을 파서 물을 부어 쓰도록 만든 석기이다. 큰 절에서 잔치를 하고 나서 그릇 따위를 닦을 때 흔히 쓴다.이다. 2018년 7월 16일 안양시의 향토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안양시 고시 제2018-106호, 안양시 향토문화재 지정 고시, 안양시장, 2018-07-16 = = 개요 = = 삼막사 경내 종무소 앞의 삼층석탑 아래에 위치한 귀부형의 석조로 목을 바짝 움츠린 평판적인 모습의 귀두(龜頭)가 표현되어 있다. 명문에 “도광십칠년정유(道光十七年丁酉)”라 기록된 점으로 보아 헌종 17년(1837년)에 조성된 조선 후기의 불교 유산이다. = 분류:7인제 럭비 대회 = = 분류: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 라르센 = = = 지명 = = 라르센 빙붕: 웨들 해 북서쪽 남극 반도 동해안의 캐이프 로깅부터 스미스 반도까지 쭉 이어져 있는 빙붕 = = 인명 = = 마리트 라르센: 노르웨이의 싱어송라이터 레네 라르센: 덴마크의 배우 투타 라르센: 러시아의 가수 비고 라르센: 덴마크의 배우 일셀릴 라르센: 덴마크의 배우 리네 라르센: 리네(Line)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는 덴마크의 가수 = Four Seasons of Love = Four Seasons of Love는 1976년 10월 11일에 발매된 도나 서머의 음반이다. = 카샤파 2세 = 카샤파 2세(Kashyapa II, 608년 ~ )는 아누라다푸라 왕국 모리야 왕조의 제22대 군주였다. = 패스파인더 (메이플스토리) = #Redirect 모험가 (메이플스토리)#궁수 = 나카무라 게이토 = 나카무라 게이토(, 2000년 7월 28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현재 프랑스 리그 1의 클럽인 스타드 드 랭스에서 뛰고 있다. 포지션은 좌측 윙어, 공격수이다. = 분류:잠발레스주의 지형 = = 어니타 루이즈 = 어니타 루이즈(Anita Louise, 1915년 1월 9일 ~ 1970년 4월 25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장진호 전투 (1952) 러브 레터 (1945) 소공녀 (1939) 고잉 프레이스 (1938) 마리 앙투아네트 (1938) 안소니 에드버즈 (1936) 과학자의 길 (1936) 한여름 밤의 꿈 (1935) 프리스트 판사 (1934) 플로로도라 걸 (1930) 스퀘어 숄더 (1929) 원더 오브 위민 (1929) 어 우먼 오브 어페어스 (1928) = 대천동 = 대천동은 다음 지역을 의미한다. 대천동(大泉洞)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법정동이다. 행정동은 월성1동, 월성2동으로 분할 관할한다. 대천동(大泉洞)은 경기도 안성시의 법정동이다. 행정동은 안성3동이다. 대천동(大川洞)은 충청남도 보령시의 법정동이다. 대천1동, 대천2동, 대천3동, 대천4동, 대천5동은 행정동이고 법정동 대천동은 대천1동과 대천2동으로 분할 관할한다. 대천동(大川洞)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법정동이다. 행정동은 충무동이다. 대천동(大川洞)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행정동이다.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에 존재했던 대천동(大川洞)은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이다.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에 존재했던 대천동(大泉洞)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대천리이다.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에 존재했던 대천동(大川洞)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대천리이다. 경상북도 영천군 화남면에 존재했던 대천동(大川洞)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대천리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존재했던 대천동(大泉洞)은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이다. = The Fake Sound of Progress (노래) = The Fake Sound of Progress는 2002년 3월 11일에 발매된 로스트프로펫츠의 노래이다. = 분류:럭비 유니언팀 = = 비켄주 = 비켄주는 노르웨이 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오슬로, 드람멘, 사릅스보르그, 모스이며 면적은 24,592.59 km2, 인구는 1,213,354명(2019년 기준)이다. 남쪽으로는 베스트폴오그텔레마르크주와 북해, 서쪽으로는 베스트란주, 북쪽으로는 인란데주, 동쪽으로는 스웨덴과 국경을 접한다. 51개 지방 자치체를 관할한다. 2020년 1월 1일 아케르스후스주와 부스케루주, 외스트폴주가 통합하여 설립된 주로, 통합 이전 2017년 노르웨이 의회가 무력으로 세 주의 통합을 추진하는 투표를 진행한 적 있었다. = 201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01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2018 Recopa Sudamericana)는 2018년 2월 14일과 2월 21일에 열린 25번째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대회이다. 201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팀인 그레미우와 2017년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팀인 인데펜디엔테가 맞붙었다. 1차전 경기는 아르헨티나 아베야네다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에서, 2차전 경기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 위치한 아레나 두 그레미우에서 열렸다. 그레미우가 인데펜디엔테를 합계 1-1, 승부차기 5-4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 = 경기 = = = = = 1차전 = = = GK 25 마르틴 캄파냐 (c) RB 16 파브리시오 부스토스 CB 2 알란 프랑코 CB 14 페르난도 아모레비에타 LB 20 가스톤 실바 CM 5 니콜라스 도밍고 CM 10 페르난도 가이보르 RW 7 마르틴 베니테스 AM 8 막시밀리아노 메사 LW 21 호나탄 디에고 메넨데스 CF 9 에마누엘 히글리오티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1 다미안 알빌 DF 4 호르헤 피갈 MF 6 후안 산체스 미뇨 MF 24 호나스 구티에레스 FW 11 레안드로 페르난데스 FW 18 실비오 로메로 FW 22 후안 마누엘 마르티네스 감독: 감독: 감독: 아리엘 올란 아리엘 올란 아리엘 올란 = = = 2차전 = = = GK 1 마르셀루 그로이 RB 2 레우 모라 CB 3 페드루 제로메우 CB 4 왈테르 카네만 LB 6 브루누 코르테스 CM 8 마이콩 (c) CM 25 자이우송 RW 23 알리송 AM 7 루앙 LW 11 에베르통 CF 17 시세루 교체 선수: 교체 선수: 교체 선수: GK 12 파울루 빅토르 DF 13 파울루 미란다 DF 20 마르셀루 올리베이라 MF 5 미셰우 MF 14 리마 MF 18 마이코주에우 FW 9 자에우 감독: 감독: 감독: 헤나투 포르탈루피 헤나투 포르탈루피 헤나투 포르탈루피 2018 = 분류:뉴질랜드의 쇼트트랙 선수 = = 네트로코나구 = 네트로코나구는 방글라데시 북부 마이멘싱구의 한 지역이다. = = 어원학 = = 네트로코나구의 본부는 모그라강 끝에 위치해 있었고 나토르코나라고 불렸다. 많은 사람들은 일정 기간 동안 나토르코나가 네트라코나가 되었다고 믿는다. = = 지리학 = = 네트로코나는 인도 메갈라야주와 국경을 따라 방글라데시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네트로코나에는 캉샤, 소메샤우리, 달라, 마그라와 티어칼리의 다섯 개의 주요 강이 있다. 이것은 수르마메그나 강계의 일부이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계절풍 기간 동안 하얼이 된다. 네트로코나구의 총 면적은 2,744.28 km2 (1,059.57 sqmi)이며, 이 중 9.17 km2 (3.54 sqmi)가 숲 속에 있다. 북위 24°34'에서 25°12' 사이, 동경 90°00'에서 91°07' 사이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인도 메갈라야주의 가로 언덕, 동쪽으로는 수남간지구, 남쪽으로는 키쇼레간지구, 서쪽으로는 마이멘싱구와 접한다. 네트로코나 파우로샤는 1887년에 설립된 도시로 면적은 13.63 km2이다. = = 인구 = = 2022년 방글라데시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트로코나구에는 548,449가구가 살고 있으며 인구는 2,324,856명으로 이 중 15.5%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 밀도는 km2당 832명이었다. 식자율(7세 이상)은 66.1%로 전국 평균 74.7%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 챈들러 파슨스 = 챈들러 파슨스(Chandler Parsons, 1988년 10월 25일 ~ )는 미국의 농구 선수이자, NBA 멤피스 그리즐리스의 선수이다. = = 경력 통계 = = = = = NBA = = = = = = = 정규 시즌 = = = = = = = = 플레이오프 = = = = = 분류:에르주룸주 출신 = = 가와치 이치로 = 가와치 이치로(Ichiro Kawachi)는 일본계 미국인 의사, 사회역학자이다. = = 생애 = = 1961년 도쿄에서 태어난 후 12세에 뉴질랜드로 이주하였다. 1985년 오타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웰링턴 병원에서 내과 의사로 수련받았다. 1992년 하버드 대학교 T. H. 챈 보건대학원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 = 연구 분야 = = 가와치는 사회역학 연구자로서 건강불평등,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등의 주제를 다룬다. 또한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이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 = 주요 저서 = = Kawachi I, Kennedy BP, Wilkinson RG.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A Reader. New York: The New Press, 1999. ISBN 978-1-56584-571-8. Daniels N, Kennedy BP, Kawachi I (eds). Is Inequality Bad for Our Health?. Boston: Beacon Press, 2000. ISBN 978-0-8070-0447-0. Berkman LF, Kawachi I. 사회 역학 (신영전 외 역). 한울아카데미. 2017. ISBN 978-89-460-4252-0. (원제: Social Epidemiology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ISBN 978-0-19-939533-0.) Kawachi I, Kennedy BP. 부유한 국가 불행한 국민 (김명희 역). 몸과마음. 2004. ISBN 978-89-89418-40-5. (원제: The Health of Nations. New York: The New Press, 2002. ISBN 978-1-56584-896-2.) Duncan DT, Kawachi I (eds). Neighborhoods and Health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ISBN 978-0-19-084349-6. Kawachi I, Wamala S (eds). Globalization and Heal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ISBN 978-0-19-517299-7. Kawachi I, Subramanian SV, Kim D. (eds). Social Capital and Health. New York: Springer, 2008. ISBN 978-0-387-71311-3. = HIP 70248 = = 시오카리역 = 시오카리역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왓사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7이며, 상대식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역 주변 = = 국도 제40호선 = = 역사 = = 1916년 9월 5일 : 시오카리 신호소()로서 설치. 1922년 4월 1일 : 시오카리 신호장()으로 개칭. 1924년 11월 25일 : 시오카리역으로 승격과 동시에 개칭. 1987년 4월 1일 :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로 이관. = 비다 사마드자이 = 비다 사마드자이(, 1978년 2월 22일 ~ )는 아프가니스탄의 배우, 모델, 미인 대회 우승자이다. 2003년에 열린 미스 어스 대회에서 아프가니스탄 대표로 참가했다. 1974년 이후에 처음으로 국제 미인 대회에 참가한 아프가니스탄 출신 여성이기도 하다. = = 생애 = = 파슈툰인인 사마드자이는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인 카불에서 태어나서 성장했고 1996년에 미국으로 이주했다. 사마드자이는 캘리포니아주 풀러턴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캠퍼스를 졸업하면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게 된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의 권리와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미국에 기반을 둔 여성 자선 단체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사마드자이는 2002년에 수전 제스크(Susan Jeske)가 신설한 1번째 미스 아메리카 인터내셔널(Ms. America International)에서 3위를 차지했다. 사마드자이는 2003년에 열릴 미스 어스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심사를 신청했는데 아프가니스탄에는 미인 대회가 없었기 때문에 해외에서 아프가니스탄 대표로 선발되었다. 사마드자이는 미스 아프가니스탄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지는 않았지만 1974년 조흐라 다우드가 미스 아프가니스탄으로 등극한 이래 국제 미인 대회에 참가한 최초의 아프가니스탄 출신 여성이 되었다. 하지만 사마드자이의 미스 어스 참가는 그의 모국이자 이슬람 세계 국가인 아프가니스탄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아프가니스탄 대법원은 사마드자이의 미스 어스 참가에 대해 여성의 신체 노출을 금기시하는 이슬람교의 율법과 아프가니스탄의 문화를 위반한 것에 해당한다며 유죄 판결을 내렸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의 전통주의자들은 사마드자이가 미스 어스에서 빨간 비키니를 입은 채로 인터뷰를 진행한 것을 규탄했다. 사마드자이는 같은 해에 필리핀 케손시티에서 열린 미스 어스에서 준결승전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현대 여성의 새로운 자신감, 용기, 정신, 여성의 권리와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종교적 투쟁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차원에서 심사위원들의 결정에 따라 "대의명분상"을 수상했다. 사마드자이는 필리핀 케손시티에서 열린 2004년 미스 어스 대회에서 브라질의 프리실라 메이렐리스를 우승자로 선정하는 데에 도움을 준 11명의 심사위원들 가운데 한 명이기도 하다. 특히 대관식 날 밤에는 가운을 입은 한 젊은 여성 인권 운동가가 사마드자이 앞에서 "피부를 드러내지 않고 수영복을 입고 있어서 이번에는 문제가 생길지 모르겠습니다."고 말했다. 사마드자이는 수전 제스크가 주최한 2005-06년 미스 아메리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에는 인도 컬러스 TV(Colors TV)에서 방송된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빅 보스(Bigg Boss)의 5번째 시즌에 출연했는데 1일부터 49일까지 생존했다. = 막시모 방게라 = 막시모 올란도 방게라 발디비에소(Máximo Orlando Banguera Valdivieso, 1985년 12월 16일, 과야킬 ~)는 흔히 막시모 방게라(Máximo Banguera)로 알려진 에콰도르 세리에 A의 델핀과 에콰도르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는 축구 골키퍼이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그는 에콰도르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이다. 방게라는 2008년 11월, 멕시코전을 위해 차출되었다. 그는 풀타임 출전을 하여 우수한 활약을 펼쳤다.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종료 이후, 마르셀로 엘리사가가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하자, 방게라는 에콰도르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가 되었다. 부상으로 인해, 그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 몇 경기 선발 출전에 그쳤다. 결국 그는 LDU 키토의 알렉산데르 도밍게스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 = 수상 = = = = = 클럽 = = = 에콰도르 세리에 A: 2012 = 비정규직 보호법 = 비정규직 보호법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노동위원회법 등 비정규직보호 관련 법률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2006년 11월 30일 국회에서 통과되어 2007년 7월 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었다. 2008년 7월에는 100인 이상 사업장, 2009년 7월 1일에는 5인 이상 사업장으로 시행 범위가 확대되었다. = = 2006년 법안 = = 2006년 11월 30일에 비정규직보호관련 3개의 법안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의 뼈대는 다음과 같다.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이전에는 300인 이상인 기업)에 적용. 2년간 근무할 경우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조건이 비정규직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첫 번째 조항으로 인해 비정규직 채용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또 두 번째 항목으로 인해 2년 이하의 근무자는 해고해도 아무런 통제를 받지 않기에 오히려 대량 해고가 예상된다. = = 2009년 법안 = = 2009년 3월 12일 비정규직노동자를 정규직 전환기간이 기존의 2년에서 4년으로 연장되는 비정규직법 개정안이 입법예고되었다. 국회 심의ㆍ의결 등의 절차를 거쳐 비정규직법의 개정이 이뤄진다면 기업은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고 4년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비정규직 2→4년 연장법안’ 13일 입법예고 헤럴드 경제 2009년 3월 12일자 기사 비정규직법 개정안에 대해 노동계에서는 "4년 동안 안정적으로 비정규직을 쓸 수 있다면 누가 정규직을 뽑겠느냐"며 "결국 경총이나 사용자 측의 주장처럼 4년 연장안은 기간제한을 철폐하는 수순으로 갈 우려가 크다"며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노동계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 수용 못해"…반발, 뉴시스 2009년 3월 12일자 = = 비정규직 관련 판례 = = = = = 2010년 대법원 = = = 2010년 7월 22일 대법원 제3행정부는 현대자동차 울산비정규직지회 그러니까 현대자동차가 하청업체를 통해 간접고용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권리를 주장하고 보호하기 위해 만든 노동조합의 최병승 조합원이 낸 부당해고 구제 재심에 대해 “2년 이상 근무한 사내하청 노동자는 원청회사가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한 것으로 봐야한다”라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은 노동운동을 이유로 한 해고를 당한 동희오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원청업체인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복직투쟁을 벌이던 시기에 있었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운동 역사에 영향을 주는 판결로 평가받는다.시사인-물대포맞는 모닝신화의 주인공들 2010년 7월 29일자 = = = 2011년 고등법원 = = = 2010년 7월 대법원 판결로 사건이 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내짐으로써 진행된 서울 고등법원 재판에서도 2011년 2월에 같은 판결을 내렸다. 서울고등법원 행정3부(재판장 이대경)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의장공정에서 2년 넘게 사내하청 노동자로 일하다 해고된 최병승(35)조합원이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 및 부당노동행위 구제 재심판정 취소 청구소송의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서 2011년 2월 10일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최병승 씨는 컨베이어벨트 좌우에 정규직 노동자들과 어울려 같은 업무를 수행했고, 현대차는 이들의 작업량과 방법, 순서 등을 결정했다”며 “현대차에 파견되어 2년 넘게 현대차에 의해 사용되었으므로 (현대차가) 직접 고용한 것으로 간주된다”고 밝혔다. 2년이상 일한 비정규직 노동자는 정규직으로 간주되므로,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판결이다. 그럼에도 현대자동차에서는 판결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한겨레 신문 기사,송경화 기자 외 = = = 투쟁 중이거나 협상으로 노동쟁의가 해결된 기업 = = = 한국철도공사 코오롱 이랜드 - 이랜드의 유통업체 홈플러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80만원내외의 저임금 노동으로 착취받다가 계약만료를 이유로 집단 해고됨. 이랜드의 박성수 회장은 사랑의 교회에 출석하는 개신교 신자이기 때문에, 당연히 개신교 경제윤리에 따른 경영이 가능한가라는 논쟁을 낳았다. 기륭전자-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전자회사, 집단해고된 그것도 문자 메시지만으로 해고가 통보된 날벼락을 맞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사옥앞에서 정규직 전환을 위한 비폭력투쟁을 하여 협상되었음. 동희오토-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사내 하청기업으로 100%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현대자동차 매출에 '모닝신화'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큰 기여를 한 모닝 자동차 제조업 노동자로 근무. 최저임금보다 100원 많은 임금을 주는 착취와 노동운동을 이유로 한 부당해고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피의 공장이라고 불렸다. 그래서 원청업체인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물청소를 이유로 물을 뿌리고, 용역들과 경찰을 동원한 탄압을 받으면서도 노숙농성을 하는 비폭력투쟁을 하여, 2010년 복직됨.시사인 기사,Pressian 기사 현대자동차 - 2010년 울산과 아산공장에서 일하는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 전환을 위해 공장 점거 투쟁하였다.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같은 일을 하고도 정규직에 비해 60-70%의 임금을 받는 임금차별, 인격적 모독, 계약연장의 조건으로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자동차 비정규직지회 탈퇴 요구 등의 부당한 대우를 받아왔다. 사측에서 용역을 동원한 폭력으로 탄압하여 30대 비정규직 노동자가 분신하였으며(생명에는 지장이 없음), 누리꾼들의 울산 동부경찰서 누리집에서 항의하는 등 갈등이 해결될 기미가 없었지만, 끈질긴 투쟁끝에 비정규직 지회, 정규직 지회, 사측에서 '불법파견(제조업 노동자를 파견업체나 하청업체를 통해 간접고용하는 것은 법에 어긋나는 고용임)문제해결','손해배상 문제(정규직 지회에서 대신 납부하기로 함),'파업투쟁 참여자에 대한 고용안정'을 놓고 협상하기로 하였음. GM대우 - 2010년 금속노조 GM대우 비정규직 지회 에 속한 GM대우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007년 비정규직 노동조합 결성을 이유로 해고된 이후 해고자의 복직을 위해 고공농성, 비정규직 지회장의 단식투쟁, 촛불문화제를 4년간 하였다.진보신당에서 제작한 GM대우 투쟁 선전물 진보신당 인천시당, 경기도당 부천당원협의회,사회당, 민주노동당 등의 진보정당들과 지역교회(가톨릭, 개신교)에서 GM대우 비정규직 해고노동자들의 복직투쟁을 지지하는 내용의 현수막 제작, 촛불문화제 참여, 가톨릭 미사 집전 및 주보에 GM대우에서 해고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복직투쟁이야기 담기,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종교인 성명(인천지역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 교회 성직자들이 지엠대우 비정규직 노동자와 지엠대우 사이의 갈등 중재를 위해 작성/서명한 성명)으로 투쟁을 도왔다. 투쟁과정에서 대화로써 문제를 해결해가야할 GM대우의 대화거부와 고공농성하는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 두 사람에 대한 식량지원을 방해하는 등의 반인권적 태도, 고공농성을 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 두 사람의 건강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었다.2011년 2월 2일 해고 노동자 15명을 복직시키기로 협상되어 사실상 갈등이 해소되었다. 현재 크레인으로 정문아치에서 내려온 고공농성자와 단식투쟁을 한 달 넘게 하던 신현창 지회장은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하청업체를 통해 간접고용하고 해고한 원청업체가 아닌 하청업체가 협상에 나선 점,복직기간이 분명하지 않은 점 등 한계도 보인다. 홍익대학교:홍익대학교에서 용역업체를 통해 간접고용한 청소부, 시설관리원, 경비원 즉,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집단해고하여 2011년 1월 22일 현재 20일째 노동쟁의중이다.현재 집단해고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170명이며, 한달 임금 75만원,점심값 300원이란 터무니없는 대우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일부 재학생,졸업생들은 촛불문화제 참여,투쟁후원금 320만원 지원으로, 트위터 사용자들의 모임 김여진과 날라리 외부세력,배우 김여진씨는 바자회,일간지 광고 싣기로 투쟁을 돕고 있다. 학교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리투쟁을 외면하고 있으며,총학생회에서도 초기에 갈등을 겪었다.레디앙 기사,2011년 1월 23일 = 2022 펍지 레벨업 쇼다운 시즌 1 = 2022 펍지 레벨업 쇼다운 시즌 1(2022 PUBG LVUP SHOWDOWN Season 1)은 2022년 첫 번째 PLS이다. = = 개요 = = = = = 일정 = = = = = = 진행 방식 = = = 예선 결선 = = = 상금 = = = 우승 : 200만 원 준우승 : 100만 원 = = = 참가 팀 = = = = = 예선 = = = = = 요약 = = = 결선 진출 방식 결선 진출 방식 팀명 비고 예선 1주차 예선 1주차 SeongNam GE 예선 1주차 예선 1주차 Return 예선 1주차 예선 1주차 Veronica7 예선 2주차 예선 2주차 No-Name No-Name 시드권 중복 예선 2주차 예선 2주차 Four maniacs Four maniacs 시드권 중복 예선 2주차 예선 2주차 AFJAMMINZ 예선 3주차 예선 3주차 SUNNY SIDE UP전 TEAM SSU 예선 3주차 예선 3주차 Carpediem 예선 3주차 예선 3주차 Four maniacs 예선 4주차 예선 4주차 FaceToFace 예선 4주차 예선 4주차 No-Name 예선 4주차 예선 4주차 Four maniacs 예선 누적 포인트 1위 NewStar 예선 누적 포인트 2위 하고 싶은 거 다 해 예선 누적 포인트 3위 Ark 예선 누적 포인트 4위 돼지우리 예선 누적 포인트 5위 See You Again 예선 누적 포인트 6위 INV 예선 누적 포인트 7위 TEAM Mangchi = = 결선 = = 순위 팀명 순위 점수 킬 점수 총 점수 결과 1 AFJAMMINZ 64 133 197 실격AFJAMMINZ 시드권이 제재로 인해 이관되었다. 2 Veronica7 67 124 191 2022 PWS 페이즈 1 진출 3 No-Name 68 90 158 2022 PWS 페이즈 1 진출 4 INV 58 88 146 탈락 5 SUNNY SIDE UP 54 88 142 탈락 6 See You Again 47 74 121 탈락 7 FaceToFace 37 80 117 탈락 8 돼지우리 43 65 108 탈락 9 SeongNam GE 38 58 96 탈락 10 TEAM Mangchi 31 60 91 탈락 11 NewStar 36 50 86 탈락 12 Ark 23 63 86 탈락 13 하고 싶은 거 다 해 19 67 86 탈락 14 Carpediem 20 53 73 탈락 15 Return 15 50 65 탈락 16 Four maniacs 20 44 64 탈락 = = 결과 = = 2022 PWS 페이즈 1 진출 Veronica7 No-Name = = 방송 = = 캐스터 : 박한얼 해설 위원 : 오승주 = 소마강 = 소마강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소마 지구를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14.6 km이다. = 분류:독일의 좀비 영화 = = 루트 = = = 수학 = = 루트(root)는 제곱근을 부르는 표현이다. = = 지명 = = 루트 사막: 이란 남동부의 소금 사막 = = 문학 = =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루트>(Root). 이를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로 만든 <뿌리>(1977년)도 있다. = = 컴퓨터 과학 = = 루트 디렉토리: 주로 유닉스와 유닉스-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개념인데,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의 첫번째 또는 최상위 디렉토리 슈퍼 사용자 또는 루트 유저(root user) 루트 인증서: 루트 인증 기관(CA)에서 관리하는 공개 키 인증서나 자체 서명 인증서 Route (명령어) = = 인명 = = 엘리후 루트: 미국의 정치인 루트 가브리엘: 스페인의 배우 스티븐 루트: 미국의 배우 루트 푸흐스: 전 동독의 창던지기 선수 루트 로렌소: 스페인의 가수 안나 비르기타 루트: 스웨덴의 민속학자 루트 베가 페르난데스: 스웨덴의 배우 루트 누녜스: 스페인의 배우 루트 무팡: 화학자 루트 란츠호프: 20세기 독일의 배우, 작가 루트 디아스: 스페인의 배우 루트 94: 잉글랜드의 음악 프로듀서, 디스크 자키 루트 브란트 = = 영화 = = 루트 7: 199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 = = 음악 = = 루트(Loote): 미국의 음악 그룹 = = 음식 = = 루트 비어: 새서프래스(sassafras)를 비롯한 식물의 뿌리로 만드는 갈색 빛깔의 미국식 탄산 음료 = 분류:춘천시의 교통 = = 박대석 = 박대석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이들은 다음과 같다. 박대석: 前 부산 영도구청장. 박대석: 前 KBS 한국방송공사 기자 겸 앵커 지낸 대한민국 프리 랜서 아나운서이자 목회자. = WPIX = WPIX는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의 CW 계열 방송국으로, 1995년부터 2006년까지는 The WB 소속이었다. 채널 번호는 11번이다. = 연혁 = 1947년에 설립되었으며, 1948년 6월 15일 방송을 시작하게 된다. 처음에는 독립 방송국이었으며, 1993년 11월 2일에 타임 워너 케이블사와 워너 브라더스가 트리뷴과 합작하여 The WB를 설립하게 되어, 1995년 1월 11일 The WB 계열 방송국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2006년 1월 24일 UPN과 The WB가 CBS 코퍼레이션에 인수되어 CW로 발족하였을 때 CW로 들어가 현재에 이른다. = = 홈페이지 = = http://pix11.com/ = = 홈페이지 = = http://pix11.com/ = 김용찬 (1896년) = 김용찬은 일제강점기의 법조인으로서, 한국 중앙 총상회장을 지냈다. 그의 근대적 사상과 인격은 모든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기도 하였다. 사상 체계의 근본적 저술사로서, 그의 인격또한 높이 평가되었다. 그는 "법적인 인맥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아래 판결을 내렸으며, 그의 탈선된 행동과 잘못된 죄질은 모든 법적인 인맥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었다고 믿기도 하였다. 사람들의 사고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그는, 봉황(鳳凰)같은눈을 부릅 뜨며, 모든 사람들을 멸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근대에 와서 그의 평가는 더 높아지기도 하였는데, 그의 업적(통신기기를 탐닉한죄)은 다른 사람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였지만 그가 근대적 사상을 뜯어 고쳤기에, 모든 사람들의 그의 행동을 멸시하지 아니하였다. = 분류:하란 출신 = = 오규 마쓰다이라가 = 오규 마쓰다이라가는 마쓰다이라 지카타다의 차남 마쓰다이라 노리모토(松平乗元)를 시조로 하는 마쓰다이라씨의 서류이다. 미카와국 가모 군 오규(지금의 아이치현 도요타시)를 영유하여 오규 마쓰다이라 가라고 칭한다. 마쓰다이라 종가(도쿠가와씨)에 사관하여, 에도 시대에는 후다이 다이묘 4가 외에, 다수의 하타모토를 배출했다. 18 마쓰다이라의 하나이기도 하다. = = 오규 마쓰다이라가 계통의 제번 = = 니시오 번 - 노리모토(乗元, 오규 종가) 계통 후나이번 - 지카키요(親清) 계통, 중시조는 지카키요의 손자 가즈나리 오쿠토노 번 - 사네쓰구(真次) 계통, 중시조는 사네쓰구의 장남 노리쓰구 이와무라 번 - 노리마사(乗政) 계통 = 틀:연천 미라클 출신 프로야구 선수 = =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 클라우스 "아우게" 아우겐탈러 (Klaus "Auge" Augenthaler, 1957년 9월 26일, 퓌르스텐첼 ~)Schulze-Marmeling, Dietrich (2003), Die Bayern. Die Geschichte des deutschen Rekordmeisters, Die Werkstatt, pp. 637, .는 은퇴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며, 현재 축구 감독이다. = = 선수 경력 = = 아우겐탈러는 선수 시절 주로 센터백에, 말년에는 스위퍼로 활약하였다. 그는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활약하면서 7차례 분데스리가 우승을 경험하였고, 3차례 DFB-포칼 우승을 경험하였다. 유러피언 컵에서는 1981-82 시즌과 1986-87 시즌에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각각 애스턴 빌라 FC (0-1) 와 FC 포르투 (1-2) 에 패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경고누적으로 결장하였다. 1984년부터 1991년에 은퇴할 때까지, 클라우스 아우겐탈러는 뮌헨의 주장을 맡았다. 1983년과 1990년 사이, 아우겐탈러는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에 27번 출장하였고, 이탈리아에서 열린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경험하였다. 그는 또한 1986년 FIFA 월드컵의 준우승의 주역이었지만, 조별리그 2경기 출장에 그쳤다. = = 감독 경력 = = 그의 감독직은 FC 바이에른 뮌헨의 유소년팀을 맡으며 입문하였다. 이후에 그는 쇠렌 레르뷔, 에리히 리베크, 프란츠 베켄바우어, 조반니 트라파토니, 그리고 오토 레하겔 감독의 수석 코치로 있었다. 이후, 그는 오스트리아의 그라처 AK의 감독을 맡았고, 2시즌 연속 팀을 3위로 이끌었다. 1999-2000 겨울 휴식기에, 그는 그라처 AK의 감독직을 그만두고, 1. FC 뉘른베르크의 감독이 되었다. 당시 2 분데스리가에 있던 뉘른베르크는 그의 지도 하에 1 분데스리가에 승격되었다. 이후 2002-03 시즌에 강등을 앞두고, 뉘른베르크는 아우겐탈러를 해임시켰다. 이후 시즌 몇 경기를 남겨놓고 위기에 처한 바이어 04 레버쿠젠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레버쿠젠을 잔류시켰고 2005년 9월, 미하엘 스키베가 감독이 될 때까지 레버쿠젠에 남았다. 같은 해 12월에 VfL 볼프스부르크의 새 감독이 되었다. 그는 평범한 성과로 2006-07 시즌에 볼프스부르크 감독직을 내려놓았다. 2010년 3월 23일, 그는 SpVgg 운터하힝과 6개월 계약을 체결하고 마티아스 루스트 감독을 대신하였다."Augenthaler übernimmt Haching" , 2010년 3월 23일. 그의 계약은 2011년 6월 3일에 끝났다."Höchste Alarmstufe - Augenthaler und Grosser weg", 2011년 6월 3일. = = 수상 = = 클라우스 아우겐탈러는 선수 시절 다음을 경험하였다. = = = 클럽 = = = 유러피언 컵 준우승: 1981-82, 1986-87 푸스볼-분데스리가: 1979–80, 1980–81, 1984–85, 1985–86, 1986–87, 1988–89, 1989–90 DFB-포칼: 1981–82, 1983–84, 1985–86 DFL-슈퍼컵: 1982, 1987, 1990 = = = 국가대표팀 = = = FIFA 월드컵 우승: 1990 준우승: 1986 =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 =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二百四十九)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다. 1988년 6월 16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41호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제249(初雕本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二百四十九)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 = 개요 = = 대반야바라밀다경은 줄여서 '대반야경', '반야경'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존재물 자체에는 실체가 없으므로 집착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는 공(空)사상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반야심경'이라고 부르며 종파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읽고 외우는 경전이다. 이 책은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만든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로, 당나라의 현장(玄장)이 번역한 대반야경 600권 가운데 권 제249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세로 29.1cm 가로 49.5cm∼51cm 크기를 23장 이어붙였다. 초조대장경은 이후에 만들어진 해인사대장경(재조대장경 또는 고려대장경)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목판의 새김이 정교한 반면에 해인사대장경과 글자 수가 다르고 간행연도를 적은 기록은 없으며, 군데군데 피휘(避諱:문장에 선왕의 이름자가 나타나는 경우 공경과 삼가의 뜻으로 글자의 한 획을 생략하거나 뜻이 통하는 다른 글자로 대치하는 것)와 약자(略字)가 나타난다. 또 초조대장경은 책의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대체로 '장(丈)'자나 '폭(幅)'자를 쓰는데 비해 해인사대장경은 '장(張)'자로 통일되어 있다. 이 책의 경우에도 판을 새긴 기록이 생략되었고, '경(竟)'자의 마지막 한 획이 없다. 책의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서도 본문 앞의 여백에 '장(丈)'자가 새겨지고 있으나, 해인사대장경의 경우는 본문 끝에 '장(張)'자가 사용되고 있다. 인쇄상태나 종이의 질로 보아 초조대장경이 만들어진 11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며, 국내에 남아있는 초조본반야경 가운데 가장 초기의 것이다. = 분류:프랑스에서 활동한 축구 감독 = = 분류:일본계 영국인 = = 분류:1585년 책 = = 타마키 히로시 = 타마키 히로시(, 1980년 1월 14일 ~ )는 일본의 배우, 가수이다. = = 내력 = = 고등학교 2학년(만 16세) 때, 나고야시 지하 상가 사카에치카에서 현재 소속사 아오이 코퍼레이션의 사장인 아오이 테루요시에 스카우트되었다. 고등학교 졸업과 함께 도쿄로 상경하여, 1998년 TV 아사히 드라마 안타까운으로 배우 데뷔를 하였다2006년 10월 15일 오샤레이즘 방송분.. 1998년 상경 당시부터 2003년까지, 아르바이트를 하며, 주로 오디션으로 역을 얻는 생활이었다. 2001년 개봉된 영화 워터 보이즈에서 사토 카즈마사 역으로 주목을 받았고, 2003년 NHK 연속 TV 소설 마음에서 여주인공에 연정을 안는 하나비 쇼쿠닌 역을 연기해 인지도를 높혔다. 2004년 후지 TV 게츠쿠 드라마 사랑스런 그대에게에서는 여주인공을 짝사랑하는 요리사 견습생 역을 연기하고, 포카리 스웨트 등의 광고 출연으로 더욱 인지도도 높혀졌다. 2004년, WOWOW 드라마 W 연애 소설로 드라마 첫 주연. 같은 해 개봉한 영화 아메마스의 강으로 영화 첫 주연. 2006년, NHK 드라마 빙벽으로 연속 드라마 첫 주연. 이 작품은 제2회 〈생사를 건 도전〉이 2006년 11월 7일, ABU상 TV 드라마 프로그램 부문을 수상했다. 또한 이 해에는 NHK 대하드라마 공명의 갈림길에 첫 출연하였고, 영화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의 주연과 후지 TV 게츠쿠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치아키 신이치 역을 연기해 일약 인기 배우 대열에 합류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작품 안에서 연기를 인정받아, 함께 주연을 맡은 우에노 쥬리와 2007년 2월, 엘란도르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2010년 4월 23일부터 2012년 3월 30일까지는 bayfm에서 첫 레귤러 라디오 프로그램 Naked의 진행을 맡았고, 같은 해 12월 5일에는 첫 네비게이터 프로그램 다빈치의 지문이 방송되는 등 여러 방면에서 활동을 늘여갔다 . NHK 대하드라마는 2006년 공명의 갈림길을 시작으로, 2008년 아츠히메, 2012년 타이라노 키요모리에 출연, 총 3번의 대하드라마에 출연했다. 2012년 9월 26일에 중국에서 개봉된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에 출연. 해외 영화는 이 작품이 처음이다. 10월 26일부터 2013년 3월 22일까지는 후지 TV 아이언 셰프로, 요리 프로그램 진행을 처음으로 맡았다. 2015년, NHK 연속 TV 소설 아침이 온다로, 주인공의 남편·시라오카 신지로 역을 연기해, 주간 더 텔레비전 주최의 드라마 아카데미상 조연 남우상을 수상했다. = = = 음악 활동과 사진 작가 = = = 배우로 활동하면서, 가수로서도 음악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2003년 영화 《ROCKERS》에서 기타리스트 역을 연기한 계기로, 2004년 6월 2일에 첫 싱글 〈Seasons〉로 가수 데뷔하였다2009년 6월 12일 《A-Studio》, 2011년 8월 5일 《어나더 스카이》 방송분.. 2006년, 소속 레코드 회사를 에이벡스로 이적해, 전국 투어를 실시. 2010년에는 홍콩, 대한민국에서 아시아 투어를 실시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11년, 소속 레코드 회사 유니버설 뮤직으로 이적하고, 첫 중화민국 공연을 시작으로 일본 내 홀 공연을 포함한 투어 《RGB 2011》를 실시한다. 같은 해 11월에 데뷔후 처음으로 사진전, 다이아몬드를 테마로 한 《TASAKI Timeless Message Photo Gallery》를 개최하였다. = = 인물·취미·에피소드 = = 취미는 카메라(사진 찍기), 특기는 수영. 자신의 집의 일부를 암실로 개조하였다영화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의 촬영 때 현장에 온 사진 작가에게서 암실 시설을 권유받았다. "사진 전문가"()에 사진에 대한 인터뷰와 당시 타마키가 촬영한 사진이 게재되어있다.. 공 던지기·양궁 등 스포츠를 할 때는 왼손잡이로, 젓가락·칼·붓 등 평소에는 오른손을 쓴다. 바쁜 가운데서도 자신만의 시간을 만들기 위해, 기상 시간도 1 ~ 2시간 일찍 일어나 취미 활동을 하고 있다2010년 4월 15일 《5LDK》, 2010년 10월 22일 《Naked》 방송분. 음식의 좋고 싫음이 분명하며, 많다. 평소에 육식을 좋아하고 특히 갈매기살을 가장 좋아한다. 그 외에도 초콜릿이나 단팥죽, 쇼트 케이크 등 과자도 좋아해, 자신이 출연했던 미스터 도너츠는 학생 시절부터 〈코코넛 초콜릿〉은 아침 식사로 먹기도 했다. 싫어하는 것은 매실과 낫토, 유자, 수박, 참외, 오이, 생강 등이다. 또한 술은 거의 못한다. 양말을 신는 것을 너무 싫어해서, 평소에는 기본적으로는 맨발이나 샌들을 신고 있다. 하지만 집에는 많은 신발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신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이 새 것이다2006년 7월 17일 《달빛 음악단》, 2009년 4월 22일 《와랏테 이이토모!》 방송분. 만화가 사쿠라 모모코의 팬이다. 좋아하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마루코는 아홉살》과, 《사자에상》, 《도라에몽》이다. = = 출연 = = = = = 드라마 = = = 세쓰나이 제21화 (1998년 8월, TV 아사히) 나 이상해? (1998년 8월 9일, TBS) GTO 제10화 (1998년 9월 8일, 칸사이 TV) - 타마키 역 세미 더블 (1999년 4월 ~ 6월, 후지 TV) 위험한 방과 후 제7화 (1999년 5월 24일, TV 아사히) - 하야미 와타루 역 국산 귀여운 딸 제25화 (1999년 9월 22일, TV 도쿄) 천국에서 가장 가까운 남자 제3화 (1999년 12월 2일, TBS) 와카레사세야 제6화 (2001년 2월 12일, 요미우리 TV) 상처투성이의 러브송 (2001년 10월 ~ 12월, 후지 TV) - 케이타 역 SABU~사부~ (2002년 5월 14일, 나고야 TV) - 킨타 역 통판맨 (2002년 7월 ~ 9월, TV 아사히) - 히라바야시 켄 역 내가 지구를 구한다 제4화 (2002년 7월 25일, TBS) - 오오쿠보 신이치 역 리모트 (2002년 10월 ~ 12월, 닛폰 TV) - 우에시마 싱고 역 신춘 드라마 스페셜 〈꽁치의 맛〉 (2003년 1월 3일, 후지 TV) - 히라야마 가즈오 역 연속 TV 소설 (NHK) 마음 (2003년 3월 ~ 9월) - 홋타 다쿠미 역 아침이 온다 (2015년 9월 ~ 2016년 4월) - 시라오카 신지로 역 * 아침이 온다 스핀오프 짚신도 짝이 있다 (2016년 4월 23일, NHK BS 프리미엄) 중학생 일기 시즈오카 방랑 편 새로운 노래 전편/후편 (2003년 9월 20일/27일, NHK) 워터보이즈 (2003년 7월 ~ 9월, 후지 TV) - 사토 가즈마사 역 ※우정 출연 드라마 W 〈연애 소설〉 (2004년 3월 14일, WOWOW) - 주연·구보 사토시 역 사랑스런 그대에게 (2004년 4월 ~ 6월, 후지 TV) - 오리하라 싱고 역 라스트 크리스마스 (2004년 10월 ~ 12월, 후지 TV) - 히가키 나오야 역 휴먼 드라마 스페셜 〈천국으로의 캘린더〉 (2005년 5월 20일, 후지 TV) - 모치즈키 하야토 역 붉은 운명 (2005년 10월 4일 ~ 6일, TBS) - 요시노 슌스케 역 빙벽 (2006년 1월 ~ 2월, NHK) - 주연·오쿠데라 쿄헤이 역 대하드라마 (NHK) 공명의 갈림길 (2006년) - 야마우치 야스토요 역 아츠히메 (2008년) - 사카모토 료마 역 타이라노 키요모리 (2012년)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역 톱 캐스터 (2006년 4월 ~ 6월, 후지 TV) - 카니하라 켄스케 역 노다메 칸타빌레 (2006년 10월 ~ 12월, 후지 TV) - 주연·치아키 신이치 역 노다메 칸타빌레 in 유럽 (2008년 1월 4일 ~ 5일, 후지 TV) 치비 마루코 짱 (2006년 10월 31일, 후지 TV) - 젊은 날의 사쿠라 히로시 역 별 하나의 밤 (2007년 5월 25일, 후지 TV) - 이와사키 다이키 역 적은 혼노지에 있다 (2007년 12월 16일, TV 아사히) - 오다 노부나가 역 사슴 남자 (2008년 1월 ~ 3월, 후지 TV) - 주연·오가와 타카노부 역 러브 셔플 (2009년 1월 ~ 3월, TBS) - 주연·우사미 케이 역 MW-뮤- 제0장 ~악마의 게임~ (2009년 6월 30일, 닛폰 TV) - 유키 미치오 역 기묘한 이야기 20주년 스페셜 가을~인기 작가 경연 편~ 〈살의 취급 설명서〉 (2010년 10월 4일, 후지 TV) - 주연·키타니 싱고 역 길티 악마와 계약한 여자 (2010년 10월 ~ 12월, 칸사이 TV) - 마시마 타쿠로 역 마츠모토 세이쵸 드라마 스페셜 〈모래 그릇〉 (2011년 9월 10일 ~ 11일, TV 아사히) - 주연·요시무라 히로시 역 미야베 미유키 4주 연속 “극상” 미스터리 최종밤 〈레벨 7〉 (2012년 5월 28일, TBS) - 주연·오가타 유지 역 열쇠가 잠긴 방 제10 ~ 최종화 (2012년 6월 18일 ~ 25일, 후지 TV) - 사토 마나부 역 금요 로드 SHOW! 특별 드라마 기획 〈가족, 빌려 드립니다~패밀리 콤플렉스~〉 (2012년 7월 27일, 닛폰 TV) - 주연·야마무로 슈지 역 결혼하지 않는다 (2012년 10월 ~ 12월, 후지 TV) - 쿠도 준페이 역 dinner 제1화 (2013년 1월 13일, 후지 TV) - 타마키 히로시(본인) 역 드라마 스페셜 〈사건 구명의~IMAT의 기적~〉 (2013년 10월 6일, TV 아사히) - 주연·휴가 아키라 역 사건 구명의 2~IMAT의 기적~ (2014년 6월 15일, TV 아사히) NHK 정월 시대극 〈사쿠라 호사라〉 (2014년 1월 1일, NHK) - 주연·후루하시 쇼노스케 역 내가 싫어하는 탐정 (2014년 1월 ~ 3월, TV 아사히) - 우카이 모리오 역 오늘은 회사 쉬겠습니다. (2014년 10월 ~ 12월, 닛폰 TV) - 아사오 유 역 오리엔트 급행 살인사건 (2015년 1월 11일 ~ 12일, 후지 TV) - 안도 백작 역 유감스러운 남편. (2015년 1월 ~ 3월, 후지 TV) - 주연·하루노 요이치 역 스페셜 드라마 〈천재 탐정 미타라이~난해 사건 파일 “우산을 접는 여자”〉 (2015년 3월 7일, 후지 TV) - 주연·미타라이 키요시 역 거악은 재우지 못한다 특수 검사의 역습 (2016년 10월 5일, TV 도쿄) - 주연·도미나가 신이치 역 커리어 (2016년 10월 ~ 12월, 후지 TV) - 주연·토오야마 킨시로 역 = = = 영화 = = = 크리스마스 이브 (2000년, 가가 커뮤니케이션즈) - 코사카 역 워터보이즈 (2001년, 도호) - 사토 가쓰마사 역 SABU~사부~ (2002년, 기네마 준보) - 킨타 역 군청의 밤의 모포 (2002년, 가가 커뮤니케이션즈) - 이토 테츠오 역 ROCKERS (2003년, 가가 커뮤니케이션즈) - 타니 노부유키 역 SPIRIT (2004년, 스페이스 샤워 픽처즈) - 주연·쿄 역 연애 소설 (2004년, WOWOW) - 주연·쿠보 사토시 역 아메마스의 강 (2004년, 미코토&바사라) - 주연·카토 신페이 역 고스트 샤우트 (2004년, 도쿄 테아트르) - 켄타의 손자 역 싸움꾼 NAGURIMONO (2005년, 와이즈 폴리시) - 주연 변신 (2005년, 일본 출판 판매) - 주연·나루세 준이치 역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2006년, 도에이) - 주연·세가와 마코토 역 미드나이트 이글 (2007년, 쇼치쿠) - 오치아이 신이치로 역 스마일 성야의 기적 (2007년, 도호) - 다마키 선생님 역 ※우정 출연 KIDS (2008년, 토에이) - 주연·타케오 역 한여름의 오리온 (2009년, 도호) - 주연·쿠라모토 타카유키 역 MW-뮤- (2009년, 가가 커뮤니케이션즈) - 주연·유키 미치오 역 노다메 칸타빌레 최종악장 전편/후편 (2009년/2010년, 도호) - 주연·치아키 신이치 역 오오쿠 (2010년, 쇼치쿠/아스믹 에이스) - 마츠시마 역 ※특별 출연 프린세스 도요토미 (2011년, 도호) - 타코야키 가게의 안 짱 역 ※카메오 출연 연합 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2011년, 도에이) - 신도 도시카쓰 역 모든 것은 너를 만났기 때문 (2013년, 워너 브라더스 영화) - 주연·구로야마 가즈키 역 조조: 황제의 반란 (2014년, 중국) - 목순 역 막부 고교생 (2014년, 도에이) - 주연·가쓰 가이슈 역 신은 발리에 있다 (2015년, 팬텀 필름) - 류 역 세이로의 바다 탐정 미타라이의 사건부 (2016년, 도에이) - 주연·미타라이 키요시 역 라플라스의 마녀 (2018년, 도호) - 나카오카 유지 역 항공모함 이부키 (2019년) 킹덤2: 아득한 대지로 (2022년) - 창평군 역 킹덤3: 운명의 불꽃 (2023년) - 창평군 역 = = = = 더빙 = = = = 타임라인 (2004년, 가가=휴맥스) - 주연·크리스 존스턴 역 마다가스카 (2005년, 드림웍스) - 주연·알렉스 역 마다가스카 2 (2009년) 마다가스카 3 (2012년) 쥬라기 월드 (2015년, 토호 토와) - 주연·오웬 그레이디 역 = = = 오리지널 비디오 = = = 고스트 시스템 (2002년) 리볼버 푸른 봄 (2003년) - 주연·오사무 역 = = = 무대 = = = 호텔 마제스틱~전장 카메라맨 사와다 코이치 그 삶과 사랑~ (2013년 3월 7일 ~ 27일, 신 국립극장 중 극장/모리노미야 필로티 홀/메이 홀) - 주연·사와다 코이치 역 = = = 라디오 = = = 다마키 히로시의 올나이트 닛폰 (2007년 11월 16일, 닛폰 방송) Naked (2010년 4월 23일 ~ 2012년 3월 30일, 매주 금요일 22:00 ~ 22:57, bayfm) 타마키 히로시의 올나이트 닛폰 GOLD (2013년 2월 8일, 닛폰 방송) = = = 다큐멘터리 = = = 세계 우루룬 체재기 구름 위에서 지내는 콘소족을…타마키 히로시가 만났다 (2002년 5월 5일, MBS) MLB 2009 일본인 메이저 리거의 군상 〈대기록으로의 길~이치로〉 (2009년 12월 24일, NHK) - 내레이션 유럽 극상 여행 플랜~제멋대로인 당신에게 응합니다~ (2010년 3월 13일, NHK BShi) - 내레이션 여자들의, 자신 개국~유럽에서 인생 프티 리셋~ (2010년 3월 23일, NHK) - 내레이션 BS 아사히 개국 10주년 특별 프로그램 다 빈치의 지문 (2010년 12월 5일, BS 아사히) - 내비게이터 지구 대기행 스페셜 CBC 개국 60주년 기념 프로그램 정열 카리브 약동 기행 타마키 히로시가 라틴의 혼에 다가가다! (2011년 2월 5일, CBC) 세계 해협 이스탄불~타마키 히로시 아시아 기행 맨 끝의 바다에!~ (2012년 1월 28일, CBC) 이단의 왕~유구의 고대 문명 기행~ (2012년 2월 18일, NHK) - 내비게이터 다 들춰내고 싶은 남자 〈타마키 히로시 (전편/후편)〉 (2012년 4월 14일/21일, NHK BS 프리미엄) 여행의 힘 〈결정적 순간이 잡힌 마음~타마키 히로시 베트남~〉 (2013년 3월 7일, NHK BS 프리미엄) 타마키 히로시의 비경 만남 기행 (2014년 10월 2일 ~ 2015년 9월 24일, 매주 목요일 23:00 ~ 23:54, BS 아사히) = = = 버라이어티 = = = 아이언 셰프 (2012년 10월 26일 ~ 2013년 3월 22일·7월 3일, 후지 TV) - 사회 = = = CM = = = 소니 〈VAIO〉 (2001년 5월) 오오츠카 제약 〈포카리 스웨트〉 〈바리캉과 바다〉 (2002년 3월) 〈빙하〉 (2002년 7월) 시세이도 〈PN〉 〈2002 가을 여력의 눈.〉 (2002년 7월) 〈2003 봄 풍만한 입맞춤.〉 (2002년 12월) 〈2003 겨울 얼음 공주*〉 (2003년 11월) 슈에이샤 〈슈에이샤 분코〉 여름 캠페인 〈나츠이치〉 (2003년 7월, 2004년 7월) 가을 캠페인 〈연애 페어〉 (2004년 11월) 아사히 맥주 〈아사히 본생 오프 타임〉 (첫 만남 편/녹색 메시지 편, 2004년 3월) 나고야 철도 〈메이테츠 특급〉 (2004년 10월) 고단샤 〈with〉 (2005년 2월) SEED 〈plusmix〉 (2003년 10월 ~ 2007년 9월) 시티즌 〈xC〉 (2004년 10월 ~ 2006년 9월) 〈어드바이저리 (시계)〉 (2006년 10월) 마루이 〈파티 스타일〉 (2004년 1월) 이미지 캐릭터 (2005년 1월 ~ 2007년 1월) 〈마루이 보이〉 (2007년 2월 ~ 2008년 2월) 라 파를러 에스테티크 살롱 〈접근전에 강해진다〉 (2006년 2월) 〈결과로 고르면〉 (2007년 4월) 요미우리 신문 〈대기실에서〉 (2007년 5월) 〈자택에서〉 (A/B) (2007년 7월) 〈노인 편〉 / 〈노인 (역전) 편〉 / 〈박식한 박사 편〉 / 〈박식한 박사 (역전) 편〉 (2007년 12월) 〈추적 취재 편〉 [싱크로] / 〈끈질긴 취재 편〉 [탁구] (2008년 7월) 〈잠입 취재 편〉 [각재 타기] (2008년 12월) 유캔 〈통신 강좌〉 〈신 유캔 편〉 / 〈칭찬하다 편〉 / 〈올해야말로 편〉 / 〈Web에서 편〉 / 〈지금이 시작할 때 편〉 (2008년 1월) 〈버스 안 편〉 / 〈보트 편〉 / 〈100인의 유캔즈 보이스·자신이 붙었다 편/마이 페이스로 할 수 있다 편/복지계 강좌 편〉 (2008년 1월) 〈유캔 형사〉 (전날 편, 당일/다음날 편) (2008년 8월, 9월) 〈오프닝 편〉 / 〈행정 서사 Before 편〉 / 〈행정 서사 Now 편〉 (2009년 1월) 〈이케맨 선생님 편〉 / 〈당신! 편〉 / 〈행정 서사 Web 어텐션 편〉 / 〈겉 얼굴 OL 편〉 (2009년 1월) 〈택건 Web 어텐션 편〉 / 〈택건 편〉 (2009년 4월) 산토리 〈비텔〉 (큰 뜻을 품은 남자 편) (2007년 5월) 〈호로요이〉 (러브 레터 1 편/러브 레터 2 편/이어지는 시간 편, 나우 편/흰 색이 좋아 편/캔버스 편, 흰 색은? 편/좋아하는 색 편/연상 편) (2010년 3월 ~ 2011년 2월) MAZDA 〈달리는 기쁨 편〉 (2008년 7월) 〈조사해봤더니, 보조금+감세 편〉 (2009년 6월) 〈DEMIO〉 * 〈티저 광고 편〉 (2007년 6월) * 〈예민해져 보지 않겠는가 편〉 / 〈달려 나가면 편〉 (2007년 7월) * 〈더 경쾌하게 편〉 / 〈더 슬림하게 편〉 (2007년 10월) * 〈환경 콤팩트·공장 편/WCOTY 편〉 (2008년 4월) * 〈데미오와 자전거와 나 편〉 / 〈데미오와 스니커와 나 편〉 (2008년 11월) * 〈조사해봤더니 마쯔다 편〉 / 〈하이브리드 비교 검토 편〉 (2009년 4월) * 〈가게에, 마쯔닷슈!! 유저 편〉 (2009년 11월) * 〈첫 마수걸이 데미오 스타일리시 라이드 편〉 / 〈결산! 데미오 스타일리시 라이드 편〉 (2009년 12월, 2010년 1월) * 〈쇼핑 편〉 / 〈파킹 편〉 / 〈거리의 풍경 편〉 (2010년 4월) * 〈2011 스타일리시 데미오 편〉 (2011년 2월) 〈AXELA〉 〈스타디움 편〉 (2009년 6월) 〈PREMACY〉 〈첫 마수걸이 프레마시 스타일리시 점프 편〉 / 〈결산! 프레마시 스타일리시 점프 편〉 (2009년 12월, 2010년 1월) 반다이 남코 게임스 〈트레저 리포트 기계 태엽의 유산〉 (실사 편) (2011년 4월) NEC 〈LaVie/VALUESTAR〉 * 〈테니스 편〉 (LaVie T) (2004년 10월) * 〈선명한 나비 편〉 (LaVie L) / 〈신 시대 편〉 (VALUESTAR SR) (2005년 4월) * 〈리모컨 쟁탈 편〉 (LaVie L) (2005년 9월) * 〈스케이트 귀여워 편〉 / 〈스케이트 15세? 편〉, 〈확 보고! 응원 편〉 (VALUESTAR W) (2006년 1월, 4월) * 〈드라이브 편〉 (LaVie L) / 〈환상의 온천 편〉 (VALUESTAR W) (2006년 9월) * 〈확 캐치 편〉 / 〈프리미엄 초코 편〉 (LaVie L) (2007년 1월) * 〈PC 프리 스타일 편〉 (VALUESTAR N) / 〈다음이 보고 싶어서 편〉 (LaVie C) (2007년 4월) * 〈Core 2 Duo 니까・・・편〉 / 〈파티 편〉 (LaVie L) (2007년 9월) * 〈듣고 싶은 소리만 편〉 (신 세계 편/달빛 편) (VALUESTAR W) (2007년 11월) * 〈이렇게나 쾌적 편〉 / 〈즐기는 2인 편〉 (VALUESTAR N) (2007년 11월, 2008년 1월) * 〈겉모습도 속도 편〉 / 〈리듬&줌 편〉 (LaVie L) (2008년 2월, 4월) * 〈1대로 3역 득이라 나이스 편〉 (VALUESTAR W) (2008년 5월) * 〈I LaVie N (아이 라비 엔) 편〉 (LaVie N) (2008년 10월) * 〈심플 디자인 편〉 (VALUESTAR N) (2008년 11월) * 〈본명 노트 편〉 (LaVie L) (2009년 1월) * 〈하이비전 시대의 본명 편〉 (LaVie L) (2009년 4월) * 〈블루레이 월드 편〉 (LaVie L) (2009년 11월) * 〈마음에 반짝반짝 편〉 (LaVie L) (2010년 2월) * 〈선명한 액정 편〉 (LaVie L) (2010년 6월) * 〈고를 수 있는 3D 라인업 편〉 (VALUESTAR) / 〈집안 어디에서도 지상파 디지털 편〉 (LaVie L) (2010년 10월) * 〈안테나 케이블 불필요 편〉 (LaVie L) (2011년 2월) * 〈1대 4역 편〉 (VALUESTAR N) (2011년 5월) 〈Lui〉 (Lui가 태어나다 편) (2008년 4월) 〈VersaPro UltraLite〉 (또 하나의 얼굴은・・・편, 드디어 됐어요 편) (2008년 6월, 2009년 1월) NEC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FOMA〉 〈타마키 히로시 등장 편〉 (N705iμ) (2008년 2월, NEC) 〈두 개의 세계 편〉 (N906i / N906iμ) (2008년 6월, NEC) 〈두근두근 여행 준비 편〉 (N706i) (2008년 7월, NEC) 〈세계는 변한다 편〉 (N-01A) (2008년 11월, NEC) 〈사람에게 반듯한 곡선 편〉 (N-04A) (2009년 1월, NEC) 〈파티 편〉 (N-06A) (2009년 5월, NEC) 〈두 사람의 마음 편〉 (N-01B) / 〈연속 서프라이즈 편〉 (N-02B) (2009년 12월, NEC) 〈레드 카펫 편〉 (N-04B) / 〈버스데이 파티 편〉 (N-05B) (2010년 5월) 〈TRY! TRY! TRY! 편〉 (N-02C) (2010년 11월) 미스터도넛 〈카페오레〉 (추리 소설 편/실연 편/여행 계획 편) (2005년 9월) 〈이사〉 (2006년 4월) 〈이웃 주민/아이스 카페오레 사진〉 (2006년 5월) 〈친구〉 (2006년 8월) 〈비를 그음〉 (2006년 9월) 〈사토가에리 타마키 상〉 (상등 편, 젓가락 편) (2007년 1월, 3월) 〈말차 도넛〉 (다실 편/북 편, 반복 편) (2007년 2월, 6월) 〈스파이시 츄로/트로피컬 츄로〉 (정열과 유혹 편) (2007년 7월) 〈리치 도넛〉 (생겨버렸다 편) (2007년 10월) 〈신 초콜릿〉 (티저 편, 히로시와 히로시 편) (2008년 3월, 4월) 〈쇼콜라 슈〉 (NG 편) (2008년 9월) 〈미분 도넛〉 (못치리 사무라이 편) (2008년 9월) 〈미스터 도넛 프리미엄 브랜드 커피〉 (마음의 목소리/오카와리 자유 편) (2008년 10월) 〈리치 도넛 쇼콜라&미스터 도넛 프리미엄 핫 카페오레〉 (〈우에모노〉 편, 베스트 히트 감사제 〈우에모노〉 편) (2009년 9월, 2009년 10월) 〈일제 도입 도넛〉 (13종류의 신 포니 편) / 〈도넛 리스〉 (시사회 편) (2009년 11월, 12월) 〈쿠키 크룰러 쇼콜라〉 (대행진 편) (2010년 5월) 〈리락쿠마 포인트 de 스크래치〉 (스크래치 편) (2010년 11월) 〈몽블랑 트리〉 (프레젠트 편) (2010년 11월) 〈스페셜 컵〉 (Misdo Special Cup 편) (2011년 4월) 〈쓱 링〉 (안심하고 있었습니다 편) (2011년 4월) Noz by Calie 〈샴푸 ~스치듯 지나간 여성 편 (향기, 2샴)~〉 / 〈샴푸 ~고백 편 (향기, 2샴)~〉 (2011년 7월) 〈아웃 버스 트리트먼트 ~거리 속 편~〉 / 〈아웃 버스 트리트먼트 ~살롱 편~〉 (2011년 8월) 시코쿠 전력 〈지구와 함께 [원자력] 편 / 계속 살리자 [플루 서멀] 편〉 (2006년 7월 ~ 2007년 7월) 〈자연은 알고 있다 [대수] 편 / [풍경] 편〉 〈CO2 컨트롤 스테이션 [텔레비전] 편 / [스탠드] 편〉 (2008년 6월 ~ 2009년 7월) 〈갤러리~바라보다 편〉 / 〈갤러리~장식하다 편〉 (2009년 7월 ~ 2010년 7월) 저탄소 DOING 〈큰 바퀴 편〉 시리즈 (2010년 7월 ~ 2012년 7월) 포카 삿포로 푸드&베버리지 〈게롤슈타이너〉 (입사 편/회식 편) (2013년 4월) 타이쇼 제약 〈파브론 비염 캡슐 S〉 (집사의 어드바이스 편) (2014년 2월) GREE 〈몬스터 헌터 로아 오브 카드〉 (주차장 편) (2014년 5월) 나가타니엔 클로렛츠 도시샤 〈인디피니〉 (망상 편) (2013년 1월) 유니클로 〈UNIQLO JEANS〉 (2014년 9월) LION 〈브라이트 W〉 (비교 편) (2015년 4월) 다이토 건탁 〈DK SELECT〉 (탄생 편) (2016년 1월) 타카라 주조 〈쇼치쿠바이 시라카베구라 《미오》〉 (2016년) 노무라 증권 〈꿈에 힘을. 힘에 꿈을.〉 (2016년 5월) = = 사진전 = = TASAKI Timeless Message Photo Gallery (2011년 11월 25일 ~ 12월 25일, TASAKI 긴자 본점) TTASAKI Pearly Planet Photo Gallery (2013년 11월 22일 ~ 12월 25일, TASAKI 긴자 본점) = = 서적 = = Personal book 《white》 (2004년 1월 14일, 쇼덴샤 간:) PHOTO BOOK 《COLOR (통상판)》 (2007년 1월 14일, 와니북스 간:) PHOTO BOOK 《COLOR (호화 BOX 세트)》 (2007년 3월 31일, 와니북스 간:) = = DVD = = Secret of 타마키 히로시 “SPIRIT” (2004년 2월 27일:JAN 4988707546556) Realize Hiroshi Tamaki music films 01 (2004년 6월 30일:JAN 4571106702489) 세계 우루룬 체재기 Vol.3 (2009년 1월 23일:JAN 4988104050137) TAMAKI HIROSHI LIVE TOUR 2009 《alive》 (2010년 3월 10일:JAN 4527427645950) 노다메 칸타빌레 치아키 신이치 컴플리트 에디션 (2010년 6월 4일:JAN 4527427646704) = = CD = = = = = 싱글 = = = Seasons (2004년 6월 2일, 한정반:YRCN-10048/통상반:YRCN-10049) Emotion (2004년 11월 10일, 한정반:YRCN-10073/통상반:YRCN-10074) Love Goes/eyes (2006년 2월 15일, CD+DVD 한정반:AVCD-30880/B) / 희망의 바다/비 (2006년 4월 26일, CD+DVD:AVCD-30943/B/CD:AVCD-30944) /question / 약속/question (2006년 5월 24일, CD+DVD:AVCD-30947/B/CD:AVCD-30948) / 라바이바 ~슬픔이 다시 반복되려고 누군가에게 사랑을 노래하다~ (2006년 6월 28일, CD+DVD:AVCD-30968/B/CD:AVCD-30969) / 춤추자 (2008년 2월 6일, 한정반〈포토 북 첨부〉:AVCD-31371/한정반〈DVD 부착〉:AVCD-31370/B/통상반:AVCD-31372) / 안고 싶어 (2008년 3월 19일, 한정반:AVCD-31391) SLOW TIME (2009년 4월 22일, CD+DVD:AVCD-31566/B/CD+포토 북:AVCD-31567) FREE (2011년 5월 25일, CD+DVD 한정반〈A〉:UMCF-9575/CD+DVD 한정반〈B〉:UMCF-9576/통상반:UMCF-5082) = = = 앨범 = = = RIPPLE (2004년 12월 15일, CD+DVD 한정반:YRCN-11040/CD:YRCN-11039) Bridge (2008년 3월 19일, CD+DVD 한정반:AVCD-23556/B/통상반:AVCD-23557) Times... (2009년 5월 6일, CD+DVD+포토 북 한정반:AVCD-23852/B/통상반:AVCD-23853) START (2011년 6월 22일, 통상반:UMCF-1060/초회 한정반 DVD 부착-LIVE Rehearsal Document-:UMCF-9585) = = 지구과학-환경 용어 = = = = = ㄱ = = = = = = ㄴ = = = = = = ㄷ = = = = = = ㄹ = = = = = = ㅁ = = = = 후쿠시마 (오사카시) = 후쿠시마(福島)는 오사카부 오사카시 후쿠시마구의 정명이다. 현행 행정지명은 후쿠시마 1초메에서 후쿠시마 8초메이다. 일찌기 존재했던 니시나리군 가미후쿠시마촌과 시모후쿠시마촌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 = 후쿠시마의 정보 = = 도도부현 : 오사카부 시정촌 : 오사카시 인구 : 15,091명 (2019년 3월 31일 기준) 밀도 : 18,000명 표준시 : UTC+9 = = 지리 = = 후쿠시마 구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매전에서 서쪽으로 1㎞ 정도라는 지리 조건에서 간선 도로변을 중심으로 사무실과 고층 아파트가 입지해 있다.그러면서도 간선도로에서 조금 안쪽으로 들어가면 오래된 아랫마을 주택지가 펼쳐져 있다. = = 역사 = = 중세 초기까지 요도가와 하구의 땅이었다고 생각되며 와타나베 진 서쪽에 형성된 섬이었다.고대에는 '아귀섬'으로 불렸는데, 스가와라 미치마사가 다자이후로 좌천되는 도중에 이 땅에 들렀을 때, '아귀섬'에서는 재수가 없다고 하여 '후쿠시마'를 따서 '후쿠시마'로 개명했다고 전해진다.습지를 뜻하는 '홍게시마(紅 島島)'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헤이케 이야기에는 미나모토노 요시쓰네가 야지마 전투 때 셋쓰쿠니 와타나베 후쿠시마 두 곳에서 선단을 갖춰 출항했다는 취지가 기재돼 있다.가마쿠라 시대에 후쿠시마 장이라고 불리는 장원이 성립.전국시대에 들어서자 오닌의 난이나 거물 붕괴의 전장이 되어, 1570년(모토카메 원년)에는 이시야마 전투의 노다 성·후쿠시마 성의 싸움이 일어났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들어서도 1614년(게이초 19년)에 오사카 겨울 진의 노다·후쿠시마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자 니시나리군 후쿠시마 촌이 성립했지만, 1677년(연보 5년)에 가미후쿠시마 촌과 시모후쿠시마 촌에 분촌하였고, 호리에의 개발이 시작된 1698년(겐로쿠 11년)에는, 그때까지 호리에 있던 야스이 쿠베등의 목재 보관소의 대체지로서 시모후쿠시마 촌과 노다 촌의 각 일부로부터 야스이 쿠베 청소를 분리했다.소네자키 강·도시마 강·안지 강을 사이에 두고 오사카 성하(오사카 산고)에 접하는 양 후쿠시마 땅은 신건가의 건설이 활발하게 행해져, 중반 시가화되고 있었다. 1879년(메이지 12년)에 군구정촌 편제법이 오사카부에서도 시행되어 니시나리군 관청이 가미후쿠시마 촌에 설치되었지만 같은 해 중에 소네자키 촌으로 이전.1882년(메이지 15년)에는 야스이 쿠베 청소가 니시나리군 야스이 촌이 되었고, 1889년(메이지 22년)의 정촌제 시행에서는 시모후쿠시마 촌은 야스이 촌과 합병해 시모후쿠시마 촌이 되고, 가미후쿠시마 촌은 단독으로 시행했다.1890년(메이지 23년)에는 소네자키 촌으로 이전한 니시나리 군 관청이 가미후쿠시마 촌으로 재이전되었다. 1897년(메이지 30년) 오사카 시 제1차 시역 확장에 의해 두 마을은 오사카 시에 편입되었다. 편입 초기에는 기타 구에 속하였으며, 이후 기타 구의 분구에 따라 코노하나 구에 소속되었다가 1943년 후쿠시마 구가 신설되었다. 덧붙여 현행 행정 지명인 후쿠시마 중 소네자키 강터 이남이 되는 1초메 1번·2초메 1번·3초메 1번은 당도의 일부이다.반대로 다마가와 및 노다의 각각 남부는 시모후쿠시마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오사카 시립 시모후쿠시마 중학교와 오사카 시 중앙 도매 시장 본고장이 소재한다. = = 세대수의 인구 = = 2019년 3월 31일현재 가구 수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 초메 세대수 인구 후쿠시마 1초메 766세대 1,312명 후쿠시마 2초메 508세대 656명 후쿠시마 3초메 1,477세대 2,593명 후쿠시마 4초메 1,768세대 3,526명 후쿠시마 5초메 606세대 1,055명 후쿠시마 6초메 1,743세대 2,570명 후쿠시마 7초메 1,298세대 2,002명 후쿠시마 8초메 834세대 1,377명 계 9,000세대 15,091명 = 누벨 바그 (밴드) = 누벨 바그(Nouvelle Vague)는 프랑스의 밴드이다. 올리비어 리보와 마크 콜린이 주도한다. 이 밴드의 이름은 프랑스어로 새로운 파동을 의미하며 동시에 1960년대의 누벨 바그 영화 운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 = 디스코그래피 = = *Nouvelle Vague (2004, Peacefrog) *Bande à Part (2006, Peacefrog) *3 (2009 Peacefrog) *Couleurs sur Paris (2010, Kwaidan) *Athol-Brose EP (2016, Kwaidan, digital only) *I Could Be Happy (2016, Kwaidan) *Algo Familiar EP (2017, Kwaidan, digital only) *Aula Magna 07.12.07 (2008, New Sound Dimensions) *Acoustic (2009, New Sound Dimensions) *The Best of Nouvelle Vague (2009, Peacefrog) *Best Of (2010, Peacefrog/Kwaidan) *The Singers (2010, New Sound Dimensions), previously unreleased original songs compiled by Marc Collin *Rarities (2019, Kwaidan, digital only) *Curiosities (2019, Kwaidan/!K7) *Late Night Tales: Nouvelle Vague (2007, Azuli) *Coming Home (2007, Stereo Deluxe), compilation of soundtracks *Nouvelle Vague Presents: New Wave (2007, District 6), original and cover versions of new wave songs = CICC 교회 = CICC 교회(Cook Islands Christian Church)는 아바루아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흰색의 이 건물은 크지는 않으나 이곳 전통미와 서양건축양식을 섞어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1853년 이곳에 거주하던 선교사 아론 부자코트(Aron Buzacott)가 세운 것이다. 교회 옆 묘지에는 폴리네시아의 개척자이며 ‘선생님’으로 알려진 파페이하(Papeiha) 기념비가 서있고, 왼쪽에는 쿡 독립후 첫 수상이었던 앨버트 헨리(Albert Henry) 묘지와 그의 동상이 서 있다. 이곳의 유명인사 묘지도 대부분 이곳에 있다. = 분류:무로마치 시대 = = = 틀:분류 필요 = = 해당 틀의 삭제를 제안합니다. 일단, 과거에 삭제토론이 있었으나 당시에는 유지되었습니다. 분류 필요틀의 신설은 당시 특수기능:분류안된문서의 존재와의 관계에 비추어 특수기능문서만으로는 분류안된 문서를 일반사용자가 쉽게 알기 어렵다는 이유었습니다. 하지만, 삭제를 제안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 필요틀은 보통 분류 체계를 이미 쉽게 인지하고 있는 기존 사용자들이 대부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분류안된 문서에 관하여 분류를 쉽게 찾아 보완해줄 수 있음에도 이 틀을 사용함으로써 문서의 보완 가능성을 다소 저해하고 있습니다. 즉, 인물 문서에 분류가 안달렸다면 :분류:1900년 태어남 등의 분류 하나를 간단히 넣음으로써 분류가 없는 것을 쉽게 보완할 수 있는데 오히려 이 틀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문서의 정비틀이 하나 댓더저 미관상으로도 정리가 안되고 있다는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 틀은 사용되는 곳은 토막글 경우가 대부분인데 토막글 태그를 다는 순간, 하단에 토막글 관련 분류에 이미 생겨 분류가 필요하다면서 하단에는 분류가 있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합니다. #특수기능:분류안된문서를 통해 이 틀의 효과를 대체하면 될 것입니다. 이 틀의 존재가 의도와는 다르게 실제 효과상은 분류를 다는 노력을 촉구하기 보다는 분류가 안달리는 것을 확인하는 데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럴 바에는 특수기능문서의 활용으로 보완하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hun99 (토론) 2009년 11월 19일 (목) 17:37 (KST) 유지합니다. hun99 (토론) 2009년 12월 15일 (화) 14:05 (KST) = 분류:프리토리아의 스포츠 = = 표지아 = 표지아(Pyozia mesenensis)는 도마뱀목 바라놉스과에 속하는 도마뱀이다. 지금은 멸종된 종으로서 전체적인 몸길이가 2~3m인 거대한 도마뱀에 속한다. = = 특징 = = 표지아는 러시아에서 알려진 기초 페름기 중기에 생존했던 바라노피드 시냅스과의 멸종속이다. 그것은 제이슨 S에 의해 처음으로 명명되었다. 앤더슨과 로버트 R. 2004년에 리스가 발표되었고 모식종은 표지아 메네넨시스이다. 표지아 메네넨시스는 거의 완전한 두개골을 포함한 3차원적으로 보존된 부분 골격인 완모형 PIN 3717/33에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약 2억 6580만년전에 과달루피아 시대의 카피타니아 단계로 거슬러 올라가는 크라스노셸스크 층에서 수집되었다. 표지아의 특징으론 잘 발달된 앞다리와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육상에서 빠른 달리기의 속력을 가능하게 하여 먹이를 쫓아가서 사냥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됐을 것으로 보인다. 양턱에는 총 15~25개의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먹이로는 당대에 서식했던 곤충, 절지동물, 무척추동물, 양서류 등을 주로 잡아먹고 살았을 육식성의 포식자로 추정되는 종이다. = = 생존시기와 서식지와 화석의 발견 = = 표지아가 생존했었던 시기는 고생대의 페름기로서 지금으로부터 2억 9000만년전~2억 4500만년전에 생존했었던 종이다. 생존했었던 시기에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의 당시에 존재했었던 초원, 산림 등에서 주로 서식했었던 도마뱀이다. 화석의 발견은 2004년에 러시아의 페름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러시아의 고생물학자들에 의하여 처음으로 화석이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 분류:1896년 국제 관계 = = 남부땅코뿔새 = 남부땅코뿔새(Southern ground hornbill)는 아프리카 내에서만 발견되는 두 종의 땅코뿔새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코뿔새 종이다. 케냐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르는 아프리카의 남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 내에서는 삼림지와 사바나에 모두 서식한다. 땅코뿔새의 다른 종들은 아프리카코뿔새이다. 남부땅코뿔새는 육식성이며 대부분 땅에서 사냥을 하며 대부분의 먹이를 찾는다. 이 음식은 곤충부터 작은 동물까지 다양하다. 그들의 둥지는 종종 높은 나무 구멍이나 절벽 면의 바위 구멍과 같은 다른 얕은 구멍에서 발견된다. 이 새들은 수명이 50~60년이고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70년인 장수 종이다. 긴 수명에 비해 4~6살까지는 성적으로 성숙하지 못하고 10살 무렵부터 번식을 시작한다. 그들의 성별은 그들의 목의 색깔로 확인할 수 있는데, 수컷은 순홍색이고 암컷은 짙은 보라색이다. 남부땅코뿔새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문화적으로 널리 퍼져있고 중요한 종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크루거 국립공원은 남부땅코뿔새들을 '빅 식스' 조류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수는 박해, 서식지 파괴, 문화적 신념, 그리고 다른 요인들 때문에 감소하고 있다. 2018년 현재 IUCN이 전 세계적으로 '취약자'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나미비아, 에스와티니에서는 '멸종위기자'로 분류하고 있다. = = 설명 = = 남부땅코뿔새는 얼굴과 목덜미에 검은 빛깔과 선명한 붉은 반점(소년새의 경우 노란색)이 특징이며, 건기 동안 새들의 눈에서 먼지를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행 중에 보이는 날개 끝의 흰색(기본 깃털)도 또 다른 진단 특징이다. 부리는 검고 곧으며 수컷이 더 발달한 투구를 나타낸다. 암컷 남부땅코뿔새는 몸집이 더 작고 목에는 보라색의 피부를 가지고 있다. 6살까지의 청소년들은 눈에 띄는 빨간 주머니가 부족하지만, 그 자리에 더 칙칙한 회색 부분이 있다. = = 서식지 및 식습관 = = 나미비아 북부, 앙골라 북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짐바브웨 남부, 부룬디, 케냐 등 남부땅코뿔새가 발견된다. 그들은 둥지를 틀기 위해 큰 나무가 있는 사바나 서식지와 먹이감을 얻기 위해 울창하지만 짧은 풀을 필요로 한다. 남부땅코뿔새는 취약한 종으로 주로 국립 보호구역과 국립공원에 제한되어 있다. 이들은 성인, 청소년 등 5~10명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종종, 이웃 집단들은 공중 추적을 한다. 그들은 땅에서 먹이를 구하며, 토끼 크기까지 파충류, 개구리, 달팽이, 곤충, 포유류를 잡아먹는다. 남부땅코뿔새는 술을 거의 마시지 않습니다. 둥지를 지을 나무가 부족하기 때문에 서식 범위가 서쪽 끝에 제한된다. 남부땅코뿔새 무리는 매우 목소리를 높인다. 접촉은 보통 최대 3km(1.86mi) 거리에서 들을 수 있는 합창 통화로 이루어진다. 이 전화를 통해 각 집단은 100평방킬로미터(40평방미터)나 되는 자신의 영토를 가장 좋은 서식지에서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 = 보존 = = 남부땅코뿔새는 세계적으로 멸종에 취약한 종으로 분류되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The 2014 Eskom Red Data Book of Birds of South Africa, Lesotho and Swaziland; “2015 Checklist of Birds - List of Threatened Species” 레소토, 나미비아, 에스와티니에서도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됐다. 케냐, 탄자니아,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 모잠비크와 함께 이들 국가의 남부땅코뿔새는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보존 개입을 필요로 한다.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이 새는 느린 번식률과 수많은 환경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식지 감소, 농업으로 인한 변화, 삼림 벌채, 송전선 감전, 우발적인 중독, 박해 등이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인구에 의한 남부땅코뿔새 박해와 사냥은 계속 복잡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보호지역을 포함해 이전에 믿었던 것보다 더 많이 사냥되고 있다. 이 사냥의 대부분은 기회주의적이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사냥이 그들의 수가 줄어드는 주요 동인은 아닐 것 같다. 비록 보존 노력을 고려할 때 유의해야 할 요소이지만, 특히 낮은 번식율과 자연 지역의 지역 사냥 습관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 때문에 더욱 그렇다. 더군다나 남부땅코뿔새는 반사된 모습을 보고 창문을 파괴하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박해를 받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도시 지역에서 짜증나는 집주인들이 재산을 파괴하는 새들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 = 문화 = = 남부땅코뿔새의 큰 목소리와 큰 크기는 많은 아프리카 전통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들은 광대한 역사적 범위에 있는 많은 사람들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신념을 고취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믿음의 정도와 그것이 미래까지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며, 특히 아프리카의 현대화로 인해 더욱 그렇다. = 어느 여교사의 수기 = "어느 여교사의 수기"는 1960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배역 = = 조미령 황정순 최무룡 박남규 = 다나카 가네 = 다나카 가네(, 1903년 1월 2일~2022년 4월 19일)은 일본의 슈퍼센티네리언이자 여성 장수인 기네스북 기록 보유자이다. = = 생애 = = 1903년 1월 2일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1938년에는 35세 나이에 파라티푸스에 감염되었다. 45세에는 췌장암 수술을 받았고, 2006년에는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 103세 때 수술로 치료하였다. 2014년에는 111세 때 공식적으로 연령을 확인하였다. 2017년에는 114세 때 일본 KBC 파라티푸스 방송 인터뷰에 나왔다. 2018년 마지막 생존자 최고령 1900년생 다지마 나비(117세)와 1901년생 미야코 지요(117세)의 기록을 넘었다. 2022년에 119세 생일을 맞이하였으며, 같은 해 4월 19일에 세상을 떠났다. = 징주 = 징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징주(澄州) 징주 철도 = 분류:충주시의 역사 = = 분류:영동군의 중학교 = = 분류:네덜란드의 작가별 작품 = = QQ = QQ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Q-Q 플롯: 통계에서 분산 항목을 비교하기 위한 플롯 텐센트 QQ: 중국의 메신저 클라이언트 체리 QQ: 중국의 경차 또는 세단 체리 QQ 아이스크림: 중국의 해치백 얼라이언스 항공의 IATA 코드 QQ qq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펄 프로그래밍 언어의 qq 연산자 = 분류:스웨덴의 마이크로네이션 = = 토테미즘 = 토테미즘은 토템 신앙의 대상, 기초로 숭배하는 신앙 형태를 말한다. 원시 사회에서 동식물이나 자연물(自然物)을 신성시함으로써 형성되는 종교 및 사회 체제이다. 토테미즘은 주로 미개 사회나 고대 문명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발전을 이룬 사회에 동족 간의 전통, 의례로 현대에도 토테미즘을 계승하고 있는 지역도 존재한다. 토테미즘의 구체적인 것으로는 캐나다 서부 지역과 미국 북서부 인디언 부족이 제작하는 토템 폴이 있다. 이것은 숭배의 대상이나 조상의 영혼을 우상화한 것이다. = 분류:기원전 865년 사망 = 사망 4 en:Category:865 BC deaths = 아쿨라급 잠수함 = "아쿨라"는 러시아어로 "상어"라는 뜻이며, 아쿨라급 잠수함은 다음을 가리킨다. 프로젝트 971 슈카-B형 잠수함의 나토 코드네임이 "아쿨라" 프로젝트 941 아쿨라형 잠수함 - 러시아에서 "아쿨라"라고 부르는 진짜 아쿨라급. 나토 코드네임은 "타이푼"이다. = 이동진 (영화 평론가) = 이동진(1968년 1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기자, 방송인, 영화 평론가이다. = = 생애 = = 1968년 강원도 정선에서 태어났고,유년기에 서울로 이사를 왔기 때문에 정선에 대한 기억은 거의 없다고 한다. 서울에서 성장했다. 카투사 사병으로 군필 복무한 그는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조선일보 영화부 기자였고 감성적인 문체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조선일보DB에서 작성자를 '이동진'으로 하여 검색하면 외부 기고글을 제외했을 때 가장 오래된 기사는 1996년 1월 6일자 기사이며, 가장 최근 기사는 2006년 11월 18일자 기사이다. (검색일: 2015년 1월 9일.) 조선일보 퇴사 후에는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네이버와 함께 1인 미디어 "이동진닷컴"을 운영하기도글쓰기, 사진, 교열 등 기사 작성과 관련된 부분은 이동진이 담당했고 레이아웃, 배치 등 편집과 관련된 부분을 네이버가 담당했다. 했다.2010년을 끝으로 네이버와의 계약은 만료되었다. 그 외에도 한국 영상 자료원에서 "영화 평론가 이동진과 함께 보는 다시보기" 행사를 매월 진행했고, 지금도 CGV나 메가박스 등과 협업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언제나 영화처럼"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조선일보 재직 시절에는 조선닷컴에서 '언제나 영화처럼'이라는 카페를 운영했다. 네이버에 블로그를 개설한 것은 네이버와 이동진닷컴이 계약을 맺을 당시의 계약사항이었다. 네이버 블로그 외의 SNS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일반 관객들과 일상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이동진의 시네마 레터, 필름 속을 걷다,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비밀,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밤은 책이다,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등이 있다. MBC 라디오 푸른밤, 그리고 성시경입니다와 KBS 라디오 유희열의 라디오천국에서 영화 관련 코너의 고정 패널로 활동했고, 2010년부터 2011년까지 MBC라디오 문화야 놀자의 DJ를 맡기도 했다. 10월 오지혜의 뒤를 이어 DJ가 되었으며, 2011년 5월 8일을 끝으로 종영했다. 이때 문화야 놀자의 작가였던 허은실은 현재 이동진의 빨간 책방에서도 작가를 맡고 있다. 곧이어 같은 해 5월 10일부터 2013년 3월 25일까지 이동진의 꿈꾸는 다락방을 진행했다. 2014년 4월 15일부터 2015년 4월까지 SBS 파워FM에서 이동진의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진행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는 이동진 본인이 직접 제안한 이름으로, 자신이 자주 쓰는 말이다. 이 외에도 출판사 위즈덤하우스에서 제작하는 팟캐스트 이동진의 빨간책방을, 소설가 김중혁, 씨네21 이다혜 기자와 함께 진행하고 있다.2012년 5월 1일 방송을 시작했고, 매회 15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다. 이언 매큐언의 '속죄'가 출간된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에서 소개된 후 베스트셀러 순위에 진입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12년부터 SBS TV 접속 무비월드에 출연했고,영화에 별점을 매기는 것으로 많이 알려졌다. 2013년부터는 팝칼럼니스트 김태훈과 함께 SBS TV 접속 무비월드의 코너인 `영화는 수다다`를 진행했다. 2012년부터는 영화 방영에 앞서 10분가량 해설을 덧붙이는 더 굿 무비라는 프로그램을 채널CGV에서 진행하고 있다. 2015년 1월 3일부터 1월 31일까지는 KBS 1TV에서 이윤석, 김부선, 김희재, 레이디제인, 타일러 라쉬와 함께 시간여행자 K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017년 4월 4일 2018년9. 21[MBC FM4U]]에서 푸른밤의 진행을 맡았었다. = EU 전투단 = EU 전투단 (약칭, EU BG)은 유럽 연합의 공동 안보방위정책을 지향하는 군대다. 유럽 연합의 회원국의 기여를 바탕으로 하는 전투단은 대대 규모의 18개의 전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투 지원부대가 지원한다. 전투단과 전투 지원부대는 수시로 바뀌며, 이를 통해 어느 때나 두 부대 모두 파병 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되었다. EU 전투단은 유럽 연합 이사회의 명령을 받는다. 2007년 1월 1일부터 전투단은 완전한 작전 운용능력을 갖추게 되었지만, 현재까지 이들은 군사적 행동을 취하고 있지 않다. 이들은 유럽 연합이 수행하는 실질적인 임무에 기초하고 있으며, 유럽의 상비군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다. 전투단의 무기와 병력은 유럽 연합 회원국 중 "지도국" 중심으로 결성되지만, 우크라이나, 세르비아, 노르웨이, 북마케도니아와 같은 비EU 회원국도 참여하고 있다. 2004년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은 유엔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돕는 것에 EU 전투단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계획을 환영했다. = 분류:볼리비아의 사회주의 = = 볼로트리돈 = 볼로트리돈(Bolotridon)은 상키노돈트류에 속하는 키노돈트 중 하나다. 볼로트리돈의 처음 학명은 1895년, 해리 실리에 의해서 트리볼로돈(Tribolodon)로 명명되었으나 1977년 브라이언 코드가 트리볼로돈이라는 학명을 어구전철로 뒤바꾸어 만들면서 현재의 볼로트리돈이라는 학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볼로트리돈의 화석은 남아공의 키노그나투스 집합 구역에서 발견되었다. = 분류:뉴저지주의 자연사 = = 틀:올림픽국기 NMI = = 다카하시 히데도키 = 다카하시 히데도키 (1916년 4월 11일 ~ 2000년 2월 5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 틀:문화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 = = 분류:대만의 선거 틀 = = 이광채 = 이광채(1979년 1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전 희극 배우, 마술사이며 MBC TV 개그맨 콘테스트 8기 9기에 응시했으나 연속 탈락한 뒤 SBS 공채 8기로 정식 데뷔했다. = = 학력 = = 대양고등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방송연예과 학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 출연작 = = = = = 방송 = = = 폭소클럽 (KBS) 스타골든벨 (KBS) 웃찾사 (SBS) 이경규 김용만의 라인업 (SBS) 개그공화국 (MBN) 코미디빅리그 (tvN) * = 그가 돌아왔다 = 그가 돌아왔다(Er ist wieder da, Look Who's Back)는 독일에서 제작된 다비드 브넨트 감독의 2015년 코미디 영화이다. 올리버 마수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Timur Vermes의 아돌프 히들러의 2012년 풍자 소설에 기반을 둔다. = = 시나리오 = = 70년후, 옛 벙커가 있던 자리에서 깨어난 아돌프 히틀러. 21세기의 세상은 그를 뛰어난 코미디언으로 주목하기 시작한다. = = 출연 = = = = = 주연 = = = 올리버 마수치 = = = 조연 = = = 파비안 부시 크리스토프 마리아 허브스트 카챠 리만 라스 루돌프 = = 제작진 = = 프로듀서: 라스 디트리치 프로듀서: 크리스토프 뮬러 사운드디자인: 스테판 코트 사운드디자인: 폴 리셰르 = 스파이커 자동차 = 스파이커 자동차는 네덜란드의 하이퍼카 메이커로 1999년에 설립되었다. 본사는 네덜란드 젤란트주 제이볼데에 위치해 있다. = = 생산 차종 = = = = = 현재 생산차종 = = = 스파이커 C8 스파이커 C12 자가토 스파이커 C12 라투르비 = 분류:1814년 기재된 물고기 = = 분류:484년 출생 = = 분류:트레보욱시아강 = = 분류:오사카부도 = = 분류:일본학술회의협력학술연구단체 = = 틀:항성 정보 자료 = = 조너선 하워드 = 조너선 하워드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 애셔 역 = 프레타 망제 = 프레타 망제는 샌드위치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영국의 패스트 푸드 체인이다. 간단히 프렛이라고 부른다. 현재 9개 나라에 450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 분류:노르웨이 주재 공관 = = 분류:쓰촨성의 마천루 = = 분류:룩셈부르크의 남자 = = 분류: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 원샷한솔 = 원샷한솔은 대한민국의 시각 장애인 유튜버 이고 최초로 점자실버버튼을 받았다. = = 컨텐츠 = = "TV 속이나 미디어 속 장애인들의 모습을 보면 늘 굉장히 불쌍하거나 아니면 무언가를 극복해서, 굉장히 대단한 사람처럼 비춰지는 경우가 많은데, 장애인이라고 해서 늘 슬프거나 힘든 건 아니다. 그래서 자신의 영상을 너무 과장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김한솔'이라는 사람의 일상을 여러분께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이다."고 했다. = = = 쇼츠 = = = 2022년 2월 11일, 계란후라이의 진정한 고수 영상부터 쇼츠를 올리기 시작했다.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 가장 많이 올라온다. 상황극으로, "누군가 나에게(내게) 물었다. 너 혹시 ~~~~ 이렇게 해?"로 시작한다. 처음에는 잘못된(물은) 방법을 해 실패하는 것을 보여주다, 실제로 어떻게 잘 하는지 보여준다. 시각장애인이 ~~하는 방법! *: "시각장애인이 ~~하는 방법!"이라며 비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일을 시각장애인이 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 = 학력 = = 한빛맹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 학사) = = 장애 위조 의혹 = = 영상을 올리고 유명해졌을 때부터 아임뚜렛처럼 연기가 아니냐며 장애를 인증하라는 요구가 들어왔다. = = = 제기하는 증거 = = = 유튜브에서 나를 시각장애인으로 보지 않는 이유 영상에서 밝힌 내용이다. 눈 모양이 시각장애인이 아니다. 영상에서 카메라를 잘 응시한다. 일상생활을 잘 한다. 라면을 잘 끓인다. 스프를 구분한다. 인덕션 불을 잘 조절한다. = = = 대응과 장애인인 증거 = = = 원샷한솔은 2020년 11월 26일, 👨‍🦯시각장애인이 카메라를 어떻게 그렇게 똑바로 쳐다봐? 저는 사실... 영상을 올려 카메라를 쳐다보는 방법과 이유를 설명했다. 방법은 "몇 시 방향으로 조금 더"와 같은 지시를 통해 보고, 이유는 사람들과 아이 컨텍(눈맞춤)을 하고 싶어서라고 한다. 원샷한솔은 2021년 7월 17일, 제발 그만 좀 하세요! 저 시각장애인 맞아요 영상을 올려 한 번 더 최종적으로 해명했다. 영상에서는 "복지카드를 보여 달라고 하고 싶으면 예의 바르게, 기분 좋게 말을 해야지. 인증 트라우마 걸릴 것 같다."고 말하며, 2010년 11월 9일에 받은 자신의 복지카드를 공개했다. 이어 자신에 생일에 발급받은 카드라 더 좋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의혹 증거들을 보고 "어이가 없다"며 "눈 모양은 얼굴 모양처럼 사람마다 다른 것이고 시각장애인이라고 특별한 것 없다", "라면 스프는 눈만 감고 만져봐도 구분할 수 있다. 직접 해봐라.", "우리 집 인덕션은 켜면 9단계고, 줄여서 맞추면 된다." 등 의혹을 제기할 거면 제대로 증거를 가져오라며 비판했다. = = 출판 = = 2022년 10월, 자신의 에세이 슬픔은 원샷, 매일이 맑음을 출판했다. 책에는 자신의 이야기와 생각이 들어 있다고 한다. = 분류:종교 연표 = = 분류:중국의 육상 = = 분류:런던데리주 출신 = = 망가지기 시작한 오르골 = 망가지기 시작한 오르골은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POP이 속한 동인 서클 ElectromagneticWave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2008년 겨울 코믹 마켓(C75)와 2009년 여름 코믹 마켓(C76)에서 예고 책자가 배포되었으며, 같은 해 겨울 코믹 마켓(C77)에서 완성된 책자와 DVD가 배포되었다. 2010년 9월 11일에 이케부쿠로 시어터 다이아, 같은 해 9월 18일에 시네 리블 우메다에서 본편 OVA가 추가되어 극장 공개되었다. 제목의 'こわれかけ'라는 부분은 한국어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어, 이 애니메이션은 망가져가는 오르골, 부서지기 시작한 오르골, 부서져가는 오르골 등의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 = 내용 = = 서기 2039년 여름, 도시에서 조금 떨어진 어느 마을이 무대이다. (모델로는 도쿄도 스기나미구 오기쿠보 지역이 사용됨) 가족을 잃은 주인공과 기억을 잃은 인조 인간이 함께 보내는 시간을 그린다. 본편이 34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스토리가 매우 짧다. = 가라후토청 = 가라후토청은 일반적으로 남사할린으로 알려져 있다. 1907년부터 1949년까지 사할린에 위치한 일본의 도도부현이였다. 1905년 포츠머스 조약으로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 지역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할양되면서 일본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가라후토는 1907년 일본 제국의 영토로 승격되기 전까지 일본 본토로 승격되었다. 1943년 일본 메트로폴(Metropole)의 안쪽 땅. 코르사코프는 1905년부터 1908년까지 가라후토의 수도였다. 도요하라(1908년 ~ 1945년 8월)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의 남사할린 침공으로 일본 정부의 기능이 정지된 시기이다. 가라후토청은 사실상 사할린주로 대체되었지만, 1949년 6월 1일에 공식적으로 폐지될 때까지 일본의 헌법에 따라 존재했다. = = 역사 = = 1905년 9월 5일: 일본 제국, "가라후토 민정서(樺太民政署)"를 설치. 1907년 3월 15일: 「가라후토 민정서」, "가라후토청(樺太庁)"에 개편. 1915년 6월 26일, 칙령 제 101호에 의해 17군 4정 58 마을이 설치된다. 1918년, 니코 사건에 의해 북부도 점령했지만, 1925년에 철병한다. 1920년 5월 3일 외지에 집어 넣을 수 있다. 1929년 6월 10일 척무성이 발족하면서 가라후토 현이 편입된다. 1929년 3월 26일 가라후토 정촌제가 공시되어 도시와 시골에 자치제가 시행되었다. 1934년 12월, 홋카이도 사루후츠 정과의 사이에 해저 케이블 및 중계소 설치 완료, 전화가 혼슈와 개통. 1942년 11월 1일, 척무성이 타부처와 함께 일원화되어 대동아성이 되어, 가라후토청은 내무성하에 편입. 1943년 3월 26일, 남사할린섬이 내지에 편입된다. 1945년 8월 8일, 소비에트 연방은 소련-일본 불가침 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일본과 전쟁을 시작했다. 소련군은 8월 28일에는 가라후토 전체를 점령했다.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에 의해, 일본은 남사할린의 영유권을 포기했고 가라후토 전체가 소련의 영토가 되었다. = = = 강제 징용 = = = 가라후토 섬(사할린 섬)에는 현재 강제 징용된 한국인 노동자와 그들의 후손 3만여 명이 아직도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원래 1930년대 말기부터 1940년대 전쟁 말기까지 일본 제국에 의해 부족한 광산 노동을 하기 위해 강제 징용되었던 것이었다. 약 15만 명이 이 지역으로 끌려왔으며 생존자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에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 = 역대 가라후토청장관 = = 민정장관: 구마가이 기치로 (1905년 7월 28일 ~ 1907년 3월 31일) 제1대: 구스노세 유키히코 (1907년 4월 1일 ~ 1908년 4월 24일) 제2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1908년 4월 24일 ~ 1908년 6월 12일) 제3대: 히라오카 사다타로 (1908년 6월 12일 ~ 1914년 6월 5일) 제4대: 오카다 분지 (1914년 6월 5일 ~ 1916년 10월 9일) 제5대: 사카야 아키라 (1916년 10월 13일 ~ 1919년 4월 17일) 제6대: 나가이 긴지로 (1919년 4월 17일 ~ 1924년 6월 11일) 제7대: 사카야 아키라 (1924년 6월 11일 ~ 1926년 8월 5일) 제8대: 도요타 가쓰조 (1926년 8월 5일 ~ 1927년 7월 27일) 제9대: 기타 고지 (1927년 7월 27일 ~ 1929년 7월 9일) 제10대: 아가타 시노부 (1929년 7월 9일 ~ 1931년 12월 17일) 제11대: 기시모토 마사오 (1931년 12월 17일 ~ 1932년 7월 5일) 제12대: 이마무라 다케시 (1932년 7월 5일 ~ 1938년 5월 7일) 제13대: 무네스에 슌이치 (1938년 5월 7일 ~ 1940년 4월 9일) 제14대: 오가와 마사노리 (1940년 4월 9일 ~ 1943년 7월 1일) 제15대: 오쓰 도시오 (1943년 7월 1일 ~ 1947년 11월 17일) = = 지리 = = 남쪽의 홋카이도와는 라페루즈 해협으로 떨어져 있었다. 북쪽은 북위 50도선에서 소비에트 연방과 접하고 있었으며, 서쪽은 동해, 동쪽은 오호츠크해에 둘러싸여 있다. = = 산업 = = 제1차 산업이 기반이며, 어업·임업·농업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제지업·탄광도 번성하여서 1930년대 말부터 노동력 확보를 위해 한국에서 강제로 한국인을 징용하였었고 세법을 우대하였으며 혼슈로부터의 이주를 추진했다. = = 지역 = = 가라후토청에는 42개의 시정촌(1시 12정 29촌(무라)), 10의군이 있었다. = = = 가라후토의 행정 구역(1929년 7월 1일 - 1945년 8월) = = = 가라후토청은 아래와 같이 구분되었다. 지청은 가라후토청의 독립 파견 기관으로, 관내에 있어서는 본청의 사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도요하라 지청 도요하라 시 도요사카에 군: 도요기타 촌 - 가와카미 촌 - 오치아이 정 - 사카에하마 촌 - 시라누이 촌 오토마리 군: 오토마리 정 - 지토세 촌 - 후카미 촌 - 나가하마 촌 - 도오부치 촌 - 도무나이 촌 - 시레토코 촌 루타카 군: 루타카 정 - 산고 촌 - 노토로 촌 마오카 지청 혼토 군: 혼토 정 - 나이호로 정 - 고니 촌 - 가이바 촌 마오카 군: 마오카 정 - 히로치 촌 - 란도마리 촌 - 시미즈 촌 - 노다 정 - 고노토로 촌 도마리오루 군: 도마리오루 정 - 나요리 촌 - 구슈나이 촌 에스토루 지청 에스토루 군: 진나이 정 - 우시로 촌 - 에스토루 정 - 도로 정 나요시 군: 나요시 정 - 니시사쿠탄 촌 시쿠카 지청 모토도마리 군: 모토도마리 촌 - 호요리 촌 - 시루토루 정 시스카 군: 도마리키시 촌 - 나이로 촌 - 시스카 정 - 지리에 촌 = = 각종 시설 = = = = = 재판소 = = = 1939년 당시 가라후토 지방재판소 도요하라 구 재판소 마오카 구 재판소 시루토루 구 재판소 = = = 형무소 = = = 1941년 당시 가라후토 형무소 마오카 형무출장소 = = = 치안 = = = 1941년 당시 가라후토청 경찰부 도요하라 경찰서 오치아이 경찰서 모토도마리 경찰서 시루토루 경찰서 시쿠가시 경찰서 오토마리 경찰서 루타카 경찰서 혼토 경찰서 마오카 경찰서 노다 경찰서 도마리오루 경찰서 에스토루 경찰서 = = = 세무 = = = 1939년 당시 = = = = 세관 = = = = 하코다테 세관 오토마리 세관 지서 하코다테 세관 마오카 세관 지서 = = = = 감시서 = = = = 「감시서」란, 일본·소련 국경의 북위 50도선의 밀무역을 감시하는 관청이다. 나이로 감시서 야스베쓰 감시서 = = = 병의원 = = = 1939년 당시 가라후토청 도요하라의원 가라후토청 오토마리의원 가라후토청 마오카의원 = = = 학교 = = = 가라후토 의학전문학교 가라후토청 가라후토 사범학교 가라후토 청년사범학교 = = 교통 = = = = = 항로 = = = 섬이기 때문에 홋카이도와의 물자・인간의 수송에는 배가 이용되었다. 항로는 다음과 같다. 오타루 - 시스카 왓카나이 - 오토마리(지하쿠 연락선) 왓카나이 - 혼토(지하쿠 연락선) = = = 철도 = = = 섬 내의 산업이 활발해지면서, 목재・석탄의 조속한 이동이 급무가 되어 다음과 같은 철도선이 깔렸다. 가라후토청철도(1943년 철도성에 병합, 그 후 운수 통신성의 소관이 된다) 가라후토토 선: 오토마리 항 역 - 고톤 역(414.4 km)/지선:오치아이 역 - 사카에하마 역(10.3 km)/화물선:사카에하마 역 - 사카에하마 가이간 역(1.8 km) 호신 선: 고누마 역 - 데이 역(76.2 km) 가와카미 선: 고누마 역 - 가와카미탄잔 역(21.9 km) 가라후토사이 선:혼토 역 - 구슈나이 역(170.1 km)/화물선-1: 혼토 역 - 하마혼토 역(1.3 km)/화물선-2:마오카 역 - 하마마오카 역(1.8 km) 난카 철도선: 신바 역 - 루타카 역(18.6 km) 남가라후토 탄광 철도 주식회사선(제국 연료 흥업 회사 나이호로 선): 혼토 역 - 나이호로탄잔 역(16.4 km) 제국 연료 흥업 회사 나이부치 선: 오타니 역 - 나이부치 역(23.2 km) = = 기업 = = = = = 방송 = = = 일본 방송 협회 도요하라 방송국 = = = 신문 = = = 1939년 당시 가라후토 신문 가라후토 일일 신문 가라후토 마이니치 신문 오키타 신보 가라후토 시사 신문 마오카 마이니치 신문 가라후토 신보 가라후토 일보 에스토루 마이니치 신문 가라후토 시스카 시보 석간 가라후토 = = = 은행 = = = 일본 은행 도요하라 사무소 가라후토 은행 홋카이도 타쿠쇼쿠 은행:본점은 삿포로시에 위치. 도요하라・에스토루・오토마리・오치아이・시스카・시루토루・도마리오루・노다・혼토·루타카에 지점이 있었다. 가라후토 증권 = = 출신 유명인 = = 사무카와 고타로(소설가・아쿠다가와 상 수상) 이회성(소설가・군조 신인 문학상 수상・아쿠다가와 상 수상) 쓰나부치 겐조(소설가・나오키 상 수상) 다이호 고키(스모 선수) 오타 류(정치 운동가・「주간 일본신문」편집 주간) 센다 미쓰오(코미디언) 와카야마 젠조(성우) 가네코 도시오(신문 기자) 호리 다쓰야(제 5대 홋카이도 도지사) = = = 이주자, 거주자 = = = 후키야 고지 = 모리 에토 = 모리 에토(, 1968년 4월 8일 ~ )는 일본의 여성 소설가이다. = = 내력 = = 일본 아동 교육 전문 학교 아동문학과, 와세다 대학 제2문학부(사회인간계 전공)를 졸업하였다. 1990년 "리듬"으로 제 31회 고단샤 아동 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데뷔하였다. 이후에도 수많은 작품에서 많은 문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소설 DIVE!!는 영화화도 되어 화제가되었다. 2006년 " 바람에 휘날리는 비닐 시트"로 제 135회 나오키상을 수상하였다. = 분류:엉겅퀴 훈장 = = 요코인 = = = 사람 = = 요코인(陽光院)은 사네히토 친왕(誠仁親王)의 법명이다. 요코인 (우키타 나오이에의 딸)(容光院)은 우키타 나오이에(容光院)의 딸이다. = = 건물 = = 요코인 (나고야시)(永弘院)은 나고야시(名古屋市)의 사원으로서 통칭은 에이코인이다. 요코인 (요코하마시)(陽光院)은 요코하마시(横浜市)의 사원이다. = 니시오카 다케오 = 니시오카 다케오(, 1936년 2월 12일 ~ 2011년 11월 5일)는 일본의 정치인이다. 아버지 니시오카 다케지로, 장녀 니시오카 히데코(국민민주당) 또한 중의원을 지냈다. 중의원 의원, 신자유클럽 간사장, 문부대신,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신진당 간사장, 자유당 참의원 의원 회장, 참의원 의원 운영 위원장 민주당 소속 참의원 의원, 참의원 의장 등을 지냈다. 2011년 11월 5일 미나토구의 병원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 1996년 영월 지진 = 1996년 영월 지진은 1996년 12월 13일 오후 1시 10분 17초에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정선군에서 일어난 규모 4.5의 지진이다. 이 지진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감지되었으며 진앙지 주변에서는 MMI 최대 VII의 진도가 감지되었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영월 지진의 진앙 위치를 37.20°N, 128.80°E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37.2518°N, 128.7113°E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로 발표하였다. = = 지진 피해 = = 지진의 진앙 깊이가 얕아, 규모 4.5의 지진의 감지 범위는 보통 100 km 정도인데 반해 이 지진은 감지 범위가 약 450 km 정도나 되어,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느껴졌다. 정선군에서는 신동읍사무소의 직원이 놀라 대피하고 예미리 일부 가옥에서 담장이 무너지는 피해가 있었다. 인근 지역인 중동면과 동면 등에서도 벽에 균열이 생기고 유리창이 깨지며 낙석이 일어나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옥동초등학교, 예미초등학교 등지에서 벽에 균열이 생겼다. 이 지진은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감지되었으며 영월군 중동면, 신동읍, 정선군 남면 일부 지역에서 최대진도 VII이 감지되었다. 영월 지진으로 인한 피해 감진지역 감진지역 피해 및 감진정도 영월군 영월읍 내성초등학교 보와 벽체 사이 미세 균열 영월군 중동면 석항리 연산초등학교 교실 벽 다수 균열, 천장텍스 추락, 지구본 파손, 석항우체국 벽 균열, 화장실 타일 1개 파손농협 연쇄점 유리창에 금이 가고 물건 낙하, 중동면 석항출장소 벽에 세로 균열석항휴게소 기사식당 실내외 벽 균열. 석항리 민가 가옥 블록 벽 균열(10~20 cm), 지붕 용마루, 슬레이트 낙하, 집지붕 수직으로 진동외룡리 옥동천변 자갈벽이 3 m정도 붕괴, 옥동리 하동면사무소 기둥 외벽 시멘트 낙하, 실내벽 세로 균열, 옥동초등학교 실내외벽 균열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 내덕초등학교 : 벽 미세균열 정선군 신동읍 덕천리 연포분교 교실벽 수십군데 균열, 천포리 조립식 담 5 m 붕괴, 가옥 지붕기와 일부 낙하예미리 의림상회 벽 균열, 천장텍스 일부 파손, 예미초등학교 복도, 계단, 교실, 벽 수십군데 균열, 천장텍스 일부 파손, 관사 외벽벽돌 낙하, 폐가 조립식 담 붕괴신동읍사무소 1층 사무실 벽이음새 수직 균열, 지하실 벽 균열, 조동리 지붕기와 일부 낙하, 외벽 일부 균열함백초등학교 교실벽 미세균열, 함백고등학교 2층 신축건물과 구건물 이음새 균열 (약 1 cm), 교실벽 균열함백중학교 화장실 타일 낙하, 함백여자중학교 교실내 균열 (4개소), 예미리 앞산 서쪽 낙석 정선군 정선읍 정선중학교 수십개소 미세 균열 발생 정선군 남면 심한 진동과 함께 가옥 미세균열 및 창문 파손, 문곡중학교 기둥 이음새 및 벽 균열, 문곡리 남면사무소 외벽타일 낙하, 문곡1리 액자, 꽃병 낙하광덕리 일반가옥 균열, 문틈 벌어짐, 광탄-남창간 낙석, 무능3리 큰 폭발음과 함께 문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유리창 파손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고한여자중학교 교실 4층 미세균열, 유리창 파손, 고한초등학교 체육관 균열 정선군 북면 여량리 여량중학교 2, 3층 교실 내 수개소 미세균열 정선군 동면 몰운리 테이블 위 유리 파손, 선동초등분교 1층 수십군데 균열, 덕우리 봉양초등학교 미세균열화암리 단층집 흙벽 붕괴, 1층 벽돌집 유리창 파손, 여관 옆 식당건물 기와가 내려앉음, 식당 선반위 물건 낙하, 화암장 사람들이 모두 뛰어나옴화암리 동면사무소 수십군데 벽 균열, 천장 석고보드 및 스피커 낙하, 우체국 벽에 미세균열, 천정 어긋남, 문곡-무능리 간 낙석 정선군 사북읍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는 매우 강한 지진동, 책상 위 물컵이 1분간 왔다갔다 이동, 유리창 일부 파손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에서 지진동 세게 느껴짐, 아파트 4층에서 벽시계가 앞뒤로 진동, 초당동 건물창문이 진동, 방바닥이 2~3회 진동 강원도 삼척시 밖에 덤프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이 건물이 10초 이상 심하게 진동, 유리창 진동, 하장면 갈전리에서 웅 하면서 건물과 유리창이 심하게 진동, 선반 물건 낙하근덕면 용화리에서 10초이상 집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집이 흔들리는 것이 눈에 보임, 원덕읍 원덕리에서 꽝 소리와 함께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강원도 동해시 건물과 창문 진동, 꽃병, 화분, 어항 진동, 북평동 유리 낙하, 현대아파트 화분 요동 강원도 정선군 발이 떨릴 정도로 큰 진동, 동호호텔 엘레베이터 안에서 심한 진동 감지 강원도 평창군 건물 창문 심하게 진동, 커피잔의 물 쏟아짐, 발밑으로 땅속에 큰 물건이 굴러가는 듯한 느낌용평면 면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10초간 좌우로 심하게 진동, 방바닥이 좌우로 진동진부면 하진부리에서 웅 하면서 10초간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강원도 영월군 한전 : 폭파하듯이 울리면서 건물이 좌우 진동, 벽선반 물건 낙하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에서 세워놓은 철제 집기 진동, 꽝 소리와 함께 창문 진동, 행구동에서 책상이 수직 진동하는 느낌, 단구동에서 책상, 창문과 가구 문짝이 진동 강원도 인제군 창문 진동, 남면 신남리 2층집 TV위 화분이 흔들림, 밖에 탱크가 지나가는 듯한 진동, 창문과 나무 진동 강원도 철원군 2-3층 건물과 창문 진동, 4층건물 군청의 탁상시계가 넘어짐 강원도 춘천시 고층아파트-창문 진동, 휘청하는 느낌, 건물 외부의 사람도 어지러울 느낌, 주전자가 넘어져 물이 쏟아짐, 3층 시청건물이 매우 흔들림, 창문과 진열된 물건이 소리내어 흔들림 강원도 속초시 기상대 : 창문이 가볍게, 고층아파트가 휘청하는 느낌 강원도 고성군 옆에 차 지나가는 정도로 느낌 강원도 홍천군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고 창문이 진동함. 불안정한 물건이 선반에서 낙하 강원도 횡성군 군청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10여초 이상 수평으로 진동 충북 제천시 시청 창문이 흔들리고 커피잔과 냄비가 흔들리며 아파트가 무너지는 느낌의 진동, 집 전체와 방바닥이 굉장히 심하게 진동, 신월동사무소 의자가 좌우로 10 cm 정도 이동하면서 흔들림 충북 단양군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고 도로공사 패널이 넘어짐, 꽝 하는 소리와 함께 읍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해 모두 놀라 뛰어나옴가스폭발하듯이 큰 소리가 났으며 아스팔트 도로에 균열이 가고 군청 건물과 창문이 진동 충북 충주시 시청 벽 균열, 3-4층 건물이 매우 흔들려 놀라 밖으로 뛰어나감, 아파트 14층 베란다 쪽 큰 창문이 1-2분간 진동충주시외버스터미널 건물이 흔들려 사람들이 뛰어나옴 충북 청주시 건물 전체가 심하게 흔들림, 탁자 위 음료수 심하게 흔들림, 고층아파트 난화분이 넘어지고 석유난로 자동소화, 물컵의 수면이 10초간 진동 충북 보은군 기상대 건물이 10초간 심하게 진동 충북 옥천군 기상대 건물이 10초간 심하게 진동, 깜짝 놀랄 정도로 학교 건물이 심하게 진동 충북 영동군 집과 기상대 건물이 진동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도마동 사무실 건물이 큰 소리와 함께 심하게 진동, 둔산동에서 선반 위 TV와 책상 위 컴퓨터 흔들림, 월평동 아파트에서 진동이 심해 깜짝 놀람비래동에서 벽이 소를 내며 진동하고 창문이 심하게 흔들려 공포를 느낌, 용전동에서 꽝 소리와 함께 2~3초 심한 진동 후 2차 흔들림이 강하게 느껴짐정림동에서 선반 위 가벼운 물건 낙하, 옥외에서 승용차가 휘청함 = = 단층과의 관계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 지역은 옥천 습곡대와 평행 또는 사교(斜交)하는 각동 단층과 옥동 단층 사이 북동 내지 북북동(N10~20°E) 주향의 단층대에 속하는 곳으로 이들 단층의 최초 형성시기는 상부 고생대로 추정되며, 단층대를 따라 중생대의 대동층군을 변형시킨 것으로 보아 중생대에 활동한 것으로 분석되나 지진활동을 보아 향후 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진원 단층의 방향은 스러스트가 포함된 주향 이동 단층이며 진원 단층의 방향은 주향 180±20°, 경사 50±5°, 면선각 150±5° 또는 주향 292±3°, 경사 65±5°, 면선각 30±10°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응력의 주 압축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경향을 가진다. 영월 지진의 진앙 부근에는 단곡 단층과 같이 북동 10~20°주향의 단층 또는 선상구조가 분포한다. = = = 단층 면해 = = = 지진의 발진기구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주 압력에 의하여 발생한 남-북 방향의 주향 성분이 우세한 역단층임이 밝혀졌다. = = 지역별 진도 = = 주요 지역별 MM진도는 다음과 같다. 진도 지역 VII 영월, 정선 일부 지역 V 강릉, 동해, 삼척, 원주, 홍천, 춘천 IV 포항, 경주, 밀양, 산청, 진주, 부산, 남원, 광주, 서울, 인천 III 영광, 무안, 보성, 순천, 여수, 울산 II 목포, 해남, 완도, 제주도 = 중앙우체국 (더블린) = 중앙우체국(, , GPO)는 프랜시스 존슨이 설계하였고 1814년에 건축되었으며 더블린의 오코넬 거리에 위치해있다. 아일랜드 우편서비스를 총괄하는 곳이다. 1916년에 발생한 부활절 봉기동안 봉기를 일으킨 아일랜드 혁명군이 이 건물을 점거했다. 영국군의 강력한 진압으로 인해 건물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수리되지 않았다. 외곽의 초창기 기둥들에는 여전히 탄흔이 남아있어서 폭력으로 얼룩졌던 과거를 상기시켜주고 있으며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아일랜드 역사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봉기를 기념하며 신화 속 영웅인 쿠 훌린의 조각을 새겨 건물 앞에 세웠다. 원래는 넬슨 기념비가 건물 앞에 있었으나 1966년 IRA의 폭탄테러로 인해 파괴되었다. 현재 더블린 첨탑이 건물 앞의 대부분의 차리를 차지하고 있다. Prize Bond(일종의 도박)가 매주 금요일마다 건물에서 열리고 있다. 아일랜드 타임즈는 2005년 10월 30일 아일랜드 정부가 모든 우편 서비스를 중앙우체국에서 담당하지 않고 이 건물을 부활절 봉기의 기념물로써 사용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 토마스 아 켐피스 =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à Kempis, 1380년 ~ 1471년 7월 25일)는 독일의 신비사상가이다. 라인강 하류의 켐펜에서 태어나, 92년 동안의 일생을 거의 즈볼러에 가까운 아그네텐베르크 수도원에서 보냈다. 여기서는 네덜란드의 신비사상가 헤르트 호르테 및 제자 플로렌티우스 라데빈스가 창설한 '공동생활의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가 활동하고 있었으며, 토마스 아 켐피스도 이 회에 가담하여 모범적인 경건한 생활을 보냈다. 이 회는 속세에 있어서도 그리스도를 본받아 수도적인 청빈·정결·복종의 생활을 보내도록 노력하고 재산은 공유하며, 스스로의 노동으로 그날그날의 양식을 벌었다. 일은 사본(寫本) 및 인쇄·제본과 교육으로, 특히 연소자의 교육에 힘을 기울였으며, 후에 에라스무스,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등을 배출했다. 그들은 프란치스코회와는 달라서 자신의 양식을 다른 사람에게 구걸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았다. 이 점에서 신비주의의 조용한 실천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그보다 더 경건한 사람은 없다는 말까지 들은 토마스 아 켐피스는, 1425년 이후 부원장으로서 후진 지도에 진력했다. 그래서 후진 지도를 위한 지도서를 몇 가지 썼는데, 그 중 <준주성범>, 또는 <그리스도를 본받아>는 기독교 세계에서 널리 애독되는 책이 되었다. = = 영향을 준 인물 = = = = = 존 웨슬리 = = = 1725년에 웨슬리는 온전한 거룩을 향한 구도자적 자세로의 전환을 이루는 데 결정적인 해였다. 이 때 그가 <그리스도를 본받아>를 읽고 더욱 가속화되었다. = 국도 제78호선 = 국도 제78호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국도 제78호선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였으나, 1996년 폐지되었다. 국도 제78호선 (미국) : 미국의 일반 국도 국도 제78호선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의 일반 국도 국도 제78호선 (이란) : 이란의 일반 국도 국도 제78호선 (프랑스) : 프랑스의 일반 국도 = 월넛크릭 (캘리포니아주) = { "type": "FeatureCollection", "features": [ { "type": "Feature", "properties": { "marker-symbol": "marker", "marker-color": "f00", "marker-size": "small", "title":"Maps Team" }, "geometry": { "type": "Point", "coordinates": [ -122.0542 , 37.9024 ] } } ] } 월넛크릭(Walnut Creek)은 캘리포니아주의 도시로, 인구는 64,173명이다. 콘트라 코스타 카운티(Contra Costa County)에 속한다. 디아블로 산 끝자락을 끼고 자리잡고있다. = = 교통 = = 해외에서는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통해서 BART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월넛크릭 도심에 진입할 수 있다. = = 병원 = = 관내에는 종합병원인 욘 뮤어 헐스, 월넛크릭 메디컬 센터(John Muir Health, Walnut Creek Medical Center)와 이저 퍼마넌트 월넛크릭 메디컬 센터(Kaiser Permanente Walnut Creek Medical Center)가 있다. = = 기념비 = = 솔저스 메모리얼 모누멘트(Soldiers Memorial Monument)와 주 방위군 기념비가 관내에 소재하고 있다.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Outback Steak House)는 미국의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이다. = = 개요 =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Outback Steakhouse)는 미국의 외식업체이다. 본사는 미국 플로리다주 탬파에 있다. 호주식 영어로 '오지'를 뜻하는 Outback이란 명칭을 쓰는데다가 식당 내부를 오스트레일리아 식으로 꾸며 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에 본거지를 둔 식당으로 보이기도 하나, 미국의 외식업체이다.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의 22개 국가에서 1200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 중이다. 쇠고기 요리를 전문으로 하며, 그 외의 여러 사이드 메뉴를 함께 취급한다. 미국에서는 USDA의 초이스 등급 쇠고기에 특화된 메뉴를 주로 취급하나, 대한민국에서는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강한 거부감 때문에 미국산 쇠고기를 쓰지 않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한 쇠고기를 쓴다. 회사는 1988년에 밥 바샘(Bob Basham)와 트루디 쿠퍼(Trudy Cooper), 크리스 T. 설리번(Chris T. Sullivan), 팀 개넌(Tim Gannon)이 창립했다. 미국 내에서는 OSI 레스토랑 파트너십(OSI Restaurant Partnership)이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프랜차이즈와 합작투자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1997년에 유한회사 오지정(Aussie Chung, Inc.)과 프랜차이즈 계약으로 대한민국에 진출했다. 현재 전세계에 1000여개 이상의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매장이 존재하며, 그 중 대략 80개 정도의 매장은 한국 안에 위치해 있다. 장기불황과 내수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2015년부터 수익성이 떨어지는 하위 34개(전체 매장 중 31.2%)의 매장을 철수하기로 하였다. 아웃백 관계자는 "이번에 새로운 사업 계획 발표 후 질적 성장을 위해 기존 매장 중 매출 부진, 인테리어 노후,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34개 매장을 철수하기로 했다"며 "추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다른 매장에 집중 할 것"이라고 밝혔다.아웃백, 무더기 매장 폐점…어디어디 문 닫나 - 더벨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 진출 이후 2000년대 패밀리 레스토랑붐을 타고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고 2004년부터 기존 T.G.I. Friday's가 가지고 있던 패밀리레스토랑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0년대 초반부터 패밀리 레스토랑의 인기가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타면서 아웃백 역시 낮은 매출과 경영난을 면치 못했으나, 2017년 사모펀드로 인수된 이후 토마호크 스테이크로 대표되는 스테이크 메뉴의 고급화와 전략 변경으로 다시 매출이 급상승하며, 대한민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패밀리 레스토랑 체인으로 현재까지 영업중이다. = = 서비스 =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는 매장에 찾아온 고객들에게 6BSP등의 질좋은 서비스를 통해 좋은 경험을 줌으로써 단골고객으로 만듬을 통해 매출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외에도 매출을 올리기 위해 멤버쉽과 같은 여러 가지 이벤트를 한다. = = = 6BSP = = = 6BSP서비스는 6 basic Service Point의 약자로써 고객이 매장 방문시 받게 되는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이다. 서비스의 순서는 자기소개 → 주문받기 → 식전빵(OvenBread), 수프, 음료, 에피타이져 제공 → 메인메뉴 제공 → Two Bite(Check back) → 후식제공 순으로 이루어진다. 자기소개는 대게 담당 테이블 서버가 고객들에게 코스터(컵받침)을 주고, 메뉴 추천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Two Bite(Check Back)는 메인메뉴가 나온 후 고객이 음식을 맛본 후 메뉴가 입맛에 맞는지 혹은 이상은 없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만일 이상 발견 시에는 매장 매니저가 방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Tip. 세 번째 단계인 식전빵 제공 단계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버터 외에 초코, 블루치즈 등의 소스를 요청하면 빵을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 = = 퍼피독 서비스 = = = 퍼피독 서비스란 점원이 고객과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무릎을 꿇고 주문 혹은 오더를 받는 서비스이다. 1992년 T.G.I Friday란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시작되어 현재 타 레스토랑, 호텔, 항공사 등의 서비스 업종들이 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손님에 대한 존중 혹은 좋은 서비스를 주고자 만들어진 서비스이지만, 한편에서는 '감정노동'이라며 너무 과도한 서비스라는 등 꽤 논란이 많은 서비스이다. 지금은 퍼피독 서비스를 하지 않고 서서 주문을 받는 형태이다. = = = 멤버쉽 = =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는 자체적으로 부메랑 멤버쉽(Boomerang Membership)이란 회원제도를 운영하여, 처음 가입한 고객들에게는 에피타이져 '크리스피 쿠카부라 윙'을 무료로 먹을 수 있는 쿠폰을 주고 그 외에도 모든 회원들에게 맥주를 1+1으로 살 수 있는 'BOGO 쿠폰', 생일기념으로 1만원 할인해주는 생일 쿠폰을 준다. 또한 특정 조건을 만족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매년 VIP신청을 받아 Red VIP, Black VIP의 등급으로 고객들을 선정하여, 매장 방문시 Red VIP에게는 무료 에이드와 쿠폰 등의 혜택, Black VIP에게는 무료 생과일 주스와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준다. = = = 기타 이벤트 = =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에서는 고객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기존의 멤버쉽 서비스 외에도 타기업들과 제휴를 맺어 각종 행사를 한다. = = = = = = Movie is Aussie Day = = = = = = 매장에 당일 보았던 극장 영화 티켓을 가져오면 오지치즈후라이 미디움 사이즈를 주는 행사이다. 타쿠폰을 사용하지 않고 3만원 이상 주문시 극장 영화표를 보여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 현재 종료 = = = = = = 11번가 이벤트 = = = = = = 11번가 이벤트는 매년 6월과 11월에 이루어지는 행사로 11번가 사이트에서 아웃백에서 사용가능한 할인쿠폰을 배포하여 이루어진다. 11번가 이벤트 도중에는 고객이 매우 몰리며, 특히 첫주와 마지막주에는 고객이 너무 몰려 웨이팅만 1시간 이상을 할 정도로 많은 고객들이 아웃백을 즐기기 위해 찾아온다. 2021년 현재 종료 = = 메뉴 = = = = = = 에피타이져 = = = = 에피타이져는 메뉴 주문 후 수프, 음료 이후에 나오는 메뉴로, 대개 주문 후 나오는데까지 6~8분정도 소요된다. = = = = = = 부시맨 브레드 = = = = = = 버터와 같이 나오는 식전 빵으로 아웃백의 유명한 이유의 비결이다 = = = = = = 오지치즈후라이 = = = = = = 감자튀김에 각종치즈를 녹이고 위에 베이컨을 뿌린 메뉴이다. (Tip. 사이드 메뉴가 나오는 메인디쉬에 감자튀김을 선택 후 추가금액을 내 치즈를 올리면 오지치즈후라이를 따로 구입하지 않고도 이를 즐길 수 있다.) = = = = = = 크리스피 쿠카부라 윙 = = = = = = 아웃백 시즈닝으로 닭봉과 날개를 튀겨 만든 요리 = = = = = = 골드 코스트 코코넛 슈림프 = = = = = = 코코넛가루를 묻혀 튀긴 새우요리 = = = = = = 레인지랜드 립레츠 = = = = = = 튀킨 돼지갈비에 바베큐 소스를 바른 립(5-6봉)과 감자튀김이 같이 나오는 에피타이져 = = = = = = 기브미 파이브 = = = = = = 기존 에피타이져 4종류(오지치즈후라이, 크리스피 쿠카부라윙, 골드코스트코코넛슈림프, 레인지랜드 립레츠)에 치킨 핑거(닭 안심 부위를 튀긴 음식)을 한 번에 제공해주는 메뉴 = = = = 메인메뉴 = = = = = = = = 스테이크 = = = = = = = = = 시그니처 스테이크(Signature Steak) = = = = = 시그니처 스테이크는 아웃백만의 시즈닝으로 만들어지는 메뉴로, 모든 시그니처 스테이크는 두가지의 사이드 메뉴(감자, 고구마, 감자튀김, 더운야채, 볶음밥)을 선택할 수 있다. 메뉴로 센터컷 부위 220g이 제공되는 서로인 스테이크, 꽃등심 부위 280g에 발사믹 갈릭과 갈립 찹을 뿌려 나오는 갈릭 립아이 스테이크 그리고 채끝등심280g이 나오는 뉴욕스트립이 있다. = = = = = 블랙라벨 스테이크(Black Label Steak) = = = = = 블랙라벨 스테이크는 매장에서 가장 많은 비율로 팔리는 스테이크로, 대게 커플 패밀리 세트와 함께 팔리는 경우가 많다. 모든 블랙라벨 스테이크는 철판 위에 올려져 제공된다. 그 이유는 철판이 뜨거워서 열 전달이 잘 되기 때문이다. = = = = = = 퀸즈랜드 립아이 = = = = = = 호주의 '퀸즈랜드'란 지역의 이름을 딴 스테이크로, 최고급 꽃등심 부위 320g이 제공된다. 기본 사이드 메뉴로 구운양파, 아스파리거스가 나오며 추가적으로 자몽, 아보카도, 램(양고기), 랍스터 중 하나가 제공된다. 총 2인분 정도의 양으로 정해져 주문시 수프 또한 2잔이 제공되며 커플 세트에서 고정 메뉴인 경우가 많다. = = = = = = 달링포인트 스트립(210g/420g) = = = = = = 달링 포인트 스트립은 채끝 등심 부위로 만든 스테이크로 210g과 420g중 선택이 가능하다. 이중 210g은 오후 5시 이전까지 주문 가능한 런치 세트 메뉴에도 있다. 앞으 ㅣ퀸즈랜드 립아이와 같이 기본 사이드 메뉴로 구운양파, 아스파리거스가 나오며 추가적으로 자몽, 아보카도, 램(양고기), 랍스터 중 하나가 제공된다. = = = = = 토마호크 스테이크(TOMAHAWK Steak) = = = = = 토마호크 스테이크는 타 스테이크들과는 달리 100g당 18000원이라는 가격으로 판매가 되며, 보통 600g 중반대부터 판매된다. 조리되는 부위가 소에서 나오는 매우 한정적인 부위이기 때문에 매장에서도 하루에 판매가능한 수량이 정해져 있다. 부위는 새우살, 늑간살, 등심으로 총 세가지 부위를 맛볼 수 있으며, 주문시 수프 세 잔, 샐러리로 만든 시저샐러드 그리고 고구마, 감자, 아스파라거스 등이 들어간 프리미엄 사이드가 같이 제공된다. = = = = 파스타 = = = = = = = = = = 투움바 파스타(Toowoomba Pasta) = = = = = = 호주의 지역이름인 투움바(Toowoomba)에서 따온 이름을 가진 투움바 파스타는 파마산 치즈, 새우, 양송이를 볶아 만든 크림 파스타로, 안에 안심을 넣어 투움바 안심 파스타(Toowoomba Filet Pasta)로, 맵게 만들어 스파이시 투움바 파스타(Spicy Toowoomba Psata)로, 랍스터를 위에 올려 랍스터 투움바 파스타(Lobster Toowoomba Pasta)로 만들어지는 등 다양하게 응용되어 판매된다. = = = = = = 스파이시 시푸드 알리오 올리오 파스타(Spicy Seafood Aglio Olio Pasta) = = = = = = 마늘과 올리브 오일 등으로 만들어진 소스로 만들어진 파스타로, 아웃백에서 판매하는 파스타 중에서 상대적으로 매운맛을 가지고 있다. = = = = = = 치오피노 파스타 = = = = = = 오징어, 새우, 홍합 등 다양한 해산물로 만들어진 전통적인 파스타로, 스파이시 시푸드 알리오 올리오 파스타와 비슷한 맵기를 가지고 있다. = = = = 기타 메뉴 = = = = = = = = = 립 = = = = = = = = = = = 베이비 백립(400g/550g) = = = = = = 베이비 백립은 기름기를 뺀 돼지갈비에 바베큐소스를 발라 만든 메뉴로 400g과 550g 중 선택하여 주문이 가능하다. 주문시 사이드메뉴 1종류가 딸려 나오며, 런치메뉴(오후 5시 이전)로 주문시 수프 한 잔과 에이드 한 잔이 동시에 제공된다. = = = = = 런치메뉴 = = = = = 런치메뉴에는 디너 때 맛볼 수 없는 다양한 스테이크와 밥 종류가 준비되어 있으며, 모든 런치메뉴는 주문시에 수프 한잔과 에이드가 제공된다. = = = = = = 스테이크 = = = = = = 런치 메뉴에서는 기존에 있던 달링 포인트 스트립 아웃백 서로인 스테이크, 갈릭 립아이 스테이크 외에도 많은 스테이크들이 존재한다. 런치 메뉴에만 있는 스테이크의 종류로는 채끝등심 스테이크(240g)를 썬 후 위에 데리야끼 소스를 뿌려 만드는 짐붐바 스테이크, 갈릭 립아이 스테이크에서 사용하는 스테이크(꽃등심 280g)를 구워 조리하는 록 햄프톤 립아이 스테이크가 있다. = = = = = = 밥 = = = = = = 런치시간 때에는 디너타임 때와는 달리 밥 종류가 메인 메뉴가 존재한다. 밥이 나오는 메뉴는 후라이팬처럼 생긴 매우 뜨거운 스킬렛 위에 제공되며, 밥과 고기가 함께 나오는 형식으로 제공된다. 메뉴로는 서로인 스테이크 150g이 썰려 밥과 함께 제공되는 서로인 스테이크 라이스, 갈비소스가 발라진 카카두 스테이크와 김치 볶음밥이 나오는 카카두 김치 그릴러, 데리야끼 소스로 맛을 낸 닭다리 살과 밥이 제공되는 데리야끼 치킨 라이스가 있다. = = = 음료 = = = = = = = = = 에이드&주스 = = = = = = 에이드에는 갈아만든 생과일과 시럽 그리고 탄산수 혹은 사이다를 합쳐 만든 것으로 대략 12온즈 정도 제공된다. 오렌지, 레몬, 망고, 아사이베리, 딸기 등의 맛이 존재하며, 계절에 따라서 키위, 자몽과 같은 맛이 나오기도 한다. 생과일 주스는 말 그대로 그날 갈아 만든 생과일만으로 이루어진 주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오렌지, 망고, 아사이베리 등의 맛이 존재한다. 런치 메뉴 구입시엔 에이드 한 잔, 키즈 메뉴 주문시엔 어린이용 생과일 주스 한 잔이 제공되며, 이외에도 VIP고객이 오면 Red VIP의 경우 에이드, Black VIP의 경우 생과일 주스 한 잔이 무료 제공된다. = = = = = = 주류(와인&맥주) = = = = = = 와인의 경우 레드와인에는 산타 캐톨라이나 프레미오, 산 페드로 35 사우스 멜롯, 카르멘 카비네 쇼비뇽이 구비되어 있으며, 와이트 와인의 경우 산타 캐톨리나 프레미오, 베린저 화이트 진판델이 구비되어 있다. 모든 와인은 글라스 한 잔 혹은 병으로 주문 가능하며, 병으로 주문시 테이블 앞에서 직접 코르크를 따서 잔에 따라주는 서비스를 한다.맥주는 카스 생맥주, 스텔라 아르투아, 하이네켄 생맥주, 구스 아일란드 IPA가 구비되어 있으며, 글라스(340ml) 혹은 피쳐(1700ml)로 구매 가능하다. = 분류:체급별 권투 선수 = = 페터르 판 포선 = 페터르 야코뷔스 판 포선(, 1968년 4월 21일, 제일란트주 지리크제이 ~)은 네덜란드의 전직 프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 클럽 경력 = = 판 포선은 지르크제이 출신이다. 축구 선수로서, 그는 베베런, 안데를레흐트, 아약스, 이스탄불스포르, 레인저스, 페예노르트, 더 흐라프스합, 그리고 피테서에서 활약했다. 그는 아약스에서 활약하면서 1994-95 시즌에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거두었다. 그는 1996년 1월에 이스탄불스포르에서 7경기 출전 무득점에 침묵한 후, 러시아인 올레크 살렌코와 레인저스로 교환되어 1995-96 시즌 후반을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에서 보냈다. 그는 이듬해 14번의 경기에 출전했고, 레인저스는 셀틱의 9시즌 연속 우승 기록의 동률을 이루었지만, 1997-98 시즌에는 1경기만 뛰고, 네덜란드 무대로 복귀해 페예노르트에 입단했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판 포선은 네덜란드 국가대표팀 경기에 31번 출전해 9골을 기록했다. 그는 1994년 월드컵과 유로 2000에 참가했다. 판 포선은 유로 1992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지만, 혈전증으로 낙마했다. =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네덜란드의 점수이며, 점수 열은 판 포선의 득점 상황을 나타낸다. 페터르 판 포선의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결과 대회 1 1992년 10월 14일 네덜란드 로테르담 더 카위프 1–2 2–2 1994년 월드컵 예선전 2 1992년 10월 14일 네덜란드 로테르담 더 카위프 2–2 2–2 1994년 월드컵 예선전 3 1992년 12월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 이뇌뉘 1–0 3–1 1994년 월드컵 예선전 4 1992년 12월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 이뇌뉘 3–1 3–1 1994년 월드컵 예선전 5 24 March 1993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할헨바르트 5–0 6–0 1994년 월드컵 예선전 6 28 April 1993 잉글랜드 런던 웸블리 2–2 2–2 1994년 월드컵 예선전 7 1994년 5월 27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할헨바르트 2–0 3–1 친선경기 8 1998년 10월 10일 네덜란드 에인트호번 필립스 스타디온 2–0 2–0 친선경기 9 1999년 6월 5일 브라질 사우바도르 폰치 노바 2–2 2–2 친선경기 = = 수상 = = 챔피언스리그: 1994–95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1996–97 스코티시 리그컵: 1996–97 에레디비시: 1998–99 요한 크라위프 스할: 1999 = 분류:알바니아의 영화 = = 분류:사 (마음작용) = = 삼성 갤럭시 탭 3 라이트 = 삼성 갤럭시 탭 3 라이트(Samsung GALAXY Tab 3 Lite)는 삼성전자가 제조/판매하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컴퓨터다. 2014년 1월 19일에 발표하여 2014년 2월 14일에 출시하였다. = = 연혁 = = 2014년 1월 19일 : 제품 공개 2014년 2월 : 제품 출시 = = 운영 체제/소프트웨어 = = = = = 안드로이드 4.2 젤리빈 = = = 안드로이드 OS 4.2.2 젤리빈을 탑재하여 출시했다. = 분류:아르메니아의 도서관 = = 초안:후무후무누쿠누쿠아푸아아 = 후무후무누쿠누쿠아푸아아는 세상에서 가장긴 물고기 이름이였지만 또 하와이의 공식물고기 이름이였지만 옛날에는 이름을 잃었다가 지금은 다시되찾았다. = 수원시의 마을버스 = 수원시의 마을버스는 경기도 수원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소규모 대중교통으로, 4개의 운수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 = 운임 = = 수원시의 마을버스 요금 체계는 경기도의 버스요금 체계를 따르나 독자적인 요금이 적용된다. 2019년 11월 23일 기준이다. 종류 나이 현금 (원) 카드 (원) 마을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350 1,400 마을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950 1,000 마을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680 700 = = 운수 업체 = = 운행업체 노선 번호 등록 대수 광교운수 1 2 광교운수 2 5 광교운수 3 2 광교운수 5 2 광교운수 6 8 광교운수 7 4 동방운수 21 12 서부여객 25 4 서부여객 25-1 1 서부여객 25-2 2 서부여객 27 7 서부여객 27-1 5 서부여객 27-2 7 서부여객 27-3 6 서부여객 27-5 2 율전마을버스 2-1 17 율전마을버스 2-5 5 = = 운행 노선 = = 노선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운행구간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간격(분) 비고 1 광교운수 우만주공3단지 ↔ 광교중앙(아주대)역 창룡문, 팔달문, 2001아울렛, 성빈센트병원, 월드메르디앙, 월드컵경기장 30~45 전기버스 운행 2 광교운수 광교호반마을 ↔ 광교웰빙타운 40단지, 상현역, 이의중고교, 광교센트럴타운, 광교중앙역, 광교고, 광교테크노밸리, 광교박물관 10~40 2-1 율전버스 동원고등학교 ↔ 조원주공아파트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 파장동 행정복지센터, 수일중학교 8~15 박휘순이 개그콘서트 ‘제3세계’에서 “… 떡볶이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달리는 마을버스 2-1번에서 뛰어내린 육봉달”이라는 유행어를 할 때 언급한 버스이다. 2-5 율전버스 동원고등학교 ↔ 장안힐스테이트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후문, 천천고교, SK스카이뷰 8~30 6 광교운수 광교웰빙타운 ↔ 수원역 광교역, 경기지방경찰청, 창룡문, 지동시장, 2001아울렛, 매교다리, 인계동 행정복지센터(수원역방면), 매교역, 수원센트럴타운 10~15 7 광교운수 광교중앙(아주대)역 ↔ 지동시장 중소기업센터, CJ블로썸파크, 아주대학교, 아주대병원, 구치소, 우만1동, 못골 15~20 21 동방운수 계명고등학교 ↔ 권선꿈에그린 해우재, 동원고, SK스카이뷰, 동신아파트, 두견마을, 화서역, 구운동, 웃거리, 탑동, 권선구청, 수원산업단지 10 25 서부여객 당수동 ↔ 성균관대역 쌍용아파트, 삼정아파트, 입북동 행정복지센터, 서수원자이 20 25-2 서부여객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 ↔ 성균관대역 월암차고지입구, 서수원자이동문 15 27 서부여객 수원여대 ↔ 롯데마트 천천점 권선구청, 탑동, 구운동, 일월청구아파트, 꽃뫼마을, 천천푸르지오, 성균관대후문, 성균관대역, 경기체고, 천천고교 15~20 27-1 서부여객 송촌아파트 ↔ 화서역 밤꽃마을, 율전중교, 성균관대역, 성균관대후문, 천천푸르지오, 꽃뫼마을, 화서역, 숙지중고교 12~20 27-2 서부여객 권선꿈에그린 ↔ 수원역 오목천동, 수원여대, 능실마을, 호매실13단지, 권선구행정타운, 동남아파트 8~10 27-3 서부여객 화서역 ↔ 수원역 숙지중고교, 화서블루밍, 병무청, 고등동오거리, 도청오거리 15~20 27-5 서부여객 송촌아파트 ↔ 천천푸르지오 밤꽃마을, 율전중교, 성균관대역, 성균관대후문, 천천래미안 16 평일 오전 시간대 운행 27-6 서부여객 권선꿈에그린 ↔ 수원역 수원산업단지 15 = = = 인접 지역 노선 = = = 지역 노선 용인시 1· 1-1· 18(B)· 28-3· 32· 52· 53· 55 화성시 6-1· 6-3· 6-4· 12(명승)· 13· 31 = FK컵 2010 = FK컵 2010는 FK컵의 첫번째 대회로 4전 전승을 한 FS 서울이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대회는 5팀의 리그전으로 치러졌다. = = 참가 클럽 = = FS 서울 서울 광진 FC 예스 구미 FS 용인 FS 전주 매그 FC = = 수상 = = 부분 선수 소속 비고 MVP 하진원 FS 서울 지도자상 이창환 FS 서울 2010 = 이슬하 = 이슬하(李슬하, 1992년 5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 학력 = = 대전정림중학교 졸업 개포고등학교 졸업 여주대학교 방송연예학과 중퇴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중퇴 경희사이버대학교 자산관리학과 재학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KBS 《부자의 탄생》 - 추운석 아역 MBC드라마넷 《별순검 시즌 3》 - 유도령 친구역 KBS 《성균관 스캔들》 - 하인수 패거리 유생역 KBS 《드림하이2》 JTBC 《러브 어게인》 - FD역 = = = 영화 = = = 영화 《감옥》 - 찬영배우 이슬하 (감옥, 찬영 역), 네이버영화 감옥, 역 (2012년) 영화 《희재》 - 희재 역 (2013년) = = = 공연 = = = 2011년 뮤지컬 《호두까기 인형》 - 강릉 단오문화관 = = = 기타활동 = = = = = = 라디오 = = = KBS 라디오 《슈퍼주니어 키스 더 라디오》 MBC 라디오 《박경림의 별이 빛나는 밤에》 MBC 라디오 《윤하의 별이 빛나는 밤에》 = = = 홍보대사 = = = 2011년 사랑나눔본부 충남 천안아산 홍보대사 = = = 뮤직비디오 = = = 2012년 가수 리듬파워 ‘리듬파워’ 뮤직비디오배우 이슬하 (‘리듬파워’ 뮤직비디오), 네이트검색 이슬하, = = = 예능 = = = 2012년 KBS 《스펀지2.0》 = = 이슬하 현역 입대 = = 2012년 11월 13일 배우 이슬하가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102보충대로 입대이슬하 현역입대 “잘 다녀오겠습니다”, 스타엔 뉴스, 강원도 화천군에 위치한 그 유명한 GOP 사단, 상승칠성 7사단 신병교육대에서 5주간 기초군사훈련 수료 후 현재까지 7사단 GOP에서 군 복무를 하고 있다.“배우 이슬하, 최전방 GOP 부대 배치” 이뉴스투데이 뉴스, “배우 이슬하, 최전방GOP 부대에서 군복무” 스포츠조선 뉴스, 이슬하의 소속사 관계자는 이슬하가 본인의 의지대로 원하는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국방부 홍보지원대에 지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이슬하 만기 제대 = = 2014년 8월 12일 배우 이슬하가 강원도 화천군에 위치한 육군 제 7보병사단에서 전역을 신고했다.배우 이슬하, 21개월간 군 복무 마치고 만기 제대 한국경제TV WOWSTAR배우, 이슬하 21개월간 군 복무 마치고 만기 제대 국민일보 뉴스 지난 2012년 11월 13일 102보충대를 통해 현역병으로 육군에 입대 후 21개월만이다. 이슬하는 전역 현장에서 군 관계자들과 일일이 악수하고 포옹하며 마지막 인사를 나누었다. 정문 앞에서 “동기들과 간부들의 도움으로 열심히 군 생활할 수 있었다”고 전역 소감을 밝히며 “제가 다시 연기할 수 있는 시간이 왔으니 기다려주신 만큼 잘 준비해서 하고 싶었던 연기를 하겠다”고 연기에 대한 갈증을 털어놨다. 배우 이슬하는 군 복무기간 중 군에서 주최하는 공연에도 적극 참여하였으며 군 창작뮤지컬인 ‘더 프로미스’(The Promise)에 참여하여 군복무 기간에 연기자로서의 재능을 살리기도 했다. 복무중 우측 어깨 부상을 당한 이슬하는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은 편은 아니나 꾸준한 재활치료로 회복하고 있다”며 팬들의 걱정을 일축시켰다.배우 이슬하 군복무중 우측 어깨 부상으로 입원치료 뉴시스 뉴스 이슬하는 “초심을 잃지 않는 배우가 되고 싶다. 입대 전 보다는 더 성숙한 연기를 보여드리겠다. 열심히 하겠다”고 짧지만 강한 포부를 남겼다. = = 참고 자료 = = 네이버 인물 검색 - 이슬하 = 삼점조명 = 삼점 조명(三點照明, three-point lighting) 은 사진, 영화, 컴퓨터 그래픽 등에 쓰이는 조명 기술 중 하나이다. 세 방향에서 피사체를 향해 빛을 주는 방법으로, 빛의 세기와 위치에 따라 주광 (key light), 보조광 (fill light), 역광 (back light)으로 나뉜다. 영화에서는 일반적으로 삼점 조명에 배경 조명을 합친 네 개의 조명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 = 주광 = = 주광은 피사체를 가장 많이 비추는 주된 광선을 가리키며, 노출의 기본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광은 피사체의 주된 그림자를 만들어주고, 피사체의 형태와 표면 질감을 나타내 준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는 태양이 주광 구실을 하게 된다. = = 보조광 = = 보조광은 측면에서 피사체를 향해 오는 빛으로, 주광선이 만든 그림자 부분을 없애거나 부드럽게 다듬기 위하여 쓰인다. 보통 보조광은 주광보다 약하고 부드러운 빛을 사용하며 낮은 위치에서 사용하게 된다. 보조광을 만드는 데에는 주로 램프를 사용하지만, 반사판이나 빛을 반사하는 흰색 벽을 사용하기도 한다. = = 역광 = = 역광은 주광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비추는 조명으로,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주로 피사체의 뒤쪽에서 사용하며,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밝은 선을 만들어주어 피사체를 배경과 분리시킨다. = 이세원 = 이세원은 다음 인물을 의미한다. 이세원 (가수): 대한민국의 가수 이세원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이세원 (유생): 조선 후기의 유생 = 분류:자가 면역 질환으로 죽은 사람 = = 작은철회색난쟁이여우원숭이 = 작은철회색난쟁이여우원숭이(Cheirogaleus minusculus)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되는 작은 야행성 여우원숭이의 일종이다. 작은철회색난쟁이여우원숭이의 털 채색은 큰철회색난쟁이여우원숭이와 비슷한 색조를 띤다. 이 종들은 암보시트라에서만 발견된다. = 벨루노 = 벨루노(Belluno)는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주의 도시로, 벨루노현의 현도이다. 면적은 147.22 km2, 인구는 35,703 (2014)이다. = 8월 20일 =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한다. = = 사건 = = 660년 - 백제의 황산벌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황산벌 전투가 발발하다. 1904년 - 친일파 송병준, 윤시병 등, 친일단체인 유신회를 일진회로 개칭.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원산 상륙. 1949년 - 니카라과, 대한민국 승인. 1953년 - 소련, 수소폭탄 첫 실험 성공 1968년 - 소련군 등 바르샤바 조약 기구 5개국 군대,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71년 - 남북적십자 대표, 분단후 판문점에서 회의. 1977년 -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2호가 발사되다. 1988년 - 이란-이라크 전쟁, 정전협정 발효. 1991년 - 에스토니아가 독립했다. 1996년 - 대한민국 교육개혁위원회, 제3차 교육개혁방안 발표. 2002년 - 대한민국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1984년 군복무중 의문사한 허원근 일병 사건 진상 발표. 당시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는 고 허원근 일병의 사인이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고 발표하였다. 2007년 - 한나라당이 이명박을 한나라당 17대 대통령 선거의 후보로 선출했다. 대통합민주신당이 열린우리당을 흡수 합당하다. 이로써 원내 제1당에 등극하다. 2015년 - 필리핀 마닐라에서 한국인 60대 부부가 총격을 맞고 사망하였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대법원에서 징역 2년과 추징금 8억 8천만원이 확정되어, 실형선고와 함께 국회의원직을 잃었고, 법정구속하게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 혹은 북한)이 서부전선에서 14.5mm 고사포와 76.2mm 평사포로 포격 도발을 감행하였다. = = 문화 = = 1901년 - 경부선 기공식 영등포에서 열림. 1927년 - 조선 철도, 함경선의 고무산(古茂山)-신참(新站)간 개통. 1937년 - 친일여성단체 애국금차회 결성, 금비녀 헌납 운동 시작. 1963년 - 대한민국, 서울교외선 개통. 1968년 - 종로도서관, 사직공원으로 이전하여 재개관. 1977년 -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고리 1호기 송전 시작. 1993년 - 대한민국에서 1994학년도 제1차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1993년 - 대한민국 정부,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 사의 TGV로 결정. 2000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국립교향악단 첫 서울 공연. = = 탄생 = = 1760년 - 252대 로마 교황 교황 레오 12세. (~1829년) 1779년 - 스웨덴의 화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1848년) 1833년 - 미국 제23대 대통령 벤저민 해리슨. (~1901년) 1859년 - 중국의 군인, 정치인 위안스카이. (~1916년) 1890년 - 미국의 호러, 판타지, 공상과학 소설가 H. P. 러브크래프트. (~1937년) 1894년 - 대한제국 순종의 두 번째 황후 순정효황후. (~1966년) 1903년 - 중화민국의 장군 장링푸 (~1947년) 1905년 - 일본의 영화 감독 나루세 미키오. (~1969년) 1910년 -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건축가 이상. (~1937년) 1915년 - 대한제국의 왕자 이우. (~1916년) 1920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경찰관 차일혁. (~1958년) 1925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황정순. (~2014년) 1933년 - 미국의 배우 테드 도널드슨. (~2023년) 1935년 - 전 미국 연방의원, 론 폴. 1948년 - 영국의 가수, 작곡가 로버트 플랜트. 1951년 전 이집트의 12대 대통령, 무함마드 무르시. (~2019년) 대한민국의 배우 한혜숙 1956년 미국의 감독, .데이비드 O. 러셀. 미국의 배우, 조앤. 1959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학철. 1968년 - 중국의 뉴스 앵커, 언론인, 작가 바이옌쑹. 1970년 - 비즈킷의 보컬리스트, 프레드 더스트. 1971년 - 미국의 배우 키 호이 콴. 1972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정소림. 1974년 - 미국의 배우 에이미 애덤스. 1965년 - 미국의 Boogie Down Productions의 멤버, KRS ONE. 1979년 대한민국의 래퍼 하하.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제이미 컬럼. 1983년 - 미국의 배우, 앤드류 가필드. 1984년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로라 조르주. 1987년 - 피지의 축구 선수 로이 크리슈나. 1991년 - 대한민국의 배우 한은성. 1992년 미국의 가수 데미 로바토.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윤형국. 1993년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주희. 1994년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이가은. 1998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후. 1999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성웅. 2002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홍하나임. 2003년 - 엘살바도르의 축구 선수 아롤드 오소리오. 2004년 - 대한민국의 쌍둥이 배우 김태원, 김태용. = = 사망 = = 660년 - 백제 장군 계백. (?~) 984년 - 136대 교황 요한 14세. (?~) 1572년 - 스페인의 정복자, 초대 필리핀 총독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1502년~) 1823년 - 교황 비오 7세, 251대 로마 교황. (1740년~) 1854년 -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셸링. (1775년~) 1914년 - 교황 비오 10세, 257대 로마 교황. (1835년~) 2001년 영국의 천문학자, 이론물리학자 프레드 호일. (1915년~) 미국의 배우 킴 스탠리. (1925년~) 2013년 - 미국의 소설가 엘모어 레너드. (1925년~) 2017년 - 미국의 영화배우 제리 루이스. (1926년~) 2022년 - 러시아의 저널리스트 다리야 두기나. (1992년~) = = 기념일 = = 세계 모기의 날(World Mosquito Day) 건국기념일(Saint Stephen's Day): 헝가리 독립기념일: 에스토니아가 1991년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재천명한 날. 원래의 독립기념일은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1918년 2월 24일. 식민통치 궐기기념일: 모로코 = 분류:1263년 = = 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사격 = = 위안부 기림비 = 일본군 ' 위안부' 기림비는 세계 각지에 설치되어 있는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비석 또는 동상이다. 주로, 일본, 대한민국, 미국에 설치되어 있다. = = 위안부 기념관 = = = = = 일본의 여자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 = = = = = = 대한민국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 = = = = 중국의 중국 위안부 기념관 = = = = 스타워즈 (동음이의) = 스타워즈(Star Wars)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스타워즈: 조지 루카스의 미디어 프랜차이즈 스타워즈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4번째 영화 Star Wars (사운드트랙) 스타워즈 (1983년 비디오 게임) 스타워즈 (1987년 비디오 게임) 스타워즈 (1991년 비디오 게임) 전략방위구상(Strategic Defense Initiative): 미국의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의 비공식 명칭 "스타워즈" = 김용화 = 김용화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다. 김용화(金鏞化, 1901~?)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김용화(1971~)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왕난 = 왕난는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왕난(1970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유도 선수이다. 왕난(1978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사격 선수이다. 왕난(1978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이다. 왕난(1981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야구 선수이다. 왕난(1987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이다. 왕난(1988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왕난(2000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카누 선수이다. = 청구동 = 청구동(靑丘洞)은 서울특별시 중구의 행정동이다. = = 역사 = = = = = 유래 = = = 청구(靑丘)라는 이름은 원래 중국에서 동방을 가리키는 의미 혹은 동쪽에 있는 나라를 일컬어 부르던 이름이다. 오행(五行)에서 파란색은 동쪽을 가리키는 색인데 중국을 기준으로 할 때 동쪽에 해당하는 나라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예부터 한민족을 지칭하는 호칭으로 알려져 있다. = = = 연혁 = = = 1955년 4월 18일 : 행정동제 시행에 따라 성동구 청구동이 신설되었다. 1970년 5월 18일 : 청구동이 신당제4동으로 개칭되었다. 1975년 10월 1일 : 신당제4동이 성동구에서 중구로 편입되었다. 2013년 7월 20일 : 신당제4동이 청구동으로 개칭되었다.신당1·2·3·4·6동 → 신당·다산·약수·청구·동화동 세계일보, 2013년 7월 15일. = = 법정동 = = 신당동 일부 = = 교육 =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대경중학교 대경상업고등학교 = 분류:보통 중요도 일본 문서 = = 분류:1958년 시리아 = = 틀:원소 정보/운펜트펜튬 = = 분류:다카쓰지가 = = 분류:슬로바키아의 스노보드 선수 = =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 =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瑞山 日樂寺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일락사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안치하기 위해 만든 건조물이다. 이 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삼층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이 남아 있다. 석탑의 기단부는 상하 3층 기단이나 현재는 하층기단의 대부분이 파손되어 단층기단처럼 보인다. 탑의 몸체부는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층의 몸돌에 비해 2층의 몸돌의 높이가 급격히 낮아져 균형미를 잃고 있다. 상륜부는 현재 네모진 형태의 노반과 이상하게 생긴 모양의 석재만 올려져 있을 뿐 다른 부분들은 모두 파손되어 없어졌다.현지 안내문 인용 기단의 조성 및 지붕돌의 표현, 그리고 전체적인 조각수법 등에서 고려시대적인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 = 참고 자료 = = * * 일락사 삼층석탑 = 헤어스프레이 = 헤어스프레이는 머리카락에 분무하여 뻗뻗하게 하거나 특정한 스타일을 유지시키는 일반적인 화장품의 일종이다. 이 스프레이는 펌프 방식이나 분무기 노즐 방식을 이용한다. 헤어스프레이는 압축 가스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을 위한 여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어스프레이는 1940년대에 체이스 프로덕트 컴퍼니(Chase Products Company) 소속 레바논 출신 Tanios Chakchay가 처음 개발, 제조하였다. = 분류:뤽상부르주 출신 = = 요한 엘레르트 보데 = 요한 엘레르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년 1월 19일 ~ 1826년 11월 13일)는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1786년 베를린 천문대장을 지냈으며, 1774년 〈베를린 천문 연감〉을 창간하였다. 또 티티우스가 발견한 혜성의 평균 거리에 관한 실험적 법칙인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을 세웠다. 20장으로 이루어진 그의 성좌도에는 1만 7,241개의 별이 들어가 있다고 한다. 저서로 베를린 기상 연보, 독일의 천체력등이 있다. = 오피스 제품군 비교 = 다음의 표는 오피스 제품군의 일반, 기술 정보를 비교한 것이다. = = 일반 정보 = = 개발사 최초 공개 릴리스 이전 개발사 최신 안정판 / (날짜) 운영 체제 가격 (USD)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doc, .xls) 지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오픈 XML 지원 오픈도큐먼트 지원 PDF 지원 어빌리티 오피스 어빌리티 플러스 소프트웨어 1995 - 6.00 윈도우 내보내기 아파치 오픈오피스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2012년 5월 오픈오피스, 스타오피스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유닉스, 솔라리스/일루모스 가져오기 전용 브레드박스 오피스 Breadbox Computer Company 1990 - 4.1.3.0 도스, 윈도우 캘리그라 스위트 KDE 2011 KOffice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솔라리스/일루모스 가져오기 가져오기 내보내기Not included in this office suite, but provided in the Desktop Environment. Feng Office Community Edition Feng Office 2007 - 1.6.1 완전히 온라인 GobeProductive Gobe Software 1998 - 3.04 / 2.01 윈도우, BeOS G 스위트 (이전 명칭: Google Apps for Work) 구글 2006 Writely 2014 완전히 온라인 구글 문서도구 구글 2006 Writely 2014 완전히 온라인 IBM 로터스 심포니 IBM 2007 IBM 워크플레이스 (오픈오피스 기반) 3.0.1 윈도우, 리눅스, macOS 가져오기 내보내기 아이워크 애플 2005 애플웍스 Pages 6.0 / Numbers 4.0 / Keynote 7.0 (2016) macOS 가져오기 내보내기 리브레오피스 더 도큐먼트 파운데이션, 이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와 Go-oo 2010 September 오픈오피스, Go-oo 스타오피스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유닉스, 솔라리스/일루모스 로터스 스마트스위트 IBM 1992Release date of Lotus SmartSuite from - 9.8 윈도우, OS/2 MarinerPak Mariner Software 1996 - 10.0 맥 OS의 역사, macOS 가져오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마이크로소프트 1990 (매킨토시), 1992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마이크로소프트 엑셀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2016 (16.0) (윈도우),2016 (15.4.0) (macOS) 윈도우, macOS 워드 2013, 파워포인트 2013, 엑셀 2013의 파일 포맷 참조 마이크로소프트 웍스 (2009년에 개발 중단) 마이크로소프트 1986 - 개발 중단 윈도우, Macintosh 개발 중단 MobiSystems OfficeSuite MobiSystems 2004 - Android version: 8.7.5272 iOS version: 4.5.1 Windows version: 1.40.6103.0 안드로이드, iOS 네오오피스 Planamesa Software 2005-06-02 macOS용으로 재코딩된 OpenOffice.org 기반 3.2 macOS ShareOffice ShareMethods 2007년 5월 - - 완전히 온라인 스타오피스, 즉 오라클 오픈 오피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10년 간), 오라클 (1년 간) 1995 스타라이터 9.0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유닉스, 솔라리스/일루모스 자유 플러그인 사용 소프트메이커 오피스 소프트메이커 1987 (도스용), 1994 (윈도우용) - 2016 (윈도우: , 리눅스: ), Office HD for 안드로이드: , Office Mobile for 안드로이드: , 2010 (윈도우 모바일, 윈도우 CE), 2006 (Handheld PC)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 윈도우 CE, 포켓 PC) 내보내기 온리오피스 Ascensio Systems 2010 - - 완전히 온라인 TeXmacs Joris van der Hoeven 1996? - 2012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유닉스 씽크프리 오피스 한글과컴퓨터 1998 - 3.5 맥 OS X 타이거, 윈도우, 리눅스, 완전히 온라인 Tiki Wiki CMS 그룹웨어 Tiki Software Community Association 2002 - 12.2 LTS, 9.8 LTS, 6.14 LTS 완전히 온라인 검색 검색 검색 내보내기 및 검색 워드퍼펙트 코렐 1991 워드퍼펙트 (1982) 윈도우 일부 버전 WPS 오피스 (킹소프트 오피스) 킹소프트 1988 - 2015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docx 및 .xlsx 가져오기 지원 내보내기 조호 오피스 스위트 조호 코퍼레이션 2005 - 완전히 온라인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인프라웨어 2009 Ver 8.1 윈도우, MAC OS, iOS, 안드로이드 Basic: 무료 Smart: $3.99 Pro: $5.99 개발사 최초 공개 릴리스 이전 개발사 최신 안정판 / (날짜) 운영 체제 Costs in 미국 달러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doc, .xls...) 지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오픈 XML 지원 오픈도큐먼트 지원 PDF 지원 = = = 운영 체제 지원 = = = 오피스 제품군 윈도우 macOS GNU/Linux BSD 유닉스 어빌리티 오피스 아파치 오픈오피스 브레드박스 오피스 캘리그라 스위트 Feng Office Community Edition Gobe Productive G 스위트 IBM 로터스 심포니 아이워크 (아이클라우드 버전) (아이클라우드 버전) (아이클라우드 버전) (아이클라우드 버전) 리브레오피스 로터스 스마트스위트 (와인 이용) MarinerPak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모든 기능이 사용 가능하지는 않음. 예: Project, Visio, Access) (와인 이용) 마이크로소프트 웍스 (4.0; 클래식 전용) (와인 이용) MobiSystems OfficeSuite 네오오피스 ONLYOFFICE 소프트메이커 오피스 (2006) 스타오피스 (인텔 전용) TeXmacs 팀랩 씽크프리 오피스 Tiki Wiki CMS 그룹웨어 워드퍼펙트 (Ver. 2000) WPS 오피스 (킹소프트 오피스) 일부 버전 조호 오피스 스위트 폴라리스 오피스 오피스 제품군 윈도우 macOS 리눅스 BSD 유닉스 = = 주요 구성 요소 = =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Notetaking software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 벡터 드로잉 프로그램 이미지 뷰어 수식 편집기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탁상출판 어빌리티 오피스 아파치 오픈오피스 브레드박스 오피스 캘리그라 스위트 Gwenview / Digikam Feng Office Community Edition GobeProductive 구글 드라이브/Apps for Work IBM 로터스 심포니 아이워크 리브레오피스 로터스 스마트스위트 MarinerPak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마이크로소프트 웍스 (2009년에 개발 중단) MobiSystems OfficeSuite 네오오피스 셰어오피스 소프트메이커 오피스 데이터메이커 스타오피스 TeXmacs 씽크프리 오피스 Tiki Wiki CMS 그룹웨어 with S5 format via :en:SVG-edit via :en:SVG-edit via :en:SVG-edit , Tiki Wiki, Tiki Task 워드퍼펙트 WPS 오피스 (킹소프트 오피스) 조호 오피스 스위트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Notetaking software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 벡터 드로잉 프로그램 이미지 뷰어 수식 편집기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탁상출판 = = = 온라인 지원 = = = 이메일 클라이언트 HTML 편집기 협업 소프트웨어 온라인 편집 어빌리티 오피스 아파치 오픈오피스 자유 플러그인 사용 브레드박스 오피스 캘리그라 스위트 :en:Kontact Kate, Quanta+ Feng Office Community Edition 베타 GobeProductive G 스위트 IBM 로터스 심포니 아이워크 리브레오피스 현재 무료 플러그인을 통해.LibreOffice Online개발 중. 로터스 스마트스위트 MarinerPak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 오피스 2000 프리미엄 / 디밸로퍼 이후의 버전은 웹 페이지 편집기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가 포함되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는 워드 6.0 무료 업그레이드를 기점으로 HTML을 읽고 쓸 수 있다. (별도 구독을 통해 사용 가능) 마이크로소프트 웍스 MobiSystems OfficeSuite 네오오피스 ONLYOFFICE ShareOffice 소프트메이커 오피스 스타오피스 자유 플러그인 사용 TeXmacs 팀랩 씽크프리 오피스 Tiki Wiki CMS 그룹웨어 (CKEditor를 통해) 워드퍼펙트 WPS 오피스 (킹소프트 오피스) 조호 오피스 스위트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이메일 클라이언트 HTML 편집기 협업 소프트웨어 온라인 편집 = 분류:스웨덴의 보이 밴드 = = 메디앙스 = 메디앙스는 토탈 라이프 케어 전문기업 스킨케어, 수유용품, 완구발육용품, 패션용품 제조 및 도소매 업체이다. = = 역사 = = 메디앙스의 전신은 보령그룹 창업자 김승호 회장이 1979년 4월 서울 종로구에 세운 보령장업(주)이다. 1995년 1월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고, 1998년 7월 보령메디앙스(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2020년 1월 보령메디앙스(주)에서 지금의 사명인 메디앙스(주)로 상호를 바꾸었다. 수유용품 ‘누크’, 유아 스킨케어 ‘닥터아토피스’, 생활용품 ‘B&B’ 등 유아용품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보령메디앙스는 프랑스 명품 브랜드 유아복 '타티네쇼콜라' 및 자사브랜드 '뮤아'를 통해 패션과 유통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980년 9월 독일 MAPA사의 치의학적 젖꼭지 NUK를 수입, 판매했다. 1982년 9월에는 대전, 대구, 광주, 부산에 지방사업소를 개설했다. 1989년 12월 공업진흥청으로부터 Q품질 마크를 획득했다. 1990년 1월 누크 베이비 스킨케어 신제품을 발매하고, 12월 연매출 100억 원을 넘어섰다. 1992년 1월 B&B 젖병세정제를 발매하고, 한국화학검사소로부터 S(안전)마크 제1호를 획득했다. 1997년 10월에는 유아 전용 구강청정제 ‘베이비 오랄 크린’을 출시했다. 2000년 7월 닥터 아토피스 스킨케어를 발매하고, 이듬해 6월 한국능률협회로부터 마케팅 대상 신상품 부문 명품상을 받았다. 2003년 11월 프랑스 타티네쇼콜라(Tartine et Chocolat)사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이듬해 1월 쇼콜라 브랜드 영업을 개시했다. 2004년 7월 미국 오시코시(Oshkosh)사와 오시코시 상표의 독점유통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2007년 9월 스웨덴 브랜드 베이비뵨(Baby Bjorn)과 독일 브랜드 싸이벡스(Cybex)를 출시했다. 2008년 5월 독일 승용완구 빅(BIG)을 런칭하고, 12월에는 매출액이 1800억 원을 넘어섰다. 유기농 브랜드 ‘더 오가닉 코튼’을 2009년 6월 인수했다. 2006년 중국 시장에 진출하여 현지 유통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안정적 매출을 시현하면서 성공 가능성을 엿본 후, 2013년 천진법인을 설립하여 B&B 단일 브랜드로 매년 100% 이상의 고성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15년 중국법인 상해사무소를 개소하면서 중국 내 시장 확대에 나섰다. 2010년 9월 김승호 창업회장의 넷째딸이자 막내인 김은정 대표이사 겸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22.25%의 지분을 소유했다. 김은정 대표는 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세인트루이스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고 1994년 보령제약에 입사한 뒤, 1997년 보령메디앙스로 자리를 옮겼다. = = 연혁 = = = = = 1979 ~ 1988 창립과 도전 = = = 1979. 04. 28 보령장업(주) 창립 1980. 09. 01 독일MAPA社 치의학적 젖꼭지 NUK 수입, 판매 1982. 09. 01 지방사업소 개설(대전, 대구, 광주, 부산) 1986. 04. 01 반월공장(안산)준공 = = = 1989 ~ 1990 성공적 시장 진입 = = = 1989. 12. 01 “Q”(픔질)마크획득(공업진흥청) 1990. 01. 16 NUK BABY SKIN CARE 신제품 발매 1990. 12. 22 연매출 100억 돌파 = = = 1991 ~ 1998 성장기반 확보 = = = 1992. 01. 01 B&B 젖병세정제 발매, “S”(안전)마크 제1호 획득 1993. 11. 17 연매출 200억 돌파 1994. 01. 29 본사이전(서울시 종로구 원남동 보령 B/D) 1994. 03. 01 ROYAL NUK SKIN CARE 5종 발매 1994. 12. 22 한국증권업협회 주식 장외 등록 1996. 11. 11 연매출 300억 돌파 1997. 10. 01 유아전용 구강 청정제 베이비 오랄 크린 발매 1998. 07. 01 보령메디앙스(주)로 상호 변경, 공식 출범 = = = 1991 ~ 2004 안정적 시장 지위 = = = 1999. 01. 01 보령의 비전 NEO21 선포식, 타입캡슐 봉인식 2000. 06. 28 베이비 오랄 크린 대한민국 마케팅 대상 수상 2000. 07. 01 닥터 아토피스 스킨케어 발매 2001. 06. 20 닥터아토피스 마케팅 대상 신상품 부문 명품상 수상 2001. 05. 22 B&B 젖병세정제 대한민국 마케팅 대상 활동 사례 부문 우수상 2003. 11. 14 프랑스 타티네 쇼콜라와 라이센트 계약 2003. 12. 17 청소년 스킨케어 Critem by gieric 출시 2003. 12. 17 닥터 아토피스 중앙일보 선정 “2003 HIT상품” 2004. 05. 18 아이맘, 능률 협회 선정 “대한민국 마케팅 브랜드 우수상” 2004. 05. 18 DR.ato 능률협회 선정 “대한민국 마케팅 브랜드 명품상” 2004. 07. 28 미국 오시코시사와 라이선스 계약 체결 2004. 09. 14 매출 600억 돌파 2004. 09. 22 CGMP 공장 지정(대한화장품협회) = = = 2005 ~ 2013 글로벌화 초석마련 = = = 2005. 01. 03 inno-BR 비젼 선포식 2005. 03. 28 아이맘 하우스 1호점(청담점)오픈 2005. 04. 26 DR. ato 능률협회 선정 “대한민국 마케팅 명품상” 2005. 05. 02 퓨어가닉 4종 로션(로션,크림,워시,솝) 출시 2005. 08. 26 마텔사와 피셔프라이스 판매의향서 체결 2005. 12. 27 연매출 1,000억 돌파 2006. 05. 04 홀트 아동복지회 후원행사 2006. 05. 16 B&B, 한국능률협회 선정 “브랜드 명품상” 수상 2006. 05. 19 NUK, 일본 능률협회 선정 “글로벌 고객만족도(GCSI)” 유아용품 부문 1위 수상 2006. 06. 08 타티네 쇼콜라, 동아일보주최 “2006년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 수상 2006. 08. 13 제 1회 아이맘 페스티벌 개최 2006. 09. 26 NUK젖병, 닥터아토마일드 한국표준협회컨설팅 선정 2006. 09. 26 “소비자 엘빙지수(KWCI) 1위 선정” 2006. 10. 16 “2006 서울 국제 임신출산 육아용품 박람회” 참가(주협찬사) 2006. 12. 01 타티네 쇼콜라, 패션전문지 선정 “2006 최우수 유아 브랜드” 및 “유아용품부문대한민국 베스트 브랜드” 선정 2007. 01 24 NUK, Dr.Ato 소비자 포럼 및 한국 경제신문사 선정 “퍼스트 브랜드” 대상 수상 2007. 03. 09 "Mom &Baby EXPO 임신출산 육아용품 박람회" 참가(주협찬사) 2007. 07. 25 NUK 대한민국 브랜드 파워 혁신 대상 수상(서울경제신문) 2008. 01. 02 “항산황 및 항염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등록 2008. 01. 16 생활용품/닥터아토피스 브랜드, 제품(기술)부문 '2008 대한민국 경영혁신대상' 수상 - 한국경제신문사 주최 2008. 08. 21 COEX Baby Fair (임신ㆍ출산 유아박람회 참가) -삼성동 무역센터 2008. 12. 01 퓨어가닉, 누크 일부 품목 ECOCERT 인증 - 유럽공동체가 인정하는 프랑스 인증기관 2009. 03. 20 제30기 정기주주총회 - 이민숙 사외이사 신규선임 2009. 06. 12 유기농 브랜드 '더 오가닉 코튼' 인수 2010. 01. 05 김은정 대표이사 취임 2011. 03. 01 퓨어가닉 아임키즈 라인 출시 2011. 07. 20 국가경쟁력 대상 지식경제부 장관상 수상(제조/서비스 기업 부문) 2011. 10. 25 보건복지부 주관 나눔실천 유공자 장관상수상(기업) 2012. 07. 11 제1회 인구의 날 -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수상 2013. 04. 15 중국 천진법인 설립 (보령메디앙스 천진 상무 유한공사) = = = 2014 ~ 2019 유아시장 침체 = = = 2014. 02. 01 닥터아토 357 11종 출시 2014. 04. 15 아이에게 키즈컬처센터, 이츠이매지컬 토이샵-DDP점 오픈 2014. 09. 11 독일 퀼른 국제 육아용품전시회(2014 Kindundjugend) 참가 2014. 11. 01 닥터아토 357 TV광고 ON-AIR 2014. 11. 01 닥터아토 세제·유연제 국내최초 ‘아토피 안심마크’ 획득 2014. 11. 17 여성가족부 선정 가족친화 인증기업 선정 2014. 12. 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과 공동으로 진행한 영·유아 제품 소비 트랜드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완료 2014. 12. 23 닥터아토 기능성 물티슈 3종 세트 '아토피 안심마크' 획득 2015. 03. 23 유아동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뮤아' 론칭 2015. 04. 16 동아일보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비앤비 수상 2015. 07. 08 유아동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뮤아' 뮤아송(MUAA SONG) 출시 2015. 09. 10 비앤비 TV CF 론칭 2015. 09. 14 올곧은 물티슈 출시 2015. 12. 04 보령메디앙스 충남 예산물류센터 준공 2015. 12. 22 '2015 가족친화우수기업 여성가족부 장관표창' 수상 2016. 02. 17 비앤비 프리미엄 라인 3종 출시 2016. 03. 23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수상 비앤비/ 닥터아토/ 타티네 쇼콜라 2016. 03. 28 아토마일드 물티슈 출시 = = 공식홈페이지 = = 메디앙스 공식홈페이지 = 분류:1900년대 폐지 = = 틀:1958년 FIFA 월드컵 = = 분류:콜롬비아의 트라이애슬론 = = 틀: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 = 분류:이탈리아의 유러피언 게임 참가 선수 = = 한랭 고기압 = 한랭 고기압(寒冷高氣壓)은 방사 냉각이 강하여 지표 부근의 공기의 밀도가 커져서 생기는 고기압이다. 이 고기압은 지표 부근의 냉각이 그다지 높은 곳까지 미치지 않기 때문에 2~3km 상공에서는 주위와 거의 같은 밀도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고기압이 아니다. 이 고기압의 전형적인 예가 겨울의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중심 기압이 때로는 1,080hPa에 달한다. 이와 같이 강한 고기압이 생기려면 단지 방사 냉각이 강해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형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 평원의 남쪽에는 티베트고원이 있는데, 이 고원은 시베리아 평원에 있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남쪽에서 따뜻한 기류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시베리아 평원에 차가운 공기가 어느 정도 축적되면 이 공기는 남동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때 차가운 공기는 수평으로 퍼지며, 지표 부근의 공기는 하층에서부터 점차 따뜻해지기 때문에 기압이 점차 낮아진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동해를 지나갈 때 하층부터 따뜻해지기 때문에 기압이 낮아진다. = = 참고 = = 고기압 온난 고기압 = 분류:화성시의 문화 = = 낸시 켈리 = 낸시 켈리(Nancy Kelly, 1921년 3월 25일 ~ 1995년 1월 2일)는 미국의 배우이다. = = 출연 작품 = = 트러스트: 세컨드 액츠 인 영 라이브스 (2010) 고스트버스터즈 (1984) 나쁜 종자 (1956) 쇼 비즈니스 (1944) 타잔의 사막 미스터리 (1943) 리비아 상륙작전 (1942) 스탠리 앤 리빙스톤 (1939) 무법자 제시 제임스 (1939) 서브마린 패트롤 (1938) 글로러파잉 더 아메리칸 걸 (1929) = 틀: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 = 분류:몬테네그로의 서비스 산업 = = 양국진 (1916년) = 양국진(楊國鎭, 일본식 이름: 中原國鎭, 1916년 9월 20일 ~ 1981년 2월 28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 = 학력 = = 만주국 펑톈 군관학교 6기 졸업 육군사관학교 3기 졸업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육군공병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대학 졸업 = = 생애 = = 평양에서 출생한 그는 만주국 펑톈에 설립된 봉천군관학교를 제6기로 졸업하고 만주국군 장교로 임관했다. 태평양 전쟁이 종전 당시 만주국군 육군 중위이자 경리 장교로 복무 중이었다. 종전 후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와 통위부에 참가하였고, 새로 창설된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감찰총감을 맡았다. 양국진이 만주에서 귀국할 때 만주군 장교 차림 그대로 군복을 입고 칼을 찬 채 들어왔다는 방원철의 증언이 있다. 국방부는 1948년 12월 15일, 감찰총감이던 양국진 등 8명의 중령을 대령으로 특진발령하였다. 1949년에 김구가 암살되었을 때는 암살 혐의자인 안두희에 대한 군법회의 재판에 배심재판관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계급은 육군 대령이었으며, 재판의 주심재판관은 원용덕이었다. 이후 양국진은 3군단장과 군수참모부장을 지내는 등 주로 후방에서 근무했다. 1952년 11월초, 육군행정 참모부장(副長) 육군소장 양국진은 제2군단 부(副)군단장으로 인사이동되었다. 그 후 육군 제1군단장 직무대리(아직 육군 소장 계급) 직을 거쳐 1959년 3월, 육군 제3군단장 직에 전임되었고 육군 제3군단장(육군 소장 → 육군 중장) 재직 시절이던 1959년 6월, 육군 중장 진급하였고 육군 제3군단장 재직하다가 1959년 12월 육군 중장 예편하였다. 4·19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인 1960년 4월 9일에 비리 혐의가 적발되어 구속되었다. 이때 양국진은 자신이 육군참모총장과 같은 중장 계급이라며 가택수색 및 문초에 불응하는 등 반발했다. 이 사건은 구속된 양국진이 며칠만에 전격 석방되고 사의를 표명하는 선에서 마무리지어질 듯한 분위기로 흘러, 제1공화국 정권 차원의 비호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4·19 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한데 이어 이듬해 5·16 군사정변이 일어남에 따라 비리 군인으로 체포되어 혁명재판에 회부되었고, 양국진에게는 징역 10년형이 선고되었다. 혁명재판 후 곧 풀려나 1960년대에 대한식품 사장을 지내면서 군부대에 식품을 공급하는 등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 분류:본머스 출신 = = 분류:825년 사망 = = ... And Then There Was X = ... And Then There Was X는 1999년 12월 21일에 발매된 DMX의 음반이다. 러프 라이더스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매되었다. = 이와데야마역 = 이와데야마역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타는 곳 = = 1 ■ 리쿠우토 선 하행 나루코온센 · 신조 방면 2 ■ 리쿠우토 선 상행 후루카와 · 고고타 방면 = = 이용 현황 = = 승차 인원 추이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2000 553 2001 561 2002 559 2003 461 2004 419 2005 353 2006 342 2007 331 2008 307 2009 271 2010 231 2011 195 2012 206 2013 202 2014 193 2015 212 = = 역 주변 = = 국도 제47호선 오사키 시청 이와데야마 종합 지소 이와데야마 문화회관 =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 =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간단히 삼성 특검)은 2007년 11월 23일 국회에서 통과된 삼성그룹의 불법비자금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삼성 비자금 의혹관련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실시되게 되었다. = = 관련 사건 = = "삼성 비자금 의혹관련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삼성 특검의 수사 범위를 삼성의 지배권 승계와 관련된 고소, 고발된 4개의 사건 및 김용철 변호사가 주장한 비자금 조성과 로비의혹으로 한정했다. 여기서 언급된 4개의 사건은 서울 통신기술과 삼성 에버랜드의 전환사채 발행,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 저가 배정 사건, e삼성의 회사 지분거래 등이다. = = = 삼성 비자금 조성 및 로비 의혹 = = = = = = 삼성 에버랜드 전환사채 발행 = = = 1996년 12월 삼성 에버랜드가 전환사채를 헐값에 발행해 이재용을 제외한 97%의 주주가 전환사채를 인수 직후 실권함으로써 이재용이 집중적으로 전환사채를 가질 수 있었던 사건이다. 2000년 6월 법학교수 43명이 이건희 회장 등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하였으나, 검찰은 2003년 12월 공소시효를 하루 앞두고 여론에 떠밀려 이건희 회장을 제외한 허태학, 박노빈 전 현직 에버랜드 사장만을 불구속 기소했다. 1심과 2심에서 모두 유죄를 선고받았으나, 대법원은 전환사채 발행 과정에서 형식적으로 주주 배정방식을 취했기 때문에 회사에 끼친 손해가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 = =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 저가 배정 사건 = = = 1999년 2월 당시 비상장회사였던 삼성SDS의 이사회는 삼성SDS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이재용씨 등에게 발행하면서 시장 가격에 비해 훨씬 저렴한 가격에 삼성SDS 주식을 인수할 수 있게 했고, 이에 대해 1999년 참여연대는 삼성SDS 이사들을 배임혐의로 고발했다. 이 사건은 검찰에 의해 6번 불기소되었고 결국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선언 후 제정된 삼성 비자금 의혹 관련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별검사 조준웅이 임명된 뒤, 특검의 기소로 심리가 시작되었다. = = = 서울통신기술의 전환사채 발행 = = = 1996년 11월 비상장 삼성계열사인 서울통신기술은 주당 5천원에 총 20억원어치의 전환사채를 발행했고, 이재용은 이 중 75% 이상인 15억 2천만원어치를 인수하고, 12월 10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한다. 이재용이 주당 5천원에 주식을 매입한 것과 달리 삼성전자는 12월 4일 서울통신기술의 주식을 기존 주주로부터 주당 1만 9천원에 20만주를 사들인다. 참고로 서울통신기술의 95년 말 주당 순자산가치는 1만5천원에 육박했으며, 주당 순이익도 1만124원에 달했다. 에버랜드의 전환사채 발행과 시기나 방법(비상장 계열사를 이용한 경영권 승계)으로나 매우 유사하다. 서울통신기술의 회사 매출은 95년 393억원에서 2005년 10월 21일 2911억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는 98년과 99년에 걸쳐 구조조정을 진행하며 홈네트워크 사업관련 자산 및 사업권 일체를 99년 서울통신기술에 양도했고, 참여연대는 이에 대해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했다. 1999년 말 서울통신기술이 삼성전자와 맺고 있는 매출거래는 60%에 달한다. 2005년 10월 31일 참여연대는 서울통신기술의 임원들을 배임혐의로 삼성SDS 사건과 함께 고발했고, 2006년 11월 14일 서울중앙지검은 이재용의 이득액이 50억을 넘지 않을 경우 공소시효가 7년(넘을 경우 10년)이며, 이재용의 이득액이 50억을 넘는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불기소처분했다. 삼성 특검은 이 기록을 인수해 조사했으나, 삼성 특검의 조사 당시 10년의 공소시효 역시 완성되었기에 불기소처분했다. = = = e삼성의 회사 지분 거래 = = = 2000년 5월 이재용은 인터넷 부문 사업에 뛰어들어 삼성의 인터넷 사업의 지주회사격인 e삼성 지분의 60% 등 각종 인터넷 기업의 지분을 취득한다. (삼성SDS와 에버랜드가 20%,임직원이 20%의 지분 소유) 2000년 9월 28일 참여연대는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에 이재용씨가 최대 주주로 알려진 인터넷 벤처기업들(e삼성, e삼성인터내셔널,cgl.com, ㈜뱅크풀,㈜가치네트 ㈜이니스 ㈜Fn가이드 인스밸리)에 대한 변칙증여 사실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2001년 2월 삼성그룹은 e삼성 계열의 비수익사업을 통폐합하거나 청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뒤, 2001년 3월 27일 이재용의 지분을 계열사에게 넘기겠다고 발표하면서 e삼성 지분 60%는 제일기획이, e삼성인터내셔널 지분 60%는 삼성SDS, 삼성SDI, 삼성전기가, 가치네트는 삼성카드, 삼성캐피탈, 삼성증권에서, 시큐아이닷컴은 에스원에서 각각 인수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이후 삼성의 각 계열사들은 공시를 통해 이재용의 지분을 인수했음을 알렸다. 11월 19일 YTN에서 삼성의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 e삼성의 지분 인수에 대한조사에 대비한 시나리오가 작성된 문건을 공개하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이런 계열사들의 주식 인수에 대해 "이재용씨의 경영권 승계과정의 하나로 추진된 인터넷 사업실패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명성의 훼손을 막기 위해 매입"한 것이라며 2005년 10월 13일 주식을 인수한 계열사의 경영진을 업무상 배임혐의로 고발했다. 2008년 3월 13일 특검은 이 혐의에 대해 증거 없음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내렸고, 참여연대와 경제개혁연대는 이에 항고했다. 1주일 뒤 검찰은 공소시효 만료를 이유로 다시 불기소 처분을 내렸고, 두 단체는 4월 21일 공소시효가 10년이라며 재항고했다. = = 수사 과정 = = = = = 특별검사 임명 = = = 2007년 12월 20일 이진강 대한변협 회장이 추천한 세명의 특검후보중 조준웅 변호사를 노무현 대통령이 특별검사로 임명하였다. 또 다른 후보였던 고영주변호사도 조준웅 변호사처럼 공안통 검사 출신이었다. 마지막 후보였던 정홍원 변호사도 검찰 출신으로서 소속 로펌이 삼성측 사건을 상당부분 맡고 있었다. 민변이나 천주교정의구현 사제단은 대한변협 42대 회장을 지냈던 박재승변호사를 강력추천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민주노동당 측은 "특검후보추천권에 관한 당초의 안은 국회의장이 특검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거기서 추천하는 것이었으나 한나라당과 합의하는 과정에서 그만 특검후보추천권을 변협에게 양보한 것이 큰 실수였다"고 주장했다. 이후 특별검사를 조준웅으로 하는 수사팀이 마련되었다. 이 수사팀에는 특별검사보 윤정석, 조대환, 제갈복성, 파견검사 강찬우, 이원곤, 이주형을 비롯해 특별수사관 30명, 기타 직원 20여 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 = = 수사 진행 = = = 2008년 1월 14일 2008년 1월 15일 2008년 1월 18일 2008년 1월 19일 2008년 1월 20일 2008년 1월 21일 2008년 1월 22일 2008년 1월 23일 2008년 1월 25일 2008년 1월 26일 2008년 1월 28일 2008년 1월 30일 2008년 2월 2일 2008년 2월 21일 2008년 2월 29일 2008년 3월 5일 2008년 3월 12일 2008년 3월 13일 2008년 3월 15일 2008년 3월 19일 2008년 3월 20일 2008년 4월 2일 2008년 4월 4일 2008년 4월 11일 2008년 4월 17일 2008년 9월 10일 2008년 10월 10일 2009년 5월 29일 2009년 7월 29일 2009년 8월 14일 = = = 삼성의 자료 은폐 = = = 압수수색 당일 삼성 직원이 “특검 때 ‘쓰레기차 3대’ 분량 서류 버렸다”고 증언했다. 삼성 직원들은 “검찰이 오고 있으니 마저 치워라”는 지시를 받았다. 직원들은, 특검이 왔을 때에 ‘그 박스엔 쓰레기만 담길 거다’ 비웃었다.삼성 직원 증언 “특검 때 ‘쓰레기차 3대’ 분량 서류 버려” 한겨레 2011년 9월 = = = 수사종료 및 기소 = = = 2008년 4월 18일 삼성특별검사 조준웅은 삼성의 불법 상속에 면죄부를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 수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삼성특검 수사 결과 발표문, 오마이뉴스 그는 이건희를 구속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말했다. 조준웅 삼성특검은 이건희 삼성회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 = = 여론 및 경제계의 반응 = = = 2007년 12월 24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국민 56%가 삼성 특검 큰 기대를 안하고, 20.6%가 잘 밝혀낼 것을 기대한다는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08년 1월 18일 김성호 전 법무부 장관은 18일 삼성 비자금 의혹 특검 수사에 대해 “외과수술처럼 잘해서 환부(患部)를 도려내야 하지만 병을 고친다고 사람까지 잡는 식의 수사를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김성호 前법무장관 “특검, 병 고친다고 사람 잡으면 안돼, 2008년 1월 19일 동아일보 2008년 3월 19일 참여연대는 삼성특검팀이 삼성 차명계좌 조성에 핵심적인 인물로 지목되는 황영기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하지 않고 서면으로만 조사한 후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한 것에 대하여 재계와 정치권의 눈치를 보는 봐주기 수사라고 비판하였다. 전경련등 5대 재계단체에서는 공동성명을 통해 이 회장의 소환이 기업의 대외신인도를 떨어뜨릴수있다는 우려를 표명하였다. 삼성그룹과 재계는 삼성 특검이 장기화되면서 협력업체를 비롯해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며 특검이 하루 빨리 마무리되어 조속히 경영이 정상화되기를 바라고 있다.삼성그룹 '침통'...수사 향방 촉각 = = 삼성의 대응 = = 2008년 4월 22일 이건희 회장이 퇴진하고 '삼성 경영 쇄신안'이 발표되었다. = 신차로 = 신차로(Sincha-ro)는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에서 문대삼거리에서 거창군 신원면 수원삼거리를 잇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산청군 (신안면 - 신등면 - 차황면) - 거창군 (신원면) = = 노선 경로 = = 이름 접속 노선 경유지 경유지 비고 문대삼거리 국도 제20호선(지리산대로) 산청군 신안면 (이름없음) 지방도 제1089호선(신등가회로) 산청군 신등면 (이름없음)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정곡척지로) 산청군 신등면 율현교 산청군 신등면 (이름없음) 친황경로 산청군 차황면 황산교삼거리 친환경로3561번길 산청군 차황면 (이름없음) 지방도 제1026호선(오동로) 산청군 차황면 지방도 제1026호선과 중복 (이름없음) 지방도 제1026호선(차황대병로) 산청군 차황면 지방도 제1026호선과 중복 과정1교 거창군 신원면 과정2교 거창군 신원면 과정삼거리 지방도 제1034호선(청수로) 거창군 신원면 양지삼거리 지방도 제1089호선(밤티재로) 거창군 신원면 지방도 제1089호선과 중복 수원삼거리 지방도 제1089호선(서부로) 거창군 신원면 지방도 제1089호선과 중복 서부로와 직결 서부로와 직결 서부로와 직결 서부로와 직결 서부로와 직결 = = 주요건물및 시설 = = HD현대오일뱅크 단계주유소 (신차로 481/외고리 156-1) 신등119지역대 (신차로 492/단계리 771-3) 단계초등학교 (신차로 514/단계리 663) 서단새마을회관 (신차로 535/단계리 598-3) 신등면 사무소 (신차로 576/단계리 845) GS칼텍스 차황주유소 (신차로 1787/신기리 614-1) 신원초등학교 (신차로 3053/과정리 199-4) 농협 신원농협 하나로마트 (신차로 3054/과정리 154) 신원면 사무소 (신차로 3067/과정리 187-7) 신원파출소 (신차로 3071/과정리 187-16) 거창신원우체국 (신차로 3073/과정리 413-3) 신원보건지소 (신차로 3079/과정리 413-1) 농협 남거창농협주유소 신원지점 (신차로 3099/과정리 309-3) 신원119지역대 (신차로 3101/과정리 310) = 후쿠나가 = 후쿠나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캐리 후쿠나가: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촬영 감독 후쿠나가 야스시: 일본의 축구 선수 = 분류:마술사 = = 파일:Gwangjin.png = = 명계 (베르베르) =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명계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타나토노트와 천사들의 제국에 나오는 가공의 장소이다. 베르베르는 사후세계를 독특한 개념으로 설명했다. = = 죽고 그 직후 = = 생명의 징후가 사라지고 약 87kHz의 파동이 나오며 코마 상태에 빠진다. 영혼은 육체에서 빠져나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을 약 18분 동안 비행하여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다. 블랙홀 속에 천국이 있다. = = 제1천계 (청색계) = = 색깔은 청색. 물과 즐거움의 지대. 빛의 유혹을 받으며 3분 동안 지속된다. 빛의 산에서 나오는, 아스라히 보이는 흰 빛을 따라 영혼은 계속 날아간다. = = 제2천계 (흑색계) = = 색깔은 흑색. 추위와 두려움, 혐오감의 지대. 살아생전 경험했던 끔찍한 기억들이 나타나 영혼을 공격한다. 자기 과거를 이해하고 자기 행위 하나하나에 입장을 밝히며 기억들을 물리쳐야 한다. 3분 동안 지속된다. = = 제3천계 (적색계) = = 색깔은 적색. 쾌락과 불, 대향연, 욕망의 지대. 영혼들은 살아생전의 타락한 마음과 터무니없는 환상을 만나며 살아 있을 때 경험한 성적 쾌락의 천 제곱되는 성적 쾌락을 경험한다. 그것들에 부끄러워하지 말고 의연하게 맞서며 나아가야 한다. 3분 동안 지속된다. = = 제4천계 (주색계) = = 색깔은 주황색. 바람과 시간, 지루함의 지대. 기독교에서 말하는 연옥이 여기이다. 끝없이 늘어선 영혼의 행렬을 만날 수 있다. 어떤 영혼들은 눌러앉아 수다를 떨고 있고, 어떤 영혼들은 빨리 나아가고 싶어서 새치기를 한다. 시간은 상대적이므로 어떻게 마음을 먹는가에 따라 빨리 가거나 늦게 가거나가 결정된다. 옛날에 살았던 유명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15분 동안 지속된다. = = 제5천계 (황색계) = = 색깔은 황색. 지식과 힘, 열정의 지대. 이제껏 이해하지 못하던 모든 지식을 알게 된다. 지식에 너무 현혹되지 말고 자신을 지혜로 가득 채우며 나아가야 한다. 7분 동안 지속된다. = = 제6천계 (녹색계) = = 색깔은 녹색. 완벽한 아름다움의 지대. 화려한 풍광과 절대미를 발견한다. 처음에는 그것들을 보고 감탄하지만 그 아름다움에 비해 추악한 자기 자신의 모습에 영혼은 자신을 미워하고 혐오하게 된다. 자신의 추악함을 인정하고 계속 나아가야 한다. 2분 동안 지속된다. = = 제7천계 (백색계) = = 색깔은 백색. 마지막 천계로 여기에서 영혼들의 이동이 끝나고 심판과 환생이 이루어진다. 천사와 악마가 살고 있으며 안쪽에는 빛의 산이 있고 한가운데에 심판을 받을 영혼의 행렬이 이어진다. 가브리엘, 라파엘, 미가엘 세 대천사가 영혼들을 심판한다. 영혼을 심판할 때는 그 영혼의 수호천사나 고유 악마가 변호사 역할을 한다. 점수가 600점이 넘은 영혼은 윤회를 끝내고 지상계로 내려가 인류를 구원하느냐, 또는 천상에 남아 천사가 되느냐를 선택할 수 있으며 600점이 되지 않은 영혼들은 점수에 맞는 '것'을 선택해 지상으로 다시 내려간다.(점수가 낮은 경우 식물이나 광물로 환생할 수도 있다.) 근소한 차이로 600점을 채우지 못한 경우에는 수호천사나 고유 악마가 대천사들에게 이의를 제기하여 추가 점수를 받아 600점을 넘기기도 한다. = = 명계에서 만날 수 있는 존재들 = = = = = 천사와 악마 = = = 천사 : 윤회를 벗어난 영혼들이 도달하는 빛으로 이루어진 존재. 희끄무레한 영혼들과는 달리 푸르스름하고 밝은 후광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천사 : 자신이 담당한 영혼의 구원에 성공했으나 천계에 남기로 결정한 천사들. 가브리엘, 라파엘, 미가엘, 에드몽 웰즈 등이 있다. 세 대천사 : 가브리엘, 라파엘, 미가엘. 제7천계에서 영혼들을 심판한다. 제우스, 오시리스, 토트, 이자나미 등 문화권에 따른 이명(異名)이 있다. 최근엔 에밀 졸라, 미카엘 팽송 등 영혼들을 구하려고 애쓰는 수호천사들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 에드몽 웰즈 : 지도 천사로서 초보 수호천사들을 지도해 준다. 에밀 졸라 : 미카엘 팽송의 수호천사였다. 세 대천사가 미카엘을 심판 없이 환생시키려는 것을 막았으며, 근소한 차로 600점에 이르지 못하자 우기기까지 해서 결국 미카엘을 천사로 만들고 자신도 대천사가 된다. 타락천사 : 무지한 사람들을 유혹해 나쁜 성향을 부추겨 그들의 무지를 깨닫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기독교에서 묘사된것처럼 사악한 초월체는 아니다. 사마엘 등이 있다. 사마엘 : 남자같기도 하고 여자같기도 한 생김새이다. 문화권에 따라 사탄 또는 베엘제불, 세트, 하데스, 헤르마프로디토스라고도 한다. 무지한 사람들을 유혹해 나쁜 성향을 부추겨 자기들의 무지를 깨닫게 해주는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다른 동료들과 어울리기를 싫어하며, 동료들도 그와 어울리려고 하지 않는다. 수호천사 : 일반적인 천사들. 각자 인간 영혼 셋씩을 맡아 천계에서 그들의 인생을 지켜보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자신이 맡은 영혼이 심판을 받을 때 변호사 역할을 하며, 자신이 담당한 영혼이 600점을 넘겨 윤회에서 벗어나면 급이 높아진다. 마더 테레사 : 수호천사들 중 하나. 살아생전에는 성인중의 성인이었지만, 천사가 된 뒤로 인간들에게 크게 실망해 천사 일에 열정적이지 못하다. 미카엘 팽송 : 초보 수호천사. 살아생전 명계 탐사자였다. 명계 이야기들의 주인공이자 네레이터. 에드몽 웰즈의 지도를 받고 있다. 라울 라조르박 : 수호천사 중 하나. 미카엘 팽송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살아생전의 동료. 천사 일이 따분하다고 생각하며, 에드몽 웰즈와 가브리엘 등 대천사들에게 불만이 많다. 프레디 메예르 : 수호천사 중 하나. 미카엘 팽송과 라울 라조르박의 살아생전의 동료. 마더 테레사와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실망해 천사 일은 하지 않고 늘 농담이나 하고 지낸다. 마릴린 먼로 : 프레디 메예르와 나쁜 친구들 중 하나. 프레디 메예르와 특히 친하게 지낸다. 모차르트 : 프레디 메예르와 나쁜 친구들 중 하나이다. 음란한 농담으로 시간을 때운다. 오스카 와일드 : 프레디 메예르와 나쁜 친구들 중 하나. 친구들과 농담짓거리나 하면서 시간을 때운다. 존 레논 : 천사. 히치콕 : 천사. 페트루스 : 천사들 중 하나. 문화권에 따라 성 베드로, 헤르메스, 메르쿠리우스, 카론, 아누비스라고도 한다. 천국에 새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천국에 관해 알려주는 일을 맡고 있다. 생 제롬 : 천사들 중 하나. 문화권에 따라 프타, 엔키, 아폴론, 프레위르 등으로 불린다. 진리를 드러내고 영혼들이 영적으로 드높아지도록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다. = = = 영혼과 유령 = = = 영혼 : 말 그대로 영혼들. 보통은 제7천계까지 가 심판을 받고 환생하나 제4천계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니콜라이 2세와 그 가족들 : 공산 혁명으로 숙청당한 러시아 마지막 차르 가족들. 공산주의 혁명이 서로의 잘못이라면서 제4천계에서 싸움을 하고 있다. 루이 16세 : 프랑스 혁명으로 숙청당한 프랑스의 왕. 니콜 이세 가족들의 싸움을 말리거나 마르코 폴로와 이야기하며 시간을 보낸다. 빅토르 위고 : 제4천계에서 여자 영혼들을 꾀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누군가가 말을 걸면 연애 사업을 방해한다고 불같이 화를 낸다. 그 외 영혼들 : 제4천계에 머무르고 있는 많은 영혼들. 유명한 사람들로는 마오쩌둥, 트로츠키, 다빈치, 쥘 베른, 샤를마뉴, 베르생제토릭스, 조지 워싱턴, 윈스턴 처칠, 애버 가드너, 게리 쿠퍼, 마르코 폴로 등이 있다. 유령 : 원래 수명보다 일찍 죽거나 생전의 원한이 깊거나 삶에 집착이 많아 천국으로 오지 못하고 지상을 떠돌게 된 영혼. 원한이 풀리거나 집착을 버리면 천사들을 통해 천국으로 갈 수 있다. 가끔씩 천국에 와서 심술을 부리기도 한다. 알 카포네, 아타우알파 등이 있다. 알 카포네 : 유령. 지구에서 유령으로 떠돌아다니는 것을 싫어해 다른 별으로 도망치려 한다. = = 또다른 명계 = = 한 은하마다 그 중심부에 하나의 블랙홀이 있고, 그 안에는 또다시 명계가 있다. 즉 한 은하마다 한 명계가 있는 것이다. 베르베르는 안드로메다 은하에는 '적구'라는 행성이 있는데, 안드로메다에서 지적 생명체가 사는 곳은 그곳밖에 없다고 설정해 놓았다. = 눈돌림신경 =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 또는 동안신경(動眼神經)은 뇌신경 중 하나로, 제3뇌신경, 뇌신경 III 또는 간단히 CN III이라고도 부른다.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 상안와열)를 통해 안와로 들어가 대부분의 안구운동(eye movement)을 가능하게 하고 눈꺼풀을 올리는 바깥눈근육에 분포한다. 또한 눈돌림신경에는 동공 수축 및 조절(읽을 때와 같이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내안근에 신경을 분포시키는 섬유가 포함되어 있다. 눈돌림신경은 배아 중뇌의 기저판에서 유래된다. 눈돌림신경 외에도 도르래신경과 갓돌림신경이 안구운동 조절에 참여한다.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韓國機械産業振興會, Korea Association of Machinery Industry, KOAMI)는 기계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국제협력을 증진하며 기계산업 관련자 상호간 이익을 도모함으로써 기계산업 진흥과 국민경제의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업종별 단체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7 기계회관에 위치하고 있다. = = 설립 근거 = = 산업발전법 제38조1. 제38조(사업자단체) ① 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업종별로 해당 업종의 사업자단체(이하 "사업자단체"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② 사업자단체는 법인으로 한다. ③ 사업자단체의 정관 기재사항과 운영, 감독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사업자단체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 = 연혁 = = 1968년 8월 상공부 주최 전국기계제조자업자대회(기계품질보장촉진회) 설립 1969년 4월 사단법인 한국기계공업진흥회로 개편 1979년 6월 기계회관 준공(본관) 1980년 8월 일본 동경사무소 설립 1981년 10월 기계공업진흥법 제15조에 의거 특별법인으로 개편 1984년 5월 산업설비수출촉진 업무 위임 1986년 7월 공업발전법 제23조에 의거 특별법인으로 개편 1986년 11월 기계공제조합 설립 1987년 3월 부설 인정직업훈련원 설립 1990년 9월 훈련원 신축이전(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항로 73-42) 1992년 11월 기계회관 준공(신관) 1995년 12월 연합기계할부금융(주) 설립지원 1997년 1월 기계산업정보망(KOAMI-NET) 운영 1997년 12월 유휴산업설비 정보센터 운영 1999년 2월 산업발전법 제38조에 의거 특별법인으로 개편 2000년 3월 한국기계산업진흥회로 명칭변경 2002년 6월 기계PL상담센터 개설 2004년 2월 기계산업연구소 개설 2011년 7월 기계산업동반성장진흥재단 설립 2012년 10월 기계융복합기술연구조합 설립 2013년 5월 ㈜한국기계거래소 설립 = = 주요 사업 = = 기계산업진흥을 위한 조사연구 및 발간사업 기계류․부품․소재의 기술 촉진사업 기계류․부품․소재의 수출진흥 및 국제협력사업 기계산업의 정보화 및 지식기반화 사업 플랜트 수출진흥을 위한 사업 기계진흥회관 운영 및 임대사업 기계류․부품․소재의 품질보장 및 하자보증에 관한 사항 기계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위탁 또는 요청하는 사업 기계산업 관련 단체 및 기관간 협력에 관한 사항 기계산업 및 회원의 이익증진을 위한 사업 전시사업(한국기계전(KOMAF), 서울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KOFAS) = 계통학 = 계통학(系統學, )은 여러 생물의 진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계통분류학(系統分類學), 계통발생학(系統發生學)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계는 DNA 서열,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또는 형태와 같은 관찰된 유전 특성을 종종 이러한 특성의 특정 진화 모델에서 평가하는 계통발생적 추론 방법에 의해 가정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계통 발생(계통 발생 수라고도 함)으로, 집단의 진화 역사를 반영하는 관계에 대한 도식적 가설이다. 분류학은 생물의 식별, 명명 및 분류에 관한 학문이다. 분류는 이제 일반적으로 계통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많은 체계학자들은 단일 계통 분류군만 명명된 그룹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류가 추론된 진화론적 역사에 의존하는 정도는 분류학파에 따라 다르다. 계통 발생 체계(cladistics)는 공유된 파생 특성(synapomorphies)을 기반으로 그룹만 인식하여 분류에 계통 발생을 반영하려고 한다. 진화적 분류는 분기 패턴과 차이점의 정도를 모두 고려하여 둘 사이의 절충안을 찾으려고 한다. = = 계통수 = = = = = 정의 = = = 계통수의 끝 부분은 살아있는 분류군이나 화석이 될 수 있으며 진화 혈통에서 끝 또는 현재를 나타낸다. 계통수는 뿌리를 내리거나 뿌리를 내리지 않을 수 있다. 뿌리가 있는 계통수의 뿌리는 가상의 공통 조상 또는 공통 혈통을 나타낸다. 뿌리가 없는 계통수는 조상 계보에 대해 가정하지 않으며 해당 분류군의 기원이나 뿌리 또는 추론된 진화적 변형의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분류군 사이의 계통 발생 패턴을 추론하기 위한 적절한 사용 외에도 계통 발생 분석은 종종 유전자 사본 또는 개별 생명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사용은 생물다양성, 진화, 생태학 및 게놈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었다. 2021년 2월,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동물의 유골(이 경우에는 매머드, 백만 년 이상 된 매머드)의 DNA 시퀀싱을 보고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시퀀싱된 가장 오래된 DNA이다. = = = 계통수 추론 = = = 계통발생적 추론의 일반적인 방법에는 최적성 기준과 간결성, 최대 가능성 (ML) 및 MCMC 기반 베이지안 추론 방법을 구현하는 계산적 접근이 포함된다. 이 모든 것은 관찰된 진화를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에 의존한다. 20세기 중반에 널리 사용된 페네틱스는 형태학의 전반적인 유사성 또는 유사한 관찰 가능한 특성(즉, 표현형 또는 DNA의 전체 유사성. DNA 서열이 아님)의 전반적인 유사성을 기반으로 계통수를 구성하기 위해 거리 매트릭스 기반 방법을 사용했다. 이는 종종 계통발생적 관계를 근사화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1950년 이전에는 계통발생적 추론이 일반적으로 개연성을 가지는 모델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종종 모호하고 대안 가설을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Bock, W. J. (2004). Explanations in systematics. Pp. 49–56. In Williams, D. M. and Forey, P. L. (eds) Milestones in Systematics. London: Systematics Association Special Volume Series 67. CRC Press, Boca Raton, Florida.Auyang, Sunny Y. (1998). Narratives and Theories in Natural History. In: Foundations of complex-system theories: in economics, evolutionary biology, and statistical physics. Cambridge, U.K.;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현재는 NCBI를 비롯한 여러 사이트에 있는 미리 시퀀싱된 유전적 정보를 통해 누구나 쉽게 계통수를 추론할 수 있다. = = 계통군 = = 계통학에서는 생물의 분류군을 분지학적으로 나눈다. 공통 조상과 그 자손을 모두 포함한 분류군은 단계통군이다. 파충류를 분류할 때 파충류로부터 진화한 새를 제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공통 조상은 포함했으나 모든 자손을 포함하지는 않은 분류군을 측계통군이라 한다. 온혈동물처럼 구성원들의 공통 조상을 포함하지 않은 분류군은 다계통군이라 부른다. = = 발전 과정 = = = = = 헤켈의 요약 이론 = = = 19세기 후반에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의 요약 이론 또는 생물유전학적 기본법칙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는 "개체 발생이 계통 발생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즉, 세균에서 성체까지의 일생 동안 단일 유기체의 발달은 그것이 속한 종의 연속 조상의 성체 단계를 연속적으로 반영한다.Blechschmidt, Erich (1977) The Beginnings of Human Life. Springer-Verlag Inc., p. 32: "The so-called basic law of biogenetics is wrong. No buts or ifs can mitigate this fact. It is not even a tiny bit correct or correct in a different form, making it valid in a certain percentage. It is totally wrong."Ehrlich, Paul; Richard Holm; Dennis Parnell (1963) The Process of Evolution. New York: McGraw–Hill, p. 66: "Its shortcomings have been almost universally pointed out by modern authors, but the idea still has a prominent place in biological mythology. The resemblance of early vertebrate embryos is readily explained without resort to mysterious forces compelling each individual to reclimb its phylogenetic tree." 그러나 이 이론은 오랫동안 거부되었고, 대신 개체 발생의 진화가 받아들여졌다. 헤켈이 생각했던 것처럼 종의 계통 발생 역사는 개체 발생에서 직접 읽을 수 없지만, 개체 발생의 특성은 계통 발생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분지학적으로 더 밀접하게 관련된 두 종이 가진 특성은 그들의 배아도 공유하는 특성이다. = = = 중심 내용의 전개 = = = 14세기, lex parsimoniae (parsimony 원리), William of Ockam , 영국 철학자, 신학자, 그리고 Franciscan 수사, 그러나 그 아이디어는 실제로 아리스토텔레스로 거슬러 올라가 , 선구적인 개념 1763, 베이지안 확률, Thomas Bayes 목사,  선구자 개념 18세기, 피에르 시몽(Marquis de Laplace), 아마도 최초의 ML(최대 가능성) 사용, 전구체 개념 1809, 진화론, 철학자 동물학 , Jean-Baptiste de Lamarck , 선구적 개념, 볼테르, 데카르트, 라이프니츠가 17세기와 18세기에 예고했으며, 라이프니츠는 관찰된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진화적 변화를 제안하기까지 하여 많은 종들이 진화했다고 제안했다. 멸종되고 다른 종은 변형되었으며 공통 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종은 한 번에 하나의 인종이었을 수 있으며  BC 6세기의 Anaximander 와 BC 5세기의 원자론자들과 같은 일부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도 예고했다. 제안된 기본 진화 이론 1837년, 다윈의 노트는 진화적 나무를 보여줍니다 1843년, 상동 성과 유추의 구별 (후자는 현재 동종형성 이라고 함 ), Richard Owen, 선구자 개념 1858년, 고생물학자 하인리히 게오르크 브론(1800–1862)은 오래된 종의 멸종 이후에 새로운 유사한 종의 고생물학적 "도착"을 설명하는 가상의 나무를 발표했다. Bronn은 그러한 현상을 담당하는 메커니즘, 전구체 개념을 제안하지 않았다. 1858년, 진화론의 정교화, Darwin과 Wallace,  또한 다음 해 Darwin의 Origin of Species, 전구체 개념 1866년, Ernst Haeckel , 처음으로 계통발생에 기반한 진화수, 전구체 개념 발표 1893, 특성 상태 비가역성의 돌로 법칙,  전구체 개념 1912년, ML은 Ronald Fisher에 의해 권장, 분석 및 대중화됨, 전구체 개념 1921년, Tillyard는 "계통 발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그의 분류 시스템에서 고대 문자와 특수 문자를 구별하였다. 1940, Lucien Cuénot이 만든 "clade"라는 용어 1949, Jackknife 리샘플링 , Maurice Quenouille(Mahalanobis에 의해 '46년에 예고되고 Tukey에 의해 '58년에 확장됨), 전구체 개념 1950, Willi Hennig의 고전적 형식화 1952, William Wagner의 그라운드플랜 발산법 1953, "cladogenesis"가 만들어짐 1960, Cain과 Harrison이 만든 "cladistic" 1963년, 계통 발생학에 대해 ML(최대 가능성)을 사용하려는 첫 번째 시도, Edwards 및 Cavalli-Sforza 1965년 Camin-Sokal parsimony, 최초의 parsimony(최적화) 기준 및 cladistic analysis를 위한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알고리즘, Camin과 Sokal Clique 분석이라고도 하는 문자 호환성 방법은 Camin과 Sokal(loc. cit.)과 EO Wilson  의해 독립적으로 도입되었다. 1966년 Hennig의 영어 번역 "cladistics" 및 "cladogram" 생성(Webster's, loc. cit.) 1969년 동적 및 연속 가중치, James Farris 바그너의 간결함, 클루게와 패리스 CI(일관성 지수), Kluge 및 Farris 클리크 분석을 위한 쌍별 호환성 도입, Le Quesne 1970, Farris에 의해 일반화된 Wagner 간결함 1971년 ML을 계통발생학(단백질 서열용)에 최초로 성공적으로 적용, Neyman 피치 패시모니, 피치 NNI(최근접 이웃 교환)는 Robinson  과 Moore et al.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된 첫 번째 분기 교환 검색 전략이다. ME(최소 진화), Kidd 및 Sgaramella-Zonta  (이 방법이 쌍별 거리 방법인지 또는 Edwards와 Cavalli-Sforza가 ML을 "최소 진화"라고 부르기 때문에 ML과 관련이 있는지 명확하지 않음) 1972, Adams 합의, Adams 1976, 계급에 대한 접두사 시스템, Farris 1977, 돌로 파시모니, 패리스 1979년 넬슨 합의, 넬슨 MAST(최대 동의 하위 트리)((GAS)최대 동의 하위 트리), 합의 방법, Gordon bootstrap, Bradley Efron, 선구자 개념 1980, PHYLIP, 계통 발생 분석을 위한 최초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Felsenstein 1981년 다수의 합의, Margush 및 MacMorris 엄격한 합의, Sokal 및 Rohlf 최초의 계산 효율적인 ML 알고리즘, Felsenstein 1982년 PHYSIS, Mikevich 및 Farris 브랜치 앤 바운드, 헨디와 페니 1985년 결합된 표현형 및 유전형 증거에 기초한 진핵생물의 첫 번째 분지 분석 Diana Lipscomb Cladistics의 창간호 부트스트랩의 첫 번째 계통 발생학적 응용, Felsenstein 잭나이프의 첫 번째 계통발생학적 응용, Scott Lanyon 1986, MacClade, Maddison 및 Maddison 1987, 이웃 결합 방법 Saitou와 Nei 1988, Hennig86(버전 1.5), 패리스 Bremer 지원(쇠퇴 지수), Bremer 1989년 RI(보존 지수), RCI(재배율 일관성 지수), Farris HER(동형 성형 초과 비율), Archie 1990년 결합 가능한 구성 요소(준 엄격) 합의, Bremer SPR(서브트리 가지치기 및 재접합), TBR(나무 이분 및 재연결), Swofford 및 Olsen 1991년 DDI(데이터 결정성 지수), Goloboff 표현형 증거만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진핵생물 분류학적 분석, Lipscomb 1993, 묵시적 가중치 Goloboff 1994, 감소된 합의: 뿌리 나무에 대한 RCC(감소된 분지 합의), Wilkinson 1995, 루팅되지 않은 트리에 대한 감소된 합의 RPC(감소된 파티션 합의), Wilkinson 1996년 Li,  Mau,  및 Rannala와 Yang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된 BI(Bayesian Inference)에 대한 최초의 작업 방법 과 모두 MCMC(Markov chain-Monte Carlo)를 사용하여 개발됨 1998, TNT(신기술을 사용한 나무 분석), Goloboff, Farris 및 Nixon 1999, Winclada, 닉슨 2003, 대칭 재표본, Goloboff 2004,2005, 대칭성 메트릭(Kolmogorov 복잡성에 대한 근사값 사용) 또는 NCD(정규화된 압축 거리), Li et al.,  Cilibrasi 및 Vitanyi. = = 외부 생물학 = = 계통 발생 도구 및 표현(계통수와 유전적 네트워크)은 양적 비교 언어학 분야에서 언어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ggarty, Paul (2006). "Interdisciplinary Indiscipline? Can Phylogenetic Methods Meaningfully Be Applied to Language Data — and to Dating Language?" (PDF). In Peter Forster; Colin Renfrew (eds.). Phylogenetic Methods and the Prehistory of Languages. McDonald Institute Monographs.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 분류:위키데이터 속성 P3993을 사용하는 문서 = = 금반초등학교 문정분교 = 금반초등학교 문정분교는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 217에 있었던 분교이다. = = 연혁 = = *1934년 4월 30일 휴천공립보통학교 문정간이학교 인가 개교 *1943년 4월 1일 휴천공립국민학교 문정분교장 인가 개교 *1948년 3월 13일 문정국민학교 인가 *1982년 3월 1일 함양중학교 휴천분교장 개교 *1986년 3월 5일 병설유치원 개원 *1996년 3월 1일 문정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9년 2월 20일 제44회 졸업식(총 졸업생수 1,653명) *1999년 3월 1일 금반초등학교 문정분교장으로 격하 *1999년 9월 1일 금반초등학교에 통합 = 틀:원소 정보/운쿼드헥슘 = = 온정천 = 온정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온정천 (溫井川) 온정천 (강원) : 북강원도의 하천 온정천 (울진) : 울진군의 하천 온정천 (경남) : 창녕군의 하천 온정천은 평안북도 운산군을 흐르는 구룡강 상류를 일컫는 말이다. 우현강(우현천) 합류점보다 상류를 일컫는다. = 분류: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 분류:두고리 화합물 = = 라게르 다항식 = 수학에서 라게르 다항식(Laguerre多項式, )은 직교 관계를 만족시키는 일련의 다항식들이다. 양자역학 등에서 등장한다. = = 정의 = = 라게르 다항식 L_n은 다음과 같은 로드리게스 공식으로 정의된다. 물리학에서는 1/n! 인자를 생략하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 = 표 = = 라게르 다항식의 값들은 다음과 같다. n n!Ln(x) 0 1 1 -x+1 2 {1\over2} (x^2-4x+2) 3 {1 \over 6} (-x^3+9x^2-18x+6) 4 {1\over24}(x^4-16x^3+72x^2-96x+24) 5 {1\over120}(-x^5+25x^4-200x^3+600x^2-600x+120) 6 {1 \over 720} (x^6-36x^5+450x^4-2400x^3+5400x^2-4320x+720) = = 성질 = = = = = 직교성 = = = 라게르 다항식들은 다음과 같은 직교 관계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delta_{mn}은 크로네커 델타이다. = = = 점화식과 생성함수 = = =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따른다. 라게르 다항식의 생성함수는 다음과 같다. 이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얻을 수 있다. = = 역사 = = 에드몽 라게르가 1878년 도입하였다. = = 응용 = = 라게르 다항식은 양자역학에서 3차원 등방 양자 조화 진동자를 분석할 때 등장한다. = 분류:고성 남씨 = = 이화자 = 대표작 대표작 〈꼴망태 목동〉 1938년 〈님 전 화풀이〉 1938년 〈어머님전 상백〉 1939년 〈화류춘몽〉 1940년 이화자(李花子, 1916년? ~ 1950년?)는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가수이다. = = 생애 = = 출생지와 학력, 정확한 생년 등 개인 신상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전해지지 않는 가수이다. 13세 무렵부터 술집에서 작부로 일하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고만 알려져 있다. 정식으로 가수가 된 것은 20세 전후이던 1935년이었다. 포리돌레코드의 김용환이 현 인천 부평구 지역의 한 술집에서 노래를 하던 이화자를 발굴하여 데뷔시켰다. 데뷔곡은 뉴코리아레코드에서 발매한 신민요 〈초립동〉였다. 뉴코리아레코드에서 〈섬시악시〉, 〈평양은 좋은 곳〉, 〈월미도〉 등을 불러 이름을 알렸다. 신민요 장르에 강했던 포리돌레코드에서 〈천리몽〉을 발표한 뒤 1938년 오케레코드로 옮기면서 최고 인기의 가수에 반열에 올랐다. 김용환 작곡의 〈꼴망태 목동〉, 〈님 전 화풀이〉가 오케레코드에서 발표한 대표곡이다. 이화자는 잡가풍의 신민요와 애닯은 트로트에 고루 능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다. 주로 여성 화자가 넋두리조로 신세 한탄을 하는 내용의 서민적인 노래를 불렀는데, 호소력이 뛰어났다. 자전적인 가사를 담은 자서곡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는 〈어머님전 상백〉과 기생의 한많은 삶을 그린 〈화류춘몽〉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가 종료된 후에는 히트곡을 내지 못했다. 태평양 전쟁 중에 취입한 친일 가요 〈목단강 편지〉가 마지막 히트곡이 된 것이다. 1940년대부터 손을 댄 아편에 중독되어 건강을 많이 상하고 잠깐의 결혼 생활도 실패로 끝나면서 폐인과 같은 생활을 했다. 주로 무대 공연으로 연명하다가 1950년을 끝으로 활동 기록이 없다. 이 무렵 홀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틀:2PM = = Dead Star/In Your World = Dead Star/In Your World는 2002년 6월 17일에 발매된 뮤즈의 노래이다. = 분류:말레이시아의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참가 선수 = = 중육도 = 중육도(中六島)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위치한 섬으로, 육도 남동쪽 0.6km 부근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총 면적은 150,000m2이며, 섬 일부가 채석장으로 개발되기도 했고 샘터 하나가 있다고도 한다. = = 지명 유래 = = 주변에 조그만 섬 6개북쪽부터 각각 말육도, 종육도, 육도, 중육도, 미육도, 물우녀섬이다.가 모여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 중에서 두 번째로 크기가 커서 중육도로 불리며, 섬 모양이 소의 길마를 닮아 길마섬 혹은 질마섬으로 불리기도 한다. = 분류:1980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 분류:신장중학교 동문 = = 분류:다카시마시의 철도역 = = 분류:에센의 건축물 = = 동아전람 = 동아전람은 1998년 2월에 설립된 전시회 기획사다. = 분류:1958년 사이클 = = 불협화음 (소설) = 불협화음 교토, 형사와 검사의 사건수첩은 다이몬 타케아키가 쓴 소설이며 2016년 3월 7일에 PHP연구소가 문고판 형식으로 발간하였다. 예전에 형사였던 아버지가 부당한 수사방법으로 자백을 강요했다고 규탄받은 후 형제가 헤어져서 살게 되었다. 그 후 몇년이 지나 형은 형사로 동생은 검사가 되어 다시 만나게 되었고 서로 가진 신념을 부딪혀가며 어려운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이야기를 다룬 사회파 미스테리소설 2020년 3월 15일에 TV 아사히에서 드라마 스페셜 불협화음 불꽃의 형사 VS 얼음의 검사란 타이틀로 방송다나카 케이 & 나카무라 토모야 SP드라마"불협화음"에서 헤어져서 살게 된 형제역으로 캐스팅 [모델프레스] 2019년 10월 17일 = = 개요 = = 예전에 형사였던 아버지가 부당한 수사방법으로 자백을 강요했다고 규탄받은 후 형제가 헤어져서 살게 되었다. 그 후 몇년이 지나 형은 형사로 동생은 검사가 되어 다시 만나게 되고 서로 가진 신념을 부딪혀가며 어려운 사건을 해결해 나간다 = = 출판 정보 = = 문고본:2016년 3월 7일 발매, PHP연구소 = = TV 드라마 = = 드라마 스페셜 불협화음 불꽃의 형사 VS 얼음의 검사의 제목으로, 2020년 3월 15일다나카 케이 & 나카무라 토모야 형제비쥬얼이랑 코멘트가 도착! 추가 캐스팅 발표도... [더 텔레비전] 2020년 2월 16일에 드라마스페셜로 TV아사히에서 방송. 다나카 케이와 나카무라 토모야의 더블주연이며 무대는 소설의 배경인 교토가 아니라 도쿄가 배경이 됨. = = = 출연진 = = = = = = 스태프 = = = 원작 - 다이몬 타케아키「불협화음 교토, 형사와 검사의 사건수첩」 (PHP문예문고 / PHP연구소) 각본 - 타카하시 이즈미 총감독 - 미와 유미코(TV 아사히) 프로듀서 - 이이다 사야카(TV 아사히), 타케우치 치카(동판기획) 감독 - 오오타니 켄타로 제작협력 - 동판기획 제작 - TV 아사히 = 미생 = 미생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다. 미생(美生, 550년 ~ 609년?)은 제10대 풍월주를 지낸 신라의 화랑이다. 미생(未生)은 바둑에서 돌이 아직 완전히 살아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미생은 윤태호의 만화이다. *미생은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극화한 tvN 금토드라마이다. *미생 프리퀄은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모바일 영화이다. = 틀:요즘 화제 처음/2017년 12월 10일 = 잭 모리스(Jack Morris)와 알란 트람멜(Alan Trammell)이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대한민국 의정부 경전철이 폭설로 인하여, 한 때 운행이 정지되었다. = Dreams and Nightmares = Dreams and Nightmares는 2012년에 발매된 믹 밀의 음반이다. 매이백 뮤직 그룹에 의해 발매되었다. =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2021년 제38주 = = = 2021-09-20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Flex-Able》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에픽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285e155ad7985356f3369c8ebeec52d8.jpg#285e155ad7985356f3369c8ebeec52d8 예정 파일 이름: 스티브 바이 - Flex-Able.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Flex-Able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0일 (월) 02:01 (KST) = = 2021-09-20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Walls of Jericho》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노이즈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b38a41deb6c95bfedbbcde9137ccd840.jpg#b38a41deb6c95bfedbbcde9137ccd840 예정 파일 이름: 헬로윈 - Walls of Jericho.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Walls of Jericho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0일 (월) 15:17 (KST) = = 2021-09-20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The Time of the Oath》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JVC 켄우드 빅터 엔터테인먼트, 캐슬 커뮤니케이션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115a3f98b7e1491ebcb3d79870ace3a7.jpg#115a3f98b7e1491ebcb3d79870ace3a7 예정 파일 이름: 헬로윈 - The Time of the Oath.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The Time of the Oath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0일 (월) 15:20 (KST) = = 2021-09-20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Edward the Great》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EMI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13821f4142cf7d06c607b98d044c6a77.jpg#13821f4142cf7d06c607b98d044c6a77 예정 파일 이름: 아이언 메이든 - Edward the Great.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Edward the Great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0일 (월) 16:36 (KST) = = 2021-09-20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Moonmadnes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데카 레코드, 가마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1000/137879/13787946.jpg 예정 파일 이름: 카멜 - Moonmadnes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Moonmadness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0일 (월) 23:45 (KST) = = 2021-09-21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Gene Simmon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사블랑카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488cba931f17dff36f87552d7f60acbd.jpg#488cba931f17dff36f87552d7f60acbd 예정 파일 이름: 진 시몬스 - Gene Simmon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Gene Simmons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1일 (화) 01:08 (KST) = = 2021-09-21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Ace Frehley》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사블랑카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49bcbaef377040bf89de7c4b615fc568.jpg#49bcbaef377040bf89de7c4b615fc568 예정 파일 이름: 에이스 프레일리 - Ace Frehley.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Ace Frehley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1일 (화) 18:47 (KST) = = 2021-09-22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Peter Cris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사블랑카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ab00d1021d7142c5c2585f6e4a59694f.jpg#ab00d1021d7142c5c2585f6e4a59694f 예정 파일 이름: 피터 크리스 - Peter Cris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Peter Criss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2일 (수) 02:02 (KST) = = 2021-09-22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Fire Garden》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에픽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1000/104541/10454169.jpg 예정 파일 이름: 스티브 바이 - Fire Garden.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Fire Garden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2일 (수) 15:02 (KST) = = 2021-09-22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Empire》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EMI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1000/11095/1109506.jpg 예정 파일 이름: 퀸스라이크 - Empire.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Empire (퀸스라이크의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2일 (수) 16:17 (KST) = = 2021-09-22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Peter Gabriel》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리스마 레코드, 게펀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38410e90b669e5b66e096d5302e66b57.jpg#38410e90b669e5b66e096d5302e66b57 예정 파일 이름: 피터 가브리엘 - Peter Gabriel 4.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Peter Gabriel (1982년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2일 (수) 22:40 (KST) = = 2021-09-23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Illinoi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애스매틱 키티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6244/624411.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수프얀 스티븐스 - Illinoi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Illinois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06 (KST) = = 2021-09-23 "MAGDECKNIR, by SDD2의 요청 = = 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제가 운영하는 브랜드 로고 사진인데 가이드를 참조하라며 사진 업로드가 되지 않습니다 저자 혹은 저작권자: 서담덕 원본 파일 위치: 스크린샷 2021-09-23 오후 4.07.02 예정 파일 이름: [[:파일:마그덱니르 로고 이지미 이런거 잘 모릅니다.]] 라이선스: 오류: 파일의 라이선스를 입력해주세요.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MAGDECKNIR, by SDD2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09 (KST) = = 2021-09-23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EP1”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영 터크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music.apple.com/us/album/ep1-ep/1183013750 예정 파일 이름: FKA 트위그스 - EP1.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EP1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13 (KST) = = 2021-09-23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EP2”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영 터크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music.apple.com/us/album/ep2/763736377 예정 파일 이름: FKA 트위그스 - EP2.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EP2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23 (KST) = = 2021-09-23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LP1”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영 터크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music.apple.com/us/album/lp1/1546107580 예정 파일 이름: FKA 트위그스 - LP1.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LP1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47 (KST) = = 2021-09-23 전자기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구글 패밀리 링크 어플 아이콘 저자 혹은 저작권자: 구글 원본 파일 위치: 구글 플레이 스토어 검색에 'Family Link'로 검색 예정 파일 이름: family link icon.png 라이선스: 비자유 아이콘 파일이 이용될 문서: 구글 패밀리 링크 자료 유형: 앱 아이콘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에 나오는 앱의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전자공학 화이팅!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6:55 (KST) = = 2021-09-23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M3LL155X”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영 터크스 원본 파일 위치: https://music.apple.com/us/album/m3ll155x-ep/1028920695 예정 파일 이름: FKA 트위그스 - M3LL155X.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M3LL155X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18:45 (KST) = = 2021-09-23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Paul Stanley》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사블랑카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5841a1eb91a54967c97515a6287c8345.jpg#5841a1eb91a54967c97515a6287c8345 예정 파일 이름: 폴 스탠리 - Paul Stanley.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Paul Stanley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20:17 (KST) = = 2021-09-23 나마크복돌씀의 요청 = = 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오류: 파일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저자 혹은 저작권자: 오류: 저자 · 저작권자를 입력해주세요. 원본 파일 위치: 오류: 파일을 가리키는 링크 · URL을 입력해주세요. 라이선스: 오류: 파일의 라이선스를 입력해주세요.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나마크복돌씀 (토론) 2021년 9월 23일 (목) 22:29 (KST) = = 2021-09-24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Burnt Weeny Sandwich》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비자 레코드, 리프리즈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1000/153340/15334019.jpg 예정 파일 이름: 마더스 오브 인벤션 - Burnt Weeny Sandwich.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Burnt Weeny Sandwich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4일 (금) 17:31 (KST) = = 2021-09-24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Operation: Mindcrime》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EMI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1000/11062/1106248.jpg 예정 파일 이름: 퀸스라이크 - Operation, Mindcrime.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Operation: Mindcrime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4일 (금) 19:05 (KST) = = 2021-09-24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Fetch the Bolt Cutter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에픽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141126/14112620.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피오나 애플 - Fetch the Bolt Cutter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Fetch the Bolt Cutters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4일 (금) 22:09 (KST) = = 2021-09-24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Rough and Rowdy Ways”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컬럼비아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143081/14308197.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밥 딜런 - Rough and Rowdy Ways.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Rough and Rowdy Ways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4일 (금) 22:24 (KST) = = 2021-09-22 Hajoon0102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LG UX 6.0+ 스크린샷 저자 혹은 저작권자: LG전자 원본 파일 위치: https://en.m.wikipedia.org/wiki/File:LG_V30_screenshot.png#mw-jump-to-license 예정 파일 이름: LG UX Homescreen.png 라이선스: 비자유 소프트웨어 스크린샷 파일이 이용될 문서: LG UX 자료 유형: 소프트웨아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Hajoon0102 (토론) 2021년 9월 22일 (수) 11:29 (KST) = = 2021-09-25 전자기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구글 패밀리 링크 어플 앱 아이콘 저자 혹은 저작권자: 구글 원본 파일 위치: https://apps.apple.com/kr/app/google-family-link/id115008520 예정 파일 이름: family link icon.png 라이선스: 비자유 아이콘 파일이 이용될 문서: 구글 패밀리 링크 자료 유형: 이미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전자공학 화이팅! (토론) 2021년 9월 25일 (토) 09:23 (KST) 안 열리지만 제 아이패드 네이버 웨일에서는 잘만 열리는데요?? 전자공학 화이팅! (토론) 2021년 9월 25일 (토) 19:18 (KST) = = 2021-09-25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홍콩 마스크 영화 포스터 저자 혹은 저작권자: 윈스 엔터테인먼트 원본 파일 위치: https://movie-phinf.pstatic.net/20210405_254/1617609527311XR33l_JPEG/movie_image.jpg 예정 파일 이름: 홍콩 마스크 포스터.jpg 라이선스: 비자유 포스터 파일이 이용될 문서: 홍콩 마스크 자료 유형: 영화 포스터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5일 (토) 13:35 (KST) = = 2021-09-25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Even Now》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아리스타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31b467b6322f475983adcc3fd98f7732.jpg#31b467b6322f475983adcc3fd98f7732 예정 파일 이름: 베리 매닐로우 - Even Now.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Even Now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5일 (토) 14:29 (KST) = = 2021-09-25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Peter Gabriel》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카리스마 레코드, 머큐리 레코드, 게펀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lastfm.freetls.fastly.net/i/u/770x0/97b07c0a393f4dedbaa29ddc5551ab68.jpg#97b07c0a393f4dedbaa29ddc5551ab68 예정 파일 이름: 피터 가브리엘 - Peter Gabriel 3.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Peter Gabriel (1980년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5일 (토) 19:12 (KST) = = 2021-09-26 화용도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The College Dropout”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로커펠라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339/33986.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카니예 웨스트 - The College Dropout.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The College Dropout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화용도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11:48 (KST) = = 2021-09-26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Heading for a Storm》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앳코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10688/1068889.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반덴버그 - Heading for a Storm.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Heading for a Storm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15:46 (KST) = = 2021-09-26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Santana IV》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산타나 IV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5574/557451.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산타나 - Santana IV.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Santana IV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15:47 (KST) = = 2021-09-26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Alibi》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앳코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10392/1039215.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반덴버그 - Alibi.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Alibi (반덴버그의 음반)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16:22 (KST) = = 2021-09-26 태현 정의 요청 = = 비자유 저작물 업로드 요청 파일 설명: 《Devils & Dust》의 음반 표지 저자 혹은 저작권자: 컬럼비아 레코드 원본 파일 위치: https://image.bugsm.co.kr/album/images/original/104893/10489385.jpg?version=undefined 예정 파일 이름: 브루스 스프링스틴 - Devils & Dust.jpg 라이선스: 비자유 음반 표지 파일이 이용될 문서: Devils & Dust 자료 유형: 음반 표지 이용될 부분: 정보상자 틀 이용 목적: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 파일 올리기](업로더 전용)태현 정 (토론) 2021년 9월 26일 (일) 17:06 (KST) = 장구섬 (순천시) = 장구섬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마산리에 위치한 순천만의 섬이다. 장구섬 소나무숲에는 백로와 왜가리 300마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순천만 자연생태관에서 서쪽으로 9km 지점에 있다. 순천만에 위치한 다른 섬인 솔섬과 장구섬은 키 90cm 정도의 왜가리나 중대백로 등의 집단서식처라 한다. 순천만 대숲과 갈대밭은 장구섬과 함께 철새의 도래지이다. = 최만수 = = = 가공 인물 = = 화려한 휴가 (드라마)의 등장 인물 망설이지마의 등장 인물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의 등장 인물 = 제프리 포드 = 제프리 포드(Jeffrey Ford, 1955년 11월 8일 ~ )는 미국의 환상문학 작가이다. 판타지, SF (장르), 미스터리를 포함한 다른 장르의 작품도 참여했으며, 상상력, 유머 등이 특징이다. 빙엄턴 대학교에서 소설가 존 가드너와 공부했다. = 로카팔라 = 로카팔라는 힌두교에서 동서남북을 비롯한 8방위를 관장하는 수호신들을 말한다. = = 목록 = = 이름 데바나가리 방위 신격 쿠베라 कुबेर 북쪽 부의 신 야마라자 यमराज 남쪽 죽음의 신 인드라 इन्द्र 동쪽 신들의 왕 바루나 वरुण 서쪽 물의 신 찬드라 चन्द्र 동북쪽 달의 신 아그니 अग्नि 동남쪽 불의 신 바유 वायु 북서쪽 바람의 신 수리야 सूर्य 남서쪽 태양신 = 분류:남자 스키 선수 = = 분류:베트남의 여자 어린이 가수 = = 경석고 = 경석고(硬石膏, ) 또는 무수 황산 칼슘(anhydrous calcium sulfate)은 화학식 CaSO4을 갖는 광물이다. 사방정계 결정계에 속한다. 모스 굳기는 3.5이며 비중은 2.9이다. 색은 흰색이며 가끔은 회색, 파란색, 자주색을 띄는 경우도 있다. 경석고는 증발 잔류암의 석고 퇴적물에서 주로 볼 수 있다. 1794년 할인티롤 주변의 암염 산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또, 경석고는 페르시아만 사브카의 갯벌 환경에 나타난다. 상당한 양의 경석고는 암염 돔이 모암을 형성할 때 발생한다. 경석고는 일부 화성암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 = 추가 문헌 = = *Spencer, Leonard James. Anhydrite.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Mineralgalleries.com *Minerals.net = 이소니아지드 = 이소니아지드(Laniazid, Nydrazid, isonicotinylhydrazine, INH)는 1차 항결핵제로서 예방과 치료에 쓰이는 유기화합물이다. 1912년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1951년에 결핵에 대하여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이소니아지드는 활동적인 결핵에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데, 이는 내성이 쉽게 생기기 때문이다. 이소니아지드는 또한 항우울제의 효과가 있으며, 이른 시기에 발견된 항우울제이기도 하다. 화합물이 처음으로 합성된 것은 20세기 초이다. 하지만, 항결핵 작용은 1950년대 초에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세 제약회사가 동시에 약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소니아지드는 정제, 시럽, 주사 가능 형태(근육 또는 정맥)로 제공된다. 이소니아지드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으며, 저렴하고,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적다. 4-메틸피리딘(4-methylpyridine)에서 생산되는 이소니코틴산(isonicotinic acid)으로부터 제조된다. = = 조제 = = 이소니아지드는 4-시아노피리딘(4-cyanopyridine)을 염기 가수 분해하여 이소니코틴아미드(Isonicotinamide)를 얻은 후, 히드라진으로 암모니아를 치환하면 된다. = = 작용 기제 = = 이소니아지드는 프로드러그(prodrug)이며, 세균의 '카탈라아제-페록시다아제'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결핵균에서는 이를 KatG라 부른다. KatG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H)과 함께 '이소니코틴 아실'과 결합하여 '이소니코틴 아실-NADH' 화합물이 된다. 이 화합물이 '엔오일-아실기 운반 단백질 환원 효소'(InhA)와 강하게 결합하여, 자연적인 '엔오일-AcpM 기질'과 '지방산 신타아제'를 차단한다. 이 과정이 미코박테륨의 세포벽에 필요한 미콜산의 합성을 막는다. 이소니아지드의 KatG 활성화로 산화 질소를 포함한 일정 범위의 기(基, radical)가 생성되는데, 이들은 또한 다른 항결핵 프로드러그 PA-824의 작용에서 중요함이 증명된 바 있다. = = 신진 대사 = = 이소니아지드는, 혈청, 뇌척수액, 치즈성 육아종 내부에서 치료 농도에 도달한다. 이소니아지드는 간에서 아세틸화로 대사 작용한다. 아세틸화에 관련된 효소는 두 가지 형태가 있어서, 일부 환자는 다른 이들보다 대사가 빠를 수 있다. 따라서, 반감기는 두 개의 모드를 갖는다.(미국인에는 1시간과 3시간의 최고조) 대사 산물은 소변을 통해 배출된다. 신부전의 경우, 통상 복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 = 복용량 = = 이소니아지드의 성인의 표준 복용량은 5 mg/kg/일(1일 최고 300 mg)이다. 약제의 분해가 느린 환자(위 항목의 아세틸화 관련)는 독성 효과를 피하기 위해 복용량을 줄일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복용량은 8 ~ 12 mg/kg/day이다. = = 부작용 = = 부작용으로는, 발진, 간기능 검사의 비정상, 간염, 철아구성 빈혈(sideroblastic anemia), 고음이온차 대사성 산증(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말초신경염(peripheral neuropathy), 약한 중추 신경계(CNS)의 효과가 포함되며, 약의 상호작용으로 페니토인(phenytoin) 또는 디술피람(Disulfiram)의 수준과 아주 다루기 힘든 뇌전증지속상태를 늘리게 된다. 말초 신경계 장애와 중추 신경계(CNS)의 작용은 이소니아지드의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피리독신(비타민 B6)이 소모되기 때문이지만, 5 mg/kg의 복용량에서는 흔하지 않다. 신경 장애가 흔한 사람들(예를 들면, 당뇨병, 요독증, 알코올 의존증, 영양실조, HIV-감염자)과 임산부, 발작성 장애가 있는 사람은 이소니아지드와 함께 피리독신(비타민 B6)(10 ~ 50 mg/일)을 처방할 수 있다. 이소니아지드의 간독성(Hepatotoxicity)은 화학 구조 중 질소 그룹에 의한 것인데, 간에서 대사 작용으로 암모늄 분자로 변환되기 때문으로, 간염의 원인이 된다. 간독성은 환자의 면밀한 임상 모니터링으로 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메스꺼움, 구토, 복통, 식욕 등이다.) 이소니아지드는 간에서 주로 아세틸화와 dehydrazination에 의해 처리된다. N-아세틸히드라진 대사 산물은 이소니아지드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간독성 효과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아세틸화의 속도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약 50%의 흑인과 코카서스인은 불활성화가 느리다. 이누이트의 대부분과 아시아인은 불활성화가 빠르다. 빠른 아세틸화에서는 반감기가 1 ~ 2시간이며, 느린 아세틸화에서는 2 ~ 5시간이다. 제거는 신장의 기능에는 크게 영향받지 않지만, 간에 병이 있으면 반감기가 연장될 수 있다. 아세틸화의 빠르기가 이소니아지드의 효과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아세틸화가 느리면 만성적인 약물 투여로 혈중 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독성 효과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이소니아지드와 그 대사 산물은 24시간 내에 배출되는 양의 75 ~ 95%가 소변으로 배출되며, 소량이 침, 가래, 배설물로도 배출된다. 이소니아지드는 혈액투석과 복막 투석으로 제거된다. ISONIZID, RxMed 두통, 집중력 저하, 체중 증가, 기억력 감퇴, 우울증이 모두 이소니아지드의 사용과 연관되었다. 모든 환자들과 의료계 종사자들은 이러한 심각한 부작용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자살의 생각이나 시도가 의심된다면 더욱 그러하다. 이소니아지드는 시토크롬 P450을 감소시켜 이론적으로 피임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치료는 종종 리팜피신과 함께 이루어진다. 리팜피신은 P450을 효소를 증가시켜 피임 효과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약을 복용할 때에는 산아 제한의 대체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P450은 포르피린 합성에 필요하므로, 부족할 경우 초기 RBC의 환원 헤마틴 형성이 저하되어 철아구성 빈혈을 일으키게 된다. = = 동의어 및 약어 = = Isonicotinyl hydrazine Isonicotinic acid hydrazide INH H ('hydrazide'의 약자로, 세계 보건기구의 표준 약자이기도 하다.) = 분류:2020년 몰도바 = = 구스범스: 몬스터의 역습 = 구스범스: 몬스터의 역습은 2018년 개봉한 미국의 공포 코미디 영화이다. 아리 산델이 감독을, 롭 라이버가 각본을 맡았다. R. L. 스타인의 동명 동화가 영화의 원작이며, 2015년 영화 구스범스의 후속편이다. = = 출연 = = 매디슨 아이즈먼 - 세라 퀸 역 제러미 레이 테일러 - 소니 퀸 역 캘릴 해리스 - 샘 카터 역 웬디 매클렌던커비 - 캐시 역 켄 정 - 추 씨 역 크리스 파넬 - 월터 역 믹 윙거트 - 슬래피 목소리 역 브라이스 캐스 - 타일러 역 페이턴 위치 - 토미 매디건 역 켄트릭 크로스 - 샘 카터 아버지 역 샤리 헤들리 - 샘 카터 어머니 역 잭 블랙 - R. L. 스타인 역 = 분류:대륙별 정치인 = = 분류:1883년 = = 스벤올레 토르센 = 스벤올레 토르센(Sven-Ole Thorsen, 1944년 9월 2일 ~ )은 덴마크의 배우이자 스턴트 배우이다. 1983년 덴마크 올해의 스트롱맨으로 선정된 이래 스턴트 연기를 맡아오고 있다. = = 출연 작품 = = 레드 소냐 (1985) 런닝맨 (1987) 트윈스 (1988) 고스트버스터즈 2 (1989) 토탈 리콜 (1990) 드라큘라 (1992) 히트 (1995) 솔드 아웃 (1996) 브레이크다운 (1997) 배트맨 4: 배트맨과 로빈 (1997) 솔저 (1998) 콜래트럴 (2004) = 아리아 월리스 = 아리아 월리스(Aria Wallace, 1996년 11월 3일 ~ )는 미국의 배우, 가수, 음악가이다. 애틀랜타에서 태어났다. = = 출연 작품 = = 스포크 (2010년) 퍼펙트 맨 (2005년) - 조 해밀톤 역 = = = 텔레비전 = = = 아이칼리 (2008-09) = 이혜지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이혜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 = 가공 인물 = = 분신사바의 등장 인물 마지막 시도의 등장 인물 연애의 등장 인물 = 이와쓰키구 = 이와쓰키구는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를 이루는 10개 구 중 하나이며 10개 구 중에서 가장 새로운 구이다. 2005년 4월 1일에 이와쓰키시가 사이타마 시에 편입되어 그 시역이 이와쓰키 구가 되었다. = = 지리 = = 이와쓰키 구는 서쪽으로 미누마구, 남서쪽으로 미도리구와 접하고 남쪽으로 가와구치시, 남동쪽으로 고시가야시, 북동쪽으로 가스카베시, 북쪽으로 시라오카정, 북서쪽으로 하스다시와 접한다. = = 역사 = = 1954년 5월 3일 : 미나미사이타마군 이와쓰키 정과 6개 촌이 합병해 이와쓰키 정이 되었다. 1954년 7월 1일 : 이와쓰키 정이 이와쓰키 시로 승격되었다. 1972년 11월 13일 : 도호쿠 자동차도가 부분 개통하였다. 2005년 4월 1일 : 사이타마 시에 편입되어 사이타마 시 이와쓰키 구가 되었다. = = 교통 = = = = = 철도 = = = 도부 철도 노다 선 = = = 도로 = = = 도호쿠 자동차도 국도 16호선 국도 122호선 국도 463호선 = = 출신자 = = 사토 다케루 (佐藤 健) = 분류:1450년 완공된 건축물 = = K.K. 훼미리 리스트 = "K.K 훼미리 리스트"는 199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 = 캐스팅 = = 신현준 : 태웅 역 태준 리 : 준 역 바비 킴 : 리상춘 역 카렌 킴 : 린다 역 정준 : 준정 역 스티브 박 : 킨 역 에디 무이 : 로이 역 진오 : 용팔이 역 에디 킴: 리틀 벧 역 마스터 체 : 체 역 피러 림 : 스윕티 역 전팔호 : 블피쉬 역 제니 친 : 제니 역 헬렌 밀러 : 버치 역 케빈 중 : 케빈 역 페기 안 : 카 역 신델라 체 : 준 엄마 역 스티븐 브렌넷 : 형사 미첼 역 킵 쇼타니 : 죤 역 테드 스제토 : 팽 역 로버트 : 코리아 상점주인 역 마코 워커 : 멕시칸 갱 보스 역 빈당 : 베트남 갱 보스 역 기모 케오코 : 태국 갱 리더 역 = 분류:대한민국 소설 = = M66 = M66 또는 M-66은 다음을 가리킨다. M66 (천체) : 사자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 솔탐 M-66 : 이스라엘의 160 mm 박격포 블랙 매직 M66 = 블루밍턴 (일리노이주) = 블루밍턴(Bloomington)은 미국 중서부 일리노이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74,975 (2006). 일리노이주 중앙부, 맥린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시카고와 세인트루이스의 중간지점에 있으며, 남쪽에 인접한 노멀과 함께 한 도시권을 이룬다. 비옥한 농업지대의 중심지로, 농업 관계 연구 시설이 많고, 농업 관계 제조업 및 보험업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스테이트팜 보험은 미국에서 가장 큰 보험회사 중 하나이다. 인접한 노멀에는 일리노이 주립대학교가 있으며, 최근 이를 바탕으로 블루밍턴과 노멀 도시권은 첨단 기업을 유치하여, 고용이 늘어나고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 한편 1856년 미국 미국의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은 대통령이 되기 전 이 도시에서 노예제도 폐지를 표명한 유명한 마지막 연설을 하였다. 그가 연설을 했던 자리는 기념물로 복원되어 있다. = 분류:휴스턴의 마천루 = = 장규석 (동음이의) = = = 실존 인물 = = 장규석: 대한민국 경상남도의회 의원 = = 가공 인물 = = 미스티의 등장 인물 0시의 등장 인물 = FIFTY FIFTY = FIFTY FIFTY(피프티 피프티)는 대한민국 걸 그룹이다. 소속사는 어트랙트(ATTRAKT)이며, 2022년 11월 18일 데뷔했다. 2023년 2월 24일 발매한 싱글 'Cupid'가 스포티파이를 휩쓸며 빌보드 핫 100과 영국 싱글 차트에 동시 진입하는 등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룹명은 '50 vs 50', 즉 반(半)반을 뜻해 '이상 50 vs 현실 50'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고통스럽고 힘든 현실과 밝고 희망찬 이상이 공존하는 세상 속에서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설레는 기대감을 동시에 표현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그룹이 '50'이라면 팬들이 '50'이며 함께 해서 완전한 합인 '100'이 되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도 담겨 있다고 한다. 팬덤 명칭은 '허니즈(Hunnies)'이다. 100을 뜻하는 Hundred와 Honey를 합쳐서 만든 Hunny를 복수화한 것이다. = = 활동 = = = = = 데뷔 이전 = = = 그룹 데뷔 전에 키나는 OCN 드라마 '달리는 조사관'의 OST 타이틀곡 'Take Back My Life'를 불렀다. = = = 2022년: 데뷔, THE FIFTY = = = 11월 18일, 타이틀곡 'Higher'의 뮤직 비디오와 함께 데뷔 EP THE FIFTY 음원을 발매하며 공식 데뷔했다. 12월 20일, THE FIFTY 음반이 발매되었다. = = = 2023년: The Beginning: Cupid, 활동 중단, 멤버들과 소속사간 소송, 멤버 키나 복귀 및 3인 멤버 전속 해지 후 탈퇴, 빌보드 뮤직 어워즈 참여 = = = 2월 24일, 싱글 1집 The Beginning: Cupid 음원을 발매하며 컴백했다. 3월 28일 'Cupid'를 통해 데뷔 최초로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입성했으며, 이후 최고 19위까지 올랐다. 3월 31일, 'Cupid'를 통해 영국 싱글 차트에 입성했으며, 이후 최고 8위까지 올랐다. 5월 2일, 의학적 증상이 나타났던 멤버 아란이 수술을 받았다. 1~2개월 정도 회복기가 필요하다는 의사 진단에 따라 소속사는 아란에게 휴식기를 주었고, 다른 멤버들에게도 모두 휴식기를 주면서 그룹은 활동을 중단했다. 6월 19일, 멤버 전원이 법무법인 바른을 통해 소속사 어트랙트를 상대로 전속계약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했다.[ 피프티 피프티, 소속사 상대 전속계약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어트랙트, 계약 위반” [전문]] 6월 23일, 소속사가 멤버의 수술 및 활동 중단에 대한 입장을 밝히면서 "소속 아티스트에게 접근, 전속계약을 위반하도록 하는 외부세력이 확인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피프티피프티 측 "멤버 수술로 활동중단, 외부세력 개입해 전속계약 위반 유인" 출처:스포츠조선피프티 피프티 소속사 대표, "배후 세력 곧 밝혀져"…나쁜 의도대로 결론 나지 않을 것! 스포츠조선2023.06.25 7월 5일 첫 공판이 열리며 소송이 본격화되고, 소속사 전홍준 대표에 대한 미담이 확산되면서 진실게임이 이어지는 등 음악계의 큰 이슈가 되었다. 이 소송으로 인해 8월 19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1365회 '빌보드와 걸그룹 - 누가 날개를 꺾었나' 편에 나오게 됐다. 10월 16일, 멤버 중에 키나는 법무법인 바른을 통해 소속사 어트랙트의 소송을 취하했다. 맴버 아란, 시오, 새나 3인간의 계약파기 공모 사실이 확인되어 10월 19일 어트랙트에서 3인의 전속계약을 해지 및 탈퇴처리 되었다. 11월 2일, 멤버 키나를 포함한 4인조로 그룹을 이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11월 19일, 멤버 키나가 빌보드 뮤직 어워즈에 참여했다. = = = 2024년: = = = 2월 7일, 오는 4월 2기 멤버 확정 후 6월 컴백을 확정 시켰다. = = 구성원 = = 이름 소개 키나 본명: 송자경 생년월일: 출생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활동기간: 2022년 11월 18일 ~ 현재 = = = 이전 구성원 = = = 이름 소개 새나 본명: 정세현 생년월일: 출생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활동기간: 2022년 11월 18일 ~ 2023년 10월 19일 시오 본명: 정지호 생년월일: 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활동기간: 2022년 11월 18일 ~ 2023년 10월 19일 아란 본명: 정은아 생년월일: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활동기간: 2022년 11월 18일 ~ 2023년 10월 19일 = = 음반 목록 = = = = = EP = = = 《THE FIFTY》: 2022년 11월 18일 발매. 음반은 12월 20일 출시. 타이틀곡 'Higher'와 수록곡 'Lovin' Me' 'Tell Me' 'Log In' 등 4곡 수록. = = = 싱글 = = = 《The Beginning: Cupid》: 2023년 2월 24일 발매. 음반은 3월 21일 출시. 타이틀곡 'Cupid'와 수록곡 'Cupid(Twin Version)' 'Cupid(Instrumental)' 등 3곡 수록. = = 수상 목록 = = 2024년 제33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발견상 2024년 제38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여자 신인상 = You're the One (찰리 XCX의 노래) = "You're The One"은 찰리 XCX의 노래로, 데뷔 앨범 "True Romance"에 수록되어 있다. = = 곡 목록 = = *CD single / Digital download "You're the One" – 3:15 = 블랙 아일 스튜디오 = 블랙 아일 스튜디오(Black Isle Studios)는 인터플레이 엔터테인먼트의 게임 스튜디오이다. 1996년 설립되었으며, 2003년 없어졌지만, 2012년 다시 부활하였다. 아이스윈드 데일 시리즈를 개발하고, 발더스게이트 시리즈를 배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게임 = = = = = 제작 중인 게임 = = = 프로젝트 V13 (2015) = = = 개발한 게임 = = = 폴아웃 2 (1998)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1999) 아이스윈드 데일 (2000) 아이스윈드 데일: 하트 오브 윈터 (2001) 아이스윈드 데일: 하트 오브 윈터 - 트라이얼즈 오브 더 루어마스터 (2001) 아이스윈드 데일 II (2002) 발더스 게이트: 다크 얼라이언스 II (2004) = = = 유통한 게임 = = = 발더스 게이트 (1998) 발더스 게이트: 테일즈 오브 더 소드 코스트 (1999) 발더스 게이트 II: 섀도우 오브 암 (2000) 발더스 게이트 II: 쓰론 오브 바알 (2001) 라이온하트: 십자군의 유산 (2003) = = = 합본 = = = Black Isle Compilation (2002) Black Isle Compilation Part Two (2004) = = = 개발 취소된 게임 = = = 취소된 프로젝트도 포함: Stonekeep 2: Godmaker (2001) Torn (2001) Fallout 3 (Van Buren) (2003) Baldur's Gate III: The Black Hound (2003) Baldur's Gate: Dark Alliance III (2004) = 에스코 헤일리모 = 에스코 프레드릭 헤일리모(: 1883년 4월 11일-1966년 8월 28일)는 핀란드의 법관, 경찰관이다. 1907년 이전까지는 성이 스웨덴식으로 혤만이었다. 그 부친은 원로원 원로를 역임한 프레드릭 베르너 혤만이다. 또한 남동생은 법관 에이노 헤일리모다. 쿠오피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헬싱키 대학교에서 1905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1908년 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11년에서 1912년 사이 원로원 소송대리위에서 관료생활을 했고, 1919년까지 우시마주정부 서기를 지냈다. 1920년 타르투 조약 때 핀란드측 대표단 중 한명으로 참여했다. 1926년에서 1934년 사이 초대 핀란드 경찰총수를 역임했다. = 월천항 = 월천항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월천항은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3리에 있는 어촌정주어항이다. 월천항은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에 있는 소규모 어항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코로나19 범유행 = 다음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코로나19 범유행 현황에 대한 설명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생한 COVID-19 대유행은 SARS-CoV-2에 의한 전 세계적인 COVID-19 대유행의 일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은 2020년 3월 10일 콩고 민주 공화국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처음 확인된 몇 건은 모두 외부 도착이었다. = = 배경 = = 세계보건기구(WHO)는 12일 2019년 12월 31일 처음 WHO의 주목을 받았던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의 한 집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호흡기 질환의 원인임을 확인했다. 이 군단은 처음에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험실 확정 결과가 나온 그 첫 사례들 중 일부는 시장과 연관성이 없었고, 전염병의 근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03년 사스와 달리 COVID-19의 경우 치명률은 훨씬 낮았지만, 총 사망자 수가 상당할 정도로 감염 경로는 훨씬 더 컸다. COVID-19는 전형적으로 약 7일 정도의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그 후 일부 사람들은 병원에 입원해야 하는 바이러스성 폐렴의 증상으로 발전한다. 3월 19일부터 COVID-19는 더 이상 "높은 결과 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 = 방안 = = 학교, 술집, 식당, 예배 장소는 폐쇄되었다. 3월 19일, 펠릭스 치세케디 대통령은 비행 정지를 발표했다. 3월 24일 대통령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경을 폐쇄했다. = 분류:싱가포르의 항의행동 = = 분류: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 분류:기니비사우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 유천궁 = 유천궁(柳天弓, 생몰년 미상)은 신라 말 후삼국 시대의 호족이자 신혜왕후(神惠王后)의 아버지이며 태조 왕건의 장인이다. = = 유천궁이 등장한 작품 = = 《태조 왕건》 KBS, 2000년~2002년 : 김진해 《제국의 아침》 KBS, 2002년~2003년 : 김수일 = For the Christmas = For the Christmas는 2005년 발매된 빅마마의 캐롤 앨범 "Big Mama`s Gift"의 리패키지 앨범이다. 2005년 발매된 기존 음악들에 신곡 "겨울아이"가 추가로 수록되었다. = = 트랙리스트 = =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 겨울아이 Jingle Bell Rock Christmas Song Let It Snow Angel We Have Heard On High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Little Drummer Boy First Noel Grown Up Christmas List White Christmas 꿈의 크리스마스 = 오룡리 = 오룡리(五龍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오룡리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오룡리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오룡리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오룡리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오룡리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리 = 매헌시민의숲 = 매헌시민의숲은 서울특별시 양재동에 위치한 숲으로 이루어진 공원이다. 2022년 10월 13일 개칭(석간) 서울시, 양재시민의숲을 `매헌시민의숲` 이라고 불러주세요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2-10-13. = = 개요 = = 1986년 아시안 게임 및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기념하여 서울특별시 시립공원으로 개장하였다. 청계산 자락에 위치한 시민의숲의 주위에는 염곡천(여의천), 양재천이 흐르고 고층건물이 없어 탁 트인 하늘을 만날 수 있다.공원 내에는 10만 6,600여그루의 나무로 수목이 우거져 있어, 유치원이나 주변 학교의 소풍 코스로 이용된다. 2011년 신분당선 개통으로 양재시민의숲역을 통해 지하철로도 인접할 수 있다. = = 주요시설 = = 공원 안에는 야외예식장과 야외무대, 테니스장, 배구장, 배드민턴장 등 각종 체육시설 및 주민 편의시설이 갖추어져있다. *조경시설 : 잔디광장, 파고라, 그늘시렁 *운동시설 : 배구장(족구장 겸용), 테니스장, 맨발공원 *교양시설 : 윤봉길 의사 기념관, 야외무대, 충혼탑, 윤봉길의사 동상 *편익시설 : 주차장(54대), 매점, 음수대, 공중전화, 화장실, 벤치 = 원통고등학교 = 원통고등학교(元通高等學校)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원통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 = 학교 연혁 = = 1974년 1월 5일 : 6학급 설립 인가 1974년 3월 1일 : 초대 강윤택 교장 취임 2004년 11월 4일 : 12학급 변경 인가 2022년 9월 1일 : 제21대 김기중 교장 부임 2022년 12월 30일 : 제47회 졸업식(62명, 총 졸업생수 6,177명) = 분류:서울특별시의 물 = = 분류:브리스톨에서 촬영한 영화 = = 틀:원소 정보/칼슘 = = 분류:인도네시아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 아츠미 키요시 = 아츠미 키요시(, 1928년 3월 10일 도쿄도 ~ 1996년 8월 4일 도쿄도)는 일본의 영화 배우로 본명은 타도코로 야스오이다. 1951년 도쿄도 다이토구 아사쿠사에 위치한 스트립 쇼 전용 극장의 전속 코미디언으로 데뷔했지만 1954년 폐결핵으로 오른쪽 폐를 절단한 이후부터 2년 동안 요양 생활을 했다. 1956년 텔레비전에 데뷔했고 1958년 영화에 데뷔했다. 1963년 영화 삼가 아뢰옵니다 천황 폐하님(拝啓天皇陛下様)에 출연하면서 명성을 떨쳤고 1969년부터 1995년까지 영화 남자는 괴로워(男はつらいよ) 시리즈 48편에 출연하는 동안 주인공인 구루마 도라지로(車寅次郎) 역할을 연기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기록은 영화 시리즈로는 가장 많은 작품 수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1988년 일본 정부로부터 자수훈장을 수여받았다. 1996년 8월 4일 도쿄도 분쿄구에 위치한 준텐도 대학 의학부 부속 준텐도 의원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 사후 일본 정부로부터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았다. = = 영화 = = 도라 도라 도라 모래그릇 = 분류:벨기에의 경연회 = = 분류:혈전증으로 죽은 사람 = = 뿌리깊은 나무 (소설) = 뿌리깊은 나무는 작가 이정명의 장편 소설이다. 훈민정음 반포 전 벌어지는 학사들의 살인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동명 원작 소설을 극화한 SBS 수목 특별기획 드라마로 2011년 하반기에 방영한 바 있다. = 광주영상복합문화관 = 광주영상복합문화관(光州映像複合文化館, Gwangju Visual Content Center, GVCC)은 청소년 등 광주광역시민들에게 문화콘텐츠에 대한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상품의 전시·홍보 및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지역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광주광역시 조례에 근거하여 설립된 관람시설이다. = = 연혁 = = 2004년 9월 영상복합문화관 건립계획 수립 2008년 3월 기공식 개최 2009년 10월 영상복합문화관 관련 조례 의결 2009년 11월 건물 준공 2010년 2월 개관 = = 주요 기능 = = 영상·콘텐츠에 대한 체험 및 학습기회 제공 영상·콘텐츠 상품의 전시, 홍보 및 마케팅 지원 기타 영상·콘텐츠 육성정책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항 = = 건물 개요 = =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47-1(舊 광주세무서) 규모 : 부지 1,598m², 연면적 6,289m²(지상 6층, 지하 2층) 각 층 구성 6층 G시네마 * G시네마(3D입체디지털상영관) * 영상체험존 * 쉼터존 * 캐릭터포토존 5층 콘텐츠홍보홀 * 콘텐츠소개존 * 애니메이션존 * 게임존 * 첨단영상존 * 캐릭터존 4층 아카데미·마케팅지원홀 * 루비(교육실) * 에메랄드(교육실) * 사파이어(교육실) * 크리스탈(교육실) * 마케팅지원실 * 운영사무실 3층 에듀테인먼트홀 * 웨스턴마카로니 2층 에듀테인먼트홀 * 웨스턴마카로니 1층 기획전시·공연홀 * 안내데스크 * 소공연장 * 기획전시실 * 캐릭터상품전시 * 미디어트리 지하 1,2층 * 주차장 = = G시네마 = = 3D디지털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첨단영상극장이다. THX, DOLBY, DIGITAL 음향장비 등으로 구성된다. 총 105석 규모의 3D 첨단영상, 디지털애니메이션, 영화 등 상업영화에서 독립영화까지 모두 상영할 수 있다. = = 주차시설 = = 명칭 : 광주영상복합문화관 부속 주차장 관리자 :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이용시간 : 08:00 ~ 20:00(20:00 이후 주차차량의 경우 무단방치차량으로 간주하여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주차요금 : 무료(방문자 및 상주인원에 한함) = 분류:직업별 아일랜드의 남자 = = 분류:뒤즈제주 = = 분류:네덜란드의 관저 = = 유리 자이체프 = 유리 콘스탄티노비치 자이체프(, 1951년 1월 17일 ~ 2022년 9월 30일)는 소련의 역도 선수이다. = = 인물 정보 = = 자이체프는 소련 사할린주 포베디에서 자랐다. 10세가 될 때 그의 부모는 그와 함께 카자흐스탄 카라간다로 이주하였다. 그는 14세 때 역도를 시작하였으며, 그의 첫번째 코치는 블라디미르 네트슈히포렌코였다. 1974년에 소련 역도 국가 대표팀으로 발탁된 자이체프는 그해 마닐라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헤비급 110 kg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78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 김은지 (바둑 기사) = 김은지(金恩持, 2007년 5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서울 출신으로 6세 때 바둑에 입문하여 7살 때부터 장수영 바둑도장에서 바둑을 공부했다. 2015년 SBS 교양프로그램 ‘영재 발굴단’에 출연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고, 하림배 전국아마여자국수전 등 여러 대회에서 입상했다. 강창배바둑연구실에서 강창배 사범의 바둑 지도를 받았다. 2020년 1월, 제53회 여자입단대회를 통해 박소율, 유주현과 함께 입단했다. 2020년 삼척 해상케이블카팀 소속으로 한국여자바둑리그에 참가했고 그해 10월 22일 2단으로 승단했다. 2020년 9월, 온라인 기전 ‘오로(ORO) 국수전’ 24강 대국 중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부정행위를 한 혐의로 한국기원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같은해 11월 자격 정지 1년의 징계 처분을 받았고, 이듬해 복귀했다. 2022년 11월 21일 승단 포인트 충족하여 4단으로 승단했고, 이어진 12월 4일 타이틀대회(제한기전) 우승하여 5단으로 승단했다. = 세계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 = #Redirect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 = 샤랑트주의 아롱디스망 = 샤랑트주의 아롱디스망에는 총 3개가 있다. 앙굴렘 아롱디스망 (샤랑트 주의 주도 : 앙굴렘)은 21개의 캉통과 245개의 코뮌이 속해 있다. 코냐크 아롱디스망 (준주도 : 코냐크)은 8개의 캉통과 96개의 코뮌이 속해 있다. 콩폴랑 아롱디스망 (준주도 : 콩폴랑)은 6개의 캉통과 63개의 코뮌이 속해 있다. = = 역사 = = 1790년 : 앙굴렘, 바르브지외, 코냐크, 콩폴랑, 로슈포코, 뤼페크 등 6개 디스트리크와 함께 샤랑트 주가 생성됨 1800년 : 앙굴렘, 바르브지외, 코냐크, 콩폴랑, 뤼페크 아롱디스망 생성 1926년 : 바르브지외, 뤼페크 아롱디스망 폐지 2008년 1월 1일 : 아롱디스망 구역 변경을 포함한 행정구역 개정.Modification des limites d'arrondissement (version archivée), 2012년 2월 9일 확인. = 분류:인도의 복합 기업 = = 분류:중세 스코틀랜드의 문화 = = 아우구스토 페르난데스 = 아우구스토 마티아스 페르난데스(, 1986년 4월 10일 ~ )는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이다. = 로렌스 몬테인 = 로렌스 몬테인(Lawrence Montaigne, 1931년 2월 26일 ~ 2017년 3월 17일)은 미국의 배우, 텔레비전 배우, 영화배우, 각본가, 스턴트 배우, 번역가이다. 브루클린에서 태어났으며 헨더슨에서 사망하였다. = = 영화 = = 다코타 (1988년) 라이센스 투 킬 (1984년) 악령의 리사 (1981년) 차타레 부인 (1977년) 마녀의 산 (1975년) 인베이더 - 시리즈 (1967년) 토브럭 (1967년) 타임 터널 (1966년) 배트맨 - 66년 TV 시리즈 (1966년) - 어린 삼인방 3 역 제5전선 (1966년) FBI (1965년) 첩보원 0011 (1964년) 도망자 (1963년) 대탈주 (1963년) 더 몽골스 (1961년) = 분류:페루의 스포츠 리그 = = 리치먼드 애슬레틱 FC = 리치먼드 애슬레틱 FC는뉴질랜드 넬슨의 리치먼드를연고로 하는 뉴질랜드 축구단이다. = = 역사 = = 1948년에 창단된 리치먼드 애슬레틱은 2005년에 리치먼드 시티로 이름을 변경했었다 2006년에 지역 리그에서 우승했고 메인랜드 프리미어리그 승격을 위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하게 되었지만, 이후의 부진으로 2년만에 리그에서 강등이 된다. 강등 이후 구단은 다시 리치먼드 애슬레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리치먼드 애슬레틱은 2010년에 다시 승격 플레이오프에 올랐지만 플레이오프에서의 패배로 승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분류:1719년 기독교 = = 분류:1979년 국제 관계 = = 이타노 = 이타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타노정 이타노군 이타노역 이타노 토모미: 가수 = 당신은 몇번째인가요? = 당신은 몇번째인가요?는 2011년 공개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안나 페리스 크리스 에반스 = = = 조연 = = = 아리 그레이너 블리드 대너 에드 비글리 주니어 올리버 잭슨 코헨 헤더 번스 엘리자 쿠페 케이트 심세스 티카 섬터 조엘 맥헤일 재커리 퀸토 데이브 어네이블 앤디 샘버그 크리스 프랫 이바나 밀리세빅 제니퍼 귤라메티 토마스 레논 안소니 마키 아만다 휘트크로프트 빌리 'V' 비겐트 헌터 윌리초스키 제프리 코라지니 데일 플레이스 제프 마티뉴 프랭키 임버가모 브라이언 브래드버리 도널드 워녹 에드 지웻 안소니 라이오스 다니엘 페리 스콧 뉴프빌 앤디 자스민 체미 체-므폰다 빅 클레이 에미 패르즈 수잔 패르즈 데이빗 J. 가필드 댄 마셜 로버트 메지엘로 살바토레 산토네 스트림 조지 J. 베지나 마틴 프리먼 = = 기타 = = 미술: 존 빌링톤 세트: 데니즈 피지니 의상: 에이미 웨스트콧 배역: 캐슬린 초핀 = 오피셜 차트 컴퍼니 = 오피셜 차트 컴퍼니(Official Charts Company, OCC)는 영국의 음악 차트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 M79 = M79 또는 M-79는 다음을 가리킨다. M79 (천체) : 토끼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 M79 유탄 발사기 : 미국이 사용한 개인 휴대용 유탄발사기 = 분류:적도 기니의 정치인 = = 대구장기초등학교 = 대구장기초등학교(大邱長基初等學校)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 연혁 = = 1997년 11월 6일 : 대구장기초등학교 설립인가 2000년 9월 1일 : 대구장기초등학교 개교 (474명, 14학급 편성) 2000년 9월 1일 : 초대 김 기 교장 부임 2000년 10월 22일 : 개교기념일 2004년 5월 1일 ~ 2005년 2월 28일 : 방과후 교실 정책연구학교(교육인적자원부) 2004년 9월 8일 :' 장기 꿈나무 도서관 ' 개관 2007년 12월 26일 :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표창 (2007, 2008 교육감) 2007년 12월 26일 : 교내 자율장학활동 우수학교 표창 (2007, 2008 교육감) 2007년 12월 26일 : 컨설팅 장학 우수학교 표창 (2007, 2008 교육감) 2007년 12월 28일 : 이러닝 운영 활성화 우수학교 표창 (2007 교육감) 2008년 12월 24일 : 교실수업개선 우수학교 상장(2008 교육감) 2010년 9월 1일 : 제5대 양범호 교장 부임 2010년 10월 6일 : 장애인 편의시설 (장애인 손잡이, 점자블록) 설치 2010년 11월 4일 : 학교스포츠클럽 육상경기대회 육상부문 여초부 준우승 (2010 교육감) 2010년 11월 18일 : 교실수업개선 우수학교 상장 (2010 교육감) 2010년 11월 22일 : 주제가 있는 학교특색 경영 상장 (2010 교육감) = = 상징 = = 교화 - 장미 : 언제 보아도 향기롭고 아름다운 모습은 장기 어린이의 고운 마음이다. 교목 - 은행나무 : 곧고 크게 자라 남에게도 도움을 주는 장기 어린이의 표상이다. = 김육룡 = 김육룡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한국어, 중국어가 가능하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2003년 《황산벌》 - 당 고종 역 (특별출연) 2010년 《평양성》 - 당 고종 역 (특별출연) = = = 드라마 = = = 2003년 KBS 《무인시대》 - 젊은 만적 역 2004년 KBS 《불멸의 이순신》 - 왜군 장수 간 미치나가 역 2004년 KBS 《해신》 - 당나라 무령군 장수 역 2006년 KBS 《서울 1945》 - 대한민청 조사과장 신영균 역 2008년 KBS 《대왕 세종》 - 건주여진 올량합 책사 심타 역 2010년 KBS 《전우》 - 중공군 장교 역 2014년 KBS 《정도전》 - 명나라 사신 채빈 역 = 드로플레톤 = 드로플레톤(dropleton) 또는 양자 드로플렛(quantum droplet)은 전자들과 양공 들이 반도체 속 안에 모여 이루는 준입자이다. 드로플레톤은 많은 다른 준입자들과 다르게 액체의 성질을 보이지 않는다. 2014년 2월 26일 네이처지에 드로플레톤이 만들어진 사실이 처음 공표되었고 이것은 짧은 파장의 레이저 펄스에 의해 갈륨비소 양자 우물 안쪽의 양공 플라즈마에서 드로플레톤이 생성된다는 증거를 제공했다. 드로플레톤의 존재는 실험 이전에는 예견되지 않았다. 25피코초의 짧은 수명에도 불구하고 드로플레톤은 연구될 만큼 안정하고 양자 역학에서 관심을 끌만한 흥미로운 성질을 가진다. 드로플레톤은 200나노미터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 한마음혈액원 = 한마음혈액원은 비영리법인으로 대한민국 국가 혈액사업을 수행하는 공공단체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혈액공급이라는 국가혈액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고, 혈액사업을 민간에 규제했던 것에 대한 개선의 일환으로 1999년 대통령령에 의거하여 국내 혈액사업에 의료기관도 참여 하도록 혈액관리법이 개정됨에 따라, 2002년 5월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아 설립되었다. 현재,수도권에 헌혈카페 16곳과 헌혈차량 10대를 통해 개인헌혈 및 단체.출장 헌혈 등을 실시하고 있다. 헌혈 금장.은장 등의 헌혈유공자 수여자의 헌혈횟수에는 한마음혈액원과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이 모두 포함된다. 본원은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에 자리하고 있다. = 설상차 = 설상차(snowmobile, snowmachine, snow scooter or skimobile)는 겨울 여행과 레크리에이션을 목적으로 눈 위를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된 전동차이다. 눈과 얼음 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고 도로나 트레일을 따로 요구하지는 않으나 대부분은 개방된 지역 위에서 운전된다. 설상차 운전(Snowmobiling)은 수많은 사람들이 진지한 취미로 즐기는 스포츠이다. 구형 설상차는 2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 제조된 대부분의 설상차는 한 사람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 역사 = = 1911년, 24세의 Harold J. Kalenze는 캐나다주 매니토자 브랜든에서 차량 프로펠러(Vehicle Propeller)의 특허를 냈다. = 분류:일본의 선승 = = 나고은 = 나고은(羅高恩, 1999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 그룹 퍼플키스의 멤버이다.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하여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재학 중 RBW에 연습생으로 캐스팅되어 2021년에 걸 그룹 퍼플키스의 일원으로 데뷔한다. = = 생애 = = 1999년 광주광역시 남구에서 태어났다.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재학 중인 2017년 5월, 한 연예 기획사 캐스팅 오디션에 합격하여 RBW에 최종 합격하여 연습생으로 발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2017-2020: 연습생 = = = 나고은은 연습생으로 발탁된 이후, JTBC의 2017년 오디션 프로그램인 믹스나인에 출연을 도전했으나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고은은 2017년 5월 이후부터 RBW의 연습생으로 소속되었다. 2018년 2월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RBW의 연습생 그룹인 365 Practice에 소속되어 대중에게 인지도를 알렸다. 이후 나고은은 2018년 4월경 시작된 엠넷의 서바이벌 오디션 PRODUCE 48에 도전하여 같은 소속소라는 박지은과 함께 출연하게 된다. 좋은 음색과 함께 보컬리스트로서 기량을 드러내며 조유리 등과 경쟁하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최종 29위로 탈락하여 데뷔에 실패한다. PRODUCE 48에 탈락한 나고은은 다시 365 Practice로 복귀하여 활동을 계속한다. 주목 받기 쉽지 않은 환경인 연습생 그룹 특성 상, 정식 방송 활동보다는 모바일·OTT 미디어 등에서 활동을 이어 나간다. 나고은은 2019년 4월, OCN의 드라마 빙의의 사운드트랙을 녹음하여 발표한다. 이는 PRODUCE 48의 음반에 이어 나고은이 가창한 두번째 음반이며, 나고은의 첫 단독 음반이다. 이어 2개월 후인 6월에 '내 맘 같지 않네요 (feat. 나고은)' 음원을 녹음하여 발표했다. = = = 2020-현재: 퍼플키스 = = = 2020년 7월부터 365 Practice의 공식 데뷔가 발표되었다. 이후 2021년 3월, 퍼플키스 데뷔 쇼케이스를 통해 데뷔한다. 가창 실력과 함께 작사 및 작곡에도 참여하는 이른바 싱어송라이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 = 음반 목록 = = = = = 사운드트랙 = = =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빙의 OST Part 5 발매일: 2019년 4월 4일 레이블: 스타앤트리이엔티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스트리밍 1. 날아 2. 날아 (Inst.) 학교 2021 OST Part 1 발매일: 2021년 11월 24일 레이블: 카카오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스트리밍 1. dream on 2. dream on (Inst.) = = = 음원 = = = = = = = 참여한 음원 = = = =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참여 비고 2018 너에게 닿기를 PRODUCE 48 - 30 Girls 6 Concepts V/A(기억 조작단) 가창 2019 내 맘 같지 않네요 (feat. 나고은) 내 맘 같지 않네요 런치박스 피처링 = = = 제작 참여 음반 = = =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참여 참여 비고 연도 음원 음반 아티스트 작사 작곡 비고 2021 Ponzona INTO VIOLET 퍼플키스 강지원, 수안 공동 작사·작곡, 유키 공동 작사 2021 Skip Skip INTO VIOLET 퍼플키스 강지원 공동 작사·작곡, 유키 공동 작사, 채인 공동 작곡 2021 마침표 INTO VIOLET 퍼플키스 박지은, 도시, 이레, 유키, 채인, 수안 공동 작사·작곡, 정홍림 공동 작곡 2021 새벽 2시 HIDE & SEEK 퍼플키스 Davve, 채인, 도시 공동 작사·작곡, 박지은, 이레, 유키, 수안, 공동 작사, 권석홍, 김홍규 공동 작곡 2022 Pretty Psycho memeM 퍼플키스 김도훈, 강치원, 유키 공동 작사 = = 작품 목록 = = = = = 방송 = = = 연도 방송사 제목 기간 역할 비고 2018 Mnet 프로듀스 48 6월 15일~8월 24일 연습생 29위 (탈락) 2021 EBS 최고의 요리 비결 6월 21일~6월 30일 게스트 = = 학력 = =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광주동성여자중학교 졸업 = 탐정 큐 = "탐정 큐"(Sim Hyung-Rae, The Detective)는 한국에서 제작된 남기남 감독의 1985년 코미디, 가족 영화이다. 심형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김화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심형래 = = = 조연 = = = 김동현 주호성 원준희 홍미애 김복화 = = 기타 = = 제작실장: 김이철 촬영부: 박경원 촬영부: 최정우 조명: 강광호 조명부: 조영철 조명부: 김주생 조명부: 이관 스틸: 노기흘 조연출: 조성구 조연출: 김태룡 스크립터: 최은실 녹음: 김성찬 분장: 장인한 소품: 이원우 효과: 이재희 = 베를린 패션 위크 = 베를린 패션 위크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패션 위크이다. 1년에 1월과 7월, 두 번 베를린에서 열린다. 2007년 설립됐다. = 오야촌 (후쿠시마현) = 오야촌(大屋村)은 후쿠시마현 니시시라카와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태국인 = = 윌리엄 칭 = 윌리엄 칭(William Ching, 1913년 10월 2일 ~ 1989년 7월 1일)은 미국의 가수, 배우, 텔레비전 배우이다.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났으며 터스틴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심부전이다. = = 영화 = = 더 매그니피슨트 마타도르 (1955년) 스케어드 스티프 (1953년) 그녀에게 기회를 (1953년) 팻과 마이크 (1952년) 고독한 영혼 (1950년) - 테드 바튼 역 죽음의 카운트다운 (1950년) 아윌 비 유어스 (1947년) 섬씽 인 더 윈드 (1947년) = 전싱구 = 전싱구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 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80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40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6개 가도, 1개 진, 2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 头道桥街道, 站前街道, 临江街道, 六道沟街道, 帽盔山街道, 纤维街道. 진: 浪头镇, 安民镇. = Strobe (노래) = Strobe는 2010년 2월 23일에 발매된 데드마우스의 노래이다. = 류지례 묘소 = 류지례 묘소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에 있다. 2015년 4월 17일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 = 개요 = = 문화류씨 문평군파가 옥산에 세거한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이다. 류지례 묘소 * = 분류:함부르크의 철도역 = = 분류:브롱크스의 학교 = = HR 1614 = HR 1614는 에리다누스자리에 있는 분광쌍성이다.(표에 있는 정보는 주성의 자료이다) 이 별은 중원소가 풍부한 주계열성으로, 이는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가 항성에 많이 있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 HR 1614는 태양보다 90퍼센트 정도 중원소가 더 많다. 활동주기는 11.1년이다. HR 1614 항성계는 적어도 9개의 별로 구성된, 우주 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공유하는 이동성단의 일원이다. 이 이동성단의 구성원들은 HR 1614처럼 중원소가 풍부하며, 이는 이들이 같은 장소에서 한꺼번에 태어났음을 시사한다. 태양에 대한 이들의 우주 속도는 초당 59 킬로미터이다. 이동성단의 나이는 약 20억 년으로 추정된다. = 인도네시아 연대당 = 인도네사아 연대당(-連帶黨, )은 인도네시아의 정당이다. PSI라고도 한다. = = 역대 선거 결과 = = = = = 총선 = = = 년도 의석 수 득표수 득표율 2019 2,650,361 1.89% = = = 대통령 선거 = = = 선거명 후보 1차 득표수 1차 득표율 2차 득표수 2차 득표율 당락 2019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 조코 위도도 85,607,362 55.50%     당선 = 윤서결 = = 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 제30회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100m 경기는 2012년 8월 4-5일에 걸쳐 영국 런던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렸다.Athletics at the 2012 Summer Olympics = 틀:요즘 화제 처음/2016년 8월 12일 =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싱가포르의 수영선수 조지프 스쿨링이 접영 100m에서 50초39의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싱가포르의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이다. 이 경기에서 3명이 공동 은메달을 기록하며 동메달 수상자가 없게 되었는데, 이는 올림픽 사상 최초의 일이다. = Play (모비의 음반) = Play는 1999년 5월 17일에 발매된 모비의 음반이다. V2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 세그멘테이션 =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은 다음을 가리킨다. 메모리 세그멘테이션(memory segmentation) 이미지 세그멘테이션(image segmentation) = 분류:2022년 지중해 게임 사격 참가 선수 = = 이리에 사아야 = 이리에 사아야, 예명 사아야는 일본의 여배우, 성우, 아이돌 가수다. 최근 영화, 라디오, 지옥소녀 실사 TV 드라마 시리즈를 포함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에서 출연하고 있다. 일본 팝그룹 스위트 키스(현재 해체)의 원년멤버였으며, 2006년부터 그룹 체이스에서 활동한다. 2009년 3월엔 중국 네티즌이 꼽은 일본 최고의 모델로 뽑히기도 했다.궈바이루·김윤혜·이리에사아야, 中 네티즌이 꼽은 최고의 모델~ = = 주니어 그라비아 아이돌 활동 = = 이리에 사아야는 중학생 비키니 모델로 명성을 얻었다. 한번은 그의 비키니 사진이 인터넷으로 유출된 적이 있었는데,"Monthly Bunshun (주간 분슌)" No.May 19, 2005 (was published on May 11, 2005) 사아야의 매니저는 사아야가 그 사건 이후로 비키니 사진을 더 찍긴 했지만 그녀의 비키니 사진을 소유하는 것은 자제하겠다고 말했다. = = 사생활 = = 그라비아 아이돌로 데뷔한 뒤에도 후쿠오카현에 거주하고 있으며, 가장 친한 친구는 밴드 이름 체이스를 지은 위안 순(Yuan Sun)이다. 紗綾:留奈、梨央と中学生アイドルが主演 ドラマ「激闘!アイドル予備校」 - MSN / 마이니치 신문 = = 출연 목록 = = = = = TV 프로그램 = = = Kyuyo Meisai (TV 도쿄) 결투! 아이돌 예비학교 (2006년 7월) 내각권력범죄 강력수사관 자이젠 조타로 (아사히 방송) 지옥소녀 (2006년 11월 4일, 닛폰 TV방영, 실사, 시바타 츠구미 역) 만화끽다도시전설 = = = 라디오 프로그램 = = = 격투! 아이돌 예비학교. (오사카 방송,2006년 6월) = = = 영화 = = = 신의 왼손 악마의 오른손(神の左手 悪魔の右手,2006년) 시부야 괴담 (2006년) 꽃게 골키퍼(かにゴールキーパー,2006년) 나고야 살인사건 (口裂け女,2007년) (나카지마 시호 역) 푸시 스프 (2008년) = = = 웹 프로그램 = = = It's your CHOICE! episode 2 = = 음반 활동 = = = = = Chase = = = Chase Me! (1st single) = = = Sweet Kiss = = = Baby Love (일본 애니메이션 OVA 오늘의 5의 2 오프닝) 약속(Yakusoku) (일본 애니메이션 OVA 오늘의 5의 2 엔딩) = = DVD = = = = = 스위트 키스 = = = 스위트 키스 (2005년 5월, Elk Heart Promotion) Very Sweet Vol.2 (2005년 12월, Elk Heart Promotion) = = = Chase = = = 격투!아이돌 예비학교. 사아야 루나 리오(2006년 9월, E-Net Frontier) = 누노 메로 = 누노 메로(Nuno Melo, 1960년 2월 8일 ~ 2015년 6월 9일)는 포르투갈의 배우이다. 카스텔루브랑쿠에서 태어났으며 리스본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간암이다. = = 영화 = = 댐드 썸머 (2017년) 델리리움 인 라스 베드라스 (2017년) 업사이드 다운 (2014년) 3X3D (2013년) 헤이 로드 (2012년) 남작 (2011년) - 남작 역 자넬라 (2001년) = 다케시키촌 = 다케시키촌(竹敷村)은 나가사키현 시모아가타군에 설치된 촌이다. = 담치류 = 담치류는 원새아강을 제외한 여러 가지 이매패류를 부르는 말이다. = 쿠로세 마나미 = 쿠로세 마나미(, 1991년 12월 25일 ~ )는 일본의 전 배우, 가수이다. 사이타마현 출신. 신장은 164cm, 혈액형은 O형이다. = = 약력 = = 2006년 1월 9일 제6회 도호 신데렐라 오디션에서 3만 7,443명 중에서 그랑프리(대상)을 수상했다. - 도호 (2006년 1월 9일) 같은 해 영화 러프 ROUGH로 배우 데뷔.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TOKYO FM DIGITAL RADIO 701 〈The Rooms〉에서 이 오디션에서의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한 이케자와 아야카, 마스모토 유코 등과 퍼스널리티를 맡았다. 2007년 6월 출연 영화 비잔이 제10회 상하이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어 이누도 잇신, 미야모토 노부코 등과 상하이에서 각 이벤트에 참가. 이 작품은 관객상을 수상했다. 2007년 7월기 연속 드라마 아름다운 그대에게(후지 TV)에 고정 출연해 드라마 데뷔. 2007년 제2회 갸오디션 주최의 라이라의 모험 황금 나침반 판타지 여주인공 오디션에 참가. 5,104명 중에서 2차 심사를 통과하고 준결승 12명까지 남았다. 2008년 8월 13일 자신의 작사도 다룬 싱글 〈추억 별/웃으며〉로 가수 데뷔. 할리우드 영화 미이라 3: 황제의 무덤의 일본 기자 회견에서 이 작품 일본어 버전 이미지 송의 〈추억 별〉을 부르며 첫 라이브를 실시했다. 2010년 6월 소속 사무실로부터 학업 우선을 이유로 예능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그 내용은 불명으로, 2017년 현재도 공식 발표 등은 없고, 사실상 은퇴한 상태이다. = = 인물·에피소드 = = 3세까지 사이타마현 한노시, 13세까지 도쿠시마현 요시노시·나루토시, 중학교 졸업까지는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서 자랐다. 취미는 독서, 작사, 음악 감상, 노래, 그림 그리기, 특기는 서예, 장거리 달리기, 아와오도리(남자 춤)이다. 일본어 문장 능력 검정 5급, 영어 검정 준 2급의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일본인보다 홍채가 밝은 갈색으로,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서 흔히 “하프 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지만, 순수 일본인이다. 양손잡이다. 원래는 왼손잡이, 어릴 때 젓가락과 연필을 사용한 손은 부모에게 오른손에 바꿔달라고 요청했지만 가끔 왼손잡이가 나와 버리는 일이있다. 아이들과 동물 (특히 개)를 좋아하고 음식은 바나나가 골칫거리. 여배우가 안됐을 경우에 미래에 보육사가 되고 싶었다. 본가에서는 잡종을 2마리 기르고 있다. 2005년 5월 어머니가 인터넷에서 도호 신데렐라 오디션을 알고 권유받은 것이 오디션을 본 계기였다. 결전 대회의 특기 피로는 kiroro의 〈베스트 프렌드〉를 불렀다. 심사위원 특별상의 마스모토 유코는 지역 예선 때 만나 친구가 되었다. 2007년 3월에 도쿄에 상경, 도내의 사립 고등학교에 입학. 마스모토 유코와 소속 사무실 및 기숙사에서 룸메이트를 하고 있었다.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러프 ROUGH (2006년, 도호) - 도우카이린 미도리 역 비잔 (2007년, 도호) - 고노 사키코 (14세) 역 숨은 요새의 세 악인 THE LAST PRINCESS (2008년, 도호) - 미츠 역 Love is ... Shine at 타이완 (2009년, 유니버설 뮤직) - 주연 제너럴 루주의 개선 (2009년, 도호) - 아키코 (자살 환자) 역 = = = 텔레비전 드라마 = = = 아름다운 그대에게~미남♂파라다이스~ (2007년 7월 ~ 9월, 후지 TV) - 이마이케 코마리 역 아름다운 그대에게~미남♂파라다이스~ 졸업식 & 7과 1 / 2 화 스페셜 (2008년 10월 12일, 후지 TV) 스무살의 연인 (2007년 10월 ~ 12월, TBS) - 이노우에 리사 역 태양과 바다의 교실 (2008년 7월 ~ 9월, 후지 TV) - 키하야시 유나 역 TV 아사히 개국 50주년 기념 드 라마 〈마쓰모토 세이쵸 탄생 100년 특별기획 『의혹』〉 (2009년 1월 24일, TV 아사히) - 시라카와 타마코 (중고생 시절) 역 = = 그 외 출연 = = = =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 얏타맨 제24화 〈USA 선거는 대접전이다 결장!〉 (2008년 9월 8일, NTV) - 쿠로세 선생 (더빙) = = = 라디오 = = = The Rooms (2006년 ~ 2007년, TOKYO FM 디지털 라디오 701ch) - 퍼스널리티 = = = PV = = = SHOWTA. 〈소원 별〉 (2006년) 쿠로세 마나미 〈추억 별〉 (2008년) 쿠로세 마나미 〈웃으며〉 (2008년) 쿠로세 마나미 with 12명의 바이올리니스트 〈사랑 가상 곡〉 (2008년) 쿠로세 마나미 〈Love is ... Shine〉 (2009년) = = 서적 = = = = = 사진집 = = = 제6회 도호 신데렐라 사진집 〈with ..〉 (2008년, 분카사) - 제6회 도호 〈신데렐라〉 3명의 사진집 = = = DVD = = = 스케치북 오브 러프 나가사와 마사미 x 하야미 모코미치 영화 〈러프 ROUGH〉 탐색 DVD (2006년, 도호) - 출연·내레이션 쿠로세 마나미 Crescendo 크레센도 (2008년 2월 29일, 분카사) First!~short movie and video clips ~ (2009년 3월 25일, 유니버설 J) = = 음반 = = = = = 싱글 앨범 = = = 추억 별 / 웃으며 (2008년, 유니버설 J) - 양 A면 싱글 사랑 가상 곡 (2008년, 유니버설 J) - 〈쿠로세 마나미 with 12명의 바이올리니스트〉 명의 Love is ... Shine / 졸업 (2009년, 유니버설 J) = = = 정규 앨범 = = = 16세 (2009년, 유니버설 J) = 스파크스 (밴드) = 스파크스(Sparks)는 미국의 밴드이다.1970년에 론 맬 (키보드)과 러셀 맬 (보컬) 형제에 의해 결성되었다.처음에는 하프넬슨 (Halfnelson)이라는 이름이였다. = 교사형 = 교사형(絞死刑: Koshikei, Death By Hanging)은 일본에서 제작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1968년 영화이다. 아다치 마사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아다치 마사오 이시도 토시로 코마츠 호세이 코야마 아키코 오시마 나기사 사토 케이 와타나베 후미오 = = 기타 = = 미술: 토다 주쇼 = 조지 블래그든 = 조지 블래그든(, 1989년 12월 28일 ~ )은 잉글랜드의 배우로, 레 미제라블의 그랑테르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출연 작품 = = 노 포스티지 네서세리 (2017) 바이킹스 시즌4 (2016) 베르사유 시즌1 (2015) 블라이트 (2015) 바이킹스 시즌3 (2015) 블러드 문 : 나바호의 전설 (2014) 바이킹스 시즌2 (2014) 더 필라서퍼스 (2013) 바이킹스 시즌1 (2013) 레미제라블 (2012) 타이탄의 분노 (2012) = 참마 = 섬네일 참마는 열대덩굴성 식물로 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Dioscorea japonica이다. = = 분포 = =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서아프리카와 뉴기니에서는 참마가 주요 농작물이다. = = 특징 = = 원기둥 모양의 육질 뿌리가 있으며, 줄기는 뿌리에서 나와 길이 2m 정도로 뻗고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기하지만 간혹 어긋나기하는 것도 있으며 잎자루가 길고 긴타원형 또는 좁은 삼각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겨드랑이에서 주아(珠芽)가 발달한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6~7월에 노란색을 띤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1~3개의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수꽃 꽃차례는 곧게 자라고 암꽃 꽃차례는 밑으로 처진다. 수꽃에는 수술, 꽃덮이열편이 6개씩 있고 1개의 암술 흔적이 있다 암꽃에는 6개의 꽃덮이열편과 1개의 씨방이 있다. = = 이용 = = 열매는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다. 뿌리는 식용하며, 갑상선종·심장염 및 해독·건위·화상·동상·요통·유종 등의 약재와 강장제 및 지사제로도 쓰인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참마를 삶은 뒤 잘 으깨서 두꺼운 반죽으로 만들어서 수프와 함께 먹는다. = 분류:이집트에 거주한 크로아티아인 = = 삼례역 (역참) = 삼례역(參禮驛)은 지금의 전북 완주군 삼례읍 자리에 있었던 역참이다. = = 역사 = = 삼례역은 고려 때 전공주도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역참이었다. 조선 초기에 재편되면서 삼례도에 속하게 되었다. 일설에는 삼례(參禮)라는 이름이 왕자의 난에 의해 전주부로 내려간 회안대군을 향해 사람들이 세 번 절했다 해서 붙여졌다고 하지만, 고려사와 같은 이전 기록에도 삼례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어 전후가 맞지 않는다. = = = 근대 이후 = = = 1894년 전봉준은 삼례역 역촌의 저막에서 4천 여명의 농민과 모여 동학 농민 운동 3차 봉기를 일으켰다. 그는 이후 심문에서 전주부에서 저막이 많은 편이고 도로가 네 방향으로 뻗어 있어서 삼례역을 택했다고 밝혔다. 1896년 갑오개혁으로 역참 제도가 폐지되었다. 이후 1914년 철도 삼례역이 설치되었다. = 분류:대한민국의 제3대 국회의원 틀 = = 미야기현 제5구 = 미야기현 제5구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1994년 공직선거법이 개정되면서 신설되었다. = = 지역 = = 이시노마키시 히가시마쓰시마시 오사키시 (옛 산본기 정·마츠야마 정·가시마다이 정· 다지리정 일대) 미야기군 마쓰시마정 구로카와군 오사토정 도다군 오시카군 모토요시군 2013년 선거구 개편으로 오사키시의 옛 가시마다이 정, 마츠야마 정, 산본기 정 일대가 미야기현 제4구에서 제5구로 넘어왔다. 또한 2017년 선거구 개편으로 미야기군 마쓰시마정과 구로카와군 오사토정이 미야기현 제4구에서, 모토요시군 미나미산리쿠정이 미야기현 제6구에서 넘어왔다. =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선거 의원 정당 1996년 제41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00년 제42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03년 제43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05년 제44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09년 제45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12년 제46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14년 제47회 아즈미 준 민주당 2017년 제48회 아즈미 준 무소속 = 이라크의 지질 = 이 문서는 이라크의 지질을 다루는 문서이다. = = 역사 = = 이라크에서 표면에 노출된 가장 오래된 암석은 캄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 하부르강 규암층의 일부다.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으며 1997년 기준으로는 캄브리아기의 바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라크 북동부는 네오 테티스의 연장 단층과 암석의 소성 변형으로 지각이 얇아지고 있다. = = = 고생대 = = = 고생대에는 아라비아판은 아프리카판의 연장선상에 있었고 곤드와나의 일부는 고테티스해를 북쪽으로 향하고 있었다. 전체 퇴적암 두께가 4km나 되지만 그라벤스는 두껍게 퇴적됐다. 서부 사막 굴착은 석영 광상 형성부를 1.67km나 뚫고 깊이는 3km로 추정됐다. 실루기 후기에는 칼레도니아 기원을 위해 퇴적이 두 번 정지했고, 그 결과 석탄기와 페름기의 퇴적이 중단됐다. 하부르강 규암층은 악카즈 편대로 덮여 있다. 데본기의 피리스피클레드와 샤르키 화산은 오라셰르 강과 일련의 석회암 형성과 함께 카스키아해의 세계적인 해양 침해 행사와 관련돼 있다. 페름기에 퇴적된 갈라 편대와 찌아자일리 석회암 편대. 찌아자일리 바위는 두꺼워 800m까지 있으며 61m의 사티나 에버폴라이트 멤버가 아라비아판을 아나톨리아판과 이란판으로 분할하는 시작이다. 초기 석탄기의 할석회암 형성은 퇴적물의 현저한 변화를 보여 중생대와 신생대에 계승되었다. 이라크 북부에서는 석회암, 이회토, 증발암, 페이지암이 지배적인 암석이 되었고 남부에서는 쇄설암과 석회질암이 혼합되었다. = = = 중생대 = = = 중생대에는 아나톨리아판과 이란판이 완전히 분리되면서 신테티스해가 생성됐다. 메소포타미아대(일명 메소포타미아 곶)와 이라크 중부에는 특히 두꺼운 퇴적 배열이 있었다. 이 바위들의 굴곡부에서는 보통 남북축을 이룬다. 전륙절대에서는 암석이 난류나 해저 선상지의 흔적을 보여준다. 베르페니안에 퇴적된 24 m의 베두 셸 광상은 200 m의 미르가 미르 석회암을 덮고 있다. 두께 575 m의 아니스기와 라디니아기의 제리 가나 편대로 덮여 있다. 이들 단위는 지각의 인상과 이란판의 분리에 따라 급속히 침하되면서 퇴적됐다. 레이테족으로 형성된 36 m짜리 발루티셰르 대형은 834 m짜리 카니안 노리안 카를라 차이나 대형과 303m짜리 사르키 대형으로 덮여 있다. 더 나아가 남쪽에서는 라군 조건에 따라 부트마 형성, 아다이아 안히드라이트, 송어 석회암, 알란 안히드라이트, 살겔 형성이 형성되었다. 나지마와 고트니아의 대형은 카로비안과 티토니안의 시대에 배치됐다. 쥐라기 내내 나르 오므르, 마우다드, 루토바, 그리고 무사드의 대형은 현재의 서부 사막에 축적됐다. 포어랜드 폴드 벨트는 762 m의 바란보 형성을 포함한 석회질과 알길라이트를 축적했다. 백악기에서는 펜지윈슐레어 복합체로서의 오피올라이트, 크루클라 라디오라이트, 곽크 시리즈 화산이 대륙지 분지로 270 m에 이르는 퇴적물이 보인다. 카탈라쉬 화산암은 상승과 맨틀 대류의 후호 확산을 나타내고 있다. 레드베드 시리즈는 네오테티스 해의 지각이 가라앉으면서 아나톨리아판과 이란판 밑에서 소비되던 침적존 근처에 쌓였다. 나오푸르단 그룹, 기모 칸딜 그룹, 왈라쉬 화산이 전호와 후호 환경에서 형성됐다. 코로슈 바위와 탄젤로 바위의 형성 쇄설 바위는 아라비아판 대륙연에 남아 있던 네오테티스 해의 플라이시 퇴적물에 의한 것이다. = = = 신생대 = = = 마스트리히트식과 구신세식을 합친 퇴적물은 불과 2.79 km에 이른다. 신생대 동안 아라비아판은 네오 테티스 해가 완전히 폐쇄되면서 아나톨리아판과 이란판 아래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얕은 바다와 라군이 경관을 지배하면서 게르카스 편대 같은 주기적인 증발물이 퇴적했다. 그 외 지역에서는 대륙성 빨간색 침대가 축적돼 있었다. 키르쿠크의 대규모 호스트인 커크 그룹은 올리고 신세에서의 이들 침식 사이클 사이에 퇴적했다. 묵다디야와 바이 하산의 2.5 km의 규암이 알프스 조산 운동에 형성되었다. 디브디바와 자흐라의 합계 354 m의 규암이 준 플랫폼에 배치되어 있다. 지하단층은 자그로스 산맥이 형성되기 시작한 기원의 전형이다. = 분류:팔라우의 통신 = = 이나카와정 = 이나카와정(若美町) 아키타현 오가치군에 존속되었던 정이다. 동서로 산에 낀 마을로 2005년 3월 22일 유자와시, 오가치정, 미나세정과 합병해 새로운 유자와시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폐지되었다. = = 역사 = = *1956년 9월 30일 - 이나니와촌, 가와쓰치촌, 미쓰나시촌과 합병해 이나니와카와즈레정이 되었다. *1966년 4월 30일 - 이나카와정으로 개칭하였다. *2005년 3월 22일 - 구 유자와시 오가치정, 미나세정과 합병해 유자와시가 되어 소멸하였다. = 저우리치 = 저우리치(周麗淇, 주여기, 주려기, 본명은 周麗琪, 영문명은 Niki Chow, 1979년 8월 30일 ~ )는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의 배우, 가수이다. = = 생애 = = 홍콩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1982년 이후 홍콩에서 본격 성장하였고 그 후 그녀는 1999년 광고 모델로 첫 데뷔 후 2001년 홍콩 영화 옥녀첨정(玉女添丁)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으며 2004년부터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기 시작하였고 2005년 가수 데뷔하였다. 같은 해 2005년 수필가로 첫 입문을 하였고 이듬해 2006년 소설가로도 첫 입문하였다. 그녀의 언니는 홍콩 패션 모델 출신의 방송인 겸 수필가인 저우원치(周汶錡)이다. = 포스브로 = 포스브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하는 업체다. = 분류:무사시 대학 동문 = = 밸리 포지 = 밸리 포지(Valley Forge)는 미국 독립 전쟁 중인 1777년에서 1778년 사이에 대륙군이 동계에 주둔한 곳으로 필라델피아에서 북서쪽으로 약 20마일 떨어진 펜실베이니아에 위치하고 있다. 그때까지 대륙회의의 개최 장소이자, 실질적인 수도의 역할을 했던 필라델피아가 영국군에 점령당하고, 그 겨울 조지 워싱턴 장군은 가장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지만, 군대 재교육을 활성화시키는 시기가 되기도 하였다. 1778년 프랑스가 미국과 동맹을 맺고 참전한 해지만, 이후 몇 년 동안 미국 독립 전쟁은 지리한 소모전 양상을 보였다. 굶주림과 질병 그리고 동상으로 1778년 2월말경에는 거의 2,500명의 미합중국 군인들이 사망했다. = =슈토이벤 남작 = = 워싱턴은 슈토이벤 남작의 도움으로 대륙군을 제대로 된 군대로 만들 수 있었다. 동맹국인 프랑스군과 함께 새로운 전쟁 국면이 시작된 것이다. 슈토이벤 남작은 일찍이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의 참모 본부의 일원이었다. 프로이센 육군을 떠나 일이 없자, 자신의 군대 경험을 패이트리어트를 위해 살리려고 지원해왔다. 프랑스를 거쳐 1778년 2월 23일에 밸리 포지에 도착했을 때, 벤저민 프랭클린의 소개장을 들고 있었다. 워싱턴은 이 프로이센 군인에게 큰 기대를 갖고 즉시 감찰관으로 임명했으며, 효과적인 훈련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임무를 맡겼다. 처음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대륙군은 표준화된 훈련 지침서가 없었던 데다 슈토이벤은 거의 영어를 구사하지 못했다. 슈토이벤은 좌절하지 않고 초안을 프랑스어로 썼다. 그의 부관이 늦게까지 깨어 영어로 번역했다. 번역된 지침서는 사본을 만들어 각 연대나 중대에 배포되었고, 다음 날에는 훈련에 사용되었다. 슈토이벤은 병사들을 직접 움직이게 함으로써, 대륙군 장교들의 전통을 깨고 충격을 주었다. 어떤 장교는 슈토이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그의 명령에 특유의 품위가 있어서, 일단 병사들을 귀신처럼 복종시켰다.” 새벽부터 저녁까지 슈토이벤의 친근한 목소리가 캠프 안에 들렸고, 행진하는 병사의 소리와 명령하는 함성이 있었다. 곧, 중대, 연대 또한 사단까지 제대로 횡대에서 종대로, 종대에서 횡대로 움직이며 정확하게 머스켓을 조작하였고, 총검으로 훈련된 공격으로 상상의 목표인 ‘레드 코트’(영국 군복)를 전장에서 배제할 수 있게 되었다. 1778년 5월 6일, 대륙군이 프랑스와 동맹과 참전을 축하하며, 열병식을 실시했을 때, 슈트이벤은 그 날 열병을 잘 이끌어 표창을 받았다. 그 날 당당한 행진은 통일된 미합중국군에게 최고의 볼거리였다. 대포로부터 축포가 발사되었다. 계속된 행사에서 수천의 머스켓을 가진 2열로 줄을 선 보병이 차례차례로 연속 사격을 실시하면서, 축포를 쐈다. 근처 일대에서 환성이 메아리쳤다. 동맹의 날에 군대가 보여준 잘 훈련된 제식과 절도의 훌륭함은 영국군을 물리치기 위해서 규율있는 유능한 전투 집단으로의 탈바꿈을 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워싱턴은은 슈트이벤의 도움으로 대륙군을 진정한 군대로 완성시켰다. 동맹군인 프랑스군과 함께 새로운 전쟁의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게 되었다. = =밸리 포지 공원 = = 이 주둔지 터는 1893년에 펜실베이니아 주립 공원이 되었고, 미국 건국 200년에 해당하는 1976년 7월 4일에는 밸리 포지 국립역사공원으로 되었다. 현재 공원에는 복원된 건물, 기념물 및 방문객에 간단한 소개 영상과 전시물을 보여주는 회관이 있다. = 분류:리비아의 건축가 = = 나이트 오브 데몬스 2 = 나이트 오브 데몬스 2(Night Of The Demons 2)는 미국에서 제작된 브라이언 트렌차드-스미스 감독의 1994년 공포, 코미디 영화이다. 크리스티 해리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나이트 오브 데몬스의 후속작이며 1994년 리퍼블릭 픽처스 홈 비디오에 의해 홈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2007년에는 라이온스게이트가 DVD로 출시하였다. 2013년 2월 19일 올리브 필름스는 와이드스크린 DVD와 최초 블루레이 릴리스를 출시하였다. 1997년 시퀄로는 나이트 오브 데몬스 3가 있다. = = 출연 = = = = = 주연 = = = 크리스티 해리스 대린 헤머스 로버트 제인 = = = 조연 = = = 멜 케네디 아멜리아 킨케이드 로드 맥커리 조니 모란 릭 피터스 제니퍼 로디스 크리스틴 타일러 조 트릴링 래드 요크 마크 닐리 레이첼 롱가커 = 분류:한신·아와지 대지진을 소재로 한 작품 = = 분류:인민연합 = = 분류:경상북도의 고등학교 = = 삿토 = 삿토(, 1321년 ~ 1395년, 재위: 1350년 ~ 1395년)는 산잔 시대 츄잔왕국(中山王国)의 제1대 왕이다. 신호(神號)는 오호마모노(大真物)이다. = = 가족 = = 아버지: 오쿠마 우후야(奥間大親) 어머니: 선녀(날개옷 설화) 왕비: 마나베타루(真鍋樽) 자녀: 장남: 부네이 차남: 사키야마 사토누시(崎山里主) 장녀: 테니챠이지소에가나시(天茶添按司加那志) = 분류:중화 타이베이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 이병학 (1957년) = 이병학(1957년 4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41대 부안군수를 역임했다. = 지예 = 지예(본명 송진숙, 1963년 1월 18일 ~ , 서울)는 대한민국의 작사가이자 가수이다. 고등학생 시절에 '미스 롯데' 입상자였다. MBC 탤런트 공채 13기이다. 두 권의 시집을 낸 시인이기도 하다.김주원. 전설의 작사가 지예 20년만에 ‘영혼의 팝아티스트’로 재조명. 서울경제. 2018년 5월 24일.임희원. 작사가 지예 “듣는 음악, 한 곡으로 인생 바꿀 수 있는 노래 쓰고 싶어”. 동아일보. 기사입력 2018년 2월 20일. 최종수정 2018년 3월 8일. = = 앨범 = = 1985.05.10 1집 눈물 1986.08.15 2집 이시간이 지나면 1990.01.30 3집 얘기하지 말자 1992.07 4집 Nostalgic 1998.06 5집 Change No Change 2007.11.30 蠱惑(고혹) (Single) 2015.11.20 바다 (Single) 2018.01.25 6집 SHE AND ME 2021.11.17 girl in sixty (걸 인 식스티) (Single) = = 작사 = = 원미연 <혼자이고 싶어요>, <바로 사랑이에요> 변진섭 <홀로된다는 것>, <로라> 이정석 <여름날의 추억> 임병수 <아이스크림 사랑> 소방차 <사랑하고 싶어> 김명철 & 박혜성 <그대 품안에> (1993년) 녹색지대 <기억> = 1193년 = = = 연호 = = 남송(南宋) 소희(紹熙) 4년 금(金) 명창(明昌) 4년 일본(日本) 겐큐() 4년 서하(西夏) 건우(乾祐) 24년 리 왕조(李朝) 티엔뜨자투이(天資嘉瑞) 8년 = = 기년 = = 남송(南宋) 광종(光宗) 4년 금(金) 장종(章宗) 4년 고려(高麗) 명종(明宗) 23년 서하(西夏) 인종(仁宗) 54년 리 왕조(李朝) 고종(高宗) 18년 = = 사건 = = 김사미·효심의 난 = 스팀 = 스팀은 다음을 가리킨다. 수증기 또는 가열된 수증기. 찜은 수증기로 음식을 요리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스팀은 밸브 코퍼레이션이 개발한 게임과 관련한 디지털 배급, 디지털 권리 관리, 멀티플레이어 플랫폼이다. 스팀펑크는 과학 소설에서 하부장르중의 하나이다. 스팀 보이는 오토모 가쓰히로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또는 동양이지텍사의 온수매트이다. = 분류:크로스드레싱을 소재로 한 영화 = = 무라타 타이시 = 무라타 타이시(村田太志, 1982년 5월 13일 ~ )는 일본의 남자 성우이다. = = 작품 = = = =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 유희왕 제알(토도로키 타카시) 전국 파라다이스 키와미(오오타니 요시츠구) 하이 스코어(하시바 아라시) 베이비 스텝 (마루오 에이이치로) *올 아웃!! (에부미 마사루) 불꽃 소방대 2장 (판다) = 신라의 국왕 = = = 개요 = = 신라에서는 군주의 칭호가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 등으로 여러 차례 바뀌었는데, 이런 변화는 신라의 발전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즉,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거서간과 차차웅으로 그 칭호가 나뉘게 되었고, 박·석·김의 3부족이 연맹하여 그 연맹장을 3부족에서 교대로 선출하게 될 때에 연맹장이란 의미에서 이사금을 칭하였다. 이후 김씨가 왕위세습권을 독점하면서 왕권의 강화를 위해 대군장이란 의미의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그 뒤 왕위상속제를 확립하고, 이어 6부를 개편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면서 마립간 대신 왕이란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국사 편찬 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 인적 자원부, 서울 2004. 50쪽 선덕, 진덕, 진성 세 임금은 사기에는 ‘왕’으로만 기록되어 있으나 ‘여왕’의 칭호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여왕’으로 한다. = = 전기 = = 제2대 남해 차차웅이 세상을 떠나자 태자인 유리와 석탈해가 서로 왕위를 양보하다가 유리가 왕이 되었다. 유리 이사금은 죽으면서 자신의 아들을 제외하고 석탈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그런데 제4대 임금 석탈해가 죽고 나자 석탈해의 아들은 왕위 계승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고 이전 임금이었던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인 파사가 이사금 자리에 오른다. 그런데 나중에 파사 임금이 죽자 파사의 아들 지마가 제6대 이사금으로 즉위하고, 그 뒤를 이어서 예전에 파사에 의해 밀려났던 유리이사금의 첫째 아들 일성이 제7대 왕으로 등극하게 되는 것이다. 초기 신라, 즉 사로국의 경우 제1순위인 태자가 번번이 다른 사람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그런 다음에 양보했던 그 사람이 다시 훗날 왕위에 오를 뿐 아니라, 심지어는 왕이 죽기 전에 자신의 아들보다는 성씨가 다른 세력의 수장에게 왕위를 이으라고 유언을 하는 등 왕권 승계의 질서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초기 신라의 3대 세력이었던 '박-석-김' 세력이 각각 독립적인 계보를 이어 내려오다가, 훗날 그것들을 뒤섞어서 단일 왕계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삼국사기의 내용처럼 미화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 = 갈문왕 = = 갈문왕(葛文王)은 신라 때 왕실에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왕족 및 왕의 근친 귀족에게 추봉하던 왕명이다. 대수 시호 휘 재위 기간 비고 - 태조(太祖) 김성한(金星漢) (추존) 추존 연대 미상.문무왕릉비, 김인문묘비, 흥덕왕릉비 진철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등에서 그를 태조로 기록하였다. - 사요왕 사요왕 (추존) 유리 이사금의 장인. - 허루 갈문왕 허루 갈문왕 (추존) 파사 이사금의 장인. - 마제 갈문왕 마제 갈문왕 (추존) 지마 이사금의 장인. - 일지 갈문왕 일지 갈문왕 (추존) 일성 이사금의 외할아버지. - 지소례왕 지소례왕 (추존) 일성 이사금의 장인. - 아도 갈문왕 아도 갈문왕 (추존) 일성 이사금에 의해 추존됨, 지마 이사금의 아들 - 이칠 갈문왕 이칠 갈문왕 (추존) 미추 이사금의 외할아버지 - 구도 갈문왕 구도 갈문왕 (추존) 미추 이사금에 의해 추존됨, 미추 이사금의 아버지 - 내음 갈문왕 내음 갈문왕 (추존) 내해 이사금의 아들, 유례 이사금의 외조부 - 세신 석골정 (추존) 첨해 이사금에 의해 추존됨, 조분 이사금의 아버지 - 파호 갈문왕 파호 갈문왕 (추존) 눌지 마립간의 동생 - 습보 갈문왕 습보 갈문왕 (추존) 지증왕의 생부 - 지도로 갈문왕 지도로 갈문왕 (추존) 지증왕의 즉위 전 호칭 - 입종 갈문왕 입종 갈문왕 (추존) 법흥왕의 동생 - 동륜태자 동륜태자 (추존) 진흥왕에 의해 추봉됨, 진흥왕의 아들 - 진정 갈문왕 백반 (추존) 진평왕에 의해 추봉됨, 진평왕의 동생 - 진안 갈문왕 국반 (추존) 진평왕에 의해 추봉됨, 진평왕의 동생 - 복승 갈문왕 복승 갈문왕 (추존) 마야부인의 아버지 - 만천 갈문왕 박노(朴奴) (추존) 진덕여왕에 의해 추봉됨, 진덕여왕의 외조부 - 문흥갈문왕(文興葛文王) 김용춘(金龍春) (추존) 태종무열왕에 의해 추존됨, 태종무열왕의 아버지. 별칭 탁문흥갈문왕. - 흥무왕(興武王) 김유신(金庾信) (추존) 흥덕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김해 김씨 중시조. - 개성왕(開聖王) 김효방(金孝芳) (추존) 선덕왕에 의해 추존됨, 선덕왕의 아버지. - 현성왕(玄聖王) 김법선(金法宣) (추존)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고조부. - 신영왕(神英王) 김의관(金義寬) (추존)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증조부. - 흥평왕(興平王) 김위문(金魏文) (추존)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조부. - 명덕왕(明德王) 김효양(金孝讓) (추존)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아버지. - 혜충왕(惠忠王) 김인겸(金仁謙) (추존) 소성왕에 의해 추존됨, 소성왕의 아버지. - 익성왕(翌成王) 김헌정(金憲貞) (추존) 희강왕에 의해 추존됨, 희강왕의 아버지. - 선강왕(宣康王) 김충공(金忠恭) (추존) 민애왕에 의해 추존됨, 민애왕의 아버지. 별칭 충공 갈문왕. - 혜강왕(惠康王) 김예영(金禮英) (추존) 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조부. - 성덕왕(成德王) 김균정(金均貞) (추존) 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아버지. - 의공왕(懿恭王) 김계명(金啟明) (추존) 경문왕에 의해 추존됨, 경문왕의 아버지. - 혜성왕(惠成王) 김위홍(金魏弘) (추존) 진성여왕에 의해 추존됨, 진성여왕의 숙부. - 선성왕(宣聖王) 박예겸(朴銳謙) (추존) 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의부. - 흥렴왕(興廉王) 박문원(朴文元) (추존) 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생부. - 성희왕(聖僖王) 김대존(金大尊) (추존) 경명왕에 의해 추존됨, 경명왕의 장인. - 의흥왕(懿興王) 김인경(金仁慶) (추존) 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경순왕의 조부. - 신흥왕(神興王) 김효종(金孝宗) (추존) 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경순왕의 생부. = = 부흥 때의 왕 = = 56대 왕 경순왕 57대 왕 김일 58대 왕 김준 59대 왕 김치양 60대 왕 김사미 61대 왕 이의민경주의 호족 김자양이 추대시키러 함 62대 왕 이비 63대 왕 룡신왕 = = 계보 = = 붉은 상자는 박씨 이사금, 푸른 상자는 석씨 이사금, 노란 상자는 김씨 마립간, 흰 상자는 김씨 국왕이다. = 글리세롤 분해 = 글리세롤 분해는 유기화학에서 글리세롤과 반응을 통해 화학 결합이 끊어지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모노글리세라이드와 다이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글리세롤과 트라이글리세라이드(지방/오일)의 에스터교환 반응을 거의 독점적으로 지칭한다. 이는 식품 유화제(예: E471), 저지방 식용유(예: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 및 계면활성제(예: 모노라우린)와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에스터교환 반응은 생성물의 복잡한 혼합물을 생성하지만 이들 모두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더 잘 정의된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최적화된 공정의 개발로 이어졌다. 특히 효소를 사용한 초임계 이산화 탄소 및 유동화학에서의 반응에 사용된다. 다이글리세라이드(종종 다이아실글리세롤 또는 DAG라고 함)의 생산은 식품에서의 사용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왔으며 1990년대 후반에 도입된 이래 2009년까지 일본에서 연간 총 매출액이 약 2억 달러에 달했다. = 송찬의 = 송찬의(1999년 2월 20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내야수, 외야수이다. 그의 삼촌은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내야수인 송구홍이다. = =한국 프로야구 시절 = = = = =LG 트윈스 시절 = = = 2018년에 입단하였다. 2022년 시즌 시범 경기에서 6홈런을 쳐 냈다. 2022년 4월 2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3타수 무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이후 다소 부진하며 2군에 내려갔다 다시 올라왔으나 훈련 중 부상을 당하며 올라온지 하루도 안 돼서 2군에 내려갔다. = =호주 프로야구 시절 = = 2022년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 = = 출신 학교 = = 서울화곡초등학교 선린중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박지연 (바둑 기사) = 박지연(朴志娟, 1991년 5월 17일 서울특별시 ~ )은 대한민국의 前 바둑 기사이다. = = 약력 = = 2006년 제30회 여류입단대회 1위 입단 2007년 제1회 지지옥션배 본선 2008년 제2기 여류기성전 본선, 제8회 오스람배 본선, 여류국수전 본선, 제1회 세계마인드스포츠게임 여자단체전 은메달 2009년 제3기 지지옥션배 본선, 제15기 여류국수전 본선, 2단 승단 2010년 제2회 비씨카드배 64강, 제4기 지지옥션배 본선, 제15회 삼성화재배 16강, 제4기 여류기성전 준우승(대 김윤영 0:1), 제9회 정관장배 한국 대표, 2010 바둑대상 신예기사상 수상 (여성 바둑 기사로는 최초) 2011년 제13기 여류명인전 본선 진출, 제1회 황룡사가원배 여자단체전 준우승(2승 1패), 제2회 궁륭산 병성배 본선 4강 진출 2012년 제17기 여류국수전 우승(대 박지은 2-1) 2013년 여류명인전 준우승(대 최정 1-2), 제18기 여류국수전 준우승(대 김혜민 0-2) 2014년 여류명인전 준우승(대 최정 1-2), 제2회 바이링배 본선64강 진출 = 베니싱 (1988년 영화) = 베니싱(Spoorloos, The Vanishing)은 프랑스에서 제작된 조지 슬루이저 감독의 1988년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버나드 피에르 도나디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조지 슬루이저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버나드 피에르 도나디우 기니 베르보에츠 = = = 조연 = = = 조한나 터 스티지 캐롤라인 앱페레 = 모퀴니아족 = 모퀴니아족(moquinia族, 학명: )은 치커리아과의 족이다.Robinson, Harold Ernest. Taxon 43(1): 39. 1994. = = 하위 분류 = = Moquinia DC. Pseudostifftia H.Rob. = 솔고개로 = 솔고개로(Solgogae-ro)는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주덕오거리에서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호사거리를 잇는 도로이다. = = 주요 경유지 = = 충주시 (주덕읍 . 노은면)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주덕오거리 국도 제36호선(충청대로)신덕로) 충주시 주덕읍 주덕교 충주시 주덕읍 장고개 충주시 주덕읍 지내교 충주시 주덕읍 여우고개 충주시 주덕읍 덕련교 충주시 주덕읍 신효1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신니~노은간 도로) 충주시 노은면 신효삼거리 감노로 충주시 노은면 = 이나가키 시게쓰나 = 이나가키 시게쓰나(, 1583년 ~ 1654년 2월 24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에도 시대 전기의 후다이 다이묘이다. 고즈케 이세사키번의 2대 번주, 에치고 후지이번주, 에치고 산조번주, 미카와 가리야 번의 초대 번주를 역임하였다. 도바 번 이나가키 씨(鳥羽藩稲垣氏) 제2대 당주. = = 생애 = = 덴쇼 11년(1583년), 미카와국 우시쿠보 성주 마키노 야스나리의 가신이자 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직할 가신으로써 이세사키 번의 초대 번주가 되는 이나가키 나가시게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 군에 속하여 서군인 사나다 마사유키의 거성인 신슈 우에다 성 공격전에 참가했다. 게이초 17년(1612년) 아버지 나가시게가 사망하면서 그 가독을 이어 이세사키 1만 석 영지를 상속하였다. 게이초 19년(1614년) 오사카 전투에서 사카이 이에쓰구 부대에 소속되어 전공을 거두었고, 그 공적으로 겐나 2년(1616년) 에치고국 후지이 번 2만 석 영지로 추가 이봉되었다. 겐나 6년(1620년)에는 3천 석을 추가로 받아 에치고국 산조 성으로 거성을 옮겨 산조 번주가 되었다. 게이안 원년(1648년)부터 게이안 2년(1649년)까지는 오사카 조다이로도 근무하였다. 게이안 4년(1651년) 미카와국 가리야 번으로 이봉되었고, 조오 3년(1654년) 1월 8일에 72세로 사망하였다. 맏아들 시게마사는 이미 사망하였기 때문에, 시게마사의 맏아들 시게아키가 그 뒤를 이었다. = 화장실의 피에타 = 화장실의 피에타는 일본의 만화가 테즈카 오사무가 죽기 전 일기 마지막 페이지에 쓴 작품의 구상이다. 또 그것을 원안으로 하는 영화이다. = = 영화 = = 2015년에 공개되었다. 감독은 마츠나가 타이시. 감독인 마츠나가가, 테즈카의 일기를 참고해, 오리지널 스토리로 각본화했다. = = = 캐스트 = = = = = = = 주연 = = = = 소노다 히로시 - 노다 요지로 마이 - 스기사키 하나 요코타 - 릴리 프랭키 = = = = 조연 = = = = 사츠키 - 이치카와 사야 소노다의 엄마 - 오오타케 시노부 (우정 출연) 소노다의 아버지 - 이와마츠 료 타쿠토의 엄마 - 미야자와 리에 타쿠토 - 사와다 리쿠 타케다 - MEGUMI 사토 타케루 후루타치 칸지 모리시타 요시유키 = = = 스태프 = = = 감독·각본 - 마츠나가 타이시 원안 - 테즈카 오사무 원작 - 마츠나가 타이시 《화장실의 피에타》 (분게이슌주 간) 주제가 - RADWIMPS 〈피크닉〉 (유니버설 뮤직) 음악 - 시게노 마사미치 촬영 - 이케우치 요시히로 스틸 - 오오타 요시하루 배급 - 쇼치쿠 미디어 사업부 = = = 수상과 노미네이트 = = = 상 상 노미네이트 대상 결과 제39회 일본 아카데미상 신인 배우상 노다 요지로 제70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남성 노다 요지로 제70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여성 스기사키 하나 제40회 호치 영화상 신인상 노다 요지로 제25회 도쿄 스포츠 영화대상 조연 남우상 릴리 프랭키 제25회 도쿄 스포츠 영화대상 신인상 스기사키 하나 제7회 TAMA 영화상 최우수 신진 여우상 스기사키 하나 제37회 요코하마 영화제 일본 영화 베스트 텐 화장실의 피에타 제37회 요코하마 영화제 일본 영화 개인상 신인 감독상 마츠나가 타이시 제37회 요코하마 영화제 일본 영화 개인상 최우수 신인상 스기사키 하나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2016 뉴 웨이브 어워드 여배우 부문 스기사키 하나 오사카 시네마 페스티벌 2016 신인 여우상 스기사키 하나 제20회 신도 카네토상 은상 마츠나가 타이시 제13회 시네마 꿈 구락부 표창 추천 위원 특별상 마츠나가 타이시 제14회 치바 시 예술 문화 신인상 신인상 마츠나가 타이시 = 분류:솜주의 코뮌 = = 틀:프랑스 국립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 = = 최재엽 = 최재엽(崔在燁, 일본식 이름: 高山在燁다카야마 사이요, 1895년 8월 20일 ~ 1941년 7월 25일)은 일제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이다. = = 생애 = = 1914년 11월부터 1915년까지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기수보로 근무했으며 1916년부터 1918년까지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기수로 근무했다. 1923년 10월 23일 일본 정부로부터 부업공로자(副業功勞者) 표창을 받았고 1933년 5월 16일과 1937년 5월 경기도 민선 도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34년 11월부터 1941년까지 경기산업주식회사 상무이사로 재직했고 1935년 경기도 수원금융조합 감사, 경기도 수원군 수원읍 읍회의원, 보통학교 후원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중일 전쟁 때인 1937년 12월 28일부터 1938년 1월 17일까지 경기도 도회의원 대표 자격으로 중국 북부에 파병된 일본군 위문 행사에 참여하는 한편 1938년 4월 2일과 1939년 1월 1일에 일본의 침략 전쟁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전문을 게재했다. 1939년 화성흥산주식회사 이사, 수룡수리조합장, 경기도 수원군 수원읍 읍회위원 등을 역임했고 1940년 일본에서 열린 기원 2600년 축전에 초대받았다. 1941년 4월 21일부터 같은 해 7월 25일 사망할 때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했으며 1941년 6월 12일에 열린 중추원 부여신궁 공사 근로봉사에 참여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중추원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이장구 = 이장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우후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5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190,000명이다. = = 행정 구역 = = 3개 가도, 3개 진을 관할한다. 가도: 弋江桥街道, 中山南路街道, 利民路街道. 진: 马塘镇, 鲁港镇, 火龙岗镇. =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 카라라 ~ )는 토론토 FC에서 윙어와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는 이탈리아의 축구선수이다. = = 클럽 경력 = = 2013-2014 시즌 동안 베르나르데스키는 피오렌티나에서 크로토네로 임대를 떠난다. 그는 2013년 9월 8일에 페스카라를 상대로 세리에 B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75분에 소피앵 비다우이의 교체 선수로 출전했고,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이 났다. 베르나르데스키는 첫 선발 출전한 경기에서 4골을 몰아넣었다. = = 수상 = = 유벤투스 세리에 A: 2017–18, 2018–19, 2019–20 코파 이탈리아: 2017–18, 2020–21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8, 2020 이탈리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020 개인상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토너먼트 베스트 일레븐: 2017 = = = 서훈 = = = = 혜편 = 혜편(惠便, ?~?)은 고구려 말기의 승려이다. = = 생애 = = 일찍이 일본에 건너가 불도를 펴려 하였으나, 일본 백성이 무지하여 포교가 매우 어려웠다. 584년 백제 사신 녹량이 미륵 불상을 가지고 일본에 왔는데, 일본의 대신이며 불교 신자이던 소가가 절을 짓고 석불을 모셨으나, 봉향할 사람이 없어 마침내 혜편이 뽑혔다. 이에 소가는 그의 세 딸을 혜편에게 보내어 비구니가 되게 하였다. 이것이 일본 비구니의 시초가 되었다. = 에비카 실리냐 = 에비카 실리냐(, 1975년 11월 2일~)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현재 라트비아 총리이다. 정계 입문 전에는 변호사로 일했으며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라트비아 복지부 장관을 지냈다. = 분류:일본의 헤비 메탈 가수 = = 분류:청라중학교 (대구) 동문 = = 리 공황 = 리 공황(李恭皇, 생년 미상 ~ 1130년)은 리 왕조의 추존 황제이자 태상황으로 리 성종의 아들이자 리 신종의 부친이다. 이름은 실전되어 알 수 없으며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태상황(太上皇)이다. = = 생애 = = 태상황 즉위전 작위는 숭현후(崇賢侯)였다는걸 제외하면 태상황 이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본래 형 인종처럼 후사가 없었으나 한 승려가 "부인이 아이를 낳을 때, 저에게 먼저 그걸 말해주시고 복을 빌게 해주십시오"라고 청하자 그리 하였더니 숭현후의 부인 두씨(杜氏)는 훗날의 신종인 이양환을 낳았다. 이양환은 2살의 나이에도 총명함이 돋보여 백부인 인종의 황태자로 책봉받았다. 1127년, 인종이 사망하자 이양환이 신종으로 즉위하였고 2년 후인 1129년, 자신의 친부인 숭현후를 태상황으로, 모후 두씨를 황태후로 높이고 동인궁(洞仁宮)에 거주하게 하였다. 1130년 5월, 태상황이 사망하였다. 조정에선 황제(Emperor)로 모시되 온전한 "皇帝"에서 격을 낮춘 "皇"으로만 추시하여 공황(恭皇)이라고 하였다. = = 가족 = = 부황: 리 인종 모후: 불명 정비: 두태후(杜太后) - 소효황후(昭孝皇后)로 추존. 차비: 진영태후(宸英太后) 아들: 리 신종 - 두태후 소생. = 미생물 배양 =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고 분포 밀도가 작아 눈으로 관찰 및 연구하기 어려운 생물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배양법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용이한 배양을 한 후 쓰인다. 미생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미생물을 키우기 위해 크게 다섯 가지 기본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접종(inoculation), 배양(incubation), 분리(isolation), 검사(inspection), 동정(identification)이 그 다섯 가지 방법으로서 각각의 미생물의 특징을 찾기 위해 쓰인다. = = 접종 = = 미생물의 접종은 배양을 위한 선행 과정으로서 시료(inoculum)를 미생물들이 증식할 수 있는 배지에 심는 것을 말한다. 이때 시료는 배양시키기 원하는 미생물 개체를 가리키는 말인데 각각의 미생물들은 일반적으로 독특한 배양 환경을 갖기 때문에 원하는 시료의 성공적인 배양을 위해서는 배양 환경을 적절히 조절 및 통제해야 한다. = = 배양 = = 어느 한 배지에 접종시킨 후, 시료 속에 있는 미생물 개체를 성장 및 번식하게 하는 과정을 배양이라고 한다. 접종 때에는 보이지 않았던 미생물은 배양을 통해서 성장 및 번식하여 눈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눈으로 보이는 배지 속 미생물의 모습은 일반적으로 동그란 집락을 형성하는데 이를 콜로니(colony)라고 부른다. 배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종의 특성에 맞춰 온도나 pH 및 그 밖의 배양 환경 알맞게 유지시켜줘야 한다. = = 분리 = = 분리가 기본적인 기반을 삼는 개념은 하나의 미생물 개체가 다른 개체(세포)와 떨어져 구별되어 있고, 적절한 영양분이 공급됐을 경우, 발생하는 콜로니는 단 하나의 종으로 이루어진 독립된 세포들의 집단이라는 것이다. 즉, 콜로니를 분리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그 콜로니 안에는 단 하나의 미생물 종만이 관찰된다. 추가적 분리를 위해 콜로니의 일부를 채취한 후 다른 배지에 접종하기도 한다. 분리는 접종과 배양의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 = 검사 = = 위의 접종, 배양, 분리 과정에서 얻어진 순수한 콜로니, 혹은 액체배지 배양액으로부터 시료를 분석하기 용이해졌다. 검사는 관찰하기 용이해진 시료를 현미경 관찰, 염색법 등을 통하여 미생물의 특성을 조사하는 과정이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는 미생물의 운동성, 크기, 색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염색법으로는 시각적 관찰을 더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체 수, 생사의 유무, 특정 미생물의 분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염색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단염색법, 그람염색법 등이 있다. = = 동정 = = 동정은 대상 미생물의 종을 판별하여 어떠한 특성이 있고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검사에서 이미 알아내었던 특징과 함께 추가적 실험을 하여 대상의 특징을 알아내는 데 생화학적 검사, 면역학적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이 있다. 동정의 기준은 형태적, 생태적, 생리적, 분자생물학적 등이 있으며, 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동정을 하게 된다. 국제적으로 미생물의 공통된 이름인 학명을 써서 동정의 결과를 미생물학자들 사이에서 공용한다. = 이화룡 (배우) = 이화룡(1975년 10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이화룡-다음인물정보 = = 출연작 = = = = = 영화 = = = 《마지막 늑대》 (2004년) - 동물학자 역 《공항 가는 길》 (2005년, 단편) - 정우 역 《이만큼만 가져갈께》 (2005년, 단편) 《하드보일드 지저스》 (2009년, 단편) 《거짓말》 (2009년, 단편) 《박쥐》 (2009년) - 구 박사 역 《약탈자들》 (2009년) - 정훈 역 《심장이 필요한 남자》 (2010년) - 김선호 역 《의뢰인》 (2011년) - 정신과의사B 역 역 《부당거래》 (2010년) - 검사 역 《만신》 (2014년) - 군의관 역 《1987》 (2017년) - 함세웅 신부 역 《살아남은 아이》 (2018년) - 담임 역 《돈》 (2019년) - 동명증권 감사팀 남자 / 안경잡이 역 《킹메이커》 (2021년) - 야당의원 역 = = = 드라마 = = = 《세계의 끝》 (2013년, JTBC) - 박도경 역 《밀회》 (2014년, JTBC) - 최강사 역 《KBS 드라마 스페셜 - 액자가 된 소녀》 (2014년, KBS2) - 의사 역 《풍문으로 들었소》 (2015년, SBS) - 김태우 역 《육룡이 나르샤》 (2016년, SBS) - 정도광 역 《피고인》 (2017년, SBS) - 서신목 역 《7일의 왕비》 (2017년, KBS2) - 성희안 역 《마녀의 법정》 (2017년, KBS2) - 우 검사 역 《드라마 스테이지 - 낫 플레이드》 (2018년, tvN) - 정대환 역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2018년, JTBC) - 공철구 역 《플레이어》 (2018년, OCN) - 강성우 역 《붉은 달 푸른 해》 (2018년, MBC) - 부검의 역 《단, 하나의 사랑》 (2019년, KBS2) - 박광일 역 《60일, 지정생존자》 (2019년, tvN) 《아스달 연대기》 (2019년, tvN) 《청일전자 미쓰리》 (2019년, tvN) - 송영훈 역 《우리, 사랑했을까》 (2020년, JTBC) - 명쾌남 역 《악마판사》 (2021년, tvN) - 사람 미디어 소속 국민시범재판 생중계 담당 PD 역 《배드 앤 크레이지》 (2021년, tvN) - 김계식 역 《설강화 : snowdrop》 (2021년, JTBC) - 안경희 역 《사랑의 이해》 (2022년, JTBC) - 노태평 역 = = = 연극 = = = 《날보러와요》 (2006년) - 용의자 역 《쉬어매드니스》 (2006년) - 나도식 반장 역 《날보러와요》 (2007년) - 용의자 역 《소설가 구보씨와 경성사람들》 (2007년) - 이상 역 《진화하는 오후》 (2007년) 《70분긴의 연애2nd - 원나잇 스탠드》 (2008년) - 장명식, 1인다역 역 《인간》 (2010년) - 라울 역 《소설가 구보씨의 1일》 (2010년) 《여기 사람이 있다》 (2011년) - 강성현 역 《과학하는 마음 - 숲의 심연》 (2011년) 《그리고 또 하루》 (2012년) - 남자 역 《다정도 병인 양하여》 (2012년) 《아워 타운》 (2012년) - 월리, 크로웰 형제, 쌤 역 《섬》 (2012년) 《소설가 구보씨의 1일》 (2012년) 《데모크라시》 (2013년) 《그리고 또 하루》 (2013년) 《다정도 병인 양하여》 (2013년) 《데모크라시》 (2014년) 《퍼디미어스》 (2014년) - 저는 남자 역 《위대한 유산》 (2014년) - 허버트 역 = 분류:2003년 영상 음반 = = 분류:1953년 시위 = = 분류:오이타현의 스포츠 = = 모듈:Location map/data/Russia Yaroslavl Oblast/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Russia_Yaroslavl_Oblast/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이종환 (1956년) = 이종환(李鍾桓, 1956년 12월 11일, 충청북도 청주시 ~ )은 대한민국의 제10대 서울특별시의원이다. = = 학력 = = 청주상업고등학교 졸업 = = 경력 = = 한국외식업중앙회 강북구 지회장 골목상권살리기본부 강북구 상임대표 번2동 주민자치위원 번2동 자유총연맹위원 번2동 새마을협의회 지도자 도봉세무서 공평과세위원회 외부위원 강북구 아동급식위원회 위원 영훈고등학교 운영위원장 향촌숯불구이전문점 대표 두미집 대표 강북구 생활체육유도연합회 회장 (사)한국방범기동순찰대 중앙본부 자문위원장 새누리당 중앙위원회 시도연합회 강북구 갑 지회장 새누리당 서울시당 강북구 갑 운영위원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후보 중앙선대위원회 외식산업본부 부본부장 수유3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 충청향우강북연합회 회장 2021.04 ~ 2022.06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2021.04 ~ 2022.06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2021.09 ~ 2022.06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2021.09 ~ 2022.06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2.07 ~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2022.07 ~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국민의힘 이태원사고긴급대책위원회 위원 = = 수상 = = 강북구민대상 체육상 보건복지부 장관상 외식업 부문 농림수산부 장관상 외식업 부문 강북구지체장애인협의회 감사패 구립교육촌경로당 감사패 영훈고등학교 감사패 = 분류:2004년 야구 = = 허영의 불꽃 = 허영의 불꽃(The Bonfire Of The Vanities)은 미국에서 제작된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1990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톰 행크스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브라이언 드 팔마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톰 행크스 브루스 윌리스 멜라니 그리피스 모건 프리먼 = = = 조연 = = = 킴 캐트럴 사울 루비넥 알랜 킹 = = 제작진 = = 원작자: 톰 울프 공동제작: 프레드 C. 카루소 미술: 리처드 실버트 의상: 앤 로스 배역: 린 스터마스터 = 분류:아일랜드의 게일인 군주 = = 분류:독립 축구 협회 연맹 회원 = = 틀:코로나19 범유행/일본 차트 = = 팀 (가수) = 팀(Tim, , 1981년 12월 23일 ~ )은 미국의 가수이다. 현재 소속사 없이 활동 중이며 모든 제작 과정에 참여를 하고 있다. = = 학력 = = 템플 대학교 약학과 (재학) = = 음반 = = = = = Tim(팀) = = = = = = = = 정규 = = = = = = = = = = = 영민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사랑합니다...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가끔씩 눈물이 나죠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Yes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재회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아픈 다짐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넌 착한 사람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Always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예전처럼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Bye Bye Love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Hey Girl 2003.04.22 Tim(팀) 정규 영민 제이엠엔터테인먼트 Party = = = = = = Second Breath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이야기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Day Dream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고마웠다고...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난 어떻게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사랑의 길을 잃다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오랜만에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Morning Star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I`m Sorry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너에게만은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우정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아버지께 2004.06.01 Tim(팀) 정규 앨범 Second Breath ESJ엔터테인먼트 자장가 = = = = = = 감성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꿈속에서...(눈사람의 꿈) (Inst.)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하루새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조심하세요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폴라리스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내가 아니죠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나 혼자만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내게 와줘요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너의 뒤에서 (리메이크)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We Are The Reason 2006.02.15 Tim(팀) 정규 감성 웰메이드예당 꿈속에서...(눈사람의 꿈) = = = = = = Love Is...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내 마음 사용 설명서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고마운 기적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혼잣말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내 안의 전쟁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사랑한 만큼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Serendipity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소망상자 (Wish List)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애착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후회하지 않아요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그댄 나에게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즐거운 인생 (Feat. 손호영, Danny Jung) 2007.10.24 Tim(팀) 정규 Love Is... 웰메이드예당 Walk On Water = = = = = = New Beginnings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난 너 때문에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그대여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River Flows In You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다음 역에선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Love Song (Duet With Lyn)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남자답지 못한 말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Missing U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닭살 커플 (Duet With Esna)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이별을 배우다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Liquid 2010.11.25 Tim(팀) 정규 New Beginnings Sony Music He Said, She Said (No Other Way) = = = = = EP = = = = = = = = = = = ...하루가 길다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하루가 길다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그말만은 하지마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그래주겠니?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가슴에 살아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지워도...널 2011.11.16 Tim(팀) EP ...하루가 길다 Sony Music 하루가 길다 (Inst.) = = = = = 싱글 = = = = = = = = = = = 이별앓이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7.03.27 Tim(팀) 싱글 이별앓이 웰메이드예당 2007.03.27 Tim(팀) 싱글 이별앓이 웰메이드예당 이별앓이 = = = = = = 나란 사람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나란 사람 (Original Ver.)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나란 사람 (Fractal Dub Ver.)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나란 사람 (East4A Remix Ver.)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나란 사람 (Fractal Remix Ver.) 2008.12.18 Tim(팀) 싱글 나란 사람 D:Tale Creative Group 나란 사람 (Fractal Remix Ver.) = = = = = = 연인선언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0.08.19 Tim(팀) 싱글 연인선언 Sony Music 2010.08.19 Tim(팀) 싱글 연인선언 Sony Music 연인선언 (With 성유리) = = = = = = 사랑합니다(Special Edition)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2.01.12 Tim(팀) 싱글 사랑합니다 (Special Edition) Sony Music 2012.01.12 Tim(팀) 싱글 사랑합니다 (Special Edition) Sony Music 사랑합니다 (Special Edition) = = = = = = 사랑 참 나쁘다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2.01.20 Tim(팀) 싱글 사랑 참 나쁘다 Sony Music 2012.01.20 Tim(팀) 싱글 사랑 참 나쁘다 Sony Music 사랑 참 나쁘다 = = = = = = 기대도 돼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6.04.18 Tim(팀) 싱글 기대도 돼 (주)에코글로벌그룹 2016.04.18 Tim(팀) 싱글 기대도 돼 (주)에코글로벌그룹 기대도 돼 = = = = = = 당신만이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6.08.24 Tim(팀) 싱글 당신만이 (주)뮤직큐브 2016.08.24 Tim(팀) 싱글 당신만이 (주)뮤직큐브 당신만이 = = = = = = 그려본다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6.09.26 Tim(팀) 싱글 그려본다 (주)에코글로벌그룹 2016.09.26 Tim(팀) 싱글 그려본다 (주)에코글로벌그룹 그려본다 = = = = = = Beautiful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7.02.22 Tim(팀) 싱글 Beautiful (주)에코글로벌그룹 2017.02.22 Tim(팀) 싱글 Beautiful (주)에코글로벌그룹 Beautiful = = = = = = 밤 끝 = = = = = = 발매일 Artist 발매 형식 앨범명 기획사 수록곡 2019.03.14 Tim(팀) 싱글 밤 끝 DnA엔터테이먼트 2019.03.14 Tim(팀) 싱글 밤 끝 DnA엔터테이먼트 밤 끝 = = 리메이크 = = 연도 Artist 곡명 수록된 앨범 원곡 / 원곡자 2007 심수봉 <고마웠다고> *2005.02.26 KBS 윤도현의 러브 레터 : 심수봉 & 팀(Tim) <고마웠다고> 오늘, 문득.. *원곡 : 팀(Tim) *발매 : 2004 *앨범명 : Second Breath *작사 : 박창학 *작곡, 편곡 : 윤상 = = 뮤직 비디오 = = = = = 팀(Tim) = = = 연도 Artist MV 앨범명 공급사 2007 팀(Tim) *Tim(팀) <사랑한 만큼> Love Is... 워너뮤직 코리아 2007 팀(Tim) *Tim(팀) <이별앓이 & 쉬운사람> 이별앓이 멜론 2010 팀(Tim) *Tim(팀) <남자답지 못한 말> Love Is... TimHwangVEVO 2011 팀(Tim) *Tim(팀) <하루가 길다> ...하루가 길다 TimHwangVEVO 2011 팀(Tim) *Tim(팀) & 성유리 <연인선언> 연인선언 TimHwangVEVO 2016 팀(Tim) *Tim(팀) <그려본다> 그려본다 지니 뮤직 2017 팀(Tim) *Tim(팀) <Beautiful> Beautiful 지니 뮤직 2019 팀(Tim) *Tim(팀) <밤 끝> (Lyric Video) 밤 끝 리빗(인터파크) = = 참여 목록 = = = = = 참여 음반 = = = = = = = 음반 = = = = 발매일 Artist 곡명 앨범명 2007.08.16 Tim(팀) <발목을 다쳐서> 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 OST 2008.08.04 Tim(팀) <세상 끝에서> 세상 끝에서 내 여자 OST 2008.10.09 손호영 바래요 (Feat. Tim)> Returns 2008.08.18 Tim(팀) <세상 끝에서> 내 여자 OST 2010.10.18 Tim(팀) <이별을 배우다> 역전의 여왕 OST Part.2 2011.04.18 Tim(팀) <안되니> 49일 OST Part.6 2011.09.16 Tim(팀) <날 믿어요> 천 번의 입맞춤 OST Part.3 2013.12.13 제아, 홍종현 <반가워, 고마워 (Feat. 팀)> 반가워, 고마워 (Hello, Thank You) 2014.02.26 펜토 <겨울인데... (Feat. 팀)> 겨울인데... (Feat. 팀) 2014.12.11 윤상 <그 겨울로부터 (Duet With Tim)> The Duets 2016.06.01 Tim(팀) <우리는 영원히 하나다> (Official Audio) 하나의 코리아 : 유나이티드 코리아 포 더 월드 2016.10.08 Tim(팀) <썸데이 (Someday)> 판타스틱 OST Part.7 2017.03.21 Tim(팀) <Quiet Moments> 너에게만 들려주고 싶어 OST Part.1 2018.10.29 Tim(팀) <숨바꼭질> 최고의 이혼 OST Part.4 2019.08.12 Tim(팀) <한걸음 두걸음> Project 10 2020.06.04 Tim(팀) <하루가> 영혼수선공 OST Part.5 2020.09.24 Tim(팀) <어깨에 기대> 비밀의 남자 OST Part.2 = = = = 방송 = = = = 발매일 Artist 곡명 앨범명 2012.02.04 Tim(팀) <가나다라> 불후의 명곡2 - 전설을 노래하다 (송창식편) 2012.03.10 Tim(팀) <서울의 달> 불후의 명곡2 - 전설을 노래하다 (김건모 1편) 2016.04.10 Tim(팀) <청혼 (인생 즐기는 네가 챔피언)> 복면가왕 54회 2017.03.24 Tim(팀), 노희관 <좋을텐데> 듀엣가요제 45회 2017.03.31 Tim(팀), 노희관 <My Destiny> 듀엣가요제 45회 = = = 참여 뮤직 비디오 = = = = = = = 음반 = = = = 연도 참여 MV 앨범명 공급사 2007 음반 *Tim(팀) <발목을 다쳐서> 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 OST 멜론 2008 음반 / 출연 *Tim(팀) <세상 끝에서> 내 여자 OST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2010 앨범 *Tim(팀) <이별을 배우다> 역전의 여왕 OST Part.2 소니뮤직 코리아 2017 음반 / 출연 *Tim(팀) <Quiet Moments> 너에게만 들려주고 싶어 OST Part.1 멜론 2018 음반 *Tim(팀) <숨바꼭질> (M/V)<BR> *Tim(팀) <숨바꼭질> (Making) 최고의 이혼 OST 레온코리아(LEON KOREA) 2019 음반 *Tim(팀) <한걸음 두걸음> (M/V)<BR> Project 10 뮤직랩(MUZIC:lab) 2020 음반 *Tim(팀) <하루가> (M/V)<BR> 영혼수선공 OST Part.5 빅밴드 엔터테인먼트 2020 음반 *Tim(팀) <어깨에 기대> (LIVE & INTERVIEW) 비밀의 남자 OST Part.2 MUSIC&NEW = = = = 뮤지컬 = = = = 연도 참여 MV 공급사 2011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 OST - 팀 <스프링타임> crediatv 2011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 OST - 팀 <나의 사랑 수정> crediatv 2014 뮤지컬 *2014 황태자 루돌프 OST - 팀 <알 수 없는 길> emkmusical 2014 뮤지컬 *2014 황태자 루돌프 OST - 팀 & 최현주 <알 수 없는 그 곳으로> emkmusical = = 출연 작품 = = = = = 영화 = = = 연도 국가 제목 배역 주연 2017년 한국 너에게만 들려주고 싶어 성민 役 = = = 드라마 = = = 연도 국가 방송사 제목 배역 주연 2012 인도네시아 사랑해, I love you... 영민 役 = = = 뮤지컬 = = = 연도 뮤지컬 작품 2008년 뮤지컬 지저스 지저스 2010년 뮤지컬 내마음의 풍금 2012년 뮤지컬 리걸리 블론드 2014년 뮤지컬 황태자 루돌프 = = 방송 = = = = = 인터뷰 = = = 연도 구분 제목 방송사 프로그램 공급사 2011 방송 *이소라의 두 번째 프로포즈 1회 : 팀(Tim), 김태우 with 이루마 이소라의 두번째 프로포즈 KBS Joy KBS N 2012 방송 *이소라의 두 번째 프로포즈 34회 : 팀(Tim) 이소라의 두번째 프로포즈 KBS Joy KBS N 2011 방송 *스타 잉글리시 - Tim(1)_#001 *스타 잉글리시 - Tim(1)_#002 *스타 잉글리시 - Tim(1)_#003 *스타 잉글리시 - Tim(1)_#004 *스타 잉글리시 - Tim(1)_#005 EBS english 스타 잉글리시 스타 잉글리시 2011 방송 *스타 잉글리시 - Tim(2)_#001 *스타 잉글리시 - Tim(2)_#002 *스타 잉글리시 - Tim(2)_#003 *스타 잉글리시 - Tim(2)_#004 *스타 잉글리시 - Tim(2)_#005 EBS english 스타 잉글리시 스타 잉글리시 2014 인터뷰 <사랑합니다> 가수 팀(Tim), 과거 아이스버킷 한국 1호 연예인? tvN 히든히어로 네이버 TV 2016 방송 *콘서트 필 : <Tim(팀)> 콘서트 필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 2016 인터뷰 *TIM(팀) _ Interview _ Part 1 *TIM(팀) _ Interview _ Part 2 아리랑 TV Showbiz Korea 아리랑 TV 2017 인터뷰 *'beautiful'로 돌아온 팀, 팔색조 매력 속으로 연예뉴스<BR>쨈이슈다 생방송 스타뉴스 연예뉴스<BR>쨈이슈다 2017 인터뷰 *가수 팀 "사장님 손에 제 감자튀김이 왜?"…'감자튀김 사건' *가수 TIM(팀), 걸그룹 트와이스 몰라봤다..왜? 데일리팝 데일리팝TV-1인라이프 데일리팝 2017 인터뷰 (취미공유-가수 팀) : 진짜 취미로만 즐기는 그의 볼링실력은? 보스 - voss 보스 - voss 보스 - voss 2018 방송 *최초 떼창↗ 여심 녹이는 고백송 팀(Tim)의 사랑합니다 *Tim(팀) <사랑합니다> *Tim(팀) <고마웠다고>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JTBC JTBC<BR>네이버 TV 2019 인터뷰 *이야기시간: 한국 가수 팀. 무대에서 가장 부끄러운 순간들 그리고 더 meejmuse meejmuse meejmuse = = = 예능 프로그램 = = =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비고 2000년 KBS2 TV는 사랑을 싣고 게스트 2010년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 고정 패널 2011년 KBS2 백점만점 전국 아이돌 체전 게스트 2011년 TV조선 P.S. I Love You 박정현 2011년 12월 23일 2016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인생 즐기는 네가 챔피언 2017년 MBC 에브리원 비디오스타 2017년 2월 22일 2018년 JTBC 투유 프로젝트 슈가맨 2 2018년 5월 13일 2021년 TV조선 와이프 카드 쓰는 남자 VCR 출연 = = Live Stage = = = = =팀(Tim) = = = 방송일 곡명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20.02.03 *오늘도 그댈 사랑합니다 - 팀(Tim) 컴백 무대 모음 인기가요 SBS SBS KPOP PLAY 2018.05.13 *최초 떼창↗ 여심 녹이는 고백송 팀(Tim)의 사랑합니다 *Tim(팀) <사랑합니다> *Tim(팀) <고마웠다고>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JTBC JTBC<BR>네이버 TV 2003.07.19 *Tim(팀) <사랑합니다> 음악캠프 MBC MBCKPOP 2004.08.14 *Tim(팀) <고마웠다고> 음악캠프 MBC MBCKPOP 2004.08.21 *Tim(팀) <이야기> 음악캠프 MBC MBCKPOP 2006 *Tim(팀) 〈하루새〉 인기가요 SBS SBS 2006.06.29 *Tim(팀) 〈조심하세요〉 *Tim(팀) 〈사랑합니다〉 김동률의 포유 MBC MBC 2007.10.31 *Tim(팀) 〈사랑합니다〉 *Tim(팀) 〈사랑한 만큼〉 음악공간 SBS SBS 2008.01.13 *Tim(팀) <사랑한 만큼> 인기가요 SBS SBS KPOP PLAY 2008.04.06 *Tim(팀) <내 안의 전쟁> 인기가요 SBS SBS KPOP PLAY 2010.12.12 *Tim(팀) <남자답지 못한 말> 인기가요 SBS SBS KPOP PLAY 2012.01.03. *Tim(팀) <하루가 길다> 이소라의 두번째 프로포즈 KBS Joy 네이버 TV 2016.10.14 *Tim(팀) <썸데이> 두시탈출 컬투쇼 SBS 파워FM SBS Radio100 2017.02.25 *Tim(팀) <그려본다> 행복한 두시 조성모입니다 KBS Happy FM KBS KONG 2017.03.09 *Tim(팀) <beautiful> 두시탈출 컬투쇼 SBS 파워FM SBS Radio100 2017.05.18 *Tim(팀) <STRANGERS> 씨네타운 SBS 파워FM SBS Radio100 2019.04.09 *Tim(팀) <밤 끝> TIM Official TIM Official TIM Official = = =참여 = = = 방송일 곡명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7.05.18 *Tim(팀) <STRANGERS> 박선영의씨네타운 SBS 파워FM SBS 파워FM = = =공연 = = = 방송일 제목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6.11.22 *콘서트 필 <Tim(팀)> 콘서트 필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 2011.01.27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1>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2>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3>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4>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5>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6>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7>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8> *EBS 스페이스 공감 690회 : <Tim(팀) - 새로운 시작, 다시 처음으로_#009> EBS EBS 스페이스 공감 EBS 스페이스 공감 = = =Special = = = 방송일 곡명 프로그램 방송사 공급사 2011.01.27 *Tim(팀) & 이루마 <River Flows in You> EBS 스페이스 공감 EBS EBS 스페이스 공감 2011.04.26 *Tim(팀) & 이루마 <River Flows In you> 이소라의 두번째 프로포즈 KBS Joy 네이버 TV 2013.06.22 *Tim(팀) <여인이여>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KBS KBS Kpop 2016.04.10 *Tim(팀) '인생 즐기는 네가 챔피언' <거짓말 거짓말 거짓말> *'인생 즐기는 네가 챔피언‘의 정체공개! 복면가왕 MBC 네이버 TV 2016.05.13<BR>2017.03.24<BR>2017.03.31 *팀 & 박태영 <그대 내 품에> *팀 & 노희관 <좋을텐데> *팀 & 노희관 <My Destiny> 듀엣가요제 MBC 네이버 TV 2019.09.07 *Tim(팀) <A Whole New World> TIM Official TIM Official TIM Official 2017.03.09 *Tim(팀) <You Raise Me Up> 두시탈출 컬투쇼 SBS 파워FM SBS Radio100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03 Mnet 아시안 뮤직 어워즈 남자 신인상 사랑합니다... = = = 가요 프로그램 1위 = = = 연도 수상 내역 (총 3회) 2004년 (총 3회) 고마웠다고 (총 3회) 7월 17일 MBC 《음악캠프》 1위 7월 24일 MBC 《음악캠프》 1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 = 가족 관계 = = 배우자: 김보라 = 지방도 제902호선 = 지방도 제902호선은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초현리 한재치안센터와 청도군 각북면 헐티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 = 연혁 = = 2003년 2월 20일 : 노선 폐지 및 '밀양 ~ 각북선'으로 재지정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2003년 2월 20일. = = 주요 경유지 = = 청도군 청도읍 한재치안센터 - 초현리 - 음지리 - 평양리 - 상리 - 밤티재 각남면 밤티재 - 사리 - 상사교 - 하사교 - 초동교 - 신당리 - (신당육교) - 녹명교 - 풍각교 풍각면 풍각교 - 이서삼거리 - 송서리 - 풍각중학교 - 청도전자고등학교 - 풍각우체국 - 풍각초등학교 - 각북교 각북면 각북교 - 우산리 - 삼평리 - 남산교 - 각북면사무소 - 중앙교 - 남산리 - 덕산교 - 금천리 - 오산리 - 헐티재 = = 중복 구간 = = 청도군 각남면 초동교 남단 ~ (신당육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과 중복 = = 도로명 = = 청도군 청도읍 한재치안센터 ~ 각남면 (신당육교) : 한재로 청도군 각남면 (신당육교) ~ 헐티재 : 헐티로 = 요충과 = 요충과(蟯蟲科, Oxyuridae)는 쌍선충강 요충목에 속하는 기생성 선형동물과 분류군이다. 8개 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몸에 기생하는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을 포함하고 있다. = = 하위 속 = = Citellina 요충속 (Enterobius) -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포함. Lemuricola 말요충속 (Oxyuris) - 말요충 (Oxyuris equi) 포함. 토끼요충속 (Passalurus) - 토끼요충 (Passalurus ambiguus) 포함. Protozoophaga 양요충속 (Skrjabinema) - 양요충 (Skrjabinema ovis) 포함. 쥐요충속 (Syphacia) - 쥐요충 (Syphacia muri), 쥐맹장요충 (Syphacia obvelata) 포함. Trypanoxyuris Wellcomia = 만다라 = 만다라(, 曼茶羅, 曼陀羅, )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만다라"라는 낱말 자체는 "원(圓circle)"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만달라(मण्डल Maṇḍala)를 음을 따라 번역한 것이다. 만다라는 원래는 힌두교에서 생겨난 것이지만 불교에서도 사용된다. 주로, 힌두교의 밀교(탄트리즘Tantrism)와 불교의 밀교(금강승Vajrayana)의 종교적 수행 시에 수행을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정해진 양식 또는 규범에 따라 그려진 도형을 가리킨다. 힌두교의 얀트라(यन्त्रYantra)도 이러한 도형에 해당하는데 만다라의 일종이라 생각할 수 있다. 보통 "얀트라"라는 낱말은 만다라와는 구분하여 힌두교의 문맥에서만 사용되는데, 반면 "만다라"라는 낱말은 힌두교와 불교 모두에서 사용된다. 힌두교와 불교의 전통에서, 만다라의 기본 형태는 사각형의 중심에 원이 있으며 사각형의 각 변의 중앙에 한 개의 문이 있는 형태로, 이 때 각 문은 주로 영어의 티(T)자 모양을 한다. Artiste Nomade, "만다라란 무엇인가(What's a mandala)?" . 2011년 3월 27일에 확인. Kheper, "신성한 기하학이자 미술로서의 불교의 만다라(The Buddhist Mandala - Sacred Geometry and Art)" . 2011년 3월 27일에 확인. (오른쪽에 있는 불교의 금강계 만다라와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 그림을 참조하시오.)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의 밀교 경전에서, 당나라의 현장(玄奘: 602~664) 이전의 번역인 구역(舊譯)에서는 만다라(曼茶羅)를 단(壇)이라고 한역(漢譯)하였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밀교의 사상 > 만다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반면 당나라 현장 이후의 번역인 신역(新譯)에서는 취집(聚集)이라고 한역하였다. 한편, 만다라를 윤원구족(輪圓具足)이라 번역하기도 한다."만다라 mandala, 曼茶(陀)羅, 윤원구족", 네이버 백과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한편, 불교에서, 만다라 꽃은 연화(蓮花: 연꽃)를 가리키며 불상(佛像) 앞에 놓인 제단을 만다라라고도 한다. 금강승(바즈라야나) 계열의 티베트 불교에서는 모래그림(sandpainting)을 사용하여 만다라를 제작하는 방법도 개발하였다. 이들을 모래 만다라(Sand-mandala)라고 한다. = = 불교의 만다라 = = 불교의 밀교에서는 다라니(陀羅尼)를 암송하는 것을 통해 마음을 통일시키는 수행과 여러 부처와 보살에 대한 공양(참고: 염불)이 강조되었는데, 사각형 또는 원형의 흙으로 만든 단(壇)을 만들어 여기에 불상과 보살상을 둔 후 수행 의식을 행하고 공양을 올렸다. 이 단(壇)을 만다라라고 하였는데, 또한 여러 부처와 보살이 충만되어 있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취집(聚集)이라고도 하였다. 산스크리트어 "만달라(मण्डल Maṇḍala)"는 원래는 본질을 뜻하는 만달(Maṇḍal)과 소유를 뜻하는 라(la)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낱말로, "본질의 것", "본질을 소유한 것", 또는 "본질을 담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는, 불교의 본질은 보리(菩提), 즉 깨달음이기 때문에 만다라는 부처의 깨달음의 경지(境地)를 상징화하여 신성(神聖)한 단(壇)이라는 물리적입체적 형태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국티베트 등의 불교 중 밀교에서는 대일여래(大日如來)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부처와 보살을 배치한 그림을 가리켜 만다라고도 한다. 이러한 그림으로서의 만다라도, 다만 도형화하여 평면적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부처의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화하여 표현했다는 점에서는 입체적인 단(壇)과 본질적인 의미가 동일하다. 이런 면에서, 만다라는 수행자가 명상을 통하여 우주의 에센스("불성")와 합일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깨달음의 안내도라는 의미가 있다. 불교의 밀교에서는 깨달음의 경지를 도형화한 만다라를 윤원구족(輪圓具足)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윤원구족은 낱낱의 살(輻)이 바퀴축(轂)에 모여 둥근 수레바퀴(圓輪)를 이루듯이, 모든 법을 원만히 다 갖추어 모자람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 = = 태장계 만다라 = = = 대일경(大日經)은 7세기 후반에 인도 중부에서 성립되었는데, 여러 부처와 보살을 대일여래를 중심으로 집대성하여 만다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 만다라를 태장계 만다라(胎藏界曼茶羅Garbhadhatu mandala)라고 하였다. 태장계 만다라를 사용하는 태장계 밀교는 이론적으로 화엄경(華嚴經)에 나타난 사사무애법계(事事無礙法界)의 교의를 받아들여 현실의 사상(事象)에서 곧바로 우주의 진실상(眞實相)을 직관(直觀)할 것을 주장한다. = = = 금강계 만다라 = = = 대일경(大日經)이 성립된 때로부터 얼마 후에 인도 남부에서 성립되었다고 하는 금강정경(金剛頂經)은 유가행파의 교의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금강계 만다라(金剛界曼茶羅Vajradhatu Mandala)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금강계 만다라를 사용하는 밀교를 금강계 밀교라고도 한다. = 카바티나 = 카바티나(cavatina, 이탈리아어 cavata의 축소형)는 음악 용어로 원래 2절 또는 곡의 반복이 없는 단순한 성격의 짧은 노래이다. 현재 원조 아리아, 서창(敍唱) 등과 구별되어 짧고 곡조가 아름다운 노래에 적용되고, 종종 성담곡(聖譚曲) 또는 오페라에서 대규모 악장(樂章)이나 독창의 한 부분을 담당한다. 유명한 카바티나 중 하나로 베토벤 현악 4중주 13번 5번째 악장이 꼽힌다. 근래 들어 유명해진 또 다른 카바티나로 마이클 치메노의 1978년 영화 디어 헌터의 테마 음악으로 사용된 스탠리 마이어스 작곡의 〈카바티나〉를 꼽는다.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중 〈일꾼을 위해 길을 비켜라〉(Largo al factotum)와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중 Se vuol ballare도 카바티나이다. =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 =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1607년 ~ 1648년)는 스페인의 도미니코회 선교사이다.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다 순교하였다. 1909년 교황 비오 10세에 의해 복자에 서품되었고, 200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에 추대되었다. = 코지 파월 = 코지 파월(Cozy Powell, 1947년 12월 29일 ~ 1998년 4월 5일)는 잉글랜드의 음악가이다. = 자코비니-지너 혜성 =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물병자리에서 발견된 주기 혜성이다. 주기는 6.6년으로 2012년에 다시 볼 수 있다. 사분의자리 유성우와 용자리 감마 유성우가 떨어질 때 유성이 최대로 떨어지게 하는 혜성이다.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미셀 자코비니가 1900년 12월 20일에 물병자리를 관측하다가 발견하였다. 1913년 10월 23일에 에른스트 지너가 전갈자리 베타를 관측하다가 이 혜성을 다시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밝기는 +8.0, 가장 밝을 때는 +5.0이었다. 1985년 9월 11일 국제 혜성 탐사선이 자코비니-지너 혜성 근처를 지나갔다. 일본의 탐사선인 사키가케도 1998년 근접할 계획이었지만, 추진제가 부족하여 계획이 취소되었다. = = 용자리 감마 유성우 = = 주기 6.4년의 자코비니-지너 혜성을 모혜성으로 하므로, 자코비니 유성우라고 하는 일도 많다. 이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한 1933년 10월 9일 밤, 유럽에서는 대단한 대유성우가 관측되어 1분간에 1000개 이상의 유성이 보였다는 기록이 있은 이래 유명하게 되었다. 1946년 미국에서도 아름다운 유성우가 보였으며, 다음 기회는 1959년 아시아에서 있을 것이라고 하였으나, 유성우의 뚜렷한 출현은 없었다. = 분류:2023년 축구 틀 = = 분류:파스큘라 = = 분류:웨일스에 거주한 노르웨이인 = = 101마리 강아지 (프랜차이즈) = 101마리 강아지는 영화, TV 및 기타 미디어로 구성된 프랜차이즈이다. 1961년 전통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101마리 강아지의 개봉과 함께 시작되었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제작한 다양한 각색이 수년에 걸쳐 출시되었다. 프랜차이즈는 도디 스미스와 월트 디즈니가 만들었다. = = 영화 = = 101마리 강아지 101마리 강아지 2: 패치의 런던 대모험 101 달마시안 102 달마시안 크루엘라 = 분류:나라별 군인 = = 박일하 = 박일하(朴一河, 1963년 9월 29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20대 동작구청장이다. = = 학력 = = 제천고등학교 (졸업) 서울산업대학교 (토목공학 / 학사)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건설공학 / 석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건설공학 / 박사) = = 경력 = = 부산지방항공청 공항시설국장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건설관리실장 익산지방국토관리청 전주국토관리사무소장 국토교통부 투자심사담당관 국토교통부 광역도시철도과장 국토교통부 철도정책과장 국토교통부 물류시설정보과장 경기도청 건설국장 원주지방국토관리청장 제20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국토교통 특보 제20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조직본부 서울시 동작구 총괄본부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자문위원 2022.07 ~ : 제20대 민선 8기 서울특별시 동작구청장(초선) 희망도시포럼 자문위원단 =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침해 = = 에펨포 = 에펨포는 아위시가 2004년 2월 16일에 만든 대한민국의 FPS(1인칭 슈팅 게임) 전문 커뮤니티로써, 정식 이름은 FPS 게임전문 커뮤니티이다. FPS 게임 유저들의 친목카페이기도 하고 대한민국 1인칭 슈팅게임 매니아 포럼이라고 한다. 목적은 FPS에 대한 정보 공유와 유머다. = = 연혁 = = 2004년 2월 16일 : 1인칭액션게임매니아 개설 2004년 3월 28일 : 카페 이름 '1인칭슈팅게임매니아(FPSMANIA)'로 변경 2004년 6월 28일 : 카페 이름 '『FPS』1인칭슈팅게임매니아'로 변경 2004년 12월 1일 : 카페 이름 '네이버 최대 FPS 게임 전문 커뮤니티 FMF [에펨포]'로 변경 2004년 11월 20일 : 카페 이름 'FPSGame★Mania☆Forum'로 변경 2004년 11월 26일 : 카페 이름 '네이버 최대 FPS 게임 전문 커뮤니티 [에펨포]'로 변경 2006년 9월 17일 : 카페 이름 '에펨포 - FPS 게임전문 커뮤니티 [FMF]'로 변경 2015년 7월 21일 : 카페 이름 '에펨포 - FPS 게임 전문 커뮤니티 [FMF]'로 변경 2015년 10월 23일 : 카페 이름 '●에펨포● FPS 게임 전문 커뮤니티 [FMF]'로 변경 2017년 12월 19일 : 2017 대표카페로 선정 = 분류:토끼 마스코트 = = 요코하마 중화가 = 요코하마 중화가는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차이나타운이다. 1866년 요코하마의 외국인거류지의 일각에 중국인 무역상들에 의해 세워진 관제묘, 중국인회관 및 중화학교 등이 시설이 들어선 것을 그 시초로 보면 150년 남짓의 역사를 갖는다. 고베 차이나타운, 나가사키 차이나타운과 더불어 일본의 '3대 중화가'의 하나로 꼽히며, 동아시아에서도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도 대규모의 차이나타운 중 하나이다. 이곳에는 200개 이상의 음식점들이 위치하고 있다(다만, 다른 상점들은 이 수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중국인보다도 일본인이나 유럽인이 훨씬 많은데 이는 다른 나라의 차이나타운 뿐 아니라 같은 일본 내의 차이나타운인 고베, 나가사키 등에서도 보기 힘든 예라고 한다. 유명한 명소로 관우묘가 있다. = = 역사 = = 1859년에 요코하마 시가 개항할 때, 요코하마에 들어오는 유럽 상인들은 한자를 아는 유능한 중국인 통역관들을 스카우트해옴으로써 이를 중심으로 중국인들의 거주지역이 형성되었다. 나중에는 상하이와 홍콩 사이의 페리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많은 중국 상인들은 일본에 오면서 학교를 세웠고, 중국인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여러 가지 다른 기능을 갖춘 차이나타운을 세웠다. 하지만 당시 일본 정부의 규제로 이주자가 지정된 곳 이외에 사는 것은 제한되었다. 1899년 법이 바뀌어서 중국인을 상대로 하는 규제가 완화되었다. 1923년에 간토 지방에서 간토 대지진이 일어났다.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죽고, 1900만 명은 집을 잃었다. 차이나타운도 이때 고생했는데 많은 이민자가 이때 중국으로 되돌아갔다. 1937년에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으로 차이나타운은 잠시 경제가 침체되었다. 전쟁이 끝난 뒤에는 다시 성장했다. 1955년 대문이 지어지면서 차이나타운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았고 '요코하마 중화가'라고 불리게 되었다. 1972년 중국과의 국교가 중화민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바뀌었다. 2004년 2월 2일에는 요코하마 중화가와 연결되는 미나토미라이선의 모토마치·주카가이 역이 개통되었다. = = 교통 = = 요코하마 차이나타운은 기차, 버스, seabus, 자동차를 타고 갈 수 있다. = = = 기차 = = =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 역, 니혼오도리 역 (도쿄의 시부야역에서 도큐 도요코 선으로 직결 운행. 35분-40분 소요) JR 네기시 선(게이힌 도호쿠 선): 이시카와초역 (도쿄의 시나가와역에서 약 50분 소요) JR 네기시 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 간나이역 = = = 버스 = = = 요코하마역 동쪽 버스 정거장에 차이나타운으로 가는 6개의 버스 노선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사쿠라기초 버스 정거장을 통해서 요코하마 차이나타운으로 가는 16개의 버스 노선이 있다. = = = Seabus = = = Seabus (페리) = 분류:베스트만란드주 = = 세군다 디비시온 2017-18 = = = 참가 구단 = = = = = 참가 구단의 변동 = = = 총 22개 구단이 리그에 참가했는데, 이 중 15개 구단은 2016-17 시즌에도 참가한 구단들이며, 4개 구단은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한 구단들이고, 나머지 3개 구단은 라리가에서 강등당한 구단들이다. 좌측 열은 이번 시즌에 세군다 디비시온에 합류한 구단들이며, 우측 열은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타 단계 리그로 옮긴 구단들이다. 알바세테 바르셀로나 B 쿨투랄 레오네사 로르카 그라나다 오사수나 스포르팅 히혼 엘체 마요르카 미란데스 UCAM 무르시아 헤타페 지로나 레반테 = = = 구단별 구장 및 위치 = = = 다음의 구단들이 2017-18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구단 위치 경기장 관중수 알바세테 알바세테 카를로스 벨몬테 알코르콘 알코르콘 산토 도밍고 알메리아 알메리아 지중해 게임 경기장 바르셀로나 B 바르셀로나 미니 에스타디 카디스 카디스 라몬 데 카란사 코르도바 코르도바 엘 아르캉헬 쿨투랄 레오네사 레온 레이노 데 레온 짐나스틱 타라고나 노우 에스타디 그라나다 그라나다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 우에스카 우에스카 엘 알코라스 로르카 로르카 프란시스코 아르테스 카라스코 루고 루고 앙초 카로 누만시아 소리아 로스 파하리토스 오사수나 팜플로나 엘 사다르 오비에도 오비에도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라요 바예카노 마드리드 바예카스 레우스 레우스 시립 경기장 세비야 아틀레티코 세비야 비에호 네르비온 스포르팅 히혼 히혼 엘 몰리논 Podcast Gijón Ser Deportivos; 2015년 3월 9일 테네리페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바야돌리드 바야돌리드 호세 소리야 사라고사 사라고사 라 로마레다 = = = 구단 인사 및 협찬사 = = = 구단 감독 주장 유니폼 제작사 협찬사 알바세테 엔리케 마르틴 카를로스 델가도 험멜 솔리스 보험 알코르콘 훌리오 벨라스케스 카를로스 벨비스 켈미 워너벳 알메리아 프란 페르난데스 호르헤 모르시요 나이키 우리크솔 바르셀로나 B 차비 가르시아 피미엔타 세르지 팔렌시아 나이키 라쿠텐 카디스 알바로 세르베라 세르반도 산체스 아디다스 토로트 코르도바 호세 라몬 산도발 알레한드로 알파로 카파 탱고 프루트 쿨투랄 레오네사 루벤 데 라 바레라 안토니오 마르티네스 험멜 어스파이어 아카데미 짐나스틱 호세 안토니오 고르디요 차비 몰리나 험멜 소리게 그라나다 미겔 앙헬 포르투갈 라울 바에나 호마 에너지 킹 우에스카 루비 후안호 카마초 베미세르 사베코 슈퍼마켓 로르카 파브리 후안 페드로 피나 험멜 없음 루고 프란시스코 카를로스 피타 험멜 에스트레야 갈리시아 누만시아 하고바 아라사테 훌리오 알바레스 에레아 조위 오사수나 디에고 마르티네스 미겔 플라뇨 아디다스 없음 오비에도 후안 안토니오 앙켈라 토체 아디다스 화웨이 라요 바예카노 미첼 아드리 엠바르바 켈미 부페테 로살레스 레우스 아리츠 로페스 가라이 헤수스 올모 카파 없음 세비야 아틀레티코 루이스 가르시아 테베네트 쿠로 뉴 발란스 플레이티카 스포르팅 히혼 루벤 바라하 로베르토 카네야 나이키 테슬라카드 테네리페 호세바 에체베리아 수소 산타나 험멜 산타 크루스 바야돌리드 세르히오 곤살레스 하비 모야노 험멜 쿠아트로 라야스 사라고사 나초 곤살레스 알베르토 사파테르 아디다스 카라반 방향제 = = = 감독 교체 = = = 구단 해임 감독 해임 사유 해임 일자 리그 순위 취임 감독 취임 일자 그라나다 토니 애덤스 대행 임기 만료 2017년 5월 19일 개막 전 호세 루이스 올트라 2017년 6월 3일 로르카 다비드 비달 계약 만료 2017년 6월 30일 개막 전 쿠로 토레스 2017년 7월 2일Curro Torres, nuevo técnico del Lorca FC (쿠로 토레스, 로르카 FC의 신임 감독으로 취임) ; Lorca FC, 2017년 7월 2일 (스페인어) 세비야 아틀레티코 디에고 마르티네스 오사수나로 이적 2017년 6월 7일 개막 전 루이스 가르시아 테베네트 2017년 6월 8일 오사수나 페타르 바실례비치 경질 2017년 6월 7일 개막 전 디에고 마르티네스 2017년 6월 7일 스포르팅 히혼 루비 계약 만료 2017년 6월 10일 개막 전 파코 에레라 2017년 6월 15일 사라고사 세사르 라이네스 대행 임기 만료 2017년 6월 11일 개막 전 나초 곤살레스 2017년 6월 11일 레우스 나초 곤살레스 사라고사로 이적 2017년 6월 11일 개막 전 아리츠 로페스 가라이 2017년 6월 15일 바야돌리드 파코 에레라 계약 만료 2017년 6월 12일 개막 전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2017년 6월 23일 오비에도 페르난도 이에로 상호 계약 해지 2017년 6월 13일 개막 전 후안 안토니오 앙켈라 2017년 6월 23일 루고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사임 2017년 6월 15일 개막 전 프란시스코 2017년 6월 21일 우에스카 후안 안토니오 앙켈라 계약 만료 2017년 6월 20일 개막 전 루비 2017년 6월 23일 짐나스틱 나노 리바스 대행 임기 만료 2017년 6월 22일 개막 전 류이스 카레라스 2017년 6월 22일 짐나스틱 류이스 카레라스 경질 2017년 9월 9일 22위 로드리 2017년 9월 9일 알바세테 호세 마누엘 아이라 경질 2017년 10월 1일 21위 엔리케 마르틴 2017년 10월 5일 코르도바 루이스 카리온 경질 2017년 10월 16일 19위 후안 메리노 2017년 10월 18일 알메리아 루이스 미겔 라미스 경질 2017년 11월 13일 20위 루카스 알카라스 2017년 11월 16일 코르도바 후안 메리노 경질 2017년 12월 4일 22위 호르헤 로메로 2017년 12월 4일 스포르팅 히혼 파코 에레라 경질 2017년 12월 12일 10위 루벤 바라하 2017년 12월 12일 로르카 쿠로 토레스 경질 2017년 12월 17일 20위 파브리 2017년 12월 22일 짐나스틱 로드리 경질 2018년 1월 29일 17위 나노 리바스 2018년 1월 29일 테네리페 호세 루이스 마르티 경질 2018년 2월 4일 13위 호세바 에체베리아 2018년 2월 5일 코르도바 호르헤 로메로 경질 2018년 2월 12일 20위 호세 라몬 산도발 2018년 2월 13일 그라나다 호세 루이스 올트라 경질 2018년 3월 19일 5위 페드로 모리야 2018년 3월 19일 바야돌리드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경질 2018년 4월 10일 11위 세르히오 곤살레스 2018년 4월 10일 알메리아 루카스 알카라스 상호 계약 해지 2018년 4월 24일 18위 프란 페르난데스 2018년 4월 24일 바르셀로나 B 제라르드 로페스 경질 2018년 4월 25일 20위 차비 가르시아 피미엔타 2018년 4월 25일 그라나다 페드로 모리야 경질 2018년 4월 30일 8위 미겔 앙헬 포르투갈 2018년 5월 1일 짐나스틱 나노 리바스 경질 2018년 5월 13일Nano Rivas deixa de ser l'entrenador del Nàstic (나스틱 감독직을 그만둔 나노 리바스) ; Gimnàstic Tarragona, 2018년 5월 13일 (카탈루냐어) 18위 호세 안토니오 고르디요 2018년 5월 14일 = = 리그 순위 = = = = = 최종 순위표 = = = = = = 순위 변동표 = = = 구단 \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라요 바예카노 2 3 7 13 14 10 14 9 7 5 6 6 7 8 6 6 4 6 4 4 5 4 7 4 4 3 2 2 2 2 1 2 2 2 2 1 1 1 1 2 1 1 우에스카 19 8 10 12 16 14 6 3 6 7 5 5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1 3 3 3 3 3 2 2 1 2 2 사라고사 21 20 11 17 19 18 18 16 10 10 11 11 15 13 14 14 13 13 13 15 16 14 16 13 12 11 11 11 11 7 6 8 6 5 7 6 6 4 5 4 4 3 스포르팅 히혼 15 2 1 2 8 1 7 4 2 3 3 3 4 5 8 8 9 10 8 10 9 9 10 9 10 9 10 7 5 4 4 3 1 1 1 2 2 3 3 3 3 4 바야돌리드 18 9 4 4 2 6 2 7 4 6 7 7 8 9 7 9 11 12 10 9 10 10 9 10 9 10 8 9 10 10 10 9 7 11 11 9 9 8 7 5 6 5 누만시아 6 4 2 8 1 2 1 2 3 4 8 8 6 3 4 7 5 4 6 5 4 5 8 7 5 7 6 6 8 9 8 10 8 6 4 5 4 5 6 7 8 6 오비에도 16 16 9 10 7 12 13 14 14 16 12 15 11 10 11 10 7 7 5 3 3 3 3 3 3 4 5 5 6 8 7 7 10 8 6 7 7 7 9 8 9 7 오사수나 8 17 17 11 6 9 4 1 1 1 1 4 5 2 3 5 8 9 9 8 8 7 5 6 8 6 7 8 7 6 9 6 9 10 10 10 10 9 8 9 7 8 카디스 3 6 3 1 3 3 8 13 12 11 15 16 12 11 9 4 3 3 2 2 2 2 2 2 2 2 3 4 4 3 3 4 4 4 5 4 5 6 4 6 5 9 그라나다 12 13 16 15 18 15 11 6 9 8 4 2 1 4 5 3 6 5 7 6 6 8 6 8 7 5 4 3 3 5 5 5 5 7 8 8 8 10 10 10 10 10 테네리페 7 1 5 6 10 4 10 5 8 9 9 9 10 7 10 11 12 8 11 11 11 11 11 12 13 12 12 12 12 12 12 12 11 9 9 11 11 11 11 11 11 11 루고 13 21 20 18 12 7 3 8 5 2 2 1 3 6 2 2 2 2 3 7 7 6 4 5 6 8 9 10 9 11 11 11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알코르콘 11 15 8 3 5 11 15 18 18 20 17 13 17 17 13 13 14 14 16 12 12 17 12 16 16 14 14 16 17 18 18 15 15 16 15 15 17 16 17 14 14 13 레우스 14 14 18 14 15 16 12 12 11 15 10 10 9 12 12 12 10 11 12 14 13 18 13 14 17 13 13 13 15 14 14 14 14 15 14 13 13 13 13 13 13 14 짐나스틱 20 19 22 22 20 20 20 21 20 17 18 19 16 18 15 15 17 15 18 18 17 12 14 17 18 15 18 18 18 17 17 18 16 14 16 16 15 18 18 17 15 15 코르도바 17 7 15 19 13 17 19 17 17 19 21 20 21 22 22 22 22 22 22 20 20 21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19 19 19 19 19 16 16 알바세테 10 22 21 21 22 21 21 20 21 18 19 18 18 16 17 17 18 16 17 13 15 13 15 11 11 16 17 15 13 13 13 13 13 13 13 14 14 14 14 15 18 17 알메리아 5 5 12 7 11 5 5 11 15 14 16 17 20 20 19 20 15 18 14 16 14 15 17 19 15 18 16 14 14 15 16 17 18 17 17 18 18 17 15 16 19 18 쿨투랄 레오네사 22 11 6 9 4 8 9 10 13 12 13 12 14 15 16 16 16 19 15 17 18 16 18 15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8 17 16 15 16 18 17 19 바르셀로나 B 4 12 14 5 9 13 16 15 16 13 14 14 13 14 18 18 19 17 19 19 19 19 19 18 14 17 15 17 16 16 15 16 17 18 19 20 20 20 20 20 20 20 로르카 1 10 13 16 17 19 17 19 19 21 20 21 19 19 20 19 20 20 20 21 21 20 21 22 22 22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2 21 세비야 아틀레티코 9 18 19 20 21 22 22 22 22 22 22 22 22 21 21 21 21 21 21 22 22 22 22 21 21 21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1 22 출처: BD푸트볼 선두 라 리가로 승격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진출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 승격 플레이오프전 = = 승격 플레이오프전은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기 위해 정규 시즌에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을 제외하고)이 경합했다. = = = 대진표 = = = = = = 결과 = = = 라 리가승격 바야돌리드4년 만에 승격 = = 시즌 통계 = = = = = 득점 집계 = = = 순위 이름 골 구단 1 하이메 마타 33 바야돌리드 2 라울 데 토마스 24 라요 바예카노 3 세르지 과르디올라 22 코르도바 3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22 사라고사 5 미차엘 산토스 17 스포르팅 히혼 6 쿠초 에르난데스 16 우에스카 6 곤살로 멜레로 16 우에스카 8 다르윈 마치스 14 그라나다 9 사무엘레 론고 12 테네리페 9 오스카르 트레호 12 라요 바예카노 = = = 도움 집계 = = = 순위 이름 도움 구단 1 아드리 엠바르바 14 라요 바예카노 2 사울 베르혼 13 오비에도 2 에미 부엔디아 13 쿨투랄 레오네사 4 다비드 페레이로 11 우에스카 5 카를로스 카르모나 10 스포르팅 히혼 6 호세 앙헬 포소 8 알메리아 6 루벤 가르시아 8 스포르팅 히혼 6 세르지 과르디올라 8 코르도바 6 마르크 마테우 8 누만시아 6 오스카르 플라노 8 바야돌리드 = = = 트로페오 사모라 = = = 마르카지는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트로페오 사모라를 수상했다. 이 상의 수상 자격을 얻으려면 최소 28경기 이상 출전해야 하며, 1경기 출전을 인정받으려면 해당 경기를 60분 이상 출전해야 했다. 순위 이름 실점 출전 실점률 구단 1 알베르토 시푸엔테스 29 42 0.69 카디스 2 세르히오 에레라 29 40 0.73 오사수나 3 알렉스 레미로 38 40 0.95 우에스카 4 카스토 38 39 0.97 알코르콘 5 디에고 마리뇨 42 43 0.98 스포르팅 히혼 = = = 해트트릭 목록 = = = 선수 구단 상대 결과 날짜 라운드 주석 다르윈 마치스 그라나다 로르카 4–1 (안) 2017년 10월 30일 12 세르지 과르디올라 코르도바 레우스 5–0 (안) 2017년 12월 20일 20 카를레스 페레스 바르셀로나 B 테네리페 3–1 (원) 2018년 1월 21일 23 라울 데 토마스 라요 바예카노 로르카 5–1 (안) 2018년 1월 27일 24 라울 데 토마스 라요 바예카노 쿨투랄 레오네사 3–2 (원) 2018년 2월 18일 27 라울 데 토마스 라요 바예카노 레우스 3–2 (안) 2018년 3월 18일 31 하이메 마타 바야돌리드 로르카 5–1 (원) 2018년 5월 19일 40 기오르기 파푸나슈빌리 사라고사 알바세테 4–1 (안) 2018년 5월 20일 40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사라고사 바야돌리드 3–2 (안) 2018년 5월 27일 41 (안) – 안방 경기; (원) – 원정 경기 = = = 관중 통계 = = = 순위 구단 1 스포르팅 히혼 458,392 27,506 15,436 20,836 −7.6%1 2 사라고사 421,606 29,741 10,177 19,164 +21.6% 3 오비에도 294,062 25,996 10,312 14,003 +3.4% 4 오사수나 290,626 16,292 9,836 13,839 −6.6%1 5 카디스 276,303 16,705 8,758 13,157 −4.7% 6 코르도바 273,745 20,341 4,814 13,035 +6.1% 7 테네리페 253,073 19,125 7,937 12,051 −2.7% 8 바야돌리드 268,836 24,677 5,570 11,689 +42.5% 9 그라나다 227,937 14,106 6,092 10,854 −27.6%1 10 라요 바예카노 197,237 13,724 6,285 9,392 +13.1% 11 쿨투랄 레오네사 179,918 12,354 6,608 8,568 +55.8%2 12 알메리아 148,954 11,789 4,928 7,093 −5.8% 13 알바세테 140,226 12,438 4,550 6,677 +5.7%2 14 짐나스틱 121,853 11,133 3,939 5,803 +8.1% 15 로르카 92,511 6,727 1,491 4,405 자료 없음2 16 우에스카 87,949 5,282 3,005 4,188 +21.3% 17 누만시아 93,484 8,069 2,174 4,065 +39.6% 18 루고 79,053 6,512 2,960 3,764 +3.7% 19 알코르콘 60,127 4,166 1,808 2,863 +6.3% 20 바르셀로나 B 55,705 5,592 1,327 2,653 +13.7%2 21 레우스 54,274 4,235 1,548 2,584 −32.6% 22 세비야 아틀레티코 28,530 4,663 409 1,359 −71.1%3 리그 합계 4,104,401 29,741 409 8,770 +15.3% 출처: LaLiga.es참고:1: 전 시즌 라 리가 소속2: 전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B 소속3: 세비야 아틀레티코는 전 시즌까지 산체스 피스후안에서 안방 경기를 치렀다. = = 라리가 시상식 = = = = = 월간 = = = 월 이달의 선수 이달의 선수 주 월 선수 구단 주 9월 하이메 마타 바야돌리드 10월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사라고사 11월 쿠초 에르난데스 우에스카 12월 카를로스 에르난데스 오비에도 1월 후안 카를로스 루고 2월 라울 데 토마스 라요 바예카노 3월 호니 스포르팅 히혼 4월 라울 데 토마스 라요 바예카노 = 다르빗슈 유 = 다르빗슈 유(, 1986년 8월 16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내셔널 리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정식 이름은 다르빗슈 세파트 파리드 유(, 또는 )이며, 애칭은 ‘다르’, 소속사는 에이벡스 그룹이다. = = 생애 = = = = = 프로 입단 전 = = =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해 '젠 하비키노 보이즈'(전 하비키노시 선발 연식야구팀)에 소속될 당시 전국 대회에서는 8강 진출, 세계 대회에서 3위라는 성적을 올리는 맹활약으로 50곳이 넘는 고등학교로부터 스카웃 제의가 있었지만, 환경 등을 이유로 도호쿠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당찬 발언과 쿨한 외모를 가졌다는 이유로 고시엔 대회에서는 이미 여성 팬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었다. 1학년 가을부터 에이스 투수로 등극하면서 신장 195cm의 거대한 장신으로부터 내리꽂는 강속구는 당시 150km/h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2학년 봄과 여름, 3학년 봄과 여름에는 4차례의 고시엔 대회에 출전했다. 2학년 여름 대회인 결승전에서는 사카 가쓰히코가 소속된 조소가쿠인 고등학교한테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고, 3학년 봄에는 구마모토 현립 구마모토 공업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고교 야구대회 사상 12번째이자 10년 만이 되는 노히트 노런을 달성한다. 마지막 대회인 제86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마카베 겐지와 함께 활약하면서 3차전 상대인 지바 경제대학 부속 고등학교한테 패했지만 ‘고교생 No.1 투수’라고 불리었다. 그러나 2004년 9월에 흡연하는 사진이 주간지에 게재되면서 고교 야구 연맹으로부터 엄중 주의 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인 11월 17일,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는 와쿠이 히데아키, 사토 쓰요시와 나란히 인기 투수로서 주목받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다르빗슈 유를 단독 1순위로 지명했다. 12월 17일에는 부친과 함께한 자리에서 계약금 1억, 연봉 1500만, 성과급 5천만 엔의 고졸 신인으로서는 마쓰자카 다이스케, 데라하라 하야토 이래의 최고 조건으로 2004년 드래프트 지명 선수 중에서는 마지막으로 가계약을 맺었다. 고교 통산 성적: 등판 67, 투구회 332 1/3, 탈삼진 375, 평균자책점 1.10 고시엔 대회 통산 성적: 등판 12, 완투 7, 완봉 4, 투구회 92, 탈삼진 87, 사사구 27, 자책점 15, 7승 3패, 평균자책점 1.47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등판 4, 완투 2, 완봉 1, 투구회 30, 탈삼진 29, 사사구 7, 자책점 9, 2승 1패, 평균자책점 2.70 선수권: 등판 8, 완투 5, 완봉 3, 투구회 62, 탈삼진 58, 사사구 20, 자책점 6, 5승 2패, 평균자책점 0.87 = = = 닛폰햄 시절 = = = = = = = 2005년 = = = = 전년도 12월의 자율 트레이닝 도중에 다친 오른쪽 무릎 관절염의 영향으로 1월의 신인 합동 자율 트레이닝에서 닥터 스톱을 받아, 스프링 캠프는 2군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사진 주간지에서는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흡연한 사실이 보도되자 거기에 대해 구단 측은 2월 21일에 가마가야시에 있는 구단 기숙사에 송환되어 무기한 근신 처분과 근신 중의 사회 봉사활동을 명령하는 처분을 내렸고(2월 28일의 12개 구단 합동 신인 연수회는 참석) 도호쿠 고등학교는 2월 22일에 정학 처분을 내렸다(3월 1일의 졸업식은 정학 처분 기간 중이었기 때문에 참석하지 않았고 3월 8일에는 정학 해제를 기해서 다른 학생들보다 1주일 늦게 졸업했다). 그 후 2군에서는 재활 훈련을 계속받으면서 5월 5일에는 2군에 첫 등판해 그 후 완봉승도 기록했다. 6월에는 1군으로 승격되면서 1군 첫 등판이자 첫 선발 경기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8이닝 2실점을 기록하여 승리를 거두는 등 그 이후에는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14경기에 등판해 완봉승을 포함한 5승(5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에 가진 재계약과 관련해서는 연봉 2배인 3,000만엔으로 서명했다. (2007/10/25) 홋카이도 신문(2007년 10월 25일) = = = = 2006년 = = = = 2월에는 오른쪽 어깨 부상으로 출발이 늦어졌고 개막 초부터 4월까지는 평균자책점 5.16, WHIP 1.45를 기록하며 부진했지만, 5월 30일 이후 본인으로서는 정규 경기에서 10연승을 기록했다. 그대로 시즌 종료까지 단 한번도 패전 투수가 되는 경우는 없었고 최종적으로 규정 투구 횟수를 채우는 등 평균자책점 2.89와 12승 5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7월 7일의 세이부 라이온스전(인보이스 세이부 돔)에서는 선발을 맡았지만 원정 경기용 유니폼을 삿포로 돔의 라커룸에 두고 와버리는 바람에 야기 도모야의 유니폼을 빌려 등판하는 등 7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면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 날 닛폰햄은 팀의 전신인 도에이 플라이어스가 1961년 9월에 달성한 이래 팀 11연승(당시 구단 타이기록)이 걸려있는 경기였다. 게다가 그 때 본인은 “여기서 진다면 최악입니다”라고 발언했다. nikkansports.com(2006년 7월 8일) 그 해 시즌 종반을 앞둔 시점에서 쓰루오카 신야와 배터리를 짜는 일이 많아지면서 2007년 중반 이후부터는 다르빗슈 유가 등판할 시의 포수는 거의 쓰루오카로 고정되어 있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세컨드 스테이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전) 제1차전에 선발로 나서 11탈삼진과 1실점 완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고, 이후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첫 경기에서 선발을 맡았지만 6이닝 3실점을 기록하면서 패전 투수가 된다. 3승 1패로 접어든 5차전에 또다시 선발 등판해, 7과 1/3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어 팀은 44년 만에 통산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그 활약에 의해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인 라뉴 베어스와의 결승전에 선발 등판해 7이닝 10탈삼진 무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어 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44년만의 두 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과 아시아 시리즈 제패에 기여하며 팀의 새로운 에이스 투수로 성장했다. 재계약 갱신에서는 3,000만엔으로부터 4,200만엔이 상승한 7,200만엔에다가 성과급 지불에 서명했다. nikkansports.com(2007년 1월 27일) = = = = 2007년 = = = = 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고 8월 9일의 삿포로 돔에서 열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 선발 등판하면서 4대 2로 보란듯이 승리 투수가 된 다르빗슈는 경기 종료 후에 가진 히어로 인터뷰에서 “노리고 있었다”라고 말했고, 그 후에는 여배우 사에코와의 결혼을 발표했다. 오리콘(2007년 8월 9일) 시즌 성적은 15승 5패, 평균자책점 1.82, WHIP 0.83, 피안타율 1할 7푼 4리, 완투는 12구단 가운데 가장 많은 12개였다. 시즌 막바지에는 나루세 요시히사(지바 롯데 마린스)와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놓고 경쟁을 펼치면서 0.003점차로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은 놓쳤지만, 이마나카 신지 이래 14년 만에 7항목을 전부 채우면서 최고의 투수에게 주어지는 사와무라 에이지상의 수상자로 선정된 것 외에도 최다 탈삼진, 골든 글러브상, 베스트 나인의 타이틀을 연달아 석권했다. 팀의 리그 연패에 큰 기여를 하면서 퍼시픽 리그 MVP까지 선정되었는데 21세의 MVP는 사와무라 에이지, 이나오 가즈히사의 20세에 이은 최연소 기록이 되었다. nikkansports.com(2007년 11월 21일) 베이징 올림픽 야구 일본 대표팀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으로부터 대표팀의 에이스로 지명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에서는 1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9이닝 2실점을 기록해 승리 투수가 된다. 2승 2패로 접어든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최종전이자 5차전에서도 나루세를 상대하여 승리해 팀의 일본 시리즈 진출하는 데에 기여를 했다. 2승을 올리면서 일본 시리즈 진출의 원동력이 된 다르빗슈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의 MVP로 선정되었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주니치와 대결한 일본 시리즈에서는 1차전에서 선발 등판해 1실점 13탈삼진으로 완투, 가와카미 겐신과의 대결을 제압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1승 3패로 접어든 5차전에서 다시 선발 등판해 7이닝을 1실점 11탈삼진으로 기록하여 호투했지만 닛폰햄의 타선이 야마이 다이스케, 이와세 히토키의 계투에 1명의 주자도 내보내지 못하면서(퍼펙트 게임 = 계투에 의한 달성을 위해 참고 기록) 패전 투수가 되어 주니치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허용했지만 다르빗슈의 호투에 높은 평가를 받아 일본 시리즈 감투 선수상을 수상했다. 이후 재계약 갱신에서는 7,200만엔에서 178% 올린 1억 2,800만엔의 대폭 증가로 2억엔(추정)에 추가 성과급에 서명했다. 프로 4년차의 2억엔 달성은 5년차에 달성한 와다 쓰요시 등을 제친 최고 속도이며, 사상 최연소의 2억엔을 돌파한 선수가 되었다. nikkansports.com(2007년 12월 22일) = = = = 2008년 = = = = 3월 20일, 2년 연속 두 번째의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아 지바 롯데를 상대하면서 1대 0의 완봉승을 거둔다. 10개의 삼진을 빼앗아 개막전을 1대 0으로 완봉한데다가 두 자릿수 탈삼진을 빼앗은 것은 사상 최초의 쾌거를 이루었다. Sponichi Annex(2008년 3월 20일) 전년도 이상의 페이스로 승리를 쌓아올리면서 시즌 전반기부터 최다승, 평균자책점 부문에서 라쿠텐의 이와쿠마 히사시와 타이틀 경쟁을 펼쳤다. 시즌 처음부터 직접 대결하게 된 4월 10일에는 양쪽 모두 5회까지 노히트 피칭을 이어갔고 이와쿠마가 투구수 100개의 3피안타 1실점 완투, 다르빗슈는 투구수 95개의 3피안타 완봉으로 이와쿠마와의 투수전 끝에 승리를 거두었다. 7월 17일, 도쿄 돔에서 열린 라쿠텐전에서는 투구수 89개의 10탈삼진 무볼넷 완투로 11승째를 올렸다. Sponichi Annex(2008년 7월 17일) 그러나 전반기 마지막 등판이 된 7월 24일의 지바 롯데전에서는 165개의 완투에도 불구하고 만루 홈런을 허용하는 등 5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베이징 올림픽 예선 리그에서는 첫 경기인 쿠바전의 마운드를 맡았지만 4이닝 4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된다. 경기 종료 후 다르빗슈의 트레이드 마크인 장발을 깎으며 삭발을 하고 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nikkansports.com(2008년 8월 15일) “내가 했으니까 너도 해라”라고 강요당한 다나카 마사히로도 삭발을 하는 등 다나카는 “저를 길동무가 삼았습니다”라고 말했다. 참고로 다르빗슈의 머리를 직접 민 사람은 가와사키 무네노리였고, 그 다음날에는 다르빗슈와 다나카에 이어서 가와사키와 아베 신노스케는 삭발을 하면서 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nikkansports.com(2008년 8월 16일) 그러나 이 첫 경기에서는 호시노 감독의 신뢰를 잃어 예정되어있던 메달이 걸린 결승 토너먼트 준결승의 선발 자리도 박탈당했다. 결국 그 후의 등판은 소화 경기였던 예선 리그 최종전의 미국전의 선발과 3위 결정전인 미국전에서 패전 처리로 등판했다. 소속팀에 복귀한 이후에는 5경기에서 선발 등판해 2개의 완투를 포함한 5승 0패, 평균자책점 1.29, WHIP 0.66이라는 호투를 보이면서 지바 롯데와의 3위 자리를 놓고 경쟁을 펼쳤는데 결국 닛폰햄이 지바 롯데를 4위로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등판, 1실점 14탈삼진 완투와 3피안타 완봉으로 2승, 평균자책점 0.50를 기록했다. 그 해에는 투수 부문에서의 주요 타이틀이야말로 획득할 수는 없었지만 평균자책점, 최다승, 최다 탈삼진 모두 리그 2위를 기록, 올림픽에서의 이탈 기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투구회와 탈삼진은 2년 연속으로 200개를 넘어 평균자책점은 2년 연속 1점대, WHIP도 같이 1.00 이하를 기록했다. 사와무라상의 선정 기준에서도 2년 연속 전체 항목 달성했지만 시즌 21승을 기록한 이와쿠마는 단독 수상자가 되면서 2년 연속 사와무라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지 못했다. 기준을 전항목을 달성하고도 사와무라상을 받을 수 없었던 것은 기준이 제정된 1982년의 에가와 스구루 이래 두 번째가 되었다(다만 1982년은 사와무라상을 수상한 기타벳푸 마나부도 기준의 전항목을 달성하고 있는데 대해 이와쿠마는 완투수가 선정 기준에 닿지 않았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제1 스테이지(오릭스 버펄로스 전) 1차전에 선발 등판하면서 9이닝 14탈삼진 1실점으로 완투승을 달성했다. nikkansports.com(2008년 10월 12일) 이 중요한 정규 시즌 후반을 준비해 두었던 포크볼, 투심 패스트볼을 모두 해제하여 직구는 최고 속도 153km/h를 측정했다. 또, 이 경기에서 승리한 14개의 탈삼진은 일본 시리즈를 포함한 포스트시즌 사상 최다 기록이 되었다. 패하게 된다면 세이부에게 사활이 걸리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 2차전에 선발 등판, 우타자가 많은 세이부 타선의 몸쪽을 파고드는 투심 패스트볼을 많이 던지면서 그 해 타선이 강력했던 세이부의 타선을 3안타 완봉승을 거두었다. nikkansports.com(2008년 10월 19일) 피안타 3개는 포스트시즌 사상 최소 기록을 세웠다. 12월 1일의 계약 갱신에서는 7,000만엔 증가의 연봉 2억 7,000만엔에 추가 성과급에 바로 서명했는데 프로 5년차로서는 일본 야구계 사상 최고 연봉이 되었다. nikkansports.com(2008년 12월 2일) 19일(일본 시간 20일)에는 여배우 사에코와 함께 하와이 호놀룰루 시내에 마련된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날 결혼식에는 다르빗슈의 아버지, 같은 해 3월에 태어난 장남과 가족 외에도 후지이 슈고, 가와사키 무네노리, 니시오카 쓰요시, 아오키 노리치카에다가 세이부의 우승 기념 여행중이던 와쿠이 히데아키, 나카지마 히로유키 등이 참석하면서 축하해주었다. = = = = 2009년 = = = = 제2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일본 국가 대표팀 선수로 출전해 마쓰자카 다이스케, 이와쿠마와 함께 선발 3인방으로서 감독인 하라 다쓰노리로부터 지명되었다. 3월 5일, 일본 대표팀의 첫 경기인 중화인민공화국전에 선발 투수로 출전해 4이닝을 무안타 무실점에 막아 승리투수가 되었다. 또 3월 18일의모두 일본 시각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현지(미국)에서는 시차 관계로 하루 늦고, 각각 3월 17일, 3월 22일, 3월 23일이다. 대한민국전에서도 선발 투수로 출전하였지만 이 경기에서는 1이닝에 실책을 포함한 3실점을 내주면서 5이닝 7탈삼진 3실점(2자책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3월 23일의 준결승, 3월 24일의 결승전에서는 선발을 마쓰자카, 이와쿠마에게 양보하여 두 경기에서도 마무리 투수 출전, 이후 대한민국과의 결승전에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대회 통산 13이닝을 던져 2승 1패, 평균자책점 2.08, 대회 최다인 20탈삼진, WHIP 1.00의 성적을 남겨 매니 라미레스나 켄 그리피 주니어 등과 같은 메이저 리그의 간판 타자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정규 시즌에서는 3년 연속 개막전 선발 투수로서 이와쿠마와의 대결이 있었지만, 1이닝에 갑자기 3점을 헌납하면서 9이닝 3실점으로 자신의 첫 개막전에서의 패전 투수가 됨 것과 동시에 이와쿠마와의 대결에서 첫 패배를 안게되었다. nikkansports.com(2009년 4월 4일) 4월 24일의 오릭스전에서는 서투르다고 평가되던 옥외 구장에서 프로 첫 완봉승을 거두었다. 그 후의 경기에서도 안정된 투구를 이어가며 5월에는 4승 0패, 평균자책점 0.90, WHIP 0.90의 활약으로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월간 MVP에 선정되었다. 7월 15일, 소프트뱅크와의 경기(후쿠오카 Yahoo! JAPAN 돔)에서 완투승을 따낸 이후 히어로 인터뷰에서는 둘째 아이를 얻었다고 밝혔다. eltha(2009년 7월 15일) 그 이후에도 좋은 성적을 이어가면서 7월 22일에는 전반기 최종 등판인 지바 롯데전에서 9이닝 2안타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어 개인 통산 60승째를 올렸다. 통산 107경기 만에 60승 달성은 양대 리그가 출범한 이후 고졸 출신의 선수로서는 마쓰자카의 111 경기를 제친 최고 속도 기록이다. 시즌 전반기를 12승 3패, 평균자책점 1.39, WHIP 0.84, 122탈삼진의 좋은 성적으로 그 해의 올스타전에서도 팬 투표·선수간 투표 부문에서 모두 1위로 선정되었다. 7월 24일의 올스타전 제1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알렉스 라미레스의 투수 강습타구가 오른쪽 어깨를 맞춰 1이닝을 던지고 긴급 강판되었다. 이후에는 평균자책점 2.80, WHIP 1.13으로 컨디션이 나빠지는 8월 21일의 소프트뱅크전에서는 개인 최악의 성적인 6실점(8이닝)을 기록하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타구가 어깨에 맞았기 때문에 경기 후반에 구위가 떨어지면서 실점하는 경우가 눈에 띄었을 뿐만 아니라 내출혈이 발생한 이후에도 근육 파열과 같은 잔부상이 생기면서 어깨가 당기는 일이 많아졌다. 다음날인 8월 22일에 오른쪽 어깨 통증을 호소한 2006년 6월 이후가 되는 부상에 의한 등록 말소가 되었다. 9월 13일에는 일시 복귀하면서 지바 롯데전에 선발 등판, 8이닝 1실점으로 15승째를 올렸지만 원래의 구속은 자취를 감췄고 그 다음 9월 20일의 오릭스전에서는 7개의 볼넷을 허용하는 투구 난조로 5이닝 2실점을 기록하여 강판되는 등 오른쪽 어깨와 허리 통증에 의해 다시 등록이 말소되어 그 이후에는 등판 기회도 없이 시즌을 끝냈다. 팀은 리그 우승을 제패하면서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에 진출해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다르빗슈 본인은 등판하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서는 전과 다름없이 좋지 않은 컨디션에도 11월 1일의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해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상대로 평소에 잘 던지지 않던 100km/h대 전반의 슬로 커브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6이닝을 7탈삼진 2실점으로 4대 2의 승리를 거두었다. 부상부의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보폭을 좁히고 캐치볼을 하는 듯한 투구 폼이었지만 최고 속도 149km/h를 기록했다. 인터뷰에서는 “지금의 상태 치고는 기대 이상이었다. 일생일대의 투구를 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일본 시리즈가 끝난 이후 3년간의 오프 시즌중에도 쉬지 않기도 했기 때문에 병원에서의 정밀 진단에서는 오른쪽 검지손가락이 피로 골절되어 있다는 사실이 판명되면서 통증은 등판한 11월 1일 이전인 10월 28일부터 있었지만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은 상태에서 마운드에 올라가 오른쪽 검지손가락의 피로 골절과 허리 통증, 오른쪽 엉덩이 부위의 통증을 느끼고 있는 와중에 요미우리 타선을 막으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후반기의 전력 이탈이 있었지만 현역 선발 투수로서는 유일하게 3년 연속 WHIP 1.00 이하를 기록, 최고 평균자책점과 최고 승률을 동시에 석권했고 베스트 나인과 통산 두 번째의 리그 MVP를 수상했다. 프로 입단 5년 이내에서 두 번째의 MVP 수상은 이나오 가즈히사, 이치로에 뒤를 이은 3번째의 기록이다. 계약 갱신에서는 6,000만엔이 증가된 3억 3,000만엔의 추가 성과급에 서명했다. 1997년 시즌 이후에 24세의 선수가 3억 엔을 넘은 이치로를 제외하면 사상 최고 속도이자 최연소 3억엔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15일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술을 일본 야구계에 환원하고 싶다고 생각해서 베이스볼 매거진 출판사로부터 10종류의 구종을 잡는 방법과 투구법을 사진을 첨부하며 스스로 해설한 ‘다르빗슈 유의 변화구 바이블’을 출간했다. nikkansports.com(2009년 6월 19일) = = = = 2010년 = = = = 3월 20일, 4년 연속 개막전 투수를 맡아 소프트뱅크전에 선발로 출전했다. 투구수 147개의 13탈삼진으로 사상 5번째의 4시즌 연속 개막전 완투를 달성하였지만 5실점(3자책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3번째 경기에서 간신히 첫 승리를 올렸고, 4월 17일의 세이부전까지 5경기 연속으로 두 자리수 탈삼진이라는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을 수립했다(13K → 11K → 11K → 12K → 10K). 데일리 스포츠(2010년 4월 10일) 아사히 신문(2010년 4월 18일) 4월 24일의 라쿠텐전으로부터 5월 21일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까지 31이닝 연속무실점을 기록해 지금까지의 개인 최다 기록인 25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경신했다. 5월에는 WHIP 1.23이면서도 평균자책점이 0.90으로 호투했지만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한 채 1승 2패로 그쳤다. 오른쪽 무릎 통증에 의해 6월 5일의 선발 등판을 피했지만 Sponichi Annex(2010년 6월 5일) 6월 12일의 주니치전에서는 7회 무실점 호투로 5월 1일 이후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7월 3일의 라쿠텐전에서는 지금까지의 자신의 최고 속도 154km/h를 경신하는 155km/h를 기록했고Sponichi Annex(2010년 7월 4일) 계속되는 7월 17일의 역시 라쿠텐전에서는 156km/h를 기록하는 등 연달아 개인 최고 속도 기록을 경신했지만 7이닝 3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어 6월 12일부터 자신의 연승 기록은은 5연승으로 끝났다. nikkansports.com(2010년 7월 18일) 시즌 전반기는 9승 5패, 평균자책점 1.56, WHIP 1.04, 143탈삼진을 기록했고 4년 연속 올스타전에도 출전하는 등 7월 23일의 제1차전에서는 팀의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해 원심, 고속 체인지업과 같은 새로운 구질을 보여주는 등 2이닝을 1실점(무자책점)으로 호투했다. Sponichi Annex(2010년 7월 24일) 시즌 후반기에는 69이닝을 던져 3승 3패, 평균자책점 2.22, WHIP 0.95, 79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을 통해서 안정된 피칭을 계속했지만 규정 투구 횟수를 채운 투수들 중에 리그 최악인 3위의 득점지원률을 기록하는 등 타선 지원이 부족해 승리 수가 12승에 머물러 개인 최악의 성적이 되는 8패를 당한 것 외에도 4년 연속 WHIP 1.00 이하를 놓쳤지만 2008년 이후가 되는 투구 횟수 200이닝을 달성했다. 222개의 탈삼진으로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석권해 1959년의 이나오 가즈히사 이래가 되는 4년 연속 평균자책점을 1점대로 달성해 2년 연속 최고 평균자책점 타이틀도 차지했다. 같은 이닝을 평균적인 투수가 던지는 경우에 비해서 얼마나 실점을 막았는지를 나타내는 RSAA에서도 1959년의 이나오 가즈히사가 기록한 이래 프로 야구 사상 두 번째가 되는 4년 연속 40점 이상을 달성했다. 시즌 종료 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가 영입 자금으로 8,000만 달러(약 65억 6,000만엔)를 준비하는 등 Sponichi Annex(2010년 10월 13일) 포스팅 시스템에서의 메이저 리그 도전이 예상되었지만 10월 19일에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닛폰햄에서 잔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계약 갱신과 관련해서는 전년도까지의 총액 8억엔 추가 성과급의 3년 계약으로부터 성과급 없음의 단년 계약을 맺어 현역 일본인 선수로서는 야구계 최고 연봉이 되는 5억엔으로 서명했다. 24세의 5억엔 달성은 1998년 오프 당시 오릭스에 소속된 이치로의 25세의 기록을 경신하면서 사상 최고 속도이자 최연소 선수로서 달성했고 선발 투수로서의 5억엔을 돌파한 것도 일본 프로 야구 역사상 처음있는 일이다. Sponichi Annex(2011년 1월 6일) = = = = 2011년 = = = = 4월 12일, 닛폰햄 구단 역사상 최다 기록이 되는 5년 연속 개막전 투수를 맡았다. 4월 26일의 소프트뱅크전에서 사상 129번째가 되는 개인 통산 1000탈삼진을 달성했고 SANSPO.COM(2011년 4월 26일) 5월 10일의 라쿠텐전에서는 이와쿠마와의 투수전 끝에 승리 투수가 되면서 개인 최다가 되는 15개의 탈삼진으로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 SANSPO.COM(2011년 5월 10일) 6월 15일의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3회말 2사 주자 3루 상황에 상대 타자인 아라이 다카히로에게 던진 3구째가 폭투가 되면서 그 전에 3루 주자였던 맷 머턴이 홈에서 살아나 이 실점으로 5월 10일 라쿠텐전으로부터 계속된 연속 무실점 기록이 프로 야구 역대 11위(현역선수에서는 후지카와 규지에 이어 2위)에 해당되는 46이닝 2/3에서 멈춰 퍼시픽 리그 신기록이 되는 4경기 연속 완봉을 놓쳤다. 교류전에서는 43이닝 1자책점으로 평균자책점 부문 역대 1위인 0.21을 기록했다. 6월 30일의 지바 롯데전에서 최고 속도가 되는 56경기째에서의 10승째를 올렸다. 시즌 전반기에는 13승 2패, 평균자책점 1.44, 140개의 탈삼진을 기록했고 팬 투표와 선수간 투표 부문에서 모두 1위를 기록하여 5년 연속이자 통산 5번째의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시즌 후반기에는 5승 4패, 평균자책점 1.43, 136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면서 최종적으로는 개인 최다인 232이닝을 던져 개인 최고 평균자책점 1.44, 최다승인 18승, WHIP은 선발 투수중에서 최소인 0.83, 1993년에 노모 히데오가 기록한 이후의 시즌 250탈삼진을 기록하는 등 야구계에서는 처음으로 5년 연속 1점 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포스팅 시스템을 행사하며 FA 신청했다는 사실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입장을 밝혔고 다르빗슈 유 공식 블로그 토론토 블루제이스, 뉴욕 양키스 등도 영입에 나섰다는 일부 언론에 보도되었지만 12월 20일에 텍사스 레인저스가 마쓰자카 다이스케를 웃도는 포스팅 시스템 사상 최고 금액의 5,170만 3,411달러로 교섭권을 얻었다고 발표했다. = = = 텍사스 레인저스 시절 = = = = = = = 2012년 = = = = 1월 18일에 텍사스 레인저스와 6년 간 5,600만 달러를 포함한 인센티브 400만 달러의 총액 6,000만 달러로Rangers don't let Japanese pitching star get away Star-Telegram(2012년 1월 19일) 계약을 맺었고 다르빗슈 유 공식 블로그 등번호는 닛폰햄 시절과 마찬가지로 11번으로 정했다. 그리고 같은 날에 사에코와 이혼했다고 밝혔다. 다르빗슈 유 공식 블로그 4월 9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메이저 리그 진출 이후 처음으로 선발 등판하여 첫 회에 4실점을 기록하는 등 5와 2/3이닝, 피안타 8개, 5실점, 탈삼진 5개, 사사구 5개를 기록했지만 타선의 지원을 받고 메이저 리그에서의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4월 24일의 뉴욕 양키스전에서는 구로다 히로키와 투수전을 펼쳐 8과 1/3이닝, 피안타 7개, 무실점, 탈삼진 10개, 볼넷 2개로 최고 속도 97mph(약 156km/h)나 기록하는 투구로 3승째를 올렸다. 닛칸 스포츠, 2012년 4월 26일. 4월에는 5경기에 등판하면서 4승 무패, 평균자책점 2.18, WHIP 1.42의 성적으로 리그 월간 최우수 신인상에 선정되었다. 닛칸 스포츠, 2012년 5월 3일. 5월 27일의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서는 허리 통증으로 5이닝을 던져 강판되었지만 미일 통산 100승째를 올렸고 닛칸 스포츠, 2012년 5월 29일. 전반기에는 1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0승 5패, 평균자책점 3.59, WHIP 1.36의 성적을 남겨 올스타전 최종 투표에서 선정되었다. 닛칸 스포츠, 2012년 7월 6일. 메이저 리그 이적 1년째의 시즌에서는 29경기에 선발 등판해 16승 9패, 퀄리티 스타트가 18이라는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 = = = 2013년 = = = = 4월3일 휴스턴 미닛메이드파크에서 열린 휴스턴과의 원정경기에서 9회 투아웃까지 26명의 타자를 1루에 내보내지 않았지만, 마지막 타자인 마윈 곤잘레스에게 안타를 허용, '아시아 투수 첫 Perfect Game'이라는 대기록 작성에 실패했다. 7-0으로 앞선 상황에서 첫 안타를 맞은 다르빗슈는 곧바로 교체됐고, 8.2이닝 1안타 14삼진 무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됐다. 1991년 놀란 라이언 이후 한 경기 14삼진을 잡아낸 텍사스 레인저스 투수는 다르빗슈가 처음. = = = = 2014년 = = = = 2013년 12월 22일 신시내티 레즈에서 뛰던 추신수가 텍사스 레인저스와 계약을 맺으면서, 추신수와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 = = = 2017년 = = = = 2017년 7월 말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이에 따라 류현진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2017년 디비전시리즈 3차전에서 호투하며 메이저리그 데뷔 후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서 승리투수가 되었고, 팀을 챔피언십시리즈에 진출시켰다. 하지만 월드시리즈에서는 3차전과 7차전에 선발등판했지만 2경기 모두 1.2이닝으로 조기강판되는 등, 총 3.1이닝 9실점을 기록, 극심하게 부진하여 3선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결국 팀은 월드시리즈에서 3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 = 플레이 스타일 = =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세트 포지션으로 준비하며 정규 시즌에서의 최고 속도는 99mph(약 159km/h)로 측정되면서 여러 종류의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포크볼, SFF, 커터, 투심 패스트볼(슈트), 원심 패스트볼 등 다채로운 변화구를 던지기도 한다. 구종 모두가 평균적인 투수를 웃도는 질을 가지고 있으며 너클볼이나 싱커도 던질 수 있지만 2007년 이후 정규 경기에서는 던지지 않았다. 신인 시절인 2005년에는 싱커를 결정구로 하는 피칭을 보여주었지만 2006년부터는 체인지업, 포크볼의 기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싱커를 거의 던지지 않게 되면서 다음해인 2007년에는 완전히 봉인했다. 2007년부터는 커터와 세로 슬라이더를, 2008년부터는 SFF를 습득해서 던지기 시작했다. 2010년의 시범 경기에서는 동료였던 버디 칼라일에게 배운 떨어지는 패스트볼인 원심 패스트볼을 던지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처음으로 원심을 던진 일본인 투수이다. nikkansports.com(2010년 3월 8일) 같은해 6월 19일의 오릭스전에서는 140km/h대의 고속 체인지업을 던지기 시작했는데 고속 체인지업의 이점은 직구에 가까운 구속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타자가 직구와 헷갈리는 점, 기존의 체인지업에 비해 제구를 하기 쉬운 점이 있다. Sponichi Annex(2010년 6월 20일) 게다가 같은 해 올스타전에서는 타자의 바로 앞에서 떠오르는 커터를 던졌는데, 상대 타자인 아베 신노스케는 커터를 “사이드암이나 언더핸드 투수가 던지는 듯이 가볍게 떠오르는 볼”이라고 설명했다. 볼넷 비율은 2008년에 1.97(리그 7위)를 기록했지만 2010년까지 통산 성적은 2.58이며 시라이 가즈유키에게서는 “매우 가까운 레벨에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세세한 컨트롤은 당시의 마쓰자카 쪽이 가장 좋았다”라고 평가한 것 외에도 “공의 개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야외 구장에서의 승률이 낮다는 야구계 일각에서의 평가도 있었는데 특히 구장 특유의 바닷바람으로 변화구가 잘 먹히지 않은 구장으로 알려진 QVC 마린필드에서는 제구력에 문제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아 시즌 4년차인 2008년 4월 30일까지 승리를 올리지 못했지만 2009년 시즌에는 야외 구장에서 32이닝을 던져 평균자책점 1.13을 기록, 2010년은 48이닝을 던져 평균자책점 0.56이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남겼다. 다르빗슈는 섀도우 피칭을 하면서 투구폼을 교정하는 일을 하지 않는 등 독자적인 조정법을 구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닛폰햄 수석 트레이너인 나카가키 세이이치로는 “체감적, 혹은 체험적인 시간과 공간적인 위치를 본인의 감각으로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내부 감각에 의한 신체운동의 구현력이 월등히 뛰어나다”, “몸 전체를 사용해서 마지막에 팔을 흔드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로부터 뿜어져나오는 힘으로 자연스럽게 팔이 흔들리도록 하는 감각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p44 ~ p45. 몸의 좌우로 밸런스를 취하는 목적으로 오른팔이 아닌 왼팔로서도 캐치볼을 하고 있어 변화구나 60미터 정도의 멀리 던지기를 할 수도 있다. = = 에피소드 = = = = = 본인과 가족 관계 = = = 정식 이름은 다르빗슈세퍼트 파리드 유()다. ‘유’는 제4대 정통 칼리프인 시아파 초대 이맘의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서 따왔다. 페르시아어의 이름으로는 ‘아리 파리드’라는 두 단어로 ‘무적의 아리’라고 일컬어지는 아리를 찬양하는 의미의 이름이 된다.또한 성(性)의 다르빗슈세퍼트는 ‘다르빗슈와 같은 사람(영어 의역: Darvish-like)’이라는 의미이다. 어린 시절에는 아이스하키와 야구를 하고 있었는데 아이스하키의 연습이 본인에게 있어서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야구의 길로 가는 것을 결정했다. 전 부인이자 여배우인 사에코와 그 사이에서 얻은 2남이 있으며, 모친은 일본인, 부친은 이란인 전직 축구 선수로 근년에 매우 인기가 높아지면서 프로 야구가 탄생한 모국 이란에서 ‘이란 야구 연맹’의 고문으로 취임한 것 외에도 사업을 넓게 확장하고 있다. 현재는 일본 국적을 갖고 있으며 남동생도 2명 있어 막내는 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KENTA이다. 196cm의 몸집이 큰 체격에 비해 손은 작고 팔도 짧은 편이다. 싫은 음식은 그레이프프루트, 자동차에는 흥미가 없는 편이며 특히 자동차 운전 면허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자신의 트위터에서 밝히기도 했다. 3살 무렵, 아버지가 머리맡에 있는 야구공과 농구공, 축구공을 하나씩 놓으면서 최초로 손에 든 것이 야구공이었다. 아버지는 축구 선수였기 때문에 축구공을 발로 차면서 건네주었지만 그것도 던졌다고 한다. 어렸을 때 혼혈인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주변에서는 “너는 일본인이 아니다”라고 차별받은 일을 계기로 “자신이 일본인임을 증명하는 것”과 “일본 야구계에 머무르는 것”에 강한 집착을 가지게 되어 “만약 메이저 리그에 가게되는 일이 생긴다면 저는 야구를 그만두겠습니다. 일본의 어린이들에게도 미안한 일이 되잖습니까. 아이들을 즐겁게 해 주기 위해서는 그러한(일본에 남는다는) 사람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해 2007년에 후지 TV에서 방송된 《정크 SPORTS 판타스틱 스토리》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부친이 공동 경영하는 자이렉스(효고현 아시야시)가 ‘다르빗슈’()라는 이름의 상표등록을 출원하면서 2004년 8월 경에 특허청에 수리되었다. = = = 야구계 = = = 신인 시절에는 미성년 흡연으로 구단으로부터 근신 처분을 받는 등 비행, 프로 의식의 부족도 눈에 띄었지만 감독과 코치의 지도에 의해 개선했다. 입단 2년차 이후에는 담배도 피우지 않고 식사부터 트레이닝 내용까지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불상사를 일으켰을 때 지도해 준 트레이 힐만 감독을 비롯한 당시 지도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노무라 가쓰야를 비롯한 다수의 야구계 관계자들이 현역 최고의 투수라고 인정했는데 다쓰나미 가즈요시는 후지 TV 계열의 뉴스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지금까지 여러 투수와 대결했지만 종합적으로 넘버원의 투수가 아닙니까” 라고 평가했다. 동료이자 후배인 기노시타 다쓰오, 요시카와 미쓰오와 같이 입단한 세이부의 와쿠이 히데아키와는 ‘다르빗슈 군단’을 결성했다. 베이징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내건 아시아 지역 예선 결승 대회에서는 그의 친구인 와쿠이와 연습할 때나 사적인 생활을 할 때도 함께 행동했다. = = = 기타 = = = 2005년, 파친코 필승공략 DREAMS(종합 도서)에서 다르빗슈를 주인공으로 한 4컷짜리 야구 만화 ‘힘내라! 다르빗슈 군’이 연재되었다. 나중에는 “힘내라 다르비 군!!”으로 제목이 변경되었다. 도쿄 방송의 랭킹 프로그램인 《랭크 왕국》에서 “멋지다고 생각하는 스포츠 선수”라는 코너에서 도쿄 시부야의 청소년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는데 다르빗슈가 1위로 선정되었고 그 다음으로 2위인 이치로가 차지했다. 2009년, 야마자키 마사요시, 마키하라 노리유키 등 남성 아티스트의 ‘눈물이 나오는 노래’를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남자의 울음”의 자켓 사진에 기용되었다. nikkansports.com(2009년 5월 8일) 2012년, 5월 7일 다르빗슈는 자신의 트위터에 김치와 한국 반찬, 한국 맥주가 담긴 사진과 함께 “오늘 통역, 트레이너와 함께 한국요리를 먹으러 왔다”는 글을 남겼다. 닷새 후 한 일본 네티즌이 다르빗슈의 트위터에 “오염된 한국 음식이나 먹고 있으니 성적이 그 모양이지. 반성하라”는 글을 올렸는데 이 네티즌의 트위터 프로필엔 나이가 35세로 나와 있다. 악성 발언에 대해 다르빗슈는 “35살이나 됐으면 성인답게 행동하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러자 혐한성 글을 올린 네티즌은 또다시 “사실을 말하면 화내는 게 꼭 한국인 같다. 일본이 싫으면 떠나라”는 글을 올렸다.다르빗슈, 한국 비하 발언한 日 네티즌에 일침 = = 사회 공헌 활동 = = 2005년 1월 30일, 출생지인 오사카의 호텔에서 열린 ‘격려회’에 참석, 이 자리에서 중학교 시절에 소속했던 보이즈리그 ‘올 하비키노’에 마이크로 버스 구입을 위해 200만엔을 기부했다. 2007년부터는 개발도상국에 물 지원을 진행하기 위해 일본 물 포럼과 협력해서 “다르빗슈 물 기금”을 설립했다. 정규 경기에서 1승을 올릴 때마다 10만엔을 일본 물 포럼에 기부하고 있다. nikkansports.com(2007년 2월 15일) 2008년부터는 똑같이 1승을 할 때마다 고향인 오사카부 하비키노시에 10만엔을 기부하고 있다. “어린이의 복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희망으로 하비키노 시는 2008년 5월에 ‘다르빗슈 유 어린이 복지기금’을 설립했다. 그 ‘어린이 복지기금’의 일부를 활용해서 오사카 부 하비키노 시립 중학교 중앙도서관에 야구를 포함한 스포츠 관련 서적 31권을 모은 ‘다르빗슈 유 문고’가 2009년 12월 18일 개설되었다. 또, 다르빗슈로부터 “고향에 대한 보답으로, 그라운드의 건설비용을 내고 싶다”라는 의사를 밝혀, 오사카 부 하비키노 시가 다르빗슈로부터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경식 야구 전용 그라운드를 정비해서 2013년도에 완공을 목표로 하는 것을 2010년에 발표했다. 경식 야구장 건설 비용에 대해서는 다르빗슈 측과 향후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2010년에 가축 전염병 구제역의 피해를 당한 아내의 본가가 있는 미야자키현의 축산 농가에게 5월 하순에는 300만엔의 지원금을 보냈다. 게다가 6월 19일의 등판으로부터 아웃카운트 1개당 3만엔을 사회복지법인 미야자키현 공동모금회에 기부하는 것을 정식 발표하면서 합계 981만엔을 기부했다. 이러한 사회 공헌 활동의 높은 평가를 받아 2010년도 골든 스피릿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이듬해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성금을 일본적십자사를 통해 5,000만엔을 기부했다. = = 상세 정보 = = = = = 출신 학교 = = = 도호쿠 고등학교 = = = 선수 경력 =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5년 ~ 2011년) 텍사스 레인저스 (2012년 ~ 2017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7년) 시카고 컵스 (2018년 ~ 2020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2021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 = = = 수상·타이틀 경력 = = = = = = = 타이틀 = = = = 최우수 평균 자책점: 2회(2009년, 2010년) 최다 탈삼진: 3회(2007년, 2010년, 2011년) 최고 승률: 1회(2009년) ※최우수 투수로서 수상 = = = = 수상 = = = = MVP: 2회(2007년, 2009년) 사와무라 에이지상: 1회(2007년) 최우수 투수: 1회(2009년) 베스트 나인: 2회(2007년, 2009년) 골든 글러브상: 2회(2007년, 2008년) 월간 MVP: 5회(2007년 8월, 2008년 3·4월, 2008년 9월, 2009년 5월, 2011년 5월) 골든 스피릿상: 1회(2010년) 아시아 시리즈 MVP: 1회(2006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2 스테이지 MVP: 1회(2007년) 일본 시리즈 감투상: 1회(2007년)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 1회(2006년) 센트럴·퍼시픽 교류전 우수 선수상(닛폰 생명상): 1회(2009년) 올스타전 우수 선수상: 1회(2007년) 플래시 올스타전 우수 선수상: 1회(2005년) JA 전농 Go·Go상: 2회(최다 탈삼진상: 2009년 5월, 2011년 6월) 최우수 JA전농 Go·Go상: 1회(2011년) ‘조지아혼’상: 2회(2010년도 제4회, 2011년도 제4회)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 1회(퍼시픽 리그 부문: 2006년) 퍼시픽 리그 특별 수상: 1회(2011년) ※양대 리그에서는 처음으로 5년 연속 1점 대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한 공로를 인정받음 삿포로 돔 MVP: 3회(2005년, 2008년, 2011년) 삿포로 돔 MVP 특별상: 1회(2007년) 아메리칸 리그 월간 신인 MVP: 1회(2012년 4월) = = = 주요 기록 = = = = = = = 투수 기록 = = = = 첫 등판·첫 선발·첫 승리: 2005년 6월 1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5차전(삿포로 돔), 8이닝 2실점 첫 탈삼진: 상동, 4회초 무사에 그렉 라로카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완투: 2005년 8월 6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3차전(삿포로 돔), 9이닝 3실점에서 패전 투수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2005년 9월 18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차전(삿포로 돔) 첫 홀드: 2006년 9월 27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차전(삿포로 돔), 6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 = = 타격 기록 = = = = 첫 안타: 2006년 5월 18일, 대 한신 타이거스 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5회초 무사에 시모야나기 쓰요시로부터 좌전 안타 첫 타점: 2008년 6월 17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2회초 2사에 오타케 간으로부터 우중간에 동점 적시 2루타 = = = = 기록 달성 경력 = = = = 통산 1000투구 이닝: 2010년 8월 28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18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8회말 2사에 고토 미쓰타카를 2루 땅볼로 달성 ※역대 321번째 통산 1000탈삼진: 2011년 4월 26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차전(삿포로 돔), 8회초 무사에 혼다 유이치로부터 ※역대 129번째(투구 이닝 1058과 2/3이닝에 역대 7번째의 기록) 미일 통산 100승: 2012년 5월 27일, 대 토론토 블루제이스(레인저스볼파크) = = = = 기타 = = = = 공식전 12연승: 역대 5번째(2006년 5월 30일 ~ 2007년 4월 14일) 고졸 신인으로서의 첫 등판·첫 승리: 역대 12번째(2005년 6월 15일) 고졸 신인으로서의 완봉 승리: 역대 14번째(2005년 9월 18일) 20세 이하의 일본 시리즈 승리: 역대 5번째(2006년, 5차전) 2경기 연속 14탈삼진 이상(9회까지): 역대 2번째(2007년 3월 30일 ~ 4월 7일) 일본 시리즈 1경기 13탈삼진: 역대 3번째(2007년 10월 27일) 동일한 일본 시리즈에서 24탈삼진 기록: 역대 2위 ※2007년에 덧붙여 5경기의 탈삼진수에서는 역대 1위를 기록 클라이맥스 시리즈 1경기 14 탈삼진: 사상 최다 ※2008년 10월 11일 일본 시리즈를 포함한 포스트 시즌 사상 최다 기록 정규 경기 개막 이후 5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사상 최초(2010년 4월 17일) 올스타전 출장: 5회(2007년 ~ 2011년) 46이닝 2/3 연속 무실점: 프로 야구 역대 11위, 퍼시픽 리그 역대 2위, 닛폰햄 구단 기록 3경기 연속 완봉: 퍼시픽 리그 & 닛폰햄 구단 타이 기록 MLB 올스타전 선출: 3회(2012년, 2013년, 2014년) = = = 등번호 = = = 11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5년 ~ 2011년) 11 (텍사스 레인저스, 2012년 ~ 2017년) 2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7년) 11 (시카고 컵스, 2018년 ~ 현재) = = = 연도별 투수 성적 = = = 2005년 닛폰햄 14 14 2 1 0 5 5 0 0 .500 410 94.1 97 7 48 1 3 52 2 0 37 37 3.53 1.54 2006년 닛폰햄 25 24 3 2 0 12 5 0 1 .706 627 149.2 128 12 64 0 6 115 5 1 55 48 2.89 1.28 2007년 닛폰햄 26 26 12 3 1 15 5 0 0 .750 790 207.2 123 9 49 1 13 210 4 0 48 42 1.82 0.83 2008년 닛폰햄 25 24 10 2 2 16 4 0 0 .800 764 200.2 136 11 44 0 9 208 4 1 44 42 1.88 0.90 2009년 닛폰햄 23 23 8 2 1 15 5 0 0 .750 701 182.0 118 9 45 0 6 167 5 0 36 35 1.73 0.90 2010년 닛폰햄 26 25 10 2 3 12 8 0 0 .600 805 202.0 158 5 47 0 7 222 6 0 48 40 1.78 1.01 2011년 닛폰햄 28 28 10 6 2 18 6 0 0 .750 885 232.0 156 5 36 0 6 276 10 1 42 37 1.44 0.83 2012년 TEX 29 29 0 0 0 16 9 0 0 .640 816 191.1 156 14 89 1 10 221 8 0 89 83 3.90 1.28 2013년 TEX 32 32 0 0 0 13 9 0 0 .591 841 209.2 145 26 80 1 8 277 7 1 68 66 2.83 1.07 2014년 TEX 22 22 2 1 1 10 7 0 0 .588 605 144.1 133 13 49 1 2 182 14 1 54 49 3.06 1.26 NPB: 7년 NPB: 7년 167 164 55 18 9 93 38 0 1 .710 4982 1268.1 916 58 333 2 50 1250 36 3 310 281 1.99 0.98 MLB: 3년 MLB: 3년 83 83 2 1 1 39 25 0 0 .597 2262 545.1 434 53 218 3 20 680 29 2 211 198 3.27 1.20 2014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분류:아랍에미리트의 대회별 축구 선수 = = 에스코바 = 에스코바(Eskobar)는 스웨덴 출신의 록 밴드이다. 1996년에 결성해 1999년에 데뷔했다. 같은 스웨덴 출신의 하이브스, 만도 디아오라고 하는 게러지 록 색이 강한 밴드들에 대해서 이 밴드는 클리어, 한편 섬세하고 투명한 멜로디와 보컬이 특징으로, 북유럽 특유의 청량감 흘러넘치는 사운드를 연주한다. 보컬의 다니엘은 2004년, the brilliant green의 기타리스트 마츠이 아키라의 솔로 프로젝트 meister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밴드는 후지 락 페스티벌에도 출연했다. = = 멤버 = = 다니엘 벨크비스트(Daniel Bellqvist) 보컬 프레드릭 잘 (Frederik Zäll) 기타 로버트 버밍 (Robert Birming) 드럼 = = 디스코그래피 = = = = = 음반 = = = *'Til We're Dead (2000) *There's Only Now (2001) *A Thousand Last Chances (2004) *Eskobar (2006) *Death in Athens (2008) *Live (2015) *Magnetic (2016) = = = 싱글 = = = *On a Train (1999) *Good Day for Dying (2000) *Tumbling Down (2000) *Counterfeit EP (2000) *Tumbling Down (Dead Mono Version) (2001) *Into Space (2001) *Tell Me I'm Wrong (2001) Someone New (2002) *On the Ground (2002) *Move On (2002) *Love Strikes (2003) (#93 Switzerland) *Bring the Action (2004) *You Got Me (2004) (#29 France) *Even If You Know Me (2005) *Persona Gone Missing (2006) *Devil Keeps Me Moving (2006) *Whatever This Town (2006) *As the World Turns (2008) *Halleluja New World (2008) *Untrap Yourself (2014) *The Starlight EP (2015) *You're My Choice (2016) *Ask Yourself (2017) *The Longest Journey (2017) *The Break Up EP (2018) = 만철조사부 사건 = 만철조사부 사건이란 제2차 세계대전 중 남만주철도조사부의 많은 직원들이 관동군 헌병대에 검거된 사건이다. 전조인 합작사 사건(合作社事件, 1941년)과 1, 2차 만철조사부사건(각각 1942년, 1943년)이 총 3차례 있었다. 만주철도조사부(약칭 만철조사부, 조사부)는 1939년 확충되어 인원이 증강되었다. 이에 일본 내지에서 활동할 수 없게 된 대졸 좌익 경력자들이 전향하여 다수 만철조사부에 취업했다. 그들은 내지에서는 불가능해진 마르크스주의 방법론으로 사회학 연구분석에 종사했으며, 그 연구 결과는 관동군 헌병대를 중심으로 하는 만주국 치안당국의 감시의 눈을 강화시키는 데 일조했다. 『만주평론』 편집장이자 흥농업합작사 중앙회 직원이었던 사토 다이시로는 타치바나 시라키의 영향을 받은 인물로서, 1937년 1월 이후 북만주 빈장 성에서 빈농을 농업합작사(합작사는 협동조합의 일본 표현인즉 농업합작사란 농협을 뜻한다)으로 조직해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농민의 자급구제가 가능하도록 도모하는 운동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관동군 헌병대는 이것을 공산주의 전력자가 조직 재건을 시도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사토를 비롯해 운동 관계자 50여명을 검거한다. 이것이 1941년 11월 합작사 사건이다. 합작사 사건 때 사토와 함께 검거된 협화회 직원 스즈키 코헤이는 헌병대 수사에 협조했다. 스즈키의 정보제공에 따라 헌병대는 조사부 내부 좌익분자로 지목된 구시마 카네사부로, 노노무라 카즈오, 호리에 무라이치 등 33명을 검거했다. 이것이 1942년 9월의 제1차 만철조사부 사건이다. 1차 검거 이후 만철는 좌익사상자 목록을 작성해 헌병대에 자진 제출, 이토 타케오, 이시도 키요토모 등 10명이 추가 검거되었다. 이것이 1943년 7월의 제2차 만철조사부 사건이다. 피검자들은 치안유지법 위반혐의로 기소되었다. 스즈에 겐이치 등 4명은 보석으로 석방되었다. 그 뒤 오오가미 스에히로, 사토 다이시로 등 5명은 옥사했고 이토 타케오 등 15명은 석방되었다. 나머지 20명은 1945년 5월 전원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다. 헌병대는 피검인들에게 재만 일본인의 동향을 탐구하게 하는 프락치 노릇을 시키려 했고, 이를 거절한 이시도 등은 군소집 영장을 받고 전쟁터로 끌려갔다. = = 참고 자료 = = 関東憲兵隊司令部編 『在満日系共産主義運動』【復刻版】 極東研究所出版会、1969年。 石堂清倫 『わが異端の昭和史』(上下)、 平凡社ライブラリー、2001年。ISBN 4-582-76405-3、ISBN 4-582-76410-X。 小林英夫・福井紳一 『満鉄調査部事件の真相;新発見史料が語る「知の集団」の見果てぬ夢』 小学館、2004年。ISBN 4-09-626076-2。 = 아리아케 (고토구) = 아리아케는 일본 도쿄도 고토구의 지명이다. 2012년 4월 1일 기준으로 인구는 6,201명이다. = 분류:통가의 공항 =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2년 제49주 = = = 101.235.64.131 (2) = = 장난 반복 IP.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22년 제47주#101.235.64.131 참고. DAEGUBUS (제보하기) 2022년 12월 5일 (월) 17:46 (KST) = = 점천수 = =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5일 (월) 18:57 (KST) Kid990 (토론) 2022년 12월 5일 (월) 19:42 (KST) = = 원정상 = = * 야구 관련 문서에 지속적인 반달 및 야구 선수 비방 편집 (1, 2) Sqncjs (토론) 2022년 12월 5일 (월) 21:07 (KST) = = 2001:2D8:6F2C:41F4:8177:D6B9:CE6E:2998 = = 상습 출생일 반달 차단회피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5일 (월) 21:54 (KST) = = 211.118.134.35 = = 각종 보험 항목에 특정 사이트 삽입하며 반달 진행중입니다. 211.118.134.58도 동일인으로 추정됨. 같은 내용의 반달리즘. 182.216.232.10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12:59 (KST) = = 점천수 = =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3:08 (KST) = = 상습 출생일 반달 = =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6:11 (KST) 자기 편집 되돌려지자마자 바로 아이피 바꿔서 오는 음습한 행태를 보이네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6:17 (KST) 해당 대역을 2주간 차단하고, 지켜본 이후에 해당 대역을 여전히 점유하고 있어서 다시 훼손이 시작되면 해당 대역을 다시 차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20:40 (KST) = = 112.172.40.199 = = 두 차례 차단 후에도 똑같이 이상한 짓을 반복 중인 아이피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6:16 (KST) = = 103.50.33.80 = = * 프록시 IP 사용 Sqncjs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17:24 (KST) Sotiale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20:37 (KST) = = 똥카에홍 차단 요청 = = Ykhwong 사용자를 비방하는 의미가 담긴 부적절 계정입니다. 해당 사용자의 차단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19:05 (KST) = = 박종대처단 차단 요청 = = ChongDae 사용자를 비방하는 의미가 담긴 부적절 계정입니다. 해당 사용자의 차단을 요청합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19:06 (KST) = = ホワイトクリスマス = =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지속적인 괴롭힘 차단회피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9:48 (KST) = = 자매결연 = =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6일 (화) 19:53 (KST) = = ‎62.181.221.7 = = * 본문없이 분류만 생성하면서 대량으로 문서를 만들고 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2년 12월 6일 (화) 20:24 (KST) = = 오유정 강민희 = = * 오유정씨 또 왔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2년 12월 7일 (수) 00:11 (KST) = = 115.84.116.48 = = 문서 훼손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7일 (수) 00:38 (KST) = = 배역 반달 = =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7일 (수) 11:01 (KST) = = 221.151.165.50 = = 상습 장난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7일 (수) 11:48 (KST) = = 점천수 계열 = = * * 이유는 아실테지만 차단 회피성 다중계정 사용자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2년 12월 7일 (수) 17:09 (KST) 등재기준에 어긋나는 특정 유튜버 관련 내용을 계속 작성하는 다중계정 2001:2D8:F09A:C754:F124:DC46:7802:30F9 (토론) 2022년 12월 7일 (수) 17:25 (KST) * 부적절한 닉네임에 차단 회피성 121.133.40.84 (토론) 2022년 12월 7일 (수) 18:16 (KST) Sotiale (토론) 2022년 12월 8일 (목) 11:27 (KST) = = 1.229.84.105 = = * 기존에도 지속적인 장난으로 6개월 차단된 전적이 있음에도, 또다시 기존에 있던 문서를 초안으로 중복 생성하고 기존 문서를 반달하는 행위를 함 (여진 (가수)) 121.133.40.84 (토론) 2022년 12월 7일 (수) 18:21 (KST) = = 61.108.49.158 = = * 61.108.49.158은 올해 4월 18일 활동을 시작한 이래 장난성 문서 훼손만 주기적으로 저지르고 있습니다. 위키백과 활동을 진지하게 할 생각이 없는 이용자로 보입니다. GsMmms8 (토론) 2022년 12월 8일 (목) 10:16 (KST) = = 58.140.45.12 = = 사토 경고 후에도 표기를 바꾸는 장난 지속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8일 (목) 11:36 (KST) = = 112.186.115.88 = = 벼락 오바마 훼손 ☃️Xnou (💬토론 · 📝연습장 · 📈기여) 2022년 12월 8일 (목) 22:29 (KST) 일시적 훼손의 경우로 보입니다. Sotiale (토론) 2022년 12월 9일 (금) 21:22 (KST) = = 윤석열탄핵 = = * 부적절한 사용자명(비중립적인 사용자명), 정경심 문서에서 비중립적인 편집 반복으로 인하여 차단신청합니다. Sqncjs (토론) 2022년 12월 9일 (금) 20:29 (KST) = = 211.44.79.210 = = 두 차례 차단 후에도 지속적인 반달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0일 (토) 01:53 (KST) = = ㅋㅌㅊ퓨ㅜㅡ = = 문서 훼손용 계정 LR 토론 / 기여 2022년 12월 10일 (토) 14:15 (KST) = = 123.214.2.56 = = 어린이 수학동아에 재미없다며 욕설을 써가며 비난. ☃️Xnou (💬토론 · 📝연습장 · 📈기여) 2022년 12월 10일 (토) 15:08 (KST) = = Tree4warer = = * 훼손을 목적으로 한 계정으로 보여집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12월 10일 (토) 23:50 (KST) = = 211.250.79.90, 211.250.79.103 = = 위 두 아이피는 마지막 뒷자리만 빼고 동일할 뿐만 아니라 해 둘 다 해외 축구선수 문서들을 돌아다니며 선수들의 소속팀 공식 신체 프로필을 지우고 소수점을 넣은 이상한 프로필로 바꿔서 기재하거나 아예 통째로 삭제하는 등 똑같은 수법의 문서 훼손을 저지르고 있는 것을 볼 때 동일인물이 아이피만 조금씩 바꾸고 주기적으로 위키백과에 들어와서 반복적인 장난을 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CBKpen (토론) 2022년 12월 11일 (일) 14:43 (KST) = 찰링 코프만스 = 찰링 코프만스(, 1910년 8월 28일 ~ 1985년 2월 26일)는 레오니드 칸토로비치와 함께 197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이다. 코프만스는 네덜란드 노르트홀란트주에서 태어나 17살에 수학 전공으로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대학 교육을 시작했다. 3년 뒤 1930년 그는 전공을 이론물리학으로 바꾸었다. 1933년에 얀 틴베르헌을 만나 그에게 수리경제학을 배우기 위해 암스테르담으로 이사를 갔다. 코프만스는 이 때 수리경제학 외에도 계량경제학과 통계학을 연구하였다. 1936년에 그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레이던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코프만스는 1940년에 미국으로 이사를 갔다. 이때 그는 워싱턴 D.C.에서 잠시 정부 아래에서 일하였다. 그 후 코프만스는 시카고로 이사를 가 시카고 대학교와 연관된 콜스 경제학연구위원회에 들어갔다. 1946년에 그는 미국의 귀화시민이 되었다. 1955년 코프만스는 시카고 대학교의 반응이 거세지자 콜스 경제학연구위원회를 예일 대학교로 옮겼다. 코프만스의 초기 연구 중 하트리-폭 방법과 관련된 업적은 양자화학에서 잘 알려져 있는 코프만스 정리와 관련되어 있다. 코프만스는 레오니트 칸토로비치와 함께 1975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 분류:그리스 수페르리가 2 구단 = = 분류:오카번 사람 = = 틀:튀니지의 행정 구역 = = 이준 (수호전) = thumb 이준(李俊)은 중국의 사대기서(四大奇書) 중 하나인 수호전(水滸傳)에 등장하는 인물로, 108성 중 26위이자 천강성(天罡星)의 천수성(天壽星)에 해당한다. '장강을 휘젓는 용'이라는 뜻의 혼강룡(混江龍)이라는 별호로 불린다. 장신으로 훌륭한 풍채의 사나이. 부하로 동위, 동맹, 이립이 있으며 장횡과 장순형제, 목홍과 목춘형제와는 게양진에서 세력권을 접하고 있었고 형제로 지냈다. 상봉이라는 명검을 소지하고 있다. 수영의 달인으로 그 솜씨를 살려 적의 배 밑바닥에 끌을 이용해 구멍을 내고 거기서 침수시켜 적을 괴멸 상태로 끌고 간다. 지혜도 뛰어나고 인망도 두터웠으므로 양산박에 들어간 후에는 양산박 수군의 총수가 된다. = = 생애 = = 태어난 곳은 여주로 강주 게양령으로 흘러들어 동위, 동맹, 이립 등과 함께 그곳을 세력권으로 삼아 뱃사공을 하다가 뒤에서는 관헌의 화석강 비용 염출에 따른 소금값 인상에 반발하여 밀매를 행하였다. 천하에 이름이 난 송강이 의를 위해 죄를 짓고 강주로 떠내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영접하기 위해 그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립이 그것을 모르고 송강 일행을 몽한약으로 기절시켜놓자 황급히 해독약을 먹이고 정신을 들게한 후에 송강에게 이야기하고 송강을 대접하였다. 며칠 뒤 게양진에서 세력권을 접하는 목홍, 목춘 형제와 장횡에게 죽을 위기에 처한 송강 일행들을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고 송강 일행들을 살린다. 그 후 강주에 있던 송강이 억울한 죄를 뒤집어쓰고 감옥 관리인 대종과 함께 처형된다는 소식을 듣는다. 이준은 목형제, 장형제와 함께 게양진 일대 선원들을 동원해 두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장강을 내려간다. 강주에 이르자 조개를 비롯한 양산박 호걸들이 두 사람을 구출했으며 관군에게 쫓기고 있었기 때문에 지체 없이 전원을 배에 태우고 대피한다. 목홍의 저택에 머물다 두 사람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황문병에게 복수를 가한 뒤 그대로 양산박에 합류했다. 이후에는 완씨 삼형제들과 함께 양산박의 수군을 조직한다. 물자 조달 수송이나 원정군 수송에 진력하여 호연작이 이끄는 관군이 양산박을 공격했을 때는 적장 능진의 화포에 의해 타격을 받더라도 수중에서 야습을 걸어 역습하여 능진을 포박한다. 이어진 전투들에서도 분투했다. 108명이 양산박에 모인 후에는 양산박의 수군 총수로 임명된다. 송나라 조정의 부패에 대한 반감으로 양산박에 들어간 이준이었으나 이후 양산박의 두령인 송강으로 인해 양산박의 방향이 조정 귀순으로 기울어져 간다. 이준과 수군 두령들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여 조정에서 온 사자를 면매하고 1차 협상이 결렬되자 수군을 이끌고 관군을 토벌하는데, 여기서도 사로잡은 관군 장군을 마음대로 처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양산박은 조정으로 귀순. 이준 등도 마지못해 이를 따른다. 이후 양산박은 반란 토벌을 위해 각지를 전전, 이준도 전호전에서는 그 본거지를 수공으로 물리치고 왕경전에서는 도주하는 왕경을 사로잡는 큰 공을 세운다. 그러나 조정은 전혀 그 공에 보답하지 않았고 여전히 간신들이 활개를 치고 있었다. 이준과 수군들의 분노는 폭발해 오용에게 이러다가는 너덜너덜 걸레처럼 버려질 뿐이다. 양산박으로 돌아가 즐겁게 살자며 송강에게 말해주기를 부탁했다. 그러나 오용은 송강의 결의가 확고할 것이므로 무리일 것임을 타일렀고, 송강은 도적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고 밝혀 계획이 좌절됐다. 이로 인해 이준은 양산박에 절망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후에도 의리를 따랐다. 방랍과의 전투 때 만난 비보·이운·상청·적성과 의형제를 맺었을 때, 그들이 "방랍과의 전투가 끝나고 공을 세워도 출세할 수 없을 것이다. 어쩌면 목숨까지 빼앗길지도 모른다. 게다가 자유로운 생활도 할 수 없다. 그보다는 스스로 신천지를 찾아 자유롭게 살자"는 제안을 받고 크게 느낀 바가 있던 이준은 방랍과의 전투가 끝난 뒤 수도인 동경개봉부로 가는 길에 아픈 척하며 동위, 동맹과 빠져나온다. 그리고 함께 섬라(다만 이는 현재 태국 왕국의 위치가 아니며 수호후전에는 펑후 제도 건너편 섬으로 나와있다.)로 출항해 그곳에서 왕이 됐다고 수호전 본전에 적혀 있다. 이 불과 한두 줄의 글을 부풀려 쓴 것이 수호후전이다. = 검은 해적 = 검은 해적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소설 보물섬의 프리퀄을 표방하며 뉴프로비던스섬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조너선 E. 스타인버그가 기획하였다. = = 출연 = = 토비 스티븐스 - 제임스 맥그로 / 플린트 해나 뉴 - 엘리너 거스리 루크 아널드 - "긴다리" 존 실버 제시카 파커 케네디 - 맥스 톰 호퍼 - 윌리엄 "빌리 본즈" 맨덜리 잭 맥가원 - 찰스 베인 토비 슈미츠 - 존 래컴 클래라 패짓 - 앤 보니 마크 라이언 - 핼 게이츠 하킴 케이캐짐 - 미스터 스콧 숀 캐머런 마이클 - 리처드 거스리 루이즈 반스 - 미란다 해밀턴 / 발로 루퍼트 펜리존스 - 토머스 해밀턴 루크 로버츠 - 우즈 로저스 레이 스티븐슨 - 에드워드 티치 데이비드 윌멋 - 이즈리얼 핸즈 = 분류:카메룬의 스키 선수 = = 분류:세르비아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 = = 이인종 = 이인종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다. 이인종(? ~ ?)은 조선의 무신이다. 이인종(1982년 ~ )은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이다. = 쉬 우든트 세이 예스 = 쉬 우든트 세이 예스(She Wouldn't Say Yes)는 미국에서 제작된 알렉산더 홀 감독의 1945년 영화이다. 로사린드 러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버지니아 반 우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로사린드 러셀 리 보먼 = = = 조연 = = = 아델 제건스 찰스 위닝거 해리 대번포트 사라 하든 퍼시 킬브라이드 루이스 L. 러셀 매리 트린 = = 제작진 = = 미술: 스티븐 구손 미술: 밴 네스트 폴그래스 세트: 윌버 메니피 = 분류:SL 벤피카 드 마카오 = = 글렌 웰런 = 글렌 데이비드 웰런(Glenn David Whelan, 1984년 1월 13일 더블린 ~ )는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브리스틀 로버스과 아일랜드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있다. = 분류:폴란드의 스노보드 = = 그린군 (버지니아주) = 그린군 또는 그린 카운티(Greene County)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18,403명이다. 2018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19,779명이다. = 비암사 = 비암사(碑巖寺)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운주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이라 전한다. = = 연혁 = = 비암사는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통일신라 초기인 673년에 백제의 유민인 혜명법사가 전씨 등의 도움을 받아 창건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는 1960년 경내 삼층석탑 위에서 발견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제60호)에 쓰여진 '계유명 혜명대사'라는 명문에 근거한 것인데, 이 석불비상에는 백제왕과 대신, 그리고 칠세 부모의 영혼을 빌어주기 위하여 절을 짓고, 불상을 만들어 시납하였음이 기록되어 있다. = = 관련 문화재 = =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 국보 제10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기축명아미타불비상 - 보물 제367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전의 비암사 극락보전 -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1호 (비암사 소장)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 -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3호 (비암사 소장) 전의 비암사 영산회괘불탱화 -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12호 (비암사 소장)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13호 (비암사 소장) = 분류:2016년 벨라루스 = = 분류:나가노현의 스포츠팀 =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 한국우편사업진흥원(韓國郵便事業振興院, )은 우편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우정문화를 창달함으로써 우정사업발전과 국민문화생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1930년 12월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종전 명칭은 '한국우편사업지원단'이었으나, '한국우편사업진흥원으로 변경되었다.2012년도 공공기관 지정,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2-01-3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7가에 있다. = = 연혁 = = 1930년 12월: 재단법인 우편소청사협회 설립 1939년 11월: 조선체신사업협회로 사명 변경 1949년 7월: 대한체신사업협회로 사명 변경 1961년 6월: 재단법인 체성회로 사명 개칭 2005년 11월: 한국우편사업지원단(KOVIX) 사명개칭 2012년 1월: 한국우편사업진흥원으로 개칭 = = 조직 = = = = = 한국우편사업진흥원장 = = = 이사회 감사 감사실 = = = = 경영전략실 = = = = 전략기획팀 인재경영팀 재무회계팀 경영정보팀 = = = = 미래연구센터 = = = = 우편연구팀 미래사업추진반 = = = = 우체국쇼핑실 = = = = 쇼핑기획팀 쇼핑몰운영팀 대외협력팀 상품개발팀 시스템운영팀 = = = = 우체국콜센터 = = = = 운영기획팀 고객지원팀 = = = = 우정문화실 = = = = 문화기획팀 문화우편상품팀 = = = = 우편사업실 = = = = 우편기획팀 품질관리팀 = 분류:아르헨티나의 여성주의자 = = 분류:1974년 음악 = = 프라이네 = 프라이네는 이탈리아 아브루초주 키에티도에 있는 코무네이다. = 집에 돌아오면, 언제나 아내가 죽은 척을 하고 있다 = 집에 돌아오면, 언제나 아내가 죽은 척을 하고 있다는 2018년 6월에 개봉한 일본의 로맨스,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리 토시오가 감독을 츠보타 후미가 각본을 맡았다. 일본은 2018년 6월 8일에 대만은 2018년 8월 17일에 대한민국은 2020년 2월 20일에 개봉되었다. = = 줄거리 = = 회사원 준이 일을 마치고 귀가하는데 아내 치에가 입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어 당황하는데 이는 아내가 죽은 척을 하는 것이였다. 그 다음은 악어에게 잡아먹혔고 그 다음은 외계인에게 납치당하는 등 계속 이어지는 아내의 죽은 척에 처음엔 당황했지만 아내에게 문제가 생기진 않았을까란 생각에 장단맞춰 주지만 그럼에도 끊임없이 이어지는 치에의 죽은 척에 점점 지쳐가면서 고민이 깊어지는 준 치에는 왜 죽은 척을 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무슨 비밀이 있는 것인가? = = 출연진 = = = = = 주연 = = = 에이쿠라 나나 - 치에 역 야스다 켄 - 준 역 = = = 조연 = = = 오타니 료헤이 - 소마 역 노노 스미카 - 유미코 사노 역 아사노 카즈유키 - 카마하라 역 시나가와 토오루 - 요코야마 역 호타루 유키지로 - 신이치 역 = 분류:나라별 조선소 = = 틀:AMD 라이젠 2000 시리즈 = 모델 출시일 및가격 코어(스레드) 클럭 속도 (GHz) 클럭 속도 (GHz) 캐시 캐시 캐시 소켓 PCI 익스프레스 레인 메모리지원 TDP 모델 출시일 및가격 코어(스레드) 기본 L1 L2 L3 소켓 PCI 익스프레스 레인 메모리지원 TDP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엔트리 Ryzen 3 2300X 2018년 9월 11일OEM 4 (4) 3.5 4.0 512 KB코어 당 8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65 W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메인스트림 Ryzen 5 2500X 2018년 9월 11일OEM 4 (8) 3.6 4.0 512 KB코어 당 8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65 W Ryzen 5 2600E 2018년 9월 11일? 6 (12) 3.1 4.0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666듀얼 채널 45 W Ryzen 5 2600 2018년 4월 19일US $199 6 (12) 3.4 3.9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65 W Ryzen 5 2600X 2018년 4월 19일US $229 6 (12) 3.6 4.2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95 W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퍼포먼스 Ryzen 7 2700E 2018년 9월 11일OEM 8 (16) 2.8 4.0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666듀얼 채널 45 W Ryzen 7 2700 2018년 4월 19일US $299 8 (16) 3.2 4.1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65 W Ryzen 7 PRO 2700X 2018년 9월 6일OEM 8 (16) 3.6 4.1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105 W Ryzen 7 2700X 2018년 4월 19일US $329 8 (16) 3.7 4.3 512 KB(코어 당) 16 MB AM4 24 DDR4-2933듀얼 채널 105 W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HEDT) Ryzen Threadripper 2920X 2018년 10월US $649 12 (24) 3.5 4.3 512 KB코어 당 32 MB TR4 64 DDR4-2933쿼드 채널 180 W Ryzen Threadripper 2950X 2018년 8월 31일US $899 16 (32) 3.5 4.4 512 KB코어 당 32 MB TR4 64 DDR4-2933쿼드 채널 180 W Ryzen Threadripper 2970WX 2018년 10월US $1299 24 (48) 3.0 4.2 512 KB코어 당 64 MB TR4 64 DDR4-2933쿼드 채널 250 W Ryzen Threadripper 2990WX 2018년 8월 13일US $1799 32 (64) 3.0 4.2 512 KB코어 당 64 MB TR4 64 DDR4-2933쿼드 채널 250 W = 영국-프랑스 관계 = 영국-프랑스 관계는 그레이트 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과 프랑스 공화국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두 나라는 오래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 라이벌 관계이다. = = 역사 = = = = = 17세기까지 = = = 신석기 시대에, 현재의 영국과 프랑스 각지에서는 공통적으로 고인돌(dolmen)·선돌(menhir)·화석(cromlech)·스톤헨지(stonehenge) 등 세련된 거석 기념물이 만들어졌다. 영불 간의 교류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침공 이전에, 양국의 공통의 적이었던 고대 로마와 전쟁을 벌인 게르만족과의 거래를 통하여 생활하였던 두 나라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어, 그들은 로마 제국의 통치하에서도 거래를 계속하여, 양 지역은 500여년 동안 상호 교류가 활발히 일어났다. 그러나, 그후 약 500년 동안은 양 지역에 각각 다른 게르만 부족이 침입함에 따라 교류가 매우 침체되었다. 이러한 1천년의 세월이 끝나갈 무렵, 브리튼 제도는 주로 스칸디나비아반도 지역과 상호 영향을 주었고, 프랑스의 대외 관계는 주로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에 집중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카롤링거 왕조(580~876) 이후에 두 가문 사이에서 때때로 중단되었다가 다시 시작되곤 했던 권력 투쟁을 거쳐, 위그 카페가 왕으로 즉위(재위 987~996)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공작이며 파리의 백작이었고, 발루아 가문, 부르봉 가문의 분파까지 포함하는 카페 왕조를 창설하였고, 그 왕조는 800년이 넘는 세월동안 ― 1792년 루이 16세의 처형 때까지 ― 프랑스를 통치하였다. 생클레르쉬레프트 조약(911)에 의하여 스칸디나비아에서 온 바이킹족의 두목 롤로에게 하사된 공작령인 센 강 하류의 노르망디 공국은, 1066년에 롤로의 후손 노르망디 공작 기욤이 영국을 정복하고 왕이 되면서(재위 1066~87) 프랑스 왕실에게는 다루기 곤란한 지역이 되었다. 비록 프랑스 내에서는 노르망디 공작이 프랑스 왕의 신하이지만, 프랑스 외부에서는 동등한 왕이기 때문이었다.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었다. 루이 7세(재위 1137~80)와 이혼(1152)한 프랑스의 전 왕비인 엘레오노르는, 노르망디 공작 헨리 플랜태저넷과 재혼(1152)하였다. 엘레오노르는 아키텐 공작이 다스리던 프랑스 서남부 지역을 물려받은 인물이었다. 1154년에 노르망디 공작이 영국왕으로 즉위하였는데, 그가 헨리 2세이었다. 헨리는 자신의 어머니인 마틸다를 통해 노르망디 공국을 물려받았고, 아버지로부터는 앙주 지방을 물려받은 인물이었다. 엘레오노르와 그녀의 네 아들 중 세 명이 이끈 1173-1174년의 반란군이 패한 이후에, 헨리는 엘레오노르를 감옥에 가두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봉신을 브르타뉴 공작으로 임명했으며, 그 결과 프랑스 서부를 다스리게 된 그는 프랑스 왕실보다 더 큰 힘과 더 넓은 영토를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헨리의 후손들 사이에서 그의 프랑스 영토를 분할하는 문제로 논쟁이 벌어지고, 존 왕(재위 1199~1216)과 필리프 2세(재위 1180~1223) 사이에 긴 분쟁이 그 논쟁과 얽히면서, 결국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는 헨리 2세가 프랑스 내에서 차지했던 영토의 대부분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였다. 부빈 전투(1214)에서 프랑스가 대승을 거둔 이후에, 영국 왕실은 프랑스 남서부의 귀예네 공국에 대해서만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프랑스와 스코틀랜드는 오울드 얼라이언스(Auld Alliance)를 통해 중세 말에 군사적 동맹을 맺고 있었다. 중세 이후로, 프랑스와 잉글랜드 왕국은 유럽대륙의 주도권 및 식민지 쟁탈을 놓고 서로 적대국인 경우가 많았으나 때로는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양국은 이탈리아 전쟁(1494~1559)에서 서로 반대 진영에 속해 있었다. 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종교개혁이 일어나 국민 대다수가 개신교로 개종함으로써 로마 가톨릭교회가 우세한 프랑스와 더 한층 멀어졌다. 이로 인해 양국은 서로를 단순한 외부의 적이 아니라 이교도로 취급하게 되었다. 양국에서는 시민들의 격렬한 종교 분쟁이 일어났다. 로마카롤릭교도인 프랑스의 루이 13세의 압제로 인하여 개신교 중 하나인 위그노의 상당수가 잉글랜드 왕국으로 피신하였고, 마찬가지로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잉글랜드 왕국에서 프랑스로 피신하였다. 잉글랜드 왕국의 헨리 8세는 프랑스와 동맹을 추구하였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와 대면 회담(1520)을 갖기도 하였다. 16~17세기, 스페인이 지배적인 강대국으로 떠오르자, 잉글랜드 왕국은 프랑스와 함께 균형추로서 작용하였다.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p. 9–29 이러한 구도는 유럽에 있어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어느 한 국가가 압도적인 힘을 갖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었다. 잉글랜드 왕국의 핵심정책은 유럽을 통합한 군주가 잉글랜드 섬을 지배할 것을 두려워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다.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p. 11-25 베스트팔렌 조약(1648)에 따라 스페인의 힘이 약해지자, 루이 14세가 통치하던 프랑스는 유럽 및 전세계에서 적극적인 확장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잉글랜드 왕국은 프랑스가 유럽 대륙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단일 군주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으로 나아갔다. 프랑스에 있어서 잉글랜드 왕국은 주로 해군 및 부분적으로 사략선에 의존하는 해적 국가라고 인식되어 있었고, "불신의 알비온"이라는 말로 잉글랜드 왕국을 경멸하였다. 그러던 차에, 양국의 정치 철학에 예사롭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다. 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잉글랜드 내전(1642~51) 때, 권한 남용 혐의로 찰스 1세가 처형당하였고(1649), 나중에 제임스 2세는 명예혁명을 거쳐 왕위를 얻게 되었다(1660). 반면에 프랑스에서는 군주와 귀족의 권력이 거의 통제받지 않고 있었다. 두 나라는 다시 9년 전쟁(1688~97)에서 맞붙었다. 이러한 양국의 구도는 18세기까지 이어졌다. 카드리유 춤에서 네사람이 파트너를 바꾸어 춤을 추듯, 유럽의 국가 간의 동맹은 지속적으로 바뀌는 구도가 이어졌고(따라서 이것을 "stately quadrille"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전쟁이 간헐적으로 발발하였다. = =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 = = 1707년 연합법에 의하여 스코틀랜드 왕국과 잉글랜드 왕국(웨일스는 이미 잉글랜드 왕국의 일부였다)이 합병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될 것을 결의하였다. 이것은 대륙의 간섭을 두려워한 탓이기도 하였다.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51-3 신생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의회중심의 정치를 발전시킨 반면, 프랑스는 여전히 절대군주의 체제가 지배하고 있었다. 17세기말에 고착된 유럽의 5대 강국에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프랑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프랑스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2~13)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48)에서 다시 맞붙었다. 이 전쟁들은 유럽에 있어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들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1740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6세가 사망하면서 제위 계승 문제가 부각되었다. 황제는 자신의 딸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제위와 영토를 상속하고 싶어 생전에 이미 국사칙령을 선포하고 제후들의 동의를 얻어둔 터였다. 국사칙령은 여성의 왕위 계승을 금지하는 전통적인 게르만 법에 반하여 마리아 테레지아의 제위 상속을 규정한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카를 6세가 서거하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 뒤를 계승하자 제후들은 그 칙령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특히 프로이센은 칙령을 무시하고 실레지아를 점령하였다. 오스트리아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의 지원을 받아 프로이센에 저항하였고 이에 프랑스와 에스파냐가 프로이센을 지지하면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48년)이 발발하였다. 북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카디아와 북부 뉴잉글랜드의 경계를 둘러싸고 영국과 프랑스 간의 식민지 전쟁(조지 왕 전쟁)이 일어나(1744~48년), 영국군의 우세 아래 전투가 진행되어 1745년 루이스부르그를 점령하였는데, 아헨 화약(和約) 결과 점령지는 상호 반환한다는 선에서 일시 타협을 보였다. 인도에서는 1746년에서 1748년에 걸쳐 제1차 카르나티크 전쟁(First Carnatic War)이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벌어졌다. 유럽에서의 전쟁은 오스트리아와 영국의 승리로 끝났고, 엑스라샤펠 조약 (1748년)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 의해 마리아 테레지아의 제위가 인정되었고 프로이센은 패전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레지아 지방을 그대로 보유하였다. 이 전쟁에서 정작 아무것도 얻지 못한 것은 프랑스였다. 또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은 유럽만이 아니라 이와 같이 북미와 인도에 있는 양국의 해외 식민지에까지 확대되어 프랑스의 식민 정책에 치명적인 결과를 안겨주었다.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 경쟁은 17세기 이래 계속되어온 것이었다. 서인도 제도에서는 영국령의 자메이카와 프랑스령의 산토도밍고, 북아메리카에서는 대서양 연안에 자리 잡은 영국과 루이지애나에 자리 잡은 프랑스가 대립하고 있었으며, 인도에서는 프랑스의 동인도회사와 영국의 동인도회사가 각각 경쟁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과 이후 7년 전쟁(1756~63년)을 계기로 프랑스는 해외 식민지 경쟁에서 영국에 대한 우위권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 = = 7년 전쟁 = = = 오스트리아 계승전쟁에서 실레지아를 획득한 프로이센은 프리드리히 2세하에서 점차 강력해졌다. 프로이센의 세력 확대는 프랑스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결국 프랑스는 200년간 외교적 숙적이었던 오스트리아와 화해하여 프로이센을 견제하려 하였다. 오스트리아 역시 실레지아 지방을 회복하기 위해 프로이센을 침략할 기회를 노리고 있던 터라 화해는 쉽게 이루어졌다. 프랑스는 오스트리아 외에도 러시아를 끌어들여 프로이센에 대항하였고 이에 프로이센은 영국의 지지를 얻어 맞섰다. 전쟁은 7년 동안 계속되었기 때문에 흔히 7년 전쟁(1756~63년)으로 불린다. 이 전쟁은 실레지아 영유권 때문에 일어났지만 전 유럽 국가들이 개입하였고, 지역적으로도 해외에까지 확대되어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 쟁탈전의 양상까지 띠었다. 그러나 이번 전쟁에서도 프랑스는 패배하였다. 프랑스는 1763년 파리 조약에 의해 캐나다의 왼쪽은 영국에게, 오른쪽은 에스파냐에게 양도하였다. 이로 인해 영국은 북아메리카와 인도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장악하였다. 프랑스에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설탕산지인 서인도 제도를 계속 보유한 점인데 국내의 여론이 어느 정도 진정될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었다. 아무튼 7년 전쟁에 의해 영국은 세계 제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반면 프랑스는 루이 14세 시대의 영광을 상실하였다. = = = 프랑스 혁명 = = = 영국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과 전쟁을 치르자(→미국 독립 전쟁, 1775~83년) 영국을 견제하려던 프랑스는 해군과 육군을 파병하여 미국에게 직접 군사 지원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이 전쟁을 위해 너무 많은 돈을 써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게 되고, 결국 이것은 프랑스 혁명(1789년)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들어선 혁명 정부가 루이 16세를 처형(1793년 1월 21일)하자 그때까지만 해도 시민 혁명에 동정적이었던 잉글랜드조차 반혁명의 입장에 서게 되었다. 또한 잉글랜드로서는 네덜란드가 프랑스의 손에 떨어지는 것은 자국의 안보에도 심각한 문제였다. 이러한 이유로 잉글랜드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등과 함께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3~97)을 맺었다. 2월 1일, 프랑스는 잉글랜드에 대해서 선전 포고를 했다. 영국은 해상 봉쇄를 시작(5월 30일)하여 프랑스 해군의 거점인 툴롱 항을 포위했다. 그러자 궁지에 빠진 프랑스 국민 의회는 "국가총동원령"을 발령(8월 23일)하고, 징병제를 시행했다. 허용된 30만명 모병과 달리, 각 계층의 국민을 평등하게 징병하여 새로 120만 군인이 군에 참가했다. 이것은 용병을 군대의 주력으로 하고 있던 당시의 유럽 군주제 국가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큰 병력이었다. 거대한 국민군으로 바뀐 프랑스군은 라자르 카르노의 지도 하에 13개 군단으로 재편했고, 반격의 준비를 갖췄다. 9월 위샤르는 요크 공작 프레더릭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을 9월 8일 혼트쇼트 전투에서 승리하여 됭케르크를 포위에서 풀어 놓았다. 한편, 툴롱은 후드 총독이 지휘하는 잉글랜드 함대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프랑스군은 10월 30일과 11월 15일 두 번에 걸친 툴롱 공격에 실패하여 사령관이 파면되었다. 후임 사령관으로 취임한 뒤고미에는 당시 아직 24세 포병 장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세운 지혜로운 전략을 채택하여 12월 19일 툴롱 탈환에 성공했다.(툴롱 포위전)앨리스테어 혼 저, 한은경 역 나폴레옹의 시대 을유문화사 (2006) 16쪽 “8년 후인 1793년에는 툴롱에서 처음으로 무훈을 세운다. 당시 핵심적인 해군기지였던 툴롱은 후드 총독이 지휘하는 영국 함대의 명령 아래 있었다. 항구를 포위하던 프랑스 혁명군의 한 장군이 24세의 포병 대위 나폴레옹을 불러들였다. 청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천재적인 혜안慧眼으로 전략을 세워 영국군을 쫓아내는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 오스트리아의 탈락으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1797)되고,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 싸우는 형국이 되었다. 그러나 제해권을 쥐고 있는 영국에게 프랑스는 타격을 줄 수 없었다. 그래서 나폴레옹은 잉글랜드와 인도와의 연계를 끊기 위해, 오스만 제국령 이집트에 원정(1798)하였다. 1798년 5월 19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이집트 원정군은 툴롱 항을 출발하였다. 7월 2일 이집트 아부키르 만에 상륙했다. 7월 21일 피라미드 전투에서 현지군에게 승리를 거두고 이어 카이로에 입성한다. 그러나 10일 후 8월 1일 나일 해전에서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프랑스 함대가 대패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고립되게 된다. 나폴레옹은 시리아 방면으로 침공하여 아코를 포위하지만(아코 공방전, 1799년 3월 18일 -5월 20일) 공략에 실패하고 이집트로 퇴각했다. 1798년 8월 아일랜드의 반란을 틈타 프랑스군은 다시 아일랜드에 대한 원정을 실시한다. 이번엔 상륙에 성공하지만, 제해권이 없는 상황에서 전략은 오래가지 않았고, 증원을 하지 못한 원정군은 9월에 항복했다. 한편, 1798년 1월부터 스웨덴의 악셀 폰 페르센 백작의 중재 하에 프랑스 혁명 전쟁의 종결을 목표로 한 제2차 라슈타트 회의가 열렸는데, 이것은 메테르니히의 책략으로서 오스트리아는 회의를 질질끌어 강화를 하기 전에 대프랑스 동맹을 재건할 시간 벌기에 성공한다. 그리고, 1798년 이탈리아 원정을 마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영국과 인도의 연락을 끊기 위해 오스만 제국령 이집트 원정에 나섰다. 오스만 제국을 상대하여 육전에서는 승리를 거듭했지만,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는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패배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서 발이 묶이게 되었다. 나폴레옹의 부재를 틈타, 영국은 오스트리아러시아 등과 함께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1798년 12월 24일)하였으나, 1800년 오스트리아러시아는 즉시 프랑스와 강화를 맺고 동맹에서 탈퇴함으로써 오직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하는 상황이 되었다. 1801년 3월 22일 잉글랜드군과 오스만 제국군은 이집트의 제2차 아부키르 전투에서 승리하여 반년 후에 프랑스의 이집트 원정군을 항복하게 했다. 영국에서는 대프랑스 주전파인 윌리엄 피트가 국내의 종교 문제 등으로 퇴진(1801년 3월 14일)하고, 대프랑스 주화파인 헨리 애딩턴이 수상이 되었다. 프랑스의 첫 번째 집정 나폴레옹도 국내의 안정을 중시하고 강화를 원하고 있었다. 1802년 3월 25일 양국은 프랑스 북부 아미앵에서 강화 조약을 체결했다. (→아미앵 조약) 영국은 그때까지 얻은 프랑스의 영토 취득을 승인하고, 몰타케이프 식민지이집트 등 점령지에서 군대를 철수할 것을 약속했다. 프랑스도 나폴리 왕국과 교황령에서 철수를 약속했다. 이후 1년 간 양국을 포함한 유럽에 평화가 지속되었다. = = = 나폴레옹 전쟁 = = = 그러나 프랑스에 의해 유럽시장에서 영국제품의 판매금지와 조약위반행위 등으로 인해 다시 영국과 프랑스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영국은 아미앵 조약을 파기(1803년 5월 16일)하고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전쟁의 목적은 프랑스의 구체제 회복에서 나폴레옹의 타도로 변하게 되었다. 또한 3월 21일 나폴레옹에 대한 쿠데타 계획에 참여했다는 것만으로 프랑스 왕족 앙갱 공이 처형당한 일이 벌어져 유럽 여러 나라의 비난을 받으면서 프랑스와의 전쟁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양국은 유럽 전체를 침몰시킨 나폴레옹 전쟁(1803~15)으로 돌입한다. 영국과 프랑스를 포함한 5대 강국이 유지하고 있었던 세력균형원칙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크게 위협받게 되었다. 나폴레옹이 유럽 전체를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유럽에 팽배하게 되었다. 1804년 5월 28일 나폴레옹은 제정을 선포했다. 12월 2일 대관식을 거행하고,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1세가 되었다. 1805년 나폴레옹은 영국 상륙을 계획하고, 도버해협에 인접한 브르타뉴에 18만의 병력을 집결시켰다. 이에 대해 영국은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러시아 등을 끌어들여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했다. 피에르 빌뇌브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스페인 연합함대는 넬슨이 이끄는 영국함대에게 포착되어 10월 21일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괴멸 당했다. 다만 이 해전은 곧바로 대륙에 있던 나폴레옹의 패권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1806년 7월 영국은 프로이센러시아스웨덴 등과 더불어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고, 10월 9일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프로이센을 격파한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베를린에서 대륙봉쇄령(베를린 칙령)을 발표했다.(11월 21일) 이것은 산업 혁명이 발흥하고 있던 영국과 유럽대륙 여러 나라와의 교역을 금지시켜, 영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오히려 교역 상대를 잃어버린 유럽 여러 나라측이 경제에 큰 타격을 입는 결과를 낳았다. 1808년 나폴레옹이 자신의 형 조제프 보나파르트 - 그는 이미 나폴레옹에 의해 1806년부터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국왕에 임명된 상태였다 - 를 스페인 왕위에 올렸다. 이에 반발한 민중은 5월 2일 마드리드에서 봉기했다. 이 반란은 삽시간에 스페인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은 웰즐리(후에 웰링턴 공작)의 부대를 파견하였다. 11월 나폴레옹은 직접 20만 대군을 이끌고 스페인을 침공해 1809년 1월까지 영국군을 몰아낸 후, 전후 처리를 술트 원수에게 맡기고 귀환했다. 그러나 그 뒤에도 스페인 측은 게릴라전과 영국의 지원을 받으며 완강한 저항을 계속했다. 이 반도(半島) 전쟁은 진흙탕 전쟁으로 변하고, 프랑스는 대군을 몰아넣었으나 최종적으로 패배했다. 영국은, 나폴레옹이 스페인에서 고전하는 것을 목격한 오스트리아와 제5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했다.(1809년 4월) 프랑스가 러시아 원정(1812)에서 대패하자 유럽 각국은 일제히 반 나폴레옹의 기치를 내걸었다. 처음으로 움직인 것이 프로이센이었으며, 주변 나라들에게 호소하여 영국 등과 함께 제6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1813년 2월)하였다. 러시아 원정으로 수십만의 군사를 잃은 나폴레옹은 강제적으로 청년들을 징집하였다. 1813년 봄, 변변찮은 군대로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러시아스웨덴 등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휴전을 하였다. 메테르니히와의 평화교섭이 불발된 후, 라이프치히 전투(1813년 10월 16~19일)에서는 동맹군에게 포위공격 당하여 대패한 후, 프랑스로 도망갔다. 이는 나폴레옹의 몰락을 초래하였다. 1814년에 정세는 한층 더 악화되어 프랑스 북동쪽에서는 슈바르트베르크와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의 연합군 25만이, 북서쪽에서는 베르나도트 장군의 16만이, 남쪽에서는 웰즈 리 장군의 10만 대군이 프랑스 국경으로 진격하여 대포위망을 구축하였다. 이에 반해 나폴레옹은 불과 7만의 군세로 절망적인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었다. 3월 31일에는 제국의 수도 파리가 함락된다. 나폴레옹은 종전을 목적으로 퇴위를 하겠다고 했지만, 배신한 마르몽 원수 등에 의해 무조건 퇴위를 강요당하여, 결국 1814년 4월 16일 퐁텐블로 조약을 체결한 뒤 지중해의 작은 섬인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다. 나폴레옹이 실각한 후, 빈 회의가 열려 전후 유럽을 어떻게 재편해야 할지를 각국 정상들이 의논을 하였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었기 때문에 회의는 좀처럼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게다가 프랑스 왕으로 즉위한 루이 18세의 시대착오적인 통치에 대해 민중은 점차 불만을 품기 시작했다. 1815년 나폴레옹은 엘바 섬을 탈출하여 파리로 돌아오고 나서 복위하는 데 성공한다. 나폴레옹은 자유주의적인 새로운 헌법을 발표하여 자신에게 비판적인 세력과의 타협을 시도했다. 그리고 연합국에게도 강화를 제안했지만 거부당하여 결국 또다시 전쟁을 하게 되었다. 초반에는 승세를 거두었으나 워털루 전투(1815년 6월 18일)에서 영국과 프로이센의 연합 공격으로 완패하여 백일천하는 끝났다. 나폴레옹은 다시 퇴위되어 미국으로의 망명도 시도했지만 항구 봉쇄로 단념하였고, 최종적으로 영국 군함에 투항하였다. 영국 정부는 아서 웰즐리 장군의 제안을 받아들여 나폴레옹을 남대서양의 한가운데에 있는 세인트헬레나에 유폐시켰다. 나폴레옹 전쟁에서 영국은 대륙봉쇄령에 대항해 해상봉쇄를 감행해 프랑스와의 경제전쟁에서 승리하고 식민지 무역에도 지배력을 강화하게 되어 영국의 산업이 부흥하게 되었다. 전쟁 기간 중 영국은 최대의 무기 생산국이 되어 동맹국에 무기 제공을 실시하였다. = = = 현대 = = = 그러다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앙탕트 코르디알(entente cordiale) 정책을 펴면서, 러일 전쟁 이후 프랑스는 영국 및 러시아와 동맹(삼국 협상)을 맺게 된다.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서 영국이 프랑스를 버렸다는 인식도 있으나, 양국은 현재까지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관계에서는 보조를 함께 하기 시작했다. 유럽 연합의 미래에 대한 것은 양국간의 해묵은 논쟁 거리이다. 샤를 드 골 대통령 치세의 프랑스는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을 여러 번 반대하였다. 드 골은 영국이 유럽 이외의 지역 특히 미국과 지나친 동맹 관계라는 점을 내세웠다.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한 후, 영국의 마거릿 대처 수상은 유럽 경제 공동체의 분담금을 줄이는 데 노력하고 이를 얻어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프랑스의 경제 정책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낸 바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 동맹 관계를 구축했다. = 틀:A&E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 아메리칸 셰프 = 아메리칸 셰프는 2014년 공개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다. 존 패브로가 각본, 제작, 감독 그리고 주연을 맡고, 소피아 베르가라, 존 레귀자모, 스칼렛 요한슨, 올리버 플랫, 보비 카나베일, 더스틴 호프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엠제이 앤서니 등이 출연하였다. 패브로는 음식 평론가와 언쟁후, 인기 있는 로스앤젤레스의 레스토랑 일자리를 관두고, 그의 고향인 마이애미로 돌아가 푸드 트럭을 이끄는 셰프 역을 연기하였다. 패브로 감독은 고예산 영화를 촬영하는 와중에 "초심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그리고 요리에 관한 영화를 만들고 싶어, 이 영화의 스크립트를 썼다. 푸드 트럭의 소유자이자 셰프인 로이 최는 공동 제작자로서도 참여하였고 영화에 들어가는 메뉴들을 감독하고 음식들을 준비하였다. 본 촬영은 2013년 7월에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오스틴, 뉴올리언스 등에서촬영하였다. = = 출연 = = 존 패브로 - 칼 캐스퍼 역 엠제이 앤서니 - 퍼시 캐스퍼 역 존 레귀자모 - 마틴 역 소피아 베르가라 - 이네즈 역 스칼렛 요한슨 - 몰리 역 더스틴 호프먼 - 리바 역 올리버 플랫 - 램지 미첼 역 보비 캐너베일 - 토니 역 에이미 서데러스 - 젠 역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마빈 역 러셀 피터스 - 마이애미 경찰 역 = = 한국판 성우진(KBS) = = 홍진욱 - 칼 캐스퍼(존 패브로) 사문영 - 퍼시(엠제이 앤서니) 배정미 - 이네즈(소피아 베르가라) 양석정 - 마틴(존 레귀자모) / 마빈(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이선 - 몰리(스칼렛 요한슨) 곽윤상 - 토니(보비 캐너베일) 유해무 - 램지 미첼(올리버 플랫) 김규식 - 리바(더스틴 호프만) 오수경 - 젠(에이미 세다리스) = = 수상 및 후보 = = 2014년 제27회 도쿄국제영화제 후보 특별 초대작 2014년 제15회 뉴포트비치 영화제 수상 관객상: 장편 - 존 파브로 2014년 제13회 트라이베카 필름 페스티벌 수상관객상 - 존 파브로 2014년 제32회 뮌헨 국제영화제 후보 스포트라이트 2014년 제40회 도빌 아메리칸 영화제 후보 프리미어 부문 2014년 제10회 취리히 영화제 후보 갈라 프리미어 2015년 제25회 유바리국제판타스틱영화제 후보 초청영화 2015년 제20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후보 코미디 영화 남우주연상 2015년 제5회 북경국제영화제 후보 멀티-퍼스펙티브 = 유훈 (효애후) = 유훈(劉勳, ? ~ ?)은 전한의 제후로, 조경숙왕의 현손이다. = 분류:베트남의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 = = 만남의광장휴게소 = 만남의광장휴게소(만남의廣場休憩所, Underground Rendezvous Service Area)는 다음을 가리킨다.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2길 73-71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함양산삼골동서만남의광장휴게소는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하남만남의광장휴게소는 경기도 하남시 중부고속도로 117에 위치한 중부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인 하남드림휴게소의 옛 명칭이다. = 구트만 = 구트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아나톨리 구트만: 러시아의 언론인, 경제학자, 반공주의자 후고 구트만: 독일의 군인 = 조순형 (축구 선수) = 조선형(1988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남자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였다. USL 프로 디비전의 로스앤젤레스 블루스에서 마지막으로 뛴 후 은퇴했다.Blues Add South Korean Defender Cho = 분류:미승인 국가 = = 분류:김동현 시나리오 작품 = 아래 목록은 대한민국의 각본가 김동현이 각본·원작을 맡은 작품이다. = 김광영 = 김광영은 다음의 동명이인이 있다. 김광영(1938년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정치인이다. 김광영(1943년 ~ 1996년)은 대한민국의 전 외무공무원이다. 김광영(1956년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김광영(1970년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광영(1991년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텍사케팔레 = 텍사케팔레(Texacephale)는 원시적인 후두류 공룡의 한 속으로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 당시에 살았다. 모식종은 텍사케팔레 랑스토니(Texacephale langstoni)로 2010년 롱리치, 샌키, 그리고 탄케에 의해 아구하 층 (Aguja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 속명은 발견장소인 텍사스와 "머리"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케팔레가 합쳐진 것이며 종명은 완 랭스턴(Wann Langstoni)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텍사케팔레의 완모식표본인 LSUMNS 20010 은 전두골과 두정골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두번째 표본인 LSUMNS 20012는 불완전한 전두-두정골 돔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화석화된 돔에는 두개골 양쪽에 한 쌍의 테두리가 있다고 한다. 이들은 이 구조가 박치기 시에 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당하기 위한 "보호구" 같은 것이라고 해석했다.Head-ramming dino had ‘gears’ in skull 후두류 공룡이 실제로 박치기를 했는지에 대해 최근 다른 학자들이 이견을 제시하기도 했다.Dinosaur Study Makes No Butts About It / Round-skull species didn't bash headsCranial histology of pachycephalosaurs (Ornithischia: Marginocephalia) reveals transitory structures inconsistent with head-butting behavior = = 계통발생 = = 다음의 분지도는 롱리치 샌키, 탄케의 2010년 논문을 따른 것이다. = 피와 검은 레이스 = 피와 검은 레이스는 1964년 개봉한 이탈리아의 잘로 영화로, 마리오 바바가 감독을 맡았다. = = 출연 = = 에바 바톡 - 크리스티아나 쿠오모 백작부인 캐머런 미첼 - 마시모 모를라키 토마스 라이너 - 실베스트리 수사관 아리안나 고리니 - 니콜 메리 아든 - 페기 페이턴 리아 크루거 - 그레타 클로드 당테스 - 타오리 단테 디파올로 - 프랑코 스칼로 마시모 리기 - 마르코 루차노 피고치 - 체사레 라차리니 줄리아노 라파엘리 - 찬킨 수사관 프란체스카 웅가로 - 이사벨라 해리엇 화이트 메들린 - 클라리사 엔초 체루시코 - 주유소 직원 나디아 안티 - 모델 고프레도 웅거 - 복면 킬러 = 렌나르트 에릭손 = 렌나르트 에릭손은 다음 사람을 가리킨다. 렌나르트 에릭손(1939년~2017년)은 스웨덴의 레슬링 선수이다. 렌나르트 에릭손(1944년~)은 스웨덴의 핸드볼 선수이다. 렌나르트 에릭손(1956년~)은 스웨덴의 펑크 록 음악가이다. =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2007년에 열린 미국 메이저 리그 경기 시즌이다. = = 정규 시즌 = = 지구 우승팀 와일드카드 (숫자) 시드 1경기 플레이오프 = = = 아메리칸 리그 = = = AL 동부 팀 경기 승 패 승률 홈 원정 (1)보스턴 레드삭스 162 96 66 .593 51 - 30 45 - 36 (4)뉴욕 양키스 162 94 68 .580 52 - 29 42 - 39 토론토 블루제이스 162 83 79 .512 49 - 32 34 - 47 볼티모어 오리올스 162 69 93 .426 35 - 46 34 - 47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161 66 96 .407 37 - 44 29 - 52 = = = 내셔널 리그 = = = NL 동부 팀 경기 승 패 승률 홈 원정 (2)필라델피아 필리스 162 89 73 .549 47 - 34 42 - 39 뉴욕 메츠 162 88 74 .543 41 - 40 47 - 34 플로리다 말린스 162 84 78 .518 44 - 37 40 - 4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62 73 89 .451 40- 41 33 - 48 워싱턴 내셔널스 161 71 91 .438 36 - 45 35 - 46 = 강혁 (농구인) = 강혁(姜赫, 1976년 9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지도자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가드이며 현재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감독을 맡고 있다. = 분류:베이징 지하철 이좡 선 = =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우간다 = 영어 위키백과의 우간다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 = Top-importance Uganda articles (68/87) = = :en:2016 Ugandan general election (8) :en:Agriculture in Uganda (3) :en:Alur people (14) :en:Anti-Homosexuality Act, 2014 (9) :en:Apollo Kaggwa (5) :en:Baganda (27) → 간다인 :en:Bank of Uganda (15) → 우간다 은행 :en:Bart Magunda Katureebe (3) :en:Church of Uganda (7) :en:Communications in Uganda (3) :en:Constitution of Uganda (2) :en:Culture of Uganda (4) :en:Doris Akol (4) :en:East African Currency Board (6) :en:East African shilling (18) :en:Education in Uganda (4) :en:Elections in Uganda (4) :en:Electoral Commission of Uganda (2) :en:Energy in Uganda (6) :en:First Congo War (30+) → 제1차 콩고 전쟁 :en:Flag of Uganda (50+) → 우간다의 국기 :en:Foreign relations of Uganda (4) :en:Geography of Uganda (21) :en:Gisu people (9) :en:Health in Uganda (2) :en:History of Uganda (1963–1971) (3) :en:History of Uganda (1979–1986) (4) :en:HIV/AIDS in Uganda (3) :en:Human rights in Uganda (9) :en:Jennifer Musisi (4) :en:Jessica Alupo (8) :en:Joseph Kiwánuka (5) :en:Kakwa people (10) :en:Kampala (150+) → 캄팔라 :en:Karamojong people (16) :en:Katumba Wamala (3) :en:Kiga people (10) :en:Lake Edward (60+) → 에드워드호 :en:Lake Victoria (140+) → 빅토리아호 :en:Lango people (16) :en:Languages of Uganda (6) :en:Lendu language (7) :en:Lugbara people (12) :en:Luhya people (20) :en:Madi people (9) :en:Maria Kiwanuka (7) :en:Milton Obote (60+) → 밀턴 오보테 :en:Music of Uganda (6) :en:Muteesa I of Buganda (11) :en:Nubians (Uganda) (2) :en:Okot p'Bitek (12) :en:Parliament of Uganda (16) :en:Pokot people (12) :en:Politics of Uganda (9) :en:President of Uganda (18) :en:Prime Minister of Uganda (17) :en:Protectorate of Uganda (20) :en:Rebecca Kadaga (15) :en:Religion in Uganda (9) :en:Samuel Turyagyenda (3) :en:Sebei people (10) :en:Second Republic of Uganda (3) :en:Supreme Court of Uganda (4) :en:Teso people (18) :en:Tourism in Uganda (10) :en:Transport in Uganda (5) :en:Vice President of Uganda (8) :en:Yusuf Lule (23) = = High-importance Uganda articles (236/245) = = :en:2006–2008 Juba talks (2) :en:2021 Ugandan general election (16) :en:Abayudaya (15) :en:Adolf Mwesige (2) :en:Aga Khan University Hospital, Kampala (2) :en:Air Uganda (16) :en:Albert Edward Baharagate Akiiki (6) :en:Albert Ruskin Cook (7) :en:Allen Kagina (5) :en:Alykhan Karmali (2) :en:Amama Mbabazi (20) :en:Amelia Kyambadde (9) :en:Amina Moghe Hersi (5) :en:Andrew Kitaka (2) :en:Anne Juuko (3) :en:Annettee Nakimuli (2) :en:Arusha Agreement (2) :en:Assumpta Nnaggenda-Musana (8) :en:Ayub Kalule (9) :en:Benjamin Josses Odoki (3) :en:Beti Kamya-Turwomwe (5) :en:Betty Aol Ochan (2) :en:Bigo bya Mugenyi (3) :en:Born in Africa (compilation album) (2) :en:Brian Umony (9) :en:Bugoma Forest (4) :en:Busia, Uganda (15) :en:Busitema University (4) :en:Bwindi Impenetrable National Park (30+) :en:Cabinet of Uganda (3) :en:Catherine Bamugemereire (4) :en:Catherine Namono (3) :en:Cesare Asili (4) :en:Charles Lwanga (20) :en:Charles Olweny (2) :en:Christine Kitumba (2) :en:Christopher Kakooza (5) :en:Cipriano Biyehima Kihangire (7) :en:Climate change in Uganda (4) :en:Counties of Uganda (2) :en:CURE Children's Hospital of Uganda (2) :en:Daily Monitor (7) :en:Damalie Nakanjako (2) :en:David Muhoozi (2) :en:Dorothy Kisaka (5) :en:East African Crude Oil Pipeline (5) :en:East African Development Bank (5) :en:Ekwaro Obuku (2) :en:Electricity Regulatory Authority (2) :en:Elgon languages (4) :en:Emma Naluyima (2) :en:Emmanuel Iyamulemye (2) :en:Emmanuel Tumusiime-Mutebile (5) :en:Emmy Okello (2) :en:Entebbe (50+) → 엔테베 :en:Entebbe Children's Surgical Hospital (2) :en:Entebbe International Airport (30+) → 엔테베 국제공항 :en:Esta Nambayo (3) :en:Esther Mayambala Kisaakye (3) :en:Evelyn Nabunya (3) :en:Express FC (12) :en:Faith Mwondha (3) :en:Festo Kivengere (2) :en:Florence Ndagire (3) :en:Forestry in Uganda (2) :en:Fort Portal (25) → 포트포털 :en:Francis Kitaka (2) :en:Francis Omaswa (2) :en:Frederick Kayanja (3) :en:Godfrey Binaisa (25) :en:Grey crowned crane (50+) → 회색관두루미 :en:Gulu (40+) → 굴루 :en:Gulu University (7) :en:Harriet Anena (6) :en:Hoima (17) :en: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vestigations (4) :en:Irene Muloni (9) :en:Isaac Maliyamungu (2) :en:Islamic University in Uganda (8) :en:Ivan Koreta (2) :en:Jacob Oulanyah (4) :en:James Gita Hakim (2) :en:James Odongo (6) :en:Janani Luwum (11) :en:Jehoash Mayanja Nkangi (2) :en:Jimmy Katumba (3) :en:Jinja, Uganda (40+) → 진자 (도시) :en:Joan Kagezi (3) :en:John Sentamu (17) :en:John Ssebaana Kizito (8) :en:Joseph Anthony Zziwa (7) :en:Josephine Okot (3) :en:Josephine Wapakabulo (5) :en:Joseph Kizito (priest) (5) :en:Julia Clare Oyet (2) :en:Julia Sebutinde (10) :en:Kakira (6) :en:Kalangala District (26) → 칼랑갈라구 :en:Kalema of Buganda (2) :en:Kampala Industrial and Business Park (2) :en:Karuma Hydroelectric Power Station (4) :en:Kassim Ouma (6) :en:Kasubi Tombs (40+) → 카수비 묘 :en:Kawanda–Birembo High Voltage Power Line (2) :en:Kayanja Muhanga (2) :en:KCB Group (5) :en:Kiira Motors Corporation (4) :en:Kololo (2) :en:Kwanzaa (30+) → 콴자 (행사) :en:Kyambogo University (7) :en:Laeticia Kikonyogo (3) :en:Lake Victoria ferries (2) :en:Lambert Bainomugisha (5) :en:Lango language (Uganda) (10) :en:Lawrence Mukasa (3) :en:Lillian Tibatemwa-Ekirikubinza (4) :en:Local Council (Uganda) (2) :en:Lord's Resistance Army insurgency (1994–2002) (2) :en:Lorna Magara (3) :en:Luganda (50+) → 루간다어 :en:Lugbara mythology (4) :en:Luo languages (7) :en:Mandela National Stadium (16) :en:Margaret Zziwa (6) :en:Mary Okwakol (7) :en:Matthew Lukwiya (4) :en:Maud Kamatenesi Mugisha (6) :en:Mbale (28) :en:Mbarara University (8) :en: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 Development (Uganda) (2) :en:Ministry of Foreign Affairs (Uganda) (3) :en:Ministry of Health (Uganda) (2) :en:Miria Matembe (6) :en:Monica Mugenyi (4) :en:Mparo, Hoima (3) :en:MTN Uganda (3) :en:Mukono District (23) → 무코노구 :en:Mulago National Specialised Hospital (3) :en:Mweya (2) :en:Nadine Byarugaba (3) :en:Nakaseke (8) :en:Nakasongola Airport (3) :en:Namugongo (3) :en:National Environment Management Authority of Uganda (2) :en:National Social Security Fund (Uganda) (2) :en:Nelson Sewankambo (2) :en:New Karuma Bridge (2) :en:New Vision (6) :en:Nimisha Madhvani (3) :en:Nnabagereka of Buganda (2) :en:Noble Banadda (2) :en:Nsambya Hospital (2) :en:Ntare VI of Ankole (2) :en:Nusura Tiperu (4) :en:Nyero rock paintings (4) :en:Otema Allimadi (9) :en:Patrick Bitature (2) :en:Paul D'Arbela (2) :en:Pauline Irene Batebe (2) :en:Paul Ssemogerere (bishop) (4) :en:Paul Ssemogerere (politician) (10) :en:Peace Proscovia (3) :en:Pen-Mogi Nyeko (2) :en:Philly Lutaaya (5) :en:Pontiano Kaleebu (2) :en:Posta Uganda (2) :en:Presidential Commission of Uganda (6) :en:Prostitution in Uganda (4) :en:Queen Sylvia of Buganda (4) :en:Quiin Abenakyo (3) :en:Rakai (11) :en:Rakai District (20) → 라카이구 :en:Raphael Owor (2) :en:Rhoda Wanyenze (2) :en:Richard Byarugaba (3) :en:Robert Kayanja (2) :en:Robert Muhiirwa (7) :en:Robinah Nabbanja (18) :en:Rock art of Uganda (2) :en:Rubanda District (8) :en:Ruhakana Rugunda (22) :en:Rwenzori Mountains National Park (30+) :en:Sabino Ocan Odoki (5) :en:Salim Saleh (4) :en:Sam Kutesa (9) :en:Sam Rukundo (5) :en:Sarah Nyendwoha Ntiro (3) :en:SC Villa (18) :en:Sebastian Kyalwazi (2) :en:Semliki River (30+) :en:Semuliki National Park (12) :en:Serverus Jjumba (4) :en:Shamim Malende (4) :en:Solome Bossa (4) :en:Source of the Nile Bridge (2) :en:Specioza Kazibwe (14) :en:Stella Arach-Amoko (2) :en:Stella Chesang (8) :en:St. Mary's Hospital Lacor (4) :en:Sudhir Ruparelia (3) :en:Swahili culture (18) :en:Terrewode Women's Community Hospital (2) :en:Tororo Cement Limited (3) :en:Uganda Air Force (6) :en:Uganda Airlines (1976–2001) (8) :en:Uganda Airlines (7) :en:Uganda Broadcasting Corporation (4) :en:Uganda Bureau of Statistics (4) :en:Uganda Business Facilitation Centre (2) :en:Uganda Christian University (6) :en:Uganda Communications Commission (3) :en:Uganda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y Limited (2) :en:Uganda Electricity Transmission Company Limited (2) :en:Uganda Hotel and Tourism Training Institute (2) :en:Uganda Human Rights Commission (3) :en:Uganda Inspectorate of Government Towers (2) :en:Uganda Management Institute (2) :en:Uganda Martyrs (14) :en:Uganda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2) :en:Uganda National Cultural Centre (2) :en:Uganda National Oil Company (3) :en:Uganda National Records Centre and Archives (2) :en:Ugandan English (3) :en:Uganda Securities Exchange (9) :en:Uganda Virus Research Institute (2) :en:Uganda Wildlife Authority (3) :en:Vule Airways (3) :en:Wakiso District (25) → 와키소구 :en:War in Uganda (1986–1994) (5) :en:White Nile (80+) → 백나일강 :en:Wilson Mbadi (2) :en:Winnie Kiiza (4) :en:Wobulenzi (8) :en:Women in Uganda (6) :en:Ziwa Rhino Sanctuary (3) :en:Zoka Forest (3) 우간다 = 금정도서관로 = 금정도서관로(Geumjeongdoseogwan-ro)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역과 선동 영락 나들목을 잇는 부산광역시의 도로이다. 금정도서관 앞을 지나기 때문에 금정도서관로라고 명명되었다. = = 주요 경유지 = = 금정구 (청룡동 · 두구동 · 선동) = = 노선 = = 이름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접속 노선 소재지 소재지 비고 범어사역 국도 제7호선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중앙대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영락 나들목 경부고속도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양방향 진출입 불가 (영락 나들목 하부) 부산광역시도 제6106호선(체육공원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 = 주요 건물 및 시설 = = 부산삼육초등학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 17) 금정도서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 33) 영락공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 108) = = 통행 = = 이 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영락 나들목과 연결되어 있으나 범어사역에서 영락 나들목으로 진입할 수 없으며, 반대로 영락 나들목을 통해 범어사역 방면으로 진출할 수 없다. 영락 나들목은 영락원 및 장례식장으로만 연결되어 있으며, 금정도서관로와 연결되는 지점은 차량통행을 제한하고 있다. 이 도로를 이용해 영락 나들목 방향으로 통행할 경우 경부고속도로 하부 지하통로를 이용해 체육공원로와 연결되거나 또는 금정구민운동장을 거쳐서 고분로와 연결된다. = 분류:기원전 2세기 그리스 = = 호쇼 (포함) = 호쇼(鳳翔)는 일본 제국 해군의 포함이다. 1868년 영국이 조슈번의 주문을 받아 제작을 시작했지만, 1869년 일본으로 양도된 이후 메이지 정부에 헌납되었다. 배수량 300톤강 소형 포함하면서 초기의 일본 제국 해군의 귀중한 전력이 되었다. 함명은 ‘봉황이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날아 춤추는 것’을 의미한다. = = 함력 = = 호쇼는 조슈번이 영국인 카라바에 의뢰해 영국 애버딘에서 건조된 포함이다. 목조 선체에서 돛대 3개의 버크 형이었다. 1869년에 일본에 도착하여 ‘호쇼마루’(鳳翔丸)로 명명했다. 보신 전쟁 지원을 위해 시나가와 미나토에 배를 띄웠지만,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정비 후 1871년 5월 18일(양력 1871년 7월 4일)에 새롭게 구성된 메이지 정부에 헌납되었다.(일본특무함선사(日本特務艦船史)의 기록) 일본해군사(日本海軍史) 제7권에서는 1870년 7월을 전후하여 야마구치 번 (조슈번)이 구입하여, 호쇼마루(鳳翔丸)로 개명하였고, 이듬해 1871년 5월 18일에 헌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헌납 후 병부성의 소관이 되었으며, 1871년 6월 8일(양력 1871년 7월 25일)에 호쇼(함)(鳳翔으로 명명되었고, 11월 15일 (1871년 12월 26일)에 육등함으로 지정되었다. 1874년, 사가의 난, 타이완 침공에 참가하였고, 1877년의 세이난 전쟁에도 참가했다. 1881년 8월 16일에 연습선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연습선으로 활용되었다. 1890년 8월 23일에 제1종으로 지정되었다. 청일 전쟁 때는 구레 항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해군사 제7권에 따르면). 일본특무함선사에 따르면 이때는 사세보 진수부 장관의 지휘 하에, 나가사키 항에서 순찰하며 만 입구의 경비를 맡고 있다고 한다. 1898년 3월 21일의 분류 제정으로 이등 포함으로 분류되었으나 이듬해 1899년 3월 13일 제적되었고, 18일 잡역선으로 변경되었다. 1906년 4월 19일에 폐선이 되었고, 이듬해 1907년 4월 9일에 매각되었다. = 분류:속령별 출신 = = 틀:4RoundBracket = = M백화점 = M백화점은 대한민국의 백화점이며, 농심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이다. 1996년 9월 21일 미도파의 별도법인인 (주)미도파 춘천점이 미도파 백화점 춘천점을 개업하여 미도파가 롯데에 인수된 후 별도법인이었던 (주)미도파 춘천점이 분리되었고 2003년 4월 (주)동서에 인수되어 동서백화점으로 상호명을 변경하였으며 2008년 1월 농심그룹에 인수되어 2008년 4월 30일부터 M백화점으로 운영 중이다. 강원도 유일 백화점 이었으나 2012년 3월 6일 원주에 AK플라자 원주점이 개점하면서 매장규모나 입점 브랜드 면에서 강원도 대표백화점으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영업형태는 백화점과 같으나 입점브랜드나 규모면에서는 패션부분이 강화된 대형마트와 흡사하다. 농심그룹의 대형할인점인 메가마트와 같은 계열이다. = 분류:코펜하겐의 학교 = = 위키백과:오늘의 그림/2022년 9월/영어 = }} 2022-09 영어 2022-09 = 앤절라 욘손 = 앤절라 욘손(Angela Jonsson, 1990년 2월 28일 ~ )은 인도의 모델, 배우이다. = 마리아노 가르시아 레몬 = 마리아노 가르시아 레몬(, 1950년 9월 30일, 마드리드 지방 마드리드 ~) 은 은퇴한 스페인의 축구 골키퍼이자 감독이다. 그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활약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현역 시절 그는 소속 구단의 라 리가 6회, 코파 델 레이 3회 우승에 일조했다. 그는 훗날 감독으로도 활약했는데, 선수 시절 활약했던 구단의 1군 선수단 감독으로 역임하기도 했다. = = 선수 경력 = = 가르시아 레몬은 마드리드 지방 마드리드 출신으로, 현역 시절 자국의 거함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활약했는데, 초년 시절에 3부 리그와 2부 리그를 나간 적이 있고 1971년에 원 소속 구단에 복귀했다. 이후, 그는 미겔 앙헬 곤살레스와 주전 수문장 직을 놓고 열띤 경쟁을 펼쳤는데, 가르시아 레몬은 현역 시절 대부분 기간에 이런 주전 경합을 벌였었다: 결국 레몬은 1971년부터 1973년까지, 그리고 1979년부터 1981년까지 2시즌씩 2번에 걸쳐 주전을 맡았다. 디나모 키예프에 0-0으로 비긴 유러피언컵 1972-73 8강 1차전 오데사 원정 경기에서 가르시아 레몬은 훌륭한 선방 능력을 붙여 오데사의 고양이 (El gato de Odesa) 라는 별칭이 붙었다. 막판 5시즌을 통틀어 8번의 라 리가 경기 출전에 그친 가르시아 레몬은 UEFA컵 2연패를 거둘 당시 선수단의 3번째 수문장을 맡았고, 36세의 나이로 은퇴할 때에 모든 대회를 통틀어 레알 마드리드 경기에 231번 출전해 선수단에 공헌했다.레알 마드리드 바이오그래피 (스페인어) 레몬은 1973년에 5달의 기간을 두고 스페인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2경기에 출전했는데, 출전한 두 경기 모두 친선경기였다. 그는 5월 2일에 국가대표팀 첫 경기를 치렀는데, 2-3으로 패한 네덜란드와의 경기 후반전에 출전했다. = = 감독 경력 = = 레몬은 레알 마드리드의 유소년부 감독직을 맡아 처음으로 선수단을 지휘했다. 이후, 그는 2군 감독을 맡았고, 1993년에 그는 보직을 당시 수석 코치였던 라파엘 베니테스에게 넘겼다. 이후, 가르시아 레몬은 스포르팅 히혼, 라스 팔마스, 살라망카, 누만시아, 그리고 코르도바를 지휘했었다. 스포르팅 히혼과 누만시아의 경우 1부 리그 감독직을 맡은 것인데, 두 구단에서의 계약 모두 선수단이 강등권으로 추락하면서 조기에 끝났다. 2004-05 시즌, 가르시아 레몬은 레알 마드리드의 신임 감독이자 13년 동안 선수시절 동료였던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 그러나, 몇 주도 지나지 않아 2004년 9월 20일에 카마초가 리그에서 8위로 내려앉는 등의 성적 부진으로 사표를 내자, 가르시아 레몬이 1군 감독이 되었다. 그러나, 가르시아 레몬도 성탄절 때까지 성적 반등에 실패해 해임당했고, 후임으로 전 브라질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반데를레이 루솀부르구가 취임했다. 그는 레알 마드리드 지휘봉을 잡아 7승 2무 4패의 기록을 냈다. 가르시아 레몬은 2006-07 시즌 2부 리그에서 전 오비에도와 베티스 선수였던 올리를 대신해 카디스의 신임 감독직을 맡았지만, 1부 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 = 수상 = = = = = 선수 = = = 라 리가: 1971–72, 1974–75, 1975–76, 1977–78, 1978–79, 1979–80 코파 델 레이: 1973–74, 1974–75, 1979–80, 1981–82 = = = 감독 = = = 세군다 디비시온 B: 1990–91 = 분류:긴뿔파리아목 = = 분류:스위스의 여자 국가대표팀 = = 2015년 DMZ 지뢰폭발사건 = 2015년 DMZ 지뢰폭발사건 2015년 8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뢰도발 사건이다. = = 여파 = = 이 사건으로 인하여 남북관계가 급격히 악화되고 군 경계태세가 최고에 이르렀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는 11년만에 다시 대북 확성기 방송이 재개되었다. 이 사건은 서부 전선 포격으로 이어지게되었다. = 남제 화제 = 제 화황제 소보융(齊 和皇帝 蕭寶融, 488년 ~ 502년)은 중국 남조 남제의 제7대 황제이다. 명제의 여덟째 아들이고, 동혼후 소보권의 동복 동생이다. 사용한 연호는 중흥(中興)이다. = = 생애 = = 남강왕(南康王), 서중랑장(西中郞將), 형주자사(荊州刺史)가 되어 7주의 군사를 감독했다. 500년에 소연이 동혼후 소보권을 죽이는데 성공하자, 이어서 소보융에게 황제에 즉위하라고 권하였다. 소보융은 거절하다가 결국 이듬해인 501년 정월에 상국이 되었고, 3월에는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화제는 502년 3월에 소영주의 강압과 협박에 의해 소연에게 황제의 자리를 선양하고 말았다. 이로써 남제는 멸망하였다. 소보융은 파릉왕(巴陵王)으로 강등되었고 고숙에 감금되었으나, 남제의 정삭을 쓰는 것을 허락받았다. 양 무제는 선양의 아름다운 이야기요가 순에게, 순이 우에게, 후한 헌제가 조비에게, 조환이 사마염에게 선양한 일를 듣고 그것을 본받아 자신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어했고, 또한 자신이 제나라의 방계 황족이었기 때문이었기 때문에 원래는 소보융을 죽이지 않으려 했다. 그런데 좌우에서 소보융을 처리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 것이라면서 제거하라고 부추겼고, 결국 4월에 양 무제는 심복인 정백금에게 금가루를 한 말이나 넣은 금설주(金屑酒, 금가루를 넣은 술)를 내려 소보융을 죽이게 했다. 정백금이 소보융에게 금설주를 마시라고 강요하였다. 그러자 소보융은 라고 말했다. 이어서 정백금과 함께 독한 술을 연거푸 마시고 깊이 취하여 잠들고 말았다. 그러자 정백금이 비로소 소보융을 접살(摺殺)하였다. 이때 소보융은 15세였으며 황제의 예로 공안릉(恭安陵)에 안장되었다. = = 기년 = = 화제 원년 2년 서력(西曆) 501년 502년 간지(干支) 신사(申巳) 임오(壬午) 연호(年號) 중흥(中興)원년 2년 = 에가미촌 = 에가미촌(江上村, えがみむら) 에가미촌 (후쿠오카현) - 후쿠오카현 미즈마군 에가미촌. 현 구루메시. 에가미촌 (나가사키현) -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에가미촌. 현 사세보시. = 분류:대한민국의 아마추어 야구 = = 서현석 = 서현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서현석(1941년~)은 대한민국의 지휘자 겸 트럼페터이다. 서현석(1989년~)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서현석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서현석은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A3 고속도로 = A3 고속도로는 스위스 북동부의 고속도로로 프랑스에서 남동쪽 국경을 향해 대각선으로 달리다 가 도중에 취리히를 지나게 된다. A3 고속도로의 총 길이는 약 180km이지만, 도로의 일부는 A1과 A2 고속도로의 구간을 공유한다. A3는 스위스 고속도로 네트워크에 속한다. 이 고속도로는 바젤의 국경에서 시작하여, 프랑스 고속도로 A35와 연결된다. 비제 고속도로 분기점에서 경로는 A2와 공유된다. 아우그스트에 고속도로가 갈라지며 A2는 분기되고 A3는 라인펠덴 및 프리크를 지나 계속된다. 뵈츠베르크 터널을 지나면 비르멘스토르프 근처의 비르펠트 고속도로 분기점이 있다. 여기서 A1과 A3는 2009년 5월 4일에 개통된 우르도르프와 위틀리베르크 터널로 향하는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리마트탈까지 같은 경로를 공유한다. 취리히를 지나면 고속도로는 취리히 호수의 남동쪽 둑의 언덕을 통과한다. 그것은 발렌제(발렌 호수)를 따라 계속되고 A13과의 교차점에서 끝나는 멜즈까지 이어진다. A3는 (A1 구간과 함께) 바젤과 취리히 사이의 가장 중요한 연결을 나타내고 (A13 구간과 함께) 가장 중요한 취리히-쿠어 연결을 나타낸다. = 스소노촌 = 스소노촌(裾野村)은 아오모리현 나카쓰가루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 = 연혁 =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나카쓰가루군 오모리촌, 가이사와촌, 오니자와촌, 나라키촌, 도오멘자와촌, 도고시우치촌과 합병해, 스소노촌이 성립하였다. 1955년 3월 1일 - 히로사키시에 편입되어 소멸하였다. = 분류:1924년 기재된 식물 = = 다산 메트로 아파트 = 다산 메트로 아파트는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1동에 있는 공동주택으로, 경기주택도시공사에서 지은 아파트이다. 다산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당초 이름은 참아름 아파트였으나, 참아름 6단지가 다산 센트럴파크로 분리되면서 참아름 3단지는 다산 메트로 아파트로 분리되었다. = 티본 = 티본 및 포터하우스는 서양식 쇠고기 부위이다. 쇼트로인의 하위 정형이다. = = 조리법 = = 티본 스테이크(T-bone steak)는 소의 안심과 등심 사이에 T자 모양의 뼈부분의 부위를 이용하여 구운 스테이크 요리이다. 티본 스테이크란 이름도 T자 모양의 뼈가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T자 모양의 뼈는 척추뼈를 가로로 잘라 생긴 형태이다. 이 양 옆으로 안심(tenderloin)과 채끝 등심(striploin)이 붙어있다. 이 살은 통틀어서 척추세움근이라 하여 몸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등심과 안심은 구워지는 정도가 다른데, 등심이 안심보다 좀 더 빨리 익는다. 그래서 티본 스테이크를 익힐 때 서로 다르게 익히는 경우가 많다. 티본 스테이크의 이상적인 조리방법은 양쪽을 거의 같은 정도의 굽기로 굽는 것이며 이 굽기 조절이 매우 힘들어서 요리사의 기량을 시험하는 요리로 쓰이기도 한다. 티본 스테이크는 350g 이상의 많은 양으로 내놓는 것이 보통이며, 일부 식당은 여럿이 먹을 수 있게 내놓는 경우도 있다. 티본 스테이크로 유명한 것은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 지방의 비스테까 알라 피오렌티나(bistecca alla fiorentina)가 있다. 2000년대에는 유럽에서 광우병이 번졌을 때 광우병 유발인자가 척수를 타고 전이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2001년 유럽 연합에서는 소의 뼈와 등뼈를 모두 제거한 후 쇠고기를 유통할 것을 결정하면서 티본 스테이크를 한동안 유통할 수 없었던 적이 있다. = 박용래 문학상 = 박용래 문학상(朴龍來文學賞)은 1999년, 시인 박용래의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해 대전일보가 제정한 문학상이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주최 측 사정 때문에 시행되지 않았고, 2005년 7회 수상자를 낸 이후에 다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수상년도 수상작 저자 1999년 1회 비는 수직으로 서서 죽는다 허만하 2000년 2회 슬픔에 손목 잡혀 나태주 2001년 3회 봄 파르티잔 서정춘 2005년 7회 말랑말랑한 힘 함민복 = 분류:서울신중초등학교 동문 = = 분류:영장류를 소재로 한 작품 = = 토머스군 (네브래스카주) = 섬네일 토머스군 또는 토머스 카운티(Thomas County)는 미국 네브래스카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647명이다. 2017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725명이다. = 분류:리투아니아의 무술 = = 분류:쿡 제도의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 야마다 히로토 = 야마다 히로토 (2000년 3월 7일 ~ )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클리어크리크군 = 클리어 크리크군 또는 클리어 크리크 카운티(Clear Creek County)는 미국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군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 지역의 인구 수는 총 9,088명이다. 2019년 추산으로 이 지역의 총 인구 수는 9,700명이다. = 매트록스 G200 = 매트록스 G200(Matrox G200)은 매트록스가 설계한 개인용 컴퓨터용 2D, 3D 및 비디오 가속기 칩이다. 1998년에 출시되었다. = = 역사 = = 매트록스는 수년 동안 고급 2D 그래픽 가속기 시장의 주요 업체로 알려져 왔다. 이들이 생산한 카드는 뛰어난 윈도우 가속기였으며 Millennium 및 Mystique와 같은 일부 최신 카드는 MS-DOS에서도 뛰어났다. 매트록스는 1994년에 Impression Plus를 통해 최초의 3D 가속기 보드 중 하나로 혁신을 이루었지만 이 카드는 매우 제한된 기능 세트(텍스처 매핑 없음)만 가속화할 수 있었고 주로 CAD 응용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다. 엔비디아, 렌디션(Rendition) 및 ATI의 새 카드가 탑재된 PC에서 3D 그래픽에 대한 관심이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매트록스는 3D 가속을 더욱 공격적으로 실험하기 시작했고 Mystique를 제작했다. Mystique는 1997년에 가장 기능이 풍부한 3D 가속기였지만 이중선형 필터링을 포함한 주요 기능은 여전히 부족했다. 그런 다음 1998년 초에 매트록스는 파워VR과 협력하여 파워VR PCX2 칩셋을 사용하여 매트록스 m3D라는 추가 3D 보드를 생산했다. 이 보드는 매트록스가 그래픽 프로세서를 아웃소싱한 몇 안되는 보드 중 하나였으며 확실히 G200 프로젝트가 준비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임시방편이었다. = 캣칭 파이어 = 캣칭 파이어는 수잔 콜린스가 지은 헝거 게임 3부작 중 두 번째 책이다. 2008년 베스트 셀러였던 헝거 게임의 속편으로, 캣니스 에버딘과 판엠의 미래에 관한 줄거리를 이어간다. 2009년 9월 1일 스콜라스틱에서 출판되었다. = = 등장인물 = = 캣니스 에버딘 (Katniss Everdeen) 피타 멜라크 (Peeta Mellark) 헤이미치 에버내시 (Haymitch Abernathy) 게일 호손 (Gale Hawthorne) 스노우 대통령 (President Snow) 피닉 오데어 조한나 메이슨 = 액설 = 액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리처드 액설: 동 대학교의 하워드휴스연구소 연구위원 액설 알론소: 미국의 만화가 액설 브론: 이탈리아 출신의 포르노 영화 감독 액설 캐럴린: 벨기에 출신의 미국 영화 감독 = 분류:일본의 동방 정교회 = = 뱀부 = 뱀부(bamboo)는 다음을 가리킨다. 대나무아과 개운죽(Dracaena sanderiana) 와콤 뱀부(Wacom Bamboo) Hips Don't Lie (Bamboo Remix) 밤부역 = 분류:2022년 회의 = = 분류:17세기 반란 = = 가브리에우 파울리스타 = 가브리에우 아르만두 지 아브레우(, 1990년 11월 26일, 브라질 상 파울루 ~ )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며, 현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소속 선수로 뛰고 있다. = = 선수 경력 = = = = = 비토리아 = = = 상 파울로에서 태어난 가브리에우는 그레미오 바루에리와 산투스 FC에 입단 실패 이후, 2009년 CA 타방 다 세라(Clube Atlético Taboão da Serra)에서 EC 비토리아 유스로 합류했다. 그는 캄페오나투 바이아노 챔피언십의 카마사리(Camaçari)에서 3-1 승리를 시작으로 2010년 3월 7일에 성인 리그 데뷔를 했고, 플라멩고를 상대로 1-1 홈 무승부 경기에서 빌슨(Vilson)과 교체하며 5월 15일 세리에 A에서 데뷔했다. 2010년 8월, 가브리에우는 산투스와의 2010 코파 두 브라질 결승의 두 번의 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며 오른쪽 수비수로 뛰었다. 2011년 후반에 레앙(Leão)이라는 이름으로 세리에 A로 돌아와 35 경기에 출전하면서 그의 첫 번째 팀에서 돌파구가 되었으며, 다음 해에는 세리에 B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2012년 9월 6일 가브리에우는 비토리아와 2016년까지 계약 연장에 합의했다. 그는 2013 캄페오나투 바이아노에서 우승하면서 최고의 중앙 수비수로 선정되었다. = = = 비야 레알 = = = 2013년 8월 15일 가브리에우는 5년 계약을 맺으면서 라 리가의 비야레알로 이적했다. 그는 11월 10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1-1 홈 무승부 경기에서 데뷔했다. 가브리에우는 그의 첫 해외 시즌에서 체추 도라도의 교체 멤버로서 18번 리그 경기에 출전했으며 노란 잠수함을 6위로 만들어 유러피안 무대로 복귀 시켰다. 그는 2014년 8월 21일 FC 아스타나를 상대로 한 3-0 원정 승리 경기에서 UEFA 유로파리그에 데뷔했다. 마테오 무사치오의 부상으로 인해 가브리에우는 도라도를 추월하여 2014-15 리그에서 선발 출전하였다. 그는 새로 계약한 빅토르 루이스 토레와 함께 강력한 파트너쉽을 만들어 그가 출전한 19 경기에서 17 실점만을 허용했다. = = = 아스날 = = = 2015년 1월 26일, 가브리에우는 워크 퍼밋을 발급받고 11,300,000 파운드의 이적료로 아스널 FC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틀 후에 정식 계약하였고, 조엘 캠벨은 임대되었다. 아르센 벵거 감독은 가브리에우의 피지컬에도 불구하고, 영어를 못하기 때문에 첫 경기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가브리에우는 FA 컵의 5라운드 미들즈브러 FC와의 홈 경기에 데뷔하였고, 팀은 2-0으로 승리했다. 6일 후, 그는 크리스털 팰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알렉시스 산체스의 교체 선수로 프리미어 리그에 데뷔하였고, 팀은 2-1로 승리하였다. = = 국가대표팀 경력 = = 2015년 3월 20일에서 가브리에우는 프랑스와 칠레에 대한 친선 경기를 위해 부상당한 다비드 루이스를 교체, 처음으로 브라질 축구 국가 대표팀에 호출했다. 그러나, 그는 두 경기에서 출전하지 않았다. = = 수상 = = Campeonato Baiano : 우승 (2010), 우승 (2013) 코파 두 노르데스치 : 우승 (2010) FA컵 : 우승 (2014-15), (2016-17) FA 커뮤니티 실드 : 우승 (2015), (2017) Campeonato Baiano 최고의 중앙 수비수 : 2012, 2013 = 정수열 (1950년) = 정수열(鄭秀洌, 1950~)은 대한민국 방송인이다. = = 생애 = = 정수열 사장은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에서 태어난 방송인이다. 경희대 신문방송학과를 나와서 언론학 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1977년 MBC 라디오국 PD로 방송계에 몸을 담은 이후 MBC 프로덕션 이사, 사장 직무대행을 거쳐 충주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MBC라디오의 간판프로인 '격동 30년'을 제작했으며, '한올의 실을 위한 노래'로 ABU 특별상을 수상했다. 극동대학교 언론홍보학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 경기방송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아시아리더십그룹의 홍익분야 아시아 리더로 선정되었다. = = 경력 = = 1977 MBC 라디오제작국 PD 1987 MBC 라디오제작국 차장 1997 MBC 라디오편선기획팀장 1999 MBC 라디오국 위원 2005 MBC 프로덕션 이사 2008 충주 MBC 대표이사 사장 2010 극동대 언론홍보학과 석좌교수 2019 경기방송(KFM) 제작부문 사장 = = 학력 = = 경희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 = 상훈 = = 2008 경희언론문화인상 2019 아시아리더 홍익상 = 분류:AS 셰르부르 = = 분류:964년 = = 색슨인 = 색슨인은 게르만족의 일파로, * * * * 민족의 명칭은 이들이 살던 지역인 삭소니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삭소니아는 오늘날 독일인 게르마니아 지방 중 북해 연안의 땅을 가리킨다.: "Unter dem alten Sachsen ist das Gebiet zu verstehen, das seit der Zeit Karls des Großen (reg. 768-814) bis zum Jahre 1180 also Saxonia '(das Land) Sachsen' bezeichnet wurde oder wenigstens so genannt werden konnte." 로마 제국 말기에 색슨인은 바이킹과 유사하게 게르만 해안의 급습자들을 일컫는 용어였다.: "Im Latein des späten Altertums konnte Saxones als Sammelbezeichnung von Küstenräubern gebraucht werden. Es spielte dieselbe Rolle wie viele Jahrhunderte später das Wort Wikinger." 색슨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카롤링거 시대에는 색슨인들이 정착한 독일 북해 연안 또는 그 근처에 있다고 추정되며 메로빙거 시대에는 노르망디 지역에서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의 역사 (1865년~1917년) = 미국의 역사 (1865년~1917년)는 남북 전쟁 후에 재건 시대가 시작되어, 산업화가 진전된 시대였다. 사회와 노동력의 급격한 변화가 많은 노동조합을 낳았고 파업이 이어졌다. 남북 전쟁이 끝났을 때, 미합중국은 분열된 상태였다. 미국 재건과 그 실패로 인해 남부의 백인은 흑인들에 대한 지배 관계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고, 흑인의 인권은 부정당하고 경제, 사회 및 정치 분야에서는 제2계급에 두었다. 유럽을 중심으로 다른 대륙에서 1865년부터 1917년까지 2,750만 명이라는 전례 없는 이민자의 물결이 몰려들어 저렴한 공장 노동력을 제공했고U.S. Bureau of the Census,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1976) series C89, 캘리포니아주와 같은 아직 개발이 진행되지 않았던 지역에 다양한 지역 사회를 형성했다.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확대는 적지 않은 사회 문제를 발생시켰다. 대부분의 인디언 부족은 작은 거류지에 이주 당했고, 백인 농장주와 목장주가 그 땅을 손에 넣었다. 공장 노동자는 학대와 폭력에 시달렸고, 그것에 수반하여 노동 운동을 낳게 되었다. 산업계의 관행적인 학대로 노동 운동은 폭력적인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 기간 국내에서는 인구 증가와 산업 성장, 해외에서는 많은 제국주의적인 산업으로, 미국은 국제 사회에서의 힘을 증가시키기 시작했다. 19세기가 끝날 무렵까지 미국은 새로운 기술(전신 및 제철 베서머 법 등)에 따라 세계 선진 공업국이 되었고, 철도망을 갖추고 풍부한 천연 자원을 사용하여 제2차 산업 혁명의 선구자가 되었다. 19세기 말, 미국은 쿠바를 정복하고 스페인의 지배에서 사실상 미국의 지배 하에 두고 하와이와 푸에르토리코를 합병했다. 미국 스페인 전쟁으로 필리핀을 획득하게 되었으며, 수십만 명을 살해하고 그들의 독립 운동을 억압하면서 필리핀의 근대화를 추진하고, 특히 수십만 명을 죽인 전염병의 유행을 억제하기 위하여 공중위생을 개선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은 꽤 늦은 1917년에 연합국 측에 참전하여, 전쟁의 교착 상태를 타개함으로써 미국은 군사 대국과 경제 대국의 길을 걷게 되었다. = = 재건 = = 재건의 시대는 남북 전쟁 이후의 1863년부터 1877년까지 전쟁에서 패배한 남부맹방에 속해 있던 남부 지방이 다시 유니언(미합중국)에 통합된 시기를 말한다. 해방 노예의 공민권을 확립하려는 시도가 남부 백인 사이에 연방 정부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하여 전쟁을 일으키게 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1865년 4월 암살되기 전에 남부를 가능한한 빨리 통합하기 위해 온건적인 재건 계획을 승인했다. 링컨은 1865년 3월 해방노예국(Freedman's Bureau)을 신설했으며, 이곳은 이전에 노예였던 이들을 교육과 보건, 채용을 돕기 위한 부서였다. 노예 제도의 최종 폐지는 1865년 12월 비준된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를 통해 달성되었다.William C. Harris, With Charity for All: Lincoln and the Restoration of the Union (1997) 그러나 공화당 급진파들은 남부가 여전히 몰래 노예제와 남부 국수주의를 신봉하고 있으며, 대부분 반란군이었던 그들에게 투표권과 공직 임용권을 부여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링컨의 정책을 반대하였다. 링컨이 암살된 후 급진파들은 남부에 관대한 정책을 펼치는 앤드루 존슨 대통령과 반목했으며, 급진파들은 1866년 결정적인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앤드루의 거부권을 극복하였다. 실제로 그들은 1868년 대통령을 탄핵하여, 하야를 시키려고 시도를 하였다. 비록 1표 차이로 대통령의 탄핵은 무산되었지만, 대통령과 불화를 하는 시기에 그들은 해방 노예에게 합헌적인 연방의 법적인 보호 권한을 부여하였다. 재건 하에서 해방 노예, 스캘러왜그 및 카펫배거와 공화당이 연합하여 남부 주 정부를 지배하였고, 흑인에게 시민권을 준 〈미국 헌법 수정 제14조〉를 비준했다. 이 정부는 철도와 공립학교를 건설하기 위해 무거운 세금을 매겼기 점차 격렬한 저항에 부딪치게 되었고, 그 결과 스캘러왜그의 대다수가 민주당으로 옮겨갔다. 율리시스 그랜트 대통령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미시시피 및 루이지애나에서 흑인에 대한 인권 보호를 강제했다. 1870년에 미국 헌법 수정 제15조를 비준하여 흑인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1875년 〈시민권법〉이 통과되어 인종, 이전 노예의 신분과 관계없이 사람들이 공공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했다. 재건은 주에 따라 다르게 지속되었다.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러더퍼드 헤이스가 접전 끝에 민주당 대항마 새뮤얼 J. 틸던에게 승리를 거두며 재건의 시대는 끝이 났다. 선거인단 투표 결과에 대해 이견이 속출하였고, 의회는 선거 관리위원회를 만들어 그 수습을 하고자 하였다. 위원회의 결정은 논쟁이 있었던 표를 모두 헤이즈에 주기로 했지만, 이 진실의 그림자에 소위 ‘1877년 타협’이 있었고, 남부 백인은 당시 공화당이 지배하고 재건이 끝나지 않았던 남부 3주에서 군사적 지배를 헤이즈가 끝내겠다는 제안을 한 것을 알고 위원회 결정을 묵인했다. 재건 자체는 북부 백인이 남북 전쟁의 종결과 남부 백인이 국가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고 인정함으로써 끝났다.Eric Foner, A Short History of Reconstruction (1990) pp 217-37 재건의 끝은 여전히 남부에 인구가 많았던 흑인에게 시민권과 시민의 자유라는 것이 보장된 짧은 기간의 끝이기도 했다. 그러나 인종 차별은 재건이 시작된 남부뿐만 아니라 나라의 도처에서 나타났다. 백인우월주의자들은 흑인을 정치권과 발언권을 무력화시켜 2류 시민으로 만든 〈짐 크로우 법〉을 통해 차별 사회를 만들었고C. Vann Woodward, The Strange Career of Jim Crow (1954) pp 67-111, 남부 백인 특권 계급(리디머, 부르봉 민주당 남부 회파)가 ‘솔리드 사우스’라는 압도적인 민주당 지배 아래에서 확고한 정치적, 경제적 지배력을 확보했다. 시골에서는 지방의 법 집행력이 약했고, 격노한 폭도들이 흑인 범죄 용의자를 린치하는 것을 허용했다.C. Vann Woodward, Origins of the New South, 1877-1913 (1951) pp 205-34 = = 인디언 전쟁 = = 미국 서부의 평원과 산악 지역에 광산업자, 목장 및 농장 개척자 등이 진출해 나가자 그곳에 선주해 있던 인디언과 잦은 분쟁을 겪게 되었다. 연방 정부는 인디언을 할당된 거류지에 머물게 할 것을 주장했고, 실천에 옮기기 위해 무력을 사용했다. 1880년대에 폭력 사태가 줄어 사실상 1890년에는 잦아든 상태였다. 1880년까지 사냥 경제의 기반이었던 버팔로 무리들이 멸종에 가깝도록 줄어들었다. 백인 사회는 신속하게 인디언을 미국 사회에 동화시키려고 하였고, 펜실베이니아 칼라일의 칼라일 인디언 공업학교와 같은 교육 계획과 학교를 설립했다. 이들 중에서 많은 이들이 저명한 지도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동화에 반대했던 세력은 저항의 길을 걸었다. 1876년, 다코타 골드 러시가 블랙 힐즈를 통과하자, 최후의 결정적인 수족 전쟁이 일어났다. 미합중국군은 수족(라코타 파)의 사냥터에 광산업자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억제할 의지가 없었다. 이 지역에서 사냥을 하고 있는 수 족에 대해 조치를 취하라는 지시가 나왔을 때, 조약의 동의에 따라 육군은 활발하게 움직였다.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장군은 다코타 족과 그 동맹 부족의 주요 숙영지를 발견했다. 1876년 6월 25일, 리틀 빅혼 전투에서 본대와 떨어져 작전을 하고 있던 커스터 장군의 부대가 전술과 수적인 우세를 가졌던 인디언들에게 섬멸되었다. 크레이지 호스가 이끄는 인디언은 시팅 불의 승리의 예언에 의해 고무되어 있었다. 이후 1890년, 사우스다코타 운디드 니의 북부 다코타 거류지에서 고스트 댄스 의식을 하고 있을 때 미합중국군은 라코타 부족의 무장 해제를 시도했다. 이 때 총격이 일어나 병사들은 약 100명의 인디언을 죽인 ‘운디드 니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다. 사망한 약 25명의 병사는 아군의 총격으로 죽은 이들도 있었다. 이것이 인디언과의 마지막 분쟁이 되었다. 사회 개혁자들은 거류지에 있는 인디언들이 개인으로서 토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해결책을 내놓기로 했다. 1887년 도스 법에 따라 인디언의 토지를 분할하여 1가족의 한 사람당 160에이커(0.65 km2)의 땅을 주는 것을 제시했다. 이렇게 할당된 땅은 그 후 25년간 연방 정부로부터 위탁되며, 그 후에는 소유자가 전적인 권리(매각이나 저당도 가능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완전한 시민권도 획득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렇게 손에 넣은 땅은 개척자에 흘러들어 갔다. 이 정책으로 인디언은 부족 고유의 토지에서 거의 절반을 매각했으며, 인디언들에게 큰 손실을 가져왔다. 또 부족 간의 사회 조직의 대부분도 파괴되어 살아남은 원주민들은 전통 문화의 혼란마저 겪게 되었다. 도스 법은 인디언을 미국의 본류와 동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며, 대부분은 동화되어 미국 사회 내로 흡수되어 수 많은 미국인의 가정 속에 인디언의 피를 남겼다. 동화를 거부한 자는 거류지에서 빈곤에 허덕였고, 연방 정부로부터 식량과 의약품 및 교육 등의 지원을 받았다. 1934년 인디언 재조직화 법에 따라 미국의 정책이 역전되어 거류지 부족과 그 생활 양식을 보호하게 되었다. = = 공업화 = = 1865년부터 1913년경 사이에,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인 산업 국가로 성장했다. 토지와 노동력이 풍부하고 기후가 다양하며, 운하, 강 및 해안 수역 등 항해 가능한 수역으로 발흥하는 산업, 경제, 교통 수요를 충족하고, 천연 자원이 풍부하여 저렴한 에너지, 신속한 수송을 가능하게하고 또한 자본이 윤택하게 사용되어, 제2차 산업 혁명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철있는 곳에 석탄이 있었다." 제품 생산은 수공업에서 공장 생산으로 옮겨 갔으며, 생산을 위한 조직, 협조 관계와 범위가 확대되었고, 기술의 발전과 교통 수단의 발전이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철도가 서부를 연결하여도 없었던 곳에 농장, 마을과 시장이 들어섰다. 최초의 대륙 횡단 철도는 국가를 우선하는 사업가들에 의해 영국의 돈을 쓰며 아일랜드인과 중국인의 노동력으로 건설되었고, 이전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곳으로의 여행을 가능하게 했다. 철도 건설 자본, 대출 및 농부가 되려는 사람에게 큰 기회가 되었다. 제철 및 제강에서는 베서머 법이나 평로 같은 신기술이 발명되었고, 화학 등 다른 과학 분야에서 유사한 혁신이 일어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전보 및 전화 등 새로운 통신 수단은 관리자들이 먼 거리에 떨어저 있어도 협조할 수 있도록 했다. 헨리 포드가 시작한 이동 조립 라인과 프레드릭 윈슬로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등 노동과 조직의 편성에도 큰 혁신을 가져왔다. 이 시대에 요구되는 대기업의 재무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주 회사가 등장하여 사업 조직의 지배적인 형태가 되었다. 법인은 트러스트(담합)를 맺어 확대해 나가면서 경쟁 회사가 없는 독점이라는 형태도 출현했다. 높은 관세가 외국과의 경쟁에서 미국 공장과 노동자를 보호하고 연방 정부의 철도에 보조금이 투자자, 농부 및 철도 노동자를 풍성하게 하였고 수많은 마을과 도시를 건설하게 했다. 정부의 각 부처는 대체로 노동자가 조합을 만들어 파업을 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움직였다. 집합적으로 "강도 남작"(robber baron)이라고 불린 앤드루 카네기, 존 록펠러 및 제이 굴드와 같은 대형 산업 자본가가 큰 부와 권력을 쌓았다. 부를 축적하기 위한 냉혹, 비정한 경쟁 속에서 오래된 방식의 직공들의 숙련 노동은 많은 월급을 받는 숙련 노동자나 기사에게 길을 내주고 나라 전체가 기술 기반으로 축이 이동했다. 한편, 지속적인 이민자의 유입으로, 특히 광업과 제조업에서 값싼 노동력의 유용성이 높아졌다. = = = 도금 시대 = = = ‘도금 시대’(gilded age)는 1873년 대불황 이후에 제2차 산업 혁명의 새로운 공업화 경제의 부상으로 등장한 극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향유된 시기이다. 그것은 극적인 사회 변화를 연출한 부의 전환의 시대로 가속되었다. 처음 초부호 계급인 ‘산업의 주역’ 즉 ‘강도 남작’을 낳았으며, 그들의 사업과 사회 및 가족 관계의 네트워크가 잘 정의된 경계가 있는 앵글로색슨과 개신교가 대부분인 사교계를 지배했다. ‘도금 시대’(gilded age)라는 말은 1873년에 간행된 마크 트웨인과 찰스 더들리 워너의 저서 도금 시대 : 오늘날의 이야기(The Gilded Age: A Tale of Today)에 사용된 것이 처음으로, ‘도금’과 ‘황금’의 아이러니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재건 시대가 끝나고 당면한 정치적인 문제가 적어진 가운데 188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당시까지 유래없이 조용한 선거가 되었다. 공화당 후보자 제임스 가필드가 당선되었으나, 부임하면서 몇개월 후에는 원한을 품은 공직 추구자 찰스 기토에게 총상을 입었다. 대통령은 2개월 후 사망했으며 부통령의 체스터 A. 아서가 후계자가 되었다. 금박의 시대에 정치는 놀라울 정도로 타락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는 열성적이었으며, 1872년에서 1892년 기간의 투표율은 높았다.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은 선거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 후보자의 개성임을 의미했다. 188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공화당의 제임스 G. 블레인과 민주당 그로버 클리블랜드 사이에 추악한 이전투구가 되었고, 결국 클리블랜드가 승리하여 제 2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북동부의 탄탄한 지배 계급은 ‘미국 르네상스’를 선언하는 자신감을 보이며, 이 시대를 특징짓는 새로운 공공시설 건설을 붐을 이루었다. 여기에는 병원, 박물관, 학교, 오페라 하우스, 공공 도서관, 교향악단이 있었고, 1893년 시카고 엑스포 이후에는 보자르 건축양식이라는 건축이 융성했다. 금박의 시대에 중요한 것은 극적인 교육의 변화, 이민의 동화, 종교 운동 및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와 조지프 퓰리처로 대표되는 새로운 전국지의 거대 제국이 구축된 것이었다. = = 사회 역사 = = 도시화는 산업화(공장과 철도의 성장)와 농업의 확대와 보조를 맞췄다. 도시의 급성장으로 유럽, 프랑스계 캐나다인과 중국인의 대규모 이주도 가능하게 되었다.John A. Garraty, The New Commonwealth, 1877-1890 (1968)Allan Nevins, The Emergence, of Modern America, 1865-1878 (1927) = = = 이민 = = = 1840년에서 1918년 사이에 전례없이 다양한 이민자의 물결이 미국에 도착했고, 그 총수는 약 27,50만 명에 달했다. 그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온 이민자들이었다. 유럽에서 2400만명(89%)가 왔으며, 독일인 600만명, 아일랜드인 450만명, 이탈리아인 475만명,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및 웨일즈에서 420만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420만명, 스칸디나비아에서 230만명, 러시아 330만명(대다수가 유대인 및 폴란드인과 리투아니아인 카톨릭교도)이었다.U.S. Bureau of the Census,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1976) series C89-C119, pp 105-9 대부분의 사람은 뉴욕 항을 통해서 입국했고, 1892년부터는 엘리스섬이 이민 역이 되었지만, 다양한 민족 집단이 다른 곳에 자리를 잡았다. 뉴욕 등 동부 대도시는 유태인, 아일랜드인과 이탈리아인이 많은 곳이 되었고, 독일과 중부 유럽 출신은 중서부로 이동하여 공업 및 광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동시에 100만명의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캐나다에서 뉴잉글랜드에 이주했다.Stephan Thernstrom, ed., Harvard Encyclopedia of American Ethnic Groups (1980) covers the history of all the main groups 이들 이민자들은 가난과 종교적 위협으로 그 모국에서 밀려나거나, 일자리나 친족과 연결되어 미국에 이끌려 온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경제적 기회의 출현(안정된 공장 노동자 또는 경작 가능한 농지의 농업 형태로) 또는 아일랜드 감자 기근과 같은 위기에서 도망쳐 나왔다. 종교적, 정치적 박해를 피해 온 사람도 많았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작센(독일)에서 보수적인 루터 교회들과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에서 유대인이 두드러졌다. 정치적 억압과 징병 제도도 미국에서 더 나은 삶을 추구한 대량 이민의 이유가 되었다. 이민자의 대다수가 환영을 받은 반면, 아시아 이민자는 그렇지 못했다. 철도 건설을 위해 많은 중국인이 서해안에 도착했지만, 유럽 이민자들과는 달리 완전히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주 등 서부에서 격렬한 반대로 중국인 폭동이 일어난 후에, 연방 정부는 1882년에 중국인 배척법(Chinese Exclusion Act)을 통과시켰다. 1907년의 비공식적 합의에 따라 신사협정(Gentlemen's Agreement)으로 일본인의 이민도 중지되었다.Thomas Archdeacon, Becoming American (1984) 일시적으로 미국에 머물며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이민자도 있었지만, 그런 사람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을 쌓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그 모국을 떠난 상태로 신세계에서 더 나은 삶을 얻을 것을 기대하고 미국에 머물렀다. 이때의 자유와 부를 쌓으려는 소망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유명한 말로 표현되었다. = = = 인종 문제의 악화 = = = 1870년대 말부터 흑인은 미국 재건의 시기에 얻었던 많은 권리를 상실했고, 점차 인종 차별을 받게 되었다. 린치와 인종 폭동 등 차별에 의한 폭력이 늘어나, 남부 흑인의 생활수준이 크게 후퇴하였다. 1877년 타협 후에 성립된 〈짐크로우 법〉과 쿠 클럭스 클랜(KKK)의 발흥이 사회 불안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1879년에는 이미 중서부를 향해 탈출하는 사람이 많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시작된 ‘흑인 대이주’ 사이에 이 운동이 거세졌다. 얼굴을 검게 칠한 백인이 ‘민스트럴 쇼’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연기를 하는 전형적인 인종 차별을 재현했다. 유명한 배우로는 샘 루카스(1850년 –1916년)가 있으며,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 연극에서 톰 아저씨 역을 맡은 첫 흑인이었다. 189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플래시 대 퍼거슨 사건’ 판결에서 인종 분리에 대하여 ‘분리를 해도, 평등하면 된다’는 원칙을 지지하고, 미국 헌법 수정 제14조 및 동 제15조를 실질적으로 무효화시켰다.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의 1915년 작품 국가의 탄생(The Birth of a Nation)이라는 영화는 쿠 클럭스 클랜의 두 번째 발흥을 세상에 전파하고 ‘과학적 인종 차별’ 이론이 이전의 차별 편견과 백인 우월주의의 옹호에 새로운 정당성을 부여했다. 19세기에는 백인이 다른 모든 것에 대해서 우수하다는 개념이 과학적 사고의 주류가 되었다. 그리하여 아마추어 인류학자이자, 우생학자로, 뉴욕 동물학 협회의 회장인 매디슨 그랜트는 1906년 뉴욕시의 브롱스 동물원에서 콩고의 피그미 족 오타벤가를 원숭이나 다른 동물과 함께 전시했다. 그랜트의 명령으로 동물원 지배인은 오타벤가를 오랑우탄과 같은 우리에 넣고 ‘잃어버린 고리’로 표시하며 진화론에서 오타벤가 같은 아프리카인은 유럽인보다 원숭이에 가깝다는 가설을 연출했다. = = = 농민과 포퓰리즘의 부상 = = = 19세기 미국의 농업은 그 현저한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농부들은 반복되는 힘든 시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몇 가지 기본적인 요소로서 토지의 피폐, 자연 재해, 자급자족 비율 감소와 연방 정부의 적절한 법적 보호와 지원의 부족이 있었다. 그러나 가장 큰 요소는 과잉 생산이었다.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크게 증가시킨 농업 기계의 개량과 함께 철도의 혜택과 평원 인디언을 거류지에 밀어 넣는 것으로 서부 개척지가 열렸고, 경작 면적은 19세기 후반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캐나다, 아르헨티나 및 호주와 같은 대국과 마찬가지로 농업 용지의 확대가 진행되어, 과잉 생산과 미국 제품이 많이 팔리고 있던 국제 시장에서 낮은 가격이라는 문제를 낳았다. 개척자들이 서부로 진행되면 될수록 그 제품을 시장에 운송하기 위해 독점적 철도 의존율이 높아졌다. 동시에 농부들은 공산품에 높은 비용을 지불하게 되었다. 이것은 동부의 산업 자본가에 지원된 연방 정부의 보호 관세가 오래 유지되었기 때문이었다. 시간이 지남에 중서부와 서부의 농부는 그 토지의 저당권을 가지고 은행에 큰 빚을 짊어지게 되었다. 남부에서는 남부맹방의 몰락으로 농업 습관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가장 중요한 것은 농부가 종이나 생필품에 대한 대가로 토지 소유자에 수확물의 절반을 주는 ‘분익농법’(Metayage)이었다. 남부 흑인 농부의 80%, 그리고 백인 농부의 40%는 남북 전쟁 후 이 쇠퇴해가는 구조 아래에서 생활했다. 소작농의 대다수는 빚에 쪼달렸고, 거기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도망 수단은 수확량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면화와 담배의 과잉 생산으로 이어졌고 (판매 가격 하락과 소득 감소와 연결), 땅은 피폐하고 토지 소유자도 소농도 가난해진 사람이 많았다. 일반적인 농업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최초의 조직적인 움직임은 농민 공제 조합이었다. 1867년에 미국 농무부 직원에 의해 시작된 이 조합은 당초 대부분의 농가가 경험하고 있던 고립화에 대항하는 사회 운동이 되었다. 여성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장려되었다. 1873년 위기에서 가속된 조합 운동은 2만 지부와 150만명의 조합원 수를 자랑하게 되었다. 농민 공제 조합은 그 대부분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지만, 자신의 시장, 상점, 가공 공장 및 협동조합을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870년대에는 어느 정도의 정치적 성공도 거뒀다. 일부 주에서는 농민 공제 조합법을 제정하여 철도와 창고 가격을 제한했다. 1880년경 농민 공제 조합 운동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농민 동맹으로 대체되었다. 1890년 경에 이 동맹은 뉴욕 주에서 캘리포니아 주까지 약 150만명의 회원을 모았다. 이와 병행하여 흑인의 조직인 유색 인종 농민 전국 연합은 100만명 이상의 회원을 가지게 되었다. 농민 동맹은 그 시작 시점에서 정교한 경제 프로그램을 가진 정치 조직이었다. 초기의 정치 강령에 의하면, 그 목적은 ‘미국의 농부를 계급적 입법이나 유입 집중 자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합’이었다. 그 프로그램은 철도를 완전히 국유화 못하면 규제하고, 빚을 갚고 쉽게 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조장하는 관세를 낮추고 정부가 소유한 창고와 싼 가격의 임대 시설을 설립하는 것도 요구했다. 이들은 오캘라 요청이라고 했다. 1880년대 후반 가뭄이 연속적으로 서부를 덮쳤다. 4년간 캔자스 서부는 인구의 절반을 잃었다. 사태를 더 악화한 것은 1890년 매킨리 관세였으며, 어느 때 보다 높은 관세였다. 이것이 농기구의 가격을 올리고 미국 농부의 파멸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1890년 경 농민의 곤궁함은 유래없이 높아졌다. 유명한 포퓰리즘의 작가이자, 선동가인 메리 엘리자베스 리스는 농부에게 ‘옥수수 수확량을 낮추는 소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농민 동맹은 남부에 동조적인 민주당과 서부에서는 작은 제3의 정당과 협력하여 정치 권력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소에서 인민당이라는 새로운 정당이 만들어졌다. 1892년 선거에서는 이 신당과 남부와 서부의 주 정부의 지배 세력과의 연합하여, 미국 의회 상원과 하원에 적지 않은 의원을 당선시킬 수 있었다. 1892년에 농민 동맹의 첫 대회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렸으며, 농부, 노동자 및 사회 개혁 조직의 대표들은 산업과 상업 트러스트에서 금전적 이익만 아는 절망적으로 부패에 빠진 미국 정치에 일침을 가하자고 결정했다. 인민당의 실제적인 강령은 은의 무제한 주조를 포함, 토지, 운송 및 금융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1892년 선거에서는 인민당이 서부와 남부에서 상당한 힘을 발휘했으며, 인민당 대통령 후보는 100만표 이상을 획득했다. 그러나 곧 모든 문제에 그림자를 드리운 것은 금본위제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 은본위제를 주장하는 통화 문제였다. 서부와 남부의 농민 대표는 인의 무제한 주조에 복귀할 것을 요구했다. 그 문제가 통화량의 부족에서 오고 있다고 확신한 농민 동맹은 통화량을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농업 생산자 가격을 올리고, 공장 노동자의 임금도 올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부채를 쉽게 갚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보수 세력과 금융 소식통은 그런 정책이 비극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인플레이션이 일단 시작되면 멈출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당시의 가장 중요한 금융 상품인 철도 채권은 금으로 지불할 수 있었다. 철도의 운임과 운송 비용이 은화로 반 값이 되면 철도는 몇 주 이내 파산하고 수십만 명이 실직하고 산업 경제를 파괴하며, 금본위제 만이 경제 안정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893년 금융 위기가 논란의 긴장 관계를 높였다. 남부와 중서부에서 은행의 파산이 이어졌다. 실업자가 넘치고 농산물 가격은 급락했다. 이 경제 위기에 클리블랜드 대통령의 무능이 더해져 민주당은 분해 직전이 되었다. 은본위제와 자유 무역을 지지하는 민주당은 1896년 대선이 다가오자 인민당 운동의 잔당을 흡수했다. 그해 민주당 전당 대회에서는 미국의 정치사에서 가장 유명한 연설 중 하나가 되었다. 네브래스카주 출신의 젊은 은본위제 옹호자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금 십자가에 인류를 매달아서는 안된다”고 호소하면서 민주당 후보 지명을 얻어 냈다. 인민당의 잔당도 브라이언의 움직임 속에서 발언권을 유지하려고 기대하고 브라이언을 지지했다. 브라이언은 캘리포니아주와 오리건주를 제외한 서부와 남부의 모든 주를 제패했음에도 불구하고, ‘풀 코스 식사’(A Full Dinner Pail)을 선거 슬로건으로 한 공화당 후보 윌리엄 매킨리에 패배했다. 매킨리는 인구가 많고 산업화가 진행된 북부와 동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이듬해 금융 문제는 기업이 자신감을 회복하면서 나아지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상거래가 금이 아닌 은행권으로 취급되는 것을 인식하지 않았던 은본위제 주장들은 새로운 경기가 유콘 준주에서 발견된 금 때문인 것으로 생각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이 국민의 관심을 끌면서, 국민의 관심은 인민당의 주장에서 멀어졌다. 그러나 이 운동이 무너졌어도 그 개념은 남아 있었다. 인민당의 한 무리가 개념을 지지하면 미국 정치가 대부분이 거부하는 오점이 되었다. 몇 년 후 이 오점이 잊혀지자 미국 상원의 직접 선거와 같은 인민당이 주장하는 개혁이 현실화되었다. = = 산업화 = = 현재 미국 공장 노동자의 삶에 비해 19세기 미국 공장 노동자의 생활은 쉽지 않았다. 임금은 유럽에 비해 2배였으나, 노동 조건은 가혹하고 여유가 없었다. 1873년과 1893년에 국내를 덮친 대불황은 임금을 낮추고, 높은 실업률과 불완전 고용률을 낳았다. 19세기 후반을 지배한 부와 권력을 거대하게 집중시킨 ‘크로니 캐피탈리즘’ (crony captialism 연고자본주의)는 완성된 제도에 반항한 사람들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했던 사람의 말에 휘둘리는 재판관에 의해 후원되었다. 판사들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철학에 단순히 따를 뿐이었다. 존 록펠러는 “대기업의 성장은 단순히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 살아남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 다윈주의’로 알려진 이러한 생각은 사업을 규제하려 하는 어떤 시도도 종의 자연 진화를 늦출 만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많은 이기적인 사람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이 산업주의의 피해자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한 비용은 컸다. 수백만 노동자의 삶과 노동 조건은 형편없었으며, 평생 가난에서 벗어날 희망은 보이지 않았다. 이주 노동자들은 혼잡하고, 불결한 임대 주택에 살고 있었다. 산업화된 미국 노동자의 가난을 고정해 버리고 있는 것은 ‘백만장자의 궁전과 노동자 오두막의 대조’라고 말했던 앤드류 카네기와 같은 기업 지도자조차 인정했다. 카네기의 그 고귀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그 공장에서의 노동 조건은 다른 곳보다 더 낫다고 할 수는 없었다. 1900년에 이미 미국의 노동 관련 사망률은 세계 공업화된 어느 나라보다 높았다. 공장 노동자의 대다수는 하루 10시간 (철강 산업에서는 12시간) 일하고 생활비에 필요한 비용의 20%에서 40% 수준의 적은 임금 밖에 얻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1870년에서 1900년 사이에 두 배로 늘어난 아동노동자의 경우는 더 나쁜 것이었다. = = = 노동 조직 = = = 동시에 전국의 생산성을 올렸던 기술 개량이 지속되어 전문 인력의 수요를 낮추고, 미숙련 노동자의 수요를 늘렸다. 1865년부터 1918년까지 전례없는 2,750만명의 이민자들이 미국에 유입되어 일자리를 구했기 때문에 미숙련 노동자의 예비율은 항상 성장을 계속했다. 1874년 이전에는 이 나라에서 사실상 노동에 대한 규제가 없었다. 1874년 매사추세츠가 여성과 어린이 공장 노동자는 하루 10시간 노동 시간을 제한하는 최초의 법률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건에 연방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은 1930년대가 되고 나서였다. 그 시대까지 근로 조건은 주와 지자체 당국에 달려 있었으며, 부유한 산업 자본가에게 노동자 대하듯 대응할 수 있는 관리는 없었다. 노동자를 전국적인 조직으로 결성하려는 최초의 큰 움직임은 1869년 ‘노블 오더 오브 나이츠 오브 레이버’(The Noble Order of the Knights of Labor)였다. 이것은 원래 필라델피아의 의류 노동자에 의해 조직된 비밀, 사교 조직이었던 것이, 흑인, 여성과 농부 등 모든 노동자에게 개방되었다. 나이츠 오브 레이버는 1885년 파업으로 위대한 철도 귀족 제이 굴드를 굴복시킬 때까지 천천히 성장해 왔다. 이때부터 1년 사이에 50만 명이 새로 가입했다. 그러나 나이츠 오브 레이버는 곧 쇠퇴를 시작했고, 노동 운동에서 그들의 지위는 점차 미국 노동 총동맹(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으로 대체되어 갔다. 시가 제조 회사의 전 조합 임원이었던 새뮤얼 곰퍼스가 이끄는 미국 노동 총동맹(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은 모든 노동자에 문호를 개방하기 보다는, 숙련 노동자에 초점을 맞췄다. 곰퍼스의 목적은 ‘순수하고 단순한’ 것이었으며, 임금을 늘려, 노동시간을 줄이고, 노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초기의 노동 지도자들이 신봉하던 사회주의적인 관점에서 거리를 둔 것에 성공했다. 미국 노동 총동맹은 국내에서 점차 인정받은 조직으로 성장해 갔지만, 미숙련 노동자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Philip Taft, The A.F. of L. in the time of Gompers (1957) ch 1=1 미숙련 노동자의 목표라는 것은 기업 경영자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미국의 역사상 가장 격렬한 노동 쟁의를 가져왔다. 그 중 최초의 사례가 1877년의 철도 대파업이었으며, 주의 철도 노동자가 경영자의 임금 10% 삭감에 분개하여 파업을 벌였다. 파업이 시작되자 볼티모어, 시카고, 피츠버그, 버팔로와 샌프란시스코 등 일부 도시에서 유혈 폭동으로 이어졌다. 1886년 시카고의 맥코믹 수확기 회사에서 파업을 하는 동안 2명의 노동자가 경찰에 맞아 사망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항의 집회를 해산하는 과정에서 누군가가 경찰에게 폭탄을 던졌다. 이것은 헤이 마켓 폭동이라고 했다. 헤이 마켓에서 11명이 사망하고, 많은 사람이 부상을 당했다. 이듬 해 1892년, 펜실베이니아주 홈스테드의 카네기 제철소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제철, 제강과 주석 노동자의 합동 조직에 의한 격렬한 파업을 진압하기 위해 회사 측이 고용한 핑커톤 탐정사 300명이 총에 맞아 10명이 사망했다. 그 결과, 파업에 참여하는 노동자를 진압하기 위해 방위군까지 출동 요청을 받았다. 비조합 노동자가 고용되어 파업은 깨졌다. 홈스테드 공장은 1937년까지 노동조합을 완전히 금지했다. 그 2년 후 시카고 교외 풀먼 팰리스 자동차 회사가 임금을 삭감하자 파업이 시작되었고, 미국 철도 노조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철도 산업이 멈췄다. 이 시대의 창으로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이 지도하는 연방 정부는 경영자 편을 들었다. 미국 법무장관 리처드 올니는 자신이 원래 철도 회사의 변호사이며, 철도를 운행할 목적으로 3,000명 이상의 근로자를 대리 고용시켰다. 이에 따라 연방 법원은 열차 운행을 조합이 방해하는 것에 대해 금지 명령을 내렸다. 노동자들이 철도 회사와 연방 정부의 조치에 굴복하기를 거부했을 때, 클리블랜드는 다시 연방군을 파견하면서, 최후의 파업이 진압되었다. 당시 가장 전투적인 노동자 계급 조직은 ‘세계산업노동자’(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IWW)였다. 서부 광산 지역에서 더 나은 노동 조건을 요구하기 위해 싸워 조합이 모여 결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워블리즈’(Wobblies)라고 이 조합은 그 선동적인, 혁명적인 말투로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워블리즈는 공개적으로 계급투쟁을 호소했고,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섬유 산업 파업(보통 ‘빵과 장미’ 파업 Bread and Roses strike이라고도 함)에서 간신히 승리를 거두고 많은 지지자를 모았다. An evaluation of the standard history by = = 제국주의의 부상 = = = = = 신제국주의 = = = 18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윌리엄 매킨리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매킨리는 6년 전 1890년에 매킨리 관세를 통과시키면서 국민들의 주목을 받았고, 1897년에 고율 관세법을 통과시키고 나서 급속한 경제 성장과 번영의 시대가 도래하자 국민의 신뢰를 받게 되었다. 스페인은 한때 광대한 식민지 제국을 지배하고 있었지만, 19세기 후반까지 쿠바, 푸에르토리코, 필리핀과 아프리카에 다소의 식민지를 남기게 되었다. 쿠바는 1870년대부터 반란 상태에 있었고, 미국의 신문, 특히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와 조지프 퓰리처 신문은 쿠바에서 스페인 전정에 대해 격렬한 비난 기사를 실었다. 미국의 간섭을 요구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1890년, 미국 본토의 국경 소멸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고, 그 도시의 운디드니 학살 사건과 미국 인디언 전쟁도 끝을 선언했다. 그 결과 ‘명백한 운명’의 시대가 끝나고, 당시 유럽 열강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식민지를 앞 다투어 개척해 나갔기 때문에 미국도 해외 영토를 획득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제국주의적 외교 정책은 미국의 원칙을 벗어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 = = = 미국 스페인 전쟁 = = = 1898년 2월 15일 미국 해군 전함 USS 메인이 아바나 항구에서 폭발했다. 폭발의 원인은 불명확했는데, 많은 미국인은 스페인 기뢰 탓으로 돌렸고, 허스트와 퓰리처의 옐로우 저널리즘을 부채질했다. 매킨리 대통령은 사태를 진정시키려고 했지만, 그 해군 차관보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반대 입장을 취하자, 대통령은 ‘초콜릿 에클레어의 등뼈’를 가졌다고 말했다. 미국이 쿠바 혁명에 간섭할 준비를 할 양상으로 흘러가자 군대가 급속하게 동원되었다. 미국은 쿠바를 합병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 섬나라의 독립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명분을 밝혔다. 스페인은 그에 대해 내정에 대한 부당한 간섭이며, 외교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4월 25일에 미국 스페인 전쟁의 선전 포고가 이뤄졌다. 스페인은 순식간에 쿠바와 푸에르토리코 패배를 당했으며,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거친 레인저스는 푸에르토리코에서 악명을 떨쳤다. 한편 조지 듀이 해군 준장의 함대는 역시 혁명 상태에 있던 아득히 떨어진 필리핀에서 스페인 함대를 격파했다. 스페인이 항복하면서, 3개월에 걸친 전쟁은 끝났고, 쿠바의 독립을 인정했다. 푸에르토리코, 괌과 필리핀은 미국에 할양되었다. 필리핀은 1902년까지 대중에 대한 잔인한 정복 전쟁을 계속했다. 필리핀과 푸에르토리코에 대한 미국의 자본 투자는 적었지만, 정치인 가운데는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특히 중국과의 무역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전진 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게 되지 못했고, 1903년 이후 미국은 새로운 무역 루트로 파나마 운하에 주의를 돌렸다. 미국 스페인 전쟁은 이렇게해서 전 세계적으로 지향하는 미국의 외교 정책을 시작하게 하여, 그것이 오늘 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 = = 필리핀 = = = 미국은 1899년에 스페인으로부터 필리핀을 인수했다. 1898년 스페인군에 대한 봉기를 도와주었지만, 1899년에는 미국과 폭도의 관계는 어색해졌다. 미국은 필리핀 점령 첫 2년 동안 무장 독립 투쟁을 억압하여 종주국의 역할을 하려했다. 이후 항쟁 때는 4,234명의 미합중국군이 사망했는데, 주로 열대 특유의 병 때문이었다. 필리핀은 전투에서 죽은 사람이 약 2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굶주림과 질병으로 사망한 시민의 수는 불분명하지만, 100만 명, 즉 필리핀 인구의 10%로 추산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의 대다수는 반란군의 강제 또는 질병 확산을 방지하다가 죽었다. 미국 점령기에 영어가 공식 언어가 되었다. 그러나 필리핀은 스페인과 비사야 어, 타갈로그어, 일로카노 어 등 현지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미국 육군 수송선 USS 토마스에서 500명 이상의 미국인 교사가 파견되어 교육 체계를 세우기 시작했다. 또한 로마 카톨릭교는 국교에서 분리되어 바티칸과의 협의 후에 큰 교회 영지가 매입되어 민간에 분배되었다. 1914년 필리핀 주재 미국 고위 관리 딘 C. 우스터 (주재 기간 1901년 –1913년)는 미국은 필리핀에 있는 가장 미개한 부족을 정복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 가장 효과적인 관계를 만들어 냈다고 호언했다. 1916년 연방 의회는 필리핀을 1945년까지 독립시키도록 결의했다. = = = 라틴 아메리카 = = = 미국은 미국 서부 전쟁을 통해 처음으로 쿠바와 연관을 맺게 되었다. 1901년, 미국 의회는 플래트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쿠바 정부의 재정적 자유도를 엄격한 제한하고, 억압하였고, 관타나모 해군 기지를 설치하였으며, 쿠바의 내정에 간섭할 권리를 유지했다. 또한 쿠바 헌법에 플래트 수정 조항을 쓰도록 강제했다. 미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파나마를 가로 지르는 운하 건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03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를 건설하고 지배하기 위해, 콜롬비아에서 파나마의 독립을 지지했다.David G. McCullough, The Path Between the Seas: The Creation of the Panama Canal, 1870-1914 (1978) 1904년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먼로 독트린에 대한 ‘루즈벨트 제안’을 발표했고, 서반구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민주주의와 백인 앵글로 색슨 문명의 혜택을 볼 때, 무능하고, 불안정한 경우에는 미국이 간섭한다고 밝혔다. 이 소위 ‘좋은 이웃’ 정책(Good Neighbor policy)은 이후 30년간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에서 수많은 간섭의 구실이 되었고, 그 대부분은 미국 실업계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Frederick W. Marks III, Velvet on Iron: The Diplomacy of Theodore Roosevelt (1982) 미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운하의 대체 루트로서의 가능성으로 니카라과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09년, 니카라과 대통령 호세 산토스 젤라야가 미군의 지원을 받은 반란군에게 패배를 당한 후 사임했다. 이에 따라 1912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이 니카라과를 점령하게 되었다. 미국은 1915년에 아이티를 무력 점령했고, 군중에 의한 지도자들의 처형이 뒤따랐지만, 독일의 제도 침략의 가능성에 직면하자, 미국의 지역 지배 강화가 대중에게 정당화되었다. 독일의 지배에 대한 우려는 다소 현실성이 있었다. 독일은 1914년까지 아이티 경제의 80%를 차지했다. 주요 철도는 함부르크 은행가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었다. 이 나라를 정치적으로 소란하게 한 혁명군에게도 후원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복은 미군에 의한 19년간 (1915년 –1934년)의 아이티 점령으로 이어졌다. 아이티는 유진 오닐, 제임스 웰던 존슨, 랭스턴 휴즈, 조라 닐 허스턴 그리고 오선 웰즈와 같은 수 많은 유명한 미국의 작가들에게 흑인 인종 테마에 대한 이국적인 배경이 되었다.Mary A. Renda, Taking Haiti: Military Occupation and the Culture of U.S. Imperialism, 1915-1940 (2000) 멕시코가 장기간 무정부 상태가 되어, 1910년에 내전이 시작될 때 미국은 이 나라에 간섭을 시작했다. 1914년 4월, 탐피코 사건에 이어 미국은 멕시코 베라크루스 항구를 점령했다. 그 이유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멕시코 독재자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를 제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1916년 3월 판초 비야가 1,500명의 멕시코인을 데리고 국경을 넘어 뉴멕시코주 콜럼버스를 공격했다. 미군 기병 분견대를 공격하여 100마리의 말과 노새를 붙잡고 마을을 불태웠으며, 시민 17명을 죽였다. 윌슨 대통령은 존 퍼싱 장군이 지휘하는 12,000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비야를 추적했다. 이 원정은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실패했고, 1917년 1월에 퇴각했다.Eileen Welsome, The General and the Jaguar: Pershing's Hunt for Pancho Villa: A True Story of Revolution and Revenge (2007) 1916년,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을 점령했다. = = 진보의 시대 = = 19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특히 외교 정책에 대해 매킨리 행정부를 결정하는 기회를 주었다.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공화당 전당대회는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에 대한 축하하기 위해 번영의 재현과 문호 개방 정책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것을 표명했다. 1900년 선거는 대부분 1896년의 재판이 되었지만, 새로운 문제로 제국주의가 대두되었다. (하와이는 1898년에 미합중국의 주로 합병되었다).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제국주의를 비난하며 다시 자유로운 실버를 내걸고 선거 운동을 했지만, 평화와 번영, 낙천적 전망으로 인해 두 번째 패배를 당했다. 매킨리 대통령은 2기의 시작도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었지만, 오래 가지 못했다. 1901년 9월, 뉴욕주 버팔로 박람회에 참석한 동안, 아나키스트인 레온 쵸루고스에 의해 저격을 당해 사망하였다. 매킨리는 암살된 미국의 세 번째 대통령이 되었다. 3명 모두 남북 전쟁 이후 40년 미만 사이의 일이었다. 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Online at EBSCO. 루즈벨트의 취임은 국내적으로도, 국제 사정에서도 미국 정치에 새로운 시대를 분명히 했다. 대륙은 미국 태생이 아닌 사람들로 북적였고, 국경은 사라졌다. 나라의 정치 기반은 외국과의 전쟁과 내전과 경기 오르내림의 시험이 지속되었다. 농업, 광업과 산업에 큰 진전이 이뤄졌다. 하지만 대기업의 영향력은 전례없이 커져있었다. 1883년 〈공무원 개혁법〉 (또는 〈펜들턴 법〉)으로 연방 직원의 대다수는 능력주의에 의해 평가를 받은 이른바 ‘엽관 제도’는 끝나게 되었고, 연방 정부의 전문화와 합리화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지방 자치 정부는 부패한 정치가, 정치 기구와 ‘정치 보스’의 손에 남겨진 상태였다. 많은 주, 군과 지방 자치 단체는 엽관제도가 오래 유지되었고, 태머니 홀 조직에 이르러서는 뉴욕 시가 공무원 제도를 개혁한 1930년대까지 남아 있었다. 일리노이주는 프랭크 로덴 하에서 1917년에 그 관료주의를 개혁했지만, 시카고는 1970년대까지 이익 공여 제도를 질질 끌었다. 도시의 정치 보스와 부패한 ‘강도 남작’에 대한 개혁 운동으로 많은 자칭 진보주의가 등장했다. 사업의 실효성 있는 규제, 부활된 공무원의 참여와 국가의 복지와 이익을 보장하는 정부 주도 범위의 확대에 관한 요구가 늘어났다. 정치, 철학, 사회 또는 문학에서 세계의 거의 모든 저명한 인물이 적어도 일부는 개혁 운동에 참여했다. 이러한 정치적 결함에 대해 1890년대에 ‘진보주의’라는 시대정신이 일어났고, 1917년에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가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트러스트의 대형 회계, 불결한 식료품과 철도 학대 관습을 취급 기사가 일간지와 맥클루어(McClure's)나 콜리에즈(Collier's)와 같은 인기 있는 잡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스탠다드 오일 트러스트를 규탄했던 언론인 이다 M. 타벨 같은 저자는 ‘머크래커즈’(Muckrakers, 추문 폭로자)로 불리게 되었다. 작가 업턴 싱클레어는 소설 더 정글 (The Jungle)에서 시카고의 육류 가공 공장의 비위생적인 실태나 국내 육류 공급 루트의 쇠고기 트러스트의 일면을 폭로했다. 진보주의 시대 작가의 강한 충격은 대중 사이의 특정 부분의 목표를 격려하고 특히 대형 노동 조합과 대자본가에 끼인 중산층이 정치적 행동을 하도록 자극했다. 많은 주에서는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조건을 개선하는 법을 제정했다. 제인 애덤스와 같은 저명한 사회 비평가의 추천으로 〈아동노동법〉이 강화되어, 연령 제한을 올리고, 노동 시간을 단축하고, 야간 노동을 제한하고, 학교에 출석을 요구하는 새로운 법이 채택되었다. = = = 시어도어 루즈벨트 = = = 20세기 초까지 대도시 대부분과 주의 절반 이상에서 공공사업에 대해 1일 8시간 노동 제도를 정착시키고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노동자 재해보상법이었으며, 고용주는 고용인이 노동 중에 입은 부상에 대해 법적으로 책임을 지게 되었다. 새로운 세법도 채용되어 유산에 과세하는 것으로 당시의 연방 소득세의 기초를 만들었다. 루즈벨트는 ‘공정한 거래’를 요구하면서 반독점 집행에 대해 연방의 감독 권한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작했다. 이후 철도에 대한 정부의 감독 권한을 확대하고 주요 규제법의 성립을 가속시켰다. 이 법 중 하나가 노출되는 운송료를 합법적 표준에 맞추어 화물주도 리베이트에 대해서도 철도 회사와 동등하게 책임이 있다고 했다.H.W. Brands, Theodore Roosevelt (2001) 19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루즈벨트는 재신임을 받게 되었다. 선거인 선거에서 압도적으로 승리로 힘을 얻은 루즈벨트는 더욱 철저한 철도 규제를 요구했고, 1906년 6월, 의회는 헵번 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면서 주의 주간 통상위원회에 요금을 규제하는 현실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위원회의 관할 범위를 넓혀, 철도 회사가 증기선 운항 회사와 석탄 회사와 연계하여 얻는 이익을 포기시켰다. 이 시기에 대규모 석탄 파업이 일어나 많은 미국인이 겨울에 동사할 수도 있는 사태가 발생했다. 루즈벨트는 광산주를 백악관에 초청하여 파업 중인 노동자와의 합의하지 못하면 회사를 국유화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국유화는 위헌이었다). 한편, 의회는 새로운 상무노동부(Department of Commerce and Labor)를 신설하고 장관을 내각에 추가했다. 신설된 부의 한 부서가 대기업 집단의 내정에 대한 조사권을 가졌고, 1907년에는 미국 설탕 정제 회사가 상당한 수입 관세에 대해 허위 신고한 것을 찾아냈다. 이후 소송에서 400만 달러 이상을 회수하고 여러 명의 회사 임원에게 유죄 판결을 내렸다. 국가의 천연 자원과 아름다운 경관의 보존도 루즈벨트 시대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이다.Douglas Brinkley, The Wilderness Warrior: Theodore Roosevelt and the Crusade for America (2009) ch 15 환경 보호, 개간과 관개에 대한 내용은 1901년 의회에서 행했던 연간 교서에서 그 원대한 통합 계획을 요구했다. 매킨리 전 대통령이 보호 구역과 공원을 위해 숲 4,600만 에이커 (188,000 km2)를 보호한 반면, 루즈벨트는 1억 4,600만 에이커 (592,000 km2)를 추가했고, 산불 방지를 위해 또한 벌거숭이 땅에 나무를 심기 위해 체계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루즈벨트는 그 친구의 기포드 핀조를 삼림 감독관으로 임명하여, 공유지의 새로운 과학적 관리를 활성화시켰다. 루즈벨트는 50곳의 동물 보호 구역과 5곳의 국립공원을 새로 지정하고, 그랜드 캐년과 같은 국립 기념 지역을 지정하는 제도를 시작했다.Douglas G. Brinkley, The Wilderness Warrior: Theodore Roosevelt and the Crusade for America (2009) = = = 윌리엄 태프트 = = = 루즈벨트의 임기는 19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맞이했을 때 그 정점에 도달했지만, 지금까지의 어떤 대통령도 두 번 이상의 임기를 초과하지 않은 전통을 깨고 싶지 않았다. 대신 윌리엄 태프트를 지지했다. 민주당 측에서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이 후보로 나서 세 번째 도전을 했지만, 남부에서만 통했을 뿐이었다. 원래 판사였던 태프트는 미국이 지배한 필리핀의 초대 총독이었으며, 파나마 운하의 감독관이었으며, 그의 달러 외교를 진전시킨 인물이었다.Paolo Coletta, The Presidency of William Howard Taft (1990). 태프트는 트러스트를 계속 비난해 왔으며, 주간 통상위원회의 권한을 더욱 강화시켜, 우체국 예금 제도와 우편 소포 제도를 만들어 공공사업을 확대하고, 미국 헌법 2개의 수정 조항을 통과시키도록 했다. 미국 수정 헌법 제16조에서 소득에 대한 연방세를 인정했고, 1913년에 비준된 수정 헌법 제17조에서 주 의회에 의해 선출한 미국 상원 의원을 일반 선거로 선출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이러한 성과를 거둔 반면, 태프트가 보호 관세를 허용한 것은 혁신주의자의 분노를 샀다. 애리조나주가 혁신적인 헌법을 만들었기 때문에, 미합중국의 가맹에 반대했다. 또한 공화당 내에서 보수파로 쏠리게 되었다. 1910년 경 공화당은 분열되었고, 민주당은 압도적인 득표율로 의회를 장악하게 되었다. = = = 우드로 윌슨 = = = 2년 후,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뉴저지의 혁신적인 주지사인 민주당의 우드로 윌슨이 공화당 후보 태프트와 맞상대가 되었다. 또한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태프트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었으므로, 세 번 출마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깨고 출마했다. 루즈벨트는 공화당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제3의 정당인 진보당 후보가 되었으며, 그 당은 일반적으로 ‘불무스 당’(Bull Moose Party)이라고 불렸다. 이 선거는 루즈벨트와 윌슨의 다툼이 되었고, 현직 대통령 태프트 단지 선거인단표 8표 확보에 그쳐 참패를 당했다.John Milton Cooper, Woodrow Wilson: A Biography (2009) 윌슨은 활발한 선거 운동으로 두 경쟁자를 물리치고 당선되었다. 윌슨의 주도로 새로운 의회는 미국 역사에서 가장 유명해진 법률을 통과시켰다. 그 최초의 일은 관세였다. 윌슨은 “관세를 바꿔야 한다. 겉으로 특혜로 보이는 것은 어떤 것이든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1913년 언더우드 관세는 원자재, 식량, 면과 모직 제품, 철과 강철에 관한 관세를 현저히 낮추고, 기타 100개 이상 품목에 대해서는 관세를 철폐했다. 이 법은 아직도 많은 보호 관세의 성격이 남아 있었지만, 미국 노동자의 생활비를 진정으로 낮추려는 시도였다. 민주당 프로그램의 두 번째 과제는 은행과 통화 제도의 개편이었다. 윌슨은 “통제는 공적인 것으로, 사적이어서는 아니되며, 정부 자체에 권한을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은행은 기업이나 개인 사업가와 주도권의 도구이지 주인은 아니다”고 말했다. 1913년의 〈연방준비법〉은 윌슨의 성과로는 가장 오래간 업적이었다. 왜냐하면 그가 월스트리트와 토지균분론자 사이의 타협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존의 은행에 전국을 12 구역으로 나눠서 새로운 조직을 부과했다. 각 지역에는 연방 준비 은행을 두고 모든 연방 준비제도 이사회의 감독 하에 두었다. 연방 준비 은행 제도에 참여한 은행은 현금을 보관하는 장소로 역할을 했다. 이 제도가 시행될 때까지 미국 정부는 금 공급 관리의 대부분을 규제가 없는 민간 은행에 맡기고 있었다. 공식 태환 화폐는 금화였지만, 대부분의 채무와 지불은 금에 태환 약속으로 증명된 지폐로 했다. 이 제도의 문제점은 은행이 그 현금 보유액을 초과하여 장사를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었다. 지폐를 금화로 바꾸자고 예금자가 쇄도하는 위기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었다. 이 법의 통과로 금 공급에 큰 유연성이 보장되어, 사업의 수요에 걸맞은 연방 보증 수표를 발행하는 규정이 만들어졌다. 연방 준비 제도의 창설은 지금도 논란이 많다. 다음으로 중요한 성과로서 트러스트의 규제와 기업에 의한 학대의 조사가 있었다. 연방 의회는 각 주 사이의 거래 기업에 의한 ‘불공정한 경쟁 수단’에 대한 연방 거래위원회가 금지 명령을 발효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게다가 두 번째 법인 클레이튼 반독점은 특정한 비난을 피해 온 많은 기업 관행을 금지시켰다. 예를 들어, 겸임이사제, 구매자에 따라 차별가격제, 노동쟁의의 금지 명령의 사용 및 유사한 사업을 회사가 소유하는 것 등이었다. 1914년 이후 트러스트 문제는 점차 정치에서 희미해져 갔다.Arthur S. Link, Woodrow Wilson and the Progressive Era: 1910-1917 (1954), pp 67-73 1916년 9월 7일 연방 고용인 산업 재해 보상법(39 Stat. 742; 5 USC 751)은 노동 중에 발생한 장애에 대해 연방 공무원 수당을 인정했다. 1916년 애덤슨 법은 철도 노동자에 대해 하루 8시간 노동제도를 확립하게 했다. 이 조치는 노동조합과 민주당과의 연대를 확고하게 해준 조치였다.John S. Smith, "Organized Labor and Government in the Wilson Era: 1913-1921: Some Conclusions," Labor History, Aug 1962, Vol. 3 Issue 3, pp 265-286 이러한 성과를 올렸기 때문에 윌슨은 미국의 뛰어난 정치개혁가 중 한 사람으로서 미국 역사에 확고한 발판을 굳혔다. 한편, 윌슨은 열성적인 백인우월주의자이고, 연방 정부에 흑인을 고용하는 문호가 열리려고 하고 있던 것을 막았다. D. W. 그리피스의 악명 높은 영화 ‘국가의 탄생’을 윌슨이 즐기고 있었다는 이야기는 신뢰성이 없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 그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국내의 평가는 자국을 승리로 이끌면서 이후 평시에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한 전시 대통령으로, 그 경력에 그림자가 드리웠다. = = 제1차 세계 대전 = = = = = 참전 = = = 미국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독일의 유보트가 미국의 원양 항해선 루시타니아 호를 침몰시키자 독일에 대항하여 참전했다. 독일은 유보트가 중립국 선박에 대해서도 무제한 잠수함전을 수행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은 독일에게 미국이 선전포고를 할 경우 멕시코에게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도록 요구한 ‘치머만 전보’를 도청했다고 밝혔다. 독일은 멕시코, 애리조나, 뉴멕시코와 텍사스를 점령할 것을 제안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미국 멕시코 전쟁 (1846년 -1848년)의 결과로 멕시코가 미국에 할양했던 곳이었다. 이 사실은 독일의 시위 행동이며, 멕시코는 군대가 약하고,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모험을 할 여유가 없었다. 미국의 정치와 산업에서 영향력 있는 자들 중 일부는 이 전쟁의 처음부터 영국과 프랑스 측에 동정하는 자가 많았지만 상당수의 시민(많은 영국인과 독일인을 포함)은 미국이 유럽의 분쟁(적어도 영국 측에서)에 휘말리는 것을 단호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1917년 4월 6일 열린 미국 의회의 참전 결의는 미국이 실시한 다른 많은 결의와는 달리 만장일치를 얻지 못했다.John M. Cooper, Woodrow Wilson: A Biography (2009) = = = 반독일 정서 = = = 독일계 미국인들은 종종 독일 제국에 너무 동정적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전대통령은 전시에 이중적인 충성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서, ‘하이픈이 붙은 미국인’(-계, hypenated American)이라고 이들을 비난했다. 소수가 독일로 돌아가거나, 영국인을 조롱했다. 독일 태생 48만의 적국 외국인 중 약 1%는 1917년~1918년에 투옥되었다. 혐의는 스파이 행위를 했다고나, 독일의 전쟁 노력에 동조했다는 것이었다.The War Department: Keeper of Our Nation's Enemy Aliens During World War I by Mitchel Yockelson. Presented to the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Annual Meeting, April 1998. 수천 명의 사람들이 그들의 충성을 증명하기 위해 전쟁 채권을 사야했다. 일리노이주 콜린스빌 집회에서는 스파이 혐의로 투옥된 독일 태생의 로버트 프래이저라는 사람이 감옥에서 끌려나와 살해당했다. 독일과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공포심을 가져다 주었다. 사우어크라우트는 이것을 ‘자유의 양배추’의 예를 들었다.Frederick C. Luebke, Bonds of Loyalty: German Americans During World War I (1974) 사우스다코타에서는 누구도 독일어로 전화통화를 할 수 없으며, 바흐와 같은 독일인 작곡가의 음악조차 금지되었다. = = = 애국주의 = = = 윌슨 행정부는 전쟁에 대한 정보 관리와 전쟁에 유리하게 정보 홍보를 위해 홍보위원회를 설립했다. 연방수사국(FBI)과 협동하는 민간 미국 보호 동맹은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기치를 올린 동시에 노동조합과 다양한 좌파 및 반전 단체와 싸운 많은 민간 우익 ‘애국조직’ 중 하나였다. 연방 의회는 1917년 〈간첩법〉과 1918년 〈치안유지법〉을 통과시켰고, 윌슨은 서명을 했다. 〈치안유지법〉은 미국 정부 국기 또는 군에 대해 ‘불충, 모독, 외설 또는 저주하는 말을’ 사용한 의견 표명을 범죄로 규정했다. 정부의 경찰, 사설자경단과 대중의 전쟁 히스테리가 윌슨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던 많은 미국 시민의 자유를 침해했다.Ronald Schaffer, The United States in World War I (1978) 독일이 덴마크를 점령하여 덴마크령 버진아일랜드의 영유권을 주장할 우려가 생기자, 미국은 참전하기도 전에 이 제도를 2,500만 달러에 인수했다. = = = 징병 = = = 미국은 1865년부터 큰 전쟁에 관계하지 않았기 때문에 1917년 시점에서는 전쟁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군은 소규모였으며, 수십 년 이전의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급속한 군비 확장과 현대화가 시작되었다. 징병은 1917년 봄에 시작되었지만, 자원자들도 받고 있었다. 4백 만명의 병사와 수천명의 여군이 이 기간에 입대를 했다.John W. Chambers, II, To Raise an Army: The Draft Comes to Modern America (1987) = = = 종전 = = = 프랑스 전장에 도착한지 얼마 되지도 않은 미군은 1918년 여름에 피폐했던 연합군을 격려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독일의 마지막 공세(봄 공세)를 물리치고, 역공을 가하여 연합군 마지막 공세 (100일 공세)를 추진했다. 몇 달 후 1918년 11월 11일 독일에 대한 승리를 결정했다.Edward M. Coffman, The War to End All Wars: The American Military Experience in World War I (1998), = = = 조약 = = = 영국,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독일에게 가혹한 배상금을 부과했다. 미국 상원은 베르사유 조약을 비준하지 않았지만, 독일과 그 동맹국과 다른 휴전 조약을 맺었다. 미국 상원은 윌슨 정권 하에서 새로 만들어진 국제연맹에 가입하는 것도 거부했다. 윌슨은 상원 타협안을 거부했다. 딕슨이 독일과의 조약을 더 수용하기 쉽게 할 것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에 부과된 배상금의 경제 효과는 가혹했다. 이것이 히틀러가 부상한 직접 원인이 되었고,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이 협약의 또 다른 실패는 일본 제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고, 일본의 군사 독재의 기초를 마련해서, 태평양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게 했다. = 유준서 = 유준서(2011년 4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이다. = = 생애 = = 2011년 4월 5일 서울특별시 강서구 발산동에 1남 2녀 중 둘째로 출생한 그는 2015년 광고 삼성화재해상보험 자녀보험 (옥외광고)을 통해 모델로 데뷔하였고 2016년 KBS 2TV 드라마 여자의 비밀을 통해 배우로 데뷔하였다. 대표 작품으로는 2017년 KBS 2TV 드라마 그 여자의 바다, 2020년 KBS 2TV 드라마 위험한 약속, 2021년 KBS 2TV 드라마 신사와 아가씨 등이 있다. = = 학력 = = 2018년 ~ 서울수명초등학교 = = 출연 작품 = = = = = 드라마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6 KBS 2TV 여자의 비밀 어린 유강우 (오민석 아역) 104부작 2016 SBS 사랑은 방울방울 120부작 2017 KBS 2TV 그 여자의 바다 윤지훈 120부작 2017 KBS 2TV 내 남자의 비밀 어린 강인욱 (김다현 아역) 100부작 2018 SBS 스위치 - 세상을 바꿔라 마약 밀매 피해자의 아들 32부작 2018 MBC 배드파파 진요성 32부작 2019 OCN 모두의 거짓말 16부작 2020 KBS 2TV 위험한 약속 차은찬 / 남빈 104부작 2020 SBS 날아라 개천용 어린 박태용 (권상우, 박상훈 아역) 20부작 2021 KBS 2TV 신사와 아가씨 이세찬 52부작 = = = 영화 = = = 연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16 스플릿 어린 박영훈 (이다윗 아역) 최국희 2018 뷰티풀 데이즈 아이 윤재호 = = = 교양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기간 비고 2022 KBS 1TV 우리말 겨루기 출연자 2022.05.16 = = = 예능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기간 비고 2022 KBS 2TV 연중 라이브 인터뷰 2022.01.28 2022 KBS 2TV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게스트 2022.03.05 2022 KBS 2TV 연중 라이브 인터뷰 2022.04.01 = = = 어린이 = = =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기간 비고 2015 EBS 1TV 방귀대장 뿡뿡이 출연자 2015.06.10 2015 EBS 1TV 방귀대장 뿡뿡이 출연자 2015.06.24 2015 EBS 1TV 방귀대장 뿡뿡이 출연자 2015.07.15 2015 EBS 1TV 방귀대장 뿡뿡이 출연자 2015.07.23 = = = 광고 = = = 연도 기업 제품 종류 공동 출연 출처 2015 삼성화재해상보험 자녀보험 (옥외광고) 화재보험 보기 2015 SK브로드밴드 B tv 키즈존 - 뽀로로 편 IPTV 표창원 보기 2016 미미월드 뽀로로 노래가방 장난감 보기 2016 미미월드 월드카 씨티 내가 만드는 찻길놀이 장난감 보기 2016 천호앤케어 보아녹용 기능성 식품 2016 LG유플러스 IOT 도어락 보안 2016 한국계량측정협회 한국계량측정협회 공익광고 2016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공익광고 2018 SK텔레콤 T 플랜 - 인피니티 요금제 편 이동 통신 보기 2018 SK텔레콤 T 플랜 - 부가 서비스 편 이동 통신 보기 2018 현대자동차 현대 팰리세이드 - 공룡 편 자동차 보기 2019 SK텔레콤 ZEM - 초시대 잼있는 생활, ZEM 편 이동 통신 보기 2019 천재교육 밀크티 - 요즘 애들의 요즘 공부법! 밀크티 편 교육 보기 2019 천재교육 밀크티 - 요즘 애들의 요즘 공부법! 밀크티 편 교육 보기 2020 천재교육 밀크티 - 요즘 애들의 요즘 공부법! 밀크티 편 교육 보기 2021 기아 기아 쏘렌토 새로운 시대의 플레이 - 정숙한 하이브리드 편 자동차 유예주 보기 2021 기아 기아 쏘렌토 새로운 시대의 플레이 - 스마트한 아빠 편 자동차 유예주 보기 2022 레시피 메디올 청정두피샴푸 - 가족의 비밀 편 샴푸 지현우이세희최명빈서우진 보기 2022 레시피 메디올이 필요해! - 볼륨과 헤어 고민 편 샴푸 지현우이세희최명빈서우진 보기 = = 수상 및 후보 = =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21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 연기상 신사와 아가씨 = = 가족 관계 = = 누나 : 유민주 (2009년 ~ ) 여동생 : 유예주 (2013년 ~ ) = 분류: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동문 = = 에디 바자 캘보 = 에디 바자 캘보(, 1961년 8월 29일 ~ )는 미국 공화당 소속의 정치인으로, 2011년 취임한 제8대 괌 주지사이다. 타무닝에서 자란 스페인계이다. 2014년 말 재선에 성공했으며, 이후 첫 방문국을 한국으로 정할 만큼 한국에 우호적이다. 2017년 8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괌 타격 방안을 발표하자, 캘보 주지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괌은 안전하다는 보장을 받았다. 이후 인터뷰에서 미국의 방어 시스템을 신회하며 괌은 여전히 안전할 것이라 장담했다. 오히려 '북한 같은 불량배에겐 한 방 먹여줘야 한다'는 호언도 했다. = =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2004년 선거 시의원 (괌 시의원) 28대 공화당 4.78% 21,041표 2위 2006년 선거 시의원 (괌 시의원) 29대 공화당 5.82% 26,464표 1위 2008년 선거 시의원 (괌 시의원) 30대 공화당 5.71% 21,870표 1위 2010년 선거 괌 주지사 8대 공화당 50.61% 20,066표 1위 2014년 선거 괌 주지사 8대 공화당 63.70% 22,512표 1위 = 털꼬리박쥐 = 털꼬리박쥐(Lasiurus ebenus)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박쥐의 일종이다. 브라질과 멕시코에서 발견된다. 원래는 브라질 일랴 두 카르도소 주립공원만이 모식산지로 알려졌지만, 이곳에서 100km 떨어진 카를로스 보 텔로 주립공원에서 2018년에 두 번째 표본이 발견되었다. = 이자벨 에버하트 = 이자벨 에버하트(Isabelle Eberhardt)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이안 프링글 감독의 1991년 드라마 영화이다. 마틸다 메이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다니엘 샤프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출연 = = = = = 주연 = = = 마틸다 메이 체키 카료 피터 오툴 = = 기타 = = 프로듀서: 파리드 샤오체 공동제작: 장-프랑소와 레페티 조감독: 필 존스 미술: 브라이스 페린 의상: 믹 체미널 = 분류:광양시의 행정동 = = 분류:기원전 270년 사망 = = 분류:태국의 귀족 = = 모듈:Location map/data/United Kingdom Saint Helena, Ascension and Tristan da Cunha/설명문서 = 이 모듈의 자세한 설명은 :en:Module:Location_map/data/United_Kingdom_Saint_Helena,_Ascension_and_Tristan_da_Cunha/doc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 마르코 판텔리치 = 마르코 판텔리치(, 1978년 9월 15일 ~ )는 세르비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 = 축구인 경력 = = = = = 클럽 경력 = = = 츠르베나 즈베즈다 유소년 팀에 소속이었지만 1992년 가족들이 그리스로 이주하면서 그리스의 킬키시아코스 유소년 팀에 입단하였다. 이후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유소년 팀에 입단하였고 1996년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1997년엔 파리 셍재르맹으로 이적하였고 스위스의 로잔 스포르에서 임대 신분으로 활약하였다. 1999년 스페인의 셀타 비고로 이적하였으나 슈투름 그라츠와 이베르동 스포르에서 임대 생활을 전전하다 팀을 떠났다. 2002년 오빌리치로 이적하며 고국으로 복귀하였다. 2003년 1월엔 사르티드 스메데레보로 이적하였고 1년 간 31경기에 출전하여 13골을 기록하는 좋은 활약을 펼친 후 츠르베나 즈베즈다로 이적하였다. 2004-05 시즌 리그 29경기에서 21골을 성공시키며 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이 활약을 바탕으로 독일의 헤르타 BSC로 임대 이적하였다. 2005-06 시즌 리그 11골로 준수한 활약을 펼친 후 헤르타로 완전 이적하였다. 이후 2007-08 시즌까지 3시즌 연속 두 자릿 수 득점을 올리며 첼시 등의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 2009년 9월 1일 아약스로 적을 옮겼다. 아약스에서 리그 25경기 16골을 기록하고 재계약을 추진하였지만 계약 기간을 두고 이견이 생겨 불발되었다. 2010년 8월 올림피아코스로 자유 계약으로 이적하였다. 올림피아코스에서 3시즌 간 리그 38경기에서 20골을 기록한 후 은퇴하였다. = = = 국가대표 경력 = = = 2003년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며 2006년부터 대표팀에 꾸준히 선발되기 시작하였다. 2010 남아공 월드컵 오스트레일리아전에서 득점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 헨니 = 헨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악셀 헨니: 노르웨이의 배우 헨니 마이어: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 분류:히우 아브 FC의 축구 선수 = = 분류:스위스의 국가중요문화재 = = 사다 아쓰시 = 사다 아쓰시(, 1995년 12월 24일 ~ )는 일본의 바둑 기사이다.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출신으로 간사이 기원 소속의 7단이다. = = 경력 = =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서 태어났다. 4세 경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바둑을 시작했고, 이후 바둑교실에 들어가 간사이 기원의 원생이 되었다. 중학교 졸업후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오사카로 이주하여 본격적인 바둑 공부를 하여 2012년 프로바둑에 입단했다. 2013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바둑 남자 단체전에 히라타 도모야, 모토키 가쓰야, 쓰루타 가즈시와 함께 일본 대표로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같은해 간사이 기원 신인상을 수상했다. 2014년 제40기 기성전 본선에 진출했지만 조치훈에게 패배하여 탈락했고, 연승상과 나가이상을 수상했다. 2015년 제2회 글로비스배 본선에 진출하여 나현에게는 졌지만 크리트 잠카혼키아트와 고야마 구야를 이겨 본선 8강에 진출했다. 이후 리친청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또한 제41기 기성전 본선 준결승까지 진출했다(야마시타 게이고에게 져서 탈락). 2018년 제3회 타니구치배에서 우승했지만 제43기 기성전 C조 리그에서 2승 3패로 탈락했다. 2019년 천원전 본선에 진출하여 시다 다쓰야와 모토키 가쓰야, 장쉬, 고노 린을 누르고 도전자 결정전까지 올랐다. 쉬자위안에게 패했지만 1승을 거두는 활약으로 감투상에 해당하는 이선상을 수상했다. 2020년 7단으로 승단했다. = 분류:민족별 에스토니아 사람 = = 이재선 = 이재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이재선(李載先, 1841~1881) - 조선·대한제국의 황족. 고종의 이복 형. 이재선(李在善, 1875~?) - 조선의 항일 의병. 이재선(李在善, 1956~)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5·16대 국회의원. 이재선(1980~)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이재선(1995~)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